Καὶ δὴ καὶ τὰ νῦν ἡμῖν ἐξ ἀρχῆς παραγγελθέντα διεξελ-                      e

θεῖν περὶ τοῦ παντὸς μέχρι γενέσεως ἀνθρωπίνης σχεδὸν 

ἔοικε τέλος ἔχειν. τὰ γὰρ ἄλλα ζῷα ᾗ γέγονεν αὖ, διὰ 

βραχέων ἐπιμνηστέον, ὃ μή τις ἀνάγκη μηκύνειν· οὕτω γὰρ 

ἐμμετρότερός τις ἂν αὑτῷ δόξειεν περὶ τοὺς τούτων λόγους                    5

εἶναι. τῇδ᾿ οὖν τὸ τοιοῦτον ἔστω λεγόμενον.

 더 나아가 오늘 우리에게 처음부터 우주에 관련하여 인간적 

생성에 이르기까지 상술하도록 요청되었던 것들이 거의 완결을 

본 듯합니다. 왜냐하면 이제 여타의 생물들이 어떻게

생성되었는지는, 누가 중언부언할 무슨 필연은 없다면, 간략히

언급해야만 하니 말이지요. 누군가 그렇게 한다면 스스로

그것들에 대한 설명들과 관련하여 더욱 적도에 맞다고 여기게

될 테니까요. 그러니 이런 이야기는 다음과 같이 논해지게끔

합시다.

                                                         τῶν γενο-

μένων ἀνδρῶν ὅσοι δειλοὶ καὶ τὸν βίον ἀδίκως διῆλθον, 

κατὰ λόγον τὸν εἰκότα γυναῖκες μετεφύοντο ἐν τῇ δευτέρᾳ 

γενέσει· καὶ κατ᾿ ἐκεῖνον δὴ τὸν χρόνον διὰ ταῦτα θεοὶ τὸν              91a

τῆς συνουσίας ἔρωτα ἐτεκτήναντο, ζῷον τὸ μὲν ἐν ἡμῖν, τὸ 

δ᾿ ἐν ταῖς γυναιξὶν συστήσαντες ἔμψυχον, τοιῷδε τρόπῳ 

ποιήσαντες ἑκάτερον.

                       사내로 태어난 자들 중 겁쟁이에다 생을 

부정의하게 영위해온 자들은, 모상적인 논리에 따라 두 번째 

생성에서 여성들로 환생하곤 하였습니다. 더 나아가 저 시기 

동안 이러한 일들로 인해 신들은 교제에의 애욕을 낳으셨으니, 

그 생물을 한편으로는 우리 안의 것으로, 다른 한편은 여성들 

안의 것으로 구성하시며 혼을 심어넣으셨으니,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양편 각각을 만드시면서 그리 하셨습니다.

                             τὴν τοῦ ποτοῦ διέξοδον, ᾗ διὰ τοῦ 

πλεύμονος τὸ πῶμα ὑπὸ τοὺς νεφροὺς εἰς τὴν κύστιν ἐλθὸν                     5

καὶ τῷ πνεύματι θλιφθὲν συνεκπέμπει δεχομένη, συνέτρησαν 

εἰς τὸν ἐκ τῆς κεφαλῆς κατὰ τὸν αὐχένα καὶ διὰ τῆς ῥάχεως 

μυελὸν συμπεπηγότα, ὃν δὴ σπέρμα ἐν τοῖς πρόσθεν λόγοις                 b

εἴπομεν· ὁ δέ, ἅτ᾿ ἔμψυχος ὢν καὶ λαβὼν ἀναπνοήν, τοῦθ᾿ 

ᾗπερ ἀνέπνευσεν, τῆς ἐκροῆς ζωτικὴν ἐπιθυμίαν ἐμποιήσας 

αὐτῷ, τοῦ γεννᾶν ἔρωτα ἀπετέλεσεν.

                                                               음료의 

통로의 경우, 폐를 통해 신장 아래에서 방광에 이른 마실 것을,

숨에 의해 압박하여 그것을 받아들인 그 통로가 숨과 함께 

배출하는 그 곳에, 그 통로를 머리에서부터 목을 따라 척추를 통해

응집된 골수로 통로를 뚫어 이으셨으니, 실은 그것이 앞선 

논의에서 우리가 정자라 이야기하던 것입니다. 그런데 그

골수는 혼을 갖춘 것으로 있으며 호흡로를 취하는 것이기에, 

이것이 호흡하는 바로 그 곳인데, 유출에 대한 생생한 욕망으로

그 그 통로에 만들어 넣어, 번식에의 욕망을 완성하였습니다.

                                               διὸ δὴ τῶν μὲν 

ἀνδρῶν τὸ περὶ τὴν τῶν αἰδοίων φύσιν ἀπειθές τε καὶ                            5

αὐτοκρατὲς γεγονός, οἷον ζῷον ἀνυπήκοον τοῦ λόγου, πάν-

τῶν δι᾿ ἐπιθυμίας οἰστρώδεις ἐπιχειρεῖ κρατεῖν·

그래서 이로 인해 사내들의 경우에는 수치에 대한 본성과 관련해 

설득되지 않고 제멋대로인 생물이 생성되었으니, 이를 테면 

말을 듣지 않는 짐승처럼, 광란하는 욕망들로 인해 모든 것들을 

제압하려 손을 뻗습니다.

                                                             αἱ δ᾿ ἐν 

ταῖς γυναιξὶν αὖ μῆτραί τε καὶ ὑστέραι λεγόμεναι διὰ τὰ                       c

αὐτὰ ταῦτα, ζῷον ἐπιθυμητικὸν ἐνὸν τῆς παιδοποιίας, ὅταν 

ἄκαρπον παρὰ τὴν ὥραν χρόνον πολὺν γίγνηται, χαλεπῶς 

ἀγανακτοῦν φέρει, καὶ πλανώμενον πάντῃ κατὰ τὸ σῶμα, 

τὰς τοῦ πνεύματος διεξόδους ἀποφράττον, ἀναπνεῖν οὐκ ἐῶν                  5

εἰς ἀπορίας τὰς ἐσχάτας ἐμβάλλει καὶ νόσους παντοδαπὰς 

ἄλλας παρέχει, μέχριπερ ἂν ἑκατέρων ἡ ἐπιθυμία καὶ ὁ 

ἔρως συναγαγόντες, οἷον ἀπὸ δένδρων καρπὸν καταδρέψαντες,          d

ὡς εἰς ἄρουραν τὴν μήτραν ἀόρατα ὑπὸ σμικρότητος καὶ 

ἀδιάπλαστα ζῷα κατασπείραντες καὶ πάλιν διακρίναντες 

μεγάλα ἐντὸς ἐκθρέψωνται καὶ μετὰ τοῦτο εἰς φῶς ἀγαγόν-

τες ζῷων ἀποτελέσωσι γένεσιν.                                                         5

                              그런데 이번엔 여성 안의 여성기나 자궁이라 

말해지는 것들은 똑같은 이런 일들로 인해, 출산을 욕망하는 생물로서 

내재하여, 적기를 벗어나 오랜 시간 동안 열매를 맺지 못하게 되는 

경우, 가혹한 격분을 겪고, 신체를 따라 온갖 곳으로 떠돌아 다니며, 

호흡의 통로들을 가로막아서, 호흡을 하도록 내버려두지 않으며 

극단적인 곤란에 빠뜨리며 그 밖에 온갖 종류의 질병들을 부여하니, 

두 편 각각의 욕망과 애욕이 짝을 지어, 이를 테면 나무로부터 열매를

훑듯이, 마치 밭에 하듯 여성기에 미세함에 의해 보이지 않고

채 조형되지 않은 생물들을 파종하고 다시 흩어놓아 내부에서 크게 

생육하여 이 다음에 빛으로 이끌어 생물의 생성을 완성시킬 바로 

그 때까지 그리 합니다.

                                         γυναῖκες μὲν οὖν καὶ τὸ                         5  //220302

θῆλυ πᾶν οὕτω γέγονεν· τὸ δὲ τῶν ὀρνέων φῦλον μετερρυθ-

μίζετο, ἀντὶ τριχῶν πτερὰ φύον, ἐκ τῶν ἀκάκων ἀνδρῶν, 

κούφων δέ, καὶ μετεωρολογικῶν μέν, ἡγουμένων δὲ δι᾿ ὄψεως 

τὰς περὶ τούτων ἀποδείξεις βεβαιοτάτας εἶναι δι᾿ εὐήθειαν.                 e

                             그러므로 여성들은 그리고 모든 암컷 또한 

그렇게 생성되었지요. 그런데 새들의 족속은 변형되었으니, 털 대신 

깃이 자라났고, 악하지는 않지만 가벼운 사내들로부터, 또한 

천문학에는 밝으나 그 천체들에 관련하여 시각을 통한 증명들이 

가장 확고한 것들로서 있다고 순진함으로 인해 그리 생각하는 

사내들로부터 변형되었습니다.

τὸ δ᾿ αὖ πεζὸν καὶ θηριῶδες γέγονεν ἐκ τῶν μηδὲν προσχρω-

μένων φιλοσοφίᾳ μηδὲ ἀθρούντων τῆς περὶ τὸν οὐρανὸν 

φύσεως πέρι μηδέν, διὰ τὸ μηκέτι ταῖς ἐν τῇ κεφαλῇ χρῆ-

σθαι περιόδοις, ἀλλὰ τοῖς περὶ τὰ στήθη τῆς ψυχῆς ἡγεμόσιν                  5

ἕπεσθαι μέρεσιν.

                                      또 이번엔 다리로 걷는 짐승 같은 

족속은 철학을 전혀 활용하지 않고 하늘을 둘러싼 본성에 관련하여 

전혀 눈여겨보지 못한 자들로부터 변형되었으니, 이는 더 이상 

머릿속 궤도들을 사용하지 않고, 가슴 주위의 영혼의 주도적인 

부분들을 따름으로 인해서 그런 것입니다.

> 가슴 부근 영혼의 주도적 부분. 머리가 아닌 심장이 주도적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머리가 주로 지휘부처럼 논하는 플라톤의 기존 

입장과 어울리지 않는 서술 아닐지. 그러나 ἡγεμόσιν을 서술적 

표현으로 이해하면 피해갈 수 있는 문제. 주도적이지 않은 것을 

주도적인 것들'로서' 따른다.

                      ἐκ τούτων οὖν τῶν ἐπιτηδευμάτων τά τ᾿ 

ἐμπρόσθια κῶλα καὶ τὰς κεφαλὰς εἰς γῆν ἑλκόμενα ὑπὸ 

συγγενείας ἤρεισαν, προμήκεις τε καὶ παντοίας ἔσχον τὰς 

κορυφάς, ὅπῃ συνεθλίφθησαν ὑπὸ ἀργίας ἑκάστων αἱ περι-             92a

φοραί· τετράπουν τε τὸ γένος αὐτῶν ἐκ ταύτης ἐφύετο καὶ 

πολύπουν τῆς προφάσεως, θεοῦ βάσεις ὑποτιθέντος πλείους 

τοῖς μᾶλλον ἄφροσιν, ὡς μᾶλλον ἐπὶ γῆν ἕλκοιντο.

                                                    그리하여 그 삶의 

방식으로부터 앞에 달린 사지와 머리가 대지를 향해 그 친족성에 

의해 이끌려 기울었고, 연장된 온갖 모습의 머리를 지녔으니, 

그곳에서 그 회전운동들은 각각이 쓰이지 않음에 의해 뒤엉켜 

어그러뜨려졌지요. 바로 이 계기로부터 그것들의 부류가 네 발 

달린 것이나 여러 다리가 달린 것으로 자라났으며, 신께서는 

훨씬 더 지혜롭지 못한 자들에게는 더 많은 다리들을 그 밑에 

두시었으니, 훨씬 더 대지에 끌리도록 하신 것이었습니다.

                                                                τοῖς δ᾿ 

ἀφρονεστάτοις αὐτῶν τούτων καὶ παντάπασιν πρὸς γῆν πᾶν                 5

τὸ σῶμα κατατεινομένοις ὡς οὐδὲν ἔτι ποδῶν χρείας οὔσης, 

ἄποδα αὐτὰ καὶ ἰλυσπώμενα ἐπὶ γῆς ἐγέννησαν.

그런데 바로 그들 중에서 가장 지혜롭지 못하고 완전히 몸 전체를 

대지에 늘어뜨리는 것들에게는 더 이상 다리가 아무런 쓸모가 없다 

여기시며, 그것들을 다리 없는 것들로서 대지 위를 기어다니는 

것들로 낳으셨지요.

                                                             τὸ δὲ 

τέταρτον γένος ἔνυδρον γέγονεν ἐκ τῶν μάλιστα ἀνοητοτά-              b

των καὶ ἀμαθεστάτων, οὓς οὐδ᾿ ἀναπνοῆς καθαρᾶς ἔτι ἠξί-

ωσαν οἱ μεταπλάττοντες, ὡς τὴν ψυχὴν ὑπὸ πλημμελείας 

πάσης ἀκαθάρτως ἐχόντων, ἀλλ᾿ ἀντὶ λεπτῆς καὶ καθαρᾶς 

ἀναπνοῆς ἀέρος εἰς ὕδατος θολερὰν καὶ βαθεῖαν ἔωσαν ἀνά-                5

πνευσιν· ὅθεν ἰχθύων ἔθνος καὶ τὸ τῶν ὀστρέων συναπάντων 

τε ὅσα ἔνυδρα γέγονεν, δίκην ἀμαθίας ἐσχάτης ἐσχάτας οἰκή-

σεις εἰληχότων.                                                                        c

                         네 번째 부류는 수중생물로서 가장 지성적이지

못하고 또한 가장 무지한 자들로부터 그리 되었으니, 변형을 행하시는

분들께서 그들이 더 이상 정결한 [공기의] 호흡에 걸맞지조차 않다 

여기신 자들로, 영혼을 전적인 어긋남에 의해 정화되지 못한 상태로 

지닌다고 생각하시어 그리 하셨고, 섬세하고 정결한 공기의 호흡

대신 물의 진창이 된 뻑뻑한 호흡으로 떠미셨습니다. 이로부터

어류들의 족속과 각족 그리고 수중생물을 통틀은 온갖 것들의 족속이

생겨났으니, 가장 극단적인 무지의 죗값으로 가장 극단의 거처를

품부받아 그런 것입니다.

                     καὶ κατὰ ταῦτα δὴ πάντα τότε καὶ νῦν                      c

διαμείβεται τὰ ζῷα εἰς ἄλληλα, νοῦ καὶ ἀνοίας ἀποβολῇ καὶ 

κτήσει μεταβαλλόμενα.

                  더 나아가 이러한 모든 일들에 따라 당시에도 지금도 

생물들이 서로로 교체되니, 지성과 무지성의 상실과 획득에 의해

변화됨으로써 그리 됩니다.

 

 Καὶ δὴ καὶ τέλος περὶ τοῦ παντὸς νῦν ἤδη τὸν λόγον 

ἡμῖν φῶμεν ἔχειν· θνητὰ γὰρ καὶ ἀθάνατα ζῷα λαβὼν καὶ                      5

συμπληρωθεὶς ὅδε ὁ κόσμος οὕτω, ζῷον ὁρατὸν τὰ ὁρατὰ 

περιέχον, εἰκὼν τοῦ νοητοῦ θεὸς αἰσθητός, μέγιστος καὶ 

ἄριστος κάλλιστός τε καὶ τελεώτατος γέγονεν εἷς οὐρανὸς 

ὅδε μονογενὴς ὤν.

 더 나아가 우주와 관련하여 이제는 우리 논의에 완성을

보았다고 주장하기로 합시다. 왜냐하면 사멸하는 생물들과 

불사하는 생물들을 취하여 충만하게 된 여기 이 조화로운

우주는 그렇게, 가시적인 것들을 아우르는 가시적인 생물로서, 

지성적인 신의 지각적인 모상으로서의 신으로서, 가장 위대하고 

가장 훌륭하고도 아름다우며 가장 완벽한 여기 이 유일 류인 

하나의 하늘이 되었으니까요.

 

-蟲-

 

Οὐκοῦν, εἰ ταῦτα μὲν ἤδη ἐῷμεν ὡς φανερά, ἐπισκοποῖμεν     //220328

δὲ πάλιν ἓν εἰ ἔστιν, ἆρα καὶ οὐχ οὕτως ἔχει τὰ ἄλλα τοῦ 

ἑνὸς ἢ οὕτω μόνον;―Πάνυ μὲν οὖν.―Λέγωμεν δὴ ἐξ ἀρχῆς 

ἓν εἰ ἔστι, τί χρὴ τὰ ἄλλα τοῦ ἑνὸς πεπονθέναι.―Λέγωμεν                         5

γάρ.―Ἆρ᾿ οὖν οὐ χωρὶς μὲν τὸ ἓν τῶν ἄλλων, χωρὶς δὲ 

τἆλλα τοῦ ἑνὸς εἶναι;―Τί δή;―

그렇다면, 만일 이런 것들은 이미 우리가 분명한 것들로서 

내버려둔다면, 그것들이 하나가 있다면 어떨지는 우리가

재차 고찰하지 않겠나? 혹시 하나 이외의 것들은 그렇지

(하나로 있지) 않은 상태이기도 한지 아니면 오직 그렇게만

있는지 말일세.―물론입니다.―그럼 처음부터, 만일 하나가

있다면, 하나 이외의 것들이 무엇을 겪었어야만 했는지 논해

보세.―논해 보아야죠.―그럼 혹시 하나는 여타의 것들로부터

따로 떨어져 있어야만 하는가 하면, 여타의 것들은 하나로

있음으로부터 따로 떨어져 있어야만 하지 않나?―무엇 때문에

그런가요?―

                                        Ὅτι που οὐκ ἔστι παρὰ 

ταῦτα ἕτερον, ὃ ἄλλο μέν ἐστι τοῦ ἑνός, ἄλλο δὲ τῶν ἄλλων· 

πάντα γὰρ εἴρηται, ὅταν ῥηθῇ τό τε ἓν καὶ τἆλλα.―Πάντα                     c

γάρ.―Οὐκ ἄρα ἔτ᾿ ἔστιν ἕτερον τούτων, ἐν ᾧ τό τε ἓν ἂν 

εἴη τῷ αὐτῷ καὶ τἆλλα.―Οὐ γάρ.―Οὐδέποτε ἄρα ἐν ταὐτῷ 

ἐστι τὸ ἓν καὶ τἆλλα.―Οὐκ ἔοικεν.―Χωρὶς ἄρα;―Ναί.―

                 아마 이것들 말고 다른 것으로는 있지 못한다는

때문이라네, 한편으로는 하나 이외의 것으로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여타의 것들 이외의 것으로 있는 그런 것은 

말일세. 왜냐하면 하나와 여타의 것들이 언급되었을 때, 

[그것들이] 모든 것들로 이야기되었으니까.―모든

것들이니까요.―그래서 더 이상 그것들과 다른 것으로는 있지

않지, 자신 안에 하나도 여타의 것들도 들어 있을 그런 다른

것으로는 말일세.―달리 있지 않지요.―그래서 같은 것 안에

하나와 여타의 것들은 결코 있지 않지.―있지 않을 듯합니다.

―그럼 따로 떨어진 상태인가?―네.―

Οὐδὲ μὴν μόριά γε ἔχειν φαμὲν τὸ ὡς ἀληθῶς ἕν.―Πῶς                            5

γάρ;―Οὔτ᾿ ἄρα ὅλον εἴη ἂν τὸ ἓν ἐν τοῖς ἄλλοις οὔτε μόρια 

αὐτοῦ, εἰ χωρίς τέ ἐστι τῶν ἄλλων καὶ μόρια μὴ ἔχει.―Πῶς 

γάρ;―Οὐδενὶ ἄρα τρόπῳ μετέχοι ἂν τἆλλα τοῦ ἑνός, μήτε                    d

κατὰ μόριόν τι αὐτοῦ μήτε κατὰ ὅλον μετέχοντα.―Οὐκ 

ἔοικεν.―Οὐδαμῇ ἄρα ἓν τἆλλά ἐστιν, οὐδ᾿ ἔχει ἐν ἑαυτοῖς 

ἓν οὐδέν.―Οὐ γὰρ οὖν.

진정한 하나는 물론 몫들도 지니지 않는다고 우리는 주장한다네.

―그야 어찌 지니겠습니까?―그래서 하나가 여타의 것들 안에 

전체로서 있지도 않을 테고 그것의 몫들로 있지도 않을 테지, 

만일 여타의 것들과 따로 떨어져 있기도 하고 몫들도 지니지 

않는다면 말일세.―어찌 그럴 수 있겠습니까?―그래서 그 어떤 

방식으로도 여타의 것들이 하나에 참여하지 못할 걸세, 무슨

부분에 따라서도 참여하지 못하고 전체에 따라서도 그것에 

참여하지 못하기에 말일세.―못할 듯합니다.―그래서 그 어떤

측면에서도 여타의 것들은 하나로 있지 않고, 자신들 안에 그

어떤 하나도 지니지 않기도 하지.―그야 안 그러니 말이죠.

                              ―Οὐδ᾿ ἄρα πολλά ἐστι τἆλλα· ἓν 

γὰρ ἂν ἦν ἕκαστον αὐτῶν μόριον τοῦ ὅλου, εἰ πολλὰ ἦν·                           5

νῦν δὲ οὔτε ἓν οὔτε πολλὰ οὔτε ὅλον οὔτε μόριά ἐστι τἆλλα 

τοῦ ἑνός, ἐπειδὴ αὐτοῦ οὐδαμῇ μετέχει.―Ὀρθῶς.―Οὐδ᾿ ἄρα 

δύο οὐδὲ τρία οὔτε αὐτά ἐστι τὰ ἄλλα οὔτε ἔνεστιν ἐν αὐτοῖς, 

εἴπερ τοῦ ἑνὸς πανταχῇ στέρεται.―Οὕτως.                                       e

                                                       ―그래서 여타의 

것들은 여럿들로 있지도 않다네. 왜냐하면 그것들의 각각이

전체의 몫으로서 하나로 있을 테니까, 만일 여럿들로 있다면 

말이지. 헌데 이제 하나 이외의 것들은 하나로도 여럿들로도 

전체로도 몫들로도 있지 않으니, 그 하나에 어떤 식으로도 

참여하지 않기에 그렇다네.―옳게 말씀하셨습니다.―그래서 

여타의 것들이 그 자체로 둘로 있지도 셋으로 있지도 않고 

[둘도 셋도] 그것들 안에 들어 있지도 않다네, 만일 정말로 

모든 면에서 하나를 결여하고 있다면 말일세.―그렇습니다.

 

 Οὐδὲ ὅμοια ἄρα καὶ ἀνόμοια οὔτε αὐτά ἐστι τῷ ἐνὶ τὰ                    //220418

ἄλλα, οὔτε ἔνεστιν ἐν αὐτοῖς ὁμοιότης καὶ ἀνομοιότης· εἰ 

γὰρ ὅμοια καὶ ἀνόμοια αὐτὰ εἴη ἢ ἔχοι ἐν ἑαυτοῖς ὁμοιότητα 

καὶ ἀνομοιότητα, δύο που εἴδη ἐναντία ἀλλήλοις ἔχοι ἂν ἐν                      5

ἑαυτοῖς τὰ ἄλλα τοῦ ἑνός.―Φαίνεται.―Ἦν δέ γε ἀδύνατον 

δυοῖν τινοῖν μετέχειν ἃ μηδ᾿ ἑνὸς μετέχοι.―Ἀδύνατον.―

 그래서 여타의 것들이 그 자체로 하나와 마찬가지인 것들로도 

안 마찬가지인 것들로도 있지 않고, 그것들 안에 마찬가지임과 

안-마찬가지임이 들어 있지도 않지. 왜냐하면 만일 그것들 자체가 

마찬가지인 것들로 그리고 안-마찬가지인 것들로 있거나 자신들 

안에 마찬가지임과 안-마찬가지임을 지닌다면, 아마도 서로 

반대되는 두 형상들을 하나 이외의 것들이 자신들 안에 지닐 

터이기 때문이지.―그리 드러나 보입니다.―그런가 하면

하나에조차 참여하지 않을 그런 어떤 둘에 참여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다네.―불가능한 것이었죠.―

Οὔτ᾿ ἄρα ὅμοια οὔτ᾿ ἀνόμοιά ἐστιν οὔτ᾿ ἀμφότερα τἆλλα. 

ὅμοια μὲν γὰρ ἂν ὄντα ἢ ἀνόμοια ἑνὸς ἂν τοῦ ἑτέρου εἴδους            160a

μέτέχοι, ἀμφότερα δὲ ὄντα δυοῖν τοῖν ἐναντίοιν· ταῦτα δὲ 

ἀδύνατον ἐφάνη.―Ἀληθῆ. 

                                                       그래서 여타의 

것들은 마찬가지인 것들로도 안-마찬가지인 것들로도 양자 

모두로도 있지 않다네. 왜냐하면 마찬가지인 것들로 있음으로써 

혹은 안-마찬가지인 것들로 있다면 다른 '하나인' 형상에 

참여할 테고, 양자 모두로 있다면 반대되는 두 형상에 참여할

테니까. 그런데 이런 일들은 불가능한 것으로 드러나 보였었지.

―참된 말씀이십니다.

> Lee. '여타의 것들'은 그 자체로 '마찬가지임'도 '안마찬가지임'도 

애초에 아니니까. 

 Byun. 둘 중 어느 한쪽에 참여하면 그렇게 '하나인' 한쪽에 참여하니까.

그런데 하나를 전적으로 결여하고 있으니까.

 Οὐδ᾿ ἄρα τὰ αὐτὰ οὐδ᾿ ἕτερα, οὐδὲ κινούμενα οὐδὲ ἑστῶτα, 

οὐδὲ γιγνόμενα οὐδὲ ἀπολλύμενα, οὐδὲ μείζω οὐδὲ ἐλάττω                       5

οὐδὲ ἴσα· οὐδὲ ἄλλο οὐδὲν πέπονθε τῶν τοιούτων· εἰ γάρ 

τι τοιοῦτον πεπονθέναι ὑπομένει τὰ ἄλλα, καὶ ἑνὸς καὶ δυοῖν 

καὶ τριῶν καὶ περιττοῦ καὶ ἀρτίου μεθέξει, ὧν αὐτοῖς ἀδύνατον 

ἐφάνη μετέχειν τοῦ ἑνός γε πάντῃ πάντως στερομένοις.―                   b

 그래서 같은 것들로도 다른 것들로도, 운동하는 것들로도 정지한 

것들로도, 되어가는 것들로도 사라지는 것들로도, 더 큰 것들로도 

더 작은 것들로도 같은 만큼의 것들로도 있지 않다네. 이러한 것들 

중 여타 그 무엇도 전혀 겪지 않았지. 만일 이러한 뭔가라도 여타의 

것들이 겪었음을 감수한다면, 하나에도 둘에도 셋에도 홀수에도 

짝수에도 참여할 텐데, 여타의 것들은 적어도 하나는 모든 면에서

전적으로 결여하고 있기에 그런 것들에 참여함이 불가능한 것처럼

보였었으니 말일세.―

Ἀληθέστατα.―Οὕτω δὴ ἓν εἰ ἔστιν, πάντα τέ ἐστι τὸ ἓν 

καὶ οὐδὲ ἕν ἐστι καὶ πρὸς ἑαυτὸ καὶ πρὸς τὰ ἄλλα ὡσαύτως. 

―Παντελῶς μὲν οὖν. 

                            더할 나위 없이 참된 말씀이십니다. 

―그래서 그런 식으로 만일 하나로 있다면, 하나는 모든 것들로 

있기도 하고 하나로조차 있지 않기도 하니 자신과의 관계에서도 

여타의 것들과의 관계에서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그러하다네.―

전적으로 그렇습니다.

 

 Εἶεν· εἰ δὲ δὴ μὴ ἔστι τὸ ἕν, τί χρὴ συμβαίνειν ἆρ᾿ οὐ                              5 //220425

σκεπτέον μετὰ τοῦτο;―Σκεπτέον γάρ.―Τίς οὖν ἂν εἴη αὕτη 

ἡ ὑπόθεσις, εἰ ἓν μὴ ἔστιν; ἆρά τι διαφέρει τῆσδε, εἰ μὴ 

ἓν μὴ ἔστιν;―Διαφέρει μέντοι.―Διαφέρει μόνον, ἢ καὶ πᾶν 

τοὐναντίον ἐστὶν εἰπεῖν εἰ μὴ ἓν μὴ ἔστι τοῦ εἰ ἓν μὴ                            c

ἔστιν;―Πᾶν τοὐναντίον.―Τί δ᾿ εἴ τις λέγοι εἰ μέγεθος 

μὴ ἔστιν ἢ σμικρότης μὴ ἔστιν ἢ τι ἄλλο τῶν τοιούτων, 

ἆρα ἐφ᾿ ἑκάστου ἂν δηλοῖ ὅτι ἕτερόν τι λέγοι τὸ μὴ ὄν;―

 자, 그런데 만일 하나가 있지 않다면, 무엇이 귀결되어야만 

하는지를 혹시 이 다음으로 고찰해야만 하지 않나?―고찰해야 

하죠.―그럼 이 가정은 무엇일까? 하나로 있지 않다면, 이란 

가정 말일세. 혹시 그게 이런 것과 무슨 차이가 있나? 만일 하나 

아닌 것으로 있지 않다면, 이란 가정과 말이지.―그야 차이가 

나죠.―단지 차이가 나기만 하는가, 아니면 만일 하나 아닌 것으로 

있지 않다면, 이라 이야기하는 것이 만일 하나로 있지 않다면,

이라 이야기하는 것과 완전히 정반대인 것으로 있기까지 한가?

―완전히 정반대이죠.―그런데 어떤가? 누군가가 그것이 큰 것으로 

있지 않다거나 작은 것으로 있지 않다거나 이와 같은 것들 중 

여타의 뭔가로 있지 않다고 말한다면, 혹시 각각의 경우에 있지 

않은 것은 뭔가 다른 것을 말한다는 것은 분명하지?―

Πάνυ γε.―Οὐκοῦν καὶ νῦν δηλοῖ ὅτι ἕτερον λέγει τῶν ἄλλων                     5

τὸ μὴ ὄν, ὅταν εἴπῃ ἓν εἰ μὴ ἔστι, καὶ ἴσμεν ὃ λέγει;―

Ἴσμεν.―Πρῶτον μὲν ἄρα γνωστόν τι λέγει, ἔπειτα ἕτερον 

τῶν ἄλλων, ὅταν εἴπῃ ἕν, εἴτε τὸ εἶναι αὐτῷ προσθεὶς εἴτε 

τὸ μὴ εἶναι· οὐδὲν <γὰρ> ἧττον γιγνώσκεται, τί τὸ λεγόμενον                d

μὴ εἶναι, καὶ ὅτι διάφορον τῶν ἄλλων. ἢ οὔ;―Ἀνάγκη.―

―물론 그렇긴 합니다.―그렇다면 지금도 있지 않은 것을 여타의 

것들과 다른 것으로 말한다는 게 분명하지 않나? 하나로 있지 

않다면, 이라고 이야기할 경우에 말일세. 그리고 그 말하는 바를 

우리는 알고 있지?―알고 있습니다.―그래서 우선은 무언가 알려질 

수 있는 것을 말하고, 다음으로는 여타의 것들과 다른 것을 

말한다네, 하나에 있다는 것을 추가하면서든 있지 않다는 것을

추가하면서든 하나라고 이야기할 경우에 말일세. 왜냐하면 소위

있지 않다는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게 여타의 것들과 차이가

난다는 점이 전혀 못지 않게 알려지니 말일세. 그렇지 않은가?―

필연적으로요.―

> 1. not being은 different이다.

   2. hen은 being이 추가되든 not-being이 추가되든 ta alla tou henos 

와 애초부터 차이가 나는 것이다.

   3. by Lee. not-being으로 말해지는 주어가 무엇이든 그것이 특정되고,

그래서 그렇게 알려지는 것은 ta alla와는 애초에 구분되므로 차이가 난다.

Ὧδε ἄρα λεκτέον ἐξ ἀρχῆς, ἓν εἰ μὴ ἔστι, τί χρὴ εἶναι. 

πρῶτον μὲν οὖν αὐτῷ τοῦτο ὑπάρχειν δεῖ, ὡς ἔοικεν, εἶναι 

αὐτοῦ ἐπιστήμην, ἢ μηδὲ ὅτι λέγεται γιγνώσκεσθαι, ὅταν τις                      5

εἴπῃ ἓν εἰ μὴ ἔστιν.―Ἀληθῆ.―Οὐκοῦν καὶ τὰ ἄλλα ἕτερα 

αὐτοῦ εἶναι, ἢ μηδὲ ἐκεῖνο ἕτερον τῶν ἄλλων λέγεσθαι;―

                                         그래서 다음과 같이 처음부터 

논해져야만 한다네. 만일 하나가 있지 않다면, 무슨 일이 있어야만 

하는지가 말일세. 그럼 우선은 그것에 이러한 일이, 그에 대한 앎이

있다는 것이 성립해야 한다는 게 그럴 듯하네. 아니면 말해지는 

바로 그것조차 알려지지 않는다는 게 성립해야 하고. 누군가 

하나로 있지 않다면, 이라고 이야기할 경우에는 말일세.―참된 

말씀이십니다.―그렇다면 여타의 것들도 그것과 다른 것들로 

있어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저것조차 여타의 것들과 다른 것으로 

있다고 말해지지 않아야 하지 않나?―

Πάνυ γε.―Καὶ ἑτεροιότης ἄρα ἐστὶν αὐτῷ πρὸς τῇ ἐπιστήμῃ. //220502

οὐ γὰρ τὴν τῶν ἄλλων ἑτεροιότητα λέγει, ὅταν τὸ ἓν ἕτερον                 e

τῶν ἄλλων λέγῃ, ἀλλὰ τὴν ἐκείνου.―Φαίνεται.―Καὶ μὴν 

τοῦ γε ἐκείνου καὶ τοῦ τινὸς καὶ τούτου καὶ τούτῳ καὶ τούτων 

καὶ πάντων τῶν τοιούτων μετέχει τὸ μὴ ὂν ἕν· οὐ γὰρ ἂν 

τὸ ἓν ἐλέγετο οὐδ᾿ ἂν τοῦ ἑνὸς ἕτερα, οὐδ᾿ ἐκείνῳ ἄν τι ἦν                      5

οὐδ᾿ ἐκείνου, οὐδ᾿ ἄν τι ἐλέγετο, εἰ μήτε τοῦ τινὸς αὐτῷ μετῆν 

μήτε τῶν ἄλλων τούτων.

                                       물론입니다.―그래서 앎에 더하여

다름도 그것에게 있다네. 왜냐하면 여타의 것들의 다름을 말하지 

않고, 하나를 여타의 것들과 다른 것으로 말할 경우에, 오히려 저

하나의 다름을 말하는 것이니까.―그리 보입니다.―그렇긴 하지만 

저것에도 그리고 무엇에도 또한 같은 것에도 같은 것에게에도 같은

것들에도 이러한 모든 것들에 하나로 있지 않은 것이 참여하지. 

그렇지 않으면 하나가 말해지지도 않고 하나와 다른 것들도 말해지지

않았을 테고, 저것에게 뭔가가 있지도 않고 저것의 무언가가 있지도

않았을 터이며, 뭔가가 말해지지도 않았을 테니까, 만일 무언가에

그것으로서는 참여해 있지도 않고 이러한 것들 중 여타의 것들에

참여해 있지도 않았다면 말일세.

                                ―Ὀρθῶς.―Εἶναι μὲν δὴ τῷ ἑνὶ 

οὐχ οἷόν τε, εἴπερ γε μὴ ἔστι, μετέχειν δὲ πολλῶν οὐδὲν 

κωλύει, ἀλλὰ καὶ ἀνάγκη, εἴπερ τό γε ἓν ἐκεῖνο καὶ μὴ ἄλλο             161a

μὴ ἔστιν. εἰ μέντοι μήτε τὸ ἓν μήτ᾿ ἐκεῖνο μὴ ἔσται, ἀλλὰ 

περὶ ἄλλου του ὁ λόγος, οὐδὲ φθέγγεσθαι δεῖ οὐδέν· εἰ δὲ τὸ 

ἓν ἐκεῖνο καὶ μὴ ἄλλο ὑπόκειται μὴ εἶναι, καὶ τοῦ ἐκείνου 

καὶ ἄλλων πολλῶν ἀνάγκη αὐτῷ μετεῖναι.―Καὶ πάνυ γε.                          5    

―옳습니다.―그래서 있다는 건 하나에게 그럴 수 없는 

것이기도 하니, 만일 정말로 적어도 있지 않다면 그럴 것이고, 

그런데 여럿들에 참여한다는 것은 아무것도 막지 않으며, 오히려 

필연적이기까지 하니, 만일 정말로 적어도 여타의 것이 아니라 저

하나가 있지 않는다면 그러할 걸세. 그렇지만 만일 하나도 

저것도 있지 않고, 오히려 그 외의 무엇이든 그에 관련해서

그 논리가 성립한다면, 아무것도 발화하지조차 않아야 하지.

그런데 만일 다름 아닌 저 하나가 있지 않다는 것을 상정된다면,

저것과 여타 여러가지 것들에 참여한다는 것이 그것에게

필연이라네.―물론 그렇기야 합니다.

> 하나가 있지 않다면 왜 여럿에 참여하는 일이 필연적인가?

> '그 논리'의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인가? 여럿에의 참여가 필연적이라는 것인가?

> 하나가 아니라 그 외의 것에 관련해서 '그 논리'가 성립하면 

   왜 아무것도 발화조차 될 수 없는가?

> 애초에 '저 하나'는 무엇인가? 그냥 하나와는 다른 것인가? 그렇다면

   '그냥 하나'는 무엇인가? '저 하나'는 '하나가 있지 않다면'이라는 가정에서 

언급되는 '하나'이고 '그냥 하나'는 단적인(haplos) 하나인가?

 Καὶ ἀνομοιότης ἄρα ἐστὶν αὐτῷ πρὸς τὰ ἄλλα· τὰ γὰρ           //220516

ἄλλα τοῦ ἑνὸς ἕτερα ὄντα ἑτεροῖα καὶ εἴη ἄν.―Ναί.―Τὰ 

δ᾿ ἑτεροῖα οὐκ ἀλλοῖα;―Πῶς δ᾿ οὔ;―Τὰ δ᾿ ἀλλοῖα οὐκ 

ἀνόμοια;―Ἀνόμοια μὲν οὖν.―Οὐκοῦν εἴπερ τῷ ἑνὶ ἀνόμοιά                b

ἐστι, δῆλον ὅτι ἀνομοίῳ τά γε ἀνόμοια ἀνόμοια ἂν εἴη.―

 그래서 안-마찬가지임이 여타의 것들을 상대로 하여 그것에게 

있지. 왜냐하면 여타의 것들은 하나와 다른 것들로 있기에 다른 

것들로서 있기도 할 테니까.―네.―그런데 다른 것들은 여타의 

것들이지 않은가?―어찌 아니겠습니까?―그런데 여타의 것들은 

안-마찬가지인 것들이지 않나?―안-마찬가지인 것들이지요.―

그렇다면 만일 정말로 하나와는 안-마찬가지인 것들로서 있다면, 

적어도 안-마찬가지인 것들은 안-마찬가지인 것과 안-마찬가지인 

것들로서 있을 게 분명하다네.―

Δῆλον.―Εἴη δὴ ἂν καὶ τῷ ἑνὶ ἀνομοιότης, πρὸς ἣν τὰ 

ἄλλα ἀνόμοια αὐτῷ ἐστιν.―Ἔοικεν.―Εἰ δὲ δὴ τῶν ἄλλων 

ἀνομοιότης ἔστιν αὐτῷ, ἆρ᾿ οὐκ ἀνάγκη ἑαυτοῦ ὁμοιότητα                     5

αὐτῷ εἶναι;―Πῶς;

                                      분명합니다.―그래서 하나에게도 

안-마찬가지임이 있을 걸세. 그 안-마찬가지임과 관련하여

여타의 것들이 그것[하나]과 안-마찬가지인 것들로서 있는

그런 것 말일세.―그럴 듯합니다.―그런데 만일 실로 여타의

것들과 안-마찬가지임이 그것[하나]에게 있다면, 혹시 그

자신과 마찬가지임이 그것에게 있음이 필연적이지 않은가?

―어째서요?

                      ―Εἰ ἑνὸς ἀνομοιότης ἔστι τῷ ἑνὶ, οὐκ 

ἄν που περὶ τοῦ τοιούτου ὁ λόγος εἴη οἵου τοῦ ἑνός, οὐδ᾿ ἂν 

ἡ ὑπόθεσις εἴη περὶ ἑνός, ἀλλὰ περὶ ἄλλου ἢ ἑνός.―Πάνυ 

γε.―Οὐ δεῖ δέ γε.―Οὐ δῆτα.―Δεῖ ἄρα ὁμοιότητα τῷ ἑνὶ                    c

αὐτοῦ ἑαυτῷ εἶναι.―Δεῖ.

                       ―만일 하나의 안-마찬가지임이 하나에게

있다면, 아마도 이러한 것 즉 하나인 바의 것에 관련하여

말이 있지 않을 테고, 그 가정 역시도 하나에 관련하여

있지 않을 것이며, 오히려 하나 이외에 여타의 것에 

관련하여 [그런 것들이] 있을 걸세.물론입니다.―그런데

적어도 그렇지 않아야 하긴 하지.―분명 그렇지 않아야죠.

―그래서 하나에게 그것의 유사성이 자신에게 있어야

다네.―그래야 합니다.

 

 Καὶ μὴν οὐδ᾿ αὖ ἴσον γ᾿ ἐστὶ τοῖς ἄλλοις· εἰ γὰρ εἴη 

ἴσον, εἴη τε ἂν ἤδη καὶ ὅμοιον ἂν εἴη αὐτοῖς κατὰ τὴν 

ἰσότητα. ταῦτα δ᾿ ἀμφότερα ἀδύνατα, εἴπερ μὴ ἔστιν ἕν.―                     5

 그런가 하면 이번엔 또 [하나는] 여타의 것들과 같은 만큼의

것으로 있지도 않지. 왜냐하면 만일 같은 만큼의 것으로

있었더라면, 이미 그리 있었을 터이며 또한 그것들과 그

동등성에 따라 마찬가지인 것들로도 있었을 테니까. 그런데

이러한 일들은 양자 모두 불가능한 일들이라네, 만일 정말로

하나로 있지 않다면 말일세.―

Ἀδύνατα.―Ἐπειδὴ δὲ οὐκ ἔστιν τοῖς ἄλλοις ἴσον, ἆρα οὐκ 

ἀνάγκη καὶ τἆλλα ἐκείνῳ μὴ ἴσα εἶναι;―Ἀνάγκη.―Τὰ δὲ 

μὴ ἴσα οὐκ ἄνισα;―Ναί.―Τὰ δὲ ἄνισα οὐ τῷ ἀνίσῳ 

ἄνισα;―Πῶς δ᾿ οὔ;―Καὶ ἀνισότητος δὴ μετέχει τὸ ἕν, 

πρὸς ἣν τἆλλα αὐτῷ ἐστιν ἄνισα;―Μετέχει.―Ἀλλὰ μέντοι                  d 

ἀνισότητός γε ἐστὶ μέγεθός τε καὶ σμικρότης.―Ἔστι γάρ.

                                               불가능하지요.―그런데

여타의 것들과 같은 만큼의 것으로 있지 않기에, 혹시

여타의 것들도 저것과 같은 만큼의 것들로서 있지 않음이

필연적이지 않나?―필연적이지요.―그런데 같은 만큼이 

아닌 것들은 안-같은 만큼의 것들이지 않은가?―네.―

안-같은 만큼의 것들은 안-같은 만큼인 것과 안-같은

만큼의 것들이지 않은가?―어찌 아니겠습니까?―게다가

하나는 비동등성에 참여하지? 여타의 것들이 그와

관련하여 하나와 안-같은 만큼의 것들로 있는 그

비동등성에 말일세.―참여하지요.―허나 그럼에도 

어쨌든 비동등성의 큼도 작음도 있지.―그야 있지요.

―Ἔστιν ἄρα καὶ μέγεθός τε καὶ σμικρότης τῷ τοιούτῳ 

ἑνί;―Κινδυνεύει.―Μέγεθος μὴν καὶ σμικρότης ἀεὶ ἀφέ-

στατον ἀλλήλοιν.―Πάνυ γε.―Μεταξὺ ἄρα τι αὐτοῖν ἀεί                        5

ἐστιν.―Ἔστιν.―Ἔχεις οὖν τι ἄλλο εἰπεῖν μεταξὺ αὐτοῖν 

ἢ ἰσότητα;―Οὔκ, ἀλλὰ τοῦτο.―Ὅτῳ ἄρα ἔστι μέγεθος καὶ 

σμικρότης, ἔστι καὶ ἰσότης αὐτῷ μεταξὺ τούτοιν οὖσα.―

―그럼 이러한 하나에게 큼도 작음도 있는가?―그럴 수도 

있죠.―사실 큼과 작음은 언제나 서로 가장 동떨어져 있지.

―물론입니다.―그래서 그 둘 사이에 언제나 뭔가가

있다네.―있죠.―그럼 자네는 그 둘 사이에서 동등함 말고

그 외에 뭔가를 말할 수 있는가?―아니요, 그걸 말하죠.―

그래서 큼과 작음이 그것에게 있는 그 무엇이든,

그것에게는 그 둘 사이의 것으로서 있는 동등함도 있다네.

Φαίνεται.―Τῷ δὴ ἑνὶ μὴ ὄντι, ὡς ἔοικε, καὶ ἰσότητος ἂν                    e

μετείη καὶ μεγέθους καὶ σμικρότητος.―Ἔοικεν.

    그리 나타나 보입니다.―그래서 하나로 있지 않은 것의

경우, 그럴 듯해 보이기로는, 동등함에도 큼에도 작음에도

참여하는 일이 있을 걸세.―그럴 듯합니다.

 

 Καὶ μὴν καὶ οὐσίας γε δεῖ αὐτὸ μετέχειν πῃ.―Πῶς            ////220606

δή;―Ἔχειν αὐτὸ δεῖ οὕτως ὡς λέγομεν· εἰ γὰρ μὴ οὕτως ἔχει, 

οὐκ ἂν ἀληθῆ λέγοιμεν ἡμεῖς λέγοντες τὸ ἓν μὴ εἶναι· εἰ                        5

δὲ ἀληθῆ, δῆλον ὅτι ὄντα αὐτὰ λέγομεν. ἢ οὐχ οὕτως;―

 그런가 하면 그것은 있음에도 어떤 식으로든 참여해야 하네.

―어떻게 말씀이십니까?―그것은 우리가 말한 그런 상태여야 

하지. 왜냐하면 만일 그렇지 않은 상태라면, 우리 자신이 하나가 

있지 않다가 말하면서 참을 말한 게 아니게 될 테니 말일세. 

헌데 만일 참을 말했던 것이라면, 우리는 그것들을 있는 것들로 

말하던 게 분명하지. 그렇지 않은가?―

Οὕτω μὲν οὖν.―Ἐπειδὴ δέ φαμεν ἀληθῆ λέγειν, ἀνάγκη 

ἡμῖν φάναι καὶ ὄντα λέγειν.―Ἀνάγκη.―Ἔστιν ἄρα, ὡς                 162a

ἔοικε, τὸ ἓν οὐκ ὄν· εἰ γὰρ μὴ ἔσται μὴ ὄν, ἀλλά πῃ τοῦ 

εἶναι ἀνήσει πρὸς τὸ μὴ εἶναι, εὐθὺς ἔσται ὄν.―Παντάπασι 

μὲν οὖν.

그야 그렇지요.―그런데 우리가 참을 말한다고 주장하기에, 

우리로서는 있는 것들을 말한다고도 주장함이 필연적이라네.

―필연적이죠.―그래서, 그럴 듯하기로는, 하나는 있지 않은 

것으로서 있지. 왜냐하면 만일 있지 않은 것으로서 있을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있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있다는 것을 놓아준다면,

곧장 있는 것으로서 있게 될 테니 말이지.―그야 전적으로

그렇습니다.

> by Lee. 미래=아직 현재에는 성취되지 않은 상태.

> on과 me/ouk on의 중의성과 위치 문제. 각각 '있는' 것을

가리킬 수도 있고 계사를 가리킬 수도, 진리치를 가리킬 수도...

>> εἰ μή A(ἔσται μὴ ὄν), ἀλλά B(τοῦ εἶναι ἀνήσει). A는 보어 

Not-Being으로 '있다'는 것, 반면 B는 계사의 부정. 그런데 

이 계사에도 보어 Not-Being이 이어지고 있다면, <Not-Bieng으로>

있지 않다는 것은 Being으로 있는 게 된다.

           ―Δεῖ ἄρα αὐτὸ δεσμὸν ἔχειν τοῦ μὴ εἶναι τὸ εἶναι 

μὴ ὄν, εἰ μέλλει μὴ εἶναι, ὁμοίως ὥσπερ τὸ ὂν τὸ μὴ ὂν                         5

ἔχειν μὴ εἶναι, ἵνα τελέως αὖ [εἶναι] ᾖ· οὕτως γὰρ ἂν τό τε 

ὂν μάλιστ᾿ ἂν εἴη καὶ τὸ μὴ ὂν οὐκ ἂν εἴη, μετέχοντα τὸ 

μὲν ὂν οὐσίας τοῦ εἶναι ὄν, μὴ οὐσίας δὲ τοῦ <μὴ> εἶναι μὴ 

ὄν, εἰ μέλλει τελέως εἶναι, τὸ δὲ μὴ ὂν μὴ οὐσίας μὲν τοῦ μὴ              b

εἶναι [μὴ] ὄν, οὐσίας δὲ τοῦ εἶναι μὴ ὄν, εἰ καὶ τὸ μὴ ὂν αὖ 

τελέως μὴ ἔσται.―Ἀληθέστατα.

―그래서 그것은 있지 않은 것으로 있다는 것을 있지 않다는 

것의 매듭으로 지녀야만 한다네, 만일 장차 있지 않으려면,

마치 있는 것이 있지 않은 것으로 있지 않다는 것을 가져서,

궁극적으로 이번엔 있게끔 하듯, 그와 마찬가지로 말일세.

왜냐하면 그렇게 있는 것도 최대로 있을 것이고 있지 않은

것도 있지 않을 것이니, 있는 것은 있는 것으로서 있다는 것의

그 있음에 참여함으로써, 다른 한편으로는 있지 않은 것으로서

있<지 않>다는 것의 그 있지 않음에 참여함으로써, 그런데

있지 않은 것은 있지 않은 것으로서 있지 않다는 것의 그 있지

않음에 한편으로 참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있지 않은

것으로서 있다는 것의 그 있음에 참여함으로써, 만일 있지 않은

것도 완벽하게 있지 않으려면 그럴 테니 말이지.―가장 참된

말씀이십니다.

                                        ―Οὐκοῦν ἐπείπερ τῷ τε 

ὄντι τοῦ μὴ εἶναι καὶ τῷ μὴ ὄντι τοῦ εἶναι μέτεστι, καὶ τῷ 

ἑνί, ἐπειδὴ οὐκ ἔστι, τοῦ εἶναι ἀνάγκη μετεῖναι εἰς τὸ μὴ                      5

εἶναι.―Ἀνάγκη.―Καὶ οὐσία δὴ φαίνεται τῷ ἑνὶ, εἰ μὴ 

ἔστιν.―Φαίνεται.―Καὶ μὴ οὐσία ἄρα, εἴπερ μὴ ἔστιν.―

Πῶς δ᾿ οὔ;

그렇다면 만일 정말로 있는 것으로서도 있지 않다는 것에 또 

있지 않은 것으로서도 있다는 것에 함께 있으니, 하나로서도, 

있지 않기에, 있다는 것에 참여함이 있지 않다는 것을 위해 

필연적이라네.―필연적입니다.―더 나아가 하나에 의해

있음도 나타나니, 만일 있지 않다면 그럴 걸세.―그리

나타납니다.―그래서 있지 않음도 그렇지, 만일 정말로

있지 않다면.―어찌 아니겠습니까?

 

 Οἷόν τε οὖν τὸ ἔχον πως μὴ ἔχειν οὕτω, μὴ μεταβάλλον                //220613

ἐκ ταύτης τῆς ἕξεως;―Οὐχ οἷόν τε.―Πᾶν ἄρα τὸ τοιοῦτον                 10

μεταβολὴν σημαίνει, ὃ ἂν οὕτω τε καὶ μὴ οὕτως ἔχῃ.―                   c

 그럼 어떠한 상태에 있는 것이 그런 상태에 있지 않을 수 

있는가? 이러한 상태로부터 변화하지 않으면서도 말일세.―

그럴 수 없지요.―그래서 이러한 것은 모두 변화를 의미하는군, 

그러하면서 또한 그렇지 않기도 한 상태일 것은 말일세.― 

Πῶς δ᾿ οὔ;―Μεταβολὴ δὲ κίνησις· ἢ τί φήσομεν;―Κίνη-

σις.―Οὐκοῦν τὸ ἓν ὄν τε καὶ οὐκ ὂν ἐφάνη;―Ναί.―Οὕτως 

ἄρα καὶ οὐχ οὕτως ἔχον φαίνεται.―Ἔοικεν.―Καὶ κινού-

μενον ἄρα τὸ οὐκ ὂν ἓν πέφανται, ἐπείπερ καὶ μεταβολὴν                 5

ἐκ τοῦ εἶναι ἐπὶ τὸ μὴ εἶναι ἔχον.―Κινδυνεύει.

어찌 아니겠습니까?―그런데 변화는 운동이지. 아니면 우리가 

무어라 말할까?―운동이라 하겠죠.―그렇다면 하나는 있으면서 

있지 않기도 한 것으로 드러났지 않은가?―네.―그래서 [하나는] 

그렇기도 그렇지 않기도 한 상태인 것으로 드러나네.―그럴 

듯합니다.―그래서 있지 않은 하나가 운동하는 것으로까지 

드러났다네, 있다는 것으로부터 있지 않다는 것으로 향하는

변화를 지니기에 말일세.―그럴지도 모르겠습니다. 

                                                         ―Ἀλλὰ μὴν 

εἰ μηδαμοῦ γέ ἐστι τῶν ὄντων, ὡς οὐκ ἔστιν εἴπερ μὴ ἔστιν, 

οὐδ᾿ ἂν μεθίσταιτό ποθέν ποι.―Πῶς γάρ;―Οὐκ ἄρα τῷ γε 

μεταβαίνειν κινοῖτ᾿ ἄν.―Οὐ γάρ.―Οὐδὲ μὴν ἐν τῷ αὐτῷ                 d

ἂν στρέφοιτο· ταὐτοῦ γὰρ οὐδαμοῦ ἅπτεται. ὂν γὰρ ἐστὶ 

τὸ ταὐτόν· τὸ δὲ μὴ ὂν ἔν τῳ τῶν ὄντων ἀδύνατον εἶναι.―

―어쨌든 만일 있는 것들 중 그 무엇에도 속하여 있지 않다면, 

있지 않다면 있지 않은 것처럼, 어딘가로부터 어딘가로 

옮겨서지도 못할 테지.―어찌 옮겨서겠습니까?―그래서 적어도 

옮겨간다는 것으로써는 운동하지 못할 걸세.―못하니까요.

―물론 같은 것 안에서 회전하지도 않을 걸세. 왜냐하면 그 어떤 

같은 것에도 전혀 접하지 않으니까. 왜냐하면 같은 것이 있는 

것으로서 있기 때문이라네. 그런데 있지 않은 것이 있는 것들 

중 무언가에게 있기란 불가능하지.―

Ἀδύνατον γάρ.―Οὐκ ἄρα τὸ ἕν γε μὴ ὂν στρέφεσθαι ἂν 

δύανιτο ἐν ἐκείνῳ ἐν ᾧ μὴ ἔστιν.―Οὐ γὰρ οὖν.―Οὐδὲ μὴν                5

ἀλλοιοῦταί που τὸ ἓν ἑαυτοῦ, οὔτε τὸ ὂν οὔτε τὸ μὴ ὄν· 

οὐ γὰρ ἂν ἦν ὁ λόγος ἔτι περὶ τοῦ ἑνός, εἴπερ ἠλλοιοῦτο 

αὐτὸ ἑαυτοῦ, ἀλλὰ περὶ ἄλλου τινός.―Ὀρθῶς.

불가능하죠.―그래서 적어도 하나는 있지 않다면 그것이

그 안에 있지 않은 그것 안에서 회전하는 일이 가능하지

않겠지.―그야 가능하지 않죠.―게다가 아마 하나는

제 자신과 달라지지도 못할 텐데, 있는 하나든 있지 않은

하나든 그럴 걸세. 왜냐하면 만일 정말로 바로 그것이 

제 자신과 달라졌더라면, 하나에 관한 설명이 더 이상 

아니고, 그 외의 무언가에 관한 설명일 테니까 말이지.

―맞습니다.

                                                         ―Εἰ δὲ μήτ᾿ 

ἀλλοιοῦται μήτε ἐν ταὐτῷ στρέφεται μήτε μεταβαίνει, ἆρ᾿ 

ἄν πῃ ἔτι κινοῖτο;―Πῶς γάρ;―Τό γε μὴν ἀκίνητον ἀνάγκη              e

ἡσυχίαν ἄγειν, τὸ δὲ ἡσυχάζον ἑστάναι.―Ἀνάγκη.―Τὸ ἓν 

ἄρα, ὡς ἔοικεν, οὐκ ὂν ἕστηκέ τε καὶ κινεῖται.―Ἔοικεν.―

―그런데 만일 달리 되지도 않고 같은 것 안에서

회전하지도 않으며 이행하지도 않는다면, 혹시 여전히

어떻게든 운동하기는 할까?―어찌 그렇겠습니까?―물론

적어도 부동하는 것은 정적을 유지함이 필연적이고, 정적을

지키는 것은 정지해 있음이 필연적이지.―필연적이지요.―

그래서 하나는, 그럴 듯해 보이기론, 있지 않은 채로

서있으면서도 운동하기도 하지.―그럴 듯합니다.―

 

Καὶ μὴν εἴπερ γε κινεῖται, μεγάλη ἀνάγκη αὐτῷ ἀλλοιοῦ-

σθαι· ὅπῃ γὰρ ἄν τι κινηθῇ, κατὰ τοσοῦτον οὐκέθ᾿ ὡσαύτως       163a

ἔχει ὡς εἶχεν, ἀλλ᾿ ἑτέρως.―Οὕτως.―Κινούμενον δὴ τὸ ἓν 

καὶ ἀλλοιοῦται.―Ναί.―Καὶ μὴν μηδαμῇ γε κινούμενον 

οὐδαμῇ ἂν ἀλλοιοῖτο.―Οὐ γὰρ.―Ἧι μὲν ἄρα κινεῖται τὸ 

οὐκ ὂν ἕν, ἀλλοιοῦται· ᾗ δὲ μὴ κινεῖται, οὐκ ἀλλοιοῦται.―                  5

그런가 하면 만일 정말로 그것이 운동한다면, 달리 된다는

것은 그것에게 대단히 필연적이지. 왜냐하면 어떤 식으로든

뭔가가 운동했다면, 그런 만큼에 한해서는 더 이상 그것이

그런 상태였던 그러한 상태로 있지 못하고, 다른 상태로

있을 테니까.―그렇죠.―그래서 하나는 운동하기에 달리

되기도 한다네.―네.―그런가 하면 어떤 식으로도 운동하지

않는 한에서는 어떤 식으로든 달리 되지도 않겠지.―

운동하지 않으면서요.―그래서 있지 않은 하나가 운동하는

한에서는, 그것은 달리 되지. 그런데 운동하지 않는

한에선, 달리 되지 않네.―

Οὐ γάρ.―Τὸ ἓν ἄρα μὴ ὂν ἀλλοιοῦταί τε καὶ οὐκ ἀλλοι-

οῦται.―Φαίνεται.―Τὸ δ᾿ ἀλλοιούμενον ἆρ᾿ οὐκ ἀνάγκη 

γίγνεσθαι μὲν ἕτερον ἢ πρότερον, ἀπόλλυσθαι δὲ ἐκ τῆς 

προτέρας ἕξεως· τὸ δὲ μὴ ἀλλοιούμενον μήτε γίγνεσθαι                b

μήτε ἀπόλλυσθαι;―Ἀνάγκη.

그렇죠.―그래서 하나는 있지 않다면 달리 되면서 또한

달리 되지 않는다네.―그래 보입니다.―헌데 혹시 달리

되는 것은 이전에 비해 다른 것으로 됨이, 그리고 이전

상태로부터 파괴됨이 필연적이지 않은가? 반면 달리

되지 않는 것은 생성되지도 않고 파괴되지도 않음이

필연적이지 않나?―필연적이죠.

                                   ―Καὶ τὸ ἓν ἄρα μὴ ὂν ἀλλοιού-

μενον μὲν γίγνεταί τε καὶ ἀπόλλυται, μὴ ἀλλοιούμενον δὲ 

οὔτε γίγνεται οὔτε ἀπόλλυται· καὶ οὕτω τὸ ἓν μὴ ὂν γίγνεταί 

τε καὶ ἀπόλλυται, καὶ οὔτε γίγνεται οὔτ᾿ ἀπόλλυται.―Οὐ                  5

γὰρ οὖν.

―그래서 있지 않은 하나 또한 달리 되면서는 생성되며

또한 파괴되지만, 달리 되지 않으면서는 생성되지도 않고

파괴되지도 않지. 그래서 그런 식으로 있지 않은 하나는

생성되기도 하고 파괴되기도 하며, 생성되지도 않고

파괴되지도 않는다네.―그야 그러하니까요.

 

 -蟲-

 

 Τὸ δὲ τούτων ἀντίστροφον αὖ, τὸ περὶ τὰς τῶν σωμάτων                      c

καὶ διανοήσεων θεραπείας αἷς αἰτίαις σῴζεται, πάλιν εἰκὸς 

καὶ πρέπον ἀνταποδοῦναι· δικαιότερον γὰρ τῶν ἀγαθῶν πέρι 

μᾶλλον ἢ τῶν κακῶν ἴσχειν λόγον. 

 헌데 이번에는 이런 일들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신체와 지성에

대한 구원의 원인이 되어주는 보살핌에 관련된 것을, 그럴 듯하고

적절한 것으로서 다시금 답변해야 하겠습니다. 왜냐하면 악한 

자들에 관련하여서보다는 좋은 자들에 관련하여 설명을 구하는 

편이 훨씬 더 정의로운 일이기 때문이지요.

                                            πᾶν δὴ τὸ ἀγαθὸν 

καλόν, τὸ δὲ καλὸν οὐκ ἄμετρον· καὶ ζῷον οὖν τὸ τοιοῦτον                      5

ἐσόμενον σύμμετρον θετέον. συμμετριῶν δὲ τὰ μὲν σμικρὰ 

διαισθανόμενοι συλλογιζόμεθα, τὰ δὲ κυριώτατα καὶ μέγιστα 

ἀλογίστως ἔχομεν.                                                                       d 

                                                    실로 모든 좋은 것은

아름답고, 헌데 아름다운 것은 척도를 상실한 것이 아닙니다. 

그러니 이러한 것으로서 살아있는 것 역시 척도에 부합하는

것으로 있으리라 상정해야만 합니다. 그런데 척도에 부합하는

것들 중 사소한 것들이야 우리가 지각해냄으로써 함께 

헤아린데도, 가장 주되고 거대한 것들은 우리가 헤아려 살필 수 

없는 처지에 있지요.

                        πρὸς γὰρ ὑγιείας καὶ νόσους ἀρετάς τε                     d //220209

καὶ κακίας οὐδεμία συμμετρία καὶ ἀμετρία μείζων ἢ ψυχῆς 

αὐτῆς πρὸς σῶμα αὐτό· ὧν οὐδὲν σκοποῦμεν οὐδ᾿ ἐννοοῦμεν, 

ὅτι ψυχὴν ἰσχυρὰν καὶ πάντῃ μεγάλην ἀσθενέστερον καὶ 

ἔλαττον εἶδος ὅταν ὀχῇ, καὶ ὅταν αὖ τοὐναντίον συμπα-                         5

γῆτον τούτω, οὐ καλὸν ὅλον τὸ ζῷον―ἀσύμμετρον γὰρ ταῖς 

μεγίσταις συμμετρίαις―τὸ δὲ ἐναντίως ἔχον πάντων θεα-

μάτων τῷ δυναμένῳ καθορᾶν κάλλιστον καὶ ἐρασμιώτατον. 

                         그야 건강과 질병에 대해서든 덕과 악덕에

대해서든 그 어떠한 척도의 성립이든 척도의 상실이든 육체

자체에 비례하는 영혼 자체의 경우보다 더 중한 것은 없으니 

말입니다. 그것들에 관하여 우리가 아무것도 검토하지도

이해하지도 못하고 있는 것들인데 말이죠. 강력하고 모든

면에서 장대한 영혼을 더욱 허약하고 왜소한 종이 지탱할 경우,

또 이번엔 그 둘이 반대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전체로서 그

생물은 아름답지 않으니까요. 그야 가장 중대한 척도의 성립에

있어서 척도를 상실한 것이니 말이지요. 그런데 그 반대 상태에

있는 것은 가시적인 모든 것들 중에서 바라볼 능력을 갖춘

자에게 가장 아름답고 가장 사랑스러운 것입니다.

οἷον οὖν ὑπερσκελὲς ἢ καί τινα ἑτέραν ὑπέρεξιν ἄμετρον                      e

ἑαυτῷ τι σῶμα ὂν ἅμα μὲν αἰσχρόν, ἅμα δ᾿ ἐν τῇ κοινωνίᾳ 

τῶν πόνων πολλοὺς μὲν κόπους, πολλὰ δὲ σπάσματα καὶ 

διὰ τὴν παραφορότητα πτώματα παρέχον μυρίων κακῶν 

αἴτιον ἑαυτῷ, ταὐτὸν δὴ διανοητέον καὶ περὶ τοῦ συναμ-                        5

φοτέρον, ζῷον ὃ καλοῦμεν, ὡς ὅταν τε ἐν αὐτῷ ψυχὴ κρείτ-

των οὖσα σώματος περιθύμως ἴσχῃ, διασείουσα πᾶν αὐτὸ                   88a

ἔνδοθεν νόσων ἐμπίμπλησι, καὶ ὅταν εἴς τινας μαθήσεις καὶ 

ζητήσεις συντόνως ἴῃ, κατατήκει, διδαχάς τ᾿ αὖ καὶ μάχας 

ἐν λόγοις ποιουμένη δημοσίᾳ καὶ ἰδίᾳ δι᾿ ἐρίδων καὶ φιλονι-

κίας γιγνομένων διάπυρον αὐτὸ ποιοῦσα σαλεύει, καὶ ῥεύματα                 5

ἐπάγουσα, τῶν λεγομένων ἰατρῶν ἀπατῶσα τοὺς πλείστους, 

τἀναίτια αἰτιᾶσθαι ποιεῖ· 

                                                     그러니 지나치게 긴 

사지나 또는 다른 무슨 과도함도 그 자신에게 일종의 척도를 

상실한 신체인 동시에 한편으로는 추한 신체이기도 하고, 그런데 

노역과 관련된 경우 한편으로는 숱한 곤란을, 다른 한편으로는

많은 부상과 절룩거림으로 인한 넘어짐을 내놓으면서 자신에게

수 많은 악의 원인이기도 하듯, 실로 양쪽이 함께인 것에

관련하여서도 똑같은 것으로 생각해야만 하니, 우리가 생물이라

부르는 것은, 그 안에 깃든 영혼이 신체보다 더 강한 것으로

있으면서 과도하게 격정적인 상태일 때에도, 그 신체 전체를

뒤흔들어서 내부에서부터 질병으로 가득 차거니와, 어떤 학습이나

탐구에 긴장감을 갖고 몰입할 때에도, [신체를] 쳐지게 하고, 또 

이번엔 교육 그리고 논변 안에서의 전투들을 공적으로나 사적으로 

행하면서 생성되는 경쟁심과 승부욕을 통하여 신체를 불타오르게 

만들어서 동요시키고, 흐름들을 촉발시켜서, 소위 의사라 불리는

자들의 대다수를 기만하고서, 정반대의 원인을 찾도록 만든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σῶμά τε ὅταν αὖ μέγα καὶ ὑπέρ-

ψυχον σμικρᾷ συμφυὲς ἀσθενεῖ τε διανοίᾳ γένηται, διττῶν 

ἐπιθυμιῶν οὐσῶν φύσει κατ᾿ ἀνθρώπους, διὰ σῶμα μὲν                          b

τροφῆς, διὰ δὲ τὸ θειότατον τῶν ἐν ἡμῖν φρονήσεως, αἱ τοῦ 

κρείττονος κινήσεις κρατοῦσαι καὶ τὸ μὲν σφέτερον αὔξουσαι, 

τὸ δὲ τῆς ψυχῆς κωφὸν καὶ δυσμαθὲς ἀμνῆμόν τε ποιοῦσαι, 

τὴν μεγίστην νόσον ἀμαθίαν ἐναπεργάζονται.                                      5

                     또 이번엔 신체가 거대하고도 영혼을 압도하는 

것으로서 하찮고 나약한 지성과 함께 타고나게 될 때에도, 인간에 

대해 본성적으로 이중의 욕망이 있기에, 신체로 인해서는 생육의 

욕망이, 우리에게 속한 것들 중 가장 신적인 것으로 인해서는 

지혜의 욕망이 있으니, 더 강한 쪽의 운동들이 압도하고 제 몫을 

증가시키며, 영혼의 우둔함과 더디 배움 그리고 기억하지 못함을 

만들어내고, 가장 중대한 질병인 무지를 그 안에 구현시켜냅니다.

                                                           μία δὴ σω-                       5

τηρία πρὸς ἄμφω, μήτε τὴν ψυχὴν ἄνευ σώματος κινεῖν μήτε 

σῶμα ἄνευ ψυχῆς, ἵνα ἀμυνομένω γίγνησθον ἰσορρόπω καὶ 

ὑγιῆ.                                                                                         c

                                                           그래서 그

양자에 맞선 유일한 구원은, 영혼이 신체를 버려두고 운동하지도

않고 신체가 영혼을 버려두고 운동하지도 않는 것, 그리하여

그 둘이 수호됨으로써 그 둘이 평형이 되고 건전한 것이 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τὸν δὴ μαθηματικὸν ἤ τινα ἄλλην σφόδρα μελέτην                         c

διανοίᾳ κατεργαζόμενον καὶ τὴν τοῦ σώματος ἀποδοτέον 

κίνησιν, γυμναστικῇ προσομιλοῦντα, τόν τε αὖ σῶμα ἐπι-

μελῶς πλάττοντα τὰς τῆς ψυχῆς ἀνταποδοτέον κινήσεις, 

μουσικῇ καὶ πάσῃ φιλοσοφίᾳ προσχρώμενον, εἰ μέλλει                             5

δικαίως τις ἅμα μὲν καλός, ἅμα δὲ ἀγαθὸς ὀρθῶς κεκλῆσθαι. 

                  그래서 수학자나 그 외에 어떤 지성을 사용하는 

연마에 열성적으로 매진하는 자는 신체의 운동 또한 갚아야만 

하니, 체육술을 가까이 하면서 그리해야 하고, 이번엔 신체를 

조형하는 데에 마음을 쓰는 자도 영혼의 운동을 되갚아야만 하니, 

음악술과 철학 전반을 추가로 사용함으로써 그리해야만 하며, 만일 

장차 누군가가 한편으로는 정당하게 아름다운 자라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동시에 올바르게 훌륭한 자라고 불리려면 그래야만 

합니다.

κατὰ δὲ ταὐτὰ ταῦτα καὶ τὰ μέρη θεραπευτέον, τὸ τοῦ παντὸς 

ἀπομιμούμενον εἶδος. τοῦ γὰρ σώματος ὑπὸ τῶν εἰσιόντων                     d

καομένου τε ἐντὸς καὶ ψυχομένου, καὶ πάλιν ὑπὸ τῶν ἔξωθεν 

ξηραινομένου καὶ ὑγραινομένου καὶ τὰ τούτοις ἀκόλουθα πά-

σχοντος ὑπ᾿ ἀμφοτέρων τῶν κινήσεων, ὅταν μέν τις ἡσυχίαν 

ἄγον τὸ σῶμα παραδιδῷ ταῖς κινήσεσι, κρατηθὲν διώλετο,                       5

ἐὰν δὲ ἥν τε τροφὸν καὶ τιθήνην τοῦ παντὸς προσείπομεν 

μιμῆταί τις, καὶ τὸ σῶμα μάλιστα μὲν μηδέποτε ἡσυχίαν 

ἄγειν ἐᾷ, κινῇ δὲ καὶ σεισμοὺς ἀεί τινας ἐμποιῶν αὐτῷ διὰ 

παντὸς τὰς ἐντὸς καὶ ἐκτὸς ἀμύνηται κατὰ φύσιν κινήσεις,                     e

καὶ μετρίως σείων τά τε περὶ τὸ σῶμα πλανώμενα παθήματα 

καὶ μέρη κατὰ συγγενείας εἰς τάξιν κατακοσμῇ πρὸς ἄλληλα, 

κατὰ τὸν πρόσθεν λόγον ὃν περὶ τοῦ παντὸς ἐλέγομεν, οὐκ 

ἐχθρὸν παρ᾿ ἐχθρὸν τιθέμενον ἐάσει πολέμους ἐντίκτειν τῷ                    5

σώματι καὶ νόσους, ἀλλὰ φίλον παρὰ φίλον τεθὲν ὑγίειαν 

ἀπεργαζόμενον παρέξει.                                                             89a

         그런데 같은 점들에 따라서 이러한 부분들도 보살펴야

합니다, 우주의 형상을 모방하면서 말입니다. 왜냐하면 물체가 

유입되는 것들에 의해 내부에서 연소되기도 하고 냉각되기도 하며, 

다시 외부로부터 [다가오는] 것들에 의해 건조되기도 침습되기도 

하고 이러한 것들에 뒤따르는 일들을 그 양편의 운동들에 의해 

겪기에, 누군가 가만히 있는 신체를 그 운동들에 맡길 때엔, 붙잡혀서

파괴되어 버리고, 반면에 만일 양육자이자 보모라 우리가 부르는 바를

누군가가 모방한다면, 또한 특히나 신체 또한 결코 침묵을 지키도록

내버려두지 않는 한편, 운동시켜 언제나 신체에 모종의 진동을

불어넣으면서 안팎 전체를 통해 본성에 따라 운동들을 지켜낸다면,

신체 주위를 방황하는 겪음들과 그 부분들을 척도에 맞게 진동시키고

동류에 따른 배열 쪽으로 서로에 대해 질서잡히도록 한다면, 우주에

관련하여 우리가 논하던 앞선 논의에 따라, 적들을 곁하여 놓지

않음으로써 신체에 전쟁과 질병을 잉태시키도록 방치하지 않을

것이고, 오히려 친우들로서 곁하여 서게 되어 건강을 구현시키는

것이 되도록 내놓을 것입니다.

                               τῶν δ᾿ αὖ κινήσεων ἡ ἐν ἑαυτῷ                     89a

ὑφ᾿ αὑτοῦ ἀρίστη κίνησις―μάλιστα γὰρ τῇ διανοητικῇ καὶ 

τῇ τοῦ παντὸς κινήσει συγγενής―ἡ δὲ ὑπ᾿ ἄλλου χείρων·

χειρίστη δὲ ἡ κειμένου τοῦ σώματος καὶ ἄγοντος ἡσυχίαν δι᾿ 

ἑτέρων αὐτὸ κατὰ μέρη κινοῦσα.                                                      5

그런데 이번엔 운동들 중에서 자신 안에서 자신에 의한 것이 

최선의 운동이고―이것이 합리적 운동과 우주의 운동에 가장

동종적인 운동이니까요―반면에 그 외의 것에 의한 운동은 더

열등합니다. 헌데 널부러져 침묵을 지키는 신체의 운동으로 

다른 것들을 통해 신체를 부분적으로 운동시키는 그러한 운동이

가장 열등합니다.

                                          διὸ δὴ τῶν καθάρσεων καὶ                    5

συστάσεων τοῦ σώματος ἡ μὲν διὰ τῶν γυμνασίων ἀρίστη, 

δευτέρα δὲ ἡ διὰ τῶν αἰωρήσεων κατά τε τοὺς πλοῦς καὶ 

ὅπῃπερ ἂν ὀχήσεις ἄκοποι γίγνωνται· τρίτον δὲ εἶδος κι-

νήσεως σφόδρα ποτὲ ἀναγκαζομένῳ χρήσιμον, ἄλλως δὲ                      b

οὐδαμῶς τῷ νοῦν ἔχοντι προσδεκτέον, τὸ τῆς φαρμακευτικῆς 

καθάρσεως γιγνόμενον ἰατρικόν. 

실로 이로 인해 신체를 정화하고 구성하는 일 중에서는 운동을

통한 것이 최선이고, 두 번째는 항해에 따른 진자운동을 통한

운동 또는 어떤 식으로든 지치는 일이 일어나지 않는 이송이

이루어지는 식으로 행해지는 운동이지요. 세 번째 종류의 운동은

너무나 극심하게 그 필요를 강제받는 자에게 유용하지만, 다른

어떤 경우에도 제정신인 자는 허용하지 않아야만 하는 것으로,

약제를 사용하는 정화에 속하는 의학적인 방식으로 발생되는

것입니다.

                                           τὰ γὰρ νοσήματα, ὅσα μὴ 

μεγάλους ἔχει κινδύνους, οὐκ ἐρεθιστέον φαρμακείαις. πᾶσα 

γὰρ σύστασις νόσων τρόπον τινὰ τῇ τῶν ζῴων φύσει προσ-                     5

έοικε. 

                                                왜냐하면 질병들은,

중대한 위험을 수반하지 않는 한에서, 약의 처방에 의해

자극받지 않아야만 하기 때문이지요. 질병들의 구조는 모두

어떤 방식에선가는 생물들의 본성에 닮아있으니 말입니다.

        καὶ γὰρ ἡ τούτων σύνοδος ἔχουσα τεταγμένους τοῦ 

βίου γίγνεται χρόνους τοῦ τε γένους σύμπαντος, καὶ καθ᾿ 

αὑτὸ τὸ ζῷον εἱμαρμένον ἕκαστον ἔχον τὸν βίον φύεται, 

χωρὶς τῶν ἐξ ἀνάγκης παθημάτων· τὰ γὰρ τρίγωνα εὐθὺς                      c

κατ᾿ ἀρχὰς ἑκάστου δύναμιν ἔχοντα συνίσταται μέχρι τινὸς 

χρόνου δυνατὰ ἐξαρκεῖν, οὗ βίον οὐκ ἄν ποτέ τις εἰς τὸ 

πέραν ἔτι βιῴη. 

                                                                   또한

생물들의 결합은 전체 종의 경우에도 생의 배정된 시간을

지니고, 생물 자체도 각각 품부된 생을 타고나기도 하니까요, 

필연을 통한 겪음들을 떼어놓고 말하자면 말이죠. 왜냐하면 

삼각형이 곧장 처음부터 능력은 지니고 있기에 일정 시기까지

충분히 능력을 지니게끔 구성되기 때문입니다. 그 삼각형의

생을 결코 누가 한계 이상으로 강제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τρόπος οὖν ὁ αὐτὸς καὶ τῆς περὶ τὰ νοσή-         //220216

ματα συστάσεως· ἣν ὅταν τις παρὰ τὴν εἱμαρμένην τοῦ                          5

χρονου φθείρῃ φαρμακείαις, ἅμα ἐκ σμικρῶν μεγάλα καὶ 

πολλὰ ἐξ ὀλίγων νοσήματα φιλεῖ γίγνεσθαι. διὸ παιδαγω-

γεῖν δεῖ διαίταις πάντα τὰ τοιαῦτα, καθ᾿ ὅσον ἂν ᾗ τῳ σχολή, 

ἀλλ᾿ οὐ φαρμακεύοντα κακὸν δύσκολον ἐρεθιστέον.                             d

            그러므로 질병들에 관련한 구성에도 방식은 똑같이 

적용됩니다. 누군가가 시간을 품부받은 구조에서 어긋나게 

약을 사용하여 소멸시킬 경우, 그와 동시에 작은 병들로부터

큰 질병들이 그리고 적은 질병들로부터 많은 질병들이 발생하려 

들 것입니다. 이로 인해 이러한 모든 질병들은 여가가 있는 한 

섭식으로 인도해야 하며, 약을 사용하여 악화된 질병을 

처치곤란하게 자극하지는 않아야만 합니다.

 

 Καὶ περὶ μὲν τοῦ κοινοῦ ζῴου καὶ τοῦ κατὰ τὸ σῶμα αὐτοῦ 

μέρους, ᾗ τις ἂν καὶ διαπαιδαγωγῶν καὶ διαπαιδαγωγούμενους 

ὑφ᾿ αὑτοῦ μάλιστ᾿ ἂν κατὰ λόγον ζῴη, ταύτῃ λελέχθω· τὸ 

δὲ δὴ παιδαγωγῆσον αὐτὸ μᾶλλόν που καὶ πρότερον παρα-                     5

σκευαστέον εἰς δύναμιν ὅτι κάλλιστον καὶ ἄριστον εἰς τὴν 

παιδαγωγίαν εἶναι. 

 복합적인 생물과 그 생물의 신체에 따른 부분에 관련하여서도, 

누군가가 스스로 인도하고 또한 인도받으며 최대한 논리에 따라

살아갈 방식은, 이런 식으로 논해진 것이라 합시다. 그런데 실로 

그 생물을 인도해 나아갈 것은 그 인도를 향해 능력이 닿는 한

최대로 아름답고도 훌륭한 것으로 있게끔 아마도 보다 더 또한

더욱 먼저 준비되어 있어야만 합니다.

                         δι᾿ ἀκριβείας μὲν οὖν περὶ τούτων 

διελθεῖν ἱκανὸν ἂν γένοιτο αὐτὸ καθ᾿ αὑτὸ μόνον ἔργον· τὸ                   e

δ᾿ ἐν παρέργῳ κατὰ τὰ πρόσθεν ἑπόμενος ἄν τις οὐκ ἄπο (ὤν 생략으로 볼 수도?)

τρόπου τῇδε σκοπῶν ὧδε τῷ λόγῳ διαπεράναιτ᾿ ἄν. 

                                   정확성을 통해서라면 그것들에

관하여 충분히 상술한다는 것은 그 자체만으로도 일거리가

될 것입니다. 그러나 부차적인 일에서 이전에 논의된 것들에 

따라 나아가면서 누군가 이런 식으로 고찰하면서 다음과 같이

논의를 마무리한다면 이상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καθάπερ 

εἴπομεν πολλάκις, ὅτι τρία τριχῇ ψυχῆς ἐν ἡμῖν εἴδη κατῴ-

κισται, τυγχάνει δὲ ἕκαστον κινήσεις ἔχον, οὕτω κατὰ ταὐτὰ                    5

καὶ νῦν ὡς διὰ βραχυτάτων ῥητέον ὅτι τὸ μὲν αὐτῶν ἐν 

ἀργίᾳ διάγον καὶ τῶν ἑαυτοῦ κινήσεων ἡσυχίαν ἄγον ἀσθενέ-

οτατον ἀνάγκη γίγνεσθαι, τὸ δ᾿ ἐν γυμνασίοις ἐρρωμενέστα-

τόν· διὸ φυλακτέον ὅπως ἂν ἔχωσιν τὰς κινήσεις πρὸς                      90a

ἄλληλα συμμέτρους. 

                                                               우리가 자주 

언급했듯이, 우리 안에 영혼의 세 가지 방식으로 세 형상들이 

성립되어 있고, 마침 각각의 형상은 운동들을 지니기도 하니, 

그렇게 같은 식으로 따라서 지금도 최대한 간략하게 말해야 

합니다. 그 종들 중 일을 하지 않는 채로 지내고 제 자신의 

운동들을 침묵시키며 지내는 것은 필연적으로 가장 나약하게 

되는 반면, 훈련하며 지내는 종은 가장 강건한 것이 될 수밖에 

없다고 말입니다. 이로 인해 그 종들이 서로에 대해 척도를

함께하는 운동들을 견지하게끔 주의해야만 합니다.

                          τὸ δὲ δὴ περὶ τοῦ κυριωτάτου παρ᾿ 

ἡμῖν ψυχῆς εἴδους διανοεῖσθαι δεῖ τῇδε, ὡς ἄρα αὐτὸ δαί-

μονα θεὸς ἑκάστῳ δέδωκεν, τοῦτο ὃ δή φαμεν οἰκεῖν μὲν 

ἡμῶν ἐπ᾿ ἄκρῳ τῷ σώματι, πρὸς δὲ τὴν ἐν οὐρανῷ συγγένειαν                  5

ἀπὸ γῆς ἡμᾶς αἴρειν ὡς ὄντας φυτὸν οὐκ ἔγγειον ἀλλὰ οὐρά-

νιον, ὀρθότατα λέγοντες· ἐκεῖθεν γάρ, ὅθεν ἡ πρώτη τῆς 

ψυχῆς γένεσις ἔφυ, τὸ θεῖον τὴν κεφαλὴν καὶ ῥίζαν ἡμῶν 

ἀνακρεμαννὺν ὀρθοῖ πᾶν τὸ σῶμα.                                                   b

                                                                  그런데 

우리에게 있어서 영혼의 형상 중 가장 주도적인 것은 다음과 

같이 사유되어야 하니, 그것을 신께서 각자에게 신령한 것으로 

부여하셨다고, 이러한 것을 우리는 우리들의 신체 정상에 

거주한다고 주장하는 바, 천상에서의 동류성을 향해 

끌어올리고 우리가 마치 대지에 속한 것이 아니라 천상적인

식물로 있는 것처럼 그리한다고, 그렇게 가장 올바르게 논하면서 

사유해야만 합니다. 왜냐하면 영혼의 최초의 생성이 그로부터 

자라난 저곳으로부터, 신적인 형상이 우리의 근본인 머리를 

매어 신체 전부를 바로 세우기 때문입니다.

                                            τῷ μὲν οὖν περὶ τὰς                         b

ἐπιθυμίας ἢ περὶ φιλονικίας τετευτακότι καὶ ταῦτα δια-

πονοῦντι σφόδρα πάντα τὰ δόγματα ἀνάγκη θνητὰ ἐγγε-

γονέναι, καὶ παντάπασιν καθ᾿ ὅσον μάλιστα δυνατὸν θνητῷ 

γίγνεσθαι, τούτου μηδὲ σμικρὸν ἐλλείπειν, ἅτε τὸ τοιοῦτον                      5

ηὐξηκότι· 

                                                       그리하여 

욕망들과 관련하여서나 승부욕들과 관련하여 일삼고 

열성적으로 매진하는 자에게는 온갖 신념들이 그 안에서

사멸적인 것들로 됨이 필연적이고, 능력이 닿는 최대치까지

모든 면에서 그가 사멸적인 자가 됨이 필연적이며, 이에 조금도 

모자람이 없음이 필연적이니, 그가 이러한 것을 증대시키기 

때문입니다.

            τῷ δὲ περὶ φιλομαθίαν καὶ περὶ τὰς ἀληθεῖς 

φρονήσεις ἐσπουδακότι καὶ ταῦτα μάλιστα τῶν αὑτοῦ γεγυ-

μνασμένῳ φρονεῖν μὲν ἀθάνατα καὶ θεῖα, ἄνπερ ἀληθείας                     c

ἐφάπτηται, πᾶσα ἀνάγκη που, καθ᾿ ὅσον δ᾿ αὖ μετασχεῖν 

ἀνθρωπίνῃ φύσει ἀθανασίας ἐνδέχεται, τούτου μηδὲν μέρος 

ἀπολείπειν, ἅτε δὲ ἀεὶ θεραπεύοντα τὸ θεῖον ἔχοντά τε αὐτὸν 

εὖ κεκοσμημένον τὸν δαίμονα σύνοικον ἑαυτῷ, διαφερόντως                 5

εὐδαίμονα εἶναι. 

                반면 배움에 관련하여 그리고 참된 지혜에 관련하여 

매진하며 자신의 부분들 중 특히 이러한 부분들을 훈련하는 

자에게는 불멸하며 신적인 것들을 사려함이, 만일 정녕 진리를

포착하고자 한다면, 아마 전적으로 필연적이고, 또 이번엔

인간적인 본성으로 불멸에 참여함이 허용되는 한에서, 이 일에 

그 어떤 부분도 빠뜨리지 않는다는 것도 그럴 테니, 언제나 

신적인 것을 돌보면서 자신과 함께 기거하는 바로 그 신령한 분을

잘 집서잡힌 채로 간직하기에, 특별하게 행복한 자로 있음이

필연적입니다. 

                     θεραπεία δὲ δὴ παντὶ παντὸς μία, τὰς                       //220223

οἰκείας ἑκάστῳ τροφὰς καὶ κινήσεις ἀποδιδόναι. τῷ δ᾿ ἐν 

ἡμῖν θείῳ συγγενεῖς εἰσιν κινήσεις αἱ τοῦ παντὸς διανοήσεις 

καὶ περιφοραί· ταύταις δὴ συνεπόμενον ἕκαστον δεῖ, τὰς περὶ               d

τὴν γένεσιν ἐν τῇ κεφαλῇ διεφθαρμένας ἡμῶν περιόδους 

ἐξορθοῦντα διὰ τὸ καταμανθάνειν τὰς τοῦ παντὸς ἁρμονίας 

τε καὶ περιφοράς, τῷ κατανοουμένῳ τὸ κατανοοῦν ἐξομοιῶσαι 

κατὰ τὴν ἀρχαίαν φύσιν, ὁμοιώσαντα δὲ τέλος ἔχειν τοῦ                        5

προτεθέντος ἀνθρώποις ὑπὸ θεῶν ἀρίστου βίου πρός τε τὸν 

παρόντα καὶ τὸν ἔπειτα χρόνον.

                              그런데 모든 사람들에게 영혼의 모든 

부분에의 보살핌은 한 가지 것으로, 각자에게 고유한 양식과 운동을

되돌려주는 것입니다. 그런데 우주의 사유와 회전이 우리 안의 

신적인 부분과 동종적인 운동들이지요. 각자는 이러한 운동들을 

함께 따르면서, 생성과 관련하여 우리 머리 안의 파괴되었던 

우리의 궤도들을 바로세워 우주의 조화와 회전들을 배워내야 

하고, 이해되는 분을 이해하는 부분이 시초의 본성에 따라 닮도록

만들어야 하며, 그렇게 닮게 하여서 인간들에게 신들에 의해 제시된

최선의 삶의 완성을 현세의 시간과 이후의 시간 모두에 관련하여

이루어야 합니다.

 

-蟲-

 Ἔτι δὴ τὸ τρίτον λέγωμεν. τὸ ἓν εἰ ἔστιν οἷον 

διεληλύθαμεν, ἆρ᾿ οὐκ ἀνάγκη αὐτό, ἕν τε ὂν καὶ πολλὰ καὶ              155e5

μήτε ἓν μήτε πολλὰ καὶ μετέχον χρόνου, ὅτι μὲν ἔστιν ἕν, 

οὐσίας μετέχειν ποτέ, ὅτι δ᾿ οὐκ ἔστι, μή μετέχειν αὖ ποτε 

οὐσίας;―Ἀνάγκη.―Ἆρ᾿ οὖν, ὅτε μετέχει, οἷόν τε ἔσται 

τότε μὴ μετέχειν, ἢ ὅτε μὴ μετέχει, μετέχειν;―Οὐχ οἷόν 

τε.―Ἐν ἄλλῳ ἄρα χρόνῳ μετέχει καὶ ἐν ἄλλῳ οὐ μετέχει·                       10

οὕτω γὰρ ἂν μόνως τοῦ αὐτοῦ μετέχοι τε καὶ οὐ μετέχοι.

 그럼 더 나아가 세 번째 것을 논해 보도록 하세. 하나가 만일

우리가 상술했던 그러한 것으로 있다면, 혹시 그것은

필연적으로, 하나로 있으면서 또한 여럿으로도 있고 하나로도

여럿으로도 있지 않으며 또한 시간에 참여함으로써, 하나로

있다는 점에서는, 언젠가 존재에 참여하고, 다른 한편 [하나로]

있지 않다는 점에서는, 또 이번엔 결코 존재에 참여하지 않는

게 아닌가?―필연적으로요.―그럼 혹시, [존재에] 참여할

때에는, 그 때 참여하지 않을 수가 있겠는가, 혹은 참여하지

않을 때, 참여할 수가 있겠나?―그럴 수는 없지요.―그래서

어떤 시간 안에서는 참여하고 그 외의 시간 안에서는 참여하지

않는다네. 왜냐하면 오직 그런 식으로만 같은 것에 참여하기도

하고 또 참여하지 않기도 할 수 있을 테니까.

> 하나로 있음이 있음에 참여하는 것이고 하나로 있지 않음이 

있음에 참여하지 않는 것이라면, 여럿으로 있음이나 여럿으로 

있지 않음은 이 경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또는 있음이 

아니라 됨에 관련하여서는 어떠한가?

―Ὀρθῶς.―Οὐκοῦν ἔστι καὶ οὗτος χρόνος, ὅτε μεταλαμβάνει          156a

τοῦ εἶναι καὶ ὅτε ἀπαλλάττεται αὐτοῦ; ἢ πῶς οἷόν τε ἔσται 

τοτὲ μὲν ἔχειν τὸ αὐτό, τοτὲ δὲ μὴ ἔχειν, ἐὰν μή ποτε καὶ 

λαμβάνῃ αὐτὸ καὶ ἀφίῃ;―Οὐδαμῶς.―Τὸ δὴ οὐσίας μετα-                        //220207

λαμβάνειν ἆρά γε οὐ γίγνεσθαι καλεῖς;―Ἔγωγε.―Τὸ δὲ                        5

ἀπαλλάττεσθαι οὐσίας ἆρα οὐκ ἀπόλλυσθαι;―Καὶ πάνυ γε.

―옳게 말씀하셨습니다.―그렇다면 이러한 시간도 있지 않겠나? 

있다는 것에 관여할 때와 그것에서 떠날 때 말이네. 그렇지 않으면

어떻게 어느 때엔 같은 것을 지니고, 또 어느 때엔 [그 같은 것을] 

지니지 않을 수가 있겠는가? 만일 결코 같은 것을 취하기도 하고 

놓기도 하지는 못한다면 말일세.―달리 아무런 방법이 없지요.―

그럼 적어도 존재에 관여한다는 것을 자네는 혹시 생성되어간다는 

것으로 부르지 않나?―저로서는요.―헌데 존재에서 빠진다는 

것은 혹시 파괴되어간다고 부르지 않는가?―그 또한 물론입니다.

―Τὸ ἓν δή, ὡς ἔοικε, λαμβάνον τε καὶ ἀφιὲν οὐσίαν γίγνεταί 

τε καὶ ἀπόλλυται.―Ἀνάγκη.―Ἓν δὲ καὶ πολλὰ ὂν καὶ                         b

γιγνόμενον καὶ ἀπολλύμενον ἆρ᾿ οὐχ, ὅταν μὲν γίγνηται ἕν, 

τὸ πολλὰ εἶναι ἀπόλλυται, ὅταν δὲ πολλά, τὸ ἓν εἶναι 

ἀπόλλυται;―Πάνυ γε.―Ἓν δὲ γιγνόμενον καὶ πολλὰ ἆρ᾿ 

οὐκ ἀνάγκη διακρίνεσθαί τε καὶ συγκρίνεσθαι;―Πολλή γε.                    5

―그럼 하나는, 그럴 듯하기로는, 존재를 취하기도 하고 또

놓아주기도 함으로써 생성되고 또 파괴되어가네.―

필연적으로요.―그런데 [하나가] 하나와 여럿으로 있고

되어가며 파괴되어감으로써 혹시, 하나로 되어가는 때에는,

여럿으로 있다는 것이 파괴되고, 반면 여럿으로 되어가는 

때에는, 하나로 있다는 것이 파괴되어 가지 않나?―

물론입니다.―그런데 하나와 여럿으로 되어가면서 혹시

분산되기도 하고 취합되기도 함이 필연적이지 않은가?―

무척이나 필연적이긴 하지요.

―Καὶ μὴν ἀνόμοιόν γε καὶ ὅμοιον ὅταν γίγνηται, ὁμοιοῦσθαί 

τε καὶ ἀνομοιοῦσθαι;―Ναί.―Καὶ ὅταν μεῖζον καὶ ἔλαττον

καὶ ἴσον, αὐξάνεσθαί τε καὶ φθίνειν καὶ ἰσοῦσθαι;―Οὕτως.

―Ὅταν δὲ κινούμενόν τε ἵστηται καὶ ὅταν ἑστὸς ἐπὶ τὸ                      c

κινεῖσθαι μεταβάλλῃ, δεῖ δήπου αὐτό γε μηδ᾿ ἐν ἑνὶ χρόνῳ 

εἶναι.―Πῶς δή;―Ἑστός τε πρότερον ὕστερον κινεῖσθαι καὶ 

πρότερον κινούμενον ὕστερον ἑστάναι, ἄνευ μὲν τοῦ μετα-

βάλλειν οὐχ οἷόν τε ἔσται ταῦτα πάσχειν.―Πῶς γάρ;                          5

―그런가 하면 안-마찬가지인 것으로 그리고 마찬가지인 것으로 

되어갈 때, 닮아간다는 것과 또한 안-닮아진다는 것은

[필연적인가]?―네.―큰 것으로 그리고 작은 것으로 또한 같은

크기인 것으로 되어갈 때에도, 증가한다는 것과 감소한다는 것

그리고 동량화한다는 것이 [필연적인가]?―그렇지요.―그런데

운동하다가 정지할 때도 또 정지해 있다가 운동하는 쪽으로

변화할 때도, 분명 적어도 그것[하나]은 단일한 시간 안에는

있지조차 않아야 하네.―어째서요?―이전에 정지해 있다가

이후에 운동한다는 것도 이전에 운동하다가 이후에 정지한다는 

것도, 변화한다는 것 없이는 이러한 일들을 겪을 수가 없는

일일 테니.―어찌 그럴 수 있겠습니까?

> gignomai 조건에서 귀결에 einai+보어를 사용하지 않고 inf. 동사를 사용한 

이유는 gignomai와 eimi 사이의 대비를 고려하고 있기 때문인가? 

―Χρόνος δέ γε οὐδεὶς ἔστιν, ἐν ᾧ τι οἷόν τε ἅμα μήτε κινεῖσθαι 

μήτε ἑστάναι.―Οὐ γὰρ οὖν.―Ἀλλ᾿ οὐδὲ μὴν μεταβάλλει 

ἄνευ τοῦ μεταβάλλειν.―Οὐκ εἰκός.―Πότ᾿ οὖν μεταβάλλει; 

οὔτε γὰρ ἑστὸς ὂν οὔτε κινούμενον μεταβάλλει, οὔτε ἐν 

χρόνῳ ὄν.―Οὐ γὰρ οὖν.―Ἆρ᾿ οὖν ἔστι τὸ ἄτοπον τοῦτο,                    d

ἐν ᾧ τότ᾿ ἂν εἴη, ὅτε μεταβάλλει;―Τὸ ποῖον δή;

                                    ―그런가 하면 아무런 시간도 아니라네, 

그 안에서 무언가가 운동하지도 않는 동시에 정지해 있지도 않을 수

있는 시간이란 말일세.―그야 아무 시간도 아니니까요.―허나 

변화한다는 일 없이는 물론 변화하지도 않지.―그럴 듯하지 않죠.

―그러면 언제 변화하는가? 정지한 채로 있으면서도 운동하는 채로

있으면서도 변화하지 않고, 시간 안에 있지면서도 변화하지 않으니.

―그야 변화하지 않으니까요.―그렇다면 혹시 이런 이상한 것인가?

변화할 때, 그 때 그 안에 속할 것 말일세.―어떤 것 말씀이시죠?

                                                               ―Τὸ 

ἐξαίφνης. τὸ γὰρ ἐξαίφνης τοιόνδε τι ἔοικε σημαίνειν, ὡς 

ἐξ ἐκείνου μεταβάλλον εἰς ἑκάτερον. οὐ γὰρ ἔκ γε τοῦ 

ἑστάναι ἑστῶτος ἔτι μεταβάλλει, οὐδ᾿ ἐκ τῆς κινήσεως                         5

κινουμένης ἔτι μεταβάλλει· ἀλλὰ ἡ ἐξαίφνης αὕτη φύσις 

ἄτοπός τις ἐγκάθηται μεταξὺ τῆς κινήσεώς τε καὶ στάσεως, 

ἐν χρόνῳ οὐδενὶ οὖσα, καὶ εἰς ταύτην δὴ καὶ ἐκ ταύτης τό τε              e

κινούμενον μεταβάλλει ἐπὶ τὸ ἑστάναι καὶ τὸ ἑστὸς ἐπὶ τὸ 

κινεῖσθαι.―Κινδυνεύει.

―갑자기란 것 말일세. 갑자기란 것이 이러한 무언가를 의미하는

듯하니, 저것으로부터 [운동과 정지] 그 둘 중 하나로 변화하기에

말일세. 왜냐하면 적어도 여전히 정지해 있는 정지함으로부터는

더 이상 변화하지 않고, 여전히 운동하는 운동으로부터도 더 이상

변화하지 않으니까. 오히려 갑자기라는 이런 이상한 어떤 본성이

운동과 정지 양자 사이에 들어앉아, 그 어떤 시간 안에도 있지

않음으로써 그리하며, 더 나아가 이러한 본성을 향해 그리고

이러한 본성으로부터 운동하는 것도 정지함으로 또 정지한 것도

운동함으로 변화한다네.―그럴지도 모르겠습니다.

                            ―Καὶ τὸ ἓν δή, εἴπερ ἕστηκέ τε καὶ 

κινεῖται, μεταβάλλοι ἂν ἐφ᾿ ἑκάτερα.―μόνως γὰρ ἂν οὕτως 

ἀμφότερα ποιοῖ.―μεταβάλλον δ᾿ ἐξαίφνης μεταβάλλει, καὶ                    5

ὅτε μεταβάλλει, ἐν οὐδενὶ χρόνῳ ἂν εἴη, οὐδὲ κινοῖτ᾿ ἂν 

τότε, οὐδ᾿ ἂν σταίη.―Οὐ γάρ.―Ἆρ᾿ οὖν οὕτω καὶ πρὸς τὰς 

ἄλλας μεταβολὰς ἔχει, ὅταν ἐκ τοῦ εἶναι εἰς τὸ ἀπόλλυσθαι 

μεταβάλλῃ ἢ ἐκ τοῦ μὴ εἶναι εἰς τὸ γίγνεσθαι, μεταξύ                     157a

τινων τότε γίγνεται κινήσεών τε καὶ στάσεων, καὶ οὔτε 

ἔστι τότε οὔτε οὐκ ἔστι, οὔτε γίγνεται οὔτε ἀπόλλυται;

―Ἔοικε γοῦν.

                 ―더욱이 하나 또한, 만일 정말로 정지하면서도

또한 운동하기도 한다면, 그 양자 각각으로 변화할 걸세. 그야 

오직 그런 식으로만 그 양자를 만들어낼 테니 말이지. 그런데 

변화하면서는 갑자기 변화하고, 또한 변화할 때, 그 어떤 시간

속에도 있지 않을 것이며, 그 때에 운동하지도 않을 테고, 

정지하지도 않을 걸세.―않을 테죠.―그렇다면 혹시 다른 

변화들에 대해서도 [하나는] 그런 상태일까? 있음으로부터

파괴됨을 향해 변하거나 있지 않음으로부터 되어짐을 향해

변화할 때, 그때 모종의 운동들과 정지들 사이에서 [하나가

생성]되고, 또한 그 때 [하나는] 있지도 않고 있지 않지도

않으며, 생성되지도 않고 파괴되지도 않는가?―그럴

듯합니다.

                  ―Κατὰ δὴ τὸν αὐτὸν λόγον καὶ ἐξ ἑνὸς        //220214

ἐπὶ πολλὰ ἰὸν καὶ ἐκ πολλῶν ἐφ᾿ ἓν οὔτε ἕν ἐστιν οὔτε                         5

πολλά, οὔτε διακρίνεται οὔτε συγκρίνεται. καὶ ἐξ ὁμοίου 

ἐπὶ ἀνόμοιον καὶ ἐξ ἀνομοίου ἐπὶ ὅμοιον ἰὸν οὔτε ὅμοιον 

οὔτε ἀνόμοιον, οὔτε ὁμοιούμενον οὔτε ἀνομοιούμενον· καὶ 

ἐκ σμικροῦ ἐπὶ μέγα καὶ ἐπὶ ἴσον καὶ εἰς τὰ ἐναντία                          b

ἰὸν οὔτε σμικρὸν οὔτε μέγα οὔτε ἴσον, οὔτε αὐξανόμενον 

οὔτε φθῖνον οὔτε ἰσούμενον εἴη ἄν.―Οὐκ ἔοικε.―Ταῦτα 

δὴ τὰ παθήματα πάντ᾿ ἂν πάσχοι τὸ ἕν, εἰ ἔστιν.―Πῶς 

δ᾿ οὔ;                                                                                     5

                                            ―그럼 같은 논리에 따라 

[하나는] 하나로부터 여럿들로 이행하면서 또한 여럿들로부터

하나로 이행하면서 하나로 있지도 여럿들로 있지도 않고,

분산되지도 않고 수렴되지도 않는다네. 마찬가지임으로부터 

안-마찬가지임으로도 안-마찬가지임으로부터

마찬가지임으로도 이행하면서 마찬가지인 것으로도

안-마찬가지인 것으로도 있지 않고, 마찬가지로 되어가지도

안-마찬가지로 되어가지도 않음으로써 그러하지. 작은

것으로부터 큰 것으로 또 같은 양으로 그리고 그 반대로

이행하면서도 작은 것으로도 큰 것으로도 같은 양인

것으로도 있지 않으니, 증가하는 것으로도 감소하는

것으로도 평준화되는 것으로도 있지 않을 걸세.―있지 않을

듯합니다.―그래서 이러한 상태들을 모두 하나가 겪을 테지,

있다면 말일세.―어찌 아니겠습니까?

 

 Τί δὲ τοῖς ἄλλοις προσήκοι ἂν πάσχειν, ἓν εἰ ἔστιν, 

ἆρα οὐ σκεπτέον;―Σκεπτέον.―Λέγωμεν δή, ἓν εἰ ἔστι, 

τἆλλα τοῦ ἑνὸς τί χρὴ πεπονθέναι;―Λέγωμεν.―Οὐκοῦν 

ἐπείπερ ἄλλα τοῦ ἑνός ἐστιν, οὔτε τὸ ἕν ἐστι τἆλλα· οὐ 

γὰρ ἂν ἄλλα τοῦ ἑνὸς ἦν.―Ὀρθῶς.―Οὐδὲ μὴν στέρεταί                     c

γε παντάπασι τοῦ ἑνὸς τἆλλα, ἀλλὰ μετέχει πῃ.―Πῇ δή;

 그런데, 하나로 있다면, 여타의 것들에게 무엇이 겪기에 적절할 

것인지, 혹시 살펴보아야만 하지 않나?―살펴보아야만 합니다.

―그럼 우리 논해보도록 할까? 하나로 있다면, 하나 이외의

것들은 무엇을 겪었어야만 하는지 말일세.―논해 보죠.―그럼 

만일 정말로 그것들이 하나 이외의 것들로 있다면, 하나 또한 

여타의 것들로 있지 않지 않나 하네. 그리 있었더라면 여타의

것들은 하나 이외의 것들로 있지 않았을 테니까.―옳게

말씀하셨습니다.물론 여타의 것들이 하나를 전면적으로

결여하지도 않고, 오히려 어떤 식으로는 [하나에] 참여하고

있지.―어떤 점에서요?

―Ὅτι που τὰ ἄλλα τοῦ ἑνὸς μόρια ἔχοντα ἄλλα ἐστίν· εἰ γὰρ 

μόρια μὴ ἔχοι, παντελῶς ἂν ἓν εἴη.―Ὀρθῶς.―Μόρια δέ 

γε, φαμέν, τούτου ἐστὶν ὃ ἂν ὅλον ᾖ.―Φαμὲν γάρ.―Ἀλλὰ                     5

μὴν τό γε ὅλον ἓν ἐκ πολλῶν ἀνάγκη εἶναι, οὗ ἔσται μόρια 

τὰ μόρια· ἕκαστον γὰρ τῶν μορίων οὐ πολλῶν μόριον χρὴ 

εἶναι, ἀλλὰ ὅλου.―Πῶς τοῦτο;―Εἴ τι πολλῶν μόριον εἴη, 

ἐν οἷς αὐτὸ εἴη, ἑαυτοῦ τε δήπου μόριον ἔσται, ὅ ἐστιν                      d

ἀδύνατον, καὶ τῶν ἄλλων δὴ ἑνὸς ἑκάστου, εἴπερ καὶ πάντων. 

                            ―아마 하나 이외의 것들은 몫들을

지님으로써 여타의 것들로 있단 말이지. 왜냐하면 만일 몫들을

지니지 않는다면, 완전히 하나로 있을 테니까.―옳게

말씀하셨습니다.―그런가 하면 몫들은, 우리가 주장하였기로는,

전체일 바의 그것의 [몫인] 것으로 있었지.―그야 우리가 그리

주장했죠.―그렇긴 하네만 어쨌든 전체란 것은 여럿으로부터

이루어진 하나로 있음이 필연적이라네. 그 하나의 몫들이 바로

그 몫들로 있게 될 그러한 하나 말일세. 왜냐하면 몫들의 각각은

여럿들의 몫이어야만 하는 게 아니라, 전체의 몫이어야만 하기

때문이지.―그런 것을 어찌 말씀하십니까?―만일 무언가가

여럿들의 부분으로, 그것들 안에 있을, 그런 부분으로 있다면,

분명 자기 자신의 부분으로도 있을 것이고, 이는 불가능한

것이며, 더 나아가 [자신] 이외의 것들 각기 하나에 대해서도

[부분으로] 있을 것이니, 만일 정말로 그 모든 것들에 대해서

부분으로 있다면 그럴 걸세. 

ἑνὸς γὰρ μὴ ὂν μόριον, πλὴν τούτου τῶν ἄλλων ἔσται, καὶ 

οὕτως ἑνὸς ἑκάστου οὐκ ἔσται μόριον, μὴ ὂν δὲ μόριον ἑκάστου 

οὐδενὸς τῶν πολλῶν ἔσται. μηδενὸς δὲ ὂν πάντων τούτων                  5

τι εἶναι, ὧν οὐδενὸς οὐδέν ἐστι, καὶ μόριον καὶ ἄλλο ὁτιοῦν 

ἀδύνατον [εἶναι].―Φαίνεταί γε δή.―Οὐκ ἄρα τῶν πολλῶν                     //220221

οὐδὲ πάντων τὸ μόριον μόριον, ἀλλὰ μιᾶς τινὸς ἰδέας καὶ 

ἑνός τινος ὃ καλοῦμεν ὅλον, ἐξ ἁπάντων ἓν τέλειον γεγονός,             e

τούτου μόριον ἂν τὸ μόριον εἴη.―Παντάπασι μὲν οὖν.―Εἰ 

ἄρα τἆλλα μόρια ἔχει, κἂν τοῦ ὅλου τε καὶ ἑνὸς μετέχοι.

                                  왜냐하면 하나에 대해 그 부분으로

있지 않다면, 이 하나를 제외한 여타의 것들에 대해 [부분으로]

있을 것이고, 그래서 그렇게 각기 하나에 대해서 부분으로 있지

않을 것이며, 그런데 각각의 부분으로 있지 않음으로써 여럿들

중 그 무엇에 대해서도 [부분으로] 있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지.

그런데 이러한 모든 것들에 대해, 그것들 중 그 무엇에 대해서도

그 무엇도 속하여 있지 않은 것들에 대해, 그것들 중 그 무엇에

대해서도 속하여 있지 않은 어떤 것은, 몫으로도 그 외의

무엇으로도 있기가 불가능한 것이라네.―어느모로 보나 그렇긴

합니다.―그리 나타나 보이긴 합니다.―그래서 부분이란 모든

여럿들의 부분이 아니라, 모종의 단일한 형상이자 우리가 전체라

부르는 어떤 하나, 온갖 것들로부터 완전히 하나로 된 것, 바로

그것의 부분으로 부분이란 것은 있을 걸세.―그래서 만일 여타의

것들이 몫들을 가진다면, 전체이자 하나인 것에도 참여할 테지.

―Πάνυ γε.―Ἓν ἄρα ὅλον τέλειον μόρια ἔχον ἀνάγκη εἶναι 

τἆλλα τοῦ ἑνός.―Ἀνάγκη.―Καὶ μὴν καὶ περὶ τοῦ μορίου γε                  5

ἑκάστου ὁ αὐτὸς λόγος· καὶ γὰρ τοῦτο ἀνάγκη μετέχειν 

τοῦ ἑνός. εἰ γὰρ ἕκαστον αὐτῶν μόριόν ἐστι, τό γε ἕκαστον           158a

εἶναι ἓν δήπου σημαίνει, ἀφωρισμένον μὲν τῶν ἄλλων, καθ᾿ 

αὑτὸ δὲ ὄν, εἴπερ ἕκαστον ἔσται.―Ὀρθῶς.―Μετέχοι δέ γε 

ἂν τοῦ ἑνὸς δῆλον ὅτι ἄλλο ὂν ἢ ἕν· οὐ γὰρ ἂν μετεῖχεν, 

ἀλλ᾿ ἦν ἂν αὐτὸ ἕν. νῦν δὲ ἑνὶ μὲν εἶναι πλὴν αὐτῷ τῷ ἑνὶ                    5

ἀδύνατόν που.―Ἀδύνατον. 

                                  ―물론입니다.―그럼 부분들을

지니는 완결된 전체로서의 하나로 하나 이외의 것들이 있음이

필연적이지.―필연적이죠.―그런데다가 각각의 몫에

관련하여서도 같은 논리가 성립한다네. 왜냐하면 이런 것도

하나에 참여한다는 게 필연적이기 때문이지. 즉 만일 [이런 것이]

그 여타의 것들의 각각의 몫으로 있다면, 적어도 각각이란 것은

분명 하나로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걸세. 여타의 것들로부터

별도로 규정되는 한편, 그 자신에 따라 있음으로써 말일세. 만일

정말로 각각의 것으로 있을 것이라면 말일세.―옳게

말씀하셨습니다.―그런가 하면 하나 말고 그 외의 것으로

있음으로써 하나에 참여하리란 건 분명하지. 그야 참여하지 

않았더라면, 하나 자체로 있었을 테니 말일세. 그런데 이제 하나

자체가 아니고서는 하나로 있기란 아마도 불가능하지.―불가능하죠.

> 각 몫의 '각'은 하나로 있음을 의미하고, 그런데 각 몫은 여럿으로

된 전체의 몫으로서만 몫일 수 있고, 그러한 전체는 몫들을 모두 모은 

하나여야 하며, 여럿 또한 몫들을 가지지 않고서는 여럿으로 있을 수 

없기에 몫들을 지니기 위해 전체로서의 하나여야 한다. 이렇게 여럿들은 

전체로서의 하나에 참여해야(어디에 명시되는지 확인 필요) 하고, 몫은 

이러한 전체의 몫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또 역시 하나에 참여해야 한다.

이 경우 여럿과 그 몫들은 하나에 대한 참여자이고 하나는 이것들의

참여대상으로 서로 구분된다. 여럿과 몫들은 하나 자체와는 다른 것이다. 

그런데 각 몫은 여타의 것들과 구분되는 한편, 그 자체로 있음으로써,

그런 식으로 하나로 있다. 그러나 하나 자체 외에는 하나로 있음이 

불가능하므로, 몫은 하나로 있을 수 없다.

> 앞서 여럿들과 그 몫들이 하나에 참여하는 과정에 대한 서술은 

지금 여기에서 '여타의 것들로부터 구분되어 그 자체로 있음으로써' 

하나로 있게 되는 것과 대비되는 서술인가? 아니면 앞서의 참여과정을 

거쳐서 여럿들도 그 몫들 각각도 전체로서의 하나나 각 부분 하나하나로 

있게되는가? 

> 여럿은 몫들을 가져야 하고, 몫은 전체의 몫이어야 하고, 전체는 

하나여야 하니, 여럿은 전체여야 한다. 이렇게 여럿은 하나에 참여한다.

각 몫은 여타의 것과 구분되면서 그 자체로 있음으로써 하나로 있음을 

의미한다. > 이것도 하나에 참여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인가?

                                   ―Μετέχειν δέ γε τοῦ ἑνὸς ἀνάγκη 

τῷ τε ὅλῳ καὶ τῷ μορίῳ. τὸ μὲν γὰρ ἓν ὅλον ἔσται, οὗ 

μόρια τὰ μόρια· τὸ δ᾿ αὖ ἕκαστον ἓν μόριον τοῦ ὅλου, ὃ ἂν ᾖ 

μόριον ὅλου.―Οὕτως.―Οὐκοῦν ἕτερα ὄντα τοῦ ἑνὸς μεθέξει              b //220228

τὰ μετέχοντα αὐτοῦ;―Πῶς δ᾿ οὔ;―Τὰ δ᾿ ἕτερα τοῦ ἑνὸς 

πολλά που ἂν εἴη· εἰ γὰρ μήτε ἓν μήτε ἑνὸς πλείω εἴη 

τἆλλα τοῦ ἑνός, οὐδὲν ἂν εἴη.―Οὐ γὰρ οὖν.

                                                  ―그런가 하면 전체에게든 

몫에게든 하나에 참여한다는 건 필연적이라네. 왜냐하면 하나는 

몫들이란 것이 그것의 몫들로 있을 그러한 전체로서 있을 것이고, 

반면 이번엔 각각의 하나는 그 전체에 대해 전체의 몫으로 있을 

그러한 몫으로 있을 것이기 때문이지.―그렇습니다.―그렇다면 

하나와는 다른 것들로 있음으로써 그것에 참여하는 것들이 그것에

참여하지 않겠나?―어찌 아니겠습니까?―그런데 하나와는 다른 

것들은 아마 여럿들로 있겠지. 왜냐하면 만일 하나로도 하나보다 

더 많은 것들로도 하나 이외의 것들이 있지 않다면, 그건

아무것으로도 있지 않을 테니 말일세.―그야 있지 못할 테죠.

>ἕτερα ὄντα τοῦ ἑνὸς: 분사를 이유로 볼 것인가, 아니면 부대상황이나 

동시동작 혹은 방법이나 상태로 볼 것인가? 

이유로 볼 경우, 같은 것은 참여하지 않고 그 자체로 하나일 것이므로, 

같지 않고 다르기 '때문에' 하나에 참여한다는 해석.

부대상황으로 볼 경우, 하나에 참여하는 것은 그 참여결과로 인해 

하나가 되고 하나와 같아질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결과가 

나오는 과정에서 전제되는 것은 참여자와 참여대상이 서로 다르고 

구분된다는 해석. 하나와 다른 것으로서 하나에 참여한다, 하나와 

다른 것이 하나가 되어 버린다?

첫 번째 제안은 하나와 같은 것의 경우에도 참여가 고려될 여지를 

배제하고자 한다. 그러나 두 번째 제안은 하나와 같은 것이 하나에 

참여하는 경우를 따로 독립적 논의로 다룰 여지를 남겨두고자 한다.

 Ἐπεὶ δέ γε πλείω ἑνός ἐστι τά τε τοῦ ἑνὸς μορίου καὶ τὰ                   5

τοῦ ἑνὸς ὅλου μετέχοντα, οὐκ ἀνάγκη ἤδη πλήθει ἄπειρα 

εἶναι αὐτά γε ἐκεῖνα τὰ μεταλαμβάνοντα τοῦ ἑνός;―Πῶς;―

Ὧδε ἴδωμεν. ἄλλο τι οὐχ ἓν ὄντα οὐδὲ μετέχοντα τοῦ ἑνὸς 

τότε, ὅτε μεταλαμβάνει αὐτοῦ, μεταλαμβάνει;―Δῆλα δή.―

Οὐκοῦν πλήθη ὄντα, ἐν οἷς τὸ ἓν οὐκ ἔνι;―Πλήθη μέντοι.                 c

 그런가 하면 하나의 몫에 참여하는 것들도 하나 전체에 참여하는 

것들도 하나보다 더 많은 것들로 있으니, 이미 하나에 관여하는 

저것들 그 자체가 다수로 보면 무한한 것들임이 필연적이지 

않은가?―어째서요?―다음과 같이 알아보세. [그것들이] 하나에 

관여하는 때에는, 다름 아니라 그 때에 [그것들이] 하나로 있지

않으며 하나에 참여하지도 않은 채로, 관여하지?―그것들은 실로

분명 그러한 것들로서 그리합니다.―그렇다면 [그것들은] 복수의 

것들로 있음으로써, 즉 하나가 그 안에 들어 있지 않은 그런 것들로 

있음으로써 그러하지 않나?―물론 복수의 것들로서 그렇죠.

> μετέχοντα 와 μεταλαμβάνει는 모두 현재 시제이고, 두 용어가 

교환가능하다면 여기에서 지적되는 문제는 관여하는 것이 관여하는 

때에 참여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서 관여한다는 것, A이면서 ~A라는

이야기가 된다. 

―Τί οὖν; εἰ ἐθέλοιμεν τῇ διανοίᾳ τῶν τοιούτων ἀφελεῖν ὡς 

οἷοί τέ ἐσμεν ὅτι ὀλίγιστον, οὐκ ἀνάγκη καὶ τὸ ἀφαιρεθὲν 

ἐκεῖνο, εἴπερ τοῦ ἑνὸς μὴ μετέχοι, πλῆθος εἶναι καὶ οὐχ ἕν;―

Ἀνάγκη.―Οὐκοῦν οὕτως ἀεὶ σκοποῦντες αὐτὴν καθ᾿ αὑτὴν                 5

τὴν ἑτέραν φύσιν τοῦ εἴδους ὅσον ἂν αὐτῆς ἀεὶ ὁρῶμεν ἄπειρον 

ἔσται πλήθει;―Παντάπασι μὲν οὖν.―Καὶ μὴν ἐπειδάν γε                        //220307

ἓν ἕκαστον μόριον μόριον γένηται, πέρας ἤδη ἔχει πρὸς                  d

ἄλληλα καὶ πρὸς τὸ ὅλον, καὶ τὸ ὅλον πρὸς τὰ μόρια.―

Κομιδῇ μὲν οὖν.

―그렇다면 어떤가? 만일 우리가 이러한 것들로부터 우리가 할

있는 최소한의 것을 뽑아내려 한다면, 그 뽑힌 저것 역시,

만일 정말로 하나에 참여하지 않는다면야, 복수로 있고 하나로

있지 않음이 필연적이지 않은가?―필연적입니다.―그렇다면

그런 식으로 언제나 그 형상과는 다른 본성을 그 자체로

고찰하면서 그 형상에 대해 언제나 목도하는 바는 복수로 보면

무한한 것으로 있지 않겠나?―전적으로 그렇긴 합니다.―그런가

하면 각기 하나의 몫이 몫으로 되고나면, 이미 서로에 대해서도

전체인 것에 대해서도 한계를 지니고, 전체인 것도 몫인 것들에

대해 그러하지.―정확히 그렇습니다.

> '최소인 것'으로 상정된 형상의 본래 본성은 가장 작은 것, 점, 하나이다.

그런데 사유로써 검토하면 그것은 하나 이외의 것으로서 여럿이므로, 

상정된 본성과는 '다른 본성'으로서 여럿이라는 본성이 나온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은 검토를 반복할 때마다 매번 반복된다.

> By Lee. 1) 처음 전제된 여럿 자체가 한정이 없었거나

             2) 여럿의 본성에 따라 찾은 최소한의 것을 '매번' '여럿의 본성에 따라'

                 고찰할 때마다 여럿인 것들이 여러 차례 나올 테니 여럿의 여럿 제곱...

             3) 최소한의 것, 점까지 가더라도 여전히 하나에는 참여하지 않는다.

                    ―Τοῖς ἄλλοις δὴ τοῦ ἑνὸς συμβαίνει ἐκ μὲν 

τοῦ ἑνὸς καὶ ἐξ ἑαυτῶν κοινωνησάντων, ὡς ἔοικεν, ἕτερόν τι 

γίγνεσθαι ἐν ἑαυτοῖς, ὃ δὴ πέρας παρέσχε πρὸς ἄλληλα· ἡ                  5

δ᾿ ἑαυτῶν φύσις καθ᾿ ἑαυτὰ ἀπειρίαν.―Φαίνεται.―Οὕτω δὴ 

τὰ ἄλλα τοῦ ἑνὸς καὶ ὅλα καὶ κατὰ μόρια ἄπειρά τέ ἐστι 

καὶ πέρατος μετέχει.―Πάνυ γε.

                                                            ―그래서 하나 

이외의 것들에게는 한편으로 그 하나로부터 그리고 공유한 그들 

자신들로부터, 그럴 듯하기로는, 자신들 안에 다른 무엇인가가 

생성되는 일이 귀결되니, 그것은 그것들 서로에 대해 한정을 

부여하는 것이라네. 다른 한편 그 자신들의 본성은 그들 자신들에 

따라 무한을 부여하지.―그리 보입니다.―그래서 그런 식으로 

하나 이외의 것들은 전체들로서도 부분들에 따라서도 무한한 

것들로 있으면서도 한정에 참여하기도 하지.―물론입니다.

> τοῦ ἑνὸς καὶ ἐξ ἑαυτῶν κοινωνησάντων: 각 몫 하나씩과 

전체를 구성하는 여럿들의 결합. 각각으로서의 하나와 전체로서의 

하나로부터는 한계가 나온다.

 Οὐκοῦν καὶ ὅμοιά τε καὶ ἀνόμοια ἀλλήλοις τε καὶ ἑαυτοῖς;                e

―Πῇ δή;―Ἧι μέν που ἄπειρά ἐστι κατὰ τὴν ἑαυτῶν φύσιν 

πάντα, ταὐτὸν πεπονθότα ἂν εἴη ταύτῃ.―Πάνυ γε.―Καὶ μὴν 

ᾗ γε ἅπαντα πέρατος μετέχει, καὶ ταύτῃ πάντ᾿ ἂν εἴη ταύτὸν

πεπονθότα.―Πῶς δ᾿ οὔ;―Ἧι δέ γε πεπερασμένα τε εἶναι                   5

καὶ ἄπειρα πέπονθεν, ἐναντία πάθη ἀλλήλοις ὄντα ταῦτα τὰ 

πάθη πέπονθεν.―Ναί.―Τὰ δ᾿ ἐναντία γε ὡς οἷόν τε ἀνο-            159a

μοιότατα.―Τί μήν;―Κατὰ μὲν ἄρα ἑκάτερον τὸ πάθος 

ὅμοια ἂν εἴη αὐτά τε αὑτοῖς καὶ ἀλλήλοις, κατὰ δ᾿ ἀμφότερα 

ἀμφοτέρως ἐναντιώτατά τε καὶ ἀνομοιότατα.―Κινδυνεύει.

 그렇다면 [하나 외의 것들은] 서로와도 자신들과도 마찬가지인

것들로도 안-마찬가지인 것들로도 있기도 하지 않나?―실로

어떤 점에서요?―한편으로는 아마도 그 자신들의 본성에 따라

그 모든 것들이 무한한 것들로 있다는 측면에서, 같은 일을 같은

식으로 겪은 것들로서 있을 테지.―물론입니다.―그런가 하면

이 모든 것들이 한계에 참여한다는 측면에서, 이런 식으로도 그

모든 것들은 같은 일을 겪은 것들로 있을 걸세.―어찌

아니겠습니까?―그런가 하면 한정된 것들로도 또 무한한

것들로도 있음을 겪었다는 측면에서는, 서로 반대되는 겪음들로

있는 그러한 겪음들을 겪었지.―네.―그런데 적어도 반대되는

것들은 가능한 한 최대로 안-마찬가지인 것들이지.―왜 

아니겠습니까?―그래서 그 양편 각각의 겪음에 따라서는

그것들이 자신과도 서로간에도 마찬가지인 것들로 있을 테고, 

양편 모두에 따라서는 양편 모두의 방식으로 가장 반대되는 

것들로서 또한 가장 안-마찬가지인 것들로서 있을 걸세.―

그럴지도 모르겠습니다.

 

―Οὕτω δὴ τὰ ἄλλα αὐτά τε αὑτοῖς καὶ ἀλλήλοις ὅμοιά τε καὶ                 5

ἀνόμοια ἂν εἴη.―Οὕτως.―Καὶ ταὐτὰ δὴ καὶ ἕτερα ἀλλήλων, 

καὶ κινούμενα καὶ ἑστῶτα, καὶ πάντα τὰ ἐναντία πάθη οὐκέτι 

χαλεπῶς εὑρήσομεν πεπονθότα τἆλλα τοῦ ἑνός, ἐπείπερ καὶ 

ταῦτα ἐφάνη πεπονθότα.―Ὀρθῶς λέγεις.                                     b

―그래서 그렇게 여타의 것들은 스스로 자신과도 또 서로간에도 

마찬가지인 것들로도 안-마찬가지인 것들로도 있을 걸세.―그렇죠.

―더 나아가 같은 것들이자 서로와 다른 것들로도 있고, 운동하는 

것들이자 정지한 것들로도 있으면서, 모든 반대되는 겪음들을

하나 이외의 것들이 겪었다는 것을 우리가 더 이상 찾기 어렵지

않을 걸세, 이러한 것들도 겪은 것으로 드러났으니 말일세.―옳은

말씀이십니다.

 

-蟲-

여전히 수치와 오욕뿐인 삶.

말하자면,

씨발 개쪽팔리는 거 좆같아서 못 살겠네.

이제 내가 그냥 멍청하고 게으른 것뿐만 아니라

정직하지 못한 것은 아닌가 하는 의심까지 든다.

내가 내가 아니고 제3자였더라면

쳐뒈지지 왜 사니 공기 아깝게, 라고 다정히 속삭여주고 싶은

희망찬 새해다.

+

작년에는

전두환이가 감옥이 아닌 곳에서 병사하였고

박근혜는 사면을 받아 감옥을 나왔다.

차별이 금지되고 노동자가 죽지 않는 새해였으면 좋겠다.

대선은 기대되지 않는다.

+

배은심 여사께서 별세하셨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

 

-蟲-

 Τρίτον δ᾿ αὖ νοσημάτων εἶδος τριχῇ δεῖ διανοεῖσθαι //211120

γιγνόμενον, τὸ μὲν ὑπὸ πνεύματος, τὸ δὲ φλέγματος, τὸ δὲ           d

χολῆς. 

 그런가 하면 이번엔 질병들 중 세 번째 종류(형상)는 세 가지로

생성되는 것이라 사유되어야 하는데, 한편으로는 숨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는 점액에 의해서, 또 다른 한편으로는 담즙에

의해 생성되는 종류라 사유되어야 합니다. 

         ὅταν μὲν γὰρ ὁ τῶν πνευμάτων τῷ σώματι ταμίας 
πλεύμων μὴ καθαρὰς παρέχῃ τὰς διεξόδους ὑπὸ ῥευμάτων 

φραχθείς, ἔνθα μὲν οὐκ ἰόν, ἔνθα δὲ πλεῖον ἢ τὸ προσῆκον 

πνεῦμα εἰσιὸν τὰ μὲν οὐ τυγχάνοντα ἀναψυχῆς σήπει, τὰ                5

δὲ τῶν φλεβῶν διαβιαζόμενον καὶ συνεπιστρέφον αὐτὰ 

τῆκόν τε τὸ σῶμα εἰς τὸ μέσον αὐτοῦ διάφραγμά τ᾿ ἴσχον 

ἐναπολαμβάνεται, καὶ μυρία δὴ νοσήματα ἐκ τούτων ἀλγεινὰ         e

μετὰ πλήθους ἱδρῶτος πολλάκις ἀπείργασται. 

                                                   신체에 있어 숨의

관리자인 폐가 흐름들에 의해 폐쇄되어 정화되지 못한 출구들을

제공할 때에는, 한편에서는 숨이 나아가지 못하고, 또 다른

한편에서는 적정 수준보다 더 많은 숨이 들어와 환기가 이뤄지지

못하는 부분들은 부패시키는 한편, 혈관에 속한 부분들은 강제로

통과하며 그것들을 비틀어 신체를 용해시키고 그 신체의 중심으로

횡경막을 붙든 채로 들어가, 더 나아가 이런 일들로부터 수 많은

고통스러운 여러가지 질병들이 다량의 발한을 동반하여 발현되기

때문입니다.

                                                           πολλάκις δ᾿ 

ἐν τῷ σώματι διακριθείσης σαρκὸς πνεῦμα ἐγγενόμενον καὶ 

ἀδυνατοῦν ἔξω πορευθῆναι τὰς αὐτὰς τοῖς ἐπεισεληλυθόσιν 

ὠδῖνας παρέσχεν, μεγίστας δέ, ὅταν περὶ τὰ νεῦρα καὶ τὰ              5

ταύτῃ φλέβια περιστὰν καὶ ἀνοιδῆσαν τούς τε ἐπιτόνους καὶ 

τὰ συνεχῆ νεῦρα οὕτως εἰς τὸ ἐξόπισθεν κατατείνῃ τούτοις· 

ἃ δὴ καὶ ἀπ᾿ αὐτοῦ τῆς συντονίας τοῦ παθήματος τὰ νοσή-

ματα τέτανοί τε καὶ ὀπισθότονοι προσερρήθησαν. 

              그런데 종종 신체 내에서 살이 해체되어서 숨이

내부에 발생하고 밖으로 나가지 못함으로써 유입된 것들과 같은

통증들을 내놓으며, 그런데 가장 큰 통증들은, [숨이] 신경들과

그곳의 혈관 주위를 감싸고 팽창하여 상완인대와 또한 이것들에

이어지는 신경들을 그렇게 뒤로 당길 때 [가장 큰 통증들을 

내놓는 것] 입니다. 더욱이 그러한 긴장의 바로 그 상태로부터

유래한 질병들이 경직들이나 후궁반장이라 불려왔습니다.

                                                                 ὧν καὶ 

τὸ φάρμακον χαλεπόν· πυρετοὶ γὰρ οὖν δὴ τὰ τοιαῦτα ἐπι-             10

γιγνόμενοι μάλιστα λύουσιν. τὸ δὲ λευκὸν φλέγμα διὰ τὸ             85a

τῶν πομφολύγων πνεῦμα χαλεπὸν ἀποληφθέν, ἔξω δὲ τοῦ 

σώματος ἀναπνοὰς ἴσχον ἠπιώτερον μέν, καταποικίλλει δὲ 

τὸ σῶμα λεύκας ἀλφούς τε καὶ τὰ τούτων συγγενῆ νοσή-

ματα ἀποτίκτον.                                                                   5

그러한 것들에 대한 치료제 또한 가혹합니다. 물론 열들이 실은

이런 것들에 뒤따라 생성되어 이것들을 가장 잘 해체하지요.

그런데 백색 점액이 그 거품들의 숨으로 인해 붙들리면 위험한

것이나, 신체 외부로 호흡구들을 지니면 한결 온화하되, 신체를

백반증과 나병환으로 얼룩지게 하는가 하면 이와 동종의 질병들을

발생시키도 하였습니다.

                      μετὰ χολῆς δὲ μελαίνης κερασθὲν ἐπὶ τὰς              5

περιόδους τε τὰς ἐν τῇ κεφαλῇ θειοτάτας οὔσας ἐπισκεδαννύ-

μενον καὶ συνταράττον αὐτάς, καθ᾿ ὕπνον μὲν ἰὸν πρᾳΰτερον, 

ἐγρηγορόσιν δὲ ἐπιτιθέμενον δυσαπαλλακτότερον· νόσημα            b

δὲ ἱερᾶς ὂν φύσεως ἐνδικώτατα ἱερὸν λέγεται. 

                              반면 검은 담즙과 함께 혼합되어서 

머리 안의 가장 신적인 것들로 있는 궤도들에 흩뿌려지고 또한

그 궤도들을 교란시킬 경우, 수면 중에는 더 온화하게 진행되지만,

각성상태에 있는 자들에게 성립될 때에는 한결 벗어나기 곤란한

것입니다. 헌데 신성한 본성에 속한 질병은 신병이라고 말해지는

편이 가장 합당하죠.

                                                           φλέγμα 

δ᾿ ὀξὺ καὶ ἁλμυρὸν πηγὴ πάντων νοσημάτων ὅσα γίγνεται 

καταρροϊκά· διὰ δὲ τοὺς τόπους εἰς οὓς ῥεῖ παντοδαποὺς 

ὄντας πνατοῖα ὀνόματα εἴληφεν. ὅσα δὲ φλεγμαίνειν λέγεται            5

τοῦ σώματος, ἀπὸ τοῦ κάεσθαί τε καὶ φλέγεσθαι, διὰ χολὴν 

γέγονε πάντα. 

                         반면 시고 짠 점액은 카타르성이 되는 모든

질병들의 원천입니다. 그런데 [그 점액이] 흘러들어가는 장소들이

온갖 곳들인 탓에 온갖 이름을 얻었지요. 반면 염증을 일으킨다고

말해지는 신체의 질병들은, 열이 나고 화농됨으로부터 그리

말해지는데, 모두 담즙으로 인해 생겨났습니다.

                   λαμβάνουσα μὲν οὖν ἀναπνοὴν ἔξω παντοῖα 

ἀναπέμπει φύματα ζέουσα, καθειργνυμένη δ᾿ ἐντὸς πυρίκαυτα       c

νοσήματα πολλὰ ἐμποιεῖ, μέγιστον δέ, ὅταν αἵματι καθαρῷ 

συγκερασθεῖσα τὸ τῶν ἰνῶν γένος ἐκ τῆς ἑαυτῶν διαφορῇ 

τάξεως, αἳ διεσπάρησαν μὲν εἰς αἷμα, ἵνα συμμέτρως λεπτό-

τητος ἴσχοι καὶ πάχους καὶ μήτε διὰ θερμότητα ὡς ὑγρὸν               5

ἐκ μανοῦ τοῦ σώματος ἐκρέοι, μήτ᾿ αὖ πυκνότερον δυσκίνητον 

ὂν μόλις ἀναστρέφοιτο ἐν ταῖς φλεψίν.                                     d

                                                        그리하여 외부로

숨구멍을 취하여 끓어올라서 온갖 종양들을 내보내는가 하면, 

내부에 갇혀서는 염증을 일으키는 여러 질병들을 만들어내는데,

가장 심각한 경우는, [담즙이] 순수한 혈액과 혼합되어서 섬유의

부류가 자신들의 배열로부터 흩어져 버릴 때인데, [원래] 섬유들은

혈액 속으로 흩어져 들어가서, 혈액이 희박함과 조밀함의 적절한

상태를 이루고 열로 인해 성긴 신체를 통해 액체처럼 흘러나오는

일도 없도록, 또 이번엔 더욱 조밀해져 거의 움직이기 어려운

것으로서 혈관들 속에서 역류하지도 않도록 합니다.

                                                   καιρὸν δὴ τούτων             d

ἶνες τῇ τῆς φύσεως γενέσει φυλάττουσιν· ἃς ὅταν τις καὶ 

τεθνεῶτος αἵματος ἐν ψύξει τε ὄντος πρὸς ἀλλήλας συνα-

γάγῃ, διαχεῖται πᾶν τὸ λοιπὸν αἷμα, ἐαθεῖσαι δὲ ταχὺ μετὰ 

τοῦ περιεστῶτος αὐτὸ ψύχους συμπηγνύασιν.                               5

                                                  그래서 이러한 것들의

적도를 섬유들이 자연스러운 생성으로 수호합니다. 누군가가

죽은 채로 냉각되어 있는 혈액의 섬유들을 그것들끼리 한 데

모을 경우, 남은 혈액 모두는 액화되고, 섬유들이 방치되면 금새

그것[죽은 피] 주위의 냉기와 더불어 응고시키지요.

                                                          ταύτην δὴ                 5

τὴν δύναμιν ἐχουσῶν ἰνῶν ἐν αἵματι χολὴ φύσει παλαιὸν 

αἷμα γεγονυῖα καὶ πάλιν ἐκ τῶν σαρκῶν εἰς τοῦτο τετηκυῖα, 

θερμὴ καὶ ὑγρὰ κατ᾿ ὀλίγον τὸ πρῶτον ἐμπίπτουσα πήγνυται 

διὰ τὴν τῶν ἰνῶν δύναμιν, πηγνυμένη δὲ καὶ βίᾳ κατα-                 e

σβεννυμένη χειμῶνα καὶ τρόμον ἐντὸς παρέχει. 

                                                             그래서

섬유가 이러한 능력을 지녔기에 혈액 내에서 담즙은 자연상태의

오래된 혈액이 된 것이고 다시 살로부터 이러한 혈액 속으로

용해되어, 열과 수분을 우선 조금씩 침투시키면 섬유의 능력으로

인해 응고되고, 응고되면서는 억지로 사그라들어 추위와 오한을

내부에 제공합니다.

                                                             πλείων δ᾿ 

ἐπιρρέουσα, τῇ παρ᾿ αὐτῆς θερμότητι κρατήσασα τὰς ἶνας 

εἰς ἀταξίαν ζέσασα διέσεισεν· καὶ ἐὰν μὲν ἱκανὴ διὰ τέλους 

κρατῆσαι γένηται, πρὸς τὸ τοῦ μυελοῦ διαπεράσασα γένος             5

κάουσα ἔλυσεν τὰ τῆς ψυχῆς αὐτόθεν οἷον νεὼς πείσματα 

μεθῆκέν τε ἐλευθέραν, ὅταν δ᾿ ἐλάττων ᾖ τό τε σῶμα 

ἀντίσχῃ τηκόμενον, αὐτὴ κρατηθεῖσα ἢ κατὰ πᾶν τὸ σῶμα 

ἐξέπεσεν, ἢ διὰ τῶν φλεβῶν εἰς τὴν κάτω συνωσθεῖσα ἢ 

τὴν ἄνω κοιλίαν, οἷον φυγὰς ἐκ πόλεως στασιασάσης ἐκ                10

τοῦ σώματος ἐκπίπτουσα, διαρροίας καὶ δυσεντερίας καὶ τὰ      86a

τοιαῦτα νοσήματα πάντα παρέσχετο. 

                                                      그런데 [담즙이] 더

많이 유입되면, 담즙 쪽의 열로써 섬유들을 혼란스러운 배열로

제압해 넣어 끓여서 뒤흔들어 버립니다. 또한 만일 담즙이

궁극적으로 제압하기에 충분하게 된다면, 골수의 부류를

관통하여 연소시켜 영혼의 닷줄들을 마치 배의 닷줄을 풀듯

풀어 영혼을 자유롭게 해방시키고, 반면 [담즙이] 더 적고 신체

또한 용해되는 일에 저항할 경우에는, [담즙] 자신이 제압당하여 

신체 전체를 따라 빠져나가거나, 아니면 혈관들을 통하여 상부

복강 쪽이나 하부 복강 쪽으로 한꺼번에 떠밀리고서, 내전을

겪은 도시로부터의 추방자들처럼 신체로부터 빠져나가서, 

설사와 이질 그리고 이와 같은 종류의 온갖 질병들을

내놓습니다.

                                                 τὸ μὲν οὖν ἐκ πυρὸς 

ὑπερβολῆς μάλιστα νοσῆσαν σῶμα συνεχῆ καύματα καὶ 

πυρετοὺς ἀπεργάζεται, τὸ δ᾿ ἐξ ἀέρος ἀμφημερινούς, τριταίους 

δ᾿ ὕδατος διὰ τὸ νωθέστερον ἀέρος καὶ πυρὸς αὐτὸ εἶναι· τὸ         5

δὲ γῆς, τετάρτως ὂν νωθέστατον τούτων, ἐν τετραπλασίαις 

περιόδοις χρόνου καθαιρόμενον, τεταρταίους πυρετοὺς ποιῆσαν 

ἀπαλλάττεται μόλις. 

               그러므로 주로 불의 과도함으로부터 질병에 걸린

신체는 지속적인 발열과 열병을 발현시키는 반면, 공기[의 과도함]에서

그러한 신체는 매일열을 발현시키며, 물의 경우 삼일열을 일으키니

그것이 공기와 불보다 더욱 부진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반면 흙에서

그러한 것은, 이것들 중 네 번째 것으로서 가장 부진한 것이기에,

시간상 네 배의 기간 동안에 정화되며, 사일열을 자아내고 가까스로

제거됩니다.

 

 Καὶ τὰ μὲν περὶ τὸ σῶμα νοσήματα ταήτῃ συμβαίνει                 b

γιγνόμενα, τὰ δὲ περὶ ψυχὴν διὰ σώματος ἕξιν τῇδε. νόσον 

μὲν δὴ ψυχῆς ἄνοιαν συγχωρητέον, δύο δ᾿ ἀνοίας γένη, 

τὸ μὲν μανίαν, τὸ δὲ ἀμαθίαν. 

 신체에 관련한 질병들은 이러한 방식에 따라 생성되지만, 

신체의 상태로 인한 영혼에 관련한 질병들은 다음과 같은

방식에 따라 생성되지요. 그럼 영혼의 질병이 무지성이라는

점이 합의되어야만 하니, 그것의 부류는 둘로서, 하나는

광기이고, 다른 하나는 무지입니다.

                                      πᾶν οὖν ὅτι πάσχων τις                     //220126

πάθος ὁπότερον αὐτῶν ἴσχει, νόσον προσρητέον, ἡδονὰς δὲ        5

καὶ λύπας ὑπερβαλλούσας τῶν νόσων μεγίστας θετέον τῇ 

ψυχῇ· περιχαρὴς γὰρ ἄνθρωπος ὢν ἢ καὶ τἀναντία ὑπὸ 

λύπης πάσχων, σπεύδων τὸ μὲν ἑλεῖν ἀκαίρως, τὸ δὲ φυγεῖν,       c

οὔθ᾿ ὁρᾶν οὔτε ἀκούειν ὀρθὸν οὐδὲν δύναται, λυττᾷ δὲ καὶ 

λογισμοῦ μετασχεῖν ἥκιστα τότε δὴ δυνατός. 

                                          그리하여 누군가가 그것들

중 어느 쪽 상태든 겪음으로써 지니는 그 모든 것은, 질병이라

불려야만 하고, 쾌락과 고통이 과도하면 질병들 중 영혼에

가장 심각한 것으로 정해야만 합니다. 왜냐하면 인간이

과도하게 기뻐하는 자일 때 또 고통에 의해 그 반대의 일을

겪으면, 한편은 적기맞지 않게 붙잡는 데에, 다른 한편은

피하려는 데에 몰두함으로써, 아무것도 제대로 볼 수도 들을

수도 없게 되고, 광란하여 그 때에는 실로 합리에 거의 참여할

수 없다시피 터이기 때문이지요.

                                                         τὸ δὲ σπέρμα 

ὅτῳ πολὺ καὶ ῥυῶδες περὶ τὸν μυελὸν γίγνεται καὶ καθα-

περεὶ δένδρον πολυκαρπότερον τοῦ συμμέτρου πεφυκὸς ᾖ,         5

πολλὰς μὲν καθ᾿ ἕκαστον ὠδῖνας, πολλὰς δ᾿ ἡδονὰς κτώμενος 

ἐν ταῖς ἐπιθυμίαις καὶ τοῖς περὶ τὰ τοιαῦτα τόκοις, ἐμμανὴς 

τὸ πλεῖστον γιγνόμενος τοῦ βίου διὰ τὰς μεγίστας ἡδονὰς 

καὶ λύπας, νοσοῦσαν καὶ ἄφρονα ἴσχων ὑπὸ τοῦ σώματος          d

τὴν ψυχήν, οὐχ ὡς νοσῶν ἀλλ᾿ ὡς ἑκὼν κακὸς δοξάζεται· 

                                               그런데 정자가 많아

골수 주위로 흘러다니게 되고 마치 적정수준보다 더 많은 열매를

맺게끔 타고난 나무처럼 되는 자는, 매번 한편으로는 많은 산통을,

또 다른 한편으로는 많은 쾌락을 그 열망들과 그러한 열망들에

관련한 출산들 속에서 획득하면서, 생의 대부분을 최대치의

쾌락들과 고통들로 인해 광란한 채로 있게 됨으로써, 신체에

의해 병들고 무지한 영혼을 지녀, 그가 병이 들었기 때문이 

아니라 자처하여 나쁜 자가 되었다고 여겨지게 됩니다. 

τὸ δὲ ἀληθὲς ἡ περὶ τὰ ἀφροδίσια ἀκολασία κατὰ τὸ πολὺ 

μέρος διὰ τὴν ἑνὸς γένους ἕξιν ὑπὸ μανότητος ὀστῶν ἐν 

σώματι ῥυώδη καὶ ὑγραίνουσαν νόσος ψυχῆς γέγονεν.                5

                      그런데 사실 육욕에 관련한 방종은 많은 부분

뼈의 다공질에 의한 신체 내에서 한 부류의 유동적이고 습한

상태로 인해 영혼의 질병이 되었지요.

                                                                      καὶ 

σχεδὸν δὴ πάντα ὁπόσα ἡδονῶν ἀκράτεια καὶ ὄνειδος ὡς 

ἑκόντων λέγεται τῶν κακῶν, οὐκ ὀρθῶς ὀνειδίζεται· κακὸς 

μὲν γὰρ ἑκὼν οὐδείς, διὰ δὲ πονηρὰν ἕξιν τινὰ τοῦ σώματος        e

καὶ ἀπαίδευτον τροφὴν ὁ κακὸς γίγνεται κακός, παντὶ δὲ 

ταῦτα ἐχθρὰ καὶ ἄκοντι προσγίγνεται. 

                               나아가 쾌락에 대한 자제심의 결여라

말해지고 악한들에 대한 자발적인 자들로 취급하는 비난이라

말해지는 모든 것들은 거의 모두, 옳지 못하게 비난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한편으로 누구도 자발적으로 악하진 않으나, 신체의

어떤 저열한 상태와 교육이 부재한 양육으로 인해 악한 자가

악하게 되고, 모든 이에게 이러한 것들은 적대할 것들로서

자발적이지 않은 이에게 덧붙여 생겨나기 때문입니다.

                                                 καὶ πάλιν δὴ τὸ περὶ 

τὰς λύπας ἡ ψυχὴ κατὰ ταὐτὰ διὰ σῶμα πολλὴν ἴσχει 

κακίαν. ὅτου γὰρ ἂν ἢ τῶν ὀξέων καὶ τῶν ἁλυκῶν φλε-               5

γμάτων καὶ ὅσοι πικροὶ καὶ χολώδεις χυμοὶ κατὰ τὸ σῶμα 

πλανηθέντες ἔξω μὲν μὴ λάβωσιν ἀναπνοήν, ἐντὸς δὲ εἱλλό-

μενοι τὴν ἀφ᾿ αὑτῶν ἀτμίδα τῇ τῆς ψυχῆς φορᾷ συμμεί-          87a

ξαντες ἀνακερασθῶσι, παντοδαπὰ νοσήματα ψυχῆς ἐμποιοῦσι 

μᾶλλον καὶ ἧττον καὶ ἐλάττω καὶ πλείω, πρός τε τοὺς τρεῖς 

τόπους ἐνεχθέντα τῆς ψυχῆς, πρὸς ὃν ἂν ἕκαστ᾿ αὐτῶν 

προσπίπτῃ, ποικίλλει μὲν εἴδη δυσκολίας καὶ δυσθυμίας              5

παντοδαπά, ποικίλλει δὲ θρασύτητός τε καὶ δειλίας, ἔτι δὲ 

λήθης ἅμα καὶ δυσμαθίας. 

                           더 나아가 고통에 관련된 경우에도 다시

영혼은 같은 점들에 따라 신체로 인해 많은 악을 지니게 되죠.

왜냐하면 시고 짠 점액들 중 쓴 담즙류나 즙들이 신체를 따라

떠돌다 외부로는 통로를 취하지 못하고, 내부에서는 자신들로부터

나온 증기를 갖고 영혼의 운동과 뒤섞어 혼합되면, 영혼의 온갖

더하거나 덜하거나 많거나 적은 질병들을 자아내고, 영혼의 세

장소들로 옮겨져, 그것들 각각이 들이닥칠 장소를 상대로, 온갖

다채로운 종류의 불만과 좌절을 자아내는가 하면, 만용과 비겁을

그리하기도 하며, 더욱이 망각과 함께 우둔함까지도 그리 하기

때문입니다.

                                   πρὸς δὲ τούτοις, ὅταν οὕτως 

κακῶς παγέντων πολιτεῖαι κακαὶ καὶ λόγοι κατὰ πόλεις ἰδίᾳ        b

τε καὶ δημοσίᾳ λεχθῶσιν, ἔτι δὲ μαθήματα μηδαμῇ τούτων 

ἰατικὰ ἐκ νέων μανθάνηται, ταύτῃ κακοὶ πάντες οἱ κακοὶ 

διὰ δύο ἀκουσιώτατα γιγνόμεθα· 

                             그런데 이러한 일들에 더하여, 그렇게

나쁜 상태가 고착된 자들의 정체들이 나쁜 정체들이고 그들의

담론이 도시를 따라 사적으로든 공적으로든 진술되며, 더욱이

유년기의 이것들에 대한 치유로서의 교육까지 어떤 식으로도

학습되지 않은 경우, 이런 도시에서 우리 모든 악한들은 두 가지

요소로 인해 가장 비자발적으로 악하게 됩니다.

                                          ὧν αἰτιατέον μὲν τοὺς 

φυτεύοντας ἀεὶ τῶν φυτευομένων μᾶλλον καὶ τοὺς τρέ-              5

φοντας τῶν τρεφομένων, προθυμητέον μήν, ὅπῃ τις δύναται, 

καὶ διὰ τροφῆς καὶ δι᾿ ἐπιτηδευμάτων μαθημάτων τε φυγεῖν 

μὲν κακίαν, τοὐναντίον δὲ ἑλεῖν. ταῦτα μὲν οὖν δὴ τρόπος 

ἄλλος λόγων.

                                              그 요소들에 대해서는

길러지는 자들보다는 언제나 기르는 자들에게 더 많이 그리고

돌보아지는 자들보다 돌보는 자들에게 더 많이 책임이 돌려져야만

하며, 허나 물론 망해야만 할 일이지요, 어떤 식으로든 누군가가 

할 수 있다면, 양육을 통해 그리고 직업과 교과를 통해 악은 

피하고, 그 반대의 것은 붙잡는 일을 말입니다. 그럼 사실 이런

일들은 논의들의 성격이 다릅니다.

 

-蟲- 

 Δευτέρων δὴ συστάσεων αὖ κατὰ φύσιν συνεστηκυιῶν, //211106

δευτέρα κατανόησις νοσημάτων τῷ βουλομένῳ γίγνεται συν-          c

νοῆσαι. 

 그래서 이번엔 본성에 따라 두 번째 구조들이 구성되어

있기에, 질병들에 대한 두 번째 사유가 이해를 도모하는 자에게

성립됩니다.

          μυελοῦ γὰρ ἐξ ἐκείνων ὀστοῦ τε καὶ σαρκὸς καὶ 

νεύρου συμπαγέντος, ἔτι τε αἵματος ἄλλον μὲν τρόπον, ἐκ 

δὲ τῶν αὐτῶν γεγονότος, τῶν μὲν ἄλλων τὰ πλεῖστα ᾗπερ 

τὰ πρόσθεν, τὰ δὲ μέγιστα τῶν νοσημάτων τῇδε χαλεπὰ                    5

συμπέπτωκεν· ὅταν ἀνάπαλιν ἡ γένεσις τούτων πορεύηται, 

τότε ταῦτα διαφθείρεται. 

              즉 저것들로부터 골수와 뼈와 살과 신경이 조직되고,

더 나아가 혈액 또한 방식은 다르지만, 같은 것들로부터 

생성되기에, 여타의 [질병들] 대다수는 앞서의 것들이 [생성된]

바로 그 방식으로 발생했지만, 질병들 중 가장 크게 어려운

것들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발생했습니다. 이러한 것들의

생성이 역행하는 경우, 그 때 이러한 것들이 파괴되는 것입니다.

                                 κατὰ φύσιν γὰρ σάρκες μὲν καὶ 

νεῦρα ἐξ αἵματος γίγνεται, νεῦρον μὲν ἐξ ἰνῶν διὰ τὴν συγ-

γένειαν, σάρκες δὲ ἀπὸ τοῦ παγέντος ὃ πήγνυται χωριζό-               d

μενον ἰνῶν· τὸ δὲ ἀπὸ τῶν νεύρων καὶ σαρκῶν ἀπιὸν αὖ 

γλίσχρον καὶ λιπαρὸν ἅμα μὲν τὴν σάρκα κολλᾷ πρὸς τὴν 

τῶν ὀστῶν φύσιν αὐτό τε τὸ περὶ τὸν μυελὸν ὀστοῦν τρέφον 

αὔξει, τὸ δ᾿ αὖ διὰ τὴν πυκνότητα τῶν ὀστῶν διηθούμενον                 5

καθαρώτατον γένος τῶν τριγώνων λειότατόν τε καὶ λιπαρώ-

τατον, λειβόμενον ἀπὸ τῶν ὀστῶν καὶ στάζον, ἄρδει τὸν 

μυελόν.                                                                              e

본성에 따르면 살과 신경은 혈액으로부터 생성되는데, 신경은

그 친족성으로 인해 섬유들로부터, 살은 섬유들로부터 분리되어

응집되는 것이 응고된 것으로부터 생성됩니다. 그런데 이제

신경들과 살들로부터 방출되는 점성과 유분을 지닌 것은 살을

자연상태의 뼈에 접착시키는 동시에 골수 주변의 뼈 자체도

양육하여 성장시키는 한편, 뼈의 조밀성으로 인해 여과되는 것의

경우에는 삼각형들 중 가장 정화된 유이자 가장 섬세하고 가장

빛나는 유로서, 뼈들로부터 스며나와 방울져 맺힘으로써,

골수에게 마실 것을 제공합니다.

          καὶ κατὰ ταῦτα μὲν γιγνομένων ἑκάστων ὑγίεια                  e

συμβαίνει τὰ πολλά· νόσοι δέ, ὅταν ἐναντίως. ὅταν γὰρ 

τηκομένη σὰρξ ἀνάπαλιν εἰς τὰς φλέβας τὴν τηκεδόνα ἐξιῇ, 

τότε μετὰ πνεύματος αἷμα πολύ τε καὶ παντοδαπὸν ἐν ταῖς 

φλεψὶ χρώμασι καὶ πικρότησι ποικιλλόμενον, ἔτι δὲ ὀξείαις                 5

καὶ ἁλμυραῖς δυνάμεσι, χολὰς καὶ ἰχῶρας καὶ φλέγματα 

παντοῖα ἴσχει· 

그래서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것들이 생성될 경우 여러

건강한 것들이 귀결됩니다. 반면 질병들은, 이와 반대로 될

때 귀결되지요. 살이 용해되어 역으로 혈관 속으로 그 용해된

것을 방출할 때, 그 때 숨을 동반하여 대량의 다종다양한

혈액이 혈관 내에서 색과 쓴 맛에 의해 다채로워지고, 더

나아가 시고 짠 능력들에 의해서도 그리 되어, 온갖 종류의

담즙과 장액과 점액을 갖게 된 것입니다.

                  παλιναίρετα γὰρ πάντα γεγονότα καὶ διε-

φθαρμένα τό τε αἷμα αὐτὸ πρῶτον διόλλυσι, καὶ αὐτὰ οὐδε-

μίαν τροφὴν ἔτι τῷ σώματι παρέχοντα φέρεται πάντῃ διὰ            83a

τῶν φλεβῶν, τάξιν τῶν κατὰ φύσιν οὐκέτ᾿ ἴσχοντα περιόδων, 

ἐχθρὰ μὲν αὐτὰ αὑτοῖς διὰ τὸ μηδεμίαν ἀπόλαυσιν ἑαυτῶν 

ἔχειν, τῷ συνεστῶτι δὲ τοῦ σώματος καὶ μένοντι κατὰ χώραν 

πολέμια, διολλύντα καὶ τήκοντα.                                                 5

                                                  왜냐하면 재구축되고

손상되는 모든 것들은 우선 혈액 자체를 해체하고, 그것들 자체가

더 이상 아무런 양분도 전혀 신체에 제공하지 않으면서 혈관들을

통해 전방위로 이동하며, 본성에 따른 순환로들의 질서를 더 이상

지니지 못함으로써, 스스로 자신들에게 적대적인 것들이 되니

자신들에게 아무런 유익함도 지니지 못함으로 인해서 그러하며,

신체를 구성하고 제자리에 유지시키는 것과 적이 되어, 해체하고

융해시키는 것들로서 그리 합니다.

                                           ὅσον μὲν οὖν ἂν παλαιό-                5

τατον ὂν τῆς σαρκὸς τακῇ, δύσπεπτον γιγνόμενον μελαίνει 

μὲν ὑπὸ παλαιᾶς συγκαύσεως, διὰ δὲ τὸ πάντῃ διαβεβρῶσθαι 

πικρὸν ὂν παντὶ χαλεπὸν προσπίπτει τοῦ σώματος ὅσον                 b

ἂν μήπω διεφθαρμένον ᾖ, καὶ τοτὲ μὲν ἀντὶ τῆς πικρότητος 

ὀξύτητα ἔσχεν τὸ μέλαν χρῶμα, ἀπολεπτυνθέντος μᾶλλον 

τοῦ πικροῦ, τοτὲ δὲ ἡ πικρότης αὖ βαφεῖσα αἵματι χρῶμα 

ἔσχεν ἐρυθρώτερον, τοῦ δὲ μέλανος τούτῳ συγκεραννυμένου           5

χλοῶδες· 

                                         그러므로 살의 가장 오래된 

부분이어서 용해되는 부분은, 동화되기 어려운 것이 되어 오래된

연소에 의해서는 검어지고, 모든 방면으로 부식됨으로 인해서는

쓴 것이어서 신체의 아직 파괴되지 않은 채로 있는 모든 부분들에

가혹한 것으로서 들이닥치며, 또한 어떤 때에는 검은 것이 쓴 맛

대신 신 맛을 지니니, 쓴 것이 훨씬 더 섬세해지기 때문에 그러하며,

어느 때엔 이번엔 쓴 맛이 혈액에 의해 물들어 더 붉은 색을 지니니,

검은 것이 이것과 혼합되어 연녹색[or χολώδης/χολοειδής 담즙색]을

지닙니다.

            ἔτι δὲ συμμείγνυται ξανθὸν χρῶμα μετὰ τῆς 

πικρότητος, ὅταν νέα συντακῇ σὰρξ ὑπὸ τοῦ περὶ τὴν φλόγα 

πυρός. καὶ τὸ μὲν κοινὸν ὄνομα πᾶσιν τούτοις ἢ τινες 

ἰατρῶν που χολὴν ἐπωνόμασαν, ἢ καί τις ὢν δυνατὸς εἰς               c

πολλὰ μὲν καὶ ἀνόμοια βλέπειν, ὁρᾶν δὲ ἐν αὐτοῖς ἓν γένος 

ἐνὸν ἄξιον ἐπωνυμίας πᾶσιν· τὰ δ᾿ ἄλλα ὅσα χολῆς εἴδη 

λέγεται, κατὰ τὴν χρόαν ἔσχεν λόγον αὐτῶν ἕκαστον ἴδιον. 

                                                     더 나아가 쓴 맛과

함께 노란 색이 함께 섞이니, 불꽃 주위의 불에 의해 새로운 살이

함께 용해될 때 그렇습니다. 이러한 모든 것들에 의사들 중

어떤 이들이 공통 명칭으로는 아마도 담즙이란 이름을 붙였던

듯하고, 어쩌면 여러 유사하지 않은 것들에 주목할 수 있는

한편, 그것들 안에 들어 있는 단일한 유를 볼 수 있는 누군가도

그 모든 것들에 명명할 만한 것으로서 그리 했었던 듯합니다.

그런데 담즙의 종류들로 말해지는 여타의 것들은, 색에 따라

그것들의 각기 고유한 설명을 지녔습니다.

ἰχὼρ δέ, ὁ μὲν αἵματος ὀρὸς πρᾷος, ὁ δὲ μελαίνης χολῆς                 5

ὀξείας τε ἄγριος, ὅταν συμμειγνύηται διὰ θερμότητα ἁλμυρᾷ 

δυνάμει· καλεῖται δὲ ὀξὺ φλέγμα τὸ τοιοῦτον. 

                                                   반면 장액은, 혈액의

묽은 장액은 온유한 반면, 검고 신 담즙의 장액은 공격적이니,

열로 인해 짠 맛을 내는 능력과 함께 섞일 경우에 그렇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것이 신 점액으로 불립니다.

                                                          τὸ δ᾿ αὖ μετ᾿ 

ἀέρος τηκόμενον ἐκ νέας καὶ ἁπαλῆς σαρκός, τούτου δὲ 

ἀνεμωθέντος καὶ συμπεριληφθέντος ὑπὸ ὑγρότητος, καὶ                d

πομφολύγων συστασῶν ἐκ τοῦ πάθους τούτου καθ᾿ ἑκάστην 

μὲν ἀοράτων διὰ σμικρότητα, συναπασῶν δὲ τὸν ὄγκον 

παρεχομένων ὁρατόν, χρῶμα ἐχουσῶν διὰ τὴν τοῦ ἀφροῦ 

γένεσιν ἰδεῖν λευκόν, ταύτην πᾶσαν τηκεδόνα ἁπαλῆς σαρκὸς           5

μετὰ πνεύματος συμπλακεῖσαν λευκὸν εἶναι φλέγμα φαμέν. 

                                                     헌데 이번엔 공기와

함께 새로 난 부드러운 살에서 용해되어 나온 것은, 이것이 바람으로

채워지고 수분에 의해 함께 포괄되고, 거품들이 이러한 겪음으로부터

그 거품 각각에 따라서는 그 미미함으로 인해 비가시적인 것들로서

구성되지만, 다 함께 덩어리를 내어놓으며, 포말의 생성으로 인해

흰 것으로 보일 색을 지니기에, 연한 살의 이러한 모든 용해물로서

숨과 함께 엮인 것을 백색 점액이라 우리가 주장합니다.

φλέγματος δὲ αὖ νέου συνισταμένου ὀρὸς ἰδρὼς καὶ δάκρυον, 

ὅσα τε ἄλλα τοιαῦτα σώματα τὸ καθ᾿ ἡμέραν χεῖται καθαιρό-          e

μενα· καὶ ταῦτα μὲν δὴ πάντα νόσων ὄργανα γέγονεν, ὅταν 

αἷμα μὴ ἐκ τῶν σιτίων καὶ ποτῶν πληθύσῃ κατὰ φύσιν, 

ἀλλ᾿ ἐξ ἐναντίων τὸν ὄγκον παρὰ τοὺς τῆς φύσεως λαμ-

βάνῃ νόμους.                                                                       5

                                                             헌데 또 새로 

구성되는 점액의 묽은 것은 땀과 눈물, 그리고 여타 이와 같은

것들로서 날마다 신체가 정화되면서 흘리는 것들이라 주장하지요.

더욱이 이러한 것들은 모두 질병의 기관들이 되었으니, 혈액이

먹을 것과 마실 것으로부터 본성대로 충족되는 게 아니라, 오히려

그와 반대되는 것들로 본성의 법도에 어긋나게 덩어리를 이룰

경우에 그렇습니다.

                  διακρινομένης μὲν οὖν ὑπὸ νόσων τῆς σαρκὸς           5

ἑκάστης, μενόντων δὲ τῶν πυθμένων αὐταῖς ἡμίσεια τῆς συμ-

φορᾶς ἡ δύναμις―ἀνάληψιν γὰρ ἔτι μετ᾿ εὐπετείας ἴσχει―

τὸ δὲ δὴ σάρκας ὀστοῖς συνδοῦν ὁπότ᾿ ἂν νοσήσῃ, καὶ              84a

μηκέτι αὐτὸ ἐξ ἰνῶν †αἷμα καὶ νεύρων ἀποχωριζόμενον ὀστῷ 

μὲν τροφή, σαρκὶ δὲ πρὸς ὀστοῦν γίγνηται δεσμός, ἀλλ᾿ ἐκ 

λιπαροῦ καὶ λείου καὶ γλίσχρου τραχὺ καὶ ἁλμυρὸν αὐχ-

μῆσαν ὑπὸ κακῆς διαίτης γένηται, τότε ταῦτα πάσχον πᾶν              5

τὸ τοιοῦτον καταψήχεται μὲν αὐτὸ πάλιν ὑπὸ τὰς σάρκας 

καὶ τὰ νεῦρα, ἀφιστάμενον ἀπὸ τῶν ὀστῶν, αἱ δ᾿ ἐκ τῶν 

ῥιζῶν συνεκπίπτουσαι τά τε νεῦρα γυμνὰ καταλείπουσι καὶ            b

μεστὰ ἅλμης· αὐταὶ δὲ πάλιν εἰς τὴν αἵματος φορὰν ἐμ-

πεσοῦσαι τὰ πρόσθεν ῥηθέντα νοσήματα πλείω ποιοῦσιν. 

                        그러므로 한편으로 질병에 의해 각각의 살이

분산되더라도, 기반들이 유지된다면 그 살들에 불행의 능력은 

반절이 되고, 여전히 용이함을 동반한 회복력을 지니니 그러하며,

그래서 살을 뼈에 결속시켜주는 것이 질병에 걸릴 경우, 그러면

더 이상은 그것이 섬유로 된 혈액이지도 못하고 신경으로부터

분리되어버려 뼈에 양분이 못 되고, 살에는 뼈를 향한 매듭이

되지 못하여, 오히려 윤기나고 매끄럽고 점성이 있는 것으로부터

잘못된 섭취에 의해 거칠고 짠 것으로 오염되니, 이 때 이러한

일들을 겪는 이러한 모든 것은 살과 신경 밑으로 스스로 다시

마모되어 들어가니, 뼈에서 빠져나옴으로써 그러하고, 그 근본

요소들로부터 떨어져 나온 살들은 신경들을 발가벗은 것들로

그리고 짠 맛으로 가득찬 것들로 방치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살들은 다시 혈액의 이동 속으로 따라들어가 앞서 언급된

질병들을 더 많이 만들어내지요.

χαλεπῶν δὲ τούτων περὶ τὰ σώματα παθημάτων γιγνομένων 

μείζω ἔτι γίγνεται τὰ πρὸ τούτων, ὅταν ὀστοῦν διὰ πυκνό-              5

τητα σαρκὸς ἀναπνοὴν μὴ λαμβάνον ἱκανήν, ὑπ᾿ ἐυρῶτος 

θερμαινόμενον, σφακελίσαν μήτε τὴν τροφὴν καταδέχηται 

πάλιν τε αὐτὸ εἰς ἐκείνην ἐναντίως ἴῃ ψηχόμενον, ἡ δ᾿ εἰς             c

σάρκας, σὰρξ δὲ εἰς αἷμα ἐμπίπτουσα τραχύτερα πάντα τῶν 

πρόσθεν τὰ νοσήματα ἀπεργάζηται· τὸ δ᾿ ἔσχατον πάντων, 

ὅταν ἡ τοῦ μυελοῦ φύσις ἀπ᾿ ἐνδείας ἢ τινος ὑπερβολῆς 

νοσήσῃ, τὰ μέγιστα καὶ κυριώτατα πρὸς θάνατον τῶν νοση-           5

μάτων ἀποτελεῖ, πάσης ἀνάπαλιν τῆς τοῦ σώματος φύσεως 

ἐξ ἀνάγκης ῥυείσης.

                                         헌데 신체를 둘러싼 이러한

겪음들이 가혹한 것들로 될 때 이것들에 앞선 겪음들이 훨씬

더 확대되니, 살의 밀도로 인해 뼈가 충분한 호흡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부패에 의해 가열되면서, 괴저되어서 영양분을

받아들이지도 못하고 그 뼈가 다시 저 살로 역으로 마모되어

들어가되, 그 영양분은 살로 들어가고, 살은 혈액 속으로 

침입하여 모든 질병들을 이전보다 더욱 가혹하게 구현시키는

것입니다. 그런데 무엇보다도 가장 극단적인 질병은, 본성적

상태의 골수가 결핍이나 어떤 과도함으로부터 질병에 걸릴

경우, 질병들 중에서도 죽음에 이르는 데에 가장 대대적이고도

주된 것들을 이루어내니, 신체의 본성 전체가 필연적으로

역류한 탓입니다. 

 

-蟲-

0. 『소피스트』에서 소피스트의 기술이 결론적으로 정의된 것이라 보는 해석 중 다수는 그 기술이 철학자 혹은 현자의 정상적인 엘렝코스를 거짓 모방하는 기술이라 간주한다. 그러나 소피스트의 기술 정의가 성공했다는 근거가 되는 결론부에서 소피스트는 개별적인 모순이나 특정 판단의 내용을 모방하는 것으로 묘사되지 않고, 오히려 일종의 성대모사처럼 어떤 사람을 모방하는 자로 묘사된다. 그 예로 테아이테토스를 따라하는 자가 언급되고, 여기에서 테아이테토스를 알고 모사하는 자와 알지 못하면서 모사하는 자가 구분된다. 이 대목에 주목할 경우 소피스트를 거짓 논박이나 거짓 모순을 제작하는 자로 간주하는 것은 문헌의 내용에 부합하지 못한다는 점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다른 한편 엘렝코스를 묘사하는 여섯 번째 정의 시도에서 엘렝코스를 당하는 자는 자신이 가진 특정한 모순된 믿음을 자각하게 되는 것이 아니라, 이 모순을 거쳐 자신이 알지 못하는 것을 안다고 간주하는, 이를 테면 메타적인 거짓된 믿음을 자각하게 되고 이를 폐기하게 된다. 앞서 언급한 일군의 해석자들의 주장대로 소피스트가 거짓 모순을 통해 상대를 논박한다는 점을 받아들인다 하더라도, 그 결과로 엘렝코스의 상대가 자신의 무지에 대한 앎을 얻게 된다는 데에서 차이가 없다면, 논박이 거짓 모순을 통한 것이든 참된 모순을 통한 것이든 결정적인 차이는 없게 될 것이다. 소피스트가 작위적으로 제공하는 거짓 모순이 거짓된 것임을 알기 위해서는 어떤 조건과 관점에서 어떤 방식으로 어떤 것들은 결합하고 또 어떤 것들은 결합하지 않는지를 알아야 하고, 이를 아는 자는 무지에 대한 앎이 아니라 그냥 단적인 변증술적 앎을 가진 자이며 이러한 앎을 지니지 못한 자는 참된 모순을 지적 받아서든 거짓 모순을 극복하지 못하여서든 결국 자신의 변증술적 앎의 부재를 자각한다는 같은 결론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소피스트가 모방하는 대상은 구체적인 명제, 문장, 생각이나 판단 따위가 아니어야 할 것이다. 다른 한편 소피스트가 그리하여 어떤 기술자를 모방하는 자일 경우, 그 기술자 자신과 이 기술자를 알면서 모방하는 자, 그리고 이 기술자를 알지 못한 채로 모방하는 자라는 세 부류가 서로 구분되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원본과 이를 모방한 것 사이에는 참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의 엄격한 구분이 성립하고, 다시 모방한 것 사이에서는 그 비율과 척도를 잘 따른 모상과 이를 왜곡시켰지만 사람들로 하여금 원본과 닮은 것으로 여기도록 만드는 가상이 다시금 구분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도 다시 한 번, 소피스트의 모방이 논박이나 모순을 대상으로 할 수 없다는 점이 확인된다. 왜냐하면 이렇게 생각할 경우 소피스트가 아닌 모방자는 그 대상이 되는 원본 기술자와 구분되는 점이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참된 모순을 참되게 지적하는 철학자나 현자를 그대로 모방하는 모방자는 그 역시 참된 모순을 참되게 지적한다는 점에서 아무런 차이도 없을 것이다. 그런데 만일 이런 일이 허용된다면, 예를 들어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나 혹은 오늘날의 양자역학의 내용을 담은 책을, 이에 대한 이해는 전혀 없이 그저 문자 그대로 암기한 사람이 아인슈타인이나 닐스 보어, 슈뢰딩거 등과 똑같은 사람이 되어 버리는 일을 막을 수 없을 것이다. 이는 『파이드로스』나 『제7 서한』 등에서 문자 기록을 통한 인식의 한계를 지적하는 플라톤 자신의 입장과도 배치된다. 단순히 있는 그대로 모방하여 옮기는 것은 원본을 제대로 재현하는 일일 수 없다. 진정으로 참된 현자, 지자가 있고 이와 구분되는 모상적인 현자가 있으며, 이 둘 모두와 구분되지만 이 둘과 혼동될 여지가 있는 자로서 소피스트가 있다는 것이 『소피스트』의 전체 맥락에 부합하는 이해일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렇게 생각할 때 마지막 소피스트 정의 이전까지의 여섯 가지 정의 시도들은 소피스트가 철학자를 (모상으로써든 가상으로써든) 모방한 결과들이라기 보다는 소피스트를 추적하는 손님과 테아이테토스가 참된 소피스트를 놓고 산출해낸 상들로 보는 편이 적절할 것이다. 그리고 다시, 이러한 상들은 소피스트가 현실에서 경험적으로 실제로 수행하는 일들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소피스트에 대한 가상이라기 보다는 모상이라고 보는 편이 타당할 것이다. 아마도 소피스트에 대한 가상은 소피스트를 주어로 한 술어 철학자 혹은 술어 정치가라고 볼 수 있을 듯하다. 고민 중.

 

-蟲-

 Καὶ δὴ καὶ τὰ τῶν περὶ τὰς ἰατρικὰς σικύας παθημάτων                //211023

αἴτια καὶ τὰ τῆς καταπόσεως τά τε τῶν ῥιπτουμένων, ὅσα              80a

ἀφεθέντα μετέωρα καὶ ὅσα ἐπὶ γῆς φέρεται, ταύτῃ διωκτέον, 

καὶ ὅσοι φθόγγοι ταχεῖς τε καὶ βραδεῖς ὀξεῖς τε καὶ βαρεῖς 

φαίνονται, τοτὲ μὲν ἀνάρμοστοι φερόμενοι δι᾿ ἀνομοιότητα 

τῆς ἐν ἡμῖν ὑπ᾿ αὐτῶν κινήσεως, τοτὲ δὲ σύμφωνοι δι᾿                       5

ὁμοιότητα.

 더 나아가 의료용 흡각(吸角)에 관련된 겪음들의 원인들과

탄식(呑食)의 원인들 및 투척물들의 원인들도, 공중으로 쏘아진

것들이든 지상에서 이동하는 것들이든, 같은 식으로 탐구되어야만

하니, 빠르거나 느리거나 높거나 낮게 나타나는 음들도, 때로는

우리 안의 그 음들에 의한 운동의 비유사성으로 인해 조화롭지

못하게 이동함으로써, 또 어느 때에는 유사성으로 인해 어우러진

소리들로서 이동함으로써 그리하는 음들 역시 같은 방식으로

탐구되어야만 합니다.

               τὰς γὰρ τῶν προτέρων καὶ θαττόνων οἱ βρα-

δύτεροι κινήσεις ἀποπαυομένας ἤδη τε εἰς ὅμοιον ἐληλυθυίας, 

αἷς ὕστερον αὐτοὶ προσφερόμενοι κινοῦσιν ἐκείνας, καταλαμ-            b

βάνουσιν, καταλαμβάνοντες δὲ οὐκ ἄλλην ἐπεμβάλλοντες

ἀνετάραξαν κίνησιν, ἀλλ᾿ ἀρχὴν βραδυτέρας φορᾶς κατὰ τὴν 

τῆς θάττονος, ἀποληγούσης δέ, ὁμοιότητα προσάψαντες, μίαν 

ἐξ ὀξείας καὶ βαρείας συνεκεράσαντο πάθην· ὅθεν ἡδονὴν                  5

μὲν τοῖς ἄφροσιν, εὐφροσύνην δὲ τοῖς ἔμφροσιν διὰ τὴν τῆς 

θείας ἁρμονίας μίμησιν ἐν θνηταῖς γενομένην φοραῖς παρ-

ἐσχον.

                          왜냐하면 더 앞선 더 빠른 음들의 이미

멈춰서 유사성에 이른 운동들을 그보다 더 느린 음들이, 이후

그 운동들에 그 음들이 적용되어 저 운동들을 일으키는데, 그런

운동들을 따라잡되, 따라잡음으로써 여타의 운동을 개입시켜

교란시키는 것이 아니라, 더 느린 이동의 시작을 더 빠른 운동의,

그런데 잦아드는 운동의 유사성에 따라 포착하여, 높은 운동과

낮은 운동으로부터 단일한 겪음을 혼합해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로부터 어리석은 이들에게는 즐거움을, 반면 슬기로운 자들에게는

사멸적인 이동들 안에서 발생하는 신적인 조화의 모방으로 인한

신명을 제공하였던 것이지요.

         καὶ δὴ καὶ τὰ τῶν ὑδάτων πάντα ῥεύματα, ἔτι δὲ 

τὰ τῶν κεραυνῶν πτώματα καὶ τὰ θαυμαζόμενα ἠλέκτρων                 c

περὶ τῆς ἕλξεως καὶ τῶν Ἡρακλείων λίθων, πάντων τούτων 

ὁλκὴ μὲν οὐκ ἔστιν οὐδενί ποτε, τὸ δὲ κενὸν εἶναι μηδὲν 

περιωθεῖν τε αὑτὰ ταῦτα εἰς ἄλληλα, τό τε διακρινόμενα 

καὶ συγκρινόμενα πρὸς τὴν αὑτῶν διαμειβόμενα ἕδραν ἕκαστα             5

ἰέναι πάντα, τούτοις τοῖς παθήμασιν πρὸς ἄλληλα συμ-

πλεχθεῖσιν τεθαυματουργημένα τῷ κατὰ τρόπον ζητοῦντι 

φανήσεται.

                                       더 나아가 액상인 것들의 모든

흐름들, 나아가 낙뢰들과 또한 호박이나 헤라클레스의 돌의

당김에 관련한 놀라운 일들, 이 모든 것들에 당김은 어떤 식으로도

전혀 있지 않고, 허공이라고는 전혀 없이 이것들끼리 서로를

밀어내는, 확산되고 수렴되며 자기들의 자리를 향해 모든 것들

각각이 교체되기도 하는, 서로를 향해 엮이는 이러한 겪음들에

의해 벌어진 놀라운 일들이 방식에 맞추어 탐구하는 자에게

드러나게 될 것입니다.

 

 Καὶ δὴ καὶ τὸ τῆς ἀναπνοῆς, ὅθεν ὁ λόγος ὥρμησεν, κατὰ                 d

ταῦτα καὶ διὰ τούτων γέγονεν, ὥσπερ ἐν τοῖς πρόσθεν εἴρηται, 

τέμνοντος μὲν τὰ σιτία τοῦ πυρός, αἰωρουμένου δὲ ἐντὸς τῷ 

πνεύματι συνεπομένου, τὰς φλέβας τε ἐκ τῆς κοιλίας τῇ 

συναιωρήσει πληροῦντος τῷ τὰ τετμημένα αὐτόθεν ἐπαν-                  5

τλεῖν· καὶ διὰ ταῦτα δὴ καθ᾿ ὅλον τὸ σῶμα πᾶσιν τοῖς ζῴοις 

τὰ τῆς τροφῆς νάματα οὕτως ἐπίρρυτα γέγονεν.

 더 나아가 호흡에 관한 것도, 이 논의가 그로부터 촉발되었는데,

이런 식으로 이런 것들을 통해 생성되었으니, 앞서 이야기된

그대로, 불이 음식을 분해하는 한편, 내부에서 부유하며 숨을

따를 때, 혈관들을 복강으로부터 함께 오르내림으로써(pumping) 바로

그곳에서 분해된 것들을 길어올림으로써 채움으로써 그리 하지요.

더 나아가 이러한 것들로 인해 신체 전체를 따라 모든 생물에게

양분의 흐름들이 그런 식으로 스며들게 되었습니다.

                                                               νεότμητα 

δὲ καὶ ἀπὸ συγγενῶν ὄντα, τὰ μὲν καρπῶν, τὰ δὲ χλόης, 

ἃ θεὸς ἐπ᾿ αὐτὸ τοῦθ᾿ ἡμῖν ἐφύτευσεν, εἶναι τροφήν, παν-                 e

τοδαπὰ μὲν χρώματα ἴσχει διὰ τὴν σύμμειξιν, ἡ δ᾿ ἐρυθρὰ 

πλείστη περὶ αὐτὰ χρόα διαθεῖ, τῆς τοῦ πυρὸς τομῆς τε καὶ 

ἐξομόρξεως ἐν ὑγρῷ δεδημιουργημένη φύσις.

                                                                그런데

새로 분해된 것들이자 동류인 것들로부터 나온, 한편으로는

열매에 속한 것들, 다른 한편으로는 싹에 속한 것들, 신께서

바로 이를 위해서 우리에게 심어주신 바의 것들로서, 즉

양분으로 있도록 주신 것들이, 한편으로는 그 함께 엮임으로

인해 온갖 색채를 지니는가 하면, 그 표면들 주위로 붉음이

가장 많이 퍼져 있으니, 액체 속에서 불의 절단과 인장의 본성이

제작되었기에 그렇습니다.

                                                           ὅθεν τοῦ κατὰ 

τὸ σῶμα ῥέοντος τὸ χρῶμα ἔσχεν οἵαν ὄψιν διεληλύθαμεν                  5

ὃ καλοῦμεν αἷμα, νομὴν σαρκῶν καὶ σύμπαντος τοῦ σώ-

ματος, ὅθεν ὑδρευόμενα ἕκαστα πληροῖ τὴν τοῦ κενουμένου          81a

βάσιν· ὁ δὲ τρόπος τῆς πληρώσεως ἀποχωρήσεώς τε γίγνε-

ται καθάπερ ἐν τῷ παντὶ παντὸς ἡ φορὰ γέγονεν, ἣν τὸ 

συγγενὲς πᾶν φέρεται πρὸς ἑαυτό.

                                  이로부터 신체를 따라 흐르는 것의

그 우리가 상술한 그러한 외관을 그 색인 것이 지니고 이를

우리가 피라고 부르니, 살들과 또한 통틀어 모든 신체의 영양

공급처를, 이로부터 각각의 것들이 수분을 받아 비워지는 것의

바탕을 채웁니다. 그런데 그 채움과 되돌림의 방식은 우주 안에서

우주의 이동이 발생되는 것처럼 바로 그렇게 발생되니, 그

이동은 동류인 것이 모두 자기 자신에게로 이동하는 그러한

것입니다.

                                             τὰ μὲν γὰρ δὴ περιε-

στῶτα ἐκτὸς ἡμᾶς τήκει τε ἀεὶ καὶ διανέμει πρὸς ἕκαστον                   5

εἶδος τὸ ὁμόφυλον ἀποπέμποντα, τὰ δὲ ἔναιμα αὖ, κερμα-

τισθέντα ἐντὸς παρ᾿ ἡμῖν καὶ περιειλημμένα ὥσπερ ὑπ᾿ 

οὐρανοῦ συνεστῶτος ἑκάστου τοῦ ζῴου, τὴν τοῦ παντὸς                 b

ἀναγκάζεται μιμεῖσθαι φοράν· πρὸς τὸ συγγενὲς οὖν φερό-

μενον ἕκαστον τῶν ἐντὸς μερισθέντων τὸ κενωθὲν τότε πάλιν 

ἀνεπλήρωσεν.

           즉 실상 외부의 환경이 우리를 해체하고 또한 언제나

동족적인 것을 각각의 형상을 향해 방출하여 분류하지만, 또

이번엔 혈액 안의 것들은, 우리들 곁 내부에서 조각나고 마치

천구에 의해서 에워싸이듯 각각의 생물이 성립되면 그 생물에

의해서 에워싸임으로써, 우주의 이동을 모방하는 일이 필연적이게

됩니다. 그리하여 내부의 분할된 것들 각각이 동류의 것을 향해

이동함으로써 한 때 비워진 것을 다시 되채운 것이지요.

                   ὅταν μὲν δὴ πλέον τοῦ ἐπιρρέοντος ἀπίῃ, 

φθίνει πᾶν, ὅταν δὲ ἔλαττον, αὐξάνεται. νέα μὲν οὖν σύ-                   5

στασις τοῦ παντὸς ζῴου, καινὰ τὰ τρίγωνα οἷον ἐκ δρυόχων 

ἔτι ἔχουσα τῶν γενῶν, ἰσχυρὰν μὲν τὴν σύγκλεισιν αὐτῶν 

πρὸς ἄλληλα κέκτηται, συμπέπηγεν δὲ ὁ πᾶς ὄγκος αὐτῆς 

ἁπαλός, ἅτ᾿ ἐκ μυελοῦ μὲν νεωστὶ γεγονυίας, τεθραμμένης               c

δὲ ἐν γάλακτι· τὰ δὴ περιλαμβανόμενα ἐν αὐτῇ τρίγωνα 

ἔξωθεν ἐπεισελθόντα, ἐξ ὧν ἂν ᾖ τά τε σιτία καὶ ποτά, 

τῶν ἑαυτῆς τριγώνων παλαιότερα ὄντα καὶ ἀσθενέστερα 

καινοῖς ἐπικρατεῖ τέμνουσα, καὶ μέγα ἀπεργάζεται τὸ ζῷον                5

τρέφουσα ἐκ πολλῶν ὁμοίων.

                            그래서 흘러드는 것보다 더 많이 방출할

때, 모든 것이 감소하고, 더 적을 때에는, 증가하지요. 그러므로

모든 생물의 새(어린) 구조는, 이를 테면 새로 건조한 배를 놓는

지주대로부터 나온 것처럼 유들 중 아직 새 것인 삼각형들을 지녀,

그것들 서로 간의 결속은 강력한 것으로 획득한 한편, 그 구조의

전체 덩어리는 부드러운 것으로서 조직된 것이니, [그 구조가]

골수로부터 새롭게 생겼던 한편, 젖 속에서 양육된 덕분입니다.

그래서 [그 새 구조가] 외부에서 들어와 그 구조 안에 주위를

둘러싸여 있는 삼각형들을, 먹을 것과 마실 것이 그것들로

이루어질 것인데, 그 구조 자신에 속한 삼각형들 보다 더 오래된

것들이자 더 연약한 것들인지라 그것들을 새로운 것들로

분해하여서 제압하고, 많은 유사한 것들을 통해 그 생명체를

양육하여서 크게 만듭니다.

                                       ὅταν δ᾿ ἡ ῥίζα τῶν τριγώνων 

χαλᾷ διὰ τὸ πολλοὺς ἀγῶνας ἐν πολλῷ χρόνῳ πρὸς πολλὰ 

ἠγωνίσθαι, τὰ μὲν τῆς τροφῆς εἰσιόντα οὐκέτι δύναται                   d

τέμνειν εἰς ὁμοιότητα ἑαυτοῖς, αὐτὰ δὲ ὑπὸ τῶν ἔξωθεν 

ἐπεισιόντων εὐπετῶς διαιρεῖται· φθίνει δὴ πᾶν ζῷον ἐν 

τούτῳ κρατούμενον, γῆράς τε ὀνομάζεται τὸ πάθος.

                                 그런데 삼각형들의 뿌리가 여러 가지

것들에 맞선 오랜 시간에 걸친 많은 경합들을 겪은 것으로 인해

느슨해질 때, 유입된 양분들을 더 이상 자신들과 유사한 것들로

분해할 능력을 갖지 못하는 한편, 그것들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것들에 의해 손쉽게 분할됩니다. 그래서 모든 생물은 이 과정에서

제압당해 감소하고, 그 겪음이 노화라고 명명됩니다.

                                                                    τέλος 

δέ, ἐπειδὰν τῶν περὶ τὸν μυελὸν τριγώνων οἱ συναρμοσθέντες           5

μηκέτι ἀντέχωσιν δεσμοὶ τῷ πόνῳ διιστάμενοι, μεθιᾶσιν τοὺς 

τῆς ψυχῆς αὖ δεσμούς, ἡ δὲ λυθεῖσα κατὰ φύσιν μεθ᾿ ἡδονῆς 

ἐξέπτατο· πᾶν γὰρ τὸ μὲν παρὰ φύσιν ἀλγεινόν, τὸ δ᾿ ᾗ πέ-             e

φυκεν γιγνόμενον ἡδύ.

그런데 결국은, 골수와 관련된 삼각형들을 함께 조화시키는

매듭들이 고통에 의해 해체되어 더 이상 유지되지 못할 때,

이번엔 영혼의 매듭들을 풀어주어, 본성에 따라 풀어진 영혼은

쾌락과 함께 비상합니다. 왜냐하면 본성에 어긋나는 모든 것은

괴롭고, 타고난 본성에 의해 이루어지면 즐겁기 때문이지요.

                              καὶ θάνατος δὴ κατὰ ταὐτὰ ὁ μὲν κατὰ 

νόσους καὶ ὑπὸ τραυμάτων γιγνόμενος ἀλγεινὸς καὶ βίαιος, 

ὁ δὲ μετὰ γήρως ἰὼν ἐπὶ τέλος κατὰ φύσιν ἀπονώτατος 

τῶν θανάτων καὶ μᾶλλον μεθ᾿ ἡδονῆς γιγνόμενος ἢ λύπης.               5

그래서 죽음도 같은 점들에 따라 질병에 따라 상해에 의해

생성되는 죽음은 고통스럽고 억지스러운 반면, 노화와 더불어

본성에 따라 완결로 이행하는 죽음은 죽음들 중 가장 고통이

없고 고통보다 오히려 쾌락을 동반하며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Τὸ δὲ τῶν νόσων ὅθεν συνίσταται, δῆλόν που καὶ παντί. 

τεττάρων γὰρ ὄντων γενῶν ἐξ ὧν συμπέπηγεν τὸ σῶμα,              82a

γῆς πυρὸς ὕδατός τε καὶ ἀέρος, τούτων ἡ παρὰ φύσιν πλεον-

εξία καὶ ἔνδεια καὶ τῆς χώρας μετάστασις ἐξ οἰκείας ἐπ᾿ 

ἀλλοτρίαν γιγνομένη, πυρός τε αὖ καὶ τῶν ἑτέρων ἐπειδὴ 

γένη πλείονα ἑνὸς ὄντα τυγχάνει, τὸ μὴ προσῆκον ἕκαστον              5

ἑαυτῷ προσλαμβάνειν, καὶ πάνθ᾿ ὅσα τοιαῦτα, στάσεις καὶ 

νόσους παρέχει·

 그런데 질병들의 경우 어떤 연유로 구성되는지, 아마 모든

이들에게도 분명할 것입니다. 즉 육체를 조직하는 요소들인

유들이 네 가지, 흙과 불과 물과 공기이기에, 이것들의 본성에

어긋나는 과잉과 결핍 그리고 본래의 자리에서 다른 자리로의

이행이 발생하고, 이번엔 불과 다른 것들의 유들이 마침 하나를

초과하여 있기에, 자신에게 적합하지 못한 각각의 유를 추가로

취하는 것, 그리고 이와 같은 모든 일들이, 정지(내분?)와 질병을

내놓는 것이지요.

                      παρὰ φύσιν γὰρ ἑκάστου γιγνομένου καὶ 

μεθισταμένου θερμαίνεται μὲν ὅσα ἂν πρότερον ψύχηται, 

ξηρὰ δὲ ὄντα εἰς ὕστερον γίγνεται νοτερά, καὶ κοῦφα δὴ καὶ          b

βαρέα, καὶ πάσας πάντῃ μεταβολὰς δέχεται.

                     왜냐하면 각각이 본성에 거슬러 생성되고 

전환될 때 이전에 차가웠던 것들은 뜨거워지고, 건조한 것들은

이후에 습한 것들이 되며, 더 나아가 가벼운 것들은 무거워지고,

그것들이 모든 방식으로 모든 변화를 받아들이게 되기 때문입니다.

                                                          μόνως γὰρ 

δή, φαμέν, ταὐτὸν ταὐτῷ κατὰ ταὐτὸν καὶ ὡσαύτως καὶ ἀνὰ 

λόγον προσγιγνόμενον καὶ ἀπογιγνόμενον ἐάσει ταὐτὸν ὂν 

αὑτῷ σῶν καὶ ὑγιὲς μένειν· ὃ δ᾿ ἂν πλημμελήσῃ τι τούτων                5

ἐκτὸς ἀπιὸν ἢ προσιόν, ἀλλοιότητας παμποικίλας καὶ νόσους 

φθοράς τε ἀπείρους παρέξεται.

그래서, 우리가 주장하기로는, 실로 유일하게 같은 것이 같은 것에

같은 것에 따라 마찬가지 방식으로 비율에 맞게 추가되고 제거되면

그것이 자신과 같은 것이라서 안전하고 건강한 것으로서 자신과 같은

것인 채로 머무르는 일을 허용할 것입니다. 그런데 이것들 중 무엇이든

외부에서 들어오거나 나감으로써 어길 그러한 것은, 온갖가지 변이와

질병과 파괴를 무한하게 내어놓을 것입니다.

 

-蟲-

CFA: IPS’ Symposium XIII, on Plato’s Sophist

The International Plato Society’s Symposium XIII at the University of Georgia (USA) July 18-22, 2022 is devoted exclusively to the Sophist.  We will consider abstracts on any aspect of the dialogue and its reception. They should be received by November 15, 2021. At this point, we expect to have an in-person Symposium. However, because some or even many people may not be able to travel, we also plan to have simultaneous Zoom sessions to make remote participation possible.

Plato’s Sophist was, arguably, the most important Platonic dialogue for mid-20th century philosophy.  Anglo-American analytic philosophers looked to it to come to understand Plato’s philosophy of language.  Continental philosophers, inspired by Heidegger’s beginning Being and Time with a quotation from the Sophist, looked to the dialogue to wrestle with Plato’s notion of being.  Not surprisingly, each group found a rich field from which to pursue their mostly non-overlapping interests.  Both sides did agree on the importance of language in the dialogue. However, as if they were re-enacting a portion of the dialogue, they waged a kind of battle of gods and giants against each other.  Now that the barriers between these approaches have begun to break down and interests, on all sides, have broadened, it is time for a new, 21st century look at this puzzling and interesting dialogue.  The dialogue raises many issues that can be fruitfully  explored.  Besides questions about the nature and possibility of language, there are issues about definitions, truth, diaresis, interweaving, the five megista gene?, separate form, the nature of images, non-being, being, dunamis, the motions of forms, and many, many more.

Our Society does not reflect a single perspective: we welcome representatives of all perspectives—and of none.  Just as the sophist proves wily enough to escape most of the dialogue’s efforts to define him, so has an understanding of the dialogue and many of its details remained frustratingly elusive.  Join us at the Symposium to explore and engage this dialogue.

Confirmed plenary speakers:

  • Mauro Bonazzi (Utrecht)
  • Lesley Brown (Oxford)
  • Ronna Burger (Tulane)
  • Paolo Crivelli (Geneva)
  • Monique Dixsaut (Sorbonne)
  • Verity Harte (Yale)
  • Marko Malink (New York University)
  • Maurizio Migliori (Macerata, Italy)
  • Noburu Notomi (Tokyo)
  • Christopher Rowe (Durham)

Please consider submitting an abstract.

The week before our Symposium, our sister society,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Socrates, will have its own weeklong conference in Houston. For more details, see socratessociety.rice.edu. Consider attending both conferences. Make 2022 the year of Plato!

 

https://platosociety.org/cfa-symposium-xiii/

 

CFA: IPS' Symposium XIII, on Plato's Sophist

The International Plato Society’s Symposium XIII at the University of Georgia (USA) July 18-22, 2022 is devoted exclusively to the Sophist.  We will consider abstracts on any aspect of the dialogue and its reception. They should be received by November

platosociety.org

 

뭐냐... 9월 30일로 저장해 놨는데 언제 11월 15일 됐냐... 아아... 석사 쓸 때 지겹도록 읽었던 논문들의 저자들이 한 가득 보이네... 저 사람들 중에 나 박사 만들어줄 사람 하나가 없으려나... 낄낄. 씨발 거, 그 자격증이 대체 뭐라고.

 

-蟲-

0. 예를 들어 '가장 중요한 유들' 중 있는 것은 정지에 참여함으로써 정지한 것이라 이야기되지만 정지에 대해 다른 것에 참여함으로써 정지와는 다른 것이라고도 이야기된다. 그런데 운동은, 만일 그것이 정지와 절대적으로 반대되는 것으로서 결코 정지에 참여할 수 없는 것이라면, 이 역시 정지에 대해 다른 것에 참여함으로써 정지와 다른 것으로 이야기되지만, 여기에 더하여 정지에 참여할 수조차 없다는 점에서도 정지가 아니다. 이와 같은 구도에서, 예를 들어 "덕은 네모나지 않다."라는 문장을 생각해 보자. 이 명제는 참이며, 이 경우 덕은 형태를 가지지 못하므로 애초에 네모난 것에 참여 자체를 할 수 없다. 반면 네모난 석판을 생각해 보자. 네모난 석판은 네모난 것에 참여함으로써 네모난 것으로 이야기될 수 있지만, 네모난 것이라는 유 그 자체는 아니고 이와는 다른 것이라는 점에서는 또한 네모난 것과는 다른 것이라고도 이야기될 수 있다. 이 네모난 석판의 경우는 같은 것이나 다른 것이라는 유가 있는 것과는 다른 것으로 이야기되는 경우에 유비될 수 있다. 다른 것이든 같은 것이든 있지 않은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있는 것임은 분명하다. 그리고 이러한 것들이 있는 것이라 이야기될 수 있는 이유는 그것들이 예외없이 있는 것 그 자체에 참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있는 것 그 자체를 제외한 여타의 모든 있는 것들은 저 있는 것 자체와는 다르기에 있는 것이 아니라고 이야기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유들 사이의 결합과 분리에 대한 고찰은 상(그리고 모상과 가상)과 거짓을 규정하기 위해 시도된 작업이다. 거짓의 사례로 제시되는 "테아이테토스, 지금 나와 대화하고 있는 자는, 날고 있다." 라는 문장은 위 사례들 중 무엇에 해당되는가? 브라운은 이 상황이 "양립 불가능한 속성들의 영역 내에서의 다름"에 의해 설명된다고 주장한다. 사실로서, 테아이테토스는 현재 앉아 있으며, 이 앉아 있다는 동작 상태는 여타의 동작 상태들을 포괄하는 영역 내에서 다른 동작 상태와 양립 불가능하다. 테아이테토스가 앉아 있는 한, 그는 이와 동시에 서 있을 수도 없고 누워 있을 수도 없으며, 마찬가지로 날고 있을 수도 없다. 그래서 앉아 있는 것에 참여하고 있는 테아이테토스를 언급하고 바로 그러한 테아이테토스에 관해서 앉아 있다는 것과는 동작 상태 영역 안에서 양립할 수 없는 날고 있다는 술어를 서술하는 것은 거짓이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위의 유들의 결합과 분리 논의에서는 이와 같은 양립 불가능한 속성들의 영역이라는 의미에서의 '다른 것'이 논의된 바 없다. 브라운과 그의 해석에 동의하는 일군의 학자들은 이에 대한 문헌 상의 근거로 "크지 않은 것"이 "그 반대인 작은 것만이 아니라 단지 다르기만 한 것인 같은 크기인 것 또한 의미할 수 있다"라는 손님의 언급을 제시한다. 그러나 유들의 결합과 분리 논의에서 있는 것에 참여하는 것들이 있는 것 자체와 다르다는 것과 운동이 정지와 다르다는 것이 같은 의미의 '다른 것'을 통해 설명되었고, 지금 인용된 손님의 언급에서도 여기에 연속적으로 반대되는 것도 단지 다르기만 한 것도 모두 "~이 아닌 것"으로 통칭된다고 언급될 뿐, 이로부터 한 상태가 속한 영역에서 양립할 수 없는 여타 모든 상태들을 배제한 것이 "~이 아닌 것"으로 통칭된다는 직접적인 언급은 없다. 또한 브라운 자신이 시인하듯, "덕은 네모난 것이 아니다"와 같은 참인 문장에서의 "~이지 않은 것"에 대해서 브라운의 해석은 설명을 제시할 수 없다. 그리고 이에 따라, "덕은 네모나다"라는 문장의 거짓 역시 브라운의 해석으로는 손님의 거짓 규정에 포섭할 수 없게 된다. 반면 "~이지 않은 것"을 "~인 것 자체와 다른 것" 그리고 "~에 참여하지 않는 것"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할 경우, 브라운이 직면하는 문제를 겪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해석을 시도한 것이 프레데의 is1과 is2 구분을 통한 is not 해석이다. 테아이테토스는 그 자신 그 자체로 날고 있는 것 그 자체이지 않고, 그럴 수 없다. 이런 의미에서도 테아이테토스는 날고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테아이테토스는 또한 날고 있는 것에 참여하지 않고, 그래서 날고 있는 것이라는 속성을 결여하고 있으며, 통상적 차원에서 우리가 "테아이테토스는 날고 있다"라는 문장이 거짓임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다른 것"의 의미는 이 후자의 속성 결여, 비참여인 것이다. 그런데 있다는 것과 있지 않다는 것은 자체적 차원에서 이야기될 수도 있고 상대적(참여) 차원에서도 이야기될 수 있다는 프레데의 해석을 적용하면, 테아이테토스가 앉아 있는 것이라는 이야기도 날고 있는 것이라는 이야기도 참여 차원에서, is2 맥락에서 이야기되고 있는 것이라는 구분이 가능하다. 반면 앞서 유들의 결합과 분리 논의에서는 있는 것들 중 하나이며 있는 것 자체에 참여하는 그러한 것인 여타의 유들(운동, 정지, 같은 것, 다른 것 등)이 그러한 참여에도 불구하고 있는 것과는 다른 것이며 있는 것이지 않은 것이라는 점이 "다른 것에의 참여"를 통해서 설명되고 있었으며, 이는 테아이테토스의 경우와 달리 is1 맥락에서 이야기되고 있는 것이라 말할 수 있다. 두 경우 모두에서 'is'의 의미에는 차이가 없는데, "그것은 무엇으로 있는가?"라는 물음에 답이 되는 is 응답에 제시될 수 있는 이러저러한 술어들을 주어에 결합시키는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is1은 주어의 자체적 측면에서 여타의 것들과의 관계를 배제한 채로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술어들과의 관계를, is2는 대상에 대한 참여 또는 그 대상에 대한 다른 것에 대한 참여를 통해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술어들과의 관계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그 사용방식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테아이테토스는 앉아 있다"는 이에 따라 is1 차원에서는, 마치 운동도 정지도 있는 것과 다른 것처럼, 거짓이 될 수 있다. 그러나 is2 차원에서는, 이번엔 다시 운동도 정지도 있는 것에 참여하여 있는 것들로 이야기되듯, 테아이테토스가 앉아 있는 것에 참여함으로써 앉아 있는 것으로 참되게 이야기되는 것일 수 있다. 반면 "테아이테토스는 날고 있다"는 is1에 따라서도 is2에 따라서도 거짓이다. 반면 "테아이테토스는 날고 있지 않다"는 또한 is1에 따라서도 is2에 따라서도 참이다.

  이제 문제는 is1 차원에서 연결되는 것들, is1에서는 분리되지만 is2에서 결합하는 것들, 그리고 is1과 is2 모두에서 분리되는 것들 사이의 구분이다. 있는 것에 참여하는 것들은 아무리 그런 식으로 참여하더라도 있는 것 그 자체일 수는 없고 그 있는 것 자체와는 다른 것이며 따라서 자체적으로 있는 것이지 못하다. 그렇다면 같은 식으로 "날고 있는 것"에 참여하는 것들이 아무리 그렇게 참여한다 하더라도 그러한 참여자들은 자체적으로 날고 있는 것 그 자체로 이야기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참여자들은 적어도 날고 있는 것에 아예 참여하지 않는 것들과는 구분되며, 참여의 차원에서는 여전히 날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한 가지 논점을 추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만일 브라운의 소위 "영역" 해석을 고려한다면, 테아이테토스의 경우처럼 앉아 있음으로써 날고 있지 않은 것에 비해서, 수나 색이나 덕이 날고 있지 않은 것은 그 영역과 아예 무관한 방식으로 날고 있지 않은 것이며 날고 있는 것과 훨씬 더 멀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 생각되기도 한다. 이제 앞서 논의된 참여관계를 일종의 원본과 모상 관계로 생각해 보자. 있는 것 그 자체가 원본이라면, 참여자들은 이 원본을 모방한 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상은 모상과 가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모상은 적어도 어떤 의미에서는 원본과 같은 이름으로 이야기될 수 있다. 즉 운동은 있는 것 자체(원본)라고는 이야기될 수 없지만 그 참여를 통해 있는 것(모상)이라고는 이야기될 수 있다. 반면 테아이테토스는 날고 있는 것 자체도 아니지만 날고 있는 것에 참여하지도 않으며, 그런 의미에서 모상조차 아니다. 그럼에도 "테아이테토스는 날고 있다"라는 문장은 테아이테토스를 "날고 있는 것"이라는 이름으로 말하고 있다. 테아이테토스는 날고 있는 것 자체도 아니고 이에 참여하지도 않지만, 그럼에도 날고 있는 것과 어떤 식으로 결부되고 있고 그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이 거짓 문장 안에서 테아이테토스는 "날고 있는 것"이라는 거짓 이름을 가진, "날고 있는 것"을 잘못 모방하는, "날고 있는 것"에 대한 가상이라고 생각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다른 한편 "테아이테토스는 날고 있다"라는 문장은 테아이테토스를 언급하고 이 언급된 주어에 관련하여 연속적으로 그에 관하여 있는 것들이나 있지 않은 것들을 서술하며, 그런 식으로 테아이테토스와 그에 관항 있는 것들을 지시한다. 이 문장은 이런 식으로 테아이테토스를 표현하며, 모방한다. 이러한 문장과 문장의 지시체 사이의 관계가 유들의 참여관계 및 원본과 모상 관계를 통해 설명되고 있는 것인지 여부는 논쟁적이나, 적어도 이러한 구도가 연상된다는 정도의 언급은 가능해 보인다.) 이러한 구도 안에서 자체적인 것 또는 원본은 이에 대한 참여자나 모방자로 하여금 그 참여대상의 본래적 성격으로부터 유래한 닮은 이름을 가지는 일을 허용해준다. 있는 것이 자체적으로 있고 이 자체적인 있는 것에 여타의 것들이 참여함으로써 그것들도 비로소 있는 것들이 된다. 그러나 이 후자인 참여자들은 그것들이 비록 있는 것들이긴 하지만 이에 대한 참여를 통해 다른 것들을 있는 것들이게끔 해주지는 않는다. 물론 "자체적으로 운동으로서 있는 것"은 이것에 참여하는 것들을 또한 "상대적으로 운동으로서 있는 것들"이게끔 해주기는 할 것이다. 이러한 오해를 피하기 위해 다른 사례를 들어 보자면, 같은 것 자체는 여타의 참여자들로 하여금 그것들이 각기 자기 자신과 같은 것들이도록 해준다. 반면 이 참여자들은 그 참여를 통해 "같은 것"이란 이름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이 참여자들에 참여하는 또 다른 것들을 "같은 것"이라 이야기되도록 만들어주지는 못한다. 속성의 원본, 표준, 원천, 근거로서 각각의 유 그 자체는 이러한 유에 참여하는 참여자들과 구분되는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원본과 참여자들은 서로 구분되고 서로 다른 것이라 이야기될 수 있다. 반면 원본에 참여하지 않는 것들, 그러한 속성을 획득하지 못한 채 결여하는 것들은 원본으로부터만이 아니라 참여자들로부터도 다른 것이 된다. "같은 것이란 그 자체로 있는 것 자체입니까?"라는 물음에 "그렇지 않다." 라고, "그것은 거짓이다."라고 말할 수도 있어야 하고 "테아이테토스가 날고 있습니까?"에 대해서도 같은 종류의 대답을 줄 수 있어야 하며 이와 함께 두 대답의 서로 다른 층위를 구분할 수도 있어야 한다.

  이러한 구분이 필요한 이유는 소피스트가 단순히 현자를 모방하기만 하는 자가 아니라 현자를 거짓되게 모방하는 자이기 때문이다. 그는 현자로부터 두 차원 모두에서 구분되어야 하며, 그 과정에서 현자와도 달라야 하지만 현자를 모방한 자와도 달라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이중의 구분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이에 앞서 현자와 그를 모방하는 자 사이의 구분이 선행되어야 한다. 현자를 알고 모방하는 자는 현자의 현재 상태를 반복할 수는 있지만, 그 현자의 원리적 능력을 재현할 수는 없다. 마치 참여자 있는 것들이 원본 있는 것처럼 자신에 대한 참여자들을 있는 것들로 만들어주지 못하듯, 현자는 변증술이라는 원리적인 앎을 활용하여 변화생멸하는 무한하게 다양한 사태들에 언제나 참인 판단들을 내리지만 모방자는 단지 그가 모방을 완수한 그 단계까지 현자가 지니고 있던 고정된 지식들에 머무를 수밖에 없다. 반면 소피스트는 그러한 고정적 지식의 반복조차 행하지 못할 것인데, 이러한 무지에 대한 두려움이 소피스트로 하여금 자신이 논박당하는 상황은 피하게 만들고 오직 그가 다른 자를 반박하는 상황만을 허용하도록 만든다고 볼 수도 있다. 

  원본 그 자체가 참일 때에 그것을 모방한 것은 원본에 비하여 거짓이고, 원본을 제대로 모방한 모상은 원본을 잘못 모방한 가상에 비하여 참이며, 역으로 가상은 모상에 비하여 거짓이자 원본에 비하여서는 더욱 더 거짓이다. 이러한 두 차원의 참과 거짓이 구분되어야 소피스트가 현자가 아닐 뿐만 아니라 현자를 모방하는 자마저도 아니라는 점이 밝혀지고, 그가 다른 자를 지혜롭게 만들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이 지혜를 결여하고 있기까지 하다는 점이 규정되어, 그가 어느 차원의 어떤 영역에 자리하는지를 제대로 정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0. 문제 구성 중...

 

-蟲-

0. 소피스트는 무언가의 가상제작자, 즉 모방자로 규정되었다. 그러나 소피스트가 그래서 무엇을 어떻게 모방하는지에 대한 그 구체적인 내용까지 『소피스트』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된 것은 아니다. 다만 그는 사람들로부터 지혜로운 자라고 여겨지며, 바로 그러한 평판 덕분에 젊은이들을 사냥하거나 돈을 받거나 하는 일이 비로소 가능하게 된다. 아무도 그를 지혜로운 자라고 여기지 않았더라면 누구도 그에게서 가르침을 받고자 돈을 가져다 바치고 자신의 자식을 교육해 달라 맡기는 일을 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 점에서 아마도 그는 지혜로운 자처럼 보이는, 즉, 지혜로운 자를 모방하는 자라고는 생각해볼 수 있다. 

그런데 소피스트는 마치 사냥술도 가지고 상술도 가지며 쟁론술도 또 논박술(검증술, 엘렝코스)도 가진 것처럼 나타나며, 각 기술자는 그 각각의 고유한 기술로 정의되므로, 소피스트라는 것이 어떠한 고유한 전문직의 유라면 저 여러 기술들 모두에 의해 규정될 수는 없다. 그는 소피스트술이라는 단일한 기술에 의해 소피스트로 있게 되는 것이며, 반면에 그가 마치 가지고 있는 것처럼 나타나는 앞서 언급된 기술들은 단일한 기술자 유에 대한 정의로서 양립할 수 없는 것들이다. 예를 들어 사냥은 말이든 행동이든 대상을 강제로 제압하여 획득해내는 기술인 반면 상술은 대상을 거래와 계약을 통해 그 대가가 되는 것과 교환하는 기술이며, 단일한 기술이 강제로 제압하는 동시에 또한 교환하는 것이기도 하는 일은 불가능하다. 다만 그는 일련의 모습들을 보여주는 과정에서 일관되게 말로써 상대방을 반박하는 행위를 수행하며, 아마도 이 점이 그의 고유한 기술에 핵심이 되는 특징일 것이다.

주목할 점은 소피스트에 대한 여섯 번째 규정 시도에서 획득된 결론으로서 그가 영혼을 정화하는 엘렝코스를 사용하는 자인 것처럼 보인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러한 엘렝코스는 플라톤의 소위 초중기 대화편들에서 일관되게 소크라테스가 사용하는 기술로서 묘사되는 것이라 생각된다. 그런데 소크라테스는 그 자신의 무지를 공언하는 자이며, 지혜를 사랑하는 자일지는 몰라도 최소한 지혜로운 자 그 자신이라고는 말하기 곤란할 것이다. 또한 소크라테스의 엘렝코스는 상대방이 지혜를 잉태하고 있는지 혹은 지혜를 견지하고 있는지 그것도 아니면 무지한데 스스로 지혜롭다고 착각하고 있는 자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두 측면을 함께 고려하면, 엘렝코스를 수행한다는 것 그 자체로는 이 수행자 자신이 지혜로운지 여부는 드러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엘렝코스는 상대가 지닌 믿음들이 상충하고 모순될 때 이를 지적함으로써 상대의 무지를 자각하도록 만들지만, 상대가 지혜롭다면 그가 모순된 믿음을 동시에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점을 드러내 보여줄 뿐 피논박자에게 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소피스트가 만일 지혜로운 자를 모방하고 그 결과 지혜로운 자처럼 여겨지고 있고 이것이 그의 소피스트술을 사용한 귀결이라면, 엘렝코스는 적어도 직접적으로는 이 귀결에 기여하지 못할 것이며 소피스트술과 곧장 동일시되기도 어려울 것이다. 다른 한편 무지한 소크라테스도 지혜로운 현자도 상대방의 지혜로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엘렝코스를 사용하는 일이 가능할 것이고, 그렇다면 같은 일을 소피스트는 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할 이유는 없어 보인다. 상대에게 묻고 동의를 구하고 대화를 주고 받으면서 상대가 동의한 것들 사이에 혹은 부정한 것들 사이에 모순이 드러난다면, 상대는 자신의 무지를 자각하게 된다. 설령 소피스트가 궤변을 통해 작위적으로 상대를 기만한다 하더라도, 또는 그것이 지나치게 유치하고 억지스러워 피논박자가 어이없어 하고 성질을 낸다 하더라도, 결국 소피스트가 상대방에게 지적하는 모순을 실제로 유의미하게 해결하거나 극복하기 위해서는 변증술적 앎이 필요하다. 어떤 것이 결합하고 또 어떤 것이 분리되며 그것들은 어떠한 기준과 조건에 따르는지, 이를 알지 못한다면 소피스트의 궤변이 아무리 이상하더라도 이에 대해 제대로 항변할 수 없다. 그리고 이 상황에서 피논박자는 짜증스럽고 화가 나더라도 어찌 되었든 자신이 소피스트가 제기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을,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변증술적 앎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자각하게 된다. 이는 지혜를 추구하는 소크라테스나 혹은 지혜를 획득한 현자가 엘렝코스를 사용했을 때와 결국은 같은 결론일 수 있다. 제대로 건전한 논박의 과정을 거친 결과도 피논박자가 자신의 변증술적 앎에 대한 무지를 자각하게 되는 것임은 같기 때문이다. 『소크라테스의 변론』에서 각 분야의 전문가들, 시인, 장인, 정치가 등등이 각자 자신의 고유한 분야에서는 확고한 지식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크라테스의 엘렝코스를 거쳐 무지를 자각하고 이에 대해 소크라테스를 향해 화를 내거나 아니면 자신을 반성하고 소크라테스에게 배움을 청하거나 이러저러한 반응을 보이는 것이 그 예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각자 자신의 전문영역에 있어서는 그에 한정하여 아는 자라 하더라도 여전히 그는 엘렝코스를 통해 드러날 무지를 가지고 있으며, 그 무지는 결국 모순을 범하지 않고 또 이를 극복해내기도 하는 데에 필요한 바로 그러한 앎, 결합과 분리의 질서에 대한 앎의 결여인 것이다. 

엘렝코스를 사용하는 측면에서 무지하되 지혜를 추구하는 소크라테스, 무지하되 지혜를 가장하는 소피스트, 지혜로운 자 셋 모두가 구분되지 않더라도, 여전히 이 셋은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크라테스는 『파르메니데스』에서 제논과 파르메니데스의 엘렝코스를 거부하지 않고 받아들이며, 그 결과 자신이 내세우는 형상이론과 관련하여 자기 자신이 결합과 분리의 문제를 제대로 다루지 못한다는 그 무지를 자각하게 된다. 반면 앞서 이야기하였듯 지혜로운 자는 아마도 같은 엘렝코스 상황에서 결합과 분리의 질서를 정확히 인지하고서 이에 따라 여러 난해한 하나와 여럿이니 있고 있지 않고 하는 등등의 문제를 해결해낼 것이다. 그러한 해결은 『소피스트』에서 실제로 손님에 의해 제시되기도 한다. 그러나 소피스트의 경우, 소크라테스의 엘렝코스를 아이러니한 기만이라 비방하며 이에 응하기를 거부한다. 『국가』에서 트라시마코스, 『고르기아스』에서 칼리클레스, 『프로타고라스』에서 프로타고라스나 『에우튀데모스』에서 에우튀데모스와 디오뉘소도로스 등이 모두 그러한 특징을 잘 보여준다. 소크라테스는 알면서 모르는 척을 하고 함정을 파서 대화상대를 아포리아에 빠지게 만든다고 욕을 하면서, 정작 자기 자신이 지혜로운지 여부를 확인할 여지는 허용하지 않는다. Beere의 진단은 이 점에서 설득력이 있는데, 단지 엘렝코스를 사용한다는 능동적 측면만으로는 사용자가 지혜로운지 여부가 판별되지 않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독 소피스트는 그 엘렝코스나 반박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지혜롭다는 평판을 얻는데, 그러나 같은 일이 소크라테스에게는 벌어지지 않는다는 문제를 나름 설득력있게 설명해낼 수 있기 때문이다. 그에 따르면 소피스트는 논박을 수행하기는 하되 논박을 당하는 일은 없기 때문에, 그에 의해 논박을 당한 자(무지를 자각한 자)와 이를 지켜본 대중이 보기에는 소피스트와 그의 반박상대 중 후자는 확실히 무지한 자인 반면 소피스트 자신은 지혜로운지 무지한지 알 수 없는 자가 된다. 여기에서 소크라테스처럼 자기 자신의 무지 또한 공언한다면, 혹은 자신의 지혜에 근거하여 다른 이들의 검증으로서 엘렝코스를 얼마든지 받아들이고 허용한다면, 소피스트는 단적으로 지혜롭거나 아니면 무지한 것으로 확정될 것이다. 그러나 소피스트는 자신의 무지를 알고 이것이 들킬까 두려워하며 이를 들키지 않기 위해 아이러니하게, 즉 모르면서 아는 척을 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무지를 감추고자 한다. 타인들을 반박해 그들의 무지를 드러내 보임으로써 소피스트 자신은 상대적 우위를 점하고, 이 상대적 우위가 가진 불확실성(지혜로운 자로 확정된 것이 아니라 지혜로운지 무지한지 여전히 불확실한 상태)에 아는 척을 더함으로써 사람들로 하여금 소피스트는 지혜로운 자처럼 여겨지게 되는 것이다. 다만 여기에서 비어가 주장하는 거짓 논박이나 거짓 모순은 딱히 소피스트가 지혜로운 자를 기만적 방식으로 모방하는 데에 기여하는 바가 없다는 것이 내가 첨언하고자 하는 바이다. 반박을 가하는 입장에서 무엇을 어떻게 반박하는지 여부는 상관없으며, 실상 그 구체적인 내용조차도 별로 중요치 않다. 문제는 결국 피반박자가 변증술적 지혜의 결여로서 그 자신의 무지를 자각하는지 여부이며, 이 부분에서의 반박은 실제로 실현되어야 위의 구도가 비로소 성립한다. 소피스트의 대화 상대자가 무지를 자각하게 되지 않는다면, 소피스트의 반박이 건전한 엘렝코스일 경우 그저 상대방의 지혜로움이 확인될 뿐일 것이고, 그것이 가짜 논박에 불과한 경우 소피스트에게 사람들이 환호하고 자발적으로 배움을 청하는 일이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거짓, 가짜 논박에 넘어가면 넘어가는대로 그 허위를 지적해낼 능력이 없음이 밝혀지는 것이고, 이것이 거짓이고 기만임을 제대로 해명해낸다면 지혜로운 자로 드러나며, 그러나 이러한 폭로를 위한 철학적 지식은 현자나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소피스트가 상대하는 통상의 상대들에게는 해당하지 않는다. 따라서 소피스트의 논박이 거짓이든 참이든 그 결과 상대방이 자신의 변증술적 무지를 자각하는 점에 있어서는 별 차이가 없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

지혜로운 자의 그 지혜는 모순을 범하지 않는 것을 통해서 사람들에게 확인된다. 그러나 반박의 이러한 수동적 측면이 아닌 능동적 측면을 모방함으로써 소피스트는 지혜로운 자의 비율을 왜곡하여 모방한다. 반면 지혜로운 자를 제대로 모방하는 자는 반박을 가하는 쪽이 아닌 반박을 당하는 측면을 모방하는 자여야 할 것이다. 그것이 지혜로운 자가 지혜로운 자로 나타나는 본래의 방식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아름다운 것을 그것이 아름다운 그 점에서가 아닌 다른 측면에서 아름다워 보이기만 하는 방식으로 모방하는 경우와 그냥 있는 그대로 모방하는 경우의 구분에도 부합한다. 소피스트는 지혜로운 자의 그 논박을 잘못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논박을 모방함으로써 지혜로운 자를 잘못 모방하는 것이다. 늑대와 개의 구분은 소크라테스와 소피스트 사이의 구분이 아니라 그냥 지혜로운 자와 소피스트 사이의 구분에 대한 유비이다.

 

0. 소피스트는 모르는 자로서 가상을 제작한다. 이에 대비하여 모르는 자가 모상을 제작하는 경우가 가능한지, 그리고 간단히 언급되기만 하고 지나가는 아는 자가 제작하는 가상은 소피스트의 가상과 어떻게 다른지 등등의 문제가 남는다. 또한 이러한 가상이나 모상의 분할 과정에서 원본이 무엇인지에 대한 문제도 여전히 남아 있다. 지혜로운 자 그 자신이 원본인 경우가 있고 지혜로운 자의 말이나 생각이 원본인 경우도 있을 것이며, 이러저러한 덕이라든지 참이라든지 다른 맥락에서 원본이 되는 것들도 고려될 여지가 있다. 일단 오늘은 여기까지.

 

-蟲-

0. 얼마 전 온라인으로 학술발표회가 있어 참석했다. 국내에 관련전공자가 없다시피 한 분야를 전공하고 오신 분께서 현재까지도 한창 진행 중인 작업의 말하자면 중간결과 같은 것을 발표하여 공유하는 자리였다. 낯설고도 흥미로운 발표가 마무리되고 질의응답시간이 되었다. 몇몇 질의가 오가고, (이 좁은 바닥에서) 낯선 누군가가 발언권을 요구했다. 그러더니 발표자의 발표를 비하하는, 그러면서도 발표의 내용과는 하등 관련이 없는 자신의 관심분야를 치켜 세우는, 그냥 '난 이런 것도 알아요' 류의 개소리를 짖어댔다. 나는 내 스스로 쌍욕을 하지 않을 자신이 없어서 내 마이크와 영상을 급하게 껐다. 동료 연구자인 발표자에 대한 존중도, 해당 발표회에 참석한 여타 연구자들이 그 발표를 듣기 위해 할애한 시간에 대한 배려도, 그 자신 역시 속해 있을 이 분야 자체에 대한 신중함과 정직함도, 아무것도 느껴지지 않았다. 모욕 당한 기분이었다. 진심으로 살의를 느꼈다. 그냥 저런 쓰레기를 하나 치워 버리는 게, 나 따위가 되도 않는 글을 읽네 쓰네 마네 하는 것보다는 훨씬 학계에 기여하는 일이 아닐까 하는 고민이 들었다. 그 새끼 자신을 제외하곤 그 누구도 그런 취급을 받을 이유가 없었고, 받아서도 안 되었다.

 

0. 나는 생산성이 낮은 인간이고, 무슨 대단한 통찰이나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있는 것도 아니고, 이 분야에서 한 해에만 4~5만 건의 논문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 중에 몇 편이나 유의미하고 또 그 중 얼마가 생명력을 갖춰 이후의 논의로 확장될지는 아무도 모를 일이지만, 또 다른 분야에 비해 여기에 사람이 차고 넘치는 것도 아닌 건 물론이고 오히려 사향길에 접어들었다는 게 그럴 듯할 지경인 분야이긴 하지만, 그렇더라도 말이다. 나 같은 게 있거나, 혹은 없거나, 별 차이는 없을 만한 정도는 된다는 것이겠다. 그래서 나는 학술적으로 유의미한 연구를 해내고 있지 못하고, 그 실질에 맞게 낮은 평가를 받고 있고, 그래서 이 기준으로만 놓고 보자면 위에 말한 저 씨발 쓰레기 새끼랑 별 차이가 없다는 거다. 적어도 저 치는 제 잘난 맛에 웃고 떠들고 다른 곳에서도 저렇게 끽끽 원숭이처럼 짖어대고 다니기라도 하겠지. 나는 저 치와 별 다를 것도 없는 처지에, 죄책감과 부채감을 떠안고 있다. 

 

0. 내가 밑바닥 진창에 쳐박혀 있다는 걸 모르는 바 아니고, 현실을 부정하고 도피하고 싶은 것도 아니다. 다만 그래도 여기에 발목 잡혀서 그대로 파묻혀 버릴 거면, 그럼에도 계속 이렇게 아득바득 버티는 데에 이유가 있다고 할 수 있을까? 안간힘을 써서 개발악을 하다 보면, 그래도 조금은 학자구실을 하고 살 수 있다는, 이 시궁창에서 조금은 기어 올라갈 수 있다는, 그런 희망을 갖고 싶다. 나는 뭔가 대단히 잘못하고 큰 죄를 지은 사람인 건가? 모상의 자체적 본질이 해명되기 어려운 것이고, 그것이 플라톤 형이상학에서 참여 개념에 맞물려 심각한 철학적 문제를 발생시키는 것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체적인 것과 참여적인 것의 양립 가능성을 『소피스트』 내에서 읽어내야 한다는 내 제안은 그렇게나 글러먹은 것인가? 인식상태에 대한 시험, 검토는 그 대상이 되는 인간이 승인하고 개입하는 믿음들 사이의 모순 유무를 통해 이루어지며, 그 믿음의 대상이 되는 현실에서 모순이 실제로 성립하는지 아니면 조작적으로 거짓 모순이 구성되는지 여부는 이 검토와 별개의 문제이고, 그래서 적어도 시험과 논박 그 자체만 놓고 보자면 한 개인의 믿음 체계 내에 모순이 함축되어 있음을 드러내 밝힌다는 점에서는 소피스트의 궤변적 논박이든 철학자의 교육적 논박이든 차이가 없다는 것이, 그게 그렇게나 가망이 없는 해석인가? 그리고 이런 문제의식들은 플라톤을 이해하는 데에는 하등 기여하는 바가 없는 그저 헛소리에 불과한 것인가? 

 

0. 언제나 어디에서나 그렇듯이, 노력이 결과를 보장해주지 않는다.

 

-蟲-

 Ἐπειδὴ δὲ πάντ᾿ ἦν τὰ τοῦ θνητοῦ ζῴου συμπεφυκότα
μέρη καὶ μέλη, τὴν δὲ ζωὴν ἐν πυρὶ καὶ πνεύματι συνέβαινεν      77a
ἐξ ἀνάγκης ἔχειν αὐτῷ, καὶ διὰ ταῦτα ὑπὸ τούτων τηκόμενον
κενούμενόν τ᾿ ἔφθινεν, βοήθειαν αὐτῷ θεοὶ μηχανῶνται.

 헌데 사멸하는 생물의 그 모든 본성적으로 타고난 부분과 사지가

있게 되었으나, 그 생존을 불과 바람 안에서 지닐 수밖에 없도록

그것[생물]에게 귀결되었고, 이런 것들로 인해 이것들에 의해

용해되고 비워져 소멸하곤 하였기에, 신들께서 그것[생물]에게

구제책을 고안해내셨습니다.

                                                                        τῆς

γὰρ ἀνθρωπίνης συγγενῆ φύσεως φύσιν ἄλλαις ἰδέαις καὶ

αἰσθήσεωσιν κεραννύντες, ὥσθ᾿ ἕτερον ζῷον εἶναι, φυτεύουσιν·        5

ἃ δὴ νῦν ἥμερα δένδρα καὶ φυτὰ καὶ σπέρματα παιδευθέντα

ὑπὸ γεωργίας τιθασῶς πρὸς ἡμᾶς ἔσχεν, πρὶν δὲ ἦν μόνα τὰ

τῶν ἀγρίων γένη, πρεσβύτερα τῶν ἡμέρων ὄντα.                        b

                                    즉 인간적인 본성과 동종적인 본성을

여타의 형상들 및 지각들과 혼합하심으로써, 그래서 또 다른

생물이 있게끔, 생육하셨으니 말이지요. 그래서 오늘날 초목과

종자로 농부들에 의해 양육된 것들이 경작된 방식으로 우리에게

주어졌으나, 그 전에는 오직 야생의 종들만이 있었으며, 그것들이

경작된 것들 보다 더 오래된 것들이랍니다.

> "ἕτερον ζῷον"이 여태까지 그 생성 이유가 설명된 남성, 여성,

여타 동물들에 더하여 '또 다른' 생물인 식물이라고 볼 수 있다.

by W. S., Kim 식물은 동물이 자꾸 비워지니 먹고 채우라고

먹을거리로서 생성된 것.

                                                                    πᾶν γὰρ             b

οὖν ὅτιπερ ἂν μετάσχῃ τοῦ ζῆν, ζῷον μὲν ἂν ἐν δίκῃ λέγοιτο

ὀρθότατα· μετέχει γε μὴν τοῦτο ὃ νῦν λέγομεν τοῦ τρίτου

ψυχῆς εἴδους, ὃ μεταξὺ φρενῶν ὀμφαλοῦ τε ἱδρῦσθαι λόγος,

ᾧ δόξης μὲν λογισμοῦ τε καὶ νοῦ μέτεστιν τὸ μηδέν, αἰσθή-             5

σεως δὲ ἡδείας καὶ ἀλγεινῆς μετὰ ἐπιθυμιῶν.

                               그야 물론 삶에 참여할 그 무엇이든

모든 것이, 생물이라 말해지는 것이 정의에 있어서 가장 올바른

것일 테지요. 그렇긴 합니다만 적어도 지금 우리가 논하는

이 생물은 영혼의 세 번째 형상에 참여하니, 그것이 흉부와 배꼽

사이에 놓인다는 그 논리가 있고, 그것에 판단과 추론 그리고

지성에는 전혀 참여하는 것이 있지 않되, 쾌와 고의 지각에는

열망들을 동반하여 참여하는 일이 있습니다.

                                                         πάσχον γὰρ

διατελεῖ πάντα, στραφέντι δ᾿ αὐτῷ ἐν ἑαυτῷ περὶ ἑαυτό, τὴν

μὲν ἔξωθεν ἀπωσαμένῳ κίνησιν, τῇ δ᾿ οἰκείᾳ χρησαμένῳ,              c

τῶν αὑτοῦ τι λογίσασθαι κατιδόντι φύσει οὐ παραδέδωκεν ἡ

γένεσις.

                                            왜냐하면 그것이 시종일관

모든 것들을 겪되, 자신 안에서 자신 주위로 회전하며, 외부의

운동은 밀쳐내고, 고유한 운동은 활용하는 그것에게, 그 자신의

것들 중 뭔가를 파악하여 추론하는 일은 본성상 그 생성이 

그것에게 허용해주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διὸ δὴ ζῇ μὲν ἔστιν τε οὐχ ἕτερον ζῴου, μόνιμον

δὲ καὶ κατερριζωμένον πέπηγεν διὰ τὸ τῆς ὑφ᾿ ἑαυτοῦ

κινήσεως ἐστερῆσθαι.                                                             5

                                                  그래서 이로 인해

살아 있고 동물과 다른 것으로 있지 않지만, 머물러 있는

것으로서 자신에 의한 운동을 결여함으로 인해 뿌리를 내려

고착되었습니다.

 

Ταῦτα δὴ τὰ γένη πάντα φυτεύσαντες οἱ κρείττους τοῖς

ἥττοσιν ἡμῖν τροφήν, τὸ σῶμα αὐτὸ ἡμῶν διωχέτευσαν

τέμνοντες οἷον ἐν κήποις ὀχετούς, ἵνα ὥσπερ ἐκ νάματος

ἐπιόντος ἄρδοιτο.

그래서 이러한 유들 모두를 그 우월하신 분들께서 저열한

우리에게 양분으로서 생육해주시며, 우리의 신체 자체에

길을 내셨으니 마치 정원에 수로를 내듯이 분단하심으로써

그리하셨으며, 유입되는 흐름으로부터 관개가 되듯이 하게끔

그리 하셨지요.

                        καὶ πρῶτον μὲν ὀχετοὺς κρυφαίους ὑπὸ

τὴν σύμφυσιν τοῦ δέρματος καὶ τῆς σαρκὸς δύο φλέβας              d

ἔτεμον νωτιαίας, δίδυμον ὡς τὸ σῶμα ἐτύγχανεν δεξιοῖς τε

καὶ ἀριστεροῖς ὄν· ταύτας δὲ καθῆκαν παρὰ τὴν ῥάχιν, καὶ τὸν

γόνιμον μεταξὺ λαβόντες μυελόν, ἵνα οὗτός τε ὅτι μάλιστα

θάλλοι, καὶ ἐπὶ τἆλλα εὔρους ἐντεῦθεν ἅτε ἐπὶ κάταντες ἡ               5

ἐπίχυσις γιγνομένη παρέχοι τὴν ὑδρείαν ὁμαλήν.

                     그리고 우선 수로들로서 피부와 살이 함께

자라나는 곳 아래에 감추어지게 두 척추 혈관을 텄으니, 마침

신체가 오른쪽과 왼쪽으로 이중인 것이라 생각하시며 그리

하셨습니다. 이러한 혈관들을 등뼈 곁에 세워두시고, 그 사이에서

산출적인 골수를 취하시었으니, 이것이 최대한 가지를 치도록,

그리고 여타의 것들을 향해서도 여기에서부터 잘 흐르도록, 아래쪽을

향해 흐름이 생겼기에 고른 관개를 제공하게끔 그리 하셨습니다.

                                                                μετὰ δὲ

ταῦτα σχίσαντες περὶ τὴν κεφαλὴν τὰς φλέβας καὶ δι᾿ 

ἀλλήλων ἐναντίας πλέξαντες διεῖσαν, τὰς μὲν ἐκ τῶν δεξιῶν          e

ἐπὶ τἀριστερὰ τοῦ σώματος, τὰς δ᾿ ἐκ τῶν ἀριστερῶν ἐπὶ τὰ

δεξιὰ κλίναντες, ὅπως δεσμὸς ἅμα τῇ κεφαλῇ πρὸς τὸ σῶμα

εἴη μετὰ τοῦ δέρματος, ἐπειδὴ νεύροις οὐκ ἦν κύκλῳ κατὰ

κορυφὴν περιειλημμένη, καὶ δὴ καὶ τὸ τῶν αἰσθήσεων πάθος           5

ἵν᾿ ἀφ᾿ ἑκατέρων τῶν μερῶν εἰς ἅπαν τὸ σῶμα εἴη διάδηλον.

                                                                  이러한 일들

다음으로는 머리 주위로 혈관들을 분산시키고 서로를 통해 반대로

엮어 통과시키셨으니, 한편의 혈관들은 신체의 오른편에서 왼편으로,

다른 쪽 혈관들은 왼편에서 오른편으로 기울여, 머리에게 신체 쪽으로

피부와 더불어 매듭으로 있게끔, 머리가 혈관들로 구형으로 정수리를

따라 감싸여 있지 않았기에, 더 나아가 지각들에 대한 겪음이 사지들의

양편으로부터 신체 전체에까지 완전히 분명한 것으로 있도록 그리

하셨습니다.

τὸ δ᾿ ἐντεῦθεν ἤδη τὴν ὑδραγωγίαν παρεσκεύασαν τρόπῳ τινὶ

τοιῷδε, ὃν κατοψόμεθα ῥᾷον προδιομολογησάμενοι τὸ τοιόνδε,   78a

ὅτι πάντα ὅσα ἐξ ἐλαττόνων συνίσταται στέγει τὰ μείζω,

τὰ δὲ ἐκ μειζόνων τὰ σμικρότερα οὐ δύναται, πῦρ δὲ πάντων

γενῶν σμικρομερέστατον, ὅθεν δι᾿ ὕδατος καὶ γῆς ἀέρος τε καὶ

ὅσα ἐκ τούτων συνίσταται διαχωρεῖ καὶ στέγειν οὐδὲν ἀὐτὸ             5

δύναται.

그런데 이로부터 이제 관개로를 다음과 같은 어떤 방식으로 제공하였으니,

이는 다음의 것을 추가로 동의함으로써 더 쉽게 살펴보게 될 것인 바,

더 작은 것들로 구성된 모든 것들은 더 큰 것들을 가두는 반면, 더 큰

것들로 구성된 것들은 더 작은 것들을 그리 할 수 없고, 그런데 불은

모든 유들 중에 가장 작은 부분으로 된 것이고, 이로부터 물과 흙과 공기

그리고 이것들로 구성된 것들을 통과하고 그것을 아무것도 가둘 수

없다는 것이지요. 

            ταὐτὸν δὴ καὶ περὶ τῆς παρ᾿ ἡμῖν κοιλίας δια-

νοητέον, ὅτι σιτία μὲν καὶ ποτὰ ὅταν εἰς αὐτὴν ἐμπέσῃ,

στέγει, πνεῦμα δὲ καὶ πῦρ σμικρομερέστερα ὄντα τῆς αὑτῆς           b

συστάσεως οὐ δύναται.

                      더 나아가 우리의 복강에 관련하여서도 같은

것이 사유되어야만 합니다. 먹거리와 마실거리는 그 속으로

들어왔을 때, 가두지만, 숨과 불은 그 몸통의 구조보다 더 작은

부분들로 이루어진 것들이기에 그리할 수 없다는 점이 말이지요.

                               τούτοις οὖν κατεχρήσατο ὁ θεὸς εἰς //211009

τὴν ἐκ τῆς κοιλίας ἐπὶ τὰς φλέβας ὑδρείαν, πλέγμα ἐξ ἀέρος

καὶ πυρὸς οἷον οἱ κύρτοι συνυφηνάμενος, διπλᾶ κατὰ τὴν

εἴσοδον ἐγκύρτια ἔχον, ὧν θάτερον αὖ πάλιν διέπλεξεν                  5

δίκρουν· καὶ ἀπὸ τῶν ἐγκυρτίων δὴ διετείνατο οἷον σχοίνους

κύκλῳ διὰ παντὸς πρὸς τὰ ἔσχατα τοῦ πλέγματος.

그리하여 그 신께서는 이러한 것들을 복강에서 혈관들로의 관개를

위해 두루 사용하셨습니다. 공기와 불로 된 꼬인 것을 이를 테면

통발들처럼 지어내심으로써 말이죠. 그건 유입로를 따라 이중으로

된 통발주둥이를 지녔는데, 그 중 한편은 또 다시 두 갈래로

가르셨습니다. 더 나아가 그 통발주둥이들에서부터 이를 테면

동아줄 같은 것을 그 꼬인 것 전체를 거쳐 그 극단들에 이르기까지

구형으로 뻗어 놓으셨지요.

                                                                 τὰ μὲν

οὖν ἔνδον ἐκ πυρὸς συνεστήσατο τοῦ πλοκάνου ἅπαντα, τὰ δ᾿      c

ἐγκύρτια καὶ τὸ κύτος ἀεροειδῆ, καὶ λαβὼν αὐτὸ περιέστησεν

τῷ πλασθέντι ζῴῳ τρόπον τοιόνδε.

                                 그리하여 그 채반의 내부의 것들은 전부

다 불로 구성하셨고, 통발주둥이들과 흉곽은 공기류로 구성하셨으며,

그것을 취하시고는 빚어진 생물에게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둘러

세우셨습니다.

                                              τὸ μὲν τῶν ἐγκυρτίων

εἰς τὸ στόμα μεθῆκεν· διπλοῦ δὲ ὄντος αὐτοῦ κατὰ μὲν τὰς

ἀρτηρίας εἰς τὸν πλεύμονα καθῆκεν θάτερον, τὸ δ᾿ εἰς τὴν            5

κοιλίαν παρὰ τὰς ἀρτηρίας· τὸ δ᾿ ἕτερον σχίσας τὸ μέρος

ἑκάτερον κατὰ τοὺς ὀχετοὺς τῆς ῥινὸς ἀφῆκεν κοινόν, ὥσθ᾿ 

ὅτε μὴ κατὰ στόμα ἴοι θάτερον, ἐκ τούτου πάντα καὶ τὰ

ἐκείνου ῥεύματα ἀναπληροῦσθαι.                                            d

                  통발주둥이들 중 한편은 입쪽으로 터 놓으셨죠.

그런데 그것이 이중인지라 기관지를 따라서 폐쪽으로 한쪽

편을 놓아두시고, 다른 쪽은 복강쪽으로 기관지 곁에 두셨습니다.

그런데 다른 쪽은 각각 두 부분으로 가르셔서 코의 두 통로를

따라 공통으로 개통하셨습니다. 다른 한쪽 콧구멍이 입을 따라

나아가지 못할 때, 이쪽 콧구멍으로 저쪽 콧구멍의 흐르는 모든

것들이 공급되도록 말이죠.

                                           τὸ δὲ ἄλλο κύτος τοῦ                d

κύρτου περὶ τὸ σῶμα ὅσον κοῖλον ἡμῶν περιέφυσεν, καὶ πᾶν

δὴ τοῦτο τοτὲ μὲν εἰς τὰ ἐγκύρτια συρρεῖν μαλακῶς, ἅτε ἀέρα

ὄντα, ἐποίησεν, τοτὲ δὲ ἀναρρεῖν μὲν τὰ ἐγκύρτια, τὸ δὲ

πλέγμα, ὡς ὄντος τοῦ σώματος μανοῦ, δύεσθαι εἴσω δι᾿                 5

αὐτοῦ καὶ πάλιν ἔξω, τὰς δὲ ἐντὸς τοῦ πυρὸς ἀκτῖνας διαδεδε-

μένας ἀκολουθεῖν ἐφ᾿ ἑκάτερα ἰόντος τοῦ ἀέρος, καὶ τοῦτο,

ἕωσπερ ἂν τὸ θνητὸν συνεστήκῃ ζῷον, μὴ διαπαύεσθαι                 e

γιγνόμενον· τούτῳ δὲ δὴ τῷ γένει τὸν τὰς ἐπωνυμίας θέμενον

ἀναπνοὴν καὶ ἐκπνοὴν λέγομεν θέσθαι τοὔνομα.

그런데 그 통발의 그 외 통을 우리의 속이 빈 신체 주위로 둘러

키우셨고, 더 나아가 이 모든 흐름을 어느 때엔 통발주둥이들을

향해 유연하게 함께 흐르도록, 그 주둥이들이 공기들이기에,

그렇게 만드셨고, 또 다른 때에는 그 주둥이들[을 통해 흐르는

것들]이 역행하도록 만드셨으나, 그 꼬인 것은, 그 물체가 성긴

것이기에, 그 물체를 통해 [모든 것이] 안으로 그리고 다시 밖으로

스미도록 만드셨으며, 내부의 불의 빛줄기들은 완전히 결속되어

공기가 이행할 때 양쪽으로 따르도록 만드셨고, 이런 일이,

사멸적인 것이 생물로서 구성되어 있는 동안에는, 이루어지기를

그치지 못하도록 하셨지요. 그래서 이러한 유에는 이름을 정해준

자가 들숨과 날숨을 이름으로 정해주었다고 우리가 말하는

것입니다.

                                                               πᾶν δὲ δὴ

τό τ᾿ ἔργον καὶ τὸ πάθος τοῦθ᾿ ἡμῶν τῷ σώματι γέγονεν

ἀρδομένῳ καὶ ἀναψυχομένῳ τρέφεσθαι καὶ ζῆν· ὁπόταν γὰρ           5

εἴσω καὶ ἔξω τῆς ἀναπνοῆς ἰούσης τὸ πῦρ ἐντὸς συνημμένον

ἕπηται, διαιωρούμενον δὲ ἀεὶ διὰ τῆς κοιλίας εἰσελθὸν τὰ

σιτία καὶ ποτὰ λάβῃ, τήκει δή, καὶ κατὰ σμικρὰ διαιροῦν,           79a

διὰ τῶν ἐξόδων ᾗπερ πορεύεται διάγον, οἷον ἐκ κρήνης ἐπ᾿ 

ὀχετοὺς ἐπὶ τὰς φλέβας ἀντλοῦν αὐτά, ῥεῖν ὥσπερ αὐλῶνος

διὰ τοῦ σώματος τὰ τῶν φλεβῶν ποιεῖ ῥεύματα.

               그래서 모든 작용과 겪음이 이러한 것으로서 우리의

신체로 하여금 수분을 공급받고 혼을 되살려 양분을 얻고

살아있도록 그렇게 발생되었던 것입니다. 왜냐하면 안팎으로

들숨이 드나들어서 내부의 불이 그에 결합하여 따르고, 불은

언제나 복강을 통해 부유하여 들어와 먹거리와 마실거리를

붙잡을 언제든, 그래서 그것들을 분해하고, 나아가 잘게 분할하여,

출로들을 통해 당도하는 그 어디로든 가로질러 나르며, 이를 테면

샘으로부터 물줄기들로 그리하듯 혈관들로 그것들을 길어, 마치

골짜기마냥 신체를 관통하여 혈관의 혈류들이 흐르도록 만들기

때문이지요.

 

 Πάλιν δὲ τὸ τῆς ἀναπνοῆς ἴδωμεν πάθος, αἷς χρώμενον                5

αἰτίαις τοιοῦτον γέγονεν οἷονπερ τὰ νῦν ἐστιν. ὧδ᾿ οὖν.

 그런데 다시 들숨의 그 겪음을 살펴봅시다. 그것이 지금 그대로

그러한 것으로 생성될 때 어떠한 원인들을 사용하여 그리 되는지

말입니다. 그건 이하와 같습니다.

ἐπειδὴ κενὸν οὐδέν ἐστιν εἰς ὃ τῶν φερομένων δύναιτ᾿ ἂν            b

εἰσελθεῖν τι, τὸ δὲ πνεῦμα φέρεται παρ᾿ ἡμῶν ἔξω, τὸ μετὰ

τοῦτο ἤδη παντὶ δῆλον ὡς οὐκ εἰς κενόν, ἀλλὰ τὸ πλησίον

ἐκ τῆς ἕδρας ὠθεῖ· τὸ δ᾿ ὠθούμενον ἐξελαύνει τὸ πλησίον

ἀεί, καὶ κατὰ ταύτην τὴν ἀνάγκην πᾶν περιελαυνόμενον εἰς            5

τὴν ἕδραν ὅθεν ἐξῆλθεν τὸ πνεῦμα, εἰσιὸν ἐκεῖσε καὶ ἀνα-

πληροῦν αὐτὴν συνέπεται τῷ πνεύματι, καὶ τοῦτο ἅμα πᾶν

οἷον τροχοῦ περιαγομένου γίγνεται διὰ τὸ κενὸν μηδὲν εἶναι.        c

허공은 이동하는 것들 중 무언가가 그리로 들어갈 능력을 가질

그 어떤 것으로도 있을 수 없으나, 숨은 우리에게서 밖으로

이동하기에, 이 다음으로는 허공을 향해 이동하는 게 아니라,

인접한 것을 그 자리로부터 밀어낸다는 것이 모두에게 이제

분명하지요. 그런데 밀려나는 것은 언제나 인접한 것을 몰아내고,

이러한 필연에 따라 모든 것은 숨이 그로부터 추방된 그 자리로

두루 밀려남으로써, 저곳으로 들어가 그 자리를 다시 채움으로써

그 숨에 함께 따르고, 이러한 모든 일이 동시에 이를 테면 

수레바퀴가 둥글게 돌아갈 때처럼 일어나니 허공이란 아무것도

아니라는 점으로 인해서 그러하지요.

διὸ δὴ τὸ τῶν στηθῶν καὶ τὸ τοῦ πλεύμονος ἔξω μεθιὲν τὸ

πνεῦμα πάλιν ὑπὸ τοῦ περὶ τὸ σῶμα ἀέρος, εἴσω διὰ μανῶν

τῶν σαρκῶν δυομένου καὶ περιελαυνομένου, γίγνεται πλῆρες·

αὖθις δὲ ἀποτρεπόμενος ὁ ἀὴρ καὶ διὰ τοῦ σώματος ἔξω ἰὼν          5

εἴσω τὴν ἀναπνοὴν περιωθεῖ κατὰ τὴν τοῦ στόματος καὶ τὴν

τῶν μυκτήρων δίοδον.

                                             그래서 이로 인해 가슴과 폐가

외부로 다시 숨을 배출하고 다시 신체 주위의 공기에 의해, 이 공기가

성긴 살을 통해 내부로 스며들고 또 두루 밀려남으로써, 채워지게

됩니다. 그런데 곧장 그 공기가 방향을 전환하고 신체를 통해 밖으로

나아가 안으로 들숨을 입과 비공의 통로를 따라 몰아넣지요.

                               τὴν δ᾿ αἰτίαν τῆς ἀρχῆς αὐτῶν θετέον

τήνδε. πᾶν ζῷον αὑτοῦ τἀντὸς περὶ τὸ αἷμα καὶ τὰς φλέβας         d

θερμότατα ἔχει, οἷον ἐν ἑαυτῷ πηγήν τινα ἐνοῦσαν πυρός· ὃ

δὴ καὶ προσηκάζομεν τῷ τοῦ κύρτου πλέγματι, κατὰ μέσον

διατεταμένον ἐκ πυρὸς πεπλέχθαι πᾶν, τὰ δὲ ἄλλα ὅσα

ἔξωθεν, ἀέρος.                                                                   5

그런데 그것들의 원리의 원인은 이하와 같은 것이라 상정되어야만

합니다. 모든 생물은 자신의 내부 혈액과 혈관 주위에서 가장 

따뜻한 상태이죠. 이를 테면 자신 안에 어떤 불의 원천 같은 것이

들어있는 것 같이 말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통발로 엮인 것에

비유한 바의 것도, 중심에서 뻗쳐 있는 그 전부가 불로 엮여 있고,

그 밖에 외부의 것들은, 공기로 엮여 있다는 것입니다.

                    τὸ θερμὸν δὴ κατὰ φύσιν εἰς τὴν αὑτοῦ                 5

χώραν ἔξω πρὸς τὸ συγγενὲς ὁμολογητέον ἰέναι· δυοῖν δὲ

τοῖν διεξόδοιν οὔσαιν, τῆς μὲν κατὰ τὸ σῶμα ἔξω, τῆς δὲ αὖ

κατὰ τὸ στόμα καὶ τὰς ῥῖνας, ὅταν μὲν ἐπὶ θάτερα ὁρμήσῃ,            e

θάτερα περιωθεῖ, τὸ δὲ περιωσθὲν εἰς τὸ πῦρ ἐμπῖπτον

θερμαίνεται, τὸ δ᾿ ἐξιὸν ψύχεται.

                                                                  그래서 

열은 본성에 따라 자신의 장소쪽 외부로 동종적인 것을 향해

나아간다는 점이 동의되어야만 합니다. 그런데 그 통로는

둘로서, 한쪽은 신체를 따라 외부로, 그런데 이번엔 다른 쪽은

입과 비공을 따라 있어서, [열이] 한편에서 박차고 나올 때에는,

다른 편을 압박하고, 압박된 것은 불로 들어가 가열되나, 빠져나온

것은 냉각됩니다.

                                          μεταβαλλούσης δὲ τῆς

θερμότητος καὶ τῶν κατὰ τὴν ἑτέραν ἔξοδον θερμοτέρων

γιγνομένων πάλιν ἐκείνῃ ῥέπον αὖ τὸ θερμότερον μᾶλλον,            5

πρὸς τὴν αὑτοῦ φύσιν φερόμενον, περιωθεῖ τὸ κατὰ θάτερα·

τὸ δὲ τὰ αὐτὰ πάσχον καὶ τὰ αὐτὰ ἀνταποδιδὸν ἀεὶ, κύκλον

οὕτω σαλευόμενον ἔνθα καὶ ἔνθα ἀπειργασμένον ὑπ᾿ ἀμφο-

τέρων τὴν ἀναπνοὴν καὶ ἐκπνοὴν γίγνεσθαι παρέχεται.

그런데 열이 전환하고 한쪽 출로를 따라 더 뜨거운 것들이

생성되면 다시 훨씬 더 뜨거운 것이 저쪽으로 기울어서, 자신의

본성을 향해 이동하여, 다른 편에 따른 것을 두루 압박합니다.

그런데 언제나 같은 것들을 겪고도 같은 것들을 되돌려주는

그 열은, 순환적으로 그렇게 이리저리 흔들리게끔 양편에 의해 

구현되어 들숨과 날숨이 생성되도록 해주지요.

 

-蟲-

ΣΩ. Κινδυνεύομεν, ὦ Μένων, ἐγώ τε καὶ σὺ φαῦλοί τινες                  5
εἶναι ἄνδρες, καὶ σέ τε Γοργίας οὐχ ἱκανῶς πεπαιδευκέναι
καὶ ἐμὲ Πρόδικος. παντὸς μᾶλλον οὖν προσεκτέον τὸν νοῦν
ἡμῖν αὐτοῖς, καὶ ζητητέον ὅστις ἡμᾶς ἑνί γέ τῳ τρόπῳ βελτίους
ποιήσει· λέγω δὲ ταῦτα ἀποβλέψας πρὸς τὴν ἄρτι ζήτησιν,             e //220208
ὡς ἡμᾶς ἔλαθεν καταγελάστως ὅτι οὐ μόνον ἐπιστήμης
ἡγουμένης ὀρθῶς τε καὶ εὖ τοῖς ἀνθρώποις πράττεται τὰ
πράγματα, ᾗ ἴσως καὶ διαφεύγει ἡμᾶς τὸ γνῶναι τίνα ποτὲ
τρόπον γίγνονται οἱ ἀγαθοὶ ἄνδρες.                                           5

우리는, 메논, 나도 자네도 무슨 저열한 작자들일지도 모르겠군.

자네를 고르기아스께서 충분히 교육하셨던 것도 아니도 나 역시

프로디코스께서 그리하지 않으셨을지도 모르겠네. 그러니 무엇보다 

특히 우리 자신에게 주의를 기울여야만 하고, 누구든 적어도 한 가지

방식으로는 우리를 더 나은 자들로 만들어주실 그 누구시든 찾아 

나서야만 하네. 그런데 나는 방금 전의 탐구에 주목하면서 이런

것들을 말하고 있다네, 우리는 우스꽝스럽게도 비단 앎이 이끌 

경우에만 인간들에 의해 일들이 제대로 잘 수행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몰랐고, 그 점에서 아마도 훌륭한 사내들이 도대체 어떤

방식으로 생겨나는지 아는 일이 우리를 피해가기까지 해버린 것 

같다고 생각하면서 말일세.

 

ΜΕΝ. Πῶς τοῦτο λέγεις, ὦ Σώκρατες;

이건 어찌 하시는 말씀이십니까, 소크라테스?

 

ΣΩ. Ὧδε· ὅτι μὲν τοὺς ἀγαθοὺς ἄνδρας δεῖ ὠφελίμους εἶναι,

ὀρθῶς ὡμολογήκαμεν τοῦτό γε ὅτι οὐκ ἂν ἄλλως ἔχοι· ἦ γάρ;       97a

이런 식일세. 훌륭한 사내들은 이로운 자들이어야 한다는 것,

우리는 적어도 이 점은 사정이 다를 수가 없다는 데에 옳게 

동의했었지. 그렇지?

 

ΜΕΝ. Ναί.

네.

 

ΣΩ. Καὶ ὅτι γε ὠφέλιμοι ἔσονται, ἂν ὀρθῶς ἡμῖν ἡγῶνται

τῶν πραγμάτων, καὶ τοῦτό που καλῶς ὡμολογοῦμεν;

그들이 사안들에 관련하여 우리를 제대로 인도한다면, 그들은

어쨌든 이로운 자들이리라는 것, 이 점 역시 아마 우리가 

훌륭하게 동의하였지?

 

ΜΕΝ. Ναί.                                                                           5

네.

 

ΣΩ. Ὅτι δ᾿ οὐκ ἔστιν ὀρθῶς ἡγεῖσθαι, ἐὰν μὴ φρόνιμος

ᾖ, τοῦτο ὅμοιοί ἐσμεν οὐκ ὀρθῶς ὡμολογηκόσιν.

헌데 제대로 인도할 수 없다는 것, 만일 현명한 자가 아니라면

그렇다는, 이 점을 두고서는 우리가 제대로 동의하지 못한 

자들과 비슷한 자들이라네.

 

ΜΕΝ. Πῶς δὴ [ὀρθῶς] λέγεις;

실로 어째서 그리 말씀하십니까?

[실로 어떻게 올바르게라고 말씀하시는 겁니까?]

 

ΣΩ. Ἐγὼ ἐρῶ. <εἰ> εἰδὼς τὴν ὁδὸν τὴν εἰς Λάρισαν ἢ
ὅποι βούλει ἄλλοσε βαδίζοι καὶ ἄλλοις ἡγοῖτο, ἄλλο τι ὀρθῶς            10

ἂν καὶ εὖ ἡγοῖτο;

내가 말함세. <만일> 라릿사로 혹은 자네가 바라는 다른 어디로든

가는 길을 아는 자가 나아가며 여타의 사람들을 인도한다면, 다름 

아니라 옳게 잘 인도하겠지?

 

ΜΕΝ.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ΣΩ. Τί δ᾿ εἴ τις ὀρθῶς μὲν δοξάζων ἥτις ἐστὶν ἡ ὁδός,                   b

ἐληλυθὼς δὲ μὴ μηδ᾿ ἐπιστάμενος, οὐ καὶ οὗτος ἂν ὀρθῶς

ἡγοῖτο;

그런데 어떤가, 만일 누군가 그 길이 무슨 길인지 옳게

믿고는 있으나, 가보지는 못했고 알고 있지도 못할 때,

이런 사람도 옳게 인도하지 않겠나?

 

ΜΕΝ.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ΣΩ. Καὶ ἕως γ᾿ ἄν που ὀρθὴν δόξαν ἔχῃ περὶ ὧν ὁ ἕτερος                5

ἐπιστήμην, οὐδὲν χείρων ἡγεμὼν ἔσται, οἰόμενος μὲν ἀληθῆ,

φρονῶν δὲ μή, τοῦ τοῦτο φρονοῦντος.

그래서 어쨌든 적어도 다른 이가 앎을 가지고 있는 일들에

관련하여 옳은 믿음을 지니고 있는 동안은, 참되게 생각은 하지만,

지혜롭지는 못한 채로, 전혀 열등한 인도자이지 않을 걸세. 그 

일에 지혜를 갖춘 자에 비해서 말일세.

 

 

ΜΕΝ. Οὐδὲν γάρ.

전혀 열등하지 않으니 말이죠.

 

ΣΩ. Δόξα ἄρα ἀληθὴς πρὸς ὀρθότητα πράξεως οὐδὲν

χείρων ἡγεμὼν φρονήσεως· καὶ τοῦτό ἐστιν ὃ νυνδὴ παρε-             10

λείπομεν ἐν τῇ περὶ τῆς ἀρετῆς σκέψει ὁποῖόν τι εἴη, λέγοντες

ὅτι φρόνησις μόνον ἡγεῖται τοῦ ὀρθῶς πράττειν· τὸ δὲ ἄρα            c

καὶ δόξα ἦν ἀληθής.

그래서 행위의 옳음에 관련된 참인 믿음은 지혜에 비해 전혀 

열등하지 않은 인도자라네. 방금 덕에 관해 그것이 어떤 무엇일지 

탐구하던 중 우리가 불평하던 것이 이런 것이기도 하지. 

오직 지혜만이 올바르게 행동하는 일을 인도한다고 논하면서 

말일세. 그래서 다른 한편으로 참인 믿음도 있었군.

 

ΜΕΝ. Ἔοικέ γε.

그럴 듯하긴 합니다.

 

ΣΩ. Οὐδὲν ἄρα ἧττον ὠφέλιμόν ἐστιν ὀρθὴ δόξα ἐπι-

στήμης.                                                                              5

그래서 옳은 믿음은 앎에 비해 전혀 덜 유익한 것이지 않지.

 

ΜΕΝ. Τοσύτῳ γε, ὦ Σώκρατες, ὅτι ὁ μὲν τὴν ἐπιστήμην

ἔχων ἀεὶ ἂν ἐπιτυγχάνοι, ὁ δὲ τὴν ὀρθὴν δόξαν τοτὲ μὲν ἂν

τυγχάνοι, τοτὲ δ᾿ οὔ.

적어도 이 정도는 덜 유익하지요, 소크라테스, 앎을 지닌 자는 

항상 성공할 테지만, 옳은 믿음을 가진 자는 때로는 성공해도, 

또 때로는 성공하지 못할 테니까요.

 

ΣΩ. Πῶς λέγεις; ὁ ἀεὶ ἔχων ὀρθὴν δόξαν οὐκ ἀεὶ ἂν

τυγχάνοι, ἕωσπερ ὀρθὰ δοξάζοι;                                               10

어찌 하는 말인가? 옳은 믿음을 항상 지니는 자는 항상 성공하지 

않겠나? 옳게 믿을 동안은 말일세.

> 믿음과 믿음이 가리키는 대상이 구분되고 있는가? 

특정 시점 특정 대상의 구체적인 상태와 일치하는 서술을 갖춘 믿음은

언제나 참일 수 있을 것. 여기에서 고려되는 상황은 믿음의 참이 지속되는 

경우가 아니라 그 믿음을 지속적으로 영원히 가지는 행위자의 인식 상태이다. 

By Jung, 행위자는 믿음과 '우연적으로' 결속되어 있기에 지속적으로 행위에 

성공할 수 없다. 이후 묘사되는 '탈주'와도 관련. 반면에 앎은 오류를 배제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의문: 단지 지속성의 차이만이 있다면, 믿음이 지속되는 기간에 한정할 경우, 

바로 그 믿음이 지향하는 대상에 대해서는 앎과 믿음의 질적 차이는 없는 것인가?

ΜΕΝ. Ἀνάγκη μοι φαίνεται· ὥστε θαυμάζω, ὦ Σώ-

κρατες, τούτου οὕτως ἔχοντος, ὅτι δή ποτε πολὺ τιμιωτέρα          d

ἡ ἐπιστήμη τῆς ὀρθῆς, καὶ δι᾿ ὅτι τὸ μὲν ἕτερον, τὸ δὲ

ἕτερόν ἐστιν αὐτῶν.

제겐 필연적인 일로 드러나 보입니다. 그래서 저는 놀라고 있죠, 

소크라테스, 사정이 그러한데도, 정말이지 앎이 옳은 믿음보다 

훨씬 더 많이 존중받는 것이라는 점에, 그리고 무엇 때문에

그것들 중 한쪽이 다른 한쪽과 서로 다른 것인지에 말입니다.

 

ΣΩ. Οἶσθα οὖν δι᾿ ὅτι θαυμάζεις, ἢ ἐγώ σοι εἴπω;

그렇다면 무엇 때문에 자네가 놀라는지 알겠나, 아니면 내가 

자네에게 이야기해줄까?

 

ΜΕΝ. Πάνυ γ᾿ εἰπέ.                                                                5

물론 말씀해주셨으면 합니다.

 

ΣΩ. Ὅτι τοῖς Δαιδάλου ἀγάλμασιν οὐ προσέσχηκας τὸν

νοῦν· ἴσως δὲ οὐδ᾿ ἔστιν παρ᾿ ὑμῖν.

다이달로스의 조각상들에 자네가 주의를 기울인 적이 없었기 

때문이라네. 자네쪽 지역에는 있지 않았기도 한 것 같고.

 

ΜΕΝ. Πρὸς τί δὲ δὴ τοῦτο λέγεις;

헌데 정말 무엇을 염두에 두시고 그런 걸 말씀하시는 건가요?

 

ΣΩ. Ὅτι καὶ ταῦτα, ἐὰν μὲν μὴ δεδεμένα ᾖ, ἀποδιδράσκει

καὶ δραπετεύει, ἐὰν δὲ δεδεμένα, παραμένει.                                10

이런 점들도 있으니 말일세, 묶여 있지 않은 채로 있다면,

달아나고 질주하나, 묶인 채로 있다면, 곁에 머문다는 것 

말일세.

 

ΜΕΝ. Τί οὖν δή;                                                                  e

그래서 어떻다는 말씀이십니까?

 

ΣΩ. Τῶν ἐκείνου ποιημάτων λελυμένον μὲν ἐκτῆσθαι οὐ

πολλῆς τινος ἄξιόν ἐστι τιμῆς, ὥσπερ δραπέτην ἄνθρωπον

―οὐ γὰρ παραμένει―δεδεμένον δὲ πολλοῦ ἄξιον· πάνυ γὰρ

καλὰ τὰ ἔργα ἐστίν. πρὸς τί οὖν δὴ λέγω ταῦτα; πρὸς                     5

τὰς δόξας τὰς ἀληθεῖς. καὶ γὰρ αἱ δόξαι αἱ ἀληθεῖς, ὅσον

μὲν ἂν χρόνον παραμένωσιν, καλὸν τὸ χρῆμα καὶ πάντ᾿

ἀγαθὰ ἐργάζονται· πολὺν δὲ χρόνον οὐκ ἐθέλουσι παρα-            98a

μένειν, ἀλλὰ δραπετεύουσιν ἐκ τῆς ψυχῆς τοῦ ἀνθρώπου,

ὥστε οὐ πολλοῦ ἄξιαί εἰσιν, ἕως ἄν τις αὐτὰς δήσῃ αἰτίας

λογισμῷ. τοῦτο δ᾿ ἐστίν, ὦ Μένων ἑταῖρε, ἀνάμνησις, ὡς

ἐν τοῖς πρόσθεν ἡμῖν ὡμολόγηται. ἐπειδὰν δὲ δεθῶσιν,                      5

πρῶτον μὲν ἐπιστῆμαι γίγνονται, ἔπειτα μόνιμοι· καὶ διὰ

ταῦτα δὴ τιμιώτερον ἐπιστήμη ὀρθῆς δόξης ἐστίν, καὶ διαφέρει

δεσμῷ ἐπιστήμη ὀρθῆς δόξης.

저 분의 작품들 중 풀려있는 것을 얻는 일은 그다지 존중을 받을

만한 가치가 없으니, 마치 탈주노예인 사람의 경우와 같은데,

곁에 머물러 있지 않기 때문이나, 묶여있는 것은 큰 가치가 있다네.

왜냐하면 무척이나 아름다운 작품들이기 때문이지. 그렇다면 내가

무엇을 염두에 두고 이런 것들을 말하고 있을까? 참인 믿음들을

염두에 둔 것일세. 참인 믿음들도, 일정 시간 동안 곁에 머무는 한,

아름다운 쓸모와 온갖 이로움을 이루어내니 말일세. 그런데 많은

시간 동안 곁에 머물려 하지 않고, 인간의 영혼으로부터 탈주하지.

그래서 많은 가치가 있지는 않다네, 누군가 그것들을 원인에 대한

헤아림에 결박할 때까지는 말일세. 그런데 이런 것은, 나의 동료

메논이여, 상기이지, 앞선 논의에서 우리가 합의하였듯 말이지. 

그런데 묶이고 난 다음에는, 처음에는 앎들이 되고, 다음에는 

자리잡힌 것들이 된다네. 더욱이 이러한 점들로 인해 앎이 옳은

믿음보다 더욱 존중받는 것이며, 속박에서 앎은 옳은 믿음과 

차이가 나는 것이지.

> 결박된 믿음을 얻어야 지속성이 확보된다. 믿음은 원인에 대한 추론을 사용하여 

결박할 수 있다. 결박은 상기이며, 상기되면, 그제서야 옳은 믿음이 앎이 된다.

그런데 결박되지 않은 믿음도 얻을 수는 있다. 이것이 『테아이테토스』에서 

획득과 소지의 구분과 관련될 수 있을 듯하다. 

옳은 믿음이 원인에 대한 추론을 통해 속박되면, 즉 상기되면, 옳은 믿음은 앎이 된다.

그런데 만일 믿음이 명제적인 것이고, 믿음과 독립적으로 그 대상이 되는 명제만을 

고려할 수 있다면, 명제만을 놓고 봤을 때에는 옳은 믿음을 구성하는 명제와 앎을 

구성하는 명제는 동일한 명제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오늘날 명제의 진리치는 

양상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연적으로 참인 명제와 우연적으로 참인 

명제는 서로 다르다. 후자는 플라톤과 관련하여 자연스럽게 옳은 믿음의 대상으로

간주될 수 있어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우연한 명제가 과연 앎의 대상으로도 허용되는가?

다시, 『국가』에서는 앎의 대상을 '있는 것/~인 것'으로, 무지의 대상은

'있지 않은 것/~이지 않은 것' 혹은 '아무것도 아닌 것'으로, 믿음의 대상은 이 둘의 

중간적인 것으로 언급된다. 그리고 이러한 구분은 일견 양상적 구분으로 보이기도 한다. 

언제나 항상 어떤 무엇인 것, 지속적으로 영원히 있는 것, 이러한 것은 필연적인 것으로 보이고, 

반면 이렇기도 하고 저렇기도 한 것은 우연하고 개연적인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전자와 같은 대상에 대한 

서술은 필연명제를, 후자에 대해서는 개연/우연명제를 내놓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래서 다시, 우연한 명제가 앎의 대상이 될 수 있는가?

> 믿음보다 앎이 더 존중받는다. 더 확보할 가치가 있다. 그렇다면 풀려나 있는 믿음과 속박되어 있는 앎은

이것들의 확보 이전에도 풀려 있거나 속박되어 있는가? 원인에 대한 추론으로, 상기를 통해, 믿음을 속박하는 것은 

인식주체의 몫이 아닌가?

> by Jung 『파이돈』에서 원인으로 언급되는 것은 형상? 형상이 원인으로서 추론되고 확인된, 그리고 이를 통해 

상기된 믿음은, 이전까지는 우연적인 명제라 하더라도 이후에는 필연적인 명제로 전환되는가?

> 98a4-5: "앞선 논의"는 어디? "원인에 대한 추론"에 대한 언급은 여기에서 처음이므로, 

원칙적으로는 이 논의가 앞서 등장했을 수 없다. 

 

ΜΕΝ. Νὴ τὸν Δία, ὦ Σώκρατες, ἔοικεν τοιούτῳ τινί.

제우스께 맹세컨데, 소크라테스, 그와 같은 어떤 점에서

차이가 날 듯합니다. (or [사실이] [당신이 말씀하시는]

그런 어떤 것과 비슷할 것 같습니다.)

 

ΣΩ. Καὶ μὴν καὶ ἐγὼ ὡς οὐκ εἰδὼς λέγω, ἀλλὰ εἰκάζων·                    b

ὅτι δέ ἐστίν τι ἀλλοῖον ὀρθὴ δόξα καὶ ἐπιστήμη, οὐ πάνυ

μοι δοκῶ τοῦτο εἰκάζειν, ἀλλ᾿ εἴπερ τι ἄλλο φαίην ἂν

εἰδέναι―ὀλίγα δ᾿ ἂν φαίην―ἓν δ᾿ οὖν καὶ τοῦτο ἐκείνων

θείην ἂν ὧν οἶδα.                                                                   5

물론 나도 알지는 못하는 자로서 말하는 거라네, 모상을 

만들면서 말일세. 그런데 옳은 믿음과 앎이 뭔가 다른 것이라는 

점은, 이걸 내가 모상적으로 제시한다고는 그다지 여겨지지 

않고, 오히려 만일 정말로 내가 달리 뭐라도 안다고 말할 수

있다면, 몇 안 되는 것들밖에 말할 수 없겠지만, 이 역시도 내가 

아는 저것들 중 하나로 내세울 걸세.

 

ΜΕΝ. Καὶ ὀρθῶς γε, ὦ Σώκρατες, λέγεις.

그리고 적어도 옳게, 소크라테스, 당신께서 말씀하시는 것이고요.

 

ΣΩ. Τί δέ; τόδε οὐκ ὀρθῶς, ὅτι ἀληθὴς δόξα ἡγουμένη

τὸ ἔργον ἑκάστης τῆς πράξεως οὐδὲν χεῖρον ἀπεργάζεται ἢ

ἐπιστήμη;

그런데 어떤가? 다음은 옳지 못하게 말하고 있는 건가? 참인 

믿음이 각 행위의 결과를 이끌면서 앎에 비해 전혀 열등하지 않게 

해낸다는 것 말일세.

 

ΜΕΝ. Καὶ τοῦτο δοκεῖς μοι ἀληθῆ λέγειν.                                      10

이것도 당신께서 참되게 말씀하신다고 제겐 여겨집니다.

 

ΣΩ. Οὐδὲν ἄρα ὀρθὴ δόξα ἐπιστήμης χεῖρον οὐδὲ ἧττον                 c

ὠφελίμη ἔσται εἰς τὰς πράξεις, οὐδὲ ἁνὴρ ὁ ἔχων ὀρθὴν

δόξαν ἢ ὁ ἐπιστήμην.

그래서 옳은 믿음은 앎에 비해 전혀 열등하지 않고 행위를 

위해 덜 유익한 것도 아닐 것이며, 옳은 믿음을 지니는 사내가 

앎을 지니는 자보다 열등하거나 덜 유익한 것도 아니라네.

 

ΜΕΝ. Ἔστι ταῦτα.

그렇죠.

 

ΣΩ. Καὶ μὴν ὅ γε ἀγαθὸς ἀνὴρ ὠφέλιμος ἡμῖν ὡμο-                           5

λόγηται εἶναι.

그런데다 훌륭한 사내는 유익한 자라고 우리가 합의하였지.

 

ΜΕΝ. Ναί.

네.

 

ΣΩ. Ἐπειδὴ τοίνυν οὐ μόνον δι᾿ ἐπιστήμην ἀγαθοὶ ἄνδρες

ἂν εἶεν καὶ ὠφέλιμοι ταῖς πόλεσιν, εἴπερ εἶεν, ἀλλὰ καὶ δι᾿ 

ὀρθὴν δόξαν, τούτοιν δὲ οὐδέτερον φύσει ἐστὶν τοῖς ἀνθρώ-            10

ποις, οὔτε ἐπιστήμη οὔτε δόξα ἀληθής, †οὔτ᾿ ἐπίκτητα―ἢ              d

δοκεῖ σοι φύσει ὁποτερονοῦν αὐτοῖν εἶναι;

그러면 사내들이 훌륭한 자들이자 도시들에 유익한 자들인 건,

만일 그들이 그렇다면, 오직 앎 때문만은 아니고, 옳은 믿음으로

인해서이기도 한데, 그 둘 중 어느 한쪽도 인간들에게 본성적으로

있는 것은 아니니, 앎도 그렇지 않고 참인 믿음도 그렇지 않은데,

<[본성적으로] 습득되는 것들도 아닌데 (or ὄντ᾿ ἐπίκτητα Apelt,

획득되는 것들인지라),> 아니면 자네에게는 그 둘 중 어느 쪽이든

간에 본성적으로 있다고 여겨지는가?

 

ΜΕΝ. Οὐκ ἔμοιγε.

제겐 그리 여겨지지 않습니다.

 

ΣΩ. Οὐκοῦν ἐπειδὴ οὐ φύσει, οὐδὲ οἱ ἀγαθοὶ φύσει

εἶεν ἄν.                                                                                5

그렇다면 [그 둘 중 어느 것도] 본성적으로 있지 않기에,

훌륭한 자들도 본성상 그렇지는 않겠지.

 

ΜΕΝ. Οὐ δῆτα.

분명 아니지요.

 

ΣΩ. Ἐπειδὴ δέ γε οὐ φύσει, ἐσκοποῦμεν τὸ μετὰ τοῦτο

εἰ διδακτόν ἐστιν.

그런가 하면 본성적으로 [그런 자들로] 있지 않으니, 그

다음으로 우리는 그것이 가르쳐질 수 있는 것인지 고찰해

보았네.

 

ΜΕΝ. Ναί.

네.

 

ΣΩ. Οὐκοῦν διδακτὸν ἔδοξεν εἶναι, εἰ φρόνησις ἡ ἀρετή;                  10

그래서 덕이 지혜라면, 가르쳐질 수 있는 것이라고 여겨지지 

않았던가?

 

ΜΕΝ. Πάνυ γε.

물론 그렇긴 합니다.

 

ΣΩ. Καὶ εἰ μέν γε διδάσκαλοι εἶεν, διδακτὸν ἂν εἶναι,                     e

μὴ ὄντων δὲ οὐ διδακτόν;

그런가 하면 만일 교사들이 있다면, 가르쳐질 수 있는 

것이리라고, 그런데 그들이 있지 않다면 가르쳐질 수 없는 

것이리라고 여겨졌지?

 

ΜΕΝ. Οὕτω.

그렇게 여겨졌지요.

 

ΣΩ. Ἀλλὰ μὴν ὡμολογήκαμεν μὴ εἶναι αὐτοῦ διδασκά-

λους;                                                                                  5

허나 사실 우리는 그 일의 교사들이 있지 않다고 합의했지?

 

ΜΕΝ. Ἔστι ταῦτα.

그렇습니다.

 

ΣΩ. Ὡμολογήκαμεν ἄρα μήτε διδακτὸν αὐτὸ μήτε φρό-

νησιν εἶναι;

그래서 그것은 가르쳐질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지혜도 아닌 

것이라 우리가 동의했지?

 

ΜΕΝ.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ΣΩ. Ἀλλὰ μὴν ἀγαθόν γε αὐτὸ ὁμολογοῦμεν εἶναι;                           10

그렇지만 그것이 훌륭한 것이라는 데에는 우리가 동의하지?

 

ΜΕΝ. Ναί.

네.

 

ΣΩ. Ὠφέλιμον δὲ καὶ ἀγαθὸν εἶναι τὸ ὀρθῶς ἡγούμενον;

그런데 옳게 인도하는 것은 유익하고 훌륭한 것이라고 

동의하고?

 

ΜΕΝ.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ΣΩ. Ὀρθῶς δέ γε ἡγεῖσθαι δύο ὄντα ταῦτα μόνα, δόξαν            99a

τε ἀληθῆ καὶ ἐπιστήμην, ἃ ἔχων ἄνθρωπος ὀρθῶς ἡγεῖται―

τὰ γὰρ ἀπὸ τύχης τινὸς ὀρθῶς γιγνόμενα οὐκ ἀνθρωπίνῃ

ἡγεμονίᾳ γίγνεται―ὧν δὲ ἄνθρωπος ἡγεμών ἐστιν ἐπὶ τὸ

ὀρθόν, δύο ταῦτα, δόξα ἀληθὴς καὶ ἐπιστήμη.                             5

그런가 하면 옳게 인도하는 것은 오직 이런 둘 뿐이니, 참인 

믿음과 앎인데, 그것들을 지니고서 인간은 옳게 인도하지. 

왜냐하면 어떤 우연으로부터 옳게 이루어지는 일들은 인간적인 

인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게 아니니까. 인간이 옳은 것을 향한

인도자인 일들의 경우, 이 둘, 참인 믿음과 앎이 인도자일세.

>결과의 관점에서만 보자면 앎과 믿음 사이에 차이가 없다.

by Jung, 앎이 덕이라면, 덕은 주체의 반복 재현 가능한 능력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덕은 주체와 결속되어 있어야 하고, 앎도 믿음과 달리 주체가 옳은 결과를 

'반복적으로 재현'해낼 수 있도록 만들어주어야 한다. 

>여전히, 앎의 대상과 믿음의 대상이 다르다는 『국가』의 언급은,

 예를 들어 5+7=12를 반복적으로 계산해낼 수 있는 사람의 "5 더하기 7은 12이다"라는 

앎과 같은 계산을 해내긴 했지만 반복해낼 수는 없는 사람의 "5 더하기 7은 12이다"라는 

믿음이 구분되는 방식과 조화될 수 있는가? 

 

ΜΕΝ. Δοκεῖ μοι οὕτω.

그렇다고 여겨집니다.

 

ΣΩ. Οὐκοῦν ἐπειδὴ οὐ διδακτόν ἐστιν, οὐδ᾿ ἐπιστήμη δὴ

ἔτι γίγνεται ἡ ἀρετή;

그렇다면 덕은 가르쳐질 수 있는 것이 아니기에, 정말로 

더 이상 앎이 되지도 않지?

 

ΜΕΝ. Οὐ φαίνεται.

안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ΣΩ. Δυοῖν ἄρα ὄντοιν ἀγαθοῖν καὶ ὠφελίμοιν τὸ μὲν                    b

ἕτερον ἀπολέλυται, καὶ οὐκ ἂν εἴη ἐν πολιτικῇ πράξει

ἐπιστήμη ἡγεμών.

그래서 두 가지 것들이 훌륭한 것들이고 유익한 

것들인데 그것들 중 한쪽이 해방되었고, 그래서 앎은 

정치적 활동에서 인도자가 아닐 걸세. 

 

ΜΕΝ. Οὔ μοι δοκεῖ.

아닌 것으로 제게 여겨지네요.

 

ΣΩ. Οὐκ ἄρα σοφίᾳ τινὶ οὐδὲ σοφοὶ ὄντες οἱ τοιοῦτοι                    5

ἄνδρες ἡγοῦντο ταῖς πόλεσιν, οἱ ἀμφὶ Θεμιστοκλέα τε καὶ

οὓς ἄρτι Ἄνυτος ὅδε ἔλεγεν· διὸ δὴ καὶ οὐχ οἷοί τε ἄλλους

ποιεῖν τοιούτους οἷοι αὐτοί εἰσι, ἅτε οὐ δι᾿ ἐπιστήμην ὄντες

τοιοῦτοι.

그래서 어떤 지혜로써 그러는 것도 아니고 지혜로운 자들이어서 

그런 것도 아니면서 이런 자들이 도시들을 이끌어간다네, 

테미스토클레스의 일파로 방금 아뉘토스가 언급하기도 했던 

사람들이 말이지. 게다가 이런 연유로 그들은 여타의 사람들을 

자신들과 같은 그러한 자들로 만들지도 못하는 자들이니, 앎으로 

인해 그런 자들로 있는 것이 아니겠으니 말일세.

 

ΜΕΝ. Ἔοικεν οὕτως ἔχειν, ὦ Σώκρατες, ὡς λέγεις.                       10

당신 말씀대로 사정이 그러할 듯합니다, 소크라테스.

 

ΣΩ. Οὐκοῦν εἰ μὴ ἐπιστήμῃ, εὐδοξίᾳ δὴ τὸ λοιπὸν

γίγνεται· ᾗ οἱ πολιτικοὶ ἄνδρες χρώμενοι τὰς πόλεις ὀρ-              c

θοῦσιν, οὐδὲν διαφερόντως ἔχοντες πρὸς τὸ φρονεῖν ἢ οἱ

χρησμῳδοί τε καὶ οἱ θεομάντεις· καὶ γὰρ οὗτοι ἐνθου-

σιῶντες λέγουσιν μὲν ἀληθῆ καὶ πολλά, ἴσασι δὲ οὐδὲν ὧν

λέγουσιν.                                                                          5

그러니 만일 앎으로 그리 되는 게 아니라면, 남은 경우는

좋은 믿음으로 그리 된다는 것이 아닌가 하네. 정치술을 갖춘 

사내들이 이를 사용하여 도시들을 바로 세우는데, 지혜를 

발휘하는 데에서는 점쟁이들이나 무당들과 아무런 차이도 

없이 그리 하지. 왜냐하면 이들도 신들려서는 여러 참된 

것들을 말하지만, 그들이 말하는 것들 중 아무것도 알지는 

못하기 때문이지.

> 99b11 εὐδοξίᾳ: 사람들로부터 받는 평판의 의미와 더불어 

앞선 맥락에서 앎과 대비되는 참인 믿음 또는 옳은 믿음의 

두 의미가 포괄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듯하다. by Jung.

 

ΜΕΝ. Κινδυνεύει οὕτως ἔχειν.

사정이 그럴지도 모르겠습니다.

 

ΣΩ. Οὐκοῦν, ὦ Μένων, ἄξιον τούτους θείους καλεῖν

τοὺς ἄνδρας, οἵτινες νοῦν μὴ ἔχοντες πολλὰ καὶ μεγάλα

κατορθοῦσιν ὧν πράττουσι καὶ λέγουσι;

그렇다면, 메논, 이 자들을 신적인 사내들이라 부를 만하지 

않은가? 제정신을 갖추지 못한 채로 그들이 행하고 말하는

것들 중 많고도 대단한 일들을 성사시켜내는 바로 그 자들을 

말일세.

 

ΜΕΝ. Πάνυ γε.                                                                   10

물론입니다.

 

ΣΩ. Ὀρθῶς ἄρ᾿ ἂν καλοῖμεν θείους τε οὓς νυνδὴ ἐλέγομεν

χρησμῳδοὺς καὶ μάντεις καὶ τοὺς ποιητικοὺς ἅπαντας· καὶ         d

τοὺς πολιτικοὺς οὐχ ἥκιστα τούτων φαῖμεν ἂν θείους τε εἶναι

καὶ ἐνθουσιάζειν, ἐπίπνους ὄντας καὶ κατεχομένους ἐκ τοῦ

θεοῦ, ὅταν κατορθῶσι λέγοντες πολλὰ καὶ μεγάλα πράγματα,

μηδὲν εἰδότες ὧν λέγουσιν.                                                  5

그래서 방금 우리가 말하던 점쟁이와 예언가도 그리고 시인들도

전부를 신적인 자들이라 부르면 옳게 부르는 것일 테지. 정치적인

자들 또한 우리는 이들에 전혀 못지 않게 신적인 자들이자 신들려

있다고, 영감을 받은 자들이자 신으로부터 사로잡힌 자들이기에

그러하다고 주장할 걸세, 그들이 많은 대단한 사안들을 논하며

성사시킬 때, 그들이 논하는 것들 중 아무것도 전혀 알지

못하면서도 그리할 때 말이지.

 

ΜΕΝ.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ΣΩ. Καὶ αἵ γε γυναῖκες δήπου, ὦ Μένων, τοὺς ἀγαθοὺς

ἄνδρας θείους καλοῦσι· καὶ οἱ Λάκωνες ὅταν τινὰ ἐγκωμιά-

ζωσιν ἀγαθὸν ἄνδρα, "Θεῖος ἀνήρ," φασίν, "οὗτος."

그런가 하면 분명 여인들도, 메논, 훌륭한 사내들을 신적인 

자들이라 부른다네. 라케다이모니아인들도 누군가를 훌륭한 

사내라고 칭찬할 때, "신적인 사내라오, 이 사람은"이라 말하지.

 

ΜΕΝ. Καὶ φαίνονταί γε, ὦ Σώκρατες, ὀρθῶς λέγειν.                  e

καίτοι ἴσως Ἄνυτος ὅδε σοι ἄχθεται λέγοντι.

옳게 말하는 것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소크라테스. 

그렇지만 여기 이 사람 아뉘토스는 아마도 당신 말씀에 

화가 나 있나 봅니다.

 

ΣΩ. Οὐδὲν μέλει ἔμοιγε. τούτῳ μέν, ὦ Μένων, καὶ αὖθις

διαλεξόμεθα· εἰ δὲ νῦν ἡμεῖς ἐν παντὶ τῷ λόγῳ τούτῳ καλῶς

ἐζητήσαμέν τε καὶ ἐλέγομεν, ἀρετὴ ἂν εἴη οὔτε φύσει οὔτε            5

διδακτόν, ἀλλὰ θείᾳ μοίρᾳ παραγιγνομένη ἄνευ νοῦ οἷς ἂν

παραγίγνηται, εἰ μή τις εἴη τοιοῦτος τῶν πολιτικῶν ἀνδρῶν   100a

οἷος καὶ ἄλλον ποιῆσαι πολιτικόν. εἰ δὲ εἴη, σχεδὸν ἄν τι

οὗτος λέγοιτο τοιοῦτος ἐν τοῖς ζῶσιν οἷον ἔφη Ὅμηρος ἐν

τοῖς τεθνεῶσιν τὸν Τειρεσίαν εἶναι, λέγων περὶ αὐτοῦ, ὅτι

οἶος πέπνυται τῶν ἐν Ἅιδου, τοὶ δὲ σκιαὶ ἀίσσουσι.                    5

ταὐτὸν ἂν καὶ ἐνθάδε ὁ τοιοῦτος ὥσπερ παρὰ σκιὰς ἀληθὲς 

ἂν πρᾶγμα εἴη πρὸς ἀρετήν.

나로서는 전혀 개의치 않는다네. 이 친구와는, 메논, 또 다시 

우리가 대화하게 될 걸세. 그런데 만일 지금 우리가 이 전체 논의 

속에서 훌륭하게 탐구하고 논한 것이었다면, 덕은 본성에 의한 

것도 가르쳐질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신적인 몫에 의해 생각 없이 

그것이 곁하여 생기는 자에게 그렇게 생겨나는 것일 테지, 만일

정치적인 사내들 가운데 누군가가 다른 이까지도 정치적인 자로

만들 수 있는 그런 자였던 게 아니라면 말일세. 그런데 만일 

그런 이가 있었더라면, 거의 호메로스께서 죽은 자들 가운데

테이레시아스가 있노라고 이야기하셨던 것 같은 그런 어떤 자로 

산 자들 가운데에서 이 사람이 이야기되었을 것이니, 저 분께서는 

그에 관하여 말씀하시길, 하데스에 있는 자들 사이에서 홀로

제정신을 차리고 있었던 자이고, 다른 자들은 그림자들로서

부유한다 하셨지. 똑같은 식으로 현세에서도 이러한 사람은 마치

그림자에 견준 참된 사물처럼 덕에 관련하여 그런 자일 테지.

 

ΜΕΝ. Κάλλιστα δοκεῖς μοι λέγειν, ὦ Σώκρατες.                        b

제게는 당신께서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하게 말씀하시는 걸로 

여겨집니다, 소크라테스.

 

ΣΩ. Ἐκ μὲν τοίνυν τούτου τοῦ λογισμοῦ, ὦ Μένων, θείᾳ

μοίρᾳ ἡμῖν φαίνεται παραγιγνομένη ἡ ἀρετὴ οἷς ἂν παρα-

γίγνηται· τὸ δὲ σαφὲς περὶ αὐτοῦ εἰσόμεθα τότε, ὅταν πρὶν

ᾧτινι τρόπῳ τοῖς ἀνθρώποις παραγίγνεται ἀρετή, πρότερον        5

ἐπιχειρήσωμεν αὐτὸ καθ᾿ αὑτὸ ζητεῖν τί ποτ᾿ ἔστιν ἀρετή.

νῦν δ᾿ ἐμοὶ μὲν ὥρα ποι ἰέναι, σὺ δὲ ταὐτὰ ταῦτα ἅπερ

αὐτὸς πέπεισαι πεῖθε καὶ τὸν ξένον τόνδε Ἄνυτον, ἵνα

πρᾳότερος ᾖ· ὡς ἐὰν πείσῃς τοῦτον, ἔστιν ὅτι καὶ Ἀθη-             c

ναίους ὀνήσεις.

그렇지만 이러한 헤아림으로부터는, 메논, 어떤 이들 곁에 덕이 

곁하여 생길 때 신적인 몫에 따라 생기는 것으로 우리에게 

드러났다네. 반면 그 일에 관련하여 확실한 것을 우리가 알게 

될 때는, 도대체 어떤 방식으로 인간들에게 덕이 곁하여

생기는지 이전에, 그보다 먼저 덕이 도대체 무엇인지 그 자체를 

탐구하고자 시도할 때이겠지. 헌데 이제 나는 어딜 좀 가보아야 

할 때가 되었으나, 자네는 자네 자신이 설득된 바로 이런 똑같은 

일들을 여기 이 외지손님 아뉘토스에게도 설득시켜 보게, 이 

친구가 좀 더 유해지게끔 말일세. 만일 자네가 이 친구를 

설득한다면, 그게 곧 아테네인들에게도 기여하는 셈이 될 테니.

> 100b3 φαίνομαι: Smyth 2143. 분사 지배와 부정사 지배의 의미 차이.

> 100c1 ἔστιν ὅτι: Smyth. 2513. 

-蟲- 

 Τὸ δὲ ὀστῶν καὶ σαρκῶν καὶ τῆς τοιαύτης φύσεως πέρι                    b

πάσης ὧδε ἔσχεν. τούτοις σύμπασιν ἀρχὴ μὲν ἡ τοῦ μυελοῦ

γένεσις· οἱ γὰρ τοῦ βίου δεσμοί, τῆς ψυχῆς τῷ σώματι

συνδουμένης, ἐν τούτῳ διαδούμενοι κατερρίζουν τὸ θνητὸν

γένος· αὐτὸς δὲ ὁ μυελὸς γέγονεν ἐξ ἄλλων.                                      5

 그런데 뼈와 살 그리고 이와 같은 본성 전부에 관련하여 사정은

이하와 같습니다. 통틀어 이러한 모든 것들에게 골수의 생성이

시초입니다. 왜냐하면 그 생명의 매듭들이, 영혼이 육체와 함께

묶일 때, 이러한 것[골수] 안에서 매듭을 이루어내 사멸적인 유를

뿌리내리도록 하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골수 자체는 여타의

것들로 이루어진 것입니다.

                                                         τῶν γὰρ                           5

τριγώνων ὅσα πρῶτα ἀστραβῆ καὶ λεῖα ὄντα πῦρ τε καὶ

ὕδωρ καὶ ἀέρα καὶ γῆν δι᾿ ἀκριβείας μάλιστα ἦν παρασχεῖν

δυνατά, ταῦτα ὁ θεὸς ἀπὸ τῶν ἑαυτῶν ἕκαστα γενῶν χωρὶς

ἀποκρίνων, μειγνὺς δὲ ἀλλήλοις σύμμετρα, πανσπερμίαν                   c

παντὶ θνητῷ γένει μηχανώμενος, τὸν μυελὸν ἐξ αὐτῶν

ἀπηργάσατο, καὶ μετὰ ταῦτα δὴ φυτεύων ἐν αὐτῷ κατέδει

τὰ τῶν ψυχῶν γένη, σχημάτων τε ὅσα ἔμελλεν αὖ σχήσειν

οἷά τε καθ᾿ ἕκαστα εἴδη, τὸν μυελὸν αὐτὸν τοσαῦτα καὶ τοιαῦτα             5

διῃρεῖτο σχήματα εὐθὺς ἐν τῇ διανομῇ τῇ κατ᾿ ἀρχάς.

                                  삼각형들 중 최초의 것들은 휘어지지

않은 편평한 것들로 있음으로써 불과 물과 공기와 흙을 정확함을

통해 가장 잘 제공할 수 있는 것이었고, 신께서 이러한 것들[삼각형]

각각을 그 자신들의 유들로부터 따로 분리시키시면서, 다른 한편 서로

척도를 공유하는 것들로 혼합하시어, 만물의 종자[4원소]를 모든

사멸하는 유에게 고안해주시며, 그것들로부터 골수를 완성해내시었고,

더 나아가 이것들 다음으로 그것[골수] 안에 영혼들의 유들을

심으시어 묶어두셨으며, 형태들 중에서도 이번에는 또 장차

각각의 형상들에 따라 [그 영혼들의 유들이] 형태를 갖출 그 만큼의

그러한 형태들로, 골수 자체를 그 만큼의 그러한 형태들로 시초부터의

배분 안에서 곧바로 분할하셨습니다.

> 여기에서 영혼의 종류들과 그에 따른 형태들, 다시 이에 따른

골수의 형태들이 언급된 것을 보아 여기에서 인간 이외의 동물들의

여러 영혼들에 대해서도 시사된 것으로 볼 수 있지 않을까? by Kang.

                                                                     καὶ

τὴν μὲν τὸ θεῖον σπέρμα οἷον ἄρουραν μέλλουσαν ἕξειν ἐν

αὑτῇ περιφερῆ πανταχῇ πλάσας ἐπωνόμασεν τοῦ μυελοῦ

ταύτην τὴν μοῖραν ἐγκέφαλον, ὡς ἀποτελεσθέντος ἑκάστου               d

ζῴου τὸ περὶ τοῦτ᾿ ἀγγεῖον κεφαλὴν γενησόμενον·

                                 또한 신적인 종자를 장차 자신 안에 지닐

이를 테면 밭과 같은 것을 모든 면에서 회전하는 것으로 지어내시어

골수의 이러한 부분을 뇌라 명명하시었으니, 각 생명이 완성됐을 때

이러한 것를 둘러싼 용기가 머리가 될 것이기에 그리하신 것입니다.

                                                                ὃ δ᾿ αὖ

τὸ λοιπὸν καὶ θνητὸν τῆς ψυχῆς ἔμελλε καθέξειν, ἅμα

στρογγύλα καὶ προμήκη διῃρεῖτο σχήματα, μυελὸν δὲ πάντα

ἐπεφήμισεν, καὶ καθάπερ ἐξ ἀγκυρῶν βαλλόμενος ἐκ τούτων                 5

πάσης ψυχῆς δεσμοὺς περὶ τοῦτο σύμπαν ἤδη τὸ σῶμα ἡμῶν

ἀπηργάζετο, στέγασμα μὲν αὐτῷ πρῶτον συμπηγνὺς περὶ

ὅλον ὀστέινον.                                                                         e //210831

그런데 이번엔 장차 영혼의 남은 사멸적인 부분을 간직하게 될

것을, 원형인 동시에 긴 형태들로 분할하시었으나, 그 모두를

골수라 부르셨으며, 마치 갈고리들로부터 그러하듯 이 골수들로부터

영혼 전체에 대한 매듭들을 던져 이제 이러한 골수 주위로 우리의

온 신체를 만드셨으니, 우선 그것을 위한 껍질로 전체에 둘러 뼈로

된 것을 덮어주시며 그리하셨습니다.

                    τὸ δὲ ὀστοῦν συνίστησιν ὧδε. γῆν διαττήσας               e

καθαρὰν καὶ λείαν ἐφύρασε καὶ ἔδευσεν μυελῷ, καὶ μετὰ

τοῦτο εἰς πῦρ αὐτὸ ἐντίθησιν, μετ᾿ ἐκεῖνο δὲ εἰς ὕδωρ βάπτει,

πάλιν δὲ εἰς πῦρ, αὖθίς τε εἰς ὕδωρ· μεταφέρων δ᾿ οὕτω

πολλάκις εἰς ἑκάτερον ὑπ᾿ ἀμφοῖν ἄτηκτον ἀπηργάσατο.                      5

                                             그런데 뼈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구성하셨지요. 그 분께서는 흙을 걸러내어 깨끗하고

매끄럽게 반죽하시고 골수로 적시셨고, 이 다음으로 그것을

불 속에 두시었으며, 저 다음으로는 물에 담그시어, 또 다시

불 속에, 그리고 또 다시 물에 담그셨습니다. 헌데 그런 식으로

여러 차례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번갈아 옮김으로써 그 양자에

의해 용해되지 않는 것으로 만들어내셨습니다.

καταχρώμενος δὴ τούτῳ περὶ μὲν τὸν ἐγκέφαλον αὐτοῦ

σφαῖραν περιετόρνευσεν ὀστεΐνην, ταύτῃ δὲ στενὴν διέξοδον

κατελείπετο· καὶ περὶ τὸν διαυχένιον ἅμα καὶ νωτιαῖον                   74a

μυελὸν ἐξ αὐτοῦ σφονδύλους πλάσας ὑπέτεινεν οἷον στρό-

φιγγας, ἀρξάμενος ἀπὸ τῆς κεφαλῆς, διὰ παντὸς τοῦ κύτους.

그래서 뇌 주위에 이것[뼈]을 사용하시면서 그 둘레를 뼈로 된 구체로

감싸 덮으셨고, 이 구체에는 협소한 통로를 남겨두셨습니다. 또한

목을 타고 이와 함께 척추로 이어지는 골수 주위로 그것[뼈]으로부터

척추를 지어내시어 이를 테면 축들처럼 줄지어 늘어놓으셨는데,

머리에서부터 시작하시어, 몸통 전체에 걸쳐 그리 하셨습니다.

καὶ τὸ πᾶν δὴ σπέρμα διασῴζων οὕτως λιθοειδεῖ περιβόλῳ

συνέφραξεν, ἐμποιῶν ἄρθρα, τῇ θατέρου προσχρώμενος ἐν                  5

αὐτοῖς ὡς μέσῃ ἐνισταμένῃ δυνάμει, κινήσεως καὶ κάμψεως

ἕνεκα.

더 나아가 모든 종자를 보존하시려 그런 식으로 암석으로 된

장벽으로 휘감으셨으니, 마디들을 만들어 넣으시며, 그 마디들

안에서 중항으로서 내재하는 것으로서 다름의 능력을 추가로

사용하심으로써, 운동과 휘어짐을 위하여 그리 하셨습니다.

         τὴν δ᾿ αὖ τῆς ὀστεΐνης φύσεως ἕξιν ἡγησάμενος

τοῦ δέοντος κραυροτέραν εἶναι καὶ ἀκαμπτοτέραν, διάπυρόν            b

τ᾿ αὖ γιγνομένην καὶ πάλιν ψυχομένην σφακελίσασαν ταχὺ

διαφθερεῖν τὸ σπέρμα ἐντὸς αὑτῆς, διὰ ταῦτα οὕτω τὸ τῶν

νεύρων καὶ τὸ τῆς σαρκὸς γένος ἐμηχανᾶτο, ἵνα τῷ μὲν

πάντα τὰ μέλη συνδήσας ἐπιτεινομένῳ καὶ ἀνιεμένῳ περὶ                     5

τοὺς στρόφιγγας καμπτόμενον τὸ σῶμα καὶ ἐκτεινόμενον

παρέχοι, τὴν δὲ σάρκα προβολὴν μὲν καυμάτων, πρόβλημα

δὲ χειμώνων, ἔτι δὲ πτωμάτων οἷον τὰ πιλητὰ ἔσεσθαι κτή-

ματα, σώμασιν μαλακῶς καὶ πρᾴως ὑπείκουσαν, θερμὴν δὲ                 c

νοτίδα ἐντὸς ἑαυτῆς ἔχουσαν θέρους μὲν ἀνιδίουσαν καὶ νοτι-

ζομένην ἔξωθεν ψῦχος κατὰ πᾶν τὸ σῶμα παρέξειν οἰκεῖον,

διὰ χειμῶνος δὲ πάλιν αὖ τούτῳ τῷ πυρὶ τὸν προσφερόμενον

ἔξωθεν καὶ περιιστάμενον πάγον ἀμυνεῖσθαι μετρίως.                          5

그런데 이번엔 뼈의 본성의 상태가 필요한 것보다 더 잘 부러지고

더욱 휘어지지 않는 것임을 고려하시어, 또 한 번은 타들어가게

되었다가 다시금 냉각되어 괴저되어서 금새 그 뼈 안의 종자가

파멸하기도 한다는 것 또한 고려하시어, 이러한 것들로 인해

그렇게 신경들의 부류와 살의 부류를 고안하셨으니, 한편으로는

모든 지체를 함께 그 팽팽해지는가 하면 풀어지기도 하는

힘줄을 가지고 결박하시어 몸이 축들 주위에서 휘어지고 뻗게

해주시고자, 다른 한편 살은 연소하는 것들에 대한 대응책으로서,

그런가 하면 겨울의 추위에 대한 방비책으로서, 더욱이 낙상들에

맞서 이를 테면 양모로 직조된 장비품으로 있게끔, 부드럽고

온화하게 물체들에 눌리어서, 그런데 제 자신 안에는 뜨거운 습기를

지녀서 하기 동안에는 땀을 흘려서 외부로부터 적셔짐으로써 신체

전체에 따라 절제된 냉기를 제공하도록, 겨울을 거치는 동안에는

또 다시 이러한 불로 외부로부터 닥쳐와 휘감아도는 서리를

적절하게 방어해내도록 하시고자 그리 하셨습니다.

                                                                     ταῦτα                 5

ἡμῶν διανοηθεὶς ὁ κηροπλάστης, ὕδατι μὲν καὶ πυρὶ καὶ γῇ

συμμείξας καὶ συναρμόσας, ἐξ ὀξέος καὶ ἁλμυροῦ συνθεὶς

ζύμωμα ὑπομείξας αὐτοῖς, σάρκα ἔγχυμον καὶ μαλακὴν συνέ-             d

στησεν· τὴν δὲ τῶν νεύρων φύσιν ἐξ ὀστοῦ καὶ σαρκὸς

ἀζύμου κράσεως μίαν ἐξ ἀμφοῖν μέσην δυνάμει συνεκεράσατο,

ξανθῷ χρώματι προσχρώμενος.                                                    

우리의 주조자께서 이러한 점들을 사유하시며, 물과 불과 흙은

함께 섞어 조화시키시고서, 쓰고 짠 것으로부터 발효된 즙을

그것들에 얹어 섞으시어, 즙을 품은 부드러운 살을 구성하셨습니다.

그런데 신경들의 본성은 뼈와 즙이 없는 살의 혼합을 통해

그 양자로부터 능력에 있어서 중간적인 단일한 본성으로

혼합하셨고, 황색을 추가로 사용하시며 그리 하셨습니다.

                                         ὅθεν συντονωτέραν μὲν καὶ                //210918

γλισχροτέραν σαρκῶν, μαλακωτέραν δὲ ὀστῶν ὑγροτέραν τε               5

ἐκτήσατο δύναμιν νεῦρα· οἷς συμπεριλαβὼν ὁ θεὸς ὀστᾶ καὶ

μυελόν, δήσας πρὸς ἄλληλα νεύροις, μετὰ ταῦτα σαρξὶν

πάντα αὐτὰ κατεσκίασεν ἄνωθεν.                                                e

이로부터 살에 비해서는 더 큰 긴장을 지니고 더욱 접착력을 가진,

반면 뼈에 비해서는 더욱 부드럽고 더 습한 능력을 힘줄이

획득해낸 것이지요. 신께서 그것들로써 뼈와 골수를 함께 감싸

쥐신 바, 그것들을 서로를 향해 신경들로 결박하시고서, 그러한

일들 다음으로 살을 그것들 모두에 위에서 덮어 씌우셨습니다.

                                           ὅσα μὲν οὖν ἐμψυχότατα                e

τῶν ὀστῶν ἦν, ὀλιγίσταις συνέφραττε σαρξίν, ἃ δ᾿ ἀψυχότατα

ἐντός, πλείσταις καὶ πυκνοτάταις, καὶ δὴ κατὰ τὰς συμβολὰς

τῶν ὀστῶν, ὅπῃ μήτινα ἀνάγκην ὁ λόγος ἀπέφαινεν δεῖν αὐ-

τὰς εἶναι, βραχεῖαν σάρκα ἔφυσεν, ἵνα μήτε ἐμποδὼν ταῖς                    5

καμπαῖσιν οὖσαι δύσφορα τὰ σώματα ἀπεργάζοιντο, ἅτε

δυσκίνητα γιγνόμενα, μήτ᾿ αὖ πολλαὶ καὶ πυκναὶ σφόδρα τε

ἐν ἀλλήλαις ἐμπεπιλημέναι, διὰ στερεότητα ἀναισθησίαν

ἐμποιοῦσαι, δυσμνημονευτότερα καὶ κωφότερα τὰ περὶ τὴν

διάνοιαν ποιοῖεν.                                                                       10

그리하여 뼈들 중에서 영혼이 가장 잘 내재하는 것들을, 가장

적은 살로 감싸 닫으셨고, 내부에서 영혼이 가장 덜 깃든 것들은,

가장 많고도 조밀한 살로 그리 하셨으며, 더욱이 뼈들의

결합부들을 따라, 논리가 그 살들이 있어야 한다는 아무런

필연도 밝혀보이지 못하는 곳에, 얇은 살을 생육하셨으니,

굽히는 일들에 살이 방해물이 되어서 신체를, 신체가 움직이기

어렵게 될 테니, 이동이 곤란하게 만들어 버리지 않도록, 또한

이번엔 많고도 조밀한 살이 서로간에 짓눌림으로써, 단단함으로

인해 무감각을 심어 넣어서, 사유와 관련된 것들로 하여금

한층 더 기억을 못하게끔 그리고 더욱 둔해지게끔 만들지도

못하도록 그리 하셨던 것입니다.

                       διὸ δὴ τό τε τῶν μηρῶν καὶ κνημῶν καὶ                    10

τὸ περὶ τὴν τῶν ἰσχίων φύσιν τά τε περὶ τὰ τῶν βραχιόνων             75a

ὀστᾶ καὶ τὰ τῶν πήχεων, καὶ ὅσα ἄλλα ἡμῶν ἄναρθρα, ὅσα

τε ἐντὸς ὀστᾶ δι᾿ ὀλιγότητα ψυχῆς ἐν μυελῷ κενά ἐστιν

φρονήσεως, ταῦτα πάντα συμπεπλήρωται σαρξίν·

                                       그래서 이런 이유로 대퇴골과

정강이뼈와 본성적인 고관절 주위 뼈 그리고 하박골과 상완골,

또한 우리들의 여타 관절이 없는 뼈들과, 영혼의 희소함으로

인해 골수 안에 분별의 공백이 있는 내부의 뼈들까지, 이러한

모든 것들이 살로 채워지게 되었지요.

                                                                 ὅσα δὲ

ἔμφρονα, ἧττον―εἰ μή πού τινα αὐτὴν καθ᾿ αὑτὴν αἰσθήσεων              5

ἕνεκα σάρκα οὕτω συνέστησεν, οἷον τὸ τῆς γλώττης εἶδος―

τὰ δὲ πλεῖστα ἐκείνως· ἡ γὰρ ἐξ ἀνάγκης γιγνομένη καὶ

συντρεφομένη φύσις οὐδαμῇ προσδέχεται πυκνὸν ὀστοῦν καὶ             b

σάρκα πολλὴν ἅμα τε αὐτοῖς ὀξυήκοον αἴσθησιν.

                                              그런데 분별이 깃든 뼈는,

덜 그렇고―감각을 위해 어떤 살 자체인 것을, 이를 테면 혀의 형상

같은 것을 구성하신 경우를 제외하면―, 헌데 대부분의 뼈들은

저런 식입니다. 왜냐하면 필연으로부터 생성되어 자라난 본성이

어떤 식으로도 조밀한 뼈와 많은 살 그리고 그것들과 동시에

예민한 감각까지도 함께 추가로 받아들이지 못하기 때문이지요.

                                                               μάλιστα

γὰρ ἂν αὐτὰ πάντων ἔσχεν ἡ περὶ τὴν κεφαλὴν σύστασις,

εἴπερ ἅμα συμπίπτειν ἠθελησάτην, καὶ τὸ τῶν ἀνθρώπων

γένος σαρκώδη ἔχον ἐφ᾿ ἑαυτῷ καὶ νευρώδη κρατεράν τε κε-               5

φαλὴν βίον ἂν διπλοῦν καὶ πολλαπλοῦν καὶ ὑγιεινότερον καὶ

ἀλυπότερον τοῦ νῦν κατεκτήσατο.

왜냐하면 모든 것들 중에서도 특히나 그것들을 머리 주위의

구조가 지녔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만일 정말로 함께 일어날

것이었다면 말이죠. 그리고 인간의 부류가 자신 위에 살과

신경으로 이루어진 더욱 강력한 머리를 지님으로써 지금의 생보다

곱절이 되고 그 몇 배나 되는 더욱 건강하고 한층 더 고통 없는

생을 획득했을 테고 말입니다.

                                             νῦν δὲ τοῖς περὶ τὴν ἡμε-

τέραν γένεσιν δημιουργοῖς, ἀναλογιζομένοις πότερον πολυχρο-

νιώτερον χεῖρον ἢ βραχυχρονιώτερον βέλτιον ἀπεργάσαιντο               c

γένος, συνέδοξεν τοῦ πλείονος βίου, φαυλοτέρου δέ, τὸν

ἐλάττονα ἀμείνονα ὄντα παντὶ πάντως αἱρετέον· ὅθεν δὴ μανῷ

μὲν ὀστῷ, σαρξὶν δὲ καὶ νεύροις κεφαλήν, ἅτε οὐδὲ

καμπὰς ἔχουσαν, οὐ συνεστέγασαν.                                                 5

                               그런데 지금은 우리네의 생성에 관련한

장인들에게, 저열한 유를 장수하도록 실현시킬지 더 나은 유를

단명하도록 실현시킬지 계산하는 그들에게, 더 길지만 더욱 저열한

생보다는, 짧지만 더 나은 생을 모든 이들이 전적으로 선택해야만

한다는 것이 동의할 만한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그래서 이로부터

성긴 뼈로는 덮어 감쌌지만, 반면 살과 신경으로는 머리를, 머리가

굽힘을 지니지 않기에, 덮어 감싸지 않았습니다.

                                              κατὰ πάντα οὖν ταῦτα                   5

εὐαισθητοτέρα μὲν καὶ φρονιμωτέρα, πολὺ δὲ ἀσθενεστέρα

παντὸς ἀνδρὸς προσετέθη κεφαλὴ σώματι.

                                                          그리하여 이러한

모든 것들에 따라 더욱 잘 감각하고 더욱 현명한는 반면, 훨씬

더 연약한 머리가 모든 인간의 신체에 추가되었습니다.

                                                       τὰ δὲ νεῦρα διὰ

ταῦτα καὶ οὕτως ὁ θεὸς ἐπ᾿ ἐσχάτην τὴν κεφαλὴν περι-                     d

στήσας κύκλῳ περὶ τὸν τράχηλον ἐκόλλησεν ὁμοιότητι,

καὶ τὰς σιαγόνας ἄκρας αὐτοῖς συνέδησεν ὑπὸ τὴν φύσιν

τοῦ προσώπου· τὰ δ᾿ ἄλλα εἰς ἅπαντα τὰ μέλη διέσπειρε,

συνάπτων ἄρθρον ἄρθρῳ.                                                            5

                                                                  그런데

신경들은 이런 점들로 인해 또한 그렇게 신께서 극단이 되는

머리를 향해 감싸시어 원형으로 목 주위에서 유사성을 가지고

통합시키셨으며, 최상단의 턱뼈도 그 신경들로 본성적인 안면

아래에 결속시키셨습니다. 반면 여타의 신경들은 통틀어 모든

지체들로 분산시키셨으니, 관절과 관절을 연결시키시며 그리

하셨습니다. 

                                  τὴν δὲ δὴ τοῦ στόματος ἡμῶν                     5

δύναμιν ὀδοῦσιν καὶ γλώττῃ καὶ χείλεσιν ἕνεκα τῶν ἀναγ-

καίων καὶ τῶν ἀρίστων διεκόσμησαν οἱ διακοσμοῦντες ᾗ νῦν

διατέτακται, τὴν μὲν εἴσοδον τῶν ἀναγκαίων μηχανώμενοι                 e

χάριν, τὴν δ᾿ ἔξοδον τῶν ἀρίστων· ἀναγκαῖον μὲν γὰρ πᾶν

ὅσον εἰσέρχεται τροφὴν διδὸν τῷ σώματι, τὸ δὲ λόγων νᾶμα

ἔξω ῥέον καὶ ὑπηρετοῦν φρονήσει κάλλιστον καὶ ἄριστον

πάντων ναμάτων.                                                                      5

               그런가 하면 우리의 입의 능력은 치아와 혀 그리고

입술로써 필연적인 것들과 최선의 것들을 위해 그 질서를 주관하신

분들께서 오늘날 조직된 방식으로 질서잡으셨으니, 입구로서는

필연적인 것들을 위하여 고안하시고, 출구로서는 최선의 것들을

위하여 고안하셨습니다. 왜냐하면 신체에 영양분을 주는 유입되어

들어오는 모든 것은 필연적인 것이고, 말의 흐름은 외부로 흘러

현명함에 봉사함으로써 모든 흐름들 중에서 가장 아름답고도 훌륭한

흐름이기 때문이지요.

                        τὴν δ᾿ αὖ κεφαλὴν οὔτε μόνον ὀστεΐνην                   5

ψιλὴν δυνατὸν ἐᾶν ἦν διὰ τὴν ἐν ταῖς ὥραις ἐφ᾿ ἑκάτερον

ὑπερβολήν, οὔτ᾿ αὖ συσκιασθεῖσαν κωφὴν καὶ ἀναίσθητον

διὰ τὸν τῶν σαρκῶν ὄχλον περιιδεῖν γιγνομένην· τῆς δὴ

σαρκοειδοῦς φύσεως οὐ καταξηραινομένης λέμμα μεῖζον                76a

περιγιγνόμενον ἐχωρίζετο, δέρμα τὸ νῦν λεγόμενον.

                          그런데 이번엔 머리를 오직 발가벗은

뼈만으로 내버려둘 수도 없었으니 계절들에서 양편 각각으로의

과도함으로 인해서이고, 또 살 무더기로 인해 머리가 뒤덮여

둔감하고 무감각한 것이 되는 것을 간과할 수 있는 것도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살로 이루어진 본성이 메말라 버리지

않았을 때 그것을 감싸고 생성되는 더 큰 외피가 분리되었고,

그것이 오늘날 피부라 말해지는 것입니다.

                                                                   τοῦτο

δὲ διὰ τὴν περὶ τὸν ἐγκέφαλον νοτίδα συνιὸν αὐτὸ πρὸς

αὑτὸ καὶ βλαστάνον κύκλῳ περιημφιέννυεν τὴν κεφαλήν· ἡ

δὲ νοτὶς ὑπὸ τὰς ῥαφὰς ἀνιοῦσα ἦρδε καὶ συνέκλεισεν αὐτὸ                   5

ἐπὶ τὴν κορυφήν, οἷον ἅμμα συναγαγοῦσα, τὸ δὲ τῶν ῥαφῶν

παντοδαπὸν εἶδος γέγονε διὰ τὴν τῶν περιόδων δύναμιν καὶ

τῆς τροφῆς, μᾶλλον μὲν ἀλλήλοις μαχομένων τούτων πλείους,

ἧττον δὲ ἐλάττους.                                                                  b

                                                   그런데 이러한 피부가

뇌 주위의 습기로 인해 자기 자신에게로 수렴해 나아가 원형으로

자라나 머리를 두루 감싸 덮었습니다. 그 습기는 봉합선 아래에서

솟아나 그것[피부]을 적시고 꼭대기에서 닫았으니, 이를 테면

매듭처럼 한 데 모아서, 정수리들의 온갖가지 형상이 궤도들의 힘과

양분의 힘으로 인해 생성되었는데, 이것들이 서로 더 많이 싸울 때

더 많은 형상이, 덜 싸울 때에는 더 적은 형상이 생겼습니다.

                         τοῦτο δὴ πᾶν τὸ δέρμα κύκλῳ κατεκέντει             b

πυρὶ τὸ θεῖον, τρηθέντος δὲ καὶ τῆς ἰκμάδος ἔξω δι᾿ αὐτοῦ

φερομένης τὸ μὲν ὑγρὸν καὶ θερμὸν ὅσον εἰλικρινὲς ἀπῄειν,

τὸ δὲ μεικτὸν ἐξ ὧν καὶ τὸ δέρμα ἦν, αἰρόμενον μὲν ὑπὸ

τῆς φορᾶς ἔξω μακρὸν ἐτείνετο, λεπτότητα ἴσην ἔχον τῷ                     5

κατακεντήματι, διὰ δὲ βραδυτῆτα ἀπωθούμενον ὑπὸ τοῦ

περιεστῶτος ἔξωθεν πνεύματος πάλιν ἐντὸς ὑπὸ τὸ δέρμα

εἱλλόμενον κατερριζοῦτο·                                                            c

그래서 이 모든 피부를 원형으로 꿰뚫으니 신적인 것이 불로써

그리 하되, 그것[피부]이 꿰뚫려 이를 통해 수분이 밖으로

이동하면 순수한 것으로서 습하고 뜨거운 것은 빠져나왔고,

반면 그것들로 피부 또한 구성되었던 그러한 것들의 혼합물은,

그 이동에 의해 들어올려져 외부로 길게 뻗어나왔는데, 꿰뚫린

구멍과 같은 정도의 세밀함을 지녀 그리 하였으며, 그런데 느리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에워싸고 선 바람에 의해 압박되어 다시

내부인 피부 아래에서 휘감겨 뿌리를 내리게 되었습니다.

                                  καὶ κατὰ ταῦτα δὴ τὰ πάθη τὸ                    c

τριχῶν γένος ἐν τῷ δέρματι πέφυκεν, συγγενὲς μὲν ἱμαντῶδες

ὂν αὐτοῦ, σκληρότερον δὲ καὶ πυκνότερον τῇ πιλήσει τῆς

ψύξεως, ἣν ἀποχωριζομένη δέρματος ἑκάστη θρὶξ ψυχθεῖσα

συνεπιλήθη.                                                                              5

더 나아가 이러한 겪음들에 따라 모발의 유가 피부에 자라났으니,

섬유질로서 그 피부의 동류인 것이나, 냉각의 압착에 의해 더욱

단단하고 조밀한 것입니다. 그 압착으로 말하자면 피부로부터

각각의 모발이 분리되어 냉각되어서 압착되었던 것이죠.

                τούτῳ δὴ λασίαν ἡμῶν ἀπηργάσατο τὴν                           5

κεφαλὴν ὁ ποιῶν, χρώμενος μὲν αἰτίοις τοῖς εἰρημένοις,

διανοούμενος δὲ ἀντὶ σαρκὸς αὐτὸ δεῖν εἶναι στέγασμα τῆς

περὶ τὸν ἐγκέφαλον ἕνεκα ἀσφαλείας κοῦφον καὶ θέρους                  d

χειμῶνός τε ἱκανὸν σκιὰν καὶ σκέπην παρέχειν, εὐαισθησίας

δὲ οὐδὲν διακώλυμα ἐμποδὼν γενησόμενον.                                 //211002

그래서 이 유로써 우리의 머리를 풍성한 것으로 그 만드시는 분께서

구현해내셨으니, 한편으로는 이야기된 바 있는 원인들을 사용하시어,

다른 한편으로는 사유하시기를 살 대신 그 유가 머리 안의 것(뇌)

주위에서의 보호를 위한 덮개여야 하며 여름과 겨울에 대한 충분한

그늘과 안식처를 제공해야 한다고, 그러나 지각이 잘 이루어지는 데에

방해가 되는 어떠한 장애물도 되지 않을 것으로서 그래야 한다

생각하시며 구현하셨습니다. 

                                                        τὸ δ᾿ ἐν τῇ περὶ

τοὺς δακτύλους καταπλοκῇ τοῦ νεύρου καὶ τοῦ δέρματος ὀστοῦ

τε, συμμειχθὲν ἐκ τριῶν, ἀποξηρανθὲν ἓν κοινὸν συμπάντων                 5

σκληρὸν γέγονεν δέρμα, τοῖς μὲν συναιτίοις τούτοις δημιουρ-

γηθέν, τῇ δὲ αἰτιωτάτῃ διανοίᾳ τῶν ἔπειτα ἐσομένων ἕνεκα

εἰργασμένον.

                                  헌데 손가락 주위의 신경과 피부와

뼈의 타래 안에서, 세 가지 것들로부터 함께 섞여 나와, 건조됨으로써

그 모든 것들의 공통된 하나의 단단한 피부가 되었으니, 한편으로는

이러한 보조원인인 것들에 의해 제작됨으로써, 다른 한편으로는

이후에 있을 것들을 위한 가장 주된 원인이 되는 사유에 의해

실현됨으로써 그리 되었지요.

                 ὡς γάρ ποτε ἐξ ἀνδρῶν γυναῖκες καὶ τἆλλα

θηρία γενήσοιντο, ἠπίσταντο οἱ συνιστάντες ἡμᾶς, καὶ δὴ                  e

καὶ τῆς τῶν ὀνύχων χρείας ὅτι πολλὰ τῶν θρεμμάτων καὶ

ἐπὶ πολλὰ δεήσοιτο ᾔδεσαν, ὅθεν ἐν ἀνθρώποις εὐθὺς γιγνο-

μένοις ὑπετυπώσαντο τὴν τῶν ὀνύχων γένεσιν.

                                     왜냐하면 언젠가 사내들로부터

여성들과 여타의 짐승들이 생성되리라는 것을, 우리를 구성하시는

분들께서 알고 계셨고, 더 나아가 손톱의 사용을 피조물들 중

많은 것들이 또한 많은 일들을 두고 필요로 하게 되리란 것을

아셨으며, 이로부터 인간들이 생성되는 와중에 곧장 발톱의 생성을

밑그림그려 놓으셨기 때문입니다.

                                                             τούτῳ δὴ τῷ

λόγῳ καὶ ταῖς προφάσεσιν ταύταις δέρμα τρίχας ὄνυχάς τε                 5

ἐπ᾿ ἄκροις τοῖς κώλοις ἔφυσαν.

                                         그래서 이러한 논리와 의도들로 

피부와 모발과 손발톱을 사지의 극단들에 손발톱을 키워내셨습니다.

 

-蟲-

 Τὸ δὲ δὴ σίτων τε καὶ ποτῶν ἐπιθυμητικὸν τῆς ψυχῆς

καὶ ὅσων ἔνδειαν διὰ τὴν τοῦ σώματος ἴσχει φύσιν, τοῦτο

εἰς τὸ μεταξὺ τῶν τε φρενῶν καὶ τοῦ πρὸς τὸν ὀμφαλὸν                 e

ὅρου κατῴκισαν, οἷον φάτνην ἐν ἅπνατι τούτῳ τῷ τόπῳ τῇ

τοῦ σώματος τροφῇ τεκτηνάμενοι· καὶ κατέδησαν δὴ τὸ

τοιοῦτον ἐνταῦθα ὡς θρέμμα ἄγριον, τρέφειν δὲ συνημμένον

ἀναγκαῖον, εἴπερ τι μέλλοι ποτὲ θνητὸν ἔσεσθαι γένος.                    5

 그래서 먹을 것과 마실 것 그리고 신체의 본성으로 인해

그것들이 필요한 그런 것들을 욕망하는 영혼의 부분, 이를

가슴과 배꼽쪽 경계 사이에 정착시키셨으니, 이를 테면 통틀어

이러한 모든 장소에 신체의 양식을 위한 여물통 같은 것을

짜놓으심으로써 그리하셨습니다. 더 나아가 이러한 부분을

들짐승마냥 여기에 묶어두셨는데, 결합된 채로 양육하는 일이

필연적인 것입니다. 정녕 뭐라도 사멸적인 유가 장차 도대체

있으려면 말입니다.

                                                                          ἵν᾿                5 //210824

οὖν ἀεὶ νεμόμενον πρὸς φάτνῃ καὶ ὅτι πορρωτάτω τοῦ βουλευο-

μένου κατοικοῦν, θόρυβον καὶ βοὴν ὡς ἐλαχίστην παρέχον,

τὸ κράτιστον καθ᾿ ἡσυχίαν περὶ τοῦ πᾶσι κοινῇ καὶ ἰδίᾳ συμ-       71a

φέροντος ἐῷ βουλεύεσθαι, διὰ ταῦτα ἐνταῦθ᾿ ἔδοσαν αὐτῷ τὴν

τάξιν.

                          그리하여 항상 여물통 쪽에 머물면서 또

숙고하는 부분과 최대한 멀리 거처를 잡아, 소란과 고함을 가장 적게

내놓아서, 가장 강한 부분이 고요하게 공사 모두에 유익한 것에

관련하여 숙고하게 해주기 위해, 이런 이유들로 여기에서 그 부분에

그 배치를 부여하셨습니다.

         εἰδότες δὲ αὐτὸ ὡς λόγου μὲν οὔτε συνήσειν ἔμελλεν,

εἴ τέ πῃ καὶ μεταλαμβάνοι τινὸς αὐτῶν αἰσθήσεως, οὐκ ἔμ-

φυτον αὐτῷ τὸ μέλειν τινῶν ἔσοιτο λόγων, ὑπὸ δὲ εἰδώλων               5

καὶ φαντασμάτων νυκτός τε καὶ μεθ᾿ ἡμέραν μάλιστα ψυ-

χαγωγήσοιτο, τούτῳ δὴ θεὸς ἐπιβουλεύσας αὐτῷ τὴν ἥπατος

ἰδέαν συνέστησε καὶ ἔθηκεν εἰς τὴν ἐκείνου κατοίκησιν,                b

                      그런데 그 부분이 장차 논리에 대해 이해하지

못할 것이었음을 아시고서, 또 만일 어떤 식으로든 그것들 중

어떤 감각에 관여한다 하더라도, 어떤 논리들에 관심을 기울이는

일이 그 부분에 본래적이지 않을 것이며, 밤낮으로 모상과 가상에

의해 영혼이 휘둘릴 것이라 아시고서, 그래서 이 점을 신께서

대비하는 계획을 하시어 그 부분에게 간의 형상을 구성해주시고

저 부분의 거처에 놓으셨습니다.

πυκνὸν καὶ λεῖον καὶ λαμπρὸν καὶ γλυκὺ καὶ πικρότητα ἔχον

μηχανησάμενος, ἵνα ἐν αὐτῷ τῶν διανοημάτων ἡ ἐκ τοῦ νοῦ

φερομένη δύναμις, οἷον ἐν κατόπτρῳ δεχομένῳ τύπους καὶ

κατιδεῖν εἴδωλα παρέχοντι, φοβοῖ μὲν αὐτό,                                   5

                   신께서는 간을 조밀하고 매끄러우며 빛나고 달며

쓴 맛을 지닌 것으로 고안하시었으니, 그 지성으로부터 전달되는

능력이, 이를 테면 흔적들과 모상들을 받아들여 알아보도록

제공하는 거울에서 그러하듯, 사유들에 대해 그런 것인 간 안에서

그 부분을 겁박하게끔 그리 하셨습니다. 

                                                            ὁπότε μέρει                  5

τῆς πικρότητος χρωμένη συγγενεῖ, χαλεπὴ προσενεχθεῖσα

ἀπειλῇ, κατὰ πᾶν ὑπομειγνῦσα ὀξέως τὸ ἧπαρ, χολώδη χρώ-

ματα ἐμφαίνοι, συνάγουσά τε πᾶν ῥυσὸν καὶ τραχὺ ποιοῖ,

λοβὸν δὲ καὶ δοχὰς πύλας τε τὸ μὲν ἐξ ὀρθοῦ κατακάμ-                 c

πτουσα καὶ συσπῶσα, τὰ δὲ ἐμφράττουσα συγκλείουσά τε,

λύπας καὶ ἄσας παρέχοι,

                         쓴 맛의 동종적인 부분을 그 능력이 사용하며,

가혹한 것으로서 덮쳐와 위협할 때, 전체에 따라 [쓴 맛을] 간에

재빠르게 혼합시켜서, 담즙색을 드러내 보이도록, 또한 전체를

수축시켜 주름지고 거칠게 만들도록, 다른 한편 간엽과 용기(담낭)

그리고 간문을 두고 어떤 것은(간엽?) 제대로 된 상태에서 구부리고

쥐어짜서, 다른 것들(담낭과 간문?)은 차단하고 폐쇄하여, 고통과

구역질을 제공하고자 그리 하셨습니다.

                                   καὶ ὅτ᾿ αὖ τἀναντία φαντάσματα

ἀποζωγραφοῖ πρᾳότητός τις ἐκ διανοίας ἐπίπνοια, τῆς μὲν

πικρότητος ἡσυχίαν παρέχουσα τῷ μήτε κινεῖν μήτε προσ-              5

ἀπτεσθαι τῆς ἐναντίας ἑαυτῇ φύσεως ἐθέλειν, γλυκύτητι

δὲ τῇ κατ᾿ ἐκεῖνο συμφύτῳ πρὸς αὐτὸ χρωμένη καὶ πάντα

ὀρθὰ καὶ λεῖα αὐτοῦ καὶ ἐλεύθερα ἀπευθύνουσα, ἵλεών τε καὶ          d

εὐήμερον ποιοῖ τὴν περὶ τὸ ἧπαρ ψυχῆς μοῖραν κατῳκισμένην,

ἔν τε τῇ νυκτὶ διαγωγὴν ἔχουσαν μετρίαν, μαντείᾳ, χρω-

μένην καθ᾿ ὕπνον, ἐπειδὴ λόγου καὶ φρονήσεως οὐ μετεῖχε.

                                      그리고 이번엔 그와 반대되는

가상들을 사유의 온화함으로부터 나오는 어떤 숨결이 그려낼

때에도, 쓴 맛의 잦아듦을 운동하려 하지도 않고 자신과 반대되는

본성에 접하려 하지도 않음으로써 제공하는 한편, 저 간으로부터

함께 자라나온 달콤함을 그 간을 위해 사용함으로써 그 간의 모든

제대로 되고 매끄러우며 자유로운 부분들을 복원시켜서, 자애롭고

행복한 것으로 간 주위에 정착된 영혼의 부분을 만들기 위해, 또한

밤에도 적도에 맞는 시간 보내기를 지니니, 자는 동안 예언을

사용함으로써 그리하며, 논리와 지혜에 참여하지 못하기에 그리

하였습니다.

 

μεμνημένοι γὰρ τῆς τοῦ πατρὸς ἐπιστολῆς οἱ συστή-                       5

σαντες ἡμᾶς, ὅτε τὸ θνητὸν ἐπέστελλεν γένος ὡς ἄριστον

εἰς δύναμιν ποιεῖν, οὕτω δὴ κατορθοῦντες καὶ τὸ φαῦλον

ἡμῶν, ἵνα ἀληθείας πῃ προσάπτοιτο, κατέστησαν ἐν τούτῳ            e

τὸ μαντεῖον.

왜냐하면 아버지의 명령을 기억하면서 저희를 구성하신

분들께서, 사멸하는 부류를 능력 면에서 가능한 한 최선의 것으로

만들도록 아버지께서 명하셨기에, 실로 그렇게 보잘 것 없는

우리 부류까지도 바로세우시기를, 어떤 식으론가 진리에 닿도록

그리 하시며, 그 부류 안에 예언소를 세워 그리 하셨기

때문이지요.

                 ἱκανὸν δὲ σημεῖον ὡς μαντικὴν ἀφροσύνῃ

θεὸς ἀνθρωπίνῃ δέδωκεν· οὐδεὶς γὰρ ἔννους ἐφάπτεται

μαντικῆς ἐνθέου καὶ ἀληθοῦς, ἀλλ᾿ ἢ καθ᾿ ὕπνον τὴν τῆς

φρονήσεως πεδηθεὶς δύναμιν ἢ διὰ νόσον, ἢ διά τινα ἐνθου-           5

σιασμὸν παραλλάξας.

                헌데 신께서 인간적인 어리석음에 예언술을

선사하셨다는 충분한 증표가 있습니다. 제정신을 가진 그 누구도

신께서 내리신 참된 예언술에 가 닿지 못하니까요. 분별의 능력을

수면에 혹은 질병으로 인해 속박당해서, 또는 어떤 신들림으로

인해 변신하여서 그런 게 아니라면 말입니다.

                              ἀλλὰ συννοῆσαι μὲν ἔμφρονος τά

τε ῥηθέντα ἀναμνησθέντα ὄναρ ἢ ὕπαρ ὑπὸ τῆς μαντικῆς

τε καὶ ἐνθουσιαστικῆς φύσεως, καὶ ὅσα ἂν φαντάσματα

ὀφθῇ, πάντα λογισμῷ διελέσθαι ὅπῃ τι σημαίνει καὶ ὅτῳ             72a

μέλλοντος ἢ παρελθόντος ἢ παρόντος κακοῦ ἢ ἀγαθοῦ· τοῦ

δὲ μανέντος ἔτι τὲ ἐν τούτῳ μένοντος οὐκ ἔργον τὰ φανέντα

καὶ φωνηθέντα ὑφ᾿ ἑαυτοῦ κρίνειν, ἀλλ᾿ εὖ καὶ πάλαι λέγεται

τὸ πράττειν καὶ γνῶναι τά τε αὑτοῦ καὶ ἑαυτὸν σώφρονι                   5

μόνῳ προσήκειν.

                                 허나 예언 및 강신의 본성에 의해

꿈에서든 생시에든 이야기되고 또한 상기된 바를 이해하는 것은

분별있는 자의 일이고, 가상들로서 목격되는 것들 또한, 그 모든

것들이 어떤 식으로 뭔가를 또한 누구에게, 나쁘거나 좋은 일이

장차 있을 경우든 지나간 경우든 곁에 있는 경우든, 시사하는지

추론으로써 분류하는 것도 [그런 자의 일]입니다. 그런데 광증에

걸린 자가 여전히 그 상태에 머무를 때에 그 자 자신에 의해

보여지고 들려지는 것들을 판단하는 것은 그의 일이 아니라,

오히려 예로부터 잘 말해진 바 자신에 속한 것들과 자기 자신을

다루고 또한 아는 일은 오직 분별있는 자에게만 적절한 것이라

하였습니다.

                        ὅθεν δὴ καὶ τὸ τῶν προφητῶν γένος ἐπὶ

ταῖς ἐνθέοις μαντείαις κριτὰς ἐπικαθιστάναι νόμος· οὓς                b

μάντεις αὐτοὺς ὀνομάζουσίν τινες, τὸ πᾶν ἠγνοηκότες ὅτι

τῆς δι᾿ αἰνιγμῶν οὗτοι φήμης καὶ φαντάσεως ὑποκριταί,

καὶ οὔτι μάντεις, προφῆται δὲ μαντευομένων δικαιότατα

ὀνομάζοιντ᾿ ἄν.                                                                         5

               이로부터 더 나아가 해설가들의 부류도 신이 내린

예언들을 두고 판단하는 자들로 정해 놓는 것이 또한 법입니다.

어떤 이들은 그들을 바로 예언가들이라고도 명명하니, 수수께끼들을

통한 신탁과 가상에 대해 이러한 자들이 해석가이고, 예언가들이

아니며, 예언되는 일들에 대한 해설가들로 가장 정당하게

명명되리란 점을 전혀 모르기에 그리 하는 것입니다.

 

 Ἡ μὲν οὖν φύσις ἥπατος διὰ ταῦτα τοιαύτη τε καὶ ἐν

τόπῳ ᾧ λέγομεν πέφυκε, χάριν μαντικῆς· καὶ ἔτι μὲν δὴ

ζῶντος ἑκάστου τὸ τοιοῦτον σημεῖα ἐναργέστερα ἔχει, στε-

ρηθὲν δὲ τοῦ ζῆν γέγονε τυφλὸν καὶ τὰ μαντεῖα ἀμυδρότερα

ἔσχεν τοῦ τι σαφὲς σημαίνειν.                                                   c

 그리하여 간의 본성은 이러한 점들로 인해 이와 같으며 또한

우리가 말하는 그 장소에 본성적으로 자리하니, 예언술을

위해 그런 것입니다. 더 나아가 실로 각기 살아있는 것의

이러한 부분[간]은 더욱 분명한 징표들을 지니지만, 그것이 

생명을 잃으면 눈이 멀게 되고 무언가 확실한 것을 징표로

보여주는 것에 비해서는 더 불분명한 예언적 징표들을 지닙니다.

                                         ἡ δ᾿ αὖ τοῦ γείτονος αὐτῷ               c

σύστασις καὶ ἕδρα σπλάγχνου γέγονεν ἐξ ἀριστερᾶς χάριν

ἐκείνου, τοῦ παρέχειν αὐτὸ λαμπρὸν ἀεὶ καὶ καθαρόν, οἷον

κατόπτρῳ παρεσκευασμένον καὶ ἕτοιμον ἀεὶ παρακείμενον

ἐκμαγεῖον.                                                                                5

그런데 이번엔 그것[간]에 이웃하는 내부장기의 구조와 자리는

왼편에서 생성되었는데 저 일을 위해서이니, 그것[간]을 언제나

빛나고 깨끗하게 해주기 위해서, 이를 테면 거울을 위해 마련되어

언제나 손이 닿는 것으로서 곁에 놓여 있는 수건처럼 있습니다.

               διὸ δὴ καὶ ὅταν τινὲς ἀκαθαρσίαι γίγνωνται διὰ               5

νόσους σώματος περὶ τὸ ἧπαρ, πάντα ἡ σπληνὸς καθαίρουσα

αὐτὰ δέχεται μανότης, ἅτε κοίλου καὶ ἀναίμου ὑφανθέντος·

ὅθεν πληρούμενος τῶν ἀποκαθαιρομένων μέγας καὶ ὕπουλος        d

αὐξάνεται, καὶ πάλιν, ὅταν καθαρθῇ τὸ σῶμα, ταπεινούμενος

εἰς ταὐτὸν συνίζει.

더 나아가 이로 인해 어떤 부정함이 신체의 질병을 통해 간 주위에

생겨날 때에도, 모든 것들을 비장의 헐거움이 정화시켜서 그것들을

받아들이니, 속이 비고 피가 돌지 않는 것으로 직조되었기에 그리

합니다. 이로부터 정화되어 나온 것들로 가득 차게 되어 크게 곪아

확장되고, 다시, 신체가 정화될 때, 줄어들어 제 자신으로 수렴됩니다.

 

 Τὰ μὲν οὖν περὶ ψυχῆς, ὅσον θνητὸν ἔχει καὶ ὅσον θεῖον,                   //210831

καὶ ὅπῃ καὶ μεθ᾿ ὧν καὶ δι᾿ ἃ χωρὶς ᾠκίσθη, τὸ μὲν ἀληθὲς                5

ὡς εἴρηται, θεοῦ συμφήσαντος τότ᾿ ἂν οὕτως μόνως διισχυρι-

ζοίμεθα· τό γε μὴν εἰκὸς ἡμῖν εἰρῆσθαι, καὶ νῦν καὶ ἔτι

μᾶλλον ἀνασκοποῦσι διακινδυνευτέον τὸ φάναι καὶ πεφάσθω.

 그리하여 영혼에 관련한 일들은, [영혼이] 사멸적인 부분과 신적인

부분을 얼만큼 가지는지, 어떤 식으로 어떤 것들을 동반하여

어떤 이유들로 인해 거주하게 되었는지는, 진실이 말해졌다고,

신께서 동의하시면 그 때 오직 그런 식으로만 우리가 단언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적어도 모상적인 바가 우리에 의해

이야기되었다는 것 만큼은, 지금도 그리고 여전히 더 고찰하면서도

우리가 주장하는 위험을 감수해야만 하며 또한 그렇게

주장되었다고 합시다.

τὸ δ᾿ ἑξῆς δὴ τούτοισιν κατὰ ταὐτὰ μεταδιωκτέον· ἦν δὲ                e

τὸ τοῦ σώματος ἐπίλοιπον ᾗ γέγονεν. ἐκ δὴ λογισμοῦ

τοιοῦδε συνίστασθαι μάλιστ᾿ ἂν αὐτὸ πάντων πρέποι.

다른 한편 그럼 그 다음 것도 이러한 우리가 같은 점들에 따라 

추적해 나아가야만 합니다. 그런데 그것은 신체의 남은 부분이

어떤 식으로 생성되었는가 하는 것이었습니다. 실로 다음과

같은 헤아림으로부터 그것[신체의 남은 부분]이 무엇보다도

가장 잘 구성된다는 것이 그럴 듯하겠지요.

                                                                         τὴν

ἐσομένην ἐν ἡμῖν ποτῶν καὶ ἐδεστῶν ἀκολασίαν ᾔδεσαν οἱ

συντιθέντες ἡμῶν τὸ γένος, καὶ ὅτι τοῦ μετρίου καὶ ἀνα-                 5

γκαίου διὰ μαργότητα πολλῷ χρησοίμεθα πλέονι·

                                   우리 안에 있게 될 먹고 마시는

일들에 대한 무절제를 우리의 부류를 구성하시는 신들께서는

아셨으며, 탐식으로 인해 척도와 필연보다 여러 더 많은 것을

유용하리라는 점 또한 아셨습니다.

                                                                    ἵν᾿ οὖν μὴ

φθορὰ διὰ νόσους ὀξεῖα γίγνοιτο καὶ ἀτελὲς τὸ γένος εὐθὺς

τὸ θνητὸν τελευτῷ, ταῦτα προορώμενοι τῇ τοῦ περιγενησο-         73a

μένου πώματος ἐδέσματός τε ἕξει τὴν ὀνομαζομένην κάτω

κοιλίαν ὑποδοχὴν ἔθεσαν, εἵλιξάν τε πέριξ τὴν τῶν ἐντέρων

γένεσιν, ὅπως μὴ ταχὺ διεκπερῶσα ἡ τροφὴ ταχὺ πάλιν

τροφῆς ἑτέρας δεῖσθαι τὸ σῶμα ἀναγκάζοι, καὶ παρέχουσα              5

ἀπληστίαν, διὰ γαστριμαργίαν ἀφιλόσοφον καὶ ἄμουσον

πᾶν ἀποτελοῖ τὸ γένος, ἀνυπήκοον τοῦ θειοτάτου τῶν παρ᾿ 

ἡμῖν.

                                           그러므로 질병으로 인하여

금새 파멸이 일어나지 않도록 그리고 그 미완성인 사멸하는

유가 곧장 끝나 버리지 않도록, 이러한 일들을 예견하시어

과잉된 먹을 것과 마실 것의 보존를 위해 위장이라 명명된

수용자를 하부에 세우셨으며, 내장들의 생성을 나선형으로

휘감아 세우셨으니, 양분이 빠르게 통과하여서 다시 또 다른

양분을 필요로 하게끔 육체를 강제하지 못하도록, 그리고 그

양분이 채워지지 않는 갈망을 내놓아, 탐욕으로 인해 그 유

모두를 철학적이지 못하고 예술적이지 못한 것으로, 우리 곁에

있는 것들 중 가장 신적인 것에 불복하는 것으로 완결짓지

않도록 그리 하셨습니다.

 

-蟲-

예를 들어, Being and ~Being은 모순이다.

그런데 아는 자, 변증술에 능한 자, 철학자는

Being(or ~Being) in itself와 Being(or ~Being) in a relation with something을 구분한다.

a) Being in itself and ~Being in a relation with something은 참이다.

b) Being in a relation with something and ~Being in a relation with something 또한 참이다.

c) Being in a relation with something and ~Being in itself는 경우에 따라 참이다.

(~Being in itself가 the Difference with Being in itself일 경우.)

d) Being in itself and ~Being in itself는 거짓이고 모순이다.

모르는 자가 Being and ~Being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을 때,

아는 자는 모르는 자의 믿음에 생략된 조건을 드러냄으로써

그의 믿음이 특정 조건에서 모순이 되는 믿음을 포함하고 있음을 지적하여

그의 무지를 밝혀낸다.

그런데 소피스트는 스스로 모르는 자이면서 또 다른 모르는 자의 모순을 드러내고 무지를 밝힌다.

이 경우 소피스트는 결합과 분리의 기술인 변증술을 지니고 있지 못한 자로서,

단적으로 말해 in itself와 in a relation with something의 차이를 알지 못한다.

그러나 Being and ~Being을 무조건적으로 분리시킴으로써

이 믿음 내에 포함되는 d) 믿음의 모순을 결과적으로 지적해내게 되며,

무지한 자이면서도 또 다른 무지한 자의 모순된 믿음을 지적하는 데에 성공하게 된다.

철학자는 조건과 층위에 따른 올바른 결합과 분리 그리고 그렇지 못한 결합과 분리를 통해,

반면 소피스트는 무조건적이고 단적인 결합과 분리를 통해,

이 둘 모두가 무지한 자의 모순된 믿음을 드러내며,

이 때에 지적되는 모순은 결과적으로는 같은 모순이다.

따라서 『소피스트』에서 철학자의 논박과 소피스트의 논박은

모순 그 자체가 참인 모순과 거짓인 모순으로 구분됨에 따라 차이를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며,

이 대화편 내에서 거짓 모순 혹은 가짜 모순이라는 특수한 개념은 요청되지 않는다.

 

또 다른 예로, "나의 아버지와 나의 개가 모두 나의 무엇이다."라는 믿음은

"나의"라는 속격이 관계를 의미하는 경우와 소유를 의미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을 때

모순된 믿음 "나의 것은 나의 것이며 따라서 아버지는 개이다"라는 소피스트적 논박을 허용하게 된다.

 

또 다른 예로, "좋은 것을 획득할 수 있는 능력이 덕이다."라는 믿음은

그 획득의 다양한 방식들을 무차별적으로 모두 포함하는 한에서

"좋은 것을 '정의롭게' 획득할 수 있는 능력"과 "좋은 것을 '부정의하게' 획득할 수 있는 능력"이라는

서로 모순되는 쌍을 동시에 덕으로 승인하는 모순된 믿음을 포함하게 되며,

이 점이 논박을 당하고 아포리아에 빠지게 되는 계기가 된다.

 

논박을 통해 모순이 지적되기 위해서는 논박을 당하는 자가 모순된 믿음을 지녀야 하며,

이러한 상대의 믿음 승인을 배제한 채 일방적으로 모순을 강요하여 부과하는 일은 불가능하다.

소피스트는 상대가 믿지 않는 모순을 억지로 믿도록 만드는 자가 아니라

상대가 의식하지 못하는 모순을 그것이 왜 모순되는지 설명하지 못하면서도 모순이라고 지적하는 자이다.

 

철학자는 분별없이 뭉뚱그려진 믿음 전체에서

그 안에 포함되어 있는 모순되는 부분믿음을 정확히 지적해냄으로써

논박을 수행하지만

소피스트는 전체 믿음과 그 안에 포함된 모순된 부분믿음을 구분해내지 못하는 채로

전체 믿음을 전면적으로 모순된 것으로서 지적해냄으로써

논박을 수행한다.

어느 경우든 논박의 대상이 되는 자가 무지한 경우 이 모순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고

따라서 논박을 당하는 일 역시 피할 수 없으나,

만일 그가 아는 자라면 애초에 그런 전체믿음 자체를 무분별하게 수용하지 않을 것이다.

 

비어도 노토미도 왜 거짓 모순, 거짓 논박에 집착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

//

 

일단 엘렝코스가 모순 지적에 그치지 않고 상대를 논파하여 무지를 자각시키는 데에까지 가야지만 성립한다는 이해를 내가 공유할 것인지부터 문제인 듯하다. 엘렝코스는 '논박'이라고도 번역되지만 '시험(test)'으로 번역될 수도 있고, 사실 그 역할이란 상대가 앎을 가진 자인지 아니면 무지한 자인지를 확인하는, 상대를 시금석에 올려놓는 작업이라고 보는데, 이 경우 엘렝코스는 그저 상대방이 가지는 믿음들 사이의 정합성만 따지면 되는 것이라 생각했다. 모순을 지적하고 나서 칼리클레스마냥 모르쇠로 일관하며 어깃장만 놓는 자는 엘렝코스를 당하지 않은 것인가? 나는 그가 엘렝코스를 당했다고 생각하는데, 이러한 이해가 잘못된 것일 가능성도 일단 염두에 둬야 하겠다. 엘렝코스는 상대의 무지를 드러낸다. 그 무지를 부끄러워하고 자각하고 개선의 의지를 다지든, 그것이 무지라는 걸 여전히 자각하지 못하든, 그게 엘렝코스의 성립에 결정적인 조건이 되는가? 난 그렇지 않다고 보는데, 아무튼 이것이 지적받은 점 중 하나.

 

다음으로는 『에우튀데모스』에서 소피스트식 말장난은 오류추리이며, 제대로 된 엘렝코스는 정당한 추리이고, 전자를 통한 엘렝코스가 바로 거짓 엘렝코스, 거짓 논박이리라는 것. 그리고 말장난 속에서 사실과 다르게 궤변적으로 연결된 것이 바로 가짜모순쌍이라는 것. 나는 "A는 B가 지혜로워지기를 바란다."에서 "A는 B가 달라지기(변하기)를 바란다."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달라진다"의 범위에 이전 단계에서는 포함되지 않았던 "'본질이나 존재 차원에서' 달라지기"가 포함되었다는 것, 소피스트는 이를 의도적으로 포함시킨 것이지만 이 말장난을 당하고 있는 상대방도 '지혜로워진다'를 '달라진다'로 전환시키는 데에 동의하면서 별 다른 추가조건을 명시하지 않음으로써, 결국 소피스트는 "A는 B가 살아있는 지금과 달라지기를, 즉 죽기를 바란다"라고 말할 수 있게 해주고, A 자신이 이 말장난에 기여했다는 것, 즉 말장난의 논리적 여지를 마련해준 것이며 이것이 바로 피논박자의 무지라는 것을 강조하고 싶었다. 그런데 "B의 달라짐"에 "B의 지금의 지혜상태와의 다름"이 "B의 이러저러한 상태들과의 다름"에 더하여 "B의 본질이나 존재와의 다름"까지 포함된다면, 이것은 '달라짐'의 애매성(이건지 저건지)이 아니라 모호성(여기까지인지 저기까지인지)인 것 아닌가? 즉 『메논』에서 "아름다운 것을 획득하는 능력이 덕이다"라는 명제(Q)가 제대로 한정되지 않아 그 범위 안에 "아름다운 것을 '정의롭게' 획득하는 능력이 덕이다"라는 명제(q1)와 "아름다운 것을 '부정의하게' 획득하는 능력이 덕이다"라는 명제(q2) 모두를 포함하게 되어서, 상호 양립 불가능한 q1과 q2를 모두 포함하기 때문에 Q가 메논의 무지함을 드러내게 되는 것과 마찬가지 아닌가? 전칭명제 Q와 특칭명제 q3 "아름다운 것을 부정의하게 획득하는 능력은 덕이 아니다" 이 둘 사이의 대립이 엘렝코스를 통해 드러나는 모순이란 지적도 있었지만, 실상 q3이 메논의 믿음이었다면 애초에 모순이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란 생각도 든다. q1과 q2가 양립할 수 없고, 이 모순에서 무지를 자각한 다음에 비로소 메논은 q2를 '폐기하고" q3를 자신의 믿음체계에 추가적으로 받아들이는 것 아닌가? 그리고 이건 이미 엘렝코스를 통한 무지의 자각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새로운 배움이 진행된 상태 아닌가? 여하간, 아름다운 걸 획득하는 능력 모두가 아니라 그 중 일부만 덕이듯, A는 B의 달라짐 모두를 바라는 게 아니라 B의 달라짐 일부만을 바라는 것, 이건 유사한 구도라 볼 수 있지 않나? 전자의 경우 메논은 자기가 잘못 생각했음을 깨닫고 덕에 대한 처음의 정의 "아름다운 것을 획득하는 능력이 덕이다"를 폐기한다. 후자의 경우에서 A는 "무슨 개소리냐! 나는 B를 사랑한다! 내가 B의 죽음을 바란다니 궤변이다, 궤변론자야!" 뭐 대강 이런 반응을 보인다. 그러나 "아름다운 것을 획득하는 능력이 덕이다"와 "B가 지금과 다른 자가 되길 바란다"가 둘 모두 명확한 조건이나 범위의 한정이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그 안에서 상호 모순되는 믿음쌍이 분석되어 나올 수 있는 것 아닌가? 그리고 이 모순쌍을 지적함으로써 드러나는 무지란, 결국 제대로 한정되지 않은 저 두 믿음 아닌가? "B가 지혜로워지길 바란다"는 "B가 죽은 자가 되길 바란다"를 배제하지 않고 "B가 달라지길 바란다"는 다시 "B가 (살아있는 지금의 상태로부터) 달라지길 바란다"를 또 역시 배제하지 않으니, 소피스트의 궤변이나 오류추리는 피논박자의 무지를 통해 가능해진 것이고 지적된 모순은 유의미한 것 아닌가? 여기에서 '다름'이 과일 '배'와 탈 것 '배' 사이의 애매성과 유사한 방식의 애매성을 보이는 것이라고는 생각되지 않고, 달라질 대상의 범위를 어떻게 한정하느냐에 따라서 '다름'의 애매성이 발생한다고 본다면 이는 '획득'의 방법(아름답게, 훌륭하게, 정의롭게, 불의하게, 불경하게 등등...)을 어떻게 한정하느냐에 따른 '획득'의 애매성과 무엇이 다른지 아직도 모르겠다.

 

고민 중.

 

+ 만일 위 반론을 받아들여 오류가 소피스트에게만 있을 뿐 상대방에겐 없다고 한다면, 그리고 피논박자가 위 사례에서 소피스트에 의해 논박을 당하지 않은 것이라고 본다면, 그래도 여전히 소피스트의 논박을 철학자의 논박과 동일시할 여지가 남는가? 소피스트는 오류추리를 통해 스스로 모순된 믿음쌍을 가지고, 이를 상대에게 강요한다. 위의 사례가 그 강요에 저항하여 강요된 믿음을 수용하지 않은 경우라 한다면, 반면에 소피스트가 지혜롭다 믿고 그에게 배우기를 청하며 돈을 가져다 바치기까지 하는 사람은 강요된 믿음을 수용했어야 할 것이다. 혹은 누군가 그렇게 강요된 믿음을 수용하여 결과적으로 모순을 드러내 보여 무지한 자로 밝혀졌을 때, 이러한 논박을 과정을 구경한 제3자는 소피스트가 논박에 성공한 반면 그 자신은 논박당한 일이 '아직' 없으므로, 소피스트를 지혜로운 자라고 여길 여지가 있다. 그리고 이 때 소피스트의 오류 추리는 상대방 피논박자의 동의를 거쳐 그 피논박자 자신의 모순된 믿음이 된다. 모순되지 않는 것을 모순된 것으로 보이게 만들어 논박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여전히 잘못된 추론을 통해 형성된 모순된 믿음을 상대방에게 심어주는 것이고, 여기에서도 여전히 거짓 모순과 참된 모순의 구분은 불필요해 보인다. 그렇지 않은가?

 

-蟲-

 Τρίτον δὲ αἰσθητικὸν ἐν ἡμῖν μέρος ἐπισκοποῦσιν τὸ περὶ

τὴν ἀκοήν, δι᾿ ἃς αἰτίας τὰ περὶ αὐτὸ συμβαίνει παθήματα,            b

λεκτέον. 

 우리 안의 세 번째 감각기능을 가진 부분으로서 청각에 관련된

부분을 고찰하면서, 어떤 원인들로 인해 그 부분에 관련한 상태들이

귀결하게 되는지, 우리는 논해야만 합니다.

            ὅλως μὲν οὖν φωνὴν θῶμεν τὴν δι᾿ ὤτων ὑπ᾿ 

ἀέρος ἐγκεφάλου τε καὶ αἵματος μέχρι ψυχῆς πληγὴν δια-

διδομένην, τὴν δὲ ὑπ᾿ αὐτῆς κίνησιν, ἀπὸ τῆς κεφαλῆς μὲν

ἀρχομένην, τελευτῶσαν δὲ περὶ τὴν τοῦ ἥπατος ἕδραν, ἀκοήν·         5

ὅση δ᾿ αὐτῆς ταχεῖα, ὀξεῖαν, ὅση δὲ βραδυτέρα, βαρυτέραν·

                                                    그리하여 일반적으로

우리는 소리로서 공기에 의한 귀와 머릿속과 피를 통해 영혼에

이르기까지 전달된 타격을 놓는가 하면, 그 타격에 의한 운동은,

머리에서부터 출발하여, 간의 자리 주변에서 완결된 것으로서,

청음으로 놓습니다. 그런데 그 가격에서 빠른 운동은, 예리한

청음으로, 더 느린 것은, 더 둔중한 청각으로 놓지요.

τὴν δὲ ὁμοίαν ὁμαλήν τε καὶ λείαν, τὴν δὲ ἐναντίαν τρα-

χεῖαν· μεγάλην δὲ τὴν πολλήν, ὅση δὲ ἐναντία, σμικράν.                c

τὰ δὲ περὶ συμφωνίας αὐτῶν ἐν τοῖς ὕστερον λεχθησομένοις

ἀνάγκη ῥηθῆναι.

그런데 균일한 운동은 균형잡힌 매끄러운 청음으로, 그 반대의

운동은 거친 청음으로 놓습니다. 거대한 운동은 많은 청각으로, 

반대의 운동은, 적은 청각으로 놓고요. 헌데 그 청각들의 화음에

관련한 일들은 이후 논의될 것들에서 이야기함이 필연적입니다.

 

 Τέταρτον δὴ λοιπὸν ἔτι γένος ἡμῖν αἰσθητικόν, ὃ διε-

λέσθαι δεῖ συχνὰ ἐν ἑαυτῷ ποικίλματα κεκτημένον, ἃ σύμ-               5

παντα μὲν χρόας ἐκαλέσαμεν, φλόγα τῶν σωμάτων ἑκάστων

ἀπορρέουσαν, ὄψει σύμμετρα μόρια ἔχουσαν πρὸς αἴσθησιν·

ὄψεως δ᾿ ἐν τοῖς πρόσθεν αὐτὸ περὶ τῶν αἰτίων τῆς γενέ-

σεως ἐρρήθη.                                                                        d

 그럼 우리에게 아직 남아있는 네 번째 감각하는 유는, 그 자신

안에 확보되어 있는 수많은 다채로움이 구분되어야 하는 유로서,

우리가 통틀어 색이라 부르는 것이고, 불꽃이 각각의 물체에서

유출된, 시각과 척도를 공유하는 부분들을 감각과 관련하여

지닌 것입니다. 그런데 앞선 논의에서 시각에 대해 그 생성의

원인들에 관련하여 그 유가 언급되었지요.                                       //210803

                   τῇδ᾿ οὖν τῶν χρωμάτων πέρι μάλιστα εἰκὸς             d

πρέποι τ᾿ ἂν ἐπιεικεῖ λόγῳ διεξελθεῖν· τὰ φερόμενα ἀπὸ τῶν

ἄλλων μόρια ἐμπίπτοντά τε εἰς τὴν ὄψιν τὰ μὲν ἐλάττων,

τὰ δὲ μείζω, τὰ δ᾿ ἴσα τοῖς αὐτῆς τῆς ὄψεως μέρεσιν εἶναι·

                                                    그러므로 특히

색채들에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상술하는 것이 그럴

듯하며 또한 적절한 논리에 어울릴 것입니다. 여타의 것들로부터

이동해 나오며 시각을 향해 들이치는 부분들로서 어떤 것들은

더 작고, 어떤 것들은 더 큰가 하면, 또 어떤 것들은 시각 자체의

부분들과 같은 크기의 것들이라고 말이지요.

τὰ μὲν οὖν ἴσα ἀναίσθητα, ἃ δὴ καὶ διαφανῆ λέγομεν, τὰ                 5

δὲ μείζω καὶ ἐλάττω, τὰ μὲν συγκρίνοντα, τὰ δὲ διακρίνοντα

αὐτήν, τοῖς περὶ τὴν σάρκα θερμοῖς καὶ ψυχροῖς καὶ τοῖς

περὶ τὴν γλῶτταν στρυφνοῖς, καὶ ὅσα θερμαντικὰ ὄντα δριμέα        e

ἐκαλέσαμεν, ἀδελφὰ εἶναι, τά τε λευκὰ καὶ τὰ μέλανα, ἐκεί-

νων παθήματα γεγονότα ἐν ἄλλῳ γένει τὰ αὐτά, φαντα-

ζόμενα δὲ ἄλλα διὰ ταύτας τὰς αἰτίας. 

그래서 같은 크기인 것들은 지각되지 않는 것들로, 더욱이

우리가 투명한 것들이라 말하는 것들이고, 반면 더 크거나 더

작은 것들은, 한편은 시각을 수렴시키는가 하면, 다른 한편은

분산시키니, 살과 관련하여 따뜻한 것들과 차가운 것들 그리고

혀와 관련하여 떫은 것들에게, 또한 열을 가하는 것들이기에

매운 것들이라 우리가 부른 것들도, 형제격이라고, 흰 것들도

검은 것들도, 같은 것들이 다른 유 안에서 저러한 것들의 상태들로

생성된 것들이며, 같은 원인들로 인해 여타의 것들로 나타나는

것들이라고 [해야 합니다]. 

                                                 οὕτως οὖν αὐτὰ

προσρητέον· τὸ μὲν διακριτικὸν τῆς ὄψεως λευκόν, τὸ δ᾿                5

ἐναντίον αὐτοῦ μέλαν, τὴν δὲ ὀξυτέραν φορὰν καὶ γένους

πυρὸς ἑτέρου προσπίπτουσαν καὶ διακρίνουσαν τὴν ὄψιν

μέχρι τῶν ὀμμάτων, αὐτάς τε τῶν ὀφθαλμῶν τὰς διεξόδους

βίᾳ διωθοῦσαν καὶ τήκουσαν, πῦρ μὲν ἁθρόον καὶ ὕδωρ,           68a

ὃ δάκρυον καλοῦμεν, ἐκεῖθεν ἐκχέουσαν, αὐτὴν δὲ οὖσαν

πῦρ ἐξ ἐναντίας ἀπαντῶσαν, καὶ τοῦ μὲν ἐκπῆδῶντος πυρὸς

οἷον ἀπ᾿ ἀστραπῆς, τοῦ δ᾿ εἰσιόντος καὶ περὶ τὸ νοτερὸν

κατασβεννυμένου, παντοδαπῶν ἐν τῇ κυκήσει ταύτῃ γιγνο-             5

μένων χρωμάτων, μαρμαρυγὰς μὲν τὸ πάθος προσείπομεν,

τὸ δὲ τοῦτο ἀπεργαζόεμνον λαμπρόν τε καὶ στίλβον ἐπωνο-

μάσαμεν.                                                                           b

                                 그러므로 우리는 그것들을 이렇게

불러야만 합니다. 시각에 대해 분산시키는 쪽은 흰 것이라고,

같은 것에 대해 반대로 행하는 쪽은 검은 것이라고, 그런데 다른

불의 부류의 더 날카로운 이동이 덮쳐와서 눈에 이르기까지의

시각을 분산시키고, 눈의 통로 자체를 강제로 가르고 들어가

녹이고 나면, 불과 물이 무더기로, 우리가 눈물이라 부르는 것이,

저기에서 쏟아져 나오고, 다른 한편 이러한 이동은 불이기에

반대편의 이동으로부터 나오는 불을 만나서, 그 중 한쪽은 이를

테면 섬광처럼 불이 뛰쳐나오고, 다른 쪽은 수분 주위까지 들어서

사그라드는데, 이러한 혼합 안에서 온갖 종류의 색채들이 생성되니,

한편의 상태는 우리가 눈부심이라 부르고, 이러한 상태를 만드는

쪽은 광채와 휘광이라 부른 것입니다.

            τὸ δὲ τούτων αὖ μεταξὺ πυρὸς γένος, πρὸς μὲν              b

τὸ τῶν ὀμμάτων ὑγρὸν ἀφικνούμενον καὶ κεραννύμενον αὐτῷ,

στίλβον δὲ οὔ· τῇ δὲ διὰ τῆς νοτίδος αὐγῇ τοῦ πυρὸς μει-

γνυμένου χρῶμα ἔναιμον παρασχομένῃ, τοὔνομα ἐρυθρὸν

λέγομεν. 

                                                그런데 이번엔 또 그것들의

중간인 불의 유가 있으니, 눈의 습기에 도달하여 그 습기와 혼합된

것으로, 반짝이진 않습니다. 그 섞인 불의 수분을 통한 빛이 피와

같은 색채를 내놓는 경우, 그로써 우리가 붉음이란 이름을 논합니다.

            λαμπρόν τε ἐρυθρῷ λευκῷ τε μειγνύμενον ξανθὸν              5

γέγονεν· τὸ δὲ ὅσον μέτρον ὅσοις, οὐδ᾿ εἴ τις εἰδείη, νοῦν

ἔχει τὸ λέγειν, ὧν μήτε τινὰ ἀνάγκην μήτε τὸν εἰκότα λόγον

καὶ μετρίως ἄν τις εἰπεῖν εἴη δυνατός. 

밝은 것이 붉은 것 그리고 흰 것과 섞여 노랑이 생성되었습니다.

헌데 얼만큼의 것들에 어느 정도 단위가 섞이는지, 설령 누군가

안다 할지라도, 논한다는 건 제정신으로 할 일이 아닙니다.

그것들에 대한 무슨 필연도 모상적인 설명도 없거니와 누가

적절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것도 아닐 것들을 말이지요.

                                                    ἐρυθρὸν δὲ δὴ

μέλανι λευκῷ τε κραθὲν ἁλουργόν· ὄρφνινον δέ, ὅταν τού-            c

τοις μεμειγμένοις καυθεῖσίν τε μᾶλλον συγκραθῇ μέλαν.

                                                            허나 실은

붉은 것이 검은 것과 흰 것에 혼합되면 보라가 생성되지요.

회갈색은, 이러한 섞인 것들이 태워진 데에 검정이 더욱 혼합될

때 생기고요.

πυρρὸν δὲ ξανθοῦ τε καὶ φαιοῦ κράσει γίγνεται, φαιὸν δὲ

λευκοῦ τε καὶ μέλανος, τὸ δὲ ὠχρὸν λευκοῦ ξανθῷ μειγνυ-

μένου.                                                                               5

                        주황은 노랑과 회색의 혼합에 의해 생성되고,

회색은 흰 것과 검은 것의 혼합으로, 연노랑은 흰 것이 노란 것과

섞일 때 생성됩니다.

         λαμπρῷ δὲ λευκὸν συνελθὸν καὶ εἰς μέλαν κατα-                 5

κορὲς ἐμπεσὸν κυανοῦν χρῶμα ἀποτελεῖται, κυανοῦ δὲ λευκῷ

κεραννυμένου γλαυκόν, πυρροῦ δὲ μέλανι πράσιον. 

                           그런데 밝음에 하양이 동반하고 짙은

검정으로 들어가면 감청 색이 완성되고, 감청이 하양과 혼합되어

청록이, 주황과 검정이 혼합되어 초록이 완성됩니다.

                                                                   τὰ δὲ

ἄλλα ἀπὸ τούτων σχεδὸν δῆλα αἷς ἂν ἀφομοιούμενα μεί-               d

ξεσιν διασῴζοι τὸν εἰκότα μῦθον. 

                                                                    이로부터

여타의 것들은 어떤 섞임들을 모방하여 모상적인 이야기를

보존할는지 거의 분명합니다.

                                          εἰ δέ τις τούτων ἔργῳ

σκοπούμενος βάσανον λαμβάνοι, τὸ τῆς ἀνθρωπίνης καὶ

θείας φύσεως ἠγνοηκὼς ἂν εἴη διάφορον, ὅτι θεὸς μὲν τὰ πολλὰ

εἰς ἒν συγκεραννύναι καὶ πάλιν ἐξ ἑνὸς εἰς πολλὰ διαλύειν               5

ἱκανῶς ἐπιστάμενος ἅμα καὶ δυνατός, ἀνθρώπων δὲ οὐδεὶς

οὐδέτερα τούτων ἱκανὸς οὔτε ἔστι νῦν οὔτε εἰς αὖθίς ποτε ἔσται.

                                      그런데 만일 누군가 이러한 것들의

사실을 고찰하며 시금석을 취한다면, 인간적 본성과 신적인 본성의

차이점을 알지 못한 것일 테죠. 신은 여러 가지 것들을 하나로

혼합시키고 다시 하나로부터 여럿으로 해체시키기에 충분한 만큼

알고 계시며 동시에 그럴 능력을 갖추셨으나, 인간들 중에서는

그 누구도 그 일들 둘 중 어느 쪽에도 족하지 못하거니와 언제까지라도

그렇지 못할 것이기도 하다는 것을 말입니다.

 

 Ταῦτα δὴ πάντα τότε ταύτῃ πεφυκότα ἐξ ἀνάγκης ὁ τοῦ              e

καλλίστου τε καὶ ἀρίστου δημιουργὸς ἐν τοῖς γιγνομένοις

παρελάμβανεν, ἡνίκα τὸν αὐτάρκη τε καὶ τὸν τελεώτατον

θεὸν ἐγέννα, χρώμενος μὲν ταῖς περὶ ταῦτα αἰτίαις ὑπηρε-

τούσαις, τὸ δὲ εὖ τεκταινόμενος ἐν πᾶσιν τοῖς γιγνομένοις             5

αὐτός. 

 그래서 그 때 이런 식으로 필연으로부터 태생적으로 이러한

모든 것들을 그 생성들 안에서 가장 아름답고 최선인 것의

제작자께서 넘겨받으셨습니다. 자족적이면서 가장 완전한

신을 낳으셨을 때, 한편으로는 이러한 것들에 관련하여 보조하는

원인들을 사용하시며, 다른 한편으로는 모든 생성된 것들 안에

좋음을 스스로 짜맞추어 넣으시면서 말입니다.

         διὸ δὴ χρὴ δύ᾿ αἰτίας εἴδη διορίζεσθαι, τὸ μὲν

ἀναγκαῖον, τὸ δὲ θεῖον, καὶ τὸ μὲν θεῖον ἐν ἅπασιν ζητεῖν

κτήσεως ἕνεκα εὐδαίμονος βίου, καθ᾿ ὅσον ἡμῶν ἡ φύσις          69a

ἐνδέχεται, τὸ δὲ ἀναγκαῖον ἐκείνων χάριν, λογιζόμενον

ὡς ἄνευ τούτων οὐ δυνατὰ αὐτὰ ἐκεῖνα ἐφ᾿ οἷς σπουδά-

ζομεν μόνα κατανοεῖν οὐδ᾿ αὖ λαβεῖν οὐδ᾿ ἄλλως πως

μετασχεῖν.                                                                           5

                                                            이런 점으로

인해 원인의 종류는 두 가지로 정의되어야만 하니, 하나는

필연적인 것이고, 다른 하나는 신적인 것이며, 신적인 것은

통틀어 모든 것 안에서 그 행복한 삶의 획득을 추구해야만

며, 우리의 본성이 허용하는 한에서 그래야만 합니다. 반면

필연적인 것은 저것들을 위해, 이것들 없이는 우리가 전념하는

저것들 자체만으로는 이해하는 것도 또 파악하는 것도 달리

어떻게 참여하는 것 역시도 불가능하다는 것을 고려하면서

그래야만 하고 말이지요.

 

 Ὅτ᾿ οὖν δὴ τὰ νῦν οἷα τέκτοσιν ἡμῖν ὕλη παράκειται

τὰ τῶν αἰτίων γένη διυλισμένα, ἐξ ὧν τὸν ἐπίλοιπον λόγον

δεῖ συνυφανθῆναι, πάλιν ἐπ᾿ ἀρχὴν ἐπανέλθωμεν διὰ βρα-

χέων, ταχύ τε εἰς ταὐτὸν πορευθῶμεν ὅθεν δεῦρο ἀφικόμεθα,

καὶ τελευτὴν ἤδη κεφαλήν τε τῷ μύθῳ πειρώμεθα ἁρμόττου-          b

σαν ἐπιθεῖναι τοῖς πρόσθεν. 

 그러므로 실은 이제 이를 테면 목수인 우리들에게 목재가 놓여진

것처럼 원인들의 잘 걸러진 유들이 놓여있고, 그로부터 남은 논의를

직조해내야 한다는 점에서, 다시 처음으로 간략한 말들을 통해

되돌아가도록 하고, 빨리 우리가 거기에서부터 여기에 도달하게 된

바로 그 똑같은 지점으로 가도록 해서, 그 이야기에도 이제 앞선

논의들에 조화를 이룬 완성된 머리를 얹도록 시도해 보십시다.

                                      ὥσπερ γὰρ οὖν καὶ κατ᾿ ἀρχὰς

ἐλέχθη, ταῦτα ἀτάκτως ἔχοντα ὁ θεὸς ἐν ἑκάστῳ τε αὐτῷ

πρὸς αὑτὸ καὶ πρὸς ἄλληλα συμμετρίας ἐνεποίησεν, ὅσας

τε καὶ ὅπῃ δυνατὸν ἦν ἀνάλογα καὶ σύμμετρα εἶναι.                        5

그야 처음부터도 논해졌던 것처럼, 정돈되지 못한 상태인 이러한

것들을 신께서 그 각각 자체 안에 그 자체에 대해서도 또 서로에

대해서도 균형들을 만들어 넣으셨고, 그 균형들은 [각각 자체의

것들이] 비례를 이루고 균형을 갖춘 것들일 수 있을 그 만큼의

것들이자 그런 식의 것들이었으니 말이지요.                            //210810

                                                                  τότε                 5

γὰρ οὔτε τούτων, ὅσον μὴ τύχῃ, τι μετεῖχεν, οὔτε τὸ παράπαν

ὀνομάσαι τῶν νῦν ὀνομαζομένων ἀξιόλογον ἦν οὐδέν, οἷον

πῦρ καὶ ὕδωρ καὶ εἴ τι τῶν ἄλλων· ἀλλὰ πάντα ταῦτα

πρῶτον διεκόσμησεν, ἔπειτ᾿ ἐκ τούτων πᾶν τόδε συνεστή-             c

σατο, ζῷον ἓν ζῷα ἔχον τὰ πάντα ἐν ἑαυτῷ θνητὰ ἀθάνατά

τε. 

                                                          즉 그 때에는

우연이 아닌 한, 그것들에 뭔가가 참여하지도 않았고, 오늘날

명명된 것들 중 아무것도 전혀 명명을 거론할 만한 것이지

못했으니, 이를 테면 불도 물도 여타의 것들 중 무엇이든 그것도

그러했단 것이지요. 허나 [신께서] 이 모든 것들을 우선

질서잡으셨고, 다음으로 이것들로부터 여기 이 우주를

구성하셨으니, 필멸하든 불멸하든 모든 생명체들을 자신 안에

지니는 하나의 생명체로 구성하셨습니다.

    καὶ τῶν μὲν θείων αὐτὸς γίγνεται δημιουργός, τῶν δὲ

θνητῶν τὴν γένεσιν τοῖς ἑαυτοῦ γεννήμασιν δημιουργεῖν

προσέταξεν.                                                                        5

                                                     그리고 그 자신께서는

신들의 제작자가 되시고, 필멸하는 것들의 생성은 자신의

산출물들에게 제작하도록 맡기셨습니다.

                οἱ δὲ μιμούμενοι, παραλαβόντες ἀρχὴν ψυχῆς              5

ἀθάνατον, τὸ μετὰ τοῦτο θνητὸν σῶμα αὐτῇ περιετόρνευσαν

ὄχημά τε πᾶν τὸ σῶμα ἔδοσαν ἄλλο τε εἶδος ἐν αὐτῷ ψυχῆς

προσῳκοδόμουν τὸ θνητόν, δεινὰ καὶ ἀναγκαῖα ἐν ἑαυτῷ

παθήματα ἔχον, πρῶτον μὲν ἡδονήν, μέγιστον κακοῦ δέλεαρ,        d

ἔπειτα λύπας, ἀγαθῶν φυγάς, ἔτι δ᾿ αὖ θάρρος καὶ φόβον,

ἄφρονε συμβούλω, θυμὸν δὲ δυσπαραμύθητον, ἐλπίδα δ᾿ 

εὐπαράγωγον· αἰσθήσει δὲ ἀλόγῳ καὶ ἐπιχειρητῇ παντὸς

ἔρωτι συγκερασάμενοι ταῦτα, ἀναγκαίως τὸ θνητὸν γένος              5

συνέθεσαν. 

                                   그런데 그 신들은 모방을 하면서,

영혼의 불멸하는 시초(원리)를 넘겨받아, 그 다음으로 필멸하는

물체를 그 시초에 둘러 감으시어 모든 물체를 탈 것으로서

부여하시고 그 물체 안에 영혼의 그 밖의 형상으로 필멸하는

형상을 증축하셨으니, 이는 자신 안에 무섭고도 필연적인

상태들을 지니는 부분으로, 우선 쾌락을, 악의 가장 큰 미끼로서,

다음으로 고통을, 좋은 것들로부터의 벗어남으로서, 더 나아가

이번엔 용맹과 공포를, 현명하지 못한 두 조언자로서, 격정은

달래기 어려운 것으로, 희망은 쉽사리 오도하는 것으로서

지니고 있습니다. 헌데 비이성적인 감각과 온갖 짓을 감행하는

애욕에 이러한 것들이 혼합되어서, 필연적으로 가사적인 유를

구성하였습니다.

               καὶ διὰ ταῦτα δὴ σεβόμενοι μιαίνειν τὸ θεῖον,

ὅτι μὴ πᾶσα ἦν ἀνάγκη, χωρὶς ἐκείνου κατοικίζουσιν εἰς

ἄλλην τοῦ σώματος οἴκησιν τὸ θνητόν, ἰσθμὸν καὶ ὅρον                 e

διοικοδομήσαντες τῆς τε κεφαλῆς καὶ τοῦ στήθους, αὐχένα

μεταξὺ τιθέντες, ἵν᾿ εἴη χωρίς. 

                     더 나아가 이러한 것들로 인해 신적인 유를

더럽히는 일에 송구해하며, 전적인 필연이 있지 않는 한,

저[신적인]것과 따로 신체의 또 다른 거처에 그 소멸적인 것을

정주시키니, 머리와 가슴을 협로와 경계로 벽을 치시어,

그 사이에 목을 두시면서, 따로 있도록 하고자 그리 하셨습니다.

                                       ἐν δὴ τοῖς στήθεσιν καὶ

τῷ καλουμένῳ θώρακι τὸ τῆς ψυχῆς θνητὸν γένος ἐνέδουν.

다음으로 가슴과 흉곽이라 불리는 것에 영혼의 가사적인 유를

묶어두셨습니다.

καὶ ἐπειδὴ τὸ μὲν ἄμεινον αὐτῆς, τὸ δὲ χεῖρον ἐπεφύκει,                   5

διοικοδομοῦσι τοῦ θώρακος αὖ τὸ κύτος, διορίζοντες οἷον

γυναικῶν, τὴν δὲ ἀνδρῶν χωρὶς οἴκησιν, τὰς φρένας διά-           70a

φραγμα εἰς τὸ μέσον αὐτῶν τιθέντες. 

                        또한 영혼의 한편은 더 나은 유로, 다른

한편은 열등한 유로 타고났기에, 그분들께서는 이번엔 흉곽의

관에 벽을 치셨으니, 이를 테면 여성들의 거처와 남성들의 거처를

따로 두듯 구분하시며, 횡경막을 격벽으로 그것들의 중간에

세우심으로써 그리 하셨습니다.

                                                τὸ μετέχον οὖν τῆς

ψυχῆς ἀνδρείας καὶ θυμοῦ, φιλόνικον ὄν, κατῴκισαν ἐγγυτέρω

τῆς κεφαλῆς μεταξὺ τῶν φρενῶν τε καὶ αὐχένος, ἵνα τοῦ

λόγου κατήκοον ὂν κοινῇ μετ᾿ ἐκείνου βίᾳ τὸ τῶν ἐπιθυμιῶν            5

κατέχοι γένος, ὁπότ᾿ ἐκ τῆς ἀκροπόλεως τῷ τ᾿ ἐπιτάγματι

καὶ λόγῳ μηδαμῇ πείθεσθαι ἑκὸν ἐθέλοι· 

                                         그리하여 영혼에서 용기와

기개에 참여하는 유는, 호승심을 갖는 것으로, 가슴과 목 사이

머리 더 가까이에 정착시키셨으니, 논리에 귀기울이는 것으로서

저 이성과 함께 공동으로 강제를 써서 욕망들의 유를 제압하게

하고자, 도시의 최상부로부터 나오는 그 어떤 명령과 논리에도

결코 자발적으로는 설득되지 않을 때를 두고 그리 하셨습니다.

                                                   τὴν δὲ δὴ καρδίαν

ἅμμα τῶν φλεβῶν καὶ πηγὴν τοῦ περιφερομένου κατὰ πάντα          b

τὰ μέλη σφοδρῶς αἵματος εἰς τὴν δορυφορικὴν οἴκησιν

κατέστησαν, ἵνα, ὅτε ζέσειεν τὸ τοῦ θυμοῦ μένος, τοῦ λόγου

παραγγείλαντος ὥς τις ἄδικος περὶ αὐτὰ γίγνεται πρᾶξις

ἔξωθεν ἢ καί τις ἀπὸ τῶν ἔνδοθεν ἐπιθυμιῶν, ὀξέως διὰ                  5

πάντων τῶν στενωπῶν πᾶν ὅσον αἰσθητικὸν ἐν τῷ σώματι,

τῶν τε παρακελεύσεων καὶ ἀπειλῶν αἰσθανόμενον, γίγνοιτο

ἐπήκοον καὶ ἕποιτο πάντῃ, καὶ τὸ βέλτιστον οὕτως ἐν αὐτοῖς

πᾶσιν ἡγεμονεῖν ἐῷ.                                                              c

반면에 이제 심장을 혈관들의 매듭이자 모든 사지를 따라

격하게 순환하는 혈액의 샘으로서 경계를 위한 처소에 자리잡게

하셨으니, 기개의 충동이 들끓을 때, 이성이 그것들과 관련하여

모종의 부정의한 행위가 외부로부터 혹은 내부의 욕망들로부터

또한 발생한다는 것을 알려주어 그럴 때, 모든 좁은 [혈관]들을

통해 신체 내의 지각을 수행하는 모든 부분이 날카롭게, 경고와

위협 모두를 지각하게 되어, 귀를 기울이게 되고 전면적으로

따르게 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그 모든 것들 사이에서 최선이 것이

그런 식으로 지배하는 일을 허용하기 위함입니다.

                         τῇ δὲ δὴ πηδήσει τῆς καρδίας ἐν τῇ                c

τῶν δεινῶν προσδοκίᾳ καὶ τῇ τοῦ θυμοῦ ἐγέρσει, προγιγνώ-

σκοντες ὅτι διὰ πυρὸς ἡ τοιαύτη πᾶσα ἔμελλεν οἴδησις

γίγνεσθαι τῶν θυμουμένων, ἐπικουρίαν αὐτῇ μηχανώμενοι

τὴν τοῦ πλεύμονος ἰδέαν ἐνεφύτευσαν, πρῶτον μὲν μαλακὴν           5

καὶ ἄναιμον, εἶτα σήραγγας ἐντὸς ἔχουσαν οἷον σπόγγου

κατατετρημένας, ἵνα τό τε πνεῦμα καὶ τὸ πῶμα δεχομένη,

ψύχουσα, ἀναπνοὴν καὶ ῥᾳστώνην ἐν τῷ καύματι παρέχοι·             d

                                                             그런데 끔찍한

일들에 대한 예견과 격정의 촉발 안에서 심장의 박동에는,

불을 통해 격정을 겪는 부분들의 이러한 모든 팽창이 생성될

것이었다는 점을 신들께서 예지하시면서, 그 박동을 위한

보조자로 폐의 형상을 고안하여 심어 넣으셨으니, 우선 유연하며

무혈인 형상으로, 다음으로는 이를 테면 해면의 뚫린 구멍처럼

내부에 구멍들을 지닌 형상으로 그리 하셨는데, 숨과 마실거리를

받아들임으로써, 냉각시켜서, 호흡과 완화를 그 연소 안에

제공하도록 하기 위함이었습니다.

διὸ δὴ τῆς ἀρτηρίας ὀχετοὺς ἐπὶ τὸν πλεύμονα ἔτεμον, καὶ

περὶ τὴν καρδίαν αὐτὸν περιέστησαν οἷον μάλαγμα, ἵν᾿ ὁ

θυμὸς ἡνίκα ἐν αὐτῇ ἀκμάζοι, πηδῶσα εἰς ὑπεῖκον καὶ ἀνα-

ψυχομένη, πονοῦσα ἧττον, μᾶλλον τῷ λόγῳ μετὰ θυμοῦ                 5

δύναιτο ὑπηρετεῖν.

                                           그래서 이로 인해 동맥의

혈류를 폐에까지 터 놓으셨고, 심장 주위에 그 폐를 이를 테면

완충제처럼 둘러 세우셨으니, 격정이 그 심장 안에서 절정에

치달을 때, 짓눌리는 것쪽으로 박동하고 냉각되어서, 덜

고통스럽게 되어, 이성에게 격정과 더불어 더 잘 복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습니다.

 

-蟲-

 

 Μέγιστον δὲ καὶ λοιπὸν τῶν κοινῶν περὶ ὅλον τὸ σῶμα

παθημάτων τὸ τῶν ἡδέων καὶ τῶν ἀλγεινῶν αἴτιον ἐν οἷς

διεληλύθαμεν, καὶ ὅσα διὰ τῶν τοῦ σώματος μορίων αἰσθή-

σεις κεκτημένα καὶ λύπας ἐν αὑτοῖς ἡδονάς θ᾿ ἅμα ἑπομένας             5

ἔχει. 

 신체 전체에 관련하여 공통된 겪음들의 가장 중요한 것으로서

쾌락들과 고통들의 원인이 남았기도 합니다. 그 겪음들에 있어서

우리가 상술하였거니와, 신체의 부분들을 통해 감각들을 획득하여

자신들 안에 그 자신들 안에 함께 따라오는 고통과 쾌락 또한 가지는

그러한 겪음들 말이지요.

      ὧδ᾿ οὖν κατὰ παντὸς αἰσθητοῦ καὶ ἀναισθήτου παθή-

ματος τὰς αἰτίας λαμβάνωμεν, ἀναμιμνῃσκόμενοι τὸ τῆς

εὐκινήτου τε καὶ δυσκινήτου φύσεως ὅτι διελόμεθα ἐν τοῖς              b

πρόσθεν· ταύτῃ γὰρ δὴ μεταδιωκτέον πάντα ὅσα ἐπινοοῦμεν

ἑλεῖν. 

                             그러므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든

감각되는 그리고 감각되지 않는 겪음에 대하여 그 원인들을

우리가 파악해 보십시다. 운동성이 높은 본성과 운동성이 낮은

본성 양자에 대한 것으로 우리가 앞서 구분해낸 바를 상기하자는

것이지요. 왜냐하면 사실 그런 식으로 우리는 파악하고자 염두에

둔 모든 것들을 추구해야만 하기 때문입니다.

       τὸ μὲν γὰρ κατὰ φύσιν εὐκίνητον, ὅταν καὶ βραχὺ

πάθος εἰς αὐτὸ ἐμπίπτῃ, διαδίδωσιν κύκλῳ μόρια ἕτερα

ἑτέροις ταὐτὸν ἀπεργαζόμενα, μέχριπερ ἂν ἐπὶ τὸ φρόνιμον               5

ἐλθόντα ἐξαγγείλῃ τοῦ ποιήσαντος τὴν δύναμιν· 

                                                        즉 본성상 운동성이

높은 것은, 단시간의 겪음이라도 그것에 부딪쳐 올 때에는, 서로

다른 부분들이 부분들에 같은 겪음을 만들어내 순환적으로

전달하는데, 분별력 있는 부분에 이르러 그 [겪음의] 작용자의

능력을 알려줄 때까지 그리합니다.

                                                              τὸ δ᾿ 

ἐναντίον ἑδραῖον ὂν κατ᾿ οὐδένα τε κύκλον ἰὸν πάσχει μόνον,

ἄλλο δὲ οὐ κινεῖ τῶν πλησίον, ὥστε οὐ διαδιδόντων μορίων             c

μορίοις ἄλλων ἄλλοις τὸ πρῶτον πάθος ἐν αὐτοῖς ἀκίνητον

εἰς τὸ πᾶν ζῷον γενόμενον ἀναίσθητον παρέσχεν τὸ παθόν.        //210720

                        그런데 그 반대의 것은 안정되게 자리잡은

것으로서 무엇에 대해서도 순환적으로 이행하지 않고 오직 겪기만

하며, 인접한 것들 중 여타의 것을 운동시키지 않고, 그래서 서로

다른 부분들이 부분들에 일차적인 겪음을 전달하지 않기에 이

부분들 안에서 그 겪음이 해당 생명체 전체를 향해 운동하지 못하는

것이 되어 그 겪은 쪽을 무지각한 것으로 만듭니다(놓아둡니다).

ταῦτα δὲ περί τε ὀστᾶ καὶ τὰς τρίχας ἐστὶν καὶ ὅσ᾿ ἄλλα

γήϊνα τὸ πλεῖστον ἔχομεν ἐν ἡμῖν μόρια· τὰ δὲ ἔμπροσθεν                  5

περὶ τὰ τῆς ὄψεως καὶ ἀκοῆς μάλιστα, διὰ τὸ πυρὸς ἀέρος

τε ἐν αὐτοῖς δύναμιν ἐνεῖναι μεγίστην. 

그런데 이런 일들은 뼈와 머리카락 그리고 여타 우리 안에

우리가 지니는 대부분 흙으로 된 부분들에 관련되어 있습니다.

반면 전자의 일들은 시각과 청각에 특히 관련되어 있으니,

불과 공기가 그 일들 안에서 가장 강력한 능력으로서 내재하고

있다는 점으로 인해 그렇습니다.

                                                 τὸ δὴ τῆς ἡδονῆς

καὶ λύπης ὧδε δεῖ διανοεῖσθαι· τὸ μὲν παρὰ φύσιν καὶ

βίαιον γιγνόμενον ἁθρόον παρ᾿ ἡμῖν πάθος ἀλγεινόν, τὸ δ᾿               d

εἰς φύσιν ἀπιὸν πάλιν ἁθρόον ἡδύ, τὸ δὲ ἠρέμα καὶ κατὰ 

σμικρὸν ἀναίσθητον, τὸ δ᾿ ἐναντίον τούτοις ἐναντίως. 

                                         그래서 쾌락과 고통에 대한

일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사유해야 합니다. 한편으로 본성에

어긋나게 무더기로 강제적으로 우리에게 발생하는 겪음은 고통,

본성으로 다시 무더기로 되돌아오는 겪음은 쾌락이며, 부드럽고

점진적인 겪음은 감각되지 않는 것, 이러한 것들에 반대되는

겪음은 그와 반대되는 것입니다.

                                                                       τὸ δὲ

μετ᾿ εὐπετείας γιγνόμενον ἅπαν αἰσθητὸν μὲν ὅτι μάλιστα,

λύπης δὲ καὶ ἡδονῆς οὐ μετέχον, οἷον τὰ περὶ τὴν ὄψιν                     5

αὐτὴν παθήματα, ἣ δὴ σῶμα ἐν τοῖς πρόσθεν ἐρρήθη καθ᾿ 

ἡμέραν συμφυὲς ἡμῶν γίγνεσθαι. 

                                         그런데 쉽게 발생하는 통틀어

모든 감각은 가장 잘 감각되는 것이되, 고통이나 쾌락에는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예를 들어 시각 자체와 관련한 겪음들이

그러하며, 시각은 앞서 낮 동안 우리와 공통본성이 된다고 언급된

물체이지요.

                                          ταύτῃ γὰρ τομαὶ μὲν καὶ 

καύσεις καὶ ὅσα ἄλλα πάσχει λύπας οὐκ ἐμποιοῦσιν, οὐδὲ

ἡδονὰς πάλιν ἐπὶ ταὐτὸν ἀπιούσης εἶδος, μέγισται δὲ αἰσθή-             e

σεις καὶ σαφέσταται καθ᾿ ὅτι τ᾿ ἂν πάθῃ καὶ ὅσων ἂν αὐτή

πῃ προσβαλοῦσα ἐφάπτηται· βία γὰρ τὸ πάμπαν οὐκ ἔνι 

τῇ διακρίσει τε αὐτῆς καὶ συγκρίσει. 

             왜냐하면 이 시각에 대한 절단들과 연소들 그리고

여타 시각이 겪게되는 것들은 고통을 불어넣지 않거니와, 그

시각이 똑같은 형상으로 다시 되돌아가더라도 쾌락 또한

불어넣지 않되, 가장 주되고 가장 확실한 지각들로서 그 무슨

일을 겪든 그에 따라서 또 그 시각 자체가 어떤 식으로든

부딪치는 것들에 접촉하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그 시각의

확산과 수렴 안에 강제가 전혀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τὰ δ᾿ ἐκ μειζόνων

μερῶν σώματα μόγις εἴκοντα τῷ δρῶντι, διαδιδόντα δὲ εἰς                 5

ὅλον τὰς κινήσεις, ἡδονὰς ἴσχει καὶ λύπας, ἀλλοτριούμενα

μὲν λύπας, καθιστάμενα δὲ εἰς τὸ αὐτὸ πάλιν ἡδονάς.                   65a

                           그런데 더 큰 부분들로 이루어진 물체들은

작용을 가하는 것에게 가까스로 길을 내어 줌으로써, 전체에

그 운동들을 전달하여, 쾌락과 고통을 지니는데, 변질될 경우

고통을, 반면 자기 자신으로 다시 재정립될 때는 쾌락을 지닙니다.

                                                                     ὅσα             65a

δὲ κατὰ σμικρὸν τὰς ἀποχωρήσεις ἑαυτῶν καὶ κενώσεις

εἴληφεν, τὰς δὲ πληρώσεις ἁθρόας καὶ κατὰ μεγάλα, κενώ-

σεως μὲν ἀναίσθητα, πληρώσεως δὲ αἰσθητικὰ γιγνόμενα,

λύπας μὲν οὐ παρέχει τῷ θνητῷ τῆς ψυχῆς, μεγίστας δὲ                    5

ἡδονάς· ἔστιν δὲ ἔνδηλα περὶ τὰς εὐωδίας. 

그런데 조금씩 자신들로부터 멀어지는 일들과 비워지는 일들을

갖되, 채워지는 일들은 대대적으로 크게 갖는 물체들은, 비워짐에

대해서는 지각하지 못하는 것들이지만, 채워짐에 대해서는

지각할 수 있는 그런 것들이 되어서, 영혼의 사멸하는 부분에

고통은 제공하지 않지만, 대단한 쾌락은 제공합니다. 그런데

이는 좋은 향기에 관련하여 분명한 일들입니다.

                                                       ὅσα δὲ ἀπαλ-

λοτριοῦται μὲν ἁθρόα, κατὰ σμικρὰ δὲ μόγις τε εἰς ταὐτὸν

πάλιν ἑαυτοῖς καθίσταται, τοὐναντίον τοῖς ἔμπροσθεν πάντα           b

ἀποδίδωσιν· ταῦτα δ᾿ αὖ περὶ τὰς καύσεις καὶ τομὰς τοῦ

σώματος γιγνόμενά ἐστιν κατάδηλα.

다른 한편 변질은 대대적으로 이루어지되, 그 자신들과 똑같은

것으로는 조금씩 가까스로 재정립되는 것들은, 앞서의 일들과

반대로 온갖 것들을 내놓습니다. 그런데 이번엔 이런 일들이

신체의 연소와 분절에 관련하여 발생할 경우 분명한 일들이지요.

 

 Καὶ τὰ μὲν δὴ κοινὰ τοῦ σώματος παντὸς παθήματα,

τῶν τ᾿ ἐπωνυμιῶν ὅσαι τοῖς δρῶσιν αὐτὰ γεγόνασι, σχεδὸν                  5

εἴρηται· τὰ δ᾿ ἐν ἰδίοις μέρεσιν ἡμῶν γιγνόμενα, τά τε πάθη

καὶ τὰς αἰτίας αὖ τῶν δρώντων, πειρατέον εἰπεῖν, ἄν πῃ

δυνώμεθα.                                                                            c

 그럼 이제 신체 전체에 공통되는 겪음들은, 그 겪음들을

작용시키는 것들에게 생겨나는 명칭들에 대해서도, 거의 다

이야기되었습니다. 그런데 우리의 개별적인 부분들 안에서

발생하는 겪음들, 또 이번엔 그 작용을 가하는 것들의 상태들과

원인들 또한, 말하고자 시도해야만 합니다, 우리가 어떻게든

그럴 수 있다면 말입니다.

              πρῶτον οὖν ὅσα τῶν χυμῶν πέρι λέγοντες ἐν                  c

τοῖς πρόσθεν ἀπελίπομεν, ἴδια ὄντα παθήματα περὶ τὴν

γλῶτταν, ἐμφανιστέον ᾗ δυνατόν. 

              그리하여 우선 즙에 관하여 논하면서 앞선 논의에서

남겨두었던 것들, 혀에 관련하여 고유한 것으로 있는 겪음들을,

가능한 한 밝혀내야만 합니다.

                                            φαίνεται δὲ καὶ ταῦτα,

ὥσπερ οὖν καὶ τὰ πολλά, διὰ συγκρίσεών τέ τινων καὶ

διακρίσεων γίγνεσθαι, πρὸς δὲ αὐταῖς κεχρῆσθαι μᾶλλόν                    5

τι τῶν ἄλλων τραχύτησί τε καὶ λειότησιν. 

                                     그런데 이것들도 다음과 같이,

많은 것들도 또한 그렇듯, 어떤 수렴들과 분산들을 통하여

생성되는 것처럼, 그런 현상들에 관련하여 다른 것들보다

좀 더 거침과 매끄러움에 관련하는 것처럼 나타납니다.

                                                     ὅσα μὲν γὰρ

εἰσιόντα περὶ τὰ φλέβια, οἷόνπερ δοκίμια τῆς γλώττης

τεταμένα ἐπὶ τὴν καρδίαν, εἰς τὰ νοτερὰ τῆς σαρκὸς καὶ                  d

ἁπαλὰ ἐμπίπτοντα γήϊνα μέρη κατατηκόμενα συνάγει τὰ

φλέβια καὶ ἀποξηραίνει, τραχύτερα μὲν ὄντα στρυφνά,

ἧττον δὲ τραχύνοντα αὐστηρὰ φαίνεται· 

왜냐하면 혈관들 주위에서 유입되는 것들은, [그 혈관들이]

이를 테면 심장까지 뻗어있는 혀의 음미기관 같은 것인데, 

살의 습하고 물렁한 부분들로 부딪쳐 들어와 흙으로 조직된

부분들이 녹으면 혈관들을 수축시키고 건조시키기 때문입니다.

더욱 거친 것들은 신 맛으로, 덜 거친 것들은 떫은 맛으로

나타나지요.

                                                    τὰ δὲ τούτων τε

ῥυπτικὰ καὶ πᾶν τὸ περὶ τὴν γλῶτταν ἀποπλύνοντα, πέρα                   5

μὲν τοῦ μετρίου τοῦτο δρῶντα καὶ προσεπιλαμβανόμενα

ὥστε ἀποτήκειν αὐτῆς τῆς φύσεως, οἷον ἡ τῶν λίτρων

δύναμις, πικρὰ πάνθ᾿ οὕτως ὠνόμασται, τὰ δὲ ὑποδεέστερα              e

τῆς λιτρώδους ἕξεως ἐπὶ τὸ μέτριόν τε τῇ ῥύψει χρώμενα

ἁλυκὰ ἄνευ πικρότητος τραχείας καὶ φίλα μᾶλλον ἡμῖν

φαντάζεται. 

헌데 이러한(시고 떫은) 것들을 세척할 수 있는 것들 그리고

혀 주위의 모든 것을 씻어내는 것들은, 정도를 넘어 이런 일을

수행하고 과하게 공격함으로써 그 본성 자체를 해체할 정도가 되면,

예를 들어 소다의 능력이 그렇듯, 그런 식으로 모든 것들이 쓴

것들로 명명되는가 하면, 소다의 상태보다 덜하게 적도에 맞게

세척에 관련되는 것들은 거칠은 쓴 맛 없이 짠 것들로서 우리에게

더 친숙한 것들로 나타납니다.

                τὰ δὲ τῇ τοῦ στόματος θερμότητι κοινωνή-

σαντα καὶ λεαινόμενα ὑπ᾿ αὐτοῦ, συνεκπυρούμενα καὶ πάλιν               5

αὐτὰ ἀντικάοντα τὸ διαθερμῆναν, φερόμενά τε ὑπὸ κουφό-

τητος ἄνω πρὸς τὰς τῆς κεφαλῆς αἰσθήσεις, τέμνοντά τε

πάνθ᾿ ὁπόσοις ἂν προσπίπτῃ, διὰ ταύτας τὰς δυνάμεις δριμέα       66a

πάντα τὰ τοιαῦτα ἐλέχθη. 

                반면 입의 열을 공유하여서 그 열에 의해 연화되는

것들은, 함께 연소되면서 다시금 그것들이 열을 제공한 것을

맞상대하여 연소시키면서, 가벼움에 의해 위로 머리의 지각들을

향해 이동하며, 마주치는 무엇이든 그 모든 것들을 잘라내기도

하며, 이러한 능력들로 인하여 이러한 것들 모두가 아린(매운)

것들이라 논해졌습니다.

                                 τὸ δὲ αὖ τῶν προλελεπτυσμένων

μὲν ὑπὸ σηπεδόνος, εἰς δὲ τὰς στενὰς φλέβας ἐνδυομένων,

καὶ τοῖς ἐνοῦσιν αὐτόθι μέρεσιν γεώδεσιν καὶ ὅσα ἀέρος

συμμετρίαν ἔχοντα, ὥστε κινήσαντα περὶ ἄλληλα ποιεῖν                     5

κυκᾶσθαι, κυκώμενα δὲ περιπίπτειν τε καὶ εἰς ἕτερα ἐνδυόμενα

ἕτερα κοῖλα ἀπεργάζεσθαι περιτεινόμενα τοῖς ἐισιοῦσιν―

                                그런데 이번엔 부패에 의해 미세해졌는가

하면, 좁은 혈관들로 들어와 정착한 것들의 경우에는, 바로 그 내부의

흙으로 된 부분들과 공기로 이루어진 부분들에 균형을 이루어서,

운동시켜서 서로에 관련하여 휘젓도록 만들게 되고, 휘저어짐으로써

부딪치도록 그리고 한편이 다른 한편으로 유입되어 그 유입된 것들을

감싸 속이 빈 것들을 만들어내도록 하게 됩니다.

ἃ δὴ νοτίδος περὶ ἀέρα κοίλης περιταθείσης, τοτὲ μὲν γεώ-              b

δους, τοτὲ δὲ καὶ καθαρᾶς, νοτερὰ ἀγγεῖα ἀέρος, ὕδατα κοῖλα

περιφερῆ τε γενέσθαι, καὶ τὰ μὲν τῆς καθαρᾶς διαφανεῖς

περιστῆναι κληθείσας ὄνομα πομφόλυγας, τὰ δὲ τῆς γεώδους

ὁμοῦ κινουμένης τε καὶ αἰρομένης ζέσιν τε καὶ ζύμωσιν                     5

ἐπίκλην λεχθῆναι―τὸ δὲ τούτων αἴτιον τῶν παθημάτων

ὀξὺ προσρηθῆναι. 

                                                           공기 주위를 감싼

속이 빈 수분에 해당하는 것들, 때로는 흙이 섞여 있고, 또 때로는

순수한 것에 해당하는 것들은, 공기의 수분으로 된 용기로, 둥글려진

속이 빈 물들이 되거니와, 순수한 수분으로 된 것들은 투명한

것들로서 감싸게 되니 거품이란 이름으로 불렸는가 하면, 흙이 섞인

함께 운동하고 또 떠오르는 수분으로 된 것들은 발포나 발효라는

명칭으로 말해지게 되었지요. 그런데 이런 겪음들의 원인은

날카로움이라 불리게 되었습니다.                                                      ///210727

                       σύμπασιν δὲ τοῖς περὶ ταῦτα εἰρημένοις

πάθος ἐναντίον ἀπ᾿ ἐναντίας ἐστὶ προφάσεως· ὁπόταν ἡ τῶν            c

εἰσιόντων σύστασις ἐν ὑγροῖς, οἰκεία τῇ τῆς γλώττης ἕξει

πεφυκυῖα, λεαίνῃ μὲν ἐπαλείφουσα τὰ τραχυνθέντα, τὰ δὲ

παρὰ φύσιν συνεστῶτα ἢ κεχυμένα τὰ μὲν συνάγῃ, τὰ δὲ

χαλᾷ, καὶ πάνθ᾿ ὅτι μάλιστα ἱδρύῃ κατὰ φύσιν, ἡδὺ καὶ                       5

προσφιλὲς παντὶ πᾶν τὸ τοιοῦτον ἴαμα τῶν βιαίων παθη-

μάτων γιγνόμενον κέκληται γλυκύ.

이것들을 둘러싸고 이야기된 모든 것들을 통틀어 이와 반대되는

겪음은 이와 반대되는 계기로부터 있습니다. 액체들로서 유입되는

것들의 구조가, 혀의 상태에 본래적으로 고유한 것으로서,

거칠어진 부분들을 칠하여서 매끄럽게 만드는가 하면, 본성을

벗어나 뭉치거나 풀어진 것들은 함께 모으고, 또 어떤 것들은

풀어주며, 모든 것들을 최대한 본성에 따라 정착시킬 어느 경우든,

이런 모든 것이 모두에게 쾌락적이고 애호할 만한 것으로서

강제적인 겪음들에 대한 치유가 되어 달콤하다고 불리지요.

 

 Καὶ τὰ μὲν ταύτῃ ταῦτα· περὶ δὲ δὴ τὴν τῶν μυκτήρων                    d

δύναμιν, εἴδη μὲν οὐκ ἔνι. 

 한편의 것들은 이런 식으로 이러한 것들이라 합시다. 헌데

그럼 비공의 능력에 관련하여서는, 그 안에 형상들이 있지는

않습니다.

                                 τὸ γὰρ τῶν ὀσμῶν πᾶν ἡμιγενές,

εἴδει δὲ οὐδενὶ συμβέβηκεν συμμετρία πρὸς τό τινα σχεῖν

ὀσμήν· ἀλλ᾿ ἡμῶν αἱ περὶ ταῦτα φλέβες πρὸς μὲν τὰ γῆς

ὕδατός τε γένη στενότεραι συνέστησαν, πρὸς δὲ τὰ πυρὸς                 5

ἀέρος τε εὐρύτεραι, διὸ τούτων οὐδεὶς οὐδενὸς ὀσμῆς πώποτε

ᾔσθετό τινος, ἀλλὰ ἢ βρεχομένων ἢ σηπομένων ἢ τηκο-

μένων ἢ θυμιωμένων γίγνονταί τινων. 

               왜냐하면 향들의 전부가 중간적인 유로서, 어떤

형상에게도 특정 향을 지니기 위한 균형(적도)이 귀결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이런 것들에 관련한 우리의 혈관들은

흙이나 물의 유들에 대해서는 더 좁은 것들로 구성된 반면,

불과 공기의 유들에 대해서는 더 넓은 것들로 구성되어서,

이런 점으로 인해 그것들 중 어떤 것의 그 어떤 향도 그 누구도

결코 지각한 일이 없고, 오히려 어떤 것들이 젖거나 부패하거나

녹거나 탈 때 생성됩니다.

                                                  μεταβάλλοντος γὰρ

ὕδατος εἰς ἀέρα ἀέρος τε εἰς ὕδωρ ἐν τῷ μεταξὺ τούτων                 e

γεγόνασιν, εἰσίν τε ὀσμαὶ σύμπασαι καπνὸς ἢ ὁμίχλη,

τούτων δὲ τὸ μὲν ἐξ ἀέρος εἰς ὕδωρ ἰὸν ὁμίχλη, τὸ δὲ ἐξ

ὕδατος εἰς ἀέρα καπνός· ὅθεν λεπτότεραι μὲν ὕδατος, παχύ-

τεραι δὲ ὀσμαὶ σύμπασαι γεγόνασιν ἀέρος.                                     5

왜냐하면 물이 공기로 변하고 공기가 물로 변할 때 그것들의

중간에서 그것들이 생겨나고, 그 모든 향기들은 연기나 안개이며,

그것들 중 한쪽은 공기에서 물로 이행하는 안개이고, 다른 쪽은

물에서 공기로 이행하는 연기이기 때문입니다. 그로부터 물보다는

더욱 섬세한 것들로, 반면 공기보다는 더욱 두꺼운 것들로서

통틀어 모든 향기들이 생성되었습니다.

                                                      δηλοῦνται δὲ                    5

ὁπόταν τινὸς ἀντιφραχθέντος περὶ τὴν ἀναπνοὴν ἄγῃ τις

βίᾳ τὸ πνεῦμα εἰς αὑτόν· τότε γὰρ ὀσμὴ μὲν οὐδεμία συν-

διηθεῖται, τὸ δὲ πνεῦμα τῶν ὀσμῶν ἐρημωθὲν αὐτὸ μόνον

ἕπεται.                                                                             67a

                                                   그런데 이는 무언가가

들숨에 관련하여 방해할 때 누군가가 억지로 숨을 자신에게로

이끌 때에 분명해집니다. 왜냐하면 그 때 향은 아무것도 함께

통과하지 않지만, 숨은 향들을 빠뜨린 채로 그 자신만 도달하기

때문이지요.

         δύ᾿ οὖν ταῦτα ἀνώνυμα τὰ τούτων ποικίλματα                  67a

γέγονεν, οὐκ ἐκ πολλῶν οὐδὲ ἁπλῶν εἰδῶν ὄντα, ἀλλὰ διχῇ

τό θ᾿ ἡδὺ καὶ τὸ λυπηρὸν αὐτόθι μόνω διαφανῆ λέγεσθον,

τὸ μὲν τραχῦνόν τε καὶ βιαζόμενον τὸ κύτος ἅπαν, ὅσον

ἡμῶν μεταξὺ κορυφῆς τοῦ τε ὀμφαλοῦ κεῖται, τὸ δὲ ταὐτὸν                 5

τοῦτο καταπραῧνον καὶ πάλιν ᾗ πέφυκεν ἀγαπητῶς ἀποδιδόν.

                그러므로 그것들의 다채로운 것들이 이하와 같은

무명의 두 가지 것들로 생성되었는데, 여러가지 종류들로 이루어진

것들도 단순한 종류들로 이루어진 것들도 아니며, 오히려 쾌락적인

것과 고통스러운 것 오직 그 두 가지로만 그 경우에 분명한 것들로서

말해지니, 한편은 속이 빈 모든 것, 우리의 머리와 배꼽 중간에 놓인

관 전부를 거칠게 하고 강제하는 것이고, 다른 한편은 똑같은 관을

부드럽게 하고 다시 본래의 기꺼운 상태로 되돌려주는 것입니다.

 

-蟲-

일단 대강의 생각만.

 

예를 들어 '아버지'의 경우 그 정의항에 적어도 생물이란 유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혹은 '크다'의 경우, 그 반대항인 '작다'와 함께 '크기'라는 상위류에 포섭될 것이다. '오른쪽'이라면 장소나 방향이 그런 식으로 포함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나 상, 모상, 가상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고정된 규정성이 확보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물론 상과 원본이 모두 (아마도 서술적인 의미에서) 있는 것 아래에 묶여야 하겠으나, 문제는 상의 경우 단지 있기만 한 것이 아니라 있지 않기도 해야 한다.

 

-蟲-

  Καὶ τὰ μὲν δὴ σχήμασι κοινωνίαις τε καὶ μεταλλαγαῖς

εἰς ἄλληλα πεποικιλμένα εἴδη σχεδὸν ἐπιδέδεικται· τὰ δὲ

παθήματα αὐτῶν δι᾿ ἃς αἰτίας γέγονεν πειρατέον ἐμφανίζειν.              5

  그래서 형태들과 결합들 그리고 상호 전환들에 의해 다채로워진

형상들도 제시되었습니다. 그런데 그것들의 겪음들은 어떤 원인들로

생성되었는지 밝히고자 시도해야만 합니다.

> 61c3 τε καί: 32c6. 병렬 te와 kai 분리 용법.

πρῶτον μὲν οὖν ὑπάρχειν αἴσθησιν δεῖ τοῖς λεγομένοις ἀεί,

σαρκὸς δὲ καὶ τῶν περὶ σάρκα γένεσιν, ψυχῆς τε ὅσον

θνητόν, οὔπω διεληλύθαμεν· τυγχάνει δὲ οὔτε ταῦτα χωρὶς

τῶν περὶ τὰ παθήματα ὅσα αἰσθητικὰ οὔτ᾿ ἐκεῖνα ἄνευ τού-                d

των δυνατὰ ἱκανῶς λεχθῆναι, τὸ δὲ ἅμα σχεδὸν οὐ δυνατόν.

                                                        그리하여 우선 그

진술되는 것들에는 언제나 감각이 성립해야 하는데, 살과 살에

관련된 것들의 생성도, 영혼의 사멸적인 부분도, 아직 우리가

상술하지 않았지요. 그런데 실은 이런 것들이 지각을 유발하는

그러한 겪음들에 관련된 것들과 따로 말해지기에도 저것들이

이것들의 능력들 없이 말해지기에도 충분하지 못하고, 헌데

동시에 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ὑποθετέον δὴ πρότερον θάτερα, τὰ δ᾿ ὑποτεθέντα ἐπάνιμεν

αὖθις. ἵνα οὖν ἑξῆς τὰ παθήματα λέγηται τοῖς γένεσιν,

ἔστω πρότερα ἡμῖν τὰ περὶ σῶμα καὶ ψυχὴν ὄντα. πρῶτον                   5

μὲν οὖν ᾗ πῦρ θερμὸν λέγομεν, ἴδωμεν ὧδε σκοποῦντες, τὴν

διάκρισιν καὶ τομὴν αὐτοῦ περὶ τὸ σῶμα ἡμῶν γιγνομένην

ἐννοηθέντες. ὅτι μὲν γὰρ ὀξύ τι τὸ πάθος, πάντες σχεδὸν                  e

αἰσθανόμεθα· 

                                                           그래서 보다 먼저

다른 것들을 가정해야만 하나, 그 가정된 것들로는 우리가 곧장

되돌아 갑니다. 그러므로 차례대로 그 겪음들이 유들로써

진술되도록, 신체와 영혼에 관한 있는 것들이 더 먼저 우리에게

있다고 합시다. 그러면 우선 우리가 어떤 식으로 불이 뜨겁다고

진술하는지, 이하와 같은 방식으로 검토하며 알아보도록 합시다,

그것[불]의 해체와 분절이 우리의 신체를 둘러싸고 생성됨을

유념하면서 말이지요. 그 겪음이 어떤 날카로움이라는 사실은,

거의 우리 모두가 감각합니다.

                  τὴν δὲ λεπτότητα τῶν πλευρῶν καὶ γωνιῶν

ὀξύτητα τῶν τε μορίων σμικρότητα καὶ τῆς φορᾶς τὸ τάχος,

οἷς πᾶσι σφοδρὸν ὂν καὶ τομὸν ὀξέως τὸ προστυχὸν ἀεὶ

τέμνει, λογιστέον ἀναμιμνῃσκομένοις τὴν τοῦ σχήματος                 62a1

αὐτοῦ γένεσιν, ὅτι μάλιστα ἐκείνη καὶ οὐκ ἄλλη φύσις δια-

κρίνουσα ἡμῶν κατὰ σμικρά τε τὰ σώματα κερματίζουσα

τοῦτο ὃ νῦν θερμὸν λέγομεν εἰκότως τὸ πάθημα καὶ τοὔνομα

παρέσχεν.                                                                               5

                                       그런데 면들의 섬세함과 각들의

날카로움과 부분들의 작음과 그 이동의 빠름에서 보면, 그 모든

것들로써 격렬한 것으로 있으면서 날카롭게 분절하는 것으로서

언제나 마주치는 것을 자르는데, 그것[불]의 형태의 생성을 기억해내고

있는 자들로서는 다음을 헤아려야만 합니다, 무엇보다도 특히

다름 아닌 저 본성이 우리의 신체를 가르고 작은 물체들로

쪼개서 오늘날 우리가 모상적으로 열이라 부르는 이 겪음과

이름을 제공했다는 사실을 말입니다.

              τὸ δ᾿ ἐναντίον τούτων κατάδηλον μέν, ὅμως δὲ                 5

μηδὲν ἐπιδεὲς ἔστω λόγου. τὰ γὰρ δὴ τῶν περὶ τὸ σῶμα

ὑγρῶν μεγαλομερέστερα εἰσιόντα, τὰ σμικρότερα ἐξωθοῦντα,

εἰς τὰς ἐκείνων οὐ δυνάμενα ἕδρας ἐνδῦναι, συνωθοῦντα ἡμῶν

τὸ νοτερόν, ἐξ ἀνωμάλου κεκινημένου τε ἀκίνητον δι᾿ ὁμαλό-             b

τητα καὶ τὴν σύνωσιν ἀπεργαζόμενα πήγνυσιν· τὸ δὲ παρὰ

φύσιν συναγόμενον μάχεται κατὰ φύσιν αὐτὸ ἑαυτὸ εἰς

τοὐναντίον ἀπωθοῦν. 

                      그런데 이것들과 반대의 경우는 명백하지만,

그렇더라도 설명에 전혀 부족함이 없는 것이게끔 합시다. 왜냐하면

신체에 관련한 습한 것들 중 더 큰 부분들로 된 것은 유입됨으로써,

더 작은 것들을 외부로 밀어내면서, 저것들의 자리들에 들어앉을

능력이 없기에, 우리의 수분을 압착시킴으로써, 불균등하게 운동한

것으로부터 균형으로 인한 부동과 수축을 구현해냄으로써 응고시키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자연본성을 벗어나 모인 것은 본성에 따라

스스로 자신을 반대쪽으로 밀어내며 다툽니다.

                            τῇ δὴ μάχῃ καὶ τῷ σεισμῷ τούτῳ

τρόμος καὶ ῥῖγος ἐτέθη, ψυχρόν τε τὸ πάθος ἅπαν τοῦτο καὶ              5

τὸ δρῶν αὐτὸ ἔσχεν ὄνομα. σκληρὸν δέ, ὅσοις ἂν ἡμῶν ἡ

σὰρξ ὑπείκῃ, μαλακὸν δέ, ὅσα ἂν τῇ σαρκί· πρὸς ἄλληλά

τε οὕτως. ὑπείκει δὲ ὅσον ἐπὶ σμικροῦ βαίνει· 

                                                             그래서 이 다툼과

요동에 의해 떨림과 오한이 성립하였으며, 이러한 겪음과 그 겪음을

가하는 것 일체가 차갑다는 이름을 가졌습니다. 그런데 단단하다는

것은, 그로써 우리의 살이 짓눌리는 것, 부드러운 것은, 살에 짓눌리는

것들이지요. 서로에 대해서도 그런 식입니다. 헌데 미세한 것 위에

존립하는 것이 짓눌립니다.

                                                          τὸ δὲ ἐκ

τετραγώνων ὂν βάσεων, ἅτε βεβηκὸς σφόδρα, ἀντιτυπώτατον             c

εἶδος, ὅτι τε ἂν εἰς πυκνότητα συνιὸν πλείστην ἀντίτονον ᾖ

μάλιστα. βαρὺ δὲ καὶ κοῦφον μετὰ τῆς τοῦ κάτω φύσεως

ἄνω τε λεγομένης ἐξεταζόμενον ἂν δηλωθείη σαφέστατα.

                                   반면 사각형인 면들로 이루어진 것은,

지극히 확고한 것이기에, 가장 강하게 저항하는 형상이니, 조밀한

쪽으로 수축함으로써 가장 큰 반발력을 지닐 바의 것 또한 특히나

그렇습니다. 그런데 무겁다는 것과 가볍다는 것은 아래와 위라고

말해지는 본성을 가지고(~과 함께) 고찰됨으로써 더 확실하게

밝혀질 것입니다.

φύσει γὰρ δή τινας τόπους δύο εἶναι διειληφότας διχῇ τὸ                   5

πᾶν ἐναντίους, τὸν μὲν κάτω, πρὸς ὃν φέρεται πάνθ᾿ ὅσα

τινὰ ὄγκον σώματος ἔχει, τὸν δὲ ἄνω, πρὸς ὂν ἀκουσίως

ἔρχεται πᾶν, οὐκ ὀρθὸν οὐδαμῇ νομίζειν· 

왜냐하면 자연본성상 어떤 두 장소들이 우주를 둘로 구분하는

것들로서 반대되는 것들인데, 한편은 아래로서, 이것을 향해 

어떤 물체의 덩어리를 지니는 것은 전부 이동하는 것이고, 다른

한편은 위로서, 이것을 향해서는 모든 것이 비자발적으로

가는 것이라고, 그렇게 생각하는 것은 어떤 식으로든 옳지 않기

때문입니다.

                                                    τοῦ γὰρ παντὸς

οὐρανοῦ σφαιροειδοῦς ὄντος, ὅσα μὲν ἀφεστῶτα ἴσον τοῦ                 d

μέσου γέγονεν ἔσχατα, ὁμοίως αὐτὰ χρὴ ἔσχατα πεφυκέναι,

τὸ δὲ μέσον τὰ αὐτὰ μέτρα τῶν ἐσχάτων ἀφεστηκὸς ἐν τῷ

καταντικρὺ νομίζειν δεῖ πάντων εἶναι. 

                왜냐하면 전 우주가 구형으로 있기에, 그 중심으로부터

같은 만큼 떨어져 있음으로써 극단들이 된 것들은, 본성상 그것들이

마찬가지 방식으로 극단들로 타고났어야만 하며, 중심은 그 극단들로부터

같은 척도들에 있어서 떨어져 있음으로써 그 모든 것들의 대척점에

있다고 생각해야 하기 때문이지요.

                                                    τοῦ δὴ κόσμου ταύτῃ

πεφυκότος, τί τῶν εἰρημένων ἄνω τις ἢ κάτω τιθέμενος οὐκ              5

ἐν δίκῃ δόξει τὸ μηδὲν προσῆκον ὄνομα λέγειν; ὁ μὲν γὰρ 

μέσος ἐν αὐτῷ τόπος οὔτε κάτω πεφυκὼς οὔτε ἄνω λέγεσθαι

δίκαιος, ἀλλ᾿ αὐτὸ ἐν μέσῳ· ὁ δὲ πέριξ οὔτε δὴ μέσος οὔτ᾿ 

ἔχων διάφορον αὑτοῦ μέρος ἕτερον θατέρου μᾶλλον πρὸς τὸ

μέσον ἤ τι τῶν καταντικρύ.                                                         10 //210713

                                            그래서 조화로운 우주가 본래

이런 식이기에, 이야기된 것들 중 무엇을 누군가가 위나 아래로

놓으면서 전혀 적절하지 못한 이름을 말한다고 마땅히 여겨지지

않겠습니까? 왜냐하면 그 우주 안에서 중심이 되는 장소는 본디

아래에서도 위에서도 논해지는 것이 정당하지 못하고, 그 자체가

중심에서 논해져야 마땅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둘레는 중심도

아니거니와 그 자신의 서로 다른 부분들 사이에서 맞은 편의 것들

중 어떤 것에 비해서든 중심에 더 많이 관련되는 차이를 지니지도

않습니다.

                                    τοῦ δὲ ὁμοίως πάντῃ πεφυκότος              10

ποῖά τις ἐπιφέρων ὀνόματα αὐτῷ ἐναντία καὶ πῇ καλῶς ἂν

ἡγοῖτο λέγειν; εἰ γάρ τι καὶ στερεὸν εἴη κατὰ μέσον τοῦ

παντὸς ἰσοπαλές, εἰς οὐδὲν ἄν ποτε τῶν ἐσχάτων ἐνεχθείη διὰ        63a1

τὴν πάντῃ ὁμοιότητα αὐτῶν· ἀλλ᾿ εἰ καὶ περὶ αὐτὸ πορεύοιτό

τις ἐν κύκλῳ, πολλάκις ἂν στὰς ἀντίπους ταὐτὸν αὐτοῦ κάτω

καὶ ἄνω προσείποι. 

            그런데 모든 점에서 마찬가지로 타고난 것이라면 누가

어떠한 상반된 이름을 그것에 적용하면서 어떻게 훌륭하게 논한

것으로 생각되겠습니까? 그야 만일 어떤 입체가 우주의 중심을

따라 균등한 것으로 있다면, 극단들 중 도대체 어느 것을 향해서도

그 극단들의 모든 방향으로의 유사성으로 인해 이동하지 않을

테니까요. 허나 만일 그 우주 주위를 원형으로 진행한다 하더라도,

여러 차례 대척점에 서게 되어서 우주의 같은 부분을 위로도

아래로도 부를 것입니다.

                         τὸ μὲν γὰρ ὅλον, καθάπερ εἴρηται

νυνδή, σφαιροειδὲς ὄν, τόπον τινὰ κάτω, τὸν δὲ ἄνω λέγειν                5

ἔχειν οὐκ ἔμφρονος· ὅθεν δὲ ὠνομάσθη ταῦτα καὶ ἐν οἷς

ὄντα εἰθίσμεθα δι᾿ ἐκεῖνα καὶ τὸν οὐρανὸν ὅλον οὕτω διαι-

ρούμενοι λέγειν, ταῦτα διομολογητέον ὑποθεμένοις τάδε ἡμῖν.           b

                   왜냐하면 그 전체는, 방금 이야기된 그대로,

구형으로 있으니, 어떤 장소는 아래라고, 다른 한편은 위라고 논할

수 있는 건 사리분별을 하는 이의 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어디에서 이런 것들이 명명되었고 어떤 경우들에 있어서 저것들로

인해 우리가 천구 전체까지도 그런 식으로 분할하며 논하는 데에

익숙해졌는지, 이런 일들을 우리는 다음과 같이 가정하며 합의해야만

합니다. 

εἴ τις ἐν τῷ τοῦ παντὸς τόπῳ καθ᾿ ὃν ἡ τοῦ πυρὸς εἴληχε

μάλιστα φύσις, οὗ καὶ πλεῖστον ἂν ἠθροισμένον εἴη πρὸς ὃ

φέρεται, ἐπεμβὰς ἐπ᾿ ἐκεῖνο καὶ δύναμιν εἰς τοῦτο ἔχων,

μέρη τοῦ πυρὸς ἀφαιρῶν ἱσταίη τιθεὶς εἰς πλάστιγγας, αἴρων               5

τὸν ζυγὸν καὶ τὸ πῦρ ἕλκων εἰς ἀνόμοιον ἀέρα βιαζόμενος

δῆλον ὡς τοὔλαττόν που τοῦ μείζονος ῥᾷον βιᾶται·                         c

          만일 누군가 우주에서 불의 본성이 최대로 할당받은

장소, 불이 가장 많이 모이고 또 그곳으로 이동하는, 그 장소에

올라가서 그 불에 영향력까지 지니고 있다면, 불의 일부를 떼어내 

저울에 올려 재고, 저울대를 들어올려 그 불을 유사하지 않은

공기쪽으로 강제로 당긴다면 아마도 작은 쪽이 더 큰 쪽보다 

쉽게 강제되리란 것은 분명합니다.

                                                                  ῥώμῃ                  c

γὰρ μιᾷ δυοῖν ἅμα μετεωριζομένοιν τὸ μὲν ἔλαττον μᾶλλον,

τὸ δὲ πλέον ἧττον ἀνάγκη που κατατεινόμενον συνέπεσθαι

τῇ βίᾳ, καὶ τὸ μὲν πολὺ βαρὺ καὶ κάτω φερόμενον κληθῆναι,

τὸ δὲ σμικρὸν ἐλαφρὸν καὶ ἄνω.                                                   5

                                          왜냐하면 단일한 힘에 의해

두 개가 동시에 들어올려질 때 작은 쪽이 더 많이, 큰 쪽은 덜 

당겨짐으로써 그 힘에 따른다는 게 아마도 필연적이고, 그래서

더 많은 쪽은 무거운 것이자 아래로 이동하는 것으로 불리고,

작은 것은 가볍고 위로 이동하는 것으로 불리는 게 필연적이기

때문입니다. 

                                         ταὐτὸν δὴ τοῦτο δεῖ                         5

φωρᾶσαι δρῶντας ἡμᾶς περὶ τόνδε τὸν τόπον. ἐπὶ γὰρ γῆς

βεβῶτες γεώδη γένη διιστάμενοι, καὶ γῆν ἐνίοτε αὐτήν, ἕλ-

κομεν εἰς ἀνόμοιον ἀέρα βίᾳ καὶ παρὰ φύσιν, ἀμφότερα τοῦ

συγγενοῦς ἀντεχόμενα, τὸ δὲ σμικρότερον ῥᾷον τοῦ μείζονος             d

βιαζομένοις εἰς τὸ ἀνόμοιον πρότερον συνέπεται· κοῦφον οὖν

αὐτὸ προσειρήκαμεν, καὶ τὸν τόπον εἰς ὃν βιαζόμεθα, ἄνω, τὸ

δ᾿ ἐναντίον τούτοις πάθος βαρὺ καὶ κάτω. 

                 실로 이런 똑같은 일을 우리가 여기 이 장소와

관련하여 수행하고 있다는 점을 알아차려야 합니다. 왜냐하면

흙 위를 우리가 걸으면서 흙의 유들을 분할하면서, 때로는 흙

자체도 그리 하면서, 유사하지 않은 공기 쪽으로 강제로 또한

본성에 어긋나게 당기는데, 양자 모두 동류에 달라붙으려 하지만,

더 작은 것이 더 큰 것보다 더 쉽게 유사하지 않은 것 쪽으로

강제하는 우리에게 더 먼저 따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그것을

우리가 가벼운 것이라 부르고, 우리가 그쪽으로 강제한 그 장소도,

위라고 부르며, 이것들과 반대되는 상태를 무거운 것과 아래라고

부릅니다.

                                                        ταῦτ᾿ οὖν δὴ

διαφόρως ἔχειν αὐτὰ πρὸς αὑτὰ ἀνάγκη διὰ τὸ τὰ πλήθη τῶν               5

γενῶν τόπον ἐναντίον ἄλλα ἄλλοις κατέχειν―τὸ γὰρ ἐν

ἑτέρῳ κοῦφον ὂν τόπῳ τῷ κατὰ τὸν ἐναντίον τόπον ἐλαφρῷ

καὶ τῷ βαρεῖ τὸ βαρὺ τῷ τε κάτω τὸ κάτω καὶ τὸ ἄνω τῷ                   e

ἄνω πάντ᾿ ἐναντία καὶ πλάγια καὶ πάντως διάφορα πρὸς

ἄλληλα ἀνευρεθήσεται γιγνόμενα καὶ ὄντα―

그리하여 이러한 것들은 그 유들의 다수가 서로 반대되는

장소를 점유함으로 인해 자신들끼리 서로 다른 상태에 있음이

필연적입니다. 왜냐하면 어떤 한 장소에서 가벼운 것으로 있는

것은 반대되는 장소에 따라 가벼운 것과 그리고 무거운 것과는

무거운 것이 또 아래와는 아래가 위는 위와 모든 것들이 서로에

대해 반대이자 어긋나며 전적으로 차이나는 것들로 생성되고 또

있는 것으로 밝혀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τόδε γε μὴν ἕν

τι διανοητέον περὶ πάντων αὐτῶν, ὡς ἡ μὲν πρὸς τὸ συγ-

γενὲς ὁδὸς ἑκάστοις οὖσα βαρὺ μὲν τὸ φερόμενον ποιεῖ, τὸν                5

δὲ τόπον εἰς ὃν τὸ τοιοῦτον φέρεται, κάτω, τὰ δὲ τούτοις

ἔχοντα ὡς ἑτέρως θάτερα. περὶ δὴ τούτων αὖ τῶν παθη-

μάτων ταῦτα αἴτια εἰρήσθω. 

                                  물론 적어도 다음과 같은 어떤 한

가지 것은 그 모든 것들에 관련하여 사유해야만 합니다. 한편으로

각각의 것들에게 동류를 향한 경로는 그 이동하는 것은 무거운

것으로 만들고, 이러한[무거운] 것이 그 쪽으로 이동하는 장소는

아래로 만드는 반면, 그것들과 다른 상태인 것들은 그와 다른

것들로 만든다고 말입니다. 그래서 이번엔 이러한 상태들에

관련하여 이러한 것들이 원인들로 이야기되었다고 합시다.

                                     λείου δ᾿ αὖ καὶ τραχέος

παθήματος αἰτίαν πᾶς που κατιδὼν καὶ ἑτέρῳ δυνατὸς ἂν

εἴη λέγειν· σκληρότης γὰρ ἀνωμαλότητι μειχθεῖσα, τὸ δ᾿                      10

ὁμαλότης πυκνότητι παρέχεται.                                               64a1

                                                               그런데 이번엔

부드럽거나 거친 상태의 원인을 아마 모두가 파악하고 있으며

다른 이에게도 말할 능력이 있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단단함이

불균형함과 섞여서, 다른 쪽은 균형이 조밀함과 섞여서 제공하니

말입니다.

 

-蟲-

역겨워

1. 상에 대한 문제를 제기할 의도라면 상에 고유하게 귀속될 만한 문제를 짚어줘야 한다. 지금의 접근방식으로는 모든 관계적인 속성 일반으로 문제가 확장되어 버린다. 예를 들어 상과 원본의 관계가 아버지와 자식의 관계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문제를 야기하는 것처럼 이야기된다면, 과연 이러한 문제를 『소피스트』가 상에 관련하여 지적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지 의심스럽다. by S. H., Kang. 개별 상들이 고유한 개별 원본을 가져야 한다고 해서 상 일반 혹은 상 자체가 반드시 개별 상들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그 자신만의 원본을 가져야만 한다고 말할 이유는 없어 보인다. 또한 그러한 원본 없이 지시되는 상 자체에 대해서도 그것을 아무것도 아니라고만 말해야 하는 것으로 보이지 않고, "상은 있는 것과 있지 않은 것의 특수한 결합이다"라는 서술은 상 자체에 대해 유의미한 서술로 보인다. by H. S., Lee. 

  여전히 상은 원본에 의존적이라는 점에서 그것을 이해하는 데에 곤란한 문제를 야기한다는 관점은 유지되어야 할 것 같은데, 위의 지적들을 고려하면 접근이나 서술을 고쳐야 하는 것 맞는 것 같고. 좀 더 입장을 고수해 보자면, 예를 들어, 소크라테스의 상은 소크라테스 자신과 마찬가지로 '소크라테스'라는 이름을 가지게 된다. 가짜 사과(그것이 회화작품이든 조형물이든 거울이나 수면에 비친 상이든 그림자든)는 여전히 그것의 원본이 되는 '사과'에서 이름을 빌려와 가짜 '사과'라고 불린다. 아마도 이 지점이 관계적인 것 일반에 대한 상의 고유한 특징, 차이점을 보여주는 것 아닐까 싶다. 아버지는 자식의 아버지로, 자식은 아버지의 자식으로 이야기되지만 그렇다고 한쪽이 다른 쪽의 성격 하나만으로 일방향적으로 설명되지는 않는다. 크다는 것의 경우에도 x보다 크고 y보다 작다는 식의 서술이 큰 것에 대해 서술되고 그런 관계에 의해 큰 것이 어떻게 큰 것인지 설명되긴 하지만, 그것이 '크다'라는 그 측면이 x나 y의 고유한 성질에 의존하여 설명되지는 않는다. 

  문제의 초점을 상 자체와 개별 상들 사이의 구분에서 찾지 않고 상과 그 외의 의존적인 것들 사이의 구분에서 찾아야 하는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이렇게 접근할 경우 부정, 차이, 지시(생각, 말, 믿음, 지각)의 경우 전자로 분류할지 후자로 분류할지 아직 불분명하다. 상처럼 말이나 생각도 그것이 가리키는 원본을 '내용'으로 가지며, 이 내용 없이는 무의미해진다. 혹은 이 내용으로서의 원본을 논하지 않더라도 모방한다거나 지시한다거나 등등의 성격은 여전히 유의미하게 상이나 말 따위에 대해 서술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크다는 것 자체나 아버지 그 자체 같은 것도 마찬가지로 이야기될 수 있는가? a<b<c의 경우 b는 큼 자체에 참여하여 a와의 관계에서 큰 것이지만 동시에 작음 자체에 참여하여 c와의 관계에서 작은 것이기도 하다. 조금 더 고민해 볼 문제.

+ '아버지'의 정의에는 '남성'이, '어머니'의 정의에는 '여성'이 포함될 것이다. '크다' 그 자체는 크기, 양이라는 것이 본질로서 그 정의에 마치 아버지가 남성임이 필연적인 것처럼 그런 식으로 포함될 것이고, 부모와 자식의 '관계'는, 아리스토텔레스식으로 실체 범주 규정 이후에 그러한 실체에 귀속될 것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남성 그리고 여성에 귀속될 것이며 '~보다 크다' 또는 '~보다 작다'라는 규정 역시 마찬가지로 양 자체에 후속하여 귀속될 것이다. 반면 상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규정되지 않는다. 상은 그림이거나 조각이거나 수면이거나 할 텐데, 이러한 것들 각각은 상의 정의에 포함되지 않고, 그 외의 성질들은 상의 고유한 원본으로부터만 유래할 것이다.

 

2. 참된 모순은 관점과 조건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해결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진정으로 양립불가능한 것들의 상충을 이야기하는 것일 수 있다. 반면 거짓 모순은 추가조건들을 규명함으로써 모종의 방식으로 양립 가능한 것임이 드러나게 되는 것일 수 있다. By Kang. 그런데 논박대상은 모순되는 것들을 동시에 믿을 때 그 믿음이 지적당함으로써 논박된다. 그렇다면 저러한 참된 모순을 믿을 때에만 그러한 무지를 가진 자가 논박당할 것이며, 이는 지나치게 논박대상이 되는 조건이 엄격해지는 것일 수 있다. By Lee. 여기에 더해, 이런 방식으로 참모순과 거짓모순을 구분할 때 소크라테스가 일반적으로 수행하는 작업은 거짓모순에 빠진 상대에게 관점과 조건의 차이를 밝혀 상대의 거짓모순을 해소하는 것일 수 있다. By Kang. 그러나 논박대상은 모순되는 믿음을 가질 때 바로 그 모순이 드러남으로써 무지를 자각하게 된다. 예를 들어 "좋은 것을 얻는 능력은 덕이다"라는 믿음은 "좋은 것을 정의롭게 얻는 능력이 덕이다"와 "좋은 것을 부정의하게 얻는 능력이 덕이다"라는 서로 모순되는 두 믿음을 동시에 포함하며 이 점에서 모순된다. 또한 "덕이 아닌 것은 좋은 것을 얻을 수 있는 능력이 아니다"라는 믿음도 여기에 포함되어 있을 것인데, 좋은 것을 부정의하게 얻을 수 있는 상황에서 이를 얻지 않는 능력은 정의로울 것이고 덕일 것이다. 즉 다시, 정의로운 방식에서 좋은 것을 못 얻는 능력과 부정의한 방식으로 좋은 것을 못 얻는 능력이 모두 덕이 아니라는 두 믿음도 모순되고 있다. 이 모순은 해소되는 것이 아니라, 조건이 불분명할 때 충분히 드러나지 않고 함의된 모순적인 믿음들이 모순되는 바로 그 조건과 관점이 드러남으로써 밝혀지는 것이라 말할 수 있다. 이러한 논박을 통해 무지를 자각하고 나면, 기존에 논박대상이 모순으로 간주하여 받아들이지 않았을 두 가지 믿음, "좋은 것을 얻는 능력이 덕이다"와 "좋은 것을 얻지 못하는(않는) 능력이 덕이다"가 추가된 조건들을 통해 양립 가능한 것으로 수용될 수 있게 된다. 이는 논의의 진행과정에서 논박상대가 받아들이게 되는 결과이고, 논박의 대상이 된 바로 그 모순은 아니다. 그리고 있는 것과 있지 않은 것 관련한 모순의 경우에도 같은 구도를 생각할 수 있다. 논박대상은 있는 것은 있고 있지 않은 것은 있지 않다고 믿을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믿음은, 『소피스트』의 후반 논의를 고려하면, "있는 것은 있는 것에 참여해서 있다"는 믿음과 "있는 것은 있는 것 자체에 대해서 다른 것에 참여해서 있다"라는 두 믿음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며 또한 "있지 않은 것은 있는 것에 대해서 다른 것에 참여해서 있지 않다"는 믿음과 "있지 않은 것은 있는 것에 완전히 반대되는 방식으로 모든 있는 것들과 동떨어져 있지 않다"는 믿음을 구분하지 않고 모순적으로 함께 가지고 있다. 이 모순들은 지적되어 논박대상의 무지를 드러낼 것이고, 이러한 무지를 자각하고 나서야 "있는 것은 있는 것에 대해서 다른 것에 참여해 있지 않다"라거나 "있지 않은 것은 있는 어떤 것에 대해서 마주 놓인 있는 것에 참여하여 있다"라는 모순되지 않는 믿음들을 새로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운동과 정지를 참된 모순의 사례로 드는 입장에 반대하고자 한다면 이 둘 또한 양립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야 하지 않겠는가. by Kang. 그런데 이 문제를 논하려는 의도는 없었고, 역으로 그 사례가 무엇이든 결코 양립 불가능한 것들을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시에 믿는 그러한 경우에만 참된 논박이 가능하다는 조건이 지나치게 엄격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었다. 그런데 위의 방식으로 서술하다 보니 모순은 그대로 모순이고, 특수한 조건이나 관점이 규명되지 않은 차원에서 반성없이 지니는 믿음은 더 구체적이고 정확한 조건이 해명된 차원에서는 양립할 수 없는 모순되는 믿음들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고 보아야 할 것 같다. 그렇다면 소피스트들의 말장난으로 보이기도 하는 논박도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가 문제일 것이다. 예를 들어 (a) 나의 개가 나의 것이고 (b) 나의 아버지 또한 나의 것이라면 (c) 나는 나의 것의 자식이기에 (d) 나는 내 개의 자식이라는 말장난의 경우는 어떠한가? (a)와 (b)에서 나의 소유물로서 나와 관계맺는 것과 나의 기원으로서 나와 관계맺는 것이 모두 나에게 속한 것으로 말해진다는 점에 주의한다면, (a)와 (b)를 부주의하게 긍정하는 자가 암묵적으로 받아들이게 되는 모순을 추론할 수 있다. (a)에서의 '나의 것'과 (b)에서의 '나의 것'은 그 둘이 서로 같은 것이 아니라 다른 것이다. 다른 것을 같은 것이라고 암묵적으로 동의하게 되면 이는 모순을 믿는 것이 되고, 그 모순은 (c)에서 그 암묵적 동의 자체에 대한 재차 동의가 이루어짐에 따라 (d)에서 지적받게 된다. 즉 말장난은 소피스트가 하고 있지만, 그가 논의를 전개하는 과정을 중단하지 않고 수용할 경우, 대화상대방도 바로 그 말장난에 포함된 모순에 동의하게 되는 것이며, 소피스트는 바로 이 동의된 모순을 지적하여 상대방의 무지를 드러내는 것이다. (a)에서 '나의 것'과 (b)에서 '나의 것' 둘 사이의 차이를 분명하게 밝혀주는 조건을 알고 주의하고 있는 사람, 즉 아는 자라면 이 논박에 의해 모순에 빠지는 일이 없었을 것이다. 결국 소피스트에게 당한 상대방이 아무리 억울해 한다 하더라도, 그 상대는 자신이 무지했기 때문에 논박을 당해 무지를 자각하게 된 것이다. 가짜 모순, 겉보기 모순이 (d)라면, 갑자기 아무 과정이나 단계도 없이 (d) 같은 것을 받아들이거나 애초에 믿고 있거나 한 사람은 찾기 어려울 것이다. 반면 (a)와 (b)를 순차적으로 긍정하는 방식에서 그 안에 함의된 모순까지 수용하는 경우, 이는 겉보기 모순을 누군가 가짜로 만들어내 상대에게 강제한 것이 아니라, 상대가 충분히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고 스스로 그 모순을 받아들여 버린 것이 된다. 

 

-蟲-

Μετὰ δὴ ταῦτα δεῖ νοεῖν ὅτι πυρός τε γένη πολλὰ γέγονεν,                 5

οἷον φλὸξ τό τε ἀπὸ τῆς φλογὸς ἀπιόν, ὃ κάει μὲν οὔ, φῶς

δὲ τοῖς ὄμμασιν παρέχει, τό τε φλογὸς ἀποσβεσθείσης ἐν

τοῖς διαπύροις καταλειπόμενον αὐτοῦ· κατὰ ταὐτὰ δὲ ἀέρος,            d

τὸ μὲν εὐαγέστατον ἐπίκλην αἰθὴρ καλούμενος, ὁ δὲ θολερώ-

τατος ὁμίχλη τε καὶ σκότος, ἕτερά τε ἀνώνυμα εἴδη, γεγονότα

διὰ τὴν τῶν τριγώνων ἀνισότητα. 

그럼 이러한 것들 다음으로는 불의 유들도 여럿으로 생성된다는 점,

예를 들어 불꽃과 불꽃으로부터 나온, 태우지는 않지만 눈에 빛은

제공하는 것, 또한 불꽃이 사그라들면 등걸불 속에서 거기에 남겨지는

것도 생성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합니다. 그런데 같은 것들에 따라

(같은 식으로) 공기도, 가장 투명한 유는 아이테르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공기이고, 가장 탁한 유는 안개라고도 땅거미(어둠, 그림자?)

라고도 불리는 공기이며, 다른 무명인 형상들도, 삼각형들의 부등함으로

인하여 생성되는 것들이 있습니다.

                                           τὰ δὲ ὕδατος διχῇ μὲν

πρῶτον, τὸ μὲν ὑγρόν, τὸ δὲ χυτὸν γένος αὐτοῦ. τὸ μὲν οὖν               5

ὑγρὸν διὰ τὸ μετέχον εἶναι τῶν γενῶν τῶν ὕδατος ὅσα σμικρά,

ἀνίσων ὄντων, κινητικὸν αὐτὸ τε καθ᾿ αὑτὸ καὶ ὑπ᾿ ἄλλου διὰ

τὴν ἀνωμαλότητα καὶ τὴν τοῦ σχήματος ἰδέαν γέγονεν· 

             물의 유들은 우선 두 가지로 있는데, 한편으로는 습한

유, 다른 한편으로는 가융적인 것이 그 물의 유로 있습니다. 그래서

습한 유는 물의 작고 불균등한 채로 있는 유들에 참여하는 것으로

있다는 점으로 인해, 그 자체 스스로도 여타의 것에 의해서도 그

불균형과 그 형태의 형상으로 인해 운동성이 있는 것으로

생성되었습니다.

> 서로 다른 크기의 요소삼각형들이 서로 다른 종류의 물들을

만들어낸다. 그런데 다양한 크기의 요소삼각형들로 된 다양한 

종류의 물들이 다 함께 뒤섞여 그 전체가 습한 물로 이야기된다.

by Kang 한 가지 가능한 제안? 

                                                                        τὸ

δὲ ἐκ μεγάλων καὶ ὁμαλῶν στασιμώτερον μὲν ἐκείνου καὶ                 e

βαρὺ πεπηγὸς ὑπὸ ὁμαλότητός ἐστιν, ὑπὸ δὲ πυρὸς εἰσιόντος

καὶ διαλύοντος αὐτὸ τὴν ὁμαλότητα ἀποβάλλει, ταύτην δὲ

ἀπολέσαν μετίσχει μᾶλλον κινήσεως, γενόμενον δὲ εὐκίνητον,

ὑπὸ τοῦ πλησίον ἀέρος ὠθούμενον καὶ κατατεινόμενον ἐπὶ                5

γῆν, τήκεσθαι μὲν τὴν τῶν ὄγκων καθαίρεσιν, ῥοὴν δὲ τὴν

κατάτασιν ἐπὶ γῆν ἐπωνυμίαν ἑκατέρου τοῦ πάθους ἔλαβεν.

                     그런데 크고 균등한 유들로 이루어진 쪽은

저것에 비해서는 더 정적이고 균등성에 의해 고착화하여 무거운

것으로 있으며, 그런데 그것을 관통하고 해체시켜 버리는 불에

의해서는 그 균등성을 상실하고, 이 균등성을 상실하여서 더

많이 운동에 참여하고, 잘 운동하는 것이 되어서, 인접한 공기에

의해 압착되고 대지에 전개되며, 덩어리들의 감소는 '녹는다'라고,

다른 한편 대지 위에의 그 전개는 '흐름'이라고 그 양편의 상태

각각에 대한 별명을 얻었습니다.

πάλιν δ᾿ ἐκπίπτοντος αὐτόθεν τοῦ πυρός, ἅτε οὐκ εἰς κενὸν         59a

ἐξιόντος, ὠθούμενος ὁ πλησίον ἀὴρ εὐκίνητον ὄντα ἔτι τὸν

ὑγρὸν ὄγκον εἰς τὰς τοῦ πυρὸς ἕδρας συνωθῶν αὐτὸν αὑτῷ

συμμείγνυσιν· ὁ δὲ συνωθούμενος ἀπολαμβάνων τε τὴν

ὁμαλότητα πάλιν, ἅτε τοῦ τῆς ἀνωμαλότητος δημιουργοῦ                  5

πυρὸς ἀπιόντος, εἰς ταὐτὸν αὑτῷ καθίσταται. 

그런데 다시 그 자리에서 불이 쫓겨날 경우에는, 빈 곳으로

빠져나가지 않기에, 인접한 공기가 떠밀려 여전히 잘 운동하는

것으로 있는 습한 덩어리를 불의 자리들로 함께 몰아 넣어

그것을 자신과(주어 자신? 습한 덩어리 자신?) 함께 섞습니다.

그런데 그 함께 압착된 것은 균등성을 다시금 되찾아, 불균등성의

제작자인 불이 빠져나가기에, 자신과 같은 것쪽에 놓입니다.

                                                          καὶ τὴν μὲν

τοῦ πυρὸς ἀπαλλαγὴν ψῦξιν, τὴν δὲ σύνοδον ἀπελθόντος

ἐκείνου πεπηγὸς εἶναι γένος προσερρήθη. τούτων δὴ πάν-

των ὅσα χυτὰ προσείπομεν ὕδατα, τὸ μὲν ἐκ λεπτοτάτων                b

καὶ ὁμαλωτάτων πυκνότατον γιγνόμενον, μονοειδὲς γένος,

στίλβοντι καὶ ξανθῷ χρώματι κοινωθέν, τιμαλφέστατον

κτῆμα χρυσὸς ἠθημένος διὰ πέτρας ἐπάγη· χρυσοῦ δὲ ὄζος,

διὰ πυκνότητα σκληρότατον ὂν καὶ μελανθέν, ἀδάμας ἐκλήθη.           5

                      그래서 불의 탈락이 냉각, 저 불이 빠져나갔을

경우의 수축은 응고라는 유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용해되는 물이라 부르는 그 모든 것들 중, 가장 미세하고 가장 균형적인

것들로부터 가장 치밀한 것으로 생성되어 나오는, 고유한 유로서,

반짝이는 황금 빛깔이 감도는 것, 가장 값비싼 소유물인 금은

바위들을 통과해 걸러져 나와 응고됩니다. 그런데 금의 일종으로서,

치밀함으로 인해 가장 견고한 것이자 검은 것은, 아다마스라고

불립니다.

τὸ δ᾿ ἐγγὺς μὲν χρυσοῦ τῶν μερῶν, εἴδη δὲ πλείονα ἑνὸς ἔχον,

πυκνότητι δέ, τῇ μὲν χρυσοῦ πυκνότερον ὄν, καὶ γῆς μόριον

ὀλίγον καὶ λεπτὸν μετασχόν, ὥστε σκληρότερον εἶναι, τῷ

δὲ μεγάλα ἐντὸς αὑτοῦ διαλείμματα ἔχειν κουφότερον, τῶν             c

λαμπρῶν πηκτῶν τε ἓν γένος ὑδάτων χαλκὸς συσταθεὶς

γέγονεν· τὸ δ᾿ ἐκ γῆς αὐτῷ μειχθέν, ὅταν παλαιουμένω

διαχωρίζησθον πάλιν ἀπ᾿ ἀλλήλων, ἐκφανὲς καθ᾿ αὑτὸ γιγνό-

μενον ἰὸς λέγεται.                                                                  5  //210623

              그런데 부분들에서는 황금에 가까운 것이나, 하나를

넘는 종류들을 지니는 것, 조밀함으로는, 그 점에서 황금보다는

더 조밀한 것으로 있고, 소수의 미세한 흙의 부분이 참여하여서,

더 견고한 것이게 되지만, 자신의 내부에 큰 간격들을 지닌다는

점에서는 더 가벼운 것으로서, 빛을 내는 응고된 액체들 중 한 유인

청동이 구성되어 생성됩니다. 그런데 흙으로부터 그것에 혼합된

것은, 그 둘이 오래 되어 다시금 서로로부터 분리된 때에는, 스스로

드러나게 되어 녹이라고 말해집니다.

                       τἆλλα δὲ τῶν τοιούτων οὐδὲν ποικίλον                5

ἔτι διαλογίσασθαι τὴν τῶν εἰκότων μύθων μεταδιώκοντα

ἰδέαν· ἣν ὅταν τις ἀναπαύσεως ἕνεκα τοὺς περὶ τῶν ὄντων

ἀεὶ καταθέμενος λόγους, τοὺς γενέσεως πέρι διαθεώμενος

εἰκότας ἀμεταμέλητον ἡδονὴν κτᾶται, μέτριον ἂν ἐν τῷ βίῳ            d

παιδιὰν καὶ φρόνιμον ποιοῖτο. ταύτῃ δὴ καὶ τὰ νῦν ἐφέντες

τὸ μετὰ τοῦτο τῶν αὐτῶν πέρι τὰ ἑξῆς εἰκότα δίιμεν τῇδε.

                                             헌데 이러한 것들 중

여타의 것들을 모상적인 이야기들의 형상을 좇으면서 이 이상으로

논의하는 것은 전혀 복잡한 일이 아닙니다. 그 형상을 놓고서

누군가가 한숨 돌리기 위해서 언제나 있는 것들에 관한 말들을

내려 놓은 채로, 생성에 관한 모상적인 말들을 관조하며 후회없는

쾌락을 얻을 때, 그는 삶 속에서 적도를 갖춘 슬기로운 놀이를

할 것입니다. 그럼 이러한 놀이에 지금의 논의들을 넘겨주고

이 다음으로 같은 것들에 관련하여 이어지는 모상적인 것들을

이하의 방식으로 살펴 나아가 보도록 합시다. 

τὸ πυρὶ μεμειγμένον ὕδωρ, ὅσον λεπτὸν ὑγρόν τε διὰ τὴν

κίνησιν καὶ τὴν ὁδὸν ἣν κυλινδούμενον ἐπὶ γῆς ὑγρὸν λέγεται,           5

μαλακόν τε αὖ τῷ τὰς βάσεις ἧττον ἑδραίους οὔσας ἢ τὰς γῆς

ὑπείκειν, τοῦτο ὅταν πυρὸς ἀποχωρισθὲν ἀέρος τε μονωθῇ,

γέγονεν μὲν ὁμαλώτερον, συνέωσται δὲ ὑπὸ τῶν ἐξιόντων              e

εἰς αὑτό, παγέν τε οὕτως τὸ μὲν ὑπὲρ γῆς μάλιστα παθὸν

ταῦτα χάλαζα, τὸ δ᾿ ἐπὶ γῆς κρύσταλλος, τὸ δὲ ἧττον, ἡμιπαγές

τε ὂν ἔτι, τὸ μὲν ὑπὲρ γῆς αὖ χιών, τὸ δ᾿ ἐπὶ γῆς συμπαγὲν

ἐκ δρόσου γενόμενον πάχνη λέγεται.                                          5

                                                       불과 섞인 물은, 

섬세하고 습한 것으로서 흙 위에서 구르는 그 운동과 경로로

인해 습한 것이라 말해지고, 또 이번엔 그 면들이 흙의 면들에

비하여 덜 안정적인 것들로 있기에 유연하다는 점에서 부드러운

것이라 말해지며, 이러한 것이 불 그리고 공기로부터 분리되어

홀로될 때, 더욱 균형잡힌 것이 되었는가 하면, 이탈하는 것들에

의해 자신에게로 함께 압착되어, 그런 식으로 대지의 상공에서

그런 일들을 최대로 겪은 것은 우박으로 응고되었고, 대지의

표면 위에서 그런 것은 얼음으로 되었으며, 그런데 덜 겪고,

아직 반절 정도만 응고된 채로 있는 것은, 또 이번엔 대지의

상공에서는 눈으로, 대지의 표면 위에서 이슬로부터 응결된

것은 서리라고 말해지지요.

                                                τὰ δὲ δὴ πλεῖστα                    5

ὑδάτων εἴδη μεμειγμένα ἀλλήλοις―σύμπαν μὲν τὸ γένος,

διὰ τῶν ἐκ γῆς φυτῶν ἠθημένα, χυμοὶ λεγόμενοι―διὰ δὲ τὰς        60a

μείξεις ἀνομοιότητα ἕκαστοι σχόντες τὰ μὲν ἄλλα πολλὰ

ἀνώνυμα γένη παρέσχοντο, τέτταρα δὲ ὅσα ἔμπυρα εἴδη,

διαφανῆ μάλιστα γενόμενα, εἴληφεν ὀνόματα αὐτῶν, τὸ μὲν

τῆς ψυχῆς μετὰ τοῦ σώματος θερμαντικὸν οἶνος, τὸ δὲ λεῖον            5

καὶ διακριτικὸν ὄψεως διὰ ταῦτά τε ἰδεῖν λαμπρὸν καὶ στίλβον

λιπαρόν τε φανταζόμενον ἐλαιηρὸν εἶδος, πίττα καὶ κίκι καὶ

ἔλαιον αὐτὸ ὅσα τ᾿ ἄλλα τῆς αὐτῆς δυνάμεως· 

                                                             그런데 물들의

대다수 형상들은 서로 섞인 채로―그 유를 통틀어서는, 대지로부터

나오는 식물들을 통해 걸러져서, 과즙이라 말해지는 것들로서―

그 섞임들로 인해 각각의 것들이 비유사성을 지님으로써 여타의

많은 유들은 이름 없이 제시되지만, 불이 내재하는 형상들 네

가지는, 가장 명백한 것들로 생성되면서, 그것들의 이름들을

지녔으니, 신체와 함께 영혼에 열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은 포도주, 

매끄럽고 시선에 대해 분산시키는 것으로서 이러한 점들로 인해

보기에 밝고 빛나며 윤기가 나는 것으로 나타나는 것은 오일이라는

형상이니, 역청과 피마자유와 올리브유 그리고 또한 같은 능력을

지니는 여타의 것들도 그것입니다.

                                                           ὅσον δὲ δια-

χυτικὸν μέχρι φύσεως τῶν περὶ τὸ στόμα συνόδων, ταύτῃ            b

τῇ δυνάμει γλυκύτητα παρεχόμενον, μέλι τὸ κατὰ πάντων

μάλιστα πρόσρημα ἔσχεν, τὸ δὲ τῆς σαρκὸς διαλυτικὸν τῷ

κάειν, ἀφρῶδες γένος, ἐκ πάντων ἀφορισθὲν τῶν χυμῶν,

ὀπὸς ἐπωνομάσθη.                                                                 5

입 전반에 응축된 것들에 대해 본성에 이르기까지 이완시키는

것, 그 능력으로써 달콤함을 제공하는 것은, 특히나 대체로

꿀이라는 호칭을 지니는 한편, 태움으로써 살을 해체시키는

것은, 포말을 일으키는 유로서, 온갖 과즙들로부터 구분되어,

산성액이란 별칭이 붙었습니다.

 

Γῆς δὲ εἴδη, τὸ μὲν ἠθημένον διὰ ὕδατος τοιῷδε τρόπῳ

γίγνεται σῶμα λίθινον. τὸ συμμιγὲς ὕδωρ ὅταν ἐν τῇ

συμμείξει κοπῇ, μετέβαλεν εἰς ἀέρος ἰδέαν· γενόμενος δὲ

ἀὴρ εἰς τὸν ἑαυτοῦ τόπον ἀναθεῖ. κενὸν δ᾿ ὑπερεῖχεν                   c

αὐτῶν οὐδέν· τὸν οὖν πλησίον ἔωσεν ἀέρα. 

그런데 흙의 형상들의 경우, 물을 통해 걸러진 것은 이하와

같은 방식으로 석질의 물체가 됩니다. 그 섞인 물이 그 섞인

와중에 깨지면, 공기의 형상으로 변합니다. 그런데 생성된

공기가 자신의 장소를 향해 상승하지요. 반면 그것들 중

어느 것도 허공은 지니지 않지요. 그리하여 인접한 공기를

밀어냅니다.

                                                        ὁ δὲ ἅτε ὢν

βαρύς, ὠσθεὶς καὶ περιχυθεὶς τῷ τῆς γῆς ὄγκῳ, σφόδρα

ἔθλιψεν συνέωσέν τε αὐτὸν εἰς τὰς ἕδρας ὅθεν ἀνῄει ὁ νέος

ἀήρ· συνωσθεῖσα δὲ ὑπὸ ἀέρος ἀλύτως ὕδατι γῆ συνίσταται             5

πέτρα, καλλίων μὲν ἡ τῶν ἴσων καὶ ὁμαλῶν διαφανὴς μερῶν,

αἰσχίων δὲ ἡ ἐναντία.                                                        //210707

                 그런데 [밀려난] 이 공기는 무거운 것으로 있기에,

밀려나 흙의 덩어리에 쏟아져서, 거기에서 새로운 공기가 상승한

그 자리들로 그 덩어리를 압착하여 몰아부칩니다. 헌데 공기에

의해 몰아부쳐져서 물에 의해서는 해체되지 않는 식으로 흙이

암석으로 구성되고, 동등하고 균형적인 부분들로 된 선명한 암석은

더 아름다운 한편, 이와 반대되는 암석은 더 추합니다.

                             τὸ δὲ ὑπὸ πυρὸς τάχους τὸ νοτερὸν

πᾶν ἐξαρπασθὲν καὶ κραυρότερον ἐκείνου συστάν, ᾧ γένει           d

κέραμον ἐπωνομάκαμεν, τοῦτο γέγονεν· ἔστιν δὲ ὅτε νοτίδος

ὑπολειφθείσης χυτὴ γῆ γενομένη διὰ πυρὸς ὅταν ψυχθῇ,

γίγνεται τὸ μέλαν χρῶμα ἔχον λίθος. 

                                                                    그런데

빠른 불에 의해 수분을 모두 빼앗긴 것은 저것보다 깨지기도 더

쉬운 것으로 구성되어, 도토 류라는 별칭으로 우리가 부르는, 그런

것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습기가 남아서 불을 통해 녹은 흙이 생겨

식을 때, 검은 색을 띤 돌이 생성됩니다.

                                                τὼ δ᾿ αὖ κατὰ ταὐτὰ

μὲν ταῦτα ἐκ συμμείξεως ὕδατος ἀπομονουμένω πολλοῦ,               5

λεπτοτέρων δὲ ἐκ γῆς μερῶν ἁλμυρώ τε ὄντε, ἡμιπαγῆ γενο-

μένω καὶ λυτὼ πάλιν ὑφ᾿ ὕδατος, τὸ μὲν ἐλαίου καὶ γῆς

καθαρτικὸν γένος λίτρον, τὸ δ᾿ εὐάρμοστον ἐν ταῖς κοινωνίαις

ταῖς περὶ τὴν τοῦ στόματος αἴσθησιν ἁλῶν κατὰ λόγον                e

[νόμου] θεοφιλὲς σῶμα ἐγένετο. τὰ δὲ κοινὰ ἐξ ἀμφοῖν

ὕδατι μὲν οὐ λυτά, πυρὶ δέ, διὰ τὸ τοιόνδε οὕτω συμπήγνυται.

                                                   그런데 이번엔 같은 방식에

따라 많은 물과의 혼합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것들이

남겨지는데, 흙의 더 섬세한 부분들로 이루어진 짠맛인 것들로 있으며,

반 정도 응고되고 물에 의해 다시 분해되는 두 가지 것들로서, 한편은

올리브유와 흙을 씻어내는 소다 류이고, 다른 한편은 입의 지각에

관련된 결합들에서 잘 조화될 수 있는 것으로 [관습적인] 말에 따르면

신의 사랑을 받는 물체인 소금이 되었지요. 그런데 양자(흙과 물)로부터

나온 결합들은 물에 의해서는 해체될 수 있는 것들이 아니지만, 불에

의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으로 인해 그런 것으로 구축되어 있습니다.

γῆς ὄγκους πῦρ μὲν ἀήρ τε οὐ τήκει· τῆς γὰρ συστάσεως

τῶν διακένων αὐτῆς σμικρομερέστερα πεφυκότα, διὰ πολλῆς          5

εὐρυχωρίας ἰόντα, οὐ βιαζόμενα, ἄλυτον αὐτὴν ἐάσαντα

ἄτηκτον παρέσχεν· τὰ δὲ ὕδατος ἐπειδὴ μείζω πέφυκεν μέρη,

βίαιον ποιούμενα τὴν διέξοδον, λύοντα αὐτὴν τήκει. 

흙의 덩어리들을 불과 공기는 녹일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그

[흙의] 구조 자체의 틈들보다 그것들[불과 공기]이 본디 더 작은

부분들로 되어있어서, 많은 열린 자리를 통과해 진행하면서,

강제를 행사하지 않음으로써, 그 [흙의] 구조를 해체되지 않은

것으로 내버려 두어서 녹지 않을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물의 부분들은 본디 더 크게 타고났는지라, 강제로

통로를 만듦으로써, 그 [흙의] 구조를 해체시켜 융해시킵니다.

                                                                    γῆν

μὲν γὰρ ἀσύστατον ὑπὸ βίας οὕτως ὕδωρ μόνον λύει,              61a

συνεστηκυῖαν δὲ πλὴν πυρὸς οὐδέν· εἴσοδος γὰρ οὐδενὶ πλὴν

πυρὶ λέλειπται. τὴν δὲ ὕδατος αὖ σύνοδον τὴν μὲν βιαιο-

τάτην πῦρ μόνον, τὴν δὲ ἀσθενεστέραν ἀμφότερα, πῦρ τε

καὶ ἀήρ, διαχεῖτον, ὁ μὲν κατὰ τὰ διάκενα, τὸ δὲ καὶ κατὰ              5

τὰ τρίγωνα· βίᾳ δὲ ἀέρα συστάντα οὐδὲν λύει πλὴν κατὰ

τὸ στοιχεῖον, ἀβίαστον δὲ κατατήκει μόνον πῦρ. 

                                                              왜냐하면

강제에 의해 구조화되지 않은 흙은 그런 식으로 오직 물만이

해체시키는 반면, 구조화되어 있는 것은 불 외에는 아무것도

해체시키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불 외에는 그 무엇에게도

유입로가 남지 않았으니 말이지요. 헌데 이번엔 물의 가장

강제적[으로 이루어진] 수축은 오직 불만이, 그보다 더 약한

수축은 불과 공기 양자 모두가, 해산시키니, 한편[공기]은

빈곳들을 따라, 다른 한편[불]은 삼각형들로 그리 합니다.

그런데 강제로 구조화된 공기는 요소로 해체시키는 것 말고는

아무것도 해체시키지 못하고, 강제되지 않은 공기는 오직

불만이 해체시킵니다.

                                                              τὰ δὴ τῶν

συμμείκτων ἐκ γῆς τε καὶ ὕδατος σωμάτων, μέχριπερ ἂν

ὕδωρ αὐτοῦ τὰ τῆς γῆς διάκενα καὶ βίᾳ συμπεπιλημένα κατ-         b

έχῃ, τὰ μὲν ὕδατος ἐπιόντα ἔξωθεν εἴσοδον οὐκ ἔχοντα μέρη

περιρρέοντα τὸν ὅλον ὄγκον ἄτηκτον εἴασεν, τὰ δὲ πυρὸς

εἰς τὰ τῶν ὑδάτων διάκενα εἰσιόντα, ὅπερ ὕδωρ γῆν, τοῦτο

πῦρ [ἀέρα] ἀπεργαζόμενα, τηχθέντι τῷ κοινῷ σώματι ῥεῖν              5

μόνα αἴτια συμβέβηκεν· 

                           그래서 흙과 물로부터 혼합된 물체들의

경우들에서, 그 [혼합된] 물체의 물이 흙의 빈곳들을 설령 강제로

압착된 것들이라 할지라도 점유하는 한, 외부로부터 향해 오는

유입로를 지니지 못하는 물의 부분들은 그 덩어리 전체를 둘러

흐르면서 [그 물체를] 해체되지 않은 것으로 내버려 두는 한편,

불의 부분들은 물의 빈자리들로 들어감으로써, 물이 흙에 실현하는

바로 그 일을, 불로서 [공기에게] (Cornford, 물에게) 실현함으로써,

해체된 결합-물체로 하여금 흐르도록 하는 유일한 원인으로

귀결되었습니다.

                               τυγχάνει δὲ ταῦτα ὄντα, τὰ μὲν

ἔλαττον ἔχοντα ὕδατος ἢ γῆς, τό τε περὶ τὴν ὕαλον γένος

ἅπαν ὅσα τε λίθων χυτὰ εἴδη καλεῖται, τὰ δὲ πλέον ὕδατος          c

αὖ, πάντα ὅσα κηροειδῆ καὶ θυμιατικὰ σώματα συμπήγνυται.

그런데 마침 이러한[흙-물 혼합] 것들이 있으니, 그 한편으로

흙의 일부보다 더 적은 물의 일부를 지니는 것들은, 유리를

포함하는 부류 전부와 돌들 중 녹을 수 있는 형상들로 불리는

것들이고, 다른 한편으로 이번엔 물의 일부를 더 많이 가지는

것들은, 밀납류와 향으로 피울 만한 물체들로서 응고된 것들

모두입니다.

 

-蟲-

 

같은 크기의 a, b, c가 있다. a는 정지해 있고, b와 a는 등속운동을 하면서 서로 같은 속력으로 반대방향에서 동시에 c를 지나가면서 서로를 지나치고 있다. 이 경우 c는 b 전체를 통과하는 시간 동안 a의 절반을 지난다. c의 속도를 1m/s라고 가정해 보자. 그리고 a, b, c의 크기는 4m라고 가정해 보자. 이 경우 c는 1m/s의 속력으로 4초 동안 4m의 거리를 이동한다. 그리고 바로 이 동일한 운동을 통해 2초 동안 a의 절반인 2m를 이동하는 동시에, b의 전체 크기인 4m를 통과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에 대해 제논은 두 배의 시간이 절반의 시간과 같은 시간이 된다고 지적하며 이를 역설로 제시한다. 여기에서 운동하는 물체 c는 단일한 물체이며 그것의 운동 또한 단일하다. 그래서 c는 1m/s의 속력으로 2초 동안 2m를 통과한 동시에 4m를 통과하게 되고, 같은 속력의 단일한 운동이 두 가지 서로 다른 거리를 통과하게 된다. 이제 c가 a를 통과한 측면에서 c는 1m/s의 속력으로 2초 동안 2m를 지나갔고, (a) 이 속력으로 4m를 지나가는 데에 걸리는 시간은 4초가 될 것이다. 다른 한편 c가 b를 통과한 측면에서 (b) c가 크기 4m인 b 전체를 지나가는 데에 걸린 시간은 2초이다. (a)와 (b) 각각에 소요되는 시간은 서로 절반과 두 배라는 비례를 가진다. 그러나 (a)에서의 속력과 (b)에서의 속력은 모두 단일한 운동체 c의 단일한 운동에서 측정된 속력일 것이다. 따라서 바로 이 단일한 속력으로 4m를 지나가는 데에 걸리는 두 가지 시간, 절반의 시간과 두 배의 시간은 한 운동체의 한 운동에 속한 동일한 시간이다. 같은 속도로 반대방향에서 이동하는 b에 대해서도 c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상황이 발생하며, 정지해 있는 a에 대해서는 두 물체가 a의 절반을 지나는 데에 걸린 바로 그 똑같은 시간 동안에 a 자신과 똑같은 만큼의 크기(연장, 거리)를 지나는 일이 발생한다. 여기에서 역설이 발생하는 지점은 고려되고 있는 물체 각각의 자기동일성과 그 단일한 각 물체에 고유한 운동의 또 역시 개개의 자기동일성이 논리적으로 엄격하게 보존되는 한에서, 자기동일적인 단일한 물체에게 그 자신에 고유한 절대적 운동과 상대적 운동이 동시에 귀속될 수 없다는 데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정지해 있는 물체를 통과하는 일과 마주 오는 운동을 하고 있는 물체를 통과하는 일이 한 물체에게 동시적으로 발생한다는 것이 역설 발생의 전제조건일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이 모든 물체에 일반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무한하게 펼쳐진 것으로서 소위 절대공간과 절대시간이 한편으로 가정되고, 다른 한편으로 그 안의 모든 물체들의 운동이 상대적으로 규정될 수 있다는 점이 또한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각기 독립적으로 고정된 절대시간과 절대공간이 전제되어 있을 경우, 이 안에서 모든 물체 각각은 자신의 고유한 운동을 이러한 시공간을 척도로 하여 측정받을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구분되는 방식으로 임의의 운동하는 물체를 기준으로 하여 각각의 물체의 고유한 운동이 상대적으로 측정될 수도 있다. 이 상대적인 측정의 경우에도, (아마도) 제논 당대의 통념에 따르자면 각 물체의 크기(연장)는 절대적인 것으로서 주어져 있을 것이므로, 절대속도에 대한 상대속도의 차이는 거리로서의 크기나 연장을 통해서가 아니라 절대시간과 상대시간의 차이에서 비롯될 것이다. 단적으로 무한하게 전개되어 있을 뿐인 유클리드식의 절대공간 개념이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었다고 단언하기는 어려우나, 그러한 무한한 연장을 지성적으로 파악되는 잠재적인 양(量)으로 간주하는 발상은 아리스토텔레스에게서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어떤 대상을 그 자체로 고려할 때와 다른 어떤 것과의 관계 속에서 고려할 때 같은 대상이 서로 (심지어는) 양립불가능한 방식으로 상충되는 것처럼 생각되거나 서술되기도 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적어도 플라톤부터 (대표적인 예로는 『소피스트』에서라든지) 명시적으로 의식하고 문제를 제기하고 있기도 하다. 파르메니데스의 관점에서 보자면 자체적이고 독립적이며 자기동일적인 것만이 논리적으로 필연적으로 '있는 것'일 수 있고, 이러한 점에서 있는 것은 하나이고 이것과 구분되는 제2, 제3의 것은 상정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상대항이 없이는 성립할 수 없는 상대적 관점도 자연스럽게 부정될 것이다. 만일 운동이라는 현상과 개념이 성립하는 데에 상대적인 관점(또 이것의 성립근거로서 상대항)이 불가피하다면, 이 상대적인 관점이 유발하는 문제를 지적함으로써 운동을 부정하는 논변을 제시하는 것으로 제논의 역설을 이해해볼 여지도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좀 더 나아가 보자면, 운동체의 운동이 측정되기 위해서는 결국 최소한 그 운동체와 구분되는 것으로서 이 운동체의 운동을 측정할 기준이 별도로 전제되어야만 하며, 그것이 앞서 언급한 절대공간이나 절대시간 같은 것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오직 일자만을 유일한 존재자로 인정할 경우 이와는 구분되는 것으로서 공간이나 시간을 따로 상정하는 일은 이러한 일원론과 양립하기 어렵다는 점을 이미 파르메니데스가 보여주었다고 해석할 여지가 있다. 또한 그렇게 전제된 절대공간이나 절대시간이 지금 고려되는 유일한 운동체의 그 고유하고 단일한 운동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끔 그렇게 무한한 것으로서 정지해 있다고 단언할 논리적 근거를 마련하기도 어려울 것이다. 이를 고려하면 c의 진정하고 본질적이며 고유한 단 하나의 운동을 a를 통과하는 운동으로 볼 것인지 아니면 b를 통과하는 운동으로 볼 것인지 결정할 수 없게 되고, 이 역시 운동 개념에 내재하는 역설로 생각해볼 여지가 있을 것이다. 기준이 되는 운동이 (a)인지 (b)인지는 어떤 추가적인 형이상학적 전제를 일방적으로 강요하지 않는 한 결정될 수 없을 것이다. 

 

-蟲-

"[자신과] 같은 만큼의 양인 것을 두고 그것에 걸쳐 있을 때 [그러한] 모든 것은 항상 멈추어 있다면, 그리고 이동되고 있는 것은 항상 지금 안에 있다면, 이동되고 있는 화살은 운동하지 않은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 『자연학』 6권 9장 239b5-7.

 

일정한 크기(연장)를 점유하고 있으면서 그 점유하는 크기에 변화가 없는 것은 멈추어 있다.

그렇다면 멈추어 있지 않은 것, 즉 움직이는 것은 그 점유하는 크기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점유하는 크기가 그 크기 자신과 같은 경우에는 운동하지 못하고 멈추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 어떤 것이 '지금' 안에 있을 때 그것은 지금 그것이 점유하고 있는 바로 그 만큼의 연장을 점유하고 있다.

또한 지금 그것이 점유하고 있지 않은 어떤 연장도 점유하고 있지 않다.

그것은 지금 그것이 있는 그 자리에 있고 다른 어디에도 있지 않다.

그래서 '지금' 안에 있는 것은, 지금 같은 만큼의 양인 것을 두고 그것에 걸쳐 있으며, 그러한 한에서 멈추어 있다.

 

그러나 이동되고 있는 것은 항상(매번) '지금' 안에 있다.

이동되고 있는 것이 '지금' 안에서 이동되고 있지 않다면,

그것은 이미 이동된 것으로서 '지금'은 멈추어 있을 것이거나,

장차 이동될 것으로서 '지금'은 아직 멈추어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동되고 있는 화살은 '지금' 이동되고 있으면서도, 또한 같은 만큼의 양인 것을 두고 그것에 걸쳐 있으며 따라서 멈추어 있기도 하다.

 

주어진 문장만을 놓고 보자면 "같은 만큼의 것에 걸쳐 있을 때 모든 것은 항상 멈추어 있다"와 "이동되고 있는 것은 항상 지금 안에 있다" 두 조건이 충족될 경우, 이동되고 있는 것이 운동불가능하다는 역설이 발생한다. "지금 안에 있다"는 것을 "같은 만큼의 것에 걸쳐 있다"를 함의하는 표현으로 읽기 위해서는 지금 있는 것이 지금 차지하고 있는 연장 만큼의 것 이외에 다른 어떤 연장도 점유하지 않는다는 점을 추가하면 된다. "지금 있는 것"은 그것이 지금 있는 바로 그 자리에 있을 것이며, 그 외의 다른 어디에도 있지 않을 것이다. 지금 있는 그 자리에 있으면서 그와 동시에 다른 어떤 자리에도 또한 있기란 불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자연스럽게 상식적으로 받아들여진다면, "지금 안에 있다"라는 것이 어떻게 "같은 만큼의 크기를 점유하고 있다"라는 것을 함의할 수 있는지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지금 안에 있다"라는 것은 이러한 맥락에서 "멈추어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진행형으로 운동 중에 있는 것, 단적으로 말해 '움직이는 것'은 다른 어느 때가 아니라 지금 움직이고 있어야 "움직이고 있다"라고 이야기될 수 있다. 문제는 다시, 그러한 움직이고 있는 것이 '지금' 움직이고 있기 위해서는 지금 점유하고 있는 연장에서는 벗어나고 있어야 하고 또한 동시에 앞으로 점유하게 될 연장에 대해서는 아직 점유하지 않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곧 자신이 지금 있는 곳에는 있지 않고 그러면서도 자신이 지금 있지 않은 곳에는 있어야 하는 상황이 되며, 이 역시 날아가고 있는 화살이 멈추어 있다는 역설에 관련된다.

 

지금 있는 것이 지금 차지하고 있는 바로 그 만큼의 연장만을 차지한다는 숨은 전제를 추가하는 것은 크게 작위적이거나 과격한 논증재구성으로 보이지 않는다. 지금 있는 것은 지금 그것이 있는 바로 그 자리에 있다는 생각이 자연스럽다면 이것을 제논의 역설에 일상적인 경험적 믿음으로 포함시키는 데에 엄청난 해석적 부담이 뒤따른다고 볼 이유가 없다. 

 

반면, "같은 만큼의 것에 따라 있을 때(ὅταν ᾖ κατὰ τὸ ἴσον)"가 "지금 안에 있다(ἔστιν ... ἐν τῷ νῦν)"와 같은 것이라고 보자는 제안은 이해하기 어렵다. "같은 만큼의 것에 따라 있을 때"를 "같은 만큼의 연장을 점유하고 있을 때"라고 이해하는 일에 동의한다면, 그리고 이것이 어떤 것이 정지해 있기 위한 조건임을 받아들인다면, 해당 표현을 특정한 장소 혹은 거리 등의 공간적 연장을 점유하고 있다는 의미 외에 다른 식으로 해석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런데 같은 만큼의 연장을 점유한다는 것은 한 순간에 대해서도 일정 기간 동안에 대해서도 말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멈추어 있는 것은 어떤 한 순간 멈추어 있을 수도 있고 일정 기간 동안 멈추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같은 만큼의 연장을 점유하고 있다는 것만으로 "지금 안에 있는 것"이 되는 것이라 말할 수는 없다. 고대 그리스의 시간관이 운동을 존재론적으로 더 앞서는 것으로 놓고 시간이나 거리 따위를 이러한 운동을 측정할 때에 비로소 뒤따라 나오는 것으로 간주하였을 수도 있으나, 이러한 이해를 해당 역설에 끌어들여 적용시킬 이유와 근거는 해당 해석을 주장하는 측에서 제시해야 한다. 또한, 파르메니데스의 단편을 고려하면, 시간은 있었던 것과 있는 것 그리고 장차 있을 것 사이의 구분이 있을 때 성립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공간적 운동을 떠올릴 아무런 이유도 없다. 있었던 것이 지금 있지 않거나, 지금 있는 것이 앞으로 있지 않을 것이라거나 하는 것, 즉 생성이나 소멸은 시간의 선후를 구분할 수 있다면, 그러한 선후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한편에서는 있는 것이 그리고 다른 한편에서는 있지 않은 것이 상이하게 상정될 수 있다면, 이러한 조건에서 충분히 이야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운동하지 않고(점유하고 있는 연장과는 다른 연장을 점유하게 되지 않고) 멈추어 있는 것에 대해 시간 상의 구분(순간과 기간)을 적용시킬 수 없다거나 시간 개념 자체가 그것에 대해 이야기될 수 없는 주장은 억지스럽다. 그리고 다시금, 상식적인 경험에 따라 가만히 멈추어 있는 것에 대해 움직이다가 멈추어 서게 된 것, 그리고 멈추어 있다가 움직이기 시작한 것이 모두 상호 구분될 수 있으며, 이것들 각각에 대해 멈추어 있다는 말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언제부터 언제까지 멈추어 있는지, 언제까지 멈추어 있다 움직이기 시작하는지, 언제까지 움직이다가 언제 멈추었는지를 모두 유의미하게 말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동일한 양의 연장을 점유하고 있을 때"는 "지금" 혹은 "지금 안에 있다"와 동일시될 수 없다. 역으로, "지금 안에 있다"는 것은 "동일한 양의 연장을 점유하고 있을 때"의 한 사례일 수 있다. 지금 안에 있는 모든 것은 지금 점유하고 있는 바로 그 만큼의 동일한 연장을 점유하고 있고, 그 점에서 지금 바로 그 순간에는 자신의 자리에 머물러 있고 그래서 멈추어 있다. 지금 있는 것이 지금 차지하고 있는 연장을 점유하는 동시에 그 연장 외의 (자신이 점유하고 있지 않은) 연장까지도 함께 점유하고 있을 수는 없으므로, 그것은 멈추어 있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리고 '지금'에 속해 있는 것이 이런 식으로 '지금 점유하고 있는 바로 그 만큼의 연장을 가지고' 지금에 속해 있다는 내용을 추가하지 않고서는, 왜 지금 움직이고 있는 것이 또한 멈추어 있다고 말할 수밖에 없는지를 유의미하게 설명하기 어렵다. 

 

또한 움직이고 있는 것(τὸ φερόμενον)은 멈추어 있지(ἠρεμεῖ) 않은 것이고, 모든 것은 같은 양을 점유하고 있을 때(ὅταν ᾖ κατὰ τὸ ἴσον) 언제나 멈추어 있다. 그렇다면 도대체 무슨 이유로, 움직이고 있는 것이 '언제나(αἰεί)' 지금 안에(지금 내가 반대하는 해석에 따르자면, '같은 양을 점유하고 있는 때' 안에) 있다는 조건을 받아들여야 하는가? "지금"이 "같은 양을 점유할 때"와 의미 차이가 없다면 두 번째 조건을 독자가 수용할 아무런 이유가 없다. 오히려 움직이는 것은 언제나 "지금" 안에 있다는 것은 일상적인 의미에서 발화되었을 때, 즉 이전이나 이후가 아니라 지금 현재 진행형으로 움직이고 있을 때 그것이 움직이고 있는 것이라는 단순히 그 의미에서 이해되었을 때 비로소 수용할 만한 조건이 된다. 그래서 더욱이 "지금"이라는 것이 아무런 보충이나 해석 없이 "같은 연장을 점유할 때"와 동일시될 수는 없으며, "지금"이라는 시간과 그 시간에 점유할 수 있는 연장 사이의 관계가 모종의 방식으로 이해될 때, 이를 매개로 하여 화살 역설이 역설로 성립할 수 있게 된다.

 

어찌 되었든지간에, 도대체 뭘 어떻게 읽어야 "같은 연장을 점유할 때"가 곧장 "지금"이 되는지 전혀 이해할 수 없고, 설령 그것이 가능하더라도 그런 식의 "지금" 안에 움직이는 모든 것이 속한다는 조건을 받아들일 이유를 전혀 알 수 없으며, 이 두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주어진 문장만으로 가능하다는 의견에 동의할 수도 없다. 따라서 이러한 부담들을 짊어지느니 "지금"을 기간을 설정할 수 없는 순간(moment)으로 이해하여 바로 그 순간에는 그 당시에 점유한 연장 이외의 다른 연장을 점유할 수 없단 점을 연결시키고, 또한 동시에 이 불가분하고 양을 가지지 않는 '순간'과 현재 진행형의 운동하는 물체에게 지속적으로 적용되는 '지금', 운동의 경과와 함께 계속 진행하는 그러한 '지금'을 일상인들이 혼동하는 데에서 오는 문제를 제논이 역설로 구성하여 제기하고 있다고 보는 편이 훨씬 설득력 있는 해석이라 생각된다.

 

-추가하자면, 제논의 첫 번째 조건은 "같은 연장을 점유한다"를 "장소 변화가 없다"라는 의미로 이해하면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만한 전제가 된다. 반면 두 번째 조건은 "지금 안에 있다"라는 것을 두고, 움직이고 있는 것은 언제 움직이고 있는지를 물을 때 우리가 답할 만한 것, "그건 '지금' 움직이고 있다"라고 말할 때의 그러한 '지금'이라 이해할 때에 수용할 만한 전제가 될 것이다. 움직이는 것은 언제나 '지금' 움직이고 있다. 왜냐하면 '지금'이 아닌 다른 때에 움직이고 있는 것은 엄밀한 의미에서 "움직이고 있는 것(현재진행형으로)"이 아닐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장소 변화가 없는 것은 멈추어 있다는 전제와, 움직이고 있는 것은 '지금' 움직이고 있다는 전제, 두 가지 자연스럽게 수용할 만한 전제를 동시에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수용 이후, 그러나 '지금'이라는 표현이 바로 그 '지금' 이전도 그 이후도 아닌 바로 그 한 순간의 '지금'을 특정하는 의미로도 이해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역설이 성립하게 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규정을 가져와 보자면 과거의 끝이자 미래의 시작이 되는 그 둘 사이에 있는 단일한 경계가 '지금'이다. 그런데 '지금'을 이러한 식으로 이해하는 일 역시 쉽사리 부정할 수는 없다. 있는 것은 지금 있는 중이며, 있었던(지금은 이미 있지 않은) 것과도 다르고 있을(지금은 아직 있지 않은) 것과도 다르다. 그리고 그렇게 지금 있는 것은 지금 있는 바로 거기에 있으며, 그렇게 차지하고 있는 바로 그 만큼의 같은 양의 연장만을 점유하고 있다. 그래서 움직이고 있는 것이 지금 움직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금 바로 거기에 있기도 하다면, 그것은 아직 차지하지 않은 연장을 차지하고 있는 중도 아니고 이미 점유하고 있던 연장에서 벗어나고 있는 중도 아니며, 같은 양의 연장을 그대로 점유하고 있기 때문에 멈추어 있는 것이 되어 버린다. 아리스토텔레스라면 여기에서 운동과정을 거치는 운동체와 함께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지금'을 특정 시점으로서 그 이전의 끝이자 그 이후의 시작이기도 한 일종의 '경계로서의 지금'과 구분해야 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러나 제논의 경우에는, 그가 파르메니데스의 철학적 입장을 공유한다면, 지금 있는 곳에는 있지 않으면서 또한 지금 있지 않은 곳에는 있기도 해야 비로소 가능한 운동(장소이동) 자체를 부정할 것이다. 또한 과거의 끝이면서 미래의 시작이기도 한 그러한 모순적인 무언가로서 시간을 분할하도록 만드는 시점이나 순간, 지금 따위 역시 부정할 것이다. 장소 이동을 부정하는 논지도 시간의 선후 구분을 부정하는 논지도 파르메니데스의 소위 「진리」편에서 찾아볼 수 있으므로, 이러한 논변의 연장선상에서 제논의 역설을 이해해 보는 것은 그 둘을 '엘레아 학파'로 묶어 취급하는 당대의 보고와 정합적인 접근방식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 '같은 연장을 점유할 때'와 '지금'을 같은 것으로 간주하자는 제안이 무슨 이야기인지 여전히 이해할 수 없다. 지극히 호의적으로 이해를 시도해 보자면, 시간 또한 공간처럼 일종의 연장으로 간주해서 같은 연장을 공유한다는 것이 같은 공간에 머무른다는 의미만이 아니라 같은 시간을 점유하고 있다는 의미 또한 된다고 보고, 같은 시간을 점유하는 것을 지금 안에 혹은 현재에 있다는 것으로 이해하여 이를 앞서 '같은 연장을 점유할 때'와 마찬가지로 정지해 있을 조건을 충족시킨 상황으로 보자는 것이라 생각된다. 그런데 이 경우 "시간이 연장의 일종이다"라는 것은 주어진 문장에서 표현된 것도 아니고 '지금'을 '같은 시간 연장을 점유하는 것'이라 표현한다는 것도 전혀 자연스럽지 않다. 더구나 움직이고 있는 것이 '같은 시간 연장을 점유하는 것'을 '언제나(αἰεί)' 그러하다고 말한다는 것은 훨씬 더 받아들이기 어렵다. 예를 들어 이 '같은 시간 연장'이 오후 10시부터 11시까지의 시간량 같은 것이라 쳐보자. 이 시간양을 변화시키지 않고 딱 그 만큼을 그대로 점유하고 있는 것이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 것이라 이야기될 수 있는가? 움직이고 있는 것이 '항상 지금 안에 있다'고 말할 때 '지금'이란 바로 그 운동이 수행되고 있는 그 동시적인 시간, 시점이다. 이런 해석 제안이 이상하고 이해하기 어렵다는 점을 차치하더라도, 이런 해석은 내가 제안하는 해석과 마찬가지로 없는 얘기를 끌어다 붙이지 않고는 성립하지 않는다. 지금이라는 바로 그 순간에는 어떤 것이 점유하고 있는 바로 그 연장 외에 다른 연장은 점유할 수 없다는 전제를 개입시키는 것이 아리스토텔레스의 보고 이외의 추가적인 외삽을 시도하는 일이라면, 시간이 연장의 일종이고 그래서 지금 안에 있는 것은 곧 같은 연장을 점유하는 것이라는 식의 해석도 결국은 외삽에 불과하다. 후자는 외삽이 아니고 주어진 문장만으로 가능한 논증재구성이라는 주장이 도대체 어떻게 성립하는지 알 수 없다. 

 

-蟲-

2014.4.16.

0. 소피스트는 모든 것에 관련하여 논박을 해내는 자로 여겨진다. 설령 상대가 해당 주제의 전문가라 할지라도 소피스트는 여전히 논박에 성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무언가에 대해 그것을 모르는 자가 그것을 아는 자를 논박한다는 것은 건전한(정상적인) 일이 아니다. 그러나 다시, 소피스트가 말 그대로 '모든 것'을 완전히 안다는 것은 받아들이기 어렵다. 왜냐하면 한 개인이 모든 것을 알기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아마도 여기에서 불가능한 앎이란, A의 전문가가 바로 이러한 정의에 입각하여 ~A인 B를 아는 일의 양립 불가능성일 것으로 보인다. 소피스트는 소피스트술이라는 단일한 기술의 담지자로서 바로 이 기술 이외의 어떤 기술에 대해 소피스트라는 해당 기술로써 알거나 저 기술을 사용할 수 없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예를 빌리자면, 누군가가 의사이자 동시에 건축가라 하더라도 그가 건축을 하는 동안에 그는 부수적으로만 의사일 뿐이다.) 따라서 그는 모든 것 각각을 그 자체로 아는 것이 아니지만, 그럼에도 그 모든 것을 아는 것처럼 사람들에게 '여겨지는' 자이다. 이는 마치 화가가 그림으로 무엇이든 모방할 수 있고 또 누군가가 거울을 들고 다니며 무엇이든 거기에 반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어린아이들이 아무것이나 가지고서 그것을 집으로도 신으로도 이름붙여 소꿉놀이를 할 수 있는 것과 같은 경우일 수 있다. 그는 모든 것 각각을 그 자체로서 실제로 아는 것이 아니라, 원본이 아닌 일종의 상을 취급하는 자일 수 있다. 그가 상에 대해서는 아는 것인지, 아니면 아는 자를 원본으로 하는 상을 취급하는 것인지는 불분명하다. 어쨌든 원본이 아닌 상을 고려할 때, 비로소 소피스트가 그 자신의 소피스트술이라는 단일한 기술만으로 일체의 모든 것을 전부 다 아는 것처럼 드러나고 여겨지는 사태를 설명할 여지가 생긴다. 그러나 상이라는 것 그 자체가 다시금 문제를 발생시키는데, 이것은 원본이 아니면서도 또한 원본 이외의 다른 무언가를 닮은 것도 아니고 바로 그 원본을 닮은 무언가이다. 일견 상은 원본과 별도로 그 자체로는 아무것도 아닌 것처럼 여겨지며, 그럼에도 상은 아무것도 아닌 것이 아니라 원본과 닮은 그러저러한 무언가이기는 하다. 그것은 원본을 모방하는 것인데, 이러한 모방은 그 모방의 대상인 원본 없이 설명되기 어려워 보인다. 각각의 상은 저마다 그것이 모방하는 자신의 고유한 원본과 관계를 가질 것이나, 그렇다면 상 그 자체는 무엇을 모방하는지 특정할 수 없다. 상 자체는 모든 상들의 총체가 아니며, 그럼에도 이 상의 규정에 참여하지 않고서는 개별적인 상 각각이 상으로서 성립할 수도 없다. 그런데 이러한 상은 원본, 진정으로 있는 그대로 어떤 무언가인 바의 것, 이러한 참된 것에 대해 그것이 아닌 것, 그러한 원본으로 있지 않은 것, 그렇다고 해당 원본 이외의 것이지도 않은 것, 그래서 아무것도 아닌 것이다. 그런데 이 '아무것도 아닌 것,' '참이 아닌 것,' '있지 않은 것'도 상의 경우와 유사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일상적으로 부정은 그 부정의 대상에 의존적으로 성립하고 서술된다. A가 아니거나 B가 아닌 것은 말할 수 있고 설명할 수 있지만, '아닌 것'을 그 자체로 놓고 가리키거나 생각할 수는 없다. 그것은 지시, 언표, 사유를 허용하지 않으며 이러한 불가능성들이 서술되는 주어로서 성립할 수도 없다. 아무것도 아닌 것, 있지 않은 것, 이러한 것을 그 자체로 고찰할 수 없기에, 있는 것들 사이의 관계에서 이것에 해당하는 다른 무언가를 찾는 시도가 이루어진다. 그 결과 어떤 것과 그 외의 것이 다르다는 관계에서, 이 '다른 것'을 통해 무엇 아닌 것을 설명할 가능성이 확보된다. 그런데 여기서 다르다는 것은 모든 것 각각에 무차별적으로 서술된다. 각각은 어떤 무언가로 있는 한에서 그 자신 이외의 모든 것들과 다르다. 그리고 이러한 나머지 모든 것들이 다시금 각각의 자신 이외의 것인 저것과 다르며, 모든 것들이 모든 것들과 이러한 관계에 놓인다. 이 모든 것들, 무엇인 바의 것이며 그러한 것으로 있는 모든 것들조차, 있는 것 그 자체와 이것에 참여함으로써 있는 것이라 불리는 것들로 구분될 것이고, 있는 것 자체가 여타의 있는 것들이 있는 그러한 식으로 있지 않고 이런 것들과 다른 것이 되어 결국 그 자체가 있지 않은 것이 되어 버리거나, 아니면 있는 것 자체 외에는 다른 어떤 것이든 모두 있지 않은 것이 되어 버릴 것이다. 이 경우, 큰 것 자체와 여기에 참여해 큰 것들 사이에서 성립하는 다르다는 것과, 큰 것들(큰 것 자체와 참여자들 모두를 아우르는) 전부에 대비되어 크지 않은 것들(같은 크기이거나 더 작은 것들) 사이에 적용되는 다르다는 것의 구분이 필요하다. 이 구분은 자체적으로 어떤 무엇으로 있다는 것과 상대적으로 참여를 통해 어떤 무엇으로 있다는 것의 구분을 통해 우회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이중의 용법을 지닌 '있는 것'에 대해 바로 이것과 다른 것, 즉 다른 것 자체에서 있는 것을 상대로 하는 특정 부분을 '있는 것에 대해 다른 것'으로 재규정함으로써 논의에 필요한 구분을 마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여전히, 다른 것은 '언제나 다른 것에 대해 말해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다른 것은 어떤 무엇과 다른 것일 뿐, 그 자체로 아무런 대상도 없이 절대적, 독립적으로 다른 것일 수는 없는 것처럼 보인다. 이러저러한 여러 '다른 것들'은 앞서 상의 경우에도 그러했듯 저마다의 비교대상을 지니고 그것에 의존적으로 규정될 것이다. 그러나 이 모든 다른 것들이 그것에 참여함으로써 비로소 다른 것이라고 불리게 되는 바, 다른 것 그 자체의 경우에는, 이 역시 앞서와 마찬가지로, 어떤 특정한 무엇과 다른 것일 수도 없고 자신 이외의 모든 것들에 상대적으로 다른 것이라고도 말할 수 없다. 이 문제는 움직이는 것의 경우에도 유사한 방식으로 발생한다. 움직이는 것(질적 변화와 공간 이동, 그 외 생성과 소멸까지 일체의 운동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에서)은 규정상 그 자체로 움직이지 않는 것일 수 없고 그래서 고정되지 않을 것이며, 이러한 연속적인 변화로 인해 자기 자신과의 동일성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조차 없을 것이다. 그리고 만일 그렇다면, 이것은 고정적으로 명명될 수도 없고 지시되거나 사유될 수조차 없을 것이다. 그러나 어쨌든 움직이는 것이 있으며 우리는 움직이는 것들을 말하거나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이것들은 움직이지 않는 것들과도 구분되고 움직이는 것과 다른 것들과도 구분된다. 또한 정지한 것 그 자체를 놓고 말하자면 이와 가장 반대되는 것으로서 매우 분명한 관계를 통해 대극점으로서 지시되고, 그래야만 한다. 정지한 것에 대해, 움직이는 것은 그 정지한 것에 고정적으로 반대된다. 운동하는 것 그 자체만을 놓고 보자면 이러한 고정성은 운동하는 것에 적용되거나 그에 대해 서술되지 않아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그런데 이것이 어떻게 어떤 무엇인 바의 것으로 있으면서 다른 무언가의 대극점으로, 또한 자신 이외의 것에 안정적으로 참여하는 참여자로도 사유되고 서술될 수 있는지는 설명하기가 어렵다. 이는 말(onoma와 rhēma의 결합물인 logos)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물론 이를 구성하는 이름(onoma)과 표현(rhēma)도 같은 문제를 겪게 된다. 말은 무언가에 관한 것이며 아무것에 관해서도 전혀 말하지 않는 것은 말로 성립조차 할 수 없다. 따라서 아무것도 아닌 것에 관한 말은 불가능하다. 이름도 무언가의 이름이며, 표현도 무언가에 대한 표현이라는 점에서 이와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이러한 것들이 그 자체로 생각되거나 이야기될 때, 바로 이 경우 이것들이 지시하거나 표현하는 바의 것은 특정될 수 없다. 이 문제의 성격은 앞서 상에 대해 논했던 문제와 같다. 그리고 거짓 역시도 같은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참인 말은 그 말의 이름, 주어가 대상을 가리키고 나면, 바로 그 대상에 관련하여 그것에 관련한 있는 것들을 이어서 서술한다. 반면 거짓말은 자신의 대상에 관련하여 그것에 관련한 있는 것들과 다른 것들을, 주어가 지시하는 것에 관련한 있지 않은 것들을 바로 그 주어에 관련하여 이어서 서술한다. 그런데 주어에 관련한 있는 것들과는 다른 것, 그 주어에 관련한 있지 않은 것들은 결국 그 주어에 관련한 것들이 아닐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거짓말은 더 이상 해당 주어 대상에 관련하여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고도 볼 여지가 있을 듯하다. 특히, 이름과 표현이 결합하여 하나의 말을 이루듯 특정 대상과 특정 상태가 결합하여 특정 사건을 성립시킨다면, 그리고 결합물로서 하나의 전체인 말이 그것의 지시 대상으로서 단일한 어떤 사건에 대응한다면, 거짓말의 경우 지시대상이 없게 되어 버린다. 물론 앞서 상(그리고 그 하위종들인 모상과 가상), 있지 않은 것, 다른 것, 운동과 달리 말과 그 진리치에 관련하여서는 말의 구조가 가지는 특징과 결부되어 이전과는 다른 접근이 이루어진다. 특히 말이 무언인가를 가리키고, 바로 그것에 관련하여 이어서 말한다는 점이 강조되고, 여기에서 대상은 여전히 이름에 의해 지시되는 것이지 이름과 표현의 결합물 전체를 통해 지시되는 것은 아니라고 보는 편이 자연스러워 보인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러나 여전히, 그렇다면 단지 이름을 통해서만 대상에 연결될 뿐 표현과 이를 포함하는 말 전체로서는 그 대상에 더 이상 연결되기 어려워 보이는 거짓말이란 것이 어떻게 참말과 마찬가지로 무언가에 대한 '말'로서 여전히 유지될 수 있는지는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런 식으로 대상과의 연결이 약화될 경우, 거짓말이 의존적이고 상대적인 방식으로도 규정되기 곤란한 상황에서 그 자체로 독립적으로 간주될 방식은 더욱 이해하기 어려워질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상에서 원본과 닮아 있는 모상과 대비되어 그 원본을 닮아 있지 않은(그러나 닮아 보이기는 하는?) 가상이 겪는 문제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것이다. 말도 상도 각기 그것의 원본 대상과 별도로 그 자체로 설명되기 어려운데, 거기에서 더 나아가 상 중에서는 가상이 그리고 말 중에서는 거짓말이 재차 원본과 이격되어 그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것이다. 

 

0. 원래 J. Beere, N. Notomi 등이 주창하는 '겉보기 모순'이나 '거짓 모순'이라는 개념을 반박하고 싶은 생각이 있었는데, 그게 학위 논문 주제나 지원 받고 있는 연구 계획하고는 거리가 좀 멀다고 느껴져서 이건 그냥 이전 발표문이나 소논문의 논지를 다듬는 정도만 생각하려고 한다. 그들의 주장은 결국 참된 모순, 진정한 모순은 운동과 정지 정도로 극단적으로 반대되고 결코 양립될 수 없는 것들의 결합에 한정되는데, 일단 개인의 믿음 차원에서 무지에 의해 발생하는 모순은 훨씬 더 소박하고 상식적인 것들임을 과연 포기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적어도 Beere의 경우 '있는 것과 있지 않은 것의 결합'조차 겉보기 모순으로 취급하는데, 이게 초중기 대화편들에서 대화 상대자들이 소크라테스에 의해 논박 당할 때 지적받는 모순들에 비해 어떻게 보일지 궁금하다. 나로서는 전자가 겉보기라면 후자는 훨씬 더 분명하게 겉보기일 것 같은데, 왜냐하면 후자의 모순들은 적절한 조건과 관점의 구분을 통해 해소될 것들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해결이 조금 유난하게 어려웠던 것이 있는 것-있지 않은 것 사이의 결합과 분리 문제일 뿐이다. 그리고 운동과 정지가 절대 양립불가능하다는 것은, 아무리 생각해도 그리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긴 어려워 보인다. 설령 둘 사이의 결합이 반사실적 조건문으로 표현될 뿐이고, 그 둘이 가장 반대된다는 언급이 여러 차례 등장하지만, 논의의 맥락상 그 둘 사이의 결합을 완전히 배제할 경우 뒤따라 나오는 귀결들은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도 사실 아닌가 싶다. 특히 운동이 그 자체로 자신과 같다거나 그것이 있는 것에 참여하는 것으로서 있는 것이라거나 하는 점들을, 그것이 정지와 결코 결합할 수 없다는 전제와 조화시킬 수 있을지는 회의적이다. 인식이 성립하려면 인식되기 이전 상태의 것이 인식된 이후의 것으로 변화되어야 한다는 문제도 물론 남을 것이다. 그가 논박을 통해 겉보기 '현자'로 드러나는 것은 그가 겉보기 논박을 해서가 아니라, 논박을 가하기만 할 뿐 논박을 받는 일은 의도적으로 극단적으로 피하기 때문이다. 논박 상황에서 한쪽이 고정적으로 논박을 가하기만 하고 다른 한쪽은 논박을 받기만 할 경우, 논박을 가하는 측의 지적 상태는 확정될 수 없다. 다만 당하는 쪽이 모순을 드러내게 되면 그가 무지하다는 것은 확정되고, 논박당한 당사자는 자신의 무지를 자각하는 동시에 자신을 논박하는 상대의 지적 상태에 대해서도 무지한 상황에 놓이게 된다. 물론 아는 자가 모르는 자를 상대로 논박하는 것이 정상적이고 건전한 상태이며, 이 '피해자'도 이러한 통념을 가지고는 있을 것이나, 아무튼 엄밀하게 상대방이 아는 자로 확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이런 상황에서 논박자를 '아는 자'라고 '여기게' 되는 것이다. 소크라테스와의 차이는 소피스트와 달리 소크라테스가 자신의 무지를 선언하고 있으며, 논박 당하는 일을 피하지도 않는다는 데에 있다. 그리고 이 둘 모두는 현자와는 다르다. 이러한 구분 과정에서 참된 모순과 거짓 모순의 구분은 전혀 요청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대체 왜 겉보기 모순, 거짓 모순 같은 개념을 도입시키려 하는지 아직도 납득이 안 되지만, 그래도 이해를 해 보자면 소피스트가 말을 지어내 사기를 친다는 측면을 강조하고 싶은 것 아니겠나 싶긴 하다. 그런데, 설령 그렇다 하더라도 소피스트가 상대에게 하는 말은 그 상대가 수용하고 긍정할 때에만 그 상대 자신의 다른 믿음과 모순관계에 놓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런 수용은 이 상대방이 해당 주제나 사안을 알지 못하는 자일 때에만 가능할 것이다. 그래서 여전히 모순이 작위적인 것인지 여부가 아니라 논박 상대가 무지한지 아니면 아는지만이 문제가 된다. 

 

-蟲-

ΑΝ. Καὶ τούτους ἔγωγε ἀξιῶ παρὰ τῶν προτέρων μαθεῖν,
ὄντων καλῶν κἀγαθῶν· ἢ οὐ δοκοῦσί σοι πολλοὶ καὶ ἀγαθοὶ
γεγονέναι ἐν τῇδε τῇ πόλει ἄνδρες;
그들도 저로서는 더 이전의 사람들 곁에서 배울 만하다고 봅니다,
아름답고도 좋은 자들 곁에서 말입니다. 아니면 당신께는 많고도
좋은 사내들이 여기 이 나라에 태어났다고 여겨지지 않나요?

ΣΩ. Ἔμοιγε, ὦ Ἄνυτε, καὶ εἶναι δοκοῦσιν ἐνθάδε ἀγαθοὶ                          5
τὰ πολιτικά, καὶ γεγονέναι ἔτι οὐχ ἧττον ἢ εἶναι· ἀλλὰ
μῶν καὶ διδάσκαλοι ἀγαθοὶ γεγόνασιν τῆς αὑτῶν ἀρετῆς;
τοῦτο γάρ ἐστιν περὶ οὗ ὁ λόγος ἡμῖν τυγχάνει ὤν· οὐκ εἰ
εἰσὶν ἀγαθοὶ ἢ μὴ ἄνδρες ἐνθάδε, οὐδ᾿ εἰ γεγόνασιν ἐν τῷ
πρόσθεν, ἀλλ᾿ εἰ διδακτόν ἐστιν ἀρετὴ πάλαι σκοποῦμεν.                      b
τοῦτο δὲ σκοποῦντες τόδε σκοποῦμεν, ἆρα οἱ ἀγαθοὶ ἄνδρες
καὶ τῶν νῦν καὶ τῶν προτέρων ταύτην τὴν ἀρετὴν ἣν αὐτοὶ
ἀγαθοὶ ἦσαν ἠπίσταντο καὶ ἄλλῳ παραδοῦναι, ἢ οὐ παρα-
δοτὸν τοῦτο ἀνθρώπῳ οὐδὲ παραληπτὸν ἄλλῳ παρ᾿ ἄλλου·                     5
τοῦτ᾿ ἔστιν ὃ πάλαι ζητοῦμεν ἐγώ τε καὶ Μένων. ὧδε οὖν
σκόπει ἐκ τοῦ σαυτοῦ λόγου· Θεμιστοκλέα οὐκ ἀγαθὸν ἂν
φαίης ἄνδρα γεγονέναι;                                                                 c
내게는, 아뉘토스, 여기에서 정치적인 일들을 두고 그들이 좋은
자들이라고도 여겨지고, 그들이 그러한 만큼에 전혀 못지 않게
[앞선 자들이 그렇게] 태어나기도 했다고 여겨진다네. 허나 물론

그들이 자신들의 덕에 대해 좋은 교사들까지 되었던 건 아니지? 

마침 우리 논의의 주제가 그것이니 말일세. 이곳 사내들이 좋은 

자들인지 그렇지 않은지도 아니고, 더 앞서 그런 자들이 

태어났는지 여부도 아니라, 덕이 가르쳐지는 것인지를 아까부터 

우리가 검토하던 중이지. 그런데 이를 검토하면서 다음과 같은 

것도 검토하던 참이라네, 좋은 사내들이 요즘 사람들 중에서든 

이전 사람들 중에서든 자신들이 그 덕에서 좋은 자들인 바로 그 

덕을 여타의 사람에게까지 건네줄 줄도 알았었는지, 아니면 

이것이 인간에 의해 건네지는 것도 아니고 어떤 자에게서 또 

다른 자에게로 넘겨받아지는 것도 아닌지 말일세. 나나 

메논이나 우리가 아까부터 탐구하던 것이 그것이지. 그러니 

자네의 말로부터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검토해 주게. 

테미스토클레스는 좋은 사내가 되었다고 자네가 주장하지 

않겠나?
>93b1 πάλαι σκοποῦμεν

Smyth. 1885. Present of Past and Present Combined. ― 

The present, when accompanied by a definite or indefinite 

expression of past time, is used to express an action begun 

in the past and continued in the present. The 'progressive perfect' 

is often used in translation. Thus, πάλαι θαυμίζω I have been long 

(and am still) wondering P. Cr. 43b. Cp. iamdudum loquor. 

So with πάρος, ποτέ. This use appears also in the other moods.
a. So with of hearing, saying, learning, whose action commenced 

in the past, but whose effect continues into the present; 

ἐξ ὧν ἀκούω from what I hear (have heard) X. A. 1. 9. 28, 

ὅπερ λέγω as I said P. A. 21a. 

So with αἰσθάνομαι, γιγνώσκω, μανθάνω, πυνθάνομαι. 

ἄρτι just is often found with these verbs.
b. The perfect is used instead of the present when the action 

is completed in the present.

C.G. 33.14. The present indicative refers to actions that occur 

at the moment of speaking. By virtue of its imperfective aspect 

(incomplete), it is used by default to refer to actions which 

are ongoing at the moment of speaking.
Note 1: The ongoingaction referred to by the present indicative 

may have begunlong before the momentof speaking, and 

an expression of duration is sometimes added.
(12) εἰ διδακτόν ἐστιν ἀρετὴ πάλαι σκοποῦμεν. (Pl. Men. 93b)
We have long been investigating whether virtue is something that 

can be taught.
Observe that Engl. here prefers a present perfect ('have been investigating').

 

ΑΝ. Ἔγωγε πάντων γε μάλιστα.
저야 그가 모든 이들 중에서 가장 그러하다 주장할 겁니다.

ΣΩ. Οὐκοῦν καὶ διδάσκαλον ἀγαθόν, εἴπερ τις ἄλλος τῆς
αὑτοῦ ἀρετῆς διδάσκαλος ἦν, κἀκεῖνον εἶναι;
그렇다면, 만일 다른 누구든 자신의 덕에 대해 교사였다면,

저 분 또한 좋은 교사이시기도 하다고 하지 않겠나?

ΑΝ. Οἶμαι ἔγωγε, εἴπερ ἐβούλετό γε.                                                   5
저로서는 그리 생각합니다, 정말이지 만일 그분께서

바라셨더라면 말입니다.

ΣΩ. Ἀλλ᾿, οἴει, οὐκ ἂν ἐβουλήθη ἄλλους τέ τινας
καλοὺς κἀγαθοὺς γενέσθαι, μάλιστα δέ που τὸν ὑὸν τὸν
αὑτοῦ; ἢ οἴει αὐτὸν φθονεῖν αὐτῷ καὶ ἐξεπίτηδες οὐ παρα-                    //220104
διδόναι τὴν ἀρετὴν ἣν αὐτὸς ἀγαθὸς ἦν; ἢ οὐκ ἀκήκοας ὅτι                  d
Θεμιστοκλῆς Κλεόφαντον τὸν ὑὸν ἱππέα μὲν ἐδιδάξατο
ἀγαθόν; ἐπέμενεν γοῦν ἐπὶ τῶν ἵππων ὀρθὸς ἑστηκώς, καὶ
ἠκόντιζεν ἀπὸ τῶν ἵππων ὀρθός, καὶ ἄλλα πολλὰ καὶ θαυ-
μαστὰ ἠργάζετο ἃ ἐκεῖνος αὐτὸν ἐπαιδεύσατο καὶ ἐποίησε                     5
σοφόν, ὅσα διδασκάλων ἀγαθῶν εἴχετο· ἢ ταῦτα οὐκ ἀκήκοας
τῶν πρεσβυτέρων;
허나, 자네 생각에는, 그가 여타의 누군가들까지도 아름답고도 

좋은 자가 되기를 바라셨지 않겠나? 그런데 아마도 자신의 자식이

그리 되기를 특히나 바라셨지 않겠나? 아니면 자네는 그가 그

자식에게 인색하게 구셨으며 그 덕에서 자신이 좋은 자였던 바로 

그 덕을 일부러 건네주지 않았다고 생각하는가? 아니면 자네는

테미스토클레스께서 그 분의 자제 클레오판토스를 기병으로서는 

훌륭한 자로 가르치셨다는 것을 듣지 못했나? 어쨌든 그는 말들 

위에 똑바로 선 채로 머무르곤 하였고, 그 말들에서 똑바로 창을 

던졌으며, 저 분께서 그에게 교육하셨고 또한 그것들에 있어서 

지혜로운 자로 만드신 일들에서 그 밖의 여러 놀라운 일들을

해냈고, 그 일들은 좋은 교사들에 달려있던 일들이지. 아니면

자네는 연로하신 분들께 이런 일들을 듣지 못하였는가?

>93c6 

Smyth. Indicative with ἄν 1784. Past Potential. ―
The past tenses (usually the aorist, less commonly the imperfect) of 

the indicative with ἄν (κέν) denote past potentiality, probability 

(cautious statement), or necessity: ὃ οὐκ ἂν ᾤοντο which they could not 

have expected T. 7. 55, τίς γὰρ ἂν ᾠήθη ταῦτα γενέσθαι; for who 

would have expected these things to happen? D. 9. 68 

(note that ἄν does not go with γενέσθαι by 1764), ἔγνω ἄν τις 

one might (could, would) have known X. C. 7. 1. 38, ὑπό κεν ταλασίφρονά 

περ δέος εἷλεν fear might have seized even a man of stout heart Δ 421.
1785. A protasis may often be extracted from a participle, or is intimated in 

some other word; but there is no reference to any definite condition, 

hence a definite ellipsis is not to be supplied.
C.G. 34.15. The secondary indicative - i.e. the indicative of past tenses 

(with an augment):
imperfect, aorist or pluperfect - is used in various constructions, 

some with ἄν and some without, to express counterfactual actions 

(or 'contrary-to-fact', 'unreal').
The indicative in these uses is called modal.
34.16. The secondary indicative with ἄν is used in statements or questions 

to indicate that an action would occur or would have occurred under 

certain conditions which are/were not met. The conditions may be 

expressed by a conditional εἰ-clause (49.10), a participle (52.40), an adverb, 

or left unexpressed:
(32) σίγησε δ᾿ αἰθήρ ... θηρῶν δ᾿ οὐκ ἂν ἤκουσας βοήν. (Eur. Bacch. 1084-5)
Theair fell silent, and you would not have heard the shout of wild animals 

(if you had been there, but you weren't).
Note 2: Examples such as (32) are often considered a distinct type

(the so-called 'past potential') in grammars - a translation with 'could/might (not)' 

is possible. This occurs most often in cases with a generic or second-person subject,

and in questions(e.g. τί ἂν ἐποίησεν; what could he have done?). 

There is no real difference between such cases and other counterfactual statements: 

the conditions under which a certain action would or could occurare not realized.


ΑΝ. Ἀκήκοα.
들었습니다.

ΣΩ. Οὐκ ἂν ἄρα τήν γε φύσιν τοῦ ὑέος αὐτοῦ ᾐτιάσατ᾿
ἄν τις εἶναι κακήν.                                                                         10
그럼 적어도 그 분의 자제분의 자질을 나쁘다고 누가 탓할
수는 없었을 걸세.

ΑΝ. Ἴσως οὐκ ἄν.                                                                         e
그랬을 것 같습니다.

ΣΩ. Τί δὲ τόδε; ὡς Κλεόφαντος ὁ Θεμιστοκλέους ἀνὴρ
ἀγαθὸς καὶ σοφὸς ἐγένετο ἅπερ ὁ πατὴρ αὐτοῦ, ἤδη του
ἀκήκοας ἢ νεωτέρου ἢ πρεσβυτέρου;
그런데 이건 어떤가? 테미스토클레스의 아들 클레오판토스가
그의 아버지가 그러했던 바로 그 일들에서 좋고도 지혜로운
사내가 되었다고, 더 어린 사람에게서든 더 나이 든 사람에게서든
누구에게서라도 자네가 이미 들은 적이 있는가?

ΑΝ. Οὐ δῆτα.                                                                                5
정말로 들은 적 없습니다.

ΣΩ. Ἆρ᾿ οὖν ταῦτα μὲν οἰόμεθα βούλεσθαι αὐτὸν τὸν
αὑτοῦ ὑὸν παιδεῦσαι, ἣν δὲ αὐτὸς σοφίαν ἦν σοφός, οὐδὲν
τῶν γειτόνων βελτίω ποιῆσαι, εἴπερ ἦν γε διδακτὸν ἡ ἀρετή;
그렇다면 혹시 우리가 그런 것들은 그 분께서 그의 아들에게
교육하시길 바라신다고, 그런데 자신이 그 점에서 지혜로운
자이셨던 그 지혜에서, 이웃들보다 전혀 더 낫게 만들기는 전혀
바라지 않으신다고, 만일 덕이란 것이 적어도 가르쳐지는 것이긴
했더라도 그렇다고 우리가 생각하는가?

ΑΝ. Ἴσως μὰ Δί᾿ οὔ.
제우스께 맹세코 아닐 것 같습니다.

ΣΩ. Οὗτος μὲν δή σοι τοιοῦτος διδάσκαλος ἀρετῆς, ὃν                        10
καὶ σὺ ὁμολογεῖς ἐν τοῖς ἄριστον τῶν προτέρων εἶναι· ἄλλον
δὲ δὴ σκεψώμεθα, Ἀριστείδην τὸν Λυσιμάχου· ἢ τοῦτον                   94a
οὐχ ὁμολογεῖς ἀγαθὸν γεγονέναι;
그럼 이 분께서는 자네 입장에서는 덕의 이러한 교사이시지,

자네 또한 그 분께서 이전 사람들 중 가장 훌륭한 자들 사이에서

가장 훌륭하신 분이라는 데에 동의하는 그런 교사 말일세. 헌데

그럼 그 외의 분, 뤼시마코스의 아들 아리스테이데스를 검토해

보세. 아니면 이 분께서 좋은 자가 되셨다는 데에 자네는

동의하지 않는가?


ΑΝ. Ἔγωγε, πάντως δήπου.

저로서는 동의합니다, 전적으로 분명하다고 말이죠.


ΣΩ. Οὐκοῦν καὶ οὗτος τὸν ὑὸν τὸν αὑτοῦ Λυσίμαχον,
ὅσα μὲν διδασκάλων εἴχετο, κάλλιστα Ἀθηναίων ἐπαίδευσε,                 5
ἄνδρα δὲ βελτίω δοκεῖ σοι ὁτουοῦν πεποιηκέναι; τούτῳ γάρ                   //220111
που καὶ συγγέγονας καὶ ὁρᾷς οἷός ἐστιν. εἰ δὲ βούλει,
Περικλέα, οὕτως μεγαλοπρεπῶς σοφὸν ἄνδρα, οἶσθ᾿ ὅτι δύο               b
ὑεῖς ἔθρεψε, Πάραλον καὶ Ξάνθιππον;

그렇다면 이 분도 자신의 아들 뤼시마코스를, 교사들에 달려있던

일들에서는, 아테네인들 중에서 가장 훌륭하게 교육하셨는가

하면, 그 누구에 비해서든 더 나은 사내로 만드셨다고 자네에게

여겨지지 않는가? 아마 자네가 이 사람과 어울리게 된 적도 있고

어떤 사람인지 보기도 했을 테니 하는 말일세. 그런데, 만일

자네가 바란다면, 페리클레스께서는 그리 여겨지지 않나?

그렇게나 위대하게 지혜로운 사내 말일세. 자네는 그 분께서 두

아들들, 파랄로스와 크산티포스를 키우셨다는 걸 알고 있지?


ΑΝ. Ἔγωγε.

저야 알지요.


ΣΩ. Τούτους μέντοι, ὡς οἶσθα καὶ σύ, ἱππέας μὲν ἐδί-
δαξεν οὐδενὸς χείρους Ἀθηναίων, καὶ μουσικὴν καὶ ἀγωνίαν               5
καὶ τἆλλα ἐπαίδευσεν ὅσα τέχνης ἔχεται οὐδενὸς χείρους·
ἀγαθοὺς δὲ ἄρα ἄνδρας οὐκ ἐβούλετο ποιῆσαι; δοκῶ μέν,
ἐβούλετο, ἀλλὰ μὴ οὐκ ᾖ διδακτόν. ἵνα δὲ μὴ ὀλίγους οἴῃ
καὶ τοὺς φαυλοτάτους Ἀθηναίων ἀδυνάτους γεγονέναι τοῦτο
τὸ πρᾶγμα, ἐνθυμήθητι ὅτι Θουκυδίδης αὖ δύο ὑεῖς ἔθρεψεν,              c
Μελησίαν καὶ Στέφανον, καὶ τούτους ἐπαίδευσεν τά τε ἄλλα
εὖ καὶ ἐπάλαισαν κάλλιστα Ἀθηναίων―τὸν μὲν γὰρ Ξανθίᾳ
ἔδωκε, τὸν δὲ Εὐδώρῳ· οὗτοι δέ που ἐδόκουν τῶν τότε
κάλλιστα παλαίειν―ἢ οὐ μέμνησαι;                                                  5

그렇지만 이들에게, 자네도 알다시피, 그 분께서 말타기는

아테네인들 중 그 누구에 비해서도 부족하지 않은 자들로

가르치셨고, 음악도 운동경기도 그리고 해당하는 기술을 지닌

여타의 일들도 그 누구에 비해서도 부족하지 않은 자들로

교육하셨지. 그런데 혹시 그 분께서 그들을 좋은 사내들로

만들기는 바라지 않으셨을까? 내 생각엔, 그리 바라셨을 걸세,

가르쳐질 수 없는 것이었지만 말이지. 그런데 이 일에 무능하게

되었던 게 아테네인들 중 극소수의 가장 저급한 자들이었다고

자네가 생각하진 않게끔, 투퀴디데스께서도 또한 두 자제분들,

즉 멜레시아스와 스테파노스를 양육하셨고, 이들을 여타의

일들에서도 잘 교육시키셨거니와 그들이 아테네인들 중에서

가장 훌륭하게 씨름을 하였다는 것을 명심하게나. 그야 한 친구는

크산티아스에게, 다른 친구는 에우도로스에게 맡기셨으니까. 

그런데 이 분들은 아마도 당대인들 중 가장 훌륭하게 씨름을 

하셨다는 평판을 받고 계셨으니 말일세. 아니면 자네는 기억하지

못하는가?


ΑΝ. Ἔγωγε, ἀκοῇ.

저로서는 기억합니다, 들은 바 있습니다.


ΣΩ. Οὐκοῦν δῆλον ὅτι οὗτος οὐκ ἄν ποτε, οὗ μὲν ἔδει
δαπανώμενον διδάσκειν, ταῦτα μὲν ἐδίδαξε τοὺς παῖδας τοὺς            d
αὑτοῦ, οὗ δὲ οὐδὲν ἔδει ἀναλώσαντα ἀγαθοὺς ἄνδρας ποιῆσαι,
ταῦτα δὲ οὐκ ἐδίδαξενεἰ διδακτὸν ἦνἀλλὰ γὰρ ἴσως ὁ
Θουκυδίδης φαῦλος ἦν, καὶ οὐκ ἦσαν αὐτῷ πλεῖστοι φίλοι
Ἀθηναίων καὶ τῶν συμμάχων; καὶ οἰκίας μεγάλης ἦν καὶ                    5
ἐδύνατο μέγα ἐν τῇ πόλει καὶ ἐν τοῖς ἄλλοις Ἕλλησιν, ὥστε
εἴπερ ἦν τοῦτο διδακτόν, ἐξευρεῖν ἂν ὅστις ἔμελλεν αὐτοῦ
τοὺς ὑεῖς ἀγαθοὺς ποιήσειν, ἢ τῶν ἐπιχωρίων τις ἢ τῶν
ξένων, εἰ αὐτὸς μὴ ἐσχόλαζεν διὰ τὴν τῆς πόλεως ἐπιμέλειαν.            e
ἀλλὰ γάρ, ὦ ἑταῖρε Ἄνυτε, μὴ οὐκ ᾖ διδακτὸν ἀρετή.

그렇다면 분명하지 않은가? 이 분께서 돈을 써가며 가르쳐야

했던 그런 일들은 자신의 자제분들께 가르치셨으나, 그 일에 대해

훌륭한 사내들로 만드는 데에 돈을 들여가며 그럴 필요가 없던

그런 일들은, 만일 가르쳐질 수 있는 것이었더라면, 가르치지

않으셨을 리가 없다는 게 말일세. 그럼 투퀴디데스께서 저급한

분이셨기 때문에 그러셨겠나? 그리고 그분께 아테네인들과 그

동맹인 대다수가 친구이지 않았기 때문에 그러셨을까? 대단한

가문에 속하셨고 이 도시(아테네)와 여타 헬레네의 도시들에서

대단한 영향력을 가지셨기에, 그래서 만일 이런 것이 가르쳐질

수 있는 것이었다면, 그 분의 자제분들을 장차 훌륭한 자들로

만들어주었을 그 누구라도 찾아내셨을 정도셨지. 동료시민들

중에서 누군가이든 외지손님들 중에서든 간에, 만일 그분께서

도시를 보살피시느라 여유가 없으셨다면 말일네. 허나, 나의

동료 아뉘토스, 덕은 가르쳐질 수 있는 것이 아니지 않았나 하네.

> 94c7-d3: mixed counter-factual conditon

> 94d3 ἀλλὰ γάρ: Denniston. p104-105. γάρ III. (7) 

Introducing an imaginary objection (Hypophora). 

(It is sometimes said, incorrectly, that ἀλλὰ γάρ is here equivalent to 

ἀλλὰ νὴ Δία. Actually the two idioms differ in so far that νὴ Δία marks 

the objection as imaginary, while γάρ marks it as fundamental or important. 

'But (it may be urged) the essential point is that ...' Where ἰσως follows 

ἀλλὰ γάρ, it to some extent replaces νὴ Δία.)

> 94d5-7: Counter-factual + ὥστε w/ inf.

> 94e1 εἰ: Smyth. 2246. 

εἰ or εἴπερ, when it expresses the real opinion of the writer or speaker, 

may have a causal force, as ἐγω ... ἥδομαι μὲν ὑφ᾿ ὑμῶν τῑμώμενος, 

εἴπερ ἄνθρωπός εἰμι I am pleased at being honoured by you, since 

(lit. if indeed) I am a man X. A. 6. 1. 26.
2247. Many verbs of emotion state the cause more delicately with εἰ (ἐάν) 

if as a mere supposition than by ὅτι. The negative is μή or οὐ.

> 94e2 ἀλλὰ γάρ: Denniston. p104. γάρ III. (5) 

Marking the non-fulfilment of a condition (while ἀλλὰ μήν marks its fulfilment).


ΑΝ. Ὦ Σώκρατες, ῥᾳδίως μοι δοκεῖς κακῶς λέγειν ἀν-
θρώπους. ἐγὼ μὲν οὖν ἄν σοι συμβουλεύσαιμι, εἰ ἐθέλεις
ἐμοὶ πείθεσθαι, εὐλαβεῖσθαι· ὡς ἴσως μὲν καὶ ἐν ἄλλῃ πόλει                 5
ῥᾷόν ἐστιν κακῶς ποιεῖν ἀνθρώπους ἢ εὖ, ἐν τῇδε δὲ καὶ
πάνυ· οἶμαι δὲ σὲ καὶ αὐτὸν εἰδέναι.                                           95a

소크라테스, 제게는 당신께서 사람들을 함부로 나쁘게

말씀하신다고 여겨집니다. 그러니 제가 당신께 충고드릴게요,

당신께서 제게 설득되실 요량이시라면, 조심하시라고 말이죠.

여타의 도시에서도 사람들을 좋게 만들어주기 보단 나쁘게

만드는 편이 더 쉬울 것 같습니다만, 여기에서는 특히 더 쉬운

듯하여 드리는 말씀입니다. 헌데 저는 당신 스스로도 알고

계신다고 생각합니다.


ΣΩ. Ὦ Μένων, Ἄνυτος μέν μοι δοκεῖ χαλεπαίνειν, καὶ
οὐδὲν θαυμάζω· οἴεται γάρ με πρῶτον μὲν κακηγορεῖν τούτους
τοὺς ἄνδρας, ἔπειτα ἡγεῖται καὶ αὐτὸς εἶναι εἷς τούτων. ἀλλ᾿ 
οὗτος μὲν ἐάν ποτε γνῷ οἷόν ἐστιν τὸ κακῶς λέγειν, παύσεται             5
χαλεπαίνων, νῦν δὲ ἀγνοεῖ· σὺ δέ μοι εἰπέ, οὐ καὶ παρ᾿ ὑμῖν
εἰσιν καλοὶ κἀγαθοὶ ἄνδρες;

메논, 아뉘토스는 내 보기에 화가 난 것이라 여겨지고, 조금도

놀랍지는 않군. 그야 그는 우선 내가 이 사내들을 비난한다고

생각하고, 다음으로는 자기 자신 또한 이들 중 한 사람으로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지. 허나 이 친구가 도대체 나쁘게 말한다는 것이

어떠한 것인 줄 알게 된다면야, 화내기를 멈출 것이네만, 지금은

알지 못하고 있군. 헌데 자네가 내게 말해주게, 자네들 쪽에도

아름답고도 훌륭한 사내들이 있지 않나?

> 95a5 γνῷ : Smyth. 1924. 

Ingressive Aorist ― The aorist of verbs whose present denotes 

a state or a continued action, expresses the entrance into that state or 

the beginning of that action. 

C.G. 33.29. 

With atelic verbs (→ 33.8) such as γελάω laugh, βλέπω gaze,

and particularly with stative verbs, such as πλουτέω be rich, βασιλεύω rule,

ἐράω love, νοσέω be sick, ἔχω have, the aorist stem often leads to

an ingressive interpretation (referring to the beginning of a state;

observe that perfective aspect is concerned with the 'boundaries' of an action, → 33.4-6).

 

ΜΕΝ. Πάνυ γε.

물론이죠.


ΣΩ. Τί οὖν; ἐθέλουσιν οὗτοι παρέχειν αὑτοὺς διδασκά-                     b
λους τοῖς νέοις, καὶ ὁμολογεῖν διδάσκαλοί τε εἶναι καὶ
διδακτὸν ἀρετήν;

그렇다면 어떤가? 이 사람들이 자신들을 젊은이들에게

교사로서 제공하려 하고, 또한 덕을 두고 교사들이 있다는

것도 그것이 가르쳐질 수 있다는 것도 동의하는가?


ΜΕΝ. Οὐ μὰ τὸν Δία, ὦ Σώκρατες, ἀλλὰ τοτὲ μὲν ἂν
αὐτῶν ἀκούσαις ὡς διδακτόν, τοτὲ δὲ ὡς οὔ.                                    5

제우스께 걸고 동의하지들 못합니다, 소크라테스, 오히려

어느 때엔 같은 사람들에게서 가르쳐질 수 있는 것이라는

말을 듣게 되실 테고, 또 다른 때엔 그렇지 않다는 말을

듣게 되실 겁니다.


ΣΩ. Φῶμεν οὖν τούτους διδασκάλους εἶναι τούτου τοῦ
πράγματος, οἷς μηδὲ αὐτὸ τοῦτο ὁμολογεῖται;

그럼 우리가 바로 이 문제조차 합의하지 못한 그들을 바로

그 사안의 교사들이라고 주장하겠나?


ΜΕΝ. Οὔ μοι δοκεῖ, ὦ Σώκρατες.

그렇지 않다고 제게는 여겨지네요, 소크라테스.


ΣΩ. Τί δὲ δή; οἱ σοφισταί σοι οὗτοι, οἴπερ μόνοι
ἐπαγγέλλονται, δοκοῦσι διδάσκαλοι εἶναι ἀρετῆς;                              10

헌데 그럼 어떤가? 자네에게는 이런 자들, 유일하게

덕의 교사임을 공언하는 자들인, 소피스트들이 덕의

교사라고 여겨지는가?


ΜΕΝ. Καὶ Γοργίου μάλιστα, ὦ Σώκρατες, ταῦτα ἄγαμαι,                     c
ὅτι οὐκ ἄν ποτε αὐτοῦ τοῦτο ἀκούσαις ὑπισχνουμένου, ἀλλὰ
καὶ τῶν ἄλλων καταγελᾷ, ὅταν ἀκούσῃ ὑπισχνουμένων· ἀλλὰ
λέγειν οἴεται δεῖν ποιεῖν δεινούς.

특히나 고르기아스께, 소크라테스, 그런 점들에서 제가 감탄하는

것입니다, 당신께서는 결코 그분께서 자임하시는 걸 듣지 못하실

테고, 오히려 여타의 사람들이 자임하는 걸 들으실 때면, 그 자들을

비웃으시리란 사실 때문에 말이지요. 오히려 그분께서는 말하는

데에 능란한 자들로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다. 


ΣΩ. Οὐδ᾿ ἄρα σοὶ δοκοῦσιν οἱ σοφισταὶ διδάσκαλοι                           5 //220125
εἶναι;

그럼 자네에게도 소피스트들은 교사들이라고 여겨지지

않는 것인가?


ΜΕΝ. Οὐκ ἔχω λέγειν, ὦ Σώκρατες. καὶ γὰρ αὐτὸς
ὅπερ οἱ πολλοὶ πέπονθα· τοτὲ μέν μοι δοκοῦσιν, τοτὲ δὲ οὔ.

말씀드릴 수가 없네요, 소크라테스. 그야 저 자신 역시도

대다수가 겪은 바로 그 일을 겪고 있으니 말입니다. 어떤 때에는

제게 그리 여겨지고, 또 어떤 때에는 그렇지 않습니다.


ΣΩ. Οἶσθα δὲ ὅτι οὐ μόνον σοί τε καὶ τοῖς ἄλλοις τοῖς
πολιτικοῖς τοῦτο δοκεῖ τοτὲ μὲν εἶναι διδακτόν, τοτὲ δ᾿ οὔ,                10
ἀλλὰ καὶ Θέογνιν τὸν ποιητὴν οἶσθ᾿ ὅτι ταὐτὰ ταῦτα λέγει;               d

헌데 아는가, 비단 자네와 여타 정치가들에게 이러한 것이

어느 때엔 가르쳐질 수 있는 것이라고 여겨지고, 또 어느 때엔

그리 여겨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인 테오그니스께서도 

바로 이러한 것들을 말씀하신다는 점을 아는가 말이지?


ΜΕΝ. Ἐν ποίοις ἔπεσιν;

어떤 구절들에서요?


ΣΩ. Ἐν τοῖς ἐλεγείοις, οὗ λέγει―

비가들에서 말일세, 거기에서 그분께서 말씀하시길―


καὶ παρὰ τοῖσιν πῖνε καὶ ἔσθιε, καὶ μετὰ τοῖσιν
 ἵζε, καὶ ἅνδανε τοῖς, ὧν μεγάλη δύναμις.                                        5
ἐσθλῶν μὲν γὰρ ἄπ᾿ ἐσθλὰ διδάξεαι· ἢν δὲ κακοῖσιν
 συμμίσγῃς, ἀπολεῖς καὶ τὸν ἐόντα νόον.                                       e
이들 곁에서 마시고 먹으며, 이들과 더불어 

 앉아, 이들을 기쁘게 하노라, 위대한 능력을 갖춘 자들을.

고귀한 자들로부터 고귀한 일들을 그대는 배울지니. 허나

 만일 그대가 나쁜 자들과 뒤섞인다면, 그대에게 깃든 지성마저

 상실하리라.


οἶσθ᾿ ὅτι ἐν τούτοις μὲν ὡς διδακτοῦ οὔσης τῆς ἀρετῆς λέγει;

이 글에서 덕이 가르쳐질 수 있는 것이라고 이분께서 말씀하신다는

것을 알겠는가?


ΜΕΝ. Φαίνεταί γε.

그렇게 보이긴 합니다.


ΣΩ. Ἐν ἄλλοις δέ γε ὀλίγον μεταβάς,―

그런가 하면 또 다른 구절에서는 조금 바꾸셔서는,―
 εἰ δ᾿ ἦν ποιητόν, φησί, καὶ ἔνθετον ἀνδρὶ νόημα,                            5

 만일 사유가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고, 그분께서 말씀하시길,

또한 사내에게 심겨질 수 있는 것이었더라면, 

λέγει πως ὅτι―

그분께서는 대강 이렇게 말씀하시지―

 πολλοὺς ἂν μισθοὺς καὶ μεγάλους ἔφερον
οἱ δυνάμενοι τοῦτο ποιεῖν, καὶ―
 많고도 대단한 보수를 받았으리라,

이러한 사유를 만들 능력이 있는 자들은, 그리고―
  οὔ ποτ᾿ ἂν ἐξ ἀγαθοῦ πατρὸς ἔγεντο κακός,
 πειθόμενος μύθοισι σαόφροσιν. ἀλλὰ διδάσκων                        96a
  οὔ ποτε ποιήσεις τὸν κακὸν ἄνδρ᾿ ἀγαθόν.
  결코 좋은 아비로부터 나쁜 자가 태어난 적 없으니,

슬기로운 이야기들에 설득되기 때문이니라. 허나 가르침으로써

결코 그대는 못난 사내를 훌륭한 자로 만들지 못하리라.

ἐννοεῖς ὅτι αὐτὸς αὑτῷ πάλιν περὶ τῶν αὐτῶν τἀναντία
λέγει;

자네는 이분께서 자신에게 다시 같은 일들에 관련하여 반대로

말씀하신다는 것을 알겠는가?


ΜΕΝ. Φαίνεται.                                                                        5

그래 보입니다.


ΣΩ. Ἔχεις οὖν εἰπεῖν ἄλλου ὁτουοῦν πράγματος, οὗ οἱ
μὲν φάσκοντες διδάσκαλοι εἶναι οὐχ ὅπως ἄλλων διδάσκαλοι
ὁμολογοῦνται, ἀλλ᾿ οὐδὲ αὐτοὶ ἐπίστασθαι, ἀλλὰ πονηροὶ
εἶναι περὶ αὐτὸ τοῦτο τὸ πρᾶγμα οὗ φασι διδάσκαλοι εἶναι,            b
οἱ δὲ ὁμολογούμενοι αὐτοὶ καλοὶ κἀγαθοὶ τοτὲ μέν φασιν
αὐτὸ διδακτὸν εἶναι, τοτὲ δὲ οὔ; τοὺς οὖν οὕτω τεταραγμένους
περὶ ὁτουοῦν φαίης ἂν σὺ κυρίως διδασκάλους εἶναι;

그렇다면 자네 여타 어떤 사안에 대해서든 이야기할 수 있겠지?

[자신들이] 그 일의 교사들이라고 주장하는 자들이 다른 자들의 

교사들이라고는 어떻게도 동의받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들 자신이

안다고도 동의받지 못하되, 오히려 그들이 [스스로] 교사들이라

주장하는 바로 그 사안에 관련하여 저열한 자들이라고 합의되고,

그런데 자신들이 아름답고도 훌륭한 자들이라는 데에 동의받는

자들은 어느 때엔 그 일이 가르쳐질 수 없는 것이라고, 또 다른 때엔

그런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그런 일에 대해 말일세. 그렇다면

어떤 문제에 관련해서든 그렇게 혼란에 빠진 자들을 진지하게

교사들이라고 자네라면 주장할 수 있겠나?

> 96a7-8 οὐχ ὅπως ..., ἀλλ᾿ οὐδὲ: Cf. Smyth. 2763. LSJ. ὅπως A. II. 2.

 
ΜΕΝ. Μὰ Δί᾿ οὐκ ἔγωγε.                                                            5

제우스께 걸고 저는 못합니다.


ΣΩ. Οὐκοῦν εἰ μήτε οἱ σοφισταὶ μήτε οἱ αὐτοὶ καλοὶ
κἀγαθοὶ ὄντες διδάσκαλοί εἰσι τοῦ πράγματος, δῆλον ὅτι οὐκ
ἂν ἄλλοι γε;

그럼 소피스트들도 또 스스로 아름답고도 훌륭한 자들인

그런 자들도 그 사안의 교사들이 아니라면, 적어도 그 밖의 사람들은

[교사들이] 아니라는 게 분명하지 않나?


ΜΕΝ. Οὔ μοι δοκεῖ.

여타의 사람들은 아니라고 여겨지네요.


ΣΩ. Εἰ δέ γε μὴ διδάσκαλοι, οὐδὲ μαθηταί;                                   c

그런가 하면 [아무도] 교사들이 아니라면, [아무도] 제자들 또한

아니겠지?


ΜΕΝ. Δοκεῖ μοι ἔχειν ὡς λέγεις.

제겐 말씀하신 대로의 상황이라고 여겨지네요.


ΣΩ. Ὡμολογήκαμεν δέ γε, πράγματος οὗ μήτε διδάσκαλοι
μήτε μαθηταὶ εἶεν, τοῦτο μηδὲ διδακτὸν εἶναι;

그런가 하면 우리는 동의했지? [아무도] 그 일의 교사도 제자도

아닌, 그런 일은 가르쳐질 수 있는 것 역시 아니라는 걸 말이네.


ΜΕΝ. Ὡμολογήκαμεν.                                                               5

동의했지요.


ΣΩ. Οὐκοῦν ἀρετῆς οὐδαμοῦ φαίνονται διδάσκαλοι;

그렇다면 그 어디에서도 덕의 교사들은 나타나지 않는게로군?


ΜΕΝ. Ἔστι ταῦτα.

사실이 그렇지요.


ΣΩ. Εἰ δέ γε μὴ διδάσκαλοι, οὐδὲ μαθηταί;

그런가 하면 [아무도] 교사들이 아니라면, [아무도] 제자들 또한

아니겠지?


ΜΕΝ. Φαίνεται οὕτως.

그리 보입니다.


ΣΩ. Ἀρετὴ ἄρα οὐκ ἂν εἴη διδακτόν;                                            10

그럼 덕은 가르쳐질 수 있는 것이 아닌 것인가?


ΜΕΝ. Οὐκ ἔοικεν, εἴπερ ὀρθῶς ἡμεῖς ἐσκέμμεθα. ὥστε                   d
καὶ θαυμάζω δή, ὦ Σώκρατες, πότερόν ποτε οὐδ᾿ εἰσὶν ἀγαθοὶ
ἄνδρες, ἢ τίς ἂν εἴη τρόπος τῆς γενέσεως τῶν ἀγαθῶν 
γιγνομένων.
가르쳐질 수 있는 것이 아닌 듯합니다, 만일 정말로 우리가

제대로 우리 자신을 검토했던 것이라면 말입니다. 그래서 더욱이

경악스럽기도 합니다, 소크라테스, 도대체 [아무도] 훌륭한 

사내들이지도 않은 것인지, 아니면 훌륭한 자들이 되는 이들의

그 생성의 방법이 무엇일는지 하고 말이죠.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