ΕΡΜ. "Λυσιτελοῦν" δὲ τί δή; 

"뤼시텔룬(이익을 준다)"는 그럼 어떤가요?

ΣΩ. Ἔοικεν, ὦ Ἑρμόγενες, οὐχὶ καθάπερ οἱ κάπηλοι 

αὐτῷ χρῶνται, ἐὰν τὸ ἀνάλωμα ἀπολύῃ, οὐ ταύτῃ λέγειν 

μοι δοκεῖ τὸ "λυσιτελοῦν," ἀλλ᾿ ὅτι τάχιστον ὂν τοῦ ὄντος                     c

ἵστασθαι οὐκ ἐᾷ τὰ πράγματα, οὐδὲ τέλος λαβοῦσαν τὴν 

φορὰν τοῦ φέρεσθαι στῆναί τε καὶ παύσασθαι, ἀλλ᾿ ἀεὶ λύει 

αὐτῆς ἄν τι ἐπιχειρῇ τέλος ἐγγίγνεσθαι, καὶ παρέχει 

ἄπαυστον καὶ ἀθάνατον αὐτήν, ταύτῃ μοι δοκεῖ ἐπιφημί-                         5

σαι τὸ ἀγαθὸν λυσιτελοῦν· τὸ γὰρ τῆς φορᾶς λύον τὸ 

τέλος "λυσιτελοῦν" καλέσαι. "ὠφέλιμον" δὲ ξενικὸν 

τοὔνομα, ᾧ καὶ Ὅμηρος πολλαχοῦ κέχρηται, τῷ "ὀφέλ-

λειν"· ἔστι δὲ τοῦτο τοῦ αὔξην ποιεῖν ἐπωνυμία. 

그럴 듯하기로는, 헤르모게네스, 마치 상인들이 그 단어를

가격을 지불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처럼 그런 식으로 

"뤼시텔룬"을 논한다고는 내게 여겨지지 않고, 오히려 

있는 것 중에 가장 빠른 것으로 있어서 사태들이 멈추어 

서도록 내버려두지 않고, 이동이 그 이동함의 완결을 취하여

멈추어 서게도 정지하게도 내버려두는 게 아니라, 모종의 

완결이(텔로스) 그 운동 안에 생겨나려 한다면 매번

해체한다는(뤼오) 점에서, 이런 식으로 좋은 것을 이득을

주는 것이라 이름 붙인 것이라 여겨진다네. 운동의 완결을

해체하는 것을 "뤼시텔룬"이라 불렀단 말이지. "오펠리몬"은 

외래의 명칭이라, 호메로스께서도 여러 곳에서 "오펠레인"이라 

사용하신 것이고. 그런데 이는 증가를 만든다(아욱센 포이에인)는 

것에서 온 명칭이지.

ΕΡΜ. Τὰ δὲ δὴ τούτων ἐναντία πῶς ἔχει ἡμῖν;                                       d

그럼 그것들의 반대인 것들은 어떠한가요?

ΣΩ. Ὅσα μὲν ἀπόφησιν αὐτῶν, ὥς γέ μοι δοκεῖ, οὐδὲν 

δεῖ ταῦτα διεξιέναι. 

그것들에 대해 부정하는 것들, 이런 것들은 적어도 내게 

여겨지기로는 전혀 상술할 필요가 없네.

ΕΡΜ. Ποῖα ταῦτα; 

그것들이 어떤 것들인가요?

ΣΩ. "Ἀσύμφορον" καὶ "ἀνωφελὲς" καὶ "ἀλυσιτελὲς"                                   5

καὶ "ἀκερδές." 

"아쉼포론"과 "아노펠레스" 그리고 "아뤼시텔레스"와 

"아케르데스"라네.

ΕΡΜ. Ἀληθῆ λέγεις. 

참된 말씀이십니다.

ΣΩ. Ἀλλὰ "βλαβερόν" γε καὶ "ζημιῶδες." 

허나 "블라베론(해로운 것)"과 "제미오데스(손해를 주는 것)"는 

상술할 필요가 있네.

ΕΡΜ. Ναί. 

네.

ΣΩ. Καὶ τὸ μέν γε "βλαβερὸν" τὸ βλάπτον τὸν ῥοῦν                                 10

εἶναι λέγει· τὸ δὲ "βλάπτον" αὖ σημαίνει βουλόμενον                             e

ἅπτειν· τὸ δὲ ἅπτειν καὶ δεῖν ταὐτόν ἐστι, τοῦτο δὲ 

πανταχοῦ ψέγει. τὸ βουλόμενον οὖν ἅπτειν ῥοῦν 

ὀρθότατα μὲν ἂν εἴη "βούλαπτεροῦν," καλλωπισθὲν δὲ 

καλεῖσθαί μοι φαίνεται "βλαβερόν."                                                            5

어쨌든 "블라베론"은 흐름을 방해하는 것임을(블랖톤)

말하지. 그런데 이번엔 "블랖톤"은 붙들고자(합토)

의도하는(불로마이) 것을 의미한다네. 헌데 붙잡는다는

것과 묶는다는 것은(데오) 같은 것이고, 이런 것은 온갖

곳에서 비난하지. 그러므로 흐름을 붙들고자 의도하는

것은 아주 옳게도 "불랖테룬"일 테고, 이 이름이 치장되어 

"블라베론"이라 불리는 것이라 내게는 여겨진다네.

ΕΡΜ. Ποικίλα γέ σοι, ὦ Σώκρατες, ἐκβαίνει τὰ 

ὀνόματα. καὶ γὰρ νῦν μοι ἔδοξας ὥσπερ τοῦ τῆς Ἀθηνάας 

νόμου προαύλιον στομαυλῆσαι, τοῦτο τὸ ὄνομα προειπὼν 

τὸ "βουλαπτεροῦν."                                                                          418a

당신에게 등장하는 이름들이 다채롭기도 하네요, 소크라테스. 

그야 지금도 제게는 당신께서 마치 아테나 여신을 위해 작곡된  

아울로스 서곡을 따라하는 입모양은 하신 듯이 여겨졌으니까요, 

"불랖테룬"이란 이 이름을 선언하시면서 말이에요.

ΣΩ. Οὐκ ἐγώ, ὦ Ἑρμόγενες, αἴτιος, ἀλλ᾿ οἱ θέμενοι τὸ 

ὄνομα. 

그건 내 탓이 아니라, 헤르모게네스, 그 이름을 정한 자들 탓이라네.

ΕΡΜ. Ἀληθῆ λέγεις· ἀλλὰ δὴ τὸ "ζημιῶδες" τί ἂν εἴη; 

맞는 말씀이십니다. 허나 그럼 "제미오데스"는 무엇일까요?

ΣΩ. Τί δ᾿ ἂν εἴη ποτὲ "ζημιῶδες"; θέασαι, ὦ Ἑρμό-                                   5

γενες, ὡς ἐγὼ ἀληθῆ λέγω λέγων ὅτι προστιθέντες γράμ-

ματα καὶ ἐξαιροῦντες σφόδρα ἀλλοιοῦσι τὰς τῶν 

ὀνομάτων διανοίας, οὕτως ὥστε σμικρὰ πάνυ παραστρέ-

φοντες ἐνίοτε τἀναντία ποιεῖν σημαίνειν.                                                b

"제미오데스"란 도대체 무엇일까? 

                                                                 οἷον καὶ ἐν τῷ                         b

"δέοντι"· ἐνενόησα γὰρ αὐτὸ καὶ ἀνεμνήσθην ἄρτι ἀπὸ 

τοῦδε ὅ ἔμελλόν σοι ἐρεῖν ὅτι ἡ μὲν νέα φωνὴ ἡμῖν ἡ καλὴ 

αὕτη καὶ τοὐναντίον περιέτρεψε μηνύειν τὸ "δέον" καὶ τὸ 

"ζημιῶδες," ἀφανίζουσα ὅτι νοεῖ, ἡ δὲ παλαιὰ ἀμφότερον                         5

δηλοῖ ὃ βούλεται τοὔνομα. 

 

ΕΡΜ. Πῶς λέγεις; 

 

ΣΩ. Ἐγώ σοι ἐρῶ. οἶσθα ὅτι οἱ παλαιοὶ οἱ ἡμέτεροι τῷ 

ἰῶτα καὶ τῷ δέλτα εὖ μάλα ἐχρῶντο, καὶ οὐχ ἥκιστα αἱ 

γυναῖκες, αἵπερ μάλιστα τὴν ἀρχαίαν φωνὴν σῴζουσι. νῦν                    c

δὲ ἀντὶ μὲν τοῦ ἰῶτα ἢ εἶ ἢ ἦτα μεταστρέφουσιν, ἀντὶ δὲ 

τοῦ δέλτα ζῆτα, ὡς δὴ μεγαλοπρεπέστερα ὄντα. 

 

ΕΡΜ. Πῶς δή; 

 

ΣΩ. Οἷον οἱ μὲν ἀρχαιότατοι "ἱμέραν" τῆν ἡμέραν                                      5

ἐκάλουν, οἱ δὲ "ἑμέραν," οἱ δὲ νῦν "ἡμέραν."

 

ΕΡΜ. Ἔστι ταῦτα. 

 

ΣΩ. Οἶσθα οὖν ὅτι μόνον τοῦτο δηλοῖ τὸ ἀρχαῖον ὄνομα 

τὴν διάνοιαν τοῦ θεμένου; ὅτι γὰρ ἀσμένοις τοῖς ἀνθρώποις 

καὶ ἱμείρουσιν ἐκ τοῦ σκότους τὸ φῶς ἐγίγνετο, ταύτῃ                           d

ὠνόμασαν "ἱμέραν." 

 

ΕΡΜ. Φαίνεται. 

 

ΣΩ. Νῦν δέ γε τετραγῳδημένον οὐδ᾿ ἂν κατανοήσαις 

ὅτι βούλεται ἡ "ἡμέρα." καίτοι τινὲς οἴονται, ὡς δὴ ἡ 

ἡμέρα ἥμερα ποιεῖ, διὰ ταῦτα ὠνομάσθαι αὐτὴν οὕτως.                           5

 

ΕΡΜ. Δοκεῖ μοι. 

 

ΣΩ. Καὶ τό γε "ζυγὸν" οἶσθα ὅτι "δυαγὸν" οἱ παλαιοὶ 

ἐκάλουν. 

 

ΕΡΜ. Πάνυ γε. 

 

ΣΩ. Καὶ τὸ μέν γε "ζυγὸν" οὐδὲν δηλοῖ, τὸ δὲ τοῖν                                     10

δυοῖν ἕνεκα τῆς δέσεως ἐς τὴν ἀγωγὴν ἐπωνόμασται                            e

"δυαγὸν" δικαίως· νῦν δὲ "ζυγόν." καὶ ἄλλα πάμπολλα 

οὕτως ἔχει. 

 

ΕΡΜ. Φαίνεται. 

 

ΣΩ. Κατὰ ταὐτὰ τοίνυν πρῶτον μὲν τὸ "δέον" οὕτω                                 5

λεγόμενον τοὐναντίον σημαίνει πᾶσι τοῖς περὶ τὸ ἀγαθὸν 

ὀνόμασιν· ἀγαθοῦ γὰρ ἰδέα οὖσα τὸ δέον φαίνεται δεσμὸς 

εἶναι καὶ κώλυμα φορᾶς, ὥσπερ ἀδελφὸν ὂν τοῦ βλα-

βεροῦ. 

 

ΕΡΜ. Καὶ μάλα, ὦ Σώκρατες, οὕτω φαίνεται.                                           10

 

ΣΩ. Ἀλλ᾿ οὐκ ἐὰν τῷ ἀρχαίῳ ὀνόματι χρῇ, ὃ πολὺ 

μᾶλλον εἰκός ἐστιν ὀρθῶς κεῖσθαι ἢ τὸ νῦν, ἀλλ᾿ ὁμολο-                 419a

γήσει τοῖς πρόσθεν ἀγαθοῖς, ἐὰν ἀντὶ τοῦ εἶ τὸ ἰῶτα ἀπο-

διδῷς, ὥσπερ τὸ παλαιόν· διϊὸν γὰρ αὖ σημαίνει, ἀλλ᾿ οὐ 

δέον, τἀγαθόν, ὅπερ δὴ ἐπαινεῖ. 

                                                    καὶ οὕτω οὐκ ἐναντιοῦται 

αὐτὸς αὑτῷ ὁ τὰ ὀνόματα τιθέμενος, ἀλλὰ "δέον" καὶ                               5

"ὠφέλιμον" καὶ "λυσιτελοῦν" καὶ "κερδαλέον" καὶ 

"ἀγαθὸν" καὶ "συμφέρον" καὶ "εὔπορον" τὸ αὐτὸ φαίνε-

ται ἑτέροις ὀνόμασι σημαῖνον, τὸ διακοσμοῦν καὶ διιὸν 

πανταχοῦ ἐγκεκωμιασμένον, τὸ δὲ ἴσχον καὶ δοῦν ψεγό-                       b

μενον. 

           καὶ δὴ καὶ τὸ "ζημιῶδες," ἐὰν κατὰ τὴν ἀρχαίαν 

φωνὴν ἀποδῷς ἀντὶ τοῦ ζῆτα δέλτα, φανεῖταί σοι κεῖσθαι 

τὸ ὄνομα ἐπὶ τῷ δοῦντι τὸ ἰόν, ἐπονομασθὲν "δημιῶδες." 

 

ΕΡΜ. Τί δὲ δὴ "ἡδονὴ" καὶ "λύπη" καὶ "ἐπιθυμία"                                      5

καὶ τὰ τοιαῦτα, ὦ Σώκρατες; 

 

ΣΩ. Οὐ πάνυ χαλεπά μοι φαίνεται, ὦ Ἑρμόγενες. ἥ τε 

γὰρ "ἡδονή," ἡ πρὸς τὴν ὄνησιν ἔοικε τείνουσα πρᾶξις 

τοῦτο ἔχειν τὸ ὄνομα―τὸ δέλτα δὲ ἔγκειται, ὥστε "ἡδονὴ" 

ἀντὶ "ἡονῆς" καλεῖται―ἥ τε "λύπη" ἀπὸ τῆς διαλύσεως                          c

τοῦ σώματος ἔοικεν ἐπωνομάσθαι ἣν ἐν τούτῳ τῷ πάθει 

ἴσχει τὸ σῶμα. καὶ ἥ γε "ἀνία" τὸ ἐμποδίζον τοῦ ἰέναι. 

                                                                                    ἡ δὲ 

"ἀλγηδὼν" ξενικόν τι φαίνεταί μοι ἀπὸ τοῦ ἀλγεινοῦ 

ὠνομασμένον.                                                                                           5

                        "ὀδύνη" δὲ ἀπὸ τῆς ἐνδύσεως τῆς λύπης                         5

κεκλημένῃ ἔοικεν. 

                             "ἀχθηδὼν" δὲ καὶ παντὶ δῆλον ἀπει-

κασμένον τὸ ὄνομα τῷ τῆς φορᾶς βάρει. 

                                                                 "χαρὰ" δὲ τῇ 

διαχύσει καὶ εὐπορίᾳ τῆς ῥοῆς τῆς ψυχῆς ἔοικε κεκλη-

μένῃ.                                                                                                       d

         "τέρψις" δὲ ἀπὸ τοῦ τερπνοῦ· τὸ δὲ "τερπνὸν" ἀπὸ                      d

τῆς διὰ τῆς ψυχῆς ἕρψεως πνοῇ ἀπεικασθὲν κέκληται, ἐν 

δίκῃ μὲν ἂν "ἕρπνουν" καλούμενον, ὑπὸ χρόνου δὲ 

"τερπνὸν" παρηγμένον. 

                                      "εὐφροσύνη" δὲ οὐδὲν προσδεῖται 

τοῦ διότι ῥηθῆναι· παντὶ γὰρ δῆλον ὅτι ἀπὸ τοῦ εὖ τοῖς                           5

πράγμασι τὴν ψυχὴν συμφέρεσθαι τοῦτο ἔλαβε τὸ 

ὄνομα, "εὐφεροσύνην" τό γε δίκαιον· ὅμως δὲ αὐτὸ 

καλοῦμεν "εὐφροσύνην." 

                                        οὐδ᾿ "ἐπιθυμία" χαλεπόν· τῇ 

γὰρ ἐπὶ τὸν θυμὸν ἰούσῃ δυνάμει δῆλον ὅτι τοῦτο 

ἐκλήθη τὸ ὄνομα.                                                                                    e

                             "θυμὸς" δὲ ἀπὸ τῆς θύσεως καὶ ζέσεως                    e

τῆς ψυχῆς ἔχοι ἂν τοῦτο τὸ ὄνομα. 

                                                        ἀλλὰ μὴν "ἵμερός" γε 

τῷ μάλιστα ἕλκοντι τὴν ψυχὴν ῥῷ ἐπωνομάσθη· ὅτι γὰρ 

ἱέμενος ῥεῖ καὶ ἐφιέμενος τῶν πραγμάτων, καὶ οὕτω                        420a

δὴ ἐπισπᾷ σφόδρα τὴν ψυχὴν διὰ τὴν ἕσιν τῆς ῥοῆς, ἀπὸ 

ταύτης οὖν πάσης τῆς δυνάμεως "ἵμερος" ἐκλήθη. 

                                                                                 καὶ μὴν 

"πόθος" αὖ καλεῖται σημαίνων οὐ τοῦ παρόντος εἶναι 

ἀλλὰ τοῦ ἄλλοθί που ὄντος καὶ ἀπόντος, ὅθεν "πόθος"                           5

ἐπωνόμασται ὃς τότε, ὅταν παρῇ οὗ τις ἐφίετο, "ἵμερος" 

ἐκαλεῖτο· ἀπογενομένου δὲ ὁ αὐτὸς οὗτος "πόθος" ἐκλήθη. 

 

"ἔρως" δέ, ὅτι ἐσρεῖ ἔξωθεν καὶ οὐκ οἰκεία ἐστὶν ἡ ῥοὴ 

αὕτη τῷ ἔχοντι ἀλλ᾿ ἐπείσακτος διὰ τῶν ὀμμάτων, διὰ                          b

ταῦτα ἀπὸ τοῦ ἐσρεῖν "ἔσρος" τό γε παλαιὸν ἐκαλεῖτο―

τῷ γὰρ οὖ ἀντὶ τοῦ ὦ ἐχρώμεθα―νῦν δ᾿ "ἔρως" κέκληται 

διὰ τὴν τοῦ ὦ ἀντὶ τοῦ οὖ μεταλλαγήν. ἀλλὰ τί ἔτι οὐ 

λέγεις ὅτι σκοπῶμεν;                                                                                5

 

 

-작성중-

ΣΩ. Ὦν γ᾿ ἔστιν ἓν καὶ "τέχνην" ἰδεῖν ὅτι ποτὲ βούλεται 

εἶναι. 

그런 것들 중 하나는 "기술(테크네)"이 도대체 무엇인지 

알아보는 일이지.

ΕΡΜ. Πάνυ μὲν οὖν. 

물론입니다.

ΣΩ. Οὐκοῦν τοῦτό γε ἕξιν νοῦ σημαίνει, τὸ μὲν ταῦ                                 10

ἀφελόντι, ἐμβαλόντι δὲ οὖ μεταξὺ τοῦ χεῖ καὶ τοῦ νῦ <καὶ                      c

τοῦ νῦ> καὶ τοῦ ἦτα; 

그럼 이건 지성의 견지를 가리키는 것 아닌가? 한편으로는 

타우(τ)를 제거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오미크론(ο)을

카이(χ)와 뉘(ν) 중간에 그리고 뉘(ν)와 에타(η) 중간에 

삽입하면 말일세.

ΕΡΜ. Καὶ μάλα γε γλίσχρως, ὦ Σώκρατες. 

지나치게 궁색하게 말입니다, 소크라테스.

ΣΩ. ὦ μακάριε, οὐκ οἶσθ᾿ ὅτι τὰ πρῶτα ὀνόματα 

τεθέντα κατακέχωσται ἤδη ὑπὸ τῶν βουλομένων τραγῳ-                        5

δεῖν αὐτά, περιτιθέντων γράμματα καὶ ἐξαιρούντων 

εὐστομίας ἕνεκα καὶ πανταχῇ στρεφόντων, καὶ ὑπὸ 

καλλωπισμοῦ καὶ ὑπὸ χρόνου. ἐπεὶ ἐν τῷ "κατόπτρῳ" οὐ 

δοκεῖ σοι ἄτοπον εἶναι τὸ ἐμβεβλῆσθαι τὸ ῥῶ; 

복 받은 친구, 자네는 알지 못하는가? 처음 정해진 

이름들은 이미 그것들을 비극조로 만들고자 마음 먹은 

자들에 의해 감추어졌다는 것, 좋은 소리를 위해 철자들을

덧붙이고 또 제거하며 온갖 방향으로 굴려서, 꾸밈에 

의해서도 시간에 의해서도 그리 되었다는 것을 말일세. 

그야 자네에게는 "카토프트론(거울)" 안에 (ρ)가 삽입된

것이 이상한 일이라 여겨지지 않나?

                                                                         ἀλλὰ 

τοιαῦτα οἶμαι ποιοῦσιν οἱ τῆς μὲν ἀληθείας οὐδὲν φροντί-                       10

ζοντες, τὸ δὲ στόμα πλάττοντες, ὥστ᾿ ἐπεμβάλλοντες                          d

πολλὰ ἐπὶ τὰ πρῶτα ὀνόματα τελευτῶντες ποιοῦσιν μηδ᾿ 

ἂν ἕνα ἀνθρώπων συνεῖναι ὅτι ποτὲ βούλεται τὸ ὄνομα· 

내 생각에 진리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입 모양을 

주무르는 자들이 이런 일들을 하여서, 최초의 이름들에 

여러 가지 것들을 덧붙여 끝내 그 이름이 도대체 무엇을 

의도하는지 사람들 중 단 한 명도 이해하지 못하게 만든 

것이라네.

ὥσπερ καὶ τὴν Σφίγγα ἀντὶ "φικὸς" "σφίγγα" καλοῦσιν, 

καὶ ἄλλα πολλά.                                                                                        5

마치 스핑가도 "핔스" 대신 "스핑가"라 부르듯, 그리고 

여타 많은 이름들이 그렇듯이 말일세.

ΕΡΜ. Ταῦτα μὲν ἔστιν οὕτως, ὦ Σώκρατες. 

그런 것들은 사정이 그렇지요, 소크라테스.

ΣΩ. Εἰ δ᾿ αὖ τις ἐάσει καὶ ἐντιθέναι καὶ ἐξαιρεῖν ἅττ᾿ ἂν 

βούληταί τις εἰς τὰ ὀνόματα, πολλὴ εὐπορία ἔσται καὶ πᾶν 

ἂν παντί τις ὄνομα πράγματι προσαρμόσειεν. 

그런데 이번엔 만일 누군가가 마음대로 아무거나 이름들에 

들여놓기도 하고 제거하기도 하도록 내버려둔다면, 누군가 

온갖 사태에 온갖 이름을 맞추어 조화시키는 일이 몹시 

쉬워질 테지.

ΕΡΜ. Ἀληθῆ λέγεις.                                                                                e

맞는 말씀이십니다.

ΣΩ. Ἀληθῆ μέντοι. ἀλλὰ τὸ μέτριον οἶμαι δεῖ φυλάτ-

τειν καὶ τὸ εἰκὸς σὲ τὸν σοφὸν ἐπιστάτην. 

맞기야 맞는 말이지. 허나 자네가 지혜로운 감독관으로서 

적도를 수호해야 하고 또한 그럴듯한 바 역시 그리해야 

한다고 생각하네.

ΕΡΜ. Βουλοίμην ἄν. 

그리 하길 바랄 것입니다.

ΣΩ. Καὶ ἐγώ σοι συμβούλομαι, ὦ Ἑρμόγενες. ἀλλὰ                                  5

μὴ λίαν, ὦ δαιμόνιε, ἀκριβολογοῦ,                                                    415a

나 또한 자네와 뜻을 같이 하네, 헤르모게네스. 허나 

너무 엄밀하게 하지는 말아 주게, 신령한 친구.

  "μή μ᾿ ἀπογυιώσῃς μένεος."

  "그대가 나를 의욕에서 약화시키지 않을까 하여."

ἔρχομαι γὰρ ἐπὶ τὴν κορυφὴν ὧν εἴρηκα, ἐπειδὰν μετὰ 

τέχνην μηχανὴν ἐπισκεψώμεθα. 

기술 다음으로 우리가 방책을 검토하게 될 경우, 나는

내가 이야기한 것들의 요점에 이르니 말일세.

                                                   "μηχανὴ" γάρ μοι δοκεῖ 

τοῦ ἄνειν ἐπὶ πολὺ σημεῖον εἶναι· τὸ γὰρ "μῆκός" πως                             5

τὸ πολὺ σημαίνει· ἐξ ἀμφοῖν οὖν τούτοιν σύγκειται, 

"μήκους" τε καὶ τοῦ "ἄνειν," τὸ ὄνομα ἡ "μηχανή." 

"메카네(방책)"는 내게 많은 성취의(아네인 에피 폴뤼)

뜻이라고 여겨지니까. 즉 "메코스(길이)"는 어떤 식으론가

많은 것을 의미한단 말이지. 그러니 이 양자로부터,

"메코스"와 "아네인"에서 조합되어, "메카네"라는 이름이 

나온 걸세. 

                                                                              ἀλλ᾿, 

ὅπερ νυνδὴ εἶπον, ἐπὶ τὴν κορυφὴν δεῖ τῶν εἰρημένων 

ἐλθεῖν· "ἀρετὴ" γὰρ καὶ "κακία" ὅτι βούλεται τὰ ὀνόματα 

ζητητέα. τὸ μὲν οὖν ἕτερον οὔπω καθορῶ, τὸ δ᾿ ἕτερον                       b

δοκεῖ μοι κατάδηλον εἶναι. 

허나, 방금 내가 이야기했던 그대로, 이야기된 것들의 

요점에 다다라야 하네. "아레테(덕, 탁월함)"와

"카키아(악덕)"라는 그 이름들이 의도하는 바가 

추적되어야만 하는 것이지. 그래서 한쪽은 아직 내가 

파악하지 못하고 있으나, 다른 쪽은 명백한 것이라고 

여겨지는군.

                                          συμφωνεῖ γὰρ τοῖς ἔμπροσθεν 

πᾶσιν. ἅτε γὰρ ἰόντων τῶν πραγμάτων, πᾶν τὸ κακῶς ἰὸν 

"κακία" ἂν εἴη· τοῦτο δὲ ὅταν ἐν ψυχῇ ᾖ, τὸ κακῶς ἰέναι 

ἐπὶ τὰ πράγματα, μάλιστα τὴν τοῦ ὅλου ἐπωνυμίαν ἔχει                          5

τῆς κακίας. 

앞선 모든 논의에 부합하니 말이야. 왜냐하면 사태가 

진행되기 대문에, 나쁘게(카코스) 진행되는 모든 것은 

"카키아"일 테니까. 그런데 이런 것이 영혼 안에 있을 때, 

사태들을 두고서 나쁘게 진행된다는 것은, 특히나 악덕 

전체에 해당하는 명칭을 지니지.

                   τὸ δὲ κακῶς ἰέναι ὅτι ποτ᾿ ἔστιν, δοκεῖ μοι 

δηλοῦν καὶ ἐν τῇ "δειλίᾳ," ὃ οὔπω διήλθομεν ἀλλ᾿ 

ὑπερέβημεν, δέον αὐτὸ μετὰ τὴν ἀνδρείαν σκέψασθαι·                          c

δοκοῦμεν δέ μοι καὶ ἄλλα πολλὰ ὑπερβεβηκέναι. 

그런데 나쁘게 진행된다는 것이 도대체 무엇인지, 그건 

"데일리아(겁)"의 경우에서도 분명해진다고 여겨지네. 

아직 우리가 상술하지 않고 넘긴 것이네만, 그걸 용기 

다음으로 우리가 검토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지. 그런데 

내게는 우리가 여타의 많은 것들도 넘어갔다 여겨지네.

                                                                              ἡ δ᾿ οὖν 

δειλία τῆς ψυχῆς σημαίνει δεσμὸν εἶναι ἰσχυρόν· τὸ γὰρ 

"λίαν" ἰσχύς τίς ἐστιν. δεσμὸς οὖν ὁ λίαν καὶ ὁ μέγιστος 

τῆς ψυχῆς ἡ δειλία ἂν εἴη· ὥσπερ γε καὶ ἡ ἀπορία κακόν,                        5

καὶ πᾶν, ὡς ἔοικεν, ὅτι ἂν ἐμποδὼν ᾖ τῷ ἰέναι καὶ 

πορεύεσθαι. 

그러니까 겁이란 영혼의 강한 족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 

"리안(너무)"이라는 것은 일종의 강함이니까. 그리하여 

겁은 영혼의 지나치고도 가장 거대한 족쇄일 걸세. 적어도

난관 또한, 또 그럴 듯하게도, 진행하고 진정하는 데에

방해일 모든 것도 그렇듯 말일세.

                     τοῦτ᾿ οὖν φαίνεται τὸ κακῶς ἰέναι δηλοῦν, τὸ 

ἰσχομένως τε καὶ ἐμποδιζομένως πορεύεσθαι, ὃ δὴ ψυχὴ 

ὅταν ἔχῃ, κακίας μεστὴ γίγνεται. 

그리하여 나쁘게 진행된다는 것은 이런 것으로 밝혀지는  

것처럼 보인다네, 저지받고 방해받는 식으로 진전되는 것

말이야. 그래서 이런 것을 영혼이 지닐 때, 악덕으로 가득

차게 되는 것이지.

                                                   εἰ δ᾿ ἐπὶ τοιούτοις ἡ 

"κακία" ἐστὶν τοὔνομα, τοὐναντίον τούτου ἡ "ἀρετὴ" ἂν                           10

εἴη, σημαῖνον πρῶτον μὲν εὐπορίαν, ἔπειτα δὲ λελυμένην                     d

τὴν ῥοὴν τῆς ἀγαθῆς ψυχῆς εἶναι ἀεί, ὥστε τὸ ἀσχέτως 

καὶ τὸ ἀκωλύτως ἀεὶ ῥέον ἐπωνυμίαν εἴληφεν, ὡς 

ἔοικε, τοῦτο τοὔνομα· ὀρθῶς μὲν ἔχει "ἀειρείτην" καλεῖν, 

συγκεκρότηται δὲ καὶ καλεῖται "ἀρετή."                                                      5

그런데 만일 이러한 것들을 두고서 "카키아"라는 이름이 

있다면, 이와 반대되는 것이 "아레테"일 걸세. 첫째로는 

잘 나아감을 의미하고, 다음으로는 좋은 영혼의 해방된 

흐름이 항시적으로 있다는 것을, 그래서 제지받지 않고 

막힘 없이 언제나 흐르는 것(아에이 레온)을 명칭으로,

그럴 듯하기로는, 이러한 이름을 취한 걸세. 옳게는

"아에이레이테"라고 부를 수 있지만, 압착되어 "아레테"라 

불리는 것이지.

                                                             καὶ ἴσως με αὖ                              5

φήσεις πλάττειν· ἐγὼ δέ φημι, εἴπερ ὃ ἔμπροσθεν εἶπον 

ὀρθῶς ἔχει, ἡ "κακία," καὶ τοῦτο τὸ ὄνομα τὴν "ἀρετὴν"                         e

ὀρθῶς ἔχειν. 

그래서 아마도 이번엔 내가 지어낸 거라고 자네가 주장할 

것 같군. 그런데 내가 주장하자면, 만일 정말로 앞서 내가 

말한 바, "카키아"라는 게 옳다면, 이 "아레테"라는 이름도 

옳다고 주장하네.

ΕΡΜ. Τὸ δὲ δὴ "κακόν," δι᾿ οὗ πολλὰ τῶν ἔμπροσθεν                     416a

εἴρηκας, τί ἂν νοοῖ τοὔνομα; 

그래서 "카콘"은, 그를 통해 앞서 당신께서 여러가지 것을 

이야기하셨는데, 그 이름을 무엇이라 생각할까요?

ΣΩ. Ἄτοπόν τι νὴ Δία ἔμοιγε δοκεῖ καὶ χαλεπὸν 

συμβαλεῖν. ἐπάγω οὖν καὶ τούτῳ ἐκείνην τὴν μηχανήν. 

제우스께 맹세코 적어도 내겐 결론내리기에 이상하고도 

어려운 것이라 여겨지네. 그리하여 나는 저 방책을 이것에도 

적용시킨다네.

ΕΡΜ. Ποίαν ταύτην;                                                                                  5

그게 어떤 방책인가요?

ΣΩ. Τὴν τοῦ βαρβαρικόν τι καὶ τοῦτο φάναι εἶναι. 

이것도 야만적인 어떤 것이라고 주장하는 일에 해당하는 

방책일세.

ΕΡΜ. Καὶ ἔοικάς γε ὀρθῶς λέγοντι. ἀλλ᾿ εἰ δοκεῖ, 

ταῦτα μὲν ἐῶμεν, τὸ δὲ "καλὸν" καὶ τὸ "αἰσχρὸν" πειρώ-

μεθα ἰδεῖν πῇ εὐλόγως ἔχει. 

어쨌든 당신께서 옳게 논하는 자에 가까우십니다. 허나 

만일 괜찮으시다면, 우리 이런 것들은 내버려두고, 

"칼론(아름다운 것)"과 "아이스크론(추한 것)이 어떤 

식으로 잘 말해질 수 있을지 알아보는 일을 시도해 

보도록 하죠.

ΣΩ. Τὸ μὲν τοίνυν "αἰσχρὸν" καὶ δὴ κατάδηλόν μοι                                  10

φαίνεται ὃ νοεῖ· καὶ τοῦτο γὰρ τοῖς ἔμπροσθεν ὁμολο-                           b

γεῖται. 

그러면 "아이스크론"은 그것이 의도하는 바가 내게 

더욱이 명백해 보인다네. 왜냐하면 이 또한 앞선 논의에 

부합하거든. 

          τὸ γὰρ ἐμποδίζον καὶ ἴσχον τῆς ῥοῆς τὰ ὄντα λοιδο-

ρεῖν μοι φαίνεται διὰ παντὸς ὁ τὰ ὀνόματα τιθείς, καὶ νῦν 

τῷ ἀεὶ ἴσχοντι τὸν ῥοῦν τοῦτο τὸ ὄνομα ἔθετο <τὸ> 

"ἀεισχοροῦν"· νῦν δὲ συγκροτήσαντες "αἰσχρὸν" καλοῦ-                          5

σιν. 

있는 것들을 두고 그 흐름에 대해 발을 묶고 붙잡는 것을 

이름들을 지은 자가 주구장창 비난한 것처럼 보이니까. 

그리고 이제 와 보면 그 흐름(로오스)을 늘상(아에이)

붙드는(이스코) 것에게 "아에이스크로운"이라는 이런 

이름을 정해주었지. 

ΕΡΜ. Τί δὲ τὸ "καλόν"; 

"칼론"은 어떻습니까?

ΣΩ. Τοῦτο χαλεπώτερον κατανοῆσαι. καίτοι λέγει γε 

αὐτό· ἁρμονίᾳ μόνον καὶ μήκει τοῦ οὖ παρῆκται. 

이건 파악하기가 더욱 어렵다네. 어쨌든 그것도 그가 

논하지. 단지 우(ο)의 음정과 길에서 차이가 날 뿐이지. 

ΕΡΜ. Πῶς δή;                                                                                           10

어떻게 차이가 나나요?

ΣΩ. Τῆς διανοίας τις ἔοικεν ἐπωνυμία εἶναι τοῦτο τὸ 

ὄνομα. 

이 이름은 사유(디아노이아)에서 유래한 어떤 명칭인 

듯하다네.

ΕΡΜ. Πῶς λέγεις; 

어떤 뜻으로 하시는 말씀이십니까?

ΣΩ. Φέρε, τί οἴει σὺ εἶναι τὸ αἴτιον κληθῆναι ἑκάστῳ                              c

τῶν ὄντων; ἆρ᾿ οὐκ ἐκεῖνο τὸ τὰ ὀνόματα θέμενον; 

자, 자네는 있는 것들 각각에게 그것이 호명되는

일의(칼레오, 클레테나이) 원인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혹시 그 이름들을 정해준 저것이 원인

아닐까?

ΕΡΜ. Πάντως που. 

분명 전적으로 그렇습니다.

ΣΩ. Οὐκοῦν διάνοια ἂν εἴη τοῦτο ἤτοι θεῶν ἢ 

ἀνθρώπων ἢ ἀμφότερα;                                                                            5

그렇다면 이건 신들의 것이든 인간들의 것이든

양쪽 모두의 것이든 간에 사유이지 않겠나?

ΕΡΜ. Ναί. 

네.

ΣΩ. Οὐκοῦν τὸ καλέσαν τὰ πράγματα καὶ τὸ καλοῦν 

ταὐτόν ἐστιν τοῦτο, διάνοια; 

그렇다면 사태들을 호명하였던 것과 호명하는 것은 

똑같은 이것, 사유이지 않나?

ΕΡΜ. Φαίνεται. 

그리 보입니다.

ΣΩ. Οὐκοῦν καὶ ὅσα μὲν ἂν νοῦς τε καὶ διάνοια                                        10

ἐργάσηται, ταῦτά ἐστι τὰ ἐπαινετά, ἃ δὲ μή, ψεκτά; 

그러면 지성과 사유가 실현시킬 것들은 또, 이것들이 

고려할 만한 것들인 반면, 그렇지 않은 것들은, 비난할 

만한 것들이지 않나

ΕΡΜ.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ΣΩ. Τὸ οὖν ἰατρικὸν ἰατρικὰ ἐργάζεται καὶ τὸ τεκτονι-                            d

κὸν τεκτονικά; ἢ πῶς λέγεις; 

그러면 의술을 갖춘 것은(이아트리콘) 의술에 속한

것들을(이아트리카) 실현시키고 목공술을 갖춘

것은(테크토니콘) 목공에 속한 것들을(테크토니카)

실현시키지? 아니면 어찌 말하겠나?

ΕΡΜ. Οὕτως ἔγωγε. 

저로서는 그리 말하겠습니다.

ΣΩ. Καὶ τὸ καλοῦν ἄρα καλά; 

그럼 호명하는 것도(칼룬) 아름다운 것들을(칼라) 그리 하나?

-아름답게 만드는 것도 아름다운 것들을...

ΕΡΜ. Δεῖ γέ τοι.                                                                                         5

그래야 하긴 하네요.

ΣΩ. Ἔστι δέ γε τοῦτο, ὥς φαμεν, διάνοια; 

그런가 하면 이런 것은, 우리가 주장하기로, 사유이지?

ΕΡΜ.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ΣΩ. Ὀρθῶς ἄρα φρονήσεως αὕτη ἡ ἐπωνυμία ἐστὶν τὸ 

"καλὸν" τῆς τὰ τοιαῦτα ἀπεργαζομένης, ἃ δὴ καλὰ 

φάσκοντες εἶναι ἀσπαζόμεθα.                                                                   10

그래서 "칼론"이라는 이 명칭은 옳게는 이런 것들을, 

우리가 아름다운 것들이라 단언하며 반기는 것들을

실현시키는 분별의 명칭이지. 

ΕΡΜ. Φαίνεται. 

그리 보입니다.

ΣΩ. Τί οὖν ἔτι ἡμῖν λοιπὸν τῶν τοιούτων;                                              e

그러면 이런 것들 중 우리에게 아직 남은 것은 무엇인가?

ΕΡΜ. Ταῦτα τὰ περὶ τὸ ἀγαθόν τε καὶ καλόν, συμ-

φέροντά τε καὶ λυσιτελοῦντα καὶ ὠφέλιμα καὶ κερδαλέα                  417a

καὶ τἀναντία τούτων. 

좋고도 아름다운 것에 관련된 이런 것들, 유용하고도(쉼페로) 

이득이 되고(뤼시텔레오) 도움이 되며(오펠리모스)

이로운 것들과(케르달레오스) 이러한 것들의 

반대인 것들입니다.

ΣΩ. Οὐκοῦν τὸ μὲν "συμφέρον" ἤδη που κἂν σὺ εὕροις 

ἐκ τῶν πρότερον σκοπῶν· τῆς γὰρ ἐπιστήμης ἀδελφόν τι 

φαίνεται.                                                                                                   5

그렇다면 "쉼페론"은 이미 어디선가 더 이전의 것들로부터 

검토하면서 발견했을 걸세. 앎의 일종의 형제인 것으로 

나타나 보이니까.

               οὐδὲν γὰρ ἄλλο δηλοῖ ἢ τὴν ἃμα φορὰν τῆς                              5

ψυχῆς μετὰ τῶν πραγμάτων, καὶ τὰ ὑπὸ τοῦ τοιούτου 

πραττόμενα "συμφέροντά" τε καὶ "σύμφορα" κεκλῆσθαι 

ἀπὸ τοῦ συμπεριφέρεσθαι ἔοικε, τὸ δέ γε "κερδαλέον" ἀπὸ 

τοῦ κέρδους.                                                                                           b

왜냐하면 사태들에 동반하는 영혼의 함께하는 이동(포라)에 

다름 아니고, 이러한 것에 의해 조성되는 것들이 그 주변에 

동반하여 이동한다는 것(쉼페리페로)으로부터 "쉼페론타"이자 

"쉼포라"라 불린 듯하고, 그런가 하면 "케르달레온"은 

이득으로부터 그리 불린 듯하니까.

                      "κέρδος" δὲ νῦ ἀντὶ τοῦ δέλτα ἀποδιδόντι ἐς                    b

τὸ ὄνομα δηλοῖ ὃ βούλεται· τὸ γὰρ ἀγαθὸν κατ᾿ ἄλλον 

τρόπον ὀνομάζει. ὅτι γὰρ κεράννυται ἐς πάντα διεξιόν, 

ταύτην αὐτοῦ τὴν δύναμιν ἐπονομάζων ἔθετο τοὔνομα· 

δέλτα <δ᾿> ἐνθεὶς ἀντὶ τοῦ νῦ "κέρδος" ἐφθέγξατο.                                  5

그런데 "케르도스"는 델타(δ) 대신 뉘(ν)를 그 이름에 부여하여 

그 이름이 의도하는 바를 밝혀준다네. 즉 여타의 방식에 따라 

좋은 것을 명명한 것이지. 왜냐하면 모든 것 속으로 관통하여 

혼합된다는(케란뉘미) 점에서, 그것의 이러한 능력에 따라

이름 붙여 그 이름을 정해주었던 것이니까. 그러나 뉘 대신

델타를 넣어서 "케르도스"라 발음했지.

 

-작성중-

ΣΩ. Καὶ μήν, νὴ τὸν κύνα, δοκῶ γέ μοι οὐ κακῶς 

μαντεύεσθαι, ὃ καὶ νυνδὴ ἐνενόησα, ὅτι οἱ πάνυ παλαιοὶ 

ἄνθρωποι οἱ τιθέμενοι τὰ ὀνόματα παντὸς μᾶλλον, ὥσπερ                      5

καὶ τῶν νῦν οἱ πολλοὶ τῶν σοφῶν ὑπὸ τοῦ πυκνὰ περιστρέ-

φεσθαι ζητοῦντες ὅπῃ ἔχει τὰ ὄντα εἰλιγγιῶσιν, κἄπειτα 

αὐτοῖς φαίνεται περιφέρεσθαι τὰ πράγματα καὶ πάντως 

φέρεσθαι·                                                                                                c

그런가 하면, 개에게 걸고, 내겐 내가 잘못 예언했던 건 아니라  

여겨지네, 방금도 생각했던 것이네만, 아주 오래 전의 

인간들로서 모든 것의 이름을 정하는 자들이 오히려, 마치 

오늘날 지혜로운 자들 중 대다수가 치밀하게 맴도는 일에 의해 

있는 것들이 어떤 상태인지 탐구하며 혼란스러워 하는 것처럼, 

그래서 그들에게 사태들이 맴돌고 온갖 방식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나타난다는 것을 말일세.

                 αἰτιῶνται δὴ οὐ τὸ ἔνδον τὸ παρὰ σφίσιν πάθος                   c

αἴτιον εἶναι ταύτης τῆς δόξης, ἀλλὰ αὐτὰ τὰ πράγματα 

οὕτω πεφυκέναι, οὐδὲν αὐτῶν μόνιμον εἶναι οὐδὲ βέβαιον, 

ἀλλὰ ῥεῖν καὶ φέρεσθαι καὶ μεστὰ εἶναι πάσης φορᾶς καὶ 

γενέσεως ἀεί. λέγω δὲ ἐννοήσας πρὸς πάντα τὰ νυνδὴ ὀνό-                    5

ματα. 

그래서 그들은 그들에게 있어서 그 안에서 겪은 바가 이러한

믿음의 원인이라 탓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사태 그 자체가

그렇게 타고난 것이라 탓하니, 그것들 중 어느 하나 

안정적이지도 않고 확고하지도 않으며, 오히려 흐르고 

이동하며 온갖 이동과 항상된 생성으로 가득 찬 것들이라는 

걸세. 방금 그 모든 이름들을 마주하여 생각이 나서 말하는 

것이라네.

ΕΡΜ. Πῶς δὴ τοῦτο, ὦ Σώκρατες; 

그래서 이런 일이 어떻다는 것인가요, 소크라테스?

ΣΩ. Οὐ κατενόησας ἴσως τὰ ἄρτι λεγόμενα ὅτι παντά-

πασιν ὡς φερομένοις τε καὶ ῥέουσι καὶ γιγνομένοις τοῖς 

πράγμασι τὰ ὀνόματα ἐπίκειται.                                                                10

자네는 아마도 당장에 논의되는 것들이 전적으로 모든

사태를 두고 이동하고 흐르며 생성되는 것들로서

그것들에 그 이름들이 부여되었다는 점에서 논의된다는 

것을 알아차라지 못한 것 같네.

ΕΡΜ. Οὐ πάνυ ἐνεθυμήθην. 

그다지 신경쓰지 못했네요.

ΣΩ. Καὶ μὴν πρῶτον μὲν τοῦτο ὃ πρῶτον εἴπομεν                                 d

παντάπασιν ὡς ἐπὶ τοιούτων ἐστίν. 

게다가 우선 우리가 첫 번째로 이야기한 그 이름은 

전적으로 그러한 것들에 의존하는 것으로서 있지.

ΕΡΜ. Τὸ ποῖον; 

어떤 이름이요?

ΣΩ. Ἡ "φρόνησις"· φορᾶς γάρ ἐστι καὶ ῥοῦ νόησις. 

εἴη δ᾿ ἂν καὶ ὄνησιν ὑπολαβεῖν φορᾶς· ἀλλ᾿ οὖν περί γε τὸ                      5

φέρεσθαί ἐστιν. εἰ δὲ βούλει, ἡ "γνώμη" παντάπασιν δηλοῖ 

γονῆς σκέψιν καὶ νώμησιν· τὸ γὰρ "νωμᾶν" καὶ τὸ 

"σκοπεῖν" ταὐτόν. 

"분별(프로네시스)" 말일세. 왜냐하면 그것은 이동(포라)과

흐름(로오)에 대한 사유이니까. 헌데 그걸 이동에 대한 

향유라고도 간주할 수 있을 걸세. 허나 그렇다면 적어도 

이동한다는 것에 관련되어 있는 것이고. 만일 자네가 

바란다면, "의견(그노메)"이 생산에 대한 검토와 관찰이라는 

건 전적으로 분명할 걸세. "관찰한다(노마오)"와 

"검토한다(스코페오)"는 같은 것이니까.

                             εἰ δὲ βούλει, αὐτὸ ἡ "νόησις" τοῦ νέου 

ἐστὶν ἕσις· τὸ δὲ νέα εἶναι τὰ ὄντα σημαίνει γιγνόμενα ἀεὶ 

εἶναι· τούτου οὖν ἐφίεσθαι τὴν ψυχὴν μηνύει τὸ ὄνομα ὁ                       e

θέμενος τὴν "νεόεσιν". οὐ γὰρ "νόησις" τὸ ἀρχαῖον ἐκα-

λεῖτο, ἀλλ᾿ ἀντὶ τοῦ ἦτα εἶ ἔδει λέγειν δύο, "νοέεσιν." 

그런데 자네가 바란다면, "사유(노에시스)"라는 이름 자체도 

새로운 것에 대한 주시이지. 그런데 있는 것들이 새로운 

것들로서 있다는 건 그것들이 언제나 생성되고 있는 

것들이라는 것을 가리키네. 그러므로 영혼이 이러한 것을 

표적삼는다는 것을 "네오에시스"라는 그 이름을 정한 이가 

알려주는 것이지. "사유"는 시초에서부터 그리 불린 것이 

아니라, 에타(η) 대신 에이(ε)를 두 번 말해야 했으니, 

"노에에시스"라 불렸으니까.

"σωφροσύνη" δὲ σωτηρία οὗ νυνδὴ ἐσκέμμεθα, φρονή-

σεως. καὶ μὴν ἥ γε ἐπιστήμη μηνύει ὡς φερομένοις τοῖς                  412a

πράγμασιν ἑπομένης τῆς ψυχῆς τῆς ἀξίας λόγου, καὶ 

οὔτε ἀπολειπομένης οὔτε προθεούσης· διὸ δὴ ἐμβάλλοντας 

δεῖ τὸ  "hεπιστήμην" αὐτὴν ὀνομάζειν. 

"지혜(소프로쉬네)"는 우리가 방금 고찰하던 바인 분별에 

대한 구제라네. 그런가 하면 앎은 언급할 가치가 있는 영혼이

이동하는 사태에 따른다는 것을, 뒤쳐지지도 않고 앞서지도 

않으면서 그리 한다는 것을 알려주지. 그래서 이 점으로 인해 

⊢를 넣어 그것을 "헤피스테메"라 명명해야 하네.

                                                               "σύνεσις" δ᾿ αὖ 

οὕτω μὲν δόξειεν ἂν ὥσπερ συλλογισμὸς εἶναι, ὅταν δὲ                           5

συνιέναι λέγῃ, ταὐτὸν παντάπασιν τῷ ἐπίστασθαι συμβαί-

νει λεγόμενον· συμπορεύεσθαι γὰρ λέγει τὴν ψυχὴν τοῖς 

πράγμασι τὸ "συνιέναι." ἀλλὰ μὴν ἥ γε "σοφία" φορᾶς                            b

ἐφάπτεσθαι σημαίνει. 

또 이번엔 "이해(쉰에시스)"는 마치 추론처럼 그렇게 있다고 

여겨질 것인데, 함께 나아간다(쉰이에나이)라고 말할 때에 

그럴 것이고, 이는 안다는 것과 전적으로 같은 것을 논하는 

것으로 귀결되지. 왜냐하면 "이해한다"라는 것은 영혼이

사태에 함께 따라가는 것을 말하기 때문이네.

                                   σκοτωδέστερον δὲ τοῦτο καὶ ξενι-

κώτερον· ἀλλὰ δεῖ ἐκ τῶν ποιητῶν ἀναμιμνῄσκεσθαι ὅτι 

πολλαχοῦ λέγουσιν περὶ ὅτου ἂν τύχωσιν τῶν ἀρχομένων 

ταχὺ προϊέναι "ἐσύθη" φασίν. Λακωνικῷ δὲ ἀνδρὶ τῶν                             5

εὐδοκίμων καὶ ὄνομα ἦν "Σοῦς"· τὴν γὰρ ταχεῖαν ὁρμὴν οἱ 

Λακεδαιμόνιοι τοῦτο καλοῦσιν. 

헌데 이는 한층 어둡고 낯선 것일세. 오히려 시인들로부터 

기억해내야 할 필요가 있지, 여러 곳에서 그들은 재빨리 

나아가기 시작하는 것들 중 그들이 마주치는 무엇이든 

그것에 관하여 "쏘아졌다"고 주장한다는 것을 말일세. 

그런데 라케다이모니아의 명망 높은 자들 중 한 사내는 

"수스"라는 이름이을 가지기도 했다네. 라케다이모니아 

사람들은 민첩한 추동을 이런 식으로 불렀단 말이지.

                                                  ταύτης οὖν τῆς φορᾶς 

ἐπαφὴν σημαίνει ἡ σοφία, ὡς φερομένων τῶν ὄντων. καὶ 

μὴν τό γε "ἀγαθόν," τοῦτο τῆς φύσεως πάσης τῷ                                  c

ἀγαστῷ βούλεται τὸ ὄνομα ἐπικεῖσθαι. 

그리하여 지혜란 이러한 이동에 대한 접촉을 의미하니, 있는 

것들은 이동한다는 생각에서 그렇다네. 그런가 하면 "좋은 

것(아가톤)," 이것은 모든 본성 중에서 가장 경탄할 만한 

것에 그 이름이 주어진다는 것을 의미하네.

                                                              ἐπειδὴ γὰρ 

πορεύεται τὰ ὄντα, ἔνι μὲν ἄρ᾿ αὐτοῖς τάχος, ἔνι δὲ 

βραδυτής. ἔστιν οὖν οὐ πᾶν τὸ ταχὺ ἀλλὰ τὶ αὐτοῦ 

ἀγαστόν. τοῦ θοοῦ δὴ τῷ ἀγαστῷ αὕτη ἡ ἐπωνυμία                                5

ἐστίν, "τἀγαθόν." 

왜냐하면 있는 것들은 전진하기에, 그것들 안에서 

한편으로는 빠름이, 다른 한편으로는 느림이 있으니까. 

그러므로 모든 것이 빠른 게 아니라 그것 중 무언가 

경탄할 만한 것이 그렇지. 그래서 날쌘 것의 경탄할 

만한 점에 이러한 명칭이 있는 것이니, 그게 

"좋은 것(타가톤)"이라네.

 "Δικαιοσύνη" δέ, ὅτι μὲν ἐπὶ τῇ τοῦ δικαίου συνέσει 

τοῦτο κεῖται τὸ ὄνομα, ῥᾴδιον συμβαλεῖν· αὐτὸ δὲ τὸ 

"δίκαιον" χαλεπόν. καὶ γὰρ δὴ καὶ ἔοικε μέχρι μέν του 

ὁμολογεῖσθαι παρὰ πολλῶν, ἔπειτα δὲ ἀμφισβητεῖσθαι.                         d

다른 한편 "정의로움(디카이오쉬네)"은, 정의에 대한

이해에 이러한 이름이 놓인다는 건 추론하기 쉽네. 헌데 

"정의(디카이온)"이란 이름 그 자체는 어렵지. 그야 더욱이 

어느 선까지는 여러 사람들에게서 동의가 된 듯도 하지만, 

그 이후로는 논쟁이 붙은 것도 같으니까.

ὅσοι γὰρ ἡγοῦνται τὸ πᾶν εἶναι ἐν πορείᾳ, τὸ μὲν πολὺ 

αὐτοῦ ὑπολαμβάνουσιν τοιοῦτόν τι εἶναι οἷον οὐδὲν ἄλλο ἢ 

χωρεῖν, διὰ δὲ τούτου παντὸς εἶναί τι διεξιόν, δι᾿ οὗ πάντα 

τὰ γιγνόμενα γίγνεσθαι· εἶναι δὲ τάχιστον τοῦτο καὶ λεπτό-                       5

τατον. 

만물이 진행 중에 있다고 생각하는 자들은, 그 상당 부분은 

다름 아니라 흘러가는 그런 어떤 것이라 간주하고, 반면 

이러한 만물을 거쳐 관통해 나아가는 어떤 것이 있다고, 

생성되는 모든 것들이 그것을 통해 생성되는 그런 것이 

있다고 여긴다네. 그런데 이것은 가장 빠르고 가장 섬세한 

것이라고 생각하지.

           οὐ γὰρ ἂν δύνασθαι ἄλλως διὰ τοῦ ὄντος ἰέναι 

παντός, εἰ μὴ λεπτότατόν τε ἦν ὥστε αὐτὸ μηδὲν στέγειν, 

καὶ τάχιστον ὥστε χρῆσθαι ὥσπερ ἑστῶσι τοῖς ἄλλοις. ἐπεὶ 

δ᾿ οὖν ἐπιτροπεύει τὰ ἄλλα πάντα διαϊόν, τοῦτο τὸ ὄνομα                     e

ἐκλήθη ὀρθῶς "δίκαιον," εὐστομίας ἕνεκα τὴν τοῦ κάππα 

δύναμιν προσλαβόν. 

왜냐하면 모든 있는 것을 거쳐 나아가는 건 달리는 가능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지, 만일 가장 섬세한 것이어서 아무것도 

막지 못할 정도이고, 가장 빠른 것이어서 여타의 것들을 

거의 서 있는 것들마냥 취급할 정도이지 않았더라면 말일세.

그러므로 여타의 모든 것들에 앞서 나아가며 통제하기에, 

"정의로운 것(디카이온)"이란 이런 이름으로 옳게 불린 

것이고, 좋은 소리를 위해 캅파(κ) 음가를 추가한 것이지.

                                  μέχρι μὲν οὖν ἐνταῦθα, ὃ νυνδὴ ἐλέ-

γομεν, παρὰ πολλῶν ὁμολογεῖται τοῦτο εἶναι τὸ δίκαιον·                 413a

ἐγὼ δέ, ὦ Ἑρμόγενες, ἅτε λιπαρὴς ὢν περὶ αὐτοῦ, ταῦτα 

μὲν πάντα διαπέπυσμαι ἐν ἀπορρήτοις, ὅτι ταὐτό ἐστι τὸ 

δίκαιον καὶ τὸ αἴτιον· δι᾿ ὃ γὰρ γίγνεταί <τι>, τοῦτ᾿ ἔστι τὸ 

αἴτιον―καὶ "Δία" καλεῖν ἔφη τις τοῦτο ὀρθῶς ἔχειν διὰ                             5

ταῦτα. 

그리하여, 방금 우리가 논했던 바, 여기까지는 많은 

사람들에게서 정의로운 것이란 이런 것이라고 동의되었네. 

그런데 나는, 헤르모게네스, 그 정의에 관련하여 성실한 

사람인지라, 이 모든 것들은 비밀리에 들어 배웠다네, 

정의로운 것과 원인인 바의 것이 같은 것이라는 것을 말일세. 

왜냐하면 그로 인해(dia) 무언가가 생겨나는 것, 이런 것이 

원인이고, 누군가는 이런 점들로 인하여 이런 것을 "디아"라고 

부름이 옳은 일이라 주장했지.

           ἐπειδὰν δ᾿ ἠρέμα αὐτοὺς ἐπανερωτῶ ἀκούσας 

ταῦτα μηδὲν ἧττον· "Τί οὖν ποτ᾿ ἔστιν, ὦ ἄριστε, δίκαιον, 

εἰ τοῦτο οὕτως ἔχει;" 

그런데 이런 이야기들을 듣고서도 나는 바로 그들에게 

전혀 못지 않게 따져물었다네. "그렇다면, 아주 훌륭하신 

분들, 정의로운 것이란 대체 무엇입니까? 그것이 그런 

상태에 있다면 말입니다."

                                  δοκῶ τε ἤδη μακρότερα τοῦ προσή-

κοντος ἐρωτᾶν καὶ ὑπὲρ τὰ ἐσκαμμένα ἅλλεσθαι. ἱκανῶς 

γάρ μέ φασι πεπύσθαι καὶ ἐπιχειροῦσιν, βουλόμενοι ἀπο-                      b

πιμπλάναι με, ἄλλος ἄλλα ἤδη λέγειν, καὶ οὐκέτι συμ-

φωνοῦσιν. 

내가 이미 적절한 것보다 더 길게 물은 것이라 여겨지기도 

하고 캐물은 것들 이상으로 튀어나온 것이라 여겨지기도 

하네. 그야 그들은 내가 충분히 들었다고 주장하면서도, 

나를 만족시키길 바라면서, 이제 서로 여타의 것들을 

논하고자 시도하고, 더 이상 한 목소리를 내지 않으니까. 

                  ὁ μὲν γὰρ τίς φησιν τοῦτο εἶναι δίκαιον, τὸν 

ἥλιον· τοῦτον γὰρ μόνον διαϊόντα καὶ κάοντα ἐπιτρο-

πεύειν τὰ ὄντα. ἐπειδὰν οὖν τῳ λέγω αὐτὸ ἄσμενος ὡς                           5

καλόν τι ἀκηκοώς, καταγελᾷ μου οὗτος ἀκούσας καὶ 

ἐρωτᾷ εἰ οὐδὲν δίκαιον οἶμαι εἶναι ἐν τοῖς ἀνθρώποις 

ἐπειδὰν ὁ ἥλιος δύῃ.                                                                                c

한편으로 누군가는 이런 것이 정의로운 것이라 말하니, 

태양이 그렇다고 한다네. 오직 이것만이 있는 것들을 

관통해 나아가고 불사르며 관리한다는 것이지. 그러므로 

어떤 훌륭한 걸 들었다고 기꺼워하며 누군가에게 내가 

그걸 말해주었더니, 이 사람이 듣고서는 나를 비웃으며 

해가 지고 난 다음에는 인간들에게 아무런 정의로운 것도 

있지 않다고 생각하는지 물었네.  

                                  λιπαροῦντος οὖν ἐμοῦ ὅτι αὖ ἐκεῖνος                    c

λέγει, αὐτὸ τὸ πῦρ φησιν· τοῦτο δὲ οὐ ῥᾴδιόν ἐστιν εἰδέναι. 

ὁ δὲ οὐκ αὐτὸ τὸ πῦρ φησιν, ἀλλ᾿ αὐτὸ τὸ θερμὸν τὸ ἐν τῷ 

πυρὶ ἐνόν. 

그리하여 내가 이번엔 저 사람이 말하는 바를 간청했는데, 

그는 불 자체라고 주장했지. 그런데 이건 알기가 쉽지 않은 

일이라네. 반면에 다른 사람은 불 자체가 아니라, 그 불 속에 

들어있는 뜨거운 것 그 자체라고 주장했지.

                 ὁ δὲ τούτων μὲν πάντων καταγελᾶν φησιν, εἶναι 

δὲ τὸ δίκαιον ὃ λέγει Ἀναξαγόρας, νοῦν εἶναι τοῦτο·                                 5

αὐτοκράτορα γὰρ αὐτὸν ὄντα καὶ οὐδενὶ μεμειγμένον 

πάντα φησὶν αὐτὸν κοσμεῖν τὰ πράγματα διὰ πάντων 

ἰόντα. 

헌데 또 다른 사람은 이 모든 것들을 비웃으며 주장하길, 

아낙사고라스가 논하는 바가 정의로운 것이라고 하니, 

지성이 이런 것이라고 하였네. 왜냐하면 그것이 스스로 

지배하는 것으로 있으면서 그 무엇과도 뒤섞이지 않으면서 

모든 것들을 관통하여 모든 사태를 질서잡는다고 주장하니 

말일세.

          ἐνταῦθα δὴ ἐγώ, ὦ φίλε, πολὺ ἐν πλείονι ἀπορίᾳ 

εἰμὶ ἢ πρὶν ἐπιχειρῆσαι μανθάνειν περὶ τοῦ δικαίου ὅτι ποτ᾿ 

ἔστιν. ἀλλ᾿ οὖν οὗπερ ἕνεκα ἐσκοποῦμεν, τό γε ὄνομα τοῦτο                d

φαίνεται αὐτῷ διὰ ταῦτα κεῖσθαι. 

그래서 여기에서 나는, 친구, 정의로운 것에 관련하여 그것이 

도대체 무엇인지 배우고자 시도하였던 이전보다 훨씬 더 

넘치는 곤란 속에 있다네. 허나 그리하여 우리가 검토하는 

바로 그 목적, 적어도 이 이름은 이런 점들로 인하여 그것에 

놓인 것처럼 드러나 보이네.

ΕΡΜ. Φαίνῃ μοι, ὦ Σώκρατες, ταῦτα μὲν ἀκηκοέναι 

του καὶ οὐκ αὐτοσχεδιάζειν. 

제게 보이기로는, 소크라테스, 이런 것들은 어떤 이에게

들으신 것이고 즉석에서 마련하신 건 아닙니다.

ΣΩ. Τί δὲ τἆλλα;                                                                                        5

그런데 여타의 것들은 어떤가?

ΕΡΜ. Οὐ πάνυ. 

딱히 그렇게 보이진 않습니다.

ΣΩ. Ἄκουε δή· ἴσως γὰρ ἄν σε καὶ τὰ ἐπίλοιπα ἐξα-

πατήσαιμι ὡς οὐκ ἀκηκοὼς λέγω. μετὰ γὰρ δικαιοσύνην 

τί ἡμῖν λείπεται; ἀνδρείαν οἶμαι οὔπω διήλθομεν. 

그럼 들어주게나. 어쩌면 내가 들은 적 없이 말한다고 

남은 것들로도 자네를 기만할지도 모르니까. 정의로움 

다음으로 우리에게 남은 건 무엇일까? 내 생각에는 우리가 

아직 용기를 상술하지 않았다네.

                                                                              ἀδικία 

μὲν γὰρ δῆλον ὅτι ἐστὶν ἐμπόδισμα τοῦ διαϊόντος, ἀνδρεία                    e

δὲ σημαίνει ὡς ἐν μάχῃ ἐπονομαζομένης τῆς ἀνδρείας―

μάχην δ᾿ εἶναι ἐν τῷ ὄντι, εἴπερ ῥεῖ, οὐκ ἄλλο τι ἢ τὴν 

ἐναντίαν ῥοήν―ἐὰν οὖν τις ἐξέλῃ τὸ δέλτα τοῦ ὀνόματος 

τῆς ἀνδρείας, αὐτὸ μηνύει τὸ ἔργον τὸ ὄνομα ἡ "'ανρεία."                        5

부정의는 통과해 나아가는 자에 대한 장애물이라는 점이 

분명하네만, 용기는 전투에서 용기라는 이름이 붙은 것임을 

의미하네. 전투는 있는 것 안에서, 만일 그것이 정말로 

흐른다면, 다름 아니라 반대되는 흐름이지. 그러니 만일 

누군가 용기(안드레이아)라는 그 이름에서 델타를 제거한다면, 

그 이름이 "역류(안레아)"라는 기능을 알려주지.

δῆλον οὖν ὅτι οὐ πάσῃ ῥοῇ ἡ ἐναντία ῥοὴ ἀνδρεία ἐστίν, 

ἀλλὰ τῇ παρὰ τὸ δίκαιον ῥεούσῃ· οὐ γὰρ ἂν ἐπῃνεῖτο ἡ                   414a

ἀνδρεία. 

그러니 모든 흐름에 반대되는 흐름이 용기인 게 아니라, 

정의에 어긋나는 흐름에 반대되는 것이 용기임이 분명하지. 

그렇지 않다면 용기가 찬양받지 못했을 테니 말일세.

               καὶ τὸ "ἄρρεν" καὶ ὁ "ἀνὴρ" ἐπὶ παραπλησίᾳ τινὶ 

τούτῳ ἐστί, τῇ ἄνω ῥοῇ. "γυνὴ" δὲ γονή μοι φαίνεται 

βούλεσθαι εἶναι. τὸ δὲ "θῆλυ" ἀπὸ τῆς θηλῆς τι φαίνεται 

ἐπωνομάσθαι· ἡ δὲ "θηλὴ" ἆρά γε, ὦ Ἑρμόγενες, ὅτι                               5

τεθηλέναι ποιεῖ ὥσπερ τὰ ἀρδόμενα; 

"수컷(아렌)"과 "사내(아네르)"는 이런 어떤 것과 유사한 것, 

위로 향하는 흐름 비슷한 것에 따르는 이름이지.

반면 "여인(귀네)"은 잉태(고네)로 의도된 것이라고 내겐 

여겨지네. 그런데 혹시 "유두(텔레)"는, 헤르모게네스, 

물을 받은 것들처럼(아르도) 성장하게(탈로) 만든다는

점에서 그런 이름이 붙은 것일까?

ΕΡΜ. Ἔοικέν γε, ὦ Σώκρατες. 

그럴 듯하긴 합니다, 소크라테스.

ΣΩ. Καὶ μὴν αὐτό γε τὸ "θάλλειν" τὴν αὔξην μοι δοκεῖ 

ἀπεικάζειν τὴν τῶν νέων, ὅτι ταχεῖα καὶ ἐξαιφνιδία 

γίγνεται. οἷόνπερ οὖν μεμίμηται τῷ ὀνόματι, συναρμόσας                      b

ἀπὸ τοῦ θεῖν καὶ ἅλλεσθαι τὸ ὄνομα. 

그런가 하면 "성장시키다(탈로)"라는 것은 어린 것들의 

성장을 모사한 것이라 내겐 여겨진다네. 그건 빠르고도 

갑작스럽게 이루어지니까 말일세. 그러니 이를 테면 

그 이름을 가지고 모방했단 것이지, 질주한다는 것(테오)과 

비약한다는 것(할로마이)으로부터 그 이름을 조합해내서 

말이야.

                                                           ἀλλ᾿ οὐ γὰρ ἐπι-

σκοπεῖς με ὥσπερ ἐκτὸς δρόμου φερόμενον ἐπειδὰν λείου 

ἐπιλάβωμαι· λοιπὰ δὲ ἡμῖν ἔτι συχνὰ τῶν δοκούντων 

σπουδαίων εἶναι.                                                                                      5

허나 자네는 내가 평탄한 도로에 당도한 다음 그 길 밖으로 

벗어나 움직인다는 걸 주의하지 않고 있군. 헌데 진지하게 

여겨지는 것들 중 막대한 것들이 아직 우리에게 남아있지.

ΕΡΜ. Ἀληθῆ λέγεις. 

참된 말씀이십니다.

 

-작성중-

ΕΡΜ. Νὴ τὸν Δία, εὖ ἄρα μοι δοκεῖ Κρατύλος λέγειν 

τὸ ἐμὲ μὴ εἶναι Ἑρμογένη· οὔκουν εὐμήχανός γέ εἰμι                                5

λόγου. 

제우스께 맹세코, 제겐 크라튈로스가 저를 

헤르모게네스가 아니라고 잘도 말한 것으로 

여겨집니다. 어쨌든 제가 말 재간이 좋지는 못하지요.

ΣΩ. Καὶ τό γε τὸν Πᾶνα τοῦ Ἑρμοῦ εἶναι ὑὸν διφυῆ 

ἔχει τὸ εἰκός, ὦ ἑταῖρε. 

판이 헤르메스의 자식으로서 이중의 본성을 지닌다는 

것도 그럴 듯한 점을 갖고 있네, 친구.

ΕΡΜ. Πῶς δή;                                                                                         c

어떻게 말이지요?

ΣΩ. Οἶσθα ὅτι ὁ λόγος τὸ πᾶν σημαίνει καὶ κυκλεῖ καὶ 

πολεῖ ἀεί, καὶ ἔστι διπλοῦς, ἀληθής τε καὶ ψευδής. 

자넨 말이란 만물을 지시하고 맴돌며 늘상 아우른다는

것, 그리고 그것이 이중의 것으로 있으니, 참과 거짓으로 

있다는 것을 안다네.

ΕΡΜ.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ΣΩ. Οὐκοῦν τὸ μὲν ἀληθὲς αὐτοῦ λεῖον καὶ θεῖον καὶ                               5

ἄνω οἰκοῦν ἐν τοῖς θεοῖς, τὸ δὲ ψεῦδος κάτω ἐν τοῖς 

πολλοῖς τῶν ἀνθρώπων καὶ τραχὺ καὶ τραγικόν· 

그렇다면 그 말의 참된 쪽은 흠 없이 신적이며 저 위의 

신적인 것들 사이에 정주하는 반면, 거짓된 쪽은 아래로 

대다수의 인간들 사이에서 거칠고도 비극적인 것으로서 

정주한다는 것을 알고 있지 않나 하네. 

                                                                             ἐνταῦθα 

γὰρ πλεῖστοι οἱ μῦθοί τε καὶ τὰ ψεύδη ἐστίν, περὶ τὸν 

τραγικὸν βίον. 

대부분의 설화와 거짓들이 여기에 있으니까, 비극적인 

삶에 관련한 것들이 말일세.

ΕΡΜ. Πάνυ γε.                                                                                          10

물론입니다.

ΣΩ. Ὀρθῶς ἄρ᾿ <ἂν> ὁ πᾶν μηνύων καὶ ἀεὶ πολῶν 

"Πὰν αἰπόλος" εἴη, διφυὴς Ἑρμοῦ ὑός, τὰ μὲν ἄνωθεν                           d

λεῖος, τὰ δὲ κάτωθεν τραχὺς καὶ τραγοειδής. 

그래서 모든 것을 알려주고 또 항상 아우르는 자는 

"판 아이폴로스"일 걸세, 헤르메스의 자식으로서 이중의 

본성을 지닌 자로, 위로부터 유래한 면들을 놓고 보자면 

흠결이 없으나, 아래로부터 기인한 것들을 두고 보자면 

거칠고 비극의 꼴을 한 자일 테지. 

                                                                       καὶ ἔστιν ἤτοι 

λόγος ἢ λόγου ἀδελφὸς ὁ Πάν, εἴπερ Ἑρμοῦ ὑός ἐστιν· 

ἀδελφῷ δὲ ἐοικέναι ἀδελφὸν οὐδὲν θαυμαστόν. 

또한 그 판이 말로서 있거나 말의 형제로서 있거나 하다네, 

만일 정말로 헤르메스의 자식이라면 말일세. 그런데 형제끼리 

닮아 있다는 것은 전혀 놀라울 일이 아니지.

                                                                            ἀλλ᾿ ὅπερ 

ἐγὼ ἔλεγον, ὦ μακάριε, ἀπαλλαγῶμεν ἐκ τῶν θεῶν.                                 5

허나 내가 말해던 그대로, 복받은 친구, 신들로부터는 우리 

빠져 나오도록 하세.

ΕΡΜ. Τῶν γε τοιούτων, ὦ Σώκρατες, εἰ βούλει. περὶ 

δὲ τῶν τοιῶνδε τί σε κωλύει διελθεῖν, οἷον ἡλίου τε καὶ 

σελήνης καὶ ἄστρων καὶ γῆς καὶ αἰθέρος καὶ ἀέρος καὶ 

πυρὸς καὶ ὕδατος καὶ ὡρῶν καὶ ἐνιαυτοῦ;                                              e

적어도 그런 신들로부터는 말입니다, 소크라테스, 그리 

바라신다면요. 헌데 이런 신들에 대해 당신께서 상술하시는 

일을 가로막는 건 무엇인가요? 이를 테면 태양과 달 그리고 

별들과 대지와 에테르 그리고 공기와 불과 물과 계절들 

또한 해(年)들에 대해서 말입니다.

ΣΩ. Συχνὰ μέν μοι προστάττεις, ὅμως δέ, εἴπερ σοι 

κεχαρισμένον ἔσται, ἐθέλω. 

자네는 내게 한편으로는 과한 것을 요구하고 있네만, 

그럼에도 자네에게 기쁨을 주는 일이 된다면야, 내 

그리 할 걸세.

ΕΡΜ. Καὶ μὴν χαριῇ. 

그야 물론 기뻐할 것입니다.

ΣΩ. Τί δὴ οὖν πρῶτον βούλει; ἢ ὥσπερ εἶπες τὸν ἥλιον                          5

διέλθωμεν; 

그렇다면 첫 번째로는 무엇을 상술하길 바라는가? 혹시 

자내가 말한 그대로 우리 태양을 상술해 보도록 할까?

ΕΡΜ.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ΣΩ. Ἔοικε τοίνυν κατάδηλον γενόμενον ἂν μᾶλλον εἰ 

τῷ Δωρικῷ τις ὀνόματι χρῷτο―"ἅλιον" γὰρ καλοῦσιν οἱ                  409a1

Δωριῆς―"ἅλιος" οὖν εἴη μὲν ἂν κατὰ τὸ ἁλίζειν εἰς 

ταὐτὸν τοὺς ἀνθρώπους ἐπειδὰν ἀνατείλῃ, εἴη δ᾿ ἂν καὶ τῷ 

περὶ τὴν γῆν ἀεὶ εἰλεῖν ἰών, ἐοίκοι δ᾿ ἂν καὶ ὅτι ποικίλλει 

ἰὼν τὰ γιγνόμενα ἐκ τῆς γῆς· τὸ δὲ ποικίλλειν καὶ αἰολεῖν                          5

ταὐτόν. 

그러니까 만일 장차 누군가 도리아 풍의 이름을 사용한다면 

훨씬 더 명백해질 듯하네. 도리아인들은 태양을 할리오스라 

부르니 말일세. 그래서 할리오스는 한편으로 떠오르고 나면

사람들을 같은 곳으로 모은다(ἁλίζειν)는 것에 따라서 그러한 

이름일 것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지구 주위를 늘 운행하며

회전한다는 점에서도 그러한 이름일 텐데, 운행함으로써 

대지로부터 생겨나는 것들을 다채롭게 한다는 점에서도 

그럴 듯하네. 그런데 다채롭게 한다는 것과 아이올레인은 

같은 것이고.

ΕΡΜ. Τί δὲ ἡ "σελήνη"; 

그런데 달은 어떻습니까?

ΣΩ. Τοῦτο δὲ τὸ ὄνομα φαίνεται τὸν Ἀναξαγόραν 

πιέζειν. 

이 이름도 아낙사고라스가 미는 것처럼 보인다네.

ΕΡΜ. Τί δή;                                                                                               10

어떤 점에서요?

ΣΩ. Ἔοικε δηλοῦντι παλαιότερον ὃ ἐκεῖνος νεωστὶ 

ἔλεγεν, ὅτι ἡ σελήνη ἀπὸ τοῦ ἡλίου ἔχει τὸ φῶς.                                   b

최근 저 사람이 말했던 바, 달이 태양으로부터 빛을 

받는다는 말이 더 오래 된 일이란 걸 밝혀주는 듯하지.

ΕΡΜ. Πῶς δή; 

어째서요?

ΣΩ. Τὸ μέν που "σέλας" καὶ τὸ "φῶς" ταὐτόν. 

셀라스도 포오스도 같은 것일세.

ΕΡΜ. Ναί. 

네.

ΣΩ. Νέον δέ που καὶ ἕνον ἀεί ἐστι περὶ τὴν σελήνην                                5

τοῦτο τὸ φῶς, εἴπερ ἀληθῆ οἱ Ἀναξαγόρειοι λέγουσιν· 

그런데 아마 늘 새로우면서도 지난 것이 달 주변의 이러한 

빛이라네, 만일 아낙사고라스주의자들이 논하는 게 

정말로 참이라면 말일세.

κύκλῳ γάρ που ἀεὶ αὐτὴν περιιὼν νέον ἀεὶ ἐπιβάλλει, ἕνον 

δὲ ὑπάρχει τὸ τοῦ προτέρου μηνός. 

왜냐하면 아마도 그 빛이 늘 둥글게 달 주위를 운행하며 늘 

새로운 빛을 비추지만, 더 앞선 지난 날의 달의 빛이 점유하고 

있기 때문이지.

ΕΡΜ.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ΣΩ. "Σελαναίαν" δέ γε καλοῦσιν αὐτὴν πολλοί.                                         10

그런가 하면 많은 이들이 달을 "셀라나이아"라 부른다네.

ΕΡΜ.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ΣΩ. Ὅτι δὲ σέλας νέον τε καὶ ἕνον ἔχει ἀεί, 

"Σελαεννεοάεια" μὲν δικαιότατ᾿ ἂν καλοῖτο, συγκεκροτη-                        c

μένον δὲ "Σελαναία" κέκληται. 

그런데 달이 늘 새로우면서도 지난 빛을 지닌다는 점에서, 

"셀라엔네오아에이아"라 불리는 게 가장 정당할 테지만, 

합쳐져서 "셀라나이아"라 불렸지.

ΕΡΜ. Διθυραμβῶδές γε τοῦτο τοὔνομα, ὦ Σώκρατες. 

ἀλλὰ τὸν μῆνα καὶ τὰ ἄστρα πῶς λέγεις; 

이 이름은 뒤튀람보스 풍이네요, 소크라테스. 허나 

메이스(개월?)와 별들은 어찌 말씀하십니까?

ΣΩ. Ὁ μὲν "μεὶς" ἀπὸ τοῦ μειοῦσθαι εἴη ἂν "μείης"                                    5

ὀρθῶς κεκλημένος, τὰ δ᾿ "ἄστρα" ἔοικε τῆς ἀστραπῆς 

ἐπωνυμίαν ἔχειν. 

"메이스"는 그 이지러짐으로부터 "메이에스"라 불렸다면 

옳았을 테고, "아스트라"는 반짝임에서 별칭을 얻은 

듯하네.

                            ἡ δὲ "ἀστραπή," ὅτι τὰ ὦπα ἀναστρέ-

φει, "ἀναστρωπὴ" ἂν εἴη, νῦν δὲ "ἀστραπὴ" καλλωπι-

σθεῖσα κέκληται. 

그런데 "반짝임(아스트라페ἀστραπή)"이란 것은, 두 눈을 

위로 향하도록 한다(ἀναστρέφω)는 점에서, "아나스트로페"일 

것이고, 오늘날에는 장식되어 "아스트라페"라 불리지.

ΕΡΜ. Τί δὲ τὸ πῦρ καὶ τὸ ὕδωρ;                                                               10

헌데 불과 물은 어떻습니까?

ΣΩ. Τὸ "πῦρ" ἀπορῶ· καὶ κινδυνεύει ἤτοι ἡ τοῦ                                     d

Εὐθύφρονός με μοῦσα ἐπιλελοιπέναι, ἢ τοῦτό τι παγχά-

λεπον εἶναι. 

"불(퓌르)"은 말하기가 당황스럽군. 에우튀프론의 무사여신께서 

나를 두고 떠나셨거나, 이게 지극히 어려운 어떤 것일지도 

모르겠네.

                    σκέψαι οὖν ἣν εἰσάγω μηχανὴν ἐπὶ πάντα τὰ 

τοιαῦτα ἃ ἂν ἀπορῶ. 

그러니 내가 당황스러워 할 그런 모든 것들을 두고서 내가 

도입하는 수단을 검토해 주게나. 

ΕΡΜ. Τίνα δή;                                                                                          5

어떤 수단인가요?

ΣΩ. Ἐγώ σοι ἐρῶ. ἀπόκριναι γάρ μοι· ἔχοις ἂν εἰπεῖν 

πῦρ κατὰ τίνα τρόπον καλεῖται; 

내가 자네에게 말해보겠네. 내게 대답해 주게나. 자네는 

불이 어떤 방식을 따라서 불리는지 얘기해줄 수 있겠나?

ΕΡΜ. Μὰ Δί᾿ οὐκ ἔγωγε. 

제우스께 맹세코 저로서는 말씀드리질 못합니다.

ΣΩ. Σκέψαι δὴ ὃ ἐγὼ ὑποπτεύω περὶ αὐτοῦ. 

그럼 그것에 관련하여 내가 의심하는 바를 검토해 주게나.

                                                                       ἐννοῶ γὰρ 

ὅτι πολλὰ οἱ Ἕλληνες ὀνόματα ἄλλως τε καὶ οἱ ὑπὸ τοῖς                       e

βαρβάροις οἰκοῦντες παρὰ τῶν βαρβάρων εἰλήφασιν. 

나는 헬레네인들 그리고 특히 야만인들의 지배 하에 

살아가는 헬레네인들이 많은 이름들을 야만인들에게서 

넘겨받았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있다네.

ΕΡΜ. Τί οὖν δή; 

그래서요?

ΣΩ. Εἴ τις ζητοῖ ταῦτα κατὰ τὴν Ἑλληνικὴν φωνὴν ὡς 

εἰκότως κεῖται, ἀλλὰ μὴ κατ᾿ ἐκείνην ἐξ ἦς τὸ ὄνομα                                 5

τυγχάνει ὄν, οἶσθα ὅτι ἀποροῖ ἄν. 

만일 누군가가 이런 이름들을 헬레네 언어를 따라 

어떻게 그럴 듯하게 놓이는지 탐구하고, 그 이름이 마침 

그로부터 성립한 저 언어에 따라서 탐구하진 않는다면, 

그는 당혹에 빠지리란 점을 자네도 알겠지.

ΕΡΜ. Εἰκότως γε. 

적어도 그럴 듯하게 놓이는지 여부라면 말입니다.

ΣΩ. Ὅρα τοίνυν καὶ τοῦτο τὸ ὄνομα τὸ "πῦρ" μή τι                          410a1

βαρβαρικὸν ᾖ. 

그러니 "퓌르"라는 이 이름도 뭔가 야만식의 이름이진 

않을지 보게나. 

                       τοῦτο γὰρ οὔτε ῥᾴδιον προσάψαι ἐστὶν 

Ἑλληνικῇ φωνῇ, φανεροί τ᾿ εἰσὶν οὕτως αὐτὸ καλοῦντες 

Φρύγες σμικρόν τι παρακλίνοντες· 

왜냐하면 이 이름이 헬라스 언어에 결부시키기도 쉽지 

않고, 그렇게 그 이름을 프뤼기아인들이 약간 변형시켜 

부른 것으로 드러나기도 하니까.

                                                       καὶ τό γε "ὕδωρ" καὶ 

τὰς "κύνας" καὶ ἄλλα πολλά.                                                                      5

"휘도르(물)"도 "퀴나스(개)"도 여타 많은 것들도 그렇지.

ΕΡΜ. Ἔστι ταῦτα. 

사실이 그렇지요.

ΣΩ. Οὐ τοίνυν δεῖ ταῦτα προσβιάζεσθαι, ἐπεὶ ἔχοι γ᾿ ἄν 

τις εἰπεῖν περὶ αὐτῶν. 

그러니까 이런 것들을 추가로 밀어붙일 필요는 없네, 

누군가 그것들에 관련하여 이야기할 수는 있을 테니 말일세.

                                   τὸ μὲν οὖν πῦρ καὶ τὸ ὕδωρ ταύτῃ 

ἀπωθοῦμαι· ὁ δὲ δὴ ἀὴρ ἆρά γε, ὦ Ἑρμόγενες, ὅτι αἴρει                        b

τὰ ἀπὸ τῆς γῆς, "ἀὴρ" κέκληται; 

그럼 불과 물은 그런 식으로 미뤄두겠네. 헌데 혹시 공기는, 

헤르모게네스, 대지로부터 유래한 것들을

들어올린다(아이레오)는 점에서, "아에르"라 불린 걸까?

                                                   ἢ ὅτι ἀεὶ ῥεῖ; ἢ ὅτι 

πνεῦμα ἐξ αὐτοῦ γίγνεται ῥέοντος; οἱ γὰρ ποιηταί που τὰ 

πνεύματα "ἀήτας" καλοῦσιν· ἴσως οὖν λέγει, ὥσπερ ἂν εἰ 

εἴποι πνευματόρρουν, "ἀητόρρουν".                                                          5

아니면 언제나(아에이) 흐른다(레오)는 점에서? 혹은 

바람(프네우마)은 공기의 흐름으로부터 생겨난다는 점에서? 

왜냐하면 시인들이 어딘가에서 숨을 "아에테"라 부르니까. 

그러니 아마도, 바람의 흐름이란 것을 말한다면 그럴 것처럼, 

"아에토룬"이라 말하는 것 같네.

                                                          τὸν δὲ αἰθέρα τῇδέ                           5

πῃ ὑπολαμβάνω· ὅτι ἀεὶ θεῖ περὶ τὸν ἀέρα ῥέων 

"ἀειθεὴρ" δικαίως ἂν καλοῖτο. 

그런데 에테르는 다음과 같은 어떤 방식으로 가정해 

보겠네. 늘 공기(아에르) 주위를 흐르며 주행한다는(테오)

점에서 "아에이테에르"라 불려 마땅할 걸세.

                                                γῆ δὲ μᾶλλον σημαίνει ὃ 

βούλεται ἐάν τις "γαῖαν" ὀνομάσῃ· γαῖα γὰρ γεννήτειρα                           c

ἂν εἴη ὀρθῶς κεκλημένη, ὥς φησιν Ὅμηρος· τὸ γὰρ 

"γεγάασιν" γεγεννῆσθαι λέγει. 

대지(게)는 누군가가 "가이아"라 명명한다면 그가 의도한 

바를 더 잘 지시하지. 왜냐하면 호메로스가 주장하듯, 

가이아는 옳게 불릴 때 출산자(겐네테이라)일 테니까. 

그는 출산한다는 것을 "게가아시스"라 말하니 말일세.

                                              εἶεν· τί οὖν ἡμῖν ἦν τὸ μετὰ 

τοῦτο; 

자, 그럼, 우리의 이 다음 일은 무엇일까?

ΕΡΜ. Ὧραι, ὦ Σώκρατες, καὶ ἐνιαυτὸς καὶ ἔτος.                                       5

계절들, 그리고 해와 연입니다, 소크라테스.

ΣΩ. Αἱ μὲν δὴ ὧραι Ἀττικιστὶ ὡς τὸ παλαιὸν ῥητέον, 

εἴπερ βούλει τὸ εἰκὸς εἰδέναι· ὧραι γάρ εἰσι διὰ τὸ ὁρίζειν 

χειμῶνάς τε καὶ θέρη καὶ πνεύματα καὶ τοὺς καρποὺς τοὺς 

ἐκ τῆς γῆς· ὁρίζουσαι δὲ δικαίως ἂν "ὅραι" καλοῖντο. 

그럼 한편으로 계절은 아티카식으로 옛말대로 말해야만

하네, 만일 정말로 자네가 그럴 듯한 것을 알기를 바란다면 

말일세. 왜냐하면 겨울들과 여름들 그리고 바람과 

대지로부터의 과실들을 규정함(호리제인)으로 인해 

계절들(호라이)로 있기 때문이지. 그것들이 규정을 

해주기에 "호라이"라 불려 마땅하다네.

ἐνιαυτὸς δὲ καὶ ἔτος κινδυνεύει ἕν τι εἶναι.                                              d

해와 연은 어떤 한 가지 것으로 있는 것 같네.

                                                                   τὸ γὰρ τὰ                              d

φυόμενα καὶ τὰ γιγνόμενα ἐν μέρει ἕκαστον προάγον εἰς 

φῶς καὶ αὐτὸ ἐν αὑτῷ ἐξετάζον, τοῦτο, ὥσπερ ἐν τοῖς 

πρόσθεν τὸ τοῦ Διὸς ὄνομα δίχα διῃρημένον οἱ μὲν Ζῆνα, οἱ 

δὲ Δία ἐκάλουν, οὕτω καὶ ἐνταῦθα οἱ μὲν "ἐνιαυτόν", ὅτι                           5

ἐν ἑαυτῷ, οἱ δὲ "ἔτος", ὅτι ἐτάζει· 

자라나는 것들과 생겨나는 것들이 각기 순서대로 빛으로 

이끌고 나아가 제 자신 안에서(엔 하우토) 스스로 고찰하는,

이런 것을, 마치 앞서 제우스의 이름이 두 가지로 구분되어

한편의 사람들은 제나라고, 다른 사람들은 디아라고 부르던

것처럼, 그런 식으로 이 경우에도 한편의 사람들은

"에니아우톤"이라고,  자신 안에 있다는 점에서, 다른 편의 

사람들은 "에토스"라고, 고찰한다(에타조)는 점에서 그렇게 

부르는 것이지.

                                                     ὁ δὲ ὅλος λόγος ἐστὶν 

τὸ "ἐν ἑατυῷ ἐτάζον" τοῦτο προσαγορεύεσθαι ἓν ὂν δίχα, 

ὥστε δύο ὀνόματα γεγονέναι, "ἐνιαυτόν" τε καὶ "ἔτος", ἐξ 

ἑνὸς λόγου.                                                                                             e

헌데 온전한 말로는 "엔 헤아우토 에타존(자신 안에서

고찰하는 것)"이란 이 이름이 하나이면서 두 가지로 

호명되는 것이고, 그래서 두 이름, "에니아우톤"과

"에토스"가 하나의 말로부터 나오는 것이라네.

ΕΡΜ. Ἀλλὰ δῆτα, ὦ Σώκρατες, πολὺ ἐπιδίδως. 

허나 분명, 소크라테스, 당신께서 상당한 진전을 보셨습니다. 

ΣΩ. Πόρρω ἤδη, οἶμαι, φαίνομαι σοφίας ἐλαύνειν. 

내 생각엔, 벌써 내가 지혜에서 멀리까지 전진한 것처럼 

보이나 보구만.

ΕΡΜ. Πάνυ μὲν οὖν. 

그야 물론입니다.

ΣΩ. Τάχα μᾶλλον φήσεις.                                                                          5

조만간 자네가 더욱 더 확언하게 될 걸세.

ΕΡΜ. Ἀλλὰ μετὰ τοῦτο τὸ εἶδος ἔγωγε ἡδέως ἂν                              411a1

θεασαίμην ταῦτα τὰ καλὰ ὀνόματα τίνι ποτὲ ὀρθότητι 

κεῖται, τὰ περὶ τὴν ἀρετήν, οἷον "φρόνησίς" τε καὶ 

"σύνεσις" καὶ "δικαιοσύνη" καὶ τἆλλα τὰ τοιαῦτα πάντα. 

허나 이런 형상 다음으로 저로서는 다음과 같은 아름다운

이름들이 도대체 어떤 올바름에 따라 놓이는지 관조하게 

된다면 기쁠 것입니다. 덕에 관련된 이름들, 이를 테면 

"분별(프로네시스)"과 "이해(쉰에시스)"와

"정의(디카이오쉬네)," 그리고 이와 같은 여타 온갖 

이름들을 말입니다.

ΣΩ. Ἐγείρεις μέν, ὦ ἑταῖρε, οὐ φαῦλον γένος ὀνο-                                    5

μάτων· ὅμως δὲ ἐπειδήπερ τὴν λεοντῆν ἐνδέδυκα, οὐκ 

ἀποδειλιατέον ἀλλ᾿ ἐπισκεπτέον, ὡς ἔοικε, φρόνησιν καὶ 

σύνεσιν καὶ γνώμην καὶ ἐπιστήμην καὶ τἆλλα δὴ ἃ φῂς 

πάντα ταῦτα τὰ καλὰ ὀνόματα.                                                                b

동지여, 자네 호락호락하지 않은 이름들의 부류를 

깨워내고 있군.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그야말로 사자 

가죽을 뒤집어 썼으니, 벌벌 떠는 게 아니라, 그럴 듯해

보이기론, 분별과 이해 그리고 견해와 인식 또 그 밖에 

자네가 말하는 이런 온갖 아름다운 이름들을도 

검토해야만 하겠네. 

ΕΡΜ. Πάνυ μὲν οὖν οὐ δεῖ ἡμᾶς προαποστῆναι. 

그야 물론 우리는 외면해 버려서는 안됩니다.

 

-작성중-

ΕΡΜ. Λέγε δή· ἄτοπον γάρ τί μοι λέγεις τὸ ὄνομα                                     5

εἶναι. 

그럼 말씀해 주세요. 당신께서 제게 그 이름이 뭔가 

이상하다고 말씀하고 계시니 말입니다.

ΣΩ. Εὐάρμοστον μὲν οὖν, ἅτε μουσικοῦ ὄντος τοῦ θεοῦ. 

그야 잘 조화를 이룬 이름이긴 하다네, 그 신께서 예술적인 

분이시니 말일세.

πρῶτον μὲν γὰρ ἡ κάθαρσις καὶ οἱ καθαρμοὶ καὶ κατὰ τὴν 

ἰατρικὴν καὶ κατὰ τὴν μαντικὴν καὶ αἱ τοῖς ἰατρικοῖς 

φαρμάκοις καὶ αἱ τοῖς μαντικοῖς περιθειώσεις τε καὶ τὰ                           b

λουτρὰ τὰ ἐν τοῖς τοιούτοις καὶ αἱ περιρράνσεις, πάντα ἕν 

τι ταῦτα δύναιτ᾿ ἄν, καθαρὸν παρέχειν τὸν ἄνθρωπον καὶ 

κατὰ τὸ σῶμα καὶ κατὰ τὴν ψυχήν· ἢ οὔ; 

첫째로는 의학과 주술에 따른 배출과 정화들 그리고 의학적 

약품들과 예언(주술)적인 훈증들 그리고 이러한 과정들 속에서 

세신과 분무, 이러한 모든 것들이 어떤 한 가지 일을 해낼 

수 있을 것이니, 인간을 신체에 따라서도 영혼에 따라서도 

정화되게 해주지. 아니 그런가?

ΕΡΜ. Πάνυ μὲν οὖν.                                                                                  5

물론입니다.

ΣΩ. Οὐκοῦν ὁ καθαίρων θεὸς καὶ ὁ ἀπὸλούων τε καὶ 

ἀπολύων τῶν τοιούτων κακῶν οὗτος ἂν εἴη; 

그렇다면 정화해주는 신은 씻어내주고(아폴루온, ἀπολούων) 

이러한 나쁜 것들로부터 해방시켜주는 이런 신이지 않겠나?

ΕΡΜ. Πάνυ μὲν οὖν. 

물론입니다.

ΣΩ. Κατὰ μὲν τοίνυν τὰς ἀπολύσεις τε καὶ ἀπολούσεις, 

ὡς ἰατρὸς ὢν τῶν τοιούτων, "Ἀπολούων" ἂν ὀρθῶς                              c

καλοῖτο· κατὰ δὲ τὴν μαντικὴν καὶ τὸ ἀληθές τε καὶ τὸ 

ἁπλοῦν―ταὐτὸν γάρ ἐστιν―ὥσπερ οὖν οἱ Θετταλοὶ 

καλοῦσιν αὐτόν, ὀρθότατ᾿ ἂν καλοῖτο· "Ἄπλουν" γάρ 

φασι πάντες Θετταλοὶ τοῦτον τὸν θεόν.                                                    5

그러니까 세정과 해방에 따라, 이런 것들의 의사로 

있기에, "아폴루온"이라 옳게 불리는 것일세. 그런데 

예언술에 따라서 참된 것(알레테스, ἀληθές)이자 순정한

것(하플룬, ἁπλοῦν)으로도, 이 둘은 같은 것이니,

그리하여 테살리아인들이 그 분을 부르는 것처럼,

그렇게도 아주 옳게 불리는 것이고. 모든 테살리아인들이

이 신을 "하플룬(Ἅπλουν)"이라 주장하니 말일세.

                                                                διὰ δὲ τὸ ἀεὶ                               5

βολῶν ἐγκρατὴς εἶναι τοξικῇ "Ἀειβάλλων" ἐστίν. 

그런데 투척에 뛰어난 분이라는 점으로 인해 활로써 

"언제나 쏘아 맞추는 자"이신 걸세.

                                                                            κατὰ 

δὲ τὴν μουσικὴν δεῖ ὑπολαβεῖν, ὥσπερ τὸν "ἀκόλουθόν" τε 

καὶ τὴν "ἄκοιτιν", ὅτι τὸ ἄλφα σημαίνει πολλαχοῦ τὸ 

ὁμοῦ, 

그런데 예술에 따라서도 파악해야 하니,

"동반자(아콜루톤, ἀκόλουθος)"이자 "배우자(ἄκοιτις)"라고, 

알파가 여러 곳에서 함께라는 것을 가리키기 때문에 그러하고, 

          καὶ ἐνταῦθα τὴν ὁμοῦ πόλησιν καὶ περὶ τὸν 

οὐρανόν, οὕς δὴ "πόλους" καλοῦσιν, καὶ περὶ τὴν ἐν τῇ                          10

ᾠδῇ ἁρμονίαν, ἣ δὴ συμφωνία καλεῖται, ὅτι ταῦτα πάντα,                     d

ὥς φασιν οἱ κομψοὶ περὶ μουσικὴν καὶ ἀστρονομίαν, 

ἁρμονίᾳ τινὶ πολεῖ ἅμα πάντα· 

그래서 여기서도 함께(호무, ὁμοῦ) 움직임(폴레시스, πόλησις)을

가리키며 하늘에 관련해서도, 그래서 우리가 "폴루스"라 부르는 

것인데, 그리고 음악에서의 조화에 관련하여서도, 이건 화음이라 

불리는데, 이러한 모든 것들이, 음악과 천문에 관련하여 세련된 

이들이 주장하듯, 모종의 조화로써 모두 한꺼번에 전개된다는 

점 때문에 그러하다네. 

                                                ἐπιστατεῖ δὲ οὗτος ὁ θεὸς 

τῇ ἁρμονίᾳ ὁμοπολῶν αὐτὰ πάντα καὶ κατὰ θεοὺς καὶ 

κατ᾿ ἀνθρώπους·                                                                                      5

그런데 이 신께서는 조화로써 주도하여 신들과 인간들에 따른

모든 것들 그 자체를 함께 운동시키지.

                             ὥσπερ οὖν τὸν ὁμοκέλευθον καὶ ὁμόκοι-                    5

τιν "ἀκόλουθον" καὶ "ἄκοιτιν" ἐκαλέσαμεν, μεταβαλόντες 

ἀντὶ τοῦ "ὁμο-" "ἀ-," οὕτω καὶ "Ἀπόλλωνα" ἐκαλέσαμεν 

ὅς ἦν "Ὁμοπολῶν," ἕτερον λάβδα ἐμβαλόντες, ὅτι                                e

ὁμώνυμον ἐγίγνετο τῷ χαλεπῷ ὀνόματι. 

그러므로 함께 동반하는 자이자 함께하는 배우자로서  

"아콜루톤(ἀκόλουθος)" 그리고 "아코이티스(ἄκοιτις)"라고 

우리가 부른 것처럼, "호모-(ὁμο-)"를 대신해 "아-(ἀ-)"로 

바꿔서 그리하듯, 그렇게 "함께 운동하도록 하는 

자(호모폴론, Ὅμοπολῶν)"인 그를 "아폴론"이라 부른 

것이지, 람다(λ) 하나를 넣어서, 어려운 이름과 동의어가 

되었으니 말일세.

                                                                ὅπερ καὶ νῦν 

ὑποπτεύοντές τινες διὰ τὸ μὴ ὀρθῶς σκοπεῖσθαι τὴν 

δύναμιν τοῦ ὀνόματος φοβοῦνται αὐτὸ ὡς σημαῖνον 

φθοράν τινα· τὸ δέ, ὥσπερ ἄρτι ἐλέγετο, πασῶν ἐφαπτό-               406a1

μενον κεῖται τῶν τοῦ θεοῦ δυνάμεων, ἁπλοῦ, ἀεὶ βάλ-

λοντος, ἀπολούοντος, ὁμοπολοῦντος. 

오늘날에도 어떤 이들은 그 이름의 능력이 옳게 검토되지 

못한 탓에 의심하면서 모종의 파괴를 의미한다고 

두려워한다네. 그런데, 방금 말해진 것처럼, 그 신의 모든 

능력들에 접하여 놓인 것이지, 순정하고, 언제나 적중하며, 

씻어내고, 함께 움직이도록 한다는 능력들에 말일세.

                                                              τὰς δὲ 

"Μούσας" τε καὶ ὅλως τὴν μουσικὴν ἀπὸ τοῦ μῶσθαι, ὡς 

ἔοικεν, καὶ τῆς ζητήσεώς τε καὶ φιλοσοφίας τὸ ὄνομα                              5

τοῦτο ἐπωνόμασεν. 

다른 한편 "무사이(무사 여신들)"와 통틀어 예술이란 

갈구함으로부터, 타구와 철학에 대한 그러한 것으로부터 

이러한 이름이 명명되었던 듯하네.

                                 Λητὼ δὲ ἀπὸ τῆς πρᾳότητος τῆς θεοῦ, 

κατὰ τὸ ἐθελήμονα εἶναι ὧν ἄν τις δέηται. 

레토는 그 여신의 온화함으로부터, 누가 요청하는 것이든 

그것들에 기꺼워하는 분이시라는 점에 따라서 그런 듯하고.

                                                                   ἴσως δὲ ὡς οἱ 

ξένοι καλοῦσιν―πολλοὶ γὰρ "Ληθὼ" καλοῦσιν―ἔοικεν 

οὖν πρὸς τὸ μὴ τραχὺ τοῦ ἤθους ἀλλ᾿ ἥμερόν τε καὶ λεῖον 

"Λεηθὼ" κεκλῆσθαι ὑπὸ τῶν τοῦτο καλούντων.                                     b

그런데 어쩌면 외국인들이 부르는 것처럼, 즉 그들 다수가 

"레토"라고 부르니, 그 성품의 거칠지 않고 얌전하고도 

부드러움에 관련하여 "레에토"라 그 이름을 부른 자들에 

의해 불린 듯하네.

                                                                            "ᾌρτε-                         b

μις" δὲ <διὰ> τὸ ἀρτεμὲς φαίνεται καὶ τὸ κόσμιον, διὰ 

τὴν τῆς παρθενίας ἐπιθυμίαν· 

"아르테미스"는 건전함과 조화로움으로 인해 그리 나타나니, 

처녀성에 대한 열망으로 인해 그러한 듯하고.

                                                ἴσως δὲ ἀρετῆς ἵστορα τὴν 

θεὸν ἐκάλεσεν ὁ καλέσας, τάχα δ᾿ ἂν καὶ ὡς τὸν ἄροτον 

μισησάσης τὸν ἀνδρὸς ἐν γυναικί·                                                            5

그런데 아마도 그 여신을 그리 부른 자는 덕의 증언자로 

부른 것 같고, 어쩌면 여성 안에서 남성의 경작을 그 

여신께서 혐오하시기에 그리 부른 것도 같네.

                                                       ἢ διὰ τούτων τι ἢ διὰ                          5

πάντα ταῦτα τὸ ὄνομα τοῦτο ὁ τιθέμενος ἔθετο τῇ θεῷ. 

이러한 것들 중 무언가로 인해서거나 혹은 이 모든 

것들로 인하여 그 이름을 정해준 이가 그 여신께 

이런 이름을 정해주었지.

ΕΡΜ. Τί δὲ ὁ "Διόνυσός" τε καὶ ἡ "Ἀφροδίτη"; 

그런데 "디오뉘소스"와 "아프로디테"는 어떻습니까?

ΣΩ. Μεγάλα, ὦ παῖ Ἱππονίκου, ἐρωτᾷς. ἀλλὰ ἔστι γὰρ 

καὶ σπουδαίως εἰρημένος ὁ τρόπος τῶν ὀνομάτων τούτοις 

τοῖς θεοῖς καὶ παιδικῶς.                                                                           c

대단한 일을 묻는군, 히포니코스의 자제분. 허나 이러한 

신들께 그 이름들의 방식은 진지하게도 장난스럽게도 

이야기되는 일이 있지.

                                       τὸν μὲν οὖν σπουδαῖον ἄλλους                        c

τινὰς ἐρώτα, τὸν δὲ παιδικὸν οὐδὲν κωλύει διελθεῖν· φιλο-

παίσμονες γὰρ καὶ οἱ θεοί. 

그럼 진지한 방식은 다른 누군가에게 묻도록 하고, 그런데 

장난스러운 방식은 상술하지 않을 아무런 이유도 없지.

신들께서도 유희를 애호하시는 분들이시니까.

                                          ὅ τε γὰρ Διόνυσος εἴη ἂν ὁ 

διδοὺς τὸν οἶνον, "Διδοίνυσος" ἐν παιδιᾷ καλούμενος· 

οἶνος δ᾿, ὅτι οἴεσθαι νοῦν ἔχειν ποιεῖ τῶν πινόντων τοὺς                         5

πολλοὺς οὐκ ἔχοντας, "οἰόνους" δικαιότατ᾿ ἂν καλοῖτο. 

디오뉘소스께서도 포도주를 주시는 분이시니까, 

"디오뉘소스"라고 장난으로 호명되시면서 말일세.

그런데 포도주는, 취한 자들 중 제정신이 아닌 많은

자들로 하여금 제정신이라(누운 에케인)

생각하도록(오이에스타이) 만든다는 점에서,

"오이오누스"라 불리는 게 가장 합당할 테지.

περὶ δὲ Ἀφροδίτης οὐκ ἄξιον Ἡσιόδῳ ἀντιλέγειν, ἀλλὰ 

συγχωρεῖν ὅτι διὰ τὴν <ἐκ> τοῦ ἀφροῦ γένεσιν "Ἀφρο-                          d

δίτη" ἐκλήθη. 

다른 한편 아프로디테에 관련하여서는 헤시오도스와 

다툴 필요는 없고, 그 거품으로부터의 출생으로 인해 

"아프로디테"라 불렸다는 데에 동의할 만하네.

ΕΡΜ. Ἀλλὰ μὴν οὐδ᾿ Ἀθηνᾶς Ἀθηναῖός γ᾿ ὤν, ὦ 

Σώκρατες, ἐπιλήσῃ, οὐδ᾿ Ἡφαίστου τε καὶ Ἄρεως. 

허나 소크라테스, 당신께서는 아테네인이시니 물론

아테나도, 헤아피스토스도 아레스도 잊지는 

않으시겠지요.

ΣΩ. Οὐδὲ εἰκός γε.                                                                                    5

잊지 않을 듯하긴 하네.

ΕΡΜ. Οὐ γάρ. 

그야 잊지 않으실 테니까요.

ΣΩ. Οὐκοῦν τὸ μὲν ἕτερον ὄνομα αὐτῆς οὐ χαλεπὸν 

εἰπεῖν δι᾿ ὅ κεῖται. 

그렇다면 그녀의 다른 이름은 무엇으로 인해 그렇게

놓였는지 말하기 어렵지 않네.

ΕΡΜ. Τὸ ποῖον; 

어떤 것으로 인해서인가요?

ΣΩ. "Παλλάδα" που αὐτὴν καλοῦμεν.                                                       10

아마 우린 그녀를 "팔라스"라 부른다네.

ΕΡΜ. Πῶς γὰρ οὔ; 

어찌 아니겠어요?

ΣΩ. Τοῦτο μὲν τοίνυν ἀπὸ τῆς ἐν τοῖς ὅπλοις ὀρχήσεως 

ἡγούμενοι τεθῆναι ὀρθῶς ἄν, ὡς ἐγᾦμαι, ἡγοίμεθα· τὸ                          e

γάρ που ἢ αὑτὸν ἤ τι ἄλλο μετεωρίζειν ἢ ἀπὸ τῆς γῆς ἢ ἐν 

ταῖς χερσὶν "πάλλειν" τε καὶ "πάλλεσθαι" καὶ ὀρχεῖν καὶ                     407a1

ὀρχεῖσθαι καλοῦμεν. 

그러니까 이런 이름은 무장한 채의 무도로부터 정해진 

것이라 생각함으로써, 내 생각엔, 우리가 옳게 생각하게 

될 걸세. 왜냐하면 아마 자신 혹은 그 밖의 무언가를 

대지로부터든 손 안에서든 띄우는 것을 우리는 "흔든다"고 

또 "흔들린다"고 그리고 춤추게 한다고 또 춤춰진다고 

부르니까 말일세.

ΕΡΜ. Πάνυ μὲν οὖν. 

그야 물론입니다.

ΣΩ. "Παλλάδα" μὲν τοίνυν ταύτῃ. 

그러니까 "팔라스"는 이런 식으로 명명된 것이지.

ΕΡΜ. Καὶ ὀρθῶς γε. ἀλλὰ δὴ τὸ ἕτερον πῶς λέγεις;                                 5

옳기도 하고 말이죠. 허나 그럼 다른 쪽 이름은 어찌 

말씀하십니까?

ΣΩ. Τὸ τῆς Ἀθηνᾶς; 

아테나라는 이름 말인가?

ΕΡΜ. Ναί. 

네.

ΣΩ. Τοῦτο ἐμβριθέστερον, ὦ φίλε. ἐοίκασι δὴ καὶ οἱ 

παλαιοὶ τὴν Ἀθηνᾶν νομίζειν ὥσπερ οἱ νῦν περὶ Ὁμήρου 

δεινοί.                                                                                                      b

이 이름은 한결 무거운 것일세, 친구. 더욱이 옛 사람들도 

아테나를 오늘날 호메로스에 관련하여 능란한 자들과 

마찬가지로 생각한 듯하네. 

           καὶ γὰρ τούτων οἱ πολλοὶ ἐξηγούμενοι τὸν ποιητήν                     b

φασι τὴν Ἀθηνᾶν αὐτὸν νοῦν τε καὶ διάνοιαν πεποιηκέναι, 

καὶ ὁ τὰ ὀνόματα ποιῶν ἔοικε τοιοῦτόν τι περὶ αὐτῆς 

διανοεῖσθαι, ἔτι δὲ μειζόνως λέγων θεοῦ νόησιν ὡσπερεὶ 

λέγει ὅτι "ἁ θεονόα" ἐστὶν αὕτη, τῷ ἄλφα ξενικῶς ἀντὶ τοῦ                       5

ἦτα χρησάμενος καὶ τὸ ἰῶτα καὶ τὸ σῖγμα ἀφελών. 

왜냐하면 그들 중 다수 또한 해설하기를 그 시인 자신이 

아테나를 지성과 사유로서 작시하였다고 주장하고, 그 

이름들을 지은 이 또한 그녀에 관하여 이런 어떤 것을 

사유하였던 듯하며, 훨씬 더 거창하게 신의 사유라고, 

그야말로 그녀가 "신적인 사유(하 테오노아)"라고 

논하다시피 논하기 때문일세. 이국적으로 알파(α) 대신 

에타(η)를 사용하고 이오타(ι)와 시그마(σ)를 빼고서 

말이지.

                                                                               ἴσως δὲ 

οὐ ταύτῃ, ἀλλ᾿ ὡς τὰ θεῖα νοούσης αὐτῆς διαφερόντως τῶν 

ἄλλων "Θεονόην" ἐκάλεσεν. 

그런데 아마도 이런 식이 아니라, 그녀가 신적인 것들을 

여타의 신들보다도 특출나게 사유하기에 "신적으로 사유하는 

자(테오노에)라 불렀을 것 같네.

                                             οὐδὲν δὲ ἀπέχει καὶ τὴν ἐν τῷ 

ἤθει νόησιν ὡς οὖσαν τὴν θεὸν ταύτην "Ἠθονόην" μὲν 

βούλεσθαι προσειπεῖν· παραγαγὼν δὲ ἢ αὐτὸς ἢ τινες                           c

ὕστερον ἐπὶ τὸ κάλλιον ὡς ᾤοντο, "Ἀθηνάαν" ἐκάλεσαν. 

그런데 그 성품 안의 지성을 그 여신 자체라 여겨

"에토노에"라 부르길 바라는 것도 안될 이유가 전혀 없지. 

허나 그 시인 자신이든 후대의 어떤 이들이든 살짝 고치는 

편이 더 아름답다 생각하여, "아테나아"라 불렀다네.

ΕΡΜ. Τί δὲ δὴ τὸν Ἥφαιστον, πῇ λέγεις; 

헌데 그럼 헤파이스토스는 어떤가요? 어떤 식으로 

말씀하실까요?

ΣΩ. Ἦ τὸν γενναῖον τὸν "φάεος ἵστορα" ἐρωτᾷς; 

"광휘의 숙련자(파에오스 히스토라)"로서 고귀하신 분을

자네가 묻는 겐가?

ΕΡΜ. Ἔοικα.                                                                                             5

그런 듯합니다.

ΣΩ. Οὐκοῦν οὗτος μὲν παντὶ δῆλος "Φαῖστος" ὤν, τὸ 

ἦτα προσελκυσάμενος; 

그렇다면 이분께서는 "파이스토스"이신 게 모두에게 

분명하지 않나? 에타는 덧붙여 가지신 채로 말일세.

ΕΡΜ. Κινδυνεύει, ἐὰν μή πῄ σοι, ὡς ἔοικεν, ἔτι ἄλλῃ 

δόξῃ. 

그럴지도 모르겠네요, 그 외에 더 이상의 견해가 어떤 

식으로든 당신께 있지 않다면 말입니다. 그럴 듯하고요.

ΣΩ. Ἀλλ᾿ ἵνα μὴ δόξῃ, τὸν Ἄρη ἐρώτα.                                                     10

허나 그리 여겨지지 않도록, 아레스를 물어주게.

ΕΡΜ. Ἐρωτῶ. 

여쭈어 봅니다.

ΣΩ. Οὐκοῦν, εἰ μὲν βούλει, κατὰ τὸ ἄρρεν τε καὶ κατὰ                            d

τὸ ἀνδρεῖον "Ἄρης" ἂν εἴη· εἰ δ᾿ αὖ κατὰ τὸ σκληρόν τε 

καὶ ἀμετάστροφον, ὃ δὴ "ἄρρατον" καλεῖται, καὶ ταύτῃ ἂν 

πανταχῇ πολεμικῷ θεῷ πρέποι "Ἄρη" καλεῖσθαι. 

만일 자네가 괜찮다면, 심장을 따라 그리고 용맹을 따라서 

"아레스"이신 것 아닌가 하네. 그런데 만일 다시금 확고하고도 

부동하다는 점에 따르자면, 실로 "아라톤"이라 불리시는 

분이시고, 이런 식으로도 모든 면에서 전쟁에 능하신 분께 

"아레스"라 불리심이 적절할 걸세.

ΕΡΜ. Πάνυ μὲν οὖν.                                                                                 5

물론입니다.

ΣΩ. Ἐκ μὲν οὖν τῶν θεῶν πρὸς θεῶν ἀπαλλαγῶμεν, ὡς 

ἐγὼ δέδοικα περὶ αὐτῶν διαλέγεσθαι· περὶ δὲ ἄλλων 

ὧντινων βούλει πρόβαλλέ μοι, "ὄφρα ἴδηαι οἷοι" Εὐθύ-

φρονος "ἵπποι." 

그러니 신들께 걸고 신들로부터 떠나도록 하세, 내

그분들에 관하여 대화하기가 무서워서 말일세. 그 밖에는 

자네가 바라는 어떤 것들에 관해서든 제안해 주게나, 

에우튀프론의 "말들이 어떤 말들인지 자네가 알기 

위해서라면" 말일세.

ΕΡΜ. Ἀλλὰ ποιήσω ταῦτα, ἔτι γε ἓν ἐρόμενός σε περὶ                            e

Ἑρμοῦ, ἐπειδή με καὶ οὔ φησιν Κρατύλος Ἑρμογένη 

εἶναι. 

그럼 그리 하겠습니다, 헤르메스에 관련하여 한 가지만 

당신께 더 여쭙고서 말이죠. 크라튈로스가 저를 두고 

헤르모게네스가 아니라고 주장하기도 하니까요.

         πειρώμεθα οὖν τὸν "Ἑρμῆν" σκέψασθαι τί καὶ νοεῖ 

τὸ ὄνομα, ἵνα καὶ εἰδῶμεν εἰ τὶ ὅδε λέγει. 

그러니 "헤르메스"라는 것을 그리고 그가 그 이름을

무엇이라 생각하는지를 검토하는 일을 시도해 보도록 

하시죠, 우리도 여기 이 사람이 무슨 말이 되는 이야기를 

하는지 알 수 있게끔 말입니다. 

ΣΩ. Ἀλλὰ μὴν τοῦτό γε ἔοικε περὶ λόγον τι εἶναι, ὁ                                    5

"Ἑρμῆς"· τὸ γὰρ ἑρμηνέα εἶναι καὶ τὸ ἄγγελον καὶ τὸ 

κλοπικόν τε καὶ τὸ ἀπατηλὸν ἐν λόγοις καὶ τὸ ἀγοραστι-                  408a1

κόν, περὶ λόγου δύναμίν ἐστιν πᾶσα αὕτη ἡ πραγματεία. 

허나 물론 이 이름은 모종의 말에 관련된 것일 듯하네, 

"헤르메스"라는 이름 말일세. 왜냐하면 해석자(헤르메네아)로 

있다는 것과 전령이라는 것 그리고 말들 속에서의 도적이자 

기만자라는 것 또한 무역상인이라는 것, 이 모든 직무가 

말에 관련된 능력이기 때문이지.

ὅπερ οὖν καὶ ἐν τοῖς πρόσθεν ἐλέγομεν, τὸ "εἴρειν" λόγου 

χρεία ἐστί, τὸ δέ, οἷον καὶ Ὅμηρος πολλαχοῦ λέγει, 

"ἐμήσατό" φησιν, τοῦτο δὲ μηχανήσασθαί ἐστιν.                                      5

그래서 앞선 논의에서도 우리가 논했던 그대로, "이야기한다"는

것은 말의 사용이고, 다른 한편, 이를 테면 호메로스도 여러

곳에서 논하는 바, 그는 "에메사토(μήδομαι의 aor.)"를 말하는데,

이것은 획책한다는 것일세.

                                                                             ἐξ ἀμφο-                       5

τέρων οὖν τούτων τὸν τὸ λέγειν τε καὶ τὸν λόγον μησά-

μενον τοῦτον τὸν θεὸν ὡσπερεὶ ἐπιτάττει ἡμῖν ὁ νομοθέτης· 

그리하여 이 양자 모두로부터 말하는 일과 말을 획책하는

이러한 신을 두고 입법가가 우리에게 마치 이렇게 명령한 

듯하네.

"Ὦ ἄνθρωποι, ὃς τὸ εἴρειν ἐμήσατο, δικαίως ἂν                                     b

καλοῖτο ὑπὸ ὑμῶν Εἰρέμης"· νῦν δὲ ἡμεῖς, ὡς οἰόμεθα, 

καλλωπίζοντες τὸ ὄνομα "Ἑρμῆν" καλοῦμεν. 

"인간들이여, 이야기하기를 획책하는 자, 그는 그대들에 

의해 에이레메스라 불려 마땅하노라." 그런데 오늘날 

우리는, 우리 생각대로, 그 이름을 꾸며 "헤르메스"라고 

부르고 있지.

 

-작성중-

ΣΩ. Ἄλλο τι οὖν ἀφ᾿ Ἑστίας ἀρχώμεθα κατὰ τὸν                                   b

νόμον; 

그럼 법에 따라 헤스티아부터 시작하지 않겠나?

ΕΡΜ. Δίκαιον γοῦν. 

그건 정당한 일이지요.

ΣΩ. Τί οὖν ἄν τις φαίη διανοούμενον τὸν ὀνομάσαντα 

Ἑστίαν ὀνομάσαι;                                                                                      5

그렇다면 누군가는 헤스티아라 명명한 사람이 무엇을

생각하여 그리 명명한 것이라 주장하겠나?

ΕΡΜ. Οὐ μὰ τὸν Διά οὐδὲ τοῦτο οἶμαι ῥᾴδιον εἶναι. 

제우스께 맹세코 그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라 생각합니다.

ΣΩ. Κινδυνεύουσι γοῦν, ὠγαθὲ Ἑρμόγενες, οἱ πρῶτοι 

τὰ ὀνόματα τιθέμενοι οὐ φαῦλοι εἶναι ἀλλὰ μετεωρολόγοι 

τινὲς καὶ ἀδολέσχαι. 

어쨌든, 훌륭한 헤르모게네스, 최초에 이름들을 정해주는 

자들은 보잘 것 없는 자들이 아니라 어떤 천문학자들이자 

말 잘하는 자들일 것 같네.

ΕΡΜ. Τί δή;                                                                                               10

그래서요?

ΣΩ. Καταφαίνεταί μοι ἡ θέσις τῶν ὀνομάτων τοιούτων 

τινῶν ἀνθρώπων εἶναι, καὶ ἐάν τις τὰ ξενικὰ ὀνόματα                            c

ἀνασκοπῇ, οὐχ ἧττον ἀνευρίσκεται ὃ ἕκαστον βούλεται. 

내게는 이름의 정립이 이런 어떤 사람들에게 속한 일인 

것이라 떠오르고, 그래서 누군가가 이국적인 명칭들을 

고찰한다면, 그 각각이 의도하는 바를 부족함 없이 알아낼 

걸세.

οἷον καὶ ἐν τούτῳ ὃ ἡμεῖς "οὐσίαν" καλοῦμεν, εἰσὶν οἳ 

"ἐσσίαν" καλοῦσιν, οἳ δ᾿ αὖ "ὠσίαν." 

이를 테면 우리가 "우시아(있음)"라 부르는 것의 경우에도, 

"에시아"라 부르는 자들이 있는가 하면, 또 "오시아"라 부르는 

이들도 있지.

                                                         πρῶτον μὲν οὖν κατὰ 

τὸ ἕτερον ὄνομα τούτων ἡ τῶν πραγμάτων οὐσία "Ἑστία"                       5

καλεῖσθαι ἔχει λόγον, καὶ ὅτι γε αὖ ἡμεῖς τὸ τῆς οὐσίας 

μετέχον "ἔστιν" φαμέν, καὶ κατὰ τοῦτο ὀρθῶς ἂν καλοῖτο 

"Ἑστία"· 

그러므로 우선은 그 이름들 중 다른 한쪽 것에 따라 사물들의 

있음을 "헤스티아"라고 부르는 것이 말이 되고, 이번엔 또 

우리가 있음에 참여하는 것을 "에스틴(있다)"이라 주장하는 

바, 이 점에 따라서도 "헤스티아"라 부르는 게 옳을 걸세.

              ἐοίκαμεν γὰρ καὶ ἡμεῖς τὸ παλαιὸν "ἐσσίαν" 

καλεῖν τὴν οὐσίαν. 

그야 우리도 예전에는 그 있음을 "에시아"라 불렀던 듯하니까.

                              ἔτι δὲ καὶ κατὰ τὰς θυσίας ἄν τις ἐννοή-

σας ἡγήσαιτο οὕτω νοεῖν ταῦτα τοὺς τιθεμένους· τὸ γὰρ                       d

πρὸ πάντων θεῶν τῇ Ἑστίᾳ πρώτῃ προθύειν εἰκὸς ἐκείνους 

οἵτινες τὴν πάντων οὐσίαν "ἐσσίαν" ἐπωνόμασαν. 

더욱이 제사에 따라서도 누군가는 생각하기를 이름을 정한 

자들이 그 이름들을 그렇게 이해하였다고 여겼을 걸세. 

모든 신들에 앞서 헤스티아께 처음으로 제를 올렸을 듯하니, 

모든 것의 있음을 "에시아"라 명명하였던 바로 그들은 말일세. 

                                                                                ὅσοι δ᾿ 

αὖ "ὠσίαν," σχεδόν τι αὖ οὗτοι καθ᾿ Ἡράκλειτον ἂν 

ἡγοῖντο τὰ ὄντα ἰέναι τε πάντα καὶ μένειν οὐδέν·                                       5

그런데 "오시아"라 부른 자들의 경우에는, 이번엔 아마도

헤라클레이토스를 따라 있는 것들이 전부 나아가며 아무것도

머무르지 않는다 생각한 자들일 테지.

                                                                             τὸ οὖν                           5

αἴτιον καὶ τὸ ἀρχηγὸν αὐτῶν εἶναι τὸ ὠθοῦν, ὅθεν δὴ 

καλῶς ἔχειν αὐτὸ "ὠσίαν" ὠνομάσθαι. καὶ ταῦτα μὲν δὴ 

ταύτῃ ὡς παρὰ μηδὲν εἰδότων εἰρήσθω·                                                e

그러므로 그것들의 원인이자 시원이란 추동하는 것이라고, 

그래서 이로부터 그것을 "오시아"라고 훌륭하게 명명할 수 

있다고 생각했을 걸세. 그럼 이런 것들은 우리가 거의 아무것도

알지 못하니 이런 식으로 이야기된 것이도록 하세.

                                                                 μετὰ δ᾿ Ἑστίαν                       e

δίκαιον Ῥέαν καὶ Κρόνον ἐπισκέψασθαι. καίτοι τό γε τοῦ 

Κρόνου ὄνομα ἤδη διήλθομεν. ἴσως μέντοι οὐδὲν λέγω. 

그런데 헤스티아 다음으로는 레아와 크로노스를 검토함이 

정당하네. 게다가 크로노스라는 이름은 우리가 이미 

상술하기도 하였고. 그렇지만 아마도 나는 말도 안 되는 

소리를 하고 있는 걸세.

> Cf. 396b3.

ΕΡΜ. Τί δή, ὦ Σώκρατες; 

어떤 점에서 말씀이십니까, 소크라테스?

ΣΩ. Ὠγαθέ, ἐννενόηκά τι σμῆνος σοφίας.                                                 5

훌륭한 친구, 나는 지혜의 어떤 벌집 같은 것을 생각했네. 

ΕΡΜ. Ποῖον δὴ τοῦτο; 

그건 어떤 것인가요?

ΣΩ. Γελοῖον μὲν πάνυ εἰπεῖν, οἶμαι μέντοι τινὰ πιθανό-                    402a1

τητα ἔχον. 

한편으론 꽤나 이야기하기 우스운 것이네만, 모종의 

설득력을 지니고 있는 것이라 나는 생각한다네.

ΕΡΜ. Τίνα ταύτην; 

어떤 설득력인가요?

ΣΩ. Τὸν Ἡράκλειτόν μοι δοκῶ καθορᾶν παλαί᾿ ἄττα 

σοφὰ λέγοντα, ἀτεχνῶς τὰ ἐπὶ Κρόνου καὶ Ῥέας, ἃ καὶ                            5

Ὅμηρος ἔλεγεν. 

내겐 내가 헤라클레이토스가 몇몇 지혜로운 일들을 

논한다는 것을 알아본 것으로 여겨지네, 호메로스께서도 

말했던 바, 말 그대로 크로노스와 레아 시대의 일들을 

말일세.

ΕΡΜ. Πῶς τοῦτο λέγεις; 

어떤 의미로 그 말씀을 하시는 건가요?

ΣΩ. Λέγει που Ἡράκλειτος ὅτι "πάντα χωρεῖ καὶ 

οὐδὲν μένει," καὶ ποταμοῦ ῥοῇ ἀπεικάζων τὰ ὄντα λέγει 

ὡς "δὶς ἐς τὸν αὐτὸν ποταμὸν οὐκ ἂν ἐμβαίης."                                       10

어딘가에서 헤라클레이토스는 논했다네. "만물은 나아가며 

아무것도 머무르지 않는다." 라고, 또한 있는 것들을 강의

흐름에 비유하며  "그대는 같은 강물 속으로 두 번 들어설 수

없다." 라고 말이지.

ΕΡΜ. Ἔστι ταῦτα. 

실제로 그렇죠.

ΣΩ. Τί οὖν; δοκεῖ σοι ἀλλοιότερον Ἡρακλείτου νοεῖν ὁ                           b

τιθέμενος τοῖς τῶν ἄλλων θεῶν προγόνοις "Ῥέαν" τε καὶ 

"Κρόνον"; 

그렇다면 어떤가? 자네에게는 여타 신들의 선조들에게 

"레아"와 "크로노스"라 이름을 정해준 자가 헤라클레이토스와 

많이 다른 생각을 했다고 여겨지는가? 

                ἆρα οἴει ἀπὸ τοῦ αὐτομάτου αὐτὸν ἀμφοτέροις 

ῥευμάτων ὀνόματα θέσθαι; 

혹시 자네는 그가 저절로 그 두 분께 흐름에 관련된 이름들을 

정해드렸다고 생각하는가?

                                            ὥσπερ αὖ Ὅμηρος "Ὠκεανόν 

τε θεῶν γένεσίν" φησιν "καὶ μητέρα Τηθύν"· οἶμαι δὲ καὶ                          5

Ἡσίοδος. λέγει δέ που καὶ Ὀρφεὺς ὅτι 

마치 이번엔 호메로스께서 "오케아노스 즉 신들의 기원" 

그리고 "어머니 테튀스"라 주장하셨던 것과 같지. 내 생각에 

헤시오도스께서도 그리 주장하셨네. 헌데 어딘가에서 

오르페우스께서도 이리 말씀하신다네. 

  Ὠκεανὸς πρῶτος καλλίρροος ἦρξε γάμοιο, 

  ὅς ῥα κασιγνήτην ὁμομήτορα Τηθὺν ὄπυιεν.                                        c

 최초의 아름다운 흐름 오케아노스께서 혼인을 시작하셨으니, 

 같은 어머니를 둔 누이 테튀스를 부인으로 삼았노라.

ταῦτ᾿ οὖν σκόπει ὅτι καὶ ἀλλήλοις συμφωνεῖ καὶ πρὸς τὰ 

τοῦ Ἡρακλείτου πάντα τείνει. 

이러한 말들이 서로 조화를 이루기도 하고 헤라클레이토스의 

말들 쪽으로 그 모든 말들이 뻗어 나아간다는 점을 검토해 

주게.

ΕΡΜ. Φαίνῃ τί μοι λέγειν, ὦ Σώκρατες· τὸ μέντοι τῆς 

Τηθύος οὐκ ἐννοῶ ὄνομα τί βούλεται.                                                      5

제겐 말이 되는 소리로 보입니다, 소크라테스. 그렇지만 

테튀스라는 이름이 무엇을 의도하는지는 제가 알지 

못합니다.

ΣΩ. Ἀλλὰ μὴν τοῦτό γε ὀλίγου αὐτὸ λέγει ὅτι πηγῆς 

ὄνομα ἐπικεκρυμμένον ἐστίν. 

그렇지만 이 이름은 거의 그 자체로 샘물의 감추어진

이름이라는 점을 말해주지.

                                               τὸ γὰρ διαττώμενον καὶ 

τὸ ἠθούμενον πηγῆς ἀπείκασμά ἐστιν· ἐκ δὲ τούτων                             d

ἀμφοτέρων τῶν ὀνομάτων ἡ "Τηθὺς" τὸ ὄνομα σύγκειται. 

왜냐하면 체로 쳐진 것과 걸러진 것이 샘물에 대한 

표현이기 때문이라네. 그런데 이 양쪽 이름으로부터 

"테튀스"라는 이름이 결합되어 나왔지.

ΕΡΜ. Τοῦτο μέν, ὦ Σώκρατες, κομψόν. 

이건 절묘하네요, 소크라테스.

ΣΩ. Τί δ᾿ οὐ μέλλει; ἀλλὰ τί τὸ μετὰ τοῦτο; τὸν μὲν Διά 

εἴπομεν.                                                                                                     5

왜 아니겠는가? 허나 이 다음은 어떤가? 제우스는 우리가 

이야기했지.

ΕΡΜ. Ναί. 

네.

ΣΩ. Τοὺς ἀδελφοὺς δὴ αὐτοῦ λέγωμεν, τόν τε 

Ποσειδῶ καὶ τὸν Πλούτωνα καὶ τὸ ἕτερον ὄνομα ὃ ὀνομά-

ζουσιν αὐτόν. 

그럼 그 분의 형제분들을 논해 보세, 포세이돈과 플루톤 

그리고 사람들이 그 분을 부르는 또 다른 이름도 말일세.

ΕΡΜ. Πάνυ γε.                                                                                          10

물론입니다.

ΣΩ. Τὸ μὲν τοίνυν τοῦ Ποσειδῶνός μοι φαίνεται ὠνο-

μάσθαι ὑπὸ τοῦ πρώτου ὀνομάσαντος, ὅτι αὐτὸν βαδίζοντα                 e

ἐπέσχεν ἡ τῆς θαλάττης φύσις καὶ οὐκέτι εἴασεν προελθεῖν, 

ἀλλ᾿ ὥσπερ δεσμὸς τῶν ποδῶν αὐτῷ ἐγένετο. 

그러니까 포세이돈의 이름은 내게는 처음 명명한 자에 의해 

그리 명명된 것으로 보이는데, 바다의 본성이 그가 걷는 것을 

중단시켰고 더 이상 전진하는 것을 허용치 않았으며, 오히려 

그에게 두 다리의 족쇄와 같이 되었다는 점으로 인해서이지. 

                                                                           τὸν οὖν 

ἄρχοντα τῆς δυνάμεως ταύτης θεὸν ὠνόμασεν 

"Ποσειδῶνα," ὡς "ποσίδεσμον" ὄντα· τὸ δὲ ε ἔγκειται                              5

ἴσως εὐπρεπείας ἕνεκα. 

그러므로 이러한 능력의 소유자인 신을 "포세이돈"이라고 

명명하였네, "포시데스몬(두 다리의 족쇄)"인 신이라 

생각하며 말일세. 그런데 엡실론(ε)은 아마도 보기 좋으라고 

삽입된 듯하네.

                                       τάχα δὲ οὐκ ἂν τοῦτο λέγοι, ἀλλ᾿ 

ἀντὶ τοῦ σῖγμα δύο λάβδα τὸ πρῶτον ἐλέγετο, ὡς πολλὰ                403a1

εἰδότος τοῦ θεοῦ. 

그런데 어쩌면 이런 걸 말하는 게 아니라, 시그마(σ) 대신 

람다(λ) 두 개가 먼저 말해졌을 수도 있네, 그 신께서 많은 

것들을 알고 계시다(폴라 에이도토스)는 이유로 말이지.

                             ἴσως δὲ ἀπὸ τοῦ σείειν "ὁ σείων" 

ὠνόμασται· πρόσκειται δὲ τὸ πεῖ καὶ τὸ δέλτα. 

그런데 아마도 흔든다(세이에인)는 것으로부터

"호 세이온(흔드는 자)"라고 명명되었을지도 모르네. 

페이(파이, π)와 델타(δ)는 추가로 놓인 것이고 말일세.

                                                                          τὸ δὲ 

Πλούτωνος, τοῦτο μὲν κατὰ τὴν τοῦ πλούτου δόσιν, ὅτι ἐκ 

τῆς γῆς κάτωθεν ἀνίεται ὁ πλοῦτος, ἐπωνομάσθη·                                  5

그런데 플루톤이라는 이름, 이는 부의 부여를 따른 것으로, 

부가 대지로부터 아래에서 올라오기 때문에, 그리 명칭이 

붙었지.

                                                                                 ὁ δὲ                          5

"Ἅιδης," οἱ πολλοὶ μέν μοι δοκοῦσιν ὑπολαμβάνειν τὸ 

ἀιδὲς προσειρῆσθαι τῷ ὀνόματι τούτῳ, καὶ φοβούμενοι 

τὸ ὄνομα "Πλούτωνα" καλοῦσιν αὐτόν. 

반면 "하데스"라는 이름의 경우, 많은 사람들은 보이지 

않는 것이 그 이름에 의해 호명된다고 간주하는 것으로 

여겨지네. 그리고 그들이 그 이름을 두려워하며 그 분을 

"플루톤"이라 부른 게지.

ΕΡΜ. Σοὶ δὲ πῶς φαίνεται, ὦ Σώκρατες;                                               b

반면 당신께는 어찌 드러나 보이나요, 소크라테스?

ΣΩ. Πολλαχῇ ἔμοιγε δοκοῦσιν ἅνθρωποι διημαρτηκέ-

ναι περὶ τούτου τοῦ θεοῦ τῆς δυνάμεως καὶ φοβεῖσθαι 

αὐτὸν οὐκ ἄξιον <ὄν>. 

내게는 여러모로 사람들이 그 신의 능력에 관련하여 

완전히 잘못 짚었고 그래서 두려워하지 않아야 할 분을 

두려워한 것이라 여겨진다네.

                                     ὅτι τε γάρ, ἐπειδὰν ἅπαξ τις ἡμῶν 

ἀποθάνῃ, ἀεὶ ἐκεῖ ἐστιν, φοβοῦνται, καὶ ὅτι ἡ ψυχὴ γυμνὴ                        5

τοῦ σώματος παρ᾿ ἐκεῖνον ἀπέρχεται, καὶ τοῦτο πεφόβην-

ται· 

왜냐하면 우리 중 누군가가 일단 죽고 나면, 언제나 저곳에 

있다는 것을, 두려워하고, 영혼이 육신을 벗은 채 저 분께 

당도한다는 것, 이 또한 두려워하였기 때문이지.

       τὰ δ᾿ ἐμοὶ δοκεῖ πάντα ἐς ταὐτόν τι συντείνειν, καὶ ἡ 

ἀρχὴ τοῦ θεοῦ καὶ τὸ ὄνομα. 

그런데 그 모든 것들이 내게는 어떤 같은 것을 향해 

수렴한다고 여겨지니, 그건 그 신의 지배와 이름이라네.

ΕΡΜ. Πῶς δή; 

어찌 그렇습니까?

ΣΩ. Ἐγώ σοι ἐρῶ ἅ γέ μοι φαίνεται. εἰπὲ γάρ μοι,                                    c

δεσμὸς ζῴῳ ὁτῳοῦν ὥστε μένειν ὁπουοῦν, πότερος ἰσχυ-

ρότερός ἐστιν, ἀνάγκη ἢ ἐπιθυμία; 

나로서는 자네에게 내게 그리 보이는 것들을 이야기하고 있네. 

그러니까 내게 말해주게. 그 어떤 살아있는 것에게든 그 

어디가 되었든 그곳에 머무르도록 하는 족쇄는, 어느 쪽이 

더욱 강력한 것인가? 필연인가 아니면 열망인가?

ΕΡΜ. Πολὺ διαφέρει, ὦ Σώκρατες, ἡ ἐπιθυμία. 

무척이나 두드러지게 열망 쪽이죠, 소크라테스.

ΣΩ. Οἴει οὖν τὸν Ἅιδην οὐκ ἂν πολλοὺς ἐκφεύγειν, εἰ                              5

μὴ τῷ ἰσχυροτάτῳ δεσμῷ ἔδει τοὺς ἐκεῖσε ἰόντας; 

그렇다면 자네는, 만일 가장 강력한 족쇄로 저곳을

향해 가는 자들을 결박하지 않는다면, 많은 자들이 

하데스로부터 탈주하리라 생각하는가? 

ΕΡΜ. Δῆλα δή. 

실로 분명한 일이지요.

ΣΩ. Ἐπιθυμίᾳ ἄρα τινὶ αὐτούς, ὡς ἔοικε, δεῖ, εἴπερ τῷ 

μεγίστῳ δεσμῷ δεῖ, καὶ οὐκ ἀνάγκῃ. 

그래서 만일 정말로 가장 거대한 족쇄로 결박한다면, 

어떤 열망으로 그들을 결박할 것이고, 필연으로 그리 

하진 않음이 그럴 듯하네.

ΕΡΜ. Φαίνεται.                                                                                         10

그리 보입니다.

ΣΩ. Οὐκοῦν ἐπιθυμίαι αὖ πολλαί εἰσιν; 

허면 이번엔 열망들은 여러가지 것들이 있지 않나?

ΕΡΜ. Ναί. 

네.

ΣΩ. Τῇ μεγίστῃ ἄρα ἐπιθυμίᾳ τῶν ἐπιθυμιῶν δεῖ                                    d

αὐτούς, εἴπερ μέλλει τῷ μεγίστῳ δεσμῷ κατέχειν. 

그래서 열망들 중에서 가장 거대한 열망으로 그들을 

결박할 테지, 만일 정말로 장차 가장 거대한 족쇄로 

붙들어 둘 참이라면 말일세.

ΕΡΜ. Ναί. 

네.

ΣΩ. Ἔστιν οὖν τις μείζων ἐπιθυμία ἢ ὅταν τίς τῳ συνὼν 

οἴηται δι᾿ ἐκεῖνον ἔσεσθαι ἀμείνων ἀνήρ;                                                  5

그러면 누군가가 또 다른 누군가와 함께 있으면서 저

사람으로 인해 장차 더 나은 자로 있게 되리라 생각하는 

때보다 더 큰 어떤 열망이 있는가?

ΕΡΜ. Μὰ Δί᾿ οὐδ᾿ ὁπωστιοῦν, ὦ Σώκρατες. 

제우스께 맹세코 도대체 그 어떤 식으로도 없지요, 

소크라테스.

ΣΩ. Διὰ ταῦτα ἄρα φῶμεν, ὦ Ἑρμόγενες, οὐδένα 

δεῦρο ἐθελῆσαι ἀπελθεῖν τῶν ἐκεῖθεν, οὐδὲ αὐτὰς τὰς 

Σειρῆνας, ἀλλὰ κατακεκηλῆσθαι ἐκείνας τε καὶ τοὺς                               e

ἄλλους πάντας· 

그래서 이런 점들로 인해 우리는, 헤르모게네스, 

저곳으로부터의 사람들 중 누구 하나 여기로 빠져나오려 

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도록 하세. 세이렌들조차 말일세. 

오히려 저 세이렌들도 그 외의 모든 사람들도 매혹당했다 

주장할 걸세.

                          οὕτω καλούς τινας, ὡς ἔοικεν, ἐπίσταται 

λόγους λέγειν ὁ Ἅιδης, καὶ ἔστιν, ὥς γ᾿ ἐκ τοῦ λόγου 

τούτου, ὁ θεὸς οὗτος τέλεος σοφιστής τε καὶ μέγας εὐερ-

γέτης τῶν παρ᾿ αὐτῷ, ὅς γε καὶ τοῖς ἐνθάδε τοσαῦτα ἀγαθὰ                    5

ἀνίησιν· 

그렇게나 훌륭한 어떤 말들을 하데스께서는 할 줄 아셨던 

듯하고, 그 말로부터 나온 것처럼, 이 신은 완전한 소피스트이자 

그의 곁에 있는 자들에 대한 위대한 후원자이기도 하시니, 이 

땅의 사람들에게도 그만큼 좋은 것들을 보내주시는 분이시네. 

              οὕτω πολλὰ αὐτῷ τὰ περιόντα ἐκεῖ ἐστιν, καὶ τὸν 

"Πλούτωνα" ἀπὸ τούτου ἔσχε τὸ ὄνομα. 

그렇게나 많은 것들이 저곳에서 저분을 둘러싸고 있기에, 

이로부터 "플루톤"이란 이름을 지니신 걸세.

                                                                 καὶ τὸ αὖ μὴ ἐθέ-

λειν συνεῖναι τοῖς ἀνθρώποις ἔχουσι τὰ σώματα, ἀλλὰ τότε 

συγγίγνεσθαι, ἐπειδὰν ἡ ψυχὴ καθαρὰ ᾖ πάντων τῶν περὶ              404a

τὸ σῶμα κακῶν καὶ ἐπιθυμιῶν, 

또 이번엔 육신을 지닌 인간들과 함께하지 않으려 하고, 

육신에 관련된 모든 악들과 열망들로부터 영혼이 정화된

것으로 있게 된 이후, 그 때에 함께하려 한다는 것이, 

                                                  οὐ φιλοσόφου δοκεῖ σοι 

εἶναι καὶ εὖ ἐντεθυμημένου ὅτι οὕτω μὲν ἂν κατέχοι αὐτοὺς 

δήσας τῇ περὶ ἀρετὴν ἐπιθυμίᾳ, ἔχοντας δὲ τὴν τοῦ σώμα-

τος πτοίησιν καὶ μανίαν οὐδ᾿ ἂν ὁ Κρόνος δύναιτο ὁ πατὴρ                    5

συγκατέχειν αὑτῷ ἐν τοῖς δεσμοῖς δήσας τοῖς αὐτοῦ 

λεγομένοις; 

자네에게는 철학자에게 속하는 일이라고 그리고 잘 

심사숙고한 자에게 속하는 일이라고 여겨지지 않나? 그렇게

덕에 관련된 열망으로 그들을 결박시켜서 붙들어둘 수 있을 

테지만, 육신의 격정과 광기를 지닌 자들은 아버지

크로노스조차 그의 것으로 구전되는 족쇄 속에 자신과 함께

결박시켜 붙들어둘 수 없으이란 점을 말일세.

ΕΡΜ. Κινδυνεύεις τὶ λέγειν, ὦ Σώκρατες. 

말이 되는 말씀을 하시는 것 같습니다, 소크라테스.

ΣΩ. Καὶ τό γε ὄνομα ὁ "Ἅιδης," ὦ Ἑρμόγενες,                                        b

πολλοῦ δεῖ ἀπὸ τοῦ ἀιδοῦς ἐπωνομάσθαι, ἀλλὰ πολὺ 

μᾶλλον ἀπὸ τοῦ πάντα τὰ καλὰ εἰδέναι, ἀπὸ τούτου ὑπὸ 

τοῦ νομοθέτου "Ἅιδης" ἐκλήθη. 

그래서 "하데스"라는 이름은, 헤르모게네스, 

아이데스(보이지 않는 것)에서 이름 붙은 것과는 거리가 

멀고, 오히려 아름다운 모든 것을 안다(에이데나이)는 

것에서, 이 점에서 입법가에 의해 "하데스"라 불리게 

되었던 걸세.

ΕΡΜ. Εἶεν· τί δὲ Δήμητρά τε καὶ Ἥραν καὶ Ἀπόλλω                                 5

καὶ Ἀθηνᾶν καὶ Ἥφαιστον καὶ Ἄρη καὶ τοὺς ἄλλους 

θεούς, πῶς λέγομεν; 

좋습니다. 그런데 데메테르와 헤라 그리고 아폴론, 

아테나, 헤파이스토스, 또 아레스와 여타 신들은, 

우리가 어찌 논할까요?

ΣΩ. Δημήτηρ μὲν φαίνεται κατὰ τὴν δόσιν τῆς ἐδωδῆς 

διδοῦσα ὡς μήτηρ "Δημήτηρ" κεκλῆσθαι, Ἥρα δὲ 

ἐρατή τις, ὥσπερ οὖν καὶ λέγεται ὁ Ζεὺς αὐτῆς ἐρασθεὶς                       c

ἔχειν. 

데메테르는 어머니(메테르, μήτηρ)처럼

양식(에도데, ἐδωδή)을 주기에 그 양식의 부여에 따라

"데메테르"라 불리신 것으로 보이고, 헤라께서는 어떤

사랑받는 분으로서, 제우스께서 그녀를 사랑하시어

취하셨다 전해지기도 하듯 그렇게 불리신 것으로 보이네.

          ἴσως δὲ μετεωρολογῶν ὁ νομοθέτης τὸν ἀέρα 

"Ἥραν" ὠνόμασεν ἐπικρυπτόμενος, θεὶς τὴν ἀρχὴν ἐπὶ 

τελευτήν· γνοίης δ᾿ ἄν, εἰ πολλάκις λέγοις τὸ τῆς Ἥρας 

ὄνομα.                                                                                                       5

그런데 아마도 그 입법가는 천문학에 일가견이 있어 

"헤라"라는 이름에 공기(아에르, ἀήρ)를 숨겨놓으며 

명명한 듯하네, 시작을 끝에 두면서 말이지. 헤라란 이름을 

여러 차례 말해 보면, 자네도 알 수 있을 걸세.

            "Φερρέφαττα" δέ, πολλοὶ μὲν καὶ τοῦτο φοβοῦνται                       5

τὸ ὄνομα καὶ τὸν "Ἀπόλλω," ὑπὸ ἀπειρίας, ὡς ἔοικεν, 

ὀνομάτων ὀρθότητος. 

그런데 "페레팟타"는, 많은 이들은 이 이름 또한 그리고 

"아폴론"도 두려워하는데, 이름의 옳음에 대한 경험부족에 

의해 그런 듯하네.

                                    καὶ γὰρ μεταβάλλοντες σκοποῦνται 

τὴν "Φερσεφόνην," καὶ δεινὸν αὐτοῖς φαίνεται· τὸ δὲ 

μηνύει σοφὴν εἶναι τὴν θεόν.                                                                  d

왜냐하면 "페르세포네"라 바꾸어 검토하면서, 그 이름이 

그들에게 두려운 이름으로 드러나기 때문이지. 그러나 

그 이름은 그 여신께서 지혜로우시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일세.

                                              ἅτε γὰρ φερομένων τῶν                           d

πραγμάτων τὸ ἐφαπτόμενον καὶ ἐπαφῶν καὶ δυνάμενον 

ἐπακολουθεῖν σοφία ἂν εἴη. 

사물들은 움직이기에 그것들을

움켜쥐고(에팝토메논, ἐφαπτόμενον)

접하는 것(에파폰, ἐπαφῶν)은 지혜를 추구할 능력이 있는

것이기도 할 테니까.

                                            "Φερέπαφα" οὖν διὰ τὴν 

σοφίαν καὶ τὴν ἐπαφήν τοῦ φερομένου ἡ θεὸς ἂν ὀρθῶς 

καλοῖτο, ἢ τοιοῦτόν τι                                                                               5

그러므로 "페레파파"라는 것은 지혜 그리고 움직이는 것에

대한 접촉으로 인해 그 여신께서 옳게 불리시는 것일 테고, 

또는 이런 어떤 것으로 옳게 불리실 걸세.

                                  ―δι᾿ ὅπερ καὶ σύνεστιν αὐτῇ ὁ                              5

Ἅιδης σοφὸς ὤν, διότι τοιαύτη ἐστίν―

그녀와 함께하시는 하데스께서 지혜로운 분으로 계시며, 

그녀가 이러한 여신이시라는 점으로 인해 그러하시다는 

바로 그 점으로 인해서 말이지.

                                                             νῦν δὲ αὐτῆς 

ἐκκλίνουσι τὸ ὄνομα, εὐστομίαν περὶ πλείονος ποιούμενοι 

τῆς ἀληθείας, ὥστε "Φερρέφατταν" αὐτὴν καλεῖν. 

그런데 사람들은 그녀의 이름을 변경하니, 진리보다도 

아름다운 소리에 더 많은 가치를 두면서 그리하여, 그녀를 

"페레팟타"라 부르게 되었네.

                                                                               ταὐτὸν 

δὲ καὶ περὶ τὸν Ἀπόλλω, ὅπερ λέγω, πολλοὶ πεφόβηνται                       e

περὶ τὸ ὄνομα τοῦ θεοῦ, ὥς τι δεινὸν μηνύοντος· ἢ οὐκ 

ᾔσθησαι; 

그런데 아폴론에 관련하여서도 내가 말하고 있는 바로 

그 똑같은 일이 벌어졌으니, 많은 사람들이 그 신의 

이름에 관련하여 두려워하였다네, 그 이름이 어떤 

무시무시한 것을 드러낸다 여기면서 말일세. 자넨 그걸 

알아차리지 못하였는가?

ΕΡΜ. Πάνυ μὲν οὖν, καὶ ἀληθῆ λέγεις. 

물론 알지요. 참된 말씀이십니다.

ΣΩ. Τὸ δέ γ᾿ ἐστίν, ὡς ἐμοὶ δοκεῖ, κάλλιστα κείμενον                                5

πρὸς τὴν δύναμιν τοῦ θεοῦ. 

그런가 하면 다른 쪽 이름은, 내게 여겨지기로는, 가장 

아름답게 그 신의 능력에 맞추어 놓여진 것이지.

ΕΡΜ. Πῶς δή; 

어떤 식으로요?

ΣΩ. Ἐγὼ πειράσομαι φράσαι ὅ γέ μοι φαίνεται· οὐ 

γὰρ ἔστιν ὅτι ἂν μᾶλλον ὄνομα ἥρμοσεν ἓν ὂν τέτταρσι                    405a1

δυνάμεσι ταῖς τοῦ θεοῦ, ὥστε πασῶν ἐφάπτεσθαι καὶ 

δηλοῦν τρόπον τινὰ μουσικήν τε καὶ μαντικὴν καὶ ἰατρικὴν 

καὶ τοξικήν. 

내 적어도 내게 보이는 바는 알려주고자 시도해 보겠네. 

즉 하나이면서도 그 신의 네 가지 능력과 더욱 잘 조화되어,
그래서 모든 능력들에 접하고 모종의 방식으로 예술과 예언술,

의술, 그리고 궁술을 밝혀주게 될 그런 이름은 있지 않다는

것일세.

 

-작성중-

ΣΩ. Οὐκοῦν καὶ τῶν νῦν οἴει ἂν φάναι αὐτὸν εἴ τις 

ἀγαθός ἐστιν ἐκείνου τοῦ χρυσοῦ γένους εἶναι;                                   b

그렇다면 오늘날의 사람들 중에서도 만일 누군가 

훌륭한 자가 있다면 저 황금의 부류에 속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고 생각하지 않나?

ΕΡΜ. Εἰκός γε. 

그럴 듯하긴 합니다.

ΣΩ. Οἱ δ᾿ ἀγαθοὶ ἄλλο τι ἢ φρόνιμοι; 

그런데 훌륭한 자들은 다름 아니라 슬기로운 자들이지?

ΕΡΜ. Φρόνιμοι. 

슬기로운 자들이죠.

ΣΩ. Τοῦτο τοίνυν παντὸς μᾶλλον λέγει, ὡς ἐμοὶ δοκεῖ,                          5

τοὺς δαίμονας· ὅτι φρόνιμοι καὶ δαήμονες ἦσαν, "δαίμο-

νας" αὐτοὺς ὠνόμασεν· καὶ ἔν γε τῇ ἀρχαίᾳ τῇ ἡμετέρᾳ 

φωνῇ αὐτὸ συμβαίνει τὸ ὄνομα. 

그러니까 그분께서는 무엇보다도 이 점을, 내게

여겨지기로는, 신령들을 두고 말씀하시는 것이라네. 

그들이 슬기롭고 신령스러운 자들이었다는 것, 이 

점에서 그들을 "신령들"이라 이름하셨던 것이지. 우리의 

옛 말에서도 그 이름이 그 뜻으로 귀결되고.

                                                   λέγει οὖν καλῶς καὶ οὗτος 

καὶ ἄλλοι ποιηταὶ πολλοὶ ὅσοι λέγουσιν ὡς, ἐπειδάν τις 

ἀγαθὸς ὢν τελευτήσῃ, μεγάλην μοῖραν καὶ τιμὴν ἔχει καὶ                       10

γίγνεται δαίμων κατὰ τὴν τῆς φρονήσεως ἐπωνυμίαν.                         c

그러므로 이분께서도 또 그렇게 논하는 여타 많은 시인들도 

훌륭하게 말하는 것이라네, 누군가 훌륭한 자로 있다 끝을 

맞이하고 나면, 위대한 운명과 명예를 지니고 분별이란 

이름에 따라 신령이 된다고 말일세.

ταύτῃ οὖν τίθεμαι καὶ ἐγὼ πάντ᾿ ἄνδρα ὃς ἂν ἀγαθὸς ᾖ, 

δαιμόνιον εἶναι καὶ ζῶντα καὶ τελευτήσαντα, καὶ ὀρθῶς 

"δαίμονα" καλεῖσθαι. 

그러므로 이런 식으로 나 또한 모든 훌륭한 사내를 세우니, 

살아서도 죽어서도 신령스러운 자라고, 그리고 "신령"이라 

옳게 불린다고 그리 정한다네.

ΕΡΜ. Καὶ ἐγώ μοι δοκῶ, ὦ Σώκρατες, τούτου πάνυ                              5

σοι σύμψηφος εἶναι. ὁ δὲ δὴ "ἥρως" τί ἂν εἴη; 

저 역시 제가 이 일에 대해 확실히 당신께 찬성표를 

던지는 자라고 여겨집니다. 헌데 그럼 "영웅"이란 

무엇이겠습니까?

ΣΩ. Τοῦτο δὲ οὐ πάνυ χαλεπὸν ἐννοῆσαι. σμικρὸν γὰρ 

παρῆκται αὐτῶν τὸ ὄνομα, δηλοῦν τὴν ἐκ τοῦ ἔρωτος 

γένεσιν. 

그건 이해하기 그닥 어렵지 않다네. 왜냐하면 그들의 

이름은 조금 엇나갔으나, 사랑으로부터의 생성을 

밝혀주니 말일세.

ΕΡΜ. Πῶς λέγεις;                                                                                   10

어찌 하시는 말씀이십니까?

ΣΩ. Οὐκ οἶσθα ὅτι ἡμίθεοι οἱ ἥρωες; 

자네는 영웅들이 반신들이라는 것을 알지 못하는가?

ΕΡΜ. Τί οὖν; 

그래서 어떻다는 말씀이신지요?

ΣΩ. Πάντες δήπου γεγόνασιν ἐρασθέντος ἢ θεοῦ                                d

θνητῆς ἢ θνητοῦ θεᾶς. ἐὰν οὖν σκοπῇς καὶ τοῦτο κατὰ τὴν 

Ἀττικὴν τὴν παλαιὰν φωνήν, μᾶλλον εἴσῃ· 

분명 그들 모두는 필멸자인 여인을 사랑하는 신에게서나 

여신을 사랑하는 필멸자에게서 태어났지. 그러니 앗티카의 

오랜 격언에 따라 이 또한 자네가 살펴본다면, 더욱 잘 

알게 될 걸세. 

                                                                   δηλώσει γάρ 

σοι ὅτι παρὰ τὸ τοῦ ἔρωτος ὄνομα, ὅθεν γεγόνασιν οἱ 

ἥρωες, σμικρὸν παρηγμένον ἐστίν.                                                         5

왜냐하면 사랑의 이름에서, 이 사랑으로부터 영웅들이 

태어났는데, 조금 벗어나 있는 것이란 점을 자네에게

분명하게 밝혀줄 테니 말일세.

                                                        καὶ ἤτοι τοῦτο λέγει                         5

τοὺς ἥρωας, ἢ ὅτι σοφοὶ ἦσαν καὶ ῥήτορες δεινοὶ καὶ δια-

λεκτικοί, ἐρωτᾶν ἱκανοὶ ὄντες· τὸ γὰρ "εἴρειν" λέγειν 

ἐστίν. 

이 점에서 사람들이 그들을 영웅들이라 말하는 것이거나,

혹은 지혜로운 자들이자 무시무시한 수사가이고

변증가였다는 것, 질문을 던지는 데에 충분한 자들로서

그러하였다는 것 때문이라네. "에이레인(이야기한다)"은 

말한다는 것이니까.

          ὅπερ οὖν ἄρτι ἐλέγομεν, ἐν τῇ Ἀττικῇ φωνῇ λεγό-

μενοι οἱ ἥρως ῥήτορές τινες καὶ ἐρωτητικοὶ συμβαί-                            e

νουσιν, ὥστε ῥητόρων καὶ σοφιστῶν γένος γίγνεται τὸ 

ἡρωικὸν φῦλον. 

그러므로 방금 우리가 논하던 바로 그것, 앗티카 격언에서 

논해지는 영웅들이 모종의 수사가들이자 이야기꾼들로 

귀결되고, 그래서 영웅적인 족속은 수사가들 그리고

소피스트들의 부류가 되지.

                          ἀλλὰ οὐ τοῦτο χαλεπόν ἐστιν ἐννοῆσαι, 

ἀλλὰ μᾶλλον τὸ τῶν ἀνθρώπων, διὰ τί ποτε "ἄνθρωποι" 

καλοῦνται· σὺ ἔχεις εἰπεῖν;                                                                     5

허나 이해하기 어려운 것 이런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인간들의 족속이 훨씬 더 어렵다네. 도대체 무엇으로 인해 

"인간들"이라 불리는지가 말일세. 자네는 얘기해줄 수 있나?

ΕΡΜ. Πόθεν, ὠγαθέ, ἔχω; οὐδ᾿ εἴ τι οἷός τ᾿ ἂν εἴην  

εὑρεῖν, οὐ συντείνω διὰ τὸ ἡγεῖσθαι σὲ μᾶλλον εὑρήσειν ἢ 

ἐμαυτόν. 

훌륭하신 분, 제가 어디서부터 얘기할 수 있을까요? 설령 

제가 뭐라도 찾을 수 있다손 치더라도, 당신께서 저보다야 

훨씬 더 잘 찾아내시리라 생각기에, 제가 그 일에 전념하진 

않을 겁니다.

ΣΩ. Τῇ τοῦ Εὐθύφρονος ἐπιπνοίᾳ πιστεύεις, ὡς ἔοικας.              399a1

자네는 에우튀프로스의 영감을 신뢰하는 듯하군.

ΕΡΜ. Δῆλα δή. 

그야 분명 그렇지요.

ΣΩ. Ὀρθῶς γε σὺ πιστεύων· ὡς καὶ νῦν γέ μοι φαίνο-

μαι κομψῶς ἐννενοηκέναι, καὶ κινδυνεύσω, ἐὰν μὴ 

εὐλαβῶμαι, ἔτι τήμερον σοφώτερος τοῦ δέοντος γενέσθαι.                   5

적어도 자네가 옳게 신뢰하고 있긴 하네. 어쨌든 지금도 내겐 

내가 교묘하게 생각한 것처럼 보이고, 내가 주의하지 않는다면, 

오늘 나는 필요 이상으로 훨씬 더 지혜로워질지도 모르겠다는 

말일세.

σκόπει δὴ ὃ λέγω. πρῶτον μὲν γὰρ τὸ τοιόνδε δεῖ ἐννοῆσαι 

περὶ ὀνομάτων, ὃτι πολλάκις ἐπεμβάλλομεν γράμματα, τὰ 

δ᾿ ἐξαιροῦμεν, παρ᾿ ὃ βουλόμεθα ὀνομάζοντες, καὶ τὰς 

ὀξύτητας μεταβάλλομεν. 

그럼 내가 하는 말을 검토해주게. 우선 이름들에 관련하여 

이런 점을 염두해 두어야 하는데, 우리는, 우리가 의도하는 것

곁에서 명명하면서, 자주 철자를 추가해 넣고, 어떤 것들은 

제거하며, 또 그 강세를 변화시킨다는 점일세.

                                        οἷον "Διὶ φίλος"· τοῦτο ἵνα ἀντὶ 

ῥήματος ὄνομα ἡμῖν γένηται, τό τε ἕτερον αὐτόθεν ἰῶτα                     b

ἐξείλομεν καὶ ἀντὶ ὀξείας τῆς μέσης συλλαβῆς βαρεῖαν 

ἐφθεγξάμεθα. 

이를 테면 "디이 필로스(제우스에게 사랑스러운 자) 말이지. 

이것이 우리에게 자구 대신 이름이 되도록, 우리는 바로 그

자리에서 한쪽 이오타(ι)를 제거하고 중간음절의 강세(예음)

대신 억음으로 발음하네.

                      ἄλλων δὲ τοὐναντίον ἐμβάλλομεν γράμ-

ματα, τὰ δὲ βαρύτερα <ὀξύτερα>  φθεγγόμεθα. 

여타의 것들에 대해서는 우리가 반대로 철자들을 추가해

넣고, 억음들은 예음들로 발음하지.

ΕΡΜ. Ἀληθῆ λέγεις.                                                                                5

맞는 말씀이십니다.

ΣΩ. Τούτων τοίνυν ἓν καὶ τὸ τῶν ἀνθρώπων ὄνομα 

πέπονθεν, ὡς ἐμοὶ δοκεῖ. ἐκ γὰρ ῥήματος ὄνομα γέγονεν, 

ἑνὸς γράμματος τοῦ ἄλφα ἐξαιρεθέντος καὶ βαρυτέρας τῆς 

τελευτῆς γενομένης. 

그러니까 이런 일들 중 한 가지를 사람들의 이름도 겪은 

것이지, 내게 여겨지기로는 말일세. 왜냐하면 자구로부터 

이름이 되었고, 알파(α)라는 철자 하나가 제거되고 끝음이 

억음이 되어서 그리 되었으니까.

ΕΡΜ. Πῶς λέγεις;                                                                                   10

어찌 하시는 말씀이십니까?

ΣΩ. Ὧδε. σημαίνει τοῦτο τὸ ὄνομα ὁ "ἄνθρωπος" ὃτι                          c

τὰ μὲν ἄλλα θηρία ὧν ὁρᾷ οὐδὲν ἐπισκοπεῖ οὐδὲ ἀνα-

λογίζεται οὐδὲ ἀναθρεῖ, ὁ δὲ ἄνθρωπος ἅμα ἑώρακεν―

τοῦτο δ᾿ ἐστὶ "ὄπωπε"―καὶ ἀναθρεῖ καὶ λογίζεται τοῦτο 

ὃ ὄπωπεν.                                                                                               5

이런 식이라네. "안트로포스(인간)"라는 이 이름은, 여타 

짐승들은 그것들이 바라보는 것들 중 아무것도 검토하지도 

고찰하지도 관찰하지도 않는 반면, 인간은 바라보는 것과 

함께―이것이 "보았다"라는 것인데― 이 본 것을 관찰하기도 

하고 고찰하기도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ἐντεῦθεν δὴ μόνον τῶν θηρίων ὀρθῶς ὁ ἄνθρω-                 5

πος "ἄνθρωπος" ὠνομάσθη, ἀναθρῶν ἃ ὄπωπε. 

그래서 이 세계에서 짐승들 중 오직 인간만이 옳게

"안트로포스"라고 명명되었지, 본 것들을 관찰하는 자로서 

말이야.

ΕΡΜ. Τί οὖν τὸ μετὰ τοῦτο; ἔρωμαί σε ὃ ἡδέως ἂν 

πυθοίμην; 

그렇다면 이 다음은 무엇인가요? 제가 기꺼이 배워 들을 

것을 당신께 여쭈어 볼까요?

ΣΩ. Πάνυ γε. 

물론일세.

ΕΡΜ. Ὥσπερ τοίνυν μοι δοκεῖ τούτοις ἑξῆς εἶναί τι                             d

χρῆμα. "ψυχὴν" γάρ που καὶ "σῶμά" τι καλοῦμεν τοῦ 

ἀνθρώπου. 

그러니까 제게 여겨지기로는 이런 것들 다음으로 오는 

어떤 문제가 있을 듯합니다. 아마 우리가 인간의

"프쉬케(영혼)"라 부르는 그리고 "소마(신체)"라 부르는 

어떤 것이 있으니까요.

ΣΩ. Πῶς γὰρ οὔ; 

어찌 아니겠는가?

ΕΡΜ. Πειρώμεθα δὴ καὶ ταῦτα διελεῖν ὥσπερ τὰ                                   5

ἔμπροσθεν. 

그럼 나아가 이것들을 앞서의 것들처럼 그렇게 상술하길 

시도해 보도록 하지요.

ΣΩ. Ψυχὴν λέγεις ἐπισκέψασθαι ὡς εἰκότως τούτου 

τοῦ ὀνόματος τυγχάνει, ἔπειτ᾿ αὖ τὸ σῶμα; 

자네는 영혼을 얼마나 그럴 듯하게 그 이름에 걸맞는지 

검토하는 것을, 그 다음에는 또 신체를 검토하는 것을 

말하는가?

ΕΡΜ. Ναί. 

네.

ΣΩ. Ὡς μὲν τοίνυν ἐκ τοῦ παραχρῆμα λέγειν, οἶμαί τι                             10

τοιοῦτον νοεῖν τοὺς τὴν ψυχὴν ὀνομάσαντας, ὡς τοῦτο ἄρα, 

ὅταν παρῇ τῷ σώματι, αἴτιόν ἐστι τοῦ ζῆν αὐτῷ, τὴν τοῦ 

ἀναπνεῖν δύναμιν παρέχον καὶ ἀναψῦχον, ἅμα δὲ ἐκλεί-                      e

ποντος τοῦ ἀναψύχοντος τὸ σῶμα ἀπόλλυταί τε καὶ 

τελευτᾷ· ὅθεν δή μοι δοκοῦσιν αὐτὸ "ψυχὴν" καλέσαι. 

그러면 한편으로 지금 당장에 어떠한지 논하자면, 내 생각에 

영혼을 명명한 사람들은 이런 어떤 것을 생각한 듯하네. 

그러니까 이런 것, 그것이 육체에 곁하여 있을 때에는, 

그 육체에게 생의 원인으로 있는데, 호흡할 능력을 제공하고 

소생시켜 줌으로써 그리하며, 그와 함께 다른 한편 소생시켜 

주는 것이 떠나가 버리면 그 육체는 해체되고 끝을 맞이하는 

거라 생각했던 것 같네. 그래서 내게는 이로부터 그들이 

그것을 "프쉬케(영혼)"라고 부른 것이라 여겨지네.

                                                                                      εἰ 

δὲ βούλει, ἔχε ἠρέμα· δοκῶ γάρ μοί τι καθορᾶν πιθανώ-

τερον τούτου τοῖς ἀμφὶ Εὐθύφρονα. τούτου μὲν γάρ, ὡς              400a1

ἐμοὶ δοκεῖ, καταφρονήσαιεν ἂν καὶ ἡγήσαιντο φορτικὸν 

εἶναι· τόδε δὲ σκόπει ἐὰν ἄρα καὶ σοὶ ἀρέσῃ. 

그런데 만일 자네가 괜찮다면, 얌전히 있어 주게나. 내게는 

내가 에우튀프론을 따르는 사람들에게 이것보다 더 설득력 

있는 뭔가를 알아본 것으로 여겨져서 말이네. 왜냐하면 

이 얘기에 대해서는, 내게 여겨지기로는, 그들이 얕잡아

보고 조악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듯하기 때문일세. 그런데 

다음과 같은 것은 자네에게도 기꺼울지 검토해 주게.

ΕΡΜ. Λέγε μόνον. 

말씀만 해주시지요.

ΣΩ. Τὴν φύσιν παντὸς τοῦ σώματος, ὥστε καὶ ζῆν καὶ                          5

περιιέναι, τί σοι δοκεῖ ἔχειν τε καὶ ὀχεῖν ἄλλο ἢ ψυχή; 

모든 신체의 본성을, 살아가고 또 돌아다니도록, 견지하고 

유지시키는 것이 영혼 외에 무엇이라고 자네에게 여겨지나?

ΕΡΜ. Οὐδὲν ἄλλο. 

영혼 외에 아무것으로도 여겨지지 않습니다.

ΣΩ. Τί δέ; καὶ τὴν τῶν ἄλλων ἁπάντων φύσιν οὐ 

πιστεύεις Ἀναξαγόρᾳ νοῦν καὶ ψυχὴν εἶναι τὴν δια-

κοσμοῦσαν καὶ ἔχουσαν;                                                                        10

그런데 어떤가? 자네는 그 밖에 온갖 것들의 본성

또한 지성과 영혼이 조화를 부여하고 견지하는 것으로

있다고 아낙사고라스에게 신뢰를 보내지 않는가?

ΕΡΜ. Ἔγωγε. 

저로서는요.

ΣΩ. Καλῶς ἄρα ἂν τὸ ὄνομα τοῦτο ἔχοι τῇ δυνάμει                             b

ταύτῃ ἣ φύσιν ὀχεῖ καὶ ἔχει "φυσέχην" ἐπονομάζειν. 

ἔξεστι δὲ καὶ "ψυχὴν" κομψευόμενον λέγειν. 

그래서 본성을 유지시키고 견지하는 이러한 능력에

"퓌세케(본성을-견지함)이러한 이름이 명명하기에

훌륭한 상태일 걸세. 그런데 세련되게 "프쉬케"라고도 

말할 수 있지.

ΕΡΜ. Πάνυ μὲν οὖν, καὶ δοκεῖ γέ μοι τοῦτο ἐκείνου 

τεχνικώτερον εἶναι.                                                                                 5

물론 그렇기도 하고, 어쨌건 제게는 이쪽이 저쪽보다 

더 기술적인 이름이라 여겨집니다.

ΣΩ. Καὶ γὰρ ἔστιν· γελοῖον μέντοι φαίνεται ὡς ἀληθῶς 

ὀνομαζόμενον ὡς ἐτέθη. 

그렇기도 하지. 그렇지만 정해졌던 그대로 참으로 

명명되는 건 우스운 일로 드러나지.

ΕΡΜ. Ἀλλὰ δὴ τὸ μετὰ τοῦτο πῶς φῶμεν ἔχειν; 

허나 그럼 이 다음 것은 어떤 상태라고 우리가 주장할까요?

ΣΩ. Τὸ σῶμα λέγεις; 

자네는 신체를 말하고 있는 겐가?

ΕΡΜ. Ναί.                                                                                               10

네.

ΣΩ. Πολλαχῇ μοι δοκεῖ τοῦτό γε· ἂν μὲν καὶ σμικρόν 

τις παρακλίνῃ, καὶ πάνυ. καὶ γὰρ σῆμά τινές φασιν αὐτὸ                      c

εἶναι τῆς ψυχῆς, ὡς τεθαμμένης ἐν τῷ νῦν παρόντι· 

내게 이건 여러 방식으로 주장할 수 있으리라 여겨지네.

한편으로 누군가 조금이라도 기울인다면, 훨씬 더 많은 

방식이 있을 걸세. 말하자면 어떤 이들은 그것이 영혼의 

무덤(세마)이라고도 주장하지, 영혼이 지금 여기 있는

육체에 매장되어 있다고 여기면서 말이지.

                                                                                   καὶ 

διότι αὖ τούτῳ σημαίνει ἃ ἂν σημαίνῃ ἡ ψυχή, καὶ ταύτῃ 

"σῆμα" ὀρθῶς καλεῖσθαι. 

또 이번엔 영혼이 표시할 것들을 그 육체로 표시한다는 

점으로 인해, 이러한 측면에서도 "세마(표지)"라 불리는 

편이 옳다고 주장한다네.

                                        δοκοῦσι μέντοι μοι μάλιστα 

θέσθαι οἱ ἀμφὶ Ὀρφέα τοῦτο τὸ ὄνομα, ὡς δίκην διδούσης                    5

τῆς ψυχῆς ὧν δὴ ἕνεκα δίδωσιν, τοῦτον δὲ περίβολον 

ἔχειν, ἵνα σῴζηται, δεσμωτηρίου εἰκόνα· 

그렇지만 내게는 특히 오르페우스를 따르는 자들이 이러한 

이름을 정한 것으로 여겨지네, 그들이 그로 인해 죗값을

부여하는 그런 일들의 대가를 영혼이 치르느라, 구제받기 

위하여 감옥의 모상인 이런 울타리를 지닌다고 말이지.

                                                                εἶναι οὖν τῆς 

ψυχῆς τοῦτο, ὥσπερ αὐτὸ ὀνομάζεται, ἕως ἂν ἐκτείσῃ τὰ 

ὀφειλόμενα, τὸ "σῶμα," καὶ οὐδὲν δεῖν παράγειν οὐδ᾿ ἓν 

γράμμα.                                                                                                   10

그러므로 영혼에 대해 이런 것은, 그것이 명명된 것 그대로, 

갚아야 할 것들을 다 갚을 때까지, "소마(감옥)"이고, 한 글자 

조차 달리 읽혀서는 결코 안된다고 하는 것이라고 말이야.

ΕΡΜ. Ταῦτα μέν μοι δοκεῖ ἱκανῶς, ὦ Σώκρατες,                                 d

εἰρῆσθαι· περὶ δὲ τῶν θεῶν τῶν ὀνομάτων, οἷον καὶ περὶ 

τοῦ "Διὸς" νυνδὴ ἔλεγες, ἔχοιμεν ἄν που κατὰ τὸν αὐτὸν 

τρόπον ἐπισκέψασθαι κατὰ τίνα ποτὲ ὀρθότητα αὐτῶν τὰ 

ὀνόματα κεῖται;                                                                                       5

이런 것들은 충분히 이야기되었다고 여겨지네요, 소크라테스. 

그런데 신들의 이름들에 대해서는, 이를 테면 "디스"에 

관련하여서도 방금 당신께서 말씀하셨듯, 도대체 어떤 옳음에 

따라 그것들의 이름들이 놓이는지 같은 방식을 따라 우리가 

검토할 수 있을까요?

ΣΩ. Ναὶ μὰ Δία ἡμεῖς γε, ὦ Ἑρμόγενες, εἴπερ γε νοῦν 

ἔχομεν, ἕνα μὲν τὸν κάλλιστον τρόπον, ὅτι περὶ θεῶν οὐδὲν 

ἴσμεν, οὔτε περὶ αὐτῶν οὔτε περὶ τῶν ὀνομάτων, ἅττα ποτὲ 

αὐτοὶ ἑαυτοὺς καλοῦσιν· δῆλον γὰρ ὅτι ἐκεῖνοί γε τἀληθῆ 

καλοῦσι.                                                                                               e

제우스께 맹세코 우린 검토할 수 있을 걸세, 헤르모게네스, 

만일 정말로 적어도 우리가 제 정신을 견지하고 있다면, 한 

가지는 가장 훌륭한 방식이 있으니, 신들에 관련하여 우리가 

아무것도, 그들 자체에 관련하여서도 그 이름들에 관해서도, 

그들 스스로 자신들을 도대체 어떤 이름들로 부르는지 전혀 

알지 못한다는 방식이지. 어쨌든 저분들께서 참된 이름들로 

부르실 게 분명하니까.

               δεύτερος δ᾿ αὖ τρόπος ὀρθότητος, ὥσπερ ἐν ταῖς               e

εὐχαῖς νόμος ἐστὶν ἡμῖν εὔχεσθαι, οἵτινές τε καὶ ὁπόθεν 

χαίρουσιν ὀνομαζόμενοι, ταῦτα καὶ ἡμᾶς αὐτοὺς καλεῖν, 

ὡς ἄλλο μηδὲν εἰδότας· καλῶς γὰρ δὴ ἔμοιγε δοκεῖ νενο-             401a1

μίσθαι. 

그런데 이번엔 두 번째로 가장 옳은 방식이 있으니, 마치 

기도 안에 우리가 기도하는 법이 있듯이, 즉 어떤 이름이나 

계보든 그분들께서 명명되시며 기뻐하실, 그런 것들로 

우리도 그분들을 부르는 것이라네, 우린 그 외에 어느 하나 

알지 못하니 말일세. 내겐 정말 좋은 생각이라 여겨지는 

것이지.

            βούλει οὖν σκοπῶμεν ὥσπερ προειπόντες τοῖς 

θεοῖς ὅτι περὶ αὐτῶν οὐδὲν ἡμεῖς σκεψόμεθα―οὐ γὰρ 

ἀξιοῦμεν οἷοί τ᾿ ἂν εἶναι σκοπεῖν―ἀλλὰ περὶ τῶν 

ἀνθρώπων, ἥν ποτέ τινα δόξαν ἔχοντες ἐτίθεντο αὐτοῖς τὰ                  5

ὀνόματα· τοῦτο γὰρ ἀνεμέσητον. 

그러니 자네가 괜찮다면 우리 다음과 같이 신들께 선언해 

드리는 식으로 검토해 보도록 하세. 신들에 관하여 우리는 

아무것도 검토하지 않을 것이나, 그야 우리가 검토할 수 

있을 만한 사람들이라 생각하지 않으니까, 그게 아니라 

오히려 사람들에 관련하여, 도대체 어떤 믿음을 가지고서 

그 신들께 그 이름들을 정하였는지를 검토하리라고 말일세. 

이것이 신의 분노를 초래하지 않을 방식이니까.

ΕΡΜ. Ἀλλά μοι δοκεῖς, ὦ Σώκρατες, μετρίως λέγειν, 

καὶ οὕτω ποιῶμεν. 

그럼, 소크라테스, 제겐 당신께서 적절히 말씀하신다고 

여겨지니, 그리 하도록 하시지요.

 

-작성중-

ΣΩ. Ἔοικεν δέ γε καὶ τῷ πατρὶ αὐτοῦ κατὰ φύσιν τὸ 

ὄνομα εἶναι. 

그런가 하면 그의 아비에게도 본성에 따라 그 이름이 

있을 듯하네.

ΕΡΜ. Φαίνεται. 

그래 보입니다.

ΣΩ. Κινδυνεύει γὰρ τοιοῦτός τις εἶναι ὁ                                                  5

"Ἀγαμέμνων," οἷος ἃ δόξειεν αὐτῷ διαπονεῖσθαι καὶ 

καρτερεῖν τέλος ἐπιτιθεὶς τοῖς δόξασι δι᾿ ἀρετήν. 

그야 "아가멤논"이 그런 어떤 사람인 것 같으니까. 그에게 

좋게 여겨지는 것들을 애써 해내고 덕으로 인해 그리

여겨지는 것들에 전념하며 끝까지 견뎌낼 그런 사람 

말일세.

                                                                              σημεῖον 

δὲ αὐτοῦ ἡ ἐν Τροίᾳ μονὴ τοῦ πλήθους τε καὶ καρτερία. 

그런데 트로이에서 그의 연합의 체류와 인고가 그 일의 

증거이지.

                                                                                         ὃτι 

οὖν ἀγαστὸς κατὰ τὴν ἐπιμονὴν οὗτος ὁ ἀνὴρ ἐνση-                          b

μαίνει τὸ ὄνομα ὁ "Ἀγαμέμνων." 

그렇다면 "아가멤논"이라는 그 이름이 그 체류에 따라 이

사내가 감탄스러운 자라는 점을 의미한다네.

                                                   ἴσως δὲ καὶ ὁ "Ἀτρεὺς" 

ὀρθῶς ἔχει. 

헌데 아마도 "아트레우스" 또한 옳은 이름일 것 같군.

                    ὃ τε γὰρ τοῦ Χρυσίππου αὐτῷ φόνος καὶ ἃ 

πρὸς τὸν Θυέστην ὡς ὠμὰ διεπράττετο, πάντα ταῦτα 

ζημιώδη καὶ ἀτηρὰ πρὸς ἀρετήν.                                                            5

왜냐하면 그가 크뤼십포스의 살인자라는 점 그리고 

튀에스테스를 상대로 저지른 잔혹한 일들, 이런 모든 

것들이 덕과 관련하여 파멸적이고 해로운 것들이니까. 

                                                     ἡ οὖν τοῦ ὀνόματος                           5

ἐπωνυμία σμικρὸν παρακλίνει καὶ ἐπικεκάλυπται, ὥστε 

μὴ πᾶσι δηλοῦν τὴν φύσιν τοῦ ἀνδρός· τοῖς δ᾿ ἐπαΐουσι περὶ 

ὀνομάτων ἱκανῶς δηλοῖ ὃ βούλεται ὁ "Ἀτρεύς." 

그러므로 그 이름의 명명이 편향되고 은폐되었던지라, 

모두에게 그 사내의 본성을 밝혀주진 못했던 것이지. 그런데 

이름들에 관하여 귀가 트인 자들에게는 "아트레우스"가 

의도하는 바가 충분히 분명할 걸세.

                                                                            καὶ γὰρ 

κατὰ τὸ ἀτειρὲς καὶ κατὰ τὸ ἄτρεστον καὶ κατὰ τὸ                               c

ἀτηρὸν πανταχῇ ὀρθῶς αὐτῷ τὸ ὄνομα κεῖται. 

왜냐하면 아테이레스(마모되지 않는 것)에 따라서도 

아트레스톤(두려워 떠는 일이 없음)에 따라서도 또한 

아테론(해로움)에 따라서도 모든 면에서 그에게 그 이름은 

옳게 놓인 것이니까.

                                                                          δοκεῖ δέ 

μοι καὶ τῷ Πέλοπι τὸ ὄνομα ἐμμέτρως κεῖσθαι· σημαίνει 

γὰρ τοῦτο τὸ ὄνομα τὸν τὰ ἐγγὺς ὁρῶντα. 

그런데 내게 여겨지기로는 펠롭스에게도 그 이름이 적당히 

놓이는 듯하네. 그 이름이 가까운 것들을 보는 사람을 

의미하니 말이지.

ΕΡΜ. Πῶς δή;                                                                                        5

어떤 식으로 말씀이십니까?

ΣΩ. Οἷόν που καὶ κατ᾿ ἐκείνου λέγεται τοῦ ἀνδρὸς ἐν 

τῷ τοῦ Μυρτίλου φόνῳ οὐδὲν οἵου τε γενέσθαι προνοη-

θῆναι οὐδὲ προϊδεῖν τῶν πόρρω τῶν εἰς τὸ πᾶν γένος, ὅσης 

αὐτὸ δυστυχίας ἐνεπίμπλη, τὸ ἐγγὺς μόνον ὁρῶν καὶ τὸ                     d

παραχρῆμα―τοῦτο δ᾿ ἐστὶ "πέλας"―ἡνίκα προεθυμεῖτο 

λαβεῖν παντὶ τρόπῳ τὸν τῆς Ἱπποδαμείας γάμον. 

이를 테면 아마 저 사내에 대해서 뮈르틸로스에 대한

살해에서 그 부류를 향한 멀리 있는 일들, 그 부류가

맞딱들일 불운에 대한 예지도 예견도 전혀 생길 수 없었다고, 

오직 가까운 것과 당장의 것, 이건 "가까이"인 것인데, 

이것만을 보며 온갖 방식으로 히포다이메이아와의 결혼을 

성취하려 열망하였을 때 그러하였다고 말해지지.

                                                                              τῷ δὲ 

Ταντάλῳ καὶ πᾶς ἂν ἡγήσαιτο τοὔνομα ὀρθῶς καὶ κατὰ 

φύσιν τεθῆναι εἰ ἀληθῆ τὰ περὶ αὐτὸν λεγόμενα.                                    5

그런데 모두가 탄탈로스에게 그 이름이 옳게 그리고 

본성에 따라 정해졌다고, 만일 그에 관하여 말해지는 

것들이 참이라면, 그렇게 생각했을 걸세.

ΕΡΜ. Τὰ ποῖα ταῦτα; 

이 말들이 어떤 말들인가요?

ΣΩ. Ἅ τέ που ἔτι ζώντι δυστυχήματα ἐγένετο πολλὰ 

καὶ δεινά, ὧν καὶ τέλος ἡ πατρὶς αὐτοῦ ὅλη ἀνετράπετο, 

καὶ τελευτήσαντι ἐν Ἅιδου ἡ ὑπὲρ τῆς κεφαλῆς τοῦ λίθου 

τανταλεία θαυμαστῶς ὡς σύμφωνος τῷ ὀνόματι·                              e

아마 아직 살아있는 그에게 생겼던 많고도 무시무시한 

불운들, 그 불운들의 결말이 그의 조국 전체가 전복되었던 

것이었던 그 불운들과, 죽은 그에게 하데스에서 그의 머리

위 돌의 진자운동이 그의 이름과 놀랍도록 어울린다고 하는 

말들이지.

                                                                                καὶ                        e

ἀτεχνῶς ἔοικεν, ὥσπερ ἂν εἴ τις βουλόμενος ταλάντατον 

ὀνομάσαι ἀποκρυπτόμενος ὀνομάσειε καὶ εἴποι ἀντ᾿ ἐκεί-

νου "Τάνταλον," τοιοῦτόν τι καὶ τούτῳ τὸ ὄνομα ἔοικεν 

ἐκπορίσαι ἡ τύχη τῆς φήμης.                                                                  5

그래서 가감없이, 만일 누군가 탈란타토스(가장 비참한 

자)라는 이름을 붙이려고 생각하면서 이를 감추고 이름을 

붙이고 저 이름 대신 "탄탈로스"라고 이야기할 경우 처럼

그러했던 듯하고, 이런 어떤 이름을 그에게도 그 풍문의

우연이 고안해준 듯하네.

                                               φαίνεται δὲ καὶ τῷ πατρὶ                          5

αὐτοῦ λεγομένῳ τῷ Διὶ παγκάλως τὸ ὄνομα κεῖσθαι· ἔστι              396a1

δὲ οὐ ῥᾴδιον κατανοῆσαι. 

그런데 그의 아버지라고 말해지는 제우스께도 전적으로 

훌륭하게 그 이름이 놓였던 것으로 보이네. 그런데 그건 

이해하기 쉽지는 않지.

                                          ἀτεχνῶς γάρ ἐστιν οἷον λόγος τὸ 

τοῦ Διὸς ὄνομα, διελόντες δὲ αὐτὸ διχῇ οἱ μὲν τῷ ἑτέρῳ 

μέρει, οἱ δὲ τῷ ἑτέρῳ χρώμεθα―οἱ μὲν γὰρ "Ζῆνα," οἱ δὲ 

"Δία" καλοῦσιν―συντιθέμενα δ᾿ εἰς ἕν δηλοῖ τῆν φύσιν τοῦ                  5

θεοῦ, ὃ δὴ προσήκειν φαμὲν ὀνόματι οἵῳ τε εἶναι ἀπεργά-

ζεσθαι. 

왜냐하면 가감없이 말해서 제우스의 이름은 이를 테면 

진술 같은 것인데, 그 이름을 우리는 둘로 분할하며 

사람들마다 서로 다른 부분을 사용하기 때문이네. 즉, 어떤 

이들은 "제나"라고, 또 어떤 이들은 "디아"라고 부르지. 허나 

그 부분들이 하나로 합쳐져 그 신의 본성을 알려준다네, 

실로 이름에게 해낼 수 있는 것이기에 적절하다 우리가 

주장한 그 일이지.

            οὐ γὰρ ἔστιν ἡμῖν καὶ τοῖς ἄλλοις πᾶσιν ὅστις ἐστὶν 

αἴτιος μᾶλλον τοῦ ζῆν ἢ ὁ ἄρχων τε καὶ βασιλεὺς τῶν 

πάντων. 

왜냐하면 우리에게도 여타 모든 이들에게도 삶의 원인이 

되시는 분은 모든 것들의 지배자이시자 제왕이신 그 분 

말고는 도무지 그 누구도 아니니까 말일세.

               συμβαίνει οὖν ὀρθῶς ὀνομάζεσθαι οὗτος ὁ θεὸς 

εἶναι, δι᾿ ὃν ζῆν ἀεὶ πᾶσι τοῖς ζῶσιν ὑπάρχει· διείληπται                      b

δὲ δίχα, ὥσπερ λέγω, ἓν ὂν τὸ ὄνομα, τῷ "Διὶ" καὶ τῷ 

"Ζηνί." 

그리하여 그 신께서 이러한 분이시라고 옳게 명명되도록 

귀결되니, 그 분으로 인해 삶이 언제나 모든 살아있는 

것들에게 성립하는 그런 분이시란 것이네. 그런데, 내가 

말하는 대로, 하나로 있는 그 이름이 둘로 분할되었으니, 

"디스"와 "제우스"로 분할되었지.

            τοῦτον δὲ Κρόνου ὑὸν εἶναι ὑβριστικὸν μὲν ἄν τις 

δόξειεν εἶναι ἀκούσαντι ἐξαίφνης· εὔλογον δὲ μεγάλης 

τινὸς διανοίας ἔκγονον εἶναι τὸν Δία· κορὸν γὰρ σημαίνει,                     5

οὐ παῖδα <οὐδὲ πλησμονήν>, ἀλλὰ τὸ καθαρὸν αὐτοῦ καὶ 

ἀκήρατον τοῦ νοῦ. 

이러한 분께서 크로노스의 아들이시라는 것을 누군가가

듣는다면 갑자기 들은 그에게는 한편으로 오만한 이야기로

여겨질 걸세. 반면에 디스께서 모종의 위대한

사유(디아노이아)의 자손이라는 건 좋은 말로 여겨질 테지. 

왜냐하면 코로스는 소년을 의미하는 것도 포만을 의미하는 

것도 아니고, 그의 지성의 순정함과 순수함을 의미하니까.

                               ἔστι δὲ οὗτος Οὐρανοῦ ὑός, ὡς λόγος· 

ἡ δὲ αὖ ἐς τὸ ἄνω ὄψις καλῶς ἔχει τοῦτο τὸ ὄνομα καλεῖ-

σθαι, "οὐρανία," ὁρῶσα τὰ ἄνω, ὅθὲν δὴ καί φασιν, ὦ                        c

Ἑρμόγενες, τὸν καθαρὸν νοῦν παραγίγνεσθαι οἱ μετεω-

ρολόγοι, καὶ τῷ οὐρανῷ ὀρθῶς τὸ ὄνομα κεῖσθαι· 

그런데 이 분께서는 우라노스의 아들이시네, 말 대로라면. 

헌데 이번엔 위를 향한 시각이 이러한 이름으로 훌륭하게 

불릴 수 있으니, "우라니아"라는 것이고, 그게 위에 있는 

것들을 보았다는 것인데, 더욱이 이로부터, 헤르모게네스,

순수한 지성이 곁하여 생겨난다고 천문학자들은 

주장하기도 하고, 그래서 우라노스에게 그 이름이 옳게 

놓인 것이라고도 주장한다네.

                                                                               εἰ δ᾿ 

ἐμεμνήμην τὴν Ἡσιόδου γενεαλογίαν, τίνας ἔτι τοὺς

ἀνωτέρω προγόνους λέγει τούτων, οὐκ ἂν ἐπαυόμην διε-                 5

ξιὼν ὡς ὀρθῶς αὐτοῖς τὰ ὀνόματα κεῖται, ἕως ἀπεπειράθην 

τῆς σοφίας ταυτησὶ τί ποιήσει, εἰ ἄρα ἀπερεῖ ἢ οὔ, ἣ ἐμοὶ 

ἐξαίφνης νῦν οὑτωσὶ προσπέπτωκεν ἄρτι οὐκ οἶδ᾿ ὁπόθεν.               d

헌데 만일 헤시오도스의 계보를 내가 기억했더라면, 이분들

보다 더 위 선조들로 어떤 분들을 그분께서 말씀하시는지를

기억했더라면, 그 신들께 이름들이 얼마나 옳게 놓였는지

면밀히 검토하기를 내가 그치지 않았을 걸세, 이러한 지혜가 

무엇을 해낼지, 그래서 토해낼지 그렇지 않을지, 내게 갑자기

지금 그렇게 방금 들이닥친 어디서 온지 내가 알지 못하는

이 지혜를 검증해낼 때까지 말이지.

ΕΡΜ. Καὶ μὲν δή, ὦ Σώκρατες, ἀτεχνῶς γέ μοι δοκεῖς 

ὥσπερ οἱ ἐνθουσιῶντες ἐξαίφνης χρησμῳδεῖν. 

더군다나, 소크라테스, 가감없이 말씀드리자면 제겐 

당신께서 마치 신들린 자들처럼 갑자기 예언을 하시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ΣΩ. Καὶ αἰτιῶμαί γε, ὦ Ἑρμόγενες, μάλιστα αὐτὴν 

ἀπὸ Εὐθύφρονος τοῦ Προσπαλτίου προσπεπτωκέναι μοι·                   5

ἕωθεν γὰρ πολλὰ αὐτῷ συνῆ καὶ παρεῖχον τὰ ὦτα. 

어쨌든 나는, 헤르모게네스, 특히나 그 지혜가 프로스팔타

출신인 에우튀프론으로부터 내게 들이닥친 탓이라 생각하네.

                                                                                 κινδυ-

νεύει οὖν ἐνθουσιῶν οὐ μόνον τὰ ὦτά μου ἐμπλῆσαι τῆς 

δαιμονίας σοφίας, ἀλλὰ καὶ τῆς ψυχῆς ἐπειλῆφθαι. 

그러니 그러니 내가 신이 들려 그저 내 귀가 신령한 지혜로 

가득 채워진 것만이 아니라, 영혼까지 사로잡힌 것 같군. 

                                                                                 δοκεῖ 

οὖν μοι χρῆναι οὑτωσὶ ἡμᾶς ποιῆσαι· τὸ μὲν τήμερον εἶναι                 e

χρήσασθαι αὐτῇ καὶ τὰ λοιπὰ περὶ τῶν ὀνομάτων ἐπισκέ-

ψασθαι, αὔριον δέ, ἂν καὶ ὑμῖν συνδοκῇ, ἀποδιοπομπη-

σόμεθά τε αὐτὴν καὶ καθαρούμεθα ἐξευρόντες ὅστις τὰ 

τοιαῦτα δεινὸς καθαίρειν, εἴτε τῶν ἱερέων τις εἴτε τῶν                  397a1

σοφιστῶν. 

그래서 내겐 우리가 그런 식으로 해야만 한다고 여겨지네. 

오늘은 이 지혜를 사용하여 이름들에 관련된 남은 일들도 

검토할 수 있지만, 내일은, 자네들에게도 그리 여겨진다면, 

우린 그 지혜를 주문을 외워 쫓아내고 누구든 이런 것들을 

정화하는 데에 무시무시한 자라면, 사제들 중 누군가든 

소피스트들 중 누군가들 그를 찾아내 우리를 정화할 걸세. 

ΕΡΜ. Ἀλλ᾿ ἐγὼ μὲν συγχωρῶ· πάνυ γὰρ ἂν ἡδέως τὰ 

ἐπίλοιπα περὶ τῶν ὀνομάτων ἀκούσαιμι. 

허나 저로서는 동의합니다. 그야 무척이나 기쁘게 

이름들에 관련하여 남은 것들을 들을 테니까요.

ΣΩ. Ἀλλὰ χρὴ οὕτω ποιεῖν. πόθεν οὖν βούλει                                        5

ἀρξώμεθα διασκοποῦντες, ἐπειδήπερ εἰς τύπον τινὰ 

ἐμβεβήκαμεν, ἵνα εἰδῶμεν εἰ ἄρα ἡμῖν ἐπιμαρτυρήσει 

αὐτὰ τὰ ὀνόματα μὴ πάνυ ἀπὸ τοῦ αὐτομάτου οὕτως 

ἕκαστα κεῖσθαι, ἀλλ᾿ ἔχειν τινὰ ὀρθότητα; 

그럼 그렇게 해야만 하겠네. 그럼 우리가 어디서부터 

고찰을 시작하는 게 좋겠는가? 우리가 모종의 자취에는 

들어섰으니, 그럼 이름들 그 자체가 딱히 저절로 그렇게 

각각 놓이는 게 아니라, 모종의 옳음을 지니고 있다는

데에 우리를 위한 증인이 되어줄 것인지 우리가 알아보기 

위해서 말일세.

                                                                   τὰ μὲν οὖν τῶν 

ἡρώων καὶ ἀνθρώπων λεγόμενα ὀνόματα ἴσως ἂν ἡμᾶς                     b

ἐξαπατήσειεν· πολλὰ μὲν γὰρ αὐτῶν κεῖται κατὰ 

προγόνων ἐπωνυμίας, οὐδὲν προσῆκον ἐνίοις, ὥσπερ κατ᾿ 

ἀρχὰς ἐλέγομεν, πολλὰ δὲ ὥσπερ εὐχόμενοι τίθενται, οἷον 

"Εὐτυχίδην" καὶ "Σωσίαν" καὶ "Θεόφιλον" καὶ ἄλλα                                 5

πολλά. 

그렇다면 영웅들과 인간들에 대해 말해지는 이름들은 

아마도 우리를 기만해 버릴 것 같네. 왜냐하면 그것들 중 

상당수가 선조들의 이름을 따라 놓이는데, 어떤 이들에겐,

우리가 처음에 말하던 것처럼, 전혀 적절하지 않고, 다른 

많은 이름들은 마치 기도하는 자들이 하듯이 정해져서, 

이를 테면 에우튀키데스와 소시아스와 테오필로스 그리고 

그 밖에 여러 가지 이름들이 그러하기 때문이지.

            τὰ μὲν οὖν τοιαῦτα δοκεῖ μοι χρῆναι ἐᾶν· εἰκὸς δὲ 

μάλιστα ἡμᾶς εὑρεῖν τὰ ὀρθῶς κείμενα περὶ τὰ ἀεὶ ὄντα 

καὶ πεφυκότα. 

그러니 이런 것들은 내겐 내버려두어야만 한다고 여겨지네. 

반면에 우리는 특히나 언제나 그리고 본성적으로 있는 

것들에 관련하여 옳게 놓인 이름들을 찾을 듯하군.

                        ἐσπουδάσθαι γὰρ ἐνταῦθα μάλιστα πρέπει 

τὴν θέσιν τῶν ὀνομάτων· ἴσως δ᾿ ἔνια αὐτῶν καὶ ὑπὸ                        c

θειοτέρας δυνάμεως ἢ τῆς τῶν ἀνθρώπων ἐτέθη. 

왜냐하면 여기에서 특히나 이름들의 정립에 몰두하는 게 

적절하기 때문이라네. 그런데 아마도 그것들 어떤 것들은 

인간의 능력보다 더욱 신적인 능력에 의해 정해졌던 것 

같네.

ΕΡΜ. Δοκεῖς μοι καλῶς λέγειν, ὦ Σώκρατες. 

제겐 당신께서 훌륭하게 말씀하신 것으로 여겨집니다, 

소크라테스.

ΣΩ. Ἆρ᾿ οὖν οὐ δίκαιον ἀπὸ τῶν θεῶν ἄρχεσθαι, 

σκοπουμένους πῇ ποτε αὐτὸ τοῦτο τὸ ὄνομα οἱ "θεοὶ"                          5

ὀρθῶς ἐκλήθησαν; 

그럼 혹시 신들로부터 시작하여, 도대체 어떤 식으로 

"신들"이라는 이 이름이 옳게 호명되었는지 검토하는 

게 정당하지 않겠나?

ΕΡΜ. Εἰκός γε. 

그럴 듯하긴 합니다. 

ΣΩ. Τοιόνδε τοίνυν ἔγωγε ὑποπτεύω· φαίνονταί μοι οἱ 

πρῶτοι τῶν ἀνθρώπων τῶν περὶ τὴν Ἑλλάδα τούτους 

μόνους θεοὺς ἡγεῖσθαι οὕσπερ νῦν πολλοὶ τῶν βαρβάρων,               d

ἥλιον καὶ σελήνην καὶ γῆν καὶ ἄστρα καὶ οὐρανόν· 

그러니까 나로서는 다음과 같이 추정하고 있다네. 내게 

헬라스 지역의 인간들 중 최초의 인간들은 오늘날 야만인들 

다수가 믿는 오직 그 신들만을, 그러니까 태양과 달과 대지 

그리고 별들과 하늘만을 믿었던 것으로 보인다는 걸세. 

                                                                               ἅτε οὖν 

αὐτὰ ὁρῶντες πάντα ἀεὶ ἰόντα δρόμῳ καὶ θέοντα, ἀπὸ 

ταύτης τῆς φύσεως τῆς τοῦ θεῖν "θεοὺς" αὐτοὺς ἐπονομά-

σαι· ὕστερον δὲ κατανοοῦντες τοὺς ἄλλους πάντας ἤδη                       5

τούτῳ τῷ ὀνόματι προσαγορεύειν. ἔοικέ τι ὃ λέγω τῷ 

ἀληθεῖ ἢ οὐδέν; 

그래서 그들은 그것들이 모두 언제나 경로 상으로 

나아가고 질주하는 것을 바라보았기에, 이러한 질주함의 

본성으로부터 "테오이"라 그들을 명명하였던 것으로 

보이고. 그런데 나중에 그 외의 신들을 알아차리고 이제 

그들 모두를 이러한 이름으로 부른 것으로 보이네. 내가 

하는 말이 뭐라도 참된 것일 듯한가 아니면 전혀 그렇지 

못한가?

ΕΡΜ. Πάνυ μὲν οὖν ἔοικεν. 

그야 꽤나 참일 듯합니다.

ΣΩ. Τί οὖν ἂν μετὰ τοῦτο σκοποῖμεν; 

그렇다면 이 다음으로는 우리가 무엇을 고찰할 수

있을까?

ΕΡΜ. Δῆλον δὴ ὅτι δαίμονάς τε καὶ ἥρωας καὶ ἀνθρώ-                          10

πους [δαίμονας].                                                                                  e

그럼 신령들과 영웅들 그리고 인간들인 게 분명하죠.

ΣΩ. Καὶ ὡς ἀληθῶς, ὦ Ἑρμόγενες, τί ἄν ποτε νοοῖ τὸ 

ὄνομα οἱ "δαίμονες"; σκέψαι ἄν τί σοι δόξω εἰπεῖν. 

또한 진정으로, 헤르모게네스, 자네는 "신령들"이라는 

이름이 도대체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내가 무어라

이야기하는 것으로 자네에게 여겨지는지 검토해 주게.

ΕΡΜ. Λέγε μόνον. 

그저 말씀만 해주시죠.

ΣΩ. Οἶσθα οὖν τίνας φησὶν Ἡσίοδος εἶναι τοῦς δαί-                              5

μονας; 

그렇다면 자네는 헤시오도스께서 신령들을 무어라 

주장하시는지 아는가?

ΕΡΜ. Οὐκ ἐννοῶ. 

알지 못합니다.

ΣΩ. Οὐδὲ ὅτι χρυσοῦν γένος τὸ πρῶτόν φησιν γενέσθαι 

τῶν ἀνθρώπων; 

인간들의 첫 번째 부류가 황금의 부류로 생겨났다고 

주장하신 것도 알지 못하나?

ΕΡΜ. Οἶδα τοῦτό γε.                                                                              10

그건 알지요.

ΣΩ. Λέγει τοίνυν περὶ αὐτοῦ―

그러니까 그 분께서는 그 부류에 관하여 이리 말씀하셨네.

  Αὐτὰρ ἐπειδὴ τοῦτο γένος κατὰ μοῖρ᾿ ἐκάλυψεν, 

  οἱ μὲν δαίμονες ἁγνοὶ ὑποχθόνιοι καλέονται,                               398a1

  ἐσθλοί, ἀλεξίκακοι, φύλακες θνητῶν ἀνθρώπων. 

 그렇지만 이 부류가 운명을 따라 종적을 감춘 이래, 

 그들은 지저의 신성한 신령들로 불리었으며, 

 용맹한 자들, 해악을 막아주는 자들, 가사적인 

인간들의 수호자들이라 불리었노라. 

 

ΕΡΜ. Τί οὖν δή; 

그래서 무엇을 말씀하시려는 건가요?

ΣΩ. Ὅτι οἶμαι ἐγὼ λέγειν αὐτὸν τὸ χρυσοῦν γένος οὐκ 

ἐκ χρυσοῦ πεφυκὸς ἀλλ᾿ ἀγαθόν τε καὶ καλόν. τεκμήριον δέ                 5

μοί ἐστιν ὅτι καὶ ἡμᾶς φησιν σιδηροῦν εἶναι γένος. 

내가 생각하기로 그 분께서는 황금의 부류가 황금으로부터 

타고난 게 아니라 훌륭하고도 아름다운 부류로 타고났다고 

말씀하시는 것이란 점일세. 그 분께서 우리를 두고서도 철의 

부류라 주장하신 것이 내게 증거인 것이고.

ΕΡΜ. Ἀληθῆ λέγεις. 

참된 말씀이십니다.

 

-작성중-

 

 

ΣΩ. Τί οὖν δή; οὐκ οἴει τοῦτο σεμνόν τι εἶναι γνῶναι,                    392a1

ὅπῃ ποτὲ ὀρθῶς ἔχει ἐκεῖνον τὸν ποταμὸν Ξάνθον καλεῖν 

μᾶλλον ἢ Σκάμανδρον; 

그렇다면 어떤가? 자네는 이걸 아는 게 무언가 신성한 

일이라 생각하지 않는가? 도대체 어떤 점에서 저 강을 

크산토스라고 부르는 것이 스카만드로스라 부르는 것보다 

오히려 옳은 상태인지를 말일세. 만일 자네가 좋다면, 

                                     εἰ δὲ βούλει, περὶ τῆς ὄρνιθος ἥν 

λέγει ὅτι 

그런데 만일 자네가 괜찮다면, 그 분께서 말씀하시는 그 

새에 관련하여서

  χαλκίδα κικλῄσκουσι θεοί, ἄνδρες δὲ κύμινδιν,                                     5

 ”신들께서는 칼키스라 부르시나, 사람들은 퀴민디스라 

부르노니” 라고 말씀하셨는데,

φαῦλον ἡγῇ τὸ μάθημα ὅσῳ ὀρθότερόν ἐστι καλεῖσθαι 

χαλκὶς κυμίνδιδος τῷ αὐτῷ ὀρνέῳ; 

같은 새가 퀴민디스라 불리는 것보다 칼키스라 불리는 

편이 얼마나 더 옳은지 배우는 일이 하찮다고 생각하나? 

                                                        ἢ τὴν Βατίειάν τε καὶ 

Μυρίνην, καὶ ἄλλα πολλὰ καὶ τούτου τοῦ ποιητοῦ καὶ                         b

ἄλλων; 

혹은 바티에이아와 뮈리네, 그 밖에 이 시인과 여타 

시인들의 (그들이 사용하는) 많은 이름들은 어떤가?

            ἀλλὰ ταῦτα μὲν ἴσως μείζω ἐστὶν ἢ κατ᾿ ἐμὲ καὶ σὲ 

ἐξευρεῖν· ὁ δὲ Σκαμάνδριός τε καὶ ὁ Ἀστυάναξ ἀνθρω-

πινώτερον διασκέψασθαι, ὡς ἐμοὶ δοκεῖ, καὶ ῥᾷον, ἅ 

φησιν ὀνόματα εἶναι τῷ τοῦ Ἕκτορος ὑεῖ, τίνα ποτὲ λέγει                      5

τὴν ὀρθότητα αὐτῶν. 

허나 이런 것들은 나와 자네를 따라 찾아내는 것보다는 

아마도 더 큰 일일 걸세. 헌데 스카만드리오스 그리고 

아스튀아낙스는 고찰되기에 좀 더 인간적이고, 내게 

여겨지기로는, 더 쉬운 것이라네. 그것들이 헥토르의 

아들에게 이름들로 있다고 그분께서 주장하시는 바, 그 

이름들의 옳음을 그분께서 도대체 무엇이라 말씀하시는지 

말이지.

                                   οἶσθα γὰρ δήπου ταῦτα τὰ ἔπη ἐν οἷς 

ἔνεστιν ἃ ἐγὼ λέγω. 

왜냐하면 분명 자네는 내가 말하고 있는 이름들이 그 안에 

들어 있는 그런 구절들을 알고 있을 테니까.

ΕΡΜ.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ΣΩ. Πότερον οὖν οἴει Ὅμηρον ὀρθότερον ἡγεῖσθαι τῶν 

ὀνομάτων κεῖσθαι τῷ παιδί, τὸν Ἀστυάνακτα ἢ τὸν                              10

Σκαμάνδριον;

그렇다면 자네는 호메로스께서 그 이름들 중에 어느 쪽을 

그 아이에게 놓는 편이 더 옳다고 생각하셨다고 생각하나? 

“아스튀아낙스”인가 아니면 스카만드리오스”인가?

ΕΡΜ. Οὐκ ἔχω λέγειν.                                                                          c

말할 수가 없네요.

ΣΩ. Ὧδε δὴ σκόπει. εἴ τις ἔροιτό σε πότερον οἴει ὀρθό-

τερον καλεῖν τὰ ὀνόματα τοὺς φρονιμωτέρους ἢ τοὺς 

ἀφρονεστέρους; 

그럼 이런 식으로 검토해 보게. 만일 누군가가 자네에게 

더욱 분별 있는 자들이 이름을 부르는 것과 분별 없는

자들이 이름을 부르는 것 어느 쪽이 더 옳다고 생각하는지 

묻는다면 어떻겠나?

ΕΡΜ. Δῆλον δὴ ὅτι τοὺς φρονιμωτέρους, φαίην ἄν.                               5

그럼 더 분별 있는 자들이 그렇다는 게 분명하다고, 

저는 그리 주장할 겁니다.

ΣΩ. Πότερον οὖν αἱ γυναῖκες ἐν ταῖς πόλεσιν φρονιμώ-

τεραί σοι δοκοῦσιν εἶναι ἢ οἱ ἄνδρες, ὡς τὸ ὅλον εἰπεῖν 

γένος; 

그렇다면 자네에게는 폴리스들에서 여인들과 사내들 

어느 쪽이 더 분별 있는 자들이라고 여겨지는가? 그 

부류 전체로 말하자면 말일세.

ΕΡΜ. Οἱ ἄνδρες. 

사내들 쪽이죠.

ΣΩ. Οὐκοῦν οἶσθα ὅτι Ὅμηρος τὸ παιδίον τὸ τοῦ                                  10

Ἕκτορος ὑπὸ τῶν Τρώων φησὶν καλεῖσθαι Ἀστυάνακτα,                   d

Σκαμάνδριον δὲ δῆλον ὅτι ὑπὸ τῶν γυναικῶν, ἐπειδὴ οἵ γε 

ἄνδρες αὐτὸν Ἀστυάνακτα ἐκάλουν; 

그렇다면 자네는 알지 않나? 호메로스께서 헥토르의 

자식이 트로이아인들에 의해 아스튀아낙스라고 불린다고 

말씀하신 것을, 그런데 스카만드리오스라고 불린 건 

여인들에 의해서임이 분명하다고, 적어도 사내들은 그 

아이를 아스튀아낙스라고 불렀기에 그러하다 말씀하신 

것을 말일세.

ΕΡΜ. Ἔοικέ γε. 

적어도 그런 듯하긴 합니다.

ΣΩ. Οὐκοῦν καὶ Ὅμηρος τοὺς Τρῶας σοφωτέρους                               5

ἡγεῖτο ἢ τὰς γυναῖκας αὐτῶν; 

그렇다면 호메로스께서도 트로이 사내들을 그들의 

여인들보다 더 지혜로운 자들이라 생각하신 것 아닌가?

ΕΡΜ. Οἶμαι ἔγωγε. 

저로서는 그리 생각합니다.

ΣΩ. Τὸν Ἀστυάνακτα ἄρα ὀρθότερον ᾤετο κεῖσθαι 

τῷ παιδὶ ἢ τὸν Σκαμάνδριον; 

그래서 그 아이에게 아스튀아낙스가 놓이는 것이 

스카만드리오스가 놓이는 것보다 더 옳은 것이라 

생각하셨고?

ΕΡΜ. Φαίνεται.                                                                                       10

그리 보입니다.

ΣΩ. Σκοπῶμεν δὴ διὰ τί ποτε. ἢ αὐτὸς ἡμῖν κάλλιστα 

ὑφηγεῖται τὸ διότι; φησὶν γάρ 

그럼 도대체 무엇으로 인해서 그러한지 우리 검토해 

보도록 하세. 혹은 그분 자신께서 우리에게 무슨 이유인지

가장 훌륭히 인도해주시는 건가? 그분께서 

  οἶος γάρ σφιν ἔρυτο πόλιν καὶ τείχεα μακρά.                                      e

 "그가 그들의 폴리스와 긴 성벽을 보호하였다." 라고 

말씀하시니까.

διὰ ταῦτα δή, ὡς ἔοικεν, ὀρθῶς ἔχει καλεῖν τὸν τοῦ 

σωτῆρος ὑὸν Ἀστυάνακτα τούτου ὃ ἔσῳζεν ὁ πατὴρ αὐτοῦ, 

ὥς φησιν Ὅμηρος. 

그래서 이런 일들로 인해, 그럴 듯해 보이기로는, 그 구원자의 

아들을, 그의 아버지가 구원을 행하였던 그 폴리스의 

아스튀아낙스라 옳게 부를 수 있는 것이지, 호메로스께서 

주장하시는 것처럼 말일세.

ΕΡΜ. Φαίνεταί μοι.                                                                                  5

제게 그리 보입니다.

ΣΩ. Τί δή ποτε; οὐ γάρ πω οὐδ᾿ αὐτὸς ἔγωγε μανθάνω, 

ὦ Ἑρμόγενες· σὺ δὲ μανθάνεις; 

그래서 도대체 무엇 때문인가? 아직 나 자신은 전혀 

이해하지 못하였으니 말일세, 헤르모게네스. 자네는 

이해했나?

ΕΡΜ. Μὰ Δί᾿ οὐκ ἔγωγε. 

제우스께 맹세코 저는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ΣΩ. Ἀλλ᾿ ἆρα, ὠγαθέ, καὶ τῷ Ἕκτορι αὐτὸς ἔθετο τὸ                     393a1

ὄνομα Ὅμηρος; 

허나 혹시, 훌륭한 친구, 호메로스 자신께서 헥토르에게도 

이름을 정해주셨나?

ΕΡΜ. Τί δή; 

무엇을 두고 하시는 말씀이십니까?

ΣΩ. Ὅτι μοι δοκεῖ καὶ τοῦτο παραπλήσιόν τι εἶναι τῷ 

Ἀστυάνακτι, καὶ ἔοικεν Ἑλληνικοῖς ταῦτα τὰ ὀνόματα. ὁ                         5

γὰρ ἄναξ καὶ ὁ ἕκτορ σχεδόν τι ταὐτὸν σημαίνει, 

βασιλικὰ ἀμφότερα εἶναι τὰ ὀνόματα· 

내겐 그 이름도 "아스튀아낙스"의 경우와 얼추 비슷한 

무언가라 여겨지고, 이런 이름들이 헬라스적인 것들인 

듯하다는 점에서 말일세. "아낙스"도 "헥토르"도 같은 

어떤 것을 의미하는데, 그 이름들이 양자 모두 제왕적인 

것들이도록 그러하기 때문이지.

                                                           οὗ γὰρ ἄν τις 

ἄναξ ᾖ, καὶ ἕκτωρ δήπου ἐστὶν τούτου· δῆλον γὰρ ὅτι 

κρατεῖ τε αὐτοῦ καὶ κέκτηται καὶ ἔχει αὐτό.                                           b

누군가가 어떤 것의 아낙스(주인)라면, 그는 분명 그것의 

헥토르(소유자)이기도 하니까. 그는 그것을 지배하고 

확보하였으며 지니고 있다는 게 분명하니 말일세.

                                                                    ἢ οὐδέν σοι                       b

δοκῶ λέγειν, ἀλλὰ λανθάνω καὶ ἐμαυτὸν οἰόμενός τινος 

ὥσπερ ἴχνους ἐφάπτεσθαι τῆς Ὁμήρου δόξης περὶ ὀνο-

μάτων ὀρθότητος; 

아니면 자네에겐 내가 말이 되는 소리를 한다고는 전혀 

여겨지지 않고, 오히려 나도 모르게 나 자신이 이름들의 

옳음에 관한 호메로스의 믿음의 무슨 흔적 같은 것에 

닿았다고 생각해 버린 건가?

ΕΡΜ. Μὰ Δί᾿ οὐ σύ γε, ὡς ἐμοὶ δοκεῖς, ἀλλὰ ἴσως του                           5

ἐφάπτῃ. 

제우스께 맹세코 적어도 당신께서는, 제게 여겨지기로는, 

그런 게 아니라 아마도 뭔가에 가 닿으신 것 같습니다."

ΣΩ. Δίκαιόν γέ τοί ἐστιν, ὡς ἐμοὶ φαίνεται, τὸν λέοντος 

ἔκγονον λέοντα καλεῖν καὶ τὸν ἵππου ἔκγονον ἵππον. οὔ τι 

λέγω ἐὰν ὥσπερ τέρας γένηται ἐξ ἵππου ἄλλο τι ἢ ἵππος, 

ἀλλ᾿ οὗ ἂν ᾖ τοῦ γένους ἔκγονον τὴν φύσιν, τοῦτο λέγω·                    c

어쨌든 내게 드러나 보이기로는 정당한 일이긴 하다네, 

사자의 새끼를 사자라 부르고 말의 새끼를 말이라 부르는 

게 말이지. 나는 무슨 말 이외에 여타 무언가 괴물 같은 

것이 말로부터 생겨났다는 그런 걸 말하는 게 아니라, 그 

유의 본성상의 자식일 그런 것을 말하고 있는 것일세. 

                                                                                           ἐὰν             c

βοὸς ἐκγονον φύσει ἵππος παρὰ φύσιν τέκῃ μόσχον, οὐ 

πῶλον κλητέον ἀλλὰ μόσχον· οὐδ᾿ ἂν ἐξ ἀνθρώπου οἶμαι 

μὴ τὸ ἀνθρώπου ἔκγονον γένηται, τὸ ἔκγονον ἄνθρωπος 

κλητέος· καὶ τὰ δένδρα ὡσαύτως καὶ τἆλλα ἅπαντα· ἢ οὐ                     5

συνδοκεῖ; 

본성상 소의 새끼인 송아지를 말이 본성에 어긋나게 낳았다면, 

망아지가 아니라 송아지라 불러야만 하네. 또 만일 사람에게서 

사람의 자식이 아닌 것이 태어난다 해도, 그 자식을 인간이라 

부르지 않아야만 하고. 식물도 여타 통틀어 온갖 것들도 

마찬가지이지. 아니면 자네는 나와 같이 여기지 않는가?

ΕΡΜ. Συνδοκεῖ. 

같이 여겨집니다.

ΣΩ. Καλῶς λέγεις· φύλαττε γάρ με μή πῃ παρα-

κρούσωμαί σε. κατὰ γὰρ τὸν αὐτὸν λόγον κἂν ἐκ βασιλέως 

γίγνηταί τι ἔκγονον, βασιλεὺς κλητέος· εἰ δὲ ἐν ἑτέραις                        d

συλλαβαῖς ἢ ἐν ἑτέραις τὸ αὐτὸ σημαίνει, οὐδὲν πρᾶγμα· 

훌륭하게 말해주었네. 내가 어떤 식으로든 자네를 오도하지 

못하도록 지켜봐 주란 말이지. 같은 논리에 따라 제왕으로부터 

어떤 자식이 생겨난다면, 제왕으로 불려야만 하는데, 만일 

서로 다른 음절들 속에서 같은 것을 의미하더라도, 아무런 

문제도 아니라네.

οὐδ᾿ εἰ πρόσκειταί τι γράμμα ἢ ἀφῄρηται, οὐδὲν οὐδὲ 

τοῦτο, ἕως ἂν ἐγκρατὴς ᾖ ἡ οὐσία τοῦ πράγματος δηλου-

μένη ἐν τῷ ὀνόματι.                                                                                5

또 어떤 철자가 추가되거나 탈락되더라도, 이 또한 아무런 

문제도 되지 않으니, 그 이름 내에서 해당 사태의 그 있음이 

드러나며 주도적인 것으로서 있는 한은 그렇다네.

ΕΡΜ. Πῶς τοῦτο λέγεις; 

그건 어찌 하시는 말씀이십니까?

ΣΩ. Οὐδὲν ποικίλον, ἀλλ᾿ ὥσπερ τῶν στοιχείων οἶσθα 

ὅτι ὀνόματα λέγομεν ἀλλ᾿ οὐκ αὐτὰ τὰ στοιχεῖα, πλὴν 

τεττάρων, τοῦ Ε καὶ τοῦ Υ καὶ τοῦ Ο καὶ τοῦ Ω· 

전혀 복잡한 건 아니고, 철자들에 대해 우리가 철자들

자체가 아니라 그 이름들을 말한다는 것, ε와 υ와 

ο와 ω의 네 경우를 제외하곤 그렇다는 것을 알다시피 

그런 걸세.

                                                                            τοῖς δ᾿ 

ἄλλοις φωνήεσί τε καὶ ἀφώνοις οἶσθα ὅτι περιτιθέντες                        e

ἄλλα γράμματα λέγομεν, ὀνόματα ποιοῦντες· 

그런데 자네는 여타 모음들과 자음들에게는 우리가 여타

문자들을 둘러 세워가며 말하여 이름을 만들어준다는 걸

알고 있지.

                                                                        ἀλλ᾿ ἕως ἂν 

αὐτοῦ δηλουμένην τὴν δύναμιν ἐντιθώμεν, ὀρθῶς ἔχει 

ἐκεῖνο τὸ ὄνομα καλεῖν ὃ αὐτὸ ἡμῖν δηλώσει. οἷον τὸ 

βῆτα· 

허나 이름의 밝혀주는 능력을 우리가 그 안에 정립해 넣는

한, 그 이름이 우리에게 밝혀줄 저 문자를 그 이름으로 옳게 

부를 수 있네. 이를 테면 "베타"라는 이름으로 말일세.

          ὁρᾷς ὅτι τοῦ ἦτα καὶ τοῦ ταῦ καὶ τοῦ ἄλφα                                 5

προστεθέντων οὐδὲν ἐλύπησεν, ὥστε μὴ οὐχὶ τὴν ἐκείνου 

τοῦ στοιχείου φύσιν δηλῶσαι ὅλῳ τῷ ὀνόματι οὗ ἐβούλετο 

ὁ νομοθέτης· 

에타와 타우 그리고 알파가 덧붙여 세워지더라도 아무런 

곤란이 없네, 그래서 저 철자의 본성을 입법가가 바라던 그 

이름 전체로 밝혀내지 못하는 일이 없을 정도로 말일세.

                      οὕτως ἠπιστήθη καλῶς θέσθαι τοῖς γράμμασι 

τὰ ὀνόματα. 

그는 그렇게나 훌륭하게 철자들에 이름들을 정해줄 줄 알았던 

것이지.

ΕΡΜ. Ἀληθῆ μοι δοκεῖς λέγειν.                                                                10

제겐 당신께서 참된 말씀을 하시는 것이라 여겨집니다.

ΣΩ. Οὐκοῦν καὶ περὶ βασιλέως ὁ αὐτὸς λόγος; ἔσται                     394a1

γάρ ποτε ἐκ βασιλέως βασιλεύς, καὶ ἐξ ἀγαθοῦ ἀγαθός, 

καὶ ἐκ καλοῦ καλός, καὶ τἆλλα πάντα οὕτως, ἐξ ἑκάστου 

γένους ἕτερον τοιοῦτον ἔκγονον, ἐὰν μὴ τέρας γίγνηται· 

그렇다면 제왕에 관해서도 같은 논리가 적용되지 않나? 

왜냐하면 언젠가는 제왕으로부터 제왕이 있게 될 것이고, 

훌륭한 자에게서 훌륭한 자가, 아름다운 자에게서 

아름다운 자가 있게 될 것이며, 여타의 모든 것들도 

그런 식으로, 각각의 유로부터 또 다른 그러한 자식이 

있게 될 걸세, 괴물이 생겨나지 않는다면 말일세. 

κλητέον δὴ ταὐτὰ ὀνόματα. ποικίλλειν δὲ ἔξεστι ταῖς συλ-                     5

λαβαῖς, ὥστε δόξαι ἂν τῷ ἰδιωτικῶς ἔχοντι ἕτερα εἶναι 

ἀλλήλων τὰ αὐτὰ ὄντα· 

그래서 같은 이름들로 그것들을 불러야만 하지. 그런데 

음절들에게는 다양하게 됨이 허용되어서, 문외한으로 

머물러 있는 사람에게라면 같은 것들로 있는 이름들이 

서로 다른 것들로 있다고 여겨질 정도이지.

                                      ὥσπερ ἡμῖν τὰ τῶν ἰατρῶν 

φάρμακα χρώμασιν καὶ ὀσμαῖς πεποικιλμένα ἄλλα φαίνε-

ται τὰ αὐτὰ ὄντα, τῷ δέ γε ἰατρῷ, ἅτε τὴν δύναμιν τῶν                       b

φαρμάκων σκοπουμένῳ, τὰ αὐτὰ φαίνεται, καὶ οὐκ 

ἐκπλήττεται ὑπὸ τῶν προσόντων. 

마치 우리에게 의사들의 약들이 같은 것들로 있으면서

색과 향에서 다채롭게 된 서로 다른 것들로 드러나 보이지만, 

적어도 의사에겐, 그가 그 약들의 능력을 검토하기에, 같은

것들로 나타나고, 그가 추가로 있는 것들에 의해 넋이 

나가지도 않는 것처럼 말일세.

                                                       οὕτω δὲ ἴσως καὶ ὁ ἐπι-

στάμενος περὶ ὀνομάτων τὴν δύναμιν αὐτῶν σκοπεῖ, καὶ 

οὐκ ἐκπλήττεται εἴ τι πρόσκειται γράμμα ἢ μετάκειται ἢ                          5

ἀφῄρηται, ἢ καὶ ἐν ἄλλοις παντάπασιν γράμμασίν ἐστιν ἡ 

τοῦ ὀνόματος δύναμις. 

헌데 그런 식으로 아마도 이름들에 관련하여 아는 자도 

그것들의 능력을 검토할 테고, 특정 문자가 추가되거나 

교체되거나 탈락된다 하더라도 넋을 잃지도 않을 걸세. 

혹은 전적으로 그 외의 문자들 안에 그 이름의 능력이 

들어 있더라도 말이지.

                                     ὥσπερ ὃ νυνδὴ ἐλέγομεν, Ἀστυά-

ναξ τε καὶ Ἕκτωρ οὐδὲν τῶν αὐτῶν γραμμάτων ἔχει 

πλὴν τοῦ ταῦ, ἀλλ᾿ ὅμως ταὐτὸν σημαίνει.                                          c

방금 우리가 말한 그대로, 아스튀아낙스와 헥토르가 같은 

타우 말고는 아무런 같은 문자도 지니고 있지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같은 것을 의미하는 것처럼 말일세.

                                                                    καὶ Ἀρχέ-                         c

πολίς γε τῶν μὲν γραμμάτων τί ἐπικοινωνεῖ; δηλοῖ δὲ 

ὅμως τὸ αὐτό· καὶ ἄλλα πολλά ἐστιν ἃ οὐδὲν ἀλλ᾿ ἢ 

βασιλέα σημαίνει· καὶ ἄλλα γε αὖ στρατηγόν, οἷον 

Ἆγις καὶ Πολέμαρχος καὶ Εὐπόλεμος.                                              5

아르케폴리스도 문자들 중에서 뭔가 공유하는가? 

허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같은 것을 밝혀주지. 제왕 

말고는 그 외의 아무것도 의미하지 않는 여타 많은 

것들도 있고. 그런가 하면 그 외의 이름들이 이번에는 

장군을 의미하니, 이를 테면 아기스와 폴레마르코스 

그리고 에우폴레모스가 그렇다네. 

                                                                    καὶ                                        5

ἰατρικά γε ἕτερα, Ἰατροκλῆς καὶ Ἀκεσίμβροτος· καὶ 

ἕτερα ἂν ἴσως συχνὰ εὕροιμεν ταῖς μὲν συλλαβαῖς καὶ τοῖς 

γράμμασι διαφωνοῦντα, τῇ δὲ δυνάμει ταὐτὸν φθεγγό-

μενα. φαίνεται οὕτως ἢ οὔ; 

의학적인 것들은 또 다른 이름들이 의미하니,

이아트로클레스와 아케심브로토스가 그렇지. 아마 음절과 

문자로는 차이가 나지만 능력으로는 같은 것을 발화하여 

의미하는 다른 무수히 많은 것들을 우리가 찾을 수 있을 

걸세. 그렇게 드러나 보이지 않는가?

ΕΡΜ. Πάνυ μὲν οὖν.                                                                            d

물론 그리 드러나 보입니다.

ΣΩ. Τοῖς μὲν δὴ κατὰ φύσιν γιγνομένοις τὰ αὐτὰ ἀπο-

δοτέον ὀνόματα. 

그래서 본성에 따라 생겨나는 것들에는 같은 이름들을 

부여해야만 하네.

ΕΡΜ.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ΣΩ. Τί δὲ τοῖς παρὰ φύσιν, οἳ ἂν ἐν τέρατος εἴδει                                   5

γένωνται; οἷον ὅταν ἐξ ἀνδρὸς ἀγαθοῦ καὶ θεοσεβοῦς 

ἀσεβὴς γένηται, ἆρ᾿ οὐχ ὥσπερ ἐν τοῖς ἔμπροσθεν, κἂν 

ἵππος βοὸς ἔκγονον τέκῃ, οὐ τοῦ τεκόντος δήπου ἔδει τὴν 

ἐπωνυμίαν ἔχειν, ἀλλὰ τοῦ γένους οὗ εἴη; 

반면 본성에 어긋나게 생겨나는 것들에게는 어떠한가? 

괴물의 형상 안에 생겨나는 그런 것들 말일세. 이를 테면 

훌륭하고 신을 경배하는 사내에게서 불경한 자가 생겨날 

때, 혹시 앞선 논의에서 그러한 것처럼, 설령 말이 송아지를 

낳았다 하더라도, 분명 낳아준 쪽의 명칭을 지녀서는 안 

되고, 오히려 그것이 속하여 있을 그 부류의 명칭을 지녀야 

하지 않나?

ΕΡΜ. Πάνυ γε.                                                                                        10

물론입니다.

ΣΩ. Καὶ τῷ ἐκ τοῦ εὐσεβοῦς ἄρα γενομένῳ ἀσεβεῖ τὸ                         e

τοῦ γένους ὄνομα ἀποδοτέον. 

그래서 경건한 자로부터 태어난 불경한 자에게도 그의 

부류에 속한 이름이 부여되어야만 하네.

ΕΡΜ. Ἔστι ταῦτα. 

사실이 그렇지요.

ΣΩ. Οὐ Θεόφιλον, ὡς ἔοικεν, οὐδὲ Μνησίθεον 

οὐδὲ τῶν τοιούτων οὐδέν· ἀλλ᾿ ὅτι τἀναντία τούτοις                             5

σημαίνει, ἐάνπερ τῆς ὀρθότητος τυγχάνῃ τὰ ὀνόματα. 

그럴 듯하기로는, 테오필로스도 므네시테오스도 이런 

이름들 중 어느 것도 그에게 부여되지 않아야만 하지. 

오히려 이것들과 정반대 의미를 갖는 것이 부여되어야 

하네, 이름이 옳음을 충족시키려 하려면 말일세.

ΕΡΜ. Παντός γε μᾶλλον, ὦ Σώκρατες. 

무엇보다도 특히나 그렇습니다, 소크라테스.

ΣΩ. Ὥσπερ γε καὶ ὁ Ὀρέστης, ὦ Ἑρμόγενες, 

κινδυνεύει ὀρθῶς ἔχειν, εἴτε τις τύχη ἔθετο αὐτῷ τὸ ὄνομα 

εἴτε καὶ ποιητής τις, τὸ θηριῶδες τῆς φύσεως καὶ τὸ ἄγριον                  10

αὐτοῦ καὶ τὸ ὀρεινὸν ἐνδεικνύμενος τῷ ὀνόματι. 

어쨌든, 헤르모게네스, 오레스테스의 경우에도 그가 이름을 

지닌 방식은 옳은 것 같네, 어떤 우연이 그에게 그 이름을

정해주었든 어느 시인이라도 있어서 정해주었든, 그의 본성의

짐승같고 야만적인 부분과 산에 속할 법한 부분을 그 이름으로

입증해 보여줌으로써 말이네.

 

ΕΡΜ. Φαίνεται οὕτως, ὦ Σώκρατες.                                              395a1

그렇게 보입니다, 소크라테스.

 

-작성중-

 

ΣΩ. Ἴθι δή, ἐπίσκεψαι ποῖ βλέπων ὁ νομοθέτης τὰ ὀνό-                        5

ματα τίθεται· ἐκ τῶν ἔμπροσθεν δὲ ἀνάσκεψαι. ποῖ βλέπων 

ὁ τέκτων τὴν κερκίδα ποιεῖ; ἆρ᾿ οὐ πρὸς τοιοῦτόν τι ὃ ἐπε-

φύκει κερκίζειν; 

자, 그럼, 어느 쪽으로 주시하며 입법가가 이름들을 

정하는지 검토해주게. 이전 논의부터 다시금 검토해주게나. 

목공은 어느 쪽을 주시하며 베틀-북을 만드는가? 혹시 

직조하도록 타고난 바 그러한 어떤 것을 향해 바라보면서 

그리하지 않나?

ΕΡΜ.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ΣΩ. Τί δέ; ἂν καταγῇ αὐτῷ ἡ κερκὶς ποιοῦντι, πότερον                       b

πάλιν ποιήσει ἄλλην πρὸς τὴν κατεαγυῖαν βλέπων, ἢ πρὸς 

ἐκεῖνο τὸ εἶδος πρὸς ὅπερ καὶ ἣν κατέαξεν ἐποίει; 

그런데 어떤가? 만드는 자 자신에 의해 베틀-북이

부서졌다면, 그 부서진 베틀-북을 바라보며 그 외의

베틀-북을 다시 만들겠나, 아니면 그가 부순 저 베틀-북도 

그것을 바라보며 만들었던 바로 저 형상을 바라보며 

만들겠는가?

ΕΡΜ. Πρὸς ἐκεῖνο, ἔμοιγε δοκεῖ. 

저 형상을 바라보면서 그리 하리라고, 제게는 그리

여겨집니다.

ΣΩ. Οὐκοῦν ἐκεῖνο δικαιότατ᾿ ἂν αὐτὸ ὃ ἔστιν κερκὶς                             5

καλέσαιμεν; 

그렇다면 저 형상을 베틀-북으로 있는 것 그 자체라고 

부를 때 우리가 가장 정당하게 부르는 것 아니겠나?

ΕΡΜ. Ἔμοιγε δοκεῖ. 

적어도 제겐 그리 여겨지네요.

ΣΩ. Οὐκοῦν ἐπειδὰν δέῃ λεπτῷ ἱματίῳ ἢ παχεῖ ἢ λινῷ 

ἢ ἐρεῷ ἢ ὁποιῳοῦν τινι κερκίδα ποιεῖν, πάσας μὲν δεῖ τὸ 

τῆς κερκίδος ἔχειν εἶδος, οἵα δ᾿ ἑκάστῳ καλλίστη ἐπεφύ-                      10

κει, ταύτην ἀποδιδόναι τὴν φύσιν εἰς τὸ ἔργον ἕκαστον;                      c

그렇다면 얇은 옷이든 두꺼운 옷이든 아마로 된 옷이든 

양모로 된 옷이든 무슨 옷이든지 간에 어떤 옷을 위해

베틀-북을 만들어야 하는 경우, 모든 베틀-북의 형상을 

지녀야 하는 한편, 각각의 옷에게 가장 훌륭하게 타고난

바, 이러한 본성을 각각의 작업물에 부여해야 하지 않나?

ΕΡΜ. Ναί. 

네.

ΣΩ. Καὶ περὶ τῶν ἄλλων δὴ ὀργάνων ὁ αὐτὸς τρόπος· 

더 나아가 여타의 수단들에 관련하여서도 같은 방식이 

적용되지. 

τὸ φύσει ἑκάστῳ πεφυκὸς ὄργανον ἐξευρόντα δεῖ ἀπο-

δοῦναι εἰς ἐκεῖνο ἐξ οὗ ἂν ποιῇ, οὐχ οἷον ἂν αὐτὸς                                5

βουληθῇ, ἀλλ᾿ οἷον ἐπεφύκει. τὸ φύσει γὰρ ἑκάστῳ, ὡς 

ἔοικε, τρύπανον πεφυκὸς εἰς τὸν σίδηρον δεῖ ἐπίστασθαι 

τιθέναι. 

본성상 각각에게 타고난 수단을 찾아낸 자는 그 수단이

그로부터 만들어지는 저것에 그 수단을 부여해야 하는데, 

자신이 바라는대로의 것을 부여하는 게 아니라, 타고난

바대로의 것을 부여해야 하네. 즉, 그럴 듯하기로, 각각에게

본성상 타고난 송곳을 철에 정해줄 줄을 알아야 하지.

ΕΡΜ.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ΣΩ. Καὶ τὴν φύσει κερκίδα ἑκάστῳ πεφυκυῖαν εἰς                                  10

ξύλον. 

각각의 옷에 본성상 타고난 베틀-북을 목재에 정해줄 

줄도 알아야 하고.

ΕΡΜ. Ἔστι ταῦτα. 

사실 그렇죠.

ΣΩ. Φύσει γὰρ ἦν ἑκάστῳ εἴδει ὑφάσματος, ὡς ἔοικεν,                       d

ἑκάστη κερκίς, καὶ τἆλλα οὕτως. 

본성상 직물의 각 형상에, 그럴 듯하기로는, 각각의 

베틀-북이 있고, 여타의 것들도 그런 식이니까.

ΕΡΜ. Ναί. 

네.

ΣΩ. Ἆρ᾿ οὖν, ὦ βέλτιστε, καὶ τὸ ἑκάστῳ φύσει πεφυκὸς 

ὄνομα τὸν νομοθέτην ἐκεῖνον εἰς τοὺς φθόγγους καὶ τὰς                       5

συλλαβὰς δεῖ ἐπίστασθαι τιθέναι, καὶ βλέποντα πρὸς αὐτὸ 

ἐκεῖνο ὅ ἔστιν ὄνομα, πάντα τὰ ὀνόματα ποιεῖν τε καὶ 

τίθεσθαι, εἰ μέλλει κύριος εἶναι ὀνομάτων θέτης; 

그럼 혹시, 가장 훌륭한 친구, 각각에게 본성상 타고난 

이름 역시 저 입법가가 발음들과 철자들에 정해줄 줄 

알아야 하고, 이름으로서 있는 것 자체를 바라보며, 모든

이름들을 만들고 정해주어야 하는가? 만일 장차 이름들의

권위있는 정립자로 있고자 한다면 말일세.

                                                                             εἰ δὲ μὴ 

εἰς τὰς αὐτὰς συλλαβὰς ἕκαστος ὁ νομοθέτης τίθησιν, 

οὐδὲν δεῖ τοῦτο ἀ<μφι>γνοεῖν· οὐδὲ γὰρ εἰς τὸν αὐτὸν                       e

σίδηρον ἅπας χαλκεὺς τίθησιν, τοῦ αὐτοῦ ἕνεκα ποιῶν τὸ 

αὐτὸ ὄργανον· 

그런데 만일 입법가들이 저마다 같은 철자들에 정해주지 

않는다면, 이를 의심할 필요는 전혀 없네. 왜냐하면, 

같은 것을 위해 같은 수단을 만들면서, 모든 대장장이가

같은 철에 배정해주는 것도 아니니까 말일세. 

                        ἀλλ᾿ ὅμως, ἕως ἂν τὴν αὐτὴν ἰδέαν ἀποδιδῷ, 

ἐάντε ἐν <τῷ αὐτῷ ἐάντε ἐν> ἄλλῳ σιδήρῳ, ὅμως ὀρθῶς            390a1

ἔχει τὸ ὄργανον, ἐάντε ἐνθάδε ἐάντε ἐν βαρβάροις τις ποιῇ. 

ἦ γάρ; 

허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같은 형상을 부여하는 동안에는,

같은 철 안에 부여하든 여타의 철자안에 부여하든, 누군가가

여기에서 만들든 야만족들 사이에서 만들든, 그럼에도 그

수단은 옳은 상태일 걸세. 그렇지 않은가?

ΕΡΜ.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ΣΩ. Οὐκοῦν οὕτως ἀξιώσεις καὶ τὸν νομοθέτην τόν τε                          5

ἐνθάδε καὶ τὸν ἐν τοῖς βαρβάροις, ἕως ἂν τὸ τοῦ ὀνόματος 

εἶδος ἀποδιδῷ τὸ προσῆκον ἑκάστῳ ἐν ὁποιαισοῦν συλλα-

βαῖς, οὐδὲν χείρω νομοθέτην εἶναι τὸν ἐνθάδε ἢ τὸν 

ὁπουοῦν ἄλλοθι; 

그렇다면 자네는 입법가도 이곳의 입법가든 야만인들의

입법가든 그렇게 평가하지 않겠나? 각각에게 적합한 이름의 

형상을 그 무슨 철자가 되었든 그 안에 부여하는 동안에는, 

이곳의 입법가가 그 밖에 어느 곳의 그 어떤 입법가에

비해서도 전혀 더 열등한 입법가로 있지 않다고 말일세.

ΕΡΜ. Πάνυ γε.                                                                                        10

물론입니다.

ΣΩ. Τίς οὖν ὁ γνωσόμενος εἰ τὸ προσῆκον εἶδος κερκί-                      b

δος ἐν ὁποιῳοῦν ξύλῳ κεῖται; ὁ ποιήσας, ὁ τεκτων, ἢ ὁ 

χρησόμενος, ὁ ὑφάντης; 

그렇다면 무엇이 되었든 어떤 목재 안에 베틀-북의 적합한

형상이 놓여있는지 아는 자는 누구이겠는가? 만든 사람인 

목공인가, 아니면 사용자인 직조공인가?

ΕΡΜ. Εἰκὸς μὲν μᾶλλον, ὦ Σώκρατες, τὸν χρησό-

μενον.                                                                                                     5

사용자 쪽이 훨씬 더 그럴 듯합니다, 소크라테스.

ΣΩ. Τίς οὖν ὁ τῷ τοῦ λυροποιοῦ ἔργῳ χρησόμενος; ἆρ᾿ 

οὐχ οὗτος ὅς ἐπίσταιτο ἂν ἐργαζομένῳ κάλλιστα ἐπι-

στατεῖν καὶ εἰργασμένον γνοίη εἴτ᾿ εὖ εἴργασται εἴτε μή; 

그렇다면 뤼라 제작자의 작업물을 사용하는 자는 누군가? 

혹시 그 구현되는 것에 가장 훌륭하게 감독자가 될 줄 

알고 구현된 것이 잘 구현되었는지 아니면 그렇지 못한지 

아는 이런 자 아닌가?

ΕΡΜ.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ΣΩ. Τίς;                                                                                                  10

그건 누구인가?

ΕΡΜ. Ὁ κιθαριστής. 

키타라 연주자입니다.

ΣΩ. Τίς δὲ ὁ τῷ τοῦ ναυπηγοῦ; 

헌데 조선공의 구현물에 감독자는 누구인가?

ΕΡΜ. Κυβερνήτης.                                                                               c

조타수입니다.

ΣΩ. Τίς δὲ τῷ τοῦ νομοθέτου ἔργῳ ἐπιστατήσειέ τ᾿ ἂν 

κάλλιστα καὶ εἰργασμένον κρίνειε καὶ ἐνθάδε καὶ ἐν τοῖς 

βαρβάροις; ἆρ᾿ οὐχ ὅσπερ χρήσεται; 

가장 훌륭하게 입법가의 작업에 감독자 노릇을 하고 또

여기서도 야만인들 사이에서도 그 구현된 것을 판별할 

사람은 누구인가? 혹시 그걸 사용할 바로 그 사람 아닌가?

ΕΡΜ. Ναί.                                                                                               5

네.

ΣΩ. Ἆρ᾿ οὖν οὐχ ὁ ἐρωτᾶν ἐπιστάμενος οὗτός ἐστιν; 

그렇다면 혹시 질문을 할 줄 아는 자가 이런 사람이지 

않나?

ΕΡΜ.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ΣΩ. Ὁ δὲ αὐτὸς καὶ ἀποκρίνεσθαι; 

그런데 바로 그가 답을 할 줄도 알지?

ΕΡΜ. Ναί. 

네.

ΣΩ. Τὸν δὲ ἐρωτᾶν καὶ ἀποκρίνεσθαι ἐπιστάμενον                                10

ἄλλο τι σὺ καλεῖς ἢ διαλεκτικόν; 

묻고 답할 줄 아는 자를 자네는 변증가 말고 그 외의

무엇으로 부르는가?

ΕΡΜ. Οὔκ, ἀλλὰ τοῦτο. 

아니요, 그리 부릅니다.

ΣΩ. Τέκτονος μὲν ἄρα ἔργον ἐστὶν ποιῆσαι πηδάλιον                         d

ἐπιστατοῦντος κυβερνήτου, εἰ μέλλει καλὸν εἶναι τὸ 

πηδάλιον. 

그래서 감독자 노릇을 하는 건 조타수가 하더라도

키를 만드는 일은 목공의 작업으로 있으니, 그 키가

장차 훌륭한 것으로 있으려면 그렇다네.

ΕΡΜ. Φαίνεται. 

그리 보입니다.

ΣΩ. Νομοθέτου δέ γε, ὡς ἔοικεν, ὄνομα, ἐπιστάτην                               5

ἔχοντος διαλεκτικὸν ἄνδρα, εἰ μέλλει καλῶς ὀνόματα 

θήσεσθαι. 

그런가 하면, 그럴 듯하기로는, 입법가가 변증술을

갖춘 자를 감독자로 지니더라도 이름은 그 입법가의 

일이지, 만일 장차 훌륭하게 이름을 정해줄 참이라면 

말일세.

ΕΡΜ. Ἔστι ταῦτα. 

사실이 그렇습니다.

ΣΩ. Κινδυνεύει ἄρα, ὦ Ἑρμόγενες, εἶναι οὐ φαῦλον, 

ὡς σὺ οἴει, ἡ τοῦ ὀνόματος θέσις, οὐδὲ φαύλων ἀνδρῶν                      10

οὐδὲ τῶν ἐπιτυχόντων. 

그래서, 헤르모게네스, 이름의 정립은 자네 생각처럼 

하찮은 일은 아닐 것 같고, 하찮은 사람들의 일도 또 

아무렇게나 마주칠 사람들의 일도 아닐 것 같군.

                                      καὶ Κρατύλος ἀληθῆ λέγει λέγων 

φύσει τὰ ὀνόματα εἶναι τοῖς πράγμασι, καὶ οὐ πάντα                           e

δημιουργὸν ὀνομάτων εἶναι, ἀλλὰ μόνον ἐκεῖνον τὸν ἀπο-

βλέποντα εἰς τὸ τῇ φύσει ὄνομα ὂν ἑκάστῳ καὶ δυνάμενον 

αὐτοῦ τὸ εἶδος τιθέναι εἴς τε τὰ γράμματα καὶ τὰς 

συλλαβάς.                                                                                               5

그래서 크라튈로스가 본성상 사태들에 이름들이 있다고, 

그리고 모든 장인이 이름들의 장인으로 있는 게 아니라, 

오직 각각에게 본성상 이름으로 있는 것을 바라보며 

그것의 형상을 문자들과 음절들에 정해줄 능력이 있는 

저 자만이 그러하다 말하며 참을 말하고 있는 것이지. 

ΕΡΜ. Οὐκ ἔχω, ὦ Σώκρατες, ὅπως χρὴ πρὸς ἃ λέγεις 

ἐναντιοῦσθαι. ἴσως μέντοι οὐ ῥᾴδιόν ἐστιν οὕτως ἐξαίφνης          391a1

πεισθῆναι, ἀλλὰ δοκῶ μοι ὧδε ἂν μᾶλλον πείθεσθαι, εἴ μοι 

δείξειας ἥντινα φῂς εἶναι τὴν φύσει ὀρθότητα ὀνόματος. 

저는, 소크라테스, 당신께서 말씀하시는 바에 맞서 어찌 

반론해야만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렇지만 아마도 그렇게 

갑자기 납득하기는 쉽지 않을 것 같고, 오히려 저는 제가 

오히려 장차 이런 식으로 납득하리라 여겨집니다, 만일 

당신께서 본성상의 이름의 옳음이 대체 무엇인지 제시해 

주신다면 말입니다.

ΣΩ. Ἐγὼ μέν, ὦ μακάριε Ἑρμόγενς, οὐδεμίαν λέγω, 

ἀλλ᾿ ἐπελάθου γε ὧν ὀλίγον πρότερον ἔλεγον, ὅτι οὐκ                           5

εἰδείην, ἀλλὰ σκεψοίμην μετὰ σοῦ. 

나는, 복받은 헤르모게네스, 아무말도 하지 않고 있네만, 

조금 전에 내가 말하던 것들을 자네가 놓치긴 했군, 나는 

알지 못하지만, 자네와 함께 검토할 수는 있으리란 것 

말일세.

                                                       νῦν δὲ σκοπουμένοις 

ἡμῖν, ἐμοί τε καὶ σοί, τοσοῦτον μὲν ἤδη φαίνεται παρὰ τὰ 

πρότερα, φύσει τέ τινα ὀρθότητα ἔχον εἶναι τὸ ὄνομα καὶ 

οὐ παντὸς ἀνδρὸς ἐπίστασθαι καλῶς αὐτὸ πράγματι                          b

ὁτῳοῦν θέσθαι· ἢ οὔ; 

그런데 지금 검토하는 우리, 나와 자네에게, 이미 이전 

논의와 그만큼이나 엇나가는 것이 나타나 보이니, 이름은 

본성상 모종의 옳음을 지닌 것으로 있고 그 이름을 어떤 

사태에든 훌륭하게 정해줄 줄을 아는 일은 모든 사람에게 

속하는 건 아니라는 걸세. 그렇지 않나?

ΕΡΜ.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ΣΩ. Οὐκοῦν τὸ μετὰ τοῦτο χρὴ ζητεῖν, εἴπερ ἐπιθυμεῖς 

εἰδέναι, ἥτις ποτ᾿ αὖ ἐστιν αὐτοῦ ἡ ὀρθότης.                                         5

그렇다면 이 다음으로 탐구해야 하는 건, 만일 정말로 

자네가 알기를 열망한다면 말이네만, 이번엔 그 이름의 

올바름이란 도대체 무엇인지 하는 것일세.

ΕΡΜ. Ἀλλὰ μὴν ἐπιθυμῶ γε εἰδέναι. 

허나 물론 저야 알기를 열망하긴 하지요.

ΣΩ. Σκόπει τοίνυν. 

그러면 검토해 주게나.

ΕΡΜ. Πῶς οὖν χρὴ σκοπεῖν; 

그렇다면 어떻게 검토해야만 할까요?

ΣΩ. Ὀρθοτάτη μὲν τῆς σκέψεως, ὦ ἑταῖρε, μετὰ τῶν 

ἐπισταμένων, χρήματα ἐκείνοις τελοῦντα καὶ χάριτας                            10

κατατιθέμενον. 

검토의 올바름은, 동지여, 아는 자들과 함께하는 것이니, 

저들에게 돈을 쓰고 호의를 바치며 그리 하는 것이라네. 

                         εἰσὶ δὲ οὗτοι οἱ σοφισταί, οἷσπερ καὶ ὁ 

ἀδελφός σου Καλλίας πολλὰ τελέσας χρήματα σοφὸς                        c

δοκεῖ εἶναι. 

그런데 소피스트들이 이런 자들이지. 자네의 형제 

칼리아스도 바로 그들에게 많은 돈을 써서 지혜로운 

자라고 여겨지고 있다네.

                  ἐπειδὴ δὲ οὐκ ἐγκρατὴς εἶ τῶν πατρῴων, 

λιπαρεῖν χρὴ τὸν ἀδελφὸν καὶ δεῖσθαι αὐτοῦ διδάξαι σε 

τὴν ὀρθότητα περὶ τῶν τοιούτων ἣν ἔμαθεν παρὰ Πρωτα-

γόρου.                                                                                                     5

그런데 자네는 유산의 상속권자가 아니기에, 자네 형제에게 

애걸해야만 하고 그에게 이런 것들에 관련하여 그가 

프로타고라스에게서 배운 그 옳음을 자네에게 가르쳐달라 

요청해야만 하지.

ΕΡΜ. Ἄτοπος μεντἂν εἴη μου, ὦ Σώκρατες, ἡ δέησις, 

εἰ τὴν μὲν Ἀλήθειαν τὴν Πρωταγόρου ὅλως οὐκ ἀπο-

δέχομαι, τὰ δὲ τῇ τοιαύτῃ ἀληθείᾳ ῥηθέντα ἀγαπῴην ὥς 

του ἄξια. 

그럼에도 저의 그런 요청은 물론 이상한 일일 겁니다. 

만일 프로타고라스의 『진리』는 제가 전반적으로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이러한 진리에 의해 언급된 것들은 

무슨 가치라도 있는 듯 반긴다면 말입니다.

ΣΩ. Ἀλλ᾿ εἰ μὴ αὖ σε ταῦτα ἀρέσκει, παρ᾿ Ὁμήρου χρὴ                         10

μανθάνειν καὶ παρὰ τῶν ἄλλων ποιητῶν.                                            d

허나 만일 이번엔 자네가 그런 것들을 흡족해하지 

않는다면, 호메로스에게서 그리고 그 밖의 시인들에게서 

배워야만 하네.

ΕΡΜ. Καὶ τί λέγει, ὦ Σώκρατες, Ὅμηρος περὶ 

ὀνομάτων, καὶ ποῦ; 

그럼, 소크라테스, 호메로스께서 이름들에 관하여 무슨 

말씀을 하셨나요, 또 어디서 말씀하셨습니까?

ΣΩ. Πολλαχοῦ· μέγιστα δὲ καὶ κάλλιστα ἐν οἷς διο-

ρίζει ἐπὶ τοῖς αὐτοῖς ἅ τε οἱ ἄνθρωποι ὀνόματα καλοῦσι καὶ                   5

οἱ θεοί. 

여러 곳에서 말씀하셨지. 그런데 가장 중대하고도 훌륭하게 

말씀하신 건 인간들도 신들께서도 이름으로 부르는 같은

것들을 두고 그 분께서 규정하신 구절들에서라네. 

            ἢ οὐκ οἴει αὐτὸν μέγα τι καὶ θαυμάσιον λέγειν ἐν 

τούτοις περὶ ὀνομάτων ὀρθότητος; 

아니면 자네는 그 분께서 이런 구절에서 이름들의 옳음에 

관련하여 뭔가 중요하고도 놀라운 것을 말씀하신다고 

생각하지 않는가?

                                                         δῆλον γὰρ δὴ ὅτι οἵ γε 

θεοὶ αὐτὰ καλοῦσιν πρὸς ὀρθότητα ἅπερ ἔστι φύσει ὀνό-

ματα· ἢ σὺ οὐκ οἴει;                                                                              e

왜냐하면 적어도 신들께서는 그것들을 본성상 이름으로

있는 바로 그 이름들로 옳음을 향해 부르신다는 게 

분명하니까. 자네는 그리 생각하지 않는가?

ΕΡΜ. Εὖ οἶδα μὲν οὖν ἔγωγε, εἴπερ καλοῦσιν, ὅτι 

ὀρθῶς καλοῦσιν. ἀλλὰ ποῖα ταῦτα λέγεις; 

그야 저로서는 잘 알고 있습니다, 만일 정말로 신들께서 

부르신다면, 옳게 부르신다는 걸 말이죠. 허나 당신께서는

그것들이 어떤 것들이라 말씀하시는 건가요?

ΣΩ. Οὐκ οἶσθα ὅτι περὶ τοῦ ποταμοῦ τοῦ ἐν τῇ Τροίᾳ, 

ὃς ἐμονομάχει τῷ Ἡφαίθστῳ, ὃν Ξάνθον, φησί,                                  5

καλέουσι θεοί, ἄνδρες δὲ Σκάμανδρον; 

자네는 알지 못하는가? 트로이에 있는 강에 관하여, 

헤파이스토스와 단신으로 전투하였던 그 강을, 그 분께서 

“신들께서는 크산토스라 부르시나, 사람들은

스카만드로스라 부르는 강”이라 말씀하신 것을 말일세.

ΕΡΜ. Ἔγωγε. 

저야 알지요.

 

-작성중-

 

ΣΩ. Φέρε δὴ ἴδωμεν, ὦ Ἑρμόγενς, πότερον καὶ τὰ 

ὄντα οὕτως ἔχειν σοι φαίνεται, ἰδίᾳ αὐτῶν ἡ οὐσία εἶναι                        5

ἑκάστῳ, ὥσπερ Πρωταγόρας ἔλεγεν λέγων πάντων 

χρημάτων μέτρον εἶναι ἄνθρωπον, ὡς ἄρα οἷα μὲν ἂν                 386a1

ἐμοὶ φαίνηται τὰ πράγματα εἶναι, τοιαῦτα μὲν ἔστιν ἐμοί, 

οἷα δ᾿ ἂν σοί, τοιαῦτα δὲ σοί· ἢ ἔχειν δοκεῖ σοι αὐτὰ αὑτῶν 

τινα βεβαιότητα τῆς οὐσίας; 

자, 그럼, 헤르모게네스, 있는 것들 또한 자네에게 그런

상태로 나타나는지, 프로타고라스가 모든 사물들의

척도”를 논하며 말하던 것처럼, 그것들의 그 있음이

사적으로 각자에게 있다고 나타나는지, 그래서 한편으로 

내게 사물들이 어떠한 것들로서 있다고 나타나는데, 이런 

것들이 내게는 있고, 다른 한편 자네에게 어떠한 것들로 

있다고 나타나는 바, 이런 것들은 자네에게 있는 그런 

상태인 건지 알아보도록 하세나. 아니면 자네에게는 

그것들이 그 자체의 있음에 대한 모종의 엄밀성을 지닌다 

여겨지는가?

ΕΡΜ. Ἤδη ποτὲ ἔγωγε, ὦ Σώκρατες, ἀπορῶν καὶ                                 5

ἐνταῦθα ἐξηνέχθην εἰς ἅπερ Πρωταγόρας λέγει· οὐ πάνυ τι 

μέντοι μοι δοκεῖ οὕτως ἔχειν. 

이제와서 저로서는, 소크라테스, 여기서도 당혹에 빠져

있다가 프로타고라스가 논하는 바로 그것들 쪽으로 끌려 

들어갔습니다. 그렇지만 제게는 그것들이 딱히 그런

상태라고는 여겨지지 않습니다.

ΣΩ. Τί δέ; ἐς τόδε ἤδη ἐξηνέχθης, ὥστε μὴ πάνυ σοι 

δοκεῖν εἶναί τινα ἄνθρωπον πονηρόν;                                                  b

그런데 어떤가? 이미 자네가 그쪽으로 끌려갔는가, 

그래서 자네에겐 딱히 어떤 사람이 열등한 자로

있다고는 여겨지지 않을 정도로?

ΕΡΜ. Οὐ μὰ τὸν Δία, ἀλλὰ πολλάκις δὴ αὐτὸ πέπονθα, 

ὥστε μοι δοκεῖν πάνυ πονηροὺς εἶναί τινας ἀνθρώπους, καὶ 

μάλα συχνούς. 

제우스께 맹세코 그렇지 않고, 오히려 정말로 자주 그런

일을 겪어서, 어떤 인간들은 무척이나 열등한 자들로 있다고, 

그것도 엄청나게 많은 자들이 있다고 여겨질 정도입니다.

ΣΩ. Τί δέ; πάνυ χρηστοὶ οὔπω σοι ἔδοξαν εἶναι;                                    5

그런데 어떤가? 아직껏 (어떤 인간들은) 꽤나 유용한

자들이라고는 자네에게 여겨진 적이 없었나?

ΕΡΜ. Καὶ μάλα ὀλίγοι. 

무척이나 적은 사람들이요.

ΣΩ. Ἔδοξαν δ᾿ οὖν; 

그럼 그리 여겼던 것이군?

ΕΡΜ. Ἔμοιγε. 

저로서는 말이죠.

ΣΩ. Πῶς οὖν τοῦτο τίθεσαι; ἆρ᾿ ὧδε· τοὺς μὲν πάνυ 

χρηστοὺς πάνυ φρονίμους, τοὺς δὲ πάνυ πονηροὺς πάνυ                    10

ἄφρονας; 

그렇다면 그건 어찌 정하는가? 혹시 이런 식인가? 무척 

유용한 자들은 무척이나 분별있는 자들이고, 무척이나 

저열한 자들은 무척이나 무분별한 자들이라고?

ΕΡΜ. Ἔμοιγε δοκεῖ οὕτως.                                                                  c

적어도 제겐 그리 여겨집니다.

ΣΩ. Οἷόν τε οὖν, εἰ Πρωταγόρας ἀληθῆ ἔλεγεν καὶ 

ἔστιν αὕτη ἡ ἀλήθεια, τὸ οἷα ἂν δοκῇ ἑκάστῳ τοιαῦτα καὶ 

εἶναι, τοὺς μὲν ἡμῶν φρονίμους εἶναι, τοὺς δὲ ἄφρονας; 

그렇다면 가능하겠는가? 만일 프로타고라스가 진리를 

말했고 그 진리가 이런 것이라면, 즉 각자에게 어떠한

것들로 여겨지는 그러한 것들이 있기도 하다는 것이라면, 

우리들 중 어떤 자들은 분별있는 자들로 있고, 또 어떤 

자들은 무분별한 자들로 있다는 게 말일세.

ΕΡΜ. Οὐ δῆτα.                                                                                       5

분명 가능하지 않습니다.

ΣΩ. Καὶ ταῦτά γε, ὡς ἐγᾦμαι, σοὶ πάνυ δοκεῖ, φρονή-

σεως οὔσης καὶ ἀφροσύνης μὴ πάνυ δυνατὸν εἶναι Πρωτα-

γόραν ἀληθῆ λέγειν· οὐδὲν γὰρ ἄν που τῇ ἀληθείᾳ ὁ ἕτερος 

τοῦ ἑτέρου φρονιμώτερος εἴη, εἴπερ ἃ ἂν ἑκάστῳ δοκῇ 

ἑκάστῳ ἀληθῆ ἔσται.                                                                            d

어쨌든, 내 생각에는, 자네에게는 꽤나 이렇게도 여겨질 

걸세. 분별과 무분별이 있다면 프로타고라스가 진리를 

말하는 것이기는 퍽이나 가능하지 않은 일이라고 말일세. 

왜냐하면 진리의 관점에서 한 사람이 다른 사람보다 전혀 

더 분별 있지 못할 테니까, 만일 정말로 각자에게 여겨지는 

바가 각자에게 진리로 있을 것이라면.

ΕΡΜ. Ἔστι ταῦτα. 

그런 일들이 있죠.

ΣΩ. Ἀλλὰ μὴν οὐδὲ κατ᾿ Εὐθύδημόν γε οἶμαι σοὶ δοκεῖ 

πᾶσι πάντα ὁμοίως εἶναι ἅμα καὶ ἀεί· οὐδὲ γὰρ ἂν οὕτως 

εἶεν οἱ μὲν χρηστοί, οἱ δὲ πονηροί, εἰ ὁμοίως ἅπασι καὶ ἀεὶ                    5

ἀρετή τε καὶ κακία εἴη. 

허나 물론 적어도 에우튀데모스를 따라 모두에게 모든 것이 

마찬가지로 한꺼번에 항상 있다고 자네에게 여겨지는 것도 

아닐 거라 생각하네. 그런 식으로는 어떤 이들은 유용하고, 

또 어떤 이들은 저열한 자들로 있지도 못할 테니까, 만일 

통틀어 모든 이들에게 항상 덕도 악덕도 마찬가지로 있을 

것이라면 말이지.

ΕΡΜ. Ἀληθῆ λέγεις. 

참된 말씀이십니다.

ΣΩ. Οὐκοῦν εἰ μήτε πᾶσι πάντα ἐστὶν ὁμοίως ἅμα καὶ 

ἀεί, μήτε ἑκάστῳ ἰδίᾳ ἕκαστον, δῆλον δὴ ὅτι αὐτὰ αὑτῶν 

οὐσίαν ἔχοντά τινα βέβαιόν ἐστι τὰ πράγματα, οὐ πρὸς                      e

ἡμᾶς, οὐδὲ ὑφ᾿ ἡμῶν ἑλκόμενα ἄνω καὶ κάτω τῷ ἡμετέρῳ 

φαντάσματι, ἀλλὰ καθ᾿ αὑτὰ πρὸς τὴν αὑτῶν οὐσίαν 

ἔχοντα ᾗπερ πέφυκεν. 

그렇다면 만일 모두에게 모든 것이 마찬가지로 한꺼번에 

항상 있지도 않고, 각자에게 사적으로 각각의 것이 이씨도 

않다면, 그럼 사태들이 자신들의 확고한 모종의 있음을 

지닌 채로 있으며, 우리를 상대로 있는 것도 아니고, 우리에 

의해 위로 또 아래로 우리의 가상에 끌려다니는 것들도 

아니니, 오히려 그 자체로 자신들의 있음을 상태로 타고난 

바로 그 상태로 있는 것들이지.

ΕΡΜ. Δοκεῖ μοι, ὦ Σώκρατες, οὕτω.                                                      5

제겐 그렇게 여겨집니다, 소크라테스.

ΣΩ. Πότερον οὖν αὐτὰ μὲν ἂν εἴη οὕτω πεφυκότα, αἱ δὲ 

πράξεις αὐτῶν οὐ κατὰ τὸν αὐτὸν τρόπον; ἢ οὐ καὶ αὗται ἕν 

τι εἶδος τῶν ὄντων εἰσίν, αἱ πράξεις; 

그렇다면 그 사태들은 그렇게 타고난 것들로 있는 반면, 

그것들의 행위들은 그와 같은 방식에 따르지 않는가? 아니면 

이 행위들도 있는 것들의 어떤 한 형상으로 있는 건 아닌가?

그 행위들이 말일세

ΕΡΜ. Πάνυ γε καὶ αὗται. 

그 행위들도 무척이나 그렇지요.

ΣΩ. Κατὰ τὴν αὑτῶν ἄρα φύσιν καὶ αἱ πράξεις πράτ-                    387a1

τονται, οὐ κατὰ τὴν ἡμετέραν δόξαν. 

그래서 자신들의 본성에 따라 행위들도 수행되고, 우리의 

믿음에 따라 수행되는 건 아니라네.

                                                           οἷον ἐάν τι ἐπι-

χειρήσωμεν ἡμεῖς τῶν ὄντων τέμνειν, πότερον ἡμῖν 

τμητέον ἕκαστον ὡς ἂν ἡμεῖς βουλώμεθα καὶ ᾧ ἂν 

βουληθῶμεν, ἢ ἐὰν μὲν κατὰ τὴν φύσιν βουληθῶμεν                            5

ἕκαστον τέμνειν τοῦ τέμνειν τε καὶ τέμνεσθαι καὶ ᾧ 

πέφυκε, τεμοῦμέν τε καὶ πλέον τι ἡμῖν ἔσται καὶ ὀρθῶς 

πράξομεν τοῦτο, ἐὰν δὲ παρὰ φύσιν, ἐξαμαρτησόμεθά τε 

καὶ οὐδὲν πράξομεν; 

이를 테면 만일 우리가 있는 것들 중 뭔가를 절단하고자 

시도한다면, 우리가 바라는 식으로 우리가 바라는 

수단으로써 절단해야만 하는가? 아니면 자른다는 것과 

잘린다는 것의 본성에 따라 그리고 그 타고난 수단으로써 

각각을 절단하길 바란다면, 우리가 자르게 될 것이고 어떤 

충족이 우리에게 있게 될 것이며 우리가 그 일을 옳게 

수행하게 될 것인 반면, 본성에 어긋나게 바란다면, 실수를 

저지르게 될 것이고 아무것도 수행하지 못할 것인가?

ΕΡΜ. Ἔμοιγε δοκεῖ οὕτω.                                                                    b

제게는 후자 쪽이라 여겨집니다.

ΣΩ. Οὐκοῦν καὶ ἐὰν κάειν τι ἐπιχειρήσωμεν, οὐ κατὰ 

πᾶσαν δόξαν δεῖ κάειν, ἀλλὰ κατὰ τὴν ὀρθήν; αὕτη δ᾿ ἐστὶν 

ᾗ ἐπεφύκει ἕκαστον κάεσθαί τε καὶ κάειν καὶ ᾧ ἐπεφύκει; 

그렇다면 우리가 뭔가를 연소시키길 시도할 경우에도, 온갖 

믿음에 따라 연소시켜야 하는 게 아니라, 옳은 믿음에 따라 

그리해야 하지 않나? 그런데 이러한 믿음은 각각이 어떤 

식으로 연소되게끔 그리고 연소시키게끔 타고났는지 그리고

무엇으로써 그러하게끔 타고났는지 하는 것이지?

ΕΡΜ. Ἔστι ταῦτα.                                                                                  5

그런 것들이죠.

ΣΩ. Οὐκοῦν καὶ τἆλλα οὕτω; 

그렇다면 여타의 것들도 그런 식인가?

ΕΡΜ.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ΣΩ. Ἆρ᾿ οὖν οὐ καὶ τὸ λέγειν μία τις τῶν πράξεών 

ἐστιν; 

그럼 혹시 말한다는 것도 행위들 중 어떤 한 가지 행위로 

있지 않나?

ΕΡΜ. Ναί.                                                                                               10

네.

ΣΩ. Πότερον οὖν ᾗ ἄν τῳ δοκῇ λεκτέον εἶναι, ταύτῃ 

λέγων ὀρθῶς λέξει, ἢ ἐὰν μὲν ᾗ πέφυκε τὰ πράγματα                         c

λέγειν τε καὶ λέγεσθαι καὶ ᾧ, ταύτῃ καὶ τούτῳ λέγῃ, πλέον 

τέ τι ποιήσει καὶ ἐρεῖ· ἂν δὲ μή, ἐξαμαρτήσεταί τε καὶ 

οὐδὲν ποιήσει; 

그렇다면 누군가에게 여겨지는 식으로 있다고 말해야만 

하고, 이런 식으로 말함으로써 옳게 말하게 되겠나, 아니면 

사물들이 말하고 말해지게끔 타고난 식으로 또 그 수단으로, 

이런 식으로 이 수단으로써 논한다면, 어떤 충족된 것을 

해내고 말할 테지만, 그렇지 못하다면, 실수를 저지르고

또한 아무것도 해내지 못할 것인가?

ΕΡΜ. Οὕτω μοι δοκεῖ ὡς λέγεις.                                                            5

당신 말씀대로 그렇게 제게 여겨지네요.

ΣΩ. Οὐκοῦν τοῦ λέγειν μόριον τὸ ὀνομάζειν; ὀνομά-

ζοντες γάρ που λέγουσι τοὺς λόγους. 

그럼 이름한다는 것은 말한다는 것의 일부이지 않은가? 

사람들은 분명 이름하면서 말을 하니까 말일세.

ΕΡΜ.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ΣΩ. Οὐκοῦν καὶ τὸ ὀνομάζειν πρᾶξίς τίς ἐστιν, εἴπερ 

καὶ τὸ λέγειν πρᾶξίς τις ἦν περὶ τὰ πράγματα;                                        10

그렇다면 이름한다는 것도 모종의 행위이지 않나? 만일 

정말로 말한다는 것도 사태들에 관련한 모종의 행위로 

있다면 말이네.

ΕΡΜ. Ναί. 

네.

ΣΩ. Αἱ δὲ πράξεις ἐφάνησαν ἡμῖν οὐ πρὸς ἡμᾶς οὖσαι,                       d

ἀλλ᾿ αὑτῶν τινα ἰδίαν φύσιν ἔχουσαι; 

그런데 행위들은 우리를 상대로 있는 것들로 우리에게 

나타난 게 아니라, 자신들의 모종의 고유한 본성을 지닌 

것들로 나타났지?

ΕΡΜ. Ἔστι ταῦτα. 

사실이 그렇지요.

ΣΩ. Οὐκοῦν καὶ ὀνομαστέον ᾗ πέφυκε τὰ πράγματα 

ὀνομάειν τε καὶ ὀνομάζεσθαι καὶ ᾧ, ἀλλ᾿ οὐχ ᾗ ἂν ἡμεῖς                        5

βουληθῶμεν, εἴπερ τι τοῖς ἔμπροσθεν μέλλει ὁμολογού-

μενον εἶναι; καὶ οὕτω μὲν ἂν πλέον τι ποιοῖμεν καὶ ὀνομά-

ζοιμεν, ἄλλως δὲ οὔ; 

그렇다면 사태들이 이름하고 또 이름 불리게끔 타고난 

방식과 수단으로 이름해야만 하기도 하지 않나? 우리가 

바라는 식으로 이름하는 게 아니고 말이야. 만일 정말로 

앞선 논의들에 뭐라도 동의되는 것이 장차 있으려면 

그렇지? 그래서 그런 식으로는 무언가 충족된 것을 우리가 

해내고 또한 이름하지만, 다른 식으로는 그렇지 못하지?

ΕΡΜ. Φαίνεταί μοι. 

제게 그리 나타나 보입니다.

ΣΩ. Φέρε δή, ὃ ἔδει τέμνειν, ἔδει τῳ, φαμέν, τέμνειν;                            10

자, 그럼, 잘라야 하는 것을, 잘라야 하는 수단으로, 

자른다고 우리는 주장하지?

ΕΡΜ. Ναί. 

네.

ΣΩ. Καὶ ὃ ἔδει κερκίζειν, ἔδει τῳ κερκίζειν; καὶ ὃ ἔδει                           e

τρυπᾶν, ἔδει τῳ τρυπᾶν; 

직조해야 하는 것도, 직조해야 하는 수단으로 직조하고? 

천공해야 하는 것도, 천공해야 하는 수단으로 천공하지?

ΕΡΜ.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ΣΩ. Καὶ ὃ ἔδει δὴ ὀνομάζειν, ἔδει τῳ ὀνομάζειν; 

그럼 이름해야 하는 것도, 그로써 이름해야 하는 그

수단으로 이름한다 하지?

ΕΡΜ. Ἔστι ταῦτα.                                                                          388a1

사실 그렇습니다.

ΣΩ. Τί δὲ ἦν ἐκεῖνο ᾧ ἔδει τρυπᾶν; 

헌데 그로써 천공해야 하는 저건 무엇이었는가?

ΕΡΜ. Τρύπανον. 

송곳이죠.

ΣΩ. Τί δὲ ᾧ κερκίζειν; 

그로써 직조하는 그 수단은 무엇인가?

ΕΡΜ. Κερκίς.                                                                                          5

베틀-북이요.

ΣΩ. Τί δὲ ᾧ ὀνομάζειν; 

그로써 이름하는 바 그 수단은 무엇인가?

ΕΡΜ. Ὄνομα. 

이름이죠.

ΣΩ. Εὖ λέγεις. ὄργανον ἄρα τί ἐστι καὶ τὸ ὄνομα. 

잘 말해주었네. 그래서 이름도 모종의 수단일세.

ΕΡΜ.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ΣΩ. Εἰ οὖν ἐγὼ ἐροίμην Τί ἦν ὄργανον ἡ κερκίς; οὐχ                           10

ᾧ κερκίζομεν; 

그러니 만일 내가 이리 묻는다면 어떤가? 베틀-북은 

무슨 수단인가? 우리가 그로써 직조하는 바의 것이지 

않나?

ΕΡΜ. Ναί. 

네.

ΣΩ. Κερκίζοντες δὲ τί δρῶμεν; οὐ τὴν κρόκην καὶ τοὺς                       b

στήμονας συγκεχυμένους διακρίνομεν; 

그런데 우리는 직조를 하면서 무엇을 수행하는가? 

씨실과 날실들이 뒤엉켜 있는 것을 가르지 않나?

ΕΡΜ. Ναί. 

네.

ΣΩ. Οὐκοῦν καὶ περὶ τρυπάνου ἕξεις οὕτως εἰπεῖν καὶ 

περὶ τῶν ἄλλων;                                                                                     5

그렇다면 천공에 관련하여서도 또 여타의 것들에 

관련하여서도 자네가 그렇게 이야기할 수 있지 않겠나?

ΕΡΜ.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ΣΩ. Ἔχεις δὴ καὶ περὶ ὀνόματος οὕτως εἰπεῖν; ὀργάνῳ 

ὄντι τῷ ὀνόματι ὀνομάζοντες τί ποιοῦμεν; 

그럼 자네는 이름에 관련하여서도 그렇게 얘기할 수 있나? 

수단으로 있는 이름으로써 우리가 이름하며 무엇을

행하는가?

ΕΡΜ. Οὐκ ἔχω λέγειν. 

말할 수가 없네요.

ΣΩ. Ἆρ᾿ οὐ διδάσκομέν τι ἀλλήλους καὶ τὰ πράγματα                            10

διακρίνομεν ᾗ ἔχει; 

혹시 우리는 사태들이 어떠한 상태인지 판단하여 

서로에게 뭔가를 가르쳐주지 않나?

ΕΡΜ.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ΣΩ. Ὄνομα ἄρα διδασκαλικόν τί ἐστιν ὄργανον καὶ 

διακριτικὸν τῆς οὐσίας ὥσπερ κερκὶς ὑφάσματος.                              c

그럼 직물에 대해 베틀-북처럼 이름은 있음에 대해 

가르침을 주는 어떤 수단이자 판단해주는 수단으로 

있다네.

ΕΡΜ. Ναί. 

네.

ΣΩ. Ὑφαντικὸν δέ γε ἡ κερκίς; 

그런가 하면 베틀-북은 직조술을 갖춘 수단이지?

ΕΡΜ. Πῶς δ᾿ οὔ; 

어찌 아니겠습니까?

ΣΩ. Ὑφαντικὸς μὲν ἄρα κερκίδι καλῶς χρήσεται,                                   5

καλῶς δ᾿ ἐστὶν ὑφαντικῶς· διδασκαλικὸς δὲ ὀνόματι, 

καλῶς δ᾿ ἐστὶ διδασκαλικῶς. 

그럼 직조술을 갖춘 자는 베틀-북을 훌륭하게 사용할 

것이고, “훌륭하게”라는 것은 직조술답게”라는 것이지. 

반면 가르치는 자는 이름으로 그리 할 것이고, 이 경우 

“훌륭하게”란 가르침에 걸맞게”란 것이지. 

ΕΡΜ. Ναί. 

네.

ΣΩ. Τῷ τίνος οὖν ἔργῳ ὁ ὑφάντης καλῶς χρήσεται 

ὅταν τῇ κερκίδι χρῆται;                                                                            10

그렇다면 베틀-북을 사용할 때 누구의 작품을 훌륭히 

사용하겠는가?

ΕΡΜ. Τῷ τοῦ τέκτονος. 

목공의 작품을 사용합니다.

ΕΡΜ. Πᾶς δὲ τέκτων ἢ ὁ τὴν τέχνην ἔχων; 

그런데 모두가 목공인가 아니면 그 기술을 지니고 있는 

자가 목공인가?

ΕΡΜ. Ὁ τὴν τεχνην. 

그 기술을 지닌 자이지요.

ΣΩ. Τῷ τίνος δὲ ἔργῳ ὁ τρυπητὴς καλῶς χρήσεται                             d

ὅταν τῷ τρυπάνῳ χρῆται; 

헌데 천공장이는 송곳을 사용할 때 누구의 작품을 

훌륭하게 사용하겠는가?

ΕΡΜ. Τῷ τοῦ χαλκέως. 

대장장이의 작품을 사용하겠지요.

ΣΩ. Ἆρ᾿ οὖν πᾶς χαλκεὺς ἢ ὁ τὴν τέχνην ἔχων; 

그렇다면 혹시 모든 사람이 대장장이인가 아니면 

그 기술을 지니고 있는 자가 대장장이인가?

ΕΡΜ. Ὁ τὴν τέχνην.                                                                                5

그 기술을 지니고 있는 자입니다.

ΣΩ. Εἶεν. τῷ δὲ τίνος ἔργῳ ὁ διδασκαλικὸς χρήσεται 

ὅταν τῷ ὀνόματι χρῆται; 

좋네. 그런데 교사가 이름을 사용할 때에는 누구의 

작품을 사용하겠는가?

ΕΡΜ. Οὐδὲ τοῦτ᾿ ἔχω. 

이것도 저는 모르겠습니다.

ΣΩ. Οὐδὲ τοῦτό γ᾿ ἔχεις εἰπεῖν, τίς παραδίδωσιν ἡμῖν 

τὰ ὀνόματα οἷς χρώμεθα;                                                                        10

이것도 자네가 이야기해줄 수 없는가? 누가 우리에게 

우리가 사용하는 그 이름들을 넘겨준 건지 말일세.

ΕΡΜ. Οὐ δῆτα. 

정말 말씀드릴 수가 없네요.

ΣΩ. Ἆρ᾿ οὐχὶ ὁ νόμος δοκεῖ σοι ὁ παραδιδοὺς αὐτά; 

혹시 법이 그것들을 넘겨주는 자라고 자네에게

여겨지지 않나?

ΕΡΜ. Ἔοικεν. 

그럴 듯하네요.

ΣΩ. Νομοθέτου ἄρα ἔργῳ χρήσεται ὁ διδασκαλικὸς                            e

ὅταν ὀνόματι χρῆται; 

그럼 교사는 이름을 사용할 때 입법가의 작품을

사용하겠는가?

ΕΡΜ. Δοκεῖ μοι. 

제게는 그리 여겨지네요.

ΣΩ. Νομοθέτης δέ σοι δοκεῖ πᾶς ἀνὴρ ἢ ὁ τὴν 

τέχνην ἔχων;                                                                                           5

헌데 자네에게는 모든 사람이 입법가라 여겨지나, 

아니면 그 기술을 지니고 있는 자가 그렇다 여겨지나?

ΕΡΜ. Ὁ τὴν τέχνην. 

그 기술을 지니고 있는 자라고 여겨집니다.

ΣΩ. Οὐκ ἄρα παντὸς ἀνδρός, ὦ Ἑρμόγενες, ὄνομα 

θέσθαι, ἀλλά τινος ὀνοματουργοῦ· οὗτος δ᾿ ἐστίν, ὡς                  389a1

ἔοικεν, ὁ νομοθέτης, ὃς δὴ τῶν δημιουργῶν σπανιώτατος ἐν 

ἀνθρώποις γίγνεται. 

그럼, 헤르모게네스, 이름을 정한다는 것은 모든 사람에 

속하는 일이 아니라, 모종의 이름제작자에 속하는 일이 

아닌가 하네. 그런데 이런 자는, 그럴 듯해 보이기로는, 

입법가로군. 제작자들 중에서도 인간들 사이에서 정말로 가장

드물게 생겨나는 사람이지.

ΕΡΜ. Ἔοικεν. 

그럴 듯합니다.

 

-작성중-

 

ΕΡΜ. Βούλει οὖν καὶ Σωκράτει τῷδε ἀνακοινωσώ-                       383a1

μεθα τὸν λόγον; 

그럼 괜찮다면 여기 이 분 소크라테스님과도 그 논의를 

공유하도록 할까요?

ΚΡ. Εἴ σοι δοκεῖ. 

당신께 그게 좋다 여겨지신다면 그러시죠.

ΕΡΜ. Κρατύλος φησὶν ὅδε, ὦ Σώκρατες, ὀνόματος 

ὀρθότητα εἶναι ἑκάστῳ τῶν ὄντων φύσει πεφυκυῖαν, καὶ οὐ                  5

τοῦτο εἶναι ὄνομα ὃ ἄν τινες συνθέμενοι καλεῖν καλῶσι, τῆς 

αὑτῶν φωνῆς μόριον ἐπιφθεγγόμενοι, ἀλλὰ ὀρθότητά τινα 

τῶν ὀνομάτων πεφυκέναι καὶ Ἕλλησι καὶ βαρβάροις τὴν                   b

αὐτὴν ἅπασιν. 

여기 이 사람 크라튈로스는, 소크라테스, 있는 것들 각각에게 

이름의 옳음이 본성상 타고난 것으로서 있다고, 또한 이러한 

이름은 어떤 이들이 그리 부르기로 협의하여, 그들 자신들의 

말소리 중 일부를 붙여 발음하며 부르는 그런 것으로 있지

않다고, 오히려 이름들의 어떤 옳음이 헬라스인들에게도 

야만인들에게도 똑같은 것으로서 그들 전부에게 타고난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ἐρωτῶ οὖν αὐτὸν ἐγὼ εἰ αὐτῷ Κρατύλος τῇ 

ἀληθείᾳ ὄνομα· ὁ δὲ ὁμολογεῖ. "Τί δὲ Σωκράτει;" ἔφην. 

"Σωκράτης," ἦ δ᾿ ὅς. "Οὐκοῦν καὶ τοῖς ἄλλοις ἀνθρώποις 

πᾶσιν, ὅπερ καλοῦμεν ὄνομα ἕκαστον, τοῦτό ἐστιν ἑκάστῳ                  5

ὄνομα;" ὁ δὲ, "Οὔκουν σοί γε," ἦ δ᾿ ὅς, "ὄνομα Ἑρμο-

γένης, οὐδὲ ἂν πάντες καλῶσιν ἄνθρωποι." 

그래서 저는 그에게 "크라튈로스"가 진정으로 이름인지를 

그에게 물었습니다. 그는 동의했구요. "헌데 소크라테스께는 

어떻습니까?" 저는 그렇게 말했습니다. "그분께는 

'소크라테스'가 그렇지요." 라고 그는 말했죠. "그렇다면 

그 밖의 사람들 모두에게도, 우리가 각자를 부르는 바로 그

이름, 이것이 그들 각자에게 이름으로 있지 않나요?" 그런데 

그는 말했습니다. "적어도 당신께 '헤르모게네스(헤르메스의 

족속)'는 이름이 아니죠, 설령 모든 사람들이 당신을 그렇게 

부른다고 할지라도 말입니다."

                                                                      καὶ ἐμοῦ 

ἐρωτῶντος καὶ προθυμουμένου εἰδέναι ὅτι ποτὲ λέγει, 

οὔτε ἀποσαφεῖ οὐδὲν εἰρωνεύεταί τε πρός με, προσποι-              384a1

ούμενός τι αὐτὸς ἐν ἑαυτῷ διανοεῖσθαι ὡς εἰδὼς περὶ 

αὐτοῦ, ὃ εἰ βούλοιτο σαφῶς εἰπεῖν, ποιήσειεν ἂν καὶ ἐμὲ 

ὁμολογεῖν καὶ λέγειν ἅπερ αὐτὸς λέγει. 

제가 질문을 하고 그가 도대체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 

알고자 열의를 쏟아 보았습니다만, 그는 아무것도 

확실하게 해주지도 않고 제게 모르는 척을 하네요. 그가

스스로 자신 안에 뭔가 생각을 갖고 있는 것처럼

가장하면서요. 만일 그가 확실하게 이야기하고자 바라면, 

저 또한 동의하고 그 자신이 말하는 바로 그것들을 

말하도록 만들 그 일에 관하여 아는 자처럼 말입니다. 

                                                             εἰ οὖν πῃ ἔχεις 

συμβαλεῖν τὴν Κρατύλου μαντείαν, ἡδέως ἂν ἀκούσαιμι·                       5

μᾶλλον δὲ αὐτῷ σοι ὅπῃ δοκεῖ ἔχειν περὶ ὀνομάτων 

ὀρθότητος ἔτι ἂν ἥδιον πυθοίμην, εἴ σοι βουλομένῳ ἐστίν. 

그러니 만일 당신께서 어떤 식으로든 크라튈로스의 신탁을 

해석하실 수 있다면, 저는 기쁘게 듣겠습니다. 헌데 차라리 

당신 자신께는 이름들의 옳음에 관하여 도대체 어떤 

상태라고 여겨지는지를 훨씬 더 기쁘게 들어 배우겠습니다. 

만일 그게 당신께서 바라시는 바대로라면 말입니다.

ΣΩ. Ὦ παῖ Ἱππονίκου Ἑρμόγενες, παλαιὰ παροιμία 

ὅτι χαλεπὰ τὰ καλά ἐστιν ὅπῃ ἔχει μαθεῖν· καὶ δὴ καὶ τὸ                      b

περὶ τῶν ὀνομάτων οὐ σμικρὸν τυγχάνει ὂν μάθημα. 

히포니코스의 아들 헤르모게네스, 아름다운 것이 도대체 

어떤 상태인지 배우기란 어려운 일이라는 오랜 격언이 

있지. 더욱이 이름들에 관한 일은 마침 사소한 배움인 것도 

아니고 말일세.

                                                                                    εἰ μὲν 

οὖν ἐγὼ ἤδη ἠκηκόη παρὰ Προδίκου τὴν πεντηκοντά-

δραχμον ἐπίδειξιν, ἣν ἀκούσαντι ὑπάρχει περὶ τοῦτο 

πεπαιδεῦσθαι, ὥς φησιν ἐκεῖνος, οὐδὲν ἂν ἐκώλυέν σε                         5

αὐτίκα μάλα εἰδέναι τὴν ἀλήθειαν περὶ ὀνομάτων ὀρθότη-

τος· νῦν δὲ οὐκ ἀκήκοα, ἀλλὰ τὴν δραχμιαίαν.                                     c

그러니 만일 내가 진작에 프로디코스에게서 50드라크메

짜리 강연을 들었더라면, 저 사람이 주장하기로는, 그걸 들은

사람은 이 일과 관련한 교육을 완수할 수 있다고 하는데, 

그랬더라면 이름들의 옳음에 관련한 진리를 당장이라도 

자네가 아는 데 아무런 지장이 없었을 걸세. 그런데 실은 내가 

그 강연은 듣질 못했고, 1드라크메 짜리 강연을 들었지.

                                                                          οὔκουν οἶδα                c

πῇ ποτε τὸ ἀληθὲς ἔχει περὶ τῶν τοιούτων· συζητεῖν μέντοι 

ἕτοιμός εἰμι καὶ σοὶ καὶ Κρατύλῳ κοινῇ. 

그러니 나도 그것들에 관련하여 참된 것이 도대체 어떤 

상태인지 알지 못한다네. 그렇지만 나는 자네 그리고 

크라튈로스와 공동으로 함께 탐구할 만반의 준비가 되어

있지.

                                                              ὅτι δὲ οὔ φησί σοι 

Ἑρμογένη ὄνομα εἶναι τῇ ἀληθείᾳ, ὥσπερ ὑποπτεύω 

αὐτὸν σκώπτειν· οἴεται γὰρ ἴσως σε χρημάτων ἐφιέμενον                      5

κτήσεως ἀποτυγχάνειν ἑκάστοτε. 

그런데 그가 자네에게 '헤르모게네스'가 진리의 관점에서 

이름으로 있다고 주장하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그가 

농담을 하고 있다는 의심이 드는군. 왜냐하면 그는 아마

자네가 매번 돈을 벌지는 못하고 잃는다고 생각하는 것 

같으니까.

                                                      ἀλλ᾿, ὃ νυνδὴ ἔλεγον, 

εἰδέναι μὲν τὰ τοιαῦτα χαλεπόν, εἰς τὸ κοινὸν δὲ κατα-

θέντας χρὴ σκοπεῖν εἴτε ὡς σὺ λέγεις ἔχει εἴτε ὡς Κρατύ-

λος. 

허나, 방금 내가 말했던 바, 이런 것들을 알기란 어려운 

일이지만, 다른 한편 공통된 것을 목표로 상정하여 자네가 

말하는대로인지 크라튈로스가 말하는대로인지 검토해야만 

하네.

더보기

크라튈로스는 각각에게 타고난 참된 이름이 있다고 주장한다. 

그런데 '소크라테스'는 소크라테스의 타고난 참된 이름이지만 

'헤르모게네스'는 헤르모게네스의 참된 이름이 아니라고 말한다. 

'헤르모게네스'는 '헤르메스의 종족'이란 의미가 있기 때문인가? 

이 경우 단어 자체의 뜻이 단어와 지시체의 인위적 연결보다 

더 우선되는가? 그러나 '소크라테스'나 '크라튈로스'도 마찬가지로 

어원에 따른 나름의 뜻을 가질 것이므로, '헤르모게네스'와 같은 

식으로 참된 이름이 아니라 이야기될 여지도 있지 않나? 

혹은 '헤르모게네스'에는 '헤르메스'라는 고유명사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그것이 헤르모게네스에게 참된 이름이 될 수 없나? 
헤르모게네스보다 헤르메스에게 우선하는 이름이라는 이유인가? 

혹은 '돈을 잃기만 하고 따질 못한다'는 표현과 관련하여, 

헤르메스의 이름을 딴 헤르모게네스가 행운의 신의 이름에 

걸맞지 않게 돈을 잃는다는 농담일 수도? 

1. '헤르모게네스(헤르메스의 족속)'은 고유인명 이전에 그 자체 

일반명사로서 의미를 지닌다. 

2. '헤르모게네스'에는 이미 '헤르메스'가 포함되어 있고 이는 

헤르모게네스보다 헤르메스에게 더욱 타고난 것이다. 

3. '헤르모게네스'에는 '헤르메스'가 포함되어 있고 이 신은 행운의 

신인 반면, 헤르모게네스는 불운하여 이름에 어울리지 않는다. 

어느 경우이든 아직 이름에 대한 크라튈로스의 입장이 구체적이지 못하다.

ΕΡΜ. Καὶ μὴν ἔγωγε, ὦ Σώκρατες, πολλάκις δὴ καὶ                               10

τούτῳ διαλεχθεὶς καὶ ἄλλοις πολλοῖς, οὐ δύναμαι πεισθῆ-

ναι ὡς ἄλλη τις ὀρθότης ὀνόματος ἢ συνθήκη καὶ ὁμο-                       d

λογία. 

물론, 소크라테스, 저로서도 그는 물론이고 그 밖의 많은 

사람들과도 자주 대화해 보았습니다만, 규약과 합의 외에 

이름의 여타 무슨 옳음이 있다고는 납득할 능력이

없습니다. 

          ἐμοὶ γὰρ δοκεῖ ὅτι ἄν τίς τῳ θῆται ὄνομα, τοῦτο 

εἶναι τὸ ὀρθόν· καὶ ἂν αὖθίς γε ἕτερον μεταθῆται, ἐκεῖνο δὲ 

μηκέτι καλῇ, οὐδὲν ἧττον τὸ ὕστερον ὀρθῶς ἔχειν τοῦ 

προτέρου, ὥσπερ τοῖς οἰκέταις ἡμεῖς μετατιθέμεθα· οὐ γὰρ                  5

φύσει ἑκάστῳ πεφυκέναι ὄνομα οὐδὲν οὐδενί, ἀλλὰ νόμῳ 

καὶ ἔθει τῶν ἐθισάντων τε καὶ καλούντων. 

왜냐하면 제게는 누군가가 무언가에 이름을 정하면,

이것이 옳은 이름으로 있다고 여겨지니까요. 그리고 그가

다시금 다른 이름으로 교체한다면, 저 이름으로는 더 이상

부르지 않을 테고, 이전 이름에 비해 나중 이름이 조금도 덜

옳은 상태이지 않다고 여겨지고요, 우리가 노예들에게

이름을 교체해주는 것처럼 말이죠. 왜냐하면 본성상 그 어떤

이름도 그 누구에게도 각각에게 타고난 게 아니라, 관습을

형성하고 그렇게 부르는 자들의 법과 관습에 의해 있는

것이니까요. 

                                                                   εἰ δέ πῃ ἄλλῃ 

ἔχει, ἕτοιμος ἔγωγε καὶ μανθάνειν καὶ ἀκούειν οὐ μόνον                      e

παρὰ Κρατύλου, ἀλλὰ καὶ παρ᾿ ἄλλου ὁτουοῦν. 

그런데 만일 어떻게든 그 외의 상태라면, 저로서는 

크라튈로스에게서만이 아니라, 여타 누구에게서라도 

배우고 들을 만반의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더보기

명명자가 이름으로 지시하고자 하는 대상이 그 이름으로 

지시되면 그 이름이 옳은 이름이다. 문제는 이름이 말의 

일부이고 소통의 수단이기에 사람들이 서로 이름을 

공유하게 된다는 점이다. 각자 자신이 기준이 되어 아무 

이름으로든 원하는 것을 명명할 수는 있지만, 같은 대상을 

서로 다른 사람들이 서로 다른 이름으로 호명할 경우에는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다. 물론, 여전히 규약과 협의를 통해 

이러한 불일치는 조정이 가능하고, 그러면서도 이전 이름을 

폐기하고 새로운 이름으로 교체하는 일 역시 가능하므로, 

이 문제가 헤르모게네스의 입장에 치명적인 것은 아니다. 

ΣΩ. Ἴσως μέντοι τὶ λέγεις, ὦ Ἑρμόγενες· σκεψώμεθα                   385a1

δέ. ὃ ἂν φῂς καλῇ τις ἕκαστον, τοῦθ᾿ ἑκάστῳ ὄνομα; 

그렇지만 자네가 뭔가 말하는 것 같긴 하다네, 

헤르모게네스. 우리가 검토해 볼 테지만. 자네는 

누군가가 각각을 부를 이것이 그 각자에게 이름으로 

있다고 주장하는가?

ΕΡΜ. Ἔμοιγε δοκεῖ. 

적어도 제겐 그리 여겨집니다.

ΣΩ. Καὶ ἐὰν ἰδιώτης καλῇ καὶ ἐὰν πόλις; 

개인이 부를 때에도 폴리스가 부를 때에도 그러한가?

ΕΡΜ. Φημί.                                                                                             5

저는 그리 주장합니다.

ΣΩ. Τί οὖν; ἐὰν καλῶ ὁτιοῦν τῶν ὄντων, οἷον ὃ νῦν 

καλοῦμεν ἄνθρωπον, ἐὰν ἐγὼ τοῦτο ἵππον προσαγορεύω, 

ὃ δὲ νῦν ἵππον, ἄνθρωπον, ἔσται δημοσίᾳ μὲν ὄνομα 

ἄνθρωπος τῷ αὐτῷ, ἰδίᾳ δὲ ἵππος; καὶ ἰδίᾳ μὲν αὖ ἄνθρω-

πος, δημοσίᾳ δὲ ἵππος; οὕτω λέγεις;                                                      10

그렇다면 어떤가? 만일 내가 있는 것들 중 무엇이든 

부른다면, 이를 테면 오늘날 우리가 "인간"이라 부르는 

것, 만일 내가 이것을 '말'이라고 호명한다면, 반면에 지금 

"말"이라고 부르는 것은, "인간"이라고 호명한다면, 같은 것에 

대중적으로는 "인간"이라는 이름이, 다른 한편 사적으로는 

"말"이라는 이름이 있게 되는가? 또 이번엔 사적으로

"인간"이란 이름이, 대중적으로는 "말"이란 이름이 있게 

되고? 자네는 그리 말하고 있는가?

ΕΡΜ. Ἔμοιγε δοκεῖ.                                                                             b

적어도 제겐 그리 여겨집니다.

[ ΣΩ. Φέρε δή μοι τόδε εἰπέ· καλεῖς τι ἀληθῆ λέγειν καὶ

ψευδῆ;

[ 자, 그럼 내게 이걸 이야기해주게. 자네는 참을 말하는 

것과 거짓을 말하는 것을 무언가로 부르지?

ΕΡΜ. Ἔγωγε.

저로서는요.

ΣΩ. Οὐκοῦν εἴη ἂν λόγος ἀληθής, ὁ δὲ ψευδής;                                     5

그렇다면 참인 말이 있고, 다른 한편 거짓인 말이 있지 

않나?

ΕΡΜ.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ΣΩ. Ἆρ᾿ οὖν οὗτος ὃς ἂν τὰ ὄντα λέγῃ ὡς ἔστιν, ἀληθής·

ὃς δ᾿ ἂν ὡς οὐκ ἔστιν, ψευδής;

그렇다면 혹시 있는 것들을 있다고 말하는 이런 말이, 참인 

말이고, 다른 한편 있지 않다고 말하는 말은, 거짓인 말인가?

ΕΡΜ. Ναί.

네.

ΣΩ. Ἔστιν ἄρα τοῦτο, λόγῳ λέγειν τὰ ὄντα τε καὶ μή;                             10

그럼 말로써 있는 것들과 있지 않은 것들을 말하는 이런 

것이 있지?

ΕΡΜ.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ΣΩ. Ὁ λόγος δ᾿ ἐστὶν ὁ ἀληθὴς πότερον μὲν ὅλος                               c

ἀληθής, τὰ μόρια δ᾿ αὐτοῦ οὐκ ἀληθῆ; 

그런데 참인 말은 전체로서 참인데, 그 부분들은 참이 

아닌가?

ΕΡΜ. Οὔκ, ἀλλὰ καὶ τὰ μόρια.

아니요, 부분들도 참입니다.

ΣΩ. Πότερον δὲ τὰ μὲν μεγάλα μόρια ἀληθῆ, τὰ δὲ

σμικρὰ οὔ· ἢ πάντα;                                                                                5

그런데 커다란 부분들은 참이고, 다른 작은 부분들은 

그렇지 않은가, 아니면 모든 부분들이 참인가?

ΕΡΜ. Πάντα, οἶμαι ἔγωγε.

모든 부분들이요, 적어도 제가 생각하기로는 말이죠.

ΣΩ. Ἔστιν οὖν ὅτι λέγεις λόγου σμικρότερον μόριον

ἄλλο ἢ ὄνομα;

그렇다면 이름 외에 말의 더 작은 여타 부분으로 자네가 

말하는 것이 있는가?

ΕΡΜ. Οὔκ, ἀλλὰ τοῦτο σμικρότατον.

아니요, 그게 가장 작은 부분입니다.

ΣΩ. Καὶ τὸ ὄνομα ἄρα τὸ τοῦ ἀληθοῦς λόγου λέγεται;                            10

그럼 이름도 참인 말의 부분이라 말해지지?

ΕΡΜ. Ναί.

네.

ΣΩ. Ἀληθές γε, ὡς φῇς.

적어도 참인 부분이고, 자네 주장대로라면.

ΕΡΜ. Ναί.

네.

ΣΩ. Τὸ δὲ τοῦ ψευδοῦς μόριον οὐ ψεῦδος;

그런데 거짓인 말의 부분은 거짓 아닌가?

ΕΡΜ. Φημί.                                                                                             15

저는 그리 주장합니다.

ΣΩ. Ἔστιν ἄρα ὄνομα ψεῦδος καὶ ἀληθὲς λέγειν, εἴπερ

καὶ λόγον;

그럼 이름을 거짓인 것과 참인 것으로 말할 수 있나? 

만일 말도 그렇다면 말일세.

ΕΡΜ. Πῶς γὰρ οὔ; ]                                                                             d

어찌 아니겠습니까? ]

ΣΩ. Ὃ ἂν ἄρα ἕκαστος φῇ τῳ ὄνομα εἶναι, τοῦτό ἐστιν 

ἑκάστῳ ὄνομα; 

그럼 각자가 어떤 것에게 이름으로 있다고 주장하는 바, 

이것이 각자에게 이름으로 있는가?

ΕΡΜ. Ναί. 

네.

ΣΩ. Ἦ καὶ ὁπόσα ἂν φῇ τις ἑκάστῳ ὀνόματα εἶναι,                                5

τοσαῦτα ἔσται καὶ τότε ὁπόταν φῇ; 

정말이지 누군가가 각각에게 이름으로 있다고 주장할,

그 만큼의 것들이 그가 주장할 바로 그 때 있게 되나?

ΕΡΜ. Οὐ γὰρ ἔχω ἔγωγε, ὦ Σώκρατες, ὀνόματος 

ἄλλην ὀρθότητα ἢ ταύτην, ἐμοὶ μὲν ἕτερον εἶναι καλεῖν 

ἑκάστῳ ὄνομα, ὃ ἐγὼ ἐθέμην, σοὶ δὲ ἕτερον, ὃ αὖ σύ. 

저로서는 알지 못합니다, 소크라테스, 이런 것 말고

여타 이름의 옳음을 말이에요. 제겐 제가 정한 바

각각에게 부를 이름이, 반면 이번엔 당신께는 당신께서

정하신 바 또 다른 이름이 있다는 것이죠.

                                                                                     οὕτω 

δὲ καὶ ταῖς πόλεσιν ὁρῶ ἰδίᾳ ἑκάσταις ἐπὶ τοῖς αὐτοῖς                         e

κείμενα ὀνόματα, καὶ Ἕλλησι παρὰ τοὺς ἄλλους Ἕλλη-

νας, καὶ Ἕλλησι παρὰ βαρβάρους. 

{e1 ἰδίᾳ ἑκάσταις‎ / Q: ἰδίᾳ ἑκάσταις ἐνίοις‎ / β‎W: ἰδίᾳ‎ /

T: ἰδίᾳ ἐνίοις‎ / Burnet: ἰδίᾳ ἑκάσταις ἐνίοτʼ‎ /

Buttmann: ἰδίᾳ ἐκάσταις‎ / Duke (ἐνίοις‎ post Ἕλλησι‎ (e 2) transposito)}

헌데 그런 식으로 저는 폴리스들 각각에 의해서도 사적으로 

같은 것들에 이름들이 놓이는 것을 봅니다, 헬라스인들에

의해서도 여타 헬라스인들과 별개로, 또 야만인들과 별개로

헬라스인들에 의해서도 말이에요.

 

 

-작성중-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