ΣΩ. Ἴθι δή, ἐπίσκεψαι ποῖ βλέπων ὁ νομοθέτης τὰ ὀνό-                        5

ματα τίθεται· ἐκ τῶν ἔμπροσθεν δὲ ἀνάσκεψαι. ποῖ βλέπων 

ὁ τέκτων τὴν κερκίδα ποιεῖ; ἆρ᾿ οὐ πρὸς τοιοῦτόν τι ὃ ἐπε-

φύκει κερκίζειν; 

자, 그럼, 어느 쪽으로 주시하며 입법가가 이름들을 

정하는지 검토해주게. 이전 논의부터 다시금 검토해주게나. 

목공은 어느 쪽을 주시하며 베틀-북을 만드는가? 혹시 

직조하도록 타고난 바 그러한 어떤 것을 향해 바라보면서 

그리하지 않나?

ΕΡΜ.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ΣΩ. Τί δέ; ἂν καταγῇ αὐτῷ ἡ κερκὶς ποιοῦντι, πότερον                       b

πάλιν ποιήσει ἄλλην πρὸς τὴν κατεαγυῖαν βλέπων, ἢ πρὸς 

ἐκεῖνο τὸ εἶδος πρὸς ὅπερ καὶ ἣν κατέαξεν ἐποίει; 

그런데 어떤가? 만드는 자 자신에 의해 베틀-북이

부서졌다면, 그 부서진 베틀-북을 바라보며 그 외의

베틀-북을 다시 만들겠나, 아니면 그가 부순 저 베틀-북도 

그것을 바라보며 만들었던 바로 저 형상을 바라보며 

만들겠는가?

ΕΡΜ. Πρὸς ἐκεῖνο, ἔμοιγε δοκεῖ. 

저 형상을 바라보면서 그리 하리라고, 제게는 그리

여겨집니다.

ΣΩ. Οὐκοῦν ἐκεῖνο δικαιότατ᾿ ἂν αὐτὸ ὃ ἔστιν κερκὶς                             5

καλέσαιμεν; 

그렇다면 저 형상을 베틀-북으로 있는 것 그 자체라고 

부를 때 우리가 가장 정당하게 부르는 것 아니겠나?

ΕΡΜ. Ἔμοιγε δοκεῖ. 

적어도 제겐 그리 여겨지네요.

ΣΩ. Οὐκοῦν ἐπειδὰν δέῃ λεπτῷ ἱματίῳ ἢ παχεῖ ἢ λινῷ 

ἢ ἐρεῷ ἢ ὁποιῳοῦν τινι κερκίδα ποιεῖν, πάσας μὲν δεῖ τὸ 

τῆς κερκίδος ἔχειν εἶδος, οἵα δ᾿ ἑκάστῳ καλλίστη ἐπεφύ-                      10

κει, ταύτην ἀποδιδόναι τὴν φύσιν εἰς τὸ ἔργον ἕκαστον;                      c

그렇다면 얇은 옷이든 두꺼운 옷이든 아마로 된 옷이든 

양모로 된 옷이든 무슨 옷이든지 간에 어떤 옷을 위해

베틀-북을 만들어야 하는 경우, 모든 베틀-북의 형상을 

지녀야 하는 한편, 각각의 옷에게 가장 훌륭하게 타고난

바, 이러한 본성을 각각의 작업물에 부여해야 하지 않나?

ΕΡΜ. Ναί. 

네.

ΣΩ. Καὶ περὶ τῶν ἄλλων δὴ ὀργάνων ὁ αὐτὸς τρόπος· 

더 나아가 여타의 수단들에 관련하여서도 같은 방식이 

적용되지. 

τὸ φύσει ἑκάστῳ πεφυκὸς ὄργανον ἐξευρόντα δεῖ ἀπο-

δοῦναι εἰς ἐκεῖνο ἐξ οὗ ἂν ποιῇ, οὐχ οἷον ἂν αὐτὸς                                5

βουληθῇ, ἀλλ᾿ οἷον ἐπεφύκει. τὸ φύσει γὰρ ἑκάστῳ, ὡς 

ἔοικε, τρύπανον πεφυκὸς εἰς τὸν σίδηρον δεῖ ἐπίστασθαι 

τιθέναι. 

본성상 각각에게 타고난 수단을 찾아낸 자는 그 수단이

그로부터 만들어지는 저것에 그 수단을 부여해야 하는데, 

자신이 바라는대로의 것을 부여하는 게 아니라, 타고난

바대로의 것을 부여해야 하네. 즉, 그럴 듯하기로, 각각에게

본성상 타고난 송곳을 철에 정해줄 줄을 알아야 하지.

ΕΡΜ.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ΣΩ. Καὶ τὴν φύσει κερκίδα ἑκάστῳ πεφυκυῖαν εἰς                                  10

ξύλον. 

각각의 옷에 본성상 타고난 베틀-북을 목재에 정해줄 

줄도 알아야 하고.

ΕΡΜ. Ἔστι ταῦτα. 

사실 그렇죠.

ΣΩ. Φύσει γὰρ ἦν ἑκάστῳ εἴδει ὑφάσματος, ὡς ἔοικεν,                       d

ἑκάστη κερκίς, καὶ τἆλλα οὕτως. 

본성상 직물의 각 형상에, 그럴 듯하기로는, 각각의 

베틀-북이 있고, 여타의 것들도 그런 식이니까.

ΕΡΜ. Ναί. 

네.

ΣΩ. Ἆρ᾿ οὖν, ὦ βέλτιστε, καὶ τὸ ἑκάστῳ φύσει πεφυκὸς 

ὄνομα τὸν νομοθέτην ἐκεῖνον εἰς τοὺς φθόγγους καὶ τὰς                       5

συλλαβὰς δεῖ ἐπίστασθαι τιθέναι, καὶ βλέποντα πρὸς αὐτὸ 

ἐκεῖνο ὅ ἔστιν ὄνομα, πάντα τὰ ὀνόματα ποιεῖν τε καὶ 

τίθεσθαι, εἰ μέλλει κύριος εἶναι ὀνομάτων θέτης; 

그럼 혹시, 가장 훌륭한 친구, 각각에게 본성상 타고난 

이름 역시 저 입법가가 발음들과 철자들에 정해줄 줄 

알아야 하고, 이름으로서 있는 것 자체를 바라보며, 모든

이름들을 만들고 정해주어야 하는가? 만일 장차 이름들의

권위있는 정립자로 있고자 한다면 말일세.

                                                                             εἰ δὲ μὴ 

εἰς τὰς αὐτὰς συλλαβὰς ἕκαστος ὁ νομοθέτης τίθησιν, 

οὐδὲν δεῖ τοῦτο ἀ<μφι>γνοεῖν· οὐδὲ γὰρ εἰς τὸν αὐτὸν                       e

σίδηρον ἅπας χαλκεὺς τίθησιν, τοῦ αὐτοῦ ἕνεκα ποιῶν τὸ 

αὐτὸ ὄργανον· 

그런데 만일 입법가들이 저마다 같은 철자들에 정해주지 

않는다면, 이를 의심할 필요는 전혀 없네. 왜냐하면, 

같은 것을 위해 같은 수단을 만들면서, 모든 대장장이가

같은 철에 배정해주는 것도 아니니까 말일세. 

                        ἀλλ᾿ ὅμως, ἕως ἂν τὴν αὐτὴν ἰδέαν ἀποδιδῷ, 

ἐάντε ἐν <τῷ αὐτῷ ἐάντε ἐν> ἄλλῳ σιδήρῳ, ὅμως ὀρθῶς            390a1

ἔχει τὸ ὄργανον, ἐάντε ἐνθάδε ἐάντε ἐν βαρβάροις τις ποιῇ. 

ἦ γάρ; 

허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같은 형상을 부여하는 동안에는,

같은 철 안에 부여하든 여타의 철자안에 부여하든, 누군가가

여기에서 만들든 야만족들 사이에서 만들든, 그럼에도 그

수단은 옳은 상태일 걸세. 그렇지 않은가?

ΕΡΜ.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ΣΩ. Οὐκοῦν οὕτως ἀξιώσεις καὶ τὸν νομοθέτην τόν τε                          5

ἐνθάδε καὶ τὸν ἐν τοῖς βαρβάροις, ἕως ἂν τὸ τοῦ ὀνόματος 

εἶδος ἀποδιδῷ τὸ προσῆκον ἑκάστῳ ἐν ὁποιαισοῦν συλλα-

βαῖς, οὐδὲν χείρω νομοθέτην εἶναι τὸν ἐνθάδε ἢ τὸν 

ὁπουοῦν ἄλλοθι; 

그렇다면 자네는 입법가도 이곳의 입법가든 야만인들의

입법가든 그렇게 평가하지 않겠나? 각각에게 적합한 이름의 

형상을 그 무슨 철자가 되었든 그 안에 부여하는 동안에는, 

이곳의 입법가가 그 밖에 어느 곳의 그 어떤 입법가에

비해서도 전혀 더 열등한 입법가로 있지 않다고 말일세.

ΕΡΜ. Πάνυ γε.                                                                                        10

물론입니다.

ΣΩ. Τίς οὖν ὁ γνωσόμενος εἰ τὸ προσῆκον εἶδος κερκί-                      b

δος ἐν ὁποιῳοῦν ξύλῳ κεῖται; ὁ ποιήσας, ὁ τεκτων, ἢ ὁ 

χρησόμενος, ὁ ὑφάντης; 

그렇다면 무엇이 되었든 어떤 목재 안에 베틀-북의 적합한

형상이 놓여있는지 아는 자는 누구이겠는가? 만든 사람인 

목공인가, 아니면 사용자인 직조공인가?

ΕΡΜ. Εἰκὸς μὲν μᾶλλον, ὦ Σώκρατες, τὸν χρησό-

μενον.                                                                                                     5

사용자 쪽이 훨씬 더 그럴 듯합니다, 소크라테스.

ΣΩ. Τίς οὖν ὁ τῷ τοῦ λυροποιοῦ ἔργῳ χρησόμενος; ἆρ᾿ 

οὐχ οὗτος ὅς ἐπίσταιτο ἂν ἐργαζομένῳ κάλλιστα ἐπι-

στατεῖν καὶ εἰργασμένον γνοίη εἴτ᾿ εὖ εἴργασται εἴτε μή; 

그렇다면 뤼라 제작자의 작업물을 사용하는 자는 누군가? 

혹시 그 구현되는 것에 가장 훌륭하게 감독자가 될 줄 

알고 구현된 것이 잘 구현되었는지 아니면 그렇지 못한지 

아는 이런 자 아닌가?

ΕΡΜ.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ΣΩ. Τίς;                                                                                                  10

그건 누구인가?

ΕΡΜ. Ὁ κιθαριστής. 

키타라 연주자입니다.

ΣΩ. Τίς δὲ ὁ τῷ τοῦ ναυπηγοῦ; 

헌데 조선공의 구현물에 감독자는 누구인가?

ΕΡΜ. Κυβερνήτης.                                                                               c

조타수입니다.

ΣΩ. Τίς δὲ τῷ τοῦ νομοθέτου ἔργῳ ἐπιστατήσειέ τ᾿ ἂν 

κάλλιστα καὶ εἰργασμένον κρίνειε καὶ ἐνθάδε καὶ ἐν τοῖς 

βαρβάροις; ἆρ᾿ οὐχ ὅσπερ χρήσεται; 

가장 훌륭하게 입법가의 작업에 감독자 노릇을 하고 또

여기서도 야만인들 사이에서도 그 구현된 것을 판별할 

사람은 누구인가? 혹시 그걸 사용할 바로 그 사람 아닌가?

ΕΡΜ. Ναί.                                                                                               5

네.

ΣΩ. Ἆρ᾿ οὖν οὐχ ὁ ἐρωτᾶν ἐπιστάμενος οὗτός ἐστιν; 

그렇다면 혹시 질문을 할 줄 아는 자가 이런 사람이지 

않나?

ΕΡΜ.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ΣΩ. Ὁ δὲ αὐτὸς καὶ ἀποκρίνεσθαι; 

그런데 바로 그가 답을 할 줄도 알지?

ΕΡΜ. Ναί. 

네.

ΣΩ. Τὸν δὲ ἐρωτᾶν καὶ ἀποκρίνεσθαι ἐπιστάμενον                                10

ἄλλο τι σὺ καλεῖς ἢ διαλεκτικόν; 

묻고 답할 줄 아는 자를 자네는 변증가 말고 그 외의

무엇으로 부르는가?

ΕΡΜ. Οὔκ, ἀλλὰ τοῦτο. 

아니요, 그리 부릅니다.

ΣΩ. Τέκτονος μὲν ἄρα ἔργον ἐστὶν ποιῆσαι πηδάλιον                         d

ἐπιστατοῦντος κυβερνήτου, εἰ μέλλει καλὸν εἶναι τὸ 

πηδάλιον. 

그래서 감독자 노릇을 하는 건 조타수가 하더라도

키를 만드는 일은 목공의 작업으로 있으니, 그 키가

장차 훌륭한 것으로 있으려면 그렇다네.

ΕΡΜ. Φαίνεται. 

그리 보입니다.

ΣΩ. Νομοθέτου δέ γε, ὡς ἔοικεν, ὄνομα, ἐπιστάτην                               5

ἔχοντος διαλεκτικὸν ἄνδρα, εἰ μέλλει καλῶς ὀνόματα 

θήσεσθαι. 

그런가 하면, 그럴 듯하기로는, 입법가가 변증술을

갖춘 자를 감독자로 지니더라도 이름은 그 입법가의 

일이지, 만일 장차 훌륭하게 이름을 정해줄 참이라면 

말일세.

ΕΡΜ. Ἔστι ταῦτα. 

사실이 그렇습니다.

ΣΩ. Κινδυνεύει ἄρα, ὦ Ἑρμόγενες, εἶναι οὐ φαῦλον, 

ὡς σὺ οἴει, ἡ τοῦ ὀνόματος θέσις, οὐδὲ φαύλων ἀνδρῶν                      10

οὐδὲ τῶν ἐπιτυχόντων. 

그래서, 헤르모게네스, 이름의 정립은 자네 생각처럼 

하찮은 일은 아닐 것 같고, 하찮은 사람들의 일도 또 

아무렇게나 마주칠 사람들의 일도 아닐 것 같군.

                                      καὶ Κρατύλος ἀληθῆ λέγει λέγων 

φύσει τὰ ὀνόματα εἶναι τοῖς πράγμασι, καὶ οὐ πάντα                           e

δημιουργὸν ὀνομάτων εἶναι, ἀλλὰ μόνον ἐκεῖνον τὸν ἀπο-

βλέποντα εἰς τὸ τῇ φύσει ὄνομα ὂν ἑκάστῳ καὶ δυνάμενον 

αὐτοῦ τὸ εἶδος τιθέναι εἴς τε τὰ γράμματα καὶ τὰς 

συλλαβάς.                                                                                               5

그래서 크라튈로스가 본성상 사태들에 이름들이 있다고, 

그리고 모든 장인이 이름들의 장인으로 있는 게 아니라, 

오직 각각에게 본성상 이름으로 있는 것을 바라보며 

그것의 형상을 문자들과 음절들에 정해줄 능력이 있는 

저 자만이 그러하다 말하며 참을 말하고 있는 것이지. 

ΕΡΜ. Οὐκ ἔχω, ὦ Σώκρατες, ὅπως χρὴ πρὸς ἃ λέγεις 

ἐναντιοῦσθαι. ἴσως μέντοι οὐ ῥᾴδιόν ἐστιν οὕτως ἐξαίφνης          391a1

πεισθῆναι, ἀλλὰ δοκῶ μοι ὧδε ἂν μᾶλλον πείθεσθαι, εἴ μοι 

δείξειας ἥντινα φῂς εἶναι τὴν φύσει ὀρθότητα ὀνόματος. 

저는, 소크라테스, 당신께서 말씀하시는 바에 맞서 어찌 

반론해야만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렇지만 아마도 그렇게 

갑자기 납득하기는 쉽지 않을 것 같고, 오히려 저는 제가 

오히려 장차 이런 식으로 납득하리라 여겨집니다, 만일 

당신께서 본성상의 이름의 옳음이 대체 무엇인지 제시해 

주신다면 말입니다.

ΣΩ. Ἐγὼ μέν, ὦ μακάριε Ἑρμόγενς, οὐδεμίαν λέγω, 

ἀλλ᾿ ἐπελάθου γε ὧν ὀλίγον πρότερον ἔλεγον, ὅτι οὐκ                           5

εἰδείην, ἀλλὰ σκεψοίμην μετὰ σοῦ. 

나는, 복받은 헤르모게네스, 아무말도 하지 않고 있네만, 

조금 전에 내가 말하던 것들을 자네가 놓치긴 했군, 나는 

알지 못하지만, 자네와 함께 검토할 수는 있으리란 것 

말일세.

                                                       νῦν δὲ σκοπουμένοις 

ἡμῖν, ἐμοί τε καὶ σοί, τοσοῦτον μὲν ἤδη φαίνεται παρὰ τὰ 

πρότερα, φύσει τέ τινα ὀρθότητα ἔχον εἶναι τὸ ὄνομα καὶ 

οὐ παντὸς ἀνδρὸς ἐπίστασθαι καλῶς αὐτὸ πράγματι                          b

ὁτῳοῦν θέσθαι· ἢ οὔ; 

그런데 지금 검토하는 우리, 나와 자네에게, 이미 이전 

논의와 그만큼이나 엇나가는 것이 나타나 보이니, 이름은 

본성상 모종의 옳음을 지닌 것으로 있고 그 이름을 어떤 

사태에든 훌륭하게 정해줄 줄을 아는 일은 모든 사람에게 

속하는 건 아니라는 걸세. 그렇지 않나?

ΕΡΜ.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ΣΩ. Οὐκοῦν τὸ μετὰ τοῦτο χρὴ ζητεῖν, εἴπερ ἐπιθυμεῖς 

εἰδέναι, ἥτις ποτ᾿ αὖ ἐστιν αὐτοῦ ἡ ὀρθότης.                                         5

그렇다면 이 다음으로 탐구해야 하는 건, 만일 정말로 

자네가 알기를 열망한다면 말이네만, 이번엔 그 이름의 

올바름이란 도대체 무엇인지 하는 것일세.

ΕΡΜ. Ἀλλὰ μὴν ἐπιθυμῶ γε εἰδέναι. 

허나 물론 저야 알기를 열망하긴 하지요.

ΣΩ. Σκόπει τοίνυν. 

그러면 검토해 주게나.

ΕΡΜ. Πῶς οὖν χρὴ σκοπεῖν; 

그렇다면 어떻게 검토해야만 할까요?

ΣΩ. Ὀρθοτάτη μὲν τῆς σκέψεως, ὦ ἑταῖρε, μετὰ τῶν 

ἐπισταμένων, χρήματα ἐκείνοις τελοῦντα καὶ χάριτας                            10

κατατιθέμενον. 

검토의 올바름은, 동지여, 아는 자들과 함께하는 것이니, 

저들에게 돈을 쓰고 호의를 바치며 그리 하는 것이라네. 

                         εἰσὶ δὲ οὗτοι οἱ σοφισταί, οἷσπερ καὶ ὁ 

ἀδελφός σου Καλλίας πολλὰ τελέσας χρήματα σοφὸς                        c

δοκεῖ εἶναι. 

그런데 소피스트들이 이런 자들이지. 자네의 형제 

칼리아스도 바로 그들에게 많은 돈을 써서 지혜로운 

자라고 여겨지고 있다네.

                  ἐπειδὴ δὲ οὐκ ἐγκρατὴς εἶ τῶν πατρῴων, 

λιπαρεῖν χρὴ τὸν ἀδελφὸν καὶ δεῖσθαι αὐτοῦ διδάξαι σε 

τὴν ὀρθότητα περὶ τῶν τοιούτων ἣν ἔμαθεν παρὰ Πρωτα-

γόρου.                                                                                                     5

그런데 자네는 유산의 상속권자가 아니기에, 자네 형제에게 

애걸해야만 하고 그에게 이런 것들에 관련하여 그가 

프로타고라스에게서 배운 그 옳음을 자네에게 가르쳐달라 

요청해야만 하지.

ΕΡΜ. Ἄτοπος μεντἂν εἴη μου, ὦ Σώκρατες, ἡ δέησις, 

εἰ τὴν μὲν Ἀλήθειαν τὴν Πρωταγόρου ὅλως οὐκ ἀπο-

δέχομαι, τὰ δὲ τῇ τοιαύτῃ ἀληθείᾳ ῥηθέντα ἀγαπῴην ὥς 

του ἄξια. 

그럼에도 저의 그런 요청은 물론 이상한 일일 겁니다. 

만일 프로타고라스의 『진리』는 제가 전반적으로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이러한 진리에 의해 언급된 것들은 

무슨 가치라도 있는 듯 반긴다면 말입니다.

ΣΩ. Ἀλλ᾿ εἰ μὴ αὖ σε ταῦτα ἀρέσκει, παρ᾿ Ὁμήρου χρὴ                         10

μανθάνειν καὶ παρὰ τῶν ἄλλων ποιητῶν.                                            d

허나 만일 이번엔 자네가 그런 것들을 흡족해하지 

않는다면, 호메로스에게서 그리고 그 밖의 시인들에게서 

배워야만 하네.

ΕΡΜ. Καὶ τί λέγει, ὦ Σώκρατες, Ὅμηρος περὶ 

ὀνομάτων, καὶ ποῦ; 

그럼, 소크라테스, 호메로스께서 이름들에 관하여 무슨 

말씀을 하셨나요, 또 어디서 말씀하셨습니까?

ΣΩ. Πολλαχοῦ· μέγιστα δὲ καὶ κάλλιστα ἐν οἷς διο-

ρίζει ἐπὶ τοῖς αὐτοῖς ἅ τε οἱ ἄνθρωποι ὀνόματα καλοῦσι καὶ                   5

οἱ θεοί. 

여러 곳에서 말씀하셨지. 그런데 가장 중대하고도 훌륭하게 

말씀하신 건 인간들도 신들께서도 이름으로 부르는 같은

것들을 두고 그 분께서 규정하신 구절들에서라네. 

            ἢ οὐκ οἴει αὐτὸν μέγα τι καὶ θαυμάσιον λέγειν ἐν 

τούτοις περὶ ὀνομάτων ὀρθότητος; 

아니면 자네는 그 분께서 이런 구절에서 이름들의 옳음에 

관련하여 뭔가 중요하고도 놀라운 것을 말씀하신다고 

생각하지 않는가?

                                                         δῆλον γὰρ δὴ ὅτι οἵ γε 

θεοὶ αὐτὰ καλοῦσιν πρὸς ὀρθότητα ἅπερ ἔστι φύσει ὀνό-

ματα· ἢ σὺ οὐκ οἴει;                                                                              e

왜냐하면 적어도 신들께서는 그것들을 본성상 이름으로

있는 바로 그 이름들로 옳음을 향해 부르신다는 게 

분명하니까. 자네는 그리 생각하지 않는가?

ΕΡΜ. Εὖ οἶδα μὲν οὖν ἔγωγε, εἴπερ καλοῦσιν, ὅτι 

ὀρθῶς καλοῦσιν. ἀλλὰ ποῖα ταῦτα λέγεις; 

그야 저로서는 잘 알고 있습니다, 만일 정말로 신들께서 

부르신다면, 옳게 부르신다는 걸 말이죠. 허나 당신께서는

그것들이 어떤 것들이라 말씀하시는 건가요?

ΣΩ. Οὐκ οἶσθα ὅτι περὶ τοῦ ποταμοῦ τοῦ ἐν τῇ Τροίᾳ, 

ὃς ἐμονομάχει τῷ Ἡφαίθστῳ, ὃν Ξάνθον, φησί,                                  5

καλέουσι θεοί, ἄνδρες δὲ Σκάμανδρον; 

자네는 알지 못하는가? 트로이에 있는 강에 관하여, 

헤파이스토스와 단신으로 전투하였던 그 강을, 그 분께서 

“신들께서는 크산토스라 부르시나, 사람들은

스카만드로스라 부르는 강”이라 말씀하신 것을 말일세.

ΕΡΜ. Ἔγωγε. 

저야 알지요.

 

-작성중-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