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 Theology
A Diogenes Laertius 7.147 (SVF 2.1021)
θεὸν δ᾿ εἶναι ζῷον ἀθάνατον, λογικὸν ἢ νοερόν, τέλειον ἐν εὐδαιμονίᾳ, κακοῦ παντὸς ἀνεπίδεκτον, προνοητικὸν κόσμου τε καὶ τῶν ἐν κόσμῳ· μὴ εἶναι μέντοι ἀνθρωπόμορφον. εἶναι δὲ τὸν μὲν δημιουργὸν τῶν ὅλων καὶ ὥσπερ πατέρα πάντων κοινῶς τε καὶ τὸ μέρος αὐτοῦ τὸ διῆκον διὰ πάντων, ὃ πολλαῖς προσηγορίαις προσονομάζεται κατὰ τὰς δυνάμεις. Δία μὲν γάρ φασι δι᾿ ὃν τὰ πάντα, Ζῆνα δὲ καλοῦσι παρ᾿ ὅσον τοῦ ζῆν αἴτιός ἐστιν ἢ διὰ τοῦ ζῆν κεχώρηκεν, Ἥραν δὲ κατὰ τὴν εἰς ἀέρα, καὶ Ἥφαιστον κατὰ τὴν εἰς τὸ τεχνικὸν πῦρ, καὶ Ποσειδῶνα κατὰ τὴν εἰς τὸ ὑγρόν, καὶ Δήμητραν κατὰ τὴν εἰς γῆν· ὁμοίως δὲ καὶ τὰς ἄλλας προσηγορίας ἐχόμενοί τινος οἰκειότητος ἀπέδοσαν.


B Cicero, ND 1.39-41 (SVF 2.1077)
iam vero Chrysippus, qui Stoicorum somniorum vaferrumus habetur interpres, magnam turbam congregat ignotorum deorum, atque ita ignotorum ut eos ne coniectura quidem informare possimus, cum mens nostra quidvis videatur cogitatione posse depingere. ait enim vim divinam in ratione esse positam et in universae naturae animo atque mente, ipsumque mundum deum dicit esse et eius animi fusionem universam, tum eius ipsius principatum qui in mente et ratione versetur, communemque rerum naturam universam atque omnia continentem, tum fatalem vim et necessitatem rerum futurarum, ignem praeterea et eum quem ante dixi aethera, tum ea quae natura fluerent atque manarent, ut et aquam et terram et aera, solem lunam sidera universitatemque rerum qua omnia continerentur, atque etiam homines eos qui inmortalitatem essent consecuti. idemque disputat aethera esse eum quem homines Iovem appellarent, quique aer per maria manaret eum esse Neptunum, terramque eam esse quae Ceres diceretur, similique ratione persequitur vocabula reliquorum deorum. idemque etiam legis perpetuae et aeternae vim, quae quasi dux vitae et magistra officiorum sit, Iovem dicit esse, eandemque ftalem necessitatem appellat sempiternam rerum futurarum veritatem; quorum nihil tale est ut in eo vis divina inesse videatur. et haec quidem in primo libro de natura deorum; in secundo autem volt Orphei Musaei Hesiodi Homerique fabellas accommodare ad ea quae ipse primo libro de deis inmortalibus dixerit, ut etiam veterrimi poetae, qui haec ne suspicati quidem sint, Stoici fuisse videantur.


C Cicero, ND 2.12-15
(1) Itaque inter omnis omnium gentium summa constat; omnibus enim innatum est et in animo quasi inscriptum esse deos. quales sint, varium est, esse nemo negat. (2) Cleanthes quidem noster quattuor de causis dixit in animis hominum informatas deorum esse notiones, (3) primam posuit eam, de qua modo dixi, quae orta esset ex praesensione rerum futurarum; (4) alteram, quam ceperimus ex magnitudine commodorum, quae percipiuntur caeli temperatione, fecunditate terrarum aliarumque commoditatum complurium copia; (5) tertiam quae terreret animos fulminibus, tempestatibusn, nimbis, nivibus, grandinibus, vastitate, pestilentia, terrae motibus et saepe fremitibus lapideisque imbribus et guttis imbrium quasi cruentis, tum labibus aut repentinis terrarum hiatibus, tum praeter naturam hominum pecudumque portentis, tum facibus visis caelestibus, tum stellis — is quas Graeci komhtaV, nostri cincinnatas vocant, quae nuper bello Octaviano magnarum fuerunt calamitatum praenuntiae —, tum sole geminato, quod, ut e patre audivi, Tuditano et Aquilio consulibus evenerat, quo quidem anno P. Africanus, sol alter, extinctus est, quibus exterriti homines vim quandam esse caelestem et diviam suspicati sunt; (6) quartam causam esse eamque vel maximam aequabilitatem motus [constantissimamque] conversionem caeli, solis lunae siderumque omnium distinctionem, utilitatem, pulchritudinem, ordinem, quarum rerum aspectus ipse satis indicaret non esse ea fortuita: ut, si quis in domum aliquam aut in gymnasium aut in forum venerit, cum videat omnium rerum rationem, modum, disciplinam, non possit ea sine causa fieri iudicare, sed esse aliquem intellegat, qui praesit et cui pareatur, multo magis in tantis motionibus tantisque vicissitudinibus, tam multarum rerum atque tantarum ordinibus, in quibus nihil umquam inmensa et infinita vetustas mentita sit, statuat necesse est ab aliqua mente tantos naturae motus gubernari.


D Sextus Empiricus, M. 9.133-6
(1) Ζήνων δὲ καὶ τοιοῦτον ἠρώτα λόγον· "τοὺς θεοὺς εὐλόγως ἄν τις τιμῴη· <τοὺς δὲ μὴ ὄντας οὐκ ἄν τις εὐλόγως τιμῴη·> εἰσὶν ἄρα θεοί." (2) ᾧ λόγῳ τινὲς παραβάλλοντές φασι· "τοὺς σοφοὺς ἄν τις εὐλόγως τιμῴη· τοὺς δὲ μὴ ὄντας οὐκ ἄν τις εὐλόγως τιμῴη· εἰσὶν ἄρα σοφοί." ὅπερ οὐκ ἤρεσκε τοῖς ἀπὸ τῆς Στοᾶς, μέχρι τοῦ νῦν ἀνευρέτου ὄντος τοῦ κατ᾿ αὐτοὺς [τοῦ] σοφοῦ. (3) ἀπαντῶν δὲ πρὸς τὴν παραβολὴν Διογένης ὁ Βαβυλώνιος τὸ δεύτερόν φησι λῆμμα τοῦ Ζήνωνος λόγου τοιοῦτον εἶναι τῇ δυνάμει· "τοὺς δὲ μὴ πεφυκότας εἶναι οὐκ ἄν τις εὐλόγως τιμῴη·" τοιούτου γὰρ λαμβανομένου δῆλον ὡς πεφύκασιν εἶναι θεοί· εἰ δὲ τοῦτο, καὶ εἰσὶν ἤδη· εἰ γὰρ ἅπαξ ποτὲ ἦσαν, καὶ νῦν εἰσίν, ὥσπερ εἰ ἄτομοι ἦσαν, καὶ νῦν εἰσίν· ἄφθαρτα γὰρ καὶ ἀγένητα τὰ τοιαῦτά ἐστι κατὰ τὴν ἔννοιαν τῶν σωμάτων. διὸ καὶ κατὰ ἀκόλουθον ἐπιφορὰν συνάξει ὁ λόγος. οἱ δέ γε σοφοὶ οὐκ ἐπεὶ πεφύκασιν εἶναι, ἤδη καὶ εἰσίν. (4) ἄλλοι δέ φασι τὸ πρῶτον λῆμμα τοῦ Ζήνωνος, τὸ "τοὺς θεοὺς εὐλόγως ἄν τις τιμῴη," ἀμφίβολον εἶναι· ἓν μὲν γὰρ σημαίνει "τοὺς θεοὺς εὐλόγως ἄν τις τιμῴη". ἕτερον δὲ "τιμητικῶς ἔχοι". λαμβάνεσθαι δὲ τὸ πρῶτον, ὅπερ ψεῦδος ἔσται ἐπὶ τῶν σοφῶν.


E Cicero, ND 2.16 (SVF 2.1012, part)
Chrysippus quidem, quamquam est acerrimo ingenio, tamen ea dicit, ut ab ipsa natura didicisse, non ut ipse repperisse videatur. (1) "Si enim" inquit "est aliquid in rerum natura quod hominis mens, quod ratio, quod vis, quod potestas humana efficere non possit, est certe id, quod illud efficit, homine melius; atqui res caelestes omnesque eae, quarum est ordo sempiternus, ab homine confici non possunt; est igitur id, quo illa conficiuntur, homine melius. id autem quid potius dixeris quam deum? (2) Etenim si di non sunt, quid esse potest in rerum natura homine melius; in eo enim solo est ratio, qua nihil potest esse praestantius; esse autem hominem, qui nihil in omni mundo melius esse quam se putet, desipientis adrogantiae est; ergo est aliquid melius. est igitur profecto deus.


F Sextus Empiricus, M. 9.104, 108-10
(1) καὶ πάλιν ὁ Ζήνων φησίν· "[εἰ] τὸ λογικὸν τοῦ μὴ λογικοῦ κρεῖττόν ἐστιν· οὐδὲν δέ γε κόσμου κρεῖττόν ἐστιν· λογικὸν ἄρα ὁ κόσμος. καὶ ὡσαύτως ἐπὶ τοῦ νοεροῦ καὶ ἐμψυχίας μετέχοντος. τὸ γὰρ νοερὸν τοῦ μὴ νοεροῦ καὶ <τὸ> ἔμψυχον τοῦ μὴ ἐμψύχου κρεῖττόν ἐστιν· οὐδὲν δέ γε κόσμου κρεῖττον· νοερὸς ἄρα καὶ ἔμψυχός ἐστιν ὁ κόσμος." . . . (2) ἀλλ᾿ ὅ γε Ἀλεξῖνος τῷ Ζήνωνι παρέβαλε τρόπῳ τῷδε· "τὸ ποιητικὸν τοῦ μὴ ποιητικοῦ καὶ τὸ γραμματικὸν τοῦ μὴ γραμματικοῦ κρεῖττόν ἐστι, καὶ τὸ κατὰ τὰς ἄλλας τέχνας θεωρούμενον κρεῖττόν ἐστι τοῦ μὴ τοιούτου· οὐδὲ ἓν δὲ κόσμου κρεῖττόν ἐστιν· ποιητικὸν ἄρα καὶ γραμματικόν ἐστιν ὁ κόσμος." (3) πρὸς ἣν ἀπαντῶντες παραβολὴν οἱ Στωικοί φασιν, ὅτι Ζήνων τὸ καθάπαξ κρεῖττον εἴληφεν, τουτέστι τὸ λογικὸν τοῦ μὴ λογικοῦ καὶ τὸ νοερὸν τοῦ μὴ νοεροῦ καὶ τὸ ἔμψυχον τοῦ μὴ ἐμψύχου, ὁ δὲ Ἀλεξῖνος οὐκέτι· οὐ γὰρ ἐν τῷ καθάπαξ τὸ ποιητικὸν τοῦ μὴ ποιητικοῦ καὶ τὸ γραμματικὸν τοῦ μὴ γραμματικοῦ κρεῖττον. ὥστε μεγάλην ἐν τοῖς λόγοις θεωρεῖσθαι διαφοράν· ἰδοὺ γὰρ Ἀρχίλοχος ποιητικὸς ὢν οὐκ ἔστι Σωκράτους τοῦ μὴ ποιητικοῦ κρείττων, καὶ Ἀρίσταρχος γραμματικὸς ὢν οὐκ ἔστι Πλάτωνος τοῦ μὴ γραμματικοῦ κρείττων.


G Cicero, ND 2.22
(1) Idemque hoc modo: "Nullius sensu carentis pars aliqua potest esse sentiens; mundi autem partes sentientes sunt; non igitur caret sensu mundus". (2) Pergit idem et urguet angustius: "Nihil," inquit "quod animi quodque rationis est expers, id generare ex se potest animantem compotemque rationis; mundus autem generat animantis compotesque rationis; animans est igitur mundus composque rationis". (3) Idemque similitudine, ut saepe solet, rationem conclusit hoc modo: "Si ex oliva modulate canentes tibiae nascerentur, num dubitares, quin inesset in oliva tibicini quaedam scientia? quid si platani fidiculas ferrent numerose sonantes: idem scilicet censeres in platanis inesse musicam, cur igitur mundus non animans sapiensque iudicetur, cum ex se procreet animantis atque sapientis?"


H Cicero, ND 2.37-9
(1) Neque enim est quicquam aliud praeter mundum quoi nihil absit quodque undique aptum atque perfectum expletumque sit omnibus suis numeris et partibus. Scite enim Chrysippus, ut clipei causa involucrum vaginam autem gladii, sic praeter mundum cetera omnia aliorum causa esse generata, ut eas fruges atque fructus, quos terra gignit, animantium causa, animantes autem hominum, ut ecum vehendi causa, arandi bovem, venandi et custodiendi canem; ipse autem homo ortus est ad mundum contemplandum et imitandum — nullo modo perfectus, sed est quaedam particula perfecti. sed mundus quoniam omnia conplexus est neque est quicquam, quod non insit in eo, perfectus undique est; (2) qui igitur potest ei desse id, quod est optimum? nihil autem est mente et ratione melius; ergo haec mundo deesse non possunt. (3) Bene igitur idem Chrysippus, qui similitudines adiungens omnia in perfectis et maturis docet esse meliora, ut in equo quam in eculeo, in cane quam in catulo, in viro quam in puero; item quod in omni mundo optimum sit, id in perfecto aliquo atque absoluto esse debere; est autem nihil mundo perfectius, nihil virtute melius; igitur mundi est propria virtus. (4) Nec vero hominis natura perfecta est, et efficitur tamen in homine virtus; quanto igitur in mundo facilius; est ergo in eo virtus. sapiens est igitur et propterea deus.


I Cleanthes, Hymn. (Stobaeus 1.25,3-27,4 = SVF 1.537)
(1) κύδιστ᾿ ἀθανάτων, πολυώνυμε παγκρατὲς αἰεί,
Ζεῦ φύσεως ἀρχηγέ, νόμου μέτα πάντα κυβερνῶν,
χαῖρε· σὲ γὰρ καὶ πᾶσι θέμις θνητοῖσι προσαυδᾶν.
ἐκ σοῦ γὰρ γενόμεσθα θεοῦ μίμημα λαχόντες
μοῦνοι, ὅσα ζώει τε καὶ ἕρπει θνήτ᾿ ἐπὶ γαῖαν·
τῷ σε καθυμνήσω καὶ σὸν κράτος αἰὲν ἀείσω.
(2) σοὶ δὴ πᾶς ὅδε κόσμος ἑλισσόμενος περὶ γαῖαν
πείθεται ᾗ κεν ἄγῃς, καὶ ἑκὼν ὑπὸ σεῖο κρατεῖται·
τοῖον ἔχεις ὑποεργὸν ἀνικήτοις ἐνὶ χερσὶν
ἀμφήκη πυρόεντ᾿ αἰειζώοντα κεραυνόν·
τοῦ γὰρ ὑπὸ πληγῇς φύσεως πάντ᾿ ἔργα βέβηκεν,
ᾧ σὺ κατευθύνεις κοινὸν λόγον, ὃς διὰ πάντων
φοιτᾷ μιγνύμενος μεγάλῳ μικροῖς τε φάεσσιν
†ὡς τόσσος γεγαὼς ὕπατος βασιλεὺς διὰ παντός.†
(3) οὐδέ τι γίγνεται ἔργον ἐπὶ χθονὶ σοῦ δίχα, δαῖμον,
οὔτε κατ᾿ αἰθέριον θεῖον πόλον, οὔτ᾿ ἐνὶ πόντῳ,
πλὴν ὁπόσα ῥέζουσι κακοὶ σφετέραισιν ἀνοίαις.
ἀλλὰ σὺ καὶ τὰ περισσὰ ἐπίστασαι ἄρτια θεῖναι,
καὶ κοσμεῖν τἄκοσμα, καὶ οὐ φίλα σοὶ φίλα ἐστίν.
ὧδε γὰρ εἰς ἓν πάντα συνήρμοκας ἐσθλὰ κακοῖσιν,
ὥσθ᾿ ἕνα γίγνεσθαι πάντων λόγον αἰὲν ἐόντα·
ὃν φεύγοντες ἐῶσιν ὅσοι θνητῶν κακοί εἰσιν,
δύσμοροι, οἵ τ᾿ ἀγαθῶν μὲν ἀεὶ κτῆσιν ποθέοντες
οὔτ᾿ ἐσορῶσι θεοῦ κοινὸν νόμον οὔτε κλύουσιν,
ᾧ κεν πειθόμενοι σὺν νῷ βίον ἐσθλὸν ἔχοιεν·
αὐτοὶ δ᾿ αὖθ᾿ ὁρμῶσιν ἄνοι κακὸν ἄλλος ἐπ᾿ ἄλλο,
οἳ μὲν ὑπὲρ δόξης σπουδὴν δυσέριστον ἔχοντες,
οἳ δ᾿ ἐπὶ κερδοσύνας τετραμμένοι οὐδενὶ κόσμῳ,
ἄλλοι δ᾿ εἰς ἄνεσιν καὶ σώματος ἡδέα ἔργα
<. . . . . . . . . . . . > ἐπ᾿ ἄλλοτε δ᾿ ἄλλα φέρονται,
σπεύδοντες μάλα πάμπαν ἐναντία τῶνδε γενέσθαι.
(4) ἀλλὰ Ζεῦ πάνδωρε κελαινεφὲς ἀργικέραυνε,
ἀνθρώπους ῥύου <μὲν> ἀπειροσύνης ἀπὸ λυγρῆς,
ἣν σύ, πάτερ, σκέδασον ψυχῆς ἄπο, δὸς δὲ κυρῆσαι
γνώμης, ᾗ πίσυνος σὺ δίκης μέτα πάντα κυβερνᾷς,
ὄφρ᾿ ἂν τιμηθέντες ἀμειβώμεσθά σε τιμῇ,
ὑμνοῦντες τὰ σὰ ἔργα διηνεκές, ὡς ἐπέοικε
θνητὸν ἐόντ᾿, ἐπεὶ οὔτε βροτοῖς γέρας ἄλλο τι μεῖζον
οὔτε θεοῖς, ἢ κοινὸν ἀεὶ νόμον ἐν δίκῃ ὑμνεῖν.


J Cicero, ND 2.75-6
(1) Dico igitur providentia deorum mundum et omnes mundi partes et initio constitutas esse et omni tempore administrari. Eamque disputationem tris in partes nostri fere dividunt, (2) quarum prima pars est, quae ducitur ab ea ratione, quae docet esse deos; quo concesso confitendum est eorum consilio mundum administrari. (3) secunda est autem quae docet omnes res subiectas esse naturae sentienti ab eaque omnia pulcherrume geri; quo constituto sequitur ab animantibus principiis eam esse generatam. (4) tertius est locus, qui ducitur ex admiratione rerum caelestium atque terrestrium. (5) Primum igitur aut negandum est esse deos, quod et Democritus simulacra et Epicurus imagines inducens quodam pacto negat, aut qui deos esse concedant, is fatendum est eos aliquid agere idque praeclarum; nihil est autem praeclarius mundi administratione; deorum igitur consilio administratur.


Κ Plutarch, Comm. not. 1075E (SVF 2.1126)
καὶ μὴν αὐτοί γε πρὸς τὸν Ἐπίκουρον οὐδὲν ἀπολείπουσι τῶν πραγμάτων "ἰοὺ ἰού, φεῦ φεῦ" βοῶντες, ὡς συγχέοντα τὴν τῶν θεῶν πρόληψιν ἀναιρουμένης τῆς προνοίας· οὐ γὰρ ἀθάνατον καὶ μακάριον μόνον ἀλλὰ καὶ φιλάνθρωπον καὶ κηδεμονικὸν καὶ ὠφέλιμον προλαμβάνεσθαι καὶ νοεῖσθαι τὸν θεόν.


L Cicero, ND 2.88
Quod si in Scythiam aut in Brittanniam sphaeram aliquis tulerit hanc, quam nuper familiaris noster effecit Posidonius, cuius singulae conversiones idem efficiunt in sole et in luna et in quinque stellis errantibus, quod efficitur in caelo singulis diebus et noctibus, quis in illa barbaria dubitet, quin ea sphaera sit perfecta ratione; hi autem dubitant de mundo, ex quo et oriuntur et fiunt omnia, casune ipse sit effectus aut necessitate aliqua an ratione ac mente divina, et Archimedem arbitrantur plus valuisse in imitandis sphaerae conversionibus quam naturam in efficiendis; praesertim cum multis partibus sint illa perfecta quam haec simulata sollertius.


M Cicero, ND 2.93
Hic(sic?) ego non mirer esse quemquam, qui sibi persuadeat corpora quaedam solida atque individua vi et gravitate ferri mundumque effici ornatissimum et pulcherrimum ex eorum corporum concursione fortuita? Hoc qui existimat fieri potuisse, non intellego, cur non idem putet, si innumerabiles unius et viginti formae litterarum vel aureae vel qualeslibet aliquo coiciantur, posse ex is in terram excussis annales Enni, ut deinceps legi possint, effici; quod nescio an ne in uno quidem versu possit tantum valere fortuna.


N Cicero, ND 2.133
Sin quaeret quispiam, cuiusnam causa tantarum rerum molitio facta sit — arborumne et herbarum, quae, quamquam sine sensu sunt, tamen a natura sustinentur: at id quidem absurdum est; an bestiarum: nihilo probabilius deos mutarum et nihil intellegentium causa tantum laborasse. Quorum igitur causa quis dixerit effectum esse mundum? Eorum scilicet animantium, quae ratione utuntur; hi sunt di et homines; quibus profecto nihil est meIius; ratio est enim, quae praestet omnibus. Ita fit credibile deorum et hominum causa factum esse mundum, quaeque in eo mundo sint omnia.


O Plutarch, St. rep. 1044D (SVF 2.1163)
ἐν μὲν οὖν τῷ πέμπτῳ Περὶ φύσεως, εἰπὼν ὅτι οἱ κόρεις εὐχρήστως ἐξυπνίζουσιν ἡμᾶς καὶ οἱ μύες ἐπιστρέφουσιν ἡμᾶς μὴ ἀμελῶς ἕκαστα τιθέναι, φιλοκαλεῖν δὲ τὴν φύσιν τῇ ποικιλίᾳ χαίρουσαν εἰκός ἐστι, ταῦτα κατὰ λέξιν εἴρηκε· "γένοιτο δ᾿ ἂν μάλιστα τούτου ἔμφασις ἐπὶ τῆς κέρκου τοῦ ταώ. ἐνταῦθα γὰρ ἐπιφαίνει τὸ ζῷον γεγονέναι ἕνεκα τῆς κέρκου καὶ οὐκ ἀνάπλαιν, τῷ <δ᾿> ἄρρενι γενομένῳ οὕτως ἡ θῆλυς συνηκολούθηκεν."


P Porphyry, Abst. 3.20.1-3 (including SVF 2.1152)
(1) ἀλλ'ἐκεῖνο νὴ Δία τοῦ Χρυσίππου πιθανὸν [ἧ] ὡς ἡμᾶς αὑτῶν καὶ ἀλλήλων οἱ θεοὶ χάριν ἐποιήσαντο, ἡμῶν δὲ τὰ ζῷα· συμπολεμεῖν μὲν ἵππους καὶ συνθηρεύειν κύνας, ἀνδρείας δὲ γυμνάσια παρδάλεις καὶ ἄρκτους καὶ λέοντας. ἡ δὲ ὗς - ἐνταῦθα γάρ ἐστι τῶν χαρίτων τὸ ἥδιστον - οὐ δι᾿ ἄλλο τι πλὴν θύεσθαι ἐγενόνει, καὶ τῇ σαρκὶ τὴν ψυχὴν ὁ θεὸς οἷον ἅλας ἐνέμιξεν, εὐοψίαν ἡμῖν μηχανώμενος. ὅπως δὲ ζωμοῦ καὶ παραδειπνίων ἀφθονίαν ἔχωμεν, ὄστρεά τε παντοδαπὰ καὶ πορφύρας καὶ ἀκαλήφας καὶ γένη πτηνῶν ποικίλα παρεσκεύασεν, οὐκ ἀλλαχόθεν, ἀλλ᾿ ὡς αὑτοῦ μέγα μέρος ἐνταῦθα τρέφας, εἰς γλυκυθυμίας τὰς τιτθὰς ὑπερβαλλόμενος καὶ καταπυκνώσας ταῖς ἡδοναῖς καὶ ἀπολαύσεσι τὸν περίγειον τόπον. (2) ὅτῳ δὴ ταῦτα δοκεῖ τι τοῦ πιθανοῦ καὶ θεῷ πρέποντος μετέχειν, σκοπείτω τί πρὸς ἐκεῖνον ἐρεῖ τὸν λόγον ὃν Καρνεάδης ἔλεγεν· ἕκαστον τῶν φύσει γεγονότων, ὅταν τοῦ πρὸς ὃ πέφυκε καὶ γέγονε τυγχάνῃ τέλους, ὠφελεῖται. (κοινότερον δὲ τῆς ὠφελείας, ἣν εὐχρηστίαν οὗτοι λέγουσιν, ἀκουστέον.) ἡ δὲ ὗς φύσει γέγονε πρὸς τὸ σφαγῆναι καὶ καταβρωθῆναι· καὶ τοῦτο πάσχουσα τυγχάνει τοῦ πρὸς ὃ πέφυκε, καὶ ὠφελεῖται.


Q Gellius 7.1.1-13 (SVF 2.1169-70)
(1) <quibus non videntur mundus dei et hominum causa institutus neque res humanae providentia gubernari, gravi se argumento uti putant cum ita dicunt: "si esset providentia, nulla essent mala." nihil enim minus aiunt providentiae congruere, quam in eo mundo, quem propter> homines fecisse dicatur, tantam vim esse aerumnarum et malorum. adversus ea Chrysippus cum in libro Περὶ προνοίας quarto dissereret: "nihil est prorsus istis" inquit "insubidius, qui opinantur bona esse potuisse si non essent ibidem mala. nam cum bona malis contraria sint, utraque necessum est opposita inter sese et quasi mutuo adverso quaeque fulta nisu consistere; nullum adeo contrarium est sine contrario altero. quo enim pacto iustitiae sensus esse posset, nisi essent iniuriae? aut quid aliud iustitia est quam iniustitiae privatio? quid item fortitudo intellegi posset nisi ex ignaviae adpositione? quid continentia nisi ex intemperantiae? quo item modo prudentia esset, nisi foret contra inprudentia? proinde" inquit "homines stulti cur non hoc etiam desiderant, ut veritas sit et non sit mendacium? namque itidem sunt bona et mala, felicitas et infortunitas, dolor et voluptas; alterum enim ex altero, sicuti Plato ait, verticibus inter se contrariis deligatum est; si tuleris unum, abstuleris utrumque." (2) idem Chrysippus in eodem libro tractat consideratque dignumque esse id quaeri putat, εἰ αἱ τῶν ἀνθρώπων νόσοι κατὰ φύσιν γίνονται, id est, <si> natura ipsa rerum vel providentia, quae compagem hanc mundi et genus hominum fecit, morbos quoque et debilitates et aegritudines corporum, quas patiuntur homines, fecerit. existimat autem non fuisse hoc principale naturae consilium, ut faceret homines morbis obnoxios; numquam enim hoc convenisse naturae auctori parentique omnium rerum bonarum. "sed cum multa" inquit "atque magna gigneret pareretque aptissima et utilissima, alia quoque simul adgnata sunt incommoda his ipsis quae faciebat cohaerentia"; eaque per naturam, sed per sequellas quasdam necessarias facta dicit, quod ipse appellat κατὰ παρακολούθησιν. "sicut" inquit "cum corpora hominum natura fingeret, ratio subtilior et utilitas ipsa operis postulavit ut tenuissimis minutisque ossiculis caput compingeret, sed hanc utilitatem rei maioris alia quaedam incommoditas extrinsecus consecuta est ut fieret caput tenuiter munitum et ictibus offensionibusque parvis fragile; proinde morbi quoque et aegritudines partae sunt dum slaus paritur. (3) sicut hercle" inquit "dum virtus hominibus per consilium naturae gignitur, vitia ibidem per adfinitatem contrariam nata sunt."


R Lactantius, De ira dei 13.9-10 (SVF 2.1172)
sed Academici contra Stoicos disserentes solent quaerere cur, si omnia deus hominum causa fecerit, etiam multa contraria et inimica et pestifera nobis reperiantur tam in mari quam in terra. quod Stoici veritatem non perspicientes ineptissime reppulerunt. aiunt enim multa esse in gignentibus et in numero animalium quorum adhuc lateat utilitas, sed eam processu temporum inventu<i>ri, sicut iam multa prioribus saeculis incognita necessitas et usus invenerit.


S Plutarch, St. rep. 1051B-C (SVF 2.1178, part)
(1) ἔτι περὶ τοῦ μηδὲν ἐγκλητὸν εἶναι μηδὲ μεμπτὸν κόσμῳ, κατὰ τὴν ἀρίστην φύσιν ἁπάντων περαινομένων, πολλάκις γεγραφώς, (2) ἔστιν ὅπου πάλιν ἐγκλητάς τινας ἀμελείας οὐ περὶ μικρὰ καὶ φαῦλα καταλείπει. ἐν γοῦν τῷ τρίτῳ Περὶ οὐσίας μνησθεὶς ὅτι συμβαίνει τινὰ τοῖς καλοῖς κἀγαθοῖς τοιαῦτα, "πότερον" φησίν "ἀμελουμένων τινῶν, καθάπερ ἐν οἰκίαις μείζοσι παραπίπτει τινὰ πίτυρα καὶ ποσοὶ πυροί τινες τῶν ὅλων εὖ οἰκονομουμένων, ἢ διὰ τὸ καθίσταθαι ἐπὶ τῶν τοιούτων δαιμόνια φαῦλα ἐν οἷς τῷ ὄντι γίγνονται καὶ ἐγκλητέαι ἀμέλειαι;" (3) φησὶ δὲ πολὺ καὶ τὸ τῆς ἀνάγκης μεμῖχθαι.


T Plutarch, St. rep. 1050B-D (SVF 2.937, part)
καίτοι ὁ μὲν Ἐπίκουρος ἁμωσγέπως στρέφεται καὶ φιλοτεχνεῖ, τῆς ἀϊδίου κινήσεως μηχανώμενος ἐλευθερῶσαι καὶ ἀπολῦσαι τὸ ἑκούσιον ὑπὲρ τοῦ μὴ καταλιπεῖν ἀνέγκλητον τὴν κακίαν· <ὁ δὲ Χρύσιππος> ἀναπεπταμένην παρρησίαν αὐτῇ δίδωσιν ὡς οὐ μόνον ἐξ ἀνάγκης οὐδὲ καθ᾿ εἱμαρμένην ἀλλὰ καὶ κατὰ λόγον θεοῦ καὶ κατὰ φύσιν πεποιημένῃ τὴν ἀρίστην. ἔτι δὲ καὶ ταῦθ᾿ ὁρᾶται κατὰ λέξιν οὕτως ἔχοντα· "τῆς γὰρ κοινῆς φύσεως εἰς πάντα διατεινούσης δεήσει πᾶν τὸ ὁπωσοῦν γιγνόμενον ἐν τῷ ὅλῳ καὶ τῶν μορίων ὁτῳοῦν κατ᾿ ἐκείνην γενέσθαι καὶ τὸν ἐκείνης λόγον κατὰ τὸ ἑξῆς ἀκωλύτως διὰ τὸ μήτ᾿ ἔξωθεν εἶναι τὸ ἐνστησόμενον τῇ οἰκονομίᾳ μήτε τῶν μερῶν μηδὲν ἔχειν ὅπως κινηθήσεται ἢ σχήσει ἄλλως <ἢ> κατὰ τὴν κοινὴν φύσιν." τίνες οὖν αἱ τῶν μερῶν σχέσεις εἰσὶ καὶ κινήσεις; δῆλον μὲν ὅτι σχέσεις αἱ κακίαι καὶ τὰ νοσήματα, φιλαργυρίαι φιληδονίαι φιλοδοξίαι δειλίαι ἀδικίαι, κινήσεις δὲ μοιχεῖαι κλοπαὶ προδοσίαι ἀνδροφονίαι πατροκτονίαι. τούτων οἴεται Χρύσιππος οὔτε μικρὸν οὔτε μέγα παρὰ τὸν τοῦ Διὸς λόγον εἶναι καὶ νόμον καὶ δίκην καὶ πρόνοιαν.


U Calcidius 144 (SVF 2.933)
(1) itaque non nulli putant praesumi differentiam providentiae fatique, cum reapse una sit. quippe providentiam dei fore voluntatem, voluntatem porro eius seriem esse causarum. et ex eo quidem, quia uoluntas, providentia est. porro quia eadem series causrum est, fatum cognominatam. ex quo fieri ut quae secundum fatum sunt etiam ex providentia sint, eodemque modo quae secundum providentiam ex fato, ut putat Chrysippus. (2) alii uero, quae quidem ex providentiae auctoritate fataliter quoque provenire, nec tamen quae fataliter ex providentia, ut Cleanthes.


-작성중-

53 Soul

A Origen, Princ. 3.1.2-3 (SVF 2.988, part)
(1) τῶν κινουμένων τὰ μέν τινα ἐν ἑαυτοῖς ἔχει τὴν τῆς κινήσεως αἰτίαν, ἕτερα δὲ ἔξωθεν μόνον κινεῖται. (2) ἔξωθεν μὲν οὖν μόνον κινεῖται τὰ φορητά, οἷον ξύλα καὶ λίθοι καὶ πᾶσα ἡ ὑπὸ ἕξεως μόνης συνεχομένη ὕλη . . . (3) ἐν ἑαυτοῖς δὲ ἔχει τὴν αἰτίαν τοῦ κινεῖσθαι ζῷα καὶ φυτὰ καὶ ἁπαξαπλῶς ὅσα ὑπὸ φύσεως ἢ ψυχῆς συνέχεται, ἐξ ὧν φασιν εἶναι καὶ τὰ μέταλλα. πρὸς δὲ τοῦτοις καὶ τὸ πῦρ αὐτοκίνητόν ἐστι, τάχα δὲ καὶ αἱ πηγαί. (4) τῶν δὲ ἐν ἑαυτοῖς τὴν αἰτίαν τοῦ κινεῖσθαι ἐχόντων τὰ μέν φασιν ἐξ ἑαυτῶν κινεῖσθαι, τὰ δὲ ἀφ᾿ ἑαυτῶν· ἐξ ἑαυτῶν μὲν τὰ ἄψυχα, ἀφ᾿ ἑαυτῶν δὲ τὰ ἔμψυχα. καὶ ἀφ᾿ ἑαυτῶν κινεῖται τὰ ἔμψυχα φαντασίας ἐγγινομένης ὁρμὴν προκαλουμένης . . . (5) τὸ μέντοι λογικὸν ζῷον καὶ λόγον ἔχει πρὸς τῇ φανταστικῇ φύσει τὸν κρίνοντα τὰς φαντασίας, καὶ τινὰς μὲν ἀποδοκιμάζοντα, τινὰς δὲ παραδεχόμενον, ἵνα ἄγηται τὸ ζῷον κατ᾿ αὐτάς.
움직이는 것들 중 어떤 것들은 자체 내에 운동의 원인을 지니나, 다른 것들은 외부로부터만 움직여진다. (2) 그러므로 움직여지는 것들은 외부로부터만 움직여지는데, 예를 들어 목재와 석재 그리고 오직 hexis에 의해서만 견지되는(연속되는) 질료 전부 . . . (3) 자체 내에 움직여 지는 일의 원인을 지닌다, 동물과 식물 그리고 지극히 단적으로 자연이나 영혼에 의해 연속되는 것들은, 그들은 광물들까지 그것들로부터(자연과 영혼) 있다고 말한다. 이런 것들에 더하여 불 또한 스스로 움직이는 것이고, 아마 그 원천들도 그러하다. (4) 헌데 자체 내에 움직이는 일의 원인을 지니는 것들 중 어떤 것들은 자신 밖으로 움직인다고, 다른 것들은 자신으로부터 움직인다고 말한다. 영혼 없는 것들은 자신 밖으로, 영혼을 지닌 것들은 자신으로부터. 그리고 인상이 내부에 생성되며 충동을 초래할 때 영혼을 지닌 것들이 자신으로부터 움직인다 . . . (5) 그렇지만 이성적(logikos) 동물은 인상을 초래하는 본성(자연)에 더하여 인상에 대해 판단하는 이성(logos)까지 지니며, 그 이성이 어떤 인상들은 거부하고, 어떤 인상들은 수용한다, 그 인상들에 따라 자신의 생명(동물)을 이끌도록.

B Hierocles, 1.5-33, 4.38-53
(1) τὸ τοίνον σπέρμα καταπεσὸν εἰς ὑστέραν ἔν τε καιρῷ τῷ προσήκοντι καὶ ἅμα ὑπ᾿ ἐρρωμένου τοῦ ἀγγείου συλληφθὲν οὐκέτι ἠρεμεῖ, καθάπερ τέως, ἀλλ᾿ ἀνακινηθὲν ἄρχεται τῶν ἰδίων ἔργων, περί τε τοῦ κυοφοροῦντος σώματος ἐπισπώμενον τὴν ὕλην διαπλάττει τὸ ἔμβρυον κατά τινας ἀπαραβάτους τάξεις, ἕωσπερ οὗ πρὸς τέλος ἀφίκηται καὶ πρὸς ἀπότεξιν εὐτρεπὲς ἀπεργάσηιται τὸ δημιούργημα.
(1) 따라서(τοίνυν?) 정자가 자궁에 적절한 시기에 들어가 또한 동시에 강화된 그릇에 의해 포함(착상?)되어서는 더 이상 그 동안과 마찬가지로 고정되어 있지 않고, 각성되어서 고유한 기능들을 시작하고, 또한 그 잉태한 육체 주위에서 질료를 끌어오면서 어떤 불가역의 질서에 따라 태아를 형성한다, 그 태아의 완결에 도달하고 그 피조물을 탄생에 준비된 것으로 완성시켜낼 때까지.
(2) τοῦτον μέντοι πάντα τὸν χρόνον (λέγω δὲ τὸν ἀπὸ συλλήψεως μέχρι ἀποτέξεως) διαμένει φύσις, τοῦτ᾿ ἔστι πνεῦμα, μεταβεβληκὸς ἐκ σπέρματος καὶ ὁδῷ κεινούμενον ἀπ᾿ ἀρχῆς εἰς τέλος· ἤδη δὲ κατὰ μὲν τὰ πρῶτα τοῦ χρόνου παχύτερόν πώς ἐστι πνεῦμα ἡ φύσις καὶ μακρὰν ἀφεστηκυῖα ψυχῆς, κατόπιν δὲ τούτων κἀπειδὰν σχεδὸν ἥκῃ τῆς ἀποτέξεως, ἀπολεπτύνεται . . . διὸ δὴ καὶ θύραζε χωρήσασα ἱκανοῦται τῷ περιέχοντι, ὥστε οἷον στομωθεῖσα πρὸς αὐτοῦ μεταβαλεῖν . . . εἰς ψυχήν.
(2) 하지만 이 모든 시간 동안 (나는 착상으로부터 탄생까지를 말한다) 자연이 지속하고, 이 자연이 프네우마이며, 정자로부터 경로에 따라 처음부터 끝까지 비워짐(or κινούμενον, 움직여짐)으로써 변화된 것이다. 이제 앞선 시간 동안은 그 자연이 영혼보다 어떤 식으로 더 조밀한 프네우마이자 영혼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이나, 이런 일들 이후 탄생에 거의 임박한 뒤, 희박해진다. . . 그리하여 이를 통해 출구로 나옴으로써 둘러싸는 것에 충분해지고, 그래서 예컨데 자신으로부터 견고하게 되어 . . . 영혼으로 변화할 수 있다.
(3) καθάπερ γὰρ τὸ ἐν τοῖς λίθοις πνεῦμα ταχέως ὑπὸ πληγῆς ἐκπυροῦται διὰ τὴν πρὸς ταύτην τὴν μεταβολὴν ἑτοιμότητα, τὸν αὐτὸν τρόπον καὶ φύσις ἐμβρύου πέπονος ἤδη γεγονότος οὐ βραδύνει τὸ μεταβάλλειν εἰς ψυχὴν ἐμπεσοῦσα τῷ περιέχοντι. ταύτῃ δὲ πᾶν τὸ ἐκπεσὸν ὑστέρας εὐθέως ἐστί ζῷον . . . (4) τοὐντεῦθεν ἐνθυμητέον ἐστὶν ὅτι πᾶν ζῷον τοῦ μὴ ζῴου δυοῖν ἔχει διαφοράν, αἰσθήσει τε καὶ ὁρμῇ . . .
(3) 왜냐하면 석재 내의 프네우마가 빠르게 가격에 의해 이 변화를 향한 경향으로 인해 불붙듯, 같은 방식에서 이미 성숙하게 된 태아의 본성은 둘러싼 것으로 들어선 영혼으로의 변화를 지연시키지 않는다. 이런 식으로 자궁에 들어선 것 모두가 곧 동물이다 . . . (4) 그러므로 이로부터 반추해야 하는 사실은 모든 동물은 동물 아닌 것과 두 가지 차이들을 지닌다는 것이다, 감각과 충동을 . . .
(5) ἐπεὶ τοίνυν ἐξ ἀμφοτέρων ἐστὶ τὸ ζῷον . . . σύνθετον, ἐκ σώματος καὶ ψυχῆς, ἄμφω δ᾿ ἐστὶ θικτὰ καὶ πρόσβλητα καὶ τ.ρ ἐρείσει δὴ ὑπόπτωτα, ἔτι δὲ δι᾿ ὅλων κέκραται, καὶ θάτερον μέν ἐστιν αὐτῶν δύναμις αἰσθητική, τὸ δ᾿ αὐτὸ τοῦτο καὶ τρόπον, ὃν ὑπεδείξαμεν, κεινεῖται, δῆλον ὅτι διανεκῶς αἰσθάνοιτ᾿ ἂν τὸ ζῷον ἑαυτοῦ.
(5) 따라서 양자로부터 구성(결합)된 것이 동물인 바, 즉 물체와 영혼으로 결합된 것이고, 그런데 이 양자는 접촉하고 인상을 받으며 τ.ρ(?) 실로 저항 아래 들어오는 것들이고, 더 나아가 전체들을 통하여 혼합되었으며, 그것들의 감각적 능력은 다르지만, 우리가 보였던 같은 방식에서 움직이기에, 동물은 지속적으로 자신에 대해 감각하리란 점은 분명하다.
(6) τεινομένη γὰρ ἔξω ἡ ψυχὴ μετ᾿ ἀφέσεως προσβάλλει πᾶσι τοῦ σώματος τοῖς μέρεσιν, ἐπειδὴ καὶ κέκραται πᾶσι, προσβάλλουσα δὲ ἀντιπροσβάλλεται. (7) ἀντιβατικὸν γὰρ καὶ τὸ σῶμα, καθάπερ καὶ ἡ ψυχή· καὶ τὸ πάθος συνερειστικὸν ὁμοῦ καὶ ἀντερειστικὸν ἀποτελεῖται. (8) καὶ ἀπὸ τῶν ἀκροτάτων μερῶν εἴσω νεῦον ἐπὶ τὴν ἡγεμονίαν τ.....θους σ.. ἀναφέρεται, ὡς ἀντίληψιν γίνεσθαι <τῶν> μερῶν ἁπάντων τῶν τε τοῦ σώματος καὶ τῶν τῆς ψυχῆς. (9) τοῦτο δέ ἐστιν ἴσον τῷ τὸ ζῷον αἰσθάνεσθαι ἑαυτοῦ.
(6) 왜냐하면 영혼이 외부로 연장하며 이완과 더불어 신체의 모든 부분들에 덮쳐 들고, 다음으로 모든 것과 혼합되며, 덮쳐 들어서 맞덮쳐지기 때문이다. (7) 왜냐하면 물체는 저항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영혼 또한 그러한 바와 마찬가지로. 그래서 그 겪음은 지반이 확실함과 동시에 저항을 갖추는 것으로 완성된다. (8) 그리고 극단의 부분들로부터 내부로 지배적인 것을 향해 기울면서 상승된다, 육체와 영혼 각각의 모든 부분들의 교환이 생겨나도록. (9) 이것은 동물이 자기 자신에 대해 감각하는 것과 동등한 것이다.

C Plutarch, St. rep. 1053C-D (SVF 2.806)
γίγνεσθαι μὲν γάρ φησι τὴν ψυχὴν ὅταν τὸ βρέφος ἀποτεχθῇ καθάπερ στομώσει τῇ περιψύξει τοῦ πνεύματος μεταβαλόντος, ἀποδείξει δὲ χρῆται τοῦ γεγονέναι τὴν ψυχὴν καὶ μεταγενεστέραν εἶναι μάλιστα τῷ καὶ τὸν τρόπον καὶ τὸ ἦθος ἐξομοιοῦσθαι τὰ τέκνα τοῖς γονεῦσι.
왜냐하면 그가 영혼은 태아가 탄생할 때 냉각 경화로써 프네우마가 변화함으로써 생겨난다고 말하고, 영혼이 생겨나고 더 나중에 태어나는 것이라는 사실에 대한 증명으로 특히 성품과 습성에서 자식들이 부모들과 유사해진다는 점을 사용한다.

D Galen, Foet. 4.698,2-9 (SVF 2.761, part)
(1) οὗ τὴν πρώτην εὐθέως ὑπόθεσιν ἄγνωστον μὲν αἰσθέσει, λόγῳ δ᾿ ἀνεύρετον ὑποτίθενται τὴν καρδίαν ἁπάντων πρώτην γίγνεσθαι λέγοντες· (2) δευτέραν δ᾿ ἐπὶ τῇδε τἄλλα μόρια διαπλάττειν ἐκείνην, ὡς ἀπολλυμένου τοῦ διαπλάσαντος αὐτήν, ὅστις ποτ᾿ ἐστί, καὶ μηκέτ᾿ ὄντος· (3) εἶτ᾿ ἐφεξῆς ὡς ἀκόλουθον ἐπιφέροντες ὅτι καὶ τὸ βουλευόμενον ἡμῶν μέρος τῆς ψυχῆς ἐν ταύτῃ καθέστηκεν.
(1) 그 일에 대한 감각에 의해서는 인식되지 않는 첫 번째 전제에서, 모든 것들 중 심장이 첫 번째로 생겨난다고 논함으로써 logos로써 발견되지 않는 것을 전제한다. (2) 두 번째로 바로 이 심장을 위해 저 심장이 여타의 부분들을 빚어낸다고 전제한다, 심장을 빚어낸 것이 무엇이 되었든지 간에 파괴되고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3) 다음으로 귀결되는 바로서 그들은 우리들의 영혼에서 숙의하는 부분조차 그 심장 안에 정착해 있다고 주장한다.

E Galen, In Hipp. Ep. VI 270,26-8 (SVF 2.782)
ὅσοι γὰρ οἴονται τὴν ψυχὴν εἶναι πνεῦμα διασῴζεσθαι λέγουσιν αὐτὴν ἔκ τε τῆς ἀναθυμιάσεως τοῦ αἵματος καὶ τοῦ κατὰ τὴν εἰσπνοὴν ἑλκομένου διὰ τῆς τραχείας ἀρτηρίας εἴσω τοῦ σώματος <ἀέρος>.
왜냐하면 영혼이 프네우마라고 생각하는 이들은 그 영혼이 혈액의 증발(발산)과 들숨에 따라 호흡기를 통하여 신체 내로 수렴되는 공기의 증발(발산)으로부터 살아남는다고 논한다.

F Sextus Empiricus, M. 7.234
ἄλλοι δὲ ἀπὸ τῆς αὐτῆς ὁρμώμενοι δυνάμεως γλαφυρώτερον ἀπελογήσαντο. φασὶ γὰρ ψυχὴν λέγεσθαι διχῶς, τό τε συνέχον τὴν ὅλην σύγκρισιν καὶ κατ᾿ ἰδίαν τὸ ἡγεμονικόν. ὅταν γὰρ εἴπωμεν συνεστάναι τὸν ἄνθρωπον ἐκ ψυχῆς καὶ σώματος, ἢ τὸν θάνατον εἶναι χωρισμὸν ψυχῆς ἀπὸ σώματος, ἰδίως καλοῦμεν τὸ ἡγεμονικόν.
다른 이들은 동일한 능력에서부터 촉발되어 더 정교한 변호를 하였다. 즉 그들은 영혼이 두 가지로 논해진다고 말한다, 전체 결합(집적, 응결)을 유지시키는 것이자 개별적으로 지배적인 것으로도. 왜냐하면 우리가 인간이 영혼과 육체로 결합되었다고 말할 때, 혹은 죽음이 육체로부터 영혼의 분리라고 말할 때, 개별적으로 불러 지배적인 것이라 하기 때문이다.

G Calcidius 220 (SVF 2.879, part)
(1) item Chrysippus "una et eadem" inquit "certe re spiramus et vivimus. (2) spiramus autem naturali spiritu. (3) ergo etiam vivimus eodem spiritu. (4) vivimus autem anima. (5) naturalis igitur spiritus anima esse invenitur." "haec igitur" inquit "octo in partes divisa invenitur; constat enim e principali et quinque sensibus, etiam vocali substantia et serendi procreandique potentia.
(1) 또한 크뤼십포스는 말한다, "하나이자 같은 것을 확실히 우리가 호흡하고 또한 산다. (2) 허나 우리는 자연적 공기로써 호흡한다. (3) 그러므로 또한 우리는 같은 공기로써 살아간다. (4) 허나 우리는 영혼으로써 살아간다. (4) 따라서 자연적 공기가 영혼임이 밝혀진다." 그는 말한다, "따라서 이 영혼이 여덟 부분으로 나뉨이 밝혀진다; 즉 주로 감각들에 부합되고, 또한 음성적 실체로써 또한 분할과 산출 능력으로써.
(6) porro partes animae velut ex capite fontis cordis sede manantes per universum corpus porriguntur, omniaque membra usque quaque vitali spiritu complent reguntque et moderantur innumerabilibus diversisque virtutibus, nutriendo, adolendo, movendo motibus localibus, instruendo sensibus, compellendo ad operandum, (7) totaque anima sensus, qui sunt eius officia, velut ramos ex principali parte illa tamquam trabe pandit futuros eorum quae sentiunt nuntios, ipsa de his quae nuntiaverint iudicat ut rex.
(6) 나아가 영혼의 부분들은 마치 샘의 원천으로부터처럼 심장의 자리에서 전체 신체를 통하여 흘러나가면서 확장되며, 총체적으로 모든 면에서 또한 각각의 기관들을 생명의 공기로써 채우고 수 없는 상이한 능력들로써 지배하며 통제한다, 섭취, 소모, 장소 이동을 위한 운동, 감각의 제공, 작동을 향한 촉발, (7) 전체로서의 영혼은 감각들을, 영혼의 주요 기능인 바, 마치 가지들처럼 바로 나무의 몸통 같은 주된 부분으로부터 저 감각들을 그 감각들이 감각하는 그것들에 대한 장차의 전령들로서 펼치고, 영혼 자체는 그것들이 전해오는 이러한 것들에 대해서 마치 왕처럼 판단한다.
(8) ea porro quae sentiuntur composita sunt utpote corpora singulique item sensus unum quiddam sentiunt, hic colores, sonos alius, ast ille sucorum sapores discernit, hic vapores odoraminum, ille asperum levigationemque tactu, atque haec omnia ad praesens; neque tamen praeteritorum meminit sensus ullus nec suspicatur futura.
(8) 나아가 이러한 감각되는 것들은 신체처럼 합성물들이며 개별적인 것들로서 감각들은 특정한 하나의 것을 감각한다, 이것은 색들을, 다른 것은 소리들을, 그러나 액체들의 저 향들은 구분한다, 이것은 향들의 증발들을, 저것은 거칠음들로부터 부드러움을 접촉으로써 구분한다, 이 모든 것은 현재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어떠한 감각도 과거의 것들에 대해 기억하거나 미래의 일들을 예측하지 않는다.
(9) intimae vero deliberationis et considerationis proprium cuiusque sensus intellegere passionem et ex his quae nuntiant colligere quid sit illud, et praesens quidem accipere, absentis autem meminisse, futurum item providere." definit idem intimam mentis deliberationem sic: "intimus est motus animae vis rationabilis."
(9) 사실 내적 숙의와 고찰에 고유한 것이다 각 감각의 상태를 이해하는 것과 이로부터 그 감각들이 전해주는 것들을 저것이 무엇인지 추론하는 것, 또한 현재하는 어떤 것을 파악하는 것, 나아가 부재하는 것에 대해 기억하는 것, 또한 미래의 일들에 대해 예견하는 것." 그는 정신의 가장 내밀한 숙의를 이렇게 정의한다. "영혼의 가장 내적인 운동은 이성적 힘이다."

H Aetius 4.21.1-4 (SVF 2.836, part)
(1) οἱ Στωικοί εἶναι τῆς ψυχῆς ἀνώτατον μέρος τὸ ἡγεμονικόν, τὸ ποιοῦν τὰς φαντασίας καὶ συγκαταθέσεις καὶ αἰσθήσεις καὶ ὁρμάς· καὶ τοῦτο λογισμὸν καλοῦσιν. (2) ἀπὸ δὲ τοῦ ἡγεμονικοῦ ἑπτὰ μέρη ἐστὶ τῆς ψυχῆς ἐκπεφυκότα καὶ ἐκτεινόμενα εἰς τὸ σῶμα καθάπερ αἱ ἀπὸ τοῦ πολύποδος πλεκτάναι. (3) τῶν δὲ ἑπτὰ μερῶν τῆς ψυχῆς πέντε μέν εἰσι τὰ αἰσθητήρια, ὅρασις ὄσφρησις ἀκοὴ γεῦσις καὶ ἁφή. ὧν ἡ μὲν ὅρασις ἐστὶ πνεῦμα διατεῖνον ἀπὸ ἡγεμονικοῦ μέχρις ὀφθαλμῶν, ἀκοὴ δὲ πνεῦμα διατεῖνον ἀπὸ τοῦ ἡγεμονικοῦ μέχρις ὤτων . . . (4) τῶν δὲ λοιπῶν τὸ μὲν λέγεται σπέρμα, ὅπερ καὶ αὐτὸ πνεῦμά ἐστι διατεῖνον ἀπὸ τοῦ ἡγεμονικοῦ μέχρι τῶν παραστατῶν. (5) τὸ δὲ "φωνᾶεν" ὑπὸ τοῦ Ζήνωνος εἰρημένον, ὃ καὶ φωνὴν καλοῦσιν, ἔστι πνεῦμα διατεῖνον ἀπὸ τοῦ ἡγεμονικοῦ μέχρι φάρυγγος καὶ γλώττης καὶ τῶν οἰκείων ὀργάνων. αὐτὸ δὲ τὸ ἡγεμονικὸν ὥσπερ ἐν κόσμῳ κατοικεῖ ἐν τῇ ἡμετέρᾳ σφαιροειδεῖ κεφαλῇ.
(1) 스토아 학자들은 주도적인 것이 영혼의 가장 높은 부분이라고, 인상들과 승인들 그리고 감각들과 충동들을 만드는 것이라고 말한다. 또한 이것을 그들은 추론적인 것이라 부른다. (2) 그런데 주도적인 것으로부터 성장해 나온 그리고 육체를 향해 마치 문어의 촉수들처럼 뻗어 나가는 영혼의 여섯 가지 부분들이 있다. (3) 그런데 영혼의 그 여섯 부분들 중 다섯 가지는 감각능력들, 시각과 후각 그리고 청각과 미각과 촉각이다. 이것들 중에서 시각은 프네우마가 주도적인 것으로부터 두 눈에 이르기까지 연장하는 것이고, 청각은 프네우마가 주도적인 것으로부터 두 귀에 이르기까지 연장하는 것이다 . . . (4) 남은 것들 중 하나는 씨앗(정자)이라  논해지며, 이것 또한 주도적인 것으로부터 고환들에 이르기까지 연장하는 프네우마인 것이다. (5) 다른 것은 제논에 의해 "발성적"이라 이야기되는 것으로서, 소리라고도 부르는 것이며, 주도적인 것으로부터 인후와 혀 그리고 적절한 기관들에 이르기까지 연장하는 것이다. 그런데 주도적인 것은 마치 우주 안에서처럼 우리들의 구형의 머리에서 관할한다.

I Nemesius 212,6-9 (Panaetius fr. 86)
Παναίτιος δὲ ὁ φιλόσοφος τὸ μὲν φωνητικὸν τῆς καθ᾿ ὁρμὴν κινήσεως μέρος εἶναι βούλεται, λέγων ὀρθότατα· τὸ δὲ σπερματικὸν οὐ τῆς ψυχῆς μέρος ἀλλὰ τῆς φύσεως.
철학자 파나이티오스는 발성기능이 추동에 따른 운동의 부분이라고 기대한다, 매우 옳게 논함으로써. 그러나 정자적인 것은 영혼의 부분이 아니라 본성의 부분이라 기대한다.

J Cicero, Off. I.132 (Panaetius fr. 88)
motus autem animorum duplices sunt: alteri cogitationis, alteri appetitus. cogitatio in vero exquirendo maxime versatur, appetitus impellit ad agendum. curandum est igitur ut cogitatione ad res quam optimas utamur, appetitum rationi oboedientem praebeamus.
하지만 영혼들의 운동은 이중의 것들이다. 한 쪽 것들은 사유에 속하고, 다른 쪽 것들은 충동(욕망)에 속한다. 사유는 특히 진리 탐구에 속하고, 충동은 행위를 향해 추동한다. 그러므로 가능한 한 최선의 것을 향해 사유를 사용하도록, 충동이 이성에 따르게 만들도록 신경써야 한다.

K Iamblichus, De anima (Stobaeus 1.368,12-20; SVF 2.826, part)
(1) πῶς οὖν διακρίνονται; κατὰ μὲν τοὺς Στωικοὺς ἔνιαι μὲν διαφορότητι <τῶν> ὑποκειμένων σωμάτων· πνεύματα γὰρ ἀπὸ τοῦ ἡγεμονικοῦ φασιν οὗτοι διατείνειν ἄλλα καὶ ἄλλα, τὰ μὲν εἰς ὀφθαλμούς, τὰ δὲ εἰς ὧτα, τὰ δὲ εἰς ἄλλα αἰσθητήρια. (2) ἔνιαι δὲ ἰδιότητι ποιότητος περὶ τὸ αὐτὸ ὑποκείμενον· ὥσπερ γὰρ τὸ μῆλον ἐν τῷ αὐτῷ σώματι τὴν γλυκύτητα ἔχει καὶ τὴν εὐωδίαν, αὕτω καὶ τὸ ἡγεμονικὸν ἐν ταὐτῷ φαντασίαν, συγκατάθεσιν, ὁρμήν, λόγον συνείληφε.
(1) 그러므로 어떤 식으로 판별되는가? 스토아 학자들에 따르자면 일부의 것들은 기저에 놓이는 물체들의 차이들로써 판별된다. 왜냐하면 그들 스스로 프네우마들이 주도적인 것으로부터 다른 것에서 또 다른 것으로 확장한다고, 어떤 프네우마들은 두 눈으로, 다른 것들은 두 귀로, 또 다른 것들은 그 밖의 감각들로 확장한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2) 다른 일부의 것들은 기저에 놓이는 것 자체에 관련된 성질의 고유성으로써 판별된다. 왜냐하면 열매가 물체 그 자체 내에 달콤한 맛과 달콤한 향을 지니듯, 같은 방식으로 주도적인 것도 자체 내에 인상, 수용, 충동, 논리(logos)를 총괄하였기 때문이다.

L Seneca, Ep. 113.23 (SVF 2.836, part)
inter Cleanthen et discipulum eius Chrysippum non convenit quid sit ambulatio. Cleanthes ait spiritum esse a principali usque in pedes permissum, Chrysippus ipsum principale.
클레안테스와 그의 제자 크뤼십포스 사이에서 걸음이란 것은 합의되지 않았다. 클레안테스는 주도적인 것으로부터 두 발의 모든 곳으로 관통(확장)하는 프네우마라고 말하고, 크뤼십포스는 주도적인 것 자체라고 말한다.

M Aetius 4.23.1 (SVF 2.854)
οἱ Στωικοὶ τὰ μὲν πάθη ἐν τοῖς πεπονθόσι τόποις, τὰς δὲ αἰσθήσεις ἐν τῷ ἡγεμονικῷ.
스토아 학자들은 겪음들은 그걸 겪은 자리들 내에 있고, 감각들은 주도적인 것 내에 있다고 말한다.

N Diogenes Laertius 7.157 (SVF 2.867)
ὁρᾶν δὲ τοῦ μεταξὺ τῆς ὁράσεως καὶ τοῦ ὑποκειμένου φωτὸς ἐντεινομένου κωνοειδῶς, καθά φησι Χρύσιππος ἐν δευτέρῳ τῶν Φυσικῶν καὶ Ἀπολλόδωρος. γίνεσθαι μὲν τὸ κωνοειδὲς τοῦ ἀέρος πρὸς τῇ ὄψει, τὴν δὲ βάσιν πρὸς τῷ ὁρωμένῳ. ὡς διὰ βακτηρίας οὖν τοῦ ταθέντος ἀέρος τὸ βλεπόμενον ἀναγγέλλεσθαι.
그런데 시각과 기저에 놓인 원뿔 형태로 확장되어 들어오는 빛 사이에 보는 일이 있다, 크뤼십포스가 『자연학적 탐구들』 2권에서 그리고 아폴로도로스가 말하듯. 공기의 원뿔형태는 시각을 향해 이루어지고, 그 바닥은 보이는 것을 향해 이루어진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지팡이를 통해서 하듯 연장된 공기에 의해 주목되는 것이 전달된다고 한다.

O Nemesius 291,1-8 (SVF 2.991, part)
ἑκάστῳ γὰρ τῶν γενομένων δεδόσθαι τι καθ᾿ εἱμαρμένην, ὡς τῷ ὕδατι τὸ ψύχειν, καὶ ἑκάστῳ τῶν φυτῶν τὸ τοιόνδε καρπὸν φέρειν, καὶ τῷ λίθῳ τὸ κατωφερές, καὶ τῷ πυρὶ τὸ ἀνωφερές, οὕτω καὶ τῷ ζῴῳ τὸ συγκατατίθεσθαι καὶ ὁρμᾶν· ὅταν δὲ ταύτῃ τῇ ὁρμῇ μηδὲν ἀντιπέσῃ τῶν ἔξωθεν καὶ καθ᾿ εἱμαρμένην, τότε τὸ περιπατεῖν τέλεον ἐφ᾿ ἡμῖν εἶναι, καὶ πάντως περιπατήσομεν.
왜냐하면 생겨나는 것들의 각각에 무언가 정해진 몫(운명)에 따라 주어졌다고, 물에 식힘이 그러하듯, 각각의 식물들에도 그와 같은(특정한) 열매가 맺히며, 돌에는 낙하가, 불에는 상승이, 그런 식으로 생명에도 결합되어 세워짐과 추동함이 주어졌다고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추동에 외부로부터 운명에 따라 아무것도 맞부딪치지 않을 때, 그 때에 우리에게 걸음이란 것이 완성되고, 또한 전적으로 우리가 걷게 될 것이다.

P Philo, Leg. alleg. 1.30 (SVF 2.844)
(1) τὸ γὰρ ζῷον τοῦ μὴ ζῴου δυσὶ προὔχει, φαντασίᾳ καὶ ὁρμῇ. (2) ἡ μὲν οὖν φαντασία συνίσταται κατὰ τὴν τοῦ ἐκτὸς πρόσοδον τυποῦντος νοῦν δι᾿ αἰσθήσεως. (3) ἡ δὲ ὁρμή, τὸ ἀδελφὸν τῆς φαντασίας, κατὰ τὴν τοῦ νοῦ τονικὴν δύναμιν, ἣν τείνας δι᾿ αἰσθήσεως ἅπτεται τοῦ ὑποκειμένου καὶ πρὸς αὐτὸ χωρεῖ γλιχόμενος ἐφικέσθαι καὶ συλλαβεῖν αὐτό.
(1) 왜냐하면 살아있는 것은 살아있지 않은 것보다 두 가지 점에서 뛰어나기 때문이다, 인상과 충동에서. (2) 그러므로 인상은 감각을 통해 지성에 인상을 남기는 외부의 접근에 따라 구성된다. (3) 반면 충동은, 인상의 근친으로서, 정신의 확장능력에 따라 구성된다, 정신이 감각을 통하여 이 충동을 확장함으로써 기체에 닿고 그 기체를 향해 전진한다, 그것에 도달해 그것을 확보하길 갈망하면서.

Q Stobaeus 2.86,17-87,6 (SVF 3.169, part)
(1) τὸ δὲ κινοῦν τὴν ὁρμὴν οὐδὲν ἕτερον εἶναι λέγουσιν ἀλλ᾿ ἢ φαντασίαν ὁρμητικὴν τοῦ καθήκοντος αὐτόθεν. (2) τὴν δὲ ὁρμὴν εἶναι φορὰν ψυχῆς ἐπί τι κατὰ τὸ γένος. (3) ταύτης δ᾿ ἐν εἴδει θεωρεῖσθαι τήν τε ἐν τοῖς λογικοῖς γιγνομένην ὁρμὴν καὶ τὴν ἐν τοῖς ἀλόγοις ζῴοις· οὐ κατωνομασμέναι δ᾿ εἰσίν. ἡ γὰρ ὄρεξις οὐκ ἔστι λογικὴ ὁρμή, ἀλλὰ λογικῆς ὁρμῆς εἶδος. (4) τὴν δὲ λογικὴν ὁρμὴν δεόντως ἄν τις ἀφορίζοιτο λέγων εἶναι φορὰν διανοίας ἐπί τι τῶν ἐν τῷ πράττειν· ταύτῃ δ᾿ ἀντιτίθεσθαι ἀφορμήν.
(1) 그런데 그들은 충동을 촉발시키는 것은 바로 그 자리에서 적절한(상황에 맞는) 것에 대한 충동적 인상 외에 다른 아무것도 아니라고 논한다. (2) 그런데 충동은 유적으로 무언가를 향한 영혼의 운동이라고 논한다. (3) 이 충동에 대해 종에서는 지성적 동물들에서 생기는 충동도 비지성적 동물들에서 생기는 충동도 속한다고 논한다. 그런데 그 두 가지가 적절히 명명된 것들은 아니다. 왜냐하면 욕구는 이성적 충동이 아니라, 이성적 충동의 종이기 때문이다. (4) 그런데 이성적 충동을 누군가 타당하게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행동에 속하는 것들 중 무언가를 위한 사유(추론)의 움직임이라고 논함으로써. 이러한 충동에 반대로 반동이 놓인다.

R Plutarch, St. rep. 1037F (SVF 3.175, part)
καὶ μὴν ἡ ὁρμὴ κατά γ᾿ αὐτὸν τοῦ ἀνθρώπου λόγος ἐστὶ προστακτικὸς αὐτῷ τοῦ ποιεῖν, ὡς ἐν τῷ Περὶ νόμου γέγραφεν. οὐκοῦν καὶ ἡ ἀφορμὴ λόγος ἀπαγορευτικός.
그런가 하면 한 인간 자신에 대해 충동은 그의 행위에 대해 그 자신에게 명하는 logos이다, 그가 『법(관습?)에 관하여』에서 기록하였듯. 그러므로 확실히 반동 또한 금하는 logos이다.

S Plutarch, St. rep. 1057A (SVF 3.177, part)
καὶ μὴν ἔν γε τοῖς πρὸς τοὺς Ἀκαδημαικοὺς ἀγῶσιν ὁ πλεῖστος λόγος αὐτῷ τε Χρυσίππῳ καὶ Ἀντιπάτρῳ περὶ τίνος γέγονε; περὶ τοῦ μήτε πράττειν μήθ᾿ ὁρμᾶν ἀσυγκαταθέτως, ἀλλὰ πλάσματα λέγειν καὶ κενὰς ὑποθέσεις τοὺς ἀξιοῦντας οἰκείας φαντασίας γενομένης εὐθὺς ὁρμᾶν μὴ εἴξαντας μηδὲ συγκαταθεμένους.
그렇지만 아카데미 학자들에 맞선 투쟁들에서 가장 주된 논변은 크뤼십포스 자신과 안티파트로스에게 있어서 무엇에 관해 이루어졌던가? 행위함에 관해서나 추동함에 관해서나 승인함이 없이, 오히려 허구적이고 공허한 가정들을 그 주장하는 자들이 논한다는 것이다, 관련된 인상이 생겨날 때 곧바로 추동할 법하다 여기지도 않고 추동함을 승인하지도 않으면서.

T Sextus Empiricus, M. 8.275-6 (SVF 2.223, part)
(1) φασὶν ὅτι ἄνθρωπος οὐχὶ τῷ προφορικῷ λόγῳ διαφέρει τῶν ἀλόγων ζῷων (καὶ γὰρ κόρακες καὶ ψιττακοὶ καὶ κίτται ἐνάρθρους προφέρονται φωνάς), ἀλλὰ τῷ ἐνδιαθέτῳ. (2) οὐδὲ τῇ ἁπλῇ μόνον φαντασίᾳ (ἐφαντασιοῦτο γὰρ κἀκεῖνα), ἀλλὰ τῇ μεταβατικῇ καὶ συνθετικῇ. (3) διόπερ ἀκολουθίας ἔννοιαν ἔχων εὐθὺς καὶ σημείου νόησιν λαμβάνει διὰ τὴν ἀκολουθίαν· καὶ γὰρ αὐτὸ τὸ σημεῖόν ἐστι τοιοῦτον "εἰ τόδε, τόδε". (4) ἕπεται ἄρα τῇ φύσει καὶ κατασκευῇ τἀνθρώπου τὸ καὶ σημεῖον ὑπάρχειν.
(1) 그들은 인간이 언표된 logos로써 비이성적 동물들과 차이가 나는 것이 아니라 (왜냐하면 까마귀들도 앵무새들도 어치들도 조음된 소리들을 내놓기 때문이다), 내재된 logos로써 차이가 난다. (2) 오직 단순한 인상만으로 차이가 나는 것도 아니고 (저것들도 인상을 받을 수 있을 테니까), 오히려 전환되고 결합되는 인상으로 차이가 난다. (3) 바로 이런 이유로 연쇄에 대한 관념을 지님으로써 곧장 기표(상징)의 개념까지 그 연쇄로 인해 취한다. 왜냐하면 기표 자체도 다음과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이라면, 이것이다". (4) 그래서 인간의 본성과 구조에서 기표의 현존도 귀결한다.

U Galen, Plac. 2.5.9-13 (SVF 3 Diogenes 29, part)
(1) τὸν αὐτὸν δὴ τοῦτον λόγον Διογένης οὐ κατὰ τὴν αὐτὴν ἐρωτᾷ λέξιν, ἀλλ᾿ ὧδε· "ὅθεν ἐκπέμπεται ἡ φωνή, καὶ ἡ ἔναρθρος, οὐκοῦν καὶ ἡ σημαίνουσα ἔναρθρος φωνὴ ἐκεῖθεν. (2) τοῦτο δὲ λόγος. (3) καὶ λόγος ἄρα ἐκεῖθεν ἐκπέμπεται ὅθεν καὶ ἡ φωνή. (4) ἡ δὲ φωνὴ οὐκ ἐκ τῶν κατὰ τὴν κεφαλὴν τόπων ἐκπέμπεται ἀλλὰ φανερῶς ἐκ τῶν κάτωθεν μᾶλλον. ἐκφανὴς γοῦν ἐστι διὰ τῆς ἀρτηρίας διεξιοῦσα.
(1) 디오게네스는 이러한 같은 논변을 같은 문장에 따라 묻지 않고, 다음과 같이 물었다. "소리가 그로부터 보내져 나온 그 출처, 그로부터 조음된 소리 또한 나오고, 그러므로 의미를 가진 조음된 소리 또한 저곳으로부터 나온다. (2) 이것이 logos이다. (3) 그래서 logos 또한 소리 역시 유래한 저 출처로부터 방출된다. (4) 그러나 소리는 머리쪽 장소들로부터 방출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아래쪽 장소들로부터 방출됨이 명백하다. 그러므로 기도를 통해 소리가 나옴은 자명하다.
(5) καὶ ὁ λόγος ἄρα οὐκ ἐκ τῆς κεφαλῆς ἐκπέμπεται, ἀλλὰ κάτωθεν μᾶλλον. (6) ἀλλὰ μήν γε κἀκεῖνο ἀληθές, τὸ τὸν λόγον ἐκ τῆς διανοίας ἐκπέμπεσθαι. ἔνιοι γοῦν καὶ ὁριζόμενοι αὐτόν φασιν εἶναι φωνὴν σημαίνουσαν ἀπὸ διανοίας ἐκπεμπομένην. (7) καὶ ἄλλως δὲ πιθανὸν ὑπὸ τῶν ἐννοιῶν ἐνσεσημασμένον τῶν ἐν τῇ διανοίᾳ καὶ οἷον ἐκτετυπωμένον ἐκπέμπεσθαι τὸν λόγον, καὶ παρεκτείνεσθαι τῷ χρόνῳ κατά τε τὸ διανενοῆσθαι καὶ τὴν κατὰ τὸ λέγειν ἐνέργειαν. (8) καὶ ἡ διάνοια ἄρα οὐκ ἔστιν ἐν τῇ κεφαλῇ ἀλλ᾿ ἐν τοῖς κατωτέρω τόποις, μάλιστά πως περὶ τὴν καρδίαν."
(5) 그래서 로고스도 머리로부터 방출되는 것이 아니라, 더 아래로부터 방출된다. (6)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것 또한 참이다, 사유를 통해 로고스가 방출된다는 것도. 그러므로 몇몇 사람들은 그 로고스를 정의하면서 사유를 통해 방출되는 의미를 가진 소리라고 말한다. (7) 그 외에도 믿을 만한 것은 사유 속의 개념들에 의해서 마치 부각(양각)되는 것처럼 의미를 지니게 되어 로고스가 방출된다는 것, 그리고 사유와 진술에 따른 활동 시간과 동연이라는 것이다. (8) 그래서 사유도 머리가 아니라 더 아래의 장소들에, 특히 아마도 심장 부근에 있다.

V Galen, Plac. 5.2.49 and 5.3.1 (SVF 2.841, part)
"ἔστι δέ <γε> τῆς ψυχῆς μέρη δι᾿ ὧν ὁ ἐν αὐτῇ λόγος συνέστηκε καὶ ἡ ἐν αὐτῷ διάθεσις. καὶ ἔστι καλὴ ἢ αἰσχρὰ ψυχὴ κατὰ τὸ ἡγεμονικὸν μόριον ἔχον <οὕτως> ἢ οὕτως κατὰ τοὺς οἰκείους μερισμούς." . . . ἀναμιμνήσκων ἴσως ἡμᾶς τῶν ἐν τοῖς Περὶ τοῦ λόγου γεγραμμένων ὧν σὺ διῆλθες, ὡς ἔστιν ἐννοιῶν τέ τινων καὶ προλήψεων ἄθροισμα.
"영혼의 부분들은 그것들을 통하여 영혼 내의 로고스가 구성되었고 또 그 로고스의 구조도 구성되었던 것들이다. 또한 아름답거나 수치스러운 영혼은 주도적인 부분이 그러한 상태에 있음에 따라서나 그런 식으로 적절한(고유한?) 분할들에 따라 그렇게 된다." . . . 아마도 우리에게 당신이 상술하던 『로고스에 관하여』에 기록된 것들에 대해 상기시키면서, 어떤 개념들과 전개념들의 취합이라고.

W Eusebius, Pr. ev. 15.20.6 (SVF 2.809)
(1) τὴν δὲ ψυχὴν γενητήν τε καὶ φθαρτὴν λέγουσιν. οὐκ εὐθὺς δὲ τοῦ σώματος ἀπαλλαγεῖσαν φθείρεσθαι, ἀλλ᾿ ἐπιμένειν τινὰς χρόνους καθ᾿ ἑαυτήν, τὴν μὲν τῶν σπουδαίων μέχρι τῆς εἰς πῦρ ἀναλύσεως τῶν πάντων, τὴν δὲ τῶν ἀφρόνων πρὸς ποσούς τινας χρόνους. (2) τὸ δὲ διαμένειν τὰς ψυχὰς οὕτως λέγουσιν, ὅτι διαμένομεν ἡμεῖς ψυχαὶ γενόμενοι τοῦ σώματος χωρισθέντες καὶ εἰς ἐλάττω μεταβαλόντες οὐσίαν τὴν τῆς ψυχῆς, τὰς δὲ τῶν [ἀφρόνων καὶ] ἀλόγων ζῴων ψυχὰς συναπόλλυσθαι τοῖς σώμασι.
(1) 그런데 그들은 영혼이 생성되고 소멸되는 것이라고 논한다. 그러나 육체로부터 해방되자마자 곧장 소멸한다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시간 동안 영혼 자체로 머무른다고, 진지한(뛰어난) 자들의 영혼은 만물이 불을 향해 해체될 때까지, 어리석은 자들의 영혼은 어떤 한정된 시간까지 그러하다고 논한다. (2) 그런데 그들은 영혼들이 남는다는 것을 다음과 같이 논한다, 우리 자신이 영혼들이 됨으로써 육체로부터 분리되어 영혼의 더 적은 실체로 변화하면서 남는다고, 그런데 어리석고 비이성적인 생물들의 영혼들은 육체와 함께 소멸된다고.

X Diogenes Laertius 7.143 (SVF 2.633, part)
ἔμψυχον [sc. τὸν κόσμον] δέ, ὡς δῆλον ἐκ τῆς ἡμετέρας ψυχῆς ἐκεῖθεν οὔσης ἀποσπάσματος.
그것(우주)이 영혼을 지닌 것임은, 우리의 영혼이 저곳으로부터의 편린이기에 분명하다.

Y Cicero, ND 2.58 (SVF 1.172, part)
atque ut ceterae naturae suis seminibus quaeque gignuntur augescunt continentur, sic natura mundi omnis motus habet voluntarios, conatusque et adpetitiones, quas ὁρμάς Graeci vocant, et his consentaneas actiones sic adhibet ut nosmet ipsi qui animis movemur et sensibus.
또한 여타 자연(본성)들이 그로써 태어나고 또한 자라는 자신들의 씨앗들에 의해 연속되듯, 그렇게 온 세계의 자연(본성)도 의지, 충동, 그리스인들이 horme라 부르는 욕구의 동작을 지니며, 우리 자신 스스로 영혼들과 감각들에 의해 움직여지듯 그렇게 이에 부합하는 활동들을 불러온다.

-蟲-

52 Everlasting recurrence

A Philo, Aet. mundi 52, 54
εἰ γὰρ ἀγένητος ὁ χρόνος, ἐξ ἀνάγκης καὶ ὁ κόσμος ἀγένητος . . . (1) ὥστ᾿ εὐθυβόλως ἀποδεδόσθαι πρὸς τῶν εἰωθότων τὰ πράγματα ὁρίζεσθαι χρόνον διάστημα τῆς τοῦ κόσμου κινήσεως. ἐπεὶ δὲ τοῦθ᾿ ὑγιές ἐστι, γίνεται ὁ κόσμος ἰσῆλιξ τοῦ χρόνου καὶ αἴτιος . . . (2) τάχα τις εὑρεσιλογῶν Στωικὸς ἐρεῖ τὸν χρόνον ἀποδεδόσθαι διάστημα τῆς τοῦ κόσμου κινήσεως οὐχὶ τοῦ νυνὶ διακεκοσμημένου μόνον ἀλλὰ καὶ τοῦ κατὰ τὴν ἐκπύρωσιν ὑπονοουμένου.
왜냐하면 만일 시간이 생성되지 않는 것이라면, 필연적으로 우주 또한 생성되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 . (1) 그래서 사태들을 정의하는 익숙한 일들에서 시간을 우주 운동의 간격으로 적확하게 설명해냈다.  이것이 적절하다, 우주와 그 원인이 시간과 동년배가 된다는 것이 . . . (2) 아마도 논변을 잘 찾아내는 스토아 학자는 시간이 우주 운동의 간격이라는 설명이 지금의 질서 잡힌 우주에 대한 것만이 아니라 대화재 하에서 추정되는 우주에 대해서이기도 하다고 말할 것이다.

B Lactantius, Div. inst. 7.23 (SVF 2.623)
melius Chrysippus quem Cicero ait fulcire porticum Stoicorum, qui in libris quos de providentia scripsit, cum de innovatione mundi loqueretur haec intulit: τούτου δ᾿ οὕτως ἔχοντος, δῆλον ὡς οὐδὲν ἀδύνατον καὶ ἡμᾶς μετὰ τὸ τελευτῆσαι πάλιν περιόδων τινῶν εἰλημμένων χρόνου εἰς ὃ νῦν ἐσμεν καταστήσεσθαι σχῆμα.
키케로가 그를 두고 스토아 학파의 현관을 다졌다고 말하는 크뤼십포스는, 섭리에 관한 책들에서 기록하였던 자로, 세계의 부활에 대해 말했을 때 이런 것을 이끌어냈다: 상황이 그러할 때, 우리가 죽은 그 다음에 다시 어떤 주기들이 시간을 가졌을 때 우리의 지금 모습으로 정립되리란 것은 불가능함이 분명하다.

C Nemesius 309,5-311,2 (SVF 2.625)
(1) οἱ δὲ Στωικοί φασιν ἀποκαθισταμένους τοὺς πλάνητας εἰς τὸ αὐτὸ σημεῖον, κατά τε μῆκος καὶ πλάτος, ἔνθα τὴν ἀρχὴν ἕκαστος ἦν ὅτε τὸ πρῶτον ὁ κόσμος συνέστη, ἐν ῥηταῖς χρόνων περιόδοις ἐκπύρωσιν καὶ φθορὰν τῶν ὄντων ἀπεργάζεσθαι. (2) καὶ πάλιν ἐξ ὑπαρχῆς εἰς τὸ αὐτὸ τὸν κόσμον ἀποκαθίστασθαι· καὶ τῶν ἀστέρων ὁμοίως πάλιν φερομένων, ἕκαστον ἐν τῇ προτέρᾳ περιόδῳ γινόμενον ἀπαραλλάκτως ἀποτελεῖσθαι. ἔσεσθαι γὰρ πάλιν Σωκράτη καὶ Πλάτωνα καὶ ἕκαστον τῶν ἀνθρώπων σὺν τοῖς αὐτοῖς καὶ φίλοις καὶ πολίταις· καὶ τὰ αὐτὰ πείσεσθαι καὶ τοῖς αὐτοῖς συντεύξεσθαι καὶ τὰ αὐτὰ μεταχειριεῖσθαι, καὶ πᾶσαν πόλιν καὶ κώμην καὶ ἀγρὸν ὁμοίως ἀποκαθίστασθαι. (3) γίνεσθαι δὲ τὴν ἀποκατάστασιν τοῦ παντὸς οὐχ ἅπαξ ἀλλὰ πολλάκις· μᾶλλον δὲ εἰς ἄπειρον καὶ ἀτελευτήτως τὰ αὐτὰ ἀποκαθίστασθαι. (4) τοὺς δὲ θεοὺς τοὺς μὴ ὑποκειμένους τῇ φθορᾷ, ταύτῃ παρακολουθήσαντας μιᾷ περιόδῳ, γινώσκειν ἐκ ταύτης πάντα τὰ μέλλοντα ἔσεσθαι ἐν ταῖς ἑξῆς περιόδοις. οὐδὲν γὰρ ξένον ἔσεσθαι παρὰ τὰ γενόμενα πρότερον, ἀλλὰ πάντα ὡσαύτως ἀπαραλλάκτως ἄχρι καὶ τῶν ἐλαχίστων.
(1) 그런데 스토아 학자들은 천체들이 동일한 한 점으로 재정립됨으로써, 길이와 넓이 모두에 따라 그리됨으로써, 그곳에 최초에 우주가 구성되었을 때 각각의 시초가 있었던 바, 시간의 언급된 주기들 내에서 대화재와 존재들의 소멸이 완수된다고 말한다. (2) 그리고 다시 처음부터 바로 그 동일한 것을 향해 우주가 재정립된다고 말한다. 그리고 별들이 같은 방식으로 다시 움직여질 때, 이전의 주기에서 생성된 각각의 것이 구별불가능하게 완성되어 나온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소크라테스와 플라톤과 각각의 사람들이 그들 자신과 친구들 그리고 시민들과 함께 있게될 것이라고 말하기 때문이다. 또한 동일한 것들을 겪게 될 것이고 동일한 사람들과 함께 만나게 될 것이며 동일한 것들을 다루게 될 것이라고, 모든 폴리스와 구와 동도 마찬가지로 재정립된다고 말한다. (3) 그런데 그 모든 것의 재정립은 한 번이 아니 여러 차례 이루어진다고 말한다. 차라리 무한하게 완결되지 않고 동일한 일들이 재정립된다고 말한다. (4) 소멸 아래에 놓이지 않는 신들의 경우, 이러한 단일한 주기에 따르는데, 이를 통해 장차의 모든 것들이 순차적인 주기들 내에서 있게 될 것임을 인식한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더 앞서 생성되는 것들에 견주어 아무것도 낯설지 않을 것이고, 오히려 모든 것들은 여전히 같은 방식으로 분간할 수 없게 있을 것이며 극미한 것들에 속할 것이라고 말하기 때문이다.

D Eusebius, Pr. ev. 15.19.1-2 (SVF 2.599, part)
(1) ἐπὶ τοσοῦτον δὲ προελθὼν ὁ κοινὸς λόγος καὶ <ἡ> κοινὴ φύσις μείζων καὶ πλείων γενομένη, τέλος ἀναξηράνασα πάντα καὶ εἰς ἑαυτὴν ἀναλαβοῦσα ἐν τῇ πάσῃ οὐσίᾳ γίνεται, (2) ἐπανελθοῦσα εἰς τὸν πρῶτον ῥηθέντα λόγον καὶ εἰς τὴν ἀνάστασιν ἐκείνην τὴν ποιοῦσαν ἐνιαυτὸν τὸν μέγιστον, καθ᾿ ὃν ἀπ᾿ αὐτῆς μόνης εἰς αὐτὴν πάλιν γίνεται ἡ ἀποκατάστασις. (3) ἐπανελθοῦσα δὲ διὰ τάξιν, ἀφ᾿ αἵας διακοσμεῖν ὡσαύτως ἤρξατο, κατὰ λόγον πάλιν τὴν αὐτὴν διεξαγωγὴν ποιεῖται, τῶν τοιούτων περιόδων ἐξ ἀιδίου γινομένων ἀκαταπαύστως. οὔτε γὰρ τῆς αἰτίας ἀρχὴν κἀπόπαυσιν οἷόν τε γίνεσθαι οὔτε τοῦ διοικοῦντος αὐτά.
(1) 그 정도까지 공통의 logos가 나아가고 공통의 본성이 확장되고 증대됨으로써, 그것은 결국 모든 것들을 소진시키고 자기 자신에게로 되받아들여 그 전체 존재 안에서 성립된다, (2) 처음 언급된 logos로 그리고 대우주해(年)를 만들어내는 저 재정립으로 되돌아가서. 그 주기(or logos)에 따라 오직 자기 자신에게서 자기 자신에게로 되돌아 오는 복원이 이루어진다. (3) 그런데 질서로 인해 되돌아감으로써, 그를 통해 우주의 체계화가 같은 방식으로 시작된, logos에 따라 다시금 동일한 경로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주기들이 영원을 통해 중단없이 이루어질 때. 왜냐하면 그 원인의 시작이 중단없는 것이 될 수도 없고 그것들을 관장하는 것의 시작도 그렇기 못하기 때문이다.

E Simplicius, In Ar. Phys. 886.12-16 (SVF 2.627, part)
λέγοντες γὰρ ἐκεῖνοι τὸν αὐτὸν ἐμὲ πάλιν γίνεσθαι ἐν τῇ παλιγγενείᾳ ξητοῦσιν εἰκότως πότερον εἷς εἰμι τῷ ἀριθμῷ ὁ νῦν καὶ τότε, διὰ τὸ τῇ οὐσίᾳ εἶναι ὁ αὐτός, ἢ τῇ κατατάξει τῇ εἰς ἄλλην καὶ ἄλλην κοσμοποιίαν διαφοροῦμαι.
왜냐하면 저들은 동일한 내가 부활 안에서 다시 태어난다고 논하면서 지금과 그 때 내가, 본질로서의 존재로 인해 동일한 나로서, 그 수가 하나인지, 아니면 여타의 방식으로 또한 여타의 우주생성을 질서짓는 것에 의해 분산되는지 그럴 듯하게 탐색하기 때문이다.

F Alexander, In Ar. An. pr. 180,33-6 and 181,25-31 (SVF 2.624, part)
(1) ἀρέσκει γὰρ αὐτοῖς τὸ μετὰ τὴν ἐκπύρωσιν πάλιν πάντα ταὐτὰ ἐν τῷ κόσμῳ γίνεσθαι κατ᾿ ἀριθμόν, ὡς καὶ τὸν ἰδίως ποιὸν πάλιν τὸν αὐτὸν τῷ πρόσθεν εἶναί τε καὶ γίνεσθαι ἐν ἐκείνῳ τῷ κόσμῳ, ὡς ἐν τοῖς Περὶ κόσμου Χρύσιππος λέγει . . . (2) καὶ λέγουσι δὲ καὶ τοῖς ἰδίως ποιοῖς τοῖς ὕστερον γινομένοις πρὸς τοὺς πρόσθεν παραλλαγὰς μόνον γίνεσθαι κατά τινα τῶν ἔξωθεν συμβεβηκότων, οἷαι παραλλαγαὶ καὶ ἐπὶ τοῦ αὐτοῦ μένοντός τε καὶ ζῶντος Δίωνος οὐκ ἀλλάσσουσιν αὐτόν. (3) οὐ γὰρ ἄλλος γίνεται εἰ πρότερον ἔχων ἐπὶ τῆς ὄψεως φακοὺς ὕστερον μηκέτ᾿ ἔχοι· τοιαύτας δὲ φασι τὰς ἐν τοῖς ἰδίως ποιοῖς τοῖς ἐν ἄλλῳ κόσμῳ παρὰ τοὺς ἐν ἄλλῳ γίνεσθαι.
(1) 왜냐하면 그들의 입장에서 대화재 이후 다시 모든 것이 우주 안에서 동일한 것들로 수에 따라 생겨나, 고유하게 어떠한 것(고유한 성질을 지닌 것)까지도 저 우주에서 다시 이전과 동일한 것이자 또 그렇게 되도록 그리하기 때문이다, 『우주에 관하여』에서 크뤼십포스가 논하듯 . . . (2) 게다가 그들은 이후에 고유한 성질을 지니게 되는 것들에게 있어서 이전의 것들에 대한 구분점들은 오직 외부로부터의 우연적 속성들 중 어떤 것들에 따라서 밖에 생기지 않고, 그러한 차이들은 동일한 디온으로 머무르고 살아있는 디온에 대해 그 사람을 변화시키지 않는 것들이라고 논한다. (3) 왜냐하면 만일 이전에 눈 위에 지니고 있던 점들을 이후에 더 이상 지니지 않을지라도 다른 사람이 되지는 않기 때문이다. 그들은 한 우주 안에서 고유한 속성들을 지닌 것들 내의 이러한 구분점들이 다른 우주에서의 그런 것들에 생겨난다고 말한다.

G Origen, Cels. 4.68 and 5.20 (SVF 2.626, part)
(1) πειρώμενοι μέντοι θεραπεύειν πως τὰς ἀπεμφάσεις οἱ ἀπὸ τῆς Στοᾶς οὐκ οἶδ᾿ ὅπως ἀπαραλλάκτους φασὶν ἔσεσθαι κατὰ περίοδον τοῖς ἀπὸ τῶν προτέρων περιόδων πάντας, ἵνα μὴ Σωκράτης πάλιν γένηται, ἀλλ᾿ ἀπαράλλακτός τις τῷ Σωκράτει, γαμήσων ἀπαράλλακτον τῇ Ξανθίππῃ, καὶ κατηγορηθησόμενος ὑπὸ ἀπαραλλάκτων Ἀνύτῳ καὶ Μελήτῳ. οὐκ οἶδα δὲ πῶς ὁ μὲν κόσμος ἀεὶ ὁ αὐτός ἐστι καὶ οὐκ ἀπαράλλακτος ἕτερος ἑτέρῳ· τὰ δ᾿ ἐν αὐτῷ οὐ τὰ αὐτά, ἀλλ᾿ ἀπαράλλακτα . . . (2) ὅσοι δ᾿ αὐτῶν ᾐδέσθησαν τὸ δόγμα, ὀλίγην εἰρήκασι παραλλαγὴν καὶ σφόδρα βραχεῖαν γίνεσθαι κατὰ περίοδον τοῖς ἐπὶ τῆς πρὸ αὐτῆς περιόδου.
(1) 그렇지만 스토아의 학자들이 어떤 식으로 그 착각들을 수정하고자 시도하면서 어떻게 주기 하에서 이전의 주기들의 사람들과 모든 사람들이 구분불가능한 자들이리라고 말하는지 알지 못한다, 소크라테스가 다시 태어나지 않도록, 그러나 소크라테스와 구분불가능한 누군가가 생겨나도록, 크산티페와 구분불가능한 자와 결혼하고, 아뉘토스와 구분불가능한 자 그리고 멜레토스와 구분불가능한 자에 의해 고소를 당하면서 그리 되도록. 그런데 나는 한편으로 어떻게 우주가 영원히 동일하면서 한 우주가 다른 우주와 구분불가능하지 않은지 모른다. 다른 한편 그 우주 안의 것들은 동일한 것들이 아니라, 구분불가능한 것들이다. . . (2) 그들 중 그 원칙을 경외하는 자들은, 미미하고 지극히 사소한 분별점이 주기 하에서 그 주기 상의 것들에게 그 주기 자체에 대해 생긴다고 말했다.

H Marcus Aurelius 2.14
(1) κἂν τρισχίλια ἔτη βιώσεσθαι μέλλῃς καὶ τοσαυτάκις μύρια, ὅμως μέμνησο ὅτι οὐδεὶς ἄλλον ἀποβάλλει βίον ἢ τοῦτον ὃν ζῇ, οὐδὲ ἄλλον ζῇ ἢ ὃν ἀποβάλλει. εἰς ταὐτὸν οὖν καθίσταται τὸ μήκιστον τῷ βραχυτάτῳ. τὸ γὰρ παρὸν πᾶσιν ἴσον, καὶ τὸ ἀπολλύμενον οὖν ἴσον· καὶ τὸ ἀποβαλλόμενον οὕτως ἀκαριαῖον ἀναφαίνεται. οὔτε γὰρ τὸ παρῳχηκὸς οὔτε τὸ μέλλον ἀποβάλλοι ἄν τις. ὃ γὰρ οὐκ ἔχει, πῶς ἄν τις τοῦτο αὐτοῦ ἀφέλοιτο; (2) τούτων οὖν τῶν δύο ἀεὶ μεμνῆσθαι· ἑνὸς μέν, ὅτι πάντα ἐξ ἀιδίου ὁμοειδῆ καὶ ἀνακυκλούμενα καὶ οὐδὲν διαφέρει πότερον ἐν ἑκατὸν ἔτεσιν ἢ ἐν διακοσίοις ἢ ἐν τῷ ἀπείρῳ χρόνῳ τὰ αὐτά τις ὄψεται· ἑτέρου δέ, ὅτι καὶ ὁ πολυχρονιώτατος καὶ ὁ τάχιστα τεθνηξόμενος τὸ ἴσον ἀποβάλλει. τὸ γὰρ παρόν ἐστι μόνον οὗ στερίσκεσθαι μέλλει, εἴπερ γε ἔχει καὶ τοῦτο μόνον, καὶ ὃ μὴ ἔχει τις οὐκ ἀποβάλλει.
(1) 그대가 장차 3천년 동안을 살고 또 3천만년 동안을 살게 될지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누구도 자신이 살아가는 바로 그 삶 그 외의 삶을 잃지 않고, 그가 잃은 것 외의 삶을 살지도 않는다는 사실을 기억하라. 그러므로 가장 긴 것이 가장 짧은 것과 같은 것으로 세워진다. 현재는 모두에게 같은 만큼의 것이며, 그리하여 잃는 것 또한 같은 만큼이기 때문이다. 잃은 것 또한 그렇게 더 가를 수 없는 것으로 드러난다. 누구도 과거든 미래든 잃지 않을 것이기에. 지니지 않은 것, 그것을 누군들 어찌 그 자신에게서 떼어내 버릴 수 있겠는가? (2) 그러므로 다음의 두 가지 것들을 언제나 기억하도록 하라. 한 가지는, 영원을 통해 모든 것들은 동종이자 회귀하며 차이가 나지 않는 것들로서 백 년 동안이든 이백 년 동안이든 무한한 시간 속에서든 누구든 같은 것들로 보리라는 사실이다. 다른 하나는, 가장 오래도록 산 자도 가장 일찍 죽은 자도 같은 만큼의 것을 잃는다는 사실이다. 왜냐하면 그에게서 장차 상실될 것은 오로지 현재뿐이기 때문이다, 만일 정말로 바로 이것만을 지닌다면, 또 누구든 지니지 않은 것을 잃지 않는다면.

i Simplicius, In Ar. Phys. 732,26-733,1
ὁ δὲ αὐτὸς χρόνος πότερον γίνεται ὥσπερ ἔνιοί φασιν ἢ οὔ, ἀπορήσειεν ἄν τις. πλεοναχῶς δὴ λεγομένου τοῦ ταὐτοῦ τῷ μὲν εἴδει φαίνεται γίνεσθαι τὸ αὐτὸ οἷον θέρος καὶ χειμὼν καὶ αἱ λοιπαὶ ὧραί τε καὶ περίοδοι, ὁμοίως δὲ καὶ αἱ κινήσεις αἱ αὐταὶ γίνονται τῷ εἴδει, τροπὰς γὰρ καὶ ἰσημερίας καὶ τὰς λοιπὰς πορείας ὁ ἥλιος ἀποτελεῖ. εἰ δέ τις πιστεύσειε τοῖς Πυθαγορείοις, ὥστε πάλιν τὰ αὐτὰ ἀριθμῷ, κἀγὼ μυθολογήσω τὸ ῥαβδίον ἔχων ὑμῖν καθημένοις οὕτω, καὶ τὰ ἄλλα πάντα ὁμοίως ἕξει, καὶ τὸν χρόνον εὔλογόν ἐστι τὸν αὐτὸν εἶναι. μιᾶς γὰρ καὶ τῆς αὐτῆς κινήσεως, ὁμοίως δὲ καὶ πολλῶν τῶν αὐτῶν τὸ πρότερον καὶ ὕστερον ἓν καὶ ταὐτόν, καὶ ὁ τούτων δὴ ἀριθμός· πάντα ἄρα τὰ αὐτά, ὥστε καὶ ὁ χρόνος.
그런데 시간 자체가 일부 사람들이 말하듯 생겨나는지 혹은 그렇지 않은지, 누군가 당혹스러워할 수 있다. 한편으로 종적으로는 그것이 예를 들어 여름과 겨울 그리고 여타의 계절들과 주기들처럼 생겨나는 것처럼 보이고, 유사한 방식으로 운동들 자체도 종적으로는 생성되는데, 지점들과 분점들 그리고 여타의 궤도들을 태양이 완성해내기 때문이다. 그런데 만일 누군가 피타고라스학파를 신뢰한다면, 그래서 수적으로 동일한 것들이 다시 돌아온다고 믿는다면, 나 또한 앉아있는 당신들에게 막대를 들고서 그런 식으로 이야기를 지어낼 것이다, 다른 모든 것들도 유사한 상태이고, 시간도 동일하다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왜냐하면 운동 자체가 유일할 때, 마찬가지로 그 많은 것들 중 이전 것과 이후의 것이 하나이자 동일하며, 그것들의 수 역시 동일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모든 것이 동일한 것들이며, 따라서 시간 또한 동일하다.

-蟲-

51 Time

A Simplicius, In Ar. Cat. 350,14-16 (SVF 2.510, part)
ὁ μὲν Ἀριστοτέλης ἀριθμὸν κινήσεως εἶναί φησι τὸν χρόνον, τῶν δὲ Στωικῶν Ζήνων μὲν πάσης ἁπλῶς κινήσεως διάστημα τὸν χρόνον εἶπεν, Χρύσιππος δὲ διάστημα τῆς τοῦ κόσμου κινήσεως.
아리스토텔레스는 시간이 운동의 (수)양이라 말하고, 스토아학파 사람들 중에서 제논은 시간이 단순히 모든(전체?) 운동의 간격이라고 말하며, 크뤼십포스는 우주의 운동의 간격이라 말한다.

B Stobaeus 1.106,5-23 (SVF 2.509)
(1) Χρυσίππου. ὁ δὲ Χρύσιππος χρόνον εἶναι κινήσεως διάστημα, καθ᾿ ὃ ποτὲ λέγεται μέτρον τάχους τε καὶ βραδύτητος· ἢ τὸ παρακολουθοῦν διάστημα τῇ τοῦ κόσμου κινήσει. (2) καὶ κατὰ μὲν τὸν χρόνον κινεῖσθαί τε ἕκαστα καὶ εἶναι, εἰ μὴ ἄρα διττὸς λέγεται ὁ χρόνος, καθάπερ ἥ τε γῆ καὶ ἡ θάλαττα καὶ τὸ κενόν, τά τε ὅλα καὶ τὰ μέρη τὰ αὐτῶν. ὥσπερ δὲ τὸ κενὸν πᾶν ἄπειρον εἶναι πάντῃ καὶ τὸν χρόνον πάντα ἄπειρον εἶναι ἐφ᾿ ἑκάτερα· καὶ γὰρ τὸν παρεληλυθότα καὶ τὸν μέλλοντα ἄπειρον εἶναι. (3) ἐμφανέστατα δὲ τοῦτο λέγει, ὅτι οὐθεὶς ὅλως ἐνίσταται χρόνος. ἐπεὶ γὰρ εἰς ἄπειρον ἡ τομὴ τῶν συνεχόντων ἐστί, κατὰ τὴν διαίρεσιν ταύτην καὶ πᾶς χρόνος εἰς ἄπειρον ἔχει τὴν τομήν· ὥστε μηθένα κατ᾿ ἀπαρτισμὸν ἐνεστάναι χρόνον, ἀλλὰ κατὰ πλάτος λέγεσθαι. (4) μόνον δ᾿ ὑπάρχειν φησὶ τὸν ἐνεστῶτα, τὸν δὲ παρῳχημένον καὶ τὸν μέλλοντα ὑφεστάναι μέν, ὑπάρχειν δὲ οὐδαμῶς, †εἰσὶν ὡς καὶ κατηγορήματα ὑπάρχειν λέγεται μόνα τὰ συμβεβηκότα, οἷον τὸ περιπατεῖν ὑπάρχει μοι ὅτε περιπατῶ, ὅτε δὲ κατακέκλιμαι ἢ κάθημαι οὐχ ὑπάρχει.
(1) 크뤼십포스의 경우. 크뤼십포스는 시간이 운동의 간격이라고 말한다, 그에 따라 언제든 빠름과 느림의 척도가 논해질 때: 혹은 우주의 운동에 뒤따르는 간격이라고 말한다. (2) 또한 시간에 따라 각각의 것들이 움직여지고 또 존재한다고 말한다, 만일 시간이 이중의 것으로 논해지지 않는다면, 마치 대지와 바다와 허공이, 그것들의 전체들이자 부분들이기도 하듯. 그런데 그는 허공이 전체로서 모든 면에서 무한하듯 시간 또한 전체로서 양쪽으로 무한하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과거도 미래도 무한하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3) 그는 다음의 일이 매우 자명하다고 논한다, 단 한 시간도 총체적으로 현전하지 않는다는 점이. 왜냐하면 연속된 것들의 절단이 무한을 향하기에, 이러한 분할에 따라 시간 전체도 자신의 분할을 무한을 향해 지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 어떤 시간도 완벽하게 현전하지 않지만, 근사치로 그렇게 논해진다고 말한다. (4) 그런데 그는 오직 현재만이 현존한다고, 과거와 미래는 존립하지만, 어떤 식으로도 현존하지 않는다고 말하며, 범주들조차 오직 속성들로서만 현존한다고 논해지는데, 예를 들어 걷는다는 것은 내가 걷고 있을 때 내게 현존하지만, 내가 누웠을 때나 앉았을 때에는 현존하지 않는다.

C Plutarch, Comm. not. 1081C-1082A.
(1) παρὰ τὴν ἔννοιάν ἐστι χρόνον εἶναι μέλλοντα καὶ παρῳχημένον, ἐνεστῶτα δὲ μὴ εἶναι χρόνον, ἀλλὰ τὸ μὲν ἄρτι καὶ τὸ πρῴην ὑφεστάναι, τὸ δὲ νῦν ὅλως μηδὲν εἶναι. (2) καὶ μὴν τοῦτο συμβαίνει τοῖς Στωικοῖς ἐλάχιστον χρόνον μὴ ἀπολείπουσι μηδὲ τὸ νῦν ἀμερὲς εἶναι βουλομένοις, ἀλλὰ ὅ τι ἄν τις ὡς ἐνεστὼς οἴηται λαβὼν διανοεῖσθαι, τούτου τὸ μὲν μέλλον τὸ δὲ παρῳχημένον εἶναι φάσκουσιν. (3) ὥστε μηδὲν κατὰ τὸ νῦν ὑπομένειν μηδὲ λείπεσθαι μόριον χρόνου παρόντος, ἂν ὃς λέγεται παρεῖναι τούτου τὰ μὲν εἰς τὰ μέλλοντα τὰ δ᾿ εἰς τὰ παρῳχημένα διανέμηται . . . (4) οἱ δ᾿ ἄλλοι πάντες ἄνθρωποι καὶ τὸ "ἄρτι" καὶ τὸ "μετὰ μικρόν" ὡς ἕτερα τοῦ "νῦν" μόρια, καὶ τὸ μὲν μετὰ τὸ νῦν τὸ δὲ πρὸ τοῦ νῦν τίθενται καὶ νοοῦσι καὶ νομίζουσι. τούτων <δ᾿> Ἀρχέδημος μὲν ἁρμήν τινα καὶ συμβολὴν εἶναι λέγων τοῦ παρῳχημένου καὶ τοῦ ἐπιφερομένου τὸ "νῦν" λέληθεν αὑτὸν ὡς ἔοικε τὸν πάντα χρόνον ἀναιρῶν. εἰ γὰρ τὸ νῦν οὐ χρόνος ἐστὶν ἀλλὰ πέρας χρόνου πᾶν δὲ μόριον χρόνου τοιοῦτον οἷον τὸ νῦν ἐστιν, οὐδὲν φαίνεται μέρος ἔχων ὁ σύμπας χρόνος ἀλλ᾿ εἰς πέρατα διόλου καὶ συμβολὰς καὶ ἁρμὰς ἀναλυόμενος. (5) Χρύσιππος δὲ βουλόμενος φιλοτεχνεῖν περὶ τὴν διαίρεσιν ἐν μὲν τῷ Περὶ τοῦ κενοῦ καὶ ἄλλοις τισὶ τὸ μὲν παρῳχημένον τοῦ χρόνου καὶ τὸ μέλλον οὐχ ὑπάρχειν ἀλλὰ ὑφεστηκέναι φησί, μόνον δ᾿ ὑπάρχειν τὸ ἐνεστηκός, ἐν δὲ τῷ τρίτῳ καὶ τετάρτῳ καὶ πέμπτῳ Περὶ τῶν μερῶν τιθησι τοῦ ἐνεστηκότος χρόνου τὸ μὲν μέλλον εἶναι τὸ δὲ παρεληλυθός. (6) ὥστε συμβαίνει τὸ ὑπάρχον αὐτῷ τοῦ χρόνου διαιρεῖν εἰς τὰ μὴ ὑπάρχοντα τοῦ ὑπάρχοντος, μᾶλλον δὲ ὅλως τοῦ χρόνου μηδὲν ἀπολείπειν ὑπάρχον, εἰ τὸ ἐνεστηκὸς οὐδὲν ἔχει μέρος ὃ μὴ μέλλον ἐστὶν ἢ παρῳχημένον.
(1) 과거와 미래가 시간이고, 현재는 시간이 아니지만, 직전과 예전은 존립하는 반면, 지금은 전적으로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은 상식에 어긋난다. (2) 게다가 이것이 스토아 학자들에게 귀결된다, 최단시간을 허용하지도 않고 지금 또한 부분 없는 것이지만, 누군가 현재 붙들고서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그 무엇이든, 그것의 일부는 미래이고 일부는 과거라고 확언하는 그들에게. (3) 그래서 지금에 따라서는 아무것도 현재 시간의 부분으로 존속하지도 남겨지지도 않는다, 현재한다고 논해지는, 그것의 일부는 미래의 것들로 일부는 과거의 것들로 귀속되는 어떤 시간이든. (4) 그런데 그 외의 모든 사람들은 '직전'이라는 것도 '직후(조금 뒤)'라는 것도 '지금'이라는 것과 다른 부분들이라고, 한쪽은 지금 다음의 것이고 다른 쪽은 지금에 앞서는 것이라고 정하고 생각하며 믿는다. 그런데 그들 중 아르케데모스는 '지금'이라는 것이 지난 것(과거)과 덧붙는 것(미래)의 어떤 연결이자 연접이라고 논하면서 자신도 모르게 전체 시간을 들어내 버리는 것 같다. 왜냐하면 만일 지금이 시간이 아니라 시간의 한계이고 시간의 부분 모두가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지금이라면, 통틀어 시간 전체는 아무런 부분도 지니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고 오히려 전체에 걸쳐 연접들도 연결들도 한계들로 들어내어지는 것으로 드러날 것이기 때문이다. (5) 크뤼십포스는 그 분할에 관하여 기술적으로 다루기를 바라면서 『허공에 관하여』와 다른 어떤 것들에서는 시간의 과거와 미래가 현존하지 않지만 존립한다고 말하는 한편, 현재만이 현존한다고 말하는가 하면, 『부분들에 관하여』 3권과 4권 그리고 5권에서는 현재 시간의 한쪽은 미래이고 다른 쪽은 과거라고 내세운다. (6) 그래서 그에게 현존은 현존하는 시간에 대한 현존하지 않는 것들로의 분할임이, 차라리 시간에 아무런 현존도 전적으로 남지 않는다는 것이 귀결한다, 만일 현재가 미래도 과거도 아닌 아무런 부분도 지니지 않는다면.

D Stobaeus 1.105,8-16 (SVF 3 Apollodorus 8)
Ἀπολλόδωρος δ᾿ ἐν τῇ Φυσικῇ τέχνῃ οὕτως ὁρίζεται τὸν χρόνον· Χρόνος δ᾿ ἐστὶ τῆς τοῦ κόσμου κινήσεως δίαστημα· οὕτως δ᾿ ἐστὶν ἄπειρος ὡς ὁ πᾶς ἀριθμὸς ἄπειρος λέγεται εἶναι· τὸ μὲν γάρ ἐστιν αὐτοῦ παρεληλυθός, τὸ δὲ ἐνεστηκός, τὸ δὲ μέλλον. ἐνεστάναι δὲ τὸν πάντα χρόνον ὡς τὸν ἐνιαυτὸν ἐνεστηκέναι λέγομεν κατὰ μείζονα περιγραφήν· καὶ ὑπάρχειν ὁ πᾶς χρόνος λέγεται. οὐδενὸς αὐτοῦ τῶν μερῶν ὑπάρχοντος ἀπαρτιζόντως.
아폴로도로스는 『자연학적 기술』에서 시간을 그런 식으로 정의한다: 우주의 운동 간격이 시간이다: 전체 수가 무한한 것으로 논해지듯 그런 식으로 무한하다: 왜냐하면 그 시간의 한쪽은 과거이고, 다른 쪽은 현재이며, 또 다른 쪽은 미래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전체 시간은 한 해가 현존한다고 우리가 말하듯 큰 주기에 따라 현존한다고 말한다: 또한 전체 시간도 존립한다고 논해진다. 그 시간의 부분들 중 어느 하나도 완벽하게 존립하지 않음에도.

E Stobaeus 1.105,17-106.4 (Posidonius fr. 98)
(1) Ποσειδωνίου. τὰ μέν ἐστι κατὰ πᾶν ἄπειρα, ὡς ὁ σύμπας χρόνος· τὰ δὲ κατά τι, ὡς ὁ παρεληλυθὼς χρόνος καὶ ὁ μέλλων· κατὰ γὰρ τὸν παρόντα μόνον ἑκάτερος πεπέρανται. (2) τὸν δὲ χρόνον οὕτως ὁρίζεται· διάστημα κινήσεως ἣ μέτρον τάχους τε καὶ βραδυτῆτος. (3) καὶ †πως ἔχει† τὸν ἐπινοούμενον κατὰ τὸ πότε τοῦ χρόνου τὸν μὲν εἶναι παρεληλυθότα, τὸν δὲ μέλλοντα, τὸν δὲ παρόντα, ὃς ἔκ τινος μέρους τοῦ παρεληλυθότος καὶ τοῦ μέλλοντος περὶ τὸν διορισμὸν αὐτὸν συνέστηκε· τὸν δὲ διορισμὸν σημειώδη εἶναι. (4) τὸ δὲ νῦν καὶ τὰ ὅμοια ἐν πλάτει [χρόνου] καὶ οὐχὶ κατ᾿ ἀπαρτισμὸν νοεῖσθαι. (5) λέγεσθαι δὲ τὸ νῦν καὶ κατὰ τὸν ἐλάχιστον πρὸς αἴσθησιν χρόνον περὶ τὸν διορισμὸν τοῦ μέλλοντος καὶ παρεληλυθότος συνιστάμενον.
(1) 포세이도니우스의 경우. 어떤 것들은 전체에 따라 무한한 것들이다, 통틀어 모든 시간이 그렇듯: 어떤 것들은 어떤 점에서는 무한하다, 지나간 시간과 다가올 시간이 그러하듯: 왜냐하면 그 둘 각각이 오직 현재에 따라서만 한정되었기 때문이다. (2) 그런데 시간은 이런 식으로 정의된다: 운동의 간격 혹은 빠름과 느림의 척도. (3) '언제'에 따라 고안된 시간의 일부는 과거이고, 일부는 미래이며, 일부는 현재라고 그는 주장하며, 현재는 과거와 미래의 어느 부분으로부터 바로 그 한정의 부근에서 결합한 것이다: 그런데 그 한정은 특유한 것이다. (4) 그런데 지금과 그 유사한 것들은 광의의 시간에서 생각되고 완벽한 의미에서 생각되지 않는다. (5) 그런데 지금이 감각에 대한 최단 시간에 따라서도 미래와 과거의 한정 부근에서 결합된 것으로 논해진다.

F Proclus, In Plat. Tim. 271D (SVF 2.521)
(1) ἔτι δὲ κἀκεῖνο ληπτέον ἀπὸ τῶν προειρημένων, ὅτι πολλοῦ δεῖ τοιοῦτον ὑπονοῆσαι τὸν χρόνον ὁ Πλάτων οἷον οἱ ἀπὸ τῆς Στοᾶς ὑπέλαβον ἢ τῶν ἐκ τοῦ Περιπάτου πολλοί, (2) οἱ μὲν κατ᾿ ἐπίνοιαν ψιλὴν αὐτὸν συνιστάντες ἀμενηνὸν καὶ ἔγγιστα τοῦ μὴ ὄντος (ἓν γὰρ ἦν τῶν παρ᾿ αὐτοῖς ἀσωμάτων ὁ χρόνος, ἃ δὴ καταπεφρόνηται παρ᾿ αὐτοῖς ὡς ἀδρανῆ καὶ οὐκ ὄντα καὶ ἐν ἐπινοίαις ὑφιστάμενα ψιλαῖς), (3) οἱ δὲ συμβεβηκὸς τῆς κινήσεως λέγοντες.
(1) 더 나아가 앞서 이야기된 것들로부터 다음과 같은 점 또한 받아들여져야만 한다, 플라톤은 예를 들어 스토아 학자들 혹은 페리파토스 학자들 중 대다수가 간주하였던 그와 같은 것으로 시간을 이해하는 것과는 상당히 거리가 멀었다는 점이. (2) 스토아 학자들은 순수한 관념에 따라 시간을 일시적이며 비-존재에 매우 가까운 것으로 구성하며 (왜냐하면 그들에게 있어서 시간은 비물체들 중의 하나였고, 실로 그 비물체들은 미약한 것들으로서 그리고 존재하지 않는 것들이자 순전한 관념들 내에서 존립하는 것들로서 간과되었기 때문이다), (3) 후자들은 운동의 부수적 속성으로 논한다.

G Plutarch, Comm. not. 1084C-D (SVF 2.665)
καὶ μὴ δυσχεραινέτωσαν ἐπὶ ταῦτ᾿ ἀγόμενοι τῷ κατὰ μικρὸν λόγῳ, Χρυσίππου μνημονεύοντες ἐν τῷ πρώτῷ τῶν Φυσικῶν ζητημάτων οὕτω προσάγοντος· "οὐχ ἡ μὲν νὺξ σῶμ᾿ ἐστίν, ἡ δ᾿ ἑσπέρα καὶ ὁ ὄρθρος καὶ τὸ μέσον τῆς νυκτὸς σώματ᾿ οὔκ ἐστιν· οὐδὲ ἡ μὲν ἡμέρα σῶμ᾿ ἐστὶν οὐχὶ δὲ καὶ ἡ νουμηνία σῶμα καὶ ἡ δεκάτη καὶ πεντεκαιδεκάτη καὶ ἡ τριακὰς καὶ ὁ μὴν σῶμ᾿ ἐστὶ καὶ τὸ θέρος καὶ τὸ φθινόπωρον καὶ ὁ ἐνιαυτός."
그들로 하여금 이런 것들을 향해 파편적인 논변으로써 이끌리는 일에 짜증을 내지 못하게끔 하자, 크뤼십포스가 『자연학적 탐구들』 1권에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접근한다는 점을 상기시키면서: "밤은 물체이지만, 초저녁과 새벽녘 그리고 밤의 가운데는 물체가 아닌 것이 아니다: 일(日)은 물체이지만 초일도 물체가 아니고 십일도 보름날도 말일도 물체인 것은 진정 아니며 여름도 가을도 한 해도 그러하다는 것도 아니다."

H Sextus Empiricus, M. 8.254-5 (SVF 2.221, part)
(1) ἔτι, φασί, τὸ σημεῖον παρὸν παρόντος εἶναι δεῖ σημεῖον. (2) ἔνιοι γὰρ ἐξαπατώμενοι καὶ παρὸν παρῳχημένου θέλουσιν εἶναι σημεῖον, ὡς ἐπὶ τοῦ "εἰ οὐλὴν ἔχει οὗτος, ἕλκος ἔσχηκεν οὗτος". τὸ μὲν γὰρ "οὐλὴν ἔχει" παρόν ἐστι, φαίνεται γάρ, τὸ δὲ ἕλκος ἐσχηκέναι παρῳχημένον, οὐκέτι γὰρ ἔστιν ἕλκος, καὶ παρὸν μέλλοντος, ὡς τὸ περιεχόμενον τῷ τοιούτῳ συνημμένῳ "εἰ καρδίαν τέτρωται οὗτος, ἀποθανεῖται οὗτος"· τὸ μὲν γὰρ τραῦμα τῆς καρδίας εἶναι φασιν ἤδη, τὸν δὲ  θάνατον μέλλειν. (3) ἀγνοοῦσι δὴ οἱ τὰ τοιαῦτα λέγοντες ὅτι ἄλλ᾿ ἐστὶ τὰ παρῳχημένα καὶ τὰ μέλλοντα, τὸ μέντοι σημεῖον καὶ σημειωτὸν κἀν τούτοις παρὸν παρόντος ἐστίν. (4) ἔν τε γὰρ τῷ προτέρῳ τῷ "εἰ οὐλὴν ἔχει οὗτος, ἕλκος ἔσχηκεν οὗτος" τὸ μὲν ἕλκος γέγονεν ἤδη καὶ παρῴχηκεν, τὸ δὲ ἕλκος ἐσχηκέναι τοῦτον, ἀξίωμα καθεστηκός, ἐνέστηκεν, περὶ γεγονότος τινὸς λεγόμενον· ἔν τε τῷ "εἰ καρδίαν τέτρωται οὗτος, ἀποθανεῖται οὗτος" ὁ μὲν θάνατος μέλλει, τὸ δὲ ἀποθανεῖσθαι τοῦτον ἀξίωμα ἐνέστηκεν, περὶ μέλλοντος λεγόμενον, παρὸ καὶ νῦν ἐστιν ἀληθές.
(1) 더욱이, 그들이 말하기로, 징표는 현재에 대한 현재하는 신호여야 한다. (2) 왜냐하면 일부 사람들은 기만되어(착각하여) 현재까지도 과거의 신호이리라 기대하는데, "만일 이 사람이 상처를 지니고 있다면, 이 사람은 상해를 입었다"라는 말의 경우처럼 그러하다. 왜냐하면 한편으로 "상처를 지니고 있다"라는 것은 현재의 일인 바, 그러한 것으로 드러나기 때문에 그러하나, 상해를 입었다는 것은 과거의 일인 바, 더 이상 상해는 없기에 그러하고, 또 현재를 미래의 신호로도, "만일 이 사람이 심장을 관통당하고 있다면, 이 사람이 죽을 것이다" 라는 이러한 결합된 것에 의해 포함된 것처럼 그리 한다. 왜냐하면 한편으로 심장의 피해는 이제 있다고 말하지만, 죽음은 장차 있을 것으로 말하기 때문이다. (3) 그래서 이런 것들을 논하는 자들은 과거의 일들과 미래의 일들이 다른 것들이고, 그렇지만 신호와 이런 것들로써 신호가 가리킬 것이 현재에 대한 현재 신호라는 사실을 알지 못한다. (4) 왜냐하면 앞서 "이 사람이 상처를 지니고 있다면, 이 사람은 상해를 입었다" 라는 경우에서도 상해는 이미 이루어졌고 지나갔지만, 상해를 입었었다는 이것, 이 세워진 명제는, 현전하기 때문이다, 생겨난 무엇인가에 관하여 논해지면서. "만일 이 사람이 심장을 관통당하고 있다면, 이 사람은 죽을 것이다" 라는 경우에서도 죽음은 장차의 일이나, 죽는다는 이 명제는 현전하는데, 미래의 일에 관하여 논해지면서 그러하며, 현재하고 지금 참인 것이다.

-蟲-

50 Continuum

A Stobaeus 1.142,2-6 (SVF 2.482, part)
Χρύσιππος ἔφασκε τὰ σώματα εἰς ἄπειρον τέμνεσθαι καὶ τὰ τοῖς σώμασι προσεοικότα, οἷον ἐπιφάνειαν, γραμμήν, τόπον, κενόν, χρόνον· εἰς ἄπειρόν τε τούτων τεμνομένων οὔτε σῶμα ἐξ ἀπείρων σωμάτων συνέστηκεν οὔτ᾿ ἐπιφάνεια οὔτε γραμμὴ οὔτε τόπος.
크뤼십포스는 물체들과 물체들과 유사한 것들, 예를 들어 표면, 선, 장소, 허공, 시간이 무한한 것을 향해 잘린다고 말했다. 또한 이러한 것들이 무한한 것으로 잘린다 할지라도 물체도 표면도 선도 장소도 무한한 물체들을 통해 구성된 것이 아니다.

B Diogenes Laertius 7.150-1 (SVF 2.482, part)
σῶμα δέ ἐστι κατ᾿ αὐτοὺς ἡ οὐσία, καὶ πεπερασμένη καθά φησιν Ἀντίπατρος ἐν δευτέρῳ Περὶ οὐσίας καὶ Ἀπολλόδωρος ἐν τῇ Φυσικῇ. καὶ παθητὴ δέ ἐστιν, ὡς ὁ αὐτός φησιν. εἰ γὰρ ἦν ἄτρεπτος, οὐκ ἂν τὰ γινόμενα ἐξ αὐτῆς ἐγίνετο. ἔνθεν κἀκεῖνος· (1) ἥ τε τομὴ εἰς ἄπειρόν ἐστιν· (2) ἣν ἄπειρόν φησιν ὁ Χρύσιππος (οὐ γάρ ἐστί τι ἄπειρον, εἰς ὃ γίνεται ἡ τομή, ἀλλ᾿ ἀκατάληκτός ἐστι). (3) καὶ τὰς κράσεις δὲ δι᾿ ὅλου γίνεσθαι.
그런데 실체는 동일한 방식으로 물체이고, 안티파트로스가 『실체에 관하여』 2권에서 그리고 아폴로도로스가 『자연학』에서 말하듯 한정된 것이며 또한 그 자신이 말하듯 수동적인 것이다. 왜냐하면 만일 불변하는 것이었면, 그 실체를 통해 생겨난 것들이 생겨나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 결과 저것도 그러하다. (1) 분절도 무한을 향한 것이다. (2) 크뤼십포스는 그 분절이 무한한 것이라고 말한다 (왜냐하면 분절이 향할 무한한 무언가는 없으나, 분절은 끊임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3) 그런가 하면 전체를 통한 혼합들이 이루어진다고 말한다.

C Plutarch, Comm. not. 1078E-1081A
ΔΙΑΔΟΥΜΕΝΟΣ . . . (1) καὶ μὴν παρὰ τὴν ἔννοιαν μήτ᾿ ἄκρον ἐν τῇ φύσει τῶν σωμάτων μήτε πρῶτον μήτ᾿ ἔσχατον <εἶναι> μηδὲν εἰς ὃ λήγει τὸ μέγεθος τοῦ σώματος ἀλλ᾿ ἀεί <τι> τοῦ ληφθέντος ἐπέκεινα φαινόμενον εἰς ἄπειρον καὶ ἀόριστον ἐμβάλλειν τὸ ὑποκείμενον. οὔτε γὰρ μεῖζον οὔτ᾿ ἔλαττον ἔσται νοεῖν ἕτερον ἑτέρου μέγεθος, εἰ τὸ προιέναι τοῖς μέρεσιν ἐπ᾿ ἄπειρον ἀμφοτέροις ὡσ<αύτως> συμβέβηκεν, ἀλλ᾿ ἀνισότητος αἴρεται φύσις· ἀνίσων γὰρ νοουμένων, τὸ μὲν προαπολείπεται τοῖς ἐσχάτοις μέρεσι τὸ δὲ παραλλάττει καὶ περίεστι. μὴ οὔσης δ᾿ ἀνισότητος, ἕπεται μὴ ἀνωμαλίαν εἶναι μηδὲ τραχύτητα σώματος· ἀνωμαλία μὲν γάρ ἐστι μιᾶς ἐπιφανείας ἀνισότης πρὸς ἑαυτήν, τραχύτης δ᾿ ἀνωμαλία μετὰ σκληρότητος, ὧν οὐδὲν ἀπολείπουσιν οἱ σῶμα μηδὲν εἰς ἔσχατον μέρος περαίνοντες ἀλλὰ πάντα πλήθει μερῶν ἐπ᾿ ἄπειρον ἐξάγοντες.
디아두메노스. . . (1) 그런가 하면 물체들의 본성 속에 극단도 처음도 끝도 없고 물체의 크기가 거기에서 그칠 아무것도 없으나 오히려 언제나 무언가 그 취해진 것 너머에서 나타나는 어떤 것이 무한하고 무규정적인 것으로 기체를 던져 넣는다는 것은 그 생각과 어긋난다. 왜냐하면 어떤 크기에 대해 다른 크기가 더 크다고도 더 작다고도 생각할 수 없기 때문이다, 만일 양쪽 부분들에 마찬가지로 무한한 것을 향한 진행이 귀결한다면, 그러나 자연은 매우 부등한 것으로 취급된다. 왜냐하면 생각되는 것들이 부등하기에, 어떤 것은 끝부분들에 앞서 남겨지고 다른 것은 넘어서서 둘러싼다. 그런데 부등하지 않을 경우, 물체의 거칢도 고르지 못함도 없다는 것이 따라나온다. 왜냐하면 거칢은 그 자체에 대해 오직 표면의 부등함에만 속하고, 거칢은 매끄러움과 더불어 고르지 못함에 속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어떤 물체도 전혀 끝부분으로 한정하지 않고 모든 것들을 다수의 부분들로써 무한한 것으로 이끌어내는 자들은 이것들 중 하나도 남겨 놓지 않는다.
(2) καίτοι πῶς οὐκ ἐναργές ἐστι τὸν ἄνθρωπον ἐκ πλειόνων συνεστηκέναι μορίων ἢ τὸν δάκτυλον τοῦ ἀνθρώπου, καὶ πάλιν τὸν κόσμον ἢ τὸν ἄνθρωπον; ταῦτα γὰρ ἐπίστανται καὶ διανοοῦνται πάντες, ἂν μὴ Στωικοὶ γένωνται· γενόμενοι δὲ Στωικοὶ τἀναντία λέγουσι καὶ δοξάζουσιν ὡς οὐκ ἔστιν ἐκ πλειόνων μορίων ὁ ἄνθρωπος ἢ ὁ δάκτυλος οὐδὲ ὁ κόσμος ἢ ὁ ἄνθρωπος. ἐπ᾿ ἄπειρον γὰρ ἡ τομὴ βράττει τὰ σώματα, τῶν δ᾿ ἀπείρων οὐδέν ἐστι πλέον οὐδ᾿ ἔλαττον οὐδὲ ὅλως ὑπερβάλλει πλῆθος ἢ παύσεται τὰ μέρη τοῦ ὑπολειπομένου μεριζόμενα καὶ παρέχοντα πλῆθος ἐξ αὑτῶν.
(2) 더욱이 어떻게 인간의 발가락보다 더 많은 부분들로 인간이 구성되는 일이 명백하며, 다시 인간보다 우주가 그러한 것이 명백한가? 왜냐하면 이런 것들을 모두가 알고 또 생각하기 때문이다, 설령 스토아주의자들이 되지 않더라도 말이다. 그런데 스토아주의자가 된 자들은 반대로 인간이 발가락보다 더 많은 부분들로 이루어진다는 것도 인간보다 우주가 그러하다는 것도 아니라고 말하고 믿는다. 왜냐하면 분절이 물체들을 무한까지 걸러내고, 무한한 것들 중 어떤 것도 더 크지도 더 작지도 않으며 전체적으로 크기를 초과하거나 남겨진 것의 부분들이 분할되고 또 자신들로 이루어진 크기를 내놓기를 멈추지도 않기 때문이다.

ΕΤΑΙΡΟΣ. τί οὖν; οὐκ ἀμύνονται ταύτας τὰς ἀπορίας; 그렇다면 무엇입니까? 그들은 이러한 난점들을 피하지 않습니까?

ΔΙΑΔΟΥΜ. εὐμηχάνως κομιδῇ καὶ ἀνδρείως. 정확히 교묘하고도 용감하게 피하지.

(3) λέγει γὰρ ὁ Χρύσιππος ἐρωτωμένους ἡμᾶς εἴ τινα ἔχομεν μέρη καὶ πόσα καὶ ἐκ τίνων συγκείμενα μερῶν καὶ πόσων διαστολῇ χρήσεσθαι, τὸ μὲν ὁλοσχερὲς τιθέντας ὡς ἐκ κεφαλῆς καὶ θώρακος καὶ σκελῶν συγκείμεθα· τοῦτο γὰρ ἦν πᾶν τὸ ζητούμενον καὶ ἀπορούμενον· ἐὰν δ᾿ ἐπὶ τὰ ἔσχατα μέρη τὸ ἐρωτᾶν προάγωσιν, οὐδέν φησί τῶν τοιούτων ἐστὶν ὑποληπτέον, ἀλλὰ ῥητέον οὔτ᾿ ἐκ τίνων συνεστάναι καὶ ὁμοίως οὔτ᾿ ἐξ ὁπόσων, οὔτ᾿ <ἐξ> ἀπείρων οὔτ᾿ ἐκ πεπερασμένων.
(3) 왜냐하면 크뤼십포스는 우리가 만일 어떤 그리고 얼만큼의 부분들을 지니며 또 어떤 얼만큼의 부분들로 구성된 부분들을 지니는지 질문받을 경우 구분을 사용하리라고, 큰 부분은 우리가 머리와 상체와 하체로 구성된다고 정하면서 그러리라고 진술하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탐구되고 문제되는 것은 전부 이것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만일 그들이 그 질문을 끝부분들에까지 이끌어 간다면, 그는 그런 것들 중 아무것도 가정해야 할 필요가 없다고, 그러나 어떤 부분들로 구성된다고도 마찬가지로 얼만큼의 부분들로 구성된다고도 말하지 않아야 한다고, 무한한 부분들로라고도 한정된 부분들로라고도 말하지 않아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καί μοι δοκῶ ταῖς ἐκείνου κεχρῆσθαι λέξεσιν αὐταῖς, ὅπως συνίδῃς ὃν τρόπον διεφύλαττε τὰς κοινὰς ἐννοίας, κελεύων ἡμᾶς νοεῖν τῶν σωμάτων ἕκαστον οὔτ᾿ ἔκ τινων οὔτ᾿ ἐξ ὁποσωνοῦν μερῶν, οὔτ᾿ ἐξ ἀπείρων οὔτ᾿ ἐκ πεπερασμένων συγκείμενον. εἰ μὲν γάρ, ὡς ἀγαθοῦ καὶ κακοῦ τὸ ἀδιάφορον, οὕτως πεπερασμένου τι καὶ ἀπείρου μέσον ἐστίν, εἰπόντα τί τοῦτ᾿ ἐστὶν ἔδει λῦσαι τὴν ἀπορίαν· εἰ δέ, ὡς τὸ μὴ ἴσον εὐθὺς ἄνισον καὶ τὸ μὴ φθαρτὸν ἄφθαρτον, οὕτως τὸ μὴ πεπερασμένον ἄπειρον νοοῦμεν, ὅμοιόν ἐστιν, οἶμαι, [τῷ] τὸ σῶμα εἶναι μήτ᾿ ἐκ πεπερασμένων μήτ᾿ ἐξ ἀπείρων τῷ λόγον εἶναι μήτ᾿ ἐξ ἀληθῶν λημμάτων μήτ᾿ ἐκ ψευδῶν μήτ᾿ ἐξ <ἀληθῶν καὶ ψευδῶν>.
또한 내게는 내가 저 사람의 진술 자체를 사용한 것으로 여겨지네, 자네로 하여금 그가 공통의 생각들을 관찰하는 방식을 이해하도록, 우리로 하여금 각각의 물체가 어떤 부분들로도 또 얼만큼의 부분들로도, 무한한 부분들로도 한정된 부분들로도 구성된 것으로 생각하지 않도록 요구하는 그 방식을 말일세. 왜냐하면 한편으로 만일, 좋음과도 나쁨과도 차이 없는 것처럼, 그런 식으로 어떤 것이 한정된 것과 무한한 것의 중간이라면, 말하는 자가 그것이 도대체 무엇인지 문제를 해결해야 하기 때문이지. 다른 한편으로 만일, 균등하지 않은 것이 불균등하고 파괴되지 않는 것이 불멸하는 것이듯, 그런 식으로 우리가 한정되지 않은 것이 무한하다고 생각한다면, 내 생각에 물체가 한정된 것들로도 무한정한 것들로도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과 그리고 진술이 참인 명제들로도 거짓인 명제들로도 거짓인 명제들과 참인 명제들로도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과 유사한 것이라네.
(4) ἐπὶ δὲ τούτοις ἐπινεανιευόμενός φησι τῆς πυραμίδος ἐκ τριγώνων συνισταμένης τὰς πλευρὰς κατὰ τὴν συναφὴν ἐκκεκλιμένας ἀνίσους μὲν εἶναι μὴ ὑπερέχειν δὲ ᾗ μείζονές εἰσιν. οὕτως ἐτήρει τὰς ἐννοίας. εἰ γὰρ ἔστι τι μεῖζον καὶ μὴ ὑπερέχον, ἔσται τι μικρότερον καὶ μὴ ἐλλεῖπον, ὥστε καὶ ἄνισον μήθ᾿ ὑπερέχον μήτ᾿ ἐλλεῖπον, τουτέστιν ἴσον τὸ ἄνισον καὶ οὐ μεῖζον τὸ μεῖζον οὐδὲ μικρότερον τὸ μικρότερον.
(4) 그런데 이러한 것들에 대해 치기 어리게 굴며 삼각형들로 구성된 정사면체의 경우 그 접속에 따라 줄어든 변들이 같은 크기들이지 않다고 말하는 한편 다른 한편으로 그것들이 더 큰 지점에서 초과하지 않는다고 말하네. 그는 그런 식으로 그 생각들을 주시하지. 왜냐하면 만일 어떤 더 큰 것이 초과하지 않는 것이라면, 어떤 더 작은 것이 부족하지도 않을 것이고, 그래서 같은 크기가 아닌 것이면서도 초과하지도 부족하지도 않고, 이것은 같은 크기가 아닌 것이 같은 크기이며 더 큰 것이 더 크지 않고 더 작은 것이 더 작지 않다는 것이니 말일세.
(5) ἔτι τοίνυν ὅρα τίνα τρόπον ἀπήντησε Δημοκρίτῳ, διαποροῦντι φυσικῶς καὶ ἐμψυχῶς εἰ κῶνος τέμνοιτο παρὰ τὴν βάσιν ἐπιπέδῳ, τί χρὴ διανοεῖσθαι τὰς τῶν τμημάτων ἐπιφανείας, ἴσας ἢ ἀνίσους γινομένας· ἄνισοι μὲν γὰρ οὖσαι τὸν κῶνον ἀνώμαλον παρέξουσι, πολλὰς ἀποχαράξεις λαμβάνοντα βαθμοειδεῖς καὶ τραχύτητας· ἴσων δ᾿ οὐσῶν ἴσα τμήματα ἔσται καὶ φανεῖται τὸ τοῦ κυλίνδρου πεπονθὼς ὁ κῶνος, ἐξ ἴσων συγκείμενος καὶ οὐκ ἀνίσων κύκλων, ὅπερ ἐστὶν ἀτοπώτατον. ἐνταῦθα δὴ τὸν Δημόκριτον ἀποφαίνων ἀγνοοῦντα τὰς μὲν ἐπιφανείας φησὶ μήτ᾿ ἴσας εἶναι μήτ᾿ ἀνίσους, ἄνισα δὲ τὰ σώματα τῷ μήτ᾿ ἴσας εἶναι μήτ᾿ ἀνίσους τὰς ἐπιφανείας.
(5) 따라서 더욱이 그가 어떤 방식으로 데모크리토스와 만나는지 보게, 원뿔이 바닥에서부터 면으로 잘릴 수 있다면, 잘린 것들의 면들을 무어라 이해해야만 하는지, 같은 크기들이 된다고 생각해야 하는지 혹은 다른 크기들이 된다고 생각해야 하는지 자연학적으로 그리고 생생하게 난관에 봉착한 그 사람과 말일세. 왜냐하면 그것들이 같은 크기들이지 않을 경우 그 원뿔을 고르지 못한 것으로 내놓을 것이기 때문이지, 층계들 같은 꼴을 한 매우 거친 많은 절단들을 취함으로써 말이네. 그런데 그것들이 같은 크기들일 경우 잘린 것들이 같은 크기일 것이고 원뿔이 원기둥의 일을 겪은 것으로 드러나는데, 같은 크기이고 크기가 다르지 않은 원들로 구성됨으로써 그리하며, 바로 그것이 가장 이상한 것일세. 그래서 이런 점들로부터 그는 데모크리토스를 무지한 자라 여겨 반대하며 면들은 같은 크기들이지도 다른 크기들이지도 않다고, 반면 물체들은 면들의 같은 크기들이지도 다른 크기들이지도 않다는 점으로써 다른 크기들이라고 말하지.
τὸ μὲν δὴ νομοθετεῖν τῶν ἐπιφανειῶν μήτ᾿ ἴσων <μήτ᾿ ἀνίσων> οὐσῶν τὰ σώματα συμβαίνειν ἄνισα εἶναι θαυμαστὴν ἐξουσίαν αὑτῷ τοῦ γράφειν ὅ τι ὰν ἐπίῃ διδόντος ἐστί. τοὐναντίον γὰρ ὁ λόγος μετὰ τῆς ἐναργείας νοεῖν δίδωσι τῶν ἀνίσων σωμάτων ἀνίσους εἶναι τὰς ἐπιφανείας καὶ μείζονα τὴν τοῦ μείζονος, εἴ γε μὴ μέλλει τὴν ὑπεροχήν, ᾗ μεῖζόν ἐστιν, ἐστερημένην ἐπιφανείας ἕξειν. εἰ γὰρ οὐχ ὑπερβάλλουσι τὰς τῶν ἐλαττόνων ἐπιφανείας αἱ τῶν μειζόνων ἀλλὰ προαπολείπουσιν, ἔσται σώματος πέρας ἔχοντος μέρος ἄνευ πέρατος καὶ ἀπεράτωτον.
그래서 한편으로 면들이 같은 크기들도 다른 크기들도 아닐 때 물체들이 다른 크기들이라는 결론이 따라 나온다는 법칙을 세운 것은 그에게 무언가 연이은 것을 그리게 해준 것보다 특출난 점이다. 왜냐하면 그 진술이 현실과 반대로 물체들이 같은 크기들이 아닐 경우 면들이 같은 크기들이 아니라고 생각하게 해주고 더 큰 물체의 면이
더 크다고 생각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적어도 만일 장차 그로써 더 큰 바로 그 초과가 면에서 박탈될 상태가 아니라면 말이다. 왜냐하면 만일 더 작은 것들의 면들을 더 큰 것들의 면들이 초과하는 것이 아니라 못 미치는 것이라면, 물체가 한계를 가질 때 부분이 한계 없이 가장 무한정한 것일 터이기 때문이다.
εἰ γὰρ λέγει ὅτι βιαζόμενος οὕτω <ταύτας νοεῖσθαι σῴζει τὸν κῶνον, ἐλέγχεται φάσκων·> "ἃς γὰρ ὑφορᾶται περὶ τὸν κῶνον ἀναχαράξεις ἡ τῶν σωμάτων ἀνισότης δήπουθεν οὐχ ἡ τῶν ἐπιφανειῶν ἀπεργάζεται." γελοῖον οὖν τὸ τὰς ἐπιφανείας ὑπεξαιρούμενον ἐν τοῖς σώμασιν ἐλεγχομένην ἀπολιπεῖν ἀνωμαλίαν. ἀλλ᾿ ἂν μένωμεν ἐπὶ τῆς ὑποθέσεως, τί μᾶλλόν ἐστι παρὰ τὴν ἔννοιαν ἢ τὰ τοιαῦτα πλάττειν; εἰ γὰρ ἐπιφάνειαν ἐπιφανείᾳ θήσομεν μήτ᾿ ἴσην εἶναι μήτ᾿ ἄνισον, καὶ τὸ μέγεθος ἔσται μεγέθει φάναι καὶ ἀριθμὸν ἀριθμῷ μήτ᾿ ἴσον εἶναι μήτ᾿ ἄνισον, καὶ ταῦτ᾿ ἴσου καὶ ἀνίσου μέσον, ὃ μηδέτερόν ἐστιν, οὐκ ἔχοντας εἰπεῖν οὐδὲ νοῆσαι δυναμένους …

왜냐하면 만일 그가 그런 식으로 이 면들을 믿도록 강제됨으로써 원뿔을 구한다면, 다음과 같이 주장함으로써 시험할 것이기 때문이다. "원뿔에 관하여 주의하여 관찰되는 이 종합들에서 물체들의 같은 크기가 아님이 면들의 같은 크기가 아님으로 이루어져 나오는 게 아님이 그로부터 분명하다." 그러므로 물체들에서 면들을 점차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고르지 못함이 논박되는 경우 남는다는 것은 우스운 일이다. 그러나 우리가 그 전제에 머무른다면, 이러한 것들을 만들어내는 것보다 관념에 무엇이 훨씬 엇나가는가? 왜냐하면 만일 우리가 면이 면과 같은 크기도 다른 크기도 아니라고 말하게 된다면, 또 크기가 크기와 또한 수가 수와 같은 크기도 다른 크기도 아니라고 말할 수 있게 될 것이고, 또한 이런 것들을 같은 크기와 다른 크기의 중간, 둘 중 어느 쪽도 아닌 것이라고 하게 될 것이다, 우리가 말할 수도 생각할 능력을 지닐 수도 없음에도 ….
  καὶ μὴν τὸ μηδενὸς ἅπτεσθαι μηδὲν παρὰ τὴν ἔννοιάν ἐστιν. οὐχ ἧττον δὲ τοῦτο, ἅπτεσθαι μὲν ἀλλήλων τὰ σώματα μηδενὶ δὲ ἅπτεσθαι. τοῦτο δ᾿ ἀνάγκη προσδέχεσθαι τοῖς μὴ ἀπολείπουσιν ἐλάχιστα μέρη σώματος ἀλλ᾿ ἀεί τι τοῦ δοκοῦντος ἅπτεσθαι πρότερον λαμβάνουσι καὶ μηδέποτε τοῦ προάγειν ἐπέκεινα παυομένοις.
  게다가 아무것도 닿지 않는 것은 관념에 어긋난다. 그런데 이것이 덜하지 않다, 물체들이 서로 닿는 반면 아무것에도 닿지 않는다는 것. 그런데 물체의 가장 작은 부분을 남기지 않고 언제나 닿게 해주는 것보다 앞서는 무언가를 취하고 결코 저것들에 더하여 나아가는 일을 멈추지 않는 자들로서는 그것을 추가로 받아들이는 일이 필연적이다.
(6) ὃ γοῦν αὐτοὶ μάλιστα προφέρουσι τοῖς τῶν ἀμερῶν προισταμένοις, τοῦτ᾿ ἐστὶ τὸ μήθ᾿ ὅλοις ὅλων ἁφὴν εἶναι μήτε μέρεσι μερῶν· τὸ μὲν γὰρ οὐχ ἁφὴν ἀλλὰ κρᾶσιν ποιεῖν, τὸ δ᾿ οὐκ εἶναι δυνατόν, μέρη τῶν ἀμερῶν οὐκ ἐχόντων.
(6) 그러므로 그들 스스로 특히나 부분없는 것들을 내세우는 이들에게 반대하여 주장하는 것, 그것은 전체들의 전체들에 대한 접속도 부분들의 부분들에 대한 접속도 없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한쪽은 접속이 아니라 혼합을 만드는데, 다른 쪽은 부분없는 것들이 부분들을 지니지 않기에, 그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7) πῶς οὖν οὐκ αὐτοὶ τούτῳ περιπίπτουσι, μηδὲν μέρος ἔσχατον μηδὲ πρῶτον ἀπολείποντες; ὅτι νὴ Δία ψαύειν κατὰ πέρας τὰ σώματ᾿ ἀλλήλων, οὐ κτὰ μέρος λέγουσιν.
(7) 그러므로 어떻게 그들이 이것을 받아들이지 않는가, 그 어떤 끝부분도 처음부분도 남기지 않으면서? 제우스께 걸고 물체들이 상호에 한계들에 따라 접하고, 부분들에 따라 접하지 않는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8) τὸ δὲ πέρας σῶμα οὔκ ἐστιν. ἅψεται τοίνυν σῶμα σώματος ἀσωμάτῳ καὶ οὐκ ἅψεται πάλιν, ἀσωμάτου μεταξὺ ὄντος. εἰ δ᾿ ἅψεται, καὶ ποιήσει τι καὶ πείσεται τῷ ἀσωμάτῳ τὸ σῶμα· ποιεῖν γάρ τι καὶ πάσχειν ὑπ᾿ ἀλλήλων τῷ ἅπτεσθαι τὰ σώματα πέφυκεν.
(8) 그런데 한계는 물체가 아니다. 따라서 물체는 물체의 비물체인 것과 접하고 다시 또 접하지 않는다, 사이에 비물체적인 것이 있기에. 그런데 만일 접한다면, 또한 물체가 비물체에 뭔가를 작용하고 작용받을 것이다. 왜냐하면 물체들이 본래적으로 접촉으로써 상호에 의해 무언가 가하고 겪기 때문이다.
εἰ δὲ ἁφὴν ἴσχει τῷ ἀσωμάτῳ τὸ σῶμα, καὶ συναφὴν ἕξει καὶ κρᾶσιν καὶ συμφυίαν. ἔστιν ἄρ᾿ ἐν ταῖς συναφαῖς καὶ κράσεσιν ἢ μένειν ἀναγκαῖον ἢ μὴ μένειν ἀλλ᾿ ἐφθάρθαι τὰ πέρατα τῶν σωμάτων. ἑκάτερον δὲ παρὰ τὴν ἔννοιάν ἐστι· φθορὰς μὲν γὰρ ἀσωμάτων καὶ γενέσεις οὐδ᾿ αὐτοὶ καταλείπουσι, κρᾶσις δὲ καὶ συναφὴ σωμάτων ἰδίοις χρωμένων πέρασιν οὐκ ἂν γένοιτο.

그런데 물체가 비물체에 만일 접속을 유지한다면, 또한 공동접속과 혼합과 공동성장을 지닐 것이다. 그럼 공동접속들과 혼합들 안에서 물체들의 한계들이 남거나 남지 않고 소멸하는 것이 필연적이다. 그런데 각각의 경우가 관념에 어긋난다. 왜냐하면 그들이 비물체들의 소멸들도 생성들도 남겨두지 않는 반면, 물체들이 고유한 한계들을 사용하기에 그것들의 혼합과 공동접속은 생기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D Proclus, In Eucl. El. I 89,15-21 (SVF 2.488)
ὅτι δὲ οὐ δεῖ νομίζειν κατ᾿ ἐπίνοιαν ψιλὴν ὑφεστάναι τὰ τοιαῦτα πέρατα, λέγω τῶν σωμάτων, ὥσπερ οἱ ἀπὸ τῆς Στοᾶς ὑπέλαβον, ἀλλ᾿ εἶναί τινας φύσεις ἐν τοῖς οὖσι τοιάσδε καὶ λόγους αὐτῶν προεστάναι δημιουργικούς, ἀναμνησθείημεν ἂν εἰς τὸν ὅλον κόσμον ἀποβλέψαντες ….
그런데 순수한 사유에 따라 이러한 한계들을 전제할 필요가 없다는 점을, 나는 물체들에 대하여, 마치 스토아 출신의 사람들이 가정하였던 것처럼, 그렇게 진술하고, 그러나 바로 이와 같은 어떤 본성들이 있으며 그것들에 대한 기술적인 진술들(설명들?)을 내세운다고 진술하며, 전체 우주를 주목하는 우리들은 기억할 것이다.

E Diogenes Laertius 7.135
ἐπιφάνεια δ᾿ ἐστὶ σώματος πέρας ἢ τὸ μῆκος καὶ πλάτος ἔχον βάθος δ᾿ οὔ· ταύτην δὲ Ποσειδώνιος ἐν πέμπτῳ Περὶ μετεώρων καὶ κατ᾿ ἐπίνοιαν καὶ καθ᾿ ὑπόστασιν ἀπολείπει. γραμμὴ δ᾿ ἐστὶν ἐπιφανείας πέρας ἢ μῆκος ἀπλατὲς ἢ τὸ μῆκος μόνον ἔχον. στιγμὴ δ᾿ ἐστὶ γραμμῆς πέρας, ἥτις ἐστὶ σημεῖον ἐλάχιστον.
그런데 면은 물체의 한계이거나 길이와 넓이를 가지되 깊이를 가지지 않는 것이다. 포세이도니오스는 『천체들에 관하여』 5권에서 사유에 따라서도 전제에 따라서도 이러한 것을 남긴다. 그런데 선은 면의 한계이거나 넓이 없는 길이이거나 오직 길이만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점은 선의 한계이고, 바로 최소의 표지이다.

F Sextus Empiricus, M. 10.121-6, 139-42
(1) πρὸς τούτοις· πᾶσα κίνησις τριῶν τινῶν ἔχεται, καθάπερ σωμάτων τε καὶ τόπων καὶ χρόνων, σωμάτων μὲν τῶν κινουμένων, τόπων δὲ τῶν ἐν οἷς ἡ κίνησις γίνεται, χρόνων δὲ τῶν καθ᾿ οὓς ἡ κίνησις γίνεται. ἤτοι οὖν πάντων τούτων εἰς ἀπείρους τεμνομένων τόπους καὶ χρόνους καὶ εἰς ἄπειρα σώματα γίνεται ἡ κίνησις, ἢ πάντων εἰς ἀμερὲς καὶ ἐλάχιστον καταληγόντων, ἢ τινῶν μὲν εἰς ἄπειρον τεμνομένων, τινῶν δὲ εἰς ἀμερὲς καὶ ἐλάχιστον καταληγόντων. ἐάν τε δὲ πάντα εἰς ἄπειρον τέμνηται, ἐάν τε πάντα εἰς ἀμερὲς καταλήγῃ, <ἐάν τε τινὰ μὲν εἰς ἄπειρον τέμνηται, τινὰ δὲ εἰς ἀμερὲς καταλήγῃ,> ἄπορος ὁ περὶ τῆς κινήσεως εὑρεθήσεται λόγος.
(1) 이것들에 더하여. 모든 운동은 어떤 세 가지 것들에 접하는데, 마치 물체들과 장소들과 시간들처럼 그러하며, 움직이는 것들이 물체인 반면, 그 안에서 운동이 이루어지는 것들이 장소들이고, 그에 따라 운동이 이루어지는 것들은 시간들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모든 것들이 무한정한 장소들과 시간들 그리고 무한한 물체들로 분절될 때 운동이 이루어지거나, 모든 것들이 부분이 없는 최소의 것에 이르러 중단될 때, 혹은 어떤 것들은 무한한 것으로 분절되고, 다른 어떤 것들은 부분 없는 최소의 것에 이르러 중단될 때 이루어진다. 그런데 또 설령 모든 것들이 무한한 것으로 절단된들, 모든 것들이 부분 없는 것에서 중단된들, 어떤 것들은 무한한 것으로 절단되고, 또 어떤 것들은 부분 없는 것에서 중단된들, 운동에 관한 그 진술은 난관에 봉착한 것으로 발견될 것이다.
(2) τάξει δὲ ἀπὸ τῆς πρώτης στάσεως ποιώμεθα τὴν ἐπιχείρησιν, καθ᾿ ἣν πάντα εἰς ἄπειρον τέμνεται. καὶ δὴ οἱ προεστῶτες αὐτῆς φασι τὸ κινούμενον σῶμα ὑφ᾿ ἕνα καὶ τὸν αὐτὸν χρόνον ἄθρουν μεριστὸν ἀνύειν διάστημα, καὶ οὐ τὸ πρῶτον τοῦ διαστήματος μέρος πρῶτον ἐπιλαμβάνειν τῷ πρώτῳ αὑτοῦ μέρει καὶ τὸ δεύτερον τῇ τάξει δεύτερον, ἀλλ᾿ ὑφ᾿ ἓν τὸ ὅλον μεριστὸν διάστημα καὶ ἀθρόως διέρχεσθαι.
(2) 그러나 순서대로 최초의 입장으로부터 논증을 만들어 보기로 하자, 그에 따르면 모든 것들은 무한한 것으로 분절된다. 더욱이 그 입장을 내세우는 자들은 움직이는 물체가 한번에 그리고 동일한 시간에서 한꺼번에 분할되는 간격을 완결짓는다고 말하며, 또한 그 간격의 첫 부분에 처음 그 물체의 첫 번째 부분으로써 도달하고 순서대로 두 번째 부분에 두 번째로 도달하는 게 아니라, 한번에 분할되는 전체 간격을 한꺼번에 통과해낸다고 말한다.
(3) ὅπερ ἐστὶν ἄτοπον καὶ ποικίλως τοῖς φαινομένοις μαχόμενον. εἰ γοῦν ἐπὶ τῶν αἰσθητῶν τούτων σωμάτων νοήσωμέν τινα κατὰ σταδιαίου τροχάζοντα διαστήματος, πάντως ὑποπεσεῖται ὅτι ὀφείλει ὁ τοιοῦτος τὸ πρῶτον ἡμιστάδιον ἀνύειν πρῶτον καὶ τὸ δεύτερον τῇ τάξει δεύτερον· τὸ γὰρ ὑφ᾿ ἓν ἀξιοῦν τὸ ὅλον ἀνύειν τοῦ σταδίου διάστημα τελέως ἄτοπον. καὶ εἰ τέμοιμεν τὸ ἕτερον ἡμιστάδιον ἐις δύο τεταρτημόρια, πάντως πρῶτον διελεύσεται τὸ πρῶτον τεταρτημόριον· καὶ εἰ εἰς πλείονα τέμοιμεν, ὡσαύτως.
(3) 바로 그 점이 이상하고 현상들과 다양하게 싸우는 점이다. 그러므로 만일 이러한 감각적인 사물들에 관하여 누군가 한 단위 간격을 따라 질주한다고 생각하게 된다면, 이러한 사람이 우선 첫 반 단위를 완결짓고 순서대로 두 번째로 두 번째 반 단위를 완결짓게 되어 있다고 전적으로 가정될 것이다. 왜냐하면 한 번에 한 단위의 간격 전체를 완전하게 완결지을 만하다는 것은 이상하기 때문이다. 또 만일 다른 반 단위의 것을 우리가 둘씩 네 부분들로 나눌 수 있다면, 전적으로 우선 그 첫 번째 1/4 부분을 통과할 것이다. 그리고 만일 더 많은 부분들로 우리가 나눌 수 있다면, 같은 방식으로 그러할 것이다.
κἂν κατὰ πεφωτισμένου δὲ τροχάζῃ τοῦ σταδίου, φαίνεται ὡς οὐχ ὑφ᾿ ἓν σκιάσει τὸ στάδιον, ἀλλὰ τὸ μέν τι πρῶτον μέρος, τὸ δὲ δεύτερον, τὸ δὲ τρίτον. καὶ εἰ παραθέοι δὲ τῷ τοίχῳ μεμιλτωμένῃ τῇ χειρὶ τούτου ἐφαπτόμενος, οὐχ ὑφ᾿ ἓνα καὶ τὸν αὐτὸν χρόνον τὸν ὅλον τοῦ σταδίου τοῖχον μιλτώσει, ἀλλὰ κατὰ τάξιν καὶ κατὰ τὸ πρότερον πρότερον. ὅπερ οὖν ὁ λόγος ἐπὶ τῶν αἰσθητῶν ἔδειξε πραγμάτων, τουτὶ καὶ ἐπὶ τῶν νοητῶν προσδεκτέον ἐστὶν ἡμῖν ….
설령 그가 밝혀진 한 단위의 것에서 질주할지라도, 한 번에 그 단위를 질주한 것이 아니라, 어떤 첫 부분을, 그리고 두 번째 부분, 그리고 세 번째 부분을 질주한 것으로 드러날 것이다. 또 만일 그가 성벽을 따라 그 벽에 홍토로 덮혀있는 손을 짚으면서 달린다면, 한 번에 그리고 같은 시간 동안 그 단위의 전체 성벽을 칠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순서대로 그리고 더 앞선 것에 따라 더 먼저 칠할 것이다. 그러므로 감각적인 문제들에 관하여 진술이 보여준 바, 이것이 생각될 수 있는 것들에 관하여서도 우리들에게 받아들여져야 하는 것이다….
(4) ὥστε τὸ μὲν κατ᾿ ἄθρουν διάστημα γίνεσθαι τὴν κίνησιν οὕτως ἐστὶν ἄπορον τοῖς προειρημένοις ἀνδράσιν· πολλῷ δὲ τούτου ἀπορώτερον τὸ μὴ κατ᾿ ἄθρουν γίνεσθαι μεριστὸν διάστημα, ἀλλὰ κατὰ τὸ πρότερον πρότερον καὶ κατὰ τὸ δεύτερον δεύτερον. εἰ γὰρ οὕτω γίνεται ἡ κίνησις, πάντων εἰς ἄπειρον τεμνομένων τῶν τε σωμάτων καὶ τόπῶν καὶ χρόνων, οὐκ ἔσται τις ἀρχὴ κινήσεως. ἵνα γάρ τι κινηθῇ πηχυαῖον διάστημα, ὀφείλει τὸ πρῶτον ἡμίπηχυ διέρχεσθαι πρῶτον καὶ τὸ δεύτερον τῇ τάξει δεύτερον. ἀλλ᾿ ἵνα καὶ τὸ πρῶτον ἀνύσῃ ἡμίπηχυ διάστημα, ὀφείλει τὸ πρῶτον τεταρτημόριον τοῦ πηχυαίου διαστήματος διελθεῖν, εἶτα τότε τὸ δεύτερον. ἀλλὰ κἂν εἰς πέντε διαιρεθῇ, <τὸ πρῶτον πεμπτημόριον>, κἂν εἰς ἕξ, τὸ πρῶτον ἑκτημόριον. παντὸς οὖν τοῦ πρώτου μέρους ἄλλο πρῶτον ἔχοντος μέρος διὰ τὴν εἰς ἄπειρον τομήν, ἀνάγκη μηδέποτε ἀρχὴν γίνεσθαι κινήσεως διὰ τὸ ἀνέκλειπτα εἶναι τὰ μέρη τοῦ διαστήματος καὶ τὰ τοῦ σώματος, καὶ τὸ ἐκ τούτων λαμβανόμενον ἔχειν ἄλλα μέρη.
(4) 그래서 한꺼번에 간격에 대해 운동이 이루어진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에게 그렇게 난관이 있다. 그러나 한꺼번에 부분으로 나뉘는 간격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더 앞선 것에 대해 더 먼저 그리고 두 번째 것에 두 번째로 이루어진다고 하는 것이 많은 점에서 이보다 더 난관이다. 왜냐하면 만일 운동이 그런 식으로 이루어진다면, 물체들도 장소들도 시간들도 무한한 것으로 그 모든 것들이 분절될 때, 운동의 어떤 시작이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무언가 반 완척 간격을 움직이기 위해, 첫 반 완척을 처음 통과하고 순서대로 두 번째 완척을 통과하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선 반 완척 간격을 질주하기 위해, 처음에 그 1/4 완척 간격을 통과하게 되어 있고, 다음 때에 두 번째로 그렇게 되어 있다. 그러나 설령 다섯으로 나뉜다 할지라도, 그 첫 번째 1/5 부분을, 여섯으로 할지라도, 첫 번째 1/6 부분을 통과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모든 첫 번째 부분은 그 외의 첫 번째 것을 무한한 분절로 인해 지니기에, 그 간격의 부분들 그리고 물체의 부분들이 끊임없음으로 인해 운동의 시작은 결코 이루어지지 않음이 필연적이고, 이러한 것들로부터 취해진 것이 그 외의 부분들을 가짐도 필연적이다.
(5) πρὸς μὲν οὖν τοὺς εἰς ἄπειρον τέμνεσθαι λέγοντας τά τε σώματα καὶ τοὺς τόπους καὶ τοὺς χρόνους (οὗτοι δέ εἰσιν οἱ ἀπὸ τῆς Στοᾶς) ταῦθ᾿ ἥρμοζε λέγειν.
(5) 그러므로 한편으로 물체들도 장소들도 시간들도 무한으로 분할된다고 진술하는 자들을 향해(스토아 출신의 사람들이 이런 자들인데) 이런 점들을 말하는 게 적절하다.

G Proclus, In Eucl. El. I 395,13-21 (SVF 2.365)
τὰ δ᾿ οὖν τοιαῦτα τῶν θεωρημάτων, ὡς φησὶν ὁ Γεμῖνος, ἀπείκαζεν ὁ Χρύσιππος ταῖς ἰδέαις. ὡς γὰρ ἐκεῖναι τῶν ἀπείρων ἐν πέρασιν ὡρισμένοις τὴν γένεσιν περιλαμβάνουσιν, οὕτως καὶ ἐν τούτοις τῶν ἀπείρων ἐν ὡρισμένοις τόποις ἡ περίληψις γίνεται. καὶ διὰ τὸν ὅρον τοῦτον ἡ ἰσότης ἀναφαίνεται. τὸ γὰρ ὕψος τῶν παραλλήλων τὸ αὐτὸ μένον ἀπείρων νοουμένων ἐπὶ τῆς αὐτῆς βάσεως παραλληλογράμμων πάντα ἴσα ἀλλήλοις ἀποφαίνει.
그러므로, 게미노스가 말하는 바, 그 정리들 중 이러한 것들을(밑변이 같고 같은 평행선 상에 놓인 두 평행사변형들은 같다), 크뤼십포스는 이데아들에 비유한다. 왜냐하면 저 이데아들이 규정된 한계들 안에서 무한한 것들의 생성을 포괄하듯, 그런 식으로 이 정리들에서도 무한한 것들에 대해 규정된 장소들 내에서 포괄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경계로 인해 같은 크기라는 것이 밝혀진다. 왜냐하면 평행하는 것들의 높이가 동일한 것으로 머물 때 동일한 바탕 위에서 무한히 생각되는 평행사변형들의 모든 것들이 상호에 같은 양인 것들로 밝혀지지 때문이다.

-蟲-

49 Palce and void

A Stobaeus 1.161,8-26 (SVF 2.503)
(1) Χρυσίππου. τόπον δ᾿ εἶναι ὁ Χρύσιππος ἀπεφαίνετο τὸ κατεχόμενον δι᾿ ὅλον ὑπὸ ὄντος, ἢ τὸ οἷόν <τε> κατέχεσθαι ὑπὸ ὄντος καὶ δι᾿ ὅλου κατεχόμενον εἴτε ὑπὸ τινὸς <εἴτε> ὑπὸ τινῶν. ἐὰν δὲ τοῦ οἵου τε κατέχεσθαι ὑπὸ ὄντος τὶ μὲν κατέχηται, τὶ δὲ μή, τὸ ὅλον <οὔτε> κενὸν ἔσεσθαι οὔτε τόπον, ἕτερον δέ τι οὐκ ὠνομασμένον· τὸ μὲν γὰρ κενὸν τοῖς κενοῖς ἀγγείοις λέγεσθαι παραπλησίως, τὸν δὲ τόπον τοῖς πλήρεσι· χώραν δὲ πότερον τὸ μεῖζον οἷόν τε κατέχεσθαι ὑπὸ ὄντος καὶ οἷον μεῖζον ἀγγεῖον σώματος, ἢ τὸ χωροῦν μεῖζον σῶμα; (2) τὸ μὲν οὖν κενὸν ἄπειρον εἶναι λέγεσθαι· τὸ γὰρ ἐκτὸς τοῦ κόσμου τοιοῦτ᾿ εἶναι· τὸν δὲ τόπον πεπερασμένον διὰ τὸ μηδὲν σῶμα ἄπειρον εἶναι. καθάπερ δὲ τὸ σωματικὸν πεπερασμένον εἶναι, οὕτως τὸ ἀσώματον ἄπειρον, ὅ τε γὰρ χρόνος ἄπειρος καὶ τὸ κενόν. ὥσπερ γὰρ τὸ μηδὲν οὐδέν ἐστι πέρας, οὕτως οὐδὲ τοῦ μηδενός, οἷόν ἐστι τὸ κενόν. κατὰ γὰρ τὴν αὑτοῦ ὑπόστασιν ἄπειρόν ἐστι· περατοῦται δ᾿ αὖ τοῦτο ἐκπληρούμενον· τοῦ δὲ πληροῦντος ἀρθέντος οὐκ ἔστιν αὐτοῦ νοῆσαι πέρας.
(1) 크뤼십포스. 크뤼십포스는 존재에 의해 전체를 통하여 점유되는 것, 혹은 존재에 의해 점유될 수 있는 것과 전체를 통하여 어떤 것에 의해서든 어떤 것들에 의해서든 점유되는 것이 장소라고 주장했다. <그런데 만일 존재에 의해 점유될 수 있는 것 중 무언가는 점유되고, 또 무언가는 그렇지 않다면, 그 전체는 허공도 장소도 아닐 것이라고, 그러나 다른 무언가로 명명되지 않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왜냐하면 한편으로 허공은 빈 그릇들과 같은 것으로 논해지지만, 장소는 가득 찬 것들과 (같은 것으로 논해진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공간은 존재에 의해 점유될 수 있고 예컨데 물체보다 더 큰 그릇인가, 혹은 더 큰 물체를 위한 공간을 마련해 주는 것인가?> (2) 그러므로 한편으로 허공은 무한하다고 논해진다: 왜냐하면 우주의 외부가 이러한 것이라고 논해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정된 장소는 전혀 물체 아닌 것으로 인해 무한하다고 논해진다(or 어떤 물체로 인해서도 무한하다고 논해지지 않는다). 마치 물체적인 것이 한정되어 있는 것이듯, 그런 식으로 비물체적인 것은 무한하다, 왜냐하면 시간도 허공도 무한하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아무것도 아닌 것이 전혀 한계이지 않은 것처럼, 그런 식으로 아무것도 아닌 것에 대해서도 (아무것도 아닌 것이 한계이지 않다), 예를 들어 허공이 그러한 것이다. 왜냐하면 바로 그것의 밑에 서는 것에 따라서 무한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번엔 그것이 채워짐으로써 한정된다: 그런데 그 채우는 것이 들어내어질 경우 그것의 한계를 생각할 수 없다.

B Sextus Empiricus, M. 10.3-4 (SVF 2.505, part)
(1) καὶ οἱ Στωικοὶ δὲ κενὸν μὲν εἶναί φασι τὸ οἷόν τε ὑπὸ ὄντος κατέχεσθαι μὴ κατεχόμενον δέ, ἢ διάστημα ἔρημον σώματος, ἢ διάστημα ἀκαθεκτούμενον ὑπὸ σώματος. (2) τόπον δὲ τὸν ὑπὸ ὄντος κατεχόμενον καὶ ἐξισαζόμενον τῷ κατέχοντι αὐτόν, νῦν ὂν καλοῦντες τὸ σῶμα, καθὼς καὶ ἐκ τῆς μεταλήψεως τῶν ὀνομάτων ἐστὶ συμφανές. (3) χώραν δέ φασιν εἶναι διάστημα κατὰ μέν τι κατεχόμενον ὑπὸ σώματος, κατὰ δέ τι ἀκαθεκτούμενον. ἔνιοι δὲ χώραν ἔλεξαν ὑπάρχειν τὸν τοῦ μείζονος σώματος τόπον.
(1) 그런데 스토아 학자들도 존재에 의해 점유될 수 있는 것이지만 점유되지 않을 경우, 혹은 물체가 빠진 간극, 또는 물체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않는?) 간극을 허공이라고 말한다. (2) 그런데 존재에 의해 점유되고 그 점유하는 것과 동연이 되는 그것을 장소라고 말한다.(그 점유하는 것-존재-은 오늘날 사람들이 물체라고 부르는 것이다, 그 이름들의 교체를 통해서도 명백하듯.) (3) 그런데 어떤 점에 따라서는 물체에 의해 점유되지만, 또 어떤 점에 따라서는 점유되지 않은(않는?) 간극이 공간이라고 말한다. 그런데 어떤 이들은 공간이 더 큰 물체의 장소라고 논했다.

C Cleomedes 8,10-14 (SVF 2.541)
ἀναγκαῖον τοίνυν εἶναί τινα ὑπόστασιν κενοῦ. ἔστι δὲ ἁπλουστάτη αὐτοῦ ἡ ἐπίνοια, ἀσωμάτου τε καὶ ἀναφοῦς ὄντος, καὶ οὔτε σχῆμα ἔχοντος οὔτε σχηματιζομένου, καὶ οὔτε τι πάσχοντος οὔτε ποιοῦντος, ἁπλῶς δὲ σῶμα δέχεσθαι οἵου τε ὄντος.
따라서 허공의 기저에 서는 무언가가 필연적이다. 그런데 그것의 개념은 매우 단순하다, 그것이 비물체적이면서 닿지 않는 것이기에, 그리고 형태를 지니지도 않고 형태지어지지도 않으며, 무언가 겪지도 행하지도 않고, 단순히 물체를 받아들일 수 있는 그러한 것이기에.

D Galen, Diff. puls. 8.674,13-14 (SVF 2.424, part)
οὐ γὰρ εἶναι τοιαύτην οὐδεμίαν [sc. κενὴν χώραν] ἐν κόσμῳ νομίζουσιν, ἀλλ᾿ ἡνῶσθαι τὴν ὅλην οὐσίαν ἑαυτῇ.
왜냐하면 그들이 이러한(빈 공간) 그 무엇 하나 우주 안에서 생각하지 않고, 전체 실체가 그 자체와 통일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E Galen, Qual. inc. 19.464,10-14 (SVF 2.502)
ὅτι δὲ κοινόν ἐστι τοῦτο [δῆλον] (λέγω δὲ τὸ τριχῇ διαστατόν) σώματός τε καὶ κενοῦ καὶ τόπου, Στωικοὺς μὲν ὁμολογεῖν ἀναγκαῖον, ἅτε κενὸν ἀπολιπόντας ἐν τῇ τῶν ὄντων πραγμάτων φύσει, κἂν ἐν τῷ κόσμῳ τοῦθ᾿ ὑπάρχειν μὴ λέγωσι.
그런데 이 [분명한] 것은 (나는 세 차원을 가지는 것을 말한다) 물체에도 허공에도 장소에도 공통이라는 점을, 스토아 주의자들은 동의할 수밖에 없다(필연적이다), 그들이 허공을 존재하는 사태들의 본성 안에 남겨놓는 한, 설령 그들이 그것을 우주 안에서 있다고 말하지 않는다 할지라도.

F Simplicius, In Ar. De caelo 284,28-285,2 (SVF 2.535)
(1) οἱ δὲ ἀπὸ τῆς Στοᾶς ἔξω τοῦ οὐρανοῦ κενὸν εἶναι βουλόμενοι διὰ τοιαύτης αὐτὸ κατασκευάζουσιν ὑποθέσεως. (2) ἔστω, φασίν, ἐν τῷ ἐσχάτῳ τῆς ἀπλανοῦς ἑστῶτά τινα ἐκτείνειν πρὸς τὸ ἄνω τὴν χεῖρα· (3) καὶ εἰ μὲν ἐκτείνει, λαμβάνουσιν, ὅτι ἔστι τι ἐκτὸς τοῦ οὐρανοῦ, εἰς ὃ ἐξέτεινεν, εἰ δὲ μὴ δύναιτο ἐκτεῖναι, ἔσται τι καὶ οὕτως ἐκτὸς τὸ κωλῦσαν τὴν τῆς χεριὸς ἔκτασιν. (4) κἂν πρὸς τῷ πέρατι πάλιν ἐκείνου στὰς ἐκτείνῃ, ὁμοία ἡ ἐρώτησις· (5) εἶναι γὰρ δειχθήσεται κἀκείνου τι ἐκτὸς ὄν.
(1) 그런데 스토아 출신 사람들은 하늘의 밖에 허공이 있기를 바라면서 다음과 같은 가정을 통해 그것을 주장한다. (2) 그들이 말하기를, 천구의 극단에 서서 누군가가 위쪽으로 그의 손을 뻗는다고 하자: (3) 그리고 만일 그가 (손을) 뻗는다면, 그들은 받아들인다, 하늘 밖에, 그것을 향해 (손을) 뻗쳐낼, 그 무언가 있다는 것을, 그런데 만일 (손을) 뻗는 일이 가능하지 않다면, 그런 식으로도 밖에서 그 손의 뻗침을 막은 무언가가 있을 것이다. (4) 설령 저것의 한계에 다시 서서 뻗칠지라도, 의문은 유사하다: (5) 왜냐하면 저것에 대해서도 밖에 있는 무언가가 있다고 증명될 것이기 때문이다.

G Cleomedes 6,11-17 (SVF 2.537)
εἰ δὲ καὶ εἰς πῦρ ἀναλύεται ἡ πᾶσα οὐσία, ὡς τοῖς χαριεστάτοις τῶν φυσικῶν δοκεῖ, ἀνάγκη πλέον ἢ μυριοπλασίονα τόπον αὐτὴν καταλαμβάνειν, ὥσπερ καὶ τὰ εἰς ἀτμὸν ἐκθυμιώμενα τῶν στερεῶν σωμάτων. ὁ τοίνυν ἐν τῇ ἐκπυρώσει ὑπὸ τῆς οὐσίας ἐκχεομένης καταλαμβανόμενος τόπος νῦν κενός ἐστιν, οὐδενός γε σώματος αὐτὸν πεπληρωκότος.
그런데 만일, 자연에 관련하는 자들 중 가장 높은 성취를 이룬 자들에게 여겨지듯, 모든 존재가 불로 해체된다면,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것보다도 더 많은 장소를 그 실체가 차지함이 필연적이다, 마치 입방 물체들의 공기 중으로 증발되는 것들도 그렇듯이. 따라서 대화재에서 쏟아져 나오는 실체에 의해 차지되는 장소가 지금은 허공이다, 그 어떤 물체도 그것을 채우지 않았기에.

H Cleomedes 10,24-12,5 (SVF 2.540)
(1) λέγεται κἀκεῖνο ὑπ᾿ αὐτῶν, ὡς εἰ ἦν ἔξω τοῦ κόσμου κενόν, χεομένη δι᾿ αὐτοῦ ἡ οὐσία ἐπ᾿ ἄπειρον διεσκεδάσθη ἂν καὶ διεσκορπίσθη. (2) ἀλλὰ φήσομεν, ὡς μηδὲ τοῦτο δύναται παθεῖν· ἕξιν γὰρ ἔχει τὴν συνέχουσαν αὐτὴν καὶ συντηροῦσαν. (3) καὶ τὸ μὲν περιέχον αὐτὴν κενὸν οὐδὲν ποιεῖ· αὐτὴ δ᾿ ὑπερβαλλούσῃ δυνάμει χρωμένη συντηρεῖ ἑαυτήν, συστελλομένη τε καὶ πάλιν χεομένη ἐν αὐτῷ κατὰ τὰς φυσικὰς αὐτῆς μεταβολάς, ἄλλοτε μὲν εἰς πῦρ χεομένη, ἄλλοτε δὲ καὶ ἐπὶ κοσμογονίαν ὁρμῶσα.
(1) 그들에 의해 저것도 논해진다, 만일 우주 밖에 허공이 있다면, 그 허공을 통해 실체가 유출함으로써 무한까지 분산되고 확산될 것이라고. (2) 그러나 우리는 말할 것이다, 그런 일은 전혀 겪을 수 없을 것이라고: 왜냐하면 그 실체를 견지하고 유지하는 tenor를 가지기 때문이다. (3) 그리고 실체를 둘러싸는 허공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그런데 그 실체는 넘어서는 능력을 사용함으로써 그 자신을 유지한다, 결집되면서도 다시 그 허공 안에서 자신의 본래적인 변화들에 따라 유출되면서, 어느 때에는 불로 유출되고, 또 다른 때엔 우주생성을 추동하면서.

I Plutarch, St. rep. 1054E (SVF 2.550, part)
οὐ γὰρ ὑπάρχειν ἐν τῷ κενῷ διαφορὰν ᾗ τὰ σώματα δευρὶ μᾶλλον ἢ δευρὶ προσάγεται, τὴν δὲ τοῦ κόσμου σύνταξιν αἰτίαν εἶναι τῆς κινήσεως ἐπὶ τὸ κέντρον καὶ τὸ μέσον αὐτοῦ νευόντων καὶ φερομένων πανταχόθεν.
왜냐하면 허공 안에서 물체들이 그로써 여기보다 오히려 저기로 이끌려 놓일 그러한 차이는 없다고, 그런데 우주의 구조가 모든 방향으로부터 그 우주의 구심점과 중앙을 향해 휘는 것들과 이동되는 것들의 움직임의 원인이라고 말하기 때문이다.

J Stobaeus 1.166,4-22 (SVF 1.99)
(1) Ζήνωνος. τῶν δ᾿ ἐν τῷ κόσμῳ πάντων τῶν κατ᾿ ἰδίαν ἕξιν συνεστώτων τὰ μέρη τὴν φορὰν ἔχειν εἰς τὸ τοῦ ὅλου μέσον, ὁμοίως δὲ καὶ αὐτοῦ τοῦ κόσμου· (2) διόπερ ὀρθῶς λέγεσθαι πάντα τὰ μέρη τοῦ κόσμου ἐπὶ τὸ μέσον τοῦ κόσμου τὴν φορὰν ἔχειν, μάλιστα δὲ τὰ βάρος ἔχοντα· (3) ταὐτὸν δ᾿ αἴτιον εἶναι καὶ τῆς τοῦ κόσμου μονῆς ἐν ἀπείρῳ κενῷ, καὶ τῆς γῆς παραπλησίως ἐν τῷ κόσμῳ περὶ τὸ τούτου κέντρον καθιδρυμένης ἰσοκρατῶς. (4) οὐ πάντως δὲ σῶμα βάρος ἔχειν, ἀλλ᾿ ἀβαρῆ εἶναι ἀέρα καὶ πῦρ· τείνεσθαι δὲ καὶ ταῦτά πως ἐπὶ τὸ τῆς ὅλης σφαίρας τοῦ κόσμου μέσον, τὴν δὲ σύστασιν πρὸς τὴν περιφέρειαν αὐτοῦ ποιεῖσθαι· φύσει γὰρ ἀνώφοιτα ταῦτ᾿ εἶναι διὰ τὸ μηδενὸς μετέχειν βάρους. (5) παραπλησίως δὲ τοῦτοις οὐδ᾿ αὐτόν φασι τὸν κόσμον βάρος ἔχειν δια τὸ τὴν ὅλην αὐτοῦ σύστασιν ἔκ τε τῶν βάρος ἐχόντων στοιχείων εἶναι καὶ ἐκ τῶν ἀβαρῶν. (6) τὴν δ᾿ ὅλην γῆν καθ᾿ ἑαυτὴν μὲν ἔχειν ἀρέσκει βάρος· παρὰ δὲ τὴν θέσιν διὰ τὸ τὴν μέσην ἔχειν χώραν (πρὸς δὲ τὸ μέσον εἶναι τὴν φορὰν τοῖς τοιούτοις σώμασιν) ἐπὶ τοῦ τόπου τούτου μένειν.
(1) 제논. 그런데 고유한 tenor에 따라 결합하는 우주 내의 모든 것들의 부분들은 전체의 중앙을 향한 이동을 지닌다고, 그런데 우주 자체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라고 말한다: (2) 바로 이 점으로 인하여 우주의 모든 부분들이 우주의 중앙을 향한 이동을 지닌다고 논해지는 것은, 특히 무게를 지니는 것들이 그렇다고 논해지는 것은 옳다: (3) 그런데 무한한 허공에서 우주의 머무름도 동일한 원인이고, 대지가 거의 유사하게 우주 안에서 그 우주의 구심점 근처에 균등하게(등거리로?) 정착되는 것에 대해서도 그러하다. (4) 그런데 전반적으로 물체가 무게를 지니는 것이 아니라, 공기와 불은 무게 없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런데 이러한 것들도 어떤 식으로 우주라는 전체적인 구의 중앙으로 연장된다고, 그러나 그 우주의 구면에 결합이 이루어진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본성상 상승하는 이러한 것들은 그 무엇으로 인해서도 무게에 참여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5) 그런데 이런 것들과 거의 유사하게 우주 자체도 그 우주의 전체 결합이 무게를 지니는 원소들과 무게 없는 원소들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는 점으로 인해 무게를 지니지 않는다고 말한다. (6) 그런데 전체 대지가 그 자체에 따라서는 무게를 지닌다는 입장을 취한다: 그런데 그 입장에 따라 (전체 대지 자체가) 중앙 공간을 지닌다는 점으로 인해 (이러한 물체들에 중앙을 향한 이동이 있다는 점으로 인해) 이 장소에 남는다고 말한다.

-蟲-

48 Mixture
A Diogenes Laertius 7.151 (SVF 2.479)
καὶ τὰς κράσεις δὲ δι᾿ ὅλου γίνεσθαι, καθά φησιν ὁ Χρύσιππος ἐν τῇ τρίτῃ τῶν Φυσικῶν, καὶ μὴ κατὰ περιγραφὴν καὶ παράθεσιν· καὶ γὰρ εἰς πέλαγος ὀλίγος οἶνος βληθεὶς ἐπὶ ποσὸν ἀντιπαρεκταθήσεται, εἶτα συμφθαρήσεται.
또한 혼합들이 전체를 통하여 이루어진다고 한다, 크뤼십포스가 『자연학』 3권에서 말한 바들에 따라, 또한 표면에 따라서도 아니고 병렬에 따라서도 아니라고 한다: 왜냐하면 바다로 약간의 포도주가 떨어지는 것으로도 특정시간동안 상호에 완전히 관통할 것이고, 그래서 함께 뭉뚱그려질 것이기 때문이다.
ἀντιπαρεκταθήσεται : ἀντιπαρεκτείνομαι fut. to be reciprocally interpenetrated.
συμφθαρήσεται : συμφθείρω fut. pass. break down into a unified mass.
B Plutarch, Comm. not. 1078E (SVF 2.480)
καὶ ταῦτα προσδέχεται Χρύσιππος εὐθὺς ἐν τῷ πρώτῳ τῶν Φυσικῶν ζητημάτων οὐδὲν ἀπέχειν φάμενος οἴνου σταλαγμὸν ἕνα κεράσαι τὴν θάλατταν· καὶ ἵνα δὴ μὴ τοῦτο θαυμάζωμεν, εἰς ὅλον φησὶ τὸν κόσμον διατενεῖν τῇ κράσει τὸν σταλαγμόν.
크뤼십포스는 이런 점들도 인정한다, 곧장 『자연학』 1권에서 탐대상들 중 그 무엇도 한 방울의 포도주가 바다를 혼합시킴을 막지 않는다고 말하며: 더 나아가 우리가 이 점에 경악하지 않도록, 전체로서의 우주로 그 한 방울이 혼합으로써 확장하여 관통한다고 말한다.

C Alexander, Mixt. 216,14 - 218,6 (SVF 2.473)
(1) ἔστι δὲ ἡ Χρυσίππου δόξα περὶ κράσεως ἥδε· ἡνῶσθαι μὲν ὑποτίθεται τὴν σύμπασαν οὐσίαν, πνεύματός τινος διὰ πάσης αὐτῆς διήκοντος, ὑφ᾿ οὗ συνέχεταί τε καὶ συμμένει καὶ σύμπαθές ἐστιν αὑτῷ τὸ πᾶν·
(1) 그런데 혼합에 관한 크뤼십포스의 의견은 이러한 것이다: 그는, 그것에 의해서 모든 것이 자체와 더불어 지탱되고 견지되며 상호작용하는, 그런 어떤 프네우마가 그 모든 존재(본질)을 통하여 관통할 때, 통틀어 모든 존재(본질)가 통일되었다고 전제한다:
(2) τῶν δὲ μιγνυμένων ἐν αὐτῇ σωμάτων τὰς μὲν παραθέσει μίξεις γίνεσθαι λέγει, δύο τινῶν ἢ καὶ πλειόνων οὐσιῶν εἰς ταὐτὸν συντεθειμένων καὶ παρατιθεμένων ἀλλήλαις, ὣς φησιν, καθ᾿ ἁρμήν, σωζούσης ἑκάστης αὐτῶν ἐν τῇ τοιαύτῃ παραθέσει κατὰ τὴν περιγραφὴν τὴν οἰκείαν οὐσίαν τε καὶ ποιότητα, ὡς ἐπὶ κυάμων φέρε εἰπεῖν καὶ πυρῶν ἐν τῇ παρ᾿ ἀλλήλους θέσει γίνεσθαι·
(2) 그런데 그는 그 존재(본질) 안에서 섞이는 물체들에 대해여 나열로써의 혼합들이 생겨난다고 말한다, 어떤 둘 혹은 그 이상의 존재들이 같은 곳으로 함께 놓이고 서로 곁하여 놓일 때, 그가 말하기로, 연결에 따라 그러할 때, 이와 같은 나열에서 그것들의 각 존재가 표면에 따라 그 고유한 본질과 속성들을 보존할 때, 말하자면 콩들과 밀알들에 대해 상호에 곁하여 선 안에서 생겨나듯.
φέρε εἰπεῖν : let us say.
(3) τὰς δέ τινας συγχύσει δι᾿ ὅλων τῶν τε οὐσιῶν αὐτῶν καὶ τῶν ἐν αὐταῖς ποιοτήτων συμφθειρομένων ἀλλήλαις, ὡς γίνεσθαί φησιν ἐπὶ τῶν ἰατρικῶν φαρμάκων κατὰ σύμφθαρσιν τῶν μιγνυμένων, ἄλλου τινὸς ἐξ αὐτῶν γεννωμένου σώματος·
(3) 전체들을 통한 혼합들은 그것들의 본질들과 그 자체들 안의 속성들이 상호 혼융될 때 생겨난다고 한다, 의료용 약들에 대해 그것들이 혼융에 따라 섞일 때, 그 외의 어떤 물체가 그것들로부터 산출될 때 생겨난다고 그가 말하듯.
(4) τὰς δέ τινας γίνεσθαι μίξεις λέγει δι᾿ ὅλων τινῶν οὐσιῶν τε καὶ τῶν τούτων ποιοτήτων ἀντιπαρεκτεινομένων ἀλλήλαις μετὰ τοῦ τὰς ἐξ ἀρχῆς οὐσίας τε καὶ ποιότητας σώζειν ἐν τῇ μίξει τῇ τοιᾷδε, ἥντινα τῶν μίξεων κρᾶσιν ἰδίως εἶναι λέγει. τὴν γάρ δύο ἢ καὶ πλειόνων τινῶν σωμάτων ὅλων δι᾿ ὅλων ἀντιπαρέκτασιν ἀλλήλοις οὕτως, ὡς σώζειν ἕκαστον αὐτῶν ἐν τῇ μίξει τῇ τοιαύτῃ τήν τε οἰκείαν οὐσίαν καὶ τὰς ἐν αὐτῇ ποιότητας, λέγει κρᾶσιν εἶναι μόνην τῶν μίξεων. εἶναι γὰρ ἴδιον τῶν κεκραμένων τὸ δύνασθαι χωρίζεσθαι πάλιν ἀπ᾿ ἀλλήλων, ὃ μόνως γίνεται τῷ σώζειν ἐν τῇ μίξει τὰ κεκραμένα τὰς αὑτῶν φύσεις.
(4) 어떤 혼합들은 전체들을 통하여 어떤 존재들과 이것들의 속성들이 상호에 완전히 관통할 때 생겨난다고 말하며 이와 더불어 최초의 본질과 속성들이 바로 이와 같은 혼합 안에서 살아남는다고 말하는데, 그 섞임들에 속하는 어떤 섞임이든 고유하게 혼합이라고 말한다. 왜냐하면 둘이나 그 이상의 어떤 물체들 전체들이 전체들을 통하여 상호에 완전히 관통함이, 그것들의 각각이 이러한 섞임 안에서 고유한 본질과 그 본질 내의 속성들을 보존하는, 그런 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섞임들 중 오직 혼합뿐이라고 말하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혼합된 것들 중 다시 상호로부터 분리될 능력이 있는 것은 개별적인 것이고, 이런 것은 오로지 그 섞임 안에서 혼합된 것들이 그것들의 본성들을 보존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하기 때문이다.
(5) τὸ δὲ ταύτας τὰς διαφορὰς εἶναι τῆς μίξεως πειρᾶται πιστοῦσθαι διὰ τῶν κοινῶν ἐννοιῶν, μάλιστα δὲ κριτήρια τῆς ἀληθείας φησὶν ἡμᾶς παρὰ τῆς φύσεως λαβεῖν ταύτας·
(5) 그런데 그는 이러한 차이들이 그 섞임에 속한다는 것을 공통된 이해들을 통하여 정당화하고자 시도하고, 우리가 진리에 대한 최상의 기준들로 자연으로부터 이러한 차이들을 취한다고 말한다:
(6) ἄλλην γοῦν φαντασίαν ἔχειν ἡμᾶς τῶν καθ᾿ ἁρμὴν συγκειμένων, καὶ ἄλλην τῶν συγκεχυμένων τε καὶ συνεφθαρμένων, καὶ ἄλλην τῶν κεκραμένων τε καὶ ἀλλήλοις δι᾿ ὅλων ἀντιπαρεκτεινομένων οὕτως ὡς σώζειν ἕκαστον αὐτῶν τὴν οἰκείαν φύσιν. ἣν διαφορὰν φαντασιῶν οὐκ ἂν εἴχομεν, εἰ πάντα τὰ ὁπωσοῦν μιγνύμενα παρέκειτο ἀλλήλοις καθ᾿ ἁρμήν.
(6) 그러므로 우리가 연결에 따라 함께 놓인 것들의 현상을 취하고, 그 외의 현상을 혼합되는 것들과 혼융되는 것들에서 취하며, 혼합되는 것들이자 그것들 각각이 그것들의 고유한 본성을 보존하는 그런 식으로 상호에 전체를 통하여 완전히 괕오하는 것들에서 그 외의 현상을 취한다고 말한다.
(7) τὴν δὲ τοιαύτην ἀντιπαρέκτασιν τῶν κιρναμένων ὑπολαμβάνει γίνεσθαι χωρούντων δι᾿ ἀλλήλων τῶν κιρναμένων σωμάτων, ὡς μηδὲν μόριον ἐν αὐτοῖς εἶναι μὴ μετέχον πάντων τῶν ἐν τῷ τοιούτῳ κεκραμένῳ μίγματι.
(7) 그런데 혼합되는 것들의 이러한 완전한 상호 관통을 그는 혼합되는 물체들이 상호의 것들을 통해 포함할 때 생긴다고 간주하고, 그래서 이 혼합되는 섞임 내의 모든 것들에 참여하지 않는 부분은 그것들 안에 전혀 없다고 간주한다.
(8) τοῦ δὲ τοῦτο οἴεσθαι γίνεσθαι πίστεις φέρουσιν οἱ προιστάμενοι τῆσδε τῆς δόξης τό τε πολλὰ τῶν σωμάτων σώζειν τὰς ἑαυτῶν ποιότητας ἐπὶ τ᾿ ἐλαττόνων ἐναργῶν ὄγκων καὶ ἐπὶ μειζόνων ὄντα (ὡς ὁρᾶν ἔστιν ἐπὶ τοῦ λιβανωτοῦ, ὃς ἐν τῷ θυμιᾶσθαι λεπτυνόμενος ἐπὶ πλεῖστον τὴν αὑτοῦ φυλάσσει ποιότητα), ἔτι τε τὸ πολλὰ εἶναι, ἃ καθ᾿ ἑαυτὰ μὴ οἷά τε ὄντα ἐπί τι ἐλθεῖν μέγεθος ὑπ᾿ ἄλλων βοηθούμενα ἐπ᾿ αὐτὸ πρόεισι. τὸν γοῦν χρυσὸν ὑπό τινων μιγνυμένων φαρμάκων ἐπὶ πλεῖστον χεῖσθαί τε καὶ λεπτύνεσθαι, ἐφ᾿ ὅσον καθ᾿ αὑτὸν ἐλαυνόμενος οὐκ ἐδύνατο . . .
(8) 이러한 일이 이루어진다는 생각에 대한 논증(확신)들로서 이러한 의견(믿음)을 내세우는 자들은 다음 사항들을 제시한다. 물체들의 대부분이 더 작은 가시적 덩어리들 관한 경우든 더 큰 가시적 덩어리들에 관한 경우이든 그 자신들의 속성들을 유지한다는 점(유항에 관련하여 볼 수 있듯, 그것이 피워지는 경우에서 희박화되면서 아주 큰 범위에 걸쳐 그 자체의 속성을 지켜내는 것처럼), 더 나아가 많은 것들이, 그 자체에 따라 어떤 크기에 닿을 수 없는 것들이면서 그 외의 것들에 의해 도움을 받아 그 크기로 나아가는 그런 것들이라는 점도. 그러므로 확실히 황금은 어떤 혼합되는 약품들에 의해서, 그 자체로 단조되어서 이를 수 없는 정도까지, 아주 큰 범위에 걸쳐 용해되고 희박화된다. . .
(9) ὧν οὕτως ἐχόντων οὐδέν φασι θαυμαστὸν τὸ καὶ σώματά τινα βοηθούμενα ὑπ᾿ ἀλλήλων οὕτως ἀλλήλοις ἑνοῦσθαι δι᾿ ὅλων, ὡς αὐτὰ σωζόμενα μετὰ τῶν οἰκείων ποιοτήτων ἀντιπαρεκτείνεσθαι ἀλλήλοις δι᾿ ὅλων ὅλα, κἂν ᾗ τινα ἐλάττω τὸν ὄγκον καὶ μὴ δυνάμενα καθ᾿ αὑτὰ ἐπὶ τοσοῦτον χεῖσθαί τε καὶ σώζειν τὰς οἰκείας ποιότητας. οὕτω γὰρ καὶ τὸν κύαθον τοῦ οἴνου κιρνᾶσθαι τῷ ὕδατι τῷ πολλῷ βοηθούμενον ὑπ᾿ αὐτοῦ εἰς τὴν ἐπὶ τοσοῦτον ἔκτασιν.
(9) 이러한 일들이 그러한 상태이기에 어떤 물체들도 그 외의 것들에 의해 도움을 받음으로써, 그 물체들이 고유한 성질들과 함께 보존하면서 전체들을 통하여 전체들로서 상호에 완전히 관통하는 방식으로, 그렇게 상호간에 전체들을 통하여 통일된다는 것이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니라고 그들은 말한다, 더 작은 어떤 덩어리이고 그것들 자체로 그 정도까지 용해될 수도 없고 고유한 속성들을 보존할 수도 없는 것일지라도. 왜냐하면 그런 식으로 한 잔의 포도주도 많은 물과 그 물에 의해 도움을 받아 그 만큼의 연장까지 융합된다고 하기 때문이다.
(10) τοῦ δὲ τοῦθ᾿ οὕτως ἔχειν ὡς ἐναργέσι χρῶνται μαρτυρίοις τῷ τε τὴν ψυχὴν ἰδίαν ὑπόστασιν ἔχουσαν, ὥσπερ καὶ τὸ δεχόμενον αὐτὴν σῶμα, δι᾿ ὅλου τοῦ σώματος διήκειν ἐν τῇ μίξει τῇ πρὸς αὐτὸ σώζουσαν τὴν οἰκείαν οὐσίαν (οὐδὲν γὰρ ψυχῆς ἄμοιρον τοῦ τὴν ψυχὴν ἔχοντος σώματος), ὁμοίως δὲ ἔχειν καὶ τὴν τῶν φυτῶν φύσιν, ἀλλὰ καὶ τὴν ἕξιν ἐν τοῖς συνεχομένοις ὑπὸ τῆς ἕξεως.
(10) 이 일이 그러한 처지라는 점에 대해 명백한 증거들로서 그들은 개별적인 기초를 지닌 영혼이, 그 영혼을 받아들이는 물체도 그러하듯, 물체 전체를 통하여 그 물체에 대한 영혼의 고유한 존재를 보존하는 혼합 속에서 관통한다는 점을 (왜냐하면 영혼이 그 영혼을 지니는 물체에 대해 몫의 결여가 전혀 없으므로), 식물들의 생장 또한 마찬가지 상태이나, 견지에 의해 지탱되는 것들 내에서의 그 견지도 그러하다는 점을 사용한다.
(11) ἀλλὰ καὶ τὸ πῦρ ὅλον δι᾿ ὅλου χωρεῖν τοῦ σιδήρου λέγουσι, σώζοντος αὐτῶν ἑκατέρου τὴν οἰκείαν οὐσίαν.
(11) 뿐만 아니라 불 또한 전체로서 철 전체를 통하여 융해한다고 그들은 말하는데, 그 둘 각각이 고유한 존재를 보존하면서 그러하다고 말한다.
(12) καὶ τῶν στοιχείων δέ φασι τῶν τεσσάρων τὰ δύο, τό τε πῦρ καὶ τὸν ἀέρα, λεπτομερῆ τε καὶ κοῦφα καὶ εὔτονα ὄντα, διὰ τῶν δύο, γῆς τε καὶ ὕδατος, παχυμερῶν καὶ βαρέων καὶ ἀτόνων ὄντων διαπεφοιτηκέναι ὅλα δι᾿ ὅλων, σώζοντα τὴν οἰκείαν φύσιν καὶ συνέχειαν αὐτά τε καὶ ἐκεῖνα.
(12) 그들은 네 가지 원소들 중 그 두 가지, 불과 공기 또한, 희박화되는 것들이자 가벼운 것들이며 잘 긴장된 것들로서, 두 가지 것들, 흙과 물, 조밀하고 무거우며 긴장이 풀린 것들인 그것들 전체들을 통하여 전체들로서 침투한다고, 고유한 생장과 지속을 이것들도 저것들도 보존하는 채로 그리한다고 말한다.

D Stobaeus 1.155,5 - 11 (SVF 2.471, part)
ὅτι δ᾿ ἐπὶ τοιούτων κράσεων διαμένουσιν αἱ ποιότητες τῶν συγκραθέντων, πρόδηλον ἐκ τοῦ πολλάκις ἐξ ἐπιμηχανήσεως ἀποχωρίζεσθαι ταῦτα ἀπ᾿ ἀλλήλων. ἐὰν γοῦν σπόγγον ἠλαιωμένον καθῇ τις εἰς οἶνον ὕδατι κεκραμένον, ἀποχωρίσει τὸ ὕδωρ τοῦ οἴνου ἀναδραμόντος τοῦ ὕδατος εἰς τὸν σπόγγον.
이러한 혼합들과 관련하여 그 공동으로 혼합된 것들의 속성들이 존속한다는 점은, 자주 인위적으로 그것들이 상호로부터 분리되어 나온다는 점으로부터 분명하다. 그러므로 만일 기름 먹은 해면을 누군가 물과 혼합된 포도주에 놓는다면, 물은 그 물이 해면으로 되돌아감으로써 포도주와 분리되어 나올 것이다.

E Plutarch, Comm. not. 1078B-D (including SVF 2.465, part)
(1) ἀλλ᾿ ἀνάγκη γιγνομένης ὥσπερ ἀξιοῦσι τῆς ἀνακράσεως ἐν ἀλλήλοις τὰ μιγνύμενα γίγνεσθαι καὶ ταὐτὸν ὁμοῦ τῷ ἐνυπάρχειν περιέχεσθαι καὶ τῷ δέχεσθαι περιέχειν θάτερον· καὶ μηδέτερον αὐτῶν αὖ πάλιν δυνατὸν εἶναι συμβαίνει, ἀμφότερα τῆς κράσεως δι᾿ ἀλλήλων διιέναι καὶ μηδὲν ἐπιλείπεσθαι μηδενὸς μόριον ἀλλὰ <πᾶν> παντὸς ἀναπίμπλασθαι βιαζομένης.
(1) 그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혼합이 이루어질 경우 그 섞인 것들이 그것들 상호간에 생겨남이 필연적이고 동일한 것이 동시에 포함하는 것에 의해 포함됨이 필연적이며 그 수용됨으로써 다른 것을 포함함도 필연적이다: 다시 또 역으로 이러한 일들 중 어느 쪽도 귀결되어 나올 수 없는데, 그 혼합이 양자가 상호를 통해 관통하며 어떤 부분도 전혀 남김이 없이 오히려 모든 것을 모든 것으로 채워지도록 강제하기 때문이다.
(2) ἐνταῦθα δήπου καὶ τὸ θρυλούμενον ἐν ταῖς διατριβαῖς Ἀρκεσιλάου σκέλος ἥκει ταῖς ἀπορίαις ἐπεμβαῖνον αὐτῶν μετὰ γέλωτος. εἰ γάρ εἰσιν αἱ κράσεις δι᾿ ὅλων, τί κωλύει, τοῦ σκέλους ἀποκοπέντος καὶ κατασαπέντος καὶ ῥιφέντος εἰς τὴν θάλατταν καὶ διαχυθέντος, οὐ τὸν Ἀντιγόνου μόνον στόλον διεκπλεῖν, ὡς ἔλεγεν Ἀρκεσίλαος, ἀλλὰ τὰς Ξέρξου χιλίας καὶ διακοσίας καὶ τὰς Ἑλληνικὰς ὁμοῦ τριακοσίας τριήρεις ἐν τῷ σκέλει ναυμαχούσας;
(2) 아마도 이로부터 아르케실라오스의 연구들에서 그 논란이 되는 다리가 조롱과 더불어 발을 내딛어 난점들에 당도하였을 것이다. 왜냐하면 만일 그 혼합들이 전체들을 통한 것이라면, 무엇이 막겠는가, 그 다리가 잘려나가고 시들어 바다에 던져져 분해되어 버렸을 때, 안티고노스의 군대만가 바다를 건너는 것뿐만 아니라, 아르케실라오스의 말대로, 크세르크세스의 1,200 삼단노선들과 마찬가지로 헬라스의 300 삼단노선들도 그 다리에서 해전을 벌이는 것 또한?

F Themistius, In Ar. Phys. 104,9-19 (including SVF 2.468)
(1) ἀλλ᾿ ὅρα μὴ περαιτέρω τοῦ δέοντος τὸν τόπον ἀποσεμνύνωμεν· σκέψαι γὰρ καὶ τοὺς ἐναντίους λόγους οἳ πρὸς τῷ μηδὲν αὐτῷ προστιθέναι καὶ καθάπαξ αὐτὸν ἀναιροῦσιν. εἰ γὰρ ἐπιχειρήσεις . . . τί ἐστιν ὁ τόπος ἀποδιδόναι, εἰς τὸ μὴ εἶναι αὐτὸν ὁμολογεῖν περιαχθήσῃ· πρῶτον γὰρ εἰς τί γένος ἀνάξεις τὸν τόπον; ἢ δῆλον ὅτι εἰς σῶμα; καὶ γὰρ ὁ τόπος ἐπὶ τρία διέστηκεν.
(1) 그러나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이 우리가 장소를 드높여주지 않았는지 보라: 즉 그것에 아무것도 추가하지 않고 그것을 단번에 완전히 전복시키는 반대 논변들도 검토하라. 만일 당신이 장소가 무엇인지 설명해내고자 시도한다면, 그것이 ~이지 않다는 점에 동의하는 쪽으로 돌려질 것이다: 왜냐하면 우선 당신은 어떤 유로 장소를 귀착시키겠는가? 혹은 물체로 귀착시킬 것임이 분명한가? 왜냐하면 장소도 세 차원으로 연장하기 때문이다.
(2) ἀλλ᾿ οὕτω τὸ πάντων ἀτοπώτατον ἀπαντήσεται· σῶμα γὰρ διὰ σώματος χωρήσει δι᾿ ὅλου καὶ δύο σώματα τὸν αὐτὸν ἐφέξει τόπον· εἰ γὰρ καὶ ὁ τόπος σῶμα καὶ τὸ γενόμενον ἐν αὐτῷ σῶμα καὶ ἴσα τοῖς διαστήμασιν ἄμφω, τὸ σῶμα ἔσται ἐν ἴσῳ ἑτέρῳ σώματι. τοῦτο δὲ Χρυσίππῳ μὲν καὶ τοῖς ἀπὸ Ζήνωνος δόγμασίν ἐστιν, οἱ παλαιοὶ δὲ ἀπάγουσιν ὡς εἰς ἀδύνατον ἐναργῶς.
(2) 그러나 그런 식으로 무엇보다도 가장 비장소적인 것이 발생할 것이다: 왜냐하면 물체는 물체를 통해 전체를 통하여 융해될 것이고 두 물체들이 동일한 장소를 점유할 것이기 때문이다: 만일 장소도 물체이고 그 안에 생겨나는 것도 물체이며 양자가 크기들로서 같은 크기인 것들이라면, 한 물체가 같은 크기의 다른 물체 안에 속할 것이다. 이것은 크뤼십포스에게 그리고 제논으로부터 나온 이론들에 속하고, 고대인들은 명백히 불가능한 것으로 돌렸다.

-蟲-

P Philo, Leg. alleg. 2.22-3 (SVF 2.458, part)
(1) ὁ γυμνὸς καὶ ἀνένδετος σώματι νοῦς - περὶ γὰρ τοῦ μήπω ἐνδεδεμένου ἐστὶν ὁ λόγος - Πολλὰς ἔχει δυνάμεις, ἑκτικὴν φυσικὴν ψυχικὴν λογικὴν διανοητικήν, ἄλλας μυρίας κατά τε εἴδη καὶ γένη. (2) ἡ μὲν ἕξις κοινὴ καὶ τῶν ἀψύχων ἐστὶ λίθων καὶ ξύλων, ἧς μετέχει καὶ τὰ ἐν ἡμῖν ἐοικότα λίθοις ὀστέα. (3) ἡ δὲ φύσις διατείνει καὶ ἐπὶ τὰ φυτά· καὶ ἐν ἡμῖν δέ ἐστιν ἐοικότα φυτοῖς, ὄνυχές τε καὶ τρίχες· ἔστι δὲ ἡ φύσις ἕξις ἥδη κινουμένη. (4) ψυχὴ δέ ἐστι φύσις προσειληφυῖα φαντασίαν καὶ ὁρμήν· ὅυτη κοινὴ καὶ τῶν ἀλόγων ἐστίν· ἔχει δὲ καὶ ὁ ἡμέτερος νοῦς ἀναλογοῦν τι ἀλόγου ψυχῇ. πάλιν ἡ διανοητικὴ δύναμις ἰδία τοῦ νοῦ ἐστι, καὶ ἡ λογικὴ κοινὴ μὲν τάχα καὶ τῶν θειοτέρων φύσεων, ἰδία δὲ ὡς ἐν θνητοῖς ἀνθρώπου· αὕτη δὲ διττή, ἡ μὲν καθ᾿ ἣν λογικοί ἐσμεν νοῦ μετέχοντες, ἡ δὲ καθ᾿ ἣν διαλεγόμεθα.
(1) 노골적이며 육체에 묶이지 않은 정신은 - 왜냐하면 합리는 여전히 제한되지 않은 것에 관한 것이기에 - 많은 능력들을, 견지적 능력 자연적 능력 영적 능력 합리적 능력 지적 능력, 종들과 유들에 따른 그 밖의 무수한 능력들을 지닌다. (2) 견지는 영혼 없는 돌들과 목재들에도 공통되는데, 그 견지에 돌들과 닮은 우리 안의 뼈들도 참여한다. (3) 그런데 자연은 식물들에게까지도 확장한다: 우리들 안에서도 식물들과 닮은 것들이, 손톱과 머리카락이다: 자연은 촉발되는 견지이다. (4) 그런데 영혼은 인상과 충동을 더하여 가진 자연이다: 이러한 영혼은 비합리적인 것들에도 공통된다: 우리의 지성도 비합리적인 것의 영혼과 어떤 유사점을 갖는다. 역으로 지적 능력은 지성에 고유하며, 합리적 능력은 아마 더 신적인 본성들과도 공통되겠지만, 필멸자들 중에서는 인간에게 고유하다: 이러한 능력은 두 가지로, 하나는 그에 따라 지성에 참여하는 이들이 합리적인 자들이 될 것이고, 다른 쪽은 그에 따라 우리가 대화한다.

Q Philo, Quod deus sit immutabilis 35-6 (SVF 2.458, part)
(1) τῶν γὰρ σωμάτων τὰ μὲν ἐνεδήσατο ἕξει, τὰ δὲ φύσει, τὰ δὲ ψυχῇ, τὰ δὲ λογικῇ ψυχῇ. (2) λίθων μὲν οὖν καὶ ξύλων, ἃ δὴ τῆς συμφυίας ἀπέσπασται, δεσμὸν κραταιότατον ἕξιν εἰργάζετο· ἡ δέ ἐστι πνεῦμα ἀναστρέφον ἐφ᾿ ἑαυτό· ἄρχεται μὲν γὰρ ἀπὸ τῶν μέσων ἐπὶ τὰ πέρατα τείνεσθαι, ψαῦσαν δὲ ἄκρας ἐπιφανείας ἀνακάμπτει πάλιν, ἄχρις ἂν ἐπὶ τὸν αὐτὸν ἀφίκηται τόπον, ἀφ᾿ οὗ τὸ πρῶτον ὡρμήθη· (3) ἕξεως ὁ συνεχὴς οὗτος δίαυλος ἄφθαρτος.
왜냐하면 (신이) 물체들 중 일부는 견지로써 구속하였고, 다른 것들은 자연으로써, 또 다른 것들은 영혼으로써, 또 다른 것들은 합리적 영혼으로써 그리 하였기 때문이다. (2) 그러므로 돌들과, 자연적 연결로부터 빠져나온, 그런 목재들의 구속을 가장 강력한 견지로 만들었다: 그런데 그 견지는 자신으로 회귀하는 프네우마이다: 왜냐하면 중앙의 것들로부터 끝들을 향해 연장되기 시작하지만, 가장 바깥 표면에서 멈추어 되돌아 휘어들고, 거기에서부터 처음 추동된 그 동일한 장소에 도달할 때까지 그리하기 때문이다: (3) 견지의 이러한 지속적 왕복은 불멸이다.

R Philo, Quaestiones et solutiones in Genesin 2.4 (SVF 2.802)
  Corpus autem nostrum, ex multis compositum, extrinsecus et intrinsecus unitum est atque propria habitudine constat; superior autem habitudo conexionis istorum anima est, quae in medio consistens ubique permeat usque ad superficiem deque superficie in medium vertitur, ut unica natura spiritualis duplici convolvatur ligamine in firmiorem soliditatem unionemque coaptata.
  하지만 우리들의 육신, 많은 요소들로 이루어진 육신은, 안팎으로 통일되어 있으며 고유한 견지로써 존속한다: 하지만 이러한 것들의 연속보다 더 상위의 견지는 영혼이다, 영혼은 중앙에서 모든 곳에 존립하면서 모든 표면에서 표면으로 관통하여 중앙으로 되돌아 온다, 단일한 영적 본성이 이중의 끝에 의해 더욱 확고하게 결합된 단일성과 통일성으로 결속되도록.
  (1) Why does God command that the ark be tarred inside and outside? ... (2) Everything that is sustained by glue is immediately forced into a natural union. (3) Now our body, which is composed of many parts, is united externally and internally, and it holds firm by its own tenor. And the higher tenor of these parts is the soul: being at the centre, it moves everywhere, right to the surface and from the surface it returns to the centre. The result is that a single animate nature is enveloped by a double bond, thus being fitted to a stronger tenor and union. (4) This ark, then, is smeared with tar inside and outside for the reason mentioned.
  (1) 어째서 신은 방주가 안팎으로 도포되도록 명하는가? ... (2) 접착제에 의해 견지되는 모든 것은 즉각적으로 자연적 통일에로 강제된다. (3) 이제 우리의 신체, 여러 부분들로 구성된 신체는, 안팎으로 통일되어 있으며, 고유한 견지에 의해 견고히 유지한다. 그리고 이러한 부분들에 대한 더 상위의 견지는 영혼이다: 중앙에 있으면서, 그것은 모든 곳으로 움직이고, 바로 표면으로 또한 표면으로부터 그것이 중앙으로 돌아온다. 그 결과는 단일한 영혼의 본성이 이중의 끈에 의해 감싸이는 것이다, 더 강한 견지와 통일에 적합하도록. (4) 그래서 이 방주는 언급된 이유로 안팎이 타르로 칠해진다.

S Simplicius, In Ar. Cat. 237, 25 - 238, 20 (SVF 2.393, part)
(1) ἄξιον δὲ καὶ τὴν τῶν Στωικῶν συνήθειαν περὶ τὰ ὀνόματα ταῦτα καταμαθεῖν. δοκοῦσι γὰρ οὗτοί τισιν ἀνάπαλιν τῷ Ἀριστοτέλει τὴν διάθεσιν τῆς ἕξεως μονιμωτέραν ἡγεῖσθαι· (2) τὸ δὲ ἀφορμὴν μὲν ἔχει τῆς τοιαύτης ὑπονοίας, οὐ μέντοι κατὰ τὸ μονιμώτερον ἢ μὴ παρὰ τοῖς Στωικοῖς ἡ τούτων εἴληπται διαφορά, ἀλλὰ κατ᾿ ἄλλας διαθέσεις· καὶ γὰρ τὰς μὲν ἕξεις ἐπιτείνεσθαί φασιν δύνασθαι καὶ ἀνίεσθαι, τὰς δὲ διαθέσεις ἀνεπιτάτους εἶναι καὶ ἀνανέτους. διὸ καὶ τὴν εὐθύτητα τῆς ῥάβδου, κἂν εὐμετάβολος ᾖ δυναμένη κάμπτεσθαι, διάθεσιν εἶναί φασιν· μὴ γὰρ ἂν ἀνεθῆναι ἢ ἐπιταθῆναι τὴν εὐθύτητα μηδὲ ἔχειν τὸ μᾶλλον ἢ ἧττον, διόπερ εἶναι διάθεσιν. οὑτωσὶ δὲ καὶ τὰς ἀρετὰς διαθέσεις εἶναι, οὐ κατὰ τὸ μόνιμον ἰδίωμα, ἀλλὰ κατὰ τὸ ἀνεπίτατον καὶ ἀνεπίδεκτον τοῦ μᾶλλον· τὰς δὲ τέχνας καίτοι δυσκινήτους οὔσας [ἢ] μὴ εἶναι διαθέσεις.
(1) 이러한 용어들에 관한 스토아 학파의 관례적 용법 또한 자세히 배울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이들이 어떤 이들에게는 아리스토텔레스와 반대로 성향을 견지보다 더 안정적인 것으로 생각한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2) 그런데 이러한 추정의 계기는, 허나 더 안정적인 것에 따라서나 스토아 학파에 의해 취해진 이것들(상태와 성향)의 차이가 아니라, 다른 성향들에 따른 것이다: 왜냐하면 그들이 견지들은 긴장과 이완이 가능한 반면, 성향들은 긴장도 이완도 되지 않는 것들이라고 말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막대의 곧음도, 휘어질 수 있기에 가변적인 것일지라도, 성향이라고 말한다: 왜냐하면 그 곧음이 긴장이나 이완할 수도 없고 더 하거나 덜 할 수도 없을 것이며, 바로 그 점에서 성향이라고 말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런 식으로 덕들 또한 성향들이라고, 안정적 특성에 따라서가 아니라, 증가 불가와 증대의 불허에 따라서 그리 말한다: 그렇지만 기술들은 움직이기 어려운 것들임에도 성향들이 아니라고 말한다.
(3) καὶ ἐοίκασιν τὴν μὲν ἕξιν ἐν τῷ πλάτει τοῦ εἴδους θεωρεῖν, τὴν δὲ διάθεσιν ἐν τῷ τέλει τοῦ εἴδους καὶ ἐν τῷ μάλιστα, εἴτε κινοῖτο καὶ μεταβάλλοι, ὡς τὸ εὐθὺ τῆς ῥάβδου, εἴτε καὶ μή. (4) μᾶλλον δὲ ἐχρῆν ἐκεῖνο ἐπιστῆσαι, μὴ ἡ παρὰ τοῖς Στωικοῖς σχέσις ἡ αὐτή ἐστιν τῇ παρὰ Ἀριστοτέλει διαθέσει, κατὰ τὸ εὐανάλυτον καὶ δυσανάλυτον διισταμένη πρὸς τὴν ἕξιν. ἀλλ᾿ οὐδὲ οὕτως συμφωνοῦσιν. ὁ μὲν γὰρ Ἀριστοτέλης τὴν ἀβέβαιον ὑγίειαν διάθεσιν εἶναί φησιν, οἱ δὲ ἀπὸ τῆς Στοᾶς τὴν ὑγίειαν, ὅπως ἂν ἔχῃ, οὐ συγχωροῦσιν σχέσιν εἶναι· φέρειν γὰρ τὸ τῆς ἕξεως ἰδίωμα· τὰς μὲν γὰρ σχέσεις ταῖς ἐπικτήτοις καταστάσεσιν χαρακτηρίζεσθαι, τὰς δὲ ἕξεις ταῖς ἐξ ἑαυτῶν ἐνεργείαις.
(3) 또한 그들은 견지를 종의 넓이(범위)에서 파악하는 반면, 성향은 종의 결과와 최대치에서 파악하는 듯하다, 움직이거나 변화하든, 막대의 곧음처럼 그렇지 않든. (4) 저것을 좀 더 알아야만 한다. 스토아 학파의 '상태'라는 것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성향'과 같지 않다. 그것은 잘 분해되는 것과 분해되기 어려운 것에 따라 그의 '상태'와 구분된다. 허나 그들은 그런 식으로 동의하지도 않는다. 왜냐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불확실한 건강이 성향이라고 말하지만, 스토아 출신의 사람들은 그런 어떤 상태의 건강도 상태라고 동의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그들은 그것이 견지의 특성을 갖는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상태들은 획득된 상태들에 의해 특징지어지는(각인되는) 반면, 견지들은 그 자체로부터의 현실태들에 의해 특징지어지기 때문이다.
(5) ὅθεν οὐδὲ χρόνου μήκει ἢ ἰσχύι εἰδοποιοῦνται αἱ ἕξεις κατ᾿ αὐτούς, ἰδιότητι δέ τινι καὶ χαρακτῆρι, καὶ ὥσπερ τὰ ἐρριζωμένα μᾶλλον καὶ ἧττον ἐρρίζωται, ἓν δὲ ἔχει τὸ κοινὸν ἰδίωμα τὸ ἀντέχεσθαι τῆς γῆς, οὕτω καὶ ἡ ἕξις ἐπὶ τῶν δυσκινήτων καὶ εὐκινήτων ἡ αὐτὴ θεωρεῖται· ὅλως γὰρ τῷ γένει πολλὰ ποιὰ ὄντα ἐκλελυμένον ἐκεῖνο τὸ ἰδίωμα ἔχει καθ᾿ ὃ εἰδοποιεῖται, ὡς ὁ αὐστηρὸς οἶνος καὶ ἀμύγδαλα πικρὰ καὶ Μολοττικὸς κύων καὶ Μελιταῖος, οἷς πᾶσιν μέτεστι μὲν ὁ γενικὸς χαρακτήρ, ἐπὶ βραχὺ δὲ καὶ ἀνειμένως, καὶ ὅσον ἐπ᾿ αὐτοῖς τοῖς ἐν τῇ ἕξει λόγοις ἐπιμένει ἐπὶ μιᾶς καταστάσεως αὕτη, τὸ δὲ εὐκίνητον πολλάκις ἐξ ἄλλης αἰτίας ἔχει.
이로부터 그들에 따르자면 견지들은 시간의 길이로도 강도로도 형상화되지 않고, 어떤 고유성과 각인에 의해, 또한 마치 뿌리내려지는 것들이 더하거나 덜하게 뿌리내려지듯, 그러나 대지에 매달려 있다는 하나의 공통된 특성을 가지듯, 그런 식으로 견지도 움직이기 어렵거나 움직이기 쉬운 것들과 관련하여 같은 것으로 파악된다: 왜냐하면 전반적으로 유로써 이러저러한(성질을 지닌) 많은 것들은 그에 따라 형상화된 저 특성을 결여된 것으로서 지니는데, 거친 포도주와 쓴 아몬드 그리고 몰로시아 견(犬)과 몰타 견처럼 그러하며, 이런 것들 모두에 유(類)적인 각인이 함께하지만, 부족하게 그리고 약하게 함께하며, 그 견지에 속하는 바로 그 로고스들과 관련하는 한에서 단일한 상태에 관해 동일한 것으로 머물고, 그러나 자주 그 밖의 원인들로부터 변화하기 쉬운 것이다.

T Plutarch, Prim. frig. 948D-E, 949B (SVF 2.430, part)
(1) ἐπεὶ τὸ πῦρ θερμὸν ἅμα καὶ λαμπρόν ἐστι, δεῖ τὴν ἀντικειμένην τῷ πυρὶ φύσιν ψυχράν τ᾿ εἶναι καὶ σκοτεινήν· ἀντίκειται γὰρ ὡς τῷ λαμπρῷ τὸ ζοφερὸν οὕτω τῷ θερμῷ τὸ ψυχρόν· ἔστι γὰρ ὡς ὄψεως τὸ σκοτεινὸν οὕτω τὸ ψυχρὸν ἁφῆς συγχυτικόν, ἡ δὲ θερμοτής διαχεῖ τὴν αἴσθησιν τοῦ ἁπτομένου καθάπερ ἡ λαμπρότης τοῦ ὁρῶντος. τὸ ἄρα πρώτως σκοτεινὸν ἐν τῇ φύσει πρώτως καὶ ψυχρόν ἐστιν. ὅτι δ᾿ ἀὴρ τὸ πρώτως σκοτεινόν ἐστιν, οὐδὲ τοὺς ποιητὰς λέληθεν· . . . (2) καὶ μὴν ἁπάντων γε τῶν γινομένων ὑπὸ ψυχρότητος ἐν τοῖς σώμασι σφοδρότατον καὶ βιαιότατον ἡ πῆξις οὖσα πάθος μέν ἐστιν ὕδατος ἔργον δ᾿ ἀέρος· αὐτὸ μὲν γὰρ καθ᾿ ἑαυτὸ τὸ ὕδωρ εὐδιάχυτον καὶ ἀπαγὲς καὶ ἀσύστατόν ἐστιν, ἐντείνεται δὲ καὶ συνάγεται τῷ ἀέρι σφιγγόμενον ὑπὸ ψυχρότητος.
(1) 불은 뜨거운 동시에 밝은 것이기에, 불과 반대되는 본성은 차갑고 어두워야 한다: 왜냐하면 탁함이 밝음에 반대되듯 그런 식으로 뜨거움에 차가움이 반대되기 때문이다: 즉 시각에 대해 어두움처럼 촉각에 대해 차가움이 교란자인데, 뜨거움은 접촉하는 자의 감각을 마치 빛이 보는 자에 대해 그러하듯 분산시킨다. 그래서 본성상 일차적으로 어두운 것은 또한 일차적으로 차갑기도 하다. 일차적으로 어두운 것이 공기라는 것은, 시인들이 잘못 알았던 것도 아니다: . . . (2) 그런가 하면 차가움에 의해 물체들 내에 생겨나는 모든 것들 중에서 가장 극단적이고 가장 강제적인 겪음(상태)으로서 고체화(동결)은 물에 대한 공기의 작용이다: 왜냐하면 그 자체로 바로 그 물은 쉽사리 분산되고 비고정적이며 조밀하지 못하지만, 차가움에 의해 당겨짐으로써 공기에 의해 긴장되고 밀집되기 때문이다.

-蟲-

H Galen, Palc. 5.3.8 (SVF 2.841, part)
τοῦτ᾿ οὖν τὸ πνεῦμα δύο μὲν κέκτηται μόριά τε καὶ στοιχεῖα καὶ καταστάσεις, δι᾿ ὅλων ἀλλήλοις κεκραμ[μ]ένα, τὸ ψυχρὸν καὶ θερμόν, εἴπερ δ᾿ ἑτέροις ὀνόμασι καὶ ἀπὸ τῶν οὐσιῶν ἐθέλοι τις αὐτὰ προσαγορεύειν, ἀέρα τε καὶ πῦρ· οὐ μὴν ἀλλὰ καὶ ἰκμάδα τινὰ προσείληφεν ἀπὸ τῶν σωμάτων ἐν οἷς διαιτᾶται.
그러므로 이러한 프네우마는, 그 전체들에 걸쳐 상호에 혼합되는 것들인 두 부분들, 원소들이자 상태들을, 냉(冷)과 온(溫), 만일 누군가 그것들을 그것들의 ousia들로부터 나온 다른 이름들로 부르고자 한다면, 공기와 불을 지닌다: 그뿐만 아니라 물체들, 그것들 안에서 그것이 살아가는 그 물체들로부터 나온 어떤 습기 또한 더하여 가진다.
κεκραμένα : κεράννυμι pf. part. mix, mingle. blend. κρᾶσις. differ from μείγνυμι.
I Alexander, Mixt. 224,14-27 (SVF 2.442)
(1) πρὸς δὲ τούτοις, εἰ τὸ πνεῦμα γεγονὸς ἐκ πυρός τε καὶ ἀέρος διὰ πάντων πεφοίτηκε τῶν σωμάτων <τῷ> πᾶσιν αὐτοῖς κεκρᾶσθαι καὶ ἑκάστῳ αὐτῶν ἐκ τούτου ἠρτῆσθαι τὸ εἶναι, πῶς ἂν ἔτι ἁπλοῦν τι εἴη σῶμα; πῶς δ᾿ ἄν, εἰ ὕστερον τὸ ἔκ τινων συγκείμενον τῶν ἁπλῶν, τὸ πῦρ ἂν καὶ ὁ ἀήρ εἴη, ἐξ ὧν μιγνυμένων τὸ πνεῦμα γίνεται, οὗ χωρὶς ἀδύνατον εἶναί τι σώμα; εἰ γὰρ ἐξ ἐκείνων μὲν ἡ γένεσις τῷ πνεῦματι, ἀδύνατον δὲ ἐκείνων εἶναί τι χωρὶς πνεύματος, οὔτ᾿ ἂν ἐκείνων τι εἴη πρὸ τῆς τοῦ πνεύματος γενέσεως, οὔτ᾿ ἂν τὸ πνεῦμα γίνοιτο, οὐκ ὄντων, ἐξ ὧν ἡ γένεσις αὐτῷ. πῶς δ᾿ ἄν τις ἐν τῷ ψυχρῷ ἐνεργείᾳ τι θερμόν εἶναι λέγοι; (2) τίς δὲ καὶ ἡ εἰς τὸ ἐναντίον ἅμα κίνησις αὐτοῦ, καθ᾿ ἣν συνέχειν τὰ ἐν οἷς ἂν ᾗ, ὂν ὥς φασι πνεῦμα κινούμενον ἅμα ἐξ αὑτοῦ τε καὶ εἰς αὑτό; καὶ κατὰ τί εἶδος κινήσεως γίνεται; κατ᾿ οὐδὲν γὰρ οἷόν τ᾿ ἐστὶ νοῆσαί τι ἅμα εἰς τὰ ἐναντία κινούμενον καθ᾿ αὑτό.
(1) 이것들에 더하여, 만일 프네우마가 불과 공기로부터 생겨나서 모든 물체들을 통하여 이 모든 것들과 결합함으로써 그리고 그 물체들 각각으로서의 '~임'이 그 프네우마에 의존함으로써 나아간다면, 어떻게 여전히 그것이 어떤 단순한 물체이겠는가? 그런데, 만일 단순한 어떤 것들로 이루어진 이후의 결합물이라면, 그것들이 섞임을 통하여, 그것과 따로 떨어져 어떤 물체이기가 불가능한 프네우마가 생겨나는, 그 불과 공기가 어떻게 있겠는가? 저것들로부터 프네우마에게 생성이 주어지는 반면, 저것들의 무엇임은 프네우마와 따로 떨어져서는 불가능하고, 프네우마의 생성에 앞서 저것들 중 무엇이지도 못할 것이며, 그런데 프네우마는 생겨날 테고, 그것들로부터 프네우마에 생성이 주어지는 그것들에게서 생겨나진 않을 테니. 한편 누가 어떻게 냉한 현실태 안에 무언가 온함이 있다고 말하겠는가? (2) 또한, 그 운동에 따라 프네우마가 그것들 안에 내재하는 그런 것들을 지탱하는, 반대 방향으로의 프네우마 자체의 운동이 무엇인가? 그들 말대로 프네우마는 그 자신으로부터 또한 동시에 그 자신에게로 향하여 움직이는 것이니. 또한 운동의 어떤 형상에 따라 생겨나는가? 왜냐하면 그 자체로 동시에 반대쪽으로 움직이는 무언가는 어떤 식으로도 생각할 수 없기 때문이다.
πεφοίτηκε : φοιτάω pf. go to and fro. roam wildly about. resort to. come in regularly, be imported.
ἠρτῆσθαι : ἀρτάω pf. mp. fasten to, hang upon. ἔκ τινος. depend upon.
J Nemesius 70,6-71,4
(1) εἰ τοίνυν σῶμά ἐστιν ἡ ψυχὴ οἱονδήποτε, εἰ καὶ λεπτομερέστατον, τί πάλιν ἐστὶ τὸ συνέχον ἐκείνην; (2) ἐδείχθη γὰρ πᾶν σῶμα δεῖσθαι τοῦ συνέχοντος, καὶ οὕτως εἰς ἄπειρον, ἕως ἂν καταντήσωμεν εἰς ἀσώματον. (3) εἰ δὲ λέγοιεν, καθάπερ οἱ Στωικοί, τονικήν τινα εἶναι κίνησιν περὶ τὰ σώματα, εἰς τὸ ἔσω ἅμα καὶ εἰς τὸ ἔξω κινουμένην, καὶ τὴν μὲν εἰς τὸ ἔξω μεγεθῶν καὶ ποιοτήτων ἀποτελεστικὴν εἶναι, τὴν δὲ εἰς τὸ ἔσω ἑνώσεως καὶ οὐσίας, ἐρωτητέον αὐτούς, ἐπειδὴ πᾶσα κίνησις ἀπό τινός ἐστι δυνάμεως, τίς ἡ δύναμις αὕτη καὶ ἐν τίνι οὐσίωται;
(1) 따라서 만일 영혼이 어쨌든 어떤 물체라면, 또 만일 가장 희박한 물체라면, 다시 저 영혼을 지탱하는 것은 무엇인가? (2) 왜냐하면 모든 물체가 지탱해주는 것을 필요로 한다는 점이 증명되었고, 그런 식으로 무한하게, 비물체적인 것에 닿을 때까지 갈 것이기 때문이다. (3) 그런데 만일 그들이 스토아 학자들처럼 물체들에 관련하여 어떤 연장하는 운동이 있다고, 그 운동이 동시에 안팎으로 움직이는 것이라고, 바깥으로는 크기들과 성질들의 결정인인 반면, 안으로는 통일성과 존재의 결정인이라고 한다면, 그들은 질문을 받아야만 한다. 모든 운동은 어떤 능력으로부터 성립하기에, 이 능력이 무엇이며 무엇 안에서 성립되었는가?
K Galen, Musc. mot. 4.402,12-403,10 (SVF 2.450, part)
(1) ἔστω τις ὑψηλὸς ὄρνις ἐν ταὐτῷ τόπῳ φαινόμενος μένειν. πότερον ἀκίνητον εῑναι τοῦτον λεκτέον, ὥσπερ εἰ καὶ κρεμάμενος ἄνωθεν ἔτυχεν, ἢ κινεῖσθαι τὴν ἐπὶ τὰ ἄνω κίνησιν εἰς τοσοῦτον εἰς ὅσον ἤγαγεν αὐτὸν κάτω τὸ τοῦ σώματος βάρος; ἐμοὶ μὲν τοῦτο ἀληθέτερον εἶναι δοκεῖ. στερήσας γοῦν αὐτὸν τῆς ψυχῆς ἢ τοῦ τῶν μυῶν τόνου, ταχέως ἐπὶ τὴν γῆν ὄψει καταφερόμενον· ᾧ δῆλον ὅτι τὴν σύμφυτον τῷ τοῦ σώματος βάρει κάτω ῥοπὴν εἰς ἴσον ἀντεσήκου τῇ κατὰ τὸν τῆς ψυχῆς τόνον ἄνω φορᾷ. (2) πότερον οὖν ἐν ταῖς τοιαύταις ἁπάσαις καταστάσεσι ποτὲ μὲν κάτω ποτὲ δὲ ἄνω τὸ σῶμα φέρεται τἀναντία πάσχον ἐν μέρει, διὰ δὲ τὸ ταχείας τε καὶ ὀξυρρόπους γίνεσθαι τὰς μεταβολὰς καὶ κατὰ βραχυτάτων διαστημάτων φέρεσθαι τὰς κινήσεις ἐν ταὐτῷ φαίνεται τόπῳ μένειν, ἢ ὄντως ἕνα διὰ παντὸς τοῦ χρόνου κατέχει τόπον, οὐ τοῦ παρόντος καιροῦ διελθεῖν.
높은 곳 같은 장소에 머물러 있는 것처럼 보이는 새가 있다고 하자. 이 새가 움직이지 않는다고 말해야 하는가, 마치 상공에 매달려 있기라도 한 듯이, 아니면 그 물체의 무게가 그 새를 아래로 이끌 그 만큼까지 상향의 움직임에서 움직여졌다고 말해야 하는가? 나로서는 이쪽(후자)이 더욱 참된 것이라 여겨진다. 그 새에게서 영혼을 또는 그 근육의 tonos(긴장?)를 빼앗고 나면, 당신은 곧 그 새가 땅으로 떨어지는 것을 볼 것이다: 이로써 분명한 사실은 (그 새가 자신의) 물체의 무게에 본래적인 하강 경향성을 (그 새의) 영혼의 tonos에 따른 상승 운동과 균형잡고 있었다는 것이다. (2) 그러므로 이와 같은 모든 정지들에서 어떤 경우에는 아래로 또 어떤 경우에는 위로 물체가 번갈아(차례로) 반대되는 일들을 겪으며 이동되고, 그 변화들이 빠르고 급격하게 됨으로 인하여 그리고 매우 짧은 간격들에 따른 이동으로 인하여 그 운동들이 동일한 장소에 머무는 것처럼 보이는 것인지, 또는 실제로 모든 시간에 걸쳐 단일한 장소를 점유하는지, 현시점에서 상술할 것은 아니다.
κρεμάμενος : κρεμάννυμι. mp. part. hang up. to be hung up. suspended.
στερήσας : στερέω aor. part. deprive c. acc. pers. et c. gen.
μυῶν : μῦς. muscle.
ῥοπὴν : ῥέπω. incline.
ἀντεσήκου : ἀντισηκόω impf. counterbalance.
L Alexander, Mixt. 223,25-36 (SVF 2.441, part)
(1) τούτου δ᾿ οὕτως ἔχοντος, πῶς ἂν ἔτι ἀληθὲς εἴη τὸ πᾶν ἡνῶσθαί τε καὶ συνέχεσθαι, πνεύματός τινος διὰ παντὸς διήκοντος αὐτοῦ; (2) ἔπειτα δ᾿ εὔλογον μὲν ἦν ὁμοίαν τὴν ὑπὸ τοῦ πνεύματος συνοχὴν γινομένην ἐν πᾶσιν εἶναι τοῖς σώμασιν· οὐχ οὕτως δ᾿ ἔχει. τῶν γὰρ σωμάτων τὰ μέν ἐστι συνεχῆ, τὰ δὲ διωρισμένα. διὸ εὐλογώτερον ἕκαστον αὐτῶν ὑπὸ τοῦ οἰκείου εἴδους συνέχεσθαί τε καὶ ἡνῶσθαι λέγειν πρὸς ἑαυτό, καθό ἐστιν αὐτῶν ἑκάστῳ τὸ εἶναι, τὴν <δὲ> συμπάθειαν αὐτῶν σῴζεσθαι τὴν πρὸς ἄλληλα διά τε τὴν τῆς ὕλης κοινωνίαν καὶ τὴν τοῦ περικειμένου θείου σώματος αὐτοῖς φύσιν, ἢ τῷ διὰ τοῦ πνεύματος δεσμῷ. (3) τίς γὰρ καὶ ὁ τόνος τοῦ πνεύματος, ὑφ᾿ οὗ συνδούμενα τήν τε συνέχειαν ἔχει τὴν πρὸς τὰ οἰκεῖα μέρη καὶ συνῆπται τοῖς παρακειμένοις;
(1) 그런데 사정이 이러할 때(물과 공기의 완전한 혼합이 불가능할 때), 어떻게 여전히 모든 것이 통일되고 견지된다는 것이 참일 수 있겠는가, 어떤 프네우마가 그 모든 것을 관통하여 있음에도? (2) 그리하여 프네우마에 의해 이루어지는 지속이 모든 물체들 내에서 동일하다는 것은 합리적이긴 하다: 그러나 사정은 그렇지 않다. 왜냐하면 물체들 중 일부는 지속시키는 것들이고, 다른 것들은 한정된 것들이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그것들 각각이 고유한 형상에 의해 그 자신을 향해 지속되고 통일되며, 그것들 각각에게 ~임인 바에 따라 그리 되는 한편, 서로에 대한 공동작용(?)은 질료의 공유와 그것들을 감싸는 신적인 물체의 본성으로 인해 구제된다고 말하는 편이, 프네우마를 통한 구속으로써 그리 된다고 하는 것보다 더욱 합리적이다. (3) 왜냐하면 프네우마의 tonos, 그것에 의해 (물체들이) 함께 묶임으로써 고유한 부분들을 향한 지속을 지니며 또한 곁하여 놓이는 것들에 연결되는 그 tonos는 또 무엇이란 말인가?
ἡνῶσθαί : ἑνόω pf. mp.
M Plutarch, St. rep. 1053F-1054B (SVF 2.449)
(1) πάλιν ἐν τοῖς Περὶ ἕξεων οὐδὲν ἄλλο τὰς ἕξεις πλὴν ἀέρας εἶναί φησιν· "ὑπὸ τούτων γὰρ συνέχεται τὸ σώματα· καὶ τοῦ ποιὸν ἕκαστον εἶναι τῶν ἕξει συνεχομένων αἴτιος ὁ συνέχων ἀήρ ἐστιν, ὃν σκληρότητα μὲν ἐν σιδήρῳ πυκνότητα δ᾿ ἐν λίθῳ λευκότητα δ᾿ ἐν ἀργύρῳ καλοῦσι". . . (2) καίτοι πανταχοῦ τὴν ὕλην ἀργὸν ἐξ ἑαυτῆς καὶ ἀκίνητον ὑποκεῖσθαι ταῖς ποιότησιν ἀποφαίνουσι, τὰς δὲ ποιότητας πνεύματα οὔσας καὶ τόνους ἀερώδεις, οἷς(vel οἷος) ἂν ἐγγένωνται μέρεσι τῆς ὕλης, εἰδοποιεῖν ἕκαστα καὶ σχηματίζειν.
(1) 다시 『상태들에 관하여』에서 그(크뤼싶포스)는 그 상태들이 공기의 상태들 외에 다른 무엇도 아니라고 말한다: "왜냐하면 이 상태들에 의해 물체가 지속되기 때문이다: 그 상태에 의해 지속되는 것들의 각 성질(어떠함)에 대해 원인이 되는 것은 지속시키는 공기이고, 그것은 철에서는 경(硬)으로 돌에서는 밀(密)로 은에서는 백(白)으로 부르는 것이다.". . . (2) 게다가 질료는 모든 면에서 그 자체로부터 비활성의 것이자 부동의 것으로서 성질들의 기체로 놓인다고 주장하며, 성질들이 프네우마이자 공기의 형상을 한 tonos들이기에, 질료의 부분들에 내재할 것들로서, 각각의 것들을 형상화하고 형태부여한다고 주장한다.
N Galen, Intr. 14.726,7-11 (SVF 2.716, part)
τοῦ δὲ ἐμφύτου πνεύματος διττὸν εἶδος, τὸ μὲν φυσικόν, τὸ δὲ ψυχικόν· εἰσὶ δὲ οἳ καὶ τρίτον εἰσάγουσι, τὸ ἑκτικόν· ἑκτικὸν μὲν οὖν ἐστι πνεῦμα τὸ συνέχον τοὺς λίθους, φυσικὸν δὲ τὸ τρέφον τὰ ζῷα καὶ τὰ φυτά, ψυχικὸν δὲ τὸ ἐπὶ τῶν ἐμψύχων αἰσθητικά τε ποιοῦν τὰ ζῷα καὶ κινούμενα πᾶσαν κίνησιν.
본래적 프네우마에 대해 두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자연적인 것이고, 다른 것은 영혼스러운(?) 것이다: 그런데 세 번째로 상태적인 것을 도입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므로 돌들을 지속시키는 것은 상태적인 프네우마이고, 동식물을 생육하는 것은 자연적인 것이며, 영혼을 가진 것들에 대해 동물들을 감각을 지닌 것들이자 모든 움직임이 되도록 만드는 것은 영혼스러운 것이다.
O Diogenes Laertius 7.138-9 (including SVF 2.634)
(1) τὸν δὴ κόσμον διοικεῖσθαι κατὰ νοῦν καὶ πρόνοιαν, καθά φησι Χρύσιππός τ᾿ ἐν τῷ πέμπτῳ Περὶ προνοίας καὶ Ποσειδώνιος ἐν τῷ τρισκαιδεκάτῳ Περὶ θεῶν, εἰς ἅπαν αὐτοῦ μέρος διήκοντος τοῦ νοῦ, καθάπερ ἐφ᾿ ἡμῶν τῆς ψυχῆς· (2) ἀλλ᾿ ἤδη δι᾿ ὧν μὲν μᾶλλον, δι᾿ ὧν δὲ ἧττον. δι᾿ ὧν μὲν γὰρ ὡς ἕξις κεχώρηκεν, ὡς διὰ τῶν ὀστῶν καὶ τῶν νεύρων· δι᾿ ὧν δὲ ὡς νοῦς, ὡς διὰ τοῦ ἡγεμονικοῦ. (3) οὕτω δὴ καὶ τὸν ὅλον κόσμον ζῷον ὄντα καὶ ἔμψυχον καὶ λογικόν, ἔχειν ἡγεμονικὸν μὲν τὸν αἰθέρα, καθά φησιν Ἀντίπατρος ὁ Τύριος ἐν τῷ ὀγδόῳ Περὶ κόσμου. (4) Χρύσιππος δ᾿ ἐν τῷ πρώτῳ Περὶ προνοίας καὶ Ποσειδώνιος ἐν τῷ Περὶ θεῶν τὸν οὐρανόν φασι τὸ ἡγεμονικὸν τοῦ κόσμου, Κλεάνθης δὲ τὸν ἥλιον. ὁ μέντοι Χρύσιππος διαφορώτερον πάλιν τὸ καθαρώτατον τοῦ αἰθέρος ἐν ταὐτῷ· ὃ καὶ πρῶτον θεὸν <ὂν> λέγουσιν αἰσθητικῶς ὥσπερ κεχωρηκέναι διὰ τῶν ἐν ἀέρι καὶ διὰ τῶν ζῴων ἁπάντων καὶ φυτῶν, διὰ δὲ τῆς γῆς αὐτῆς καθ᾿ ἕξιν.
(1) 그들은 우주가 지성과 지혜에 따라 주재된다고 말한다, 크뤼싶포스가 『지혜에 관하여』 5권에서 그리고 포세이도니오스가 『신들에 관하여』 30권에서 말하는 바들에 따라, 지성이 그 우주의 모든 부분으로 관통하기에, 마치 우리들에게 영혼이 그러한 것과 마찬가지로 그렇기에: (2) 하지만 이제 그것들 중 일부를 통해서는 더 많이, 다른 것들을 통해서는 더 적게 관통한다. 왜냐하면 그것들의 일부를 통해서는 상태인 것으로서 침윤하여 있는데, 뼈들과 힘줄들을 통해서처럼 그리하고: 반면 다른 것들을 통해서는 지성으로서, 주재처(主宰處, hegemonikon)를 통해서처럼 침윤하여 있기 때문이다. (3) 그런 식으로 더 나아가 그들은 우주 전체가 살아있는 것이자 영혼을 가진 것 그리고 이성적인 것으로서, aether를 주재처로 지닌다고 말한다, 튀로스인 안티파트로스가 『우주에 관하여』 8권에서 말하는 바들에 따라. (4) 크뤼싶포스는 『지혜에 관하여』 1권에서 포세이도니오스는 『신들에 관하여』에서 하늘을 우주의 주재처로 말하고, 클레안테스는 태양을 그리 말한다. 그렇지만 크뤼싶포스는 같은 곳에서 다시 더욱 다른 것, aether의 가장 정화된 것을 말한다: 그들은 이것을 최초의 신인 것으로서 감각적으로,  공기 중의 것들을 통해서 그리고 모든 동식물들을 통해서, 그리고 대지 자체를 통해서 상태에 따라서 침윤하는 것처럼 말한다.

-蟲-

47 Elements, breath, tenor, tension
A Stobaeus 1.129,2-130,13 (SVF 2.413, part)
(1) Χρυσίππου. περὶ δὲ τῶν ἐκ τῆς οὐσίας στοιχείων τοιαῦτά τινα ἀποφαίνεται, τῷ τῆς αἱρέσεως ἡγεμόνι Ζήνωνι κατακολουθῶν, (2) τέτταρα λέγων εἶναι στοιχεῖα <πῦρ, ἀέρα, ὕδωρ, γῆν, ἐξ ὧν συνίστασθαι πάντα (καὶ ζῷα> καὶ φυτὰ καὶ τὸν ὅλον κόσμον καὶ τὰ ἐν αὐτῷ περιεχόμενα) καὶ εἰς ταῦτα διαλύεσθαι.
(1) 크뤼십포스. 그는 존재로부터 나오는 원소들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어떠한 것들이라고 주장하는데, 그 학파의 지도자 제논에 따름으로써, (2) 원소들이 네 가지로 불, 공기, 물, 흙이며 그것들로부터 동물도 식물도 코스모스 전체도 그 안에 포함되는 것들이 결합되어 나오고 그것들로 해체되어 들어간다고 논함으로써 그리한다.
τῆς αἱρέσεως : LSJ p41. Ⅱ.2. system of philosophic principles, sect, school.
(3) τὸ δὲ κατ᾿ ἐξοχὴν στοιχεῖον λέγεσθαι διὰ τὸ ἐξ αὐτοῦ πρώτου τὰ λοιπὰ συνίστασθαι κατὰ μεταβολὴν καὶ εἰς αὐτὸ ἔσχατον πάντα χεόμενα διαλύεσθαι, τοῦτο δὲ μὴ ἐπιδέχεσθαι τὴν εἰς ἄλλο χύσιν ἢ ἀνάλυσιν·. . . (4) κατὰ μὲν τὸν λόγον τοῦτον αὐτοτελῶς λεγομένου τοῦ πυρὸς στοιχείου· οὐ μετ᾿ ἄλλου γάρ· κατὰ δὲ τὸν πρότερον καὶ μετ᾿ ἄλλων συστατικὸν εἶναι, πρώτης μὲν γιγνομένης τῆς ἐκ πυρὸς κατὰ σύστασιν εἰς ἀέρα μεταβολῆς, δευτέρας δ᾿ ἀπὸ τούτου εἰς ὕδωρ, τρίτης δ᾿ ἔτι μᾶλλον κατὰ τὸ ἀνάλογον συνισταμένου τοῦ ὕδατος εἰς γῆν. πάλιν δ᾿ ἀπὸ ταύτης διαλυομένης καὶ διαχεομένης πρώτη μὲν γίγνεται χύσις εἰς ὕδωρ, δευτέρα δ᾿ ἐξ ὕδατος εἰς ἀέρα, τρίτη δὲ καὶ ἐσχάτη εἰς πῦρ.
그런데 탁월한 원소는 최초에 그 자신으로부터 나머지 것들이 결합되고 변화에 따라 또 그것으로 최후에 흩어지는 것들이 해체되어 들어간다는 점으로 인하여 그리 논해진다고, 그런데 이 원소는 그 밖의 것으로의 분산도 해체도 허용하지 않는다고 논해진다: . . . (4) 이러한 논의에 따르면 불은 자족적인 원소로 논의된다: 왜냐하면 그 밖의 것과 함께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더 앞선 논의에 따르면 (불이) 다른 것들과도 함께 결합하는 것인데, 최초에 불로부터 결합(밀도)에 따라 공기로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두 번째로 이로부터 물로, 세 번째로 더 나아가 비례에 따라 물이 결합하여 흙으로 그러하기(변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다시 이 흙이 해체되고 흩어짐으로부터 물로의 최초의 분산이 이루어지고, 두 번째로 물로부터 공기로, 세 번째로 더 나아가 끝으로 불로의 분산이 이루어진다.
ἐξοχὴν : prominence, elevated nature. κατ᾿ ἐ-. par excellence.
χεόμενα : χέω. pour out. shed, melt, scatter.
(5) λέγεσθαι πῦρ τὸ πυρῶδες πᾶν καὶ ἀέρα τὸ ἀερῶδες καὶ ὁμοίως τὰ λοιπά. (6) τριχῶς δὴ λεγομένου κατὰ Χρύσιππον τοῦ στοιχείου, (7) καθ᾿ ἕνα μὲν τρόπον τοῦ πυρός, διὰ τὸ ἐξ αὐτοῦ τὰ λοιπὰ συνίστασθαι κατὰ μεταβολὴν καὶ εἰς αὐτὸ λαμβάνειν τὴν ἀνάλυσιν, (8) καθ᾿ ἕτερον δέ, καθὸ λέγεται τὰ τέσσαρα στοιχεῖα, πῦρ, ἀήρ, ὕδωρ, γῆ (ἐπεὶ διὰ τούτων τινὸς ἢ τινῶν ἢ καὶ πάντων τὰ λοιπὰ συνέστηκε, διὰ μὲν τῶν τεττάρων, ὡς τὰ ζῷα καὶ τὰ ἐπὶ γῆς πάντα συγκρίματα, διὰ δυοῖν δέ, ὡς ἡ σελήνη διὰ πυρὸς καὶ ἀέρος συνέστηκε, δι᾿ ἑνὸς δὲ ὡς ὁ ἥλιος, διὰ πυρὸς γὰρ μόνου, ὁ γὰρ ἥλιος πῦρ ἐστιν εἰλικρινές), (9) κατὰ τρίτον λόγον λέγεται στοιχεῖον εἶναι ὃ πρῶτον συνέστηκεν οὕτως, ὥστε γένεσιν διδόναι ἀφ᾿ αὑτοῦ ὁδῷ μέχρι τέλους καὶ ἐξ ἐκείνου τὴν ἀνάλυσιν δέχεσθαι εἰς ἑαυτὸ τῇ ὁμοίᾳ ὁδῷ.
불 같은 모든 것은 불이라고, 공기같은 것은 공기라고 그리고 나머지 것들도 마찬가지로 논의된다고 한다. (6) 그래서 크뤼십포스에 따라 원소가 세 가지로 논해질 때, 한 방식에 따라서는 불이 원소라고 논해지는데, 그 불로부터 나머지 것들이 결합하고 변화에 따라 그것으로의 해체를 취한다는 점에서 그러하고, (8) 다른 방식에 따라서는, 그 방식에 따라 네 가지 원소들이 논해지는데, 불, 공기, 물, 흙이며 (이것들 중 어떤 것 혹은 어떤 것들 또는 모든 것들을 통하여 나머지 것들이 결합했기에, 그 네 가지 원소들을 통해서는, 동물들과 지상의 모든 결합물들의 경우, 두 가지를 통해서는, 불과 공기를 통해 달이 결합한 경우, 하나를 통해서는 태양의 경우 그러한데, 왜냐하면 (태양이) 오직 불만을 통해서 결합했기 때문에, 즉 태양은 순수하게 불이기에), (9) 세 번째 논의에 따라서는 그런 식으로 최초로 결합한 것, 그래서 그 결합한 자신으로부터 완결까지 길에 따라 생성을 부여하고 저것(완결?)으로부터 그 결합한 자신에게로 동일한 길을 따라 해체를 받아들이도록 하는 것이 원소라고 논해진다.
Β Diogenes Laertius 7.136-7 (SVF 2.580)
ἔστι δὲ στοιχεῖον ἐξ οὗ πρώτου γίνεται τὰ γινόμενα καὶ εἰς ὃ ἔσχατον ἀναλύεται. τὰ δὴ τέτταρα στοιχεῖα εἶναι ὁμοῦ τὴν ἄποιον οὐσίαν τὴν ὕλην· (1) εἶναι δὲ τὸ μὲν πῦρ τὸ θερμόν, τὸ δ᾿ ὕδωρ τὸ ὑγρόν, τόν τ᾿ ἀέρα τὸ ψυχρόν, καὶ τὴν γῆν τὸ ξηρόν. οὐ μὴν ἀλλὰ καὶ ἔτι ἐν τῷ ἀέρι εἶναι τὸ αὐτὸ μέρος. (2) ἀνωτάτω μὲν οὖν εἶναι τὸ πῦρ, ὃ δὴ αἰθέρα καλεῖσθαι, ἐν ᾧ πρώτην τὴν τῶν ἀπλανῶν σφαῖραν γεννᾶσθαι, εἶτα τὴν τῶν πλανωμένων· μεθ᾿ ἣν τὸν ἀέρα, εἶτα τὸ ὕδωρ, ὑποστάθμην δὲ πάντων τὴν γῆν, μέσην ἁπάντων οὖσαν.
그런데 원소는 그 최초의 원소로부터 생성물들이 생겨나고 그것으로 각각의 것(생성물?)이 해체되는 것이다. 그래서 그 네 가지 원소들은 마찬가지로 무성질의 존재인 질료이다. (1) 그런데 불은 온한 것이고, 물은 습한 것이며, 공기는 냉한 것이고, 흙은 건조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기 안에까지도 동일한 부분이 속한다. (2) 그러므로 가장 위로는 불이 있고, 아이테르라고 불리는데, 그 안에 고정된 별들의 천구가 최초로 생겨나고, 다음으로 행성들의 천구가 생겨난다: 이 천구 다음으로 공기, 다음으로 물이 생기며, 흙이 모든 것들의 기초가 되는데, 모든 것들 일체의 중앙으로서 그리 된다.
C Cicero, ND 2.23-5, 28-30
(1) sic enim res se habet, ut omnia quae alantur et quae crescant contineant in se vim caloris, sine qua neque ali possent nec crescere. nam omne quod est calidum et igneum cietur et agitur motu suo; quod autem alitur et crescit motu quodam utitur certo et aequabili; qui quam diu remanet in nobis tam diu sensus et vita remanet. refrigerato autem et extincto calore occidimus ipsi et extinguimur.
양육되고 성장하는 모든 것들이, 그것 없이는 양육도 성장도 할 수 없는, 그러한 열의 힘을 자체 내에 포함한다는 것은, 사정이 실로 그러하다. 온하고 뜨거운 모든 것이 그 자체의 움직임에 의해 움직여지고 이끌리기 때문이다; 하지만 양육되고 성장하는 것은 확정되고 일정한 어떤 움직임에 의해 그리된다; 감각과 생명이 머무는 그 동안 그것(움직임?)이 우리 안에 머문다. 하지만 열이 차가워지고 소멸함으로써 우리 자신이 죽고 소멸한다.
(2) quod quidem Cleanthes his etiam argumentis docet, quanta vis insit caloris in omni corpore: negat enim esse ullum cibum tam gravem quin is nocte et die concoquatur; cuius etiam in reliquiis inest calor iis quas natura respuerit. iam vero venae et arteriae micare non desinunt quasi quodam igneo motu, animadversumque saepe est cum cor animantis alicuius evolsum ita mobiliter palpitaret ut imitaretur igneam celeritatem. omne igitur quod vivit, sive animal sive terra editum, id vivit propter inclusum in eo calorem. ex quo intellegi debet eam caloris naturam vim habere in se vitalem per omnem mundum pertinentem.
클레안테스는 다음과 같은 논증들로써도, 모든 신체 내에 열의 힘이 얼만큼 내재하는지, 보여준다: 왜냐하면 그는 이 낮과 밤 동안 소화되지 않을 만큼 묵중한 어떠한 양식도 있지 않다고 하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그 양분에서 자연이 배출한 이 남은 것들 내에도 열이 내재한다. 이제 참으로 정맥들과 동맥들이 마치 불길의 움직임에 의한 것인냥 맥박치기를 멈추지 않고, 어떤 생물이든 그것의 심장이 꺼내어졌을 때 날랜 불길을 모방하는 듯 그렇게 빠르게 뛰는 것이 종종 관찰되었기도 하다. 그러므로 살아있는 모든 것은, 동물이든 대지에서 산출된 것이든, 그 안에 포함된 열 덕분에 그것이 살아있다. 이로부터 열의 본성이 모든 세계를 통하여 퍼지는 생명력을 자체 내에 지닌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3) atque id facilius cernemus toto genere hoc igneo quod tranat omnia subtilius explicato. omnes igitur partes mundi (tangam autem maximas) calore fultae sustinentur. quod primum in terrena natura perspici potest. . . (4) ex quo concluditur, cum omnes mundi partes sustineantur calore, mundum etiam ipsum simili parique natura in tanta diuturnitate servari, eoque magis quod intellegi debet calidum illud atque igneum ita in omni fusum esse natura, ut in eo insit procreandi vis et causa gignendi, a quo et animantia omnia et ea quorum stirpes terra continentur et nasci sit necesse et augescere.
(3) 우리는 전체적인 방식으로 모든 것을 관통하는 이 불이 더 정교하게 설명됨으로써 이것을 더 쉽게 분간할 것이다. 따라서 세계의 모든 부분들은(하지만 나는 최대의 것들을 언급할 것이다) 열에 의해 지탱됨으로써 유지된다. 대지의 자연에서 최초로 인지될 수 있다. . . (4) 이로부터 귀결되는 바, 세계의 모든 부분들은 열에 의해 유지되기에, 세계 자체도 유사하며 동등한 자연에 의해 그렇게 오랜 동안 보존되고, 온한 것과 불이 모든 자연 안에 퍼져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기 때문에 훨씬 더 그러하다, 산출의 힘과 생성의 원인이 그 안에 내재하는 것처럼, 모든 살아있는 것들과 그것들의 뿌리들이 땅에 감싸인 모든 것들이 그것(불)에 의해 생겨나고 자라나야만 한다.
(5) natura est igitur quae contineat mundum omnem eumque tueatur, et ea quidem non sine sensu atque ratione. omnem enim naturam necesse est, quae non solitaria sit neque simplex sed cum alio iuncta atque conexa, habere aliquem in se principatum, ut in homine mentem, in belua quiddam simile mentis unde oriantur rerum adpetitus; in arborum autem et earum rerum quae gignuntur e terra radicibus inesse principatus putatur. principatum autem id dico quod Graeci ἡγεμονικόν vocant. quo nihil in quoque genere nec potest nec debet esse praestantius. ita necesse est illud etiam in quo sit totius naturae principatus esse omnium optumum omniumque rerum potestate dominatuque dignissimum.
그러므로 세계 전체를 견지하고 그것을 지키기도 하는 자연이, 그리고 감각과 지성을 결여하지 않은 어떤 자연이 있다. 왜냐하면 모든 자연은, 고립되어 있지 않고 단순하지도 않으나 다른 것과 결합되고 연결되는 것은, 자체 내에 어떤 지배적인 것을 가짐이 필연적이기 때문이다, 인간에게서 정신이, 짐승에게서 정신 비슷한 것이 그렇듯, 그로부터 사물에 대한 욕구가 일어난다; 나무들과 땅으로부터 생겨나는 것들의 뿌리들에도 지배적인 것이 내재한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나는 그리스인들이 Hegemonikon이라 부르는 것을 주도적인 것이라 말한다. 그 같은 유에 더 특출한 아무것도 있을 수도 있을 필요도 없다. 그래서 자연 전체에 대해 지배적인 것이 그 안에 있을 저것은 모든 것들 중 최상의 것이자 모든 것들에 대한 힘과 지배에 가장 합당한 것임이 필연적이다.
(6) videmus autem in partibus mundi (nihil est enim in omni mundo quod non pars universi sit) inesse sensum atque rationem. in ea parte igitur, in qua mundi inest principatus, haec inesse necessest, et acriora quidem atque maiora. quocirca sapientem esse mundum necesse est, naturamque eam quae res omnes conplexa teneat perfectione rationis excellere, eoque deum esse mundum omnemque vim mundi natura divina contineri. atque etiam mundi ille fervor purior perlucidior mobiliorque multo ob easque causas aptior ad sensus commovendos quam hic noster calor, quo haec quae nota nobis sunt retinentur et vigent.
허나 우리는 부분적인 세계들에서(왜냐하면 세계 전체 내에서는 우주의 부분 아닌 것이 아무것도 없으니까) 감각과 지성이 내재함을 본다. 그러므로 이 부분 내에, 그 안에 세계의 주도적인 것이 내재하는, 이것들이 내재함이 필연적이고, 어떤 더욱 날카롭고 더욱 대단한 것들임이 필연적이다. 그러므로 세계는 지적임이 필연적이며, 포함된 모든 것들을 지니는 자연 또한 완벽하고 특출나게 지적임이 필연적이고, 이로부터 세계가 신이라는 것도 세계의 모든 힘도 신성한 자연에 의해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도 필연적이다. 더 나아가 세계의 저 백열은 훨씬 더 순수하고 훨씬 더 청결하며 훨씬 더 재빨라야 하며, 이로 인해 감각으로 촉발하기에 우리의 이 열보다 더 적절한 원인들이다, 그로써 우리에게 알려지는 것들이 보존되고 여실해지는.
D Nemesius 164,15-18 (SVF 2.418)
λέγουσι δὲ οἱ Στωικοὶ τῶν στοιχείων τὰ μὲν εἶναι δραστικά, τὰ δὲ παθητικά· δραστικὰ μὲν ἀέρα καὶ πῦρ, παθητικὰ δὲ γῆν καὶ ὕδωρ.
스토아 학자들은 원소들 중 어떤 것들은 능동적인 것들인 반면, 다른 것들은 수동적인 것들이라 말한다: 능동적인 것들은 공기와 불이고, 수동적인 것들은 흙과 물이다.
E Galen, Nat. fac. 106,13-17 (SVF 2.406)
καίτοι τούτοις μέν, ὡς ἂν καὶ αὐτῶν τῶν στοιχείων τὴν εἰς ἄλληλα μεταβολὴν χύσεσί τέ τισι καὶ πιλήσεσιν ἀναφέρουσιν, εὔλογον ἦν ἀρχὰς δραστικὰς ποιήσασθαι τὸ θερμὸν καὶ τὸ ψυχρόν, Ἀριστοτέλει δ᾿ οὐχ οὕτως.
게다가, 그 원소들 자체에 대해서도 서로를 향한 변화를 어떤 분산들과 응축들로써 드러낼, 이런 사람들에게는 온한 것과 냉한 것이 능동적인 기원들을 만들었다는 것이 합리적이었지만, 아리스토텔레스에게는 그렇지 않았다.
F Galen, Plen. 7.525,7-14 (SVF 2.439) and 527,13-16 (SVF 2.440, part)
ποιεῖν δ᾿ εἰς ἑαυτὸ λέγειν ὁτιοῦν ἢ ἐνεργεῖν εἰς ἑαυτὸ παρὰ τὴν ἔννοιάν ἐστιν· οὕτως οὖν καὶ συνέχειν ἑαυτό. καὶ γὰρ οἱ μάλιστα εἰσηγησάμενοι τὴν συνεκτικὴν δύναμιν, ὡς οἱ Στωικοί, τὸ μὲν συνέχον ἕτερον ποιοῦσι, τὸ συνεχόμενον δὲ ἄλλο· τὴν μὲν γὰρ πνευματικὴν οὐσίαν τὸ συνέχον, τὴν δὲ ὑλικὴν τὸ συνεχόμενον· ὅθεν ἀέρα μὲν καὶ πῦρ συνέχειν φασί, γῆν δὲ καὶ ὕδωρ συνέχεσθαι . . . οὐδὲ γὰρ οὐδ᾿ οἱ πολλοὶ τῶν Ἡροφιλείων οὐδ᾿ οἱ νεώτεροι Στωικοὶ λέγουσί τινα ἀπόδειξιν τοῦ τὸ μὲν πνεῦμα καὶ τὸ πῦρ συνέχειν ἑαυτό τε καὶ τὰ ἄλλα, τὸ δὲ ὕδωρ καὶ τὴν γῆν ἑτέρου δεῖσθαι τοῦ συνέξοντος.
무엇이든 자신을 위해 행하거나 자신을 위해 수행한다고 말하는 것은 사유에 따른 것이다: 그러므로 그런 식으로 그 자신을 견지하기도 한다. 또한 스토아 학파 사람들처럼 견지하는 능력을 도입하는 주된 자들은 견지하는 쪽을 다른 것으로, 견지되는 쪽을 그 외의 것으로 만든다: 왜냐하면 견지하는 것은 프네우마적인 존재로, 견지되는 쪽은 질료적인 존재로 만들기 때문이다: 이로부터 그들은 공기와 불은 견지한다고 말하고, 흙과 물은 견지된다고 말한다. . . 헤로필레들의 대다수도 시진 스토아 학자들도 프네우마와 불은 자신과 또한 그 밖의 것들도 유지하는 한편, 물과 흙은 견지해주는 다른 것을 필요로 한다는 것에 대한 어떤 증명(설명)을 진술하지 않기 때문이다.
G Plutarch, Comm. not. 1085C-D (SVF 2.444, part)
γῆν μὲν γάρ φασι καὶ ὕδωρ οὔθ᾿ αὑτὰ συνέχειν οὔθ᾿ ἕτερα, πνευματικῆς δὲ μετοχῇ καὶ πυρώδους δυνάμεως τὴν ἑνότητα διαφυλάττειν· ἀέρα δὲ καὶ πῦρ αὑτῶν τ᾿ εἶναι δι᾿ εὐτονίαν ἑκτικά, καὶ τοῖς δυσὶν ἐκείνοις ἐγκεκραμένα τόνον παρέχειν καὶ τὸ μόνιμον καὶ οὐσιῶδες.
왜냐하면 그들은 흙과 물이 자신들을 견지하지도 다른 것들을 견지하지도 않는 반면, 프네우마적인 그리고 불과 같은 능력에 대한 참여로써 그 통일성을 유지한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공기와 불은 지탱해주는 긴장으로 인해 자신들에게 속하여 있고, 저 나머지 두 가지 것들과 섞임으로써 긴장을 내놓고 고정과 존재성도 내놓는다고 말한다.
ἐγκεκραμένα : ἐγκεράννυμι pf. mix.

-蟲-

C Diogenes Laertius 7.142 (SVF 1.102, part)
(1) γίνεσθαι δὲ τὸν κόσμον ὅταν ἐκ πυρὸς ἡ οὐσία τραπῇ δι᾿ ἀέρος εἰς ὑγρόν· εἶτα τὸ παχυμερὲς αὐτοῦ συστὰν ἀποτελεσθῇ γῆ, τὸ δὲ λεπτομερὲς ἐξαραιωθῇ, καὶ τοῦτ᾿ ἐπὶ πλέον λεπτυνθὲν πῦρ ἀπογεννήσῃ. (2) εἶτα κατὰ μίξιν ἐκ τούτων φυτά τε καὶ ζῷα καὶ τὰ ἄλλα γένη.
(1) 존재가 불로부터 공기를 통해 물로 전환할 때 코스모스가 생성된다: 다음으로 그 코스모스의 밀도를 지닌 부분이 결합하여서 대지가 완성되고, 작은 입자로 이루어진 것은 희박해지며, 이것이 더욱 희박해질 때 불을 산출해낼 것이다. (2) 다음으로 이것들로 이루어진 결합에 따라 생장하는 것들과 살아있는 것들 그리고 그 밖의 유들을 산출해낼 것이다.
τὸ παχυμερὲς : the dense part.
συστὰν : συνίστημι aor. part. combine.
D Stobaeus 1.213, 15-21 (SVF 1.120, part)
(1) Ζήνων τὸν ἥλιόν φησι καὶ τὴν σελήνην καὶ τῶν ἄλλων ἄστρων ἕκαστον εἶναι νοερὸν καὶ φρόνιμον, πύρινον <δὲ> πυρὸς τεχνικοῦ. (2) δύο γὰρ γένη πυρός, τὸ μὲν ἄτεχνον καὶ μεταβάλλον εἰς ἑαυτὸ τὴν τροφήν, τὸ δὲ τεχνικόν, αὐξητικόν τε καὶ τηρητικόν, οἷον ἐν τοῖς φυτοῖς ἐστι καὶ ζῴοις, ὃ δὴ φύσις ἐστὶ καὶ ψυχή. (3) τοιούτου δὴ πυρὸς εἶναι τὴν τῶν ἄστρων οὐσίαν.
(1) 제논은 태양과 달 그리고 그 밖의 천체들 각각이 지적이고 현명한 것이라고, 그런데 불타는 것(천제?)은 장인적인 불에 속한다고 말한다. (2) 왜냐하면 불은 두 가지 유들인데, 그 하나는 비기술적이고 그 자신으로 변화하는 양분인 반면, 다른 쪽은 기술적이고, 성장시키는 것이자 유지하는 것으로서, 말하자면 생장하는 것들과 살아있는 것들 내부에 있는, 그러니까 본성과 영혼인 것이기 때문이다. (3) 그는 천체들의 존재가 이러한 불에 속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E Plutarch, St. rep. 1052C-D (SVF 2.604, part)
(1) ἐν δὲ τῷ πρώτῳ Περὶ προνοίας τὸν Δία φησὶν αὔξεσθαι μέχρι ἂν εἰς αὑτὸν ἅπαντα καταναλώσῃ· "ἐπεὶ γὰρ ὁ θάνατος μέν ἐστι ψυχῆς χωρισμὸς ἀπὸ τοῦ σώματος, ἡ δὲ τοῦ κόσμου ψυχὴ οὐ χωρίζεται μὲν αὔξεται δὲ συνεχῶς μέχρι ἂν εἰς αὑτὴν ἐξαναλώσῃ τὴν ὕλην, οὐ ῥητέον ἀποθνήσκειν τὸν κόσμον.". . . (2) σαφῶς γὰρ αὐτὸς ἐν τῷ αὐτῷ γέγραφεν· "αὐτάρκης δ᾿ εἶναι λέγεται μόνος ὁ κόσμος διὰ τὸ μόνος ἐν αὑτῷ πάντ᾿ ἔχειν ὧν δεῖται, καὶ τρέφεται ἐξ αὑτοῦ καὶ αὔξεται, τῶν ἄλλων μορίων εἰς ἄλληλα καταλλαττομένων."
『예견에 관하여』 서두에서 그는 제우스가 일체의 모든 것들을 자신에게로 소모시킬 때까지 확장된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죽음은 육체로부터 영혼의 분리인 반면, 코스모스의 영혼은 분리되지는 않고 자신의 질료를 자신에게로 전적으로 소멸시킬 때까지 연속적으로 확장되기에, 코스모스가 사멸해 버린다고는 말하지 않아야만 하기 때문이다." . . . (2) 왜냐하면 확실히 그가 그 안에 기록하였기 때문이다: "오직 코스모스만이, 그것만이 자체 내에 필요한 모든 것들을 지닌다는 것으로 인하여, 자족적이라고 이야기되고, 그 자신으로부터 양육되고 확장된다, 그 밖의 무수한 것들이 서로 상호교환할 때."
F Plutarch, St. rep. 1053B (SVF 2.605, part)
(1) καὶ μὴν ὅταν ἐκπύρωσις γένηται διόλου, <τὸν κόσμον διόλου> ζῆν καὶ ζῷον εἶναί φησι, σβεννύμενον δ᾿ αὖθις καὶ παχυνόμενον εἰς ὕδωρ καὶ γῆν καὶ τὸ σωματοειδὲς τρέπεσθαι. (2) λέγει δ᾿ ἐν τῷ πρώτῳ Περὶ προνοίας· "διόλου μὲν γὰρ ὢν ὁ κόσμος πυρώδης εὐθὺς καὶ ψυχή ἐστιν ἑαυτοῦ καὶ ἡγεμονικόν· ὅτε δέ, μεταβαλὼν εἴς τε τὸ ὑγρὸν καὶ τὴν ἐναπολειφθεῖσαν ψυχήν, τρόπον τινὰ εἰς σῶμα καὶ ψυχὴν μετέβαλεν ὥστε συνεστάναι ἐκ τούτων, ἄλλον τινὰ ἔσχε λόγον."
세계에 걸쳐 대화재가 이루어질 때, <코스모스는 그 전체에 걸쳐> 삶이자 살아있는 것이라고, 그런데 진화되자마자 응고되어 물과 땅과 물체의 형상을 지닌 것으로 전환된다고 말한다. (2) 그런데 그는 『예견에 관하여』 서두에서 말한다: "왜냐하면 전체에 걸쳐서는 코스모스가 불의 형상을 지닌 것으로서 곧 그 자신의 영혼이기도 하고 주재적인 것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다른 때엔, (코스모스가) 물로도 그리고 내적으로 부재하는 영혼으로도 변화함으로써, 어떤 방식에선가 육체와 영혼의 결합이 되도록 그것들로 변화하였고, 그 밖의 다른 방식에서 로고스를 지녔다."
ἐναπολειφθεῖσαν : ἐν-ἀπό-λιμπάνω(λείπω). aor. pass. part. to be absent.
G Aristocles (Eusebius, Pr. ev. 15.14.2 = SVF 1.98, part)
(1) ἔπειτα δὲ καὶ κατά τινας εἱμαρμένους χρόνους ἐκπυροῦσθαι τὸν σύμπαντα κόσμον, εἶτ᾿ αὖθις πάλιν διακοσμεῖσθαι. (2) τὸ μέντοι πρῶτον πῦρ εἶναι καθαπερεί τι σπέρμα, τῶν ἁπάντων ἔχον τοὺς λόγους καὶ τὰς αἰτίας τῶν γεγονότων καὶ τῶν γιγνομένων καὶ τῶν ἐσομένων· τὴν δὲ τούτων ἐπιπλοκὴν καὶ ἀκολουθίαν εἱμαρμένην καὶ ἐπιστήμην καὶ ἀλήθειαν καὶ νόμον εἶναι τῶν ὄντων ἀδιάδραστόν τινα καὶ ἄφυκτον. (3) ταύτῃ δὲ πάντα διοικεῖσθαι τὰ κατὰ τὸν κόσμον ὑπέρευ, καθάπερ ἐν εὐνομωτάτῃ τινὶ πολιτείᾳ.
통틀어 우주 모두가 운명지어진 어떤 시기들에 따라서 대화재가 된 다음, 이어서 곧장 다시 질서지어진다(코스모스가 되어 나온다)고 말한다. (2) 그렇지만 최초의 불은 바로 어떤 씨앗 같은 것이다, 모든 것들의 로고스들과 생성된 것들 그리고 생성되는 것들과 존재하는 것들의 원인들을 지님으로써: 그런데 이것들의 운명지어진 엮임과 잇따름 그리고 인식과 진리와 법칙은 존재하는 것들의 필연적이고 불가피한 무언가라고 말한다. (3) 이런 식으로 코스모스에 대한 것들은 모두가 탁월하게 주재된다고 말한다, 마치 법제를 잘 갖춘 어떤 폴리스 내에서 그러하듯이.
ἐπιπλοκὴν : 엮임. / ἀκολουθίαν : 잇따름. / ἀδιάδραστόν : inevitable. / ἄφυκτον : not to be shunned.
H Origen, Cels. 4.14 (SVF 2.1052, part)
ἀλλὰ καὶ ὁ τῶν Στωικῶν θεός, ἅτε σῶμα τυγχάνων, ὁτὲ μὲν ἡγεμονικὸν ἔχει τὴν ὅλην οὐσίαν, ὅταν ἡ ἐκπύρωσις ᾖ· ὁτὲ δὲ ἐπὶ μέρους γίνεται αὐτῆς, ὅταν ᾖ διακόσμησις.
그러나 스토아 학파의 신 또한, 물체이기도 하기에, 어떤 때엔 주도적으로 존재 전체를 지닌다, 대화재일 때에: 그런데 다른 때엔 그 존재의 부분들에 부가된다, 질서잡힐(우주일) 때에.
I Alexander Lycopolis 19, 2-4
τὸν Ζήνωνος τοῦ Κιτιέως . . . λόγον, ὃς "τὸ πᾶν ἐκπυρωθήσεται" λέγων· "πᾶν τὸ καῖον ἔχον <ὅτι> καύσῃ ὅλον καύσει· καὶ ὁ ἥλιος πῦρ ἐστιν καὶ ὃ ἔχει οὐ καύσει;" ἐξ οὗ συνήγετο, ὡς ᾢετο, "τὸ πᾶν ἐκπυρωθήσεσθαι".
키테우스 출신 제논의 논변이다, 그는 이렇게 말한다: "모든 것은 대화재로 산화할 것이다. 태우거나 태울 것을 가진 모든 것은 전체를 태울 것이다: 태양 또한 불이며 그것이 지닌 것을 태우지 않겠는가?" 그가 생각했던 바, 이로부터 그는 "모든 것이 대화재로 산화할 것이다"라고 귀결지었다.
J Diogenes Laertius 7.141 (SVF 2.589, part)
ἀρέσκει δ᾿ αὐτοῖς καὶ φθαρτὸν εἶναι τὸν κόσμον, ἄτε γενητὸν τῷ λόγῳ τῶν δι᾿ αἰσθήσεως νοουμένων, οὗ τε τὰ μέρη φθαρτά ἐστι, καὶ τὸ ὅλον· τὰ δὲ μέρη τοῦ κόσμου φθαρτά· εἰς ἄλληλα γὰρ μεταβάλλει· φθαρτὸς ἄρα ὁ κόσμος.
그들은 코스모스가 사멸하는 것이라고도 의견을 세운다, 감각을 통해 사유되는 것들의 로고스에 따라 생성하는 것이기에, 그것의 부분들이 사멸하는 것들인, 그 전체도 사멸하기에: 그런데 코스모스의 부분들은 사멸하는 것들이다: 왜냐하면 서로에게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코스모스는 사멸하는 것이다.
K Eusevius, Pr. ev. 15.18.2 (SVF 2.596, part)
οὐ γὰρ ἐπὶ τῆς τοῦ κόσμου κατὰ περιόδους τὰς μεγίστας γινομένης φθορᾶς κυρίως παραλαμβάνουσι τὴν φθορὰν οἱ τὴν εἰς πῦρ ἀνάλυσιν τῶν ὅλων δογματίζοντες, ἣν δὴ καλοῦσιν ἐκπύρωσιν, ἀλλ᾿ ἀντὶ τῆς κατὰ φύσιν μεταβολῆς χρῶνται τῇ προσηγορίᾳ τῆς φθορᾶς.
왜냐하면 전체들의 불로의 소멸을 의견으로 세우는 자들이 우주의 거대한 주기들에 따라 생성되는 소멸에 대해 그 소멸을 정확하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래서 그들이 대화재라 부르는 그 소멸을, 오히려 본성에 따른 변화를 위해 소멸이란 용어로 사용한다.
L Plutarch, Com. not. 1075D (SVF 1.510)
ἔτι τοίνυν ἐπαγωνιζόμενος ὁ Κλεάνθης τῇ ἐκπυρώσει λέγει τὴν σελήνην καὶ τὰ λοιπὰ ἄστρα τὸν ἥλιον <ὡς ἡγεμονικὸν> ἐξομοιῶσαι πάντα ἑαυτῷ καὶ μεταβαλεῖν εἰς ἑαυτόν.
따라서 더욱이 클레안테스는 대화재에 대해 강조하며 달과 여타의 천체들을 그 모든 것들을 <주도적인 것으로서> 태양이 자신에게로 동화시키고 자신에게로 변화시킨다고 말한다.
M Philo, Aet. mundi 90 (SVF 1.511)
ὅτι τὸν κόσμον ἐκπυρωθέντα γενέσθαι μὲν ἄνθρακι παραπλήσιον ἀμήχανον, ὡς δέδεικται, γεώδους πολλῆς ἂν ὑπολειφθείσης οὐσίας, ᾗ δεήσει τὸ πῦρ ἐλλοχᾶν, ἴσως δ᾿ οὐδ᾿ ἐκπυρώσεως τότε κρατούσης, εἴ γε μένει τὸ στοιχείων βαρύτατον καὶ δυσαναλωτότατον ἔτι, γῆ μὴ διαλυθεῖσα, μεταβάλλειν δὲ ἢ εἰς φλόγα ἢ εἰς αὐγὴν ἀναγκαῖον, εἰς μὲν φλόγα, ὡς ᾢετο Κλεάνθης, εἰς δ᾿ αὐγήν, ὡς ὁ Χρύσιππος.
그가 설명한 바대로, 대화재를 지난 코스모스는 작용없는 탄과 같은 것이 된다는 점에서, 그 불이 거기에 잠복해야 할 존재가 숱한 흙들로 소멸되어 남을 때, 만일, 대지가 분해되지 않음으로써, 원소들 중 가장 묵중하고 가장 견고한 것이 여전히 남아 있다고 한다면, 그 때 대화재는 전혀 강력하지 않을 것 같음에도, (그 우주는? 그 원소는?) 화염이나 빛으로 변화함이 필연적이다, 클레안테스가 생각한 것처럼 화염으로든, 크뤼싶포스가 생각하였듯 빛으로든.
N Plutarch, Comm. not. 1067A (SVF 2.606)
ὅταν ἐκπυρώσωσι τὸν κόσμον οὗτοι, κακὸν μὲν οὐδὲ ὁτιοῦν ἀπολείπεται, τὸ δὲ ὅλον φρόνιμόν ἐστι τηνικαῦτα καὶ σοφόν.
이 사람들이 코스모스를 대화재로 만들 때, 남아 있는 뭐가 되었든 나쁜 것은 전혀 없고, 그 전체는 그 순간에 현명하고도 지혜로운 것이다.
O Seneca, Ep. 9.16 (SVF 2.1065)
qualis tamen futura est vita sapientis, si sine amicis relinquatur in custodiam coniectus vel in aliqua gente aliena destitutus vel in navigatione longa retentus aut in desertum litus eiectus? qualis est Iovis, cum resoluto mundo et dis in unum confusis paulisper cessante natura adquiescit sibi cogitationibus suis traditus. tale quiddam sapiens facit: in se reconditur, secum est.
그렇지만 어떤 종류의 삶이 지혜로운 자의 것이 될 것인가, 만일 친구들도 없이 버려졌거나 옥 중에 유폐되었거나 어딘가 낯선 나라에 버려졌거나 긴 여정에 붙잡혔거나 사람이 살지 않는 해변에 내몰렸다면? 일종의 제우스의 삶이다, 세계가 분해되고 신들이 하나 안에서 뒤섞이는 짧은 시간 동안 자연이 멈출 때 그(제우스)가 자신의 사유들에 내맡겨진 채로 쉴 때에. 그러한 어떤 일을 현자가 행한다: 자신 안에 숨어, 자신과 더불어 있다.
P Philo, Aet. mundi 76-7
Βοηθὸς γοῦν ὁ Σιδώνιος καὶ Παναίτιος . . . τὰς ἐκπυρώσεις καὶ παλιγγενεσίας καταλιπόντες πρὸς θειότερον δόγμα τὸ τῆς ἀφθαρσίας τοῦ κόσμου παντὸς ηὐτομόλησαν. λέγεται δὲ καὶ Διογένης ἡνίκα νέος ἦν συνεπιγραψάμενος τῷ δόγματι τῆς ἐκπυρώσεως ὀψὲ τῆς ἡλικίας ἐνδοιάσας ἐπισχεῖν.
그러므로 시돈의 보에토스와 파나이티오스는 . . . 대화재들과 재생들을 버려둠으로써 모든 코스모스의 불멸이라는 더욱 신적인 원리로 전향하였다. 그런데 젊은 시절의 디오게네스 또한 그 대화재의 원리에 동의했으나 이후 시기 동안 의심하여 중단하였다고 이야기된다.

-蟲-

45 Body

A Cicero, Acad. 1. 39 (SVF 1.90)
discrepabat [sc. Zeno] etiam ab iisdem [sc. Academicis et Peripateticis] quod nullo modo arbitrabatur quidquam effici posse ab ea [sc. natura] quae expers esset corporis - cuius generis Xenocrates et superiores etiam animum esse dixerant - nec vero aut quod efficeret aliquid aut quod efficeretur posse esse non corpus.
제논은 아카데미학파와 소요학파와 의견을 달리 한다, 본성상 물체와 독립적인 것 - 크세노크라테스와 그 이전 사람들이 또한 영혼이 그 부류에 속한다고 말했었던 - 그것에 의해 무엇이든 본성상 영향받을 수 있다고 어떤 식으로도 생각하지 않았고 다른 것에 작용하는 것이든 작용받는 것이든 물체가 아닐 수 있다고 생각지도 않았기 때문이다.

B Sextus Empiricus, M. 8.263 (SVF 2.363)
τὸ γὰρ ἀσώματον κατ᾿ αὐτοὺς οὔτε ποιεῖν τι πέφυκεν οὔτε πάσχειν.
왜냐하면 그들에 따르면 비물체적인 것인 본래 조금도 작용하지도 작용받지도 못하기 때문이다.

C Nemesius 78.7-79.2 (SVF 1.518, part)
(1) ἔτι φησίν· οὐδὲν ἀσώματον συμπάσχει σώματι, οὐδὲ ἀσωμάτῳ σῶμα, ἀλλὰ σῶμα σώματι· (2) συμπάσχει δὲ ἡ ψυχὴ τῷ σώματι νοσοῦντι καὶ τεμνομένῳ, καὶ τὸ σῶμα τῇ ψυχῇ· αἰσχυνομένης γοῦν ἐρυθρὸν γίνεται καὶ φοβουμένης ὠχρόν· (3) σῶμα ἄρα ἡ ψυχή.
(1) 더 나아가 그들은 말한다: 어떤 비물체적인 것도 물체에게 상호작용받지 않고, 물체와 비물체에게 그리하지 않으며, 그러나 물체는 물체와 그리한다: (2) 그런데 영혼은 신체가 병에 걸렸을 때 그리고 잘렸을 때 그 물체에 의해 상호작용받고, 신체도 영혼에 의해 그러하다: 그렇기에 (영혼이) 수치스러울 경우 (물체가) 붉어지고 (영혼이) 두려울 경우 (물체가) 창백해진다: (3) 그래서 영혼은 물체이다.

D Nemesius 81.6-10 (SVF 2.790, part)
(1) Χρύσιππος δέ φησιν ὅτι ὁ θάνατός ἐστι χωρισμὸς ψυχῆς ἀπὸ σώματος· (2) οὐδὲν δὲ ἀσώματον ἀπὸ σώματος χωρίζεται· (3) οὐδὲ γὰρ ἐφάπτεται σώματος ἀσώματον· (4) ἡ δὲ ψυχὴ καὶ ἐφάπτεται καὶ χωρίζεται τοῦ σώματος· (5) σῶμα ἄρα ἡ ψυχή.
그런데 크뤼싶포스는 죽음이 육체로부터 영혼의 분리라고 말한다: (2) 헌데 어떤 비물체적인 것도 물체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3) 왜냐하면 어떤 비물체도 물체에 접촉하지 않으니까: (4) 그런데 영혼은 물체에 접촉하기도 하고 분리되기도 한다: (5) 그래서 영혼은 물체이다.

E Diogenes Laertius 7.135 (SVF 3 Apollodorus 6, part)
σῶμα δ᾿ ἐστίν, ὥς φησιν Ἀπολλόδωρος ἐν τῇ Φυσικῇ, τὸ τριχῇ διαστατόν, εἰς μῆκος, εἰς πλάτος, εἰς βάθος· τοῦτο δὲ καὶ στερεὸν σῶμα καλεῖται.
아폴로도로스가 『자연학』에서 말하듯, 물체는 길이, 넓이, 깊이로의 세 차원을 가진 것이다: 그런데 이런 것은 고체로도 불리운다.

F Galen, Qual. inc. 19.483, 13-16 (SVF 2.381, part)
διὰ τί δὲ μόνον . . . τοῦ σώματος τοῦτον ὅρον εἶναί φασιν τὸ τριχῇ διαστατὸν μετὰ ἀντιτυπίας, οὐχὶ δὲ καὶ χρόαν καὶ χυλὸν καὶ χυμὸν καὶ τῶν λοιπῶν συμβεβηκότων ἕκαστον οὕτως ὁρίζονται;
무엇 때문에 오직 . . . 저항을 지닌 세 차원을 가진 것이라는 이 점만이 물체의 징표(경계, 정의)라고 하면서, 색도 맛도 향도 남은 부수적인 것들 각각도 그런 식으로 정의하지 않는가?

G Aristotle (Eusebius, Pr. ev. 15.14.1 = SVF 1.98, part)
στοιχεῖον εἶναί φησι [sc. Ζήνων] τῶν ὄντων τὸ πῦρ, καθάπερ Ἡράκλειτος, τούτου δ᾿ ἀρχὰς ὕλην καὶ θεόν, ὡς Πλάτων. ἀλλ᾿ οὗτος ἄμφω σώματά φησιν εἶναι, καὶ τὸ ποιοῦν καὶ τὸ πάσχον, ἐκείνου τὸ πρῶτον ποιοῦν αἴτιον ἀσώματον εἶναι λέγοντος.
그는 헤라클레이토스와 마찬가지로, 불이 있는 것들의 원소라고, 그리고 플라톤처럼, 그 불의 원리들이 질료와 신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이 자는 능동자와 수동자, 양자가 사물들이라 말한다, 저 사람(플라톤)이 최초의 운동인은 비물체적이라고 말함에도.

H Alexander, Mixt. 224.32-225.3 (SVF 2.310, part)
αἰτιάσαιτο δ᾿ ἄν τις εὐλόγως αὐτῶν ἐνταῦθα τοῦ λόγου γενόμενος καὶ τὸ δύο ἀρχὰς τῶν πάντων λέγοντας εἶναι ὕλην τε καὶ θεόν, ὧν τὸν μὲν ποιοῦντα εἶναι τὴν δὲ πάσχουσαν, μεμῖχθαι τῇ ὕλῃ λέγειν τὸν θεόν, διὰ πάσης αὐτῆς διήκοντα καὶ σχηματίζοντα αὐτήν, καὶ μορφοῦντα καὶ κοσμοποιοῦντα τούτῳ τῷ τρόπῳ.
누군가는 그들의 진술(이론)이 여기에서 합리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모든 것들의 두 가지 원리들이 질료와 신이라고 말하는 자들을 지적할 것이다, 신은 능동적이고 질료는 수동적이라고, 신이 질료와 섞인다고, 모든 질료에 걸쳐 스며들어 질료를 틀 잡아 주며, 바로 그 방식으로 형태를 부여하고 질서잡음으로써 그리한다고 말한다고.

46 God, fire, cosmic cycle

A Aetius 1.7.33 (SVF 2.1027, part)
(1) οἱ Στωικοὶ νοερὸν θεὸν ἀποφαίνονται, πῦρ τεχνικὸν ὁδῷ βαδίζον ἐπὶ γενέσει κόσμου, ἐμπεριειληφός <τε> πάντας τοὺς σπερματικοὺς λόγους καθ᾿ οὓς ἅπαντα καθ᾿ εἱμαρμένην γίνεται, (2) καὶ πνεῦμα μὲν ἐνδιῆκον δι᾿ ὅλoυ τοῦ κόσμου, τὰς δὲ προσηγορίας μεταλαμβάνον κατὰ τὰς τῆς ὕλης, δι᾿ ἧς κεχώρηκε, παραλλάξεις.
(1) 스토아 학파는 합리적인 신을, 길을 따라 우주의 생성으로 나아가는 기술적인(지적인?) 불이라 주장하고, 그에 따라 모든 만물이 운명에 따라 생겨나는 그 씨앗이 되는 모든 로고스들을 포함한 것이라 주장한다, (2) 그리고 우주 전체에 걸쳐 스며들은 숨결로도 주장한다, 숨이 그를 통해 진행한 그 질료의 갈마듦들에 따라 이름들을 바꾸는 것으로서.

B Diogenes Laertius 7.135-6 (SVF 1.102, part)
(1) ἕν τ᾿ εἶναι θεὸν καὶ νοῦν καὶ εἱμαρμένην καὶ Δία, πολλαῖς τ᾿ ἑτέραις ὀνομασίαις προσονομάζεσθαι. (2) κατ᾿ ἀρχὰς μὲν οὖν καθ᾿ αὑτὸν ὄντα τρέπειν τὴν πᾶσαν οὐσίαν δι᾿ ἀέρος εἰς ὕδωρ. καὶ ὥσπερ ἐν τῇ γονῇ τὸ σπέρμα περιέχεται, οὕτω καὶ τοῦτον σπερματικὸν λόγον ὄντα τοῦ κόσμου, τοιόνδε ὑπολείπεσθαι ἐν τῷ ὑγρῷ, εὐεργὸν αὑτῷ ποιοῦντα τὴν ὕλην πρὸς τὴν τῶν ἑξῆς γένεσιν. (3) εἶτ᾿ ἀπογεννᾶν πρῶτον τὰ τέσσαρα στοιχεῖα, πῦρ, ὕδωρ, ἀέρα, γῆν.
(1) 신과 지성과 운명과 제우스는 하나라고,다른 많은 이름들로도 명명된다고 한다. (2) 그러므로 원리들에 따라서는 그 스스로 존재하며 모든 존재를 공기를 통해 물로 전환시킨다고 한다. 그리고 종자(정액?) 안에서 정자가 감싸여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그렇게 우주의 이 씨앗 되는 로고스로서, 이와 같은 신은 습기 안에 남겨져 있다고, 질료를 자신에게 연이는 것들의 생성을 우해 쓸 만한 것으로 만들면서 그렇다고 말한다. (3) 그리하여 최초에 네 가지 씨앗들, 불, 물, 공기, 땅을 산출했다고 한다.

-蟲-

43. The scope of physics

A. Diogenes Laertius 7.148-9 (SVF 2.1022 and 2.1132)
(1) ὀυσίαν δὲ θεοῦ Ζήνων μέν φησι τὸν ὅλον κόσμον καὶ τὸν οὐρανόν, ὁμοίως δὲ καὶ Χρύσιππος ἐν τῷ πρώτῳ Περὶ θεῶν καὶ Ποσειδώνιος ἐν πρώτῳ Περὶ θεῶν . . . (2) φύσιν δὲ ποτὲ μὲν ἀποφαίνονται τὴν συνέχουσαν τὸν κόσμον, ποτὲ δὲ τὴν φύσουσαν τὰ ἐπὶ γῆς. ἔστι δὲ φύσις ἕξις ἐξ αὑτῆς κινουμένη κατὰ σπερματικοὺς λόγους ἀποτελοῦσά τε καὶ συνέχουσα τὰ ἐξ αὑτῆς ἐν ὡρισμένοις χρόνοις καὶ τοιαῦτα δρῶσα ἀφ᾿ οἵων ἀπεκρίθη. ταύτην δὲ καὶ τοῦ συμφέροντος στοχάζεσθαι καὶ ἡδονῆς, ὡς δῆλον ἐκ τῆς τοῦ ἀνθρώπου δημιουργίας.
(1) 제논은 온 우주와 하늘이 신의 본질이라 말하고, 크뤼싶포스도 『신들에 관하여』 처음에서 그리고 포세이도니오스도 『신들에 관하여』 처음에서 마찬가지로 말한다 … (2) 그들은 어느 때엔 우주를 포괄(점유, 견지)하는 것을 자연으로 설명하고, 다른 때엔 지상의 것들을 생장시킬 것을 자연으로 설명한다. 그런데 자연은 자기 자신으로부터 촉발되어 씨앗이 되는 로고스들에 따라 그 자신으로부터 나오는 것들을 한정된 시간들 속에서 완성시키고 포괄하며 또한 이러한 일들을 수행함으로써 이런 것들로부터 구분되어 나오는 질서이다. 그런가 하면

B. Diogenes Laertius 7.132
τὸν δὲ φυσικὸν λόγον διαιροῦσιν εἴς τε τὸν περὶ σωμάτων τόπον καὶ περὶ ἀρχῶν καὶ στοιχείων καὶ θεῶν καὶ περάτων καὶ τόπου καὶ κενοῦ. καὶ οὕτω μὲν εἰδικῶς, γενικῶς δ᾿ εἰς τρεῖς τόπους, τόν τε περὶ κόσμου καὶ τὸν περὶ τῶν στοιχείων καὶ τρίτον τὸν αἰτιολογικόν.
그런데 그들은 자연학적 이론을 물질들 관한 주제와 원리들에 관한 주제 그리고 원소들에 관한 주제와 신들에 관한 주제 또한 한계들에 관한 것과 장소에 관한 것 그리고 허공에 관한 것으로 나눈다. 또한 특수한 방식으로는 그렇게 나누지만, 일반적으로는 세 주제들로, 우주에 관한 주제와 원소들에 관한 주제 그리고 세 번째로 원인론으로 나눈다.

  In approaching Stoic physics, we should recall its integral connexion with Stoic philosophy as a whole (26B 4, D). Whether regarded as philosophy's flesh and blood (26D) or its soul (26B 2), physics, which is literally the study of nature, offers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world and its contents' (26A). The indispensability of such knowledge to the ethical end, 'living in agreement with nature' (63A-C), is based upon the principle that our individual human natures are parts of universal nature (63C 2).
  스토아 자연학에 접근함에 있어서, 우리는 그것이 총체로서의 스토아 철학과 지니는 필수적인 연결을 상기해야 할 것이다. 철학의 살과 피로 간주되든 그 영혼으로 간주되든 자연학은 말 그대로 자연에 대한 탐구로서 세계와 그 내용물들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제공한다. 자연과의 일치 속에서 살아가는 윤리적 목표를 위한 그와 같은 지식의 불가결함은 우리의 사적 인간 본성들이 보편적(우주적) 자연의 부분들이라는 원칙에 기초한다.
  Physics therefore provides us with the understanding of who we are and of how we fit into the general workings of the world. Since the world is the 'substance' of god, and god is the 'nature which sustains the world and makes things grow' (A), physics, in the final analysis, is theology {26C; cf. 63E). To put it another way, physics is that part of Stoic philosophy which provides the terms and theories for understanding that the world functions according to laws of an omnipresent divine nature - a nature, moreover, which is through and through alive, generative, and designing all its products according to a rational plan. Most sections of this chapter, especially 44, 46, 52-5, will underline these points repeatedly (and for further discussion of A 2 see commentary on 46A). Stoic physics contains many theories and strategies which are of great interest in their own right to the history of science. But in order to appreciate their conceptual significance, we should acknowledge the Stoics' lack of concern in general for quantitative analysis and the controlled observations characteristic of, say, Galen and Ptolemy. What fired the Stoics' imagination, in their observation of the world, was a total commitment to the rationalist theology just described.
  그러므로 자연학은 우리에게 우리가 누구인지에 대한 그리고 우리가 어떻게 세계의 일반적 작동들에 적합하게 되는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세계는 신의 '실체'이기에, 그리고 신은 세계를 지탱하고 사물들을 자라도록 만드는 자연이며, 자연학은 그 마지막 분류에서 신학이다. 또 다른 방식으로 상정할 때, 자연학은 편재하는 신성한 자연 - 더 나아가 철저하게 살아있고, 생육하며, 그 모든 산물들을 합리적 계획에 따라 설계하는 자연의 법칙들에 따라 세계가 기능한다는 것을 이해하기 위한 용어들과 이론들을 제공하는 스토아 철학의 부분이다. 이 장의 대다수 절들, 특히 44, 46, 52-5는 이러한 지점들을 반복적으로 강조할 것이다(A2에 대한 추가적 논의는 46A에 대한 주석을 보라). 스토아 자연학은 과학(학문?)의 역사에 대한 고유한 권리에 대단한 흥미거리가 되는 여러 이론들과 전략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그것들의 개념적 중요성을 평가하기 위해, 우리는 말하자면 갈레노스과 프톨레마이오스에게 특유한 정량적 분석과 통제된 관찰들에 대한 스토아 학파의 결핍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세계에 대한 그들의 관찰에서 스토아학파의 상상을 촉발시켰던 것, 그것은 기술된 그대로의 합리주의 신학에 대한 총체적 전념이었다.
  Turning now to their detailed treatment, we find the topics of physics, just like those of logic (31 A) and ethics (56A), systematically categorized (B). (For the technical niceties concerning division procedure, see 32C.) This procedure will certainly have gone back to Chrysippus. although Diogenes Laertius' source for his summary was probably a handbook written shortly after the time of Posidonius. The general acceptability of the divisions Diogenes records is suggested by the fact that his own exposition sticks fairly closely to that order of topics. This can be seen by aligning his chapters and their subjects with the Topics of B:
  이제 그들의 세부적인 작업으로 돌아가서, 우리는 논리학과 윤리학의 주제들이 그러하듯 자연학의 체계적으로 범주화된 주제들을 발견한다. (분할 절차와 관련한 기술적 세부사항들은 32C 참조.) 이 절차는 확실히 크뤼싶포스로 돌아갔다. 그의 개략에 대한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의 자료가 아마도 포시디오니우스의 시기 이후 간략하게 쓰인 교과서였을 것임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디오게네스가 기록하는 그 분할들의 일반적 수용가능성은 그의 고유한 해설이 상당히 단단하게 주제들에 대한 그 질서를 고수한다는 사실에 의해 시사된다. 이 점은 그의 장들과 그 장들의 주제들을 B의 주제들과 병렬시킴으로써 볼 수 있다.
1. Specific division
D.L. 134 principles = (ii)
D.L. 135 body and limits = (i) and (v)
D.L. 136 god = (iv)
D.L. 137 elements = (iii)
2. Generic division
D.L. 137-51 world (including god, heavenly bodies, elements) = (i) and (ii)
D.L. 152-9 meteorology, geography, psychology = (iii)
  The two divisions appear to have as their basis a distinction between physics and metaphysics (as it would now be called), with the 'specific' division covering the kind of topics that Aristotle regarded as the business of'first philosophy . Diogenes' second division, the 'generic one', takes the present world-order as its starting-point. It offers an account of natural phenomena, with some reference to general principles but nothing comparable to the scope of the 'specific' division. In this latter the subject-matter is not restricted to the contents of the present world-order, which comes into being and ceases to exist (see 46; 52), The five topics of the 'specific' division seem to give an exhaustive account of the species of real things, whether they are everlasting and irreducible, or temporary, or 'subsistent' as non-bodily 'somethings' (see 27). Thus we have a division into bodies (i)-(iv), and non-bodies (v) as exemplified by 'limits, place, and void'. The first tour species seem to cover the bodily constituents of reality in ascending order of complexity. I.e., (i) the Stoics held that reality consists basically, permanently and irreducibly of 'bodies' (27B); (ii) the 'principles' themselves are 'bodies' (44B); (iii) the 'elements' are temporary dispositions of body caused by and reducible to the interaction of the 'principles' (see 47); (iv) the 'gods' are bodies, which can be explained by reference either to the 'elements' or, in the case of Zeus, to the active 'principle'. Given (v), the nonbodies, there is nothing in the nature of things that this division omits.
  두 분할들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일철학의 일로 간주하였던 그런 종류의 주제들을 포괄하는 '특수한' 분할과 함께, (오늘날 불려질 바와 같이)자연학과 형이상학 사이의 구별을 그것들의 기초로서 지니는 것으로 드러난다. 디오게네스의 두 번째 분할인 '일반적' 분할은 현재 세계-질서를 출발점으로 삼는다. 그것은, '특수' 분할의 영역에 비견할 만한 것은 아니지만 일반 원리들에 대한 몇몇 조회들과 더불어, 자연현상들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이 후자의 분할에서 주제적 문제는 현재 세계-질서의 내용들, 생성되어 현존을 유지하는 내용들에 국한되지 않는데, '특수' 분할의 다섯 주제들은 실제 사물들의 종들에 대한 완전한 설명을 제시하는 듯하다, 사물들이 영구적이며 환원불가능한지, 아니면 일시적인지, 혹은 비-물체적으로 '어떤 것들'로서 '존재'하는지. 그래서 우리는 물체들에 속하는 분할(i)-(iv), 그리고 '한계들, 장소, 허공'으로서 예화되는 것으로서 비-물체들에 속하는 분할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 일별되는 종들은 복잡성의 오름차순에 있어서 현실의 물체적 구성요소들을 포괄하는 것처럼 보인다. 즉, (i) 스토아학파는 실재가 '물체들'을 통해 기초적으로, 영속적으로, 그리고 비환적으로 구성된다고 주장한다. (ii) '원리들' 자체는 '물체들'이다; (iii) '원소들'은 '원리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야기되고 또한 그 작용으로 환원가능한 물체의 일시적 배치들이다; (iv) '신들'은 물체들인데, '원소들' 혹은 제우스의 사례에서는 '원리'에 대한 조회로써 설명될 수 있는 것들이다. (v), 즉 비물체들을 고려할 경우, 사물들의 본성에서 이 분할이 빠트리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Such an interpretation of Diogenes' 'specific' division can only be conjectural. Yet it coheres well with Stoic doctrines, especially their concept of the 'something' which embraces all particulars whether corporeal or not (see 27). So understood, the 'specific' division details those items which are fundamental to any understanding of the world in general and its features. In one respect, however, the order of specific topics raises a problem. Diogenes presents 'bodies' as the first topic, but the one that he handles first is the second, 'principles'. Since the principles are bodies, this procedure, which we will also follow, may be taken to be an expository device that need not cast doubt on the ultimate priority of bodies in the Stoics' metaphysical scheme.
  디오게네스의 '특수' 분할에 대한 그런 하나의 해석은 다지 추측일 수 있을 뿐이다. 하지만 그건 스토아의 주의들과 잘 부합되며, 특히 물체적이든 아니든 모든 개별자들을 포함하는 그들의 '어떤 것'이라는 개념에 부합한다. 그런 식으로 이해할 때, '특수' 분할은 일반적인 세계와 세계의 특성들에 대한 어떤 이해에든 근본적인 이러한 항목들을 상세히 알려준다. 그렇지만 한편으로 특수 주제들의 질서는 문제를 일으킨다. 디오게네스는 '물체들'을 첫 번째 주제로 내세우지만, 그가 첫 번째로 다룬 주제는 두 번째 것, '원리들'이다. 원리들은 물체들이므로, 우리가 또한 따르게 될 이 절차는 아마도 스토아학파의 형이상학적 계획에서 물체들의 궁극적인 우선순위에 의심을 품을 필요가 없는 설명적 장치일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44. Principles

A. Sextus Empiricus. M. 9.332 (SVF 2.524. part)
καὶ δὴ οἱ ἀπὸ τῆς Στοᾶς φιλόσοφοι διαφέρειν ὑπολαμβάνουσι τὸ ὅλον καὶ τὸ πάν· ὅλον μὲν γὰρ εἶναι λέγουσι τὸν κόσμον, πᾶν δὲ τὸ σὺν τῷ κόσμῳ ἔξωθεν κενόν, καὶ διὰ τοῦτο τὸ μὲν ὅλον πεπερασμένον εἶναι (πεπέρασται γὰρ ὁ κόσμος), τὸ δὲ πᾶν ἄπειρον (τοιοῦτον γὰρ τὸ ἐκτὸς τοῦ κόσμου κενόν).
더욱이 스토아 학파의 철학자들은 전체(whole)와 모든 것(all)을 다른 것으로 가정한다: 왜냐하면 그들이 우주를 전체라고 진술하는 반면, 우주와 함께하는 외부의 허공을 모든 것이라 진술하고, 이로 인하여 전체는 한정된 것이라고 (우주는 한정되었으니), 그런데 모든 것은 무한하다고 (우주 외부의 허공이 이런 것이기에) 진술한다.

B. Diogenes Laertius 7.134 (SVF 2.300, part, and 2.299)
(1) δοκεῖ δ᾿ αὐτοῖς ἀρχὰς εἶναι τῶν ὅλων δύο, τὸ ποιοῦν καὶ τὸ πάσχον. (2) τὸ μὲν οὖν πάσχον εἶναι τὴν ἄποιον οὐσίαν τὴν ὕλην, τὸ δὲ ποιοῦν τὸν ἐν αὐτῇ λόγον τὸν θεόν· τοῦτον γὰρ ἀίδιον ὄντα διὰ πάσης αὐτῆς δημιουργεῖν ἕκαστα. . . . (3) διαφέρειν δέ φασιν ἀρχὰς καὶ στοιχεῖα· τὰς μὲν γὰρ εἶναι ἀγενήτους <καὶ> ἀφθάρτους, τὰ δὲ στοιχεῖα κατὰ τὴν ἐκπύρωσιν φθείρεσθαι. ἀλλὰ καὶ σώματα εἶναι τὰς ἀρχὰς καὶ ἀμόρφους, τὰ δὲ μεμορφῶσθαι.
(1) 그런데 그들에게는 전체들의 원리들이 두 가지인 것으로 여겨진다, 하는 것(doing)과 겪는 것. (2) 그러므로 겪는 것은 어떠함이 없는 실체인 질료이고, 하는 것은 그 질료 내의 로고스로서 신이라고 여겨진다: 왜냐하면 이러한 것이 영속적인 것이기에 그 질료 전체에 걸쳐 각각의 것들을 제작한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 (3) 그런데 그들은 원리들과 원소들이 다르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원리들은 불생불멸이라고 하는 반면, 원소들은 하소(煆燒)에 따라 소멸된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들은 원리들은 물체들이자 형체 없는 것들이라고, 그런데 원소들은 형체가 갖추어졌다고 말한다.

C. Sextus Empiricus. M. 9.75-6 (SVF 2.311)
(1) ἡ τοίνυν τῶν ὄντων οὐσία, φασίν, ἀκίνητος οὖσα ἐξ αὑτῆς καὶ ἀσχημάτιστος ὑπό τινος αἰτίας ὀφείλει κινεῖσθαί τε καὶ σχηματίζεσθαι· (2) καὶ διὰ τοῦτο, ὡς χαλκούργημα περικαλλὲς θεασάμενοι ποθοῦμεν μαθεῖν τὸν τεχνίτην ἅτε καθ᾿ αὑτὴν τῆς ὕλης ἀκινήτου καθεστώσης, οὕτω καὶ τὴν τῶν ὅλων ὕλην θεωροῦντες κινουμένην καὶ ἐν μορφῇ τε καὶ διακοσμήσει τυγχάνουσαν εὐλόγως ἂν σκεπτοίμεθα τὸ κινοῦν αὐτὴν καὶ πολυειδῶς μορφοῦν αἴτιον. (3) τοῦτο δὲ οὐκ ἄλλο τι πιθανόν ἐστιν εἶναι ἢ δύναμίν τινα δι᾿ αὐτῆς πεφοιτηκυῖαν, καθάπερ ἡμῖν ψυχὴ πεφοίτηκεν. (4) αὔτη οὖν ἡ δύναμις ἤτοι αὐτοκίνητός ἐστιν ἢ ὑπὸ ἄλλης κινεῖται δυνάμεως. (5) καὶ εἰ μὲν ὑφ᾿ ἑτέρας κινεῖται, τὴν ἑτέραν ἀδύνατον ἔσται κινεῖσθαι μὴ ὑπ᾿ ἄλλης κινουμένην, ὅπερ ἄτοπον. ἔστι τις ἄρα καθ᾿ ἑαυτὴν αὐτοκίνητος δύναμις, ἥτις ἂν εἴη θεία καὶ ἀίδιος. (6) ἢ γὰρ ἐξ αἰῶνος κινήσεται ἢ ἀπό τινος χρόνου. (7) ἀλλ᾿ ἀπό τινος χρόνου μὲν οὐ κινήσεται· οὐ γὰρ ἔσται τις αἰτία τοῦ ἀπό τινος αὐτὴν χρόνου κινεῖσθαι. ἀίδιος τοίνυν ἐστὶν ἡ κινοῦσα τὴν ὕλην δύναμις καὶ τεταγμένως αὐτὴν εἰς γενέσεις καὶ μεταβολὰς ἄγουσα. ὥστε θεὸς ἂν εἴη αὕτη.
(1) 따라서 있는 것들의 실체는, 그들이 말하길, 그 자체로부터 움직여지지 않는 것이자 형체 없는 것으로서 어떤 원인에 의해 움직여지고 형체갖추어질 필요가 있다: (2) 또한 이로 인하여, 청동으로 만들어진 아주 아름다운 작품을 우리가 보면서 질료가 그 자체로는 움직여지지 않는 것으로 정해져 있는 까닭에 그 기술자(장인)를 알기를 갈망하듯, 그런 식으로 전체들의 질료 또한 우리가 그것이 형상 내에서 그리고 질서 속에서 마침 움직이는 것을 볼 때 합리적으로 우리는 그 질료를 움직이고 많은 형상들로 형체를 만든 원인을 검토할 것이다. (3) 그런데 이것이, 마치 영혼이 우리에게 들어서 있듯, 그 자체로 들어서 있는 어떤 능력 외에 다른 무언가라는 건 신빙성이 없다. (4) 그러므로 스스로 운동하지 않는다면 그 밖의 능력에 의해 움직여진다. (5) 다른 능력에 의해 움직여진다면, 그 다른 능력은 또 다른 능력에 의해 움직여지지 않을 경우 움직일 능력이 없을 것이고, 그야말로 이상한 일이다. 그래서 무언가 그 자신에 따라 스스로 움직이는 능력이 있는데, 그 능력은 신적인 것이자 영속적인 것이다. (6) 왜냐하면 영원을 통해 움직이거나 어떤 시간에서부터 움직일 것이기 때문이다. (7) 하지만 어떤 시간에서부터 움직이지는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어떤 시간에서부터 그 능력을 움직이는 일의 어떤 원인이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질료를 움직이고 질서 있게 생성과 변화로 이끄는 능력은 영속적이다. 그래서 그 능력은 신일 것이다.
ὀφείλει : ὀφείλω. behove.
ποθοῦμεν : ποθέω. long for, yearn after.
πεφοιτηκυῖαν : φοιτάω pf. part. go in.

D. Calcidius 292 (SVF 1.88, part)
(1) Zeno hanc ipsam essentiam finitam esse dicit unamque eam communem omnium quae sunt esse substantiam, (2) dividuam quoque et usque quaque mutabilem. (3) partes quippe eius verti sed non interire, ita ut de existentibus consumantur in nihilum. sed ut innumerabilium diversarum etiam cerearum figurarum, sic neque formam neque figuram nec ullam omnino qualitatem propriam fore censet fundamenti rerum omnium silvae, coniunctam tamen esse semper et inseparabiliter cohaerere alicui qualitate. (4) cumque tam sine ortu sit quam sine interitu, quia neque de non existente substitit nec consumetur in nihilum, non deesse ei spiritum ac vigorem ex aeternitate, qui moveat eam rationabiliter totam interdum, non numquam pro portione.
제논은 바로 이 실체가 한정된 것이라고 그리고 그것만이 존재하는 모든 것들의 공통된 기체라고, (2) 또한 분할가능한 것이자 모든 면에서 변화 가능한 것이라고 말한다. (3) 그는 물론 그것의 부분들은 변화되나, 현존으로부터 무로 환원될 정도로, 파괴되지는 않는다고 말한다. 그러나 마치 헤아릴 수 없이 분할된 밀랍들의 형태들과 같이, 그렇게 그는 형상도 형태도 전적으로 어떤 고유한 성질도 모든 사물의 토대인 질료에는 있지 않으리라고, 그렇지만 (질료가) 연속된 것이고 다른 어떤 성질에 불가분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4) 파괴만큼 시작도 없을 것이므로, 비-존재로부터 나왔던 것도 아니고 무로 환원되지도 않을 것이기에, 이따금 그 질료를 전체로서 이성적으로 운동시키고, 때로는 부분에 대해 그리하는, 그것은 영원으로부터 숨결과 활력을 결여하지 않는다고 그는 생각한다.

E. Calcidius 293
(1) ergo corpus universum iuxta Stoicos determinatum est et unum et totum et essentia. (2) totum quidem, quia nihil ei partium deest; unum autem, quia inseparabiles eius partes sunt et invicem sibi cohaerent; essentia vero, quia princeps silva est omnium corporum per quam ire dicunt rationem solidam atque universam, perinde ut semen per membra genitalia. (3) quam quidem rationem ipsum fore opificem volunt, cohaerens vero corpus et sine qualitate, patibile totum et commutabile silvam sive essentiam. (4) quae vertatur quidem nec intereat tamen neque tota neque partium excidio, ideo quia philosophorum omnium commune dogma est neque quid fieri ex nihilo nec in nihilum interire. licet enim cuncta corpora casu aliquo diffluant, silva tamen semper est et opifex deus, ratio scilicet, in qua sit fixum quo quidque tempore tam nascatur quam occidat. (5) proptereaque de existentibus genituram fieri et in existens desinere quod finiatur immortalibus perseverantibus, a quo fit et item ex quo fit quod gignitur.
그러므로 우주적 신체는 스토아 학자들에 따르자면 한정된 것이자 하나이며 전체이고 실체이다. (2) 그것에 어떤 부분도 결여되지 않기에, 그것은 전체이다; 그렇지만 그것의 부분들이 불가분하며 또한 자신들에게 결합하기에, 그것은 하나이다; 진정으로 실체이다, 모든 물체들의 제일의 질료로서 그를 통해, 생식 기관을 통하여 정액이 그리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완전하고 보편적인 이성이 지난다고 그들은 말하기 때문이다. (3) 그들은 이 이성을 바로 장인일 것으로 생각하고, 반면 결합하는 물체를 성질 없는 것, 전적으로 수동적이며 변화하는 질료나 실체일 것으로 생각한다. (4) 그 실체는 변화하지만 전체로서도 부분의 파괴를 통해서도 소멸하지도 않는데, 모든 철학자들의 공통된 신조는 어떤 것이 무로부터 생성되지도 무로 소멸하지도 않는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설령 모든 물체들이 어떤 이유로 해체된다 할지라도, 여전히 질료와 장인 신, 즉 이성, 그 안에서 각각의 모든 것이 언제 생겨나고 사라질지 확정될 그 이성은 영원하다.  (5) 또한 그러므로 현존하는 것들로부터 탄생이 나오고 현존하는 것들로 소멸하는데, 왜냐하면, 산출되는 것이 그것에 의해 그리고 그것으로부터 이루어지는, 그 탄생이 불멸하고 지속하는 것들로 한정지어지기 때문이다.

F. Diogenes Laertius 7.137-8 (SVF 2.526)
λέγουσι δὲ κόσμον τριχῶς· αὐτόν τε τὸν θεὸν τὸν ἐκ τῆς ἁπάσης οὐσίας ἰδίως ποιόν, ὃς δὴ ἄφθαρτός ἐστι καὶ ἀγένητος, δημιουργὸς ὢν τῆς διακοσμήσεως, κατὰ χρόνων ποιὰς περιόδους ἀναλίσκων εἰς ἑαυτὸν τὴν ἅπασαν οὐσίαν καὶ πάλιν ἐξ ἑαυτοῦ γεννῶν· καὶ αὐτὴν δὲ τὴν διακόσμησιν [τῶν ἀστέρων] κόσμον εἶναι λέγουσι· καὶ τρίτον τὸ συνεστηκὸς ἐξ ἀμφοῖν. καὶ ἔστι κόσμος ὁ ἰδίως ποιὸς τῆς τῶν ὅλων οὐσίας ἢ, ὥς φησι Ποσειδώνιος ἐν τῇ Μετεωρολογικῇ στοιχειώσει, σύστημα ἐξ οὐρανοῦ καὶ γῆς καὶ τῶν ἐν τούτοις φύσεων, ἢ σύστημα ἐκ θεῶν καὶ ἀνθρώπων καὶ τῶν ἕνεκα τούτων γεγονότων.
그들은 우주를 세 가지 방식으로 진술한다: 그것을 모든 실체로 이루어진 특유한 성질의 신, 그래서 소멸하지도 생성되지도 않는 신이라고도 말한다, 세계질서의 장인이기에, 시간들의 어떠한 주기들에 따라 그 자신에게로 모든 실체를 소멸시키고 또 다시 자신으로부터 생성시킴으로써: 게다가 바로 이 세계질서를 [별들의] 우주라고 그들은 진술한다: 세 번째로 양자로부터 결합한 것이라 진술한다. 그리고 전체들의 실체에 대한 특유한 성질의 것이 우주이거나, 『기상학 교설』에서 포세이도니오스가 말하듯, 천상과 대지 그리고 이것들 안의 본성들(자연들)로부터 이루어진 체계이거나, 신들과 인간들 그리고 이들로 인하여 생겨난 것들로 이루어진 체계이다.

g. Plotinus 2.4.1 (SVF 2.320, part)
καὶ δὴ καὶ τολμῶσι καὶ μέχρι θεῶν αὐτὴν [sc. ὕλην] ἄγειν· καὶ τέλος δὴ καὶ αὐτὸν αὐτῶν τὸν θεὸν ὕλην ταύτην πως ἔχουσαν εἶναι.
더욱이 그들은 신들에 대해서까지 그것(질료)을 이끌어 내려 든다: 더 나아가 결국 그들의 바로 그 신은 어떤 상태에 있는 이러한 질료라고 (말한다? 생각한다?).

h. Plato, Soph. 247d8-e4
ΞΕΝΟΣ. λέγω δὴ τὸ καὶ ὁποιανοῦν [τινα] κεκτημένον δύναμιν εἴτ᾿ εἰς τὸ ποιεῖν ἕτερον ὁτιοῦν πεφυκὸς εἴτ᾿ εἰς τὸ παθεῖν καὶ σμικρότατον ὑπὸ τοῦ φαυλοτάτου, κἄν εἰ μόνον εἰς ἅπαξ, πᾶν τοῦτο ὄντως εἶναι· τίθεμαι γὰρ ὅρον [ὁρίζειν] τὰ ὄντα ὡς ἔστιν οὐκ ἄλλο τι πλὴν δύναμις.
손님. 그래서 나는 그 무엇이 되었든지 간에 본디 다른 뭐든지 그것에 행하는 쪽으로든 매우 하찮은 것에 의해 극미하게라도 겪는 쪽으로든 그럴 능력을 갖춘 것은, 설령 오직 단 한 차례만이라 하더라도, 이런 모든 것을 실제로 ~이라고 말한다네: 왜냐하면 다른 무엇도 아닌 능력이 ~인 것들이 ~이라는 표지라 세우기 때문이지.
* Benardete, White 모두 "ὡς ἔστιν"을 ὅρον을 수식하는 that 절(W) 혹은 ὁρίζειν의 목적절인 that 절(B)로 번역하고 동사의 주어를 τὰ ὄντα로 본다. ὁρίζειν의 유무와 관련이 없다. 그러나 이창우 국역본의 경우 "ὡς ἔστιν οὐκ ἄλλο τι πλὴν δύναμις" 전체를 절로 보는 듯하다. 물어봐야 할 듯.
B : 본문 I'm proposing, in short, a definition (boundary-mark): 'The things which are' are not anything else but power. 주석 I'm proposing, in short, a definition (boundary-mark) to define (bound) the things which are, that they are, etc.
W : I'll take it as a definition that those which are amount to nothing other than capacity.

  Stoic physical theory starts from the presupposition that a single world-order exists. Like their predecessors and contemporary rivals they then asked, what must the world possess as constituents and causal principles which will explain its state at all times? Their answer is given in B-E: an active principle, termed 'reason' (logos) or 'god' or 'cause' (cf. 55E), and a passive principle, termed 'unqualified substance' or 'matter' or 'substrate'. God and matter are the foundations of the world, but this is not equivalent to the 'all' (A), i.e. literally everything. The world is a 'whole' but it is surrounded by infinite void (see 49A2). So the two principles are advanced not as an exhaustive account of everything but as comprising together the 'whole' of the world.
  The capacity to act or to be acted upon (B I) was no novelty as the defining characteristic of what exists. In so characterizing their principles, the Stoics could appeal to the Platonic and Aristotelian tradition (see h vol. 2); where they differed radically from this tradition was in their insistence that only bodies are capable of acting or of being acted upon (see 45). The persistence of empirical entities through change (already heavily emphasized in Aristotle's account of primary substances) provides reasons for distinguishing between the matter of some object and its shape or structure (see 28D 10-12). The Stoics, then, with startling economy, propose to explain all the formal or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objects by reference to the presence, within their matter, of a divine principle that activates and shapes them.
  According to this scheme any object, or the world as a whoie, can be analysed as a composite of matter and god. But ac this level of generality, neither matter nor god, just by itself, provides particular objects with any definite description; unlike the four elements (see 46-7), whose form is earth, water etc., the principles, which consticute che elements, are themselves 'without form' (B 3). Matter is what you would get if (per impossibile) you could remove all the characteristics of an object which make it someching particular. God accounts for those characteristics, but does not furnish the matter that must underlie anything with characteristics. Matter needs god in order to be a particular entity, and god needs matter in order that there shall be some entity for god to characterize.
  It is important to notice that the two principles are so described that they do not depend upon specific theories about bodies, elements, or any of the detailed apparatus which underpins Stoic analysis of particular phenomena. We are asked, however, in C—F to accept the passive principle, matter, as the Stoics' answer to the question, 'What is substance?', and to acknowledge its possessing che properties stated in those passages: it is unqualified, incapable of initiating motion, finite, common to every body, plastic, everlasting, one, whole. Matter, as so described, underlies or provides the foundation for every particular object and thus for the differentiated world as a whole (E2). Since it is uniform, finite, everlasting and unqualified, it makes for a world capable of persisting indefinitely and yet sustaining within itself constant and varied changes.
  In C 4-7 and D 4 reasons are given for matter's being everlastingly pervaded, moved, and shaped by the active principle. And C, by seeps which recall Plato's Phaedrus and Ariscode. Physics vm, infers chat the active principle, as universal efficient cause, is god. Because god or logos is always present in matter (B2), matter always has 'some quality or other". The effecc of chis constant combination of god and matter is to make the world in a sense equivalent to god (D3). Hence the description (F) of god as 'the peculiarly qualified individual consisting of all substance' (cf. 28D-J; 43Ai). Under god's direction, this substance or matter alternates everlastingly between a state of pure fire (cf. 46G I) and a state which is the differentiated world.
  The philosophical economy of the two principles is striking. They purport to answer at least three distinct questions about the world. (1) Matter and god together totally comprise the actual ingredients or constituents of the world. (2) Matter and god together provide the two concepts needed for causal explanations, since all particular beings are constructed by god out of matter (cf. 5SE). (3) Matter and god together give a metaphysical foundation for any statement about the world, since to predicate a property of a subject is to describe a quality or disposition of god in matter.
  Their historical origin is complex. Reasoning that goes back to Parmenides helps to establish some of their properties (D 4, E 4-5; cf. 4A with commentary for Epicurus' use of similar laws); but echoes of Plato and Aristotle are more significant. As the active principle, god is a 'craftsman' (E3-4) recalling the cosmology of the Timaeus, with its 'receptacle' which is utterly plastic and funcnons as the recipient of qualities. Cosmogony apart, there is a general similarity to Aristotle's form and matter. But the principles are distinctively Stoic, not least because they introduce an all-pervasive divine causal agent immanent in matter. For details of their specific cosmological functions see 45-8, 52, 54-5.

-작성중-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