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 Time

A Simplicius, In Ar. Cat. 350,14-16 (SVF 2.510, part)
ὁ μὲν Ἀριστοτέλης ἀριθμὸν κινήσεως εἶναί φησι τὸν χρόνον, τῶν δὲ Στωικῶν Ζήνων μὲν πάσης ἁπλῶς κινήσεως διάστημα τὸν χρόνον εἶπεν, Χρύσιππος δὲ διάστημα τῆς τοῦ κόσμου κινήσεως.
아리스토텔레스는 시간이 운동의 (수)양이라 말하고, 스토아학파 사람들 중에서 제논은 시간이 단순히 모든(전체?) 운동의 간격이라고 말하며, 크뤼십포스는 우주의 운동의 간격이라 말한다.

B Stobaeus 1.106,5-23 (SVF 2.509)
(1) Χρυσίππου. ὁ δὲ Χρύσιππος χρόνον εἶναι κινήσεως διάστημα, καθ᾿ ὃ ποτὲ λέγεται μέτρον τάχους τε καὶ βραδύτητος· ἢ τὸ παρακολουθοῦν διάστημα τῇ τοῦ κόσμου κινήσει. (2) καὶ κατὰ μὲν τὸν χρόνον κινεῖσθαί τε ἕκαστα καὶ εἶναι, εἰ μὴ ἄρα διττὸς λέγεται ὁ χρόνος, καθάπερ ἥ τε γῆ καὶ ἡ θάλαττα καὶ τὸ κενόν, τά τε ὅλα καὶ τὰ μέρη τὰ αὐτῶν. ὥσπερ δὲ τὸ κενὸν πᾶν ἄπειρον εἶναι πάντῃ καὶ τὸν χρόνον πάντα ἄπειρον εἶναι ἐφ᾿ ἑκάτερα· καὶ γὰρ τὸν παρεληλυθότα καὶ τὸν μέλλοντα ἄπειρον εἶναι. (3) ἐμφανέστατα δὲ τοῦτο λέγει, ὅτι οὐθεὶς ὅλως ἐνίσταται χρόνος. ἐπεὶ γὰρ εἰς ἄπειρον ἡ τομὴ τῶν συνεχόντων ἐστί, κατὰ τὴν διαίρεσιν ταύτην καὶ πᾶς χρόνος εἰς ἄπειρον ἔχει τὴν τομήν· ὥστε μηθένα κατ᾿ ἀπαρτισμὸν ἐνεστάναι χρόνον, ἀλλὰ κατὰ πλάτος λέγεσθαι. (4) μόνον δ᾿ ὑπάρχειν φησὶ τὸν ἐνεστῶτα, τὸν δὲ παρῳχημένον καὶ τὸν μέλλοντα ὑφεστάναι μέν, ὑπάρχειν δὲ οὐδαμῶς, †εἰσὶν ὡς καὶ κατηγορήματα ὑπάρχειν λέγεται μόνα τὰ συμβεβηκότα, οἷον τὸ περιπατεῖν ὑπάρχει μοι ὅτε περιπατῶ, ὅτε δὲ κατακέκλιμαι ἢ κάθημαι οὐχ ὑπάρχει.
(1) 크뤼십포스의 경우. 크뤼십포스는 시간이 운동의 간격이라고 말한다, 그에 따라 언제든 빠름과 느림의 척도가 논해질 때: 혹은 우주의 운동에 뒤따르는 간격이라고 말한다. (2) 또한 시간에 따라 각각의 것들이 움직여지고 또 존재한다고 말한다, 만일 시간이 이중의 것으로 논해지지 않는다면, 마치 대지와 바다와 허공이, 그것들의 전체들이자 부분들이기도 하듯. 그런데 그는 허공이 전체로서 모든 면에서 무한하듯 시간 또한 전체로서 양쪽으로 무한하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과거도 미래도 무한하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3) 그는 다음의 일이 매우 자명하다고 논한다, 단 한 시간도 총체적으로 현전하지 않는다는 점이. 왜냐하면 연속된 것들의 절단이 무한을 향하기에, 이러한 분할에 따라 시간 전체도 자신의 분할을 무한을 향해 지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 어떤 시간도 완벽하게 현전하지 않지만, 근사치로 그렇게 논해진다고 말한다. (4) 그런데 그는 오직 현재만이 현존한다고, 과거와 미래는 존립하지만, 어떤 식으로도 현존하지 않는다고 말하며, 범주들조차 오직 속성들로서만 현존한다고 논해지는데, 예를 들어 걷는다는 것은 내가 걷고 있을 때 내게 현존하지만, 내가 누웠을 때나 앉았을 때에는 현존하지 않는다.

C Plutarch, Comm. not. 1081C-1082A.
(1) παρὰ τὴν ἔννοιάν ἐστι χρόνον εἶναι μέλλοντα καὶ παρῳχημένον, ἐνεστῶτα δὲ μὴ εἶναι χρόνον, ἀλλὰ τὸ μὲν ἄρτι καὶ τὸ πρῴην ὑφεστάναι, τὸ δὲ νῦν ὅλως μηδὲν εἶναι. (2) καὶ μὴν τοῦτο συμβαίνει τοῖς Στωικοῖς ἐλάχιστον χρόνον μὴ ἀπολείπουσι μηδὲ τὸ νῦν ἀμερὲς εἶναι βουλομένοις, ἀλλὰ ὅ τι ἄν τις ὡς ἐνεστὼς οἴηται λαβὼν διανοεῖσθαι, τούτου τὸ μὲν μέλλον τὸ δὲ παρῳχημένον εἶναι φάσκουσιν. (3) ὥστε μηδὲν κατὰ τὸ νῦν ὑπομένειν μηδὲ λείπεσθαι μόριον χρόνου παρόντος, ἂν ὃς λέγεται παρεῖναι τούτου τὰ μὲν εἰς τὰ μέλλοντα τὰ δ᾿ εἰς τὰ παρῳχημένα διανέμηται . . . (4) οἱ δ᾿ ἄλλοι πάντες ἄνθρωποι καὶ τὸ "ἄρτι" καὶ τὸ "μετὰ μικρόν" ὡς ἕτερα τοῦ "νῦν" μόρια, καὶ τὸ μὲν μετὰ τὸ νῦν τὸ δὲ πρὸ τοῦ νῦν τίθενται καὶ νοοῦσι καὶ νομίζουσι. τούτων <δ᾿> Ἀρχέδημος μὲν ἁρμήν τινα καὶ συμβολὴν εἶναι λέγων τοῦ παρῳχημένου καὶ τοῦ ἐπιφερομένου τὸ "νῦν" λέληθεν αὑτὸν ὡς ἔοικε τὸν πάντα χρόνον ἀναιρῶν. εἰ γὰρ τὸ νῦν οὐ χρόνος ἐστὶν ἀλλὰ πέρας χρόνου πᾶν δὲ μόριον χρόνου τοιοῦτον οἷον τὸ νῦν ἐστιν, οὐδὲν φαίνεται μέρος ἔχων ὁ σύμπας χρόνος ἀλλ᾿ εἰς πέρατα διόλου καὶ συμβολὰς καὶ ἁρμὰς ἀναλυόμενος. (5) Χρύσιππος δὲ βουλόμενος φιλοτεχνεῖν περὶ τὴν διαίρεσιν ἐν μὲν τῷ Περὶ τοῦ κενοῦ καὶ ἄλλοις τισὶ τὸ μὲν παρῳχημένον τοῦ χρόνου καὶ τὸ μέλλον οὐχ ὑπάρχειν ἀλλὰ ὑφεστηκέναι φησί, μόνον δ᾿ ὑπάρχειν τὸ ἐνεστηκός, ἐν δὲ τῷ τρίτῳ καὶ τετάρτῳ καὶ πέμπτῳ Περὶ τῶν μερῶν τιθησι τοῦ ἐνεστηκότος χρόνου τὸ μὲν μέλλον εἶναι τὸ δὲ παρεληλυθός. (6) ὥστε συμβαίνει τὸ ὑπάρχον αὐτῷ τοῦ χρόνου διαιρεῖν εἰς τὰ μὴ ὑπάρχοντα τοῦ ὑπάρχοντος, μᾶλλον δὲ ὅλως τοῦ χρόνου μηδὲν ἀπολείπειν ὑπάρχον, εἰ τὸ ἐνεστηκὸς οὐδὲν ἔχει μέρος ὃ μὴ μέλλον ἐστὶν ἢ παρῳχημένον.
(1) 과거와 미래가 시간이고, 현재는 시간이 아니지만, 직전과 예전은 존립하는 반면, 지금은 전적으로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은 상식에 어긋난다. (2) 게다가 이것이 스토아 학자들에게 귀결된다, 최단시간을 허용하지도 않고 지금 또한 부분 없는 것이지만, 누군가 현재 붙들고서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그 무엇이든, 그것의 일부는 미래이고 일부는 과거라고 확언하는 그들에게. (3) 그래서 지금에 따라서는 아무것도 현재 시간의 부분으로 존속하지도 남겨지지도 않는다, 현재한다고 논해지는, 그것의 일부는 미래의 것들로 일부는 과거의 것들로 귀속되는 어떤 시간이든. (4) 그런데 그 외의 모든 사람들은 '직전'이라는 것도 '직후(조금 뒤)'라는 것도 '지금'이라는 것과 다른 부분들이라고, 한쪽은 지금 다음의 것이고 다른 쪽은 지금에 앞서는 것이라고 정하고 생각하며 믿는다. 그런데 그들 중 아르케데모스는 '지금'이라는 것이 지난 것(과거)과 덧붙는 것(미래)의 어떤 연결이자 연접이라고 논하면서 자신도 모르게 전체 시간을 들어내 버리는 것 같다. 왜냐하면 만일 지금이 시간이 아니라 시간의 한계이고 시간의 부분 모두가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지금이라면, 통틀어 시간 전체는 아무런 부분도 지니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고 오히려 전체에 걸쳐 연접들도 연결들도 한계들로 들어내어지는 것으로 드러날 것이기 때문이다. (5) 크뤼십포스는 그 분할에 관하여 기술적으로 다루기를 바라면서 『허공에 관하여』와 다른 어떤 것들에서는 시간의 과거와 미래가 현존하지 않지만 존립한다고 말하는 한편, 현재만이 현존한다고 말하는가 하면, 『부분들에 관하여』 3권과 4권 그리고 5권에서는 현재 시간의 한쪽은 미래이고 다른 쪽은 과거라고 내세운다. (6) 그래서 그에게 현존은 현존하는 시간에 대한 현존하지 않는 것들로의 분할임이, 차라리 시간에 아무런 현존도 전적으로 남지 않는다는 것이 귀결한다, 만일 현재가 미래도 과거도 아닌 아무런 부분도 지니지 않는다면.

D Stobaeus 1.105,8-16 (SVF 3 Apollodorus 8)
Ἀπολλόδωρος δ᾿ ἐν τῇ Φυσικῇ τέχνῃ οὕτως ὁρίζεται τὸν χρόνον· Χρόνος δ᾿ ἐστὶ τῆς τοῦ κόσμου κινήσεως δίαστημα· οὕτως δ᾿ ἐστὶν ἄπειρος ὡς ὁ πᾶς ἀριθμὸς ἄπειρος λέγεται εἶναι· τὸ μὲν γάρ ἐστιν αὐτοῦ παρεληλυθός, τὸ δὲ ἐνεστηκός, τὸ δὲ μέλλον. ἐνεστάναι δὲ τὸν πάντα χρόνον ὡς τὸν ἐνιαυτὸν ἐνεστηκέναι λέγομεν κατὰ μείζονα περιγραφήν· καὶ ὑπάρχειν ὁ πᾶς χρόνος λέγεται. οὐδενὸς αὐτοῦ τῶν μερῶν ὑπάρχοντος ἀπαρτιζόντως.
아폴로도로스는 『자연학적 기술』에서 시간을 그런 식으로 정의한다: 우주의 운동 간격이 시간이다: 전체 수가 무한한 것으로 논해지듯 그런 식으로 무한하다: 왜냐하면 그 시간의 한쪽은 과거이고, 다른 쪽은 현재이며, 또 다른 쪽은 미래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전체 시간은 한 해가 현존한다고 우리가 말하듯 큰 주기에 따라 현존한다고 말한다: 또한 전체 시간도 존립한다고 논해진다. 그 시간의 부분들 중 어느 하나도 완벽하게 존립하지 않음에도.

E Stobaeus 1.105,17-106.4 (Posidonius fr. 98)
(1) Ποσειδωνίου. τὰ μέν ἐστι κατὰ πᾶν ἄπειρα, ὡς ὁ σύμπας χρόνος· τὰ δὲ κατά τι, ὡς ὁ παρεληλυθὼς χρόνος καὶ ὁ μέλλων· κατὰ γὰρ τὸν παρόντα μόνον ἑκάτερος πεπέρανται. (2) τὸν δὲ χρόνον οὕτως ὁρίζεται· διάστημα κινήσεως ἣ μέτρον τάχους τε καὶ βραδυτῆτος. (3) καὶ †πως ἔχει† τὸν ἐπινοούμενον κατὰ τὸ πότε τοῦ χρόνου τὸν μὲν εἶναι παρεληλυθότα, τὸν δὲ μέλλοντα, τὸν δὲ παρόντα, ὃς ἔκ τινος μέρους τοῦ παρεληλυθότος καὶ τοῦ μέλλοντος περὶ τὸν διορισμὸν αὐτὸν συνέστηκε· τὸν δὲ διορισμὸν σημειώδη εἶναι. (4) τὸ δὲ νῦν καὶ τὰ ὅμοια ἐν πλάτει [χρόνου] καὶ οὐχὶ κατ᾿ ἀπαρτισμὸν νοεῖσθαι. (5) λέγεσθαι δὲ τὸ νῦν καὶ κατὰ τὸν ἐλάχιστον πρὸς αἴσθησιν χρόνον περὶ τὸν διορισμὸν τοῦ μέλλοντος καὶ παρεληλυθότος συνιστάμενον.
(1) 포세이도니우스의 경우. 어떤 것들은 전체에 따라 무한한 것들이다, 통틀어 모든 시간이 그렇듯: 어떤 것들은 어떤 점에서는 무한하다, 지나간 시간과 다가올 시간이 그러하듯: 왜냐하면 그 둘 각각이 오직 현재에 따라서만 한정되었기 때문이다. (2) 그런데 시간은 이런 식으로 정의된다: 운동의 간격 혹은 빠름과 느림의 척도. (3) '언제'에 따라 고안된 시간의 일부는 과거이고, 일부는 미래이며, 일부는 현재라고 그는 주장하며, 현재는 과거와 미래의 어느 부분으로부터 바로 그 한정의 부근에서 결합한 것이다: 그런데 그 한정은 특유한 것이다. (4) 그런데 지금과 그 유사한 것들은 광의의 시간에서 생각되고 완벽한 의미에서 생각되지 않는다. (5) 그런데 지금이 감각에 대한 최단 시간에 따라서도 미래와 과거의 한정 부근에서 결합된 것으로 논해진다.

F Proclus, In Plat. Tim. 271D (SVF 2.521)
(1) ἔτι δὲ κἀκεῖνο ληπτέον ἀπὸ τῶν προειρημένων, ὅτι πολλοῦ δεῖ τοιοῦτον ὑπονοῆσαι τὸν χρόνον ὁ Πλάτων οἷον οἱ ἀπὸ τῆς Στοᾶς ὑπέλαβον ἢ τῶν ἐκ τοῦ Περιπάτου πολλοί, (2) οἱ μὲν κατ᾿ ἐπίνοιαν ψιλὴν αὐτὸν συνιστάντες ἀμενηνὸν καὶ ἔγγιστα τοῦ μὴ ὄντος (ἓν γὰρ ἦν τῶν παρ᾿ αὐτοῖς ἀσωμάτων ὁ χρόνος, ἃ δὴ καταπεφρόνηται παρ᾿ αὐτοῖς ὡς ἀδρανῆ καὶ οὐκ ὄντα καὶ ἐν ἐπινοίαις ὑφιστάμενα ψιλαῖς), (3) οἱ δὲ συμβεβηκὸς τῆς κινήσεως λέγοντες.
(1) 더 나아가 앞서 이야기된 것들로부터 다음과 같은 점 또한 받아들여져야만 한다, 플라톤은 예를 들어 스토아 학자들 혹은 페리파토스 학자들 중 대다수가 간주하였던 그와 같은 것으로 시간을 이해하는 것과는 상당히 거리가 멀었다는 점이. (2) 스토아 학자들은 순수한 관념에 따라 시간을 일시적이며 비-존재에 매우 가까운 것으로 구성하며 (왜냐하면 그들에게 있어서 시간은 비물체들 중의 하나였고, 실로 그 비물체들은 미약한 것들으로서 그리고 존재하지 않는 것들이자 순전한 관념들 내에서 존립하는 것들로서 간과되었기 때문이다), (3) 후자들은 운동의 부수적 속성으로 논한다.

G Plutarch, Comm. not. 1084C-D (SVF 2.665)
καὶ μὴ δυσχεραινέτωσαν ἐπὶ ταῦτ᾿ ἀγόμενοι τῷ κατὰ μικρὸν λόγῳ, Χρυσίππου μνημονεύοντες ἐν τῷ πρώτῷ τῶν Φυσικῶν ζητημάτων οὕτω προσάγοντος· "οὐχ ἡ μὲν νὺξ σῶμ᾿ ἐστίν, ἡ δ᾿ ἑσπέρα καὶ ὁ ὄρθρος καὶ τὸ μέσον τῆς νυκτὸς σώματ᾿ οὔκ ἐστιν· οὐδὲ ἡ μὲν ἡμέρα σῶμ᾿ ἐστὶν οὐχὶ δὲ καὶ ἡ νουμηνία σῶμα καὶ ἡ δεκάτη καὶ πεντεκαιδεκάτη καὶ ἡ τριακὰς καὶ ὁ μὴν σῶμ᾿ ἐστὶ καὶ τὸ θέρος καὶ τὸ φθινόπωρον καὶ ὁ ἐνιαυτός."
그들로 하여금 이런 것들을 향해 파편적인 논변으로써 이끌리는 일에 짜증을 내지 못하게끔 하자, 크뤼십포스가 『자연학적 탐구들』 1권에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접근한다는 점을 상기시키면서: "밤은 물체이지만, 초저녁과 새벽녘 그리고 밤의 가운데는 물체가 아닌 것이 아니다: 일(日)은 물체이지만 초일도 물체가 아니고 십일도 보름날도 말일도 물체인 것은 진정 아니며 여름도 가을도 한 해도 그러하다는 것도 아니다."

H Sextus Empiricus, M. 8.254-5 (SVF 2.221, part)
(1) ἔτι, φασί, τὸ σημεῖον παρὸν παρόντος εἶναι δεῖ σημεῖον. (2) ἔνιοι γὰρ ἐξαπατώμενοι καὶ παρὸν παρῳχημένου θέλουσιν εἶναι σημεῖον, ὡς ἐπὶ τοῦ "εἰ οὐλὴν ἔχει οὗτος, ἕλκος ἔσχηκεν οὗτος". τὸ μὲν γὰρ "οὐλὴν ἔχει" παρόν ἐστι, φαίνεται γάρ, τὸ δὲ ἕλκος ἐσχηκέναι παρῳχημένον, οὐκέτι γὰρ ἔστιν ἕλκος, καὶ παρὸν μέλλοντος, ὡς τὸ περιεχόμενον τῷ τοιούτῳ συνημμένῳ "εἰ καρδίαν τέτρωται οὗτος, ἀποθανεῖται οὗτος"· τὸ μὲν γὰρ τραῦμα τῆς καρδίας εἶναι φασιν ἤδη, τὸν δὲ  θάνατον μέλλειν. (3) ἀγνοοῦσι δὴ οἱ τὰ τοιαῦτα λέγοντες ὅτι ἄλλ᾿ ἐστὶ τὰ παρῳχημένα καὶ τὰ μέλλοντα, τὸ μέντοι σημεῖον καὶ σημειωτὸν κἀν τούτοις παρὸν παρόντος ἐστίν. (4) ἔν τε γὰρ τῷ προτέρῳ τῷ "εἰ οὐλὴν ἔχει οὗτος, ἕλκος ἔσχηκεν οὗτος" τὸ μὲν ἕλκος γέγονεν ἤδη καὶ παρῴχηκεν, τὸ δὲ ἕλκος ἐσχηκέναι τοῦτον, ἀξίωμα καθεστηκός, ἐνέστηκεν, περὶ γεγονότος τινὸς λεγόμενον· ἔν τε τῷ "εἰ καρδίαν τέτρωται οὗτος, ἀποθανεῖται οὗτος" ὁ μὲν θάνατος μέλλει, τὸ δὲ ἀποθανεῖσθαι τοῦτον ἀξίωμα ἐνέστηκεν, περὶ μέλλοντος λεγόμενον, παρὸ καὶ νῦν ἐστιν ἀληθές.
(1) 더욱이, 그들이 말하기로, 징표는 현재에 대한 현재하는 신호여야 한다. (2) 왜냐하면 일부 사람들은 기만되어(착각하여) 현재까지도 과거의 신호이리라 기대하는데, "만일 이 사람이 상처를 지니고 있다면, 이 사람은 상해를 입었다"라는 말의 경우처럼 그러하다. 왜냐하면 한편으로 "상처를 지니고 있다"라는 것은 현재의 일인 바, 그러한 것으로 드러나기 때문에 그러하나, 상해를 입었다는 것은 과거의 일인 바, 더 이상 상해는 없기에 그러하고, 또 현재를 미래의 신호로도, "만일 이 사람이 심장을 관통당하고 있다면, 이 사람이 죽을 것이다" 라는 이러한 결합된 것에 의해 포함된 것처럼 그리 한다. 왜냐하면 한편으로 심장의 피해는 이제 있다고 말하지만, 죽음은 장차 있을 것으로 말하기 때문이다. (3) 그래서 이런 것들을 논하는 자들은 과거의 일들과 미래의 일들이 다른 것들이고, 그렇지만 신호와 이런 것들로써 신호가 가리킬 것이 현재에 대한 현재 신호라는 사실을 알지 못한다. (4) 왜냐하면 앞서 "이 사람이 상처를 지니고 있다면, 이 사람은 상해를 입었다" 라는 경우에서도 상해는 이미 이루어졌고 지나갔지만, 상해를 입었었다는 이것, 이 세워진 명제는, 현전하기 때문이다, 생겨난 무엇인가에 관하여 논해지면서. "만일 이 사람이 심장을 관통당하고 있다면, 이 사람은 죽을 것이다" 라는 경우에서도 죽음은 장차의 일이나, 죽는다는 이 명제는 현전하는데, 미래의 일에 관하여 논해지면서 그러하며, 현재하고 지금 참인 것이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