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 Soul

A Origen, Princ. 3.1.2-3 (SVF 2.988, part)
(1) τῶν κινουμένων τὰ μέν τινα ἐν ἑαυτοῖς ἔχει τὴν τῆς κινήσεως αἰτίαν, ἕτερα δὲ ἔξωθεν μόνον κινεῖται. (2) ἔξωθεν μὲν οὖν μόνον κινεῖται τὰ φορητά, οἷον ξύλα καὶ λίθοι καὶ πᾶσα ἡ ὑπὸ ἕξεως μόνης συνεχομένη ὕλη . . . (3) ἐν ἑαυτοῖς δὲ ἔχει τὴν αἰτίαν τοῦ κινεῖσθαι ζῷα καὶ φυτὰ καὶ ἁπαξαπλῶς ὅσα ὑπὸ φύσεως ἢ ψυχῆς συνέχεται, ἐξ ὧν φασιν εἶναι καὶ τὰ μέταλλα. πρὸς δὲ τοῦτοις καὶ τὸ πῦρ αὐτοκίνητόν ἐστι, τάχα δὲ καὶ αἱ πηγαί. (4) τῶν δὲ ἐν ἑαυτοῖς τὴν αἰτίαν τοῦ κινεῖσθαι ἐχόντων τὰ μέν φασιν ἐξ ἑαυτῶν κινεῖσθαι, τὰ δὲ ἀφ᾿ ἑαυτῶν· ἐξ ἑαυτῶν μὲν τὰ ἄψυχα, ἀφ᾿ ἑαυτῶν δὲ τὰ ἔμψυχα. καὶ ἀφ᾿ ἑαυτῶν κινεῖται τὰ ἔμψυχα φαντασίας ἐγγινομένης ὁρμὴν προκαλουμένης . . . (5) τὸ μέντοι λογικὸν ζῷον καὶ λόγον ἔχει πρὸς τῇ φανταστικῇ φύσει τὸν κρίνοντα τὰς φαντασίας, καὶ τινὰς μὲν ἀποδοκιμάζοντα, τινὰς δὲ παραδεχόμενον, ἵνα ἄγηται τὸ ζῷον κατ᾿ αὐτάς.
움직이는 것들 중 어떤 것들은 자체 내에 운동의 원인을 지니나, 다른 것들은 외부로부터만 움직여진다. (2) 그러므로 움직여지는 것들은 외부로부터만 움직여지는데, 예를 들어 목재와 석재 그리고 오직 hexis에 의해서만 견지되는(연속되는) 질료 전부 . . . (3) 자체 내에 움직여 지는 일의 원인을 지닌다, 동물과 식물 그리고 지극히 단적으로 자연이나 영혼에 의해 연속되는 것들은, 그들은 광물들까지 그것들로부터(자연과 영혼) 있다고 말한다. 이런 것들에 더하여 불 또한 스스로 움직이는 것이고, 아마 그 원천들도 그러하다. (4) 헌데 자체 내에 움직이는 일의 원인을 지니는 것들 중 어떤 것들은 자신 밖으로 움직인다고, 다른 것들은 자신으로부터 움직인다고 말한다. 영혼 없는 것들은 자신 밖으로, 영혼을 지닌 것들은 자신으로부터. 그리고 인상이 내부에 생성되며 충동을 초래할 때 영혼을 지닌 것들이 자신으로부터 움직인다 . . . (5) 그렇지만 이성적(logikos) 동물은 인상을 초래하는 본성(자연)에 더하여 인상에 대해 판단하는 이성(logos)까지 지니며, 그 이성이 어떤 인상들은 거부하고, 어떤 인상들은 수용한다, 그 인상들에 따라 자신의 생명(동물)을 이끌도록.

B Hierocles, 1.5-33, 4.38-53
(1) τὸ τοίνον σπέρμα καταπεσὸν εἰς ὑστέραν ἔν τε καιρῷ τῷ προσήκοντι καὶ ἅμα ὑπ᾿ ἐρρωμένου τοῦ ἀγγείου συλληφθὲν οὐκέτι ἠρεμεῖ, καθάπερ τέως, ἀλλ᾿ ἀνακινηθὲν ἄρχεται τῶν ἰδίων ἔργων, περί τε τοῦ κυοφοροῦντος σώματος ἐπισπώμενον τὴν ὕλην διαπλάττει τὸ ἔμβρυον κατά τινας ἀπαραβάτους τάξεις, ἕωσπερ οὗ πρὸς τέλος ἀφίκηται καὶ πρὸς ἀπότεξιν εὐτρεπὲς ἀπεργάσηιται τὸ δημιούργημα.
(1) 따라서(τοίνυν?) 정자가 자궁에 적절한 시기에 들어가 또한 동시에 강화된 그릇에 의해 포함(착상?)되어서는 더 이상 그 동안과 마찬가지로 고정되어 있지 않고, 각성되어서 고유한 기능들을 시작하고, 또한 그 잉태한 육체 주위에서 질료를 끌어오면서 어떤 불가역의 질서에 따라 태아를 형성한다, 그 태아의 완결에 도달하고 그 피조물을 탄생에 준비된 것으로 완성시켜낼 때까지.
(2) τοῦτον μέντοι πάντα τὸν χρόνον (λέγω δὲ τὸν ἀπὸ συλλήψεως μέχρι ἀποτέξεως) διαμένει φύσις, τοῦτ᾿ ἔστι πνεῦμα, μεταβεβληκὸς ἐκ σπέρματος καὶ ὁδῷ κεινούμενον ἀπ᾿ ἀρχῆς εἰς τέλος· ἤδη δὲ κατὰ μὲν τὰ πρῶτα τοῦ χρόνου παχύτερόν πώς ἐστι πνεῦμα ἡ φύσις καὶ μακρὰν ἀφεστηκυῖα ψυχῆς, κατόπιν δὲ τούτων κἀπειδὰν σχεδὸν ἥκῃ τῆς ἀποτέξεως, ἀπολεπτύνεται . . . διὸ δὴ καὶ θύραζε χωρήσασα ἱκανοῦται τῷ περιέχοντι, ὥστε οἷον στομωθεῖσα πρὸς αὐτοῦ μεταβαλεῖν . . . εἰς ψυχήν.
(2) 하지만 이 모든 시간 동안 (나는 착상으로부터 탄생까지를 말한다) 자연이 지속하고, 이 자연이 프네우마이며, 정자로부터 경로에 따라 처음부터 끝까지 비워짐(or κινούμενον, 움직여짐)으로써 변화된 것이다. 이제 앞선 시간 동안은 그 자연이 영혼보다 어떤 식으로 더 조밀한 프네우마이자 영혼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이나, 이런 일들 이후 탄생에 거의 임박한 뒤, 희박해진다. . . 그리하여 이를 통해 출구로 나옴으로써 둘러싸는 것에 충분해지고, 그래서 예컨데 자신으로부터 견고하게 되어 . . . 영혼으로 변화할 수 있다.
(3) καθάπερ γὰρ τὸ ἐν τοῖς λίθοις πνεῦμα ταχέως ὑπὸ πληγῆς ἐκπυροῦται διὰ τὴν πρὸς ταύτην τὴν μεταβολὴν ἑτοιμότητα, τὸν αὐτὸν τρόπον καὶ φύσις ἐμβρύου πέπονος ἤδη γεγονότος οὐ βραδύνει τὸ μεταβάλλειν εἰς ψυχὴν ἐμπεσοῦσα τῷ περιέχοντι. ταύτῃ δὲ πᾶν τὸ ἐκπεσὸν ὑστέρας εὐθέως ἐστί ζῷον . . . (4) τοὐντεῦθεν ἐνθυμητέον ἐστὶν ὅτι πᾶν ζῷον τοῦ μὴ ζῴου δυοῖν ἔχει διαφοράν, αἰσθήσει τε καὶ ὁρμῇ . . .
(3) 왜냐하면 석재 내의 프네우마가 빠르게 가격에 의해 이 변화를 향한 경향으로 인해 불붙듯, 같은 방식에서 이미 성숙하게 된 태아의 본성은 둘러싼 것으로 들어선 영혼으로의 변화를 지연시키지 않는다. 이런 식으로 자궁에 들어선 것 모두가 곧 동물이다 . . . (4) 그러므로 이로부터 반추해야 하는 사실은 모든 동물은 동물 아닌 것과 두 가지 차이들을 지닌다는 것이다, 감각과 충동을 . . .
(5) ἐπεὶ τοίνυν ἐξ ἀμφοτέρων ἐστὶ τὸ ζῷον . . . σύνθετον, ἐκ σώματος καὶ ψυχῆς, ἄμφω δ᾿ ἐστὶ θικτὰ καὶ πρόσβλητα καὶ τ.ρ ἐρείσει δὴ ὑπόπτωτα, ἔτι δὲ δι᾿ ὅλων κέκραται, καὶ θάτερον μέν ἐστιν αὐτῶν δύναμις αἰσθητική, τὸ δ᾿ αὐτὸ τοῦτο καὶ τρόπον, ὃν ὑπεδείξαμεν, κεινεῖται, δῆλον ὅτι διανεκῶς αἰσθάνοιτ᾿ ἂν τὸ ζῷον ἑαυτοῦ.
(5) 따라서 양자로부터 구성(결합)된 것이 동물인 바, 즉 물체와 영혼으로 결합된 것이고, 그런데 이 양자는 접촉하고 인상을 받으며 τ.ρ(?) 실로 저항 아래 들어오는 것들이고, 더 나아가 전체들을 통하여 혼합되었으며, 그것들의 감각적 능력은 다르지만, 우리가 보였던 같은 방식에서 움직이기에, 동물은 지속적으로 자신에 대해 감각하리란 점은 분명하다.
(6) τεινομένη γὰρ ἔξω ἡ ψυχὴ μετ᾿ ἀφέσεως προσβάλλει πᾶσι τοῦ σώματος τοῖς μέρεσιν, ἐπειδὴ καὶ κέκραται πᾶσι, προσβάλλουσα δὲ ἀντιπροσβάλλεται. (7) ἀντιβατικὸν γὰρ καὶ τὸ σῶμα, καθάπερ καὶ ἡ ψυχή· καὶ τὸ πάθος συνερειστικὸν ὁμοῦ καὶ ἀντερειστικὸν ἀποτελεῖται. (8) καὶ ἀπὸ τῶν ἀκροτάτων μερῶν εἴσω νεῦον ἐπὶ τὴν ἡγεμονίαν τ.....θους σ.. ἀναφέρεται, ὡς ἀντίληψιν γίνεσθαι <τῶν> μερῶν ἁπάντων τῶν τε τοῦ σώματος καὶ τῶν τῆς ψυχῆς. (9) τοῦτο δέ ἐστιν ἴσον τῷ τὸ ζῷον αἰσθάνεσθαι ἑαυτοῦ.
(6) 왜냐하면 영혼이 외부로 연장하며 이완과 더불어 신체의 모든 부분들에 덮쳐 들고, 다음으로 모든 것과 혼합되며, 덮쳐 들어서 맞덮쳐지기 때문이다. (7) 왜냐하면 물체는 저항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영혼 또한 그러한 바와 마찬가지로. 그래서 그 겪음은 지반이 확실함과 동시에 저항을 갖추는 것으로 완성된다. (8) 그리고 극단의 부분들로부터 내부로 지배적인 것을 향해 기울면서 상승된다, 육체와 영혼 각각의 모든 부분들의 교환이 생겨나도록. (9) 이것은 동물이 자기 자신에 대해 감각하는 것과 동등한 것이다.

C Plutarch, St. rep. 1053C-D (SVF 2.806)
γίγνεσθαι μὲν γάρ φησι τὴν ψυχὴν ὅταν τὸ βρέφος ἀποτεχθῇ καθάπερ στομώσει τῇ περιψύξει τοῦ πνεύματος μεταβαλόντος, ἀποδείξει δὲ χρῆται τοῦ γεγονέναι τὴν ψυχὴν καὶ μεταγενεστέραν εἶναι μάλιστα τῷ καὶ τὸν τρόπον καὶ τὸ ἦθος ἐξομοιοῦσθαι τὰ τέκνα τοῖς γονεῦσι.
왜냐하면 그가 영혼은 태아가 탄생할 때 냉각 경화로써 프네우마가 변화함으로써 생겨난다고 말하고, 영혼이 생겨나고 더 나중에 태어나는 것이라는 사실에 대한 증명으로 특히 성품과 습성에서 자식들이 부모들과 유사해진다는 점을 사용한다.

D Galen, Foet. 4.698,2-9 (SVF 2.761, part)
(1) οὗ τὴν πρώτην εὐθέως ὑπόθεσιν ἄγνωστον μὲν αἰσθέσει, λόγῳ δ᾿ ἀνεύρετον ὑποτίθενται τὴν καρδίαν ἁπάντων πρώτην γίγνεσθαι λέγοντες· (2) δευτέραν δ᾿ ἐπὶ τῇδε τἄλλα μόρια διαπλάττειν ἐκείνην, ὡς ἀπολλυμένου τοῦ διαπλάσαντος αὐτήν, ὅστις ποτ᾿ ἐστί, καὶ μηκέτ᾿ ὄντος· (3) εἶτ᾿ ἐφεξῆς ὡς ἀκόλουθον ἐπιφέροντες ὅτι καὶ τὸ βουλευόμενον ἡμῶν μέρος τῆς ψυχῆς ἐν ταύτῃ καθέστηκεν.
(1) 그 일에 대한 감각에 의해서는 인식되지 않는 첫 번째 전제에서, 모든 것들 중 심장이 첫 번째로 생겨난다고 논함으로써 logos로써 발견되지 않는 것을 전제한다. (2) 두 번째로 바로 이 심장을 위해 저 심장이 여타의 부분들을 빚어낸다고 전제한다, 심장을 빚어낸 것이 무엇이 되었든지 간에 파괴되고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3) 다음으로 귀결되는 바로서 그들은 우리들의 영혼에서 숙의하는 부분조차 그 심장 안에 정착해 있다고 주장한다.

E Galen, In Hipp. Ep. VI 270,26-8 (SVF 2.782)
ὅσοι γὰρ οἴονται τὴν ψυχὴν εἶναι πνεῦμα διασῴζεσθαι λέγουσιν αὐτὴν ἔκ τε τῆς ἀναθυμιάσεως τοῦ αἵματος καὶ τοῦ κατὰ τὴν εἰσπνοὴν ἑλκομένου διὰ τῆς τραχείας ἀρτηρίας εἴσω τοῦ σώματος <ἀέρος>.
왜냐하면 영혼이 프네우마라고 생각하는 이들은 그 영혼이 혈액의 증발(발산)과 들숨에 따라 호흡기를 통하여 신체 내로 수렴되는 공기의 증발(발산)으로부터 살아남는다고 논한다.

F Sextus Empiricus, M. 7.234
ἄλλοι δὲ ἀπὸ τῆς αὐτῆς ὁρμώμενοι δυνάμεως γλαφυρώτερον ἀπελογήσαντο. φασὶ γὰρ ψυχὴν λέγεσθαι διχῶς, τό τε συνέχον τὴν ὅλην σύγκρισιν καὶ κατ᾿ ἰδίαν τὸ ἡγεμονικόν. ὅταν γὰρ εἴπωμεν συνεστάναι τὸν ἄνθρωπον ἐκ ψυχῆς καὶ σώματος, ἢ τὸν θάνατον εἶναι χωρισμὸν ψυχῆς ἀπὸ σώματος, ἰδίως καλοῦμεν τὸ ἡγεμονικόν.
다른 이들은 동일한 능력에서부터 촉발되어 더 정교한 변호를 하였다. 즉 그들은 영혼이 두 가지로 논해진다고 말한다, 전체 결합(집적, 응결)을 유지시키는 것이자 개별적으로 지배적인 것으로도. 왜냐하면 우리가 인간이 영혼과 육체로 결합되었다고 말할 때, 혹은 죽음이 육체로부터 영혼의 분리라고 말할 때, 개별적으로 불러 지배적인 것이라 하기 때문이다.

G Calcidius 220 (SVF 2.879, part)
(1) item Chrysippus "una et eadem" inquit "certe re spiramus et vivimus. (2) spiramus autem naturali spiritu. (3) ergo etiam vivimus eodem spiritu. (4) vivimus autem anima. (5) naturalis igitur spiritus anima esse invenitur." "haec igitur" inquit "octo in partes divisa invenitur; constat enim e principali et quinque sensibus, etiam vocali substantia et serendi procreandique potentia.
(1) 또한 크뤼십포스는 말한다, "하나이자 같은 것을 확실히 우리가 호흡하고 또한 산다. (2) 허나 우리는 자연적 공기로써 호흡한다. (3) 그러므로 또한 우리는 같은 공기로써 살아간다. (4) 허나 우리는 영혼으로써 살아간다. (4) 따라서 자연적 공기가 영혼임이 밝혀진다." 그는 말한다, "따라서 이 영혼이 여덟 부분으로 나뉨이 밝혀진다; 즉 주로 감각들에 부합되고, 또한 음성적 실체로써 또한 분할과 산출 능력으로써.
(6) porro partes animae velut ex capite fontis cordis sede manantes per universum corpus porriguntur, omniaque membra usque quaque vitali spiritu complent reguntque et moderantur innumerabilibus diversisque virtutibus, nutriendo, adolendo, movendo motibus localibus, instruendo sensibus, compellendo ad operandum, (7) totaque anima sensus, qui sunt eius officia, velut ramos ex principali parte illa tamquam trabe pandit futuros eorum quae sentiunt nuntios, ipsa de his quae nuntiaverint iudicat ut rex.
(6) 나아가 영혼의 부분들은 마치 샘의 원천으로부터처럼 심장의 자리에서 전체 신체를 통하여 흘러나가면서 확장되며, 총체적으로 모든 면에서 또한 각각의 기관들을 생명의 공기로써 채우고 수 없는 상이한 능력들로써 지배하며 통제한다, 섭취, 소모, 장소 이동을 위한 운동, 감각의 제공, 작동을 향한 촉발, (7) 전체로서의 영혼은 감각들을, 영혼의 주요 기능인 바, 마치 가지들처럼 바로 나무의 몸통 같은 주된 부분으로부터 저 감각들을 그 감각들이 감각하는 그것들에 대한 장차의 전령들로서 펼치고, 영혼 자체는 그것들이 전해오는 이러한 것들에 대해서 마치 왕처럼 판단한다.
(8) ea porro quae sentiuntur composita sunt utpote corpora singulique item sensus unum quiddam sentiunt, hic colores, sonos alius, ast ille sucorum sapores discernit, hic vapores odoraminum, ille asperum levigationemque tactu, atque haec omnia ad praesens; neque tamen praeteritorum meminit sensus ullus nec suspicatur futura.
(8) 나아가 이러한 감각되는 것들은 신체처럼 합성물들이며 개별적인 것들로서 감각들은 특정한 하나의 것을 감각한다, 이것은 색들을, 다른 것은 소리들을, 그러나 액체들의 저 향들은 구분한다, 이것은 향들의 증발들을, 저것은 거칠음들로부터 부드러움을 접촉으로써 구분한다, 이 모든 것은 현재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어떠한 감각도 과거의 것들에 대해 기억하거나 미래의 일들을 예측하지 않는다.
(9) intimae vero deliberationis et considerationis proprium cuiusque sensus intellegere passionem et ex his quae nuntiant colligere quid sit illud, et praesens quidem accipere, absentis autem meminisse, futurum item providere." definit idem intimam mentis deliberationem sic: "intimus est motus animae vis rationabilis."
(9) 사실 내적 숙의와 고찰에 고유한 것이다 각 감각의 상태를 이해하는 것과 이로부터 그 감각들이 전해주는 것들을 저것이 무엇인지 추론하는 것, 또한 현재하는 어떤 것을 파악하는 것, 나아가 부재하는 것에 대해 기억하는 것, 또한 미래의 일들에 대해 예견하는 것." 그는 정신의 가장 내밀한 숙의를 이렇게 정의한다. "영혼의 가장 내적인 운동은 이성적 힘이다."

H Aetius 4.21.1-4 (SVF 2.836, part)
(1) οἱ Στωικοί εἶναι τῆς ψυχῆς ἀνώτατον μέρος τὸ ἡγεμονικόν, τὸ ποιοῦν τὰς φαντασίας καὶ συγκαταθέσεις καὶ αἰσθήσεις καὶ ὁρμάς· καὶ τοῦτο λογισμὸν καλοῦσιν. (2) ἀπὸ δὲ τοῦ ἡγεμονικοῦ ἑπτὰ μέρη ἐστὶ τῆς ψυχῆς ἐκπεφυκότα καὶ ἐκτεινόμενα εἰς τὸ σῶμα καθάπερ αἱ ἀπὸ τοῦ πολύποδος πλεκτάναι. (3) τῶν δὲ ἑπτὰ μερῶν τῆς ψυχῆς πέντε μέν εἰσι τὰ αἰσθητήρια, ὅρασις ὄσφρησις ἀκοὴ γεῦσις καὶ ἁφή. ὧν ἡ μὲν ὅρασις ἐστὶ πνεῦμα διατεῖνον ἀπὸ ἡγεμονικοῦ μέχρις ὀφθαλμῶν, ἀκοὴ δὲ πνεῦμα διατεῖνον ἀπὸ τοῦ ἡγεμονικοῦ μέχρις ὤτων . . . (4) τῶν δὲ λοιπῶν τὸ μὲν λέγεται σπέρμα, ὅπερ καὶ αὐτὸ πνεῦμά ἐστι διατεῖνον ἀπὸ τοῦ ἡγεμονικοῦ μέχρι τῶν παραστατῶν. (5) τὸ δὲ "φωνᾶεν" ὑπὸ τοῦ Ζήνωνος εἰρημένον, ὃ καὶ φωνὴν καλοῦσιν, ἔστι πνεῦμα διατεῖνον ἀπὸ τοῦ ἡγεμονικοῦ μέχρι φάρυγγος καὶ γλώττης καὶ τῶν οἰκείων ὀργάνων. αὐτὸ δὲ τὸ ἡγεμονικὸν ὥσπερ ἐν κόσμῳ κατοικεῖ ἐν τῇ ἡμετέρᾳ σφαιροειδεῖ κεφαλῇ.
(1) 스토아 학자들은 주도적인 것이 영혼의 가장 높은 부분이라고, 인상들과 승인들 그리고 감각들과 충동들을 만드는 것이라고 말한다. 또한 이것을 그들은 추론적인 것이라 부른다. (2) 그런데 주도적인 것으로부터 성장해 나온 그리고 육체를 향해 마치 문어의 촉수들처럼 뻗어 나가는 영혼의 여섯 가지 부분들이 있다. (3) 그런데 영혼의 그 여섯 부분들 중 다섯 가지는 감각능력들, 시각과 후각 그리고 청각과 미각과 촉각이다. 이것들 중에서 시각은 프네우마가 주도적인 것으로부터 두 눈에 이르기까지 연장하는 것이고, 청각은 프네우마가 주도적인 것으로부터 두 귀에 이르기까지 연장하는 것이다 . . . (4) 남은 것들 중 하나는 씨앗(정자)이라  논해지며, 이것 또한 주도적인 것으로부터 고환들에 이르기까지 연장하는 프네우마인 것이다. (5) 다른 것은 제논에 의해 "발성적"이라 이야기되는 것으로서, 소리라고도 부르는 것이며, 주도적인 것으로부터 인후와 혀 그리고 적절한 기관들에 이르기까지 연장하는 것이다. 그런데 주도적인 것은 마치 우주 안에서처럼 우리들의 구형의 머리에서 관할한다.

I Nemesius 212,6-9 (Panaetius fr. 86)
Παναίτιος δὲ ὁ φιλόσοφος τὸ μὲν φωνητικὸν τῆς καθ᾿ ὁρμὴν κινήσεως μέρος εἶναι βούλεται, λέγων ὀρθότατα· τὸ δὲ σπερματικὸν οὐ τῆς ψυχῆς μέρος ἀλλὰ τῆς φύσεως.
철학자 파나이티오스는 발성기능이 추동에 따른 운동의 부분이라고 기대한다, 매우 옳게 논함으로써. 그러나 정자적인 것은 영혼의 부분이 아니라 본성의 부분이라 기대한다.

J Cicero, Off. I.132 (Panaetius fr. 88)
motus autem animorum duplices sunt: alteri cogitationis, alteri appetitus. cogitatio in vero exquirendo maxime versatur, appetitus impellit ad agendum. curandum est igitur ut cogitatione ad res quam optimas utamur, appetitum rationi oboedientem praebeamus.
하지만 영혼들의 운동은 이중의 것들이다. 한 쪽 것들은 사유에 속하고, 다른 쪽 것들은 충동(욕망)에 속한다. 사유는 특히 진리 탐구에 속하고, 충동은 행위를 향해 추동한다. 그러므로 가능한 한 최선의 것을 향해 사유를 사용하도록, 충동이 이성에 따르게 만들도록 신경써야 한다.

K Iamblichus, De anima (Stobaeus 1.368,12-20; SVF 2.826, part)
(1) πῶς οὖν διακρίνονται; κατὰ μὲν τοὺς Στωικοὺς ἔνιαι μὲν διαφορότητι <τῶν> ὑποκειμένων σωμάτων· πνεύματα γὰρ ἀπὸ τοῦ ἡγεμονικοῦ φασιν οὗτοι διατείνειν ἄλλα καὶ ἄλλα, τὰ μὲν εἰς ὀφθαλμούς, τὰ δὲ εἰς ὧτα, τὰ δὲ εἰς ἄλλα αἰσθητήρια. (2) ἔνιαι δὲ ἰδιότητι ποιότητος περὶ τὸ αὐτὸ ὑποκείμενον· ὥσπερ γὰρ τὸ μῆλον ἐν τῷ αὐτῷ σώματι τὴν γλυκύτητα ἔχει καὶ τὴν εὐωδίαν, αὕτω καὶ τὸ ἡγεμονικὸν ἐν ταὐτῷ φαντασίαν, συγκατάθεσιν, ὁρμήν, λόγον συνείληφε.
(1) 그러므로 어떤 식으로 판별되는가? 스토아 학자들에 따르자면 일부의 것들은 기저에 놓이는 물체들의 차이들로써 판별된다. 왜냐하면 그들 스스로 프네우마들이 주도적인 것으로부터 다른 것에서 또 다른 것으로 확장한다고, 어떤 프네우마들은 두 눈으로, 다른 것들은 두 귀로, 또 다른 것들은 그 밖의 감각들로 확장한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2) 다른 일부의 것들은 기저에 놓이는 것 자체에 관련된 성질의 고유성으로써 판별된다. 왜냐하면 열매가 물체 그 자체 내에 달콤한 맛과 달콤한 향을 지니듯, 같은 방식으로 주도적인 것도 자체 내에 인상, 수용, 충동, 논리(logos)를 총괄하였기 때문이다.

L Seneca, Ep. 113.23 (SVF 2.836, part)
inter Cleanthen et discipulum eius Chrysippum non convenit quid sit ambulatio. Cleanthes ait spiritum esse a principali usque in pedes permissum, Chrysippus ipsum principale.
클레안테스와 그의 제자 크뤼십포스 사이에서 걸음이란 것은 합의되지 않았다. 클레안테스는 주도적인 것으로부터 두 발의 모든 곳으로 관통(확장)하는 프네우마라고 말하고, 크뤼십포스는 주도적인 것 자체라고 말한다.

M Aetius 4.23.1 (SVF 2.854)
οἱ Στωικοὶ τὰ μὲν πάθη ἐν τοῖς πεπονθόσι τόποις, τὰς δὲ αἰσθήσεις ἐν τῷ ἡγεμονικῷ.
스토아 학자들은 겪음들은 그걸 겪은 자리들 내에 있고, 감각들은 주도적인 것 내에 있다고 말한다.

N Diogenes Laertius 7.157 (SVF 2.867)
ὁρᾶν δὲ τοῦ μεταξὺ τῆς ὁράσεως καὶ τοῦ ὑποκειμένου φωτὸς ἐντεινομένου κωνοειδῶς, καθά φησι Χρύσιππος ἐν δευτέρῳ τῶν Φυσικῶν καὶ Ἀπολλόδωρος. γίνεσθαι μὲν τὸ κωνοειδὲς τοῦ ἀέρος πρὸς τῇ ὄψει, τὴν δὲ βάσιν πρὸς τῷ ὁρωμένῳ. ὡς διὰ βακτηρίας οὖν τοῦ ταθέντος ἀέρος τὸ βλεπόμενον ἀναγγέλλεσθαι.
그런데 시각과 기저에 놓인 원뿔 형태로 확장되어 들어오는 빛 사이에 보는 일이 있다, 크뤼십포스가 『자연학적 탐구들』 2권에서 그리고 아폴로도로스가 말하듯. 공기의 원뿔형태는 시각을 향해 이루어지고, 그 바닥은 보이는 것을 향해 이루어진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지팡이를 통해서 하듯 연장된 공기에 의해 주목되는 것이 전달된다고 한다.

O Nemesius 291,1-8 (SVF 2.991, part)
ἑκάστῳ γὰρ τῶν γενομένων δεδόσθαι τι καθ᾿ εἱμαρμένην, ὡς τῷ ὕδατι τὸ ψύχειν, καὶ ἑκάστῳ τῶν φυτῶν τὸ τοιόνδε καρπὸν φέρειν, καὶ τῷ λίθῳ τὸ κατωφερές, καὶ τῷ πυρὶ τὸ ἀνωφερές, οὕτω καὶ τῷ ζῴῳ τὸ συγκατατίθεσθαι καὶ ὁρμᾶν· ὅταν δὲ ταύτῃ τῇ ὁρμῇ μηδὲν ἀντιπέσῃ τῶν ἔξωθεν καὶ καθ᾿ εἱμαρμένην, τότε τὸ περιπατεῖν τέλεον ἐφ᾿ ἡμῖν εἶναι, καὶ πάντως περιπατήσομεν.
왜냐하면 생겨나는 것들의 각각에 무언가 정해진 몫(운명)에 따라 주어졌다고, 물에 식힘이 그러하듯, 각각의 식물들에도 그와 같은(특정한) 열매가 맺히며, 돌에는 낙하가, 불에는 상승이, 그런 식으로 생명에도 결합되어 세워짐과 추동함이 주어졌다고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추동에 외부로부터 운명에 따라 아무것도 맞부딪치지 않을 때, 그 때에 우리에게 걸음이란 것이 완성되고, 또한 전적으로 우리가 걷게 될 것이다.

P Philo, Leg. alleg. 1.30 (SVF 2.844)
(1) τὸ γὰρ ζῷον τοῦ μὴ ζῴου δυσὶ προὔχει, φαντασίᾳ καὶ ὁρμῇ. (2) ἡ μὲν οὖν φαντασία συνίσταται κατὰ τὴν τοῦ ἐκτὸς πρόσοδον τυποῦντος νοῦν δι᾿ αἰσθήσεως. (3) ἡ δὲ ὁρμή, τὸ ἀδελφὸν τῆς φαντασίας, κατὰ τὴν τοῦ νοῦ τονικὴν δύναμιν, ἣν τείνας δι᾿ αἰσθήσεως ἅπτεται τοῦ ὑποκειμένου καὶ πρὸς αὐτὸ χωρεῖ γλιχόμενος ἐφικέσθαι καὶ συλλαβεῖν αὐτό.
(1) 왜냐하면 살아있는 것은 살아있지 않은 것보다 두 가지 점에서 뛰어나기 때문이다, 인상과 충동에서. (2) 그러므로 인상은 감각을 통해 지성에 인상을 남기는 외부의 접근에 따라 구성된다. (3) 반면 충동은, 인상의 근친으로서, 정신의 확장능력에 따라 구성된다, 정신이 감각을 통하여 이 충동을 확장함으로써 기체에 닿고 그 기체를 향해 전진한다, 그것에 도달해 그것을 확보하길 갈망하면서.

Q Stobaeus 2.86,17-87,6 (SVF 3.169, part)
(1) τὸ δὲ κινοῦν τὴν ὁρμὴν οὐδὲν ἕτερον εἶναι λέγουσιν ἀλλ᾿ ἢ φαντασίαν ὁρμητικὴν τοῦ καθήκοντος αὐτόθεν. (2) τὴν δὲ ὁρμὴν εἶναι φορὰν ψυχῆς ἐπί τι κατὰ τὸ γένος. (3) ταύτης δ᾿ ἐν εἴδει θεωρεῖσθαι τήν τε ἐν τοῖς λογικοῖς γιγνομένην ὁρμὴν καὶ τὴν ἐν τοῖς ἀλόγοις ζῴοις· οὐ κατωνομασμέναι δ᾿ εἰσίν. ἡ γὰρ ὄρεξις οὐκ ἔστι λογικὴ ὁρμή, ἀλλὰ λογικῆς ὁρμῆς εἶδος. (4) τὴν δὲ λογικὴν ὁρμὴν δεόντως ἄν τις ἀφορίζοιτο λέγων εἶναι φορὰν διανοίας ἐπί τι τῶν ἐν τῷ πράττειν· ταύτῃ δ᾿ ἀντιτίθεσθαι ἀφορμήν.
(1) 그런데 그들은 충동을 촉발시키는 것은 바로 그 자리에서 적절한(상황에 맞는) 것에 대한 충동적 인상 외에 다른 아무것도 아니라고 논한다. (2) 그런데 충동은 유적으로 무언가를 향한 영혼의 운동이라고 논한다. (3) 이 충동에 대해 종에서는 지성적 동물들에서 생기는 충동도 비지성적 동물들에서 생기는 충동도 속한다고 논한다. 그런데 그 두 가지가 적절히 명명된 것들은 아니다. 왜냐하면 욕구는 이성적 충동이 아니라, 이성적 충동의 종이기 때문이다. (4) 그런데 이성적 충동을 누군가 타당하게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행동에 속하는 것들 중 무언가를 위한 사유(추론)의 움직임이라고 논함으로써. 이러한 충동에 반대로 반동이 놓인다.

R Plutarch, St. rep. 1037F (SVF 3.175, part)
καὶ μὴν ἡ ὁρμὴ κατά γ᾿ αὐτὸν τοῦ ἀνθρώπου λόγος ἐστὶ προστακτικὸς αὐτῷ τοῦ ποιεῖν, ὡς ἐν τῷ Περὶ νόμου γέγραφεν. οὐκοῦν καὶ ἡ ἀφορμὴ λόγος ἀπαγορευτικός.
그런가 하면 한 인간 자신에 대해 충동은 그의 행위에 대해 그 자신에게 명하는 logos이다, 그가 『법(관습?)에 관하여』에서 기록하였듯. 그러므로 확실히 반동 또한 금하는 logos이다.

S Plutarch, St. rep. 1057A (SVF 3.177, part)
καὶ μὴν ἔν γε τοῖς πρὸς τοὺς Ἀκαδημαικοὺς ἀγῶσιν ὁ πλεῖστος λόγος αὐτῷ τε Χρυσίππῳ καὶ Ἀντιπάτρῳ περὶ τίνος γέγονε; περὶ τοῦ μήτε πράττειν μήθ᾿ ὁρμᾶν ἀσυγκαταθέτως, ἀλλὰ πλάσματα λέγειν καὶ κενὰς ὑποθέσεις τοὺς ἀξιοῦντας οἰκείας φαντασίας γενομένης εὐθὺς ὁρμᾶν μὴ εἴξαντας μηδὲ συγκαταθεμένους.
그렇지만 아카데미 학자들에 맞선 투쟁들에서 가장 주된 논변은 크뤼십포스 자신과 안티파트로스에게 있어서 무엇에 관해 이루어졌던가? 행위함에 관해서나 추동함에 관해서나 승인함이 없이, 오히려 허구적이고 공허한 가정들을 그 주장하는 자들이 논한다는 것이다, 관련된 인상이 생겨날 때 곧바로 추동할 법하다 여기지도 않고 추동함을 승인하지도 않으면서.

T Sextus Empiricus, M. 8.275-6 (SVF 2.223, part)
(1) φασὶν ὅτι ἄνθρωπος οὐχὶ τῷ προφορικῷ λόγῳ διαφέρει τῶν ἀλόγων ζῷων (καὶ γὰρ κόρακες καὶ ψιττακοὶ καὶ κίτται ἐνάρθρους προφέρονται φωνάς), ἀλλὰ τῷ ἐνδιαθέτῳ. (2) οὐδὲ τῇ ἁπλῇ μόνον φαντασίᾳ (ἐφαντασιοῦτο γὰρ κἀκεῖνα), ἀλλὰ τῇ μεταβατικῇ καὶ συνθετικῇ. (3) διόπερ ἀκολουθίας ἔννοιαν ἔχων εὐθὺς καὶ σημείου νόησιν λαμβάνει διὰ τὴν ἀκολουθίαν· καὶ γὰρ αὐτὸ τὸ σημεῖόν ἐστι τοιοῦτον "εἰ τόδε, τόδε". (4) ἕπεται ἄρα τῇ φύσει καὶ κατασκευῇ τἀνθρώπου τὸ καὶ σημεῖον ὑπάρχειν.
(1) 그들은 인간이 언표된 logos로써 비이성적 동물들과 차이가 나는 것이 아니라 (왜냐하면 까마귀들도 앵무새들도 어치들도 조음된 소리들을 내놓기 때문이다), 내재된 logos로써 차이가 난다. (2) 오직 단순한 인상만으로 차이가 나는 것도 아니고 (저것들도 인상을 받을 수 있을 테니까), 오히려 전환되고 결합되는 인상으로 차이가 난다. (3) 바로 이런 이유로 연쇄에 대한 관념을 지님으로써 곧장 기표(상징)의 개념까지 그 연쇄로 인해 취한다. 왜냐하면 기표 자체도 다음과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이라면, 이것이다". (4) 그래서 인간의 본성과 구조에서 기표의 현존도 귀결한다.

U Galen, Plac. 2.5.9-13 (SVF 3 Diogenes 29, part)
(1) τὸν αὐτὸν δὴ τοῦτον λόγον Διογένης οὐ κατὰ τὴν αὐτὴν ἐρωτᾷ λέξιν, ἀλλ᾿ ὧδε· "ὅθεν ἐκπέμπεται ἡ φωνή, καὶ ἡ ἔναρθρος, οὐκοῦν καὶ ἡ σημαίνουσα ἔναρθρος φωνὴ ἐκεῖθεν. (2) τοῦτο δὲ λόγος. (3) καὶ λόγος ἄρα ἐκεῖθεν ἐκπέμπεται ὅθεν καὶ ἡ φωνή. (4) ἡ δὲ φωνὴ οὐκ ἐκ τῶν κατὰ τὴν κεφαλὴν τόπων ἐκπέμπεται ἀλλὰ φανερῶς ἐκ τῶν κάτωθεν μᾶλλον. ἐκφανὴς γοῦν ἐστι διὰ τῆς ἀρτηρίας διεξιοῦσα.
(1) 디오게네스는 이러한 같은 논변을 같은 문장에 따라 묻지 않고, 다음과 같이 물었다. "소리가 그로부터 보내져 나온 그 출처, 그로부터 조음된 소리 또한 나오고, 그러므로 의미를 가진 조음된 소리 또한 저곳으로부터 나온다. (2) 이것이 logos이다. (3) 그래서 logos 또한 소리 역시 유래한 저 출처로부터 방출된다. (4) 그러나 소리는 머리쪽 장소들로부터 방출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아래쪽 장소들로부터 방출됨이 명백하다. 그러므로 기도를 통해 소리가 나옴은 자명하다.
(5) καὶ ὁ λόγος ἄρα οὐκ ἐκ τῆς κεφαλῆς ἐκπέμπεται, ἀλλὰ κάτωθεν μᾶλλον. (6) ἀλλὰ μήν γε κἀκεῖνο ἀληθές, τὸ τὸν λόγον ἐκ τῆς διανοίας ἐκπέμπεσθαι. ἔνιοι γοῦν καὶ ὁριζόμενοι αὐτόν φασιν εἶναι φωνὴν σημαίνουσαν ἀπὸ διανοίας ἐκπεμπομένην. (7) καὶ ἄλλως δὲ πιθανὸν ὑπὸ τῶν ἐννοιῶν ἐνσεσημασμένον τῶν ἐν τῇ διανοίᾳ καὶ οἷον ἐκτετυπωμένον ἐκπέμπεσθαι τὸν λόγον, καὶ παρεκτείνεσθαι τῷ χρόνῳ κατά τε τὸ διανενοῆσθαι καὶ τὴν κατὰ τὸ λέγειν ἐνέργειαν. (8) καὶ ἡ διάνοια ἄρα οὐκ ἔστιν ἐν τῇ κεφαλῇ ἀλλ᾿ ἐν τοῖς κατωτέρω τόποις, μάλιστά πως περὶ τὴν καρδίαν."
(5) 그래서 로고스도 머리로부터 방출되는 것이 아니라, 더 아래로부터 방출된다. (6)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것 또한 참이다, 사유를 통해 로고스가 방출된다는 것도. 그러므로 몇몇 사람들은 그 로고스를 정의하면서 사유를 통해 방출되는 의미를 가진 소리라고 말한다. (7) 그 외에도 믿을 만한 것은 사유 속의 개념들에 의해서 마치 부각(양각)되는 것처럼 의미를 지니게 되어 로고스가 방출된다는 것, 그리고 사유와 진술에 따른 활동 시간과 동연이라는 것이다. (8) 그래서 사유도 머리가 아니라 더 아래의 장소들에, 특히 아마도 심장 부근에 있다.

V Galen, Plac. 5.2.49 and 5.3.1 (SVF 2.841, part)
"ἔστι δέ <γε> τῆς ψυχῆς μέρη δι᾿ ὧν ὁ ἐν αὐτῇ λόγος συνέστηκε καὶ ἡ ἐν αὐτῷ διάθεσις. καὶ ἔστι καλὴ ἢ αἰσχρὰ ψυχὴ κατὰ τὸ ἡγεμονικὸν μόριον ἔχον <οὕτως> ἢ οὕτως κατὰ τοὺς οἰκείους μερισμούς." . . . ἀναμιμνήσκων ἴσως ἡμᾶς τῶν ἐν τοῖς Περὶ τοῦ λόγου γεγραμμένων ὧν σὺ διῆλθες, ὡς ἔστιν ἐννοιῶν τέ τινων καὶ προλήψεων ἄθροισμα.
"영혼의 부분들은 그것들을 통하여 영혼 내의 로고스가 구성되었고 또 그 로고스의 구조도 구성되었던 것들이다. 또한 아름답거나 수치스러운 영혼은 주도적인 부분이 그러한 상태에 있음에 따라서나 그런 식으로 적절한(고유한?) 분할들에 따라 그렇게 된다." . . . 아마도 우리에게 당신이 상술하던 『로고스에 관하여』에 기록된 것들에 대해 상기시키면서, 어떤 개념들과 전개념들의 취합이라고.

W Eusebius, Pr. ev. 15.20.6 (SVF 2.809)
(1) τὴν δὲ ψυχὴν γενητήν τε καὶ φθαρτὴν λέγουσιν. οὐκ εὐθὺς δὲ τοῦ σώματος ἀπαλλαγεῖσαν φθείρεσθαι, ἀλλ᾿ ἐπιμένειν τινὰς χρόνους καθ᾿ ἑαυτήν, τὴν μὲν τῶν σπουδαίων μέχρι τῆς εἰς πῦρ ἀναλύσεως τῶν πάντων, τὴν δὲ τῶν ἀφρόνων πρὸς ποσούς τινας χρόνους. (2) τὸ δὲ διαμένειν τὰς ψυχὰς οὕτως λέγουσιν, ὅτι διαμένομεν ἡμεῖς ψυχαὶ γενόμενοι τοῦ σώματος χωρισθέντες καὶ εἰς ἐλάττω μεταβαλόντες οὐσίαν τὴν τῆς ψυχῆς, τὰς δὲ τῶν [ἀφρόνων καὶ] ἀλόγων ζῴων ψυχὰς συναπόλλυσθαι τοῖς σώμασι.
(1) 그런데 그들은 영혼이 생성되고 소멸되는 것이라고 논한다. 그러나 육체로부터 해방되자마자 곧장 소멸한다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시간 동안 영혼 자체로 머무른다고, 진지한(뛰어난) 자들의 영혼은 만물이 불을 향해 해체될 때까지, 어리석은 자들의 영혼은 어떤 한정된 시간까지 그러하다고 논한다. (2) 그런데 그들은 영혼들이 남는다는 것을 다음과 같이 논한다, 우리 자신이 영혼들이 됨으로써 육체로부터 분리되어 영혼의 더 적은 실체로 변화하면서 남는다고, 그런데 어리석고 비이성적인 생물들의 영혼들은 육체와 함께 소멸된다고.

X Diogenes Laertius 7.143 (SVF 2.633, part)
ἔμψυχον [sc. τὸν κόσμον] δέ, ὡς δῆλον ἐκ τῆς ἡμετέρας ψυχῆς ἐκεῖθεν οὔσης ἀποσπάσματος.
그것(우주)이 영혼을 지닌 것임은, 우리의 영혼이 저곳으로부터의 편린이기에 분명하다.

Y Cicero, ND 2.58 (SVF 1.172, part)
atque ut ceterae naturae suis seminibus quaeque gignuntur augescunt continentur, sic natura mundi omnis motus habet voluntarios, conatusque et adpetitiones, quas ὁρμάς Graeci vocant, et his consentaneas actiones sic adhibet ut nosmet ipsi qui animis movemur et sensibus.
또한 여타 자연(본성)들이 그로써 태어나고 또한 자라는 자신들의 씨앗들에 의해 연속되듯, 그렇게 온 세계의 자연(본성)도 의지, 충동, 그리스인들이 horme라 부르는 욕구의 동작을 지니며, 우리 자신 스스로 영혼들과 감각들에 의해 움직여지듯 그렇게 이에 부합하는 활동들을 불러온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