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 Galen, Palc. 5.3.8 (SVF 2.841, part)
τοῦτ᾿ οὖν τὸ πνεῦμα δύο μὲν κέκτηται μόριά τε καὶ στοιχεῖα καὶ καταστάσεις, δι᾿ ὅλων ἀλλήλοις κεκραμ[μ]ένα, τὸ ψυχρὸν καὶ θερμόν, εἴπερ δ᾿ ἑτέροις ὀνόμασι καὶ ἀπὸ τῶν οὐσιῶν ἐθέλοι τις αὐτὰ προσαγορεύειν, ἀέρα τε καὶ πῦρ· οὐ μὴν ἀλλὰ καὶ ἰκμάδα τινὰ προσείληφεν ἀπὸ τῶν σωμάτων ἐν οἷς διαιτᾶται.
그러므로 이러한 프네우마는, 그 전체들에 걸쳐 상호에 혼합되는 것들인 두 부분들, 원소들이자 상태들을, 냉(冷)과 온(溫), 만일 누군가 그것들을 그것들의 ousia들로부터 나온 다른 이름들로 부르고자 한다면, 공기와 불을 지닌다: 그뿐만 아니라 물체들, 그것들 안에서 그것이 살아가는 그 물체들로부터 나온 어떤 습기 또한 더하여 가진다.
κεκραμένα : κεράννυμι pf. part. mix, mingle. blend. κρᾶσις. differ from μείγνυμι.
I Alexander, Mixt. 224,14-27 (SVF 2.442)
(1) πρὸς δὲ τούτοις, εἰ τὸ πνεῦμα γεγονὸς ἐκ πυρός τε καὶ ἀέρος διὰ πάντων πεφοίτηκε τῶν σωμάτων <τῷ> πᾶσιν αὐτοῖς κεκρᾶσθαι καὶ ἑκάστῳ αὐτῶν ἐκ τούτου ἠρτῆσθαι τὸ εἶναι, πῶς ἂν ἔτι ἁπλοῦν τι εἴη σῶμα; πῶς δ᾿ ἄν, εἰ ὕστερον τὸ ἔκ τινων συγκείμενον τῶν ἁπλῶν, τὸ πῦρ ἂν καὶ ὁ ἀήρ εἴη, ἐξ ὧν μιγνυμένων τὸ πνεῦμα γίνεται, οὗ χωρὶς ἀδύνατον εἶναί τι σώμα; εἰ γὰρ ἐξ ἐκείνων μὲν ἡ γένεσις τῷ πνεῦματι, ἀδύνατον δὲ ἐκείνων εἶναί τι χωρὶς πνεύματος, οὔτ᾿ ἂν ἐκείνων τι εἴη πρὸ τῆς τοῦ πνεύματος γενέσεως, οὔτ᾿ ἂν τὸ πνεῦμα γίνοιτο, οὐκ ὄντων, ἐξ ὧν ἡ γένεσις αὐτῷ. πῶς δ᾿ ἄν τις ἐν τῷ ψυχρῷ ἐνεργείᾳ τι θερμόν εἶναι λέγοι; (2) τίς δὲ καὶ ἡ εἰς τὸ ἐναντίον ἅμα κίνησις αὐτοῦ, καθ᾿ ἣν συνέχειν τὰ ἐν οἷς ἂν ᾗ, ὂν ὥς φασι πνεῦμα κινούμενον ἅμα ἐξ αὑτοῦ τε καὶ εἰς αὑτό; καὶ κατὰ τί εἶδος κινήσεως γίνεται; κατ᾿ οὐδὲν γὰρ οἷόν τ᾿ ἐστὶ νοῆσαί τι ἅμα εἰς τὰ ἐναντία κινούμενον καθ᾿ αὑτό.
(1) 이것들에 더하여, 만일 프네우마가 불과 공기로부터 생겨나서 모든 물체들을 통하여 이 모든 것들과 결합함으로써 그리고 그 물체들 각각으로서의 '~임'이 그 프네우마에 의존함으로써 나아간다면, 어떻게 여전히 그것이 어떤 단순한 물체이겠는가? 그런데, 만일 단순한 어떤 것들로 이루어진 이후의 결합물이라면, 그것들이 섞임을 통하여, 그것과 따로 떨어져 어떤 물체이기가 불가능한 프네우마가 생겨나는, 그 불과 공기가 어떻게 있겠는가? 저것들로부터 프네우마에게 생성이 주어지는 반면, 저것들의 무엇임은 프네우마와 따로 떨어져서는 불가능하고, 프네우마의 생성에 앞서 저것들 중 무엇이지도 못할 것이며, 그런데 프네우마는 생겨날 테고, 그것들로부터 프네우마에 생성이 주어지는 그것들에게서 생겨나진 않을 테니. 한편 누가 어떻게 냉한 현실태 안에 무언가 온함이 있다고 말하겠는가? (2) 또한, 그 운동에 따라 프네우마가 그것들 안에 내재하는 그런 것들을 지탱하는, 반대 방향으로의 프네우마 자체의 운동이 무엇인가? 그들 말대로 프네우마는 그 자신으로부터 또한 동시에 그 자신에게로 향하여 움직이는 것이니. 또한 운동의 어떤 형상에 따라 생겨나는가? 왜냐하면 그 자체로 동시에 반대쪽으로 움직이는 무언가는 어떤 식으로도 생각할 수 없기 때문이다.
πεφοίτηκε : φοιτάω pf. go to and fro. roam wildly about. resort to. come in regularly, be imported.
ἠρτῆσθαι : ἀρτάω pf. mp. fasten to, hang upon. ἔκ τινος. depend upon.
J Nemesius 70,6-71,4
(1) εἰ τοίνυν σῶμά ἐστιν ἡ ψυχὴ οἱονδήποτε, εἰ καὶ λεπτομερέστατον, τί πάλιν ἐστὶ τὸ συνέχον ἐκείνην; (2) ἐδείχθη γὰρ πᾶν σῶμα δεῖσθαι τοῦ συνέχοντος, καὶ οὕτως εἰς ἄπειρον, ἕως ἂν καταντήσωμεν εἰς ἀσώματον. (3) εἰ δὲ λέγοιεν, καθάπερ οἱ Στωικοί, τονικήν τινα εἶναι κίνησιν περὶ τὰ σώματα, εἰς τὸ ἔσω ἅμα καὶ εἰς τὸ ἔξω κινουμένην, καὶ τὴν μὲν εἰς τὸ ἔξω μεγεθῶν καὶ ποιοτήτων ἀποτελεστικὴν εἶναι, τὴν δὲ εἰς τὸ ἔσω ἑνώσεως καὶ οὐσίας, ἐρωτητέον αὐτούς, ἐπειδὴ πᾶσα κίνησις ἀπό τινός ἐστι δυνάμεως, τίς ἡ δύναμις αὕτη καὶ ἐν τίνι οὐσίωται;
(1) 따라서 만일 영혼이 어쨌든 어떤 물체라면, 또 만일 가장 희박한 물체라면, 다시 저 영혼을 지탱하는 것은 무엇인가? (2) 왜냐하면 모든 물체가 지탱해주는 것을 필요로 한다는 점이 증명되었고, 그런 식으로 무한하게, 비물체적인 것에 닿을 때까지 갈 것이기 때문이다. (3) 그런데 만일 그들이 스토아 학자들처럼 물체들에 관련하여 어떤 연장하는 운동이 있다고, 그 운동이 동시에 안팎으로 움직이는 것이라고, 바깥으로는 크기들과 성질들의 결정인인 반면, 안으로는 통일성과 존재의 결정인이라고 한다면, 그들은 질문을 받아야만 한다. 모든 운동은 어떤 능력으로부터 성립하기에, 이 능력이 무엇이며 무엇 안에서 성립되었는가?
K Galen, Musc. mot. 4.402,12-403,10 (SVF 2.450, part)
(1) ἔστω τις ὑψηλὸς ὄρνις ἐν ταὐτῷ τόπῳ φαινόμενος μένειν. πότερον ἀκίνητον εῑναι τοῦτον λεκτέον, ὥσπερ εἰ καὶ κρεμάμενος ἄνωθεν ἔτυχεν, ἢ κινεῖσθαι τὴν ἐπὶ τὰ ἄνω κίνησιν εἰς τοσοῦτον εἰς ὅσον ἤγαγεν αὐτὸν κάτω τὸ τοῦ σώματος βάρος; ἐμοὶ μὲν τοῦτο ἀληθέτερον εἶναι δοκεῖ. στερήσας γοῦν αὐτὸν τῆς ψυχῆς ἢ τοῦ τῶν μυῶν τόνου, ταχέως ἐπὶ τὴν γῆν ὄψει καταφερόμενον· ᾧ δῆλον ὅτι τὴν σύμφυτον τῷ τοῦ σώματος βάρει κάτω ῥοπὴν εἰς ἴσον ἀντεσήκου τῇ κατὰ τὸν τῆς ψυχῆς τόνον ἄνω φορᾷ. (2) πότερον οὖν ἐν ταῖς τοιαύταις ἁπάσαις καταστάσεσι ποτὲ μὲν κάτω ποτὲ δὲ ἄνω τὸ σῶμα φέρεται τἀναντία πάσχον ἐν μέρει, διὰ δὲ τὸ ταχείας τε καὶ ὀξυρρόπους γίνεσθαι τὰς μεταβολὰς καὶ κατὰ βραχυτάτων διαστημάτων φέρεσθαι τὰς κινήσεις ἐν ταὐτῷ φαίνεται τόπῳ μένειν, ἢ ὄντως ἕνα διὰ παντὸς τοῦ χρόνου κατέχει τόπον, οὐ τοῦ παρόντος καιροῦ διελθεῖν.
높은 곳 같은 장소에 머물러 있는 것처럼 보이는 새가 있다고 하자. 이 새가 움직이지 않는다고 말해야 하는가, 마치 상공에 매달려 있기라도 한 듯이, 아니면 그 물체의 무게가 그 새를 아래로 이끌 그 만큼까지 상향의 움직임에서 움직여졌다고 말해야 하는가? 나로서는 이쪽(후자)이 더욱 참된 것이라 여겨진다. 그 새에게서 영혼을 또는 그 근육의 tonos(긴장?)를 빼앗고 나면, 당신은 곧 그 새가 땅으로 떨어지는 것을 볼 것이다: 이로써 분명한 사실은 (그 새가 자신의) 물체의 무게에 본래적인 하강 경향성을 (그 새의) 영혼의 tonos에 따른 상승 운동과 균형잡고 있었다는 것이다. (2) 그러므로 이와 같은 모든 정지들에서 어떤 경우에는 아래로 또 어떤 경우에는 위로 물체가 번갈아(차례로) 반대되는 일들을 겪으며 이동되고, 그 변화들이 빠르고 급격하게 됨으로 인하여 그리고 매우 짧은 간격들에 따른 이동으로 인하여 그 운동들이 동일한 장소에 머무는 것처럼 보이는 것인지, 또는 실제로 모든 시간에 걸쳐 단일한 장소를 점유하는지, 현시점에서 상술할 것은 아니다.
κρεμάμενος : κρεμάννυμι. mp. part. hang up. to be hung up. suspended.
στερήσας : στερέω aor. part. deprive c. acc. pers. et c. gen.
μυῶν : μῦς. muscle.
ῥοπὴν : ῥέπω. incline.
ἀντεσήκου : ἀντισηκόω impf. counterbalance.
L Alexander, Mixt. 223,25-36 (SVF 2.441, part)
(1) τούτου δ᾿ οὕτως ἔχοντος, πῶς ἂν ἔτι ἀληθὲς εἴη τὸ πᾶν ἡνῶσθαί τε καὶ συνέχεσθαι, πνεύματός τινος διὰ παντὸς διήκοντος αὐτοῦ; (2) ἔπειτα δ᾿ εὔλογον μὲν ἦν ὁμοίαν τὴν ὑπὸ τοῦ πνεύματος συνοχὴν γινομένην ἐν πᾶσιν εἶναι τοῖς σώμασιν· οὐχ οὕτως δ᾿ ἔχει. τῶν γὰρ σωμάτων τὰ μέν ἐστι συνεχῆ, τὰ δὲ διωρισμένα. διὸ εὐλογώτερον ἕκαστον αὐτῶν ὑπὸ τοῦ οἰκείου εἴδους συνέχεσθαί τε καὶ ἡνῶσθαι λέγειν πρὸς ἑαυτό, καθό ἐστιν αὐτῶν ἑκάστῳ τὸ εἶναι, τὴν <δὲ> συμπάθειαν αὐτῶν σῴζεσθαι τὴν πρὸς ἄλληλα διά τε τὴν τῆς ὕλης κοινωνίαν καὶ τὴν τοῦ περικειμένου θείου σώματος αὐτοῖς φύσιν, ἢ τῷ διὰ τοῦ πνεύματος δεσμῷ. (3) τίς γὰρ καὶ ὁ τόνος τοῦ πνεύματος, ὑφ᾿ οὗ συνδούμενα τήν τε συνέχειαν ἔχει τὴν πρὸς τὰ οἰκεῖα μέρη καὶ συνῆπται τοῖς παρακειμένοις;
(1) 그런데 사정이 이러할 때(물과 공기의 완전한 혼합이 불가능할 때), 어떻게 여전히 모든 것이 통일되고 견지된다는 것이 참일 수 있겠는가, 어떤 프네우마가 그 모든 것을 관통하여 있음에도? (2) 그리하여 프네우마에 의해 이루어지는 지속이 모든 물체들 내에서 동일하다는 것은 합리적이긴 하다: 그러나 사정은 그렇지 않다. 왜냐하면 물체들 중 일부는 지속시키는 것들이고, 다른 것들은 한정된 것들이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그것들 각각이 고유한 형상에 의해 그 자신을 향해 지속되고 통일되며, 그것들 각각에게 ~임인 바에 따라 그리 되는 한편, 서로에 대한 공동작용(?)은 질료의 공유와 그것들을 감싸는 신적인 물체의 본성으로 인해 구제된다고 말하는 편이, 프네우마를 통한 구속으로써 그리 된다고 하는 것보다 더욱 합리적이다. (3) 왜냐하면 프네우마의 tonos, 그것에 의해 (물체들이) 함께 묶임으로써 고유한 부분들을 향한 지속을 지니며 또한 곁하여 놓이는 것들에 연결되는 그 tonos는 또 무엇이란 말인가?
ἡνῶσθαί : ἑνόω pf. mp.
M Plutarch, St. rep. 1053F-1054B (SVF 2.449)
(1) πάλιν ἐν τοῖς Περὶ ἕξεων οὐδὲν ἄλλο τὰς ἕξεις πλὴν ἀέρας εἶναί φησιν· "ὑπὸ τούτων γὰρ συνέχεται τὸ σώματα· καὶ τοῦ ποιὸν ἕκαστον εἶναι τῶν ἕξει συνεχομένων αἴτιος ὁ συνέχων ἀήρ ἐστιν, ὃν σκληρότητα μὲν ἐν σιδήρῳ πυκνότητα δ᾿ ἐν λίθῳ λευκότητα δ᾿ ἐν ἀργύρῳ καλοῦσι". . . (2) καίτοι πανταχοῦ τὴν ὕλην ἀργὸν ἐξ ἑαυτῆς καὶ ἀκίνητον ὑποκεῖσθαι ταῖς ποιότησιν ἀποφαίνουσι, τὰς δὲ ποιότητας πνεύματα οὔσας καὶ τόνους ἀερώδεις, οἷς(vel οἷος) ἂν ἐγγένωνται μέρεσι τῆς ὕλης, εἰδοποιεῖν ἕκαστα καὶ σχηματίζειν.
(1) 다시 『상태들에 관하여』에서 그(크뤼싶포스)는 그 상태들이 공기의 상태들 외에 다른 무엇도 아니라고 말한다: "왜냐하면 이 상태들에 의해 물체가 지속되기 때문이다: 그 상태에 의해 지속되는 것들의 각 성질(어떠함)에 대해 원인이 되는 것은 지속시키는 공기이고, 그것은 철에서는 경(硬)으로 돌에서는 밀(密)로 은에서는 백(白)으로 부르는 것이다.". . . (2) 게다가 질료는 모든 면에서 그 자체로부터 비활성의 것이자 부동의 것으로서 성질들의 기체로 놓인다고 주장하며, 성질들이 프네우마이자 공기의 형상을 한 tonos들이기에, 질료의 부분들에 내재할 것들로서, 각각의 것들을 형상화하고 형태부여한다고 주장한다.
N Galen, Intr. 14.726,7-11 (SVF 2.716, part)
τοῦ δὲ ἐμφύτου πνεύματος διττὸν εἶδος, τὸ μὲν φυσικόν, τὸ δὲ ψυχικόν· εἰσὶ δὲ οἳ καὶ τρίτον εἰσάγουσι, τὸ ἑκτικόν· ἑκτικὸν μὲν οὖν ἐστι πνεῦμα τὸ συνέχον τοὺς λίθους, φυσικὸν δὲ τὸ τρέφον τὰ ζῷα καὶ τὰ φυτά, ψυχικὸν δὲ τὸ ἐπὶ τῶν ἐμψύχων αἰσθητικά τε ποιοῦν τὰ ζῷα καὶ κινούμενα πᾶσαν κίνησιν.
본래적 프네우마에 대해 두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자연적인 것이고, 다른 것은 영혼스러운(?) 것이다: 그런데 세 번째로 상태적인 것을 도입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므로 돌들을 지속시키는 것은 상태적인 프네우마이고, 동식물을 생육하는 것은 자연적인 것이며, 영혼을 가진 것들에 대해 동물들을 감각을 지닌 것들이자 모든 움직임이 되도록 만드는 것은 영혼스러운 것이다.
O Diogenes Laertius 7.138-9 (including SVF 2.634)
(1) τὸν δὴ κόσμον διοικεῖσθαι κατὰ νοῦν καὶ πρόνοιαν, καθά φησι Χρύσιππός τ᾿ ἐν τῷ πέμπτῳ Περὶ προνοίας καὶ Ποσειδώνιος ἐν τῷ τρισκαιδεκάτῳ Περὶ θεῶν, εἰς ἅπαν αὐτοῦ μέρος διήκοντος τοῦ νοῦ, καθάπερ ἐφ᾿ ἡμῶν τῆς ψυχῆς· (2) ἀλλ᾿ ἤδη δι᾿ ὧν μὲν μᾶλλον, δι᾿ ὧν δὲ ἧττον. δι᾿ ὧν μὲν γὰρ ὡς ἕξις κεχώρηκεν, ὡς διὰ τῶν ὀστῶν καὶ τῶν νεύρων· δι᾿ ὧν δὲ ὡς νοῦς, ὡς διὰ τοῦ ἡγεμονικοῦ. (3) οὕτω δὴ καὶ τὸν ὅλον κόσμον ζῷον ὄντα καὶ ἔμψυχον καὶ λογικόν, ἔχειν ἡγεμονικὸν μὲν τὸν αἰθέρα, καθά φησιν Ἀντίπατρος ὁ Τύριος ἐν τῷ ὀγδόῳ Περὶ κόσμου. (4) Χρύσιππος δ᾿ ἐν τῷ πρώτῳ Περὶ προνοίας καὶ Ποσειδώνιος ἐν τῷ Περὶ θεῶν τὸν οὐρανόν φασι τὸ ἡγεμονικὸν τοῦ κόσμου, Κλεάνθης δὲ τὸν ἥλιον. ὁ μέντοι Χρύσιππος διαφορώτερον πάλιν τὸ καθαρώτατον τοῦ αἰθέρος ἐν ταὐτῷ· ὃ καὶ πρῶτον θεὸν <ὂν> λέγουσιν αἰσθητικῶς ὥσπερ κεχωρηκέναι διὰ τῶν ἐν ἀέρι καὶ διὰ τῶν ζῴων ἁπάντων καὶ φυτῶν, διὰ δὲ τῆς γῆς αὐτῆς καθ᾿ ἕξιν.
(1) 그들은 우주가 지성과 지혜에 따라 주재된다고 말한다, 크뤼싶포스가 『지혜에 관하여』 5권에서 그리고 포세이도니오스가 『신들에 관하여』 30권에서 말하는 바들에 따라, 지성이 그 우주의 모든 부분으로 관통하기에, 마치 우리들에게 영혼이 그러한 것과 마찬가지로 그렇기에: (2) 하지만 이제 그것들 중 일부를 통해서는 더 많이, 다른 것들을 통해서는 더 적게 관통한다. 왜냐하면 그것들의 일부를 통해서는 상태인 것으로서 침윤하여 있는데, 뼈들과 힘줄들을 통해서처럼 그리하고: 반면 다른 것들을 통해서는 지성으로서, 주재처(主宰處, hegemonikon)를 통해서처럼 침윤하여 있기 때문이다. (3) 그런 식으로 더 나아가 그들은 우주 전체가 살아있는 것이자 영혼을 가진 것 그리고 이성적인 것으로서, aether를 주재처로 지닌다고 말한다, 튀로스인 안티파트로스가 『우주에 관하여』 8권에서 말하는 바들에 따라. (4) 크뤼싶포스는 『지혜에 관하여』 1권에서 포세이도니오스는 『신들에 관하여』에서 하늘을 우주의 주재처로 말하고, 클레안테스는 태양을 그리 말한다. 그렇지만 크뤼싶포스는 같은 곳에서 다시 더욱 다른 것, aether의 가장 정화된 것을 말한다: 그들은 이것을 최초의 신인 것으로서 감각적으로,  공기 중의 것들을 통해서 그리고 모든 동식물들을 통해서, 그리고 대지 자체를 통해서 상태에 따라서 침윤하는 것처럼 말한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