殺し屋1(イチ) by 山本英夫. 


사람이든 글이든 생각이든, 다시 그런 순간을 만날 때까지 존버.


-蟲-

> 지성에 의해 제작된 우주가 앞서 이야기됨. 이후에는 앞서 포함되지 못한 필연의 측면도 논의되어야 함.

그런데 수용자가 있어야 하고, 이것과 모상의 결합으로부터 필연이 나오지 않을까.

지성원인을 통한 우주 설명과 구분하여, 지성-필연 결합을 통한 우주 설명이 시작. 

그리고 앞서 논의에서는 시초를 있는 것과 생성된 것 둘로, 반면 여기에서는 

논의의 시작에 있어서 시초를 있는 것, 생성된 것, 수용자 세 가지로 잡는다. 

 

Τὰ μὲν οὖν παρεληλυθότα τῶν εἰρημένων πλὴν βραχέων

ἐπιδέδεικται τὰ διὰ νοῦ δεδημιουργημένα· δεῖ δὲ καὶ τὰ δι᾿ 

ἀνάγκης γιγνόμενα τῷ λόγῳ παραθέσθαι. μεμειγμένη γὰρ                                 5

οὖν ἡ τοῦδε τοῦ κόσμου γένεσις ἐξ ἀνάγκης τε καὶ νοῦ                              48a1

συστάσεως ἐγεννήθη· 

그리하여 언급된 것들 중 지나간 것들은 약간의 것들 외에는

지성을 통해 제작되었던 것들로서 입증되었습니다. 그런데

필연을 통해 생성되는 것들 또한 말로써 제시되어야 합니다.

그야 여기 이 질서(잡힌 우주)의 생성은 필연과 또한 지성의 

합성으로부터 혼합되어 산출되었으니까요.

> 이야기된 것들 중 '지나간 것'은 제작자의 지성을 통해

생성된 것이라는 설명을 마친 것. 그렇다면 이야기된 것들

중에서 아직 지나가지 않고 남은 것이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다시, 지나간 것 중에서도 제외된 '약간'이

저 지나가지 않은 것과 구분될 수도 있다. 이 '약간'은 아예

> τῷ λόγῳ. 설명의 수단인 말. 아니면 para의 지배를 받아

앞선 설명, 또는 nous와 유사한 의미에서 지성. 후자의 경우

지성에 의한 제작물들 말고 다른 것들이란 의미에서...

   

                             νοῦ δὲ ἀνάγκης ἄρχοντος τῷ πείθειν

αὐτὴν τῶν γιγνομένων τὰ πλεῖστα ἐπὶ τὸ βέλτιστον ἄγειν,

ταύτῃ κατὰ ταῦτά τε δι᾿ ἀνάγκης ἡττωμένης ὑπὸ πειθοῦς

ἔμφρονος οὕτω κατ᾿ ἀρχὰς συνίστατο τόδε τὸ πᾶν.                                        5

                                                       그런데 지성이 

생성되는 대다수의 것들을 필연으로 하여금 최선의 방향으로 

이끌도록 설득하는 일로써 지배하기에, 이런 식으로 이와 같은 

것들에 따라서 분별이 깃든 설득에 의해 열세로 제압된 필연을

통하여 그렇게 시초부터 여기 이 모든 것(우주)이 구성되었던 

것입니다.

> 지성이 이끈다, 로 가자. by Kang. 나는 필연이 이끈다, 로 가자.

                                                                    εἴ τις                                 5

οὖν ᾗ γέγονεν κατὰ ταῦτα ὄντως ἐρεῖ, μεικτέον καὶ τὸ τῆς

πλανωμένης εἶδος αἰτίας, ᾗ φέρειν πέφυκεν· ὧδε οὖν πάλιν

ἀναχωρητέον, καὶ λαβοῦσιν αὐτῶν τούτων προσήκουσαν                            b

ἑτέραν ἀρχὴν αὖθις αὖ, καθάπερ περὶ τῶν τότε νῦν οὕτω

περὶ τούτων πάλιν ἀρκτέον ἀπ᾿ ἀρχῆς. 

            그러므로 만일 누군가 어떤 식으로 이러한 것들에 따라

[우주가] 생성되었는지 있는 그대로 말하려면, 방황하는 원인의

형상 역시, 본래부터 움직이게 마련인 한에서(or 어떻게 본래적으로

움직이게 하는지, 어떻게 본래적으로 허용되는지), 혼합되어야만

합니다. 그리하여 이런 식으로 다시금 물러서야만 하고, 또한

똑같은 이것들에 적절한 다른 시초를 이번에 다시 취한 자들로서는,

마치 당시(이전)의 것들에 관련하여 그러했던 것처럼 지금 그렇게

이것들에 관련하여 다시 시초로부터 시작해야만 하는 것입니다. 

                                                   τὴν δὴ πρὸ τῆς οὐ-

ρανοῦ γενέσεως πυρὸς ὕδατός τε καὶ ἀέρος καὶ γῆς φύσιν

θεατέον αὐτὴν καὶ τὰ πρὸ τούτου πάθη· νῦν γὰρ οὐδείς πω                             5

γένεσιν αὐτῶν μεμήνυκεν, ἀλλ᾿ ὡς εἰδόσιν πῦρ ὅτι ποτέ

ἐστιν καὶ ἕκαστον αὐτῶν λέγομεν ἀρχὰς αὐτὰ τιθέμενοι

στοιχεῖα τοῦ παντός, προσῆκον αὐτοῖς οὐδ᾿ ἂν ὡς ἐν συλλα-

βῆς εἴδεσιν μόνον εἰκότως ὑπὸ τοῦ καὶ βραχὺ φρονοῦντος                           c

ἀπεικασθῆναι. 

                                 그래서 하늘의 생성보다 앞선 불, 물 

그리고 공기와 흙의 본성 자체와 이에 그 이전 상태들이 관찰되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오늘날까지 아직 아무도 (생성 전의) 그것들의 

생성을 밝혀낸 적이 없으나, 오히려 불을 그리고 그것들 각각도 

그것이 도대체 무엇으로 있는지 아는 자들에게 하듯 우리는 

그것들을 모든 것의 원소들로 상정하면서 시초들이라 논하고 있고, 

그런데 (생성 전의) 그것들에 어울리는 일은 약간이나마 식견이 있는

누군가에 의해 오직 음절의 종류들에서 [요소들로만] 모상적으로

모사되는 것도 아닐 것이기 때문입니다.                                          //210417

                   νῦν δὲ οὖν τό γε παρ᾿ ἡμῶν ὧδε ἐχέτω· τὴν

μὲν περὶ ἁπάντων εἴτε ἀρχὴν εἴτε ἀρχὰς εἴτε ὅπῃ δοκεῖ

τούτων πέρι τὸ νῦν οὐ ῥητέον, δι᾿ ἄλλο μὲν οὐδέν, διὰ δὲ τὸ

χαλεπὸν εἶναι κατὰ τὸν παρόντα τρόπον τῆς διεξόδου δηλῶ-                           5

σαι τὰ δοκοῦντα, μήτ᾿ οὖν ὑμεῖς οἴεσθε δεῖν ἐμὲ λέγειν, οὔτ᾿ 

αὐτὸς αὖ πείθειν ἐμαυτὸν εἴην ἂν δυνατὸς ὡς ὀρθῶς ἐγχει-

ροῖμ᾿ ἂν τοσοῦτον ἐπιβαλλόμενος ἔργον·                                                 d

                                그러므로 지금은 적어도 저희 일은

이런 상태로 놓이도록 하죠. 한편으로 통틀어 모든 것들에

관련하여 원리가 되었든 원리들이 되었든 어떤 식으로 여겨지든

그것들에 관련하여서 지금 이야기되지는 않아야만 하는데, 다른

그 어떤 것으로 인해서도 아니라, 현재 서술의 방식에 따라서는

여겨지는 바들을 분명하게 보여주는 일이 어렵다는 점으로

인해서이고, 그러므로 여러분들께서도 제가 말을 해야 한다고

생각치도 말아 주셔야 하며, 이번엔 저 자신도 그 정도의 일을

떠맡아 제대로 착수하리라고 제 자신을 설득할 능력을 갖춘

자로 있지도 못할 것입니다.

                                                      τὸ δὲ κατ᾿ ἀρχὰς                           d

ῥηθὲν διαφυλάττων, τὴν τῶν εἰκότων λόγων δύναμιν, πειρά-

σομαι μηδενὸς ἦττον εἰκότα, μᾶλλον δέ, καὶ <τῶν> ἔμπροσθεν ἀπ᾿

ἀρχῆς περὶ ἑκάστων καὶ συμπάντων λέγειν. θεὸν δὴ καὶ

νῦν ἐπ᾿ ἀρχῇ τῶν λεγομένων σωτῆρα ἐξ ἀτόπου καὶ ἀήθους                            5

διηγήσεως πρὸς τὸ τῶν εἰκότων δόγμα διασῴζειν ἡμᾶς

ἐπικαλεσάμενοι πάλιν ἀρχώμεθα λέγειν.                                                    e

                                   그런데 처음에 이야기된 바, 

모상적인 말들의 능력을, 면밀히 살핌으로써, 앞서 <이야기된 

것들 중> 그 어떤 것에 비해서도 못지 않게 모상적인, 오히려 

그보다 훨씬 더 모상적인 말을, 시초부터 각각의 것들에 그리고 

모든 것들 전부에 관련하여 말하고자 시도할 것입니다. 더 

나아가 신께서 지금도 말해지는 그것들의 시초를 놓고 구원자로서 

이상하고 익숙치 못한 서사로부터 모상적인 것들에 대한 판단 

쪽으로 저희를 구제해 주시기를 다시 기원드리고서 말하기를 

시작하도록 합시다.

 

Ἡ δ᾿ οὖν αὖθις ἀρχὴ περὶ τοῦ παντὸς ἔστω μειζόνως τῆς

πρόσθεν διῃρημένη· τότε μὲν γὰρ δύο εἴδη διειλόμεθα, νῦν

δὲ τρίτον ἄλλο γένος ἡμῖν δηλωτέον. τὰ μὲν γὰρ δύο ἱκανὰ

ἦν ἐπὶ τοῖς ἔμπροσθεν λεχθεῖσιν, ἓν μὲν ὡς παραδείγματος                             5

εἶδος ὑποτεθέν, νοητὸν καὶ ἀεὶ κατὰ ταὐτὰ ὄν, μίμημα δὲ

παραδείγματος δεύτερον, γένεσιν ἔχον καὶ ὁρατόν.                                49a1

그리하여 모든 것(우주)에 관하여 이번의 시초는 앞서 분할된

시초보다 더 크게 있다고 합시다. 왜냐하면 당시에는 우리가

두 형상들로 분할하였지만, 지금은 그 외에 세 번째 유를 우리가

밝혀야만 하기 때문입니다. 앞선 논의를 위해서는 그 둘로

충분했었으니까요. 하나는 본의 형상(종류)으로 가정된 것으로,

지성적인 것이자 항상 같은 것들에 따라 있는 것, 반면 본의

모방물이 두 번째 것으로, 생성을 지니는 것이자 가시적인

것으로 말입니다.

                                                                    τρίτον                       49a1

δὲ τότε μὲν οὐ διειλόμεθα, νομίσαντες τὰ δύο ἕξειν ἱκανῶς·

νῦν δὲ ὁ λόγος ἔοικεν εἰσαναγκάζειν χαλεπὸν καὶ ἀμυδρὸν

εἶδος ἐπιχειρεῖν λόγοις ἐμφανίσαι. τίν᾿ οὖν ἔχον δύναμιν

καὶ φύσιν αὐτὸ ὑποληπτέον; τοιάνδε μάλιστα· πάσης εἶναι                               5

γενέσεως ὑποδοχὴν αὐτὴν οἷον τιθήνην. 

                     그런데 세 번째 것은 당시에는 우리가 분할하지

않았으니, 그 둘로 충분하게 되리라고 생각해서 그리하였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논의가 난해하고도 흐릿한 형상을 말들로써

해명하는 일을 시도하도록 강제하는 듯합니다. 그러므로 그것이

어떤 능력과 본성을 지니는 것으로 간주되어야만 할까요? 특히나

다음과 같은 능력이겠죠. 모든 생성에 대해 수용자격인 이를 테면

유모라 할 것으로서 그것(능력과 본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εἴρηται μὲν οὖν

τἀληθές, δεῖ δὲ ἐναργέστερον εἰπεῖν περὶ αὐτοῦ, χαλεπὸν

δὲ ἄλλως τε καὶ διότι προαπορηθῆναι περὶ πυρὸς καὶ τῶν                           b

μετὰ πυρὸς ἀναγκαῖον τούτου χάριν· τούτων γὰρ εἰπεῖν

ἕκαστον ὁποῖον ὄντως ὕδωρ χρὴ λέγειν μᾶλλον ἢ πῦρ, καὶ

ὁποῖον ὁτιοῦν μᾶλλον ἢ καὶ ἅπαντα καθ᾿ ἕκαστόν τε, οὕτως

ὥστε τινὶ πιστῷ καὶ βεβαίῳ χρήσασθαι λόγῳ, χαλεπόν.                                    5

그러므로 참된 것이 이야기되는 것이긴 합니다만, 그것(세 번째)에

관련하여 더 확실하게 이야기되어야 하는데, 이것이 다른 

식으로도 어려운 일이지만 불 그리고 불과 동반하는 것들에

관련하여 이를 위해 선행하는 난관에 빠지는 일이 필연적이라는 

점으로 인해서도 어려운 일입니다. 왜냐하면 이것들의 각기

어떠한 것을 불이 아니라 오히려 있는 그대로 물이라고

말해야만 한다고, 또 어떠한 것을 각각에 따라서나 통틀어 

모든 것들이라 말하기 보다 차라리 무엇이 되었든 바로 그것이라고 

말해야만 한다고, 그렇게 하여 확신할 만하고 확고한 무슨 논변을

사용할 수 있게끔, 그래야 한다고 이야기 하기는 어려운 일이기

때문입니다.

πῶς οὖν δὴ τοῦτ᾿ αὐτὸ καὶ πῇ καὶ τί περὶ αὐτῶν εἰκότως

διαπορηθέντες ἂν λέγοιμεν; πρῶτον μέν, ὃ δὴ νῦν ὕδωρ

ὠνομάκαμεν, πηγνύμενον ὡς δοκοῦμεν λίθους καὶ γῆν γιγνό-

μενον ὁρῶμεν, τηκόμενον δὲ καὶ διακρινόμενον αὖ ταὐτὸν                           c

τοῦτο πνεῦμα καὶ ἀέρα, συγκαυθέντα δὲ ἀέρα πῦρ, ἀνάπαλιν

δὲ συγκριθὲν καὶ κατασβεσθὲν εἰς ἰδέαν τε ἀπιὸν αὖθις ἀέρος

πῦρ, καὶ πάλιν ἀέρα συνιόντα καὶ πυκνούμενον νέφος καὶ

ὁμίχλην, ἐκ δὲ τούτων ἔτι μᾶλλον συμπιλουμένων ῥέον ὕδωρ,                         5

ἐξ ὕδατος δὲ γῆν καὶ λίθους αὖθις, κύκλον τε οὕτω διαδιδόντα

εἰς ἄλληλα, ὡς φαίνεται, τὴν γένεσιν. 

그러니 정말로 그것이 이것이라고 어떻게 그리고 어떤 측면에서 

또 무슨 이유로 그것들에 관하여 모상적으로 난관에 빠져 버린 

우리가 말할 수 있을까요? 우선은, 오늘날 우리가 정말로 물이라 

명명한 바의 것이, 응축됨으로써 우리가 믿다시피 돌이나 흙이 

되는 것을 우리가 보는가 하면, 융해되고 분리됨으로써 이번에는 

똑같은 이것이 숨과 공기가 되며, 공기는 타오름으로써 불이 되고, 

역으로 다시 사그라들고 꺼짐으로써 불이 다시금 공기의 형상으로 

돌아가는 것을, 그리고 다시 공기가 모여들어 응축됨으로써 

구름과 안개가 되고, 이것들이 훨씬 더 많이 뒤엉켜 압착된 

것들로부터 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다른 한편 물로부터 흙과 돌이 

다시금 생성되는 것을, 그렇게 원형으로(순환적으로) 서로를 향해, 

드러나 보이기로는, 생성을 부여하는 것을 봅니다.

                                                οὕτω δὴ τούτων οὐδέ-

ποτε τῶν αὐτῶν ἑκάστων φανταζομένων, ποῖον αὐτῶν ὡς                           d

ὂν ὁτιοῦν τοῦτο καὶ οὐκ ἄλλο παγίως διισχυριζόμενος οὐκ

αἰσχυνεῖταί τις ἑαυτόν; 

                                                                그래서 그렇게 

이것들이 결코 똑같은 각각의 것들로 드러나 보이지 않는데도, 

그것들 중 어떠한 것이 무엇이 되었든 이것으로 있고 또 그 외의 

것으로 있지 않은 것이라고 확고하게 단언하며 누군들 제 자신을 

수치스러워하지 않겠습니까?

                               οὐκ ἔστιν, ἀλλ᾿ ἀσφαλέστατα μακρῷ

περὶ τούτων τιθεμένους ὧδε λέγειν· ἀεὶ ὃ καθορῶμεν ἄλλοτε

ἄλλῃ γιγνόμενον, ὡς πῦρ, μὴ τοῦτο ἀλλὰ τὸ τοιοῦτον ἑκά-                              5

στοτε προσαγορεύειν πῦρ, μηδὲ ὕδωρ τοῦτο ἀλλὰ τὸ τοιοῦτον

ἀεί, μηδὲ ἄλλο ποτὲ μηδὲν ὥς τινα ἔχον βεβαιότητα, ὅσα

δεικνύντες τῷ ῥήματι τῷ τόδε καὶ τοῦτο προσχρώμενοι                              e

δηλοῦν ἡγούμεθά τι· φεύγει γὰρ οὐχ ὑπομένον τὴν τοῦ τόδε

καὶ τοῦτο καὶ τὴν τῷδε καὶ πᾶσαν ὅση μόνιμα ὡς ὄντα

αὐτὰ ἐνδείκνυται φάσις. 

                                     그게 아니라, 오히려 그것들에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식으로 정하며 말하는 편이 단연코

가장 안전한 일입니다. 항상 서로 다른 때에 서로 다른 식으로 

생성되는 것을 우리가 알아보게 되는 것을, 불의 경우, 이것이 

아니라 이러한 것을 각 경우에 불이라고 호명하는 것처럼, 물도

이것이 아니라 이러한 것이라고 항상 호명하고, 그 외의 무엇도

결코 무슨 엄밀함이라도 지닌 것으로, "여기 이것" 그리고 "이것"이란 

표현으로 지시하며 이를 사용하여 우리가 무언가를 분명하게 

한다고 생각하는 것들로 호명하지 않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여기 이것," "이것," 그리고 "여기 이것으로서"라는 표현과 또한 

그것들을 지속적인 것들로 있는 것들로 지시해 보이는 모든 

표현을 기다려주지 않고 피해가기 때문이지요.                         //210421 

                                ἀλλὰ ταῦτα μὲν ἕκαστα μὴ λέγειν,

τὸ δὲ τοιοῦτον ἀεὶ περιφερόμενον ὅμοιον ἑκάστου πέρι καὶ                           5

συμπάντων οὕτω καλεῖν, καὶ δὴ καὶ πῦρ τὸ διὰ παντὸς

τοιοῦτον, καὶ ἅπαν ὅσονπερ ἂν ἔχῃ γένεσιν· 

                                                           오히려 이것들

각각은 말하지 않는 것, 반면에 각각에 관하여서도 통틀어 모든 

것들에 관하여서도 유사한 것으로서 언제나 순환하는 이러한 것을

그런 식으로 부르는 것, 더 나아가 모든 것을 통과해 이러한 것을

불이라고, 또한 생성을 지닐 바로 그 모든 것 전부라고도 부르는

것입니다.

                                                           ἐν ᾧ δὲ ἐγγιγνό-

μενα ἀεὶ ἕκαστα αὐτῶν φαντάζεται καὶ πάλιν ἐκεῖθεν ἀπόλ-

λυται, μόνον ἐκεῖνο αὖ προσαγορεύειν τῷ τε τοῦτο καὶ τῷ                     50a1

τόδε προσχρωμένους ὀνόματι, τὸ δὲ ὁποιονοῦν τι, θερμὸν

ἢ λευκὸν ἢ καὶ ὁτιοῦν τῶν ἐναντίων, καὶ πάνθ᾿ ὅσα ἐκ

τούτων, μηδὲν ἐκεῖνο αὖ τούτων καλεῖν. 

                      그런데 항상 그것들 중 각각의 것들이 그 안에

생성되어 들어가는 것으로 나타나고 또 다시 그로부터 해체되어

나오는 바, 이번엔 오직 저것만을 "이것"이자 "여기 이것"이란

이름을 덧붙여 사용하여 호명하는 것, 반면 따뜻한 것이든

흰 것이든 아니면 반대되는 것들 중 그 무엇이든, 도대체 그

무엇이 되었든지 간에 그것은, 그리고 이것들로부터 나온

모든 것들 역시도, 그것들 중 아무것도 이번엔 저것으로 부르지

않는 것입니다.

                                                      ἔτι δὲ σαφέστερον

αὐτοῦ πέρι προθυμητέον αὖθις εἰπεῖν. εἰ γὰρ πάντα τις                                5

σχήματα πλάσας ἐκ χρυσοῦ μηδὲν μεταπλάττων παύοιτο

ἕκαστα εἰς ἅπαντα, δεικνύντος δή τινος αὐτῶν ἓν καὶ ἐρο-

μένου τί ποτ᾿ ἐστί, μακρῷ πρὸς ἀλήθειαν ἀσφαλέστατον                          b           //201027

εἰπεῖν ὅτι χρυσός, τὸ δὲ τρίγωνον ὅσα τε ἄλλα σχήματα

ἐνεγίγνετο, μηδέποτε λέγειν ταῦτα ὡς ὄντα, ἅ γε μεταξὺ

τιθεμένου μεταπίπτει, ἀλλ᾿ ἐὰν ἄρα καὶ τὸ τοιοῦτον μετ᾿ 

ἀσφαλείας ἐθέλῃ δέχεσθαί τινος, ἀγαπᾶν.                                                 5

                   그런데 그것에 관련하여 훨씬 더 확실한 것을

다시 이야기하는 일에 열의를 보여야만 합니다. 왜냐하면

만일 누군가 모든 형태들을 금으로부터 주조하고서 각각의

것들을 통틀어 모든 것들로 변형시키기를 전혀 그치지 않는다면,

그래서 누군가가 그것들 중 하나를 지시하며 도대체 무엇으로

있는지 물을 때, 진리의 관점에서 단연코 가장 안전한 일은

금이라고 이야기하는 것이되, 삼각형인 것도 그 외에 생성되어

들어간 것들도, 어쨌든 그가 상정하더라도 변전하는 것들로서, 

결코 이것들을 있는 것들로 말하지 말고, 오히려 그래서 만일

모종의 안정성을 동반한 "이러한 것"이라도 허용되려 할 경우,

만족하는 것이니까요.

> 50b4 τιθεμένου: λόγου가 생략된 것으로 보자. 말이 놓이는

와중에도...

                                                      ὁ αὐτὸς δὴ λόγος                           5

καὶ περὶ τῆς τὰ πάντα δεχομένης σώματα φύσεως. ταὐτὸν

αὐτὴν ἀεὶ προσρητέον· ἐκ γὰρ τῆς ἑαυτῆς τὸ παράπαν οὐκ

ἐξίσταται δυνάμεως―δέχεταί τε γὰρ ἀεὶ τὰ πάντα, καὶ

μορφὴν οὐδεμίαν ποτὲ οὐδενὶ τῶν εἰσιόντων ὁμοίαν εἴληφεν                    c

οὐδαμῇ οὐδαμῶς· 

                            그래서 같은 논리가 모든 물체들을 수용하는

본성에 관련하여서도 성립합니다. 그 본성을 같은 것으로 항상

불러야만 합니다. 왜냐하면 전적으로 그 자신의 능력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즉 항상 모든 것들을 수용하고,

들어오는 것들 중 그 무엇과 유사한 아무런 형태도 결코 어떤

식으로도 전혀 취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ἐκμαγεῖον γὰρ φύσει παντὶ κεῖται, κινού-

μενόν τε καὶ διασχηματιζόμενον ὑπὸ τῶν εἰσιόντων, φαί-

νεται δὲ δι᾿ ἐκεῖνα ἄλλοτε ἀλλοῖον―τὰ δὲ εἰσιόντα καὶ

ἐξιόντα τῶν ὄντων ἀεὶ μιμήματα, τυπωθέντα ἀπ᾿ αὐτῶν                               5

τρόπον τινὰ δύσφραστον καὶ θαυμαστόν, ὃν εἰς αὖθις μέτιμεν.

                                                     왜냐하면 모든 것에게

본성상 새김판으로 놓여지니, 들어오는 것들에 의해 운동하게

되고 형태를 갖추게 됨으로써 그러하며, 그런데 저것들로 인해

서로 다른 때에 서로 다른 성질로 나타나 보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들어오고 나가는 것들은 언제나, 있는 것들의 모방물들이고,

그 있는 것들로부터 모종의 형언하기 어렵고도 경이로운 방식으로

찍혀 나온 것들로, 그 방식은 우리가 나중에 다시 따질 문제입니다.

 

ἐν δ᾿ οὖν τῷ παρόντι χρὴ γένη διανοηθῆναι τριττά, τὸ μὲν

γιγνόμενον, τὸ δ᾿ ἐν ᾧ γίγνεται, τὸ δ᾿ ὅθεν ἀφομοιούμενον                       d

φύεται τὸ γιγνόμενον. καὶ δὴ καὶ προσεικάσαι πρέπει τὸ μὲν

δεχόμενον μητρί, τὸ δ᾿ ὅθεν πατρί, τὴν δὲ μεταξὺ τούτων

φύσιν ἐκγόνῳ, νοῆσαί τε ὡς οὐκ ἂν ἄλλως, ἐκτυπώματος

ἔσεσθαι μέλλοντος ἰδεῖν ποικίλου πάσας ποικιλίας, τοῦτ᾿                              5

αὐτὸ ἐν ᾧ ἐκτυπούμενον ἐνίσταται γένοιτ᾿ ἂν παρεσκευα-

σμένον εὖ, πλὴν ἄμορφον ὂν ἐκείνων ἁπασῶν τῶν ἰδεῶν ὅσας

μέλλοι δέχεσθαί ποθεν.                                                                      e

그리하여 지금으로서는 세 가지 유들을 사유해야만 하니,

생성되는 것, 생성이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 그리고 생성되는

것이 그로부터 닮아 나와 성장하는 출처인 것을 사유해야만 합니다.

더 나아가 수용하는 것은 어미에, 출처인 것은 아비에, 이것들의

중간적 본성은 자식에 비유하는 것이, 또한 이하의 방식 이외의

방식일 것이라 생각하지 않는 것이 적절합니다, 즉 인상이 모든

다채로움을 보여줄 수 있는 다채로운 것으로 장차 있으려면, 그

안에 날인되는 것이 들어서는 바의 것으로서 바로 이것이 잘 준비된 

것으로 생성될 것인 바, 장차 어딘가로부터 수용될 통틀어 저 모든 

형상들의 형태이지 않은 것으로 있음으로써 그리 될 것 말고

다른 방식으로는 그리 되리라 생각하지 않는 것이 말입니다. 

                                ὅμοιον γὰρ ὂν τῶν ἐπεισιόντων                            e

τινὶ τὰ τῆς ἐναντίας τά τε τῆς τὸ παράπαν ἄλλης φύσεως

ὁπότ᾿ ἔλθοι δεχόμενον κακῶς ἂν ἀφομοιοῖ, τὴν αὑτοῦ παρεμ-

φαῖνον ὄψιν. διὸ καὶ πάντων ἐκτὸς εἰδῶν εἶναι χρεὼν

τὸ τὰ πάντα ἐκδεξόμενον ἐν αὑτῷ γένη, καθάπερ περὶ τὰ                             5

ἀλείμματα ὁπόσα εὐώδη τέχνῃ μηχανῶνται πρῶτον τοῦτ᾿

αὐτὸ ὑπάρχον, ποιοῦσιν ὅτι μάλιστα ἀώδη τὰ δεξόμενα ὑγρὰ

τὰς ὀσμάς· ὅσοι τε ἔν τισιν τῶν μαλακῶν σχήματα ἀπο-               //210501

μάττειν ἐπιχειροῦσι, τὸ παράπαν σχῆμα οὐδὲν ἔνδηλον

ὑπάρχειν ἐῶσι, προομαλύναντες δὲ ὅτι λειότατον ἀπεργά-                           10

ζονται.                                                                                       51a1

왜냐하면 유입되어 들어오는 것들 중 무언가와 유사한 것으로

있음으로써 반대되는 본성에 속하는 것들과 또한 전적으로 그

외의 본성에 속하는 것들이 올 때에는 수용하면서 잘못되게

닮을 것이기 때문이지요, 그 자신의 보임새를 그 안에 덧붙여

나타냄으로써 말입니다. 이런 이유로 모든 형상들로부터도

외부에 자신 안에 모든 유들을 그로부터 수용할 것이 있어야만

하니, 마치 향이 좋은 향유들과 관련하여 기술로써 우선 다음과

같은 것으로 그것이 성립하도록 고안되듯이, 사람들이 최대한

향이 없는 것들로 그 향들을 수용하는 액체들을 만드는 것처럼

합니다. 또한 부드러운 것들 중 어떤 것들 안에 형태들을

찍고자 시도하는 자들도, 전적으로 아무런 형태도 분명한

것으로 성립하도록 놓아두지 않고, 더욱 평평하게 만들어

최대한 매끄럽게 구현해내듯이 말입니다.

          ταὐτὸν οὖν καὶ τῷ τὰ τῶν πάντων <νοητῶν> ἀεί τε ὄντων          51a1

κατὰ πᾶν ἑαυτοῦ πολλάκις ἀφομοιώματα καλῶς μέλλοντι 

δέχεσθαι πάντων ἐκτὸς αὐτῷ προσήκει πεφυκέναι τῶν εἰδῶν.

                  그러므로 같은 점에서 제 자신 전부에 따라 거듭하여 

모든 지성적이며 영원히 있는 것들에 대해 모사물들을 장차 

훌륭하게 수용할 것에게도 그 모든 형상들 외부에서 본성적으로

성립하였다는 것이 그것에 어울릴 것입니다.

διὸ δὴ τὴν τοῦ γεγονότος ὁρατοῦ καὶ πάντως αἰσθητοῦ μη-

τέρα καὶ ὑποδοχὴν μήτε γῆν μήτε ἀέρα μήτε πῦρ μήτε ὕδωρ                       5

λέγωμεν, μήτε ὅσα ἐκ τούτων μήτε ἐξ ὧν ταῦτα γέγονεν· 

ἀλλ᾿ ἀνόρατον εἶδός τι καὶ ἄμορφον, πανδεχές, μεταλαμ-

βάνον δὲ ἀπορώτατά πῃ τοῦ νοητοῦ καὶ δυσαλωτότατον αὐτὸ                  b

λέγοντες οὐ ψευσόμεθα·

                                                         그래서 이런 이유로

생성된 가시적인 것이자 온갖 방식으로 지각되는 것의 어미이자

수용자를 우리는 흙이라고도 공기라고도 불이라고도 물이라고도,

그것들로부터 생성되는 것들로도 그것들이 그로부터 생성되어

나오는 것들로도 말하지 말도록 합시다. 오히려 어떤 비가시적이며

부정형의 것, 모든 것을 수용하는 것, 매우 난해한 어떤 방식으로

지성적인 것에 관여하며 매우 포착하기 어려운 것이라고 그것을

말하면 우리가 거짓말을 하는 건 아닐 것입니다.

                                        καθ᾿ ὅσον δ᾿ ἐκ τῶν προειρημένων

δυνατὸν ἐφικνεῖσθαι τῆς φύσεως αὐτοῦ, τῇδ᾿ ἄν τις ὀρθότατα 

λέγοι· πῦρ μὲν ἑκάστοτε αὐτοῦ τὸ πεπυρωμένον μέρος φαί-

νεσθαι, τὸ δὲ ὑγρανθὲν ὕδωρ, γῆν δὲ καὶ ἀέρα, καθ᾿ ὅσον                           5

ἂν μιμήματα τούτων δέχηται.

                                                             그런데 앞서 언급된 

것들로부터 그것의 본성에 가 닿을 수 있는 한에서, 다음과 같은

식으로 누군가는 가장 옳게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때마다 그것의

불타는 부분이 불로 나타난다고, 다른 한편 액화된 부분은 물로, 또

흙과 공기로는, 그것들의 모방물들을 수용하는 한에서, 그렇게

나타난다고 말이지요.

                                               λόγῳ δὲ δὴ μᾶλλον τὸ

τοιόνδε διοριζομένους περὶ αὐτῶν διασκεπτέον· ἆρ᾿ ἔστιν

τι πῦρ αὐτὸ ἐφ᾿ ἑαυτοῦ καὶ πάντα, περὶ ὧν ἀεὶ λέγομεν οὕτως 

αὐτὰ καθ᾿ αὑτὰ ὄντα ἕκαστα, ἢ ταῦτα, ἅπερ καὶ βλέπομεν                         c

ὅσα τε ἄλλα διὰ τοῦ σώματος αἰσθανόμεθα, μόνα ἐστὶν 

τοιαύτην ἔχοντα ἀλήθειαν, ἄλλα δὲ οὐκ ἔστι παρὰ ταῦτα

οὐδαμῇ οὐδαμῶς, ἀλλὰ μάτην ἑκάστοτε εἶναί τί φαμεν εἶδος

ἑκάστου νοητόν, τὸ δὲ οὐδὲν ἄρ᾿ ἦν πλὴν λόγος;                                        5

                             그래서 그것들에 관련하여 이러한 것을

오히려 말로써 정의하면서 검토해야만 합니다. 어떤 불 그 자체가

그 자체로 있고 그것들에 관련하여 우리가 매번 그런 식으로

그것들이 그 자체로 각각의 것들로서 있는 것들이라 말하는 모든

것들이 있는지, 아니면 이것들, 우리가 바라보는 것들과 또한

우리가 신체를 통해 지각하는 그 외의 것들, 오직 그것들만이

이러한 참을 지닌 것들이고, 이것들 외에 여타의 것들로는 어떤

면에서도 어떤 식으로도 있지 않으며, 오히려 각각의 어떤 가지적

형상이 있다고 우리는 매번 헛되이 주장하고 있지만, 말밖에는

아무것도 있지 않았던 것인지?

                                                                οὔτε οὖν                           5

δὴ τὸ παρὸν ἄκριτον καὶ ἀδίκαστον ἀφέντα ἄξιον φάναι

διισχυριζόμενον ἔχειν οὕτως, οὔτ᾿ ἐπὶ λόγου μήκει πάρεργον

ἄλλο μῆκος ἐπεμβλητέον· εἰ δέ τις ὅρος ὁρισθεὶς μέγας διὰ                       d

βραχέων φανείη, τοῦτο μάλιστ᾿ ἐγκαιριώτατον γένοιτ᾿ ἄν.

                          그러므로 실로 작금의 것을 재판도 없고

판결도 없이 방면하며 그런 상태라고 단언하여 주장할 만한

것도 아니고, 긴 말에 그 외의 긴 부차적인 일을 끼워넣지도

않아야만 합니다. 그런데 만일 모종의 거대한 규정이 짧은

논의들을 통해 지어지는 것으로 드러난다면, 이것이 더할 나위

없이 가장 시의적절한 일이 될 것입니다.

ὧδε οὖν τήν γ᾿ ἐμὴν αὐτὸς τίθεμαι ψῆφον· εἰ μὲν νοῦς καὶ

δόξα ἀληθής ἐστον δύο γένη, παντάπασιν εἶναι καθ᾿ αὑτὰ

ταῦτα, ἀναίσθητα ὑφ᾿ ἡμῶν εἴδη, νοούμενα μόνον· εἰ δ᾿, ὥς                        5

τισι φαίνεται, δόξα ἀληθὴς νοῦ διαφέρει τὸ μηδέν, πανθ᾿

ὁπόσ᾿ αὖ διὰ τοῦ σώματος αἰσθανόμεθα, θετέον βεβαιότατα.

                                                    그러므로 저로서는

적어도 제 표는 다음과 같은 쪽에 던집니다. 한편으로 만일 지성과

참된 믿음이 두 가지 유들이라면, 전적으로 이것들은 그 자체로,

우리에 의해 지각되지 않는 형상들, 오직 사유될 따름인 것들로

있다는 쪽이죠. 다른 한편으로는 만일, 어떤 자들에게 그리 드러나

보이듯, 참된 믿음이 지성과 아무런 차이가 없다면, 이번엔 신체를

통해 우리가 지각하는 그 모든 것들이, 가장 확고한 것들로서

세워져야만 한다는 쪽이고요.

δύο δὴ λεκτέον ἐκείνω, διότι χωρὶς γεγόνατον ἀνομοίως τε                     e

ἔχετον. τὸ μὲν γὰρ αὐτῶν διὰ διδαχῆς, τὸ δ᾿ ὑπὸ πειθοῦς

ἡμῖν ἐγγίγνεται· καὶ τὸ μὲν ἀεὶ μετ᾿ ἀληθοῦς λόγου, τὸ δὲ

ἄλογον· καὶ τὸ μὲν ἀκίνητον πειθοῖ, τὸ δὲ μεταπειστόν·

καὶ τοῦ μὲν πάντα ἄνδρα μετέχειν φατέον, νοῦ δὲ θεούς,                           5

ἀνθρώπων δὲ γένος βραχύ τι. 

                                                 그럼 저것들은 둘이라

말해져야만 하니, 그 둘이 독립적으로 생성되고 유사하지 않은

상태라는 점으로 인해서 그렇습니다. 왜냐하면 그것들 중 한쪽은

교육을 통해, 다른 한쪽은 설득을 통해 우리에게 생성되어 들어오기

때문이지요. 그리고 한쪽은 항상 참된 말을 동반하는 반면, 다른

쪽은 비논리적이고요. 또한 한쪽은 설득에 의해 운동하지 않는

것인 반면, 다른 쪽은 설득을 따르는 것입니다. 그리고 한쪽에는

모든 인간이 참여한다고 주장해야만 하지만, 지성에는 신들,

그리고 인간들의 경우에는 어떤 소수 부류가 그리한다 해야만

합니다.

                                        τούτων δὲ οὕτως ἐχόντων

ὁμολογητέον ἓν μὲν εἶναι τὸ κατὰ ταὐτὰ εἶδος ἔχον, ἀγέν-                   52a1

νητον καὶ ἀνώλεθρον, οὔτε εἰς ἑαυτὸ εἰσδεχόμενον ἄλλο

ἄλλοθεν οὔτε αὐτὸ εἰς ἄλλο ποι ἰόν, ἀόρατον δὲ καὶ ἄλλως

ἀναίσθητον, τοῦτο ὃ δὴ νόησις εἴληχεν ἐπισκοπεῖν· 

          그런데 이것들이 그런 상태이기에 같은 상태인 형상은

하나로 있다는 것, 산출되지 않는 것이자 불가침한 것으로,

그 자신에게로 그 외의 것을 외부로부터 받아들이지도 않고

스스로 그 외의 것에 어떤 식으론가 들어가지도 않는 것,

비가시적이며 여타의 방식으로도 비지각적인 것, 지성이

고찰하도록 배정된 바의 것으로 있다고 동의되어야만 합니다.

                                                                    τὸ δὲ

ὁμώνυμον ὅμοιόν τε ἐκείνῳ δεύτερον, αἰσθητόν, γεννητόν,                         5

πεφορημένον ἀεί, γιγνόμενόν τε ἔν τινι τόπῳ καὶ πάλιν

ἐκεῖθεν ἀπολλύμενον, δόξῃ μετ᾿ αἰσθήσεως περιληπτόν·

그런데 저것과 유사한 이름을 하고 또한 유사한 두 번째 것은,

지각적인 것, 생성되는 것, 항상 움직여진 것, 모종의 장소 안에서

생성되고 있으며 다시 저것으로부터 해체되어 나오는 것,

지각을 동반한 믿음에 의해 파악되는 것으로 있다고 동의되어야만

하죠.

τρίτον δὲ αὖ γένος ὂν τὸ τῆς χώρας ἀεί, φθορὰν οὐ προσδε-

χόμενον, ἕδραν δὲ παρέχον ὅσα ἔχει γένεσιν πᾶσιν, αὐτὸ                        b

δὲ μετ᾿ ἀναισθησίας ἁπτὸν λογισμῷ τινι νόθῳ, μόγις πιστόν,

πρὸς ὃ δὴ καὶ ὀνειροπολοῦμεν βλέποντες καί φαμεν ἀναγ-

καῖον εἶναί που τὸ ὂν ἅπαν ἔν τινι τόπῳ καὶ κατέχον χώραν

τινά, τὸ δὲ μήτ᾿ ἐν γῇ μήτε που κατ᾿ οὐρανὸν οὐδὲν εἶναι.                         5  //210505

       헌데 이번엔 세 번째 유는 항상 위치의 유로 있는 것이면서,

파괴를 추가로 수용하지 않는 것이자, 생성을 지니는 모든 것들에

자리를 제공해주는 것이자, 그 자체 비지각을 동반하여 모종의

서자출신(유사) 추론에 의해 닿는 것, 가까스로 확신하게 되는

(거의 확신되지 않는) 것, 더 나아가 그것을 바라보면서 우리가 

꿈을 꾸거니와 어딘가에든 있는 것은 전부 다 모종의 장소 안에 

그리고 모종의 장소를 점한 것으로서 있다는 게 필연적이라고, 

그런데 대지 안에도 하늘 아래 어딘가에도 있지 않은 것은 

아무것도 있지 않다는 게 필연적이라고 주장하는 것입니다.

ταῦτα δὴ πάντα καὶ τούτων ἄλλα ἀδελφὰ καὶ περὶ τὴν

ἄυπνον καὶ ἀληθῶς φύσιν ὑπάρχουσαν ὑπὸ ταύτης τῆς ὀνει-

ρώξεως οὐ δυνατοὶ γιγνόμεθα ἐγερθέντες διοριζόμενοι τἀληθὲς                c

λέγειν, ὡς εἰκόνι μέν, ἐπείπερ οὐδ᾿ αὐτὸ τοῦτο ἐφ᾿ ᾧ γέγονεν

ἑαυτῆς ἐστιν, ἑτέρου δέ τινος ἀεὶ φέρεται φάντασμα, διὰ

ταῦτα ἐν ἑτέρῳ προσήκει τινὶ γίγνεσθαι, οὐσίας ἁμωσγέπως

ἀντεχομένην, ἢ μηδὲν τὸ παράπαν αὐτὴν εἶναι, τῷ δὲ ὄντως                      5

ὄντι βοηθὸς ὁ δι᾿ ἀκριβείας ἀληθὴς λόγος, ὡς ἕως ἄν τι τὸ

μὲν ἄλλο ᾖ, τὸ δὲ ἄλλο, οὐδέτερον ἐν οὐδετέρῳ ποτὲ γενό-

μενον ἓν ἅμα ταὐτὸν καὶ δύο γενήσεσθον.                                           d

그래서 이 모든 것들과 그것들의 여타 형제격인 것들은 잠들지

않고 참되게 성립한 본성에 관련하여서도 이 꿈에 의해 우리가

깨어있는 채로 참된 것을 정의하며 말할 수 있는 자들로

되지 못하니, 모상들에게는, 그것을 두고 모상이 생성되는 바 

그러한 것 그 자체가 모상 자신에 속하여 있지도 않기에,

그런데 다른 무언가의 가상들로서 항상 운행되기에, 이런 점들로

인해 다른 무언가에 의존하여 생성되는 편이, 존재를 기묘한 방식으로 

붙듦으로써 그리하는 편이 적절하거나, 아니면 그것이 전적으로

아무것으로도 있지 않은 편이 적절하며, 그런데 있는 그대로 있는

것에게는 그 참된 엄밀함을 통한 말이 도움을 주니, 저 한편의 것과

다른 편의 것이 서로 이외의 것들로 있는 한, 둘 중 어느 쪽도

둘 중 어느 쪽 안에도 도대체 하나이자 같은 것으로 생성되는

동시에 또한 둘로도 생성될 일은 없을 것이라는 말이 도움이 됩니다.

> 52c2 ἐφ᾿ ᾧ: 생성되는 것 혹은 모상(가상)이 의존하는 바의 것.

이것이 χώρα인지 형상 또는 원본인지는 해석의 문제가 있을 듯.

 

Οὗτος μὲν οὖν δὴ παρὰ τῆς ἐμῆς ψήφου λογισθεὶς ἐν

κεφαλαίῳ δεδόσθω λόγος, ὄν τε καὶ χώραν καὶ γένεσιν εἶναι,

τρία τριχῇ, καὶ πρὶν οὐρανὸν γενέσθαι· 

그러므로 제가 투표한 쪽에서의 이 추론된 말은 요점이

제시되었다고 합시다. 있는 것과 위치 그리고 생성이 있다고,

그 셋이 세 가지 방식으로, 또한 하늘이 생성되기 이전에 

있다고 말입니다.

                                                    τὴν δὲ δὴ γενέσεως

τιθήνην ὑγραινομένην καὶ πυρουμένην καὶ τὰς γῆς τε καὶ                         5

ἀέρος μορφὰς δεχομένην, καὶ ὅσα ἄλλα τούτοις πάθη συν-

έπεται πάσχουσαν, παντοδαπὴν μὲν ἰδεῖν φαίνεσθαι, διὰ δὲ                   e

τὸ μήθ᾿ ὁμοίων δυνάμεων μήτε ἰσορρόπων ἐμπίμπλασθαι κατ᾿

οὐδὲν αὐτῆς ἰσορροπεῖν, ἀλλ᾿ ἀνωμάλως πάντῃ ταλαντου-

μένην σείεσθαι μὲν ὑπ᾿ ἐκείνων αὐτήν, κινουμένην δ᾿ αὖ

πάλιν ἐκεῖνα σείειν·                                                                          5

            그래서 생성의 유모는 적셔지고 또한 타오르며 흙과

바람의 형태들을 수용하는 것, 그리고 이것들에 함께 따르는

그 외의 상태들을 겪어서, 보기에는 온갖 형태들로 나타나되,

유사하지도 않고 또 균등하지도 않은 능력들로 채워진다는

점으로 인해 그것의 어떤 점에 따라서도 평형상태이지 않고,

오히려 모든 면에서 불균등하게 요동치며 저것들(or 저 힘들)에

의해 그것이 흔들리는가 하면, 이번엔 다시 운동함으로써

저것들을 흔든다는 것입니다.

                          τὰ δὲ κινούμενα ἄλλα ἄλλοσε ἀεὶ                               5

φέρεσθαι διακρινόμενα, ὥσπερ τὰ ὑπὸ τῶν πλοκάνων τε καὶ

ὀργάνων τῶν περὶ τὴν τοῦ σίτου κάθαρσιν σειόμενα καὶ

ἀνικμώμενα τὰ μὲν πυκνὰ καὶ βαρέα ἄλλῃ, τὰ δὲ μανὰ                       53a1

καὶ κοῦφα εἰς ἑτέραν ἵζει φερόμενα ἕδραν· 

            그런데 여타의 운동하는 것들은 여타의 곳들로 항상

분리된 채 운행되니, 마치 키에 의해 그리고 곡식의 정화(거르기)에

관련한 기구들에 의해 흔들리며 걸러지는 것들이 촘촘하고 무거운

것들은 한편으로, 성기고 가벼운 것들은 다른 자리로 운행되어

자리잡는 것처럼 그리 운행된다는 것이죠.

                                                         τότε οὕτω τὰ

τέτταρα γένη σειόμενα ὑπὸ τῆς δεξαμενῆς, κινουμένης αὐτῆς

οἷον ὀργάνου σεισμὸν παρέχοντος, τὰ μὲν ἀνομοιότατα πλεῖ-

στον αὐτὰ ἀφ᾿ αὑτῶν ὁρίζειν, τὰ δὲ ὁμοιότατα μάλιστα                            5

εἰς ταὐτὸν συνωθεῖν, διὸ δὴ καὶ χώραν ταῦτα ἄλλα ἄλλην

ἴσχειν, πρὶν καὶ τὸ πᾶν ἐξ αὐτῶν διακοσμηθὲν γενέσθαι. 

                               그 때 그렇게 수용자에 의해 그 네 가지

유들이 흔들림으로써, 그 수용자가 운동하여 이를 테면 저 기구의 

흔들림 같은 것을 제공하여, 가장 안 닮은 것들은 최대한 그 자체로

자신들로부터 경계짓고, 가장 유사한 것들은 특히 같은 것으로

모아들이며, 더 나아가 이런 이유로 인해 이것들은 서로 다른 것들이

여타의 위치까지 지니니, 그것들로부터 질서잡힌 모든 것(우주)이 

생성되기도 전에 그렇다는 것입니다.

                                                                          καὶ

τὸ μὲν δὴ πρὸ τούτου πάντα ταῦτ᾿ εἶχεν ἀλόγως καὶ ἀμέτρως·

ὅτε δ᾿ ἐπεχειρεῖτο κοσμεῖσθαι τὸ πᾶν, πῦρ πρῶτον καὶ ὕδωρ                 b

καὶ γῆν καὶ ἀέρα, ἴχνη μὲν ἔχοντα αὑτῶν ἄττα, παντάπασί

γε μὴν διακείμενα ὥσπερ εἰκὸς ἔχειν ἅπαν ὅταν ἀπῇ τινος

θεός, οὕτω δὴ τότε πεφυκότα ταῦτα πρῶτον διεσχηματίσατο

εἴδεσί τε καὶ ἀριθμοῖς.                                                                     5

                                더 나아가 한편으로 그 일 이전에는 이 

모든 것들이 비례적이지 못하고 척도를 갖추지도 못한 상태였습니다.

그런데 모든 것(우주)가 질서잡히는 일이 시도되었을 때, 우선 불과

물과 흙과 공기는, 자신들의 일부 흔적들은 지닌 채, 전면적으로

그야말로 신께서 무언가로부터 떠나셨을 때 통틀어 모든 것이 처할

듯한 바로 그러한 상태에 놓여서, 그래서 그런 식으로 당시에는

자라나온 이것들을 우선 형상들과 수들에 의해 모양잡으셨습니다.

                              τὸ δὲ ᾗ δυνατὸν ὡς κάλλιστα                               5

ἄριστά τε ἐξ οὐχ οὕτως ἐχόντων τὸν θεὸν αὐτὰ συνιστάναι,

παρὰ πάντα ἡμῖν ὡς ἀεὶ τοῦτο λεγόμενον ὑπαρχέτω· νῦν

δ᾿ οὖν τὴν διάταξιν αὐτῶν ἐπιχειρητέον ἑκάστων καὶ γένεσιν

ἀήθει λόγῳ πρὸς ὑμᾶς δηλοῦν, ἀλλὰ γὰρ ἐπεὶ μετέχετε τῶν                     c

κατὰ παίδευσιν ὁδῶν δι᾿ ὧν ἐνδείκνυσθαι τὰ λεγόμενα

ἀνάγκη, συνέψεσθε.

그런데 가능한 한 최대로 아름답고도 훌륭하게 그렇지 못한 상태의 

것들로부터 신께서 그것들을 구성하신다는 것, 모든 것들 곁에서 

우리에 의해 항상 이것이 말해지는 것으로서 성립하게끔 합시다.

그러면 이제는 그것들 각각의 배치와 생성을 낯선 논리로써

여러분들을 상대로 밝혀드리고자 시도해야만 하나, 여러분들께서는

그것들을 통해 그 말해진 바들이 입증되는 일이 필연적인 그런

교육에 따른 경로들에 참여해 오셨으니, 잘 따라오실 것입니다. //210515

 

-蟲-

5.


Ἔστι δ᾿ ἀπὸ τῆς αὐτῆς δόξης καὶ ὁ Πρωταγόρου λόγος,

καὶ ἀνάγκη ὁμοίως αὐτοὺς ἄμφω ἢ εἶναι ἢ μὴ εἶναι· εἴτε

γὰρ τὰ δοκοῦντα πάντα ἐστὶν ἀληθῆ καὶ τὰ φαινόμενα,

ἀνάγκη εἶναι πάντα ἅμα ἀληθῆ καὶ ψευδῆ (πολλοὶ γὰρ

τἀναντία ὑπολαμβάνουσιν ἀλλήλοις, καὶ τοὺς μὴ ταὐτὰ                             10

δοξάζοντας ἑαυτοῖς διεψεῦσθαι νομίζουσιν· 

                                                          ὥστ᾿ ἀνάγκη τὸ

αὐτὸ εἶναί τε καὶ μὴ εἶναι), καὶ εἰ τοῦτ᾿ ἔστιν, ἀνάγκη τὰ

δοκοῦντα εἶναι πάντ᾿ ἀληθῆ (τὰ ἀντικείμενα γὰρ δοξάζουσιν

ἀλλήλοις οἱ διεψευσμένοι καὶ ἀληθεύοντες· εἰ οὖν ἔχει τὰ

ὄντα οὕτως, ἀληθεύσουσι πάντες). ὅτι μὲν οὖν ἀπὸ τῆς αὐτῆς                     15

εἰσὶ διανοίας ἀμφότεροι οἱ λόγοι, δῆλον· ἔστι δ᾿ οὐχ ὁ

αὐτὸς τρόπος πρὸς ἅπνατας τῆς ἐντεύξεως· οἱ μὲν γὰρ πει-

θοῦς δέονται οἱ δὲ βίας. 

                                ὅσοι μὲν γὰρ ἐκ τοῦ ἀπορῆσαι

ὑπέλαβον οὕτως, τούτων εὐΐατος ἡ ἄγνοια (οὐ γὰρ πρὸς τὸν

λόγον ἀλλὰ πρὸς τὴν διάνοιαν ἡ ἀπάντησις αὐτῶν)· ὅσοι                           20

δὲ λόγου χάριν λέγουσι, τούτων δ᾿ ἔλεγχος ἴασις τοῦ ἐν τῇ

φωνῇ λόγου καὶ τοῦ ἐν τοῖς ὀνόμασιν. 

                                                   ἐλήλυθε δὲ τοῖς δια-

ποροῦσιν αὕτη ἡ δόξα ἐκ τῶν αἰσθητῶν, ἡ μὲν τοῦ ἅμα

τὰς ἀντιφάσεις καὶ τἀναντία ὑπάρχειν ὁρῶσιν ἐκ ταὐτοῦ

γιγνόμενα τἀναντία· εἰ οὖν μὴ ἐνδέχεται γίγνεσθαι τὸ μὴ                          25

ὄν, προϋπῆρχεν ὁμοίως τὸ πρᾶγμα ἄμφω ὄν, ὥσπερ καὶ

Ἀναξαγόρας μεμῖχθαι πᾶν ἐν παντί φησι καὶ Δημόκρι-

τος· καὶ γὰρ οὗτος τὸ κενὸν καὶ τὸ πλῆρες ὁμοίως καθ᾿

ὁτιοῦν ὑπάρχειν μέρος, καίτοι τὸ μὲν ὂν τούτων εἶναι τὸ δὲ

μὴ ὄν.                                                                                            30

         πρὸς μὲν οὖν τοὺς ἐκ τούτων ὑπολαμβάνοντας ἐροῦμεν                  30

ὅτι τρόπον μέν τινα ὀρθῶς λέγουσι τρόπον δέ τινα ἀγνοοῦσιν·

τὸ γὰρ ὂν λέγεται διχῶς, ὥστ᾿ ἔστιν ὃν τρόπον ἐνδέχεται

γίγνεσθαί τι ἐκ τοῦ μὴ ὄντος, ἔστι δ᾿ ὃν οὔ, καὶ ἅμα τὸ

αὐτὸ εἶναι καὶ ὂν καὶ μὴ ὄν, ἀλλ᾿ οὐ κατὰ ταὐτὸ [ὄν]· δυ-

νάμει μὲν γὰρ ἐνδέχεται ἅμα ταὐτὸ εἶναι τὰ ἐναντία,                               35

ἐντελεχείᾳ δ᾿ οὔ. 

                       ἔτι δ᾿ ἀξιώσομεν αὐτοὺς ὑπολαμβάνειν

καὶ ἄλλην τινὰ οὐσίαν εἶναι τῶν ὄντων ᾗ οὔτε κίνησις ὑπάρ-

χει οὔτε φθορὰ οὔτε γένεσις τὸ παράπαν.

                                                      ―ὅμοιως δὲ καὶ

ἡ περὶ τὰ φαινόμενα ἀλήθεια ἐνίοις ἐκ τῶν αἰσθητῶν ἐλή-                1009b1

λυθεν. τὸ μὲν γὰρ ἀληθὲς οὐ πλήθει κρίνεσθαι οἴονται

προσήκειν οὐδὲ ὀλιγότητι, τὸ δ᾿ αὐτὸ τοῖς μὲν γλυκὺ γευο-

μένοις δοκεῖν εἶναι τοῖς δὲ πικρόν, ὥστ᾿ εἰ πάντες ἔκαμνον

ἢ πάντες παρεφρόνουν, δύο δ᾿ ἢ τρεῖς ὑγίαινον ἢ νοῦν εἶχον,                   5

δοκεῖν ἂν τούτους κάμνειν καὶ παραφρονεῖν τοὺς δ᾿ ἄλλους οὔ·

ἔτι δὲ καὶ πολλοῖς τῶν ἄλλων ζῴων τἀναντία [περὶ τῶν αὐτῶν]

φαίνεσθαι καὶ ἡμῖν, καὶ αὐτῷ δὲ ἑκάστῳ πρὸς αὑτὸν οὐ

ταὐτὰ κατὰ τὴν αἴσθησιν ἀεὶ δοκεῖν. 

                                                ποῖα οὖν τούτων ἀληθῆ

ἢ ψευδῆ, ἄδηλον· οὐθὲν γὰρ μᾶλλον τάδε ἢ τάδε ἀληθῆ,                          10

ἀλλ᾿ ὁμοίως. διὸ Δημόκριτός γέ φησιν ἤτοι οὐθὲν εἶναι

ἀληθὲς ἢ ἡμῖν γ᾿ ἄδηλον. 

                                 ὅλως δὲ διὰ τὸ ὑπολαμβάνειν

φρόνησιν μὲν τὴν αἴσθησιν, ταύτην δ᾿ εἶναι ἀλλοίωσιν, τὸ

φαινόμενον κατὰ τὴν αἴσθησιν ἐξ ἀνάγκης ἀληθὲς εἶναί

φασιν· ἐκ τούτων γὰρ καὶ Ἐμπεδοκλῆς καὶ Δημόκριτος                           15

καὶ τῶν ἄλλων ὡς ἔπος εἰπεῖν ἕκαστος τοιαύταις δόξαις

γεγένηνται ἔνοχοι. καὶ γὰρ Ἐμπεδοκλῆς μεταβάλλοντας

τὴν ἕξιν μεταβάλλειν φησὶ τὴν φρόνησιν· "πρὸς παρεὸν

γὰρ μῆτις ἐναύξεται ἀνθρώποισιν." καὶ ἐν ἑτέροις δὲ λέγει

ὅτι "ὅσσον <δ᾿> ἀλλοῖοι μετέφυν, τόσον ἄρ σφισιν αἰεὶ | καὶ τὸ                20

φρονεῖν ἀλλοῖα παρίστατο". 

                                      καὶ Παρμενίδης δὲ ἀποφαίνε-

ται τὸν αὐτὸν τρόπον· "ὡς γὰρ ἑκάστοτ᾿ ἔχει κρᾶσιν με-

λέων πολυκάμπτων, | τὼς νόος ἀνθρώποισι παρίσταται· τὸ

γὰρ αὐτὸ | ἔστιν ὅπερ φρονέει, μελέων φύσις ἀνθρώποισιν |

καὶ πᾶσιν καὶ παντί· τὸ γὰρ πλέον ἐστὶ νόημα·" Ἀνα-                              25

ξαγόρου δὲ καὶ ἀπόφθεγμα μνημονεύεται πρὸς τῶν ἑταί-

ρων τινάς, ὅτι τοιαῦτ᾿ αὐτοῖς ἔσται τὰ ὄντα οἷα ἂν ὑπολά-

βωσιν. 

          φασὶ δὲ καὶ τὸν Ὅμηρον ταύτην ἔχοντα φαίνε-

σθαι τὴν δόξαν, ὅτι ἐποίησε τὸν Ἕκτορα, ὡς ἐξέστη ὑπὸ

τῆς πληγῆς, κεῖσθαι ἀλλοφρονέοντα, ὡς φρονοῦντας μὲν                         30

καὶ τοὺς παραφρονοῦντας ἀλλ᾿ οὐ ταὐτά. δῆλον οὖν ὅτι, εἰ

ἀμφότεραι φρονήσεις, καὶ τὰ ὄντα ἅμα οὕτω τε καὶ οὐχ

οὕτως ἔχει. 

                ᾗ καὶ χαλεπώτατον τὸ συμβαῖνόν ἐστιν· εἰ

γὰρ οἱ μάλιστα τὸ ἐνδεχόμενον ἀληθὲς ἑωρακότες―οὗτοι

δ᾿ εἰσὶν οἱ μάλιστα ζητοῦντες αὐτὸ καὶ φιλοῦντες―οὗτοι τοι-                   35

αύτας ἔχουσι τὰς δόξας καὶ ταῦτα ἀποφαίνονται περὶ

τῆς ἀληθείας, πῶς οὐκ ἄξιον ἀθυμῆσαι τοὺς φιλοσοφεῖν

ἐγχειροῦντας; τὸ γὰρ τὰ πετόμενα διώκειν τὸ ζητεῖν ἂν

εἴη τὴν ἀλήθειαν.                                                                    1010a1

                       ―αἴτιον δὲ τῆς δόξης τούτοις ὅτι περὶ τῶν            1010a1

ὄντων μὲν τὴν ἀλήθειαν ἐσκόπουν, τὰ δ᾿ ὄντα ὑπέλαβον

εἶναι τὰ αἰσθητὰ μόνον· ἐν δὲ τούτοις πολλὴ ἡ τοῦ ἀορίστου

φύσις ἐνυπάρχει καὶ ἡ τοῦ ὄντος οὕτως ὥσπερ εἴπομεν·

διὸ εἰκότως μὲν λέγουσιν, οὐκ ἀληθῆ δὲ λέγουσιν (οὕτω γὰρ                    5

ἁρμόττει μᾶλλον εἰπεῖν ἢ ὥσπερ Ἐπίχαρμος εἰς Ξενοφά-

νην). 

       ἔτι δὲ πᾶσαν ὁρῶντες ταύτην κινουμένην τὴν φύσιν,

κατὰ δὲ τοῦ μεταβάλλοντος οὐθὲν ἀληθευόμενον, περί γε

τὸ πάντῃ πάντως μεταβάλλον οὐκ ἐνδέχεσθαι ἀληθεύειν.


ἐκ γὰρ ταύτης τῆς ὑπολήψεως ἐξήνθησεν ἡ ἀκροτάτη δόξα                     10

τῶν εἰρημένων, ἡ τῶν φασκόντων ἡρακλειτίζειν καὶ οἵαν

Κρατύλος εἶχεν, ὃς τὸ τελευταῖον οὐθὲν ᾤετο δεῖν λέγειν

ἀλλὰ τὸν δάκτυλον ἐκίνει μόνον, καὶ Ἡρακλείτῳ ἐπετίμα

εἰπόντι ὅτι δὶς τῷ αὐτῷ ποταμῷ οὐκ ἔστιν ἐμβῆναι· αὐτὸς

γὰρ ᾤετο οὐδ᾿ ἅπαξ.                                                                       15

                            ἡμεῖς δὲ καὶ πρὸς τοῦτον τὸν λόγον                       15

ἐροῦμεν ὅτι τὸ μὲν μεταβάλλον ὅτε μεταβάλλει ἔχει τινὰ

αὐτοῖς λόγον μὴ οἴεσθαι εἶναι, καίτοι ἔστι γε ἀμφισ-

βητήσιμον· τό τε γὰρ ἀποβάλλον ἔχει τι τοῦ ἀποβαλ-

λομένου, καὶ τοῦ γιγνομένου ἤδη ἀνάγκη τι εἶναι, ὅλως

τε εἰ φθείρεται, ὑπάρξει τι ὄν, καὶ εἰ γίγνεται, ἐξ οὗ                               20

γίγνεται καὶ ὑφ᾿ οὗ γεννᾶται ἀναγκαῖον εἶναι, καὶ τοῦτο

μὴ ἰέναι εἰς ἄπειρον. 

                           ἀλλὰ ταῦτα παρέντες ἐκεῖνα λέγω-

μεν, ὅτι οὐ ταὐτό ἐστι τὸ μεταβάλλειν κατὰ τὸ ποσὸν

καὶ κατὰ τὸ ποιόν· κατὰ μὲν οὖν τὸ ποσὸν ἔστω μὴ μένον,

ἀλλὰ κατὰ τὸ εἶδος ἅπαντα γιγνώσκομεν.                                            25

                                                       ἔτι δ᾿ ἄξιον                            25

ἐπιτιμῆσαι τοῖς οὕτως ὑπολαμβάνουσιν, ὅτι καὶ αὐτῶν τῶν

αἰσθητῶν ἐπὶ τῶν ἐλαττόνων τὸν ἀριθμὸν ἰδόντες οὕτως

ἔχοντα περὶ ὅλου τοῦ οὐρανοῦ ὁμοίως ἀπεφήναντο· ὁ γὰρ

περὶ ἡμᾶς τοῦ αἰσθητοῦ τόπος ἐν φθορᾷ καὶ γενέσει διατε-

λεῖ μόνος ὤν, ἀλλ᾿ οὗτος οὐθὲν ὡς εἰπεῖν μόριον τοῦ παντός                   30

ἐστιν, ὥστε δικαιότερον ἂν δι᾿ ἐκεῖνα τούτων ἀπεψηφίσαντο

ἢ διὰ ταῦτα ἐκείνων κατεψηφίσαντο. 

                                                  ἔτι δὲ δῆλον ὅτι

καὶ πρὸς τούτους ταὐτὰ τοῖς πάλαι λεχθεῖσιν ἐροῦμεν· ὅτι

γὰρ ἔστιν ἀκίνητός τις φύσις δεικτέον αὐτοῖς καὶ πειστέον

αὐτούς. καίτοι γε συμβαίνει τοῖς ἅμα φάσκουσιν εἶναι                           35

καὶ μὴ εἶναι ἠρεμεῖν μᾶλλον φάναι πάντα ἢ κινεῖσθαι·

οὐ γὰρ ἔστιν εἰς ὅ τι μεταβαλεῖ· ἅπαντα γὰρ ὑπάρχει

πᾶσιν.                                                                                1010b1

        ―περὶ δὲ τῆς ἀληθείας, ὡς οὐ πᾶν τὸ φαινόμενον                1010b1

ἀληθές, πρῶτον μὲν ὅτι οὐδ᾿ <εἰ> ἡ αἴσθησις <μὴ> ψευδὴς τοῦ

γε ἰδίου ἐστίν, ἀλλ᾿ ἡ φαντασία οὐ ταὐτὸν τῇ αἰσθήσει. εἶτ᾿

ἄξιον θαυμάσαι εἰ τοῦτ᾿ ἀποροῦσι, πότερον τηλικαῦτά ἐστι

τὰ μεγέθη καὶ τὰ χρώματα τοιαῦτα οἷα τοῖς ἄπωθεν φαί-                     5

νεται ἢ οἷα τοῖς ἐγγύθεν, καὶ πότερον οἷα τοῖς ὑγιαίνουσιν

ἢ οἷα τοῖς κάμνουσιν, καὶ βαρύτερα πότερον ἃ τοῖς ἀσθε-

νοῦσιν ἢ ἃ τοῖς ἰσχύουσιν, καὶ ἀληθῆ πότερον ἃ τοῖς κα-

θεύδουσιν ἢ ἃ ἐγρηγορόσιν. 

                                     ὅτι μὲν γὰρ οὐκ οἴονταί

γε, φανερόν· οὐθεὶς γοῦν, ἐὰν ὑπολάβῃ νύκτωρ Ἀθήνῃσιν                     10

εἶναι ὢν ἐν Λιβύῃ, πορεύεται εἰς τὸ ᾠδεῖον. ἔτι δὲ περὶ

τοῦ μέλλοντος, ὥσπερ καὶ Πλάτων λέγει, οὐ δήπου ὁμοίως

κυρία ἡ τοῦ ἰατροῦ δόξα καὶ ἡ τοῦ ἀγνοοῦντος, οἷον περὶ τοῦ

μέλλοντος ἔσεσθαι ὑγιοῦς ἢ μὴ μέλλοντος. 

                                                        ἔτι δὲ ἐπ᾿ αὐ-

τῶν τῶν αἰσθήσεων οὐχ ὁμοίως κυρία ἡ τοῦ ἀλλοτρίου καὶ                  15

ἰδίου ἢ τοῦ πλησίον καὶ τοῦ αὑτῆς, ἀλλὰ περὶ μὲν χρώ-

ματος ὄψις, οὐ γεῦσις, περὶ δὲ χυμοῦ γεῦσις, οὐκ ὄψις·

ὧν ἑκάστη ἐν τῷ αὐτῷ χρόνῳ περὶ τὸ αὐτὸ οὐδέποτε φη-

σιν ἅμα οὕτω καὶ οὐχ οὕτως ἔχειν. 

                                               ἀλλ᾿ οὐδὲ ἐν ἑτέρῳ

χρόνῳ περί γε τὸ πάθος ἠμφισβήτησεν, ἀλλὰ περὶ τὸ ᾧ                        20

συμβέβηκε τὸ πάθος. λέγω δ᾿ οἷον ὁ μὲν αὐτὸς οἶνος δό-

ξειεν ἂν ἢ μεταβαλὼν ἢ τοῦ σώματος μεταβαλόντος ὁτὲ

μὲν εἶναι γλυκὺς ὁτὲ δὲ οὐ γλυκύς· ἀλλ᾿ οὐ τό γε γλυκύ,

οἷόν ἐστιν ὅταν ᾖ, οὐδεπώποτε μετέβαλεν, ἀλλ᾿ ἀεὶ ἀλη-

θεύει περὶ αὐτοῦ, καὶ ἔστιν ἐξ ἀνάγκης τὸ ἐσόμενον γλυκὺ                    25

τοιοῦτον. 

             καίτοι τοῦτο ἀναιροῦσιν οὗτοι οἱ λόγοι ἅπαντες,

ὥσπερ καὶ οὐσίαν μὴ εἶναι μηθενός, οὕτω μηδ᾿ ἐξ ἀνάγκης

μηθέν· τὸ γὰρ ἀναγκαῖον οὐκ ἐνδέχεται ἄλλως καὶ ἄλλως

ἔχειν, ὥστ᾿ εἴ τι ἔστιν ἐξ ἀνάγκης, οὐχ ἕξει οὕτω τε καὶ

οὐχ οὕτως.                                                                                 30

               ―ὅλως τ᾿ εἴπερ ἔστι τὸ αἰσθητὸν μόνον, οὐθὲν ἂν               30

εἴη μὴ ὄντων τῶν ἐμψύχων· αἴσθησις γὰρ οὐκ ἂν εἴη. τὸ

μὲν οὖν μήτε τὰ αἰσθητὰ εἶναι μήτε τὰ αἰσθήματα ἴσως

ἀληθές (τοῦ γὰρ αἰσθανομένου πάθος τοῦτό ἐστι), τὸ δὲ τὰ

ὑποκείμενα μὴ εἶναι, ἃ ποιεῖ τὴν αἴσθησιν, καὶ ἄνευ αἰ-

σθήσεως, ἀδύνατον.                                                                     35

                           οὐ γὰρ δὴ ἥ γ᾿ αἴσθησις αὐτὴ ἑαυτῆς                    35

ἐστίν, ἀλλ᾿ ἔστι τι καὶ ἕτερον παρὰ τὴν αἴσθησιν, ὃ ἀνάγκη

πρότερον εἶναι τῆς αἰσθήσεως· τὸ γὰρ κινοῦν τοῦ κινουμένου

φύσει πρότερόν ἐστι, κἂν εἰ λέγεται πρὸς ἄλληλα ταῦτα,              1011a1

οὐθὲν ἧττον.



-작성중-


1. 아리스토텔레스가 대통령에게 부동산 문제로 편지를 보내고, 어떤 가수는 소크라테스를 형이라고 부르는가 보던데, 그냥 다 역겹고 구역질이 날 따름이다. 나야 뭐 잘난 것도 없는 쓰레기 찌끄레기라서 할 말도 없다만, 아리스토텔레스도 소크라테스도 진지한 학술연구의 대상이고 꽤 많은 사람이 그런 일에 목숨을 바쳐왔던 건 분명할 텐데, 저 치들은 자신들의 무지에 부끄러움도 없고 다른 이들의 고민과 노력에 대한 존중도 없는 것 아닌가. 내가 조심스럽게 애써 살펴 나아가고 있는 이 길고 긴 길에, 이 길에 아무런 관심도 없는 새끼들이 똥오줌을 갈겨댄 기분인데, 그래도 난 아무것도 아닌 씨발나부랭이니까, 입 닥치고 내 할 일이나 해야지. 내가 존경해 마지않는 스승과 선후배와 여러 동료들을, 저 씨발것들이 조롱한 것 같아 분하고, 진심으로 토가 쏠리지만, 나 따위가 뭐라든 아무도 신경쓰지 않겠지. 좆같네.


2. 30%. 대갈머리에서 뜬구름 잡는 개소리 중에 딱 30%만, 알지도 못하고 지껄이려고 드는 그 시시껄렁한 넋두리에서 다 덜어내고 30%만, 그러니까 정리할 수 있고 감당할 수 있는 만큼만, 거기서 멈춰야 하는데 감이 없다. 문헌을 읽다 보면 의문이 생기고, 그 의문에 따라 내 나름대로 이런저런 해법을 모색해 보게 되고, 그런데 여기에서 30%가 문제의식만 남겨 놓으면 되는 건지, 문제도 해법 제안도 다 합쳐서 그 중 30%를 남겨놓아야 하는 건지, 내가 어느 순간에 책임지지 못하는 그 선을 넘어서서 지껄이게 되는 건지, 가닥이 잡히질 않는다. 뭐지. 이 지랄을 몇 년을 해대며 굴렀는데 아직도 지 깜냥하나 가늠을 못해서 이 따위로 구는지. 


3. 얼마 안 있으면 대학원 동료들 몇이 졸업논문 발표를 할 것이다. 몇몇은 한 학기 미뤘고, 또 몇은 남아서 마무리 작업 중이겠지. 미룬 사람들을 보고 있노라면 내가 미루고 또 미뤄 만신창이가 된 너절한 글로 허겁지겁 만기 꽉 채워 졸업하던 몇 년 전이 떠올라서, 그것보단 똑똑하고 깔끔하게 서둘러 마무리들을 했으면 하는 생각이 든다. 그렇긴 하다만, 말 그대로 머릿속이 새하얘지는 그 막막함이라든지 막연한 불안감, 정말 아무것도 모르겠다 싶은 당황스러움도 다시 떠오르고, 저 사람들도 똑같진 않더라도 그 엇비슷한 어떤 고민으로 저마다 복잡하겠거니 싶기도 하다. 글쎄, 버티면 어떻게든 버텨지고, 또 이 길만이 유일한 길인 것도 아니라는, 그저 그런 뻔한 이야기 말고는 할 말이 없는 게 맞는 것 같기도 하고. 마무리 중인 사람들은 어찌됐든 이 시점까지 지도교수의 퇴장 명령이 내려오지 않았다면 결국 심사와 통과까지도 나아가지 않겠나 짐작해 본다. 다만 원하는 모든 얘기를 풀어놓지 못했다는 자괴감도, 결국엔 해냈으며 문제도 해법도 오직 자신만의 것이라는 자만도, 가능하면 둘 다 멀리하는 편이 좋지 않을까 생각을 하게 되지만, 그것도 알아서들 잘 하겠지. 동료들도, 나도, 이 자격시험 면허취득과정을 어서 빠져나와, 다시 읽고 토론하고 쓰고 싶다. 물론 지금도 그러고 있고, 계속 그래야 하겠지만, 뒷꽁지나 발등에 불똥을 얹고 사는 꼴을 벗어나서, 좀 딴 생각 않고 그럴 수 있으면 좋겠단 생각을 종종 하긴 하니까. 아마 여기까지 버틴 사람들이 나중에도 또 버텨서, 결국 스승들과 선배들이 그러고 있는 모습 엇비슷하게 또 만나 그 비슷한 윤독이니 학술대회니 뭐 그런 것들을 하며 만나게 되지 않겠나. 그래서 지나온 사람도 지나고 있는 사람도 잠깐 쉬어 가기로 한 사람도, 다들 너무 지치지 않고 잘 버티길 바랄 따름이다. 나 자신을 포함해서.


-蟲-

                                                                   ―ἔτι

ἤτοι περὶ ἅπαντα οὕτως ἔχει, καὶ ἔστι καὶ λευκὸν καὶ οὐ

λευκὸν καὶ ὂν καὶ οὐκ ὄν, καὶ περὶ τὰς ἄλλας φάσεις καὶ

ἀποφάσεις ὁμοιοτρόπως, ἢ οὒ ἀλλὰ περὶ μέν τινας, περί                           10

τινας δ᾿ οὔ. 

                                                                  ―또한

통틀어 모든 것들에 관련하여 그런 상태이고, 흰 것으로도

비-흰 것으로도 있는 것으로도 있지 않은 것으로도 있거니와,

여타의 주장들과 또한 부정주장들에 관련하여서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그러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고 오히려 어떤 주장들에

관련하여서는 그렇지만, 또 어떤 주장들에 관련하여서는 그렇지

않다.

                καὶ εἰ μὲν μὴ περὶ πάσας, οὗται ἂν εἶεν

ὁμολογούμεναι· εἰ δὲ περὶ πάσας, πάλιν ἤτοι καθ᾿ ὅσων τὸ

φῆσαι καὶ ἀποφῆσαι καὶ καθ᾿ ὅσων ἀποφῆσαι καὶ φῆσαι,

ἢ κατὰ μὲν ὧν φῆσαι καὶ ἀποφῆσαι, καθ᾿ ὅσων δὲ ἀπο-

φῆσαι οὐ πάντων φῆσαι.                                                                   15

      그리고 만일 한편으로 모든 주장에 관련하여 그렇지는

않다면, 이러한 주장들은 합치되는 것들로 있을 것이다. 그런데

만일 모든 주장들에 관련하여 그렇다면, 다시 주장된 것들에 대해 

부정도 할 수 있을 것이고 부정된 것들에 대해서도 주장할 수도

있을 것이거나, 아니면 주장된 것들에 대해서는 부정도 할 수

있을 것이지만, 부정된 것들에 대해서든 그 모든 것들에 대해

주장할 수는 없을 것이다.

                                  καὶ εἰ μὲν οὕτως, εἴη ἄν τι πα-

γίως οὐκ ὄν, καὶ αὕτη βεβαία δόξα, καὶ εἰ τὸ μὴ εἶναι

βέβαιόν τι καὶ γνώριμον, γνωριμωτέρα ἂν εἴη ἡ φά-

σις ἡ ἀντικειμένη· εἰ δὲ ὁμοίως καὶ ὅσα ἀποφῆσαι φά-

ναι, ἀνάγκη ἤτοι ἀληθὲς διαιροῦντα λέγειν, οἷον ὅτι

λευκὸν καὶ πάλιν ὅτι οὐ λευκόν, ἢ οὔ.                                                   20

                                  그런데 만일 사정이 그러하다면,

어떤 것이 확고하게 있지 않은 것으로 있을 것이고, 그래서

이러한 것이 확고한 판단으로 있을 것이며, 그래서 만일

있지 않다는 것이 무언가 확고하고도 알려지는 것이라면,

그에 대립되는 주장이 보다 더 잘 알려지는 것으로 있을

터이다. 그런데 만일 부정들도 또한 마찬가지로 주장할

수 있다면, 참을 분할하여 말하는 일이 필연적이어서,

예를 들어 흰 것이라고 말하고 다시 비-흰 것이라고

말하는 게 필연적이거나, 아니면 그렇지 않을 것이다.

                                                 καὶ εἰ μὲν

μὴ ἀληθὲς διαιροῦντα λέγειν, οὐ λέγει τε ταῦτα καὶ

οὐκ ἔστιν οὐθέν (τὰ δὲ μὴ ὄντα πῶς ἂν φθέγξαιτο ἢ

βαδίσειεν;), καὶ πάντα δ᾿ ἂν εἴη ἕν, ὥσπερ καὶ πρότερον

εἴρηται, καὶ ταὐτὸν ἔσται καὶ ἄνθρωπος καὶ θεὸς καὶ τριή-

ρης καὶ αἱ ἀντιφάσεις αὐτῶν (εἰ γὰρ ὁμοίως καθ᾿ ἑκάστου,                         25

οὐδὲν διοίσει ἕτερον ἑτέρου· εἰ γὰρ διοίσει, τοῦτ᾿ ἔσται ἀληθὲς

καὶ ἴδιον)·

그래서 한편으로 만일 참을 분할하지 않고 말하는 일이

필연적이라면, 그는 이러한 것들을 말하지도 않고 아무것도

있지도 않으며 (있지 않은 것들이 어떻게 발화되거나 아니면

검증되겠는가?), 모든 것들은 하나로 있을 것이니, 마치 앞서도

이야기된 그대로, 같은 것이 인간으로도 신으로도 그리고

삼단노선으로도 있게 될 것이고 그것들에 모순되는 주장들도

있게 될 터이다 (왜냐하면 만일 각각에 대해 마찬가지로 된다면, 

서로 다른 것 사이에 아무런 차이도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만일 차이가 난다면, 이러한 것이 참이자 고유한 것으로 있을

터이다.).

             ὁμοίως δὲ καὶ εἰ διαιροῦντα ἐνδέχεται ἀληθεύειν,

συμβαίνει τὸ λεχθέν, πρὸς δὲ τούτῳ ὅτι πάντες ἂν ἀλη-

θεύοιεν καὶ πάντες ἂν ψεύδοιντο, καὶ αὐτὸς αὑτὸν ὁμο-

λογεῖ ψεύδεσθαι.                                                                              30

            그런데 만일 분할하여 참이되는 일이 허용된다 하더라도

마찬가지로, 앞서 말해진 바가 귀결되니, 이에 더하여 모든

사람들이 참될 것이고 또한 모든 사람들이 거짓될 것이며, 그는

스스로 거짓되다는 데에 동의하는 것이다.

                       ἅμα δὲ φανερὸν ὅτι περὶ οὐθενός ἐστι

πρὸς τοῦτον ἡ σκέψις· οὐθὲν γὰρ λέγει. οὔτε γὰρ οὕτως οὔτ᾿

οὐχ οὕτως λέγει, ἀλλ᾿ οὕτως τε καὶ οὐχ οὕτως· καὶ πάλιν

γε ταῦτα ἀπόφησιν ἄμφω, ὅτι οὔθ᾿ οὕτως οὔτε οὐχ οὕτως· εἰ

γὰρ μή, ἤδη ἄν τι εἴη ὡρισμένον.

                                                      그런데 이와 동시에

이러한 자를 상대로 한 검토는 아무것에 관한 것도 아닌 것으로

있다. 왜냐하면 그가 아무것도 말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는

그렇다고도 그렇지 않다고도 말하지 않으며, 오히려 그러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하다고 말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다시 이러한 것들을 둘 모두 부정하는데, 그렇지도 않고

그렇지 않지도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만일 그렇지

않다면, 이제 어떤 것이 규정된 것으로 있을 터이다.

                                           ―ἔτι εἰ ὅταν ἡ φάσις

ἀληθὴς ᾖ, ἡ ἀπόφασις ψευδής, κἂν αὕτη ἀληθὴς ᾖ, ἡ                                 35

κατάφασις ψευδής, οὐκ ἂν εἴη τὸ αὐτὸ ἅμα φάναι καὶ

ἀποφάναι ἀληθῶς. ἀλλ᾿ ἴσως φαῖεν ἂν τοῦτ᾿ εἶναι τὸ ἐξ                    1008b1

ἀρχῆς κείμενον.―

―또한 만일 주장이 참인 것으로 있을 때, 부정은 거짓으로

있다면, 이것이 참이라면, 그 부정이 거짓일 것이고, 같은

것을 동시에 참되게 주장하면서 부정할 수 없을 것이나,

오히려 그는 아마도 최초에 제기된 바가 이러한 것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ἔτι ἆρα ὁ μὲν ἢ ἔχειν πως ὑπολαμβά-

νων ἢ μὴ ἔχειν διέψευσται, ὁ δὲ ἄμφω ἀληθεύει; εἰ γὰρ

ἀληθεύει, τί ἂν εἴη τὸ λεγόμενον ὅτι τοιαύτη τῶν ὄντων ἡ

φύσις; εἰ δὲ μὴ ἀληθεύει, ἀλλὰ μᾶλλον ἀληθεύει ἢ ὁ ἐκεί-                           5

νως ὑπολαμβάνων, ἤδη πως ἔχοι ἂν τὰ ὄντα, καὶ τοῦτ᾿

ἀληθὲς ἂν εἴη, καὶ οὐχ ἅμα καὶ οὐκ ἀληθές. 

                   더욱이 혹시 어떠한 상태라고 간주하거나

그렇지 않다고 간주하는 자는 거짓될 것이지만, 양쪽 모두라

간주하는 자는 참될 것인가? 왜냐하면 만일 [둘다 받는] 그가 

참되다면, 있는 것들의 본성이 이러한 것이라는 말은 무슨

뜻이겠는가? 반면 만일 그가 참되지는 않지만, 오히려 저렇게 

[그렇거나 그렇지 않다고] 간주하는 자보다 상대적으로 더 

참되다면, 이제 있는 것들은 어떤 특정 상태론가 있을 것이고, 

이러한 것이 참으로 있을 것이며, 동시에 성립하지도 또

동시에 참이지도 않을 것이다.

                                                         εἰ δὲ ὁμοίως

ἅπνατες καὶ ψεύδονται καὶ ἀληθῆ λέγουσιν, οὔτε φθέγξα-

σθαι οὔτ᾿ εἰπεῖν τῷ τοιούτῳ ἔσται· ἅμα γὰρ ταῦτά τε καὶ

οὐ ταῦτα λέγει. εἰ δὲ μηθὲν ὑπολαμβάνει ἀλλ᾿ ὁμοίως                             10

οἴεται καὶ οὐκ οἴεται, τί ἂν διαφερόντως ἔχοι τῶν γε φυ-

τῶν; ὅθεν καὶ μάλιστα φανερόν ἐστιν ὅτι οὐδεὶς οὕτω διά-

κειται οὔτε τῶν ἄλλων οὔτε τῶν λεγόντων τὸν λόγον τοῦτον.

                                       그런데 만일 통틀어 모든 사람들이

마찬가지로 거짓되기도 하고 참을 말하기도 한다면, 이러한

사람에게는 발화한다는 일도 말한다는 일도 있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가 이것들과 또한 이것들이 아닌 것들을 동시에

말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만일 아무것도 받아들이지 않고

마찬가지로 생각하면서 생각하지 않기도 한다면, 식물과

무슨 차이가 있겠는가? 이로부터 특히 분명한 바 이런 말을

말하는 자들 중에서든 그 외의 사람들 중에서든 그 누구도 [입장을]

견지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διὰ τί γὰρ βαδίζει Μέγαράδε ἀλλ᾿ οὐχ ἡσυχάζει, οἰόμε-

νος βαδίζειν δεῖν; οὐδ᾿ εὐθέως ἕωθεν πορεύεται εἰς φρέαρ ἢ εἰς                15

φάραγγα, ἐὰν τύχῃ, ἀλλὰ φαίνεται εὐλαβούεμνος, ὡς οὐχ

ὁμοίως οἰόμενος μὴ ἀγαθὸν εἶναι τὸ ἐμπεσεῖν καὶ ἀγαθόν;

δῆλον ἄρα ὅτι τὸ μὲν βέλτιον ὑπολαμβάνει τὸ δ᾿ οὐ βέλ-

τιον. 

                                   즉, 메가라로 걸어가야 한다고 생각하는

자가, 무엇으로 인해 메가라로 걸어가고 멈추어 있지 않은가?

만일 우연이었다면, 새벽부터 곧장 우물로 또는 도랑으로 나아가지도 

않고 오히려 주의깊게 생각한 것으로 드러나지 않나? 거기에 이르는 

것이 좋지 않은 것이며 또한 좋은 것이기도 하다고 마찬가지로 

생각하지는 않았기에 말이다. 그래서 한편은 더 나은 것으로 또

다른 한편은 더 낫지 않은 것으로 간주한다는 점이 분명하다.

       εἰ δὲ τοῦτο, καὶ τὸ μὲν ἄνθρωπον τὸ δ᾿ οὐκ ἄνθρωπον

καὶ τὸ μὲν γλυκὺ τὸ δ᾿ οὐ γλυκὺ ἀνάγκη ὑπολαμβάνειν.                           20

οὐ γὰρ ἐξ ἴσου ἅπαντα ζητεῖ καὶ ὑπολαμβάνει, ὅταν οἰη-

θεὶς βέλτιον εἶναι τὸ πιεῖν ὕδωρ καὶ ἰδεῖν ἄνθρωπον εἶτα

ζητῇ αὐτά· καίτοι ἔδει γε, εἰ ταὐτὸν ἦν ὁμοίως καὶ ἄν-

θρωπος καὶ οὐκ ἄνθρωπος. 

그런데 만일 이러하다면, 한편으로는 인간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비-인간이 또 한편으로는 단 것이 또 다른 한편으로는

비-단 것이 취해진다는 것이 필연적이다. 왜냐하면 통틀어 모든

것들을 같은 정도로 추구하고 또 간주하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물을 마시는 것이나 인간을 보는 것이 더 나은 것으로 있다고

생각한 다음 그것들을 추구할 경우에는 말이다. 그렇지만, 만일

인간과 비-인간이 마찬가지로 같은 것으로 있었더라면, 적어도

그래야 했다.

                                     ἀλλ᾿ ὅπερ ἐλέχθη, οὐθεὶς ὃς οὐ

φαίνεται τὰ μὲν εὐλαβούμενος τὰ δ᾿ οὔ· ὥστε, ὡς ἔοικε,                           25

πάντες ὑπολαμβάνουσιν ἔχειν ἁπλῶς, εἰ μὴ περὶ ἅπαντα,

ἀλλὰ περὶ τὸ ἄμεινον καὶ χεῖρον. εἰ δὲ μὴ ἐπιστάμενοι

ἀλλὰ δοξάζοντες, πολὺ μᾶλλον ἐπιμελητέον ἂν εἴη τῆς

ἀληθείας, ὥσπερ καὶ νοσώδει ὄντι ἢ ὑγιεινῷ τῆς ὑγιείας·

καὶ γὰρ ὁ δοξάζων πρὸς τὸν ἐπιστάμενον οὐχ ὑγιεινῶς διά-                     30

κειται πρὸς τὴν ἀλήθειαν.

                그러나 앞서 말해진 바, 어떤 것들은 주의하고

또 어떤 것들은 주의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나는 자는 아무도

있지 않다. 그래서, 그럴 듯하기로는, 모든 이들이 단적인 상태에

있다고 간주하는데, 통틀어 모든 것들에 관련해서는 아니더라도,

그러나 더 나은 것과 더 못한 것에 관련하여 그리 간주한다.

그런데 만일 알지는 못하나 믿고 있는 자들이라면, 진리에 훨씬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만 하는 것일 터인데, 마치 병들어 있는

자의 경우에도 건강한 자보다 건강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만

하는 것처럼 그러하다. 왜냐하면 믿고 있는 자도 아는 자에 대해

진리를 상대로 건강하지 못한 상태에 처해 있기 때문이다.

                                 ―ἔτι εἰ ὅτι μάλιστα πάντα οὕτως

ἔχει καὶ οὐχ οὕτως, ἀλλὰ τό γε μᾶλλον καὶ ἧττον ἔνεστιν

ἐν τῇ φύσει τῶν ὄντων· οὐ γὰρ ἂν ὁμοίως φήσαιμεν εἶναι

τὰ δύο ἄρτια καὶ τὰ τρία, οὐδ᾿ ὁμοίως διέψευσται ὁ τὰ

τέτταρα πέντε οἰόμενος καὶ ὁ χίλια. εἰ οὖν μὴ ὁμοίως,                            35

δῆλον ὅτι ἅτερος ἧττον, ὥστε μᾶλλον ἀληθεύει. 

―또한 만일 가능한 한 최대로 모든 것들이 이러저러한 상태

또는 그렇지 않은 상태라 하더라도, 적어도 많고 적다는 것은

있는 것들의 본성 안에 들어 있다. 왜냐하면 우리가 둘이

짝수로 있다고 그리고 셋이 짝수로 있다고 마찬가지로 주장하지

못할 것이고, 넷을 다섯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천이라고

생각하는 사람과 마찬가지로 거짓되지도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만일 마찬가지이지 않다면, 다른 한쪽이 덜할 것이고, 

그래서 비교적 더 참되다는 것이 분명하다.

                                                               εἰ οὖν τὸ

μᾶλλον ἐγγύτερον, εἴη γε ἄν τι ἀληθὲς οὗ ἐγγύτερον τὸ                  1009a1

μᾶλλον ἀληθές. κἂν εἰ μὴ ἔστιν, ἀλλ᾿ ἤδη γέ τι ἔστι βε-

βαιότερον καὶ ἀληθινώτερον, καὶ τοῦ λόγου ἀπηλλαγμέ-

νοι ἂν εἴημεν τοῦ ἀκράτου καὶ κωλύοντός τι τῇ διανοίᾳ

ὁρίσαι.                                                                                         5

                                                      그러므로 더 많이

가까운 것이 있다면, 그 더 참된 것이 더 가까이에 있을

어떤 참이 있을 것이다. 또한 그런 것이 있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적어도 그리고 나서는 더 확고하고 더 참된 어떤

것이 있고, 그래서 우리는 견딜 수 없는 그리고 어떤 것을

사유로써 규정하는 일을 가로막는 주장으로부터 벗어난

자들로 있게 될 것이다.


-蟲-

Ἆρ᾿ οὖν καὶ χρόνου μετέχει τὸ ἕν, καὶ ἐστί τε καὶ γί-

γνεται νεώτερόν τε καὶ πρεσβύτερον αὐτό τε ἑαυτοῦ καὶ τῶν

ἄλλων, καὶ οὔτε νεώτερον οὔτε πρεσβύτερον οὔτε ἑαυτοῦ                  5

οὔτε τῶν ἄλλων, χρόνου μετέχον;―Πῶς;―Εἶναι μέν που

αὐτῷ ὑπάρχει, εἴπερ ἓν ἔστιν.―Ναί.―Τὸ δὲ εἶναι ἄλλο τί

ἐστιν ἢ μέθεξις οὐσίας μετὰ χρόνου τοῦ παρόντος, ὥσπερ

τὸ ἦν μετὰ τοῦ παρεληλυθότος καὶ αὖ τὸ ἔσται μετὰ τοῦ             152a

μελλοντος οὐσίας ἐστὶ κοινωνία;―Ἔστι γάρ.―Μετέχει μὲν

ἄρα χρόνου, εἴπερ καὶ τοῦ εἶναι.―Πάνυ γε.―Οὐκοῦν πορευο-

μένου τοῦ χρόνου;―Ναί.―Ἀεὶ ἄρα πρεσβύτερον γίγνεται

ἑαυτοῦ, εἴπερ προέρχεται κατὰ χρόνον.―Ἀνάγκη.                             5

그럼 혹시 하나는 시간에도 참여하고, 시간에 참여함으로써,

자신보다든 여타의 것들보다든 더 어린 것으로도 더 늙은

것으로도 있기도 또 되어가기도 하며, 또한 자신보다든 여타의

것들보다든 더 어린 것으로도 더 늙은 것으로도 있지도 않고

되어가지도 않는가?―어찌 하시는 말씀이십니까?―아마도

그것에게 있다는 것이 성립하지, 만일 정말 하나로 있다면

말일세.―네.―그런데 있다는 건 다름 아니라 현재하는 시간을

동반한 존재에의 참여이지? 있었다라는 것이 지나간 시간을 

동반한 또 이번엔 있으리라는 것이 장차의 시간을 동반한

존재에의 결합이듯 말이네.―그야 그렇죠.―그래서 시간에

참여한다네, 만일 정말로 있다는 것에도 참여한다면 말일세.―

물론입니다.―그렇다면 진행하고 있는 시간에 참여하지 않나?

―네.―그럼 항상 자신보다 더 늙은 것이 되어간다네, 만일

정말로 시간에 따라 앞으로 나아간다면 말일세.―필연이지요.

> 151e6-7: 1) If the one is one, then being belongs to it. 
               2) If the one is, then being belongs to it.

                                                                 ―Ἆρ᾿ οὖν                5

μεμνήμεθα ὅτι νεωτέρου γιγνομένου τὸ πρεσβύτερον πρεσβύ-

τερον γίγνεται;―Μεμνήμεθα.―Οὐκοῦν ἐπειδὴ πρεσβύτερον

ἑαυτοῦ γίγνεται τὸ ἕν, νεωτέρου ἂν γιγνομένου ἑαυτοῦ πρε-

σβύτερον γίγνοιτο;―Ἀνάγκη.―Γίγνεται μὲν δὴ νεώτερόν                  b

τε καὶ πρεσβύτερον αὑτοῦ οὕτω.―Ναί.―Ἔστι δὲ πρεσβύ-                //220103

τερον ἆρ᾿ οὐχ ὅταν κατὰ τὸν νῦν χρόνον ᾖ γιγνόμενον τὸν

μεταξὺ τοῦ ἦν τε καὶ ἔσται; οὐ γάρ που πορευόμενόν γε

ἐκ τοῦ ποτὲ εἰς τὸ ἔπειτα ὑπερβήσεται τὸ νῦν.―Οὐ γάρ.―                   5

                                                                  ―그러면

혹시 우리는 더 어리게 되는 것에 비해 더 늙은 것이 더 늙은

것으로 된다는 점을 기억하고 있나?―기억하고 있지요.―

그렇다면 하나는 자신보다 더 늙은 것으로 될 때, 더 어린 것이

되는 자기 자신보다 더 늙은 것으로 되지 않겠나?―필연입니다.

―그래서 되는 것으로 보자면 그런 식으로 자신보다 더 어린

것이자 더 늙은 것으로 되어가지.―네.―그런데 있기로는 혹시

있었다라는 것과 있으리라는 것의 중간인 시간 동안 생성되는

중이기에 지금이란 시간에 따라서 있을 때에는 더 늙은 것으로

있지 않나? 왜냐하면 아마 적어도 언젠가로부터 그 다음으로

나아가고 있는 한에서는 지금을 건너가지 않을 테니까.―그야

아니니까요.―

Ἆρ᾿ οὖν οὐκ ἐπίσχει τότε τοῦ γίγνεσθαι πρεσβύτερον, ἐπει-

δὰν τῷ νῦν ἐντύχῃ, καὶ οὐ γίγνεται, ἀλλ᾿ ἔστι τότ᾿ ἤδη                     c

πρεσβύτερον; προϊὸν γὰρ οὐκ ἄν ποτε ληφθείη ὑπὸ τοῦ

νῦν. τὸ γὰρ προϊὸν οὕτως ἔχει ὡς ἀμφοτέρων ἐφάπτεσθαι,

τοῦ τε νῦν καὶ τοῦ ἔπειτα, τοῦ μὲν νῦν ἀφιέμενον, τοῦ δ᾿

ἔπειτα ἐπιλαμβανόμενον, μεταξὺ ἀμφοτέρων γιγνόμενον,                   5

τοῦ τε ἔπειτα καὶ τοῦ νῦν.―Ἀληθῆ.

                 그러면 혹시 그때 더 늙은 것으로 되기를 멈추지

않나? 지금이라는 것과 마주치는 언제든 말일세. 그래서 더 늙은

것으로 되어가는 게 아니라, 그때 이미 더 늙은 것으로 있지 않나?

왜냐하면 나아가느라 지금에 의해 도무지 포착되질 않을 테니까.

나아가는 중인 것은 지금과 다음 양쪽 모두에 접촉하는 그런

상태이니 말일세. 지금에서는 떠나면서, 다음은 따라잡으면서,

양자의 사이에 생성되면서, 즉 다음과 지금 사이에 말이지.―

참으로 그렇습니다.

                                              ―Εἰ δέ γε ἀνάγκη μὴ

παρελθεῖν τὸ νῦν πᾶν τὸ γιγνόμενον, ἐπειδὰν κατὰ τοῦτο ᾖ,

ἐπίσχει ἀεὶ τοῦ γίγνεσθαι καὶ ἔστι τότε τοῦτο ὅτι ἂν τύχῃ                 d

γιγνόμενον.―Φαίνεται.―Καὶ τὸ ἓν ἄρα, ὅταν πρεσβύτερον

γιγνόμενον ἐντύχῃ τῷ νῦν, ἐπέσχεν τοῦ γίγνεσθαι καὶ ἔστι

τότε πρεσβύτερον.―Πάνυ μὲν οὖν.―Οὐκοῦν οὗπερ ἐγίγνετο

πρεσβύτερον, τούτου καὶ ἔστιν· ἐγίγνετο δὲ αὑτοῦ;―Ναί.                    5

                        ―그런가 하면 만일 생성되는 모든 것이

지금을 지나치지 못한다는 것이 필연이라면, 이것[지금]에

따라 있을 때, 생성되어가는 그런 일을 언제나 멈추고 또한 그때

마침 그것이 되어가고 있을 그러한 바의 것으로 있다네.―그렇게

보입니다.―그래서 하나 또한, 더 늙은 것으로 되어가면서 지금과

마주칠 때, 생성되기를 멈추었고 그때 더 늙은 것으로 있지.―물론

그렇긴 합니다.―그럼 [하나가] 그보다 더 늙은 것으로 되었던 바,

바로 그것보다 더 늙은 것으로 있기도 하지 않나? 그런데 [하나는]

자신보다 더 늙은 것으로 되었던 것이고?―네.

―Ἔστι δὲ τὸ πρεσβύτερον νεωτέρου πρεσβύτερον;―Ἔστιν.

―Καὶ νεώτερον ἄρα τότε αὑτοῦ ἐστι τὸ ἕν, ὅταν πρεσβύ-

τερον γιγνόμενον ἐντύχῃ τῷ νῦν.―Ἀνάγκη.―Τό γε μὴν

νῦν ἀεὶ πάρεστι τῷ ἑνὶ διὰ παντὸς τοῦ εἶναι· ἔστι γὰρ ἀεὶ                  e

νῦν ὅτανπερ ᾖ.―Πῶς γὰρ οὔ;―Ἀεὶ ἄρα ἐστί τε καὶ γίγνεται

πρεσβύτερον ἑαυτοῦ καὶ νεώτερον τὸ ἕν.―Ἔοικεν.―Πλείω δὲ

χρόνον αὐτὸ ἑαυτοῦ ἔστιν ἢ γίγνεται, ἢ τὸν ἴσον;―Τὸν ἴσον.

                                         ―그런데 더 늙은 것이란 더

어린 것보다 더 늙은 것으로 있지?―그리 있지요.―그래서 그때 

하나는 자신보다 더 어린 것으로도 있다네, 더 늙은 것으로

되어가면서 지금과 마주칠 때 말일세.―필연입니다.―물론 지금은

[하나의] 그 있다는 것 모두를 관통하여 하나에게 언제나 곁하여

있지. 그야 [하나가] 있을 그 어느 때에든 [하나는] 언제나 지금

있으니 말일세.―그야 어찌 아니겠습니까?―그래서 하나는 언제나

자신보다 더 늙은 것으로도 더 어린 것으로도 있기도 그리고 또

되어가기도 한다네.―그런 듯합니다.―그런데 그것이 자신보다 더

많은 시간 동안에 있거나 되는가, 아니면 같은 만큼의 시간 동안

그러한가?―같은 만큼의 시간 동안이요.

―Ἀλλὰ μὴν τόν γε ἴσον χρόνον ἢ γιγνόμενον ἢ ὂν τὴν                       5

αὐτὴν ἡλικίαν ἔχει.―Πῶς δ᾿ οὔ;―Τὸ δὲ τὴν αὐτὴν ἡλικίαν

ἔχον οὔτε πρεσβύτερον οὔτε νεώτερόν ἐστιν.―Οὐ γάρ.―

Τὸ ἓν ἄρα τὸν ἴσον χρόνον αὐτὸ ἑαυτῷ καὶ γιγνόμενον καὶ

ὂν οὔτε νεώτερον οὔτε πρεσβύτερον ἑαυτοῦ ἐστιν οὐδὲ γίγνε-

ται.―Οὔ μοι δοκεῖ.―Τί δέ; τῶν ἄλλων;―Οὐκ ἔχω λέγειν.                    10

                                                 ―그런가 하면 적어도

같은 만큼의 시간 동안 되어가거나 있는 중이기에 같은 연령을

지니지.―어찌 아니겠습니까?―그런데 같은 연령을 지니는

것은 더 늙은 것으로도 더 어린 것으로도 있지 않지.―그야

아니지요.―그래서 하나는 같은 시간 동안 제 자신과 같은

것으로서 생성되고 있고 또한 있는 중임으로써 자신보다 더 어린

것으로도 더 늙은 것으로도 있지도 않고 그리 되고 있지도 않다네.

―아닌 것으로 제게 여겨집니다.―그런데 어떤가? 여타의 것들에

비해서는?―저는 말씀드릴 수가 없네요.

―Τόδε γε μὴν ἔχεις λέγειν, ὅτι τὰ ἄλλα τοῦ ἑνός, εἴπερ                 153a

ἕτερά ἐστιν, ἀλλὰ μὴ ἕτερον, πλείω ἐστὶν ἑνός· ἕτερον μὲν

γὰρ ὂν ἓν ἂν ἦν, ἕτερα δὲ ὄντα πλείω ἑνός ἐστι καὶ πλῆθος

ἂν ἔχοι.―Ἔχοι γὰρ ἄν.―Πλῆθος δὲ ὂν ἀριθμοῦ πλείονος                    //220103

ἂν μετέχοι ἢ τοῦ ἑνός.―Πῶς δ᾿ οὔ;―Τί οὖν; ἀριθμοῦ                           5

φήσομεν τὰ πλείω γίγνεσθαί τε καὶ γεγονέναι πρότερον, ἢ

τὰ ἐλάττω;―Τὰ ἐλάττω.

                                                ―어쨌든 이건 자네가

말해줄 수 있다네, 하나 이외의 것들은, 만일 정말로 다른

것들이되, 허나 다른 것이지는 않다면, 하나보다 더 많이

있다는 것 말일세. 왜냐하면 다른 것으로서 있다면 하나로

있었을 테지만, 다른 것들로서 그것들이 있기에 하나보다 더

많이 있고 복수까지 지닐 테니까.―지닐 테지요.―그런데

다수로 있음으로써는 하나에 참여하는 것보다는 오히려 더

많은 수에 참여하겠지?―어찌 아니겠습니까?―그렇다면

어떠한가? 수와 관련하여 더 많은 것들이 더 먼저 되고 있거나

더 먼저 되었다고 우리가 말하겠나, 아니면 더 적은 것들이

그러하다고 그리 말하겠나?―더 적은 것들 쪽이죠.

                               ―Τὸ ὀλίγιστον ἄρα πρῶτον· τοῦτο

δ᾿ ἔστι τὸ ἕν. ἦ γάρ;―Ναί.―Πάντων ἄρα τὸ ἓν πρῶτον                     b

γέγονε τῶν ἀριθμὸν ἐχόντων· ἔχει δὲ καὶ τἆλλα πάντα

ἀριθμόν, εἴπερ ἄλλα καὶ μὴ ἄλλο ἐστίν.―Ἔχει γάρ.―

                             ―그럼 가장 적은 것이 첫 번째이지.

그런데 하나가 이런 것이고. 그렇지 않은가?―네.―그래서 수를

지니는 모든 것들 중 하나가 첫 번째로 생성되었다네. 그런데

여타의 모든 것들 역시 수를 지니지, 만일 정말로 여타의 것들로

있고 여타의 것으로 있지는 않다면 말일세.―그야 지니지요.―

> 여기에서 ἄλλα가 ἄλλα τοῦ ἑνός라면, '하나' 이외의 것은 바로

그 단수 '하나'일 수 없으므로 필연적으로 복수라는 것이

지금 논의에서 전제되어 있을 수도 있다. Cf. 149c-d. 하나 외의 것은 

하나가 아니므로 여럿이다.

Πρῶτον δέ γε οἶμαι γεγονὸς πρότερον γέγονε, τὰ δὲ ἄλλα

ὕστερον, τὰ δ᾿ ὕστερον γεγονότα νεώτερα τοῦ πρότερον                    5

γεγονότος· καὶ οὕτως ἂν εἴη τἆλλα νεώτερα τοῦ ἑνός, τὸ δὲ

ἓν πρεσβύτερον τῶν ἄλλων.―Εἴη γὰρ ἄν.

그런가 하면 나는 첫 번째로 생성된 하나가 더 먼저 생성되었다고,

그런데 여타의 것들은 더 나중에 생성되었으며, 나중에 생성된

것들은 더 먼저 생성된 것보다 더 어린 것들이라고 생각한다네.

그리고 그렇게 여타의 것들은 하나보다 더 어린 것들로 있을 테고,

반면 하나는 여타의 것들보다 더 늙은 것으로 있을 테지.―그야

그리 있을 테니까요.

 

Τί δὲ τόδε; ἆρ᾿ ἂν εἴη τὸ ἓν παρὰ φύσιν τὴν αὑτοῦ

γεγονός, ἢ ἀδύνατον;―Ἀδύνατον.―Ἀλλὰ μὴν μέρη γε ἔχον               c

ἐφάνη τὸ ἕν, εἰ δὲ μέρη, καὶ ἀρχὴν καὶ τελευτὴν καὶ μέσον.

헌데 이건 어떤가? 혹시 자신의 본성에 어긋나게 생성된

하나가 있겠는가, 아니면 그건 불가능할까?―불가능합니다.―

그런가 하면 하나는 어쨌든 부분들을 갖기는 하는 것으로 

드러났었지, 그런데 만일 부분들을 가진다면, 시작과 끝과 중간

또한 지니는 것으로 말일세.

―Ναί.―Οὐκοῦν πάντων πρῶτον ἀρχὴ γίγνεται, καὶ αὐτοῦ

τοῦ ἑνὸς καὶ ἑκάστου τῶν ἄλλων, καὶ μετὰ τὴν ἀρχὴν καὶ

τἆλλα πάντα μέχρι τοῦ τέλους;―Τί μήν;―Καὶ μὴν μόριά                      5

γε φήσομεν ταῦτ᾿ εἶναι πάντα τἆλλα τοῦ ὅλου τε καὶ ἑνός,

αὐτὸ δὲ ἐκεῖνο ἅμα τῇ τελευτῇ γεγονέναι ἕν τε καὶ ὅλον.―

                                  ―네.―그렇다면 모든 것들의 시작이

첫 번째 것으로 생성되고, 하나 자체의 시작이든 여타의

것들 각각의 시작이든 그러하며, 그래서 끝에 이르기까지의

여타 모든 것들이 시작 다음에 생성되지 않는가?―왜

아니겠습니까?―그런가 하면 우리는 이러한 여타의 모든

것들이 전체이자 하나인 것의 부분들로 있다고 주장할 걸세,

그런데 저것 자체는 끝(완결)과 동시에 하나이자 전체로서

생성되었다고 주장할 것이고.―

Φήσομεν γάρ.―Τελευτὴ δέ γε οἶμαι ὕστατον γίγνεται, τούτῳ

δ᾿ ἅμα τὸ ἓν πέφυκε γίγνεσθαι· ὥστ᾿ εἴπερ ἀνάγκη αὐτὸ τὸ               d

ἓν μὴ παρὰ φύσιν γίγνεσθαι, ἅμα τελευτῇ ἂν γεγονὸς ὕστατον

ἂν τῶν ἄλλων πεφυκὸς εἴη γίγνεσθαι.―Φαίνεται.―Νεώτερον

ἄρα τῶν ἄλλων τὸ ἕν ἐστι, τὰ δ᾿ ἄλλα τοῦ ἑνὸς πρεσβύτερα.

                                       그야 우린 그리 말할 것이니까요.

―그런가 하면 나는 끝이 가장 나중에 생성된다고, 반면 하나는

본디 이것과 동시에 생성된다고 생각한다네. 그래서 만일 정말로

하나 자체가 본성에 어긋나지 않게 생성된다는 것이 필연이라면,

끝과 동시에 생성되었기에 여타의 것들에 비해 가장 나중의

것으로서 생성된다는 것이 본성적인 일일 테지.―그리 보입니다.

―그래서 하나는 여타의 것들보다 더 어린 것으로 있고, 여타의

것들은 하나보다 더 늙은 것들로 있다네.

―Οὕτως αὖ μοι φαίνεται.―Τί δὲ δή; ἀρχὴν ἢ ἄλλο μέρος                    5

ὁτιοῦν τοῦ ἑνὸς ἢ ἄλλου ὁτουοῦν, ἐάνπερ μέρος ᾖ ἀλλὰ μὴ

μέρη, οὐκ ἀναγκαῖον ἓν εἶναι, μέρος γε ὄν;―Ἀνάγκη.―

                                                   ―이번엔 또 제게

그렇게 보입니다.―헌데 그럼 어떤가? 하나에 대해서든

그 밖의 무엇에 대해서든 그 시작이든 여타 무슨 부분이든지,

그것이 만약에 부분으로는 있되 부분들로는 있지 않을 것이라면,

하나로 있음이 필연적이지 않은가? 부분으로 있는 한에서

말일세.―필연적입니다.―

Οὐκοῦν τὸ ἓν ἅμα τε τῷ πρώτῳ γιγνομένῳ γίγνοιτ᾿ ἂν καὶ

ἅμα τῷ δευτέρῳ, καὶ οὐδενὸς ἀπολείπεται τῶν ἄλλων γιγνο-             e

μένων, ὅτιπερ ἂν προσγίγνηται ὁτῳοῦν, ἕως ἂν πρὸς τὸ

ἔσχατον διελθὸν ὅλον ἓν γένηται, οὔτε μέσου οὔτε πρώτου

οὔτε ἐσχάτου οὔτε ἄλλου οὐδενὸς ἀπολειφθὲν ἐν τῇ γενέσει.―

                               그렇다면 하나는 첫 번째로 생성되는

것과 동시에 생성될 것이면서 또한 두 번째 것과 동시에 그럴

테고, 또한 여타의 생성되는 것들 중 그 무엇에서도, 그 무엇에

추가로 생성되는 그 무엇이든, 빠지지 않을 것이네, 마지막까지

가로지르는 전체인 하나가 될 때까지, 중간에도 처음에도

마지막에도 여타 무엇에도 생성에서 빠지지 않음으로써 말일세.―

Ἀληθῆ.―Πᾶσιν ἄρα τοῖς ἄλλοις τὴν αὐτὴν ἡλικίαν ἴσχει τὸ                   5

ἕν· ὥστ᾿ εἰ μὴ παρὰ φύσιν πέφυκεν αὐτὸ τὸ ἕν, οὔτε

πρότερον οὔτε ὕστερον τῶν ἄλλων γεγονὸς ἂν εἴη, ἀλλ᾿ ἅμα.

참으로 그렇습니다.―그래서 하나는 여타의 모든 것들과 같은

연령을 지녔다네. 그래서 만일 하나 자체가 본성에 어긋나게 

타고나지 않았다면, 여타의 것들보다 더 먼저도 더 나중에도

생성된 것으로 있지 않을 테고, 오히려 동시에 생성된 것으로

있겠지.

καὶ κατὰ τοῦτον τὸν λόγον τὸ ἓν τῶν ἄλλων οὔτε πρεσβύτερον    154a

οὔτε νεώτερον ἂν εἴη, οὐδὲ τἆλλα τοῦ ἑνός· κατὰ δὲ τὸν

πρόσθεν πρεσβύτερόν τε καὶ νεώτερον, καὶ τἆλλα ἐκείνου

ὡσαύτως.―Πάνυ μὲν οὖν.

         또한 이러한 논리에 따라 하나는 여타의 것들보다 더 

늙은 것으로도 더 어린 것으로도 있지 않을 테고, 여타의 것들도

하나보다 더 늙지도 더 어리지도 않을 걸세. 그런데 앞선 논리에

따라서는 [하나가 여타의 것들보다] 더 늙은 것으로도 더 어린

것으로도 있으며, 여타의 것들도 저것에 비해 마찬가지로 더

[늙게도 더 어리게도] 있지.―물론입니다.

                                  ―Ἔστι μὲν δὴ οὕτως ἔχον τε καὶ

γεγονός. ἀλλὰ τί αὖ περὶ τοῦ γίγνεσθαι αὐτὸ πρεσβύτερόν                   5

τε καὶ νεώτερον τῶν ἄλλων καὶ τἆλλα τοῦ ἑνός, καὶ μήτε

νεώτερον μήτε πρεσβύτερον γίγνεσθαι; ἆρα ὥσπερ περὶ τοῦ

εἶναι, οὕτω καὶ περὶ τοῦ γίγνεσθαι ἔχει, ἢ ἑτέρως;

                                                   ―그래서 그런 상태이자

그렇게 생성된 것으로서 있기는 하지. 허나 이번엔 그것이 여타의

것들보다 또 여타의 것들이 하나보다 더 늙은 것으로도 더 어린

것으로도 생성되는 중이라는 것, 그리고 더 어린 것으로도 더 늙은

것으로도 생성되는 중이지 않다는 것과 관련하여서는 어떤가?

혹시 있다는 것과 관련해서 그러하듯, 그렇게 생성되는 중이라는

것과 관련하여서도 그런 상태인가, 아니면 다른 상태인가?

                                                                 ―Οὐκ

ἔχω λέγειν.―Ἀλλ᾿ ἐγὼ τοσόνδε γε· εἰ καὶ ἔστιν πρεσβύτερον             b

ἕτερον ἑτέρου, γίγνεσθαί γε αὐτὸ πρεσβύτερον ἔτι ἢ ὡς τὸ

πρῶτον εὐθὺς γενόμενον διήνεγκε τῇ ἡλικίᾳ οὐκ ἂν ἔτι

δύναιτο, οὐδ᾿ αὖ τὸ νεώτερον ὂν ἔτι νεώτερον γίγνεσθαι·

ἀνίσοις γὰρ ἴσα προστιθέμενα, χρόνῳ τε καὶ ἄλλῳ ὁτῳοῦν,                   5

ἴσῳ ποιεῖ διαφέρειν ἀεὶ ὅσῳπερ ἂν τὸ πρῶτον διενέγκῃ.―

                                                                 ―말씀드릴

수가 없네요.―허나 나는 적어도 이만큼은 말해줄 수 있다네.

다른 것이 또 다른 것보다 더 늙은 것으로 있다 하더라도,

그것이 첫 번째 것으로서 곧장 생성된 것으로서 연령에서

차이가 날 그 만큼보다 훨씬 더 늙은 것으로 생성되기란 더

이상 가능하지 않을 것이고, 이번엔 더 어린 것으로 있는 것이

훨씬 더 어린 것으로 생성되기도 가능하지 않을 걸세. 왜냐하면

같지 않은 만큼의 것들에 같은 만큼의 것들이 추가됨으로써,

시간에든 여타 그 무엇에든, 처음에 차이가 얼만큼 나든지 간에

언제나 그 똑같은 만큼에서 차이가 나게 만들기 때문이지.

Πῶς γὰρ οὔ;―Οὐκ ἄρα τό γε ὂν τοῦ [ἑνὸς] ὄντος γίγνοιτ᾿

ἄν ποτε πρεσβύτερον οὐδὲ νεώτερον, εἴπερ ἴσῳ διαφέρει ἀεὶ             c

τὴν ἡλικίαν· ἀλλ᾿ ἔστι καὶ γέγονε πρεσβύτερον, τὸ δὲ

νεώτερον, γίγνεται δ᾿ οὔ.―Ἀληθῆ.―Καὶ τὸ ἓν ἄρα ὂν τῶν

ἄλλων ὄντων οὔτε πρεσβύτερόν ποτε οὔτε νεώτερον γίγνεται.

   어찌 아니겠습니까?―그래서 적어도 있는 것은 [하나로] 있는

것보다 도대체 더 늙은 것으로도 더 어린 것으로도 생성되어가는

중이지 못할 걸세, 만일 정말로 언제나 같은 정도로 연령에서

차이가 난다면 말이지. 허나 더 늙은 것으로 있기도 하고 생성된

한편, 다른 쪽은 더 어린 것으로 그러하며, 그렇게 되는 중은

아니라네.―참으로 그렇습니다.―그래서 하나로 있는 것 또한

여타의 것들로 있는 것들보다 도대체 더 늙은 것으로도 더 어린

것으로도 되어가지 않지.―                                                                       //220110

―Οὐ γὰρ οὖν.―Ὅρα δὲ εἰ τῇδε πρεσβύτερα καὶ νεώτερα                    5

γίγνεται.―Πῇ δή;―Ἧι τό τε ἓν τῶν ἄλλων ἐφάνη πρε-

σβύτερον καὶ τἆλλα τοῦ ἑνός.―Τί οὖν;―Ὅταν τὸ ἓν τῶν

ἄλλων πρεσβύτερον ᾖ, πλείω που χρόνον γέγονεν ἢ τὰ

ἄλλα.―Ναί.―Πάλιν δὴ σκόπει· ἐὰν πλέονι καὶ ἐλάττονι                     d

χρόνῳ προστιθῶμεν τὸν ἴσον χρόνον, ἆρα τῷ ἴσῳ μορίῳ

διοίσει τὸ πλέον τοῦ ἐλάττονος ἢ σμικροτέρῳ;―Σμικροτέρῳ.

―아니니까요.―헌데 이런 식으로 더 늙은 것들로 그리고 더

어린 것들로 되는 중인지 살펴보게.―실로 어떤 식으로요?―

하나도 여타의 것들보다 여타의 것들도 하나보다 더 늙은 것이

되어가는 것처럼 나타났던 그런 식으로 말일세.―그래서 뭔가요?

―하나가 여타의 것들보다 더 늙은 것으로 있을 때, 아마도

여타의 것들보다 더 많은 시간 동안 되어 왔을 걸세.―네.―

그럼 다시 검토해주게. 만일 우리가 더 많은 시간과 적은

시간에 같은 만큼의 시간을 추가한다면, 혹시 더 많은 것이

적은 것에 비해 그 같은 만큼의 몫에서 차이가 나겠는가,

아니면 더 작은 몫에서 차이가 나겠는가?―더 작은 몫에서요.

―Οὐκ ἄρα ἔσται, ὅτιπερ τὸ πρῶτον ἦν πρὸς τἆλλα ἡλικίᾳ

διαφέρον τὸ ἕν, τοῦτο καὶ εἰς τὸ ἔπειτα, ἀλλὰ ἴσον λαμβάνον               5

χρόνον τοῖς ἄλλοις ἔλαττον ἀεὶ τῇ ἡλικίᾳ διοίσει αὐτῶν ἢ

πρότερον· ἢ οὔ;―Ναί.―Οὐκοῦν τό γε ἔλαττον διαφέρον

ἡλικίᾳ πρός τι ἢ πρότερον νεώτερον γίγνοιτ᾿ ἂν ἢ ἐν τῷ                   e

πρόσθεν πρὸς ἐκεῖνα πρὸς ἃ ἦν πρεσβύτερον πρότερον;―

Νεώτερον.

              ―그럼, 최초에 여타의 것들에 대해서 하나가

연령에서 차이가 난 바로 그 몫, 이 몫이 이후까지도 있을 것이

아니고, 여타의 것들과 같은 만큼의 시간을 취하면서 언제나

연령에서 그것들과 이전보다 더 적은 차이가 나겠지. 그렇지

않은가?―네.―그렇다면 적어도 연령에서 어떤 것에 대해

이전보다 더 적게 차이가 나는 것은 이전에 그것이 그것들에

대해 더 늙은 것으로 있었던 그것들에 대해 이전 시점에서보다

더 어린 것으로 되어가지 않겠나?―더 어린 것으로 되어가겠죠.

              ―Εἰ δὲ ἐκεῖνο νεώτερον, οὐκ ἐκεῖνα αὖ τὰ ἄλλα

πρὸς τὸ ἓν πρεσβύτερα ἢ πρότερον;―Πάνυ γε.―Τὸ μὲν

νεώτερον ἄρα γεγονὸς πρεσβύτερον γίγνεται πρὸς τὸ πρό-                  5

τερον γεγονός τε καὶ πρεσβύτερον ὄν, ἔστι δὲ οὐδέποτε

πρεσβύτερον, ἀλλὰ γίγνεται ἀεὶ ἐκείνου πρεσβύτερον· ἐκεῖνο

μὲν γὰρ ἐπὶ τὸ νεώτερον ἐπιδίδωσιν, τὸ δ᾿ ἐπὶ τὸ πρεσβύ-

τερον. τὸ δ᾿ αὖ πρεσβύτερον τοῦ νεωτέρου νεώτερον γίγνεται     155a

ὡσαύτως. 

―그런데 만일 저것이 더 어린 것이 된다면, 이번엔 저 여타의

것들이 하나에 비례해서 이전보다 더 늙은 것들로 되겠는가?―

물론이죠.―그럼 더 어린 것으로 된 것은 앞서 더 늙은 것으로

된 것이자 그리 있는 것에 비해서더 늙은 것이 되어가는데, 허

결코 더 늙은 것으로 있지는 않고, 오히려 언제나 저것보다

더 늙은 것으로 되어간다네. 왜냐하면 저것은 더 어린 쪽으로

나아가고, 다른 쪽은 더 늙은 쪽으로 그리 하기 때문이지. 그런데

이번엔 같은 식으로 더 늙은 것이 더 어린 것보다 더 어린 것으로

되어간다네.

> Cf. Allen p304. Tabak p95ff. 더 늙은 것과 더 어린 것이 같은

기간을 지나면 둘 사이 나이 차이의 '비율'이 줄어든다. 이것이

더 적은 '몫'에서 차이가 난다고 표현되고 있다. 앞서 산술적

차이는 비교의 gen.이 사용된 반면 여기에서부터는 pros+acc.

형태의 표현이 사용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일 수 있다. 

e.g. 1:2에서 같은 만큼을 양쪽에 더해 2:3이 되는 경우, 둘 사이의

수적 차이인 1이 달라지는 건 아니지만, 둘 사이의 비율은 달라진다.

 

             ἰόντε γὰρ αὐτοῖν εἰς τὸ ἐναντίον τὸ ἐναντίον

ἀλλήλοιν γίγνεσθον, τὸ μὲν νεώτερον πρεσβύτερον τοῦ

πρεσβυτέρου, τὸ δὲ πρεσβύτερον νεώτερον τοῦ νεωτέρου·

γενέσθαι δὲ οὐκ ἂν οἵω τε εἴτην. εἰ γὰρ γένοιντο, οὐκ                         5

ἂν ἔτι γίγνοιντο, ἀλλ᾿ εἶεν ἄν. 

                                     왜냐하면 양자가 반대쪽으로

진행하기에 그 둘이 서로 반대로 되어가고, 더 어린 것은

더 늙은 것보다 더 늙은 것으로, 더 늙은 것은 더 어린 것보다

더 어린 것으로 되어가기 때문이라네. 그런데 그 둘이 그리

된 것으로 있을 수는 없을 테지. 왜냐하면 만일 되었더라면,

여전히 되어가진 못할 것이고, 오히려 [그것들로] 있을 테니

말일세.

                                       νῦν δὲ γίγνονται μὲν

πρεσβύτερα ἀλλήλων καὶ νεώτερα· τὸ μὲν ἓν τῶν ἄλλων

νεώτερον γίγνεται, ὅτι πρεσβύτερον ἐφάνη ὂν καὶ πρότερον

γεγονός, τὰ δὲ ἄλλα τοῦ ἑνὸς πρεσβύτερα, ὅτι ὕστερα                       b

γέγονε. 

         그런데 지금은 서로들 보다 더 늙은 것들로 그리고 더

어린 것들로 되어간다네. 하나는 여타의 것들보다 더 어린 

것이 되어가니, 더 늙은 것이자 더 먼저 생성된 것으로

드러났다는 점에서 그러하며, 여타의 것들은 하나보다 더 늙은

것들로 되어가니, 그것들이 더 나중에 생성된 것으로 되었기에 

그렇지.

          κατὰ δὲ τὸν αὐτὸν λόγον καὶ τἆλλα οὕτω πρὸς

τὸ ἓν ἴσχει, ἐπειδήπερ αὐτοῦ πρεσβύτερα ἐφάνη καὶ πρό-

τερα γεγονότα.―Φαίνεται γὰρ οὖν οὕτως.

                             헌데 같은 논리에 따라 여타의 것들도 

하나에 대해 그러한 상태이니, 그것보다 더 늙은 것들로 그리고

더 먼저 생성된 것들로 드러났기에 그렇다네.―그야 그렇게

보이니까요.

                                                        ―Οὐκοῦν ᾗ μὲν                   //220124

οὐδὲν ἕτερον ἑτέρου πρεσβύτερον γίγνεται οὐδὲ νεώτερον,                 5

κατὰ τὸ ἴσῳ ἀριθμῷ ἀλλήλων ἀεὶ διαφέρειν, οὔτε τὸ ἓν

τῶν ἄλλων πρεσβύτερον γίγνοιτ᾿ ἂν οὐδὲ νεώτερον, οὔτε

τἆλλα τοῦ ἑνός· ᾗ δὲ ἄλλῳ ἀεὶ μορίῳ διαφέρειν ἀνάγκη

τὰ πρότερα τῶν ὑστέρων γενόμενα καὶ τὰ ὕστερα τῶν                     c

προτέρων, ταύτῃ δὴ ἀνάγκη πρεσβύτερά τε καὶ νεώτερα

ἀλλήλων γίγνεσθαι τά τε ἄλλα τοῦ ἑνὸς καὶ τὸ ἓν τῶν

ἄλλων;―Πάνυ μὲν οὖν.

              ―그렇다면 언제나 같은 만큼의 수에서 서로간에

차이가 난다는 점에 따라서, 한편으로 한쪽이 다른 쪽에 비해

더 늙은 것으로도 더 어린 것으로도 되고 있지 않는 한, 하나가

여타의 것들보다 더 늙은 것으로도 더 어린 것으로도 되어가지

못하기도 할 것이고, 여타의 것들도 하나에 비해 그렇지 못할

게 아닌가? 반면에 매번 달라지는 몫으로 더 먼저 생성되는

것들이 더 나중의 것들에 비해 또 더 나중의 것들이 더 먼저인

것들에 비해 차이가 난다는 게 필연적인 한에서는, 실로 이 

점에서 여타의 것들도 하나와 또 하나도 여타의 것들과 서로에 

비해 더 늙은 것들이자 또한 더 어린 것들로 되어간다는 것이

필연적이지 않나?―물론입니다.

 

                              ―Κατὰ δὴ πάντα ταῦτα τὸ ἓν αὐτό

τε αὑτοῦ καὶ τῶν ἄλλων πρεσβύτερον καὶ νεώτερον ἔστι                    5

τε καὶ γίγνεται, καὶ οὔτε πρεσβύτερον οὔτε νεώτερον οὔτ᾿

ἔστιν οὔτε γίγνεται οὔτε αὑτοῦ οὔτε τῶν ἄλλων.―Παν-

τελῶς μὲν οὖν.―Ἐπειδὴ δὲ χρόνου μετέχει τὸ ἓν καὶ τοῦ

πρεσβύτερόν τε καὶ νεώτερον γίγνεσθαι, ἆρ᾿ οὐκ ἀνάγκη καὶ             d

τοῦ ποτὲ μετέχειν καὶ τοῦ ἔπειτα καὶ τοῦ νῦν, εἴπερ χρόνου

μετέχει;―Ἀνάγκη.

―그래서 이러한 모든 점들에 따라 하나는 그 자신에 비해서도 

여타의 것들에 비해서도 더 늙은 것으로도 더 어린 것으로도 

있기도 하고 되기도 하며, 자신보다도 여타의 것들보다도 더 

늙은 것으로도 더 어린 것으로도 있지도 되지도 않기도 하다네.

―전적으로 그렇습니다.―그런데 하나는 시간에 참여하고 더

늙은 것으로도 더 어린 것으로도 되는 데에도 참여하기에, 

혹시 한때라는 것 그리고 이후라는 것과 지금이라는 것에도 

참여함이 필연적이지 않은가? 만일 정말로 시간에 참여한다면

말이지.―필연적이죠.

                       ―Ἦν ἄρα τὸ ἓν καὶ ἔστι καὶ ἔσται καὶ

ἐγίγνετο καὶ γίγνεται καὶ γενήσεται.―Τί μήν;―Καὶ εἴη ἄν

τι ἐκείνῳ καὶ ἐκείνου, καὶ ἦν καὶ ἔστιν καὶ ἔσται.―Πάνυ                      5

γε.―Καὶ ἐπιστήμη δὴ εἴη ἂν αὐτοῦ καὶ δόξα καὶ αἴσθησις,

εἴπερ καὶ νῦν ἡμεῖς περὶ αὐτοῦ πάντα ταῦτα πράττομεν.―

Ὀρθῶς λέγεις.

                          ―그래서 하나는 있었고 있으며 있을

것이고 되어가던 것이고 되며 될 것이기도 하다네.―왜

니겠습니까?―또한 뭔가가 저것에게의 것이자 저것에 대한 

것이기도 할 테고, 그렇게 있었기도 있기도 있을 것이기도

하겠지.―물론입니다.―더 나아가 그것에 대한 앎도 믿음도

지각도 그럴 걸세, 만일 정말로 지금도 우리 자신이 그것에

관련하여 이런 온갖 일들을 하고 있는 것이라면 말이지.―

맞는 말씀이십니다.

                  ―Καὶ ὄνομα δὴ καὶ λόγος ἔστιν αὐτῷ, καὶ

ὀνομάζεται καὶ λέγεται· καὶ ὅσαπερ καὶ περὶ τὰ ἄλλα τῶν                 e

τοιούτων τυγχάνει ὄντα, καὶ περὶ τὸ ἓν ἔστιν.―Παντελῶς

μὲν οὖν ἔχει οὕτως.

                          ―더 나아가 그것을 위한 이름과 말도

있으며, 명명되기도 하고 진술되기도 하지. 또한 마침 이러한

것들 중 여타의 것들에 관련하여서도 있는 그 모든 것들 역시,

하나에 관련하여서도 있다네.―전적으로 사정이 그러하지요.

 

-蟲-

갚아야 할 걸 안 갚고 사는 기분이다. 쫓겨날까봐 불안하고, 어딘지 당당하질 못하다. 간간이 궁색한 사정을 집주인이 위로해주는 모양새로 이런저런 애매한 격려식의 추임새를 만나기도 하긴 하지만, 정작 내 손에 쥔 건 없다. 빚쟁이 구멍난 통장마냥, 뭐 쌓인 게 없다. 한 발자국 내딛을 때마다 지난 자리가 다 무너지고, 다음 발을 빨리 떼고 딛지 않으면 그대로 푹 꺼져 기어오를 수 없는 데까지 떨어질 것 같다. 나이는 쳐먹었는데, 그 쳐먹은 나이만큼 그 시간에 안 게으르고 열심히 살았더라면, 지금 이 따위 꼬락서니여서는 안 되는 것 아닌가. 이게 내 부채감이다. 더 오래 했으니 더 낫다는 게 아니라, 더 오래 했으면 더 나아야 한다는 거. 그래야 하는데 그렇지를 못하다는 건, 면목 없고 변명의 여지도 없는 죄고 부채다. 시기나 질투가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다른 누군가의 자리를 내 자리라 생각해본 일도, 아예 없지는 않을지 몰라도 하여간 그다지 없었던 것 같고. 거꾸로 이 자리가 자꾸만 남의 자리 같은 거다. 이 자리에 맞는 몫을 하거나 아니면 비켜줘야 하는데, 아, 비키자니 엄두가 안 나는데. 내가 욕하던 썩어빠진 노친네들은 이런 기분이었던 걸까. 그나마 그 치들은 지 잘난 맛에 살기라도 하던데. 내가 잘했으면 될 일들을 내가 다 망치고 있을 따름이다. 늘상 그렇듯, 열심히 한다고 다 결과가 좋은 것도 아니다. 그래, 노력했다 치자. 애썼다고 치자. 그래도 손에 쥔 건 없고, 눈치는 보이고, 그래서 뭘 어쩔까 하면, 결국 또 열심히 하는 수밖에 없다. 어쩌겠나, 떨구어내면 떨궈져 나갈 수밖에 없고, 다만 할 만큼 했다는 자위라도 하려면, 그냥 닥치고 들이박는 거다. 또 모르지, 세상이 내게 퇴장과 더불어 금딸까지 명하는 건지. -蟲- P.S. 괜찮은 인간이 되긴 어렵고, 징징거리긴 쉽지.

Περὶ δὲ τῶν ἄλλων δαιμόνων εἰπεῖν καὶ γνῶναι τὴν γέ-

νεσιν μεῖζον ἢ καθ᾿ ἡμᾶς, πειστέον δὲ τοῖς εἰρηκόσιν ἔμ-

προσθεν, ἐκγόνοις μὲν θεῶν οὖσιν, ὡς ἔφασαν, σαφῶς δέ

που τούς γε αὑτῶν προγόνους εἰδόσιν· ἀδύνατον οὖν θεῶν

παισὶν ἀπιστεῖν, καίπερ ἄνευ τε εἰκότων καὶ ἀναγκαίων                   e

ἀποδείξεων λέγουσιν, ἀλλ᾿ ὡς οἰκεῖα φασκόντων ἀπαγγέλλειν

ἑπομένους τῷ νόμῳ πιστευτέον. οὕτως οὖν κατ᾿ ἐκείνους

ἡμῖν ἡ γένεσις περὶ τούτων τῶν θεῶν ἐχέτω καὶ λεγέσθω.

그런데 그 외의 신성한 분들에 관련하여서는 그 생성을 이야기하고

안다는 것이 우리들에 대해서 그런 것에 비하면 큰 일이고, 앞서

말씀하신 분들께 설득되어 따라야만 합니다, 그 분들의 말씀으로는,

그 분들께서 신들의 자손들로 계시는가 하면, 아마도 확실하게

그분들 자신들의 선조들을 알고 계셨다는 그 분들께 말입니다.

그러므로 신들의 자손들께 설득되어 따르지 않는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고, 설령 모상적이고도 필연적인 증명들 없이

말씀하신다 하더라도 그렇기에, 오히려 집안일을 전해주신다고

단언하시기에 우리가 관습에 따라 신뢰해야만 하는 것입니다.

그리하여 저분들에 따라 우리에게 이 신들과 관련하여 그 생성이

그런 상태이고 또 그렇게 말해진 것이라 합시다.

Γῆς τε καὶ Οὐρανοῦ παῖδες Ὠκεανός τε καὶ Τηθὺς ἐγενέ-                     5

σθην, τούτων δὲ Φόρκυς Κρόνος τε καὶ Ῥέα καὶ ὅσοι μετὰ

τούτων, ἐκ δὲ Κρόνου καὶ Ῥέας Ζεὺς Ἥρα τε καὶ πάντες               41a1

ὅσους ἴσμεν ἀδελφοὺς λεγομένους αὐτῶν, ἔτι τε τούτων

ἄλλους ἐκγόνους· ἐπεὶ δ᾿ οὖν πάντες ὅσοι τε περιπολοῦσιν

φανερῶς καὶ ὅσοι φαίνονται καθ᾿ ὅσον ἂν ἐθέλωσιν θεοὶ

γένεσιν ἔσχον, λέγει πρὸς αὐτοὺς ὁ τόδε τὸ πᾶν γεννήσας                    5

τάδε―

          가이아(대지)와 우라노스(하늘)의 자식들로 오케아노스와

테튀스 두 분께서 생성되시었고, 그분들로부터 포르퀴스와 

크로노스 그리고 레아와 이 분들의 동반자들께서, 그리고 

크로노스와 레아로부터 제우스와 헤라 그리고 그 분들의

형제들로 말해지는 분들로 우리가 알고 있는 분들께서,

더 나아가 이분들로부터 그 외의 후손들께서 생성되시었지요.

그리하여 분명하게 회전운행하는 신들과 또한 바라시는 한에서

드러나 보이시는 신들 그 모든 신들께서 생성을 지니셨기에,

그 분들을 향해 여기 이 모든 것을 낳으신 분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Θεοὶ θεῶν, ὧν ἐγὼ δημιουργὸς πατήρ τε ἔργων, δι᾿ ἐμοῦ

γενόμενα ἄλυτα ἐμοῦ γε μὴ ἐθέλοντος. τὸ μὲν οὖν δὴ

δεθὲν πᾶν λυτόν,[각주:1] τό γε μὴν καλῶς ἁρμοσθὲν καὶ ἔχον εὖ                 b

λύειν ἐθέλειν κακοῦ· δι᾿ ἃ καὶ ἐπείπερ γεγένησθε, ἀθάνατοι

μὲν οὐκ ἐστὲ οὐδ᾿ ἄλυτοι τὸ πάμπαν, οὔτι μὲν δὴ λυθή-

σεσθέ γε οὐδὲ τεύξεσθε θανάτου μοίρας, τῆς ἐμῆς βουλήσεως

μείζονος ἔτι δεσμοῦ[각주:2] καὶ κυριωτέρου λαχόντες ἐκείνων οἷς ὅτ᾿             5

ἐγίγνεσθε συνεδεῖσθε. νῦν οὖν ὃ λέγω πρὸς ὑμᾶς ἐνδεικνύ-

μενος, μάθετε. 

"신들 중의 신들이여, 나 자신이 그 작품들의 장인이자 아버지인 

신들이여, 내가 원치 않는 한 해체되지 않는 것들로 나를 통해 생성된

것들이기에, 그리하여 결속된 모든 것은 해체되는 것이지만, 물론

적어도 아름답게 조화되고 좋은 상태에 있는 것을 해체하기 바란다는

것은 악한 자에 속하느니라. 이런 점들로 인해 정녕 그대들이

생성되었기도 하였기에, 불사자들로 있지도 않고 전적으로 해체되지

않는 자들로 있지도 않지만, 실로 결코 해체되는 일도 죽음의 운명을

맞이하는 일도 없을 것이니, 그대들이 생성될 때 그로써 함께 속박되었던

그 매듭들보다 훨씬 더 거대하고 권위있는 나의 의지라는 매듭에

운명지어져 선택됨으로써 그러하다. 그리하여 이제 내가 그대들을

상대로 말하는 바를 증명하니, 배우도록 하라.

                   θνητὰ ἔτι γένη λοιπὰ τρία ἀγέννητα· τούτων

δὲ μὴ γενομένων οὐρανὸς ἀτελὴς ἔσται· τὰ γὰρ ἅπαντ᾿ ἐν

αὑτῷ γένη ζῴων οὐχ ἕξει, δεῖ δέ, εἰ μέλλει τέλεος ἱκανῶς                   c

εἶναι. δι᾿ ἐμοῦ δὲ ταῦτα γενόμενα καὶ βίου μετασχόντα                         //210224

θεοῖς ἰσάζοιτ᾿ ἄν· ἵνα οὖν θνητά τε ᾖ τό τε πᾶν τόδε ὄντως

ἅπαν ᾖ, τρέπεσθε κατὰ φύσιν ὑμεῖς ἐπὶ τὴν τῶν ζῴων δη-

μιουργίαν, μιμούμενοι τὴν ἐμὴν δύναμιν περὶ τὴν ὑμετέραν                5

γένεσιν. 

죽는 유들로서 남은 세 가지가 아직 태어나지 않은 것들이다.

한데 이것들이 생성되지 않았기에 하늘은 완성되지 않은 것으로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자신 안에 생물들의 통틀어 모든 유들을

지니지 못할 것이나, 만일 장차 족히 완성된 것으로 있으려면,

그 일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한데 그것들이 나를 통해 성성되어

생에 참여한다면 신들과 동등하게 될 것이다. 그리하여 그것들이

사멸하는 것들이도록 그리고 또한 여기 이 모든 것이 있는 그대로

통틀어 모든 것으로 있도록, 본성에 따라 그대들이 생명들의 제작을

향하도록 하라, 그대들의 생성에 관련한 나의 능력을 모방하며.

> 이 부분에서는 외적 제한 때문에 우주제작자의 책임과 무관하게

가사성이 유입되는 게 아니라, 우주제작자가 완전성을 위해 가사성을

의도적으로 도입시키고 있다. 41a8-b1, 조화로운 것의 해체를 바라는

것은 악한 자의 일이다. 그런데 가사성이 해체라면, 가사성을 의도하는

것이 가장 선한 자인 우주제작자의 일일 수 없다. 그런데 반대로 외적

제한 때문이라면, 신이 가사성을 도입시키도록 명령하는 위의 서술이

이해가 안 된다. 만일 신과 동급이 아니게 만드는 것의 이유가 휘브리스를

금지하기 위해서라면 신의 인색하지 않다는 성격과 어울리지 않는다.

           καὶ καθ᾿ ὅσον μὲν αὐτῶν ἀθανάτοις ὁμώνυμον

εἶναι προσήκει, θεῖον λεγόμενον ἡγεμονοῦν τε ἐν αὐτοῖς τῶν

ἀεὶ δίκῃ καὶ ὑμῖν ἐθελόντων ἕπεσθαι, σπείρας καὶ ὑπαρξάμενος

ἐγὼ παραδώσω· τὸ δὲ λοιπὸν ὑμεῖς, ἀθανάτῳ θνητὸν προσ-              d

υφαίνοντες, ἀπεργάζεσθε ζῷα καὶ γεννᾶτε τροφήν τε

διδόντες αὐξάνετε καὶ φθίνοντα πάλιν δέχεσθε."

       그것들의 불멸하는 것들과 같은 이름으로 있기에 어울리는

것에 한하여, 그것이 신적인 것으로서 말해지며 언제나 정의에 

그리고 그대들에 따르기를 바라는 것들 중 그것들 안에서도 

주도하도록, 내가 처음에 씨를 뿌려서 건네주리라. 남은 것은

그대들이, 가사적인 것을 불사적인 것과 서로 엮어, 생물들을

구현시키고 산출하여 양식을 주며 성장시키고 사멸하는 것들을

다시 받아들이도록 하라."

 

Ταῦτ᾿ εἶπε, καὶ πάλιν ἐπὶ τὸν πρότερον κρατῆρα, ἐν ᾧ τὴν

τοῦ παντὸς ψυχὴν κεραννὺς ἔμισγεν, τὰ τῶν πρόσθεν ὑπό-                5

λοιπα κατεχεῖτο μίσγων τρόπον μέν τινα τὸν αὐτόν, ἀκήρατα

δὲ οὐκέτι κατὰ ταὐτὰ ὡσαύτως, ἀλλὰ δεύτερα καὶ τρίτα.

이렇게 이야기하시고, 다시 앞서의 그릇, 그 안에서 모든 것의

영혼을 혼합하여 섞으신 그 그릇에, 이전의 것들 중 남은 것들을

모종의 같은 방식으로 섞으며 부으셨으며, 그러나 더 이상 뒤섞이지

않은 것들을 같은 것들에 따라 마찬가지 방식으로 그리하신 게

아니라, 두 번째 그리고 세 번째 것들을 그리 하셨습니다.

συστήσας δὲ τὸ πᾶν διεῖλεν ψυχὰς ἰσαρίθμους τοῖς ἄστροις,

ἔνειμέν θ᾿ ἑκάστην πρὸς ἕκαστον, καὶ ἐμβιβάσας ὡς ἐς                     e

ὄχημα τὴν τοῦ παντὸς φύσιν ἔδειξεν, νόμους τε τοὺς εἱμαρ-

μένους εἶπεν αὐταῖς, ὅτι γένεσις πρώτη μὲν ἔσοιτο τεταγμένη

μία πᾶσιν, ἵνα μήτις ἐλαττοῖτο ὑπ᾿ αὐτοῦ, δέοι δὲ σπαρείσας

αὐτὰς εἰς τὰ προσήκοντα ἑκάσταις ἕκαστα ὄργανα χρόνων                5

φύναι ζώων τὸ θεοσεβέστατον, διπλῆς δὲ οὔσης τῆς ἀνθρω-         42a1

πίνης φύσεως, τὸ κρεῖττον τοιοῦτον εἴη γένος ὃ καὶ ἔπειτα

κεκλήσοιτο ἀνήρ. 

그 모든 것을 구성하시고서 별들과 같은 수의 영혼들로 분할하셨고,

또한 각각의 별에 각각의 영혼을 할당하셨고, 탈 것에 태우듯

태우시어 모든 것의 본성을 증명해 보이셨는데, 그들에게 운명지어진

법률 또한 그들에게 이야기하시길, 최초의 생성은 모든 것들에게

단일한 것으로서 정해져 있을지니, 그 무엇도 그 점에서 부족함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라고, 다른 한편 각 영혼에 적합한 각각의 

시간들의 기관들을 향해 파종된 영혼들이 생물들 중에서 가장 

신의 대한 공경심을 갖춘 것으로 자라나야 할 것이며, 인간적인 

본성은 이중의 것으로 있으니, 더 강한 것이 이후에 남성이라 

불릴 그러한 유로 있을 것이라 하셨습니다.

                       ὁπότε δὴ σώμασιν ἐμφυτευθεῖεν ἐξ

ἀνάγκης, καὶ τὸ μὲν προσίοι, τὸ δ᾿ ἀπίοι τοῦ σώματος αὐτῶν,

πρῶτον μὲν αἴσθησιν ἀναγκαῖον εἴη μίαν πᾶσιν ἐκ βιαίων                  5

παθημάτων σύμφυτον γίγνεσθαι, δεύτερον δὲ ἡδονῇ καὶ λύπῃ

μεμειγμένον ἔρωτα, πρὸς δὲ τούτοις φόβον καὶ θυμὸν ὅσα

τε ἑπόμενα αὐτοῖς καὶ ὁπόσα ἐναντίως πέφυκε διεστηκότα·               b

ὧν εἰ μὲν κρατήσοιεν δίκῃ βιώσοιντο, κρατηθέντες δὲ ἀδικίᾳ.

                                       그래서 [영혼들이?] 필연을 통해

신체들에 심어질 때마다, 그리고 어떤 것은 그 영혼들의 신체에 

다가오고, 또 어떤 것은 그 신체에서 떠나갈 때마다, 우선 강제적인

겪음들로부터 모두에게 단일한 지각이 함께 태어나는 것으로서

생성되는 일이 필연적일 것이고, 두 번째로는 쾌락과 고통에

뒤섞인 애욕이, 이러한 것들 다음으로 공포와 열망 그리고

그것들에 뒤따르는 것들과 또한 본성상 반대로 떨어져 서 있게

마련인 것들까지 생성되는 일이 필연적일 것입니다. 그것들은 

영혼들이 제어한다면 정의롭게 살게 될, 반면 제어당한다면 

부정의하게 살게 될 그러한 것들이지요.

καὶ ὁ μὲν εὖ τὸν προσήκοντα χρόνον βιούς, πάλιν εἰς τὴν

τοῦ συννόμου πορευθεὶς οἴκησιν ἄστρου, βίον εὐδαίμονα καὶ

συνήθη ἕξοι, σφαλεὶς δὲ τούτων εἰς γυναικὸς φύσιν ἐν τῇ                   5

δευτέρᾳ γενέσει μεταβαλοῖ· μὴ παυόμενός τε ἐν τούτοις ἔτι               c

κακίας, τρόπον ὃν κακύνοιτο, κατὰ τὴν ὁμοιότητα τῆς τοῦ

τρόπου γενέσεως εἴς τινα τοιαύτην ἀεὶ μεταβαλοῖ θήρειον

φύσιν, ἀλλάττων τε οὐ πρότερον πόνων λήξοι, πρὶν τῇ ταὐτοῦ

καὶ ὁμοίου περιόδῳ τῇ ἐν αὑτῷ συνεπισπώμενος τὸν πολὺν                5

ὄχλον καὶ ὕστερον προσφύντα ἐκ πυρὸς καὶ ὕδατος καὶ ἀέρος

καὶ γῆς, θορυβώδη καὶ ἄλογον ὄντα, λόγῳ κρατήσας εἰς τὸ               d

τῆς πρώτης καὶ ἀρίστης ἀφίκοιτο εἶδος ἕξεως.                                    //210303

               그리고 한편으로 적절한 시간 동안 잘 사는 자는,

다시 함께 맺어진 별의 거처로 돌아가, 행복하고도 익숙한

삶을 영위할 테지만, 이런 일들에서 좌절된 자는 여성의 본성으로 

두 번째 생성에서 변화할 것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여전히 

악을 그치지 않는 자는, 그가 악화된 그 방식에서, 그 방식의 

생성과의 유사성에 따라 이런 어떤 짐승 같은 본성으로

언제나 변할 것이며, 뒤바뀌면서 더 먼저 고역을 그치지는 못할

것입니다, 자신 안의 같은 것 그리고 유사한 것의 궤도와 함께

거대한 덩어리이자 이후 불과 물과 바람과 흙을 통해 더욱 

자라나기까지 하는 것, 그 요동치는 비논리적인 것으로 있는 것을 

함께 이끌어 말로써 제압하여 처음 그 최선의 상태의 그 형상에 

도달하기 전에는 말입니다.

> 『파이돈』에서 영혼이 육체에 가까이 있다 보면 무겁고 질척거리게 되고 등등의

언급과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διαθεσμο-

θετήσας δὲ πάντα αὐτοῖς ταῦτα, ἵνα τῆς ἔπειτα εἴη κακίας

ἑκάστων ἀναίτιος, ἔσπειρεν τοὺς μὲν εἰς γῆν, τοὺς δ᾿ εἰς

σελήνην, τοὺς δ᾿ εἰς τἆλλα ὅσα ὄργανα χρόνου· τὸ δὲ μετὰ                5

τὸν σπόρον τοῖς νέοις παρέδωκεν θεοῖς σώματα πλάττειν

θνητά, τό τ᾿ ἐπίλοιπον, ὅσον ἔτι ἦν ψυχῆς ἀνθρωπίνης δέον

προσγενέσθαι,[각주:3] τοῦτο καὶ πάνθ᾿ ὅσα ἀκόλουθα ἐκείνοις ἀπερ-           e

γασαμένους ἄρχειν, καὶ κατὰ δύναμιν ὅτι κάλλιστα καὶ

ἄριστα τὸ θνητὸν διακυβερνᾶν ζῷον, ὅτι μὴ κακῶν αὐτὸ

ἑαυτῷ γίγνοιτο αἴτιον.

                                   그들에게 이러한 모든 것들을 

법령으로 세우셨으니, 그들 각자의 이후의 악에 대해 원인 아닌

분으로 계시기 위해 그리 하시고서, 어떤 자들은 대지에, 또

어떤 자들은 달에, 또 다른 자들은 시간의 기관들인 그 외의 별들에

파종하시었지요. 한데 파종 다음으로는 그 분께서 어린 신들에게

가사적인 신체들을 주조하도록 넘겨주셨고, 여전히 남아 있는 것,

인간적인 영혼에 아직 추가로 생성되어야 하는 것, 이러한 것과 또한

저것들에게 뒤따르는 모든 것들을 구현해내 지배하도록, 그리고

능력이 닿는 한 최대한 아름답고 선하게 그 가사적인 생물을 이끌어

항해해 나아가도록, 그 생물이 그 자신에게 악들의 원인이 되지 않을

그 무엇이든 그리하도록 넘겨주셨습니다.

 

Καὶ ὁ μὲν δὴ ἅπαντα ταῦτα διατάξας ἔμενεν ἐν τῷ ἑαυτοῦ                 5

κατὰ τρόπον ἤθει· μένοντος δὲ νοήσαντες οἱ παῖδες τὴν τοῦ

πατρὸς τάξιν ἐπείθοντο αὐτῇ, καὶ λαβόντες ἀθάνατον ἀρχὴν

θνητοῦ ζῴου, μιμούμενοι τὸν σφέτερον δημιουργόν, πυρὸς

καὶ γῆς ὕδατός τε καὶ ἀέρος ἀπὸ τοῦ κόσμου δανειζόμενοι

μόρια ὡς ἀποδοθησόμενα πάλιν, εἰς ταὐτὸν τὰ λαμβανόμενα         43a1

συνεκόλλων, οὐ τοῖς ἀλύτοις οἷς αὐτοὶ συνείχοντο δεσμοῖς,

ἀλλὰ διὰ σμικρότητα ἀοράτοις πυκνοῖς γόμφοις συντήκοντες,<마침표가 나을 듯.>

ἓν ἐξ ἁπάντων ἀπεργαζόμενοι σῶμα ἕκαστον, τὰς τῆς ἀθα-

νάτου ψυχῆς περιόδους ἐνέδουν εἰς ἐπίρρυτον σῶμα καὶ                   5

ἀπόρρυτον. 

그리고 나서 통틀어 이러한 모든 것들을 배치해 놓으시고서

그 분께서는 자신의 성격에 맞게 당신 자신의 익숙하신 자리에

거하셨습니다. 그런데 그 분께서 거하실 때 그 분의 자제들께서는

아버지 되시는 분의 배치를 사려하여 그 배치에 따르셨고,

가사적 생물의 불멸하는 시초를 취해, 그 분들 자신들의 장인을

모방하시며, 불과 흙 그리고 물과 바람의 부분들을 다시 반환될

것으로 생각하시며 질서로부터 빌려오시고, 그 취해진 것들을

같은 것이 되도록 접착시키셨는데, 그 분들 자신들께서 그로써

연속되신 바 그 해체되지 않는 매듭들이 아니라, 그 미세함으로 인해

보이지 않는 조밀한 못들로 접합시키시며, 통틀어 그 모든 것들로부터

각각의 단일한 신체를 구현해내시며, 불멸하는 영혼의 궤도들을

흘려들여보내고 또 흘려보내는 신체에 결속시켜 넣으셨습니다.

                αἱ δ᾿ εἰς ποταμὸν ἐνδεθεῖσαι πολὺν οὔτ᾿ ἐκρά-

τουν οὔτ᾿ ἐκρατοῦντο, βίᾳ δὲ ἐφέροντο καὶ ἔφερον, ὥστε τὸ

μὲν ὅλον κινεῖσθαι ζῷον, ἀτάκτως μὴν ὅπῃ τύχοι προϊέναι               b

καὶ ἀλόγως, τὰς ἓξ ἁπάσας κινήσεις ἔχον· εἴς τε γὰρ τὸ

πρόσθε καὶ ὄπισθεν καὶ πάλιν εἰς δεξιὰ καὶ ἀριστερὰ κάτω

τε καὶ ἄνω καὶ πάντῃ κατὰ τοὺς ἕξ τόπους πλανώμενα

προῄειν.                                                                                  5

그런데 거대한 흐름에 속박된 영혼의 궤도들은 제압하지도

제압되지도 않았으나, 강제로 운행되고 또 운행하여, 그래서

그 생물 전체는 운동하게 되었고, 불규칙하고 비논리적으로

되는대로 나아가게 되었으니, 통틀어 여섯 가지 운동들 전부를

지닌 채로 그리 하게 되었습니다. 즉 앞으로도 또 뒤로도 그리고

다시 오른편으로도 왼편으로도 그리고 아래로도 위로도 모든

방향으로 여섯 가지 장소들에 따라 방황하며 나아갔다는 것이죠.

            πολλοῦ γὰρ ὄντος τοῦ κατακλύζοντος καὶ ἀπορ-                 5

ρέοντος κύματος ὃ τὴν τροφὴν παρεῖχεν, ἔτι μείζω θόρυβον

ἀπηργάζετο τὰ τῶν προσπιπτόντων παθήματα ἑκάστοις, ὅτε

πυρὶ προσκρούσειε τὸ σῶμά τινος ἔξωθεν ἀλλοτρίῳ περι-                c

τυχὸν ἢ καὶ στερεῷ γῆς πάγῳ ὑγροῖς τε ὀλισθήμασιν ὑδάτων,

εἴτε ζάλῃ πνευμάτων ὑπὸ ἀέρος φερομένων καταληφθείη,

καὶ ὑπὸ πάντων τούτων διὰ τοῦ σώματος αἱ κινήσεις ἐπὶ

τὴν ψυχὴν φερόμεναι προσπίπτοιεν· αἳ δὴ καὶ ἔπειτα διὰ                  5

ταῦτα ἐκλήθησάν τε καὶ νῦν ἔτι αἰσθήσεις συνάπασαι κέ-

κληνται. 

왜냐하면 양분을 제공하며 쏟아져들고 또한 역류하는 파도가

거대한 것으로 있기에, 각각의 것들에게 부딪쳐오는 것들을

겪은 결과들이 훨씬 더 큰 소란을 구현해내기 때문입니다. 

무언가의 신체가 외부의 자신 이외의 불과 마주쳐 충돌할 때에나 

흙의 굳어진 입방체와 혹은 또 습한 것들로 된 미끄러운 물과

충돌할 때, 또는 바람에 의해 운행되는 숨들의 소용돌이에

사로잡힐 때, 이러한 모든 일들에 의해 신체를 통해 그 운동들이

영혼에 전해져 부딪칠 때 말이지요. 그래서 이후로도 이러한

점들로 인해 오늘날까지도 여전히 그 모든 운동들이 함께 

지각들이라 불려 왔습니다.                                             // 210317

            καὶ δὴ καὶ τότε ἐν τῷ παρόντι πλείστην καὶ

μεγίστην παρεχόμεναι κίνησιν, μετὰ τοῦ ῥέοντος ἐνδελεχῶς

ὀχετοῦ κινοῦσαι καὶ σφοδρῶς σείουσαι τὰς τῆς ψυχῆς περι-             d

όδους, τὴν μὲν ταὐτοῦ παντάπασιν ἐπέδησαν ἐναντία αὐτῇ

ῥέουσαι καὶ ἐπέσχον ἄρχουσαν καὶ ἰοῦσαν, τὴν δ᾿ αὖ θατέρου

διέσεισαν, ὥστε τὰς τοῦ διπλασίου καὶ τριπλασίου τρεῖς

ἑκατέρας ἀποστάσεις καὶ τὰς τῶν ἡμιολίων καὶ ἐπιτρίτων                  5

καὶ ἐπογδόων μεσότητας καὶ συνδέσεις, ἐπειδὴ παντελῶς

λυταὶ οὐκ ἦσαν πλὴν ὑπὸ τοῦ συνδήσαντος, πάσας μὲν

στρέψαι στροφάς, πάσας δὲ κλάσεις καὶ διαφθορὰς τῶν                  e

κύκλων ἐμποιεῖν, ὁσαχῇπερ ἦν δυνατόν, ὥστε μετ᾿ ἀλλήλων

μόγις συνεχομένας φέρεσθαι μέν, ἀλόγως δὲ φέρεσθαι, τοτὲ

μὲν ἀντίας, ἄλλοτε δὲ πλαγίας, τοτὲ δὲ ὑπτίας· 

                                   더 나아가 [지각은] 그 때 그 자리에서

가장 많고도 가장 거대한 운동을 내놓으면서, 지속적인 흐름의 관을

따라 격렬하게 영혼의 궤도들을 운동시키고 뒤흔들어서, 같은 것의

궤도 전부를 그것과 반대로 흘러 결박하였고 그 궤도가 지배하며

진행하는 것을 붙들어 세웠으며, 다른 한편 다시 다른 것의 궤도는

뒤흔들어 버려서, 2배와 3배 양편 각각 셋씩의 간격들과 1½들과 1⅓들

그리고 1⅛들이라는 중항들이자 매듭들에 있어서, 결박한 자에 의해서가

아니고는 완전히 해체되는 것들로 있지 않았기에, 그 모두를 나선형들로

회전시키는가 하면, 원들의 모든 단절(斷折)과 파괴를 만들어 넣게

되었고, 가능한 온갖 방식들로 그리 하여, 궤도들이 서로간에 가까스로 

연속되어 운행하긴 하지만, 비논리적으로 운행하게 되었고, 어떤 때엔

반대되는, 또 그 외의 경우에는 옆으로 된, 또 어느 때에는 뒤집힌 

궤도들이 운행되게 되었습니다.

                                                             οἷον ὅταν

τις ὕπτιος ἐρείσας τὴν κεφαλὴν μὲν ἐπὶ γῆς, τοὺς δὲ πόδας                 5

ἄνω προσβαλὼν ἔχῃ πρός τινι, τότε ἐν τούτῳ τῷ πάθει τοῦ

τε πάσχοντος καὶ τῶν ὁρώντων τά τε δεξιὰ ἀριστερὰ καὶ

τὰ ἀριστερὰ δεξιὰ ἑκατέροις τὰ ἑκατέρων φαντάζεται. 

                                        이를 테면 누군가 뒤집힌 자가

대지를 향해 머리를 대고서, 다리는 위로 박찬 채로 누군가를 향해

있을 경우, 그 때 이러한 상황에서 그 상태를 겪는 자에 대해서도

그를 보는 사람들에 대해서도 오른편의 것들이 왼편 것들로 또

왼편 것들도 오른 편의 것들로 양편 각각의 [사람들이 겪거나 보는]

것들이 양편 각각[의 사람들]에게 나타나게 된다는 것이지요.

                                                                       ταὐτὸν

δὴ τοῦτο καὶ τοιαῦτα ἕτερα αἱ περιφοραὶ πάσχουσαι σφοδρῶς,

ὅταν τέ τῳ τῶν ἔξωθεν τοῦ ταὐτοῦ γένους ἢ τοῦ θατέρου            44a1

περιτύχωσιν, τότε ταὐτόν τῳ καὶ θάτερόν του τἀναντία τῶν

ἀληθῶν προσαγορεύουσαι ψευδεῖς καὶ ἀνόητοι γεγόνασιν,

οὐδεμία τε ἐν αὐταῖς τότε περίοδος ἄρχουσα οὐδ᾿ ἡγεμών

ἐστιν· αἷς δ᾿ ἂν ἔξωθεν αἰσθήσεις τινὲς φερόμεναι καὶ προσ-              5

πεσοῦσαι συνεπισπάσωνται καὶ τὸ τῆς ψυχῆς ἅπαν κύτος,

τόθ᾿ αὗται κρατούμεναι κρατεῖν δοκοῦσι. καὶ διὰ δὴ ταῦτα

πάντα τὰ παθήματα νῦν κατ᾿ ἀρχάς τε ἄνους ψυχὴ γίγνεται

τὸ πρῶτον, ὅταν εἰς σῶμα ἐνδεθῇ θνητόν. 

그래서 이와 같은 일과 또한 이러한 또 다른 일들을 그 회전들이

심각하게 겪어서, 외부의 것들 중 같은 것의 유에 속한 것이든

다른 것의 유에 속한 것이든 어떤 것에 그 회전들이 마주칠 경우,

그 때 어떤 것과 같은 것 그리고 어떤 것과 다른 것을 참된 것들과

반대로 호명함으로써 거짓되고도 비지성적인 것들로 생성되고,

그 회전들 안에서도 그 어느 한 궤도도 그 때 지배하지도 주도하지도

못하는 것으로 있습니다. 그런데 그 회전들에 외부로부터 어떤

지각들이 운행되어 충돌하여서 그 영혼의 그릇 전체까지 함께

끌고 간다면, 그 때 이러한 회전들은 굴복하면서도 굴복시키는

것처럼 여겨집니다. 더욱이 이러한 모든 겪음들로 인해 오늘날

그리고 애초부터도 영혼이 처음으로 비지성적으로 생성되는데,

영혼이 가사적인 신체 안으로 속박될 때 그리 되지요. 

> κύτος가 몸일지 영혼 전체일지 논쟁이 있다. 내 해석은

영혼(회전)이 사실은 지각에 지배를 당하면서도 마치 여전히

영혼이 지각을 통제하고 있는 것처럼 여겨지는 그림.

그릇이 영혼이라면 지각과 영혼의 관계, 그릇이 몸일 경우

영혼이 지배당하는 것은 지각에 의한 것, 영혼이 지배하는 것은

몸을 상대로 한 것.

                                                        ὅταν δὲ τὸ τῆς                b

αὔξης καὶ τροφῆς ἔλαττον ἐπίῃ ῥεῦμα, πάλιν δὲ αἱ περίοδοι

λαμβανόμεναι γαλήνης τὴν ἑαυτῶν ὁδὸν ἴωσι καὶ καθιστῶνται

μᾶλλον ἐπιόντος τοῦ χρόνου, τότε ἤδη πρὸς τὸ κατὰ φύσιν

ἰόντων σχῆμα ἑκάστων τῶν κύκλων αἱ περιφοραὶ κατευθυνό-            5

μεναι, τό τε θάτερον καὶ τὸ ταὐτὸν προσαγορεύουσαι κατ᾿ 

ὀρθόν, ἔμφρονα τὸν ἔχοντα αὐτὰς γιγνόμενον ἀποτελοῦσιν.

                                                         그런데 성장을 위한

양분의 더 적은 흐름이 향해올 때, 그리고 다시 그 궤도들이 평정을

취함으로써 그들 자신들의 경로로 진행하고 시간이 흐름으로써

더욱 안정되게 자리를 지킬 때, 그 때 비로소 이제 본성에 따른

형태를 향해 각각의 원들이 나아가기에 그 회전들이 곧게 나아가게

됨으로써, 다른 것도 같은 것도 옳게 호명하여, 그 회전들을 지니는

자가 현명함을 갖춘 자로서 생성되는 일을 그 회전들이 완성해냅니다. 

ἂν μὲν οὖν δὴ καὶ συνεπιλαμβάνηταί τις ὀρθὴ τροφὴ παι-

δεύσεως, ὁλόκληρος ὑγιής τε παντελῶς, τὴν μεγίστην ἀπο-               c

φυγὼν νόσον, γίγνεται· καταμελήσας δέ, χωλὴν τοῦ βίου

διαπορευθεὶς ζωήν, ἀτελὴς καὶ ἀνόητος εἰς Ἅιδου πάλιν

ἔρχεται. ταῦτα μὲν οὖν ὕστερά ποτε γίγνεται· περὶ δὲ

τῶν νῦν προτεθέντων δεῖ διελθεῖν ἀκριβέστερον, τὰ δὲ πρὸ               5

τούτων, περὶ σωμάτων κατὰ μέρη τῆς γενέσεως καὶ περὶ

ψυχῆς, δι᾿ ἅς τε αἰτίας καὶ προνοίας γέγονε θεῶν, τοῦ μά-

λιστα εἰκότος ἀντεχομένοις, οὕτω καὶ κατὰ ταῦτα πορευομένοις       d

διεξιτέον.

그리하여 더욱이 어떤 올바른 양육이 교육을 보조하기도 한다면, 

오롯하고도 완전하게 건전한 자가 됩니다, 가장 거대한 질병을

피함으로써 말이지요. 반면에 이를 간과하면, 그의 생애 동안 

절름발이 삶을 영위하여, 불완전하고 비지성적인 자로서 하데스로

다시 돌아가게 됩니다. 그리하여 이런 일들이 이후 언젠가 일어나게

되지요. 그런데 지금 당면한 일들에 대해서는 더 엄밀하게 상술할

필요가 있고, 이것들에 앞선 것들은, 생성의 일부로서 신체들에

관련하여 그리고 영혼에 관련하여, 어떤 원인들과 또한 신들의

어떤 예지로 인해 생성되었는지, 최대로 모상적인 바를 견지하며,

그런 식으로 이러한 것들에 따라서도 진행하며 상술해야만 합니다.

 

Τὰς μὲν δὴ θείας περιόδους δύο οὔσας, τὸ τοῦ παντὸς

σχῆμα ἀπομιμησάμενοι περιφερὲς ὄν, εἰς σφαιροειδὲς σῶμα

ἐνέδησαν, τοῦτο ὃ νῦν κεφαλὴν ἐπονομάζομεν, ὃ θειότατόν               5

τέ ἐστιν καὶ τῶν ἐν ἡμῖν πάντων δεσποτοῦν· ᾧ καὶ πᾶν τὸ

σῶμα παρέδοσαν ὑπηρεσίαν αὐτῷ συναθροίσαντες θεοί, κατα-

νοήσαντες ὅτι πασῶν ὅσαι κινήσεις ἔσοιντο μετέχοι. 

그래서 둘로 있는 그 신적인 궤도들을, 신들께서 모든 것(우주)의 

그 운행하는 것으로 있는 형태를 모방해내시어, 구형의 신체에

결박해 넣으셨으니, 이것이 오늘날 우리가 머리라고 명명하는

것으로서, 가장 신적인 것으로 있거니와 우리 안의 모든 것들에

주인노릇을 하도록 있는 것이지요. 그 머리에 신체 전부도 신들께서

함께 모으시어 그것에 봉사토록 건네셨으니, 운동들로 있을 그

모든 운동들에 참여하리라 생각하셨기 때문입니다.

                                                                     ἵν᾿

οὖν μὴ κυλινδούμενον ἐπὶ γῆς ὕψη τε καὶ βάθη παντοδαπὰ

ἐχούσης ἀποροῖ τὰ μὲν ὑπερβαίνειν, ἔνθεν δὲ ἐκβαίνειν,                  e

ὄχημα αὐτῷ τοῦτο καὶ εὐπορίαν ἔδοσαν· ὅθεν δὴ μῆκος τὸ

σῶμα ἔσχεν, ἐκτατά τε κῶλα καὶ καμπτὰ ἔφυσεν τέτταρα

θεοῦ μηχανησαμένου πορείαν, οἷς ἀντιλαμβανόμενον καὶ

ἀπερειδόμενον διὰ πάντων τόπων πορεύεσθαι δυνατὸν γέγονε,          5

τὴν τοῦ θειοτάτου καὶ ἱερωτάτου φέρον οἴκησιν ἐπάνωθεν           45a1

ἡμῶν. 

                                                                 그리하여

온갖 높고 낮은 곳들을 지니는 대지 위를 구르며 어떤 경우에는 

넘어가고, 또 어떤 경우에는 안에서 빠져나오고 하는 데에 곤란을

겪지 않도록, 그 머리에게 이러한 탈 것이자 이동수단을 주셨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연유로 신체가 길이를 지녔고, 뻗을 수도 있고 굽힐

수도 있는 사지는 신의 그 수단을 고려하심으로부터 자라나왔던

것이니, 그 사지로써 붙잡고 지탱하여 모든 장소들을 통과해 진행할

능력이 생겼던 것입니다. 가장 신적이고도 가장 신성한 것의 거처를 

우리의 윗단에 얹어 나르면서 말이지요.

        σκέλη μὲν οὖν χεῖρές τε ταύτῃ καὶ διὰ ταῦτα προσ-

έφυ πᾶσιν· τοῦ δ᾿ ὄπισθεν τὸ πρόσθεν τιμιώτερον καὶ

ἀρχικώτερον νομίζοντες θεοὶ ταύτῃ τὸ πολὺ τῆς πορείας ἡμῖν

ἔδοσαν. ἔδει δὴ διωρισμένον ἔχειν καὶ ἀνόμοιον τοῦ σώματος             5

τὸ πρόσθεν ἄνθρωπον. διὸ πρῶτον μὲν περὶ τὸ τῆς κεφαλῆς

κύτος, ὑποθέντες αὐτόσε τὸ πρόσωπον, ὄργανα ἐνέδησαν

τούτῳ πάσῃ τῇ τῆς ψυχῆς προνοίᾳ, καὶ διέταξαν τὸ μετέχον              b

ἡγεμονίας τοῦτ᾿ εἶναι, τὸ κατὰ φύσιν πρόσθεν· τῶν δὲ ὀρ-

γάνων πρῶτον μὲν φωσφόρα συνετεκτήναντο ὄμματα, τοιᾷδε

ἐνδήσαντες αἰτίᾳ.                                                              //210324

                                                          그리하여 다리와

팔은 이런 식으로 그리고 이러한 일들로 인하여 모두에게 덧붙어

자라났습니다. 한데 뒤보다 앞을 더욱 명예롭고도 더욱 지배에

어울리는 것으로 신들께서 생각하시며 운동의 상당부분을 이쪽에

저희에게 주셨습니다. 그래서 인간은 규정된 것이자 마찬가지이지

않은 그러한 신체의 전면을 지녀야 했던 것입니다. 이런 이유로

우선은 머리라는 그릇 주위로, 바로 이쪽에 전면을 놓으시면서,

이것에 기관들을 영혼의 모든 계획을 위해 결박하셨고, 지배에

참여하는 것이 이러한 것으로 있도록, 본성에 따라 전면인 바의

것으로 있도록 정하셨습니다. 그런데 그 기관들 중에서 우선은

빛을 이끄는 눈들을 결합하셨으니,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결박시키셨지요.4

]

                        τοῦ πυρὸς ὅσον τὸ μὲν κάειν οὐκ ἔσχε,

τὸ δὲ παρέχειν φῶς ἥμερον, οἰκεῖον ἑκάστης ἡμέρας, σῶμα                  5

ἐμηχανήσαντο γίγνεσθαι. τὸ γὰρ ἐντὸς ἡμῶν ἀδελφὸν ὂν

τούτου πῦρ εἰλικρινὲς ἐποίησαν διὰ τῶν ὀμμάτων ῥεῖν λεῖον

καὶ πυκνὸν ὅλον μέν, μάλιστα δὲ τὸ μέσον συμπιλήσαντες

τῶν ὀμμάτων, ὥστε τὸ μὲν ἄλλο ὅσον παχύτερον στέγειν                  c

πᾶν, τὸ τοιοῦτον δὲ μόνον αὐτὸ καθαρὸν διηθεῖν. ὅταν οὖν

μεθημερινὸν ᾖ φῶς περὶ τὸ τῆς ὄψεως ῥεῦμα, τότε ἐκπῖπτον

ὅμοιον πρὸς ὅμοιον, συμπαγὲς γενόμενον, ἓν σῶμα οἰκειωθὲν

συνέστη κατὰ τὴν τῶν ὀμμάτων εὐθυωρίαν, ὅπῃπερ ἂν ἀντ-                5

ερείδῃ τὸ προσπῖπτον ἔνδοθεν πρὸς ὃ τῶν ἔξω συνέπεσεν.

                                                     불에서 한편으로는 

타오르는 일은 지니지 않지만, 다른 한편 길들여진, 매일에

어울리는, 유순한 빛을 내놓는 일은 지니는, 그러한 만큼의 것이

물체로 생성되게끔 고안하셨습니다. 즉 우리들 안에 이러한 불과

형제격으로 있는 순수한 불이 눈을 통해 전체로서는 부드럽고도

조밀한 채로 흐르도록, 그런데 눈의 중심 불은 특히 압착시키시면서

흐르도록 만드시어, 그보다 더 두터운 여타의 불은 모두를 담되,

오직 이러한 정제된 불만이 그 중심을 통과하도록 하셨으니까요. 

그리하여 나날의 빛이 시선의 흐름 주위에 있을 때, 그 때 유사한 

것이 유사한 것을 향해 쏘아져 나옴으로써, 함께 결합된 것이 

생성되어, 하나의 물체로서 친화되어 시각의 직선 방향을 따라 

구성되니, 내부로부터 쏘아진 것이 눈의 외부에서 마주치는 것에

맞서 저항할 그 어느 쪽으로든 그에 따라 말이지요.

ὁμοιοπαθὲς δὴ δι᾿ ὁμοιότητα πᾶν γενόμενον, ὅτου τε ἂν ἀυτό

ποτε ἐφάπτηται καὶ ὃν ἂν ἄλλο ἐκείνου, τούτων τὰς κινήσεις             d

διαδιδὸν εἰς ἅπαν τὸ σῶμα μέχρι τῆς ψυχῆς αἴσθησιν παρ-

έσχετο ταύτην ᾗ δὴ ὁρᾶν φαμεν. ἀπελθόντος δὲ εἰς νύκτα

τοῦ συγγενοῦς πυρὸς ἀποτέτμηται· πρὸς γὰρ ἀνόμοιον ἐξιὸν

ἀλλοιοῦταί τε αὐτὸ καὶ κατασβέννυται, συμφυὲς οὐκέτι τῷ                  5

πλησίον ἀέρι γιγνόμενον, ἅτε πῦρ οὐκ ἔχοντι. 

그래서 유사성으로 인해 그 하나 전체가 유사한 상태로 됨으로써,

그것이 무엇에 접하든 또 그 외의 어떤 것이 저것에 접하든,

이것들의 운동들을 그 물체 전체로 나아가 영혼에 이르기까지

전달하여 우리가 실로 그로써 본다고 주장하는 이러한 감각을

제공하였지요. 그런데 동류인 불이 밤에 이르면 그 감각이

끊어집니다. 왜냐하면 유사하지 않은 것을 향해 방출되어 그것이

달라지고 꺼지기 때문인데, 더 이상 주변 공기와 함께 자라나는

것이 되지 않기에 그러하니, 그 공기가 불을 지니지 않기

때문입니다.

                                                            παύεταί τε

οὖν ὁρῶν, ἔτι τε ἐπαγωγὸν ὕπνου γίγνεται· σωτηρίαν γὰρ

ἣν οἱ θεοὶ τῆς ὄψεως ἐμηχανήσαντο, τὴν τῶν βλεφάρων

φύσιν, ὅταν ταῦτα συμμύσῃ, καθείργνυσι τὴν τοῦ πυρὸς ἐντὸς           e

δύναμιν, ἡ δὲ διαχεῖ τε καὶ ὁμαλύνει τὰς ἐντὸς κινήσεις,

ὁμαλυνθεισῶν δὲ ἡσυχία γίγνεται, γενομένης δὲ πολλῆς μὲν

ἡσυχίας βραχυόνειρος ὕπνος ἐμπίπτει, καταλειφθεισῶν δέ

τινων κινήσεων μειζόνων, οἷαι καὶ ἐν οἵοις ἂν τόποις λεί-                   5

πωνται, τοιαῦτα καὶ τοσαῦτα παρέσχοντο ἀφομοιωθέντα ἐντὸς     46a1

ἔξω τε ἐγερθεῖσιν ἀπομνημονευόμενα φαντάσματα. 

                                                                 그리하여

보는 것을 그치게 되고, 나아가 잠으로 이끄는 것으로 되죠.

왜냐하면 신들께서 시각의 구제책으로 고안하셨던 바, 눈꺼풀의

본성에서, 이것들이 닫힐 경우, 내부의 불의 능력을 차단하고, 이

능력은 내부의 운동들을 분산시키고 또한 고르게 만들어, 그렇게

평탄해질 경우에 평정(침묵)이 생성되고, 많은 평정이 이루어질

때 꿈이 드문 잠이 찾아오는 반면, 어떤 더욱 큰 운동들이 남겨질

때에는, 어떤 운동들이 어떤 장소에 남든, 그러한 그리고 그 만큼의

유사한 가상들을 내면에서 제공하거니와 외부에서도 깨어 있는

자들에게 기억에 떠올려진 것들로서의 가상들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각주:5]

                                                                    τὸ δὲ

περὶ τὴν τῶν κατόπτρων εἰδωλοποιίαν καὶ πάντα ὅσα ἐμφανῆ

καὶ λεῖα, κατιδεῖν οὐδὲν ἔτι χαλεπόν. ἐκ γὰρ τῆς ἐντὸς

ἐκτός τε τοῦ πυρὸς ἑκατέρου κοινωνίας ἀλλήλοις, ἑνός τε αὖ                5

περὶ τὴν λειότητα ἑκάστοτε γενομένου καὶ πολλαχῇ μεταρ-

ρυθμισθέντος, πάντα τὰ τοιαῦτα ἐξ ἀνάγκης ἐμφαίνεται, τοῦ             b

περὶ τὸ πρόσωπον πυρὸς τῷ περὶ τὴν ὄψιν πυρὶ περὶ τὸ

λεῖον καὶ λαμπρὸν συμπαγοῦς γιγνομένου. 

그런데 거울들의 상-형성에 관련된 일과 모든 반사하는 매끄러운 

것들은, 더 이상 하나도 이해하기 어렵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안과

밖의 두 불 서로간의 공유로부터, 이번엔 또 매끄러움 주위에서 

매번 하나가 되고 또 여러 가지 방식으로 변형됨으로써, 이러한

모든 것들이 필연적으로 반사되기 때문입니다, 얼굴 주위의 불의 

시선 주위의 불과의 매끄럽고 빛나는 것 주위에서의 결합이 

생성됨으로써 말입니다.

                                                         δεξιὰ δὲ φαντά-

ζεται τὰ ἀριστερά, ὅτι τοῖς ἐναντίοις μέρεσιν τῆς ὄψεως περὶ

τἀναντία μέρη γίγνεται ἐπαφὴ παρὰ τὸ καθεστὸς ἔθος τῆς                  5

προσβολῆς· δεξιὰ δὲ τὰ δεξιὰ καὶ τὰ ἀριστερὰ ἀριστερὰ τοὐ-                      //210331

ναντίον, ὅταν μεταπέσῃ συμπηγνύμενον ᾧ συμπήγνυται φῶς,

τοῦτο δέ, ὅταν ἡ τῶν κατόπτρων λειότης, ἔνθεν καὶ ἔνθεν                c

ὕψη λαβοῦσα, τὸ δεξιὸν εἰς τὸ ἀριστερὸν μέρος ἀπώσῃ τῆς

ὄψεως καὶ θάτερον ἐπὶ θάτερον. κατὰ δὲ τὸ μῆκος στραφὲν

τοῦ προσώπου ταὐτὸν τοῦτο ὕπτιον ἐποίησεν πᾶν φαίνεσθαι,

τὸ κάτω πρὸς τὸ ἄνω τῆς αὐγῆς τό τ᾿ ἄνω πρὸς τὸ κάτω                     5

πάλιν ἀπῶσαν.

                              그런데 왼편이 오른편으로 나타나니,

시선의 반대 부분들과 [얼굴] 반대편 부분들에 관련하여 접촉의

익숙한 상태를 벗어나 접촉이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오른편은 오른편으로 왼편은 왼편으로 그 반대로 나타나는 것은,

빛이 결합대상과 결합된 채로 전환될 경우로, 이러한 일은, 거울의 

매끄러움이, 이편과 저편을 높여서, 오른쪽 부분을 시선의 왼쪽 

부분으로 또 다른 쪽은 다른 쪽에 밀어줄 때 나타납니다. 그런데

얼굴의 길이 쪽을 따라 그 똑같은 것이 뒤집히면 이러한 것이

모든 것을 위 아래가 뒤집힌 채로 나타나도록 만듭니다, 광선의

아래는 위로 또 위는 아래로 다시 밀어내어서 말이지요.

 

Ταῦτ᾿ οὖν πάντα ἔστιν τῶν συναιτίων οἷς θεὸς ὑπηρε-

τοῦσιν χρῆται τὴν τοῦ ἀρίστου κατὰ τὸ δυνατὸν ἰδέαν

ἀποτελῶν· δοξάζεται δὲ ὑπὸ τῶν πλείστων οὐ συναίτια                    d

ἀλλὰ αἴτια εἶναι τῶν πάντων, ψύχοντα καὶ θερμαίνοντα

πηγνύντα τε καὶ διαχέοντα καὶ ὅσα τοιαῦτα ἀπεργαζόμενα.

그러므로 이러한 모든 것들은 신께서 가능한 한 최선의 형상을

완성해내시면서 봉사하는 것들로서 사용하시는 그러한

공동원인들에 속하여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대다수의 사람들에

의해 [이런 모든 것들이] 모든 것들의 공동원인[각주:6]이 아니라

원인으로 있다고 여겨지고, 차갑게 하는 것과 뜨겁게 하는 것

그리고 압축시키는 것과 분산시키는 것 또한 이러한 것들을

실현시켜내는 것들까지 그리 여겨지지요.[각주:7]

> 차갑게 혹은 뜨겁게, 압축하거나 희박화하는 것이, 온건-불,

냉건-흙, 냉습-물, 온습-공기 아리스토텔레스 그림과 다른

사원소 그림이거나, 아니면 자연적 성질들로서 형상들로부터

유래하는 것들인지.

λόγον δὲ οὐδένα οὐδὲ νοῦν εἰς οὐδὲν δυνατὰ ἔχειν ἐστίν.

τῶν γὰρ ὄντων ᾧ νοῦν μόνῳ κτᾶσθαι προσήκει, λεκτέον                     5

ψυχήν―τοῦτο δὲ ἀόρατον, πῦρ δὲ καὶ ὕδωρ καὶ γῆ καὶ ἀὴρ

σώματα πάντα ὁρατὰ γέγονεν―τὸν δὲ νοῦ καὶ ἐπιστήμης

ἐραστὴν ἀνάγκη τὰς τῆς ἔμφρονος φύσεως αἰτίας πρώτας

μεταδιώκειν, ὅσαι δὲ ὑπ᾿ ἄλλων μὲν κινουμένων, ἕτερα δὲ ἐξ            e

ἀνάγκης κινούντων γίγνονται, δευτέρας. ποιητέον δὴ κατὰ

ταῦτα καὶ ἡμῖν· λεκτέα μὲν ἀμφότερα τὰ τῶν αἰτιῶν γένη,

χωρὶς δὲ ὅσαι μετὰ νοῦ καλῶν καὶ ἀγαθῶν δημιουργοὶ καὶ

ὅσαι μονωθεῖσαι φρονήσεως τὸ τυχὸν ἄτακτον ἑκάστοτε                   5

ἐξεργάζονται. 

그런데 그것들은 그 무엇을 위한 그 어떠한 논리도 지성도 

지닐 능력이 있지 않은 것들로 있습니다. 왜냐하면 있는 것들

중에서 유일하게 지성을 얻기에 적절한 것은, 영혼이라고

말해져야만 하기 때문입니다.―그런데 이것은 비가시적이고,

불과 물 그리고 흙과 공기는 모두 가시적인 물체들로서

생성되었습니다.―한데 지성과 앎의 구애자는 분별이 깃든

본성의 원인들을 일차적인 원인들로서 추구함이 필연적이고, 

반면 한편으로는 자신 이외의 것에 의해 운동하게 되는 것들이자, 

다른 한편으로 필연적으로 다른 것들을 운동시키는 그러한 

것들의 원인으로 생성되는 것들은, 이차적인 원인들로 추구함이

필연적입니다. 그래서 우리의 경우에도 이런 일들에 따라서

그 일을 해야만 합니다. 한편으로는 원인의 양쪽 부류 모두가

말해져야만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지성을 동반하여 아름답고도 

훌륭한 것들의 장인들로서의 원인들 그리고 분별로부터 

고립되어 임의의 불규칙한 것을 때마다 구현시켜내는 원인들이 

독립적으로 말해져야만 합니다.

> 필연은 수용자와 형상의 모상 둘 사이의 결합 이후 과정?

수용자가 가하는 제한 자체가 필연?

                   τὰ μὲν οὖν τῶν ὀμμάτων συμμεταίτια πρὸς

τὸ σχεῖν τὴν δύναμιν ἣν νῦν εἴληχεν εἰρήσθω· τὸ δὲ μέ-

γιστον αὐτῶν εἰς ὠφελίαν ἔργον, δι᾿ ὃ θεὸς αὔθ᾿ ἡμῖν

δεδώρηται, μετὰ τοῦτο ῥητέον. ὄψις δὴ κατὰ τὸν ἐμὸν                  47a1

λόγον αἰτία τῆς μεγίστης ὠφελίας γέγονεν ἡμῖν, ὅτι τῶν

νῦν λόγων περὶ τοῦ παντὸς λεγομένων οὐδεὶς ἄν ποτε ἐρρήθη

μήτε ἄστρα μήτε ἥλιον μήτε οὐρανὸν ἰδόντων. 

                                         그러므로 눈이 오늘날 할당받은 

그 능력을 지니는 데에 공동으로 기여하는 원인들은 이야기된

것으로 칩시다. 그런데 유익함으로 보아 눈의 가장 대단한 작업,

그로 인해 신께서 저희에게 눈을 선사해주셨던 바, 그 일이 이

다음으로 이야기되어야만 합니다. 그래서 제 말에 따르면 시각이

우리에게 가장 큰 유익함의 원인으로 생성되었던 것이니, 오늘날

모든 것(우주)에 관해 말해지는 그 말들 중 그 무엇도 결코 우리가

별들도 태양도 하늘도 바라보지 못했다면 말해지지 못했을 터이기

때문이지요.

                                                              νῦν δ᾿ ἡμέρα τε

καὶ νὺξ ὀφθεῖσαι μῆνές τε καὶ ἐνιαυτῶν περίοδοι καὶ ἰσημερίαι            5

καὶ τροπαὶ μεμηχάνηνται μὲν ἀριθμόν, χρόνου δὲ ἔννοιαν

περί τε τῆς τοῦ παντὸς φύσεως ζήτησιν ἔδοσαν· ἐξ ὧν

ἐπορισάμεθα φιλοσοφίας γένος, οὗ μεῖζον ἀγαθὸν οὔτ᾿ ἦλθεν            b

οὔτε ἥξει ποτὲ τῷ θνητῷ γένει δωρηθὲν ἐκ θεῶν. λέγω δὴ

τοῦτο ὀμμάτων μέγιστον ἀγαθόν· τἆλλα δὲ ὅσα ἐλάττω τί

ἂν ὑμνοῖμεν, ὧν ὁ μὴ φιλόσοφος τυφλωθεὶς ὀδυρόμενος ἂν

θρηνοῖ μάτην;                                                                           5

               그런데 오늘날 낮과 밤이 보이고 월과 연의 궤도들과

춘추분과 그리고 하지 및 동지가 보여서 수가 고안되었고, 시간이란

관념과 또한 모든 것의 본성에 관한 탐구를 그것들이 주었지요.

이것들이 우리가 그로부터 철학의 부류를 마련한 바, 철학보다 

더 크게 좋은 것은 필멸의 부류에게 신들로부터 주어진 선물로서는 

온 적도 올 일도 결코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저는 이것이 눈의

가장 큰 좋은 점이라 말씀드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저희가 왜

그보다 덜한 그 외의 것들을 칭송하겠습니까? 철학적이지 못한

자가 눈이 멀면 애걸하며 헛되이 한탄할 것들을 말입니다.

                   ἀλλὰ τούτου λεγέσθω παρ᾿ ἡμῶν αὕτη ἐπὶ                   5

ταῦτα αἰτία, θεὸν ἡμῖν ἀνευρεῖν δωρήσασθαί τε ὄψιν, ἵνα

τὰς ἐν οὐρανῷ τοῦ νοῦ κατιδόντες περιόδους χρησαίμεθα

ἐπὶ τὰς περιφορὰς τὰς τῆς παρ᾿ ἡμῖν διανοήσεως, συγγενεῖς

ἐκείναις οὔσας, ἀταράκτοις τεταραγμένας, ἐκμαθόντες δὲ καὶ             c

λογισμῶν κατὰ φύσιν ὀρθότητος μετασχόντες, μιμούμενοι

τὰς τοῦ θεοῦ πάντως ἀπλανεῖς οὔσας, τὰς ἐν ἡμῖν πεπλανη-

μένας καταστησαίμεθα. 

차라리 우리에게서 이 시각이 그 좋은 일의 원인이자 이하의 것들을

위한 원인이라 말해지도록 하시죠. 신께서 저희를 위해 시각을

생각해내시고 또한 선물해 주신 일의 원인이라고 말입니다. 이는

하늘 안 지성의 궤도들을 이해하여 저희가 저희들의 사유 궤도들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이것들이 저 궤도들과 동류인 궤도들로

있기에, 동요하지 않는 궤도들에게 동요되어 버린 궤도들이 그리

있기에, 그리고 저희가 배움을 거쳐 또한 본성에 따른 헤아림의

올바름에 참여하여, 모든 식으로 방황하지 않는 것들로 있는 신의

궤도들을 모방하여, 저희 안의 방황하는 궤도들을 정립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셨지요.

                                φωνῆς τε δὴ καὶ ἀκοῆς πέρι πάλιν

ὁ αὐτὸς λόγος, ἐπὶ ταὐτὰ τῶν αὐτῶν ἕνεκα παρὰ θεῶν                        5

δεδωρῆσθαι. λόγος τε γὰρ ἐπ᾿ αὐτὰ ταῦτα τέτακται, τὴν

μεγίστην συμβαλλόμενος εἰς αὐτὰ μοῖραν, ὅσον τ᾿ αὖ μουσι-

κῆς φωνῇ χρήσιμον πρὸς ἀκοὴν ἕνεκα ἁρμονίας ἐστὶ δοθέν.              d

더 나아가 소리와 청각에 관련하여서도 다시금 같은 논리가

성립하니, 같은 것들을 위해 같은 것들을 목적으로 하여

신들에게서 선사되었다는 것입니다. 그야 말 역시도 바로 이런

것들을 위해 할당된 것이고, 그런 일들 쪽으로 가장 큰 몫의

기여를 하며, 또 이번엔 청각에 대해 음악의 소리에 유용한

것이 조화를 목적으로 주어진 것으로 있으니까요.

ἡ δὲ ἁρμονία, συγγενεῖς ἔχουσα φορὰς ταῖς ἐν ἡμῖν τῆς

ψυχῆς περιόδοις, τῷ μετὰ νοῦ προσχρωμένῳ Μούσαις οὐκ

ἐφ᾿ ἡδονὴν ἄλογον καθάπερ νῦν εἶναι δοκεῖ χρήσιμος, ἀλλ᾿

ἐπὶ τὴν γεγονυῖαν ἐν ἡμῖν ἀνάρμοστον ψυχῆς περίοδον εἰς                 5

κατακόσμησιν καὶ συμφωνίαν ἑαυτῇ σύμμαχος ὑπὸ Μουσῶν

δέδοται· καὶ ῥυθμὸς αὖ διὰ τὴν ἄμετρον ἐν ἡμῖν καὶ χαρίτων

ἐπιδεᾶ γιγνομένην ἐν τοῖς πλείστοις ἕξιν ἐπίκουρος ἐπὶ                     e

ταὐτὰ ὑπὸ τῶν αὐτῶν ἐδόθη.

그런데 그 조화는, 우리 안의 영혼의 궤도들과 동류인 운행들을

지니기에, 지성을 동반하여 무사 여신들을 대하는 자에게는

오늘날 쓸모있는 자로 있다고 여겨지는 것처럼 그렇게 비논리적

쾌락을 위해서가 아니라, 오히려 저희 안의 영혼의 조화롭지 못한

궤도가 질서잡히고 자신과 화음을 이루어 전우로서 생성되도록

하기 위해서 무사 여신들로부터 주어졌습니다. 그리고 이번에는

박자 또한 저희 대다수 안의 척도를 상실하고 기품이 부족한

것으로 생성된 상태로 인해 그 여신들에 의해 같은 것들을 위하여

원군으로서 주어졌던 것입니다.                                                       //210407

 

-蟲-

  1. become=non-being → being / perish=being → non-being? being과 non-being이 혼합된 것은 생성되 되고 소멸도 되고? [본문으로]
  2. 37a4에서 영혼의 매듭이 등장한다고 볼 수 있을 듯. 그런데 신체와 영혼 둘 사이의 매듭은? [본문으로]
  3. 추가로 필요한 것은 아레테들 아닐까? [본문으로]
  4. 눈이 없었다면 시각을 통한 영혼의 혼란도 없었지 않겠는가? 그러나 오감이 있기 전에도 외부로부터의 운동들은 영혼에 무질서하게 필연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이하에서 눈이 거름망 역할을 하는 것도 다른 외부 원소들의 거친 자극은 제한하고 정리되고 질서잡힌 자극을 받아들이는 그림으로 볼 수 있음. [본문으로]
  5. 여기에서 보조원인쪽 설명이 제한으로서의 필연에 대한 설명이라면, 상의 발생은 불가피한 제한조건으로서의 필연의 결과물. [본문으로]
  6. 『파이돈』에서 크기 차이의 원인의 경우. A>B인 경우 이 차이는 A를 더 크게 만드는 원인이자 B를 더 작게 만드는 원인이기도 하므로 모순. 반대결과의 원인이 같으면 X. 반대원인의 결과가 같으면 X. 원인과 결과가 반대되면 X. 그런데 『티마이오스』에서는 이러한 설명이 배제된 듯. 왜일까? by Kang. 반대되는 결과들에 대한 하나의 같은 원인이 '방황하는 원인'일 수 있지 않을까? 예를 들어 소크라테스의 신체라는 물리적 원인은 그가 감옥에 갇혀 있는 이유도 되고 '반대로' 감옥에서 탈출한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이 반대결과들에 관련되는 것이 방황의 의미일 수도 있지 않을까? [본문으로]
  7. 『파이돈』에서, 소크라테스가 감옥에 갇혀 있는 원인으로 살과 피와 뼈로 되어 있음의 경우. 이것은 진정한 원인이 아니다. [본문으로]

Οὗτος δὴ πᾶς ὄντος ἀεὶ λογισμὸς θεοῦ περὶ τὸν ποτὲ

ἐσόμενον θεὸν λογισθεὶς λεῖον καὶ ὁμαλὸν πανταχῇ τε ἐκ                 b

μέσου ἴσον καὶ ὅλον καὶ τέλεον ἐκ τελέων σωμάτων σῶμα

ἐποίησεν· 

그래서 영원히 존재하는 신의 이러한 모든 헤아림이 언젠가

계시게 될 신에 관련하여 헤아리며 매끄럽고 고른 것으로서 또한

중간으로부터 모든 방면으로 같은 만큼의 것으로 그리고 완전한

물체들로부터 이루어진 전체이자 완전한 신체를 제작하였습니다.

             ψυχὴν δὲ εἰς τὸ μέσον αὐτοῦ θεὶς διὰ παντός τε

ἔτεινεν καὶ ἔτι ἔξωθεν τὸ σῶμα αὐτῇ περιεκάλυψεν, καὶ κύκλῳ

δὴ κύκλον στρεφόμενον οὐρανὸν ἕνα μόνον ἔρημον κατέ-                 5

στησεν, δι᾿ ἀρετὴν δὲ αὐτὸν αὑτῷ δυνάμενον συγγίγνεσθαι

καὶ οὐδενὸς ἑτέρου προσδεόμενον, γνώριμον δὲ καὶ φίλον

ἱκανῶς αὐτὸν αὑτῷ. διὰ πάντα δὴ ταῦτα εὐδαίμονα θεὸν

αὐτὸν ἐγεννήσατο.

그런데 영혼을 그 몸의 중앙에 세움으로써 모든 것을 통해 

연장시켰고 외부에 이르기까지 그 신체를 그 영혼으로 에워싸 

덮었으며, 더 나아가 원형으로 회전하는 원형의 하늘을 오직 그

하나만이 유일하도록 정해 놓았으니, 덕으로 인해 그 하늘을

하늘 자신과 교류할 능력을 지닌 것이자 다른 그 무엇도 추가로

필요로 하지 않는 것으로, 그 자체가 제 자신에게 알려지고 또

친애롭기에 충분한 것으로 정해 놓았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모든 것들로 인해 그 하늘을 행복한 신으로 낳았습니다.

Τὴν δὲ δὴ ψυχὴν οὐχ ὡς νῦν ὑστρέραν ἐπιχειροῦμεν λέγειν,                10

οὕτως ἐμηχανήσατο καὶ ὁ θεὸς νεωτέραν―οὐ γὰρ ἂν ἄρχεσθαι         c

πρεσβύτερον ὑπὸ νεωτέρου συνέρξας εἴασεν―ἀλλά πως ἡμεῖς

πολὺ μετέχοντες τοῦ προστυχόντος τε καὶ εἰκῇ ταύτῃ πῃ καὶ

λέγομεν, ὁ δὲ καὶ γενέσει καὶ ἀρετῇ προτέραν καὶ πρεσβυ-

τέραν ψυχὴν σώματος ὡς δεσπότιν καὶ ἄρξουσαν ἀρξομένου              5

συνεστήσατο ἐκ τῶνδέ τε καὶ τοιῷδε τρόπῳ. 

그래서 그 영혼이 지금 우리가 더 나중 것으로 말하려 시도하고

있듯 그런 식으로 신께서도 그 영혼을 더 어린 것으로 고안하셨던 

것이 아니라, 만일 그랬다면 그분께서 더 나이든 것이 그것을 감싼 

더 어린 것에 의해 시작되는(지배받는) 일을 허용하신 셈이 될 테니까, 

오히려 어쨌든 우리로서는 꽤나 많이 우발적인 것에 참여하는 

자들로서 또한 임의적으로 이런 어떤 방식으로 말하기도 하지만, 

그분께서는 그 생성에서도 덕에서도 영혼을 신체보다 더 앞서고 

더 나이 든 여주인으로 구성하셨고, 지배 받는 신체에 대해 지배하는 

것으로, 이하의 것들을 통해 또한 이하의 방식으로 구성하셨습니다.

 

- 영혼이 신체보다 '덕에서' 더 앞선다는 것은 신체의 덕도 있다는 의미.

34b6에서 우주가 행복해지는 이유로 신체의 덕을 고려할 수 있다는 근거.

 

                                                           τῆς ἀμερίστου            35a1

καὶ ἀεὶ κατὰ ταὐτὰ ἐχούσης οὐσίας καὶ τῆς αὖ περὶ τὰ σώματα

γιγνομένης μεριστῆς τρίτον ἐξ ἀμφοῖν ἐν μέσῳ συνεκεράσατο

οὐσίας εἶδος, τῆς τε ταὐτοῦ φύσεως [αὖ πέρι] καὶ τῆς τοῦ

ἑτέρου, καὶ κατὰ ταὐτὰ συνέστησεν ἐν μέσῳ τοῦ τε ἀμεροῦς                5

αὐτῶν καὶ τοῦ κατὰ τὰ σώματα μεριστοῦ· καὶ τρία λαβὼν

αὐτὰ ὄντα συνεκεράσατο εἰς μίαν πάντα ἰδέαν, τὴν θατέρου

φύσιν δύσμεικτον οὖσαν εἰς ταὐτὸν συναρμόττων βίᾳ.[각주:1]                     //200929

분할되지 않고 언제나 같은 것들에 따른 상태인 있는 것과 또 

이번엔 물체들에 관련하여 부분으로 생성되는 있는 것의 그 

양자로부터 중간에서 있는 것의 세 번째 형상을 혼합해내셨고, 

같은 것의 본성과 다른 것의 본성에 [관련하여서도], 같은 것들에 

따른 식으로 그것들 중 부분 없는 형상과 물체들에 따른 부분으로 

된 형상의 중간에서 구성하셨지요. 그리고 그 세 가지로 있는 것들을 

취하시어 모든 점에서 단일한 형상으로 혼합하셨으니, 섞이기 어려운 

다른 것의 본성을 같은 것에게로 힘으로써(강제로) 조화시키심으로써 

그리 하셨습니다.

μειγνὺς δὲ μετὰ τῆς οὐσίας καὶ ἐκ τριῶν ποιησάμενος ἕν,                   b

πάλιν ὅλον τοῦτο μοίρας ὅσας προσῆκεν διένειμεν, ἑκάστην

δὲ ἔκ τε ταὐτοῦ καὶ θατέρου καὶ τῆς οὐσίας μεμειγμένην.

                      그런데 [그것들을] 있는 것과 섞으시며 또한 

세 가지 것들로부터 하나를 제작해내시고서는, 다시 이 전체를 

적절한 몫들로 분배하셨으니, 그 각각의 몫은 같은 것과 다른 것 

그리고 있는 것으로부터 섞여나온 것이었습니다. 

ἤρχετο δὲ διαιρεῖν ὧδε. μίαν ἀφεῖλεν τὸ πρῶτον ἀπὸ παντὸς

μοῖραν, μετὰ δὲ ταύτην ἀφῄρει διπλασίαν ταύτης, τὴν δ᾿ αὖ                5

τρίτην ἡμιολίαν μὲν τῆς δευτέρας, τριπλασίαν δὲ τῆς πρώτης,

τετάρτην δὲ τῆς δευτέρας διπλῆν, πέμπτην δὲ τριπλῆν τῆς

τρίτης, τὴν δ᾿ ἕκτην τῆς πρώτης ὀκταπλασίαν, ἑβδόμην δ᾿                 c

ἑπτακαιεικοσιπλασίαν τῆς πρώτης· 

                                                             그런데 신께서는

다음과 같이 분할하기 시작하셨습니다. 처음에는 모든 것으로부터

단일한 몫을 택하셨고, 이 몫 다음으로 이것의 2배 되는 몫을

택하셨으며, 다시 세 번째 몫으로는 한편으로 두 번째 몫의 1½배, 

다른 한편으로는 첫 번째 몫의 3배 되는 몫을 택하셨고, 네 번째

몫으로는 두 번째 몫의 2배 되는 몫을, 다섯 번째 몫으로는

세 번째 몫의 3배 되는 몫을, 여섯 번째 몫으로는 첫 번째 몫의

8배 되는 몫을, 일곱 번째 몫으로는 첫 번째 몫의 27배 되는

몫을 택하셨습니다.

> (1) 1, (2) 2, (3) 3(=2*1½, 1*3), (4) 4(=2*2), (5) 9(=3*3), (6) 8, (7) 27.

                                              μετὰ δὲ ταῦτα συνε-

πληροῦτο τά τε διπλάσια καὶ τριπλάσια διαστήματα, μοίρας           36a1

ἔτι ἐκεῖθεν ἀποτέμνων καὶ τιθεὶς εἰς τὸ μεταξὺ τούτων, ὥστε

ἐν ἑκάστῳ διαστήματι δύο εἶναι μεσότητας, τὴν μὲν ταὐτῷ

μέρει τῶν ἄκρων αὐτῶν ὑπερέχουσαν καὶ ὑπερεχομένην, τὴν

δὲ ἴσῳ μὲν κατ᾿ ἀριθμὸν ὑπερέχουσαν, ἴσῳ δὲ ὑπερεχομένην.               5      //210119

                         이것들 다음으로는 2배수 간격들과 3배수

간격들을 채우셨으니, 저기에서 몫들을 더욱 나누시고 또 그것들의

중간에 세우시면서 채우셨고, 그래서 각각의 간격에 중간자들이

둘로 있도록, 한편은 그것들의 극단들을 같은 부분으로 초과하고 또한

그 만큼 초과되는 중간자로(조화평균), 다른 한편은 수에 따라 같은 

양만큼 초과하는가 하면, 다른 한편으로는 같은 양으로 초과되는(산술평균)

중간자로 있도록 채우셨습니다.

 

> 1과 2 사이에서 두 중간자: 1(=3/3), 조화4/3, 산술3/2, 2(=6/3).

   1과 3 사이에서 두 중간자: 1, 조화6/4=3/2, 산술2, 3.

산술평균: 2/2:3/2:4/2. 중간자는 수에서 1/2만큼 크고 또 작다.

조화평균: 1보다 1*1/3 크고 2보다 2*1/3 작다. 3/3+1/3=6/3-2/3=4/3.

 

ἡμιολίων δὲ διαστάσεων καὶ ἐπιτρίτων καὶ ἐπογδόων γενο-

μένων ἐκ τούτων τῶν δεσμῶν ἐν ταῖς πρόσθεν διαστάσεσιν,

τῷ τοῦ ἐπογδόου διαστήματι τὰ ἐπίτριτα πάντα συνεπληροῦτο,         b

λείπων αὐτῶν ἑκάστου μόριον, τῆς τοῦ μορίου ταύτης δια-

στάσεως λειφθείσης ἀριθμοῦ πρὸς ἀριθμὸν ἐχούσης τοὺς

ὅρους ἓξ καὶ πεντήκοντα καὶ διακοσίων πρὸς τρία καὶ

τετταράκοντα καὶ διακόσια. 

                                        그런데 1½ 간격들과 1⅓ 간격들 

그리고 1⅛ 간격들이 바로 그 매듭로부터 앞서의 간격들 안에 

생성되었기에, 1⅛의 간격으로 모든 1⅓ 간격들을 채우셨으며, 

그것들 각각의 몫을 남기시기를, 그 몫의 이러한 간격이 수 대 수로

남겨져 그 비례항들로 256:243를 가지는 것으로 남기셨습니다. 

 

> 1, 4/3, 4/3*9/8=3/2, 3/2*4/3=2. 4/3과 3/2는 9/8 비례 관계를 가진다. 

매듭(중항, 4/3과 3/2)으로부터 이에 해당하는 간격들(위 두 중항에 더하여

바로 그 두 중항 사이의 비례 관계 9/8까지)이 생겼다. 

                                      καὶ δὴ καὶ τὸ μειχθέν, ἐξ                         5

οὗ ταῦτα κατέτεμνεν, οὕτως ἤδη πᾶν κατανηλώκει. ταύτην

οὖν τὴν σύστασιν πᾶσαν διπλῆν κατὰ μῆκος σχίσας, μέσην

πρὸς μέσην ἑκατέραν ἀλλήλαις οἷον χεῖ προσβαλὼν κατέ-

καμψεν εἰς ἓν κύκλῳ, συνάψας αὑταῖς τε καὶ ἀλλήλαις ἐν                   c

τῷ καταντικρὺ τῆς προσβολῆς, καὶ τῇ κατὰ ταὐτὰ ἐν ταὐτῷ

περιαγομένῃ κινήσει πέριξ αὐτὰς ἔλαβεν, καὶ τὸν μὲν ἔξω, τὸν

δ᾿ ἐντὸς ἐποιεῖτο τῶν κύκλων. 

더 나아가 이러한 것들이 그로부터 분절되어 나온 그 혼합물은 

그런 식으로 이제 모든 것을 소진하였지요. 그리하여 이러한

모든 구조를 길이에 따라 둘로 자르시고서, 그 둘 각각의 중간

중간에 대해 서로 이를 테면 χ자로 교차시키시며 원형으로 하나가

되도록 구부리시어, 그 구조들을 제 자신에게도 또 서로에게도

접합점의 반대편에서 접합시키셨고, 그래서 같은 것들에 따라

같은 것 안에서 회전하는 운동으로 그 구조들을 둥글게 둘러

붙들으셨고, 그 원들의 한편은 외부의 원으로, 다른 한편은

내부의 원으로 만드셨습니다.

                                        τὴν μὲν οὖν ἔξω φορὰν ἐπεφή-

μισεν εἶναι τῆς ταὐτοῦ φύσεως, τὴν δ᾿ ἐντὸς τῆς θατέρου. τὴν              5

μὲν δὴ ταὐτοῦ κατὰ πλευρὰν ἐπὶ δεξιὰ περιήγαγεν, τὴν δὲ

θατέρου κατὰ διάμετρον ἐπ᾿ ἀριστερά, κράτος δ᾿ ἔδωκεν τῇ

ταὐτοῦ καὶ ὁμοίου περιφορᾷ· 

                                       그리하여 외부의 운행은 같은 것의

본성에 속하여 있도록 선언하시었고, 내부의 운행은 다른 것의

본성에 속하여 있도록 선언하셨습니다. 그래서 같은 것의 운행은

측면을 따라 우측으로 선회시키셨고, 다른 것의 운행은 사선을

따라 좌측으로 선회시키셨는데, 같은 것 그리고 유사한 것의 회전

운행에 주도권을 주셨습니다.

                                       μίαν γὰρ αὐτὴν ἄσχιστον                    d

εἴασεν, τὴν δ᾿ ἐντὸς σχίσας ἑξαχῇ ἑπτὰ κύκλους ἀνίσους

κατὰ τὴν τοῦ διπλασίου καὶ τριπλασίου διάστασιν ἑκάστην,

οὐσῶν ἑκατέρων τριῶν, κατὰ τἀναντία μὲν ἀλλήλοις προσ-

έταξεν ἰέναι τοὺς κύκλους, τάχει δὲ τρεῖς μὲν ὁμοίως, τοὺς                   5

δὲ τέτταρας ἀλλήλοις καὶ τοῖς τρισὶν ἀνομοίως, ἐν λόγῳ δὲ

φερομένους.

                                      왜냐하면 그 하나의 운행을 잘리지

않는 것으로 두셨고, 반면에 내부의 운행은 2배 간극과 3배 간극

각각에 따라 일곱 가지 불균등한 원들로 여섯 지점에서 자르셨으며,

그 원들이 양편에 각기 세 개씩 있었는데, 서로 반대되는 것들에

따라 그 원들이 진행하도록 명하셨으니, 속력에서는 셋이 유사하게,

넷은 서로와도 저 셋과도 유사하지 않게, 그러나 논리(비율) 안에서

운행하며 그리하도록 하셨기 때문입니다.

- 『국가』 616b-620d에서는 같은 것의 원과 다른 것의 원의 "반대"를

지지하는 듯.

 

Ἐπεὶ δὲ κατὰ νοῦν τῷ συνιστάντι πᾶσα ἡ τῆς ψυχῆς

σύστασις ἐγεγένητο, μετὰ τοῦτο πᾶν τὸ σωματοειδὲς ἐντὸς

αὐτῆς ἐτεκταίνετο καὶ μέσον μέσῃ συναγαγὼν προσήρμοττεν·           e

한데 지성에 따라 구성하시는 그 분에 의해 그 영혼의 구조가 

모두 생성되었기에, 그 다음으로 물체적인 것 모두를 그 영혼 

내부에 조립하시고 물체적 중간자를 중간자 영혼과 함께 모아 

조화시키셨습니다.

ἡ δ᾿ ἐκ μέσου πρὸς τὸν ἔσχατον οὐρανὸν πάντῃ διαπλακεῖσα

κύκλῳ τε αὐτὸν ἔξωθεν περικαλύψασα, αὐτὴ ἐν αὑτῇ στρεφο-

μένη, θείαν ἀρχὴν ἤρξατο ἀπαύστου καὶ ἔμφρονος βίου πρὸς

τὸν σύμπαντα χρόνον. 

                               중심으로부터 하늘의 극단까지 모든

방면으로 직조되고 또한 외부로부터 그 하늘을 원형으로 에워싸

덮은 영혼은, 그 영혼이 자신 안에서 회전하며, 통틀어 모든 시간에

대해 멈추지 않는 지혜로운 삶을 그 신적인 시초에서 시작하였습니다.

                               καὶ τὸ μὲν δὴ σῶμα ὁρατὸν οὐρανοῦ               5

γέγονεν, αὐτὴ δὲ ἀόρατος μέν, λογισμοῦ δὲ μετέχουσα καὶ

ἁρμονίας ψυχή, τῶν νοητῶν ἀεί τε ὄντων ὑπὸ τοῦ ἀρίστου            37a1

ἀρίστη γενομένη τῶν γεννηθέντων. 

더욱이 하늘의 신체는 가시적인 것으로 생겨났던 반면, 그 영혼은 

비가시적이나 헤아림과 조화에 참여하여서, 영원히 지성적인

자들로서 계신 분들 중에서도 최선이신 분에 의해 산출된 것들

중 가장 최선의 것으로 생성된 것으로서 생겨났습니다.

                                               ἅτε οὖν ἐκ τῆς ταὐτοῦ

καὶ τῆς θατέρου φύσεως ἔκ τε οὐσίας τριῶν τούτων συγκρα-

θεῖσα μοιρῶν, καὶ ἀνὰ λόγον μερισθεῖσα καὶ συνδεθεῖσα,

αὐτή τε ἀνακυκλουμένη πρὸς αὑτήν, ὅταν οὐσίαν σκεδαστὴν              5

ἔχοντός τινος ἐφάπτηται καὶ ὅταν ἀμέριστον, λέγει κινου-

μένη διὰ πάσης ἑαυτῆς ὅτῳ τ᾿ ἄν τι ταὐτὸν ᾖ καὶ ὅτου ἂν

ἕτερον, πρὸς ὅτι τε μάλιστα καὶ ὅπῃ καὶ ὅπως καὶ ὁπότε                   b

συμβαίνει κατὰ τὰ γιγνόμενά τε πρὸς ἕκαστον ἕκαστα εἶναι

καὶ πάσχειν καὶ πρὸς τὰ κατὰ ταὐτὰ ἔχοντα ἀεί. 

그러므로 같은 것의 본성과 다른 것의 본성으로부터 그리고 또

있는 것으로부터 나온 세 부분들이 혼화된 것이고, 비율에 따라

분화되어 있고 또한 결속되어 있으며, 그 영혼이 자기 자신에게로

회귀하기에, 파편화된 실체를 지니는 무언가에 접할 때 그리고

분할되지 않는 것의 경우에도, 자신 모두를 거치며 운동함으로써

그 대상과 같은 것이 무엇이고 그 대상과 다른 것은 또 무엇일지

말해주며, 특히 무엇에 대해 그리고 어떤 측면에서 어떻게

또한 언제, 생성된 것들에 따라서 그 대상이, 각 대상에 대해 

각각의 대상들로 있도록 또 겪도록 귀결되는지, 또한 같은 것들에 

따른 상태를 언제나 유지하는 것들에 대해서도 그러한 것들을 

말해줍니다.

> 세계영혼의 자기회귀. 자신 안에 있음, 같음, 다름의 부분들이

혼합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일종의 변증 작업을 자기 자신을

상대로 수행한다면, 그리고 즉 이것이 형상들의 결합과 분리를

행하는 것이라면, 어째서 이로부터 대상에 대한 판단으로 이행되는지

짐작해 볼 수도 있을 듯하다.

> "접촉"의 문제. 비물체적인 것과 물체적인 것의 인과작용은 생각하기 어렵고,

영혼이나 덕 등은 인과적 능력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스토아는 영혼 또한 물체로 간주.

> 『소피스트』에서 인식과 관련하여 운동과 정지의 문제.

  

                                                               λόγος δὲ

ὁ κατὰ ταὐτὸν ἀληθὴς γιγνόμενος περί τε θάτερον ὂν καὶ

περὶ τὸ ταὐτόν, ἐν τῷ κινουμένῳ ὑφ᾿ αὑτοῦ φερόμενος ἄνευ                5

φθόγγου καὶ ἠχῆς, ὅταν μὲν περὶ τὸ αἰσθητὸν γίγνηται καὶ

ὁ τοῦ θατέρου κύκλος ὀρθὸς ἰὼν εἰς πᾶσαν αὐτοῦ τὴν ψυχὴν

διαγγείλῃ, δόξαι καὶ πίστεις γίγνονται βέβαιοι καὶ ἀληθεῖς,

ὅταν δὲ αὖ περὶ τὸ λογιστικὸν ᾖ καὶ ὁ τοῦ ταὐτοῦ κύκλος                  c

εὔτροχος ὢν αὐτὰ μηνύσῃ, νοῦς ἐπιστήμη τε ἐξ ἀνάγκης

ἀποτελεῖται· τούτω δὲ ἐν ᾧ τῶν ὄντων ἐγγίγνεσθον, ἄν

ποτέ τις αὐτὸ ἄλλο πλὴν ψυχὴν εἴπῃ, πᾶν μᾶλλον ἢ

τἀληθὲς ἐρεῖ.                                                                              5           //210127

                그런데 (1) 같은 것에 따른 말은 다른 것으로 있는 것에

관련해서도 같은 것으로 있는 것에 관련해서도 참으로서

생성되고, (1-a) 말이 자신에 의해 운동하는 것 안에서 음성도 소음도 

없이 운행하면서, 그 말이 지각되는 것에 관련하여서 생성되고 

다른 것의 원 또한 올바르게 진행하여 그것의 모든 영혼을 향해 

전달할 경우에는, 확고하고 참된 판단들과 확신들이 생겨나는 반면,

(1-b) 이번엔 또 논리적인 것에 관련하여 말이 있고 같은 것의 원 또한 

훌륭한 원형으로 있음으로써 그것들을 알려줄 경우에는, 필연적으로

지성과 앎이 완성되는 것입니다. 있는 것들 중 그 두 가지 것들이

그 안에 생성되는 바, 그것을 누군가 영혼 이외의 것이라

이야기하기라도 한다면, 그는 진리보다는 오히려 그 외의

모든 것을 이야기하는 것일 테지요.

> 지각되는 것 관련 생성되는 참인 말+다른 것의 원의 진행=참인 판단과 확신

   논리적인 것 관련 있는 참인 말+같은 것의 원의 있음=지성과 앎

   아마도 밑줄 친 부분은 인식자(그의 영혼)를 가리킬 듯.

- 공통점과 차이를 모두 제대로 서술하는 참인 문장. 『테아이테토스』

영혼 자체(같은 것의 원과 다른 것의 원 둘 다)는 생김과 있음의 중간에서 

있음, 같음, 다름의 혼합물이다. 이것이 동일성과 비동일성의 판단.

그런데 영혼은 두 원이 서로 구분되고, 같은 것의 원은 지성의 영역에서 기능, 

다른 것의 원은 경험의 영역에서 기능.

Ὡς δὲ κινηθὲν αὐτὸ καὶ ζῶν ἐνόησεν τῶν ἀιδίων θεῶν

γεγονὸς ἄγαλμα ὁ γεννήσας πατήρ, ἠγάσθη τε καὶ εὐφρανθεὶς

ἔτι δὴ μᾶλλον ὅμοιον πρὸς τὸ παράδειγμα ἐπενόησεν ἀπερ-

γάσασθαι. καθάπερ οὖν αὐτὸ τυγχάνει ζῷον ἀίδιον ὄν, καὶ                d

τόδε τὸ πᾶν οὕτως εἰς δύναμιν ἐπεχείρησε τοιοῦτον ἀποτελεῖν.

그런데 그것이 운동하는 것이자 살아있는 것이고 영원한 신들을 

위한 헌상물이 된 것이라 그 낳으신 아버지께서 생각하셨고, 

즐거워하시고 또한 흡족해하시며 그래서 그 본에 대해 훨씬 더 

유사한 것으로 완성시키기로 마음먹으셨습니다. 그리하여 그 본이 

마침 영원한 생물로서 있기도 한 것처럼, 여기 이 모든 것도 

그런 식으로 가능한 한 이러한 것으로 완성해내고자 시도하셨습니다.

 

> 헌상물은 조각상이거나 아니면 성소. 조각상이라고 볼 경우 영원한 신들은 영원한 본들,

성소로 볼 경우 영원한 신들은 행성들. 양쪽 다 장단점이 있음.

 

ἡ μὲν οὖν τοῦ ζῴου φύσις ἐτύγχανεν οὖσα αἰώνιος, καὶ τοῦτο

μὲν δὴ τῷ γεννητῷ παντελῶς προσάπτειν οὐκ ἦν δυνατόν·

εἰκὼ δ᾿ ἐπενόει κινητόν τινα αἰῶνος ποιῆσαι, καὶ διακοσμῶν                5

ἅμα οὐρανὸν ποιεῖ μένοντος αἰῶνος ἐν ἑνὶ κατ᾿ ἀριθμὸν

ἰοῦσαν αἰώνιον εἰκόνα, τοῦτον ὃν δὴ χρόνον ὠνομάκαμεν.

그러므로 한편으로는 마침 그 생물의 본성이 영원한 것으로

있었기에, 이러한 것을 그 산출된 것에 완전하게 적용시키기란

가능한 일이 아니었습니다. 반면 그분께서는 영원의 어떤 

운동하는 모상을 만들기로 작정하셨고, 동시에 하늘에 질서를

부여하심으로써 그것을 하나 안에서 영원히 머무는 것에 대한

수에 따라 영원히 진행하는 모상으로 만드시어, 그래서 이러한

것으로 있는 것을 우리가 시간이라 명명하였던 것입니다.

-『자연학』에서 세는 수와 세어지는 수, 또는 크기 거리 운동 시간.

 

ἡμέρας γὰρ καὶ νύκτας καὶ μῆνας καὶ ἐνιαυτούς, οὐκ ὄντας                e

πρὶν οὐρανὸν γενέσθαι, τότε ἅμα ἐκείνῳ συνισταμένῳ τὴν

γένεσιν αὐτῶν μηχανᾶται· ταῦτα δὲ πάντα μέρη χρόνου, καὶ

τό τ᾿ ἦν τό τ᾿ ἔσται χρόνου γεγονότα εἴδη, ἃ δὴ φέροντες

λανθάνομεν ἐπὶ τὴν ἀίδιον οὐσίαν οὐκ ὀρθῶς. 

왜냐하면 주야와 연월, 하늘이 생기기 이전에는 있지 않은

것들은, 저 하늘이 구성될 때 그와 더불어 그것들의 생성을

고안하셨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모든 것들은 시간의

부분들이고, "있었다"라는 것도 "있을 것이다"라는 것도 시간의

형상(종)들로 생성된 것들로, 우리가 영원히 있는 것에 은연 중에 

옳지 못하게 적용시키고 있는 것들이기도 합니다. 

                                                             λέγομεν γὰρ                 5

δὴ ὡς ἦν ἔστιν τε καὶ ἔσται, τῇ δὲ τὸ ἔστιν μόνον κατὰ τὸν

ἀληθῆ λόγον προσήκει, τὸ δὲ ἦν τό τ᾿ ἔσται περὶ τὴν ἐν                38a1

χρόνῳ γένεσιν ἰοῦσαν πρέπει λέγεσθαι―κινήσεις γάρ ἐστον,

τὸ δὲ ἀεὶ κατὰ ταὐτὰ ἔχον ἀκινήτως οὔτε πρεσβύτερον οὔτε

νεώτερον προσήκει γίγνεσθαι διὰ χρόνου οὐδὲ γενέσθαι ποτὲ

οὐδὲ γεγονέναι νῦν οὐδ᾿ εἰς αὖθις ἔσεσθαι, τὸ παράπαν τε                 5

οὐδὲν ὅσα γένεσις τοῖς ἐν αἰσθήσει φερομένοις προσῆψεν,

ἀλλὰ χρόνου ταῦτα αἰῶνα μιμουμένου καὶ κατ᾿ ἀριθμὸν

κυκλουμένου γέγονεν εἴδη―καὶ πρὸς τούτοις ἔτι τὰ τοιάδε,

τό τε γεγονὸς εἶναι γεγονὸς καὶ τὸ γιγνόμενον εἶναι γιγνό-               b

μενον, ἔτι τε τὸ γενησόμενον εἶναι γενησόμενον καὶ τὸ μὴ

ὂν μὴ ὂν εἶναι, ὧν οὐδὲν ἀκριβὲς λέγομεν. περὶ μὲν

οὖν τούτων τάχ᾿ ἂν οὐκ εἴη καιρὸς πρέπων ἐν τῷ παρόντι

διακριβολογεῖσθαι.                                                                     5

                                                               그야 우리는

있었다느니 있다느니 있을 것이라느니 하고 말하지만, 저 

있는 것에는 오직 "있다"라는 것만이 참된 말에 따라 적절하며, 

반면 "있었다"도 "있을 것이다"도 시간 안에서 진행하는 생성에 

관련하여 말해지는 게 어울리니까요.―왜냐하면 이 둘은 운동들로 

있는데, 한편으로 언제나 같은 것들에 따른 상태인 것은 운동하지 

않는 방식으로 더 나이든 것으로도 더 어린 것으로도 시간을 통해

생성되고 있다는 것도 언젠가 생성되었다는 것도 지금 생성되어 

있다는 것도 또한 곧 있으리란 것도 적절치 않으며, 생성이 지각

안에서 이동하는 것들에 결부시킨 것은 그 무엇도 전적으로 적절치

않고, 오히려 이러한 것들은 영원한 것들을 모방하며 수에 따라

회전하는 시간에 대해 그 형상(종)들로 생성되었기 때문입니다.―

이것들에 더하여 나아가 다음과 같은 것들, 생성된 것이 생성된

것으로 있다는 것과 생성되는 중인 것이 생성되는 중인 것으로

있다는 것, 또한 생성될 것이 생성될 것으로 있다는 것과 있지 않은

것이 있지 않은 것으로 있다는 것까지도, 도무지 무엇 하나 우리가

정확한 것으로 말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리하여 그것들에 관련하여서는

어쩌면 지금 여기에서 세밀하게 하나하나 따지기에 적기가 있지는

않을 것입니다.

 

Χρόνος δ᾿ οὖν μετ᾿ οὐρανοῦ γέγονεν, ἵνα ἅμα γεννηθέντες

ἅμα καὶ λυθῶσιν, ἄν ποτε λύσις τις αὐτῶν γίγνηται, καὶ

κατὰ τὸ παράδειγμα τῆς διαιωνίας φύσεως, ἵν᾿ ὡς ὁμοιότατος

αὐτῷ κατὰ δύναμιν ᾖ· τὸ μὲν γὰρ δὴ παράδειγμα πάντα                  c

αἰῶνά ἐστιν ὄν, ὁ δ᾿ αὖ διὰ τέλους τὸν ἅπαντα χρόνον

γεγονώς τε καὶ ὢν καὶ ἐσόμενος. 

그리하여 시간은 하늘과 함께 생성되었으니, 언젠가 그것들의 무슨 

해체가 생겨난다면, 동시에 생성된 것들이 또한 동시에 해체되기도 

하도록 된 것이며, 내내 영원한 본성의 본에 따라 생성되었으니, 

그 본과 가능한 한 최대한 유사한 것으로 있게끔 된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 본은 모든 영원한 것들로서 있는 것으로 있고, 반면 

이번엔 하늘은 완결에 이르기까지 통틀어 모든 시간 동안에 생성되는 

것이자 있는 중인 것이며 또한 있게 될 것으로서 있기 때문입니다.

                                           ἐξ οὖν λόγου καὶ διανοίας

θεοῦ τοιαύτης πρὸς χρόνου γένεσιν, ἵνα γεννηθῇ χρόνος,

ἥλιος καὶ σελήνη καὶ πέντε ἄλλα ἄστρα, ἐπίκλην ἔχοντα                    5

πλανητά, εἰς διορισμὸν καὶ φυλακὴν ἀριθμῶν χρόνου γέγονεν·

그러므로 시간의 생성에 대한 신의 이와 같은 말과 사유로부터,

시간이 산출되도록 하기 위해, 태양와 달과 그 외의 다섯 별들, 

방황하는 것들(행성)이란 명칭을 지닌 것들이, 시간의 수들에 대한 

규정과 수호를 위해 생성되었습니다.

σώματα δὲ δὲ αὐτῶν ἑκάστων ποιήσας ὁ θεὸς ἔθηκεν εἰς τὰς

περιφορὰς ἃ ἡ θατέρου περίοδου ᾔειν, ἑπτὰ οὔσας ὄντα

ἑπτά, σελήνην μὲν εἰς τὸν περὶ γῆν πρῶτον, ἥλιον δὲ εἰς                  d

τὸν δεύτερον ὑπὲρ γῆς, ἑωσφόρον δὲ καὶ τὸν ἱερὸν Ἑρμοῦ

λεγόμενον εἰς [τὸν] τάχει μὲν ἰσόδρομον ἡλίῳ κύκλον ἰόντας,

τὴν δὲ ἐναντίαν εἰληχότας αὐτῷ δύναμιν· ὅθεν καταλαμ-

βάνουσίν τε καὶ καταλαμβάνονται κατὰ ταὐτὰ ὑπ᾿ ἀλλήλων               5

ἥλιός τε καὶ ὁ τοῦ Ἑρμοῦ καὶ ἑωσφόρος.

그 각각의 것들의 신체들을 신께서 제작하시어 다른 것의 궤도의 

회전운동이 진행하던 그 회전운동들을 향해 놓으셨으니, 일곱 가지 

회전운동들을 향해 일곱 개의 신체들을 놓으시어, 달은 대지 주위의 

첫 번째 원에, 태양은 지구 위로 두 번째 원에 놓으셨으며, 샛별과 

소위 헤르메스의 성물은 속력에서는 태양과 나란히 달리는 원형으로 

진행하는 원들에, 그러나 그것과 반대되는 힘(능력)을 지닌 원들에 

놓으셨습니다. 그런 연유로 같은 것들에 따라 서로에 의해 태양도 

헤르메스의 성물도 샛별도 따라잡고 또 따라잡히는 것이지요.

                                                      τὰ δ᾿ ἄλλα οἷ δὴ

καὶ δι᾿ ἃς αἰτίας ἱδρύσατο, εἴ τις ἐπεξίοι πάσας, ὁ λόγος

πάρεργος ὢν πλέον ἂν ἔργον ὧν ἕνεκα λέγεται παράσχοι.                e         

ταῦτα μὲν οὖν ἴσως τάχ᾿ ἂν κατὰ σχολὴν ὕστερον τῆς ἀξίας

τύχοι διηγήσεως· 

그런데 그 외의 것들을 무엇에 더 나아가 어떤 원인들로 인해 

정초하셨는지, 만일 누군가 그 모든 원인들을 상세하게 고찰해 

나아간다면, 그 말이 곁가지로 있으면서도 그 말해진 목적들보다 

더 큰 일거리를 내놓겠지요. 그러니 이런 것들은 아마도 어쩌면 

나중에 여가에나 상술할 만할지도 모르겠습니다.

                       ἐπειδὴ δὲ οὖν εἰς τὴν ἑαυτῷ πρέπουσαν

ἕκαστον ἀφίκετο φορὰν τῶν ὅσα ἔδει συναπεργάζεσθαι

χρόνον, δεσμοῖς τε ἐμψύχοις σώματα δεθέντα ζῷα ἐγεν-                   5

νήθη τό τε προσταχθὲν ἔμαθεν, κατὰ δὴ τὴν θατέρου φορὰν

πλαγίαν οὖσαν, διὰ τῆς ταὐτοῦ φορᾶς ἰούσης τε καὶ κρατου-        39a1

μένης, τὸ μὲν μείζονα αὐτῶν, τὸ δ᾿ ἐλάττω κύκλον ἰόν, θᾶττον

μὲν τὰ τὸν ἐλάττω, τὰ δὲ τὸν μείζω βραδύτερον περιῄειν.                      //210210

                                                             그러면 시간을 

함께 구현해내야 했던 것들의 각각이 자신에게 적합한 운행에 

이르러, 영혼을 품은 매듭들로 신체들이 결속되어 생물로서 

생성되고 또한 명령 받은 바 또한 배우게 되고 나서, 그래서 

다른 것의 기울어져 있는 운행을 따라, 같은 것의 진행하고 또한 

지배하는 운행을 통과해, 그것들 중 한편은 더 큰 원을, 다른 편은 

더 작은 원을 진행하며, 더 작은 원을 진행하는 것들은 더 빨리, 

더 큰 원을 진행하는 것들은 더 느리게 회전하였습니다.

> 39a1-2, 대다수 학자들이 "ἰούσης ... κρατουμένης," 즉 분사 여성 gen. 형태를

   "ἰοῦσαν ... κρατουμένην," 즉 분사 여성 acc. 형태로 고쳐 읽는다.

   수정 전의 경우 "진행하고 지배하는(med.)"이 같은 것의 운행을 수식하고,

   수정 후의 경우 "(같은 것을 통과해) 진행하고 지배받는(pass.)"으로 읽혀

   다른 것의 운행을 수식한다. 36c5 같은 것이 주도권 가짐.

> 여기서 '영혼이 들어가 있는 매듭'이 우주 전체나 인간 개인 차원에서

같음의 원과 다른의 원의 이중구조를 가리키나? 그래서 행성 각각도

두 원이 겹친 것으로서의 영혼을 지니나?

τῇ δὴ ταὐτοῦ φορᾷ τὰ τάχιστα περιιόντα ὑπὸ τῶν βραδύτερον

ἰόντων ἐφαίνετο καταλαμβάνοντα καταλαμβάνεσθαι· πάντας             5

γὰρ τοὺς κύκλους αὐτῶν στρέφουσα ἕλικα διὰ τὸ διχῇ κατὰ

τὰ ἐναντία ἅμα προϊέναι τὸ βραδύτατα ἀπιὸν ἀφ᾿ αὑτῆς οὔσης          b

ταχίστης ἐγγύτατα ἀπέφαινεν. 

                                                                       그래서 

같은 것의 운행에 의해서는, 가장 빨리 회전하는 것들이 더 늦게 

진행하는 것들을 따라잡는데도 그것들에 의해 따라잡히는 것처럼 

드러나 보였습니다. 왜냐하면 같은 것의 운행이 그것들이 반대되는 

것들에 따른 두 방향으로 동시에 진행해 나아간다는 점으로 인해 

그것들의 모든 원들을 나선형으로 회전시켜 가장 빠른 운행인 그 

같은 것의 운행 자신으로부터 가장 느리게 벗어나 나아가는 것을 

가장 가깝게 나타내 보였던 것이니까요. 

> dia 이유절이 나선형을 만들어내는 이유인지 실제 속도와 겉보기

속도의 차이를 만들어내는 이유인지?

                                        ἵνα δ᾿ εἴη μέτρον ἐναργές

τι πρὸς ἄλληλα βραδυτῆτι καὶ τάχει καὶ τὰ περὶ τὰς ὀκτὼ

φορὰς πορεύοιτο, φῶς ὁ θεὸς ἀνῆψεν ἐν τῇ πρὸς γῆν δευτέρᾳ

τῶν περιόδων, ὃ δὴ νῦν κεκλήκαμεν ἥλιον, ἵνα ὅτι μάλιστα                 5

εἰς ἅπαντα φαίνοι τὸν οὐρανὸν μετάσχοι τε ἀριθμοῦ τὰ ζῷα

ὅσοις ἦν προσῆκον, μαθόντα παρὰ τῆς ταὐτοῦ καὶ ὁμοίου

περιφορᾶς. 

                                                  그런데 느림과 빠름에서 

서로에 대한 어떤 분명한 단위(척도)가 있도록 그리고 여덟 가지 

운행들에 관련된 것들이 그 단위를 따를 수 있도록, 그 신께서는 

대지에 대해 궤도들 중 두 번째 것에 빛을 부여하셨으니, 그것이 

오늘날 우리가 태양이라 부른 것이고, 최대한 통틀어 모든 방향으로 

하늘을 비추고 또한 저마다 적합하게 살아있는 것들이 같은 것의 

그리고 유사한 것의 운행들로부터 배워, 수에 참여할 수 있도록 

그리하셨습니다.

> "ὅσοις ἦν προσῆκον"을 정암판에서는 "(아마도 '수에 참여할')

자격을 갖춘"으로 이해하였고 서광사판에서는 "자신에게 적합한 수"

로 번역하였다. 영역본들의 경우 "those living things appropriately endowed"라든지,

"suitably endowed creatures"라든지 하는 식으로 대부분, 굳이 말하자면,

"적절하게 타고난대로 살아있는 것들" 정도의 뜻으로 이해한 듯하다.

일단 "προσῆκον"이 중성형태라 남성 명사인 "수"를 수식하긴 곤란해 보이고,

반면 "ὅσοις"의 선행사가 "살아있는 것들"이면서 "적절함"의 기준이나 대상이

되는 dat. 형태를 취하고 있으므로, "~하기에 적합한 동물들"이라 번역하기도

곤란해 보인다. 의미상 서광사판에 가까울 것이나, 각각이 저마다 자신에게 어울리는 방식으로

살아있는 모든 것들이, 우주와 천구 전체의 차원에서 수에 따른 운행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한다는

그런 뜻으로 보고 "저마다 적합하게 살아있는" 정도의 번역을 취하면서 영어번역들 쪽에

따르는 편이 더 안전한 번역이 아닐까 싶다. Zeyl, Waterfield, Johansen 등이 이런 식이고,

Cornford의 경우 정암판과 가까운 뜻으로 번역하는 것으로 보인다.

 

               νὺξ μὲν οὖν ἡμέρα τε γέγονεν οὕτως καὶ διὰ                   c

ταῦτα, ἡ τῆς μιᾶς καὶ φρονιμωτάτης κυκλήσεως περίοδος·

μεὶς δὲ ἐπειδὰν σελήνη περιελθοῦσα τὸν ἑαυτῆς κύκλον ἥλιον

ἐπικαταλάβῃ, ἐνιαυτὸς δὲ ὁπόταν ἥλιος τὸν ἑαυτοῦ περιέλθῃ

κύκλον. 

                    그리하여 밤과 낮이 그런 식으로 또 그러한 일들로 

인해 생성되었고, 단일하고 가장 지혜로운 원의 궤도가 바로 

그것입니다. 그런데 월은 달이 자신의 원을 회귀하여 태양을 

따라잡을 때, 반면 연(年)은 태양이 자신의 원을 회귀할 때마다 

생성된 것입니다.

           τῶν δ᾿ ἄλλων τὰς περιόδους οὐκ ἐννενοηκότες ἄν-                 5

θρωποι, πλὴν ὀλίγοι τῶν πολλῶν, οὔτε ὀνομάζουσιν οὔτε πρὸς

ἄλληλα συμμετροῦνται σκοποῦντες ἀριθμοῖς, ὥστε ὡς ἔπος

εἰπεῖν οὐκ ἴσασιν χρόνον ὄντα τὰς τούτων πλάνας, πλήθει                d

μὲν ἀμηχάνῳ χρωμένας, πεποικιλμένας δὲ θαυμαστῶς· 

                      그 외의 것들의 궤도들은, 많은 이들 중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인간들이 유념하지 않았기에 명명하지도 않고 

수들로 검토하여 그것들 상호간의 단위를 맞추어 측정하지도 않았고, 

그래서 그것들의 방황들, 어쩔 수 없을 만큼 막대한 수를 사용하는가 

하면, 놀랄 만큼 다채로운 그 방황들이 시간으로서 있다는 것을 

말 그대로 알지 못하였습니다. 

                                                                        ἔστιν

δ᾿ ὅμως οὐδὲν ἧττον κατανοῆσαι δυνατὸν ὡς ὅ γε τέλεος

ἀριθμὸς χρόνου τὸν τέλεον ἐνιαυτὸν πληροῖ τότε, ὅταν ἁπασῶν

τῶν ὀκτὼ περιόδων τὰ πρὸς ἄλληλα συμπερανθέντα τάχη σχῇ            5

κεφαλὴν τῷ τοῦ ταὐτοῦ καὶ ὁμοίως ἰόντος ἀναμετρηθέντα

κύκλῳ. 

                                      한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시간의 완전한 수가 완전한 해를 그 때에 가득 채울 것이란 점은 

이해할 능력이 전혀 부족하지 않습니다. 여덟 가지 통틀어 그 모든 

궤도들의 서로에 관계하여 함께 완료된 속력들이 같은 것 그리고 

마찬가지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의 원에 의해 측정되어서 정점에 

이를 때에 말입니다.

         κατὰ ταῦτα δὴ καὶ τούτων ἕνεκα ἐγεννήθη τῶν

ἄστρων ὅσα δι᾿ οὐρανοῦ πορευόμενα ἔσχεν τροπάς, ἵνα τόδε

ὡς ὁμοιότατον ᾖ τῷ τελέῳ καὶ νοητῷ ζῴῳ πρὸς τὴν τῆς                    e

διαιωνίας μίμησιν φύσεως.

                          더욱이 이런 것들에 따라 그리고 이러한 

것들을 목적으로 하여 별들 중에서 하늘을 통과해 진행하며 

회귀점들을 지닌 것들이 산출되었으니, 여기 이 모든 것이 

영속하는 본성의 모방에 관계해 완전하고 지성적인 생명과 

최대한 유사한 것으로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습니다.

 

Καὶ τὰ μὲν ἄλλα ἤδη μέχρι χρόνου γενέσεως ἀπείργαστο

εἰς ὁμοιότητα ᾧπερ ἀπεικάζετο, τὸ δὲ μήπω τὰ πάντα ζῷα

ἐντὸς αὑτοῦ γεγενημένα περιειληφέναι, ταύτῃ ἔτι εἶχεν ἀνο-                5

μοίως. τοῦτο δὴ τὸ κατάλοιπον ἀπηργάζετο αὐτοῦ πρὸς τὴν

τοῦ παραδείγματος ἀποτυπούμενος φύσιν. ᾗπερ οὖν νοῦς

ἐνούσας ἰδέας τῷ ὃ ἔστιν ζῷον, οἷαί τε ἔνεισι καὶ ὅσαι,

καθορᾷ, τοιαύτας καὶ τοσαύτας διενοήθη δεῖν καὶ τόδε σχεῖν.

그리하여 이제 시간의 생성에 이르기까지 여타의 것들에서는

바로 그것에 닮아지려 했던 그것(본)과의 유사성을 향해 

구현되었으나, 아직 모든 생물들을 자신 내부에서 생성된 것들로

포괄하지 못했다는 점에서는, 이 점에서 여전히 유사하지 못한

상태였습니다. 그래서 그것의 이러한 남겨진 일이 그 본의 본성에

관계하여 그것을 본떠 구현되었습니다. 그리하여 지성이 생물로서

있는 바의 것에 내재하는 형상들을, 어떠한 것들로서 내재하고

또한 얼만큼의 것들이 내재하는지, 살펴보는 바로 그 방식에서,

이러한 그리고 이만큼의 형상들을 여기 이 생물 또한 지녀야

한다고 생각되었습니다.

> 여기에서 형상 안에 형상들이 들어가 있다는 것을 어떻게 이해할지.

유종관계로서의 포함관계를 이야기한다면 이상할 것이 없으나,

물리적 포함관계처럼 보려면 어렵다. 내포와 외연, 어느 쪽?

스토아 우주론에서 우주와 우주 속 개별물들의 관계?

김우석: 수와 1의 관계. 곽재욱: 집은 거주를 위한 것이고

이 목적에 따라 침대가 그 안에 있다고도 할 수 있지 않나.

εἰσὶν δὴ τέτταρες, μία μὲν οὐράνιον θεῶν γένος, ἄλλη δὲ                    10

πτηνὸν καὶ ἀεροπόρον, τρίτη δὲ ἔνυδρον εἶδος, πεζὸν δὲ καὶ         40a1

χερσαῖον τέταρτον. τοῦ μὲν οὖν θείου τὴν πλείστην ἰδέαν

ἐκ πυρὸς ἀπηργάζετο, ὅπως ὅτι λαμπρότατον ἰδεῖν τε κάλ-

λιστον εἴη, τῷ δὲ παντὶ προσεικάζων εὔκυκλον ἐποίει, τίθησίν

τε εἰς τὴν τοῦ κρατίστου φρόνησιν ἐκείνῳ συνεπόμενον, νεί-               5

μας περὶ πάντα κύκλῳ τὸν οὐρανόν, κόσμον ἀληθινὸν αὐτῷ

πεποικιλμένον εἶναι καθ᾿ ὅλον. 

                               그래서 네 가지 형상들이 있으니, 한

형상은 신들의 천상적인 유, 그 외의 형상은 날개가 돋히고

바람을 가르는 유, 세 번째 형상은 수생적인 종, 네 번째가

다리로 걷고 육상에 사는 종으로 있습니다. 그리하여 신적인 유의

형상 대부분을 불로부터 구현해내셨으니, 보기에 최대한 밝고 

또한 최대한 아름다운 것으로 있도록 하기 위함이셨고, 

모든 것(우주)에게 닮도록 하여 훌륭한 원형으로 제작하셨으며, 

저 모든 것에게 동반하는 것으로서 가장 강력한 자의 지혜 쪽으로 

세워놓으셨습니다. 모든 것들 주위로 원형으로 하늘을 놓으시고, 

참된 질서가 그것에게 그 전체에 따라 다채롭게 치장되어 있도록

하시어서 말이죠.                                                                   //210217

                                          κινήσεις δὲ δύο προσῆψεν

ἑκάστῳ, τὴν μὲν ἐν ταὐτῷ κατὰ ταὐτά, περὶ τῶν αὐτῶν ἀεὶ

τὰ αὐτὰ ἑαυτῷ διανοουμένῳ, τὴν δὲ εἰς τὸ πρόσθεν, ὑπὸ τῆς              b

ταὐτοῦ καὶ ὁμοίου περιφορᾶς κρατουμένῳ· τὰς δὲ πέντε

κινήσεις ἀκίνητον καὶ ἑστός, ἵνα ὅτι μάλιστα αὐτῶν ἕκαστον

γένοιτο ὡς ἄριστον. 

                      그런데 그 분께서는 각각에 두 가지 운동을

부여하셨으니, 한편으로는 같은 것 안에서 같은 것들에 따른

운동을, 언제나 같은 것들에 관련하여 자신과 같은(일치하는)

것들을 사유하는 것에게 부여하셨고, 다른 한편으로는 앞을 향하는

운동을, 같은 것 그리고 유사한 것의 회전운동에 의해 지배받는

각각에게 부여하셨습니다. 그런데 그 각각이 다섯 가지 운동들을

놓고 보자면 운동하지 않고 서있는 것으로 있으니, 그것들 각각이

최대한 많이 가능한 한 최선의 것으로 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 "τὴν μὲν..."이 자전운동을 묘사하고 있다면, 우주 중심에 있는 지구의

자전 운동 또한 고려할 수 있을 듯.

                           ἐξ ἧς δὴ τῆς αἰτίας γέγονεν ὅσ᾿ ἀπλανῆ

τῶν ἄστρων ζῷα θεῖα ὄντα καὶ ἀίδια καὶ κατὰ ταὐτὰ ἐν                      5

ταὐτῷ στρεφόμενα ἀεὶ μένει· τὰ δὲ τρεπόμενα καὶ πλάνην

τοιαύτην ἴσχοντα, καθάπερ ἐν τοῖς πρόσθεν ἐρρήθη, κατ᾿

ἐκεῖνα γέγονεν. 

그래서 그러한 원인으로부터 별들 중에서 방황함이 없이 신적인 

것들로 있으며 영속적이고 또한 같은 것들에 따라 같은 것 안에서 

회전하며 영원히 머무는 것들이 생성되었습니다. 그런데 회귀하며,

마치 앞서 이야기된 바에서처럼, 그런 종류의 방황을 지닌 것들은

저것들에 따라서 생성되었지요.

                     γῆν δὲ τροφὸν μὲν ἡμετέραν, ἰλλομένην δὲ

τὴν περὶ τὸν διὰ παντὸς πόλον τεταμένον, φύλακα καὶ δη-                c

μιουργὸν νυκτός τε καὶ ἡμέρας ἐμηχανήσατο, πρώτην καὶ

πρεσβυτάτην θεῶν ὅσοι ἐντὸς οὐρανοῦ γεγόνασιν. 

                                        그런데 대지를 우리의 양육자로,

모든 것을 관통하여 길게 뻗은 축 둘레로 휘감아 도는 그 대지를,

밤과 낮의 수호자이자 장인으로 고안하셨고, 하늘 안에서 생성된

신들 중 가장 처음의 가장 연장자인 것으로서 고안하셨습니다.

                                                                   χορείας

δὲ τούτων αὐτῶν καὶ παραβολὰς ἀλλήλων, καὶ [περὶ] τὰς

τῶν κύκλων πρὸς ἑαυτοὺς ἐπανακυκλήσεις καὶ προχωρήσεις,               5

ἔν τε ταῖς συνάψεσιν ὁποῖοι τῶν θεῶν κατ᾿ ἀλλήλους γιγνό-

μενοι καὶ ὅσοι καταντικρύ, μεθ᾿ οὕστινάς τε ἐπίπροσθεν

ἀλλήλοις ἡμῖν τε κατὰ χρόνους οὕστινας ἕκαστοι κατακαλύ-

πτονται καὶ πάλιν ἀναφαινόμενοι φόβους καὶ σημεῖα τῶν

μετὰ ταῦτα γενησομένων τοῖς οὐ δυναμένοις λογίζεσθαι                   d

πέμπουσιν, τὸ λέγειν ἄνευ δι᾿ ὄψεως τούτων αὖ τῶν μιμη-

μάτων μάταιος ἂν εἴη πόνος· ἀλλὰ ταῦτά τε ἱκανῶς ἡμῖν

ταύτῃ καὶ τὰ περὶ θεῶν ὁρατῶν καὶ γεννητῶν εἰρημένα φύσεως

ἐχέτω τέλος.                                                                               5

바로 그 신들의 윤무들과 서로간의 병치들, 그리고 원들의 자신들을

상대로 한 회귀들과 순행들, 또한 그러한 중첩들 안에 신들 중

어떤 분들께서 서로에 대해 생성되시고 또 얼만큼의 분들께서

반대편에서 생성되시는지, 서로간에 어떤 신들 다음으로 또

그보다 앞서 우리들에게서 어떤 시간들에 따라 덮여 가리워지시고

또 다시 드러나시며 이러한 일들 다음으로 일어날 일들에 대한

두려움과 징후들을 헤아릴 능력이 없는 자들에게 보내시는지,

이번엔 시각을 통한 이러한 것들의 모방물들 없이 말한다는 것은

헛된 노고일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은 이 정도로 우리에게

충분하게 그리고 또한 가지적이며 산출된 신들의 본성에 관련하여

이야기되는 것들도 충분히 끝을 맺은 것으로 치시죠.

 

-蟲-

  1. 이러한 논의가 도입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를 테면 이데아의 세계와 경험세계 사이의 일종의 '중간항' 같은 것이 필요하기 때문일까? 에피스테메에 근거지어진 독사와 그러한 근거로 뒷받침되지 않은 독사의 구분? 만일 둘 다 참인 믿음이라면, 그럼에도 전자는 앎이고 후자는 믿음이라고 구분지어야 할지, 아니면 앎에 근거한 믿음과 그렇지 않은 믿음이 그럼에도 둘 다 여전히 믿음이라고 해야 할지? [본문으로]

Τί δὲ δή; περὶ τοῦ ἅπτεσθαι τὸ ἓν αὑτοῦ καὶ τῶν ἄλλων                    5

καὶ τοῦ μὴ ἅπτεσθαι πέρι πῶς ἔχει, σκόπει.―Σκοπῶ.―Αὐτὸ

γάρ που ἐν ἑαυτῷ ὅλῳ τὸ ἓν ἐφάνη ὄν.―Ὀρθῶς.―Οὐκοῦν

καὶ ἐν τοῖς ἄλλοις τὸ ἕν;―Ναί.―Ἧι μὲν ἄρα ἐν τοῖς ἄλλοις,

τῶν ἄλλων ἅπτοιτο ἄν· ᾗ δὲ αὐτὸ ἐν ἑαυτῷ, τῶν μὲν ἄλλων              e

ἀπείργοιτο ἅπτεσθαι, αὐτὸ δὲ αὑτοῦ ἅπτοιτο ἂν ἐν ἑαυτῷ

ὄν.―Φαίνεται.―Οὕτω μὲν δὴ ἅπτοιτο ἂν τὸ ἓν αὑτοῦ τε

καὶ τῶν ἄλλων.―Ἅπτοιτο.

한데 그럼 어떤가? 하나는 자신에 그리고 그 외의 것들에

접촉한다는 것과 접촉하지 않는다는 것에 관련하여서 어떤 

상태인지, 검토해 주게.―검토하겠습니다.―즉 하나 자체는 

아마 자신 전체 안에서 있는 것으로 드러났었지.―맞습니다.

―그러니 그 외의 것들 안에서도 있는 것으로 드러나지 않겠나?

―네.―그래서 그 외의 것들 안에서 하나로 드러나는 한에서는, 

그 외의 것들에 접촉할 걸세. 그런데 그 자체가 자기 자신 안에서 

하나로 드러나는 한에서는, 그 외의 것들에는 접촉하는 것을 

금지당할 것이나, 그 자체가 자신 안에 있음으로써 자신에는 

접촉할 걸세.―그래 보입니다.―그래서 그런 식으로는 

하나가 자기 자신에도 그 외의 것들에도 접촉하겠지.

―접촉하겠지요.

 

> 포함되는 것은 포함하는 것과 접촉한다. 138a 이하.

   부분들의 총합과 부분 없는 전체 사이의 관계.

   접촉한다는 것이 점과 점으로 만난다는 것이라면, 경계를 이루는

모든 점들 각각에서 포함하는 것과 포함되는 것이 각기 자신의 부분들로써

접촉하는 것이며, 그렇다면 접촉하기 위해서는 부분들로 이루어져야 한다.

자신이 자신을 포함하고 자신에 의해 포함된다면, 포함되는 자신은 부분들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반면 포함하는 자신은 포함되는 자신보다 커야 하고,

그럼 포함하는 자신은 포함되는 자신보다 더 많은 부분들로 되어 있을 것이며,

포함되는 자신은 포함하는 자신이 더 가진 그 부분만큼 자기 자신의 부분을

결여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 경우 더 이상 자기 자신으로 있지 못하다.

 

                                   ―Τί δὲ τῇδε; ἆρ᾿ οὐ πᾶν τὸ

μέλλον ἅψεσθαί τινος ἐφεξῆς δεῖ κεῖσθαι ἐκείνῳ οὗ μέλλει                  5

ἅπτεσθαι, ταύτην τὴν ἕδραν κατέχον ἣ ἂν μετ᾿ ἐκείνην ᾖ

[ἕδρα] ᾗ ἂν κέηται, ἅπτεται;―Ἀνάγκη.―Καὶ τὸ ἓν ἄρα

εἰ μέλλει αὐτὸ αὑτοῦ ἅψεσθαι, ἐφεξῆς δεῖ εὐθὺς μετὰ ἑαυτὸ

κεῖσθαι, τὴν ἐχομένην χώραν κατέχον ἐκείνης ἐν ᾗ αὐτό

ἐστιν.―Δεῖ γὰρ οὖν.―Οὐκοῦν δύο μὲν ὂν τὸ ἓν ποιήσειεν                  10

ἂν ταῦτα καὶ ἐν δυοῖν χώραιν ἅμα γένοιτο· ἕως δ᾿ ἂν ᾖ ἕν,         149a1

οὐκ ἐθελήσει;―Οὐ γὰρ οὖν.

                                    ―그런데 이런 식으로는 어떤가?

혹시 장차 무언가에 접촉할 그러한 모든 것은 그것이 장차

접할 대상이 되는 저것과 잇달아 놓여야 하는가? 닿아지는 것이 

놓이는 저 자리 다음에 있을 바로 그 자리를 점유함으로써?―

필연적으로요.―그럼 하나 또한 만일 장차 스스로 자신에게

접촉할 것이라면, 그 자신이 바로 다음에 연달아 놓여야 하네,

그 자신이 그 안에 있는 저 자리에 붙어있는 자리를 점유함으로써

말일세.―그야 그래야 하니까요.―그러니 하나는 둘로 있으면서

이러한 일들을 행할 테고 또한 두 자리 안에 동시에 생성되지

않겠나? 그런데 그것이 하나로 있을 동안에는, 그리 하려 하지

않겠지?―그야 안 그러겠죠.

> '잇달아'의 정의는 『자연학』 226b34 이하. 

                                    ―Ἡ αὐτὴ ἄρα ἀνάγκη τῷ ἑνὶ

μήτε δύο εἶναι μήτε ἅπτεσθαι αὐτῷ αὑτοῦ.―Ἡ αὐτή.―Ἀλλ᾿

οὐδὲ μὴν τῶν ἄλλων ἅψεται.―Τί δή;―Ὅτι, φαμέν, τὸ

μέλλον ἅψεσθαι χωρὶς ὂν ἐφεξῆς δεῖ ἐκείνῳ εἶναι οὗ μέλλει                5

ἅψεσθαι, τρίτον δὲ αὐτῶν ἐν μέσῳ μηδὲν εἶναι.―Ἀληθῆ.―

Δυό ἄρα δεῖ τὸ ὀλίγιστον εἶναι, εἰ μέλλει ἅψις εἶναι.―Δεῖ.                     //200925

                                    ―그래서 하나로서는 둘로 있지도

못하고 스스로 자신에게 접촉하지도 못한다는 것이 같은

필연이라네.―같네요.―허나 물론 그 외의 것들에도 접하지

못할 테지.―왜 그렇죠?―우리는, 장차 접촉할 독립적으로

있는 것은 그것이 장차 접촉할 저 대상에 연달아 있어야 한다고,

그런데 그것들의 중간에 세 번째 것은 아무것도 있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한다는 점에서 말이지.―참이지요.―그럼 아무리 

적어도 둘은 있어야 하네, 만일 장차 접촉이 있으려면 말일세.

―그래야죠.

―Ἐὰν δὲ τοῖν δυοῖν ὅροιν τρίτον προσγένηται ἑξῆς, αὐτὰ

μὲν τρία ἔσται, αἱ δὲ ἅψεις δύο.―Ναί.―Καὶ οὕτω δὴ                      b

ἀεὶ ἑνὸς προσγιγνομένου μία καὶ ἅψις προσγίγνεται, καὶ

συμβαίνει τὰς ἅψεις τοῦ πλήθους τῶν ἀριθμῶν μιᾷ ἐλάττους

εἶναι. ᾧ γὰρ τὰ πρῶτα δύο ἐπλεονέκτησεν τῶν ἅψεων εἰς

τὸ πλείω εἶναι τὸν ἀριθμὸν ἢ τὰς ἅψεις, τῷ ἴσῳ τούτῳ καὶ                  5

ὁ ἔπειτα ἀριθμὸς πᾶς πασῶν τῶν ἅψεων πλεονεκτεῖ· ἤδη 

γὰρ τὸ λοιπὸν ἅμα ἕν τε τῷ ἀριθμῷ προσγίγνεται καὶ μία                c

ἅψις ταῖς ἅψεσιν.―Ὀρθῶς.―Ὅσα ἄρα ἐστὶν τὰ ὄντα τὸν

ἀριθμόν, ἀεὶ μιᾷ αἱ ἅψεις ἐλάττους εἰσὶν αὐτῶν.―Ἀληθῆ.

               ―그런데 만일 그 두 항들에 세 번째 것이 

연달아 추가로 생성된다면, 그것들은 세 가지 것들로 있을 

테지만, 접촉들은 둘로 있을 걸세.―네.―더욱이 그런 식으로 

언제나 하나가 추가생성되면 한 접촉도 추가생성될 테고, 

그래서 그 갯수의 여럿(복수)보다 하나 만큼 적은 접촉들이 

있도록 귀결된다네. 왜냐하면 최초의 둘이 그것들의 접촉들에 

대해 그 접촉들보다 수에서 더 많이 있는 쪽으로 초과하는 만큼, 

바로 그와 같은 만큼 그 다음 모든 수도 그 모든 접촉들에 대해 

초과하기 때문이라네. 왜냐하면 남은 경우에도 이미 하나가

수에 추가 되는 동시에 한 접촉도 접촉들에 추가되기 때문이지.

―올바르게 말이죠.―그래서 있는 것들이 수에서 얼만큼 있든,

항상 그것들보다 하나 만큼 적은 접촉들이 있다네.―참으로요.

―Εἰ δέ γε ἓν μόνον ἐστίν, δυὰς δὲ μὴ ἔστιν, ἅψις οὐκ ἂν

εἴη.―Πῶς γάρ;―οὔκουν, φαμέν, τὰ ἄλλα τοῦ ἑνὸς οὔτε                      5

ἕν ἐστιν οὔτε μετέχει αὐτοῦ, εἴπερ ἄλλα ἐστίν.―Οὐ γάρ.―

Οὐκ ἄρα ἔνεστιν ἀριθμὸς ἐν τοῖς ἄλλοις, ἑνὸς μὴ ἐνόντος ἐν

αὐτοῖς.―Πῶς γάρ;―Οὔτ᾿ ἄρα ἕν ἐστι τὰ ἄλλα οὔτε δύο οὔτε

ἄλλου ἀριθμοῦ ἔχοντα ὄνομα οὐδέν.―Οὔ.―Τὸ ἓν ἄρα μόνον            d

ἐστὶν ἕν, καὶ δυὰς οὐκ ἂν εἴη.―Οὐ φαίνεται.―ἅψις ἄρα

οὐκ ἔστιν δυοῖν μὴ ὄντοιν.―Οὐκ ἔστιν.―Οὔτ᾿ ἄρα τὸ ἓν τῶν

ἄλλων ἅπτεται οὔτε τὰ ἄλλα τοῦ ἑνός, ἐπείπερ ἅψις οὐκ

ἔστιν.―Οὐ γὰρ οὖν.―Οὕτω δὴ κατὰ πάντα ταῦτα τὸ ἓν                    5

τῶν τε ἄλλων καὶ ἑαυτοῦ ἅπτεταί τε καὶ οὐχ ἅπτεται.―

Ἔοικεν.                                                                       //210927

―그런가 하면 만일 오직 하나만 있다면, 그런데 둘은 있지

않다면, 접촉이 있지 않을 걸세.―그야 어찌 있겠습니까?―

그러니, 우리가 주장하기로, 하나 외의 것들은 하나로 있지도

않고 그것에 참여하지도 않지 않나 하네, 만일 정말로 그 외의

것들로 있다면 말이지.―그리 있지 않고 그리 하지 않으니까요.

―그래서 그 외의 것들에는 수가 그 안에 들어 있지 않은데,

그것들 안에 하나가 들어가 있지 않기 때문이지.―그야 어찌

그렇겠습니까?―그래서 여타의 것들은 하나로 있지도 않고

둘로도 있지 않고 그 외의 수의 그 어떤 이름을 가진 것들로도

있지 않지.―그리 있지 않죠.―그래서 오직 하나만이 하나로

있고, 그래서 둘은 있지는 않을 걸세.―그리 있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그래서 둘이 있지 않으니 접촉은 있지 않지.―있지

않죠.―그래서 하나도 그 외의 것들에 접하지 않고 그 외의

것들도 하나에 접하지 않는 것이지, 접촉이 있지 않으니 말일세.

그야 있지 않으니 그렇지요.―그래서 그런 식으로 이 모든

것들에 따라서 하나는 그 외의 것들에도 자신에게도 접하기도

또 접하지 않기도 하고있다네.―그럴 듯합니다.

> 하나가 있어야 수가 있고, 수가 있어야 둘이 있고, 둘이 있어야

접촉이 있다.

 

Ἆρ᾿ οὖν καὶ ἴσον ἐστὶ καὶ ἄνισον αὑτῷ τε καὶ τοῖς 

ἄλλοις;―Πῶς;―Εἰ μεῖζον εἴη τὸ ἓν ἢ τἆλλα ἢ ἔλαττον,

ἢ αὖ τὰ ἄλλα τοῦ ἑνὸς μείζω ἢ ἐλάττω, ἆρα οὐκ ἂν τῷ μὲν               e

ἓν εἶναι τὸ ἓν καὶ τἆλλα ἄλλα τοῦ ἑνὸς οὔτε τι μείζω

οὔτε τι ἐλάττω ἂν εἴη ἀλλήλων αὐταῖς γε ταύταις ταῖς

οὐσίαις; ἀλλ᾿ εἰ μὲν πρὸς τῷ τοιαῦτα εἶναι ἑκάτερα ἰσότητα

ἔχοιεν, ἴσα ἂν εἴη πρὸς ἄλληλα· εἰ δὲ τὰ μὲν μέγεθος, τὸ                    5

δὲ σμικρότητα, ἢ καὶ μέγεθος μὲν τὸ ἕν, σμικρότητα δὲ

τἆλλα, ὁποτέρῳ μὲν τῷ εἴδει μέγεθος προσείη, μεῖζον ἂν

εἴη, ᾧ δὲ σμικρότης, ἔλαττον;―Ἀνάγκη.

그러면 혹시 [하나가] 자신과도 그 외의 것들과도 같은 만큼의

것으로도 같지 않은 만큼의 것으로도 있지?―어찌 하시는

말씀이십니까?―만일 하나가 그 외의 것들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것으로 있을 것이라면, 혹은 이번엔 그 외의 것들이

하나보다 더 많거나 혹은 더 적게 있을 것이라면, 혹시 

하나가 하나로 있다는 것과 그 외의 것들이 하나 이외의 것들로

있다는 점에서 적어도 그들 자신들의 실체들 자체로는 서로

보다 조금이라도 더 많은 것으로도 조금이라도 더 적은 

것으로도 있지 않은 게 아니겠나? 오히려 만일 양편 각각의 

것들이 그러한 것들로 있다는 것에 더하여 같은 양을 

지닌다면, 서로에 대해 같은 만큼의 것들로 있겠지. 그런데

만일 여타의 것들은 큼을, 다른 한편 하나는 작음을 지닌다면,

혹은 하나는 큼을 지니고, 그 외의 것들은 작음들을 지닌다면,

그 둘 중 큼이 추가로 있을 그 형상(종류)은, 더 큰 것으로

있겠으며, 작음이 그것에 추가로 있을 것, 그것은 더욱 적은

것으로 있겠지?―필연적으로요.

                                                   ―Οὐκοῦν ἐστόν

γέ τινε τούτω εἴδη, τό τε μέγεθος καὶ ἡ σμικρότης; οὐ γὰρ

ἄν που μὴ ὄντε γε ἐναντίω τε ἀλλήλοιν εἴτην καὶ ἐν τοῖς                  10

οὖσιν ἐγγιγνοίσθην.―Πῶς γὰρ ἄν;―Εἰ ἄρα ἐν τῷ ἑνὶ                  150a1

σμικρότης ἐγγίγνεται, ἤτοι ἐν ὅλῳ ἂν ἢ ἐν μέρει αὐτοῦ

ἐνείη.―Ἀνάγκη.―Τί δ᾿ εἰ ἐν ὅλῳ ἐγγίγνοιτο; οὐχὶ ἢ ἐξ

ἴσου ἂν τῷ ἑνὶ δι᾿ ὅλου αὐτοῦ τεταμένη εἴη ἢ περιέχουσα

αὐτό;―Δῆλον δή.―Ἆρ᾿ οὖν οὐκ ἐξ ἴσου μὲν οὖσα ἡ σμι-                   5

κρότης τῷ ἑνὶ ἴση ἂν αὐτῷ εἴη, περιέχουσα δὲ μείζων;

                                                      ―그러므로 적어도

이런 어떤 두 형상들이 있지 않나? 큼과 작음 말이네. 왜냐하면

아마도 그 둘이 어쨌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서로 반대되는 것들로

있지도 못하고 있는 것들 안에 들어서 생성되지도 못할 테니까.

―어찌 그럴 수 있겠습니까?―그래서 만일 하나 안에 작음이

생성되어 들어온다면, 어쨌든 그 전체 안에 들어 있거나 혹은

그것의 부분 안에 들어 있겠지.―필연적으로요.―그런데 만일

전체 안에 생성되어 들어온다면 어떤가? 하나와 같은 정도의

양으로 그 전체를 거쳐 뻗어 있거나 아니면 그것을 포괄하여

있거나 하겠지?―분명 그렇습니다.―그러면 혹시 작음은 하나와

같은 정도의 양으로 있어서는 그것과 같은 만큼의 것으로 있겠고,

포괄하여서는 더 큰 것으로 있지 않나?

> 소괄호 안에 무엇이 가득하게 생기는 세 가지 경우. {()}일치 { () }포괄 ({})부분

> 이를 경계나 접촉과 관련하여, 같은 만큼 뻗은 것과 경계로서 감싸는 것의

두 경우로 생각하면 바깥영역이라는 새로운 고려사항을 도입할 필요가 없을 것. by Lee. 211220

―Πῶς δ᾿ οὔ;―Δυνατὸν οὖν σμικρότητα ἴσην τῳ εἶναι ἢ μείζω

τινός, καὶ πράττειν τὰ μεγέθους τε καὶ ἰσότητος, ἀλλὰ

μὴ τὰ ἑαυτῆς;―Ἀδύνατον.―Ἐν μὲν ὅλῳ ἄρα τῷ ἑνὶ οὐκ                  b

ἂν εἴη σμικρότης, ἀλλ᾿ εἴπερ, ἐν μέρει.―Ναί.―Οὐδέ γε ἐν

παντὶ αὖ τῷ μέρει· εἰ δὲ μή, ταὐτὰ ποιήσει ἅπερ πρὸς τὸ

ὅλον· ἴση ἔσται ἢ μείζων τοῦ μέρους ἐν ᾧ ἂν ἀεὶ ἐνῇ.―

Ἀνάγκη.

                                              ―어찌 아니겠습니까?―

그러면 작음이 어떤 것과 같은 만큼의 것으로 있거나 아니면

무언가보다 더 큰 것으로 있다는 것이, 그리고 큼에도 같은

만큼의 것에도 속한 일들을 해내기도 한다는 것이, 그러나

자신에 속한 일들은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 가능한 일인가?―

불가능합니다.―그래서 전체로서의 하나 안에는 작음이 있지

않을 것이고, 오히려 만일 그렇다면, 부분 안에 있을 걸세.―네.

―이번엔 또 부분 모두 안에 있는 것도 아니겠지. 그런데 만일

그렇지 않다면, 전체에 관계되는 바로 그 일들과 같은 일들을

행할 테지. 같은 만큼의 것으로 있을 것이거나 그것이 언제나

그 안에 들어 있을 그 부분보다 더 큰 것으로 있을 걸세.

필연적입니다.

> 1) 모든 부분. 2) 특정 부분의 전체.

   1)로 읽으면 앞서에서 하나와 작음의 크기가 같거나 작음이

     더 큰 경우가 생김.

   2)로 읽으면 하나와 작음 사이의 문제와 같은 종류의 문제가

     작음과 작음이 들어가는 그 일부분 사이에서도 발생한다.

    아마도 2

           ―Οὐδενί ποτε ἄρα ἐνέσται τῶν ὄντων σμικρότης,                5

μήτ᾿ ἐν μέρει μήτ᾿ ἐν ὅλῳ ἐγγιγνομένη· οὐδέ τι ἔσται

σμικρὸν πλὴν αὐτῆς σμικρότητος.―Οὐκ ἔοικεν.―Οὐδ᾿ ἄρα

μέγεθος ἐνέσται ἐν αὐτῷ· μεῖζον γὰρ ἄν τι εἴη ἄλλο καὶ

πλὴν αὐτοῦ μεγέθους, ἐκεῖνο ἐν ᾧ τὸ μέγεθος ἐνείη, καὶ                 c

ταῦτα σμικροῦ αὐτῷ οὐκ ὄντος, οὗ ἀνάγκη ὑπερέχειν, ἐάνπερ

ᾖ μέγα· τοῦτο δὲ ἀδύνατον, ἐπειδὴ σμικρότης οὐδαμοῦ ἔνι.―

Ἀληθῆ. //211213

                                                ―그래서 있는 것들 중

그 무엇에게도 결코 작음이 들어 있지 않을 것이고, 부분 안에도

전체 안에도 생성되어 들어가지 않음으로써 그럴 걸세. 작음 자체

말고는 그 무엇도 전혀 작은 것으로 있지 않을 테지.―있지 않은

편이 그럴 듯하네요.―그래서 그 안에 큼도 들어 있지 않을 걸세.

왜냐하면 큼 자체 말고도 그 외의 어떤 것이 큰 것으로 있을 테고,

저것은 큼이 그 안에 들어 있을 그런 것일 테고, 작은 것은 그것에게

있지 않음에도 사정이 그러하기 때문이네, 만일 정말로 큰 것으로

있으려면, 그것이 초과하는 일이 필연적인, 그런 작음이 말일세.

그런데 이는 불가능하다네, 작음이 그 어디에도 전혀 들어있지

않으니.―참된 말씀이십니다.

> 작음 자체가 다른 것을 작게 만들면서 작지 않게 된다.

   그래서 작음은 어디에도 들어있지 않다.

   그런데 큼 자체 외에 다른 큰 것들은 작은 것보다 비교해서

   더 큰 것으로 있어야 한다.

   그런데 작음이 어디에도 들어있지 않으므로 비교할 작은

   것이 없다.

   그러므로 큼 자체 외의 큰 것은 큰 것으로 있을 수 없다.

   이 경우, 큼 자체는 어떠한가? 큼 자체도 다른 것을 크게

   만들려면 크지 않게 되어 버리는가?

   관계항을 부정하는 것인지, 가장 거대한 유들은 모두 관계항인지

등등의 문제가.... by Lee.

         ―Ἀλλὰ μὴν αὐτὸ μέγεθος οὐκ ἄλλου μεῖζον ἢ

αὐτῆς σμικρότητος, οὐδὲ σμικρότης ἄλλου ἔλαττον ἢ αὐτοῦ              5

μεγέθους.―Οὐ γάρ.―Οὔτε ἄρα τὰ ἄλλα μείζω τοῦ ἑνὸς

οὐδὲ ἐλάττω, μήτε μέγεθος μήτε σμικρότητα ἔχοντα, οὔτε

αὐτὼ τούτω πρὸς τὸ ἓν ἔχετον τὴν δύναμιν τὴν τοῦ ὑπερ-             d

έχειν καὶ ὑπερέχεσθαι, ἀλλὰ πρὸς ἀλλήλω, οὔτε αὖ τὸ ἓν

τούτοιν οὐδὲ τῶν ἄλλων μεῖζον ἂν οὐδ᾿ ἔλαττον εἴη, μήτε

μέγεθος μήτε σμικρότητα ἔχον.―Οὔκουν φαίνεταί γε.―Ἆρ᾿

οὖν, εἰ μήτε μεῖζον μήτε ἔλαττον τὸ ἓν τῶν ἄλλων, ἀνάγκη               5

αὐτὸ ἐκείνων μήτε ὑπερέχειν μήτε ὑπερέχεσθαι;―Ἀνάγκη.

                           ―오히려 실은 큼 자체가 작음 자체 외에

것보다 더 크지 않고, 작음도 큼 자체 외의 것보다 작지도 않지.

―안 크고 안 작고 하죠.―그래서 여타의 것들은 하나보다 더

크지도 더 작지도 않으니, 큼도 작음도 지니지 않기에 그러하며,

그 둘 자체가 하나를 상대로 초과하거나 초과당할 능력을

지니지도 않고, 오히려 서로를 상대로, 이번엔 또 하나가 그

둘보다도 그 외의 것들보다도 큰 것으로도 작은 것으로도 있지

않을 것이라네, 큼도 작음도 지니지 않음으로써 말일세.―적어도

안 지닐 것으로 드러나 보이기는 하네요.―그러니 혹시, 만일

하나가 그 외의 것들보다 크지도 작지도 않다면, 그것이 저것들을

초과하지도 저것들에 초과당하지도 않는다는 필연적인가?―

필연적입니다.

> 큼 자체와 작음 자체 사이에서는, 그 사이에서만, 

―Οὐκοῦν τό γε μήτε ὑπερέχον μήτε ὑπερεχόμενον πολλὴ

ἀνάγκη ἐξ ἴσου εἶναι, ἐξ ἴσου δὲ ὂν ἴσον εἶναι.―Πῶς γὰρ

οὔ;―Καὶ μὴν καὶ αὐτό γε τὸ ἓν πρὸς ἑαυτὸ οὕτως ἂν ἔχοι·              e

μήτε μέγεθος ἐν ἑαυτῷ μήτε σμικρότητα ἔχον οὔτ᾿ ἂν ὑπερ-

ἐχοιτο οὔτ᾿ ἂν ὑπερέχοι ἑαυτοῦ, ἀλλ᾿ ἐξ ἴσου ὂν ἴσον ἂν εἴη

ἑαυτῷ.―Πάνυ μὲν οὖν.―Τὸ ἓν ἄρα ἑαυτῷ τε καὶ τοῖς

ἄλλοις ἴσον ἂν εἴη.―Φαίνεται.

                    ―그렇다면 적어도 초과하지도 초과당하지도

않는 것은 같은 정도로 있음이, 같은 정도로 있음으로써 같은

만큼의 것으로 있음이 무척이나 필연적이지 않나 하네.―어찌

아니겠습니까?―그런가 하면 적어도 하나 자체도 자기 자신을

상대로 그러한 상태일 걸세. 자신 안에 큼도 작음도 지니지

않음으로써 초과당하지도 않을 것이고 자신을 초과하지도

것이고, 오히려 제 자신과 같은 정도로 있음으로써 같은 만큼의

것으로 있을 테지.―물론입니다.―그래서 하나는 자신과도 그

외의 것들과도 같은 만큼의 것으로 있겠지.―그래 보입니다.

                                       ―Καὶ μὴν αὐτό γε ἐν ἑαυτῷ                5

ὂν καὶ περὶ ἑαυτὸ ἂν εἴη ἔξωθεν, καὶ περιέχον μὲν μεῖζον

ἂν ἑαυτοῦ εἴη, περιεχόμενον δὲ ἔλαττον, καὶ οὕτω μεῖζον ἂν     151a1

καὶ ἔλαττον εἴη αὐτὸ ἑαυτοῦ τὸ ἕν.―Εἴη γὰρ ἄν.―Οὐκοῦν

καὶ τόδε ἀνάγκη, μηδὲν εἶναι ἐκτὸς τοῦ ἑνός τε καὶ τῶν

ἄλλων;―Πῶς γὰρ οὔ;―Ἀλλὰ μὴν καὶ εἶναί που δεῖ τό γε

ὂν ἀεί.―Ναί.―Οὐκοῦν τό γε ἔν τῳ ὂν ἐν μείζονι ἔσται                     5

ἔλαττον ὄν; οὐ γὰρ ἂν ἄλλως ἕτερον ἐν ἑτέρῳ εἴη.―Οὐ

γάρ.

―그런가 하면 적어도 자신과 같은 것으로 있음으로써

자신과 관련하여 외부에 있을 것이기도 하고, 그래서

포괄하는 것으로서 자신보다 더 큰 것으로 있을 것이며,

다른 한편 포괄되는 것으로서는 더 작은 것으로 있을 것이고,

그래서 그런 식으로 하나 자체가 자기 자신보다 더 큰 것이자

더 작은 것으로 있을 걸세.―그리 있을 테지요.―그렇다면

이런 것도 필연적이지 않나? 하나와 그 외의 것들 외부에는

아무것도 있지 않다는 것이 말일세.―어찌 아니겠습니까?―

그런가 하면 적어도 항상 있는 것인 한에서는 어딘가에 있어야

하지.―네.―그렇다면 적어도 무언가 안에 있는 것은 더 큰 것

안에 있음으로써 작은 것으로 있는 것으로서 있을 게 아닌가?

왜냐하면 그 외의 방식으로는 다른 것 안에 있지 않을 테니까.

―다른 방식으로는 있지 않겠죠.

      ―Ἐπειδὴ δὲ οὐδὲν ἕτερον ἔστι χωρὶς τῶν ἄλλων καὶ

τοῦ ἑνός, δεῖ δὲ αὐτὰ ἔν τῳ εἶναι, οὐκ ἀνάγκη ἤδη ἐν ἀλλή-

λοις εἶναι, τά τε ἄλλα ἐν τῷ ἑνὶ καὶ τὸ ἓν ἐν τοῖς ἄλλοις,

ἢ μηδαμοῦ εἶναι;―Φαίνεται.―Ὅτι μὲν ἄρα τὸ ἓν ἐν τοῖς                b

ἄλλοις ἔνεστι, μείζω ἂν εἴη τὰ ἄλλα τοῦ ἑνός, περιέχοντα

αὐτό, τὸ δὲ ἓν ἔλαττον τῶν ἄλλων, περιεχόμενον· ὅτι δὲ τὰ

ἄλλα ἐν τῷ ἑνί, τὸ ἓν τῶν ἄλλων κατὰ τὸν αὐτὸν λόγον

μεῖζον ἂν εἴη, τὰ δὲ ἄλλα τοῦ ἑνὸς ἐλάττω.―Ἔοικεν.―Τὸ                 5

ἓν ἄρα ἴσον τε καὶ μεῖζον καὶ ἔλαττόν ἐστιν αὐτό τε αὑτοῦ

καὶ τῶν ἄλλων.―Φαίνεται.                                                     //211220

                                         ―그런데 그 외의 것들과 그리고

하나와도 독립적으로는 다른 아무것도 있지 않기에, 한데 그것들이

무언가 안에 있어야 하기에, 이제 서로 안에 있다는 게 필연적이지

않나? 그 외의 것들도 하나 안에 하나도 그 외의 것들 안에 있다는 

게, 아니면 아무데도 있지 않다는 게 말일세.―그리 드러나 보입니다.

―그래서 하나는 그 외의 것들 안에 들어가 있다는 점에서, 그 외의

것들은 하나보다 더 큰 것으로 있을 테니, 그 하나를 포괄하는

것들로서 그리 있을 것이고, 다른 한편 하나는 그 외의 것들보다 

작은 것으로 있을 테니, 포괄되는 것으로서 그리 있을 걸세. 그런데

그 외의 것들이 하나 안에 있다는 점에서, 하나는 같은 논리에 따라

그 외의 것들보다 더 큰 것으로 있을 테고, 그 외의 것들은 하나보다

더 작은 것으로 있을 걸세.―그럴 듯합니다.―그래서 하나는 그 자체가

자기 자신에 비해서도 그 외의 것들에 비해서도 같은 만큼의 것이자

더 큰 것이며 또한 더 작은 것으로 있지.―그리 드러나 보입니다.

> 왜 ta alla가 en allelois로 있는 경우가 제외되는가? + 왜 여타의 것들은

하나 안에 있거나 아니면 아무데도 없다는 게 필연적인가?

하나는 왜 하나 자신 안에 있는 것으로 충분하지 않고 여타의 것들 안에

있어야 하는가? 하나는 자신 안에 있으나, 무엇 안에 있으려면 그 받아들이는

것이 들어가는 것보다 커야 하고, 어떤 것보다 더 큰 것은 그 어떤 것과 다른

것이고, 그래서 하나는 자신 외에 것 안에 있어야 한다는 논의 전개인가?

그럼 하나가 여타의 것들 안에 있어야 한다는 결론은 이해할 수 있으나,

왜 여타의 것들이 하나 안에 있어야 하고 자기들 서로 안에 있을 가능성은

고려되지 않는 것인가? //복수지만 집단으로서 단수 취급하면 A와 ~A가

각자 자신 안에 아니면 서로 안에 있다는 두 선택지만 가능. by Lee.

> 큼 자체와 작음 자체가 자신들 외의 그 어디에도 들어있지 않기에

여타의 것들은 하나를 포함해 모두 서로 같은 크기.

                                   ―Καὶ μὴν εἴπερ μεῖζον καὶ ἔλατ-

τον καὶ ἴσον, ἴσων ἂν εἴη μέτρων καὶ πλειόνων καὶ ἐλαττόνων

αὑτῷ καὶ τοῖς ἄλλοις, ἐπειδὴ δὲ μέτρων, καὶ μερῶν.―Πῶς               c

δ᾿ οὔ;―Ἴσων μὲν ἄρα μέτρων ὂν καὶ πλειόνων καὶ ἐλατ-

τόνων, καὶ ἀριθμῷ ἔλαττον ἂν καὶ πλέον εἴη αὐτό τε αὑτοῦ

καὶ τῶν ἄλλων καὶ ἴσον αὑτῷ τε καὶ τοῖς ἄλλοις κατὰ

ταὐτά.

―게다가 만일 정말로 더 큰 것이자 더 작은 것이며 또한 같은

만큼의 것으로 있다면, 자신과도 그 외의 것들과도 같은 만큼의

척도들과 더 많은 척도들 그리고 더 적은 척도들로 되어 있을 

것이고, 그런데 척도들로 되어 있기에, 부분들로도 되어 있을 테지.

―어찌 아니겠습니까?―그래서 같은 만큼의 그리고 더 많은 또한

더 적은 척도들로 되어 있는 것으로서, 수로도 그 자체가 자신보다도

그 외의 것들보다도 더 적은 것으로 그리고 또한 더 많은 것으로

있을 테고 자신과도 그 외의 것들과도 같은 만큼의 것으로 같은

것들(척도들)에 따라 있을 걸세.

        ―Πῶς;―Ὧνπερ μεῖζόν ἐστι, πλειόνων που καὶ                      5

μέτρων ἂν εἴη αὐτῶν, ὅσων δὲ μέτρων, καὶ μερῶν· καὶ ὧν

ἔλαττον, ὡσαύτως· καὶ οἷς ἴσον, κατὰ ταὐτά.―Οὕτως.―

Οὐκοῦν ἑαυτοῦ μεῖζον καὶ ἔλαττον ὂν καὶ ἴσον ἴσων ἂν εἴη

μέτρων καὶ πλειόνων καὶ ἐλαττόνων αὑτῷ, ἐπειδὴ δὲ μέτρων,        d

καὶ μερῶν;―Πῶς δ᾿ οὔ;―Ἴσων μὲν ἄρα μερῶν ὂν αὑτῷ

ἴσον ἂν τὸ πλῆθος αὑτῷ εἴη, πλειόνων δὲ πλέον, ἐλαττόνων

δὲ ἔλαττον τὸν ἀριθμὸν αὑτοῦ.―Φαίνεται.

                               ―어떻게요?―하나가 그 어떤 것들보다

큰 것으로 있든지, 아마 그 어떤 것을 이루는 그 만큼의 척도들보다

더 많은 척도들로 되어 있을 테고, 그래서 그렇게 부분들로 되어

있을 걸세. 그리고 하나가 더 작은 것으로 있는 비교대상들의

경우에도, 같은 방식으로 있을 걸세. 같은 만큼의 것으로 있는

것들의 경우에도, 같은 것들에 따라 있을 테고.―그런 식으로

있겠죠.―그렇다면 자신보다 더 큰 것으로 그리고 더 작은 것으로

있음으로써 같은 만큼의 척도들과 더 많은 척도들 그리고 더 적은

척도들로 자신과 같은 만큼의 것으로도 있지 않겠나? 그런데

척도들로 그리 있기에, 부분들로도 그리 있지 않겠나?―어찌

아니겠습니까?―그래서 자신과 같은 만큼의 부분들로 되어

있음으로써는 그 수량이 자신과 같은 만큼의 것으로 있을 테고,

더 많은 부분들로 되어 있음으로써는 더 많은 것으로, 더 적은

부분들로 되어 있음으로써는 자신보다 수에서 더 적은 것으로

있을 걸세.―그리 드러나 보입니다.

                                                        ―Οὐκοῦν καὶ

πρὸς τἆλλα ὡσαύτως ἕξει τὸ ἕν; ὅτι μὲν μεῖζον αὐτῶν                      5

φαίνεται, ἀνάγκη πλέον εἶναι καὶ τὸν ἀριθμὸν αὐτῶν· ὅτι

δὲ σμικρότερον, ἔλαττον· ὅτι δὲ ἴσον μεγέθει, ἴσον καὶ τὸ

πλῆθος εἶναι τοῖς ἄλλοις;―Ἀνάγκη.―Οὕτω δὴ αὖ, ὡς

ἔοικε, τὸ ἓν καὶ ἴσον καὶ πλέον καὶ ἔλαττον τὸν ἀριθμὸν               e

αὐτό τε αὑτοῦ ἔσται καὶ τῶν ἄλλων.―Ἔσται.

                                                                ―그렇다면

그 외의 것들을 상대로도 하나가 같은 상태에 있지 않겠나?

그것들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보인다는 점에서는, 수에서도 

그것들 보다 또한 더 많은 것으로 있다는 게 필연적이지.

그런데 더 작은 것으로 보인다는 점에서는, 더 적은 것으로

있다는 게 필연적이고. 한데 크기에서 같은 만큼의 것으로

나타나 보인다는 점에서는, 그 수량 또한 그 외의 것들과 같은

만큼의 것으로 있다는 게 필연적이라네.―필연적입니다.―

그래서 이번엔 그런 식으로, 그럴 듯해 보이기로는, 하나가 그

자체로 자기 자신에 비해서도 그 외의 것들에 비해서도 수에서

같은 만큼의 것이자 더 많은 것이며 또한 더 적은 것으로 있을

걸세.―그리 있을 것입니다.

 

-蟲-

1. 『테아이테토스』에서 프로타고라스의 인간척도설은 지각을 통한 모든 믿음을 참으로 간주한다. 만일 믿음이 믿음의 대상이 되는 것, 혹은 지각 대상과 일치 여부로 그 진리치가 결정된다면, 특정 시점 특정 대상에게 직결되는 지각 믿음은 바로 그 특정된 대상과 일치되는 한에서 필연적으로 참일 것이다. 지금 이 순간 바로 여기 바로 이 순간의 나에게 정확히 지금 이 관점에서 F로 보이는 것, 그것도 정확히 똑같은 시간과 공간과 기타 조건들에 한정된 대상인 한에서 그렇게 보이는 것은, 다시금 바로 이러한 조건들로 특정된 그러한 나에게 참이며, 필연적으로 그리고 탈시간적으로 참이다. 믿음 주체와 믿음 대상(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세계)을 시공간 조건에 따라 무한히 많은 단면들로 분할하는 상황을 가정해 보면, 그리고 결국 분할 불가능한 한 순간 한 단면에서 서로 일치되는 내 믿음상태와 외부의 믿음대상의 관계를 고려해 보면, 각각의 믿음 주-객 단면들은 각각의 불변하는 참을 성립시킬 것이다. 그러나 나 자신도 세계도 연속적으로 변화 과정에 있다. 그리고 바로 이것이 헤라클레이토스를 통해 도입되는 믿음이나 지각 대상의 운동, 변화하는 측면일 수 있다. 그러나 다시 헤라클레이토스의 만물유전이 극단화될 때, 주관도 객관도 어느 하나 고정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변화하며, 따라서 어떤 고정된 믿음이나 앎 등의 인식 상태가 규정될 수 없다. 믿음이 단순히 그리고 오직 지각적 혹은 경험적 세계만을 대상으로 삼는다면 결국 참인 믿음이 필연성을 획득하여 앎과 구분 불가능해지거나(그리고 거짓 믿음이란 것이 불가능해지거나) 아니면 믿음이 믿음이라는 정체성을 유지하는 것조차 불가능할 정도로 모든 것이 지속적으로 변화하게 되어 버리는 양 극단의 파국만이 남는다. 이를 극복하게 되는 것은 믿음이 있음, 같음 따위의 비지각적이고 공통적인 유 또는 형상에도 개입한다는 점이 언급되고부터이다. 참인 믿음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대상과 관련하면서도 공통적이고 고정적인 측면을 함께 파악한다. 


2. 『소피스트』에서 가상(phantasma)은 원본의 비율을 왜곡시킨 상으로서, 그 원본과의 연결고리가 상당히 약한 것으로 묘사된다. 그러나 모든 상이 특정 원본에 대한 상인 한에서, 가상 역시 아무런 원본도 전혀 없을 수는 없다. 그렇다면 외부의 객관적으로 실재하는 대상이 아니라, 말하자면 일종의 심상이 이러한 가상의 원본 역할을 해준다고 볼 수는 없을까? 가상은 실재와의 관계에서 그 실재의 비율을 왜곡시키는 가상이긴 하지만 그와 동시에 바로 그 실재의 비율을 왜곡시킨 채로 성립한 내적 심상과의 관계에서는 이 심상의 모상(eikōn)이라고도 할 수 있을까? 문제는 이러한 중간단계에 대한 언급은 『필레보스』에서 그 엇비슷한 묘사를 억지로 끌어낼 수는 있을지 몰라도 『소피스트』에서 직접 발견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또한 내적 심상과 단순 가상 사이에 무슨 차이가 있는지도 위의 구도에서는 설명하기 어려워 보인다. 멀리 불분명하게 보이는 사람인지 조각인지 모를 것이 있다. 그것이 객관적으로 실제로는 사람이라고 해 보자. 그러나 어쨌든 내게는 잘 안 보이며, 나는 그것을 시각으로 지각하면서 이와 동시에 그 지각 내용을 영혼 안에 지닌다. 그런데 이 지각이 "저것은 조각상이다"라는 것이라고 해 보자. 『소피스트』에서 인상(phantasia)에 대한 규정에 따라 나는 지각을 동반한 (거짓)믿음을 형성하였으므로 (거짓)인상을 가진 것이 된다. 물론 이렇게 해석할 경우 내가 "저것은 사람이다"라고 판단했다면 참인 인상을 가진다고도 해야 할 것이다. 아무튼지간에 일단 인상을 가지게 되고 나서, 『필레보스』에 따르면 현재적 지각이 종료되고 아무런 지각도 없는 상태에서 나는 이 인상을 다시금 영혼 안에 기록하는 과정을 통해 지각 없이도 이 인상을 취급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재차 기록된 것'은 처음 발생한 인상과 달리, 이 인상을 모방하는 일종의 상으로 서로 구분되는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이 인상의 상에 따라서, 그 상이 참될 경우 이에 따른 믿음도 참되고, 이 상이 거짓될 경우 이에 따른 믿음 역시 거짓이 된다고 이야기되는 듯하다. 따라서 인상의 상과 이에 따른 판단 사이에는 불일치가 논의되지 않는 듯도 싶다(확실하진 않다. 『테아이테토스』의 석판이나 새장 비유에서 문제되듯, 외부의 지각 대상 없이 영혼 내에서만 이루어지는 불일치를 통한 거짓도 분명 실재하고, 이것도 대상과 영혼 사이의 불일치 못지 않게 그것이 왜 어떻게 거짓인지 설명되어야 하는 것이긴 하기 때문이다.). 가상이 원본 그 자체가 아닌 것(상)에서 더 나아가 원본을 닮은 것(모상)조차 아니라는 점에서, 원본과 굉장히 멀리 동떨어져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역으로 이러한 가상이란 것이 외부 대상으로서의 원본과 직결되어서는 안될 것으로 생각되기도 한다. 그러나 아무런 대상도 가지지 않는 것은 아예 성립 자체가 안 되는 것이라면, 가상도 자신이 원본 삼을 뭔가가 있긴 있어야 한다. 인상이 그 역할을 해줄 수 있을 듯하고, 또한 인상에도 거짓 인상과 참 인상이 구분될 수 있다면, 특히나 거짓 인상에 한정하여 바로 이러한 거짓된 인상을 원본으로 삼을 경우에만 인상의 상이 원본에 대한 가상으로 규정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참된 인상의 상은 원본에 대해서도 모상일 것이다. 참인 인상과 거짓인 인상 각각에 대해 다시 그것들 각각의 모상과 가상이 구분되어 네 가지 경우를 생각해야 하는 것인지, 혹은 그렇지 않은지에 대해서는 고민이 필요하다. 그러나 아무튼 가상의 일종으로 미래에 대한 희망이 이야기되고, 그 희망의 사례로 내게 황금이 많은 것을 자꾸 보면서 즐거워하는 경우가 등장하는데, 이 때 '본다'라고 하는 활동은 정확히 무엇이고, 그 대상은 무엇인지와 관련하여 위의 해석이 아마도 적절한 설명을 제공해줄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원본과 동떨어진 채로도 가능한 것이 가상이라면, 원본이 아예 없는 경우에도 (엄밀히 말하자면 외부 실재 원본은 없지만 내적 심상 원본은 가지는 경우에도) 가상이 가능하지 않을지, 그리고 그게 미래 사건에 관련된 '거짓된' 희망을 설명하는 데에 유효한 개념일 수 있지 않을지, 뭐 그 정도 생각.


3. 모든 크기, 운동, 시간은 가분적인 부분들로 가분적이다. 따라서 무한하게 가분적이다. 그래서 점이 선을 구성하지 않고, 지금(순간)들이 시간을 구성하지 않으며, 불가분한 최소단위 운동 같은 것들로 운동이 구성되지도 않는다. 이 모두는 연속적이다. 그런데 연속이고 무한 분할 가능할 때 제논의 역설은 어찌 되는가? 다시 헷갈려졌다. 대강 연속적인 크기를 연속적인 시간 동안 연속적인 운동이 각기 하나로 통합된 전체로서 상호 점유하는 것으로 보고서, 단위나 원소처럼 취급되는 어떤 단계들을 거치는 것이 아닌 말 그대로 연속적 과정을 성립시키는 방식으로 제논 역설을 극복하는 것 비슷하게 설명되었던 듯한데, 기억이 정확하지 않다. 일단 연속 부분 더 보면서 고민해 볼 것.


-蟲-

ΣΩ. Τελέως τε καὶ λαμπρῶς ἔοικα ἀνταπολήψεσθαι τὴν

τῶν λόγων ἑστίασιν. σὸν οὖν ἔργον λέγειν ἄν, ὦ Τίμαιε,

τὸ μετὰ τοῦτο, ὡς ἔοικεν, εἴη καλέσαντα κατὰ νόμον θεούς.

완전하고도 찬란하게 말들로 된 성찬을 보답받게될 듯합니다.

그러면 당신의 일은 말씀을 해주시는 것이겠습니다, 티마이오스. 

이 다음으로, 그럴 듯하기로는, 법에 따라(관습대로) 신들을 

모시고 나서 말이지죠.


ΤΙ. Ἀλλ᾿, ὦ Σώκρατες, τοῦτό γε δὴ πάντες ὅσοι καὶ                          c

κατὰ βραχὺ σωφροσύνης μετέχουσιν, ἐπὶ παντὸς ὁρμῇ καὶ

σμικροῦ καὶ μεγάλου πράγματος θεὸν ἀεί που καλοῦσιν·

ἡμᾶς δὲ τοὺς περὶ τοῦ παντὸς λόγους ποιεῖσθαί πῃ μέλ-

λοντας, ᾗ γέγονεν ἢ καὶ ἀγενές ἐστιν, εἰ μὴ παντάπασι                      5

παραλλάττομεν, ἀνάγκη θεούς τε καὶ θεὰς ἐπικαλουμένους

εὔχεσθαι πάντα κατὰ νοῦν ἐκείνοις μὲν μάλιστα, ἑπομένως

δὲ ἡμῖν εἰπεῖν. 

그야 적어도 이 점에서는, 소크라테스, 잠시라도 분별에 

참여했던 모든 사람들이, 사소하든 거창하든 모든 사안의

시작에서는 항상 어디서나 신을 모시지요. 그런데 모든 

것에 관련된 말들을, 그 모든 것이 어떤 식으로 생겨났는지 

또는 어떤 식으로 생성조차 없는 것으로 있는지를, 장차

만들어갈 저희들로서는, 저희가 만일 전적으로 어긋나지는

않는다면, 신들과 또한 여신들을 간곡히 모시며 모든 것들이 

특히나 그분들의 마음에 드시도록, 그 다음으로는 저희

마음에 들도록 이야기하게 되기를 기도드리는 일이 

필연적입니다.

                   καὶ τὰ μὲν περὶ θεῶν ταύτῃ παρακεκλήσθω·              d

τὸ δ᾿ ἡμέτερον παρακλητέον, ᾗ ῥᾷστ᾿ ἂν ὑμεῖς μὲν μάθοιτε,

ἐγὼ δὲ  μάλιστ᾿ ἂν περὶ τῶν προκειμένων

ἐνδειξαίμην. 

                 그럼 신들에 관련한 일들로 보자면 이런 식으로

간청드렸다고 합시다. 그런데 다른 한편으로 저희의 일을 

간청드려야만 합니다. 여러분들께서는 가능한 한 가장 쉽게 

배우실 수 있도록, 저로서는 제가 이해한 한에서 최대한으로 

직면한 일들에 관련하여 증명해 보여드릴 수 있도록 말입니다.


Ἔστιν οὖν δὴ κατ᾿ ἐμὴν δόξαν πρῶτον διαιρετέον τάδε·                   5

τί τὸ ὂν ἀεί, γένεσιν δὲ οὐκ ἔχον, καὶ τί τὸ γιγνόμενον μὲν

ἀεί, ὂν δὲ οὐδέποτε; τὸ μὲν δὴ νοήσει μετὰ λόγου περι-                28a1

ληπτόν, ἀεὶ κατὰ ταὐτὰ ὄν, τὸ δ᾿ αὖ δόξῃ μετ᾿ αἰσθήσεως

ἀλόγου δοξαστόν, γιγνόμενον καὶ ἀπολλύμενον, ὄντως δὲ

οὐδέποτε ὄν. 

그리하여 제 판단에 따라서는 우선 이러한 것들이 분할되어야만

하는 것으로 있습니다. 언제나 있는 것, 그런데 생성을 지니지는

않는 것은 무엇이고, 또 언제나 생성되고 있지만, 단 한 번도 결코

있지는 않는 것은 무엇인가요? 말과 함께하는 사유에 의해 파악되는

것은, 언제나 같은 것들에 따라(같은 식으로) 있는 것인 반면, 이번엔

말이 없는 감각과 함께하는 판단에 의해 판단되는 것은, 생성되고

소멸하며, 있는 그대로는 결코 단 한 번도 있지 않는 것입니다.

> 『국가』 5권 episteme(noesis-dianoia)//『국가』 7권 noesis(episteme-dianoia)

  doxa(pistis-eikasia)는 공통.

 

                  πᾶν δὲ αὖ τὸ γιγνόμενον ὑπ᾿ αἰτίου τινὸς ἐξ

ἀνάγκης γίγνεσθαι· παντὶ γὰρ ἀδύνατον χωρὶς αἰτίου γένεσιν             5

σχεῖν. ὅτου μὲν οὖν ἂν ὁ δημιουργὸς πρὸς τὸ κατὰ ταὐτὰ

ἔχον βλέπων ἀεί, τοιούτῳ τινὶ προσχρώμενος παραδείγματι,

τὴν ἰδέαν καὶ δύναμιν αὐτοῦ ἀπεργάζηται, καλὸν ἐξ ἀνάγκης

οὕτως ἀποτελεῖσθαι πᾶν· οὗ δ᾿ ἂν εἰς γεγονός, γεννητῷ                   b

παραδείγματι προσχρώμενος, οὐ καλόν.

그런데 이번엔 또 생성되는 모든 것은 필연적으로 어떤 원인에

의해 생성됩니다. 왜냐하면 원인으로부터 분리(독립)된 채 생성을

가지기란 모든 것들에게 불가능하기 때문이지요. 그러므로

무엇이 되었든지 간에 그것의 장인은 언제나 그것의 같은 것들에 

따른 상태에 있는 것을 언제나 바라보면서, 이러한 무언가를

본으로 삼아 사용하면서, 그것의 형상과 능력을 구현해 낼, 그러한 

모든 것은 그런 식으로 필연적으로 훌륭한 것으로 완성될 것입니다.

반면에 그것의 장인이 그것의 생성된 바 쪽을 향하여, 그 생성된

것을 본으로 삼아 사용하는 것의 경우, 훌륭한 것으로 완성되지

못할 것입니다.                                                                                       //201125

                                                     ὁ δὴ πᾶς οὐρανὸς

―ἢ κόσμος ἢ καὶ ἄλλο ὅτι ποτὲ ὀνομαζόμενος μάλιστ᾿ ἂν

δέχοιτο, τοῦθ᾿ ἡμῖν ὠνομάσθω―σκεπτέον δ᾿ οὖν περὶ αὐτοῦ

πρῶτον, ὅπερ ὑπόκειται περὶ παντὸς ἐν ἀρχῇ δεῖν σκοπεῖν,                5

πότερον ἦν ἀεί, γενέσεως ἀρχὴν ἔχων οὐδεμίαν, ἢ γέγονεν,

ἀπ᾿ ἀρχῆς τινος ἀρξάμενος. 

                   그래서 모든 하늘이―혹은 우주든 그 외에

그렇게 명명되어 가장 잘 받아들여질 것이라면 도대체 그

무엇이든, 우리에 의해 이것으로 명명되었다고 하죠―그리하여

그 자체에 관련하여 우선 검토되어야만 하는데, 모든 것에 관련하여

그 시원에서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전제되어 있는 바로 그것, 언제나 

있어 왔는지, 생성의 시초라곤 아무것도 지니지 않는지, 아니면 

생성되었는지, 어떤 시초로부터 시작된 것인지를 검토해야만 합니다.

                                    γέγονεν· ὁρατὸς γὰρ ἁπτός

τέ ἐστιν καὶ σῶμα ἔχων, πάντα δὲ τὰ τοιαῦτα αἰσθητά, τὰ

δ᾿ αἰσθητά, δόξῃ περιληπτὰ μετ᾿ αἰσθήσεως, γιγνόμενα καὶ              c

γεννητὰ ἐφάνη. τῷ δ᾿ αὖ γενομένῳ φαμὲν ὑπ᾿ αἰτίου τινὸς

ἀνάγκην εἶναι γενέσθαι. 

그것은 생성되었습니다. 왜냐하면 보이고 닿으며 또한 몸(물체)을 

지니는 것이기 때문이며, 그런데 이러한 지각물들이 모든 것들이고, 

그런데 지각물들은, 지각을 동반한 판단에 의해 파악되는 것들로, 

생성되는 것들이자 탄생된 것들로 드러났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다시 우리는 생성된 것이란 어떤 원인에 의해 생성된다는 것이 

필연적이라고 주장합니다.

- 생성과 있음과 있지 않음의 중간인 것 사이의 관계? 『국가』 6권에서

감각대상과 믿음대상 사이의 구분.

                                τὸν μὲν οὖν ποιητὴν καὶ πατέρα

τοῦδε τοῦ παντὸς εὑρεῖν τε ἔργον καὶ εὑρόντα εἰς πάντας

ἀδύνατον λέγειν· τόδε δ᾿ οὖν πάλιν ἐπισκεπτέον περὶ αὐτοῦ,              5

πρὸς πότερον τῶν παραδειγμάτων ὁ τεκταινόμενος αὐτὸν

ἀπηργάζετο, πότερον πρὸς τὸ κατὰ ταὐτὰ καὶ ὡσαύτως ἔχον         29a1

ἢ πρὸς τὸ γεγονός. 

                                그러므로 여기 이 모든 것의 제작자이자 

아버지를 발견한다는 일도 또 발견한 자가 모든 이들을 위해(?)

말한다는 것도 불가능한 일입니다. 그러니 그 반면 그것에 

관련하여 이런 것을 다시 면밀하게 검토해 보아야만 하는데, 

본들 중 어느 쪽에 관계하여 그 조합자가 그것을 구현해냈는지, 

같은 것들을 따라 마찬가지 상태로 있는 것에 관계해서인지 

아니면 생성된 것에 관계해서인지 검토해야 합니다.

- 모두를 위해? 혹은 모든 것에 대해?

                         εἰ μὲν δὴ καλός ἐστιν ὅδε ὁ κόσμος ὅ

τε δημιουργὸς ἀγαθός, δῆλον ὡς πρὸς τὸ ἀίδιον ἔβλεπεν· εἰ

δὲ ὃ μηδ᾿ εἰπεῖν τινι θέμις, πρὸς γεγονός. παντὶ δὴ σαφὲς

ὅτι πρὸς τὸ ἀίδιον· ὁ μὲν γὰρ κάλλιστος τῶν γεγονότων, ὁ                  5

δ᾿ ἄριστος τῶν αἰτίων. οὕτω δὴ γεγενημένος πρὸς τὸ λόγῳ

καὶ φρονήσει περιληπτὸν καὶ κατὰ ταὐτὰ ἔχον δεδημιούρ-

γηται· τούτων δὲ ὑπαρχόντων αὖ πᾶσα ἀνάγκη τόνδε τὸν               b

κόσμον εἰκόνα τινὸς εἶναι. μέγιστον δὴ παντὸς ἄρξασθαι

κατὰ φύσιν ἀρχήν. 

                                                 그래서 한편으로 만일 

여기 이 우주가 훌륭한 것으로 있고 또한 그 장인 역시 선한 자로 

있다면, 영원한 것을 바라보았던 게 분명합니다. 다른 한편 만일 

누군가 말하는 것이 합당하지조차 못할 그런 상황이 된다면,

생성을 바라보았던 것이겠죠. 그래서 영원한 것을 바라보았던 게 

모두에게 확실합니다. 왜냐하면 그 우주는 생성된 것들 중 가장 

아름다운 것이고, 그 제작자는 원인들 중에서 최선의 원인이니까요. 

그래서 그렇게 생성되어서 말과 지혜로 파악되고 같은 것들에 

따른 상태인 것에 관계하여 빚어졌습니다. 그런데 이번엔 

그러한 것들이 성립하고 있기에 여기 이 우주가 무언가의 모상으로 

있음이 전적으로 필연적입니다. 그럼 가장 중요한 일은 본성에 따라 

모든 것의 시작을 하는 것입니다. 

- ὑπάρχειν은 이후 스토아에서 εἶναι와 구분되는 독립적인 의미를 

가지는 것 같기도... 아리스토텔레스에서는 술어가 주어에 귀속한다는 식으로.

                         ὧδε οὖν περί τε εἰκόνος καὶ περὶ τοῦ

παραδείγματος αὐτῆς διοριστέον, ὡς ἄρα τοὺς λόγους, ὧνπέρ

εἰσιν ἐξηγηταί, τούτων αὐτῶν καὶ συγγενεῖς ὄντας· τοῦ                      5

μὲν οὖν μονίμου καὶ βεβαίου καὶ μετὰ νοῦ καταφανοῦς

μονίμους καὶ ἀμεταπτώτους―καθ᾿ ὅσον οἷόν τε καὶ ἀνε-

λέγκτοις προσήκει λόγοις εἶναι καὶ ἀνικήτοις, τούτου δεῖ

μηδὲν ἐλλείπειν―τοὺς δὲ τοῦ πρὸς μὲν ἐκεῖνο ἀπεικασθέν-               c

τος, ὄντος δὲ εἰκόνος εἰκότας ἀνὰ λόγον τε ἐκείνων ὄντας·

ὅτιπερ πρὸς γένεσιν οὐσία, τοῦτο πρὸς πίστιν ἀλήθεια.                           //201209

                         그리하여 모상에 관하여서도 그 모상의

본에 관하여서도 다음과 같은 식으로 정의해야만 하니, 그래서

말들은, 그 말들이 바로 그것들에 대한 설명자로 있는 바, 바로

그것들에 대해 동종적인 것들로 있기도 하기에 그렇게 정의해야만

합니다. 그리하여 안정적이고 확고하며 지성을 동반하면 명백한

것에 대해서는 안정적이며 불변하는 말들이―논박되지(시험받지) 

않고 굴복당하지도 않는 말들에게 [καὶ μετὰ νοῦ καταφανοῦς/

μονίμους καὶ ἀμεταπτώτους εἶναι라는 것이] 가능하고 적절한 한에서, 

그로부터 아무것도 부족하지 않아야 합니다―그런데 저것에 

관련하여 닮아있는 것에 대한 말들은, 모상으로 있는 그것에 대한 

말이기에 또한 저것들에 대해서도 모상적인 말로 있습니다. 생성에 

대해서는 존재가 맺는 관계, 바로 그것이 확신에 대해서 참(진리)이 

맺는 그 관계입니다.

- "저것들에 대해서도"가 대상일지 말일지. 내가 보기엔 말들.

ἐὰν οὖν, ὦ Σώκρατες, πολλὰ πολλῶν πέρι, θεῶν καὶ τῆς

τοῦ παντὸς γενέσεως, μὴ δυνατοὶ γιγνώμεθα πάντῃ πάντως                5

αὐτοὺς ἑαυτοῖς ὁμολογουμένους λόγους καὶ ἀπηκριβωμένους

ἀποδοῦναι, μὴ θαυμάσῃς· ἀλλ᾿ ἐὰν ἄρα μηδενὸς ἧττον παρε-

χώμεθα εἰκότας, ἀγαπᾶν χρή, μεμνημένους ὡς ὁ λέγων ἐγὼ

ὑμεῖς τε οἱ κριταὶ φύσιν ἀνθρωπίνην ἔχομεν, ὥστε περὶ                   d

τούτων τὸν εἰκότα μῦθον ἀποδεχομένους πρέπει τούτου μηδὲν

ἔτι πέρα ζητεῖν.

그러므로, 소크라테스, 많은 것들에 관련하여, 신들에 관해서도

모든 것의 생성에 관해서도, 관련된 많은 경우에, 우리가 모든 면에서 

전적으로 자기 자신과 합의되는 말들을 알 능력도 없고 정확하게 

되어 있는 말들을 제시할 능력도 없다 하더라도, 당신께서 놀라실

일은 아닙니다. 그래서 오히려 만일 그 무엇에 비해서도 덜하지 않게

모상적 말들을 내놓는다면, 기뻐해야만 하는데, 말씀드리고 있는

저 자신도 판관이신 여러분들께서도 인간의 본성을 지니고 있기에, 

그래서 그것들에 관련하여 모상적인 이야기를 받아들이고 그것을 

넘어서서는 더 이상 아무것도 추구하지 않는 편이 적절할 것임을

기억하면서 그리해야 합니다.

- μηδενὸς ἧττον: 적어도 모상적인 말만큼은/전혀 못지 않은 모상적인 말을.


ΣΩ. Ἄριστα, ὦ Τίμαιε, παντάπασί τε ὡς κελεύεις ἀπο-

δεκτέον· τὸ μὲν οὖν προοίμιον θαυμασίως ἀπεδεξάμεθά σου,              5

τὸν δὲ δὴ νόμον ἡμῖν ἐφεξῆς πέραινε.

그것이 최선이고, 티마이오스, 또한 모두가 전면적으로

당신께서 요구하시는 대로 받아들여야만 합니다. 그러면 

당신의 그 서시는 저희가 감탄하며 받아들였으니, 이제 순서대로

저희에게 그 곡을 마무리해 주십시오.


ΤΙ. Λέγωμεν δὴ δι᾿ ἥντινα αἰτίαν γένεσιν καὶ τὸ πᾶν

τόδε ὁ συνιστὰς συνέστησεν. ἀγαθὸς ἦν, ἀγαθῷ δὲ οὐδεὶς                 e

περὶ οὐδενὸς οὐδέποτε ἐγγίγνεται φθόνος· τούτου δ᾿ ἐκτὸς

ὢν πάντα ὅτι μάλιστα ἐβουλήθη γενέσθαι παραπλήσια ἑαυτῷ.

그럼 저희는 도대체 무슨 원인으로 인해 생성과 또한 여기 이

우주를 그 구성자가 구성하였는지 말씀드릴 것입니다. 그는

좋은 자였고, 좋은 자에게는 그 무엇과 관련하여서도 결코 단

한 번도 아무런 인색함(질시)도 생겨나지 않습니다. 그는 이러한

인색함을 벗어나 있음으로써 모든 것들이 최대한 자신과 닮은

것들이 되기를(그렇게 생성되기를) 바랐습니다.

ταύτην δὴ γενέσεως καὶ κόσμου μάλιστ᾿ ἄν τις ἀρχὴν κυριω-

τάτην παρ᾿ ἀνδρῶν φρονίμων ἀποδεχόμενος ὀρθότατα ἀπο-        30a1

δέχοιτ᾿ ἄν. βουληθεὶς γὰρ ὁ θεὸς ἀγαθὰ μὲν πάντα, φλαῦρον

δὲ μηδὲν εἶναι κατὰ δύναμιν, οὕτω δὴ πᾶν ὅσον ἦν ὁρατὸν

παραλαβὼν οὐχ ἡσυχίαν ἄγον ἀλλὰ κινούμενον πλημμελῶς

καὶ ἀτάκτως, εἰς τάξιν αὐτὸ ἤγαγεν ἐκ τῆς ἀταξίας, ἡγη-                     5

σάμενος ἐκεῖνο τούτου πάντως ἄμεινον. 

더 나아가 생성과 우주의 이러한 시초를 누군가가 가장 주된

것으로서 현명한(분별있는) 자들에로부터 받아들인다면 가장

잘 아주 옳게 받아들이게 될 것입니다. 즉 그 신께서 모든 것들이

좋은 것들로 있기를, 반면 능력이 닿는(가능한) 한 아무것도

하찮은 것으로 있지는 않기를 바라시면서, 그래서 그런 식으로

침묵을 지키는 게 아니라 엇박으로 무질서하게 운동하는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을 넘겨받으시고, 그것을 무질서로부터 질서로

이끄셨단 말이지요. 이편이 저 경우보다 전적으로 더욱 낫다고

생각하시고서 말입니다.

                                                     θέμις δ᾿ οὕτ᾿ ἦν

οὕτ᾿ ἔστιν τῷ ἀρίστῳ δρᾶν ἄλλο πλὴν τὸ κάλλιστον·

λογισάμενος οὖν ηὕρισκεν ἐκ τῶν κατὰ φύσιν ὁρατῶν οὐδὲν             b

ἀνόητον τοῦ νοῦν ἔχοντος ὅλον ὅλου κάλλιον ἔσεσθαί ποτε

ἔργον, νοῦν δ᾿ αὖ χωρὶς ψυχῆς ἀδύνατον παραγενέσθαι τῳ.[각주:1]

                               그런데 최선인 자가 가장 아름다운 것

말고 그 외의 것을 행한다는 것은 법도로 있던 적도 없고 그런

법도가 있지도 않습니다. 그러므로 본성상 보이는 것들로부터

나온 전체로서의 비지성적인 어떤 것도 전체로서 지성을 지니는 

것보다 더 아름다운 작품으로 있지 못하리라는 것을, 다른 한편

이번엔 영혼과 분리되어 지성이 어떤 것에게 곁하여 생성되기란

불가능하다는 것을 헤아려 알아내셨습니다.

διὰ δὴ τὸν λογισμὸν τόνδε νοῦν μὲν ἐν ψυχῇ, ψυχὴν δ᾿ ἐν

σώματι συνιστὰς τὸ πᾶν συνετεκταίνετο, ὅπως ὅτι κάλλιστον              5

εἴη κατὰ φύσιν ἄριστόν τε ἔργον ἀπειργασμένος. οὕτως

οὖν δὴ κατὰ λόγον τὸν εἰκότα δεῖ λέγειν τόνδε τὸν κόσμον

ζῷον ἔμψυχον ἔννουν τε τῇ ἀληθείᾳ διὰ τὴν τοῦ θεοῦ

γενέσθαι πρόνοιαν.                                                                  c

그래서 그 헤아림으로 인해 여기 이 지성은 영혼 안에, 그 영혼은

신체 안에 구성하시며 모든 것의 구성을 조합하셨습니다, 그것이 

본성상 가능한 한 가장 아름답도록 또한 그 분께서도 최선의

작품을 완성해내시며 그리 되도록 말이지요. 그러므로 그런 식으로

실로 모상적인 말에 따라 여기 이 우주가 영혼과 지성을 갖춘 

살아있는 것으로서 또한 진리에 의해 신의 예지로 인해서

생성되었다고 말해야 합니다. 


Τούτου δ᾿ ὑπάρχοντος αὖ τὰ τούτοις ἐφεξῆς ἡμῖν λεκτέον,

τίνι τῶν ζῴων αὐτὸν εἰς ὁμοιότητα ὁ συνιστὰς συνέστησεν.

τῶν μὲν οὖν ἐν μέρους εἴδει πεφυκότων μηδενὶ καταξιώσωμεν

―ἀτελεῖ γὰρ ἐοικὸς οὐδέν ποτ᾿ ἂν γένοιτο καλόν―οὗ δ᾿                    5

ἔστιν τἆλλα ζῷα καθ᾿ ἓν καὶ κατὰ γένη μόρια, τούτῳ πάν-

των ὁμοιότατον αὐτὸν εἶναι τιθῶμεν. 

그런데 이런 일이 성립하기에 이번에는 저희가 그것들 다음 순서에

오는 것들을, 즉 그 구성자께서 살아있는 것들 중 무엇과의 유사성을 

향해 그것을 구성하셨는지 말해야만 합니다. 그리하여 본래적으로

부분의 형상에 속하는 것들 중에서는 그 어떤 것과의 유사성일

만하다고도 평가하지 말도록 합시다.―미완에 모상인 것은 결코

그 어떠한 아름다운 것으로도 생성되지 못할 테니까요.―그런데

그에 대해 그 외의 생물들이 저마다 그리고 유에 따라 그 부분들로

있는 바, 이런 것과 그것은 모든 것 중에서 가장 유사한 것으로

있다고 정하도록 합시다.

                                                  τὰ γὰρ δὴ νοητὰ ζῷα[각주:2]

πάντα ἐκεῖνο ἐν ἑαυτῷ περιλαβὸν ἔχει, καθάπερ ὅδε ὁ

κόσμος ἡμᾶς ὅσα τε ἄλλα θρέμματα συνέστηκεν ὁρατά. τῷ               d

γὰρ τῶν νοουμένων καλλίστῳ καὶ κατὰ πάντα τελέῳ μάλιστα

αὐτὸν ὁ θεὸς ὁμοιῶσαι βουληθεὶς ζῷον ἓν ὁρατόν, πάνθ᾿ ὅσα

αὐτοῦ κατὰ φύσιν συγγενῆ ζῷα ἐντὸς ἔχον ἑαυτοῦ, συνέστησε.       31a1

                                왜냐하면 실로 지성적인 모든 생물들을

저것이 자신 안에 포괄하여 지니고 있기 때문입니다. 마치 여기

이 우주가 우리와 보이는 것들이 구성해낸 여타의 양육되는 것들을

포괄하여 지니듯이 말이지요. 왜냐하면 사유되는 것들 중 가장

아름다운 것과 그리고 모든 점들에 따라서 완전한 것과 특히

그것이 유사하기를 그 신께서 바라시며 보이는 하나의 생물을,

본성상 그것의 동류인 그 모든 동물들을 자신 안에 지니는 것을,

구성하셨으니까요.

πότερον οὖν ὀρθῶς ἕνα οὐρανὸν προσειρήκαμεν, ἢ πολλοὺς

καὶ ἀπείρους λέγειν ἦν ὀρθότερον; ἕνα, εἴπερ κατὰ τὸ

παράδειγμα δεδημιουργημένος ἔσται. τὸ γὰρ περιέχον πάντα

ὁπόσα νοητὰ ζῷα μεθ᾿ ἑτέρου δεύτερον οὐκ ἄν ποτ᾿ εἴη·                    5

πάλιν γὰρ ἂν ἕτερον εἶναι τὸ περὶ ἐκείνω δέοι ζῷον, οὗ μέρος

ἂν εἴτην ἐκείνω, καὶ οὐκ ἂν ἔτι ἐκείνοιν ἀλλ᾿ ἐκείνῳ τῷ

περιέχοντι τόδ᾿ ἂν ἀφωμοιωμένον λέγοιτο ὀρθότερον. ἵνα                     //210106

οὖν τόδε κατὰ τὴν μόνωσιν ὅμοιον ᾖ τῷ παντελεῖ ζῴῳ, διὰ                b

ταῦτα οὔτε δύο οὔτ᾿ ἀπείρους ἐποίησεν ὁ ποιῶν κόσμους, ἀλλ᾿

εἷς ὅδε μονογενὴς οὐρανὸς γεγονὼς ἔστιν καὶ ἔτ᾿ ἔσται.

그러므로 우리가 하늘을 하나로 부르는 것이 옳을까요, 아니면

많고도 무한한 것들로 있다고 말하는 것이 더욱 옳은 일이었을까요?

하나이겠죠, 만일 정말로 그 본에 따라 제작된 것이려면 말입니다.

왜냐하면 지성적인 모든 생물들을 포괄하는 것이 다른 것과 더불어

두 번째 것으로는 도대체 있을 리는 없을 테니까요. 왜냐하면

저 둘과 관련한 생물이 다시 또 다른 것으로 있어야 할 테니까요,

저 둘이 그것의 부분으로 있을 그런 생물이 말입니다. 그리고

더 이상 저 둘이 아니라 저 포괄하는 것과 여기 이 모든 것이

유사하게 된 것이라고 말해지는 것이 더욱 옳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여기 이 모든 것이 그 단일성에 따라 모든 면에서

완전한 생물에 유사한 것으로 있도록, 이런 점들로 인해 그 제작자가

두 우주들을 만들지도 않았고 무한한 우주들을 만들지도 않았으며,

오히려 여기 이 하나의 단일류인 하늘이 생겨나 있고 앞으로도

있을 것입니다.


Σωματοειδὲς δὲ δὴ καὶ ὁρατὸν ἁπτόν τε δεῖ τὸ γενόμενον

εἶναι, χωρισθὲν δὲ πυρὸς οὐδὲν ἄν ποτε ὁρατὸν γένοιτο, οὐδὲ             5

ἁπτὸν ἄνευ τινὸς στερεοῦ, στερεὸν δὲ οὐκ ἄνευ γῆς· ὅθεν ἐκ

πυρὸς καὶ γῆς τὸ τοῦ παντὸς ἀρχόμενος συνιστάναι σῶμα ὁ

θεὸς ἐποίει. δύο δὲ μόνω καλῶς συνίστασθαι τρίτου χωρὶς

οὐ δυνατόν· δεσμὸν γὰρ ἐν μέσῳ δεῖ τινα ἀμφοῖν συναγωγὸν            c

γίγνεσθαι. 

그런데 더 나아가 생성되는 것물체적인 종류로서 보이는

것이자 또한 닿는 것으로 있어야 하는데, 불과 독립된 채로는

아무것도 전혀 보이는 것이 되지 못할 것이고, 모종의 입체 없이 

닿는 것이 되지도 못할 것인데, 흙 없이는 입체가 되지도 못할 

것입니다. 그로부터 불과 흙으로부터 모든 것의 신체를 구성하기 

시작하시어 제작하셨습니다. 그런데 오직 그 둘만으로는 세 번째 것과 

분리되어 아름답게 구성되는 일이 가능하지 않았지요. 왜냐하면 

그 중간에 어떤 매듭이 그 양자를 함께 모으는 것으로서 생성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 생성과 물성이 일치되는지, 아니면 생성 중에 일부가 물성을 갖는지.

믿음이나 앎, 인식적 변화도 포함한다면 후자. 적어도 영혼이 생성된 것에

포함되는지, 그리고 물성을 지니는지 아닌지 여부가 해명되어야 할 듯.

              δεσμῶν δὲ κάλλιστος ὃς ἂν αὑτὸν καὶ τὰ συνδού-

μενα ὅτι μάλιστα ἓν ποιῇ, τοῦτο δὲ πέφυκεν ἀναλογία

κάλλιστα ἀποτελεῖν. ὁπόταν γὰρ ἀριθμῶν τριῶν εἴτε ὄγκων

εἴτε δυνάμεων ὡντινωνοῦν ᾖ τὸ μέσον, ὅτιπερ τὸ πρῶτον πρὸς       32a1

αὐτό, τοῦτο αὐτὸ πρὸς τὸ ἔσχατον, καὶ πάλιν αὖθις, ὅτι τὸ

ἔσχατον πρὸς τὸ μέσον, τὸ μέσον πρὸς τὸ πρῶτον, τότε τὸ

μέσον μὲν πρῶτον καὶ ἔσχατον γιγνόμενον, τὸ δ᾿ ἔσχατον

καὶ τὸ πρῶτον αὖ μέσα ἀμφότερα, πάνθ᾿ οὕτως ἐξ ἀνάγκης                 5

τὰ αὐτὰ εἶναι συμβήσεται, τὰ αὐτὰ δὲ γενόμενα ἀλλήλοις ἓν

πάντα ἔσται. 

                      그런데 매듭들 중 가장 아름다운 매듭은 자신과 

또한 그것이 묶는 것들을 가능한 한 최대한으로 하나로 만들 

매듭으로, 이런 것은 비율이 본래부터 가장 아름답게 완성시키게 

마련입니다. 왜냐하면 입방수이든 평방수이든[각주:3] 어떤 것이든 간에 

세 개의 수들 사이에 중간자가 있는 어느 경우든, 첫 번째 것이 

그 중간에 대해 그것으로 있는 바, 바로 그것으로서 그 중간이 

끝에 대해 있고, 그리고 역으로 다시, 그 끝이 그 중간에 대해 

그것으로 있는 바, 중간이 첫 번째 것에 대해 그것으로서 있으며, 

그 때 중간은 처음과 끝이 되고, 끝과 첫 번째 것은 이번엔 양쪽 

모두의 중간들이 되며, 그런 식으로 모든 것들이 필연을 통해 

같은 것들로 있도록 귀결될 것이고, 서로 같은 것들이 됨으로써

모든 것들이 하나로 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 평방수 1(=1²):2(=1*2):4(=2²); 입방수 1(=1³):2(=1*1*2):4(=1*2*2):8(=2³) 

- aa-ab-bb/aaa-aab-abb-bbb.

                 εἰ μὲν οὖν ἐπίπεδον μέν, βάθος δὲ μηδὲν ἔχον

ἔδει γίγνεσθαι τὸ τοῦ παντὸς σῶμα, μία μεσότης ἂν ἐξήρκει

τά τε μεθ᾿ αὑτῆς συνδεῖν καὶ ἑαυτήν, νῦν δὲ στερεοειδῆ                   b

γὰρ αὐτὸν προσῆκεν εἶναι, τὰ δὲ στερεὰ μία μὲν οὐδέποτε,

δύο δὲ ἀεὶ μεσότητες συναρμόττουσιν· οὕτω δὴ πυρός τε καὶ

γῆς ὕδωρ ἀέρα τε ὁ θεὸς ἐν μέσῳ θείς, καὶ πρὸς ἄλληλα καθ᾿

ὅσον ἦν δυνατὸν ἀνὰ τὸν αὐτὸν λόγον ἀπεργασάμενος, ὅτιπερ             5

πῦρ πρὸς ἀέρα, τοῦτο ἀέρα πρὸς ὕδωρ, καὶ ὅτι ἀὴρ πρὸς

ὕδωρ, ὕδωρ πρὸς γῆν, συνέδησεν καὶ συνεστήσατο οὐρανὸν

ὁρατὸν καὶ ἁπτόν. 

그리하여 한편으로 만일 면은 가지지만, 깊이는 지닌 것으로는

전혀 그 모든 것의 신체가 생성될 필요가 없었더라면, 단 하나의

중간만으로도 그 자신에 함께 하는 것들과 또한 자기 자신까지

함께 묶기에 충분했을 것이나, 사실은 그 우주가 입체적인 형상의

것으로 있음이 적절했기 때문에, 입체들을 단 하나의 중간은

결코 조화시킬 수 없고, 항상 두 중간들이 조화시키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런 식으로 불과 흙에 대해 물과 공기를 그 신께서도

그 중간에 세우시며, 서로에 대해서도 가능한 한도에 따라 같은

비율로 [그 사원소를] 구현시키시고서, 불이 공기에 대해 바로 그것인 바,

이것으로 공기가 물에 대해 있도록, 또 공기가 물에 대해 그것인

것으로, 물이 흙에 대해 그리 있도록, 함께 묶으셨고 또한 하늘을

보이고 닿도록 구성하시었습니다.

                         καὶ διὰ ταῦτα ἐκ τε δὴ τούτων τοιούτων

καὶ τὸν ἀριθμὸν τεττάρων τὸ τοῦ κόσμου σῶμα ἐγεννήθη δι᾿            c

ἀναλογίας ὁμολογῆσαν, φιλίαν τε ἔσχεν ἐκ τούτων, ὥστε εἰς

ταὐτὸν αὑτῷ συνελθὸν ἄλυτον ὑπό του ἄλλου πλὴν ὑπὸ τοῦ

συνδήσαντος γενέσθαι.

                                         그래서 이러한 것들로 인해 

그리고 그 수가 넷인 바로 이러한 것들을 통해 우주의 신체가 

비율을 통한 합의를 이룬 채로 생성되었고, 이러한 것들로부터 

나온 우애를 지녔습니다, 그래서 자신과 같은 것에 이르러 

그 자신을 함께 묶은 것에 의해서가 아니라면 그 외의 것에 

의해서는 해체되지 않는 것으로 생성되었게끔 말입니다.


Τῶν δὲ δὴ τεττάρων ἓν ὅλον ἕκσατον εἴληφεν ἡ τοῦ                          5

κόσμου σύστασις. ἐκ γὰρ πυρὸς παντὸς ὕδατός τε καὶ

ἀέρος καὶ γῆς συνέστησεν αὐτὸν ὁ συνιστάς, μέρος οὐδὲν

οὐδενὸς οὐδὲ δύναμιν ἔξωθεν ὑπολιπών, τάδε διανοηθείς,

πρῶτον μὲν ἵνα ὅλον ὅτι μάλιστα ζῷον τέλεον ἐκ τελέων                 d

τῶν μερῶν εἴη, πρὸς δὲ τούτοις ἕν, ἅτε οὐχ ὑπολελειμμένων          33a1

ἐξ ὧν ἄλλο τοιοῦτον γένοιτ᾿ ἄν, ἔτι δὲ ἵν᾿ ἀγήρων καὶ ἄνοσον

ᾖ, κατανοῶν ὡς συστάτῳ σώματι θερμὰ καὶ ψυχρὰ καὶ πάνθ᾿

ὁσα δυνάμεις ἰσχυρὰς ἔχει περιιστάμενα ἔξωθεν καὶ προσ-

πίπτοντα ἀκαίρως λύει καὶ νόσους γῆράς τε ἐπάγοντα                      5

φθίνειν ποιεῖ. 

그래서 그 네 가지 것들의 하나하나 각 전체를 그 우주의 구조가

확보하였습니다. 왜냐하면 그 구성자께서 모든 불과 물과 공기와

흙으로부터 그 우주를 구성하시기를, 그 무엇의 그 어떤 부분도 또한

어떤 능력도 외부에 남겨 놓지 않으시면서, 다음과 같은 것들을

염두에 두시면서 그리 하셨으니까요. 우선은 전체가 완전한 부분들로 

이루어진 최대한 완전한 생물로 있도록, 이에 더해, 그로부터 이러한 

그 외의 것이 생겨날 그런 것들이 남겨지지 않아, 하나로 있도록, 

더 나아가, 구성된 신체에 뜨거운 것들과 차가운 것들 그리고 

강력한 능력을 지니는 모든 것들이 외부에서 주위에 성립되어 

적기를 벗어나 부딪쳐 옴으로써 해체시키고 질병과 노화를 가져와 

소멸하도록 만든다는 것을 이해하시고서, 그 우주가 늙지 않고 

병들지 않는 것으로 있도록 의도하셨던 것이죠.

                   διὰ δὴ τὴν αἰτίαν καὶ τὸν λογισμὸν τόνδε

ἕνα ὅλον ὅλων ἐξ ἁπάντων τέλεον καὶ ἀγήρων καὶ ἄνοσον

αὐτὸν ἐτεκτήνατο. σχῆμα δὲ ἔδωκεν αὐτῷ τὸ πρέπον καὶ τὸ            b

συγγενές. τῷ δὲ τὰ πάντα ἐν αὑτῷ ζῷα περιέχειν μέλλοντι

ζῴῳ πρέπον ἂν εἴη σχῆμα τὸ περιειληφὸς ἐν αὑτῷ πάντα

ὁπόσα σχήματα· διὸ καὶ σφαιροειδές, ἐκ μέσου πάντῃ πρὸς

τὰς τελευτὰς ἴσον ἀπέχον, κυκλοτερὲς αὐτὸ ἐτορνεύσατο,                  5

πάντων τελεώτατον ὁμοιότατόν τε αὐτὸ ἑαυτῷ σχημάτων,

νομίσας μυρίῳ κάλλιον ὅμοιον ἀνομοίου.                                            //210114

                                                            그래서 이러한 

원인과 헤아림으로 인해 그 분께서는 우주를 통틀어 모든 전체들로 

이루어진 완전한 하나의 전체이자 늙지 않고 병들지 않는 것으로 

조립하셨습니다. 그런데 그 우주에 적절하며 동류이기도 한 형태를 

부여하셨습니다. 그런데 장차 모든 생물을 자신 안에 포괄할 

생물에게는 형태를 가진 그 모든 것들을 자신 안에 포괄하는 형태가 

어울리는 것으로 있을 테지요. 이런 이유로 구형으로, 중간으로부터 

모든 방면으로 끝들을 향해 같은 정도로 떨어져 있는 것으로, 

원으로 그것을 회전시키셨는데, 또한 그것이 모든 형태들 중 

가장 완전하고도 그분 자신과(or 그것 자신과) 가장 유사한 것으로 

있기에, 유사한 것이 유사하지 않은 것보다 헤아릴 수 없이 

훨씬 더 아름다운 것이라 생각하시고서 그리 하셨습니다.

                                                      λεῖον δὲ δὴ κύκλῳ

πᾶν ἔξωθεν αὐτὸ ἀπηκριβοῦτο πολλῶν χάριν. ὀμμάτων τε               c

γὰρ ἐπεδεῖτο οὐδέν, ὁρατὸν γὰρ οὐδὲν ὑπελείπετο ἔξωθεν,

οὐδ᾿ ἀκοῆς, οὐδὲ γὰρ ἀκουστόν· πνεῦμά τε οὐκ ἦν περιεστὸς

δεόμενον ἀναπνοῆς, οὐδ᾿ αὖ τινος ἐπιδεὲς ἦν ὀργάνου σχεῖν

ᾧ τὴν μὲν εἰς ἑαυτὸ τροφὴν δέξοιτο, τὴν δὲ πρότερον                      5

ἐξικμασμένην ἀποπέμψοι πάλιν. 

그래서 그 분께서는 그것 전부를 외부로부터 원으로 매끄럽게 

마감하시었는데 여러모로 고려하신 것이었습니다. 즉 그것은 

아무런 눈도 필요로 하지 않았으니, 보이는 그 어떤 것도 외부에 

남겨져 있지 않았기 때문이고, 들을 필요도 없었으니, 들리는 것 

또한 아무것도 남아 있지 않았기 때문이란 것이죠. 호흡을 필요로 

하는 감싸고 있는 숨도 있지 않았고, 또 이번엔 그로써 한편으로는 

자신을 위한 양분을 수용하는가 하면, 다른 한편으로는 앞서 흡수된 

양분을 다시 배출할, 그런 무슨 기관을 가질 필요가 있는 것으로 

있지도 않았습니다.

                                           ἀπῄει τε γὰρ οὐδὲν οὐδὲ

προσῄειν αὐτῷ ποθεν―οὐδὲ γὰρ ἦν―αὐτὸ γὰρ ἑαυτῷ τροφὴν

τὴν ἑαυτοῦ φθίσιν παρέχον καὶ πάντα ἐν ἑαυτῷ καὶ ὑφ᾿

ἑαυτοῦ πάσχον καὶ δρῶν ἐκ τέχνης γέγονεν· ἡγήσατο γὰρ               d

αὐτὸ ὁ συνθεὶς αὔταρκες ὂν ἄμεινον ἔσεσθαι μᾶλλον ἢ

προσδεὲς ἄλλων. 

                         아무것도 빠져나가지도 않았고 어딘가로부터 

그것에게 접근해 오지도 않았기 때문이며―그야 아무것도 있지 

않았으니까요―그것이 자신에게 자기 자신에 대한 소비를 양분으로 

제공하는 것이자 모든 것들을 자신 안에서 그리고 자신에 의해서 

겪고 행하기를 기술을 통해 하는 것으로서 생성되었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구성자께서는 그것이 자족적인 것으로 있음으로써

그 외의 것들을 추가로 필요로 하는 것보다 훨씬 더 나은 것으로

있게 되리라 생각하셨기 때문이지요.

                       χειρῶν δέ, αἷς οὔτε λαβεῖν οὔτε αὖ

τινα ἀμύνασθαι χρεία τις ἦν, μάτην οὐκ ᾤετο δεῖν αὐτῷ

προσάπτειν, οὐδὲ ποδῶν οὐδὲ ὅλως τῆς περὶ τὴν βάσιν                    5

ὑπηρεσίας. κίνησιν γὰρ ἀπένειμεν αὐτῷ τὴν τοῦ σώματος             34a1

οἰκείαν, τῶν ἑπτὰ τὴν περὶ νοῦν καὶ φρόνησιν μάλιστα

οὖσαν·[각주:4] διὸ δὴ κατὰ ταὐτὰ ἐν τῷ αὐτῷ καὶ ἐν ἑαυτῷ περια-

γαγὼν αὐτὸ ἐποίησε κύκλῳ κινεῖσθαι στρεφόμενον, τὰς δὲ ἓξ

ἁπάσας κινήσεις ἀφεῖλεν καὶ ἀπλανὲς ἀπηργάσατο ἐκείνων.               5

ἐπὶ δὲ τὴν περίοδον ταύτην ἅτ᾿ οὐδὲν ποδῶν δέον ἀσκελὲς

καὶ ἄπουν αὐτὸ ἐγέννησεν.

                                                손들의 경우에는,

그것으로 움켜잡을 일도 누군가로부터 방어할 무슨 필요도

있지 않기에, 그것에게 헛된 것을 덧붙일 필요가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으셨고, 발도 또 걸음과 관련된 하체도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으셨습니다. 그 신체의 고유한 운동을 따로 할당해

두셨기 때문이지요. 일곱 가지 운동들 중 특히 지성과 지혜에 

관련되어 있는 운동을 말입니다. 그래서 이런 이유로 같은 것들에 

따라 같은 것 안에서 그리고 그것 자신 안에서 그 둘레로 

인도하시어 그것이 원형으로 회전하며 운동하도록 만드셨는데, 

반면에 여섯 가지 운동들을 모두 제거하셨고 그래서 저 운동들로 

헤매이지 않도록 구현하셨습니다. 이러한 회전운동의 경우에는 

발이 필요하지 않기에 그것을 다리 없고 발 없는 것으로 산출하셨던 

것이지요.


-蟲-

  1. 가시적인 것들로 이루어진 것의 경우라는 한정이 전체를 지배하는 것으로 보면, 영혼과 분리된 지성은 이 조건 하에서는 불가능.(그러나 비가시적인 것들로부터 나온 지성은 영혼에 의존할 필요가 없을 가능성도 있음.) 반면 이 조건이 지성-영혼 서술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면, 가시/비가시 조건과 무관하게 지성은 항상 영혼에 붙어야만 함. - 지성의 독립적 존재는 여전히 가능할 여지가 남아 있다. [본문으로]
  2. 살아있는 것이 상위류고 하위로 두 발 달린 것, 생각하는 것, 등등이 전부 인간의 '정의'에 포함된다면, 인간 정의가 살아 있지 않다는 것은 인간이 살아있는 것의 하위분류가 아니라는 일종의 자기 모순일 수 있을 듯. 그렇다면 더 나아가 살아있는 것 그 자체의 형상은 말 그대로 살아있어야만 한다. [본문으로]
  3. 여기에서 정수만이 고려되는 번역과 더 일반화된 번역 사이의 갈등이 있다. 후자는 구적 문제로 해석 시도. 그러나 50b-c에 등장하는 수용체를 고려하면, 4원소 각각으로 명확히 규정된 것은 정수에, 그 규정 이전의 불분명하고 질서 없는 것은 정수이지 못한 것으로 고려해 볼 수 있을지도. '질서,' '조화,' '비율'은 규정성을 부여하는 것이라 볼 수도. [본문으로]
  4. 회전운동과 지성의 연관은 구체적으로 무엇일까? 동일성 명제, identify? DK28B3 "같은 것이 있도록 그리고 있도록 있다.", B5, "어디에서 시작하든 내게는 마찬가지이다. 그곳으로 곧장 다시 돌아갈 테니까." [본문으로]

                                                            ὁ δ᾿ αὐτὸς

λόγος καὶ ἐπὶ τοῦ μὴ εἶναι ἄνθρωπον· τὸ γὰρ ἀνθρώπῳ                      1007a1

εἶναι καὶ τὸ μὴ ἀνθρώπῳ εἶναι ἕτερον σημαίνει, εἴπερ καὶ

τὸ λευκὸν εἶναι καὶ τὸ ἄνθρωπον εἶναι ἕτερον· πολὺ γὰρ

ἀντίκειται ἐκεῖνο μᾶλλον, ὥστε σημαίνειν ἕτερον. 

                                                             그런데 같은

논리가 "인간으로 있지 않다"라는 것을 두고서도 성립한다.

왜냐하면 "인간에게 있다"라는 것과 "비-인간에게 있다"라는

것이 다른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만일 정말로 "흰 것으로

있다"와 "인간으로 있다" 또한 다른 것을 의미한다면. 왜냐하면

저 경우가 다른 것을 의미하도록 그렇게 훨씬 더 많이 대립되기

때문이다.

                                                                 εἰ δὲ καὶ

τὸ λευκὸν φήσει τὸ αὐτὸ καὶ ἓν σημαίνειν, πάλιν τὸ αὐτὸ                            5

ἐροῦμεν ὅπερ καὶ πρότερον ἐλέχθη, ὅτι ἓν πάντα ἐστὶ καὶ οὐ

μόνον τὰ ἀντικείμενα. εἰ δὲ μὴ ἐνδέχεται τοῦτο, συμβαί-

νει τὸ λεχθέν, ἂν ἀποκρίνηται τὸ ἐρωτώμενον. 

            그런데 [그가] 만일 흰 것 역시 같은 하나를 의미한다고

주장할 것이라면, 우리는 다시 앞서도 말해진 바로 그것, 즉 

대립하는 것들만이 아니라 모든 것들이 하나로 있다는 점을 

이야기하게 될 것이다. 그런데 만일 이러한 일이 허용되지

않는다면, 앞서 말해진대로 귀결되고, 질문된 바가 답해질

것이다.

                                                              ἐὰν δὲ

προστιθῇ ἐρωτῶντος ἁπλῶς καὶ τὰς ἀποφάσεις, οὐκ ἀποκρί-

νεται τὸ ἐρωτώμενον. οὐθὲν γὰρ κωλύει εἶναι τὸ αὐτὸ καὶ                           10

ἄνθρωπον καὶ λευκὸν καὶ ἄλλα μυρία τὸ πλῆθος· ἀλλ᾿

ὅμως ἐρομένου εἰ ἀληθὲς εἰπεῖν ἄνθρωπον τοῦτο εἶναι ἢ οὔ,

ἀποκριτέον τὸ ἓν σημαῖνον καὶ οὐ προσθετέον ὅτι καὶ λευ-

κὸν καὶ μέγα. καὶ γὰρ ἀδύνατον ἄπειρά γ᾿ ὄντα τὰ

συμβεβηκότα διελθεῖν· ἢ οὖν ἅπαντα διελθέτω ἢ μηθέν.                             15

          그런데 단적으로 주어진 질문에 부정들까지 추가된다

하더라도, 질문된 바가 답해지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같은 것이

인간이자 흰 것이며 그 외에 수를 헤아릴 수 없는 것들로 있기를

가로막는 것은 아무것도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것이 인간으로 있다고 이야기하는 것이 참인지 아닌지

질문될 경우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답해져야만 하며 희기도 하고

크기도 하다는 것이 추가되지는 않아야만 한다. 왜냐하면 어쨌든

무한히 있는 부수적인 것들을 완전히 상술하기란 불가능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통틀어 모든 것들이 상술되도록 하거나

아무것도 상술되지 않도록 하거나 하자.

ὁμοίως τοίνυν εἰ καὶ μυριάκις ἐστὶ τὸ αὐτὸ ἄνθρωπος καὶ

οὐκ ἄνθρωπος, οὐ προσαποκριτέον τῷ ἐρομένῳ εἰ ἔστιν ἄνθρω-

πος, ὅτι ἐστὶν ἅμα καὶ οὐκ ἄνθρωπος, εἰ μὴ καὶ τἆλλα

ὅσα συμβέβηκε προσαποκριτέον, ὅσα ἐστὶν ἢ μὴ ἔστιν· ἐὰν

δὲ τοῦτο ποιῇ, οὐ διαλέγεται.                                                            //201008

                                                    그러니까 마찬가지로

헤아릴 수 없이 여러 가지로도 같은 것이 인간으로 있고 또

비-인간으로 있다면, 그것이 인간으로 있는지 여부에 대한

질문에 동시에 비-인간으로도 있다는 점이 추가로 대답되지는

않아야만 한다, 만일 그 외의 부수한 것들까지도, 있거나 있지

않거나 한 그것들까지도 추가로 답해야만 하는 것이 아니라면

말이다. 그런데 이런 일을 한다 하더라도, 대화가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ὅλως δ᾿ ἀναιροῦσιν οἱ τοῦτο λέ-                     20

γοντες οὐσίαν καὶ τὸ τί ἦν εἶναι. πάντα γὰρ ἀνάγκη συμ-

βεβηκέναι φάσκειν αὐτοῖς, καὶ τὸ ὅπερ ἀνθρώπῳ εἶναι ἢ

ζῴῳ εἶναι μὴ εἶναι. εἰ γὰρ ἔσται τι ὅπερ ἀνθρώπῳ εἶναι,

τοῦτο οὐκ ἔσται μὴ ἀνθρώπῳ εἶναι ἢ μὴ εἶναι ἀνθρώπῳ

(καίτοι αὗται ἀποφάσεις τούτου)· ἓν γὰρ ἦν ὅ ἐσήμαινε,                               25

καὶ ἦν τοῦτό τινος οὐσία. 

           일반적으로 이것을 말하는 자들은 실체와 본질을

폐기한다. 왜냐하면 그들에게는 모든 것들이 부수한다고

주장하는 것이 필연적이며, 인간으로서 있는 바 바로 그것 혹은 

동물로서 있는 바 바로 그것조차 있지 않다고 주장하는 것이 

필연적이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만일 인간에게 있는 바 바로 

그것이라 할 무언가가 있을 것이라면, 이러한 것은 비-인간에게 

있거나 인간에게 있지 않거나 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러한 것들은 그것-인간본질-에 대한 부정들이다).

왜냐하면 그것-본질-이 의미한 것이 하나였을 것이고, 또

이러한 것이 어떤 것의 실체였기도 하기 때문이다.

> 『명제론』에서는 동사에 대한 부정이 긍정에 대한 제대로 된 부정,

명사나 형용사에 부정이 추가된 것은 부정-명사, 부정-형용사로 구분.

아리스토텔레스는 광의의 ἀποφάσις와 협의의 ἀποφάσις를 두루 쓰고 있는가?

                                  τὸ δ᾿ οὐσίαν σημαίνειν ἐστὶν

ὅτι οὐκ ἄλλο τι τὸ εἶναι αὐτῷ. εἰ δ᾿ ἔσται αὐτῷ τὸ

ὅπερ ἀνθρώπῳ εἶναι ὅπερ μὴ ἀνθρώπῳ εἶναι ἢ ὅπερ

μὴ εἶναι ἀνθρώπῳ, ἄλλο ἔσται, ὥστ᾿ ἀναγκαῖον αὐτοῖς

λέγειν ὅτι οὐθενὸς ἔσται τοιοῦτος λόγος, ἀλλὰ πάντα                                   30

κατὰ συμβεβηκός· τούτῳ γὰρ διώρισται οὐσία καὶ τὸ συμ-

βεβηκός· τὸ γὰρ λευκὸν τῷ ἀνθρώπῳ συμβέβηκεν ὅτι

ἔστι μὲν λευκὸς ἀλλ᾿ οὐχ ὅπερ λευκόν. 

                                                                그런데

실체를 의미한다는 것은 다름아니라 그것에게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만일 그것에게, 인간에게 있는 바 바로 그것이 

비-인간에게 있는 바의 것 혹은 인간에게 있지 않은 바의 

것으로 있을 것이라면, [인간에게 있는 것] 이외의 것으로 있을 

것이고, 그래서 그들로서는 그 무엇에 대해서도 이러한 종류의

말이 속해 있지 않을 것이고, 오히려 모든 것들이 부수적으로

있다고 말할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이러한 말에 의해 실체와

부수적인 것이 정의되기 때문이다. 즉 흰 것은 인간에게

부수하는데 흰 것으로 있기는 하지만 흰 것인 바로 그것으로

있지는 않기 때문이다.

                                                   εἰ δὲ πάντα κατὰ

συμβεβηκὸς λέγεται, οὐθὲν ἔσται πρῶτον τὸ καθόλου, εἰ δ᾿ ἀεὶ

τὸ συμβεβηκὸς καθ᾿ ὑποκειμένου τινὸς σημαίνει τὴν κατη-                           35

γορίαν. ἀνάγκη ἅμα[ἄρα] εἰς ἄπειρον ἰέναι. ἀλλ᾿ ἀδύνατον· οὐδὲ                   1007b1

γὰρ πλείω συμπλέκεται δυοῖν· τὸ γὰρ συμβεβηκὸς οὐ

συμβεβηκότι συμβεβηκός, εἰ μὴ ὅτι ἄμφω συμβέβηκε

ταὐτῷ, λέγω δ᾿ οἷον τὸ λευκὸν μουσικὸν καὶ τοῦτο λευκὸν

ὅτι ἄμφω τῷ ἀνθρώπῳ συμβέβηκεν· ἀλλ᾿ οὐχ ὁ Σωκρά-                                 5

της μουσικὸς οὕτως, ὅτι ἄμφω συμβέβηκεν ἑτέρῳ τινί. 

                             그런데 만일 모든 것들이 부수적으로

말해진다면, 우선 보편자란 아무것도 있지 않을 것이다, 만일 

항상 부수적인 것이 모종의 기체(주어)에 따라 그 범주(술어)를 

의미한다면. [Ross. 1007a34 "το καθ᾿ οὗ" 편집에 따를 경우,

"부수적이 것들이 그에 따른(대한) 것일 일차적인 것이 아무것도

있지 않을 것이다."] 이와 동시에 (부수적인 것은) 무한을 향해

진행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는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둘보다

더 많은 것들이 결합되지도 않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부수적인

것은 비-부수적인 것에게 부수하기 때문이다, 만일 양자 모두가

같은 것에게 부수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그런데 나는 이를 테면

흰 것이 음악적인 것이라고 또는 이것(희고 음악적인 것)이 

흰 것이라고 그 양자(흰 것과 음악적인 것)가 그 인간에게 부수하기

때문에 그런 경우를 말하고 있다. 그러나 소크라테스와 음악적인 것 

둘 모두가 그들과 다른 어떤 것에 부수한다는 점에서, (앞의 경우처럼) 

그렇게 소크라테스가 음악적인 것은 아니다.

                                                                       ἐπεὶ

τοίνυν τὰ μὲν οὕτως τὰ δ᾿ ἐκείνως λέγεται συμβεβηκότα,

ὅσα οὕτως λέγεται ὡς τὸ λευκὸν τῷ Σωκράτει, οὐκ ἐνδέχε-

ται ἄπειρα εἶναι ἐπὶ τὸ ἄνω, οἷον τῷ Σωκράτει τῷ λευκῷ

ἕτερόν τι συμβεβηκός· οὐ γὰρ γίγνεταί τι ἓν ἐξ ἁπάντων.                               10

그러니까 어떤 것들은 이런 식으로 또 어떤 것들은 저런 식으로

부수적인 것들로 말해지는데, 흰 것이 소크라테스에게 말해지는

그런 식으로 말해지는 것들의 경우, 그 위에 중첩하여 무한하게 

있기란 허용되지 않으니, 이를 테면 흰 소크라테스에게 다른 

어떤 것이 부수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 모든

것들을 통틀어 그로부터 모종의 하나가 성립되지 않기 때문이다.

οὐδὲ δὴ τῷ λευκῷ ἕτερόν τι ἔσται συμβεβηκός, οἷον τὸ μου-

σικόν· οὐθέν τε γὰρ μᾶλλον τοῦτο ἐκείνῳ ἢ ἐκεῖνο τούτῳ

συμβέβηκεν, καὶ ἅμα διώρισται ὅτι τὰ μὲν οὕτω συμβέ-

βηκε τὰ δ᾿ ὡς τὸ μουσικὸν Σωκράτει· ὅσα δ᾿ οὕτως, οὐ

συμβεβηκότι συμβέβηκε συμβεβηκός, ἀλλ᾿ ὅσα ἐκείνως,                                 15

ὥστ᾿ οὐ πάντα κατὰ συμβεβηκὸς λεχθήσεται. ἔσται

ἄρα τι καὶ ὡς οὐσίαν σημαῖνον. εἰ δὲ τοῦτο, δέδεικται ὅτι

ἀδύνατον ἅμα κατηγορεῖσθαι τὰς ἀντιφάσεις. 

그래서 흰 것에게 다른 어떤 것이 부수적으로 있게 되지도

않을 것인 바, 이를 테면 음악적인 것이 부수하지도 않는다.

왜냐하면 저것이 이것에 부수하는 것에 비해 이것이 저것에

부수하는 게 전혀 더 부수하는 바 없고, 또한 그와 동시에

어떤 것들은 그런 식으로 부수하고 또 어떤 것들은 음악적인

것이 소크라테스에게 부수하는 식으로 부수한다는 것이

정의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런 식으로 부수하는

것들은, 부수적인 것에게 부수적인 것으로서 부수하지 않고,

저런 식으로 부수하기에, 그래서 모든 것들이 부수적으로

말해지지는 않는다. 그래서 실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도

무언가가 있을 것이다. 그런데 만일 그런 것이 있다면,

모순들이 동시에 범주적으로 서술되는 일은 불가능하다는

점이 입증된 것이다.

> 모순되는 것들, 즉 같은 것으로 긍정과 부정이 전부 부수적인 경우까지도

부정되어서, 다시금 모순이 동시 성립할 수 없다는 결론으로.

                                                            ἔτι εἰ ἀλη-

θεῖς αἱ ἀντιφάσεις ἅμα κατὰ τοῦ αὐτοῦ πᾶσαι, δῆλον ὡς

ἅπαντα ἔσται ἕν. ἔσται γὰρ τὸ αὐτὸ καὶ τριήρης καὶ τοῖ-                               20

χος καὶ ἄνθρωπος, εἰ κατὰ παντὸς τι ἢ καταφῆσαι ἢ

ἀποφῆσαι ἐνδέχεται, καθάπερ ἀνάγκη τοῖς τὸν Πρωτα-

γόρου λέγουσι λόγον. εἰ γάρ τῳ δοκεῖ μὴ εἶναι τριήρης ὁ

ἄνθρωπος, δῆλον ὅτι οὐκ ἔστι τριήρης· ὥστε καὶ ἔστιν, εἴπερ

ἡ ἀντίφασις ἀληθής. 

                          더욱이 만일 모든 모순들이 동시에 같은

것에 대해 참이라고 한다면, 통틀어 모든 것들이 하나로 있게

될 것이라는 게 분명하다. 왜냐하면 같은 것이 삼단노선이고

벽이며 인간일 것이기 때문이다, 만일 모든 것에 따라 무언가를

긍정하든 부정하든 다 허용된다면, 마치 프로타고라스의 이론을

논하는 자들에게 필연적인 것과 마찬가지로 그렇게 말이다.

왜냐하면 만일 누군가에게 인간이 삼단노선으로 있지 않다고

여겨진다면, 삼단노선으로 있지 않다는 사실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만일 그에 대한 모순이 참이라고 한다면, 그렇게도

(삼단노선으로도) 있다.

                           καὶ γίνεται δὴ τὸ τοῦ Ἀναξαγόρου                                 25

ὁμοῦ πάντα χρήματα· ὥστε μηθὲν ἀληθῶς ἓν ὑπάρχειν. τὸ

ἀόριστον οὖν ἐοίκασι λέγειν, καὶ οἰόμενοι τὸ ὂν λέγειν περὶ

τοῦ μὴ ὄντος λέγουσιν· τὸ γὰρ δυνάμει ὂν καὶ μὴ ἐντελε-

χείᾳ τὸ ἀόριστόν ἐστιν.

                              더욱이 아낙사고라스의 그 "모든 사태들이

다 함께"라는 것이 생성되기까지 한다. 그래서 아무것도 참되게

하나로 성립하지 않게끔 말이다. 그러므로 그들은 무규정자를

말하는 것처럼 보이며, 있는 것을 말한다고 생각하면서도 있지

않은 것에 관련하여 말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가능적으로 있는

것이자 비-완성태로서 있는 것이 무규정자로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ἀλλὰ μὴν λεκτέον γ᾿ αὐτοῖς κατὰ

παντὸς <παντὸς> τὴν κατάφασιν ἢ τὴν ἀπόφασιν· ἄτοπον γὰρ                       30

εἰ ἑκάστῳ ἡ μὲν αὐτοῦ ἀπόφασις ὑπάρξει, ἡ δ᾿ ἑτέρου ὃ μὴ

ὑπάρχει αὐτῷ οὐχ ὑπάρξει· λέγω δ᾿ οἷον εἰ ἀληθὲς εἰπεῖν τὸν

ἄνθρωπον ὅτι οὐκ ἄνθρωπος, δῆλον ὅτι καὶ ἢ τριήρης ὴ οὐ

τριήρης. 

그러나 물론 적어도 그들로서는 모든 것에 대해 모든 것의 긍정 

아니면 부정을 말해야만 한다. 왜냐하면 만일 각각에게 한편으로는

그것에 대한 부정이 성립하고, 다른 한편으로 그것에게 성립하지 

않는 다른 것에 대한 부정은 성립하지 않을 것이라면 이상하기 

때문이다. 나는 이를 테면 만일 인간을 비-인간이라고 말하는 게 

참이라면, 삼단노선이라고 말하든 비-삼단노선이라고 말하든 

그것이 참임이 분명하다고 말하는 것이다. 

            εἰ μὲν οὖν ἡ κατάφασις, ἀνάγκη καὶ τὴν ἀπόφασιν·

εἰ δὲ μὴ ὑπάρχει ἡ κατάφασις, ἥ γε ἀπόφασις ὑπάρξει

μᾶλλον ἢ ἡ αὐτοῦ. εἰ οὖν κἀκείνη ὑπάρχει, ὑπάρξει καὶ ἡ                        1008a1

τῆς τριήρους· εἰ δ᾿ αὕτη, καὶ ἡ κατάφασις. ταῦτά τε οὖν

συμβαίνει τοῖς λέγουσι τὸν λόγον τοῦτον, καὶ ὅτι οὐκ ἀνάγκη

ἢ φάναι ἢ ἀποφάναι. 

                                                                그러므로

만일 한편으로 긍정이 참이라면, 그 부정 또한 필연적으로 참이다.

다른 한편 만일 긍정이 성립하지 않는다면, 적어도 그 부정은

그것 자체에 대한 부정보다는 더 많이 성립할 것이다. 그러므로

만일 저 부정(비-인간)도 성립한다면, 삼단노선에 대한 부정 역시

성립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논리를 말하는 자들에게는

이러한 귀결들이 따르고, 주장하거나 부정주장하거나 하는 일이

필연적이지 않다는 귀결까지 따른다.

                            εἰ γὰρ ἀληθὲς ὅτι ἄνθρωπος καὶ

οὐκ ἄνθρωπος, δῆλον ὅτι καὶ οὔτ᾿ ἄνθρωπος οὔτ᾿ οὐκ ἄν-                             5

θρωπος ἔσται· τοῖν γὰρ δυοῖν δύο ἀποφάσεις, εἰ δὲ μία

ἐξ ἀμφοῖν ἐκείνη, καὶ αὕτη μία ἂν εἴη ἀντικειμένη.

                                                왜냐하면 만일 인간이고

비-인간이라는 것이 참이라면, 인간으로도 비-인간으로도 있지

않으리라는 것 역시 분명하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그 둘에 대해

두 부정들이 있기 때문인데, 만일 그 양자로부터 저 긍정이

단일한 것으로 구성된다면, 이 부정 또한 대립됨으로써 단일한

것으로 있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蟲-

ΤΙΜΑΙΟΣ


ΣΩΚΡΑΤΗΣ ΤΙΜΑΙΟΣ ΕΡΜΟΚΡΑΤΗΣ ΚΡΙΤΙΑΣ


ΣΩ. Εἷς, δύο, τρῖς· ὁ δὲ δὴ τέταρτος ἡμῖν, ὦ φίλε Τί-                    17a1

μαιε, ποῦ τῶν χθὲς μὲν δαιτυμόνων, τὰ νῦν δὲ ἑστια-

τόρων;

한 분, 두 분, 세 분. 한데 그럼, 친애하는 티마이오스,

어제는 우리의 손님들 중에서, 오늘은 주인들 중 

네 번째이신 분께서는 어디십니까?


- 대화편의 시작이 하필 수, 혹은 사람을 세는 것인 이유가 따로 있을지?

  1) 수에 따른 질서를 통해 우주를 설명하는 방식을 시사하는 것.

  2) 사원소? 이 경우 무엇이 빠진 것인가? 관련하여 흙이 다른 삼원소와 별도로 취급된다.

      다른 것들은 환원 및 교환되지만 흙은 그렇지 않다. 

  3) 『소크라테스의 변론』, 『파이돈』에서 플라톤이 언급되고, 또 후자에서 병으로 결석한 것을 연상시키기도?

      소크라테스가 자신을 제외한 나머지 세 사람을 헤아렸고, 남은 한 사람이 빠진 것인데

      누구인지 확인되지 않는다.

      크리티아스의 이름으로 저술이 하나 있고, 지금 이 대화편이 티마이오스의 이름을 걸고 있다.

      헤르모크라테스에 관련해서도 계획이 있었던 걸지? 네 번째 사람은?

- 배경으로서의 판아테나이 축제는 아테네 건국 신화에 해당하는 여신의 매우 대규모 축제. 이러한 맥락에서 '하나, 둘, 셋'이라는 발언은 당대 독자에게 경연의 순번이나 순위 따위를 떠올리게 했을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서사시나 비극에서 삼부작 혹은 사부작의 구성을 떠올렸을 수도 있다. by Kang. 


ΤΙ. Ἀσθένειά τις αὐτῷ συνέπεσεν, ὦ Σώκρατες· οὐ γὰρ

ἂν ἑκὼν τῆσδε ἀπελείπετο τῆς συνουσίας.                                      5

그 분께 무슨 허약함이랄 것이 닥쳐왔답니다, 소크라테스. 

자발적으로 여기 이 모임에 결석하지는 않았을 테니 말이죠.

- 티마이오스가 답한다는 점에서 그와 동향의 인물로 추정될 수도 있지 않겠는가?

  대화편의 논의 주제와 관련해서, 혹은 시작점에서 수를 세는 대사와 관련하여

  피타고라스 학파의 인물로 추정할 여지도 있지 않겠는가? by Kang.

  '질병'이 언급된 것과 관련하여, 이 대화편의 마지막은 질병에 대한 논의로 끝난다. by Kang.

  『파이돈』에서 플라톤의 불참 이유도 같은 어원의 동사로 표현된다. 아파서. by Byun.

  의미상으로 보자면 Akrasia와 유사성이 있을 것도 같다. By Kang.

  아크라시아의 불가능성과 관련하여, 나쁘다는 것을 '알면서도' hekōn, 자발적으로 행하는 일은 없다.

  

ΣΩ. Οὐκοῦν σὸν τῶνδέ τε ἔργον καὶ τὸ ὑπὲρ τοῦ ἀπόντος

ἀναπληροῦν μέρος;

그렇다면 부재하신 분을 대신하여 몫을 채우는 것 역시 여기 

계신 분들의 그리고 당신의 일이기도 하지 않겠습니까?

- 네 번째 사람의 빈 자리나 그 몫을 채우는 것은 티마이오스의 책임으로

  돌려진다. 


ΤΙ. Πάνυ μὲν οὖν, καὶ κατὰ δύναμίν γε οὐδὲν ἐλλεί-                        b

ψομεν· οὐδὲ γὰρ ἂν εἴη δίκαιον, χθὲς ὑπὸ σοῦ ξενισθέντας

οἷς ἦν πρέπον ξενίοις, μὴ οὐ προθύμως σὲ τοὺς λοιποὺς ἡμῶν

ἀνταφεστιᾶν.

물론 그렇습니다만, 저희 능력이 닿는 한에서는 아무것도

빠뜨리지 않을 겁니다. 정당한 일도 아닐 테니까요, 어제 당신께

그야말로 손님답게 손님대접을 받아 놓고서, 당신께 우리 중

남은 사람들이 열렬하게 보답해 드리지 못한다는 것은 말이죠.

ΣΩ. Ἆρ᾿ οὖν μέμνησθε ὅσα ὑμῖν καὶ περὶ ὧν ἐπέταξα                       5

εἰπεῖν;

그럼 혹시 제가 그와 관련하여 여러분께서 말씀해 주십사 

맡겨드렸던 것들을 기억하시는지요?

ΤΙ. Τὰ μὲν μεμνήμεθα, ὅσα δὲ μή, σὺ παρὼν ὑπομνήσεις·

μᾶλλον δέ, εἰ μή τί σοι χαλεπόν, ἐξ ἀρχῆς διὰ βραχέων πάλιν

ἐπάνελθε αὐτά, ἵνα βεβαιωθῇ μᾶλλον παρ᾿ ἡμῖν.

어떤 것들은 저희가 기억하고 있습니다만, 그렇지 못한 것들은,

당신께서 함께 계시면서 상기시켜 주시겠지요. 그런데 차라리,

혹여 당신께서 조금이라도 곤란하지 않으시다면, 처음부터 짧은

몇 마디로 다시 그것들을 되짚어 주십시오, 저희쪽에서보다

훨씬 더 확고해지게끔 말이죠.

ΣΩ. Ταῦτ᾿ ἔσται. χθές που τῶν ὑπ᾿ ἐμοῦ ῥηθέντων                         c

λόγων περὶ πολιτείας ἦν τὸ κεφάλαιον οἵα τε καὶ ἐξ οἵων

ἀνδρῶν ἀρίστη κατεφαίνετ᾿ ἄν μοι γενέσθαι.

그리 될 겁니다. 아마 어제 폴리스에 관련하여 저에 의해 이야기된

말들의 요지는 어떤 폴리스가 그리고 또 어떤 자들로부터 나온

(~로 이루어진) 폴리스가 최선의 폴리스가 되는 것으로 제게 드러나

보였는가 하는 것이었지요.

ΤΙ. Καὶ μάλα γε ἡμῖν, ὦ Σώκρατες, ῥηθεῖσα πᾶσιν κατὰ

νοῦν.                                                                                     5

확실히, 소크라테스, 그 폴리스는 저희 모두에게 인상 깊게 

이야기되었습니다.

ΣΩ. Ἆρ᾿ οὖν οὐ τὸ τῶν γεωργῶν ὅσαι τε ἄλλαι τέχναι

πρῶτον ἐν αὐτῇ χωρὶς διειλόμεθα ἀπὸ τοῦ γένους τοῦ τῶν

προπολεμησόντων;

그럼 혹시 우리가 그 폴리스 안에서 농부들의 유와 또 다른

기술들도 그 부류를 수호전을 수행하는 자들의 부류로부터

별도로 구분하지 않았습니까?

ΤΙ. Ναί.

네.

ΣΩ. Καὶ κατὰ φύσιν δὴ δόντες τὸ καθ᾿ αὑτὸν ἑκάστῳ                       10

πρόσφορον ἓν μόνον ἐπιτήδευμα, μίαν ἑκάστῳ τέχνην, τού-           d

τους οὓς πρὸ πάντων ἔδει πολεμεῖν, εἴπομεν ὡς ἄρ᾿ αὐτοὺς

δέοι φύλακας εἶναι μόνον τῆς πόλεως, εἴτε τις ἔξωθεν ἢ καὶ

τῶν ἔνδοθεν ἴοι κακουργήσων, δικάζοντας μὲν πράως τοῖς

ἀρχομένοις ὑπ᾿ αὐτῶν καὶ φύσει φίλοις οὖσιν, χαλεποὺς δὲ          18a

ἐν ταῖς μάχαις τοῖς ἐντυγχάνουσιν τῶν ἐχθρῶν γιγνομένους.

더욱이 본성에 따라서 그 자체로 각자에게 적합한 단 하나의

직무만을, 즉 각자에게 단 하나의 기술만을, 부여하면서, 그

모든 것들보다도 우선 전쟁을 해야 했던 자들을, 우리는 그래서

바로 그들이 오직 폴리스의 수호자들로 있기만 해야 하리라고 

이야기했었습니다, 누군가가 외부로부터든 내부로부터의

사람들 중에서든 해악을 가하려 한다면, 그들에 의해 지배를

받는 자들과 본성상 친우인 자들에게는 온화하게 심판하는

반면, 적들 중 전투에서 조우한 자들에게는 가혹한 자들이 

됨으로써 말이지요.

ΤΙ. Παντάπασι μὲν οὖν.

전적으로 그렇습니다.

ΣΩ. Φύσιν γὰρ οἶμαί τινα τῶν φυλάκων τῆς ψυχῆς

ἐλέγομεν ἅμα μὲν θυμοειδῆ, ἅμα δὲ φιλόσοφον δεῖν εἶναι                 5

διαφερόντως, ἵνα πρὸς ἑκατέρους δύναιντο ὀρθῶς πρᾷοι καὶ

χαλεποὶ γίγνεσθαι.

즉 저는 수호자들의 영혼의 본성이라 할 무언가가 한편으로는 

용맹스러운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유달리 철학적이어야

(지혜를 사랑하는 것이어야) 한다고 우리가 말했다고 생각합니다,

저 양편 각각의 사람들을 상대로 제대로 온화하게도 또 가혹하게도

될 능력이 있도록 말이죠.

ΤΙ. Ναί.

네.

ΣΩ. Τί δὲ τροφήν; ἆρ᾿ οὐ γυμναστικῇ καὶ μουσικῇ μαθή-

μασίν τε ὅσα προσήκει τούτοις, ἐν ἅπασι τεθράφθαι;                       10

그런데 양육은 어떻습니까? 혹시 체육과 시가라는 교과들과

또 이들에게 적절한 교과들, 그 모든 것들 안에서 그들이

양육되었<어야 한다>고 우리가 말하지 않았나요?

ΤΙ. Πάνυ μὲν οὖν.

물론입니다.

ΣΩ. Τοὺς δέ γε οὕτω τραφέντας ἐλέχθη που μήτε χρυσὸν                b

μήτε ἄργυρον μήτε ἅλλο ποτὲ μηδὲν κτῆμα ἑαυτῶν ἴδιον

νομίζειν δεῖν, ἀλλ᾿ ὡς ἐπικούρους μισθὸν λαμβάνοντας τῆς

φυλακῆς παρὰ τῶν σῳζομένων ὑπ᾿ αὐτῶν, ὅσος σώφροσιν

μέτριος, ἀναλίσκειν τε δὴ κοινῇ καὶ συνδιαιτωμένους μετὰ                 5

ἀλλήλων ζῆν, ἐπιμέλειαν ἔχοντας ἀρετῆς διὰ παντός, τῶν

ἄλλων ἐπιτηδευμάτων ἄγοντας σχολήν.

그런가 하면 적어도 그런 식으로 양육된 자들은 아마 금도 

은도 도대체 다른 그 무엇도 그들 자신들의 고유한 재물이라

생각하지 않아야 하고, 오히려 조력자들로서 그들에 의해 구원

받은 자들에게서 수호에 대해서, 분별 있는 자들에게 적절한 

그 만큼의 보수를 받으며, 공동으로 소비하고 또한 서로가 함께 

거주하며 살아가야 한다고, 모든 시간 동안 덕에 대한 추구를 

견지하면서, 그 외의 직무들에 대해서는 여가를 마련하면서 

그리한다고 말해졌습니다.

- 『파이드로스』 마무리 기도에서 "현명한 자에게 적절한 만큼의 황금"이란 표현과 연결되나?

ΤΙ. Ἐλέχθη καὶ ταῦτα ταύτῃ.

이런 이야기들도 이런 식으로 말해졌죠.

ΣΩ. Καὶ μὲν δὴ καὶ περὶ γυναικῶν ἐπεμνήσθημεν, ὡς τὰς                   c

φύσεις τοῖς ἀνδράσιν παραπλησίας εἴη συναρμοστέον, καὶ τὰ

ἐπιτηδεύματα πάτνα κοινὰ κατά τε πόλεμον καὶ κατὰ τὴν

ἄλλην δίαιταν δοτέον πάσαις.

더 나아가서는 여성들에 관련하여서도, 그 본성이 사내들에게

근접하게 되도록 조화시켜야만 한다고, 또 전쟁에 따라서도 그 외 

생활에 따라서도 모든 직무가 모든 여성에게 공동으로 주어져야만 

한다는 것을 언급했었습니다.

ΤΙ. Ταύτῃ καὶ ταῦτα ἐλέγετο.                                                         5

이것들도 이런 식으로 말해지고 있었습니다.

ΣΩ. Τί δὲ δὴ τὸ περὶ τῆς παιδοποιίας; ἢ τοῦτο μὲν διὰ

τὴν ἀήθειαν τῶν λεχθέντων εὐμνημόνευτον, ὅτι κοινὰ τὰ τῶν

γάμων καὶ τὰ τῶν παίδων πᾶσιν ἁπάντων ἐτίθεμεν, μηχανω-

μένους ὅπως μηδείς ποτε τὸ γεγενημένον αὐτῶν ἰδίᾳ γνώ-

σοιτο, νομιοῦσιν δὲ πάντες πάντας αὐτοὺς ὁμογενεῖς, ἀδελφὰς           d

μὲν καὶ ἀδελφοὺς ὅσοιπερ ἂν τῆς πρεπούσης ἐντὸς ἡλικίας

γίγνωνται, τοὺς δ᾿ ἔμπροσθεν καὶ ἄνωθεν γονέας τε καὶ

γονέων προγόνους, τοὺς δ᾿ εἰς τὸ κάτωθεν ἐκγόνους παῖδάς

τε ἐκγόνων;                                                                               5

한데 그럼 자식을 만드는 것에 관련된 일은 어떻습니까? 오히려

말해진 것들의 익숙하지 않음으로 인해 기억하기에 좋았습니까?

통틀어 모든 결혼과 자식에 대한 일들을 모두에게 공공의 것들로

우리가 정립하였다는 것이요. 도대체 단 한 사람도 그들의 출생을 

사적으로 알지 못하도록, 반면에 모든 이들이 자신들 모두가 

동류라고 생각하도록, 동년배 안에서 태어난 자들에게는 자매이자 

형제라고, 더 먼저 더 윗세대에 태어난 자들은 부모이자 선조라고, 

아랫세대에 태어난 자들은 후손이나 후손의 자손이라고 생각하도록 

고안된 자들에게 말입니다.

ΤΙ. Ναί, καὶ ταῦτα εὐμνημόνευτα ᾗ λέγεις.

네, 이것들도 당신께서 말씀하시는 방식으로 기억하기 좋은

것들이었습니다.

ΣΩ. Ὅπως δὲ δὴ κατὰ δύναμιν εὐθὺς γίγνοιντο ὡς ἄριστοι

τὰς φύσεις, ἆρ᾿ οὐ μεμνήμεθα ὡς τοὺς ἄρχοντας ἔφαμεν καὶ

τὰς ἀρχούσας δεῖν εἰς τὴν τῶν γάμων σύνερξιν λάθρᾳ

μηχανᾶσθαι κλήροις τισὶν ὅπως οἱ κακοὶ χωρὶς οἵ τ᾿ ἀγαθοὶ             e

ταῖς ὁμοίαις ἑκάτεροι συλλήξονται, καὶ μή τις αὐτοῖς ἔχθρα διὰ

ταῦτα γίγνηται, τύχην ἡγουμένοις αἰτίαν τῆς συλλήξεως;

한데 그럼 능력이 닿는 한 곧장 본성에 있어서 최대한 최선인 자들이 

태어나도록 하기 위해서는, 혹시 지배자 남성들이 지배자 여성들과 

혼인을 통한 결합을 향해 비밀리에 모종의 추첨으로 계획되어야 

한다고 우리가 주장했었다는 것을 기억하지 못하십니까? 악인들과 

선인들이 별도로 그 둘 각각에 유사한 자들과 함께 짝지어지도록, 

그리고 이러한 일들로 인해 어떤 적의가 그들에게 생기지 않게끔, 

즉 그 짝지음의 원인을 우연이라 생각하는 자들에게 그리 되지 않게끔 

말이지요.

ΤΙ. Μεμνήμεθα.

우리는 기억하고 있습니다.

ΣΩ. Καὶ μὴν ὅτι γε τὰ μὲν τῶν ἀγαθῶν θρεπτέον ἔφαμεν               19a1

εἶναι, τὰ δὲ τῶν κακῶν εἰς τὴν ἄλλην λάθρᾳ διαδοτέον πόλιν·

ἐπαυξανομένων δὲ σκοποῦντας ἀεὶ τοὺς ἀξίους πάλιν ἀνάγειν

δεῖν, τοὺς δὲ παρὰ σφίσιν ἀναξίους εἰς τὴν τῶν ἐπανιόντων

χώραν μεταλλάττειν;                                                                   5

또 물론 적어도 좋은 자들의 자손들은 육성되어야만 하는 것으로

있는가 하면, 나쁜 자들의 자손들은 폴리스의 나머지 영역에 

비밀리에 주어져야만 하는 것으로 있다고 우리가 주장했던 것도요.

그런데 그들이 성장함에 따라 살펴보며 언제나 다시 데려와야 

할 가치가 있는 자들은 다시 데려와야 한다고, 그런데 그들에 비해 

무가치한 자손들은 되돌아온 자손들의 그 자리로 맞바꾸어 놓아야 

한다고 말입니다.

ΤΙ. Οὕτως.                                                                                 //201028

그렇습니다.

ΣΩ. Ἆρ᾿ οὖν δὴ διεληλύθαμεν ἤδη καθάπερ χθές, ὡς

ἐν κεφαλαίοις πάλιν ἐπανελθεῖν, ἢ ποθοῦμεν ἔτι τι τῶν

ῥηθέντων, ὦ φίλε Τίμαιε, ὡς ἀπολειπόμενον;

그럼 그리하여 혹시 우리가 이미 어제와 마찬가지로 상술한 건가요? 

요점을 다시 되짚었으니 말입니다. 아니면 이야기된 것들

중에서 뭔가를 아직, 친애하는 티마이오스, 남겨진 것으로

생각하여 우리가 아쉬워하고 있는지요?

- 남겨진 것, 아쉬운 것이 있는가? 사실은 있다. 아래에서 다시...


ΤΙ. Οὐδαμῶς, ἀλλὰ αὐτὰ ταῦτ᾿ ἦν τὰ λεχθέντα, ὦ                             b

Σώκρατες.

결코 그렇지 않고, 오히려 진술되었던 것들은 바로 

이것들이었습니다, 소크라테스.

- 덕, 정의, 행복에 대한 논의 탈락. 이에 따라 이를 추구하는 철학자와 그의 교육도 탈락.

  그래서 나아가 철학자에 의한 통치, 세 번째 파도 이야기가 탈락. 또한 타락한 정체와

  시인 추방 등의 내용도 탈락되어 있다. 


ΣΩ. Ἀκούοιτ᾿ ἂν ἤδη τὰ μετὰ ταῦτα περὶ τῆς πολιτείας

ἣν διήλθομεν, οἷόν τι πρὸς αὐτὴν πεπονθὼς τυγχάνω. προσ-

ἐοικεν δὲ δή τινί μοι τοιῷδε τὸ πάθος, οἷον εἴ τις ζῷα καλά                 5

που θεασάμενος, εἴτε ὑπὸ γραφῆς εἰργασμένα εἴτε καὶ ζῶντα

ἀληθινῶς ἡσυχίαν δὲ ἄγοντα, εἰς ἐπιθυμίαν ἀφίκοιτο θεά-

σασθαι κινούμενά τε αὐτὰ καί τι τῶν τοῖς σώμασιν δοκούντων

προσήκειν κατὰ τὴν ἀγωνίαν ἀθλοῦντα· ταὐτὸν καὶ ἐγὼ                    c

πέποντα πρὸς τὴν πόλιν ἣν διήλθομεν. 

이제 우리가 상술하였던 그 폴리스에 관련한 이러한 이야기들 

다음의 오는 것들을 여러분들께서 들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그 폴리스에 대해 제가 마침 겪기도 한 것이 무엇인지

같은 것을요. 저로서는 그 경험이 이런 어떤 것과 그럴 듯하게

닮아 보였는데, 이를 테면 누군가가 어디에선가 아름다운 동물들을

바라보면서, 그게 그림으로 이루어졌든 진정으로 살아있으면서 

침묵을 지키고 있든, 그것들이 운동하는 것을 그리고 또 그 신체에

어울린다고 여겨지는 일들 중 무언가를 경합에 따라 겨루는 것을

바라보기를 열망하게 될 것이라면 겪을 그런 일과 말이지요.

저 역시도 똑같은 일을 우리가 상술하였던 그 폴리스에 대해

겪었습니다.

- 『국가』 471c-d에서의 글라우콘의 요청을 연상시킨다. 그런데

『국가』에서는 이것의 실현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물으며, 이로부터

세 번째 파도, 철인이 통치자가 되는 방법이 설명된다. 그리고 이어지는

논의에서 소크라테스는 아름다운 것의 본을 아름답게 그리지만 그것이

어떻게 가능한지 보여주지 못하는 화가가 못난 화가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심지어 이후에는 행동이 말보다 진리에 멀다고 말하기도 한다. 

『국가』 5권!!! by Kang.

- 빈 자리. 네 번째 사람이 빠졌고, 철인 통치자가 빠졌다. 이 자리에 티마이오스와

데미우르고스가 들어오는가? 만일 『국가』 5권의 위 맥락과 함께 고려해 보자면,

국가의 실현과 활동을 묘사하기 위해 그 가능성을 확보하는 방식(철인통치)이 도입되어야 하듯,

(국가를 그 안에 포함하는) 우주에 대해서도 그 가능성을 확보하는 나름의 방식이 도입되어야 하지 않을까?


                                                    ἡδέως γὰρ ἄν του

λόγῳ διεξιόντος ἀκούσαιμ᾿ ἂν ἄθλους οὓς πόλις ἀθλεῖ, τούτους

αὐτὴν ἀγωνιζομένην πρὸς πόλεις ἄλλας, πρεπόντως εἴς τε

πόλεμον ἀφικομένην καὶ ἐν τῷ πολεμεῖν τὰ προσήκοντα                     5

ἀποδιδοῦσαν τῇ παιδείᾳ καὶ τροφῇ κατά τε τὰς ἐν τοῖς

ἔργοις πράξεις καὶ κατὰ τὰς ἐν τοῖς λόγοις διερμηνεύσεις

πρὸς ἑκάστας τῶν πόλεων. ταῦτ᾿ οὖν, ὦ Κριτία καὶ Ἑρμό-

κρατες, ἐμαυτοῦ μὲν αὐτὸς κατέγνωκα μή ποτ᾿ ἂν δυνατὸς                d

γενέσθαι τοὺς ἄνδρας καὶ τὴν πόλιν ἱκανῶς ἐγκωμιάσαι. 

                폴리스가 겨루는 그 경기들을 말로써 짚어 

나아가는 것을 저는 기쁘게 들을 테니까요, 그 폴리스가 여타 

폴리스를 상대로 그 경합들에서 경쟁하는 것을, 그 교육과 양육에 

어울리게 전쟁에 임하고 또 전쟁을 수행함에 있어서 그에 

어울리는 것들을 각각의 폴리스들을 상대로 현실에서의 

실행 하에서도 또한 말에서 이루어지는 교섭 하에서도 되갚아 

보이는 것을 말입니다. 그러므로 이런 것들을 놓고, 크리티아스 

그리고 헤르모크라테스, 저 스스로 저에 대해 도무지 그 사내들과 

그 폴리스를 충분히 상찬할 능력이 있는 자가 되지 못하리란 것을 

알아차렸습니다.

                                                                          καὶ

τὸ μὲν ἐμὸν οὐδὲν θαυμαστόν· ἀλλὰ τὴν αὐτὴν δόξαν εἴληφα

καὶ περὶ τῶν πάλαι γεγονότων καὶ περὶ τῶν νῦν ὄντων

ποιητῶν, οὔτι τὸ ποιητικὸν ἀτιμάζων γένος, ἀλλὰ παντὶ                       5

δῆλον ὡς τὸ μιμητικὸν ἔθνος, οἷς ἂν ἐντραφῇ, ταῦτα μιμή-

σεται ῥᾷστα καὶ ἄριστα, τὸ δ᾿ ἐκτὸς τῆς τροφῆς ἑκάστοις

γιγνόμενον χαλεπὸν μὲν ἔργοις, ἔτι δὲ χαλεπώτερον λόγοις                e

εὖ μιμεῖσθαι. 

                     제 경우는 놀라울 것도 없습니다. 그러나 저는 

오래전 태어나신 시인들과 관련하여서도 또 오늘날 현존하는 

시인들과 관련하여서도 같은 믿음을 갖게 되었습니다. 시인의 

부류를 존중하지 않는 건 아니지만, 모방적인 족속이 이렇다는 

게 모두에게 분명하다는 것이지요. 그들이 그 안에서 양육되었을 

바의 것들, 이러한 것들을 가장 쉽고도 가장 훌륭하게 모방하리란 

것, 반면에 그 양육을 벗어나는 것은 각각의 시인들에게 실천으로써 

잘 모방하기가 어렵거니와, 말로써 잘 모방하기란 훨씬 더 어렵다는 

것이 말입니다.

- 말보다 행동이 더 진리에 가깝다는 앞서 『국가』 5권 논의와 결부될 듯. By Kang.

  확신(pistis)에 따른 행동의 한계. 참인 믿음만 가진 수호자, 철학자의 명령을

잘 따르기만 하는 사람들. 

- 『프로타고라스』에서 프라타고라스식으로 정의로운 척 행동하는 자들.

 사회에서 통념이나 관습, 교육으로 전수된 것들을 행동으로 따라하려 하고,

그런데 말로 설명하기는 어려울 수도.

                 τὸ δὲ τῶν σοφιστῶν γένος αὖ πολλῶν μὲν

λόγων καὶ καλῶν ἄλλων μάλ᾿ ἔμπειρον ἥγημαι, φοβοῦμαι

δὲ μή πως, ἅτε πλανητὸν ὂν κατὰ πόλεις οἰκήσεις τε ἰδίας

οὐδαμῇ διῳκηκός, ἄστοχον ἅμα φιλοσόφων ἀνδρῶν ᾖ καὶ                    5

πολιτικῶν, ὅσ᾿ ἂν οἷά τε ἐν πολέμῳ καὶ μάχαις πράττοντες

ἔργῳ καὶ λόγῳ προσομιλοῦντες ἑκάστοις πράττοιεν καὶ

λέγοιεν. καταλέλειπται δὴ τὸ τῆς ὑμετέρας ἕξεως γένος,

ἅμα ἀμφοτέρων φύσει καὶ τροφῇ μετέχον. 

                    그런데 이번엔 소피스트들의 부류는 여타의 많고도 

아름다운 말들에 무척이나 익숙한 것으로 생각하는데, 어쨌든, 

폴리스들을 따라 떠돌아다니며 어디에도 개인적인 거주를 두고 

정주한 적 없기에, 철학적인 자들로부터 또 정치가들로부터도, 

전쟁 중에도 전투 중에도 행동과 말로 소피트들이 각각의 

상대들과 관계하며 행위하면서 수행하거나 말할 그 만큼의 

그리고 그러한 종류의 일들에서, 동시에 엇나가 있던 것은 아닐지 

두렵습니다. 그래서 여러분들의 상태에 해당하는 부류가 남게 

되었습니다. 본성과 양육으로 저 양편 모두에 동시에 참여하는 

부류가 말이죠.

- 소피스트의 세계에 대한 가상(Phantasma)과 시인의 세계에 대한 상(eidōlon, 이것은 eikōn인가?), 데미우르고스의  세계에 대한 모상(닮은꼴? eikōn) ??? 이 세 가지 구분도 가능할지?


                                                         Τίμαιός τε γὰρ               20a1

ὅδε, εὐνομωτάτης ὢν πόλεως τῆς ἐν Ἰταλίᾳ Λοκρίδος, οὐσίᾳ

καὶ γένει οὐδενὸς ὕστερος ὢν τῶν ἐκεῖ, τὰς μεγίστας μὲν

ἀρχάς τε καὶ τιμὰς τῶν ἐν τῇ πόλει μετακεχείρισται, φιλο-

σοφίας δ᾿ αὖ κατ᾿ ἐμὴν δόξαν ἐπ᾿ ἄκρον ἁπάσης ἐλήλυθεν·                   5

Κριτίαν δέ που πάντες οἱ τῇδε ἴσμεν οὐδενὸς ἰδιώτην ὄντα ὧν

λέγομεν. τῆς δὲ Ἑρμοκράτους αὖ περὶ φύσεως καὶ τροφῆς,

πρὸς ἅπαντα ταῦτ᾿ εἶναι ἱκανὴν πολλῶν μαρτυρούντων

πιστευτέον. 

          왜냐하면 여기 이 분 티마이오스께서도, 이탈리아에 있는 

로크리스라는 가장 법이 잘 세워진 폴리스에 속해 계시며, 

재산으로나 가문으로나 저곳의 사람들 중 그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으시고, 그 폴리스 내의 사람들 중 가장 큰 관직과 명예를 

손에 넣으셨는가 하면, 다른 한편 이번엔 제 믿음에 따르자면 

통틀어 모든 철학의 정점에 이르신 바 있으시니까요. 그런가 하면 

크리티아스께서는 아마도 이곳에 계신 모든 분들께서 아시는 바 

우리가 말하는 것들 중 그 무엇에 대해서도 문외한이 아니십니다. 

이번엔 헤르모크라테스의 그 본성과 양육에 관련해서는, 통틀어 

이 모든 것들에 대해서 충분한 분으로서 계심을 확신해야만

한다는 데에 많은 증인들이 계십니다.

                διὸ καὶ χθὲς ἐγὼ διανοούμενος, ὑμῶν δεομένων                b

τὰ περὶ τῆς πολιτείας διελθεῖν, προθύμως ἐχαριζόμην, εἰδὼς

ὅτι τὸν ἑξῆς λόγον οὐδένες ἂν ὑμῶν ἐθελόντων ἱκανώτερον

ἀποδοῖεν―εἰς γὰρ πόλεμον πρέποντα καταστήσαντες τὴν

πόλιν ἅπαντ᾿ αὐτῇ τὰ προσήκοντα ἀποδοῖτ᾿ ἂν μόνοι τῶν                     5

νῦν―εἰπὼν δὴ τἀπιταχθέντα ἀντεπέταξα ὑμῖν ἃ καὶ νῦν

λέγω. 

                                                 이런 까닭에 어제도 저는

내내 생각하기를, 그 정체에 관련한 일들을 상술하도록 여러분께서

요구하실 때, 열렬하게 호의를 보여드렸던 것입니다. 이어지는 논의는

여러분들께서 그러려 하신다면 그 누구도 여러분보다 더욱 충분하게

보답할 수 없으리란 것을 알고서 말이지요. 오늘날 사람들 중 오직

여러분들께서만이 그 폴리스를 어울리는 전쟁을 향해 세워놓고서 

그 폴리스에 적절한 모든 것들을 전부 돌려줄 수 있을 테니까요.

그래서 제가 부탁받은 바들을 말씀드리며 여러분들께 지금도 제가

말씀드리고 있는 바들을 도로 부탁드린 것입니다.

        συνωμολογήσατ᾿ οὖν κοινῇ σκεψάμενοι πρὸς ὑμᾶς

αὐτοὺς εἰς νῦν ἀνταποδώσειν μοι τὰ τῶν λόγων ξένια, πάρειμί              c

τε οὖν δὴ κεκοσμημένος ἐπ᾿ αὐτὰ καὶ πάντων ἑτοιμότατος ὢν

δέχεσθαι.

                                                                 그리하여

여러분들께서 여러분들 자신을 상대로 공동으로 검토하시고서 

지금 제게 말들로 된 손님대접을 보답해 주시기로 동의하셨고,

그러므로 저도 모든 이들 중에서도 받아들일 준비를 가장 잘

갖추기까지 한 자로서 바로 여기에 치장을 한 채로 참석하여

있답니다.


ΕΡ. Καὶ μὲν δή, καθάπερ εἶπεν Τίμαιος ὅδε, ὦ Σώκρατες,

οὔτε ἐλλείψομεν προθυμίας οὐδὲν οὔτε ἔστιν οὐδεμία πρό-                   5

φασις ἡμῖν τοῦ μὴ δρᾶν ταῦτα· ὥστε καὶ χθές, εὐθὺς ἐνθένδε

ἐπειδὴ παρὰ Κριτίαν πρὸς τὸν ξενῶνα οὗ καὶ καταλύομεν

ἀφικόμεθα, καὶ ἔτι πρότερο καθ᾿ ὁδὸν αὐτὰ ταῦτ᾿ ἐσκοποῦμεν.

ὅδε οὖν ἡμῖν λόγον εἰσηγήσατο ἐκ παλαιᾶς ἀκοῆς· ὃν καὶ                     d

νῦν λέγε, ὦ Κριτία, τῷδε, ἵνα συνδοκιμάσῃ πρὸς τὴν ἐπίταξιν

εἴτ᾿ ἐπιτήδειος εἴτε ἀνεπιτήδειός ἐστι.

더욱이, 여기 이 분 티마이오스께서도 말씀하신 대로, 소크라테스,

저희가 열의에서도 전혀 부족함이 없을 것이고 그런 일들을 해내지

않을 아무런 구실도 있지 않기도 합니다. 그래서 어제도, 여기

저희가 여장을 풀어놓기도 한 크리티아스의 집 객간에 도착하자마자,

훨씬도 더 전에도 바로 그 일들을 고찰하였답니다.

그리하여 여기 이 분께서 우리에게 오래전 들으신 바로부터의

말을 소개해 주셨던 것입니다. 지금 또 그것을 말씀해 주시죠,

크리티아스, 여기 이분께요. 이 분께서 요구에 비추어 부합하는지 

부합하지 않는지 검토에 동참하시도록 말입니다.


ΚΡ. Ταῦτα χρὴ δρᾶν, εἰ καὶ τῷ τρίτῳ κοινωνῷ Τιμαίῳ

συνδοκεῖ.                                                                                     5

그리 해야만 하는 일이네요, 세 번째 동참자이신 티마이오스께도

괜찮아 보인다면요.


ΤΙ. Δοκεῖ μήν.

물론 좋아 보입니다.


ΚΡ. Ἄκουε δή, ὦ Σώκρατες, λόγου μάλα μὲν ἀτόπου,

παντάπασί γε μὴν ἀληθοῦς, ὡς ὁ τῶν ἑπτὰ σοφώτατος

Σόλων ποτ᾿ ἔφη. ἦν μὲν οὖν οἰκεῖος καὶ σφόδρα φίλος ἡμῖν                  e

Δρωπίδου τοῦ προπάππου, καθάπερ λέγει πολλαχοῦ καὶ

αὐτὸς ἐν τῇ ποιήσει· πρὸς δὲ Κριτίαν τὸν ἡμέτερον πάππον

εἶπεν, ὡς ἀπεμνημόνευεν αὖ πρὸς ἡμᾶς ὁ γέρων, ὅτι μεγάλα

καὶ θαυμαστὰ τῆσδ᾿ εἴη παλαιὰ ἔργα τῆς πόλεως ὑπὸ χρόνου                 5

καὶ φθορᾶς ἀνθρώπων ἠφανισμένα, πάντων δὲ ἓν μέγιστον,

οὗ νῦν ἐπιμνησθεῖσιν πρέπον ἂν ἡμῖν εἴη σοί τε ἀποδοῦναι               21a1

χάριν καὶ τὴν θεὸν ἅμα ἐν τῇ πανηγύρει δικαίως τε καὶ

ἀληθῶς οἷόνπερ ὑμνοῦντας ἐγκωμιάζειν.

그럼, 소크라테스, 꽤나 이상한 말이긴 하나, 정말이지 적어도, 

가장 지혜로운 7인 중 솔론께서 언젠가 주장하신대로, 전적으로 

참되기는 한 말을 들어보시죠. 그 분께서는 저희 증조부이신 

드로피데스의 식구이시며 지극한 친우셨습니다. 그 분 자신께서도

자주 시에서 말씀하시는 그대로 말입니다. 그런데 제 조부 되시는

크리티아스를 상대로 그 분께서 이야기하셨답니다, 또 노년의

크리티아스께서 저희를 상대로 기억을 떠올리시던 것처럼,

여기 이 폴리스의 위대하고도 놀라운 오래된 업적들, 시간과

또한 인간들의 파멸에 의해 상실된 업적들이 있었다는 것,

그 모든 업적들 중 가장 위대한 한 가지 일이, 지금 그에 대해

기억해 보려는 저희와 또한 당신께도 이 대제전의 와중에

바로 그 여신께 감사로 보답드리고 또한 의롭고도 참되게 

이를 테면 그야 말로 찬송하여 예찬해 드리는 일이 적절한

것일, 그런 업적들이 있었다는 것을요.                                      //201104

- 이상한 이유는? 전적으로 참이라는 주장의 근거는?

전달의 거리가 멀어지는 이러한 도입부는 고대 아테네 이야기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장치로 보인다. 


ΣΩ. Εὖ λέγεις. ἀλλὰ δὴ ποῖον ἔργον τοῦτο Κριτίας οὐ

λεγόμενον μέν, ὡς δὲ πραχθὲν ὄντως ὑπὸ τῆσδε τῆς πόλεως                   5

ἀρχαῖον διηγεῖτο κατὰ τὴν Σόλωνος ἀκοήν;

훌륭한 말씀이십니다. 허나 그럼 말해지는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 여기 이 폴리스에 의해 행해졌던 것으로서 고대의 

일이라 크리티아스께서 솔론에게서 들은 바에 따라 이것을 

어떤 업적이라고 상술해주셨습니까?


ΚΡ. Ἐγὼ φράσω, παλαιὸν ἀκηκοὼς λόγον οὐ νέου ἀν-

δρός. ἦν μὲν γὰρ δὴ τότε Κριτίας, ὡς ἔφη, σχεδὸν ἐγγὺς

ἤδη τῶν ἐνενήκοντα ἐτῶν, ἐγὼ δέ πῃ μάλιστα δεκέτης· ἡ                       b

δὲ Κουρεῶτις ἡμῖν οὖσα ἐτύγχανεν Ἀπατουρίων. τὸ δὴ τῆς

ἑορτῆς σύνηθες ἑκάστοτε καὶ τότε συνέβη τοῖς παισίν· ἆθλα

γὰρ ἡμῖν οἱ πατέρες ἔθεσαν ῥαψῳδίας. 

제가 알려드리겠습니다, 어리지 않은 사람에게서 들은 오래된

말씀을요. 크리티아스께서는, 그 분 말씀으로는, 당시에

이미 거진 90세 가까운 연세이셨는데, 저는 아무리 많이 잡아도

열살 남짓하였으니까요. 마침 우리는 아파투리아제(-祭)의

쿠레오티스일(-日)에 있었답니다. 그래서 매번 있던 축제의

관례가 그 때에도 아이들을 위해 열렸습니다. 즉 아버지들께서

저희를 위해 서사시 암송 경연을 개최하셨던 것이죠.

                                                   πολλῶν μὲν οὖν

δὴ καὶ πολλὰ ἐλέχθη ποιητῶν ποιήματα, ἅτε δὲ νέα κατ᾿                        5

ἐκεῖνον τὸν χρόνον ὄντα τὰ Σόλωνος πολλοὶ τῶν παίδων

ᾔσαμεν. εἶπεν οὖν τις τῶν φρατέρων, εἴτε δὴ δοκοῦν αὐτῷ

τότε εἴτε καὶ χάριν τινὰ τῷ Κριτίᾳ φέρων, δοκεῖν οἱ τά τε

ἄλλα σοφώτατον γεγονέναι Σόλωνα καὶ κατὰ τὴν ποίησιν                     c

αὖ τῶν ποιητῶν πάντων ἐλευθεριώτατον. 

                                                                     그리하여

많은 시인들의 여러 작품들이 말해졌습니다만, 저 시절에는

솔론의 작품들이 새로운 것들이었기에 아이들이었던 우리들 중

여럿이 그 분의 작품들을 노래하였습니다. 그리하여 부족분들 중

어느 분께선가 말씀하시기로, 당시에 정말로 그 분 자신께

그리 여겨진 것이든 크리티아스께 무슨 호의라도 전하시려던

것이든, 여타의 일들에서도 그 분께는 솔론이 가장 지혜로우신

분으로 되신다고 여겨지지만 이번엔 시에 대해서도 모든 시인들

중에서 가장 자유인다우신 분이 되시는 것으로 여겨진다고

하셨습니다.

                                                       ὁ δὴ γέρων―

σφόδρα γὰρ οὖν μέμνημαι―μάλα τε ἥσθη καὶ διαμειδιάσας

εἶπεν· "Εἴ γε, ὦ Ἀμύνανδρε, μὴ παρέργῳ τῇ ποιήσει κατε-

χρήσατο, ἀλλ᾿ ἐσπουδάκει καθάπερ ἄλλοι, τόν τε λόγον ὃν                       5

ἀπ᾿ Αἰγύπτου δεῦρο ἠνέγκατο ἀπετέλεσεν, καὶ μὴ διὰ τὰς

στάσεις ὑπὸ κακῶν τε ἄλλων ὅσα ηὗρεν ἐνθάδε ἥκων ἠναγ-

κάσθη καταμελῆσαι, κατά γε ἐμὴν δόξαν οὔτε Ἡσίοδος οὔτε                  d

Ὅμηρος οὔτε ἄλλος οὐδεὶς ποιητὴς εὐδοκιμώτερος ἐγένετο

ἄν ποτε αὐτοῦ." 

                 그래서 어르신께서는―그야 제가 무척이나 잘

기억하고 있어서 드리는 말씀입니다만―아주 즐거워하기도 하셨고

또 미소를 지으시고서는 말씀하셨습니다. "적어도 만일, 

아뮈난드로스, 그 분께서 시짓기를 부차적인 일로 삼지 않으시고,

여느 사람들처럼 진지하게 임하셨었더라면, 그리고 그 분께서

이집트로부터 여기로 가져오신 그 말을 끝마치셨더라면, 또한

내분들로 인해 그리고 그 외에 이곳에 오셔서 발견하셨던 악들에 

의해 소홀해지시도록 강제받지 않으셨더라면, 적어도 제 믿음에

따르자면 헤시오도스께서도 호메로스께서도 그 밖의 어느 시인도

도대체 그 분보다 더 명성을 드높히시게 되지 못하셨을 것입니다."


- 기존 시인의 시는 신들림, 영감의 결과물로 간주.

  솔론의 경우, 일반적으로 시인으로 간주되진 않았다.

  오히려 그의 지혜, 정치 참여 등이 강조되었고, 그럼에도 그가

모든 시인들 중 솔론이 가장 훌륭한 시인일 수 있다고 주장된다. 

> 『국가』에서 요청되는 시인이란 결국 철학자일 것으로 보이듯,

여기에서도 솔론이 철학자인 한에서 시인의 올바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지도.

> 믿음이나 판단 혹은 이야기 차원에서 그 사용자의 자격요건이 제시되고 있는 것은 아닐까?

> 가장 자유민답다는 앞서의 언급과 연결해서 보자면, 호메로스조차

영감에 의존하여 신들린 시를 지을 뿐 자신의 이야기를 이해하지도 못한다는

플라톤의 비판과 연결시킬 수도 있을지도. by Kang.

                      "Τίς δ᾿ ἦν ὁ λόγος," ἦ δ᾿ ὅς, "ὦ Κριτία;"

"Ἦ περὶ μεγίστης," ἔφη, "καὶ ὀνομαστοτάτης πασῶν δι-

καιότατ᾿ ἂν πράξεως οὔσης, ἢν ἥδε ἡ πόλις ἔπραξε μέν, διὰ                      5

δὲ χρόνον καὶ φθορὰν τῶν ἐργασαμένων οὐ διήρκεσε δεῦρο

ὁ λόγος." "Λέγε ἐξ ἀρχῆς," ἦ δ᾿ ὅς, "τί τε καὶ πῶς καὶ

παρὰ τίνων ὡς ἀληθῆ διακηκοὼς ἔλεγεν ὁ Σόλων."

그러자 그 분께서 말씀하셨습니다. "그런데 그 분의 말씀이 

무엇이었습니까, 크리티아스?" 조부께서는 말씀하셨죠.

"모든 위업들 중에서 가장 위대하고도 이름할 만하기에 가장

합당하였던, 여기 이 폴리스가 해냈던 일이었으나, 시간과 또한

이루어진 일들의 소멸로 인해 그 말이 여기로 이어지진 못한

그런 위업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그 분께서 말씀하셨지요.

"처음부터 말씀해 주시죠, 솔론께서 어떤 이들에게서 무엇을

어떻게 들으시고는 진실이라 말씀하셨던 것인지 말입니다."



"Ἔστιν τις κατ᾿ Αἴγυπτον," ἦ δ᾿ ὅς, "ἐν τῷ Δέλτα, περὶ                            e

ὃν κατὰ κορυφὴν σχίζεται τὸ τοῦ Νείλου ῥεῦμα Σαϊτικὸς

ἐπικαλούμενος νομός, τούτου δὲ τοῦ νομοῦ μεγίστη πόλις

Σάις―ὅθεν δὴ καὶ Ἄμασις ἦν ὁ βασιλεύς―οἷς τῆς πόλεως

θεὸς ἀρχηγός τίς ἐστιν, Αἰγυπτιστὶ μὲν τοὔνομα Νηίθ, Ἑλ-                        5

ληνιστὶ δέ, ὡς ὁ ἐκείνων λόγος, Ἀθηνᾶ· μάλα δὲ φιλαθή-

ναιοι καί τινα τρόπον οἰκεῖοι τῶνδ᾿ εἶναί φασιν. 

조부께서 말씀하셨습니다. "이집트를 따라, 그곳 삼각주에,

네일로스 강의 줄기가 꼭대기를 따라 그 주변으로 갈라지는 

그 삼각주에 사이티코스라 불리는 어떤 지역이 있는데,

이 지역의 가장 거대한 폴리스는 사이스이고―더욱이 그곳

출신으로 아마시스 왕도 있었지요.―그 폴리스의 시조로 

어떤 신께서 계셨으니, 이집트어로는 그 존함이 네이트이시고, 

헬라스어로는, 저들의 말로는, 아테나이십니다. 그런데 그들이

특히나 아테네를 애호하는 자들이자 어떤 식으로는 이곳

사람들의 친족들로 있다고도 주장하지요.

                                                                οἷ δὴ

Σόλων ἔφη πορευθεὶς σφόδρα τε γενέσθαι παρ᾿ αὐτοῖς ἔντι-

μος, καὶ δὴ καὶ τὰ παλαιὰ ἀνερωτῶν ποτε τοὺς μάλιστα περὶ               22a1

ταῦτα τῶν ἱερέων ἐμπείρους, σχεδὸν οὔτε αὑτὸν οὔτε ἄλλον

Ἕλληνα οὐδένα οὐδὲν ὡς ἔπος εἰπεῖν εἰδότα περὶ τῶν τοιού-

των ἀνευρεῖν. 

                                                      그래서 솔론께서는

그곳에 가시어 그들에게서 지극하게도 존경받는 이가 되셨다고,

더 나아가 오래전의 일들을 신관들 중 이 일들에 관련하여 가장 

경험이 많은 자들에게 질문해 보시고는, 자신도 다른 헬라스인

그 누구도 이러한 일들에 관련하여 말 그대로 아무것도 거의

알지 못하다시피 했다는 것을 깨달으셨다고 말씀하셨습니다.

                   καί ποτε προαγαγεῖν βουληθεὶς αὐτοὺς περὶ

τῶν ἀρχαίων εἰς λόγους, τῶν τῇδε τὰ ἀρχαιότατα λέγειν                          5

ἐπιχειρεῖν, περὶ Φορωνέως τε τοῦ πρώτου λεχθέντος καὶ

Νιόβης, καὶ μετὰ τὸν κατακλυσμὸν αὖ περὶ Δευκαλίωνος

καὶ Πύρρας ὡς διεγένοντο μυθολογεῖν, καὶ τοὺς ἐξ αὐτῶν                       b

γενεαλογεῖν, καὶ τὰ τῶν ἐτῶν ὅσα ἦν οἷς ἔλεγεν πειρᾶσθαι

διαμνημονεύων τοὺς χρόνους ἀριθμεῖν· καί τινα εἰπεῖν τῶν

ἱερέων εὖ μάλα παλαιόν· 

또 한 번은 그들을 고대의 일들과 관련한 말들 쪽으로 이끌어

가시고자 바라시면서, 여기 이 폴리스에 있었던 일들 중 가장

고대의 일들을 말씀하시고자 시도하셨다고, 최초의 인간이라

말해졌던 포로네우스와 니오베에 관련하여서, 그리고 다시

저 홍수 이후로 데우칼리온과 퓌라에 관련하여 그들이 어떻게

살아남았었는지 이야기를 들려주고자 시도하셨으며, 그들로부터

유래한 자들의 계보를 논하려고도 하시었고, 그 분께서 말씀하시던 

일들에 햇수로 몇 년 만큼이 있었는지도 차근차근 기억을 짚어가며

그 시간들을 헤아리고자 시도하였다고 말씀하셨지요. 그러자 

신관들 중 아주 많이 연로한 누군가가 이야기했다고 하셨습니다.


                                 'Ὦ Σόλων, Σόλων, Ἕλληνες ἀεὶ

παῖδές ἐστε, γέρων δὲ Ἕλλην οὐκ ἔστιν.' 

'솔론, 솔론, 그대들 헬라스인들은 영영 아이들로 있으나,

노숙한 헬라스인은 있지를 않습니다.'

                                                       Ἀκούσας οὖν,                           5

'Πῶς τί τοῦτο λέγεις;' φάναι. 

                                          그리하여 솔론께서 들으시고는

'어찌하여 무엇 때문에 이런 말씀을 하십니까?'라고 말씀하셨다고

합니다.

                                     'Νέοι ἐστέ,' εἰπεῖν, 'τὰς

ψυχὰς πάντες· οὐδεμίαν γὰρ ἐν αὐταῖς ἔχετε δι᾿ ἀρχαίαν

ἀκοὴν παλαιὰν δόξαν οὐδὲ μάθημα χρόνῳ πολιὸν οὐδὲν. τὸ

δὲ τούτων αἴτιον τόδε. πολλαὶ κατὰ πολλὰ φθοραὶ γεγό-                       c

νασιν ἀνθρώπων καὶ ἔσονται, πυρὶ μὲν καὶ ὕδατι μέγισται,

μυρίοις δὲ ἄλλους ἕτεραι βραχύτεραι. 

         그는 이야기했답니다. '여러분들은 어린 자들로 있습니다,

그대들의 영혼에서 당신들 모두가 말이지요. 그대들이 영혼 

속에 고대로부터 전해들은 바로 인한 오래된 믿음이라곤 

하나도 지니고 있지 않거니와 시간으로 희어진 배움조차 

아무것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 일들의 원인은 이런

것입니다. 여러 방식으로 인간들의 많은 파멸들이 발생해 왔고

또한 있게될 것입니다. 불과 물에 의해서는 가장 거대한 파멸들이, 

그 밖에 다른 무수히 많은 것들에 의해서는 보다 짧은 기간의 

파멸들이 말입니다.

                                                  τὸ γὰρ οὖν καὶ παρ᾿

ὑμῖν λεγόμενον, ὥς ποτε Φαέθων Ἡλίου παῖς τὸ τοῦ πατρὸς

ἅρμα ζεύξας διὰ τὸ μὴ δυνατὸς εἶναι κατὰ τὴν τοῦ πατρὸς                       5

ὁδὸν ἐλαύνειν τά τ᾿ ἐπὶ γῆς συνέκαυσεν καὶ αὐτὸς κεραυ-

νωθεὶς διεφθάρη, τοῦτο μύθου μὲν σχῆμα ἔχον λέγεται, τὸ δὲ

ἀληθές ἐστι τῶν περὶ γῆν κατ᾿ οὐρανὸν ἰόντων παράλλαξις                    d

καὶ διὰ μακρῶν χρόνων γιγνομένη τῶν ἐπὶ γῆς πυρὶ πολλῷ

φθορά. 

                          그리하여 여러분들 편에서도 말해지는 일로, 

언젠가 헬리오스의 아들 파에톤이 아버지의 전차에 마구를 걸고서 

아버지의 길을 따라 전차를 몰 능력이 있지 못하였던 것으로 인해 

대지 위의 것들을 불태워버리고 그 자신도 벼락에 맞아 파멸해 

버렸다고 하는, 이런 일이 신화의 형태를 취해 말해지는데, 그

진실은 대지 주위로 천구를 따라 운행하는 것들의 이탈과

대지 위의 것들에 대해 긴 시간에 걸쳐 이루어진 거대한 불에 

의한 파멸들이란 말씀입니다.

          τότε οὖν ὅσοι κατ᾿ ὄρη καὶ ἐν ὑψηλοῖς τόποις καὶ

ἐν ξηροῖς οἰκοῦσιν μᾶλλον διόλλυνται τῶν ποταμοῖς καὶ θα-

λάττῃ προσοικούντων· ἡμῖν δὲ ὁ Νεῖλος εἴς τε τἆλλα σωτὴρ                     5

καὶ τότε ἐκ ταύτης τῆς ἀπορίας σῴζει λυόμενος. 

                                       그리하여 그 때에는 산들을 따라 

높은 곳 그리고 건조한 곳에 거주하는 자들이 강들과 바다 

가까이에 사는 자들보다 훨씬 더 철저하게 파괴당하지요. 

그런데 저희에게 네일로스 강은 그 외의 경우들에도 구원이지만 

그 때에도 풀려남으로써 이러한 난관으로부터 구원해 준답니다.

                                                               ὅταν δ᾿

αὖ θεοὶ τὴν γῆν ὕδασιν καθαίροντες κατακλύζωσιν, οἱ μὲν

ἐν τοῖς ὄρεσιν διασῴζονται βουκόλοι νομῆς τε, οἱ δ᾿ ἐν ταῖς

παρ᾿ ὑμῖν πόλεσιν εἰς τὴν θάλατταν ὑπὸ τῶν ποταμῶν φέ-                     e

ρονται· κατὰ δὲ τήνδε χώραν οὔτε τότε οὔτε ἄλλοτε ἄνωθεν

ἐπὶ τὰς ἀρούρας ὕδωρ ἐπιρρεῖ, τὸ δ᾿ ἐναντίον κάτωθεν πᾶν

ἐπανιέναι πέφυκεν. 

그런데 다시 신들께서 대지를 물로써 정화하시며 일소하실

때에는, 산 속의 소몰이들과 양치기들은 구원받지만, 그대들 편

바닷가 폴리스들 안의 사람들은 강들에 의해 쓸려갑니다.

그런데 여기 이 자리에는 그 때에도 다른 때에도 논밭을 두고

그 위로 물이 범람하지 않고, 반대로 모든 물이 아래로 되돌아

가게끔 본성지어져 있습니다.

                          ὅθεν καὶ δι᾿ ἃς αἰτίας τἀνθάδε σῳζό-

μενα λέγεται παλαιότατα· τὸ δὲ ἀληθές, ἐν πᾶσιν τοῖς                             5

τόποις ὅπου μὴ χειμὼν ἐξαίσιος ἢ καῦμα ἀπείργει, πλέον,

τοτὲ δὲ ἔλαττον ἀεὶ γένος ἐστὶν ἀνθρώπων. 

                                      그로부터 그리고 그러한

원인들로 인하여 이곳에서 구원받은(살아남은) 것들이 

가장 오래된 것들이라 말해집니다. 그런데 사실은, 과도한

혹한이나 혹서가 금하지 않은 모든 곳에, 많은, 또 때로는 

적은 인간의 부류가 언제나 있습니다.

                                                          ὅσα δὲ ἢ παρ᾿                 23a1

ὑμῖν ἢ τῇδε ἢ καὶ κατ᾿ ἄλλον τόπον ὧν ἀκοῇ ἴσμεν, εἴ πού

τι καλὸν ἢ μέγα γέγονεν ἢ καί τινα διαφορὰν ἄλλην ἔχον,

πάντα γεγραμμένα ἐκ παλαιοῦ τῇδ᾿ ἐστὶν ἐν τοῖς ἱεροῖς καὶ

σεσωσμένα· τὰ δὲ παρ᾿ ὑμῖν καὶ τοῖς ἄλλοις ἄρτι κατε-                           5

σκευασμένα ἑκάστοτε τυγχάνει γράμμασι καὶ ἅπασιν ὁπόσων

πόλεις δέονται, καὶ πάλιν δι᾿ εἰωθότων ἐτῶν ὥσπερ νόσημα

ἥκει φερόμενον αὐτοῖς ῥεῦμα οὐράνιον καὶ τοὺς ἀγραμμάτους

τε καὶ ἀμούσους ἔλιπεν ὑμῶν, ὥστε πάλιν ἐξ ἀρχῆς οἷον                         b

νέοι γίγνεσθε, οὐδὲν εἰδότες οὔτε τῶν τῇδε οὔτε τῶν παρ᾿

ὑμῖν, ὅσα ἦν ἐν τοῖς παλαιοῖς χρόνοις. 

                                                               그런데

여러분들 편에서나 여기 이곳에서나 또는 그 밖에 곳에서나, 

만일 어딘가에서 무언가 아름답거나 대단한 일 또는 그 외에 

어떤 특별한 일이 일어났다면, 우리가 들어 알고 있는 모든

것들이 오래전부터 여기 이곳의 성소들에 기록되고 또한 

보존되어 있지요. 한데 그대들과 또 그 외의 사람들 편의 일들을 

보자면 문자와 또한 폴리스가 필요로 하는 그 모든 것이 마침 

갖추어진 때마다 금새, 또 다시 일정한 햇수를 지나 마치 질병처럼 

그것들에 천상의 격류가 쏟아져 내려왔고 그대들 중 문맹이자

시가를 모르는 자들을 남겼고, 그래서 다시 처음부터 그대들은

이를 테면 어린 자들이 되었으니, 여기에서의 일들이든 당신들

편에서의 일들이든 오래된 옛 시대에 있던 일들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알지 못하는 것입니다.


> 『파이드로스』 이집트 신의 문자 부여로부터 문자비판에 이르는 맥락 고려하면,

여기에서 문자가 마치 진리의 보증자처럼 (크리티아스의 편에서) 취급되는 것이 흥미롭다.

다른 한편 시인은 신들린 자로서 신에 의해 발언의 권위를 보장받는다.

다른 시인들의 보고보다 이집트 문자 기록이 더욱 참에 가깝게 취급된다는 것이 이 점에서도 흥미롭다. by Kang.

> 여기에서 질병 같은 수해나 화재에 의한 결과가 무지와 문맹.

   영혼의 질병이 무지와 연결되는 맥락이 떠오르기도. by Kang.


                                                  τὰ γοῦν νυνδὴ

γενεαλογηθέντα, ὦ Σόλων, περὶ τῶν παρ᾿ ὑμῖν ἃ διῆλθες,

παίδων βραχύ τι διαφέρει μύθων, οἳ πρῶτον μὲν ἕνα γῆς                        5

κατακλυσμὸν μέμνησθε πολλῶν ἔμπροσθεν γεγονότων, ἔτι

δὲ τὸ κάλλιστον καὶ ἄριστον γένος ἐπ᾿ ἀνθρώπους ἐν τῇ

χώρᾳ παρ᾿ ὑμῖν οὐκ ἴστε γεγονός, ἐξ ὧν σύ τε καὶ πᾶσα ἡ

πόλις ἔστιν τὰ νῦν ὑμῶν, περιλειφθέντος ποτὲ σπέρματος                       c

βραχέος, ἀλλ᾿ ὑμᾶς λέληθεν διὰ τὸ τοὺς περιγενομένους ἐπὶ

πολλὰς γενεὰς γράμμασιν τελευτᾶν ἀφώνους.

           그러니, 솔론, 적어도 방금 계보가 읊어진 것들로

그대들 편에서의 일들에 관련하여 상술된 그것들은, 아이들의

이야기와 별로 차이가 없습니다. 첫째로 그대들은 앞서 많은 홍수가 

일어났음에도 대지의 한 차례 홍수를 기억하며, 다음으로 

그대들은 인간을 두고 그대들 편의 그 자리에서 가장 아름답고도

가장 훌륭한 부류가 생겨났음을 알지 못합니다. 한 때 잠시 씨앗이 

살아남았기에 그들로부터 그대 자신과 또한 폴리스가 유래하여 

오늘날 그대들의 것들로 있는 것이나, 살아남은 자들이 여러

세대를 거치는 동안 문자로써 말할 줄 모르는 자들로 죽은

것으로 인해 그대들에게 알려지지 않았지요.

                                                           ἦν γὰρ δή

ποτε, ὦ Σόλων, ὑπὲρ τὴν μεγίστην φθορὰν ὕδασιν ἡ νῦν

Ἀθηναίων οὖσα πόλις ἀρίστη πρός τε τὸν πόλεμον καὶ                            5

κατὰ πάντα εὐνομωτάτη διαφερόντως· ᾗ κάλλιστα ἔργα καὶ

πολιτεῖαι γενέσθαι λέγονται κάλλισται πασῶν ὁπόσων ὑπὸ

τὸν οὐρανὸν ἡμεῖς ἀκοὴν παρεδεξάμεθα.' 

그래서, 솔론, 물에 의한 가장 거대한 파멸 너머 오늘날

아테네인들의 폴리스로 있는 전쟁쪽으로도 가장 훌륭하고

모든 일들에 대해 법이 특출나게 가장 잘 갖추어져 있기도 한

폴리스가 일찍이 있었던 것입니다. 이 폴리스에 가장 아름다운

위업들이 생겼으며 우리가 전해 들은 하늘 아래 모든 정체들 중 

가장 아름다운 정체들이 생겼다고 사람들은 말합니다.'

                                                       Ἀκούσας οὖν ὁ                       d

Σόλων ἔφη θαυμάσαι καὶ πᾶσαν προθυμίαν σχεῖν δεόμενος

τῶν ἱερέων πάντα δι᾿ ἀκριβείας οἱ τὰ περὶ τῶν πάλαι πολι-

τῶν ἑξῆς διελθεῖν. 

그리하여 솔론께서 들으시고는 놀라시고 그 신관들에게 그

오래전의 시민들과 관련된 그 모든 일들을 그 분께 차례대로

상술해 달라 청하시려는 전면적인 열망을 품게 되기도

하셨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τὸν οὖν ἱερέα φάναι· 'Φθόνος οὐδείς,

ὦ Σόλων, ἀλλὰ σοῦ τε ἕνεκα ἐρῶ καὶ τῆς πόλεως ὑμῶν,                            5

μάλιστα δὲ τῆς θεοῦ χάριν, ἣ τήν τε ὑμετέραν καὶ τήνδε

ἔλαχεν καὶ ἔθρεψεν καὶ ἐπαίδευσεν, προτέραν μὲν τὴν παρ᾿

ὑμῖν ἕτεσιν χιλίοις, ἐκ Γῆς τε καὶ Ἡφαίστου τὸ σπέρμα                          e

παραλαβοῦσα ὑμῶν, τήνδε δὲ ὑστέραν. 

                                     그러자 그 신관이 말했답니다.

'누구도 인색하지 않습니다, 솔론. 오히려 당신을 위해서도

그대들의 폴리스를 위해서도 제가 말씀드릴 것이고, 특히

그 여신께의 감사로 그리할 것입니다. 그 여신께서는 그대들의

폴리스와 여기 이 폴리스 모두를 맡아주셨고 양육해주셨으며

교육하여주셨으니, 그대들 편의 폴리스를 천 년 앞서 그리해

주시기를, 가이아(대지)와 헤파이스토스로부터 그대들의 씨앗을

넘겨받아 그리하시었으며, 이 폴리스를 그 이후의 것으로

삼으시었습니다. 

> 흙과 불. 앞서 대화재의 신화적 설명을 유성의 이탈을 통한 설명으로 대체하듯,

거꾸로 여기에서 가이아와 헤파이스토스로부터 씨앗을 받는다는 건국신화는

우주의 가시적인 최초의 원소 둘이 불과 흙이라는 설명으로 대체되는 것인가?

                                                    τῆς δὲ ἐνθάδε δια-

κοσμήσεως παρ᾿ ἡμῖν ἐν τοῖς ἱεροῖς γράμμασιν ὀκτακισχιλίων

ἐτῶν ἀριθμὸς γέγραπται. περὶ δὴ τῶν ἐνακισχίλια γεγονό-

των ἔτη πολιτῶν σοι δηλώσω διὰ βραχέων νόμους, καὶ τῶν                    5

ἔργων αὐτοῖς ὃ κάλλιστον ἐπράχθη· τὸ δ᾿ ἀκριβὲς περὶ

πάντων ἐφεξῆς εἰς αὖθις κατὰ σχολὴν αὐτὰ τὰ γράμματα                   24a1

λαβόντες διέξιμεν.                                                                              //201111

                     한데 우리 편의 성소에 문자들로 여기 폴리스가

정돈된 것의 햇수로 8천 년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9천 년

동안 태어났던 시민들에 관련하여 나는 그대에게 간략하게 그들의

법률을, 그리고 그들이 실천한 위업들 중에서도 가장 아름다운

위업을 알려드릴 것입니다. 그런데 모든 것에 관한 정확한 바는

다시 여가가 있을 때 바로 그 기록들을 가지고 차례차례 상세히

살펴보기로 하시지요.

                        τοὺς μὲν οὖν νόμους σκόπει πρὸς τοὺς

τῇδε· πολλὰ γὰρ παραδείγματα τῶν τότε παρ᾿ ὑμῖν ὄντων

ἐνθάδε νῦν ἀνευρήσεις, πρῶτον μὲν τὸ τῶν ἱερέων γένος ἀπὸ

τῶν ἄλλων χωρὶς ἀφωρισμένον, μετὰ δὲ τοῦτο τὸ τῶν δη-                      5

μιουργῶν, ὅτι καθ᾿ αὑτὸ ἕκαστον ἄλλῳ δὲ οὐκ ἐπιμειγνύμενον

δημιουργεῖ, τό τε τῶν νομέων καὶ τὸ τῶν θηρευτῶν τό τε

τῶν γεωργῶν. 

                            그러면 그들의 법률은 이곳의 법률과

비교하여 당신께서 살펴보십시오. 당시에 그대들 편에 있던

것들[법률]의 많은 본들을 그대가 오늘날 여기에서 발견하실 것이기

때문입니다. 가장 먼저 신관들의 부류가 그 외의 부류들로부터

독립적으로 규정되어 있음을, 이 다음으로는 장인들의 부류를,

그 각각이 그 자체로 여타의 장인과는 뒤섞이지 않는다는 것을,

또한 양치기들의 부류와 사냥꾼들의 부류 그리고 농부들의 부류를

발견하실 것입니다.

                   καὶ δὴ καὶ τὸ μάχιμον γένος ᾔσθησαί που                       b

τῇδε ἀπὸ πάντων τῶν γενῶν κεχωρισμένον, οἷς οὐδὲν ἄλλο

πλὴν τὰ περὶ τὸν πόλεμον ὑπὸ τοῦ νόμου προσετάχθη μέλειν·

ἔτι δὲ ἡ τῆς ὁπλίσεως αὐτῶν σχέσις ἀσπίδων καὶ δοράτων,

οἷς ἡμεῖς πρῶτοι τῶν περὶ τὴν Ἀσίαν ὡπλίσμεθα, τῆς θεοῦ                       5

καθάπερ ἐν ἐκείνοις τοῖς τόποις παρ᾿ ὑμῖν πρώτοις ἐνδειξα-

μένης. 

                         더 나아가 전쟁을 수행하는 부류가 이곳에서 

모든 부류들로부터 독립되어 있음을 당신은 아마도 알아차리셨을 

겁니다. 그들에게는 전쟁에 관한 일들 외에는 다른 아무것도

신경쓰도록 법에 의해 명령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또한 그들의 

무장상태는 방패와 창으로 되어 있었으며, 저희들이 아시아 근방의

사람들 중 처음으로 그렇게 무장하였던 것으로, 저 여신께서

그대들 편의 저 첫 번째 장소들에서처럼 그렇게 보여주셨기 

때문입니다.

         τὸ δ᾿ αὖ περὶ τῆς φρονήσεως, ὁρᾷς που τὸν νόμον

τῇδε ὅσην ἐπιμέλειαν ἐποιήσατο εὐθὺς κατ᾿ ἀρχὰς περί τε

τὸν κόσμον, ἅπαντα μέχρι μαντικῆς καὶ ἰατρικῆς πρὸς                           c

ὑγίειαν ἐκ τούτων θείων ὄντων εἰς τὰ ἀνθρώπινα ἀνευρών,

ὅσα τε ἄλλα τούτοις ἕπεται μαθήματα πάντα κτησάμενος.

               그런데 다시 지혜와 관련한 일로 보자면, 당신은 

아마 그 법을 두고 그것이 시초부터 곧장 질서에 관련하여 

얼만큼 심혈을 기울여 만들어졌는지 보게 되실 것입니다. 

그 법이 신적인 것들로 있는 이러한 것들로부터 예언과 또한 

건강을 위한 의술에 이르기까지 인간적인 일들을 위한 통틀어 

그 모든 것들을 발견하는 것을, 이것들에 따르는 그 외의 모든 

교육들을 획득하여 그리한다는 것을 보실 겁니다.

> 우주 질서가 우주의 진행과 그 안의 질서에서 어긋난 무질서(질병)를

설명해주는 시초, 기원이다? by Kang.

ταύτην οὖν δὴ τότε σύμπασαν τὴν διακόσμησιν καὶ σύνταξιν

ἡ θεὸς προτέρους ὑμᾶς διακοσμήσασα κατῴκισεν, ἐκλεξαμένη                  5

τὸν τόπον ἐν ᾧ γεγένησθε, τὴν ἐυκρασίαν τῶν ὡρῶν ἐν αὐτῷ

κατιδοῦσα, ὅτι φρονιμωτάτους ἄνδρας οἴσοι· ἅτε οὖν φιλο-

πόλεμός τε καὶ φιλόσοφος ἡ θεὸς οὖσα τὸν προσφερεστάτους                d

αὐτῇ μέλλοντα οἴσειν τόπον ἄνδρας, τοῦτον ἐκλεξαμένη

πρῶτον κατῴκισεν. 

                                                                그리하여 그 때 

이러한 질서와 체계를 모두 함께 그 여신께서 더 먼저 그대들에게 

질서잡아 정착시켜 주셨습니다. 그대들이 태어난 그곳을 선택하시어, 

그곳에 계절의 온화함을 부여해주시어서 말입니다. 가장 지혜로운 

자들이 태어나리라 생각하셨기 때문이지요. 그러므로 그 여신께서 

전쟁을 사랑하시고 또한 지혜를 사랑하시는 분이셨기에 그곳이 장차 

그 분과 가장 유사한 자들을 데려오도록, 그곳을 택하시어 처음 

정착시키셨지요.

                          ᾠκεῖτε δὴ οὖν νόμοις τε τοιούτοις χρώ-

μενοι καὶ ἔτι μᾶλλον εὐνομούμενοι πάσῃ τε παρὰ πάντας

ἀνθρώπους ὑπερβεβληκότες ἀρετῇ, καθάπερ εἰκὸς γεννήματα                   5

καὶ παιδεύματα θεῶν ὄντας. 

                      그리하여 이러한 법률을 사용하여 법이 훨씬 더 

잘 갖추어진 자들로서 또한 모든 인간들에 비해서도 모든 덕에서 

탁월한 자들로서 거주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마치 신들의 출생과 

교육이 그런 것들로 있었을 듯한 것처럼 말입니다.

                                      πολλὰ μὲν οὖν ὑμῶν καὶ μεγάλα

ἔργα τῆς πόλεως τῇδε γεγραμμένα θαυμάζεται, πάντων μὴν

ἓν ὑπερέχει μεγέθει καὶ ἀρετῇ· λέγει γὰρ τὰ γεγραμμένα                        e

ὅσην ἡ πόλις ὑμῶν ἔπαυσέν ποτε δύναμιν ὕβρει πορευο-

μένην ἅμα ἐπὶ πᾶσαν Εὐρώπην καὶ Ἀσίαν, ἔξωθεν ὁρμη-

θεῖσαν ἐκ τοῦ Ἀτλαντικοῦ πελάγους. 

                                                                그리하여 그대들의

폴리스의 많고도 위대한 업적들이 여기 이 폴리스에 기록되어

감탄을 자아내는 바, 물론 그 모든 일들 중에서도 한 가지 것이

그 규모와 덕에서 압도적입니다. 왜냐하면 그 기록들은 그대들의

폴리스가 한 때 멈춰세웠던 에우로페와 아시아 전역을 동시에 

뒤덮으며 오만하게 진격해 온 세력이 얼마나 한 것이었는지

말해주기 때문입니다. 저 바깥 아틀란티스해(-海)로부터

일어난 그 세력이 말입니다.

                                                 τότε γὰρ πορεύσιμον

ἦν τὸ ἐκεῖ πέλαγος· νῆσον γὰρ πρὸ τοῦ στόματος εἶχεν ὃ                        5

καλεῖτε, ὥς φατε, ὑμεῖς Ἡρακλέους στήλας, ἡ δὲ νῆσος ἅμα

Λιβύης ἦν καὶ Ἀσίας μείζων, ἐξ ἧς ἐπιβατὸν ἐπὶ τὰς ἄλλας

νήσους τοῖς τότε ἐγίγνετο πορευομένοις, ἐκ δὲ τῶν νήσων

ἐπὶ τὴν καταντικρὺ πᾶσαν ἤπειρον τὴν περὶ τὸν ἀληθινὸν                 25a1

ἐκεῖνον πόντον. 

                                         당시에 저 바다는 건널 수

있는 곳이었으니까요. 그 입구, 당신들 말대로, 당신들이 

헤라클레스의 기둥들이라 부르는 입구 앞으로 저 바다가

섬을 지니고 있었으니, 그 섬은 리뷔에와 아시아를 합한 것보다 

더욱 컸으며, 그 섬으로부터 당시에 드나들던 자들에게 

여타 섬들을 향한 경로가 생겼고, 그 섬들로부터 곧장 반대편 

저 진정한 의미의 바다 주위의 모든 지역을 향한 경로가

생겼기 때문입니다.

                      τάδε μὲν γάρ, ὅσα ἐντὸς τοῦ στόματος οὗ

λέγομεν, φαίνεται λιμὴν στενόν τινα ἔχων εἴσπλουν· ἐκεῖνο

δὲ πέλαγος ὄντως ἥ τε περιέχουσα αὐτὸ γῆ παντελῶς ἀληθῶς

ὀρθότατ᾿ ἂν λέγοιτο ἤπειρος. ἐν δὲ δὴ τῇ Ἀτλαντίδι νήσῳ                      5

ταύτῃ μεγάλη συνέστη καὶ θαυμαστὴ δύναμις βασιλέων,

κρατοῦσα μὲν ἁπάσης τῆς νήσου, πολλῶν δὲ ἄλλων νήσων

καὶ μερῶν τῆς ἠπείρου· πρὸς δὲ τούτοις ἔτι τῶν ἐντὸς τῇδε

Λιβύης μὲν ἦρχον μέχρι πρὸς Αἴγυπτον, τῆς δὲ Εὐρώπης                       b

μέχρι Τυρρηνίας. αὕτη δὴ πᾶσα συναθροισθεῖσα εἰς ἓν ἡ

δύναμις τόν τε παρ᾿ ὑμῖν καὶ τὸν παρ᾿ ἡμῖν καὶ τὸν ἐντὸς τοῦ

στόματος πάντα τόπον μιᾷ ποτὲ ἐπεχείρησεν ὁρμῇ δουλοῦ-

σθαι. 

                          즉 여기 이것들, 우리가 말하는 그 입구

안쪽의 것들은, 어떤 좁은 항구를 지닌 항만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저 바다, 전적으로 진정하게 가장 제대로 된 의미에서

대륙이라 말해질 바로 그 대지를 둘러싸고 있기도 한 그

바다가 있는 그대로의 바다입니다. 그런데 이제 이 아틀란티스 

섬에 왕들의 거대하고도 놀라운 세력이 구성되었고, 그 세력이

그 섬 전부를 지배하였으며, 그 외 여러 섬들과 대륙의 일부

또한 지배하였습니다. 이에 더해 나아가 안쪽의 지역들 중에서도

이곳 리뷔에를 아이귑토스 근방에 이르기까지 지배하였고, 

에우로페는 튀레니아에 이르는 데까지 지배하였지요. 그래서 

이 전체가 하나로 병합된 그 세력이 그대들의 편과 우리네 편의 

그리고 그 입구 안쪽의 모든 곳을 단번에 노예화하고자 

시도하였습니다.

        τότε οὖν ὑμῶν, ὦ Σόλων, τῆς πόλεως ἡ δύναμις εἰς                         5

ἅπαντας ἀνθρώπους διαφανὴς ἀρετῇ τε καὶ ῥώμῃ ἐγένετο·

πάντων γὰρ προστᾶσα εὐψυχίᾳ καὶ τέχναις ὅσαι κατὰ πόλε-

μον, τὰ μὲν τῶν Ἑλλήνων ἡγουμένη, τὰ δ᾿ αὐτὴ μονωθεῖσα                  c

ἐξ ἀνάγκης τῶν ἄλλων ἀποστάντων, ἐπὶ τοὺς ἐσχάτους

ἀφικομένη κινδύνους, κρατήσασα μὲν τῶν ἐπιόντων τρό-

παιον ἔστησεν, τοὺς δὲ μήπω δεδουλωμένους διεκώλυσεν

δουλωθῆναι, τοὺς δ᾿ ἄλλους, ὅσοι κατοικοῦμεν ἐντὸς ὅρων                     5

Ἡρακλείων, ἀφθόνως ἅπαντας ἠλευθέρωσεν. 

그리하여 그때, 솔론, 그대들의 폴리스의 능력이 덕과 강건함에서

전 인류에게 명백하게 드러나게 되었습니다. 훌륭한 혼과 전쟁에

따른 기술들로써 모든 폴리스들의 수호자로 나섰으며, 한 때에는

헬라스인들을 주도하였으나, 다른 때엔 그 밖의 폴리스들이

이탈하였기에 필연적으로 그 자신 홀로 서서, 극한의 위험에

당면하여, 쳐들어온 자들을 지배하여 승전비를 세웠고, 아직껏

노예된 일 없는 자들이 노예로 전락하는 일을 금하였으며,

그 외에 헤라클레스의 표지들 안쪽에 정주하던 우리들은,

그 모두를 아무런 인색함도 없이 자유인으로 만들어주었습니다.


> 페르시아 전쟁에 대한 묘사처럼 보인다. by Kang.

   이 구도는 『메넥세노스』를 연상시킨다. 친 아테네, 반 스파르타,

소크라테스 사후 전쟁을 소크라테스가 살아서 찬양하는,

아스파시아의 연설을 소크라테스가 전달. 흥미롭게도 이 연설은

역사적 사실과 상당히 여러 부분들에서 불일치.

학자들은 투퀴디데스가 전하는 페리클레스의 추모연설가 상당히 대비된다.

나아가 투퀴디데스의 이상적 폴리스와 플라톤의 이상적 폴리스,

각각의 이상적 아테네에 대한 그림이 서로 다르긴 하다.


> 사실에 대한 순수하게 비규범적 기술이란 불가능.

   있는 그대로의 사실로서 세계묘사란 가치적 측면을 배제 혹은 왜곡.

   그렇다면 도덕적 고려가 포함된 이상적 진리는 비극적 패배주의 현실의 묘사와 대비된다. by Kang.

   『메넥세노스』에서는 100년 전 사건에 대한 변용이므로 당대 사람들의 경험과 부딪쳐 설득력 하락.

   혹시 여기에서는 1만년 전, 그것도 전 세계 규모의 이상화된 전쟁묘사로 설득력을 강화시켜 보려고?

                                                            ὑστέρῳ δὲ

χρόνῳ σεισμῶν ἐξαισίων καὶ κατακλυσμῶν γενομένων, μιᾶς

ἡμέρας καὶ νυκτὸς χαλεπῆς ἐπελθούσης, τό τε παρ᾿ ὑμῖν                       d

μάχιμον πᾶν ἁθρόον ἔδυ κατὰ γῆς, ἥ τε Ἀτλαντὶς νῆσος

ὡσαύτως κατὰ τῆς θαλάττης δῦσα ἠφανίσθη· διὸ καὶ

νῦν ἄπορον καὶ ἀδιερεύνητον γέγονεν τοὐκεῖ πέλαγος,

πηλοῦ κάρτα βραχέος ἐμποδὼν ὄντος, ὃν ἡ νῆσος ἱζομένη                      5

παρέσχετο.'"

그런데 그 이후의 시대에 극심한 지진과 홍수가 발생하였기에,

가혹한 단 하루의 밤과 낮이 들이닥친 동안, 그대들 편의 군사는

모두 대지 아래로 가라앉았으며, 아틀란티스 섬 역시 마찬가지로 

바다 밑으로 가라앉아 드러나지 않게 되었습니다. 이런 이유로

오늘날에도 저 바다는 난관이자 미지의 것이 되었던 것입니다.

그 섬이 잠기며 내놓은, 그 진흙이 지극히 짧은 간격에서

장애물로 있기 때문에 말이지요.'"

 

Τὰ μὲν δὴ ῥηθέντα, ὦ Σώκρατες, ὑπὸ τοῦ παλαιοῦ

Κριτίου κατ᾿ ἀκοὴν τὴν Σόλωνος, ὡς συντόμως εἰπεῖν,                          e

ἀκήκοας· λέγοντος δὲ δὴ χθὲς σοῦ περὶ πολιτείας τε καὶ

τῶν ἀνδρῶν οὓς ἔλεγες, ἐθαύμαζον ἀναμιμνῃσκόμενος αὐτὰ

ἃ νῦν λέγω, κατανοῶν ὡς δαιμονίως ἔκ τινος τύχης οὐκ ἄπο

σκοποῦ συνηνέχθης τὰ πολλὰ οἷς Σόλων εἶπεν. οὐ μὴν                           5

ἐβουλήθην παραχρῆμα εἰπεῖν· διὰ χρόνου γὰρ οὐχ ἱκανῶς                 26a1

ἐμεμνήμην. 

그래서, 소크라테스, 당신께서는 오래전 살아계셨던 크리티아스에 

의해 그 분께서 솔론으로부터 들으신 바에 따라 이야기된 것들을,

간단히 말해서, 들으셨습니다. 그런데 어제 당신께서 당신의

정체와 당신께서 말씀하시던 사람들에 관련하여 말씀하실 때,

저는 지금 말씀드린 바로 그것들을 기억해내며 놀랐습니다,

어떤 우연으로 다행스럽게도 취지를 벗어나지 않은 채 당신께서

많은 점들에서 솔론께서 이야기하신 것들과 맞아떨어지신다는 

것을 알아차려서 말입니다. 물론 그 즉시 말씀드리고 싶지는

않았습니다. 시간이 지나 충분히 기억하지를 못하기 때문이지요.

               ἐνενόησα οὖν ὅτι χρεὼν εἴη με πρὸς ἐμαυτὸν

πρῶτον ἱκανῶς πάντα ἀναλαβόντα λέγειν οὕτως. ὅθεν ταχὺ                           //201118

συνωμολόγησά σοι τὰ ἐπιταχθέντα χθές, ἡγούμενος, ὅπερ

ἐν ἅπασι τοῖς τοιοῖσδε μέγιστον ἔργον, λόγον τινὰ πρέποντα                  5

τοῖς βουλήμασιν ὑποθέσθαι, τούτου μετρίως ἡμᾶς εὐπορήσειν.

그리하여 제가 제 자신을 상대로 우선 충분히 모든 것들을

되새기고서 그렇게 말해야만 한다고 마음먹었습니다. 그런 연유로

어제 당신께서 일임하셨던 일들도 금새 동의하였던 것이지요. 제가

생각하기로, 바로 이러한 모든 경우에 가장 중요한 일은, 취지에

부합하는 어떤 말을 제안하는 것이라고, 이 일을 우리 자신이

적절하게 마련하리라고 생각하였기에 말입니다.

οὕτω δή, καθάπερ ὅδ᾿ εἶπεν, χθές τε εὐθὺς ἐνθένδε ἀπιὼν

πρὸς τούσδε ἀνέφερον αὐτὰ ἀναμιμνῃσκόμενος, ἀπελθών τε                  b

σχεδόν τι πάντα ἐπισκοπῶν τῆς νυκτὸς ἀνέλαβον. ὡς δή

τοι, τὸ λεγόμενον, τὰ παίδων μαθήματα θαυμαστὸν ἔχει τι

μνημεῖον, ἐγὼ γὰρ ἃ μὲν χθὲς ἤκουσα, οὐκ ἂν οἶδ᾿ εἰ

δυναίμην ἅπαντα ἐν μνήμῃ πάλιν λαβεῖν· ταῦτα δὲ ἃ πάμ-                      5

πολυν χρόνον διακήκοα, παντάπασι θαυμάσαιμ᾿ ἂν εἴ τί με

αὐτῶν διαπέφευγεν. 

                                                                그래서

그렇게, 여기 이분께서 이야기하시는 것처럼, 어제도 그곳을

떠나자마자 여기 이 분들께 그것들을 기억해내며 전해드렸고,

떠나와서도 그 밤 동안 거의 모든 것들을 검토하여 다시

떠올렸습니다. 그러니 정말, 말 그대로, 아이들의 배움은

어찌나 놀랄 만큼 잘 기억되는지요, 제가 어제 들은 것들은,

그 모든 것들을 기억 속에서 다시 붙들 수 있을지 알지

못하겠지만, 아주 오랜 시간 전에 들은 것들은, 그것들 중

무엇이라도 제게서 달아나버렸다면 정말이지 놀랐을 테니까요.

                           ἦν μὲν οὖν μετὰ πολλῆς ἡδονῆς καὶ

παιδιᾶς τότε ἀκουόμενα, καὶ τοῦ πρεσβύτου προθύμως με                     c

διδάσκοντος, ἅτ᾿ ἐμοῦ πολλάκις ἐπανερωτῶντος, ὥστε οἷον

ἐγκαύματα ἀνεκπλύτου γραφῆς ἔμμονά μοι γέγονεν· καὶ δὴ

καὶ τοῖσδε εὐθὺς ἔλεγον ἕωθεν αὐτὰ ταῦτα, ἵνα εὐποροῖεν

λόγων μετ᾿ ἐμοῦ. 

그리하여 제가 당시에 들었던 것들은 많은 즐거움과 재미가 

동반된 것이었고, 그 어르신께서도 열정적으로 저를 가르쳐

주셨으니, 제가 자주 여쭈어 보았기에 그리하셨으며, 그래서 

이를 테면 지워지지 않는 그림에 불로 지진 흔적처럼

제게 남아 있는 것들이 되었습니다. 더욱이 아침부터 여기

이 분들께도 바로 이것들을 곧바로 말씀드렸지요, 저와

더불어 하실 말씀들이 넘치도록 말입니다.

                       νῦν οὖν, οὗπερ ἕνεκα πάντα ταῦτα εἴρηται,                  5

λέγειν εἰμὶ ἕτοιμος, ὦ Σώκρατες, μὴ μόνον ἐν κεφαλαίοις

ἀλλ᾿ ὥσπερ ἤκουσα καθ᾿ ἕκαστον· τοὺς δὲ πολίτας καὶ τὴν

πόλιν ἣν χθὲς ἡμῖν ὡς ἐν μύθῳ διῄεισθα σύ, νῦν μετενεγ-

κόντες ἐπὶ τἀληθὲς δεῦρο θήσομεν ὡς ἐκείνην τήνδε οὖσαν,                   d

καὶ τοὺς πολίτας οὓς διενοοῦ φήσομεν ἐκείνους τοὺς ἀλη-

θινοὺς εἶναι προγόνους ἡμῶν, οὓς ἔλεγεν ὁ ἱερεύς. 

                                                       그리하여 이제,

이 모든 것들이 바로 그것을 위해 이야기된 바, 저는 말씀드릴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습니다, 소크라테스, 요점에서만이

아니라 그 각각을 따라 들은 그대로 말씀드릴 준비도 말입니다.

그런데 어제 당신께서 저희에게 이야기에서처럼 살펴 나아가

주신 그 시민들과 폴리스는, 이제 저희가 진실로 전환시켜

이 폴리스가 저 폴리스라 생각하며 여기에 내세울 것이고,

당신께서 염두에 두시던 그 시민들 또한 그 신관이 말했던 

바로 그 우리의 참된 저 선조들이라고 주장할 것입니다.

                                                                  πάντως

ἁρμόσουσι καὶ οὐκ ἀπᾳσόμεθα λέγοντες αὐτοὺς εἶναι τοὺς ἐν

τῷ τότε ὄντας χρόνῳ. κοινῇ δὲ διαλαμβάνοντες ἅπαντες                         5

πειρασόμεθα τὸ πρέπον εἰς δύναμιν οἷς ἐπέταξας ἀποδοῦναι.

σκοπεῖν οὖν δὴ χρή, ὦ Σώκρατες, εἰ κατὰ νοῦν ὁ λόγος ἡμῖν

οὗτος, ἢ τινα ἔτ᾿ ἄλλον ἀντ᾿ αὐτοῦ ζητητέον.                                      e

그들은 전적으로 조화로울 것이고 저희는 그들이 그 시간 속에서 

당시에 실재하는 그 사람들이라고 말하며 헤매는 일도 없을 

것입니다. 그런데 저희 모두가 공동으로 분담하여 당신께서 맡기신 

일들에 어울리는 것을 능력껏 제시하고자 해보겠습니다. 그러므로, 

소크라테스, 저희의 이러한 말이 마음에 드시는지, 아니면 여전히 

그 대신에 그 외의 말을 추구해야만 하는지 검토해야만 합니다.


ΣΩ. Καὶ τίν᾿ ἄν, ὦ Κριτία, μᾶλλον ἀντὶ τούτου μεταλά-

βοιμεν, ὃς τῇ τε παρούσῃ τῆς θεοῦ θυσίᾳ διὰ τὴν οἰκειότητ᾿

ἂν πρέποι μάλιστα, τό τε μὴ πλασθέντα μῦθον ἀλλ᾿ ἀληθινὸν

λόγον εἶναι πάμμεγά που. πῶς γὰρ καὶ πόθεν ἄλλους                              5

ἀνευρήσομεν ἀφέμενοι τούτων; οὐκ ἔστιν, ἀλλ᾿ ἀγαθῇ τύχῃ

χρὴ λέγειν μὲν ὑμᾶς, ἐμὲ δὲ ἀντὶ τῶν χθὲς λόγων νῦν

ἡσυχίαν ἄγοντα ἀντακούειν.                                                         27a1

또 무엇을, 크리티아스, 우리가 이보다 무엇을 더 취할

수 있겠습니까? 그 여신께 바치는 번제가 열리는 와중에 이

번제와의 친족성으로 인해 가장 잘 어울릴 말 대신에요.

또 지어낸 신화가 아니라 참된 말이 아마도 가장 중요하다는

점에서도 말이죠. 그야 이 말들을 버려두고 그 외의

말들을 어찌 또 어디에서 찾아내겠습니까? 그럴 수 없고,

오히려 좋은 기회로 여러분들께는 말씀을 하셔야만 하고, 

저로서는 어제의 말들을 대신하여 오늘은 침묵을 지키며 

귀기울여야 하는 것입니다.


ΚΡ. Σκόπει δὴ τὴν τῶν ξενίων σοι διάθεσιν, ὦ Σώκρατες,

ᾗ διέθεμεν. ἔδοξεν γὰρ ἡμῖν Τίμαιον μέν, ἅτε ὄντα ἀστρο-

νομικώτατον ἡμῶν καὶ περὶ φύσεως τοῦ παντὸς εἰδέναι

μάλιστα ἔργον πεποιημένον, πρῶτον λέγειν ἀρχόμενον ἀπὸ                     5

τῆς τοῦ κόσμου γενέσεως, τελευτᾶν δὲ εἰς ἀνθρώπων φύσιν·

그럼, 소크라테스, 당신을 위해 저희가 차려놓은 손님대접의 

순서를 살펴보시죠. 저희가 보기엔 티마이오스께서, 저희 중

가장 천문학에 뛰어나신 분이시고 또한 모든 것의 본성에 

관하여서도 이를 아는 것을 무엇보다도 가장 큰 일로 삼아 

오셨기에, 처음으로 질서(우주)의 생성으로부터 시작하여 

말씀하시고, 인간들의 본성으로 마무리를 하시는 것이 좋아 

보였답니다.

ἐμὲ δὲ μετὰ τοῦτον, ὡς παρὰ μὲν τούτου δεδεγμένον ἀνθρώ-

πους τῷ λόγῳ γεγονότας, παρὰ σοῦ δὲ πεπαιδευμένους δια-

φερόντως αὐτῶν τινας, κατὰ δὲ τὸν Σόλωνος λόγον τε καὶ                     b

νόμον εἰσαγαγόντα αὐτοὺς ὡς εἰς δικαστὰς ἡμᾶς ποιῆσαι

πολίτας τῆς πόλεως τῆσδε ὡς ὄντας τοὺς τότε Ἀθηναίους,

οὓς ἐμήνυσεν ἀφανεῖς ὄντας ἡ τῶν ἱερῶν γραμμάτων φήμη,

τὰ λοιπὰ δὲ ὡς περὶ πολιτῶν καὶ Ἀθηναίων ὄντων ἤδη                           5

ποιεῖσθαι τοὺς λόγους.

               이 분 다음으로는 제가, 이분으로부터 그 말에 의해 

태어난 인간들을 받고, 당신에게서는 그들 중 특별하게 교육받은 

어떤 이들을 받아서, 솔론의 말씀과 법에 따라 그들을 판관들에게 

이끌어가듯 우리에게 이끌어와서 그들, 신성한 기록들의 보고가 

드러나지 않는 그들을 있다고 알려주었던, 바로 그들을 당시의 

그 아테네인들이라 생각하며 여기 이 폴리스의 시민들로 만드는 

것이, 다른 한편 남은 일들의 경우에는 이미 시민들이자 아테네인들로 

있는 자들에 관련해서 하듯이 그렇게 그 말들을 만드는 것이 좋아 

보였지요.



-蟲-


P.S. 17a-92c9. 매일 스테파누스 쪽수로 하나씩 하면 두 달 반?

      15주 강의로 생각하면 한 주 St. 다섯 쪽. ㅎㅎ

 Εἰσὶ δέ τινες οἵ, καθάπερ εἴπομεν, αὐτοί τε ἐνδέχε-

σθαί φασι τὸ αὐτὸ εἶναι καὶ μὴ εἶναι, καὶ ὑπολαμβά-                       1006a1

νειν οὕτως. χρῶνται δὲ τῷ λόγῳ τούτῳ πολλοὶ καὶ τῶν

περὶ φύσεως. ἡμεῖς δὲ νῦν εἰλήφαμεν ὡς ἀδυνάτου ὄντος

ἅμα εἶναι καὶ μὴ εἶναι, καὶ διὰ τούτου ἐδείξαμεν ὅτι βε-

βαιοτάτη αὕτη τῶν ἀρχῶν πασῶν. 

그런데, 우리가 이야기했듯, 자신들 스스로도 같은 것이

있으면서 있지 않다는 것이 가능하다고 주장하고, 또한

그렇게 간주(가정)하는 일도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그런 

어떤 자들이 있다. 그런데 자연에 관련하는 자들 중에서도 

많은 자들이 이러한 논리를 사용한다. 그런데 우리는 지금 

있으면서 동시에 있지 않기도 하다는 것이 불가능한 것이라고 

가정하였고, 이를 통해서 모든 원리들 중 이러한 원리가 

가장 확고한 것이라는 점을 증명하였다.

                                             ἀξιοῦσι δὴ καὶ τοῦτο                           5

ἀποδεικνύναι τινὲς δι᾿ ἀπαιδευσίαν· ἔστι γὰρ ἀπαιδευσία

τὸ μὴ γινώσκειν τίνων δεῖ ζητεῖν ἀπόδειξιν καὶ τίνων οὐ

δεῖ· ὅλως μὲν γὰρ ἁπάντων ἀδύνατον ἀπόδειξιν εἶναι (εἰς

ἄπειρον γὰρ ἂν βαδίζοι, ὥστε μηδ᾿ οὕτως εἶναι ἀπόδειξιν),

εἰ δέ τινων μὴ δεῖ ζητεῖν ἀπόδειξιν, τίνα ἀξιοῦσιν εἶναι                            10

μᾶλλον τοιαύτην ἀρχὴν οὐκ ἂν ἔχοιεν εἰπεῖν. 

                            더 나아가 어떤 이들은 무식함으로 인해

이러한 일을 증명할 만하다고 평가한다. 어떤 것들에 대한

증명을 탐구해야 하고 또 어떤 것들의 경우에 그렇지 않은지

알지 못하는 것은 무식함이란 말이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통틀어 모든 것들에 대해 증명이 있다는 것은 불가능하고

(왜냐하면 무한으로 진행할 테고, 그래서 그런 식으로 증명이

있지도 못할 테니까), 어떤 것들에 대해서는 증명을 탐구하지

않아야 한다면, 무엇이 더욱 더 이러한 원리일 만한 것인지

그들이 이야기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ἔστι δ᾿ ἀπο-

δεῖξαι ἐλεγκτικῶς καὶ περὶ τούτου ὅτι ἀδύνατον, ἂν μόνον

τι λέγῃ ὁ ἀμφισβητῶν· ἂν δὲ μηθέν, γελοῖον τὸ ζητεῖν

λόγον πρὸς τὸν μηθενὸς ἔχοντα λόγον, ᾗ μηθένα ἔχει λόγον· ὅμοιος

γὰρ φυτῷ ὁ τοιοῦτος ᾗ τοιοῦτος ἤδη ἐστίν. τὸ δ᾿ ἐλεγκτικῶς ἀπο-              15

δεῖξαι λέγω διαφέρειν καὶ τὸ ἀποδεῖξαι, ὅτι ὁ ἀποδει-

κνύων μὲν ἂν δόξειεν αἰτεῖσθαι τὸ ἐν ἀρχῇ, ἄλλου δὲ τοῦ

τοιούτου αἰτίου ὄντος ἔλεγχος ἂν εἴη καὶ οὐκ ἀπόδειξις.

                                               그런데 이에 관련하여서도

그것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논박적으로 증명하는 일이 가능하다,

논쟁을 거는 자가 뭔가를 말하는 경우에만 말이다. 그런데 그가 

아무것도 말하지 않는다면, 아무런 설명도 지니지 않은 자를 

상대로 설명을 탐구한다는 것은 우스운 일이다, 아무런 설명도 

지니지 않는 한에서. 이러한 자인 한에서의 이러한 자는 이미 

식물과 유사한 자이다. 그런데 논박적으로 증명한다는 것을 나는 

입증한다는 것과도 다르다고 말하니, 입증하는 자는 원리에 

포함되는 것을 따져 묻는 것으로 여겨질 터이지만, 그 외의 사람이

이러한 일(입증)의 책임이 있는 사람일 경우에는 논박이 있을 테고 

입증은 있지 않을 것이다.

                                                                         ἀρχὴ

δὲ πρὸς ἅπαντα τὰ τοιαῦτα οὐ τὸ ἀξιοῦν ἢ εἶναι τι λέγειν

ἢ μὴ εἶναι (τοῦτο μὲν γὰρ τάχ᾿ ἄν τις ὑπολάβοι τὸ ἐξ                               20

ἀρχῆς αἰτεῖν), ἀλλὰ σημαίνειν γέ τι καὶ αὑτῷ καὶ ἄλλῳ·

τοῦτο γὰρ ἀνάγκη, εἴπερ λέγοι τι. εἰ γὰρ μή, οὐκ ἂν

εἴη τῷ τοιούτῳ λόγος, οὔτ᾿ αὐτῷ πρὸς αὑτὸν οὔτε πρὸς

ἄλλον. ἂν δέ τις τοῦτο διδῷ, ἔσται ἀπόδειξις· ἤδη γάρ τι

ἔσται ὡρισμένον. 

                        그런데 이러한 모든 것들에 대해서 무언가

있다거나 있지 않다고 논할 만하다는 것이 아니라 (누군가는 이런

것을 아마도 처음부터 요구하는 것으로 가정할지도 모르니까),

자신에게도 그 외의 사람에게도 뭔가 적어도 의미하기는 해야

한다는 것이 원리이다. 왜냐하면, 만일 무언가 논하려면, 이것이

필연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만일 그렇지 않다면, 이런 자에게는

논리가 있지 못할 것이다, 그에게 그 자신을 상대로도 그 외의

사람을 상대로도 말이다. 그런데 누군가가 이를 제공한다면,

증명이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제서야 무언가 규정된 것이

있을 테니까.

                       ἀλλ᾿ αἴτιος οὐχ ὁ ἀποδεικνὺς ἀλλ᾿ ὁ ὑπο-                       25

μένων· ἀναιρῶν γὰρ λόγον ὑπομένει λόγον. ἔτι δὲ ὁ τοῦτο

συγχωρήσας συγκεχώρηκέ τι ἀληθὲς εἶναι χωρὶς ἀποδεί-

ξεως [ὥστε οὐκ ἂν πᾶν οὕτως καὶ οὐχ οὕτως ἔχοι]. πρῶτον

μὲν οὖν δῆλον ὡς τοῦτό γ᾿ αὐτὸ ἀληθές, ὅτι σημαίνει τὸ

ὄνομα τὸ εἶναι ἢ μὴ εἶναι τοδί, ὥστ᾿ οὐκ ἂν πᾶν οὕτως καὶ                       30

οὐχ οὕτως ἔχοι· ἔτι εἰ τὸ ἄνθρωπος σημαίνει ἕν, ἔστω τοῦτο

τὸ ζῷον δίπουν. 

                   그러나 증명하는 자가 아니라 [증명을] 기다리는 

자가 책임이 있는 자이다. 왜냐하면 설명을 폐기함으로써 논변을 

기다리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것을 여전히 동의한 자는 증명과 

독립적으로 무언가 참된 것이 있다고 동의한 것이[어서 모든 것이 

그런 상태이면서 또한 그런 상태가 아닐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우선 적어도 바로 이것만큼은 참이라는 것이 분명하다, 이름이 

이러저러한 것이 있다거나 있지 않다거나 하는 것을 의미하고, 

그래서 모든 것이 그런 상태이면서 그렇지 않은 상태이지는 

않으리라는 것이 말이다. 더욱이 만일 "인간"이라는 것이 하나를 

의미한다면, 두 발 달린 동물이 이것일 것이다.

                      λέγω δὲ τὸ ἓν σημαίνειν τοῦτο· εἰ τοῦτ᾿

ἔστιν ἄνθρωπος, ἂν ᾗ τι ἄνθρωπος, τοῦτ᾿ ἔστι τὸ ἀνθρώπῳ

εἶναι ― διαφέρει δ᾿ οὐθὲν οὐδ᾿ εἰ πλείω τις φαίη σημαίνειν

μόνον δὲ ὡρισμένα, τεθείη γὰρ ἂν ἐφ᾿ ἑκάστῳ λόγῳ                         1006b1

ἕτερον ὄνομα· λέγω δ᾿ οἷον, εἰ μὴ φαίη τὸ ἄνθρωπος ἓν

σημαίνειν, πολλὰ δέ, ὧν ἑνὸς μὲν εἷς λόγος τὸ ζῷον δί-

πουν, εἰσὶ δὲ καὶ ἕτεροι πλείους, ὡρισμένοι δὲ τὸν ἀριθμόν·

τεθείη γὰρ ἂν ἴδιον ὄνομα καθ᾿ ἕκαστον τὸν λόγον. 

                              그런데 나는 "하나"라는 것으로 이하의 

것을 의미한다. 만일 이것이 사람이라면, 어쨌든 사람으로 있을

것이고, 이것이 사람으로 있다는 것이다.  ― 그런데 누군가가 

[그 이름이] 더 많은 것들을 그런데 오직 규정된 것들만을 의미한다고 

하더라도 전혀 차이는 없는데, 왜냐하면 각 진술을 놓고 다른 

이름이 정립되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나는 예를 들어, 만일 

"인간"이라는 것이 하나를 의미하지는 않고, 반면에, 그 중 하나에는 

"두 발 달린 동물"이라는 진술이 속하는, 그런 여러 가지 것들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면, 다른 더 많은 진술들도, 자신의 수를 규정하면서, 

있다는 것을 말한다. 왜냐하면 각각의 진술에 따라 고유한 이름이 

정립되어 있기 때문이다.

                                                                     εἰ δὲ                          5

μὴ τεθείη, ἀλλ᾿ ἄπειρα σημαίνειν φαίη, φανερὸν ὅτι οὐκ ἂν

εἴη λόγος· τὸ γὰρ μὴ ἓν σημαίνειν οὐθὲν σημαίνειν ἐστίν,

μὴ σημαινόντων δὲ τῶν ὀνομάτων ἀνῄρηται τὸ διαλέγεσθαι

πρὸς ἀλλήλους, κατὰ δὲ τὴν ἀλήθειαν καὶ πρὸς αὑτόν·

οὐθὲν γὰρ ἐνδέχεται νοεῖν μὴ νοοῦντα ἕν, εἰ δ᾿ ἐνδέχεται,                        10

τεθείη ἂν ὄνομα τούτῳ τῷ πράγματι ἕν. 

                                                     그런데 만일 [고유한

이름이] 정립되어 있지 않았다면, 오히려 무한한 것들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면, 진술이 있지 못했으리란 점이 분명하다. 왜냐하면 

하나를 의미하지 못한다는 것은 아무것도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이고, 그런데 이름들이 의미를 가지지 못함으로써 서로를 상대로 

대화한다는 것이 폐기된 것이기 때문이다, 진리에 따라서 자신을 

상대로도 말이다. 왜냐하면 하나를 생각하지 못하는 자는 아무것도 

생각하는 일이 허용되지 않고, 만일 허용된다면, 이러한 대상에 

하나인 이름이 정립되었을 터이기 때문이다.

                                                     ἔστω δή, ὥσπερ

ἐλέχθη κατ᾿ ἀρχάς, σημαῖνόν τι τὸ ὄνομα καὶ σημαῖνον

ἕν· οὐ δὴ ἐνδέχεται τὸ ἀνθρώπῳ εἶναι σημαίνειν ὅπερ μὴ εἶναι

ἀνθρώπῳ, εἰ τὸ ἄνθρωπος σημαίνει μὴ μόνον καθ᾿ ἑνὸς

ἀλλὰ καὶ ἕν (οὐ γὰρ τοῦτο ἀξιοῦμεν τὸ ἓν σημαίνειν,                                15

τὸ καθ᾿ ἑνός, ἐπεὶ οὕτω γε κἂν τὸ μουσικὸν καὶ λευκὸν

καὶ ἄνθρωπος ἓν ἐσήμαινεν, ὥστε ἓν ἅπαντα ἔσται·

συνώνυμα γάρ). 

                                                 그래서, 처음부터 말했듯,

이름이 뭔가를 의미하고 또한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있도록

하자. 그래서 "인간으로 있다"라는 것이 인간으로 있지 않다는 

바로 그것을 의미하기란 허용되지 않는다, 만일 "인간"이라는 것이

하나에 대해서(따라서)만이 아니라 하나 또한 의미한다면

(왜냐하면 우리는 "하나를 의미한다"라는 것을 이런 것일만

하다고 평가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나에 대해서"라는 것, 적어도

그런 식으로 "음악적이고 희며 인간"이라는 것이 하나를 

의미할 테고, 그래서 통틀어 모든 것들이 하나일 테니까.

즉 그것들이 동의어들이기 때문이다.)

                     καὶ οὐκ ἔσται εἶναι καὶ μὴ εἶναι τὸ αὐτὸ

ἀλλ᾿ ἢ καθ᾿ ὁμωνυμίαν, ὥσπερ ἂν εἰ ὃν ἡμεῖς ἄνθρωπον

καλοῦμεν, ἄλλοι μὴ ἄνθρωπον καλοῖεν· τὸ δ᾿ ἀπορούμενον                       20

οὐ τοῦτό ἐστιν, εἰ ἐνδέχεται ἅμα τὸ αὐτὸ εἶναι καὶ μὴ εἶναι

ἄνθρωπον τὸ ὄνομα, ἀλλὰ τὸ πρᾶγμα.                                                     //201001

                                                          그리고 같은 것이

있으면서 있지 않을 수 있지 않을 것인데 동음이의어에 따른

경우를 제외하면 그러하다. 마치 만일 우리가 인간이라고 부르는 

바의 것을, 그 외의 사람들은 비-인간으로 부른다면 그 경우처럼

말이다. 그런데 난점은 이런 것, 만일 이름이 같은 것으로서 동시에

인간으로 있으면서 있지 않는다는 게 허용되는지 여부가 아니라,

사태로서 인간으로 그러함이 허용되는지 여부이다.

                                                   εἰ δὲ μὴ σημαί-

νει ἕτερον τὸ ἄνθρωπος καὶ τὸ μὴ ἄνθρωπος, δῆλον ὅτι καὶ

τὸ μὴ εἶναι ἀνθρώπῳ τοῦ εἶναι ἀνθρώπῳ, ὥστ᾿ ἔσται τὸ ἀν-

θρώπῳ εἶναι μὴ ἀνθρώπῳ εἶναι· ἓν γὰρ ἔσται. τοῦτο γὰρ                           25

σημαίνει τὸ εἶναι ἕν, ὡς λώπιον καὶ ἱμάτιον, εἰ ὁ λόγος

εἷς· εἰ δὲ ἔσται ἕν, ἓν σημαίνει τὸ ἀνθρώπῳ εἶναι καὶ μὴ

ἀνθρώπῳ. ἀλλ᾿ ἐδέδεικτο ὅτι ἕτερον σημαίνει. 

                                                                  그런데 만일

"인간"이라는 것과 "비-인간"이라는 것이 다른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인간으로 있지 않다"라는 것도 "인간으로 있다"와

그렇고, 그래서 "인간으로 있다"라는 것이 "비-인간으로 있다"일

것이라는 점이 분명하다. 왜냐하면 그것이 하나로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즉 "하나로 있다"라는 것이 이런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겉옷과 의복에 있어서, 만일 그 진술이 하나라면 그럴 것처럼.

그런데 하나로 있을 것이라면, "인간으로 그리고 비-인간으로 있다"가

하나를 의미할 것이다. 그러나 다른 것을 의미한다는 점이 밝혀졌다.

                                                             ἀνάγκη τοί-

νυν, εἴ τί ἐστιν ἀληθὲς εἰπεῖν ὅτι ἄνθρωπος, ζῷον εἶναι δί-

πουν (τοῦτο γὰρ ἦν ὃ ἐσήμαινε τὸ ἄνθρωπος)· εἰ δ᾿ ἀνάγκη                       30

τότε, οὐκ ἐνδέχεται μὴ εἶναι τότε αὐτὸ ζῷον δίπουν· τοῦτο

γὰρ σημαίνει τὸ ἀνάγκη εἶναι, τὸ ἀδύνατον εἶναι μὴ εἶναι

[ἄνθρωπον]· οὐκ ἄρα ἐνδέχεται ἅμα ἀληθὲς εἶναι εἰπεῖν τὸ

αὐτὸ ἄνθρωπον εἶναι καὶ μὴ εἶναι ἄνθρωπον.

그러니, 만일 어떤 것인가가 인간으로 있다고 말하는 게 참이라면, 

동물로서 두 발 달린 것으로 있다는 것이 필연적이다("인간"이라는 

것이 의미하는 바가 이것이었을 터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만일

그 경우 그것이 필연적이라면, 그 때 그것이 동물로서 두 발 달린 

것으로 있지 않다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필연적으로 [인간으로]

있다는 것은 이를, [인간으로] 있지 않다는 것이 불가능한 것으로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같은 것이 인간으로 있다고

그리고 인간으로 있지 않다고 이야기하는 것이 동시에 참으로서

있다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蟲-

0. 쓰고 버릴 쓰레기를 쓰자. 버리고 태우고 하다 다행히 뭐라도 남으면 좋고, 아니더라도 뒈질 때까지 그러고 살 수밖에 없기도 하고.


1. 255c14-15: 있는 것들(Being) 중 어떤 것들은 그 자체로, 또 어떤 것들은 그 외의 것들에 관련해서 항상 말해진다.

   255d1      : 다른 것은 항상 다른 것에 관련해서 말해진다.


M. Frede의 제안에 따르면, 어떤 것이 being something으로 말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예를 들어 인간은 인간이라고, 그리고 나아가 동물이고, 두 발 달린 것이고, 생각하는 것이라고 '그 자체로' 말해진다. 반면 인간은 좋다거나 희다거나 앉아 있다고 '그 외의 것들에 관련해서' 말해진다. X is Y에서 'Y'는 X에 본질적이거나 정의상 포함되는 것으로서 X에 관하여(peri)

"being(더 엄밀히 말하자면 'being Y')"이라고 말해진다. 다시 말해 X는 그 자체로 Y이다. 그러나 또한 'Y'는 X에 부수적으로 귀속되는 속성이나 성질 같은 것일 수 있다. 이 경우의 being Y'는 X에 관하여 X 이외의 것에 관련해서 말해진다. 그리고 X는 자신 이외의 것에 관련하여서 비로소 "being Y'"라고 말해지는 것이다.


다른 한편 어떤 것이 different라고 말해질 때, 이는 항상 다른 것(아마도 '그 외의 것'과 같은 의미에서)에 관련해서 말해진다. "X is diffrent from Y"라는 문장은 "Y is something that is different from X"라고 바꾸어 말해질 수 있다. 이는 다시금 "X is something(Y) that is different from X"라고도 표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X에 올 수 있는 모든 것은 그 자체로는 오직 자기 자신이기만 하다. 그 무엇도 자신의 정의나 본질 안에 "무엇과 다르다"라는 술어나 속성을 필연적으로 포함하고 있지는 않다. 예를 들어 인간은 개와 다르고 그래서 "개와 다른 것"이라고 말해질 수 있지만, 인간의 정의에 "개와 다르다"라는 것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여기에서 주의할 점은, '다른 것에 관련하여'가 "Z와 다르다"의 "Z"에 관련한다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리라는 점이다. "다른 것에 관련하여"라는 표현이 "그 외의 것에 관련하여"와 같은 의미라면, "인간은 동물과 다르다"라는 말이 참인 이유를 설명하기 곤란해질 것이다. 오히려 "다른 것에 관련하여"에서 "다른 것"은 비교대상이 아닌 그 차이가 나는 상태, 곧 '다름' 바로 그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형식적으로 말하자면 어떤 것도 타자와의 구분을 그 자체의 고유한 본질로 삼지는 않는다는 의미가 될 것이다. 


이런 식의 이해에 따를 때 문제는 다름 자체, "The Different Itself"라 할 만한 것, 다섯 개의 최고류 중 하나로서 지시되는 그 '다른 것'이라는 유(또는 형상)를 이해할 방법이다. 여타의 것들과 달리 다른 것 그 자체는 그 외의 어떤 것에도 의존하지 않고 그 자체로 본질적으로, 또 필연적으로 '다르다'라는 술어를 가질 것처럼 보인다. 좋은 것 그 자체가 가장 있는 그대로의 의미에서 좋다거나 아름다운 것이라는 형상 자체가 여타의 아름다운 것들을 아름답게 만들어주는 원천으로서 역시나 가장 아름답다는 등의, 말하자면 형상의 자기술어화 원리라 할 만한 것을 '다른 것'이라는 유에 적용할 경우, 앞서 주목한 구절에서의 규정과 달리 적어도 '다른 것'이라는 유 그 자체만은 '다른 것에 관련하여'서만 "다르다"라고 말해지지 않고 '그 자체로'도 "다르다"라고 말해져야 할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The Different is different from ...."이라는 문장은 그 안의 "is"라는 동사를 통해 다시 두 가지 방식으로 문장전환이 될 수 있다. 이 둘 각각은 우선 (1) '다른 것'이라는 유가 'being different'라고 그 자체로 이야기되는 경우와 (2) 그 유가 그렇게 '그 외의 것에 관련하여' 말해지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왜냐하면 지금 문제가 되는 문장에서 '다른 것'이라는 유는 "...is different ...."라고 말해지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여기에서 is는 앞서 언급된 것처럼 두 가지 방식으로 이야기되는 바로 그 "있는 것(being)"에 다름 아니기 때문이다. "다른 것"이라는 이름을 가진 유가 있다면 그것은 본질 상으로도 정의 상으로도 자기 자신을 술어로 삼을 것이다. 그러나 이는 구체적인 비교 대상을 상정하고 개별화된 사례로서 이것이 "다르다"라고 말하는 것과는 구분된다. 개별화된 사례에서 여타의 것들이, 굳이 말하자면, '다른 것'이라는 유에 참여함으로써 자신 이외의 것들과 "다른 것"으로 말해지듯, '다른 것'이라는 유도 여타의 것을 비교 대상으로 삼아 "다른 것"으로 말해질 때에는 이 참여의 방식을 공유해야 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이 '다른 것이란 유에의 참여'를 통한 경우 "being different"라는 이름의 강조점은 "different" 쪽에 주어진다. 반면 이 참여와 무관하게 그 자체로 말해지는 경우 "being different"라는 이름에서는 "being"이 강조되는 것이며, 이러한 "being different"는 그 자체로 말해진 한에서의 것으로서, 그 주어는 오직 '다른 것'이라는 유 그 자신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만일 "동물이다"라고 말해지는 경우를 생각해 본다면, 이는 인간도 개도 원숭이도 주어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와 유사하게 하위종에 대한 상위류, 혹은 복합체로서의 피정의항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정의항은 둘 이상의 주어에 참되게 서술되는 일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지금 '다른 것'이라는 유의 자체적 자기술어화 사례는 특수한 사례로 따로 취급되어야 한다.


흥미롭게도 그 자체적인 본질이나 정의를 '자체적으로 말해지는 경우의 being'을 경유하지 않고서는 표현할 수 없는 것이 '다른 것'이라는 유이다. 그리고 이와 유사한 처지에 놓인 또 다른 유가 바로 '운동'이라는 유이다. 이 유는 '정지'라는 유와 반대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언제나 움직이고 있는 그 움직임 자체이며, 그 움직임을 수행하는 어떤 것을 따로 상정하지 않는 기묘한 것이다. 운동이 운동인 한에서 그것은 질적으로도 양적으로도 생성과 소멸에 따라서도 장소에 따라서도 전적으로 움직이고 있어야만 한다. 그래서 그것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변화하며 이러한 한에서는 도무지 자기동일성을 유지하는 어떤 것으로 상정될 수가 없어 보인다. 그러나 앞서 '다른 것'이라는 유에 대한 자체적 서술의 방식이 허용된다면, 같은 방식이 '운동'이라는 유에 적용되지 못할 이유도 없다. 그리고 아마도 이러한 문제는 being 그 자체를 제외하고는 모든 것들에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일 수 있다. 계사적으로든 존재사적으로든 혹은 그러한 구분 없는 어떤 통합된 의미에서든 "is"라고 말해지기 위해서는 being에 참여해야 한다. 그래서 각각의 모든 것은 그 각각의 것'으로서 있기' 위해 being에 참여해야만 하며, 단지 자기 자신만으로는 어떻게도 이야기될 수 없다.


그러나 여전히, 자체적으로 성립하거나 서술되는 일이 극단적으로 어려워 보이는 또 다른 후보가 있다. 그것은 상, 모상, 가상이다. 이것들은 원본을 닮아 있는 것 또는 닮아 보이는 것으로서 규정되며, 따라서 원본을 가정하지 않고서는 이야기될 수 없다. 이는 다시 말해 그 자체만을 독립적으로 놓고서 바로 그것을 직접적으로 '상'이라고 규정할 수가 없는 것이다. 그래서 상은 그 자체로서는 상이라고 말해질 수 없다. 


같은 문제에 직면할 또 다른 대상은 '생각'과 '말'이다. 이것은 항상 무언가에 대한 것이며, 바로 그 무언가에 대해 그 무언가가 어떠어떠하다고 생각하거나 말하는 것이다. 아무것도 아닌 것을 생각하거나 말하는 일은 곧 아무 생각도 하지 않고 말하지 않는 것이다. 


그런데 상과 말은 이상의 문제를 유의 차원에서도 개별적으로 실현된 차원에서도 겪는 것으로 보인다. "X is Y"라는 말은 말이기 위해 X를 대상으로 그것에 대하여 Y가 있다고, 그렇게 대상을 상정함으로써만 비로소 무언가를 말하는 말이 된다. 그런데 유의 차원에서 '말'이라는 유는 역시나 그 자체로 다름 아닌 말이어야 한다. 그리고 말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보자면, 그것이 아무것도 말하지 않는 것으로서 그냥 어딘가 동떨어져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있을 수는 없다. 


* 주의할 점은 지금 고려되고 있는 유 또는 형상이 속성을 가리키는 추상명사나 어떤 보편자가 아니라 인과적 능력을 지니는 실체일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그것은 청동 조각상으로서 있다"라고 말할 때, 원본과의 관련을 전적으로 배제하고 보자면 실상 이 문장은 어떤 청동 덩어리인 것이 있다는 의미에 불과할 것이다. 그것이 '상'으로서 있기 위해서는 원본과의 관련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고, 바로 이 관련 한에서만 어떤 것이 '상'이라는 규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그림은 원본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아무것도 그린다고 볼 수 없고 그렇기 때문에 그림으로서 있다고 말할 수도 없으며 단지 선이나 면 또는 색으로 이루어진 조합물이 있다고만 이야기될 수 있을 것이다. 말이나 생각도, 운동도, 그리고 다르다는 것도 모두 같은 문제에 처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듯하다. 그렇다면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 역시 어느 정도는 공통점을 지닐 것으로 기대된다.


뭔가 전달이 잘 안 되네.


-蟲-

1.

 ἵπποι, ταί με φέρουσιν, ὅσον τ᾿ ἐπὶ θυμὸς[각주:1] ἱκάνοι

πέμπον, ἐπεί μ᾿ ἐς ὁδὸν βῆσαν πολύφημον[각주:2] ἄγουσαι

δαίμονος, ἣ κατὰ πάντ᾿ ἄστη(or ἄντην) φέρει εἰδότα φῶτα·[각주:3]

τῇ φερόμην· τῇ γὰρ με πολύφραστοι φέρον ἵπποι

ἅρμα τιταίνουσαι, κοῦραι δ᾿ ὁδὸν ἡγεμόνευον.

ἄξων δ᾿ ἐν χνοίῃσιν ἵει σύριγγος ἀυτήν

αἰθόμενος (δοιοῖς γὰρ ἐπείγετο δινωτοῖσιν

κύκλοις ἀμφοτέρωθεν), ὅτε σπερχοίατο πέμπειν

Ἡλιάδες κοῦραι, προλιποῦσαι δώματα Νυκτός,[각주:4]

εἰς φάος, ὠσάμεναι κράτων ἄπο χερσὶ καλύπτρας.

 열정이 미치는 곳까지 나를 옮기기에 충분한 암말들이

나를 전송하였다, 나를 여신의 말이 많은 길을 향해 걸어가도록

이끈 뒤, 모든 도시를 따라(or 만물에 따라 곧바로)

앎은 지닌 필멸자를 옮기는 길로. 그 길이 나를 옮겨주었다.

무척이나 눈치 빠른 말들이 마차를 끌어 나를 옮기고,

소녀들이 길을 인도하였던 것이다.

차축이 축함을 달구어 안에서 호각소리를 내었다

(회전하는 두 바퀴에 양쪽에서 짓눌리고 있었으니),

태양(헬리오스)의 여식들이 전송을 재촉하던 때에,

밤(뉙스)의 거처를 버려두고서, 빛을 향하여, 머리에서부터

두 손으로 너울을 밀어 젖힌 그녀들이.

ἔνθα πύλαι Νυκτός τε καὶ Ἤματός εἰσι κελεύθων,

καί σφας ὑπέρθυρον ἀμφὶς ἔχει καὶ λάινος οὐδός·

αὐταὶ δ᾿ αἰθέριαι πλῆνται μεγάλοισι θυρέτροις·

τῶν δὲ Δίκη πολύποινος[각주:5] ἔχει κληῖδας ἀμοιβούς.

τὴν δὴ παρφάμεναι κοῦραι μαλακοῖσι λόγοισιν

πεῖσαν[각주:6] ἐπιφραδέως, ὥς σφιν βαλανωτὸν ὀχῆα

ἀπτερέως ὤσειε πυλέων ἄπο· ταὶ δὲ θυρέτρων

χάσμ᾿ ἀχανὲς ποίησαν ἀναπτάμεναι πολυχάλκους

ἄξονας ἐν σύριγξιν ἀμοιβαδὸν εἰλίξασαι

γόμφοις καὶ περόνῃσιν ἀρηρότε· τῇ ῥα δι᾿ αὐτέων

ἰθὺς ἔχον κοῦραι κατ᾿ ἀμαξιτὸν ἅρμα καὶ ἵππους.

 그곳에는 밤(뉙스)과 낮(에마르)의 여로의 문짝들이 있으며,

상인방과 대리석 문턱이 그 문짝들을 감싸고 있다.

그 창공의(ethereal) 문짝들은 거대한 문틀에 채워졌다.

크게 보복하는 정의(디케)께서 그 문들의 전환하는(or 응보의)

열쇠들을 지니신다. 소녀들이 부드러운(상냥한) 말들로

정의께 속삭이며 사려깊게 설득하였다, 자신들을 위해

어서 죄고 있는 빗장을 관문들로부터 밀어내 주시라고.

관문들은 원통 속 청동으로 된 문주들을 차례로 감으며

날개를 펼쳐 말뚝과 못으로 짜맞추어진 문들의 벌어진 

균열을 만들었다. 그리하여 그 길에서 문들을 지나

소녀들이 곧게 마찻길을 따라 마차와 말들을 데려갔다.

καί με θεὰ πρόφρων ὑπεδέξατο, χεῖρα δὲ χειρί

δεξιτερὴν ἕλεν, ὧδε δ᾿ ἔπος φάτο καί με προσηύδα·

ὦ κοῦρ᾿ ἀθανάτοισι συνάορος ἡνιόχοισιν,

ἵπποις θ᾿, αἵ σε φέρουσιν ἱκάνων ἡμέτερον δῶ,

χαῖρ᾿, ἐπεὶ οὔτι σε μοῖρα κακὴ προὔπεμπε νέεσθαι

τήνδ᾿ ὁδόν, ἦ γὰρ ἀπ᾿ ἀνθρώπων ἐκτὸς πάτου ἐστίν[각주:7],

ἀλλὰ θέμις τε δίκη τε. χρεὼ δέ σε πάντα πυθέσθαι

ἠμὲν Ἀληθείης εὐκυκλέος ἀτρεμὲς ἦτορ

ἠδὲ βροτῶν δόξας, ταῖς οὐκ ἔνι πίστις ἀληθής.

ἀλλ᾿ ἔμπης καὶ ταῦτα μαθήσεαι, ὡς τὰ δοκοῦντα

χρῆν δοκίμως εἶναι διὰ παντὸς πάντα περῶντα(or περ ὄντα).

그리고 나를 여신께서 기꺼이 맞이해 주셨고, 오른손으로

내 손을 맞잡으시고는, 나를 가까이 불러 이러한 이야기를 

말씀해 주셨다. "불멸하는 마부들과 또한, 너를 옮겨준

말들과 함께 맺어진 자로서 우리의 거처에 당도한 소년이여,

반갑구나, 네가 이 길로 나아가도록 전송해 주었던 것은

나쁜 운명이 아니라, 사람들이 거닐어 다진 길로부터 밖으로

정녕코 멀리 떨어져 있으니, 오히려 법이고 또한 정의이기에.

너는 완벽한 진리의 불요한 심장과 또한 참된 확신이 들지 

않은 필멸자들의 믿음들까지 그 모든 것을 배워야만 한다.

허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너는 이것들까지 배울 것이다,

믿어진 것들이 어떻게 모든 시간을 통해 모든 것들을 

거쳐가며 믿어짐직하게 있어야만 했었는지를. 


1> 믿어진 것들이 어떻게 모든 시간을 통해 모든 있는 것들에 관련하여 믿어짐직하게 있어야만 했었는지를.

2> 믿어진 것들 모두가 어떻게 모든 것(전체)을 통과해 지나가며 ...

3> 믿어진 것들 모두가 어떻게 모든 것(전체)를 통해 있는 것들에 관련하여 ...

4> 어떻게(x) → 있어야만 했었다는 것을.

5> 믿어진/여겨진. 그럴 듯한/겉보기에 불과한.


2. 

 εἰ δ᾿ ἄγ᾿ ἐγὼν ἐρέω, κόμισαι δὲ σὺ μῦθον ἀκούσας,

αἵπερ ὁδοὶ μοῦναι διζήσιός εἰσι νοῆσαι·

ἡ μὲν ὅπως ἔστιν τε καὶ ὡς οὐκ ἔστι μὴ εἶναι,

Πειθοῦς ἐστι κέλευθος (Ἀληθείῃ γὰρ ὀπηδεῖ),

ἡ δ᾿ ὡς οὐκ ἔστιν τε καὶ ὡς χρεών ἐστι μὴ εἶναι,

τὴν δή τοι φράζω παναπευθέα ἔμμεν ἀταρπόν·

οὔτε γὰρ ἂν γνοίης τό γε μὴ ἐὸν (οὐ γὰρ ἀνυστόν)

οὔτε φράσαις.

자, 오라, 내가 이야기할지니, 너는 이야기를 들어 간직하라,

탐구의 오직 바로 그 길들만이 사유토록 있노라.

한편은 있다는 그리고 또한 있지 않을 수 없다는 길이요,

설득의 여로로서 있노라([그 길이] 진리에 동반하기에),

다른 한편은 있지 않다는 그리고 또한 있지 않아야만 한다는 길이요, 

그리하여 그 길은 전적으로 배우지 못하는 경로로서 있음을

네게 고하여 주노라. 있지 않은 것만은 네가 알지도 못할 것이며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기에) 고하지도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 사유할 길들은 아마도 사유할 수 있는 길들일 텐데, 반면에 두 길 중

한 길은 불가능하고, 알 수 없고, 말할 수 없는 듯하다. 그렇다면 이 길이

어떻게 사유를 위한 길인가? 혹은 사유를 위한 길들이 not-being을 제외하고

다른 길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가? 

> '사유할 수 있는'으로 번역하지 말고 '사유를 위한' 조건처럼 전제되는 두 길이라고?

   혹은 두 번째 길은 배제하고, 또 다른 길로 doxa 길을 포함해 복수로 '길들'이라고?

> 단편 5를 여기에 놓는 것은 어떤가? 있는 길과 있지 않은 길이 있고 어디서 시작하든

마찬가지인데, 다시 되돌아오기 때문이며, 그 이유는 같은 것이 존재와 사유를 위해

있기 때문이다.


3.

 . . . τὸ γὰρ αὐτὸ νοεῖν ἐστίν τε καὶ εἶναι.

 . . . 같은 것이 사유토록 또한 있도록 있기 때문이다.

      [같은 것이 사유를 위해서도 존재를 위해서도 있기 때문이다?]

      2) 사유도 있다는 것도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3) 사유한다는 것 자체는 또한 있다는 것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4) 같은 것을 사유될 수도 있고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5) 같은 것이 사유할 수도 있고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4.

 λεῦσσε δ᾿ ὅμως ἀπεόντα νόῳ παρεόντα βεβαίως·

οὐ γὰρ ἀποτμήξει τὸ ἐὸν τοῦ ἐόντος ἔχεσθαι

οὔτε σκιδνάμενον πάντῃ πάντως κατὰ κόσμον

οὔτε συνιστάμενον.

 한데 정신에게서 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곁에

확고하게 있는 것들을 보라. [정신은/너는] 우주를 따라 

모든 방향으로 완전히 흩뿌려진 있는 것도 함께 세워진(구성된) 

있는 것도 있는 것과의 연속됨으로부터 단절시키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1) ...보라. [너는] ... 단절시키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동사 인칭 일치가 곤란)

2) ...보라. [정신은] .... (아마도 내용상 자연스러움)

3) ..보라. [곁에 확고하게 있는 것들] ....

> 정신으로써 바라보는 것인가, 정신 곁에 있는 것들을 바라보는 것인가.

> 인식적 단계를 묘사하는 것 아닐까? 아직 알지 못하더라도

결국은 애초부터 전제되어 있던 것으로.

> 지성, 정신은 2)에 따르면 있는 것을 분할하지 않기 때문에,

   지성으로 바라보아야 한다. 그래서 첫줄의 dat.를 수단으로.

   떨어져 있다는 것과 단절시킨다는 것의 내용적 연관.


5.

                          ξυνὸν δέ μοί ἐστιν,

ὁππόθεν ἄρξωμαι· τόθι γὰρ πάλιν ἵξομαι αὖθις.[각주:8]

                          한데 내게는 공통된 것이다, 

내가 어디로부터 시작할 것이든. 그로부터 다시 

나는 곧장 되돌아올 테니까.


6.

 χρὴ τὸ λέγειν τε νοεῖν τ᾿ ἐὸν ἔμμεναι· ἔστι γὰρ εἶναι,

μηδὲν δ᾿ οὐκ ἔστιν· τά σ᾿ ἐγὼ φράζεσθαι ἄνωγα.

πρώτης γάρ σ᾿ ἀφ᾿ ὁδοῦ ταύτης διζήσιος <εἴργω>,[각주:9]

αὐτὰρ ἔπειτ᾿ ἀπὸ τῆς, ἣν δὴ βροτοὶ εἰδότες οὐδὲν

πλάττονται, δίκρανοι· ἀμηχανίη γὰρ ἐν αὐτῶν

στήθεσιν ἰθύνει πλακτὸν νόον· οἱ δὲ φοροῦνται

κωφοὶ ὁμῶς τυφλοί τε, τεθηπότες, ἄκριτα φῦλα,

οἷς τὸ πέλειν τε καὶ οὐκ εἶναι ταὐτὸν νενόμισται

κοὐ ταὐτόν, πάντων δὲ παλίντροπός ἐστι κέλευθος.

 있는 것을 말하고 생각하는 일이 있어야만 한다.

[있는 것이] 있도록 있으며, 아무것도 아닌 것은 있지

않기 때문이다. 나 그대에게 이것들을 유념하라 명하노라.

즉 우선 이러한 탐구의 길로부터 그대를 <차단하니>,

하지만 다음으로 필멸자들이 아무것도 알지 못한 채,

머리가 둘인 그들이 지어내는, 그 길로부터. 왜냐하면

그들의 가슴들 속 어찌할 수 없음이 배회하는 지성을

지배하기 때문이다. 그들은 귀먹고 눈먼 것처럼 끌려 

다닌다, 경악한 채, 판가름할 줄 모르는 족속들이,

있게 된다는 것도 있지 않다는 것도 같은 것으로 

또한 같지 않은 것으로도 그들에게 생각되어 온, 

모든 것들에 대해 반대로 되돌아가는 길이 있는,

그러한 자들이.

> <εἴργω> 이 삽입을 거부하면, 단편1에서 모든 것을 배우라는 요구와

일치시킬 수 있지 않겠는가. 그리고 이렇게 할 때 is의 길과 is not의 길

모두 한꺼번에 첫 번째 길로 볼 수 있고, 두 번째 길을 가사자의 길로

볼 수도 있지 않은가. Curd, Waterfield 등은 다른 학자들의 제안에 따라

start(archein) 삽입.

7.

οὐ γὰρ μήποτε τοῦτο δαμῇ εἶναι μὴ ἐόντα·

ἀλλὰ σὺ τῆσδ᾿ ἀφ᾿ ὁδοῦ διζήσιος εἶργε νόημα

μηδέ σ᾿ ἔθος πολύπειρον ὁδὸν κατὰ τήνδε βιάσθω,

νωμᾶν ἄσκοπον ὄμμα καὶ ἠχήεσσαν ἀκουήν

καὶ γλῶσσαν, κρῖναι δὲ λόγῳ πολύδηριν ἔλεγχον

그대는 있지 않은 것들로 있다는 이것을 결코 지배하지

못할 터이기 때문이다. 오히려 그대는 탐구의 여기 

이 길로부터 사유를 차단하고 그대를 익숙함이 

경험으로 점철된(or 경험으로 점철된 익숙함이) 

여기 이 길을 따라, 초점 잃은 눈과 울려대는 귀 그리고 

혀를 다루도록, 강제하지도 못하게 하되, [8.나로부터 

이야기되어 나온 말들로부터] 논란이 많은 시험을 

그대는 논리로써 판가름하라.

τοῦτο: 지시사로 앞서 생략된 맥락에 관련되거나, εἶναι μὴ ἐόντα 를 한정할 것이다.

δαμῇ: 2인칭 subj. 또는 3인칭 subj. mp.

εἶναι μὴ ἐόντα: "있지 않은 것들이 있다" 또는 "있지 않은 것들로 있다" 둘 다 가능.

   "있지 않은 것들이"라 번역하기에는 관사가 없다는 점이 문제가 된다.

   반면 "있지 않은 것들로"라는 번역은 생략된 혹은 존재하지 않는 주어가 문제가 된다.

> not-being is가 우세하지 않을 테니, 오히려 이 길에서

   너의 사유를 차단하고, 습관이 너로 하여금 경험적 길을 따라 

   지각을 사용하도록 강제하는 일을 거부하라.

> "논란이 많은 시험"은 가사자의 혼란인가, being과 진리의 길인가?

   being과 진리의 길에 대한 '가사자들의 입장'과 '여신의 입장'이

  구분? 혹은 여신이 말한 가사자들의 믿음 영역? 

> 익숙한 경험에 따른 지각의 길/여신에 의해 논박된 길

> 익숙함이 사용하게 강제하거나, 사용하는 길에 따르도록 강제하거나.

   전자의 경우 길은 중립적, 후자의 경우 길 자체가 부정적. 

8.

ἐξ ἐμέθεν ῥηθέντα. μόνος δ᾿ ἔτι μῦθος ὁδοῖο

λείπεται ὡς ἔστιν· ταύτῃ δ᾿ ἐπὶ σήματ᾿ ἔασι

πολλὰ μάλ᾿, ὡς ἀγένητον ἐὸν καὶ ἀνώλεθρόν ἐστιν,

ἐστι γὰρ οὐλομελές τε καὶ ἀτρεμὲς ἠδ᾿ ἀτέλεστον·

[οὖλον μουνογενές           ...           ἠδὲ τέλειον.][각주:10]

                         한데 아직 "있다"라는 길에 대한

유일한 이야기가 남아 있다. 이 길을 따라 무척이나

많은 표지들이 있으니, 생성되지 않는 것으로 있는

것이자 불멸하는 것으로 있다고 하는. 왜냐하면

사지가 온전한 것이자 흔들리지 않는 것으로 이미

끝없는 것으로서 있기 때문이다.

[단일한 유로 된 전체로서 또한 흔들리지 않거니와

완결된 것으로서 있기 때문이다.]

οὐδέ ποτ᾿ ἦν οὐδ᾿ ἔσται, ἐπεὶ νῦν ἔστιν ὁμοῦ πᾶν,

ἕν, συνεχές· τίνα γὰρ γένναν διζήσεαι αὐτοῦ;

πῇ πόθεν αὐξηθέν; οὐδ᾿ ἐκ μὴ ἐόντος ἐάσσω

φάσθαι σ᾿ οὐδὲ νοεῖν· οὐ γὰρ φατὸν οὐδὲ νοητόν

ἔστιν ὅπως οὐκ ἔστι. τί δ᾿ ἄν μιν καὶ χρέος ὦρσεν

ὕστερον ἢ πρόσθεν, τοῦ μηδενὸς ἀρξάμενον, φῦν;

언젠가 있었지도 있을 것이지도 않으니, 지금 한 번에

모든 것으로, 하나로, 연속된 것으로서 있기에 그러하다.

그야 그대가 그것의 무슨 탄생을 추구하겠는가?

어디에서 어디로 자라났겠는가? 있지 않은 것으로부터

그대가 말하는 일도 생각하는 일도 나는 허용하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있지 않은 바 바로 그것은

말해지는 것으로도 생각되는 것으로도 있지 않기

때문이다. 한데 무엇이 그것을 이후에나 이전에

일으켰어야만 하기까지 했는가, 아무것에서도 시작하지

않은 것을, 자라나도록?

[있지 않은 것보다 이후든 이전이든 시작하고 자라나도록]

οὕτως ἢ πάμπαν πελέναι χρεών ἐστιν ἢ οὐκί.

οὐδέ ποτ᾿ ἐκ μὴ ἐόντος ἐφήσει πίστιος ἰσχύς

γίγνεσθαί τι παρ᾿ αὐτό· τοῦ εἵνεκεν οὔτε γενέσθαι

οὔτ᾿ ὄλλυσθαι ἀνῆκε Δίκη χαλάσασα πέδῃσιν,

ἀλλ᾿ ἔχει· ἡ δὲ κρίσις περὶ τούτων ἐν τῷδ᾿ ἔστιν·

ἔστιν ἢ οὐκ ἔστιν· κέκριται δ᾿ οὖν, ὥσπερ ἀνάγκη,

τὴν μὲν ἐᾶν ἀνόητον ἀνώνυμον (οὐ γὰρ ἀληθής

ἔστιν ὁδός), τὴν δ᾿ ὥστε πέλειν καὶ ἐτήτυμον εἶναι.

전적으로 그런 식으로 있게 되는 일이 숙명이거나

아니면 있지 않다. 확신의 강력함은 있지 않은 것으로부터 

무언가가 그 곁에 생성되는 일을 허용하지도 않을 것이다. 

그것을 위해 정의께서는 생성되지도 소멸되지도 않도록

족쇄를 풀어 허용하시지 않고, 붙들고 계시노라. 한데

그 일들에 관한 판결은 이하의 것들 안에 있다. 있거나

혹은 있지 않거나. 그러므로 판결되었다, 필연이 그러하듯,

한편은 사유되지 않고 이름 없는 것으로 (왜냐하면 참된

길로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다른 한편은 있게 되고

또한 명실상부하게 있도록.

πῶς δ᾿ ἂν ἔπειτ᾿ πέλοιτο[ἀπόλοιτο] ἐόν; πῶς δ᾿ ἄν κε γένοιτο;

εἰ γὰρ ἔγεντ᾿, οὐκ ἔστ(ι), οὐδ᾿ εἴ ποτε μέλλει ἔσεσθαι.

τὼς γένεσις μὲν ἀπέσβεσται καὶ ἄπυστος ὄλεθρος.

한데 있는 것이 어떻게 이후에 있게[해체]되겠는가? 어떻게

생성되겠는가? 만일 생성되었더라면, 있지 않고, 만일

장차 언젠가 있을 것이라고 하더라도 있지 않다. 

그렇게 생성은 사그라들어[각주:11] 버리고 파괴는 들리지 않는다.

οὐδὲ διαιρετόν ἐστιν, ἐπεὶ πᾶν ἐστιν ὁμοῖον·

οὐδέ τι τῇ μᾶλλον, τό κεν εἴργοι μιν συνέχεσθαι,

οὐδέ τι χειρότερον, πᾶν δ᾿ ἔμπλεόν ἐστιν ἐόντος.

τῷ ξυνεχὲς πᾶν ἐστιν· ἐὸν γὰρ ἐόντι πελάζει.

분할되는 것으로 있지도 않으니, 모든 것이 마찬가지인

것으로 있기에 그러하다. 어딘가에서 무언가가, 그것이

연속되는 일을 가로막을 것으로서, 더 많은 것도 아니고,

무언가 더욱 못 미치는 것도 아니며, 모든 것이 있는

것으로 가득 채워진 것으로서 있다. 있는 것이 있는

것에 다가가기 때문이다.[각주:12]

αὐτὰρ ἀκίνητον μεγάλων ἐν πείρασι δεσμῶν

ἔστιν ἄναρχον ἄπαυστον, ἐπεὶ γένεσις καὶ ὄλεθρος

τῆλε μάλ᾿ ἐπλά[γ]χθησαν, ἀπῶσε δὲ πίστις ἀληθής.

ταὐτόν τ᾿ ἐν ταὐτῷ τε μένον καθ᾿ ἑαυτό τε κεῖται

χοὔτως ἔμπεδον αὖθι μένει· κρατερὴ γὰρ Ἀνάγκη

πείρατος ἐν δεσμοῖσιν ἔχει, τό μιν ἀμφὶς ἐέργει,

οὕνεκεν οὐκ ἀτελεύτητον τὸ ἐὸν θέμις εἶναι·

ἔστι γὰρ οὐκ ἐπιδευές· [μὴ] ἐὸν δ᾿ ἂν παντὸς ἐδεῖτο.

더군다나 거대한 매듭들의 한계들 안에서 운동하지

않고 시작하지 않는 것이자 그치지 않는 것으로 있으니,

생성과 파괴가 매우 멀리서 주조되었고[엇나갔고(방황하였고)], 

참된 확신은 [그것들을] 밀쳐냈기 때문이다. 같은 것으로서 

또한 같은 것 안에서 머무르며 또한 그 자신에 따라 

그렇게 자리잡아 굳건하게 그 자리에 머무른다. 강력한 

필연이 한계의 매듭들 안에 붙잡아두고, 그것을 둘러 

가두니, 있는 것이 미완의 것으로 있지 않도록 하는 

법칙 때문이다. 그것은 부족한 것으로 있지 않기 때문이며, 

그러나 있지 않은 것은 모든 것이 부족하였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다면 있는 것이 모든 것에 부족하였을 터이기 때문이다.]    //201026

ταὐτὸν δ᾿ ἐστὶ νοεῖν τε καὶ οὕνεκεν ἔστι νόμημα.

οὐ γὰρ ἄνευ τοῦ ἐόντος, ἐν ᾧ πεφατισμένον ἐστιν,

εὑρήσεις τὸ νοεῖν· οὐδὲν γὰρ <ἢ> ἔστιν ἢ ἔσται

ἄλλο πάρεξ τοῦ ἐόντος, ἐπεὶ τό γε Μοῖρ᾿ ἐπέδησεν

οὖλον ἀκίνητόν τ᾿ ἔμεναι· τῷ πάντ᾿ ὄνομ(α) ἔσται,

ὅσσα βροτοὶ κατέθεντο πεποιθότες εἶναι ἀληθῆ,

γίγνεσθαί τε καὶ ὄλλυσθαι, εἶναί τε καὶ οὐχί,

καὶ τόπον ἀλλάσσειν διά τε χρόα φανὸν ἀμείβειν.

같은 것이 생각하도록 있으며 또한 생각이 있기

때문에도 있다. 말해진 것이 그 안에 있는 바, 그

있는 것 없이는 그대가 생각한다는 것을 발견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있는 것을 제외하고 그 외의

것은 있지도 않고 있을 것이지도 않으니,

                             [시간이 있는 것에 따르는 다른

것으로 있거나 있을 것이거나 하지도 않으니, by Coxon]  

                                                    운명은 

그 전체를 운동하지 않는 것으로 있도록 묶어두었기

때문이다. 그런 식으로 모든 것들이 이름일 것이니, 

가사자들이 진리로서 있다고 상정해 놓으며 설득시켜왔던 

모든 것들이, 생성되며 또한 파괴된다고, 있으며 또한 

있지 않기도 하다고, 장소를 바꾸고 색을 통해 밝기를 

바꾼다고 [정하고 설득시켜온 모든 것들이].

 αὐτὰρ ἐπεὶ πεῖρας πύματον, τετελεσμένον ἐστί

πάντοθεν, εὐκύκλου σφαίρης ἐναλίγκιον ὄγκῳ,

μεσσόθεν ἰσοπαλὲς πάντῃ· τὸ γὰρ οὔτε τι μεῖζον

οὔτε τι βαιότερον πελέναι χρεόν ἐστι τῇ ἢ τῇ.

οὔτε γὰρ οὐκ ἐὸν ἔστι, τό κεν παύοι μιν ἱκνεῖσθαι

εἰς ὁμόν, οὔτ᾿ ἐὸν ἔστιν ὅπως εἴη κεν ἐόντος

τῇ μᾶλλον τῇ δ᾿ ἧσσον, ἐπεὶ πᾶν ἐστιν ἄσυλον·

οἷ γὰρ πάντοθεν ἶσον, ὁμῶς ἐν πείρασι κύρει.

 더욱이 한계의 극단에서 있기에, 모든 곳으로부터 

완성된 것으로 있고, 훌륭한 원형으로 된 구-체를 

닮은 것으로, 중심으로부터 모든 방면으로 등거리인 

것으로 있노라. 어떤 측면이 어떤 측면보다 무언가

더욱 크지도 않고 무언가 더욱 작지도 않은 것이

있게 되어야만 하는 것으로 있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있는 것은] 있지 않은 것으로서, 마찬가지의 

것으로 그것이 나아가는 일을 중단시킬 것으로서 

있지도 않거니와, 있는 것보다 어떤 측면에서는 

더 많은 것으로 반면 어떤 측면에서는 더 적은 것으로 

있을 바로 그런 있는 것으로 있지도 않으니, 그 모든 

것이 불가침한 것으로서 있기에 그러하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모든 것으로부터 자신과 같은 만큼의 것으로서,

마찬가지 방식으로 한계들 안에서 [한계들에] 부딪치기

때문이다. 

 ἐν τῷ σοι παύω πιστὸν λόγον ἠδὲ νόημα                        //201102

ἀμφὶς ἀληθείης· δόξας δ᾿ ἀπὸ τοῦδε βροτείας

μάνθανε κόσμον ἐμῶν ἐπέων ἀπατηλὸν ἀκούων.

거기에서 나는 그대에게 이제 확신을 갖춘 논리와 

진리를 포괄하는 사유를 중단하노라. 허나 이하로부터 

가사자가 지니는 믿음들을 내가 하는 언명들의 기만적인 

질서를 들음으로써 배우라.

> B1 "δοκίμως"와 여기 "κόσμον"가 맥락상 연결되고 있을지?

 μορφὰς γὰρ κατέθεντο δύο γνώμας ὀνομάζειν·

τῶν μίαν οὐ χρεών ἐστιν―ἐν ᾧ πεπλανημένοι εἰσίν―

τἀντία δ᾿ ἐκρίναντο δέμας καὶ σήματ᾿ ἔθεντο

χωρὶς ἀπ᾿ ἀλλήλων, τῇ μὲν φλογὸς αἰθέριον πῦρ,

ἤπιον ὄν, μέγ᾿ [ἀραιὸν] ἐλαφρόν, ἑωυτῷ πάντοσε τωὐτόν,

τῷ δ᾿ ἑτέρῳ μὴ τωὐτόν· ἀτὰρ κἀκεῖνο κατ᾿ αὐτό

τἀντία νύκτ᾿ ἀδαῆ, πυκινὸν δέμας ἐμβριθές τε.

τόν σοι ἐγὼ διάκοσμον ἐοικότα πάντα φατίζω,

ὡς οὐ μή ποτέ τίς σε βροτῶν γνώμη παρελάσσῃ.

 즉 그들은 두 가지 형태들을 명명하기로 결정을 

내렸노라. 그것들 중 한 형태를 명명하는 일은 

하지 않아야만 하는 것으로 있다. 그 안에서 그들은 

방황하는 채로 있다. 그러나 그들은 물체를 놓고 

반대되는 것들을 구분하였고 표지들을 상호로부터 

독립시켜 놓았으며, 한편에는 불길을 일으키는 

천계의 불, 부드러운 것으로 있으며, 대단히 [성기고] 

가벼운, 제 자신과 모든 방면으로 같은 것이자, 

다른 것과는 같지 않은 것으로 있는 것을 놓았다.

더욱이 그들은 그 자체로 반대되는 저 어두운 밤도, 

빽빽하고도 무거운 물체인 그 또한 놓았다. 나는 

그대에게 그 질서를 모두 모상적인 것으로 말하노라, 

가사자들의 그 어떤 의견도 결코 그대를 따라잡지 

못하도록.


9.

 αὐτὰρ ἐπειδὴ πάντα φάος καὶ νὺξ ὀνόμασται

καὶ τὰ κατὰ σφετέρας δυνάμεις ἐπὶ τοῖσί τε καὶ τοῖς,

πᾶν πλέον ἐστὶν ὁμοῦ φάεος καὶ νυκτὸς ἀφάντου

ἴσων ἀμφοτέρων, ἐπεὶ οὐδετέρῳ μέτα μηδέν.

 모든 것들이 빛과 밤으로 명명되고 그것들의 능력들에

따른 것들이 이러저러한 것들에 명명되었기에, 모든 것이

한꺼번에 빛과 드러나지 않는 밤 그 양쪽 모두로 같은 정도로

채워져 있으니, 어느 쪽으로도 아무것도 아닌 것을 넘어서서

있지 않기에 그러하다.


10.

 εἴσῃ δ᾿ αἰθερίαν τε φύσιν τά τ᾿ ἐν αἰθέρι πάντα

σήματα καὶ καθαρᾶς εὐαγέος ἠελίοιο

λαμπάδος ἔργ᾿ ἀίδηλα καὶ ὁππόθεν ἐξεγένοντο,

ἔργα τε κύκλωπος πεύσῃ περίφοιτα σελήνης

καὶ φύσιν, εἰδήσεις δὲ καὶ οὐρανὸν ἀμφὶς ἔχοντα

ἔνθεν [μὲν γὰρ] ἔφυ τε καὶ ὥς μιν ἄγουσ(α) ἐπέδησεν Ἀνάγκη

πείρατ᾿ ἔχειν ἄστρων.

 그대는 알게 될 것이다 에테르적 본성과 에테르 안의 모든

표지들 그리고 선명한 태양의 순수한 빛의 보이지 않는

일들을 그리고 어디로부터 생성되어 나왔는지를,

또한 원형의 달의 이동하는 일들과 본성을 들어 배울 것이고,

더 나아가 그대는 [그것들을] 에워싸는 상태인 하늘 또한

어디에서 자라났으며 어떻게 필연이 그것을 이끌어 

묶어 별들의 한계들을 지니도록 했는지를 알게 될 것이다.


11.

 πῶς γαῖα καὶ ἥλιος ἠδὲ σελήνη

αἰθήρ τε ξυνὸς γάλα τ᾿ οὐράνιον καὶ ὄλυμπος

ἔσχατος ἠδ᾿ ἄστρων θερμὸν μένος ὡρήθησαν

γίγνεσθαι.

 어떻게 대지와 태양 그리고 달과 공통의 에테르 

또한 천상의 은하와 극단의 올림포스 그리고 별들의

열을 내는 힘이 생성되도록 추동되었는지.


12.

 αἱ γὰρ στεινότεραι πλῆντο πυρὸς ἀκρήτοιο,

αἱ δ᾿ ἐπὶ ταῖς νυκτός, μετὰ δὲ φλογὸς ἵεται αἶσα·

ἐν δὲ μέσῳ τούτων δαίμων ἣ πάντα κυβερνᾷ·

πάντα γὰρ <ἣ> στυγεροῖο τόκου καὶ μίξιος ἄρχει

πέμπουσ᾿ ἄρσενι θῆλυ μιγῆν τό τ᾿ ἐναντίον αὖτις

ἄρσεν θηλυτέρῳ.

 왜냐하면 더 좁은 것들이 뒤섞이지 않은 불로 채워졌고,

이것들 다음의 것들은 밤으로 채워졌으며, 그런데 

그 사이에 화염의 일부가 방출된다. 그런데 이것들의 

중심에 모든 것들을 통솔하는 신령이 통솔하고 있다. 

왜냐하면 <그녀가> 모든 것들을 두고 끔찍한 출산과 

결합을 시작하기를 남성에게 여성을 또 반대로 다시 

남성을 여성에게 섞이도록 보내어서 그리하였다.

> 결합은 진리에 반하는 것. 그런데 결합은 

반대자(여/남 혹은 남/여)를 필요로 한다.  //201123


13.

 πρώτιστον μὲν Ἔρωτα θεῶν μητίσατο πάντων . . .

 모든 신들 중에서 가장 최초로 애욕을 고안하였노라 . . .


14.

 νυκτιφαὲς περὶ γαῖαν ἀλώμενον ἀλλότριον φῶς

 [달은] 밤에 빛나며 대지 지위를 배회하는 이질적인 빛

 - 본래의 순수한 빛, 불, 에테르와 구분된다는 의미에서 "이질적"인가?



15.

 αἰεὶ παπταίνουσα πρὸς αὐγὰς ἠελίοιο.

 [달이] 태양의 빛살을 영원히 주시하여.


[Coxon. 16.] ὑδατόριζον (sc. τὴν γῆν)

                물에 뿌리내린 (대지)


16.

 ὡς γὰρ ἕκαστος ἔχει[ἔχη] κρᾶσιν[κρῆσιν] μελέων πολυπλάγκτων,

τὼς νόος ἀνθρώποισι παρίσταται[παρέστηκεν]· τὸ γὰρ αὐτό

ἔστιν ὅπερ φρονέει μελέων φύσις ἀνθρώποισιν

καὶ πᾶσιν καὶ παντί· τὸ γὰρ πλέον ἐστὶ νόημα.

 왜냐하면 각자가 무척이나 방황하는 지체들의 혼합을

지니듯, 그렇게 지성이 인간들에게 곁하여 서기 때문이다.

즉 지체들의 본성이 사유하는 바로 그것은 인간들

전부에게도 또한 그 모두에게도 같은 것으로 있다. 

왜냐하면 더욱 큰 것이 사유로서 있기 때문이다.


17.

δεξιτεροῖσιν μὲν κούρους, λαιοῖσι δὲ κούρας . . .

오른편에는 소년들을, 왼편에는 소녀들을 . . .


18.

 femina virque simul Veneris cum germina miscent,

 venis informans diverso ex sanguine virtus

 temperiem servans bene condita corpora fingit.

 nam si virtutes permixto semine pugnent

 nec faciant unam permixto in corpore, dirae

 nascentem gemino vexabunt semine sexum.

 여성과 남성이 비너스의 씨앗을 함께 섞을 때,

 상반된 피로부터 정맥들을 형성하는 힘이 

 절제(중용)를 보존함으로써 훌륭하게 짜맞추어진 

 신체를 만든다. 왜냐하면 만일 정자가 혼화될 때

 힘들이 다투거나 혼화된 육체 안에서 하나(의 형상)를

 이루지 못한다면, 복수의 여신들이 태어나는

 성을 이중의 씨앗으로 뒤흔들 것이기 때문이다.


19.

οὕτω τοι κατὰ δόξαν ἔφυ τάδε καὶ νυν ἔασι

καὶ μετέπειτ᾿ ἀπὸ τοῦδε τελευτήσουσι τραφέντα·

τοῖς δ᾿ ὄνομ᾿ ἄνθρωποι κατέθεντ᾿ ἐπίσημον ἑκάστῳ.

그렇게 믿음에 따라 여기 이것들이 자라났고 지금 있으며

이후에도 여기 이것으로부터 양육받은 것들이 끝맺으리라.

그런데 인간들은 그것들 각각에 이름을 표식으로 부여하였다.


-蟲-

  1. 내 의지의 범위로는 능동, 그런데 옮겨지는 것 자체는 수동. [본문으로]
  2. 논란이 많다기 보다는 이후 논의 전개로 보면 귀류법적 논증들의 다양성을 표현하는 것일 수도. 혹은 사람들의 언급이 많이 있어 왔다. [본문으로]
  3. 여기까지 논의가 인간계의 믿음들이 난립하는 단계인지, 혹은 아는 자에 어울리는 진리와 그 진리의 증명들의 길인지. [본문으로]
  4. 밤에서 새벽으로 나아가면서 태양의 딸들이 빛으로 드러나는 상황? 무지에서 앎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묘사하고 있는가? [본문으로]
  5. 보복의 의미는? 있는 것은 있고 없는 것은 없다와 관련? 혹시 밤은 밤이고 낮은 낮인 것도? 경계를 넘나드는 것은 위험하다는 생각? 아낙시만드로스, 밤과 낮 그리고 계절의 변화에서 어둠이 잠식하면 이에 따른 응보로 빛이 압도, 빛이 압도하면 다시 이 응보로 어둠에 잠식. [본문으로]
  6. 정의가 왜 설득의 대상인가? 그리고 이 시점이 어둠에서 빛으로 날이 밝는 자연스러운 시점이기에 문이 열리는 것인가? 이 자연스러운 흐름이 진실이기에 이것을 설득시키는 것은 진실을 납득시키는 것이라고 볼 여지도... By Lee. [본문으로]
  7. 여기서 be 동사 첫 등장. 여신에 이른 길을 가리키는데, 정확히 진리의 길이기만 해서? 여기에서 be 동사 용법이 완전용법인가, 불완전인가? [본문으로]
  8. by Lee. Coxon의 경우 단편1 다음에 붙임. 진리의 길과 판단의 길의 출발점, 갈림길이 출발점이자 돌아오는 지점일 수 있을까? 그 경우 돌아오게 되는 이유, 양쪽 길의 공통점은 einai, 또는 둘 모두 여신의 말이라는 의미에서 그 옳음, 참이라고 할 수 있을까? 그러나 나는 be와 not be 갈림길, 또는 be의 진리의 길에 붙어야 할 듯. 혹은 단편 3에 이어서 사유에서 존재로 가든 존재에서 사유로 가든 되돌아온다는 것으로도 읽을 수 있지 않을까? [본문으로]
  9. This, First, Enquiry, way. 서로 여러 조합 가능. [본문으로]
  10. 33행 '불완전한 것이라는 것은 법도가 아니다'와 충돌 문제. [본문으로]
  11. by Lee. 헤라클레이토스를 저격하느라고 불을 끄는 식의 구상적 표현을 사용한 것일지도 모른다. [본문으로]
  12. "다가간다"가 장소 이동을 떠올리게 된다면 일관성이 떨어지지 않겠는가? A가 있다는 것과 B가 있다는 것 등등의 여러 있다들이 서로 유사한 의미로 통합되는 그림? 아니면 이미 있는 것이 연속적으로 함께 있는 상태를 달리 표현한 것? [본문으로]

Λεκτέον δὲ πότερον μιᾶς ἢ ἑτέρας ἐπιστήμης περί τε

τῶν ἐν τοῖς μαθήμασι καλουμένων ἀξιωμάτων καὶ περὶ                            20

τῆς οὐσίας. φανερὸν δὴ ὅτι μιᾶς τε καὶ τῆς τοῦ φιλοσόφου

καὶ ἡ περὶ τούτων ἐστὶ σκέψις· ἅπασι γὰρ ὑπάρχει τοῖς

οὖσιν ἀλλ᾿ οὐ γένει τινὶ χωρὶς ἰδίᾳ τῶν ἄλλων. καὶ χρῶν-

ται μὲν πάντες, ὅτι τοῦ ὄντος ἐστὶν ᾗ ὄν, ἕκαστον δὲ τὸ γένος

ὄν· ἐπὶ τοσοῦτον δὲ χρῶνται ἐφ᾿ ὅσον αὐτοῖς ἱκανόν, τοῦτο                       25

δ᾿ ἔστιν ὅσον ἐπέχει τὸ γένος περὶ οὗ φέρουσι τὰς ἀποδεὶ-

ξεις· ὥστ᾿ ἐπεὶ δῆλον ὅτι ᾗ ὄντα ὑπάρχει πᾶσι (τοῦτο γὰρ

αὐτοῖς τὸ κοινόν), τοῦ περὶ τὸ ὂν ᾗ ὂν γνωρίζοντος καὶ περὶ

τούτων ἐστὶν ἡ θεωρία. 

그런데 수학에서 공리라 불리는 것들에 관련하여서도 또 실체에

관련하여서도 단일한 학문에 속하는지 다른 학문에 속하는지

진술되어야만 한다. 그럼 이것들에 대한 탐구도 단일한 학문에 

속하며 또한 철학자의 탐구라는 점이 명백하다. 왜냐하면 

통틀어 모든 실체들에 [공리들이] 성립하지만 그 외의 것들과 

독립적으로 특정한 개별적 유에 성립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또한 

모든 이들이 공리들을 사용하는데, 이는 공리들은 있는 것인 

한에서의 있는 것에 속하고, 유는 각각의 것으로서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들은 공리들을 그들이 사용하여 닿기에 충분한

그 만큼의 범위에서 사용하고, 이는 그들이 그와 관련하여 

증명들을 제시하는 그 유가 적용되는 만큼의 범위이다. 그래서

있는 것들인 한에서 공리들이 모든 것들에 성립한다는 것이 

분명하기에 (즉 이런 것이 그것들에 공통된 것이니까), 있는 것인 

한에서의 있는 것에 관련하여 그리고 그 공리들에 관련하여 

아는 자에게 그 관조가 속해 있는 것이다. 

                                διόπερ οὐθεὶς τῶν κατὰ μέρος ἐπισκο-

πούντων ἐγχειρεῖ λέγειν τι περὶ αὐτῶν, εἰ ἀληθῆ ἢ μή,                               30

οὔτε γεωμέτρης οὔτ᾿ ἀριθμητικός, ἀλλὰ τῶν φυσικῶν ἔνιοι,

εἰκότως τοῦτο δρῶντες· μόνοι γὰρ ᾤοντο περὶ τε τῆς ὅλης

φύσεως σκοπεῖν καὶ περὶ τοῦ ὄντος. ἐπεὶ δ᾿ ἔστιν ἔτι τοῦ

φυσικοῦ τις ἀνωτέρω (ἓν γάρ τι γένος τοῦ ὄντος ἡ φύσις),

τοῦ καθόλου καὶ τοῦ περὶ τὴν πρώτην οὐσίαν θεωρητικοῦ καὶ ἡ                 35

περὶ τούτων ἂν εἴη σκέψις· ἔστι δὲ σοφία τις καὶ ἡ φυ-                     1005b1

σική, ἀλλ᾿ οὐ πρώτη. ὅσα δὲ ἐγχειροῦσι τῶν λεγόντων τινὲς

περὶ τῆς ἀληθείας ὃν τρόπον δεῖ ἀποδέχεσθαι, δι᾿ ἀπαι-

δευσίαν τῶν ἀναλυτικῶν τοῦτο δρῶσιν· δεῖ γὰρ περὶ τούτων

ἥκειν προεπισταμένους ἀλλὰ μὴ ἀκούοντας ζητεῖν. 

                                 바로 이런 이유로 부분에 따라 고찰하는 

자들 중 그 누구 하나 공리들에 관련하여 뭐라도, 참인지 거짓인지 

여부를, 논하는 일에 손을 대지 않는데, 기하학자도 산술가도 

손대지 않고, 오히려 자연학자들 중 일부 사람들이 손을 대며, 

이를 그럴 듯하게 수행한다. 왜냐하면 이들만이 자연 전체 관해서도 

또 있는 것에 관해서도 고찰하는 일을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자연학자보다 더 상위의 특정한 탐구자가 있기에 (자연은 

있는 것의 특정한 한 유이니까), 보편 이론가이자 제일 실체에 관한 

이론가에게 공리들에 관련한 탐구 역시 속할 것이다. 그런데 

자연학적 지혜도 특정한 지혜이지, 제일의 지혜는 아니다. 

[자연학을] 말하는 자들 중 어떤 자들이 그 진리에 관련하여 

받아들여져야 하는 그 방식에 손대는 그런 모든 일들의 경우, 

그들은 분석들에 대해 교육받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런 일을 

수행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 분석들에 관련하여 미리 아는 

자들이 나아가야 하지 들어 배우지 못한 자들이 탐구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ὅτι μὲν                          5

οὖν τοῦ φιλοσόφου, καὶ τοῦ περὶ πάσης τῆς οὐσίας θεωροῦντος

ᾗ πέφυκεν, καὶ περὶ τῶν συλλογιστικῶν ἀρχῶν ἐστὶν ἐπι-

σκέψασθαι, δῆλον· προσήκει δὲ τὸν μάλιστα γνωρίζοντα

περὶ ἕκαστον γένος ἔχειν λέγειν τὰς βεβαιοτάτας ἀρχὰς

τοῦ πράγματος, ὥστε καὶ τὸν περὶ τῶν ὄντων ᾗ ὄντα τὰς                           10

πάντων βεβαιοτάτας. ἔστι δ᾿ οὗτος ὁ φιλόσοφος. βεβαιο-

τάτη δ᾿ ἀρχὴ πασῶν περὶ ἣν διαψευσθῆναι ἀδύνατον·

γνωριμωτάτην τε γὰρ ἀναγκαῖον εἶναι τὴν τοιαύτην (περὶ

γὰρ ἃ μὴ γνωρίζουσιν ἀπατῶνται πάντες) καὶ ἀνυπόθετον.

                                                                    그러므로

철학자에, 그리고 본래적인 한에서의 모든 실체에 관련하여 

관조하는 자에게, 추론 원리들에 관련하려 관조하는 일 역시 

속한다는 점은, 분명하다. 그런데 각각의 유에 관련하여 가장 잘

아는 자가 해당 사안의 가장 엄밀한 원리들을 진술할 수 있다는

것이 적절하고, 그래서 있는 것들인 한에서의 있는 것들에 관련하여

가장 잘 아는 자가 또한 모든 것들의(중?) 가장 엄밀한 원리들을

말할 수 있다는 것이 적절하다. 그런데 철학자가 이러한 자이다.

모든 원리들 중 가장 엄밀한 원리는 그것에 관련하여 거짓되는

일이 불가능한 것이다. 왜냐하면 이러한 원리가 가장 분명하게

알려지는 원리로 (왜냐하면 알지 못하는 것들에 관련하여서는

모든 이들이 기만당하기에) 또한 무전제적인 것으로 있음이 

필연적이기 때문이다.

ἣν γὰρ ἀναγκαῖον ἔχειν τὸν ὁτιοῦν ξυνιέντα τῶν ὄντων, τοῦτο                    15

οὐχ ὑπόθεσις· ὃ δὲ γνωρίζειν ἀναγκαῖον τῷ ὁτιοῦν γνωρί-

ζοντι, καὶ ἥκειν ἔχοντα ἀναγκαῖον. ὅτι μὲν οὖν ἡ τοιαύτη

πασῶν βεβαιοτάτη ἀρχή, δῆλον· τίς δ᾿ ἔστιν αὕτη, μετὰ

ταῦτα λέγωμεν. τὸ γὰρ αὐτὸ ἅμα ὑπάρχειν καὶ μὴ

ὑπάρχειν ἀδύνατον τῷ αὐτῷ καὶ κατὰ τὸ αὐτό―καὶ ὅσα                             20

ἄλλα προσδιορισαίμεθ᾿ ἄν, ἔστω τὰ προδιωρισμένα πρὸς τὰς

λογικὰς δυσχερείας· αὕτη δ᾿ ἁπασῶν ἐστὶ βεβαιοτάτη τῶν

ἀρχῶν· ἔχει γὰρ τὸν εἰρημένον διορισμόν. ἀδύνατον γὰρ

ὁντινοῦν ταὐτὸ ὑπολαμβάνειν εἶναι καὶ μὴ εἶναι, καθάπερ

τινὲς οἴονται λέγειν Ἡράκλειτον. 

누구든 있는 것들 중 그 무엇이 되었든지 간에 그것을 아는

자가 필연적으로 지녀야만 하는 원리, 이러한 것은 가정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런데 무엇이 되었든지 간에 그것을 아는

자가 필연적으로 알아야만 하는 것, 그것을 가진 자가 또한

나아가는 것이 필연적이다. 그러므로 모든 원리들 중 이러한

원리가 가장 엄밀한 원리라는 점은, 분명하다. 그런데 이러한

원리가 무엇인지, 그것을 이 다음으로 진술해 보도록 하자.

이는 즉 같은 것이 같은 것에게 같은 것에 따라서 성립하는

동시에 성립하지 않기란 불가능하다는 원리이다.―우리가 

추가로 정의할 수 있을 다른 것들의 경우에도, 미리 정의된

것들로서 논리적 난제들에 대항하여(관계되어) 있다고 하자. 

그런데 이 원리가 통틀어 모든 원리들 중 가장 확고한 것이다. 

왜냐하면 앞서 언급된 정의가 성립하기 때문이다. 즉 

그 누가 되었든지 간에 같은 것을 있으며 있지 않다고, 마치 

어떤 이들이 헤라클레이토스가 그리 진술한다고 생각하는 것처럼, 

그렇게 간주하는 일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οὐκ ἔστι γὰρ ἀναγκαῖον,                           25

ἅ τις λέγει, ταῦτα καὶ ὑπολαμβάνειν· εἰ δὲ μὴ ἐνδέχε-

ται ἅμα ὑπάρχειν τῷ αὐτῷ τὰ ἐναντία (προσδιωρίσθω δ᾿

ἡμῖν καὶ ταύτῃ τῇ προτάσει τὰ εἰωθότα), ἐναντία δ᾿ ἐστὶ

δόξα δόξῃ ἡ τῆς ἀντιφάσεως, φανερὸν ὅτι ἀδύνατον ἅμα

ὑπολαμβάνειν τὸν αὐτὸν εἶναι καὶ μὴ εἶναι τὸ αὐτό· ἅμα                             30

γὰρ ἂν ἔχοι τὰς ἐναντίας δόξας ὁ διεψευσμένος περὶ τού-

του. διὸ πάντες ἀποδεικνύντες εἰς ταύτην ἀνάγουσιν

ἐσχάτην δόξαν· φύσει γὰρ ἀρχὴ καὶ τῶν ἄλλων ἀξιω-

μάτων αὕτη πάντων.

                                          누군가가 진술하는 것들을 

또한 [그렇다고] 간주하기까지 하는 게 필연적이지는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만일 반대자들이 같은 것에 동시에 성립하는 

일이 허용되지 않는다면 (우리에 의해 이러한 전건/명제에도 

익숙한 규정들이 추가로 정의되어 있다고 치자.), 그런데 한

믿음에 모순된 주장에 대한 믿음이 그 믿음에 반대되는 

믿음이라면, 같은 사람이 같은 것을 동시에 있으면서 또한 

있지 않다고 간주하기란 불가능하다는 점이 명백하다. 왜냐하면 

이 점에 관련하여 거짓에 빠진 자는 반대되는 믿음들을 

동시에 지닐 것이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증명을 수행하는

모든 이들이 이러한 극단의 믿음으로 [증명을] 환원시키는 

것이다. 왜냐하면 여타의 모든 공리들에 대해서도 원리는

자연적으로 이런 것이기 때문이다.



-蟲-

ΣΩ. Ὦ φίλε Πάν τε καὶ ἄλλοι ὅσοι τῇδε θεοί, δοίητέ

μοι καλῷ γενέσθαι τἄνδοθεν· ἔξωθεν δὲ ὅσα ἔχω, τοῖς ἐντὸς

εἶναί μοι φίλια. πλούσιον δὲ νομίζοιμι τὸν σοφόν· τὸ δὲ

χρυσοῦ πλῆθος εἴη μοι ὅσον μήτε φέρειν μήτε ἄγειν δύναιτο

ἄλλος ἢ ὁ σώφρων.


소크라테스: 친애하는 판과 또 여기 다른 신들이시여, 저에게 

안으로부터 아름다운 자가 됨을 허하여 주소서. 밖으로 제가 

지닌 것들이, 제 안의 것들과 우애롭게 있기를 제게 허하여 

주소서. 제가 현명한 자를 부유한 자로 여기기를 바라오며, 

지혜로운 자 말고 다른 이는 나르지도 이끌지도 못할 만큼의 

차고 넘치는 황금이 제게 있기를 바라나이다.


-蟲-

               

1.


Ἔστιν ἐπιστήμη τις ἣ θεωρεῖ τὸ ὂν ᾖ ὂν καὶ τὰ τούτῳ               1003a21

ὑπάρχοντα καθ᾿ αὑτό. αὕτη δ᾿ ἐστὶν οὐδεμιᾷ τῶν ἐν μέρει

λεγομένων ἡ αὐτή· οὐδεμία γὰρ τῶν ἄλλων ἐπισκοπεῖ

καθόλου περὶ τοῦ ὄντος ᾗ ὂν, ἀλλὰ μέρος αὐτοῦ τι ἀποτε-

μόμεναι περὶ τούτου θεωροῦσι τὸ συμβεβηκός, οἷον αἱ μαθη-             25

ματικαὶ τῶν ἐπιστημῶν. ἐπεὶ δὲ τὰς ἀρχὰς καὶ τὰς ἀκρο-

τάτας αἰτίας ζητοῦμεν, δῆλον ὡς φύσεώς τινος αὐτὰς

ἀναγκαῖον εἶναι καθ᾿ αὑτήν. εἰ οὖν καὶ οἱ τὰ στοιχεῖα τῶν

ὄντων ζητοῦντες ταύτας τὰς ἀρχὰς ἐζήτουν, ἀνάγκη καὶ τὰ

στοιχεῖα τοῦ ὄντος εἶναι μὴ κατὰ συμβεβηκὸς ἀλλ᾿ ᾗ                         30

ὄν· διὸ καὶ ἡμῖν τοῦ ὄντος ᾗ ὂν τὰς πρώτας αἰτίας

ληπτέον.

있는 것인 한에서의 있는 것과 이러한 것에 자체적으로

성립하는 것들을 관조하는 특정한 학문이 있다. 그런데

부분적으로 진술되는 학문들 중 단 하나와도 같지 않은

학문이 이러한 학문으로서 있다. 왜냐하면 여타의 지식들

중 단 하나도 있는 것인 한에서의 있는 것에 관하여 

보편적으로 고찰하지 않고, 오히려 그것의 특정 부분을

분리시킴으로써 이것에 관련하여 부수적인 것을 관조하니,

예를 들어 학문들 중에서 수학적 학문들이 그렇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리는 원리들과 최고 원인들을 탐구하기에,

그것들이 그 자체로서 특정 자연 본성에 속하여 있음이

필연적임은 분명하다. 그러므로 만일 있는 것들의 원소들을

탐구하는 자들 또한 이러한 원리들을 탐구했다면,

있는 것의 원소들 또한 부수적인 방식이 아니라 있는 것인

한에서 있음이 필연적이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는 있는 것인

한에서의 있는 것의 제일 원인들을 파악해야만 한다.


- καθ᾿ αὑτήν: phusis 수식? 아니면 원리와 원인 수식?

1) 특정 자연 본성의 원리와 원인이 자체적으로 있음이

필연적임은 분명하다.

2a) 그 원리와 원인이 자체적인 특정 자연 본성에 속하여

있음이 필연적임은 분명하다.

2b) 그 원리와 원인이 자체적으로 특정 자연 본성에

속하여 있음이 필연적임은 분명하다.

= 어쨌든 어떤 특정한 본성을 지닌 대상(주제)에

   지금의 탐구대상인 최고원리/원인이 귀속된다는 얘기일 듯.


있는 것의 원소들을 탐구하던 애들이 원리들을 탐구했다면,

그 원소들 역시 있는 한에서의 있는 것에 속해 있다는 게 필연적이다.

이런 이유로 우리도 있는 한에서의 있는 것의 제일원인을 파악해야 한다. 


아르케는 자체적 자연에 속해야 한다.

원소 탐구자가 아르케를 탐구했다면, 원소도 자체적 있는 것(자연)에 속해야 한다.

우리는 아르케 탐구하니까, 자체적 있는 것의 원인을 탐구해야 한다.


2.


Τὸ δὲ ὂν λέγεται μὲν πολλαχῶς, ἀλλὰ πρὸς ἕν καὶ

μίαν τινὰ φύσιν καὶ οὐχ ὁμωνύμως, ἀλλ᾿ ὥσπερ καὶ τὸ

ὑγιεινὸν ἅπαν πρὸς ὑγίειαν, τὸ μὲν τῷ φυλάττειν τὸ δὲ                       35

τῷ ποιεῖν τὸ δὲ τῷ σημεῖον εἶναι τῆς ὑγιείας τὸ δ᾿ ὅτι

δεκτικὸν αὐτῆς, καὶ τὸ ἰατρικὸν πρὸς ἰατρικήν (τὸ μὲν               1003b1

γὰρ τῷ ἔχειν ἰατρικὴν λέγεται ἰατρικὸν τὸ δὲ τῷ εὐφυὲς

εἶναι πρὸς αὐτὴν τὸ δὲ τῷ ἔργον εἶναι τῆς ἰατρικῆς),

ὁμοιοτρόπως δὲ καὶ ἄλλα ληψόεμθα λεγόμενα τού-

τοις, οὕτω δὲ καὶ τὸ ὂν λέγεται πολλαχῶς μὲν ἀλλ᾿                           5

ἅπᾶν πρὸς μίαν ἀρχήν· τὰ μὲν γὰρ ὅτι οὐσίαι, ὄντα λέ-

γεται, τὰ δ᾿ ὅτι πάθη οὐσίας, τὰ δ᾿ ὅτι ὁδὸς εἰς οὐσίαν ἢ

φθοραὶ ἢ στερήσεις ἢ ποιότητες ἢ ποιητικὰ ἢ γεννητικὰ

οὐσίας ἢ τῶν πρὸς τὴν οὐσίαν λεγομένων, ἢ τούτων τινὸς

ἀποφάσεις ἢ οὐσίας· διὸ καὶ τὸ μὴ ὂν εἶναι μὴ ὄν φαμεν.                    10

그런데 있는 것은 한편으로 여러 가지로 진술되지만, 그러나

하나에 대해 그리고 특정한 단일한 본성에 대해 또한

동음이의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진술되며, 오히려 마치 모든

건강한 것이 건강에 대해 진술되는데, 건강을 지킴으로써

건강한 것과 건강을 만듦으로써 건강한 것 그리고 건강의 

증상으로 있음으로써 건강한 것과 건강의 수용자라는 점에서 

건강한 것이 건강에 속해 있다고 진술되는 것처럼, 그리고 

의학적인 것도 의술에 대해서 그리 진술되며(즉 의술을 

지님으로써 의학적인 것그 기술에 대한 숙련으로써 의학적인 것과 

또 의술의 결과로 있다는 점에서 의학적인 것이 진술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여타의 것들도 우리는 이런 측면들에서 

진술되는 것들로 파악할 것이고, 그런 식으로 있는 것 또한 여러 가지 

방식으로 진술되지만 그 모든 것들이 단일한 원리에 대해 진술된다. 

즉 어떤 것들은 실체들이라는 점에서, 있는 것들로 진술되고, 어떤 것들은 

실체의 양태들이라는 점에서, 또 어떤 것들은 실체를 향한 경로나 

소멸 또는 결여나 성질 혹은 실체의 제작자나 산출자 혹은 

실체에 대해 진술되는 것들의 제작자나 산출자, 또는 이것들에 대한 

특정 부정이나 실체의 부정이라는 점에서 있는 것들로 진술된다. 

이런 이유로 우리는 있지 않은 것도 있지 않은 것으로서 있다고 주장한다.

καθάπερ οὖν καὶ τῶν ὑγιεινῶν ἁπάντων μία ἐπιστήμη ἔστιν,

ὁμοίως τοῦτο καὶ ἐπὶ τῶν ἄλλων. οὐ γὰρ μόνον τῶν καθ᾿

ἓν λεγομένων ἐπιστήμης ἐστὶ θεωρῆσαι μιᾶς ἀλλὰ καὶ τῶν

πρὸς μίαν λεγομένων φύσιν· καὶ γὰρ ταῦτα τρόπον τινὰ

λέγεται καθ᾿ ἕν. δῆλον οὖν ὅτι καὶ τὰ ὄντα μιᾶς θεωρῆσαι                  15

ᾗ ὄντα. πανταχοῦ δὲ κυρίως τοῦ πρώτου ἡ ἐπιστήμη, καὶ ἐξ

οὗ τὰ ἄλλα ἤρτηται, καὶ δι᾿ ὃ λέγονται. εἰ οὖν τοῦτ᾿ ἐστὶν ἡ

οὐσία, τῶν οὐσιῶν ἂν δέοι τὰς ἀρχὰς καὶ τὰς αἰτίας ἔχειν

τὸν φιλόσοφον. [ἅπαντος δὲ γένους καὶ αἴσθησις μία ἑνὸς          1003b19 

καὶ ἐπιστήμη, οἷον γραμματικὴ μία οὖσα πάσας θεωρεῖ             1003b20

τὰς φωνάς· διὸ καὶ τοῦ ὄντος ὅσα εἴδη θεωρῆσαι μιᾶς               1003b21

ἐστὶν ἐπιστήμης τῷ γένει, τά τε εἴδη τῶν εἰδῶν.]                       1003b22 

그러므로 모든 건강한 것들에 대해서도 단일한 학문이 있는

것처럼, 마찬가지로 여타의 것들을 두고서도 이러하다.

왜냐하면 하나에 따라 진술되는 것들에 대해서만

관조하는 일이 단일한 학문에 속하여 있는 것이 아니라

단일한 본성에 대해서 진술되는 것들에 대해서도 그렇기

때문이다. 이것들도 특정 방식에서 하나에 따라 진술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있는 것들 또한 그것들을 있는 것들인 한에서 

관조하는 일이 단일한 학문에 속한다는 점이 분명하다.

그런데 모든 방면에서 학문은 주로 첫 번째 것에, 즉 여타의

것들이 그것에 달려 있는 바의 것이자, 그것을 통해 진술되는

바의 것에 속해 있다. 그러므로 만일 실체가 이러한 것이라면,

철학자는 실체들의 원리들과 원인들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 통틀어 모든 유에 대한 지각도 학문도 단일한 유에

단일한 지각/학문이 속하는 바, 예를 들어 문법학은 단일한

것으로 있고서 모든 음성들을 관조한다. 이런 이유로 있는 것에

대해서도 그 종들로서 있는 것들을 관조하는 일은 유적으로

단일한 학문에 속하여 있으며, 그 [있는 것들의] 종들에 대해

[학문의] 종들이 있기도 하다.]                                                               //200811

                                                                εἰ δὴ τὸ           1003b22

ὂν καὶ τὸ ἓν ταὐτὸν καὶ μία φύσις τῷ ἀκολουθεῖν ἀλλή-

λοις ὥσπερ ἀρχὴ καὶ αἴτιον, ἀλλ᾿ οὐχ ὡς ἑνὶ λόγῳ δηλού-

μενα (διαφέρει δὲ οὐθὲν οὐδ᾿ ἂν ὁμοίως ὑπολάβωμεν, ἀλλὰ                25

καὶ πρὸ ἔργου μᾶλλον)· ― ταὐτὸ γὰρ εἷς ἄνθρωπος καὶ ὢν

ἄνθρωπος καὶ ἄνθρωπος, καὶ οὐχ ἕτερόν τι δηλοῖ κατὰ τὴν λέξιν

ἐπαναδιπλούμενον τὸ ἐστὶν ὁ ἄνθρωπος καὶ ἄνθρωπος καὶ εἷς

ἄνθρωπος· δῆλον δ᾿ ὅτι οὐ χωρίζεται οὔτ᾿ ἐπὶ γενέσεως οὔτ᾿

ἐπὶ φθορᾶς, ὁμοίως δὲ καὶ ἐπὶ τοῦ ἑνός, ὥστε φανερὸν ὅτι                  30

ἡ πρόσθεσις ἐν τούτοις ταὐτὸ δηλοῖ, καὶ οὐδὲν ἕτερον τὸ ἓν

παρὰ τὸ ὄν· ἔτι δ᾿ ἡ ἑκάστου οὐσία ἕν ἐστιν οὐ κατὰ συμβε-

βηκός, ὁμοίως δὲ καὶ ὅπερ ὄν τι· ὥσθ᾿ ὅσαπερ τοῦ ἑνὸς

εἴδη, τοσαῦτα καὶ τοῦ ὄντος ἐστί· περὶ ὧν τὸ τί ἐστι τῆς

αὐτῆς ἐπιστήμης τῷ γένει θεωρῆσαι, λέγω δ᾿ οἷον περὶ                      35

ταὐτοῦ καὶ ὁμοίωου καὶ τῶν ἄλλων τῶν τοιούτων. σχεδὸν δὲ

πάντα ἀνάγεται τἀναντία εἰς τὴν ἀρχὴν ταύτην· τεθεώ-             1004a1

ρηται δ᾿ ἡμῖν ταῦτα ἐν τῇ ἐκλογῇ τῶν ἐναντίων.

                                                                   그래서 만일 

있는 것과 하나가 마치 원리와 원인처럼 서로 함축함으로써 같은 

것이자 단일한 본성이라면, 단일한 논리로 설명되는 것들이기에 

그런 것은 아니다 (그런데 우리가 마찬가지로 간주한다 하더라도 

아무런 차이도 없을 것이며, 오히려 실제로도 더욱 그럴 것이다.) 

― 왜냐하면 한 사람과 있는 사람 그리고 사람은 같은 것이고, 

"그 사람이 사람으로도 또 한 사람으로도 있다"라고 표현상으로 

다시 중복됨으로써 무언가 다른 것을 알려주지도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생성을 두고도 소멸을 두고도 분리되지 않고, 

마찬가지로 하나를 두고도 그렇다는 것이 분명하고, 그래서 이런 

경우들에서 그 추가가 같은 것을 알려준다는 점이 명백하고,

하나가 있는 것 외에 다른 아무것도 아니기도 하다. 더욱이 각각의

것의 실체는 하나이되 부수적으로 그러한 것이 아니며, 마찬가지로

그것이 무엇으로 있는 바 바로 그것 또한 그러하다. 그래서

하나의 것의 종들인 바, 그만큼의 것들은 있는 것에 대해서도

[종들로서] 있다. 그것들에 관하여 무엇으로 있는지 관조하는 일은

유적으로 같은 학문에 속하는데, 나는 이를 테면 같은 것 그리고

유사한 것 또한 이러한 여타의 것들에 관련하여 그렇게 말한다.

그런데 거의 모든 반대쌍들이 같은 원리로 소급된다. 이러한 것들은

우리에 의해 반대쌍들에 대한 선별에서 관조되었다.

<ἅπαντος δὲ γένους καὶ αἴσθησις μία ἑνὸς                              1003b19

καὶ ἐπιστήμη, οἷον γραμματικὴ μία οὖσα πάσας θεωρεῖ             1003b20

τὰς φωνάς· διὸ καὶ τοῦ ὄντος ὅσα εἴδη θεωρῆσαι μιᾶς               1003b21

ἐστὶν ἐπιστήμης τῷ γένει, τά τε εἴδη τῶν εἰδῶν.>                      1003b22

<그런데 통틀어 모든 유에 대한 지각도 학문도 단일한 유에

단일한 지각/학문이 속하는 바, 예를 들어 문법학은 단일한

것으로 있고서 모든 음성들을 관조한다. 이런 이유로 있는 것에

대해서도 그 종들로서 있는 것들을 관조하는 일은 유적으로

단일한 학문에 속하여 있으며, 그 [있는 것들의] 종들에 대해

[학문의] 종들이 있기도 하다.>

καὶ τοσαῦτα μέρη φιλοσοφίας ἔστιν ὅσαιπερ αἱ οὐσίαι· ὥστε      1004a3

ἀναγκαῖον εἶναι τινα πρώτην καὶ ἐχομένην αὐτῶν. ὑπάρ-

χει γὰρ εὐθὺς γένη ἔχοντα τὸ ὂν καὶ τὸ ἕν· διὸ καὶ                            5

ἐπιστήμαι ἀκολουθήσουσι τούτοις. ἔστι γὰρ ὁ φιλόσοφος

ὥσπερ ὁ μαθηματικὸς λεγόμενος· καὶ γὰρ αὕτη ἔχει

μέρη, καὶ πρώτη τις καὶ δευτέρα ἔστιν ἐπιστήμη καὶ ἄλλαι

ἐφεξῆς ἐν τοῖς μαθήμασιν. ἐπεὶ δὲ μιᾶς τὰ ἀντικείμενα

θεωρῆσαι, τῷ δὲ ἑνὶ ἀντίκειται πλῆθος (ἀπόφασιν δὲ καὶ                    10

στέρησιν μιᾶς ἐστὶ θεωρῆσαι διὰ τὸ ἀμφοτέρως θεωρεῖσθαι

τὸ ἓν οὗ ἡ ἀπόφασις ἢ ἡ στέρησις ― ἡ ἁπλῶς λεγομένη

ὅτι οὐχ ὑπάρχει ἐκείνῳ, ἢ τινι γένει· ἔνθα μὲν οὖν τῷ ἑνὶ

ἡ διαφορὰ πρόσεστι παρὰ τὸ ἐν τῇ ἀποφάσει, ἀπουσία γὰρ

ἡ ἀπόφασις ἐκείνου ἐστίν, ἐν δὲ τῇ στερήσει καὶ ὑποκει-                     15

μένη τις φύσις γίνεται καθ᾿ ἧς λέγεται ἡ στέρησις) τῷ

δ᾿ ἑνὶ πλῆθος ἀντίκειται, ὥστε καὶ τὰ ἀντικείμενα τοῖς εἰρη-

μένοις, τό τε ἕτερον καὶ ἀνόμοιον καὶ ἄνισον καὶ ὅσα

ἄλλα λέγεται ἢ κατὰ ταῦτα ἢ κατὰ πλῆθος καὶ τὸ ἕν,

τῆς εἰρημένης γνωρίζειν ἐπιστήμης·                                                20

그리고 실체들이 있는 바로 그 만큼의 철학의 부분들이 있다. 

그래서 그것들 중 특정한 제일 실체와 이어지는 실체가 있음이

필연적이다. 왜냐하면 있는 것과 하나가 즉각적인 상태의

유들로서 성립하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학문들도 이러한

것들에 함축된다. 왜냐하면 철학자는 마치 수학자라 말해지는

자와 같이 있기 때문이다. 즉 이 학문이 부분들을 지니고,

수학적 학문들 내에 특정한 제일 학문과 제이 학문 그리고 여타의

것들이 차례대로 있는 것이다. 그런데 대립되는 것들을 관조하는

일이 단일한 학문에 속하여 있고, 복수가 하나에 대립되며

(그런데 부정과 결여를 관조하는 일은 부정이나 결여가 그에

대한 것인 바 하나가 그 양쪽 방식으로 관조된다는 점으로 인해

단일한 학문에 속한다. ― 저 하나에게 성립하지 않는다고 

단적으로 말해지거나, 아니면 [하나의] 특정한 유에게 성립하지 

않는다고 말해진다. 그러므로 저기에서 하나에게는 부정에서의

하나에 비해 차이가 추가되는데, 왜냐하면 저 하나에 대한 부정이

부재(비실체)로서 있고, 그 결여 내에서 결여가 그에 대해 진술되는

특정한 본성이 성립하여 있기도 한 것으로서 생겨나기 때문이다.) 

그런데 하나에 복수가 대립되기에, 그래서 이야기된 것들에 대한 

대립자들 또한, 즉 다른 것도 비-유사한 것도 비-동등한 것도 그리고 

이런 것들에 따라서든 복수와 하나에 따라서든 진술되는 여타의 

것들도, 이를 아는 것이 [앞서] 언급된 학문에 속한다. 

                                               ὧν ἕν τι καὶ ἡ ἐναντιό-                 20

της ἐστίν· διαφορὰ γάρ τις ἡ ἐναντιότης, ἡ δὲ διαφορὰ ἑτερό-

της. ὥστ᾿ ἐπειδὴ πολλαχῶς τὸ ἓν λέγεται, καὶ ταῦτα πολ-

λαχῶς μὲν λεχθήσεται, ὅμως δὲ μιᾶς ἅπαντα γνωρίζειν ἐστίν·

οὐ γὰρ εἰ πολλαχῶς, ἑτέρας, ἀλλ᾿ εἰ μήτε καθ᾿ ἓν μήτε πρὸς ἓν

οἱ λόγοι ἀναφέρονται, τότε ἑτέρας. ἐπεὶ δὲ πάντα πρὸς τὸ πρῶ-           25

τον ἀναφέρεται, οἷον ὅσα ἓν λέγεται πρὸς τὸ πρῶτον ἕν,

ὡσαύτως φατέον καὶ περὶ ταὐτοῦ καὶ ἑτέρου καὶ τῶν ἐναντίων

ἔχειν· ὥστε διελόμενον ποσαχῶς λέγεται ἕκαστον, οὕτως ἀπο-

δοτέον πρὸς τὸ πρῶτον ἐν ἑκάστῃ κατηγορίᾳ πῶς πρὸς ἐκεῖνο

λέγεται· τὰ μὲν γὰρ τῷ ἔχειν ἐκεῖνο τὰ δὲ τῷ ποιεῖν τὰ                       30 //200818

δὲ κατ᾿ ἄλλους λεχθήσεται τοιούτους τρόπους. φανερὸν

οὖν ὅπερ ἐν ταῖς ἀπορίαις ἐλέχθη ὅτι μιᾶς περὶ τού-

των καὶ τῆς οὐσίας ἐστὶ λόγον ἔχειν [τοῦτο δ᾿ ἦν ἓν

τῶν ἐν τοῖς ἀπορήμασιν], καὶ ἔστι τοῦ φιλοσόφου περὶ πάν-

των δύνασθαι θεωρεῖν. εἰ γὰρ μὴ τοῦ φιλοσόφου, τίς ἔσται        1004b1

ὁ ἐπισκεψόμενος εἰ ταὐτὸ Σωκράτης καὶ Σωκράτης καθή-

μενος, ἢ εἰ ἓν ἑνὶ ἐναντίον, ἢ τί ἐστι τὸ ἐναντίον ἢ ποσα-

χώς λέγεται; ὁμοίως δὲ καὶ περὶ τῶν ἄλλων τῶν τοιούτων.

                                                반대라는 것도 그것들 중

하나로 있다. 왜냐하면 반대는 일종의 차이이고, 차이는 다름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하나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진술되기에, 이러한

것들도 한편으로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진술될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모든 것들을 아는 일이 단일한 학문에 속하여 있다.

왜냐하면 여러 가지로 진술된다면, 다른 학문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에 따라서도 하나에 대해서도 그 진술들이 환원되지 

않는다면, 그 때 다른 학문에 속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모든 

것들은 최초의 것을 향해 환원되기에, 예를 들어 하나라고 진술되는 

일련의 것들은 최초의 하나로 환원되기에, 같은 것과 다른 것 그리고 

반대항들에 관련하여서도 사정이 그러하다고 주장해야만 한다.

그래서 각각의 것이 얼만큼의 방식들로 진술되는지 분할하면서,

그렇게 각 범주에서 최초의 것에 대해서 그것에 대해 어떻게

진술되는지 설명해야만 한다. 왜냐하면 어떤 것들은 저것을 

지님으로써 또 다른 것들은 만듦으로써 그리고 어떤 것들은 이와 같은 

여타의 방식들에 따라 진술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위의 

난점들에서 진술된 바로 그것, 즉 이것들과 또 실체에 관련하여 설명을 

마련하는 일이 단일한 학문에 속한다는 것, 그리고 모든 관조 가능한 

것들에 관련하여 관조하는 일이 철학자의 일이라는 것은 명백하다.

그야 만일 그것이 철학자의 일이 아니라면, 소크라테스와 

앉아 있는 소크라테스가 같은 것인지, 또는 하나가 하나와 반대인지, 

혹은 반대라는 것은 무엇인지 또는 얼만큼의 방식들로 진술되는지 

탐구하는 자가 누구이겠는가? 이러한 그 외의 것들에 관련하여서도

마찬가지이다.

ἐπεὶ οὖν τοῦ ἑνὸς ᾗ ἓν καὶ τοῦ ὄντος ᾗ ὂν ταῦτα καθ᾿ αὑτά                 5

ἐστι πάθη, ἀλλ᾿ οὐχ ᾗ ἀριθμοὶ ἢ γραμμαὶ ἢ πῦρ, δῆλον

ὡς ἐκείνης τῆς ἐπιστήμης καὶ τί ἐστι γνωρίσαι καὶ τὰ συμ-

βεβηκότ᾿ αὐτοῖς. καὶ οὐ ταύτῃ ἁμαρτάνουσιν οἱ περὶ αὐτῶν

σκοπούμενοι ὡς οὐ φιλοσοφοῦντες, ἀλλ᾿ ὅτι πρότερον ἡ οὐσία,

περὶ ἧς οὐθὲν ἐπαΐουσιν. ἐπεὶ ὥσπερ ἔστι καὶ ἀριθμοῦ ᾗ ἀριθ-             10

μὸς ἴδια πάθη, οἷον περιττότης ἀρτιότης, συμμετρία ἰσό-

της, ὑπεροχὴ ἔλλειψις, καὶ ταῦτα καὶ καθ᾿ ἑαυτοὺς καὶ

πρὸς ἀλλήλους ὑπάρχει τοῖς ἀριθμοῖς (ὁμοίως δὲ καὶ

στερεῷ καὶ ἀκινήτῳ καὶ κινουμένῳ ἀβαρεῖ τε καὶ βάρος

ἔχοντι ἔστιν ἕτερα ἴδια), οὕτω καὶ τῷ ὄντι ᾗ ὂν ἐστί τινα                    15

ἴδια, καὶ ταῦτ᾿ ἐστὶ περὶ ὧν τοῦ φιλοσόφου ἐπισκέψασθαι

τὸ ἀληθές. σημεῖον δέ· οἱ γὰρ διαλεκτικοὶ καὶ σοφισταὶ

τὸ αὐτὸ μὲν ὑποδύονται σχῆμα τῷ φιλοσόφῳ· ἡ γὰρ σο-

φιστικὴ φαινομένη μόνον σοφία ἐστί, καὶ οἱ διαλεκτικοὶ

διαλέγονται περὶ ἁπάντων, κοινὸν δὲ πᾶσι τὸ ὄν ἐστιν,                       20

διαλέγονται δὲ περὶ τούτων δῆλον ὅτι διὰ τὸ τῆς φιλοσο-

φίας εἶναι αὐτὰ οἰκεῖα. περὶ μὲν γὰρ τὸ αὐτὸ γένος στρέ-

φεται ἡ σοφιστικὴ καὶ διαλεκτικὴ τῇ φιλοσοφίᾳ, ἀλλὰ

διαφέρει τῆς μὲν τῷ τρόπῳ τῆς δυνάμεως, τῆς δὲ τοῦ βίου

τῇ προαιρέσει· ἔστι δὲ ἡ διαλεκτικὴ πειραστικὴ περὶ ὧν ἡ                    25

φιλοσοφία γνωριστική, ἡ δὲ σοφιστικὴ φαινομένη, οὖσα δ᾿ οὔ.

그러므로 하나인 한에서의 하나와 있는 것인 한에서의 있는 것에

이런 것들이 그 자체로서 겪음들로 속해 있고, 그러나 수들이나

철자나 불로서 속해 있는 것은 아니기에, 무엇인지를 아는 것도

그것들에 부수하는 것들을 아는 것도 저 학문에 속하여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 그리고 그것들에 관하여 고찰하는 자들은 

철학하지 않기에 이런 식으로 잘못을 범하는 게 아니라, 

그들이 그에 관해 전혀 귀기울이지 않는 바의 것, 즉 실체가 

더 먼저 있기 때문에 잘못을 범한다. 마치 수인 한에서의 수에도 

고유한 겪음들이 있는 것처럼, 예를 들어 홀-짝, 비례-동등, 

과-부족이 있듯, 그리고 이런 것들이 자체적으로도 상호 관계적으로도 

수들에 성립하듯 (마찬가지로 입체와 부동자와 운동자에도 

또 무게가 없는 것에든 무게를 지닌 것에든 또 다른 고유한 것들이 

있다), 그렇게 있는 것인 한에서의 있는 것에도 모종의 고유한 것들이 

있으며, 그래서 그것들에 관련하여 철학자가 진리를 탐구하는 것들이 

이러한 것들이다. 그런데 그것이 [철학자라는] 표지이다. 왜냐하면 

변증가들과 소피스트들은 철학자와 같은 모습으로 위장하기 때문이다. 

즉 그저 소피스트술은 그저 지혜로 나타나 보이기만 하는 것이고, 

변증가들 또한 모든 것들에 관련하여 변증하는데, 있는 것이

모든 것에 공통된 것으로 있으며, 그것들이 철학자에 고유한

것들로서 속해 있다는 점으로 인해서 그들이 그것들에 관하여

변증한다는 것은 분명하다. 왜냐하면 소피스트술과 변증술이

철학과 같은 유에 관련하여 종사하지만, 한편(변증술)과는 능력의

활용방식에서 차이가 나고, 다른 한편(소피스트술)과는 삶의

선택에서 차이가 난다. 그런데 변증술은 철학이 앎의 기술인

그러한 것들에 관련하여 시험적인 기술이고, 소피스트술은

철학처럼 나타나 보이이지만, 실제로는 철학이 아닌 것이다.

Ἔτι τῶν ἐναντίων ἡ ἑτέρα συστοιχία στέρησις, καὶ πάντα

ἀνάγεται εἰς τὸ ὄν καὶ τὸ μὴ ὂν, καὶ εἰς ἓν καὶ πλῆθος, οἷον

στάσις τοῦ ἑνὸς κίνησις δὲ τοῦ πλήθους· τὰ δ᾿ ὄντα καὶ τὴν

οὐσίαν ὁμολογοῦσιν ἐξ ἐναντίων σχεδὸν ἅπαντες συγκεῖσθαι·              30

πάντες γοῦν τὰς ἀρχὰς ἐναντίας λέγουσιν· οἱ μὲν γὰρ πε-

ριττὸν καὶ ἄρτιον, οἱ δὲ θερμὸν καὶ ψυχρόν, οἱ δὲ πέρας

καὶ ἄπειρον, οἱ δὲ φιλίαν καὶ νεῖκος. πάντα δὲ καὶ τἆλλα

ἀναγόμενα φαίνεται εἰς τὸ ἓν καὶ πλῆθος (εἰλήφθω γὰρ

ἡ ἀναγωγὴ ἡμῖν), αἱ δ᾿ ἀρχαὶ καὶ παντελῶς αἱ παρὰ τῶν             1005a1

ἄλλων ὡς εἰς γένη ταῦτα πίπτουσιν. φανερὸν οὖν καὶ ἐκ

τούτων ὅτι μιᾶς ἐπιστήμης τὸ ὂν ᾗ ὂν θεωρῆσαι. πάντα γὰρ

ἢ ἐναντία ἢ ἐξ ἐναντίων, ἀρχαὶ δὲ τῶν ἐναντίων τὸ ἓν

καὶ πλῆθος. ταῦτα δὲ μιᾶς ἐπιστήμης, εἴτε καθ᾿ ἓν λέγε-                      5

ται εἴτε μή, ὥσπερ ἴσως ἔχει τἀληθές. ἀλλ᾿ ὅμως εἰ

καὶ πολλαχῶς λέγεται τὸ ἕν, πρὸς τὸ πρῶτον τἆλλα

λεχθήσεται καὶ τὰ ἐναντία ὁμοίως, καὶ διὰ τοῦτο ― καὶ εἰ

μὴ ἔστι τὸ ὂν ἢ τὸ ἓν καθόλου καὶ ταὐτὸ ἐπὶ πάντων ἢ

χωριστόν, ὥσπερ ἴσως οὐκ ἔστιν ἀλλὰ τὰ μὲν πρὸς ἓν τὰ                     10

δὲ τῷ ἐφεξῆς ― καὶ διὰ τοῦτο οὐ τοῦ γεωμέτρου θεωρῆσαι τί

τὸ ἐναντίον ἢ τέλειον ἢ ἓν ἢ ὂν ἢ ταὐτὸν ἢ ἕτερον, ἀλλ᾿

ἢ ἐξ ὑποθέσεως. ὅτι μὲν οὖν μιᾶς ἐπιστήμης τὸ ὂν ᾗ ὂν

θεωρῆσαι καὶ τὰ ὑπάρχοντα αὐτῷ ᾗ ὄν, δῆλον, καὶ ὅτι

οὐ μόνον τῶν οὐσιῶν ἀλλὰ καὶ τῶν ὑπαρχόντων ἡ αὐτὴ                      15

θεωρητική, τῶν τε εἰρημένων καὶ περὶ προτέρου καὶ ὑστέρου,

καὶ γένους καὶ εἴδους, καὶ ὅλου καὶ μέρους καὶ τῶν ἄλλων

τῶν τοιούτων.

더 나아가 반대자들의 한 축은 결여이고, 모든 것들은 있는 것과

있지 않은 것으로, 또 하나와 여럿으로 환원되는데, 예를 들어

정지는 하나에 그리고 운동은 여럿에 속한다. 그런데 있는 것들과

실체가 반대자들로부터 구성된다는 데에 거의 모든 이들이 동의한다.

어쨌든 모든 이들이 원리들을 반대자들로 진술한다. 왜냐하면

어떤 이들은 원리들이 홀과 짝이라고, 또 어떤 이들은 온과 냉이라고, 

또 다른 이들은 한정과 무한정이라고, 또 다른 이들은 사랑과 증오라고

진술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 모든 것들과 그 외의 것들까지도

하나와 여럿으로 환원되는 것처럼 나타나 보이며 (그 환원이 우리에게

가정된 것으로 치자는 이야기이다), 최종적으로도 그 외의

사람들쪽의 원리들이 이러한 유들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나

보인다. 그러므로 이런 점들로부터도 있는 것인 한에서의

있는 것을 관조하는 일이 단일한 학문에 속한다는 점은

명백하다. 왜냐하면 모든 것들은 반대들이거나 혹은 반대들로부터

나온 것들인데, 반대들의 원리들은 하나와 여럿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것들은 단일한 학문에 속하는데, 하나에 따라 진술되든

그렇지 않든 마찬가지이며, 말하자면 아마도 [하나에 따라 진술되지 

않는 경우가] 참일 것이다. 그러나 설령 하나가 여러 가지

방식으로까지 진술된다 하더라도, 최초의 것에 대해 여타의 것들도 

반대자들도 마찬가지로 진술되며, 이로 인해서도 ― 또 만일

있는 것이나 하나가 보편적으로 모든 것들을 두고 같은 것으로 

있지 않거나 또는 독립된 것으로 있지 않을지라도 그러한데, 

말하자면 아마도 [독립된 것으로 있는 게] 아닐 것이고 오히려 어떤

것들은 하나에 대한 것들로 또 어떤 것들은 순차적으로 있을 것이다.

― 이로 인해서도 반대나 목적 혹은 하나 또는 있는 것이나 같은 것

또는 다른 것이 무엇인지를 관조하는 일은 기하학자에 속하지 않고,

이는 오히려 전제로부터 나오는 방식 이외의 것이다. 그러므로 한편으로

있는 것인 한에서의 있는 것과 있는 것인 한에서의 그것에 성립하는

것들을 관조하는 일은 단일한 학문에 속한다는 점이 분명하고, 또한

실체들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그것들에] 성립하는 것들에 대해서도

같은 관조(이론)기술이 속한다는 것, 언급된 것들에 대해서도 또 더 

앞선 것과 더 뒤인 것에 관련해서도, 유에도 종에도, 그리고 전체와 

부분과 이러한 그 외의 것들에도 같은 관조기술이 속한다는 것 역시 

분명하다.



-蟲-

 

09-10

 

 

 

 

 

 

 

10-11

 

 

 

아리스토텔레스 『자연학』 윤독 유재민


 

11-12

 

 

 

아리스토텔레스 『자연학』 윤독 유재민


 

12-13

 

 

윤리학연습 김현섭

 

아리스토텔레스 『자연학』 윤독 유재민


 

13-14

 

 

윤리학연습

김현섭

 

 

 

 

14-15

서양고대철학연습: 플라톤 『티마이오스』

강성훈

 윤리학연습

김현섭

안티폰 연설

강독 이윤철

플라톤 『파르메니데스』

강독 이윤철


15-16

서양고대인식론연구: 파르메니데스 단편

이윤철(청강)

서양고대철학연습: 플라톤 『티마이오스』

강성훈

 

안티폰 연설

강독 이윤철

플라톤 『파르메니데스』

강독 이윤철

 

 

16-17

서양고대인식론연구: 파르메니데스 단편

이윤철(청강)

서양고대철학연습: 플라톤 『티마이오스』

강성훈

 

안티폰 연설

강독 이윤철

플라톤 『파르메니데스』

강독 이윤철

 

 

17-18

서양고대인식론연구: 파르메니데스 단편

이윤철(청강)

 

 

안티폰 연설

강독 이윤철

플라톤 『파르메니데스』

강독 이윤철


18-19

 




 

 

19-20

 

플라톤 『티마이오스』 강독

강성훈(미정)

 

 

 

20-21

 

플라톤 『티마이오스』 강독

강성훈(미정)


 

 

21-22

 

플라톤 『티마이오스』 강독

강성훈(미정)


 

 


1. 2020년 2학기 10월 이후 계획.

2. 8월부터 10월 초까지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 Γ 강독.


-蟲-

왜 다들 섣불리 넘어서질 못해 안달하는지 모르겠다. 글이 있고, 그 안에는 글쓴이의 생각, 주장과 근거와 논리가 들어 있다. 글은 닻처럼 내려앉아 혼란스럽고 광폭한 상념의 횡포에 휩쓸려 방황하는 이를 붙들어 매어준다. 이성과 합리와 비판의 정신이 노가 되어 족쇄가 허락하는 한계까지 배를 저어 나아갈 원동력이 되어준다. 닻을 내리지도 노를 젓지도 않고 떠드는 망망대해의 자유는 그저 자살선망 외에 다른 것이 아니다. 논증을 분석하고 재구성하여 그 정당성을 평가하라. 그건 철학사의 권위에 굴종하고 아첨하라는 것도 아니고, 웅대한 포부를 단념하라고 종용하는 것도 아니다. 다만 담담하게 자기 자신을 직면하라. 천재도 위인도 아니지만 쓰레기도 역병도 아닌 당신이 그냥 거기에 있다. 바로 그 자리에서 첫 발을 내디딜 지혜도 용기도 없다면, 당신의 철학은 아니면 그게 무슨 학문이든 그 배움은 그저 병이 들어 부풀어 오른 구역질나는 허영에 불과하지 않나. 아, 씨발, 다 지겹다. -蟲-

[27쪽] 명제의 구조: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서 Logos와 Pragma


본 연구는 진술-형성 발화에 대한 의미론의 핵심, 즉 진리치의 담지자에 대한 정의가 무엇일지에 대한 연구에 견고한 토대를 마련한 한 연구자를 기리기 위해 저술되었다.


첫 장에서 나는 플라톤의 진술-형성 표현에 대한 의미론과 그에 포함된 몇몇 핵심개념에 대한 검토를 제시한다. 다음으로, 나는 해당 문제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을 탐구한다. 이는 참으로서의 being과 거짓으로서의 not-being 개념을 포함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pragma 개념에 대한 논의로 시작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logos가 가진 본성에 대한 고찰에서, 나는 이 개념을 onomazein(이름하다, 명명하다) 차원에서 출현하는 것으로서만이 아니라 legein(말하다) 차원에서 작용하는 방식으로서도 논의한다. 다음으로, 나는 synthesis(모음, 종합)와 dihaeresis(나눔, 분할)라는 주요 개념과 단항 함수로서 ["a monadic functor," 이 사람은 완전 용법 is를 이렇게 부르던데 이 용어의 우리말 번역을 뭐라 할지 모르겠다] 그리고 범주적 being의 공의적 견지자인 한에서 ["syncategorematic container of categorial being," 자체적으로는 의미를 가지지 않고 10범주 중 하나 이상의 것을 보어로 취할 때 그 주어가 어느 범주로 분류되는지를 의미하게 되는 'is.' 불완전 용법 is이나 copula는 아니다.] einai의 역할을 고찰한다. 끝으로, 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진술-형성 발화의 성격을 규정해 보이고자 시도한다.


1. 플라톤의 진술-형성 표현 의미론.


1.1. 플라톤에서의 Logos.


플라톤에게 logos는 이름(onoma)과 한정어(rhēma)로 구성된 의미를 지니는 표현이다. 여러 대화편들에서[각주:1] logos는 언제나 무언가를 지시하거나 묘사하는 복수의 단어로 된 표현인 것으로 나타난다. 어떤 onoma든 logos의 일부일 것이고 그래서 '이름,' 즉 실체를 지시하는 단어로 기능하거나, 아니면 rhēma 역할을 하는 경우, 또 다른 onoma에 추가되는 한정어로 기능한다.  실상, 어느 logos든 그 자체가 실체-지시적 또는 기술적 요소로서 기능하는 onomata로 구성되기에 실체를 지시하는 데에(예를 들어 'hode ho leukos anthrōpos'에서 'leukos anthrōpos' = '이 하얀 인간') [28쪽] 또는 기술적으로(예를 들어 'Sokratēs esti leukos anthōpos' = '소크라테스는 하얀 인간이다') 사용될 것이라 기대된다. 또한 onoma처럼, logos는 사물의 관념을 단지 상기시키고 그 사물을 우리나 청자의 심상 앞으로 가져온다. 기본적으로 logos가 그 구성요소들과 똑같은 기능을 지닌다는 것, 즉 논의를 위해 무언가를 이러저러한 방식으로 기술함으로써, 마치 '논의'라는 logos의 넓은 의미에서(혹은 모든 종류의 '진술'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인 '설명(exposition)'이란 의미에서) 플라톤에 의해 logos가 적절하게 회화에 비교되었던 것처럼(Cratylus, 424d-425a),[각주:2] 사물을 가져다 놓는 기능을 한다는 것은 놀랄 필요가 없는 일이다.


플라톤의 의미론에서 logos의 본성을 모색하는 경우 그 단어의 어원을 유념하는 일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일에 해당한다. 'Logos'는 어근 'leg-'에서 파생되는데 이 어근은 기본적으로 '질서잡힌 방식으로 모은다'라는 의미이다.[각주:3] 그래서 logos는 항상, 처음에 모종의 혼란이 발생한 그런 상황에서 성취되거나 혹은 성취되어야 할 '질서' 또는 '질서를 부여함'이라는 함축을 지닌다.[각주:4] 앎에 관한 플라톤의 관점에 대한 우리의 논의로부터 분명해질 것인 바(이하, nr. 1.3을 보라), logos는 관찰되는 사물들의 조화로운 구조를 인지하고자 시도할 때 거치는 그 인지적 절차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이 문제에 들어서기에 앞서, 우리는 먼저 'logos'에 관한 플라톤의 관점에 관련된 오해를 다루어야만 한다. 'Logos'라는 단어가 사실상 '진술(statement)'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긴 하지만 플라톤에게 있어서는 '진술'이 확실히 통상 오늘날 우리의 'S is P' 형식으로 지시되는 표현과 동일시되지 않아야 한다. 이제 플라톤의 서술에 관한 관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1.2. 술어에 관한 플라톤의 관점.


플라톤이 진술-형성 현상을 단순한 사물 명명과 대비되는 것으로서 충분히 의식하고 있다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다. 이런 틀에서, 명명(onomazein) 차원과 진술(legein) 차원 사이의 대립에 대한, Sophist 261c6 이하에서[각주:5] 플라톤이 논의하는 설명이 호출된다. 명명 차원은 그 안에서 이름들(onomata)이 세계로부터 우리의 정신 앞으로 사물을 가져오는 데에 사용되는 그러한 영역이며, 반면에 서술 차원에서 우리의 관심이 집중되는 것은 완결된 진술들이다. 플라톤에 따르면, logos(단지 결합된 onoma 역할을 할)는 이중적 특징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a) logos가 이름과 한정어의 특수한 조합으로서 그에 상응하는 (것으로 가정되는) 형상들의 결합을 반영하거나, (b) (결과적으로, 즉, 서술 차원에서 역할을 하는 경우) 진술-형성 표현으로서 기능하고 사실인 것 혹은 사실이 아닌 것에 관한 정보를 채워준다.


[29쪽] Logos도 명명 차원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런 (onomata의 단순 결합물로서 그 중 하나는 onoma 위치에, 나머지는 rhēma 위치에 있는[각주:6]) logos가 진술 차원을 불러오는 logos는 아니라는 점을 쉽게 알 수 있다. 왜냐하면 해당 logos가 누군가에 의해 실제로 단언된(아니면 적어도 실제로 단언될 것이라 가정은 되는) logos가 아닌 한 진술 차원에 대한 아무런 문제도 없기 때문이다. [onomata 결합 구조물로서 명명차원의 logos와 진술 차원에서 이것이 사실로서 단언된 logos를 구분하고 있다. 글쎄?] 이러한 관계에서, 플라톤이 "누군가가 한정어(rhēma)를 이름과 결합시키지 않는 한, 있거나 있지 않은 무언가에 관하여 아무런 정보도 공급되지 않는다"라고, 그리고 "logos를 사용하는 자는 무언가에 관련하여 이름과 한정어를 함께 엮는 일을 완수하고 그를 통해 무언가를 진술한다"라고 명백하게 주장한다는 것이(Sophist, 262c3-5; 262d2-5) 지극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 밖에, logos인 것은 그게 실제로 누군가에 의해 내적 발화에서 사용되든 외적 발화에서 사용되는 진술 차원에서 아무런 차이도 만들지 않는다는 것도 있다.[각주:7]


그런 식으로 플라톤이 logos를 진술-형성 발화로 생각한다는 데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렇지만 앞서 언급했듯 그에게 '진술'은 'S is P' 형식으로 표현된 우리에게 익숙한 진술과는 상당히 다른 본성을 지닌다. 플라톤의 관점에서 logos는 항상, 정확히 한 표현으로 남아있으면서 구문론적으로 구분되는 두 요소들, 주어와 술어 같은 것으로 분해되지 않는 'more-than-one-word-expression'[각주:8]이다. 진술 차원에서 사용될 경우 logos는 실제로, Thaetetus 190a5의 표현으로 하자면, logos eirēmenos, 또는 '실제로 단언된 logos'(혹은 '확보한 것으로 이야기되는')로서 내적으로든(Theaet. 190a) 외적으로든 발화된 것이다. 그 심층구조를 고려할 때 플라톤의 진술-형성 발화는 'obtains'나 'is the case'라는 문장 함수가 선행하는 그런 pragma를 표현하는 형식으로 구성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고, 그리하여 'A man is righteous'라는 진술은 다음과 같이 읽혀야 한다:


'obtains : [man(인간), righteous(올바름)],'


man과 righteous가 플라톤이 dynameis(가능적인 것들)라고 부르는 것들을 표현하는 경우, 즉 초월적 형상들인 MAN과 RIGHTEOUSNESS에 참여하는 참여자들을 표현하는 경우에. 그리하여 이 진술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도 읽혀야 한다.


'obtains: [man-being(인간으로-있음), righteous-being(정의롭게-있음)].'


표층 구조 문장들에서 나타나는 시제들에 관해서는(이것들에 대해서는 Sophist 262d2-3을 보라) 그것들은 단지 함수에 관련될 뿐이다. 예를 들어 '한 인간이 정의로웠다'는 다음과 같이 문장전환되는 것이다:


'obtained : [man, righteous].'[각주:9]



[30쪽] 1.3. 플라톤에 있어서 Logos와 지식.[각주:10]


직전의 분석에서 플라톤에게 초월적 형상이 지식의 진정한 대상이더라도, 지식에 적합한 대상들인 것은 형상의 예화이다. 그래서 진정한 지식은 개별적으로 표현되는 다양한 예화들(플라톤이 dynameis라고 부르는 것들)에 대한 식별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Republic VII 523e-524d와 VII 507b-c에서는 지식 개념이 상이한 dynameis에 정확하게 이름을 할당하는 일과 명시적으로 결부된다.


인지적 절차에 해당하는 기술은 플라톤에 의해 종종 '문답'으로 묘사되곤 한다. 이 문답은 정신으로 하여금 "yes, it's this" or "that"이라고 각 경우에 말함으로써 확정적 선택을 이루도록 이끌어야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Meno 81a-d와 Phaedo 72e-77e의 유명한 상기(anamnēsis)의 절차는 적절하게 문답하는 절차와 연결된다. 또한 Rep. VII 538d6-e3에서는 이 절차가 상당히 명시적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이러한 연결에 관한 가장 유명한 구절은 Theaetetus 189d7-e3, 영혼의 생각이 '네 또는 아니오 라고 말하면서 스스로 묻고 답하는 대화를 이어가는 것'으로 묘사되는 구절이다.[각주:11]


Anapherein이라는 동사가 플라톤에 의해 이와 관련된 절차를 가리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 동사는 '일부 참여를 부합하는 초월적 형상으로 환원시킴'을 표현한다. 사실상, anapherein은 말하자면 '집으로 가져감'이고 [bring up, bring back 정도. 뭘 굳이 home까지-_-], 외부 세계에 대한 감각을 관찰된 사물이 참여하는 바[각주:12] 각각의 초월적 형상으로 돌려놓는 것이 된다. 사실, 진정한 인지 절차는 우리가 형상들의 내재적 예화들(dynameis)을 외부 세계에서 직면하는 어느 경우든 그 형상들을 인지하고 규정하려는 부단한 노력이며, 그로써, 매우 자연스럽게, 그와 같은 정도로 이러한 예화들(그리고 사례들 또는 개별 사물들)이 같은  초월적 형상들에 대한 참여자들로 인지되고 규정된다.


다른 한편, 플라톤은 자주 사물에 대한 지식을 관련된 사물에 대한 정확한 설명을 제공하는 인간의 능력과 결부시킨다. 예를 들어 Phaedo

73a9, 76b5-7를 보라. Symposion 202a5-9에서, 디오티마는 소크라테스에게 참된 의견은 그것이 지식도 아니고 무지도 아니기 때문에 설명을 제공할 능력이 없다는 것을 알지 못하느냐고 묻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logos는 인지적 절차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앞선 언급의 연장선에서 logos 형식에 포함된 'being' 개념이 정확히 무엇인지 물을 수 있다. 예를 들어


'obtains: [man-being, righteous-being].'


[31쪽] 나는 Greek 'be' 개념이 'hyparctic'이란 말로 가장 잘 규정된다고 생각한다(De Rijk 1986: 348). 이 용어는 (아리스토텔레스적인) 'substance'와 'subsistence'[ousia와 hypokeimenon?] 개념에 더욱 밀접하게 결부되는 '존재사' 지표에 내재된 모든 논쟁적 함축을 피하기 위해 사용된다. 더욱이, '존재'는 매우 자주 '본질(essence)'에 대비되어 이해되는데, 본질 역시 플라톤적 사유에는 같은 정도로 이질적이다. Logos 형식은 적절하게 말하자면,[각주:13] being이 인간 정신에 의해 경험되는 것으로서(또는 각기 사변적으로 관찰되는 것으로서) '외부 세계에 시공간적으로 주어져 있는 것'과 마찬가지인 경우, 외부세계에서 발견되는 몇몇 dynameis나 'being'의 양태들을 가리킨다. 그래서 being의 시공간적 측면은, Charles Kahn(1973:331 이하)이 '진리사'라 부른 개념이 일부 인간의 인지적 활동이 있다는 함축을 이미 강화시키는 것처럼 보이는 부차적인 것인 데에 반해, 우세한 것처럼 보인다.[각주:14]


'Obtains'라는 함수와 관련하여, 이것은 이중의 기능을 지닌다. 첫째로, 이 함수는 해당 logos를 통해 외부 세계의 dynameis로서 발생하기에 적합한 것이 무엇인지를 화자가 실제로 인식하고 규정한다는 것을 표현한다. 다른 한편 이 함수는 시-공간 개념의 담지자 역할을 한다: 'it obtained (or will obtain) here (or there)' 등.


[지식과 참인 믿음의 구분을 전자는 진술-형성 발화로, 후자는 긍정이나 부정 이전의 단순 명제 같은 것으로 취급하는 것처럼 보인다. 아닌가? 그런데 말과 생각은 각기 밖으로 또는 안으로 이루어지는 logos로 규정되고, logos는 onoma와 rhēma의 결합물로 이야기된다. 그리고 이러한 말이나 생각에 대한 긍정이나 부정이 doxa이며, 이러한 doxa에 감각이 개입된 것이 phantasia(인상?)이다. 즉, 긍정과 부정은 지식과 믿음의 구분에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1.4. 플라톤에 있어서 사태로서의 pragma.


의심할 여지 없이, 개별 화용론이 무엇을 다루어야 하느냐는 근본적인 질문은 언어적 도구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그리고 그것들이 무엇을 표현해 왔는가 하는 질문이다. 이런 이유로 플라톤은 Cratylus 383a에서 서론격의 질문을 던진다. 스토아학파가 이후 의미와 지시체(sēmainomenon과 tynchanon)라 부른 것들 사이의 구분에 앞서, 플라톤의 가장 오래된 대화편에서도, 소크라테스가 onoma에 의해 표시되는 대상들의 실제 본성을 확정하고자 여러 차례 시도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대상들은 pragmata나 onta('things there are')라 불리고 이 용어들은 가변적 세계에서 나타나는 '사물들'이나 정확히 그 실질적 본성들로 이해된 것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구분 없이 사용된다. 후기 대화편에서도 플라톤은 외부세계의 사물에 대해 말하면서 실제로 이름을 사용할 때 지시하는 언어외적 대상의 정확한 본성을 파악하려는 지속적인 시도에 관여한다. 그의 생각에, 이 초-언어적-대상은 존재론적 하나, 궁극적으로 (PhaedoRepublic 이래로) 초월적 형상 그 자체이다. 의미론적 관점에서 이 초-언어적 대상은 이름의 함축 또는 내포('의미체')로, 그것이 사실상 제시된 이름이 정확하게 적용될 그 어떤 대상에든 관련된 일련의 개념들이다.


[32쪽] 의미가 초월적 형상(관련된 언어 표현에 의해 지시되는 것)과 동일시되지 않고 오히려 그 형상(또는 부합하는 내재적 형식이나 외부세계에서 출현하는 dynamis)이 인간 사유에 의해 그것으로 이해된다는 점이 중요하다.[각주:15] 


여기에서 pragma의 정확한 뜻이 무엇인지 질문이 생긴다. Sophist 257b-c에서 'pragma'는 외부세계 사물과 해당 표현의 의미체 모두를 구분 없이 의미하는 데에 사용된다. 또 다른 증거는 Protag., 349b3-4; Euthydemus 283e5-6; 284d1; Crat. 386a2; e1; 390e1; Phaedo 103b3; Theaet. 197e4; Soph. 218c4; 244d3; 257b9-c2이다.


'Ousia(being-ness)'에 대비되어, 'pragma'는 그와 유사한 상호 대비를 개별적인 돌에 대해 이야기되는 'being-stone'과 'being-stone' 사이에서 전달한다. 그래서 'pragma'는 무언가의 'being such-and such' (즉 this or that combination of dynameis)를 지적해내는 것처럼 보이고, 반면에 'being-ness(ousia)'는 일차적으로 사물의 being(또는 BEING에 대한 참여)에 초점을 맞춘다. 그래서 'pragma'는 사유에 의해 지시되어 나온 것으로서 dynamis를 표현하는 것처럼 보인다. 아리스토텔레스에서 해당 단어의 유사한 용례를 찾을 수 있다.


Logos와 pragma 사이에는 밀접한 관련이 있어 보인다. 플라톤의 진술-형성 발화에서 사실상 주요 구성요소('논증')인 logos는 언제나 특정 pragma를 표현한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pragma는 '사태'와 동등해진다. 그렇지만 그런('more-than-one-word-expression' 또는 '구성된 이름'으로서) logos는 다음과 같은 유형의 '사태 정식화'이다.


'being man plus being righteous,'


혹은 오히려 진술 차원에서 다음과 같이 사용되는 표현이다.


'man is righteous.'


차라리, 단지 'dynameis의 묶음' 또는 'being의 일련의 양태들'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Euthydemus의 유명한 예시)


'wanting-one's-darling-to-be-dead-and-gone'


(또는 'Ctesippus-wanting-Clinias-to-be-dead'). 다른 한편 단언된 logos란 [33쪽] 해당 logos를 통해 누군가가 지시된 사태를 실제로 확정하는 표현에 불과하다.[각주:16] 


이에 대한 일부 결정적 증거는 Euthydemus에서 발생하는 뜨거운 논쟁 중에 발견된다. 디오뉘소도로스는 소크라테스가 스테십포스의 연인 클리니아스가 현명한 자가 되기를 바란다는 것으로부터 그가 "그가 그 사람이 아닌 자로 되기를 그리고 더 이상 그인 자로는 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따라서 "그가 죽어 없어지기를 바란다고" 악의적으로 추론한다(283c8 이하). 크테싶포스는 화를 내며 디오뉘소도로스에게 답한다. "나와 다른 사람을 그런 처지(toiouton pragma)로 몰아넣을 그 따위 생각은 어디서 얻은 거냐?"(283e5-6) "내가(우리가)-클리니아스가-죽기를-바란다"라는 "상황"을(또는 "클리니아스를-죽을-것이-나에-의해-기대되는-자로" 같은 logos를) pragma가 표현한다는 것은 충분히 분명하다.[각주:17]


동일선상에서 Theaetetus의 pragma가 의미하는 바를 해석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여기에서는 pragma가 "의견(doxa)"에 대비되는 것으로서 "지식"의 참된 본성에 대한 논의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유명한 "지식의 조각들"을 지시하는 것이 분명하다.[각주:18]



2. 진술-형성 표현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의미론


2.1. Pragam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


진리치 담지자에 관한 연구에서 Gabriel Nuchelmans는 아리스토텔레스의 De interpr. 21b28에서 pragma가 16b23에서와 같은 의미를 지니며, 즉 그것은 '사태(state of affairs)'라는 의미라고 보는 입장을 성공적으로 논증한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다른 저작들도 증거로 제시하는데, 그가 불분명하다거나 느슨하다고 여긴 pragma 용례에 대한 세부사항 몇 가지를 보완해 보고자 한다.


2.1.1. 몇 가지 문헌 근거들.


Categ. 5, 4a34-b13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logos와 doxa가 우연한 사건(예를 들어 '누군가 앉아 있다')에 관련될 경우에도 절대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되는 반면, 그 진리치는 변화하는 pragma에 의존한다고 말한다(4a34-b2). "왜냐하면 pragma가 있거나 있지 않기 때문에(4b8-10) logos가 참이라 이야기되거나 거짓이라 이야기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pragma는 분명히 'x-being-so-and-so'를 표현한다.[각주:19] 반면 pragma의 변화는 변화하는 속성들(앉아-있음 또는 걷고-있음)으로 [34쪽]  구성되는데, 물론 그것은 전체 pragma 'x-being-so-and-so'의 변화에 부합하게 된다.


Categ. 10에서 대립의 상이한 방식들이 논의되는 가운데, 아리스토텔레스는 긍정 또는 부정 기저에 놓인 것이 비록 긍정이나 부정 logos 자체는 아니더라도 logos가 대립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대립된다고 말한다. 더욱이 '그가 앉아 있다'라는 긍정문이 '그가 앉아 있지 않다'라는 부정문에 대립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이 중 한쪽의 기저에 놓인 pragma가 그 대응문의 기저에 놓인 것에 대립된다고, 'to-be-seated'가 'to-be-not-seated'에 대립된다고 말한다(12b10-6).[각주:20]


주목할 점은 두 가지이다. (1) pragma는 '긍정 또는 부정의 기저에 놓이는 것'이다. (2) 'pragma'라는 용어는 현실에 적용되든 그렇지 않든 어떤 사태를 의미하는 데에 사용되고, 그로써 그것이 실제로 단언되는 어느 경우든[각주:21] 실제로 그것이 참인지 혹은 거짓인지 여부는 문제가 되는 존재론적 상황에 달려 있다.


Categ. 11, 14a10-4에서도 이 노선을 따른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거기에서 "만일 'Socrates-being-well(소크라테스가 건강하다)'가 'Socrates-being-sick(소크라테스가 아프다)'에 모순된다면, 그리고 그 둘 모두가 동시에 동일한 사람에게 견지되기란 불가능하다면, 그 모순쌍의 한쪽이 사실<the case>일 경우, 다른 한쪽도 마찬가지로 사실이기는 불가능할 것이다. 더욱이 만일 소크라테스가 건강하다가 사실이라면, 소크라테스가 아프다가 사실이기는 가능할 수 없을 것이다."라고 주장한다.


Categ. 12, 14b9 이하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연적 우선성'에 해당하는 특수한 사례를 논의거리로 가져온다. 그 사례는 'there being a man'에 속하는 상호 함축과 이에 부합하는 logos의 진리치에 관련된 것이다. 다음 인용문은 아리스토텔레스가 A와 B 사이에서의 완전한 상호교환이 언제나 성립하는 '자연적 우선성'의 사례를 설명하고자 시도하는 대목이다.


14b9-22: "그래서 '우선'이란 이러한 여러 가지 방식으로 말해진다. 그렇지만 이러한 언급된 방식들 외에 우선성의 또 다른 방식이 있는 것처럼 보일 것이다. 왜냐하면 이러한 사물들 중에서, 한쪽의 being이 다른 쪽의 being을 함의하는 것이 있고, 한쪽이 어떤 식으로 다른 쪽 being의 원인인 것을 '자연적으로 우선한다'라고 합리적으로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사례들이 있음은 분명하다. 왜냐하면 'being-a-man(to gar einai anthrōpon)'은 그것에 관한 참인 logos와 being에 대한 함축으로서 교환되기 때문이다. 만일 그가 사람이라면, 그가 사람이라고 말하는 logos는 참이다. 그리고 교환적으로, 만일 그가 사람이라고 말하는 logos가 참이라면, 그는 사람으로 있다. 참인 logos는 pragma의 being에 대해 어떤 식으로도 원인이 아니지만, pragma는 어떤 식으론가 logos가 참임의 원인인 것처럼 보인다. 더욱이, logos가 참이나 거짓이라 불리는 것은 해당 pragma가 being이거나 not-being이기 때문이다."


[35쪽] 아크릴은 그런 사례에 '상호적 존재 함축('tou einai akolouthēsis'에 대한 그의 번역)'을 논하는 것이 이상하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there being a man의 존재가 there is a man이라는 참인 진술의 존재를 함축하고 또 그 존재에 의해 함축된다고 말해서는 안 된다." (op. cit., 112). 그의 말은 맞다. 그렇지만 그는 logos의 einai를 그것의 존재, 즉 누군가에 의해 그것이 실제로 단언되어 있음이라고 잘못 생각한 것처럼 보인다. 대신에, logos being(또는 being the case)은 단지 그 내용이 사실임을 나타낼 뿐이다.[각주:22] 즉 아리스토텔레스의 einai에 대해 'being the case'라는 번역이 아크릴의 '존재'라는 번역보다 선호되어야 하는 이유가 이것이다.


'Pragma'의 뜻과 관련하여, 이 단어는 '사태'를 표현하고 'the pragma's being'은 외부세계에서 실제로 사실인 사태를 나타내야만 한다.


De interpr. 3, 16b19-23에서 pragma는 이와 유사한 의미를 지녀야만 한다. 즉 dianoia(생각)에 의해 표시되는 사태여야 한다. 하지만 rhēma가 그 자체로 발하된 한에서 어떤 사태가 사실이거나 사실이 아니라는 것은 표시되지 않는다고 아리스토텔레스는 주장한다. 설령 'to be' 동사가 독립적으로 사용되더라도 einai나 mē einai조차 어느 쪽도 pragma의 표지는 아니기에 사태에 대한 어떠한 시사도 없다고 계속해서 주장한다. 예를 들어 'be-running'을 말하는 경우. 사실, 'on(being)'을 독립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아무것도 단언하지 않는다. 거기에 무언가를 추가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being)-stone, (being)-man 또는 tree-beautiful.[각주:23]


De interpr. 12, 21b19-32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동사 'to be'(또는 'not to be')를 <해당 표현의 다른 요소들에> 추가함으로써 언제나 긍정(또는 부정)이 산출되는 것은 아니라고, 즉 양상문에서는 그렇지 않다고 지적한다. 더욱이, 양상문을 부정하기 위해서는 'to be' 동사가 아니라 바로 그 양식에 부정을 추가해야 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결론은 "'being-a-man'이나 'being-a-pale-man' 같은 단언 형식들의 앞선 사례들에서 'to be'와 'not to be'가 추가되는 반면, 'pale'과 'man'은 hypokeimena pragmata(기저에 놓이는 사태들)인 것처럼, 같은 방식으로 여기 양상 형식에서 'to be'는 기체인 반면, 'to be possible'과 'to be admissible'은 추가되는 것들이다. 양상 사례에서[각주:24] <기체 역할을 하는 'to be'가> being-possible(가능한 것)과 being-not-possible(가능하지 않은 것)로 구분되는데, 이는 단언 사례에서 'to be'와 'not to be'가 기저에 놓이는 pragmata를 being the case(사실인 것)와 being not the case(사실 아닌 것)로 구분하는 것(21b26-32)과[각주:25] 같은 방식이다. 명백하게 'ta hypokeimena pragmata'는 21b28에서 사태를, 'to be a man'과 'to-be-a-pale-man' 각각을 가리킨다.[각주:26]


Metaph. Th.10, 1051b2-62, '참과 거짓이라는 의미에서 being'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의에서 유사한 pragma 용례가 등장한다. "이런 종류의 being은 [36쪽] pragmata가 관련되는 한에서 결합됨 혹은 분리됨에 의존하기에, 그래서 분리된 것은 분리된 것으로 또 결합된 것을 결합된 것으로 생각하는 자는 누구든 진리를 취하고, 반면 그의 생각이 pragmata에 모순되는 자는 누구든 잘못을 범한다."(1051b2-5) 1051b6-9에서 추가설명이 이루어진다. "당신이 하얗게 있는 것은 우리가 당신이 하얗게 있다고 참되게 생각하기 때문이 아니라 당신이 하얗게 있다는, 이를 말하는 우리가 참되다는 사실 때문이다." 다시, pragma는 특정 사태('your being pale')를 표현한다. 그렇지만, 앞서 외부 세계에서 발생하는 사태를, 이해되거나 생각되는 사태와는 대비되는 것으로서 의미하는 데에 사용된 pragma는 다르다. 'being combined(결합)' 또는 분리는 외부 세계의 특성으로 간주되고 정신적인 결합이나 분리 행위를 가리키지 않는다는 것이 뒤따르는 바에 따라 분명하다(1051b9-17).


Metaph. K11, 1067b18은, Metaph.가 pragma나 hypokeimenon pragma 보다는 hypokeimenon을 논한다 하더라도, 위에서 다룬 Categ. 12b15와 De interpr. 21b19에 부합할지 모른다. Hypokeimenon은 여기에서 to kataphasei dēloumenon, '긍정적(적극적) 용어로 표현되는 것'으로 정의되고, 무규정적 명사(indefinite noun, De interpr. 2, 16a30-2)로 표현되는 것에 대비된다는 것을 시사하기는 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Metaph.에서 사태로 이해되는 것에 관하여 pragma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를 꺼리는 것처럼 보이긴 한다.



2.1.2. Pragma의 상이한 의미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저작들에서 pragma를 상이한 의미로 논한다. Pragma가 Prattein('to achieve,' 'to act') 그리고 praxis ('doing,' 'action')과 의미 영역을 공유하는 것으로서 'deed' 의미로 Ethics에서(예를 들어 II3, 1105b5; IV6, 1126b12) 꽤나 자연스럽게 나타난다.


정신 활동과 그 활동이 관련된 대상 사이의 구분이 있는 여러 경우에 pragma가 사용된다. Pragma는 그것을 지시하는 이름과 대비된다. Soph. El. 1, 165a6: auta ta pragmata: "사물들 그 자체, 우리가 이것들을 지시하는 언어적 수단에 대비되는 것으로서." 사물들의 영역이 단어(이름)의 영역에 대비되는 같은 책 16, 175a8을 참조하라. 또한 19, 177a31과 22, 178a26도 참조. Top. I18, 108a21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syllogism이 단어에 의해 지시되는 사물에 관련되어야지, 단지 사용된 용어에만 관련되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De generat. I8, 325a17-8에서는 이론적 관점(logoi)이 그것이 상관하는 사물(pragma)에 대비된다. Physics III 8, 208a15-6에서 pragma는 De interpr. 1, 16a7-8에서도 등장하는 생각(noēsis)과 대비된다. [37쪽]  Top. VI7, 146a3-13에서 pragma는 정의 형식의 내용으로 정의되어야 하는 사물로서 to kata ton logon(말에 따른 것, 말에 대한 것)에 대비된다.


마지막 항목에서 pragma가 단순히 외부 세계의 사물을 표현하는 게 아니라 '우리의 관심이 그리로 정향된 것'을 의미한다는 점이 흥미롭다. Poetics 14, 1453b2-5와 1454a13-4에서 ta pragmata가 단순히 외부세계에서 발생한 사건들이 아니라 연극에서 이야기된 것으로서의 사건들, 'plot'인 그런 유사한 용법도 등장한다.


그렇지만, 정신적 활동에 대비되는 의미에서 pragma의 의미들에 대한 탐구를 계속하면서, Physics VIII 8, 263a17-8이 pragma가 alētheia(참)과 병치된 곳으로서 인용될 수 있다. 'pros to pragma kai tēn alētheian' = '실제 사태의 관점에서,' 즉 운동이 사실상 어떻게 발생하는지. Metaph. A3, 984a18에서 auto to pragma는 '현실 그 자체'를 의미하고 그 용법은 De anima III8, 432a4에서 일치하는 표현이 등장한다. pragma authen = 'nothing real.' Nicomachean Ethics IX 10, 1171a13-4에서는 epi tōn pragmatōn = '사물들의 측면에서' = '실제로(in practice)'가 이 용법에 근접하다.


앞서와 다른 의미는 Politics III 9, 1280a17-9와 IV 15, 1299b18, 사물(pragmata)이 개인에 대비되는 곳에서 등장한다. 하지만 다른 종류의 대비로서 사물의 속성이나 부수적 속성에 대비되는 것으로서 사물을 pragma로 표현하는 구절도 많다. Topics I 5, 102a19와 I 8, 103b8; Soph. El. 24, 179a28; Physics IV 14, 223b25; V 3, 226b30과 V4, 227b28; Meteor. IV1, 379a32-b1. 이 용법은 Rhetorics (I1, 1354a15-23; 1354b17; 1355a2와 19; III4, 1415b6): ta exō tou pragmatos = ''논점 외'에서 발견되는 형식과 비교될 수 있다.


형식적으로 생각으로부터 구분되는 pragma 용법은 pragma가 비록 여전히 정신적 영역의 일부일지라도 Metaph. L, pragma를 '지식'과 생각의 내적 대상 각각으로 다루는 구절에서 발견된다. "일부 경우 지식은 대상이다(to pragma); ...... 이론적 학문에서 정의와 앎이 바로 그 대상이다(to pragma);" L9, 1074b38-1075a3.


사태로 이해되는 Pragma는 Anal.Pr. II 27, 70a32, pragma가 '모든 지혜로운 사람들은 좋다'라는 주장을 표현하는 곳에서 등장한다. 유사한 인식적 의미의 pragmata는 De interpr. 7, 17a38, pragmata가 보편적인 것과 개별적인 것으로 구분되는 경우에서 등장한다.


[38쪽] 끝으로 Metaph.는 두 가지 유용한 전거를 제공한다. 해당 책 Delta에서 그는 pseudos('falsehood')에 관한 장을 구성하고 E 마지막 장은 '참으로서의 being과 거짓으로서의 not-being'을 다룬다. 이 두 장에서 pragma 개념은 핵심적 역할을 한다.


Metaph. D29에서 거짓의 상이한 의미들이 논의된다. Christopher Kirwan(1971:78)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사태를 지지하는 진술과 믿음을 간과하기에' 그에 의해 제시되는 분류가 놀랍다고 불평한다. Ross도 "거짓 대상이나 거짓 사실 같은 그런 사물은 분명 전혀 없다"라는 점에서 불편함을 느끼는 듯하다(344). 반면, 그는 꿈의 사례와 관련하여 곤란을 겪는데, 그는 그것이 정신 상태 이외에 다른 아무것도 아니라고 믿기 때문이다. 내가 보기에, 놀라거나 불편해할 필요는 없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분명 (1) hōs pramga pseudos(사물로 취급되는 거짓)이라 불리는 거짓을 (2) logos pseudēs(거짓 설명)이라 불리는 거짓과 구분되는 것으로 다룬다. (1)은 정확하게 (거짓) 사태와 관련되고 다시 하위분류 (1.1) 대각선의 통약가능함(아리스토텔레스가 '항상 거짓인 것'으로 언급하는) 또는 너의 앉아 있음(때때로 거짓인 것)과 (1.2) 약도(skiagraphia, 부정확함으로 인해 부정확하다는 의미에서 거짓)이나 꿈(어떤 것들로서 있기는 하지만 우리에게 그것들이 연상시키는 바로 그것으로서 있지는 않은 것; 1024b23-4)으로 분할된다.


Hōs pramga pseudos 형식에서 pragma는 현실과의 관련(거짓 가능성으로 이어지는) 내에서 정신활동의 내용으로 간주되는 '사태'를 표현한다. 그래서 b25에서 pragma는 사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그러나 '실제 사물'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사물[사태]은 그 not being <the case>(사실 아님)으로부터 그 자체 거짓이라고 불리거나 그로부터 귀결된 연상이 사실이 아니라는 사실로부터 거짓이라고 불린다." (1024b24-6). 'not being <the case> 설명(또는 사유)'은 설명이나 사유가 obtain(실현)하지 못함을 말하는 통상적인 형식임을 유념해야 한다.[각주:27]


Metaph. D29, '거짓 설명'이 논의되는 곳에서, 논의되는 것은 거짓 진술('S is P' 형식의)이 아니라 '거짓 기술'이다. 중요한 것은 아리스토텔레스가 거짓을 누군가에 의해 어떤 것에 잘못 부여된 사태(묘사라는 의미에서)로 생각한다는 점이다.


[39쪽] Metaph. E4는 '실제 사물'이란 다른 의미로 pragma를 사용하는 것처럼 보인다. "거짓과 참은 pragmata 안에 있지 않고(예를 들어 좋은 pragma는 참으로 있고 나쁜 pragma는 그 자체로 거짓), 사유(dianoia) 안에 있다" (1027b25-7). 그렇지만 그 대비는 실제로 결합과 분리로 구성되는 사유활동으로서 dianoia와 사유-내용(pragma)에 관련된다. 이 사유-내용은 결합과 분리 같은 활동을 통해 단언되거나 부정된다는 그 일과는 구분된다. 그래서 참과 거짓이 사유-내용 안에 있는 게 아니라는 것은 맞는 말이다. 사유-내용은 단언이나 부정에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사유에서 긍정이나 부정에 진리치가 의존하지 사유 내용에 의존하는 것은 아니란 얘기.]


Nuchelmans가 pragma란 단어의 불분명함에 대해 말한 것이 완전히 다 맞지는 않다. Pragma는 일관되게 사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것이 외부 세계에서 실제로 발생한 것이든, 생각된 것이든 상관없이. 발생한 경우, eu prattein과 kakōs prattein, 잘 한 일이나 못한 일 그 자체를 지시한다. 후자의 경우, 지각되거나 의미된 대로의 사물을 가리킨다. 존재적 용법(being-so-and-so 또는 x-being-so-and-so)과 인식적 용법('(x) conceived-of-as-being-so-and-so) 사이의 밀접한 관계에 관련한 세부사항은 De Rijk (1986: 171)을 참조하라. Pragma의 이러한 이중 함축은 한쪽이 다른 한쪽보다 우세해지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문맥을 통해 정확한 해석이 가능할 것이다.



2.2. 아리스토텔레스에서 Logos와 일부 관련 개념


플라톤의 logos와 매우 유사하게, 아리스토텔레스적 logos도 오늘날 '진술'과 똑같지는 않고 '설명'이나 '합성된 기술적 표현'(또는 정의항)에 가까우며, 진술의 서술적 부분으로 사용된다는 것과는 관련이 없다. Metaph. D29, 1024b26-39에서 아리스토텔레스가 '거짓 설명(logos pseudēs)'에 관해 말하는 바에서 [40쪽] '거짓'은 'not-applying'과 동의어이고, alēthes는 'applying'을 의미하는 데에 사용된다는 점이 이를 보여준다.


De interpr. 4,16b26-8에서 잘 알려진 logos에 대한 정의에서 번역어 '설명'이나 '합성된 표현'은 '문장'이나 '진술'이 더 적절해 보이는 곳에서도 잘 작동한다. 그래서 logos=설명 공식은 16a22(kalos hippos 구), 16bl, 19a28, 19b19, 21b24 (17a11과 21a29에서 logos가 정의항이기에)뿐만 아니라 19a33에서도 성립한다: "참인 설명은 그 설명의 pragmata(즉 그 설명이 의미하는 사태)가 참인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참이다." 예를 들어 '내일 해전이 일어날 것이다'라는 것은 내일 실제로 발생하는 해전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해당 pragma가 '내일 해전이 일어날 것이다'라는 표현에 의해 표현된 것으로 이해되는 사태이다.


이러한 연결은 to kathēsthai tina(누군가가 앉아 있다는 것)라는 부정사 구문이 logos라고 불리는 곳을 지시하게 될 것이다. Pragma와의 유일한 차이는 logos가 언어적 표현을 의미하는 반면 pragma는 그 내용을 표현한다는 것이다.


Kataphasis가 때때로 긍정적 logos에 대한 서술적 표현으로 사용되는 표현이라는 점은 '합성된 표현'으로서의 logos와 궤를 같이 한다. 아크릴은 De interpr. 12,21b3-5에서 '긍정'과 '부정'이 진술이 아니라 서술적 표현이라고 옳게 언급하였다. 다른 한편, 진술은(S=P 형식이 아니더라도) 그 안에 참이나 거짓이 들어있는 logos로 정의되는 바, apophantikos(선언적, 언명적) logos라는 용어로 표현된다(17a2-3). 그리고 이는 명백히 참도 거짓도 아닌 logos로서 기원에 대비된다. 따라서 그런 logos는 아직 진리치를 포함하지 못하며 참이나 거짓이 될 자격을 가져오는 것은 apophantikos 요소이다. 참이나 거짓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무언가가 추가되어야 하는데, to einai 또는 이를 포함하는 또 다른 동사가 추가되어야 한다. 16b28-30, 21b5-10과 함께.



2.2.1. 아리스토텔레스에서 명명과 단언


이상의 내용은 아리스토텔레스에서 명명과 단언에 관하여 몇 마디를 하도록 이끈다. 용어의 선명성을 위해 관련 용어들을 일람할 필요가 있다. Nuchelmans(1973:23-32와 색인) 참고. 


I - Logos: '합성된 표현'

    '한-단어-이상의-명칭'


[41쪽] II - pragma: 'logos(또는 이름)의 내용' = 합성된 표현에 의해 표현되는 '사태.' 존재적이거나('외부세계 내의 사태') 인식적('이해된 사태'), 또는 그 결합이다.


III - Apophainesthai: '알려지도록 만드는 것,' '무언가가 사실이라고 단언하는 것.' Categ. 7, 8b22; De interp. 5, 17al9; a27; b2-9; 11, 20b29. apophainesthai ti peri tinos에 대해서는 Bonitz, Index Arist. 88, a36-41을 보라.


   - apophansis: '무언가에 대해 무언가(pragma)를 긍정하거나 부정하는 단언(선언).' De interp. 6, 17a20-26; 7, 17b5.


   - 모순의 부분(즉 kataphasis 긍정이든, apophasis 부정이든)을 포함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취급되는 경우. Anal. Post. 12, 72a11.


     apophansis는 두 가지로 구분된다.

     1. kataphasis (이하에서 kataphasis(2);) = apophansis tinos kata tinos (무언가에 대해 무언가를 긍정하는 발화)

     2. apophasis (이하에서 apophasis(2);) = apophansis tinos apo tinos (무언가에 대해 무언가를 부정하는 발화). De interp. 6, 17a25-6.


Apophansis의 정의(17a23-4: 무언가(pragma)가 성립하는지 성립하지 않는지에 관한 의미를 가진 발화된 음성구조(phōnē))를 고려하면, '무언가에 대해 무언가를'이라는 형식은 성립과 비 성립이란 용어로 설명되어야 할 것이다.


   - Apophantikos: logos apophantikos = '진술-형성 합성 표현,' '참이나 거짓이 그 안에 들어 있는 logos'로 정의된다(De interpr. 4, 17a2-3).


     logos apophantikos는 두 가지로 구분된다.

     1. logos kataphatikos = '긍정 진술' = kataphasis(2)

     2. logos apophatikos = '부정 진술' = apophasis(2)

     De interpr. 4, 17a8-9


IV - Phanai = - '생각을 행함,' '의견을 가짐.' 단순히 '생각,' '파악'을 표현하는 noein에 대비되어.

                - '말함.'


[42쪽]        phanai는 이중의 의미로 나타난다.

                phanai(1): 'to have in one's thought,' 'to have before one's mind.' 그것이 사실이라는 것을 단언하거나 부정하지 않고. 그래서 Metaph. Th.10, 1051b24에서 참은 thigein kai phanai, 생각으로 접촉하고 파악함으로 정의된다.

                phanai(2): '그것이 사실이라고 말하거나 생각함' ( = kataphanai). De interpr. 9, 18a36과 여러 곳; 12, 21b20

                phanai(2)는 자연스럽게 apophanai에 대비된다, 긍정함이 부정함에 대비되듯. 그래서 De interpr. 9, 18b2; 12, 21b20; 22b12; Anal.Post. I 4, 73b23; I11, 77a10과 여러 곳; Soph.El. 11, 171b3과 여러 곳.


이중적 phanai는 이중적 phasis와 함께 간다.


phasis:

phasis(1): '표현' (한 단어 표현이든 여러 단어로 된 표현이든.) De interpr. 4, 16b27; 5, 17a17; 12, 21b19 (tas antikeimenas phaseis = '대립되는 표현들'). Metaph. Th.10, 1051b24-5에서 phasis는 'mental expression', 'grasp'를 의미한다.

phasis(2): '단언.' 느슨하게 취급하여 '분명한 찬성이나 반대('yes'나 'no'에 개입되지 않는 단순한 생각 dianoia에 대비되는 것으로서).' Eth. Nic. VI9, 1142b13 영혼의 '내적 대화'라는 플라톤의 묘사. Theaet. 189e4-190a6 그리고 Sophist 263e3; Nuchelmans (1973: 19, 24); De Rijk (1986: 295-6; 338-9) 참조.


두 가지 phasis 모두 kataphasis와 apophasis로 하위분할된다.


kataphasis(1): '무언가에 대해 무언가를 긍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술어 표현'

apophasis(1): '무언가에 대해 무언가를 부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술어 표현' Categ.10, 12b15; De interpr. 10, 19b7; 12, 21b3-5; Physics V1,

225a6; Metaph. K11, 1067b18;

kataphasis(2): logos kataphatikos.

apophasis(2): logos apophatikos.


Phasis와 apophasis는 함께 antiphasis(모순)을 구성한다. 모순은 '상호 반대되는 긍정 plus 부정'으로 정의된다. De interpr. 6, 17a33-4.

De interpr. 9, 18b37; 11, 21a22과 38 이하.; 14, 23b24-32; 24b7; 그리고 다른 곳; Anal. Post.I2, 72a12; Metaph.I7, 1057a34; 그리고 다른 곳.


[43쪽] Phanai처럼 phasis라는 용어도 '찬성(반대에 대비되는 것으로)'을 의미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이 용어들이 명명 차원에 속하는지 아니면 진술 차원에 속하는지 여부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A) 명명 차원

 - logos: '합성 표현'

 - pragma: 합성(혹은 단일 단어) 표현의 내용'

 - phasis(1): '표현' ('긍정 표현')

 - kataphasis(1): 긍정적으로 사용된 표현

 - apophasis(1): 부정적으로 사용된 표현


B) 진술 차원

 - apophansis

 - logos apophantikos - logos kataphatikos

                             - logos apophatikos

- phasis(2) - kataphasis(2)

               - apophasis(2)



2.2.2. 아리스토텔레스에서 명제적 구조


아리스토텔레스에게서 발견되는 명제적 구조를 규정하기 위해 Mohan Matthen(1983: 125-31)은 '술어적 복합체(predicative complex)'라는 개념을 도입한다. 그는 이를 보편자를 개별자가 예화할 경우 그 보편자와 개별자로부터 구성된 하나의 대상이라 보았다. 아리스토텔레스가 Metaphysics Z12에서 제안한 것과 같다. 서술적 복합체는 pragma인 듯하고 그는 이를 '개별자와 술어'로 구성되도록 만드는 것 같다. 그래서 문장은 서술적 복합체에 단항적 'being'이나 'not-being'을 부여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런데 서술적 복합체는 개별자와 술어를 분리시키는 계사('is')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다른 한편 이 복합체를 '술어적'이라 부르는 것은 복합체 외부에 그 대응자로서 어떤 주어가 있을 것임을 시사하고, 반면 그는 단항 함수로서 'being'과 'not-being'을 말한다. [44쪽] 그래서 아리스토텔레스의 logos, pragma를 포함하는 logos는 단언가능한 혹은 진술가능한 복합체라 불러야 할 것이다. 진술가능 복합체(개별자 plus 속성을 포함하고 그 둘 모두에 대해 공의적 being을 포함하는)는 긍정적으로든 부정적으로든, 단항 함수 'being'이나 'not-being'에 의해 '진술'될 수도 있다. 


Logos도 phasis(kata-, apo-)도 단언하거나 부정하는 발화 행위에 관련되지 않는다는 것이 드러난다. 이러한 특징은 Metaphysics E 마지막 장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이를 논하기 위해 먼저 핵심 개념 몇 가지를 살펴 본다.



2.3. logos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의미론에 포함된 일부 핵심 개념들


Metaphysics E4 참으로서 'what-is'와 거짓으로서 'what-is-not'에 관한 논의에서 결합, 분할, 그리고 pragma 개념이 중요하다. pragmata는 거기에서 dianoia에 대비되고 참과 거짓은 전자가 아닌 후자 안에 있다고 이야기된다. 그런 이유로 dianoia, synthesis(결합), dihairesis(분할)을 개략적으로 살펴보자. 이는 결합과 분리라는 활동, 즉 모아 생각하는 것과 따로 생각하는 것이라는 짝의 기저에 놓인 사유 과정에 관한 언급으로 이어진다. 



2.3.1. dianoia와 pragma


dianoia는 일반적으로 참되게 생각하는 능력이나 활동을 가리키는 데에 사용되고, 식별(분간)을 함축한다. 따라서 dianoia는 개념들의 결합과 분리를 다루는 문맥에서 등장한다. Metaphysics E4, K8에서 참으로서의 'what-is'가 사유를 통해 성취되는 결합에 의존한다고 이야기된다. NE V12는 이러한 dianoia 단어 용례를 제공한다. 해당 문맥에서 사유에서의 긍정과 부정은 욕구에서의 추구와 기피에 대응되고, [45쪽] 긍정과 추구 모두 'yes'에 대한 의도적 선택으로, 부정과 기피 모두 'no'에 대한 선택으로 간주된다.


Metaphysics에서 pragmata가 dianoia에 대비될 때, 후자를 단순히 생각 속에 떠올리는 것에 대비되는 것으로서 긍정과 부정의 과정이라는 의미에서의 생각으로 간주하였다. 단순 파악의 경우 참은 생각에서도 발견되지 않는데 이 경우 참은 아무런 긍정이나 부정도 없는 단순한 접촉과 같기 때문이다. 


따라서 긍정이나 부정의 사유과정에 대비되는 것으로서 사유 내용으로 pragmata를 이해하는 것이 곧장 외부세계 대상을 지시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보다 적절하다.



2.3.2. Alēthes(참)와 Pseudos(거짓).


결합과 분할을 다루기에 앞서 참과 거짓을 논해야 하는데, 결합-분할이 참과 거짓이 있는 형식적 원인들로서 규정되기 때문이다(Metaph.

E4, 1027b18-22; Th.10).


Th.10, 1051b2-5: "이것[참으로서 'what is'와 거짓으로서 'what-is-not']은 사물의 측면에(epi tōn pragmatōn), 그 사물들의 결합되어 있음(synkeisthai) 혹은 분리되어 있음(dihēirēsthai)에 의존해서 분리된 것을 분리되었다고 생각하고 결합된 것을 결합되었다고 생각하는 자는 참을 가지고, 반면 사물의 상태와 반대 상태의 생각을 가진 자는 오류에 빠진다."


여기서 아리스토텔레스는 대상의 being을 그 구성 요소들의 실제 결합으로 정의하고 그 not-being을 특정 요소들의 실제 분리되어 있음으로 정의하며, 다음으로 참되게 말하거나 거짓되게 말하는 것을 말과 외부 대상(ta pragmata) 사이의 부합으로 정의한다.


[46쪽] 그렇지만 다음 구절에서는 대상의 being에 한정하여 참이 '사실임(being the case)'을 표현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듯한 반면, 사실임을 단언(혹은 부정)하는 것은 고찰하지 않는 듯하다.


Th.10, 1051b32-5: "참으로서 'what is'와 거짓으로서 'what-is-not'은 한 경우[즉 단언과 부정의 경우]에서 만일 <logos로 지시되는 요소들의> 결합이 있다면 참이 있고 만일 그런 결합이 있지 않다면 거짓[='사실이 아님']이 있다."


내가 보기에 첫 번째 인용문은 참이 된다는 것을 통합된 한에서 참인 것이 진정으로 참인 것이라 취하는 것으로 이해하도록, 또는 통합되지 않은 채로 거짓으로서 있지 않은 것을 거짓으로 있지 않은 것으로 취하는 것으로 이해하도록 만드는 듯하다. 오류에 빠지는 경우는 이것들과 다른 경로를 통한 것이다. 참은 종종 거짓으로서 있지 않은 것을 거짓으로서 있지 않은 것이라 부름으로써 참이 되고, 그런 경우 참으로서 있는 것 일부에 관련하지 않으며, 오히려 일부 거짓으로서 있지 않은 것에 관련한다. 


이러한 해석에서 아리스토텔레스가 (단언이나 부정 상황에서) 만일 <합성된 이름(logos)에 의해 지시되는> 요소들이 통합된다면 참(또는 '사실임')이 있고, 만일 그 요소들이 통합되지 않는다면 거짓(혹은 '사실이 아님')이 있다고 주장했어야 한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참이 되는(참되게 말하는) 절차 혹은 거짓이 되는(거짓되게 말하는) 절차를 동일한 logos를 다루는 상반되는 두 가지 방식들로 보는 관점, 그리하여 단언(혹은 부정)이 관련된 동일한 logos를 향한 찬성(혹은 반대)이 되도록 하는 관점을 가져야 한다. 예를 들어,


'obtains [man plus sickness]'


그리고


'does not obtain [man plus sickness],


이 둘 각각이 사례가 된다, [man plus sickness]라는 logos가 pragma(사태), 'that-the-man-is-sick'을 표현하는 경우에. 이는 pragma(또한 그 언어적 장치로서 logos)가 결코 부정적인 것이 아니며, 따라서, 항상 결합의 결과일 뿐 결코 분할의 결과이지는 않다는 점을 시사한다.


Alēthes와 Pseudos에 대해 추가할 언급들로, 첫째, to alēthes(to pseudos)와 to on hōs alēthes(to mē on hōs pseudos)를 구분해야 한다. 후자는 '관련된 pragma가 사실임' 또는 '사실이 아님'을 가리키고, 반면 [47쪽] alēthes(pseudos) 그 자체는 두 종류의 단언(legein)으로 정의된다(Metaph. G7,1011a26-8): "있는 것을 있지 않다고, 또는 있지 않은 것을 있다고 말하는 것은 거짓이다. 반면 있는 것을 있다고, 있지 않은 것을 있지 않다고 말하는 것은 참이다." 이는 다음과 비교된다. Anal.Pr. I, 46, 52a32: "'그것은 참이다'라는 표현은 '그것이다'와 매우 근접하다." 다음과도 비교된다. Metaph. Th.l0,1051b22-3; "참이 동일하지 않기에 ...., 그래서 being 또한 동일하지 않다." Rhet. I 7, 1364b8-9에서 참은 pragmata와 병렬되며 참이 '참인 사태'라는 의미를 갖도록 한다. Methaph. D7, 1017a31-3: "'To be'와 'is'는 <관련된 pragma가>참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not to be'는 참이 아니라 거짓이라는 것을 의미하며, 단언이나 부정의 경우에서 같은 정도로 그러하다." De anima III8, 432all-2에서 참과 거짓은 개념들의 결합(symplokē) 또는 그런 결합과의 관련으로 불린다(De anima III 6, 430a27-8; De interpr. I, 16a12-3). 이로부터 참과 거짓은 사태(pragma)에 대해 그것이 사실이라고 또는 사실이 아니라고 말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들이다.


이러한 노선에서 to on hōs alēthes(being qua true)와 to mē on hōs pseudos(not-being qua false)는 각기 특수한 종류의 being 그리고 not-being을 기술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들은 Metaphysics (E2, 1026a35; 4, 1027b18; 0-10, 1051b1이하.; K8, 1065a21-3; 11, 1067b25; N2, 1089a28)에서, 참인 사태 그리고 거짓인 사태를 표현하는 곳에서 사용된다. 



2.3.3. Synthesis와 Dihairesis 그리고 einai(mē einai)의 역할 


앞선 해석에 따라 synthesis가 logos('결합된 이름,' 'sick man' 같은 것)를 구성하는 이름들에 의해 지시되는 요소들의 결합과 관련되리라 기대할 것이다. 결합은 logos가 성립하기 위한 필수 조건이다. Logos가 단순하고 분리된 이름들에 대비되기에 그러하다. 그렇지만 이 '결합'이나 '연결'은 이중적 본성을 보여준다. 첫째로 synthesis는 (논리-문법 관점에서) logos 내에서 '연결된' 이름들을 가리키고, 또한 (존재론적 관점에서) 외부세계 내 사실로서 해당 지시체들의 통합을 지시하기도 한다. 논리적 synthesis는 명명 차원에서 성취되는 결합이거나 진술 차원에서 성취되어서 명명 차원에서 성취된 것에 대한 단언(찬성)과 같은 것일 터이다.


[48쪽] Synthesis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술에서 두 용례를 가진다. (1) 존재론적으로 물리적 사물에 대해 이야기되는 '결합 구조' 또는 '구성.' (2) 둘 이상의 개념들(noēmata)을 통합시키는 논리적 연산자. 후자의 의미는 0을 통해 표시하기로 한다. 이제 synthesis(0)는 특수한 두 가지 논리적 의미로서 명명 차원에서 성취되는 통합(또는 통합시키는 행위)를 의미하는 synthesis(1)과 간접적으로 외부세계의 일부로서 있는 사태에 대한 단언을 의미하는 synthesis(2) 사이에서 중립적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synthesis 용례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존재론적 용법:

synthesis: '함께 어울림' 혹은 '구조를 구성함'(결합)

논리-문법적 용법:

synthesis(0): 둘 이상의 개념들을 통합시키는 정신 활동

synthesis(1): 둘 이상의 개념들을 통합시킴(통합), 명명 차원에서 logos를 만들어 냄.

synthesis(2): 진술 차원에서 logos(pragma)에 대한 단언.


Synthesis(2)는 synthesis(1)에 대한 단언(긍정)이다. 반면 dihaeresis는 synthesis(1)에 대한 부정이다.


Synthesis의 대응짝인 dihairesis는 정신활동으로서 '파편화된 구조'나 '비일관된 대상' 등의 존재론적 의미를 지니지 않는다. 논리-문법적 용법('분리,' '부정')은 진술 차원으로 엄격하게 제한되기에 synthesis(2)의 대응물로 작용하고, 따라서 간접적으로는 관련된 logos에 의해 지시되는 결합에 대한 부정을 의미한다.


진정한 단언이나 부정이 있기 위한 근간이자, 따라서 거짓과 참의 근간인 Synthesis는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여러 차례 논의된다.


De intetpr. I, 16a12-8: "거짓과 참은 결합과 분리에 관련된다. 그래서 이름과 rhemata 그 자체(예를 들어 'man'이나 'pale'에 아무것도 덧붙지 않은 경우)는 통합함도 분리함도 없이 <형성되어> 있는 생각들과 같다. 왜냐하면 참도 아니고 거짓도 아니기 때문이다. <....> 'be' 또는 'not be'가 추가되지 않는 한, 단적으로든 혹은 시간 지시를 동반하든." [Categ. 4, 2a4-10 참조]


[49쪽] 아리스토텔레스는 synthesis(1)과 (2)를 포함하는 (0)에 대해 말하고, 반면 dihairesis는 관련된 logos로 지시되는 pragma의 부정을 표현한다. 또한 참과 거짓의 성립 조건으로서 추가가  동사 einai(mē einai)에 관련된다는 주장이 중요하다. 이 동사는 logos를 logos apophantikos로 만드는 함수로 사용되는 경우의 것을 말한다.


Einai의 이러한 기능은 Metaph. D7, 1017a31이하에서도 논의된다.


: "다시, 'be'와 'is'는 <일부 pragma가> 참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반면 'not be'는 그것이 참이 아니라 거짓임을, <그리고> 단언과 부정의 경우에서 같은 정도로 <그렇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is: Scorates-being-artistic' <의미한다> 이것이 참이다['사실이다'] 또는 'is: Socrates-being-no-pale' <의미한다> <이것이> 참이라는 것, 반면 'is not: the-diagonal-commensurable' <의미한다> <이것이> 거짓이라는 것을.


이는 apophasis가 onoma와 미규정 rhēma로 구성된 부정적 logos('Socrates-being-not-pale 같은)가 아니라, 'is not'(ouk estin)이란 부정 함수로 수행된 부정을 지시하는 데에 사용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be' 함수 관련 정보는 De anima III 6에서 단언과 부정이 기술되는 곳에서도 수집된다.


: 참과 거짓이 적용되는 곳에는 이미 <지시체들을 포함하는> 개념들에 대한 그 함께 속하여 있는 것으로서의 모종의 통합(synthesis)이 있다.

  <생략>


이 synthesis는 synthesis(1)에 해당한다. 


430b1-4: "거짓은 언제나 synthesis를 포함한다. 왜냐하면 [50쪽] 'is not: the pale being pale'의 경우에서조차, pale과 not-pale의 synthesis를 구성하였기에. 그렇지만 이 모든 것을 dihairesis로 부르는 일도 가능하다."


430b4-6: "그건 그렇지만, Cleon is pale을 단언하는 참이나 거짓만이 가능한 게 아니라 he was 또는 he will be <pale>이라고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렇지만 각각의 모든 경우, 통합하는 것은 정신(nous)이다."



2.4. Metaph. E4. 재해석.


부수적으로 있는 것(kata symbebēkos on)을 다루는 논의에 이어서 참과 거짓이 아니라 참이란 의미에서의 being과 거짓이란 의미에서의 not-being 논의가 진행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런 종류의 being(not-being)이 synthesis 그리고 dihairesis와 관련된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그는 synthesis(2)(synthesis(1)에 대한 긍정)와 그 대응물로 dihairesis(synthesis(1)의 부정)을 염두에 두고 있다. 다음으로 참으로서의 being과 거짓으로서의 not-being 사이의 논리적 관계가 밝혀진다.


Metaph. E4, 1027b18-23: "참으로서 있는 것과 거짓으로서 있지 않은 것은 결합과 분리에 의존하고(para synthesin esti kai dihairesin), 둘 모두 모순의 부분들의 배열과 관련된다. 참은 (실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의 경우에 긍정의 영역을 포괄하고 (실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의 경우 부정의 영역을 포괄하기 때문이다. 반면 거짓은 이 배열에 반대와 관련된다."


단언과 부정이 logos에, 그 부분들이 통합을 구성하는 그 logos에 관련하지 단순한 용어들의 나열에 관련하지는 않는다는 점이 밝혀진다:


Ibid. 1027b23-5: "'함께 생각함'과 '나누어 생각함'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또 다른 이야기가 있다. '함께'와 '나누어'를 통해 나는 그렇게 <생각>함으로써 <개념들의> 단지 연쇄가 있는 게 아니라 모종의 하나인 것[=pragma]으로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51쪽] 그는 참과 거짓(여기에서 다뤄지는 종류의 being 아래에서)이 결합과 분리 활동에 관련된다는 사실이, 관련된 logos의 내용들인 pragmata에 의존한다는 것을 함의하지 않음을 설명한다. 물론 거짓과 참은 결합과 분리라는 활동에 의존하지만, 그 내용, pragmata에 의존하는 것은 아니다. 단순 파악(dianoetical thought에 대비하여)에 관한 한, 이는 dianoia와 무관하며, pragmata에 개입하지 않는다. 하지만 단순 파악은 이후 다음과 같이 다루어진다.


Ibid., 1027b25-9: "거짓과 참은 사유-내용(pragmata) 안에(마치 좋음이 참이고 나쁨이 그 자체로 거짓인 것처럼) 있지 않다 - 오히려 discursive thought 안에 있다. <생략>"


아리스토텔레스는 우연적으로 'being qua truth'(그리고 'not-being qua falsehood')인 'being'이 'being-in-the-main-sense'에 대한 지금의 논의에서 빠지는 것처럼 논한다. 이제 being qua truth의 특징적인 본성이 설명된다.


Ibid., 1027b29-1028a1: "엮임과 분리는 discursive thought 안에 있고 사유-내용에 들어 있지는 않으며, 이런 의미에서의 있는 것은 근본적 의미에서의 'thing-that-is'와는 다른 것이다. (왜냐하면 사유가 실체적 being이나 질적 being 또는 양적 being이나 다른 어떤 것을 결합하거나 분리시키기 때문이다) - 우연적 being과 참인 한에서의 being은 제외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후자의 원인은 특정한 측면에서의 사유이기 때문이다."


Kirwan(1971: 198)이 De interpr. 1, 16a9-18이 여기에 부합한다고 언급한 것은 맞다. 그는 De interpr. 1, 16a9-18가 참인 사유와 거짓인 사유에 대해('that-Callias-is-pale'이라는 생각) 논하는 반면, E4는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사유가 아니라 그러한 사물(Callias와 pallor)를 논한다고 본다. 그렇지만 이는 잘못된 것인데, 동일한 logos가(Callias-being-pale) 단언이나 부정의 대상이기 때문이다.


[52쪽] Kirwan(199)은 아리스토텔레스의 혼동을 지적한다. 첫째로, (1) '창백한 칼리아스에 대한 사유'와 (2) '칼리아스가 창백하게 있다라고 하는 사유' 사이의 혼동이 있다고 본다. 그렇지만 아리스토텔레스에게 그 둘 사이의 구분은 필요하지 않고 그 둘은 같은데, 단언이든 부정이든 결합이나 분리의 요소인 각 용어에 관련되는 게 아니라 동일한 logos('Callias-being-aple' = 'pale Callias'), 분할되기 보다는 단언되거나 아니면 거부되는 그 logos에 관련되기 때문이다.



[53쪽] 3. Epilogue.


1. 플라톤


1.1. logos는 아직 진술-형성 발화이지 못한 이름(onoma)과 한정어(rhēma)로 구성되는 합성 표현이다.


1.2. logos는 사태(pragma), 즉 외부세계에서 일부 참여대상(dynameis)들의 실제 결합을 표현한다.


1.3. logos eirēmenos가 진술-형성 발화이다. 이것은 logos로 표현된 pragma이 실제로 사실이라는 것을 단언한다.



2. 아리스토텔레스


2.1. logos는 개념적 사태와 존재론적 사태 모두를 표현하는 onoma와 rhēma로 구성되는 합성 표현이다. 이는 '진술가능 복합체'로 규정될 수 있을 것이다.


2.2. pragma는 사태이다.

     존재론적으로: 외부 세계의 일부로서의 사태이거나

     의미론적으로: logos를 통해 이해되고 표현되는 사태이다.


2.3. logos apophantikos('진술-형성 발화')는 실제로 진술된 logos이다(단언되었든 부정되었든).


2.4. logos는 명명 차원에서 사용되거나 진술 차원에서 (qua logos apophantikos) 사용된다. 유사하게, phasis(kataphasis, apophasis)도 이 두 차원 중 어느 한 차원에서 사용된다.


2.5. synthesis는 synthesis(1) = onoma와 rhēma를 (명명 차원에서) logos로 통합시키는 활동이거나 synthesis(2) = logos apophantikos 안에서 성취되는 그러한 통합에 대한 (진술 차원에서) 단언이고, 반면에 dihairesis는 언제나 (진술 차원에서) 그러한 통합에 대한 부정이다.


2.6. logos apophantikos의 일부를 이루는 esti는 계사가 아니다. 오히려 이 동사는 synthesis(2)의 표지이다. onoma와 rhēma는 synthesis(1)에 의해 이미 진술가능 복합체인 logos를 이루는 방식으로 통합되어 있고, 그래서 esti는 이항 계사적 함수보다는 단지 '진술가능 복합체'가 실제로 진술되고 있음에 대한 단항 표지에 불과하다.


2.7. logos apophantikos 내에서 발견되는 명제적 구조는 다음과 같이 기술될 것이다.

언어적으로: 범주적 being을 표현하는 logos(being의 열 가지 범주 중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것에 의해 보충어를 취하게 되는 공의적인 being)는 '(긍정적으로든 부정적으로든) [54쪽] 단항 함수 'be' 또는 'not be'에 의해 진술된다.'

의미론적으로: logos에 의해 표현되는 pragma는 외부세계의 일부로 있는 것으로(혹은 있지 않은 것으로) (또는 '사실 (or 아닌) 것으로) 이야기된다.


이와 같이 요약된 결론에 비추어, '이항 서술과 삼항 서술' 사이의 구분은 관련이 있기 어렵다. 그 언어적 차이 대신, 모든 부정 진술과 긍정 진술은 단일한 복합 논증, 즉 logos에 선행하는 단항 함수를 지닌다. 그 표층 구조에서 볼 때 형용사적 동사는 단항 함수 'be'와 logos의 rhēma 부분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존재 동사는 단항 함수와 공의적 being, 관련된 logos의 onoma 부분과 rhēma 부분에 의해 지시되는 그러한 범주들에 의해 보완되는 도식으로 기능하는 그러한 공의적 being으로 나뉜다.


-蟲-

  1. See De Rijk (1986: 231-4, and passim). [본문으로]
  2. Ibid., 229. [본문으로]
  3. Ibid., 225-31. [본문으로]
  4. See ibid., 282 where, following Prauss (1965: 51)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logos and dionomazein is pointed out. [본문으로]
  5. For the distinction between the onomazein level and the legein level, see Nuchelmans (1973: 14-7) and De Rijk (1986: 196-202) and below, p. 34; 45. [본문으로]
  6. See De Rijk (1986: 271-6). [본문으로]
  7. Ibid. 201-2 and 309-16. [본문으로]
  8. Ibid., 225-34. [본문으로]
  9. Plato's view of propositional structure is more fully discussed in De Rijk (1986: 306-16; 349-50; 353-4). [본문으로]
  10. For this section, see De Rijk (1986: 332-50) and the literature mentioned there. [본문으로]
  11. Cf. Mc.Dowell (1973) ad toe. and De Rijk (1986: 296 and 339). Fo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ocess of doxazein involved here, see Nuchelmans (1973: 19). [본문으로]
  12. See the important passages in Prauss (1965: 36; 110-22 and 191). [본문으로]
  13. By 'logos properly speaking' I refer to the unasserted logos, or the logos taken apart from its being actually asserted respectively. [본문으로]
  14. See De Rijk (1986: 348-54). I am glad to see that in an extensive and quite penetrating review article of Kahn's book my Amsterdam colleague C.J. Ruygh had arrived (in Lingua 48 (1979: 43-83) at a similar conclusion: "Ia valeur fondamentale de 'es-en grec ancien est 'etre present, etre Ia', sans specification ulterieure" (p. 78). See also his paper: 'Sur Ia valeur fondamentale de einai, Une replique", in Mnemosyne 37 (1984: 264-70). [본문으로]
  15. See De Rijk, (1986: 248-53 and 281-2). [본문으로]
  16. See De Rijk (1986: 286-7; 322-6; 350-4). Throughout the whole passage (Euthyd. 283C-286B) pragma seems to stand for a subject including the phenomenal condition(s) ascribed to it by the user of the logos. See De Rijk (1986: 285-90). [본문으로]
  17. For the context, see De Rijk (1986: 285-90). [본문으로]
  18. See De Rijk (1986: 293-302; 345). [본문으로]
  19. Cf. what Plato calls (Sophist, 261D-C) praxeis ('appurtenances'; see De Rijk, (1986: 197), n.16)), where states as well as actions may be meant; see Nuchelmans (1973: 14 and 95). [본문으로]
  20. Nuchelmans as well as Ackrill (ad loc.) have 'his sitting' where Aristotle omits the subject accusative (to kathesthai). However, Nuchelmans did notice (35) that at 12b15 Aristotle only mentions the predicate expression 'sitting' instead of the complete affirmation. One might ask why Ackrill and Nuchelmans do not render, quite in line with their translations at 12b14-6, estin anthropos (at Categ. 12, 14b16 ff.): 'he is a man' rather than 'there is a man' (their rendition ad loc .) or 'is-a-man' (which I would prefer; see below, p.OO). For the re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formulas is not very important, it seems. [본문으로]
  21. For this important requirement, see below, p.00. [본문으로]
  22. For this important requirement, see below, p.00. [본문으로]
  23. For this difficult passage, see Ackrill, ad loc. I hope to argue for my interpretation elsewhere. To be sure, the meaning of pragma as 'state of affairs' is not affected by the special difficulties of the passage. [본문으로]
  24. I cannot possibly make something out of the MSS reading epi tau einai (rendered by Ackrill: "in the case of 'to be'"). Besides, the important opposition between the assertoric and the modal cases which is so neatly indicated at b27-29: ep' ekeinon, entautha) is obscured at b30-2 by ep' ekeinon and epi tou einai, and therefore I would propose to read at b32: epi tou einai dynaton kai einai ou dynaton, where epi tout on is the counterpart of ep' ekeinon, and to einai dynaton kai einai ou dynaton that of to alethes. [본문으로]
  25. dihorizousai.. ..... to a/ethes. Note that here dihorizein means 'to differentiate'= 'to constitute by differentiation', rather than 'to distinguish something into different types of it'. Cf. Aristotle, Physics IV 6, 213b 24-7, where the void is said to dihorizein things' natures or to establish things' different natures. Cf. Liddell and Scott: 'to determine one to be so and so', e.g. Demosthenes XX, 158 and Sophocles, Oed. Tyr., 1083. [본문으로]
  26. Nuchelmans seems to be wrong in assuming (1973: 36) that, unlike at Categ. 12b15 (where the underlying pragmata are 'Socrates's sitting' and 'Socrates's not sitting', respectively, at De interpr. 21b28 the (two) pragmata of the (supposedly) one example, 'A man is pale' would be 'man' and 'pale'. Rather, 21b28 should be linked with 21a39-b3, where the two examples 'to-be-a-man' and 'to-be-a-pale-man' are mentioned, instead of just one example 'A man is pale', as is assumed by Nuchelmans, presumably starting from 21b28. Hence, it seems more reasonable to assume that two examples are put forward by Aristotle, and that the pragmata involved are 'to-be-a-man' and 'to-be-a-pale-man' respectively (or, if you wish, 'being-a-man', and 'being-a-pale-man')-. For that matter, at 21b28 we should rather read to men leukos < anthropos > , to de anthropos as this would be more in line with Aristotle's own examples. For a similar use of 'pragma' seeAnal.Post., e.g. I 2, 71b12; 72a2b. [본문으로]
  27. Therefore Kirwan's speaking (1971: 178-9) of an inadequate treatment of false states of affairs by Aristotle seems to be beside the point. His objecting to Aristotle that he appears to take false states of affairs as non-existent is merely due to the fact that Kirwan seems to ignore that for Aristotle, 'a state of affairs is not' equals 'is not the case' = 'does not obtain'. Besides, Kirwan seems to have forgotten that he himself had correctly noticed that here the discussion concerns states of affairs ('descriptions') rather than statements. A similar optical error has been made by Ackrill where, when commenting upon Categ. 12, 14a26 ff., he says (1963: 111-2) that "it is odd to call this a reciprocal implication of existence (his italics; that between truly saying and actual being is meant): we should not say that the existence of there being a man implies and is implied by the existence of the true statement that there is a man". Ackrill seems to ignore, indeed, that 'being ' said of a statement (rather: 'account') does not refer to its being really asserted but to its content being the case in the outside world. - For this usage in the case of doxa and logos, see Nuchelmans (1973: 17) and De Rijk (1986: 194-5). [본문으로]

0. 그는 겉보기 혹은 거짓 양립불가능성과 그 자체 혹은 참인 양립불가능성을 구분한다. 전자를 통해 소피스트는 역시 참인 논박에 대비되는 거짓 논박을 구성하며, 이 논박을 통해 피논박자로 하여금 소피스트는 논박불가능하기에 지혜로운 반면 자기 자신은 논박당하였다는 점에서 지혜롭지 못하다는 거짓 믿음을 지니게 만든다. 

 

  1) 겉보기 모순과 진정한 모순

     아주 거칠고 단순한 예를 생각해 보자면, 변지윤은 20대에는 장발이었으나 30대 이후로는 대머리이다. 이에 대한 거짓 모순은 변지윤이 (무조건적으로) 장발인 동시에 또한 대머리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동일인인 변지윤을 두고 그를 서술하는 시점을 구분하여 20대일 때라는 조건에서 변지윤은 장발인 동시에 또한 30대라는 조건에서 바로 그 동일인 변지윤은 대머리이기도 하다. 이는 모순이 아니다. 서술의 관점이나 측면을 구분함으로써 서로 양립불가능해 보이는 것들이 양립가능함을 보일 수 있을 때, 이 "양립 불가능해 보이는 것들"이 실제로 양립불가능하다고 말하는 것이 바로 소피스트가 사용하는 거짓 모순일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주로 초기대화편들에서 제기되는 이러저러한 덕 자체와 그 덕의 사례들에 관련한 모순들이 바로 위에서 설명된 "사실은 어떤 식으로 양립 가능한" 겉보기 모순으로 생각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에우튀프론』에서 경건은 제우스를 따르는 것일 수도 또 이에 반대하는 헤라를 따르는 것일 수도 있으며, 신들의 사랑을 받는 것이라고도 말할 수 있으나 거꾸로 경건하기 때문에 신이 비로소 그 경건한 것들을 사랑한다고 말할 수도 있다. 『라케스』에서는 임전무퇴와 전략적 후퇴가 서로 상반되는 것으로 보이면서도 그 둘 모두가 용기로 간주되기도 한다. 개별적이고 주관적인 차원에서 덕에 대한 참인 믿음들과 본질 혹은 정의(definition) 차원에서 덕에 대한 그 자체적인 규정은 서술의 차원이나 층위를 구분함으로써 비로소 양립가능한 것들이 되고, 그런 식으로 초기 대화편에서 제기되는 일견 모순되어 보이는 상황들은 이러한 관점이나 조건에 대한 대화자들의 무지를 드러내 보여준다는 점에서 아포리아로 끝나지만, 또한 바로 이 무지가 극복될 경우에 모순은 더 이상 모순이 아니게 됨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은 소피스트가 기만을 위해 고의적으로 고안해낸 거짓 모순이 초기 대화편들에서 소크라테스와 대화 상대자들이 진지하게 고민해야만 했던 모순과 같은 종류의 것이라는 인상을 주게 만든다. 그리고 심지어는 소크라테스가 거짓 모순을 만들어내 의도적으로 대화상대방을 기만한 것처럼 보이게까지 만든다. 물론 소피스트는 자신의 무지를 숨기는 반면 소크라테스는 자신의 무지를 공개하며, 소피스트는 논박을 자신이 지혜롭다는 거짓 믿음을 가지도록 만들기 위한 기만의 도구로 사용하는 반면 소크라테스는 논박을 거쳐 자신과 상대방 모두 특정 주제에 무지함을 합의함으로써 탐구와 교육을 목표를 위한 예비단계로 해당 논박을 활용한다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분을 강조할수록, 더욱이 교육과 진정한 탐구를 목표로 하는 소크라테스의 대화에서 직면하게 되는 모순이 소피스트의 기만전술에서 활용되는 모순과 구분되기 어렵다는 점도 그 만큼 기이해질 것이다.

     아마도 Beer가 할 법한 반론은 진정으로 양립 불가능한 것들(대표적인 예로 정지와 운동)과 겉보기 양립 불가능한 것들(대화편에서 핵심적인 예로는 "is"와 "is not")이 구분될 수 있으며, 전자만이 진정한 모순의 요소이고 후자는 겉보기 모순의 요소일 뿐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다시 is와 is not의 경우, 이것들은 특정 조건에서는 결합되는 반면 또 어떤 관점에서는 결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운동은 같은-것에 참여함으로써 "운동이 자기 자신과 같은 것이다"라고 서술된다. 그러나 또한 운동은 같은-것에 관련된 다른-것에 참여함으로써 "운동은 같은-것과는 다른 것이다"라고 서술되기도 한다. 전자의 의미에서 운동은 같은-것이지만 동시에 후자의 의미에서 운동은 같은-것이 아니기도 하다. 아주 거칠게 말하자면 자체적으로는 서로 다른 것들이 참여관계를 통해서는 연결될 수 있으며, 다름을 통한 is not과 참여를 통한 is는 양립 가능하다. 그러나 여전히 자체적인 차원에서 is와 is not은 양립 불가능한 것이기도 하다. 아마도 소피스트는 어떤 것들을 양립 시키는 측면과 상호 배제시키는 측면을 왜곡함으로써 거짓 모순을 만들어낼 것이다. 즉 여기에서 본래적으로 양립 불가능한 것과 가상적으로 양립 불가능한 것의 구분은 문제가 되지 않으며, 같은 요소들 사이에서 어떤 조건에 따라 양립 가능 여부가 구분되는지가 핵심이 된다. 이는 다시 앞서 제기한 문제로 돌아가게 된다. 진정한 탐구의 과정에서 마주치게 되는 난관으로서의 모순과 소피스트가 기만을 위해 활용하는 모순은 구분되지 않는다. 


  2) 원본과 모상 사이의 거짓/모상과 가상 사이의 거짓.

      Beer에 따르면 소피스트는 지혜로운 자를 모방하여 자기 자신을 도구로 써서 자신이 지혜로운 자처럼 보이도록 하는 그러한 가상을 만들어내는 자이다. 그리고 이에 대비하여 지혜로운 자의 비율(영혼의 균형, 진정한 모순과 양립가능성에 따라 정합적인 믿음 체계)을 왜곡하는 소피스트의 가상과 달리, 이 비율을 그대로 보존시킨 모방물로서 지혜로운 자의 모상은 그 자체도 지혜로울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원본과 모상의 관계는 사물과 그림 혹은 실제 인물과 그를 묘사한 조각상 등의 비유를 통해 제시되고 있으며, "자신의 몸을 도구로 사용한다"는 표현이 등장하는 맥락에서 이 몸이란 결국 입을 통해 말을 하거나 손을 통해 글을 쓰는 등의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원본과 상 사이의 단절이 굉장히 명확하게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누군가 홀로그램이나 조각상을 실제 살아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면, 이는 착각일 것이고 거짓 믿음일 것이다. 가상이 원본의 비율을 왜곡시킨 상이라는 묘사에 따라 소피스트의 경우 그가 제작하는 가상은 무엇인지, 이 가상이 모방하는 원본은 무엇이고 그 본래의 비율은 무엇인지, 그리고 소피스트의 가상이 이러한 특정한 원본의 비율을 왜곡시키는 방법과 결과는 무엇인지, 이에 대한 Beer의 설명은 문헌근거로 충분히 잘 뒷받침되고 그 논지 또한 상당히 일관적이다. 그럼에도 그의 해석은 그 자신이 주목하는 바 (단지 가상만이 아니라) 가상과 모상을 모두 포함하는 상 일반이 거짓에 근거하여 성립하는 것처럼 서술되고 있다는 문헌 상의 문제를 적절히 처리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왜 소피스트의 경우에만 또 지혜로운 자의 영혼을 원본으로 하는 경우에만 모상과 원본은 구분할 수 없게 되어 버리는가?

    해명되어야 할 문제는 원본에 대해 상이 거짓이라 불리는 맥락과 모상과 가상 사이에서 가상이 더욱 거짓이라 불리는 맥락이 구분된다는 것, 그럼에도 그 둘 사이에 모종의 연결이 있다는 것, 그리고 『소피스트』의 결론부에서 검토된 거짓이란 생각-말-믿음-인상에서 특정 주어에 관련하여 있지 않은 것들을 바로 그 주어에 관하여 있는 것으로 결부시키는 종류의 것이라는 것, 그래서 이런 식으로 규정된 거짓이 앞서 구분된 두 종류의 거짓을 포괄하거나 혹은 그 둘 사이를 적절히 매개해 주어야 하는데 이것이 어떤 식으로 가능한지 설명하는 것이다.


-蟲-


[Πότερον δὲ ἐναντία ἐστὶν ἡ κατάφασις τῇ ἀποφάσει ἢ | ἡ κατά-

φασις τῇ καταφάσει, καὶ ὁ λόγος τῷ λόγῳ ὁ λέ|γων ὅτι πᾶς

ἄνθρωπος δίκαιος τῷ οὐδεὶς ἄνθρωπος δίκαιος || ἢ τὸ πᾶς

ἄνθρωπος δίκαιος τῷ πᾶς ἄνθρωπος ἄδικος; οἷον | ἔστι Καλλίας

δίκαιος ― οὐκ ἔστι Καλλίας δίακιος ― Καλλίας ἄδι|κός ἐστιν,

ποτέρα δὴ ἐναντία τούτων;

긍정이 부정에 반대되는가 아니면 긍정이 긍정에 반대되는가, 모든

인간이 정의롭다고 말하는 자의 그 말은 아무 인간도 정의롭지 않다고

말하는 자의 그 말에 반대되는가 아니면 모든 인간이 정의롭다는 말이

모든 인간이 부정의하다는 말에 반대되는가? 예를 들어 "칼리아스는

정의롭다"-"칼리아스는 정의로운 자로 있지 않다"-칼리아스는 부정의하다,

이것들 중 어떤 것들이 반대되는가?

Εἰ γὰρ τὰ μὲν ἐν τῇ φωνῇ | ἀκολουθεῖ τοῖς ἐν τῇ διανοίᾳ, ἐκεῖ

δὲ ἐναντία δόξα ἡ τοῦ ἐναν|τίου, οἷον ὅτι πᾶς ἄνθρωπος δίκαιος τῇ

πᾶς ἄνθρωπος ἄδικος, || καὶ ἐπὶ τῶν ἐν τῇ φωνῇ καταφάσεων

ἀνάγκη ὁμοίως ἔχειν. | εἰ δὲ μὴ ἐκεῖ ἡ τοῦ ἐναντίου δόξα ἐναντία

ἐστίν, οὐδὲ ἡ κατάφα|σις τῇ καταφάσει ἔσται ἐναντία, ἀλλ᾿ ἡ

εἰρημένη ἀπόφασις. | ὥστε σκεπτέον ποία δόξα ψευδὴς ἀληθεῖ

δόξῃ ἐναντία, πότε|ρον ἡ τὴς ἀποφάσεως ἢ ἡ τὸ ἐναντίον εἶναι

δοξάζουσα.

만일 음성 안에 있는 것들이 사유 안에 있는 것들에 따른다면,

그 경우에 반대되는 것에 대한 믿음이 반대되는 믿음이고, 예를 들어

모든 인간이 정의롭다는 것이 모든 인간이 부정의하다는 믿음에 반대되듯,

음성 안에서의 긍정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상황임이 필연적이다. 그런데

만일 저 경우에 반대되는 것에 대한 믿음이 반대되는 것으로서 있지

않다면, 긍정도 긍정에 반대되지 않을 것이고, 진술된 부정문이 반대될

것이다. 그래서 어떠한 거짓 믿음이 참인 믿음에 반대되는지 검토해야만

하며, 부정에 대한 믿음이 반대되는지 아니면 반대되는 것이 있다고

믿는 그러한 믿음이 반대되는지 검토해야만 한다.

Λέγω || δὲ ὧδε· ἔστι τις δόξα ἀληθὴς τοῦ ἀγαθοῦ ὅτι ἀγαθόν,

ἄλλη δὲ || ὅτι οὐκ ἀγαθὸν ψευδής, ἑτέρα δὲ ὅτι κακόν. ποτέρα δὴ

τούτων | ἐναντία τῇ ἀληθεῖ; καὶ εἰ ἔστι μία, κατὰ ποτέραν

ἐναντία; | τὸ μὲν δὴ τούτῳ οἴεσθαι τὰς ἐναντίας δόξας ὡρίσθαι, τῷ

τῶν | ἐναντίων εἶναι, ψεῦδος. τοῦ γὰρ ἀγαθοῦ ὅτι ἀγαθὸν καὶ τοῦ

κακοῦ || ὅτι κακὸν ἡ αὐτὴ ἴσως, καὶ ἀληθής, εἴτε πλείους εἴτε | μία

ἐστίν· ἐναντία δὲ ταῦτα· ἀλλ᾿ <ἄρα> οὐ τῷ ἐναντίων εἶναι ἐναντίαι,

| ἀλλὰ μᾶλλον τῷ ἐναντίως.

나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말하고 있다. 좋은 것에 대해 좋은 것이라고

믿는 어떤 믿음이 참으로서 있고, 그 외에 좋지 않은 것이라는

믿음이 거짓으로서 있고, 나쁜 것이라고 믿는 또 다른 믿음도 거짓으로서

있다. 이것들 중 어느 믿음이 참인 믿음에 반대되는가? 만일 오직 하나만이

[반대되는 것으로] 있다면, 둘 중 어떤 믿음에 대해 반대되는가? 이런 점에서

반대 믿음들이 정의된다는 생각, 즉 반대되는 것들에 속해 있다는 것을

통해 정의된다는 생각은, 거짓이다. 왜냐하면 좋은 것에 대해 좋은 것이라고

또 나쁜 것에 대해 나쁜 것이라고 믿는 것은 아마도 같은 믿음일 것이고,

여러 믿음들이든 단일한 믿음이든 참일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것들은

반대되는 것들이다. 그러나 반대되는 것들에 대한 반대되는 믿음들로 있다는 

점에서가 아니라, 오히려 반대되는 방식으로 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 좋은 것이 좋다는 믿음과 나쁜 것이 나쁘다는 믿음은 하나의 같은 믿음이지만,

반대되는 방식으로, 즉 동전의 양면이 반대되는 것처럼 그렇게 반대된다.

(이것은 지금 논의하고자 하는 참과 거짓 사이의 반대와는 다르다.) by Kang.

- 대상의 반대가 믿음의 반대를 설명해주지 않는다.

  좋은 것과 나쁜 것은 반대된다.

  그러나 좋은 것이 좋다는 믿음과 나쁜 것이 나쁘다는 믿음은 아마도

  같은 믿음이자 참일 것이다.

  그런데 이 같은 참인 믿음들이 서로 반대된다.

  즉 믿음의 반대는 대상의 반대에 의존하지 않고,

  또한 문장 사이의 반대임에도 참과 거짓의 대비가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G is G와 B is B 사이의 반대는 탐구의 대상이 아니지 않나?

- 좋은 것은 좋다. 좋은 것은 나쁘다. 좋은 것은 좋지 않다. <나쁜 것은 나쁘다.>

Εἰ δὴ ἔστι μὲν τοῦ ἀγαθοῦ ὅτι ἐστὶν | ἀγαθὸν δόξα, ἔστι δὲ ὅτι

οὐκ ἀγαθόν, ἔστι δὲ ὅτι ἄλλο τι ὃ οὐχ | ὑπάρχει οὐδὲ οἷόν τε

ὑπάρξαι ― τῶν μὲν δὴ ἄλλων οὐδεμίαν || θετέον, οὔτε ὅσαι ὑπ-

άρχειν τὸ μὴ ὑπάρχον δοξάζουσιν οὔτε ὅσαι | μὴ ὑπάρχειν τὸ

ὑπάρχον ― ἄπειροι γὰρ ἀμφότεραι, καὶ ὅσαι | ὑπάρχειν δοξά-

ζουσι τὸ μὴ ὑπάρχον καὶ ὅσαι μὴ ὑπάρχειν τὸ | ὑπάρχον ―, ἀλλ᾿

ἐν ὅσαις ἐστὶν ἡ ἀπάτη· αὕτη δὲ ἐξ ὧν | καὶ αἱ γενέσεις· ἐκ τῶν

ἀντικειμένων δὲ αἱ γενέσεις, ὥστε καὶ αἱ || ἀπάται ―, εἰ οὖν τὸ

ἀγαθὸν καὶ ἀγαθὸν καὶ οὐ κακόν ἐστιν, καὶ | τὸ μὲν καθ᾿ αὑτό, τὸ

δὲ κατὰ συμεβηκός ― συμβέβηκε γὰρ | αὐτῷ οὐ κακῷ εἶναι ―,

μᾶλλον δὲ ἑκάστου ἀληθὴς ἡ καθ᾿ ἑαυτό, | καὶ ψευδής, εἴπερ καὶ

ἀληθής, ἡ μὲν οὖν ὅτι οὐκ ἀγαθὸν τὸ | ἀγαθὸν τοῦ καθ᾿ ἑαυτὸ

ὑπάρχοντος ψευδής, ἡ δὲ τοῦ ὅτι κα||κὸν τοῦ κατὰ συμβεβηκός,

ὥστε μᾶλλον ἂν εἴη ψευδὴς τοῦ | ἀγαθοῦ ἡ τῆς ἀποφάσεως ἢ ἡ τοῦ

ἐναντίου δόξα.

그래서 만일 좋은 것에 대해 좋은 것으로 있다고 하는 믿음이 있다면,

또 다른 한편 좋은 것으로 있지 않다는 믿음이 있다면, 그런데 다름 아니라

성립하지 않고 성립할 수도 없는 무언가로 있다는 믿음이 있다면, - 여타의

것들 중 어떤 믿음도 내세우지 않아야만 하는데, 성립하지 않는 것이

성립한다고 믿는 믿음들도 성립하는 것이 성립하지 않는다고 믿는

믿음들도 내세우지 않아야만 한다. 왜냐하면 양쪽 모두 무한한 것들이기

때문이다, 성립하지 않는 것이 성립한다는 믿음들도 성립하는 것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믿음들도. 오히려 그 안에서 기만이 성립하는 믿음들만

내세워야 한다. 그런데 생성들 또한 그것들로부터 기만이 성립하는

것이다. 대립자들을 통해 생성들이 성립하고, 그래서 기만들 또한 성립한다.

그러므로 만일 좋은 것이 좋은 것으로도 또 나쁘지 않은 것으로도 있다면,

한편은 그 자체적인 것이고, 다른 한편은 부수적인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에게

나쁘지 않은 것으로 있음이 부수하기 때문이다. 각각에 대해 자체적인 참이

더욱 참되고, 또 더욱 거짓의 경우에도, 만일 정말로 참 역시 그렇다면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좋은 것이 좋지 않은 것이라고 믿는 믿음은 그 자체로 성립하는 것에

대한 거짓이고, 나쁜 것이라고 믿는 것은 부수적인 것에 대한 거짓이며,

그래서 좋은 것에 대해 부정에 대한 믿음이 반대에 대한 믿음보다 더욱 더

거짓일 것이다.

Διέψευσται δὲ | μάλιστα περὶ ἕκαστον ὁ τὴν ἐναντίαν ἔχων

δόξαν· τὰ γὰρ ἐναν|τία τῶν πλεῖστον διαφερόντων περὶ τὸ αὐτό. εἰ

οὖν ἐναντία μὲν | τούτων ἡ ἑτέρα, ἐναντιωτέρα δὲ ἡ τῆς ἀντι-

φάσεως, δῆλον ὅτι || αὕτη ἂν εἴη ἡ ἐναντία. ἡ δὲ τοῦ ὅτι κακὸν τὸ

ἀγαθὸν συμπε|πλεγμένη ἐστίν· καὶ γὰρ ὅτι οὐκ ἀγαθὸν ἀνάγκη

ἴσως ὑπο|λαμβάνειν τὸν αὐτόν.

그런데 각각에 관련하여 반대 믿음을 취하는 자가 특히 거짓되게 된다.

왜냐하면 같은 것에 관련하여 반대가 가장 많이 차이나는 것들에 속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만일 이 믿음들 중 한쪽 믿음이 (한쪽) 반대항이고, 

그 (한쪽 반대항에 대해서) 모순되는 것에 대한(or 그 부정에 대한-사본 차이) 

믿음은 더욱 반대된다면, 반대란 이러한 것이리라는 점이 분명하다. 

- 믿음들 중 어느 하나가 반대항을 이룰 때, 나머지 것들이 다른 쪽 반대'들'을

이룬다. 이 반대'들' 중에 모순적 반대가 있고, 이 모순적 반대는 단순 반대보다

더욱 반대된다. 

Ἔτι δέ, εἰ καὶ ἐπὶ τῶν ἄλλων ὁμοίως | δεῖ ἔχειν, καὶ ταύτῃ ἂν

δόξειε καλῶς εἰρῆσθαι· ἢ γὰρ παν|ταχοῦ ἡ τῆς ἀντιφάσεως ἢ

οὐδαμοῦ. ὅσοις δὲ μή ἐστιν ἐναν||τία, περὶ τούτων ἔστι μὲν ψευδὴς

ἡ τῇ ἀληθεῖ ἀντικειμένη, | οἷον ὁ τὸν ἄνθρωπον οὐκ ἄνθρωπον

οἰόμενος διέψευσται. εἰ οὖν αὗ|ται ἐναντίαι, καὶ αἱ ἄλλαι αἱ τῆς

ἀντιφάσεως.

모든 경우에 모순되는 짝에 대한 믿음이 있거나 어떤 경우에도 없거나 하다.


Ἔτι ὁμοίως | ἔχει ἡ τοῦ ἀγαθοῦ ὅτι ἀγαθὸν καὶ ἡ τοῦ μὴ

ἀγαθοῦ ὅτι οὐκ ἀγα|θόν, καὶ πρός γε ταύταις ἡ τοῦ ἀγαθοῦ ὅτι

οὐκ ἀγαθὸν καὶ ἡ τοῦ μὴ || ἀγαθοῦ ὅτι ἀγαθόν. τῇ οὖν τοῦ μὴ

ἀγαθοῦ ὅτι οὐκ ἀγαθὸν ἀληθεῖ | οὔσῃ δόξῃ τίς ἐναντία; οὐ γὰρ δὴ

ἥ γε λέγουσα ὅτι κα|κόν· ἅμα γὰρ ἄν ποτε εἴη ἀληθής, οὐδέποτε

δὲ ἀληθὴς ἀλη|θεῖ ἐναντία· ἔστι γάρ τι μὴ ἀγαθὸν κακόν, ὥστε

ἐνδέχεται ἅμα | ἀληθεῖς εἶναι. οὐδ᾿ αὖ ἡ ὅτι οὐ κακόν· ἀληθὴς γὰρ

καὶ αὕτη· || ἅμα γὰρ καὶ ταῦτα ἂν εἴη. λείπεται οὖν τῇ τοῦ μὴ

ἀγαθοῦ || ὅτι οὐκ ἀγαθὸν ἐναντία ἡ τοῦ μὴ ἀγαθοῦ ὅτι ἀγαθόν·

ψευδὴς | γὰρ αὕτη. ὥστε καὶ ἡ τοῦ ἀγαθοῦ ὅτι οὐκ ἀγαθὸν τῇ τοῦ

ἀγα|θοῦ ὅτι ἀγαθόν.


Φανερὸν δὲ ὅτι οὐδὲν διοίσει οὐδ᾿ ἂν καθόλου τι|θῶμεν τὴν

κατάφασιν· ἡ γὰρ καθόλου ἀπόφασις ἐναντία || ἔσται, οἷον τῇ δόξῃ

τῇ δοξαζούσῃ ὅτι πᾶν ὃ ἂν ᾖ ἀγαθὸν ἀγα|θόν ἐστιν ἡ ὅτι οὐδὲν

τῶν ἀγαθῶν ἀγαθόν. ἡ γὰρ τοῦ ἀγαθοῦ ὅτι | ἀγαθόν, εἰ καθόλου

τὸ ἀγαθόν, ἡ αὐτή ἐστι τῇ ὅ τι ἂν ᾖ | ἀγαθὸν δοξαζούσῃ ὅτι

ἀγαθόν· τοῦτο δὲ οὐδὲν διαφέρει τοῦ ὅτι | πᾶν ὃ ἂν ᾖ ἀγαθὸν

ἀγαθόν ἐστιν. ὁμοίως δὲ καὶ ἐπὶ τοῦ μὴ || ἀγαθοῦ.


Ὥστε, εἴπερ ἐπὶ δόξης οὕτως ἔχει, εἰσὶ δὲ αἱ ἐν τῇ φωνῇ |

καταφάσεις καὶ ἀποφάσεις σύμβολα τῶν ἐν τῇ ψυχῇ, δῆ|λον ὅτι

καὶ καταφάσει ἐναντία μὲν ἀπόφασις ἡ περὶ τοῦ | αὐτοῦ καθόλου,

οἷον τῇ ὅτι πᾶν ἀγαθὸν ἀγαθὸν ἢ ὅτι πᾶς ἄν||θρωπος ἀγαθὸς ἡ ὅτι

οὐδὲν ἢ οὐδείς, [ἀντιφατικῶς δὲ ἡ ὅτι οὐ | πᾶν ἢ οὐ πᾶς].


Φανερὸν δὲ καὶ ὅτι ἀληθῆ ἀληθεῖ οὐκ ἐνδέχεται | ἐναντίαν

εἶναι οὔτε δόξαν οὔτε ἀντίφασιν. ἐναντίαι μὲν γὰρ αἱ | περὶ τὰ

<αὐτὰ> ἀντικείμενα<ι>, περὶ τὰ αὐτὰ δὲ ἐνδέχεται ἀληθεύειν τὸν |

αὐτόν· ἅμα δὲ οὐκ ἐνδέχεται τὰ ἐναντία ὑπάρχειν τῷ αὐτῷ.]

참이 참에 반대되는 것들로 있음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 참인 믿음도

참인 모순도. 같은 것들에 관련하여 맞놓인 것들이 반대되는 것들이고,

같은 것들에 관련하여 같은 사람이 참이기는 허용된다. 그러나 같은 것에 

반대되는 것들이 동시에 성립함은 허용되지 않는다.


-작성중-

Καὶ αἱ ἀκολουθήσεις δὲ κατὰ λόγον γίγνονται οὕτω τιθε||μένοις·

τῷ μὲν γὰρ δυνατῷ εἶναι τὸ ἐνδέχεσθαι εἶναι, καὶ | τοῦτο ἐκείνῳ

ἀντιστρέφει, καὶ τὸ μὴ ἀδύνατον εἶναι καὶ τὸ μὴ | ἀναγκαῖον

εἶναι· τῷ δὲ δυνατῷ μὴ εἶναι καὶ ἐνδεχομένῳ μὴ | εἶναι τό τε μὴ

ἀναγκαῖον μὴ εἶναι καὶ τὸ οὐκ ἀδύνατον μὴ εἶναι, | τῷ δὲ μὴ

δυνατῷ εἶναι καὶ μὴ ἐνδεχομένῳ εἶναι τὸ ἀναγ||καῖον μὴ εἶναι καὶ

τὸ ἀδύνατον εἶναι, τῷ δὲ μὴ δυνατῷ μὴ | εἶναι καὶ μὴ ἐνδεχομένῳ

μὴ εἶναι τὸ ἀναγκαῖον εἶναι καὶ | τὸ ἀδύνατον μὴ εἶναι. θεωρείσθω

δὲ ἐκ τῆς ὑπογραφῆς ὡς | λέγομεν· |


 δυνατὸν εἶναι

~임이 가능하다

 

 οὐ δυνατὸν εἶναι ||

~임이 가능하지 않다

 ἐνδεχόμενον εἶναι

~임이 허용된다

 

 οὐκ ἐνδεχόμενον εἶναι |

~임이 허용되지 않는다

 οὐκ ἀδύνατον εἶναι

~임이 불가능하지 않다

 

 ἀδύνατον εἶναι |

~임이 불가능하다

 οὐκ ἀναγκαῖον εἶναι

~임이 필연적이지 않다

 

 ἀναγκαῖον μὴ εἶναι |

~이지 않음이 필연적이다

 

 

 

 δυνατὸν μὴ εἶναι

~이지 않음이 가능하다

 

 οὐ δυνατὸν μὴ εἶναι |

~이지 않음이 가능하지 않다

 ἐνδεχόμενον μὴ εἶναι

~이지 않음이 허용된다

 

 οὐκ ἐνδεχόμενον μὴ εἶναι ||

~이지 않음이 허용되지 않는다

 οὐκ ἀδύνατον μὴ εἶναι

~이지 않음이 불가능하지 않다

 

 ἀδύνατον μὴ εἶναι |

이지 않음이 불가능하다

 οὐκ ἀναγκαῖον μὴ εἶναι

~이지 않음이 필연적이지 않다

 

 ἀναγκαῖον εἶναι |

~임이 필연적이다.


Τὸ μὲν οὖν ἀδύνατον καὶ οὐκ ἀδύνατον τῷ ἐνδεχομένῳ | καὶ

δυνατῷ καὶ οὐκ ἐνδεχομένῳ καὶ μὴ δυνατῷ ἀκολουθεῖ | μὲν

ἀντιφατικῶς, ἀντεστραμμένως δέ. τῷ μὲν γὰρ δυνατῷ εἶ||ναι ἡ

ἀπόφασις τοῦ ἀδυνάτου εἶναι, τῇ δὲ ἀποφάσει ἡ κα|τάφασις· τῷ

γὰρ οὐ δυνατῷ εἶναι τὸ ἀδύνατον εἶναι· κατάφα|σις γὰρ τὸ

ἀδύνατον εἶναι, τὸ δὲ οὐκ ἀδύνατον ἀπόφασις. |

그러므로 한편으로 불가능하다는 것과 불가능하지 않다는 

허용된다와 가능 그리고 허용되지 않는다와 가능하지 않다에 

한편으로는 반대되게, 다른 한편으로는 전환되는 방식으로 따른다. 

즉 ~임이 가능하다에는 ~임이 불가능하다에 대한 부정이, 그런데 

부정(~임이 가능하지 않다)에는 다시 긍정(~임이 불가능하다)이 

따른다. 왜냐하면 ~임이 가능하지 않다에는 ~임이 불가능하다가 

따르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임이 불가능하다는 긍정이지만, 

불가능하지 않다는 것은 부정이기 때문이다.

Τὸ δὲ ἀναγκαῖον πῶς, ὀπτέον. φανερὸν δὴ ὅτι οὐχ οὕτως ἔχει,

| ἀλλ᾿ αἱ ἐναντίαι ἕπονται, αἱ δὲ ἀντιφάσεις χωρίς. οὐ γάρ ἐστιν ||

ἀπόφασις τοῦ ἀνάγκη μὴ εἶναι τὸ οὐκ ἀνάγκη εἶναι· ἐνδέχεται |

γὰρ ἀληθεύεσθαι ἐπὶ τοῦ αὐτοῦ ἀμφοτέρας· τὸ γὰρ ἀναγκαῖον |

μὴ εἶναι οὐκ ἀναγκαῖον εἶναι.


Αἴτιον δὲ τοῦ μὴ ἀκολουθεῖν | ὁμοίως τοῖς ἑτέροις, ὅτι

ἐναντίως τὸ ἀδύνατον τῷ || ἀναγκαίῳ ἀποδίδοται τὸ αὐτὸ δυνά-

μενον. εἰ γὰρ ἀδύνατον | εἶναι, ἀναγκαῖον τοῦτο οὐχὶ εἶναι, ἀλλὰ

μὴ εἶναι· εἰ δὲ ἀδύνα|τον μὴ εἶναι, τοῦτο ἀνάγκη εἶναι. ὥστε εἰ

ἐκεῖνα ὁμοίως τῷ δυ|νατῷ καὶ μή, ταῦτα ἐξ ἐναντίας, ἐπεὶ οὐ

σημαίνει γε ταὐτὸν | τό τε ἀναγκαῖον καὶ τὸ ἀδύνατον, ἀλλ᾿

ὥσπερ εἴρηται, ἀντ||εστραμμένως.


Ἢ ἀδύνατον οὕτω κεῖσθαι τὰς τοῦ ἀναγκαίου ἀν|τιφάσεις; τὸ

μὲν γὰρ ἀναγκαῖον εἶναι δυνατὸν εἶναι· εἰ γὰρ | μή, ἡ ἀπόφασις

ἀκολουθήσει· ἀνάγκη γὰρ ἢ φάναι ἢ ἀπο|φάναι. ὥστε εἰ μὴ

δυνατὸν εἶναι, ἀδύνατον εἶναι· ἀδύνατον ἄρα | εἶναι τὸ ἀναγκαῖον

εἶναι, ὅπερ ἄτοπον.


Ἀλλὰ μὴν τῷ γε δυ||νατὸν εἶναι τὸ οὐκ ἀδύνατον εἶναι ἀκο-

λουθεῖ, τούτῳ δὲ τὸ μὴ | ἀναγκαῖον εἶναι· ὥστε συμβαίνει τὸ

ἀναγκαῖον εἶναι μὴ ἀναγ|καῖον εἶναι, ὅπερ ἄτοπον.


Ἀλλὰ μὴν οὐδὲ τὸ ἀναγκαῖον εἶναι | ἀκολουθεῖ τῷ δυνατὸν

εἶναι, οὐδὲ τὸ ἀναγκαῖον μὴ εἶναι. τῷ μὲν | γὰρ <αὐτῷ> ἄμφω ἐν-

δέχεται συμβαίνειν, τούτων δὲ ὁπότερον ἂν ἀλη||θὲς ᾖ, οὐκέτι

ἔσται ἐκεῖνα ἀληθῆ· ἅμα γὰρ δυνατὸν εἶναι καὶ | μὴ εἶναι· εἰ δὲ

ἀνάγκη εἶναι ἢ μὴ εἶναι, οὐκ ἔσται δυνατὸν | ἄμφω.


Λείπεται τοίνυν τὸ οὐκ ἀναγκαῖον μὴ εἶναι ἀκολουθεῖν | τῷ

δυνατὸν εἶναι. τοῦτο γὰρ ἀληθὲς καὶ κατὰ τοῦ ἀναγκαίου | εἶναι.

καὶ γὰρ αὕτη γίγνεται ἀντίφασις τῇ ἐπομένῃ τῷ οὐ δυνα||τῷ εἶναι·

ἐκείνῳ γὰρ ἀκολουθεῖ τὸ ἀδύνατον εἶναι καὶ ἀναγ|καῖον μὴ εἶναι,

οὗ ἀπόφασις τὸ οὐκ ἀναγκαῖον μὴ εἶναι. ἀκο|λουθοῦσί τε ἄρα καὶ

αὗται αἱ ἀντιφάσεις κατὰ τὸν εἰρημένον | τρόπον, καὶ οὐδὲν ἀδύ-

νατον συμβαίνει τιθεμένων οὕτως. |


Ἀπορήσειε δ᾿ ἄν τις εἰ τῷ ἀναγκαῖον εἶναι τὸ δυνατὸν || εἶναι

ἕπεται. εἴ τε γὰρ μὴ ἕπεται, ἡ ἀντίφασις ἀκολουθήσει, τὸ | μὴ

δυνατὸν εἶναι· καὶ εἴ τις ταύτην μὴ φήσειεν εἶναι ἀντίφα|σιν,

ἀνάγκη λέγειν τὸ δυνατὸν μὴ εἶναι, ἅπερ ἄμφω ψευδῆ | κατὰ τοῦ

ἀναγκαίου εἶναι. ἀλλὰ μὴν πάλιν τὸ αὐτὸ εἶναι | δοκεῖ δυνατὸν

τέμνεσθαι καὶ μὴ τέμνεσθαι καὶ εἶναι καὶ μὴ εἶ|ναι, ὥστε ἔσται τὸ

ἀναγκαῖον εἶναι ἐνδεχόμενον μὴ εἶναι· τοῦτο | δὲ ψεῦδος. φανερὸν

<δὲ> δὴ ὅτι οὐ πᾶν τὸ δυνατὸν ἢ εἶναι <ἢ μὴ εἶναι> [ἢ βαδί|ζειν] καὶ

τὰ ἀντικείμενα δύναται, ἀλλ᾿ ἔστιν ἐφ᾿ ὧν οὐκ ἀληθές. |


[Πρῶτον μὲν ἐπὶ τῶν μὴ κατὰ λόγον δυνατῶν, οἷον τὸ πῦρ

θερ|μαντικὸν καὶ ἔχει δύναμιν ἄλογον. αἱ μὲν οὖν μετὰ λόγου ||

δυνάμεις αἱ αὐταὶ πλειόνων καὶ τῶν ἐναντίων, αἱ δὲ ἄλογοι | οὐ

πᾶσαι, ἀλλ᾿ ὥσπερ εἴρηται, τὸ πῦρ οὐ δυνατὸν θερμαίνειν | καὶ

μή, οὐδὲ ὅσα ἄλλα ἐνεργεῖ ἀεί. ἔνια μέντοι δύναται καὶ | τῶν κατὰ

τὰς ἀλόγους δυνάμεις ἅμα τὰ ἀντικείμενα· || ἀλλὰ τοῦτο μὲν

τούτου χάριν εἴρηται, ὅτι οὐ πᾶσα δύναμις τῶν | ἀντικειμένων,

οὐδὲ ὅσαι λέγονται κατὰ τὸ αὐτὸ εἶδος.]


Ἔνιαι δὲ | δυνάμεις ὁμώνυμοί εἰσιν. τὸ γὰρ δυνατὸν οὐχ

ἁπλῶς λέγε|ται, ἀλλὰ τὸ μὲν ὅτι ἀληθὲς ὡς ἐνεργείᾳ ὄν, οἷον

δυνατὸν | βαδίζειν ὅτι βαδίζει, καὶ ὅλως δυνατὸν εἶναι ὅτι ἤδη ἔστι

|| κατ᾿ ἐνέργειαν ὃ λέγεται εἶναι δυνατόν, τὸ δὲ ὅτι ἐνεργήσειεν |

ἄν, οἷον δυνατὸν βαδίζειν ὅτι βαδίσειεν ἄν. καὶ αὕτη | μὲν ἐπὶ τοῖς

κινητοῖς ἐστι μόνοις ἡ δύναμις, ἐκείνη δὲ καὶ ἐπὶ | τοῖς ἀκινήτοις.

ἄμφω δὲ ἀληθὲς εἰπεῖν τὸ μὴ ἀδύνατον εἶναι | βαδίζειν ἢ εἶναι, καὶ

τὸ βαδίζον ἤδη καὶ ἐνεργοῦν καὶ τὸ βα||διστικόν. τὸ μὲν οὖν οὕτω

δυνατὸν οὐκ ἀληθὲς κατὰ τοῦ ἀναγ|καίου ἁπλῶς εἰπεῖν, θάτερον

δὲ ἀληθές. ὥστε, ἐπεὶ τῷ ἐν μέ|ρει τὸ καθόλου ἕπεται, τῷ ἐξ

ἀνάγκης ὄντι ἕπεται τὸ δύνα|σθαι εἶναι, οὐ μέντοι πᾶν. καὶ ἔστι

δὴ ἀρχὴ ἴσως τὸ ἀναγ|καῖον καὶ μὴ ἀναγκαῖον πάντων ἢ εἶναι ἢ

μὴ εἶναι, καὶ || τὰ ἄλλα ὡς τούτοις ἀκολουθοῦντα ἐπισκοπεῖν δεῖ. |


[Φανερὸν δὴ ἐκ τῶν εἰρημένων ὅτι τὸ ἐξ ἀνάγκης ὂν κατ᾿ |

ἐνέργειάν ἐστιν, ὥστε εἰ πρότερα τὰ ἀίδια, καὶ ἐνέργεια δυ|νάμεως

προτέρα. καὶ τὰ μὲν ἄνευ δυνάμεως ἐνέργειαί εἰσιν, | οἷον αἱ

πρῶται οὐσίαι, τὰ δὲ μετὰ δυνάμεως, ἃ τῇ μὲν φύ||σει πρότερα, τῷ

δὲ χρόνῳ ὕστερα, τὰ δὲ οὐδέποτε ἐνέργειαί εἰ|σιν, ἀλλὰ δυνάμεις

μόνον.] |



-작성중-

Τούτων δὲ διωρισμένων σκεπτέον ὁπως ἔχουσιν αἱ ἀπο||φάσεις καὶ

καταφάσεις πρὸς ἀλλήλας αἱ τοῦ δυνατὸν εἶναι | καὶ μὴ δυνατὸν

καὶ ἐνδεχόμενον καὶ μὴ ἐνδεχόμενον καὶ | περὶ τοῦ ἀδυνάτου τε

καὶ ἀναγκαίου· ἔχει γὰρ ἀπορίας τινάς. |


Εἰ γὰρ τῶν συμπλεκομένων αὗται ἀλλήλαις ἀντίκεινται

ἀν|τιφάσεις, ὅσα κατὰ τὸ εἶναι καὶ μὴ εἶναι τάττονται, οἷον || τοῦ

εἶναι ἄνθρωπον ἀπόφασις τὸ μὴ εἶναι ἄνθρωπον, οὐ τὸ εἶναι | μὴ

ἄνθρωπον, καὶ τοῦ εἶναι λευκὸν ἄνθρωπον τὸ μὴ εἶναι λευ|κὸν

ἄνθρωπον, ἀλλ᾿ οὐ τὸ εἶναι μὴ λευκὸν ἄνθρωπον ― εἰ γὰρ | κατὰ

παντὸς ἡ κατάφασις ἢ ἡ ἀπόφασις, τὸ φύλον ἔσται || ἀληθὲς εἰπεῖν

εἶναι μὴ λευκὸν ἄνθρωπον ―, εἰ δὲ τοῦτο οὕτως, | καὶ ὅσοις τὸ

εἶναι μὴ προστίθεται, τὸ αὐτὸ ποιήσει τὸ ἀντὶ | τοῦ εἶναι λεγό-

μενον, οἷον τοῦ ἄνθρωπος βαδίζει οὐ τὸ οὐκ ἄνθρω|πος βαδίζει

ἀπόφασις ἔσται, ἀλλὰ τὸ οὐ βαδίζει ἄνθρωπος | ― οὐδὲν γὰρ δια-

φέρει εἰπεῖν ἄνθρωπον βαδίζειν ἢ ἄνθρωπον βα――δίζοντα εἶναι ―,

ὥστε εἰ οὕτω πανταχοῦ, καὶ τοῦ δυνατὸν εἶναι ― ἀπόφασις ἔσται τὸ

δυνατὸν μὴ εἶναι, ἀλλ᾿ οὐ τὸ μὴ δυνατὸν ― εἶναι.


Δοκεῖ δὲ αὐτὸ δύνασθαι καὶ εἶναι καὶ μὴ εἶναι· | πᾶν γὰρ τὸ

δυνατὸν τέμνεσθαι ἢ βαδίζειν καὶ μὴ βαδίζειν | καὶ μὴ τέμνεσθαι

δυνατόν. λόγος δέ, ὅτι ἅπαν τὸ οὕτω δυ||νατὸν οὐκ ἀεὶ ἐνεργεῖ,

ὥστε ὑπάρξει αὐτῷ καὶ ἡ ἀπόφασις· | δύναται γὰρ καὶ μὴ βαδίζειν

τὸ βαδιστικὸν καὶ μὴ ὁρᾶσθαι | τὸ ὁρατόν.


Ἀλλὰ μὴν ἀδύνατον κατὰ τοῦ αὐτοῦ ἀληθεύεσθαι | τὰς ἀντι-

κειμένας φάσεις· οὐκ ἄρα τοῦ δυνατὸν εἶναι | τὸ δυνατὸν μὴ εἶναι

αὕτη ἀπόφασίς ἐστι. συμβαίνει γὰρ ἐκ τούτων ἢ τὸ || αὐτὸ φάναι

καὶ ἀποφάναι ἅμα καὶ κατὰ τοῦ αὐτοῦ, ἢ μὴ | κατὰ τὸ εἶναι καὶ

μὴ εἶναι τὰ προστιθέμενα γίγνεσθαι φάσεις | καὶ ἀποφάσεις. εἰ

οὖν ἐκεῖνο ἀδύνατον, τοῦτο ἂν εἴη αἱρετόν. |


Ἔστιν ἄρα ἀπόφασις τοῦ δυνατὸν εἶναι τὸ μὴ δυνατὸν εἶναι. |

ὁ δὲ αὐτὸς λόγος καὶ περὶ τοῦ ἐνδεχόμενον εἶναι· καὶ γὰρ || τούτου

ἀπόφασις τὸ μὴ ἐνδεχόμενον εἶναι. καὶ ἐπὶ τῶν ἄλλων | δὲ ὁμοιο-

τρόπως, οἷον ἀναγκαίου τε καὶ ἀδυνάτου. γίγνεται γάρ, | ὥσπερ

ἐπ᾿ ἐκείνων τὸ εἶναι καὶ τὸ μὴ εἶναι προσθέσεις, τὰ δ᾿ | ὑποκείμε-

να πράγματα τὸ μὲν λευκός, τὸ δὲ ἄνθρωπος, οὕτως | ἐνταῦθα τὸ

μὲν εἶναι καὶ μὴ εἶναι ὡς ὑποκείμενον γίγνεται, || τὸ δὲ δύνασθαι

καὶ τὸ ἐνδέχεσθαι προσθέσεις διορίζουσαι, | ὥσπερ ἐπ᾿ ἐκείνων τὸ

εἶναι καὶ μὴ εἶναι τὸ ἀληθὲς καὶ τὸ | ψεῦδος, ὁμοίως αὗται ἐπὶ τοῦ

εἶναι δυνατὸν καὶ εἶναι οὐ δυνα|τόν.


Τοῦ δὲ δυνατὸν μὴ εἶναι ἀπόφασις | τὸ οὐ δυνατὸν μὴ εἶναι. ||

διὸ καὶ ἀκολουθεῖν | ἂν δόξαιεν ἀλλήλαις αἱ δυνατὸν εἶναι ― δυ-

νατὸν μὴ | εἶναι· τὸ γὰρ αὐτὸ δυνατὸν εἶναι καὶ μὴ εἶναι· οὐ γὰρ

ἀντι|φάσεις ἀλλήλων αἱ τοιαῦται. | ἀλλὰ τὸ δυνατὸν εἶναι καὶ τὸ

μὴ δυνατὸν εἶναι οὐδέποτε || ἐπὶ τοῦ αὐτοῦ ἅμα ἀληθεύονται·

ἀντίκεινται γάρ. οὐδέ γε τὸ | δυνατὸν μὴ εἶναι καὶ τὸ οὐ δυνατὸν

μὴ εἶναι οὐδέποτε ἅμα ἐπὶ | τοῦ αὐτοῦ ἀληθεύονται.


Καὶ καθόλου δέ, ὥσπερ εἴρηται, τὸ μὲν εἶναι καὶ μὴ | εἶναι δεῖ

τιθέναι ὡς τὰ ὑποκείμενα, κατάφασιν δὲ καὶ ἀπό||φασιν ταῦτα

ποιοῦντα πρὸς τὸ εἶναι καὶ μὴ εἶναι συνάπτειν. | καὶ ταύτας

οἴεσθαι χρὴ εἶναι τὰς ἀντικειμένας φάσεις, δυ|νατόν ― οὐ δυνα-

τόν, ἐνδεχόμενον ― οὐκ ἐνδεχόμενον, ἀδύνατον ― | οὐκ ἀδύνατον,

ἀναγκαῖον ― οὐκ ἀναγκαῖον, [ἀληθές ― οὐκ ἀληθές]. |




-작성중-

1. 전문기술로서의 소피스트술


『소피스트』에서의 소피스트술 정의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우리는 소피스트술의 문제를 소피스트가 부당하거나 건전하지 못하다는 논리적 의미에서 나쁜 논증들을 사용하는 것이라 가정하는 경향이 있다. 소피스트술은 잘못된 형식의 논증 사용에서의 어떤 특정한 안이함 또는 그런 논증을 자진해서 사용한다는 특징적 결함, 혹은 양자 모두라는 것이다. 그러나 논리적 오류라는 개념은 소피스트술에 대한 플라톤의 관점을 왜곡시킨다. 그 관점은 낯설고도 더욱 흥미로운 것이다. 이를 내가 논증하고자 한다. 더욱이, 아마도 더욱 흥미로운 지점이자, 그 고유한 방식에서 소피스트 정의의 혼란스러운 측면은 간과되어 왔다. 엘레아 손님은 소피스트술을 전문기술(τέχνη, Soph. 221D1-6)로 정의한다는 것이다.[각주:1] 이는 놀라운 일이다. 왜냐하면 전문기술은 인지적 성취인 반면, 우리는 소피스트술이 일종의 인지적 결함(어쩌면 그 성격적 결함)으로 정의되길 기대할 것이기 때문이다. 독자들은 오류 추리로서의 소피스트 개념에 발목 잡히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소피스트술이 전문기술로서 정의된다는 사실을 간과해 왔기 때문이다.


전문기술자로서 소피스트 정의는 또한 플라톤 사유의 일반적 배경에 반대된다는 점에서도 놀랍다. 이 정의는 소피스트에 대한 플라톤의 고유한 생각에 대대적 수정을 가하기 때문이다. 『고르기아스』에서 플라톤은 소크라테스로 하여금 소피스트가 기술자임을 부정하게 만든다. 여기에서 소크라테스의 주 관심사는 소피스트가 아니라 수사술이다. 수사술이 기술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과정에서, 그는 소피스트가 기술이라는 점 또한 부정한다(462e-466a. 소피스트술은 463b6과 465c2에 등장한다.). 수사술과 소피스트술은 두 가지 의미에서 유사기술이다. 첫째로, 영혼의 진정으로 좋은 상태를 산출하지 않고 단지 좋은 상태처럼 보이는 것만을 산출한다(464a3-4). 둘째로, 기술이 아닌 요령에 불과하다. [? 아첨 얘기는? 아첨인 게 더 중요하지 않음?] 이들은 이들 스스로 산출하는 결과에 대한 인과적 설명을 제공할 수 없다.(465a2-6)[각주:2]


소크라테스는 유사기술이라는 것의 두 의미가 필연적으로 결합된다고 생각하는 것이 분명하다. 즉, 겉보기에만 좋은 상태를 산출할 뿐인 능력은 전문기술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는 단지 겉보기에 불과한 것의 원인들에 대한 체계적 이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 그래서 겉보기만 좋은 상태 산출을 위한 요령을 갖더라도 그렇게 하는 기술은 가질 수 없는 것이다. 반대로 좋은 상태라는 것을 이해한 자는 또한 그 좋음을 설명할 줄 아는 자이며, 짐작컨데, 좋아 보이게 만들 줄도 알 것이다.[각주:3] 그래서 『고르기아스』는 좋아 보이게 만드는 기술의 여지를 남겨두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그런 기술은 사물들이 실제로 어떻게 있는지에 대한 지식과 동일시될 것이다. 의학적 대상들을 좋아 보이게(혹은 나빠 보이게) 만드는 기술자는 의사이고 기하학적 대상들을 참으로 보이게 혹은 거짓으로 보이게 만드는 것은 기하학자이다.[각주:4]


『고르기아스』의 논의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1소피스트술: 사물들을 특정 방식으로 "나타나 보이게" 만들지만 그런 방식으로 "있게" 만들지는 못하는 능력.

2전문기술: "나타나 보이게" 만들기도 하고 "있게" 만들기도 하는 능력.

결론: 소피스트술은 전문기술이 아니다.


[누구 맘대로? 전문기술에 "나타나 보이게"가 왜 들어가나? 의술에 병들게 하는 능력이 포함되지 않는 건 『국가』에 명시되지 않음? 그리고 『고르기아스』에서 아첨 계기를 빼니까 전문기술 규정에 부정적 가능성을 배제시킬 수 없게 된 거 아니냐?]


『소피스트』에서 플라톤이 소피스트술을 기술로서 재인식할 때 그는 위의 두 번째 전제를 거부하고 있는 듯하다. 이에 대해 우리가 기대할 만한 내용을 명시적으로 언급한 바는 없지만, 대강의 생각은 충분히 드러나는 듯하다. [뭘 또 이렇게 구렁이 담 넘듯이 넘어가?] X로 나타나는 것, 이것은 전문기술의 대상으로서 제대로된 종류의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건강처럼 나타나는 것"은 매우 임의적인 종류의 "것"이다. 언젠가 어디선가 누군가에게 건강으로 생각되는 것은 또 다른 경우에 다른 자에게(혹은 심지어 그 자신에게) 그리 생각되는 것과는 아무 상관이 없다. 이런 이유에서 "건강처럼 나타나는 것"은 지식에 필요조건인 바 일반적이고 설명적인 방식에서의 이해가 불가능하다. 이는 꽤 그럴싸한 생각으로 보인다. 만일 소피스트술이 모조품 지혜의 능력이라면, 그래서 전문기술일 수 없을 것인데, 지혜라고 보이는 것은 지식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특정 개인이 누군가 중저음의 목소리로 양자역학을 떠들면 지혜롭다고 여긴다고 해보자. 이런 개인의 임의의 특수한 성격을 활용하는 능력은 기술이 아니다.


하지만 『소피스트』에서 플라톤은 모상을 두 종류로 나눈다. 이는 경우에 따라 X로 보이는 것이 지식의 대상이 되는 것이 어떻게 그러한지 설명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각주:5] 더 정확히 말해서, 진짜 X에 대한 지식은 아닌 그런 지식에 대해 X로 보이는 것이 그 대상이 되는 일이 가능하도록 만든다. 일반화하여, 특정 상황이 관찰자의 관점을 규칙적이고 설명가능한 방식으로 왜곡시킨다는 생각이다.[각주:6] 표준적 사례는 매우 거대한 규모의 조각상을 밑에서 올려다 볼 때 우리의 관점에 의한 왜곡이다. 소피스트술의 경우, 인간은 일반적으로 지혜를 특정한 변증적 기술과 마찬가지인 것으로 간주하는 관점을 취한다. 거칠게 말해서 소크라테스적 대화 과정에서 상대방은 스스로 모순되게 만드는 반면 자기 자신은 모순되지 않는 기술이다. 하지만 일반적 인간은 모순이 무엇인지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잘못을 범한다. 이런 이유로, 그들은 지혜에 대한 왜곡된 관점을 갖게 된다. 이 왜곡은 임의적이거나 설명할 수 없는 종류의 것이 아니라, 보편적이고 설명가능한 것이다. 소피스트는 그 왜곡된 관점을 이해하고 있다. 바로 이것이 소피스트의 전문기술로서 "있다." 지혜처럼 보이는 것은 기술의 적합한 대상이다. 하지만 이 기술은 지혜 그 자체가 아니다. 그래서 연설을 지혜롭게 보이도록 만드는 데에는 기술이 있는데, 그것은 연설을 지혜로운 것으로 있도록 만드는 기술은 아니다.


이 대화편이 애초에 소피스트술을 정의하는 작업을 진지하게 수행하고 있는지 여부가 의심받아 왔다. 또한 소피스트술을 기술로 정의하는 것 자체가 진지하게 받아들여야 할 것인지도 의심받아 왔다. 6장에서 나는 이런 대안적 해석에 대해 상세히 답할 것이다. 플라톤은 굉장히 신경써서 말하는 사람이라, 경고도 없이 그렇다고 눈에 띄는 동기도 없이 주요 화제에서 그런 핵심 용어를 그렇게 대충 사용하기 시작했다는 건 이상한 일일 것이다. 수사술과 소피스트술이 기술인지 여부에 대한 물음은 초기 대화편에서 핵심적 역할을 한다. 그런데 플라톤은 손님을 통해 명시적으로 이와 다른 대답을 내놓는다. 그래서 소피스트술이 전문기술이라고 명백하게 직접적으로 말할 때 우리는 문자 그대로 그 대화편을 받아들여야 한다.[각주:7]


이제 이 정의를 해명해 보자. 특히, 이 대화편의 간과된 또 다른 측면에 주목해야 한다. 소피스트가 제작하는 모상이 어떤 종류의 것인지에 대한 난관이 그것이다. 거의 무시되다시피 한 이 난관은 사실 대화편의 문제를 좌우한다. [...무시당하긴 뭘... 이 논문이 원래 2010년도 출판 예정인 책에 실릴 거였는데, 아무튼 그 즈음에 기획된 논문이다. 그럼 모상의 종류, 즉 상(eidōlon)의 하위분류로 모상(eikōn)과 가상(허상? phantasma)의 구분 문제가 그 당시까지 "거의 간과"되어왔다는 건데, 브라운, 프레데, 크레빌리가 한 작업은 뭐가 되냐? 콘포드, 아크릴, 보스톡, 블라스토스 같은 어르신들이 be 동사 문제에 천착하긴 했는데, 그런 옛날 아저씨들이 좀 간과했다고 그걸 일반화시키면 안 되는 거지. 뭐 말이 모상이라는 관점에 반대하느라고 이런 관점을 취하면서 상이나 모상, 가상 논한 사람들은 일단 제쳐둔 건가 보네.]



2. 소피스트는 가상을 만드나 모상을 만드나?


소피스트 정의의 쟁점은 가상(phantasma)과 모상(eikōn) 사이의 구분이다. 가상과 모상은 상(eidōlon)의 두 하위분류이다. 235d-236c에서 구분된 바 있다.[각주:8] 거칠게 말해서, 손님은 원본(model)의 내적 비율을 충실하게 보존하는 상과 그 비율을 의도적으로 왜곡시킨 상을 구분한다. 여기에서, 우선 나는 그 구분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설명할 것이고, 다음으로 그 구분 자체의 의미를 설명할 것이며, 끝으로 왜 소피스트를 분류하는 방식에 관련하여 난관이 있는지 설명할 것이다.


가상과 모상 사이의 구분은 최초의 난관에 배경이 되는 것을 상대로 제시된다. 엘레아 손님과 대화상대 테아이테토스는 소피스트에 대한 단일한 설명이 아닌 여섯 가지 설명을 제시하면서[각주:9] 그 다양함에 곤란을 겪는다. 그러나 손님은 이 정의들의 다양성을 감수할 수 없는 것으로 본다. 이 많은 것들이 집중되는 한 점(232a4-5)을 파악할 수 없게 만들기 때문이다. 소피스트가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요구되는 것은 단지 모든 소피스트들에게 그리고 오직 소피스트에게만 적용되는 정식화만이 아니라, 거기에 단일성을 부여하는 정식화이다.[각주:10]


소피스트 정의의 첫 실패로, 엘레아 손님은 재시작을 한다(232b 이하). 손님과 테아이테토스는 일단 소피스트가 모방자임에 동의한다. 소피스트의 기술은 상 제작에 속하는 기술이다. 손님은 상제작을 모상제작과 가상제작으로 구분한다. 손님과 테아이테토스는 이제 소피스트가 모상제작자 또는 가상제작자라는 것을 받아들인다. 하지만 두 사람 다 그 둘 중 어디에 소피스트가 있는지 알아내지 못한다(235c-d, 236c-d). 첫 난관은 다음 난관을 제공한다. 소피스트는 모상을 만드는가 가상을 만드는가? 전체 분량 스테파누스 쪽수로 52쪽 중 36쪽이 이 문제를 푸는 데에 할애된다.


성공적인 마지막 정의를 정리하기에 앞서 손님은 가상과 모상에 관련한 난관을 상기시킨다(264c-d). 몇 쪽 안 지나서, 해당 난관의 해법을 제시한다.

266d9-267a1.

손님: 그러니까 상제작술에 대해서 우리 그 유로 한편은 모상적인 것, 다른 한편은 가상적인 것이 있으리란 점을 기억하세. 만일 거짓이 있는 그대로 거짓으로서 또한 있는 것들 중 어떤 한 가지 것으로 있게 마련이라고 드러난다면 말일세.

테아이테토스: 그야 그랬으니까요.

손님: 그렇다면 그리 나타나기도 했으니 이런 이유들로 인해서도 더욱이 우리는 그 둘을 이제 논란의 여지 없는 두 형상들로 셈해 넣지 않겠나?

테아이테토스: 네.

손님: 그러면 곧장 가상적인 쪽을 두 가지 방식으로 정의해 보세.


놀랍게도, 소피스트가 모상제작자가 아닌 가상제작자로 분류되어야 하는 이유에 관해 손님이 말한 것은 여기까지이다. 즉, 아무 얘기도 안 했다.


물론 손님이 소피스트를 그렇게 분류하는 게 놀랍진 않다. 소피스트는 부정적으로 묘사되어 왔고, 가상제작인 상제작의 열등한 종류로 간주되어 왔다.


더욱이, 소피스트를 가상제작 정의에 결부시키는 분명한 단초들이 있다. 가상제작자는 거대한 상들로 작업하는 경향이 있고(235d-236a) [...아, 진짜. 이게 비율 왜곡 설명하려고 도입한 특수한 사례지, 왜 가상제작자의 일반적 경향이 되냐?] 소피스트는 뭔가 큰 것을, 그걸 당신이 지혜로 생각하든(233c6) 만물로 생각하든(233e1), 아무튼 큰 걸 만드는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소피스트는 큰 걸 작아 보이게, 작은 걸 커 보이게 만든다(234d). 또한 소피스트는 어린 애들의 관점을 이용해 먹는다. 애들은 진실에서 멀리 떨어져 서서(234c4) 있다. 얘들이 크고 나면, 그래서 "실제 사물"에 가까워지면, 속지 않는다(234c-e). 하지만 이것들 중, 상의 비율을 왜곡시키고 그래서 그걸 좀 더 원본 같이 보이게 만드는 기술로서 가상제작의 정의와 직결되는 것은 없다.


그래서 소피스트를 왜 가상제작자로 분류하는지 그 이유를 물어야 한다. 구트리의 불평에 플라톤은 책임이 있다. "그건 괜찮은 논증이기가 어렵지, 소피스트 기술의 유해함에 대한 플라톤의 고질적인 확신을 상기시키기만 하는 건."[각주:11] 


소피스트가 가상제작자로 분류된 이유를 알려면 소피스트가 제작하는 상의 종류가 무엇인지에 관한 첫 번째 난관이 왜 발생하는지 분명하게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두 종류 상 구분을 더 분명하게 밝혀야 한다.


이 구분은 비율(summetria) 개념을 가지고 도입된다. 모상은 원본 비율을 보존하는 상이다. 가상은 비율을 왜곡시키는 상이다. 그런데 닮는 데에 실패해서 그런게 아니라, 오히려 상을 더 닮아 보이게 만들려고 왜곡시키는 것이다.[각주:12] [이건 확실히 고민해 볼 문제. 비율을 왜곡시키는 것이고, 실제로 닮아 있는(be) 것은 아닌데, 그래도 어쨌든 '더' 닮아 '보이게(seems)' 된다.] 그래서 "모상(likeness)"과 "가상(appearance)"은 적절한 용어다. 모상은 실제로 원본을 닮은 것, 원본 비율과 같은 비율을 가진 것ㄷ이다. 반대로 가상은 그게 실제로 원본을 닮아 있는 것보다 더 많이 닮은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이 구분은 시각적 기술과 결부된다. 우선 모상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235d6-e2 상제작에서 모상제작이 있는데, 원본 형태 비율과 색배치를 지키면서 상을 제작할 때 사용된다는 얘기.


예를 들어 파르테논 모상은 파르테논의 황금비를 지녀야만 한다.[각주:13]


테아이테토스는 이 언급에 놀라는데, 상 제작자는 다 그러는 거 아니냐는 것이다. 이에 손님이 다음과 같이 답한다.


손님: 큰 상은 아름다운[각주:14] 원본의 참된 비율을 주면 밑에서 보면 아래는 커 보이고 먼 윗쪽은 작아 보인다. 그래서 어떤 이들은 진실은 내팽개친 채 실제 비율이 아니라 그럴싸해 보이는 상을 만들려고 아래를 실제보다 더 작게, 위를 실제보다 더 크게 만든다는 뭐 그런 내용.


큰 작품은 제작자에게 문제를 야기하는데 그건 관찰자의 관점 때문이다. 이로 인해 원본 비율을 유지하는 상은 원본과 덜 닮아 보인다. 가상 제작자는 실제로는 원본과 덜 닮아 보이게 상을 만듦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한다. 가상 제작은 매우 대규모의 모상이 겪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입되었다. [인정하긴 해야 하겠다. 관찰자의 관점이 원인이 되어 상이 원본과 달라 보인다는 문제가 있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가상 제작이 고려될 수 있다.]


플라톤은 회화 기술에서 실제 발전에 반응하여 이 구분을 잘 이끌어낸 것일지도 모른다. 증거가 부족하긴 하지만, 상관된 문헌 근거 두 가지가 있다. 우선 직접 관련은 되지만 덜 믿을만한 것은 『킬리아데스』이다. 『건축에 대하여』 7권도 있다. 아이스킬로스의 비극 무대를 만들면서 이차원 평면에 깊이가 있는 것처럼 보이게 만들려고 했고 한 대상이 다른 대상보다 더 앞으로 가까이 있어 보이게 하려고 했다. 데모크리토스와 아낙사고라스도 이에 대해 썼다.[각주:15] 나는 이런 기술이 모상 제작보다 가상제작으로 간주되는 편이 그럴 듯하다고 본다. 첫째로, 해당 정의에 부합한다. 둘째로, 손님은 조각상을 얘기하지만, 손님은 소피스트를 거울 들고 다니는 애에도 비교한다. 거울 속 상은 평면에 있지만 깊이를 지닌 것처럼 보이는데, 이게 위의 무대 회화(?)랑 비슷하다. 어쨌든 위 두 문헌 근거에서 해당 가상 제작은 전문기술로 간주된다. [아니, 문제는 플라톤이 가상 제작을 기술로 봤느냐 안 봤느냐 하는 거지, 당대에 그런 비슷한 일을 하는 기술이 다른 사람들한테 기술로 인정 받든 말든 그게 근거가 되냐? 당대 일반인들은 철학이 기술이 아니라 잡담이라고 봤는데?]


모상제작자는 원본 비율 유지를 위해 원본 비율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필요로 한다. 모상의 비율은 원본 비율처럼 보여야만 할 뿐만 아니라 실제로 그 비율로 있어야만 하기도 하다. 만일 모상제작자가 아름다운 여신의 조각상을 만든다면 그는 아름다운 여신의 비율을 알아야만 한다. 모상제작은 기술이기 때문에, 요행으로 비율을 획득한들 해당 기술의 수행이 아니다.


가상 제작자는 반대로 원본 비율에 대한 지식을 요구받지 않는다. 오히려 상이 실제 가진 것과는 다른 비율로 보이는 그런 비율에 대한 지식을 필요로 한다. 가상제작의 성공 기준은 특정인에게 특정방식으로 보이는 것이고, 그래서 가상제작은 감상자가 원본 비율이라 간주할 것이 무엇인지 아는 것만 필요로 한다.[각주:16] 예를 들어 만일 가상제작자가 아름다운 여신의 가상을 만들고자 한다면, 그는 아름다운 여신의 실제 비율을 알 필요가 없고, 오히려 사람들이 아름다운 여신의 비율이라 여길 게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가상 제작자의 전문기술은 원본이 실제로 그런 비율을 지니지 않지만 마치 지니는 것처럼 보이게 만드는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주의. 가상이 원본의 비율을 가진 것처럼, 이 아니라 여기에서는 가상을 통해 '원본이' 그 가상의 비율을 본래 가지는 것처럼 보이게 만든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는 흥미로운 접근. ? 아니, 내가 영어를 잘못 읽은 건가=_=?]


가상 제작자가 비율을 왜곡시키려면 원본 비율을 알긴 알아야 한다고 반론할지도 모른다.[각주:17] 내 대답은 가상제작자가 원본 비율을 왜곡하는 건 요구되지 않고, 그저 가상제작자가 원본이 지닌 것과는 다른 비율을 원본이 지닌 것처럼 보이게 모조품을 구성하는 것뿐이라는 것이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가상 제작자는 실제 원본 비율을 알 필요가 없다. 몇몇 경우, 가상 제작자가 그 비율을 알 것으로 기대될 수는 있으나, 그건 특수한 경우, 이를 테면 특정 인간 개인이 원본인 경우일 것이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가상제작자가 원본 비율을 알 필요는 없다. 오히려 가상 제작자는 감상자가 원본 비율이 그럴 거라고 생각하는 그것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만일 감상자가 무슨 이유에서든 원본 비율을 잘못 생각한다면, 가상 제작자는 모방물이 원본의 실제 비율이 아니라 저 잘못 생각된 비율을 가진 것처럼 보이게 만들어야 한다. [감상자가 기대하는 (잘못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원본 비율을 가진 가상을 제작한다.(x) 감상자가 기대하는 비율을 '가진 것처럼 보이는(실제로는 가지지 않는)' 가상을 만들어야 한다(?)] 


이러한 고찰은 지혜에 대한 지식과 구분되는, 지혜로워 보이는 일에서의 전문기술로서 소피스트술이 성립할 여지를 시사해준다. 만일 소피스트술이 모상제작이라면, 소피스트는 당연히 지혜의 비율을 알아야 할 것이다(또한 스스로 지혜롭기도 해야할 것이다.). 하지만 만일 소피스트술이 가상제작술이라면, 소피스트는 지혜의 비율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전혀 필요치 않고 스스로 지혜로울 필요도 없을 것이다. 그래서 가상이라는 개념은 지혜와 동일시되지 않는 그러한 소피스트의 전문기술을 가능하게 만들어준다. 이 개념은 소피스트의 지식 대상을 제공하는데, 해당 지식이 지혜 그 자체와 충돌하지 않는 방식으로 그렇게 해준다. 허나 그런 기술은 제대로 된 기술일 수 있는데, 단지 감상자들의 믿음들을 임의로 취합해 설명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소피스트는 관점에 의한 왜곡에 관하여 알고 있다.


하지만 지혜의 비율이란 게 무엇인가? 감상자의 관점이란 무엇인가? 비율, 관점, 감상자라는 개념은 회화로부터 도출된다. 이게 소피스트에 적용될 경우 그 의미가 분명하지 않다. 이게 소피스트를 모상과 가상 둘 중 어디로 놓을지 난관에 처하는 이유이다.[각주:18] 소피스트는 화가가 아니라 연설과 진술 분야에서 일하기 때문에(232b-e, 234c), 상의 두 종류 구분이 소피스트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불분명한 것이다. 특히, 말(연설, 진술, 등등)이 보존하거나 왜곡시키는 비율이란 게 무엇인지 불분명하다.



3. 잘못된 제안.

 

말이 있는 것의 비율을 왜곡 또는 보존한다 생각할 수 있다. 참인 진술은 비율을 보존하고 거짓 진술은 왜곡한다. 이 관점에서 모든 말은 상이다. 참인 진술은 모상, 거짓 진술은 가상이다.[각주:19]


이 대화편은 해당 관점을 지지하지 않는다. 반대증거를 문헌에서 찾기 전에, 그게 얼마나 이상한 관점일지부터 보자. 소피스트는 일반적으로 거짓 진술과 결부될 것이다. 하지만 소피스트는 아무 거짓 진술이나 만드는 게 아니라, 우리가 합리적으로 수용해야 할 것처럼 보이는 거짓 진술을 만든다. 전혀 지혜롭다는 인상을 주지 않는 수 많은 거짓 진술들이 있다. 예를 들어 '테아이테토스는 날고 있다' 같은 것이 그렇다. [아니... 모든 말이 상이고 거짓말이 가상이라고 해서, 그게 곧장 가상 제작자로서의 소피스트가 '모든' 거짓 진술을 '무차별적으로' 제작해야 한다는 결론으로 이어지는 건 아니지. 상대방 논증을 이렇게 일방적으로 약화시키진 않아 줬으면 좋겠는데.]


해당 대화편은 거짓 진술을 특별히 가상과 관련시키는 게 아니라 일반적으로 상이라는 유 전반과 관련시킨다.[각주:20] 손님이 일단 모상과 가상에 관한 어려움을 토로한 뒤, 그는 소피스트 분류 문제가 일반적으로 상과 거짓 진술의 가능성 문제 아래에 들어온다고 말한다(236e1-237a1). 이후 손님이 거짓 진술과 상의 가능성을 설명할 때, 그는 '거짓이 있다면 기만이 있고 기만이 있다면, 그럼 필연적으로 모든 것이 상, 모상과 가상으로 가득 찰 것이다'라고 말한다(260c).[각주:21] [각주에 원문 달아 놓고서 왜 이러시나. 앞서 계속 '가상(appearance)'으로 번역한 건 phantasma이고 여기는 phantasia다. phantasia는 바로 이 대화편 안에서 생각, 말, 믿음과 동류로 언급되고, 이 점에서 상의 하위 분류인 phantasma랑 아무런 설명 없이 동일시할 수는 없다.] 그리고 손님이 소피스트의 첫 번째 분류를 제시할 때, 그는 다시 거짓 진술을 특별히 가상에 연관시키는 게 아니라 모상과 가상 모두에 연관시킨다(266d9-e2). 


말을 모상으로 생각하지 않는 게 이상해 보일 수 있다. 이건 말을 발화된 음성 기호나 기록된 기호로 생각하는 데에 기인하는 듯하다. 하지만 해당 대화편은 말을 이런 언어적인 것이 아니라 그것이 표현하는 바의 것으로 간주하게 만든다.[각주:22] [글쎄? "linguistic item"이랑 "which a linguistic item expresses"의 구분은 결국 model과 copy 구분 아닌가? 혹은 to on과 eidōlon 구분이거나] 예를 들어 손님은 생각과 말이 같다고 이야기한다. (263e3-5).[각주:23] 손님은 믿음(doxa)과 지각적 가상(phantasia)를 말에 결부시킨다(264a-b). 대화편 도입부에서 손님은 그저 "소피스트"라는 이름만을 공통으로 갖는 게 아니라, 그 일(ergon) 자체를 공통으로 가지는 게 목표라고 말한다. 그리고 이것은 "말을 통해(218c1-5)" 성취될 것이다. 이런 언급들은 일반적으로 진술을 상으로 간주하기 어렵게 만든다.[각주:24] [왜??? '이름'은 onoma고 말은 logos, 게다가 말을 통해 사태에 합의하는 데에 이른다면 말이 사태와 사람을 매개해 줘야 할 거 아니냐? 근데 각주는 주목할 만하네. 말에서의 탐구가 어쨌든 현실(or 일, ergon)에 비해 더 모상(eikōn)에서의 탐구에 가까운 건 아니라는 얘기니까. 그런데 이거야 말 자체에 치중하는 거랑 말을 경유해 실제 사태로 나아가는 거 구분도 가능하고, 또 행위나 경험을 통한 탐구에 비해 말을 통한 탐구가 덜 현실적인 건 아니라는 얘기로 볼 수도 있고. 그리고 "있는 것들(ta onta)"을 탐구한다는 게 중요해 보인다. 뭐 엄청 결정적으로 Beer 주장을 지지해 주는 문헌 근거는 아닐 듯.]


더욱이, 철학자는 말로 작업하긴 한다. 하지만 상 개념은 철학자에 적용하긴 어려울 과장된 비유 방식으로 이 대화편에서 도입된다. 소피스트는 모든 것을 만든다고 장담하지만 실은 모든 것의 상을 만드는 것으로 드러난다. 이는 철학자가 전혀 개입할 일 없는 작업이다(233d-235a). [정말? 철학자도 우주를, 인간을, 국가를 다 다루어야 하는데? 철학자가 상의 도움 없이 이 모든 걸 다룰 수 있어? 그 상이 말(생각, 믿음과 동류인) 말고 다른 것일 수 있어?] 상을 제작하는 것은 바로 이 부분에서 지극히 호의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표현되고, 이것이 철학자가 그 어떤 종류의 상 제작에도 개입하지 않는다고 생각해야 하리란 점을 시사한다. [별로 설득력 있지 않은데? 말을 기만에 사용했으니 소피스트의 경우에서 바로 그 사용된 말이 부정적으로 묘사되는 것이지, 이게 왜 말로 된 상 자체가 전부 완전히 부정적이라는 얘기로 넘어가냐?]


플라톤은 우리가 사물 자체를 우리의 사유를 가지고 직접 파악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처럼 보인다. 우리의 인지가 있는 것에 접하는 것에 대해 보는 것과 만지는 것으로 유비하는 핵심이 이것이라고 나는 본다.[각주:25] [아닐걸?] 그러한 사유들은 정신과 사유된 사물 사이의 매개체가 아니다. 그래서 더욱이, 그런 사유들은 상들이 아니며, 정확한 상도 아니고, 오히려 사물에 대한 매개 없는 파악이다.


우리는 비트겐슈타인의 언급을 사용해 플라톤적 사유라는 것을 달리 말해볼 수 있다. '사실이 이러저러하다고 우리가 말하고 또 그것을 의미할 때, 우리-그리고 우리의 의미-는 사실에 못 미치는 어딘가에 멈추는 게 아니라, "이것이 그러하다"라는 것을 의미한다. 비트겐슈타인은 여기에서 사실이 우리가 말하는 바를 넘어서거나 그 외부에 있는 게 아니라는 관점을 제기한다. 말이 상이라는 가정은 비트겐슈타인이 거부하고 있는 사유의 한 형태이고, 우리와 우리의 의미가 언제나 필연적으로 "사실에 못 미치는 곳에서 멈춘다'는 생각이다. [아니, 그건 비씨 생각이고, 말해진 것이나 생각된 것이 매개물이라는 게 플라톤이 영혼을 이데아에 가져다 붙이는 그 직관을 불가능한 것으로 만들진 않잖아?]


요컨데, 우리는 『소피스트』가 모든 말을 상이라고 이야기하는 것이라 해석하지 않아야 한다. 손님은 실제로 말하진 않아도 일부 말이 사물 자체에 대한 파악이라 시사한다. 말이 모상인지 아닌지, 소피스트의 말로 된 상 제작과 동반하는 말로 된 모상 제작이 있는지 없는지, 이 가능성은 열린 채로 남아 있다.


지금 문제와 관련해서는, 왜 이 대화편이 소피스트를 모상 제작자가 아닌 가상 제작자로 분류하는지 좀 더 봐야 한다.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 적어도 지혜가 무엇인지에 관련하여 뭔가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게 우리로 하여금 그것의 비율이 무엇인지에 관해 뭔가 말할 수 있게 해줄 거고, 그래서 소피스트가 그 '비율'을 보존하는지 왜곡시키는지 여부에 대해 합리적인 답을 제시하게 해줄 거다. 이 대화편이 지혜를 다루는 주요 구절은 두 가지이고, 그게 우리가 찾고 있는 것에 빛을 비춰줄 거다.



4. 지혜의 비율 (i): 반박불가능성.


인상적이게도, 지혜가 논의되는 첫 대목은 비율이 논의된 첫 대목이다. 해당 대목은 여섯 번째로 제안된 소피스트 정의를 상술한다. 이 정의에서, 소피스트는 배움을 방해하는 믿음들로부터 영혼을 정화하는 자이다(231e5-6). 이 정의는 개인의 고유한 지혜에 대한 믿음에 관련된 것이기에 소크라테스에게 적용되는 것처럼 보인다.[각주:26] 소피스트술에 대한 이러한 설명은 소피스트 활동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전개하는 철학적으로 풍부한 여담을 포함한다. 해당 여담에서 손님은 악덕과 무지에 대한 꽤나 실질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이는 영혼에 영향을 주는 두 종류의 악덕으로 표현된다(227d13). 이는 이것들에 대비되는 덕과 지혜에 대한 암시적 설명을 포함한다. 중요한 것은 지혜가 논박불가능성이고 이는 곧 개인 영혼 내의 조화로운 비율(균형)이라는 것이다. 이는 지혜가 비율과 관련된다는 의미에서 설명의 단초를 제공한다. 그래서 소피스트가 어떻게 지혜의 비율을 왜곡시키는지에 대한 설명의 방식을 예비하게 해준다. [으어, 이 부분 마음에 드네. 영혼의 균형과 원본의 비율(균형) 그리고 이에 대한 왜곡으로 소피스트 정의까지 연결.]


문제가 되는 반박불가능성은 개인이 익숙한 소크라테스적 문답법에 의해 자기모순을 저지르지 않을 수 있게 해주는 영혼의 상태이다. 자신의 지혜에 대한 믿음으로부터 개인을 정화하기 위해 이 방법을 사용하는 자는 그 개인이 정화대상이 되는 해당 개인이 지혜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알아야 한다. 만일 당신이 물리학을 잘못 이해하였음을 당신에게 보여준다면, 그런데 당신은 지혜와 물리학이 관련 없다고 생각한다면, 이 경우 당신은 당신의 지혜에 대한 믿음을 계속 유지할 것이다. 소크라테스식 방법이 전제하는 건 정화 대상 개인이 관련된 방식으로 자기 모순을 범할 때, 스스로 지혜롭지 않음을 받아들인다는 것이다. 이 절차는 다음과 같은 익숙한 방식으로 묘사된다.


230b4-8. 믿음들을 한 군데로 모아서 상충되는 걸 보여준다는 내용.


영혼 정화자는 질문 받는 자가 이 방식으로 스스로 모순을 범할 때 스스로 지혜롭지 않다고 하는 가정에 의존한다. 그리고 플라톤은 이게 맞다고 본다는 점을 해당 대목이 시사해준다. 자기 모순을 범한 자는 이 방식에서 지혜롭지 않다.[각주:27] 이것은 칼리클레스와 트라쉬마코스로부터 에우튀프론과 아뉘토스에 이르기까지 모든 이들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문답에 전제된 것이다.


따라서 (소크라테스적 논박 하에서) 논박불가능성은 지혜의 필요조건이다. 또한 이게 지혜의 충분조건이라 볼 이유도 있는데, 이를 논증하기에 앞서, 어떻게 논박불가능성이 영혼에서의 균형으로 간주될 수 있는지 설명하겠다.


균형(비율) 개념은 불균형과 함께 논의에 도입된다. 손님은 추함을 불균형의 일종으로 정의한다(228a10-11).[각주:28] 손님은 영혼의 특정 상태, 지혜에 대비되는 무지가 추함의 정의 아래에 들어온다고 논증을 전개시킨다. 균형(비율) 개념은 여기서 등장한다.


228c1-6. 화살을 쏘는데 표적을 빗맞추는 건 균형 때문인가 불균형 때문인가? (불균형 때문이다.)


손님은 무지한 영혼은 추하고 불균형하다고 결론내린다(228d4).[각주:29]


나아가 손님은 무지의 두 종류를 구분하는데, 하나는 크고 어려운 종류의 무지로 나머지 모든 무지에 대응된다. 이 무지는 뭔가 알지 못하는 것을 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것 때문에 생각에서의 모든 잘못이 일어난다.(229c5-6)


모든 무지는 추함의 일종이지만, 모르는 걸 안다고 생각하는 무지는 다른 무지가 아니라 오직 이 무지 때문에 사유에서의 모든 잘못이 일어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사유에서의 모든 무지의 책임이 이러한 무지에 있다. 소크라테스적 논박이 정화하는 종류의 무지가 이런 거다. 결정적으로, 이는 개인의 지혜에 대한 거짓 믿음으로 기술된다(230a7). 정화는 유사-믿음에 대한 논박을 통해 성립한다(231b6).


이로부터 우리는 영혼에서의 추함이 개인의 고유한 지식과 지혜에 대한 거짓 믿음이라고 추론해야 한다. 영혼은 이 불균형에 의해서 겨냥하는 진리를 빗맞추게 된다(228c-d). 영혼은 영혼 자신이 지식을 가졌다는 잘못된 확신 때문에 진리를 놓친다. 그래서 손님은 개인의 고유한 지혜에 대한 믿음이 그 자체로 영혼의 흉측한 불균형이라 말한다. 이는 이 논박을 통해 고유한 지혜에 대한 믿음이 정화되지 않는 한 대왕조차 행복하지 못하도록 가로막는 무식과 추함에 처한다는 주장에 의해(230d7-e4)[각주:30] 강력하게 지지된다. 추함으로부터 영혼을 정화하고 아름답게 만드는 것은 고유한 지혜에 대한 거짓 믿음의 제거로 이루어질 것이다.


더욱이 이 문맥은 논박불가능성이 지혜의 필요조건이며 또한 충분조건이기도 함을 보여준다. 오류의 원인은 고유한 지혜에 대한 거짓 믿음, 그 자체 영혼의 불균형인 바 그 거짓 믿음이다. 일단 고유 지혜에 대한 거짓 믿음이 제거되고 나면, 진리를 놓칠 어떤 원인도 없다. 물론 진리를 놓칠 다른 여러 다양한 이유들이 있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엘레아 손님은 이런 거짓 믿음이 사유에서의 모든 잘못의 원인이라 말하고 있다(229c5-6). 그래서 영혼은 고유 지혜에 대한 거짓 믿음이 정화되면 진리를 포착할 것이다. 틀리게 만드는 원인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논박불가능성은 지혜의 필요충분조건이다. 나는 논박불가능성이 지혜와 동일시된다고 제안한다. 지혜는 추정컨데 특정한 대상들에 대한 지식이고 바로 이러한 지식이 논박불가능한 것이다. (지혜로운 자가 아는 것이 무엇인지 문제는 다음 장에서 논한다.)


물론 이런 생각은 다른 대화편들, 특히 『국가』를 반영한다. 거기에서 소크라테스는 좋음의 이데아를 아는 필요충분조건이 마치 전투에서처럼 모든 논박에서 살아남는 것이라고 말한다(7권 534b8-d1). 철인 통치자가 지닐 그 지식의 이름이 변증술이라는 사실(534e3)은 그들이 누군가가 논박당할 수 있는지 여부를 시험하는 대화의 전문가임을 시사한다. 즉 지혜로운 자는 누구에 의해서도 논박당할 수 없는데, 그의 의견들이 서로 상충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 사람은 지식을 가질 것이고 고유한 지식에 대한 거짓 믿음이라는 불균형으로부터 자유로울 것이다. 추정컨데, 그런 짓기을 가진 자는 아름답고 균형잡힌 자일 것이다. 모든 추한 불균형은 사라질 것이다.


그래서 손님은 소크라테스식 논박을 기술하면서 지혜가 논박불가능하다는 관점을 보여준다. 그런 논박불가능성은 개인의 믿음들 사이의 관계이고, 아름답고 균형잡힌 관계이며, 그로 인해 개인이 소크라테스식 대화에서 논박당할 수 없게 되는 관계이다. 만일 소피스트가 지혜를 모방한다면, 그래서 추정컨데 이 균형을 모방한다면, 그 균형을 보존하거나 기술적으로 왜곡시킬 것이다.



5. 지혜의 비율 (ii): 형상들에 대한 지식


지혜와 논박불가능성 사이의 관계는 지혜에 반대되는 무지에 대한 유용한 기준을 제공해준다. 소크라테스식 대화에서 논박당하는 자는 누구든 지혜롭지 않다. 그런 영혼은 불균형 상태에 있다. 반대 상태는 귱형적인 것이고 그는 영혼의 균형 덕분에 논박불가능하다.


이는 아직 지혜의 비율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아니다. 지혜가 논박불가능성과 같더라도, 아직 논박불가능성이 무엇으로 구성되는지는 모른다. 논박불가능해지기 위해 알아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또한 거짓 믿음, not-being, being과 관련한 난관들이 해결되는 중간부분의 긴 논의에서 이러한 해석을 지지해줄 언급이 없다고 반론할 수도 있다. 손님은 거짓 믿음에 관한 난관을 제시하고 not-being과 being에 관한 난관들도 제시하며, 이건 소피스트가 가상제작자인지 모상제작자인지에 관한 난관을 해결하기 위해 요청된 것이다. 그것은 소피스트 분류 문제를 거짓 믿음, not-being, being 난관 언급 없이 설명하려는 것으로 보이는 만족스럽지 못한 해석일 것이다.


이제 중간부분이 철학적 지혜에 대해, 논박불가능성을 제공하는 인간 영혼의 비율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는 그런 설명을 제공한다는 점을 논증할 것이다. 손님은 소피스트를 추적하면서 철학자를 찾았다고 말한다(253c7-9). "지혜"라는 단어는 없더라도 여기에서 철학자가 가진 지식의 본성은 설명되고, 그 지식은 지혜이다. 대화편 도입부터 철학자와 논박은 밀접하게 묶인다. 철학자라 소개된 손님은 논박 신을 가장한 것일지도 모른다고 한다(216b6). 그래서 철학자의 지식이 논박과 관련되더라도 놀랍지 않을 것이다. 중간부에서 철학자의 지식은 변증적이라고 이야기된다(253d2-3). 이는 철학자 지식의 명칭이다. 왜냐하면 이것이 지혜롭지 못한 자를 논박할 수 있지만 누구에게도 논박을 당할 수는 없는 그런 방식의 대화를 할 능력이기 때문이다.


철학적 지식은 또한 형상들에 대한 지식으로 묘사된다. 이 지식이 논박불가능하다는 의미에서 개인을 지혜롭게 만들어줄 방법은 무엇인가? 손님은 형상에 대한 지식이 서로 상충하는 명제들이 무엇인지에 대한 지식을 포함한다고 생각한다는 게 내 제안이다. 손님은 사람들이 이런 것에 무지해서 모순에 빠진다고 생각하고, 반면 철학자는 그걸 아는 자로서 모순에 빠지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논박당할 수 없게 되는 것의 핵심은 단지 겉보기에 불과한 모순을 진정한 모순과 구분하는 능력이다. 이 대화편은 'is'와 'is not' 사이의 모순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이는 파르메니데스가 천착한 문제이다. 이 모순은 상과 거짓 믿음 가능성의 진정한 원천인데, 왜냐하면 이것이 not-being 문제의 원천이기 때문이다. 이 문제는 'is'와 'is not'을 반대되는 것으로, 상호배타적으로 생각함으로부터 나온다. 그 해법은 'is not'을 말하는 게 'is'에 반대가 아닌 단지 다르기만 한 것을 말하는 것임을 아는 것이다(257b3-4. Cf. 258b, 258e-259a). 대화편의 중심에 있는 being과 not-being 논의는 누군가 자기모순을 겪을 때 알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예시해주는 것이다. 진정한 모순과 겉보기 모순을 구분하기 어렵다는 이 어려움이 파르메니데스가 견지한 철학적 관점의 배경이다. 파르메니데스가 소피스트라는 언급은 없다. 오히려 소피스트는 이 어려움을 악용한다.[각주:31]


대화편에 따르면 어떤 것들이 모순되고 또 모순되지 않는지 알아야 반박불가능하게 된다. 이 지식은 정확히 형상들에 대한 지식이다. 이는 우리가 말하는 소위 논리학이 아니다. 일단 인식론적으로 다른데, 성취된 바 없는 목표이다. 또한 형이상학적으로 다른데, being의 궁극적인 형이상학적 토대의 본질에 관한 지식이기 때문이다.[각주:32] 형상에 대한 지식은 어떤 형상이 섞이고 또 섞일 수 없는지 아는 것이기에 논박불가능하게 되도록 만들어준다.[각주:33] 손님은 서로 모순되어 보이지만 그에 따르면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사례를 제공한다.[각주:34] 반대로, 다른 진술들은 모순으로서 배제되는데, 그 진술들이 상호 배타적인 형상들의 혼합을 단언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운동과 정지는 섞이지 않는다(252d). 이 형상들을 섞게 하는 진술은 모순이다.[각주:35]


더 나아가, 이 대화편은 not-being에 관한 혼란만이 아니라 'not'에 관한 혼란도 해명한다. 일반화하여, '부정이 반대를 의미한다'라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257b9-10). 형상들의 모든 가능한 관계에 관한 지식은 그래서 모든 진정한 모순에 관한 지식이다. 이 지식은 가진 자는 누구도 섞일 수 없는 형상들이 섞인다고 말하지 않을 것이고 즉 스스로 모순을 범하지 않을 것이다. 이 지식을 결여한 자들만 무엇이 무엇에 모순되는지에 관하여 잘못할 수 있다. 


손님은 철학적 지식을 요약하면서 진정한 모순을 인지하는 능력에 상석을 내어준다. 


259c7-d7: 어떤 식으로 같은 것이 다르다느니 다른 것이 같다느니 하며 말에서 모순을 제기하며 즐기는 자의 경우 그건 참된 논박이 아니라는 내용.


"어떤 식으로(or 어떤 측면에서)"라는 규정이 강조되는 것은 소크라테스의 정화술을 연상시킨다(230b8). 이것은 이 앞선 대목이 지금 변증술 대목과 연관되는 한 방식이다. 철학적 지식은 진정한 모순은 결코 허용하지 않도록 해주는데, 서로 배제하는 그리고 배제하지 않는 형상들이 무엇인지, 또한 형상들의 다른 모든 관계들에 대한 지식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요컨데, being과 not-being 문제 해법은 논박불가능성으로서의 지혜 개념과 직결된다. 이 being과 not-being 이론은 누군가 지혜롭지 않다는 걸 확정할 수 있는 시험을 넘어서는 긍정적인 무언가를 보여준다. 어쨌든 중요한 건 이게 전문기술로서의 소피스트술 개념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지혜에 관한 긍정적인 설명은 왜 지혜로운 자가 논박불가능한지 설명해준다. 손님은 사람들이 지혜로운 자가 논박불가능하다는 걸 안다고 가정한다. 이게 곧 그들이 스스로 논박당할 때 그들 스스로 지혜롭지 않음을 시인하게 되는 이유이다. 이게 어떻게 소피스트가 기술자일 수 있는지를 설명하는지, 특히 모상이 아닌 가상 제작에서의 전문가일 수 있다는 걸 설명하는지 보자.



6. 가상-제작 전문기술로서 소피스트술


소피스트가 모방하는 원본의 비율은 규정됐다. 그건 지혜로운 영혼의 비율이다. 그런 영혼은 논박불가능하고, 그건 형상과 그 관계를 파악한 덕분이다. 형상 간의 양립과 배타 관계들은 지혜를 구성하는 바 그 비율들이다. 철학자가 겉보기에 모순을 범할지라도 진정한 모순에는 결코 빠지지 않을 이유는 어떤 형상이 양립되고 또 안되는지 알기 때문이다. 'What is not truly is' 같은 것이 이 예시이다. 여기에서 우선 어떻게 해당 대화편이 소피스트를 모상제작이 아닌 가상제작 쪽으로 분류할 이유를 제공하는지 설명하고, 이게 해당 대화편이 소피스트술을 전문기술이라고 주장한다는 점을 입증한다고 논증할 것이다.


일단, 몇몇 부정적 고찰들은 소피스트가 원본 비율을 보존할 수 없고, 그래서 모상이 아닌 가상을 제작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왜냐하면 그가 지혜로운 영혼의 비율을 보존했다고, 자기 자신을 도구로 사용하면서 그렇다고 가정해 보자. 그럼 그는 자신의 고유한 성정 내에서 지혜의 비율을 보존할 것이다. 그의 믿음은 완벽한 비율로 있을 것이고 그래서 그 믿음은 서로 상충하지 않을 것이다. 그 경우, 소피스트는 지혜로운 자의 모상이 아니라, 실제로 지혜로울 것이다. 지혜의 비율을 자신 안에 보존하는 자는 진정으로 지혜로운 자이다. 지혜의 비율을 왜곡시켜 지혜를 모사하는 자는 지혜로운 자의 가상이지, 그의 모상이 아니다. 그래서 개인의 수단 안에 지혜의 모상이 자리할 수는 없다. 소피스트는 스스로 지혜의 비율을 지니는 게 아니라, 그가 그걸 지닌다는 인상을 기술적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이 논증의 한 가지 전제는 소피스트의 '도구(그가 그 안에서 작업하는 매개체)'가 그 자신이라는 것이다. 이는 해당 대화편이 소피스트를 표현하는 방식에 있어서 중요한 전환을 보여준다. Being과 not-being 문제에 앞서 일곱 번째 정의를 제시하는 첫 번째 시도에서, 소피스트는 그것들이 상들인 그러한 말을 산출하는 것으로 이야기된다(234c5). 소피스트는 한 번은 사물들을 한 번에 하나씩 모방함으로써 지혜의 상을 산출한다. 마치 화가가 한 번에 하나씩 그림을 그리듯(234b) 말이다. 이러저러한 사물의 각 모방은 각기 고유하게 성공적인 것처럼 혹은 실패한 것처럼 보인다. 회화 유비는 그래서 소피스트의 각 말(연설)이 각기 고유하게 어떤 것을 모사한다는 점을 시사할 것이다. 추정컨데, 해당 연설이 언급하는 무엇이든 그에 관한 진리(참)를 모방할 것이다(232b-e). 예를 들어, 소피스트는 완전히 부정의한 자가 완전히 행복한 것이 마치 참인 것처럼 보이게 만들지도 모른다. 모든 사안들에 이러한 기술을 사용해, 포괄적으로 봐서, 소피스트는 지혜로운 것처럼 보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관점은 해당 정의의 마지막 형태에서 상당히 수정된다. 소피스트는 지혜로운 개인을 모방함으로써 지혜의 모상을 산출한다. 이것이 지혜로운 개인의 믿음과 진술이 서로 조화를 이루는[상충이나 모순을 일으키지 않는] 방식을 모방한다는 의미가 되는 곳에서 말이다. 각기 고유한 진술은 상도 아니고 각 진술이 저마다 하나씩 지혜로운 것처럼 나타나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소피스트의 진술 총체가 지혜로운 것처럼 나타나고, 이는 그 진술들이 서로 관련되는 방식으로 인한 것이다.


소피스트가 도입시키는 왜곡에 대한 긍정적 설명도 있다. 소피스트의 왜곡에 대한 나의 설명은 세 가지 측면을 가진다. 그것은 거짓 논박이고, 포괄(총체)적이며, 기만당하는 대화 상대자의 관점과 관련된다.


(1) 소피스트는 거짓 논박 안에서 거래를 한다. 그는 먼저 대화상대자가 무언가 하나에 대해 동의를 얻어내고, 다음으로 이것과 상호 배타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그렇지는 않은 다른 것에도 동의를 얻어낸다. 이것이 원본 비율의 왜곡이다. 실제로는 이 두 진술들은 서로 배타적이지 않다. 완전히 지혜로운 자는 그런 실수를 저지르지 않겠지만, 진지한 철학자는 이 대화편이 파르메니데스가 그렇다고 하는 것처럼 'is'와 'is not'이 서로 배제한다고 생각하는 와중에 그런 실수를 저지를지도 모른다. 소피스트는 진지하지만 실수하는 철학자와 다른데, 저 상호배제가 진정한 것인지 아닌지 관심이 없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2) 소피스트는 겉보기 논박을 아무 때나 아무렇게나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방식으로 사용한다. 그는 이러저러한 논박이 진정한 종류의 것이라 생각하도록 만들고자 시도할 뿐만 아니라, 소피스트가 그 어떤 사람이든, 어떤 주제에서든, 그들이 장차 무슨 소리를 하든 아무 상관없이 논박할 수 있다고 믿게 만들고자 시도하기까지 한다. 소피스트는 제한 없이 온갖 다종다양한 문제에 완전히 대비하고 있을 것이다. 소피스트를 지혜로운 것처럼 보이게 만드는 것은 이러한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능력, 다른 이를 논박할 수 있는 것처럼 나타나 보일 수 있는 능력이다.[각주:36] 이것은 (1)에서의 왜곡에 더해 그 이상의 추가적인 왜곡을 구성한다. 지혜로운 자의 영혼은 양립불가능한 믿음들로부터 완전히 자유롭다. 소피스트의 영혼은 확실히 그렇지 않지만, 소피스트는 그 원본[자신의 영혼?]의 비율을 왜곡시키는데 마치 그의 영혼이 양립 불가능한 믿음들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운 것처럼 나타나게 만듦으로써 그리 한다.


(3) 손님이 상을 모상과 가상으로 나눌 때, 그는 관찰자의 시점이 가상에 기여한다고 선제한다. 이것은 소피스트에 대한 손님의 첫 번째 묘사에서도 볼 수 있다. 259c-d에서 진짜 모순을 가짜로부터 구분해내는 철학자의 능력을 묘사하며, 소피스트의 가장 흔한 희생자가 이제 막 being에 접해 본 사람들이라고 언급된다. 그들은 논박에 열광하는데, 혼란스럽고 유치한 방식으로 이제 막 논박과 지혜 사이의 친밀성에 속한 뭔가를 파악했기 때문이다. 이런 묘사는 소피스트의 희생자들이 사물의 진리로부터 멀리 떨어져 서 있는 어린 애들이란 앞서의 묘사를 연상시킨다(234c3-4). 그래서 소피스트는 소피스트적 논증에 그런 애들이 갖는 관점을 써먹는다. 그런 자들은 논박불가능성이 지혜의 필요조건이고 어떤 형상들은 서로 섞이지 않는다는 것(예를 들어 운동과 정지)을 정확하게 보긴 했다. 그런데 이런 사항들을 혼랍스럽고 유치한 방식으로 파악했기 때문에, 소피스트에게 사로잡히는 경향이 생기는 것이다. 그들은 소피스트의 논박이 가짜라는 것도 소피스트의 논박 사용법이 철학자의 사용법과 분명화게 구분되어야 한다는 것도 모른다.


소피스트의 전략에서 또 다른 추가적인 측면은 가능한 한 논박자 입장에 서려고 하지 시험받으려고는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소피스트는 자신이 지혜롭다는 점을 보여주기 위해 그가 논박할 수 있다는 것만이 아니라 논박당할 수 없다는 것 역시 보여줘야 하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 만일 소피스트가 결국 질문을 받게 되면, 내가 추정하기로 그는 그 겉보기 논박[겉보기 모순, 가짜 모순으로 구성된]을 꽤나 잘 빠져나갈 것이다. 대화편 내내 묘사되듯 그는 잘 도망다닌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심지어 그의 의견들이 상충할 경우에도, 그것들이 그렇다는 점을 보이기란 어려울 것이다. 소피스트가 잘해서가 아니라, 사람들이 그를 잡으려고 하는 그 (겉보기) 모순 안에서 그가 눈이 밝고, 그래서 그 덫을 피해서 말하기 때문이다. 그는 논박당한다는 겉모습을 피하기 위해 실제로 믿는 것과는 아무 상관도 없이 되는 대로의 것을 주워 섬겨 말할 것이다.


간단히 말해서, 소피스트는 지혜의 모상이 아닌 가상을 산출하는데, 소피스트가 의도적으로 지혜의 비율을 왜곡시키기 때문이다. 그는 스스로 양립불간으한 믿음들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운 것처럼 보이게 만드는데, 실제로 그의 믿음들이 서로 상충할 때 그렇게 보이게 만든다. 그는 모든 논박을 해낼 수 있는 것처럼 보이게 만들지만, 사실 어떤 주제로 누구에 대해서도 '진정한' 논박을 수행할 아무런 능력도 없다.[각주:37] 그리고 그는 청중의 관점을 써먹는데, 지혜와 논박에 대한 그들의 유치한 이해를 활용한다.


두 가지 중요한 반대가 있는데, 하나는 논박 개념에 관련되고 다른 하나는 전문가 개념에 관련된다.


첫 번째 반대는 소피스트술이 어떤 진술들이 겉보기로 어떤 진술들과 양립불가능한지 아는 능력만 요구받는 게 아니라는 것이다. 여기에 더해 이 진술들을 다른 진술들로부터 추론해내는(아니면 차라리 그렇게 하는 것처럼 보일) 능력도 요구받는다. 이 반론은 내 해석에 대한 반박이라기 보다는 이 대화편에 들어있는 소피스트술에 대한 이론에 대한 반박이다.[각주:38] [...치사하게. 자비의 원리 모름? 플라톤의 설명을 가능한 한 정당하고 말이 되는 종류의 것으로 재구성해 주어야 할 것 아니냐? 그 재구성은 당연히 해석자 몫이고, 그럼 이 대화편에서 소피스트에 대해 설명한 것이 불충분하다는 반박은 누가 책임져야 하냐? 그 설명이 도출되는 해석을 제시한 사람, 그러니까 지금 이 경우에는 플라톤이 아니라 당신이 책임을 져야지.] 아무튼 한 가지 답변은 가능할지도 모른다. 형상에 대한 지식, 변증술이 무엇으로부터 무엇이 도출되는지에 대한 지식을 포함한다고 가정하면, 형상에 대한 겉보기 지식도 도출관계에 대한 겉보기 지식을 포함할 것이다. 간단히 말해서, 소피스트술은 연역관계'처럼 보이는 것'에 대한 지식을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실제 연역관계를 포함하진 않을 것이다. 그래서 소피스트는 모순되는 진술을 연역해내는 것처럼 보일 능력을 포함할 것이다. 뭐, 그냥 생각해 본 거다.


두 번째 반박은 레슬리 브라운의 반박이다.


소피스트술이 기술이 아닐 뿐만 아니라, 애초에 그건 본질적 본성, 기술이기 위한 조건조차 갖추고 있지 못하다는 것이다. (Brown, 'Definition', 168)


이 대화편이 아쉽게도 『고르기아스』 등에서 제기된 소피스트술이 기술 아니라는 논증에 응답하지 않는다는 건 인정해야 한다. 그럼에도 나는 『소피스트』가 소피스트술을 전문기술로서 진지하게 정의한다고, 그리고 그런 전문기술의 가능성을 설명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브라운의 해석은 자포자기식이다. 브라운도 시인하듯, 해당 대화편은 소피스트 정의를 떠맡는다. 다만 브라운은 소피스트술이 정의하기에 적절한 대상이 아니라고 본다. 만일 정말 그렇다면, 이 대화편은 실패이고 무의미한 짓이다. 물론 많은 대화편들이 아포리아로 끝난다. 그것들은 "그것은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던지고 실패한다. 하지만 그 중 어느 것도 무의미한 것은 아니다. 그 안에 담긴 문제는 이해를 도모하는 데에 도움을 주려는 것처럼 보인다. 제시된 해법들은 이해 성공의 조건을 구성한다. 그런데 브라운에 따르면 『소피스트』에서는 상당히 다른 일이 일어난다. 전체 작업이 정의될 수 없는 것을 정의하려는 것이 된다. 게다가 유독 이 대화편만 심지어 정직하지 못한 실패로 끝난다. 아포리아로 끝나는 다른 대화편들과 달리, 소피스트에 대한 정의가 결론으로 언명되기 때문이다. 간단히 말해서, 브라운의 해석은 대가가 너무 크다.


이하 별 얘기 없음. 1) 기술자와 문외한 대비시키는 언급이 있는데 이게 브라운 쪽 지지하는 문헌근거 아니냐는 거. 그런데 아니다. 왜냐하면 소피스트를 전문기술자로 칭하는 언급이 너무 많이 나와서.


브라운은 기술의 조건으로 목적, 그리고 그 목적이 달성되게끔 혹은 실패하게 되는 원인에 대한 설명 두 가지를 꼽는다. 그런데 비어의 해석에 따르면 목적은 지혜로워 보이는 것이고, 성공 원인은 원본 비율 왜곡(거짓 논박으로 거짓 균형을 보여줌), 실패는 자신이 논박될 수 없음을 보여주지 못할 경우.이다. 


소크라테스의 논박과 차이가 없지 않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소피스트는 배움에 관심이 없고 '거짓 논박'과 '거짓 모순'이 핵심인 반면, 소크라테스는 교육과 탐구의 배경으로 논박을 활용한다는 차이가 있다는 대답. 



7. 소피스트의 특징.


『파이돈』의 논증혐오자 비슷한데, 차이는 지혜로워 보이게 하는 연설과 논증을 쓰는 법에는 관심이 있다는 것. 그래도 진리를 배우기 위해 연설과 논증을 활용하는 건 아니라는 점에서는 논증혐오자 같은 애. 그리고 지혜 그 자체의 아름다운 비율이 아니라 그것의 일그러진 불균형을 영혼 안에 품은 못난이들.



[총평하자면 일단 모상과 가상의 구분으로부터 논박에 이르기까지 균형과 불균형을 중심으로 해서 전체를 통합하는 해석을 제공한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자 기발한 지점으로 보인다. 다만 말이 모상이 아니라는 논증은 불충분한 듯. 그리고 이와 관련해서, 소피스트가 말로 된 모상을 제작하는 측면과 논박을 수행하고 상대방에게 모순을 강제하는 측면이 비어의 해석에서는 동일시되는데, 실제로 그러한지 불분명하다. 그는 모든 주제에 대해 누구든 논박할 수 있고, 그 과정에서 자신이 모르는 것에 대한 이러저러한 말들을 지어낼 것이다. 이 말이 가상이라면, 그 가상을 통해 수행되는 작업이 모순강제라고 볼 수 있고, 이 둘은 서로 구분될 여지가 있다. 뭐 아무튼 논박을 통해서 상대방은 스스로 무지함을 시인하게 만들고 반면 자기 자신은 논박당하지 않는 것처럼 가장하여 지혜로워 보이게 만든다는 해석은 전적으로 동의. 그런데 또 '가짜 논박' 혹은 '겉보기 모순' 같은 것과 이것들에 대비되는 진정한 혹은 참된 어쩌고의 구분은 잘 모르겠다. 정말 그럴까? 'is'와 'is not'의 모순은 가짜인가? 그 모순이 어떻게 사실은 모순이 아니고 양립 가능한 것인지 밝히는 과정에서 나온 해법은 어떤 측면에서는 상충하고 또 어떤 측면에서는 양립된다는 것이다. 여기에 가짜 모순과 진짜 모순의 대비가 있는 걸까? 아니면 모순은 그저 모순일 뿐이고, 이를 극복하느냐 그냥 거기에 머무르느냐의 차이만 있을 뿐 아닌가? 그러니까 사실 정말로 궁금한 것은, 대체 '진정한 모순'이란 게 뭐냐는 것이다. 동일률, 모순율, 배중률인가? 논리학 내에서라면 모르겠으나, 플라톤의 형이상학과 인식론을 모두 고려할 때 모든 것은 각기 그 자신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다른 여러 것들이기도 하고, 자기 자신이 불리는 그 이름과 다른 것이기도 하며, 상충하고 모순되는 여러 측면이 공존하기도 하고 그것들이 서로 엄격하게 구분되기도 한다. 어떤 관점과 조건에서 어떤 식으로 규정하느냐에 따라 다른 문제이다. 그래서 모순은 모순대로 남고, 그걸 극복한다고 모순이 소멸해 버리는 것은 아니다. 소피스트도, 일개 무지랭이도, 철학자도, 모두 같은 모순을 바라보게 된다. 그렇지 않나?]


-蟲-


  1. While I originally drafted this paper some time before the appearance of L. Brown, ‘Definition and Division in Plato’s Sophist’ [‘Definition’], in D. Charles (ed.), Definition in Greek Philosophy [Definition] (Oxford, 2010), 151–71, the two papers are antitheses to one another. Brown claims, ‘Sophistry, the sophist: these are not appropriate terms to be given a serious definition . . . there is no such genuine kind as sophistry—especially not under the genus of technē, skill, art, or expertise’(Brown, ‘Definition’, 153). I attempt here to vindicate the seventh and final definition of sophistic by vindicating the claim that sophistic is an expertise. [본문으로]
  2. τέχνην δὲ αὐτὴν οὔ ϕημι εἶναι ἀλλ’ ἐμπειρίαν, ὅτι οὐκ ἔχει λόγον οὐδένα ᾧ προσϕέρει ἃ προσϕέρει ὁποῖ ’ ἄττα τὴν ϕύσιν ἐστίν, ὥστε τὴν αἰτίαν ἑκάστου μὴ ἔχειν εἰπεῖν. ἐγὼ δὲ τέχνην οὐ καλῶ ὃ ἂν ᾖ ἄλογον πρᾶγμα.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various translations of Plato used here are taken from J. Cooper (ed.), Plato: Complete Works [Complete Works] (Indianapolis, 1997); the translations of Aristotle are my own. All the Greek texts are from the most recent OCTs. [본문으로]
  3. This is implicit in the lines just quoted. While the knack cannot give an account of the things it works with, the expertise can do so. Thus the expertise will constitute not only an expertise of making things be good, but also of making them seem good (as a doctor is expert in persuading a patient that a certain treatment is best). This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such experts will be particularly effective. The world may, sadly, be such that making (actually) good things seem good is extremely difficult under most circumstances (e.g. because patients are simply not equipped to understand their doctor’s explanations). [본문으로]
  4. The question arises whether such an expertise would also be the expertise of making things seem to be the opposite of the way they are (make the false seem true, make the bad seem good). The Gorgias does not address that question. The Phaedrus, however, does address the question. It allows that the knowledge of how things are is an art of making things seem to be as they are and also of making things seem to be other than they are.Socrates explicitly recognizes an expertise of making things seem to be a certain way, but he emphatically denies that it is possible to have this expertise without knowing how things actually are (262 a–c). Thus there is no expertise of making things seem, say, just, without the knowledge of being just. Socrates mentions deception in the law courts just before (261 e). In a court, the speaker is assigned the role of arguing for a certain conclusion, whether true or false, not the task of determining the truth. Thus it seems likely that the expertise in question is the expertise not only of making (say) just things seem just but also of making unjust things seem just. It is sometimes thought that there is a deep difference between the Gorgias and the Phaedrus on the question of whether there is such an expertise as rhetoric. But I do not think so. The reference of ‘rhetoric’ throughout the Gorgias is fixed by the description ‘the skill that Gorgias has’. All the speakers (including Gorgias himself) assume that his skill is not philosophical knowledge but something else, so the question becomes, ‘Is there an expertise of rhetoric that is not philosophical knowledge?’ In the Phaedrus, by contrast, rhetoric is that knowledge, whatever it is, in virtue of which one has the expertise of speaking persuasively in general (261 e). Thus when the Phaedrus argues that rhetoric is philosophical knowledge, i.e. dialectic, it is not contradicting the Gorgias’ claim that Gorgias’ rhetorical ability is no art (technē). In both dialogues, we find the view that there can be no expertise of making things seem true that is not also the knowledge of how things really are. [본문으로]
  5. This is an important disagreement between Lesley Brown and me. She remarks that ‘surprisingly little mileage’ is gained from this distinction (Brown, ‘Definition’, 161–2). [본문으로]
  6. This is a further point of disagreement between Brown and me. She finds it strange, perhaps impossible, that ‘a species of imitation which proceeds from knowledge’ should have the ‘hallmark . . . that it is the production of falsehoods’ (Brown, ‘Definition’, 161). As I explain in Section 2, the very point of the distinction between likenesses and appearances is to make it possible for them to be objects of knowledge. [본문으로]
  7. 9 It is Theaetetus who first makes the assertion, and the Visitor agrees (Soph. 221d 1–6). The agreement is never questioned. [본문으로]
  8. Strictly speaking, the distinction is between two kinds of the expertise of copy-making (εἰδωλοποιική), the expertise of likeness-making (εἰκαστική) and that of appearance-making (ϕανταστική, 236 c 6–7). Notably, the expertise of copy-making is introduced as the expertise of imitation (μιμητική; 234 b 1–2, 235 c 2–3, 235 d1–2). But as the dialogue proceeds, the term ‘copy-making’ is most often used, and the term ‘imitation’ acquires a new use in the final account of what the sophist is (267 a–b). [본문으로]
  9. Summarized at 231 c–e. Conspicuously, there is no attempt to reject any proposed definition on the familiar grounds that it either counts some non-sophists as sophists or fails to count some sophists as sophists. [본문으로]
  10. One might wonder why, at the end of the dialogue, with yet another definition, we are any better off. I would speculate that there is supposed to be an asymmetry among the formulas: the final account of the sophist counts as the definition, because it explains why the earlier formulas apply to all and only sophists, but none of them explains why all the others apply. But to argue for this is a task beyond the scope of this paper. (When I say that the earlier formulas apply, I mean that they are descriptions that are true of (all and only) sophists, not that they are definitions of sophistic. Thus I do not contradict my claim, below, that the proposed definitions are incompatible (Section 5). If this is correct, these formulae would specify not definitions, but (in Aristotle’s sense) propria.) [본문으로]
  11. W. K. C. Guthrie, A History of Greek Philosophy, vol. v: The Later Plato and the Academy (Cambridge, 1978) at 136, quoted in N. Notomi, The Unity of Plato’s Sophist: Between the Sophist and the Philosopher (Cambridge, 1999) at 272 n. 2. Despite contrasting himself with Guthrie, Notomi’s subsequent discussion does not shed any light on why sophists are appearance-makers, not likeness-makers (the closest he comes are his remarks at 271–2). Similarly, Rosen thinks that, ‘Since [appearances] are inaccurate copies, it is assumed that the sophist manufactures [appearances] rather than [likenesses]’ (S. Rosen, Plato’s Sophist: The Drama of Original & Image [Drama] (New Haven, 1983) at 309). But this is not right: the dialogue does not ‘simply assume’ that the sophist is an appearance-maker. It explicitly raises the question whether the sophist is an appearance-maker. The problem is to see how the dialogue has given reasons for its answer to this question. [본문으로]
  12. This important point is often misunderstood. Rosen, for instance, treats appearances (‘fantasms’ is his translation) as inaccurate copies (Rosen, Drama, 147, 170, and others). By ‘inaccurate’, he means ‘not preserving proportions’. But the proportions of an appearance differ from those of the model not in any old way, but specifically so as to appear like the model. This is a problem for Rosen’s treatment of all false statements indiscriminately as appearances. He ignores the question of what it means for speeches and statements to distort proportions so as to seem to preserve them. And his view strongly suggests that appearances are merely botched copies. In fact, the text makes clear that an appearance is a copy whose proportions make it seem more like the model than it is. A copy may well be intentionally distorted, yet not be an appearance. Giacometti’s stylized, slender statues intentionally distort the human form, but not in such a way as to appear more like human beings than they are. Thus they are not appearances in the sense of the Sophist. [본문으로]
  13. I do not know why the Eleatic Visitor also mentions the colours of the parts. Perhaps because of the practice of painting statues with extravagant, unrealistic colours, a practice also alluded to at Republic 4, 420 b–421 a. Alternatively, perhaps he has in mind a technique by which parts of a thing appear to have different colour properties from those they do have (e.g. many tiny dots of two different colours appear as a smooth field of yet a third colour). (I am indebted to Richard Sorabji for the suggestion, which has some connection with De sensu 3 (439b19 ff.).) Colour is never mentioned again in connection with appearances and likenesses. [본문으로]
  14. In 236 e 6, I read, with MSS β, T, and W (followed by Proclus and Stobaeus) καλῶν, rather than following Nicolls et al. in accepting Badham’s conjecture, κώλων, which would mean, ‘the true proportions of their limbs’. I see no compelling reason to accept the conjecture. The manuscript reading readily yields a sensible text. It merely presupposes, reasonably, that copy-makers make copies of beautiful subjects. Even if we did accept Badham’s conjecture, it would not make a difference to my argument. [본문으로]
  15. According to Vitruvius’ source, the illusion of depth was created by vanishing point perspective (supplemented, apparently, by an explanation of vanishing point perspective in terms of geometrical optics). But see the illuminating and thoughtprovoking discussion of these issues in M. Burnyeat, ‘ “All the World’s A Stage-Painting”: Scenery, Optics, and Greek Epistemology’, Oxford Studies in Ancient Philosophy, 52 (2017), 33–75. Burnyeat argues persuasively that we do not have good reasons to attribute to Agatharchus the invention of vanishing point perspective, to say nothing of the analysis of vanishing point perspective in the terms of geometrical optics. Rather, argues Burnyeat, Agatharchus probably did something simpler: he created an illusion of depth by making more distant columns smaller and partly obscured. This is very similar to the technique of foreshortening. On Burnyeat’s proposal, the actual proportions of the scenery (some painted columns are shorter than others, and the same distance from the viewer) are not the proportions that the columns appear to have (all the columns appear to be the same size, but to be at different distances from the viewer). Thus this technique very neatly and straightforwardly fits the definition of an appearance by contrast with a likeness. Although Burnyeat does not mention Plato’s Sophist, his paper and mine share the thought that techniques of illusion in the visual arts, especially stagecraft, were important for Greek epistemology. Note, too, that on Burnyeat’s reconstruction of what happened with Agatharchus, Anaxagoras, and Democritus, it is crucial that Agatharchus not only created visual illusion but also that he wrote down an explanation of how he did so. This, too, fits with Plato’s distinction in the Sophist: Agatharchus distorted the proportions in an expert way (deliberately creating a certain visual impression under certain circumstances), not haphazardly. [본문으로]
  16. If this were to turn out to be unknowable (in general and explanatory terms), then this would be presumably rule out there being an expertise of the relevant kind. This problem (which I raised in Section 1) remains to be solved. I address it in Section 6. [본문으로]
  17. This is the position taken by Seth Benardete, who writes, ‘Eikastics assumes knowledge of what is perceived, phantastics knowledge of the perceiver as well’ (S. Benardete, Plato’s Sophist: Part II of The Being of the Beautiful (Chicago, 1984) at 109). (Note that Benardete speaks specifically as if all models were perceptible. If my arguments about wisdom as knowledge of forms are correct, then the sophist’s model is not perceptible.) Benardete concludes, on the same page, that appearancemaking would be superior to likeness-making, on the assumption that the appearance-maker requires all the knowledge of the likeness-maker as well as additional knowledge (of the soul, Benardete says). This seems to me to show the incorrectness of the assumption by modus tollens. [본문으로]
  18. The text says nothing explicit about why there is this impasse. At all the other impasses in the dialogue, there is some statement about what the impasse consists in (231 b–c and 232 a; 239 b–c; 245 d–e; 250 c–e). [본문으로]
  19. This view would be strongly supported by White’s translation of 266 d 9–e 2. But I think that this is a mistranslation—not an impossible translation, but one that leans against the grain of the Greek, for which see n. 13. The translation of Brann et al. seems to me better (E. Brann et al. (eds. and trans.), Plato’s Sophist: The Professor of Wisdom [Professor] (Newburyport, 1996) at 80–1). But the view does not stand or fall with that sentence alone. The view I am rejecting is explicitly espoused by Mary Louise Gill, who writes, ‘To make a statement is to produce an appearance, one that can be true or false’ (M. L. Gill, ‘Division and Definition in Plato’s Sophist and Statesman’, in Charles (ed.), Definition, 172–99 at 184). Likewise, Stanley Rosen says, ‘an accurate sketch, or [likeness], corresponds to a true statement by someone who possesses genuine knowledge. The inaccurate sketch corresponds to a false statement and is called [an appearance]’ (Rosen, Drama, 147). (Rosen does not consider true statements by people who do not have genuine knowledge.) [본문으로]
  20. This is a point of agreement between me and Brown (Brown, ‘Definition’, 161, n. 23). [본문으로]
  21. 260 c 6–9: ὄντος δέ γε ψεύδους ἔστιν ἀπάτη . . . (a 8) καὶ μὴν ἀπάτης οὔσης εἰδώλων τε καὶ εἰκόνων ἤδη καὶ ϕαντασίας πάντα ἀνάγκη μεστὰ εἶναι. [본문으로]
  22. I take this to be Rosen’s reason for saying, ‘If true statements are not [copies], then they must be “originals” in some sense. But in what sense? . . . [One possibility is that] they are themselves the originals of which they speak, in which case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being and discourse. This contention is made by no one’ (Rosen, Drama, 153). In a way, I make precisely this contention—but not as Rosen understands it, since he thinks of logoi as linguistic items. [본문으로]
  23. οὐκοῦν διάνοια μὲν καὶ λόγος ταὐτόν · πλὴν ὁ μὲν ἐντὸς τῆς ψυχῆς πρὸς αὑτὴν διάλογος ἄνευ ϕωνῆς γιγνόμενος τοῦτ’ αὐτὸ ἡμῖν ἐπωνομάσθη, ‘διά νοια’; Cf. Tht. 189 e–190 a. [본문으로]
  24. Further evidence comes from the Phaedo: ‘I certainly do not admit that one who investigates things by means of words is dealing with likenesses [εἰκόσι] any more than one who looks at facts’ (οὐ γὰρ πάνυ συγχωρῶ τὸν ἐν λόγοις σκοπούμενον τὰ ὄντα ἐν εἰκόσι μᾶλλον σκοπεῖν ἢ τὸν ἐν ἔργοις, 100 a 1–3; trans. Grube and Reeve, modified). [본문으로]
  25. At 254 a–b, the Visitor says that philosophers are hard to see because they are themselves ‘near’ (προσκείμενος, a 9) the forms, which are hard to ‘look at’ (ἀϕορῶντα, b1) because of their brightness. The philosopher, then, can look at the forms, unlike most people, and wants to (and can) be near them. The Visitor’s and Theaetetus’ own apprehension of forms is described in terms of seeing at 260 d–261 e. Young people are forced by experiences to touch up against beings (ἐϕάπτεσθαι, 234 d 4–6). [본문으로]
  26. It is disputed whether the definition really is intended to apply to Socrates. I believe that it is, but I will not defend that claim here, since it will play no role in my argument. [본문으로]
  27. Cf. the Visitor’s admission of proceeding in a laughable way, because of ‘being forced to say opposite things’ (τὰ ἐναντία ἀναγκαζόμενος αὑτῷ λέγειν, 241 e 5–6). If they proceed laughably, then they proceed without wisdom. [본문으로]
  28. In the context, ugliness is one kind of badness, contrasting with conflict or sedition (στάσις, 228 a 4–8). (White’s translation, ‘discord’, isn’t lurid enough. I take ‘sedition’ from Brann et al., Professor.) [본문으로]
  29. There is more to this argument than I have recounted here, but it does not bear on why the sophist is an appearance-maker. [본문으로]
  30. For further elucidation of the roles played by shame and ugliness in this passage, see the illuminating treatment of this neglected passage in M. Lott, ‘Ignorance, Shame, and Love of Truth: Diagnosing the Sophist’s Error in Plato’s Sophist’, Phoenix, 66 (2012), 36–56. [본문으로]
  31. The discussion of being and not-being also exemplifies how difficult it is even to identify your own assumptions about what you know and to realize that you do not know it (242 b–c). Theaetetus is not, by disposition, inclined to be overconfident, but still he has not realized that he was assuming he knew what being is. It thus underscores the way in which the awareness of one’s own ignorance is not an attitude that can be adopted at will, but an insight. [본문으로]
  32. There is, however, a way of conceiving logic on which knowledge of forms might turn out to be logic. If logic is construed as the knowledge of the form of propositions in general, and the entailment relations that, as a consequence, obtain between them, then perhaps the knowledge of forms is in that sense logic. For perhaps the forms are the contents of all (possible) propositions and their relations determine, perhaps, the logical form of those propositions. Obviously, this is a rather complicated matter, which I hope to pursue further in future work. [본문으로]
  33. For the capacity and incapacity to mix, see 251 d 6–7, d 8–9, e 9; 253 a 8, c 2, e 1; 254 c 5–6. [본문으로]
  34. See, for example, 256 a on change being both the same and not the same. [본문으로]
  35. In Republic 5 (454 a 1–2), Socrates warns Glaucon that they unwillingly and unwittingly slipping into ἀντιλογική,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raits of sophistic in the Sophist. Socrates says in the Republic that people end up doing this, rather than conversing (διαλέγεσθαι), because they are incapable of dividing things by kinds (a 4–8). Presumably, the idea there, as in the Sophist, is that it can be very hard to tell whether one is dealing with merely apparent contradiction (ἀντιλογική) or real contradiction (διαλεκτική). [본문으로]
  36. Socrates says that something like this happened to him: ‘I acquired . . . a reputation for wisdom, for in each case the bystanders thought that I myself possessed the wisdom that I proved that my interlocutor did not have’ (ὄνομα δὲ τοῦτο λέγεσθαι, σοϕὸς εἶναι· οἴονται γάρ με ἑκάστοτε οἱ παρόντες ταῦτα αὐτὸν εἶναι σοϕὸν ἃ ἂν ἄλλον ἐξελέγξω, Apology 23 a 3–5; trans. Grube and Reeve). This shows not that Socrates is a sophist, but that a sophist exploits the general tendency of people to make this kind of mistake. Cf. Aristotle, Sophistici Elenchi 1, 165a25–7: ‘It is the job of the knower himself to avoid falsities about what he knows, and to show up someone else who commits them’ (ἔργον περὶ ἕκαστον τοῦ εἰδότος ἀψευδεῖν μὲν αὐτὸν περὶ ὧν οἶδε, τὸν δὲ ψευδόμενον ἐμϕανίζειν δύνασθαι). The sophist busies himself with seeming to do the latter. [본문으로]
  37. He might sometimes manage to perform a genuine refutation, but only by chance; thus his capacity is not a capacity to produce genuine refutations. [본문으로]
  38. In fact, Aristotle makes this objection in the opening chapter of the Sophistici Elenchi (although it is merely implicit that it is an objection to the Sophist). He criticizes and tries to improve the Platonic account of false refutation when he says, ‘A refutation is the deduction to the contrary of a given conclusion. Now some [refutations] do not really achieve this, though they seem to do so for a number of reasons’ (ἔλεγχος δὲ συλλογισμὸς μετ’ ἀντιϕάσεως τοῦ συμπεράσματος. οἱ δὲ τοῦτο ποιοῦσι μὲν οὔ, δοκοῦσι δὲ διὰ πολλὰς αἰτίας, 165a2–4). Aristotle goes on to give an account of the distinction between real and false refutation that makes no mention of forms, and relies instead on the distinction between real and apparent deduction (among other things). [본문으로]

Τὸ δὲ ἓν κατὰ πολλῶν ἢ πολλὰ καθ᾿ ἑνὸς καταφά|ναι ἢ ἀποφάναι,

ἐὰν μὴ ἕν τι ᾖ τὸ ἐκ τῶν πολλῶν συγκεί||μενον, οὐκ ἔστι κατά-

φασις μία οὐδὲ ἀπόφασις. λέγω δὲ ἓν | οὐκ ἐὰν ὄνομα ἓν ᾖ κεί-

μενον, μὴ ᾖ δὲ ἕν τι ἐξ ἐκείνων, οἷον | ὁ ἄνθρωπος ἴσως ἐστὶ καὶ

ζῷον καὶ δίπουν καὶ ἥμερον, ἀλλὰ | καὶ ἕν τι γίγνεται ἐκ τούτων·

ἐκ δὲ τοῦ λευκοῦ καὶ τοῦ ἀνθρώπου | καὶ τοῦ βαδίζειν οὐχ ἕν. ὥστε

οὔτε ἂν ἕν τι κατὰ τούτων κα||ταφήσῃ τις μία κατάφασις, ἀλλὰ

φωνὴ μὲν μία, κατα|φάσεις δὲ πολλαί, οὔτε ἐὰν καθ᾿ ἑνὸς ταῦτα,

ἀλλ᾿ ὁμοίως | πολλαί.

여럿에 대해서 하나를 혹은 하나에 대해 여럿을 긍정하는 것 또는 부정하는 것은,

그 여럿으로부터 결합되어 나온 것이 어떤 하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면,

단일한 긍정으로도 단일한 부정으로도 있지 않을 것이다. 나는 제시된 이름이

하나일 경우, 그런데 저 여럿으로부터 나온 것은 어떤 하나가 아닐 경우에

하나라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인간은 동물로도 있고 두 발 달린

것으로도 있으며 길들여진 것으로도 있을 것 같지만, 그러나 이것들로부터 나온

어떤 하나가 되기도 한다. 반면 흰 것과 인간과 걷는다는 것으로부터 어떤 하나가

되어 나오지는 않는다. 그래서 이런 것들에 대해 누군가가 어떤 하나를 긍정할

경우 단일한 긍정이 아니라, 음성은 하나이지만, 긍정은 여럿일 것이고, 이것들이

하나에 대한 것일 경우라도, 마찬가지로 여러 긍정들일 것이다. 

Εἰ οὖν ἡ ἐρώτησις ἡ διαλεκτικὴ ἀποκρίσεώς ἐστιν αἴ|τησις, ἢ

τῆς προτάσεως ἢ θατέρου μορίου τῆς ἀντιφάσεως, ἡ | δὲ πρότασις

ἀντιφάσεως μιᾶς μόριον, οὐκ ἂν εἴη μία ἀπόκρισις || πρὸς ταῦτα·

οὐδὲ γὰρ ἡ ἐρώτησις μία, οὐδ᾿ ἂν ᾖ ἀλη|θής. εἴρηται δὲ ἐν τοῖς

Τοπικοῖς περὶ αὐτῶν. ἅμα δὲ δῆλον | ὅτι οὐδὲ τὸ τί ἐστιν ἐρώτησίς

ἐστι διαλεκτική· δεῖ γὰρ δεδόσθαι | ἐκ τῆς ἐρωτήσεως ἐλέσθαι

ὁπότερον βούλεται τῆς ἀντιφάσεως | μόριον ἀποφήνασθαι· ἀλλὰ

δεῖ τὸν ἐρωτῶντα προσδιορίσαι || πότερον τόδε ἐστὶν ὁ ἄνθρωπος ἢ

οὐ τοῦτο. |

그러므로 만일 변증적 질문이 답을 요구한다면, 모순의 제시된 부분에 대한

답을 요구하든 남은 다른 부분에 대한 답을 요구하든, 그런데 그 제시된 쪽이

단일한 모순의 부분이라면, 이것들에 대한 단일한 답은 있을 수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질문이 단일한 것도 아니고, 참일지라도 단일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토피카』에서 그것들에 관하여 논하였다. 그런데 동시에 "무엇" 질문이

변증적인 질문이지 않다는 것도 동시에 분명하다. 왜냐하면 그 질문으로부터

모순의 둘 중 어느 부분을 부정하기를 바라는지 선택하는 일이 허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Ἐπεὶ δὲ τὰ μὲν κατηγορεῖται συντιθέμενα, ὡς ἓν τὸ | πᾶν

κατηγόρημα, τῶν χωρὶς κατηγορουμένων, τὰ δὲ οὔ, τίς ἡ |

διαφορά; κατὰ γὰρ τοῦ ἀνθρώπου ἀληθὲς εἰπεῖν καὶ χωρὶς | ζῲον

καὶ χωρὶς δίπουν, καὶ ταῦτα ὡς ἓν, καὶ ἄνθρωπον καὶ || λευκόν,

καὶ ταῦτα ὡς ἕν· ἀλλ᾿ οὐχί, εἰ σκυτεὺς καὶ ἀγαθός, | καὶ σκυτεὺς

ἀγαθός. εἰ γάρ, ὅτι ἑκάτερον ἀληθές, εἶναι δεῖ | καὶ τὸ συνάμφω,

πολλὰ καὶ ἄτοπα ἔσται. κατὰ γὰρ τοῦ | ἀνθρώπου καὶ τὸ ἄν-

θρωπος ἀληθὲς καὶ τὸ λευκόν, ὥστε καὶ τὸ | ἅπαν· πάλιν εἰ τὸ

λευκὸν αὐτό, καὶ τὸ ἅπαν, ὥστε ἔσται ἄν||θρωπος λευκὸς λευκός,

καὶ τοῦτο εἰς ἄπειρον· καὶ πάλιν || μουσικὸς λευκὸς βαδίζων, καὶ

ταῦτα πολλάκις πεπλεγμένα. | ἔτι εἰ ὁ Σωκράτης Σωκράτης καὶ

ἄνθρωπος, καὶ | Σωκράτης ἄνθρωπος, καὶ εἰ ἄνθρωπος καὶ δίπους,

| καὶ ἄνθρωπος δίπους. || ὅτι μὲν οὖν, εἴ τις ἁπλῶς θήσει τὰς

συμπλοκὰς γί|γνεσθαι, πολλὰ συμβαίνει λέγειν ἄτοπα, δῆλον·

ὅπως δὲ θε|τέον, λέγομεν νῦν.


Τῶν δὴ κατηγορουμένων, καὶ ἐφ᾿ οἷς κατ|ηγορεῖσθαι συμ-

βαίνει, ὅσα μὲν λέγεται κατὰ συμβεβηκός, | ἢ κατὰ τοῦ αὐτοῦ ἢ

θάτερον κατὰ θατέρου, ταῦτα οὐκ ἔσται || ἕν· οἷον ἄνθρωπος λευκός

ἐστι καὶ μουσικός, ἀλλ᾿ οὐχ ἓν τό | λευκὸν καὶ τὸ μουσικόν·

συμβεβηκότα γὰρ ἄμφω τῷ αὐτῷ. | οὐδ᾿ εἰ τὸ λευκὸν μουσικὸν

ἀληθὲς εἰπεῖν, ὅμως οὐκ ἔσται τὸ | λευκὸν μουσικὸν ἕν τι· κατὰ

συμβεβηκὸς γὰρ τὸ λευκὸν μουσι|κόν, ὥστε οὐκ ἔσται τὸ λευκὸν

μουσικὸν ἕν τι. διὸ οὐδὲ ὁ σκυτεὺς || ἁπλῶς ἀγαθός, ἀλλὰ ζῷον

δίπουν· οὐ γὰρ κατὰ συμβεβη|κός. ἔτι οὐδ᾿ ὅσα ἐνυπάρχει ἐν τῷ

ἑτέρῳ. διὸ οὔτε τὸ λευκὸν | πολλάκις οὔτε ὁ ἄνθρωπος ἄνθρωπος

ζῲόν ἐστιν ἢ δίπους· ἐνυπ|άρχει γὰρ ἐν τῷ ἀνθρώπῳ τὸ δίπουν

καὶ τὸ ζῷον.


Ἀληθὲς | δὲ ἐστιν εἰπεῖν κατὰ τοῦ τινὸς καὶ ἁπλῶς, οἷον τὸν

τινὰ <λευκὸν> ἄνθρω||πον ἄνθρωπον ἢ τὸν τινὰ λευκὸν ἄνθρωπον

λευκόν· | οὐκ ἀεὶ δέ, ἀλλ᾿ ὅταν μὲν ἐν τῷ προσκειμένῳ τῶν ἀντι-

κει|μένων τι ἐνυπάρχῃ οἷς ἕπεται ἀντίφασις, οὐκ ἀληθές, ἀλλὰ |

ψεῦδος, οἷον τὸν τεθνεῶτα ἄνθρωπον ἄνθρωπον εἰπεῖν, ὅταν δὲ |

μὴ ἐνυπάρχῃ, ἀληθές. ἢ ὅταν μὲν ἐνθπάρχῃ, ἀεὶ οὐκ ἀλη||θές, ὅταν

δὲ μὴ ἐνυπάρχῃ, οὐκ ἀεὶ ἀληθές, ὥσπερ Ὅμηρός | ἐστί τι, οἷον

ποιητής. ἆρ᾿ οὖν καὶ ἔστιν, ἢ οὔ; κατὰ συμβεβηκὸς | γὰρ

κατηγορεῖται τὸ ἔστιν τοῦ Ὁμήρου· ὅτι γὰρ ποιητής ἐστιν, | ἀλλ᾿

οὐ καθ᾿ αὑτό, κατηγορεῖται κατὰ τοῦ Ὁμήρου τὸ ἔστιν. |


Ὥστε ἐν ὅσαις κατηγορίαις μήτε ἐναντιότης ἔνεστιν, ἐὰν

λόγοι || ἀντ᾿ ὀνομάτων λέγωνται, καὶ καθ᾿ ἑαυτὰ κατηγορεῖται

καὶ | μὴ κατὰ συμβεβηκός, ἐπὶ τούτων τὸ τὶ καὶ ἁπλῶς ἀληθὲς |

ἔσται εἰπεῖν. τὸ δὲ μὴ ὄν, ὅτι δοξαστόν, οὐκ ἀληθὲς εἰπεῖν ὄν | τι·

δόξα γὰρ αὐτοῦ οὐκ ἔστιν ὅτι ἔστιν, ἀλλ᾿ ὅτι οὐκ ἔστιν. |

있지 않은 것이 생각된다는 점에서 무언가로 있는 것이라 말하는 것은

참이 아니다. 왜냐하면 그것(있지 않은 것)에 대한 생각(내용)은 "있다"라는 

점에서가 아니라 "있지 않다"라는 점에서 (있지 않은 것으로) 있기 때문이다. 


-작성중-

 

1. 1) If X participates in Y, then X is Y.

   2) If X participates in (the) Different from Y, then X is not Y. ("is-not" or "not-Y")


2. 각 형상에 관련하여 있는 것은 많고 있지 않은 것은 그 수가 무한하다. M. Frede 아이디어 가져온 것이다.

   1) If X participates in (the) Being, then X is (<a> Being).

   2) If X participates in Y, then Y is (<a> Being) about X. (?)

   

   a. 여기에서 2. 1)로부터 Being is about X를 도출할 수 있을 듯하다. 그러나 1. 1)로부터 2. 2)를 이끌어낼 수 있는가? 그럴 수 없다면, 각 형상에 관련하여 있는 것은 많지 않고 하나이다. 

   단, (1) 모든 것이 저마다 있는-것에 참여하는 그 모든 상황들을 아울러서, 각각에 관한 "있는-것"이라는 게 전반적으로 보자면 많다고 생각해볼 여지도 있다. 그러나 이는 해당 부분의 원문에 대한 자연스러운 독해이기는 어려워 보인다. 

       (2) 각각의 것에 관련하여 서술되는 여러 술어들이 지시하는 그 모든 것들을, 해당 주어에 관련하여 많은 있는 것들로 간주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1. 1)로부터 2. 2)를 도출하는 일이 가능해야 한다.

   

   b. 다른 한편, 있는 것은 많은 반면에 있지 않은 것은 무한하다는 언급에서, 있지 않은 것의 수가 더 많아야 할 것 같다는 인상을 받게 된다. 이러한 이해가 타당하다면, 어떻게 있지 않은 것이 있는 것보다 더 많게 되는가? 

      여기에서 a.(1)의 해석에 따르면 각각은 있는 것에 참여하는 한에서만 있으므로, 존재하는 모든 것들의 딱 그 수 만큼 있다. 반면 모든 것은 자기 자신 이외의 것들 각각에 대한 다른-것에 참여하여 그 각각의 것들로 "있지 않다." 각각이 모두 자신 이외의 것들이 있는 만큼 있지 않으므로, 있는 것의 경우보다 월등히 그 수가 많다. 무한한지 여부는 차치하고.

      a. (2)의 해석을 따르면 있는 것과 있지 않은 것의 수는 언뜻 비등해 보인다. X는 참여 가능한 대상들의 수만큼 있고, 자신과 구분되는 대상들의 수만큼 있지 않다.


3. auto kath' hauto/pros allo.

   있는 것들은 그 자체로 있는 것으로 말해지기도 하고 다른 것에 관련하여 있는 것으로 말해지기도 한다. M. Frede 아이디어 가져온 것이다.

   그 자체로 있는 것을 참여 대상으로서의 형상으로, 다른 것에 관련하여 있는 것을 참여 결과로 간주해 보자.


   X is itself X.

   X is being-X by participation in Being.

   

   X is being-Y by participation in being-Y.

   Y is being-Y about X by participation of X in Y.

   Z is being-Y ....

   Y is being-Y about Z ....


   Everything is being-itself by participation in Being.

   Y is being-Y by participation in Being.

   

   이제 X는 being으로 불리는 경우와 being-something으로 불리는 경우, 두 가지 방식으로 being이라 말해질 수 있다. 둘 중 어느 경우든 X는 참여를 통해서 being으로 불리게 되고, 참여대상은 형상이다. 그리고 X가 being-Y로 불릴 때 Y는 X에 관하여 being으로 불린다. 즉 X가 Y에 참여하면 Y는 X에 관하여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이 때 X에 관하여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은 형상 Y이지, Y에 참여한 결과 Y로 불리는 Z일 수는 없다. 예를 들어 보자. 운동은 같은-것에 참여하여 같은-것으로 있다고 말해진다. 그리고 이 경우 같은-것은 운동에 관련하여 있는-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모든 것이 같은-것에 참여하여 각기 자기 자신과 같은-것으로 있으므로, 정지 또한 (각기 자기 자신과) 같은-것들 중 하나로 간주된다. 이러한 정지를 '같은-것(정지)'라고 해 보자. 운동에 관련하여 같은-것은 있는 것이지만, 같은-것(정지)은 있는 것이 아니라 있지 않은 것이다.

   반면에 1. 2)를 통해서 있지-않은-것이 이야기된다. 우선 being과 다를 때 not-being이 나오고, 또한 being-something과 다를 경우 not-being-something이 나올 것이다. 다시 운동과 정지, 같은-것을 놓고 생각해 보자. 운동은 같은-것과도 다르지만, 같은-것(정지)와도 다르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같은-것도 운동에 관하여 있지 않은 것이고 같은-것(정지) 또한 마찬가지로 운동에 관하여 있지 않은 것이다. 

   Being에 대한 참여를 놓고 생각해 보자. 운동은 being에 참여하여 being이지만, being과의 다름에 참여한다는 점에서는 not-being이다. 또한 모든 것이 being에 참여하므로, the same 역시 being-the-same이라 간주되어야 한다. 그리고 모든 것이 the same에 참여하므로, 모든 것이 being-the-same에 참여한다고도 말할 수 있다. 이제 운동은 being-the-same에 참여한다는 점에서 the same with itself로도 또 being something(i.e., being-the-same)으로도 간주될 수 있다. 밑줄은 각 경우에 주목되는 측면을 강조한 것이다. 그러나 여전히 being-the-same(at rest, "같은-것(정지)")로 간주될 수는 없다. 그러나 만일 운동이 정지에 참여한다면 being-at-rest 같은 무언가로서 다시금 being-something으로 불릴 수 있을 것이다. 단, 모든 것은 형상에 참여한 결과만을 긍정문에서 술어로 가질 뿐, 형상에 참여한 결과물에는 참여할 수 없고 이런 참여의 결과는 긍정문의 술어로 가질 수 없다. 반면에 모든 것 각각은 자기 자신 이외의 모든 형상과 다르고, 또한 이러저러한 형상에 참여한 결과물들과도 (이것들이 자신 이외의 것들인 한에서) 또한 다르다. 그리고 이 모든 형상과 또한 참여자들의 수만큼 not-being이다. 


not-being은 세 가지로 이해될 수 있다. 형상 Being과 다름, 형상 F, G, H 따위들과 다름, 이러한 형상들에 참여하는 f, g, h 따위들과 다름.



음. 이거 맞나? 내가 M. Frede의 『소피스트』 해석을 이해한 것을 바탕으로 문제 해결을 시도해 본 것인데, 일단 이게 프레데 생각이 맞는지 여부가 문제이고 또 이게 해당 대화편에서 문헌 근거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인지도 문제이다. 그런데 X가 Being에 참여한 결과 말고 여타 형상들에 참여한 결과도 being으로 보려면, 그리고 이와 평행하게 Being과의 다름 말고 여타 형상들 각각과의 다름(더 나아가 자기 자신 이외의, 형상 아닌, 모든 것들과의 다름)에 참여한 결과도 not-being으로 보려면, being이 두 가지 방식으로 말해진다는 거랑 참여대상은 형상인데 다름-참여대상은 개별자까지 포함한다는 아이디어 두 개를 받아들여야 하지 않나 싶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