ΣΩ. Κινδυνεύεις μέντοι λόγον οὐ φαῦλον εἰρηκέναι

περὶ ἐπιστήμης, ἀλλ᾿ ὃν ἔλεγε καὶ Πρωταγόρας. τρόπον δέ   152a 

τινα ἄλλον εἴρηκε τὰ αὐτὰ ταῦτα. φησὶ γάρ που "πάντων

χρημάτων μέτρον" ἄνθρωπον εἶναι, "τῶν μὲν ὄντων ὡς

ἔστι, τῶν δὲ μὴ ὄντων ὡς οὐκ ἔστιν." ἀνέγνωκας γάρ που;

그런데 자네 앎에 관해 뻔한 말이 아니라,

프로타고라스께서도 말씀하셨던 그런 논의를 이야기하는 것 같군.

헌데 그 분께서는 똑같은 그런 것들을 또 다른 어떤 방식으로 이야기하셨다네.

왜냐하면 어디선가 "만물의 척도", "~인 것들에 대해서는

~이라고 하는, ~이지 않은 것들에 대해서는 ~이지 않다고 하는" 그것을

인간이라고 말씀하시니까 말일세. 자네도 분명 읽어 봤지?

ὡς : that, how. 

ΘΕΑΙ. Ἀνέγνωκα καὶ πολλάκις.                                             5

몇 차례나 읽어 봤지요.

ΣΩ. Οὐκοῦν οὕτω πως λέγει, ὡς οἷα μὲν ἕκαστα ἐμοὶ

φαίνεται τοιαῦτα μὲν ἔστιν ἐμοί, οἷα δὲ σοί, τοιαῦτα δὲ αὖ

σοί· ἄνθρωπος δὲ σύ τε κἀγώ;

그럼 어쨌든 그 분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시는 게 아닌가? 나에게

각각의 것들이 나타나는 그대로 나에게 바로 그러한 것들이고, 자네에게

그런 것들은 그대로 자네에게는 또 바로 그런 것들이라고 말일세.

그런데 자네나 나나 사람이고.

 οὕτω πως : 플라톤의 해석. φαίνεται 보이는 것의 문제?

 ἄνθρωπος σύ τε κἀγώ 개개인을 '인간'의 의미로 해석.

ΘΕΑΙ. Λέγει γὰρ οὖν οὕτω.

그야 그렇게 말씀하시니까요.

ΣΩ. Εἰκὸς μέντοι σοφὸν ἄνδρα μὴ ληρεῖν· ἐπακολου-             b

θήσωμεν οὖν αὐτῷ. ἆρ᾿ οὐκ ἐνίοτε πνέοντος ἀνέμου τοῦ

αὐτοῦ ὁ μὲν ἡμῶν ῥιγῷ, ὁ δ᾿ οὔ; καὶ ὁ μὲν ἠρέμα, ὁ δὲ

σφόδρα;

하지만 지혜로운 사내가 헛소리를 하지는 않을 듯하네. 그러니

그 분께 바짝 따라붙어 보세나. 때로 같은 바람이 부는데

우리 중 한 사람은 추워하고, 다른 사람은 그렇지 않지 않나?

또 한 사람은 온화하게 여기는 한편, 다른 사람은 거세게 여기지 않나?

ΘΕΑΙ. Καὶ μάλα.                                                                5

무척이나 그렇습니다.

ΣΩ. Πότερον οὖν τότε αὐτὸ ἐφ᾿ ἑαυτοῦ τὸ πνεῦμα

ψυχρὸν ἢ οὐ ψυχρὸν φήσομεν; ἢ πεισόμεθα τῷ Πρωτα-

γόρᾳ ὅτι τῷ μὲν ῥιγῶντι ψυχρόν, τῷ δὲ μὴ οὔ;

그러면 우리는 그 때에 같은 바람 그 자체가 

찬 것이라 말할까 아니면 차지 않은 것이라 말할까? 

혹은 프로타고라스께 설득되어 추워하는 자에게는

차다고, 그렇지 않은 자에게는 그렇지 않다고 납득할까?

ΘΕΑΙ. Ἔοικεν.

납득할 듯합니다.

ΣΩ. Οὐκοῦν καὶ φαίνεται οὕτω ἑκατέρῳ;                               10

그럼 그 둘 각자에게 그렇게 나타나기도 하지 않나?

ΘΕΑΙ. Ναί.

네.

ΣΩ. Τὸ δέ γε "φαίνεται" αἰσθάνεταί ἐστιν;

그런가 하면 "나타난다"라는 것은 감각한다는 것이지?

ΘΕΑΙ. Ἔστιν γάρ.

그렇지요.

ΣΩ. Φαντασία ἄρα καὶ αἴσθησις ταὐτὸν ἔν τε θερμοῖς             c

καὶ πᾶσι τοῖς τοιούτοις. οἷα γὰρ αἰσθάνεται ἕκαστος,

τοιαῦτα ἑκάστῳ καὶ κινδυνεύει εἶναι.

그래서 나타남(현상)과 감각은 뜨거움이나 이런 종류의

모든 것에서 같은 것이지. 왜냐하면 각자가 어떠한 것들로 

감각하는 것들은, 각자에게 바로 그러한 것들일 것 같기도

하니 말일세.

ΘΕΑΙ. Ἔοικεν.

그럴 듯합니다.

ΣΩ. Αἴσθησις ἄρα τοῦ ὄντος ἀεί ἐστιν καὶ ἀψευδὲς ὡς                5

ἐπιστήμη οὖσα.

그래서 ~인 것에 대한 감각은 그것이 앎이기에 항상

~이고 또한 거짓 없는 것이라네.

ΘΕΑΙ. Φαίνεται.

ΣΩ. Ἆρ᾿ οὖν πρὸς Χαρίτων πάσσοφός τις ἦν ὁ

Πρωταγόρας, καὶ τοῦτο ἡμῖν μὲν ᾐνίξατο τῷ πολλῷ

συρφετῷ, τοῖς δὲ μαθηταῖς ἐν ἀπορρήτῳ τὴν ἀλήθειαν              10

ἔλεγεν;

카리스들께 대고, 그러면 혹시 프로타고라스께서는

어떤 전지하신 분이셨고, 여러 머리가 뒤엉킨 우리에게는

그것을 수수께끼로 내셨던 반면, 제자들에게는 비전으로 진리를

말씀하셨던 것일까?

- Εὐφροσύνη, Ἀγλαΐα, Θάλεια. 아프로디테의 세 시녀요정(?)들.

- ᾐνίξατο. αἰνίσσομαι aor.

ΘΕΑΙ. Πῶς δή, ὦ Σώκρατες, τοῦτο λέγεις;                               d

소크라테스, 실로 어찌 그런 말씀을 하시는지요?

ΣΩ. Ἐγὼ ἐρῶ καὶ μάλ᾿ οὐ φαῦλον λόγον, ὡς ἄρα ἓν μὲν

αὐτὸ καθ᾿ αὑτὸ οὐδέν ἐστιν, οὐδ᾿ ἄν τι προσείποις ὀρθῶς

οὐδ᾿ ὁποιονοῦν τι, ἀλλ᾿ ἐὰν ὡς μέγα προσαγορεύῃς, καὶ

σμικρὸν φανεῖται, καὶ ἐὰν βαρύ, κοῦφον, σύμπαντά τε              5

οὕτως, ὡς μηδενὸς ὄντος ἑνὸς μήτε τινὸς μήτε ὁποιουοῦν·

나는 지극히 흔치 않은 논변을 이야기할 걸세, 그러니까

아무것도 그 자체로 하나이지 않고, 무엇이라고도 어떤 것이라고도

자네가 제대로(옳게) 부르지도 못할 것이며, 오히려 설령 자네가

큰 것이라 부르더라도, 작은 것으로도 나타날 테고, 무거운 것이라

하더라도, 가벼운 것으로 나타날 것이며, 통틀어 모든 것이 또한

그럴 것이니, 아무것도 하나인 것도 아니고 무엇이지도 않고

어떠하지도 않기 때문이란 논변 말이지.

ἐκ δὲ δὴ φορᾶς τε καὶ κινήσεως καὶ κράσεως πρὸς ἄλληλα

γίγνεται πάντα ἅ δή φαμεν εἶναι, οὐκ ὀρθῶς προσαγορεύ-

οντες· ἔστι μὲν γὰρ οὐδέποτ᾿ οὐδέν, ἀεὶ δὲ γίγνεται. καὶ           e

περὶ τούτου πάντες ἑξῆς οἱ σοφοὶ πλὴν Παρμενίδου συμ-

φερέσθων, Πρωταγόρας τε καὶ Ἡράκλειτος καὶ Ἐμπε-

δοκλῆς, καὶ τῶν ποιητῶν οἱ ἄκροι τῆς ποιήσεως ἑκατέρας,

κωμῳδίας μὲν Ἐπίχαρμος, τραγῳδίας δὲ Ὅμηρος, <ὃς>             5

εἰπών―

         Ὠκεανόν τε θεῶν γένεσιν καὶ μητέρα Τηθύν

πάντα εἴρηκεν ἔκγονα ῥοῆς τε καὶ κινήσεως· ἢ οὐ δοκεῖ

τοῦτο λέγειν;

반면에 실은 이동과 운동 그리고 상호간의 혼합을 통해

실로 우리가 그러한 것들이라고 하는 모든 것들이 생겨난다고 하네,

우리가 제대로 부르고 있지 못한 것들이 말이지. 왜냐하면

결코 아무것도 ~이지는 않고, 항상 생겨나기 때문이라네.

그리고 이러한 일에 관하여 파르메니데스를 제외한 모든

지혜로운 자들이 잇달아 동의하였다고 하세, 프로타고라스와

헤라클레이토스 그리고 엠페도클레스, 그리고 시인들 중

양편의 시 각각의 정점에서 선 자들, 희극의 에피카르모스,

비극의 호메로스가 말일세. <그는> 이야기하기를

         신들의 생성(기원)은 오케아노스와 어머니 테튀스이다

라고 함으로써 모든 것이 흐름과 운동의 자손이라 이야기했지.

아니면 그가 이걸 논한 것으로 여겨지지 않는가?

ΘΕΑΙ. Ἔμοιγε.                                                                   10

제게는 그리 여겨집니다.

ΣΩ. Τίς οὖν ἂν ἔτι πρός γε τοσοῦτον στρατόπεδον καὶ        153a

στρατηγὸν Ὅμηρον δύναιτο ἀμφισβητήσας μὴ κατα-

γέλαστος γενέσθαι;

그러면 누가 이 만큼이나 되는 군대와 그 지휘관 호메로스를

상대로 해서도 말싸움을 벌여 비웃음을 사지 않게 될 수 있겠나? 

ΘΕΑΙ. Οὐ ῥᾴδιον, ὦ Σώκρατες.

쉽지 않겠지요, 소크라테스.

ΣΩ. Οὐ γάρ, ὦ Θεαίτητε. ἐπεὶ καὶ τάδε τῷ λόγῳ                        5

σημεῖα ἱκανά, ὅτι τὸ μὲν εἶναι δοκοῦν καὶ τὸ γίγνεσθαι

κίνησις παρέχει, τὸ δὲ μὴ εἶναι καὶ ἀπόλλυσθαι ἡσυχία· τὸ

γὰρ θερμόν τε καὶ πῦρ, ὃ δὴ καὶ τἆλλα γεννᾷ καὶ ἐπιτρο-

πεύει, αὐτὸ γεννᾶται ἐκ φορᾶς καὶ τρίψεως· τούτω δὲ κινή-

σεις. ἢ οὐχ αὗται γενέσεις πυρός;                                           10

그야 쉽지 않지, 테아이테토스. 그 논변에는 이하의 것들로도

증표(증거/깃발)가 충분하니, ~이라 여겨지는 것과 

~된다는 것은 운동이 내놓는 반면, ~이지 않고 없어진다는 건

침묵이 그리 한다는 말에 말일세. 그야 열과 불은, 더욱이 다른 것들을

낳아 기르기도 하는데, 그것이 이동과 마찰로부터 생겨나니까.

그런데 이 둘은 운동에 속하지. 아니면 이것들이 불의 기원들이 

아닌 겐가?

- τῷ λόγῳ <ὅτι> τάδε <εἶναι> σημεῖα : that 이하라는 논변에 다음(gar 이하)이 충분한 증거로서 있다.

- τῷ λόγῳ σημεῖα <ὅτι> : 논리적으로 that 이하라는 사실을 보여주는 증거는...

- τάδε <ὅτι> : 호메로스 논변의 증거는 운동이 다른 것을 낳고 불이 운동에서 나온다는 것.

ΘΕΑΙ. Αὗται μὲν οὖν.                                                          b

그야 이것들이지요.

ΣΩ. Καὶ μὴν τό γε τῶν ζῴων γένος ἐκ τῶν αὐτῶν

τούτων φύεται.

그런데다가 생물들의 부류도 똑같은 이것들로부터

자라나지.

ΘΕΑΙ. Πῶς δ᾿ οὔ;

어찌 아니겠습니까?

ΣΩ. Τί δέ; ἡ τῶν σωμάτων ἕξις οὐχ ὑπὸ ἡσυχίας μὲν                    5

καὶ ἀργίας διόλλυται, ὑπὸ γυμνασίων δὲ καὶ κινήσεως ἐπὶ

τὸ πολὺ σῴζεται;

그런데 어떤가? 물체들의 상태는 침묵과 비활성에 의해서는

파훼되어버리지만, 활동들과 운동에 의해서는 대부분

보전되지?

ΘΕΑΙ. Ναί.

네.

ΣΩ. Ἡ δ᾿ ἐν τῇ ψυχῇ ἕξις οὐχ ὑπὸ μαθήσεως μὲν καὶ

μελέτης, κινήσεων ὄντων, κτᾶταί τε μαθήματα καὶ                      10

σῴζεται καὶ γίγνεται βελτίων, ὑπὸ δ᾿ ἡσυχίας, ἀμελετη-

σίας τε καὶ ἀμαθίας οὔσης, οὔτε τι μανθάνει ἅ τε ἂν μάθῃ            c

ἐπιλανθάνεται;

그런데 영혼 내의 상태는 운동들에 속하는 배움과

연습에 의해서는 배우는 내용들을 획득하거나

보전하거나 더 나아지고, 연습과 배움의 부재인

침묵에 의해서는, 뭐라도 배우는 것도 아니고 배웠던 것들을

잊기도 하지 않나?

ΘΕΑΙ. Καὶ μάλα.

물론입니다.

ΣΩ. Τὸ μὲν ἄρα ἀγαθὸν κίνησις κατά τε ψυχὴν καὶ

κατὰ σῶμα, τὸ δὲ τοὐναντίον;                                                5

혹시 영혼에 따라서도 육체에 따라서도 좋은 것은

운동이고, 다른 것은 그 반대의 것이지?

ΘΕΑΙ. Ἔοικεν.

그럴 듯합니다.

ΣΩ. Ἔτι οὖν σοι λέγω νηνεμίας τε καὶ γαλήνας καὶ ὅσα

τοιαῦτα, ὅτι αἱ μὲν ἡσυχίαι σήπουσι καὶ ἀπολλύασι, τὰ δ᾿

ἕτερα σῴζει; καὶ ἐπὶ τούτοις τὸν κολοφῶνα, προσβιβάζω

τὴν χρυσῆν σειρὰν ὡς οὐδὲν ἄλλο ἢ τὸν ἥλιον Ὅμηρος               10

λέγει, καὶ δηλοῖ ὅτι ἕως μὲν ἂν ἡ περιφορὰ ᾖ κινουμένη            d

καὶ ὁ ἥλιος, πάντα ἔστι καὶ σῴζεται τὰ ἐν θεοῖς τε καὶ

ἀνθρώποις, εἰ δὲ σταίη τοῦτο ὥσπερ δεθέν, πάντα χρήματ᾿ 

ἂν διαφθαρείη καὶ γένοιτ᾿ ἂν τὸ λεγόμενον ἄνω κάτω

πάντα;                                                                              5

그럼 게다가 나는 자네에게 평온과 고요 그리고 이런 종류의 

모든 것에 대해, 침묵들은 부패시키고 파훼하는 반면,

다른 것들은 보전한다고 말할까? 그리고

이러한 것들에 마무리로, 나는 호메로스가 다름 아닌 태양이라

말씀하시는 황금 끈을 더하고 있으며, 회전과 태양이

움직여지는 한, 신들과 인간들의 모든 일들이 그러한 것들이며

보전되는데, 속박되기라도 하여 이것이 정지한다면, 모든

사물이 파멸할 것이고 천지 만물이 뒤집힌다는 그 말대로

되리란 게 분명한가?

ΘΕΑΙ. Ἀλλ᾿ ἔμοιγε δοκεῖ, ὦ Σώκρατες, ταῦτα δηλοῦν

ἅπερ λέγεις.

허나 제게는, 소크라테스, 당신께서 하시는 말씀이 바로

그것임이 분명하다 여겨집니다.

ΣΩ. Ὑπόλαβε τοίνυν, ὦ ἄριστε, οὑτωσί· κατὰ τὰ

ὄμματα πρῶτον, ὃ δὴ καλεῖς χρῶμα λευκόν, μὴ εἶναι αὐτὸ

ἕτερόν τι ἔξω τῶν σῶν ὀμμάτων μηδ᾿ ἐν τοῖς ὄμμασι μηδέ          10

τιν᾿ αὐτῷ χώραν ἀποτάξῃς· ἤδη γὰρ ἂν εἴη τε δήπου ἐν            e

τάξει καὶ μένον καὶ οὐκ ἂν ἐν γενέσει γίγνοιτο.

그럼, 훌륭한 친구, 이런 식으로 가정해 보게. 우선 눈들에 대해,

자네가 색 흼이라 부르는 것, 이것이 자네의 두 눈 외부의

무슨 다른 것이지도 않고 자네가 두 눈안에 그것을 위한 무슨 자리를

마련해주지도 말도록 하게. 그럼 이미 자리를 잡고 

머물러 있으며 생성 중에 생겨나지 않을 것이 분명하니까.

ΘΕΑΙ. Ἀλλὰ πῶς;

허나 어떻게 그런 겁니까?

ΣΩ. Ἑπώμεθα τῷ ἄρτι λόγῳ, μηδὲν αὐτὸ καθ᾿ αὑτὸ ἓν

ὂν τινθέντες· καὶ ἡμῖν οὕτω μέλαν τε καὶ λευκὸν καὶ ὁτιοῦν         5

ἄλλο χρῶμα ἐκ τῆς προσβολῆς τῶν ὀμμάτων πρὸς τὴν

προσήκουσαν φορὰν φανεῖται γεγενημένον, καὶ ὃ δὴ

ἕκαστον εἶναί φαμεν χρῶμα οὔτε τὸ προσβάλλον οὔτε τὸ     154a

προσβαλλόμενον ἔσται, ἀλλὰ μεταξύ τι ἑκάστῳ ἴδιον

γεγονός· ἢ σὺ διισχυρίσαιο ἂν ὡς οἷον σοὶ φαίνεται

ἕκαστον χρῶμα, τοιοῦτον καὶ κυνὶ καὶ ὁτῳοῦν ζῴῳ;

방금 논의를 따라가 보세, 아무것도 그 자체로 하나이지는

않다고 치면서 말일세. 그래서 우리에게 그런 식으로 검음과

흼 그리고 무엇이든 다른 색도 눈의 관련된 운동을 향한

부딪침을 통해 생겨난 것으로 드러나고, 우리가 그 각각을 색이라

말하는 것은 부딪치는 것도 아니고 부딪쳐지는 것도 아닐

것이며, 오히려 중간에서 뭔가 각자에게(각 경우에) 고유한 것으로 생겨난 것으로

드러나지. 그렇지 않으면 자네는 자네에게 각각의 색으로 나타나는

그대로, 개나 뭐가 되었든 어떤 동물에게도 바로 그런 것으로

나타난다고 확신해 마지 않는가?

- 부딪침 논의와 상관 없이 "각자에게 고유한 것"이라서 테아이테토스가 보는 색은

짐승이 보는 색과 다르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인가?

하나가 아니라는 것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는 것이고 부딪치는 운동을 통해

생성 중에 있는 것은 남들과 공유될 수 있는 단일한 것이 아니라 각자의 눈과

그 눈이 부딪치는 운동(?)의 쌍에 따라 전부 다르다는 이야기인가?

"적절한 운동" 혹은 "관련된 운동"이란 무엇인가? 그것과 눈 사이의 충돌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모든 것은 변화 중이므로 모든 것은 운동이고,

따라서 시각이 가서 부딪칠 대상은 그 역시 모두 어떤 무엇으로 고정된 것이 아닌

이러저러한 운동들인가?

-던짐. pros + acc. 적절한 운동에 관련해서 눈이 던지는 것.

ΘΕΑΙ. Μὰ Δί᾿ οὐκ ἔγωγε.                                                         5

제우스께 맹세코 저로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ΣΩ. Τί δέ; ἄλλῳ ἀνθρώπῳ ἆρ᾿ ὅμοιον καὶ σοὶ φαίνεται

ὁτιοῦν; ἔχεις τοῦτο ἰσχυρῶς, ἢ πολὺ μᾶλλον ὅτι οὐδὲ σοὶ

αὐτῷ ταὐτὸν διὰ τὸ μηδέποτε ὁμοίως αὐτὸν σεαυτῷ ἔχειν;

그런데 어떤가? 혹시 다른 사람에게 나타나는 무엇이든

자네에게도 마찬가지 것으로 나타나는가? 자네는 이 입장을 

강하게 취하는가, 아니면 자네 자신에게도 아무것도 같은 것으로

나타나지 않는다고, 단 한 순간도 자네가 자네 자신과 마찬가지

상태이지 않다는 점으로 인해 그렇다고 하는 쪽을 훨씬 더 견지하는가? 

ΘΕΑΙ. Τοῦτο μᾶλλόν μοι δοκεῖ ἢ ἐκεῖνο.

이 얘기가 저 얘기보다 훨씬 더 괜찮게 여겨지네요.

ΣΩ. Οὐκοῦν εἰ μὲν παραμετρούμεθα ἢ οὗ ἐφαπτό-                   b

μεθα μέγα ἢ λευκὸν ἢ θερμὸν ἦν, οὐκ ἄν ποτε ἄλλῳ προσ-

πεσὸν ἄλλο ἂν ἐγεγόνει, αὐτό γε μηδὲν μεταβάλλον· εἰ δὲ

αὖ τὸ παραμετρούμενονἐφαπτόμενον ἕκαστον ἦν

τούτων, οὐκ ἂν αὖ ἄλλου προσελθόντος ἤ τι παθόντος αὐτὸ           5

μηδὲν παθὸν ἄλλο ἂν ἐγένετο. ἐπεὶ νῦν γε, ὦ φίλε,

θαυμαστά τε καὶ γελοῖα εὐχερῶς πως ἀναγκαζόμεθα

λέγειν, ὡς φαίη ἂν Πρωταγόρας τε καὶ πᾶς ὁ τὰ αὐτὰ

ἐκείνῳ ἐπιχειρῶν λέγειν.

그러니 만일 우리가 척도로 삼는 것(or 우리가 측정하는 대상)이나 

손대는 것이 크거나 희거나 뜨거웠더라면, 그것이 결코 다른

자와 만나 또 다른 것이 되지 않았을 걸세, 그 자체는

전혀 변하지 않으니 말이지. 그런데 이번엔 만일

측정된 것(or 측정하는 자)이나 손에 닿은 것(or 손을 대는 자)이 이러한 것들의

각각의 것이었더라면, 이번엔 또 다른 것이 오거나 뭐라도 겪은 게

아닐 때 그것은 아무것도 겪지 않은 채로는 다른 것이 되지

않았을 테지. 지금은, 친애하는 이여, 놀랍고도 우스운 일들을 어쨌든

무모하게 우리가 말할 수밖에 없게 되는군, 프로타고라스와

그가 이야기한 것과 같은 것들을 말하고자 시도한 모든 사람이 

그리 말할 것처럼 말일세.

- 전자가 척도이고 후자가 측정된 것이라는 번역이 맞는지.

  각자에게 나타나는 바가 한 순간도 고정되지 않고 계속 변화한다는 것이

  이전까지의 논의이고 테아이테토스가 수용하는 입장이라면

  지금 논의는 맥락이 갑작스럽게 바뀐 것인가?

  혹은 '겪지 않는 한' 변화하지 않지만 겪을 경우 변화하고,

  모든 것이 변화하므로, 모든 것이 무언가 끊임없이 겪는다는 결론으로

  나아가는 것인가?

  정준영 선생님 번역대로 측정 주체와 측정 대상의 문제인가?

  이 경우에도 여전히, 무언가 겪지 않고서는 변화가 있을 수 없다는 지금의 주장은

  측정 주체조차 포함하여 모든 것이 한 순간도 머무르지 않고 계속 변화한다는 주장과

  연속선상에서 제기되고 있는 것인가?

- ὡς φαίη : 그들이 말할 것처럼 '우스운 일'인가, 그들이 말할 것처럼 '그렇게 말할 수밖에

없다'는 그 내용이 우스운 것인가?

  

ΘΕΑΙ. Πῶς δὴ καὶ ποῖα λέγεις;                                                    10

그래서 어떤 것들을 어찌 말씀하시는지요?

ΣΩ. Σμικρὸν λαβὲ παράδειγμα, καὶ πάντα εἴσῃ ἃ                           c

βούλομαι. ἀστραγάλους γάρ που ἕξ, ἂν μὲν τέτταρας

αὐτοῖς προσενέγκῃς, πλείους φαμὲν εἶναι τῶν τεττάρων

καὶ ἡμιολίους, ἐὰν δὲ δώδεκα, ἐλάττους καὶ ἡμίσεις, καὶ

οὐδὲ ἀνεκτὸν ἄλλως λέγειν· ἢ σὺ ἀνέξῃ;                                        5

사소한 것을 본으로 잡아 보게, 그러면 내가 말하려는 모든 것을

자네가 알게 될 걸세. 아마 지골 구슬(주사위?) 여섯 개를 본 삼고, 거기에

네 개를 자네가 가져다 대면, 우리가 여섯 개가 네 개보다 더 많고 

네 개의 1½이라고 말할 테고, 열 두 개를 그리 한다면, 여섯 개가

그보다 더 적고 그 절반이라고, 그리고 달리 말하는 건 받아들일

수도 없다고 말할 거란 말이지. 아니면 자네는 그걸 받아들이겠는가?

- 여기에서 측정대상은 6이고 이것이 겪는 것은 4와 12 이 둘 각각인가?

ΘΕΑΙ. Οὐκ ἔγωγε.

저로서는 못 받아들이지요.

ΣΩ. Τί οὖν; ἄν σε Πρωταγόρας ἔρηται ἤ τις ἄλλος· "Ὦ

Θεαίτητε, ἔσθ᾿ ὅπως τι μεῖζον ἢ πλέον γίγνεται ἄλλως ἢ

αὐξηθέν;" τί ἀποκρινῇ;

그렇다면 어떠한가? 프로타고라스나 다른 누군가가 자네에게 이리

묻는다면 말일세. "테아이테토스, 도대체 증가되는 것 외에 달리

더 커지거나 더 많아지는 일이 가능하기나 한가?" 자네는 무어라

대답하겠나?

ΘΕΑΙ. Ἐὰν μέν, ὦ Σώκρατες, τὸ δοκοῦν πρὸς τὴν νῦν                      10

ἐρώτησιν ἀποκρίνωμαι, ὅτι οὐκ ἔστιν· ἐὰν δὲ πρὸς τὴν προ-           d

τέραν, φυλάττων μὴ ἐναντία εἴπω, ὅτι ἔστιν.

만일, 소크라테스, 지금 그 질문에 대해서라면 여겨지는 바를 답할

거라면, 가능하지 않다고 답하죠. 그런데 만일 더 이전 질문에

대해서라면, 모순되게 말하지 않을까 주의를 기울이며, 가능하다고

답할 겁니다.

- '지금 질문' : 증가 외에 더 커지거나 더 많아질 수 있는가?

  '더 앞선 질문' : 6에 4를 대면 6은 (4보다) 더 크고 (4의) 1½이지만

  같은 6에 12를 대면 6은 (12보다) 더 작고 (12의) ½인가?

ΣΩ. Εὖ γε νὴ τὴν Ἥραν, ὦ φίλε, καὶ θείως. ἀτάρ, ὡς

ἔοικεν, ἐὰν ἀποκρίνῃ ὅτι ἔστιν, Εὐριπίδειόν τι συμβήσεται·

ἡ μὲν γὰρ γλῶττα ἀνέλεγκτος ἡμῖν ἔσται, ἡ δὲ φρὴν οὐκ                 5

ἀνέλεγκτος.

헤라 여신께 맹세코 잘도 신과 같이 답했네, 친구. 그렇지만,

그럴싸해 보이기로는, 만일 자네가 가능하다고 답한다면, 

에우리피데스의 것 같은 어떤 결론이 나올 걸세.

우리에게 혀는 반문의 여지가 없을 것이나, 가슴은 반문의 여지가

없지 않을 테니까.

ΘΕΑΙ. Ἀληθῆ.

맞는 말씀이십니다.

ΣΩ. Οὐκοῦν εἰ μὲν δεινοὶ καὶ σοφοὶ ἐγώ τε καὶ σὺ ἦμεν,

πάντα τὰ τῶν φρενῶν ἐξητακότες, ἤδη ἂν τὸ λοιπὸν ἐκ

περιουσίας ἀλλήλων ἀποπειρώμενοι, συνελθόντες σοφ-                e

ιστικῶς εἰς μάχην τοιαύτην, ἀλλήλων τοὺς λόγους τοῖς

λόγοις ἐκρούομεν· νῦν δὲ ἅτε ἰδιῶται πρῶτον βουλησό-

μεθα θεάσασθαι αὐτὰ πρὸς αὑτὰ τί ποτ᾿ ἐστὶν ἃ διανοού-

μεθα, πότερον ἡμῖν ἀλλήλοις συμφωνεῖ ἢ οὐδ᾿ ὁπωστιοῦν.              5

그야 물론 만일 나도 자네도 능란하며 지혜로운 자들이었더라면,

우리 가슴에 속한 모든 일들을 검토했는지라, 이제 서로에게 차고 넘쳐

남은 것을 검증하며, 소피스트 같은 방식으로 이러한 전투에

동참하여, 서로의 논변들을 서로의 논변들로 두드려 보았겠지.

그런데 지금 문외한들인 한에서 우선 우리는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것들이 그것들 자체로 도대체 무엇인지, 우리에게 그것들이 서로

부합하는지 아니면 무엇이 어찌 되었든지간에 부합하지 않는지

관조하기를 바랄 걸세.

ΘΕΑΙ. Πάνυ μὲν οὖν ἔγωγε τοῦτ᾿ ἂν βουλοίμην.

그야 물론 저로서는 그러기를 바랄 테지요.

ΣΩ. Καὶ μὴν ἐγώ. ὅτε δ᾿ οὕτως ἔχει, ἄλλο τι ἢ ἠρέμα,

ὡς πάνυ πολλὴν σχολὴν ἄγοντες, πάλιν ἐπανασκεψόμεθα,

οὐ δυσκολαίνοντες ἀλλὰ τῷ ὄντι ἡμᾶς αὐτοὺς ἐξετάζοντες,      155a

ἅττα ποτ᾿ ἐστὶ ταῦτα τὰ φάσματα ἐν ἡμῖν; ὧν πρῶτον

ἐπισκοποῦντες φήσομεν, ὡς ἐγὼ οἶμαι, μηδέποτε μηδὲν ἂν

μεῖζον μηδὲ ἔλαττον γενέσθαι μήτε ὄγκῳ μήτε ἀριθμῷ,

ἕως ἴσον εἴη αὐτὸ ἑαυτῷ. οὐχ οὕτως;                                         5

나 역시도 그러하다네. 그런데 사정이 그러할 때, 꽤나 많은

여가를 누리고 있으니, 우리가 느긋하게 다시금 고찰하지 않고

달리 무얼 하겠나? 신경질을 부리지 않고 실제로 우리 자신에게

따져 물으면서, 우리 안에 나타나는 이런 것들이 도대체 무엇인지를

말이지. 내가 생각하기로는, 이런 것들 중 첫 번째로 우리가 고찰하며

말할 것은 결코 아무것도 규모에서도 수에서도 전혀 더 커지거나 더

작아지지 않으리란 것, 그것이 제 자신과 같은 만큼의 것인 한 그러리란

것이라네. 그렇지 않은가?

ΘΕΑΙ. Ναι.

그렇습니다.


-蟲-

ΣΩ. Κάλλιστα. ἀλλὰ τί τὸ μετὰ τοῦτο;

멋지기 그지없군. 그럼 그 다음은 무언가?

ΘΕΑΙ. Ὅσαι μὲν γραμμαὶ τὸν ἰσόπλευρον καὶ ἐπί-

πεδον ἀριθμὸν τετραγωνίζουσι, μῆκος ὡρισάμεθα, ὅσαι δὲ

τὸν ἑτερομήκη, δυνάμεις, ὡς μήκει μὲν οὐ συμμέτρους               b

ἐκείναις, τοῖς δ᾿ ἐπιπέδοις ἃ δύνανται. καὶ περὶ τὰ στερεὰ

ἄλλο τοιοῦτον.

등변이며 평면인 수를 사각형으로 만드는 모든 선분들은,

저희가 길이로 정하였고, 부등변 수를 그리하는 것들은,

가능한 길이들로 하였는데, 길이에서 저것들(길이)과 통약되지

않기에, 반면 평면에서는 통약되는 일이 가능한 것들이기에

그리하였습니다. 입체들에 관련하여서도 이런 또 다른 일을

하였고요.

- 넓이 a²(a=정수) 사각형의 변의 길이들은 '길이'. 

  넓이 2, 3, 5, 7, 11, 12, 13, 14, 15, 17까지(?) 사각형의

  변의 길이들은 '가능한 길이'.

  변의 길이에서는 척도를 공유하지 않는다-통약 불가능.

  평면의 넓이에서는 척도를 공유한다-통약 가능.

-δυνάμεις : 이 경우 "제곱근"으로 번역된다면 등평면 사각수의 제곱근은 배제된다.

ΣΩ. Ἄριστά γ᾿ ἀνθρώπων, ὦ παῖδες· ὥστε μοι δοκεῖ ὁ

Θεόδωρος οὐκ ἔνοχος τοῖς ψευδομαρτυρίοις ἔσεσθαι.                 5

자네들, 정말이지 인간들 중 가장 뛰어난 자들이로군. 그래서 내게는

테오도로스께서 위증죄로 끌려갈 일은 없으시리라 여겨진다네.

ΘΕΑΙ. Καὶ μήν, ὦ Σώκρατες, ὅ γε ἐρωτᾷς περὶ

ἐπιστήμης οὐκ ἂν δυναίμην ἀποκρίνασθαι ὥσπερ περὶ τοῦ

μήκους τε καὶ τῆς δυνάμεως. καίτοι σύ γέ μοι δοκεῖς

τοιοῦτόν τι ζητεῖν· ὥστε πάλιν αὖ φαίνεται ψευδὴς ὁ

Θεόδωρος.                                                                        c

그런데 말이죠, 소크라테스, 당신께서 앎에 관하여

물으신 것은 제가 길이와 제곱수에 관해서와 마찬가지로

대답을 드릴 능력은 없을 겁니다. 그런데도 당신께서는

그런 어떤 것을 추적하시는 걸로 제게는 여겨지네요. 그래서

다시금 이번에는 테오도로스께서 거짓된 분으로 드러나십니다.

ΣΩ. Τί δέ; εἴ σε πρὸς δρόμον ἐπαινῶν μηδενὶ οὕτω

δρομικῷ ἔφη τῶν νέων ἐντετυχηκέναι, εἶτα διαθέων τοῦ

ἀκμάζοντος καὶ ταχίστου ἡττήθης, ἦττόν τι ἂν οἴει ἀληθῆ

τόνδ᾿ ἐπαινέσαι;                                                                   5

그런데 어떤가? 만일 그 분께서 자네를 경주에 대해 칭찬하시며

젊은이들 중 그렇게 경주를 잘 하는 자는 아무도 만나보지 못했다고

말씀하신다면, 그 이후 자네가 경주하면서 절정기에 이른 가장 빠른 자에게

졌다면, 여기 이 분께서 뭔가 덜 참되게 칭찬하신 것이라 생각하는가?

ΘΕΑΙ. Οὐκ ἔγωγε.

저로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ΣΩ. Ἀλλὰ τὴν ἐπιστήμην, ὥσπερ νυνδὴ ἐγὼ ἔλεγον,

σμικρόν τι οἴει εἶναι ἐξευρεῖν καὶ οὐ τῶν πάντῃ ἄκρων;

허나 앎은, 방금 내가 말하던 것처럼,

탐구하기엔 뭔가 사소한 일이고 모든 면에서 정점에 있는 자들의 일이

아니라고 생각하는가?

ΘΕΑΙ. Νὴ τὸν Δί᾿ ἔγωγε καὶ μάλα γε τῶν ἀκροτάτων.

제우스께 맹세코 아닐 뿐더러 특히나 가장 정점에 있는 자들의 일이라 생각합니다.

ΣΩ. Θάρρει τοίνυν περὶ σαυτῷ καὶ τὶ οἴου Θεόδωρον                  10

λέγειν, προθυμήθητι δὲ παντὶ τρόπῳ τῶν τε ἄλλων πέρι             d

καὶ ἐπιστήμης λαβεῖν λόγον τί ποτε τυγχάνει ὄν.

그러면 자네 자신에 관련하여 용기를 내 테오도로스께서

뭐라도 말씀을 하시는 거라고 생각해 보게, 다른 일들에 관련해서도

그렇거니와 앎에 관하여서도 모든 방식으로 도대체 그것이 무엇인가 하는

말(정의, 설명)을 열렬히 파악하고자 하시게.

ΘΕΑΙ. Προθυμίας μὲν ἕνεκα, ὦ Σώκρατες, φανεῖται.

열의가 문제라면, 소크라테스, 밝혀질 겁니다.

ΣΩ. Ἴθι δή―καλῶς γὰρ ἄρτι ὑφηγήσω―πειρῶ

μιμούμενος τὴν περὶ τῶν δυνάμεων ἀπόκρισιν, ὥσπερ                  5

ταύτας πολλὰς οὔσας ἑνὶ εἴδει περιέλαβες, οὕτω καὶ τὰς

πολλὰς ἐπιστήμας ἑνὶ λόγῳ προσειπεῖν.

그럼 가 보세―방금 자네가 훌륭하게 인도해 주었으니―

제곱수들에 관한 자네의 대답을 모방하면서, 자네가 

그것들이 여럿인데도 한 형상으로 포괄하였듯, 그렇게 

여러 앎들도 한 말로 불러보고자 시도해 주게.

ΘΕΑΙ. Ἀλλ᾿ εὖ ἴσθι, ὦ Σώκρατες, πολλάκις δὴ αὐτὸ                      e

ἐπεχείρησα σκέψασθαι, ἀκούων τὰς παρὰ σοῦ ἀποφερο-

μένας ἐρωτήσεις. ἀλλὰ γὰρ οὔτ᾿ αὐτὸς δύναμαι πεῖσαι

ἐμαυτὸν ὡς ἱκανῶς τι λέγω οὔτ᾿ ἄλλου ἀκοῦσαι λέγοντος

οὕτως ὡς σὺ διακελεύῃ, οὐ μὲν δὴ αὖ οὐδ᾿ ἀπαλλαγῆναι               5

τοῦ μέλειν.

허나 부디 알아주십쇼, 소크라테스, 제가 정말로 여러 차례

그것을 고찰하고자 시도했다는 사실을요, 당신을 출처로 하는

질문들을 들으면서 말이지요. 허나 제 자신이 스스로

제가 충분히 말했다고 납득하지 못하고 있기도 하고 당신께서 명하시듯

그렇게 다른 이가 논하는 걸 듣지도 못했으니까요, 물론 다시금

그 관심으로부터 풀려나지도 못하고 말이지요.

ΣΩ. Ὠδίνεις γάρ, ὦ φίλε Θεαίτητε, διὰ τὸ μὴ κενὸς

ἀλλ᾿ ἐγκύμων εἶναι.

친애하는 테아이테토스, 그 말인 즉 빈 것이 아니라

아이를 밴 것으로 인한 산통이로군.

ΘΕΑΙ. Οὐκ οἶδα, ὦ Σώκρατες· ὃ μέντοι πεπονθα

λέγω.                                                                                10

모르겠습니다, 소크라테스. 그렇지만 제가 겪은 바를

말씀드리고 있지요.

ΣΩ. Εἶτα, ὦ καταγέλαστε, οὐκ ἀκήκοας ὡς ἐγώ εἰμι                149a

ὑὸς μαίας μάλα γενναίας τε καὶ βλοσυρᾶς, Φαιναρέτης;

그렇다면, 재밌는 친구, 자네 내가 무척이나 고상하고도 건장한

산파이신 파이나레스의 아들이라고 듣지 못했나?

ΘΕΑΙ. Ἤδη τοῦτό γε ἤκουσα.

그 얘기는 익히 들었지요.

ΣΩ. Ἆρα καὶ ὅτι ἐπιτηδεύω τὴν αὐτὴν τέχνην ἀκήκοας;

혹시 내가 그와 똑같은 기술을 일로 삼고 있다는 것도 들었고?

ΘΕΑΙ. Οὐδαμῶς.                                                                    5

전혀 듣지 못했습니다.

ΣΩ. Ἀλλ᾿ εὖ ἴσθ᾿ ὅτι· μὴ μέντοι μου κατείπῃς πρὸς τοὺς

ἄλλους. λέληθα γάρ, ὦ ἑταῖρε, ταύτην ἔχων τὴν τέχνην· οἱ

δέ, ἅτε οὐκ εἰδότες, τοῦτο μὲν οὐ λέγουσι περὶ ἐμοῦ, ὅτι δὲ

ἀτοπώτατός εἰμι καὶ ποιῶ τοὺς ἀνθρώπους ἀπορεῖν. ἦ καὶ

τοῦτο ἀκήκοας;                                                                    10

그럼 잘 알아두시게. 그렇지만 내 얘기를 다른 사람들에게 들려주지는

말게나. 왜냐하면, 친구, 나는 나도 모르게(남들 모르게?) 바로 그 기술을 

지니게 되었기 때문이라네. 그런데 어떤 이들은, 그걸 알지 못하고서,

나에 관해 그걸 말하지는 않고, 내가 너무나 이상한 사람이며 사람들을

당황하도록 만든다고 말하지. 아님 이 얘기도 들었나?

- 왜 남들에게 알리지 말아야 하는가?

+ 액자식 구성을 고려하면 소크라테스는 이미 에우클레이데스에게

지금 이 이야기를 지금 이 방식대로 전해주었다.

ΘΕΑΙ. Ἔγωγε.                                                                     b

저는 들었습니다.

ΣΩ. Εἴπω οὖν σοι τὸ αἴτιον;

그러면 내 자네에게 그 까닭을 말해줄까?

ΘΕΑΙ. Πάνυ μὲν οὖν.

물론입니다.

ΣΩ. Ἐννόησον δὴ τὸ περὶ τὰς μαίας ἅπαν ὡς ἔχει, καὶ

ῥᾷον μαθήσῃ ὃ βούλομαι. οἶσθα γάρ που ὡς οὐδεμία                   5

αὐτῶν ἔτι αὐτὴ κυϊσκομένη τε καὶ τίκτουσα ἄλλας

μαιεύεται, ἀλλ᾿ αἱ ἤδη ἀδύνατοι τίκτειν.

산파들에 관련하여 만사가 어찌 돌아가는지 생가하도록 하게.

그러면 내가 의도하는 바를 더 쉽게 배우겠지. 그야 자네 아마

그들 중 어느 누구도 여전히 스스로 임신하고 출산하면서 다른

여성의 산파노릇을 하는 자는 없고, 이미 출산할 수 없는 여성들이

산파노릇을 한다는 걸 알고 있을 테니까.

ΘΕΑΙ. Πάνυ μὲν οὖν.

물론입니다.

ΣΩ. Αἰτίαν δέ γε τούτου φασὶν εἶναι τὴν Ἄρτεμιν, ὅτι

ἄλοχος οὖσα τὴν λοχείαν εἴληχε. στερίφαις μὲν οὖν ἄρα               10

οὐκ ἔδωκε μαιεύεσθαι, ὅτι ἡ ἀνθρωπίνη φύσις ἀσθενε-                c

στέρα ἢ λαβεῖν τέχνην ὧν ἂν ᾖ ἄπειρος· ταῖς δὲ δι᾿ ἡλικίαν

ἀτόκοις προσέταξε τιμῶσα τὴν αὑτῆς ὁμοιότητα.

그런가 하면 그 일의 원인이 사람들은 아르테미스 여신이시라고 하는데,

처녀이시면서 출산을 주재하셨기 때문이라고 하지. 그렇지만 여신께서

불임인 여성들에게는 산파일을 허락치 않으셨던 것 같은데, 인간적인 본성이

경험 없는 것들에 대한 기술을 파악하기에는 나약하기 때문이라네. 반면

나이 때문에 안 낳는 자들에게는 여신 자신과의 닮음을 존중하시어 

그 일을 맡기셨다네.

- 산파술을 주관하는 것은 신. 이 기술의 전문가를 자처하는 것은 불경?(윤철형님)

 경험 없는 일은 인간의 나약한 본성 때문에 인간에게 적합하지 않다.

  그렇다면 소크라테스는 영혼의 출산 경험이 있는 자?

  그러나 자기 자신은 지혜를 내놓은 일이 없다고 말한다.

ΘΕΑΙ. Εἰκός.

그렇겠네요.

ΣΩ. Οὐκοῦν καὶ τόδε εἰκός τε καὶ ἀναγκαῖον, τὰς                          5

κυούσας καὶ μὴ γιγνώσκεσθαι μᾶλλον ὑπὸ τῶν μαιῶν ἢ

τῶν ἄλλων;

그러면 이 또한 그렇겠고 또 필연적이지 않나? 임신한

여성들과 그렇지 않은 여성들이 다른 자들에 의해서 보다도

산파들에 의해 훨씬 잘 알려진다는 것 말일세.

ΘΕΑΙ. Πάνυ γε.

확실히요.

ΣΩ. Καὶ μὴν καὶ διδοῦσαί γε αἱ μαῖαι φαρμάκια καὶ

ἐπᾴδουσαι δύνανται ἐγείρειν τε τὰς ὠδῖνας καὶ μαλθακω-            d

τέρας ἂν βούλωνται ποιεῖν, καὶ τίκτειν τε δὴ τὰς δυστοκού-

σας, καὶ ἐὰν †νέον ὂν† δόξῃ ἀμβλίσκειν, ἀμβλίσκουσιν;

산파들이 약을 주거나 주문을 외워 바라는 대로 산통을 일으킬 수도

있고 또 산통을 더 완화시킬 수도 있다는 것이나, 산고를 겪는

여성들이 출산을 하도록 만들 수도 있다는 것 역시 그렇고, 

어릴 때 유산시키는 편이 좋겠다고 여겨진다면, 그들은 유산을 시키겠지?

ΘΕΑΙ. Ἔστι ταῦτα.

그야 그렇습니다.

ΣΩ. Ἆρ᾿ οὖν ἔτι καὶ τόδε αὐτῶν ᾔσθησαι, ὅτι καὶ                          5

προμνήστριαί εἰσι δεινόταται, ὡς πάσσοφοι οὖσαι περὶ τοῦ

γνῶναι ποίαν χρὴ ποίῳ ἀνδρὶ συνοῦσαν ὡς ἀρίστους

παῖδας τίκτειν;

그럼 혹시 더 나아가 그들의 이런 점도 자네가 감을 잡았나?

그들이 중매인들로서도 무섭도록 뛰어나다는 것, 

최선인 자식들을 출산하기 위해 어떤 여인이 어떤 사내와 교접해야 필요한지

아는 일과 관련하여 전적으로 지혜로운 자들이기에 그렇다는 것 말일세.

ΘΕΑΙ. Οὐ πάνυ τοῦτο οἶδα.

그건 전혀 알지 못합니다.

ΣΩ. Ἀλλ᾿ ἴσθ᾿ ὅτι ἐπὶ τούτῳ μεῖζον φρονοῦσιν ἢ ἐπὶ τῇ                  10

ὀμφαλητομίᾳ. ἐννόει γάρ· τῆς αὐτῆς ἢ ἄλλης οἴει τέχνης                e

εἶναι θεραπείαν τε καὶ συγκομιδὴν τῶν ἐκ γῆς καρπῶν καὶ

αὖ τὸ γιγνώσκειν εἰς ποίαν γῆν ποῖον φυτόν τε καὶ σπέρμα

καταβλητέον;

그럼 그들이 탯줄을 자르는 일에서보다 그 점에서 훨씬 더

현명하다(분별있다/신경쓴다?)는 사실을 알아두시게. 생각해 보란 말일세.

땅으로부터의 열매들에 대한 돌봄과 수확 그리고 또한 

어떤 땅에 어떤 싹과 씨가 뿌려져야만 하는지 아는 일도 

같은 기술 아닌 다른 기술에 속한다고 생각하는가?

ΘΕΑΙ. Οὔκ, ἀλλὰ τῆς αὐτῆς.                                                       5

아니요, 같은 기술에 속한다고요.

ΣΩ. Εἰς γυναῖκα δέ, ὦ φίλε, ἄλλην μὲν οἴει τοῦ τοιού-

του, ἄλλην δὲ συγκομιδῆς;

여성에 관한 경우에는, 이보게, 이런 일에 속하는

기술이 있는가 하면, 수확에 속하는 기술은 달리 있다고 생각하는가?

ΘΕΑΙ. Οὔκουν εἰκός γε.

그야 그렇지는 않겠지요.

ΣΩ. Οὐ γάρ. ἀλλὰ διὰ τὴν ἄδικόν τε καὶ ἄτεχνον                   150a

συναγωγὴν ἀνδρὸς καὶ γυναικός, ᾗ δὴ προαγωγία ὄνομα,

φεύγουσι καὶ τὴν προμνηστικὴν ἅτε σεμναὶ οὖσαι αἱ μαῖαι,

φοβούμεναι μὴ εἰς ἐκείνην τὴν αἰτίαν διὰ ταύτην ἐμπέ-

σωσιν· ἐπεὶ ταῖς γε ὄντως μαίαις μόναις που προσήκει καὶ             5

προμνήσασθαι ὀρθῶς.

아니니 하는 말일세. 그러나 사내와 계집의 부정하고 기술 없는

결합으로 인해, 이 결합에서 뚜쟁이질이란 이름이 왔는데,

존경스러운 산파들인 한에서 그들은 중매술까지 기피하니,

이 기술로 인해 저러한 비난에 빠지지는 않을까

두려워하기 때문이라네. 적어도 진정한 산파들이라면

오직 그들에게만 중매하는 일 역시 분명 제대로 걸맞겠는데도.

ΘΕΑΙ. Φαίνεται.

그리 보입니다.

ΣΩ. Τὸ μὲν τοίνυν τῶν μαιῶν τοσοῦτον, ἔλαττον δὲ τοῦ

ἐμοῦ δράματος. οὐ γὰρ πρόσεστι γυναιξὶν ἐνίοτε μὲν

εἴδωλα τίκτειν, ἔστι δ᾿ ὅτε ἀληθινά, τοῦτο δὲ μὴ ῥᾴδιον              b

εἶναι διαγνῶναι. εἰ γὰρ προσῆν, μέγιστόν τε καὶ κάλλιστον

ἔργον ἦν ἂν ταῖς μαίαις τὸ κρίνειν τὸ ἀληθές τε καὶ μή· ἢ

οὐκ οἴει;

하지만 산파들의 일은 이만큼의 것이네만, 내 자신이 하고 다니는 

일보다는 부족하다네. 왜냐하면 여인들에게는 어느 때엔 모상을 낳고,

또 어느 때엔 참된 것을 낳으며, 그것을 판가름하기 쉽지 않다는 일이

속하지 않기 때문이지. 만일 속했더라면, 가장 대단하고도 가장 훌륭한

작업이었을 걸세, 산파들에게 그 참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판단하는 일이

말일세. 그렇게 생각하지 않나?

ΘΕΑΙ. Ἔγωγε.                                                                       5

저로서는 그리 생각합니다.

ΣΩ. Τῇ δέ γ᾿ ἐμῇ τέχνῃ τῆς μαιεύσεως τὰ μὲν ἄλλα

ὑπάρχει ὅσα ἐκείναις, διαφέρει δὲ τῷ τε ἄνδρας ἀλλὰ μὴ

γυναῖκας μαιεύεσθαι καὶ τῷ τὰς ψυχὰς αὐτῶν τικτούσας

ἐπισκοπεῖν ἀλλὰ μὴ τὰ σώματα. μέγιστον δὲ τοῦτ᾿ ἔνι τῇ

ἡμετέρᾳ τέχνῃ, βασανίζειν δυνατὸν εἶναι παντὶ τρόπῳ                 c

πότερον εἴδωλον καὶ ψεῦδος ἀποτίκτει τοῦ νέου ἡ διάνοια

ἢ γόνιμόν τε καὶ ἀληθές. 

그런가 하면 산파일에 속하는 나의 기술에는 저 기술에 속하는

그 모든 다른 일들이 속하는가 하면, 사내에 대한 산파일이지

계집에 대한 것이 아니라는 점과 그들의 영혼이 출산하는 것을

살피는 것이지 육체를 살피는 것은 아니라는 점은 차이가 난다네.

그런데 우리쪽 기술에서는 이 점이 가장 중대한 것으로 속하니,

모든 방식으로 시금석 노릇을 할 수 있다는 점이지,

그 젊은이의 생각이 모상과 거짓을 출산해내는지 아니면

씨가 있는 것이자 참되기도 한 것을 출산해내는지 말일세.

                                 ἐπεὶ τόδε γε καὶ ἐμοὶ ὑπάρχει

ὅπερ ταῖς μαίαις· ἄγονός εἰμι σοφίας, καὶ ὅπερ ἤδη πολλοί

μοι ὠνείδισαν, ὡς τοὺς μὲν ἄλλους ἐρωτῶ, αὐτὸς δὲ οὐδὲν              5

ἀποφαίνομαι περὶ οὐδενὸς διὰ τὸ μηδὲν ἔχειν σοφόν,

ἀληθὲς ὀνειδίζουσιν. τὸ δὲ αἴτιον τούτου τόδε· μαιεύεσθαί

με ὁ θεὸς ἀναγκάζει, γεννᾶν δὲ ἀπεκώλυσεν. 

산파들에게 속하는 바로 이런 점은 내게도 속하지만.

나는 지혜의 불임인 자이고, 이미 대부분이 내게 책망한 바이기도

하네만, 내가 다른 자들에게는 물으면서, 나 자신은 아무런 지혜도

지니지 못하고 있다는 점으로 인해 아무것에 관해서도 전혀

드러내지 않는다고 하는데, 맞는 비난을 하는 게지. 그런데 그 일의

원인은 이런 걸세. 신께서 나로 하여금 산파노릇을 하도록 강제하시고,

출산은 막으셨지.

                                                          εἰμὶ δὴ οὖν

αὐτὸς μὲν οὐ πάνυ τι σοφός, οὐδέ τί μοι ἔστιν εὕρημα                  d

τοιοῦτον γεγονὸς τῆς ἐμῆς ψυχῆς ἔκγονον· οἱ δ᾿ ἐμοὶ συγ-

γιγνόμενοι τὸ μὲν πρῶτον φαίνονται ἔνιοι μὲν καὶ πάνυ

ἀμαθεῖς, πάντες δὲ προϊούσης τῆς συνουσίας, οἷσπερ ἂν ὁ

θεὸς παρείκῃ, θαυμαστὸν ὅσον ἐπιδιδόντες, ὡς αὑτοῖς τε                5

καὶ τοῖς ἄλλοις δοκοῦσι· καὶ τοῦτο ἐναργὲς ὅτι παρ᾿ ἐμοῦ

οὐδὲν πώποτε μαθόντες, ἀλλ᾿ αὐτοὶ παρ᾿ αὑτῶν πολλὰ καὶ

καλὰ εὑρόντες τε καὶ τεκόντες. τῆς μέντοι μαιείας ὁ θεός τε

καὶ ἐγὼ αἴτιος. 

그래서 정말로 나 자신은 뭔가에 전혀 지혜로운 자가 아니고,

내 영혼의 자손으로 태어난 그런 무슨 발견이랄 것도 내게는 없지.

그런데 나와 교제하는 자들이 처음에는 몇몇은 퍽이나

무식한 자들로까지 보이다가, 모두가 그 교제가 진행되면서, 

신께서 허하신 그런 자들이라면, 놀라울 만큼 진전한 것으로 드러나는데,

자신들에게도 다른 이들에게도 그리 여겨진다네. 이 점도 확실한데

내게서는 단 한 번도 아무것도 배운 적 없으면서, 그들 스스로

자신들에게서 많고도 훌륭한 것들을 발견하고 출산하며 진전을 보는 것으로

드러난다는 것이지. 다만 산파의 신과 나 자신이 그 원인이라네.

                    ὧδε δὲ δῆλον· πολλοὶ ἤδη τοῦτο ἀγνοή-                e

σαντες καὶ ἑαυτοὺς αἰτιασάμενοι, ἐμοῦ δὲ καταφρονή-

σαντες, ἢ αὐτοὶ ἢ ὑπ᾿ ἄλλων πεισθέντες ἀπῆλθον

πρῳαίτερον τοῦ δέοντος, ἀπελθόντες δὲ τά τε λοιπὰ

ἐξήμιβλωσαν διὰ πονηρὰν συνουσίαν καὶ τὰ ὑπ᾿ ἐμοῦ                    5

μαιευθέντα κακῶς τρέφοντες ἀπώλεσαν, ψευδῆ καὶ

εἴδωλα περὶ πλείονος ποιησάμενοι τοῦ ἀληθοῦς, τελευτῶν-

τες δ᾿ αὑτοῖς τε καὶ τοῖς ἄλλοις ἔδοξαν ἀμαθεῖς εἶναι.

이런 식으로 분명하지. 이미 많은 이들이 그 점을 모르고서

제 자신을 원인 삼으며, 나에 대해서는 업신여기고는,

그들 스스로 혹은 다른 이들에 의해 설득되어 필요 이상으로

이르게 떠났고, 떠나서는 남은 것들도 저열한 교제로 인해

유산시켜 버렸고 또한 내게 산파일을 받아 낳은 것들도

나쁘게 양육하여 죽여 없애 버렸으며, 거짓과 모상을

참된 것보다 더 중히 여겨서는, 결국에 자신들에게나

다른 이들에게나 무식한 자들이라고 여겨졌다네.

                                                                       ὦν

εἷς γέγονεν Ἀριστείδης ὁ Λυσιμάχου καὶ ἄλλοι πάνυ πολ-         151a

λοί· οὕς, ὅταν πάλιν ἔλθωσι δεόμενοι τῆς ἐμῆς συνουσίας

καὶ θαυμαστὰ δρῶντες, ἐνίοις μὲν τὸ γιγνόμενόν μοι

δαιμόνιον ἀποκωλύει συνεῖναι, ἐνίοις δὲ ἐᾷ, καὶ πάλιν

οὗτοι ἐπιδιδόασι. πάσχουσι δὲ δὴ οἱ ἐμοὶ συγγιγνόμενοι                  5

καὶ τοῦτο ταὐτὸν ταῖς τικτούσαις· ὠδίνουσι γὰρ καὶ

ἀπορίας ἐμπίμπλανται νύκτας τε καὶ ἡμέρας πολὺ μᾶλλον

ἢ᾿ κεῖναι· ταύτην δὲ τὴν ὠδῖνα ἐγείρειν τε καὶ ἀποπαύειν ἡ

ἐμὴ τέχνη δύναται.

뤼시마코스의 아리스테이데스가 그런 자들 중 하나가 되었고

다른 훨씬 많은 자들도 그랬다네. 그들을 말하자면, 다시 돌아와 

나와의 교제를 요구하며 놀라운 짓들을 해댔을 때, 내게 생겨난

신령스러운 것이 그들 중 어떤 이들과의 교제는 금지하고,

또 어떤 이들과의 교제는 허하여, 그래서 다시 이들은

진전을 이루었지. 그런데 나와 교제하는 자들은 정말로

출산한 자들과 똑같은 그 일까지 겪는다네. 즉 산고를 겪고

당혹으로 가득 차기를 밤낮으로 그리하며 저 출산한 자들보다

훨씬 더 심하게 겪는단 말일세. 바로 그 산통을 일으키는 것도

그치게 하는 것도 나의 기술이 해낼 수 있지.

                          καὶ οὗτοι μὲν δὴ οὕτως. ἐνίοις δέ, ὦ                b

Θεαίτητε, οἳ ἄν μοι μὴ δόξωσί πως ἐγκύμονες εἶναι, γνοὺς

ὅτι οὐδὲν ἐμοῦ δέονται, πάνυ εὐμενῶς προμνῶμαι καί, σὺν

θεῷ εἰπεῖν, πάνυ ἱκανῶς τοπάζω οἷς ἂν συγγενόμενοι

ὄναιντο· ὧν πολλοὺς μὲν δὴ ἐξέδωκα Προδίκῳ, πολλοὺς                  5

δὲ ἄλλοις σοφοῖς τε καὶ θεσπεσίοις ἀνδράσι. ταῦτα δή σοι,

ὦ ἄριστε, ἕνεκα τοῦδε ἐμήκυνα· ὑποπτεύω σε, ὥσπερ καὶ

αὐτὸς οἴει, ὠδίνειν τι κυοῦντα ἔνδον.

이 자들은 정말로 그렇다네. 그런데 어떤 이들은, 테아이테토스,

내겐 어쨌든 임신할 수 있는 자들로는 여겨지지 않는 자들인데,

그들이 나를 전혀 필요로하지 않는다는 것을 내가 알고서, 한결

호의적으로 중매해주고, 신과 함께 말하건데, 그들이 어울림으로써

이로울 자들을 충분하고도 넘치게 추정해 주고 있다네.

그들 대다수는 프로디코스께 맡겼고, 많은 이들을

다른 지혜롭고도 영험한 사내들에게 맡겼지. 그래서 이런 일들을 자네에게,

아주 훌륭한 친구, 다음과 같은 이유로 늘어놓았다네. 자네가,

자네도 스스로 그리 생각하듯, 안으로 무언가를 밴 채로 산고를 겪고 있다고

짐작하고 있으니.

                                                 προσφέρου οὖν πρός

με ὡς πρὸς μαίας ὑὸν καὶ αὐτὸν μαιευτικόν, καὶ ἃ ἄν                     c

ἐρωτῶ προθυμοῦ ὅπως οἷός τ᾿ εἶ οὕτως ἀποκρίνασθαι· καὶ

ἐὰν ἄρα σκοπούμενός τι ὧν ἂν λέγῃς ἡγήσωμαι ἔιδωλον

καὶ μὴ ἀληθές, εἶτα ὑπεξαιρῶμαι καὶ ἀποβάλλω, μὴ

ἀγρίαινε ὥσπερ αἱ πρωτοτόκοι περὶ τὰ παιδία. 

그러니 나에 대해 산파의 아들이자 나 자신 산파일에 능한 자를 대하듯

대해주고, 내가 묻는 것들을 자네가 답할 수 있을 그런 방식으로

대답하고자 열의를 가져주게. 그리고 만일 혹시라도 내가 검토하며

자네가 논하는 것들 중 어떤 것을 모상이자 참되지 못한 것으로

간주하게 되고, 다음으로 거두어내 내다 버린다면, 

초산인 자들이 그 자식들에 관하여 그리하듯 화를 내진 말아 주게.

- 『소피스트』에서 ἔιδωλον은 하위분류로 εἰκών과 φάντασμα를 가진다.

φάντασμα는 지각과 믿음의 결합물로 간주된다.

이후 논의에서 지각이 앎이라는 주장에 제기되는 것과의 관련은?

ὥσπερ 관련. 헛소리 제거해도 나와 신이 악의가 있는 게 아니다.

신의 산파술(실제 아이)/나의 산파술(지혜) 구분 가능?

                                                              πολλοὶ γὰρ              5

ἢδη, ὦ θαυμάσιε, πρός με οὕτω διετέθησαν, ὥστε ἀτεχνῶς

δάκνειν, ἐπειδάν τινα λῆρον αὐτῶν ἀφαιρῶμαι, καὶ οὐκ

οἴονταί με εὐνοίᾳ τοῦτο ποιεῖν, πόρρω ὄντες τοῦ εἰδέναι ὅτι

οὐδεὶς θεὸς δύσνους ἀνθρώποις, οὐδ᾿ ἐγὼ δυσνοίᾳ                       d

τοιοῦτον οὐδὲν δρῶ, ἀλλά μοι ψεῦδός τε συγχωρῆσαι καὶ

ἀληθὲς ἀφανίσαι οὐδαμῶς θέμις. πάλιν δὴ οὖν ἐξ ἀρχῆς, ὦ

Θεαίτητε, ὅτι ποτ᾿ ἐστὶν ἐπιστήμη, πειρῶ λέγειν· ὡς δ᾿ οὐχ

οἷός τ᾿ εἶ, μηδέποτ᾿ εἴπῃς. ἐὰν γὰρ θεὸς ἐθέλῃ καὶ ἀνδρίζῃ,               5

οἷός τ᾿ ἔσῃ.

그야 이미 많은 자들이, 놀라운 친구, 나를 향해 그런 식의

태도를 보여서, 말 그대로 물어 뜯을 지경이 되어서는,

내가 그들의 어떤 폐기물을 끄집어 낼 때면, 내가 좋은 생각에서

그 일을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데, 어떤 신도 인간들에게 나쁜 생각을

품지 않으시며, 나 역시도 나쁜 생각에서 그런 어떤 일도 전혀

하지 않고, 오히려 내게 거짓에 동조하고 진실에 눈감는 건 전혀

합당하지 않다는 것을 아는 것과는 영 거리가 먼 채로 그러니 말일세.

그러니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서, 테아이테토스, 도대체 앎이란 무엇인지,

말해 보도록 하게. 자네가 그리 할 수 없다고는, 결코 말하지 못할 걸세.

신께서 바라시고 남자답게 만들어 주신다면야, 자네는 그리 할 수 있는

사람일 테니까.

-θέμις : 150c7-8. 신이 ἀναγκάζει.

ΘΕΑΙ. Ἀλλὰ μέντοι, ὦ Σώκρατες, σοῦ γε οὕτω παρα-

κελευομένου αἰσχρὸν μὴ οὐ παντὶ τρόπῳ προθυμεῖσθαι ὅτι

τις ἔχει λέγειν. δοκεῖ οὖν μοι ὁ ἐπιστάμενός τι αἰσθάνεσθαι            e

τοῦτο ὃ ἐπίσταται, καὶ ὥς γε νυνὶ φαίνεται, οὐκ ἄλλο τί

ἐστιν ἐπιστήμη ἢ αἴσθησις.

어쨌든지 간에 그러시다면, 소크라테스, 바로 당신께서 그렇게

응원해주시는데도 누구든 말할 수 있는 바로 그것을 말하고자 

모든 방법으로 열의를 보이지 않는다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지요.

그래서 드리는 말씀입니다만 제게는 뭔가를 아는 자는 그가

아는 바로 그것을 감각한다고 여겨지고, 적어도 지금 당장

보이기로는, 앎은 감각 외에 다른 아무것도 아닙니다.

ΣΩ. Εὖ γε καὶ γενναίως, ὦ παῖ· χρὴ γὰρ οὕτως ἀπο-

φαινόμενον λέγειν. ἀλλὰ φέρε δὴ αὐτὸ κοινῇ σκεψώμεθα,                5

γόνιμον ἢ ἀνεμιαῖον τυγχάνει ὄν. αἴσθησις, φῄς, ἐπιστήμη;

좋고도 고상하게 말해주었네, 소년. 드러내는 사람은 그렇게

말해야만 하는 법이지. 허나, 자, 그것을 공동으로 탐문해 보세,

씨알 있는 것인지 아님 실은 헛바람이 든 것인지. 자네는

감각이 앎이라고 이야기하겠나?

ΘΕΑΙ. Ναί. 

네.

-蟲-

1. 나는 존재사와 계사 구분에 관련하여서는 칸과 브라운의 입장에 동의한다. 『범주론』과 『명제론』에서 "Socrates is sick"으로부터 "Socrates is" 추론과 "Homer is a poet"으로부터 "Homer is" 추론의 참과 거짓이 달라지는 이유는 영미전통의 be 동사 의미구분을 통해 해소될 문제가 아니다. 애초에 그것은 플라톤에게만이 아니라 아리스토텔레스에게도 관심사가 아니다.

2. "(a) poet"과 "sick"이 서로 다르며 being a poet과 being sick는 범주로도 다를 것으로 보인다. 시인이 '교양 있음'에 해당되는지 아니면 '동물'과 같은 것인지에 대한 문제가 남을 것으로 보이는데, 만일 전자라면 이로부터 being이 도출되지 않는다는 말을 이해하기 어렵다. 일종의 유개념으로 간주하면 그것은 주어 '안에 있는 것'일 수 없고 다만 주어에 대해 말해지기만 할 것이다. 반면 scik은 주어 안에 있어야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구분으로도 둘 사이의 진리치가 갈리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3. 논문의 주장은 큰 틀에서 내 생각과 달리 가는 것 같지 않은데, 다만 여기에서 be 동사를 비정언적 존재개념, 따라서 조건부로 있는 것(예를 들어 살아'있다'랄지)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한다는 점이 문제이다. 이것은 아예 계사 중심으로 놓고 그 자체로 이야기되는 경우와 부수적으로 이야기되는 경우 둘 각각의 다시금 구분되는 경우의 수들 중에 배분하여 넣으면 마찬가지 문제가 같은 정도로 해결되지 않을까 싶다.

4. 소크라테스나 호메로스를 주어로 잡을 때, 주어의 어떤 측면을 중심에 두고 이에 대해 어떤 범주에서 서술하고자 하는지의 구분과 관련하여 be 동사의 의미구분은 그닥 필요하지 않아 보인다. 다만 이 논의를 통해 be 동사의 단일한 의미의 가능한 후보 중 어느 쪽을 더욱 지지하게 되는지에 대한 정당화가 이루어지는 것으로도 보이지 않는다.

5. Kahn, Owen, Brown 등이 보충어가 생략된 is 문장의 가능한 해석에 대해 다양한 논의들을 하였는데, 이를 끌어들여 논하더라도 역시 완전용법과 불완전용법의 연속성에 대한 논의가 구체화될 뿐 아닐까 싶다. 아리스토텔레스도 읽고 싶다.

-蟲-

ΘΕΑΙ. Οὔχ, ὅσον γέ με εἰδέναι.                                           145a5

아닙니다, 적어도 제가 아는 한에서는 말이죠.

ΣΩ. Ἆρ᾿ οὐδὲ γεωμετρικός;

혹시 기하학자도 아니신 겐가?

ΘΕΑΙ. Πάντως δήπου, ὦ Σώκρατες.

전적으로 확실히 기하학자시죠, 소크라테스.

ΣΩ. Ἦ καὶ ἀστρονομικὸς καὶ λογιστικός τε καὶ

μουσικὸς καὶ ὅσα παιδείας ἔχεται;

물론 천문학자이시기도 하고 산술학자이시기도 하며

음악가이시기도 하고 교육에 관계하는 모든 것에서도 전문가이시지?

ΘΕΑΙ. Ἔμοιγε δοκεῖ.                                                               10

제게는 구분이 그리 여겨지십니다.

ΣΩ. Εἰ μὲν ἄρα ἡμᾶς τοῦ σώματός τι ὁμοίους φησὶν

εἶναι ἐπαινῶν πῃ ἢ ψέγων, οὐ πάνυ αὐτῷ ἄξιον τὸν νοῦν

προσέχειν.

그럼 만일 그 분께서 우리가 신체에서 무언가 닮았다고

어떤 식으로든 칭찬하시거나 비난하시어 말씀하신다면,

그 분께 그다지 주의를 기울일 가치는 없겠지.

ΘΕΑΙ. Ἴσως οὔ.

그럴 가치는 없을 것 같군요.

ΣΩ. Τί δ᾿ εἰ ποτέρου τὴν ψυχὴν ἐπαινοῖ πρὸς ἀρετήν τε               b

καὶ σοφίαν; ἆρ οὐκ ἄξιον τῷ μὲν ἀκούσαντι προθυμεῖσθαι

ἀνασκέψασθαι τὸν ἐπαινεθέντα, τῷ δὲ προθύμως ἑαυτὸν

ἐπιδεικνύναι;

그런데 만일 둘 중 누군가의 영혼을 덕과 지혜에 대해 칭송하신다면

어떤가? 혹시 그 이야기를 들은 자는 칭송 받는 자를 따져 보고자

열의를 가질 가치가 있고, 칭송 받는 자는 열의를 가지고 제 자신을

증명해 보일 가치가 있지 않은가?

ΘΕΑΙ. Πάνυ μὲν οὖν, ὦ Σώκρατες.                                              5

무척이나 그럴 가치가 있죠, 소크라테스.

ΣΩ. Ὥρα τοίνυν, ὦ φίλε Θεαίτητε, σοὶ μὲν ἐπιδεικνύ-

ναι, ἐμοὶ δὲ σκοπεῖσθαι· ὡς εὖ ἴσθι ὅτι Θεόδωρος πολλοὺς

δὴ πρός με ἐπαινέσας ξένους τε καὶ ἀστοὺς οὐδένα πω

ἐπῄνεσεν ὡς σὲ νυνδή.

그러니까 보게나, 친애하는 테아이테토스, 자네는 증명할

만하고, 나는 따져볼 만하지. 잘 알아두게나, 테오도로스께서는

나를 상대로 정말 많은 외지인들과 도시 사람들을 칭찬하셨으나

그 누구도 한 번도 방금 자네처럼 칭찬하신 적이 없다는 걸 말일세. 

ΘΕΑΙ. Εὖ ἂν ἔχοι, ὦ Σώκρατες· ἀλλ᾿ ὅρα μὴ παίζων                       10

ἔλεγεν.                                                                              c

그럼 좋겠습니다, 소크라테스. 하지만 그 분께서 장난조로

말씀하시지는 않았나 보시지요.

ΣΩ. Οὐχ οὗτος ὁ τρόπος Θεοδώρου· ἀλλὰ μὴ ἀναδύου

τὰ ὡμολογημένα σκηπτόμενος παίζοντα λέγειν τόνδε, ἵνα

μὴ καὶ ἀναγκασθῇ μαρτυρεῖν―πάντως γὰρ οὐδεὶς

ἐπισκήψετ᾿ αὐτῷ―ἀλλὰ θαρρῶν ἔμμενε τῇ ὁμολογίᾳ.                     5

그런 건 테오도로스의 방식이 아닐세. 허나 이 분께서 장난으로

말씀하신다고 간주하여 동의된 것들을 물리지는 마시게, 그 분께서

증인으로 서도록 강제받지 않으시게끔 말이지―그야 전적으로 아무도

그 분을 고발하지 않을 테니까―오히려 용기를 내 동의에 머무르도록 하게.

ΘΕΑΙ. Ἀλλὰ χρὴ ταῦτα ποιεῖν, εἰ σοὶ δοκεῖ.

그럼 그래야만 하지요, 당신께 그게 좋아 보인다면요.

ΣΩ. Λέγε δή μοι· μανθάνεις που παρὰ Θεοδώρου γεω-

μετρίας ἄττα;

그러면 내게 말해주게. 자네는 아마 테오도로스에게서

기하학의 일단을 배우고 있는가?

ΘΕΑΙ. Ἔγωγε.

저야 그렇습니다.

ΣΩ. Καὶ τῶν περὶ ἀστρονομίαν τε καὶ ἁρμονίας καὶ                     d

λογισμούς;

그리고 천문학과 화성학 그리고 산술에 관한 것들도?

ΘΕΑΙ. Προθυμοῦμαί γε δή.

정말로 그럴 열의는 가지고 있습니다.

ΣΩ. Καὶ γὰρ ἐγώ, ὦ παῖ, παρά τε τούτου καὶ παρ᾿ 

ἄλλων οὓς ἂν οἴωμαί τι τούτων ἐπαίειν. ἀλλ᾿ ὅμως τὰ μὲν              5

ἄλλα ἔχω περὶ αὐτὰ μετρίως, σμικρὸν δέ τι ἀπορῶ ὃ μετὰ

σοῦ τε καὶ τῶνδε σκεπτέον. καί μοι λέγε· ἆρ᾿ οὐ τὸ μαν-

θάνειν ἐστὶν τὸ σοφώτερον γίγνεσθαι περὶ ὃ μανθάνει τις;

나 역시도, 이보게, 이 분께도 그렇거니와 이런 것들 중

무언가를 칭송하는 것으로 보이는 다른 사람들에게서 배우기를 열망한다네.

허나 그럼에도 여타의 것들은 그것들에 관하여 내가 그럭저럭 하겠지만,

사소한 어떤 것은 곤란을 겪어 자네나 여기 이분과 함께 살펴보아야만 하겠네.

그러니 내게 말해주게. 혹시 배운다는 것은 누구든 그가 배우는 것에 관하여

그가 더 지혜롭게 된다는 것이지 않은가?

ΘΕΑΙ. Πῶς γὰρ οὔ;                                                                  10

어찌 아니겠습니까?

ΣΩ. Σωφίᾳ δέ γ᾿ οἶμαι σοφοὶ οἱ σοφοί.

그런가 하면 내 생각에 지혜로운 자들은 지혜로써 지혜로운 자들이라네.

ΘΕΑΙ. Ναί.

네.

ΣΩ. Τοῦτο δὲ μῶν διαφέρει τι ἐπιστήμης;                                   e

그런데 그건 물론 앎과 어떤 점에서 차이가 나는 건 아니지?

ΘΕΑΙ. Τὸ ποῖον;

어떤 것이 그렇다는 말씀이시죠?

ΣΩ. Ἡ σοφία. ἢ οὐχ ἅπερ ἐπιστήμονες ταῦτα καὶ

σοφοί;

지혜가 말일세. 아니면 아는 자들이 아는 바로 그것들에서

그들이 지혜롭기도 하지는 않은 건가?

ΘΕΑΙ. Τί μήν;                                                                         5

왜 아니겠습니까?

ΣΩ. Ταὐτὸν ἄρα ἐπιστήμη καὶ σοφία;

그럼 앎과 지혜가 같은 것인가?

ΘΕΑΙ. Ναί.

네.

ΣΩ. Τοῦτ᾿ αὐτὸ τοίνυν ἐστὶν ὃ ἀπορῶ καὶ οὐ δύναμαι

λαβεῖν ἱκανῶς παρ᾿ ἐμαυτῷ, ἐπιστήμη ὅτι ποτὲ τυγχάνει 

ὄν. ἆρ᾿ οὖν δὴ ἔχομεν λέγειν αὐτό; τί φατέ; τίς ἂν ἡμῶν           146a

πρῶτος εἴποι; ὁ δὲ ἁμαρτών, καὶ ὃς ἂν ἀεὶ ἁμαρτάνῃ,

καθεδεῖται, ὥσπερ φασὶν οἱ παῖδες οἱ σφαιρίζοντες, ὄνος·

ὃς δ᾿ ἂν περιγένηται ἀναμάρτητος, βασιλεύσει ἡμῶν καὶ

ἐπιτάξει ὃτι ἂν βούληται ἀποκρίνεσθαι. τί σιγᾶτε; οὔ τί                  5

που, ὦ Θεόδωρε, ἐγὼ ὑπὸ φιλολογίας ἀγροικίζομαι,

προθυμούμενος ἡμᾶς ποιῆσαι διαλέγεσθαι καὶ φίλους τε

καὶ προσηγόρους ἀλλήλοις γίγνεσθαι;

그러니까 바로 이것이 내가 곤란을 겪으며 스스로 충분히

파악할 능력이 없는 것인데, 앎이 도대체 대관절 무엇인가

하는 것일세. 그러니 혹시 정말로 우리가 그걸 말할 수 있을까?

여러분들께서는 무어라 말씀하십니까? 우리 중 누가 처음으로

말할까요? 실수하는 사람, 그러니까 언제나 실수할 그런 사람은,

공놀이하는 아이들이 말하는 것처럼, 당나귀로 주저앉을 겁니다.

반면 실수를 빠져나가는 자는, 우리들의 왕 노릇을 할 테고

답을 듣고자 하는 바를 명령할 것입니다. 어찌 조용히 계십니까?

테오도로스, 혹시 제가 논의사랑으로 인해 뭔가 촌스러운 짓을 한 건 아닌가요?

우리가 대화를 하도록 만들기를 또한 서로 친구이자 마음에 드는 자들이 되기를

열망하느라 말입니다.

ΘΕΟ. Ἥκιστα μέν, ὦ Σώκρατες, τὸ τοιοῦτον ἂν εἴη                      b

ἄγροικον, ἀλλὰ τῶν μειρακίων τινὰ κέλευέ σοι ἀποκρίνε-

σθαι· ἐγὼ μὲν γὰρ ἀήθης τῆς τοιαύτης διαλέκτου, καὶ οὐδ᾿ 

αὖ συνεθίζεσθαι ἡλικίαν ἔχω. τοῖσδε δὲ πρέποι τε ἂν τοῦτο

καὶ πολὺ πλέον ἐπιδιδοῖεν· τῷ γὰρ ὄντι ἡ νεότης εἰς πᾶν                5

ἐπίδοσιν ἔχει. ἀλλ᾿, ὥσπερ ἤρξω, μὴ ἀφίεσο τοῦ Θεαιτήτου

ἀλλ᾿ ἐρώτα.

그런 사람이 촌스러울 리는 거의 없을 것입니다만, 소크라테스,

오히려 젊은이들 중 누군가가 당신에게 답하라고 말씀하세요.

저는 이런 식의 대화에 익숙하질 못하고, 익숙해질 나이도 아니니까요.

그런 일은 이 친구들에게 어울릴 테고 또 무척이나 많은 진척이

있을 겁니다. 그야 실제로 젊음이 모든 일에 진척을 보일 것이니 말입니다.

그럼, 시작하셨던 것처럼, 테아이테토스를 풀어주지 마시고 그에게

질문하시죠.

ΣΩ. Ἀκούεις δή, ὦ Θεαίτητε, ἃ λέγει Θεόδωρος, ᾧ

ἀπιστεῖν, ὡς ἐγὼ οἶμαι, οὔτε σὺ ἐθελήσεις, οὔτε θέμις περὶ             c

τὰ τοιαῦτα ἀνδρὶ σοφῷ ἐπιτάττοντι νεώτερον ἀπειθεῖν.

ἀλλ᾿ εὖ καὶ γενναίως εἰπέ· τί σοι δοκεῖ εἶναι ἐπιστήμη;

그럼, 테아이테토스, 테오도로스께서 하시는 말씀을 듣고,

내가 생각하기로는, 자네가 그 분을 불신하려 하지도 않고,

이런 일들에 관련하여 지혜로운 분께서 명하시는 데에

더 젊은 사람이 납득하지 않는 것이 도리도 아니라네.

허나 잘 그리고 고상하게 말해보게. 자네에겐 앎이 무어라 여겨지는가?

ΘΕΑΙ. Ἀλλὰ χρή, ὦ Σώκρατες, ἐπειδήπερ ὑμεῖς

κελεύετε. πάντως γάρ, ἄν τι καὶ ἁμάρτω, ἐπανορθώσετε.                5

그럼 그래야만 하네요, 소크라테스, 여러분들께서 정말이지

그러라 하신다면 말입니다. 제가 뭔가 실수라도 저지른다면,

여러분들께서 모든 방식으로 바로잡아주실 테니까요.

ΣΩ. Πάνυ μὲν οὖν, ἄνπερ γε οἷοι τε ὦμεν.

그야 물론이지, 우리가 그럴 수 있는 사람들이라면야.

ΘΕΑΙ. Δοκεῖ τοίνυν μοι καὶ ἃ παρὰ Θεοδώρου ἄν τις

μάθοι ἐπιστῆμαι εἶναι, γεωμετρία τε καὶ ἃς νυνδὴ σὺ

διῆλθες, καὶ αὖ σκυτοτομική τε καὶ αἱ τῶν ἄλλων δημι-                d

ουργῶν τέχναι, πᾶσαί τε καὶ ἑκάστη τούτων, οὐκ ἄλλο τι ἢ

ἐπιστήμη εἶναι.

그러니까 제게는 누군가 테오도로스께 배울 것들도

앎이고, 기하학이든 방금 당신께서 상술하신 기술들이든,

또 제화술이든 여타 장인들의 기술들이든,

그 전부도 이것들 각각도, 다름 아닌 앎이라고 여겨집니다.

ΣΩ. Γενναίως γε καὶ φιλοδώρως, ὦ φίλε, ἕν αἰτηθεὶς

πολλὰ δίδως καὶ ποικίλα ἀντὶ ἁπλοῦ.                                          5

고상하고도 베풀기 좋아하는 식으로, 친구여, 하나를 요청받고

단순한 것 대신 여러 다채로운 것들을 주는군.

ΘΕΑΙ. Πῶς τί τοῦτο λέγεις, ὦ Σώκρατες;

어떻게 왜 그리 말씀하시는지요, 소크라테스?

ΣΩ. Ἴσως μὲν οὐδέν· ὃ μέντοι οἶμαι, φράσω. ὅταν

λέγῃς σκυτικήν, μή τι ἄλλο φράζεις ἢ ἐπιστήμην ὑποδη-

μάτων ἐργασίας;

아무것도 아닐 것 같네만, 내 생각을 밝혀보겠네.

자네가 제화술을 말할 때, 신발들의 제작에 대한 앎 외에

달리 무언가를 말하는 건 아니지?

ΘΕΑΙ. Οὐδέν.                                                                         10

다른 아무것도요.

ΣΩ. Τί δ᾿ ὅταν τεκτονικήν; μή τι ἄλλο ἢ ἐπιστήμην τῆς                  e

τῶν ξυλίνων σκευῶν ἐργασίας;

그런데 조립술을 말할 때는 어떤가? 목재 가구들의 제작에 대한

앎 이외에 다른 무언가를 말하는 건 아니지?

ΘΕΑΙ. Οὐδὲ τοῦτο.

다른 건 아닙니다.

ΣΩ. Οὐκοῦν ἐν ἀμφοῖν, οὗ ἑκατέρα ἐπιστήμη, τοῦτο

ὁρίζεις;                                                                                 5

그럼 자네는 두 경우 모두에서, 두 앎 각각이 무엇에 대한 것인지,

그 점을 규정하고 있는 게 아닌가?

ΘΕΑΙ. Ναί.

네.

ΣΩ. Τὸ δέ γ᾿ ἐρωτηθέν, ὦ Θεαίτητε, οὐ τοῦτο ἦν, τίνων

ἡ ἐπιστήμη, οὐδὲ ὁπόσαι τινές· οὐ γὰρ ἀριθμῆσαι αὐτὰς

βουλόμενοι ἠρόμεθα ἀλλὰ γνῶναι ἐπιστήμην αὐτὸ ὃτι ποτ᾿

ἐστίν. ἢ οὐδὲν λέγω;                                                                10

그렇지만 질문받은 바는, 테아이테토스, 앎이 무엇들에 관한

것인지, 그게 아니었고, 무슨 앎들이 얼만큼인지도 아니었다네.

왜냐하면 그 앎들을 셈하려고 생각하며 우리가 질문한 게 아니라

앎 자체가 도대체 무엇인지를 알고자 생각하며 질문했으니까.

아니면 내가 말도 안 되는 소리르 하는 겐가?

ΘΕΑΙ. Πάνυ μὲν οὖν ὀρθῶς.

물론 맞는 말씀이십니다.

ΣΩ. Σκέψαι δὴ καὶ τόδε. εἴ τις ἡμᾶς τῶν φαύλων τι καὶ              147a

προχείρων ἔροιτο, οἷον περὶ πηλοῦ ὅτι ποτ᾿ ἐστίν, εἰ ἀπο-

κριναίμεθα αὐτῷ πηλὸς ὁ τῶν χυτρέων καὶ πηλὸς ὁ τῶν

ἰπνοπλαθῶν καὶ πηλὸς ὁ τῶν πλινθουργῶν, οὐκ ἂν γελοῖοι

εἶμεν;                                                                                     5

그럼 이 점도 고찰해 보게. 만일 누군가 하찮고 손에 닿는(일상적인)

무언가를 우리에게 묻는다면, 예를 들어 진흙이 도대체 무엇인지 묻고,

우리가 도공들의 진흙과 와공들의 진흙 그리고 벽돌공들의 진흙이라

대답한다면, 우리는 우스운 자들이지 않겠나?

ΘΕΑΙ. Ἴσως.

그렇겠지요.

ΣΩ. Πρῶτον μέν γέ που οἰόμενοι συνιέναι ἐκ τῆς

ἡμετέρας ἀποκρίσεως τὸν ἐρωτῶντα, ὅταν ἔιπωμεν πηλός,

εἴτε ὁ τῶν κοροπλαθῶν προσθέντες εἴτε ἄλλων ὡντινωνοῦν            b

δημιουργῶν. ἢ οἴει τίς τι συνίησίν τινος ὄνομα, ὃ μὴ οἶδεν

τί ἐστιν;

일단 첫 번째로는 그 질문자가 우리의 그 대답을 통해

이해한다고 어쨌든 생각하면서, 우리가 진흙을 말할 때,

'도예가들의' 라고 하든 '무엇이든지 다른 장인들의' 라고 하든

덧붙이면서 우스워지겠지. 아니면 자네는, 누구든 그가 그게 무엇인지

알지 못하는 어떤 것의 이름을 조금이라도 이해하리라 생각하는가?

ΘΕΑΙ. Οὐδαμῶς.

결코 아닙니다.

ΣΩ. Οὐδ᾿ ἄρα ἐπιστήμην ὑποδημάτων συνίησιν ὁ                            5

ἐπιστήμην μὴ εἰδώς.

그럼 앎을 알지 못하는 사람은 신발들의 앎도 알지 못하네.

ΘΕΑΙ. Οὐ γάρ.

그야 알지 못하지요.

ΣΩ. Σκυτικὴν ἄρα οὐ συνίησιν ὃς ἂν ἐπιστήμην ἀγνοῇ,

οὐδέ τινα ἄλλην τέχνην.

그럼 앎에 무지한 자라면 제화술 제화술을 이해하지 못할 테고,

다른 어떤 기술도 이해하지 못하겠지.

ΘΕΑΙ. Ἔστιν οὕτως.                                                                  10

그야 그렇지요.

ΣΩ. Γελοία ἄρα ἡ ἀπόκρισις τῷ ἐρωτηθέντι ἐπιστήμη

τί ἐστιν, ὅταν ἀποκρίνηται τένης τινὸς ὄνομα. τινὸς γὰρ

ἐπιστήμην ἀποκρίνεται οὐ τοῦτ᾿ ἐρωτηθείς.                                  c

그럼 앎이 무엇인지 묻는 사람에게 그 대답은 우스운 것이지,

무언가에 대한 기술의 이름이 답으로 주어질 때 말일세. 왜냐하면

그런 것을 질문 받지 않았는데 무언가의 앎을 답으로 내놓고 있으니까.

ΘΕΑΙ. Ἔοικεν.

그런 것 같습니다.

ΣΩ. Ἔπειτά γέ που ἐξὸν φαύλως καὶ βραχέως ἀπο-

κρίνασθαι περιέρχεται ἀπέραντον ὁδόν. οἷον καὶ ἐν τῇ τοῦ

πηλοῦ ἐρωτήσει φαῦλόν που καὶ ἁπλοῦν εἰπεῖν ὅτι γῆ                      5

ὑγρῷ φυραθεῖσα πηλὸς ἂν εἴη, τὸ δ᾿ ὅτου ἐᾶν χαίρειν.

그런데다가 쉽고도 짧게 답하는 게 가능한데도

한정 없는 길을 에둘러 가고 있다네. 이를 테면 진흙의 질문에서도

땅이 물과 섞여서 진흙이라고 어느 정도 쉽고 또 단순한 것을

말할 수 있었을 테고, '무엇의' 라는 것은 내버려둘 수 있었을 걸세.

ΘΕΑΙ. Ῥᾴδιον, ὦ Σώκρατες, νῦν γε οὕτω φαίνεται·

ἀτὰρ κινδυνεύεις ἐρωτᾶν οἷον καὶ αὐτοῖς ἡμῖν ἔναγχος

εἰσῆλθε διαλεγομένοις, ἐμοί τε καὶ τῷ σῷ ὁμωνύμῳ τούτῳ                d

Σωκράτει.

한결 쉽군요, 소크라테스, 이제는 그렇게 보이네요.

그런데 말이죠, 당신께서 물으시려는 것이 저희들 자신에게도 방금

대화하면서 떠올랐던 그런 것이네요, 저와 또 당신의 동명이인인

여기 이 소크라테스에게 말이에요.

ΣΩ. Τὸ ποῖον δή, ὦ Θεαίτητε;

그래서 어떤 것이었나, 테아이테토스?

ΘΕΑΙ. Περὶ δυνάμεών τι ἡμῖν Θεόδωρος ὅδε ἔγραφε,

τῆς τε τρίποδος πέρι καὶ πεντέποδος ὅτι μήκει οὐ σύμ-                     5

μετροι τῇ ποδιαίᾳ, καὶ οὕτω κατὰ μίαν ἑκάστην προ-

αιρούμενος μέχρι τῆς ἑπτακαιδεκάποδος· ἐν δὲ ταύτῃ πως

ἐνέσχετο. ἡμῖν οὖν εἰσῆλθέ τι τοιοῦτον, ἐπειδὴ ἄπειροι τὸ

πλῆθος αἱ δυνάμεις ἐφαίνοντο, πειραθῆναι συλλαβεῖν εἰς

ἕν, ὅτῳ πάσας ταύτας προσαγορεύσομεν τὰς δυνάμεις.                    e

가능수들에 관하여 어떤 것을 저희에게 테오도로스께서 이렇게 작도해

주셨는데요, 3피트 제곱수나 5피트의 제곱수, 즉 길이에서 피트로 

측정되지 않는 것에 관해서, 그리고 그렇게 각기 하나씩 제시하시면서

17피트의 제곱수에 이르기까지 작도해 주셨습니다. 그런데 이 가능수에서

어쨌든(어떤 식으론가) 멈추셨습니다. 그리하여 저희에게 이런 어떤 생각이 

들었습니다만, 제곱수들이 수에서 무한한 것들로 나타나고 있었기에,

하나로 모아 보아야 하겠다는 것입니다. 이것으로 그런 모든 제곱수들을

저희가 부르도록 말이죠.

ΣΩ. Ἦ καὶ ηὕρετέ τι τοιοῦτον;

정말로 자네들이 그런 어떤 것을 발견하기까지 한 겐가?

ΘΕΑΙ. Ἔμοιγε δοκοῦμεν· σκόπει δὲ καὶ σύ.

제게는 저희가 발견했다고 여겨집니다만, 당신께서도 살펴봐 주세요.

ΣΩ. Λέγε.

말해 보게.

ΘΕΑΙ. Τὸν ἀριθμὸν πάντα δίχα διελάβομεν· τὸν μὲν                          5

δυνάμενον ἴσον ἰσάκις γίγνεσθαι τῷ τετραγώνῳ τὸ σχῆμα

ἀπεικάσαντες τετράγωνόν τε καὶ ἰσόπλευρον προσείπομεν.

저희는 수를 모두 두 가지로 나누어 파악하였습니다. 한편의 수는

같은 크기의 수를 그 수 만큼 거듭하여 생성될 수 있기에 모양에서 

사각형에 빗대어 사각수 또는 등변수라 이름붙였습니다.

ΣΩ. Καὶ εὖ γε.

그것 참 잘 해냈군.

ΘΕΑΙ. Τὸν τοίνυν μεταξὺ τούτου, ὧν καὶ τὰ τρία καὶ

τὰ πέντε καὶ πᾶς ὃς ἀδύνατος ἴσος ἰσάκις γενέθαι, ἀλλ᾿ ἢ             148a

πλείων ἐλαττονάκις ἢ ἐλάττων πλεονάκις γίγνεται, μείζων

δὲ καὶ ἐλάττων ἀεὶ πλευρὰ αὐτὸν περιλαμβάνει, τῷ

προμήκει αὖ σχήματι ἀπεικάσαντες προμήκη ἀριθμὸν

ἐκαλέσαμεν.                                                                             5

그리고서 그 수의 사이의 수, 3과 5와 또한 같은 크기의 수를 

그 수 만큼 거듭하여 생겨나는 것이 불가능하고, 오히려 더 많은 수를 

그보다 적은 횟수로 거듭하거나 더 적은 수를 그보다 더 많은 횟수로 

거듭하여 생겨나며, 더 큰 변과 더 작은 변이 그 수를 에워싸는 모든

수가 그에 속하는 수를, 직사각 형태에 빗대어 직사각 수라고

불렀습니다.

αὐτὸν Smyth 2517

-蟲-

 

09-10

 

 

 

 

 

 

 

10-11

 

 

물리학의 철학 대학원

 

 

 

 

11-12

 

 

물리학의 철학 대학원

 

 

 

 

12-13

 

 

물리학의 철학 대학원

 

 

 

 

13-14

 

 

 

 

 

 

 

14-15

 

『테아이테토스』 강독(예정)

 


서양고대철학 플라톤의 『테아이테토스』 대학원

 

 

15-16

 

『테아이테토스』 강독(예정)

 

 서양고대철학 플라톤의 『테아이테토스』 대학원

 

 

16-17

 

『테아이테토스』 강독(예정)

 

 서양고대철학 플라톤의 『테아이테토스』 대학원

 

 

17-18

 

 

 

 

 

 

 

18-19

 

형이상학연구 대학원

 

 


 

 

19-20

 

형이상학연구 대학원

 

 

 

20-21

 

형이상학연구 대학원

 

 

 

21-22

 

 

 

 

 


강독: DK 미정

-蟲-

ΘΕΑΙΤΗΤΟΣ

ΕΥΚΛΕΙΔΗΣ  ΤΕΡΨΙΩΝ


ΕΥ. Ἄρτι, ὦ Τερψίων, ἢ πάλαι ἐξ ἀγροῦ;                               142a

테르시온, 시골에서 나온 게 얼마 전인가 아니면 오래 된 겐가?

ΤΕΡ. Ἐπιεικῶς πάλαι. καὶ σέ γε ἐξήτουν κατ᾿ ἀγορὰν

καὶ ἐθαύμαζον ὅτι οὐχ οἷός τ᾿ ἦ εὑρεῖν.

꽤나 오래 되었지. 내가 자네를 시장에서 찾고 있었네만

찾을 수가 없어서 놀라고 있었다네.

ΕΥ. Οὐ γὰρ ἦ κατὰ πόλιν.

도시에 없었으니 말이네.

ΤΕΡ. ποῦ μήν;                                                                       5

그럼 어디 있었던 겐가?

ΕΥ. Εἰς λιμένα καταβαίνων Θεαιτήτῳ ἐνέτυχον φερο-

μένῳ ἐκ Κορίνθου ἀπὸ τοῦ στρατοπέδου Ἀθήναζε.

항구로 내려갔는데 코린토스의 군에서 아테네로 후송되어 

나오던 테아이테토스를 만났었다네.

ΤΕΡ. Ζῶντι ἢ τετελευτηκότι;

살아있는 테아이테토스와 만난 겐가 아니면 죽어버린 그와 만난 겐가?

ΕΥ. Ζῶντι καὶ μάλα μόγις· χαλεπῶς μὲν γὰρ ἔχει καὶ                     b

ὑπὸ τραυμάτων τινῶν, μᾶλλον μὴν αὐτὸν αἱρεῖ τὸ γεγονὸς

νόσημα ἐν τῷ στρατεύματι.

그야말로 아주 가까스로 살아있는 그와 만났다네. 어떤 부상들로도

어려운 처지였는데, 더구나 그가 그 군대에 창궐한 역병에

걸렸으니 말이지.

ΤΕΡ. Μῶν ἡ δυσεντερία;

설마 이질은 아니었겠지?

ΕΥ. Ναί.                                                                               5

그렇다네.

ΤΕΡ. Οἷον ἄνδρα λέγεις ἐν κινδύνῳ εἶναι.

자네 곤경에 빠진 사람 이야기를 하는구만.

자네 그런 사람이 곤경에 빠져 있다고 말하는구만.

ΕΥ. Καλόν τε καὶ ἀγαθόν, ὦ Τερψίων, ἐπεί τοι καὶ νῦν

ἢκουόν τινων μάλα ἐγκωμιαζόντων αὐτὸν περὶ τὴν μάχην.

아름답고도 훌륭한 사람 말일세, 테릅시온. 알다시피 지금까지도

나는 어떤 사람들로부터 그 전투와 관련하여 그를 칭송하는 소리들을 들어왔으니.

-아름답고 훌륭한 데다가 전쟁터에서 칭송을 지금도 들었다.

ΤΕΡ. Καὶ οὐδέν γ᾿ ἄτοπον, ἀλλὰ πολὺ θαυμαστότερον

εἰ μὴ τοιοῦτος ἦν. ἀτὰρ πῶς οὐκ αὐτοῦ Μεγαροῖ κατέλυεν;            c

하등 이상할 것도 없고, 오히려 그가 이런 사람이 아니었더라면

훨씬 더 놀랄 일이지. 어떻게 그럼에도 그는 여기 메가라에 머물지 않았나?

ΕΥ. Ἠπείγετο οἴκαδε· ἐπεὶ ἔγωγ᾿ ἐδεόμην καὶ

συνεβούλευον, ἀλλ᾿ οὐκ ἤθελεν. καὶ δῆτα προπέμψας

αὐτόν, ἀπιὼν πάλιν ἀνεμνήσθην καὶ ἐθαύμασα Σωκράτους

ὡς μαντικῶς ἄλλα τε δὴ εἶπε καὶ περὶ τούτου. δοκεῖ γάρ                5

μοι ὀλίγον πρὸ τοῦ θανάτου ἐντυχεῖν αὐτῷ μειρακίῳ ὄντι,

καὶ συγγενόμενός τε καὶ διαλεχθεὶς πάνυ ἀγασθῆναι αὐτοῦ

τὴν φύσιν. καί μοι ἐλθόντι Ἀθήναζε τούς τε λόγους οὓς διε-

λέχθη αὐτῷ διηγήσατο καὶ μάλα ἀξίους ἀκοῆς, εἶπέ τε ὅτι             d

πᾶσα ἀνάγκη εἴη τοῦτον ἐλλόγιμον γενέσθαι, εἴπερ εἰς

ἡλικίαν ἔλθοι.

그는 집(고국)으로 길을 재촉했다네. 나 자신도 청했거니와

조언도 하였네만, 그는 바라지 않았지. 그리고, 그래, 그를

배웅해주고서, 되돌아 떠나오며 소크라테스께서 다른 일들을

말씀하셨을 때도 그렇지만(특히) 그 사람에 관하여 말씀하셨을 때

얼마나 예언자같으셨는지 기억을 떠올리고는 놀라 버렸다네.

왜냐하면 내게는 거의 죽음에 이른 그 분께서 소년인 그와 만나셨던 것으로,

또 함께 어울리게 되셔서 대화를 나누시고는 그 사람의 본성에

크게 감탄하셨던 것으로 여겨졌으니까. 또한 그 분께서는 아테네에 갔던

내게 그 분께서 그와 나누셨고 무척이나 들을 가치가 있기도 한 말들을

풀어내주셨을 뿐만 아니라, 이런 사람이, 만일 청년기에 이르기만 한다면,

명성을 떨치게 되리란 것은 전적으로 필연적이리라고도 말씀하셨다네.

ΤΕΡ. Καὶ ἀληθῆ γε, ὡς ἔοικεν, εἶπεν. ἀτὰρ τίνες ἦσαν

οἱ λόγοι; ἔχοις ἂν διηγήσασθαι;                                                5

게다가 맞는 말씀을 하신 것 같기도 하군. 그런데 그 말들은

무슨 말들이었나? 자네가 풀어내줄 수 있겠나?

ΕΥ. Οὐ μὰ τὸν Δία, οὔκουν οὕτω γε ἀπὸ στόματος· ἀλλ᾿

ἐγραψάμην μὲν τότ᾿ εὐθὺς οἴκαδ᾿ ἐλθὼν ὑπομνήματα,            143a

ὕστερον δὲ κατὰ σχολὴν ἀναμιμνῃσκόμενος ἔγραφον, καὶ

ὁσάκις Ἀθήναζε ἀφικοίμην, ἐπανηρώτων τὸν Σωκράτη ὃ

μὴ ἐμεμνήμην, καὶ δεῦρο ἐλθὼν ἐπηνωρθούμην· ὥστε μοι

σχεδόν τι πᾶς ὁ λόγος γέγραπται.                                             5

제우스께 맹세코 그렇지를 못하다네, 내 입으로 그렇게는 못하지.

허나 그때 곧장 집으로 가서(그때 곧장 집으로 가자마자) 기억할 거리들을 적어두었고,

이후 여가시간마다 기억을 떠올리며 적었으며, 내가 아테네에

들를 때마다, 소크라테스님께 내가 기억하지 못한 바를

여쭈어서, 이곳에 와서 바로잡았다네. 그래서 내게

그 논의 거의 전부가 기록되어 있지.

ΤΕΡ. Ἀλλ᾿ ἤδη ἤκουσά σου καὶ πρότερον, καὶ μέντοι

ἀεὶ μέλλων κελεύσειν ἐπιδεῖξαι διατέτριφα δεῦρο. ἀλλὰ τί

κωλύει νῦν ἡμᾶς διελθεῖν; πάντως ἔγωγε καὶ ἀναπαύσα-

σθαι δέομαι ὡς ἐξ ἀγροῦ ἥκων.

이전에도 자네에게 이미 들었고, 게다가 물론

언제나 보여달라 하려던 참이었네만 여기(지금)까지 미뤄 왔다네. 허나

이제 우리가 펼쳐놓는 걸 무엇이 막겠는가? 나로서는 시골에서 

참이니 전적으로 휴식을 필요로 하기도 하고 말일세.

(앞에 '오래 전'이 하루 안이냐 몇 달 전이냐.) 

ΕΥ. Ἀλλὰ μὲν δὴ καὶ αὐτὸς μέχρι Ἐρινοῦ Θεαίτητον                    b

προύπεμψα, ὥστε οὐκ ἂν ἀηδῶς ἀναπαυοίμην. ἀλλ᾿ ἴωμεν,

καὶ ἡμῖν ἅμα ἀναπαυομένοις ὁ παῖς ἀναγνώσεται.

허나 실은 나도 테아이테토스를 에리노스까지

배웅해주었으니, 쉬는 일이 달갑지 않을 것 없다네. 그럼 가보세,

우리가 함께 쉬고 있으면 시종아이가 읽어줄 걸세.

ΤΕΡ. Ὀρθῶς λέγεις.

맞는 말이군.


ΕΥ. Τὸ μὲν δὴ βιβλίον, ὦ Τερψίων, τουτί· ἐγραψάμην                    5

δὲ δὴ οὑτωσὶ τὸν λόγον, οὐκ ἐμοὶ Σωκράτη διηγούμενον

ὡς διηγεῖτο, ἀλλὰ διαλεγόμενον οἷς ἔφη διαλεχθῆναι. ἔφη

δὲ τῷ τε γεωμέτρῃ Θεοδώρῳ καὶ τῷ Θεαιτήτῳ. ἵνα οὖν ἐν

τῇ γραφῇ μὴ παρέχοιεν πράγματα αἱ μεταξὺ τῶν λόγων             c

διηγήσεις περὶ αὑτοῦ τε ὁπότε λέγοι ὁ Σωκράτης, οἷον

"καὶ ἐγὼ ἔφην" ἢ "καὶ ἐγὼ εἶπον," ἢ αὖ περὶ τοῦ ἀπο-

κρινομένου ὅτι "συνέφη" ἢ "οὐχ ὡμολόγει," τούτων ἕνεκα

ὡς αὐτὸν αὐτοῖς διαλεγόμενον ἔγραψα, ἐξελὼν τὰ                        5

τοιαῦτα.

이게 정말로 그 책이라네, 테릅시온. 그런데 그 논의를

소크라테스께서 내게 상술해주신 것이 아니라,

저들과 대화하셨다고 그 분께서 말씀하셨던 대화로 

그렇게 적어두었지. 그 분께서는 저들이 기하학자 테오도로스와

테아이테토스라고 말씀하셨네. 그러니 글 안에서 논의들 사이의

당신 자신에 관한 언급들이 소크라테스께서 말씀하실 때마다

말썽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그리고 내가 말했네" 라든지

"내가 말했지" 또는 대답하는 이와 관련해서 "그가 한 목소리를 냈네," 

"그는 동의하지 않았네" 같은 이런 언급들 때문에

그 분께서 저들과 대화하시는 것으로 적었고, 저런 것들은

빼버렸다네.

ΤΕΡ. Καὶ οὐδέν γε ἀπὸ τρόπου, ὦ Εὐκλείδη.

게다가 이상할 것도 전혀 없군, 에우클레이데스.

ΕΥ. Ἀλλά, παῖ, λαβὲ τὸ βιβλίον καὶ λέγε.

그럼, 얘야, 책을 들어 말해주렴.

- 죽음을 앞둔 소크라테스와 어린 테아이테토스의 대화

-> 아테네에 온 에우클레이데스에게 소크라테스가 전해줌

-> 에우클레이데스가 기록하고 소크라테스와 만나 교정 

-> 에우클레이데스가 테릅시온과 만나 노예가 읽어줌

테아이테토스는 현재 전쟁 부상. 시간의 경과+실제 대화로부터의 거리. 거리두기? 문자로 지식의 전달될 수 있는지의 문제?

'새장의 비유'와 관련해서 생각해볼 수 있는 부분이 있는가?

『소피스트』도 이 액자 내부의 이야기로 연속되는지?


ΘΕΑΙΤΗΤΟΣ

ΣΩΚΡΑΤΗΣ ΘΕΟΔΩΡΟΣ ΘΕΑΙΤΗΤΟΣ


ΣΩ. Εἰ μὲν τῶν ἐν Κυρήνῃ μᾶλλον ἐκηδόμην, ὦ                          d

Θεόδωρε, τὰ ἐκεῖ ἄν σε καὶ περὶ ἐκείνων ἀνηρώτων, εἴ

τινες αὐτόθι περὶ γεωμετρίαν ἤ τινα ἄλλην φιλοσοφίαν εἰσὶ

τῶν νέων ἐπιμέλειαν ποιούμενοι· νῦν δὲ ἧττον γὰρ ἐκείνους

ἢ τούσδε φιλῶ, καὶ μᾶλλον ἐπιθυμῶ εἰδέναι τίνες ἡμῖν τῶν            5

νέων ἐπίδοξοι γενέσθαι ἐπιεικεῖς. ταῦτα δὴ αὐτός τε

σκοπῶ καθ᾿ ὅσον δύναμαι, καὶ τοὺς ἄλλους ἐρωτῶ οἷς ἂν

ὁρῶ τοὺς νέους ἐθέλοντας συγγίγνεσθαι. σοὶ δὴ οὐκ ὀλί-

γιστοι πλησιάζουσι, καὶ δικαίως· ἄξιος γὰρ τά τε ἄλλα καὶ           e

γεωμετρίας ἕνεκα. εἰ δὴ οὖν τινι ἐνέτυχες ἀξίῳ λόγου,

ἡδέως ἂν πυθοίμην.

만일 퀴레네의 사람들을 염려하고 있었다면, 테오도로스,

저곳의 일들과 저들에 관해 당신께 여쭈었겠지요, 

바로 그곳에서 젊은이들 중 어떤 이들이 기하학이나 다른 어떤 지혜사랑에 관해

관심을 기울고 있는지를 말입니다. 헌데 실은 제가 저들을

이곳 사람들보다는 덜 사랑하고, 우리네 젊은이들 중

어떤 이들이 잘 될 만한 자들인지 알기를 훨씬 더 열망합니다. 그래서 제 자신도

이런 일들을 능력이 닿는 한 살펴보고 있고, 제가 보기에 젊은이들이

그들과 어울리길 바라는 것으로 보이는 그런 다른 이들에게도 묻고 있지요.

그래서 그들이 당신께 결코 적잖이 따르고 있고, 그게 마땅하기도 합니다. 다른 점들에서도 그렇거니와

기하학 때문에도 그럴 가치가 있는 분이시니까요. 그러하니 실로 누군가 언급할 만한 이를

만나셨다면, 기쁘게 듣고자 합니다.

ΘΕΟ. Καὶ μήν, ὦ Σώκρατες, ἐμοί τε εἰπεῖν καὶ σοὶ

ἀκοῦσαι πάνυ ἄξιον οἵῳ ὑμῖν τῶν πολιτῶν μειρακίῳ ἐντε-             5

τύχηκα. καὶ εἰ μὲν ἦν καλός, ἐφοβούμην ἂν σφόδρα λέγειν,

μὴ καί τῳ δόξω ἐν ἐπιθυμίᾳ αὐτοῦ εἶναι. νῦν δέ―καὶ μή

μοι ἄχθου―οὐκ ἔστι καλός, προσέοικε δὲ σοὶ τήν τε

σιμότητα καὶ τὸ ἔξω τῶν ὀμμάτων· ἦττον δὲ ἢ σὺ ταῦτ᾿

ἔχει.                                                                             144a

뿐만 아니라, 소크라테스, 당신네 시민들 중에서 내가 만난 적이

있는 친구는 나로서도 무척이나 말할 만하고 자네에게도 무척이나

들을 만한 사람이지요. 또 그가 만일 아름다웠더라면, 과장하여 말하기가

두려웠을 겝니다, 제가 그에 대한 열망에 빠진 것으로 여겨지지나 않을까 해서요.

그런데 실은―제게 화를 내진 마시고요―그가 아름답지 않고, 들창코나

튀어나온 두 눈이 당신을 닮았답니다. 당신보단 덜 하지만 말이에요.


     ἀδεῶς δὴ λέγω. εὖ γὰρ ἴσθι ὅτι ὧν δὴ πώποτε ἐνέ-             144a

τυχον―καὶ πάνυ πολλοῖς πεπλησίακα―οὐδένα πω

ᾐσθόμην οὕτω θαυμαστῶς εὖ πεφυκότα. τὸ γὰρ εὐμαθῆ

ὄντα ὡς ἄλλῳ χαλεπὸν πρᾷον αὖ εἶναι διαφερόντως, καὶ

ἐπὶ τούτοις ἀνδρεῖον παρ᾿ ὁντινοῦν, ἐγὼ μὲν οὔτ᾿ ἂν ᾠόμην          5

γενέσθαι οὔτε ὁρῶ γιγνόμενον· 

거리낌 없이 말합니다. 잘 알아두시란 말씀입니다. 제가 만났던

자들 중―무척이나 많은 이들을 따라다녔기도 했고요―여지껏

그렇게나 놀랍도록 훌륭하게 타고난 자는 그 누구도 본 적이 없습니다.

다른 이에게 어려울 만큼 잘 배우는가 하면 또 특출나게 온화하기도 하며,

이런 점들에 더하여 그 누구에 비해서도 용감하다니, 저는 그런 일이

생겨나리라 생각지도 못했을 테고 그리 된 일을 보지도 못하고 있습니다.

ὧν δὴ 데니스톤 δὴ 설명 중.

                                         ἀλλ᾿ οἵ τε ὀξεῖς ὥσπερ

οὗτος καὶ ἀγχίνοι καὶ μνήμονες ὡς τὰ πολλὰ καὶ πρὸς τὰς

ὀργὰς ὀξύρροποί εἰσι, καὶ ᾄττοντες φέρονται ὥσπερ τὰ

ἀνερμάτιστα πλοῖα, καὶ μανικώτεροι ἢ ἀνδρειότεροι

φύονται, οἵ τε αὖ ἐμβριθέστεροι νωθροί πως ἀπαντῶσι         b

πρὸς τὰς μαθήσεις καὶ λήθης γέμοντες. ὁ δὲ οὕτω λείως τε

καὶ ἀπταίστως καὶ ἀνυσίμως ἔρχεται ἐπὶ τὰς μαθήσεις τε

καὶ ζητήσεις μετὰ πολλῆς πρᾳότητος, οἷον ἐλαίου ῥεῦμα

ἀψοφητὶ ῥέοντος, ὥστε θαυμάσαι τὸ τηλικοῦτον ὄντα                  5

οὕτως ταῦτα διαπράττεσθαι.

                                        그러나 그 친구처럼 

예리하고 영민하며 기억력이 좋은 사람들은 대개 욱하기 

쉬운 자들이고, 달려들기를 마치 바닥짐 없는 배들처럼 

움직여대며, 더 용감하기 보다는 더 광적인

자들로 타고나고(자라고), 또 한편 더 진중한 자들도

어쨌든 우둔한 자들로 배움에 마주하고 망각으로 가득차지요.

그런데 그 친구는 그렇게나 부드럽고도 신중하며 효율적으로

온화함을 가지고 배움과 탐구에 임하여, 올리브 기름이

소리 없이 흐르듯 하기에, 그래서 그 나이에 그런 식으로

그런 일들을 해낸다는 것이 놀라울 정도랍니다.

ΣΩ. Εὖ ἀγγέλλεις. τίνος δὲ καὶ ἔστι τῶν πολιτῶν;

좋은 소식을 전해주시네요. 그런데 시민들 중 누구의 자제인가요?

ΘΕΟ. Ἀκήκοα μὲν τοὔνομα, μνημονεύω δὲ οὔ. ἀλλὰ

γάρ ἐστι τῶνδε τῶν προσιόντων ὁ ὲν τῷ μέσῳ· ἄρτι γὰρ ἐν           c

τῷ ἔξω δρόμῳ ἠλείφοντο ἑταῖροί τέ τινες οὗτοι αὐτοῦ καὶ

αὐτός, νῦν δέ μοι δοκοῦσιν ἀλειψάμενοι δεῦρο ἰέναι. ἀλλὰ

σκόπει εἰ γιγνώσκεις αὐτόν.

이름은 들었습니다만, 기억하지는 못합니다. 허나

다가오고 있는 이 사람들 중 가운데에 있는 사람입니다. 방금

외부 경주로에서 그 친구와 그의 동료 몇이 몸에 기름을

바르고 있었는데, 이제 기름을 바르고 여기로 오고 있는 걸로

여겨져서요. 그를 알아보시겠는지 살펴보시죠.

ΣΩ. Γιγνώσκω· ὁ τοῦ Σουνιέως Εὐφρονίου ἐστιν, καὶ                     5

πάνυ γε, ὦ φίλε, ἀνδρὸς οἷον καὶ σὺ τοῦτον διηγῇ, καὶ

ἄλλως εὐδοκίμου, καὶ μέντοι καὶ οὐσίαν μάλα πολλὴν

κατέλιπεν. τὸ δ᾿ ὄνομα οὐκ οἶδα τοῦ μειρακίου.

알아보겠네요. 수니온의 에우프로니오스의 아들이고,

그는 꽤나 당신께서 저 친구를 말씀하신 그런 사람입니다만,

다른 식으로도 평판이 좋은 사람이고, 더욱이 재산도 무척이나

많이 남겼답니다. 그런데 청년의 이름은 알지 못합니다.

ΘΕΟ. Θεαίτητος, ὦ Σώκρατες, τό γε ὄνομα· τὴν μέντοι                 d

οὐσίαν δοκοῦσί μοι ἐπίτροποί τινες διεφθαρκέναι. ἀλλ᾿

ὅμως καὶ πρὸς τὴν τῶν χρημάτων ἐλευθεριότητα θαυμα-

στός, ὦ Σώκρατες.

그 이름은 테아이테토스랍니다, 소크라테스. 그 재산은 

후견인 몇이 날려버린 것으로 여겨지지만요. 허나

그럼에도 재물에 대한 자유인다움에 대해서도 그는

놀라운 사람이랍니다, 소크라테스.

ΣΩ. Γεννικὸν λέγεις τὸν ἄνδρα. καί μοι κέλευε αὐτὸν                     5

ἐνθάδε παρακαθίζεσθαι.

혈통이 좋은 사내를 말씀하시는군요. 그럼 저를 위해 그 친구가

여기로 와 곁에 앉으라 해 주시죠.

ΘΕΟ. Ἔσται ταῦτα. θεαίτητε, δεῦρο παρὰ Σωκράτη.

그럴 겁니다. 테아이테토스, 이쪽 소크라테스 곁이라네.

ΣΩ. Πάνυ μὲν οὖν, ὦ Θεαίτητε, ἵνα κἀγὼ ἐμαυτὸν

ἀνασκέψωμαι ποῖόν τι ἔχω τὸ πρόσωπον· φησὶν γὰρ

Θεόδωρος ἔχειν με σοὶ ὅμοιον. ἀτὰρ εἰ νῷν ἔχόντοιν ἑκα-            e

τέρου λύραν ἔφη αὐτὰς ἡρμόσθαι ὁμοίως, πότερον εὐθὺς

ἂν ἐπιστεύομεν ἢ ἐπεσκεψάμεθ᾿ ἂν εἰ μουσικὸς ὢν λέγει;

그러하니 부디, 테아이테토스, 나로서도 나 자신이

외모가 뭐가 어찌 되어있는지 돌이켜 살펴볼 수 있게 말일세.

테오도로스께서 내가 자네와 닮은 꼴을 가지고 있다고 말씀하시니까.

그렇지만 만일 우리 두 사람이 각자 뤼라를 지니고 있는데

그 뤼라들이 닮은 식으로 조율되었다고 말씀하시는 거라면, 우리는

곧장 믿겠는가 아니면 그 분께서 음악에 능한 분으로서 말씀하시는지

검토해 보겠는가?

ΘΕΑΙ. Ἐπεσκεψάμεθ᾿ ἄν.

검토해 보겠지요.

ΣΩ. Οὐκοῦν τοιοῦτον μὲν εὑρόντες ἐπειθόμεθ᾿ ἄν,                        5

ἄμουσον δέ, ἠπιστοῦμεν;

그럼 그런 분임을 알고서는(발견하고서는) 우리가 믿을 테지만,

음악에 문외한이시라면, 안 믿겠지?

ΘΕΑΙ. Ἀληθῆ.

맞습니다.

ΣΩ. Νῦν δέ γ᾿, οἶμαι, εἴ τι μέλει ἡμῖν τῆς τῶν

προσώπων ὁμοιότητος, σκεπτέον εἰ γραφικὸς ὢν λέγει ἢ         145a

οὔ.

그런데 이제, 내 생각에, 만일 우리 외모의 닮음이 무슨

관심거리라면, 이 분께서 그림에 능한 분으로서 말씀하시는지

아닌지를 검토해야만 한다네.

ΘΕΑΙ. Δοκεῖ μοι.

그리 여겨집니다.

ΣΩ. Ἦ οὖν ζωγραφικὸς Θεόδωρος;

그럼 테오도로스께서는 회화(채색화?)에 능한 분이신가?


-蟲-

1. 『소피스트』 강독 8월 재개. 『필레보스』 강독 정상 진행. 『테아이테토스』 강독 7월 시작. 

   논문 중앙도서관 제출 전 수정 작업 7월 말까지.

   유학? 수료 후? 옥스포드의 루카씨도 제네바의 크레빌리씨도 오하이오의 실버만씨도 모두 안녕들 하신지요? 여러분들께서는 플라톤의 진리론과 논리적 규칙들에 대한 체계화 작업에 관심이 있으실까요?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로티노스와 스토아와 에피쿠로스와 아카데미아 회의주의라는 여러 갈래로 분기하는 파르메니데스와 제논의 논리학에 대한 직관과 통찰은 문헌근거를 통해 구체화될 수 있는 것일까요? 이 흐름 안에서 형상의 자기술어화는 해명되고 또 정당화될 수 있는 것일는지요? 별 하나에 그리운 이름 하나씩 불러보면 멀리 북간도에서 아싸삐리뽕. 닝기미니주가리씨빠빠 어디의 누구한테 뭘 하러 왜 가야 하는지가 나와야 가든지 말든지 하겠으나, 그런 게 나온다고 내가 그냥 막 그냥 아주 그냥 갈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제기난장맞을 거. 사는 내내 스스로 또 남들을 통해 검증받고 검토받고 시험당하지 않고는 이 삶이 정말로 살 가치가 있는 것인지 그 의심을 도무지 떨칠 수가 없을 것 같고, 다만 바라는 거라곤 그것뿐이라 또 막상 뭐 그리 대단하게 두렵거나 불안할 것도 없고 마음이 조급해질 건덕지도 없는 것 아닌가 싶기도 하다만, 모르겠네. 허접찌끄래기개쓰레기마냥 나뒹굴다 어디 나자빠져 뒈지기밖에 더 하겠나.

2. 여전히 울분에 가득 차 있건만 이젠 차마 면목이 없고 더 팔아먹을 쪽조차 남질 않아서 타고 남은 쭉정이마냥 허부적거리기만 한다. 여전히, 여전히 이해할 수 없고 공감이 가질 않고 화가 날 따름이다. 어떻게 그렇게까지 게으르고 또 부끄러움을 모르면서도 허영과 자만을 이 악물고 붙들고 늘어지며 놓지 않을 수가 있는가. 누군가는 외롭게 늙으면 다들 그런다고도 하더만, 글쎄, 젊거나 어리다고 뭐 딱히 대단하게 다를 것도 없지 않나. 남의 생각을 차분히 이해할 노력도 하기 싫고 제 생각을 차근차근 면밀히 따지고 쌓아 이해시키고 설득시키려는 노력 또한 하기 싫은 거라면 대체 왜 학문씩이나 한답시고 개꼬장을 피워대는 건가.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그래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고 그리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미안했으며 이 혐오와 좌절과 간절함 같은 것이 공감을 얻을 수 있을 거란 막연한 기대마저 가졌더랬다. 그러나 갈수록 모르겠는 거다. 애초에 생각하는 일 자체가 귀찮은 족속들에게, 실로 생각할 능력이 돼먹질 못한 시정잡배개쓰레기시궁창버러지 따위인 나란 새끼는 지들과 아무런 차이도 없는 새끼로 보일 텐데, 니나내나 도긴개긴인 마당에 악다구니쓰며 지랄쌩쇼에 매진하는 내가 또 얼마나 우스울 것인가. 결과만 놓고 보자면 다 마찬가지일 테니, 있는 대가릴 굴리지 않는 새끼들과 없는 대가릴 굴리겠다고 아등바등하는 내가 다 함께 어우러져 씹창을 낼 따름이랄까. 무슨 말을 더 하겠나. 백마 타고 오는 초인이 외줄 타는 난장이를 뛰어넘었다가 능지처참을 당하려나. 

3. 어떤 팟캐스트에서 에우다이모니아를 갖고 개소리를 한다. 개소리를 하긴 하는데, 그냥 단어 번역이 개판이란 것이고 어쨌든 고대에는 행복이 객관적인 어떤 것이었다더라, 그런데 요즘은 주관적인 만족 같은 뭐 그런 거더라, 그런데 행복에 지표를 두고 조사를 돌려 국가간에 순위를 매기더라, 뭐 그러고 넘어가더라. 그깟 거 틀려 봤자 별 상관 없는 거다. 그냥 잔가지, 곁가지, 없어도 되는 말. 덕윤리니 객관적 목록이론이니 논문거리야 많겠다만, 저 방송에서 하려던 말이 그건 아니었던 거고, 그냥 듣고 있자니 허망해지더라. 통계가 있고 항목이 있고 조사의 대상과 방법으로부터 결과에 이르는 과정에 어떤 왜곡이 있고 또 그 안에서 도출되어 나오는 함의가 있고, 그런 이야기들에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의 문헌을 물고 뜯는 작업이 무슨 기여를 할 수 있으리라는 그림이랄까, 각이랄까, 뭐 와꾸랄까 그런 게 잘 안 나오는 것 같고. 진즉부터 철학이란 게 아예 없더라도 그래서 세상이 망하거나 인류가 멸종하거나 하는 일은 전혀 없으리라고 생각은 해 왔지만, 글쎄. 

4. 만일 좋음과 훌륭함과 정의에는 형상이 있는데 인간과 소에는 있는지 잘 모르겠고 먼지와 구더기와 똥오줌에는 없을 거라면, 하나 그 자체와 하나인 좋음과 하나인 인간과 하나인 구더기와 여기 있는 이 한 사람과 저기 있는 저 한 마리 구더기의 이 모든 하나들이 다 같은 하나이지도 전혀 다른 하나들이지도 않다고 해야만 한다면, 그래서 어떤 무엇이 정말로 그러한 것인지 알 수 없고 무엇이 어떠하지 않은데도 그러하다 말할 수 있는지도 알 수 없다면, 참과 앎은 어떻게 가능하고 거짓과 기만은 또 어떻게 가능하며 참과 거짓이 언제나 한결같은 경우와 때에 따라 이리저리 뒤섞이는 경우는 어떻게 구분할 수 있겠는지, 『파르메니데스』에서 『테아이테토스』와 『소피스트』로 하나의 문제에 대한 두 방향의 대답이 주어지고 있다는 그림을 그려 보고 싶고 이미 그게 그런 그림이라고 말하는 대단하신 노친네들이 없었던 것도 아니긴 한데, 모르겠네. 그걸 왜 하나, 하지 않으면 무슨 문제가 생기고 그걸 하면 뭐가 어떻게 나아지나, 그 얘기를 하는 게 나 하난가 아님 벌써 철 지난 옛 유행에 지나지 않는가, 잘 모르겠으니 읽어볼 수밖에.

5. 고대철학 하나, 현대영미형이상학 하나, 나머지 하나는 뭘 들어야 하려나. 강의 세 개에 강독 세 개, 아니, 네 갠가. 뭐 하나는 해 놓은 거 다시 보는 거고, 다른 하나는 남이 한 거 훑으면서 따라가는 거고, 또 다른 하나도 남이 하는 거 따라가면서 얘기 듣는 거고, 그렇게 치면 크게 무리랄 것도 없긴 하겠다만. 라틴어는 언제 다시 읽나. 관심분야에 한정해서 읽으려면 단편들만 수두룩 빽빽인가, 아니, 뭐 보에티우스 읽을까? 문법이랑 독해 연습이라고 생각하면 끼께로님 뵙고 싶긴 한데, 모르겠네. 

-蟲-

1034.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18b ]

καὶ ταῦτα μὲν ἰδίᾳ βουλεύσῃ προϊόντος τοῦ λόγου· κοινῇ δὲ μετ’ ἐμοῦ σοι συσκεπτέον ἀρχομένῳ πρῶτονὡς ἐμοὶ φαίνεταινῦν ἀπὸ τοῦ σοφιστοῦζητοῦντι καὶ ἐμφανίζοντι λόγῳ τί ποτ’ ἔστινῦν γὰρδὴ σύ τε κἀγὼ


1035.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19d ]

μισθώσεων καὶ ἀγοράσεωντὸ δὲ λοιπόν κατ’ ἔργα  κατὰ λόγους χειρούμενον σύμπανχειρωτικὸν ἂν εἴηφαίνεται γοῦν ἐκ τῶν εἰρημένωντί δέτὴν χειρωτικὴν ἆρ’ οὐ διχῇ τμητέονπῇτὸ


1036.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24e ]

ἀγοραστικόνκαπηλικὸν εἴτε αὐτοπωλικόνἀμφοτέρωςὅτιπερ ἂν  περὶ τὰ τοιαῦτα μαθηματοπωλικὸν γένοςἀεὶ σὺ προσερεῖςὡς φαίνῃσοφιστικόνἀνάγκη· τῷ γὰρ λόγῳ δεῖ συνακολουθεῖνἔτι δὴσκοπῶμεν εἴ τινι τοιῷδε προσέοικεν ἄρα


1037.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26d ]

διακρίσεσι τὸ μὲν χεῖρον ἀπὸ βελτίονος ἀποχωρίζειν ἦντὸ δ’ ὅμοιον ἀφ’ ὁμοίουσχεδὸν οὕτω νῦν λεχθὲν φαίνεταιτῆς μὲν τοίνυν ὄνομα οὐκ ἔχω λεγόμενον· τῆς δὲ καταλειπούσης μὲν τὸ βέλτιονδιακρίσεωςτὸ δὲ χεῖρον


1038.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28d ]

μὲν οὖνψυχὴν ἄρα ἀνόητον αἰσχρὰν καὶ ἄμετρον θετέονἔοικενἔστι δὴ δύο ταῦταὡς φαίνεταικακῶν ἐν αὐτῇ γένητὸ μὲν πονηρία καλούμενον ὑπὸ τῶν πολλῶννόσος αὐτῆς σαφέστατα ὄνναί.


1039.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29a ]

τινὲ ἐγενέσθηντίνε τούτωπερὶ μὲν αἶσχος γυμναστικήπερὶ δὲ νόσον ἰατρικήφαίνεσθονοὐκοῦν καὶ περὶ μὲν ὕβριν καὶ ἀδικίαν καὶ δειλίαν  κολαστικὴ πέφυκε τεχνῶν μάλιστα δὴ πασῶν


1040.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1a ]

οὖντί δέτοὺς ταύτῃ χρωμένους τῇ τέχνῃ τίνας φήσομενἐγὼ μὲν γὰρ φοβοῦμαι σοφιστὰς φάναιτί δήμὴ μεῖζον αὐτοῖς προσάπτωμεν γέραςἀλλὰ μὴν προσέοικέ γε τοιούτῳ τινὶ τὰ νῦν


1041.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1c ]

εἶναι λεγέσθω πλὴν  γένει γενναία σοφιστικήλεγέσθω μέν· ἀπορῶ δὲ ἔγωγε ἤδη διὰ τὸ πολλὰ πεφάνθαιτί χρή ποτε ὡς ἀληθῆ λέγοντα καὶ διισχυριζόμενον εἰπεῖν ὄντως εἶναι τὸν σοφιστήνεἰκότωςγε σὺ ἀπορῶν.


1042.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1d ]

δὴ στάντες οἷον ἐξαναπνεύσωμενκαὶ πρὸς ἡμᾶς αὐτοὺς διαλογισώμεθα ἅμα ἀναπαυόμενοιφέρεὁπόσα ἡμῖν  σοφιστὴς πέφανταιδοκῶ μὲν γάρτὸ πρῶτον ηὑρέθη νέων καὶ πλουσίων ἔμμισθοςθηρευτήςναίτὸ δέ γε δεύτερον


1043.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2a ]

καθαρτὴν αὐτὸν εἶναιπαντάπασι μὲν οὖνἆρ’ οὖν ἐννοεῖςὅταν ἐπιστήμων τις πολλῶν φαίνηταιμιᾶς δὲ τέχνης ὀνόματι προσαγορεύηταιτὸ φάντασμα τοῦτο ὡς οὐκ ἔσθ’ ὑγιέςἀλλὰ δῆλον ὡς πάσχων αὐτὸ


1044.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2d ]

ἕκαστον αὐτὸν τὸν δημιουργὸν ἀντειπεῖνδεδημοσιωμένα που καταβέβληται γεγραμμένα τῷ βουλομένῳ μαθεῖντὰ Πρωταγόρειά μοι φαίνῃ περί τε πάλης καὶ τῶν ἄλλων τεχνῶν εἰρηκέναικαὶ πολλῶνγε μακάριεἑτέρωνἀτὰρ δὴ


1045.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2e ]

τῆς ἀντιλογικῆς τέχνης ἆρ’ οὐκ ἐν κεφαλαίῳ περὶ πάντων πρὸς ἀμφισβήτησιν ἱκανή τις δύναμις ἔοικ’ εἶναιφαίνεται γοῦν δὴ σχεδὸν οὐδὲν ὑπολιπεῖνσὺ δὴ πρὸς θεῶν παῖδυνατὸν ἡγῇ τοῦτοτάχαγὰρ ἂν ὑμεῖς


1046.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3b ]

νέοις δόξαν παρασκευάζειν ὡς εἰσὶ πάντα πάντων αὐτοὶ σοφώτατοιδῆλον γὰρ ὡς εἰ μήτε ἀντέλεγον ὀρθῶς μήτε ἐκείνοις ἐφαίνοντοφαινόμενοί τε εἰ μηδὲν αὖ μᾶλλον ἐδόκουν διὰ τὴν ἀμφισβήτησινεἶναι φρόνιμοιτὸ σὸν δὴ τοῦτοσχολῇ ποτ’


1047.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3b ]

παρασκευάζειν ὡς εἰσὶ πάντα πάντων αὐτοὶ σοφώτατοιδῆλον γὰρ ὡς εἰ μήτε ἀντέλεγον ὀρθῶς μήτε ἐκείνοις ἐφαίνοντοφαινόμενοί τε εἰ μηδὲν αὖ μᾶλλον ἐδόκουν διὰ τὴν ἀμφισβήτησιν εἶναιφρόνιμοιτὸ σὸν δὴ τοῦτοσχολῇ ποτ’ ἂν


1048.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3c ]

γὰρ οὔδρῶσι δέ γε τοῦτο πρὸς ἅπανταφαμένναίπάντα ἄρα σοφοὶ τοῖς μαθηταῖς φαίνονταιτί μήνοὐκ ὄντες γε· ἀδύνατον γὰρ τοῦτό γε ἐφάνηπῶς γὰρ οὐκ ἀδύνατον;


1049.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3c ]

πάντα ἄρα σοφοὶ τοῖς μαθηταῖς φαίνονταιτί μήνοὐκ ὄντες γε· ἀδύνατον γὰρ τοῦτό γε ἐφάνηπῶς γὰρ οὐκ ἀδύνατονδοξαστικὴν ἄρα τινὰ περὶ πάντων ἐπιστήμην  σοφιστὴς ἡμῖν ἀλλ’ οὐκ


1050.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4d ]

ἐγγύθεν καὶ διὰ παθημάτων ἀναγκαζομένους ἐναργῶς ἐφάπτεσθαι τῶν ὄντωνμεταβάλλειν τὰς τότε γενομένας δόξαςὥστε σμικρὰ μὲν φαίνεσθαι τὰ μεγάλαχαλεπὰ δὲ τὰ ῥᾴδιακαὶ πάντα πάντῃἀνατετράφθαι τὰ ἐν τοῖς λόγοις φαντάσματα ὑπὸ τῶν


1051.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5d ]

εὖκαὶ ταῦτα ταύτῃ ποιητέονκατὰ δὴ τὸν παρεληλυθότα τρόπον τῆς διαιρέσεως ἔγωγέ μοι καὶ νῦν φαίνομαι δύο καθορᾶν εἴδη τῆς μιμητικῆς· τὴν δὲ ζητουμένην ἰδέανἐν ὁποτέρῳ ποθ’ ἡμῖν οὖσατυγχάνεικαταμαθεῖν οὐδέπω


1052.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6a ]

τῶν καλῶν ἀληθινὴν συμμετρίανοἶσθ’ ὅτι σμικρότερα μὲν τοῦ δέοντος τὰ ἄνωμείζω δὲ τὰ κάτω φαίνοιτ’ ἂν διὰ τὸ τὰ μὲν πόρρωθεντὰ δ’ ἐγγύθεν ὑφ’ ἡμῶν ὁρᾶσθαιπάνυ μὲν οὖνἆρ’ οὖν


1053.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6b ]

μιμητικῆς τὸ ἐπὶ τούτῳ μέρος κλητέον ὅπερ εἴπομεν ἐν τῷ πρόσθενεἰκαστικήνκλητέοντί δέτὸ φαινόμενον μὲν διὰ τὴν οὐκ ἐκ καλοῦ θέαν ἐοικέναι τῷ καλῷδύναμιν δὲ εἴ τις λάβοι τὰ τηλικαῦταἱκανῶς ὁρᾶν,


1054.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6b ]

δὲ εἴ τις λάβοι τὰ τηλικαῦτα ἱκανῶς ὁρᾶνμηδ’ εἰκὸς  φησιν ἐοικέναιτί καλοῦμενἆρ’ οὐκἐπείπερ φαίνεται μένἔοικε δὲ οὔφάντασματί μήνοὐκοῦν πάμπολυ καὶ κατὰ τὴν ζωγραφίαν τοῦτο τὸ


1055.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6e ]

πῶς καὶ πρὸς τί τοῦτο εἴρηκαςὄντως μακάριεἐσμὲν ἐν παντάπασι χαλεπῇ σκέψειτὸ γὰρ φαίνεσθαι τοῦτο καὶ τὸ δοκεῖνεἶναι δὲ μήκαὶ τὸ λέγειν μὲν ἄτταἀληθῆ δὲ μήπάντα ταῦτά ἐστι μεστὰ


1056.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9a ]

πῶς γὰρ οὔοὐκοῦν τό γε εἶναι προσάπτειν πειρώμενος ἐναντία τοῖς πρόσθεν ἔλεγονφαίνῃτί δέτοῦτο προσάπτων οὐχ ὡς ἑνὶ διελεγόμηνναίκαὶ μὴν ἄλογόν γε λέγων καὶ


1057.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9c ]

μέχρι τούτου λέγωμεν ὡς παντὸς μᾶλλον πανούργως εἰς ἄπορον  σοφιστὴς τόπον καταδέδυκενκαὶ μάλα δὴ φαίνεταιτοιγαροῦν εἴ τινα φήσομεν αὐτὸν ἔχειν φανταστικὴν τέχνηνῥᾳδίως ἐκ ταύτηςτῆς χρείας τῶν λόγων


1058.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41d ]

καὶ βιάζεσθαι τό τε μὴ ὂν ὡς ἔστι κατά τι καὶ τὸ ὂν αὖ πάλιν ὡς οὐκ ἔστι πῃφαίνεται τὸ τοιοῦτον διαμαχετέον ἐν τοῖς λόγοιςπῶς γὰρ οὐ φαίνεται καὶ τὸ λεγόμενον δὴ τοῦτο τυφλῷ;


1059.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41d ]

ὂν αὖ πάλιν ὡς οὐκ ἔστι πῃφαίνεται τὸ τοιοῦτον διαμαχετέον ἐν τοῖς λόγοιςπῶς γὰρ οὐ φαίνεται καὶ τὸ λεγόμενον δὴ τοῦτο τυφλῷτούτων γὰρ μήτ’ ἐλεγχθέντων μήτε ὁμολογηθέντων σχολῇ ποτέ τιςοἷός τε


1060.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42c ]

ἐπὶ κρίσιν ὥρμησε τοῦ τὰ ὄντα διορίσασθαι πόσα τε καὶ ποῖά ἐστινπῇμῦθόν τινα ἕκαστος φαίνεταί μοι διηγεῖσθαι παισὶν ὡς οὖσιν ἡμῖν μὲν ὡς τρία τὰ ὄνταπολεμεῖ δὲ ἀλλήλοις ἐνίοτε αὐτῶν


1061.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45b ]

αἵρεσινἀληθέστατα μέντοι λέγειςπεπονθός τε γὰρ τὸ ὂν ἓν εἶναί πως οὐ ταὐτὸν ὂν τῷ ἑνὶ φανεῖταικαὶ πλέονα δὴ τὰ πάντα ἑνὸς ἔσταιναίκαὶ μὴν ἐάν γε τὸ ὂν  μὴ


1062.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45e ]

ὅλον ἀναγκαῖον αὐτὸ εἶναικομιδῇ γεκαὶ τοίνυν ἄλλα μυρία ἀπεράντους ἀπορίας ἕκαστον εἰληφὸς φανεῖται τῷ τὸ ὂν εἴτε δύο τινὲ εἴτε ἓν μόνον εἶναι λέγοντιδηλοῖ σχεδὸν καὶ τὰ νῦν ὑποφαίνοντα·


1063.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48a ]

λέγεινδέχονται τοῦτοκαλῶς· ἴσως γὰρ ἂν εἰς ὕστερον ἡμῖν τε καὶ τούτοις ἕτερον ἂν φανείηπρὸς μὲν οὖν τούτους τοῦτο ἡμῖν ἐνταῦθα μενέτω συνομολογηθένμένειπρὸς δὴ τοὺς ἑτέρους ἴωμεν,


1064.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49b ]

καὶ ψυχὴν <ἔχειν>, ἀκίνητον μέντοι τὸ παράπαν ἔμψυχον ὂν ἑστάναιπάντα ἔμοιγε ἄλογα ταῦτ’ εἶναι φαίνεταικαὶ τὸ κινούμενον δὴ καὶ κίνησιν συγχωρητέον ὡς ὄνταπῶς δ’ οὔσυμβαίνει δ’ οὖν,


1065.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49d ]

κεκινημένατὸ ὄν τε καὶ τὸ πᾶν συναμφότερα λέγεινἀληθέστατατί οὖνἆρ’ οὐκ ἐπιεικῶς ἤδη φαινόμεθα περιειληφέναι τῷ λόγῳ τὸ ὄνπάνυ μὲν οὖνβαβαὶ †μέντ’ ἂν ἄρα,†  Θεαίτητεὥς μοι


1066.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49e ]

αὖ καὶ τί τοῦτ’ εἴρηκας μακάριεοὐκ ἐννοεῖς ὅτι νῦν ἐσμεν ἐν ἀγνοίᾳ τῇ πλείστῃ περὶ αὐτοῦφαινόμεθα δέ τι λέγειν ἡμῖν αὐτοῖςἐμοὶ γοῦν· ὅπῃ δ’ αὖ λελήθαμεν οὕτως ἔχοντεςοὐ πάνυ συνίημι.


1067.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50e ]

ἐν ἐλάττονί τινι νῦν ἐσμεν ἀπορίᾳ περὶ τὸ ὄνἐμοὶ μέν ξένεεἰ δυνατὸν εἰπεῖνἐν πλείονι φαινόμεθατοῦτο μὲν τοίνυν ἐνταῦθα κείσθω διηπορημένον· ἐπειδὴ δὲ ἐξ ἴσου τό τε ὂν καὶ τὸ μὴ ὂν


1068.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56d ]

περὶ ὧν καὶ ἐν οἷς προυθέμεθα σκοπεῖνκαὶ πῶςἀδύνατον γὰρ συγχωρεῖν ἐλάττω τὸν ἀριθμὸν τοῦ νυνδὴ φανέντοςἀδεῶς ἄρα τὴν κίνησιν ἕτερον εἶναι τοῦ ὄντος διαμαχόμενοι λέγωμενἀδεέσταταμὲν οὖνοὐκοῦν


1069.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57b ]

τοῦ ὄντος ἀλλ’ ἕτερον μόνονπῶςοἷον ὅταν εἴπωμέν τι μὴ μέγατότε μᾶλλόν τί σοι φαινόμεθα τὸ σμικρὸν  τὸ ἴσον δηλοῦν τῷ ῥήματικαὶ πῶςοὐκ ἄρ’ἐναντίον ὅταν ἀπόφασις λέγηται


1070.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57c ]

μὲν οὖντόδε δὲ διανοηθῶμενεἰ καὶ σοὶ συνδοκεῖτὸ ποῖον θατέρου μοι φύσις φαίνεται κατακεκερματίσθαι καθάπερ ἐπιστήμηπῶςμία μέν ἐστί που καὶ ἐκείνητὸ δ’ ἐπί τῳ γιγνόμενον


1071.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58a ]

τι μᾶλλον εἶναι θάτερον θατέρουτί μήνκαὶ τἆλλα δὴ ταύτῃ λέξομενἐπείπερ  θατέρου φύσις ἐφάνη τῶν ὄντων οὖσαἐκείνης δὲ οὔσης ἀνάγκη δὴ καὶ τὰ μόρια αὐτῆς μηδενὸς ἧττον ὄντα τιθέναιπῶς


1072.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0d ]

οὔτε λέγειν· οὐσίας γὰρ οὐδὲν οὐδαμῇ τὸ μὴ ὂν μετέχεινἦν ταῦτανῦν δέ γε τοῦτο μὲν ἐφάνη μετέχον τοῦ ὄντοςὥστε ταύτῃ μὲν ἴσως οὐκ ἂν μάχοιτο ἔτι· τάχα δ’ ἂν φαίη τῶν εἰδῶν τὰ μὲν


1073.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0e ]

μὴ συνισταμένης τῆς κοινωνίαςδιὰ ταῦτ’ οὖν λόγον πρῶτον καὶ δόξαν καὶ φαντασίαν διερευνητέον ὅτι ποτ’ ἔστινἵνα φανέντων καὶ τὴν κοινωνίαν αὐτῶν τῷ μὴ ὄντι κατίδωμενκατιδόντες δὲ τὸψεῦδος ὂν ἀποδείξωμενἀποδείξαντες


1074.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1a ]

δέ γε ξένεἔοικεν ἀληθὲς εἶναι τὸ περὶ τὸν σοφιστὴν κατ’ ἀρχὰς λεχθένὅτι δυσθήρευτον εἴη τὸ γένοςφαίνεται γὰρ οὖν προβλημάτων γέμεινὧν ἐπειδάν τι προβάλῃτοῦτο πρότερον ἀναγκαῖονδιαμάχεσθαι πρὶν ἐπ’ αὐτὸν ἐκεῖνον


1075.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1b ]

περὶ δόξαν ἀποδεῖξαικαὶ μετὰ τοῦτο ἴσως ἕτερονκαὶ ἔτ’ ἄλλο μετ’ ἐκεῖνο· καὶ πέραςὡς ἔοικενοὐδὲν φανήσεταί ποτεθαρρεῖν Θεαίτητεχρὴ τὸν καὶ σμικρόν τι δυνάμενον εἰς τὸ πρόσθεν ἀεὶπροϊέναιτί γὰρ


1076.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1d ]

φέρε δήκαθάπερ περὶ τῶν εἰδῶν καὶ τῶν γραμμάτων ἐλέγομενπερὶ τῶν ὀνομάτων πάλιν ὡσαύτως ἐπισκεψώμεθαφαίνεται γάρ πῃ ταύτῃ τὸ νῦν ζητούμενοντὸ ποῖον οὖν δὴ περὶ τῶν ὀνομάτωνὑπακουστέονεἴτε πάντα


1077.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4a ]

εἰπεῖν ἕτερόν τι πλὴν φαντασίανοὐδένοὐκοῦν ἐπείπερ λόγος ἀληθὴς ἦν καὶ ψευδήςτούτων δ’ ἐφάνη διάνοια μὲν αὐτῆς πρὸς ἑαυτὴν ψυχῆς διάλογοςδόξα δὲ διανοίας ἀποτελεύτησις, “φαίνεται” δὲ λέγομεν


1078.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4b ]

καὶ ψευδήςτούτων δ’ ἐφάνη διάνοια μὲν αὐτῆς πρὸς ἑαυτὴν ψυχῆς διάλογοςδόξα δὲ διανοίας ἀποτελεύτησις, “φαίνεται” δὲ  λέγομεν σύμμειξις αἰσθήσεως καὶ δόξηςἀνάγκη δὴ καὶ τούτων τῷ λόγῳσυγγενῶν ὄντων ψευδῆ τε αὐτῶν


1079.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4c ]

ἔργον ἐπιβαλλοίμεθα ζητοῦντες αὐτόκατανοῶμὴ τοίνυν μηδ’ εἰς τὰ λοιπὰ ἀθυμῶμενἐπειδὴ γὰρ πέφανται ταῦτατῶν ἔμπροσθεν ἀναμνησθῶμεν κατ’ εἴδη διαιρέσεωνποίων δήδιειλόμεθα τῆςεἰδωλοποιικῆς εἴδη δύο,


1080.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4c ]

ὡς ἀποροῖμεν εἰς ὁποτέραν θήσομενἦν ταῦτακαὶ τοῦθ’ ἡμῶν ἀπορουμένων ἔτι μείζων κατεχύθη σκοτοδινίαφανέντος τοῦ λόγου τοῦ πᾶσιν ἀμφισβητοῦντος ὡς οὔτε εἰκὼν οὔτε εἴδωλον οὔτεφάντασμ’ εἴη τὸ παράπαν οὐδὲν


1081.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4d ]

οὐδὲν διὰ τὸ μηδαμῶς μηδέποτε μηδαμοῦ ψεῦδος εἶναιλέγεις ἀληθῆνῦν δέ γ’ ἐπειδὴ πέφανται μὲν λόγοςπέφανται δ’ οὖσα δόξα ψευδήςἐγχωρεῖ δὴ μιμήματα τῶν ὄντων εἶναι καὶ τέχνην ἐκ ταύτηςγίγνεσθαι


1082.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4d ]

διὰ τὸ μηδαμῶς μηδέποτε μηδαμοῦ ψεῦδος εἶναιλέγεις ἀληθῆνῦν δέ γ’ ἐπειδὴ πέφανται μὲν λόγοςπέφανται δ’ οὖσα δόξα ψευδήςἐγχωρεῖ δὴ μιμήματα τῶν ὄντων εἶναι καὶ τέχνην ἐκ ταύτηςγίγνεσθαι τῆς διαθέσεως


1083.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6e ]

τὸ δὲ φανταστικὸν ἔμελλεν εἶναι γένοςεἰ τὸ ψεῦδος ὄντως ὂν ψεῦδος καὶ τῶν ὄντων ἕν τι φανείη πεφυκόςἦν γὰρ οὖνοὐκοῦν ἐφάνη τε καὶ διὰ ταῦτα δὴ καταριθμήσομεν αὐτὼ νῦν ἀναμφισβητήτως


1084.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6e ]

ψεῦδος ὄντως ὂν ψεῦδος καὶ τῶν ὄντων ἕν τι φανείη πεφυκόςἦν γὰρ οὖνοὐκοῦν ἐφάνη τε καὶ διὰ ταῦτα δὴ καταριθμήσομεν αὐτὼ νῦν ἀναμφισβητήτως εἴδη δύοναίτὸ


1085.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7a ]

πῶς φῄςὅταν οἶμαι τὸ σὸν σχῆμά τις τῷ ἑαυτοῦ χρώμενος σώματι προσόμοιον  φωνὴν φωνῇ φαίνεσθαι ποιῇμίμησις τοῦτο τῆς φανταστικῆς μάλιστα κέκληταί πουναίμιμητικὸν δὴ τοῦτο αὐτῆςπροσειπόντες


1086.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7c ]

οὐκ ἀγνοοῦντες μένδοξάζοντες δέ πῃσφόδρα ἐπιχειροῦσιν πολλοὶ τὸ δοκοῦν σφίσιν τοῦτο ὡς ἐνὸν αὐτοῖς προθυμεῖσθαι φαίνεσθαι ποιεῖνὅτι μάλιστα ἔργοις τε καὶ λόγοις μιμούμενοικαὶ πάνυ γεπολλοίμῶν οὖν πάντες

=============================================

619.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18a ]

κινδυνεύει πρὸς μὲν ταῦτα οὐδὲν ἔτι λεκτέον εἶναιΘεαίτητε· πρὸς δὲ σὲ ἤδη τὸ μετὰ τοῦτοὡς ἔοικεγίγνοιτο ἂν  λόγοςἂν δ’ ἄρα τι τῷ μήκει πονῶν ἄχθῃμὴ ἐμὲ αἰτιᾶσθαι τούτωνἀλλὰ τούσδε τοὺς


620.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21d ]

ὡς παντὸς δεῖ τοιοῦτος εἶναι τό γε ὄνομα τοῦτο ἔχωνἀλλά τινα τέχνην αὐτὸν ἡμῖν ἔχονταὡς ἔοικεθετέοντίνα ποτ’ οὖν δὴ ταύτηνἆρ’  πρὸς θεῶν ἠγνοήκαμεν τἀνδρὸς τὸν ἄνδρα ὄντα


621.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22a ]

γε. μέχρι μὲν τοίνυν ἐνταῦθα  σοφιστὴς καὶ  ἀσπαλιευτὴς ἅμα ἀπὸ τῆς κτητικῆς τέχνης πορεύεσθονἐοίκατον γοῦνἐκτρέπεσθον δέ γε ἀπὸ τῆς ζῳοθηρικῆς μὲν ἐπὶ θάλαττάν που καὶ ποταμοὺς καὶλίμναςτὰ


622.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22d ]

τὸ μὲν μισθαρνητικόν ἐστιντὸ δὲ δωροφορικόνοὐ μανθάνωτῇ τῶν ἐρώντων θήρᾳ τὸν νοῦνὡς ἔοικαςοὔπω προσέσχεςτοῦ πέριὅτι τοῖς θηρευθεῖσι δῶρα προσεπιδιδόασινἀληθέστατα λέγεις.


623.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23b ]

εἰπὼν τὸ προσῆκον ὄνομ’ ἂν ἡγοῦμαι καλεῖν αὐτόνκατὰ δὴ τὸν νῦν Θεαίτητελόγονὡς ἔοικεν τέχνης οἰκειωτικῆς, <χειρωτικῆς>, κτητικῆςθηρευτικῆςζῳοθηρίαςπεζοθηρίαςχερσαίαςἡμεροθηρικῆςἀνθρωποθηρίας, <πιθανοθηρίας>, ἰδιοθηρίας,


624.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26a ]

νῦν τέταρτον τὸν μεταδιωκόμενον ὑφ’ ἡμῶν σοφιστήνοὐδὲν ἀλλ’  τὸ χρηματιστικὸν γένοςὡς ἔοικενἐριστικῆς ὂν τέχνηςτῆς ἀντιλογικῆςτῆς ἀμφισβητητικῆςτῆς μαχητικῆςτῆς ἀγωνιστικῆςτῆςκτητικῆς ἔστινὡς  λόγος


625.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28d ]

οὐδὲν ἄλλο πλὴν παραφροσύνηπάνυ μὲν οὖνψυχὴν ἄρα ἀνόητον αἰσχρὰν καὶ ἄμετρον θετέονἔοικενἔστι δὴ δύο ταῦταὡς φαίνεταικακῶν ἐν αὐτῇ γένητὸ μὲν πονηρία καλούμενον ὑπὸ τῶνπολλῶν,


626.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29e ]

τοῦτο ἔτι πῃ σχίζεσθαικατὰ τίτῆς ἐν τοῖς λόγοις διδασκαλικῆς  μὲν τραχυτέρα τις ἔοικεν ὁδὸς εἶναιτὸ δ’ ἕτερον αὐτῆς μόριον λειότεροντὸ ποῖον δὴ τούτων ἑκάτερον λέγομεντὸ μὲν


627.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0a ]

παραμυθούμενοι· τὸ δ’ οὖν σύμπαν αὐτὸ ὀρθότατα εἴποι τις ἂν νουθετητικήνἔστιν οὕτωςτὸ δέ γεεἴξασί τινες αὖ λόγον ἑαυτοῖς δόντες ἡγήσασθαι πᾶσαν ἀκούσιον ἀμαθίαν εἶναικαὶ μαθεῖν οὐδένποτ’ ἂν ἐθέλειν τὸν


628.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2e ]

ἑτέρωνἀτὰρ δὴ τὸ τῆς ἀντιλογικῆς τέχνης ἆρ’ οὐκ ἐν κεφαλαίῳ περὶ πάντων πρὸς ἀμφισβήτησιν ἱκανή τις δύναμις ἔοικ’ εἶναιφαίνεται γοῦν δὴ σχεδὸν οὐδὲν ὑπολιπεῖνσὺ δὴ πρὸς θεῶν παῖδυνατὸν ἡγῇ τοῦτο;


629.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3e ]

πῶς πάντα εἶπεςτὴν ἀρχὴν τοῦ ῥηθέντος σύ γ’ ἡμῖν εὐθὺς ἀγνοεῖς· τὰ γὰρ σύμπανταὡς ἔοικαςοὐ μανθάνειςοὐ γὰρ οὖνλέγω τοίνυν σὲ καὶ ἐμὲ τῶν πάντων καὶ πρὸς ἡμῖν τἆλλα ζῷα


630.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6b ]

ἐν τῷ πρόσθενεἰκαστικήνκλητέοντί δέτὸ φαινόμενον μὲν διὰ τὴν οὐκ ἐκ καλοῦ θέαν ἐοικέναι τῷ καλῷδύναμιν δὲ εἴ τις λάβοι τὰ τηλικαῦτα ἱκανῶς ὁρᾶνμηδ’ εἰκὸς  φησιν ἐοικέναιτί καλοῦμεν;


631.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6b ]

ἐκ καλοῦ θέαν ἐοικέναι τῷ καλῷδύναμιν δὲ εἴ τις λάβοι τὰ τηλικαῦτα ἱκανῶς ὁρᾶνμηδ’ εἰκὸς  φησιν ἐοικέναιτί καλοῦμενἆρ’ οὐκἐπείπερ φαίνεται μένἔοικε δὲ οὔφάντασματί μήνοὐκοῦνπάμπολυ καὶ


632.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6b ]

τις λάβοι τὰ τηλικαῦτα ἱκανῶς ὁρᾶνμηδ’ εἰκὸς  φησιν ἐοικέναιτί καλοῦμενἆρ’ οὐκἐπείπερ φαίνεται μένἔοικε δὲ οὔφάντασματί μήνοὐκοῦν πάμπολυ καὶ κατὰ τὴν ζωγραφίαν τοῦτο τὸ μέρος ἐστὶ


633.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6d ]

ἁνὴρ καὶ κατιδεῖν παγχάλεποςἐπεὶ καὶ νῦν μάλα εὖ καὶ κομψῶς εἰς ἄπορον εἶδος διερευνήσασθαι καταπέφευγενἔοικενἆρ’ οὖν αὐτὸ γιγνώσκων σύμφης σε οἷον ῥύμη τις ὑπὸ τοῦ λόγουσυνειθισμένον συνεπεσπάσατο πρὸς τὸ


634.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7e ]

τὸ δὲ “τινὲς” πολλῶνπῶς γὰρ οὔτὸν δὲ δὴ μὴ τὶ λέγοντα ἀναγκαιότατονὡς ἔοικεπαντάπασι μηδὲν λέγεινἀναγκαιότατον μὲν οὖνἆρ’ οὖν οὐδὲ τοῦτο συγχωρητέοντὸ τὸν τοιοῦτον λέγειν


635.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8b ]

μηδ’ ἐπιχειρῶμεν ἀριθμοῦ μήτε πλῆθος μήτε ἓν πρὸς τὸ μὴ ὂν προσφέρεινοὔκουν ἂν ὀρθῶς γεὡς ἔοικενἐπιχειροῖμενὥς φησιν  λόγοςπῶς οὖν ἂν  διὰ τοῦ στόματος φθέγξαιτο ἄν τις  καὶ τῇ


636.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40b ]

ἕτερον δὲ λέγεις τοιοῦτον ἀληθινόν ἐπὶ τίνι τὸ τοιοῦτον εἶπεςοὐδαμῶς ἀληθινόν γεἀλλ’ ἐοικὸς μένἆρα τὸ ἀληθινὸν ὄντως ὂν λέγωνοὕτωςτί δέτὸ μὴ ἀληθινὸν ἆρ’ ἐναντίον


637.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40b ]

τί δέτὸ μὴ ἀληθινὸν ἆρ’ ἐναντίον ἀληθοῦςτί μήνοὐκ ὄντως οὐκ ὂν ἄρα λέγεις τὸ ἐοικόςεἴπερ αὐτό γε μὴ ἀληθινὸν ἐρεῖςἀλλ’ ἔστι γε μήν πωςοὔκουν ἀληθῶς γεφῄς.


638.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41c ]

μικρὸν μέρος τοίνυν αὐτῶν διεληλύθαμενοὐσῶν ὡς ἔπος εἰπεῖν ἀπεράντωνἀδύνατόν γ’ ἄνὡς ἔοικενεἴη τὸν σοφιστὴν ἑλεῖνεἰ ταῦτα οὕτως ἔχειτί οὖνοὕτως ἀποστησόμεθα νῦν μαλθακισθέντες;οὔκουν


639.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45d ]

οὔτε γένεσιν ὡς οὖσαν δεῖ προσαγορεύειν τὸ ἓν  τὸ ὅλον ἐν τοῖς οὖσι μὴ τιθένταπαντάπασιν ἔοικε ταῦθ’ οὕτως ἔχεινκαὶ μὴν οὐδ’ ὁποσονοῦν τι δεῖ τὸ μὴ ὅλον εἶναι· ποσόν τι γὰρ ὄνὁπόσον


640.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46a ]

ὄντος οὐδὲν εὐπορώτερον εἰπεῖν ὅτι ποτ’ ἔστινοὐκοῦν πορεύεσθαι χρὴ καὶ ἐπὶ τούτουςκαὶ μὴν ἔοικέ γε ἐν αὐτοῖς οἷον γιγαντομαχία τις εἶναι διὰ τὴν ἀμφισβήτησιν περὶ τῆς οὐσίας πρὸς ἀλλήλους.πῶς;


641.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49c ]

ἰσχυρίζηται περί τινος ὁπῃοῦνσφόδρα γετῷ δὴ φιλοσόφῳ καὶ ταῦτα μάλιστα τιμῶντι πᾶσαὡς ἔοικενἀνάγκη διὰ ταῦτα μήτε τῶν ἓν  καὶ τὰ πολλὰ εἴδη λεγόντων τὸ πᾶν ἑστηκὸς ἀποδέχεσθαιτῶν


642.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50c ]

εἶναι λέγωμενοὐκ ἄρα κίνησις καὶ στάσις ἐστὶ συναμφότερον τὸ ὂν ἀλλ’ ἕτερον δή τι τούτωνἔοικενκατὰ τὴν αὑτοῦ φύσιν ἄρα τὸ ὂν οὔτε ἕστηκεν οὔτε κινεῖταισχεδόνποῖ δὴ χρὴ


643.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52a ]

οὐσίας μὴ προσκοινωνοῦνοὐκ ἔσταιταχὺ δὴ ταύτῃ γε τῇ συνομολογίᾳ πάντα ἀνάστατα γέγονενὡς ἔοικενἅμα τε τῶν τὸ πᾶν κινούντων καὶ τῶν ὡς ἓν ἱστάντων καὶ ὅσοι κατ’ εἴδη τὰ ὄντα κατὰ ταὐτὰ


644.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54a ]

τοῦ μὴ ὄντος σκοτεινότητατριβῇ προσαπτόμενος αὐτῆςδιὰ τὸ σκοτεινὸν τοῦ τόπου κατανοῆσαι χαλεπός·  γάρἔοικεν δέ γε φιλόσοφοςτῇ τοῦ ὄντος ἀεὶ διὰ λογισμῶν προσκείμενος ἰδέᾳδιὰ τὸλαμπρὸν αὖ τῆς χώρας


645.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56e ]

κινδυνεύει. περὶ ἕκαστον ἄρα τῶν εἰδῶν πολὺ μέν ἐστι τὸ ὄνἄπειρον δὲ πλήθει τὸ μὴ ὄνἔοικενοὐκοῦν καὶ τὸ ὂν αὐτὸ τῶν ἄλλων ἕτερον εἶναι λεκτέονἀνάγκηκαὶ τὸ


646.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57b ]

δικαιότατα εἴρηκαςἴδωμεν δὴ καὶ τόδετὸ ποῖονὁπόταν τὸ μὴ ὂν λέγωμενὡς ἔοικενοὐκ ἐναντίον τι λέγομεν τοῦ ὄντος ἀλλ’ ἕτερον μόνονπῶςοἷον ὅταν εἴπωμέν τι μὴ μέγα,


647.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57e ]

αὖ πάλιν ἀντιτεθὲν οὕτω συμβέβηκεν εἶναι τὸ μὴ καλόνοὕτωςὄντος δὴ πρὸς ὂν ἀντίθεσιςὡς ἔοικ’εἶναί τις συμβαίνει τὸ μὴ καλόνὀρθότατατί οὖνκατὰ τοῦτον τὸν λόγον ἆρα μᾶλλον μὲν


648.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58a ]

οὔσης ἀνάγκη δὴ καὶ τὰ μόρια αὐτῆς μηδενὸς ἧττον ὄντα τιθέναιπῶς γὰρ οὔοὐκοῦνὡς ἔοικεν τῆς θατέρου μορίου φύσεως καὶ τῆς τοῦ ὄντος πρὸς ἄλληλα ἀντικειμένων ἀντίθεσις οὐδὲν ἧττονεἰ


649.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1a ]

αὐτὸ ἐνδήσωμενεἴπερ ἔνοχός ἐστιν καὶ ἀπολύσαντες ἐν ἄλλῳ γένει ζητῶμενκομιδῇ δέ γε ξένεἔοικεν ἀληθὲς εἶναι τὸ περὶ τὸν σοφιστὴν κατ’ ἀρχὰς λεχθένὅτι δυσθήρευτον εἴη τὸ γένοςφαίνεται γὰρ οὖν προβλημάτων


650.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1b ]

λόγον καὶ περὶ δόξαν ἀποδεῖξαικαὶ μετὰ τοῦτο ἴσως ἕτερονκαὶ ἔτ’ ἄλλο μετ’ ἐκεῖνο· καὶ πέραςὡς ἔοικενοὐδὲν φανήσεταί ποτεθαρρεῖν Θεαίτητεχρὴ τὸν καὶ σμικρόν τι δυνάμενον εἰς τὸ πρόσθενἀεὶ προϊέναι.


651.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3d ]

περὶ δὴ σοῦ λεγόμενα, <λεγόμεναμέντοι θάτερα ὡς τὰ αὐτὰ καὶ μὴ ὄντα ὡς ὄνταπαντάπασιν ὡς ἔοικεν  τοιαύτη σύνθεσις ἔκ τε ῥημάτων γιγνομένη καὶ ὀνομάτων ὄντως τε καὶ ἀληθῶς γίγνεσθαιλόγος ψευδής.


652.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7d ]

τις αὐτῶν λήψεται πρέπον δῆλον δὴ χαλεπὸν ὄνδιότι τῆς τῶν γενῶν κατ’ εἴδη διαιρέσεως παλαιά τιςὡς ἔοικενἀργία τοῖς ἔμπροσθεν καὶ ἀσύννους παρῆνὥστε μηδ’ ἐπιχειρεῖν μηδένα διαιρεῖσθαι· καθὸ δὴ τῶν ὀνομάτων ἀνάγκη μὴ


653.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8d ]

εἰδωλοποιικῆς οὐ θεῖον ἀλλ’ ἀνθρωπικὸν τῆς ποιήσεως ἀφωρισμένον ἐν λόγοις τὸ θαυματοποιικὸν μόριον, “ταύτης τῆς γενεᾶς τε καὶ αἵματος” ὃς ἂν φῇ τὸν ὄντως σοφιστὴν εἶναιτἀληθέσταταὡςἔοικενἐρεῖπαντάπασι μὲν οὖν.

ΠΡΩ. Τὰ μέν πως, ὦ Σώκρατες, δοκῶ σου μανθάνειν,

τὰ δὲ ἔτι σαφέστερον δέομαι ἃ λέγεις ἀκοῦσαι.

소크라테스, 한편의 것들은 당신 말씀을 제가 알아들은 것으로 여겨집니다만,

당신께서 말씀하시는 다른 쪽 것들은 좀 더 확실하게 들려주셨으면 합니다.

ΣΩ. Σαφὲς μήν, ὦ Πρώταρχε, ἐστὶν ἐν τοῖς γράμ-

μασιν ὃ λέγω, καὶ λάμβαν᾿ αὐτὸ ἐν τούτοις οἷσπερ καὶ

πεπαίδευσαι.

내가 말하는 건, 프로타르코스, 문법적인 것들 안에서

확실하니, 자네도 자네가 배우기도 한 바로 그 문법적인 것들 안에서

그 점을 파악하게나.

ΠΡΩ. Πῶς;

어떻게요?

ΣΩ. Φωνὴ μὲν ἡμῖν ἐστί που μία διὰ τοῦ στόματος

ἰοῦσα, καὶ ἄπειρος αὖ πλήθει, πάντων τε καὶ ἑκάστου.

우리에게 소리란 분명 입을 통해 나온 단일한 것이겠고,

또 수에서 무한하며, 모든 이들 입들을 통해서나 각각의 입을 통해서나 그러하지.

ΠΡΩ. Τί μήν;

그래서 뭔가요?

ΣΩ. Καὶ οὐδὲν ἑτέρῳ γε τούτων ἐσμέν πω σοφοί, οὔτε

ὅτι τὸ ἄπειρον αὐτῆς ἴσμεν οὔθ᾿ ὅτι τὸ ἕν· ἀλλ᾿ ὅτι πόσα

τ᾿ ἐστὶ καὶ ὁποῖα, τοῦτό ἐστι τὸ γραμματικὸν ἕκαστον

ποιοῦν ἡμῶν.

그리고 그 소리의 무한을 아는 것이든 하나를 아는 것이든,

그것들 중 어느 한 쪽으로 여전히 우리가 지혜로워지는 것은 전혀 아닐세.

오히려 소리가 얼만큼이며 어떠한 것인지, 이것이 우리 각자를

문법지식을 갖춘 자로 만들어주는 것이라네.

ΠΡΩ. Ἀληθέστατα.

참된 말씀이십니다.

ΣΩ. Καὶ μὴν καὶ τὸ μουσικὸν ὃ τυγχάνει ποιοῦν, τοῦτ᾿

ἔστι ταὐτόν.

게다가 사실상 음악적인 자로 만들어주는 것, 이것도

같은 것이지.

ΠΡΩ. Πῶς;

어떻게요?

ΣΩ. Φωνὴ μέν που καὶ τὸ κατ᾿ ἐκείνην τὴν τέχνην ἐστὶ

μία ἐν αὐτῇ.

소리는 분명 저 기술에 따른 경우에도 이 기술에서도

단일하지.

ΠΡΩ. Πῶς δ᾿ οὔ;

어찌 아니겠습니까?

ΣΩ. Δύο δὲ θῶμεν βαρὺ καὶ ὀξύ, καὶ τρίτον ὁμότονον.

ἢ πῶς;

그런데 우리는 저음과 고음을 둘로 놓고, 고른 음을 세 번째로 놓도록 하세.

아니면 어찌 할까? 

ΠΡΩ. Οὔτως.

그리 해야지요.

ΣΩ. Ἀλλ᾿ οὔπω σοφὸς ἂν εἴης τὴν μουσικὴν εἰδὼς

ταῦτα μόνα, μὴ δὲ εἰδὼς ὥς γ᾿ ἔπος εἰπεῖν εἰς ταῦτα

οὐδενὸς ἄξιος ἔσῃ.

그러나 이것들만 앎으로써 아직 음악기술에 있어서

지혜롭진 못할 테고, 그런데 알지 못한다면 말하자면 이런 일들 쪽으로는

아무 쓸모도 없을 걸세.

ΠΡΩ. Οὐ γὰρ οὖν.

그야 쓸모 없지요.

ΣΩ. Ἀλλ᾿, ὦ φίλε, ἐπειδὰν λάβῃς τὰ διαστήματα ὁπόσα 

ἐστὶ τὸν ἀριθμὸν τῆς φωνῆς ὀξύτητός τε πέρι καὶ βαρύτητος, 

καὶ ὁποῖα, καὶ τοὺς ὅρους τῶν διαστημάτων, καὶ τὰ ἐκ τού- 

των ὅσα συστήματα γέγονεν―ἃ κατιδόντες οἱ πρόσθεν παρ- 

ἐδοσαν ἡμῖν τοῖς ἑπομένοις ἐκείνοις καλεῖν αὐτὰ ἁρμονίας, 

ἔν τε ταῖς κινήσεσιν αὖ τοῦ σώματος ἕτερα τοιαῦτα ἐνόντα 

πάθη γιγνόμενα, ἃ δὴ δι᾿ ἀριθμῶν μετρηθέντα δεῖν αὖ φασι  

ῥυθμοὺς καὶ μέτρα ἐπονομάζειν, καὶ ἅμα ἐννοεῖν ὡς οὕτω 

δεῖ περὶ παντὸς ἑνὸς καὶ πολλῶν σκοπεῖν―ὅταν γὰρ αὐτά 

τε λάβῃς οὕτω, τότε ἐγένου σοφός, ὅταν τε ἄλλο τῶν ἓν 

ὁτιοῦν ταύτῃ σκοπούμενος ἕλῃς, οὕτως ἔμφρων περὶ τοῦτο 

γέγονας· τὸ δ᾿ ἄπειρόν σε ἑκάστων καὶ ἐν ἑκάστοις πλῆθος 

ἄπειρον ἑκάστοτε ποιεῖ τοῦ φρονεῖν καὶ οὐκ ἐλλόγιμον οὐδ᾿ 

ἐνάριθμον, ἅτ᾿ οὐκ εἰς ἀριθμὸν οὐδένα ἐν οὐδενὶ πώποτε  

ἀπιδόντα. 

그럼, 이보게, 그 다음으로 간격들이

소리의 높음과 낮음에 관련하여 그 수가 얼마이며

또 어떠한 것들인지를, 그리고 그 간격들의 표지들을, 또한

이것들을 통해 체계가 되는 것들까지 파악해 보게 ― 

선조들은 이것들을 분간하면서 저들의 후손인 우리들에게 

그것들을 화음이라 부르도록 넘겨주었고, 또한 신체의 운동들

안에서도 내재하여 생겨나는 이러한 또 다른 상태들을,

수들을 통해 측정되기에 다시 리듬과 박자라 이름붙여야

한다고 말하며, 동시에 모든 하나와 여럿에 관하여 그렇게

검토해야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말한다네.

왜냐하면 그것들을 그런 식으로 파악할 때, 바로 그 때 자네는

지혜로운 자가 되고, 그 밖에 하나인 것들 중 무엇이든

이 방식으로 검토하여 파악할 때, 그렇게 그것에 관하여

지혜를 갖추게 되기 때문이지. 그런데 각각의 것들의 무한과 

각각의 것들 안에서 무한한 다수는 자네를 매번 지혜에서 

손꼽히지도 않고 고려할 것도 없는 사람으로 만드는데, 

마치 수 쪽으로는 어디에서도 전혀 아무것도

쳐다본 적 없는 자라는 한에서 그렇다는 것이지.

ΠΡΩ. Κάλλιστα, ὦ Φίληβε, ἔμοιγε τὰ νῦν λεγόμενα

εἰρηκέναι φαίνεται Σωκράτης.

내게는 지금 논의되는 것들을 무척이나 훌륭하게

소크라테스께서 이야기하신 것처럼 보이는군, 필레보스.

ΦΙ. Κἀμοὶ ταῦτά γε αὐτά· ἀλλὰ τί δή ποτε πρὸς ἡμᾶς ὁ

λόγος οὗτος νῦν εἴρηται καὶ τί ποτε βουλόμενος;

내게도 그건 그래 보인다네. 허나 도대체 왜 지금 이런 논의가 우리를 향해

이야기되는 것이고 도대체 무엇을 의도하고 있는 건가?

ΣΩ. Ὀρθῶς μέντοι τοῦθ᾿ ἡμᾶς, ὦ Πρώταρχε, ἠρώτηκε

Φίληβος.

그러니까 필레보스는 우리한테 맞는 질문을 했다네, 프로타코스.

ΠΡΩ. Πάνυ μὲν οὖν, καὶ ἀποκρίνου γε αὐτῷ.

물론입니다, 그럼 그에게 답을 해 주시죠.

ΣΩ. Δράσω ταῦτα διελθὼν σμικρὸν ἔτι περὶ αὐτῶν τού-

των. ὥσπερ γὰρ ἓν ὁτιοῦν εἴ τίς ποτε λάβοι, τοῦτον, ὥς

φαμεν, οὐκ ἐπ᾿ ἀπείρου φύσιν δεῖ βλέπειν εὐθὺς ἀλλ᾿ ἐπί

τινα ἀριθμόν, οὕτω καὶ τὸ ἐναντίον ὅταν τις τὸ ἄπειρον

ἀναγκασθῇ πρῶτον λαμβάνειν, μὴ ἐπὶ τὸ ἓν εὐθύς, ἀλλ᾿ [ἐπ᾿]

ἀριθμὸν αὖ τινα πλῆθος ἕκαστον ἔχοντά τι κατανοεῖν, τελευ-

τᾶν τε ἐκ πάντων εἰς ἕν. πάλιν δὲ ἐν τοῖς γράμμασι τὸ

νῦν λεγόμενον λάβωμεν.

바로 저것들에 관하여 조금 더 상술하고서 그걸 할 걸세.

왜냐하면 누군가가 언제든 뭐가 되었든 하나를 붙잡으면, 

우리가 말했듯, 그는 무한의 본성으로 곧장 눈을 돌리지 말고

어떤 수로 눈을 돌려야 하는 것처럼, 그렇게 반대의 경우에도 누군가 무한을

먼저 취할 수밖에 없을 때에는, 곧장 하나를 향하는 게 아니라, 

이번엔 수를 향해 각각이 어떤 다수를 지니는 무엇인지 알아봐야 하며,

모든 것들로부터 하나로 끝을 맺어야 하기 때문이라네.

ΠΡΩ. Πῶς;

어떻게요?

ΣΩ. Ἐπειδὴ φωνὴν ἄπειρον κατενόησεν ειτε τἴςεἴτε τις θεὸς

εἴτε καὶ θεῖος ἄνθρωπος―ὡς λόγος ἐν Αἰγύπτῳ Θεῦθ τινα

τοῦτον γενέσθαι λέγων, ὃς πρῶτος τὰ φωνήεντα ἐν τῷ

ἀπείρῳ κατενόησεν οὐχ ἓν ὄντα ἀλλὰ πλείω, καὶ πάλιν

ἕτερα φωνῆς μὲν οὔ, φθόγγου δὲ μετέχοντά τινος, ἀριθμὸν

δέ τινα καὶ τούτων εἶναι, τρίτον δὲ εἶδος γραμμάτων διε-

στήσατο τὰ νῦν λεγόμενα ἄφωνα ἡμῖν· τὸ μετὰ τοῦτο διῄρει

τά τε ἄφθογγα καὶ ἄφωνα μέχρι ἑνὸς ἑκάστου, καὶ τὰ φωνή-

εντα καὶ τὰ μέσα κατὰ τὸν αὐτὸν τρόπον, ἕως ἀριθμὸν αὐτῶν

λαβὼν ἑνί τε ἑκάστῳ καὶ σύμπασι στοιχεῖον ἐπωνόμασε·

καθορῶν δὲ ὡς οὐδεὶς ἡμῶν οὐδ᾿ ἂν ἓν αὐτὸ καθ᾿ αὑτὸ ἄνευ

πάντων αὐτῶν μάθοι, τοῦτον τὸν δεσμὸν αὖ λογισάμενος ὡς

ὄντα ἕνα καὶ πάντα ταῦτα ἕν πως ποιοῦντα μίαν ἐπ᾿ αὐτοῖς

ὡς οὖσαν γραμματικὴν τέχνην ἐπεφθέγξατο προσειπών.

무슨 신인지 신적인 사람인지 그가 소리는 무한하다는 것을

알아보았기에―일설에는 이집트에 있던 테우트가 이런 어떤 것을

논하게 되었다고 하는데, 그는 말소리들이 무한 안에서

하나인 것들이 아니라 여럿인 것들임을 처음으로 알아냈고, 또

다시 어떤 소리들은 자음에는 참여하지 않지만, 무슨 반모음 같은 것에 참여함을,

그런데 이것들에도 어떤 수가 속한다는 것을 알아냈으며, 문자들의 세 번째 형상은

지금 논의된 자음들로 우리에게 정해주었다네. 그 다음 그는

반모음 아닌 자음들을 각기 하나까지 분할하였고, 말소리들과

중간것들을 같은 방식으로 분할하여, 그것들의 수를 파악하여

각각 하나에도 통틀어 모두에도 자모라고 이름을 붙여주었지.


ΦΙ. Ταῦτ᾿ ἔτι σαφέστερον ἐκείνων αὐτά γε πρὸς ἄλληλα,

ὦ Πρώταρχε, ἔμαθον· τὸ δ᾿ αὐτό μοι τοῦ λόγου νῦν τε καὶ

σμικρὸν ἔμπροσθεν ἐλλείπεται.

ΣΩ. Μῶν, ὦ Φίληβε, τὸ τί πρὸς ἔπος αὖ ταῦτ᾿ ἐστίν;

ΦΙ. Ναί, τοῦτ᾿ ἔστιν ὃ πάλαι ζητοῦμεν ἐγώ τε καὶ

Πρώταρχος.

ΣΩ. Ἦ μὴν ἐπ᾿ αὐτῷ γε ἤδη γεγονότες ζητεῖτε, ὡς φῄς,

πάλαι. 

ΦΙ. Πῶς;

ΣΩ. Ἆρ᾿ οὐ περὶ φρονήσεως ἦν καὶ ἡδονῆς ἡμῖν ἐξ

ἀρχῆς ὁ λόγος, ὁπότερον αὐτοῖν αἱρετέον;

ΦΙ. Πῶς γὰρ οὔ;

ΣΩ. Καὶ μὴν ἕν γε ἑκάτερον αὐτοῖν εἶναί φαμεν.

ΦΙ. Πάνυ μὲν οὖν.

ΣΩ. Τοῦτ᾿ αὐτὸ τοίνυν ἡμᾶς ὁ πρόσθεν λόγος ἀπαιτεῖ,

πῶς ἔστιν ἓν καὶ πολλὰ αὐτῶν ἑκάτερον, καὶ πῶς μὴ ἄπειρα

εὐθύς, ἀλλά τινά ποτε ἀριθμὸν ἑκάτερον ἔμπροσθεν κέκτηται

τοῦ ἄπειρα αὐτῶν ἕκαστα γεγονέναι;


-작성중-

ΘΕΑΙ.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ΞΕ. Μέχρι μὲν τοίνυν ἐνταῦθα ὁ σοφιστής τε καὶ ὁ

ἀσπαλιευτὴς ἅμα ἀπὸ τῆς κτητικῆς τέχνης πορεύεστθον.

그러니까 여기까지는 소피스트와 낚시꾼이 동시에 

획득하는 기술로부터 걸어 나아갔군.

ΘΕΑΙ. Ἐοίκατον γοῦν.

그야 그런 듯합니다.

ΞΕ. Ἐκτρέπεσθον δέ γε ἀπὸ τῆς ζῳοθηρικῆς, ὁ μὲν ἐπὶ

θάλααττάν που καὶ ποταμοὺς καὶ λίμνας, τὰ ἐν τούτοις ζῲα

θηρευσόμενος.

그 둘은 동물사냥술로부터 걸어나왔고, 한 쪽은

아마도 바다와 강과 호수로 향해, 이런 곳들의 동물들을

사냥하는 자라네.

ΘΕΑΙ. Τί μήν;

그래서요?

ΞΕ. Ὁ δέ γε ἐπὶ τὴν γῆν καὶ ποταμοὺς ἑτέρους αὖ

τινας, πλούτου καὶ νεότητος οἷον λειμῶνας ἀφθόνους, τἀν

τούτοις θρέμματα χειρωσόμενος.

그런데 다른 쪽은 대지와 이번엔 다른 어떤 강들로 향해,

부와 젊음의 말하자면 아낌 없는 목초지에 속할 그런 곳에서,

이와 같은 곳들의 사냥감들을 장악하는 자일세.

ΘΕΑΙ. Πῶς λέγεις;

어찌 하시는 말씀이십니까?

ΞΕ. Τῆς πεζῆς θήρας γίγνεσθον δύο μεγίστω τινὲ

μέρει.

육상 사냥의 가장 큰 어떤 두 부분이 생기지.

ΘΕΑΙ. Ποῖον ἑκάτερον;

각각이 어떤 부분입니까?

ΞΕ. Τὸ μὲν τῶν ἡμέρων, τὸ δὲ τῶν ἀγρίων.

한편은 길들여진 것들에 대한 부분이고, 다른 쪽은 야생의 것들에 대한 부분이라네.

ΘΕΑΙ. Εἶτ᾿ ἔστι τις θήρα τῶν ἡμέρων;

길들여진 것들에 대한 사냥이요?

ΞΕ. Εἴπερ γέ ἐστιν ἄνθρωπος ἥμερον ζῷον. θὲς δὲ ὅπῃ

χαίρεις, εἴτε μηδὲν τιθεὶς ἥμερον, εἴτε ἄλλο μὲν ἥμερόν τι,

τὸν δὲ ἄνθρωπον ἄγριον, εἴτε ἥμερον μὲν λέγεις αὖ τὸν

ἄνθρωπον, ἀνθρώπων δὲ μηδεμίαν ἡγῇ θήραν· τούτων

ὁπότερ᾿ ἂν ἡγῇ φίλον εἰρῆσθαί σοι, τοῦτο ἡμῖν διόρισον.

만일 정말로 인간이 길들여진 동물이라면야 말이지. 그런데 자네

좋을대로 정하시게, 길들여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정하든,

길들여진 건 다른 어떤 것이고 인간은 야생이라 하든, 또 인간은

길들여진 동물이라 말을 하나, 아무것도 전혀 인간에 대한 사냥이지 않다고 생각하든:

이것들 중 자네가 이야기하기에 흡족하다 생각할 무엇이든, 그것을 우리에게 정해주게. 

ΘΕΑΙ. Ἀλλ᾿ ἡμᾶς τε ἥμερον, ὦ ξένε, ἡγοῦμαι ζῷον,

θήραν τε ἀνθρώπων εἶναι λέγω.

그럼 손님, 저는 우리가 길들여진 동물이라 생각하기도 하고,

인간에 대해서도 사냥이란 말을 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ΞΕ. Διττὴν τοίνυν καὶ τὴν ἥμεροθηρικὴν εἴπωμεν.

그러면 길들여진 동물 사냥술도 이중의 것이라 말하도록 하세.

ΘΕΑΙ. Κατὰ τί λέγοντες;

어떤 점에 따라서 말하면서 말씀이십니까?

ΞΕ. Τὴν μὲν λῃστικὴν καὶ ἀνδραποδιστικὴν καὶ τυραν-

νικὴν καὶ σύμπασαν τὴν πολεμικήν, ἓν πάντα, βίαιον

θήραν, ὁρισάμενοι.

해적기술과 납치기술 그리고 참주기술과 전쟁기술 전반은,

그 모두를 하나로서, 강압적인 사냥으로, 규정하면서 말일세.

ΘΕΑΙ. Καλῶς.

훌륭합니다.

ΞΕ. Τὴν δέ γε δικανικὴν καὶ δημηγορικὴν καὶ προσο-

μιλητικήν, ἓν αὖ τὸ σύνολον, πιθανουργικήν τινα μίαν

τέχνην προσειπόντες.

그런가 하면 법정에서 승리하는 기술과 대중연설기술 그리고

사교기술은, 또 그 전체를 함께 하나로 하여, 설득술 같은 어떤 단일한

기술로 이름붙이면서 말하도록 하세.

ΘΕΑΙ. Ὀρθῶς.

맞는 말씀이십니다.

ΞΕ. Τῆς δὴ πιθανουργικῆς διττὰ λέγωμεν γένη.

그럼 설득기술의 두 유들을 말해보세.

ΘΕΑΙ. Ποῖα;

어떤 것들인가요?

ΞΕ. Τὸ μὴν ἕτερον ἰδίᾳ, τὸ δὲ δημοσίᾳ γιγνόμενον.

다른 한쪽은 개인에게, 또 다른 쪽은 대중에게 이루어지는 것일세.

ΘΕΑΙ. Γίγνεσθον γὰρ οὖν εἶδος ἑκάτερον.

그야 양편 각각의 형상이 그리 이루어지니까요.

ΞΕ. Οὐκοῦν αὖ τῆς ἰδιοθηρευτικῆς τὸ μὲν μισθαρνη-

τικόν ἐστιν, τὸ δὲ δωροφορικόν;

그럼 또 사적인 사냥술의 한편은 보수를 받는 형상인 반면,

다른 쪽은 선물을 주는 형상이지 않나?

ΘΕΑΙ. Οὐ μανθάνω.

모르겠습니다.

ΞΕ. Τῇ τῶν ἐρώντων θήρᾳ τὸν νοῦν, ὡς ἔοικας, οὔπω

προσέσχες.

보자니 자네, 구애자들의 사냥에는 한 번도 신경쓴 적이 없나 보군.

ΘΕΑΙ. Τοῦ πέρι;

어떤 점에서요?

ΞΕ. Ὅτι τοῖς θηρευθεῖσι προσέτι δῶρα διδόασιν.

그들이 사냥감들에게 선물을 얹어 준다는 점에서 말이네.

ΘΕΑΙ. Ἀληθέστατα.

정말로 그렇습니다.

ΞΕ. Τοῦτο μὲν τοίνυν ἐρωτικῆς τέχνης ἔστω εἶδος.

그러니 이것은 연애하는 기술에 속하는 형상이지.

ΘΕΑΙ.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ΞΕ. Τοῦ δέ γε μισθαρνητικοῦ τὸ μὲν προσομιλοῦν διὰ

χάριτος καὶ παντάπασι δι᾿ ἡδονῆς τὸ δέλεαρ πεποιημένον

καὶ τὸν μισθὸν πραττόμενον τροφὴν ἑαυτῷ μόνον κολα-

κικήν, ὡς ἐγᾦμαι, πάντες φαῖμεν ἂν <ἢ> ἡδυντικήν τινα

τέχνην εἶναι.

그런가 하면 보수를 받는 쪽의 한편은 전적으로 호의와 

쾌락을 통해 미끼를 만들어내어 사교하고 

보수를 자신의 양분으로 삼는 단지 아첨일 뿐인 것으로,

내 생각에는, 모든 사람이 쾌락술 같은 무슨 기술이라고 말한다네.

ΘΕΑΙ. Πῶς γὰρ οὔ;

어찌 아니겠습니까?

ΞΕ. Τὸ δὲ ἐπαγγελλόμενον μὲν ὡς ἀρετῆς ἕνεκα τὰς

ὁμιλίας ποιούμενον, μισθὸν δὲ νόμισμα πραττόμενον, ἆρα

οὐ τοῦτο τὸ γένος ἑτέρῳ προσειπεῖν ἄξιον ὀνόματι;

그런데 덕을 위해 교제를 한다고 공언하면서,

금전을 보수로 삼는 쪽, 이것은 혹시

다른 이름을 붙일 만한 부류 아니겠는가?

ΘΕΑΙ. Πῶς γὰρ οὔ;

어찌 아니겠습니까?

ΞΕ. Τίνι δὴ τούτῳ; πειρῶ λέγειν.

무슨 이름으로 말인가? 말해 보도록 하게.

ΘΕΑΙ. Δῆλον δή· τὸν γὰρ σοφιστήν μοι δοκοῦμεν

ἀνηυρηκέναι. τοῦτ᾿ οὖν ἔγωγε εἰπὼν τὸ προσῆκον ὄνομ᾿ ἂν

ἡγοῦμαι καλεῖν αὐτόν.

분명하죠. 제게는 소피스트를 발견해낸 것으로 여겨지니까요.

그러니 저는 바로 그 적절한 이름을 말하여 그를 부르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ΞΕ. Κατὰ δὴ τὸν νῦν, ὦ Θεαίτητε, λόγον, ὡς ἔοικεν, ἡ

τέχνης οἰκειωτικῆς, θηρευτικῆς, ζῳοθηρίας, χερσαίας,

ἀνθρωποθηρίας, <πιθανοθηρίας>, ἰδιοθηρίας, νομισμα-

τοπωλικῆς, δοξοπαιδευτικῆς, νέων πλουσίων καὶ ἐνδόξων

γιγνομένη θήρα προσρητέον, ὡς ὁ νῦν λόγος ἡμῖν συμ-

βαίνει, σοφιστική.

그럼 지금 논의에 따르면 전유하는 기술에서, 사냥술에서,

동물사냥에서, 뭍사냥에서, 인간사냥에서, <설득사냥에서>, 개인사냥에서,

금전거래술에서, 믿음교육술(or 유사교육술)에서, 부유하고 명망있는 젊은이들에 대해

이루어지는 사냥은, 그 논변이 우리에게 귀결된대로,

소피스트기술이라 불려야만 하는 것 같군.

ΘΕΑΙ. Παντάπασι μὲν οὖν.

전적으로 그렇습니다.

ΞΕ. Ἔτι δὲ καὶ τῇδε ἴδωμεν· οὐ γάρ τι φαύλης μέτοχόν

ἐστι τέχνης τὸ νῦν ζητούμενον, ἀλλ᾿ εὖ μάλα ποικίλης. καὶ

γὰρ οὖν ἐν τοῖς πρόσθεν εἰρημένοις φάντασμα παρέχεται

μὴ τοῦτο ὃ νῦν αὐτὸ ἡμεῖς φαμεν ἀλλ᾿ ἕτερον εἶναι τι γένος.

이런 식으로도 좀 더 보도록 하세. 지금 쫓기는 것은 단순한 기술에

참여하는 뭔가가 아니라, 특히나 아주 다채로운 기술에 참여하는 것이니.

또 그래서 앞서 이야기된 것들에서 그 유가 지금 우리가 그것이라 말한 

바로 그것이 아니라 다른 어떤 유라는 인상들이 주어지니 말일세.

ΘΕΑΙ. Πῇ δή;

어떤 점에서 말씀이십니까?

ΞΕ. Τὸ τῆς κτητικῆς τέχνης διπλοῦν ἦν εἶδός που, τὸ

μὲν θηρευτικὸν μέρος ἔχον, τὸ δὲ ἀλλακτικόν.

분명 획득하는 기술의 형상은 이중이었고, 그 한편은

사냥하는 부분을 지니는 것이었던 반면, 다른 쪽은 교환하는 부분을 지닌 것이었지.

ΘΕΑΙ. Ἦν γὰρ οὖν.

그야 그랬으니 말입니다.

ΞΕ. Τῆς τοίνυν ἀλλακτικῆς δύο εἴδη λέγωμεν, τὸ μὲν

δωρητικόν, τὸ δὲ ἕτερον ἀγοραστικόν;

그러니 우리 교환술의 두 형상들을, 한편은 선물을 주는

형상으로, 다른 쪽은 거래하는 형상으로 말하겠나?

ΘΕΑΙ. Εἰρήσθω.

그리 이야기되도록 하지요.

ΞΕ. Καὶ μὴν αὖ φήσομεν ἀγοραστικὴν διχῇ τέμνεσθαι.

그런가 하면 우리는 또 거래술이 두 가지로 나뉜다고 말할 걸세.

ΘΕΑΙ. Πῇ;

어떤 쪽으로 나뉩니까?

ΞΕ. Τὴν μὲν τῶν αὐτουργῶν αὐτοπωλικὴν διαιρου-

μένην, τὴν δὲ τὰ ἀλλότρια ἔργα μεταβαλλομένην μεταβλη-

τικήν.

자가제작물들에 대한 자가매매술로 분할된 쪽과,

타인의 일들을 맞바꾸는 매매술로 분할된 쪽으로 말이지.

ΘΕΑΙ.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ΞΕ. Τί δέ; τῆς μεταβλητικῆς οὐχ ἡ μὲν κατὰ πόλιν

ἀλλαγή, σχεδὸν αὐτῆς ἥμισυ μέρος ὄν, καπηλικὴ προσ-

αγορεύεται;

그럼 어떤가? 매매술의 한편은 폴리스에서의 교환이고,

이 교환의 거의 절반인 바, 소매술이라 불리지 않는가?

ΘΕΑΙ. Ναί.

네.

ΞΕ. Τὸ δέ γε ἐξ ἄλλης εἰς ἄλλην πόλιν διαλλάττον ὠνῇ

καὶ πράσει ἐμπορική;

그런데 한 도시에서 다른 도시로의 매입과 판매로 되는 맞교환은

무역술이라 불리고? 

ΘΕΑΙ. Τί δ᾿ οὔ;

왜 아니겠습니까?

ΞΕ. Τῆς δ᾿ ἐμπορικῆς ἆρ᾿ οὐκ ᾐσθήμεθα ὅτι τὸ μὲν

ὅσοις τὸ σῶμα τρέφεται καὶ χρῆται, τὸ δὲ ὅσοις ἡ ψυχή,

πωλοῦν διὰ νομίσματος ἀλλάττεται;

그런데 혹시 무역술에서 한편은 신체가 그로써 양식삼고 

사용하는 것들을, 다른 편은 영혼이 그리 하는 것들을,

현금을 통해 팔아 교환하지 않는가?

ΘΕΑΙ. Πῶς τοῦτο λέγεις;

그것은 어찌 하시는 말씀이십니까?

ΞΕ. Τὸ περὶ τὴν ψυχὴν ἴσως ἀγνοοῦμεν, ἐπεὶ τό γε

ἕτερόν που συνίεμεν.

영혼에 관한 쪽은 우리 둘 다 마찬가지로 모르지만,

다른 쪽은 아마 우리 둘 다 알고 있지.

ΘΕΑΙ. Ναί.

네.

ΞΕ. Μουσικήν τε τοίνυν συνάπασαν λέγωμεν, ἐκ

πόλεως ἑκάστοτε εἰς πόλιν ἔνθεν μὲν ὠνηθεῖσαν, ἑτέρωσε

δὲ ἀγομένην καὶ πιπρασκομένην, καὶ γραφικὴν καὶ

θαυματοποιικὴν καὶ πολλὰ ἕτερα τῆς ψυχῆς τὰ μὲν παρα-

μυθίας, τὰ δὲ καὶ σπουδῆς χάριν ἀχθέντα καὶ πωλούμενα,

τὸν ἄγοντα καὶ πωλοῦντα μηδὲν ἦττον τῆς τῶν σιτίων καὶ

ποτῶν πράσεως ἔμπορον ὀρθῶς ἂν λεγόμενον παρασχεῖν.

그러니 통틀어 교양술 전부를 우리가 말하도록 하세나,

때마다 그 기술이 도시에서 도시로 한편으로는 그 자리에서 

구매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다른 곳으로 이끌려 수출되며, 

회화술도 곡예술도 다른 많은 것들도 한편으로는 영혼의 

위안거리들로, 다른 한편으로는 진지한 목적으로도 이끌려와 

판매되는데, [이것들을] 이끌고 와 판매하는 자가 먹거리와

마실거리의 판매에 비해 하나도 덜 제대로 무역상이라

말해지도록 만들지 않았으리라고 말일세.

ΘΕΑΙ. Ἀληθέστατα λέγεις.

더없이 맞는 말씀이십니다.

ΞΕ. Οὐκοῦν καὶ τὸν μαθήματα συνωνούμενον πόλιν τε

ἐκ πόλεως νομίσματος ἀμείβοντα ταὐτὸν προσερεῖς ὄνομα;

그러면 자네는 배울거리들을 사 모아 도시에서 도시로 보수를 받고

교환하는 자도 같은 이름으로 부르지 않는가? 

ΘΕΑΙ. Σφόδρα γε.

지극히 그렇습니다.

ΞΕ. Τῆς δὴ ψυχεμπορικῆς ταύτης ἆρ᾿ οὐ τὸ μὲν ἐπι-

δεικτικὴ δικαιότατα λέγοιτ᾿ ἄν, τὸ δὲ γελοίῳ μὲν οὐχ ἦττον

τοῦ πρόσθεν, ὅμως δὲ μαθημάτων οὖσαν πρᾶσιν αὐτὴν

ἀδελφῷ τινι τῆς πράξεως ὀνόματι προσειπεῖν ἀνάγκη;

그래서 이러한 영혼에 관련된 매매술의 한편은

매우 정당하게 과시술이라 논해질 것이고, 다른 한편은 앞서의

이름보다 우습기가 덜하지 않은 것으로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울거리들에 대한 판매이기에 그것을

그 행위와 형제간인 어떤 이름으로 부를 수밖에 없지 않은가?

ΘΕΑΙ. Πάνυ μὲν οὖν.

물론 그러합니다.

ΞΕ. Ταύτης τοίνυν τῆς μαθηματοπωλικῆς τὸ μὲν περὶ

τὰ τῶν ἄλλων τεχνῶν μαθήματα ἑτέρῳ, τὸ δὲ περὶ τὸ τῆς

ἀρετῆς ἄλλῳ προσρητέον.

그러면 이러한 교육매매술의 한편으로 여타 기술들에 대한

배움들에 관한 쪽은 다른 이름으로, 덕에 관한 쪽은 그 외의

이름으로 불러야만 하는 것이네.

ΘΕΑΙ. Πῶς γὰρ οὔ;

어찌 아니겠습니까?

ΞΕ. Τεχνοπωλικὸν μὴν τό γε περὶ τἆλλα ἂν ἁρμόττοι·

τὸ δὲ περὶ ταῦτα σὺ προθυμήθητι λέγειν ὄνομα.

여타의 것들에 관한 것은 기술판매하는 쪽으로 부르는 게 어울리겠지.

그런데 이것들에 관한 쪽은 자네가 그 이름을 말할 마음을 먹어 보게.

ΘΕΑΙ. Καὶ τί τις ἂν ἄλλο εἰπὼν ὄνομα οὐκ ἂν πλημ-

μελοίη πλὴν τὸ νῦν ζητούμενον αὐτὸ εἶναι τὸ σοφιστικὸν

γένος;

누군들 소피스트적인 부류가 지금 추적받는 그 부류라는 것

이외에 다른 어떤 이름을 입에 담아 엇박을 치지 않겠습니까?

ΞΕ. Οὐδὲν ἄλλο. ἴθι δὴ νῦν συναγάγωμεν αὐτὸ λέγον-

τες ὡς τὸ κτηκικῆς, μεταβλητικῆς, ἀγοραστικῆς, ἐμ-

πορικῆς, ψυχεμπορικῆς περὶ λόγους καὶ μαθήματα ἀρετῆς

πωλητικὸν δεύτερον ἀνεφάνη σοφιστική.

다른 그 어떤 이름도 말이지. 자, 그럼, 이제 그것을 모아보세.

획득술에서, 교환술에서, 거래술에서,

무역술에서, 영혼에 관련된 매매술에서 진술과 배움에 관련하여

탁월함의 매매를 하는 것이 두 번째로 소피스트 기술이라 드러났다고

말하면서 말일세.

ΘΕΑΙ. Μάλα γε.

무척이나 그렇습니다.

ΞΕ. Τρίτον δέ γ᾿ οἶμαι σε, κἂν εἴ τις αὐτοῦ καθιδρυ-

μένος ἐν πόλει, τὰ μὲν ὠνούμενος, τὰ δὲ καὶ τεκταινόμενος

αὐτὸς μαθήματα περὶ τὰ αὐτὰ ταῦτα καὶ πωλῶν, ἐκ τούτου

τὸ ζῆν προυτάξατο, καλεῖν οὐδὲν ἄλλο πλὴν ὅπερ νυνδή.

그런가 하면 내 생각에 세 번째로, 누군가는 그가

폴리스에 자리를 잡고서, 어떤 것들은 구매하고, 또 어떤 것들은

스스로 그것들 자체에 관한 배울거리들을 창안해내 팔기도 하며,

이로부터 그의 삶이 영위된다면, 방금 바로 그것 외에 다른 어떤 것으로도

그를 부르지 않으리라고 생각한다네.

ΘΕΑΙ. Τί δ᾿ οὐ μέλλω;

왜 아니겠습니까?

ΞΕ. Καὶ τὸ κτητικῆς ἄρα μεταβλητικόν, ἀγοραστικόν,

καπηλικὸν εἴτε αὐτοπωλικόν, ἀμφοτέρως, ὅτιπερ ἂν ᾖ

περὶ τὰ τοιαῦτα μαθηματοπωλικὸν γένος, ἀεὶ σὺ προσ-

ερεῖς, ὡς φαίνῃ, σοφιστικόν.

그럼 획득술에서도 교환적인 것, 거래하는 것,

소매이든 자작판매이든, 양쪽 모두이든, 

이러한 것들에 관한 교육매매의 부류일 것은 무엇이든,

언제나 자네가 소피스트적인 부류라 부르는 게로군.

나타나는 바로는 말일세.

ΘΕΑΙ. Ἀνάγκη· τῲ γὰρ λόγῳ δεῖ συνακολουθεῖν.

그럴 수밖에요. 왜냐하면 논변에 따라야 하니 말이지요.

ΞΕ. Ἔτι δὴ σκοπὼμεν εἴ τινι τοιῷδε προσέοικεν ἄρα τὸ

νῦν μεταδιωκόμενον γένος.

그럼 지금 쫓기는 그 부류가 이런 어떤 것에도 어울릴지

더 나아가 검토해 보기로 하세.

-작성중-

ΞΕ. Μέθοδον μὴν αὐτὸν ἐλπίζω καὶ λόγον οὐκ                     a

ἀνεπιτήδειον ἡμῖν ἔχειν πρὸς ὃ βουλόμεθα.

나는 정말이지 그가 우리가 바라는 일에 대해 

우리에게 부적합하지 않은 방법과 설명을 지니고 있기를 희망한다네.

ΘΕΑΙ. Καλῶς ἂν ἔχοι.

훌륭하게 지니고 있을 것입니다.

ΞΕ. Θέρε δή, τῇδε ἀρχώμεθα αὐτοῦ. καί μοι λέγε·

πότερον ὡς τεχνίτην αὐτὸν ἤ τινα ἄτεχνον, ἄλλην δὲ             5

δύναμιν ἔχοντα θήσομεν;

자, 우리 이런 식으로 그로부터 시작해 보세. 그럼 내게 말해주게.

우리는 그를 기술적인 자로 정하겠는가, 아니면 기술적이지 않은 어떤 자,

그 외의 능력을 지닌 자로 정하겠는가?

ΘΕΑΙ. Ἥκιστά γε ἄτεχνον.

기술적이지 않은 자는 전혀 아니지요.

ΞΕ. Ἀλλὰ μὴν τῶν γε τεχνῶν πασῶν σχεδὸν εἴδη δύο.

허나 물론 모든 기술들은 거의 두 형상으로 나뉘지.

ΘΕΑΙ. Πῶς;

어떻게 말씀이시죠?

ΞΕ. Γεωργία μὲν καὶ ὅση περὶ τὸ θνητὸν πᾶν σῶμα                10

θεραπεία, τό τε αὖ περὶ τὸ σύνθετον καὶ πλαστόν, ὃ δὴ

σκεῦος ὠνομάκαμεν, ἥ τε μιμητική, συμπαντα ταῦτα             b

δικαιότατ᾿ ἂν ἑνὶ προσαγορεύοιτ᾿ ἂν ὀνόματι.

농사와 가사적인 모든 신체에 관한 온갖 보살핌,

또 결합되거나 주조된, 그래서 우리가 산물이라 

명명한 것에 관한 형상, 또는 모방술, 이 모든 것이 통틀어

매우 정당하게 한 이름으로 불리겠지.

ΘΕΑΙ. Πῶς καὶ τίνι;

어떻게 또 어떤 이름으로 말씀이십니까?

ΞΕ. Πᾶν ὅπερ ἂν μὴ πρότερόν τις ὂν ὕστερον εἰς οὐσίαν

ἄγῃ, τὸν μὲν ἄγοντα ποιεῖν, τὸ δὲ ἀγόμενον ποιεῖσθαι πού       5

φαμεν.

이전에 어떤 것이 아닌 것을 이후에 무엇인 것으로 이끌 무엇이든

그 모든 것은, 이끄는 쪽은 만든다고, 이끌리는 쪽은 만들어진다고

우리는 어쨌든 말한다네. 

ΘΕΑΙ. Ὀρθῶς.

맞습니다.

ΞΕ. Τὰ δέ γε νυνδὴ <ἃ> διήλθομεν ἅπαντα εἶχεν εἰς

τοῦτο τὴν αὑτῶν δύναμιν.

그런데 방금 우리가 논한 그 모든 것들은 자신들의 능력을

이런 일에 관련시키고 있었지.

ΘΕΑΙ. Εἶχε γὰρ οὖν.                                                          10

그야 그 쪽에 관련시키고 있었으니까요.

ΞΕ. Ποιητικὴν τοίνυν αὐτὰ συγκεφαλαιωσάμενοι

προσείπωμεν.

그러니 그것들을 간추려 모으고서 제작술이라고

부르기로 하세나.

ΘΕΑΙ. Ἔστω.                                                                 c

그렇다고 하죠.

ΞΕ. Τὸ δὲ μαθηματικὸν αὖ μετὰ τοῦτο εἶδος ὅλον καὶ

τὸ τῆς γνωρίσεως τό τε χρηματιστικὸν καὶ ἀγωνιστικὸν

καὶ θηρευτικόν, ἐπειδὴ δημιουργεῖ μὲν οὐδὲν τούτων, τὰ

δὲ ὄντα καὶ γεγονότα τὰ μὲν χειροῦται λόγοις καὶ πράξεσι,      5

τὰ δὲ τοῖς χειρουμένοις οὐκ ἐπιτρέπει, μάλιστ᾿ ἄν που διὰ

ταῦτα συνάπαντα τὰ μέρη τέχνη τις κτητικὴ λεχθεῖσα ἂν

διαπρέψειεν.

그런데 또 그 다음으로 학문적인 형상 전체와

인식에 속하는 형상이나 재화를 만들거나 경쟁하거나

사냥하는 형상은, 이것들 중 어느 것도 제작을 하지는 않고,

무엇인 것들이나 무엇이 된 것들을 어떤 것들은 말과 행동으로 장악하고,

또 어떤 것들은 장악하는 자들에게 넘기지 않는데, 특히나

이런 모든 것들을 통해서 어떤 확보하는 기술이 논해진다는 것은

적절할 걸세.

ΘΕΑΙ. Διαπρέποι γὰρ ἄν.

적절한 것일 테지요.

ΞΕ. Κτητικῆς δὴ καὶ ποιητικῆς συμπασῶν οὐσῶν τῶν              d

τεχνῶν ἐν ποτέρᾳ τὴν ἀσπαλιευτικήν, ὦ Θεαίτητε, τιθῶ-

μεν;

그럼 기술인 바의 통틀어 모든 것들 중 확보술과 제작술의

둘 중 어느 쪽에 우리가 낚시기술을 세워놓겠나,

테아이테토스?

ΘΕΑΙ. Ἐν κτητικῇ που δῆλον.

아마 확보술에 놓을 게 분명하겠지요.

ΞΕ. Κτητικῆς δὲ ἆρ᾿ οὐ δύο εἴδη; τὸ μὲν ἑκόντων πρὸς             5

ἑκόντας μεταβλητικὸν ὂν διά τε δωρεῶν καὶ μισθώσεων

καὶ ἀγοράσεων, τὸ δὲ λοιπόν, ἢ κατ᾿ ἔργα ἢ κατὰ λόγους

χειρούμενον σύμπαν, χειρωτικὸν ἂν εἴη;

그런데 혹시 확보술의 형상은 두 가지가 아닌가? 하나는 자발적인 자가

자발적인 자를 향해 하는 교환적인 것으로서 선물과 보수

그리고 시장을 통해 하는 형상인 반면, 남은 쪽은, 일에서든 말에서든

장악하는 것 전부는, 장악적인 것이겠지?

ΘΕΑΙ. Φαίνεται γοῦν ἐκ τῶν εἰρημένων.

이야기된 바들로부터 그리 드러나니까요.

ΞΕ. Τί δέ; τὴν χειρωτικὴν ἆρ᾿ οὐ διχῇ τμητέον;                       10

이건 어떤가? 혹시 장악술도 다시 두 가지로 나뉘어야 하는 것 아닌가? 

ΘΕΑΙ. Πῇ;

어떤 식으로요?

ΞΕ. Τὸ μὲν ἀναφανδὸν ὅλον ἀγωνιστικὸν θέντας, τὸ δὲ           e

κρυφαῖον αὐτῆς πᾶν θηρευτικόν.

드러내놓는 쪽 전체는 경쟁적인 것으로 놓고, 그 기술의

감추는 쪽은 모두 사냥 쪽으로 놓는 걸세.

ΘΕΑΙ. Ναί.

그렇습니다.

ΞΕ. Τήν γε μὴν θηρευτικὴν ἄλογον τὸ μὴ οὐ τέμνειν

διχῇ.                                                                             5

사냥술은 두 가지로 나누지 않는다는 건 정말로 말이

안되는 일이지.

ΘΕΑΙ. Λέγε ὅπῃ.

어떻게 분할하는지 말씀해 주시지요.

ΞΕ. Τὸ μὲν ἀψύχου γένους διελομένους, τὸ δ᾿ ἐμψύχου.

영혼 없는 부류에 대한 쪽을 분할하여, 영혼이 담긴 부류에 대한 다른 쪽을 분할하네.

ΘΕΑΙ. Τί μήν; εἴπερ ἔστον γε ἄμφω.

왜 아니겠습니까? 정말로 그 둘이 그 양편이라면 말이죠.

ΞΕ. Πῶς δὲ οὐκ ἔστον; καὶ δεῖ γε ἡμᾶς τὸ μὲν τῶν             220

ἀψύχων, ἀνώνυμον ὂν πλὴν κατ᾿ ἔνια τῆς κολυμβητικῆς

ἄττα μέρη καὶ τοιαῦτ᾿ ἄλλα βραχέα, χαίρειν ἐᾶσαι, τὸ δέ,

τῶν ἐμψύχων ζῴων οὖσαν θήραν, προσειπεῖν ζῳοθηρικήν.

어찌 아니겠는가? 나아가 우리는 영혼 없는 것들에 대한

쪽, 잠수기술에 속하는 일부에 따른 몇몇 부분들과

이와 같은 그 외의 사소한 것들을 제외하고는 이름 없는 쪽은,

인사를 고해야 하고, 다른 쪽, 영혼이 담긴 동물들에 대한 

사냥은, 동물사냥술이라 불러주어야 하네.

ΘΕΑΙ. Ἔστω.                                                                   5

그렇게 하시죠.

ΞΕ. Ζῳοθηρικῆς δὲ ἆρ᾿ οὐ διπλοῦν εἶδος ἂν λέγοιτο ἐν

δίκῃ, τὸ μὲν πεζοῦ γένους, πολλοῖς εἴδεσι καὶ ὀνόμασι

διῃρημένον, πεζοθηρικόν, τὸ δ᾿ ἕτερον νευστικοῦ ζῴου πᾶν

ἐνυγροθηρικόν;

그런데 혹시 동물사냥의 이중의 형상이 두 측면에서,

한편은 여러 형상들과 이름들로 분할되는 발 달린(육상)

부류에 대한, 육상사냥으로, 헤엄치는(수생) 동물에 대한 다른 모든 형상은

수상사냥으로 이야기되지 않겠는가?

ΘΕΑΙ. Πάνυ γε.                                                                10

물론입니다.

ΞΕ. Νευστικοῦ μὴν τὸ μὲν πτηνὸν φῦλον ὁρῶμεν, τὸ δὲ          b

ἔνυδρον;

물론 우리는 수생에서 한편으로 깃 달린 족속을, 다른 한편으로는

수중에 사는 족속을 보고 있지?

ΘΕΑΙ. Πῶς δ᾿ οὔ;

어찌 아니겠습니까?

ΞΕ. Καὶ τοῦ πτηνοῦ μὴν γένους πᾶσα ἡμῖν ἡ θήρα

λέγεταί πού τις ὀρνιθευτική.                                              5

그래서 깃 달린 부류에 대한 모든 사냥은 아마도

우리가 어떤 조류사냥술이라 논하겠지.

ΘΕΑΙ. Λέγεται γὰρ οὖν.

그리 논해지니까요.

ΞΕ. Τοῦ δὲ ἐνύδρου σχεδὸν τὸ σύνολον ἁλιευτική.

그런데 수중에 대한 부분의 통틀어 거의 전체는 어획기술이라네.

ΘΕΑΙ. Ναί.

그렇습니다.

ΞΕ. Τί δέ; ταύτην αὖ τὴν θήραν ἆρ᾿ οὐκ ἂν κατὰ

μέγιστα μέρη δύο διέλοιμεν;                                             10

그런데 어떤가? 우리는 또 이 사냥을 혹시 

가장 큰 부분들에 따라 둘로 분할하지 않을까?

ΘΕΑΙ. Κατὰ ποῖα;

어떤 부분들에 따라서요?

ΞΕ. Καθ᾿ ἃ τὸ μὲν ἕρκεσιν αὐτοῖν ποιεῖται τὴν θήραν, τὸ

δὲ πληγῇ.

사냥이 맨손으로 가두는 것을 통해 만들어지는 부분, 그리고

타격으로 만들어지는 부분에 따라서라네.

ΘΕΑΙ. Πῶς λέγεις, καὶ πῇ διαιρούμενος ἑκάτερον;

어떤 의미로, 또 어떤 식으로 그 둘 각각을 분할하시면서 말씀하시는 건가요?

ΞΕ. Τὸ μέν, ὅτι πᾶν ὅσον ἂν ἕνεκα κωλύσεως εἴργῃ τι             c

περιέχον, ἕρκος εἰκὸς ὀνομάζειν.

한편은, 막아두기 위해 무언가 에워싸 가로막는 모든 것이기에,

가두는 것 비슷한 이름을 붙인다는 말이지.

ΘΕΑΙ. Πάνυ μὲν οὖν.

물론 그렇습니다.

ΞΕ. Κύρτους δὴ καὶ δίκτυα καὶ βρόχους καὶ πόρκους

καὶ τὰ τοιαῦτα μῶν ἄλλο τι πλὴν ἕρκη χρὴ προσαγορεύειν;     5

나아가 통발과 그물과 올가미와 어량과 이와 같은 것들을

가두는 기술 외에 다른 무엇으로 불러야 하는 것은 물론 아니겠지?

ΘΕΑΙ. Οὐδέν.

달리 부를 필요는 없지요.

ΞΕ. Τοῦτο μὲν ἄρα ἑρκοθηρικὸν τῆς ἄγρας τὸ μέρος

φήσομεν ἤ τι τοιοῦτον.

그러면 우리는 몰이(사냥)의 이 부분을 가두는 사냥을 하는 부분이나

그런 어떤 것으로 부를 걸세.

ΘΕΑΙ. Ναι.

네.

ΞΕ. Τὸ δὲ ἀγκίστροις καὶ τριόδουσι πληγῇ γιγνόμενον             10

ἕτερον μὲν ἐκείνου, πληκτικὴν δέ τινα θήραν ἡμᾶς προσει-    d

πεῖν ἑνὶ λόγῳ νῦν χρεών· ἢ τί τις ἄν, ὦ Θεαίτητε, εἴποι κάλ-

λιον;

그런데 갈고리와 작살(삼지창)로 가격하여 이뤄지는 부분은 

저것과 다른 부분으로, 가격하는 어떤 사냥이라는 하나의 말로

불러야만 하는 것이라네. 혹은, 테아이테토스, 누군가 더 나은 무언가를

말할 수 있겠나?

ΘΕΑΙ. Ἀμελῶμεν τοῦ ὀνόματος· ἀρκεῖ γὰρ καὶ τοῦτο.

이름에는 신경쓰지 말도록 하시죠. 이것으로도 충분하니까요.

ΞΕ. Τῆς τοίνυν πληκτικῆς τὸ μὲν νυκτερινὸν οἶμαι πρὸς           5

πυρὸς φῶς γιγνόμενον ὑπ᾿ αὐτῶν τῶν περὶ τὴν θήραν

πυρευτικὴν ῥηθῆναι συμβέβηκεν.

그리고 내 생각에 가격술에서 밤에 하는 쪽은 내 생각에 

횃불의 빛 앞에서 이루어지기에 사냥하는 자들 스스로 

횃불사냥이라 이야기되게 된 것 같군.

ΘΕΑΙ.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ΞΕ. Τὸ δέ γε μεθημερινόν, ὡς ἐχόντων ἐν ἄκροις

ἄγκιστρα καὶ τῶν τριοδόντων, πᾶν ἀγκιστρευτικόν.               10

그런데 낮 동안에 하는 쪽은, 작살도 끝에 갈고리를

지니기에, 모두 갈고리사냥을 하는 부분이지.

ΘΕΑΙ. Λέγεται γὰρ οὖν.                                                   e

그리 논해지니까요.

ΞΕ. Τοῦ τοίνυν ἀγκιστρευτικοῦ τῆς πληκτικῆς τὸ μὲν

ἄνωθεν εἰς τὸ κάτω γιγνόμενον διὰ τὸ τοῖς τριόδουσιν

οὕτω μάλιστα χρῆσθαι τριοδοντία τις οἶμαι κέκληται.

그런가 하면 나는 가격술의 갈고리사냥에서 위로부터 아랫쪽을

향해 이루어지는 쪽은 특히 그렇게 작살을 사용한다는 이유로

작살사냥 같은 무언가로 불렸다고 생각하네.

ΘΕΑΙ. Φασὶ γοῦν τινές.                                                     5

그래서 어떤 이들은 그리 말하긴 합니다.

ΞΕ. Τὸ δέ γε λοιπόν ἐστιν ἓν ἔτι μόνον ὡς εἰπεῖν εἶδος.

그리고 남은 것은 말하자면 이제 단 하나의 형상이지.

ΘΕΑΙ. Τὸ ποῖον;

어떤 형상인가요?

ΞΕ. Τὸ τῆς ἐναντίας ταύτῃ πληγῆς, ἀγκίστρῳ τε γιγνό-

μενον καὶ τῶν ἰχθύων οὐχ ᾗ τις ἂν τύχῃ τοῦ σώματος,

ὥσπερ τοῖς τριόδουσιν, ἀλλὰ περὶ τὴν κεφαλὴν καὶ τὸ      221

στόμα τοῦ θηρευθέντος ἑκάστοτε, καὶ κάτωθεν εἰς τοὐναν-

τίον ἄνω ῥάβδοις καὶ τεράμωσιν ἀνασπώμενον· οὗ τί

φήσομεν, ὦ Θεαίτητε, δεῖν τοὔνομα λέγεσθαι;

이와 반대되는 가격에서, 물고기에 대해서 그리고 갈고리로 

이뤄지되 우연히 그 몸통의 어딘가에, 마치 작살로 하듯

하는 것이 아니라, 매번 사냥당하는 것의 대가리와 주둥이

주변에서 이뤄지는, 그리고 아래로부터 그 반대인 위를 향해

막대와 대롱으로 당겨올리는 형상 말일세. 그것에 대해,

테아이테토스, 우리는 그 이름이 무엇이라 말해져야 한다고 이야기하겠나?

ΘΕΑΙ. Δοκῶ μέν, ὅπερ ἄρτι προυθέμεθα δεῖν ἐξευρεῖν,           5

τοῦτ᾿ αὐτὸ νῦν ἀποτετελέσθαι.

저로서는, 방금 우리가 찾아내야 한다고 정했던 바로 그 일,

그 일 자체가 지금 완수된 것이라 여겨집니다.

ΞΕ. Νῦν ἄρα τῆς ἀσπαλιευτικῆς πέρι σύ τε κἀγὼ συν-

ωμολογήκαμεν οὐ μόνον τοὔνομα, ἀλλὰ καὶ τὸν λόγον         b

περὶ αὐτὸ τοὖργον εἰλήφαμεν ἱκανῶς. συμπάσης γὰρ

τέχνης τὸ μὲν ἥμισυ μέρος κτητικὸν ἦν, κτητικοῦ δὲ χειρω-

τικόν, χειρωτικοῦ δὲ θηρευτικόν, τοῦ δὲ θηρευτικοῦ

ζῳοθηρικόν, ζῳθητικοῦ δὲ ἐνυγροθηρικόν, ἐνυγροθηρι-         5

κοῦ δὲ τὸ κάτωθεν τμῆμα ὅλον ἁλιευτικόν, ἁλιευτικῆς δὲ

πληκτικόν, πληκτικῆς δὲ ἀγκιστρευτικόν· τούτου δὲ τὸ

περὶ τὴν κάτωθεν ἄνω πληγὴν ἀνασπωμένην, ἀπ᾿ αὐτῆς      c

τῆς πράξεως ἀφομοιωθὲν τοὔνομα, ἡ νῦν "ἀσπαλιευτικὴ"

ζητηθεῖσα ἐπίκλην γέγονεν.

그래서 이제 낚시기술에 관하여 자네나 나나 

단지 그 이름만 동의한 게 아니라, 그 일 자체에 관한 

논변(설명)까지도 우리가 충분히 파악하였군. 왜냐하면 통틀어

모든 기술에서 절반인 부분은 확보술이었고, 확보술에서는 장악

하는 부분이, 장악하는 것에서는 사냥하는 부분이, 사냥하는 부분에서는

동물사냥하는 부분이, 동물사냥 부분에서는 수중사냥하는 부분이 있었으며, 

수중사냥하는 부분에서는 아래로부터 나뉜 전체는 어획하는 부분이고, 

어획술에서는 가격하는 부분이, 가격하는 부분에서는 갈고리를 사용하는 부분이 있었으니.

이 부분에서 아래로부터 위로 당겨올려지는 가격에 관한 부분이 있었고, 바로 이

행위로부터 이를 닮은 이름이 만들어져, 이제 "낚시기술"이

추적되어 명칭이 되었기 때문이라네.

ΘΕΑΙ. Παντάπασι μὲν οὖν τοῦτό γε ἱκανῶς δεδή-

λωται.                                                                         5

그리하여 그 점은 전적으로 충분하게 분명해졌습니다.

ΞΕ. Φέρε δή, κατὰ τοῦτο τὸ παράδειγμα καὶ τὸν

σοφιστὴν ἐπιχειρῶμεν εὑρεῖν ὅτι ποτ᾿ ἔστιν.

자 그럼, 이러한 본에 따라 소피스트도 도대체 무엇인지

찾아 나서 보도록 하세.

ΘΕΑΙ. Κομιδῇ μὲν οὖν.

그야 확실히 그렇습니다.

ΞΕ. Καὶ μὴν ἐκεῖνό γ᾿ ἦν τὸ ζήτημα πρῶτον, πότερον

ἰδιώτην ἤ τινα τέχνην ἔχοντα θετέον εἶναι τὸν ἀσπαλιευτήν.  10

그건 그렇고 저 처음에 추적하려던 것은, 낚시꾼이

문외한으로 놓여야 하는 것인지 아니면 어떤 기술을 

가진 자로 놓여야 하는 것인지 여부였네.

ΘΕΑΙ. Ναί.

네.

ΞΕ. Καὶ νῦν δὴ τοῦτον ἰδιώτην θήσομεν, ὦ Θεαίτητε, ἢ         d

παντάπασιν ὡς ἀληθῶς σοφιστήν;

그래서 지금도 이 자를, 테아이테토스, 우리는 문외한으로 놓겠나

아니면 전적으로 참으로 소피스트(지식기술자)로 놓겠나?

ΘΕΑΙ. Οὐδαμῶς ἰδιώτην· μανθάνω γὰρ ὃ λέγεις, ὡς

παντὸς δεῖ τοιοῦτος εἶναι τό γε ὄνομα τοῦτο ἔχων.

결코 문외한으로 놓지는 않을 겁니다. 그런(소피스트라는) 이름을

가진 자는 이런 자와는 한참이나 동떨어진 자라고 

당신이 말씀하고 계시다는 걸 알고 있으니 말이지요.

ΞΕ. Ἀλλά τινα τέχνην αὐτὸν ἡμῖν ἔχοντα, ὡς ἔοικε,                 5

θετέον.

오히려 우리가 보기에 그는 어떤 기술을 가진 자로

놓아야 할 것 같지.

ΘΕΑΙ. Τίνα ποτ᾿ οὖν δὴ ταύτην;

그래서 그 기술은 정말로 대체 어떤 기술인가요?

ΞΕ. Ἆρ᾿ ὦ πρὸς θεῶν ἠγνοήκαμεν τἀνδρὸς τὸν ἄνδρα

ὄντα συγγενῆ;

신들께 걸고 혹시나 우리는 그 자가 그 자와 같은 부류임을

몰랐던 겐가?

ΘΕΑΙ. Τίνα τοῦ;                                                               10

누가 누구와요?

ΞΕ. Τὸν ἀσπαλιευτὴν τοῦ σοφιστοῦ.

낚시꾼이 소피스트와 말이지.

ΘΕΑΙ. Πῇ;

어떤 점에서요?

ΞΕ. Θηρευτά τινε καταφαίνεσθον ἄμφω μοι.

내게는 양쪽 모두 어떤 사냥꾼들로 드러난다네.

ΘΕΑΙ. Τίνος θήρας ἅτερος; τὸν μὲν γὰρ ἕτερον                      e 

εἴπομεν.

다른 쪽은 무슨 사냥에 속하나요? 또 다른 족은

우리가 이야기했으니까요.

ΞΕ. Δίχα που νυνδὴ διείλομεν τὴν ἄγραν πᾶσαν,

νευστικοῦ μέρους, τὸ δὲ πεζοῦ τέμνοντες.

우리는 아마도 방금 몰이질 전체를 둘로 분할하였지.

수생동물 부분에 속하는 쪽, 그리고 육상동물에 속하는 쪽으로 나누면서 말이야.

ΘΕΑΙ. Ναί.                                                                       5

네.

ΞΕ. Καὶ τὸ μὲν διήλθομεν, ὅσον περὶ τὰ νευστικὰ τῶν

ἐνύδρων· τὸ δὲ πεζὸν εἰάσαμεν ἄσχιστον, εἰπόντες ὅτι

πολυειδὲς εἴη.

수생동물들 중에서 수중동물들에 관한 그 만큼의 것도

우리는 논의하였네. 그런데 육상동물 쪽은 가르지 않고 내버려 두었다네.

여러형상인 것이라고 말하면서 말일세.


-작성중-

ΣΟΦΙΣΤΗΣ


ΘΕΟΔΩΡΟΣ  ΣΩΚΡΑΤΗΣ

ΕΛΕΑΤΗΣ ΞΕΝΟΣ  ΘΕΑΙΤΗΤΟΣ


ΘΕΟ. Κατὰ τὴν χθὲς ὁμολογίαν, ὦ Σώκρατες, ἥκομεν         216a

αὐτοί τε κοσμίως καὶ τόνδε τινὰ ξένον ἄγομεν, τὸ μὲν γένος

ἐξ Ἐλέας, ἑταῖρον δὲ τῶν ἀμφὶ Παρμενίδην καὶ Ζήνωνα,

μάλα δὲ ἄνδρα φιλόσοφον.

어제 약속대로, 소크라테스, 저희도 제대로 왔고 여기 어떤

외지 손님도 모셔왔습니다만, 부류는 엘레아 출신이시고,

파르메니데스와 제논을 따르는 자들의 동료이시며,

특히나 철학을 하시는 분이시랍니다.

- 『테아이테토스』에서는 거짓이 어떻게 가능한지 설명 불가능. 콘포드, 찰스 칸. 

  『테아이테토스』의 액자식 구성 속 사건과 『소피스트』의 전면 사건 사이 소크라테스 죽음 시리즈.

  엘레아 부류-철학자의 부류//소피스트의 부류 ? 정치가의 부류 구분? τοῦ ὄντος

ΣΩ. Ἆρ᾿ οὖν, ὦ Θεόδωρε, οὐ ξένον ἀλλά τινα θεὸν                  5

ἄγων κατὰ τὸν Ὁμήρου λόγον λέληθας; ὅς φησιν ἄλλους

τε θεοὺς τοῖς ἀνθρώποις ὁπόσοι μετέχουσιν αἰδοῦς                b

δικαίας, καὶ δὴ καὶ τὸν ξένιον οὐχ ἥκιστα θεὸν συνοπαδὸν

γιγνόμενον ὕβρεις τε καὶ εὐνομίας τῶν ἀνθρώπων

καθορᾶν. τάχ᾿ οὖν ἂν καὶ σοί τις οὗτος τῶν κρειττόνων

συνέποιτο, φαύλους ἡμᾶς ὄντας ἐν τοῖς λόγοις ἐποψόμενός        5

τε καὶ ἐλέγξων, θεὸς ὤν τις ἐλεγκτικός.

그럼 혹시, 테오도로스, 외지 손님이 아니라 어떤 신을

호메로스 말대로 자네도 모르는 사이에 모셔온 겐가? 호메로스는 다른

신들도 정의로운 경외에 참여하는 인간들에게 그렇거니와,

더욱이 누구보다도 손님맞이의 신께서 동반자가 되시어

인간들의 오만과 순종을 살피신다 이야기하지.

그러니 어쩌면 자네에게도 우월하신 분들 중에 이와 같은 어떤 분께서

동행하셨을지도 모른다네, 단순한 우리들을 방문하시고 또한

논박하시고자, 어떤 논박술을 갖춘 신으로서 말이야.

ΘΕΟ. Οὐχ οὗτος ὁ τρόπος, ὦ Σώκρατες, τοῦ ξένου,

ἀλλὰ μετριώτερος τῶν περὶ τὰς ἔριδας ἐσπουδακότων. καί

μοι δοκεῖ θεὸς μὲν ἁνὴρ οὐδαμῶς εἶναι, θεῖος μήν· πάντας

γὰρ ἐγὼ τοὺς φιλοσόφους τοιούτους προσαγορεύω.               c

그 외지 손님의 방식은 그런 게 아니고요, 소크라테스,

쟁론에 몰두하는 자들보다 더욱 점잖은 방식입니다. 그리고

제게는 이 사람이 결코 신이지는 않지만, 신적이긴 하다고 여겨집니다. 그야

저는 모든 철학자들을 이런(신적인) 사람들이라 부르니 말이지요.

ΣΩ. Καὶ καλῶς γε, ὦ φίλε. τοῦτο μέντοι κινδυνεύει τὸ

γένος οὐ πολύ τι ῥᾷον ὡς ἔπος ἐιπεῖν εἶναι διακρίνειν ἢ τὸ

τοῦ θεοῦ· πάνυ γὰρ ἆνδρες οὗτοι "παντοῖοι" φανταζό-

μενοι διὰ τὴν τῶν ἄλλων ἄγνοιαν "ἐπιστρωφῶσι                     5

πόληας," οἱ μὴ πλαστῶς ἀλλ᾿ ὄντως φιλόσοφοι, καθ-

ορῶντες ὑψόθεν τὸν τῶν κάτω βίον, καὶ τοῖς μὲν δοκοῦσιν

εἶναι τοῦ μηδενὸς τίμιοι, τοῖς δ᾿ ἄξιοι τοῦ παντός· καὶ τοτὲ

μὲν πολιτικοὶ φαντάζονται, τοτὲ δὲ σοφισταί, τοτὲ δ᾿ ἔστιν     d

οἷς δόξαν παράσχοιντ᾿ ἂν ὡς παντάπασιν ἔχοντες μανικῶς.

τοῦ μέντοι ξένου ἡμῖν ἡδέως ἂν πυνθανοίμην, εἰ φίλον

αὐτῷ, τί ταῦθ᾿ οἱ περὶ τὸν ἐκεῖ τόπον ἡγοῦντο καὶ ὠνόμ-   217

αζον.

훌륭하게 말한 것이기도 하고, 친구. 그렇긴 하지만 이런

부류가 신의 부류에 비해 판별하기에 그닥 더 쉬운 것도 

아닐 걸세. 이러한 모든 자들이 그 외의 사람들의 무지로 인해

"온갖 모습들"로 나타나 "도시들을 드나드는데, 그들이 지어낸

철학자들이 아니라 실제로 철학자들이며, 위로부터 

아랫것들의 삶을 굽어 보면서, 어떤 이들에게는 아무 짝에도

쓸모없는 자들이라 여겨지는가 하면, 또 어떤 이들에게는 

모든 일을 할 만한 자들이라 여겨지니까 말이야. 또 어떤 때엔

정치가들로 나타나고, 또 다른 때엔 소피스트들로 나타나며, 

또 어떤 때에는 사람들에게 전적으로 모든 점에서 

미쳐 있는 자들이라는 믿음을 줄 자들이라네.

그렇지만 우리로서는, 손님께서 좋으시다면, 저쪽 지방 사람들은 그런 것들을 무어라

생각하였고 이름불렀는지를 손님께 기쁘게 배울 걸세.

ΘΕΟ. Τὰ ποῖα δή;

어떤 것들을 말이죠?

ΣΩ. Σοφιστήν, πολιτικόν, φιλόσοφον.

소피스트, 정치가, 철학자 말일세.

ΘΕΟ. Τί δὲ μάλιστα καὶ τὸ ποῖόν τι περὶ αὐτῶν δια-               5

πορηθεὶς ἐρέσθαι διενοήθης;

그런데 특히 무슨 이유로 그것들에 관한 어떤 점에 당혹해하시며

묻고자 생각하셨나요?

ΣΩ. Τόδε· πότερον ἓν πάντα ταῦτα ἐνόμιζον ἢ δύο, ἢ

καθάπερ τὰ ὀνόματα τρία, τρία καὶ γένη διαιρούμενοι καθ᾿

ἓν ὄνομα γένος ἑκάστῳ προσῆπτον;

이런 걸세: 그들이 이것들 모두를 하나로 생각했는지 아니면 둘로 생각했는지,

또는 이름들이 셋이듯, 유들도 셋으로 구분하면서 한 이름마다

유를 각각에 결부시켰는지? <모습이나 활동을 나누는 것이 아니라 유(類)를 나누고 있다.>

ΘΕΟ. Ἀλλ᾿ οὐδείς, ὡς ἐγᾦμαι, φθόνος αὐτῷ διελθεῖν               10

αὐτά· ἢ πῶς, ὦ ξένε, λέγωμεν;

제 생각에 그 분께는 그런 일들을 상술하는 것이 전혀 인색하게 굴 일이

아닙니다. 아니면 우리가 어찌 말할까요, 손님?

ΞΕ. Οὕτως, ὦ Θεόδωρε. φθόνος μὲν γὰρ οὐδεὶς οὐδὲ             b

χαλεπὸν εἰπεῖν ὅτι γε τρί᾿ ἡγοῦντο· καθ᾿ ἕκαστον μὴν διο-

ρίσασθαι σαφῶς τί ποτ᾿ ἔστιν, οὐ σμικρὸν οὐδὲ ῥᾴδιον

ἔργον.

그렇습니다, 테오도로스. 그들이 셋이라고 생각했다는 건

인색하게 굴 일도 아니고 어렵지도 않으니까요. 물론 그 각각에 대해

명백하게 도대체 무엇인지를 정의하기란, 작지도 쉽지도

않은 일이지만 말이죠.

ΘΕΟ. Καὶ μὲν δὴ κατὰ τύχην γε, ὦ Σώκρατες, λόγων                5

ἐπελάβου παραπλησίων ὧν καὶ πρὶν ἡμᾶς δεῦρ᾿ ἐλθεῖν

διερωτῶντες αὐτὸν ἐτυγχάνομεν, ὁ δὲ ταὐτὰ ἅπερ πρὸς σὲ

νῦν καὶ τότε ἐσκήπτετο πρὸς ἡμᾶς· έπεὶ διακηκοέναι γέ

φησιν ἱκανῶς καὶ οὐκ ἀμνημονεῖν.

게다가 우연이긴 합니다만, 소크라테스, 당신께서 붙들고 계셨던

논변들과 거의 유사한 것들을 여기에 도착하기 전에도

저희가 그 분께 마침 캐묻던 참이었는데, 그 분께서는 당신께

지금 대고 계신 바로 그 핑계들을 그 때에도 저희에게 들이대셨어요.

충분히 들으셨고 기억 못하시는 것이 아니라고 말씀은 하시지만요.

ΣΩ. Μὴ τοίνυν, ὦ ξένε, ἡμῶν τήν γε πρώτην                         c

αἰτησάντων χάριν ἀπαρνηθεὶς γένῃ, τοσόνδε δ᾿ ἡμῖν

φράζε. πότερον εἴωθας ἥδιον αὐτὸς ἐπὶ σαυτοῦ μακρῷ

λόγῳ διεξιέναι λέγων τοῦτο ὅ ἂν ἐνδείξασθαί τῳ

βουληθῇς, ἢ δι᾿ ἐρωτήσεων, οἷόν ποτε καὶ Παρμενίδῃ             5

χρωμένῳ καὶ διεξιόντι λόγους παγκάλους παρεγενόμην

ἐγὼ νέος ὤν, ἐκείνου μάλα δὴ τότε ὄντος πρεσβύτου;

그러면, 손님, 처음으로 부탁드리는 저희를 위해

거절치 말아 주시고, 이 정도는 저희에게 말씀해 주세요.

당신께서는 자신이 혼자 긴 논변으로 누군가에게 보여주길

바라시는 그러한 것을 말씀하시며 상술하기를

즐기시는 데에 익숙하십니까, 아니면 질문을 통하는 편이 익숙하십니까?

예를 들어 언젠가 어릴 적 저는 파르메니데스께서도 이 방법을 사용하시며 

매우 훌륭한 논변들을 상술하시는 그 곁에 있게된 적이 있습니다만, <『파르메니데스』를 지시? 『테아이테토스』에서도 언급 등장?>

그 때 저 분께서는 훨씬 더 연로하셨답니다.

ΞΕ. Τῷ μέν, ὦ Σώκρατες, ἀλύπως τε καὶ εὐηνίως                     d

προσδιαλεγομένῳ ῥᾷον οὕτω, τὸ πρὸς ἄλλον· εἰ δὲ μή, τὸ

καθ᾿ αὑτόν.

공격적이지 않고 유순한 방식으로 대화하는 자에게는, 소크라테스,

그렇게 다른 이를 상대로 하는 편이 더욱 쉽지요. 그렇지 않다면,

스스로 하는 쪽이고요.

ΣΩ. Ἔξεστι τοίνυν τῶν παρόντων ὃν ἂν βουληθῇς

ἐκλέξασθαι, πάντες γὰρ ὑπακούσονταί σοι πρᾴως· συμ-           5

βούλῳ μὴν ἐμοὶ χρώμενος τῶν νέων τινὰ αἱρήσῃ, Θεαίτη-

τον τόνδε, ἢ καὶ τῶν ἄλλων εἴ τίς σοι κατὰ νοῦν.

그러시다면 이 자리에 있는 자들 중 당신께서 바라시는 사람을

고르시면 되겠습니다. 모두 당신 말씀에 얌전히 귀기울일 테니까요.

제게 조언을 구하신다면 젊은이들 중 누군가를 선택하시겠지요. 여기 이

테아이테토스라든지, 혹은 다른 자들 중 누군가 당신 마음에 든다면 그 사람도요.

ΞΕ. Ὦ Σώκρατες, αἰδώς τίς μ᾿ ἔχει τὸ νῦν πρῶτον συγ-

γενόμενον ὑμῖν μὴ κατὰ σμικρὸν ἔπος πρὸς ἔπος ποιεῖσθαι

τὴν συνουσίαν, ἀλλ᾿ ἐκτειναντα ἀπομηκύνειν λόγον συχνὸν    e

κατ᾿ ἐμαυτόν, εἴτε καὶ πρὸς ἕτερον, οἷον ἐπίδειξιν ποιού-

μενον· τῷ γὰρ ὄντι τὸ νῦν ῥηθὲν οὐχ ὅσον ὦδε ἐρωτηθὲν

ἐλπίσειεν ἂν αὐτὸ εἶναι τις, ἀλλὰ τυγχάνει λόγου παμμή-

κους ὄν. τὸ δὲ αὖ σοὶ μὴ χαρίζεσθαι καὶ τοῖσδε, ἄλλως τε         5

καὶ σοῦ λέξαντος ὡς εἶπες, ἄξενόν τι καταφαίνεταί μοι καὶ

ἄγριόν· ἐπεὶ Θεαίτητόν γε τὸν προσδιαλεγόμενον εἶναι       218

δέχομαι παντάπασιν ἐξ ὧν αὐτός τε πρότερον διείλεγμαι

καὶ σὺ τὰ νῦν μοι διακελεύῃ.

소크라테스, 제가 지금 처음 여러분과 함께하며 

작은 말을 주고 받는 식으로 이 회합을 만들지 않고, 

장광설을 질질 끌며 늘어놓기를 혼자서 그리 하든, 

다른 사람을 향해 그러든, 마치 과시하는 자처럼 굴면 

어떤 부끄러움이 저를 붙듭니다. 실은 지금 이야기된 바는 이런 질문에 대해

그것이 어떠하리라 기대할 그 만큼이 아니라, 무척이나 긴 연설에

속하는 것이기에 드리는 말씀입니다. 그러나 또한 당신과

여기 계신 분들께, 특히나 당신 말씀대로도, 호의를 

보여드리지 않는 일은, 제게는 손님답지 못할 뿐더러

야만스러운 짓으로 보입니다. 테아이테토스는 제가 이전에

대화해 보기도 하였고 당신께서도 제게 강권하시니

대화상대자로 전면적으로 받아들이는 바이니까요.

ΘΕΑΙ. Δρᾶ τοίνυν, ὦ ξένε, οὕτω καὶ καθάπερ εἶπε

Σωκράτης πᾶσιν κεχαρισμένος ἔσῃ.                                      5

그러면 손님, 그렇게 해주시어 소크라테스님 말씀대로

당신께서는 모든 이에게 호의를 베푸시게 될 겁니다.

ΞΕ. Κινδυνεύει πρὸς μὲν ταῦτα οὐδὲν ἔτι λεκτέον εἶναι,

Θεαίτητε· πρὸς δὲ σὲ ἤδη τὸ μετὰ τοῦτο, ὡς ἔοικε, γίγνοιτο

ἂν ὁ λόγος. ἂν δ᾿ ἄρα τι τῷ μήκει πονῶν ἄχθῃ, μὴ ἐμὲ

αἰτιᾶσθαι τούτων, ἀλλὰ τούσδε τοὺς σοὺς ἑταίρους.

이런 일들에 대해서는 더 할 말이 없을 것 같군,

테아이테토스. 그런데 그 다음으로 이제 자네를 상대로는,

논의가 생길 것으로 보이는구만. 그런데 혹시 그 길이에 시달려

자네가 싫증이 난다면, 그 시달림을 내 탓으로 하지 말고,

여기 자네의 동료들 탓을 하시게나.

ΘΕΑΙ. Ἀλλ᾿ οἶμαι μὲν δὴ νῦν οὕτως οὐκ ἀπερεῖν· ἂν δ᾿            b

ἄρα τι τοιοῦτον γίγνηται, καὶ τόνδε παραληψόμεθα

Σωκράτη, τὸν Σωκράτους μὲν ὁμώνυμον, ἐμὸν δὲ ἡλι-

κιώτην καὶ συγγυμναστήν, ᾧ συνδιαπονεῖν μετ᾿ ἐμοῦ τὰ

πολλὰ οὐκ ἄηθες.                                                             5

허나 지금은 그런 식으로 포기하지는 않으리라 생각합니다.

혹시라도 그런 일이 생긴다면, 우리는 여기 이 소크라테스를

참여시키겠지요. 그는 저 소크라테스님과 동명이인인데, 

저의 동년배이자 운동동료로, 저와 함께 숱한 고생을 겪는 일이 

그에게 낯설지 않은 사람입니다.

ΞΕ. Εὖ λέγεις, καὶ ταῦτα μὲν ἰδίᾳ βουλεύσῃ προϊόντος

τοῦ λόγου· κοινῇ δὲ μετ᾿ ἐμοῦ σοι συσκεπτέον ἀρχομένῳ

πρῶτον, ὡς ἐμοὶ φαίνεται, νῦν ἀπὸ τοῦ σοφιστοῦ, ζητοῦντι

καὶ ἐμφανίζοντι λόγῳ τί ποτ᾿ ἔστι. νῦν γὰρ δὴ σύ τε κἀγὼ       c

τούτου πέρι τοὔνομα μόνον ἔχομεν κοινῇ, τὸ δὲ ἔργον ἐφ᾿ ᾧ

καλοῦμεν ἑκάτερος τάχ᾿ ἄν ἰδίᾳ παρ᾿ ἡμῖν αὐτοῖς ἔχοιμεν·

좋은 얘기네만, 그런 일들도 논의가 진행되는 동안 

개인적으로 숙고해 보게. 헌데 나와 함께는, 내게 보이기로는,

지금은 우선 소피스트로부터 공동탐구를 시작하여, 

그것이 도대체 무엇인지 논변으로 추적하고 밝혀내야 하겠군.

왜냐하면 지금은 사실 자네나 나나 이에 관하여

이름만 함께 가지고 있고, 우리가 그에 따라 이름을 부르는

그 일은 어쩌면 우리 둘 각자가 개인적으로 제 나름대로

가지고 있는 듯하니 말일세. 

δεῖ δὲ ἀεὶ παντὸς πέρι τὸ πρᾶγμα αὐτὸ μᾶλλον διὰ λόγων ἢ

τοὔνομα μόνον συνωμολογῆσθαι χωρὶς λόγου. τὸ δὲ φῦλον     5

ὃ νῦν ἐπινοοῦμεν ζητεῖν οὐ πάντων ῥᾷστον συλλαβεῖν τί

ποτ᾿ ἔστιν, ὁ σοφιστής· ὅσα δ᾿ αὖ τῶν μεγάλων δεῖ δια-

πονεῖσθαι καλῶς, περὶ τῶν τοιούτων δέδοκται πᾶσιν καὶ

πάλαι τὸ πρότερον ἐν σμικροῖς καὶ ῥᾴοσιν αὐτὰ δεῖν             d

μελετᾶν, πρὶν ἐν αὐτοῖς τοῖς μεγίστοις. νῦν οὖν, ὦ

Θεαίτητε, ἔγωγε καὶ νῷν οὕτω συμβουλεύω, χαλεπὸν καὶ

δυσθήρευτον ἡγησαμένοις εἶναι τὸ τοῦ σοφιστοῦ γένος

πρότερον ἐν ἄλλῳ ῥᾴονι τὴν μέθοδον αὐτοῦ προμελετᾶν, εἰ     5

μὴ σύ ποθεν εὐπετεστέραν ἔχεις εἰπεῖν ἄλλην ὁδόν.

허나 언제나 모든 것에 관하여 오직 이름만 논변과 따로 합의하기 보다는

논변들을 통해 사태 그 자체에 합의해야 할 필요가 있지. 

그런데 지금 우리가 추적하고자 마음먹은 족속은 그것이 도대체

무엇인지 파악하기가 전혀 쉽지 않다네. 소피스트 말이야. 또 대단한 일들 중

훌륭하게 수행되어야 하는, 그런 일들에 관해서는 예나 지금이나 모든 이가

그보다 먼저 작고 쉬운 일들에서 그런 것들을 연습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왔다네. 대단한 일들 그 자체에 뛰어들기 전에 말일세. 

그러니 지금은, 테아이테토스, 나로서는 우리 둘에게도 그렇게 권하네,

소피스트의 부류가 어렵고 잡히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우리가

더 먼저 다른 더 쉬운 것에서 그 일의 방법을 예행연습하기를,

만일 자네가 어디 다른 더 알맞은 길을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면 말이지.  

ΘΕΑΙ. Ἀλλ᾿ οὐκ ἔχω.

허나 그럴 수가 없습니다.

ΞΕ. Βούλει δῆτα περί τινος τῶν φαύλων μετιόντες

πειραθῶμεν παράδειγμα αὐτὸ θέσθαι τοῦ μείζονος;

정말로 괜찮다면 단순한 것들 중 뭔가에 관하여 탐색하여

그것을 더 거대한 것의 본으로 세워 보도록 하겠는가?

ΘΕΑΙ. Ναί.                                                                    e

네.

ΞΕ. Τί δῆτα προταξαίμεθ᾿ ἂν εὔγνωστον μὲν καὶ σμι-

κρόν, λόγον δὲ μηδενὸς ἐλάττονα ἔχον τῶν μειζόνων; οἷον

ἀσπαλιευτής· ἆρ᾿ οὐ πᾶσί τε γνώριμον καὶ σπουδῆς οὐ

πάνυ τι πολλῆς τινος ἐπάξιον;                                            5

잘 알려지고 작은 것이나, 더 거대한 것들에 비해 조금도 

적지 않은 진술을 지닌 것으로 우리가 앞세울 것이 무엇일까?

예를 들면 낚시꾼 말일세. 혹시 그건 잘 알려진 것이면서도

그다지 많은 노력을 들일 만한 것은 아니라고 말들 하지 않나? 

ΘΕΑΙ. Οὕτως.

그렇습니다.


-작성중-

ΠΡΩ. Ἀλλ᾿ οὐ μὴν δεῖ τοῦτο γενέσθαι, πλὴν τοῦ σωθῆναι.

τό γε μήν μοι ἴσον τοῦ σοῦ τε καὶ ἐμοῦ λόγου ἀρέσκει·

πολλαὶ μὲν ἡδοναὶ καὶ ἀνόμοιοι γιγνέσθων, πολλαὶ δὲ

ἐπιστῆμαι καὶ διάφοροι.

우리가 구제받는다는 것만 제외하면, 그런 일은 물론 일어나지 않아야 하지요.

확실히 당신 논변이나 제 논변이나 같은 정도로 괜찮습니다.

쾌락들이 여럿이자 안 닮은 것들이 되도록 하고, 앎들은

여럿이며 차이 나는 것들이 되게끔 합시다.

ΣΩ. Τὴν τοίνυν διαφορότητα, ὦ Πρώταρχε, [τοῦ ἀγαθοῦ]          b

τοῦ τ᾿ ἐμοῦ καὶ τοῦ σοῦ μὴ ἀποκρυπτόμενοι, κατατιθέντες δὲ

εἰς τὸ μέσον, τολμῶμεν, ἄν πῃ ἐλεγχόμενοι μηνύσωσι πότερον

ἡδονὴν τἀγαθὸν δεῖ λέγειν ἢ φρόνησιν ἤ τι τρίτον ἄλλο εἶναι.

νῦν γὰρ οὐ δήπου πρός γε αὐτὸ τοῦτο φιλονικοῦμεν, ὅπως        5

ἁγὼ τίθεμαι, τοῦτ᾿ ἔσται τὰ νικῶντα, ἢ ταῦθ᾿ ἃ σύ, τῷ δ᾿

ἀληθεστάτῳ δεῖ που συμμαχεῖν ἡμᾶς ἄμφω.

그럼 프로타르코스, 내 쪽의 차이도 당신 쪽의 차이도

감추지 말고, 한 가운데로 내어놓으며, 그것들이 어떻게 시험받아 

쾌락을 좋은 것이라 말해야 하는지 혹은 분별을 그리 말해야 하는지 

아니면 그 밖의 어떤 제 3의 것을 그렇게 말해야 하는지를 알려줄지,

용기를 내보도록 하세. 그야 물론 우리가 바로 그 일에 대해 승리를

바라는 건 아닐 테고, 내가 내세운 그대로, 그런 것들이 승자일 것이든,

혹은 자네가 말한 그것들이 그럴 것이든, 우리 둘 모두 가장 참된 것과

동맹을 맺어야 할 것이니 말이지.

ΠΡΩ. Δεῖ γὰρ οὖν.

그야 그리 해야하니까요.

ΣΩ. Τοῦτον τοίνυν τὸν λόγον ἔτι μᾶλλον δι᾿ ὁμολογίας             c

βεβαιωσώμεθα.

그럼 이 논변을 우리는 동의를 거쳐 훨씬 더 확고히 하고 가세나.

ΠΡΩ. Τὸν ποῖον δή;

어떤 논변 말씀이시죠?

ΣΩ. Τὸν πᾶσι παρέχοντα ἀνθρώποις πράγματα ἑκοῦσί τε

καὶ ἄκουσιν ἐνίοις καὶ ἐνίοτε.                                               5

모든 인간들에게 주어지는 문제들을 자발적으로 받아들이는

사람과 경우도 있고 마지못해 하는 사람과 경우도 있다는 논변이지.

ΠΡΩ. Λέγε σαφέστερον.

더 정확히 말씀해 주세요.

ΣΩ. Τὸν νυνδὴ παραπεσόντα λέγω, φύσει πως πεφυκότα

θαυμαστόν. ἓν γὰρ δὴ τὰ πολλὰ εἶναι καὶ τὸ ἓν πολλὰ

θαυμαστὸν λεχθέν, καὶ ῥᾴδιον ἀμφισβητῆσαι τῷ τούτων

ὁποτερονοῦν τιθεμένῳ.                                                       10

나는 방금 일어난 논변을 말하고 있다네. 그것이 본성상 타고 나길

얼마나 놀라운지. 왜냐하면 정말이지 여럿이 하나이고 하나가 여럿이라는

놀라운 논변이 논해졌고, 그 둘 중 어느 한 쪽을 내세우는 자와 논쟁하기란

쉬운 일이기 때문이라네.

ΠΡΩ. Ἆρ᾿ οὖν λέγεις ὅταν τις ἐμὲ φῇ Πρώταρχον ἕνα

γεγονότα φύσει πολλοὺς εἶναι πάλιν τοὺς ἐμὲ καὶ ἐναντίους       d

ἀλλήλοις, μέγαν καὶ σμικρὸν τιθέμενος καὶ βαρὺν καὶ κοῦφον

τὸν αὐτὸν καὶ ἄλλα μυρία;

그럼 혹시 당신께서는, 누군가가 본성상 하나로 태어난 저 프로타르코스를

여럿이며 다시 그 여럿인 제가 서로 반대되는 것들이기도 하다고,

큰 저와 작은 저, 그리고 무거운 저와 가벼운 저, 저 자신과 그 밖의 무수한 것들을 

내세우시며 그리 말하는 경우를 말씀하시는 건가요?

→ 동일한 대상에 상반되는 서술이 양립 가능한가? Synthia Hampton, Chapter 1, n.5. 동일성 진술과 서술적 진술의 구분. 이 구분이 『소피스트』에서만이 아니라 『국가』에도 나타남. 긍정 형상(F)과 부정 형상(not-G)에의 참여. 통합론 지지.

ΣΩ. Σὺ μέν, ὦ Πρώταρχε, εἴρηκας τὰ δεδημευμένα τῶν

θαυμαστῶν περὶ τὸ ἓν καὶ πολλά, συγκεχωρημένα δὲ ὡς ἔπος      5

εἰπεῖν ὑπὸ πάντων ἤδη μὴ δεῖν τῶν τοιούτων ἅπτεσθαι,

παιδαριώδη καὶ ῥᾴδια καὶ σφόδρα τοῖς λόγοις ἐμπόδια

ὑπολαμβανόντων γίγνεσθαι, ἐπεὶ μηδὲ τὰ τοιάδε, ὅταν τις

ἑκάστου τὰ μέλη τε καὶ ἅμα μέρη διελὼν τῷ λόγῳ, πάντα           e

ταῦτα τὸ ἓν ἐκεῖνο εἶναι διομολογησάμενος, ἐλέγχῃ κατα-

γελῶν ὅτι τέρατα διηνάγκασται φάναι, τό τε ἓν ὡς πολλά ἐστι

καὶ ἄπειρα, καὶ τὰ πολλὰ ὡς ἓν μόνον.

프로타르코스, 자네는 하나이자 여럿인 것에 관한 

놀라운 일들 중 널리 퍼진 것들을, 말하자면 유치하고 

단순하며 논변들에 너무나도 장애가 되는 일들이 일어난다고 

간주하기에, 모든 이들에 의해 이미 이런 것들에

손댈 필요가 없다고 합의된 것들을 얘기하였네.

그들은 이런 것들도, 누군가 각자의 사지와 부분들을 동시에

논변으로 분할하며, 이 모든 것들이 하나인 저것이라고 

동의하면서, 하나는 여러 무한한 것들이라고, 또 여럿은 

오직 하나라고, 믿을 수 없는 것들을 인정할 수밖에 없게 된다는 

그 점을 비웃으며 시험할 경우의 이런 일들도 손댈 필요가 없다고 합의했으니.

ΠΡΩ. Σὺ δὲ δὴ ποῖα, ὦ Σώκρατες, ἕτερα λέγεις, ἃ μήπω                5

συγκεχωρημένα δεδήμευται περὶ τὸν αὐτὸν τοῦτον λόγον;

그런데 소크라테스, 당신께서는 그래서 바로 그 논변에 관하여

아직까지 합의되어 널리 퍼지지 않은 다른 것들이 어떤 것이라 말씀하십니까?

ΣΩ. Ὁπόταν, ὦ παῖ, τὸ ἓν μὴ τῶν γιγνομένων τε καὶ               15

ἀπολλυμένων τις τιθῆται, καθάπερ ἀρτίως ἡμεῖς εἴπομεν.

ἐνταυθοῖ μὲν γὰρ καὶ τὸ τοιοῦτον ἕν, ὅπερ εἴπομεν νυνδή,

συγκεχώρηται τὸ μὴ δεῖν ἐλέγχειν· ὅταν δέ τις ἕνα ἄνθρωπον

ἐπιχειρῇ τίθεσθαι καὶ βοῦν ἕνα καὶ τὸ καλὸν ἓν καὶ τὸ ἀγαθὸν      5

ἕν, περὶ τούτων τῶν ἑνάδων καὶ τῶν τοιούτων ἡ πολλὴ

σπουδὴ μετὰ διαιρέσεως ἀμφισβήτησις γίγνεται.

이보게, 누군가 하나를 생성소멸하는 것들 중에 놓지 않는

어떤 경우든 그것을 말한다네. 바로 방금 우리가 말했던 것처럼 말이지.

왜냐하면 이 경우 이런 것조차 하나라는 것은. 우리가 방금 말한 그대로,

시험할 필요가 없는 것이라 합의되었으니까. 그런데 누군가 사람을 하나로

놓고 소를 하나로 놓으며 아름다운 것을 하나로 놓고 좋은 것을 하나로

놓고자 시도할 때, 바로 그 하나 자체들과 이러한 것들에 관하여 

분할과 더불어 수 많은 치열한 논쟁이 생긴다네.

ΠΡΩ. Πῶς;

어떻게 말이죠?

ΣΩ. Πρῶτον μὲν εἴ τινας δεῖ τοιαύτας εἶναι μονάδας                  b

ὑπολαμβάνειν ἀληθῶς οὔσας· εἶτα πῶς αὖ ταύτας, μίαν

ἑκάστην οὖσαν ἀεὶ τὴν αὐτὴν καὶ μήτε γένεσιν μήτε ὄλεθρον

προσδεχομένην, ὅμως εἶναι βεβαιότατα μίαν ταύτην; μετὰ

δὲ τοῦτ᾿ ἐν τοῖς γιγνομένοις αὖ καὶ ἀπείροις εἴτε διεσπα-              5

σμένην καὶ πολλὰ γεγονυῖαν θετέον, εἴθ᾿ ὅλην αὐτὴν αὑτῆς

χωρίς, ὃ δὴ πάντων ἀδυνατώτατον φαίνοιτ᾿ ἄν, ταὐτὸν καὶ

ἓν ἅμα ἐν ἑνί τε καὶ πολλοῖς γίγνεσθαι. ταῦτ᾿ ἔστι τὰ

περὶ τὰ τοιαῦτα ἓν καὶ πολλά, ἀλλ᾿ οὐκ ἐκεῖνα, ὦ Πρώταρχε,         c

ἁπάσης ἀπορίας αἴτια μὴ καλῶς ὁμολογηθέντα καὶ εὐπορίας

[ἂν] αὖ καλῶς.

우선 이런 어떤 하나들이 참으로 유일한 바의 것들이라 간주해야

하는지 논쟁이 있지. 다음으로 또 이 하나들이 어떻게, 

그 자체가 언제나 오직 그 각자인 바의 것이자 생성도 사멸도 

허용하지 않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장 엄밀하게 그 자체로 유일한

것이라 간주해야 하는가? 그런데 그 다음으로 이 하나가 

생겨나는 것들과 무한정한 것들 안에서 흩어져 여럿이 된다고 

정해야 하는지, 아니면 그 하나 전체를 자신과 따로 떼어, 

정말로 무엇보다도 가장 불가능한 것으로 보일 일이나, 

같은 것이자 하나인 것이 동시에 하나 안에도 여럿들 안에도 생긴다고

정해야 하는지 논쟁이 있다네. 프로타르코스, 저것들이 아니라 이러한 하나와 여럿에 관한

바로 이 얘기들이 훌륭하게 합의되지 못할 때 통틀어 모든 난관의 원인이자

또 훌륭하게 될 때에는 해결의 원인인 걸세.

ΠΡΩ. Οὐκοῦν χρὴ τοῦθ᾿ ἡμᾶς, ὦ Σώκρατες, ἐν τῷ νῦν

πρῶτον διαπονήσασθαι;                                                         5

그렇다면, 소크라테스, 우리는 우선 당장 그 일에 매진해야만

하지 않습니까?

ΣΩ. Ὡς γοῦν ἐγὼ φαίην ἄν.

그야 나로서는 그리 말하려는 게지.

ΠΡΩ. Καὶ πάντας τοίνυν ἡμᾶς ὑπόλαβε συγχωρεῖν σοι

τούσδε τὰ τοιαῦτα· Φίληβον δ᾿ ἴσως κράτιστον ἐν τῷ νῦν

ἐπερωτῶντα μὴ κινεῖν εὖ κείμενον.

그럼 여기 저희 모두도 당신과 이런 일들을 합의한 것으로

간주하시죠. 그런데 필레보스는 지금 상황에서 

얌전히 있는 자를 질문하여 건드리지는 않는 편이 가장 나을 것 같습니다. 

ΣΩ. Εἶεν· πόθεν οὖν τις ταύτης ἄρξηται πολλῆς οὔσης                  d

καὶ παντοίας περὶ τὰ ἀμφισβητούμενα μάχης; ἆρ᾿ ἐνθένδε;

좋도록 하시게. 그러면 논쟁이 되는 것들에 관한 바로 이 온갖 종류의

여러 전투는 어디에서 시작되었겠나? 혹시 이런 곳이 아닌가?

ΠΡΩ. Πόθεν;

어떤 곳이요?

ΣΩ. Φαμέν που ταὐτὸν ἓν καὶ πολλὰ ὑπὸ λόγων γιγνό- 

μενα περιτρέχειν πάντῃ καθ᾿ ἕκαστον τῶν λεγομένων ἀεί,             5

καὶ πάλαι καὶ νῦν. καὶ τοῦτο οὔτε μὴ παύσηταί ποτε οὔτε

ἤρξατο νῦν, ἀλλ᾿ ἔστι τὸ τοιοῦτον, ὡς ἐμοὶ φαίνεται, τῶν

λόγων αὐτῶν ἀθάνατόν τι καὶ ἀγήρων πάθος ἐν ἡμῖν· ὁ δὲ

πρῶτον αὐτοῦ γευσάμενος ἑκάστοτε τῶν νέων, ἡσθεὶς ὥς

τινα σοφίας ηὑρηκὼς θησαυρόν, ὑφ᾿ ἡδονῆς ἐνθουσιᾷ τε καὶ        e

πάντα κινεῖ λόγον ἅσμενος, τοτὲ μὲν έπὶ θάτερα κυκλῶν καὶ

συμφύρων εἰς ἕν, τοτὲ δὲ πάλιν ἀνειλίττων καὶ διαμερίζων,

εἰς ἀπορίαν αὑτὸν μὲν πρῶτον καὶ μάλιστα καταβάλλων,

δεύτερον δ᾿ ἀεὶ τὸν ἐχόμενον, ἄντε νεώτερος ἄντε πρεσύτερος        5

ἄντε ἧλιξ ὢν τυγχάνῃ, φειδόμενος οὔτε πατρὸς οὔτε μητρὸς

οὔτε ἄλλου τῶν ἀκουόντων οὐδενός, ὀλίγου δὲ καὶ τῶν ἄλλων    16

ζῴων, οὐ μόνον τῶν ἀνθρώπων, ἐπεὶ βαρβάρων γε οὐδενὸς

ἂν φείσαιτο, εἴπερ μόνον ἑρμηνέα ποθὲν ἔχοι. 

우리는 어디선가 같은 것이 논변들에 의해 하나이자 여럿이 되어

논해진 것들 각각에 따라 예나 지금이나 언제나 모든 곳을 

돌아다닌다고 이야기했었네. 그것은 언젠가 멈출 것도 아니고 지금 

시작된 것도 아니며, 오히려, 내게 보이기로는, 논변들 그 자체의 

어떤 불멸이자 불로인 우리 안의 이러한 겪음인 듯하네. 그런데 

젊은이들 중에서 그것을 처음 음미하는 자는 매번, 무슨 지혜의

보고라도 발견했다고 즐거워하며, 쾌락에 신들려 기꺼이 모든

논변을 움직이면서, 어떤 때에는 다른 것들 주위를 돌며 그것들을

하나로 뒤섞고, 또 어떤 때에는 다시 풀어헤쳐 부분으로 나누며,

가장 처음으로 제 자신을 당혹 속으로 집어던지고,

두 번째로는 언제나 곁에 있는 자를, 그가 연하이든 연상이든

동년배이든 간에, 아버지든 어머니든 듣는 이들 중 다른 누구라도

아무도 남김 없이, 만일 통역자만 어디선가 얻는다면, 

야만인들 중에서도 그 누구도 남기지 않을 테니,

인간만이 아니라 다른 산 것들도 거의 빠짐없이 집어던진다네.

ΠΡΩ. Ἆρ᾿, ὦ Σώκρατες, οὐχ ὁρᾷς ἡμῶν τὸ πλῆθος, ὅτι

νέοι πάντες ἐσμέν, καὶ οὐ φοβῇ μή σοι μετὰ Φιλήβου                      5

συνεπιθώμεθα, ἐὰν ἡμᾶς λοιδορῇς; ὅμως δὲ μανθάνομεν γὰρ

ὃ λέγεις, εἴ τις τρόπος ἔστι καὶ μηχανὴ τὴν μὲν τοιαύτην

ταραχὴν ἡμῖν ἔξω τοῦ λόγου εὐμενῶς πως ἀπελθεῖν, ὁδὸν δέ

τινα καλλίω ταύτης ἐπὶ τὸν λόγον ἀνευρεῖν, σύ τε προθυμοῦ          b

τοῦτο καὶ ἡμεῖς συνακολουθήσομεν εἰς δύναμιν· οὐ γὰρ

σμικρὸς ὁ παρὼν λόγος, ὦ Σώκρατες.

소크라테스, 혹시 전부 젊은이인 저희들이 몇인지 안 보이셔서,

당신께서 저희를 험담하신다면, 저희가 필레보스와 함께

당신을 향한 공격에 가세하지는 않을까 두려워하지도 않으시는 겁니까?

그럼에도 당신 말씀은 저희가 알겠으니까요. 어떤 방법이나 수단으로

저희가 그 논변의 이러한 혼란 밖으로 어쨌든 좋은 자세로 빠져나갈 수 있다면,

그 논변을 위한 이보다 더 나은 무슨 길을 발견할 수 있다면, 당신께서도

그것에 마음 쏟아 주시고 저희도 힘 닿는 데까지 함께 따를 겁니다. 눈앞의

논변이 사소한 게 아니니까요, 소크라테스.

ΣΩ. Οὐ γὰρ οὖν, ὦ παῖδες, ὥς φησιν ὑμᾶς προσαγο-

ρεύων Φίληβος. οὐ μὴν ἔστι καλλίων ὁδὸς οὐδ᾿ ἂν γένοιτο               5

ἧς ἐγὼ ἐραστὴς μέν εἰμι ἀεί, πολλάκις δέ με ἤδη διαφυ-

γοῦσα ἔρημον καὶ ἄπορον κατέστησεν.

그렇다면, 필레보스가 자네들을 부르며 말하듯, 이보게들,

그야 그건 사소한 게 아니니 말일세. 사실 어느 길도 나 자신이 언제나 

그를 향한 구애자이나, 여러 차례 이미 나를 곤궁하고 막막하게

내버려두고는 떠나버린 그 길보다 더 훌륭하지 않고 

훌륭하게 되지도 않을 거라네.

ΠΡΩ. Τίς αὕτη; λεγέσθω μόνον.

그게 어떤 길입니까? 그저 논해지도록 하시죠.

ΣΩ. Ἣν δηλῶσαι μὲν οὐ πάνυ χαλεπόν, χρῆσθαι δὲ                       c

παγχάλεπον· πάντα γὰρ ὅσα τέχνης ἐχόμενα ἀνηυρέθη

πώποτε διὰ ταύτης φανερὰ γέγονε. σκόπει δὲ ἣν λέγω.

알려주기는 썩 어렵지만도 않네만, 사용하기는

전적으로 어려운 길이지. 왜냐하면 기술에 속하는 것으로 발견된 

그 모든 것은 이제껏 그 길을 통해 밝혀지게 되었으니 말일세.

내가 논하는 길을 검토해 보게.

ΠΡΩ. Λέγε μόνον.

말씀만 하시죠.

ΣΩ. Θεῶν μὲν εἰς ἀνθρώπους δόσις, ὥς γε καταφαίνεται                   5

ἐμοί, ποθὲν ἐκ θεῶν ἐρρίφη διά τινος Προμηθέως ἅμα

φανοτάτῳ τινὶ πυρί· καὶ οἱ μὲν παλαιοί, κρείττονες ἡμῶν

καὶ ἐγγυτέρων θεῶν οἰκοῦντες, ταύτην φήμην παρέδοσαν,

ὡς ἐξ ἑνὸς μὲν καὶ πολλῶν ὄντων τῶν ἀεὶ λεγομένων εἶναι,

πέρας δὲ καὶ ἀπειρίαν ἐν αὑτοῖς σύμφυτον ἐχόντων. δεῖν                 10 

οὖν ἡμᾶς τούτων οὕτω διακεκοσμημένων ἀεὶ μίαν ἰδέαν περὶ          d

παντὸς ἑκάστοτε θεμένους ζητεῖν―εὑρήσειν γὰρ ἐνοῦσαν―

ἐὰν οὖν μεταλάβωμεν, μετὰ μίαν δύο, εἴ πως εἰσί, σκοπεῖν,

εἰ δὲ μή, τρεῖς ἤ τινα ἄλλον ἀριθμόν, καὶ τῶν ἓν ἐκείνων

ἕκαστον πάλιν ὡσαύτως, μέχριπερ ἂν τὸ κατ᾿ ἀρχὰς ἓν μὴ                 5

ὅτι ἓν καὶ πολλὰ καὶ ἄπειρά ἐστι μόνον ἴδῃ τις, ἀλλὰ καὶ

ὁπόσα· τὴν δὲ τοῦ ἀπείρου ἰδέαν πρὸς τὸ πλῆθος μὴ προσ-

φέρειν πρὶν ἄν τις τὸν ἀριθμὸν αὐτοῦ πάντα κατίδῃ τὸν

μεταξὺ τοῦ ἀπείρου τε καὶ τοῦ ἑνός, τότε δ᾿ ἤδη τὸ ἓν                     e

ἕκαστον τῶν πάντων εἰς τὸ ἄπειρον μεθέντα χαίρειν ἐᾶν.

οἱ μὲν οὖν θεοί, ὅπερ εἶπον, οὕτως ἡμῖν παρέδοσαν σκοπεῖν

καὶ μανθάνειν καὶ διδάσκειν ἀλλήλους· οἱ δὲ νῦν τῶν ἀν-

θρώπων σοφφοὶ ἓν μέν, ὅπως ἂν τύχωσι, καὶ πολλὰ θᾶττον          17

καὶ βραδύτερον ποιοῦσι τοῦ δέοντος, μετὰ δὲ τὸ ἓν ἄπειρα

εὐτθύς, τὰ δὲ μέσα αὐτοὺς ἐκφεύγει―οἷς διακεχώρισται τό τε

διαλεκτικῶς πάλιν καὶ τὸ ἐριστικῶς ἡμᾶς ποιεῖσθαι πρὸς

ἀλλήλους τοὺς λόγους.                                                                  5

내가 보기엔 분명한 바이네만, 인간들을 위한 신들의 선물이

어디에선가 신들로부터 프로메테우스와 같은 누군가를 통해

어떤 가장 밝은 불과 함께 던져졌다네. 그래서 옛 사람들, 우리보다 우월하고

신들에 더욱 가까이 살았던 그들은, 이러한 노래를 남겼으니,

무엇인 바의 것이라 언제나 이야기되는 것들은 하나와 여럿으로 이루어지나,

한정과 무한을 자신 안에 타고났다고 하지.

그러니 우리는 이것들이 그런 식으로 질서잡혀 있기에 언제나

모든 것에 관하여 매번 단일한 형상을 상정하여 추구해야 하고

―내재한 것을 찾아야 하니까―그리하여 우리가 찾아낸다면, 

하나 다음에는 둘을, 만일 어쨌든 둘이라면, 탐구해야 하며,

만일 그렇지 둘이 아니라면, 셋이나 그 외의 어떤 수를, 저것들 각각을

하나하나 다시 마찬가지 방식으로 탐구해야 하고, 누군가 최초의 하나가 

하나이자 여럿이며 무한하다는 것만을 알게 되는 것만 아니라,

얼만큼인지까지도 알게 될 때까지 그래야만 하네. 

그런데 무한의 형상은 누군가 무한과 하나 사이의 그 무한의 수 모두를

알아내기 전에는 다수에 결부시키지 않아야 하고, 알아낸 그 때에 비로소 

모든 것의 하나 각각을 무한으로 흩어지도록 놓아 주어야 하네.

그러므로 신들께서는, 내가 말했던 그대로, 그렇게 우리에게

서로 살펴보고 배우고 또 가르치도록 선물을 주셨다네. 그런데 이제

인간들중 지혜로운 자들은 하나와 여럿을, 어쨌든 되는대로, 

필요 이상으로 너무 빠르거나 느리게 다루고, 하나 다음으로 곧장

무한을 다루며, 중간 것들은 건너 뛰지―이것들로 우리가 서로를 향한

논변을 변증적인 것으로 만드는 경우와 쟁론적인 것으로 만드는 경우가

구분된다네.


-작성중-

ΦΙΛΗΒΟΣ

ΣΩΚΡΑΤΗΣ ΠΡΩΤΑΡΧΟΣ ΦΙΛΗΒΟΣ


ΣΩ. Ὅρα δή, Πρώταρχε, τίνα λόγον μέλλεις παρὰ Φιλή-             11

βου δέχεσθαι νυνὶ καὶ πρὸς τίνα τὸν παρ᾿ ἡμῖν ἀμφισβητεῖν, 

ἐὰν μή σοι κατὰ νοῦν ᾖ λεγόμενος. βούλει συγκεφαλαιω-              b

σώμεθα ἑκάτερον;

보게나, 프로타르코스, 자네 이제 필레보스에게서 어떤 논변을

받아서는 우리쪽 어떤 논변에 맞서서 반박을 하려는지,

논변이 논의되면서 자네 마음에 들지 않았다면 말이지. 괜찮다면 우리

그 둘 각각을 요약해 보겠나?

→ '우리'란 표현이 의미를 가지는가?

ΠΡΩ. Πάνυ μὲν οὖν.

물론 좋습니다.

ΣΩ. Φίληβος μὲν τοίνυν ἀγαθὸν εἶναί φησι τὸ χαίρειν

πᾶσι ζῴοις καὶ τὴν ἡδονὴν καὶ τέρψιν, καὶ ὅσα τοῦ γένους              5

ἐστὶ τούτου σύμφωνα· τὸ δὲ παρ᾿ ἡμῶν ἀμφισβήτημά ἐστι

μὴ ταῦτα, ἀλλὰ τὸ φρονεῖν καὶ τὸ νοεῖν καὶ μεμνῆσθαι καὶ

τὰ τούτων αὖ συγγενῆ, δόξαν τε ὀρθὴν καὶ ἀληθεῖς λογισμούς,

τῆς γε ἡδονῆς ἀμείνω καὶ λῴω γίγνεσθαι σύμπασιν ὅσαπερ

αὐτῶν δυνατὰ μεταλαβεῖν· δυνατοῖς δὲ μετασχεῖν ὠφελιμώ-           c

τατον ἁπάντων εἶναι πᾶσι τοῖς οὖσί τε καὶ ἐσομένοις. μῶν

οὐχ οὕτω πως λέγομεν, ὦ Φίληβε, ἑκάτεροι;

그러니까 필레보스는 즐거움과 쾌락 그리고 기쁨이

살아있는 모든 것들에게 좋은 것이라 말하고, 이러한 부류에

→ is good/is the good. "the good"의 definition이 등장해야 하는지?

부합하는 것들도 그렇다고 말하네: 그런데 우리 입장에서 반박하려는 것은

그런 얘기들이 아니라, 지혜를 갖추거나 사유를 하거나 암기를 하는 것

그리고 이런 것들과 동류인 것들, 옳은 믿음과 참된 헤아림들이,

→ '믿음'이 여기에 포함된다는 것은 신기함.

그것들에 참여할 수 있는 모든 것들 전부에게 있어서

즐거움보다는 더 낫고 더 바람직한 것이 된다는 걸세: 

지금 그러한 자들이든 장차 그러할 자들이든 참여할 수 있는 자들에게는 

→ 부차적인 반복 서술인가? "참여할 수 있음"이 가장 이롭다는 번역이 제안됨.

"참여한다는 것은 가장 이롭다는 것이지." but '무엇에' 참여한다는 원문이 없이

단적인 참여가 가장 이로울 필요가 있는지. (이후 논의가 뒷받침해준다면 고려 가능)

통틀어 그 무엇보다도 가장 이롭다는 것이지. 우리 양쪽 각자가

분명 이런 어떤 식으로 논했지 않은가, 필레보스?

ΦΙ. Πάντων μὲν οὖν μάλιστα, ὦ Σώκρατες.

더할 나위 없습니다, 소크라테스.

ΣΩ. Δέχῃ δὴ τοῦτον τὸν νῦν διδόμενον, ὦ Πρώταρχε,                      5

λόγον;

그럼 이와 같이 주어진 논의를 받을 텐가, 프로타르코스?

ΠΡΩ. Ἀνάγκη δέχεσθαι· Φίληβος γὰρ ἡμῖν ὁ καλὸς

ἀπείρηκεν.

받아들일 수밖에요: 저 훌륭한 필레보스가 우리에게 말해주었으니 말입니다.

→ 필레보스는 강경하고 대화가 성립하지 않는데 '훌륭하다'라는 말은 어울리지 않는 듯.

ΣΩ. Δεῖ δὴ περὶ αὐτῶν τρόπῳ παντὶ τἀληθές πῃ περαν-

θῆναι;                                                                                     10

그럼 그것들에 관하여 모든 방식으로 어떻게든 진리가 마무리되어야 하겠군?

→ 아포리아로 끝내지 않겠다는 선언. 후기 대화편의 특징? 

ΠΡΩ. Δεῖ γὰρ οὖν.                                                                     d

그래야 하지요.

ΣΩ. Ἴθι δή, πρὸς τούτοις διομολογησώμεθα καὶ τόδε.

자, 그럼, 이런 일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점에서도 합의를 해 보도록 하세.

ΠΡΩ. Τὸ ποῖον;

어떤 것을요?

ΣΩ. Ὡς νῦν ἡμῶν ἑκάτερος ἕξιν ψυχῆς καὶ διάθεσιν

ἀποφαίνειν τινὰ ἐπιχειρήσει τὴν δυναμένην ἀνθρώποις πᾶσι                5

τὸν βίον εὐδαίμονα παρέχειν. ἆρ᾿ οὐχ οὕτως;

지금 우리 양편 각자는 모든 인간에게 행복한 삶을 허락해줄 수 있는

영혼의 습성이나 상태가 무엇인지 밝혀 보고자 시도하였다는 것이지.

그렇지 않은가?

ΠΡΩ. Οὕτω μὲν οὖν.

그야 그렇습니다.

ΣΩ. Οὐκοῦν ὑμεῖς μὲν τὴν τοῦ χαίρειν, ἡμεῖς δ᾿ αὖ τὴν

τοῦ φρονεῖν;

해서 자네들은 만족함의 상태라고, 반면 우리는 또 지혜를

갖춤의 상태라고 하지 않았나?

ΠΡΩ. Ἔστι ταῦτα.                                                                        10

그렇습니다.

ΣΩ. Τί δ᾿ ἂν ἄλλη τις κρείττων τούτων φανῇ; μῶν οὐκ,

ἂν μὲν ἡδονῇ μᾶλλον φαίνηται συγγενής, ἡττώμεθα μὲν                      e

ἀμφότεροι τοῦ ταῦτα ἔχοντος βεβαίως βίου, κρατεῖ δὲ ὁ τῆς

ἡδονὴς τὸν τῆς φρονήσεως;                                                        12

그런데 다른 어떤 것이 이것들보다 더욱 강한 것으로 드러나면 어떨까?

물론, 그것이 쾌락과 더욱 동류인 것으로 드러난다면, 우리는 양쪽 다

이런 것들을 확고하게 지니는 삶에 비해 뒤떨어지기는 하지만, 쾌락을 지닌 삶은

지혜를 지닌 삶을 압도하지 않겠나?

ΠΡΩ. Ναί.

네.

ΣΩ. Ἂν δέ γε φρονήσει, νικᾷ μὲν φρόνησις τὴν ἡδονήν,

ἡ δὲ ἡττᾶται; ταῦθ᾿ οὕτως ὁμολογούμενά φατε, ἢ πῶς;

더 나아가 그것이 지혜와 더 동류라면, 지혜가 즐거움을 이길 테고,

쾌락은 뒤떨어지겠지? 자네들은 이런 것들이 그렇게 동의된 것들이라 말하는가, 혹은 어찌 말하는가?

ΠΡΩ. Ἐμοὶ γοῦν δοκεῖ.                                                                   5

제겐 그렇게 보입니다.

ΣΩ. Τί δὲ Φιλήβῳ; τί φῄς;

필레보스에게는 어떨까? 자넨 무어라 말하겠나?

ΦΙ. Ἐμοὶ μὲν πάντως νικᾶν ἡδονὴ δοκεῖ καὶ δόξει· σὺ δέ,

Πρώταρχε, αὐτὸς γνώσῃ.

저로서는 쾌락이 전적으로 승리한다고 여겨지고 또 그리 여길 것입니다.

프로타르코스, 당신은 스스로 알게 되겠지.

→ 쾌락은 모든 경우에 지혜를 이기는가, 모든 것을 이기는가?

ΠΡΩ. Παραδούς, ὦ Φίληβε, ἡμῖν τὸν λόγον οὐκ ἂν

ἔτι κύριος εἴης τῆς πρὸς Σωκράτη ὁμολογίας ἢ καὶ τοὐ-                         10

ναντίον.

필레보스, 자네가 우리에게 자네의 논변을 넘겼으니 

소크라테스님께 동의하는 것인지 반대하는 것인지가 여전히

자네에게 달린 건 아닐 테지.

ΦΙ. Ἀληθῆ λέγεις· ἀλλὰ γὰρ ἀφοσιοῦμαι καὶ μαρτύρομαι                          b

νῦν αὐτὴν τὴν θεόν.

맞는 말일세. 하지만 나는 신성한 의무를 다하고 있으며 지금 저 여신 본인을

증인으로 모신다네.

→ ἀφοσιοῦμαι 이게 무슨 뜻? 동의와 반대의 의무에서 벗어남? 아프로디테로부터 부여된 의무에서 벗어남?

ΠΡΩ. Καὶ ἡμεῖς σοι τούτων γε αὐτῶν συμμάρτυρες ἂν

εἶμεν, ὡς ταῦτα ἔλεγες ἃ λέγεις. ἀλλὰ δὴ τὰ μετὰ ταῦτα

ἑξῆς, ὦ Σώκρατες, ὅμως καὶ μετὰ Φιλήβου ἑκόντος ἢ ὅπως                        5

ἂν ἐθέλῃ πειρώμεθα περαίνειν.

우리 자신도 바로 그 일들에 대해 자네를 위한 증인으로 동참할 걸세,

자네가 하는 그 말들을 했노라는 데에 말이지. 하지만 그 다음으로,

소크라테스, 그럼에도 필레보스 뜻에 따라서든 그가 바라는 어떤 식으로든

마무리해 보도록 할까요?

ΣΩ. Πειρατέον, ἀπ᾿ αὐτῆς δὴ τῆς θεοῦ, ἣν ὅδε Ἀφροδίτην

μὲν λέγεσθαί φησι, τὸ δ᾿ ἀληθέστατον αὐτῆς ὄνομα Ἡδονὴν

εἶναι.

마무리해야지, 실로 저 여신, 아프로디테라고 논해지지만,

그녀의 가장 참된 이름은 쾌락이라고 여기 이 사람이 말하는

그 여신으로부터 말일세.

ΠΡΩ. Ὀρθότατα.                                                                              10

맞는 말씀이십니다.

ΣΩ. Τὸ δ᾿ ἐμὸν δέος, ὦ Πρώταρχε, ἀεὶ πρὸς τὰ τῶν θεῶν                          c

ὀνόματα οὐκ ἔστι κατ᾿ ἄνθρωπον, ἀλλὰ πέρα τοῦ μεγίστου

φόβου. καὶ νῦν τὴν μὲν Ἀφροδίτην, ὅπῃ ἐκείνῃ φίλον,

ταύτῃ προσαγορεύω· τὴν δὲ ἡδονὴν οἶδα ὡς ἔστι ποικίλον,

καὶ ὅπερ εἶπον, ἀπ᾿ ἐκείνης ἡμᾶς ἀρχομένους ἐνθυμεῖσθαι δεῖ                     5

καὶ σκοπεῖν ἥντινα φύσιν ἔχει. ἔστι γάρ, ἀκούειν μὲν οὕτως

ἁπλῶς, ἕν τι, μορφὰς δὲ δήπου παντοίας εἴληφε καί τινα

τρόπον ἀνομοίους ἀλλήλαις. ἰδὲ γάρ· ἥδεσθαι μέν φαμεν

τὸν ἀκολασταίνοντα ἄνθρωπον, ἥδεσθαι δὲ καὶ τὸν σωφρο-                   d

νοῦντα αὐτῷ τῷ σωφρονεῖν· ἥδεσθαι δ᾿ αὖ καὶ τὸν ἀνοηταί-

νοντα καὶ ἀνοήτων δοξῶν καὶ ἐλπίδων μεστόν, ἥδεσθαι δ᾿ αὖ

τὸν φρονοῦντα αὐτῷ τῷ φρονεῖν· καὶ τούτων τῶν ἡδονῶν

ἑκατέρας πῶς ἄν τις ὁμοίας ἀλλήλαις εἶναι λέγων οὐκ ἀνόητος                     5

φαίνοιτο ἐνδίκως;

프로타르코스, 신들의 이름들에 대한 나의 두려움은 언제나 

인간적인 것이 아니라, 가장 큰 공포를 뛰어넘는다네.

그래서 지금 저 여신께서 호의를 가지실 방식으로, 이렇게

그녀를 아프로디테라고 부르고 있기는 하지: 그런데 쾌락이란 다채로운 것이라

생각되고, 내가 말했듯, 저 쾌락으로부터 시작하여 우리는

심혈을 기울여 도대체 저것이 어떤 본성을 지니는지 살펴보아야 하네. 들리기로는

그렇게 단순히 어떤 하나이지만, 어떤 방식으론가 서로 닮지 않은 

온갖 모습들을 분명 지녔기에 말이지. 왜냐하면 보게나: 우리는 무절제한 사람이

즐거워한다고 말하지만, 분별 있는 사람도 바로 그 분별로 즐거워한다고 말한다네:

그런데 또한 생각이 없으며 생각 없는 믿음들과 희망들로 가득 찬 자도 즐거워한다고 하고,

또 다시 지혜로운 자가 바로 그 지혜로움으로 즐거워한다고도 하지: 이러한 즐거움들의

양편 각각을 누군가가 서로 닮은 것들이라고 말하면서 어떻게 그가 정당하게 생각 없는 자로

안 보이겠는가?

ΠΡΩ. Εἰσὶ μὲν γὰρ ἀπ᾿ ἐναντίων, ὦ Σώκρατες, αὗται

πραγμάτων, οὐ μὴν αὐταί γε ἀλλήλαις ἐναντίαι. πῶς γὰρ

ἡδονῇ γε ἡδονὴ [μὴ] οὐχ ὁμοιότατον ἂν εἴη, τοῦτο αὐτὸ ἑαυτῷ,                 e

πάντων χρημάτων;

이것들은, 소크라테스, 반대되는 사물들로부터 나오지만,

그것들 자체는 결코 서로 반대되지 않으니까요. 그야 어떻게

즐거움이란 것이 즐거움에 가장 닮은 것이 아니겠습니까, 모든 것들 중에서,

이것 자체가 자신과 말이죠?

→ 『소피스트』 257b. '반대'와 '다름'의 구분? 단지 다르기만 해서는 안 되고 저 중 어떤 즐거움은 거짓이어야 하는가?

 ΣΩ. Καὶ γὰρ χρῶμα, ὦ δαιμόνιε, χρώματι· κατά γε αὐτὸ

τοῦτο οὐδὲν διοίσει τὸ χρῶμα εἶναι πᾶν, τό γε μὴν μέλαν

τῷ λευκῷ πάντες γιγνώσκομεν ὡς πρὸς τῷ διάφορον εἶναι                           5

καὶ ἐναντιώτατον ὂν τυγχάνει. καὶ δὴ καὶ σχῆμα σχήματι

κατὰ ταὐτόν· γένει μέν ἐστι πᾶν ἕν, τὰ δὲ μέρη τοῖς μέρεσιν

αὐτοῦ τὰ μὲν ἐναντιώτατα ἀλλήλοις, τὰ δὲ διαφορότητ᾿ ἔχοντα               13

μυρίαν που τυγχάνει, καὶ πολλὰ ἕτερα οὕτως ἔχονθ᾿ εὑρή-

σομεν. ὥστε τούτῳ γε τῷ λόγῳ μὴ πίστευε, τῷ πάντα τὰ

ἐναντιώτατα ἓν ποιοῦντι. φοβοῦμαι δὲ μή τινας ἡδονὰς

ἡδοναῖς εὑρήσομεν ἐναντίας.                                                                 5

복받은 사람, 색도 색과 그러하니 말일세. 바로 이 점에서는

색은 모두가 아무런 차이도 없지만, 검정은 하양과

어떤 점에서 차이가 나고 또 실로 가장 반대되는지 우리 모두가 알지.

게다가 같은 식으로 형태도 형태와 그렇다네: 유에서는 그 모두가 하나이나,

그것의 부분들은 부분들과 서로 가장 반대되는 것들인가 하면, 

가장 큰 차이들을 무수히 가질 수도 있고, 많은 다른 것들도 그런 상태란 걸

우리가 알지. 그러니 이런 논변에 확신을 갖지 마시게, 가장 반대되는

모든 것들을 하나로 만드는 논변에는 말일세. 나는 어떤 즐거움들이

즐거움들과 반대되는 것들임을 우리가 알게 되지는 않을까 두렵다네. 

→ 색으로서 같으나 검정과 하양은 반대. 유에서는 하나이나 부분들은 서로 반대.

"즐거움들이 즐거움들과 반대되는 것들"인 경우는 위의 사례와 구분되는 것?

13a3 τούτῳ γε τῷ λόγῳ, 내 제안은 종에서 반대되더라도 유에서 하나라 말할 수 있는 것.(색-하양/까망

권세혁씨 제안은 종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유에서의 단일성만 보는 논리.

ΠΡΩ. Ἴσως· ἀλλὰ τί τοῦθ᾿ ἡμῶν βλάψει τὸν λόγον;

그럴 것 같습니다. 허나 왜 이게 우리(필레보스와 프로타르코스)의 논변을 해롭게 합니까?

→ 12d7-8. "즐거움이 연원하는 사물이 반대라고 즐거움들이 반대되진 않는다."

ΣΩ. Ὅτι προσαγορεύεις αὐτὰ ἀνόμοια ὄντα ἑτέρῳ, φή-

σομεν, ὀνόματι· λέγεις γὰρ ἀγαθὰ πάντ᾿ εἶναι τὰ ἡδέα. τὸ

μὲν οὖν μὴ οὐχὶ ἡδέα εἶναι τὰ ἡδέα λόγος οὐδεὶς ἀμφισβητεῖ·

κακὰ δ᾿ ὄντα αὐτῶν τὰ πολλὰ καὶ ἀγαθὰ δέ, ὡς ἡμεῖς φαμέν,                       b

ὅμως πάντα σὺ προσαγορεύεις ἀγαθὰ αὐτά, ὁμολογῶν ἀνόμοια

εἶναι, τῷ λόγῳ εἴ τίς σε προσαναγκάζοι. τί οὖν δὴ ταὐτὸν

ἐν ταῖς κακαῖς ὁμοίως καὶ ἐν ἀγαθαῖς ἐνὸν πάσας ἡδονὰς

ἀγαθὸν εἶναι προσαγορεύεις;                                                                  5

우리편에선 자네가 그 안 닮은 것들을 다른 이름으로 부르기 때문이라고 말할 걸세: 

왜냐하면 자네는 즐거운 것들 모두가 좋은 것들이라 말하니까.

그러니 즐거운 것들은 즐겁지 않은 것들이 아니라는 논변은 누구와도

시비 붙지 않지: 그런데 우리 주장대로, 그것들 중 많은 것들이 나쁜 것들이고 또 좋은 것들인데,

그럼에도 자네는 그것들을 모두 좋은 것들이라 말하면서, 누군가 자네를 

→ or 자네는 그것들 모두 마찬가지로 좋은 것들이라 말하면서. 

b1의 ὄντα는 accusative absolute?

'실제로ὄντα' 좋은 것도 나쁜 것도 있다면 프로타르코스의 주장은 억지?

그 논변으로써 강제해 나아간다면, 그것들이 안 닮은 것들이라 동의하겠지.

그러니 정말로 나쁜 즐거움들에서도 좋은 즐거움들에서도 모든 즐거움들이

같은 방식으로 들어 있을 때 자네는 무엇을 좋은 것이라고 부르는가?

→ 즐거움은 하나이나 부분들이 다른 경우가 아니라, 좋은 즐거움과 나쁜 즐거움이 다른 경우.

ΠΡΩ. Πῶς λέγεις, ὦ Σώκρατες; οἴει γάρ τινα συγχωρή-

σεσθαι, θέμενον ἡδονὴν εἶναι τἀγαθόν, εἶναι ἀνέξεσθαί σου

λέγοντος τὰς μὲν εἶναί τινας ἀγαθὰς ἡδονάς, τὰς δέ τινας                            c

ἑτέρας αὐτῶν κακάς;

무슨 말씀이십니까, 소크라테스? 그러니까 당신은 누군가가

동의한다고, 좋은 것은 즐거움이라고 상정하면서, 

어떤 즐거움들은 좋은 즐거움들이지만, 그것들과 다른 

어떤 것들은 나쁜 즐거움들이라고 당신이 말하는 걸

받아줄 수 있다고 생각하시는 겁니까?

→ 즐거움은 전체로서 좋은가? 『소피스트』에서 늦게 배우는 자들의 입장?

ΣΩ. Ἀλλ᾿ οὖν ἀνομοίους γε φήσεις αὐτὰς ἀλλήλαις εἶναι

καί τινας ἐναντίας.

그야 자네는 그 즐거움들은 서로 안 닮았고 또 어떤 반대되는

것들이라고 말할 테니까.

ΠΡΩ. Οὔτι καθ᾿ ὅσον γε ἡδοναί.                                                              5

즐거움들이라는 점에 한해서는 아니지요.

ΣΩ. Πάλιν εἰς τὸν αὐτὸν φερόμεθα λόγον, ὦ Πρώταρχε,

οὐδ᾿ ἄρα ἡδονὴν ἡδονῆς διάφορον, ἀλλὰ πάσας ὁμοίας εἶναι

φήσομεν, καὶ τὰ παραδείγματα ἡμᾶς τὰ νυνδὴ λεχθέντα

οὐδὲν τιτρώσκει, πεισόμεθα δὲ καὶ ἐροῦμεν ἅπερ οἱ πάντων

φαυλότατοί τε και περὶ λόγους ἅμα νέοι.                                                 d

우리는 다시 같은 논변으로 옮겨왔군, 프로타르코스.

그래서 우리는 즐거움은 즐거움과 전혀 차이가 없고, 모든 즐거움이 닮은 것이라

말할 테고, 그래서 방금 이야기된 본들도 우리들을

전혀 해치지 않으며, 그러나 누구보다도 가장 단순하며 

동시에 논변에 관하여 미숙하기도 한 자들이 겪고 말할 것들을 

우리가 겪고 말하게 될 걸세.

→ 늦게 배우는 자들?

ΠΡΩ. Τὰ ποῖα δὴ λέγεις;

어떤 것들을 말씀하시는 겁니까?

ΣΩ. Ὅτι σε μιμούμενος ἐγὼ καὶ ἀμυνόμενος ἐὰν τολμῶ 

λέγειν ὡς τὸ ἀνομοιότατό ἐστι τῷ ἀνομοιοτάτῳ πάντων

ὁμοιότατον, ἕξω τὰ αὐτὰ σοὶ λέγειν, καὶ φανούμεθά γε                                 5

νεώτεροι τοῦ δέοντος, καὶ ὁ λόγος ἡμῖν ἐκπεσὼν οἰχήσεται.

πάλιν οὖν αὐτὸν ἀνακρουώμεθα, καὶ τάχ᾿ ἂν ἰόντες εἰς τὰς

ὁμοίας ἴσως ἄν πως ἀλλήλοις συγχωρήσαιμεν.

내가 자네를 흉내내면서 스스로 방어하며 

가장 안 닮은 것이 가장 안 닮은 것과 그 무엇보다도

가장 닮은 것이라고 말하기를 감행한다면,

자네에게 똑같은 얘기들을 할 수 있게 될 테고, 나아가

필요 이상으로 어리석은 자들처럼 보이게 될 것이며,

우리의 논변은 나가 떨어지리란 것일세.

그러니 그 논변을 뒤로 물리도록 하세나. 그리하여 어쩌면

우리가 닮은 상황들(λαβάς)에 같은 식으로 이르러

어쨌든 서로 간에 합의를 보게 될지도 모를 일이지.

ΠΡΩ. Λέγε πῶς;                                                                                  e

어떤 식으로 말씀이십니까?

ΣΩ. Ἐμὲ θὲς ὑπὸ σοῦ πάλιν ἐρωτώμενον, ὦ Πρώταρχε.

거꾸로 나를 자네에게 질문 받는 자로 세워 보게, 프로타르코스. 

ΠΡΩ. Τὸ ποῖον δή;

어떤 질문이요?

ΣΩ. Φρόνησίς τε καὶ ἐπιστήμη καὶ νοῦς καὶ πάνθ᾿ ὁπόσα

δὴ κατ᾿ ἀρχὰς ἐγὼ θέμενος εἶπον ἀγαθά, διερωτώμενος ὅτι                           5

ποτ᾿ ἐστὶν ἀγαθόν, ἆρ᾿ οὐ ταὐτὸν πείσονται τοῦτο ὅπερ ὁ σὸς

λόγος;

분별과 앎과 이성과 또한 내가 처음에 내세워 좋은 것들이라 말한

그 모든 것들은, 도대체 무엇이 좋은지 질문받는다면,

혹시 자네의 논변이 겪은 것과 같은 바로 그 일을 겪게 되지 않겠나?

ΠΡΩ.  Πῶς;

어떻게요?

ΣΩ. Πολλαί τε αἱ συνάπασαι ἐπιστῆμαι δόξουσιν εἶναι

καὶ ἀνόμοιοί τινες αὐτῶν ἀλλήλαις· εἰ δὲ καὶ ἐναντίαι πῃ                               10

γίγνονταί τινες, ἆρα ἄξιος ἂν εἴην τοῦ διαλέγεσθαι νῦν, εἰ                        14

φοβηθεὶς τοῦτο αὐτὸ μηδεμίαν ἀνόμοιον φαίην ἐπιστήμην

ἐπιστήμῃ γίγνεσθαι, κἄπειθ᾿ ἡμῖν οὕτως ὁ λόγος ὥσπερ

μῦθος ἀπολόμενος οἴχοιτο, αὐτοὶ δὲ σῳζοίμεθα ἐπί τινος

ἀλογίας;                                                                                              5

통틀어 모든 지식들은 많다고도 여겨질 것이고

그것들 중 어떤 것들은 서로 안 닮은 것들이라고도 여겨질 걸세. 그런데 만일

어떤 지식들이 어떤 식으로 반대되는 것들이 된다면, 

만일 내가 바로 그 점을 두려워하며 지식은 그 어느 하나

지식과 안 닮은 것이 되지 않는다고 말하고, 우리에게 설득력 없는 그 논변이  

마치 이야기마냥 그렇게 부서져 떠나 버리고, 우리 자신은 어떤

비논리에 의해 구제받아야 한다면, 어찌 이제 내가 대화할 만한 

가치가 있는 자이겠는가?

→ 단지 유로부터 종차를 구분하여 유에서의 단일성과 종차에서의 복수성을 양립시키는 것만으로는 지금 제기되는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한다. 다시 말해 지금 제기되는 문제는 같은 유에 속하면서 종차를 가지는 서로 다른 것들을 설명하는 문제가 아니다.

→ 쾌락은 그 자체로 이야기되는데 앎은 무엇에 대한 앎인지 관계적이다. 이것이 두 입장 모두 같은 방식으로 가능한가?

-蟲-

좌측 링크해 놓은 사이트들 중 'SOVIDENCE.' 블로그를 오랜만에 들어가 글 몇 편을 보았는데 일단 찾고 있던 어떤 그림을 찾은 느낌이고,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여러 분과들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 번 느꼈다. 여하간에, 저 블로그에서 몇 편의 글을 읽고 내린 결론은 이러하다. 결국 이 나라 이 사회에서 여성들은 무슨 중뿔난 해법이 국가 차원에서 등장하지 않는 한 자신들의 경력을 단절시키는 가장 큰 벽이라 할 만한 결혼과 출산을 거부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다. 여성들의 성취를 억누르고 덮고 가렸던 유리벽 틈새로 이제 포화 상태인 그들의 능력이 비집고 나와 드러나게 될 것이고, 이미 그렇게 되어 가고 있다. 사회의 반수 가까운 경쟁자들을 사회의 암묵적 지원 덕택에 무시할 수 있었던 남성들은 점차로 본래의 정상적인 경쟁상황에 놓이게 될 것이고, 적당히 도태되거나 심하면 대다수가 뒤쳐질 것이다. 결국 성과와 실적이 기준이 되어 가면서 여성들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걸맞고 합당한 지위를 찾아가게 될 것이고, 그 '집단'은 견고해질 것이고, 여혐종자들은 울며 겨자먹기로 차별적 행동과 어휘를 수정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변화를 가속시키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부 돌출되는 사건들을 방지할 제도의 마련이 시급하지만, 그것은 촉매 역할을 할 뿐 대세는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다. 인구는 감소할 테고 노령화는 심해질 테고 실업율이 올라갈 텐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성을 억압하겠다고 한다면 그야말로 유슬림 국가를 선포하는 꼴이고, 실현 가능성도 없다. 일부(뭐 다수라고 해도 되겠지만) 남성들이 경기를 일으키며 여성혐오 같은 게 없다고 억지를 부리는 이유를 이해하기 좀 어려웠는데, 결국 위기의식이 표출된 것이었나 싶기도 하고. 대학에 입학하고서 대학원에 있는 지금까지 여성 상급자(명예남성 말고)의 적극적 활동들을 경험해 온 것이 참 다행스러운 일이었구나 싶고 그러한 여성 동료들에게 감사할 따름이다. 그들을 경쟁상대로 생각하는 데에 거부감이 없다는 것, 그들의 능력이나 성취를 과소평가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은 내 생존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것이구나, 뭐 그런 생각을 해 본다. 그러나 저러나 철학이란 참 무력하구나, 하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기도 하고, 낄낄. 한 개인으로서 걱정스러운 것은 결국 거스를 수 없는 이 변화의 과정에서 끔찍하고 흉악한 사건들이 더 많이 발생할 것 같다는 점인데, 조현병 환자 관리 강화 따위가 대책이라고 내놓는 나라에서 그걸 막아줄 수 있으리란 생각은 전혀 들지 않는다. 그냥 이 문제를 이 모임 저 모임에서 의도적으로 거론하고, 작은 규모의 분위기를 자꾸자꾸 만들어내는 정도의 일을 하는 게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인지, 그 외에 뭔가를 더 해야 하는지, 아님 그냥 여태껏 그래 왔듯 닥치고 숨어서 다가올 경쟁의 츠나미에서 각자도생의 길이나 모색하는 게 맞는 일인지, 결국 또 모르겠네. 링크 걸어 놓은 블로그들에 좋은 글들 많으니 이 쓰잘데기 없고 어두컴컴한 블로그에 오신 분들께서는 한 번 둘러 보시는 걸 추천드린다. -蟲-

Michael Frede, ´Prädication und Existenzaussage Platons Gebrauch von "... ist ..." und "... ist nicht ..." im Sophistes´, 1967, S.12-37.

II. Zwei Verwendungen von "...ist" 
   Eine Interpretation von 255C12-13

III. Die beiden Verwendungen von "... ist ..."
 1. Die Bedeutung der Unterscheidung
 2. DIe erste Verwendung von "... ist ..."
 3. Die erste Verwendung von "... ist ..." und Selbstprädikation
 4. Die zweite Verwendung von "... ist ..."
 5. Eine Unterscheidung von Formen und Einzeldingen mit Hilfe der beiden Verwendungen von "... ist ..."


II. Zwei Verwendungen von "...ist" 
   Eine Interpretation von 255C12-13

  Wenden wir uns also zuerst der Stelle im Sophistes zu, die am ehesten einen Anhaltspunkt dafür bietet, daß Platon das kopulative vom existentiellen "... ist" unterscheidet: 255c12-13
  255c8-255e1 wird gezeigt, daß "das Seiende" und das "Verschiedene" nicht zwei Ausdrücke für das Seiende sind. Das Merkmal des Verschiedenen, an dem sein Unterschied zum Seienden deutlich werden soll, wird in diesem Abschnitt zweimal formuliert:
(1) (255d6-7) "Was immer auch verschieden ist, das ist genau das, was es ist (nämlich verschieden), notwendig von einem anderen".
(2). "τὸ δέ γ᾿ ἕτερον ἀεὶ πρὸς ἕτερον (sc. λέγεσθαι)" (255d1).
우리는 우선 플라톤이 계사 "... is" 와 존재사 "... is" 를 구분한다는 상당한 암시를 주는 『소피스트』 의 해당 장 255c12-13 으로 향한다. 
  255c8-255e1 은 "The Being" 과 "The Different" 가 The Being 에 대한 두 가지 표현이 아님을 보여준다. The Being 에 대해 명확히 구분되어야 할 The Different 의 특징은 이 구절에서 두 차례 공식화된다.
(1) (255d6-7) "언제나 다른 것, 그것은 어떤 그 외의 것에 대해 바로 그것인 바의 (즉 다른) 것이어야 한다.
(2) "다른 것은 언제나 다른 것에 대해 (진술된다)" (255d1).
(2) läßt wenigstens drei Übersetzungen zu, je nachdem, ob man "τὸ ... ἕτερον" a) auf den Ausdruck "ἕτερον", b) die Form des Verschiedenen oder schließlich c) das, was an der Form des Verschiedenen teilhat, bezieht.:
 (a) "`verschieden` wird immer in bezug auf ein anderes ausgesagt"
 (b) "das Verschiedene wird immer in bezug auf ein anderes ausgesagt"
 (c) "das Verschiedene wird immer in bezug auf ein anderes so (d. h. `verschieden`) genannt".
(Ich folge dem platonischen Sprachgebrauch und verwende aus Gründen, die später deutlich werden, "das X" sowohl für die Form X als auch die Dinge, die an dieser Form teilhaben.)
(2) 는 "τὸ ... ἕτερον" 이 a) "ἕτερον" 이란 표현을 지시하는 것인지, b) The Different 라는 형상을 지시하는 것인지 혹은 끝으로 c) The Different 라는 형상을 나눠 갖는 것, 그것을 지시하는 것인지에 따라, 적어도 세 가지 번역을 허용한다.
  (a) "'different' 라는 말은 언제나 그 외의 것에 관련하여 진술된다."
  (b) "The Different 라는 것은 언제나 그 외의 것에 관련하여 진술된다."
  (c) "The Different 라는 것은 언제나 그 외의 것에 관련하여 그렇게(즉 'different' 라고) 불린다."
(나는 플라톤의 화법에 따르고 이후에 분명해질 이유에 따라, "The X" 를 형상 X 만이 아니라 이 형상을 나눠 갖는 사물들에 대해서도 사용한다.)
-13- Ich möchte mich jetzt für keine der Übersetzungen (a)-(c) entscheiden, da die Übersetzung von 255d1 von der Übersetzung von 255c12-13 abhängt. Vielmehr will ich versuchen, 255d1-7 zunächst unabhängig von 255c12-13 zu interpretieren.
  Alle drei Versionen von (2) haben eines gegenüber (1) gemein: während in (1) von dem Begriff der Verschiedenheit die Rede ist, bezieht (2) auf die Verwendung von Prädikaten mit der Bedeutung von "... ist verschieden von ...". Übersetzungen wie "... das Verschiedene ist immer verschieden in bezug auf etwas anderes ..." sind also in jedem Fall nicht scharf genug.
  나는 번역 (a)-(c) 중 어느 것도 확정하지 않을 것이다. 255d1 에 대한 번역은 255c12-13 에 대한 번역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그 대신 나는 255c12-13 에 번역을 의존하지 않는 255d1-7 을 검토할 것이다.
  (2) 의 세 형식들 모두 (1) 에 반하여 공통점을 가진다. (1) 에서 논의는 Difference 개념에 대한 것인 반면, (2) 는 "... is different from ..." 의 의미를 가진 서술의 용법에 관련된다. "... The Different 는 언제나 그 외의 어떤 것과 관련하여 다르다 ..." 와 같은 번역은 각 경우에 충분히 분명치 못하다.
  
  Dieser Wechsel in der Redeweise von (1) zu (2) braucht uns freilich nicht zu stören; er findet sich häufig genug bei Platon. Ein besonders klares Beispiel dafür ist Soph. 258b2-4, wo vom Nichtseienden gesagt wird: "οὐδὲν ἧττον, ..., αὐτοῦ τοῦ ὄντος οὐσία ἐστίν, οὐκ ἐναντίον είνἐκῳ σημαίνουσα ἀλλὰ τοσοῦτον μόνον, ἕτερον ἐκεινου."
  Ein Problem wird aus diesem Wechsel im Ausdruck erst bei Aristoteles in der Kategorienschrift, 8a31-35. Und Boethus, der annimmt, daß von Platon die Relativa folgendermaßen bestimmt werden : "ὅσα αὐτὰ ἅπερ ἐστιν ἑτέρων λέγεται", zieht sich die folgende Kritik des Simplicius zu (in Cat. 159, 14-15; 159, 20-22) : "ἐν Σοφιστῇ δὲ βουληθεὶς τὸ ἕτερον τῶν πρός τι ὂν ἐπιδεῖξαι οὕτως φησίν. ὅτιπερ ἂ ἕτερον ᾐ, συμβέβηκεν ἐξ ἀνάγκης ἑτέρου τοῦτο αὐτὸ ὅπερ ἐστὶν εἶναι" (vgl. auch: Ammonius in Cat. 70. 10-14; Philoponus in Cat. 109, 23ff.).
  Wir werden also in jedem Fall zweckmäßig verfahren, wenn wir uns für die Interpretation von 255d1-7 an die Art der Formulierung von 255d1 halten. Denn alle relativa secundum esse sind auch relativa secundum dici, aber nicht umgekehrt alle relativa secundum dici auch relativa secundum esse.
  Wenn wir bisher auch noch nicht in der Lage sind, (2) zu übersetzen, so können wir doch auf Grund von (1) und (2) sagen, daß für das Verschiedene folgendes gilt :
  독해방식에서 (1) 에서 (2) 로의 이런 변형이 확실히 문제를 일으키진 않는다. 그것은 플라톤에게서 충분히 자주 발견된다. 그에 대한 특히 분명한 예시는 『소피스트』 258b2-4 이다. 거기에서는 Not Being 에 대해 진술된다. "Being 그 자체에 조금도 못지 않게 Being 이다, 저것에 반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이만큼만을, 저것과 다름을 의미할 뿐이기에."
  표현의 이러한 변형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 8a31-35 에서 처음 문제시된다. 그리고 보에티우스는 플라톤에 의해 상대적인 것들이 다음과 같이 규정된다고 받아들인다. "그것들이 다른 것들에 속한다고 진술되는 모든 것들", 이는 심플리키우스의 다음과 같은 비판을 이끌어낸다 (『범주론』 159, 14-15; 159, 20-22) : "『소피스트』 에서 그는 The Different 가 무언가에 대한 것들에 속한다는 것을 보여주리라 기대하며 그런 식으로 말한다. 다를 바의 바로 그것은, 존재하는 것 그 자체로 다름에 속하는 것으로 귀결되기 때문이다." (암모니우스 『범주론』 70, 10-14, 필로포누스 『범주론』 109, 23 이하 참조).
  그리하여 우리는 255d1-7 의 해석을 위해 255d1 의 정식화 방식에 머무를 때에 각 경우 적절하게 진행하게 된다. 모든 존재에 따라 상대적인 것들은 또한 진술에 따라 상대적인 것들이지만, 역으로 모든 진술에 따라 상대적인 것들이 또한 존재에 따라 상대적인 것들이지는 않기 때문이다.
  우리가 (2) 를 여전히 번역할 수 없을 때, 그럼에도 우리는 (1) 과 (2) 를 근거로 the Diffrent 에 대해 다음과 같이 간주된다고 말할 수 있다.
  (I) Wenn von einem Gegenstand a wahrheitsgemäß gesagt wird, daß er verschieden ist, dann ist immer folgende Bedingung erfüllt :
es gibt einen Gegenstand b, derart, daß in bezug auf b von a ausgesagt wird, daß es verschieden ist, und b ein von a verschiedener Gegenstand ist.
  Die Tatsache, daß die Wahrheit eines Satzes von der Form "x ist verschieden von y" immer die Erfüllung dieser Bedingung voraussetzt, liegt nach 255d4-6 daran, daß das verschiedene nur an einer der beiden Formen teilhat, von denen dort die Rede ist.
  An der gleichen Form hat nach 255d4-5 auch das Seiende teil, ohne daß die Wahrheit von "a ist" immer die Erfüllung dieser Bedingung verlangte; denn nach 255d5 zeigt sich das Bestehen eines Unterschiedes zwischen dem Seienden und dem Verschiedenen gerade darin, -14- daß, wenn das Seiende und das Verschiedene dasselbe wären, der Gebrauch von "... ist verschieden von ..." in einem wahren Satz nicht immer die Erfüllung dieser Bedingung voraussetzte.
  (I) 대상 a 에 대해, 그것이 다르다는 것이 참으로 진술되는 경우, 다음의 조건이 충족된다.
b 에 관련하여 a 가 다르다는 것이 a 에 대해 진술되는, 그리고 b 가 a 와 다른 대상인, 그런 대상 b 가 존재한다.
  "x is different from y" 형식 문장의 참이 언제나 이런 조건의 충족을 요청한다는 사실은, 255d4-6 에 따라 성립한다. 다른 것은 두 형상들 중 하나의 몫만 나눠 갖는다는 독해가 이에 관한 것이다.
  255d4-5 에서 The Being 이 같은 형상을 나누어 가지는데, "a is" 의 참이 언제나 위 조건을 충족시킨다는 점 없이 그러하다. 왜냐하면 255d5에서 The Being 과 The Different 사이의 구분 성립은, The Being 과 The Different 가 그 자체로 존재할 경우, 참인 문장에서 "... is different from ..." 의 사용이 항상 이 조건의 충족을 요구하지는 않는다는 사실에 직접 근거하기 때문이다.
  (II) Wenn von einem Gegenstand a wahrheitsgemäß gesagt wird, daß er ist, dann ist in einigen Fällen folgende Bedingung erfüllt :
es gibt einen Gegenstand b, derart, daß in bezug auf b von a ausgesagt wird, daß es ist, und b ein von a verschiedener Gegenstand ist.
  (II) 대상 a 에 대해 it is 가 참으로 진술되는 경우, 몇몇 경우에 다음 조건이 충족된다.
b 와 관련하여 a is 가 a 에 대해 진술되는, 그리고 b 가 a 와 다른 대상인, 그런 대상 b 가 존재한다.
  (III) Wenn von einem Gegenstand a wahrheitsgemäß gesagt wird, daß er ist, dann ist in einigen Fällen folgende Bedingung nicht erfüllt : 
es gibt einen Gegenstand b, derart, daß in bezug auf b von a ausgesagt wird, daß es ist, und b ein von a verschiedener Gegenstand ist. 
  (III) 대상 a 에 대하여 it is 가 참으로 진술되는 경우, 몇몇 경우에 다음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다.
b 와 관련하여 a is 가 a 에 대해 진술되는, 그리고 b 가 a 와 다른 대상인, 그런 대상 b 가 존재한다.
  Dagegen gilt der (III) entsprechende Satz für das Verschiedene nicht, weil das Verschiedene nur an einer der beiden Formen teilhat, die 255d4 erwähnt werden, und eben darin zeigt sich der Unterschied zwischen dem Seienden und dem Verschiedenen.
  Schwierigkeiten ergeben sich nun bei der Interpretation von (III). Welchen Gebrauch von "... ist" hat Platon im Auge, der nicht sowohl eine Ergänzung verlangt als auch voraussetzt, daß die Gegenstände, die der Ergänzung und dem Subjekt zugeordnet sind, numerisch verschieden sind?
  Dieses Problem löste sich leicht auf, wenn man den Interpretationen der Stelle folgte, nach denen hier zwischen den einstelligen und mehrstelligen Prädikaten, insbesondere aber zwischen einem vollständigen und einem unvollständigen Gebrauch von "... ist" unterschieden wird.
  하지만 (III) 은 The Different 에 부합하는 문장으로 간주되지 않는데, 255d4 에서 언급된 바 The Different 가 두 형상 중 하나의 몫만 나누어 가지고, The Being 과 The Different 사이의 구분 자체가 바로 그 곳에서 드러나기 때문이다.
  난점들은 (III) 에 대한 해석에서 발생한다. 플라톤이 염두에 둔 "... is" 용법이 무엇인가, 그것은 보어를 요청할 뿐만 아니라 보어와 주어에 할당되는 그 대상들이 수적으로 구분된다는 것을 전제하기도 하는가?
  이러한 문제들은 단항 술어와 다항 술어 사이의, 특히 "... is" 완전 용법과 불완전 용법 사이의 구분에 따라 그 부분을 해석할 때에 쉽사리 해결된다.
  Einer solchen Interpretation, die durch 255c12-13 nahegelegt wird, steht allerdings der zweite Teil der Bedingung in (I)-(III) : "und b ein von a verschiedener Gegenstand ist" im Wege. Denn (III), das nach der Standardinterpretation des Textes dem vollständigen Gebrauch von "... ist" im Sinn von "... existiert" entsprechen sollte, läßt auf Grund des zweiten Teils der Bedingung immer noch die Möglichkeit zu, daß es sich um einen unvollständigen Gebrauch von "... ist" handelt, bei dem jedoch - im Gegensatz zu dem in (II) beschriebenen Gebrauch von "... ist" - den Argumenten nicht verschiedene Gegenstände, sondern derselbe Gegenstand zugeordnet ist. 
  Wir werden also zu prüfen haben, ob der zweite Teil der Bedingung für das Argument tatsächlich irrelevant ist oder nicht. Nehmen wir einmal an, daß der zweite Teil unwesentlich ist; dann können wir (III) folgendermaßen umformulieren:
  255c12-13 을 통해 제안되는 그러한 해석은 (I) - (III) 에서 조건의 두 번째 부분이 된다.
"그리고 b 는 a 와 다른 대상이다" 라는 방식에서. 왜냐하면 (III) 은, 해당 문헌의 표준적 해석에 따라 "... is" 완전 용법이 의미상 "... exists" 에 부합할 것으로서, 조건의 두 번째 부분에 근거하여 "... is" 의 불완전 용법을 다룰 가능성을 두지만, 거기에서 - (II) 에서 묘사된 "... is" 용법과 반대로 - 상이한 대상들이 아니라 같은 대상이 그 논증에 할당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우리는 그 조건의 두 번째 부분이 해당 논증에 실제로 부적절한지 그렇지 않은지 검토해야 할 것이다. 우리가 일단 그 두 번째 부분이 본질적이지 않다고 가정하면, (III) 을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III A) Wenn von einem Gegenstand a wahrheitsgemäß gesagt wird, daß er ist, dann ist in einigen Fällen folgende Bedingung nicht erfüllt:
es gibt einen Gegenstand b, derart, daß in bezug auf b von a ausgesagt wird, daß es ist.
  (III A) 대상 a 에 대해 it is 가 참으로 진술될 때, 몇몇 경우 다음과 같은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다.
b 와 관련하여 a 에 대해 it is 라고 진술되는 그런 대상 b 가 있다.
-15-  Entsprechend sei (II) zu (II A) verändert.
따라서 (II) 가 (II A) 로 변환된다.
  (II A) und (III A) lassen nun zwei Interpretationen zu. Beide Interpetationen unterscheiden zwei Verwendungen von "... ist", die erste Interpretation aber läßt - im Gegensatz zur zweiten - den zwei Verwendungen von "... ist" auch zwei Bedeutungen entsprechen.
  (II A) 와 (III A) 는 이제 두 가지 해석을 허용한다. 두 해석 모두 "... is" 의 두 용법을 구분하지만, 첫 번째 해석은 - 두 번째 해석과 반대로 - "... is" 의 두 용법에 두 가지 의미를 부합시킨다.
  Nach der ersten Interpretation bezöge sich (III A) auf einen Gebrauch von "... ist" in der Bedeutung von "... existiert", (II A) aber auf den kopulativen Gebrauch von "... ist"; welche Bedeutung man beim kopulativen Gebrauch ansetzen soll, ist unklar, für unser Argument aber auch unwesentlich; nehmen wir also an, das kopulative "... ist" habe bei Platon die Bedeutung von "... hat teil an ....".
  Es läßt sich leicht zeigen, daß diese starke Version von (II A) und (III A) völlig unbefriedigend ist. Aus der Art, wie zum Beispiel 250a bis b die Verschiedenheit der Form des Seienden von den Formen der Bewegung und der Ruhe aufgezeigt wird, ergibt sich, daß für Platon im Sophistes Prädikaten mit verschiedener Bedeutung auch vershciedene Formen zugeordnet sind. In diesem Fall müßten wir also "... ist", wenn es zwei Bedeutungen hat, zwei Formen, S 1 und S 2, zuordnen. Da an unserer Stelle aber nur der Gegensatz zwischen einem Gebrauch von "... ist" und der Verwendung von "... ist verschieden" hervorgehoben wird, erhielten wir also ein Argument dafür, daß S 2 von der Form des Verschiedenen unterschieden werden muß. Dagegen ist es unserem Text zufolge die eine Form des Seienden, die an den beiden Formen, welche den zwei Arten des Gebrauchs von Prädikaten entsprechen, teilhat und von der gezeigt wird, daß sie nicht mit der Form des Verschiedenen identisch ist.
  첫 번째 해석에 따르면 (III A) 는 "... exists" 의미에서의 "... ist" 용법에 관련되는 반면, (II A) 는 "... is" 계사적 용법에 관련된다. 계사적 용법에 어떤 의미를 적용해야 할지 여부는 불분명하지만, 우리의 논증에는 본질적인 게 아니기도 하다. 따라서 우리는 플라톤에게 있어서 계사적 "... is" 가 "... shares in ..." 이란 의미를 가진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강화판 (II A) 와 (III A) 가 완전히 불충분하다는 것은 쉽사리 드러난다. 예를 들어 250a-b 에서 형상 Being 의 형상 운동과 형상 정지와의 차이가 드러나는 그런 방식을 통해, 『소피스트』 에서 플라톤에게 술어들은 상이한 의미를 가지고 상이한 형상들에 할당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경우 우리는 "... is" 가 두 의미를 지닐 때 두 형상들 Being 1 과 Being 2 를 할당해야만 한다.  허나 우리 입장에서 단지 "... is" 의 사용과 "... is different" 의 용법 사이의 대조만 강조되기에, 우리는 그로부터 다음과 같은 논증을 획득한다. 형상 Being 2 는 형상 Difference 와 구분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그것은 우리의 문헌에 따르자면 Being 의 형상이고, 그것은 서술적 용법의 두 종류에 상응하는 양쪽 형상 모두에 참여하며 형상 Difference 와 동일한 것이 아니라는 점이 그로부터 밝혀진다.
  Dieser Einwand läßt sich gegen jede starke Version von (II A) und (III A) erheben. Ein spezieller Einwand aber trifft die hier diskutierte Version, nach der "... ist" einmal die Bedeutung von "... existiert" hat, dann aber die von "... hat teil an ...". Angenommen nämlich, ein Prädikat "b" käme einem Gegenstand a auf Grund der Tatsache zu, daß  a an der "b" zugeordneten Form b` teilhat, dann käme in den Fällen, auf die sich (II A) bezieht, nach dieser Interpretation "... ist" einem Gegenstand a auf Grund der Tatsache zu, daß a an der Teilhabe teilhat, was es freilich nur kann, wenn es an der Teilhabe an der Teilhabe teilhat, und das nur, wenn es an der Teilhabe an der Teilhabe an ... Teilhabe teilhat, das aber heißt, "... ist" in der Verwendung von (II A) könnte überhaupt keinem Gegenstand zukommen, und wahre Sätze mit kopulativem "... ist" wären unmöglich.
  Es bleibt also die schwache Interpretation von (II A) und (III A), wonach "... ist" sowohl unvollständig als auch - im Gegensatz zu "... ist verschieden" - vollständig gebraucht werden kann, in beiden Fällen aber die gleiche Bedeutung hat.
  (II A) 와 (III A) 의 강화된 형식 각각에 대해 이러한 반론이 제기된다. 그러나 여기에서 논의된 형태에는 특수한 반론이 적용되는 바, "... is" 가 한 번은 "... exists" 의 의미를 가짐에 따라, 다음 번에는 "... shares in ..." 라는 의미를 지닌다는 것이다. 즉, 술어 "b" 가 a 는 형상 b' 에 할당된 "b" 에 참여한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대상 a 가 된다고 가정하면, 다음으로 그 경우 (II A) 와 관련하여 이러한 해석에 따라 a 가 그 참여에 참여한다는 사실로부터 "... ist" 가 대상 a 가 되고, 참여에 대한 참여에 참여할 수 있을 때, (II A) 용법 "... ist" 는 전혀 어떤 대상도 될 수 없고, 계사적 "... ist" 를 가진 참인 명제는 불가능해질 것이다.
  그러므로 (II A) 와 (III A) 의 약한 해석이 남는데, 그에 따라 "... ist" 는 불완전 뿐만 아니라 - "... is different" 와 반대로 - 완전 사용도 가능하며, 그러나 두 경우 모두에서 유사한 의미를 가진다.
-16- Solange man aber daran festhalten muß, daß "... ist" in jedem Fall die gleiche Bedeutung behält, läßt sich kein Kriterium für Vollständigkeit finden, auf Grund dessen sich der gewünschte Kontrast zwischen "... ist" und "... ist verschieden" ergäbe.
  그러나 각 경우에 "... is" 가 유사한 의미를 견지한다는 점, "... is" 와 "... is different" 사이의 요청되는 대조가 주어진다는 사실로부터 완전용법의 기준은 발견되지 않는다는 점을 여기까지 견지해야 한다.
  1. Der Kontrast kann nicht einfach darin bestehen, daß zwar "a ist" ein grammatisch korrekt gebildeter Satz ist, nicht aber "a ist verschieden", wenn denn Relationen von Platon als Eigenschaften konstruiert werden; tatsächlich wird ja auch "ἕτερον" 263d1 und "ταὐτόν" 256a7-8 absolut gebraucht.
  1. 그 대조는 이하의 내용과 전혀 쉽사리 부합할 수 없다, 플라톤에 의해 관계가 속성으로 구성될 때, 더욱이 "a is" 는 문버적으로 정확히 구축된 명제인 반면, "a is different" 는 그렇지 않다는 것과. 실제로 "ἕτερον" 263d1 과 "ταὐτόν" 256a7-8 은 완전용법으로 사용된다.
  2. Es kann auch nicht darum gehen, daß man zu jeder Verwendung von "a ist verschieden" ein b finden kann, derart daß sich "a ist verschieden" zu "a ist verschieden von b" ergänzen läßt, das gleiche aber nicht für Platon selbstverständlich ist, daß "a ist" sich immer zu "a ist b" ergänzen läßt. Denn jeder Gegenstand, den es gibt, ist schließlich irgendetwas, sonst könnte man gar nicht von "diesem Gegenstand" reden.
  2. 그 핵심은 이하가 아니다. "a is different" 의 각 용법에 대해 b 를 찾을 수 있다는, "a is different" 가 "a is different from b" 로 보완되어야 한다는, 그러나 플라톤에게 "a is" 가 언제나 "a is b" 로 보완되어야 한다는 것은 그 만큼 자명하진 않다. 존재하는 각 대상은 결국에 어떤 무언가이고, 달리 말해 "이러한 대상" 에 관하여서는 전혀 말할 수 없기 때문이다.
  3. Die meisten Aussichten scheint ein Kriterium zu haben, wonach ein Prädikat "b" dann unvollständig ist, wenn "a ist b" nicht in sich verständlich ist. Danach wäre z.B. "... größer als" unvollständig, "... rot" dagegen vollständig. Ein solches Kriterium wird in Worten, die stark an 255c12-13 erinnern (was natürlich sehr für die traditionelle Interpretation spricht), bei Diogenes Laeritus (III, 108-9; Div. Arist. Ross frg. 2) Platon zugeschrieben: τῶν ὄντων τὰ μέν ἐστι καθ᾿ ἑαυτά, τὰ δὲ πρός τι λέγεται. τὰ μὲν οὖν καθ᾿ ἑαυτὰ λεγόμενά ἐστιν ὅσα ἐν τῇ ἕρμηνείᾳ μηδενὸς προσδεῖται. ταῦτα δ᾿ ἄν εἴη οἷον ἄνθρωπος, ἵππος καὶ τἆλλα ζῷα. τούτων γὰρ οὐδὲν δι᾿ ἑρμηνείας χωρεῖ. τῶν δὲ πρός τι λεγομένων ὅσα προσδεῖταί τινος ἑρμηνείας ...". Ähnliches findet sich in einem Zitat des Platonschülers Hermodorus aus seiner Schrift über Platon bei Simplicius (in phys. 248, 2-3): "τῶν ὄντων τὰ μὲν καθ᾿ αὑτὰ εἶναι λέγει ὡς ἄνθρωπον καὶ ἵππον, τὰ δὲ πρὸς ἕτερα ..."
  3. 기준을 가질 것으로 가장 기대되는 것은, 그에 따라 술어 "b" 가 불완전 용법인, "a is b" 가 그 자체로 이해되지 않을 경우 그런 것이다. 그에 따라 예를 들어 "... larger than" 은 불완전 용법일 것이나, "... red" 는 반대로 완전 용법일 것이다. 단어들 사이에서 그런 기준이 되는 것은, 그 강력한 형태를 255c12-13 에서 상기시키고 (그것은 전통적 해석이 말하기에 매우 자연스러운 것이다),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에 따르면 플라톤은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다. 있는 것들 중 일부는 그 자체로, 다른 일부는 무언가에 대해 이야기된다. 그러므로 그 자체로 이야기되는 것들은 표현상 아무것도 추가로 필요치 않는 모든 것이다. 이것들은 예를 들면 사람, 말과 여타 동물들일 것이다. 왜냐하면 이것들 중 어느것도 표현을 위해 여지를 남기는 것은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어떤 것에 대해 이야기되는 것들의 경우 어떤 표현을 추가로 필요로하는 모든 것들이다 ...". 심플리키우스에 의한  플라톤학파 헤르모도로스의 플라톤에 대한 저술로부터의 인용에서도 비슷한 것이 발견된다. "있는 것들 중 일부는 그 자체로 있는 것이라 이야기되는데 사람과 말 같은 것이고, 다른 일부는 다른 것들에 대해 ...".
  
  Überhaupt ist dieses Kriterium in der antiken Philosophie weit verbreitet; man vergleiche etwa Ar. Cat. 8a35-b19, Top. 142a28-30; Sext. Emp. P. H. I, 136; Adv. M. VIII, 453, X, 263.
  Legen wir dieses Kriterium zugrunde, dann verhält sich "... ist" bisweilen wie "... rot", bisweilen aber wie "... größer als ...". Wenn aber die Bedeutung von "... ist" in "a ist" und in "a ist b" die gleiche sein muß, dann kann nicht "a ist" bisweilen verständlich sein, bisweilen aber nicht.
  (II A) und (III A) scheinen also nicht auszureichen, um die Verschiedenheit der Form des Seienden von der Form des Verschiedenen aufzuzeigen; folglich wird man bei der Interpretation des Absatzes -17- anstelle von (II A) und (III A) zunächst von (II) und (III) auszugehen haben. Das Scheitern von (II A) und (III A) legt überdies nahe, daß der zweite Teil der Bedingung nicht nur nicht gestrichen werden darf, sondern für das Argument ganz wesentlich ist. Eine nachträgliche Betrachtung des Textes zeigt denn auch, daß der zweite Teil der Bedingung betont wird:
  이러한 기준은 고대 철학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퍼져 있었다. 아리스토텔레스 『범주론』, 『토피카』 등과 비교하라.
  이런 기준을 근거로 "... is" 가 때로는 "... red" 처럼 또 때로는 "... larger than ..." 처럼 사용되곤 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a is" 와 "a is b" 에서 "... is"의 의미가 유사해야만 할 경우, "a is" 는 때로 이해될 수 없는 반면 때로는 그렇지 않다.
  (II A) 와 (III A) 는 그러므로 Being 의 형상과 Difference 의 형상 사이의 차이를 밝히기엔 충분치 못한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그 문단의 해석에 의해 (II A) 와 (III A) 대신 (II) 와 (III) 의 처음 형태를 결론으로 가질 것이다. (II A) 와 (III A) 의 실패는 다음을 추가로 시사한다. 그 조건의 두 번째 부분이 삭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논증에 대해 전적으로 본질적이라는 것이다. 해당 문헌에 대한 추가적 고찰은 또한 조건의 두 번째 부분이 강조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in 255c 13 "πρὸς ἄλλα"
in     d   1 "πρὸς ἕτερον"
in     d 5-6 "οὐ πρὸς ἕτερον"
in     d   7 "ἑτέρου"

  Man kann dagegen einwenden, daß man den Gebrauch von "πρὸς ἄλλα" und "πρὸς ἕτερον" im Gegensatz zu "πρός τι" nicht überwerten darf. Denn nach akademischen (Sext. Emp. Adv. M. VIII, 453-454; vgl. X, 265) und aristotelischen Definitionen (Cat. 6a36; Met. 1021a26) sind πρός τι-Prädikate eben die, die in bezug auf etwas anderes ausgesagt werden. In dem bereits erwähnten Hermodoruszitat (Simpl. in phys. 248, 2ff.) sind die πρός τι-Prädikate sogar eine Unterklasse der πρὸς ἕτερα-Prädikate. Weiter werden in demselben Metaphysikkapitel, in dem Aristoteles die obige Bestimmung von πρός τι-Prädikaten gibt, "... ist dasselbe wie ..." und "... ist gleich ..." als Beispiele für πρός τι-Prädikate angeführt (Met. 1021a9-10). Es scheint also fraglich zu sein, ob man eine solche Betonung auf das "ἕτερον" legen darf.
  누군가는 사람들이 "πρός τι" 에 대비하여 "πρὸς ἄλλα" 와 "πρὸς ἕτερον" 의 사용을 더 중시하지 않는다고 반박할 수 있다. 왜냐하면 아카데미아학파와 아리스토텔레스주의의 정의에 따를 경우 πρός τι 서술은 어떤 다른 것에 관련하여 진술되기 때문이다. 이미 언급된 헤르모도로스 인용에서 πρός τι 서술은 πρὸς ἕτερα 서술의 하위분류이기까지 하다. 아리스토텔레스가 πρός τι 서술의 상기 규정을 제시하는 『형이상학』에서는 더욱 확장되어, πρός τι 서술의 예시로 "... is itself like ..." 와 "... is like ..." 가 제시된다. 그러므로 "ἕτερον" 에 관한 그런 강조를 말하는지는 의심스러워 보인다.
  Überlegt man sich nun, wie bei einer solchen Bestimmung von πρός τι-Prädikaten "... ist dasselbe wie ..." als πρός τι-Prädikat aufgefaßt werden kann, dann kann sich "in Bezug auf etwas anderes" in der Definition dieser Prädikate nicht auf die numerische Verschiedenheit der Gegenstände beziehen, denen die Argumentsausdrücke zugeordnet sind, sondern nur auf eine - wie auch immer näher bestimmte - Verschiedenheit der Argumentsausdrücke selbst. So wird ja auch "... ist dasselbe wie ..." sinnvoll nur dann verwandt, wenn die Argumentsausdrücke verschiedene sind, "a ist dasselbe wie a" dagegen ist ein Grenzfall ohne Verwendung. πρός τι- und πρὸς ἕτερα-Prädikate können also überhaupt nur zusammenfallen, wenn man bei der Klassifizierung der Prädikate nicht von der numerischen Verschiedenheit bzw. Identität der Gegenstände ausgeht, die den Argumenten zugeordnet sind.
  이제 πρός τι 서술에 대한 그러한 규정을 통해  "... is itself like ..." 가 어떻게 πρός τι 술어로 이해될 수 있는지 고려하면, "어떤 다른 것과 관련하여" 라는 말은 이러한 술어의 정의상, Argumentsausdrücke(변항표현들)에 해당하는 그 대상들의 수적 구분과 관련될 수 없으며, 오히려 단지 - 어쨌든 더 엄밀하게 규정된 - 그 Argumentsausdrücke의 차이 자체와 관련될 수 있다. 그래서 "... is itself like ..." 는 다시, 그 Argumentsausdrücke이 상이할 경우 유의미하게 사용되고, 반대로 "a is itself like a" 는 용례 없는 극단적 사례이다. πρός τι- 그리고 πρὸς ἕτερα- 술어는, 술어들의 분류를 Argumenten 으로 이해되는 대상들의 수적 차이 혹은 동일성으로 가정하지 않을 때, 일관되게 이해할 수 있다.
  Genau das aber tut Platon in unserem Absatz, wie aus der zweiten Formulierung des Merkmals, durch das sich das Vershciedene vom Seienden unterscheidet, deutlich wird. Es ist also unberechtigt, wenn man hier "πρὸς ἕτερον" einfach durch "πρός τι" ersetzt.
  Da es sich bei (III A) um eine Spezialisierung von (III) handelt, können wir nach der Ausschaltung von (III A) versuchen, (III) entsprechend zu verschärfen. Während (III) nämlich behauptet, daß entweder der erste Teil oder der zweite Teil der Bedingung nicht erfüllt ist - 18 - oder beide Teile nicht erfüllt sind, behauptet (III A), daß der erste Teil der Bedingung nicht erfüllt ist. Nun haben wir gesehen, daß Platon - Jedenfalls an dieser Stelle - nicht einen Gebrauch von "... ist" im Auge hat, der den ersten Teil der Bedingung nicht erfüllt, folglich erst recht nicht einen Gebrauch, der beide Teile der Bedingung nicht erfüllt. So bleibt die dritte Möglichkeit, daß (III) sich auf einen Gebrauch bezieht, der den zweiten Teil der Bedingung nicht erfüllt, sehr wohl aber den ersten. (III) läßt sich also wie folgt verschärfen:
  (III`) Wenn von einem Gegenstand a wahrheitsgemäß gesagt wird, daß er ist, dann ist in einigen Fällen folgende Bedingung erfüllt : es gibt einen Gegenstand b, derart daß in bezug auf b von a ausgesagt wird, daß a ist, und a ist nicht ein von b verschiedener Gegenstand.
  Man vergleiche damit die entsprechende Formulierung für das Verschiedene in 255d5 :
  wenn das Verschiedene so wie das Seiende an beiden Formen teilhätte,
  ἦν ἂν ποτέ τι καὶ τῶν ἑτέρων ἕτερον οὐ πρὸς ἕτερον.
  그러나 물론 플라톤은 우리가 다루는 장에서, Difference 를 Being 과 구분하는 기준의 두 번째 공식화를 통해 그 일을 할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πρὸς ἕτερον" 를 간단히 "πρός τι" 를 통해 대체할 경우 정당화되기 어렵다.
  (III) 을 (III A) 로 특수화하는 일이 문제이기에, (III A) 에 대한 분할에 따라 (III) 을 유비적으로 강조하는 일을 시도할 수 있다. 말하자면 (III) 은 그 조건의 첫 부분이나 두 번째 부분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두 부분 모두 충족하지 못함을 주장하는 반면, (III A) 는 그 조건의 첫 번째 부분을 충족하지 못함을 주장한다. 이제 우리는, 플라톤이 - 어쨌든 이 장에서 - 그 조건의 첫 부분을 충족하지 않는 "... is" 용법을 염두에 두지 않았다는 것을, 따라서 무엇보다도 그 조건의 두 부분 모두 충족하지 않는 용법을 염두에 두지 않았다는 것을 보았다. 그리하여 남은 세 번째 가능성은, (III) 이 조건의 두 번째 부분을 충족하지 않지만 첫 부분은 매우 잘 충족하는 용법에 관련된다는 것이다. (III) 은 따라서 다음과 같이 강조된다:
  (III') 대상 a 에 대하여 it is 라는 것이 참인 것으로 진술될 때, 몇몇 경우 다음의 조건을 충족한다: a 에 대한 b 에 관련하여 a is 라고 이야기되는, 그리고 a 가 b 와 다른 대상이 아닌 그런 대상 b 가 존재한다.
  이를 그에 상응하는 Difference 에 대한 255d5 에서의 정식화와 비교해 보자:
  Difference 가 마치 Being 처럼 두 형상 모두의 몫을 나누어 가질 경우,
  다른 것들 중에서도 어떤 다른 것은 다른 것에 대한 것이 아닐 것이다.
  Wenn man nun an den relevanten Stellen für "ἕτερον" "ὄν" einsetzt und den Irrealis zurücknimmt (denn das Seiende hat an beiden Formen teil), dann erhält man genau (III') : ἔστι τι τῶν ὄντων ὄν οὐ πρὸς ἕτερον.
  Diese beiden Formen, denen die Verwendung von "... ist" in (II) und (III') entspricht, tauchen übrigens im Sophistes keineswegs zum erstenmal bei Platon auf. Im Charmides nämlich heißt es (169a1-5) :
"μεγάλου δή τινος, ὦ φίλε, ἀνδρὸς δεῖ, ὅστις τοῦτο κατὰ πάντων ἱκανῶς διαιρήσεται, πότερον οὐδὲν τῶν ὄντων τὴν αὑτοῦ δύναμιν αὐτὸ πρὸς ἑαυτὸ πέφυκεν ἔχειν, ἀλλὰ πρὸς ἄλλο, ἢ τὰ μέν τὰ δ᾿ οὔ."
  이제 "ἕτερον" 에 대한 관련 장들에서 "ὄν" 을 도입하고 반사실 서법을 제거하면 (Being 은 양쪽 형상 모두에 참여하니까), 확실히 (III') 를 얻는다: being들 중 어떤 being은 다른 것에 대한 것이다.
  (II) 와 (III') 에서 "... is" 용법에 부합하는 이러한 양쪽 형상들은 플라톤에 의해 『소피스트』 에서 처음으로 등장한다. 『카르미데스』 에서는 그것이 이렇게 불린다(169a1-5): 
"친구, 모든 것들에 대해, being 들 중 어떤 것도 본래부터 자기 자신에 대한 것일 능력은 없고 다른 것에 대한 것인지, 아니면 어떤 것들은 그렇고 다른 것들은 그렇지 않은지 충분히 분할할 누구든 그는 무언가 대단할 사람이어야 하네."
  Daß Platon sich für die zweite Möglichkeit entschieden hat, zeigt eine Stelle wie Legg.894d2, wo von der Bewegung die Rede ist, die sich selbst bewegen kann, d.h. von einer Bewegung, die das, was sie ist, nämlich eine Bewegung, in bezug auf sich selbst ist. Bewegung gehört also wie das Seiende zu den Formen, die an beiden Formen teilhaben, von denen 255d4 die Rede ist : sie können von einem Gegenstand a in bezug auf a, aber auch in bezug auf einen Gegenstand b, der von a verschieden ist, ausgesagt werden. Identität dagegen wird von einem Gegenstand a immer in bezug auf a ausgesagt, hat also genau wie das Verschiedene nur an einer der beiden Formen teil.
  플라톤이 두 번째 가능성을 선택했다는 것은, 『법률』 894d2 와 같은 장에서 보여주는 바이다. 거기에서 운동에 대해서 이야기되는데, 그것이 그 자체로 운동할 수 있다고, 즉, 운동에 대하여, 그것이 그것인 바 다시 말해 운동인 것은 그 자신과 관련하여 그러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운동은 Being 처럼 두 형상들 모두에 참여하는 형상들에 속하며, 이에 대해 255d4 에서 논의된다: 대상 a 에 대하여 a 와 관련하여서도 또 a 와 다른 대상 b 와 관련하여서도 그것들이 진술될 수 있다. 반대로 동일성은 대상 a 에 대해 언제나 a 와 관련하여서 진술되고, 그러므로 Difference 처럼 두 형상들 중 한쪽에만 참여한다.
  Wir haben bisher von dem Absatz, den wir interpretieren wollen, nur 255d1-7 berücksichtigt. Für dieses Stück haben wir eine befriedigende Interpretation gefunden, wenn wir annehmen, daß Platon hier zwei Verwendungen von "... ist" unterscheidet, die durch (II) und (III`) beschireben werden. (II) und (III`) fänden ihre Entsprechung in zwei Sätzen, die sich zu (II) und (III`) genauso verhalten, wie (2.) zu (1.) auf Seite 11: (II B) Seiendes kann das, was es ist, nämlich seiende, in bezug auf sich selbst sein.
  255d1-7 에 대해, 플라톤이 여기에서 (II) 와 (III') 를 통해 묘사되는 "... is" 두 번째 용법을 분간해낸다는 것을 받아들인다면 만족스러운 해석을 발견한다. (II) 와 (III') 는 11쪽 2. 가 1. 에 대응하듯 (II) 와 (III') 를 바로 그와 같이 취급하는 두 명제들에서 대응물을 발견한다: (II B) Being 은 그 자신과의 관계에서 그것인 바의 것, 즉 being일 수 있다.
- 19 - (III` B) Seiendes kann das, was es ist, nämlich seiend, in bezug auf etwas von ihm numerisch Verschiedenes sein.
  Das Verschiedene dagegen ist nach 255d6-7 das, was es ist, nämlich verschieden, immer in bezug auf etwas anderes.
  Damit wäre also eine Interpretation gefunden, die zwar 255d1-7 gerecht wird, aber unverträglich mit der traditionellen Interpretation des ganzen Abschnittes ist, die von 255c12-13 ausgeht, sich für 255d1-7 aber bei genauerer Betrachtung als unzureichend erwiesen hat.
  (III' B) Being 은 그것과 수적으로 다른 어떤 것과 관련하여 그것인 바, 즉 being일 수 있다. 반대로 Difference 는 255d6-7 에 따라 언제나 다른 어떤 것과 관련하여 그것인 바, 즉 다를(-른 것일) 수 있다. 
  그러므로 이로써 한 가지 해석이 발견된다. 그것은 더욱이 255d1-7 을 충족하지만, 그 전체 구절의 전통적 해석과는 맞지 않는다. 전통적 해석은 255c12-13 에서 도출되지만 255d1-7 에 대해서는 더 면밀한 고찰을 통해 부적절한 것으로 밝혀진 것이다.
  Es wird jetzt also zu prüfen sein, ob sich 255c12-13 mit unserer Interpretation von 255d1-7 verträgt.
  Nach den zahlreichen Übersetzungsmöglichkeiten und den vielen verschiedenen Übersetzungen zu urteilen, muß 255c12-13 wohl der vieldeutigste Satz im ganzen Dialog sein.
  Völlig eindeutig ist wirklich zunächst auch nur das Unwichtigste, die Übersetzung von "ἀλλ᾿ οἶμαί σε συγχωρεῖν".
  이제 검토되어야 할 것은, 255c12-13 이 255d1-7 에 대한 우리의 해석과 조화되는지 여부이다.
  판단할 여러 해석 가능성들과 많은 상이한 해석들에 따르면, 255c12-13 은 아마도 대화편 전체에서 가장 모호한 문장이어야만 한다. 
  "ἀλλ᾿ οἶμαί σε συγχωρεῖν" 에 대한 해석은 명백한데다 중요치도 않다.
  Als einigermaßen sicher können darüber hinaus folgende Punkte gelten :
  1. "τὰ μὲν ... τὰ δὲ ..." setzt irgendeine Klasse A voraus, die zwei elementfremde Unterklassen A1 und A2 hat, derart, daß jedes Element von A zwar Element von A1 oder A2 sein muß, aber nicht zugleich Element von A1 und A2 sein kann. Diese Tatsache ist für die Interpretation der Ausdrücke "πρὸς ἄλλα" und "αὐτὰ καθ᾿ αὑτά" wichtig, mit Hilfe derer A1 und A2 bestimmt werden. Denn sie müssen sich natürlich so entsprechen, daß wir tatsächlich die geforderte vollständige Disjunktion erhalten. So wird auch "τὰ μὲν ... τὰ δὲ ..." zwar gewöhnlich nicht scharf als vollständige Disjunktion übersetzt, dafür aber versucht man, durch die Übersetzung von "πρὸς ἄλλα" und "αὐτὰ καθ᾿ αὑτά" eine solche Disjunktion wiederzugeben. Am deutlichsten wird das bei Moravcsik (B.M.S, S. 54), der übersetzt : "... some are relational, and some non-relational". Die gleiche Funktion erfüllen bei den meisten Kommentaren die Ausdrücke "absolut" und "relativ".
   '1.' kann also als einigermaßen gesichert und allgemein akzeptiert gelten. Das Problem ist nur, um was für Mengen es sich bei A, A1 und A2 handelt.
  이하의 지점들이 어느 정도 더 확실한 것으로서 추가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1. "τὰ μὲν ... τὰ δὲ ..." 는 어떤 분류 A 를 상정한다. 이것은 분기하는 하위 분류 A1 과 A2 를 가진다. A의 각 원소는 A1 이나 A2 의 원소여야만 하지만, A1 과 A2 에 대해 동시에 원소일 수는 없는 그런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πρὸς ἄλλα" 와 "αὐτὰ καθ᾿ αὑτά" 에 대한 해석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데, 그 해석의 도움으로 A1 와 A2 가 규정된다. 왜냐하면 그것들이 우리가 실제로 요청되는 완전한 선언지를 얻는다는 사실에 자연스럽게 부합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또한 "τὰ μὲν ... τὰ δὲ ..." 도 물론 통상적으로는 완전한 선언지로 해석되지 않지만, "πρὸς ἄλλα" 와 "αὐτὰ καθ᾿ αὑτά" 에 대한 해석을 통해 그런 선언지를 그에 대해 재부여하고자 시도한다. Moravcsik (B.M.S, S. 54) 에 의한 해석으로 가장 분명해진다: "... 어떤 것들은 상대적이고, 어떤 것들은 비-상대적이다". 대다수 주석가들에 의한 "절대" 와 "상대" 라는 표현들도 유사한 기능을 충족시킨다.
  '1.' 은 그러므로 상당히 확실하고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단지 문제는, AA1 와 A2 가 무리에 무엇을 포함하는가 하는 문제이다.
  2. Wenn sich nicht wichtige Gründe dagegen anführen lassen, daß "πρὸς ἄλλα" in 255c13 dem, "πρὸς ἕτερον" in 255d1 entspricht, dann muß "ἄλλα" in "πρὸς ἄλλα" strikt verstanden werden. (2) widerspricht der traditionellen Interpretation, darf aber auf Grund der Tatsache, daß sich die gegenteilige Annahme bei der Interpretation von 255d1-7 als unzulänglich erwiesen hat, ebenfalls als gesichert gelten.
  2. 255c13에서 "πρὸς ἄλλα" 가 255d1 에서 "πρὸς ἕτερον" 와 같다는 것을 결정적으로 반박하지 못할 경우, "πρὸς ἄλλα" 에서 "ἄλλα" 는 제한적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2.' 는 전통적 해석에 반대하지만, 아마도 255d1-7 에 대한 해석에 의해 그 반대 가정이 불충분한 것으로 밝혀졌다는 사실을 근거로, 더 확실한 것으로 간주된다.
  3. In 255c12-13 ist davon die Rede, daß etwas von irgend etwas ausgesagt wird ("λέγεσθαι" in 255c13); es müssen folgende Möglichkeiten erwogen werden :
- 20 - (A) "τῶν ὄντων τὰ μὲν ... τὰ δὲ ..." bezieht sich auf das, was ausgesagt wird.
(B) "τὰ μὲν ... τὰ δὲ ..." bezieht sich auf das, was ausgesagt wird, "τῶν ὄντων" auf das, wovon es ausgesagt wird.
(C) "τῶν ὄντων τὰ μὲν ... τὰ δὲ ..." bezieht sich auf das, wovon etwas ausgesagt wird.
  3. 255c12-13 에서, 어떤 것은 또 어떤 것에 대해서 진술된다(255c13 "λέγεσθαι")는 점이 논의된다; 이하의 가능성들이 고려되어야만 한다.
  (A) "τῶν ὄντων τὰ μὲν ... τὰ δὲ ..." 는 진술되는 바의 것<술어>에 관련한다.
  (B) "τὰ μὲν ... τὰ δὲ ..." 는 진술되는 바의 것<술어>에, "τῶν ὄντων" 은 저것이 그에 대해 진술되는 바로 그것<주어>에 관련한다.
  (C) "τῶν ὄντων τὰ μὲν ... τὰ δὲ ..." 는 어떤 것이 그에 대해 진술되는 바로 그것<주어>에 관련한다.
   (A) Nehmen wir also zunächst an, "τῶν ὄντων τὰ μὲν ... τὰ δὲ ..." beziehe sich auf das, was ausgesagt wird. 255c12-13 besagt dann etwas über die Menge der möglichen Prädikate (eigentlich: der Formen, die den möglichen Prädikaten zugeordnet sind), nämlich daß sie in zwei Klassen zerfallen:
        1. die Prädikate, die αὐτὰ καθ᾿ αὑτά ausgesagt werden, und
        2. die Prädikate, die πρὸς ἄλλα ausgesagt werden
  (A) 그러므로 우선 "τῶν ὄντων τὰ μὲν ... τὰ δὲ ..." 가 진술되는 바의 것에 관련한다고 가정하자. 255c12-13 은 가능한 술어들의 무리 (실질적으로: 형상들, 가능한 술어들을 구성하는) 에 대해 무언가를, 즉 두 부류로 분류된다는 것을 말한다:
        1. αὐτὰ καθ᾿ αὑτά 진술되는 술어와
        2. πρὸς ἄλλα 진술되는 술어로.
  In diesem Fall gibt es zwei Möglichkeiten, "πρὸς ἄλλα" und entsprechend "αὐτὰ καθ᾿ αὑτά". Entweder sind mit "ἄλλα" in "πρὸς ἄλλα" die Gegenstände gemeint, von denen etwas ausgesagt wird, was verschieden von diesen Gegenständen ist, oder aber mit "ἄλλα" sind die Gegenstände gemeint, mit Hinsicht auf die etwas von Gegenständen ausgesagt wird, die verschieden von den ersten Gegenständen sind.
  이 경우 두 가지 가능성이 있다. "πρὸς ἄλλα" 와 그에 비례하여 "αὐτὰ καθ᾿ αὑτά". "πρὸς ἄλλα" 에서 "ἄλλα" 는 그에 대해 무언가 그와 다른 것이 진술되는 그런 대상들을 의미하거나, 아니면 "ἄλλα" 가 대상들을 의미하는데, 그 대상들과 관련해서 이 첫 번째 대상들과 다른 대상들에 대해 무언가가 진술된다.
  Untersuchen wir zuerst die erste Möglichkeit. Wir haben demnach zwei Klassen von Gegenständen, die möglichen Prädikaten zugeordnet sind: solche, die immer von etwas von ihnen Verschiedenem ausgesagt werden (man könnte auf Grund von 255e4-6 meinen, daß z.B. die Form des Verschiedenen in diese Klasse gehöre), und solche, die von sich selbst ausgesagt werden.
  우선 첫 번째 가능성을 탐구하자. 그에 따라 가능한 술어들을 구성하는 대상들의 두 부류를 가진다. 어떤 것에 대해 언제나 그와 다른 것이 진술되는 대상들 (255e4-6 을 근거로 예를 들어 Difference 의 형상이 이 부류에 속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자체에 대해 진술되는 대상들.
  Eine solche Interpretation hätte allerdings den Nachteil, daß sich das Verschiedene in der Hinsicht, in der es hier immer von etwas von ihm Verschiedenen ausgesagt wird, für Platon in nichts vom Seienden unterscheidet.
  Von Mure und von Arangio-Ruiz ist allerdings eine Variante dieser Interpretation entwickelt worden, die zunächst etwas plausibler klingt.
  그런 해석은 무엇보다도 Difference 가 여기에서 언제나 그와 다른 무언가에 대해 진술되는 그런 측면에서 Diffrence 가 플라톤에게 Being 과 아무런 차이가 없다는 단점을 지닌다. 
  Mure 와 Arangio-Ruiz 에게서 이러한 해석의 다양한 버전들이 전개되고, 그것들은 일견 그럴 듯해 보인다.
  Wie bereits durch "τῶν ὄντων τὰ μὲν ... τὰ δὲ ..." nahegelegt sein könnte, werden nach ihrer Interpretation hier zwei Klassen von Gegenständen unterschieden, die sich auch je nach Zugehörigkeit zu einer der beiden Klassen ihrem Sein nach unterscheiden. Schönheit, zum Beispiel, gibt es nur in bezug auf schöne Gegenstände, das Schöne ist ἕτερόν τι ὄν schön, und so wird Schönheit immer mit Bezug auf etwas von ihr Verschiedenes ausgesagt. Menschen dagegen gibt es an und für sich, weil der Mensch αὐτὸ καθ᾿ αὑτό Mensch ist. Damit wären wir also fast bei Aristoteles angekommen, und so sagt denn auch Mure (Aristotle, S. 180) : "Plato`s distinction of selfsubsistent from dependent - 21 - being is possibly the source of Aristotle`s conception of substance and accident."
  이미 "τῶν ὄντων τὰ μὲν ... τὰ δὲ ..." 를 통해 제안될 수 있었듯, 여기에서 그 해석에 따라 대상들의 두 부류들이 구분되는데, 또한 양쪽 부류 중 한 쪽에의 소속에 따라서 그 대상들의 Being 이 그에 따라 구분된다. 예를 들어 아름다움은 바로 아름다운 대상들에 관련하여 존재하고, 아름다운 것은 어떤 다른 아름다운 것이며, 그렇게 언제나 아름다움은 그것과 다른 무언가에 대한 관련으로써 진술된다. 반대로 인간은 그 자체에 대해 그 자체로 존재하는데, 왜냐하면 인간은 그 자체로 인간이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따라서 거의 아리스토텔레스에게 당도하게 되었고, Mure 또한 그래서 이렇게 말한다 ((Aristotle, 180쪽): "플라톤의 자립적 being 과 의존적 being 사이의 구분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체와 부수라는 개념의 원천일 수 있다."
  Tatsächlich wird eine solche Einteilung Platon bereits von Eudemus (ap. Simpl. in phys. 99, 25ff.) und den Divisiones Aristoteleae (Diog. L. III, 108-109) zugeschrieben.
  Jede Interpretation dieser Art hat alle Wahrscheinlichkeit gegen sich, da sie die Aufgabe von Platonischen Formen zumindest für Akzidentien, wenn nicht die Aufgabe von Formen überhaupt voraussetzt (vgl. allerdings: Ar. Met. A 1070a13ff. und Procl. in Parm. I, 888, 36ff.). Aber sie leistet auch nicht das, was sie leisten soll; sie zeigt nämlich nicht den Unterschied zwischen dem Seienden und dem Verschiedenen. Das Argument müßte etwa so konstruiert werden:
  Alles, was verschieden ist, ist verschieden in bezug auf etwas von ihm Verschiedenes, nämlich die Verschiedenheit (255d6-7); oder umgekehrt: die Verschiedenheit wird immer in bezug auf etwas von ihr Verschiedenes ausgesagt (255d1).
  Dagegen ist nicht alles, was ist, seiend in bezug auf etwas von ihm Verschiedenes. Denn Menschen gibt es, nicht weil es etwas vom Menschen Verschiedenes gibt, das über seine eigene Natur hinaus noch die Eigenschaft hat, Mensch zu sein, sondern weil es Dinge gibt, die Menschen sind, und nichts Mensch ist, was nicht auf Grund seiner eigenen Natur Mensch ist.
  Diese Konstruktion hat den Fehler, daß sich "Verschiedenes" in "in bezug auf etwas von ihm Verschiedenes" im Fall der Verschiedenheit auf die Form des Verschiedenen, im Fall des Seienden aber nicht auf die Form des Seienden, sondern auf die Dinge, die den Argumenten von "... ist ..." zugeordnet sind, bezieht. Bezieht man aber, "Verschiedenes" im Fall des Seienden genauso wie beim Verschiedenen, so unterscheidet sich die Form des Seienden wieder in nichts von der Form des Verschiedenen.
  Da sich diese Interpretation nun sowieso nicht empfiehlt, wird man auch in 255d7 "ἑτέρου" statt "πρὸς ἕτερον" beibehalten. Das aber zwingt uns dazu, "πρὸς ἕτερον" in 255d5-6 und in d1 wie "ἑτέρου" in 255d7 zu verstehen; dann aber müßte es besondere Gründe geben, "πρὸς ἄλλα" in 255c13 nicht so aufzufassen. Damit wäre auch der Ausgangspunkt der Interpretation, daß sich "ἄλλα" nicht auf die Ergänzungen, sondern auf die Subjekte von Prädikaten bezieht, hinfällig.
  실제로 플라톤이 그러한 구분을 했다는 것은 이미 아리스토텔레스의 『에우데모스』 (ap. Simpl. in phys. 99, 25ff.) 와 『분할』  (Diog. L. III, 108-109) 에 기록되어 있다. 
  이런 방식의 해석 각각은 저마다 다른 설득력을 지닌다. 형상들 일반의 기능을 요청하지 않는다면, 플라톤적 형상들의 기능을 속성들에게 요청하기 때문이다(그러나 다음을 참조하라: Ar. Met. A 1070a13ff. und Procl. in Parm. I, 888, 36ff.). 하지만 그 해석들은 성취해야 할 것을 성취하지 못한다; 즉 the Being 과 the Different 사이의 구분을 보여주지 못한다. 그 논증은 이하와 같은 어떤 것으로 구성되어야만 한다:
  다른 모든 것은 그것과 다른 것인 무언가와 관련하여 다름이다(255d6-7); 혹은 역으로: 다름은 언제나 그것과 다른 것인 어떤 것에 관련하여 진술된다(255d1).
  반대로 있는 모든 것이 그것과 다른 것인 어떤 것에 관련하여 being 이지는 않다. 인간은, 인간과 다른 것인, 인간이기 위해 그 고유한 본성을 제외한 특성을 지니는 무언가가 존재하기 때문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인 사물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리고 그 고유한 본성을 토대로 인간이지 않은 것은 아무것도 인간이지 않기 때문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는, "그것과 다른 것인 무언가와 관련하여" 에서 "다른 것" 이 다름의 경우에는 다른 것이라는 형상에 관련하지만, Being 의 경우에는 Being 의 형상에 관련하지 않고, 오히려 "... is ..." 의 변항들에 해당하는 사물들에 관련한다는 오류를 지닌다. 그러나 관련한다면, Being 의 경우에서 "다른 것" 이 다른 것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이고, 그럼 Being 의 형상은 다시 다른 것이란 형상과 아무런 차이도 없다.
  이런 해석이 어쨌든 바람직하지 않기에, 다시 255d7 에서 "πρὸς ἕτερον" 대신 "ἑτέρου" 가 견지된다. 하지만 그 일은 255d5-6 과 d1 에서의 "πρὸς ἕτερον" 을 255d7 에서의 "ἑτέρου" 처럼 이해할 것을 강요한다; 허나 그러면 255c13 에서의 "πρὸς ἄλλα" 를 그렇게 이해하지 않을 특별한 이유들이 존재해야만 한다. 그 점에서 다시 "ἄλλα" 가 보어가 아니라 술어에 대한 주어와 관련한다는 그 해석의 출발점은 부적절하게 될 것이다.
- 22 - So bleibt also die zweite Möglichketi, daß mit "ἄλλα" die Gegenstände gemeint sind, mit Hinsicht auf welche Prädikate von Gegenständen ausgesagt werden, die verschieden von den ersten Gegenständen sind.
  Nimmt man nun "πρὸς ἄλλα" nicht strikt, dann erhalten wir eine verbreitet Interpretation der Stelle (vertreten u.a. von : Wilamowitz, Platon I, S. 568, Shorez, Cl.Ph. 1930, S. 80, Cornford, P T K, S. 282, Ross. P T I, S. 114, Cherniss, A C P A, S. 283 n 191, Owen, J H S, 1957, S. 107 n 25, Xenakis, Phronesis IV, 1959, S. 33, Lacez C Q NS IX, 1959, S. 49 n 1), wonach hier absolute von relativen Prädikaten unterschieden werden.
  그러면 두 번째 가능성이 남는다. "ἄλλα" 는 대상들을 의미하고, 어떤 술어에 관련한 측면에서 대상들에 대해 진술되고, 그 대상들은 첫 번째 대상들과 다르다.
  이제 "πρὸς ἄλλα" 를 제한적으로 취하지 말자. 그러면  해당 장에 대한 잘 알려진 해석을 얻는다(이하의 사람들을 포함한 다수가 표현한다 : Wilamowitz, Platon I, S. 568, Shorez, Cl.Ph. 1930, S. 80, Cornford, P T K, S. 282, Ross. P T I, S. 114, Cherniss, A C P A, S. 283 n 191, Owen, J H S, 1957, S. 107 n 25, Xenakis, Phronesis IV, 1959, S. 33, Lacez C Q NS IX, 1959, S. 49 n 1). 그 해석에 따라 여기에서 절대 술어와 상대 술어 사이의 구분이 이루어진다.
  Diese Interpretation mag auch der Variante zugrunde liegen, die sich in B und Y und vielleicht sogar bei Simplicius (in Cat. 159, 17) findet und die noch von Campbell, Wohlrab, Apelt (Beiträge, S. 193) und zuletzt sogar noch von Peck (C Q NS II, 1952, S. 48) gelesen worden ist: "πρὸς ἄλληλα" anstelle von "πρὸς ἄλλα" in 255c13. Eine solche Unterscheidung von absoluten und relativen Begriffen wird nämlich im Parmenides mit folgenden Worten eingeführt: "οὐκοῦν καὶ ὅσαι τῶν ἰδεῶν πρὸς άλλήλας εἰσὶν αἵ εἰσιν" (133c9-10; cf. Ar. Cat. 6b28, 11b33). Doch verstößt eine solche Interpretation von 255c12-13 gegen (3).
  이러한 해석은 또한 다양한 해석들의 기초가 된다. B 판과 Y 판에서 그리고 심플리키우스에 의해 발견되고 다음으로 캠벨, 볼라브, 아펠트에 의해, 그리고 끝으로 펙에 의해 독해된 해석들. 255c13 에서 "πρὸς ἄλλα" 대신 "πρὸς ἄλληλα" 을 읽어내는 것이다. 그러한 절대와 상대 개념의 구분은 말하자면 파르메니데스에 있어서 이하의 문장으로 도입된다: "형상들 중 서로를 향한 것들 모두 또한 그것들(형상들)이다" (133c9-10; cf. Ar. Cat. 6b28, 11b33). 그렇지만 그러한 255c12-13 해석은 '3.' 을 위반한다.
  Versucht man sie dadurch zu modifizieren, daß man "πρὸς ἄλλα" strikt versteht, dann wird sie entweder mit (1) oder den eigenen Voraussetzungen unverträglich. Denn entweder erhalten wir keine vollständige Disjunktion mehr, oder wir müssen eine ad hoc Beschränkung der Klasse A der Prädikate einführen, die durch nichts im Text gerechtfertigt wird. A kann nämlich nicht mehr die Klasse aller Prädikate sein, sondern muß die Menge aller absoluten und aller πρὸς ἕτερα-Prädikate im strengen Sinn sein.
  다음을 통해 수정을 시도해 보자. "πρὸς ἄλλα" 가 제한적으로 이해된다면, 그 해석은 '1.' 이나 고유한 전제들과 충돌할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는 단적으로 어떤 완전한 선언지도 얻지 못하거나, 아니면 술어 부류 A 에 대한, 문헌상으로 전혀 정당화되지 않는 즉흥적 제한을 도입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A 는 말하자면 단순히 모든 술어의 부류일 수 없고, 오히려 엄격한 의미에서 모든 절대 술어와 모든 πρὸς ἕτερα 술어의 무리여야만 한다.
  Nimmt man dazu an, daß den beiden Klassen von Prädikaten zwei Bedeutungen von "... ist" entsprechen, dann wird die Interpretation noch in einem anderen Sinn mit (1) unverträglich. Denn, wenn das Prädikat "... ist" ein Element von A ist, dann darf es nicht - wie hier angenommen wird - sowohl ein Element von A1 als auch von A2 sein.
  (Wenn "ἀεὶ" mit zur Bestimmung der Prädikate der zweiten Klasse gerechnet wird, d.h. nur auf "τὰ δὲ πρὸς ἄλλα ... λέγεσθαι" bezogen wird, dann ist völlig unabhängig von (1) klar, daß "... ist" nicht sowohl Element von A1 als auch von A2 sein kann; denn, wäre es Element von A2, könnte es nach Definition von A2 nicht Element von A1 sein.)
  Nehmen wir dagegen an, daß "... ist" nur zur ersten Klasse gehört, dann wird die Argumentation in 255d3-7, vor allem die Bemerkung, daß das Seiende an beiden Formen, das Verschiedene dagegen nur an einer von beiden teilhat, unverständlich. Es kann sich also nicht um eine Einteilung in absolute und πρὸς ἄλλα-Prädikate handeln, ganz gleich, ob "πρὸς ἄλλα" strikt genommen wird oder nicht.
  이하를 가정해 보자. 술어의 양쪽 부류에 "... is" 의 두 가지 의미가 부합한다고. 그러면 그 해석은 또 다른 의미에서 '1.' 과 부딪친다. 왜냐하면, "... is" 라는 술어가 A 의 원소일 경우, 아마도 그것은 - 여기에서 가정되듯 - A1 의 원소이자 또한 A2 의 원소이지는 않기 때문이다.
  ("ἀεὶ" 로 두 번째 부류의 술어에 대한 규정이 정당화된다면, 즉, 단지 "τὰ δὲ πρὸς ἄλλα ... λέγεσθαι" 에만 관련된다면, "... is" 가 A1 뿐만 아니라 A2 에 대해서도 원소가 아닐 수 있다는 것은 '1.' 과 전적으로 무관하다; 왜냐하면 그것이 A2 의 원소라면, 정의상 그것은 A1 에 대해서가 아니라 A2 에 대해 원소일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가정해 보자. "... is" 가 단지 첫 번째 부류에만 속한다고. 그러면 255d3-7 에서의 논증은, 특히 the Being 이 양쪽 형상 모두에 참여하는 반면, the Different 는 양쪽 형상들 중 한쪽에만 참여한다는 언급은 불가해한 것이 된다. 그러므로 그것은 절대 술어와 πρὸς ἄλλα 술어의 분류에 관련된 것일 수 없고, "πρὸς ἄλλα" 가 제한적으로 취해지든 그렇지 않든 아무 상관이 없다.
- 23 - Man könnte sich versucht fühlen, diese Interpretation dadurch zu retten, daß man unter den αὐτὰ καθ᾿ αὑτὰ λεγόμενα nicht absolute Prädikate versteht, sondern "αὐτὰ καθ᾿ αὑτά" entsprechend zu "πρὸς ἄλλα" so auffaßt, daß diese Prädikate von Gegenständen in bezug auf Gegenstände ausgesagt werden, die von den ersten Gegenständen nicht verschieden sind. Das aber ist sprachlich nicht möglich, da sich "αὐτὰ" in "αὐτὰ καθ᾿ αὑτά" auf die den Prädikaten zugeordneten Gegenstände, nicht aber wie bei "πρὸς ἄλλα" auf die den Ergänzungen zugeordneten Gegenstände beziehen muß.
  이 해석이, αὐτὰ καθ᾿ αὑτὰ λεγόμενα 하에서 절대 술어로 이해되지 않고, 오히려 "αὐτὰ καθ᾿ αὑτά" 가 "πρὸς ἄλλα" 에 부합하는 것으로 그렇게 이해된다는 점, 대상들에 대한 이러한 술어들이 대상들과 관련하여 진술되고, 그 대상들은 첫 번째 대상들과 다르다는 것을 통해, 구제되는 것처럼 느낄 수도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그것은 말 그대로 불가능한데, "αὐτὰ καθ᾿ αὑτά" 에서  "αὐτὰ" 가 술어들에 부합하는 대상들에 관련해야만 하는 반면, "πρὸς ἄλλα" 의 경우처럼 보어들에 부합하는 대상들에 관련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Eine Schwäche haben alle Interpretationen dieser Art gemeinsam : es ist zwar richtig, daß die Dinge, die von etwas ausgesagt werden können, für Platon seiend sein müssen; in diesem Zusammenhang aber ist nach dieser Interpretation das "τῶν ὄντων" in 255c12 völlig überflüssig, denn es könnte genauso gut heißen: "...συγχωρεῖν τὰ μὲν αὐτὰ καθ᾿ αὑτὰ τὰ δὲ πρὸς ἄλλα ἀεὶ λέγεσθαι". Doch nichts liegt näher als die Annahme, daß hier, wo der Unterschied zwischen dem Seienden und dem Verschiedenen gezeigt werden soll, das "τῶν ὄντων" nicht ohne Bedeutung sein kann, zumal es dem "τὸ ... ἕτερον" in 255d1 zu entsprechen scheint.
  Die Annahme also, daß hier die möglichen Prädikate in zwei Klassen aufgeteilt werden, hat uns nicht weitergeführt. 
  이런 식의 해석은 모두 공통적으로 한 가지 약점을 지닌다 : 어떤 것에 대해 진술될 수 있는 사물들은 플라톤에게 있어서 being 이어야만 한다는 것은 확실히 맞다; 하지만 이러한 문맥에서 이 해석에 따르면 255c12 의 "τῶν ὄντων" 은 전적으로 부차적인데, 이하가 마찬가지로 승인될 수 있기 때문이다: "...συγχωρεῖν τὰ μὲν αὐτὰ καθ᾿ αὑτὰ τὰ δὲ πρὸς ἄλλα ἀεὶ λέγεσθαι(어떤 것들은 그 자체로 또 어떤 것들은 다른 것들에 대해 언제나 진술된다". 그렇지만 어떤 것도, the Being 과 the Different 구분이 제시되어야 하는 여기에서 "τῶν ὄντων" 이, 특히 255d1 의 "τὸ ... ἕτερον" 에 부합하는 것으로 보이는 그것이 무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보다 더 정확하지 못하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가능한 술어들이 두 부류로 분류된다는 가정은 더 이상 견지되지 않는다.

  (B) Bezieht man nun "τῶν ὄντων" auf die möglichen Gegenstände von Aussagen, "τὰ μὲν ... τὰ δὲ ..." aber auf das, was von diesen Gegenständen ausgesagt werden kann, ergeben sich die gleichen Interpretationsmöglichkeiten wir unter (A) und damit auch die gleichen Einwände (mit kleinen Abweichungen natürlich; so müßte hier gefragt werden, warum die möglichen Gegenstände von Aussagen mit "τῶν ὄντων" bezeichnet werden, ja warum sie überhaupt erwähnt werden).
  (B) 이제 "τῶν ὄντων" 이 진술들의 가능한 대상들에 관련하는 반면, "τὰ μὲν ... τὰ δὲ ..." 는 이러한 대상들에 대해 진술될 수 있는 것에 관련한다면, (A) 하에서와 유사한 해석가능성들과 유사한 반론들이 나타난다 (사소한 문제들은 당연하다; 그래서 여기에서 물어야만 하는 것은, 어째서 "τῶν ὄντων" 이 진술들에 대한 가능한 대상들을 가리키는지, 그럼 도대체 왜 그것들이 언급되는지 하는 것이다).

  (C) Es bleibt also die Möglichkeit, "τῶν ὄντων τὰ μὲν ... τὰ δὲ ..." auf die Gesamtheit der Gegenstände überhaupt zu beziehen, von denen dann irgend etwas gesagt wird.  
  (C) 남은 가능성은 "τῶν ὄντων τὰ μὲν ... τὰ δὲ ..." 이 대상 일반의 총체에 관련하는 것이다. 

  Nach einer Klasse von Interpretationen bezieht sich nun "αὐτὰ καθ᾿ αὑτά" und "πρὸς ἄλλα" auf das, was von diesen Dingen ausgesagt wird. Man würde also den relevanten Teil von 255c12-13 so wiedergeben : "von einem Teil der Dinge, die sind, wird gesagt, daß sie αὐτὰ καθ᾿ αὑτά sind, von dem anderen Teil, daß sie πρὸς ἄλλα sind" (so etwa Taylor, S S, S. 161) oder, "von den Dingen, die sind, wird gesagt, daß die einen αὐτὰ καθ᾿ αὑτά, die anderen aber πρὸς ἄλλα sind" (so etwa Moravcsik, B M S, S. 54).
  Demnach gäbe 255c12-13 eine allgemeine Meinung über die ὄντα wieder, die dann im folgenden ohne weitere Begründung oder Kritik als Ausgangspunkt für das Argument genommen wird (das wird besonders deutlich bei Moravcsik, a.a.O., der übersetzt: "of beings we always say ..."). Ein Beispiel für eine solche Interpretation findet sich - 24 - bei Runciman (P.L.E., 88 n 1): "He is drawing a distinction between kinds of things that are ... in order to show that Being, which covers both, must be non-identical with Difference, which covers only one."
  한 종류의 해석에 따르면 "αὐτὰ καθ᾿ αὑτά" 와  "πρὸς ἄλλα" 는 이러한 사물들에 대해 진술되는 것에 관련한다. 그러므로 255c12-13 의 관련 부분은 다음과 같이 재해석될 것이다 : "존재하는 사물들의 일부에 대하여 그것들은 αὐτὰ καθ᾿ αὑτά 존재한다고, 다른 일부에 대하여서는, 그것들이 πρὸς ἄλλα 존재한다고 진술된다.(Taylor)" 혹은 "존재하는 사물들에 대하여, 그것들이 한편으로는 αὐτὰ καθ᾿ αὑτά, 다른 한편으로는 πρὸς ἄλλα 존재한다고 진술된다.(Moravcsik)"
  그에 따라 255c12-13 은 ὄντα 에 일반개념을 부여할 것이고, 그것들은 이하에서 추가적인 추론이나 비판 없이 논증의 출발점으로 간주된다 (그것은 특히 Moravcsik 의 해석에서 두드러진다: "of beings we always say ..."). 그러한 해석의 일례는 Runciman 에게서 발견된다. : "그는 오직 한쪽만을 포함하는 Difference 와 비-동일적이어야만 하는, 양쪽 모두를 포함하는 Being 을 보이기 위해 ... 존재하는 사물들의 종류들 사이에 구분을 짓고 있다."
  Der Hauptmangel einer solchen Auffassung scheint mir darin zu liegen, daß πρὸς ἄλλα und αὐτὰ καθ᾿ αὑτά, wenn man die Übersetzungen wörtlich nimmt, wie Eigenschaften von Dingen behandelt werden, für die sogar Formen angenommen werden (so bei Campbell, Cornford, Moravcsik und Runciman). Was das für Eigenschaften sein sollen, ist völlig unklar, und es lassen sich auch keine weiteren Beispiele für einen solchen Gebrauch von "πρὸς ἄλλα" oder "αὐτὰ καθ᾿ αὑτά" anführen. πρὸς ἄλλο und αὐτὸ καθ᾿ αὑτό bezeichnen die Art und Weise, in der ein Prädikat von einem Gegenstand ausgesagt wird, bzw. in der eine Eigenschaft einem Gegenstand zukommt. Wenn z.B. von Formen gesagt wird, daß sie αὐτὰ καθ᾿ αὑτά sind, dann bezeichnet "αὐτὰ καθ᾿ αὑτά" nicht irgendeine Eigenschaft der Formen, sondern gibt die Art und Weise an, in der sie sind. (Insofern die vorgeschlagenen Übersetzungen durch Betonung von "sind" auch eine solche Interpretation zulassen, werden sie später behandelt.)
  그러한 해석의 표면적 문제는 다음의 지점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πρὸς ἄλλα 와 αὐτὰ καθ᾿ αὑτά 가, 그 번역을 문자 그대로 받아들일 경우, 사물들의 속성들이 취급되는 것처럼, 형상들에 대해서도 그렇게 가정된다는 점이다 (Campbell, Cornford, Moravcsik, Runciman 에게서 그러하듯). 무엇이 속성들에 대한 것이어야 할는지는 전적으로 불명하고, "πρὸς ἄλλα" 나  "αὐτὰ καθ᾿ αὑτά" 의 그러한 용법에 대해 아무런 추가적 예시도 예화하지 않는다. "πρὸς ἄλλα" 와  "αὐτὰ καθ᾿ αὑτά" 는 대상들에 대해 술어가 진술되는 기술과 방식을 가리킬 것이다. 추정컨데, 그 방식으로 속성이 대상으로 된다. 예를 들어 형상들에 대해 그것들이 αὐτὰ καθ᾿ αὑτά 존재한다고 진술된다면, "αὐτὰ καθ᾿ αὑτά" 는 형상들의 일부 속성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그것들이 존재하는 그 기술이나 방식을 표현한다. ("is" 에 대한 강조를 통해 또한 그러한 해석이 제안된 번역들을 허용한다는 점에서, 그 번역들이 다음으로 다루어진다.)
  Es ist auch unklar, wie man bei einer solchen Interpretation von 255c12-13 den folgenden Beweis verstehen sollte. Folgende Möglichkeit scheint sich anzubieten:
  Das Verschiedene ist πρὸς ἄλλο und gehört so zur zweiten Klasse von Dingen, das Seiende dagegen ist αὐτὸ καθ᾿ αὑτό und gehört zur ersten Klasse (vgl. Burnet, Greek Philosophy, S. 285: "Other is essentially relative and Being is absolute"). Bei einer solchen Interpretation wird der Form des Seienden offensichtlich nur ein Gebrauch von "... ist" zugeordnet, nämlich "... ist" im Sinn von "existiert"; das jedenfalls scheint gemeint zu sein, wenn vom Seienden im Gegensatz zum Verschiedenen gesagt wird, daß es absolut ist. Denn als Form ist das Verschiedene genauso für sich bestehend wie das Seiende. Wie soll man nun aber die Bemerkung verstehen, daß das Seiende im Gegensatz zum Verschiedenen an beiden Formen teilhat, von denen 255d4-5 die Rede ist?
  Da das Verschiedene und ebenso alle anderen Relativa genauso seiend sind wie das Seiende und die anderen Elemente der ersten Klasse, umfaßt das Seiende sowohl die Elemente der ersten wie auch die der zweiten Klasse. Das, was ist, hat sowohl an der Form des αὐτὸ καθ᾿ αὑτό als auch an der Form des πρὸς ἄλλο teil.
  Diese Interpretation scheitert einfach deshalb, weil sich das Seiende darin gar nicht vom Verschiedenen unterscheidet. Denn da das Seiende koextensiv mit dem Verschiedenen ist, muß natürlich auch gelten: "das, was verschieden ist, hat sowohl an der Form des αὐτὸ καθ᾿ αὑτό als auch an der des πρὸς ἕτερον teil"
  255c12-13 에 대한 그러한 해석에서 뒤따르는 논증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역시 불명하다. 다음의 가능성이 제시되는 것으로 보인다:
  The Different 는 πρὸς ἄλλο 존재하고 그래서 사물들의 두 번째 부류에 속하며, the Being 은 반대로 αὐτὸ καθ᾿ αὑτό 존재하고 첫 번째 부류에 속한다 (Burnet, "다름은 본질적으로 상대적이고 Being은 절대적이다"). 그러한 해석에 의해 Being 의 형상은 명백히 "... is" 의 한 용법, "현존하다" 라는 의미의 용법에 해당하게 된다; the Being 에 대해 the Different 와 반대로 진술될 경우, it absolutely is 라는 것은 어쨌든 존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the Different 가 the Being 과 마찬가지로 그 자체 형상으로 이해되기 때문이다. 허나 이제 the Being 이 the Different 와 대조적으로 양쪽 형상 모두에 참여한다는 255d4-5 에 대한 독해인 그 언급은 이제 어찌 이해해야 하는가?
  The Different 와 또한 여타 모든 상대적인 것들은 the Being 과 첫 번째 부류의 여타 원소들과 마찬가지로 being 이기에, the Being 은 첫 번째 부류의 원소들뿐만 아니라 두 번째 부류의 원소들도 포함한다. 존재하는 바의 것은 αὐτὸ καθ᾿ αὑτό 형상에도 πρὸς ἄλλο 형상에도 참여한다.
  이러한 해석은 그런 이유로 쉽사리 오도하는데, the Being 이 그 경우 the Different 와 전혀 구분되지 않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the Being 이 the Different 와 동연이고, 자연히 이하로 여겨져야만 하기 때문이다: "다른 바의 것은 αὐτὸ καθ᾿ αὑτό 형상에도 πρὸς ἄλλο 형상에도 참여한다."
- 25- Man kann versuchen, das durch einen kleinen Zusatz zu vermeiden: "das, was verschieden ist, hat qua verschieden, nur an der Form des πρὸς ἕτερον teil". Leider gilt dann aber auch für das Seiende nach Voraussetzung ("das Seiende ist αὐτὸ καθ᾿ αὑτό"): "das, was ist, hat qua seiend, nur an der Form des αὐτὸ καθ᾿ αὑτό teil". Damit ist aber wieder völlig unklar, was gemeint ist, wenn gesagt wird, daß das Seiende an jenen beiden Formen teilhat.
  Wenn es nun sachlich nicht möglich ist, "πρὸς ἄλλα" und "αὐτὰ καθ᾿ αὑτά" als Prädikate aufzufassen, was auch sprachlich sehr hart wäre, dann scheinen wir in die etwas unglückliche Lage zu kommen, irgendwelche Prädikate ergänzen zu müssen.
  사소한 추가를 통해 회피하는 일을 시도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다른 바의 것은 다른 것으로서 πρὸς ἕτερον 형상에 참여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the Being 에 대해서도 전제("The Being 은 αὐτὸ καθ᾿ αὑτό 이다")에 따라 마찬가지이다: "있는 바의 것은 있는 것으로서 αὐτὸ καθ᾿ αὑτό 형상에 참여한다". 허나 이 점에서 다시금 the Being 이 양쪽 형상 각각에 참여한다고 진술될 때 그 의미가 무엇인지는 전적으로 불명하다.
  "πρὸς ἄλλα" 와 "αὐτὰ καθ᾿ αὑτά" 를 술어로 이해하는 일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경우, 어떤 술어든 보충을 해야만 하는 곤란한 지경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는 점만은 말 그대로 확실할 것이다.
  Eine Form dieser Interpretation ist Cornfords. Er übersetzt:
"... among things that exist, some are always spoken of as being what they are just in themselves, others as being what they are with reference to other things" und sagt zu der Stelle (S. 282):
"Difference is here distinguished from Existence by the fact that Existence blends with (`partakes of`) both the characters belonging respectively to things which `are what they are just themselves`(καθ᾿ αὑτά) and things which `are what they are with reference to other things`(πρὸς ἄλλα)."
Was er mit "... Existence blends with - both the characters ..." meint, geht aus seinen Ausführungen über die Mischung von Formen hervor (S. 271). Wenn sich etwa die Form Lebewesen mit der Form Zweifüßigkeit mischt, dann hat die Klasse der Lebewesen L eine Unterklasse L1, die alle zweibeinigen Lebewesen umfaßt. Angenommen nun, L und L1 sind nicht leer, dann gilt also, wenn Lebewesen und Zweibeinigkeit sich mischen:
(1) "ein Teil der Lebewesen sind Zweibeiner".
Wenn sich also die Form des Seienden mit den Formen καθ᾿ αὑτά und πρὸς ἄλλα mischt, dann müßte gelten:
(2) "ein Teil dessen, was ist, ist καθ᾿ αὑτά".
(3) "ein Teil dessen, was ist, ist πρὸς ἄλλο".
  이러한 해석의 한 형태는 콘포드의 해석이다. 그는 다음과 같이 번역한다:
"... 존재하는 사물들 중에서, 일부는 언제나 그것들 자체로 그것들인 바의 것으로 있는 것(being)으로서 진술되고, 다른 것들은 또 다른 사물들에 관련하여 그것들인 바의 것으로 있는 것으로서 진술된다" 그리고 그 장에서 말한다(282쪽.):
"다름은 여기에서 현존과 구분된다. 현존은 '단지 그 자체로(καθ᾿ αὑτά) 그것들인 바의 것들인' 사물들에 그리고 '다른 사물들에 관련하여(πρὸς ἄλλα) 그것들인 바의 것들인' 사물들에 각기 속하는 양쪽 특성 모두와 섞인다('~에 참여한다')."
그가 "... 현존은 양쪽 특성 모두와 섞인다 ..." 라는 말로 의미하는 바는, 형상들의 섞임에 대한 그의 언급들로부터 나온다(271쪽.). 생물이라는 형상이 두발달림이라는 형상과 섞인다면, 생물이라는 유 L은 하위 유 L1 을 가진다. 그 하위류는 모든 두발달린 생물을 포함한다. 이제 L 과 L1 이 공집합이 아니라 가정하면, 생물과 두발달림이 섞일 경우 다음과 같이 귀결된다:
(1) "생물의 일부는 두발달림이다"
그러므로 the Being 형상이 καθ᾿ αὑτά 그리고 πρὸς ἄλλα 형상들과 섞일 경우, 다음과 같아야만 한다:
(2) "존재하는 바의 것의 일부는 καθ᾿ αὑτά 로 존재한다".
(3) "존재하는 바의 것의 일부는 πρὸς ἄλλα 로 존재한다".
  Cornford allerdings formuliert in seiner Übersetzung anders, nach seiner Übersetzung müßten (2) und (3) wie folgt lauten:
(2`) "ein Teil dessen, was ist, ist das, was es ist, αὐτὸ καθ᾿ αὑτό" und
(3`) "ein Teil dessen, was ist, ist das, was es ist, πρὸς ἄλλο".
Der Grund für diese Umformulierung ist nicht schwer zu finden; denn mit (2) und (3) erhielten wir wieder eine der Interpretationen, wonach καθ᾿ αὑτό und πρὸς ἄλλο Eigenschaften von Gegenständen sind, die aber unzureichend wäre, weil die (2) und (3) entsprechenden Sätze für das Verschiedene ebenfalls gelten müssen, da das Seiende und das Verschiedene koextensiv sind.
  콘포드는 그의 번역에서 다른 식으로 정식화한다. 그의 번역에 따라 (2) 와 (3) 은 다음과 같이 읽어야 한다:
(2') 존재하는 바의 것의 일부는 존재하는 바의 것인 αὐτὸ καθ᾿ αὑτό 이다" 그리고
(3') 존재하는 바의 것의 일부는 존재하는 바의 것인 πρὸς ἄλλο 이다".
이러한 재진술에 대한 근거는 찾기 어렵지 않다; 왜냐하면 (2) 와 (3) 으로 우리는 다시 καθ᾿ αὑτό 와 πρὸς ἄλλο 가 대상들의 속성들인 그런 해석을 얻었지만, the Being 과 the Different 가 동연이기에 (2) 와 (3) 에 해당하는 문장들이 the Different 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어야만하기 때문에, 그 해석은 불충분할 것이기 때문이다.
- 26 - Nun gilt nach 255d6-7:
(4) "alles, was verschieden ist, ist das, was es ist, πρὸς ἄλλο".
    Folglich gilt nicht:
(5) "ein Teil dessen, was verschieden ist, ist das, was es ist, αὐτὸ καθ᾿ αὑτό".
  Um nun den Kontrast zwischen dem Seienden und dem Verschiedenen zu erreichen, führt Cornford unter Hinweis auf 255d6-7 (S. 281 n 1) in die Übersetzung von 255c12-13 etwas ein, dem nichts im Text entspricht, nämlich "being what they are". Genau dieser Zusatz macht den Unterschied zwischen (2) und (3) einerseits und (2`) und (3`) andererseits aus.
  Was ist nun mit diesem Zusatz "... ist das, was es ist ..." in 255d7 gemeint?
  이제 255d6-7 에 따라 다음과 같다:
(4) "다른 바의 모든 것은 그것인 바 πρὸς ἄλλο 이다".
   따라서 다음은 아니다:
(5) "다른 바의 것의 일부는 그것인 바 αὐτὸ καθ᾿ αὑτό 이다."
  이제 the Being 과 the Different 사이의 대조를 얻기 위해, 콘포드는 255d6-7 과의 연관 속에서 255c12-13 에 대한 해석에서 문헌상 전혀 부합하지 않는 무언가, 즉 "being what they are" 를 집어 넣는다. 정확히 이러한 추가가 한편으로는 (2) 와 (3) 사이의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2') 와 (3') 사이의 구분을 만들어낸다.
  이제 255d7 에 "... 그것인 바의 것이다 ..." 라는 이 추가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Der Mensch z.B. ist verschieden vom Tisch. Als Verschiedener also ist er das, was er ist, von etwas anderem. Nun kann sich das "... ist ... das, was er ist, ..." nicht auf sein Menschsein, sondern nur auf sein Verschiedensein beziehen. Folglich ließe sich (4) auch so formulieren:
(4`) "alles, was verschieden ist, ist das, was es ist, nämlich verschieden, πρὸς ἄλλο".
  Entsprechend müßte dann aber auch "... ist das, was es ist ..." in (2`) und (3`) als "... ist das, was es ist, nämlich seiend ..." verstanden werden. Hier aber versteht das Cornford plötzlich ganz anders, nämlich etwa so:
"ein Teil dessen, was ist, ist das, was es ist, z.B. Mensch, αὐτὸ καθ᾿ αὑτό" und
"ein Teil dessen, was ist, ist das, was es ist, z.B. Sklave, πρὸς ἄλλο".
  예를 들어 인간은 책상과 다르다. 그러므로 the Different 로서 그는 그인 바 무언가와 또 다른 것이다. 이제 "... is ... being what he is ..." 는 인간존재임에 관련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다른 것임에 관련할 수 있다. 따라서 (4) 는 다음과 같이 정식화시킨다:
(4') "다른 바의 것인 모든 것은 그것인 바 즉 다른 것인 바 πρὸς ἄλλο 이다".
  하지만 그렇다면 그에 따라 (2') 와 (3') 에서 "... is being what it is ..." 또한 "... is being what it is, that is being ..." 로 이해되어야만 할 것이다. 하지만 여기에서 콘포드는 그것을 전혀 다른 것으로 이해한다. 즉 이런 어떤 것이다:
"있는 바의 것의 일부는 그것인 바 예를 들어 인간인 바 αὐτὸ καθ᾿ αὑτό 이다" 그리고
"있는 바의 것의 일부는 그것인 바 예를 들어 노예인 바 πρὸς ἄλλο 이다".
  Korrigiert man nun Cornford dahingehend, daß man in Parallele zu (4`) statt (2`) und (3`)
(2``) "ein Teil dessen, was ist, ist das, was es ist, nämlich seiend, αὐτὸ καθ᾿ αὑτό" und
(3``) "ein Teil dessen, was ist, ist das, was es ist, nämlich seiend, πρὸς ἄλλο" wählt,
dann erhält man für 255c12-13 die Schleiermachersche Version:
"... daß von dem Seienden einiges an und für sich und einiges nur in Beziehung auf anderes immer so genannt werde", "so", d.h. "seiend".
  (Eine MIttelstellung zwischen Cornford und Schleichermacher nimmt Apelt ein:
"... daß das Seiende immer teils als für sich bestehend, teils im Verhältnis des einen zum anderen beurteilt wird".)
  이제 콘포드는 (4) 에 견주어 (2') 와 (3') 대신
(2'') "있는 바의 것의 일부는 그것인 바 즉 being 인 바 αὐτὸ καθ᾿ αὑτό 이다" 그리고
(3'') "있는 바의 것의 일부는 그것인 바 즉 being 인 바 πρὸς ἄλλο 이다" 를 택한 것으로,
그리하여 쉴라이어마허 판 255c12-13 해석을 얻는 것을 의미하는 쪽으로 수정한다.
"... the Being 에 대해 일부는 그 자체로 일부는 다른 것에 관련하여 언제나 그렇게 불린다", "그렇게" 는 "being"이다.
  (아펠트는 콘포드와 쉴라이어마허의 중간 입장을 취한다:
"... the Being 은 언제나 부분적으로는 그 자체로 현존하고, 부분적으로는 다른 것에 대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판단된다".) 
  Das Verschiedene dagegen wird nach 255d1 immer nur in bezug auf etwas anderes so genannt.
  Demnach wäre also das, wovon etwas ausgesagt wird, die Gesamtheit dessen, was ist; das, was ausgesagt wird, das Sein dieser Dinge; - 27 - was schließlich damit gemeint ist, wenn gesagt wird, daß "... ist" πρὸς ἄλλο ausgesagt wird, davon haben wir auf Grund unserer Interpretation von 255d1-7 auch eine gewisse Vorstellung. Es bleibt also zunächst zu klären, was mit "... wird αὐτὸ καθ᾿ αὑτό `seiend´ genannt" gemeint sein soll.
  Daß "seiend" bzw. "ist" ganz für sich allein, d.h. ohne Ergänzung, ausgesagt werden kann, kann sicher nicht gemeint sein, da sich "αὐτὸ" nicht auf "seiend", sondern auf das, was "seiend" genannt wird, bezieht.
  반대로 the Different 는 255d1 에 따라 언제나 어떤 다른 것에 관련하여 그렇게 불린다.
  그에 따르면 무언가가 그에 대해 진술되는 바의 것은 존재하는 바의 것의 총체가 될 것이다; 진술되는 바의 것, 이런 사물들의 그 존재; "... is" πρὸς ἄλλο 가 진술된다는 것이 논의될 경우, 그것이 의미하는 바가 결국 무엇인지, 그에 대해 우리는 255d1-7 에 대한 우리의 해석에 근거하여 그에 대한 하나의 명확한 개념 또한 얻는다. 그러므로 우선 분명히 해야 할 것은, "... αὐτὸ καθ᾿ αὑτό 'being' 이라 불린다" 라는 것이 무엇을 의미해야 하겠는가 하는 것이다.
  "being" 또는 "is" 가 전적으로 오직 그 자체로, 다시 말해 보어 없이 진술될 수 있다는 점은, "αὐτὸ" 가 "being" 이 아니라 "being" 이라 불리는 바의 것에 관련하기에, 더할 나위 없이 확실하다.
  "... wird an und für sich ´seiend´ genannt" dagegen ist eine richtige Wiedergabe, wenn damit gemeint ist, daß man sich nicht auf einen anderen Gegenstand b bezieht, mit Hinsicht auf den man von einem Gegenstand a sagt, daß er ist, sondern, daß man mit Hinsicht auf a selbst von a sagt, daß es ist. (Der Zusatz, "sondern, daß man mit Hinsicht ... ist" ist auf Grund unserer Interpretation von 255d1-7 notwendig.) Daß das aber gemeint sein muß, wenn "seiend", bzw. "ist" das zu ergänzende Prädikat ist, ergibt sich daraus, daß (a) "πρὸς ἄλλα" strikt zu verstehen ist und (b) "αὐτὰ καθ᾿ αὑτά" entsprechend zu "πρὸς ἄλλα" so interpretiert werden muß, daß wir eine vollständige Disjunktion erhalten.
  Wenn das aber gemeint sein muß, dann bieten sich anstelle von "an und für sich" für "αὐτὰ καθ᾿ αὑτά" zwei andere Übersetzungen an : "auf Grund seiner selbst" oder besser "mit Bezug auf es selbst".
  "... 그 자체로 'being' 이라 불린다" 라는 것은 반대로, 그 말이 어떤 다른 대상 b 에 관련하여, 그것과 관련한 측면에서 한 대상 a 에 대해 he is 라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a 그 자체와 관련한 측면에서 a 에 대해 it is 라 말하는 것으로 이해될 때 올바른 해석이다. ("오히려, ... 와 관련한 측면에서 is" 라는 추가는 255d1-7 에 대한 우리의 해석에 근거하여 필연적이다.) 하지만 "being" 달리 말하면 "is" 가 보어를 취하는 술어일 경우를 의미해야만 한다는 것은 (a) "πρὸς ἄλλα" 를 제한적으로 이해한다는 것과 (b) "αὐτὰ καθ᾿ αὑτά" 가 "πρὸς ἄλλα" 에 부합하는 것으로, 그래서 우리가 완전 선언지를 확보하게끔 그렇게 이해되어야만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하지만 그 의미여야만 할 경우, "αὐτὰ καθ᾿ αὑτά" 에 대해 "그 자체로" 대신 두 가지 상이한 번역들이 주어진다. "그 자체에 근거하여" 아니면 오히려 "그 자체에 관련하여".
  Der relevante Teil von 255c12-13 könnte dann vorläufig (ich lasse "ἀεὶ" noch unbeachtet) wie folgt übersetzt werden:
"von dem, was ist, wird das eine in bezug auf es selbst, das andere in bezug auf ein anderes seiend genannt".
  Bevor wir aber diese Übersetzung weiter präzisieren und interpretieren können, müssen zwei Dinge sichergestellt werden:
  1. "τὸ δέ γ᾿ ἕτερον ἀεὶ πρὸς ἕτερον" kann mit "das Verschiedene wird immer mit Bezug auf etwas anderes verschieden genannt" und entsprechend "τῶν ὄντων τὰ μὲν αὐτὰ καθ᾿ αὑτά τὰ δὲ πρὸς ἄλλα ἀεὶ λέγεσθαι" mit "von dem, was ist, wird das eine ... seiend genannt" übersetzt werden;
  2. "αὐτὰ καθ᾿ αὑτά" kann mit "in bezug auf es selbst" übersetzt werden.
  Beides, glaube ich, läßt sich mit Hilfe einer Aristotelesstelle aus περὶ ἐναντίων hinreichend zeigen.
  255c12-13 의 관련 구절은 그리하여 잠정적으로 ("ἀεὶ" 를 고려하지 않고) 다음과 같이 번역될 수 있다:
"what is 에 대하여 한편의 것은 그 자체에 관련하여, 다른 편의 것은 또 다른 것에 관련하여 being 이라 불린다".
  우리가 이러한 번역을 더욱 구체화하고 해석할 수 있기에 앞서, 두 가지 사항이 보장되어야만 한다:
  1. "τὸ δέ γ᾿ ἕτερον ἀεὶ πρὸς ἕτερον" 라는 말이 "the Different 는 언제나 또 다른 무언가에 관련하여 different 라고 불린다" 라고 또 그에 맞추어 "τῶν ὄντων τὰ μὲν αὐτὰ καθ᾿ αὑτά τὰ δὲ πρὸς ἄλλα ἀεὶ λέγεσθαι" 는 "what is 에 대해 한 편의 것은 ... being 이라 불린다" 라고 번역될 수 있다;
  2. "αὐτὰ καθ᾿ αὑτά" 는 "그것 자체에 관련하여" 라고 번역될 수 있다.
  내 생각에 양편 모두 아리스토텔레스의 περὶ ἐναντίων (반대되는 것들에 대하여) 을 통해 충분히 드러난다.
  Dort heißt es (Ross. fr. 2, 11.10-13) : "εἰ δὲ καὶ ταῦτα ἐναντία, φησί, διττῶς ῥηθήσεται τὸ ἐναντίον· ἢ γὰρ καθ᾿ αὑτὰ τὰ ἐναντία ῥηθήσεται, οἷον - 28 - ἀρετὴ καὶ κακία, κίνησις καὶ στάσις, ἢ τῷ μετέχειν ἐναντίων, οἷον τὸ κινούμενον τῷ ἑστηκότι ..."
  Dieser Satz könnte auch wie folgt formuliert sein : "... διττῶς ῥηθήσεται τὸ ἐναντίον· τῶν γὰρ ἐναντίων τὰ μὲν αὐτὰ καθ᾿ αὑτά ῥηθήσεται, οἷον ..., τὰ δὲ τῷ μετέχειν ἐναντίων, οἷον ..."
  Von Ross wird er übersetzt mit:
"... `contrary´ will be used in two senses; it will be applied either with reference to contraries themselves, like virtue and vice, movement and rest, or to things by virtue of a sharing in contraries, e.g. to that which moves and that which rests, or to the good and the bad."
  거기에서는 이렇게 말한다 (Ross. fr. 2, 11.10-13) : "만일 이것들도 반대되는 것들이라면, 반대되는 것은 두 가지로 이야기될 것이다: 즉 그 자체로 반대되는 것들이라 이야기될 것이거나, 예를 들어 덕과 악덕, 운동과 정지처럼, 아니면 반대되는 것들에 참여하는 측면에서, 예를 들어 움직이는 것이 정지해있는 것과 ..."
  이러한 명제들은 다음과 같이 정식화될 수 있다 : "... 반대되는 것은 두 가지로 이야기될 것이다: 즉 반대되는 것들 중 일부는 그 자체로 이야기될 것이고, 예를 들어 ..., 다른 일부는 반대되는 것들에 참여한다는 점에서, 예를 들어 ..."
  로스에 의하면 이렇게 번역된다.
  "... '반대' 는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될 것이다; 그것은 반대항들 그 자체, 덕과 악덕, 운동과 정지 같은 것들을 지시하는 데에, 또는  반대항들에 참여를 통한 사물들, 예를 들어 운동하고 있는 것과 정지하고 있는 것, 혹은 좋은 것과 나쁜 것에 적용될 것이다." 
  Das ist zwar etwa das, was gemeint ist, aber für unsere Bedürfnisse nicht genau genug:
"τὰ ἐναντία" in "καθ᾿ αὑτὰ τὰ ἐναντία ῥηθήσεται" bezieht sich, wie "οἷον - 28 - ἀρετὴ καὶ κακία, ..." zeigt, auf die Menge der Gegensatzpaare, über die etwas ausgesagt wird, nämlich daß sie entweder in bezug auf sich selbst Gegensätze genannt werden (das gilt für die Gegensätze selbst wie Bewegung und Ruhe), oder aber, daß sie auf Grund ihrer Teilhabe an den Gegensätzen selbst Gegensätze genannt werden (z.B. das, was in Bewegung, und das, was in Ruhe ist).  
"ἢ γὰρ καθ᾿ αὑτὰ τὰ ἐναντία ῥηθήσεται, ... ἢ τῷ ...", das auch parallel zu 255c12-13 formuliert sein könnte, muß also übersetzt werden: "denn entweder werden die Gegensätze mit Bezug auf sie selbst Gegensätze genannt werden, oder ...". 
  그 의미가 그런 어떤 것이지만 우리에게 충분하진 못하다:
"καθ᾿ αὑτὰ τὰ ἐναντία ῥηθήσεται" 에서 "τὰ ἐναντία" 는 "οἷον ἀρετὴ καὶ κακία, ..." 같은 반대쌍들의 무리에 관련하여 무언가에 대해, 다시 말해 그 자체에 관련하여 반대들로 불리거나 (운동과 정지처럼 반대들 자체에 대해 그러하듯), 아니면 그것들의 반대들 자체에 대한 참여에 근거하여 반대들로 불린다 (예를 들어 운동 중에 있는 것과 정지 중에 있는 것). 255c12-13 과 일관되게 정식화될 수 있는 "ἢ γὰρ καθ᾿ αὑτὰ τὰ ἐναντία ῥηθήσεται, ... ἢ τῷ ..." 는 그러므로 다음과 같이 번역되어야만 한다: "반대들은 그 자체에 관련하여 반대들로 불리게 되거나, 아니면 ...". 
  Damit wäre unsere Übersetzung von 255c12-13 auch sprachlich gerechtfertigt:
"Von dem Seienden wird das eine mit Bezug auf sich selbst, das andere mit Bezug auf etwas anderes seiend genannt."
  Nachträglich besehen, ist diese Übersetzung auch gar nicht so überraschend. Schon Cornford hat 255d1 so übersetzt, wie wir es tun: "and what is different is always so called with reference to another thing, isn`t it?" 
  그 점에서 255c12-13 에 대한 우리의 번역은 언어상으로 정당화될 것이다:
"The Being 에 대해 한편의 것은 그 자체에 관련하여, 다른 편의 것은 또 다른 무언가에 관련하여 being 이라 불린다."
  이어서 보자면, 이러한 번역은 또한 전혀 놀라울 것도 없다. 이미 콘포드는 255d1 을 우리처럼 번역했다. "그리고 what is different 는 언제나 또 다른 것과 관련하여 그렇게 불린다, 그렇지 않은가?"
  Nun ist 255c12-13 offensichtlich parallel zu 255d1 gebaut, da 255d1 immer noch direkt von "λέγεσθαι" und somit von "ἀλλ᾿ οἶμαι σε συγχωρεῖν" abhängig ist; dem "πρὸς ἕτερον" entspricht "πρὸς ἄλλα", dem "ἀεὶ" in 255d1 das "τὰ μὲν ... τὰ δὲ ...", dem "τὸ ... ἕτερον" entspricht aber "τῶν ὄντων τὰ μὲν ... τὰ δὲ ..."; der Gegensatz schließlich zwischen dem, was für das Seiende gilt, und dem, was für das Verschiedene gilt, wird durch das "δέ γ᾿" in d1 ausgedrückt. Folglich ist es auch nur natürlich, wenn 255c12-13 entsprechend zu 255d1 übersetzt wird.
  이제 255c12-13 은 255d1 에 명백히 일관되게 구성된다. 255d1 은 여전히 "λέγεσθαι" 에 직접 의존하고 따라서 "ἀλλ᾿ οἶμαι σε συγχωρεῖν" 에 의존한다; "πρὸς ἕτερον" 은 "πρὸς ἄλλα" 에, 255d1 의 "ἀεὶ" 는 "τὰ μὲν ... τὰ δὲ ..." 에, 허나 "τὸ ... ἕτερον" 은 "τῶν ὄντων τὰ μὲν ... τὰ δὲ ..." 에 해당한다; the Being 에 해당하는 것과 the Different 에 해당하는 것 사이의 대조는 확실히 d1 에서 "δέ γ᾿" 를 통해 표현된다. 따라서, 255c12-13 이 255d1 에 부합하게 번역될 경우, 그것은 또한 자연스럽다.
  Nach unserer Übersetzung von 255c12-13 zu urteilen, werden hier Gegenstände in zwei Klassen aufgeteilt. Das gleiche gilt auch, wenn - 29 - man `Gegenstände` im weitesten Sinn nimmt, für die Aristotelesstelle. Das aber, was an der Aristotelesstelle wie die Beschreibung einer Zweiteilung von Gegesntänden A aussieht, ist in Wirklichkeit, wie "... διττῶς ῥηθήσεται τὸ ἐναντίον· ... γὰρ ..." zeigt, als die Beschreibung der Zweiteilung von Verwendungen des entsprechenden Prädikates "A" auf Grund der Zweiteilung der Gegenstände A gedacht.
  우리의 255c12-13 번역에 따라 판단하자면, 여기에서 대상들이 두 부류로 분류된다. '대상들' 이 넓은 의미로 이해될 경우, 아리스토텔레스의 용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그럴 듯하다. 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의 용어에서 대상들의 부류 A 에 대한 이분의 기술과 같은 것은 실제로 "... διττῶς ῥηθήσεται τὸ ἐναντίον· ... γὰρ ..." 가 보여주듯 대상들의 부류 A 의 이분에 근거한 상응하는 술어 "A" 의 용법들의 이분에 대한 기술로 생각된다. 
  Wenden wir das nun auf unsere Stelle im Sophistes an, dann fällt unsere Interpretation von 255c12-13 mit der von 255d1-7 zusammen. 255c12-13 läuft dann nämlich auf folgendes hinaus:
"... ist" wird auf zweifache Weise verwendet:
  1. "... ist" wird von Dingen in bezug auf sie selbst ausgesagt (= (III`)).
  2. "... ist" wird von Dingen in bezug auf etwas von ihnen Verschiedenes ausgesagt (= (II)).
  Um welche beiden Klassen von Gegenständen es sich handelt, und wie "ἀεὶ" zu beziehen ist, wird sich im folgenden herausstellen, wenn wir die beiden Verwendungen von "... ist" näher untersuchen.
  Auf eine wichtige Folgerung aus dieser Interpretation sei aber schon hier aufmerksam gemacht. "x ist" muß in jeder Verwendung, in der mit "ist" auf die Form des Seienden Bezug genommen wird, durch "y" ergänzt werden. Selbst in den Fällen, wo das sprachlich nicht notwendig sein sollte, muß "y" wenigstens mitverstanden werden.
  이제 우리가 『소피스트』 에서 다루는 장에 그것을 적용하면, 255c12-13 에 대한 우리의 해석이 255d1-7 에 대한 해석과 일치한다. 255c12-13 은 다시 말해 다음에 상응하게 된다:
"... is" 는 이중의 용법으로 사용된다:
  1. "... is" 는 사물들에 대해 그 사물들 자체에 관련하여 진술된다 (= (III')).
  2. "... is" 는 사물들에 대해 what is the Different from them 에 관련하여 진술된다 (= (II)).
  대상들의 어떤 두 부류가 문제인지, 그리고 "ἀεὶ" 를 어떻게 이끌어낼 것인지, "... is" 의 두 용법들을 더 면밀히 고찰할 때 이하에서 드러나게 될 것이다.


III. Die beiden Verwendungen von "... ist ..."
III. "... is ..." 의 두 가지 용법들
1. Die Bedeutung der Unterscheidung
1. 구분의 의미
  Wenn die vorgeschlagene Interpretation von 255c12-255d7 richti sein sollte, dann erhebt sich die Frage, warum Platon es sich nicht - wie einige Zeilen zuvor bei der Identität - wesentlich leichter gemacht hat, um die Nichtidentität von Sein und Verschiedenheit zu beweisen.
  Er hätte einen Fall von "... ist ..." nehmen können, z.B. "der Mensch ist ein zweibeiniges ...-Lebenwesen", wo sich ".. ist ..." nicht durch "... ist verschieden ..." ersetzen läßt; oder umgekehrt einen Fall von "... ist verschieden von ...", wo die Argumente für Dinge stehen, die keinerlei συμπλοκή miteinander eingehen und wo "... ist verschieden von ..." sich folglich auch nicht durch "... ist ..." ersetzen läßt.
  Man wird daraus schließen dürfen, daß Platon dieser Unterscheidung von zwei Verwendungen von "... ist ..." eine besondere Bedeutung beimißt.
  앞서 언급된 255c12-255d7 의 해석이 정당화될 경우, 플라톤은 왜 Being 과 Difference 사이의 비동일성을 증명하기 위해 - 앞서 the Same 으로 몇몇 행을 그리 하였듯 - 그것을 근본적으로 더 쉽게 만들지 않았는지 의문이 제기된다.
  그는 "... is ..." 의 사례로 예를 들어 "인간은 두 발 달린 ... -생물이다" 라는 것을 취할 수 있었을 것이다. 거기에서 "... is ..." 는 "... is different ..." 로 대체되지 않는다. 또는 역으로 "... is different from ..." 의 사례를 취할 수 있었을 것이다. 거기에서 변항들이 사물들을 대신하는데, 아무런 συμπλοκή 도 함께 적용되지 않고 따라서 거기에서 "... is different from ..." 도 "... is ..." 로 대체되지 않게 된다.
  플라톤이 "... is ..." 의 두 가지 용법에 대한 이러한 구분에 특수한 의미를 부여한다는 점이 이로부터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 30 - Zunächst ist diese Unterscheidung wichtig für den unmittelbaren Zusammenhang. Das wird deutlich, wenn man bedenkt, daß die Theorie der `Spätlerner` darauf hinausläuft, daß "... ist ..." in seiner zweiten Verwendung nicht ebraucht werden darf. Wenn aber erst einmal zugegeben worden ist, daß von einem korrekten Gebrauch von "... ist ..." gibt, derart, daß von einem Gegenstand a in Bezug auf a ist - und die Argumente, die 251e8-255d1 vorgebracht werden, zwingen uns dazu - dann muß man auch zugeben, daß es eine ganze Klasse von Paaren (a, b) gibt, derart, daß von a in Bezug auf b sowohl "a ist" als auch "a ist nicht" gilt. Eben das aber wird sogleich im folgenden 255e8-256d10 gezeigt, wo wir die Satzpaare erhalten:
1a Bewegung ist ταὐτόν.
1b Bewegung ist nicht ταὐτόν.
2a Bewegung ist ἕτερον.
2b Bewegung ist nicht ἕτερον.
3a Bewegung ist ὄν.
3b Bewegung ist nicht ὄν.
  우선 이러한 구분은 그 직접적인 연결에 중요하다. '늦게 배우는 자들' 의 이론이 "... is ..." 를 그 두 번째 용법으로 사용되지 못하게끔 귀결된다고 생각할 때, 그 점이 분명해진다. 그러나 우선 일단 "... is ..." 의 적절한 용법에 대해 대상 a 에 대해서 a 와 관련하여 is 라는 것이 받아들여진다면 - 그리고 251e8-255d1 에서 제기된 그 논증이 우리에게 강요된다면 - a 에 대해서 b 와 관련하여 "a is" 뿐만 아니라 "a is not" 또한 성립하는 그런 짝 (a, b) 의 전체 집합이 있다는 것을 허용해야만 할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뒤이어 오는 255e8-256d10 에서 다음과 같이 드러나게 된다. 거기에서 우리는 명제쌍들을 얻는다.
1a 운동은 ταὐτόν 이다.
1b 운동은 ταὐτόν 이 아니다.
2a 운동은 ἕτερον 이다.
2b 운동은 ἕτερον 이 아니다.
3a 운동은 ὄν 이다.
3b 운동은 ὄν 이 아니다.
  Daraus wird dann 256d11ff. die für die Argumentation wichtige Folgerung gezogen, daß Bewegung und die übrigen Formen nicht seiend sind.
  Die etwas ermüdende Ausführlichkeit, mit der hier Platon Satzpaare von der Form "x ist y", "x ist nicht y" einander gegenüberstellt und das Unproblematische dieses Gegensatzes erklärt, läßt vermuten, daß Platon hier die Lösung einer ernsthaften Schwierigkeit sieht.
  Es ist genau die NIchtbeachtung des Unterschiedes zwischen den beiden Verwendungen von "... ist ...", die im Parmenides dazu führt, daß aus der Tatsache, daß etwas nicht x ist, geschlossen wird, daß es dann in keiner Weise x ist.
  Es wird an diesen Satzpaaren aber auch deutlich, daß ein x sowohl y als auch nicht y sein kann, ohne daß daraus geschlossen werden dürfte, daß x nicht wirklich y und insofern nicht wirklich seiend ist.
  Über das Gewicht für den unmittelbaren Zusammenhang der Argumentation hinaus hat aber die Unterscheidung von zwei Verwendungen von "... ist ..." eine allgemeine Bedeutung, die sich klären wird, wenn wir nun im folgenden die beiden Verwendungen näher untersuchen.
  거기에서 256d11 이하 그 논증에 대한 중요한 결론이 도출되는 바, 운동과 여타 형상들이 not being 이라는 것이다.
  그 지루한 세부사항은, 그로써 플라톤이 여기에서 "x is y", "x is not y" 형식의 문장쌍들을 서로 마주 세우고 이러한 대립이 문제가 없음을 밝히는 바, 플라톤이 여기에서 중요한 문제의 해법을 보았다고 가정하게 한다.
  그것은 확실히 "... is ..." 의 두 용법 사이의 구분을 놓치는 것이다. 파르메니데스로부터 이어지는 바, 어떤 것이 x 이지 않다는 사실로부터 그것은 어떤 식으로도 전혀 x 이지 않다고 결론나는 것이다. 
  "... is ..." 의 두 용법에 대한 구분은 그 논증에의 직접적인 연결이라는 중요성을 넘어서 일반적인 의미를 가지며, 그 의미는 그 두 용법을 이후 더 면밀히 고찰할 때 분명해진다.

2. Die erste Verwendung von "... ist ..."
2. "... is ..." 의 일차 용법
  In einem Satz von der Form "x ist y" wird "... ist ..." in seiner ersten Verwendung gebraucht, wenn das, was durch "x" bezeichnet wird, d.h. das, wovon etwas ausgesagt wird, nicht verschieden ist von Y-heit, d.h. dem, was von x ausgesagt wird.
- 31 - Damit scheiden alle Sätze, in denen "x" nicht für die Form oder den Begriff x steht, aus, da "y" immer Bezug auf eine Form nimmt.
  Unter welchen Umständen ist also die Form, für die "x" steht, nicht verschieden von der Form, die "y" zugeordnet ist?
  Aus 255d11-c1 ergibt sich, daß x und Y-heit (in diesem Fall das Seiende und Dasselbe) dann verschieden sind, wenn sich "x" nicht durch "y" ersetzen läßt. (Vgl. Parm. 142c1-2; Parm. 139d2-8)
  Dahinter steht natürlich die Vorstellung, daß die Form genau das ist, was durch das Prädikat ausgesagt wird. "x" und "y" wäre demnach die gleiche Form zugeordnet, wenn die beiden Ausdrücke synonym sind.
  Daraus ergibt sich, daß Definitionen Standardfälle für die erste Verwendung von "... ist ..." sind. Ob außer Definitionen auch Klassifikationen in diese Kategorie fallen, hängt davon ab, ob für Platon das genus verschieden von der species ist oder nicht. Wenn das genus nicht verschieden von der species ist, dann ist nicht nur "der Mensch ist ein zweibeiniges ... Lebewesen" sondern auch "der Mensch ist ein Lebewesen" ein Fall der ersten Verwendung von "... ist ...".
  Ein Extremfall der ersten Verwendung von "... ist ..." liegt bei den Sätzen von der Form "das x ist x" vor. Von der Funktion dieser merkwürdigen Sätze wird später die Rede sein. Beispiele einer solchen Verwendung von "... ist ..." finden sich im Sophistes an mehreren Stellen, z.B. 258c1-3
"das Große ist groß"
"das Schöne ist schön"
"das Nichtseiende ist nicht seiend".
  "x is y" 형식의 명제에서 "... is ..." 는, "x" 를 통해 지시되는 것, 달리 말해 무언가가 그에 대해 진술되는 것이 Y-ness, 다시 말해 x 에 대해 진술되는 것과 다르지 않을 경우 일차 용법으로 사용된다.
  이로써 "x" 이 형상이나 개념 x 를 나타내지 않는 모든 문장들은 "y" 가 언제나 형상과 관련하기에 제외된다.
  그러면 "x"가 가리키는 형상은 어떤 조건에서 "y" 에 해당하는 형상과 다른가?
  255d11-c1 로부터 시사되는 바, x 와 Y-ness 는 (이 경우 the Being 과 Sameness), "x" 가 "y" 로 대체되지 않을 경우, 다른 것이다. (Parm. 142c1-2; Parm. 139d2-8)
  이에 대해 떠오르는 자연스러운 생각은 그 형상이 술어를 통해 진술되는 바로 그것이라는 것이다. "x" 와 "y" 는 그에 따라 그 두 표현이 동의어일 경우 같은 형상에 해당될 것이다.
  그로부터 시사되는 바, 정의가 "... is ..." 일차 용법의 표준사례이다. 정의 외에 분류까지 이 범주에 속하는지 여부는 플라톤에게 있어서 유와 종이 다른지 그렇지 않은지 여부에 달려있다. 유가 종과 다르지 않을 경우, "인간은 두 발 달린 ... 생물이다." 만이 아니라 "인간은 동물이다" 까지 "... is ..." 일차 용법의 사례이다.
  "... is ..." 일차 용법의 극단적 사례는 "x is x" 형식의 문장에서 성립한다. 이런 특수한 문장의 기능에 대한 독해는 이후에 이루어질 것이다. 그런 "... is ..." 용법의 사례는 『소피스트』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 예를 들어 258c1-3 에서
"the Big is big"
"the Beautiful is beautiful"
"the Not Being is not being".

3. Die erste Verwendung von "... ist ..." und Selbstprädikation
3. "... is ..." 일차 용법과 자기술어
  Der Verdacht, daß es sich bei den angeführten Sätzen in 258c1-3 um die Art von Selbstprädikation handelt, die im Parmenides zu den Aporien des ersten Teils führt (Cherniss A J Ph., vol. 78, 1957, S. 258 n 123; Runciman, P L E, S. 102 und 101 n 2; Bluck, J H S, 1957, S. 186 n 17), beruht eben darauf, daß man nicht sieht, daß im Sophistes zwei Verwendungsweisen von "... ist x" unterschieden werden, je nachdem ob "... ist x" von der Form X oder einem einzelnen X ausgesagt wird, und daß diese Unterscheidung verwendet werden kann, um zwar die alten Formeln wie "ὁσιότης ist ὅσιον" beizubehalten, den Regress aber zu vermeiden.
  258c1-3 에서 인용된 문장들에서, 『파르메니데스』 첫 부분의 아포리아에 등장하는 자기술어 방식이 문제가 되는 것이란 의심은 (Cherniss A J Ph., vol. 78, 1957, S. 258 n 123; Runciman, P L E, S. 102 und 101 n 2; Bluck, J H S, 1957, S. 186 n 17) 『소피스트』 에서 "... is x" 의 두 가지 사용 방식이, 그에 따라 "... is x" 가 형상 X 또는 개별자 X 에 대해 진술되는 식으로 구분된다는 것을, 그리고 이러한 구분이 "ὁσιότης is ὅσιον" 같은 오래된 형식에 적용되면서 소급을 피하게끔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사람들이 모른다는 점에 근거한다.
  Denn der Regreß entsteht eben dadurch, daß die einem Prädikat "x" zugeordnete Form X als verschieden von allen Elementen der Klasse betrachtet wird, für die "... ist x" gilt.
  Solange aber "... ist x" im gleichen Sinn - wenn auch in ausgezeichneter Weise - von der Form X wie von den einzelnen X ausgesagt wird, - 32 - gehört die Form X zu den Elementen der Klasse, für die "... ist x" gilt. "... ist x" muß aber solange für die Form X im gleichen Sinn wie für die einzelnen X gelten, wie die Form als Muster angesehen wird, mit Hinsicht auf das wir Einzeldinge "X" nennen. Das Muster aber ist natürlich verschieden von dem, wofür es ein Muster ist.
  Da nun "x" in "... ist x" auf das verweist, mit Hinsicht worauf Dinge "X" genannt werden, ist "die Form X ist x" genauso wenig ein Fall von echter Selbstprädikation wie "die einzelnen X sind x"; wir müssen also eine weitere Form X einführen, mit Bezug auf die die erste Form X und die einzelnen X "X" genannt werden.
  그 소급은 형상 X 에 상응하는 술어 "x" 가 "... is x" 가 참이 되는 부류의 모든 원소들과 다른 것으로 간주된다는 바로 그 점을 통해 발생한다.
  하지만 "... is x" 가 개별자 X 에 대해서와 같이 형상 X 에 대해서도 같은 의미로 - 또한 주요한 방식으로 사용될 때 - 진술되는 반면, 형상 X 는 "... is x" 가 그에 대해 참인 그 부류의 원소들에 속한다. 그러나 형상이, 우리가 그와 관련한 측면에서 개별자들을 "X" 라고 이름하는, 그 본으로 간주되듯, "... is x" 는 개별자 X 에 대해서와 같은 의미로 형상 X 에 대해서 적용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본은 그것을 본으로 삼는 것과 당연히 다르다.
  이제 "... is x" 에서 "x" 는 사물들이 그와 관련한 측면에서 "X" 라고 불리는 것을 지시하기에, "형상 X 는 x 이다" 라는 것은 "개별자 X 는 x 이다" 같이 더욱 실질적인 자기술어의 더 적은 경우이다; 우리는 그러므로 일차 형상 X 와 개별자 X 가 그와 관련하여 "X" 라 불리는 광의의 형상 X 를 도입해야만 한다.
  Unterstellt man nun, daß Platon unter anderem auf Grund der im Parmenides vorgetragenen Schwierigkeiten die Theorie der paradigmatischen Formen aufgegeben hat, dann liegt nahe, an diese Unterscheidung von zwei Verwendungen von "... ist ..." zu denken, um den Regreß zu vermeiden. Man beschränkt einfach die Klasse der Elemente, über der eine Form konstruiert wird, dadurch, daß man fordert, von ihnen solle "... ist x" nur in der zweiten Verwendung von "... ist x" gelten. Und das ist genau dann keine ad hoc Beschränkung mehr, wenn man aufhört, die Form X als ein Standard-X unter anderen X zu betrachten. Das Prädikat "x" bezieht sich nun auf den gleichen Gegenstand, auf den sich auch das Subjekt in "die Form X ist x" bezieht.
  Das ist genau der gleiche Schachzug, mit dem Aristoteles überhaupt abgelöste Formen zu vermeiden sucht; "Sokrates ist ein Mensch" ist für Aristoteles ein Fall von Selbstprädikation, "Mensch" bezieht sich auf die gleiche οὐσία wie "Sokrates" (vgl. z.B. An.Post. 73b5-8, 83b24-25).
  이제 플라톤이 『파르메니데스』 에서 제기된 난점들에 근거하여 여타의 것들 중 본이 되는 형상들이라는 이론을 폐기하였다고 가정하면, "... is ..." 의 두 용법에 대한 이런 구분을 생각하는 이유는 그 소급을 피하기 위함이다. 형상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부류를 제한하는 것은 그 요소들에 대해 "... is x" 를 오직 "... is x" 의 이차 용법으로만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일을 통해서이다. 그리고 그것은 오로지 형상 X 를 여타 X 들 중에서 표준-X 로 고려하는 한에서라면 그 경우에만 더 이상 전혀 자의적 제한이 아니다.
  그것은 아리스토텔레스가 분리된 형상들 일반을 피하고자 사요안 수법과 똑같은 것이다; "소크라테스는 인간이다" 라는 것은 아리스토텔레스가 보기에 자기술어의 한 사례이고, "인간" 은 "소크라테스" 와 똑같은 οὐσία 에 관련한다(vgl. z.B. An.Post. 73b5-8, 83b24-25).
  Die Akademie freilich hat einen anderen Weg eingeschlagen. Sie behielt paradigmatische Formen zumindest von natürlichen Substanzen bei, versuchte aber dem Argument vom "Dritten Menschen" durch die Forderung zu entgehen, daß einer Klasse, in der Elemente Priorität vor anderen Elementen haben, keine Form zugeordnet werden dürfe.
  Nun gibt es die Form des Menschen unabhängig von dem einzelnen Menschen, nicht aber die einzelnen Menschen unabhängig von der Form des Menschen.
  Qua Mensch aber unterscheidet sich die Form des Menschen nicht von den einzelnen Menschen, die genau wie die Form die Definition des Menschen erfüllen. Damit bildet die Form des Menschen eine Klasse mit dem einzelnen Menschen, hat aber Priorität vor dem einzelnen Menschen.
  Nach der Regel kann also der Klasse kein dritter Mann zugeordnet werden.
  아카데미 학파는 확실히 다른 길을 걸었다. 그들은 적어도 자연적 실체들에 대해서는 표준 형상들을 견지하였으나, "제 3 인간" 논변은 요소들이 다른 요소들보다 우선성을 지니는 그런 부류는 어떤 형상으로도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을 통해 피하고자 시도했다. 
  이제 인간의 형상은 개별 인간에 의존하지 않고 존재하지만, 개별 인간은 인간 형상에 독립적이지 않다. 
  그러나 인간으로서 인간의 형상은 인간의 정의를 그 형상과 마찬가지로 만족시키는 개별 인간과 구분되지 않는다. 이로써 인간의 형상은 개별 인간으로 구성되지만, 개별 인간에 대해 우선성을 지닌다.
  그러므로 저 규칙에 따라 그 부류는 어떤 제 3 인간으로도 간주되지 않을 수 있다.
  Obgleich zwei verschiedene Verwendungen von "... ist ..." vorliegen, wenn man von der Form X und den einzelnen X sagt, daß sie x sind, so hat "... ist" doch in beiden Fällen dieselbe Bedeutung. Überdies - 33 - gibt es aber auch keinen Grund anzunehmen, daß "... ist x", je nachdem, ob es von der Form oder von den einzelnen X ausgesagt wird, verschiedene Bedeutung hat. Denn dem "x" ist in beiden Fällen die gleiche Form X zugeordnet. Nur wird sie eben in dem einen Fall von sich selbst ausgesagt (vgl. Aristoteles, περὶ ἰδεῶν fr. 3; Ross, S. 123, 9-11), im anderen Fall aber von etwas anderem. Insofern war es auch richtig, daß wir zu Anfang bei der zweiten Verwendung von "... ist ..." in "a ist b" die numerische Verschiedenheit von a und b betonten; denn insoweit a b ist, unterscheidet es sich von b überhaupt nicht; das heißt freilich nicht, daß die Form b lediglich ein weiteres b neben a ist.
  "... ist x" kann eben, ohne daß von verschiedenen Bedeutungen die Rede wäre, auf zwei Weisen verwendet werden:
1. um das Wesen der Form anzugeben,
2. um die Eigenschaft eines einzelnen X anzugeben (vgl. Ar. Top. 154a18, Met. 1059a10-14).
 그렇지만 "... is ..." 의 상이한 두 가지 용법은 형상 X 와 개별자 X 에 대해서 진술할 때 성립하지만, "... ist" 는 여전히 두 경우 모두에서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더욱이 형상 X 에 대해 진술되느냐 개별자 X 에 대해 진술되느냐에 따라서 "... is x" 가 상이한 의미를 지닌다고 가정할 아무런 근거도 없다. 두 경우 모두에서 동일한 형상 X가 "x" 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단지 한 경우에서 그 자체에 대해 진술되고 (Aristoteles, περὶ ἰδεῶν fr. 3; Ross, S. 123, 9-11), 다른 경우에는 또 다른 무언가에 대해 진술될 따름이다. 우리가 처음에 "a is b" 의 "... is ..." 에 대한 두 번째 용법으로 a 와 b 사이의 수적 차이를 강조한 것이 정당했던 한에서; a is b 인 한에서, 그것은 b 와 일반적으로 다르지 않기 때문에; 확실히 형상 b 는 a 에 비해 더 광의의 b 인 것이라 이야기된다. 
  "... is x" 가 다른 의미들에 대한 논의 없이 두 가지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1. 형상의 본질을 서술하기 위해,
2. 한 개별자 X 의 속성을 서술하기 위해 (Ar. Top. 154a18, Met. 1059a10-14).

4. Die zweite Verwendung von "... ist ..."
4. "... is ..." 두 번째 용법
  Nehmen wir zunächst wieder die Fälle von "a ist b", in denen "a" für eine Form steht.
  In allen Fällen, wo "b" nicht das zum Ausdruck bringt, was notwendig zu a dazugehört, wird "... ist ..." in seiner zweiten Verwendung gebraucht.
  Das sind zunächst die Fälle, in denen ein Prädikat einer Form X nicht auf Grund der Tatsache zukommt, daß sie x ist, sondern auf Grund der Tatsache, daß sie Form ist.
  So ein Fall ist, um ein aristotelisches Beispiel zu benutzen: "der Mensch ist in Ruhe"; in Ruhe zu sein, ist aber kein Merkmal des Menschen, sondern kommt der Form Mensch nur qua Form, aber nicht qua Mensch zu (Top. 137b6ff., Top.148a14ff.).
  우선 다시 "a" 가 형상을 표시하는 "a is b" 의 사례들을 가정해 보자.
  "b" 가 a 에 필연적으로 속하는 것을 표현하지 않는 모든 경우에 "... is ..." 는 그 두 번째 용법으로 사용된다.
  그것은 형상 X 의 술어가 x 인 사태에 근거하는 게 아니라 그 술어가 형상인 사태에 근거하는 경우이다.
  그래서 아리스토텔레스식 예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런 경우이다: "the Man is in rest"; to be in rest 는 인간의 어떤 특성도 아니고, 형상 인간은 인간으로서가 아니라 형상으로서 나타난다 (Top. 137b6ff., Top.148a14ff.).
  Bei "Bewegung ist verschieden von Ruhe" scheint der gleiche Fall vorzuliegen; denn nichts ist verschieden auf Grund seiner eigenen Natur (Soph. 255e4-6); Verschiedenheit ist also eine Beziehung zwischen Formen qua Formen. Im Gegensatz zum ersten Fall kommt sie aber Formen nicht einfach qua Formen, sondern nur qua Formen von etwas zu. Das gleiche gilt für Identität, Kontrarietät, Verträglichkeit.
  "운동은 정지와 다르다" 는 그와 같은 경우로 보인다; 왜냐하면 그것들의 본성에 근거하여서는 아무것도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Soph. 255e4-6); 그러므로 다름은 형상들 사이의 형상들로서의 관계이다. 그러나 첫 경우와 반대로 그 형상들은 단지 형상들로서가 아니라, 바로 무언가에 대한 형상들로서 형상들이 된다. 동일, 모순, 양립가능성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Etwas schwieriger ist die Frage, wie Prädikate zu klassifizieren sind, die aus der Definition von a für b ableitbar sind und insofern a qua a zukommen, von denen man aber dennoch unter Umständen nicht sagen würde, daß sie zum Begriff von a gehören. So folgt aus der Gleichseitigkeit eines Dreiecks seine Gleichwinkligkeit.
  Beim Genus schließlich, das der Form X qua x zukommt, liegt es mit Hinsicht auf Parm. 146b3-5 nahe, es als nicht strikt verschieden von - 34 - der Form zu betrachten. In diesem Fall läge also bereits eindeutig wieder die erste Verwendung von "... ist ..." vor.
  더 어려운 물음은 술어들을 어떻게 분류할 것인가이다. 그 술어들이 a 에 대한 정의로부터 b 에 대해 서술가능하고 a 가 a 로서 등장하는 한에서, 허나 그 술어들에 대해 그럼에도 특정 조건에서  a 의 개념에 속한다고 말하지 않을 그런 술어들을 말이다. 삼각형의 등변으로부터 그것의 등각이 그렇게 도출된다.
  끝으로 x 로서의 형상 X 에 속하는 유를 통해 Parm. 146b3-5 와 관련된 측면에서 시사되는 바, 그 유는 형상과 엄격하게 다르지는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경우 따라서 이미 "... is ..." 의 일차 용법이 놓여 있을 것이다.  
  Auf eine solche Unterscheidung von Prädikaten, die einer Form X qua Form und solchen, die ihr qua x zukommen, macht Platon vielleicht 256b6-7 aufmerksam. Wenn man die sehr entschiedenen Bemerkungen in 252d9-10 und 254d7-8 vergleicht, ist jedenfalls die vorsichtige Formulierung in 256b6-7 merkwürdig: "οὐκοῦν κἂν εἴ πῃ μετελάμβανεν αὐτὴ κίνησις στάσεως, οὐδὲν ἂν ἄτοπον ἦν στάσιμον αὐτὴν προσαγορεύειν;" Bewegung ist qua Bewegung sicher nicht in Ruhe, qua Form aber ("πῃ") hat sie - wie alle Formen - an der Ruhe Anteil; und es fällt schwer zu glauben, daß Platon, der immer auf die Unveränderlichkeit der Formen hinweist und der 249b8-c5 auf Grund eben dieser Unveränderlichkeit gezeigt hat, daß es Ruhe gibt, im Fall von Bewegung vergessen haben sollte, daß auch Bewegung, qua Form, in Ruhe sein muß. Wenn erst einmal klargestellt ist, daß Bewegung nicht in Ruhe ist, dann bereitet die Annahme, daß Bewegung in Ruhe ist, gar keine Schwierigkeiten; und man sieht nicht, warum Platon eine solche Annahme vermeiden sollte. Daß aber diese Unterscheidung von Prädikaten von Formen X qua Form und qua x in der Akademie gebräuchlich gewesen ist, zeigt die gleiche Unterscheidung von Prädikaten in der aristotelischen Topik 137b7ff.
  형상으로서의 형상 X 에 속하는 그리고 x 로서의 형상 X 에 속하는 술어들에 대한 그러한 구분을 고려하여 플라톤은 아마도 256b6-7 을 구성하였을 것이다. 252d9-10 과 254d7-8 에서의 매우 명시적인 언급들을 비교할 경우, 256b6-7 의 신중한 정식화는 어찌됐든 흥미로운 것이다: "οὐκοῦν κἂν εἴ πῃ μετελάμβανεν αὐτὴ κίνησις στάσεως, οὐδὲν ἂν ἄτοπον ἦν στάσιμον αὐτὴν προσαγορεύειν;(그렇다면 만일 어떤 식으로<어떤 측면에서> 운동 자체가 정지에 참여하였더라면, 그것을 정지한 것이라 부르는 것이 전혀 이상하지 않았을 게 아닌가?)" 운동으로서의 운동은 확실히 정지 중에 있지 않지만, 형상으로서 ("πῃ") - 모든 형상들처럼 - 정지에 참여한다; 그리고 항상 형상들의 불변성을 시사하고 바로 이러한 불변성에 근거하여 249b8-c5  정지가 있다는 사실을 제시한 플라톤이 운동의 경우에서 운동 역시 형상으로서 정지해 있어야만 한다는 점을 잊었으리라는 것을 믿기는 어렵다. 일단 한 번 운동이 정지 중에 있지 않다는 것이 명확해지면, 운동이 정지 중에 있다는 가정은 아무런 문제도 전혀 일으키지 않는다; 그리고 플라톤이 왜 그런 가정을 피해야 할지 알 수 없다. 하지만 형상으로서의 형상 X 의 그리고 x 로서의 형상 X 의 술어들에 대한 이런 구분은 아카데미학파에서 통용되었다는 것은 아리스토텔레스의 『토피카』 137b7 이하 술어들에 대한 유사한 구분이 보여준다.
  Die Anwendung dieser Unterscheidung von zwei Verwendungen von "... ist ..." auf Sätze über Einzeldinge ist wesentlich einfacher. Was immer von Einzeldingen ausgesagt wird, ist verschieden von dem, wovon es ausgesagt wird. Die Einzeldinge sind das, was sie sind, in bezug auf die Formen (deswegen auch "τὰ πρὸς τὰ εἴδη" als Ausdruck für Einzeldinge: Alex. in Met. 56, 1-2; 58, 12-13; 97, 10-12; 123, 10-11; zit. bei Cherniss A C P A, S. 283 n 191; vgl. auch Asclep. in Met. 81, 33; Albinus IX, S. 163; [Hermann]).
  "... is ..." 의 두 용법에 대한 이러한 구분을 개별자들에 대한 문장들에 적용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더 쉽다. 개별자들에 대해 언제나 진술되는 바의 것은 그것이 그에 대해 진술되는 그것과 다르다. 개별자들은 형상들과 관련하여 그것들인 바의 것이다(따라서 개별자들에 대한 표현으로서 "τὰ πρὸς τὰ εἴδη" : Alex. in Met. 56, 1-2; 58, 12-13; 97, 10-12; 123, 10-11; zit. bei Cherniss A C P A, S. 283 n 191; vgl. auch Asclep. in Met. 81, 33; Albinus IX, S. 163; [Hermann]).
  Das heißt natürlich nicht, daß nicht bestimmte Formen y gegenüber anderen Formen in bezug auf bestimmte Individuen x in der Weise ausgezeichnet wären, daß x notwendig y ist. In Sätzen über Individuen läßt sich also die aristotelische Unterscheidung von "... ist καθ᾿ αὑτό y" und "... ist ἕτερόν τι ὄν y" innerhalb der zweiten Verwendung von "... ist ..." ziehen.
  불특정 형상들 y 가 다른 형상들에 반대로 특정 개별자들 x 와 관련하여 x is necessarily y 인 방식으로 구별되리란 말은 자연스럽지 않다. 개별자들에 대한 문장들에서 "... is ..." 의 두 번째 용법 내에서 "... is καθ᾿ αὑτό y" 와 "... is ἕτερόν τι ὄν y" 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식 구분이 성립한다.
  Diese Unterscheidung innerhalb der Verwendung von "... ist2 ..." scheint aber bei Platon nirgends dahingehend ausgebaut zu sein, daß - 35 - man mit ihrer Hilfe zwischen einfacher Veränderung und Werden und Vergehen, zwischen Gegenständen und Eigenschaften hätte unterscheiden können.
  Ansätze zu einer solchen Unterscheidung von zwei Verwendungen von "... ist2 ..." finden sich zum Beispiel im Phaedo 102b-c; an dieser Stelle wird eine Unterscheidung impliziert zwischen den Kriterien, die einen zur Verwendung eines Eigennamens, "Sokrates" oder "Simmias", berechtigen, und den Eigenschaften, die der Träger des Eigennamens darüber hinaus noch hat, und das in einem Zusammenhang, in dem von Veränderung und Vergehen die Rede ist (vgl. auch Phdo. 103d2ff.).
  Aus der Tatsache, daß es sich bei "a ist b", wenn "a" ein Einzelding bezeichnet, um die zweite Verwendung von "... ist ..." handelt, ergibt sich eine neue Interpretation der Seinsabhängigkeit von Einzeldingen gegenüber Formen.
  Einzeldinge sind zwar nun ohne Einschränkung wirklich seiend, sie sind auch wirklich x und nicht nur in irgendeiner Weise so ähnlich wie die Form X, aber es gäbe keine Einzeldinge, wenn es keine Formen gäbe, weil es keine bestimmten Einzeldinge gäbe, wenn wir nicht jeweils die entsprechenden Formen hätten. Die Formen sind dagegen unabhängig von den entsprechenden Einzeldingen.
  "... is2 ..." 용법 내에서 이런 구분은 그러나 플라톤에게서는 어디에서도 그 구분의 도움으로 변화와 생성과 소멸 사이를, 대상들과 속성들 사이를 구분할 수 있었을 쪽으로 결론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 is2 ..." 의 두 가지 용법에 대한 그런 구분을 향한 초기형태들은 그 예시가 『파이돈』 102b-c 에서 발견된다; 이 부분에서 "소크라테스" 나 "심미아스" 같은 고유명사의 사용을 정당화하는 기준들과 고유명사의 담지자가 그 이상으로 추가해 가지는 속성들 사이의 구분이 암시되고, 변화와 소멸에 대해 그 안에서 논해지는 관계 내의 고유명사가 암시된다. (Phdo. 103d2ff.)
  "a is b" 에서 "a" 가 개별자를 지시할 떄 "... is ..." 의 두 번째 용법이 문제가 된다는 사실로부터, 형상들에 대한 개별자들의 존재의존성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시사된다.
  현실적으로 x 이고 단지 어떤 식으로든지 형상 X 와 유사한 것이 아니라 우리가 매번 부합하는 형상들을 취하지 못한다면 아무런 규정된 개별자들도 없을 것이기 때문에 아무런 형상도 없을 경우 아무런 개별자도 없을 것인 그런 개별자들은 물론 제한 없이 현실적으로 being 이다. 반대로 형상들은 부합하는 개별자들에 의존적이지 않다.

5. Eine Unterscheidung von Formen und Einzeldingen mit Hilfe der beiden Verwendungen von "... ist ..."
5. "... is ..." 두 용법을 통한 형상들과 개별자들 사이의 구분
  Wir erhalten keine vollständige Disjunktion von ὄντα-Formen einerseits und Einzeldingen andererseits -, wenn wir zwei Klassen von Gegenständen bilden, von denen die Elemente der ersten Klasse in bezug auf sie selbst, die Elemente der zweiten Klasse in bezug auf etwas anderes seiend genannt werden. Denn da "... ist ..." in beiden Verwendungen von Formen ausgesagt werden kann, bildeten die Elemente der ersten Klasse nur eine Untermenge der Elemente der zweiten Klasse. Die zweite Klasse umfaßte nämlich sowohl die Menge der Formen als auch die der Einzeldinge, die erste Klasse aber nur die Menge der Formen.
  우리는 한편으로 ὄντα-형상들과 다른 한편으로 개별자들에 대한 아무런 완전한 선언지도 확보하지 못하는데, 우리가 대상들에 대해 두 부류를, 그것들에 대해 첫 번째 부류의 원소들이 그 자체와 관련하여, 두 번째 부류의 원소들이 다른 무언가와 관련하여 being 이라 불리는 두 부류를 구성할 경우 그러하다. 왜냐하면 "... is ..." 는 두 가지 방식으로 형상들에 대해 진술될 수 있기에, 첫 번째 부류의 원소들이 두 번째 부류의 원소들의 하위부류만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두 번째 부류는 말하자면 형상들의 집단뿐만 아니라 개별자들의 집단 또한 포함하지만, 첫 번째 부류는 단지 형상들의 집단만을 포함한다.
  Eine solche vollständige Einteilung von Gegenständen in Formen einerseits und Einzeldinge andererseits läßt sich jedoch leicht erreichen, wenn man die Zugehörigkeit zur zweiten Klasse auf Dinge beschränkt, die immer nur in bezug auf anderes seiend genannt werden. Damit scheiden Formen als Elemente der zweiten Klasse aus, und Einzeldinge bleiben übrig. Für die Elemente der ersten Klasse wird dann gefordert, daß sie in bezug auf sich selbst seiend genannt werden, so daß alle Formen und nur Formen erfaßt werden, womit - 36 - aber nicht ausgeschlossen ist, daß Formen auch in bezug auf etwas anderes seiend genannt werden können.
  그렇지만 한편으로는 형상들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개별자들 사이에서 대상들에 대한 그런 완전한 분류는 두 번째 부류에의 소속이 언제나 다른 것과 관련하여서만 being 이라 불리는 사물들에 제한된다면 쉽사리 성취된다. 그로써 형상들은 두 번째 부류의 원소들로 할당되고, 개별자들은 여집합으로 남는다. 첫 번째 부류의 원소들에 대해서 그리하여 그것들이 그 자체에 관련하여 being 이라 불린다고, 그래서 모든 형상들만이 포함된다고, 하지만 그로써 형상들이 다른 무언가에 관련하여 being 이라 불릴 수 있다는 것이 배제되진 않는다고 주장된다.
  Es ist offensichtlich genau diese vollständige Einteilung, die Platon 255c12-13 im Auge hat.
  Das könnte einen dazu verleiten, das "ἀεὶ" in 255c13 anders zu verstehen, als es gewöhnlich geschieht. Meist wird nämlich dieses "ἀεὶ" auf "τὰ δὲ πρὸς ἄλλα" (so u.a. von Schleiermacher, Taylor, Diès) bezogen und so interpretiert, daß es dem "ἀεὶ" in 255d1 entspricht. Von diesem "ἀεὶ" in 255d1 haben wir aber gesehen, daß es im Gegensatz zu "τὰ μὲν ... τὰ δὲ" in 255c12-13 steht und so seine Erklärung findet.
  그것은 플라톤이 255c12-13 에서 염두에 둔 이러한 완전한 분할도 분명히 마찬가지이다.
  255c13 의 "ἀεὶ" 를 일상적으로 나타나는 것과 다른 식으로 이해하고 싶은 마음이 생길 수 있다. 말하자면 대부분의 경우 (Schleiermacher, Taylor, Diès 를 포함하여) "ἀεὶ" 는 "τὰ δὲ πρὸς ἄλλα" 과 관련되고 그것이 255d1 의 "ἀεὶ" 와 같다고 해석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255d1 의 "ἀεὶ" 에 대해 우리는 "τὰ μὲν ... τὰ δὲ" 와 반대이고 그렇게 그것에 대한 설명을 찾았음을 안다.
  Cornford freilich bezieht das "ἀεὶ" anders. Er übersetzt:
"... some are always spoken of as being what they are just in themselves, others as being what they are with reference to other things."
  Offensichtlich bezieht er das "ἀεὶ" auf beide Glieder, "τὰ μὲν ..." und "τὰ δὲ ...". Das aber ist auch sachlich nicht richtig. Denn das Seiende ist sowohl ein καθ᾿ αὑτὸ als auch ein πρὸς ἄλλο λεγόμενον, fände also keinen Platz in dieser Disjunktion. Und faßt man "some ...... others ..." nicht als vollständige Disjunktion auf, wie die Formulierung nahelegt, dann verstößt man gegen den Sprachgebrauch von "τὰ μὲν ... τὰ δὲ". Cornfords Übersetzung liegt die falsche Interpretation der Stelle zugrunde, die wir bereits S. 25ff. diskutiert haben.
  그렇지만 콘포드는 그 "ἀεὶ" 를 다른 식으로 이끌어낸다. 그는 이렇게 번역한다:
"... 일부는 언제나 바로 그 자체로 그것들인 바의 being으로 이야기되고, 다른 것들은 여타의 것들과 관련하여 그것들인 바의 being으로 이야기된다."
  명백히 그는 "τὰ μὲν ..." 과 "τὰ δὲ ..." 두 분지에 그 "ἀεὶ" 를 적용시킨다. 하지만 그것은 사실상 정당하지 못하다. 왜냐하면 the Being 은 καθ᾿ αὑτὸ 뿐만 아니라 πρὸς ἄλλο λεγόμενον 이기도 하며, 그러므로 이러한 선언지의 자리는 전혀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일부는 ...... 다른 것들은 ......" 을 그 정식화가 제안하는 것처럼 완전한 선언지로 이해하지 않고, 그리하여 "τὰ μὲν ... τὰ δὲ" 의 언어 사용과 반대가 된다. 콘포드는 해당 장에 대한 우리가 25쪽 이하에서 이미 논의한 잘못된 해석을 번역의 근거로 둔다.
  Auf Grund unserer Interpretation könnte man dagegen meinen, daß sich "ἀεὶ" zwar auf "τὰ δὲ πρὸς ἄλλα" bezieht, aber die Funktion hat, eben die vollständige Disjunktion von Gegenständen im oben beschriebenen Sinn zu erreichen, die ohne das "ἀεὶ" - wie aus dem Beispiel mit den Gegensätzen deutlich wird - nicht gegeben wäre.
  Diese Interpretation wäre inhaltlich also die bei weitem befriedigendste; sie hat aber leider - wie die gewöhnliche Interpretation - den Nachteil, daß sie eine sehr unbeholfene Stellung von "ἀεὶ" voraussetzt, die man Platon wird kaum zumuten wollen.
  우리의 해석을 근거로 이에 반대하여 "ἀεὶ" 자체가 "τὰ δὲ πρὸς ἄλλα" 에 관련되지만, 위에서 서술된 의미로 대상들에 대한 완전한 선언지를 성취하는, "ἀεὶ" 없이는 성립하지 않을 - 반대들을 예시로 하여 명백해졌듯 - 기능을 지닌다고 주장할 수 있다.
  이러한 해석은 그러므로 내용적으로 더할 나위 없이 만족스럽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  통상의 해석처럼 - , 플라톤에게 기대하긴 어려울 "ἀεὶ" 에 대한 매우 어설픈 태도를 상정한다는 결점을 지닌다.
  Man erwartete nämlich bei dieser Interpretation nicht "τὰ δὲ πρὸς ἄλλα ἀεὶ λέγεσθαι", sondern etwa "... τὰ δὲ ἀεὶ πρὸς ἄλλα λέγεσθαι". So wird man sich wohl aus sprachlichen Gründen doch dazu entschließen, "ἀεὶ" hier so zu konstruieren, wie es bei Platon häufig im Zusammenhang mit "λέγεσθαι" (vgl. Phil. 16c: "φήμην ... ὡς ἐξ ἑνὸς μὲν καὶ πολλῶν ὄντων τῶν ἀεὶ λεγομένων εἶναι" ; Phil. 15c; Euthyd. 272b), aber auch in anderen Zusammenhängen gebraucht wird (vgl. Phil. 15e; Charm. 164e; Gorg. 464d).
  다시 말해 이러한 해석에 기대되는 바는 "τὰ δὲ πρὸς ἄλλα ἀεὶ λέγεσθαι" 가 아니라, "... τὰ δὲ ἀεὶ πρὸς ἄλλα λέγεσθαι" 같은 어떤 것이다. 그래서 아마도 언어적 근거들을 통해 여기에서 "ἀεὶ" 가, 플라톤에 의해 "λέγεσθαι" 와 결부되지만(vgl. Phil. 16c: "φήμην ... ὡς ἐξ ἑνὸς μὲν καὶ πολλῶν ὄντων τῶν ἀεὶ λεγομένων εἶναι" ; Phil. 15c; Euthyd. 272b), 또한 또 다른 관계에서도 사용되는 것처럼(vgl. Phil. 15e; Charm. 164e; Gorg. 464d) 구성하는 것이라고 결정할 것이다.
  Dann würde der relevante Teil des Satzes wie folgt wiedergegeben werden können:
"was seiend genannt wird, wird entweder mit Bezug auf sich selbst oder mit Bezug auf anderes so genannt".
- 37 - Damit hätten wir eine hinreichend genaue Interpretation von 255c12-13 und zugleich eine gewisse Vorstellung von den beiden Verwendungen von "... ist ...", die sich im folgenden verschärfen wird, wenn wir den Zusammenhang zwischen diesen beiden Verwendungen von "... ist ..." und dem identifizierenden und dem existentiellen "... ist" untersuchen.
  따라서 그 문장에 관련된 부분은 아래와 같이 재진술될 수 있을 것이다:
"being 이라 불리는 것은 그 자체와 관련하여서나 혹은 여타의 것과 관련하여 그렇게 불린다".
그로써 우리는 255c12-13 에 대한 충분히 정확한 해석과 동시에 "... is ..." 의 두 용법에 대한 특정한 표상, 우리가 "... is ..." 의 이러한 용법쌍과  동일성 "... is" 와 존재사 "... is" 사이의 관계를 검토한다면, 이하에서 엄격해질 그러한 표상 또한 얻을 것이다.

-蟲-


1. 여전히 나란 새끼는 흥미본위일 뿐인지도. 정보와 논리로 날 찍어 누르는 사람들이 좋다. 그 틈바구니를 비집고 나오려고 발버둥치는 게 좋다. 좀 더 바라자면, 가야하고 못 가고 있는 새로운 길을 보여주기까지 한다면야 더할 나위 없다. 플라톤이 좋은 건 내가 좋음의 이데아를 믿어서가 아니라, 그것에 못 미치는 모든 것들을 그 핑계로 보류해 놓을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문제들에서 윤리와 도덕에 신뢰를 바치는 짓은 못 해먹겠단 거다. 건별로 상황마다 사력을 다할 수 있다면 더욱 좋겠지만, 그렇진 못하더라도 섣부른 신념의 노예 같은 건 성격상 영 내키질 않아서, 다만 더 옳은 길을 끊임없이 바랄 따름이다. 경건을 논하던 소크라테스는 "댁 마음대로 하쇼, 당신 좋을대로 답해 주겠소." 라고 비아냥거리는 에우튀프론에게 이리 말했다. "진실이 아니라면 내겐 전혀 즐거울 게 없소." "소크라테스보다 현명한 자는 아무도 없다." 라는 신탁을 두고 아폴론이 틀린 거 아니냐며 자신의 어리석음을 증명하겠노라고 당대의 식자들을 찾아 다녔던 소크라테스를 생각하면, 사실은 좀 부러운 마음도 없잖다. 그는 아마 궁금해 미치겠는 것이었을지도 모르겠다. 알고 싶어 죽겠고, 조금씩이나마 뭔가 알아가는 듯한 그 간질간질한 것이 좋아 죽겠는 것이었을지도 모르겠다. 뭐 시덥잖은 것들이 못 버티고 나가 떨어져 결국 재미없게 죽었지만, 영혼을 위한 최고의 치유라 그가 믿었던 철학을 하다가 그 덕에 한 세상 신나게 꼴리는대로 살다 가는 마당에 '덕분에 즐거웠수다.' 하며 닭 한 마리까지 되갚아 바쳤으니 그야말로 아쉬울 것 없는 인생 아니었겠나. 뭐 그거야 소크라테스님씩이나 되셨으니 그리 사셨던 게고, 나는 어쩌나, 시정잡배개쓰레기로 굴러먹다 뒈지게 생겼는데. 죽기 직전에 폰 쓸 힘이 남아 있다면 국경없는의사회에 반반무많이라도 배달시키고 뒈져야 하겠다. 아, 됐고, 학위 좀. 

2. 나는 상식 선을 확보하고 그 앞으로 더 나아가 논증이 오가는 상황 속 그런 페미니즘을 보고 싶은데, 아무리 생각해도 이 제3세계 반도 후미진 구석탱이에 사내새끼로 태어나면서부터 이미 그 논의의 상대라는 자격 자체를 상실해 버린 것만 같다. 뭘 묻고 따지기에 앞서 그냥 하수구 시궁진창에서 쓰레기 줍기부터 시작해야 할 터인데, 여태까지도 이미 알면서 비겁했고 앞으로도 이 안락하고 쩐내 가득한 '자지의 왕국'에서 무슨 엄청난 내란을 일으킬 일도 없을 것이다. 예전에는 지금 대학원 연구실 같은 공동연구실 구석 한 켠에 골골대며 논문이나 읽고 번역이나 하고 첨삭 몇 줄 끄적거리는 매일을 보내다 볕 좋은 날 조용히 뒈지는 정도는 꿈꿔도 괜찮지 않을까 했는데, 그건 어쨌든 너무도 평온하고 안락한 삶의 결말이 되어 버렸다. 내가 배운 학문이 부정의를 묵인하거나 편드는 일을 긍정하지 않는 한에야, 지금도 어디서 죽어 나가고 있는, 살아남으면 또 살아남았다고 손가락질을 받고 내쫓기고 인두로 이마가 지져지는, 그런 사람들을 두고 저런 결말이 내게 거리낌 없이 흡족할 수야 있겠나. 그러나, 여전히, 내가 선 곳이 어디고 디딜 곳은 어느 쪽인지 모르겠다. 아, 저 사람들이 내게 욕을 하고 비난을 하고 책임을 묻는다면 처벌을 받는 쪽으로라도 갈피가 잡힐 것이나, 아마 밖에서 보기엔 나 역시 언제 염산을 뿌리고 칼을 휘두를지 모를 의심스럽고 역겨운 무명의 시헤한남십치에 불과할 테니, 모르겠는 것이다. 글쎄, 내가 페미니스트이길 작정한다면 달라질까? 난 그런 확신과 용기가 무척이나 의심스러워서 도무지 그걸 뒤집어 쓰고 다닐 자신이 없다. 제도의 개선에 목소리와 머릿수와 표가 필요하다면 가져다 바칠 수 있고(특히 이번 기회에 진보연하는 가부장십치들의 팬티 내리기는 아주 잘 구경하였다. 다들 안녕. 니들한테 줄 표는 없다.), 자리마다 맞거나 죽을 위험이 덜한 내가 자지들에게 자지대 자지로 그러지들 좀 맙시다, 뭐 그정도 겐세이는 놓을 수 있고, 한때 푹 절어 살던 개저씨 쓰레기 농담도 많이 내려 놓았으니 조금씩 나아질지도 모르겠고. 어느 사이에 자연과학도 사회과학도 그 안의 천 갈래 만 갈래 지금의 진짜 현실을 논하는 온갖 눈들과 그림들도 모두 함부로 넘볼 수 없는 게 되어 버렸다. 껴서 주워듣고 싶고 이걸 알아라 저걸 배워라 그런 얘기들 들으며 버러지 취급을 받고 싶다. 먹물 찌질이는 이럴 때 개론서를 읽어야 하는 건가 하며 쿰척거리는 것이다. 근데, 여성 성노동자, 명예남성, '현모양처' 는 지금 논란 속에서 어떤 식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것인지 감을 못 잡겠다. 나는 그들이, 만약 어떤 연대란 것이 지금 필요하다면, 그 연대에 포섭되어야 한다고 보는데 막상 '당사자'들의 상황에서는 입장이 다양하겠고 그 결들을 내가 세심히 살피겠다 나댈 수 있는 입장은 못 되니. 그런데 생각할 수록 지금 내 태도는 아마도 여성혁명 같은 것이 일어나면 결국 단두대행을 피할 수 없겠지 싶다. 그저 날이 갈수록 이래저래 수치와 죄책만 늘어간다. 감히 미안함을 품을 자격조차 없이 이런저런 전선에서 패주하다가, 그렇게 썩어 간다. 캬, 쓰레기네.

-蟲-

 인용한 글은 소아청소년정신과 전문의 서천석 씨의 페이스북 글 전문. 

"강남역 살인 사건. 범죄자에게 정신병이 있으니 여성 혐오 사건이 아니라고 말하는 주장에 대해서...

 정신병에도 맥락이 있다. 과거 권위주의 독재 시절에는 많은 조현병 환자들이 환청을 호소하면서 중앙정보부가 나를 미행하고 도청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했다. 그 무렵 어떤 환자가 TV 뉴스 생방송 중 뛰어들어 ‘내 귀에 도청장치가 있다’는 말을 외치기도 했다. 80년대 후반에는 사회적으로 미국에 대한 반감이 높아지면서 CIA가 환청의 소재로 등장하는 경우도 생겼고 2000년대 이후 삼성의 지배력이 커지면서는 삼성이 소재가 되는 경우도 있었다.

 학생운동을 한다고 정신질환에 걸리는 것은 아니고, 정신질환에 걸릴 사람이 학생운동을 하는 것도 아니지만 학생운동 경력이 있는 사람이 정신병이 생기면 그 증상에 정치적 내용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망상이란 자기의 사고 외부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자기 사고 내부에서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당연한 일이다.

 어떤 사람은 정신병(이 경우 정신병은 현실에 대한 검증력이 떨어져 현실과 비현실을 구별하지 못하는 질병 상태, 대표적으로는 급성기의 조현병, 조울정신병을 의미한다)을 가진 사람이 사회의 가장 민감한 부분을 드러낸다고 이야기한다. 사회적 문제의 리트머스 역할을 한다는 뜻이다. 정말 그런지는 의문이 들기도 하지만 분명한 것은 정신병의 증상은 사회적 맥락 속에 있다는 것이다.

 어제 끔찍한 사건이 있었다. 여성이 번화가의 화장실에서 한 남성에 의해 칼에 찔려 죽었다. 그리고 그 남자는 ‘여자들이 나를 무시해서 화가 났고’ 그래서 죽였다는 말을 했다. 그 남자는 오랜 조현병의 치료력을 갖고 있고 현재는 치료를 중단한 상태다. 그가 지금 정신병적 급성 상태에 있는지는 나로서는 정보가 없어서 모르겠다.

 그가 현실적인 판단력을 잃고 심각한 공격적인 행동을 했는지도 알 수 없다. 정신병을 가진 사람이 범죄를 저지르면 그 행위가 모두 정신병 때문인 것은 아니다. 정신병을 가진 사람의 범죄율이 정신병이 없는 사람에 비해 낮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그들은 다양한 이유로 범죄를 저지를 수 있고, 여기에 일부 정신병적 증상이 영향을 미쳤겠지만 그것으로 범죄를 다 설명할 수는 없다. 그런 정신병적 증상을 갖고도 범죄를 저지르지 않는 사람이 너무나 많기 때문이다. 그들은 정신병을 가진 한 사람이지, 정신병 그 자체가 아니다. 한 사람으로서 그들은 다양한 기질과 성격, 성장배경, 문화, 생활 조건이 다르며 범죄를 저지르는 이유도 다양하다.

 문제는 그가 ‘여성들이 나를 무시해서’ 범죄를 저질렀다고 말한 것이다. 이 말은 사회적 맥락을 갖고 있고 그것은 ‘여성혐오’다. 이것이 그의 망상이라고 하더라도 그 망상은 ‘여성혐오’라는 사회적 맥락을 반영한다. 만약 우리 사회가 남자와 여자가 동등하고, 여자가 남자를 무시하는 것이, 남자가 남자를 무시하는 것에 비해서 특별히 남자들에게 더 기분나쁜 상황이 아니라면 그는 그런 말을 하지 않았을 것이다.

 정신병을 갖고 있으며, 범죄를 저지른 그는 아마도 이유를 알 수 없는 소외감과 분노에 시달렸을 것이다. 그런 그가 자신의 소외감의 원인을 여성들의 자신에 대한 태도에서 찾고, 분노의 초점을 여성들에게 맞춘 것은 분명한 사회적 맥락 속에서 이뤄진 것이다. 우리 사회 내에서 최근 들어 뚜렷하게 늘어난 심리적 현상인 여성 혐오가 (만약 그에게 정신병적 망상이 있었다고 한다면) 그의 망상 속에 자리를 잡은 것이다. 여성 혐오 현상이 존재하지 않았다면 그는 그런 망상을 갖지 않았을 것이고 다른 망상을 가졌을 것이다. 다시 말하지만 정신병적 증상은 맥락이 있다.

 결국 그가 정신병을 갖고 있다는 사실이 이 사건을 여성 혐오 범죄가 아니라고 말할 근거일 수 없다. 오히려 정신병을 가진 사람이 범죄의 이유로 ‘여자들의 무시’ 운운하는 상황이 여성 혐오 이슈를 우리가 중요한 문제로 생각해야 하는 이유가 된다. 그래서 이 사건은 분명한 여성 혐오 범죄다. 그가 정신병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아닌 것이 아니라 그가 정신병을 갖고 있기 때문에 더욱 여성혐오 범죄인 것이다.

 한 가지 더. 또 상상해 보자. 만약 우리 사회가 여성이 남성과 거의 동등한 수준으로 안전이 보장되는 상황에서 누군가 이런 살인을 저지르고 여성들이 나를 무시해서라고 말했다면 어땠을까? 그때도 지금과 같은 사회적 파장이 일어났을까? 수많은 여성들이 두려움에 떨고 분노에 사로잡히게 되었을까? 분명 그렇지 않았을 것이다. 일부 그런 분들이 있더라도 그저 해프닝으로 넘어갔을 가능성이 높다.

 이 사건이 큰 이슈가 된 이유는 한 범죄자의 말 때문이 아니다. 그 범죄가 일어난 우리 사회의 위험한 현실 때문이다. 강력 사건의 희생자 비율이 남성에 비해 여성이 8배가 넘는 통계로 알 수 있듯 여성들이 안전하지 않기 때문이다. 뿌리 깊은 여성 차별에 더해서 최근 잘못된 여성 혐오 의식으로 위험성은 더 커지고 있다. 여성 혐오 의식의 확산으로 범죄의 가해자들이 스스로를 정당하다고 여기니 범죄의 잔인성은 증가하며 모방 범죄도 늘어난다.

 이 문제로 불필요한 논쟁을 할 필요가 없다. 필요한 것은 모두가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구체적 노력이다. 여성 혐오 의식이 정신병의 증상으로까지 발전하고 있다면 그 심각성을 인정하고, 사회 전반에서 이런 의식이 자리잡지 못하도록 구조적 개혁을 하고 의식의 변화를 추구해야지 지금 뭐를 하고 있나 싶다. ‘정신병이 범죄의 원인이냐? 아니면 여혐이 원인이냐?’ 이런 수준 낮은 논쟁은 이젠 멈춰야 한다."

==============================================================================

 플라톤이 『국가』 에서 그랬지. 말을 골라도 잘 달리는지 못 달리는지를 따지지 암수를 따지는 게 아니고, 사냥개를 골라도 암컷이든 수컷이든 사냥을 잘 하는 개를 고른다고, 사람도 성별이 아닌 능력과 적성에 따라 그에 합당한 교육을 받고 걸맞는 직책과 의무와 권리를 부여해야 한다고, 편견이란 거대한 파도를 넘어서서 이런 전제를 받아들여야 바람직한 사회를 구성할 수 있따고 말이야. 2천 년도 더 전에 이런 얘기가 나왔는데, 게다가 이것도 남녀평등, 성평등이라 말하긴 부족하고 이 아자씨 여혐종자다. 적어도 오늘날 이 사회에서라면 저건 당연하고, 그냥 단순히 차이를 사상시켜 버리는 게 아니라 나아가 여러 다른 부분들을 그게 신체에 관련되든 사회에 관련되든 문화든 편견이든 여러 관점에서 그런 차이들을 조율하고 개선할 것, 보완할 것, 이러저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에까지 왔어야 하는 거 아니냔 거다. 뭐 이렇게 말해봤자, 나같은 머가리 빻은 시헤한남십치가 단 한 번도 보장받지 않은 적 없는 공짜 권력과 온갖 특혜, 이걸 적극적으로 누리면 누릴 수록 남성집단에서 강화시켜 줄 뿐만 아니라 권위까지 심어주는 한국 남성의 편리를 다 내다 버릴 수 있을 리는 없다. 내가 아무것도 안 하고 있으면 나는 여전히 밤거리를 걱정 없이 돌아다닐 수 있고, 술이 떡이 되어 길바닥에 나자빠질 수 있고, 여관방, 화장실, 공중목욕탕 어디를 가든 훔쳐보는 시선이나 숨겨진 카메라 따위를 걱정하지 않을 수 있으며, 사람을 죽이기로 작정하고 칼을 챙겨온 어떤 새끼가 숨어 있는 자리에 가더라도 나와 다른 남성들이 아니라 어떤 임의의 여성이 죽임을 당할 것이기에 그걸 두려워할 이유조차 없는 삶을 살 수 있다. "여성 혐오 현상이 존재하지 않았다면 그는 그런 망상을 갖지 않았을 것이고 다른 망상을 가졌을 것이다. 다시 말하지만 정신병적 증상은 맥락이 있다." 바로 그 맥락 안에서 동료 시민의 반수 가까이가 살해 당하고 폭력을 당하고 강간을 당하고 그런 여성혐오범죄를 목격하고 전해 들으며 점점 더 큰 공포를 느끼며, 피해를 당했다는 바로 그 이유로 비난을 당하고 폭력에 항의했다는 이유로 위협을 받고 공포에 비명을 지른다는 이유로 갈등을 조장한다며 책임을 묻는 자들에게 둘러 싸이게 된다. 아주 오랜 시간 그래왔고 지금 그러하며 앞으로도 바뀌기 어려운 부조리인데, 이 부조리가 남성이 남성으로서 지니는 아무 근거없는 무자격의 특권 그 자체이다. 이 특권을 버리긴커녕, 이것이 다른 이들의 당연하고도 불가침한 권리를 박탈하였기에 자신들에게 돌아간다는 것조차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누군가는 억울한 자신을 매도한다며 여성을 적으로 삼으려 들고 또 누군가는 연약한 여성을 지켜야 한다며 여성을 소유하려 들며, 또 누군가는 이 모든 문제의 직접적 피해 당사자인 여성들에게 이래라 저래라 훈수를 두며 가르침을 전하려 안달을 한다. 뭐 이 모든 종류의 반응들을 싸잡아 욕할 단계에라도 왔는지도 의문스럽고, 나 자신이 페미니스트나 여성주의자를 자처한다면 정말 날 아는 모든 이가 비웃을 일이기도 하겠기에, 그래서 잘 모르겠다. 내 민증 뒷번호 앞자리가 바뀌지 않고, 내 겉모습이 바뀌지 않고, 내가 소속집단에서 지금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전면에 나서서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주장하지 않는 한, 또 다른 선택지가 있기는 한지. 시헤한남십치인 나는 내가 경제적으로 무능하고 건강한 신체도 매력적인 외모도 갖추고 있지 못하고 뛰어난 언변이나 포용력 넘치는 성격 역시 이루지 못하고 있으며 이런 것들을 지니려 노력 또한 않고 있어서 연애시장에 진입조차 못한다는 것을, 그게 나 아닌 다른 누구의 탓도 아니라는 것을 잠자코 인정하고 조용히 혼자 살다 뒈지는 정도의 선택 이외에는 달리 뭘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는 거다. 아, 물론, 모든 조건을 애써 다 갖추더라도 상대(그게 누구든)가 날 선택할지 말지는 전적으로 상대의 권한이고 자유일 따름이다. 음, 애초에 이 부분을 받아들이면 사는 게 훨씬 편한 것이기도 하고. 내가 사는 내내 저질러 왔던 온갖 언행들을 아는 사람이라면 아마도 나를 위선자로 부르고 가식을 떤다며 조롱을 하리라 예상하지만, 말했듯이 똥이 마려워도 참고 화장실에 가는 것은 위선이나 가식이라기 보다는 그저 당연한 일이다. 더구나 지금 이 상황은, 누군가 대로변에 똥을 싼 게 아니라 사람이 사람을 죽인 것 아닌가, 그것도 남성집단 내에서는 아무런 행동도 못했을 비겁자가 한 여성을 단지 여성이란 이유로 칼로 난도질 해 살해한, 누가 봐도 끔찍한 여성혐오범죄 아닌가. 위선과 가식은 대환영이고, 거기까지 못 가더라도 최소한의 상식만이라도 지켜지길 바랄 따름이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 


-蟲- 

P.S. 구조 자체가 여성을 차별하고 억압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안에서 남성으로서 상대적 이익을 취하고 있으면서 자신은 잠재적 가해자가 아니고 억울하다는 말만 되풀이해봤자, 그냥 가만히 있는 것만으로 가해자다. 그냥 한국 사회에서 남성은 다른 남성들의 자각하지 못한 여성혐오부터 적극적인 여성혐오까지 지적하고 비판하고 언어적 혹은 물리적 폭력을 차단하는 정도의 일이 가능하지 않을까 싶다. 여성을 대상으로 여성을 추앙하거나 여성을 지키거나 여성의 언행을 안전한(?) 방향으로 교정시키려 들거나 하지 말고 말이다. 이제까지 참았던 것이, 매우 안타까운 죽음을 계기로 어쨌든 표출되었으니, 여성들은 여성들 스스로 또 서로 지키고 더 급진적인 방식으로 이 사회의 부조리인 여성혐오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낼 것이고, 그래야 한다고 본다. 그 과정에서 아마도 안전과 생존을 위해, 기존 질서에 편입되어 순응하고 이 질서를 옹호하는 여성들도 간혹 있을 것이나, 그들이 '생존을 위해' 그리한다는 점을 고려해서 서로 싸우는 일은 없었으면 좋겠다...는 식으로도 지껄이지 말고 남성은 잠자코 남성들끼리 치고 받는 게 여러모로 좋지 않겠나. '여성 전용 주차장'을 보고 외국여성이 의아해 한다는 식의 사례들을 생각해 보면, 사실 지금 한국 수준에서는 산술적 평균조차 여성에게 보장해 주지 못 하고 있다는 것이겠고, 다시 말하는데 그런 건 진작에 해결이 났어야 할 '수준 낮은 논쟁'이다. 음, 무슨 얘길 더 하고 싶었느냐 하면, 이 구조 내에서 남성이라는 건 그 사실만으로도 여성에 대해 이미 가해자라는 것, 그리고 직접적인 신체적, 정신적 폭력의 잠재적 가해자란 건, 특정할 수 없는 가해자가 남성집단 내에 있다는 이야기일 뿐이라는 것, 그리고 특정할 수 없는 그 위험이 너무나도 큰 까닭에 여성이 남성 전체를 두려워하고 의심하더라도 그건 말하자면 정당방위라는 것, 그러니까 억울하면 색출해서 족쳐야 할 건 가해를 할 만한 새끼인 것이고, 남성집단이 그런 행동을 완벽히 억제하고 있다는 모습을 보이는 게 신뢰로 나아가는 유일한 길이리라는 것 정도이다. 설령 저 강남역 살인사건이 만에 하나 여성혐오로 인한 살인이 아니라 하더라도, 그 사건으로 일어난 여성들의 여론이 한국사회의 여성혐오, 여성들의 일상적 공포를 증명하고 있다는 건 부정할 수 없기도 하고. 강남역 추모 쪽지 중에 그런 게 있더라, '언니는 꿈이 뭐였어요?' 였던가. 이런저런 억압으로 좌절된 이 나라 시민 절반의 꿈이 지금 보다 더 많이 실현되는 게, 이 나라에 나쁜 일일 리는 없지 않나 싶기도 하고. 요즘은 집단 내 개체수도 극소수고 짝짓기 철에 간택만 바라며 빛 한 번 보러 나왔다 금새 뒈지는 수개미들이 한남보다 더 우월하지 않나 하는 생각도 한다. 정자 보관소 냉자고에 정자나 기증하고 다들 자살하자 ㅇㅇ. 아니, 이 유전자는 이미 글렀는지도.

P.S.2. 평소 여성을 혐오하는 마음을 품고 사는 자와, 별 다른 생각은 없으나 여자를 약자로 간주하는 사회통념을 바탕으로 남성을 거르고 여성을 죽인 자 사이의 구분이라는 것은 어려울 수도 있다는 이야기를 봤다. 좀 더 나아가서, 이번 살인범 개인을 법적으로 처벌하는 과정에서 살인과 그의 마음 속 여성혐오를 관련지어 단순 살인보다 가중처벌을 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개인의 신념이 법에 의해 판단받을 위험성을 경고하는 이야기도 보았다. 단순하게 생각해 보자면 개인이 여성을 혐오하든 다른 어떤 소수집단을 혐오하든 나치를 추종하든 어떻든 그가 어떤 행동을 보이기 전까지는 그 '생각'만을 가지고 개인을 단죄할 수는 없는 게 오늘날 공유되는 인권으로서의 신념의 자유라는 가치에 포함될 것이다. 그러나 누가 보더라도 '여성을 죽여야지' 라고 생각하고 여성을 대상으로 범죄를 저지른 자는 무작위로 사람을 죽이려다 여성을 죽인 경우보다 더 강한 처벌을 가하는 것이 맞는 일로 보인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여성혐오'라는 믿음을 잘못된, 악한 믿음으로 평가하면서 함의되는 일이 개인의 믿음에 대한 사회적 잣대를 통한 판단이라는 것이다. 아마도 '여성혐오를 마음에 품어선 안 된다'라고 말하는 데에는 여러 사람들이 별 부담 없이 동의할 것이나, 특정 종교를 믿어서는 안 된다든가 어떤 사회, 경제, 문화의 한 특수한 지향을 마음 속에 품어서는 안 된다든가 하는 주장에 오늘날 동의하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여성혐오가 옳다' 라는 믿음과 '민주주의가 옳다' 라는 믿음을 구분하는 건 전자가 나쁘고 후자가 좋다는 가치평가이다. 누가 무엇을 믿느냐는 문제에 대해 이러한 가치평가를 내려야, 그 다음 그 믿음과 특정 행위(이번 경우 '여성혐오'와 '여성살해') 사이의 인과관계를 따질 수 있고, 다시 이 인과관계를 바탕으로 처벌의 경중이 갈릴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되면 일이 복잡해진다. 강남역 여성혐오 여성살해를 두고 이것이 여성혐오로 인해 벌어진 비극이라 말하는 것은 분명하고도 간단한 일이다. 그러나 여성을 살해한 범인이 여성혐오로 인해 살인을 했다면, 이 살인이 다른 살인에 비해 가중처벌을 받아야 하는지, 이건 어려운 일이라는 게 저 위에서 내가 봤다던 그 글이 하고자 하는 말인 듯하다. 

P.S.3. 여성을 살해하고 폭력을 행사하는 일과 여성을 통제하에 관리하며 특정 남성의 영역 내에서 보호받도록 만드는 일, 이 두 일이 모두 여성혐오에 해당한다는 것은 알겠는데, 여전히 이 두 부류를 구분해서 대응해야 하는 건 아닌가 하는 의구심도 한편에 남는다. 이를 테면 생리대를 면세품으로 제정하는 일이나 생리휴가의 보장성 강화에 대해서는 저 두 부류 모두 반대할 수 있을 듯하나, 안심귀가서비스 등의 여성 안전을 위한 정책에 대해서 혹은 택시 운전자의 신원 확인 강화랄지 뭐 그런 종류의 일들에는 소위 '진성 마초'라느니 '기사도'라느니 '신사' 따위의 말을 하는 부류는 공감하고 지금 대동단결하는 일베와 오유는 반대하지 않겠나 하는 것이다(이건 그들 말마따나 남성 전체를 '잠재적 범죄자'로 보는 것이니까). 여성전용주차장을 넓게 보면 여성혐오의 일환이나 좁게 보자면 여성혐오가 구조화된 사회에서 필요한 것, 이를 테면 사다리 같은 것이라는 입장을 받아들이려면 저 구분이 필요할 것이나, 그러한 단계적 해법이 필요한 것인지 아니면 모두 묶어 전면적인 변화를 당장에 촉구해야 하는 것인지 남성인 나로서는 함부로 판단하기 어렵다. 어느 사이트에선가 여성을 대신해 무거운 짐을 들어주거나 하는 일을 이제부터 하지 않겠다는 '선언(?)'을 했다고 하던데, 주변 여성들 대부분이 조롱 섞인 환호를 하는 것을 보았다. 아마도 임시방편, 미봉책에 불과한 일들, 근본적으로는 여성혐오의 범주에 들어가는 여성의 대상화 자체를 거부하는 입장이라 생각되는데, 구분이 어찌 되는지가 문제랄지. 다시, 남녀의 차이를 사상시키고 산술적 평등을 보장하는 것과 이 제거해 버린 차이를 다시 하나하나 고려하면서 형평성을 찾아 가는 것 사이의 구분이 문제라는 데에까지 갈 수도 있겠다. 플라톤을 통해서라면 아마 전자의 선까지 해석을 뽑아낼 수는 있을 것 같은데, 후자는 고대 사상을 가지고서는 무리한 일이겠다. 거칠게 말하자면 앞의 것은 보편적 인권보장의 문제라면 뒤의 문제가 실제로 성평등이란 주제를 놓고 가치판단이 엇갈릴 수 있는 더 어려운 문제 아닐까 싶고, 여성혐오는 인권보장 차원에서도 부정할 수 있을 듯하고, 그럼 마초와 신사도 인권보장의 문제에서는 같이 갈 여지가 있겠으나, 그게 궁극의 목표가 아닌 바에야 구체적인 성평등의 문제에서 의견이 갈릴 사람들과의 오월동주라는 이야기 된다면, 다시 지금 여성들의 반응은 바로 그 임시방편도 여성혐오라는 얘기로 넘어가겠고, 쓰다보니 결국 내가 여성혐오를 들쭉날쭉하게 오해하고 있다는 생각이 드는구만. 뭐 이쪽이야 이론으로나 실천으로나 주도해온 것도 여성이고 결과를 축적해온 것도 또한 여성이니, 귀를 막고 있지만 않는다면 다양한 방향성과 여러 논증들을 듣게 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그리고 귀를 열어 둔다는 건, 결국 책이니 기사니 이런저런 것들을 찾아보는 노력 없이는 불가능하겠다.

『파이드로스』의 지상에서 빛나는 아름다움이라든가 『파르메니데스』의 하나와 하나인 형상들과 하나인 것들의 그 모든 하나와 『소피스트』의 움직이면서 멈추어 있는 모든 것과 『국가』의 만물을 만물이게 하는 좋은 것 그 자체와 『티마이오스』의 가장 좋은 살아있는 세계의 본을 흔들리지 않고 가지런한 말로 풀어낼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희망 같은 것을 품고 있으나, 궁금해 하고 알아보고 찾아 다니는 것도 매 고비마다 자격과 허가가 필요하다. 우스갯소리로 석사과정에서 인간자격을 상실했다가 석사학위를 따면 그 자격을 회복하고 박사과정에 가면서 시민권을 포기했다가 박사학위를 받으면 시민으로 돌아오지만 그 때부터 비로소 잉여시민으로서 아무도 반기지 않는 비생산적 현학을 탐닉하다 굶어 죽는 것이 소위 '인문학도'의 인생역정 아니겠는가 하는 잡소리를 지껄였던 적이 있었는가 없었는가 싶다. Owen이 말한 아리스토텔레스의 'Focal meaning'이란 것의 단초랄까 Being을 말하는 여러 가지 방식이라든가 파르메니데스의 단편에서 중심으로부터 끝들로의 단일한 거리들과 그 전체와 부분들에 대한 플라톤의 이해라든가 뭐랄까 그런 걸 『소피스트』 독해에 적용시킬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처음 했던 것은 분명 5~6년도 지났는데 이제와서 새삼스럽게 Frede가 하는 얘기가 그런 얘기 아닌가 하는 지적을 받고 나니 한층 더 대단히도 지나보낸 시간이 허망하기만 하고 이제 난 그 때보다 더 무능하고 비열한 쓰레기가 되었는가 싶다. Frede는 지중해에서 술 쳐먹고 헤엄치다 뒈졌다는데, 아, 당신은 좀 넘나 멋진것.

똥은 화장실에서 싸야 하는데, 똥이 마렵기 때문에 똥을 싸지르는 것은 정의라고 고래고래 소리를 지르며 백주대낮에 길바닥 한복판에서 설사똥을 싸지르는 쓰레기들이 넘실거리는 건 왜일까. 나는 똥이 마렵지만 어쨌든 화장실이 아닌 곳에서는 똥을 싸지 않으려고 애쓰는 정도의 교양과 상식과 시민의식을 갖추고 있는데 '너는 왜 똥이 마려운가! 똥이 마렵다니 너는 노상방변의 혐의가 있구나! 개새끼구나! 쓰레기구나! 동네사람들, 이 새끼가 똥을 싸지르고 싶답니다, 글쎄! 세상에나, 말세네, 말세!'라고 꽥꽥거리는 미친 작자들은 또 왜 그러는 것인가. 남의 대장은 너의 것이 아니고 네 직장에 교통체증에 시달리는 똥덩어리들은 다른 사람들을 상대로 인정투쟁을 벌일 권리가 없는 것이라는, 이 간단한 이야기를 왜 그리도 복잡하게 비비 꼬아가며 서로 똥던지기에 열을 올리는 건가. 최소한의 위선과 가식조차 갖추지 못하는 짐승새끼들은 좀 도려내고 가도 괜찮지 않나 싶다. 『프로타고라스』에서 그 유명한 프로메테우스 신화가 나오지 않나, 그 작자가 불도 주고 지혜(뭐 그냥 공학기술, 그러니까 우리 동료 철학도 여러분들께서는 플라톤의 가르침을 가슴에 품고 지금부터라도 기술을 배웁시다)도 주고, 그러고 나서도 짐승새끼들한테 쳐발리는 좆밥새끼들이라 제우스 킹왕짱께서 옜다, 먹고 떨어져라 하시며 모여 사는 데 필요한 기술, 정의와 수치란 걸 주시지 않았겠냐 말이지. 찌끄레기 쓰레기들 그래도 한 번 살아 보라고 도둑놈의 새끼 장물에 빈대붙은 싹통머리들한테 덤까지 쳐서 줬는데 그걸 발휘하지도 못하면, 어찌해야 하느냐 하면, 그런 건 살 가치가 없으니 죽여 버리라 하셨다 이거다. 사냥하는 짐승이 발톱과 이빨을 잃으면 뒈지듯이, 도망다니며 사는 짐승이 다리가 부러지면 역시나 뒈지듯이, 사람새끼가 부끄러운 줄도 모르고 마땅한 일을 하려 애쓰지도 않으면 이 새끼 글러먹었구나 하고 모가지를 뎅겅 잘라 버려야 한다는 것이지. 아, 뭐, 그것도 번거롭고 그러하니 그냥 사회 밖으로 쪼까내서 뒈지든가 말든가, 우리는 우리끼리 하하호호 오손도손 잘 살아 보자는 거다. 방구석에서 좀비 내장 푸파팍 하는 거 보면서 낄낄항가항가하며 딸잡이를 하는 잉여새끼보다는 지하철에서 만만해 보이는 '여자'만 골라서 시비터는 노망난 개늙은이들을 죽이는 게 바람직하다는 뭐 그런 관점에서, 화장실에서 똥을 싸는 것은 정의이나 길바닥에 침을 뱉는 것은 악이다, 뭐 그런 이야기. 아, 누구 말대로 싹 다 그냥 통 속의 뇌였으면 참 좋을는지도 모를 일이겄구나.

-蟲-

14. einai 용법들의 체계에서 표현되는 바로서의 Being 개념과 데카르트 이래의 근대적 사유에서 현존 개념 사이의 대조를 통해 좀 더 가까이 가 보도록 하자. 그 체계에 대한 우리의 설명은 유형 6의 문장들에서("The gods are," "A centaur is not") 해당 동사의 사변적 용법에 아무런 특수한 역할도 할당하지 않았다. 더욱이, 그리스 철학자들에 의한 Being 논의에서 그런 문장들의 상대적으로 주변적 위치는 파르메니데스로부터 아리스토텔레스에 이르기까지 존재론적 사변에서 현존 개념이 전혀 명백히 정의되지 않은 역할을 그저 그렇게 수행한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현존에 대한 물음들은 내가 나 자신의 현존을 확신할 수 있는가, 다른 어떤 것에 대해서든 확신할 수 있는가, 물질적 대상들은 현존하는가, 나는 나 이외의 정신들이 있다는 것을 아는가, 과거는 실제인가, 이런 주제들에 관심의 초점이 맞추어지는, 데카르트에 의해 착수된 전통에서 갖는 그런 핵심적 중요성을 그리스 형이상학에서 갖추지 못한다. 
  어떻게 그 두 가지 전통 사이의 이런 극단적 차이를 설명할 것인가? 그 설명의 일부는 틀림없이 회의주의에 의해 수행된 역할 안에 놓인다. [32쪽] 회의주의의 극단적 도전은 - 무엇이 되었든, 우리가 무엇을 확실성을 갖고 알 수 있는가? - 고대 철학에서 역사적으로 이차적인 것이다. 이러한 회의적 물음이 일찍이 크세노파네스에 의해 유발되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기원후 3세기 두 번째 아카데미의 발흥 전까지, 고전적 사유의 주요 체계가 정식화되기 전에는, 그리스 철학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차지하진 못하였다. 반면, 그 회의주의의 도전과 그에 답하기 위해 요청된 인식론은 데카르트 자신의 사상에서도 그의 후속세대들의 사유에서도, 근대 철학에서 시작부터 중심적인 것이었다.

-蟲-

[30쪽] 그래서 문장 구문에 대한 플라톤의 발견은 동시에 어떠한 기술적 언어 사용에 대해서든 근본적인 조건들의 재인이었기도 하다. 주어와 술어라는 용어는 오직 아리스토텔레스와 더불어서 출현하지만, 그 통찰은 똑같다. 문장의 주-술(명사-동사) 구조는 언어내에서 우리의 언어 사용을 우리가 그에 대해 말하고 있는 그것에 연결시키는 지시와 기술의 의미론적 구조를 반영한다는 것이다. 나는 시작부터 서술 개념에서 이 근본적인 애매성에 주의를 요청해왔다. 한편으로는, 문장 내 요소들 사이의 구문론적 관계가, 다른 한편으로 문장 혹은 문장요소와 세계 내 그 지시체 사이의 의미론적 관계가 있는 것이다. 우리로 하여금 to be의 통합된 체계 내에서 계사 구문의 중심 위치를 이해하도록 허용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서술의 의미론적 기능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단순 계사 문장으로 향한다. Socrates is wise 혹은 Socrates is in the agora. 진술로서 평범하게 단언될 경우, 그런 문장은 세 가지 의미론적 관계를 포함한다. (1) 만일 그 문장이 참이라면, 주어는 반드시 현존해야만 하고, 즉, 그 문장이 그에 대한 것인 어떤 것이 있어야만 한다. (2) 그 문장은 진리 주장을 구성하는데, 즉, 그것들이 그러하다고(그렇게 있다고, that they are) 그 문장이 말하는대로, 실제로 사물들이 그러하다고(that things are in fact) 주장한다. (3) 이 주장은 문제가 되는 서술이 (being wise, 혹은 being in the agora) 실제로 그 주어에 속한다는 것, 다시 말해, 그 부합하는 속성이 "발생한다"거나 이 특수한 경우에서 예화된다는 것을 함축한다. 이러한 세 가지 의미론적 조건들은 의미론적 문장 연산자로서 einai의 세 가지 상이한 용법들에 부합한다. 1, 유형 4 문장들에서 주어에 대한 존재사적 용법 ("There is someone/no one who can escape death"); 2,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완결 문장에 대한 진리사적 구조 ("Things are as you say"); 그리고 3, 유형 5에서 술어들에 대한 발생의 동사 ("There will be vengeance from Orestes"). 일차 문장에서 서술의 신호로서 계사의 일상적 용법이 통상 이런 세 가지 의미론적 함축을 담기 때문에, 똑같은 동사가 또한 이차 문장의 세 유형들에서 이러한 의미론적 주장들을 명시적인 것으로 만드는 것이 그 기능인 문장 연산자로서도 기능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단순한 명사-동사 문장들에서 술어는 to be 동사 없이 발생한다. 그 계사 동사는 오직 술어 표현이 형용사 또는 다른 명사적 형태일 때에만 요청된다. 그런 문장들에서 우리는 계사의 최소 역할을 (1) 인칭, 시제 따위에 대한 기호를 가져오는 동사적 형태로, (2) 서술 표현이나 동사 구를 [31쪽] 형성하기 위해 형용사와 결합하는, 그런 서술동사로서, 따라서 (3) 문장성, 즉 주-술 형태의 신호로 재인한다. 그것이 우리가 계사 동사를 서술의 신호로 기술할 때 의미하는 바 그 삼중의 기능이다. Socrates walks, Theaetetus sits 같은 더 단순한 형식의 문장들에서 이 기능은 동사만으로 수행된다. 계사로서, einai는 동사화, 동사 없는 술어로부터 동사 구를 만들어내는 것으로 기능한다. 더욱이, 이미 지적하였듯, 우회적 구조에서 einai는 그 언어의 어떤 동사든 대체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Socrates is walking, Theaetetus is sitting (혹은 이것들의 그리스어 대응물들)를 명사-동사 문장의 변형들로 가진다. 전통 이론에서 계사 형태는 표준화되고 일반적인 동사라기 보다는 계사 동사가 서술의 신호로 간주되기 시작한다. 우리는 이러한 이론에 묶이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는 to be가 광범위하고 다양한 문장 형식들에 대해 서술적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을 재인하고 있다. 주요 서술 동사로서, einai는 서술 개념과 서술에 의해 내포되는 근본적인 의미론적 관계들 모두를 표현할 수 있다.
  그래서 einai 용법들의 연결망은 서술, 진리, 현존 개념들을 함께 가져오는 더 거대한 개념적 구조를 표현하는 데에 기여한다. 이 세 가지 개념들 중 어느 하나 그 이외의 것들에 대한 언급 없이 적절하게 해명될 수 없다. 고대 그리스어에서 Being 개념을 표현하는 문장 형식들의 체계에 대한 개념적 통일성을 제공하는 것, 그것은 구문론과 의미론 양자 모두의 이러한 서술의 이중구조이다.

-蟲-

13. 내 생각에 그리스어 동사 be의 사전적 의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여기까지이다. 그러나 이 사전적 설명은 Being 개념에의 탐구로서 존재론에 대한 그리스적 기획을 정당화할지도 모를 einai의 용법들의 통일성 개념을 정립시키는 데엔 아무 기여도 없다. 그렇기에 우리는 존재사적 용법과 진리사적 용법에 대한 문장 구조와 의미론적 기능에 대한 분석으로 돌아가야만 하고, 어떻게 이것들이 내가 그 전 체계의 개념적 기초로 제안하는 해당 동사의 서술적 기능과 관련되는지 보아야만 한다.
  내 논증의 앞선 단계들을 거슬러 올라가 보자. 우리는 플라톤에 의해 『소피스트』에서 독자적으로 제안된 명사와 동사 사이의 구분에서, 그 가장 단순한 문장 구조에서 묘사된대로의 서술 개념을 가지고 시작했다. 플라톤은 명사와 동사를 구문론적으로, 문장 산출을 위해 결합하는 것으로도, 뿐만 아니라 또한 의미론적 기능들로, 동사는 행위(praxis)를 나타내고, 명사는 행위자(pratton) 혹은 사물(pragma)을 나타내는 것으로도 정의하였다. 이러나 의미론적 차원은 플라톤의 간략한 설명에서 조심스럽게 전개되었다. 그의 예시 문장들은(Theaetetus sits, Theaetetus flies) 대화편 내에서 그 주어"에 대한(peri)" 것, 즉 테아이테토스 그 자신에 대한 것으로 이야기되고, 참인 문장은 그에 관련하여 "the things that are (ta onta)"을 말한다(263b). 이 논의에서 플라톤의 목표는 참인 진술과 거짓인 진술을 정의하는 것이고, 그래서 그는 방금 인용된 einai의 진리사적 용법으로 결론을 맺는다. 그러나 참과 거짓이라는 관념들을 설명하기 위해, 플라톤은 먼저 보편 문법의 기초 단어 부류로, 명사와 동사로 서술적 문장 구조의 분석을 제공할 책임이 있다. 형식적으로 말하자면, 명사와 동사는 그리스어에서 구별하기 쉽다 (설령, 우리가 아는 한, 누구 하나 앞서 그것들을 구분하는 일에 개의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그러나 플라톤이 지적한 기능적 구별은 그리스어나 심지어 인도-유럽어의 특수성이 아니다. 사피어가 언급했듯, "반드시 무언가 그것에 대해 이야기할 그러한 것이 있어야만 하고 그것이 선택되고 나면 이 담화의 주어에 대하여 무언가가 이야기되어야만 한다. ... 담화의 주어는 명사이다. ... 서술이라는 작업을 위해 확보되어 있는 형식은 ... 동사이다. ... 어떤 언어도 명사와 동사를 완전히 구별 못하는 경우는 없다."

-蟲-

  3장에서 나는 einai에 대한 이런 처소격 해석을 통시적 신화로, 하나의 원초적 의미로부터 그 동사의 모든 용법들의 파생으로 표현하였다. 그리고 나는 계속해서 그것을 언어상의 선사시대에 대한 신화적 해석으로서 거부하였다. 그렇지만, 통시적 주장 없이, 표현된 바로 그 형식에서 이 설명은 eiani의 모든 용법들에 있어서 그 동사의 직관적 의미에 대한 그럴 법한 사전적 기술을 제시한다. 그 동사의 기초적 의미는 "to be present, be available"이고, 인물들에 대해 전형적 용법 "to live, to dwell (somewhere)"이 함께 한다. 가장 공통적인 용법인 명사적 계사의 경우에서는 물론 장소적 의미가 가장 약하다. 그러나 때로 "mere copula"로 간주되는 이 경우에서조차, 우리는 고정-지속 상(相) 값에서 처소격 의미에 대한 일종의 유비를 발견한다. 그 유비는 그리스어 동사 to be의 경우에서 특히 강력하다. 그래서, 서술의 신호로서 그 구문적 역할에 더하여, 계사로서 einai는 여전히 그대로 존립함과 남아있음이라는 사전적 시사를 유지한다. 그것은 모든 계사 용법에 현존하는 고정-지속 값으로, 파르메니데스가 eternal being이란 개념으로 변형시킨 그것이다. "It never was nor will be, since it is all together now" (단편. 8, 5). 그리고 파르메니데스의 이 불변하는 Being은 여전히 처소격 용어로 표현된다: "equal to itself in every direction," "like the bulk of a rounded sphere, balanced equally from the center in every way" (단편. 8, 43과 49이하). 우리는 파르메니데스가 그 그리스어 동사의 모든 상과 어감을 다 함께 불변하는 사태 혹은 실체라는 단일한 개념, to eon, "that which is"로 끌고 옴으로써 Being이라는 형이상학적 개념을 창조했다고 말할 수 있다.
  Einai의 처소격 값들에 대한 이 논의를 마치기에 앞서, 우리는 현존과 실재성이라는 발상들을 표현하는 데에 [29쪽] 장소 혹은 상황 개념의 그런 형이상학적 확장이 얼마나 널리 기여할 수 있는지, 비단 그리스어에서만이 아닌 관점에서 주목할 것이다. 그래서 나는 진리와 현존이라는 의미론적 관념들을 명시하기 위해 담론의 영역 안에 상정한다거나 정위시킨다거나 하는 은유들을 체계적으로 이용해왔다. 위치의 구상화라는 유사하게 비환원적 용법이 또 달리 아주 다른 하이데거식 현존 규정에서 Dasein, "being-there" 그리고 in-der-Welt-sein, "being-in-the-world"로 나타나는 것은 전혀 우연이 아니다.

-蟲-

12. einai의 다양한 용법들을 탐사해 보았기에, 이제 우리는 어떻게 이러한 용법들이 하나의 체계로서 함께 엮이는가 하는 물음을 고찰할 수 있다. 나는 이미 한 가지 대답을 구문론적 분석에 기초하여 지적하였으나, 이러한 노선을 진행시키기에 앞서 그 동사의 사전적 의미라는 주제에 대해 무엇이 이야기될 수 있는지 살펴 보도록 하자.
  단일한 본뜻(Urbedeutung)이나 근본적 의미로부터 einai의 상이한 용법들을 도출해내려는 어떠한 시도든 그럴 법하게 유형1의 문장들에서 인물들에 대해 입증된 vitla-locative(生-處所格) 의미 "live, dwell"로부터 혹은 좀 더 일반적인 처소격 의미 "be present, be available, vorhanden sein"으로부터 시작할 것이다. 어느 정도까지는, 이런 유사-존재사적 의미가 처소격 보어를 가지는 einai의 모든 계사용법에 의해 자동적으로 내포된다. Socrates is here, Socrates is in the agora. 그것이 바로 그 동사의 절대, "존재사" 용법이 또한 이러한 처소격 구조에서 장소 부사를 무화시킨 결과로 보일 수 있기도 한 이유이다. Socrates is (somewhere). 이를 테면, 현존은 일반화되거나 부정형으로 남겨진 정위이다. 그 동사의 그런 처소-존재사적 의미는 "whatever is, is somewhere; what is nowhere is nothing"이란 오래된 그리스적 관념(고르기아스로부터 아리스토텔레스까지 증언되는)에 부합한다. 따라서 플라톤이 형상들에 대해 비-공간적 실재성 개념을 처음으로 정립시키길 바랐을 때, 그는 그것들을 noetos topos, 지성적 공간에 위치시킬 책임이 있었다(『국가』 6권, 508c1).
  이러한 장소적 의미가 인도-유럽어 어근 *es-의 가장 오래된 의미들 중 하나였음에 틀림없다는 점은 일반적으로 인정받는다. 그래서 Oxford English Dictionary에서는 영어 동사 be의 "원초적인 의미"가 "어떤 특정된 장소에서 '장소를 점유함(to occupy a place)(즉, to sit, stand, lie 등)'"이며 그로부터 "to be somewhere, no matter where, to be in the universe or realm of fact, to have a place among existing things, to exist"라는 더 일반적인 의미가 파생되어 나왔다고 제안한다.
  우리가 주목하였듯, "being-there" 혹은 "being-present"의 문자적 의미는 처소격 계사의 모든 용법에 함축되고, 처소-존재사격으로 분류되는 문장들에서 강화된다. 그것은 유형2와 3에 속하는 문장들 대부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there is a city Ephyre in the corner of Argos." 다른 한편, einai의 모든 용법들에 가장 공통적인 경우에서, 서술적 형용사와 명사를 가지는 계사 구조, "being in a place"라는 문자적 의미는 완전히 부재한다. Socrates is wise, Socrates is a philosopher. 여전히, 명사적 계사의 경우에 우리가 취하는 것은 언어학자들이 einani의 상태적 측면으로 재인하는 [28쪽] 그런 의미에서의 처소격 의미에 대한 일종의 그림자이다. Become에 해당하는 동사들의 변화-운동의 측면에 반대되는, 상태 혹은 단계 동사로서 einai의 이 근본적인 사전적 값은 그리스어에서 특히나 강한데, 두 가지 독특한 형태학적 대비들에 의해 뒷받침되기 때문이다. 첫째로, 인도-유럽어 어근 *es로부터 파생된 다른 동사들과 달리, 그리스어 동사 einai는 지속어간을 활용 동안에 유지하고 다른 어근들로부터 나오는 어떠한 비-지속 형태나 부정과거 형태도 (영어 동사 is가 다른 *es- 이외의 어근들로부터 나오는 be와 was를 허용하고, 라틴어 esse가 fui/fuisse를 허용한 것처럼) 허용하지 않았다. 덧붙여, εἰμί be에 대한 상태-처소격 값은 근사-동음이의어 εἶμι "I go"와의 대조를 통해 강화된다. 두 고대적 -μι 동사들 사이의 이러한 대조는 εἰμί be 동사에 "to go"와 대조를 통해 "to stay"라는 의미를 함축시켜준다. einai에 대한 이런 수렴적인 일련의 언어적 특성들은 우리로 하여금 전통적 그리스 사유에서 왜 te be는 to be somewhere인지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蟲-

  [26쪽] 이러한 사변적 문장 유형은 어떻게 발생하였는가? 유형 6에서 그 동사의 영향력에 대한 직관적 이해를 위해, 나는 부정이 먼저 나오는 것을 제안한다. 그리하여 현존에 대한 긍정은 이차적인 것으로, 회의적 의심에 대한 응답으로 보일 수 있다. "You say that Zeus does not exist? I say that he does!" 하지만 "Zeus is not?"이라고 말함으로써 의심하는 자가 의미한 바는 정확히 무엇인가? 만일 유형 4가 einai의 존재사적 용법에 대한 전형이라는 우리의 생각이 옳다면, einai의 의미론적 기능은 서술에 대한 주어를 상정하는 것임에 틀림없다. 따라서 Zeus is를 부정한다는 것은 Zeus가 무엇이 되었든 참인 어느 술어에 대해서나 주어일 수 있음을 부정하는 것이다. 제우스에 대해 이야기하는 모든 것은 단지 거짓일 뿐만 아니라 불가피하게 거짓일 수밖에 없는데, 왜냐하면 그에 대해 이야기할 그런 주어 따위 전혀 없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의 현존 부정은 한 전통 전체에 대한 진리 부정이다. 시인들과 신학자들의 전통에 대해서 말이다. Zeus is not에 대한 이러한 독해는 우리가 유형 4의 구문에 따라 발견하길 기대할 관계사의 그 무화를 설명해준다. 유형 6 현존 부정에서는 조건들을 제시되는 주어에 의해 충족될 것으로 구체화할 이유가 전혀 없는데, 왜냐하면 주어의 not-being이 그에 앞서 모든 술어의 무효화를 보장하기 때문이다.
  만일 이것이 유형 6에 대한 올바른 해석이라면, 왜 그 동사의 표면적 구문이, 라일과 그 외의 사람들이 논평하듯, 체계적으로 오해를 불러일으키는지를 쉽게 알 수 있다. 이러한 절대 구조에서 einai는 일상적인 동사마냥 일차 술어를 표현하는 것으로 보인다. einai의 표면적 구문은 그 동사가 "be alive"나 "be present"를 의미하는 유형1에서와 마찬가지인 듯, 혹은 "there are no asses in all of Scythia, because of the cold" 같은 유형 2와 3에서 처소격 계사의 유사-존재사적 용법에서와 똑같은 것처럼 보인다. 그것이 그 악명높은, existence는 술어인가 하는 물음을 불러 일으키는 이런 오해하기 쉬운 구문이다. 그것은 아마도 무엇보다 술어일 것이나, 일차 술어는 아닐 것이다. 유형 6에서 einai가 그 외양에도 불구하고 평범한, 일차 동사가 아니라는 점은 그것이 유형 1, 2, 3에서 똑같은 동사가 취하는 것처럼 시간이나 장소 보어를 취하지 않는다는 사실로부터 분명해진다.
  이러한 불일치에 주목하지 못함은, 문헌학자들이 그리스어에서 원초적인 (혹은 적어도 가장 알려진지 오래된) einai 용법으로 간주한 경우에서 유형1과 유형6을 결합시키도록 이끌었던 것처럼, 
일부 철학자들로 하여금 방황하게 만들었다. 고전 문장 유형들에 대한 나의 일람표는 유형 6이 einai의 원초적 용법일 것 같지 않다는 점을 보여주는데, 그것이 5세기 후기 이전에 등장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내 구문 분석은 유형 1의 경우로서 평범한 술어인 것과 상당히 다르게, 유형 6에서 einai는 유형 4의, 관계절에서 피연산 문장을 구체화하는, 존재사적 문장 연산자에 유비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유형 6을 그렇게나 어렵게 만드는 건 정확히 이 관계절의 부재이다.
  대신에, 우린 아마도 유형 6에서 einai의 절대 구조를 앞서 3절에서 제안되었던 것처럼 계싸 문장에서 술어를 무화시킨 결과로 해석할 것이다. X is는 X is something or other의 축약이다. 유형 6에 대한 이러한 해석은 이 유형을 계사 구조에 더 밀접하게 묶어주지만 [27쪽] 그 강력한 존재사적 값은 그리 잘 설명해주지 못한다. 유형 6의 명백하게 존재사적인 영향력은 (being something rather than nothing) 유형 4의 의미론적 문장 연산자로부터의 도출로 더 잘 설명된다.

-蟲-

  유형 6은 후기 데카르트주의 철학의 특징인 존재사적 진술들의 종류에 고대 선례를 제공한다. (하이데거가 라이프니츠에게서 인용했던 급진적인 질문을 상기해 보라: What is there anything at all rather than nothing?) 그래서 유형 6은 유형 4에서 묘사되는 구어적 개념과 대비되는 더 사변적인 현존 개념을 표현하는 데에 기여한다. 유형 1~3에서의 einai의 내포된 존재사적 영향력과 달리, 유형 4의 문장들은 명시적으로 주어의 현존이나 부재와 관련되지만, 두 측면에서, 1) 가능한 주어들의 부류가 문맥에 의해 (위의 9절에서 인용된 우리의 첫 번째 예시로서의 문장, 그 협의회의 화자들) 혹은 그 문헌 자체에 의해서 (두 번째 예시에서 트로이인들, 특히 프리아모스의 아들들) 구체화되고, 2) 긍정된 것이나 부정된 것이 일반적으로 주어의 현존이 아니라 관계절에서 상술된, 특정 술어에 대한 주어라는 측면에서, 구체화된 현존과 관련된다는 것을 우린 보았다. 두 번째 구체화는 존재양화 ∃x(Fx)에서 구성요소 Fx에서 그 상관물을 갖는다. 두 경우 모두, 상정되는 것은 일반화된 주어가 아니라 한정된 술어들을 충족시키는 주어이다. 그렇지만, 첫 번째 구체화는 일상 회화와 논리학의 형식화된 담화 사이의 차이를 짚어낸다. 유형 4의 관용적 문장들에서 그 현존이 긍정되거나 부정되는 주어는 세계 내 어떤 객체도 아닌 확정된 유형의 어떤 것이다. 이야기하도록 구체화되는 개인, 트로이 전사이다. 이런 문장들은 불특정의 현존, 아무것도 아라기 보단 어쨌든 무언가인 바의 것을 다루는 게 아니라 (우리가 신이 현존하는지, 혹은 외부 세계의 현존을 논의할 경우처럼), 오히려 구체화되거나 문맥적인 현존, 한정된 맥락에서 (협의회나 전장) 구체화된 종류의 것의 (화자나 전사) 현존을 다룬다. 사변적인 유형 6에서, 주어에 대한 종류상의 구체화는 유지되지만 (신이나 켄타우로스), 맥락상의 제한과 구체적 술어는 사라졌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문장 유형의 구문은 투명하지 않다. einai의 내포된 존재사적 영향력은 유형 4의 의미론적 문장 연산자를 상기시키지만, 유형 6에서 우리는 아무런 피연산 문장도 갖지 않는다. 아마도 유형 6에 대한 가장 자연스러운 이해는 어떤 임의의 술어에 대해서든 그 주어를 긍정하거나 부정하는 것으로, 유형 4에 대하여 einai의 주어에 종류적 제한은 견지하지만 (예를 들어 신들이나 켄타우로스들) 관계절을 제거함으로써 술어들에 대한 어떠한 구체화도 삭제하는 일반화로 이해하는 것이다. 유형 6에서 einai의 "절대" 구문, 이 경우 서술보어에 의해서든 관계절에 의해서든 제한받지 않은 구문에, 주어에 대한 현존의 마찬가지로 구체화되지 않은 긍정이나 부정이 대응한다.

-蟲-

 우리는 우리로 하여금 이러한 세 경우에서 그 동사의 영향력을 구별하도록 허용하고, 그리하여 우리가 왜 진리사적 용법에서는 "is the case"로, 유형 4에서는 "there is" 혹은 "exists"로, 유형 5에서는 "occurs," "take palce"로 einai를 번역하는지 설명하는 일을 허용하는 것이 바로 문장 연산자로서 einai와 그 기저에 놓이는 피연산 문장 사이의 다양한 관계에 대한 분석이라는 점에 주목하도록 하자. 이러한 것들은 바로 우리가, 우리 자신의 번역과 구문론적 분석에 기초하여 만든 구분들이다. 그리스어 화자에게 이것들은 동일한 동사, 일상의 계사 문장들에서 나타나는 바로 그 똑같은 동사의 단순한 세 가지 용법들일 것이다. 따라서 그리스어 화자는 진리사적 용법을 존재사적 용법으로부터 구별하려 하지도, 일상적 계사로부터 구별해내려 하지도 않을 것이다. einiai의 상이한 구문론적 용법들 사이의 어휘적 일치의 한 가지 근본적 귀결은 그리스에서 사유하는 철학자들이 일반적으로 일련의 사건이나 사태들로부터 실체들을 구별할 필요성을 느끼지 않으리란 점이다. 그들이 ta onta, "beings" 혹은 "the things that are"에 대해 이야기할 때, 그들은 아마도 개별자들 혹은 자연종들, 일식이나 달의 위상 같은 천문학적 사건들, 혹은 더욱 일반화하여 사실들과 세계 내의 사실인 무엇이 되었든 그것의 현존을 지시하고 있을 것이다. 이것은 우리로서는 꽤나 당황스러운 어떤 그리스 존재론적 논의들의 논리를 만든다. 우리의 번역과 분석은 사물, 사건, 그리고 사태 사이의 구분을 당연시한다. 그렇지만, 이런 것들은 그 언어에 의해 만들어진 구분들이 아니라 철학자들의 선별을 기다리는 것이다. 그들이 그렇게 다루는 한, 그건 늘 우리에게 익숙한 방식인 것은 아니다.

11. 내가 마지막으로 남겨둔 것은 존재사적 유형 6에 대한 논의이다. 그것은 아무런 처소격 보어나 명사적 보어도 없이 einai가 "절대적으로" 이해되는 경우의, 개별자들과 사물들의 종류들에 대한 현존의 단적인(unqualified) 선언이나 부정이다. Zeus is not. The gods are. Centaurs are not. 어떤 서술적 보어도 부재함은 einai의 이러한 용법을 근대의 동사 to exist와 유사하게 만든다. 나는 호메로스에게서는 이 문장 유형의 어떠한 사례도 발견하지 못한다. 유형 6은 그리스 문학에서 오직 [25쪽] 소피스트 시대의, 기원전 5세기 후반기 그리스에서의 신학적 회의주의의 발생과 더불어서만 나타난다. 어쨌든 그리스에서 뭔가 "exist" 같은 것을 의미하는 이러한 einai 용법은 신학적 사변의 분위기와 전통적 믿음의 대상들에 관련한 의심의 태도를 전제한다. (성경 구절에 표현된 "우매한 자들은 내심으로 '신은 없다' 말하였다." 같은 그런 의심.)

-蟲-

유형 4는 우리가 einai의 존재사 용법으로 무엇을 의미하는가에 대한 일람표 역할을 할 수 있다. 의미론적 문장 연산자로서, 그 동사는 여기에서 기능을 진리사적 구조에서 einai의 용법과 공유한다. 우리가 보았듯, 두 문장 유형 모두에서 einai는 언어외적 지시를, 문장의 주어에 대해서든 (유형 4에서) 혹은 문장 전체에 대해서든 (진리사의 경우), 명시화하는 데에 기여한다. 그리고 각 경우에서 의미론적 문장 연산자는 오직 두 가지 값(esti와 ouk esti, 긍정과 부정)을 가지는데, 피연산 문장의 기술 내용을 보증하거나 거부한다. 하지만 이 문장 형식들 사이의 구문론적 차이는 현존과 진리 사이의, 그 동사의 존재사적 용법과 진리사적 용법 사이의 구별에 결정적이다. 유형 4에서 einai는 오직 피연산 문장의 주어에 대해서만 작동하는 반면(즉, 종속절을 이끄는 관계대명사 hos "who"), 진리사의 경우에서는 문장 구조 전체에 작동하고, 대화자가 말했고 화자가 긍정한 것이라면 무엇이 되었든지 간에 그것에 작동한다. 진리사적 einai가 실재성에 있어서 "상정"하는 것은 이러한 문장 구조의 내용, 상응하는 일련의 사태이다. 유형 4의 einai에 의해 상정되는 것은 관계절에서 표현되는 조건을 충족시키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개별자들의 현존이다.

10. 존재사적 유형 5로 넘어가서, 우리는 구문론적으로 진리사적 구조에 더 가까운 문장 형식을 발견한다. 유형 5에서 그 동사의 주어는 더욱 기초적인 문장 내에서 술어 동사를 표현하는 추상적 행위 명사이다. 유형 5의 문장들에서 einai는 이하 문장의 행위가 벌어졌다는 것을 긍정하거나 부정하는, 그런 발생의 동사로 기능한다.
  Around him was a clamor of the dead, 여기에서 추상 명사 clamor(klange)는 기저 문장 The dead clamored around him에서 그 동사의 명사화이다.
  There will be vengeance from Orestes, 이 문장은 기저 문장 Orestes will take revenge의 명사화로서 vengeance를 가진다.
  For you, Odysseus, there will be no murder at a wife's hand, 이 문장은 your wife will not murder you의 명사화로서 murder(phonos)를 가진다.
  주어로서의 추상 명사와 더불어, 이 문장 유형에서 그 동사의 구문은 명백히 이차적이다. 여기에서 einai는 기저에 놓이는 동사(to clamor, to take revenge, to murder)의 명사화된 형태를 주어로 취함으로써 표적이 되는 문장에 작동한다. 유형 5에서 einai의 구문은 꽤나 분명하지만, [24쪽] 그 의미론적 기능은 진리사의 경우와 유형 4에서 문장 연산자의 기능과 유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에서 또한 esti 혹은 en은 그 의미론적 주어 - 이 경우 the verbal action - 를 "사실"로, 즉 담론의 세계에서 위치를 점하는 것으로서 상정하는 데에 기여한다.

-蟲-

  만일 유형2의 복수형식으로 해석한다면, 유형3에 속하는 문장들에 대해서도 같은 말을 할 수 있다. "There are many paths up and down the camp," "Among you are the bravest of all the Achaians." 이 유형에서 주어를 도입시키는 수사적 기능은 덜 뚜렷하지만, 계사 동사의 존재사적 영향력은 처소격 보어 또는 양화사(some, many)에 의해 강화된다. 유형 2와 3의 부정 형식들에서 존재사적 어감은 특히 강하지만 국소적으로 제한된다. "There is in the whole Scythian land neither any ass at all nor any mule, because of the cold."

9. 지금까지 묘사된 어느 문장 유형에서도(유형1~3) 우리는 현존에 대한 단언이나 부정을 발견하지 못하지만, 오히려 "there is"라는 영역을 정당화하기에 충분할 만큼 강력한 계사 동사의 용법을 발견한다. 제대로 된 존재사적 용법을 위해 우리는 유형 4로 향한다. 이 유형은 그 구조에 있어서 논리학에서의 존재 양화를 위한 ∃x(Fx) 형식과 상당히 유사하다. "There is an X such that X is F." 유형 4에서 einai 동사는 이하의 관계사절에서 정식화되는 서술을 위한 부정주어(someone, something)를 상정(혹은, 부정의 경우, 배제)하는 데에 기여한다. Let there be someone / who will speak wiser counsel; Now there is no one / who will escape death ...at my hands..., of all the Tojans and above all of the sons of Priam.
  부정주어가 전형적으로 인물 ("someone who...")이기에, 그 동사의 구문은 일차적인 것으로 보일 것이다. 하지만 이 문장 유형에서 그 동사는 그 자체로 성립하지 않는다; 그 동사는 그것이 문장 연산자로 기능하는 관계사절과 함께 이해된다. 그래서 einai의 주어는 한정된 개별자가 아니라 이를 테면 제한된 변수로서, 그 관계사절에서 구체화되는 조건을 충족시키는 anyone 혹은 anything이다. 유형 4에서 einai의 의미론적 기능은 정확히, 의미론적 주어, 열린 문장(변항을 포함하는 문장)의 문법적 주어에 상응하는 언어외적 실체를, 긍정적으로나 부정적으로 지시하는 일을 분명하게 만드는 것이다. x will speak wiser counsel, x will escape death at my hands. 그래서 유형 4의 구문론적 역할만이 아니라 의미론적 역할 또한 존재 양화의 그런 역할과 비슷하다. 특정 조건들을 충족시키는 대상의 유효성을 긍정(혹은 부정)하는 것, 특정 술어들이 그에 대해 참인 그러한 주어를 상정(혹은 배제)하는 것. 여기에서 다시 우리는 [23쪽] 서술에 대한 참과 서술의 주어에 대한 현존 사이의 개념적 연관을 재인한다.

-蟲-

[21쪽] 하지만, 이 책에서 규정되는 여섯 가지 존재사적 유형들 중, 첫 번째이자 가장 생생한 문장 유형은 명백히 의미론적인 것도 아니고 구문론적으로 이차적인 것도 아닌데, einai가 이 경우 일상적인, 구체적 의미를 지니는 일차 동사처럼 기능하기 때문이다. 이것이, einai가 "to be alive," "to dwell," 혹은 "to be present"를 의미하는 경우에서 나의 존재사적 유형 1이다. 이런 유형에서 그 동사는 인물(인간 혹은 신)을 주어로 삼는다: "Your parents are still alive" (et' eisi); "The gods who are forever" (theoi aien eontes). 그 주어가 전형적으로 인물, 대화 상대자를 말하는 그것이기에, 오직 이 경우에만 그 동사가 1인칭과 2인칭으로 격변화한다; 다른 모든 존재사적 유형은 오직 3인칭 형식으로만 등장한다. 덧붙여, einai는 유형1의 경우 여느 일반 명사와 같이 시간과 장소 부사를 취한다. 그럼 어째서 우리는 이 유형을 존재사적이라 칭하는가? 그런 문장에서 그 동사가 exists 혹은 there is로조차 번역되지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계사와 구별되는 것으로서 존재 동사 εἰμί의 예시들 가운데 L.S.J에 첫 번째로 기재되는 용법이다. 여타 권위자들도 그것을 유사하게 취급한다. 그 설명은 einai가 일단 여느 일상 동사와 마찬가지로 구체적인 의미를 가졌다는 보편적인 가정 안에 놓인다. 유형1 용법들은 그런 본래 의미가 무엇이었을는지에 대한 가장 강력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나의 유형2와 유형3으로 분류되는 존재사적 문장들은 구문론적 관점에서 유사하게 불순하다. "There is a city Ephyre in the corner of Argos". 모든 einai의 계사 용법들이 이러한 것들로, 통상 처소격이나, "there is"라는 번역에 의해 측정되는 한정된 존재사적 함축을 가진다. 만일 우리가 그리스어에서 이런 존재사적 어감에 부합하는 것이 무엇인지 묻는다면, 그 동사의 구문에서 아무런 대답도 발견할 수 없다. (언제나 그런 것은 아니지만) 종종 그 계사는 첫 번째 자리에 등장한다. 그리스어 단어 배열은 자유롭기에, 첫 자리를 통해 부여되는 강조는 문법적이라기 보다는 차라리 수사적인 의미에 속한다. 나는, 계사 동사 자체가 그 (언어외적인) 주어의 실재성을 시사하기에, 그 동사의 이러한 그 동사의 내포된 존재사적 영향력은 바로 첫 번째 자리에 의해 이끌려 나오는 것이라 제안했다.
  책에 인용되는 사례들은 유형2 문장이 일반적으로 추가 서술에 대한 주어로서의 인물이거나 혹은 이어지는 묘사에 대한 지시의 지점으로서 지형상의 항목이다. 그런 문장들에서 그 동사의 존재사적 영향력은 문장에 문법적 주어를 도입시키는 수사적 기능과 관련되지만, 그 동사는 이 일을 정확히 부합하는 의미론적 주어를 위치시킴으로써, 즉, 뒤따르는 서술에 관련있을 인물이나 장소를 위치시킴으로써 행한다. 따라서 그 동사의 기저에 놓이는 처소격-존재사적 가치 ("is present somewhere")는 상관된 담론의 영역에 그 주어를 도입시키거나 "위치"시키는 수사적 행위에 의해 강조된다. 나는 그 동사에 관하여 수사적 강조에 의해 강조된 이러한 의미론적 함축들이, 우리가 그 동사의 주어에 대한 현존의 단언으로 지각하는 것이라 제안한다. 하지만 강조된다 하더라도 이 단언은 처소격 서술 내에 내포되기에, 우리는 존재사적 유형2에서 그 동사의 [22쪽] 의미론적(이차적) 용법을 적절하게 갖지 못한다. 우리가 가지는 것은 일차 계사의 수사적으로 의도된 용법이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