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피스트』 강독 8월 재개. 『필레보스』 강독 정상 진행. 『테아이테토스』 강독 7월 시작. 

   논문 중앙도서관 제출 전 수정 작업 7월 말까지.

   유학? 수료 후? 옥스포드의 루카씨도 제네바의 크레빌리씨도 오하이오의 실버만씨도 모두 안녕들 하신지요? 여러분들께서는 플라톤의 진리론과 논리적 규칙들에 대한 체계화 작업에 관심이 있으실까요?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로티노스와 스토아와 에피쿠로스와 아카데미아 회의주의라는 여러 갈래로 분기하는 파르메니데스와 제논의 논리학에 대한 직관과 통찰은 문헌근거를 통해 구체화될 수 있는 것일까요? 이 흐름 안에서 형상의 자기술어화는 해명되고 또 정당화될 수 있는 것일는지요? 별 하나에 그리운 이름 하나씩 불러보면 멀리 북간도에서 아싸삐리뽕. 닝기미니주가리씨빠빠 어디의 누구한테 뭘 하러 왜 가야 하는지가 나와야 가든지 말든지 하겠으나, 그런 게 나온다고 내가 그냥 막 그냥 아주 그냥 갈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제기난장맞을 거. 사는 내내 스스로 또 남들을 통해 검증받고 검토받고 시험당하지 않고는 이 삶이 정말로 살 가치가 있는 것인지 그 의심을 도무지 떨칠 수가 없을 것 같고, 다만 바라는 거라곤 그것뿐이라 또 막상 뭐 그리 대단하게 두렵거나 불안할 것도 없고 마음이 조급해질 건덕지도 없는 것 아닌가 싶기도 하다만, 모르겠네. 허접찌끄래기개쓰레기마냥 나뒹굴다 어디 나자빠져 뒈지기밖에 더 하겠나.

2. 여전히 울분에 가득 차 있건만 이젠 차마 면목이 없고 더 팔아먹을 쪽조차 남질 않아서 타고 남은 쭉정이마냥 허부적거리기만 한다. 여전히, 여전히 이해할 수 없고 공감이 가질 않고 화가 날 따름이다. 어떻게 그렇게까지 게으르고 또 부끄러움을 모르면서도 허영과 자만을 이 악물고 붙들고 늘어지며 놓지 않을 수가 있는가. 누군가는 외롭게 늙으면 다들 그런다고도 하더만, 글쎄, 젊거나 어리다고 뭐 딱히 대단하게 다를 것도 없지 않나. 남의 생각을 차분히 이해할 노력도 하기 싫고 제 생각을 차근차근 면밀히 따지고 쌓아 이해시키고 설득시키려는 노력 또한 하기 싫은 거라면 대체 왜 학문씩이나 한답시고 개꼬장을 피워대는 건가.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그래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고 그리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미안했으며 이 혐오와 좌절과 간절함 같은 것이 공감을 얻을 수 있을 거란 막연한 기대마저 가졌더랬다. 그러나 갈수록 모르겠는 거다. 애초에 생각하는 일 자체가 귀찮은 족속들에게, 실로 생각할 능력이 돼먹질 못한 시정잡배개쓰레기시궁창버러지 따위인 나란 새끼는 지들과 아무런 차이도 없는 새끼로 보일 텐데, 니나내나 도긴개긴인 마당에 악다구니쓰며 지랄쌩쇼에 매진하는 내가 또 얼마나 우스울 것인가. 결과만 놓고 보자면 다 마찬가지일 테니, 있는 대가릴 굴리지 않는 새끼들과 없는 대가릴 굴리겠다고 아등바등하는 내가 다 함께 어우러져 씹창을 낼 따름이랄까. 무슨 말을 더 하겠나. 백마 타고 오는 초인이 외줄 타는 난장이를 뛰어넘었다가 능지처참을 당하려나. 

3. 어떤 팟캐스트에서 에우다이모니아를 갖고 개소리를 한다. 개소리를 하긴 하는데, 그냥 단어 번역이 개판이란 것이고 어쨌든 고대에는 행복이 객관적인 어떤 것이었다더라, 그런데 요즘은 주관적인 만족 같은 뭐 그런 거더라, 그런데 행복에 지표를 두고 조사를 돌려 국가간에 순위를 매기더라, 뭐 그러고 넘어가더라. 그깟 거 틀려 봤자 별 상관 없는 거다. 그냥 잔가지, 곁가지, 없어도 되는 말. 덕윤리니 객관적 목록이론이니 논문거리야 많겠다만, 저 방송에서 하려던 말이 그건 아니었던 거고, 그냥 듣고 있자니 허망해지더라. 통계가 있고 항목이 있고 조사의 대상과 방법으로부터 결과에 이르는 과정에 어떤 왜곡이 있고 또 그 안에서 도출되어 나오는 함의가 있고, 그런 이야기들에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의 문헌을 물고 뜯는 작업이 무슨 기여를 할 수 있으리라는 그림이랄까, 각이랄까, 뭐 와꾸랄까 그런 게 잘 안 나오는 것 같고. 진즉부터 철학이란 게 아예 없더라도 그래서 세상이 망하거나 인류가 멸종하거나 하는 일은 전혀 없으리라고 생각은 해 왔지만, 글쎄. 

4. 만일 좋음과 훌륭함과 정의에는 형상이 있는데 인간과 소에는 있는지 잘 모르겠고 먼지와 구더기와 똥오줌에는 없을 거라면, 하나 그 자체와 하나인 좋음과 하나인 인간과 하나인 구더기와 여기 있는 이 한 사람과 저기 있는 저 한 마리 구더기의 이 모든 하나들이 다 같은 하나이지도 전혀 다른 하나들이지도 않다고 해야만 한다면, 그래서 어떤 무엇이 정말로 그러한 것인지 알 수 없고 무엇이 어떠하지 않은데도 그러하다 말할 수 있는지도 알 수 없다면, 참과 앎은 어떻게 가능하고 거짓과 기만은 또 어떻게 가능하며 참과 거짓이 언제나 한결같은 경우와 때에 따라 이리저리 뒤섞이는 경우는 어떻게 구분할 수 있겠는지, 『파르메니데스』에서 『테아이테토스』와 『소피스트』로 하나의 문제에 대한 두 방향의 대답이 주어지고 있다는 그림을 그려 보고 싶고 이미 그게 그런 그림이라고 말하는 대단하신 노친네들이 없었던 것도 아니긴 한데, 모르겠네. 그걸 왜 하나, 하지 않으면 무슨 문제가 생기고 그걸 하면 뭐가 어떻게 나아지나, 그 얘기를 하는 게 나 하난가 아님 벌써 철 지난 옛 유행에 지나지 않는가, 잘 모르겠으니 읽어볼 수밖에.

5. 고대철학 하나, 현대영미형이상학 하나, 나머지 하나는 뭘 들어야 하려나. 강의 세 개에 강독 세 개, 아니, 네 갠가. 뭐 하나는 해 놓은 거 다시 보는 거고, 다른 하나는 남이 한 거 훑으면서 따라가는 거고, 또 다른 하나도 남이 하는 거 따라가면서 얘기 듣는 거고, 그렇게 치면 크게 무리랄 것도 없긴 하겠다만. 라틴어는 언제 다시 읽나. 관심분야에 한정해서 읽으려면 단편들만 수두룩 빽빽인가, 아니, 뭐 보에티우스 읽을까? 문법이랑 독해 연습이라고 생각하면 끼께로님 뵙고 싶긴 한데, 모르겠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