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Ἔστι δ᾿ ἀπὸ τῆς αὐτῆς δόξης καὶ ὁ Πρωταγόρου λόγος,

καὶ ἀνάγκη ὁμοίως αὐτοὺς ἄμφω ἢ εἶναι ἢ μὴ εἶναι· εἴτε

γὰρ τὰ δοκοῦντα πάντα ἐστὶν ἀληθῆ καὶ τὰ φαινόμενα,

ἀνάγκη εἶναι πάντα ἅμα ἀληθῆ καὶ ψευδῆ (πολλοὶ γὰρ

τἀναντία ὑπολαμβάνουσιν ἀλλήλοις, καὶ τοὺς μὴ ταὐτὰ                             10

δοξάζοντας ἑαυτοῖς διεψεῦσθαι νομίζουσιν· 

                                                          ὥστ᾿ ἀνάγκη τὸ

αὐτὸ εἶναί τε καὶ μὴ εἶναι), καὶ εἰ τοῦτ᾿ ἔστιν, ἀνάγκη τὰ

δοκοῦντα εἶναι πάντ᾿ ἀληθῆ (τὰ ἀντικείμενα γὰρ δοξάζουσιν

ἀλλήλοις οἱ διεψευσμένοι καὶ ἀληθεύοντες· εἰ οὖν ἔχει τὰ

ὄντα οὕτως, ἀληθεύσουσι πάντες). ὅτι μὲν οὖν ἀπὸ τῆς αὐτῆς                     15

εἰσὶ διανοίας ἀμφότεροι οἱ λόγοι, δῆλον· ἔστι δ᾿ οὐχ ὁ

αὐτὸς τρόπος πρὸς ἅπνατας τῆς ἐντεύξεως· οἱ μὲν γὰρ πει-

θοῦς δέονται οἱ δὲ βίας. 

                                ὅσοι μὲν γὰρ ἐκ τοῦ ἀπορῆσαι

ὑπέλαβον οὕτως, τούτων εὐΐατος ἡ ἄγνοια (οὐ γὰρ πρὸς τὸν

λόγον ἀλλὰ πρὸς τὴν διάνοιαν ἡ ἀπάντησις αὐτῶν)· ὅσοι                           20

δὲ λόγου χάριν λέγουσι, τούτων δ᾿ ἔλεγχος ἴασις τοῦ ἐν τῇ

φωνῇ λόγου καὶ τοῦ ἐν τοῖς ὀνόμασιν. 

                                                   ἐλήλυθε δὲ τοῖς δια-

ποροῦσιν αὕτη ἡ δόξα ἐκ τῶν αἰσθητῶν, ἡ μὲν τοῦ ἅμα

τὰς ἀντιφάσεις καὶ τἀναντία ὑπάρχειν ὁρῶσιν ἐκ ταὐτοῦ

γιγνόμενα τἀναντία· εἰ οὖν μὴ ἐνδέχεται γίγνεσθαι τὸ μὴ                          25

ὄν, προϋπῆρχεν ὁμοίως τὸ πρᾶγμα ἄμφω ὄν, ὥσπερ καὶ

Ἀναξαγόρας μεμῖχθαι πᾶν ἐν παντί φησι καὶ Δημόκρι-

τος· καὶ γὰρ οὗτος τὸ κενὸν καὶ τὸ πλῆρες ὁμοίως καθ᾿

ὁτιοῦν ὑπάρχειν μέρος, καίτοι τὸ μὲν ὂν τούτων εἶναι τὸ δὲ

μὴ ὄν.                                                                                            30

         πρὸς μὲν οὖν τοὺς ἐκ τούτων ὑπολαμβάνοντας ἐροῦμεν                  30

ὅτι τρόπον μέν τινα ὀρθῶς λέγουσι τρόπον δέ τινα ἀγνοοῦσιν·

τὸ γὰρ ὂν λέγεται διχῶς, ὥστ᾿ ἔστιν ὃν τρόπον ἐνδέχεται

γίγνεσθαί τι ἐκ τοῦ μὴ ὄντος, ἔστι δ᾿ ὃν οὔ, καὶ ἅμα τὸ

αὐτὸ εἶναι καὶ ὂν καὶ μὴ ὄν, ἀλλ᾿ οὐ κατὰ ταὐτὸ [ὄν]· δυ-

νάμει μὲν γὰρ ἐνδέχεται ἅμα ταὐτὸ εἶναι τὰ ἐναντία,                               35

ἐντελεχείᾳ δ᾿ οὔ. 

                       ἔτι δ᾿ ἀξιώσομεν αὐτοὺς ὑπολαμβάνειν

καὶ ἄλλην τινὰ οὐσίαν εἶναι τῶν ὄντων ᾗ οὔτε κίνησις ὑπάρ-

χει οὔτε φθορὰ οὔτε γένεσις τὸ παράπαν.

                                                      ―ὅμοιως δὲ καὶ

ἡ περὶ τὰ φαινόμενα ἀλήθεια ἐνίοις ἐκ τῶν αἰσθητῶν ἐλή-                1009b1

λυθεν. τὸ μὲν γὰρ ἀληθὲς οὐ πλήθει κρίνεσθαι οἴονται

προσήκειν οὐδὲ ὀλιγότητι, τὸ δ᾿ αὐτὸ τοῖς μὲν γλυκὺ γευο-

μένοις δοκεῖν εἶναι τοῖς δὲ πικρόν, ὥστ᾿ εἰ πάντες ἔκαμνον

ἢ πάντες παρεφρόνουν, δύο δ᾿ ἢ τρεῖς ὑγίαινον ἢ νοῦν εἶχον,                   5

δοκεῖν ἂν τούτους κάμνειν καὶ παραφρονεῖν τοὺς δ᾿ ἄλλους οὔ·

ἔτι δὲ καὶ πολλοῖς τῶν ἄλλων ζῴων τἀναντία [περὶ τῶν αὐτῶν]

φαίνεσθαι καὶ ἡμῖν, καὶ αὐτῷ δὲ ἑκάστῳ πρὸς αὑτὸν οὐ

ταὐτὰ κατὰ τὴν αἴσθησιν ἀεὶ δοκεῖν. 

                                                ποῖα οὖν τούτων ἀληθῆ

ἢ ψευδῆ, ἄδηλον· οὐθὲν γὰρ μᾶλλον τάδε ἢ τάδε ἀληθῆ,                          10

ἀλλ᾿ ὁμοίως. διὸ Δημόκριτός γέ φησιν ἤτοι οὐθὲν εἶναι

ἀληθὲς ἢ ἡμῖν γ᾿ ἄδηλον. 

                                 ὅλως δὲ διὰ τὸ ὑπολαμβάνειν

φρόνησιν μὲν τὴν αἴσθησιν, ταύτην δ᾿ εἶναι ἀλλοίωσιν, τὸ

φαινόμενον κατὰ τὴν αἴσθησιν ἐξ ἀνάγκης ἀληθὲς εἶναί

φασιν· ἐκ τούτων γὰρ καὶ Ἐμπεδοκλῆς καὶ Δημόκριτος                           15

καὶ τῶν ἄλλων ὡς ἔπος εἰπεῖν ἕκαστος τοιαύταις δόξαις

γεγένηνται ἔνοχοι. καὶ γὰρ Ἐμπεδοκλῆς μεταβάλλοντας

τὴν ἕξιν μεταβάλλειν φησὶ τὴν φρόνησιν· "πρὸς παρεὸν

γὰρ μῆτις ἐναύξεται ἀνθρώποισιν." καὶ ἐν ἑτέροις δὲ λέγει

ὅτι "ὅσσον <δ᾿> ἀλλοῖοι μετέφυν, τόσον ἄρ σφισιν αἰεὶ | καὶ τὸ                20

φρονεῖν ἀλλοῖα παρίστατο". 

                                      καὶ Παρμενίδης δὲ ἀποφαίνε-

ται τὸν αὐτὸν τρόπον· "ὡς γὰρ ἑκάστοτ᾿ ἔχει κρᾶσιν με-

λέων πολυκάμπτων, | τὼς νόος ἀνθρώποισι παρίσταται· τὸ

γὰρ αὐτὸ | ἔστιν ὅπερ φρονέει, μελέων φύσις ἀνθρώποισιν |

καὶ πᾶσιν καὶ παντί· τὸ γὰρ πλέον ἐστὶ νόημα·" Ἀνα-                              25

ξαγόρου δὲ καὶ ἀπόφθεγμα μνημονεύεται πρὸς τῶν ἑταί-

ρων τινάς, ὅτι τοιαῦτ᾿ αὐτοῖς ἔσται τὰ ὄντα οἷα ἂν ὑπολά-

βωσιν. 

          φασὶ δὲ καὶ τὸν Ὅμηρον ταύτην ἔχοντα φαίνε-

σθαι τὴν δόξαν, ὅτι ἐποίησε τὸν Ἕκτορα, ὡς ἐξέστη ὑπὸ

τῆς πληγῆς, κεῖσθαι ἀλλοφρονέοντα, ὡς φρονοῦντας μὲν                         30

καὶ τοὺς παραφρονοῦντας ἀλλ᾿ οὐ ταὐτά. δῆλον οὖν ὅτι, εἰ

ἀμφότεραι φρονήσεις, καὶ τὰ ὄντα ἅμα οὕτω τε καὶ οὐχ

οὕτως ἔχει. 

                ᾗ καὶ χαλεπώτατον τὸ συμβαῖνόν ἐστιν· εἰ

γὰρ οἱ μάλιστα τὸ ἐνδεχόμενον ἀληθὲς ἑωρακότες―οὗτοι

δ᾿ εἰσὶν οἱ μάλιστα ζητοῦντες αὐτὸ καὶ φιλοῦντες―οὗτοι τοι-                   35

αύτας ἔχουσι τὰς δόξας καὶ ταῦτα ἀποφαίνονται περὶ

τῆς ἀληθείας, πῶς οὐκ ἄξιον ἀθυμῆσαι τοὺς φιλοσοφεῖν

ἐγχειροῦντας; τὸ γὰρ τὰ πετόμενα διώκειν τὸ ζητεῖν ἂν

εἴη τὴν ἀλήθειαν.                                                                    1010a1

                       ―αἴτιον δὲ τῆς δόξης τούτοις ὅτι περὶ τῶν            1010a1

ὄντων μὲν τὴν ἀλήθειαν ἐσκόπουν, τὰ δ᾿ ὄντα ὑπέλαβον

εἶναι τὰ αἰσθητὰ μόνον· ἐν δὲ τούτοις πολλὴ ἡ τοῦ ἀορίστου

φύσις ἐνυπάρχει καὶ ἡ τοῦ ὄντος οὕτως ὥσπερ εἴπομεν·

διὸ εἰκότως μὲν λέγουσιν, οὐκ ἀληθῆ δὲ λέγουσιν (οὕτω γὰρ                    5

ἁρμόττει μᾶλλον εἰπεῖν ἢ ὥσπερ Ἐπίχαρμος εἰς Ξενοφά-

νην). 

       ἔτι δὲ πᾶσαν ὁρῶντες ταύτην κινουμένην τὴν φύσιν,

κατὰ δὲ τοῦ μεταβάλλοντος οὐθὲν ἀληθευόμενον, περί γε

τὸ πάντῃ πάντως μεταβάλλον οὐκ ἐνδέχεσθαι ἀληθεύειν.


ἐκ γὰρ ταύτης τῆς ὑπολήψεως ἐξήνθησεν ἡ ἀκροτάτη δόξα                     10

τῶν εἰρημένων, ἡ τῶν φασκόντων ἡρακλειτίζειν καὶ οἵαν

Κρατύλος εἶχεν, ὃς τὸ τελευταῖον οὐθὲν ᾤετο δεῖν λέγειν

ἀλλὰ τὸν δάκτυλον ἐκίνει μόνον, καὶ Ἡρακλείτῳ ἐπετίμα

εἰπόντι ὅτι δὶς τῷ αὐτῷ ποταμῷ οὐκ ἔστιν ἐμβῆναι· αὐτὸς

γὰρ ᾤετο οὐδ᾿ ἅπαξ.                                                                       15

                            ἡμεῖς δὲ καὶ πρὸς τοῦτον τὸν λόγον                       15

ἐροῦμεν ὅτι τὸ μὲν μεταβάλλον ὅτε μεταβάλλει ἔχει τινὰ

αὐτοῖς λόγον μὴ οἴεσθαι εἶναι, καίτοι ἔστι γε ἀμφισ-

βητήσιμον· τό τε γὰρ ἀποβάλλον ἔχει τι τοῦ ἀποβαλ-

λομένου, καὶ τοῦ γιγνομένου ἤδη ἀνάγκη τι εἶναι, ὅλως

τε εἰ φθείρεται, ὑπάρξει τι ὄν, καὶ εἰ γίγνεται, ἐξ οὗ                               20

γίγνεται καὶ ὑφ᾿ οὗ γεννᾶται ἀναγκαῖον εἶναι, καὶ τοῦτο

μὴ ἰέναι εἰς ἄπειρον. 

                           ἀλλὰ ταῦτα παρέντες ἐκεῖνα λέγω-

μεν, ὅτι οὐ ταὐτό ἐστι τὸ μεταβάλλειν κατὰ τὸ ποσὸν

καὶ κατὰ τὸ ποιόν· κατὰ μὲν οὖν τὸ ποσὸν ἔστω μὴ μένον,

ἀλλὰ κατὰ τὸ εἶδος ἅπαντα γιγνώσκομεν.                                            25

                                                       ἔτι δ᾿ ἄξιον                            25

ἐπιτιμῆσαι τοῖς οὕτως ὑπολαμβάνουσιν, ὅτι καὶ αὐτῶν τῶν

αἰσθητῶν ἐπὶ τῶν ἐλαττόνων τὸν ἀριθμὸν ἰδόντες οὕτως

ἔχοντα περὶ ὅλου τοῦ οὐρανοῦ ὁμοίως ἀπεφήναντο· ὁ γὰρ

περὶ ἡμᾶς τοῦ αἰσθητοῦ τόπος ἐν φθορᾷ καὶ γενέσει διατε-

λεῖ μόνος ὤν, ἀλλ᾿ οὗτος οὐθὲν ὡς εἰπεῖν μόριον τοῦ παντός                   30

ἐστιν, ὥστε δικαιότερον ἂν δι᾿ ἐκεῖνα τούτων ἀπεψηφίσαντο

ἢ διὰ ταῦτα ἐκείνων κατεψηφίσαντο. 

                                                  ἔτι δὲ δῆλον ὅτι

καὶ πρὸς τούτους ταὐτὰ τοῖς πάλαι λεχθεῖσιν ἐροῦμεν· ὅτι

γὰρ ἔστιν ἀκίνητός τις φύσις δεικτέον αὐτοῖς καὶ πειστέον

αὐτούς. καίτοι γε συμβαίνει τοῖς ἅμα φάσκουσιν εἶναι                           35

καὶ μὴ εἶναι ἠρεμεῖν μᾶλλον φάναι πάντα ἢ κινεῖσθαι·

οὐ γὰρ ἔστιν εἰς ὅ τι μεταβαλεῖ· ἅπαντα γὰρ ὑπάρχει

πᾶσιν.                                                                                1010b1

        ―περὶ δὲ τῆς ἀληθείας, ὡς οὐ πᾶν τὸ φαινόμενον                1010b1

ἀληθές, πρῶτον μὲν ὅτι οὐδ᾿ <εἰ> ἡ αἴσθησις <μὴ> ψευδὴς τοῦ

γε ἰδίου ἐστίν, ἀλλ᾿ ἡ φαντασία οὐ ταὐτὸν τῇ αἰσθήσει. εἶτ᾿

ἄξιον θαυμάσαι εἰ τοῦτ᾿ ἀποροῦσι, πότερον τηλικαῦτά ἐστι

τὰ μεγέθη καὶ τὰ χρώματα τοιαῦτα οἷα τοῖς ἄπωθεν φαί-                     5

νεται ἢ οἷα τοῖς ἐγγύθεν, καὶ πότερον οἷα τοῖς ὑγιαίνουσιν

ἢ οἷα τοῖς κάμνουσιν, καὶ βαρύτερα πότερον ἃ τοῖς ἀσθε-

νοῦσιν ἢ ἃ τοῖς ἰσχύουσιν, καὶ ἀληθῆ πότερον ἃ τοῖς κα-

θεύδουσιν ἢ ἃ ἐγρηγορόσιν. 

                                     ὅτι μὲν γὰρ οὐκ οἴονταί

γε, φανερόν· οὐθεὶς γοῦν, ἐὰν ὑπολάβῃ νύκτωρ Ἀθήνῃσιν                     10

εἶναι ὢν ἐν Λιβύῃ, πορεύεται εἰς τὸ ᾠδεῖον. ἔτι δὲ περὶ

τοῦ μέλλοντος, ὥσπερ καὶ Πλάτων λέγει, οὐ δήπου ὁμοίως

κυρία ἡ τοῦ ἰατροῦ δόξα καὶ ἡ τοῦ ἀγνοοῦντος, οἷον περὶ τοῦ

μέλλοντος ἔσεσθαι ὑγιοῦς ἢ μὴ μέλλοντος. 

                                                        ἔτι δὲ ἐπ᾿ αὐ-

τῶν τῶν αἰσθήσεων οὐχ ὁμοίως κυρία ἡ τοῦ ἀλλοτρίου καὶ                  15

ἰδίου ἢ τοῦ πλησίον καὶ τοῦ αὑτῆς, ἀλλὰ περὶ μὲν χρώ-

ματος ὄψις, οὐ γεῦσις, περὶ δὲ χυμοῦ γεῦσις, οὐκ ὄψις·

ὧν ἑκάστη ἐν τῷ αὐτῷ χρόνῳ περὶ τὸ αὐτὸ οὐδέποτε φη-

σιν ἅμα οὕτω καὶ οὐχ οὕτως ἔχειν. 

                                               ἀλλ᾿ οὐδὲ ἐν ἑτέρῳ

χρόνῳ περί γε τὸ πάθος ἠμφισβήτησεν, ἀλλὰ περὶ τὸ ᾧ                        20

συμβέβηκε τὸ πάθος. λέγω δ᾿ οἷον ὁ μὲν αὐτὸς οἶνος δό-

ξειεν ἂν ἢ μεταβαλὼν ἢ τοῦ σώματος μεταβαλόντος ὁτὲ

μὲν εἶναι γλυκὺς ὁτὲ δὲ οὐ γλυκύς· ἀλλ᾿ οὐ τό γε γλυκύ,

οἷόν ἐστιν ὅταν ᾖ, οὐδεπώποτε μετέβαλεν, ἀλλ᾿ ἀεὶ ἀλη-

θεύει περὶ αὐτοῦ, καὶ ἔστιν ἐξ ἀνάγκης τὸ ἐσόμενον γλυκὺ                    25

τοιοῦτον. 

             καίτοι τοῦτο ἀναιροῦσιν οὗτοι οἱ λόγοι ἅπαντες,

ὥσπερ καὶ οὐσίαν μὴ εἶναι μηθενός, οὕτω μηδ᾿ ἐξ ἀνάγκης

μηθέν· τὸ γὰρ ἀναγκαῖον οὐκ ἐνδέχεται ἄλλως καὶ ἄλλως

ἔχειν, ὥστ᾿ εἴ τι ἔστιν ἐξ ἀνάγκης, οὐχ ἕξει οὕτω τε καὶ

οὐχ οὕτως.                                                                                 30

               ―ὅλως τ᾿ εἴπερ ἔστι τὸ αἰσθητὸν μόνον, οὐθὲν ἂν               30

εἴη μὴ ὄντων τῶν ἐμψύχων· αἴσθησις γὰρ οὐκ ἂν εἴη. τὸ

μὲν οὖν μήτε τὰ αἰσθητὰ εἶναι μήτε τὰ αἰσθήματα ἴσως

ἀληθές (τοῦ γὰρ αἰσθανομένου πάθος τοῦτό ἐστι), τὸ δὲ τὰ

ὑποκείμενα μὴ εἶναι, ἃ ποιεῖ τὴν αἴσθησιν, καὶ ἄνευ αἰ-

σθήσεως, ἀδύνατον.                                                                     35

                           οὐ γὰρ δὴ ἥ γ᾿ αἴσθησις αὐτὴ ἑαυτῆς                    35

ἐστίν, ἀλλ᾿ ἔστι τι καὶ ἕτερον παρὰ τὴν αἴσθησιν, ὃ ἀνάγκη

πρότερον εἶναι τῆς αἰσθήσεως· τὸ γὰρ κινοῦν τοῦ κινουμένου

φύσει πρότερόν ἐστι, κἂν εἰ λέγεται πρὸς ἄλληλα ταῦτα,              1011a1

οὐθὲν ἧττον.



-작성중-


                                                                   ―ἔτι

ἤτοι περὶ ἅπαντα οὕτως ἔχει, καὶ ἔστι καὶ λευκὸν καὶ οὐ

λευκὸν καὶ ὂν καὶ οὐκ ὄν, καὶ περὶ τὰς ἄλλας φάσεις καὶ

ἀποφάσεις ὁμοιοτρόπως, ἢ οὒ ἀλλὰ περὶ μέν τινας, περί                           10

τινας δ᾿ οὔ. 

                                                                  ―또한

통틀어 모든 것들에 관련하여 그런 상태이고, 흰 것으로도

비-흰 것으로도 있는 것으로도 있지 않은 것으로도 있거니와,

여타의 주장들과 또한 부정주장들에 관련하여서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그러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고 오히려 어떤 주장들에

관련하여서는 그렇지만, 또 어떤 주장들에 관련하여서는 그렇지

않다.

                καὶ εἰ μὲν μὴ περὶ πάσας, οὗται ἂν εἶεν

ὁμολογούμεναι· εἰ δὲ περὶ πάσας, πάλιν ἤτοι καθ᾿ ὅσων τὸ

φῆσαι καὶ ἀποφῆσαι καὶ καθ᾿ ὅσων ἀποφῆσαι καὶ φῆσαι,

ἢ κατὰ μὲν ὧν φῆσαι καὶ ἀποφῆσαι, καθ᾿ ὅσων δὲ ἀπο-

φῆσαι οὐ πάντων φῆσαι.                                                                   15

      그리고 만일 한편으로 모든 주장에 관련하여 그렇지는

않다면, 이러한 주장들은 합치되는 것들로 있을 것이다. 그런데

만일 모든 주장들에 관련하여 그렇다면, 다시 주장된 것들에 대해 

부정도 할 수 있을 것이고 부정된 것들에 대해서도 주장할 수도

있을 것이거나, 아니면 주장된 것들에 대해서는 부정도 할 수

있을 것이지만, 부정된 것들에 대해서든 그 모든 것들에 대해

주장할 수는 없을 것이다.

                                  καὶ εἰ μὲν οὕτως, εἴη ἄν τι πα-

γίως οὐκ ὄν, καὶ αὕτη βεβαία δόξα, καὶ εἰ τὸ μὴ εἶναι

βέβαιόν τι καὶ γνώριμον, γνωριμωτέρα ἂν εἴη ἡ φά-

σις ἡ ἀντικειμένη· εἰ δὲ ὁμοίως καὶ ὅσα ἀποφῆσαι φά-

ναι, ἀνάγκη ἤτοι ἀληθὲς διαιροῦντα λέγειν, οἷον ὅτι

λευκὸν καὶ πάλιν ὅτι οὐ λευκόν, ἢ οὔ.                                                   20

                                  그런데 만일 사정이 그러하다면,

어떤 것이 확고하게 있지 않은 것으로 있을 것이고, 그래서

이러한 것이 확고한 판단으로 있을 것이며, 그래서 만일

있지 않다는 것이 무언가 확고하고도 알려지는 것이라면,

그에 대립되는 주장이 보다 더 잘 알려지는 것으로 있을

터이다. 그런데 만일 부정들도 또한 마찬가지로 주장할

수 있다면, 참을 분할하여 말하는 일이 필연적이어서,

예를 들어 흰 것이라고 말하고 다시 비-흰 것이라고

말하는 게 필연적이거나, 아니면 그렇지 않을 것이다.

                                                 καὶ εἰ μὲν

μὴ ἀληθὲς διαιροῦντα λέγειν, οὐ λέγει τε ταῦτα καὶ

οὐκ ἔστιν οὐθέν (τὰ δὲ μὴ ὄντα πῶς ἂν φθέγξαιτο ἢ

βαδίσειεν;), καὶ πάντα δ᾿ ἂν εἴη ἕν, ὥσπερ καὶ πρότερον

εἴρηται, καὶ ταὐτὸν ἔσται καὶ ἄνθρωπος καὶ θεὸς καὶ τριή-

ρης καὶ αἱ ἀντιφάσεις αὐτῶν (εἰ γὰρ ὁμοίως καθ᾿ ἑκάστου,                         25

οὐδὲν διοίσει ἕτερον ἑτέρου· εἰ γὰρ διοίσει, τοῦτ᾿ ἔσται ἀληθὲς

καὶ ἴδιον)·

그래서 한편으로 만일 참을 분할하지 않고 말하는 일이

필연적이라면, 그는 이러한 것들을 말하지도 않고 아무것도

있지도 않으며 (있지 않은 것들이 어떻게 발화되거나 아니면

검증되겠는가?), 모든 것들은 하나로 있을 것이니, 마치 앞서도

이야기된 그대로, 같은 것이 인간으로도 신으로도 그리고

삼단노선으로도 있게 될 것이고 그것들에 모순되는 주장들도

있게 될 터이다 (왜냐하면 만일 각각에 대해 마찬가지로 된다면, 

서로 다른 것 사이에 아무런 차이도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만일 차이가 난다면, 이러한 것이 참이자 고유한 것으로 있을

터이다.).

             ὁμοίως δὲ καὶ εἰ διαιροῦντα ἐνδέχεται ἀληθεύειν,

συμβαίνει τὸ λεχθέν, πρὸς δὲ τούτῳ ὅτι πάντες ἂν ἀλη-

θεύοιεν καὶ πάντες ἂν ψεύδοιντο, καὶ αὐτὸς αὑτὸν ὁμο-

λογεῖ ψεύδεσθαι.                                                                              30

            그런데 만일 분할하여 참이되는 일이 허용된다 하더라도

마찬가지로, 앞서 말해진 바가 귀결되니, 이에 더하여 모든

사람들이 참될 것이고 또한 모든 사람들이 거짓될 것이며, 그는

스스로 거짓되다는 데에 동의하는 것이다.

                       ἅμα δὲ φανερὸν ὅτι περὶ οὐθενός ἐστι

πρὸς τοῦτον ἡ σκέψις· οὐθὲν γὰρ λέγει. οὔτε γὰρ οὕτως οὔτ᾿

οὐχ οὕτως λέγει, ἀλλ᾿ οὕτως τε καὶ οὐχ οὕτως· καὶ πάλιν

γε ταῦτα ἀπόφησιν ἄμφω, ὅτι οὔθ᾿ οὕτως οὔτε οὐχ οὕτως· εἰ

γὰρ μή, ἤδη ἄν τι εἴη ὡρισμένον.

                                                      그런데 이와 동시에

이러한 자를 상대로 한 검토는 아무것에 관한 것도 아닌 것으로

있다. 왜냐하면 그가 아무것도 말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는

그렇다고도 그렇지 않다고도 말하지 않으며, 오히려 그러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하다고 말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다시 이러한 것들을 둘 모두 부정하는데, 그렇지도 않고

그렇지 않지도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만일 그렇지

않다면, 이제 어떤 것이 규정된 것으로 있을 터이다.

                                           ―ἔτι εἰ ὅταν ἡ φάσις

ἀληθὴς ᾖ, ἡ ἀπόφασις ψευδής, κἂν αὕτη ἀληθὴς ᾖ, ἡ                                 35

κατάφασις ψευδής, οὐκ ἂν εἴη τὸ αὐτὸ ἅμα φάναι καὶ

ἀποφάναι ἀληθῶς. ἀλλ᾿ ἴσως φαῖεν ἂν τοῦτ᾿ εἶναι τὸ ἐξ                    1008b1

ἀρχῆς κείμενον.―

―또한 만일 주장이 참인 것으로 있을 때, 부정은 거짓으로

있다면, 이것이 참이라면, 그 부정이 거짓일 것이고, 같은

것을 동시에 참되게 주장하면서 부정할 수 없을 것이나,

오히려 그는 아마도 최초에 제기된 바가 이러한 것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ἔτι ἆρα ὁ μὲν ἢ ἔχειν πως ὑπολαμβά-

νων ἢ μὴ ἔχειν διέψευσται, ὁ δὲ ἄμφω ἀληθεύει; εἰ γὰρ

ἀληθεύει, τί ἂν εἴη τὸ λεγόμενον ὅτι τοιαύτη τῶν ὄντων ἡ

φύσις; εἰ δὲ μὴ ἀληθεύει, ἀλλὰ μᾶλλον ἀληθεύει ἢ ὁ ἐκεί-                           5

νως ὑπολαμβάνων, ἤδη πως ἔχοι ἂν τὰ ὄντα, καὶ τοῦτ᾿

ἀληθὲς ἂν εἴη, καὶ οὐχ ἅμα καὶ οὐκ ἀληθές. 

                   더욱이 혹시 어떠한 상태라고 간주하거나

그렇지 않다고 간주하는 자는 거짓될 것이지만, 양쪽 모두라

간주하는 자는 참될 것인가? 왜냐하면 만일 [둘다 받는] 그가 

참되다면, 있는 것들의 본성이 이러한 것이라는 말은 무슨

뜻이겠는가? 반면 만일 그가 참되지는 않지만, 오히려 저렇게 

[그렇거나 그렇지 않다고] 간주하는 자보다 상대적으로 더 

참되다면, 이제 있는 것들은 어떤 특정 상태론가 있을 것이고, 

이러한 것이 참으로 있을 것이며, 동시에 성립하지도 또

동시에 참이지도 않을 것이다.

                                                         εἰ δὲ ὁμοίως

ἅπνατες καὶ ψεύδονται καὶ ἀληθῆ λέγουσιν, οὔτε φθέγξα-

σθαι οὔτ᾿ εἰπεῖν τῷ τοιούτῳ ἔσται· ἅμα γὰρ ταῦτά τε καὶ

οὐ ταῦτα λέγει. εἰ δὲ μηθὲν ὑπολαμβάνει ἀλλ᾿ ὁμοίως                             10

οἴεται καὶ οὐκ οἴεται, τί ἂν διαφερόντως ἔχοι τῶν γε φυ-

τῶν; ὅθεν καὶ μάλιστα φανερόν ἐστιν ὅτι οὐδεὶς οὕτω διά-

κειται οὔτε τῶν ἄλλων οὔτε τῶν λεγόντων τὸν λόγον τοῦτον.

                                       그런데 만일 통틀어 모든 사람들이

마찬가지로 거짓되기도 하고 참을 말하기도 한다면, 이러한

사람에게는 발화한다는 일도 말한다는 일도 있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가 이것들과 또한 이것들이 아닌 것들을 동시에

말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만일 아무것도 받아들이지 않고

마찬가지로 생각하면서 생각하지 않기도 한다면, 식물과

무슨 차이가 있겠는가? 이로부터 특히 분명한 바 이런 말을

말하는 자들 중에서든 그 외의 사람들 중에서든 그 누구도 [입장을]

견지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διὰ τί γὰρ βαδίζει Μέγαράδε ἀλλ᾿ οὐχ ἡσυχάζει, οἰόμε-

νος βαδίζειν δεῖν; οὐδ᾿ εὐθέως ἕωθεν πορεύεται εἰς φρέαρ ἢ εἰς                15

φάραγγα, ἐὰν τύχῃ, ἀλλὰ φαίνεται εὐλαβούεμνος, ὡς οὐχ

ὁμοίως οἰόμενος μὴ ἀγαθὸν εἶναι τὸ ἐμπεσεῖν καὶ ἀγαθόν;

δῆλον ἄρα ὅτι τὸ μὲν βέλτιον ὑπολαμβάνει τὸ δ᾿ οὐ βέλ-

τιον. 

                                   즉, 메가라로 걸어가야 한다고 생각하는

자가, 무엇으로 인해 메가라로 걸어가고 멈추어 있지 않은가?

만일 우연이었다면, 새벽부터 곧장 우물로 또는 도랑으로 나아가지도 

않고 오히려 주의깊게 생각한 것으로 드러나지 않나? 거기에 이르는 

것이 좋지 않은 것이며 또한 좋은 것이기도 하다고 마찬가지로 

생각하지는 않았기에 말이다. 그래서 한편은 더 나은 것으로 또

다른 한편은 더 낫지 않은 것으로 간주한다는 점이 분명하다.

       εἰ δὲ τοῦτο, καὶ τὸ μὲν ἄνθρωπον τὸ δ᾿ οὐκ ἄνθρωπον

καὶ τὸ μὲν γλυκὺ τὸ δ᾿ οὐ γλυκὺ ἀνάγκη ὑπολαμβάνειν.                           20

οὐ γὰρ ἐξ ἴσου ἅπαντα ζητεῖ καὶ ὑπολαμβάνει, ὅταν οἰη-

θεὶς βέλτιον εἶναι τὸ πιεῖν ὕδωρ καὶ ἰδεῖν ἄνθρωπον εἶτα

ζητῇ αὐτά· καίτοι ἔδει γε, εἰ ταὐτὸν ἦν ὁμοίως καὶ ἄν-

θρωπος καὶ οὐκ ἄνθρωπος. 

그런데 만일 이러하다면, 한편으로는 인간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비-인간이 또 한편으로는 단 것이 또 다른 한편으로는

비-단 것이 취해진다는 것이 필연적이다. 왜냐하면 통틀어 모든

것들을 같은 정도로 추구하고 또 간주하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물을 마시는 것이나 인간을 보는 것이 더 나은 것으로 있다고

생각한 다음 그것들을 추구할 경우에는 말이다. 그렇지만, 만일

인간과 비-인간이 마찬가지로 같은 것으로 있었더라면, 적어도

그래야 했다.

                                     ἀλλ᾿ ὅπερ ἐλέχθη, οὐθεὶς ὃς οὐ

φαίνεται τὰ μὲν εὐλαβούμενος τὰ δ᾿ οὔ· ὥστε, ὡς ἔοικε,                           25

πάντες ὑπολαμβάνουσιν ἔχειν ἁπλῶς, εἰ μὴ περὶ ἅπαντα,

ἀλλὰ περὶ τὸ ἄμεινον καὶ χεῖρον. εἰ δὲ μὴ ἐπιστάμενοι

ἀλλὰ δοξάζοντες, πολὺ μᾶλλον ἐπιμελητέον ἂν εἴη τῆς

ἀληθείας, ὥσπερ καὶ νοσώδει ὄντι ἢ ὑγιεινῷ τῆς ὑγιείας·

καὶ γὰρ ὁ δοξάζων πρὸς τὸν ἐπιστάμενον οὐχ ὑγιεινῶς διά-                     30

κειται πρὸς τὴν ἀλήθειαν.

                그러나 앞서 말해진 바, 어떤 것들은 주의하고

또 어떤 것들은 주의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나는 자는 아무도

있지 않다. 그래서, 그럴 듯하기로는, 모든 이들이 단적인 상태에

있다고 간주하는데, 통틀어 모든 것들에 관련해서는 아니더라도,

그러나 더 나은 것과 더 못한 것에 관련하여 그리 간주한다.

그런데 만일 알지는 못하나 믿고 있는 자들이라면, 진리에 훨씬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만 하는 것일 터인데, 마치 병들어 있는

자의 경우에도 건강한 자보다 건강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만

하는 것처럼 그러하다. 왜냐하면 믿고 있는 자도 아는 자에 대해

진리를 상대로 건강하지 못한 상태에 처해 있기 때문이다.

                                 ―ἔτι εἰ ὅτι μάλιστα πάντα οὕτως

ἔχει καὶ οὐχ οὕτως, ἀλλὰ τό γε μᾶλλον καὶ ἧττον ἔνεστιν

ἐν τῇ φύσει τῶν ὄντων· οὐ γὰρ ἂν ὁμοίως φήσαιμεν εἶναι

τὰ δύο ἄρτια καὶ τὰ τρία, οὐδ᾿ ὁμοίως διέψευσται ὁ τὰ

τέτταρα πέντε οἰόμενος καὶ ὁ χίλια. εἰ οὖν μὴ ὁμοίως,                            35

δῆλον ὅτι ἅτερος ἧττον, ὥστε μᾶλλον ἀληθεύει. 

―또한 만일 가능한 한 최대로 모든 것들이 이러저러한 상태

또는 그렇지 않은 상태라 하더라도, 적어도 많고 적다는 것은

있는 것들의 본성 안에 들어 있다. 왜냐하면 우리가 둘이

짝수로 있다고 그리고 셋이 짝수로 있다고 마찬가지로 주장하지

못할 것이고, 넷을 다섯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천이라고

생각하는 사람과 마찬가지로 거짓되지도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만일 마찬가지이지 않다면, 다른 한쪽이 덜할 것이고, 

그래서 비교적 더 참되다는 것이 분명하다.

                                                               εἰ οὖν τὸ

μᾶλλον ἐγγύτερον, εἴη γε ἄν τι ἀληθὲς οὗ ἐγγύτερον τὸ                  1009a1

μᾶλλον ἀληθές. κἂν εἰ μὴ ἔστιν, ἀλλ᾿ ἤδη γέ τι ἔστι βε-

βαιότερον καὶ ἀληθινώτερον, καὶ τοῦ λόγου ἀπηλλαγμέ-

νοι ἂν εἴημεν τοῦ ἀκράτου καὶ κωλύοντός τι τῇ διανοίᾳ

ὁρίσαι.                                                                                         5

                                                      그러므로 더 많이

가까운 것이 있다면, 그 더 참된 것이 더 가까이에 있을

어떤 참이 있을 것이다. 또한 그런 것이 있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적어도 그리고 나서는 더 확고하고 더 참된 어떤

것이 있고, 그래서 우리는 견딜 수 없는 그리고 어떤 것을

사유로써 규정하는 일을 가로막는 주장으로부터 벗어난

자들로 있게 될 것이다.


-蟲-

Ἆρ᾿ οὖν καὶ χρόνου μετέχει τὸ ἕν, καὶ ἐστί τε καὶ γί-

γνεται νεώτερόν τε καὶ πρεσβύτερον αὐτό τε ἑαυτοῦ καὶ τῶν

ἄλλων, καὶ οὔτε νεώτερον οὔτε πρεσβύτερον οὔτε ἑαυτοῦ                  5

οὔτε τῶν ἄλλων, χρόνου μετέχον;―Πῶς;―Εἶναι μέν που

αὐτῷ ὑπάρχει, εἴπερ ἓν ἔστιν.―Ναί.―Τὸ δὲ εἶναι ἄλλο τί

ἐστιν ἢ μέθεξις οὐσίας μετὰ χρόνου τοῦ παρόντος, ὥσπερ

τὸ ἦν μετὰ τοῦ παρεληλυθότος καὶ αὖ τὸ ἔσται μετὰ τοῦ             152a

μελλοντος οὐσίας ἐστὶ κοινωνία;―Ἔστι γάρ.―Μετέχει μὲν

ἄρα χρόνου, εἴπερ καὶ τοῦ εἶναι.―Πάνυ γε.―Οὐκοῦν πορευο-

μένου τοῦ χρόνου;―Ναί.―Ἀεὶ ἄρα πρεσβύτερον γίγνεται

ἑαυτοῦ, εἴπερ προέρχεται κατὰ χρόνον.―Ἀνάγκη.                             5

그럼 혹시 하나는 시간에도 참여하고, 시간에 참여함으로써,

자신보다든 여타의 것들보다든 더 어린 것으로도 더 늙은

것으로도 있기도 또 되어가기도 하며, 또한 자신보다든 여타의

것들보다든 더 어린 것으로도 더 늙은 것으로도 있지도 않고

되어가지도 않는가?―어찌 하시는 말씀이십니까?―아마도

그것에게 있다는 것이 성립하지, 만일 정말 하나로 있다면

말일세.―네.―그런데 있다는 건 다름 아니라 현재하는 시간을

동반한 존재에의 참여이지? 있었다라는 것이 지나간 시간을 

동반한 또 이번엔 있으리라는 것이 장차의 시간을 동반한

존재에의 결합이듯 말이네.―그야 그렇죠.―그래서 시간에

참여한다네, 만일 정말로 있다는 것에도 참여한다면 말일세.―

물론입니다.―그렇다면 진행하고 있는 시간에 참여하지 않나?

―네.―그럼 항상 자신보다 더 늙은 것이 되어간다네, 만일

정말로 시간에 따라 앞으로 나아간다면 말일세.―필연이지요.

> 151e6-7: 1) If the one is one, then being belongs to it. 
               2) If the one is, then being belongs to it.

                                                                 ―Ἆρ᾿ οὖν                5

μεμνήμεθα ὅτι νεωτέρου γιγνομένου τὸ πρεσβύτερον πρεσβύ-

τερον γίγνεται;―Μεμνήμεθα.―Οὐκοῦν ἐπειδὴ πρεσβύτερον

ἑαυτοῦ γίγνεται τὸ ἕν, νεωτέρου ἂν γιγνομένου ἑαυτοῦ πρε-

σβύτερον γίγνοιτο;―Ἀνάγκη.―Γίγνεται μὲν δὴ νεώτερόν                  b

τε καὶ πρεσβύτερον αὑτοῦ οὕτω.―Ναί.―Ἔστι δὲ πρεσβύ-                //220103

τερον ἆρ᾿ οὐχ ὅταν κατὰ τὸν νῦν χρόνον ᾖ γιγνόμενον τὸν

μεταξὺ τοῦ ἦν τε καὶ ἔσται; οὐ γάρ που πορευόμενόν γε

ἐκ τοῦ ποτὲ εἰς τὸ ἔπειτα ὑπερβήσεται τὸ νῦν.―Οὐ γάρ.―                   5

                                                                  ―그러면

혹시 우리는 더 어리게 되는 것에 비해 더 늙은 것이 더 늙은

것으로 된다는 점을 기억하고 있나?―기억하고 있지요.―

그렇다면 하나는 자신보다 더 늙은 것으로 될 때, 더 어린 것이

되는 자기 자신보다 더 늙은 것으로 되지 않겠나?―필연입니다.

―그래서 되는 것으로 보자면 그런 식으로 자신보다 더 어린

것이자 더 늙은 것으로 되어가지.―네.―그런데 있기로는 혹시

있었다라는 것과 있으리라는 것의 중간인 시간 동안 생성되는

중이기에 지금이란 시간에 따라서 있을 때에는 더 늙은 것으로

있지 않나? 왜냐하면 아마 적어도 언젠가로부터 그 다음으로

나아가고 있는 한에서는 지금을 건너가지 않을 테니까.―그야

아니니까요.―

Ἆρ᾿ οὖν οὐκ ἐπίσχει τότε τοῦ γίγνεσθαι πρεσβύτερον, ἐπει-

δὰν τῷ νῦν ἐντύχῃ, καὶ οὐ γίγνεται, ἀλλ᾿ ἔστι τότ᾿ ἤδη                     c

πρεσβύτερον; προϊὸν γὰρ οὐκ ἄν ποτε ληφθείη ὑπὸ τοῦ

νῦν. τὸ γὰρ προϊὸν οὕτως ἔχει ὡς ἀμφοτέρων ἐφάπτεσθαι,

τοῦ τε νῦν καὶ τοῦ ἔπειτα, τοῦ μὲν νῦν ἀφιέμενον, τοῦ δ᾿

ἔπειτα ἐπιλαμβανόμενον, μεταξὺ ἀμφοτέρων γιγνόμενον,                   5

τοῦ τε ἔπειτα καὶ τοῦ νῦν.―Ἀληθῆ.

                 그러면 혹시 그때 더 늙은 것으로 되기를 멈추지

않나? 지금이라는 것과 마주치는 언제든 말일세. 그래서 더 늙은

것으로 되어가는 게 아니라, 그때 이미 더 늙은 것으로 있지 않나?

왜냐하면 나아가느라 지금에 의해 도무지 포착되질 않을 테니까.

나아가는 중인 것은 지금과 다음 양쪽 모두에 접촉하는 그런

상태이니 말일세. 지금에서는 떠나면서, 다음은 따라잡으면서,

양자의 사이에 생성되면서, 즉 다음과 지금 사이에 말이지.―

참으로 그렇습니다.

                                              ―Εἰ δέ γε ἀνάγκη μὴ

παρελθεῖν τὸ νῦν πᾶν τὸ γιγνόμενον, ἐπειδὰν κατὰ τοῦτο ᾖ,

ἐπίσχει ἀεὶ τοῦ γίγνεσθαι καὶ ἔστι τότε τοῦτο ὅτι ἂν τύχῃ                 d

γιγνόμενον.―Φαίνεται.―Καὶ τὸ ἓν ἄρα, ὅταν πρεσβύτερον

γιγνόμενον ἐντύχῃ τῷ νῦν, ἐπέσχεν τοῦ γίγνεσθαι καὶ ἔστι

τότε πρεσβύτερον.―Πάνυ μὲν οὖν.―Οὐκοῦν οὗπερ ἐγίγνετο

πρεσβύτερον, τούτου καὶ ἔστιν· ἐγίγνετο δὲ αὑτοῦ;―Ναί.                    5

                        ―그런가 하면 만일 생성되는 모든 것이

지금을 지나치지 못한다는 것이 필연이라면, 이것[지금]에

따라 있을 때, 생성되어가는 그런 일을 언제나 멈추고 또한 그때

마침 그것이 되어가고 있을 그러한 바의 것으로 있다네.―그렇게

보입니다.―그래서 하나 또한, 더 늙은 것으로 되어가면서 지금과

마주칠 때, 생성되기를 멈추었고 그때 더 늙은 것으로 있지.―물론

그렇긴 합니다.―그럼 [하나가] 그보다 더 늙은 것으로 되었던 바,

바로 그것보다 더 늙은 것으로 있기도 하지 않나? 그런데 [하나는]

자신보다 더 늙은 것으로 되었던 것이고?―네.

―Ἔστι δὲ τὸ πρεσβύτερον νεωτέρου πρεσβύτερον;―Ἔστιν.

―Καὶ νεώτερον ἄρα τότε αὑτοῦ ἐστι τὸ ἕν, ὅταν πρεσβύ-

τερον γιγνόμενον ἐντύχῃ τῷ νῦν.―Ἀνάγκη.―Τό γε μὴν

νῦν ἀεὶ πάρεστι τῷ ἑνὶ διὰ παντὸς τοῦ εἶναι· ἔστι γὰρ ἀεὶ                  e

νῦν ὅτανπερ ᾖ.―Πῶς γὰρ οὔ;―Ἀεὶ ἄρα ἐστί τε καὶ γίγνεται

πρεσβύτερον ἑαυτοῦ καὶ νεώτερον τὸ ἕν.―Ἔοικεν.―Πλείω δὲ

χρόνον αὐτὸ ἑαυτοῦ ἔστιν ἢ γίγνεται, ἢ τὸν ἴσον;―Τὸν ἴσον.

                                         ―그런데 더 늙은 것이란 더

어린 것보다 더 늙은 것으로 있지?―그리 있지요.―그래서 그때 

하나는 자신보다 더 어린 것으로도 있다네, 더 늙은 것으로

되어가면서 지금과 마주칠 때 말일세.―필연입니다.―물론 지금은

[하나의] 그 있다는 것 모두를 관통하여 하나에게 언제나 곁하여

있지. 그야 [하나가] 있을 그 어느 때에든 [하나는] 언제나 지금

있으니 말일세.―그야 어찌 아니겠습니까?―그래서 하나는 언제나

자신보다 더 늙은 것으로도 더 어린 것으로도 있기도 그리고 또

되어가기도 한다네.―그런 듯합니다.―그런데 그것이 자신보다 더

많은 시간 동안에 있거나 되는가, 아니면 같은 만큼의 시간 동안

그러한가?―같은 만큼의 시간 동안이요.

―Ἀλλὰ μὴν τόν γε ἴσον χρόνον ἢ γιγνόμενον ἢ ὂν τὴν                       5

αὐτὴν ἡλικίαν ἔχει.―Πῶς δ᾿ οὔ;―Τὸ δὲ τὴν αὐτὴν ἡλικίαν

ἔχον οὔτε πρεσβύτερον οὔτε νεώτερόν ἐστιν.―Οὐ γάρ.―

Τὸ ἓν ἄρα τὸν ἴσον χρόνον αὐτὸ ἑαυτῷ καὶ γιγνόμενον καὶ

ὂν οὔτε νεώτερον οὔτε πρεσβύτερον ἑαυτοῦ ἐστιν οὐδὲ γίγνε-

ται.―Οὔ μοι δοκεῖ.―Τί δέ; τῶν ἄλλων;―Οὐκ ἔχω λέγειν.                    10

                                                 ―그런가 하면 적어도

같은 만큼의 시간 동안 되어가거나 있는 중이기에 같은 연령을

지니지.―어찌 아니겠습니까?―그런데 같은 연령을 지니는

것은 더 늙은 것으로도 더 어린 것으로도 있지 않지.―그야

아니지요.―그래서 하나는 같은 시간 동안 제 자신과 같은

것으로서 생성되고 있고 또한 있는 중임으로써 자신보다 더 어린

것으로도 더 늙은 것으로도 있지도 않고 그리 되고 있지도 않다네.

―아닌 것으로 제게 여겨집니다.―그런데 어떤가? 여타의 것들에

비해서는?―저는 말씀드릴 수가 없네요.

―Τόδε γε μὴν ἔχεις λέγειν, ὅτι τὰ ἄλλα τοῦ ἑνός, εἴπερ                 153a

ἕτερά ἐστιν, ἀλλὰ μὴ ἕτερον, πλείω ἐστὶν ἑνός· ἕτερον μὲν

γὰρ ὂν ἓν ἂν ἦν, ἕτερα δὲ ὄντα πλείω ἑνός ἐστι καὶ πλῆθος

ἂν ἔχοι.―Ἔχοι γὰρ ἄν.―Πλῆθος δὲ ὂν ἀριθμοῦ πλείονος                    //220103

ἂν μετέχοι ἢ τοῦ ἑνός.―Πῶς δ᾿ οὔ;―Τί οὖν; ἀριθμοῦ                           5

φήσομεν τὰ πλείω γίγνεσθαί τε καὶ γεγονέναι πρότερον, ἢ

τὰ ἐλάττω;―Τὰ ἐλάττω.

                                                ―어쨌든 이건 자네가

말해줄 수 있다네, 하나 이외의 것들은, 만일 정말로 다른

것들이되, 허나 다른 것이지는 않다면, 하나보다 더 많이

있다는 것 말일세. 왜냐하면 다른 것으로서 있다면 하나로

있었을 테지만, 다른 것들로서 그것들이 있기에 하나보다 더

많이 있고 복수까지 지닐 테니까.―지닐 테지요.―그런데

다수로 있음으로써는 하나에 참여하는 것보다는 오히려 더

많은 수에 참여하겠지?―어찌 아니겠습니까?―그렇다면

어떠한가? 수와 관련하여 더 많은 것들이 더 먼저 되고 있거나

더 먼저 되었다고 우리가 말하겠나, 아니면 더 적은 것들이

그러하다고 그리 말하겠나?―더 적은 것들 쪽이죠.

                               ―Τὸ ὀλίγιστον ἄρα πρῶτον· τοῦτο

δ᾿ ἔστι τὸ ἕν. ἦ γάρ;―Ναί.―Πάντων ἄρα τὸ ἓν πρῶτον                     b

γέγονε τῶν ἀριθμὸν ἐχόντων· ἔχει δὲ καὶ τἆλλα πάντα

ἀριθμόν, εἴπερ ἄλλα καὶ μὴ ἄλλο ἐστίν.―Ἔχει γάρ.―

                             ―그럼 가장 적은 것이 첫 번째이지.

그런데 하나가 이런 것이고. 그렇지 않은가?―네.―그래서 수를

지니는 모든 것들 중 하나가 첫 번째로 생성되었다네. 그런데

여타의 모든 것들 역시 수를 지니지, 만일 정말로 여타의 것들로

있고 여타의 것으로 있지는 않다면 말일세.―그야 지니지요.―

> 여기에서 ἄλλα가 ἄλλα τοῦ ἑνός라면, '하나' 이외의 것은 바로

그 단수 '하나'일 수 없으므로 필연적으로 복수라는 것이

지금 논의에서 전제되어 있을 수도 있다. Cf. 149c-d. 하나 외의 것은 

하나가 아니므로 여럿이다.

Πρῶτον δέ γε οἶμαι γεγονὸς πρότερον γέγονε, τὰ δὲ ἄλλα

ὕστερον, τὰ δ᾿ ὕστερον γεγονότα νεώτερα τοῦ πρότερον                    5

γεγονότος· καὶ οὕτως ἂν εἴη τἆλλα νεώτερα τοῦ ἑνός, τὸ δὲ

ἓν πρεσβύτερον τῶν ἄλλων.―Εἴη γὰρ ἄν.

그런가 하면 나는 첫 번째로 생성된 하나가 더 먼저 생성되었다고,

그런데 여타의 것들은 더 나중에 생성되었으며, 나중에 생성된

것들은 더 먼저 생성된 것보다 더 어린 것들이라고 생각한다네.

그리고 그렇게 여타의 것들은 하나보다 더 어린 것들로 있을 테고,

반면 하나는 여타의 것들보다 더 늙은 것으로 있을 테지.―그야

그리 있을 테니까요.

 

Τί δὲ τόδε; ἆρ᾿ ἂν εἴη τὸ ἓν παρὰ φύσιν τὴν αὑτοῦ

γεγονός, ἢ ἀδύνατον;―Ἀδύνατον.―Ἀλλὰ μὴν μέρη γε ἔχον               c

ἐφάνη τὸ ἕν, εἰ δὲ μέρη, καὶ ἀρχὴν καὶ τελευτὴν καὶ μέσον.

헌데 이건 어떤가? 혹시 자신의 본성에 어긋나게 생성된

하나가 있겠는가, 아니면 그건 불가능할까?―불가능합니다.―

그런가 하면 하나는 어쨌든 부분들을 갖기는 하는 것으로 

드러났었지, 그런데 만일 부분들을 가진다면, 시작과 끝과 중간

또한 지니는 것으로 말일세.

―Ναί.―Οὐκοῦν πάντων πρῶτον ἀρχὴ γίγνεται, καὶ αὐτοῦ

τοῦ ἑνὸς καὶ ἑκάστου τῶν ἄλλων, καὶ μετὰ τὴν ἀρχὴν καὶ

τἆλλα πάντα μέχρι τοῦ τέλους;―Τί μήν;―Καὶ μὴν μόριά                      5

γε φήσομεν ταῦτ᾿ εἶναι πάντα τἆλλα τοῦ ὅλου τε καὶ ἑνός,

αὐτὸ δὲ ἐκεῖνο ἅμα τῇ τελευτῇ γεγονέναι ἕν τε καὶ ὅλον.―

                                  ―네.―그렇다면 모든 것들의 시작이

첫 번째 것으로 생성되고, 하나 자체의 시작이든 여타의

것들 각각의 시작이든 그러하며, 그래서 끝에 이르기까지의

여타 모든 것들이 시작 다음에 생성되지 않는가?―왜

아니겠습니까?―그런가 하면 우리는 이러한 여타의 모든

것들이 전체이자 하나인 것의 부분들로 있다고 주장할 걸세,

그런데 저것 자체는 끝(완결)과 동시에 하나이자 전체로서

생성되었다고 주장할 것이고.―

Φήσομεν γάρ.―Τελευτὴ δέ γε οἶμαι ὕστατον γίγνεται, τούτῳ

δ᾿ ἅμα τὸ ἓν πέφυκε γίγνεσθαι· ὥστ᾿ εἴπερ ἀνάγκη αὐτὸ τὸ               d

ἓν μὴ παρὰ φύσιν γίγνεσθαι, ἅμα τελευτῇ ἂν γεγονὸς ὕστατον

ἂν τῶν ἄλλων πεφυκὸς εἴη γίγνεσθαι.―Φαίνεται.―Νεώτερον

ἄρα τῶν ἄλλων τὸ ἕν ἐστι, τὰ δ᾿ ἄλλα τοῦ ἑνὸς πρεσβύτερα.

                                       그야 우린 그리 말할 것이니까요.

―그런가 하면 나는 끝이 가장 나중에 생성된다고, 반면 하나는

본디 이것과 동시에 생성된다고 생각한다네. 그래서 만일 정말로

하나 자체가 본성에 어긋나지 않게 생성된다는 것이 필연이라면,

끝과 동시에 생성되었기에 여타의 것들에 비해 가장 나중의

것으로서 생성된다는 것이 본성적인 일일 테지.―그리 보입니다.

―그래서 하나는 여타의 것들보다 더 어린 것으로 있고, 여타의

것들은 하나보다 더 늙은 것들로 있다네.

―Οὕτως αὖ μοι φαίνεται.―Τί δὲ δή; ἀρχὴν ἢ ἄλλο μέρος                    5

ὁτιοῦν τοῦ ἑνὸς ἢ ἄλλου ὁτουοῦν, ἐάνπερ μέρος ᾖ ἀλλὰ μὴ

μέρη, οὐκ ἀναγκαῖον ἓν εἶναι, μέρος γε ὄν;―Ἀνάγκη.―

                                                   ―이번엔 또 제게

그렇게 보입니다.―헌데 그럼 어떤가? 하나에 대해서든

그 밖의 무엇에 대해서든 그 시작이든 여타 무슨 부분이든지,

그것이 만약에 부분으로는 있되 부분들로는 있지 않을 것이라면,

하나로 있음이 필연적이지 않은가? 부분으로 있는 한에서

말일세.―필연적입니다.―

Οὐκοῦν τὸ ἓν ἅμα τε τῷ πρώτῳ γιγνομένῳ γίγνοιτ᾿ ἂν καὶ

ἅμα τῷ δευτέρῳ, καὶ οὐδενὸς ἀπολείπεται τῶν ἄλλων γιγνο-             e

μένων, ὅτιπερ ἂν προσγίγνηται ὁτῳοῦν, ἕως ἂν πρὸς τὸ

ἔσχατον διελθὸν ὅλον ἓν γένηται, οὔτε μέσου οὔτε πρώτου

οὔτε ἐσχάτου οὔτε ἄλλου οὐδενὸς ἀπολειφθὲν ἐν τῇ γενέσει.―

                               그렇다면 하나는 첫 번째로 생성되는

것과 동시에 생성될 것이면서 또한 두 번째 것과 동시에 그럴

테고, 또한 여타의 생성되는 것들 중 그 무엇에서도, 그 무엇에

추가로 생성되는 그 무엇이든, 빠지지 않을 것이네, 마지막까지

가로지르는 전체인 하나가 될 때까지, 중간에도 처음에도

마지막에도 여타 무엇에도 생성에서 빠지지 않음으로써 말일세.―

Ἀληθῆ.―Πᾶσιν ἄρα τοῖς ἄλλοις τὴν αὐτὴν ἡλικίαν ἴσχει τὸ                   5

ἕν· ὥστ᾿ εἰ μὴ παρὰ φύσιν πέφυκεν αὐτὸ τὸ ἕν, οὔτε

πρότερον οὔτε ὕστερον τῶν ἄλλων γεγονὸς ἂν εἴη, ἀλλ᾿ ἅμα.

참으로 그렇습니다.―그래서 하나는 여타의 모든 것들과 같은

연령을 지녔다네. 그래서 만일 하나 자체가 본성에 어긋나게 

타고나지 않았다면, 여타의 것들보다 더 먼저도 더 나중에도

생성된 것으로 있지 않을 테고, 오히려 동시에 생성된 것으로

있겠지.

καὶ κατὰ τοῦτον τὸν λόγον τὸ ἓν τῶν ἄλλων οὔτε πρεσβύτερον    154a

οὔτε νεώτερον ἂν εἴη, οὐδὲ τἆλλα τοῦ ἑνός· κατὰ δὲ τὸν

πρόσθεν πρεσβύτερόν τε καὶ νεώτερον, καὶ τἆλλα ἐκείνου

ὡσαύτως.―Πάνυ μὲν οὖν.

         또한 이러한 논리에 따라 하나는 여타의 것들보다 더 

늙은 것으로도 더 어린 것으로도 있지 않을 테고, 여타의 것들도

하나보다 더 늙지도 더 어리지도 않을 걸세. 그런데 앞선 논리에

따라서는 [하나가 여타의 것들보다] 더 늙은 것으로도 더 어린

것으로도 있으며, 여타의 것들도 저것에 비해 마찬가지로 더

[늙게도 더 어리게도] 있지.―물론입니다.

                                  ―Ἔστι μὲν δὴ οὕτως ἔχον τε καὶ

γεγονός. ἀλλὰ τί αὖ περὶ τοῦ γίγνεσθαι αὐτὸ πρεσβύτερόν                   5

τε καὶ νεώτερον τῶν ἄλλων καὶ τἆλλα τοῦ ἑνός, καὶ μήτε

νεώτερον μήτε πρεσβύτερον γίγνεσθαι; ἆρα ὥσπερ περὶ τοῦ

εἶναι, οὕτω καὶ περὶ τοῦ γίγνεσθαι ἔχει, ἢ ἑτέρως;

                                                   ―그래서 그런 상태이자

그렇게 생성된 것으로서 있기는 하지. 허나 이번엔 그것이 여타의

것들보다 또 여타의 것들이 하나보다 더 늙은 것으로도 더 어린

것으로도 생성되는 중이라는 것, 그리고 더 어린 것으로도 더 늙은

것으로도 생성되는 중이지 않다는 것과 관련하여서는 어떤가?

혹시 있다는 것과 관련해서 그러하듯, 그렇게 생성되는 중이라는

것과 관련하여서도 그런 상태인가, 아니면 다른 상태인가?

                                                                 ―Οὐκ

ἔχω λέγειν.―Ἀλλ᾿ ἐγὼ τοσόνδε γε· εἰ καὶ ἔστιν πρεσβύτερον             b

ἕτερον ἑτέρου, γίγνεσθαί γε αὐτὸ πρεσβύτερον ἔτι ἢ ὡς τὸ

πρῶτον εὐθὺς γενόμενον διήνεγκε τῇ ἡλικίᾳ οὐκ ἂν ἔτι

δύναιτο, οὐδ᾿ αὖ τὸ νεώτερον ὂν ἔτι νεώτερον γίγνεσθαι·

ἀνίσοις γὰρ ἴσα προστιθέμενα, χρόνῳ τε καὶ ἄλλῳ ὁτῳοῦν,                   5

ἴσῳ ποιεῖ διαφέρειν ἀεὶ ὅσῳπερ ἂν τὸ πρῶτον διενέγκῃ.―

                                                                 ―말씀드릴

수가 없네요.―허나 나는 적어도 이만큼은 말해줄 수 있다네.

다른 것이 또 다른 것보다 더 늙은 것으로 있다 하더라도,

그것이 첫 번째 것으로서 곧장 생성된 것으로서 연령에서

차이가 날 그 만큼보다 훨씬 더 늙은 것으로 생성되기란 더

이상 가능하지 않을 것이고, 이번엔 더 어린 것으로 있는 것이

훨씬 더 어린 것으로 생성되기도 가능하지 않을 걸세. 왜냐하면

같지 않은 만큼의 것들에 같은 만큼의 것들이 추가됨으로써,

시간에든 여타 그 무엇에든, 처음에 차이가 얼만큼 나든지 간에

언제나 그 똑같은 만큼에서 차이가 나게 만들기 때문이지.

Πῶς γὰρ οὔ;―Οὐκ ἄρα τό γε ὂν τοῦ [ἑνὸς] ὄντος γίγνοιτ᾿

ἄν ποτε πρεσβύτερον οὐδὲ νεώτερον, εἴπερ ἴσῳ διαφέρει ἀεὶ             c

τὴν ἡλικίαν· ἀλλ᾿ ἔστι καὶ γέγονε πρεσβύτερον, τὸ δὲ

νεώτερον, γίγνεται δ᾿ οὔ.―Ἀληθῆ.―Καὶ τὸ ἓν ἄρα ὂν τῶν

ἄλλων ὄντων οὔτε πρεσβύτερόν ποτε οὔτε νεώτερον γίγνεται.

   어찌 아니겠습니까?―그래서 적어도 있는 것은 [하나로] 있는

것보다 도대체 더 늙은 것으로도 더 어린 것으로도 생성되어가는

중이지 못할 걸세, 만일 정말로 언제나 같은 정도로 연령에서

차이가 난다면 말이지. 허나 더 늙은 것으로 있기도 하고 생성된

한편, 다른 쪽은 더 어린 것으로 그러하며, 그렇게 되는 중은

아니라네.―참으로 그렇습니다.―그래서 하나로 있는 것 또한

여타의 것들로 있는 것들보다 도대체 더 늙은 것으로도 더 어린

것으로도 되어가지 않지.―                                                                       //220110

―Οὐ γὰρ οὖν.―Ὅρα δὲ εἰ τῇδε πρεσβύτερα καὶ νεώτερα                    5

γίγνεται.―Πῇ δή;―Ἧι τό τε ἓν τῶν ἄλλων ἐφάνη πρε-

σβύτερον καὶ τἆλλα τοῦ ἑνός.―Τί οὖν;―Ὅταν τὸ ἓν τῶν

ἄλλων πρεσβύτερον ᾖ, πλείω που χρόνον γέγονεν ἢ τὰ

ἄλλα.―Ναί.―Πάλιν δὴ σκόπει· ἐὰν πλέονι καὶ ἐλάττονι                     d

χρόνῳ προστιθῶμεν τὸν ἴσον χρόνον, ἆρα τῷ ἴσῳ μορίῳ

διοίσει τὸ πλέον τοῦ ἐλάττονος ἢ σμικροτέρῳ;―Σμικροτέρῳ.

―아니니까요.―헌데 이런 식으로 더 늙은 것들로 그리고 더

어린 것들로 되는 중인지 살펴보게.―실로 어떤 식으로요?―

하나도 여타의 것들보다 여타의 것들도 하나보다 더 늙은 것이

되어가는 것처럼 나타났던 그런 식으로 말일세.―그래서 뭔가요?

―하나가 여타의 것들보다 더 늙은 것으로 있을 때, 아마도

여타의 것들보다 더 많은 시간 동안 되어 왔을 걸세.―네.―

그럼 다시 검토해주게. 만일 우리가 더 많은 시간과 적은

시간에 같은 만큼의 시간을 추가한다면, 혹시 더 많은 것이

적은 것에 비해 그 같은 만큼의 몫에서 차이가 나겠는가,

아니면 더 작은 몫에서 차이가 나겠는가?―더 작은 몫에서요.

―Οὐκ ἄρα ἔσται, ὅτιπερ τὸ πρῶτον ἦν πρὸς τἆλλα ἡλικίᾳ

διαφέρον τὸ ἕν, τοῦτο καὶ εἰς τὸ ἔπειτα, ἀλλὰ ἴσον λαμβάνον               5

χρόνον τοῖς ἄλλοις ἔλαττον ἀεὶ τῇ ἡλικίᾳ διοίσει αὐτῶν ἢ

πρότερον· ἢ οὔ;―Ναί.―Οὐκοῦν τό γε ἔλαττον διαφέρον

ἡλικίᾳ πρός τι ἢ πρότερον νεώτερον γίγνοιτ᾿ ἂν ἢ ἐν τῷ                   e

πρόσθεν πρὸς ἐκεῖνα πρὸς ἃ ἦν πρεσβύτερον πρότερον;―

Νεώτερον.

              ―그럼, 최초에 여타의 것들에 대해서 하나가

연령에서 차이가 난 바로 그 몫, 이 몫이 이후까지도 있을 것이

아니고, 여타의 것들과 같은 만큼의 시간을 취하면서 언제나

연령에서 그것들과 이전보다 더 적은 차이가 나겠지. 그렇지

않은가?―네.―그렇다면 적어도 연령에서 어떤 것에 대해

이전보다 더 적게 차이가 나는 것은 이전에 그것이 그것들에

대해 더 늙은 것으로 있었던 그것들에 대해 이전 시점에서보다

더 어린 것으로 되어가지 않겠나?―더 어린 것으로 되어가겠죠.

              ―Εἰ δὲ ἐκεῖνο νεώτερον, οὐκ ἐκεῖνα αὖ τὰ ἄλλα

πρὸς τὸ ἓν πρεσβύτερα ἢ πρότερον;―Πάνυ γε.―Τὸ μὲν

νεώτερον ἄρα γεγονὸς πρεσβύτερον γίγνεται πρὸς τὸ πρό-                  5

τερον γεγονός τε καὶ πρεσβύτερον ὄν, ἔστι δὲ οὐδέποτε

πρεσβύτερον, ἀλλὰ γίγνεται ἀεὶ ἐκείνου πρεσβύτερον· ἐκεῖνο

μὲν γὰρ ἐπὶ τὸ νεώτερον ἐπιδίδωσιν, τὸ δ᾿ ἐπὶ τὸ πρεσβύ-

τερον. τὸ δ᾿ αὖ πρεσβύτερον τοῦ νεωτέρου νεώτερον γίγνεται     155a

ὡσαύτως. 

―그런데 만일 저것이 더 어린 것이 된다면, 이번엔 저 여타의

것들이 하나에 비례해서 이전보다 더 늙은 것들로 되겠는가?―

물론이죠.―그럼 더 어린 것으로 된 것은 앞서 더 늙은 것으로

된 것이자 그리 있는 것에 비해서더 늙은 것이 되어가는데, 허

결코 더 늙은 것으로 있지는 않고, 오히려 언제나 저것보다

더 늙은 것으로 되어간다네. 왜냐하면 저것은 더 어린 쪽으로

나아가고, 다른 쪽은 더 늙은 쪽으로 그리 하기 때문이지. 그런데

이번엔 같은 식으로 더 늙은 것이 더 어린 것보다 더 어린 것으로

되어간다네.

> Cf. Allen p304. Tabak p95ff. 더 늙은 것과 더 어린 것이 같은

기간을 지나면 둘 사이 나이 차이의 '비율'이 줄어든다. 이것이

더 적은 '몫'에서 차이가 난다고 표현되고 있다. 앞서 산술적

차이는 비교의 gen.이 사용된 반면 여기에서부터는 pros+acc.

형태의 표현이 사용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일 수 있다. 

e.g. 1:2에서 같은 만큼을 양쪽에 더해 2:3이 되는 경우, 둘 사이의

수적 차이인 1이 달라지는 건 아니지만, 둘 사이의 비율은 달라진다.

 

             ἰόντε γὰρ αὐτοῖν εἰς τὸ ἐναντίον τὸ ἐναντίον

ἀλλήλοιν γίγνεσθον, τὸ μὲν νεώτερον πρεσβύτερον τοῦ

πρεσβυτέρου, τὸ δὲ πρεσβύτερον νεώτερον τοῦ νεωτέρου·

γενέσθαι δὲ οὐκ ἂν οἵω τε εἴτην. εἰ γὰρ γένοιντο, οὐκ                         5

ἂν ἔτι γίγνοιντο, ἀλλ᾿ εἶεν ἄν. 

                                     왜냐하면 양자가 반대쪽으로

진행하기에 그 둘이 서로 반대로 되어가고, 더 어린 것은

더 늙은 것보다 더 늙은 것으로, 더 늙은 것은 더 어린 것보다

더 어린 것으로 되어가기 때문이라네. 그런데 그 둘이 그리

된 것으로 있을 수는 없을 테지. 왜냐하면 만일 되었더라면,

여전히 되어가진 못할 것이고, 오히려 [그것들로] 있을 테니

말일세.

                                       νῦν δὲ γίγνονται μὲν

πρεσβύτερα ἀλλήλων καὶ νεώτερα· τὸ μὲν ἓν τῶν ἄλλων

νεώτερον γίγνεται, ὅτι πρεσβύτερον ἐφάνη ὂν καὶ πρότερον

γεγονός, τὰ δὲ ἄλλα τοῦ ἑνὸς πρεσβύτερα, ὅτι ὕστερα                       b

γέγονε. 

         그런데 지금은 서로들 보다 더 늙은 것들로 그리고 더

어린 것들로 되어간다네. 하나는 여타의 것들보다 더 어린 

것이 되어가니, 더 늙은 것이자 더 먼저 생성된 것으로

드러났다는 점에서 그러하며, 여타의 것들은 하나보다 더 늙은

것들로 되어가니, 그것들이 더 나중에 생성된 것으로 되었기에 

그렇지.

          κατὰ δὲ τὸν αὐτὸν λόγον καὶ τἆλλα οὕτω πρὸς

τὸ ἓν ἴσχει, ἐπειδήπερ αὐτοῦ πρεσβύτερα ἐφάνη καὶ πρό-

τερα γεγονότα.―Φαίνεται γὰρ οὖν οὕτως.

                             헌데 같은 논리에 따라 여타의 것들도 

하나에 대해 그러한 상태이니, 그것보다 더 늙은 것들로 그리고

더 먼저 생성된 것들로 드러났기에 그렇다네.―그야 그렇게

보이니까요.

                                                        ―Οὐκοῦν ᾗ μὲν                   //220124

οὐδὲν ἕτερον ἑτέρου πρεσβύτερον γίγνεται οὐδὲ νεώτερον,                 5

κατὰ τὸ ἴσῳ ἀριθμῷ ἀλλήλων ἀεὶ διαφέρειν, οὔτε τὸ ἓν

τῶν ἄλλων πρεσβύτερον γίγνοιτ᾿ ἂν οὐδὲ νεώτερον, οὔτε

τἆλλα τοῦ ἑνός· ᾗ δὲ ἄλλῳ ἀεὶ μορίῳ διαφέρειν ἀνάγκη

τὰ πρότερα τῶν ὑστέρων γενόμενα καὶ τὰ ὕστερα τῶν                     c

προτέρων, ταύτῃ δὴ ἀνάγκη πρεσβύτερά τε καὶ νεώτερα

ἀλλήλων γίγνεσθαι τά τε ἄλλα τοῦ ἑνὸς καὶ τὸ ἓν τῶν

ἄλλων;―Πάνυ μὲν οὖν.

              ―그렇다면 언제나 같은 만큼의 수에서 서로간에

차이가 난다는 점에 따라서, 한편으로 한쪽이 다른 쪽에 비해

더 늙은 것으로도 더 어린 것으로도 되고 있지 않는 한, 하나가

여타의 것들보다 더 늙은 것으로도 더 어린 것으로도 되어가지

못하기도 할 것이고, 여타의 것들도 하나에 비해 그렇지 못할

게 아닌가? 반면에 매번 달라지는 몫으로 더 먼저 생성되는

것들이 더 나중의 것들에 비해 또 더 나중의 것들이 더 먼저인

것들에 비해 차이가 난다는 게 필연적인 한에서는, 실로 이 

점에서 여타의 것들도 하나와 또 하나도 여타의 것들과 서로에 

비해 더 늙은 것들이자 또한 더 어린 것들로 되어간다는 것이

필연적이지 않나?―물론입니다.

 

                              ―Κατὰ δὴ πάντα ταῦτα τὸ ἓν αὐτό

τε αὑτοῦ καὶ τῶν ἄλλων πρεσβύτερον καὶ νεώτερον ἔστι                    5

τε καὶ γίγνεται, καὶ οὔτε πρεσβύτερον οὔτε νεώτερον οὔτ᾿

ἔστιν οὔτε γίγνεται οὔτε αὑτοῦ οὔτε τῶν ἄλλων.―Παν-

τελῶς μὲν οὖν.―Ἐπειδὴ δὲ χρόνου μετέχει τὸ ἓν καὶ τοῦ

πρεσβύτερόν τε καὶ νεώτερον γίγνεσθαι, ἆρ᾿ οὐκ ἀνάγκη καὶ             d

τοῦ ποτὲ μετέχειν καὶ τοῦ ἔπειτα καὶ τοῦ νῦν, εἴπερ χρόνου

μετέχει;―Ἀνάγκη.

―그래서 이러한 모든 점들에 따라 하나는 그 자신에 비해서도 

여타의 것들에 비해서도 더 늙은 것으로도 더 어린 것으로도 

있기도 하고 되기도 하며, 자신보다도 여타의 것들보다도 더 

늙은 것으로도 더 어린 것으로도 있지도 되지도 않기도 하다네.

―전적으로 그렇습니다.―그런데 하나는 시간에 참여하고 더

늙은 것으로도 더 어린 것으로도 되는 데에도 참여하기에, 

혹시 한때라는 것 그리고 이후라는 것과 지금이라는 것에도 

참여함이 필연적이지 않은가? 만일 정말로 시간에 참여한다면

말이지.―필연적이죠.

                       ―Ἦν ἄρα τὸ ἓν καὶ ἔστι καὶ ἔσται καὶ

ἐγίγνετο καὶ γίγνεται καὶ γενήσεται.―Τί μήν;―Καὶ εἴη ἄν

τι ἐκείνῳ καὶ ἐκείνου, καὶ ἦν καὶ ἔστιν καὶ ἔσται.―Πάνυ                      5

γε.―Καὶ ἐπιστήμη δὴ εἴη ἂν αὐτοῦ καὶ δόξα καὶ αἴσθησις,

εἴπερ καὶ νῦν ἡμεῖς περὶ αὐτοῦ πάντα ταῦτα πράττομεν.―

Ὀρθῶς λέγεις.

                          ―그래서 하나는 있었고 있으며 있을

것이고 되어가던 것이고 되며 될 것이기도 하다네.―왜

니겠습니까?―또한 뭔가가 저것에게의 것이자 저것에 대한 

것이기도 할 테고, 그렇게 있었기도 있기도 있을 것이기도

하겠지.―물론입니다.―더 나아가 그것에 대한 앎도 믿음도

지각도 그럴 걸세, 만일 정말로 지금도 우리 자신이 그것에

관련하여 이런 온갖 일들을 하고 있는 것이라면 말이지.―

맞는 말씀이십니다.

                  ―Καὶ ὄνομα δὴ καὶ λόγος ἔστιν αὐτῷ, καὶ

ὀνομάζεται καὶ λέγεται· καὶ ὅσαπερ καὶ περὶ τὰ ἄλλα τῶν                 e

τοιούτων τυγχάνει ὄντα, καὶ περὶ τὸ ἓν ἔστιν.―Παντελῶς

μὲν οὖν ἔχει οὕτως.

                          ―더 나아가 그것을 위한 이름과 말도

있으며, 명명되기도 하고 진술되기도 하지. 또한 마침 이러한

것들 중 여타의 것들에 관련하여서도 있는 그 모든 것들 역시,

하나에 관련하여서도 있다네.―전적으로 사정이 그러하지요.

 

-蟲-

Περὶ δὲ τῶν ἄλλων δαιμόνων εἰπεῖν καὶ γνῶναι τὴν γέ-

νεσιν μεῖζον ἢ καθ᾿ ἡμᾶς, πειστέον δὲ τοῖς εἰρηκόσιν ἔμ-

προσθεν, ἐκγόνοις μὲν θεῶν οὖσιν, ὡς ἔφασαν, σαφῶς δέ

που τούς γε αὑτῶν προγόνους εἰδόσιν· ἀδύνατον οὖν θεῶν

παισὶν ἀπιστεῖν, καίπερ ἄνευ τε εἰκότων καὶ ἀναγκαίων                   e

ἀποδείξεων λέγουσιν, ἀλλ᾿ ὡς οἰκεῖα φασκόντων ἀπαγγέλλειν

ἑπομένους τῷ νόμῳ πιστευτέον. οὕτως οὖν κατ᾿ ἐκείνους

ἡμῖν ἡ γένεσις περὶ τούτων τῶν θεῶν ἐχέτω καὶ λεγέσθω.

그런데 그 외의 신성한 분들에 관련하여서는 그 생성을 이야기하고

안다는 것이 우리들에 대해서 그런 것에 비하면 큰 일이고, 앞서

말씀하신 분들께 설득되어 따라야만 합니다, 그 분들의 말씀으로는,

그 분들께서 신들의 자손들로 계시는가 하면, 아마도 확실하게

그분들 자신들의 선조들을 알고 계셨다는 그 분들께 말입니다.

그러므로 신들의 자손들께 설득되어 따르지 않는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고, 설령 모상적이고도 필연적인 증명들 없이

말씀하신다 하더라도 그렇기에, 오히려 집안일을 전해주신다고

단언하시기에 우리가 관습에 따라 신뢰해야만 하는 것입니다.

그리하여 저분들에 따라 우리에게 이 신들과 관련하여 그 생성이

그런 상태이고 또 그렇게 말해진 것이라 합시다.

Γῆς τε καὶ Οὐρανοῦ παῖδες Ὠκεανός τε καὶ Τηθὺς ἐγενέ-                     5

σθην, τούτων δὲ Φόρκυς Κρόνος τε καὶ Ῥέα καὶ ὅσοι μετὰ

τούτων, ἐκ δὲ Κρόνου καὶ Ῥέας Ζεὺς Ἥρα τε καὶ πάντες               41a1

ὅσους ἴσμεν ἀδελφοὺς λεγομένους αὐτῶν, ἔτι τε τούτων

ἄλλους ἐκγόνους· ἐπεὶ δ᾿ οὖν πάντες ὅσοι τε περιπολοῦσιν

φανερῶς καὶ ὅσοι φαίνονται καθ᾿ ὅσον ἂν ἐθέλωσιν θεοὶ

γένεσιν ἔσχον, λέγει πρὸς αὐτοὺς ὁ τόδε τὸ πᾶν γεννήσας                    5

τάδε―

          가이아(대지)와 우라노스(하늘)의 자식들로 오케아노스와

테튀스 두 분께서 생성되시었고, 그분들로부터 포르퀴스와 

크로노스 그리고 레아와 이 분들의 동반자들께서, 그리고 

크로노스와 레아로부터 제우스와 헤라 그리고 그 분들의

형제들로 말해지는 분들로 우리가 알고 있는 분들께서,

더 나아가 이분들로부터 그 외의 후손들께서 생성되시었지요.

그리하여 분명하게 회전운행하는 신들과 또한 바라시는 한에서

드러나 보이시는 신들 그 모든 신들께서 생성을 지니셨기에,

그 분들을 향해 여기 이 모든 것을 낳으신 분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Θεοὶ θεῶν, ὧν ἐγὼ δημιουργὸς πατήρ τε ἔργων, δι᾿ ἐμοῦ

γενόμενα ἄλυτα ἐμοῦ γε μὴ ἐθέλοντος. τὸ μὲν οὖν δὴ

δεθὲν πᾶν λυτόν,[각주:1] τό γε μὴν καλῶς ἁρμοσθὲν καὶ ἔχον εὖ                 b

λύειν ἐθέλειν κακοῦ· δι᾿ ἃ καὶ ἐπείπερ γεγένησθε, ἀθάνατοι

μὲν οὐκ ἐστὲ οὐδ᾿ ἄλυτοι τὸ πάμπαν, οὔτι μὲν δὴ λυθή-

σεσθέ γε οὐδὲ τεύξεσθε θανάτου μοίρας, τῆς ἐμῆς βουλήσεως

μείζονος ἔτι δεσμοῦ[각주:2] καὶ κυριωτέρου λαχόντες ἐκείνων οἷς ὅτ᾿             5

ἐγίγνεσθε συνεδεῖσθε. νῦν οὖν ὃ λέγω πρὸς ὑμᾶς ἐνδεικνύ-

μενος, μάθετε. 

"신들 중의 신들이여, 나 자신이 그 작품들의 장인이자 아버지인 

신들이여, 내가 원치 않는 한 해체되지 않는 것들로 나를 통해 생성된

것들이기에, 그리하여 결속된 모든 것은 해체되는 것이지만, 물론

적어도 아름답게 조화되고 좋은 상태에 있는 것을 해체하기 바란다는

것은 악한 자에 속하느니라. 이런 점들로 인해 정녕 그대들이

생성되었기도 하였기에, 불사자들로 있지도 않고 전적으로 해체되지

않는 자들로 있지도 않지만, 실로 결코 해체되는 일도 죽음의 운명을

맞이하는 일도 없을 것이니, 그대들이 생성될 때 그로써 함께 속박되었던

그 매듭들보다 훨씬 더 거대하고 권위있는 나의 의지라는 매듭에

운명지어져 선택됨으로써 그러하다. 그리하여 이제 내가 그대들을

상대로 말하는 바를 증명하니, 배우도록 하라.

                   θνητὰ ἔτι γένη λοιπὰ τρία ἀγέννητα· τούτων

δὲ μὴ γενομένων οὐρανὸς ἀτελὴς ἔσται· τὰ γὰρ ἅπαντ᾿ ἐν

αὑτῷ γένη ζῴων οὐχ ἕξει, δεῖ δέ, εἰ μέλλει τέλεος ἱκανῶς                   c

εἶναι. δι᾿ ἐμοῦ δὲ ταῦτα γενόμενα καὶ βίου μετασχόντα                         //210224

θεοῖς ἰσάζοιτ᾿ ἄν· ἵνα οὖν θνητά τε ᾖ τό τε πᾶν τόδε ὄντως

ἅπαν ᾖ, τρέπεσθε κατὰ φύσιν ὑμεῖς ἐπὶ τὴν τῶν ζῴων δη-

μιουργίαν, μιμούμενοι τὴν ἐμὴν δύναμιν περὶ τὴν ὑμετέραν                5

γένεσιν. 

죽는 유들로서 남은 세 가지가 아직 태어나지 않은 것들이다.

한데 이것들이 생성되지 않았기에 하늘은 완성되지 않은 것으로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자신 안에 생물들의 통틀어 모든 유들을

지니지 못할 것이나, 만일 장차 족히 완성된 것으로 있으려면,

그 일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한데 그것들이 나를 통해 성성되어

생에 참여한다면 신들과 동등하게 될 것이다. 그리하여 그것들이

사멸하는 것들이도록 그리고 또한 여기 이 모든 것이 있는 그대로

통틀어 모든 것으로 있도록, 본성에 따라 그대들이 생명들의 제작을

향하도록 하라, 그대들의 생성에 관련한 나의 능력을 모방하며.

> 이 부분에서는 외적 제한 때문에 우주제작자의 책임과 무관하게

가사성이 유입되는 게 아니라, 우주제작자가 완전성을 위해 가사성을

의도적으로 도입시키고 있다. 41a8-b1, 조화로운 것의 해체를 바라는

것은 악한 자의 일이다. 그런데 가사성이 해체라면, 가사성을 의도하는

것이 가장 선한 자인 우주제작자의 일일 수 없다. 그런데 반대로 외적

제한 때문이라면, 신이 가사성을 도입시키도록 명령하는 위의 서술이

이해가 안 된다. 만일 신과 동급이 아니게 만드는 것의 이유가 휘브리스를

금지하기 위해서라면 신의 인색하지 않다는 성격과 어울리지 않는다.

           καὶ καθ᾿ ὅσον μὲν αὐτῶν ἀθανάτοις ὁμώνυμον

εἶναι προσήκει, θεῖον λεγόμενον ἡγεμονοῦν τε ἐν αὐτοῖς τῶν

ἀεὶ δίκῃ καὶ ὑμῖν ἐθελόντων ἕπεσθαι, σπείρας καὶ ὑπαρξάμενος

ἐγὼ παραδώσω· τὸ δὲ λοιπὸν ὑμεῖς, ἀθανάτῳ θνητὸν προσ-              d

υφαίνοντες, ἀπεργάζεσθε ζῷα καὶ γεννᾶτε τροφήν τε

διδόντες αὐξάνετε καὶ φθίνοντα πάλιν δέχεσθε."

       그것들의 불멸하는 것들과 같은 이름으로 있기에 어울리는

것에 한하여, 그것이 신적인 것으로서 말해지며 언제나 정의에 

그리고 그대들에 따르기를 바라는 것들 중 그것들 안에서도 

주도하도록, 내가 처음에 씨를 뿌려서 건네주리라. 남은 것은

그대들이, 가사적인 것을 불사적인 것과 서로 엮어, 생물들을

구현시키고 산출하여 양식을 주며 성장시키고 사멸하는 것들을

다시 받아들이도록 하라."

 

Ταῦτ᾿ εἶπε, καὶ πάλιν ἐπὶ τὸν πρότερον κρατῆρα, ἐν ᾧ τὴν

τοῦ παντὸς ψυχὴν κεραννὺς ἔμισγεν, τὰ τῶν πρόσθεν ὑπό-                5

λοιπα κατεχεῖτο μίσγων τρόπον μέν τινα τὸν αὐτόν, ἀκήρατα

δὲ οὐκέτι κατὰ ταὐτὰ ὡσαύτως, ἀλλὰ δεύτερα καὶ τρίτα.

이렇게 이야기하시고, 다시 앞서의 그릇, 그 안에서 모든 것의

영혼을 혼합하여 섞으신 그 그릇에, 이전의 것들 중 남은 것들을

모종의 같은 방식으로 섞으며 부으셨으며, 그러나 더 이상 뒤섞이지

않은 것들을 같은 것들에 따라 마찬가지 방식으로 그리하신 게

아니라, 두 번째 그리고 세 번째 것들을 그리 하셨습니다.

συστήσας δὲ τὸ πᾶν διεῖλεν ψυχὰς ἰσαρίθμους τοῖς ἄστροις,

ἔνειμέν θ᾿ ἑκάστην πρὸς ἕκαστον, καὶ ἐμβιβάσας ὡς ἐς                     e

ὄχημα τὴν τοῦ παντὸς φύσιν ἔδειξεν, νόμους τε τοὺς εἱμαρ-

μένους εἶπεν αὐταῖς, ὅτι γένεσις πρώτη μὲν ἔσοιτο τεταγμένη

μία πᾶσιν, ἵνα μήτις ἐλαττοῖτο ὑπ᾿ αὐτοῦ, δέοι δὲ σπαρείσας

αὐτὰς εἰς τὰ προσήκοντα ἑκάσταις ἕκαστα ὄργανα χρόνων                5

φύναι ζώων τὸ θεοσεβέστατον, διπλῆς δὲ οὔσης τῆς ἀνθρω-         42a1

πίνης φύσεως, τὸ κρεῖττον τοιοῦτον εἴη γένος ὃ καὶ ἔπειτα

κεκλήσοιτο ἀνήρ. 

그 모든 것을 구성하시고서 별들과 같은 수의 영혼들로 분할하셨고,

또한 각각의 별에 각각의 영혼을 할당하셨고, 탈 것에 태우듯

태우시어 모든 것의 본성을 증명해 보이셨는데, 그들에게 운명지어진

법률 또한 그들에게 이야기하시길, 최초의 생성은 모든 것들에게

단일한 것으로서 정해져 있을지니, 그 무엇도 그 점에서 부족함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라고, 다른 한편 각 영혼에 적합한 각각의 

시간들의 기관들을 향해 파종된 영혼들이 생물들 중에서 가장 

신의 대한 공경심을 갖춘 것으로 자라나야 할 것이며, 인간적인 

본성은 이중의 것으로 있으니, 더 강한 것이 이후에 남성이라 

불릴 그러한 유로 있을 것이라 하셨습니다.

                       ὁπότε δὴ σώμασιν ἐμφυτευθεῖεν ἐξ

ἀνάγκης, καὶ τὸ μὲν προσίοι, τὸ δ᾿ ἀπίοι τοῦ σώματος αὐτῶν,

πρῶτον μὲν αἴσθησιν ἀναγκαῖον εἴη μίαν πᾶσιν ἐκ βιαίων                  5

παθημάτων σύμφυτον γίγνεσθαι, δεύτερον δὲ ἡδονῇ καὶ λύπῃ

μεμειγμένον ἔρωτα, πρὸς δὲ τούτοις φόβον καὶ θυμὸν ὅσα

τε ἑπόμενα αὐτοῖς καὶ ὁπόσα ἐναντίως πέφυκε διεστηκότα·               b

ὧν εἰ μὲν κρατήσοιεν δίκῃ βιώσοιντο, κρατηθέντες δὲ ἀδικίᾳ.

                                       그래서 [영혼들이?] 필연을 통해

신체들에 심어질 때마다, 그리고 어떤 것은 그 영혼들의 신체에 

다가오고, 또 어떤 것은 그 신체에서 떠나갈 때마다, 우선 강제적인

겪음들로부터 모두에게 단일한 지각이 함께 태어나는 것으로서

생성되는 일이 필연적일 것이고, 두 번째로는 쾌락과 고통에

뒤섞인 애욕이, 이러한 것들 다음으로 공포와 열망 그리고

그것들에 뒤따르는 것들과 또한 본성상 반대로 떨어져 서 있게

마련인 것들까지 생성되는 일이 필연적일 것입니다. 그것들은 

영혼들이 제어한다면 정의롭게 살게 될, 반면 제어당한다면 

부정의하게 살게 될 그러한 것들이지요.

καὶ ὁ μὲν εὖ τὸν προσήκοντα χρόνον βιούς, πάλιν εἰς τὴν

τοῦ συννόμου πορευθεὶς οἴκησιν ἄστρου, βίον εὐδαίμονα καὶ

συνήθη ἕξοι, σφαλεὶς δὲ τούτων εἰς γυναικὸς φύσιν ἐν τῇ                   5

δευτέρᾳ γενέσει μεταβαλοῖ· μὴ παυόμενός τε ἐν τούτοις ἔτι               c

κακίας, τρόπον ὃν κακύνοιτο, κατὰ τὴν ὁμοιότητα τῆς τοῦ

τρόπου γενέσεως εἴς τινα τοιαύτην ἀεὶ μεταβαλοῖ θήρειον

φύσιν, ἀλλάττων τε οὐ πρότερον πόνων λήξοι, πρὶν τῇ ταὐτοῦ

καὶ ὁμοίου περιόδῳ τῇ ἐν αὑτῷ συνεπισπώμενος τὸν πολὺν                5

ὄχλον καὶ ὕστερον προσφύντα ἐκ πυρὸς καὶ ὕδατος καὶ ἀέρος

καὶ γῆς, θορυβώδη καὶ ἄλογον ὄντα, λόγῳ κρατήσας εἰς τὸ               d

τῆς πρώτης καὶ ἀρίστης ἀφίκοιτο εἶδος ἕξεως.                                    //210303

               그리고 한편으로 적절한 시간 동안 잘 사는 자는,

다시 함께 맺어진 별의 거처로 돌아가, 행복하고도 익숙한

삶을 영위할 테지만, 이런 일들에서 좌절된 자는 여성의 본성으로 

두 번째 생성에서 변화할 것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여전히 

악을 그치지 않는 자는, 그가 악화된 그 방식에서, 그 방식의 

생성과의 유사성에 따라 이런 어떤 짐승 같은 본성으로

언제나 변할 것이며, 뒤바뀌면서 더 먼저 고역을 그치지는 못할

것입니다, 자신 안의 같은 것 그리고 유사한 것의 궤도와 함께

거대한 덩어리이자 이후 불과 물과 바람과 흙을 통해 더욱 

자라나기까지 하는 것, 그 요동치는 비논리적인 것으로 있는 것을 

함께 이끌어 말로써 제압하여 처음 그 최선의 상태의 그 형상에 

도달하기 전에는 말입니다.

> 『파이돈』에서 영혼이 육체에 가까이 있다 보면 무겁고 질척거리게 되고 등등의

언급과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διαθεσμο-

θετήσας δὲ πάντα αὐτοῖς ταῦτα, ἵνα τῆς ἔπειτα εἴη κακίας

ἑκάστων ἀναίτιος, ἔσπειρεν τοὺς μὲν εἰς γῆν, τοὺς δ᾿ εἰς

σελήνην, τοὺς δ᾿ εἰς τἆλλα ὅσα ὄργανα χρόνου· τὸ δὲ μετὰ                5

τὸν σπόρον τοῖς νέοις παρέδωκεν θεοῖς σώματα πλάττειν

θνητά, τό τ᾿ ἐπίλοιπον, ὅσον ἔτι ἦν ψυχῆς ἀνθρωπίνης δέον

προσγενέσθαι,[각주:3] τοῦτο καὶ πάνθ᾿ ὅσα ἀκόλουθα ἐκείνοις ἀπερ-           e

γασαμένους ἄρχειν, καὶ κατὰ δύναμιν ὅτι κάλλιστα καὶ

ἄριστα τὸ θνητὸν διακυβερνᾶν ζῷον, ὅτι μὴ κακῶν αὐτὸ

ἑαυτῷ γίγνοιτο αἴτιον.

                                   그들에게 이러한 모든 것들을 

법령으로 세우셨으니, 그들 각자의 이후의 악에 대해 원인 아닌

분으로 계시기 위해 그리 하시고서, 어떤 자들은 대지에, 또

어떤 자들은 달에, 또 다른 자들은 시간의 기관들인 그 외의 별들에

파종하시었지요. 한데 파종 다음으로는 그 분께서 어린 신들에게

가사적인 신체들을 주조하도록 넘겨주셨고, 여전히 남아 있는 것,

인간적인 영혼에 아직 추가로 생성되어야 하는 것, 이러한 것과 또한

저것들에게 뒤따르는 모든 것들을 구현해내 지배하도록, 그리고

능력이 닿는 한 최대한 아름답고 선하게 그 가사적인 생물을 이끌어

항해해 나아가도록, 그 생물이 그 자신에게 악들의 원인이 되지 않을

그 무엇이든 그리하도록 넘겨주셨습니다.

 

Καὶ ὁ μὲν δὴ ἅπαντα ταῦτα διατάξας ἔμενεν ἐν τῷ ἑαυτοῦ                 5

κατὰ τρόπον ἤθει· μένοντος δὲ νοήσαντες οἱ παῖδες τὴν τοῦ

πατρὸς τάξιν ἐπείθοντο αὐτῇ, καὶ λαβόντες ἀθάνατον ἀρχὴν

θνητοῦ ζῴου, μιμούμενοι τὸν σφέτερον δημιουργόν, πυρὸς

καὶ γῆς ὕδατός τε καὶ ἀέρος ἀπὸ τοῦ κόσμου δανειζόμενοι

μόρια ὡς ἀποδοθησόμενα πάλιν, εἰς ταὐτὸν τὰ λαμβανόμενα         43a1

συνεκόλλων, οὐ τοῖς ἀλύτοις οἷς αὐτοὶ συνείχοντο δεσμοῖς,

ἀλλὰ διὰ σμικρότητα ἀοράτοις πυκνοῖς γόμφοις συντήκοντες,<마침표가 나을 듯.>

ἓν ἐξ ἁπάντων ἀπεργαζόμενοι σῶμα ἕκαστον, τὰς τῆς ἀθα-

νάτου ψυχῆς περιόδους ἐνέδουν εἰς ἐπίρρυτον σῶμα καὶ                   5

ἀπόρρυτον. 

그리고 나서 통틀어 이러한 모든 것들을 배치해 놓으시고서

그 분께서는 자신의 성격에 맞게 당신 자신의 익숙하신 자리에

거하셨습니다. 그런데 그 분께서 거하실 때 그 분의 자제들께서는

아버지 되시는 분의 배치를 사려하여 그 배치에 따르셨고,

가사적 생물의 불멸하는 시초를 취해, 그 분들 자신들의 장인을

모방하시며, 불과 흙 그리고 물과 바람의 부분들을 다시 반환될

것으로 생각하시며 질서로부터 빌려오시고, 그 취해진 것들을

같은 것이 되도록 접착시키셨는데, 그 분들 자신들께서 그로써

연속되신 바 그 해체되지 않는 매듭들이 아니라, 그 미세함으로 인해

보이지 않는 조밀한 못들로 접합시키시며, 통틀어 그 모든 것들로부터

각각의 단일한 신체를 구현해내시며, 불멸하는 영혼의 궤도들을

흘려들여보내고 또 흘려보내는 신체에 결속시켜 넣으셨습니다.

                αἱ δ᾿ εἰς ποταμὸν ἐνδεθεῖσαι πολὺν οὔτ᾿ ἐκρά-

τουν οὔτ᾿ ἐκρατοῦντο, βίᾳ δὲ ἐφέροντο καὶ ἔφερον, ὥστε τὸ

μὲν ὅλον κινεῖσθαι ζῷον, ἀτάκτως μὴν ὅπῃ τύχοι προϊέναι               b

καὶ ἀλόγως, τὰς ἓξ ἁπάσας κινήσεις ἔχον· εἴς τε γὰρ τὸ

πρόσθε καὶ ὄπισθεν καὶ πάλιν εἰς δεξιὰ καὶ ἀριστερὰ κάτω

τε καὶ ἄνω καὶ πάντῃ κατὰ τοὺς ἕξ τόπους πλανώμενα

προῄειν.                                                                                  5

그런데 거대한 흐름에 속박된 영혼의 궤도들은 제압하지도

제압되지도 않았으나, 강제로 운행되고 또 운행하여, 그래서

그 생물 전체는 운동하게 되었고, 불규칙하고 비논리적으로

되는대로 나아가게 되었으니, 통틀어 여섯 가지 운동들 전부를

지닌 채로 그리 하게 되었습니다. 즉 앞으로도 또 뒤로도 그리고

다시 오른편으로도 왼편으로도 그리고 아래로도 위로도 모든

방향으로 여섯 가지 장소들에 따라 방황하며 나아갔다는 것이죠.

            πολλοῦ γὰρ ὄντος τοῦ κατακλύζοντος καὶ ἀπορ-                 5

ρέοντος κύματος ὃ τὴν τροφὴν παρεῖχεν, ἔτι μείζω θόρυβον

ἀπηργάζετο τὰ τῶν προσπιπτόντων παθήματα ἑκάστοις, ὅτε

πυρὶ προσκρούσειε τὸ σῶμά τινος ἔξωθεν ἀλλοτρίῳ περι-                c

τυχὸν ἢ καὶ στερεῷ γῆς πάγῳ ὑγροῖς τε ὀλισθήμασιν ὑδάτων,

εἴτε ζάλῃ πνευμάτων ὑπὸ ἀέρος φερομένων καταληφθείη,

καὶ ὑπὸ πάντων τούτων διὰ τοῦ σώματος αἱ κινήσεις ἐπὶ

τὴν ψυχὴν φερόμεναι προσπίπτοιεν· αἳ δὴ καὶ ἔπειτα διὰ                  5

ταῦτα ἐκλήθησάν τε καὶ νῦν ἔτι αἰσθήσεις συνάπασαι κέ-

κληνται. 

왜냐하면 양분을 제공하며 쏟아져들고 또한 역류하는 파도가

거대한 것으로 있기에, 각각의 것들에게 부딪쳐오는 것들을

겪은 결과들이 훨씬 더 큰 소란을 구현해내기 때문입니다. 

무언가의 신체가 외부의 자신 이외의 불과 마주쳐 충돌할 때에나 

흙의 굳어진 입방체와 혹은 또 습한 것들로 된 미끄러운 물과

충돌할 때, 또는 바람에 의해 운행되는 숨들의 소용돌이에

사로잡힐 때, 이러한 모든 일들에 의해 신체를 통해 그 운동들이

영혼에 전해져 부딪칠 때 말이지요. 그래서 이후로도 이러한

점들로 인해 오늘날까지도 여전히 그 모든 운동들이 함께 

지각들이라 불려 왔습니다.                                             // 210317

            καὶ δὴ καὶ τότε ἐν τῷ παρόντι πλείστην καὶ

μεγίστην παρεχόμεναι κίνησιν, μετὰ τοῦ ῥέοντος ἐνδελεχῶς

ὀχετοῦ κινοῦσαι καὶ σφοδρῶς σείουσαι τὰς τῆς ψυχῆς περι-             d

όδους, τὴν μὲν ταὐτοῦ παντάπασιν ἐπέδησαν ἐναντία αὐτῇ

ῥέουσαι καὶ ἐπέσχον ἄρχουσαν καὶ ἰοῦσαν, τὴν δ᾿ αὖ θατέρου

διέσεισαν, ὥστε τὰς τοῦ διπλασίου καὶ τριπλασίου τρεῖς

ἑκατέρας ἀποστάσεις καὶ τὰς τῶν ἡμιολίων καὶ ἐπιτρίτων                  5

καὶ ἐπογδόων μεσότητας καὶ συνδέσεις, ἐπειδὴ παντελῶς

λυταὶ οὐκ ἦσαν πλὴν ὑπὸ τοῦ συνδήσαντος, πάσας μὲν

στρέψαι στροφάς, πάσας δὲ κλάσεις καὶ διαφθορὰς τῶν                  e

κύκλων ἐμποιεῖν, ὁσαχῇπερ ἦν δυνατόν, ὥστε μετ᾿ ἀλλήλων

μόγις συνεχομένας φέρεσθαι μέν, ἀλόγως δὲ φέρεσθαι, τοτὲ

μὲν ἀντίας, ἄλλοτε δὲ πλαγίας, τοτὲ δὲ ὑπτίας· 

                                   더 나아가 [지각은] 그 때 그 자리에서

가장 많고도 가장 거대한 운동을 내놓으면서, 지속적인 흐름의 관을

따라 격렬하게 영혼의 궤도들을 운동시키고 뒤흔들어서, 같은 것의

궤도 전부를 그것과 반대로 흘러 결박하였고 그 궤도가 지배하며

진행하는 것을 붙들어 세웠으며, 다른 한편 다시 다른 것의 궤도는

뒤흔들어 버려서, 2배와 3배 양편 각각 셋씩의 간격들과 1½들과 1⅓들

그리고 1⅛들이라는 중항들이자 매듭들에 있어서, 결박한 자에 의해서가

아니고는 완전히 해체되는 것들로 있지 않았기에, 그 모두를 나선형들로

회전시키는가 하면, 원들의 모든 단절(斷折)과 파괴를 만들어 넣게

되었고, 가능한 온갖 방식들로 그리 하여, 궤도들이 서로간에 가까스로 

연속되어 운행하긴 하지만, 비논리적으로 운행하게 되었고, 어떤 때엔

반대되는, 또 그 외의 경우에는 옆으로 된, 또 어느 때에는 뒤집힌 

궤도들이 운행되게 되었습니다.

                                                             οἷον ὅταν

τις ὕπτιος ἐρείσας τὴν κεφαλὴν μὲν ἐπὶ γῆς, τοὺς δὲ πόδας                 5

ἄνω προσβαλὼν ἔχῃ πρός τινι, τότε ἐν τούτῳ τῷ πάθει τοῦ

τε πάσχοντος καὶ τῶν ὁρώντων τά τε δεξιὰ ἀριστερὰ καὶ

τὰ ἀριστερὰ δεξιὰ ἑκατέροις τὰ ἑκατέρων φαντάζεται. 

                                        이를 테면 누군가 뒤집힌 자가

대지를 향해 머리를 대고서, 다리는 위로 박찬 채로 누군가를 향해

있을 경우, 그 때 이러한 상황에서 그 상태를 겪는 자에 대해서도

그를 보는 사람들에 대해서도 오른편의 것들이 왼편 것들로 또

왼편 것들도 오른 편의 것들로 양편 각각의 [사람들이 겪거나 보는]

것들이 양편 각각[의 사람들]에게 나타나게 된다는 것이지요.

                                                                       ταὐτὸν

δὴ τοῦτο καὶ τοιαῦτα ἕτερα αἱ περιφοραὶ πάσχουσαι σφοδρῶς,

ὅταν τέ τῳ τῶν ἔξωθεν τοῦ ταὐτοῦ γένους ἢ τοῦ θατέρου            44a1

περιτύχωσιν, τότε ταὐτόν τῳ καὶ θάτερόν του τἀναντία τῶν

ἀληθῶν προσαγορεύουσαι ψευδεῖς καὶ ἀνόητοι γεγόνασιν,

οὐδεμία τε ἐν αὐταῖς τότε περίοδος ἄρχουσα οὐδ᾿ ἡγεμών

ἐστιν· αἷς δ᾿ ἂν ἔξωθεν αἰσθήσεις τινὲς φερόμεναι καὶ προσ-              5

πεσοῦσαι συνεπισπάσωνται καὶ τὸ τῆς ψυχῆς ἅπαν κύτος,

τόθ᾿ αὗται κρατούμεναι κρατεῖν δοκοῦσι. καὶ διὰ δὴ ταῦτα

πάντα τὰ παθήματα νῦν κατ᾿ ἀρχάς τε ἄνους ψυχὴ γίγνεται

τὸ πρῶτον, ὅταν εἰς σῶμα ἐνδεθῇ θνητόν. 

그래서 이와 같은 일과 또한 이러한 또 다른 일들을 그 회전들이

심각하게 겪어서, 외부의 것들 중 같은 것의 유에 속한 것이든

다른 것의 유에 속한 것이든 어떤 것에 그 회전들이 마주칠 경우,

그 때 어떤 것과 같은 것 그리고 어떤 것과 다른 것을 참된 것들과

반대로 호명함으로써 거짓되고도 비지성적인 것들로 생성되고,

그 회전들 안에서도 그 어느 한 궤도도 그 때 지배하지도 주도하지도

못하는 것으로 있습니다. 그런데 그 회전들에 외부로부터 어떤

지각들이 운행되어 충돌하여서 그 영혼의 그릇 전체까지 함께

끌고 간다면, 그 때 이러한 회전들은 굴복하면서도 굴복시키는

것처럼 여겨집니다. 더욱이 이러한 모든 겪음들로 인해 오늘날

그리고 애초부터도 영혼이 처음으로 비지성적으로 생성되는데,

영혼이 가사적인 신체 안으로 속박될 때 그리 되지요. 

> κύτος가 몸일지 영혼 전체일지 논쟁이 있다. 내 해석은

영혼(회전)이 사실은 지각에 지배를 당하면서도 마치 여전히

영혼이 지각을 통제하고 있는 것처럼 여겨지는 그림.

그릇이 영혼이라면 지각과 영혼의 관계, 그릇이 몸일 경우

영혼이 지배당하는 것은 지각에 의한 것, 영혼이 지배하는 것은

몸을 상대로 한 것.

                                                        ὅταν δὲ τὸ τῆς                b

αὔξης καὶ τροφῆς ἔλαττον ἐπίῃ ῥεῦμα, πάλιν δὲ αἱ περίοδοι

λαμβανόμεναι γαλήνης τὴν ἑαυτῶν ὁδὸν ἴωσι καὶ καθιστῶνται

μᾶλλον ἐπιόντος τοῦ χρόνου, τότε ἤδη πρὸς τὸ κατὰ φύσιν

ἰόντων σχῆμα ἑκάστων τῶν κύκλων αἱ περιφοραὶ κατευθυνό-            5

μεναι, τό τε θάτερον καὶ τὸ ταὐτὸν προσαγορεύουσαι κατ᾿ 

ὀρθόν, ἔμφρονα τὸν ἔχοντα αὐτὰς γιγνόμενον ἀποτελοῦσιν.

                                                         그런데 성장을 위한

양분의 더 적은 흐름이 향해올 때, 그리고 다시 그 궤도들이 평정을

취함으로써 그들 자신들의 경로로 진행하고 시간이 흐름으로써

더욱 안정되게 자리를 지킬 때, 그 때 비로소 이제 본성에 따른

형태를 향해 각각의 원들이 나아가기에 그 회전들이 곧게 나아가게

됨으로써, 다른 것도 같은 것도 옳게 호명하여, 그 회전들을 지니는

자가 현명함을 갖춘 자로서 생성되는 일을 그 회전들이 완성해냅니다. 

ἂν μὲν οὖν δὴ καὶ συνεπιλαμβάνηταί τις ὀρθὴ τροφὴ παι-

δεύσεως, ὁλόκληρος ὑγιής τε παντελῶς, τὴν μεγίστην ἀπο-               c

φυγὼν νόσον, γίγνεται· καταμελήσας δέ, χωλὴν τοῦ βίου

διαπορευθεὶς ζωήν, ἀτελὴς καὶ ἀνόητος εἰς Ἅιδου πάλιν

ἔρχεται. ταῦτα μὲν οὖν ὕστερά ποτε γίγνεται· περὶ δὲ

τῶν νῦν προτεθέντων δεῖ διελθεῖν ἀκριβέστερον, τὰ δὲ πρὸ               5

τούτων, περὶ σωμάτων κατὰ μέρη τῆς γενέσεως καὶ περὶ

ψυχῆς, δι᾿ ἅς τε αἰτίας καὶ προνοίας γέγονε θεῶν, τοῦ μά-

λιστα εἰκότος ἀντεχομένοις, οὕτω καὶ κατὰ ταῦτα πορευομένοις       d

διεξιτέον.

그리하여 더욱이 어떤 올바른 양육이 교육을 보조하기도 한다면, 

오롯하고도 완전하게 건전한 자가 됩니다, 가장 거대한 질병을

피함으로써 말이지요. 반면에 이를 간과하면, 그의 생애 동안 

절름발이 삶을 영위하여, 불완전하고 비지성적인 자로서 하데스로

다시 돌아가게 됩니다. 그리하여 이런 일들이 이후 언젠가 일어나게

되지요. 그런데 지금 당면한 일들에 대해서는 더 엄밀하게 상술할

필요가 있고, 이것들에 앞선 것들은, 생성의 일부로서 신체들에

관련하여 그리고 영혼에 관련하여, 어떤 원인들과 또한 신들의

어떤 예지로 인해 생성되었는지, 최대로 모상적인 바를 견지하며,

그런 식으로 이러한 것들에 따라서도 진행하며 상술해야만 합니다.

 

Τὰς μὲν δὴ θείας περιόδους δύο οὔσας, τὸ τοῦ παντὸς

σχῆμα ἀπομιμησάμενοι περιφερὲς ὄν, εἰς σφαιροειδὲς σῶμα

ἐνέδησαν, τοῦτο ὃ νῦν κεφαλὴν ἐπονομάζομεν, ὃ θειότατόν               5

τέ ἐστιν καὶ τῶν ἐν ἡμῖν πάντων δεσποτοῦν· ᾧ καὶ πᾶν τὸ

σῶμα παρέδοσαν ὑπηρεσίαν αὐτῷ συναθροίσαντες θεοί, κατα-

νοήσαντες ὅτι πασῶν ὅσαι κινήσεις ἔσοιντο μετέχοι. 

그래서 둘로 있는 그 신적인 궤도들을, 신들께서 모든 것(우주)의 

그 운행하는 것으로 있는 형태를 모방해내시어, 구형의 신체에

결박해 넣으셨으니, 이것이 오늘날 우리가 머리라고 명명하는

것으로서, 가장 신적인 것으로 있거니와 우리 안의 모든 것들에

주인노릇을 하도록 있는 것이지요. 그 머리에 신체 전부도 신들께서

함께 모으시어 그것에 봉사토록 건네셨으니, 운동들로 있을 그

모든 운동들에 참여하리라 생각하셨기 때문입니다.

                                                                     ἵν᾿

οὖν μὴ κυλινδούμενον ἐπὶ γῆς ὕψη τε καὶ βάθη παντοδαπὰ

ἐχούσης ἀποροῖ τὰ μὲν ὑπερβαίνειν, ἔνθεν δὲ ἐκβαίνειν,                  e

ὄχημα αὐτῷ τοῦτο καὶ εὐπορίαν ἔδοσαν· ὅθεν δὴ μῆκος τὸ

σῶμα ἔσχεν, ἐκτατά τε κῶλα καὶ καμπτὰ ἔφυσεν τέτταρα

θεοῦ μηχανησαμένου πορείαν, οἷς ἀντιλαμβανόμενον καὶ

ἀπερειδόμενον διὰ πάντων τόπων πορεύεσθαι δυνατὸν γέγονε,          5

τὴν τοῦ θειοτάτου καὶ ἱερωτάτου φέρον οἴκησιν ἐπάνωθεν           45a1

ἡμῶν. 

                                                                 그리하여

온갖 높고 낮은 곳들을 지니는 대지 위를 구르며 어떤 경우에는 

넘어가고, 또 어떤 경우에는 안에서 빠져나오고 하는 데에 곤란을

겪지 않도록, 그 머리에게 이러한 탈 것이자 이동수단을 주셨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연유로 신체가 길이를 지녔고, 뻗을 수도 있고 굽힐

수도 있는 사지는 신의 그 수단을 고려하심으로부터 자라나왔던

것이니, 그 사지로써 붙잡고 지탱하여 모든 장소들을 통과해 진행할

능력이 생겼던 것입니다. 가장 신적이고도 가장 신성한 것의 거처를 

우리의 윗단에 얹어 나르면서 말이지요.

        σκέλη μὲν οὖν χεῖρές τε ταύτῃ καὶ διὰ ταῦτα προσ-

έφυ πᾶσιν· τοῦ δ᾿ ὄπισθεν τὸ πρόσθεν τιμιώτερον καὶ

ἀρχικώτερον νομίζοντες θεοὶ ταύτῃ τὸ πολὺ τῆς πορείας ἡμῖν

ἔδοσαν. ἔδει δὴ διωρισμένον ἔχειν καὶ ἀνόμοιον τοῦ σώματος             5

τὸ πρόσθεν ἄνθρωπον. διὸ πρῶτον μὲν περὶ τὸ τῆς κεφαλῆς

κύτος, ὑποθέντες αὐτόσε τὸ πρόσωπον, ὄργανα ἐνέδησαν

τούτῳ πάσῃ τῇ τῆς ψυχῆς προνοίᾳ, καὶ διέταξαν τὸ μετέχον              b

ἡγεμονίας τοῦτ᾿ εἶναι, τὸ κατὰ φύσιν πρόσθεν· τῶν δὲ ὀρ-

γάνων πρῶτον μὲν φωσφόρα συνετεκτήναντο ὄμματα, τοιᾷδε

ἐνδήσαντες αἰτίᾳ.                                                              //210324

                                                          그리하여 다리와

팔은 이런 식으로 그리고 이러한 일들로 인하여 모두에게 덧붙어

자라났습니다. 한데 뒤보다 앞을 더욱 명예롭고도 더욱 지배에

어울리는 것으로 신들께서 생각하시며 운동의 상당부분을 이쪽에

저희에게 주셨습니다. 그래서 인간은 규정된 것이자 마찬가지이지

않은 그러한 신체의 전면을 지녀야 했던 것입니다. 이런 이유로

우선은 머리라는 그릇 주위로, 바로 이쪽에 전면을 놓으시면서,

이것에 기관들을 영혼의 모든 계획을 위해 결박하셨고, 지배에

참여하는 것이 이러한 것으로 있도록, 본성에 따라 전면인 바의

것으로 있도록 정하셨습니다. 그런데 그 기관들 중에서 우선은

빛을 이끄는 눈들을 결합하셨으니,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결박시키셨지요.4

]

                        τοῦ πυρὸς ὅσον τὸ μὲν κάειν οὐκ ἔσχε,

τὸ δὲ παρέχειν φῶς ἥμερον, οἰκεῖον ἑκάστης ἡμέρας, σῶμα                  5

ἐμηχανήσαντο γίγνεσθαι. τὸ γὰρ ἐντὸς ἡμῶν ἀδελφὸν ὂν

τούτου πῦρ εἰλικρινὲς ἐποίησαν διὰ τῶν ὀμμάτων ῥεῖν λεῖον

καὶ πυκνὸν ὅλον μέν, μάλιστα δὲ τὸ μέσον συμπιλήσαντες

τῶν ὀμμάτων, ὥστε τὸ μὲν ἄλλο ὅσον παχύτερον στέγειν                  c

πᾶν, τὸ τοιοῦτον δὲ μόνον αὐτὸ καθαρὸν διηθεῖν. ὅταν οὖν

μεθημερινὸν ᾖ φῶς περὶ τὸ τῆς ὄψεως ῥεῦμα, τότε ἐκπῖπτον

ὅμοιον πρὸς ὅμοιον, συμπαγὲς γενόμενον, ἓν σῶμα οἰκειωθὲν

συνέστη κατὰ τὴν τῶν ὀμμάτων εὐθυωρίαν, ὅπῃπερ ἂν ἀντ-                5

ερείδῃ τὸ προσπῖπτον ἔνδοθεν πρὸς ὃ τῶν ἔξω συνέπεσεν.

                                                     불에서 한편으로는 

타오르는 일은 지니지 않지만, 다른 한편 길들여진, 매일에

어울리는, 유순한 빛을 내놓는 일은 지니는, 그러한 만큼의 것이

물체로 생성되게끔 고안하셨습니다. 즉 우리들 안에 이러한 불과

형제격으로 있는 순수한 불이 눈을 통해 전체로서는 부드럽고도

조밀한 채로 흐르도록, 그런데 눈의 중심 불은 특히 압착시키시면서

흐르도록 만드시어, 그보다 더 두터운 여타의 불은 모두를 담되,

오직 이러한 정제된 불만이 그 중심을 통과하도록 하셨으니까요. 

그리하여 나날의 빛이 시선의 흐름 주위에 있을 때, 그 때 유사한 

것이 유사한 것을 향해 쏘아져 나옴으로써, 함께 결합된 것이 

생성되어, 하나의 물체로서 친화되어 시각의 직선 방향을 따라 

구성되니, 내부로부터 쏘아진 것이 눈의 외부에서 마주치는 것에

맞서 저항할 그 어느 쪽으로든 그에 따라 말이지요.

ὁμοιοπαθὲς δὴ δι᾿ ὁμοιότητα πᾶν γενόμενον, ὅτου τε ἂν ἀυτό

ποτε ἐφάπτηται καὶ ὃν ἂν ἄλλο ἐκείνου, τούτων τὰς κινήσεις             d

διαδιδὸν εἰς ἅπαν τὸ σῶμα μέχρι τῆς ψυχῆς αἴσθησιν παρ-

έσχετο ταύτην ᾗ δὴ ὁρᾶν φαμεν. ἀπελθόντος δὲ εἰς νύκτα

τοῦ συγγενοῦς πυρὸς ἀποτέτμηται· πρὸς γὰρ ἀνόμοιον ἐξιὸν

ἀλλοιοῦταί τε αὐτὸ καὶ κατασβέννυται, συμφυὲς οὐκέτι τῷ                  5

πλησίον ἀέρι γιγνόμενον, ἅτε πῦρ οὐκ ἔχοντι. 

그래서 유사성으로 인해 그 하나 전체가 유사한 상태로 됨으로써,

그것이 무엇에 접하든 또 그 외의 어떤 것이 저것에 접하든,

이것들의 운동들을 그 물체 전체로 나아가 영혼에 이르기까지

전달하여 우리가 실로 그로써 본다고 주장하는 이러한 감각을

제공하였지요. 그런데 동류인 불이 밤에 이르면 그 감각이

끊어집니다. 왜냐하면 유사하지 않은 것을 향해 방출되어 그것이

달라지고 꺼지기 때문인데, 더 이상 주변 공기와 함께 자라나는

것이 되지 않기에 그러하니, 그 공기가 불을 지니지 않기

때문입니다.

                                                            παύεταί τε

οὖν ὁρῶν, ἔτι τε ἐπαγωγὸν ὕπνου γίγνεται· σωτηρίαν γὰρ

ἣν οἱ θεοὶ τῆς ὄψεως ἐμηχανήσαντο, τὴν τῶν βλεφάρων

φύσιν, ὅταν ταῦτα συμμύσῃ, καθείργνυσι τὴν τοῦ πυρὸς ἐντὸς           e

δύναμιν, ἡ δὲ διαχεῖ τε καὶ ὁμαλύνει τὰς ἐντὸς κινήσεις,

ὁμαλυνθεισῶν δὲ ἡσυχία γίγνεται, γενομένης δὲ πολλῆς μὲν

ἡσυχίας βραχυόνειρος ὕπνος ἐμπίπτει, καταλειφθεισῶν δέ

τινων κινήσεων μειζόνων, οἷαι καὶ ἐν οἵοις ἂν τόποις λεί-                   5

πωνται, τοιαῦτα καὶ τοσαῦτα παρέσχοντο ἀφομοιωθέντα ἐντὸς     46a1

ἔξω τε ἐγερθεῖσιν ἀπομνημονευόμενα φαντάσματα. 

                                                                 그리하여

보는 것을 그치게 되고, 나아가 잠으로 이끄는 것으로 되죠.

왜냐하면 신들께서 시각의 구제책으로 고안하셨던 바, 눈꺼풀의

본성에서, 이것들이 닫힐 경우, 내부의 불의 능력을 차단하고, 이

능력은 내부의 운동들을 분산시키고 또한 고르게 만들어, 그렇게

평탄해질 경우에 평정(침묵)이 생성되고, 많은 평정이 이루어질

때 꿈이 드문 잠이 찾아오는 반면, 어떤 더욱 큰 운동들이 남겨질

때에는, 어떤 운동들이 어떤 장소에 남든, 그러한 그리고 그 만큼의

유사한 가상들을 내면에서 제공하거니와 외부에서도 깨어 있는

자들에게 기억에 떠올려진 것들로서의 가상들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각주:5]

                                                                    τὸ δὲ

περὶ τὴν τῶν κατόπτρων εἰδωλοποιίαν καὶ πάντα ὅσα ἐμφανῆ

καὶ λεῖα, κατιδεῖν οὐδὲν ἔτι χαλεπόν. ἐκ γὰρ τῆς ἐντὸς

ἐκτός τε τοῦ πυρὸς ἑκατέρου κοινωνίας ἀλλήλοις, ἑνός τε αὖ                5

περὶ τὴν λειότητα ἑκάστοτε γενομένου καὶ πολλαχῇ μεταρ-

ρυθμισθέντος, πάντα τὰ τοιαῦτα ἐξ ἀνάγκης ἐμφαίνεται, τοῦ             b

περὶ τὸ πρόσωπον πυρὸς τῷ περὶ τὴν ὄψιν πυρὶ περὶ τὸ

λεῖον καὶ λαμπρὸν συμπαγοῦς γιγνομένου. 

그런데 거울들의 상-형성에 관련된 일과 모든 반사하는 매끄러운 

것들은, 더 이상 하나도 이해하기 어렵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안과

밖의 두 불 서로간의 공유로부터, 이번엔 또 매끄러움 주위에서 

매번 하나가 되고 또 여러 가지 방식으로 변형됨으로써, 이러한

모든 것들이 필연적으로 반사되기 때문입니다, 얼굴 주위의 불의 

시선 주위의 불과의 매끄럽고 빛나는 것 주위에서의 결합이 

생성됨으로써 말입니다.

                                                         δεξιὰ δὲ φαντά-

ζεται τὰ ἀριστερά, ὅτι τοῖς ἐναντίοις μέρεσιν τῆς ὄψεως περὶ

τἀναντία μέρη γίγνεται ἐπαφὴ παρὰ τὸ καθεστὸς ἔθος τῆς                  5

προσβολῆς· δεξιὰ δὲ τὰ δεξιὰ καὶ τὰ ἀριστερὰ ἀριστερὰ τοὐ-                      //210331

ναντίον, ὅταν μεταπέσῃ συμπηγνύμενον ᾧ συμπήγνυται φῶς,

τοῦτο δέ, ὅταν ἡ τῶν κατόπτρων λειότης, ἔνθεν καὶ ἔνθεν                c

ὕψη λαβοῦσα, τὸ δεξιὸν εἰς τὸ ἀριστερὸν μέρος ἀπώσῃ τῆς

ὄψεως καὶ θάτερον ἐπὶ θάτερον. κατὰ δὲ τὸ μῆκος στραφὲν

τοῦ προσώπου ταὐτὸν τοῦτο ὕπτιον ἐποίησεν πᾶν φαίνεσθαι,

τὸ κάτω πρὸς τὸ ἄνω τῆς αὐγῆς τό τ᾿ ἄνω πρὸς τὸ κάτω                     5

πάλιν ἀπῶσαν.

                              그런데 왼편이 오른편으로 나타나니,

시선의 반대 부분들과 [얼굴] 반대편 부분들에 관련하여 접촉의

익숙한 상태를 벗어나 접촉이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오른편은 오른편으로 왼편은 왼편으로 그 반대로 나타나는 것은,

빛이 결합대상과 결합된 채로 전환될 경우로, 이러한 일은, 거울의 

매끄러움이, 이편과 저편을 높여서, 오른쪽 부분을 시선의 왼쪽 

부분으로 또 다른 쪽은 다른 쪽에 밀어줄 때 나타납니다. 그런데

얼굴의 길이 쪽을 따라 그 똑같은 것이 뒤집히면 이러한 것이

모든 것을 위 아래가 뒤집힌 채로 나타나도록 만듭니다, 광선의

아래는 위로 또 위는 아래로 다시 밀어내어서 말이지요.

 

Ταῦτ᾿ οὖν πάντα ἔστιν τῶν συναιτίων οἷς θεὸς ὑπηρε-

τοῦσιν χρῆται τὴν τοῦ ἀρίστου κατὰ τὸ δυνατὸν ἰδέαν

ἀποτελῶν· δοξάζεται δὲ ὑπὸ τῶν πλείστων οὐ συναίτια                    d

ἀλλὰ αἴτια εἶναι τῶν πάντων, ψύχοντα καὶ θερμαίνοντα

πηγνύντα τε καὶ διαχέοντα καὶ ὅσα τοιαῦτα ἀπεργαζόμενα.

그러므로 이러한 모든 것들은 신께서 가능한 한 최선의 형상을

완성해내시면서 봉사하는 것들로서 사용하시는 그러한

공동원인들에 속하여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대다수의 사람들에

의해 [이런 모든 것들이] 모든 것들의 공동원인[각주:6]이 아니라

원인으로 있다고 여겨지고, 차갑게 하는 것과 뜨겁게 하는 것

그리고 압축시키는 것과 분산시키는 것 또한 이러한 것들을

실현시켜내는 것들까지 그리 여겨지지요.[각주:7]

> 차갑게 혹은 뜨겁게, 압축하거나 희박화하는 것이, 온건-불,

냉건-흙, 냉습-물, 온습-공기 아리스토텔레스 그림과 다른

사원소 그림이거나, 아니면 자연적 성질들로서 형상들로부터

유래하는 것들인지.

λόγον δὲ οὐδένα οὐδὲ νοῦν εἰς οὐδὲν δυνατὰ ἔχειν ἐστίν.

τῶν γὰρ ὄντων ᾧ νοῦν μόνῳ κτᾶσθαι προσήκει, λεκτέον                     5

ψυχήν―τοῦτο δὲ ἀόρατον, πῦρ δὲ καὶ ὕδωρ καὶ γῆ καὶ ἀὴρ

σώματα πάντα ὁρατὰ γέγονεν―τὸν δὲ νοῦ καὶ ἐπιστήμης

ἐραστὴν ἀνάγκη τὰς τῆς ἔμφρονος φύσεως αἰτίας πρώτας

μεταδιώκειν, ὅσαι δὲ ὑπ᾿ ἄλλων μὲν κινουμένων, ἕτερα δὲ ἐξ            e

ἀνάγκης κινούντων γίγνονται, δευτέρας. ποιητέον δὴ κατὰ

ταῦτα καὶ ἡμῖν· λεκτέα μὲν ἀμφότερα τὰ τῶν αἰτιῶν γένη,

χωρὶς δὲ ὅσαι μετὰ νοῦ καλῶν καὶ ἀγαθῶν δημιουργοὶ καὶ

ὅσαι μονωθεῖσαι φρονήσεως τὸ τυχὸν ἄτακτον ἑκάστοτε                   5

ἐξεργάζονται. 

그런데 그것들은 그 무엇을 위한 그 어떠한 논리도 지성도 

지닐 능력이 있지 않은 것들로 있습니다. 왜냐하면 있는 것들

중에서 유일하게 지성을 얻기에 적절한 것은, 영혼이라고

말해져야만 하기 때문입니다.―그런데 이것은 비가시적이고,

불과 물 그리고 흙과 공기는 모두 가시적인 물체들로서

생성되었습니다.―한데 지성과 앎의 구애자는 분별이 깃든

본성의 원인들을 일차적인 원인들로서 추구함이 필연적이고, 

반면 한편으로는 자신 이외의 것에 의해 운동하게 되는 것들이자, 

다른 한편으로 필연적으로 다른 것들을 운동시키는 그러한 

것들의 원인으로 생성되는 것들은, 이차적인 원인들로 추구함이

필연적입니다. 그래서 우리의 경우에도 이런 일들에 따라서

그 일을 해야만 합니다. 한편으로는 원인의 양쪽 부류 모두가

말해져야만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지성을 동반하여 아름답고도 

훌륭한 것들의 장인들로서의 원인들 그리고 분별로부터 

고립되어 임의의 불규칙한 것을 때마다 구현시켜내는 원인들이 

독립적으로 말해져야만 합니다.

> 필연은 수용자와 형상의 모상 둘 사이의 결합 이후 과정?

수용자가 가하는 제한 자체가 필연?

                   τὰ μὲν οὖν τῶν ὀμμάτων συμμεταίτια πρὸς

τὸ σχεῖν τὴν δύναμιν ἣν νῦν εἴληχεν εἰρήσθω· τὸ δὲ μέ-

γιστον αὐτῶν εἰς ὠφελίαν ἔργον, δι᾿ ὃ θεὸς αὔθ᾿ ἡμῖν

δεδώρηται, μετὰ τοῦτο ῥητέον. ὄψις δὴ κατὰ τὸν ἐμὸν                  47a1

λόγον αἰτία τῆς μεγίστης ὠφελίας γέγονεν ἡμῖν, ὅτι τῶν

νῦν λόγων περὶ τοῦ παντὸς λεγομένων οὐδεὶς ἄν ποτε ἐρρήθη

μήτε ἄστρα μήτε ἥλιον μήτε οὐρανὸν ἰδόντων. 

                                         그러므로 눈이 오늘날 할당받은 

그 능력을 지니는 데에 공동으로 기여하는 원인들은 이야기된

것으로 칩시다. 그런데 유익함으로 보아 눈의 가장 대단한 작업,

그로 인해 신께서 저희에게 눈을 선사해주셨던 바, 그 일이 이

다음으로 이야기되어야만 합니다. 그래서 제 말에 따르면 시각이

우리에게 가장 큰 유익함의 원인으로 생성되었던 것이니, 오늘날

모든 것(우주)에 관해 말해지는 그 말들 중 그 무엇도 결코 우리가

별들도 태양도 하늘도 바라보지 못했다면 말해지지 못했을 터이기

때문이지요.

                                                              νῦν δ᾿ ἡμέρα τε

καὶ νὺξ ὀφθεῖσαι μῆνές τε καὶ ἐνιαυτῶν περίοδοι καὶ ἰσημερίαι            5

καὶ τροπαὶ μεμηχάνηνται μὲν ἀριθμόν, χρόνου δὲ ἔννοιαν

περί τε τῆς τοῦ παντὸς φύσεως ζήτησιν ἔδοσαν· ἐξ ὧν

ἐπορισάμεθα φιλοσοφίας γένος, οὗ μεῖζον ἀγαθὸν οὔτ᾿ ἦλθεν            b

οὔτε ἥξει ποτὲ τῷ θνητῷ γένει δωρηθὲν ἐκ θεῶν. λέγω δὴ

τοῦτο ὀμμάτων μέγιστον ἀγαθόν· τἆλλα δὲ ὅσα ἐλάττω τί

ἂν ὑμνοῖμεν, ὧν ὁ μὴ φιλόσοφος τυφλωθεὶς ὀδυρόμενος ἂν

θρηνοῖ μάτην;                                                                           5

               그런데 오늘날 낮과 밤이 보이고 월과 연의 궤도들과

춘추분과 그리고 하지 및 동지가 보여서 수가 고안되었고, 시간이란

관념과 또한 모든 것의 본성에 관한 탐구를 그것들이 주었지요.

이것들이 우리가 그로부터 철학의 부류를 마련한 바, 철학보다 

더 크게 좋은 것은 필멸의 부류에게 신들로부터 주어진 선물로서는 

온 적도 올 일도 결코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저는 이것이 눈의

가장 큰 좋은 점이라 말씀드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저희가 왜

그보다 덜한 그 외의 것들을 칭송하겠습니까? 철학적이지 못한

자가 눈이 멀면 애걸하며 헛되이 한탄할 것들을 말입니다.

                   ἀλλὰ τούτου λεγέσθω παρ᾿ ἡμῶν αὕτη ἐπὶ                   5

ταῦτα αἰτία, θεὸν ἡμῖν ἀνευρεῖν δωρήσασθαί τε ὄψιν, ἵνα

τὰς ἐν οὐρανῷ τοῦ νοῦ κατιδόντες περιόδους χρησαίμεθα

ἐπὶ τὰς περιφορὰς τὰς τῆς παρ᾿ ἡμῖν διανοήσεως, συγγενεῖς

ἐκείναις οὔσας, ἀταράκτοις τεταραγμένας, ἐκμαθόντες δὲ καὶ             c

λογισμῶν κατὰ φύσιν ὀρθότητος μετασχόντες, μιμούμενοι

τὰς τοῦ θεοῦ πάντως ἀπλανεῖς οὔσας, τὰς ἐν ἡμῖν πεπλανη-

μένας καταστησαίμεθα. 

차라리 우리에게서 이 시각이 그 좋은 일의 원인이자 이하의 것들을

위한 원인이라 말해지도록 하시죠. 신께서 저희를 위해 시각을

생각해내시고 또한 선물해 주신 일의 원인이라고 말입니다. 이는

하늘 안 지성의 궤도들을 이해하여 저희가 저희들의 사유 궤도들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이것들이 저 궤도들과 동류인 궤도들로

있기에, 동요하지 않는 궤도들에게 동요되어 버린 궤도들이 그리

있기에, 그리고 저희가 배움을 거쳐 또한 본성에 따른 헤아림의

올바름에 참여하여, 모든 식으로 방황하지 않는 것들로 있는 신의

궤도들을 모방하여, 저희 안의 방황하는 궤도들을 정립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셨지요.

                                φωνῆς τε δὴ καὶ ἀκοῆς πέρι πάλιν

ὁ αὐτὸς λόγος, ἐπὶ ταὐτὰ τῶν αὐτῶν ἕνεκα παρὰ θεῶν                        5

δεδωρῆσθαι. λόγος τε γὰρ ἐπ᾿ αὐτὰ ταῦτα τέτακται, τὴν

μεγίστην συμβαλλόμενος εἰς αὐτὰ μοῖραν, ὅσον τ᾿ αὖ μουσι-

κῆς φωνῇ χρήσιμον πρὸς ἀκοὴν ἕνεκα ἁρμονίας ἐστὶ δοθέν.              d

더 나아가 소리와 청각에 관련하여서도 다시금 같은 논리가

성립하니, 같은 것들을 위해 같은 것들을 목적으로 하여

신들에게서 선사되었다는 것입니다. 그야 말 역시도 바로 이런

것들을 위해 할당된 것이고, 그런 일들 쪽으로 가장 큰 몫의

기여를 하며, 또 이번엔 청각에 대해 음악의 소리에 유용한

것이 조화를 목적으로 주어진 것으로 있으니까요.

ἡ δὲ ἁρμονία, συγγενεῖς ἔχουσα φορὰς ταῖς ἐν ἡμῖν τῆς

ψυχῆς περιόδοις, τῷ μετὰ νοῦ προσχρωμένῳ Μούσαις οὐκ

ἐφ᾿ ἡδονὴν ἄλογον καθάπερ νῦν εἶναι δοκεῖ χρήσιμος, ἀλλ᾿

ἐπὶ τὴν γεγονυῖαν ἐν ἡμῖν ἀνάρμοστον ψυχῆς περίοδον εἰς                 5

κατακόσμησιν καὶ συμφωνίαν ἑαυτῇ σύμμαχος ὑπὸ Μουσῶν

δέδοται· καὶ ῥυθμὸς αὖ διὰ τὴν ἄμετρον ἐν ἡμῖν καὶ χαρίτων

ἐπιδεᾶ γιγνομένην ἐν τοῖς πλείστοις ἕξιν ἐπίκουρος ἐπὶ                     e

ταὐτὰ ὑπὸ τῶν αὐτῶν ἐδόθη.

그런데 그 조화는, 우리 안의 영혼의 궤도들과 동류인 운행들을

지니기에, 지성을 동반하여 무사 여신들을 대하는 자에게는

오늘날 쓸모있는 자로 있다고 여겨지는 것처럼 그렇게 비논리적

쾌락을 위해서가 아니라, 오히려 저희 안의 영혼의 조화롭지 못한

궤도가 질서잡히고 자신과 화음을 이루어 전우로서 생성되도록

하기 위해서 무사 여신들로부터 주어졌습니다. 그리고 이번에는

박자 또한 저희 대다수 안의 척도를 상실하고 기품이 부족한

것으로 생성된 상태로 인해 그 여신들에 의해 같은 것들을 위하여

원군으로서 주어졌던 것입니다.                                                       //210407

 

-蟲-

  1. become=non-being → being / perish=being → non-being? being과 non-being이 혼합된 것은 생성되 되고 소멸도 되고? [본문으로]
  2. 37a4에서 영혼의 매듭이 등장한다고 볼 수 있을 듯. 그런데 신체와 영혼 둘 사이의 매듭은? [본문으로]
  3. 추가로 필요한 것은 아레테들 아닐까? [본문으로]
  4. 눈이 없었다면 시각을 통한 영혼의 혼란도 없었지 않겠는가? 그러나 오감이 있기 전에도 외부로부터의 운동들은 영혼에 무질서하게 필연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이하에서 눈이 거름망 역할을 하는 것도 다른 외부 원소들의 거친 자극은 제한하고 정리되고 질서잡힌 자극을 받아들이는 그림으로 볼 수 있음. [본문으로]
  5. 여기에서 보조원인쪽 설명이 제한으로서의 필연에 대한 설명이라면, 상의 발생은 불가피한 제한조건으로서의 필연의 결과물. [본문으로]
  6. 『파이돈』에서 크기 차이의 원인의 경우. A>B인 경우 이 차이는 A를 더 크게 만드는 원인이자 B를 더 작게 만드는 원인이기도 하므로 모순. 반대결과의 원인이 같으면 X. 반대원인의 결과가 같으면 X. 원인과 결과가 반대되면 X. 그런데 『티마이오스』에서는 이러한 설명이 배제된 듯. 왜일까? by Kang. 반대되는 결과들에 대한 하나의 같은 원인이 '방황하는 원인'일 수 있지 않을까? 예를 들어 소크라테스의 신체라는 물리적 원인은 그가 감옥에 갇혀 있는 이유도 되고 '반대로' 감옥에서 탈출한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이 반대결과들에 관련되는 것이 방황의 의미일 수도 있지 않을까? [본문으로]
  7. 『파이돈』에서, 소크라테스가 감옥에 갇혀 있는 원인으로 살과 피와 뼈로 되어 있음의 경우. 이것은 진정한 원인이 아니다. [본문으로]

Οὗτος δὴ πᾶς ὄντος ἀεὶ λογισμὸς θεοῦ περὶ τὸν ποτὲ

ἐσόμενον θεὸν λογισθεὶς λεῖον καὶ ὁμαλὸν πανταχῇ τε ἐκ                 b

μέσου ἴσον καὶ ὅλον καὶ τέλεον ἐκ τελέων σωμάτων σῶμα

ἐποίησεν· 

그래서 영원히 존재하는 신의 이러한 모든 헤아림이 언젠가

계시게 될 신에 관련하여 헤아리며 매끄럽고 고른 것으로서 또한

중간으로부터 모든 방면으로 같은 만큼의 것으로 그리고 완전한

물체들로부터 이루어진 전체이자 완전한 신체를 제작하였습니다.

             ψυχὴν δὲ εἰς τὸ μέσον αὐτοῦ θεὶς διὰ παντός τε

ἔτεινεν καὶ ἔτι ἔξωθεν τὸ σῶμα αὐτῇ περιεκάλυψεν, καὶ κύκλῳ

δὴ κύκλον στρεφόμενον οὐρανὸν ἕνα μόνον ἔρημον κατέ-                 5

στησεν, δι᾿ ἀρετὴν δὲ αὐτὸν αὑτῷ δυνάμενον συγγίγνεσθαι

καὶ οὐδενὸς ἑτέρου προσδεόμενον, γνώριμον δὲ καὶ φίλον

ἱκανῶς αὐτὸν αὑτῷ. διὰ πάντα δὴ ταῦτα εὐδαίμονα θεὸν

αὐτὸν ἐγεννήσατο.

그런데 영혼을 그 몸의 중앙에 세움으로써 모든 것을 통해 

연장시켰고 외부에 이르기까지 그 신체를 그 영혼으로 에워싸 

덮었으며, 더 나아가 원형으로 회전하는 원형의 하늘을 오직 그

하나만이 유일하도록 정해 놓았으니, 덕으로 인해 그 하늘을

하늘 자신과 교류할 능력을 지닌 것이자 다른 그 무엇도 추가로

필요로 하지 않는 것으로, 그 자체가 제 자신에게 알려지고 또

친애롭기에 충분한 것으로 정해 놓았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모든 것들로 인해 그 하늘을 행복한 신으로 낳았습니다.

Τὴν δὲ δὴ ψυχὴν οὐχ ὡς νῦν ὑστρέραν ἐπιχειροῦμεν λέγειν,                10

οὕτως ἐμηχανήσατο καὶ ὁ θεὸς νεωτέραν―οὐ γὰρ ἂν ἄρχεσθαι         c

πρεσβύτερον ὑπὸ νεωτέρου συνέρξας εἴασεν―ἀλλά πως ἡμεῖς

πολὺ μετέχοντες τοῦ προστυχόντος τε καὶ εἰκῇ ταύτῃ πῃ καὶ

λέγομεν, ὁ δὲ καὶ γενέσει καὶ ἀρετῇ προτέραν καὶ πρεσβυ-

τέραν ψυχὴν σώματος ὡς δεσπότιν καὶ ἄρξουσαν ἀρξομένου              5

συνεστήσατο ἐκ τῶνδέ τε καὶ τοιῷδε τρόπῳ. 

그래서 그 영혼이 지금 우리가 더 나중 것으로 말하려 시도하고

있듯 그런 식으로 신께서도 그 영혼을 더 어린 것으로 고안하셨던 

것이 아니라, 만일 그랬다면 그분께서 더 나이든 것이 그것을 감싼 

더 어린 것에 의해 시작되는(지배받는) 일을 허용하신 셈이 될 테니까, 

오히려 어쨌든 우리로서는 꽤나 많이 우발적인 것에 참여하는 

자들로서 또한 임의적으로 이런 어떤 방식으로 말하기도 하지만, 

그분께서는 그 생성에서도 덕에서도 영혼을 신체보다 더 앞서고 

더 나이 든 여주인으로 구성하셨고, 지배 받는 신체에 대해 지배하는 

것으로, 이하의 것들을 통해 또한 이하의 방식으로 구성하셨습니다.

 

- 영혼이 신체보다 '덕에서' 더 앞선다는 것은 신체의 덕도 있다는 의미.

34b6에서 우주가 행복해지는 이유로 신체의 덕을 고려할 수 있다는 근거.

 

                                                           τῆς ἀμερίστου            35a1

καὶ ἀεὶ κατὰ ταὐτὰ ἐχούσης οὐσίας καὶ τῆς αὖ περὶ τὰ σώματα

γιγνομένης μεριστῆς τρίτον ἐξ ἀμφοῖν ἐν μέσῳ συνεκεράσατο

οὐσίας εἶδος, τῆς τε ταὐτοῦ φύσεως [αὖ πέρι] καὶ τῆς τοῦ

ἑτέρου, καὶ κατὰ ταὐτὰ συνέστησεν ἐν μέσῳ τοῦ τε ἀμεροῦς                5

αὐτῶν καὶ τοῦ κατὰ τὰ σώματα μεριστοῦ· καὶ τρία λαβὼν

αὐτὰ ὄντα συνεκεράσατο εἰς μίαν πάντα ἰδέαν, τὴν θατέρου

φύσιν δύσμεικτον οὖσαν εἰς ταὐτὸν συναρμόττων βίᾳ.[각주:1]                     //200929

분할되지 않고 언제나 같은 것들에 따른 상태인 있는 것과 또 

이번엔 물체들에 관련하여 부분으로 생성되는 있는 것의 그 

양자로부터 중간에서 있는 것의 세 번째 형상을 혼합해내셨고, 

같은 것의 본성과 다른 것의 본성에 [관련하여서도], 같은 것들에 

따른 식으로 그것들 중 부분 없는 형상과 물체들에 따른 부분으로 

된 형상의 중간에서 구성하셨지요. 그리고 그 세 가지로 있는 것들을 

취하시어 모든 점에서 단일한 형상으로 혼합하셨으니, 섞이기 어려운 

다른 것의 본성을 같은 것에게로 힘으로써(강제로) 조화시키심으로써 

그리 하셨습니다.

μειγνὺς δὲ μετὰ τῆς οὐσίας καὶ ἐκ τριῶν ποιησάμενος ἕν,                   b

πάλιν ὅλον τοῦτο μοίρας ὅσας προσῆκεν διένειμεν, ἑκάστην

δὲ ἔκ τε ταὐτοῦ καὶ θατέρου καὶ τῆς οὐσίας μεμειγμένην.

                      그런데 [그것들을] 있는 것과 섞으시며 또한 

세 가지 것들로부터 하나를 제작해내시고서는, 다시 이 전체를 

적절한 몫들로 분배하셨으니, 그 각각의 몫은 같은 것과 다른 것 

그리고 있는 것으로부터 섞여나온 것이었습니다. 

ἤρχετο δὲ διαιρεῖν ὧδε. μίαν ἀφεῖλεν τὸ πρῶτον ἀπὸ παντὸς

μοῖραν, μετὰ δὲ ταύτην ἀφῄρει διπλασίαν ταύτης, τὴν δ᾿ αὖ                5

τρίτην ἡμιολίαν μὲν τῆς δευτέρας, τριπλασίαν δὲ τῆς πρώτης,

τετάρτην δὲ τῆς δευτέρας διπλῆν, πέμπτην δὲ τριπλῆν τῆς

τρίτης, τὴν δ᾿ ἕκτην τῆς πρώτης ὀκταπλασίαν, ἑβδόμην δ᾿                 c

ἑπτακαιεικοσιπλασίαν τῆς πρώτης· 

                                                             그런데 신께서는

다음과 같이 분할하기 시작하셨습니다. 처음에는 모든 것으로부터

단일한 몫을 택하셨고, 이 몫 다음으로 이것의 2배 되는 몫을

택하셨으며, 다시 세 번째 몫으로는 한편으로 두 번째 몫의 1½배, 

다른 한편으로는 첫 번째 몫의 3배 되는 몫을 택하셨고, 네 번째

몫으로는 두 번째 몫의 2배 되는 몫을, 다섯 번째 몫으로는

세 번째 몫의 3배 되는 몫을, 여섯 번째 몫으로는 첫 번째 몫의

8배 되는 몫을, 일곱 번째 몫으로는 첫 번째 몫의 27배 되는

몫을 택하셨습니다.

> (1) 1, (2) 2, (3) 3(=2*1½, 1*3), (4) 4(=2*2), (5) 9(=3*3), (6) 8, (7) 27.

                                              μετὰ δὲ ταῦτα συνε-

πληροῦτο τά τε διπλάσια καὶ τριπλάσια διαστήματα, μοίρας           36a1

ἔτι ἐκεῖθεν ἀποτέμνων καὶ τιθεὶς εἰς τὸ μεταξὺ τούτων, ὥστε

ἐν ἑκάστῳ διαστήματι δύο εἶναι μεσότητας, τὴν μὲν ταὐτῷ

μέρει τῶν ἄκρων αὐτῶν ὑπερέχουσαν καὶ ὑπερεχομένην, τὴν

δὲ ἴσῳ μὲν κατ᾿ ἀριθμὸν ὑπερέχουσαν, ἴσῳ δὲ ὑπερεχομένην.               5      //210119

                         이것들 다음으로는 2배수 간격들과 3배수

간격들을 채우셨으니, 저기에서 몫들을 더욱 나누시고 또 그것들의

중간에 세우시면서 채우셨고, 그래서 각각의 간격에 중간자들이

둘로 있도록, 한편은 그것들의 극단들을 같은 부분으로 초과하고 또한

그 만큼 초과되는 중간자로(조화평균), 다른 한편은 수에 따라 같은 

양만큼 초과하는가 하면, 다른 한편으로는 같은 양으로 초과되는(산술평균)

중간자로 있도록 채우셨습니다.

 

> 1과 2 사이에서 두 중간자: 1(=3/3), 조화4/3, 산술3/2, 2(=6/3).

   1과 3 사이에서 두 중간자: 1, 조화6/4=3/2, 산술2, 3.

산술평균: 2/2:3/2:4/2. 중간자는 수에서 1/2만큼 크고 또 작다.

조화평균: 1보다 1*1/3 크고 2보다 2*1/3 작다. 3/3+1/3=6/3-2/3=4/3.

 

ἡμιολίων δὲ διαστάσεων καὶ ἐπιτρίτων καὶ ἐπογδόων γενο-

μένων ἐκ τούτων τῶν δεσμῶν ἐν ταῖς πρόσθεν διαστάσεσιν,

τῷ τοῦ ἐπογδόου διαστήματι τὰ ἐπίτριτα πάντα συνεπληροῦτο,         b

λείπων αὐτῶν ἑκάστου μόριον, τῆς τοῦ μορίου ταύτης δια-

στάσεως λειφθείσης ἀριθμοῦ πρὸς ἀριθμὸν ἐχούσης τοὺς

ὅρους ἓξ καὶ πεντήκοντα καὶ διακοσίων πρὸς τρία καὶ

τετταράκοντα καὶ διακόσια. 

                                        그런데 1½ 간격들과 1⅓ 간격들 

그리고 1⅛ 간격들이 바로 그 매듭로부터 앞서의 간격들 안에 

생성되었기에, 1⅛의 간격으로 모든 1⅓ 간격들을 채우셨으며, 

그것들 각각의 몫을 남기시기를, 그 몫의 이러한 간격이 수 대 수로

남겨져 그 비례항들로 256:243를 가지는 것으로 남기셨습니다. 

 

> 1, 4/3, 4/3*9/8=3/2, 3/2*4/3=2. 4/3과 3/2는 9/8 비례 관계를 가진다. 

매듭(중항, 4/3과 3/2)으로부터 이에 해당하는 간격들(위 두 중항에 더하여

바로 그 두 중항 사이의 비례 관계 9/8까지)이 생겼다. 

                                      καὶ δὴ καὶ τὸ μειχθέν, ἐξ                         5

οὗ ταῦτα κατέτεμνεν, οὕτως ἤδη πᾶν κατανηλώκει. ταύτην

οὖν τὴν σύστασιν πᾶσαν διπλῆν κατὰ μῆκος σχίσας, μέσην

πρὸς μέσην ἑκατέραν ἀλλήλαις οἷον χεῖ προσβαλὼν κατέ-

καμψεν εἰς ἓν κύκλῳ, συνάψας αὑταῖς τε καὶ ἀλλήλαις ἐν                   c

τῷ καταντικρὺ τῆς προσβολῆς, καὶ τῇ κατὰ ταὐτὰ ἐν ταὐτῷ

περιαγομένῃ κινήσει πέριξ αὐτὰς ἔλαβεν, καὶ τὸν μὲν ἔξω, τὸν

δ᾿ ἐντὸς ἐποιεῖτο τῶν κύκλων. 

더 나아가 이러한 것들이 그로부터 분절되어 나온 그 혼합물은 

그런 식으로 이제 모든 것을 소진하였지요. 그리하여 이러한

모든 구조를 길이에 따라 둘로 자르시고서, 그 둘 각각의 중간

중간에 대해 서로 이를 테면 χ자로 교차시키시며 원형으로 하나가

되도록 구부리시어, 그 구조들을 제 자신에게도 또 서로에게도

접합점의 반대편에서 접합시키셨고, 그래서 같은 것들에 따라

같은 것 안에서 회전하는 운동으로 그 구조들을 둥글게 둘러

붙들으셨고, 그 원들의 한편은 외부의 원으로, 다른 한편은

내부의 원으로 만드셨습니다.

                                        τὴν μὲν οὖν ἔξω φορὰν ἐπεφή-

μισεν εἶναι τῆς ταὐτοῦ φύσεως, τὴν δ᾿ ἐντὸς τῆς θατέρου. τὴν              5

μὲν δὴ ταὐτοῦ κατὰ πλευρὰν ἐπὶ δεξιὰ περιήγαγεν, τὴν δὲ

θατέρου κατὰ διάμετρον ἐπ᾿ ἀριστερά, κράτος δ᾿ ἔδωκεν τῇ

ταὐτοῦ καὶ ὁμοίου περιφορᾷ· 

                                       그리하여 외부의 운행은 같은 것의

본성에 속하여 있도록 선언하시었고, 내부의 운행은 다른 것의

본성에 속하여 있도록 선언하셨습니다. 그래서 같은 것의 운행은

측면을 따라 우측으로 선회시키셨고, 다른 것의 운행은 사선을

따라 좌측으로 선회시키셨는데, 같은 것 그리고 유사한 것의 회전

운행에 주도권을 주셨습니다.

                                       μίαν γὰρ αὐτὴν ἄσχιστον                    d

εἴασεν, τὴν δ᾿ ἐντὸς σχίσας ἑξαχῇ ἑπτὰ κύκλους ἀνίσους

κατὰ τὴν τοῦ διπλασίου καὶ τριπλασίου διάστασιν ἑκάστην,

οὐσῶν ἑκατέρων τριῶν, κατὰ τἀναντία μὲν ἀλλήλοις προσ-

έταξεν ἰέναι τοὺς κύκλους, τάχει δὲ τρεῖς μὲν ὁμοίως, τοὺς                   5

δὲ τέτταρας ἀλλήλοις καὶ τοῖς τρισὶν ἀνομοίως, ἐν λόγῳ δὲ

φερομένους.

                                      왜냐하면 그 하나의 운행을 잘리지

않는 것으로 두셨고, 반면에 내부의 운행은 2배 간극과 3배 간극

각각에 따라 일곱 가지 불균등한 원들로 여섯 지점에서 자르셨으며,

그 원들이 양편에 각기 세 개씩 있었는데, 서로 반대되는 것들에

따라 그 원들이 진행하도록 명하셨으니, 속력에서는 셋이 유사하게,

넷은 서로와도 저 셋과도 유사하지 않게, 그러나 논리(비율) 안에서

운행하며 그리하도록 하셨기 때문입니다.

- 『국가』 616b-620d에서는 같은 것의 원과 다른 것의 원의 "반대"를

지지하는 듯.

 

Ἐπεὶ δὲ κατὰ νοῦν τῷ συνιστάντι πᾶσα ἡ τῆς ψυχῆς

σύστασις ἐγεγένητο, μετὰ τοῦτο πᾶν τὸ σωματοειδὲς ἐντὸς

αὐτῆς ἐτεκταίνετο καὶ μέσον μέσῃ συναγαγὼν προσήρμοττεν·           e

한데 지성에 따라 구성하시는 그 분에 의해 그 영혼의 구조가 

모두 생성되었기에, 그 다음으로 물체적인 것 모두를 그 영혼 

내부에 조립하시고 물체적 중간자를 중간자 영혼과 함께 모아 

조화시키셨습니다.

ἡ δ᾿ ἐκ μέσου πρὸς τὸν ἔσχατον οὐρανὸν πάντῃ διαπλακεῖσα

κύκλῳ τε αὐτὸν ἔξωθεν περικαλύψασα, αὐτὴ ἐν αὑτῇ στρεφο-

μένη, θείαν ἀρχὴν ἤρξατο ἀπαύστου καὶ ἔμφρονος βίου πρὸς

τὸν σύμπαντα χρόνον. 

                               중심으로부터 하늘의 극단까지 모든

방면으로 직조되고 또한 외부로부터 그 하늘을 원형으로 에워싸

덮은 영혼은, 그 영혼이 자신 안에서 회전하며, 통틀어 모든 시간에

대해 멈추지 않는 지혜로운 삶을 그 신적인 시초에서 시작하였습니다.

                               καὶ τὸ μὲν δὴ σῶμα ὁρατὸν οὐρανοῦ               5

γέγονεν, αὐτὴ δὲ ἀόρατος μέν, λογισμοῦ δὲ μετέχουσα καὶ

ἁρμονίας ψυχή, τῶν νοητῶν ἀεί τε ὄντων ὑπὸ τοῦ ἀρίστου            37a1

ἀρίστη γενομένη τῶν γεννηθέντων. 

더욱이 하늘의 신체는 가시적인 것으로 생겨났던 반면, 그 영혼은 

비가시적이나 헤아림과 조화에 참여하여서, 영원히 지성적인

자들로서 계신 분들 중에서도 최선이신 분에 의해 산출된 것들

중 가장 최선의 것으로 생성된 것으로서 생겨났습니다.

                                               ἅτε οὖν ἐκ τῆς ταὐτοῦ

καὶ τῆς θατέρου φύσεως ἔκ τε οὐσίας τριῶν τούτων συγκρα-

θεῖσα μοιρῶν, καὶ ἀνὰ λόγον μερισθεῖσα καὶ συνδεθεῖσα,

αὐτή τε ἀνακυκλουμένη πρὸς αὑτήν, ὅταν οὐσίαν σκεδαστὴν              5

ἔχοντός τινος ἐφάπτηται καὶ ὅταν ἀμέριστον, λέγει κινου-

μένη διὰ πάσης ἑαυτῆς ὅτῳ τ᾿ ἄν τι ταὐτὸν ᾖ καὶ ὅτου ἂν

ἕτερον, πρὸς ὅτι τε μάλιστα καὶ ὅπῃ καὶ ὅπως καὶ ὁπότε                   b

συμβαίνει κατὰ τὰ γιγνόμενά τε πρὸς ἕκαστον ἕκαστα εἶναι

καὶ πάσχειν καὶ πρὸς τὰ κατὰ ταὐτὰ ἔχοντα ἀεί. 

그러므로 같은 것의 본성과 다른 것의 본성으로부터 그리고 또

있는 것으로부터 나온 세 부분들이 혼화된 것이고, 비율에 따라

분화되어 있고 또한 결속되어 있으며, 그 영혼이 자기 자신에게로

회귀하기에, 파편화된 실체를 지니는 무언가에 접할 때 그리고

분할되지 않는 것의 경우에도, 자신 모두를 거치며 운동함으로써

그 대상과 같은 것이 무엇이고 그 대상과 다른 것은 또 무엇일지

말해주며, 특히 무엇에 대해 그리고 어떤 측면에서 어떻게

또한 언제, 생성된 것들에 따라서 그 대상이, 각 대상에 대해 

각각의 대상들로 있도록 또 겪도록 귀결되는지, 또한 같은 것들에 

따른 상태를 언제나 유지하는 것들에 대해서도 그러한 것들을 

말해줍니다.

> 세계영혼의 자기회귀. 자신 안에 있음, 같음, 다름의 부분들이

혼합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일종의 변증 작업을 자기 자신을

상대로 수행한다면, 그리고 즉 이것이 형상들의 결합과 분리를

행하는 것이라면, 어째서 이로부터 대상에 대한 판단으로 이행되는지

짐작해 볼 수도 있을 듯하다.

> "접촉"의 문제. 비물체적인 것과 물체적인 것의 인과작용은 생각하기 어렵고,

영혼이나 덕 등은 인과적 능력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스토아는 영혼 또한 물체로 간주.

> 『소피스트』에서 인식과 관련하여 운동과 정지의 문제.

  

                                                               λόγος δὲ

ὁ κατὰ ταὐτὸν ἀληθὴς γιγνόμενος περί τε θάτερον ὂν καὶ

περὶ τὸ ταὐτόν, ἐν τῷ κινουμένῳ ὑφ᾿ αὑτοῦ φερόμενος ἄνευ                5

φθόγγου καὶ ἠχῆς, ὅταν μὲν περὶ τὸ αἰσθητὸν γίγνηται καὶ

ὁ τοῦ θατέρου κύκλος ὀρθὸς ἰὼν εἰς πᾶσαν αὐτοῦ τὴν ψυχὴν

διαγγείλῃ, δόξαι καὶ πίστεις γίγνονται βέβαιοι καὶ ἀληθεῖς,

ὅταν δὲ αὖ περὶ τὸ λογιστικὸν ᾖ καὶ ὁ τοῦ ταὐτοῦ κύκλος                  c

εὔτροχος ὢν αὐτὰ μηνύσῃ, νοῦς ἐπιστήμη τε ἐξ ἀνάγκης

ἀποτελεῖται· τούτω δὲ ἐν ᾧ τῶν ὄντων ἐγγίγνεσθον, ἄν

ποτέ τις αὐτὸ ἄλλο πλὴν ψυχὴν εἴπῃ, πᾶν μᾶλλον ἢ

τἀληθὲς ἐρεῖ.                                                                              5           //210127

                그런데 (1) 같은 것에 따른 말은 다른 것으로 있는 것에

관련해서도 같은 것으로 있는 것에 관련해서도 참으로서

생성되고, (1-a) 말이 자신에 의해 운동하는 것 안에서 음성도 소음도 

없이 운행하면서, 그 말이 지각되는 것에 관련하여서 생성되고 

다른 것의 원 또한 올바르게 진행하여 그것의 모든 영혼을 향해 

전달할 경우에는, 확고하고 참된 판단들과 확신들이 생겨나는 반면,

(1-b) 이번엔 또 논리적인 것에 관련하여 말이 있고 같은 것의 원 또한 

훌륭한 원형으로 있음으로써 그것들을 알려줄 경우에는, 필연적으로

지성과 앎이 완성되는 것입니다. 있는 것들 중 그 두 가지 것들이

그 안에 생성되는 바, 그것을 누군가 영혼 이외의 것이라

이야기하기라도 한다면, 그는 진리보다는 오히려 그 외의

모든 것을 이야기하는 것일 테지요.

> 지각되는 것 관련 생성되는 참인 말+다른 것의 원의 진행=참인 판단과 확신

   논리적인 것 관련 있는 참인 말+같은 것의 원의 있음=지성과 앎

   아마도 밑줄 친 부분은 인식자(그의 영혼)를 가리킬 듯.

- 공통점과 차이를 모두 제대로 서술하는 참인 문장. 『테아이테토스』

영혼 자체(같은 것의 원과 다른 것의 원 둘 다)는 생김과 있음의 중간에서 

있음, 같음, 다름의 혼합물이다. 이것이 동일성과 비동일성의 판단.

그런데 영혼은 두 원이 서로 구분되고, 같은 것의 원은 지성의 영역에서 기능, 

다른 것의 원은 경험의 영역에서 기능.

Ὡς δὲ κινηθὲν αὐτὸ καὶ ζῶν ἐνόησεν τῶν ἀιδίων θεῶν

γεγονὸς ἄγαλμα ὁ γεννήσας πατήρ, ἠγάσθη τε καὶ εὐφρανθεὶς

ἔτι δὴ μᾶλλον ὅμοιον πρὸς τὸ παράδειγμα ἐπενόησεν ἀπερ-

γάσασθαι. καθάπερ οὖν αὐτὸ τυγχάνει ζῷον ἀίδιον ὄν, καὶ                d

τόδε τὸ πᾶν οὕτως εἰς δύναμιν ἐπεχείρησε τοιοῦτον ἀποτελεῖν.

그런데 그것이 운동하는 것이자 살아있는 것이고 영원한 신들을 

위한 헌상물이 된 것이라 그 낳으신 아버지께서 생각하셨고, 

즐거워하시고 또한 흡족해하시며 그래서 그 본에 대해 훨씬 더 

유사한 것으로 완성시키기로 마음먹으셨습니다. 그리하여 그 본이 

마침 영원한 생물로서 있기도 한 것처럼, 여기 이 모든 것도 

그런 식으로 가능한 한 이러한 것으로 완성해내고자 시도하셨습니다.

 

> 헌상물은 조각상이거나 아니면 성소. 조각상이라고 볼 경우 영원한 신들은 영원한 본들,

성소로 볼 경우 영원한 신들은 행성들. 양쪽 다 장단점이 있음.

 

ἡ μὲν οὖν τοῦ ζῴου φύσις ἐτύγχανεν οὖσα αἰώνιος, καὶ τοῦτο

μὲν δὴ τῷ γεννητῷ παντελῶς προσάπτειν οὐκ ἦν δυνατόν·

εἰκὼ δ᾿ ἐπενόει κινητόν τινα αἰῶνος ποιῆσαι, καὶ διακοσμῶν                5

ἅμα οὐρανὸν ποιεῖ μένοντος αἰῶνος ἐν ἑνὶ κατ᾿ ἀριθμὸν

ἰοῦσαν αἰώνιον εἰκόνα, τοῦτον ὃν δὴ χρόνον ὠνομάκαμεν.

그러므로 한편으로는 마침 그 생물의 본성이 영원한 것으로

있었기에, 이러한 것을 그 산출된 것에 완전하게 적용시키기란

가능한 일이 아니었습니다. 반면 그분께서는 영원의 어떤 

운동하는 모상을 만들기로 작정하셨고, 동시에 하늘에 질서를

부여하심으로써 그것을 하나 안에서 영원히 머무는 것에 대한

수에 따라 영원히 진행하는 모상으로 만드시어, 그래서 이러한

것으로 있는 것을 우리가 시간이라 명명하였던 것입니다.

-『자연학』에서 세는 수와 세어지는 수, 또는 크기 거리 운동 시간.

 

ἡμέρας γὰρ καὶ νύκτας καὶ μῆνας καὶ ἐνιαυτούς, οὐκ ὄντας                e

πρὶν οὐρανὸν γενέσθαι, τότε ἅμα ἐκείνῳ συνισταμένῳ τὴν

γένεσιν αὐτῶν μηχανᾶται· ταῦτα δὲ πάντα μέρη χρόνου, καὶ

τό τ᾿ ἦν τό τ᾿ ἔσται χρόνου γεγονότα εἴδη, ἃ δὴ φέροντες

λανθάνομεν ἐπὶ τὴν ἀίδιον οὐσίαν οὐκ ὀρθῶς. 

왜냐하면 주야와 연월, 하늘이 생기기 이전에는 있지 않은

것들은, 저 하늘이 구성될 때 그와 더불어 그것들의 생성을

고안하셨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모든 것들은 시간의

부분들이고, "있었다"라는 것도 "있을 것이다"라는 것도 시간의

형상(종)들로 생성된 것들로, 우리가 영원히 있는 것에 은연 중에 

옳지 못하게 적용시키고 있는 것들이기도 합니다. 

                                                             λέγομεν γὰρ                 5

δὴ ὡς ἦν ἔστιν τε καὶ ἔσται, τῇ δὲ τὸ ἔστιν μόνον κατὰ τὸν

ἀληθῆ λόγον προσήκει, τὸ δὲ ἦν τό τ᾿ ἔσται περὶ τὴν ἐν                38a1

χρόνῳ γένεσιν ἰοῦσαν πρέπει λέγεσθαι―κινήσεις γάρ ἐστον,

τὸ δὲ ἀεὶ κατὰ ταὐτὰ ἔχον ἀκινήτως οὔτε πρεσβύτερον οὔτε

νεώτερον προσήκει γίγνεσθαι διὰ χρόνου οὐδὲ γενέσθαι ποτὲ

οὐδὲ γεγονέναι νῦν οὐδ᾿ εἰς αὖθις ἔσεσθαι, τὸ παράπαν τε                 5

οὐδὲν ὅσα γένεσις τοῖς ἐν αἰσθήσει φερομένοις προσῆψεν,

ἀλλὰ χρόνου ταῦτα αἰῶνα μιμουμένου καὶ κατ᾿ ἀριθμὸν

κυκλουμένου γέγονεν εἴδη―καὶ πρὸς τούτοις ἔτι τὰ τοιάδε,

τό τε γεγονὸς εἶναι γεγονὸς καὶ τὸ γιγνόμενον εἶναι γιγνό-               b

μενον, ἔτι τε τὸ γενησόμενον εἶναι γενησόμενον καὶ τὸ μὴ

ὂν μὴ ὂν εἶναι, ὧν οὐδὲν ἀκριβὲς λέγομεν. περὶ μὲν

οὖν τούτων τάχ᾿ ἂν οὐκ εἴη καιρὸς πρέπων ἐν τῷ παρόντι

διακριβολογεῖσθαι.                                                                     5

                                                               그야 우리는

있었다느니 있다느니 있을 것이라느니 하고 말하지만, 저 

있는 것에는 오직 "있다"라는 것만이 참된 말에 따라 적절하며, 

반면 "있었다"도 "있을 것이다"도 시간 안에서 진행하는 생성에 

관련하여 말해지는 게 어울리니까요.―왜냐하면 이 둘은 운동들로 

있는데, 한편으로 언제나 같은 것들에 따른 상태인 것은 운동하지 

않는 방식으로 더 나이든 것으로도 더 어린 것으로도 시간을 통해

생성되고 있다는 것도 언젠가 생성되었다는 것도 지금 생성되어 

있다는 것도 또한 곧 있으리란 것도 적절치 않으며, 생성이 지각

안에서 이동하는 것들에 결부시킨 것은 그 무엇도 전적으로 적절치

않고, 오히려 이러한 것들은 영원한 것들을 모방하며 수에 따라

회전하는 시간에 대해 그 형상(종)들로 생성되었기 때문입니다.―

이것들에 더하여 나아가 다음과 같은 것들, 생성된 것이 생성된

것으로 있다는 것과 생성되는 중인 것이 생성되는 중인 것으로

있다는 것, 또한 생성될 것이 생성될 것으로 있다는 것과 있지 않은

것이 있지 않은 것으로 있다는 것까지도, 도무지 무엇 하나 우리가

정확한 것으로 말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리하여 그것들에 관련하여서는

어쩌면 지금 여기에서 세밀하게 하나하나 따지기에 적기가 있지는

않을 것입니다.

 

Χρόνος δ᾿ οὖν μετ᾿ οὐρανοῦ γέγονεν, ἵνα ἅμα γεννηθέντες

ἅμα καὶ λυθῶσιν, ἄν ποτε λύσις τις αὐτῶν γίγνηται, καὶ

κατὰ τὸ παράδειγμα τῆς διαιωνίας φύσεως, ἵν᾿ ὡς ὁμοιότατος

αὐτῷ κατὰ δύναμιν ᾖ· τὸ μὲν γὰρ δὴ παράδειγμα πάντα                  c

αἰῶνά ἐστιν ὄν, ὁ δ᾿ αὖ διὰ τέλους τὸν ἅπαντα χρόνον

γεγονώς τε καὶ ὢν καὶ ἐσόμενος. 

그리하여 시간은 하늘과 함께 생성되었으니, 언젠가 그것들의 무슨 

해체가 생겨난다면, 동시에 생성된 것들이 또한 동시에 해체되기도 

하도록 된 것이며, 내내 영원한 본성의 본에 따라 생성되었으니, 

그 본과 가능한 한 최대한 유사한 것으로 있게끔 된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 본은 모든 영원한 것들로서 있는 것으로 있고, 반면 

이번엔 하늘은 완결에 이르기까지 통틀어 모든 시간 동안에 생성되는 

것이자 있는 중인 것이며 또한 있게 될 것으로서 있기 때문입니다.

                                           ἐξ οὖν λόγου καὶ διανοίας

θεοῦ τοιαύτης πρὸς χρόνου γένεσιν, ἵνα γεννηθῇ χρόνος,

ἥλιος καὶ σελήνη καὶ πέντε ἄλλα ἄστρα, ἐπίκλην ἔχοντα                    5

πλανητά, εἰς διορισμὸν καὶ φυλακὴν ἀριθμῶν χρόνου γέγονεν·

그러므로 시간의 생성에 대한 신의 이와 같은 말과 사유로부터,

시간이 산출되도록 하기 위해, 태양와 달과 그 외의 다섯 별들, 

방황하는 것들(행성)이란 명칭을 지닌 것들이, 시간의 수들에 대한 

규정과 수호를 위해 생성되었습니다.

σώματα δὲ δὲ αὐτῶν ἑκάστων ποιήσας ὁ θεὸς ἔθηκεν εἰς τὰς

περιφορὰς ἃ ἡ θατέρου περίοδου ᾔειν, ἑπτὰ οὔσας ὄντα

ἑπτά, σελήνην μὲν εἰς τὸν περὶ γῆν πρῶτον, ἥλιον δὲ εἰς                  d

τὸν δεύτερον ὑπὲρ γῆς, ἑωσφόρον δὲ καὶ τὸν ἱερὸν Ἑρμοῦ

λεγόμενον εἰς [τὸν] τάχει μὲν ἰσόδρομον ἡλίῳ κύκλον ἰόντας,

τὴν δὲ ἐναντίαν εἰληχότας αὐτῷ δύναμιν· ὅθεν καταλαμ-

βάνουσίν τε καὶ καταλαμβάνονται κατὰ ταὐτὰ ὑπ᾿ ἀλλήλων               5

ἥλιός τε καὶ ὁ τοῦ Ἑρμοῦ καὶ ἑωσφόρος.

그 각각의 것들의 신체들을 신께서 제작하시어 다른 것의 궤도의 

회전운동이 진행하던 그 회전운동들을 향해 놓으셨으니, 일곱 가지 

회전운동들을 향해 일곱 개의 신체들을 놓으시어, 달은 대지 주위의 

첫 번째 원에, 태양은 지구 위로 두 번째 원에 놓으셨으며, 샛별과 

소위 헤르메스의 성물은 속력에서는 태양과 나란히 달리는 원형으로 

진행하는 원들에, 그러나 그것과 반대되는 힘(능력)을 지닌 원들에 

놓으셨습니다. 그런 연유로 같은 것들에 따라 서로에 의해 태양도 

헤르메스의 성물도 샛별도 따라잡고 또 따라잡히는 것이지요.

                                                      τὰ δ᾿ ἄλλα οἷ δὴ

καὶ δι᾿ ἃς αἰτίας ἱδρύσατο, εἴ τις ἐπεξίοι πάσας, ὁ λόγος

πάρεργος ὢν πλέον ἂν ἔργον ὧν ἕνεκα λέγεται παράσχοι.                e         

ταῦτα μὲν οὖν ἴσως τάχ᾿ ἂν κατὰ σχολὴν ὕστερον τῆς ἀξίας

τύχοι διηγήσεως· 

그런데 그 외의 것들을 무엇에 더 나아가 어떤 원인들로 인해 

정초하셨는지, 만일 누군가 그 모든 원인들을 상세하게 고찰해 

나아간다면, 그 말이 곁가지로 있으면서도 그 말해진 목적들보다 

더 큰 일거리를 내놓겠지요. 그러니 이런 것들은 아마도 어쩌면 

나중에 여가에나 상술할 만할지도 모르겠습니다.

                       ἐπειδὴ δὲ οὖν εἰς τὴν ἑαυτῷ πρέπουσαν

ἕκαστον ἀφίκετο φορὰν τῶν ὅσα ἔδει συναπεργάζεσθαι

χρόνον, δεσμοῖς τε ἐμψύχοις σώματα δεθέντα ζῷα ἐγεν-                   5

νήθη τό τε προσταχθὲν ἔμαθεν, κατὰ δὴ τὴν θατέρου φορὰν

πλαγίαν οὖσαν, διὰ τῆς ταὐτοῦ φορᾶς ἰούσης τε καὶ κρατου-        39a1

μένης, τὸ μὲν μείζονα αὐτῶν, τὸ δ᾿ ἐλάττω κύκλον ἰόν, θᾶττον

μὲν τὰ τὸν ἐλάττω, τὰ δὲ τὸν μείζω βραδύτερον περιῄειν.                      //210210

                                                             그러면 시간을 

함께 구현해내야 했던 것들의 각각이 자신에게 적합한 운행에 

이르러, 영혼을 품은 매듭들로 신체들이 결속되어 생물로서 

생성되고 또한 명령 받은 바 또한 배우게 되고 나서, 그래서 

다른 것의 기울어져 있는 운행을 따라, 같은 것의 진행하고 또한 

지배하는 운행을 통과해, 그것들 중 한편은 더 큰 원을, 다른 편은 

더 작은 원을 진행하며, 더 작은 원을 진행하는 것들은 더 빨리, 

더 큰 원을 진행하는 것들은 더 느리게 회전하였습니다.

> 39a1-2, 대다수 학자들이 "ἰούσης ... κρατουμένης," 즉 분사 여성 gen. 형태를

   "ἰοῦσαν ... κρατουμένην," 즉 분사 여성 acc. 형태로 고쳐 읽는다.

   수정 전의 경우 "진행하고 지배하는(med.)"이 같은 것의 운행을 수식하고,

   수정 후의 경우 "(같은 것을 통과해) 진행하고 지배받는(pass.)"으로 읽혀

   다른 것의 운행을 수식한다. 36c5 같은 것이 주도권 가짐.

> 여기서 '영혼이 들어가 있는 매듭'이 우주 전체나 인간 개인 차원에서

같음의 원과 다른의 원의 이중구조를 가리키나? 그래서 행성 각각도

두 원이 겹친 것으로서의 영혼을 지니나?

τῇ δὴ ταὐτοῦ φορᾷ τὰ τάχιστα περιιόντα ὑπὸ τῶν βραδύτερον

ἰόντων ἐφαίνετο καταλαμβάνοντα καταλαμβάνεσθαι· πάντας             5

γὰρ τοὺς κύκλους αὐτῶν στρέφουσα ἕλικα διὰ τὸ διχῇ κατὰ

τὰ ἐναντία ἅμα προϊέναι τὸ βραδύτατα ἀπιὸν ἀφ᾿ αὑτῆς οὔσης          b

ταχίστης ἐγγύτατα ἀπέφαινεν. 

                                                                       그래서 

같은 것의 운행에 의해서는, 가장 빨리 회전하는 것들이 더 늦게 

진행하는 것들을 따라잡는데도 그것들에 의해 따라잡히는 것처럼 

드러나 보였습니다. 왜냐하면 같은 것의 운행이 그것들이 반대되는 

것들에 따른 두 방향으로 동시에 진행해 나아간다는 점으로 인해 

그것들의 모든 원들을 나선형으로 회전시켜 가장 빠른 운행인 그 

같은 것의 운행 자신으로부터 가장 느리게 벗어나 나아가는 것을 

가장 가깝게 나타내 보였던 것이니까요. 

> dia 이유절이 나선형을 만들어내는 이유인지 실제 속도와 겉보기

속도의 차이를 만들어내는 이유인지?

                                        ἵνα δ᾿ εἴη μέτρον ἐναργές

τι πρὸς ἄλληλα βραδυτῆτι καὶ τάχει καὶ τὰ περὶ τὰς ὀκτὼ

φορὰς πορεύοιτο, φῶς ὁ θεὸς ἀνῆψεν ἐν τῇ πρὸς γῆν δευτέρᾳ

τῶν περιόδων, ὃ δὴ νῦν κεκλήκαμεν ἥλιον, ἵνα ὅτι μάλιστα                 5

εἰς ἅπαντα φαίνοι τὸν οὐρανὸν μετάσχοι τε ἀριθμοῦ τὰ ζῷα

ὅσοις ἦν προσῆκον, μαθόντα παρὰ τῆς ταὐτοῦ καὶ ὁμοίου

περιφορᾶς. 

                                                  그런데 느림과 빠름에서 

서로에 대한 어떤 분명한 단위(척도)가 있도록 그리고 여덟 가지 

운행들에 관련된 것들이 그 단위를 따를 수 있도록, 그 신께서는 

대지에 대해 궤도들 중 두 번째 것에 빛을 부여하셨으니, 그것이 

오늘날 우리가 태양이라 부른 것이고, 최대한 통틀어 모든 방향으로 

하늘을 비추고 또한 저마다 적합하게 살아있는 것들이 같은 것의 

그리고 유사한 것의 운행들로부터 배워, 수에 참여할 수 있도록 

그리하셨습니다.

> "ὅσοις ἦν προσῆκον"을 정암판에서는 "(아마도 '수에 참여할')

자격을 갖춘"으로 이해하였고 서광사판에서는 "자신에게 적합한 수"

로 번역하였다. 영역본들의 경우 "those living things appropriately endowed"라든지,

"suitably endowed creatures"라든지 하는 식으로 대부분, 굳이 말하자면,

"적절하게 타고난대로 살아있는 것들" 정도의 뜻으로 이해한 듯하다.

일단 "προσῆκον"이 중성형태라 남성 명사인 "수"를 수식하긴 곤란해 보이고,

반면 "ὅσοις"의 선행사가 "살아있는 것들"이면서 "적절함"의 기준이나 대상이

되는 dat. 형태를 취하고 있으므로, "~하기에 적합한 동물들"이라 번역하기도

곤란해 보인다. 의미상 서광사판에 가까울 것이나, 각각이 저마다 자신에게 어울리는 방식으로

살아있는 모든 것들이, 우주와 천구 전체의 차원에서 수에 따른 운행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한다는

그런 뜻으로 보고 "저마다 적합하게 살아있는" 정도의 번역을 취하면서 영어번역들 쪽에

따르는 편이 더 안전한 번역이 아닐까 싶다. Zeyl, Waterfield, Johansen 등이 이런 식이고,

Cornford의 경우 정암판과 가까운 뜻으로 번역하는 것으로 보인다.

 

               νὺξ μὲν οὖν ἡμέρα τε γέγονεν οὕτως καὶ διὰ                   c

ταῦτα, ἡ τῆς μιᾶς καὶ φρονιμωτάτης κυκλήσεως περίοδος·

μεὶς δὲ ἐπειδὰν σελήνη περιελθοῦσα τὸν ἑαυτῆς κύκλον ἥλιον

ἐπικαταλάβῃ, ἐνιαυτὸς δὲ ὁπόταν ἥλιος τὸν ἑαυτοῦ περιέλθῃ

κύκλον. 

                    그리하여 밤과 낮이 그런 식으로 또 그러한 일들로 

인해 생성되었고, 단일하고 가장 지혜로운 원의 궤도가 바로 

그것입니다. 그런데 월은 달이 자신의 원을 회귀하여 태양을 

따라잡을 때, 반면 연(年)은 태양이 자신의 원을 회귀할 때마다 

생성된 것입니다.

           τῶν δ᾿ ἄλλων τὰς περιόδους οὐκ ἐννενοηκότες ἄν-                 5

θρωποι, πλὴν ὀλίγοι τῶν πολλῶν, οὔτε ὀνομάζουσιν οὔτε πρὸς

ἄλληλα συμμετροῦνται σκοποῦντες ἀριθμοῖς, ὥστε ὡς ἔπος

εἰπεῖν οὐκ ἴσασιν χρόνον ὄντα τὰς τούτων πλάνας, πλήθει                d

μὲν ἀμηχάνῳ χρωμένας, πεποικιλμένας δὲ θαυμαστῶς· 

                      그 외의 것들의 궤도들은, 많은 이들 중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인간들이 유념하지 않았기에 명명하지도 않고 

수들로 검토하여 그것들 상호간의 단위를 맞추어 측정하지도 않았고, 

그래서 그것들의 방황들, 어쩔 수 없을 만큼 막대한 수를 사용하는가 

하면, 놀랄 만큼 다채로운 그 방황들이 시간으로서 있다는 것을 

말 그대로 알지 못하였습니다. 

                                                                        ἔστιν

δ᾿ ὅμως οὐδὲν ἧττον κατανοῆσαι δυνατὸν ὡς ὅ γε τέλεος

ἀριθμὸς χρόνου τὸν τέλεον ἐνιαυτὸν πληροῖ τότε, ὅταν ἁπασῶν

τῶν ὀκτὼ περιόδων τὰ πρὸς ἄλληλα συμπερανθέντα τάχη σχῇ            5

κεφαλὴν τῷ τοῦ ταὐτοῦ καὶ ὁμοίως ἰόντος ἀναμετρηθέντα

κύκλῳ. 

                                      한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시간의 완전한 수가 완전한 해를 그 때에 가득 채울 것이란 점은 

이해할 능력이 전혀 부족하지 않습니다. 여덟 가지 통틀어 그 모든 

궤도들의 서로에 관계하여 함께 완료된 속력들이 같은 것 그리고 

마찬가지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의 원에 의해 측정되어서 정점에 

이를 때에 말입니다.

         κατὰ ταῦτα δὴ καὶ τούτων ἕνεκα ἐγεννήθη τῶν

ἄστρων ὅσα δι᾿ οὐρανοῦ πορευόμενα ἔσχεν τροπάς, ἵνα τόδε

ὡς ὁμοιότατον ᾖ τῷ τελέῳ καὶ νοητῷ ζῴῳ πρὸς τὴν τῆς                    e

διαιωνίας μίμησιν φύσεως.

                          더욱이 이런 것들에 따라 그리고 이러한 

것들을 목적으로 하여 별들 중에서 하늘을 통과해 진행하며 

회귀점들을 지닌 것들이 산출되었으니, 여기 이 모든 것이 

영속하는 본성의 모방에 관계해 완전하고 지성적인 생명과 

최대한 유사한 것으로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습니다.

 

Καὶ τὰ μὲν ἄλλα ἤδη μέχρι χρόνου γενέσεως ἀπείργαστο

εἰς ὁμοιότητα ᾧπερ ἀπεικάζετο, τὸ δὲ μήπω τὰ πάντα ζῷα

ἐντὸς αὑτοῦ γεγενημένα περιειληφέναι, ταύτῃ ἔτι εἶχεν ἀνο-                5

μοίως. τοῦτο δὴ τὸ κατάλοιπον ἀπηργάζετο αὐτοῦ πρὸς τὴν

τοῦ παραδείγματος ἀποτυπούμενος φύσιν. ᾗπερ οὖν νοῦς

ἐνούσας ἰδέας τῷ ὃ ἔστιν ζῷον, οἷαί τε ἔνεισι καὶ ὅσαι,

καθορᾷ, τοιαύτας καὶ τοσαύτας διενοήθη δεῖν καὶ τόδε σχεῖν.

그리하여 이제 시간의 생성에 이르기까지 여타의 것들에서는

바로 그것에 닮아지려 했던 그것(본)과의 유사성을 향해 

구현되었으나, 아직 모든 생물들을 자신 내부에서 생성된 것들로

포괄하지 못했다는 점에서는, 이 점에서 여전히 유사하지 못한

상태였습니다. 그래서 그것의 이러한 남겨진 일이 그 본의 본성에

관계하여 그것을 본떠 구현되었습니다. 그리하여 지성이 생물로서

있는 바의 것에 내재하는 형상들을, 어떠한 것들로서 내재하고

또한 얼만큼의 것들이 내재하는지, 살펴보는 바로 그 방식에서,

이러한 그리고 이만큼의 형상들을 여기 이 생물 또한 지녀야

한다고 생각되었습니다.

> 여기에서 형상 안에 형상들이 들어가 있다는 것을 어떻게 이해할지.

유종관계로서의 포함관계를 이야기한다면 이상할 것이 없으나,

물리적 포함관계처럼 보려면 어렵다. 내포와 외연, 어느 쪽?

스토아 우주론에서 우주와 우주 속 개별물들의 관계?

김우석: 수와 1의 관계. 곽재욱: 집은 거주를 위한 것이고

이 목적에 따라 침대가 그 안에 있다고도 할 수 있지 않나.

εἰσὶν δὴ τέτταρες, μία μὲν οὐράνιον θεῶν γένος, ἄλλη δὲ                    10

πτηνὸν καὶ ἀεροπόρον, τρίτη δὲ ἔνυδρον εἶδος, πεζὸν δὲ καὶ         40a1

χερσαῖον τέταρτον. τοῦ μὲν οὖν θείου τὴν πλείστην ἰδέαν

ἐκ πυρὸς ἀπηργάζετο, ὅπως ὅτι λαμπρότατον ἰδεῖν τε κάλ-

λιστον εἴη, τῷ δὲ παντὶ προσεικάζων εὔκυκλον ἐποίει, τίθησίν

τε εἰς τὴν τοῦ κρατίστου φρόνησιν ἐκείνῳ συνεπόμενον, νεί-               5

μας περὶ πάντα κύκλῳ τὸν οὐρανόν, κόσμον ἀληθινὸν αὐτῷ

πεποικιλμένον εἶναι καθ᾿ ὅλον. 

                               그래서 네 가지 형상들이 있으니, 한

형상은 신들의 천상적인 유, 그 외의 형상은 날개가 돋히고

바람을 가르는 유, 세 번째 형상은 수생적인 종, 네 번째가

다리로 걷고 육상에 사는 종으로 있습니다. 그리하여 신적인 유의

형상 대부분을 불로부터 구현해내셨으니, 보기에 최대한 밝고 

또한 최대한 아름다운 것으로 있도록 하기 위함이셨고, 

모든 것(우주)에게 닮도록 하여 훌륭한 원형으로 제작하셨으며, 

저 모든 것에게 동반하는 것으로서 가장 강력한 자의 지혜 쪽으로 

세워놓으셨습니다. 모든 것들 주위로 원형으로 하늘을 놓으시고, 

참된 질서가 그것에게 그 전체에 따라 다채롭게 치장되어 있도록

하시어서 말이죠.                                                                   //210217

                                          κινήσεις δὲ δύο προσῆψεν

ἑκάστῳ, τὴν μὲν ἐν ταὐτῷ κατὰ ταὐτά, περὶ τῶν αὐτῶν ἀεὶ

τὰ αὐτὰ ἑαυτῷ διανοουμένῳ, τὴν δὲ εἰς τὸ πρόσθεν, ὑπὸ τῆς              b

ταὐτοῦ καὶ ὁμοίου περιφορᾶς κρατουμένῳ· τὰς δὲ πέντε

κινήσεις ἀκίνητον καὶ ἑστός, ἵνα ὅτι μάλιστα αὐτῶν ἕκαστον

γένοιτο ὡς ἄριστον. 

                      그런데 그 분께서는 각각에 두 가지 운동을

부여하셨으니, 한편으로는 같은 것 안에서 같은 것들에 따른

운동을, 언제나 같은 것들에 관련하여 자신과 같은(일치하는)

것들을 사유하는 것에게 부여하셨고, 다른 한편으로는 앞을 향하는

운동을, 같은 것 그리고 유사한 것의 회전운동에 의해 지배받는

각각에게 부여하셨습니다. 그런데 그 각각이 다섯 가지 운동들을

놓고 보자면 운동하지 않고 서있는 것으로 있으니, 그것들 각각이

최대한 많이 가능한 한 최선의 것으로 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 "τὴν μὲν..."이 자전운동을 묘사하고 있다면, 우주 중심에 있는 지구의

자전 운동 또한 고려할 수 있을 듯.

                           ἐξ ἧς δὴ τῆς αἰτίας γέγονεν ὅσ᾿ ἀπλανῆ

τῶν ἄστρων ζῷα θεῖα ὄντα καὶ ἀίδια καὶ κατὰ ταὐτὰ ἐν                      5

ταὐτῷ στρεφόμενα ἀεὶ μένει· τὰ δὲ τρεπόμενα καὶ πλάνην

τοιαύτην ἴσχοντα, καθάπερ ἐν τοῖς πρόσθεν ἐρρήθη, κατ᾿

ἐκεῖνα γέγονεν. 

그래서 그러한 원인으로부터 별들 중에서 방황함이 없이 신적인 

것들로 있으며 영속적이고 또한 같은 것들에 따라 같은 것 안에서 

회전하며 영원히 머무는 것들이 생성되었습니다. 그런데 회귀하며,

마치 앞서 이야기된 바에서처럼, 그런 종류의 방황을 지닌 것들은

저것들에 따라서 생성되었지요.

                     γῆν δὲ τροφὸν μὲν ἡμετέραν, ἰλλομένην δὲ

τὴν περὶ τὸν διὰ παντὸς πόλον τεταμένον, φύλακα καὶ δη-                c

μιουργὸν νυκτός τε καὶ ἡμέρας ἐμηχανήσατο, πρώτην καὶ

πρεσβυτάτην θεῶν ὅσοι ἐντὸς οὐρανοῦ γεγόνασιν. 

                                        그런데 대지를 우리의 양육자로,

모든 것을 관통하여 길게 뻗은 축 둘레로 휘감아 도는 그 대지를,

밤과 낮의 수호자이자 장인으로 고안하셨고, 하늘 안에서 생성된

신들 중 가장 처음의 가장 연장자인 것으로서 고안하셨습니다.

                                                                   χορείας

δὲ τούτων αὐτῶν καὶ παραβολὰς ἀλλήλων, καὶ [περὶ] τὰς

τῶν κύκλων πρὸς ἑαυτοὺς ἐπανακυκλήσεις καὶ προχωρήσεις,               5

ἔν τε ταῖς συνάψεσιν ὁποῖοι τῶν θεῶν κατ᾿ ἀλλήλους γιγνό-

μενοι καὶ ὅσοι καταντικρύ, μεθ᾿ οὕστινάς τε ἐπίπροσθεν

ἀλλήλοις ἡμῖν τε κατὰ χρόνους οὕστινας ἕκαστοι κατακαλύ-

πτονται καὶ πάλιν ἀναφαινόμενοι φόβους καὶ σημεῖα τῶν

μετὰ ταῦτα γενησομένων τοῖς οὐ δυναμένοις λογίζεσθαι                   d

πέμπουσιν, τὸ λέγειν ἄνευ δι᾿ ὄψεως τούτων αὖ τῶν μιμη-

μάτων μάταιος ἂν εἴη πόνος· ἀλλὰ ταῦτά τε ἱκανῶς ἡμῖν

ταύτῃ καὶ τὰ περὶ θεῶν ὁρατῶν καὶ γεννητῶν εἰρημένα φύσεως

ἐχέτω τέλος.                                                                               5

바로 그 신들의 윤무들과 서로간의 병치들, 그리고 원들의 자신들을

상대로 한 회귀들과 순행들, 또한 그러한 중첩들 안에 신들 중

어떤 분들께서 서로에 대해 생성되시고 또 얼만큼의 분들께서

반대편에서 생성되시는지, 서로간에 어떤 신들 다음으로 또

그보다 앞서 우리들에게서 어떤 시간들에 따라 덮여 가리워지시고

또 다시 드러나시며 이러한 일들 다음으로 일어날 일들에 대한

두려움과 징후들을 헤아릴 능력이 없는 자들에게 보내시는지,

이번엔 시각을 통한 이러한 것들의 모방물들 없이 말한다는 것은

헛된 노고일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은 이 정도로 우리에게

충분하게 그리고 또한 가지적이며 산출된 신들의 본성에 관련하여

이야기되는 것들도 충분히 끝을 맺은 것으로 치시죠.

 

-蟲-

  1. 이러한 논의가 도입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를 테면 이데아의 세계와 경험세계 사이의 일종의 '중간항' 같은 것이 필요하기 때문일까? 에피스테메에 근거지어진 독사와 그러한 근거로 뒷받침되지 않은 독사의 구분? 만일 둘 다 참인 믿음이라면, 그럼에도 전자는 앎이고 후자는 믿음이라고 구분지어야 할지, 아니면 앎에 근거한 믿음과 그렇지 않은 믿음이 그럼에도 둘 다 여전히 믿음이라고 해야 할지? [본문으로]

Τί δὲ δή; περὶ τοῦ ἅπτεσθαι τὸ ἓν αὑτοῦ καὶ τῶν ἄλλων                    5

καὶ τοῦ μὴ ἅπτεσθαι πέρι πῶς ἔχει, σκόπει.―Σκοπῶ.―Αὐτὸ

γάρ που ἐν ἑαυτῷ ὅλῳ τὸ ἓν ἐφάνη ὄν.―Ὀρθῶς.―Οὐκοῦν

καὶ ἐν τοῖς ἄλλοις τὸ ἕν;―Ναί.―Ἧι μὲν ἄρα ἐν τοῖς ἄλλοις,

τῶν ἄλλων ἅπτοιτο ἄν· ᾗ δὲ αὐτὸ ἐν ἑαυτῷ, τῶν μὲν ἄλλων              e

ἀπείργοιτο ἅπτεσθαι, αὐτὸ δὲ αὑτοῦ ἅπτοιτο ἂν ἐν ἑαυτῷ

ὄν.―Φαίνεται.―Οὕτω μὲν δὴ ἅπτοιτο ἂν τὸ ἓν αὑτοῦ τε

καὶ τῶν ἄλλων.―Ἅπτοιτο.

한데 그럼 어떤가? 하나는 자신에 그리고 그 외의 것들에

접촉한다는 것과 접촉하지 않는다는 것에 관련하여서 어떤 

상태인지, 검토해 주게.―검토하겠습니다.―즉 하나 자체는 

아마 자신 전체 안에서 있는 것으로 드러났었지.―맞습니다.

―그러니 그 외의 것들 안에서도 있는 것으로 드러나지 않겠나?

―네.―그래서 그 외의 것들 안에서 하나로 드러나는 한에서는, 

그 외의 것들에 접촉할 걸세. 그런데 그 자체가 자기 자신 안에서 

하나로 드러나는 한에서는, 그 외의 것들에는 접촉하는 것을 

금지당할 것이나, 그 자체가 자신 안에 있음으로써 자신에는 

접촉할 걸세.―그래 보입니다.―그래서 그런 식으로는 

하나가 자기 자신에도 그 외의 것들에도 접촉하겠지.

―접촉하겠지요.

 

> 포함되는 것은 포함하는 것과 접촉한다. 138a 이하.

   부분들의 총합과 부분 없는 전체 사이의 관계.

   접촉한다는 것이 점과 점으로 만난다는 것이라면, 경계를 이루는

모든 점들 각각에서 포함하는 것과 포함되는 것이 각기 자신의 부분들로써

접촉하는 것이며, 그렇다면 접촉하기 위해서는 부분들로 이루어져야 한다.

자신이 자신을 포함하고 자신에 의해 포함된다면, 포함되는 자신은 부분들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반면 포함하는 자신은 포함되는 자신보다 커야 하고,

그럼 포함하는 자신은 포함되는 자신보다 더 많은 부분들로 되어 있을 것이며,

포함되는 자신은 포함하는 자신이 더 가진 그 부분만큼 자기 자신의 부분을

결여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 경우 더 이상 자기 자신으로 있지 못하다.

 

                                   ―Τί δὲ τῇδε; ἆρ᾿ οὐ πᾶν τὸ

μέλλον ἅψεσθαί τινος ἐφεξῆς δεῖ κεῖσθαι ἐκείνῳ οὗ μέλλει                  5

ἅπτεσθαι, ταύτην τὴν ἕδραν κατέχον ἣ ἂν μετ᾿ ἐκείνην ᾖ

[ἕδρα] ᾗ ἂν κέηται, ἅπτεται;―Ἀνάγκη.―Καὶ τὸ ἓν ἄρα

εἰ μέλλει αὐτὸ αὑτοῦ ἅψεσθαι, ἐφεξῆς δεῖ εὐθὺς μετὰ ἑαυτὸ

κεῖσθαι, τὴν ἐχομένην χώραν κατέχον ἐκείνης ἐν ᾗ αὐτό

ἐστιν.―Δεῖ γὰρ οὖν.―Οὐκοῦν δύο μὲν ὂν τὸ ἓν ποιήσειεν                  10

ἂν ταῦτα καὶ ἐν δυοῖν χώραιν ἅμα γένοιτο· ἕως δ᾿ ἂν ᾖ ἕν,         149a1

οὐκ ἐθελήσει;―Οὐ γὰρ οὖν.

                                    ―그런데 이런 식으로는 어떤가?

혹시 장차 무언가에 접촉할 그러한 모든 것은 그것이 장차

접할 대상이 되는 저것과 잇달아 놓여야 하는가? 닿아지는 것이 

놓이는 저 자리 다음에 있을 바로 그 자리를 점유함으로써?―

필연적으로요.―그럼 하나 또한 만일 장차 스스로 자신에게

접촉할 것이라면, 그 자신이 바로 다음에 연달아 놓여야 하네,

그 자신이 그 안에 있는 저 자리에 붙어있는 자리를 점유함으로써

말일세.―그야 그래야 하니까요.―그러니 하나는 둘로 있으면서

이러한 일들을 행할 테고 또한 두 자리 안에 동시에 생성되지

않겠나? 그런데 그것이 하나로 있을 동안에는, 그리 하려 하지

않겠지?―그야 안 그러겠죠.

> '잇달아'의 정의는 『자연학』 226b34 이하. 

                                    ―Ἡ αὐτὴ ἄρα ἀνάγκη τῷ ἑνὶ

μήτε δύο εἶναι μήτε ἅπτεσθαι αὐτῷ αὑτοῦ.―Ἡ αὐτή.―Ἀλλ᾿

οὐδὲ μὴν τῶν ἄλλων ἅψεται.―Τί δή;―Ὅτι, φαμέν, τὸ

μέλλον ἅψεσθαι χωρὶς ὂν ἐφεξῆς δεῖ ἐκείνῳ εἶναι οὗ μέλλει                5

ἅψεσθαι, τρίτον δὲ αὐτῶν ἐν μέσῳ μηδὲν εἶναι.―Ἀληθῆ.―

Δυό ἄρα δεῖ τὸ ὀλίγιστον εἶναι, εἰ μέλλει ἅψις εἶναι.―Δεῖ.                     //200925

                                    ―그래서 하나로서는 둘로 있지도

못하고 스스로 자신에게 접촉하지도 못한다는 것이 같은

필연이라네.―같네요.―허나 물론 그 외의 것들에도 접하지

못할 테지.―왜 그렇죠?―우리는, 장차 접촉할 독립적으로

있는 것은 그것이 장차 접촉할 저 대상에 연달아 있어야 한다고,

그런데 그것들의 중간에 세 번째 것은 아무것도 있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한다는 점에서 말이지.―참이지요.―그럼 아무리 

적어도 둘은 있어야 하네, 만일 장차 접촉이 있으려면 말일세.

―그래야죠.

―Ἐὰν δὲ τοῖν δυοῖν ὅροιν τρίτον προσγένηται ἑξῆς, αὐτὰ

μὲν τρία ἔσται, αἱ δὲ ἅψεις δύο.―Ναί.―Καὶ οὕτω δὴ                      b

ἀεὶ ἑνὸς προσγιγνομένου μία καὶ ἅψις προσγίγνεται, καὶ

συμβαίνει τὰς ἅψεις τοῦ πλήθους τῶν ἀριθμῶν μιᾷ ἐλάττους

εἶναι. ᾧ γὰρ τὰ πρῶτα δύο ἐπλεονέκτησεν τῶν ἅψεων εἰς

τὸ πλείω εἶναι τὸν ἀριθμὸν ἢ τὰς ἅψεις, τῷ ἴσῳ τούτῳ καὶ                  5

ὁ ἔπειτα ἀριθμὸς πᾶς πασῶν τῶν ἅψεων πλεονεκτεῖ· ἤδη 

γὰρ τὸ λοιπὸν ἅμα ἕν τε τῷ ἀριθμῷ προσγίγνεται καὶ μία                c

ἅψις ταῖς ἅψεσιν.―Ὀρθῶς.―Ὅσα ἄρα ἐστὶν τὰ ὄντα τὸν

ἀριθμόν, ἀεὶ μιᾷ αἱ ἅψεις ἐλάττους εἰσὶν αὐτῶν.―Ἀληθῆ.

               ―그런데 만일 그 두 항들에 세 번째 것이 

연달아 추가로 생성된다면, 그것들은 세 가지 것들로 있을 

테지만, 접촉들은 둘로 있을 걸세.―네.―더욱이 그런 식으로 

언제나 하나가 추가생성되면 한 접촉도 추가생성될 테고, 

그래서 그 갯수의 여럿(복수)보다 하나 만큼 적은 접촉들이 

있도록 귀결된다네. 왜냐하면 최초의 둘이 그것들의 접촉들에 

대해 그 접촉들보다 수에서 더 많이 있는 쪽으로 초과하는 만큼, 

바로 그와 같은 만큼 그 다음 모든 수도 그 모든 접촉들에 대해 

초과하기 때문이라네. 왜냐하면 남은 경우에도 이미 하나가

수에 추가 되는 동시에 한 접촉도 접촉들에 추가되기 때문이지.

―올바르게 말이죠.―그래서 있는 것들이 수에서 얼만큼 있든,

항상 그것들보다 하나 만큼 적은 접촉들이 있다네.―참으로요.

―Εἰ δέ γε ἓν μόνον ἐστίν, δυὰς δὲ μὴ ἔστιν, ἅψις οὐκ ἂν

εἴη.―Πῶς γάρ;―οὔκουν, φαμέν, τὰ ἄλλα τοῦ ἑνὸς οὔτε                      5

ἕν ἐστιν οὔτε μετέχει αὐτοῦ, εἴπερ ἄλλα ἐστίν.―Οὐ γάρ.―

Οὐκ ἄρα ἔνεστιν ἀριθμὸς ἐν τοῖς ἄλλοις, ἑνὸς μὴ ἐνόντος ἐν

αὐτοῖς.―Πῶς γάρ;―Οὔτ᾿ ἄρα ἕν ἐστι τὰ ἄλλα οὔτε δύο οὔτε

ἄλλου ἀριθμοῦ ἔχοντα ὄνομα οὐδέν.―Οὔ.―Τὸ ἓν ἄρα μόνον            d

ἐστὶν ἕν, καὶ δυὰς οὐκ ἂν εἴη.―Οὐ φαίνεται.―ἅψις ἄρα

οὐκ ἔστιν δυοῖν μὴ ὄντοιν.―Οὐκ ἔστιν.―Οὔτ᾿ ἄρα τὸ ἓν τῶν

ἄλλων ἅπτεται οὔτε τὰ ἄλλα τοῦ ἑνός, ἐπείπερ ἅψις οὐκ

ἔστιν.―Οὐ γὰρ οὖν.―Οὕτω δὴ κατὰ πάντα ταῦτα τὸ ἓν                    5

τῶν τε ἄλλων καὶ ἑαυτοῦ ἅπτεταί τε καὶ οὐχ ἅπτεται.―

Ἔοικεν.                                                                       //210927

―그런가 하면 만일 오직 하나만 있다면, 그런데 둘은 있지

않다면, 접촉이 있지 않을 걸세.―그야 어찌 있겠습니까?―

그러니, 우리가 주장하기로, 하나 외의 것들은 하나로 있지도

않고 그것에 참여하지도 않지 않나 하네, 만일 정말로 그 외의

것들로 있다면 말이지.―그리 있지 않고 그리 하지 않으니까요.

―그래서 그 외의 것들에는 수가 그 안에 들어 있지 않은데,

그것들 안에 하나가 들어가 있지 않기 때문이지.―그야 어찌

그렇겠습니까?―그래서 여타의 것들은 하나로 있지도 않고

둘로도 있지 않고 그 외의 수의 그 어떤 이름을 가진 것들로도

있지 않지.―그리 있지 않죠.―그래서 오직 하나만이 하나로

있고, 그래서 둘은 있지는 않을 걸세.―그리 있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그래서 둘이 있지 않으니 접촉은 있지 않지.―있지

않죠.―그래서 하나도 그 외의 것들에 접하지 않고 그 외의

것들도 하나에 접하지 않는 것이지, 접촉이 있지 않으니 말일세.

그야 있지 않으니 그렇지요.―그래서 그런 식으로 이 모든

것들에 따라서 하나는 그 외의 것들에도 자신에게도 접하기도

또 접하지 않기도 하고있다네.―그럴 듯합니다.

> 하나가 있어야 수가 있고, 수가 있어야 둘이 있고, 둘이 있어야

접촉이 있다.

 

Ἆρ᾿ οὖν καὶ ἴσον ἐστὶ καὶ ἄνισον αὑτῷ τε καὶ τοῖς 

ἄλλοις;―Πῶς;―Εἰ μεῖζον εἴη τὸ ἓν ἢ τἆλλα ἢ ἔλαττον,

ἢ αὖ τὰ ἄλλα τοῦ ἑνὸς μείζω ἢ ἐλάττω, ἆρα οὐκ ἂν τῷ μὲν               e

ἓν εἶναι τὸ ἓν καὶ τἆλλα ἄλλα τοῦ ἑνὸς οὔτε τι μείζω

οὔτε τι ἐλάττω ἂν εἴη ἀλλήλων αὐταῖς γε ταύταις ταῖς

οὐσίαις; ἀλλ᾿ εἰ μὲν πρὸς τῷ τοιαῦτα εἶναι ἑκάτερα ἰσότητα

ἔχοιεν, ἴσα ἂν εἴη πρὸς ἄλληλα· εἰ δὲ τὰ μὲν μέγεθος, τὸ                    5

δὲ σμικρότητα, ἢ καὶ μέγεθος μὲν τὸ ἕν, σμικρότητα δὲ

τἆλλα, ὁποτέρῳ μὲν τῷ εἴδει μέγεθος προσείη, μεῖζον ἂν

εἴη, ᾧ δὲ σμικρότης, ἔλαττον;―Ἀνάγκη.

그러면 혹시 [하나가] 자신과도 그 외의 것들과도 같은 만큼의

것으로도 같지 않은 만큼의 것으로도 있지?―어찌 하시는

말씀이십니까?―만일 하나가 그 외의 것들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것으로 있을 것이라면, 혹은 이번엔 그 외의 것들이

하나보다 더 많거나 혹은 더 적게 있을 것이라면, 혹시 

하나가 하나로 있다는 것과 그 외의 것들이 하나 이외의 것들로

있다는 점에서 적어도 그들 자신들의 실체들 자체로는 서로

보다 조금이라도 더 많은 것으로도 조금이라도 더 적은 

것으로도 있지 않은 게 아니겠나? 오히려 만일 양편 각각의 

것들이 그러한 것들로 있다는 것에 더하여 같은 양을 

지닌다면, 서로에 대해 같은 만큼의 것들로 있겠지. 그런데

만일 여타의 것들은 큼을, 다른 한편 하나는 작음을 지닌다면,

혹은 하나는 큼을 지니고, 그 외의 것들은 작음들을 지닌다면,

그 둘 중 큼이 추가로 있을 그 형상(종류)은, 더 큰 것으로

있겠으며, 작음이 그것에 추가로 있을 것, 그것은 더욱 적은

것으로 있겠지?―필연적으로요.

                                                   ―Οὐκοῦν ἐστόν

γέ τινε τούτω εἴδη, τό τε μέγεθος καὶ ἡ σμικρότης; οὐ γὰρ

ἄν που μὴ ὄντε γε ἐναντίω τε ἀλλήλοιν εἴτην καὶ ἐν τοῖς                  10

οὖσιν ἐγγιγνοίσθην.―Πῶς γὰρ ἄν;―Εἰ ἄρα ἐν τῷ ἑνὶ                  150a1

σμικρότης ἐγγίγνεται, ἤτοι ἐν ὅλῳ ἂν ἢ ἐν μέρει αὐτοῦ

ἐνείη.―Ἀνάγκη.―Τί δ᾿ εἰ ἐν ὅλῳ ἐγγίγνοιτο; οὐχὶ ἢ ἐξ

ἴσου ἂν τῷ ἑνὶ δι᾿ ὅλου αὐτοῦ τεταμένη εἴη ἢ περιέχουσα

αὐτό;―Δῆλον δή.―Ἆρ᾿ οὖν οὐκ ἐξ ἴσου μὲν οὖσα ἡ σμι-                   5

κρότης τῷ ἑνὶ ἴση ἂν αὐτῷ εἴη, περιέχουσα δὲ μείζων;

                                                      ―그러므로 적어도

이런 어떤 두 형상들이 있지 않나? 큼과 작음 말이네. 왜냐하면

아마도 그 둘이 어쨌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서로 반대되는 것들로

있지도 못하고 있는 것들 안에 들어서 생성되지도 못할 테니까.

―어찌 그럴 수 있겠습니까?―그래서 만일 하나 안에 작음이

생성되어 들어온다면, 어쨌든 그 전체 안에 들어 있거나 혹은

그것의 부분 안에 들어 있겠지.―필연적으로요.―그런데 만일

전체 안에 생성되어 들어온다면 어떤가? 하나와 같은 정도의

양으로 그 전체를 거쳐 뻗어 있거나 아니면 그것을 포괄하여

있거나 하겠지?―분명 그렇습니다.―그러면 혹시 작음은 하나와

같은 정도의 양으로 있어서는 그것과 같은 만큼의 것으로 있겠고,

포괄하여서는 더 큰 것으로 있지 않나?

> 소괄호 안에 무엇이 가득하게 생기는 세 가지 경우. {()}일치 { () }포괄 ({})부분

> 이를 경계나 접촉과 관련하여, 같은 만큼 뻗은 것과 경계로서 감싸는 것의

두 경우로 생각하면 바깥영역이라는 새로운 고려사항을 도입할 필요가 없을 것. by Lee. 211220

―Πῶς δ᾿ οὔ;―Δυνατὸν οὖν σμικρότητα ἴσην τῳ εἶναι ἢ μείζω

τινός, καὶ πράττειν τὰ μεγέθους τε καὶ ἰσότητος, ἀλλὰ

μὴ τὰ ἑαυτῆς;―Ἀδύνατον.―Ἐν μὲν ὅλῳ ἄρα τῷ ἑνὶ οὐκ                  b

ἂν εἴη σμικρότης, ἀλλ᾿ εἴπερ, ἐν μέρει.―Ναί.―Οὐδέ γε ἐν

παντὶ αὖ τῷ μέρει· εἰ δὲ μή, ταὐτὰ ποιήσει ἅπερ πρὸς τὸ

ὅλον· ἴση ἔσται ἢ μείζων τοῦ μέρους ἐν ᾧ ἂν ἀεὶ ἐνῇ.―

Ἀνάγκη.

                                              ―어찌 아니겠습니까?―

그러면 작음이 어떤 것과 같은 만큼의 것으로 있거나 아니면

무언가보다 더 큰 것으로 있다는 것이, 그리고 큼에도 같은

만큼의 것에도 속한 일들을 해내기도 한다는 것이, 그러나

자신에 속한 일들은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 가능한 일인가?―

불가능합니다.―그래서 전체로서의 하나 안에는 작음이 있지

않을 것이고, 오히려 만일 그렇다면, 부분 안에 있을 걸세.―네.

―이번엔 또 부분 모두 안에 있는 것도 아니겠지. 그런데 만일

그렇지 않다면, 전체에 관계되는 바로 그 일들과 같은 일들을

행할 테지. 같은 만큼의 것으로 있을 것이거나 그것이 언제나

그 안에 들어 있을 그 부분보다 더 큰 것으로 있을 걸세.

필연적입니다.

> 1) 모든 부분. 2) 특정 부분의 전체.

   1)로 읽으면 앞서에서 하나와 작음의 크기가 같거나 작음이

     더 큰 경우가 생김.

   2)로 읽으면 하나와 작음 사이의 문제와 같은 종류의 문제가

     작음과 작음이 들어가는 그 일부분 사이에서도 발생한다.

    아마도 2

           ―Οὐδενί ποτε ἄρα ἐνέσται τῶν ὄντων σμικρότης,                5

μήτ᾿ ἐν μέρει μήτ᾿ ἐν ὅλῳ ἐγγιγνομένη· οὐδέ τι ἔσται

σμικρὸν πλὴν αὐτῆς σμικρότητος.―Οὐκ ἔοικεν.―Οὐδ᾿ ἄρα

μέγεθος ἐνέσται ἐν αὐτῷ· μεῖζον γὰρ ἄν τι εἴη ἄλλο καὶ

πλὴν αὐτοῦ μεγέθους, ἐκεῖνο ἐν ᾧ τὸ μέγεθος ἐνείη, καὶ                 c

ταῦτα σμικροῦ αὐτῷ οὐκ ὄντος, οὗ ἀνάγκη ὑπερέχειν, ἐάνπερ

ᾖ μέγα· τοῦτο δὲ ἀδύνατον, ἐπειδὴ σμικρότης οὐδαμοῦ ἔνι.―

Ἀληθῆ. //211213

                                                ―그래서 있는 것들 중

그 무엇에게도 결코 작음이 들어 있지 않을 것이고, 부분 안에도

전체 안에도 생성되어 들어가지 않음으로써 그럴 걸세. 작음 자체

말고는 그 무엇도 전혀 작은 것으로 있지 않을 테지.―있지 않은

편이 그럴 듯하네요.―그래서 그 안에 큼도 들어 있지 않을 걸세.

왜냐하면 큼 자체 말고도 그 외의 어떤 것이 큰 것으로 있을 테고,

저것은 큼이 그 안에 들어 있을 그런 것일 테고, 작은 것은 그것에게

있지 않음에도 사정이 그러하기 때문이네, 만일 정말로 큰 것으로

있으려면, 그것이 초과하는 일이 필연적인, 그런 작음이 말일세.

그런데 이는 불가능하다네, 작음이 그 어디에도 전혀 들어있지

않으니.―참된 말씀이십니다.

> 작음 자체가 다른 것을 작게 만들면서 작지 않게 된다.

   그래서 작음은 어디에도 들어있지 않다.

   그런데 큼 자체 외에 다른 큰 것들은 작은 것보다 비교해서

   더 큰 것으로 있어야 한다.

   그런데 작음이 어디에도 들어있지 않으므로 비교할 작은

   것이 없다.

   그러므로 큼 자체 외의 큰 것은 큰 것으로 있을 수 없다.

   이 경우, 큼 자체는 어떠한가? 큼 자체도 다른 것을 크게

   만들려면 크지 않게 되어 버리는가?

   관계항을 부정하는 것인지, 가장 거대한 유들은 모두 관계항인지

등등의 문제가.... by Lee.

         ―Ἀλλὰ μὴν αὐτὸ μέγεθος οὐκ ἄλλου μεῖζον ἢ

αὐτῆς σμικρότητος, οὐδὲ σμικρότης ἄλλου ἔλαττον ἢ αὐτοῦ              5

μεγέθους.―Οὐ γάρ.―Οὔτε ἄρα τὰ ἄλλα μείζω τοῦ ἑνὸς

οὐδὲ ἐλάττω, μήτε μέγεθος μήτε σμικρότητα ἔχοντα, οὔτε

αὐτὼ τούτω πρὸς τὸ ἓν ἔχετον τὴν δύναμιν τὴν τοῦ ὑπερ-             d

έχειν καὶ ὑπερέχεσθαι, ἀλλὰ πρὸς ἀλλήλω, οὔτε αὖ τὸ ἓν

τούτοιν οὐδὲ τῶν ἄλλων μεῖζον ἂν οὐδ᾿ ἔλαττον εἴη, μήτε

μέγεθος μήτε σμικρότητα ἔχον.―Οὔκουν φαίνεταί γε.―Ἆρ᾿

οὖν, εἰ μήτε μεῖζον μήτε ἔλαττον τὸ ἓν τῶν ἄλλων, ἀνάγκη               5

αὐτὸ ἐκείνων μήτε ὑπερέχειν μήτε ὑπερέχεσθαι;―Ἀνάγκη.

                           ―오히려 실은 큼 자체가 작음 자체 외에

것보다 더 크지 않고, 작음도 큼 자체 외의 것보다 작지도 않지.

―안 크고 안 작고 하죠.―그래서 여타의 것들은 하나보다 더

크지도 더 작지도 않으니, 큼도 작음도 지니지 않기에 그러하며,

그 둘 자체가 하나를 상대로 초과하거나 초과당할 능력을

지니지도 않고, 오히려 서로를 상대로, 이번엔 또 하나가 그

둘보다도 그 외의 것들보다도 큰 것으로도 작은 것으로도 있지

않을 것이라네, 큼도 작음도 지니지 않음으로써 말일세.―적어도

안 지닐 것으로 드러나 보이기는 하네요.―그러니 혹시, 만일

하나가 그 외의 것들보다 크지도 작지도 않다면, 그것이 저것들을

초과하지도 저것들에 초과당하지도 않는다는 필연적인가?―

필연적입니다.

> 큼 자체와 작음 자체 사이에서는, 그 사이에서만, 

―Οὐκοῦν τό γε μήτε ὑπερέχον μήτε ὑπερεχόμενον πολλὴ

ἀνάγκη ἐξ ἴσου εἶναι, ἐξ ἴσου δὲ ὂν ἴσον εἶναι.―Πῶς γὰρ

οὔ;―Καὶ μὴν καὶ αὐτό γε τὸ ἓν πρὸς ἑαυτὸ οὕτως ἂν ἔχοι·              e

μήτε μέγεθος ἐν ἑαυτῷ μήτε σμικρότητα ἔχον οὔτ᾿ ἂν ὑπερ-

ἐχοιτο οὔτ᾿ ἂν ὑπερέχοι ἑαυτοῦ, ἀλλ᾿ ἐξ ἴσου ὂν ἴσον ἂν εἴη

ἑαυτῷ.―Πάνυ μὲν οὖν.―Τὸ ἓν ἄρα ἑαυτῷ τε καὶ τοῖς

ἄλλοις ἴσον ἂν εἴη.―Φαίνεται.

                    ―그렇다면 적어도 초과하지도 초과당하지도

않는 것은 같은 정도로 있음이, 같은 정도로 있음으로써 같은

만큼의 것으로 있음이 무척이나 필연적이지 않나 하네.―어찌

아니겠습니까?―그런가 하면 적어도 하나 자체도 자기 자신을

상대로 그러한 상태일 걸세. 자신 안에 큼도 작음도 지니지

않음으로써 초과당하지도 않을 것이고 자신을 초과하지도

것이고, 오히려 제 자신과 같은 정도로 있음으로써 같은 만큼의

것으로 있을 테지.―물론입니다.―그래서 하나는 자신과도 그

외의 것들과도 같은 만큼의 것으로 있겠지.―그래 보입니다.

                                       ―Καὶ μὴν αὐτό γε ἐν ἑαυτῷ                5

ὂν καὶ περὶ ἑαυτὸ ἂν εἴη ἔξωθεν, καὶ περιέχον μὲν μεῖζον

ἂν ἑαυτοῦ εἴη, περιεχόμενον δὲ ἔλαττον, καὶ οὕτω μεῖζον ἂν     151a1

καὶ ἔλαττον εἴη αὐτὸ ἑαυτοῦ τὸ ἕν.―Εἴη γὰρ ἄν.―Οὐκοῦν

καὶ τόδε ἀνάγκη, μηδὲν εἶναι ἐκτὸς τοῦ ἑνός τε καὶ τῶν

ἄλλων;―Πῶς γὰρ οὔ;―Ἀλλὰ μὴν καὶ εἶναί που δεῖ τό γε

ὂν ἀεί.―Ναί.―Οὐκοῦν τό γε ἔν τῳ ὂν ἐν μείζονι ἔσται                     5

ἔλαττον ὄν; οὐ γὰρ ἂν ἄλλως ἕτερον ἐν ἑτέρῳ εἴη.―Οὐ

γάρ.

―그런가 하면 적어도 자신과 같은 것으로 있음으로써

자신과 관련하여 외부에 있을 것이기도 하고, 그래서

포괄하는 것으로서 자신보다 더 큰 것으로 있을 것이며,

다른 한편 포괄되는 것으로서는 더 작은 것으로 있을 것이고,

그래서 그런 식으로 하나 자체가 자기 자신보다 더 큰 것이자

더 작은 것으로 있을 걸세.―그리 있을 테지요.―그렇다면

이런 것도 필연적이지 않나? 하나와 그 외의 것들 외부에는

아무것도 있지 않다는 것이 말일세.―어찌 아니겠습니까?―

그런가 하면 적어도 항상 있는 것인 한에서는 어딘가에 있어야

하지.―네.―그렇다면 적어도 무언가 안에 있는 것은 더 큰 것

안에 있음으로써 작은 것으로 있는 것으로서 있을 게 아닌가?

왜냐하면 그 외의 방식으로는 다른 것 안에 있지 않을 테니까.

―다른 방식으로는 있지 않겠죠.

      ―Ἐπειδὴ δὲ οὐδὲν ἕτερον ἔστι χωρὶς τῶν ἄλλων καὶ

τοῦ ἑνός, δεῖ δὲ αὐτὰ ἔν τῳ εἶναι, οὐκ ἀνάγκη ἤδη ἐν ἀλλή-

λοις εἶναι, τά τε ἄλλα ἐν τῷ ἑνὶ καὶ τὸ ἓν ἐν τοῖς ἄλλοις,

ἢ μηδαμοῦ εἶναι;―Φαίνεται.―Ὅτι μὲν ἄρα τὸ ἓν ἐν τοῖς                b

ἄλλοις ἔνεστι, μείζω ἂν εἴη τὰ ἄλλα τοῦ ἑνός, περιέχοντα

αὐτό, τὸ δὲ ἓν ἔλαττον τῶν ἄλλων, περιεχόμενον· ὅτι δὲ τὰ

ἄλλα ἐν τῷ ἑνί, τὸ ἓν τῶν ἄλλων κατὰ τὸν αὐτὸν λόγον

μεῖζον ἂν εἴη, τὰ δὲ ἄλλα τοῦ ἑνὸς ἐλάττω.―Ἔοικεν.―Τὸ                 5

ἓν ἄρα ἴσον τε καὶ μεῖζον καὶ ἔλαττόν ἐστιν αὐτό τε αὑτοῦ

καὶ τῶν ἄλλων.―Φαίνεται.                                                     //211220

                                         ―그런데 그 외의 것들과 그리고

하나와도 독립적으로는 다른 아무것도 있지 않기에, 한데 그것들이

무언가 안에 있어야 하기에, 이제 서로 안에 있다는 게 필연적이지

않나? 그 외의 것들도 하나 안에 하나도 그 외의 것들 안에 있다는 

게, 아니면 아무데도 있지 않다는 게 말일세.―그리 드러나 보입니다.

―그래서 하나는 그 외의 것들 안에 들어가 있다는 점에서, 그 외의

것들은 하나보다 더 큰 것으로 있을 테니, 그 하나를 포괄하는

것들로서 그리 있을 것이고, 다른 한편 하나는 그 외의 것들보다 

작은 것으로 있을 테니, 포괄되는 것으로서 그리 있을 걸세. 그런데

그 외의 것들이 하나 안에 있다는 점에서, 하나는 같은 논리에 따라

그 외의 것들보다 더 큰 것으로 있을 테고, 그 외의 것들은 하나보다

더 작은 것으로 있을 걸세.―그럴 듯합니다.―그래서 하나는 그 자체가

자기 자신에 비해서도 그 외의 것들에 비해서도 같은 만큼의 것이자

더 큰 것이며 또한 더 작은 것으로 있지.―그리 드러나 보입니다.

> 왜 ta alla가 en allelois로 있는 경우가 제외되는가? + 왜 여타의 것들은

하나 안에 있거나 아니면 아무데도 없다는 게 필연적인가?

하나는 왜 하나 자신 안에 있는 것으로 충분하지 않고 여타의 것들 안에

있어야 하는가? 하나는 자신 안에 있으나, 무엇 안에 있으려면 그 받아들이는

것이 들어가는 것보다 커야 하고, 어떤 것보다 더 큰 것은 그 어떤 것과 다른

것이고, 그래서 하나는 자신 외에 것 안에 있어야 한다는 논의 전개인가?

그럼 하나가 여타의 것들 안에 있어야 한다는 결론은 이해할 수 있으나,

왜 여타의 것들이 하나 안에 있어야 하고 자기들 서로 안에 있을 가능성은

고려되지 않는 것인가? //복수지만 집단으로서 단수 취급하면 A와 ~A가

각자 자신 안에 아니면 서로 안에 있다는 두 선택지만 가능. by Lee.

> 큼 자체와 작음 자체가 자신들 외의 그 어디에도 들어있지 않기에

여타의 것들은 하나를 포함해 모두 서로 같은 크기.

                                   ―Καὶ μὴν εἴπερ μεῖζον καὶ ἔλατ-

τον καὶ ἴσον, ἴσων ἂν εἴη μέτρων καὶ πλειόνων καὶ ἐλαττόνων

αὑτῷ καὶ τοῖς ἄλλοις, ἐπειδὴ δὲ μέτρων, καὶ μερῶν.―Πῶς               c

δ᾿ οὔ;―Ἴσων μὲν ἄρα μέτρων ὂν καὶ πλειόνων καὶ ἐλατ-

τόνων, καὶ ἀριθμῷ ἔλαττον ἂν καὶ πλέον εἴη αὐτό τε αὑτοῦ

καὶ τῶν ἄλλων καὶ ἴσον αὑτῷ τε καὶ τοῖς ἄλλοις κατὰ

ταὐτά.

―게다가 만일 정말로 더 큰 것이자 더 작은 것이며 또한 같은

만큼의 것으로 있다면, 자신과도 그 외의 것들과도 같은 만큼의

척도들과 더 많은 척도들 그리고 더 적은 척도들로 되어 있을 

것이고, 그런데 척도들로 되어 있기에, 부분들로도 되어 있을 테지.

―어찌 아니겠습니까?―그래서 같은 만큼의 그리고 더 많은 또한

더 적은 척도들로 되어 있는 것으로서, 수로도 그 자체가 자신보다도

그 외의 것들보다도 더 적은 것으로 그리고 또한 더 많은 것으로

있을 테고 자신과도 그 외의 것들과도 같은 만큼의 것으로 같은

것들(척도들)에 따라 있을 걸세.

        ―Πῶς;―Ὧνπερ μεῖζόν ἐστι, πλειόνων που καὶ                      5

μέτρων ἂν εἴη αὐτῶν, ὅσων δὲ μέτρων, καὶ μερῶν· καὶ ὧν

ἔλαττον, ὡσαύτως· καὶ οἷς ἴσον, κατὰ ταὐτά.―Οὕτως.―

Οὐκοῦν ἑαυτοῦ μεῖζον καὶ ἔλαττον ὂν καὶ ἴσον ἴσων ἂν εἴη

μέτρων καὶ πλειόνων καὶ ἐλαττόνων αὑτῷ, ἐπειδὴ δὲ μέτρων,        d

καὶ μερῶν;―Πῶς δ᾿ οὔ;―Ἴσων μὲν ἄρα μερῶν ὂν αὑτῷ

ἴσον ἂν τὸ πλῆθος αὑτῷ εἴη, πλειόνων δὲ πλέον, ἐλαττόνων

δὲ ἔλαττον τὸν ἀριθμὸν αὑτοῦ.―Φαίνεται.

                               ―어떻게요?―하나가 그 어떤 것들보다

큰 것으로 있든지, 아마 그 어떤 것을 이루는 그 만큼의 척도들보다

더 많은 척도들로 되어 있을 테고, 그래서 그렇게 부분들로 되어

있을 걸세. 그리고 하나가 더 작은 것으로 있는 비교대상들의

경우에도, 같은 방식으로 있을 걸세. 같은 만큼의 것으로 있는

것들의 경우에도, 같은 것들에 따라 있을 테고.―그런 식으로

있겠죠.―그렇다면 자신보다 더 큰 것으로 그리고 더 작은 것으로

있음으로써 같은 만큼의 척도들과 더 많은 척도들 그리고 더 적은

척도들로 자신과 같은 만큼의 것으로도 있지 않겠나? 그런데

척도들로 그리 있기에, 부분들로도 그리 있지 않겠나?―어찌

아니겠습니까?―그래서 자신과 같은 만큼의 부분들로 되어

있음으로써는 그 수량이 자신과 같은 만큼의 것으로 있을 테고,

더 많은 부분들로 되어 있음으로써는 더 많은 것으로, 더 적은

부분들로 되어 있음으로써는 자신보다 수에서 더 적은 것으로

있을 걸세.―그리 드러나 보입니다.

                                                        ―Οὐκοῦν καὶ

πρὸς τἆλλα ὡσαύτως ἕξει τὸ ἕν; ὅτι μὲν μεῖζον αὐτῶν                      5

φαίνεται, ἀνάγκη πλέον εἶναι καὶ τὸν ἀριθμὸν αὐτῶν· ὅτι

δὲ σμικρότερον, ἔλαττον· ὅτι δὲ ἴσον μεγέθει, ἴσον καὶ τὸ

πλῆθος εἶναι τοῖς ἄλλοις;―Ἀνάγκη.―Οὕτω δὴ αὖ, ὡς

ἔοικε, τὸ ἓν καὶ ἴσον καὶ πλέον καὶ ἔλαττον τὸν ἀριθμὸν               e

αὐτό τε αὑτοῦ ἔσται καὶ τῶν ἄλλων.―Ἔσται.

                                                                ―그렇다면

그 외의 것들을 상대로도 하나가 같은 상태에 있지 않겠나?

그것들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보인다는 점에서는, 수에서도 

그것들 보다 또한 더 많은 것으로 있다는 게 필연적이지.

그런데 더 작은 것으로 보인다는 점에서는, 더 적은 것으로

있다는 게 필연적이고. 한데 크기에서 같은 만큼의 것으로

나타나 보인다는 점에서는, 그 수량 또한 그 외의 것들과 같은

만큼의 것으로 있다는 게 필연적이라네.―필연적입니다.―

그래서 이번엔 그런 식으로, 그럴 듯해 보이기로는, 하나가 그

자체로 자기 자신에 비해서도 그 외의 것들에 비해서도 수에서

같은 만큼의 것이자 더 많은 것이며 또한 더 적은 것으로 있을

걸세.―그리 있을 것입니다.

 

-蟲-

ΣΩ. Τελέως τε καὶ λαμπρῶς ἔοικα ἀνταπολήψεσθαι τὴν

τῶν λόγων ἑστίασιν. σὸν οὖν ἔργον λέγειν ἄν, ὦ Τίμαιε,

τὸ μετὰ τοῦτο, ὡς ἔοικεν, εἴη καλέσαντα κατὰ νόμον θεούς.

완전하고도 찬란하게 말들로 된 성찬을 보답받게될 듯합니다.

그러면 당신의 일은 말씀을 해주시는 것이겠습니다, 티마이오스. 

이 다음으로, 그럴 듯하기로는, 법에 따라(관습대로) 신들을 

모시고 나서 말이지죠.


ΤΙ. Ἀλλ᾿, ὦ Σώκρατες, τοῦτό γε δὴ πάντες ὅσοι καὶ                          c

κατὰ βραχὺ σωφροσύνης μετέχουσιν, ἐπὶ παντὸς ὁρμῇ καὶ

σμικροῦ καὶ μεγάλου πράγματος θεὸν ἀεί που καλοῦσιν·

ἡμᾶς δὲ τοὺς περὶ τοῦ παντὸς λόγους ποιεῖσθαί πῃ μέλ-

λοντας, ᾗ γέγονεν ἢ καὶ ἀγενές ἐστιν, εἰ μὴ παντάπασι                      5

παραλλάττομεν, ἀνάγκη θεούς τε καὶ θεὰς ἐπικαλουμένους

εὔχεσθαι πάντα κατὰ νοῦν ἐκείνοις μὲν μάλιστα, ἑπομένως

δὲ ἡμῖν εἰπεῖν. 

그야 적어도 이 점에서는, 소크라테스, 잠시라도 분별에 

참여했던 모든 사람들이, 사소하든 거창하든 모든 사안의

시작에서는 항상 어디서나 신을 모시지요. 그런데 모든 

것에 관련된 말들을, 그 모든 것이 어떤 식으로 생겨났는지 

또는 어떤 식으로 생성조차 없는 것으로 있는지를, 장차

만들어갈 저희들로서는, 저희가 만일 전적으로 어긋나지는

않는다면, 신들과 또한 여신들을 간곡히 모시며 모든 것들이 

특히나 그분들의 마음에 드시도록, 그 다음으로는 저희

마음에 들도록 이야기하게 되기를 기도드리는 일이 

필연적입니다.

                   καὶ τὰ μὲν περὶ θεῶν ταύτῃ παρακεκλήσθω·              d

τὸ δ᾿ ἡμέτερον παρακλητέον, ᾗ ῥᾷστ᾿ ἂν ὑμεῖς μὲν μάθοιτε,

ἐγὼ δὲ  μάλιστ᾿ ἂν περὶ τῶν προκειμένων

ἐνδειξαίμην. 

                 그럼 신들에 관련한 일들로 보자면 이런 식으로

간청드렸다고 합시다. 그런데 다른 한편으로 저희의 일을 

간청드려야만 합니다. 여러분들께서는 가능한 한 가장 쉽게 

배우실 수 있도록, 저로서는 제가 이해한 한에서 최대한으로 

직면한 일들에 관련하여 증명해 보여드릴 수 있도록 말입니다.


Ἔστιν οὖν δὴ κατ᾿ ἐμὴν δόξαν πρῶτον διαιρετέον τάδε·                   5

τί τὸ ὂν ἀεί, γένεσιν δὲ οὐκ ἔχον, καὶ τί τὸ γιγνόμενον μὲν

ἀεί, ὂν δὲ οὐδέποτε; τὸ μὲν δὴ νοήσει μετὰ λόγου περι-                28a1

ληπτόν, ἀεὶ κατὰ ταὐτὰ ὄν, τὸ δ᾿ αὖ δόξῃ μετ᾿ αἰσθήσεως

ἀλόγου δοξαστόν, γιγνόμενον καὶ ἀπολλύμενον, ὄντως δὲ

οὐδέποτε ὄν. 

그리하여 제 판단에 따라서는 우선 이러한 것들이 분할되어야만

하는 것으로 있습니다. 언제나 있는 것, 그런데 생성을 지니지는

않는 것은 무엇이고, 또 언제나 생성되고 있지만, 단 한 번도 결코

있지는 않는 것은 무엇인가요? 말과 함께하는 사유에 의해 파악되는

것은, 언제나 같은 것들에 따라(같은 식으로) 있는 것인 반면, 이번엔

말이 없는 감각과 함께하는 판단에 의해 판단되는 것은, 생성되고

소멸하며, 있는 그대로는 결코 단 한 번도 있지 않는 것입니다.

> 『국가』 5권 episteme(noesis-dianoia)//『국가』 7권 noesis(episteme-dianoia)

  doxa(pistis-eikasia)는 공통.

 

                  πᾶν δὲ αὖ τὸ γιγνόμενον ὑπ᾿ αἰτίου τινὸς ἐξ

ἀνάγκης γίγνεσθαι· παντὶ γὰρ ἀδύνατον χωρὶς αἰτίου γένεσιν             5

σχεῖν. ὅτου μὲν οὖν ἂν ὁ δημιουργὸς πρὸς τὸ κατὰ ταὐτὰ

ἔχον βλέπων ἀεί, τοιούτῳ τινὶ προσχρώμενος παραδείγματι,

τὴν ἰδέαν καὶ δύναμιν αὐτοῦ ἀπεργάζηται, καλὸν ἐξ ἀνάγκης

οὕτως ἀποτελεῖσθαι πᾶν· οὗ δ᾿ ἂν εἰς γεγονός, γεννητῷ                   b

παραδείγματι προσχρώμενος, οὐ καλόν.

그런데 이번엔 또 생성되는 모든 것은 필연적으로 어떤 원인에

의해 생성됩니다. 왜냐하면 원인으로부터 분리(독립)된 채 생성을

가지기란 모든 것들에게 불가능하기 때문이지요. 그러므로

무엇이 되었든지 간에 그것의 장인은 언제나 그것의 같은 것들에 

따른 상태에 있는 것을 언제나 바라보면서, 이러한 무언가를

본으로 삼아 사용하면서, 그것의 형상과 능력을 구현해 낼, 그러한 

모든 것은 그런 식으로 필연적으로 훌륭한 것으로 완성될 것입니다.

반면에 그것의 장인이 그것의 생성된 바 쪽을 향하여, 그 생성된

것을 본으로 삼아 사용하는 것의 경우, 훌륭한 것으로 완성되지

못할 것입니다.                                                                                       //201125

                                                     ὁ δὴ πᾶς οὐρανὸς

―ἢ κόσμος ἢ καὶ ἄλλο ὅτι ποτὲ ὀνομαζόμενος μάλιστ᾿ ἂν

δέχοιτο, τοῦθ᾿ ἡμῖν ὠνομάσθω―σκεπτέον δ᾿ οὖν περὶ αὐτοῦ

πρῶτον, ὅπερ ὑπόκειται περὶ παντὸς ἐν ἀρχῇ δεῖν σκοπεῖν,                5

πότερον ἦν ἀεί, γενέσεως ἀρχὴν ἔχων οὐδεμίαν, ἢ γέγονεν,

ἀπ᾿ ἀρχῆς τινος ἀρξάμενος. 

                   그래서 모든 하늘이―혹은 우주든 그 외에

그렇게 명명되어 가장 잘 받아들여질 것이라면 도대체 그

무엇이든, 우리에 의해 이것으로 명명되었다고 하죠―그리하여

그 자체에 관련하여 우선 검토되어야만 하는데, 모든 것에 관련하여

그 시원에서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전제되어 있는 바로 그것, 언제나 

있어 왔는지, 생성의 시초라곤 아무것도 지니지 않는지, 아니면 

생성되었는지, 어떤 시초로부터 시작된 것인지를 검토해야만 합니다.

                                    γέγονεν· ὁρατὸς γὰρ ἁπτός

τέ ἐστιν καὶ σῶμα ἔχων, πάντα δὲ τὰ τοιαῦτα αἰσθητά, τὰ

δ᾿ αἰσθητά, δόξῃ περιληπτὰ μετ᾿ αἰσθήσεως, γιγνόμενα καὶ              c

γεννητὰ ἐφάνη. τῷ δ᾿ αὖ γενομένῳ φαμὲν ὑπ᾿ αἰτίου τινὸς

ἀνάγκην εἶναι γενέσθαι. 

그것은 생성되었습니다. 왜냐하면 보이고 닿으며 또한 몸(물체)을 

지니는 것이기 때문이며, 그런데 이러한 지각물들이 모든 것들이고, 

그런데 지각물들은, 지각을 동반한 판단에 의해 파악되는 것들로, 

생성되는 것들이자 탄생된 것들로 드러났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다시 우리는 생성된 것이란 어떤 원인에 의해 생성된다는 것이 

필연적이라고 주장합니다.

- 생성과 있음과 있지 않음의 중간인 것 사이의 관계? 『국가』 6권에서

감각대상과 믿음대상 사이의 구분.

                                τὸν μὲν οὖν ποιητὴν καὶ πατέρα

τοῦδε τοῦ παντὸς εὑρεῖν τε ἔργον καὶ εὑρόντα εἰς πάντας

ἀδύνατον λέγειν· τόδε δ᾿ οὖν πάλιν ἐπισκεπτέον περὶ αὐτοῦ,              5

πρὸς πότερον τῶν παραδειγμάτων ὁ τεκταινόμενος αὐτὸν

ἀπηργάζετο, πότερον πρὸς τὸ κατὰ ταὐτὰ καὶ ὡσαύτως ἔχον         29a1

ἢ πρὸς τὸ γεγονός. 

                                그러므로 여기 이 모든 것의 제작자이자 

아버지를 발견한다는 일도 또 발견한 자가 모든 이들을 위해(?)

말한다는 것도 불가능한 일입니다. 그러니 그 반면 그것에 

관련하여 이런 것을 다시 면밀하게 검토해 보아야만 하는데, 

본들 중 어느 쪽에 관계하여 그 조합자가 그것을 구현해냈는지, 

같은 것들을 따라 마찬가지 상태로 있는 것에 관계해서인지 

아니면 생성된 것에 관계해서인지 검토해야 합니다.

- 모두를 위해? 혹은 모든 것에 대해?

                         εἰ μὲν δὴ καλός ἐστιν ὅδε ὁ κόσμος ὅ

τε δημιουργὸς ἀγαθός, δῆλον ὡς πρὸς τὸ ἀίδιον ἔβλεπεν· εἰ

δὲ ὃ μηδ᾿ εἰπεῖν τινι θέμις, πρὸς γεγονός. παντὶ δὴ σαφὲς

ὅτι πρὸς τὸ ἀίδιον· ὁ μὲν γὰρ κάλλιστος τῶν γεγονότων, ὁ                  5

δ᾿ ἄριστος τῶν αἰτίων. οὕτω δὴ γεγενημένος πρὸς τὸ λόγῳ

καὶ φρονήσει περιληπτὸν καὶ κατὰ ταὐτὰ ἔχον δεδημιούρ-

γηται· τούτων δὲ ὑπαρχόντων αὖ πᾶσα ἀνάγκη τόνδε τὸν               b

κόσμον εἰκόνα τινὸς εἶναι. μέγιστον δὴ παντὸς ἄρξασθαι

κατὰ φύσιν ἀρχήν. 

                                                 그래서 한편으로 만일 

여기 이 우주가 훌륭한 것으로 있고 또한 그 장인 역시 선한 자로 

있다면, 영원한 것을 바라보았던 게 분명합니다. 다른 한편 만일 

누군가 말하는 것이 합당하지조차 못할 그런 상황이 된다면,

생성을 바라보았던 것이겠죠. 그래서 영원한 것을 바라보았던 게 

모두에게 확실합니다. 왜냐하면 그 우주는 생성된 것들 중 가장 

아름다운 것이고, 그 제작자는 원인들 중에서 최선의 원인이니까요. 

그래서 그렇게 생성되어서 말과 지혜로 파악되고 같은 것들에 

따른 상태인 것에 관계하여 빚어졌습니다. 그런데 이번엔 

그러한 것들이 성립하고 있기에 여기 이 우주가 무언가의 모상으로 

있음이 전적으로 필연적입니다. 그럼 가장 중요한 일은 본성에 따라 

모든 것의 시작을 하는 것입니다. 

- ὑπάρχειν은 이후 스토아에서 εἶναι와 구분되는 독립적인 의미를 

가지는 것 같기도... 아리스토텔레스에서는 술어가 주어에 귀속한다는 식으로.

                         ὧδε οὖν περί τε εἰκόνος καὶ περὶ τοῦ

παραδείγματος αὐτῆς διοριστέον, ὡς ἄρα τοὺς λόγους, ὧνπέρ

εἰσιν ἐξηγηταί, τούτων αὐτῶν καὶ συγγενεῖς ὄντας· τοῦ                      5

μὲν οὖν μονίμου καὶ βεβαίου καὶ μετὰ νοῦ καταφανοῦς

μονίμους καὶ ἀμεταπτώτους―καθ᾿ ὅσον οἷόν τε καὶ ἀνε-

λέγκτοις προσήκει λόγοις εἶναι καὶ ἀνικήτοις, τούτου δεῖ

μηδὲν ἐλλείπειν―τοὺς δὲ τοῦ πρὸς μὲν ἐκεῖνο ἀπεικασθέν-               c

τος, ὄντος δὲ εἰκόνος εἰκότας ἀνὰ λόγον τε ἐκείνων ὄντας·

ὅτιπερ πρὸς γένεσιν οὐσία, τοῦτο πρὸς πίστιν ἀλήθεια.                           //201209

                         그리하여 모상에 관하여서도 그 모상의

본에 관하여서도 다음과 같은 식으로 정의해야만 하니, 그래서

말들은, 그 말들이 바로 그것들에 대한 설명자로 있는 바, 바로

그것들에 대해 동종적인 것들로 있기도 하기에 그렇게 정의해야만

합니다. 그리하여 안정적이고 확고하며 지성을 동반하면 명백한

것에 대해서는 안정적이며 불변하는 말들이―논박되지(시험받지) 

않고 굴복당하지도 않는 말들에게 [καὶ μετὰ νοῦ καταφανοῦς/

μονίμους καὶ ἀμεταπτώτους εἶναι라는 것이] 가능하고 적절한 한에서, 

그로부터 아무것도 부족하지 않아야 합니다―그런데 저것에 

관련하여 닮아있는 것에 대한 말들은, 모상으로 있는 그것에 대한 

말이기에 또한 저것들에 대해서도 모상적인 말로 있습니다. 생성에 

대해서는 존재가 맺는 관계, 바로 그것이 확신에 대해서 참(진리)이 

맺는 그 관계입니다.

- "저것들에 대해서도"가 대상일지 말일지. 내가 보기엔 말들.

ἐὰν οὖν, ὦ Σώκρατες, πολλὰ πολλῶν πέρι, θεῶν καὶ τῆς

τοῦ παντὸς γενέσεως, μὴ δυνατοὶ γιγνώμεθα πάντῃ πάντως                5

αὐτοὺς ἑαυτοῖς ὁμολογουμένους λόγους καὶ ἀπηκριβωμένους

ἀποδοῦναι, μὴ θαυμάσῃς· ἀλλ᾿ ἐὰν ἄρα μηδενὸς ἧττον παρε-

χώμεθα εἰκότας, ἀγαπᾶν χρή, μεμνημένους ὡς ὁ λέγων ἐγὼ

ὑμεῖς τε οἱ κριταὶ φύσιν ἀνθρωπίνην ἔχομεν, ὥστε περὶ                   d

τούτων τὸν εἰκότα μῦθον ἀποδεχομένους πρέπει τούτου μηδὲν

ἔτι πέρα ζητεῖν.

그러므로, 소크라테스, 많은 것들에 관련하여, 신들에 관해서도

모든 것의 생성에 관해서도, 관련된 많은 경우에, 우리가 모든 면에서 

전적으로 자기 자신과 합의되는 말들을 알 능력도 없고 정확하게 

되어 있는 말들을 제시할 능력도 없다 하더라도, 당신께서 놀라실

일은 아닙니다. 그래서 오히려 만일 그 무엇에 비해서도 덜하지 않게

모상적 말들을 내놓는다면, 기뻐해야만 하는데, 말씀드리고 있는

저 자신도 판관이신 여러분들께서도 인간의 본성을 지니고 있기에, 

그래서 그것들에 관련하여 모상적인 이야기를 받아들이고 그것을 

넘어서서는 더 이상 아무것도 추구하지 않는 편이 적절할 것임을

기억하면서 그리해야 합니다.

- μηδενὸς ἧττον: 적어도 모상적인 말만큼은/전혀 못지 않은 모상적인 말을.


ΣΩ. Ἄριστα, ὦ Τίμαιε, παντάπασί τε ὡς κελεύεις ἀπο-

δεκτέον· τὸ μὲν οὖν προοίμιον θαυμασίως ἀπεδεξάμεθά σου,              5

τὸν δὲ δὴ νόμον ἡμῖν ἐφεξῆς πέραινε.

그것이 최선이고, 티마이오스, 또한 모두가 전면적으로

당신께서 요구하시는 대로 받아들여야만 합니다. 그러면 

당신의 그 서시는 저희가 감탄하며 받아들였으니, 이제 순서대로

저희에게 그 곡을 마무리해 주십시오.


ΤΙ. Λέγωμεν δὴ δι᾿ ἥντινα αἰτίαν γένεσιν καὶ τὸ πᾶν

τόδε ὁ συνιστὰς συνέστησεν. ἀγαθὸς ἦν, ἀγαθῷ δὲ οὐδεὶς                 e

περὶ οὐδενὸς οὐδέποτε ἐγγίγνεται φθόνος· τούτου δ᾿ ἐκτὸς

ὢν πάντα ὅτι μάλιστα ἐβουλήθη γενέσθαι παραπλήσια ἑαυτῷ.

그럼 저희는 도대체 무슨 원인으로 인해 생성과 또한 여기 이

우주를 그 구성자가 구성하였는지 말씀드릴 것입니다. 그는

좋은 자였고, 좋은 자에게는 그 무엇과 관련하여서도 결코 단

한 번도 아무런 인색함(질시)도 생겨나지 않습니다. 그는 이러한

인색함을 벗어나 있음으로써 모든 것들이 최대한 자신과 닮은

것들이 되기를(그렇게 생성되기를) 바랐습니다.

ταύτην δὴ γενέσεως καὶ κόσμου μάλιστ᾿ ἄν τις ἀρχὴν κυριω-

τάτην παρ᾿ ἀνδρῶν φρονίμων ἀποδεχόμενος ὀρθότατα ἀπο-        30a1

δέχοιτ᾿ ἄν. βουληθεὶς γὰρ ὁ θεὸς ἀγαθὰ μὲν πάντα, φλαῦρον

δὲ μηδὲν εἶναι κατὰ δύναμιν, οὕτω δὴ πᾶν ὅσον ἦν ὁρατὸν

παραλαβὼν οὐχ ἡσυχίαν ἄγον ἀλλὰ κινούμενον πλημμελῶς

καὶ ἀτάκτως, εἰς τάξιν αὐτὸ ἤγαγεν ἐκ τῆς ἀταξίας, ἡγη-                     5

σάμενος ἐκεῖνο τούτου πάντως ἄμεινον. 

더 나아가 생성과 우주의 이러한 시초를 누군가가 가장 주된

것으로서 현명한(분별있는) 자들에로부터 받아들인다면 가장

잘 아주 옳게 받아들이게 될 것입니다. 즉 그 신께서 모든 것들이

좋은 것들로 있기를, 반면 능력이 닿는(가능한) 한 아무것도

하찮은 것으로 있지는 않기를 바라시면서, 그래서 그런 식으로

침묵을 지키는 게 아니라 엇박으로 무질서하게 운동하는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을 넘겨받으시고, 그것을 무질서로부터 질서로

이끄셨단 말이지요. 이편이 저 경우보다 전적으로 더욱 낫다고

생각하시고서 말입니다.

                                                     θέμις δ᾿ οὕτ᾿ ἦν

οὕτ᾿ ἔστιν τῷ ἀρίστῳ δρᾶν ἄλλο πλὴν τὸ κάλλιστον·

λογισάμενος οὖν ηὕρισκεν ἐκ τῶν κατὰ φύσιν ὁρατῶν οὐδὲν             b

ἀνόητον τοῦ νοῦν ἔχοντος ὅλον ὅλου κάλλιον ἔσεσθαί ποτε

ἔργον, νοῦν δ᾿ αὖ χωρὶς ψυχῆς ἀδύνατον παραγενέσθαι τῳ.[각주:1]

                               그런데 최선인 자가 가장 아름다운 것

말고 그 외의 것을 행한다는 것은 법도로 있던 적도 없고 그런

법도가 있지도 않습니다. 그러므로 본성상 보이는 것들로부터

나온 전체로서의 비지성적인 어떤 것도 전체로서 지성을 지니는 

것보다 더 아름다운 작품으로 있지 못하리라는 것을, 다른 한편

이번엔 영혼과 분리되어 지성이 어떤 것에게 곁하여 생성되기란

불가능하다는 것을 헤아려 알아내셨습니다.

διὰ δὴ τὸν λογισμὸν τόνδε νοῦν μὲν ἐν ψυχῇ, ψυχὴν δ᾿ ἐν

σώματι συνιστὰς τὸ πᾶν συνετεκταίνετο, ὅπως ὅτι κάλλιστον              5

εἴη κατὰ φύσιν ἄριστόν τε ἔργον ἀπειργασμένος. οὕτως

οὖν δὴ κατὰ λόγον τὸν εἰκότα δεῖ λέγειν τόνδε τὸν κόσμον

ζῷον ἔμψυχον ἔννουν τε τῇ ἀληθείᾳ διὰ τὴν τοῦ θεοῦ

γενέσθαι πρόνοιαν.                                                                  c

그래서 그 헤아림으로 인해 여기 이 지성은 영혼 안에, 그 영혼은

신체 안에 구성하시며 모든 것의 구성을 조합하셨습니다, 그것이 

본성상 가능한 한 가장 아름답도록 또한 그 분께서도 최선의

작품을 완성해내시며 그리 되도록 말이지요. 그러므로 그런 식으로

실로 모상적인 말에 따라 여기 이 우주가 영혼과 지성을 갖춘 

살아있는 것으로서 또한 진리에 의해 신의 예지로 인해서

생성되었다고 말해야 합니다. 


Τούτου δ᾿ ὑπάρχοντος αὖ τὰ τούτοις ἐφεξῆς ἡμῖν λεκτέον,

τίνι τῶν ζῴων αὐτὸν εἰς ὁμοιότητα ὁ συνιστὰς συνέστησεν.

τῶν μὲν οὖν ἐν μέρους εἴδει πεφυκότων μηδενὶ καταξιώσωμεν

―ἀτελεῖ γὰρ ἐοικὸς οὐδέν ποτ᾿ ἂν γένοιτο καλόν―οὗ δ᾿                    5

ἔστιν τἆλλα ζῷα καθ᾿ ἓν καὶ κατὰ γένη μόρια, τούτῳ πάν-

των ὁμοιότατον αὐτὸν εἶναι τιθῶμεν. 

그런데 이런 일이 성립하기에 이번에는 저희가 그것들 다음 순서에

오는 것들을, 즉 그 구성자께서 살아있는 것들 중 무엇과의 유사성을 

향해 그것을 구성하셨는지 말해야만 합니다. 그리하여 본래적으로

부분의 형상에 속하는 것들 중에서는 그 어떤 것과의 유사성일

만하다고도 평가하지 말도록 합시다.―미완에 모상인 것은 결코

그 어떠한 아름다운 것으로도 생성되지 못할 테니까요.―그런데

그에 대해 그 외의 생물들이 저마다 그리고 유에 따라 그 부분들로

있는 바, 이런 것과 그것은 모든 것 중에서 가장 유사한 것으로

있다고 정하도록 합시다.

                                                  τὰ γὰρ δὴ νοητὰ ζῷα[각주:2]

πάντα ἐκεῖνο ἐν ἑαυτῷ περιλαβὸν ἔχει, καθάπερ ὅδε ὁ

κόσμος ἡμᾶς ὅσα τε ἄλλα θρέμματα συνέστηκεν ὁρατά. τῷ               d

γὰρ τῶν νοουμένων καλλίστῳ καὶ κατὰ πάντα τελέῳ μάλιστα

αὐτὸν ὁ θεὸς ὁμοιῶσαι βουληθεὶς ζῷον ἓν ὁρατόν, πάνθ᾿ ὅσα

αὐτοῦ κατὰ φύσιν συγγενῆ ζῷα ἐντὸς ἔχον ἑαυτοῦ, συνέστησε.       31a1

                                왜냐하면 실로 지성적인 모든 생물들을

저것이 자신 안에 포괄하여 지니고 있기 때문입니다. 마치 여기

이 우주가 우리와 보이는 것들이 구성해낸 여타의 양육되는 것들을

포괄하여 지니듯이 말이지요. 왜냐하면 사유되는 것들 중 가장

아름다운 것과 그리고 모든 점들에 따라서 완전한 것과 특히

그것이 유사하기를 그 신께서 바라시며 보이는 하나의 생물을,

본성상 그것의 동류인 그 모든 동물들을 자신 안에 지니는 것을,

구성하셨으니까요.

πότερον οὖν ὀρθῶς ἕνα οὐρανὸν προσειρήκαμεν, ἢ πολλοὺς

καὶ ἀπείρους λέγειν ἦν ὀρθότερον; ἕνα, εἴπερ κατὰ τὸ

παράδειγμα δεδημιουργημένος ἔσται. τὸ γὰρ περιέχον πάντα

ὁπόσα νοητὰ ζῷα μεθ᾿ ἑτέρου δεύτερον οὐκ ἄν ποτ᾿ εἴη·                    5

πάλιν γὰρ ἂν ἕτερον εἶναι τὸ περὶ ἐκείνω δέοι ζῷον, οὗ μέρος

ἂν εἴτην ἐκείνω, καὶ οὐκ ἂν ἔτι ἐκείνοιν ἀλλ᾿ ἐκείνῳ τῷ

περιέχοντι τόδ᾿ ἂν ἀφωμοιωμένον λέγοιτο ὀρθότερον. ἵνα                     //210106

οὖν τόδε κατὰ τὴν μόνωσιν ὅμοιον ᾖ τῷ παντελεῖ ζῴῳ, διὰ                b

ταῦτα οὔτε δύο οὔτ᾿ ἀπείρους ἐποίησεν ὁ ποιῶν κόσμους, ἀλλ᾿

εἷς ὅδε μονογενὴς οὐρανὸς γεγονὼς ἔστιν καὶ ἔτ᾿ ἔσται.

그러므로 우리가 하늘을 하나로 부르는 것이 옳을까요, 아니면

많고도 무한한 것들로 있다고 말하는 것이 더욱 옳은 일이었을까요?

하나이겠죠, 만일 정말로 그 본에 따라 제작된 것이려면 말입니다.

왜냐하면 지성적인 모든 생물들을 포괄하는 것이 다른 것과 더불어

두 번째 것으로는 도대체 있을 리는 없을 테니까요. 왜냐하면

저 둘과 관련한 생물이 다시 또 다른 것으로 있어야 할 테니까요,

저 둘이 그것의 부분으로 있을 그런 생물이 말입니다. 그리고

더 이상 저 둘이 아니라 저 포괄하는 것과 여기 이 모든 것이

유사하게 된 것이라고 말해지는 것이 더욱 옳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여기 이 모든 것이 그 단일성에 따라 모든 면에서

완전한 생물에 유사한 것으로 있도록, 이런 점들로 인해 그 제작자가

두 우주들을 만들지도 않았고 무한한 우주들을 만들지도 않았으며,

오히려 여기 이 하나의 단일류인 하늘이 생겨나 있고 앞으로도

있을 것입니다.


Σωματοειδὲς δὲ δὴ καὶ ὁρατὸν ἁπτόν τε δεῖ τὸ γενόμενον

εἶναι, χωρισθὲν δὲ πυρὸς οὐδὲν ἄν ποτε ὁρατὸν γένοιτο, οὐδὲ             5

ἁπτὸν ἄνευ τινὸς στερεοῦ, στερεὸν δὲ οὐκ ἄνευ γῆς· ὅθεν ἐκ

πυρὸς καὶ γῆς τὸ τοῦ παντὸς ἀρχόμενος συνιστάναι σῶμα ὁ

θεὸς ἐποίει. δύο δὲ μόνω καλῶς συνίστασθαι τρίτου χωρὶς

οὐ δυνατόν· δεσμὸν γὰρ ἐν μέσῳ δεῖ τινα ἀμφοῖν συναγωγὸν            c

γίγνεσθαι. 

그런데 더 나아가 생성되는 것물체적인 종류로서 보이는

것이자 또한 닿는 것으로 있어야 하는데, 불과 독립된 채로는

아무것도 전혀 보이는 것이 되지 못할 것이고, 모종의 입체 없이 

닿는 것이 되지도 못할 것인데, 흙 없이는 입체가 되지도 못할 

것입니다. 그로부터 불과 흙으로부터 모든 것의 신체를 구성하기 

시작하시어 제작하셨습니다. 그런데 오직 그 둘만으로는 세 번째 것과 

분리되어 아름답게 구성되는 일이 가능하지 않았지요. 왜냐하면 

그 중간에 어떤 매듭이 그 양자를 함께 모으는 것으로서 생성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 생성과 물성이 일치되는지, 아니면 생성 중에 일부가 물성을 갖는지.

믿음이나 앎, 인식적 변화도 포함한다면 후자. 적어도 영혼이 생성된 것에

포함되는지, 그리고 물성을 지니는지 아닌지 여부가 해명되어야 할 듯.

              δεσμῶν δὲ κάλλιστος ὃς ἂν αὑτὸν καὶ τὰ συνδού-

μενα ὅτι μάλιστα ἓν ποιῇ, τοῦτο δὲ πέφυκεν ἀναλογία

κάλλιστα ἀποτελεῖν. ὁπόταν γὰρ ἀριθμῶν τριῶν εἴτε ὄγκων

εἴτε δυνάμεων ὡντινωνοῦν ᾖ τὸ μέσον, ὅτιπερ τὸ πρῶτον πρὸς       32a1

αὐτό, τοῦτο αὐτὸ πρὸς τὸ ἔσχατον, καὶ πάλιν αὖθις, ὅτι τὸ

ἔσχατον πρὸς τὸ μέσον, τὸ μέσον πρὸς τὸ πρῶτον, τότε τὸ

μέσον μὲν πρῶτον καὶ ἔσχατον γιγνόμενον, τὸ δ᾿ ἔσχατον

καὶ τὸ πρῶτον αὖ μέσα ἀμφότερα, πάνθ᾿ οὕτως ἐξ ἀνάγκης                 5

τὰ αὐτὰ εἶναι συμβήσεται, τὰ αὐτὰ δὲ γενόμενα ἀλλήλοις ἓν

πάντα ἔσται. 

                      그런데 매듭들 중 가장 아름다운 매듭은 자신과 

또한 그것이 묶는 것들을 가능한 한 최대한으로 하나로 만들 

매듭으로, 이런 것은 비율이 본래부터 가장 아름답게 완성시키게 

마련입니다. 왜냐하면 입방수이든 평방수이든[각주:3] 어떤 것이든 간에 

세 개의 수들 사이에 중간자가 있는 어느 경우든, 첫 번째 것이 

그 중간에 대해 그것으로 있는 바, 바로 그것으로서 그 중간이 

끝에 대해 있고, 그리고 역으로 다시, 그 끝이 그 중간에 대해 

그것으로 있는 바, 중간이 첫 번째 것에 대해 그것으로서 있으며, 

그 때 중간은 처음과 끝이 되고, 끝과 첫 번째 것은 이번엔 양쪽 

모두의 중간들이 되며, 그런 식으로 모든 것들이 필연을 통해 

같은 것들로 있도록 귀결될 것이고, 서로 같은 것들이 됨으로써

모든 것들이 하나로 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 평방수 1(=1²):2(=1*2):4(=2²); 입방수 1(=1³):2(=1*1*2):4(=1*2*2):8(=2³) 

- aa-ab-bb/aaa-aab-abb-bbb.

                 εἰ μὲν οὖν ἐπίπεδον μέν, βάθος δὲ μηδὲν ἔχον

ἔδει γίγνεσθαι τὸ τοῦ παντὸς σῶμα, μία μεσότης ἂν ἐξήρκει

τά τε μεθ᾿ αὑτῆς συνδεῖν καὶ ἑαυτήν, νῦν δὲ στερεοειδῆ                   b

γὰρ αὐτὸν προσῆκεν εἶναι, τὰ δὲ στερεὰ μία μὲν οὐδέποτε,

δύο δὲ ἀεὶ μεσότητες συναρμόττουσιν· οὕτω δὴ πυρός τε καὶ

γῆς ὕδωρ ἀέρα τε ὁ θεὸς ἐν μέσῳ θείς, καὶ πρὸς ἄλληλα καθ᾿

ὅσον ἦν δυνατὸν ἀνὰ τὸν αὐτὸν λόγον ἀπεργασάμενος, ὅτιπερ             5

πῦρ πρὸς ἀέρα, τοῦτο ἀέρα πρὸς ὕδωρ, καὶ ὅτι ἀὴρ πρὸς

ὕδωρ, ὕδωρ πρὸς γῆν, συνέδησεν καὶ συνεστήσατο οὐρανὸν

ὁρατὸν καὶ ἁπτόν. 

그리하여 한편으로 만일 면은 가지지만, 깊이는 지닌 것으로는

전혀 그 모든 것의 신체가 생성될 필요가 없었더라면, 단 하나의

중간만으로도 그 자신에 함께 하는 것들과 또한 자기 자신까지

함께 묶기에 충분했을 것이나, 사실은 그 우주가 입체적인 형상의

것으로 있음이 적절했기 때문에, 입체들을 단 하나의 중간은

결코 조화시킬 수 없고, 항상 두 중간들이 조화시키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런 식으로 불과 흙에 대해 물과 공기를 그 신께서도

그 중간에 세우시며, 서로에 대해서도 가능한 한도에 따라 같은

비율로 [그 사원소를] 구현시키시고서, 불이 공기에 대해 바로 그것인 바,

이것으로 공기가 물에 대해 있도록, 또 공기가 물에 대해 그것인

것으로, 물이 흙에 대해 그리 있도록, 함께 묶으셨고 또한 하늘을

보이고 닿도록 구성하시었습니다.

                         καὶ διὰ ταῦτα ἐκ τε δὴ τούτων τοιούτων

καὶ τὸν ἀριθμὸν τεττάρων τὸ τοῦ κόσμου σῶμα ἐγεννήθη δι᾿            c

ἀναλογίας ὁμολογῆσαν, φιλίαν τε ἔσχεν ἐκ τούτων, ὥστε εἰς

ταὐτὸν αὑτῷ συνελθὸν ἄλυτον ὑπό του ἄλλου πλὴν ὑπὸ τοῦ

συνδήσαντος γενέσθαι.

                                         그래서 이러한 것들로 인해 

그리고 그 수가 넷인 바로 이러한 것들을 통해 우주의 신체가 

비율을 통한 합의를 이룬 채로 생성되었고, 이러한 것들로부터 

나온 우애를 지녔습니다, 그래서 자신과 같은 것에 이르러 

그 자신을 함께 묶은 것에 의해서가 아니라면 그 외의 것에 

의해서는 해체되지 않는 것으로 생성되었게끔 말입니다.


Τῶν δὲ δὴ τεττάρων ἓν ὅλον ἕκσατον εἴληφεν ἡ τοῦ                          5

κόσμου σύστασις. ἐκ γὰρ πυρὸς παντὸς ὕδατός τε καὶ

ἀέρος καὶ γῆς συνέστησεν αὐτὸν ὁ συνιστάς, μέρος οὐδὲν

οὐδενὸς οὐδὲ δύναμιν ἔξωθεν ὑπολιπών, τάδε διανοηθείς,

πρῶτον μὲν ἵνα ὅλον ὅτι μάλιστα ζῷον τέλεον ἐκ τελέων                 d

τῶν μερῶν εἴη, πρὸς δὲ τούτοις ἕν, ἅτε οὐχ ὑπολελειμμένων          33a1

ἐξ ὧν ἄλλο τοιοῦτον γένοιτ᾿ ἄν, ἔτι δὲ ἵν᾿ ἀγήρων καὶ ἄνοσον

ᾖ, κατανοῶν ὡς συστάτῳ σώματι θερμὰ καὶ ψυχρὰ καὶ πάνθ᾿

ὁσα δυνάμεις ἰσχυρὰς ἔχει περιιστάμενα ἔξωθεν καὶ προσ-

πίπτοντα ἀκαίρως λύει καὶ νόσους γῆράς τε ἐπάγοντα                      5

φθίνειν ποιεῖ. 

그래서 그 네 가지 것들의 하나하나 각 전체를 그 우주의 구조가

확보하였습니다. 왜냐하면 그 구성자께서 모든 불과 물과 공기와

흙으로부터 그 우주를 구성하시기를, 그 무엇의 그 어떤 부분도 또한

어떤 능력도 외부에 남겨 놓지 않으시면서, 다음과 같은 것들을

염두에 두시면서 그리 하셨으니까요. 우선은 전체가 완전한 부분들로 

이루어진 최대한 완전한 생물로 있도록, 이에 더해, 그로부터 이러한 

그 외의 것이 생겨날 그런 것들이 남겨지지 않아, 하나로 있도록, 

더 나아가, 구성된 신체에 뜨거운 것들과 차가운 것들 그리고 

강력한 능력을 지니는 모든 것들이 외부에서 주위에 성립되어 

적기를 벗어나 부딪쳐 옴으로써 해체시키고 질병과 노화를 가져와 

소멸하도록 만든다는 것을 이해하시고서, 그 우주가 늙지 않고 

병들지 않는 것으로 있도록 의도하셨던 것이죠.

                   διὰ δὴ τὴν αἰτίαν καὶ τὸν λογισμὸν τόνδε

ἕνα ὅλον ὅλων ἐξ ἁπάντων τέλεον καὶ ἀγήρων καὶ ἄνοσον

αὐτὸν ἐτεκτήνατο. σχῆμα δὲ ἔδωκεν αὐτῷ τὸ πρέπον καὶ τὸ            b

συγγενές. τῷ δὲ τὰ πάντα ἐν αὑτῷ ζῷα περιέχειν μέλλοντι

ζῴῳ πρέπον ἂν εἴη σχῆμα τὸ περιειληφὸς ἐν αὑτῷ πάντα

ὁπόσα σχήματα· διὸ καὶ σφαιροειδές, ἐκ μέσου πάντῃ πρὸς

τὰς τελευτὰς ἴσον ἀπέχον, κυκλοτερὲς αὐτὸ ἐτορνεύσατο,                  5

πάντων τελεώτατον ὁμοιότατόν τε αὐτὸ ἑαυτῷ σχημάτων,

νομίσας μυρίῳ κάλλιον ὅμοιον ἀνομοίου.                                            //210114

                                                            그래서 이러한 

원인과 헤아림으로 인해 그 분께서는 우주를 통틀어 모든 전체들로 

이루어진 완전한 하나의 전체이자 늙지 않고 병들지 않는 것으로 

조립하셨습니다. 그런데 그 우주에 적절하며 동류이기도 한 형태를 

부여하셨습니다. 그런데 장차 모든 생물을 자신 안에 포괄할 

생물에게는 형태를 가진 그 모든 것들을 자신 안에 포괄하는 형태가 

어울리는 것으로 있을 테지요. 이런 이유로 구형으로, 중간으로부터 

모든 방면으로 끝들을 향해 같은 정도로 떨어져 있는 것으로, 

원으로 그것을 회전시키셨는데, 또한 그것이 모든 형태들 중 

가장 완전하고도 그분 자신과(or 그것 자신과) 가장 유사한 것으로 

있기에, 유사한 것이 유사하지 않은 것보다 헤아릴 수 없이 

훨씬 더 아름다운 것이라 생각하시고서 그리 하셨습니다.

                                                      λεῖον δὲ δὴ κύκλῳ

πᾶν ἔξωθεν αὐτὸ ἀπηκριβοῦτο πολλῶν χάριν. ὀμμάτων τε               c

γὰρ ἐπεδεῖτο οὐδέν, ὁρατὸν γὰρ οὐδὲν ὑπελείπετο ἔξωθεν,

οὐδ᾿ ἀκοῆς, οὐδὲ γὰρ ἀκουστόν· πνεῦμά τε οὐκ ἦν περιεστὸς

δεόμενον ἀναπνοῆς, οὐδ᾿ αὖ τινος ἐπιδεὲς ἦν ὀργάνου σχεῖν

ᾧ τὴν μὲν εἰς ἑαυτὸ τροφὴν δέξοιτο, τὴν δὲ πρότερον                      5

ἐξικμασμένην ἀποπέμψοι πάλιν. 

그래서 그 분께서는 그것 전부를 외부로부터 원으로 매끄럽게 

마감하시었는데 여러모로 고려하신 것이었습니다. 즉 그것은 

아무런 눈도 필요로 하지 않았으니, 보이는 그 어떤 것도 외부에 

남겨져 있지 않았기 때문이고, 들을 필요도 없었으니, 들리는 것 

또한 아무것도 남아 있지 않았기 때문이란 것이죠. 호흡을 필요로 

하는 감싸고 있는 숨도 있지 않았고, 또 이번엔 그로써 한편으로는 

자신을 위한 양분을 수용하는가 하면, 다른 한편으로는 앞서 흡수된 

양분을 다시 배출할, 그런 무슨 기관을 가질 필요가 있는 것으로 

있지도 않았습니다.

                                           ἀπῄει τε γὰρ οὐδὲν οὐδὲ

προσῄειν αὐτῷ ποθεν―οὐδὲ γὰρ ἦν―αὐτὸ γὰρ ἑαυτῷ τροφὴν

τὴν ἑαυτοῦ φθίσιν παρέχον καὶ πάντα ἐν ἑαυτῷ καὶ ὑφ᾿

ἑαυτοῦ πάσχον καὶ δρῶν ἐκ τέχνης γέγονεν· ἡγήσατο γὰρ               d

αὐτὸ ὁ συνθεὶς αὔταρκες ὂν ἄμεινον ἔσεσθαι μᾶλλον ἢ

προσδεὲς ἄλλων. 

                         아무것도 빠져나가지도 않았고 어딘가로부터 

그것에게 접근해 오지도 않았기 때문이며―그야 아무것도 있지 

않았으니까요―그것이 자신에게 자기 자신에 대한 소비를 양분으로 

제공하는 것이자 모든 것들을 자신 안에서 그리고 자신에 의해서 

겪고 행하기를 기술을 통해 하는 것으로서 생성되었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구성자께서는 그것이 자족적인 것으로 있음으로써

그 외의 것들을 추가로 필요로 하는 것보다 훨씬 더 나은 것으로

있게 되리라 생각하셨기 때문이지요.

                       χειρῶν δέ, αἷς οὔτε λαβεῖν οὔτε αὖ

τινα ἀμύνασθαι χρεία τις ἦν, μάτην οὐκ ᾤετο δεῖν αὐτῷ

προσάπτειν, οὐδὲ ποδῶν οὐδὲ ὅλως τῆς περὶ τὴν βάσιν                    5

ὑπηρεσίας. κίνησιν γὰρ ἀπένειμεν αὐτῷ τὴν τοῦ σώματος             34a1

οἰκείαν, τῶν ἑπτὰ τὴν περὶ νοῦν καὶ φρόνησιν μάλιστα

οὖσαν·[각주:4] διὸ δὴ κατὰ ταὐτὰ ἐν τῷ αὐτῷ καὶ ἐν ἑαυτῷ περια-

γαγὼν αὐτὸ ἐποίησε κύκλῳ κινεῖσθαι στρεφόμενον, τὰς δὲ ἓξ

ἁπάσας κινήσεις ἀφεῖλεν καὶ ἀπλανὲς ἀπηργάσατο ἐκείνων.               5

ἐπὶ δὲ τὴν περίοδον ταύτην ἅτ᾿ οὐδὲν ποδῶν δέον ἀσκελὲς

καὶ ἄπουν αὐτὸ ἐγέννησεν.

                                                손들의 경우에는,

그것으로 움켜잡을 일도 누군가로부터 방어할 무슨 필요도

있지 않기에, 그것에게 헛된 것을 덧붙일 필요가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으셨고, 발도 또 걸음과 관련된 하체도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으셨습니다. 그 신체의 고유한 운동을 따로 할당해

두셨기 때문이지요. 일곱 가지 운동들 중 특히 지성과 지혜에 

관련되어 있는 운동을 말입니다. 그래서 이런 이유로 같은 것들에 

따라 같은 것 안에서 그리고 그것 자신 안에서 그 둘레로 

인도하시어 그것이 원형으로 회전하며 운동하도록 만드셨는데, 

반면에 여섯 가지 운동들을 모두 제거하셨고 그래서 저 운동들로 

헤매이지 않도록 구현하셨습니다. 이러한 회전운동의 경우에는 

발이 필요하지 않기에 그것을 다리 없고 발 없는 것으로 산출하셨던 

것이지요.


-蟲-

  1. 가시적인 것들로 이루어진 것의 경우라는 한정이 전체를 지배하는 것으로 보면, 영혼과 분리된 지성은 이 조건 하에서는 불가능.(그러나 비가시적인 것들로부터 나온 지성은 영혼에 의존할 필요가 없을 가능성도 있음.) 반면 이 조건이 지성-영혼 서술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면, 가시/비가시 조건과 무관하게 지성은 항상 영혼에 붙어야만 함. - 지성의 독립적 존재는 여전히 가능할 여지가 남아 있다. [본문으로]
  2. 살아있는 것이 상위류고 하위로 두 발 달린 것, 생각하는 것, 등등이 전부 인간의 '정의'에 포함된다면, 인간 정의가 살아 있지 않다는 것은 인간이 살아있는 것의 하위분류가 아니라는 일종의 자기 모순일 수 있을 듯. 그렇다면 더 나아가 살아있는 것 그 자체의 형상은 말 그대로 살아있어야만 한다. [본문으로]
  3. 여기에서 정수만이 고려되는 번역과 더 일반화된 번역 사이의 갈등이 있다. 후자는 구적 문제로 해석 시도. 그러나 50b-c에 등장하는 수용체를 고려하면, 4원소 각각으로 명확히 규정된 것은 정수에, 그 규정 이전의 불분명하고 질서 없는 것은 정수이지 못한 것으로 고려해 볼 수 있을지도. '질서,' '조화,' '비율'은 규정성을 부여하는 것이라 볼 수도. [본문으로]
  4. 회전운동과 지성의 연관은 구체적으로 무엇일까? 동일성 명제, identify? DK28B3 "같은 것이 있도록 그리고 있도록 있다.", B5, "어디에서 시작하든 내게는 마찬가지이다. 그곳으로 곧장 다시 돌아갈 테니까." [본문으로]

                                                            ὁ δ᾿ αὐτὸς

λόγος καὶ ἐπὶ τοῦ μὴ εἶναι ἄνθρωπον· τὸ γὰρ ἀνθρώπῳ                      1007a1

εἶναι καὶ τὸ μὴ ἀνθρώπῳ εἶναι ἕτερον σημαίνει, εἴπερ καὶ

τὸ λευκὸν εἶναι καὶ τὸ ἄνθρωπον εἶναι ἕτερον· πολὺ γὰρ

ἀντίκειται ἐκεῖνο μᾶλλον, ὥστε σημαίνειν ἕτερον. 

                                                             그런데 같은

논리가 "인간으로 있지 않다"라는 것을 두고서도 성립한다.

왜냐하면 "인간에게 있다"라는 것과 "비-인간에게 있다"라는

것이 다른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만일 정말로 "흰 것으로

있다"와 "인간으로 있다" 또한 다른 것을 의미한다면. 왜냐하면

저 경우가 다른 것을 의미하도록 그렇게 훨씬 더 많이 대립되기

때문이다.

                                                                 εἰ δὲ καὶ

τὸ λευκὸν φήσει τὸ αὐτὸ καὶ ἓν σημαίνειν, πάλιν τὸ αὐτὸ                            5

ἐροῦμεν ὅπερ καὶ πρότερον ἐλέχθη, ὅτι ἓν πάντα ἐστὶ καὶ οὐ

μόνον τὰ ἀντικείμενα. εἰ δὲ μὴ ἐνδέχεται τοῦτο, συμβαί-

νει τὸ λεχθέν, ἂν ἀποκρίνηται τὸ ἐρωτώμενον. 

            그런데 [그가] 만일 흰 것 역시 같은 하나를 의미한다고

주장할 것이라면, 우리는 다시 앞서도 말해진 바로 그것, 즉 

대립하는 것들만이 아니라 모든 것들이 하나로 있다는 점을 

이야기하게 될 것이다. 그런데 만일 이러한 일이 허용되지

않는다면, 앞서 말해진대로 귀결되고, 질문된 바가 답해질

것이다.

                                                              ἐὰν δὲ

προστιθῇ ἐρωτῶντος ἁπλῶς καὶ τὰς ἀποφάσεις, οὐκ ἀποκρί-

νεται τὸ ἐρωτώμενον. οὐθὲν γὰρ κωλύει εἶναι τὸ αὐτὸ καὶ                           10

ἄνθρωπον καὶ λευκὸν καὶ ἄλλα μυρία τὸ πλῆθος· ἀλλ᾿

ὅμως ἐρομένου εἰ ἀληθὲς εἰπεῖν ἄνθρωπον τοῦτο εἶναι ἢ οὔ,

ἀποκριτέον τὸ ἓν σημαῖνον καὶ οὐ προσθετέον ὅτι καὶ λευ-

κὸν καὶ μέγα. καὶ γὰρ ἀδύνατον ἄπειρά γ᾿ ὄντα τὰ

συμβεβηκότα διελθεῖν· ἢ οὖν ἅπαντα διελθέτω ἢ μηθέν.                             15

          그런데 단적으로 주어진 질문에 부정들까지 추가된다

하더라도, 질문된 바가 답해지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같은 것이

인간이자 흰 것이며 그 외에 수를 헤아릴 수 없는 것들로 있기를

가로막는 것은 아무것도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것이 인간으로 있다고 이야기하는 것이 참인지 아닌지

질문될 경우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답해져야만 하며 희기도 하고

크기도 하다는 것이 추가되지는 않아야만 한다. 왜냐하면 어쨌든

무한히 있는 부수적인 것들을 완전히 상술하기란 불가능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통틀어 모든 것들이 상술되도록 하거나

아무것도 상술되지 않도록 하거나 하자.

ὁμοίως τοίνυν εἰ καὶ μυριάκις ἐστὶ τὸ αὐτὸ ἄνθρωπος καὶ

οὐκ ἄνθρωπος, οὐ προσαποκριτέον τῷ ἐρομένῳ εἰ ἔστιν ἄνθρω-

πος, ὅτι ἐστὶν ἅμα καὶ οὐκ ἄνθρωπος, εἰ μὴ καὶ τἆλλα

ὅσα συμβέβηκε προσαποκριτέον, ὅσα ἐστὶν ἢ μὴ ἔστιν· ἐὰν

δὲ τοῦτο ποιῇ, οὐ διαλέγεται.                                                            //201008

                                                    그러니까 마찬가지로

헤아릴 수 없이 여러 가지로도 같은 것이 인간으로 있고 또

비-인간으로 있다면, 그것이 인간으로 있는지 여부에 대한

질문에 동시에 비-인간으로도 있다는 점이 추가로 대답되지는

않아야만 한다, 만일 그 외의 부수한 것들까지도, 있거나 있지

않거나 한 그것들까지도 추가로 답해야만 하는 것이 아니라면

말이다. 그런데 이런 일을 한다 하더라도, 대화가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ὅλως δ᾿ ἀναιροῦσιν οἱ τοῦτο λέ-                     20

γοντες οὐσίαν καὶ τὸ τί ἦν εἶναι. πάντα γὰρ ἀνάγκη συμ-

βεβηκέναι φάσκειν αὐτοῖς, καὶ τὸ ὅπερ ἀνθρώπῳ εἶναι ἢ

ζῴῳ εἶναι μὴ εἶναι. εἰ γὰρ ἔσται τι ὅπερ ἀνθρώπῳ εἶναι,

τοῦτο οὐκ ἔσται μὴ ἀνθρώπῳ εἶναι ἢ μὴ εἶναι ἀνθρώπῳ

(καίτοι αὗται ἀποφάσεις τούτου)· ἓν γὰρ ἦν ὅ ἐσήμαινε,                               25

καὶ ἦν τοῦτό τινος οὐσία. 

           일반적으로 이것을 말하는 자들은 실체와 본질을

폐기한다. 왜냐하면 그들에게는 모든 것들이 부수한다고

주장하는 것이 필연적이며, 인간으로서 있는 바 바로 그것 혹은 

동물로서 있는 바 바로 그것조차 있지 않다고 주장하는 것이 

필연적이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만일 인간에게 있는 바 바로 

그것이라 할 무언가가 있을 것이라면, 이러한 것은 비-인간에게 

있거나 인간에게 있지 않거나 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러한 것들은 그것-인간본질-에 대한 부정들이다).

왜냐하면 그것-본질-이 의미한 것이 하나였을 것이고, 또

이러한 것이 어떤 것의 실체였기도 하기 때문이다.

> 『명제론』에서는 동사에 대한 부정이 긍정에 대한 제대로 된 부정,

명사나 형용사에 부정이 추가된 것은 부정-명사, 부정-형용사로 구분.

아리스토텔레스는 광의의 ἀποφάσις와 협의의 ἀποφάσις를 두루 쓰고 있는가?

                                  τὸ δ᾿ οὐσίαν σημαίνειν ἐστὶν

ὅτι οὐκ ἄλλο τι τὸ εἶναι αὐτῷ. εἰ δ᾿ ἔσται αὐτῷ τὸ

ὅπερ ἀνθρώπῳ εἶναι ὅπερ μὴ ἀνθρώπῳ εἶναι ἢ ὅπερ

μὴ εἶναι ἀνθρώπῳ, ἄλλο ἔσται, ὥστ᾿ ἀναγκαῖον αὐτοῖς

λέγειν ὅτι οὐθενὸς ἔσται τοιοῦτος λόγος, ἀλλὰ πάντα                                   30

κατὰ συμβεβηκός· τούτῳ γὰρ διώρισται οὐσία καὶ τὸ συμ-

βεβηκός· τὸ γὰρ λευκὸν τῷ ἀνθρώπῳ συμβέβηκεν ὅτι

ἔστι μὲν λευκὸς ἀλλ᾿ οὐχ ὅπερ λευκόν. 

                                                                그런데

실체를 의미한다는 것은 다름아니라 그것에게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만일 그것에게, 인간에게 있는 바 바로 그것이 

비-인간에게 있는 바의 것 혹은 인간에게 있지 않은 바의 

것으로 있을 것이라면, [인간에게 있는 것] 이외의 것으로 있을 

것이고, 그래서 그들로서는 그 무엇에 대해서도 이러한 종류의

말이 속해 있지 않을 것이고, 오히려 모든 것들이 부수적으로

있다고 말할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이러한 말에 의해 실체와

부수적인 것이 정의되기 때문이다. 즉 흰 것은 인간에게

부수하는데 흰 것으로 있기는 하지만 흰 것인 바로 그것으로

있지는 않기 때문이다.

                                                   εἰ δὲ πάντα κατὰ

συμβεβηκὸς λέγεται, οὐθὲν ἔσται πρῶτον τὸ καθόλου, εἰ δ᾿ ἀεὶ

τὸ συμβεβηκὸς καθ᾿ ὑποκειμένου τινὸς σημαίνει τὴν κατη-                           35

γορίαν. ἀνάγκη ἅμα[ἄρα] εἰς ἄπειρον ἰέναι. ἀλλ᾿ ἀδύνατον· οὐδὲ                   1007b1

γὰρ πλείω συμπλέκεται δυοῖν· τὸ γὰρ συμβεβηκὸς οὐ

συμβεβηκότι συμβεβηκός, εἰ μὴ ὅτι ἄμφω συμβέβηκε

ταὐτῷ, λέγω δ᾿ οἷον τὸ λευκὸν μουσικὸν καὶ τοῦτο λευκὸν

ὅτι ἄμφω τῷ ἀνθρώπῳ συμβέβηκεν· ἀλλ᾿ οὐχ ὁ Σωκρά-                                 5

της μουσικὸς οὕτως, ὅτι ἄμφω συμβέβηκεν ἑτέρῳ τινί. 

                             그런데 만일 모든 것들이 부수적으로

말해진다면, 우선 보편자란 아무것도 있지 않을 것이다, 만일 

항상 부수적인 것이 모종의 기체(주어)에 따라 그 범주(술어)를 

의미한다면. [Ross. 1007a34 "το καθ᾿ οὗ" 편집에 따를 경우,

"부수적이 것들이 그에 따른(대한) 것일 일차적인 것이 아무것도

있지 않을 것이다."] 이와 동시에 (부수적인 것은) 무한을 향해

진행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는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둘보다

더 많은 것들이 결합되지도 않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부수적인

것은 비-부수적인 것에게 부수하기 때문이다, 만일 양자 모두가

같은 것에게 부수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그런데 나는 이를 테면

흰 것이 음악적인 것이라고 또는 이것(희고 음악적인 것)이 

흰 것이라고 그 양자(흰 것과 음악적인 것)가 그 인간에게 부수하기

때문에 그런 경우를 말하고 있다. 그러나 소크라테스와 음악적인 것 

둘 모두가 그들과 다른 어떤 것에 부수한다는 점에서, (앞의 경우처럼) 

그렇게 소크라테스가 음악적인 것은 아니다.

                                                                       ἐπεὶ

τοίνυν τὰ μὲν οὕτως τὰ δ᾿ ἐκείνως λέγεται συμβεβηκότα,

ὅσα οὕτως λέγεται ὡς τὸ λευκὸν τῷ Σωκράτει, οὐκ ἐνδέχε-

ται ἄπειρα εἶναι ἐπὶ τὸ ἄνω, οἷον τῷ Σωκράτει τῷ λευκῷ

ἕτερόν τι συμβεβηκός· οὐ γὰρ γίγνεταί τι ἓν ἐξ ἁπάντων.                               10

그러니까 어떤 것들은 이런 식으로 또 어떤 것들은 저런 식으로

부수적인 것들로 말해지는데, 흰 것이 소크라테스에게 말해지는

그런 식으로 말해지는 것들의 경우, 그 위에 중첩하여 무한하게 

있기란 허용되지 않으니, 이를 테면 흰 소크라테스에게 다른 

어떤 것이 부수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 모든

것들을 통틀어 그로부터 모종의 하나가 성립되지 않기 때문이다.

οὐδὲ δὴ τῷ λευκῷ ἕτερόν τι ἔσται συμβεβηκός, οἷον τὸ μου-

σικόν· οὐθέν τε γὰρ μᾶλλον τοῦτο ἐκείνῳ ἢ ἐκεῖνο τούτῳ

συμβέβηκεν, καὶ ἅμα διώρισται ὅτι τὰ μὲν οὕτω συμβέ-

βηκε τὰ δ᾿ ὡς τὸ μουσικὸν Σωκράτει· ὅσα δ᾿ οὕτως, οὐ

συμβεβηκότι συμβέβηκε συμβεβηκός, ἀλλ᾿ ὅσα ἐκείνως,                                 15

ὥστ᾿ οὐ πάντα κατὰ συμβεβηκὸς λεχθήσεται. ἔσται

ἄρα τι καὶ ὡς οὐσίαν σημαῖνον. εἰ δὲ τοῦτο, δέδεικται ὅτι

ἀδύνατον ἅμα κατηγορεῖσθαι τὰς ἀντιφάσεις. 

그래서 흰 것에게 다른 어떤 것이 부수적으로 있게 되지도

않을 것인 바, 이를 테면 음악적인 것이 부수하지도 않는다.

왜냐하면 저것이 이것에 부수하는 것에 비해 이것이 저것에

부수하는 게 전혀 더 부수하는 바 없고, 또한 그와 동시에

어떤 것들은 그런 식으로 부수하고 또 어떤 것들은 음악적인

것이 소크라테스에게 부수하는 식으로 부수한다는 것이

정의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런 식으로 부수하는

것들은, 부수적인 것에게 부수적인 것으로서 부수하지 않고,

저런 식으로 부수하기에, 그래서 모든 것들이 부수적으로

말해지지는 않는다. 그래서 실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도

무언가가 있을 것이다. 그런데 만일 그런 것이 있다면,

모순들이 동시에 범주적으로 서술되는 일은 불가능하다는

점이 입증된 것이다.

> 모순되는 것들, 즉 같은 것으로 긍정과 부정이 전부 부수적인 경우까지도

부정되어서, 다시금 모순이 동시 성립할 수 없다는 결론으로.

                                                            ἔτι εἰ ἀλη-

θεῖς αἱ ἀντιφάσεις ἅμα κατὰ τοῦ αὐτοῦ πᾶσαι, δῆλον ὡς

ἅπαντα ἔσται ἕν. ἔσται γὰρ τὸ αὐτὸ καὶ τριήρης καὶ τοῖ-                               20

χος καὶ ἄνθρωπος, εἰ κατὰ παντὸς τι ἢ καταφῆσαι ἢ

ἀποφῆσαι ἐνδέχεται, καθάπερ ἀνάγκη τοῖς τὸν Πρωτα-

γόρου λέγουσι λόγον. εἰ γάρ τῳ δοκεῖ μὴ εἶναι τριήρης ὁ

ἄνθρωπος, δῆλον ὅτι οὐκ ἔστι τριήρης· ὥστε καὶ ἔστιν, εἴπερ

ἡ ἀντίφασις ἀληθής. 

                          더욱이 만일 모든 모순들이 동시에 같은

것에 대해 참이라고 한다면, 통틀어 모든 것들이 하나로 있게

될 것이라는 게 분명하다. 왜냐하면 같은 것이 삼단노선이고

벽이며 인간일 것이기 때문이다, 만일 모든 것에 따라 무언가를

긍정하든 부정하든 다 허용된다면, 마치 프로타고라스의 이론을

논하는 자들에게 필연적인 것과 마찬가지로 그렇게 말이다.

왜냐하면 만일 누군가에게 인간이 삼단노선으로 있지 않다고

여겨진다면, 삼단노선으로 있지 않다는 사실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만일 그에 대한 모순이 참이라고 한다면, 그렇게도

(삼단노선으로도) 있다.

                           καὶ γίνεται δὴ τὸ τοῦ Ἀναξαγόρου                                 25

ὁμοῦ πάντα χρήματα· ὥστε μηθὲν ἀληθῶς ἓν ὑπάρχειν. τὸ

ἀόριστον οὖν ἐοίκασι λέγειν, καὶ οἰόμενοι τὸ ὂν λέγειν περὶ

τοῦ μὴ ὄντος λέγουσιν· τὸ γὰρ δυνάμει ὂν καὶ μὴ ἐντελε-

χείᾳ τὸ ἀόριστόν ἐστιν.

                              더욱이 아낙사고라스의 그 "모든 사태들이

다 함께"라는 것이 생성되기까지 한다. 그래서 아무것도 참되게

하나로 성립하지 않게끔 말이다. 그러므로 그들은 무규정자를

말하는 것처럼 보이며, 있는 것을 말한다고 생각하면서도 있지

않은 것에 관련하여 말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가능적으로 있는

것이자 비-완성태로서 있는 것이 무규정자로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ἀλλὰ μὴν λεκτέον γ᾿ αὐτοῖς κατὰ

παντὸς <παντὸς> τὴν κατάφασιν ἢ τὴν ἀπόφασιν· ἄτοπον γὰρ                       30

εἰ ἑκάστῳ ἡ μὲν αὐτοῦ ἀπόφασις ὑπάρξει, ἡ δ᾿ ἑτέρου ὃ μὴ

ὑπάρχει αὐτῷ οὐχ ὑπάρξει· λέγω δ᾿ οἷον εἰ ἀληθὲς εἰπεῖν τὸν

ἄνθρωπον ὅτι οὐκ ἄνθρωπος, δῆλον ὅτι καὶ ἢ τριήρης ὴ οὐ

τριήρης. 

그러나 물론 적어도 그들로서는 모든 것에 대해 모든 것의 긍정 

아니면 부정을 말해야만 한다. 왜냐하면 만일 각각에게 한편으로는

그것에 대한 부정이 성립하고, 다른 한편으로 그것에게 성립하지 

않는 다른 것에 대한 부정은 성립하지 않을 것이라면 이상하기 

때문이다. 나는 이를 테면 만일 인간을 비-인간이라고 말하는 게 

참이라면, 삼단노선이라고 말하든 비-삼단노선이라고 말하든 

그것이 참임이 분명하다고 말하는 것이다. 

            εἰ μὲν οὖν ἡ κατάφασις, ἀνάγκη καὶ τὴν ἀπόφασιν·

εἰ δὲ μὴ ὑπάρχει ἡ κατάφασις, ἥ γε ἀπόφασις ὑπάρξει

μᾶλλον ἢ ἡ αὐτοῦ. εἰ οὖν κἀκείνη ὑπάρχει, ὑπάρξει καὶ ἡ                        1008a1

τῆς τριήρους· εἰ δ᾿ αὕτη, καὶ ἡ κατάφασις. ταῦτά τε οὖν

συμβαίνει τοῖς λέγουσι τὸν λόγον τοῦτον, καὶ ὅτι οὐκ ἀνάγκη

ἢ φάναι ἢ ἀποφάναι. 

                                                                그러므로

만일 한편으로 긍정이 참이라면, 그 부정 또한 필연적으로 참이다.

다른 한편 만일 긍정이 성립하지 않는다면, 적어도 그 부정은

그것 자체에 대한 부정보다는 더 많이 성립할 것이다. 그러므로

만일 저 부정(비-인간)도 성립한다면, 삼단노선에 대한 부정 역시

성립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논리를 말하는 자들에게는

이러한 귀결들이 따르고, 주장하거나 부정주장하거나 하는 일이

필연적이지 않다는 귀결까지 따른다.

                            εἰ γὰρ ἀληθὲς ὅτι ἄνθρωπος καὶ

οὐκ ἄνθρωπος, δῆλον ὅτι καὶ οὔτ᾿ ἄνθρωπος οὔτ᾿ οὐκ ἄν-                             5

θρωπος ἔσται· τοῖν γὰρ δυοῖν δύο ἀποφάσεις, εἰ δὲ μία

ἐξ ἀμφοῖν ἐκείνη, καὶ αὕτη μία ἂν εἴη ἀντικειμένη.

                                                왜냐하면 만일 인간이고

비-인간이라는 것이 참이라면, 인간으로도 비-인간으로도 있지

않으리라는 것 역시 분명하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그 둘에 대해

두 부정들이 있기 때문인데, 만일 그 양자로부터 저 긍정이

단일한 것으로 구성된다면, 이 부정 또한 대립됨으로써 단일한

것으로 있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蟲-

ΤΙΜΑΙΟΣ


ΣΩΚΡΑΤΗΣ ΤΙΜΑΙΟΣ ΕΡΜΟΚΡΑΤΗΣ ΚΡΙΤΙΑΣ


ΣΩ. Εἷς, δύο, τρῖς· ὁ δὲ δὴ τέταρτος ἡμῖν, ὦ φίλε Τί-                    17a1

μαιε, ποῦ τῶν χθὲς μὲν δαιτυμόνων, τὰ νῦν δὲ ἑστια-

τόρων;

한 분, 두 분, 세 분. 한데 그럼, 친애하는 티마이오스,

어제는 우리의 손님들 중에서, 오늘은 주인들 중 

네 번째이신 분께서는 어디십니까?


- 대화편의 시작이 하필 수, 혹은 사람을 세는 것인 이유가 따로 있을지?

  1) 수에 따른 질서를 통해 우주를 설명하는 방식을 시사하는 것.

  2) 사원소? 이 경우 무엇이 빠진 것인가? 관련하여 흙이 다른 삼원소와 별도로 취급된다.

      다른 것들은 환원 및 교환되지만 흙은 그렇지 않다. 

  3) 『소크라테스의 변론』, 『파이돈』에서 플라톤이 언급되고, 또 후자에서 병으로 결석한 것을 연상시키기도?

      소크라테스가 자신을 제외한 나머지 세 사람을 헤아렸고, 남은 한 사람이 빠진 것인데

      누구인지 확인되지 않는다.

      크리티아스의 이름으로 저술이 하나 있고, 지금 이 대화편이 티마이오스의 이름을 걸고 있다.

      헤르모크라테스에 관련해서도 계획이 있었던 걸지? 네 번째 사람은?

- 배경으로서의 판아테나이 축제는 아테네 건국 신화에 해당하는 여신의 매우 대규모 축제. 이러한 맥락에서 '하나, 둘, 셋'이라는 발언은 당대 독자에게 경연의 순번이나 순위 따위를 떠올리게 했을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서사시나 비극에서 삼부작 혹은 사부작의 구성을 떠올렸을 수도 있다. by Kang. 


ΤΙ. Ἀσθένειά τις αὐτῷ συνέπεσεν, ὦ Σώκρατες· οὐ γὰρ

ἂν ἑκὼν τῆσδε ἀπελείπετο τῆς συνουσίας.                                      5

그 분께 무슨 허약함이랄 것이 닥쳐왔답니다, 소크라테스. 

자발적으로 여기 이 모임에 결석하지는 않았을 테니 말이죠.

- 티마이오스가 답한다는 점에서 그와 동향의 인물로 추정될 수도 있지 않겠는가?

  대화편의 논의 주제와 관련해서, 혹은 시작점에서 수를 세는 대사와 관련하여

  피타고라스 학파의 인물로 추정할 여지도 있지 않겠는가? by Kang.

  '질병'이 언급된 것과 관련하여, 이 대화편의 마지막은 질병에 대한 논의로 끝난다. by Kang.

  『파이돈』에서 플라톤의 불참 이유도 같은 어원의 동사로 표현된다. 아파서. by Byun.

  의미상으로 보자면 Akrasia와 유사성이 있을 것도 같다. By Kang.

  아크라시아의 불가능성과 관련하여, 나쁘다는 것을 '알면서도' hekōn, 자발적으로 행하는 일은 없다.

  

ΣΩ. Οὐκοῦν σὸν τῶνδέ τε ἔργον καὶ τὸ ὑπὲρ τοῦ ἀπόντος

ἀναπληροῦν μέρος;

그렇다면 부재하신 분을 대신하여 몫을 채우는 것 역시 여기 

계신 분들의 그리고 당신의 일이기도 하지 않겠습니까?

- 네 번째 사람의 빈 자리나 그 몫을 채우는 것은 티마이오스의 책임으로

  돌려진다. 


ΤΙ. Πάνυ μὲν οὖν, καὶ κατὰ δύναμίν γε οὐδὲν ἐλλεί-                        b

ψομεν· οὐδὲ γὰρ ἂν εἴη δίκαιον, χθὲς ὑπὸ σοῦ ξενισθέντας

οἷς ἦν πρέπον ξενίοις, μὴ οὐ προθύμως σὲ τοὺς λοιποὺς ἡμῶν

ἀνταφεστιᾶν.

물론 그렇습니다만, 저희 능력이 닿는 한에서는 아무것도

빠뜨리지 않을 겁니다. 정당한 일도 아닐 테니까요, 어제 당신께

그야말로 손님답게 손님대접을 받아 놓고서, 당신께 우리 중

남은 사람들이 열렬하게 보답해 드리지 못한다는 것은 말이죠.

ΣΩ. Ἆρ᾿ οὖν μέμνησθε ὅσα ὑμῖν καὶ περὶ ὧν ἐπέταξα                       5

εἰπεῖν;

그럼 혹시 제가 그와 관련하여 여러분께서 말씀해 주십사 

맡겨드렸던 것들을 기억하시는지요?

ΤΙ. Τὰ μὲν μεμνήμεθα, ὅσα δὲ μή, σὺ παρὼν ὑπομνήσεις·

μᾶλλον δέ, εἰ μή τί σοι χαλεπόν, ἐξ ἀρχῆς διὰ βραχέων πάλιν

ἐπάνελθε αὐτά, ἵνα βεβαιωθῇ μᾶλλον παρ᾿ ἡμῖν.

어떤 것들은 저희가 기억하고 있습니다만, 그렇지 못한 것들은,

당신께서 함께 계시면서 상기시켜 주시겠지요. 그런데 차라리,

혹여 당신께서 조금이라도 곤란하지 않으시다면, 처음부터 짧은

몇 마디로 다시 그것들을 되짚어 주십시오, 저희쪽에서보다

훨씬 더 확고해지게끔 말이죠.

ΣΩ. Ταῦτ᾿ ἔσται. χθές που τῶν ὑπ᾿ ἐμοῦ ῥηθέντων                         c

λόγων περὶ πολιτείας ἦν τὸ κεφάλαιον οἵα τε καὶ ἐξ οἵων

ἀνδρῶν ἀρίστη κατεφαίνετ᾿ ἄν μοι γενέσθαι.

그리 될 겁니다. 아마 어제 폴리스에 관련하여 저에 의해 이야기된

말들의 요지는 어떤 폴리스가 그리고 또 어떤 자들로부터 나온

(~로 이루어진) 폴리스가 최선의 폴리스가 되는 것으로 제게 드러나

보였는가 하는 것이었지요.

ΤΙ. Καὶ μάλα γε ἡμῖν, ὦ Σώκρατες, ῥηθεῖσα πᾶσιν κατὰ

νοῦν.                                                                                     5

확실히, 소크라테스, 그 폴리스는 저희 모두에게 인상 깊게 

이야기되었습니다.

ΣΩ. Ἆρ᾿ οὖν οὐ τὸ τῶν γεωργῶν ὅσαι τε ἄλλαι τέχναι

πρῶτον ἐν αὐτῇ χωρὶς διειλόμεθα ἀπὸ τοῦ γένους τοῦ τῶν

προπολεμησόντων;

그럼 혹시 우리가 그 폴리스 안에서 농부들의 유와 또 다른

기술들도 그 부류를 수호전을 수행하는 자들의 부류로부터

별도로 구분하지 않았습니까?

ΤΙ. Ναί.

네.

ΣΩ. Καὶ κατὰ φύσιν δὴ δόντες τὸ καθ᾿ αὑτὸν ἑκάστῳ                       10

πρόσφορον ἓν μόνον ἐπιτήδευμα, μίαν ἑκάστῳ τέχνην, τού-           d

τους οὓς πρὸ πάντων ἔδει πολεμεῖν, εἴπομεν ὡς ἄρ᾿ αὐτοὺς

δέοι φύλακας εἶναι μόνον τῆς πόλεως, εἴτε τις ἔξωθεν ἢ καὶ

τῶν ἔνδοθεν ἴοι κακουργήσων, δικάζοντας μὲν πράως τοῖς

ἀρχομένοις ὑπ᾿ αὐτῶν καὶ φύσει φίλοις οὖσιν, χαλεποὺς δὲ          18a

ἐν ταῖς μάχαις τοῖς ἐντυγχάνουσιν τῶν ἐχθρῶν γιγνομένους.

더욱이 본성에 따라서 그 자체로 각자에게 적합한 단 하나의

직무만을, 즉 각자에게 단 하나의 기술만을, 부여하면서, 그

모든 것들보다도 우선 전쟁을 해야 했던 자들을, 우리는 그래서

바로 그들이 오직 폴리스의 수호자들로 있기만 해야 하리라고 

이야기했었습니다, 누군가가 외부로부터든 내부로부터의

사람들 중에서든 해악을 가하려 한다면, 그들에 의해 지배를

받는 자들과 본성상 친우인 자들에게는 온화하게 심판하는

반면, 적들 중 전투에서 조우한 자들에게는 가혹한 자들이 

됨으로써 말이지요.

ΤΙ. Παντάπασι μὲν οὖν.

전적으로 그렇습니다.

ΣΩ. Φύσιν γὰρ οἶμαί τινα τῶν φυλάκων τῆς ψυχῆς

ἐλέγομεν ἅμα μὲν θυμοειδῆ, ἅμα δὲ φιλόσοφον δεῖν εἶναι                 5

διαφερόντως, ἵνα πρὸς ἑκατέρους δύναιντο ὀρθῶς πρᾷοι καὶ

χαλεποὶ γίγνεσθαι.

즉 저는 수호자들의 영혼의 본성이라 할 무언가가 한편으로는 

용맹스러운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유달리 철학적이어야

(지혜를 사랑하는 것이어야) 한다고 우리가 말했다고 생각합니다,

저 양편 각각의 사람들을 상대로 제대로 온화하게도 또 가혹하게도

될 능력이 있도록 말이죠.

ΤΙ. Ναί.

네.

ΣΩ. Τί δὲ τροφήν; ἆρ᾿ οὐ γυμναστικῇ καὶ μουσικῇ μαθή-

μασίν τε ὅσα προσήκει τούτοις, ἐν ἅπασι τεθράφθαι;                       10

그런데 양육은 어떻습니까? 혹시 체육과 시가라는 교과들과

또 이들에게 적절한 교과들, 그 모든 것들 안에서 그들이

양육되었<어야 한다>고 우리가 말하지 않았나요?

ΤΙ. Πάνυ μὲν οὖν.

물론입니다.

ΣΩ. Τοὺς δέ γε οὕτω τραφέντας ἐλέχθη που μήτε χρυσὸν                b

μήτε ἄργυρον μήτε ἅλλο ποτὲ μηδὲν κτῆμα ἑαυτῶν ἴδιον

νομίζειν δεῖν, ἀλλ᾿ ὡς ἐπικούρους μισθὸν λαμβάνοντας τῆς

φυλακῆς παρὰ τῶν σῳζομένων ὑπ᾿ αὐτῶν, ὅσος σώφροσιν

μέτριος, ἀναλίσκειν τε δὴ κοινῇ καὶ συνδιαιτωμένους μετὰ                 5

ἀλλήλων ζῆν, ἐπιμέλειαν ἔχοντας ἀρετῆς διὰ παντός, τῶν

ἄλλων ἐπιτηδευμάτων ἄγοντας σχολήν.

그런가 하면 적어도 그런 식으로 양육된 자들은 아마 금도 

은도 도대체 다른 그 무엇도 그들 자신들의 고유한 재물이라

생각하지 않아야 하고, 오히려 조력자들로서 그들에 의해 구원

받은 자들에게서 수호에 대해서, 분별 있는 자들에게 적절한 

그 만큼의 보수를 받으며, 공동으로 소비하고 또한 서로가 함께 

거주하며 살아가야 한다고, 모든 시간 동안 덕에 대한 추구를 

견지하면서, 그 외의 직무들에 대해서는 여가를 마련하면서 

그리한다고 말해졌습니다.

- 『파이드로스』 마무리 기도에서 "현명한 자에게 적절한 만큼의 황금"이란 표현과 연결되나?

ΤΙ. Ἐλέχθη καὶ ταῦτα ταύτῃ.

이런 이야기들도 이런 식으로 말해졌죠.

ΣΩ. Καὶ μὲν δὴ καὶ περὶ γυναικῶν ἐπεμνήσθημεν, ὡς τὰς                   c

φύσεις τοῖς ἀνδράσιν παραπλησίας εἴη συναρμοστέον, καὶ τὰ

ἐπιτηδεύματα πάτνα κοινὰ κατά τε πόλεμον καὶ κατὰ τὴν

ἄλλην δίαιταν δοτέον πάσαις.

더 나아가서는 여성들에 관련하여서도, 그 본성이 사내들에게

근접하게 되도록 조화시켜야만 한다고, 또 전쟁에 따라서도 그 외 

생활에 따라서도 모든 직무가 모든 여성에게 공동으로 주어져야만 

한다는 것을 언급했었습니다.

ΤΙ. Ταύτῃ καὶ ταῦτα ἐλέγετο.                                                         5

이것들도 이런 식으로 말해지고 있었습니다.

ΣΩ. Τί δὲ δὴ τὸ περὶ τῆς παιδοποιίας; ἢ τοῦτο μὲν διὰ

τὴν ἀήθειαν τῶν λεχθέντων εὐμνημόνευτον, ὅτι κοινὰ τὰ τῶν

γάμων καὶ τὰ τῶν παίδων πᾶσιν ἁπάντων ἐτίθεμεν, μηχανω-

μένους ὅπως μηδείς ποτε τὸ γεγενημένον αὐτῶν ἰδίᾳ γνώ-

σοιτο, νομιοῦσιν δὲ πάντες πάντας αὐτοὺς ὁμογενεῖς, ἀδελφὰς           d

μὲν καὶ ἀδελφοὺς ὅσοιπερ ἂν τῆς πρεπούσης ἐντὸς ἡλικίας

γίγνωνται, τοὺς δ᾿ ἔμπροσθεν καὶ ἄνωθεν γονέας τε καὶ

γονέων προγόνους, τοὺς δ᾿ εἰς τὸ κάτωθεν ἐκγόνους παῖδάς

τε ἐκγόνων;                                                                               5

한데 그럼 자식을 만드는 것에 관련된 일은 어떻습니까? 오히려

말해진 것들의 익숙하지 않음으로 인해 기억하기에 좋았습니까?

통틀어 모든 결혼과 자식에 대한 일들을 모두에게 공공의 것들로

우리가 정립하였다는 것이요. 도대체 단 한 사람도 그들의 출생을 

사적으로 알지 못하도록, 반면에 모든 이들이 자신들 모두가 

동류라고 생각하도록, 동년배 안에서 태어난 자들에게는 자매이자 

형제라고, 더 먼저 더 윗세대에 태어난 자들은 부모이자 선조라고, 

아랫세대에 태어난 자들은 후손이나 후손의 자손이라고 생각하도록 

고안된 자들에게 말입니다.

ΤΙ. Ναί, καὶ ταῦτα εὐμνημόνευτα ᾗ λέγεις.

네, 이것들도 당신께서 말씀하시는 방식으로 기억하기 좋은

것들이었습니다.

ΣΩ. Ὅπως δὲ δὴ κατὰ δύναμιν εὐθὺς γίγνοιντο ὡς ἄριστοι

τὰς φύσεις, ἆρ᾿ οὐ μεμνήμεθα ὡς τοὺς ἄρχοντας ἔφαμεν καὶ

τὰς ἀρχούσας δεῖν εἰς τὴν τῶν γάμων σύνερξιν λάθρᾳ

μηχανᾶσθαι κλήροις τισὶν ὅπως οἱ κακοὶ χωρὶς οἵ τ᾿ ἀγαθοὶ             e

ταῖς ὁμοίαις ἑκάτεροι συλλήξονται, καὶ μή τις αὐτοῖς ἔχθρα διὰ

ταῦτα γίγνηται, τύχην ἡγουμένοις αἰτίαν τῆς συλλήξεως;

한데 그럼 능력이 닿는 한 곧장 본성에 있어서 최대한 최선인 자들이 

태어나도록 하기 위해서는, 혹시 지배자 남성들이 지배자 여성들과 

혼인을 통한 결합을 향해 비밀리에 모종의 추첨으로 계획되어야 

한다고 우리가 주장했었다는 것을 기억하지 못하십니까? 악인들과 

선인들이 별도로 그 둘 각각에 유사한 자들과 함께 짝지어지도록, 

그리고 이러한 일들로 인해 어떤 적의가 그들에게 생기지 않게끔, 

즉 그 짝지음의 원인을 우연이라 생각하는 자들에게 그리 되지 않게끔 

말이지요.

ΤΙ. Μεμνήμεθα.

우리는 기억하고 있습니다.

ΣΩ. Καὶ μὴν ὅτι γε τὰ μὲν τῶν ἀγαθῶν θρεπτέον ἔφαμεν               19a1

εἶναι, τὰ δὲ τῶν κακῶν εἰς τὴν ἄλλην λάθρᾳ διαδοτέον πόλιν·

ἐπαυξανομένων δὲ σκοποῦντας ἀεὶ τοὺς ἀξίους πάλιν ἀνάγειν

δεῖν, τοὺς δὲ παρὰ σφίσιν ἀναξίους εἰς τὴν τῶν ἐπανιόντων

χώραν μεταλλάττειν;                                                                   5

또 물론 적어도 좋은 자들의 자손들은 육성되어야만 하는 것으로

있는가 하면, 나쁜 자들의 자손들은 폴리스의 나머지 영역에 

비밀리에 주어져야만 하는 것으로 있다고 우리가 주장했던 것도요.

그런데 그들이 성장함에 따라 살펴보며 언제나 다시 데려와야 

할 가치가 있는 자들은 다시 데려와야 한다고, 그런데 그들에 비해 

무가치한 자손들은 되돌아온 자손들의 그 자리로 맞바꾸어 놓아야 

한다고 말입니다.

ΤΙ. Οὕτως.                                                                                 //201028

그렇습니다.

ΣΩ. Ἆρ᾿ οὖν δὴ διεληλύθαμεν ἤδη καθάπερ χθές, ὡς

ἐν κεφαλαίοις πάλιν ἐπανελθεῖν, ἢ ποθοῦμεν ἔτι τι τῶν

ῥηθέντων, ὦ φίλε Τίμαιε, ὡς ἀπολειπόμενον;

그럼 그리하여 혹시 우리가 이미 어제와 마찬가지로 상술한 건가요? 

요점을 다시 되짚었으니 말입니다. 아니면 이야기된 것들

중에서 뭔가를 아직, 친애하는 티마이오스, 남겨진 것으로

생각하여 우리가 아쉬워하고 있는지요?

- 남겨진 것, 아쉬운 것이 있는가? 사실은 있다. 아래에서 다시...


ΤΙ. Οὐδαμῶς, ἀλλὰ αὐτὰ ταῦτ᾿ ἦν τὰ λεχθέντα, ὦ                             b

Σώκρατες.

결코 그렇지 않고, 오히려 진술되었던 것들은 바로 

이것들이었습니다, 소크라테스.

- 덕, 정의, 행복에 대한 논의 탈락. 이에 따라 이를 추구하는 철학자와 그의 교육도 탈락.

  그래서 나아가 철학자에 의한 통치, 세 번째 파도 이야기가 탈락. 또한 타락한 정체와

  시인 추방 등의 내용도 탈락되어 있다. 


ΣΩ. Ἀκούοιτ᾿ ἂν ἤδη τὰ μετὰ ταῦτα περὶ τῆς πολιτείας

ἣν διήλθομεν, οἷόν τι πρὸς αὐτὴν πεπονθὼς τυγχάνω. προσ-

ἐοικεν δὲ δή τινί μοι τοιῷδε τὸ πάθος, οἷον εἴ τις ζῷα καλά                 5

που θεασάμενος, εἴτε ὑπὸ γραφῆς εἰργασμένα εἴτε καὶ ζῶντα

ἀληθινῶς ἡσυχίαν δὲ ἄγοντα, εἰς ἐπιθυμίαν ἀφίκοιτο θεά-

σασθαι κινούμενά τε αὐτὰ καί τι τῶν τοῖς σώμασιν δοκούντων

προσήκειν κατὰ τὴν ἀγωνίαν ἀθλοῦντα· ταὐτὸν καὶ ἐγὼ                    c

πέποντα πρὸς τὴν πόλιν ἣν διήλθομεν. 

이제 우리가 상술하였던 그 폴리스에 관련한 이러한 이야기들 

다음의 오는 것들을 여러분들께서 들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그 폴리스에 대해 제가 마침 겪기도 한 것이 무엇인지

같은 것을요. 저로서는 그 경험이 이런 어떤 것과 그럴 듯하게

닮아 보였는데, 이를 테면 누군가가 어디에선가 아름다운 동물들을

바라보면서, 그게 그림으로 이루어졌든 진정으로 살아있으면서 

침묵을 지키고 있든, 그것들이 운동하는 것을 그리고 또 그 신체에

어울린다고 여겨지는 일들 중 무언가를 경합에 따라 겨루는 것을

바라보기를 열망하게 될 것이라면 겪을 그런 일과 말이지요.

저 역시도 똑같은 일을 우리가 상술하였던 그 폴리스에 대해

겪었습니다.

- 『국가』 471c-d에서의 글라우콘의 요청을 연상시킨다. 그런데

『국가』에서는 이것의 실현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물으며, 이로부터

세 번째 파도, 철인이 통치자가 되는 방법이 설명된다. 그리고 이어지는

논의에서 소크라테스는 아름다운 것의 본을 아름답게 그리지만 그것이

어떻게 가능한지 보여주지 못하는 화가가 못난 화가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심지어 이후에는 행동이 말보다 진리에 멀다고 말하기도 한다. 

『국가』 5권!!! by Kang.

- 빈 자리. 네 번째 사람이 빠졌고, 철인 통치자가 빠졌다. 이 자리에 티마이오스와

데미우르고스가 들어오는가? 만일 『국가』 5권의 위 맥락과 함께 고려해 보자면,

국가의 실현과 활동을 묘사하기 위해 그 가능성을 확보하는 방식(철인통치)이 도입되어야 하듯,

(국가를 그 안에 포함하는) 우주에 대해서도 그 가능성을 확보하는 나름의 방식이 도입되어야 하지 않을까?


                                                    ἡδέως γὰρ ἄν του

λόγῳ διεξιόντος ἀκούσαιμ᾿ ἂν ἄθλους οὓς πόλις ἀθλεῖ, τούτους

αὐτὴν ἀγωνιζομένην πρὸς πόλεις ἄλλας, πρεπόντως εἴς τε

πόλεμον ἀφικομένην καὶ ἐν τῷ πολεμεῖν τὰ προσήκοντα                     5

ἀποδιδοῦσαν τῇ παιδείᾳ καὶ τροφῇ κατά τε τὰς ἐν τοῖς

ἔργοις πράξεις καὶ κατὰ τὰς ἐν τοῖς λόγοις διερμηνεύσεις

πρὸς ἑκάστας τῶν πόλεων. ταῦτ᾿ οὖν, ὦ Κριτία καὶ Ἑρμό-

κρατες, ἐμαυτοῦ μὲν αὐτὸς κατέγνωκα μή ποτ᾿ ἂν δυνατὸς                d

γενέσθαι τοὺς ἄνδρας καὶ τὴν πόλιν ἱκανῶς ἐγκωμιάσαι. 

                폴리스가 겨루는 그 경기들을 말로써 짚어 

나아가는 것을 저는 기쁘게 들을 테니까요, 그 폴리스가 여타 

폴리스를 상대로 그 경합들에서 경쟁하는 것을, 그 교육과 양육에 

어울리게 전쟁에 임하고 또 전쟁을 수행함에 있어서 그에 

어울리는 것들을 각각의 폴리스들을 상대로 현실에서의 

실행 하에서도 또한 말에서 이루어지는 교섭 하에서도 되갚아 

보이는 것을 말입니다. 그러므로 이런 것들을 놓고, 크리티아스 

그리고 헤르모크라테스, 저 스스로 저에 대해 도무지 그 사내들과 

그 폴리스를 충분히 상찬할 능력이 있는 자가 되지 못하리란 것을 

알아차렸습니다.

                                                                          καὶ

τὸ μὲν ἐμὸν οὐδὲν θαυμαστόν· ἀλλὰ τὴν αὐτὴν δόξαν εἴληφα

καὶ περὶ τῶν πάλαι γεγονότων καὶ περὶ τῶν νῦν ὄντων

ποιητῶν, οὔτι τὸ ποιητικὸν ἀτιμάζων γένος, ἀλλὰ παντὶ                       5

δῆλον ὡς τὸ μιμητικὸν ἔθνος, οἷς ἂν ἐντραφῇ, ταῦτα μιμή-

σεται ῥᾷστα καὶ ἄριστα, τὸ δ᾿ ἐκτὸς τῆς τροφῆς ἑκάστοις

γιγνόμενον χαλεπὸν μὲν ἔργοις, ἔτι δὲ χαλεπώτερον λόγοις                e

εὖ μιμεῖσθαι. 

                     제 경우는 놀라울 것도 없습니다. 그러나 저는 

오래전 태어나신 시인들과 관련하여서도 또 오늘날 현존하는 

시인들과 관련하여서도 같은 믿음을 갖게 되었습니다. 시인의 

부류를 존중하지 않는 건 아니지만, 모방적인 족속이 이렇다는 

게 모두에게 분명하다는 것이지요. 그들이 그 안에서 양육되었을 

바의 것들, 이러한 것들을 가장 쉽고도 가장 훌륭하게 모방하리란 

것, 반면에 그 양육을 벗어나는 것은 각각의 시인들에게 실천으로써 

잘 모방하기가 어렵거니와, 말로써 잘 모방하기란 훨씬 더 어렵다는 

것이 말입니다.

- 말보다 행동이 더 진리에 가깝다는 앞서 『국가』 5권 논의와 결부될 듯. By Kang.

  확신(pistis)에 따른 행동의 한계. 참인 믿음만 가진 수호자, 철학자의 명령을

잘 따르기만 하는 사람들. 

- 『프로타고라스』에서 프라타고라스식으로 정의로운 척 행동하는 자들.

 사회에서 통념이나 관습, 교육으로 전수된 것들을 행동으로 따라하려 하고,

그런데 말로 설명하기는 어려울 수도.

                 τὸ δὲ τῶν σοφιστῶν γένος αὖ πολλῶν μὲν

λόγων καὶ καλῶν ἄλλων μάλ᾿ ἔμπειρον ἥγημαι, φοβοῦμαι

δὲ μή πως, ἅτε πλανητὸν ὂν κατὰ πόλεις οἰκήσεις τε ἰδίας

οὐδαμῇ διῳκηκός, ἄστοχον ἅμα φιλοσόφων ἀνδρῶν ᾖ καὶ                    5

πολιτικῶν, ὅσ᾿ ἂν οἷά τε ἐν πολέμῳ καὶ μάχαις πράττοντες

ἔργῳ καὶ λόγῳ προσομιλοῦντες ἑκάστοις πράττοιεν καὶ

λέγοιεν. καταλέλειπται δὴ τὸ τῆς ὑμετέρας ἕξεως γένος,

ἅμα ἀμφοτέρων φύσει καὶ τροφῇ μετέχον. 

                    그런데 이번엔 소피스트들의 부류는 여타의 많고도 

아름다운 말들에 무척이나 익숙한 것으로 생각하는데, 어쨌든, 

폴리스들을 따라 떠돌아다니며 어디에도 개인적인 거주를 두고 

정주한 적 없기에, 철학적인 자들로부터 또 정치가들로부터도, 

전쟁 중에도 전투 중에도 행동과 말로 소피트들이 각각의 

상대들과 관계하며 행위하면서 수행하거나 말할 그 만큼의 

그리고 그러한 종류의 일들에서, 동시에 엇나가 있던 것은 아닐지 

두렵습니다. 그래서 여러분들의 상태에 해당하는 부류가 남게 

되었습니다. 본성과 양육으로 저 양편 모두에 동시에 참여하는 

부류가 말이죠.

- 소피스트의 세계에 대한 가상(Phantasma)과 시인의 세계에 대한 상(eidōlon, 이것은 eikōn인가?), 데미우르고스의  세계에 대한 모상(닮은꼴? eikōn) ??? 이 세 가지 구분도 가능할지?


                                                         Τίμαιός τε γὰρ               20a1

ὅδε, εὐνομωτάτης ὢν πόλεως τῆς ἐν Ἰταλίᾳ Λοκρίδος, οὐσίᾳ

καὶ γένει οὐδενὸς ὕστερος ὢν τῶν ἐκεῖ, τὰς μεγίστας μὲν

ἀρχάς τε καὶ τιμὰς τῶν ἐν τῇ πόλει μετακεχείρισται, φιλο-

σοφίας δ᾿ αὖ κατ᾿ ἐμὴν δόξαν ἐπ᾿ ἄκρον ἁπάσης ἐλήλυθεν·                   5

Κριτίαν δέ που πάντες οἱ τῇδε ἴσμεν οὐδενὸς ἰδιώτην ὄντα ὧν

λέγομεν. τῆς δὲ Ἑρμοκράτους αὖ περὶ φύσεως καὶ τροφῆς,

πρὸς ἅπαντα ταῦτ᾿ εἶναι ἱκανὴν πολλῶν μαρτυρούντων

πιστευτέον. 

          왜냐하면 여기 이 분 티마이오스께서도, 이탈리아에 있는 

로크리스라는 가장 법이 잘 세워진 폴리스에 속해 계시며, 

재산으로나 가문으로나 저곳의 사람들 중 그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으시고, 그 폴리스 내의 사람들 중 가장 큰 관직과 명예를 

손에 넣으셨는가 하면, 다른 한편 이번엔 제 믿음에 따르자면 

통틀어 모든 철학의 정점에 이르신 바 있으시니까요. 그런가 하면 

크리티아스께서는 아마도 이곳에 계신 모든 분들께서 아시는 바 

우리가 말하는 것들 중 그 무엇에 대해서도 문외한이 아니십니다. 

이번엔 헤르모크라테스의 그 본성과 양육에 관련해서는, 통틀어 

이 모든 것들에 대해서 충분한 분으로서 계심을 확신해야만

한다는 데에 많은 증인들이 계십니다.

                διὸ καὶ χθὲς ἐγὼ διανοούμενος, ὑμῶν δεομένων                b

τὰ περὶ τῆς πολιτείας διελθεῖν, προθύμως ἐχαριζόμην, εἰδὼς

ὅτι τὸν ἑξῆς λόγον οὐδένες ἂν ὑμῶν ἐθελόντων ἱκανώτερον

ἀποδοῖεν―εἰς γὰρ πόλεμον πρέποντα καταστήσαντες τὴν

πόλιν ἅπαντ᾿ αὐτῇ τὰ προσήκοντα ἀποδοῖτ᾿ ἂν μόνοι τῶν                     5

νῦν―εἰπὼν δὴ τἀπιταχθέντα ἀντεπέταξα ὑμῖν ἃ καὶ νῦν

λέγω. 

                                                 이런 까닭에 어제도 저는

내내 생각하기를, 그 정체에 관련한 일들을 상술하도록 여러분께서

요구하실 때, 열렬하게 호의를 보여드렸던 것입니다. 이어지는 논의는

여러분들께서 그러려 하신다면 그 누구도 여러분보다 더욱 충분하게

보답할 수 없으리란 것을 알고서 말이지요. 오늘날 사람들 중 오직

여러분들께서만이 그 폴리스를 어울리는 전쟁을 향해 세워놓고서 

그 폴리스에 적절한 모든 것들을 전부 돌려줄 수 있을 테니까요.

그래서 제가 부탁받은 바들을 말씀드리며 여러분들께 지금도 제가

말씀드리고 있는 바들을 도로 부탁드린 것입니다.

        συνωμολογήσατ᾿ οὖν κοινῇ σκεψάμενοι πρὸς ὑμᾶς

αὐτοὺς εἰς νῦν ἀνταποδώσειν μοι τὰ τῶν λόγων ξένια, πάρειμί              c

τε οὖν δὴ κεκοσμημένος ἐπ᾿ αὐτὰ καὶ πάντων ἑτοιμότατος ὢν

δέχεσθαι.

                                                                 그리하여

여러분들께서 여러분들 자신을 상대로 공동으로 검토하시고서 

지금 제게 말들로 된 손님대접을 보답해 주시기로 동의하셨고,

그러므로 저도 모든 이들 중에서도 받아들일 준비를 가장 잘

갖추기까지 한 자로서 바로 여기에 치장을 한 채로 참석하여

있답니다.


ΕΡ. Καὶ μὲν δή, καθάπερ εἶπεν Τίμαιος ὅδε, ὦ Σώκρατες,

οὔτε ἐλλείψομεν προθυμίας οὐδὲν οὔτε ἔστιν οὐδεμία πρό-                   5

φασις ἡμῖν τοῦ μὴ δρᾶν ταῦτα· ὥστε καὶ χθές, εὐθὺς ἐνθένδε

ἐπειδὴ παρὰ Κριτίαν πρὸς τὸν ξενῶνα οὗ καὶ καταλύομεν

ἀφικόμεθα, καὶ ἔτι πρότερο καθ᾿ ὁδὸν αὐτὰ ταῦτ᾿ ἐσκοποῦμεν.

ὅδε οὖν ἡμῖν λόγον εἰσηγήσατο ἐκ παλαιᾶς ἀκοῆς· ὃν καὶ                     d

νῦν λέγε, ὦ Κριτία, τῷδε, ἵνα συνδοκιμάσῃ πρὸς τὴν ἐπίταξιν

εἴτ᾿ ἐπιτήδειος εἴτε ἀνεπιτήδειός ἐστι.

더욱이, 여기 이 분 티마이오스께서도 말씀하신 대로, 소크라테스,

저희가 열의에서도 전혀 부족함이 없을 것이고 그런 일들을 해내지

않을 아무런 구실도 있지 않기도 합니다. 그래서 어제도, 여기

저희가 여장을 풀어놓기도 한 크리티아스의 집 객간에 도착하자마자,

훨씬도 더 전에도 바로 그 일들을 고찰하였답니다.

그리하여 여기 이 분께서 우리에게 오래전 들으신 바로부터의

말을 소개해 주셨던 것입니다. 지금 또 그것을 말씀해 주시죠,

크리티아스, 여기 이분께요. 이 분께서 요구에 비추어 부합하는지 

부합하지 않는지 검토에 동참하시도록 말입니다.


ΚΡ. Ταῦτα χρὴ δρᾶν, εἰ καὶ τῷ τρίτῳ κοινωνῷ Τιμαίῳ

συνδοκεῖ.                                                                                     5

그리 해야만 하는 일이네요, 세 번째 동참자이신 티마이오스께도

괜찮아 보인다면요.


ΤΙ. Δοκεῖ μήν.

물론 좋아 보입니다.


ΚΡ. Ἄκουε δή, ὦ Σώκρατες, λόγου μάλα μὲν ἀτόπου,

παντάπασί γε μὴν ἀληθοῦς, ὡς ὁ τῶν ἑπτὰ σοφώτατος

Σόλων ποτ᾿ ἔφη. ἦν μὲν οὖν οἰκεῖος καὶ σφόδρα φίλος ἡμῖν                  e

Δρωπίδου τοῦ προπάππου, καθάπερ λέγει πολλαχοῦ καὶ

αὐτὸς ἐν τῇ ποιήσει· πρὸς δὲ Κριτίαν τὸν ἡμέτερον πάππον

εἶπεν, ὡς ἀπεμνημόνευεν αὖ πρὸς ἡμᾶς ὁ γέρων, ὅτι μεγάλα

καὶ θαυμαστὰ τῆσδ᾿ εἴη παλαιὰ ἔργα τῆς πόλεως ὑπὸ χρόνου                 5

καὶ φθορᾶς ἀνθρώπων ἠφανισμένα, πάντων δὲ ἓν μέγιστον,

οὗ νῦν ἐπιμνησθεῖσιν πρέπον ἂν ἡμῖν εἴη σοί τε ἀποδοῦναι               21a1

χάριν καὶ τὴν θεὸν ἅμα ἐν τῇ πανηγύρει δικαίως τε καὶ

ἀληθῶς οἷόνπερ ὑμνοῦντας ἐγκωμιάζειν.

그럼, 소크라테스, 꽤나 이상한 말이긴 하나, 정말이지 적어도, 

가장 지혜로운 7인 중 솔론께서 언젠가 주장하신대로, 전적으로 

참되기는 한 말을 들어보시죠. 그 분께서는 저희 증조부이신 

드로피데스의 식구이시며 지극한 친우셨습니다. 그 분 자신께서도

자주 시에서 말씀하시는 그대로 말입니다. 그런데 제 조부 되시는

크리티아스를 상대로 그 분께서 이야기하셨답니다, 또 노년의

크리티아스께서 저희를 상대로 기억을 떠올리시던 것처럼,

여기 이 폴리스의 위대하고도 놀라운 오래된 업적들, 시간과

또한 인간들의 파멸에 의해 상실된 업적들이 있었다는 것,

그 모든 업적들 중 가장 위대한 한 가지 일이, 지금 그에 대해

기억해 보려는 저희와 또한 당신께도 이 대제전의 와중에

바로 그 여신께 감사로 보답드리고 또한 의롭고도 참되게 

이를 테면 그야 말로 찬송하여 예찬해 드리는 일이 적절한

것일, 그런 업적들이 있었다는 것을요.                                      //201104

- 이상한 이유는? 전적으로 참이라는 주장의 근거는?

전달의 거리가 멀어지는 이러한 도입부는 고대 아테네 이야기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장치로 보인다. 


ΣΩ. Εὖ λέγεις. ἀλλὰ δὴ ποῖον ἔργον τοῦτο Κριτίας οὐ

λεγόμενον μέν, ὡς δὲ πραχθὲν ὄντως ὑπὸ τῆσδε τῆς πόλεως                   5

ἀρχαῖον διηγεῖτο κατὰ τὴν Σόλωνος ἀκοήν;

훌륭한 말씀이십니다. 허나 그럼 말해지는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 여기 이 폴리스에 의해 행해졌던 것으로서 고대의 

일이라 크리티아스께서 솔론에게서 들은 바에 따라 이것을 

어떤 업적이라고 상술해주셨습니까?


ΚΡ. Ἐγὼ φράσω, παλαιὸν ἀκηκοὼς λόγον οὐ νέου ἀν-

δρός. ἦν μὲν γὰρ δὴ τότε Κριτίας, ὡς ἔφη, σχεδὸν ἐγγὺς

ἤδη τῶν ἐνενήκοντα ἐτῶν, ἐγὼ δέ πῃ μάλιστα δεκέτης· ἡ                       b

δὲ Κουρεῶτις ἡμῖν οὖσα ἐτύγχανεν Ἀπατουρίων. τὸ δὴ τῆς

ἑορτῆς σύνηθες ἑκάστοτε καὶ τότε συνέβη τοῖς παισίν· ἆθλα

γὰρ ἡμῖν οἱ πατέρες ἔθεσαν ῥαψῳδίας. 

제가 알려드리겠습니다, 어리지 않은 사람에게서 들은 오래된

말씀을요. 크리티아스께서는, 그 분 말씀으로는, 당시에

이미 거진 90세 가까운 연세이셨는데, 저는 아무리 많이 잡아도

열살 남짓하였으니까요. 마침 우리는 아파투리아제(-祭)의

쿠레오티스일(-日)에 있었답니다. 그래서 매번 있던 축제의

관례가 그 때에도 아이들을 위해 열렸습니다. 즉 아버지들께서

저희를 위해 서사시 암송 경연을 개최하셨던 것이죠.

                                                   πολλῶν μὲν οὖν

δὴ καὶ πολλὰ ἐλέχθη ποιητῶν ποιήματα, ἅτε δὲ νέα κατ᾿                        5

ἐκεῖνον τὸν χρόνον ὄντα τὰ Σόλωνος πολλοὶ τῶν παίδων

ᾔσαμεν. εἶπεν οὖν τις τῶν φρατέρων, εἴτε δὴ δοκοῦν αὐτῷ

τότε εἴτε καὶ χάριν τινὰ τῷ Κριτίᾳ φέρων, δοκεῖν οἱ τά τε

ἄλλα σοφώτατον γεγονέναι Σόλωνα καὶ κατὰ τὴν ποίησιν                     c

αὖ τῶν ποιητῶν πάντων ἐλευθεριώτατον. 

                                                                     그리하여

많은 시인들의 여러 작품들이 말해졌습니다만, 저 시절에는

솔론의 작품들이 새로운 것들이었기에 아이들이었던 우리들 중

여럿이 그 분의 작품들을 노래하였습니다. 그리하여 부족분들 중

어느 분께선가 말씀하시기로, 당시에 정말로 그 분 자신께

그리 여겨진 것이든 크리티아스께 무슨 호의라도 전하시려던

것이든, 여타의 일들에서도 그 분께는 솔론이 가장 지혜로우신

분으로 되신다고 여겨지지만 이번엔 시에 대해서도 모든 시인들

중에서 가장 자유인다우신 분이 되시는 것으로 여겨진다고

하셨습니다.

                                                       ὁ δὴ γέρων―

σφόδρα γὰρ οὖν μέμνημαι―μάλα τε ἥσθη καὶ διαμειδιάσας

εἶπεν· "Εἴ γε, ὦ Ἀμύνανδρε, μὴ παρέργῳ τῇ ποιήσει κατε-

χρήσατο, ἀλλ᾿ ἐσπουδάκει καθάπερ ἄλλοι, τόν τε λόγον ὃν                       5

ἀπ᾿ Αἰγύπτου δεῦρο ἠνέγκατο ἀπετέλεσεν, καὶ μὴ διὰ τὰς

στάσεις ὑπὸ κακῶν τε ἄλλων ὅσα ηὗρεν ἐνθάδε ἥκων ἠναγ-

κάσθη καταμελῆσαι, κατά γε ἐμὴν δόξαν οὔτε Ἡσίοδος οὔτε                  d

Ὅμηρος οὔτε ἄλλος οὐδεὶς ποιητὴς εὐδοκιμώτερος ἐγένετο

ἄν ποτε αὐτοῦ." 

                 그래서 어르신께서는―그야 제가 무척이나 잘

기억하고 있어서 드리는 말씀입니다만―아주 즐거워하기도 하셨고

또 미소를 지으시고서는 말씀하셨습니다. "적어도 만일, 

아뮈난드로스, 그 분께서 시짓기를 부차적인 일로 삼지 않으시고,

여느 사람들처럼 진지하게 임하셨었더라면, 그리고 그 분께서

이집트로부터 여기로 가져오신 그 말을 끝마치셨더라면, 또한

내분들로 인해 그리고 그 외에 이곳에 오셔서 발견하셨던 악들에 

의해 소홀해지시도록 강제받지 않으셨더라면, 적어도 제 믿음에

따르자면 헤시오도스께서도 호메로스께서도 그 밖의 어느 시인도

도대체 그 분보다 더 명성을 드높히시게 되지 못하셨을 것입니다."


- 기존 시인의 시는 신들림, 영감의 결과물로 간주.

  솔론의 경우, 일반적으로 시인으로 간주되진 않았다.

  오히려 그의 지혜, 정치 참여 등이 강조되었고, 그럼에도 그가

모든 시인들 중 솔론이 가장 훌륭한 시인일 수 있다고 주장된다. 

> 『국가』에서 요청되는 시인이란 결국 철학자일 것으로 보이듯,

여기에서도 솔론이 철학자인 한에서 시인의 올바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지도.

> 믿음이나 판단 혹은 이야기 차원에서 그 사용자의 자격요건이 제시되고 있는 것은 아닐까?

> 가장 자유민답다는 앞서의 언급과 연결해서 보자면, 호메로스조차

영감에 의존하여 신들린 시를 지을 뿐 자신의 이야기를 이해하지도 못한다는

플라톤의 비판과 연결시킬 수도 있을지도. by Kang.

                      "Τίς δ᾿ ἦν ὁ λόγος," ἦ δ᾿ ὅς, "ὦ Κριτία;"

"Ἦ περὶ μεγίστης," ἔφη, "καὶ ὀνομαστοτάτης πασῶν δι-

καιότατ᾿ ἂν πράξεως οὔσης, ἢν ἥδε ἡ πόλις ἔπραξε μέν, διὰ                      5

δὲ χρόνον καὶ φθορὰν τῶν ἐργασαμένων οὐ διήρκεσε δεῦρο

ὁ λόγος." "Λέγε ἐξ ἀρχῆς," ἦ δ᾿ ὅς, "τί τε καὶ πῶς καὶ

παρὰ τίνων ὡς ἀληθῆ διακηκοὼς ἔλεγεν ὁ Σόλων."

그러자 그 분께서 말씀하셨습니다. "그런데 그 분의 말씀이 

무엇이었습니까, 크리티아스?" 조부께서는 말씀하셨죠.

"모든 위업들 중에서 가장 위대하고도 이름할 만하기에 가장

합당하였던, 여기 이 폴리스가 해냈던 일이었으나, 시간과 또한

이루어진 일들의 소멸로 인해 그 말이 여기로 이어지진 못한

그런 위업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그 분께서 말씀하셨지요.

"처음부터 말씀해 주시죠, 솔론께서 어떤 이들에게서 무엇을

어떻게 들으시고는 진실이라 말씀하셨던 것인지 말입니다."



"Ἔστιν τις κατ᾿ Αἴγυπτον," ἦ δ᾿ ὅς, "ἐν τῷ Δέλτα, περὶ                            e

ὃν κατὰ κορυφὴν σχίζεται τὸ τοῦ Νείλου ῥεῦμα Σαϊτικὸς

ἐπικαλούμενος νομός, τούτου δὲ τοῦ νομοῦ μεγίστη πόλις

Σάις―ὅθεν δὴ καὶ Ἄμασις ἦν ὁ βασιλεύς―οἷς τῆς πόλεως

θεὸς ἀρχηγός τίς ἐστιν, Αἰγυπτιστὶ μὲν τοὔνομα Νηίθ, Ἑλ-                        5

ληνιστὶ δέ, ὡς ὁ ἐκείνων λόγος, Ἀθηνᾶ· μάλα δὲ φιλαθή-

ναιοι καί τινα τρόπον οἰκεῖοι τῶνδ᾿ εἶναί φασιν. 

조부께서 말씀하셨습니다. "이집트를 따라, 그곳 삼각주에,

네일로스 강의 줄기가 꼭대기를 따라 그 주변으로 갈라지는 

그 삼각주에 사이티코스라 불리는 어떤 지역이 있는데,

이 지역의 가장 거대한 폴리스는 사이스이고―더욱이 그곳

출신으로 아마시스 왕도 있었지요.―그 폴리스의 시조로 

어떤 신께서 계셨으니, 이집트어로는 그 존함이 네이트이시고, 

헬라스어로는, 저들의 말로는, 아테나이십니다. 그런데 그들이

특히나 아테네를 애호하는 자들이자 어떤 식으로는 이곳

사람들의 친족들로 있다고도 주장하지요.

                                                                οἷ δὴ

Σόλων ἔφη πορευθεὶς σφόδρα τε γενέσθαι παρ᾿ αὐτοῖς ἔντι-

μος, καὶ δὴ καὶ τὰ παλαιὰ ἀνερωτῶν ποτε τοὺς μάλιστα περὶ               22a1

ταῦτα τῶν ἱερέων ἐμπείρους, σχεδὸν οὔτε αὑτὸν οὔτε ἄλλον

Ἕλληνα οὐδένα οὐδὲν ὡς ἔπος εἰπεῖν εἰδότα περὶ τῶν τοιού-

των ἀνευρεῖν. 

                                                      그래서 솔론께서는

그곳에 가시어 그들에게서 지극하게도 존경받는 이가 되셨다고,

더 나아가 오래전의 일들을 신관들 중 이 일들에 관련하여 가장 

경험이 많은 자들에게 질문해 보시고는, 자신도 다른 헬라스인

그 누구도 이러한 일들에 관련하여 말 그대로 아무것도 거의

알지 못하다시피 했다는 것을 깨달으셨다고 말씀하셨습니다.

                   καί ποτε προαγαγεῖν βουληθεὶς αὐτοὺς περὶ

τῶν ἀρχαίων εἰς λόγους, τῶν τῇδε τὰ ἀρχαιότατα λέγειν                          5

ἐπιχειρεῖν, περὶ Φορωνέως τε τοῦ πρώτου λεχθέντος καὶ

Νιόβης, καὶ μετὰ τὸν κατακλυσμὸν αὖ περὶ Δευκαλίωνος

καὶ Πύρρας ὡς διεγένοντο μυθολογεῖν, καὶ τοὺς ἐξ αὐτῶν                       b

γενεαλογεῖν, καὶ τὰ τῶν ἐτῶν ὅσα ἦν οἷς ἔλεγεν πειρᾶσθαι

διαμνημονεύων τοὺς χρόνους ἀριθμεῖν· καί τινα εἰπεῖν τῶν

ἱερέων εὖ μάλα παλαιόν· 

또 한 번은 그들을 고대의 일들과 관련한 말들 쪽으로 이끌어

가시고자 바라시면서, 여기 이 폴리스에 있었던 일들 중 가장

고대의 일들을 말씀하시고자 시도하셨다고, 최초의 인간이라

말해졌던 포로네우스와 니오베에 관련하여서, 그리고 다시

저 홍수 이후로 데우칼리온과 퓌라에 관련하여 그들이 어떻게

살아남았었는지 이야기를 들려주고자 시도하셨으며, 그들로부터

유래한 자들의 계보를 논하려고도 하시었고, 그 분께서 말씀하시던 

일들에 햇수로 몇 년 만큼이 있었는지도 차근차근 기억을 짚어가며

그 시간들을 헤아리고자 시도하였다고 말씀하셨지요. 그러자 

신관들 중 아주 많이 연로한 누군가가 이야기했다고 하셨습니다.


                                 'Ὦ Σόλων, Σόλων, Ἕλληνες ἀεὶ

παῖδές ἐστε, γέρων δὲ Ἕλλην οὐκ ἔστιν.' 

'솔론, 솔론, 그대들 헬라스인들은 영영 아이들로 있으나,

노숙한 헬라스인은 있지를 않습니다.'

                                                       Ἀκούσας οὖν,                           5

'Πῶς τί τοῦτο λέγεις;' φάναι. 

                                          그리하여 솔론께서 들으시고는

'어찌하여 무엇 때문에 이런 말씀을 하십니까?'라고 말씀하셨다고

합니다.

                                     'Νέοι ἐστέ,' εἰπεῖν, 'τὰς

ψυχὰς πάντες· οὐδεμίαν γὰρ ἐν αὐταῖς ἔχετε δι᾿ ἀρχαίαν

ἀκοὴν παλαιὰν δόξαν οὐδὲ μάθημα χρόνῳ πολιὸν οὐδὲν. τὸ

δὲ τούτων αἴτιον τόδε. πολλαὶ κατὰ πολλὰ φθοραὶ γεγό-                       c

νασιν ἀνθρώπων καὶ ἔσονται, πυρὶ μὲν καὶ ὕδατι μέγισται,

μυρίοις δὲ ἄλλους ἕτεραι βραχύτεραι. 

         그는 이야기했답니다. '여러분들은 어린 자들로 있습니다,

그대들의 영혼에서 당신들 모두가 말이지요. 그대들이 영혼 

속에 고대로부터 전해들은 바로 인한 오래된 믿음이라곤 

하나도 지니고 있지 않거니와 시간으로 희어진 배움조차 

아무것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 일들의 원인은 이런

것입니다. 여러 방식으로 인간들의 많은 파멸들이 발생해 왔고

또한 있게될 것입니다. 불과 물에 의해서는 가장 거대한 파멸들이, 

그 밖에 다른 무수히 많은 것들에 의해서는 보다 짧은 기간의 

파멸들이 말입니다.

                                                  τὸ γὰρ οὖν καὶ παρ᾿

ὑμῖν λεγόμενον, ὥς ποτε Φαέθων Ἡλίου παῖς τὸ τοῦ πατρὸς

ἅρμα ζεύξας διὰ τὸ μὴ δυνατὸς εἶναι κατὰ τὴν τοῦ πατρὸς                       5

ὁδὸν ἐλαύνειν τά τ᾿ ἐπὶ γῆς συνέκαυσεν καὶ αὐτὸς κεραυ-

νωθεὶς διεφθάρη, τοῦτο μύθου μὲν σχῆμα ἔχον λέγεται, τὸ δὲ

ἀληθές ἐστι τῶν περὶ γῆν κατ᾿ οὐρανὸν ἰόντων παράλλαξις                    d

καὶ διὰ μακρῶν χρόνων γιγνομένη τῶν ἐπὶ γῆς πυρὶ πολλῷ

φθορά. 

                          그리하여 여러분들 편에서도 말해지는 일로, 

언젠가 헬리오스의 아들 파에톤이 아버지의 전차에 마구를 걸고서 

아버지의 길을 따라 전차를 몰 능력이 있지 못하였던 것으로 인해 

대지 위의 것들을 불태워버리고 그 자신도 벼락에 맞아 파멸해 

버렸다고 하는, 이런 일이 신화의 형태를 취해 말해지는데, 그

진실은 대지 주위로 천구를 따라 운행하는 것들의 이탈과

대지 위의 것들에 대해 긴 시간에 걸쳐 이루어진 거대한 불에 

의한 파멸들이란 말씀입니다.

          τότε οὖν ὅσοι κατ᾿ ὄρη καὶ ἐν ὑψηλοῖς τόποις καὶ

ἐν ξηροῖς οἰκοῦσιν μᾶλλον διόλλυνται τῶν ποταμοῖς καὶ θα-

λάττῃ προσοικούντων· ἡμῖν δὲ ὁ Νεῖλος εἴς τε τἆλλα σωτὴρ                     5

καὶ τότε ἐκ ταύτης τῆς ἀπορίας σῴζει λυόμενος. 

                                       그리하여 그 때에는 산들을 따라 

높은 곳 그리고 건조한 곳에 거주하는 자들이 강들과 바다 

가까이에 사는 자들보다 훨씬 더 철저하게 파괴당하지요. 

그런데 저희에게 네일로스 강은 그 외의 경우들에도 구원이지만 

그 때에도 풀려남으로써 이러한 난관으로부터 구원해 준답니다.

                                                               ὅταν δ᾿

αὖ θεοὶ τὴν γῆν ὕδασιν καθαίροντες κατακλύζωσιν, οἱ μὲν

ἐν τοῖς ὄρεσιν διασῴζονται βουκόλοι νομῆς τε, οἱ δ᾿ ἐν ταῖς

παρ᾿ ὑμῖν πόλεσιν εἰς τὴν θάλατταν ὑπὸ τῶν ποταμῶν φέ-                     e

ρονται· κατὰ δὲ τήνδε χώραν οὔτε τότε οὔτε ἄλλοτε ἄνωθεν

ἐπὶ τὰς ἀρούρας ὕδωρ ἐπιρρεῖ, τὸ δ᾿ ἐναντίον κάτωθεν πᾶν

ἐπανιέναι πέφυκεν. 

그런데 다시 신들께서 대지를 물로써 정화하시며 일소하실

때에는, 산 속의 소몰이들과 양치기들은 구원받지만, 그대들 편

바닷가 폴리스들 안의 사람들은 강들에 의해 쓸려갑니다.

그런데 여기 이 자리에는 그 때에도 다른 때에도 논밭을 두고

그 위로 물이 범람하지 않고, 반대로 모든 물이 아래로 되돌아

가게끔 본성지어져 있습니다.

                          ὅθεν καὶ δι᾿ ἃς αἰτίας τἀνθάδε σῳζό-

μενα λέγεται παλαιότατα· τὸ δὲ ἀληθές, ἐν πᾶσιν τοῖς                             5

τόποις ὅπου μὴ χειμὼν ἐξαίσιος ἢ καῦμα ἀπείργει, πλέον,

τοτὲ δὲ ἔλαττον ἀεὶ γένος ἐστὶν ἀνθρώπων. 

                                      그로부터 그리고 그러한

원인들로 인하여 이곳에서 구원받은(살아남은) 것들이 

가장 오래된 것들이라 말해집니다. 그런데 사실은, 과도한

혹한이나 혹서가 금하지 않은 모든 곳에, 많은, 또 때로는 

적은 인간의 부류가 언제나 있습니다.

                                                          ὅσα δὲ ἢ παρ᾿                 23a1

ὑμῖν ἢ τῇδε ἢ καὶ κατ᾿ ἄλλον τόπον ὧν ἀκοῇ ἴσμεν, εἴ πού

τι καλὸν ἢ μέγα γέγονεν ἢ καί τινα διαφορὰν ἄλλην ἔχον,

πάντα γεγραμμένα ἐκ παλαιοῦ τῇδ᾿ ἐστὶν ἐν τοῖς ἱεροῖς καὶ

σεσωσμένα· τὰ δὲ παρ᾿ ὑμῖν καὶ τοῖς ἄλλοις ἄρτι κατε-                           5

σκευασμένα ἑκάστοτε τυγχάνει γράμμασι καὶ ἅπασιν ὁπόσων

πόλεις δέονται, καὶ πάλιν δι᾿ εἰωθότων ἐτῶν ὥσπερ νόσημα

ἥκει φερόμενον αὐτοῖς ῥεῦμα οὐράνιον καὶ τοὺς ἀγραμμάτους

τε καὶ ἀμούσους ἔλιπεν ὑμῶν, ὥστε πάλιν ἐξ ἀρχῆς οἷον                         b

νέοι γίγνεσθε, οὐδὲν εἰδότες οὔτε τῶν τῇδε οὔτε τῶν παρ᾿

ὑμῖν, ὅσα ἦν ἐν τοῖς παλαιοῖς χρόνοις. 

                                                               그런데

여러분들 편에서나 여기 이곳에서나 또는 그 밖에 곳에서나, 

만일 어딘가에서 무언가 아름답거나 대단한 일 또는 그 외에 

어떤 특별한 일이 일어났다면, 우리가 들어 알고 있는 모든

것들이 오래전부터 여기 이곳의 성소들에 기록되고 또한 

보존되어 있지요. 한데 그대들과 또 그 외의 사람들 편의 일들을 

보자면 문자와 또한 폴리스가 필요로 하는 그 모든 것이 마침 

갖추어진 때마다 금새, 또 다시 일정한 햇수를 지나 마치 질병처럼 

그것들에 천상의 격류가 쏟아져 내려왔고 그대들 중 문맹이자

시가를 모르는 자들을 남겼고, 그래서 다시 처음부터 그대들은

이를 테면 어린 자들이 되었으니, 여기에서의 일들이든 당신들

편에서의 일들이든 오래된 옛 시대에 있던 일들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알지 못하는 것입니다.


> 『파이드로스』 이집트 신의 문자 부여로부터 문자비판에 이르는 맥락 고려하면,

여기에서 문자가 마치 진리의 보증자처럼 (크리티아스의 편에서) 취급되는 것이 흥미롭다.

다른 한편 시인은 신들린 자로서 신에 의해 발언의 권위를 보장받는다.

다른 시인들의 보고보다 이집트 문자 기록이 더욱 참에 가깝게 취급된다는 것이 이 점에서도 흥미롭다. by Kang.

> 여기에서 질병 같은 수해나 화재에 의한 결과가 무지와 문맹.

   영혼의 질병이 무지와 연결되는 맥락이 떠오르기도. by Kang.


                                                  τὰ γοῦν νυνδὴ

γενεαλογηθέντα, ὦ Σόλων, περὶ τῶν παρ᾿ ὑμῖν ἃ διῆλθες,

παίδων βραχύ τι διαφέρει μύθων, οἳ πρῶτον μὲν ἕνα γῆς                        5

κατακλυσμὸν μέμνησθε πολλῶν ἔμπροσθεν γεγονότων, ἔτι

δὲ τὸ κάλλιστον καὶ ἄριστον γένος ἐπ᾿ ἀνθρώπους ἐν τῇ

χώρᾳ παρ᾿ ὑμῖν οὐκ ἴστε γεγονός, ἐξ ὧν σύ τε καὶ πᾶσα ἡ

πόλις ἔστιν τὰ νῦν ὑμῶν, περιλειφθέντος ποτὲ σπέρματος                       c

βραχέος, ἀλλ᾿ ὑμᾶς λέληθεν διὰ τὸ τοὺς περιγενομένους ἐπὶ

πολλὰς γενεὰς γράμμασιν τελευτᾶν ἀφώνους.

           그러니, 솔론, 적어도 방금 계보가 읊어진 것들로

그대들 편에서의 일들에 관련하여 상술된 그것들은, 아이들의

이야기와 별로 차이가 없습니다. 첫째로 그대들은 앞서 많은 홍수가 

일어났음에도 대지의 한 차례 홍수를 기억하며, 다음으로 

그대들은 인간을 두고 그대들 편의 그 자리에서 가장 아름답고도

가장 훌륭한 부류가 생겨났음을 알지 못합니다. 한 때 잠시 씨앗이 

살아남았기에 그들로부터 그대 자신과 또한 폴리스가 유래하여 

오늘날 그대들의 것들로 있는 것이나, 살아남은 자들이 여러

세대를 거치는 동안 문자로써 말할 줄 모르는 자들로 죽은

것으로 인해 그대들에게 알려지지 않았지요.

                                                           ἦν γὰρ δή

ποτε, ὦ Σόλων, ὑπὲρ τὴν μεγίστην φθορὰν ὕδασιν ἡ νῦν

Ἀθηναίων οὖσα πόλις ἀρίστη πρός τε τὸν πόλεμον καὶ                            5

κατὰ πάντα εὐνομωτάτη διαφερόντως· ᾗ κάλλιστα ἔργα καὶ

πολιτεῖαι γενέσθαι λέγονται κάλλισται πασῶν ὁπόσων ὑπὸ

τὸν οὐρανὸν ἡμεῖς ἀκοὴν παρεδεξάμεθα.' 

그래서, 솔론, 물에 의한 가장 거대한 파멸 너머 오늘날

아테네인들의 폴리스로 있는 전쟁쪽으로도 가장 훌륭하고

모든 일들에 대해 법이 특출나게 가장 잘 갖추어져 있기도 한

폴리스가 일찍이 있었던 것입니다. 이 폴리스에 가장 아름다운

위업들이 생겼으며 우리가 전해 들은 하늘 아래 모든 정체들 중 

가장 아름다운 정체들이 생겼다고 사람들은 말합니다.'

                                                       Ἀκούσας οὖν ὁ                       d

Σόλων ἔφη θαυμάσαι καὶ πᾶσαν προθυμίαν σχεῖν δεόμενος

τῶν ἱερέων πάντα δι᾿ ἀκριβείας οἱ τὰ περὶ τῶν πάλαι πολι-

τῶν ἑξῆς διελθεῖν. 

그리하여 솔론께서 들으시고는 놀라시고 그 신관들에게 그

오래전의 시민들과 관련된 그 모든 일들을 그 분께 차례대로

상술해 달라 청하시려는 전면적인 열망을 품게 되기도

하셨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τὸν οὖν ἱερέα φάναι· 'Φθόνος οὐδείς,

ὦ Σόλων, ἀλλὰ σοῦ τε ἕνεκα ἐρῶ καὶ τῆς πόλεως ὑμῶν,                            5

μάλιστα δὲ τῆς θεοῦ χάριν, ἣ τήν τε ὑμετέραν καὶ τήνδε

ἔλαχεν καὶ ἔθρεψεν καὶ ἐπαίδευσεν, προτέραν μὲν τὴν παρ᾿

ὑμῖν ἕτεσιν χιλίοις, ἐκ Γῆς τε καὶ Ἡφαίστου τὸ σπέρμα                          e

παραλαβοῦσα ὑμῶν, τήνδε δὲ ὑστέραν. 

                                     그러자 그 신관이 말했답니다.

'누구도 인색하지 않습니다, 솔론. 오히려 당신을 위해서도

그대들의 폴리스를 위해서도 제가 말씀드릴 것이고, 특히

그 여신께의 감사로 그리할 것입니다. 그 여신께서는 그대들의

폴리스와 여기 이 폴리스 모두를 맡아주셨고 양육해주셨으며

교육하여주셨으니, 그대들 편의 폴리스를 천 년 앞서 그리해

주시기를, 가이아(대지)와 헤파이스토스로부터 그대들의 씨앗을

넘겨받아 그리하시었으며, 이 폴리스를 그 이후의 것으로

삼으시었습니다. 

> 흙과 불. 앞서 대화재의 신화적 설명을 유성의 이탈을 통한 설명으로 대체하듯,

거꾸로 여기에서 가이아와 헤파이스토스로부터 씨앗을 받는다는 건국신화는

우주의 가시적인 최초의 원소 둘이 불과 흙이라는 설명으로 대체되는 것인가?

                                                    τῆς δὲ ἐνθάδε δια-

κοσμήσεως παρ᾿ ἡμῖν ἐν τοῖς ἱεροῖς γράμμασιν ὀκτακισχιλίων

ἐτῶν ἀριθμὸς γέγραπται. περὶ δὴ τῶν ἐνακισχίλια γεγονό-

των ἔτη πολιτῶν σοι δηλώσω διὰ βραχέων νόμους, καὶ τῶν                    5

ἔργων αὐτοῖς ὃ κάλλιστον ἐπράχθη· τὸ δ᾿ ἀκριβὲς περὶ

πάντων ἐφεξῆς εἰς αὖθις κατὰ σχολὴν αὐτὰ τὰ γράμματα                   24a1

λαβόντες διέξιμεν.                                                                              //201111

                     한데 우리 편의 성소에 문자들로 여기 폴리스가

정돈된 것의 햇수로 8천 년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9천 년

동안 태어났던 시민들에 관련하여 나는 그대에게 간략하게 그들의

법률을, 그리고 그들이 실천한 위업들 중에서도 가장 아름다운

위업을 알려드릴 것입니다. 그런데 모든 것에 관한 정확한 바는

다시 여가가 있을 때 바로 그 기록들을 가지고 차례차례 상세히

살펴보기로 하시지요.

                        τοὺς μὲν οὖν νόμους σκόπει πρὸς τοὺς

τῇδε· πολλὰ γὰρ παραδείγματα τῶν τότε παρ᾿ ὑμῖν ὄντων

ἐνθάδε νῦν ἀνευρήσεις, πρῶτον μὲν τὸ τῶν ἱερέων γένος ἀπὸ

τῶν ἄλλων χωρὶς ἀφωρισμένον, μετὰ δὲ τοῦτο τὸ τῶν δη-                      5

μιουργῶν, ὅτι καθ᾿ αὑτὸ ἕκαστον ἄλλῳ δὲ οὐκ ἐπιμειγνύμενον

δημιουργεῖ, τό τε τῶν νομέων καὶ τὸ τῶν θηρευτῶν τό τε

τῶν γεωργῶν. 

                            그러면 그들의 법률은 이곳의 법률과

비교하여 당신께서 살펴보십시오. 당시에 그대들 편에 있던

것들[법률]의 많은 본들을 그대가 오늘날 여기에서 발견하실 것이기

때문입니다. 가장 먼저 신관들의 부류가 그 외의 부류들로부터

독립적으로 규정되어 있음을, 이 다음으로는 장인들의 부류를,

그 각각이 그 자체로 여타의 장인과는 뒤섞이지 않는다는 것을,

또한 양치기들의 부류와 사냥꾼들의 부류 그리고 농부들의 부류를

발견하실 것입니다.

                   καὶ δὴ καὶ τὸ μάχιμον γένος ᾔσθησαί που                       b

τῇδε ἀπὸ πάντων τῶν γενῶν κεχωρισμένον, οἷς οὐδὲν ἄλλο

πλὴν τὰ περὶ τὸν πόλεμον ὑπὸ τοῦ νόμου προσετάχθη μέλειν·

ἔτι δὲ ἡ τῆς ὁπλίσεως αὐτῶν σχέσις ἀσπίδων καὶ δοράτων,

οἷς ἡμεῖς πρῶτοι τῶν περὶ τὴν Ἀσίαν ὡπλίσμεθα, τῆς θεοῦ                       5

καθάπερ ἐν ἐκείνοις τοῖς τόποις παρ᾿ ὑμῖν πρώτοις ἐνδειξα-

μένης. 

                         더 나아가 전쟁을 수행하는 부류가 이곳에서 

모든 부류들로부터 독립되어 있음을 당신은 아마도 알아차리셨을 

겁니다. 그들에게는 전쟁에 관한 일들 외에는 다른 아무것도

신경쓰도록 법에 의해 명령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또한 그들의 

무장상태는 방패와 창으로 되어 있었으며, 저희들이 아시아 근방의

사람들 중 처음으로 그렇게 무장하였던 것으로, 저 여신께서

그대들 편의 저 첫 번째 장소들에서처럼 그렇게 보여주셨기 

때문입니다.

         τὸ δ᾿ αὖ περὶ τῆς φρονήσεως, ὁρᾷς που τὸν νόμον

τῇδε ὅσην ἐπιμέλειαν ἐποιήσατο εὐθὺς κατ᾿ ἀρχὰς περί τε

τὸν κόσμον, ἅπαντα μέχρι μαντικῆς καὶ ἰατρικῆς πρὸς                           c

ὑγίειαν ἐκ τούτων θείων ὄντων εἰς τὰ ἀνθρώπινα ἀνευρών,

ὅσα τε ἄλλα τούτοις ἕπεται μαθήματα πάντα κτησάμενος.

               그런데 다시 지혜와 관련한 일로 보자면, 당신은 

아마 그 법을 두고 그것이 시초부터 곧장 질서에 관련하여 

얼만큼 심혈을 기울여 만들어졌는지 보게 되실 것입니다. 

그 법이 신적인 것들로 있는 이러한 것들로부터 예언과 또한 

건강을 위한 의술에 이르기까지 인간적인 일들을 위한 통틀어 

그 모든 것들을 발견하는 것을, 이것들에 따르는 그 외의 모든 

교육들을 획득하여 그리한다는 것을 보실 겁니다.

> 우주 질서가 우주의 진행과 그 안의 질서에서 어긋난 무질서(질병)를

설명해주는 시초, 기원이다? by Kang.

ταύτην οὖν δὴ τότε σύμπασαν τὴν διακόσμησιν καὶ σύνταξιν

ἡ θεὸς προτέρους ὑμᾶς διακοσμήσασα κατῴκισεν, ἐκλεξαμένη                  5

τὸν τόπον ἐν ᾧ γεγένησθε, τὴν ἐυκρασίαν τῶν ὡρῶν ἐν αὐτῷ

κατιδοῦσα, ὅτι φρονιμωτάτους ἄνδρας οἴσοι· ἅτε οὖν φιλο-

πόλεμός τε καὶ φιλόσοφος ἡ θεὸς οὖσα τὸν προσφερεστάτους                d

αὐτῇ μέλλοντα οἴσειν τόπον ἄνδρας, τοῦτον ἐκλεξαμένη

πρῶτον κατῴκισεν. 

                                                                그리하여 그 때 

이러한 질서와 체계를 모두 함께 그 여신께서 더 먼저 그대들에게 

질서잡아 정착시켜 주셨습니다. 그대들이 태어난 그곳을 선택하시어, 

그곳에 계절의 온화함을 부여해주시어서 말입니다. 가장 지혜로운 

자들이 태어나리라 생각하셨기 때문이지요. 그러므로 그 여신께서 

전쟁을 사랑하시고 또한 지혜를 사랑하시는 분이셨기에 그곳이 장차 

그 분과 가장 유사한 자들을 데려오도록, 그곳을 택하시어 처음 

정착시키셨지요.

                          ᾠκεῖτε δὴ οὖν νόμοις τε τοιούτοις χρώ-

μενοι καὶ ἔτι μᾶλλον εὐνομούμενοι πάσῃ τε παρὰ πάντας

ἀνθρώπους ὑπερβεβληκότες ἀρετῇ, καθάπερ εἰκὸς γεννήματα                   5

καὶ παιδεύματα θεῶν ὄντας. 

                      그리하여 이러한 법률을 사용하여 법이 훨씬 더 

잘 갖추어진 자들로서 또한 모든 인간들에 비해서도 모든 덕에서 

탁월한 자들로서 거주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마치 신들의 출생과 

교육이 그런 것들로 있었을 듯한 것처럼 말입니다.

                                      πολλὰ μὲν οὖν ὑμῶν καὶ μεγάλα

ἔργα τῆς πόλεως τῇδε γεγραμμένα θαυμάζεται, πάντων μὴν

ἓν ὑπερέχει μεγέθει καὶ ἀρετῇ· λέγει γὰρ τὰ γεγραμμένα                        e

ὅσην ἡ πόλις ὑμῶν ἔπαυσέν ποτε δύναμιν ὕβρει πορευο-

μένην ἅμα ἐπὶ πᾶσαν Εὐρώπην καὶ Ἀσίαν, ἔξωθεν ὁρμη-

θεῖσαν ἐκ τοῦ Ἀτλαντικοῦ πελάγους. 

                                                                그리하여 그대들의

폴리스의 많고도 위대한 업적들이 여기 이 폴리스에 기록되어

감탄을 자아내는 바, 물론 그 모든 일들 중에서도 한 가지 것이

그 규모와 덕에서 압도적입니다. 왜냐하면 그 기록들은 그대들의

폴리스가 한 때 멈춰세웠던 에우로페와 아시아 전역을 동시에 

뒤덮으며 오만하게 진격해 온 세력이 얼마나 한 것이었는지

말해주기 때문입니다. 저 바깥 아틀란티스해(-海)로부터

일어난 그 세력이 말입니다.

                                                 τότε γὰρ πορεύσιμον

ἦν τὸ ἐκεῖ πέλαγος· νῆσον γὰρ πρὸ τοῦ στόματος εἶχεν ὃ                        5

καλεῖτε, ὥς φατε, ὑμεῖς Ἡρακλέους στήλας, ἡ δὲ νῆσος ἅμα

Λιβύης ἦν καὶ Ἀσίας μείζων, ἐξ ἧς ἐπιβατὸν ἐπὶ τὰς ἄλλας

νήσους τοῖς τότε ἐγίγνετο πορευομένοις, ἐκ δὲ τῶν νήσων

ἐπὶ τὴν καταντικρὺ πᾶσαν ἤπειρον τὴν περὶ τὸν ἀληθινὸν                 25a1

ἐκεῖνον πόντον. 

                                         당시에 저 바다는 건널 수

있는 곳이었으니까요. 그 입구, 당신들 말대로, 당신들이 

헤라클레스의 기둥들이라 부르는 입구 앞으로 저 바다가

섬을 지니고 있었으니, 그 섬은 리뷔에와 아시아를 합한 것보다 

더욱 컸으며, 그 섬으로부터 당시에 드나들던 자들에게 

여타 섬들을 향한 경로가 생겼고, 그 섬들로부터 곧장 반대편 

저 진정한 의미의 바다 주위의 모든 지역을 향한 경로가

생겼기 때문입니다.

                      τάδε μὲν γάρ, ὅσα ἐντὸς τοῦ στόματος οὗ

λέγομεν, φαίνεται λιμὴν στενόν τινα ἔχων εἴσπλουν· ἐκεῖνο

δὲ πέλαγος ὄντως ἥ τε περιέχουσα αὐτὸ γῆ παντελῶς ἀληθῶς

ὀρθότατ᾿ ἂν λέγοιτο ἤπειρος. ἐν δὲ δὴ τῇ Ἀτλαντίδι νήσῳ                      5

ταύτῃ μεγάλη συνέστη καὶ θαυμαστὴ δύναμις βασιλέων,

κρατοῦσα μὲν ἁπάσης τῆς νήσου, πολλῶν δὲ ἄλλων νήσων

καὶ μερῶν τῆς ἠπείρου· πρὸς δὲ τούτοις ἔτι τῶν ἐντὸς τῇδε

Λιβύης μὲν ἦρχον μέχρι πρὸς Αἴγυπτον, τῆς δὲ Εὐρώπης                       b

μέχρι Τυρρηνίας. αὕτη δὴ πᾶσα συναθροισθεῖσα εἰς ἓν ἡ

δύναμις τόν τε παρ᾿ ὑμῖν καὶ τὸν παρ᾿ ἡμῖν καὶ τὸν ἐντὸς τοῦ

στόματος πάντα τόπον μιᾷ ποτὲ ἐπεχείρησεν ὁρμῇ δουλοῦ-

σθαι. 

                          즉 여기 이것들, 우리가 말하는 그 입구

안쪽의 것들은, 어떤 좁은 항구를 지닌 항만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저 바다, 전적으로 진정하게 가장 제대로 된 의미에서

대륙이라 말해질 바로 그 대지를 둘러싸고 있기도 한 그

바다가 있는 그대로의 바다입니다. 그런데 이제 이 아틀란티스 

섬에 왕들의 거대하고도 놀라운 세력이 구성되었고, 그 세력이

그 섬 전부를 지배하였으며, 그 외 여러 섬들과 대륙의 일부

또한 지배하였습니다. 이에 더해 나아가 안쪽의 지역들 중에서도

이곳 리뷔에를 아이귑토스 근방에 이르기까지 지배하였고, 

에우로페는 튀레니아에 이르는 데까지 지배하였지요. 그래서 

이 전체가 하나로 병합된 그 세력이 그대들의 편과 우리네 편의 

그리고 그 입구 안쪽의 모든 곳을 단번에 노예화하고자 

시도하였습니다.

        τότε οὖν ὑμῶν, ὦ Σόλων, τῆς πόλεως ἡ δύναμις εἰς                         5

ἅπαντας ἀνθρώπους διαφανὴς ἀρετῇ τε καὶ ῥώμῃ ἐγένετο·

πάντων γὰρ προστᾶσα εὐψυχίᾳ καὶ τέχναις ὅσαι κατὰ πόλε-

μον, τὰ μὲν τῶν Ἑλλήνων ἡγουμένη, τὰ δ᾿ αὐτὴ μονωθεῖσα                  c

ἐξ ἀνάγκης τῶν ἄλλων ἀποστάντων, ἐπὶ τοὺς ἐσχάτους

ἀφικομένη κινδύνους, κρατήσασα μὲν τῶν ἐπιόντων τρό-

παιον ἔστησεν, τοὺς δὲ μήπω δεδουλωμένους διεκώλυσεν

δουλωθῆναι, τοὺς δ᾿ ἄλλους, ὅσοι κατοικοῦμεν ἐντὸς ὅρων                     5

Ἡρακλείων, ἀφθόνως ἅπαντας ἠλευθέρωσεν. 

그리하여 그때, 솔론, 그대들의 폴리스의 능력이 덕과 강건함에서

전 인류에게 명백하게 드러나게 되었습니다. 훌륭한 혼과 전쟁에

따른 기술들로써 모든 폴리스들의 수호자로 나섰으며, 한 때에는

헬라스인들을 주도하였으나, 다른 때엔 그 밖의 폴리스들이

이탈하였기에 필연적으로 그 자신 홀로 서서, 극한의 위험에

당면하여, 쳐들어온 자들을 지배하여 승전비를 세웠고, 아직껏

노예된 일 없는 자들이 노예로 전락하는 일을 금하였으며,

그 외에 헤라클레스의 표지들 안쪽에 정주하던 우리들은,

그 모두를 아무런 인색함도 없이 자유인으로 만들어주었습니다.


> 페르시아 전쟁에 대한 묘사처럼 보인다. by Kang.

   이 구도는 『메넥세노스』를 연상시킨다. 친 아테네, 반 스파르타,

소크라테스 사후 전쟁을 소크라테스가 살아서 찬양하는,

아스파시아의 연설을 소크라테스가 전달. 흥미롭게도 이 연설은

역사적 사실과 상당히 여러 부분들에서 불일치.

학자들은 투퀴디데스가 전하는 페리클레스의 추모연설가 상당히 대비된다.

나아가 투퀴디데스의 이상적 폴리스와 플라톤의 이상적 폴리스,

각각의 이상적 아테네에 대한 그림이 서로 다르긴 하다.


> 사실에 대한 순수하게 비규범적 기술이란 불가능.

   있는 그대로의 사실로서 세계묘사란 가치적 측면을 배제 혹은 왜곡.

   그렇다면 도덕적 고려가 포함된 이상적 진리는 비극적 패배주의 현실의 묘사와 대비된다. by Kang.

   『메넥세노스』에서는 100년 전 사건에 대한 변용이므로 당대 사람들의 경험과 부딪쳐 설득력 하락.

   혹시 여기에서는 1만년 전, 그것도 전 세계 규모의 이상화된 전쟁묘사로 설득력을 강화시켜 보려고?

                                                            ὑστέρῳ δὲ

χρόνῳ σεισμῶν ἐξαισίων καὶ κατακλυσμῶν γενομένων, μιᾶς

ἡμέρας καὶ νυκτὸς χαλεπῆς ἐπελθούσης, τό τε παρ᾿ ὑμῖν                       d

μάχιμον πᾶν ἁθρόον ἔδυ κατὰ γῆς, ἥ τε Ἀτλαντὶς νῆσος

ὡσαύτως κατὰ τῆς θαλάττης δῦσα ἠφανίσθη· διὸ καὶ

νῦν ἄπορον καὶ ἀδιερεύνητον γέγονεν τοὐκεῖ πέλαγος,

πηλοῦ κάρτα βραχέος ἐμποδὼν ὄντος, ὃν ἡ νῆσος ἱζομένη                      5

παρέσχετο.'"

그런데 그 이후의 시대에 극심한 지진과 홍수가 발생하였기에,

가혹한 단 하루의 밤과 낮이 들이닥친 동안, 그대들 편의 군사는

모두 대지 아래로 가라앉았으며, 아틀란티스 섬 역시 마찬가지로 

바다 밑으로 가라앉아 드러나지 않게 되었습니다. 이런 이유로

오늘날에도 저 바다는 난관이자 미지의 것이 되었던 것입니다.

그 섬이 잠기며 내놓은, 그 진흙이 지극히 짧은 간격에서

장애물로 있기 때문에 말이지요.'"

 

Τὰ μὲν δὴ ῥηθέντα, ὦ Σώκρατες, ὑπὸ τοῦ παλαιοῦ

Κριτίου κατ᾿ ἀκοὴν τὴν Σόλωνος, ὡς συντόμως εἰπεῖν,                          e

ἀκήκοας· λέγοντος δὲ δὴ χθὲς σοῦ περὶ πολιτείας τε καὶ

τῶν ἀνδρῶν οὓς ἔλεγες, ἐθαύμαζον ἀναμιμνῃσκόμενος αὐτὰ

ἃ νῦν λέγω, κατανοῶν ὡς δαιμονίως ἔκ τινος τύχης οὐκ ἄπο

σκοποῦ συνηνέχθης τὰ πολλὰ οἷς Σόλων εἶπεν. οὐ μὴν                           5

ἐβουλήθην παραχρῆμα εἰπεῖν· διὰ χρόνου γὰρ οὐχ ἱκανῶς                 26a1

ἐμεμνήμην. 

그래서, 소크라테스, 당신께서는 오래전 살아계셨던 크리티아스에 

의해 그 분께서 솔론으로부터 들으신 바에 따라 이야기된 것들을,

간단히 말해서, 들으셨습니다. 그런데 어제 당신께서 당신의

정체와 당신께서 말씀하시던 사람들에 관련하여 말씀하실 때,

저는 지금 말씀드린 바로 그것들을 기억해내며 놀랐습니다,

어떤 우연으로 다행스럽게도 취지를 벗어나지 않은 채 당신께서

많은 점들에서 솔론께서 이야기하신 것들과 맞아떨어지신다는 

것을 알아차려서 말입니다. 물론 그 즉시 말씀드리고 싶지는

않았습니다. 시간이 지나 충분히 기억하지를 못하기 때문이지요.

               ἐνενόησα οὖν ὅτι χρεὼν εἴη με πρὸς ἐμαυτὸν

πρῶτον ἱκανῶς πάντα ἀναλαβόντα λέγειν οὕτως. ὅθεν ταχὺ                           //201118

συνωμολόγησά σοι τὰ ἐπιταχθέντα χθές, ἡγούμενος, ὅπερ

ἐν ἅπασι τοῖς τοιοῖσδε μέγιστον ἔργον, λόγον τινὰ πρέποντα                  5

τοῖς βουλήμασιν ὑποθέσθαι, τούτου μετρίως ἡμᾶς εὐπορήσειν.

그리하여 제가 제 자신을 상대로 우선 충분히 모든 것들을

되새기고서 그렇게 말해야만 한다고 마음먹었습니다. 그런 연유로

어제 당신께서 일임하셨던 일들도 금새 동의하였던 것이지요. 제가

생각하기로, 바로 이러한 모든 경우에 가장 중요한 일은, 취지에

부합하는 어떤 말을 제안하는 것이라고, 이 일을 우리 자신이

적절하게 마련하리라고 생각하였기에 말입니다.

οὕτω δή, καθάπερ ὅδ᾿ εἶπεν, χθές τε εὐθὺς ἐνθένδε ἀπιὼν

πρὸς τούσδε ἀνέφερον αὐτὰ ἀναμιμνῃσκόμενος, ἀπελθών τε                  b

σχεδόν τι πάντα ἐπισκοπῶν τῆς νυκτὸς ἀνέλαβον. ὡς δή

τοι, τὸ λεγόμενον, τὰ παίδων μαθήματα θαυμαστὸν ἔχει τι

μνημεῖον, ἐγὼ γὰρ ἃ μὲν χθὲς ἤκουσα, οὐκ ἂν οἶδ᾿ εἰ

δυναίμην ἅπαντα ἐν μνήμῃ πάλιν λαβεῖν· ταῦτα δὲ ἃ πάμ-                      5

πολυν χρόνον διακήκοα, παντάπασι θαυμάσαιμ᾿ ἂν εἴ τί με

αὐτῶν διαπέφευγεν. 

                                                                그래서

그렇게, 여기 이분께서 이야기하시는 것처럼, 어제도 그곳을

떠나자마자 여기 이 분들께 그것들을 기억해내며 전해드렸고,

떠나와서도 그 밤 동안 거의 모든 것들을 검토하여 다시

떠올렸습니다. 그러니 정말, 말 그대로, 아이들의 배움은

어찌나 놀랄 만큼 잘 기억되는지요, 제가 어제 들은 것들은,

그 모든 것들을 기억 속에서 다시 붙들 수 있을지 알지

못하겠지만, 아주 오랜 시간 전에 들은 것들은, 그것들 중

무엇이라도 제게서 달아나버렸다면 정말이지 놀랐을 테니까요.

                           ἦν μὲν οὖν μετὰ πολλῆς ἡδονῆς καὶ

παιδιᾶς τότε ἀκουόμενα, καὶ τοῦ πρεσβύτου προθύμως με                     c

διδάσκοντος, ἅτ᾿ ἐμοῦ πολλάκις ἐπανερωτῶντος, ὥστε οἷον

ἐγκαύματα ἀνεκπλύτου γραφῆς ἔμμονά μοι γέγονεν· καὶ δὴ

καὶ τοῖσδε εὐθὺς ἔλεγον ἕωθεν αὐτὰ ταῦτα, ἵνα εὐποροῖεν

λόγων μετ᾿ ἐμοῦ. 

그리하여 제가 당시에 들었던 것들은 많은 즐거움과 재미가 

동반된 것이었고, 그 어르신께서도 열정적으로 저를 가르쳐

주셨으니, 제가 자주 여쭈어 보았기에 그리하셨으며, 그래서 

이를 테면 지워지지 않는 그림에 불로 지진 흔적처럼

제게 남아 있는 것들이 되었습니다. 더욱이 아침부터 여기

이 분들께도 바로 이것들을 곧바로 말씀드렸지요, 저와

더불어 하실 말씀들이 넘치도록 말입니다.

                       νῦν οὖν, οὗπερ ἕνεκα πάντα ταῦτα εἴρηται,                  5

λέγειν εἰμὶ ἕτοιμος, ὦ Σώκρατες, μὴ μόνον ἐν κεφαλαίοις

ἀλλ᾿ ὥσπερ ἤκουσα καθ᾿ ἕκαστον· τοὺς δὲ πολίτας καὶ τὴν

πόλιν ἣν χθὲς ἡμῖν ὡς ἐν μύθῳ διῄεισθα σύ, νῦν μετενεγ-

κόντες ἐπὶ τἀληθὲς δεῦρο θήσομεν ὡς ἐκείνην τήνδε οὖσαν,                   d

καὶ τοὺς πολίτας οὓς διενοοῦ φήσομεν ἐκείνους τοὺς ἀλη-

θινοὺς εἶναι προγόνους ἡμῶν, οὓς ἔλεγεν ὁ ἱερεύς. 

                                                       그리하여 이제,

이 모든 것들이 바로 그것을 위해 이야기된 바, 저는 말씀드릴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습니다, 소크라테스, 요점에서만이

아니라 그 각각을 따라 들은 그대로 말씀드릴 준비도 말입니다.

그런데 어제 당신께서 저희에게 이야기에서처럼 살펴 나아가

주신 그 시민들과 폴리스는, 이제 저희가 진실로 전환시켜

이 폴리스가 저 폴리스라 생각하며 여기에 내세울 것이고,

당신께서 염두에 두시던 그 시민들 또한 그 신관이 말했던 

바로 그 우리의 참된 저 선조들이라고 주장할 것입니다.

                                                                  πάντως

ἁρμόσουσι καὶ οὐκ ἀπᾳσόμεθα λέγοντες αὐτοὺς εἶναι τοὺς ἐν

τῷ τότε ὄντας χρόνῳ. κοινῇ δὲ διαλαμβάνοντες ἅπαντες                         5

πειρασόμεθα τὸ πρέπον εἰς δύναμιν οἷς ἐπέταξας ἀποδοῦναι.

σκοπεῖν οὖν δὴ χρή, ὦ Σώκρατες, εἰ κατὰ νοῦν ὁ λόγος ἡμῖν

οὗτος, ἢ τινα ἔτ᾿ ἄλλον ἀντ᾿ αὐτοῦ ζητητέον.                                      e

그들은 전적으로 조화로울 것이고 저희는 그들이 그 시간 속에서 

당시에 실재하는 그 사람들이라고 말하며 헤매는 일도 없을 

것입니다. 그런데 저희 모두가 공동으로 분담하여 당신께서 맡기신 

일들에 어울리는 것을 능력껏 제시하고자 해보겠습니다. 그러므로, 

소크라테스, 저희의 이러한 말이 마음에 드시는지, 아니면 여전히 

그 대신에 그 외의 말을 추구해야만 하는지 검토해야만 합니다.


ΣΩ. Καὶ τίν᾿ ἄν, ὦ Κριτία, μᾶλλον ἀντὶ τούτου μεταλά-

βοιμεν, ὃς τῇ τε παρούσῃ τῆς θεοῦ θυσίᾳ διὰ τὴν οἰκειότητ᾿

ἂν πρέποι μάλιστα, τό τε μὴ πλασθέντα μῦθον ἀλλ᾿ ἀληθινὸν

λόγον εἶναι πάμμεγά που. πῶς γὰρ καὶ πόθεν ἄλλους                              5

ἀνευρήσομεν ἀφέμενοι τούτων; οὐκ ἔστιν, ἀλλ᾿ ἀγαθῇ τύχῃ

χρὴ λέγειν μὲν ὑμᾶς, ἐμὲ δὲ ἀντὶ τῶν χθὲς λόγων νῦν

ἡσυχίαν ἄγοντα ἀντακούειν.                                                         27a1

또 무엇을, 크리티아스, 우리가 이보다 무엇을 더 취할

수 있겠습니까? 그 여신께 바치는 번제가 열리는 와중에 이

번제와의 친족성으로 인해 가장 잘 어울릴 말 대신에요.

또 지어낸 신화가 아니라 참된 말이 아마도 가장 중요하다는

점에서도 말이죠. 그야 이 말들을 버려두고 그 외의

말들을 어찌 또 어디에서 찾아내겠습니까? 그럴 수 없고,

오히려 좋은 기회로 여러분들께는 말씀을 하셔야만 하고, 

저로서는 어제의 말들을 대신하여 오늘은 침묵을 지키며 

귀기울여야 하는 것입니다.


ΚΡ. Σκόπει δὴ τὴν τῶν ξενίων σοι διάθεσιν, ὦ Σώκρατες,

ᾗ διέθεμεν. ἔδοξεν γὰρ ἡμῖν Τίμαιον μέν, ἅτε ὄντα ἀστρο-

νομικώτατον ἡμῶν καὶ περὶ φύσεως τοῦ παντὸς εἰδέναι

μάλιστα ἔργον πεποιημένον, πρῶτον λέγειν ἀρχόμενον ἀπὸ                     5

τῆς τοῦ κόσμου γενέσεως, τελευτᾶν δὲ εἰς ἀνθρώπων φύσιν·

그럼, 소크라테스, 당신을 위해 저희가 차려놓은 손님대접의 

순서를 살펴보시죠. 저희가 보기엔 티마이오스께서, 저희 중

가장 천문학에 뛰어나신 분이시고 또한 모든 것의 본성에 

관하여서도 이를 아는 것을 무엇보다도 가장 큰 일로 삼아 

오셨기에, 처음으로 질서(우주)의 생성으로부터 시작하여 

말씀하시고, 인간들의 본성으로 마무리를 하시는 것이 좋아 

보였답니다.

ἐμὲ δὲ μετὰ τοῦτον, ὡς παρὰ μὲν τούτου δεδεγμένον ἀνθρώ-

πους τῷ λόγῳ γεγονότας, παρὰ σοῦ δὲ πεπαιδευμένους δια-

φερόντως αὐτῶν τινας, κατὰ δὲ τὸν Σόλωνος λόγον τε καὶ                     b

νόμον εἰσαγαγόντα αὐτοὺς ὡς εἰς δικαστὰς ἡμᾶς ποιῆσαι

πολίτας τῆς πόλεως τῆσδε ὡς ὄντας τοὺς τότε Ἀθηναίους,

οὓς ἐμήνυσεν ἀφανεῖς ὄντας ἡ τῶν ἱερῶν γραμμάτων φήμη,

τὰ λοιπὰ δὲ ὡς περὶ πολιτῶν καὶ Ἀθηναίων ὄντων ἤδη                           5

ποιεῖσθαι τοὺς λόγους.

               이 분 다음으로는 제가, 이분으로부터 그 말에 의해 

태어난 인간들을 받고, 당신에게서는 그들 중 특별하게 교육받은 

어떤 이들을 받아서, 솔론의 말씀과 법에 따라 그들을 판관들에게 

이끌어가듯 우리에게 이끌어와서 그들, 신성한 기록들의 보고가 

드러나지 않는 그들을 있다고 알려주었던, 바로 그들을 당시의 

그 아테네인들이라 생각하며 여기 이 폴리스의 시민들로 만드는 

것이, 다른 한편 남은 일들의 경우에는 이미 시민들이자 아테네인들로 

있는 자들에 관련해서 하듯이 그렇게 그 말들을 만드는 것이 좋아 

보였지요.



-蟲-


P.S. 17a-92c9. 매일 스테파누스 쪽수로 하나씩 하면 두 달 반?

      15주 강의로 생각하면 한 주 St. 다섯 쪽. ㅎㅎ

 Εἰσὶ δέ τινες οἵ, καθάπερ εἴπομεν, αὐτοί τε ἐνδέχε-

σθαί φασι τὸ αὐτὸ εἶναι καὶ μὴ εἶναι, καὶ ὑπολαμβά-                       1006a1

νειν οὕτως. χρῶνται δὲ τῷ λόγῳ τούτῳ πολλοὶ καὶ τῶν

περὶ φύσεως. ἡμεῖς δὲ νῦν εἰλήφαμεν ὡς ἀδυνάτου ὄντος

ἅμα εἶναι καὶ μὴ εἶναι, καὶ διὰ τούτου ἐδείξαμεν ὅτι βε-

βαιοτάτη αὕτη τῶν ἀρχῶν πασῶν. 

그런데, 우리가 이야기했듯, 자신들 스스로도 같은 것이

있으면서 있지 않다는 것이 가능하다고 주장하고, 또한

그렇게 간주(가정)하는 일도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그런 

어떤 자들이 있다. 그런데 자연에 관련하는 자들 중에서도 

많은 자들이 이러한 논리를 사용한다. 그런데 우리는 지금 

있으면서 동시에 있지 않기도 하다는 것이 불가능한 것이라고 

가정하였고, 이를 통해서 모든 원리들 중 이러한 원리가 

가장 확고한 것이라는 점을 증명하였다.

                                             ἀξιοῦσι δὴ καὶ τοῦτο                           5

ἀποδεικνύναι τινὲς δι᾿ ἀπαιδευσίαν· ἔστι γὰρ ἀπαιδευσία

τὸ μὴ γινώσκειν τίνων δεῖ ζητεῖν ἀπόδειξιν καὶ τίνων οὐ

δεῖ· ὅλως μὲν γὰρ ἁπάντων ἀδύνατον ἀπόδειξιν εἶναι (εἰς

ἄπειρον γὰρ ἂν βαδίζοι, ὥστε μηδ᾿ οὕτως εἶναι ἀπόδειξιν),

εἰ δέ τινων μὴ δεῖ ζητεῖν ἀπόδειξιν, τίνα ἀξιοῦσιν εἶναι                            10

μᾶλλον τοιαύτην ἀρχὴν οὐκ ἂν ἔχοιεν εἰπεῖν. 

                            더 나아가 어떤 이들은 무식함으로 인해

이러한 일을 증명할 만하다고 평가한다. 어떤 것들에 대한

증명을 탐구해야 하고 또 어떤 것들의 경우에 그렇지 않은지

알지 못하는 것은 무식함이란 말이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통틀어 모든 것들에 대해 증명이 있다는 것은 불가능하고

(왜냐하면 무한으로 진행할 테고, 그래서 그런 식으로 증명이

있지도 못할 테니까), 어떤 것들에 대해서는 증명을 탐구하지

않아야 한다면, 무엇이 더욱 더 이러한 원리일 만한 것인지

그들이 이야기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ἔστι δ᾿ ἀπο-

δεῖξαι ἐλεγκτικῶς καὶ περὶ τούτου ὅτι ἀδύνατον, ἂν μόνον

τι λέγῃ ὁ ἀμφισβητῶν· ἂν δὲ μηθέν, γελοῖον τὸ ζητεῖν

λόγον πρὸς τὸν μηθενὸς ἔχοντα λόγον, ᾗ μηθένα ἔχει λόγον· ὅμοιος

γὰρ φυτῷ ὁ τοιοῦτος ᾗ τοιοῦτος ἤδη ἐστίν. τὸ δ᾿ ἐλεγκτικῶς ἀπο-              15

δεῖξαι λέγω διαφέρειν καὶ τὸ ἀποδεῖξαι, ὅτι ὁ ἀποδει-

κνύων μὲν ἂν δόξειεν αἰτεῖσθαι τὸ ἐν ἀρχῇ, ἄλλου δὲ τοῦ

τοιούτου αἰτίου ὄντος ἔλεγχος ἂν εἴη καὶ οὐκ ἀπόδειξις.

                                               그런데 이에 관련하여서도

그것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논박적으로 증명하는 일이 가능하다,

논쟁을 거는 자가 뭔가를 말하는 경우에만 말이다. 그런데 그가 

아무것도 말하지 않는다면, 아무런 설명도 지니지 않은 자를 

상대로 설명을 탐구한다는 것은 우스운 일이다, 아무런 설명도 

지니지 않는 한에서. 이러한 자인 한에서의 이러한 자는 이미 

식물과 유사한 자이다. 그런데 논박적으로 증명한다는 것을 나는 

입증한다는 것과도 다르다고 말하니, 입증하는 자는 원리에 

포함되는 것을 따져 묻는 것으로 여겨질 터이지만, 그 외의 사람이

이러한 일(입증)의 책임이 있는 사람일 경우에는 논박이 있을 테고 

입증은 있지 않을 것이다.

                                                                         ἀρχὴ

δὲ πρὸς ἅπαντα τὰ τοιαῦτα οὐ τὸ ἀξιοῦν ἢ εἶναι τι λέγειν

ἢ μὴ εἶναι (τοῦτο μὲν γὰρ τάχ᾿ ἄν τις ὑπολάβοι τὸ ἐξ                               20

ἀρχῆς αἰτεῖν), ἀλλὰ σημαίνειν γέ τι καὶ αὑτῷ καὶ ἄλλῳ·

τοῦτο γὰρ ἀνάγκη, εἴπερ λέγοι τι. εἰ γὰρ μή, οὐκ ἂν

εἴη τῷ τοιούτῳ λόγος, οὔτ᾿ αὐτῷ πρὸς αὑτὸν οὔτε πρὸς

ἄλλον. ἂν δέ τις τοῦτο διδῷ, ἔσται ἀπόδειξις· ἤδη γάρ τι

ἔσται ὡρισμένον. 

                        그런데 이러한 모든 것들에 대해서 무언가

있다거나 있지 않다고 논할 만하다는 것이 아니라 (누군가는 이런

것을 아마도 처음부터 요구하는 것으로 가정할지도 모르니까),

자신에게도 그 외의 사람에게도 뭔가 적어도 의미하기는 해야

한다는 것이 원리이다. 왜냐하면, 만일 무언가 논하려면, 이것이

필연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만일 그렇지 않다면, 이런 자에게는

논리가 있지 못할 것이다, 그에게 그 자신을 상대로도 그 외의

사람을 상대로도 말이다. 그런데 누군가가 이를 제공한다면,

증명이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제서야 무언가 규정된 것이

있을 테니까.

                       ἀλλ᾿ αἴτιος οὐχ ὁ ἀποδεικνὺς ἀλλ᾿ ὁ ὑπο-                       25

μένων· ἀναιρῶν γὰρ λόγον ὑπομένει λόγον. ἔτι δὲ ὁ τοῦτο

συγχωρήσας συγκεχώρηκέ τι ἀληθὲς εἶναι χωρὶς ἀποδεί-

ξεως [ὥστε οὐκ ἂν πᾶν οὕτως καὶ οὐχ οὕτως ἔχοι]. πρῶτον

μὲν οὖν δῆλον ὡς τοῦτό γ᾿ αὐτὸ ἀληθές, ὅτι σημαίνει τὸ

ὄνομα τὸ εἶναι ἢ μὴ εἶναι τοδί, ὥστ᾿ οὐκ ἂν πᾶν οὕτως καὶ                       30

οὐχ οὕτως ἔχοι· ἔτι εἰ τὸ ἄνθρωπος σημαίνει ἕν, ἔστω τοῦτο

τὸ ζῷον δίπουν. 

                   그러나 증명하는 자가 아니라 [증명을] 기다리는 

자가 책임이 있는 자이다. 왜냐하면 설명을 폐기함으로써 논변을 

기다리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것을 여전히 동의한 자는 증명과 

독립적으로 무언가 참된 것이 있다고 동의한 것이[어서 모든 것이 

그런 상태이면서 또한 그런 상태가 아닐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우선 적어도 바로 이것만큼은 참이라는 것이 분명하다, 이름이 

이러저러한 것이 있다거나 있지 않다거나 하는 것을 의미하고, 

그래서 모든 것이 그런 상태이면서 그렇지 않은 상태이지는 

않으리라는 것이 말이다. 더욱이 만일 "인간"이라는 것이 하나를 

의미한다면, 두 발 달린 동물이 이것일 것이다.

                      λέγω δὲ τὸ ἓν σημαίνειν τοῦτο· εἰ τοῦτ᾿

ἔστιν ἄνθρωπος, ἂν ᾗ τι ἄνθρωπος, τοῦτ᾿ ἔστι τὸ ἀνθρώπῳ

εἶναι ― διαφέρει δ᾿ οὐθὲν οὐδ᾿ εἰ πλείω τις φαίη σημαίνειν

μόνον δὲ ὡρισμένα, τεθείη γὰρ ἂν ἐφ᾿ ἑκάστῳ λόγῳ                         1006b1

ἕτερον ὄνομα· λέγω δ᾿ οἷον, εἰ μὴ φαίη τὸ ἄνθρωπος ἓν

σημαίνειν, πολλὰ δέ, ὧν ἑνὸς μὲν εἷς λόγος τὸ ζῷον δί-

πουν, εἰσὶ δὲ καὶ ἕτεροι πλείους, ὡρισμένοι δὲ τὸν ἀριθμόν·

τεθείη γὰρ ἂν ἴδιον ὄνομα καθ᾿ ἕκαστον τὸν λόγον. 

                              그런데 나는 "하나"라는 것으로 이하의 

것을 의미한다. 만일 이것이 사람이라면, 어쨌든 사람으로 있을

것이고, 이것이 사람으로 있다는 것이다.  ― 그런데 누군가가 

[그 이름이] 더 많은 것들을 그런데 오직 규정된 것들만을 의미한다고 

하더라도 전혀 차이는 없는데, 왜냐하면 각 진술을 놓고 다른 

이름이 정립되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나는 예를 들어, 만일 

"인간"이라는 것이 하나를 의미하지는 않고, 반면에, 그 중 하나에는 

"두 발 달린 동물"이라는 진술이 속하는, 그런 여러 가지 것들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면, 다른 더 많은 진술들도, 자신의 수를 규정하면서, 

있다는 것을 말한다. 왜냐하면 각각의 진술에 따라 고유한 이름이 

정립되어 있기 때문이다.

                                                                     εἰ δὲ                          5

μὴ τεθείη, ἀλλ᾿ ἄπειρα σημαίνειν φαίη, φανερὸν ὅτι οὐκ ἂν

εἴη λόγος· τὸ γὰρ μὴ ἓν σημαίνειν οὐθὲν σημαίνειν ἐστίν,

μὴ σημαινόντων δὲ τῶν ὀνομάτων ἀνῄρηται τὸ διαλέγεσθαι

πρὸς ἀλλήλους, κατὰ δὲ τὴν ἀλήθειαν καὶ πρὸς αὑτόν·

οὐθὲν γὰρ ἐνδέχεται νοεῖν μὴ νοοῦντα ἕν, εἰ δ᾿ ἐνδέχεται,                        10

τεθείη ἂν ὄνομα τούτῳ τῷ πράγματι ἕν. 

                                                     그런데 만일 [고유한

이름이] 정립되어 있지 않았다면, 오히려 무한한 것들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면, 진술이 있지 못했으리란 점이 분명하다. 왜냐하면 

하나를 의미하지 못한다는 것은 아무것도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이고, 그런데 이름들이 의미를 가지지 못함으로써 서로를 상대로 

대화한다는 것이 폐기된 것이기 때문이다, 진리에 따라서 자신을 

상대로도 말이다. 왜냐하면 하나를 생각하지 못하는 자는 아무것도 

생각하는 일이 허용되지 않고, 만일 허용된다면, 이러한 대상에 

하나인 이름이 정립되었을 터이기 때문이다.

                                                     ἔστω δή, ὥσπερ

ἐλέχθη κατ᾿ ἀρχάς, σημαῖνόν τι τὸ ὄνομα καὶ σημαῖνον

ἕν· οὐ δὴ ἐνδέχεται τὸ ἀνθρώπῳ εἶναι σημαίνειν ὅπερ μὴ εἶναι

ἀνθρώπῳ, εἰ τὸ ἄνθρωπος σημαίνει μὴ μόνον καθ᾿ ἑνὸς

ἀλλὰ καὶ ἕν (οὐ γὰρ τοῦτο ἀξιοῦμεν τὸ ἓν σημαίνειν,                                15

τὸ καθ᾿ ἑνός, ἐπεὶ οὕτω γε κἂν τὸ μουσικὸν καὶ λευκὸν

καὶ ἄνθρωπος ἓν ἐσήμαινεν, ὥστε ἓν ἅπαντα ἔσται·

συνώνυμα γάρ). 

                                                 그래서, 처음부터 말했듯,

이름이 뭔가를 의미하고 또한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있도록

하자. 그래서 "인간으로 있다"라는 것이 인간으로 있지 않다는 

바로 그것을 의미하기란 허용되지 않는다, 만일 "인간"이라는 것이

하나에 대해서(따라서)만이 아니라 하나 또한 의미한다면

(왜냐하면 우리는 "하나를 의미한다"라는 것을 이런 것일만

하다고 평가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나에 대해서"라는 것, 적어도

그런 식으로 "음악적이고 희며 인간"이라는 것이 하나를 

의미할 테고, 그래서 통틀어 모든 것들이 하나일 테니까.

즉 그것들이 동의어들이기 때문이다.)

                     καὶ οὐκ ἔσται εἶναι καὶ μὴ εἶναι τὸ αὐτὸ

ἀλλ᾿ ἢ καθ᾿ ὁμωνυμίαν, ὥσπερ ἂν εἰ ὃν ἡμεῖς ἄνθρωπον

καλοῦμεν, ἄλλοι μὴ ἄνθρωπον καλοῖεν· τὸ δ᾿ ἀπορούμενον                       20

οὐ τοῦτό ἐστιν, εἰ ἐνδέχεται ἅμα τὸ αὐτὸ εἶναι καὶ μὴ εἶναι

ἄνθρωπον τὸ ὄνομα, ἀλλὰ τὸ πρᾶγμα.                                                     //201001

                                                          그리고 같은 것이

있으면서 있지 않을 수 있지 않을 것인데 동음이의어에 따른

경우를 제외하면 그러하다. 마치 만일 우리가 인간이라고 부르는 

바의 것을, 그 외의 사람들은 비-인간으로 부른다면 그 경우처럼

말이다. 그런데 난점은 이런 것, 만일 이름이 같은 것으로서 동시에

인간으로 있으면서 있지 않는다는 게 허용되는지 여부가 아니라,

사태로서 인간으로 그러함이 허용되는지 여부이다.

                                                   εἰ δὲ μὴ σημαί-

νει ἕτερον τὸ ἄνθρωπος καὶ τὸ μὴ ἄνθρωπος, δῆλον ὅτι καὶ

τὸ μὴ εἶναι ἀνθρώπῳ τοῦ εἶναι ἀνθρώπῳ, ὥστ᾿ ἔσται τὸ ἀν-

θρώπῳ εἶναι μὴ ἀνθρώπῳ εἶναι· ἓν γὰρ ἔσται. τοῦτο γὰρ                           25

σημαίνει τὸ εἶναι ἕν, ὡς λώπιον καὶ ἱμάτιον, εἰ ὁ λόγος

εἷς· εἰ δὲ ἔσται ἕν, ἓν σημαίνει τὸ ἀνθρώπῳ εἶναι καὶ μὴ

ἀνθρώπῳ. ἀλλ᾿ ἐδέδεικτο ὅτι ἕτερον σημαίνει. 

                                                                  그런데 만일

"인간"이라는 것과 "비-인간"이라는 것이 다른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인간으로 있지 않다"라는 것도 "인간으로 있다"와

그렇고, 그래서 "인간으로 있다"라는 것이 "비-인간으로 있다"일

것이라는 점이 분명하다. 왜냐하면 그것이 하나로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즉 "하나로 있다"라는 것이 이런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겉옷과 의복에 있어서, 만일 그 진술이 하나라면 그럴 것처럼.

그런데 하나로 있을 것이라면, "인간으로 그리고 비-인간으로 있다"가

하나를 의미할 것이다. 그러나 다른 것을 의미한다는 점이 밝혀졌다.

                                                             ἀνάγκη τοί-

νυν, εἴ τί ἐστιν ἀληθὲς εἰπεῖν ὅτι ἄνθρωπος, ζῷον εἶναι δί-

πουν (τοῦτο γὰρ ἦν ὃ ἐσήμαινε τὸ ἄνθρωπος)· εἰ δ᾿ ἀνάγκη                       30

τότε, οὐκ ἐνδέχεται μὴ εἶναι τότε αὐτὸ ζῷον δίπουν· τοῦτο

γὰρ σημαίνει τὸ ἀνάγκη εἶναι, τὸ ἀδύνατον εἶναι μὴ εἶναι

[ἄνθρωπον]· οὐκ ἄρα ἐνδέχεται ἅμα ἀληθὲς εἶναι εἰπεῖν τὸ

αὐτὸ ἄνθρωπον εἶναι καὶ μὴ εἶναι ἄνθρωπον.

그러니, 만일 어떤 것인가가 인간으로 있다고 말하는 게 참이라면, 

동물로서 두 발 달린 것으로 있다는 것이 필연적이다("인간"이라는 

것이 의미하는 바가 이것이었을 터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만일

그 경우 그것이 필연적이라면, 그 때 그것이 동물로서 두 발 달린 

것으로 있지 않다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필연적으로 [인간으로]

있다는 것은 이를, [인간으로] 있지 않다는 것이 불가능한 것으로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같은 것이 인간으로 있다고

그리고 인간으로 있지 않다고 이야기하는 것이 동시에 참으로서

있다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蟲-

1.

 ἵπποι, ταί με φέρουσιν, ὅσον τ᾿ ἐπὶ θυμὸς[각주:1] ἱκάνοι

πέμπον, ἐπεί μ᾿ ἐς ὁδὸν βῆσαν πολύφημον[각주:2] ἄγουσαι

δαίμονος, ἣ κατὰ πάντ᾿ ἄστη(or ἄντην) φέρει εἰδότα φῶτα·[각주:3]

τῇ φερόμην· τῇ γὰρ με πολύφραστοι φέρον ἵπποι

ἅρμα τιταίνουσαι, κοῦραι δ᾿ ὁδὸν ἡγεμόνευον.

ἄξων δ᾿ ἐν χνοίῃσιν ἵει σύριγγος ἀυτήν

αἰθόμενος (δοιοῖς γὰρ ἐπείγετο δινωτοῖσιν

κύκλοις ἀμφοτέρωθεν), ὅτε σπερχοίατο πέμπειν

Ἡλιάδες κοῦραι, προλιποῦσαι δώματα Νυκτός,[각주:4]

εἰς φάος, ὠσάμεναι κράτων ἄπο χερσὶ καλύπτρας.

 열정이 미치는 곳까지 나를 옮기기에 충분한 암말들이

나를 전송하였다, 나를 여신의 말이 많은 길을 향해 걸어가도록

이끈 뒤, 모든 도시를 따라(or 만물에 따라 곧바로)

앎은 지닌 필멸자를 옮기는 길로. 그 길이 나를 옮겨주었다.

무척이나 눈치 빠른 말들이 마차를 끌어 나를 옮기고,

소녀들이 길을 인도하였던 것이다.

차축이 축함을 달구어 안에서 호각소리를 내었다

(회전하는 두 바퀴에 양쪽에서 짓눌리고 있었으니),

태양(헬리오스)의 여식들이 전송을 재촉하던 때에,

밤(뉙스)의 거처를 버려두고서, 빛을 향하여, 머리에서부터

두 손으로 너울을 밀어 젖힌 그녀들이.

ἔνθα πύλαι Νυκτός τε καὶ Ἤματός εἰσι κελεύθων,

καί σφας ὑπέρθυρον ἀμφὶς ἔχει καὶ λάινος οὐδός·

αὐταὶ δ᾿ αἰθέριαι πλῆνται μεγάλοισι θυρέτροις·

τῶν δὲ Δίκη πολύποινος[각주:5] ἔχει κληῖδας ἀμοιβούς.

τὴν δὴ παρφάμεναι κοῦραι μαλακοῖσι λόγοισιν

πεῖσαν[각주:6] ἐπιφραδέως, ὥς σφιν βαλανωτὸν ὀχῆα

ἀπτερέως ὤσειε πυλέων ἄπο· ταὶ δὲ θυρέτρων

χάσμ᾿ ἀχανὲς ποίησαν ἀναπτάμεναι πολυχάλκους

ἄξονας ἐν σύριγξιν ἀμοιβαδὸν εἰλίξασαι

γόμφοις καὶ περόνῃσιν ἀρηρότε· τῇ ῥα δι᾿ αὐτέων

ἰθὺς ἔχον κοῦραι κατ᾿ ἀμαξιτὸν ἅρμα καὶ ἵππους.

 그곳에는 밤(뉙스)과 낮(에마르)의 여로의 문짝들이 있으며,

상인방과 대리석 문턱이 그 문짝들을 감싸고 있다.

그 창공의(ethereal) 문짝들은 거대한 문틀에 채워졌다.

크게 보복하는 정의(디케)께서 그 문들의 전환하는(or 응보의)

열쇠들을 지니신다. 소녀들이 부드러운(상냥한) 말들로

정의께 속삭이며 사려깊게 설득하였다, 자신들을 위해

어서 죄고 있는 빗장을 관문들로부터 밀어내 주시라고.

관문들은 원통 속 청동으로 된 문주들을 차례로 감으며

날개를 펼쳐 말뚝과 못으로 짜맞추어진 문들의 벌어진 

균열을 만들었다. 그리하여 그 길에서 문들을 지나

소녀들이 곧게 마찻길을 따라 마차와 말들을 데려갔다.

καί με θεὰ πρόφρων ὑπεδέξατο, χεῖρα δὲ χειρί

δεξιτερὴν ἕλεν, ὧδε δ᾿ ἔπος φάτο καί με προσηύδα·

ὦ κοῦρ᾿ ἀθανάτοισι συνάορος ἡνιόχοισιν,

ἵπποις θ᾿, αἵ σε φέρουσιν ἱκάνων ἡμέτερον δῶ,

χαῖρ᾿, ἐπεὶ οὔτι σε μοῖρα κακὴ προὔπεμπε νέεσθαι

τήνδ᾿ ὁδόν, ἦ γὰρ ἀπ᾿ ἀνθρώπων ἐκτὸς πάτου ἐστίν[각주:7],

ἀλλὰ θέμις τε δίκη τε. χρεὼ δέ σε πάντα πυθέσθαι

ἠμὲν Ἀληθείης εὐκυκλέος ἀτρεμὲς ἦτορ

ἠδὲ βροτῶν δόξας, ταῖς οὐκ ἔνι πίστις ἀληθής.

ἀλλ᾿ ἔμπης καὶ ταῦτα μαθήσεαι, ὡς τὰ δοκοῦντα

χρῆν δοκίμως εἶναι διὰ παντὸς πάντα περῶντα(or περ ὄντα).

그리고 나를 여신께서 기꺼이 맞이해 주셨고, 오른손으로

내 손을 맞잡으시고는, 나를 가까이 불러 이러한 이야기를 

말씀해 주셨다. "불멸하는 마부들과 또한, 너를 옮겨준

말들과 함께 맺어진 자로서 우리의 거처에 당도한 소년이여,

반갑구나, 네가 이 길로 나아가도록 전송해 주었던 것은

나쁜 운명이 아니라, 사람들이 거닐어 다진 길로부터 밖으로

정녕코 멀리 떨어져 있으니, 오히려 법이고 또한 정의이기에.

너는 완벽한 진리의 불요한 심장과 또한 참된 확신이 들지 

않은 필멸자들의 믿음들까지 그 모든 것을 배워야만 한다.

허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너는 이것들까지 배울 것이다,

믿어진 것들이 어떻게 모든 시간을 통해 모든 것들을 

거쳐가며 믿어짐직하게 있어야만 했었는지를. 


1> 믿어진 것들이 어떻게 모든 시간을 통해 모든 있는 것들에 관련하여 믿어짐직하게 있어야만 했었는지를.

2> 믿어진 것들 모두가 어떻게 모든 것(전체)을 통과해 지나가며 ...

3> 믿어진 것들 모두가 어떻게 모든 것(전체)를 통해 있는 것들에 관련하여 ...

4> 어떻게(x) → 있어야만 했었다는 것을.

5> 믿어진/여겨진. 그럴 듯한/겉보기에 불과한.


2. 

 εἰ δ᾿ ἄγ᾿ ἐγὼν ἐρέω, κόμισαι δὲ σὺ μῦθον ἀκούσας,

αἵπερ ὁδοὶ μοῦναι διζήσιός εἰσι νοῆσαι·

ἡ μὲν ὅπως ἔστιν τε καὶ ὡς οὐκ ἔστι μὴ εἶναι,

Πειθοῦς ἐστι κέλευθος (Ἀληθείῃ γὰρ ὀπηδεῖ),

ἡ δ᾿ ὡς οὐκ ἔστιν τε καὶ ὡς χρεών ἐστι μὴ εἶναι,

τὴν δή τοι φράζω παναπευθέα ἔμμεν ἀταρπόν·

οὔτε γὰρ ἂν γνοίης τό γε μὴ ἐὸν (οὐ γὰρ ἀνυστόν)

οὔτε φράσαις.

자, 오라, 내가 이야기할지니, 너는 이야기를 들어 간직하라,

탐구의 오직 바로 그 길들만이 사유토록 있노라.

한편은 있다는 그리고 또한 있지 않을 수 없다는 길이요,

설득의 여로로서 있노라([그 길이] 진리에 동반하기에),

다른 한편은 있지 않다는 그리고 또한 있지 않아야만 한다는 길이요, 

그리하여 그 길은 전적으로 배우지 못하는 경로로서 있음을

네게 고하여 주노라. 있지 않은 것만은 네가 알지도 못할 것이며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기에) 고하지도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 사유할 길들은 아마도 사유할 수 있는 길들일 텐데, 반면에 두 길 중

한 길은 불가능하고, 알 수 없고, 말할 수 없는 듯하다. 그렇다면 이 길이

어떻게 사유를 위한 길인가? 혹은 사유를 위한 길들이 not-being을 제외하고

다른 길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가? 

> '사유할 수 있는'으로 번역하지 말고 '사유를 위한' 조건처럼 전제되는 두 길이라고?

   혹은 두 번째 길은 배제하고, 또 다른 길로 doxa 길을 포함해 복수로 '길들'이라고?

> 단편 5를 여기에 놓는 것은 어떤가? 있는 길과 있지 않은 길이 있고 어디서 시작하든

마찬가지인데, 다시 되돌아오기 때문이며, 그 이유는 같은 것이 존재와 사유를 위해

있기 때문이다.


3.

 . . . τὸ γὰρ αὐτὸ νοεῖν ἐστίν τε καὶ εἶναι.

 . . . 같은 것이 사유토록 또한 있도록 있기 때문이다.

      [같은 것이 사유를 위해서도 존재를 위해서도 있기 때문이다?]

      2) 사유도 있다는 것도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3) 사유한다는 것 자체는 또한 있다는 것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4) 같은 것을 사유될 수도 있고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5) 같은 것이 사유할 수도 있고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4.

 λεῦσσε δ᾿ ὅμως ἀπεόντα νόῳ παρεόντα βεβαίως·

οὐ γὰρ ἀποτμήξει τὸ ἐὸν τοῦ ἐόντος ἔχεσθαι

οὔτε σκιδνάμενον πάντῃ πάντως κατὰ κόσμον

οὔτε συνιστάμενον.

 한데 정신에게서 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곁에

확고하게 있는 것들을 보라. [정신은/너는] 우주를 따라 

모든 방향으로 완전히 흩뿌려진 있는 것도 함께 세워진(구성된) 

있는 것도 있는 것과의 연속됨으로부터 단절시키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1) ...보라. [너는] ... 단절시키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동사 인칭 일치가 곤란)

2) ...보라. [정신은] .... (아마도 내용상 자연스러움)

3) ..보라. [곁에 확고하게 있는 것들] ....

> 정신으로써 바라보는 것인가, 정신 곁에 있는 것들을 바라보는 것인가.

> 인식적 단계를 묘사하는 것 아닐까? 아직 알지 못하더라도

결국은 애초부터 전제되어 있던 것으로.

> 지성, 정신은 2)에 따르면 있는 것을 분할하지 않기 때문에,

   지성으로 바라보아야 한다. 그래서 첫줄의 dat.를 수단으로.

   떨어져 있다는 것과 단절시킨다는 것의 내용적 연관.


5.

                          ξυνὸν δέ μοί ἐστιν,

ὁππόθεν ἄρξωμαι· τόθι γὰρ πάλιν ἵξομαι αὖθις.[각주:8]

                          한데 내게는 공통된 것이다, 

내가 어디로부터 시작할 것이든. 그로부터 다시 

나는 곧장 되돌아올 테니까.


6.

 χρὴ τὸ λέγειν τε νοεῖν τ᾿ ἐὸν ἔμμεναι· ἔστι γὰρ εἶναι,

μηδὲν δ᾿ οὐκ ἔστιν· τά σ᾿ ἐγὼ φράζεσθαι ἄνωγα.

πρώτης γάρ σ᾿ ἀφ᾿ ὁδοῦ ταύτης διζήσιος <εἴργω>,[각주:9]

αὐτὰρ ἔπειτ᾿ ἀπὸ τῆς, ἣν δὴ βροτοὶ εἰδότες οὐδὲν

πλάττονται, δίκρανοι· ἀμηχανίη γὰρ ἐν αὐτῶν

στήθεσιν ἰθύνει πλακτὸν νόον· οἱ δὲ φοροῦνται

κωφοὶ ὁμῶς τυφλοί τε, τεθηπότες, ἄκριτα φῦλα,

οἷς τὸ πέλειν τε καὶ οὐκ εἶναι ταὐτὸν νενόμισται

κοὐ ταὐτόν, πάντων δὲ παλίντροπός ἐστι κέλευθος.

 있는 것을 말하고 생각하는 일이 있어야만 한다.

[있는 것이] 있도록 있으며, 아무것도 아닌 것은 있지

않기 때문이다. 나 그대에게 이것들을 유념하라 명하노라.

즉 우선 이러한 탐구의 길로부터 그대를 <차단하니>,

하지만 다음으로 필멸자들이 아무것도 알지 못한 채,

머리가 둘인 그들이 지어내는, 그 길로부터. 왜냐하면

그들의 가슴들 속 어찌할 수 없음이 배회하는 지성을

지배하기 때문이다. 그들은 귀먹고 눈먼 것처럼 끌려 

다닌다, 경악한 채, 판가름할 줄 모르는 족속들이,

있게 된다는 것도 있지 않다는 것도 같은 것으로 

또한 같지 않은 것으로도 그들에게 생각되어 온, 

모든 것들에 대해 반대로 되돌아가는 길이 있는,

그러한 자들이.

> <εἴργω> 이 삽입을 거부하면, 단편1에서 모든 것을 배우라는 요구와

일치시킬 수 있지 않겠는가. 그리고 이렇게 할 때 is의 길과 is not의 길

모두 한꺼번에 첫 번째 길로 볼 수 있고, 두 번째 길을 가사자의 길로

볼 수도 있지 않은가. Curd, Waterfield 등은 다른 학자들의 제안에 따라

start(archein) 삽입.

7.

οὐ γὰρ μήποτε τοῦτο δαμῇ εἶναι μὴ ἐόντα·

ἀλλὰ σὺ τῆσδ᾿ ἀφ᾿ ὁδοῦ διζήσιος εἶργε νόημα

μηδέ σ᾿ ἔθος πολύπειρον ὁδὸν κατὰ τήνδε βιάσθω,

νωμᾶν ἄσκοπον ὄμμα καὶ ἠχήεσσαν ἀκουήν

καὶ γλῶσσαν, κρῖναι δὲ λόγῳ πολύδηριν ἔλεγχον

그대는 있지 않은 것들로 있다는 이것을 결코 지배하지

못할 터이기 때문이다. 오히려 그대는 탐구의 여기 

이 길로부터 사유를 차단하고 그대를 익숙함이 

경험으로 점철된(or 경험으로 점철된 익숙함이) 

여기 이 길을 따라, 초점 잃은 눈과 울려대는 귀 그리고 

혀를 다루도록, 강제하지도 못하게 하되, [8.나로부터 

이야기되어 나온 말들로부터] 논란이 많은 시험을 

그대는 논리로써 판가름하라.

τοῦτο: 지시사로 앞서 생략된 맥락에 관련되거나, εἶναι μὴ ἐόντα 를 한정할 것이다.

δαμῇ: 2인칭 subj. 또는 3인칭 subj. mp.

εἶναι μὴ ἐόντα: "있지 않은 것들이 있다" 또는 "있지 않은 것들로 있다" 둘 다 가능.

   "있지 않은 것들이"라 번역하기에는 관사가 없다는 점이 문제가 된다.

   반면 "있지 않은 것들로"라는 번역은 생략된 혹은 존재하지 않는 주어가 문제가 된다.

> not-being is가 우세하지 않을 테니, 오히려 이 길에서

   너의 사유를 차단하고, 습관이 너로 하여금 경험적 길을 따라 

   지각을 사용하도록 강제하는 일을 거부하라.

> "논란이 많은 시험"은 가사자의 혼란인가, being과 진리의 길인가?

   being과 진리의 길에 대한 '가사자들의 입장'과 '여신의 입장'이

  구분? 혹은 여신이 말한 가사자들의 믿음 영역? 

> 익숙한 경험에 따른 지각의 길/여신에 의해 논박된 길

> 익숙함이 사용하게 강제하거나, 사용하는 길에 따르도록 강제하거나.

   전자의 경우 길은 중립적, 후자의 경우 길 자체가 부정적. 

8.

ἐξ ἐμέθεν ῥηθέντα. μόνος δ᾿ ἔτι μῦθος ὁδοῖο

λείπεται ὡς ἔστιν· ταύτῃ δ᾿ ἐπὶ σήματ᾿ ἔασι

πολλὰ μάλ᾿, ὡς ἀγένητον ἐὸν καὶ ἀνώλεθρόν ἐστιν,

ἐστι γὰρ οὐλομελές τε καὶ ἀτρεμὲς ἠδ᾿ ἀτέλεστον·

[οὖλον μουνογενές           ...           ἠδὲ τέλειον.][각주:10]

                         한데 아직 "있다"라는 길에 대한

유일한 이야기가 남아 있다. 이 길을 따라 무척이나

많은 표지들이 있으니, 생성되지 않는 것으로 있는

것이자 불멸하는 것으로 있다고 하는. 왜냐하면

사지가 온전한 것이자 흔들리지 않는 것으로 이미

끝없는 것으로서 있기 때문이다.

[단일한 유로 된 전체로서 또한 흔들리지 않거니와

완결된 것으로서 있기 때문이다.]

οὐδέ ποτ᾿ ἦν οὐδ᾿ ἔσται, ἐπεὶ νῦν ἔστιν ὁμοῦ πᾶν,

ἕν, συνεχές· τίνα γὰρ γένναν διζήσεαι αὐτοῦ;

πῇ πόθεν αὐξηθέν; οὐδ᾿ ἐκ μὴ ἐόντος ἐάσσω

φάσθαι σ᾿ οὐδὲ νοεῖν· οὐ γὰρ φατὸν οὐδὲ νοητόν

ἔστιν ὅπως οὐκ ἔστι. τί δ᾿ ἄν μιν καὶ χρέος ὦρσεν

ὕστερον ἢ πρόσθεν, τοῦ μηδενὸς ἀρξάμενον, φῦν;

언젠가 있었지도 있을 것이지도 않으니, 지금 한 번에

모든 것으로, 하나로, 연속된 것으로서 있기에 그러하다.

그야 그대가 그것의 무슨 탄생을 추구하겠는가?

어디에서 어디로 자라났겠는가? 있지 않은 것으로부터

그대가 말하는 일도 생각하는 일도 나는 허용하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있지 않은 바 바로 그것은

말해지는 것으로도 생각되는 것으로도 있지 않기

때문이다. 한데 무엇이 그것을 이후에나 이전에

일으켰어야만 하기까지 했는가, 아무것에서도 시작하지

않은 것을, 자라나도록?

[있지 않은 것보다 이후든 이전이든 시작하고 자라나도록]

οὕτως ἢ πάμπαν πελέναι χρεών ἐστιν ἢ οὐκί.

οὐδέ ποτ᾿ ἐκ μὴ ἐόντος ἐφήσει πίστιος ἰσχύς

γίγνεσθαί τι παρ᾿ αὐτό· τοῦ εἵνεκεν οὔτε γενέσθαι

οὔτ᾿ ὄλλυσθαι ἀνῆκε Δίκη χαλάσασα πέδῃσιν,

ἀλλ᾿ ἔχει· ἡ δὲ κρίσις περὶ τούτων ἐν τῷδ᾿ ἔστιν·

ἔστιν ἢ οὐκ ἔστιν· κέκριται δ᾿ οὖν, ὥσπερ ἀνάγκη,

τὴν μὲν ἐᾶν ἀνόητον ἀνώνυμον (οὐ γὰρ ἀληθής

ἔστιν ὁδός), τὴν δ᾿ ὥστε πέλειν καὶ ἐτήτυμον εἶναι.

전적으로 그런 식으로 있게 되는 일이 숙명이거나

아니면 있지 않다. 확신의 강력함은 있지 않은 것으로부터 

무언가가 그 곁에 생성되는 일을 허용하지도 않을 것이다. 

그것을 위해 정의께서는 생성되지도 소멸되지도 않도록

족쇄를 풀어 허용하시지 않고, 붙들고 계시노라. 한데

그 일들에 관한 판결은 이하의 것들 안에 있다. 있거나

혹은 있지 않거나. 그러므로 판결되었다, 필연이 그러하듯,

한편은 사유되지 않고 이름 없는 것으로 (왜냐하면 참된

길로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다른 한편은 있게 되고

또한 명실상부하게 있도록.

πῶς δ᾿ ἂν ἔπειτ᾿ πέλοιτο[ἀπόλοιτο] ἐόν; πῶς δ᾿ ἄν κε γένοιτο;

εἰ γὰρ ἔγεντ᾿, οὐκ ἔστ(ι), οὐδ᾿ εἴ ποτε μέλλει ἔσεσθαι.

τὼς γένεσις μὲν ἀπέσβεσται καὶ ἄπυστος ὄλεθρος.

한데 있는 것이 어떻게 이후에 있게[해체]되겠는가? 어떻게

생성되겠는가? 만일 생성되었더라면, 있지 않고, 만일

장차 언젠가 있을 것이라고 하더라도 있지 않다. 

그렇게 생성은 사그라들어[각주:11] 버리고 파괴는 들리지 않는다.

οὐδὲ διαιρετόν ἐστιν, ἐπεὶ πᾶν ἐστιν ὁμοῖον·

οὐδέ τι τῇ μᾶλλον, τό κεν εἴργοι μιν συνέχεσθαι,

οὐδέ τι χειρότερον, πᾶν δ᾿ ἔμπλεόν ἐστιν ἐόντος.

τῷ ξυνεχὲς πᾶν ἐστιν· ἐὸν γὰρ ἐόντι πελάζει.

분할되는 것으로 있지도 않으니, 모든 것이 마찬가지인

것으로 있기에 그러하다. 어딘가에서 무언가가, 그것이

연속되는 일을 가로막을 것으로서, 더 많은 것도 아니고,

무언가 더욱 못 미치는 것도 아니며, 모든 것이 있는

것으로 가득 채워진 것으로서 있다. 있는 것이 있는

것에 다가가기 때문이다.[각주:12]

αὐτὰρ ἀκίνητον μεγάλων ἐν πείρασι δεσμῶν

ἔστιν ἄναρχον ἄπαυστον, ἐπεὶ γένεσις καὶ ὄλεθρος

τῆλε μάλ᾿ ἐπλά[γ]χθησαν, ἀπῶσε δὲ πίστις ἀληθής.

ταὐτόν τ᾿ ἐν ταὐτῷ τε μένον καθ᾿ ἑαυτό τε κεῖται

χοὔτως ἔμπεδον αὖθι μένει· κρατερὴ γὰρ Ἀνάγκη

πείρατος ἐν δεσμοῖσιν ἔχει, τό μιν ἀμφὶς ἐέργει,

οὕνεκεν οὐκ ἀτελεύτητον τὸ ἐὸν θέμις εἶναι·

ἔστι γὰρ οὐκ ἐπιδευές· [μὴ] ἐὸν δ᾿ ἂν παντὸς ἐδεῖτο.

더군다나 거대한 매듭들의 한계들 안에서 운동하지

않고 시작하지 않는 것이자 그치지 않는 것으로 있으니,

생성과 파괴가 매우 멀리서 주조되었고[엇나갔고(방황하였고)], 

참된 확신은 [그것들을] 밀쳐냈기 때문이다. 같은 것으로서 

또한 같은 것 안에서 머무르며 또한 그 자신에 따라 

그렇게 자리잡아 굳건하게 그 자리에 머무른다. 강력한 

필연이 한계의 매듭들 안에 붙잡아두고, 그것을 둘러 

가두니, 있는 것이 미완의 것으로 있지 않도록 하는 

법칙 때문이다. 그것은 부족한 것으로 있지 않기 때문이며, 

그러나 있지 않은 것은 모든 것이 부족하였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다면 있는 것이 모든 것에 부족하였을 터이기 때문이다.]    //201026

ταὐτὸν δ᾿ ἐστὶ νοεῖν τε καὶ οὕνεκεν ἔστι νόμημα.

οὐ γὰρ ἄνευ τοῦ ἐόντος, ἐν ᾧ πεφατισμένον ἐστιν,

εὑρήσεις τὸ νοεῖν· οὐδὲν γὰρ <ἢ> ἔστιν ἢ ἔσται

ἄλλο πάρεξ τοῦ ἐόντος, ἐπεὶ τό γε Μοῖρ᾿ ἐπέδησεν

οὖλον ἀκίνητόν τ᾿ ἔμεναι· τῷ πάντ᾿ ὄνομ(α) ἔσται,

ὅσσα βροτοὶ κατέθεντο πεποιθότες εἶναι ἀληθῆ,

γίγνεσθαί τε καὶ ὄλλυσθαι, εἶναί τε καὶ οὐχί,

καὶ τόπον ἀλλάσσειν διά τε χρόα φανὸν ἀμείβειν.

같은 것이 생각하도록 있으며 또한 생각이 있기

때문에도 있다. 말해진 것이 그 안에 있는 바, 그

있는 것 없이는 그대가 생각한다는 것을 발견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있는 것을 제외하고 그 외의

것은 있지도 않고 있을 것이지도 않으니,

                             [시간이 있는 것에 따르는 다른

것으로 있거나 있을 것이거나 하지도 않으니, by Coxon]  

                                                    운명은 

그 전체를 운동하지 않는 것으로 있도록 묶어두었기

때문이다. 그런 식으로 모든 것들이 이름일 것이니, 

가사자들이 진리로서 있다고 상정해 놓으며 설득시켜왔던 

모든 것들이, 생성되며 또한 파괴된다고, 있으며 또한 

있지 않기도 하다고, 장소를 바꾸고 색을 통해 밝기를 

바꾼다고 [정하고 설득시켜온 모든 것들이].

 αὐτὰρ ἐπεὶ πεῖρας πύματον, τετελεσμένον ἐστί

πάντοθεν, εὐκύκλου σφαίρης ἐναλίγκιον ὄγκῳ,

μεσσόθεν ἰσοπαλὲς πάντῃ· τὸ γὰρ οὔτε τι μεῖζον

οὔτε τι βαιότερον πελέναι χρεόν ἐστι τῇ ἢ τῇ.

οὔτε γὰρ οὐκ ἐὸν ἔστι, τό κεν παύοι μιν ἱκνεῖσθαι

εἰς ὁμόν, οὔτ᾿ ἐὸν ἔστιν ὅπως εἴη κεν ἐόντος

τῇ μᾶλλον τῇ δ᾿ ἧσσον, ἐπεὶ πᾶν ἐστιν ἄσυλον·

οἷ γὰρ πάντοθεν ἶσον, ὁμῶς ἐν πείρασι κύρει.

 더욱이 한계의 극단에서 있기에, 모든 곳으로부터 

완성된 것으로 있고, 훌륭한 원형으로 된 구-체를 

닮은 것으로, 중심으로부터 모든 방면으로 등거리인 

것으로 있노라. 어떤 측면이 어떤 측면보다 무언가

더욱 크지도 않고 무언가 더욱 작지도 않은 것이

있게 되어야만 하는 것으로 있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있는 것은] 있지 않은 것으로서, 마찬가지의 

것으로 그것이 나아가는 일을 중단시킬 것으로서 

있지도 않거니와, 있는 것보다 어떤 측면에서는 

더 많은 것으로 반면 어떤 측면에서는 더 적은 것으로 

있을 바로 그런 있는 것으로 있지도 않으니, 그 모든 

것이 불가침한 것으로서 있기에 그러하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모든 것으로부터 자신과 같은 만큼의 것으로서,

마찬가지 방식으로 한계들 안에서 [한계들에] 부딪치기

때문이다. 

 ἐν τῷ σοι παύω πιστὸν λόγον ἠδὲ νόημα                        //201102

ἀμφὶς ἀληθείης· δόξας δ᾿ ἀπὸ τοῦδε βροτείας

μάνθανε κόσμον ἐμῶν ἐπέων ἀπατηλὸν ἀκούων.

거기에서 나는 그대에게 이제 확신을 갖춘 논리와 

진리를 포괄하는 사유를 중단하노라. 허나 이하로부터 

가사자가 지니는 믿음들을 내가 하는 언명들의 기만적인 

질서를 들음으로써 배우라.

> B1 "δοκίμως"와 여기 "κόσμον"가 맥락상 연결되고 있을지?

 μορφὰς γὰρ κατέθεντο δύο γνώμας ὀνομάζειν·

τῶν μίαν οὐ χρεών ἐστιν―ἐν ᾧ πεπλανημένοι εἰσίν―

τἀντία δ᾿ ἐκρίναντο δέμας καὶ σήματ᾿ ἔθεντο

χωρὶς ἀπ᾿ ἀλλήλων, τῇ μὲν φλογὸς αἰθέριον πῦρ,

ἤπιον ὄν, μέγ᾿ [ἀραιὸν] ἐλαφρόν, ἑωυτῷ πάντοσε τωὐτόν,

τῷ δ᾿ ἑτέρῳ μὴ τωὐτόν· ἀτὰρ κἀκεῖνο κατ᾿ αὐτό

τἀντία νύκτ᾿ ἀδαῆ, πυκινὸν δέμας ἐμβριθές τε.

τόν σοι ἐγὼ διάκοσμον ἐοικότα πάντα φατίζω,

ὡς οὐ μή ποτέ τίς σε βροτῶν γνώμη παρελάσσῃ.

 즉 그들은 두 가지 형태들을 명명하기로 결정을 

내렸노라. 그것들 중 한 형태를 명명하는 일은 

하지 않아야만 하는 것으로 있다. 그 안에서 그들은 

방황하는 채로 있다. 그러나 그들은 물체를 놓고 

반대되는 것들을 구분하였고 표지들을 상호로부터 

독립시켜 놓았으며, 한편에는 불길을 일으키는 

천계의 불, 부드러운 것으로 있으며, 대단히 [성기고] 

가벼운, 제 자신과 모든 방면으로 같은 것이자, 

다른 것과는 같지 않은 것으로 있는 것을 놓았다.

더욱이 그들은 그 자체로 반대되는 저 어두운 밤도, 

빽빽하고도 무거운 물체인 그 또한 놓았다. 나는 

그대에게 그 질서를 모두 모상적인 것으로 말하노라, 

가사자들의 그 어떤 의견도 결코 그대를 따라잡지 

못하도록.


9.

 αὐτὰρ ἐπειδὴ πάντα φάος καὶ νὺξ ὀνόμασται

καὶ τὰ κατὰ σφετέρας δυνάμεις ἐπὶ τοῖσί τε καὶ τοῖς,

πᾶν πλέον ἐστὶν ὁμοῦ φάεος καὶ νυκτὸς ἀφάντου

ἴσων ἀμφοτέρων, ἐπεὶ οὐδετέρῳ μέτα μηδέν.

 모든 것들이 빛과 밤으로 명명되고 그것들의 능력들에

따른 것들이 이러저러한 것들에 명명되었기에, 모든 것이

한꺼번에 빛과 드러나지 않는 밤 그 양쪽 모두로 같은 정도로

채워져 있으니, 어느 쪽으로도 아무것도 아닌 것을 넘어서서

있지 않기에 그러하다.


10.

 εἴσῃ δ᾿ αἰθερίαν τε φύσιν τά τ᾿ ἐν αἰθέρι πάντα

σήματα καὶ καθαρᾶς εὐαγέος ἠελίοιο

λαμπάδος ἔργ᾿ ἀίδηλα καὶ ὁππόθεν ἐξεγένοντο,

ἔργα τε κύκλωπος πεύσῃ περίφοιτα σελήνης

καὶ φύσιν, εἰδήσεις δὲ καὶ οὐρανὸν ἀμφὶς ἔχοντα

ἔνθεν [μὲν γὰρ] ἔφυ τε καὶ ὥς μιν ἄγουσ(α) ἐπέδησεν Ἀνάγκη

πείρατ᾿ ἔχειν ἄστρων.

 그대는 알게 될 것이다 에테르적 본성과 에테르 안의 모든

표지들 그리고 선명한 태양의 순수한 빛의 보이지 않는

일들을 그리고 어디로부터 생성되어 나왔는지를,

또한 원형의 달의 이동하는 일들과 본성을 들어 배울 것이고,

더 나아가 그대는 [그것들을] 에워싸는 상태인 하늘 또한

어디에서 자라났으며 어떻게 필연이 그것을 이끌어 

묶어 별들의 한계들을 지니도록 했는지를 알게 될 것이다.


11.

 πῶς γαῖα καὶ ἥλιος ἠδὲ σελήνη

αἰθήρ τε ξυνὸς γάλα τ᾿ οὐράνιον καὶ ὄλυμπος

ἔσχατος ἠδ᾿ ἄστρων θερμὸν μένος ὡρήθησαν

γίγνεσθαι.

 어떻게 대지와 태양 그리고 달과 공통의 에테르 

또한 천상의 은하와 극단의 올림포스 그리고 별들의

열을 내는 힘이 생성되도록 추동되었는지.


12.

 αἱ γὰρ στεινότεραι πλῆντο πυρὸς ἀκρήτοιο,

αἱ δ᾿ ἐπὶ ταῖς νυκτός, μετὰ δὲ φλογὸς ἵεται αἶσα·

ἐν δὲ μέσῳ τούτων δαίμων ἣ πάντα κυβερνᾷ·

πάντα γὰρ <ἣ> στυγεροῖο τόκου καὶ μίξιος ἄρχει

πέμπουσ᾿ ἄρσενι θῆλυ μιγῆν τό τ᾿ ἐναντίον αὖτις

ἄρσεν θηλυτέρῳ.

 왜냐하면 더 좁은 것들이 뒤섞이지 않은 불로 채워졌고,

이것들 다음의 것들은 밤으로 채워졌으며, 그런데 

그 사이에 화염의 일부가 방출된다. 그런데 이것들의 

중심에 모든 것들을 통솔하는 신령이 통솔하고 있다. 

왜냐하면 <그녀가> 모든 것들을 두고 끔찍한 출산과 

결합을 시작하기를 남성에게 여성을 또 반대로 다시 

남성을 여성에게 섞이도록 보내어서 그리하였다.

> 결합은 진리에 반하는 것. 그런데 결합은 

반대자(여/남 혹은 남/여)를 필요로 한다.  //201123


13.

 πρώτιστον μὲν Ἔρωτα θεῶν μητίσατο πάντων . . .

 모든 신들 중에서 가장 최초로 애욕을 고안하였노라 . . .


14.

 νυκτιφαὲς περὶ γαῖαν ἀλώμενον ἀλλότριον φῶς

 [달은] 밤에 빛나며 대지 지위를 배회하는 이질적인 빛

 - 본래의 순수한 빛, 불, 에테르와 구분된다는 의미에서 "이질적"인가?



15.

 αἰεὶ παπταίνουσα πρὸς αὐγὰς ἠελίοιο.

 [달이] 태양의 빛살을 영원히 주시하여.


[Coxon. 16.] ὑδατόριζον (sc. τὴν γῆν)

                물에 뿌리내린 (대지)


16.

 ὡς γὰρ ἕκαστος ἔχει[ἔχη] κρᾶσιν[κρῆσιν] μελέων πολυπλάγκτων,

τὼς νόος ἀνθρώποισι παρίσταται[παρέστηκεν]· τὸ γὰρ αὐτό

ἔστιν ὅπερ φρονέει μελέων φύσις ἀνθρώποισιν

καὶ πᾶσιν καὶ παντί· τὸ γὰρ πλέον ἐστὶ νόημα.

 왜냐하면 각자가 무척이나 방황하는 지체들의 혼합을

지니듯, 그렇게 지성이 인간들에게 곁하여 서기 때문이다.

즉 지체들의 본성이 사유하는 바로 그것은 인간들

전부에게도 또한 그 모두에게도 같은 것으로 있다. 

왜냐하면 더욱 큰 것이 사유로서 있기 때문이다.


17.

δεξιτεροῖσιν μὲν κούρους, λαιοῖσι δὲ κούρας . . .

오른편에는 소년들을, 왼편에는 소녀들을 . . .


18.

 femina virque simul Veneris cum germina miscent,

 venis informans diverso ex sanguine virtus

 temperiem servans bene condita corpora fingit.

 nam si virtutes permixto semine pugnent

 nec faciant unam permixto in corpore, dirae

 nascentem gemino vexabunt semine sexum.

 여성과 남성이 비너스의 씨앗을 함께 섞을 때,

 상반된 피로부터 정맥들을 형성하는 힘이 

 절제(중용)를 보존함으로써 훌륭하게 짜맞추어진 

 신체를 만든다. 왜냐하면 만일 정자가 혼화될 때

 힘들이 다투거나 혼화된 육체 안에서 하나(의 형상)를

 이루지 못한다면, 복수의 여신들이 태어나는

 성을 이중의 씨앗으로 뒤흔들 것이기 때문이다.


19.

οὕτω τοι κατὰ δόξαν ἔφυ τάδε καὶ νυν ἔασι

καὶ μετέπειτ᾿ ἀπὸ τοῦδε τελευτήσουσι τραφέντα·

τοῖς δ᾿ ὄνομ᾿ ἄνθρωποι κατέθεντ᾿ ἐπίσημον ἑκάστῳ.

그렇게 믿음에 따라 여기 이것들이 자라났고 지금 있으며

이후에도 여기 이것으로부터 양육받은 것들이 끝맺으리라.

그런데 인간들은 그것들 각각에 이름을 표식으로 부여하였다.


-蟲-

  1. 내 의지의 범위로는 능동, 그런데 옮겨지는 것 자체는 수동. [본문으로]
  2. 논란이 많다기 보다는 이후 논의 전개로 보면 귀류법적 논증들의 다양성을 표현하는 것일 수도. 혹은 사람들의 언급이 많이 있어 왔다. [본문으로]
  3. 여기까지 논의가 인간계의 믿음들이 난립하는 단계인지, 혹은 아는 자에 어울리는 진리와 그 진리의 증명들의 길인지. [본문으로]
  4. 밤에서 새벽으로 나아가면서 태양의 딸들이 빛으로 드러나는 상황? 무지에서 앎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묘사하고 있는가? [본문으로]
  5. 보복의 의미는? 있는 것은 있고 없는 것은 없다와 관련? 혹시 밤은 밤이고 낮은 낮인 것도? 경계를 넘나드는 것은 위험하다는 생각? 아낙시만드로스, 밤과 낮 그리고 계절의 변화에서 어둠이 잠식하면 이에 따른 응보로 빛이 압도, 빛이 압도하면 다시 이 응보로 어둠에 잠식. [본문으로]
  6. 정의가 왜 설득의 대상인가? 그리고 이 시점이 어둠에서 빛으로 날이 밝는 자연스러운 시점이기에 문이 열리는 것인가? 이 자연스러운 흐름이 진실이기에 이것을 설득시키는 것은 진실을 납득시키는 것이라고 볼 여지도... By Lee. [본문으로]
  7. 여기서 be 동사 첫 등장. 여신에 이른 길을 가리키는데, 정확히 진리의 길이기만 해서? 여기에서 be 동사 용법이 완전용법인가, 불완전인가? [본문으로]
  8. by Lee. Coxon의 경우 단편1 다음에 붙임. 진리의 길과 판단의 길의 출발점, 갈림길이 출발점이자 돌아오는 지점일 수 있을까? 그 경우 돌아오게 되는 이유, 양쪽 길의 공통점은 einai, 또는 둘 모두 여신의 말이라는 의미에서 그 옳음, 참이라고 할 수 있을까? 그러나 나는 be와 not be 갈림길, 또는 be의 진리의 길에 붙어야 할 듯. 혹은 단편 3에 이어서 사유에서 존재로 가든 존재에서 사유로 가든 되돌아온다는 것으로도 읽을 수 있지 않을까? [본문으로]
  9. This, First, Enquiry, way. 서로 여러 조합 가능. [본문으로]
  10. 33행 '불완전한 것이라는 것은 법도가 아니다'와 충돌 문제. [본문으로]
  11. by Lee. 헤라클레이토스를 저격하느라고 불을 끄는 식의 구상적 표현을 사용한 것일지도 모른다. [본문으로]
  12. "다가간다"가 장소 이동을 떠올리게 된다면 일관성이 떨어지지 않겠는가? A가 있다는 것과 B가 있다는 것 등등의 여러 있다들이 서로 유사한 의미로 통합되는 그림? 아니면 이미 있는 것이 연속적으로 함께 있는 상태를 달리 표현한 것? [본문으로]

Λεκτέον δὲ πότερον μιᾶς ἢ ἑτέρας ἐπιστήμης περί τε

τῶν ἐν τοῖς μαθήμασι καλουμένων ἀξιωμάτων καὶ περὶ                            20

τῆς οὐσίας. φανερὸν δὴ ὅτι μιᾶς τε καὶ τῆς τοῦ φιλοσόφου

καὶ ἡ περὶ τούτων ἐστὶ σκέψις· ἅπασι γὰρ ὑπάρχει τοῖς

οὖσιν ἀλλ᾿ οὐ γένει τινὶ χωρὶς ἰδίᾳ τῶν ἄλλων. καὶ χρῶν-

ται μὲν πάντες, ὅτι τοῦ ὄντος ἐστὶν ᾗ ὄν, ἕκαστον δὲ τὸ γένος

ὄν· ἐπὶ τοσοῦτον δὲ χρῶνται ἐφ᾿ ὅσον αὐτοῖς ἱκανόν, τοῦτο                       25

δ᾿ ἔστιν ὅσον ἐπέχει τὸ γένος περὶ οὗ φέρουσι τὰς ἀποδεὶ-

ξεις· ὥστ᾿ ἐπεὶ δῆλον ὅτι ᾗ ὄντα ὑπάρχει πᾶσι (τοῦτο γὰρ

αὐτοῖς τὸ κοινόν), τοῦ περὶ τὸ ὂν ᾗ ὂν γνωρίζοντος καὶ περὶ

τούτων ἐστὶν ἡ θεωρία. 

그런데 수학에서 공리라 불리는 것들에 관련하여서도 또 실체에

관련하여서도 단일한 학문에 속하는지 다른 학문에 속하는지

진술되어야만 한다. 그럼 이것들에 대한 탐구도 단일한 학문에 

속하며 또한 철학자의 탐구라는 점이 명백하다. 왜냐하면 

통틀어 모든 실체들에 [공리들이] 성립하지만 그 외의 것들과 

독립적으로 특정한 개별적 유에 성립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또한 

모든 이들이 공리들을 사용하는데, 이는 공리들은 있는 것인 

한에서의 있는 것에 속하고, 유는 각각의 것으로서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들은 공리들을 그들이 사용하여 닿기에 충분한

그 만큼의 범위에서 사용하고, 이는 그들이 그와 관련하여 

증명들을 제시하는 그 유가 적용되는 만큼의 범위이다. 그래서

있는 것들인 한에서 공리들이 모든 것들에 성립한다는 것이 

분명하기에 (즉 이런 것이 그것들에 공통된 것이니까), 있는 것인 

한에서의 있는 것에 관련하여 그리고 그 공리들에 관련하여 

아는 자에게 그 관조가 속해 있는 것이다. 

                                διόπερ οὐθεὶς τῶν κατὰ μέρος ἐπισκο-

πούντων ἐγχειρεῖ λέγειν τι περὶ αὐτῶν, εἰ ἀληθῆ ἢ μή,                               30

οὔτε γεωμέτρης οὔτ᾿ ἀριθμητικός, ἀλλὰ τῶν φυσικῶν ἔνιοι,

εἰκότως τοῦτο δρῶντες· μόνοι γὰρ ᾤοντο περὶ τε τῆς ὅλης

φύσεως σκοπεῖν καὶ περὶ τοῦ ὄντος. ἐπεὶ δ᾿ ἔστιν ἔτι τοῦ

φυσικοῦ τις ἀνωτέρω (ἓν γάρ τι γένος τοῦ ὄντος ἡ φύσις),

τοῦ καθόλου καὶ τοῦ περὶ τὴν πρώτην οὐσίαν θεωρητικοῦ καὶ ἡ                 35

περὶ τούτων ἂν εἴη σκέψις· ἔστι δὲ σοφία τις καὶ ἡ φυ-                     1005b1

σική, ἀλλ᾿ οὐ πρώτη. ὅσα δὲ ἐγχειροῦσι τῶν λεγόντων τινὲς

περὶ τῆς ἀληθείας ὃν τρόπον δεῖ ἀποδέχεσθαι, δι᾿ ἀπαι-

δευσίαν τῶν ἀναλυτικῶν τοῦτο δρῶσιν· δεῖ γὰρ περὶ τούτων

ἥκειν προεπισταμένους ἀλλὰ μὴ ἀκούοντας ζητεῖν. 

                                 바로 이런 이유로 부분에 따라 고찰하는 

자들 중 그 누구 하나 공리들에 관련하여 뭐라도, 참인지 거짓인지 

여부를, 논하는 일에 손을 대지 않는데, 기하학자도 산술가도 

손대지 않고, 오히려 자연학자들 중 일부 사람들이 손을 대며, 

이를 그럴 듯하게 수행한다. 왜냐하면 이들만이 자연 전체 관해서도 

또 있는 것에 관해서도 고찰하는 일을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자연학자보다 더 상위의 특정한 탐구자가 있기에 (자연은 

있는 것의 특정한 한 유이니까), 보편 이론가이자 제일 실체에 관한 

이론가에게 공리들에 관련한 탐구 역시 속할 것이다. 그런데 

자연학적 지혜도 특정한 지혜이지, 제일의 지혜는 아니다. 

[자연학을] 말하는 자들 중 어떤 자들이 그 진리에 관련하여 

받아들여져야 하는 그 방식에 손대는 그런 모든 일들의 경우, 

그들은 분석들에 대해 교육받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런 일을 

수행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 분석들에 관련하여 미리 아는 

자들이 나아가야 하지 들어 배우지 못한 자들이 탐구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ὅτι μὲν                          5

οὖν τοῦ φιλοσόφου, καὶ τοῦ περὶ πάσης τῆς οὐσίας θεωροῦντος

ᾗ πέφυκεν, καὶ περὶ τῶν συλλογιστικῶν ἀρχῶν ἐστὶν ἐπι-

σκέψασθαι, δῆλον· προσήκει δὲ τὸν μάλιστα γνωρίζοντα

περὶ ἕκαστον γένος ἔχειν λέγειν τὰς βεβαιοτάτας ἀρχὰς

τοῦ πράγματος, ὥστε καὶ τὸν περὶ τῶν ὄντων ᾗ ὄντα τὰς                           10

πάντων βεβαιοτάτας. ἔστι δ᾿ οὗτος ὁ φιλόσοφος. βεβαιο-

τάτη δ᾿ ἀρχὴ πασῶν περὶ ἣν διαψευσθῆναι ἀδύνατον·

γνωριμωτάτην τε γὰρ ἀναγκαῖον εἶναι τὴν τοιαύτην (περὶ

γὰρ ἃ μὴ γνωρίζουσιν ἀπατῶνται πάντες) καὶ ἀνυπόθετον.

                                                                    그러므로

철학자에, 그리고 본래적인 한에서의 모든 실체에 관련하여 

관조하는 자에게, 추론 원리들에 관련하려 관조하는 일 역시 

속한다는 점은, 분명하다. 그런데 각각의 유에 관련하여 가장 잘

아는 자가 해당 사안의 가장 엄밀한 원리들을 진술할 수 있다는

것이 적절하고, 그래서 있는 것들인 한에서의 있는 것들에 관련하여

가장 잘 아는 자가 또한 모든 것들의(중?) 가장 엄밀한 원리들을

말할 수 있다는 것이 적절하다. 그런데 철학자가 이러한 자이다.

모든 원리들 중 가장 엄밀한 원리는 그것에 관련하여 거짓되는

일이 불가능한 것이다. 왜냐하면 이러한 원리가 가장 분명하게

알려지는 원리로 (왜냐하면 알지 못하는 것들에 관련하여서는

모든 이들이 기만당하기에) 또한 무전제적인 것으로 있음이 

필연적이기 때문이다.

ἣν γὰρ ἀναγκαῖον ἔχειν τὸν ὁτιοῦν ξυνιέντα τῶν ὄντων, τοῦτο                    15

οὐχ ὑπόθεσις· ὃ δὲ γνωρίζειν ἀναγκαῖον τῷ ὁτιοῦν γνωρί-

ζοντι, καὶ ἥκειν ἔχοντα ἀναγκαῖον. ὅτι μὲν οὖν ἡ τοιαύτη

πασῶν βεβαιοτάτη ἀρχή, δῆλον· τίς δ᾿ ἔστιν αὕτη, μετὰ

ταῦτα λέγωμεν. τὸ γὰρ αὐτὸ ἅμα ὑπάρχειν καὶ μὴ

ὑπάρχειν ἀδύνατον τῷ αὐτῷ καὶ κατὰ τὸ αὐτό―καὶ ὅσα                             20

ἄλλα προσδιορισαίμεθ᾿ ἄν, ἔστω τὰ προδιωρισμένα πρὸς τὰς

λογικὰς δυσχερείας· αὕτη δ᾿ ἁπασῶν ἐστὶ βεβαιοτάτη τῶν

ἀρχῶν· ἔχει γὰρ τὸν εἰρημένον διορισμόν. ἀδύνατον γὰρ

ὁντινοῦν ταὐτὸ ὑπολαμβάνειν εἶναι καὶ μὴ εἶναι, καθάπερ

τινὲς οἴονται λέγειν Ἡράκλειτον. 

누구든 있는 것들 중 그 무엇이 되었든지 간에 그것을 아는

자가 필연적으로 지녀야만 하는 원리, 이러한 것은 가정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런데 무엇이 되었든지 간에 그것을 아는

자가 필연적으로 알아야만 하는 것, 그것을 가진 자가 또한

나아가는 것이 필연적이다. 그러므로 모든 원리들 중 이러한

원리가 가장 엄밀한 원리라는 점은, 분명하다. 그런데 이러한

원리가 무엇인지, 그것을 이 다음으로 진술해 보도록 하자.

이는 즉 같은 것이 같은 것에게 같은 것에 따라서 성립하는

동시에 성립하지 않기란 불가능하다는 원리이다.―우리가 

추가로 정의할 수 있을 다른 것들의 경우에도, 미리 정의된

것들로서 논리적 난제들에 대항하여(관계되어) 있다고 하자. 

그런데 이 원리가 통틀어 모든 원리들 중 가장 확고한 것이다. 

왜냐하면 앞서 언급된 정의가 성립하기 때문이다. 즉 

그 누가 되었든지 간에 같은 것을 있으며 있지 않다고, 마치 

어떤 이들이 헤라클레이토스가 그리 진술한다고 생각하는 것처럼, 

그렇게 간주하는 일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οὐκ ἔστι γὰρ ἀναγκαῖον,                           25

ἅ τις λέγει, ταῦτα καὶ ὑπολαμβάνειν· εἰ δὲ μὴ ἐνδέχε-

ται ἅμα ὑπάρχειν τῷ αὐτῷ τὰ ἐναντία (προσδιωρίσθω δ᾿

ἡμῖν καὶ ταύτῃ τῇ προτάσει τὰ εἰωθότα), ἐναντία δ᾿ ἐστὶ

δόξα δόξῃ ἡ τῆς ἀντιφάσεως, φανερὸν ὅτι ἀδύνατον ἅμα

ὑπολαμβάνειν τὸν αὐτὸν εἶναι καὶ μὴ εἶναι τὸ αὐτό· ἅμα                             30

γὰρ ἂν ἔχοι τὰς ἐναντίας δόξας ὁ διεψευσμένος περὶ τού-

του. διὸ πάντες ἀποδεικνύντες εἰς ταύτην ἀνάγουσιν

ἐσχάτην δόξαν· φύσει γὰρ ἀρχὴ καὶ τῶν ἄλλων ἀξιω-

μάτων αὕτη πάντων.

                                          누군가가 진술하는 것들을 

또한 [그렇다고] 간주하기까지 하는 게 필연적이지는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만일 반대자들이 같은 것에 동시에 성립하는 

일이 허용되지 않는다면 (우리에 의해 이러한 전건/명제에도 

익숙한 규정들이 추가로 정의되어 있다고 치자.), 그런데 한

믿음에 모순된 주장에 대한 믿음이 그 믿음에 반대되는 

믿음이라면, 같은 사람이 같은 것을 동시에 있으면서 또한 

있지 않다고 간주하기란 불가능하다는 점이 명백하다. 왜냐하면 

이 점에 관련하여 거짓에 빠진 자는 반대되는 믿음들을 

동시에 지닐 것이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증명을 수행하는

모든 이들이 이러한 극단의 믿음으로 [증명을] 환원시키는 

것이다. 왜냐하면 여타의 모든 공리들에 대해서도 원리는

자연적으로 이런 것이기 때문이다.



-蟲-

ΣΩ. Ὦ φίλε Πάν τε καὶ ἄλλοι ὅσοι τῇδε θεοί, δοίητέ

μοι καλῷ γενέσθαι τἄνδοθεν· ἔξωθεν δὲ ὅσα ἔχω, τοῖς ἐντὸς

εἶναί μοι φίλια. πλούσιον δὲ νομίζοιμι τὸν σοφόν· τὸ δὲ

χρυσοῦ πλῆθος εἴη μοι ὅσον μήτε φέρειν μήτε ἄγειν δύναιτο

ἄλλος ἢ ὁ σώφρων.


소크라테스: 친애하는 판과 또 여기 다른 신들이시여, 저에게 

안으로부터 아름다운 자가 됨을 허하여 주소서. 밖으로 제가 

지닌 것들이, 제 안의 것들과 우애롭게 있기를 제게 허하여 

주소서. 제가 현명한 자를 부유한 자로 여기기를 바라오며, 

지혜로운 자 말고 다른 이는 나르지도 이끌지도 못할 만큼의 

차고 넘치는 황금이 제게 있기를 바라나이다.


-蟲-

               

1.


Ἔστιν ἐπιστήμη τις ἣ θεωρεῖ τὸ ὂν ᾖ ὂν καὶ τὰ τούτῳ               1003a21

ὑπάρχοντα καθ᾿ αὑτό. αὕτη δ᾿ ἐστὶν οὐδεμιᾷ τῶν ἐν μέρει

λεγομένων ἡ αὐτή· οὐδεμία γὰρ τῶν ἄλλων ἐπισκοπεῖ

καθόλου περὶ τοῦ ὄντος ᾗ ὂν, ἀλλὰ μέρος αὐτοῦ τι ἀποτε-

μόμεναι περὶ τούτου θεωροῦσι τὸ συμβεβηκός, οἷον αἱ μαθη-             25

ματικαὶ τῶν ἐπιστημῶν. ἐπεὶ δὲ τὰς ἀρχὰς καὶ τὰς ἀκρο-

τάτας αἰτίας ζητοῦμεν, δῆλον ὡς φύσεώς τινος αὐτὰς

ἀναγκαῖον εἶναι καθ᾿ αὑτήν. εἰ οὖν καὶ οἱ τὰ στοιχεῖα τῶν

ὄντων ζητοῦντες ταύτας τὰς ἀρχὰς ἐζήτουν, ἀνάγκη καὶ τὰ

στοιχεῖα τοῦ ὄντος εἶναι μὴ κατὰ συμβεβηκὸς ἀλλ᾿ ᾗ                         30

ὄν· διὸ καὶ ἡμῖν τοῦ ὄντος ᾗ ὂν τὰς πρώτας αἰτίας

ληπτέον.

있는 것인 한에서의 있는 것과 이러한 것에 자체적으로

성립하는 것들을 관조하는 특정한 학문이 있다. 그런데

부분적으로 진술되는 학문들 중 단 하나와도 같지 않은

학문이 이러한 학문으로서 있다. 왜냐하면 여타의 지식들

중 단 하나도 있는 것인 한에서의 있는 것에 관하여 

보편적으로 고찰하지 않고, 오히려 그것의 특정 부분을

분리시킴으로써 이것에 관련하여 부수적인 것을 관조하니,

예를 들어 학문들 중에서 수학적 학문들이 그렇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리는 원리들과 최고 원인들을 탐구하기에,

그것들이 그 자체로서 특정 자연 본성에 속하여 있음이

필연적임은 분명하다. 그러므로 만일 있는 것들의 원소들을

탐구하는 자들 또한 이러한 원리들을 탐구했다면,

있는 것의 원소들 또한 부수적인 방식이 아니라 있는 것인

한에서 있음이 필연적이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는 있는 것인

한에서의 있는 것의 제일 원인들을 파악해야만 한다.


- καθ᾿ αὑτήν: phusis 수식? 아니면 원리와 원인 수식?

1) 특정 자연 본성의 원리와 원인이 자체적으로 있음이

필연적임은 분명하다.

2a) 그 원리와 원인이 자체적인 특정 자연 본성에 속하여

있음이 필연적임은 분명하다.

2b) 그 원리와 원인이 자체적으로 특정 자연 본성에

속하여 있음이 필연적임은 분명하다.

= 어쨌든 어떤 특정한 본성을 지닌 대상(주제)에

   지금의 탐구대상인 최고원리/원인이 귀속된다는 얘기일 듯.


있는 것의 원소들을 탐구하던 애들이 원리들을 탐구했다면,

그 원소들 역시 있는 한에서의 있는 것에 속해 있다는 게 필연적이다.

이런 이유로 우리도 있는 한에서의 있는 것의 제일원인을 파악해야 한다. 


아르케는 자체적 자연에 속해야 한다.

원소 탐구자가 아르케를 탐구했다면, 원소도 자체적 있는 것(자연)에 속해야 한다.

우리는 아르케 탐구하니까, 자체적 있는 것의 원인을 탐구해야 한다.


2.


Τὸ δὲ ὂν λέγεται μὲν πολλαχῶς, ἀλλὰ πρὸς ἕν καὶ

μίαν τινὰ φύσιν καὶ οὐχ ὁμωνύμως, ἀλλ᾿ ὥσπερ καὶ τὸ

ὑγιεινὸν ἅπαν πρὸς ὑγίειαν, τὸ μὲν τῷ φυλάττειν τὸ δὲ                       35

τῷ ποιεῖν τὸ δὲ τῷ σημεῖον εἶναι τῆς ὑγιείας τὸ δ᾿ ὅτι

δεκτικὸν αὐτῆς, καὶ τὸ ἰατρικὸν πρὸς ἰατρικήν (τὸ μὲν               1003b1

γὰρ τῷ ἔχειν ἰατρικὴν λέγεται ἰατρικὸν τὸ δὲ τῷ εὐφυὲς

εἶναι πρὸς αὐτὴν τὸ δὲ τῷ ἔργον εἶναι τῆς ἰατρικῆς),

ὁμοιοτρόπως δὲ καὶ ἄλλα ληψόεμθα λεγόμενα τού-

τοις, οὕτω δὲ καὶ τὸ ὂν λέγεται πολλαχῶς μὲν ἀλλ᾿                           5

ἅπᾶν πρὸς μίαν ἀρχήν· τὰ μὲν γὰρ ὅτι οὐσίαι, ὄντα λέ-

γεται, τὰ δ᾿ ὅτι πάθη οὐσίας, τὰ δ᾿ ὅτι ὁδὸς εἰς οὐσίαν ἢ

φθοραὶ ἢ στερήσεις ἢ ποιότητες ἢ ποιητικὰ ἢ γεννητικὰ

οὐσίας ἢ τῶν πρὸς τὴν οὐσίαν λεγομένων, ἢ τούτων τινὸς

ἀποφάσεις ἢ οὐσίας· διὸ καὶ τὸ μὴ ὂν εἶναι μὴ ὄν φαμεν.                    10

그런데 있는 것은 한편으로 여러 가지로 진술되지만, 그러나

하나에 대해 그리고 특정한 단일한 본성에 대해 또한

동음이의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진술되며, 오히려 마치 모든

건강한 것이 건강에 대해 진술되는데, 건강을 지킴으로써

건강한 것과 건강을 만듦으로써 건강한 것 그리고 건강의 

증상으로 있음으로써 건강한 것과 건강의 수용자라는 점에서 

건강한 것이 건강에 속해 있다고 진술되는 것처럼, 그리고 

의학적인 것도 의술에 대해서 그리 진술되며(즉 의술을 

지님으로써 의학적인 것그 기술에 대한 숙련으로써 의학적인 것과 

또 의술의 결과로 있다는 점에서 의학적인 것이 진술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여타의 것들도 우리는 이런 측면들에서 

진술되는 것들로 파악할 것이고, 그런 식으로 있는 것 또한 여러 가지 

방식으로 진술되지만 그 모든 것들이 단일한 원리에 대해 진술된다. 

즉 어떤 것들은 실체들이라는 점에서, 있는 것들로 진술되고, 어떤 것들은 

실체의 양태들이라는 점에서, 또 어떤 것들은 실체를 향한 경로나 

소멸 또는 결여나 성질 혹은 실체의 제작자나 산출자 혹은 

실체에 대해 진술되는 것들의 제작자나 산출자, 또는 이것들에 대한 

특정 부정이나 실체의 부정이라는 점에서 있는 것들로 진술된다. 

이런 이유로 우리는 있지 않은 것도 있지 않은 것으로서 있다고 주장한다.

καθάπερ οὖν καὶ τῶν ὑγιεινῶν ἁπάντων μία ἐπιστήμη ἔστιν,

ὁμοίως τοῦτο καὶ ἐπὶ τῶν ἄλλων. οὐ γὰρ μόνον τῶν καθ᾿

ἓν λεγομένων ἐπιστήμης ἐστὶ θεωρῆσαι μιᾶς ἀλλὰ καὶ τῶν

πρὸς μίαν λεγομένων φύσιν· καὶ γὰρ ταῦτα τρόπον τινὰ

λέγεται καθ᾿ ἕν. δῆλον οὖν ὅτι καὶ τὰ ὄντα μιᾶς θεωρῆσαι                  15

ᾗ ὄντα. πανταχοῦ δὲ κυρίως τοῦ πρώτου ἡ ἐπιστήμη, καὶ ἐξ

οὗ τὰ ἄλλα ἤρτηται, καὶ δι᾿ ὃ λέγονται. εἰ οὖν τοῦτ᾿ ἐστὶν ἡ

οὐσία, τῶν οὐσιῶν ἂν δέοι τὰς ἀρχὰς καὶ τὰς αἰτίας ἔχειν

τὸν φιλόσοφον. [ἅπαντος δὲ γένους καὶ αἴσθησις μία ἑνὸς          1003b19 

καὶ ἐπιστήμη, οἷον γραμματικὴ μία οὖσα πάσας θεωρεῖ             1003b20

τὰς φωνάς· διὸ καὶ τοῦ ὄντος ὅσα εἴδη θεωρῆσαι μιᾶς               1003b21

ἐστὶν ἐπιστήμης τῷ γένει, τά τε εἴδη τῶν εἰδῶν.]                       1003b22 

그러므로 모든 건강한 것들에 대해서도 단일한 학문이 있는

것처럼, 마찬가지로 여타의 것들을 두고서도 이러하다.

왜냐하면 하나에 따라 진술되는 것들에 대해서만

관조하는 일이 단일한 학문에 속하여 있는 것이 아니라

단일한 본성에 대해서 진술되는 것들에 대해서도 그렇기

때문이다. 이것들도 특정 방식에서 하나에 따라 진술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있는 것들 또한 그것들을 있는 것들인 한에서 

관조하는 일이 단일한 학문에 속한다는 점이 분명하다.

그런데 모든 방면에서 학문은 주로 첫 번째 것에, 즉 여타의

것들이 그것에 달려 있는 바의 것이자, 그것을 통해 진술되는

바의 것에 속해 있다. 그러므로 만일 실체가 이러한 것이라면,

철학자는 실체들의 원리들과 원인들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 통틀어 모든 유에 대한 지각도 학문도 단일한 유에

단일한 지각/학문이 속하는 바, 예를 들어 문법학은 단일한

것으로 있고서 모든 음성들을 관조한다. 이런 이유로 있는 것에

대해서도 그 종들로서 있는 것들을 관조하는 일은 유적으로

단일한 학문에 속하여 있으며, 그 [있는 것들의] 종들에 대해

[학문의] 종들이 있기도 하다.]                                                               //200811

                                                                εἰ δὴ τὸ           1003b22

ὂν καὶ τὸ ἓν ταὐτὸν καὶ μία φύσις τῷ ἀκολουθεῖν ἀλλή-

λοις ὥσπερ ἀρχὴ καὶ αἴτιον, ἀλλ᾿ οὐχ ὡς ἑνὶ λόγῳ δηλού-

μενα (διαφέρει δὲ οὐθὲν οὐδ᾿ ἂν ὁμοίως ὑπολάβωμεν, ἀλλὰ                25

καὶ πρὸ ἔργου μᾶλλον)· ― ταὐτὸ γὰρ εἷς ἄνθρωπος καὶ ὢν

ἄνθρωπος καὶ ἄνθρωπος, καὶ οὐχ ἕτερόν τι δηλοῖ κατὰ τὴν λέξιν

ἐπαναδιπλούμενον τὸ ἐστὶν ὁ ἄνθρωπος καὶ ἄνθρωπος καὶ εἷς

ἄνθρωπος· δῆλον δ᾿ ὅτι οὐ χωρίζεται οὔτ᾿ ἐπὶ γενέσεως οὔτ᾿

ἐπὶ φθορᾶς, ὁμοίως δὲ καὶ ἐπὶ τοῦ ἑνός, ὥστε φανερὸν ὅτι                  30

ἡ πρόσθεσις ἐν τούτοις ταὐτὸ δηλοῖ, καὶ οὐδὲν ἕτερον τὸ ἓν

παρὰ τὸ ὄν· ἔτι δ᾿ ἡ ἑκάστου οὐσία ἕν ἐστιν οὐ κατὰ συμβε-

βηκός, ὁμοίως δὲ καὶ ὅπερ ὄν τι· ὥσθ᾿ ὅσαπερ τοῦ ἑνὸς

εἴδη, τοσαῦτα καὶ τοῦ ὄντος ἐστί· περὶ ὧν τὸ τί ἐστι τῆς

αὐτῆς ἐπιστήμης τῷ γένει θεωρῆσαι, λέγω δ᾿ οἷον περὶ                      35

ταὐτοῦ καὶ ὁμοίωου καὶ τῶν ἄλλων τῶν τοιούτων. σχεδὸν δὲ

πάντα ἀνάγεται τἀναντία εἰς τὴν ἀρχὴν ταύτην· τεθεώ-             1004a1

ρηται δ᾿ ἡμῖν ταῦτα ἐν τῇ ἐκλογῇ τῶν ἐναντίων.

                                                                   그래서 만일 

있는 것과 하나가 마치 원리와 원인처럼 서로 함축함으로써 같은 

것이자 단일한 본성이라면, 단일한 논리로 설명되는 것들이기에 

그런 것은 아니다 (그런데 우리가 마찬가지로 간주한다 하더라도 

아무런 차이도 없을 것이며, 오히려 실제로도 더욱 그럴 것이다.) 

― 왜냐하면 한 사람과 있는 사람 그리고 사람은 같은 것이고, 

"그 사람이 사람으로도 또 한 사람으로도 있다"라고 표현상으로 

다시 중복됨으로써 무언가 다른 것을 알려주지도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생성을 두고도 소멸을 두고도 분리되지 않고, 

마찬가지로 하나를 두고도 그렇다는 것이 분명하고, 그래서 이런 

경우들에서 그 추가가 같은 것을 알려준다는 점이 명백하고,

하나가 있는 것 외에 다른 아무것도 아니기도 하다. 더욱이 각각의

것의 실체는 하나이되 부수적으로 그러한 것이 아니며, 마찬가지로

그것이 무엇으로 있는 바 바로 그것 또한 그러하다. 그래서

하나의 것의 종들인 바, 그만큼의 것들은 있는 것에 대해서도

[종들로서] 있다. 그것들에 관하여 무엇으로 있는지 관조하는 일은

유적으로 같은 학문에 속하는데, 나는 이를 테면 같은 것 그리고

유사한 것 또한 이러한 여타의 것들에 관련하여 그렇게 말한다.

그런데 거의 모든 반대쌍들이 같은 원리로 소급된다. 이러한 것들은

우리에 의해 반대쌍들에 대한 선별에서 관조되었다.

<ἅπαντος δὲ γένους καὶ αἴσθησις μία ἑνὸς                              1003b19

καὶ ἐπιστήμη, οἷον γραμματικὴ μία οὖσα πάσας θεωρεῖ             1003b20

τὰς φωνάς· διὸ καὶ τοῦ ὄντος ὅσα εἴδη θεωρῆσαι μιᾶς               1003b21

ἐστὶν ἐπιστήμης τῷ γένει, τά τε εἴδη τῶν εἰδῶν.>                      1003b22

<그런데 통틀어 모든 유에 대한 지각도 학문도 단일한 유에

단일한 지각/학문이 속하는 바, 예를 들어 문법학은 단일한

것으로 있고서 모든 음성들을 관조한다. 이런 이유로 있는 것에

대해서도 그 종들로서 있는 것들을 관조하는 일은 유적으로

단일한 학문에 속하여 있으며, 그 [있는 것들의] 종들에 대해

[학문의] 종들이 있기도 하다.>

καὶ τοσαῦτα μέρη φιλοσοφίας ἔστιν ὅσαιπερ αἱ οὐσίαι· ὥστε      1004a3

ἀναγκαῖον εἶναι τινα πρώτην καὶ ἐχομένην αὐτῶν. ὑπάρ-

χει γὰρ εὐθὺς γένη ἔχοντα τὸ ὂν καὶ τὸ ἕν· διὸ καὶ                            5

ἐπιστήμαι ἀκολουθήσουσι τούτοις. ἔστι γὰρ ὁ φιλόσοφος

ὥσπερ ὁ μαθηματικὸς λεγόμενος· καὶ γὰρ αὕτη ἔχει

μέρη, καὶ πρώτη τις καὶ δευτέρα ἔστιν ἐπιστήμη καὶ ἄλλαι

ἐφεξῆς ἐν τοῖς μαθήμασιν. ἐπεὶ δὲ μιᾶς τὰ ἀντικείμενα

θεωρῆσαι, τῷ δὲ ἑνὶ ἀντίκειται πλῆθος (ἀπόφασιν δὲ καὶ                    10

στέρησιν μιᾶς ἐστὶ θεωρῆσαι διὰ τὸ ἀμφοτέρως θεωρεῖσθαι

τὸ ἓν οὗ ἡ ἀπόφασις ἢ ἡ στέρησις ― ἡ ἁπλῶς λεγομένη

ὅτι οὐχ ὑπάρχει ἐκείνῳ, ἢ τινι γένει· ἔνθα μὲν οὖν τῷ ἑνὶ

ἡ διαφορὰ πρόσεστι παρὰ τὸ ἐν τῇ ἀποφάσει, ἀπουσία γὰρ

ἡ ἀπόφασις ἐκείνου ἐστίν, ἐν δὲ τῇ στερήσει καὶ ὑποκει-                     15

μένη τις φύσις γίνεται καθ᾿ ἧς λέγεται ἡ στέρησις) τῷ

δ᾿ ἑνὶ πλῆθος ἀντίκειται, ὥστε καὶ τὰ ἀντικείμενα τοῖς εἰρη-

μένοις, τό τε ἕτερον καὶ ἀνόμοιον καὶ ἄνισον καὶ ὅσα

ἄλλα λέγεται ἢ κατὰ ταῦτα ἢ κατὰ πλῆθος καὶ τὸ ἕν,

τῆς εἰρημένης γνωρίζειν ἐπιστήμης·                                                20

그리고 실체들이 있는 바로 그 만큼의 철학의 부분들이 있다. 

그래서 그것들 중 특정한 제일 실체와 이어지는 실체가 있음이

필연적이다. 왜냐하면 있는 것과 하나가 즉각적인 상태의

유들로서 성립하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학문들도 이러한

것들에 함축된다. 왜냐하면 철학자는 마치 수학자라 말해지는

자와 같이 있기 때문이다. 즉 이 학문이 부분들을 지니고,

수학적 학문들 내에 특정한 제일 학문과 제이 학문 그리고 여타의

것들이 차례대로 있는 것이다. 그런데 대립되는 것들을 관조하는

일이 단일한 학문에 속하여 있고, 복수가 하나에 대립되며

(그런데 부정과 결여를 관조하는 일은 부정이나 결여가 그에

대한 것인 바 하나가 그 양쪽 방식으로 관조된다는 점으로 인해

단일한 학문에 속한다. ― 저 하나에게 성립하지 않는다고 

단적으로 말해지거나, 아니면 [하나의] 특정한 유에게 성립하지 

않는다고 말해진다. 그러므로 저기에서 하나에게는 부정에서의

하나에 비해 차이가 추가되는데, 왜냐하면 저 하나에 대한 부정이

부재(비실체)로서 있고, 그 결여 내에서 결여가 그에 대해 진술되는

특정한 본성이 성립하여 있기도 한 것으로서 생겨나기 때문이다.) 

그런데 하나에 복수가 대립되기에, 그래서 이야기된 것들에 대한 

대립자들 또한, 즉 다른 것도 비-유사한 것도 비-동등한 것도 그리고 

이런 것들에 따라서든 복수와 하나에 따라서든 진술되는 여타의 

것들도, 이를 아는 것이 [앞서] 언급된 학문에 속한다. 

                                               ὧν ἕν τι καὶ ἡ ἐναντιό-                 20

της ἐστίν· διαφορὰ γάρ τις ἡ ἐναντιότης, ἡ δὲ διαφορὰ ἑτερό-

της. ὥστ᾿ ἐπειδὴ πολλαχῶς τὸ ἓν λέγεται, καὶ ταῦτα πολ-

λαχῶς μὲν λεχθήσεται, ὅμως δὲ μιᾶς ἅπαντα γνωρίζειν ἐστίν·

οὐ γὰρ εἰ πολλαχῶς, ἑτέρας, ἀλλ᾿ εἰ μήτε καθ᾿ ἓν μήτε πρὸς ἓν

οἱ λόγοι ἀναφέρονται, τότε ἑτέρας. ἐπεὶ δὲ πάντα πρὸς τὸ πρῶ-           25

τον ἀναφέρεται, οἷον ὅσα ἓν λέγεται πρὸς τὸ πρῶτον ἕν,

ὡσαύτως φατέον καὶ περὶ ταὐτοῦ καὶ ἑτέρου καὶ τῶν ἐναντίων

ἔχειν· ὥστε διελόμενον ποσαχῶς λέγεται ἕκαστον, οὕτως ἀπο-

δοτέον πρὸς τὸ πρῶτον ἐν ἑκάστῃ κατηγορίᾳ πῶς πρὸς ἐκεῖνο

λέγεται· τὰ μὲν γὰρ τῷ ἔχειν ἐκεῖνο τὰ δὲ τῷ ποιεῖν τὰ                       30 //200818

δὲ κατ᾿ ἄλλους λεχθήσεται τοιούτους τρόπους. φανερὸν

οὖν ὅπερ ἐν ταῖς ἀπορίαις ἐλέχθη ὅτι μιᾶς περὶ τού-

των καὶ τῆς οὐσίας ἐστὶ λόγον ἔχειν [τοῦτο δ᾿ ἦν ἓν

τῶν ἐν τοῖς ἀπορήμασιν], καὶ ἔστι τοῦ φιλοσόφου περὶ πάν-

των δύνασθαι θεωρεῖν. εἰ γὰρ μὴ τοῦ φιλοσόφου, τίς ἔσται        1004b1

ὁ ἐπισκεψόμενος εἰ ταὐτὸ Σωκράτης καὶ Σωκράτης καθή-

μενος, ἢ εἰ ἓν ἑνὶ ἐναντίον, ἢ τί ἐστι τὸ ἐναντίον ἢ ποσα-

χώς λέγεται; ὁμοίως δὲ καὶ περὶ τῶν ἄλλων τῶν τοιούτων.

                                                반대라는 것도 그것들 중

하나로 있다. 왜냐하면 반대는 일종의 차이이고, 차이는 다름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하나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진술되기에, 이러한

것들도 한편으로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진술될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모든 것들을 아는 일이 단일한 학문에 속하여 있다.

왜냐하면 여러 가지로 진술된다면, 다른 학문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에 따라서도 하나에 대해서도 그 진술들이 환원되지 

않는다면, 그 때 다른 학문에 속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모든 

것들은 최초의 것을 향해 환원되기에, 예를 들어 하나라고 진술되는 

일련의 것들은 최초의 하나로 환원되기에, 같은 것과 다른 것 그리고 

반대항들에 관련하여서도 사정이 그러하다고 주장해야만 한다.

그래서 각각의 것이 얼만큼의 방식들로 진술되는지 분할하면서,

그렇게 각 범주에서 최초의 것에 대해서 그것에 대해 어떻게

진술되는지 설명해야만 한다. 왜냐하면 어떤 것들은 저것을 

지님으로써 또 다른 것들은 만듦으로써 그리고 어떤 것들은 이와 같은 

여타의 방식들에 따라 진술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위의 

난점들에서 진술된 바로 그것, 즉 이것들과 또 실체에 관련하여 설명을 

마련하는 일이 단일한 학문에 속한다는 것, 그리고 모든 관조 가능한 

것들에 관련하여 관조하는 일이 철학자의 일이라는 것은 명백하다.

그야 만일 그것이 철학자의 일이 아니라면, 소크라테스와 

앉아 있는 소크라테스가 같은 것인지, 또는 하나가 하나와 반대인지, 

혹은 반대라는 것은 무엇인지 또는 얼만큼의 방식들로 진술되는지 

탐구하는 자가 누구이겠는가? 이러한 그 외의 것들에 관련하여서도

마찬가지이다.

ἐπεὶ οὖν τοῦ ἑνὸς ᾗ ἓν καὶ τοῦ ὄντος ᾗ ὂν ταῦτα καθ᾿ αὑτά                 5

ἐστι πάθη, ἀλλ᾿ οὐχ ᾗ ἀριθμοὶ ἢ γραμμαὶ ἢ πῦρ, δῆλον

ὡς ἐκείνης τῆς ἐπιστήμης καὶ τί ἐστι γνωρίσαι καὶ τὰ συμ-

βεβηκότ᾿ αὐτοῖς. καὶ οὐ ταύτῃ ἁμαρτάνουσιν οἱ περὶ αὐτῶν

σκοπούμενοι ὡς οὐ φιλοσοφοῦντες, ἀλλ᾿ ὅτι πρότερον ἡ οὐσία,

περὶ ἧς οὐθὲν ἐπαΐουσιν. ἐπεὶ ὥσπερ ἔστι καὶ ἀριθμοῦ ᾗ ἀριθ-             10

μὸς ἴδια πάθη, οἷον περιττότης ἀρτιότης, συμμετρία ἰσό-

της, ὑπεροχὴ ἔλλειψις, καὶ ταῦτα καὶ καθ᾿ ἑαυτοὺς καὶ

πρὸς ἀλλήλους ὑπάρχει τοῖς ἀριθμοῖς (ὁμοίως δὲ καὶ

στερεῷ καὶ ἀκινήτῳ καὶ κινουμένῳ ἀβαρεῖ τε καὶ βάρος

ἔχοντι ἔστιν ἕτερα ἴδια), οὕτω καὶ τῷ ὄντι ᾗ ὂν ἐστί τινα                    15

ἴδια, καὶ ταῦτ᾿ ἐστὶ περὶ ὧν τοῦ φιλοσόφου ἐπισκέψασθαι

τὸ ἀληθές. σημεῖον δέ· οἱ γὰρ διαλεκτικοὶ καὶ σοφισταὶ

τὸ αὐτὸ μὲν ὑποδύονται σχῆμα τῷ φιλοσόφῳ· ἡ γὰρ σο-

φιστικὴ φαινομένη μόνον σοφία ἐστί, καὶ οἱ διαλεκτικοὶ

διαλέγονται περὶ ἁπάντων, κοινὸν δὲ πᾶσι τὸ ὄν ἐστιν,                       20

διαλέγονται δὲ περὶ τούτων δῆλον ὅτι διὰ τὸ τῆς φιλοσο-

φίας εἶναι αὐτὰ οἰκεῖα. περὶ μὲν γὰρ τὸ αὐτὸ γένος στρέ-

φεται ἡ σοφιστικὴ καὶ διαλεκτικὴ τῇ φιλοσοφίᾳ, ἀλλὰ

διαφέρει τῆς μὲν τῷ τρόπῳ τῆς δυνάμεως, τῆς δὲ τοῦ βίου

τῇ προαιρέσει· ἔστι δὲ ἡ διαλεκτικὴ πειραστικὴ περὶ ὧν ἡ                    25

φιλοσοφία γνωριστική, ἡ δὲ σοφιστικὴ φαινομένη, οὖσα δ᾿ οὔ.

그러므로 하나인 한에서의 하나와 있는 것인 한에서의 있는 것에

이런 것들이 그 자체로서 겪음들로 속해 있고, 그러나 수들이나

철자나 불로서 속해 있는 것은 아니기에, 무엇인지를 아는 것도

그것들에 부수하는 것들을 아는 것도 저 학문에 속하여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 그리고 그것들에 관하여 고찰하는 자들은 

철학하지 않기에 이런 식으로 잘못을 범하는 게 아니라, 

그들이 그에 관해 전혀 귀기울이지 않는 바의 것, 즉 실체가 

더 먼저 있기 때문에 잘못을 범한다. 마치 수인 한에서의 수에도 

고유한 겪음들이 있는 것처럼, 예를 들어 홀-짝, 비례-동등, 

과-부족이 있듯, 그리고 이런 것들이 자체적으로도 상호 관계적으로도 

수들에 성립하듯 (마찬가지로 입체와 부동자와 운동자에도 

또 무게가 없는 것에든 무게를 지닌 것에든 또 다른 고유한 것들이 

있다), 그렇게 있는 것인 한에서의 있는 것에도 모종의 고유한 것들이 

있으며, 그래서 그것들에 관련하여 철학자가 진리를 탐구하는 것들이 

이러한 것들이다. 그런데 그것이 [철학자라는] 표지이다. 왜냐하면 

변증가들과 소피스트들은 철학자와 같은 모습으로 위장하기 때문이다. 

즉 그저 소피스트술은 그저 지혜로 나타나 보이기만 하는 것이고, 

변증가들 또한 모든 것들에 관련하여 변증하는데, 있는 것이

모든 것에 공통된 것으로 있으며, 그것들이 철학자에 고유한

것들로서 속해 있다는 점으로 인해서 그들이 그것들에 관하여

변증한다는 것은 분명하다. 왜냐하면 소피스트술과 변증술이

철학과 같은 유에 관련하여 종사하지만, 한편(변증술)과는 능력의

활용방식에서 차이가 나고, 다른 한편(소피스트술)과는 삶의

선택에서 차이가 난다. 그런데 변증술은 철학이 앎의 기술인

그러한 것들에 관련하여 시험적인 기술이고, 소피스트술은

철학처럼 나타나 보이이지만, 실제로는 철학이 아닌 것이다.

Ἔτι τῶν ἐναντίων ἡ ἑτέρα συστοιχία στέρησις, καὶ πάντα

ἀνάγεται εἰς τὸ ὄν καὶ τὸ μὴ ὂν, καὶ εἰς ἓν καὶ πλῆθος, οἷον

στάσις τοῦ ἑνὸς κίνησις δὲ τοῦ πλήθους· τὰ δ᾿ ὄντα καὶ τὴν

οὐσίαν ὁμολογοῦσιν ἐξ ἐναντίων σχεδὸν ἅπαντες συγκεῖσθαι·              30

πάντες γοῦν τὰς ἀρχὰς ἐναντίας λέγουσιν· οἱ μὲν γὰρ πε-

ριττὸν καὶ ἄρτιον, οἱ δὲ θερμὸν καὶ ψυχρόν, οἱ δὲ πέρας

καὶ ἄπειρον, οἱ δὲ φιλίαν καὶ νεῖκος. πάντα δὲ καὶ τἆλλα

ἀναγόμενα φαίνεται εἰς τὸ ἓν καὶ πλῆθος (εἰλήφθω γὰρ

ἡ ἀναγωγὴ ἡμῖν), αἱ δ᾿ ἀρχαὶ καὶ παντελῶς αἱ παρὰ τῶν             1005a1

ἄλλων ὡς εἰς γένη ταῦτα πίπτουσιν. φανερὸν οὖν καὶ ἐκ

τούτων ὅτι μιᾶς ἐπιστήμης τὸ ὂν ᾗ ὂν θεωρῆσαι. πάντα γὰρ

ἢ ἐναντία ἢ ἐξ ἐναντίων, ἀρχαὶ δὲ τῶν ἐναντίων τὸ ἓν

καὶ πλῆθος. ταῦτα δὲ μιᾶς ἐπιστήμης, εἴτε καθ᾿ ἓν λέγε-                      5

ται εἴτε μή, ὥσπερ ἴσως ἔχει τἀληθές. ἀλλ᾿ ὅμως εἰ

καὶ πολλαχῶς λέγεται τὸ ἕν, πρὸς τὸ πρῶτον τἆλλα

λεχθήσεται καὶ τὰ ἐναντία ὁμοίως, καὶ διὰ τοῦτο ― καὶ εἰ

μὴ ἔστι τὸ ὂν ἢ τὸ ἓν καθόλου καὶ ταὐτὸ ἐπὶ πάντων ἢ

χωριστόν, ὥσπερ ἴσως οὐκ ἔστιν ἀλλὰ τὰ μὲν πρὸς ἓν τὰ                     10

δὲ τῷ ἐφεξῆς ― καὶ διὰ τοῦτο οὐ τοῦ γεωμέτρου θεωρῆσαι τί

τὸ ἐναντίον ἢ τέλειον ἢ ἓν ἢ ὂν ἢ ταὐτὸν ἢ ἕτερον, ἀλλ᾿

ἢ ἐξ ὑποθέσεως. ὅτι μὲν οὖν μιᾶς ἐπιστήμης τὸ ὂν ᾗ ὂν

θεωρῆσαι καὶ τὰ ὑπάρχοντα αὐτῷ ᾗ ὄν, δῆλον, καὶ ὅτι

οὐ μόνον τῶν οὐσιῶν ἀλλὰ καὶ τῶν ὑπαρχόντων ἡ αὐτὴ                      15

θεωρητική, τῶν τε εἰρημένων καὶ περὶ προτέρου καὶ ὑστέρου,

καὶ γένους καὶ εἴδους, καὶ ὅλου καὶ μέρους καὶ τῶν ἄλλων

τῶν τοιούτων.

더 나아가 반대자들의 한 축은 결여이고, 모든 것들은 있는 것과

있지 않은 것으로, 또 하나와 여럿으로 환원되는데, 예를 들어

정지는 하나에 그리고 운동은 여럿에 속한다. 그런데 있는 것들과

실체가 반대자들로부터 구성된다는 데에 거의 모든 이들이 동의한다.

어쨌든 모든 이들이 원리들을 반대자들로 진술한다. 왜냐하면

어떤 이들은 원리들이 홀과 짝이라고, 또 어떤 이들은 온과 냉이라고, 

또 다른 이들은 한정과 무한정이라고, 또 다른 이들은 사랑과 증오라고

진술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 모든 것들과 그 외의 것들까지도

하나와 여럿으로 환원되는 것처럼 나타나 보이며 (그 환원이 우리에게

가정된 것으로 치자는 이야기이다), 최종적으로도 그 외의

사람들쪽의 원리들이 이러한 유들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나

보인다. 그러므로 이런 점들로부터도 있는 것인 한에서의

있는 것을 관조하는 일이 단일한 학문에 속한다는 점은

명백하다. 왜냐하면 모든 것들은 반대들이거나 혹은 반대들로부터

나온 것들인데, 반대들의 원리들은 하나와 여럿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것들은 단일한 학문에 속하는데, 하나에 따라 진술되든

그렇지 않든 마찬가지이며, 말하자면 아마도 [하나에 따라 진술되지 

않는 경우가] 참일 것이다. 그러나 설령 하나가 여러 가지

방식으로까지 진술된다 하더라도, 최초의 것에 대해 여타의 것들도 

반대자들도 마찬가지로 진술되며, 이로 인해서도 ― 또 만일

있는 것이나 하나가 보편적으로 모든 것들을 두고 같은 것으로 

있지 않거나 또는 독립된 것으로 있지 않을지라도 그러한데, 

말하자면 아마도 [독립된 것으로 있는 게] 아닐 것이고 오히려 어떤

것들은 하나에 대한 것들로 또 어떤 것들은 순차적으로 있을 것이다.

― 이로 인해서도 반대나 목적 혹은 하나 또는 있는 것이나 같은 것

또는 다른 것이 무엇인지를 관조하는 일은 기하학자에 속하지 않고,

이는 오히려 전제로부터 나오는 방식 이외의 것이다. 그러므로 한편으로

있는 것인 한에서의 있는 것과 있는 것인 한에서의 그것에 성립하는

것들을 관조하는 일은 단일한 학문에 속한다는 점이 분명하고, 또한

실체들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그것들에] 성립하는 것들에 대해서도

같은 관조(이론)기술이 속한다는 것, 언급된 것들에 대해서도 또 더 

앞선 것과 더 뒤인 것에 관련해서도, 유에도 종에도, 그리고 전체와 

부분과 이러한 그 외의 것들에도 같은 관조기술이 속한다는 것 역시 

분명하다.



-蟲-

[Πότερον δὲ ἐναντία ἐστὶν ἡ κατάφασις τῇ ἀποφάσει ἢ | ἡ κατά-

φασις τῇ καταφάσει, καὶ ὁ λόγος τῷ λόγῳ ὁ λέ|γων ὅτι πᾶς

ἄνθρωπος δίκαιος τῷ οὐδεὶς ἄνθρωπος δίκαιος || ἢ τὸ πᾶς

ἄνθρωπος δίκαιος τῷ πᾶς ἄνθρωπος ἄδικος; οἷον | ἔστι Καλλίας

δίκαιος ― οὐκ ἔστι Καλλίας δίακιος ― Καλλίας ἄδι|κός ἐστιν,

ποτέρα δὴ ἐναντία τούτων;

긍정이 부정에 반대되는가 아니면 긍정이 긍정에 반대되는가, 모든

인간이 정의롭다고 말하는 자의 그 말은 아무 인간도 정의롭지 않다고

말하는 자의 그 말에 반대되는가 아니면 모든 인간이 정의롭다는 말이

모든 인간이 부정의하다는 말에 반대되는가? 예를 들어 "칼리아스는

정의롭다"-"칼리아스는 정의로운 자로 있지 않다"-칼리아스는 부정의하다,

이것들 중 어떤 것들이 반대되는가?

Εἰ γὰρ τὰ μὲν ἐν τῇ φωνῇ | ἀκολουθεῖ τοῖς ἐν τῇ διανοίᾳ, ἐκεῖ

δὲ ἐναντία δόξα ἡ τοῦ ἐναν|τίου, οἷον ὅτι πᾶς ἄνθρωπος δίκαιος τῇ

πᾶς ἄνθρωπος ἄδικος, || καὶ ἐπὶ τῶν ἐν τῇ φωνῇ καταφάσεων

ἀνάγκη ὁμοίως ἔχειν. | εἰ δὲ μὴ ἐκεῖ ἡ τοῦ ἐναντίου δόξα ἐναντία

ἐστίν, οὐδὲ ἡ κατάφα|σις τῇ καταφάσει ἔσται ἐναντία, ἀλλ᾿ ἡ

εἰρημένη ἀπόφασις. | ὥστε σκεπτέον ποία δόξα ψευδὴς ἀληθεῖ

δόξῃ ἐναντία, πότε|ρον ἡ τὴς ἀποφάσεως ἢ ἡ τὸ ἐναντίον εἶναι

δοξάζουσα.

만일 음성 안에 있는 것들이 사유 안에 있는 것들에 따른다면,

그 경우에 반대되는 것에 대한 믿음이 반대되는 믿음이고, 예를 들어

모든 인간이 정의롭다는 것이 모든 인간이 부정의하다는 믿음에 반대되듯,

음성 안에서의 긍정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상황임이 필연적이다. 그런데

만일 저 경우에 반대되는 것에 대한 믿음이 반대되는 것으로서 있지

않다면, 긍정도 긍정에 반대되지 않을 것이고, 진술된 부정문이 반대될

것이다. 그래서 어떠한 거짓 믿음이 참인 믿음에 반대되는지 검토해야만

하며, 부정에 대한 믿음이 반대되는지 아니면 반대되는 것이 있다고

믿는 그러한 믿음이 반대되는지 검토해야만 한다.

Λέγω || δὲ ὧδε· ἔστι τις δόξα ἀληθὴς τοῦ ἀγαθοῦ ὅτι ἀγαθόν,

ἄλλη δὲ || ὅτι οὐκ ἀγαθὸν ψευδής, ἑτέρα δὲ ὅτι κακόν. ποτέρα δὴ

τούτων | ἐναντία τῇ ἀληθεῖ; καὶ εἰ ἔστι μία, κατὰ ποτέραν

ἐναντία; | τὸ μὲν δὴ τούτῳ οἴεσθαι τὰς ἐναντίας δόξας ὡρίσθαι, τῷ

τῶν | ἐναντίων εἶναι, ψεῦδος. τοῦ γὰρ ἀγαθοῦ ὅτι ἀγαθὸν καὶ τοῦ

κακοῦ || ὅτι κακὸν ἡ αὐτὴ ἴσως, καὶ ἀληθής, εἴτε πλείους εἴτε | μία

ἐστίν· ἐναντία δὲ ταῦτα· ἀλλ᾿ <ἄρα> οὐ τῷ ἐναντίων εἶναι ἐναντίαι,

| ἀλλὰ μᾶλλον τῷ ἐναντίως.

나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말하고 있다. 좋은 것에 대해 좋은 것이라고

믿는 어떤 믿음이 참으로서 있고, 그 외에 좋지 않은 것이라는

믿음이 거짓으로서 있고, 나쁜 것이라고 믿는 또 다른 믿음도 거짓으로서

있다. 이것들 중 어느 믿음이 참인 믿음에 반대되는가? 만일 오직 하나만이

[반대되는 것으로] 있다면, 둘 중 어떤 믿음에 대해 반대되는가? 이런 점에서

반대 믿음들이 정의된다는 생각, 즉 반대되는 것들에 속해 있다는 것을

통해 정의된다는 생각은, 거짓이다. 왜냐하면 좋은 것에 대해 좋은 것이라고

또 나쁜 것에 대해 나쁜 것이라고 믿는 것은 아마도 같은 믿음일 것이고,

여러 믿음들이든 단일한 믿음이든 참일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것들은

반대되는 것들이다. 그러나 반대되는 것들에 대한 반대되는 믿음들로 있다는 

점에서가 아니라, 오히려 반대되는 방식으로 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 좋은 것이 좋다는 믿음과 나쁜 것이 나쁘다는 믿음은 하나의 같은 믿음이지만,

반대되는 방식으로, 즉 동전의 양면이 반대되는 것처럼 그렇게 반대된다.

(이것은 지금 논의하고자 하는 참과 거짓 사이의 반대와는 다르다.) by Kang.

- 대상의 반대가 믿음의 반대를 설명해주지 않는다.

  좋은 것과 나쁜 것은 반대된다.

  그러나 좋은 것이 좋다는 믿음과 나쁜 것이 나쁘다는 믿음은 아마도

  같은 믿음이자 참일 것이다.

  그런데 이 같은 참인 믿음들이 서로 반대된다.

  즉 믿음의 반대는 대상의 반대에 의존하지 않고,

  또한 문장 사이의 반대임에도 참과 거짓의 대비가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G is G와 B is B 사이의 반대는 탐구의 대상이 아니지 않나?

- 좋은 것은 좋다. 좋은 것은 나쁘다. 좋은 것은 좋지 않다. <나쁜 것은 나쁘다.>

Εἰ δὴ ἔστι μὲν τοῦ ἀγαθοῦ ὅτι ἐστὶν | ἀγαθὸν δόξα, ἔστι δὲ ὅτι

οὐκ ἀγαθόν, ἔστι δὲ ὅτι ἄλλο τι ὃ οὐχ | ὑπάρχει οὐδὲ οἷόν τε

ὑπάρξαι ― τῶν μὲν δὴ ἄλλων οὐδεμίαν || θετέον, οὔτε ὅσαι ὑπ-

άρχειν τὸ μὴ ὑπάρχον δοξάζουσιν οὔτε ὅσαι | μὴ ὑπάρχειν τὸ

ὑπάρχον ― ἄπειροι γὰρ ἀμφότεραι, καὶ ὅσαι | ὑπάρχειν δοξά-

ζουσι τὸ μὴ ὑπάρχον καὶ ὅσαι μὴ ὑπάρχειν τὸ | ὑπάρχον ―, ἀλλ᾿

ἐν ὅσαις ἐστὶν ἡ ἀπάτη· αὕτη δὲ ἐξ ὧν | καὶ αἱ γενέσεις· ἐκ τῶν

ἀντικειμένων δὲ αἱ γενέσεις, ὥστε καὶ αἱ || ἀπάται ―, εἰ οὖν τὸ

ἀγαθὸν καὶ ἀγαθὸν καὶ οὐ κακόν ἐστιν, καὶ | τὸ μὲν καθ᾿ αὑτό, τὸ

δὲ κατὰ συμεβηκός ― συμβέβηκε γὰρ | αὐτῷ οὐ κακῷ εἶναι ―,

μᾶλλον δὲ ἑκάστου ἀληθὴς ἡ καθ᾿ ἑαυτό, | καὶ ψευδής, εἴπερ καὶ

ἀληθής, ἡ μὲν οὖν ὅτι οὐκ ἀγαθὸν τὸ | ἀγαθὸν τοῦ καθ᾿ ἑαυτὸ

ὑπάρχοντος ψευδής, ἡ δὲ τοῦ ὅτι κα||κὸν τοῦ κατὰ συμβεβηκός,

ὥστε μᾶλλον ἂν εἴη ψευδὴς τοῦ | ἀγαθοῦ ἡ τῆς ἀποφάσεως ἢ ἡ τοῦ

ἐναντίου δόξα.

그래서 만일 좋은 것에 대해 좋은 것으로 있다고 하는 믿음이 있다면,

또 다른 한편 좋은 것으로 있지 않다는 믿음이 있다면, 그런데 다름 아니라

성립하지 않고 성립할 수도 없는 무언가로 있다는 믿음이 있다면, - 여타의

것들 중 어떤 믿음도 내세우지 않아야만 하는데, 성립하지 않는 것이

성립한다고 믿는 믿음들도 성립하는 것이 성립하지 않는다고 믿는

믿음들도 내세우지 않아야만 한다. 왜냐하면 양쪽 모두 무한한 것들이기

때문이다, 성립하지 않는 것이 성립한다는 믿음들도 성립하는 것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믿음들도. 오히려 그 안에서 기만이 성립하는 믿음들만

내세워야 한다. 그런데 생성들 또한 그것들로부터 기만이 성립하는

것이다. 대립자들을 통해 생성들이 성립하고, 그래서 기만들 또한 성립한다.

그러므로 만일 좋은 것이 좋은 것으로도 또 나쁘지 않은 것으로도 있다면,

한편은 그 자체적인 것이고, 다른 한편은 부수적인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에게

나쁘지 않은 것으로 있음이 부수하기 때문이다. 각각에 대해 자체적인 참이

더욱 참되고, 또 더욱 거짓의 경우에도, 만일 정말로 참 역시 그렇다면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좋은 것이 좋지 않은 것이라고 믿는 믿음은 그 자체로 성립하는 것에

대한 거짓이고, 나쁜 것이라고 믿는 것은 부수적인 것에 대한 거짓이며,

그래서 좋은 것에 대해 부정에 대한 믿음이 반대에 대한 믿음보다 더욱 더

거짓일 것이다.

Διέψευσται δὲ | μάλιστα περὶ ἕκαστον ὁ τὴν ἐναντίαν ἔχων

δόξαν· τὰ γὰρ ἐναν|τία τῶν πλεῖστον διαφερόντων περὶ τὸ αὐτό. εἰ

οὖν ἐναντία μὲν | τούτων ἡ ἑτέρα, ἐναντιωτέρα δὲ ἡ τῆς ἀντι-

φάσεως, δῆλον ὅτι || αὕτη ἂν εἴη ἡ ἐναντία. ἡ δὲ τοῦ ὅτι κακὸν τὸ

ἀγαθὸν συμπε|πλεγμένη ἐστίν· καὶ γὰρ ὅτι οὐκ ἀγαθὸν ἀνάγκη

ἴσως ὑπο|λαμβάνειν τὸν αὐτόν.

그런데 각각에 관련하여 반대 믿음을 취하는 자가 특히 거짓되게 된다.

왜냐하면 같은 것에 관련하여 반대가 가장 많이 차이나는 것들에 속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만일 이 믿음들 중 한쪽 믿음이 (한쪽) 반대항이고, 

그 (한쪽 반대항에 대해서) 모순되는 것에 대한(or 그 부정에 대한-사본 차이) 

믿음은 더욱 반대된다면, 반대란 이러한 것이리라는 점이 분명하다. 

- 믿음들 중 어느 하나가 반대항을 이룰 때, 나머지 것들이 다른 쪽 반대'들'을

이룬다. 이 반대'들' 중에 모순적 반대가 있고, 이 모순적 반대는 단순 반대보다

더욱 반대된다. 

Ἔτι δέ, εἰ καὶ ἐπὶ τῶν ἄλλων ὁμοίως | δεῖ ἔχειν, καὶ ταύτῃ ἂν

δόξειε καλῶς εἰρῆσθαι· ἢ γὰρ παν|ταχοῦ ἡ τῆς ἀντιφάσεως ἢ

οὐδαμοῦ. ὅσοις δὲ μή ἐστιν ἐναν||τία, περὶ τούτων ἔστι μὲν ψευδὴς

ἡ τῇ ἀληθεῖ ἀντικειμένη, | οἷον ὁ τὸν ἄνθρωπον οὐκ ἄνθρωπον

οἰόμενος διέψευσται. εἰ οὖν αὗ|ται ἐναντίαι, καὶ αἱ ἄλλαι αἱ τῆς

ἀντιφάσεως.

모든 경우에 모순되는 짝에 대한 믿음이 있거나 어떤 경우에도 없거나 하다.


Ἔτι ὁμοίως | ἔχει ἡ τοῦ ἀγαθοῦ ὅτι ἀγαθὸν καὶ ἡ τοῦ μὴ

ἀγαθοῦ ὅτι οὐκ ἀγα|θόν, καὶ πρός γε ταύταις ἡ τοῦ ἀγαθοῦ ὅτι

οὐκ ἀγαθὸν καὶ ἡ τοῦ μὴ || ἀγαθοῦ ὅτι ἀγαθόν. τῇ οὖν τοῦ μὴ

ἀγαθοῦ ὅτι οὐκ ἀγαθὸν ἀληθεῖ | οὔσῃ δόξῃ τίς ἐναντία; οὐ γὰρ δὴ

ἥ γε λέγουσα ὅτι κα|κόν· ἅμα γὰρ ἄν ποτε εἴη ἀληθής, οὐδέποτε

δὲ ἀληθὴς ἀλη|θεῖ ἐναντία· ἔστι γάρ τι μὴ ἀγαθὸν κακόν, ὥστε

ἐνδέχεται ἅμα | ἀληθεῖς εἶναι. οὐδ᾿ αὖ ἡ ὅτι οὐ κακόν· ἀληθὴς γὰρ

καὶ αὕτη· || ἅμα γὰρ καὶ ταῦτα ἂν εἴη. λείπεται οὖν τῇ τοῦ μὴ

ἀγαθοῦ || ὅτι οὐκ ἀγαθὸν ἐναντία ἡ τοῦ μὴ ἀγαθοῦ ὅτι ἀγαθόν·

ψευδὴς | γὰρ αὕτη. ὥστε καὶ ἡ τοῦ ἀγαθοῦ ὅτι οὐκ ἀγαθὸν τῇ τοῦ

ἀγα|θοῦ ὅτι ἀγαθόν.


Φανερὸν δὲ ὅτι οὐδὲν διοίσει οὐδ᾿ ἂν καθόλου τι|θῶμεν τὴν

κατάφασιν· ἡ γὰρ καθόλου ἀπόφασις ἐναντία || ἔσται, οἷον τῇ δόξῃ

τῇ δοξαζούσῃ ὅτι πᾶν ὃ ἂν ᾖ ἀγαθὸν ἀγα|θόν ἐστιν ἡ ὅτι οὐδὲν

τῶν ἀγαθῶν ἀγαθόν. ἡ γὰρ τοῦ ἀγαθοῦ ὅτι | ἀγαθόν, εἰ καθόλου

τὸ ἀγαθόν, ἡ αὐτή ἐστι τῇ ὅ τι ἂν ᾖ | ἀγαθὸν δοξαζούσῃ ὅτι

ἀγαθόν· τοῦτο δὲ οὐδὲν διαφέρει τοῦ ὅτι | πᾶν ὃ ἂν ᾖ ἀγαθὸν

ἀγαθόν ἐστιν. ὁμοίως δὲ καὶ ἐπὶ τοῦ μὴ || ἀγαθοῦ.


Ὥστε, εἴπερ ἐπὶ δόξης οὕτως ἔχει, εἰσὶ δὲ αἱ ἐν τῇ φωνῇ |

καταφάσεις καὶ ἀποφάσεις σύμβολα τῶν ἐν τῇ ψυχῇ, δῆ|λον ὅτι

καὶ καταφάσει ἐναντία μὲν ἀπόφασις ἡ περὶ τοῦ | αὐτοῦ καθόλου,

οἷον τῇ ὅτι πᾶν ἀγαθὸν ἀγαθὸν ἢ ὅτι πᾶς ἄν||θρωπος ἀγαθὸς ἡ ὅτι

οὐδὲν ἢ οὐδείς, [ἀντιφατικῶς δὲ ἡ ὅτι οὐ | πᾶν ἢ οὐ πᾶς].


Φανερὸν δὲ καὶ ὅτι ἀληθῆ ἀληθεῖ οὐκ ἐνδέχεται | ἐναντίαν

εἶναι οὔτε δόξαν οὔτε ἀντίφασιν. ἐναντίαι μὲν γὰρ αἱ | περὶ τὰ

<αὐτὰ> ἀντικείμενα<ι>, περὶ τὰ αὐτὰ δὲ ἐνδέχεται ἀληθεύειν τὸν |

αὐτόν· ἅμα δὲ οὐκ ἐνδέχεται τὰ ἐναντία ὑπάρχειν τῷ αὐτῷ.]

참이 참에 반대되는 것들로 있음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 참인 믿음도

참인 모순도. 같은 것들에 관련하여 맞놓인 것들이 반대되는 것들이고,

같은 것들에 관련하여 같은 사람이 참이기는 허용된다. 그러나 같은 것에 

반대되는 것들이 동시에 성립함은 허용되지 않는다.


-작성중-

Καὶ αἱ ἀκολουθήσεις δὲ κατὰ λόγον γίγνονται οὕτω τιθε||μένοις·

τῷ μὲν γὰρ δυνατῷ εἶναι τὸ ἐνδέχεσθαι εἶναι, καὶ | τοῦτο ἐκείνῳ

ἀντιστρέφει, καὶ τὸ μὴ ἀδύνατον εἶναι καὶ τὸ μὴ | ἀναγκαῖον

εἶναι· τῷ δὲ δυνατῷ μὴ εἶναι καὶ ἐνδεχομένῳ μὴ | εἶναι τό τε μὴ

ἀναγκαῖον μὴ εἶναι καὶ τὸ οὐκ ἀδύνατον μὴ εἶναι, | τῷ δὲ μὴ

δυνατῷ εἶναι καὶ μὴ ἐνδεχομένῳ εἶναι τὸ ἀναγ||καῖον μὴ εἶναι καὶ

τὸ ἀδύνατον εἶναι, τῷ δὲ μὴ δυνατῷ μὴ | εἶναι καὶ μὴ ἐνδεχομένῳ

μὴ εἶναι τὸ ἀναγκαῖον εἶναι καὶ | τὸ ἀδύνατον μὴ εἶναι. θεωρείσθω

δὲ ἐκ τῆς ὑπογραφῆς ὡς | λέγομεν· |


 δυνατὸν εἶναι

~임이 가능하다

 

 οὐ δυνατὸν εἶναι ||

~임이 가능하지 않다

 ἐνδεχόμενον εἶναι

~임이 허용된다

 

 οὐκ ἐνδεχόμενον εἶναι |

~임이 허용되지 않는다

 οὐκ ἀδύνατον εἶναι

~임이 불가능하지 않다

 

 ἀδύνατον εἶναι |

~임이 불가능하다

 οὐκ ἀναγκαῖον εἶναι

~임이 필연적이지 않다

 

 ἀναγκαῖον μὴ εἶναι |

~이지 않음이 필연적이다

 

 

 

 δυνατὸν μὴ εἶναι

~이지 않음이 가능하다

 

 οὐ δυνατὸν μὴ εἶναι |

~이지 않음이 가능하지 않다

 ἐνδεχόμενον μὴ εἶναι

~이지 않음이 허용된다

 

 οὐκ ἐνδεχόμενον μὴ εἶναι ||

~이지 않음이 허용되지 않는다

 οὐκ ἀδύνατον μὴ εἶναι

~이지 않음이 불가능하지 않다

 

 ἀδύνατον μὴ εἶναι |

이지 않음이 불가능하다

 οὐκ ἀναγκαῖον μὴ εἶναι

~이지 않음이 필연적이지 않다

 

 ἀναγκαῖον εἶναι |

~임이 필연적이다.


Τὸ μὲν οὖν ἀδύνατον καὶ οὐκ ἀδύνατον τῷ ἐνδεχομένῳ | καὶ

δυνατῷ καὶ οὐκ ἐνδεχομένῳ καὶ μὴ δυνατῷ ἀκολουθεῖ | μὲν

ἀντιφατικῶς, ἀντεστραμμένως δέ. τῷ μὲν γὰρ δυνατῷ εἶ||ναι ἡ

ἀπόφασις τοῦ ἀδυνάτου εἶναι, τῇ δὲ ἀποφάσει ἡ κα|τάφασις· τῷ

γὰρ οὐ δυνατῷ εἶναι τὸ ἀδύνατον εἶναι· κατάφα|σις γὰρ τὸ

ἀδύνατον εἶναι, τὸ δὲ οὐκ ἀδύνατον ἀπόφασις. |

그러므로 한편으로 불가능하다는 것과 불가능하지 않다는 

허용된다와 가능 그리고 허용되지 않는다와 가능하지 않다에 

한편으로는 반대되게, 다른 한편으로는 전환되는 방식으로 따른다. 

즉 ~임이 가능하다에는 ~임이 불가능하다에 대한 부정이, 그런데 

부정(~임이 가능하지 않다)에는 다시 긍정(~임이 불가능하다)이 

따른다. 왜냐하면 ~임이 가능하지 않다에는 ~임이 불가능하다가 

따르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임이 불가능하다는 긍정이지만, 

불가능하지 않다는 것은 부정이기 때문이다.

Τὸ δὲ ἀναγκαῖον πῶς, ὀπτέον. φανερὸν δὴ ὅτι οὐχ οὕτως ἔχει,

| ἀλλ᾿ αἱ ἐναντίαι ἕπονται, αἱ δὲ ἀντιφάσεις χωρίς. οὐ γάρ ἐστιν ||

ἀπόφασις τοῦ ἀνάγκη μὴ εἶναι τὸ οὐκ ἀνάγκη εἶναι· ἐνδέχεται |

γὰρ ἀληθεύεσθαι ἐπὶ τοῦ αὐτοῦ ἀμφοτέρας· τὸ γὰρ ἀναγκαῖον |

μὴ εἶναι οὐκ ἀναγκαῖον εἶναι.


Αἴτιον δὲ τοῦ μὴ ἀκολουθεῖν | ὁμοίως τοῖς ἑτέροις, ὅτι

ἐναντίως τὸ ἀδύνατον τῷ || ἀναγκαίῳ ἀποδίδοται τὸ αὐτὸ δυνά-

μενον. εἰ γὰρ ἀδύνατον | εἶναι, ἀναγκαῖον τοῦτο οὐχὶ εἶναι, ἀλλὰ

μὴ εἶναι· εἰ δὲ ἀδύνα|τον μὴ εἶναι, τοῦτο ἀνάγκη εἶναι. ὥστε εἰ

ἐκεῖνα ὁμοίως τῷ δυ|νατῷ καὶ μή, ταῦτα ἐξ ἐναντίας, ἐπεὶ οὐ

σημαίνει γε ταὐτὸν | τό τε ἀναγκαῖον καὶ τὸ ἀδύνατον, ἀλλ᾿

ὥσπερ εἴρηται, ἀντ||εστραμμένως.


Ἢ ἀδύνατον οὕτω κεῖσθαι τὰς τοῦ ἀναγκαίου ἀν|τιφάσεις; τὸ

μὲν γὰρ ἀναγκαῖον εἶναι δυνατὸν εἶναι· εἰ γὰρ | μή, ἡ ἀπόφασις

ἀκολουθήσει· ἀνάγκη γὰρ ἢ φάναι ἢ ἀπο|φάναι. ὥστε εἰ μὴ

δυνατὸν εἶναι, ἀδύνατον εἶναι· ἀδύνατον ἄρα | εἶναι τὸ ἀναγκαῖον

εἶναι, ὅπερ ἄτοπον.


Ἀλλὰ μὴν τῷ γε δυ||νατὸν εἶναι τὸ οὐκ ἀδύνατον εἶναι ἀκο-

λουθεῖ, τούτῳ δὲ τὸ μὴ | ἀναγκαῖον εἶναι· ὥστε συμβαίνει τὸ

ἀναγκαῖον εἶναι μὴ ἀναγ|καῖον εἶναι, ὅπερ ἄτοπον.


Ἀλλὰ μὴν οὐδὲ τὸ ἀναγκαῖον εἶναι | ἀκολουθεῖ τῷ δυνατὸν

εἶναι, οὐδὲ τὸ ἀναγκαῖον μὴ εἶναι. τῷ μὲν | γὰρ <αὐτῷ> ἄμφω ἐν-

δέχεται συμβαίνειν, τούτων δὲ ὁπότερον ἂν ἀλη||θὲς ᾖ, οὐκέτι

ἔσται ἐκεῖνα ἀληθῆ· ἅμα γὰρ δυνατὸν εἶναι καὶ | μὴ εἶναι· εἰ δὲ

ἀνάγκη εἶναι ἢ μὴ εἶναι, οὐκ ἔσται δυνατὸν | ἄμφω.


Λείπεται τοίνυν τὸ οὐκ ἀναγκαῖον μὴ εἶναι ἀκολουθεῖν | τῷ

δυνατὸν εἶναι. τοῦτο γὰρ ἀληθὲς καὶ κατὰ τοῦ ἀναγκαίου | εἶναι.

καὶ γὰρ αὕτη γίγνεται ἀντίφασις τῇ ἐπομένῃ τῷ οὐ δυνα||τῷ εἶναι·

ἐκείνῳ γὰρ ἀκολουθεῖ τὸ ἀδύνατον εἶναι καὶ ἀναγ|καῖον μὴ εἶναι,

οὗ ἀπόφασις τὸ οὐκ ἀναγκαῖον μὴ εἶναι. ἀκο|λουθοῦσί τε ἄρα καὶ

αὗται αἱ ἀντιφάσεις κατὰ τὸν εἰρημένον | τρόπον, καὶ οὐδὲν ἀδύ-

νατον συμβαίνει τιθεμένων οὕτως. |


Ἀπορήσειε δ᾿ ἄν τις εἰ τῷ ἀναγκαῖον εἶναι τὸ δυνατὸν || εἶναι

ἕπεται. εἴ τε γὰρ μὴ ἕπεται, ἡ ἀντίφασις ἀκολουθήσει, τὸ | μὴ

δυνατὸν εἶναι· καὶ εἴ τις ταύτην μὴ φήσειεν εἶναι ἀντίφα|σιν,

ἀνάγκη λέγειν τὸ δυνατὸν μὴ εἶναι, ἅπερ ἄμφω ψευδῆ | κατὰ τοῦ

ἀναγκαίου εἶναι. ἀλλὰ μὴν πάλιν τὸ αὐτὸ εἶναι | δοκεῖ δυνατὸν

τέμνεσθαι καὶ μὴ τέμνεσθαι καὶ εἶναι καὶ μὴ εἶ|ναι, ὥστε ἔσται τὸ

ἀναγκαῖον εἶναι ἐνδεχόμενον μὴ εἶναι· τοῦτο | δὲ ψεῦδος. φανερὸν

<δὲ> δὴ ὅτι οὐ πᾶν τὸ δυνατὸν ἢ εἶναι <ἢ μὴ εἶναι> [ἢ βαδί|ζειν] καὶ

τὰ ἀντικείμενα δύναται, ἀλλ᾿ ἔστιν ἐφ᾿ ὧν οὐκ ἀληθές. |


[Πρῶτον μὲν ἐπὶ τῶν μὴ κατὰ λόγον δυνατῶν, οἷον τὸ πῦρ

θερ|μαντικὸν καὶ ἔχει δύναμιν ἄλογον. αἱ μὲν οὖν μετὰ λόγου ||

δυνάμεις αἱ αὐταὶ πλειόνων καὶ τῶν ἐναντίων, αἱ δὲ ἄλογοι | οὐ

πᾶσαι, ἀλλ᾿ ὥσπερ εἴρηται, τὸ πῦρ οὐ δυνατὸν θερμαίνειν | καὶ

μή, οὐδὲ ὅσα ἄλλα ἐνεργεῖ ἀεί. ἔνια μέντοι δύναται καὶ | τῶν κατὰ

τὰς ἀλόγους δυνάμεις ἅμα τὰ ἀντικείμενα· || ἀλλὰ τοῦτο μὲν

τούτου χάριν εἴρηται, ὅτι οὐ πᾶσα δύναμις τῶν | ἀντικειμένων,

οὐδὲ ὅσαι λέγονται κατὰ τὸ αὐτὸ εἶδος.]


Ἔνιαι δὲ | δυνάμεις ὁμώνυμοί εἰσιν. τὸ γὰρ δυνατὸν οὐχ

ἁπλῶς λέγε|ται, ἀλλὰ τὸ μὲν ὅτι ἀληθὲς ὡς ἐνεργείᾳ ὄν, οἷον

δυνατὸν | βαδίζειν ὅτι βαδίζει, καὶ ὅλως δυνατὸν εἶναι ὅτι ἤδη ἔστι

|| κατ᾿ ἐνέργειαν ὃ λέγεται εἶναι δυνατόν, τὸ δὲ ὅτι ἐνεργήσειεν |

ἄν, οἷον δυνατὸν βαδίζειν ὅτι βαδίσειεν ἄν. καὶ αὕτη | μὲν ἐπὶ τοῖς

κινητοῖς ἐστι μόνοις ἡ δύναμις, ἐκείνη δὲ καὶ ἐπὶ | τοῖς ἀκινήτοις.

ἄμφω δὲ ἀληθὲς εἰπεῖν τὸ μὴ ἀδύνατον εἶναι | βαδίζειν ἢ εἶναι, καὶ

τὸ βαδίζον ἤδη καὶ ἐνεργοῦν καὶ τὸ βα||διστικόν. τὸ μὲν οὖν οὕτω

δυνατὸν οὐκ ἀληθὲς κατὰ τοῦ ἀναγ|καίου ἁπλῶς εἰπεῖν, θάτερον

δὲ ἀληθές. ὥστε, ἐπεὶ τῷ ἐν μέ|ρει τὸ καθόλου ἕπεται, τῷ ἐξ

ἀνάγκης ὄντι ἕπεται τὸ δύνα|σθαι εἶναι, οὐ μέντοι πᾶν. καὶ ἔστι

δὴ ἀρχὴ ἴσως τὸ ἀναγ|καῖον καὶ μὴ ἀναγκαῖον πάντων ἢ εἶναι ἢ

μὴ εἶναι, καὶ || τὰ ἄλλα ὡς τούτοις ἀκολουθοῦντα ἐπισκοπεῖν δεῖ. |


[Φανερὸν δὴ ἐκ τῶν εἰρημένων ὅτι τὸ ἐξ ἀνάγκης ὂν κατ᾿ |

ἐνέργειάν ἐστιν, ὥστε εἰ πρότερα τὰ ἀίδια, καὶ ἐνέργεια δυ|νάμεως

προτέρα. καὶ τὰ μὲν ἄνευ δυνάμεως ἐνέργειαί εἰσιν, | οἷον αἱ

πρῶται οὐσίαι, τὰ δὲ μετὰ δυνάμεως, ἃ τῇ μὲν φύ||σει πρότερα, τῷ

δὲ χρόνῳ ὕστερα, τὰ δὲ οὐδέποτε ἐνέργειαί εἰ|σιν, ἀλλὰ δυνάμεις

μόνον.] |



-작성중-

Τούτων δὲ διωρισμένων σκεπτέον ὁπως ἔχουσιν αἱ ἀπο||φάσεις καὶ

καταφάσεις πρὸς ἀλλήλας αἱ τοῦ δυνατὸν εἶναι | καὶ μὴ δυνατὸν

καὶ ἐνδεχόμενον καὶ μὴ ἐνδεχόμενον καὶ | περὶ τοῦ ἀδυνάτου τε

καὶ ἀναγκαίου· ἔχει γὰρ ἀπορίας τινάς. |


Εἰ γὰρ τῶν συμπλεκομένων αὗται ἀλλήλαις ἀντίκεινται

ἀν|τιφάσεις, ὅσα κατὰ τὸ εἶναι καὶ μὴ εἶναι τάττονται, οἷον || τοῦ

εἶναι ἄνθρωπον ἀπόφασις τὸ μὴ εἶναι ἄνθρωπον, οὐ τὸ εἶναι | μὴ

ἄνθρωπον, καὶ τοῦ εἶναι λευκὸν ἄνθρωπον τὸ μὴ εἶναι λευ|κὸν

ἄνθρωπον, ἀλλ᾿ οὐ τὸ εἶναι μὴ λευκὸν ἄνθρωπον ― εἰ γὰρ | κατὰ

παντὸς ἡ κατάφασις ἢ ἡ ἀπόφασις, τὸ φύλον ἔσται || ἀληθὲς εἰπεῖν

εἶναι μὴ λευκὸν ἄνθρωπον ―, εἰ δὲ τοῦτο οὕτως, | καὶ ὅσοις τὸ

εἶναι μὴ προστίθεται, τὸ αὐτὸ ποιήσει τὸ ἀντὶ | τοῦ εἶναι λεγό-

μενον, οἷον τοῦ ἄνθρωπος βαδίζει οὐ τὸ οὐκ ἄνθρω|πος βαδίζει

ἀπόφασις ἔσται, ἀλλὰ τὸ οὐ βαδίζει ἄνθρωπος | ― οὐδὲν γὰρ δια-

φέρει εἰπεῖν ἄνθρωπον βαδίζειν ἢ ἄνθρωπον βα――δίζοντα εἶναι ―,

ὥστε εἰ οὕτω πανταχοῦ, καὶ τοῦ δυνατὸν εἶναι ― ἀπόφασις ἔσται τὸ

δυνατὸν μὴ εἶναι, ἀλλ᾿ οὐ τὸ μὴ δυνατὸν ― εἶναι.


Δοκεῖ δὲ αὐτὸ δύνασθαι καὶ εἶναι καὶ μὴ εἶναι· | πᾶν γὰρ τὸ

δυνατὸν τέμνεσθαι ἢ βαδίζειν καὶ μὴ βαδίζειν | καὶ μὴ τέμνεσθαι

δυνατόν. λόγος δέ, ὅτι ἅπαν τὸ οὕτω δυ||νατὸν οὐκ ἀεὶ ἐνεργεῖ,

ὥστε ὑπάρξει αὐτῷ καὶ ἡ ἀπόφασις· | δύναται γὰρ καὶ μὴ βαδίζειν

τὸ βαδιστικὸν καὶ μὴ ὁρᾶσθαι | τὸ ὁρατόν.


Ἀλλὰ μὴν ἀδύνατον κατὰ τοῦ αὐτοῦ ἀληθεύεσθαι | τὰς ἀντι-

κειμένας φάσεις· οὐκ ἄρα τοῦ δυνατὸν εἶναι | τὸ δυνατὸν μὴ εἶναι

αὕτη ἀπόφασίς ἐστι. συμβαίνει γὰρ ἐκ τούτων ἢ τὸ || αὐτὸ φάναι

καὶ ἀποφάναι ἅμα καὶ κατὰ τοῦ αὐτοῦ, ἢ μὴ | κατὰ τὸ εἶναι καὶ

μὴ εἶναι τὰ προστιθέμενα γίγνεσθαι φάσεις | καὶ ἀποφάσεις. εἰ

οὖν ἐκεῖνο ἀδύνατον, τοῦτο ἂν εἴη αἱρετόν. |


Ἔστιν ἄρα ἀπόφασις τοῦ δυνατὸν εἶναι τὸ μὴ δυνατὸν εἶναι. |

ὁ δὲ αὐτὸς λόγος καὶ περὶ τοῦ ἐνδεχόμενον εἶναι· καὶ γὰρ || τούτου

ἀπόφασις τὸ μὴ ἐνδεχόμενον εἶναι. καὶ ἐπὶ τῶν ἄλλων | δὲ ὁμοιο-

τρόπως, οἷον ἀναγκαίου τε καὶ ἀδυνάτου. γίγνεται γάρ, | ὥσπερ

ἐπ᾿ ἐκείνων τὸ εἶναι καὶ τὸ μὴ εἶναι προσθέσεις, τὰ δ᾿ | ὑποκείμε-

να πράγματα τὸ μὲν λευκός, τὸ δὲ ἄνθρωπος, οὕτως | ἐνταῦθα τὸ

μὲν εἶναι καὶ μὴ εἶναι ὡς ὑποκείμενον γίγνεται, || τὸ δὲ δύνασθαι

καὶ τὸ ἐνδέχεσθαι προσθέσεις διορίζουσαι, | ὥσπερ ἐπ᾿ ἐκείνων τὸ

εἶναι καὶ μὴ εἶναι τὸ ἀληθὲς καὶ τὸ | ψεῦδος, ὁμοίως αὗται ἐπὶ τοῦ

εἶναι δυνατὸν καὶ εἶναι οὐ δυνα|τόν.


Τοῦ δὲ δυνατὸν μὴ εἶναι ἀπόφασις | τὸ οὐ δυνατὸν μὴ εἶναι. ||

διὸ καὶ ἀκολουθεῖν | ἂν δόξαιεν ἀλλήλαις αἱ δυνατὸν εἶναι ― δυ-

νατὸν μὴ | εἶναι· τὸ γὰρ αὐτὸ δυνατὸν εἶναι καὶ μὴ εἶναι· οὐ γὰρ

ἀντι|φάσεις ἀλλήλων αἱ τοιαῦται. | ἀλλὰ τὸ δυνατὸν εἶναι καὶ τὸ

μὴ δυνατὸν εἶναι οὐδέποτε || ἐπὶ τοῦ αὐτοῦ ἅμα ἀληθεύονται·

ἀντίκεινται γάρ. οὐδέ γε τὸ | δυνατὸν μὴ εἶναι καὶ τὸ οὐ δυνατὸν

μὴ εἶναι οὐδέποτε ἅμα ἐπὶ | τοῦ αὐτοῦ ἀληθεύονται.


Καὶ καθόλου δέ, ὥσπερ εἴρηται, τὸ μὲν εἶναι καὶ μὴ | εἶναι δεῖ

τιθέναι ὡς τὰ ὑποκείμενα, κατάφασιν δὲ καὶ ἀπό||φασιν ταῦτα

ποιοῦντα πρὸς τὸ εἶναι καὶ μὴ εἶναι συνάπτειν. | καὶ ταύτας

οἴεσθαι χρὴ εἶναι τὰς ἀντικειμένας φάσεις, δυ|νατόν ― οὐ δυνα-

τόν, ἐνδεχόμενον ― οὐκ ἐνδεχόμενον, ἀδύνατον ― | οὐκ ἀδύνατον,

ἀναγκαῖον ― οὐκ ἀναγκαῖον, [ἀληθές ― οὐκ ἀληθές]. |




-작성중-

Τὸ δὲ ἓν κατὰ πολλῶν ἢ πολλὰ καθ᾿ ἑνὸς καταφά|ναι ἢ ἀποφάναι,

ἐὰν μὴ ἕν τι ᾖ τὸ ἐκ τῶν πολλῶν συγκεί||μενον, οὐκ ἔστι κατά-

φασις μία οὐδὲ ἀπόφασις. λέγω δὲ ἓν | οὐκ ἐὰν ὄνομα ἓν ᾖ κεί-

μενον, μὴ ᾖ δὲ ἕν τι ἐξ ἐκείνων, οἷον | ὁ ἄνθρωπος ἴσως ἐστὶ καὶ

ζῷον καὶ δίπουν καὶ ἥμερον, ἀλλὰ | καὶ ἕν τι γίγνεται ἐκ τούτων·

ἐκ δὲ τοῦ λευκοῦ καὶ τοῦ ἀνθρώπου | καὶ τοῦ βαδίζειν οὐχ ἕν. ὥστε

οὔτε ἂν ἕν τι κατὰ τούτων κα||ταφήσῃ τις μία κατάφασις, ἀλλὰ

φωνὴ μὲν μία, κατα|φάσεις δὲ πολλαί, οὔτε ἐὰν καθ᾿ ἑνὸς ταῦτα,

ἀλλ᾿ ὁμοίως | πολλαί.

여럿에 대해서 하나를 혹은 하나에 대해 여럿을 긍정하는 것 또는 부정하는 것은,

그 여럿으로부터 결합되어 나온 것이 어떤 하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면,

단일한 긍정으로도 단일한 부정으로도 있지 않을 것이다. 나는 제시된 이름이

하나일 경우, 그런데 저 여럿으로부터 나온 것은 어떤 하나가 아닐 경우에

하나라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인간은 동물로도 있고 두 발 달린

것으로도 있으며 길들여진 것으로도 있을 것 같지만, 그러나 이것들로부터 나온

어떤 하나가 되기도 한다. 반면 흰 것과 인간과 걷는다는 것으로부터 어떤 하나가

되어 나오지는 않는다. 그래서 이런 것들에 대해 누군가가 어떤 하나를 긍정할

경우 단일한 긍정이 아니라, 음성은 하나이지만, 긍정은 여럿일 것이고, 이것들이

하나에 대한 것일 경우라도, 마찬가지로 여러 긍정들일 것이다. 

Εἰ οὖν ἡ ἐρώτησις ἡ διαλεκτικὴ ἀποκρίσεώς ἐστιν αἴ|τησις, ἢ

τῆς προτάσεως ἢ θατέρου μορίου τῆς ἀντιφάσεως, ἡ | δὲ πρότασις

ἀντιφάσεως μιᾶς μόριον, οὐκ ἂν εἴη μία ἀπόκρισις || πρὸς ταῦτα·

οὐδὲ γὰρ ἡ ἐρώτησις μία, οὐδ᾿ ἂν ᾖ ἀλη|θής. εἴρηται δὲ ἐν τοῖς

Τοπικοῖς περὶ αὐτῶν. ἅμα δὲ δῆλον | ὅτι οὐδὲ τὸ τί ἐστιν ἐρώτησίς

ἐστι διαλεκτική· δεῖ γὰρ δεδόσθαι | ἐκ τῆς ἐρωτήσεως ἐλέσθαι

ὁπότερον βούλεται τῆς ἀντιφάσεως | μόριον ἀποφήνασθαι· ἀλλὰ

δεῖ τὸν ἐρωτῶντα προσδιορίσαι || πότερον τόδε ἐστὶν ὁ ἄνθρωπος ἢ

οὐ τοῦτο. |

그러므로 만일 변증적 질문이 답을 요구한다면, 모순의 제시된 부분에 대한

답을 요구하든 남은 다른 부분에 대한 답을 요구하든, 그런데 그 제시된 쪽이

단일한 모순의 부분이라면, 이것들에 대한 단일한 답은 있을 수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질문이 단일한 것도 아니고, 참일지라도 단일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토피카』에서 그것들에 관하여 논하였다. 그런데 동시에 "무엇" 질문이

변증적인 질문이지 않다는 것도 동시에 분명하다. 왜냐하면 그 질문으로부터

모순의 둘 중 어느 부분을 부정하기를 바라는지 선택하는 일이 허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Ἐπεὶ δὲ τὰ μὲν κατηγορεῖται συντιθέμενα, ὡς ἓν τὸ | πᾶν

κατηγόρημα, τῶν χωρὶς κατηγορουμένων, τὰ δὲ οὔ, τίς ἡ |

διαφορά; κατὰ γὰρ τοῦ ἀνθρώπου ἀληθὲς εἰπεῖν καὶ χωρὶς | ζῲον

καὶ χωρὶς δίπουν, καὶ ταῦτα ὡς ἓν, καὶ ἄνθρωπον καὶ || λευκόν,

καὶ ταῦτα ὡς ἕν· ἀλλ᾿ οὐχί, εἰ σκυτεὺς καὶ ἀγαθός, | καὶ σκυτεὺς

ἀγαθός. εἰ γάρ, ὅτι ἑκάτερον ἀληθές, εἶναι δεῖ | καὶ τὸ συνάμφω,

πολλὰ καὶ ἄτοπα ἔσται. κατὰ γὰρ τοῦ | ἀνθρώπου καὶ τὸ ἄν-

θρωπος ἀληθὲς καὶ τὸ λευκόν, ὥστε καὶ τὸ | ἅπαν· πάλιν εἰ τὸ

λευκὸν αὐτό, καὶ τὸ ἅπαν, ὥστε ἔσται ἄν||θρωπος λευκὸς λευκός,

καὶ τοῦτο εἰς ἄπειρον· καὶ πάλιν || μουσικὸς λευκὸς βαδίζων, καὶ

ταῦτα πολλάκις πεπλεγμένα. | ἔτι εἰ ὁ Σωκράτης Σωκράτης καὶ

ἄνθρωπος, καὶ | Σωκράτης ἄνθρωπος, καὶ εἰ ἄνθρωπος καὶ δίπους,

| καὶ ἄνθρωπος δίπους. || ὅτι μὲν οὖν, εἴ τις ἁπλῶς θήσει τὰς

συμπλοκὰς γί|γνεσθαι, πολλὰ συμβαίνει λέγειν ἄτοπα, δῆλον·

ὅπως δὲ θε|τέον, λέγομεν νῦν.


Τῶν δὴ κατηγορουμένων, καὶ ἐφ᾿ οἷς κατ|ηγορεῖσθαι συμ-

βαίνει, ὅσα μὲν λέγεται κατὰ συμβεβηκός, | ἢ κατὰ τοῦ αὐτοῦ ἢ

θάτερον κατὰ θατέρου, ταῦτα οὐκ ἔσται || ἕν· οἷον ἄνθρωπος λευκός

ἐστι καὶ μουσικός, ἀλλ᾿ οὐχ ἓν τό | λευκὸν καὶ τὸ μουσικόν·

συμβεβηκότα γὰρ ἄμφω τῷ αὐτῷ. | οὐδ᾿ εἰ τὸ λευκὸν μουσικὸν

ἀληθὲς εἰπεῖν, ὅμως οὐκ ἔσται τὸ | λευκὸν μουσικὸν ἕν τι· κατὰ

συμβεβηκὸς γὰρ τὸ λευκὸν μουσι|κόν, ὥστε οὐκ ἔσται τὸ λευκὸν

μουσικὸν ἕν τι. διὸ οὐδὲ ὁ σκυτεὺς || ἁπλῶς ἀγαθός, ἀλλὰ ζῷον

δίπουν· οὐ γὰρ κατὰ συμβεβη|κός. ἔτι οὐδ᾿ ὅσα ἐνυπάρχει ἐν τῷ

ἑτέρῳ. διὸ οὔτε τὸ λευκὸν | πολλάκις οὔτε ὁ ἄνθρωπος ἄνθρωπος

ζῲόν ἐστιν ἢ δίπους· ἐνυπ|άρχει γὰρ ἐν τῷ ἀνθρώπῳ τὸ δίπουν

καὶ τὸ ζῷον.


Ἀληθὲς | δὲ ἐστιν εἰπεῖν κατὰ τοῦ τινὸς καὶ ἁπλῶς, οἷον τὸν

τινὰ <λευκὸν> ἄνθρω||πον ἄνθρωπον ἢ τὸν τινὰ λευκὸν ἄνθρωπον

λευκόν· | οὐκ ἀεὶ δέ, ἀλλ᾿ ὅταν μὲν ἐν τῷ προσκειμένῳ τῶν ἀντι-

κει|μένων τι ἐνυπάρχῃ οἷς ἕπεται ἀντίφασις, οὐκ ἀληθές, ἀλλὰ |

ψεῦδος, οἷον τὸν τεθνεῶτα ἄνθρωπον ἄνθρωπον εἰπεῖν, ὅταν δὲ |

μὴ ἐνυπάρχῃ, ἀληθές. ἢ ὅταν μὲν ἐνθπάρχῃ, ἀεὶ οὐκ ἀλη||θές, ὅταν

δὲ μὴ ἐνυπάρχῃ, οὐκ ἀεὶ ἀληθές, ὥσπερ Ὅμηρός | ἐστί τι, οἷον

ποιητής. ἆρ᾿ οὖν καὶ ἔστιν, ἢ οὔ; κατὰ συμβεβηκὸς | γὰρ

κατηγορεῖται τὸ ἔστιν τοῦ Ὁμήρου· ὅτι γὰρ ποιητής ἐστιν, | ἀλλ᾿

οὐ καθ᾿ αὑτό, κατηγορεῖται κατὰ τοῦ Ὁμήρου τὸ ἔστιν. |


Ὥστε ἐν ὅσαις κατηγορίαις μήτε ἐναντιότης ἔνεστιν, ἐὰν

λόγοι || ἀντ᾿ ὀνομάτων λέγωνται, καὶ καθ᾿ ἑαυτὰ κατηγορεῖται

καὶ | μὴ κατὰ συμβεβηκός, ἐπὶ τούτων τὸ τὶ καὶ ἁπλῶς ἀληθὲς |

ἔσται εἰπεῖν. τὸ δὲ μὴ ὄν, ὅτι δοξαστόν, οὐκ ἀληθὲς εἰπεῖν ὄν | τι·

δόξα γὰρ αὐτοῦ οὐκ ἔστιν ὅτι ἔστιν, ἀλλ᾿ ὅτι οὐκ ἔστιν. |

있지 않은 것이 생각된다는 점에서 무언가로 있는 것이라 말하는 것은

참이 아니다. 왜냐하면 그것(있지 않은 것)에 대한 생각(내용)은 "있다"라는 

점에서가 아니라 "있지 않다"라는 점에서 (있지 않은 것으로) 있기 때문이다. 


-작성중-

 

10. Ἐπεὶ δέ ἐστι τὶ κατὰ τινὸς ἡ κατάφασις σημαίνουσα, | τοῦτο δέ               5

ἐστιν ἢ ὄνομα ἢ τὸ ἀνώνυμον ― ἓν δὲ δεῖ εἶναι καὶ καθ᾿ | ἑνὸς τὸ

ἐν τῇ καταφάσει, τὸ δὲ ὄνομα εἴρηται καὶ τὸ ἀνώνυμον | πρότερον·

τὸ γὰρ οὐκ ἄνθρωπος ὄνομα μὲν οὐ λέγω, ἀλλ᾿ ἀόριστον | ὄνομα·

ἓν γάρ πως σημαίνει ἀόριστον· ὥσπερ καὶ τὸ οὐχ || ὑγιαίνει οὐ                    10

ῥῆμα, ἀλλ᾿ ἀόριστον ῥῆμα ―, ἔσται πᾶσα κατάφασις | ἢ ἐξ

ὀνόματος καὶ ῥήματος ἢ ἐξ ἀορίστου ὀνόμα|τος καὶ ῥήματος. ἄνευ

δὲ ῥήματος οὐδεμία κατάφασις οὐδὲ ἀπό|φασις· τὸ γὰρ ἔστιν ἢ

ἔσται ἢ ἦν ἢ γίγνεται ἢ ὅσα ἄλλα τοιαῦτα | ῥήματα ἐκ τῶν

κειμένων ἐστίν· προσσημαίνει γὰρ χρόνον. ὥστε || πρώτη κατά-                  15

φασις καὶ ἀπόφασις τὸ ἔστιν ἄνθρωπος ― οὐκ | ἔστιν ἄνθρωπος,

εἶτα ἔστιν οὐκ ἄνθρωπος ― οὐκ ἔστιν οὐκ ἄνθρωπος, | πάλιν ἔστι

πᾶς ἄνθρωπος ― οὐκ ἔστι πᾶς ἄνθρωπος, ἔστι πᾶς οὐκ | 

ἄνθρωπος ― οὐκ ἔστι πᾶς οὐκ ἄνθρωπος. καὶ ἐπὶ τῶν ἐκτὸς δὲ |

χρόνων ὁ αὐτὸς λόγος.

  긍정주장은 무엇을 무엇에 대해 지시한 것으로 있고, 이것은 이름으로 

있거나 또는 이름 없는 것으로 있고 ―그 긍정주장 안에 속한 것은 

하나로 그리고 하나에 대해 있어야 하는데, 이름과 이름 없는 것이 

더욱 우선적인 것이다. 왜냐하면 나는 비-인간을 이름이 아니라, 

비규정 이름이라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어떤 식으로든 비규정적 하나를 

지시하기 때문이다. 이는 마치 "안-건강하다"라는 것이 술어가 아니라, 

비규정 술어인 것과 같다―, 모든 긍정은 이름과 술어를 통해 또는 

비규정 이름과 술어를 통해 성립한다. 그런데 술어 없이는 단 하나의 

긍정도 부정도 성립하지 않는다. "있다," "있을 것이다," "있었다," "된다" 

또는 여타 이러한 종류의 것들이 전제들로부터 보자면 술어들이다.

그것들이 시간을 부가적으로 지시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간이

있다―인간이 있지 않다"라는 것이 일차적 긍정과 부정이고, 그 다음은

"비-인간이 있다―비-인간이 있지 않다"라는 것이며, 다시 "모든 인간이

있다―모든 인간이 있지 않다"라는 것이 [일차적으로] 있고, [그 다음은]

"모든 비-인간이 있다―모든 비-인간이 있지 않다"라는 것이다. 이외의

시제들에 관련하여서도 같은 논리가 적용된다.


Ὅταν δὲ τὸ ἔστι τρίτον προσκατηγο||ρῆται, ἤδη διχῶς                              20

λέγονται αἱ ἀντιθέσεις. λέγω δέ, οἷον ἔστι | δίκαιος ἄνθρωπος, τὸ

ἔστι τρίτον φημὶ συγκεῖσθαι ὀνόμα<τι> ἢ | ῥήμα<τι> ἐν τῇ κατα-

φάσει. ὥστε διὰ τοῦτο τέτταρα ἔσται ταῦτα, | ὧν τὰ μὲν δύο πρὸς

τὴν κατάφασιν καὶ ἀπόφασιν ἕξει κατὰ | τὸ στοιχοῦν ὡς αἱ

στερήσεις, τὰ δὲ δύο οὔ. λέγω δὲ ὅτι τὸ ἔστιν || ἢ τῷ δικαίῳ                        25

προσκείσεται ἢ τῷ οὐ δικαίῳ, ὥστε καὶ ἡ ἀπόφα|σις. τέτταρα οὖν

ἔσται. νοῶμεν δὲ τὸ λεγόμενον ἐκ τῶν ὑπογε|γραμμένων·


ἔστι δίκαιος ἄνθρωπος 

ἀπόφασις τούτου,

οὐκ ἔστι | δίκαιος ἄνθρωπος 

ἔστιν οὐ δίκαιος ἄνθρωπος 

τούτου ἀπόφασις, |

οὐκ ἔστιν οὐ δίκαιος ἄνθρωπος. 


τὸ γὰρ ἔστιν ἐνταῦθα καὶ τὸ οὐκ || ἔστιν τῷ διακίῳ καὶ τῷ οὐ                     30

δικαίῳ πρόσκειται. [ταῦτα μὲν | οὖν, ὥσπερ ἐν τοῖς Ἀναλυτικοῖς 

λέγεται, οὕτω τέτακται.]

  "있다"라는 것이 세 번째 요소로서 추가서술될 경우, 이제 그 대립항들은

두 가지 방식으로 말해진다. 내 말은, "인간이 정의로운 것으로 있다"를

예로 들면, 나는 "있다"라는 것이 해당 긍정주장 안에서 이름<과> 또는 

술어<와> 함께 세 번째 요소로서 함께 놓인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이름 또는 술어'를' 함께 배열해주는 세 번째 요소라고)

  그래서 이런 이유로 이러한 것들은 넷이 있을 것인데, 그 중 둘은 긍정과

부정에 대해 순서대로 결여들(소유-결여)과 같은 방식으로 성립할 것이고,

다른 둘은 그렇지 않을 것이다. 내 말은 "있다"라는 것이 "정의로운 것"에

또는 "안-정의로운 것"에 추가될 것이고, 그래서 부정 역시 그리 되리란

것이다. 그러므로 네 가지 것들이 있다. 아래 표를 통해 이 말을 생각해 보자.

"인간이 정의로운 것으로 있다." 

이에 대한 부정,

"인간이 정의로운 것으로 있지 않다."

"인간이 안-정의로운 것으로 있다."

이에 대한 부정,

"인간이 안-정의로운 것으로 있지 않다."


즉 여기에서 "있다"라는 것과 "있지 않다"라는 것은 "정의로운 것"에 그리고

"안-정의로운 것"에 추가되어 놓여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것들은, 마치

『분석론』에서 말해지듯, 그런 식으로 배열되었다.]



Ὁμοίως | δὲ ἔχει κἂν καθόλου τοῦ ὀνόματος ᾖ ἡ κατάφασις,

οἷον

πᾶς | ἐστιν ἄνθρωπος δίκαιος

ἀπόφασις τούτου,

οὐ πᾶς ἐστιν ἄνθρωπος | δίκαιος

πᾶς ἐστιν ἄνθρωπος οὐ δίκαιος

οὐ πᾶς ἐστιν ἄνθρωπος || οὐ δίκαιος.

πλὴν οὐχ ὁμοίως τὰς κατὰ διάμετρον ἐνδέχεται | συναληθεύειν,                   35

ἐνδέχεται δὲ ποτέ.

  긍정주장이 해당 이름에 보편적 방식으로 개입할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것인데, 예를 들어 

"모든 인간이 정의로운 것으로 있다."

이에 대한 부정,

"모든 인간이 정의로운 것으로 있지는 않다."

"모든 인간이 안-정의로운 것으로 있다."

"모든 인간이 안-정의로운 것으로 있지는 않다."

이는 사선으로 놓인 주장들이, 때로는 가능할지라도, 위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동시에 참이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제외하면

위와 마찬가지이다.


* 여기에서 동일성 부정과 일상적 부정 서술(또는 양립 불가능한 속성들의 영역 내에서의 동일성 부정)이 구분되고 있나?


Αὗται μὲν οὖν δύο ἀντίκειν|ται, ἄλλαι δὲ πρὸς τὸ οὐκ

ἄνθρωπος ὡς ὑποκείμενόν τι<νος> | προστεθέντος·

ἔστι δίκαιος οὐκ ἄνθρωπος

οὐκ ἔστι δίκαιος οὐκ ἄνθρωπος

ἔστιν οὐ δίκαιος οὐκ ἄνθρωπος

οὐκ ἔστιν οὐ δίκαιος οὐκ || ἄνθρωπος.

πλείους δὲ τούτων οὐκ ἔσονται ἀντιθέσεις· αὗται δὲ | χωρὶς                   20a

ἐκείνων αὐταὶ καθ᾿ ἑαυτάς εἰσιν, ὡς ὀνόματι τῷ | οὐκ ἄνθρωπος

χρώμεναι.

그러므로 이러한 주장들은 두 반대쌍들이며, 여타의 반대쌍들은

주어[기체]로서 "비-인간"에 대해 무언가<가> 추가되는 경우에 있다.

"비-인간이 정의로운 것으로 있다."

"비-인간이 정의로운 것으로 있지 않다."

"비-인간이 안-정의로운 것으로 있다."

"비-인간이 안-정의로운 것으로 있지 않다."

이것들 이상의 대립쌍들은 있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이 대립쌍들은
저 위의 대립쌍들과 독립적으로 그 자체로 성립하는 바, "비-인간"이란

것을 이름으로 사용하기에 그러하다.


Ἐφ᾿ ὅσων δὲ τὸ ἔστι μὴ ἁρμόττει, | οἷον ἐπὶ τοῦ ὑγιαίνει καὶ

βαδίζει, ἐπὶ τούτων τὸ αὐτὸ ποιεῖ || οὕτω τιθέμενον ὡς ἂν εἰ τὸ                   5

ἔστι προσήπτετο, οἷον ὑγιαίνει πᾶς | ἄνθρωπος ― οὐχ ὑγιαίνει

πᾶς ἄνθρωπος, ὑγιαίνει πᾶς οὐκ ἄν|θρωπος ― οὐχ ὑγιαίνει πᾶς

οὐκ ἄνθρωπος. οὐ γάρ ἐστι τὸ οὐ πᾶς | ἄνθρωπος λεκτέον, ἀλλὰ τὸ

οὔ, τὴν ἀπόφασιν, τῷ ἄνθρωπος | προσθετέον· τὸ γὰρ πᾶς οὐ τὸ

καθόλου σημαίνει, ἀλλ᾿ ὅτι καθ||όλου. δῆλον δὲ ἐκ τοῦδε· ὑγιαίνει                10

ἄνθρωπος ― οὐχ ὑγιαίνει ἄν|θρωπος, ὑγιαίνει οὐκ ἄνθρωπος ―

οὐχ ὑγιαίνει οὐκ ἄνθρωπος. | ταῦτα γὰρ ἐκείνων διαφέρει τῷ μὴ

καθόλου. ὥστε τὸ πᾶς | ἢ μηδείς οὐδὲν ἄλλο προσσημαίνει ἢ ὅτι

καθόλου τοῦ ὀνόματος | κατάφησιν ἢ ἀπόφησιν. τὰ οὖν ἄλλα τὰ

αὐτὰ δεῖ προσ||τιθέναι. |                                                                      15

그런데 "있다"라는 것이 조화되지 않는 것들의 경우, 예를 들어 

"건강하다"와 "걷는다"의 경우, 이러한 것들의 경우에는 "있다"라는 

것이 덧붙었더라면 그러했을 바로 그러한 방식으로 적용됨으로써

같은 결과를 만들어낸다. 예를 들어 "모든 인간이 건강하다―모든 

인간이 건강하지 않다," "모든 비-인간이 건강하다―모든 비-인간이 

건강하지 않다." 즉 "모두가-아닌 인간"이라고 말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부정어로서 "비(非)"가 "인간"에 추가되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모든"이란 보편자를 지시하는 것이 아니라, 보편적이라는 점을

지시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는 다음으로부터 분명해진다. "인간이

건강하다―인간이 건강하지 않다," "비-인간이 건강하다―비-인간이

건강하지 않다." 왜냐하면 이러한 것들은 보편적이지 않다는 점에서

저것들(보편문장)과 다르기 때문이다. 그래서 "모든"이나 "전무"는

해당 이름에 대해 보편적으로 긍정주장하거나 부정주장하는 것 외에

다른 아무것도 추가로 지시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것들은 여타의

것들이 추가되어야 한다.


Ἐπεὶ δὲ ἐναντία ἀπόφασίς ἐστι τῇ ἅπαν ἐστὶ ζῷον δί|καιον ἡ

σημαίνουσα ὅτι οὐδὲν ἐστι ζῷον δίκαιον, αὗται μὲν φα|νερὸν ὅτι

οὐδέποτε ἔσονται οὔτε ἀληθεῖς ἅμα οὔτε ἐπὶ τοῦ αὐτοῦ, | αἱ δὲ

ἀντικείμεναι ταύταις ἔσονταί ποτε, οἷον οὐ πᾶν ζῷον || δίκαιον καὶ              20

ἔστι τι ζῷον δίκαιον. ἀκολουθοῦσι δὲ αὗται, ἡ μὲν | οὐδεὶς ἄνθρω-

πος δίκαιος τῇ πᾶς ἐστιν ἄνθρωπος οὐ δίκαιος, | [τ]ἡ δὲ ἔστι τις

δίκαιος ἄνθρωπος <τ>ῇ ἀντικειμένῃ ὅτι οὐ πᾶς ἐστιν ἄν|θρωπος οὐ

δίκαιος· ἀνάγκη γὰρ εἶναί τινα.

그런데 "모든 동물이 정의로운 것으로 있다"라는 문장에는 어떤

동물도 정의로운 것으로 있지 않다는 점을 지시하는 문장이 반대되는 

부정문으로 있기에, 이러한 것들은 결코 그 둘이 동시에 참일 리도 없고

같은 것을 두고 성립할 리도 없다는 것이 분명한 반면, 이러한 것들에

대립되는 문장들은 어떤 경우에는 그러한 것들로(동시에 참이거나 같은

것을 두고 성립하는 것으로서) 있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 "모든 동물이

정의로운 것으로 있지는 않다"와 "어떤 동물이 정의로운 것으로 있다."

그런데 "모든 인간이 안-정의로운 것으로 있다"라는 주장에는 "어떤 인간도 

정의로운 것으로 있지 않다"라는 주장이, 반면 이와 대립되는 바 

모든 인간이 안-정의로운 것으로 있지는 않다고 하는 주장에는 

"어떤 인간이 정의로운 것으로 있다"는 주장이 따라온다. 즉 [이것들 중]

무엇인가는 성립함이 필연적이다.


Φανερὸν δὲ | καὶ ὅτι ἐπὶ μὲν τῶν καθ᾿ ἕκαστον, εἰ ἀληθὲς

ἐρωτηθέντα ἀπο||φῆσαι, ὅτι καὶ καταφῆσαι ἀληθές, οἷον· ἆρά γε                  25

Σωκράτης | σοφός; οὔ. Σωκράτης ἄρα οὐ σοφός. ἐπὶ δὲ τῶν

καθόλου οὐκ | ἀληθὴς ἡ ὁμοίως λεγομένη, ἀληθὴς δὲ ἡ ἀπόφασις,

οἷον· ἆρά | γε πᾶς ἄνθρωπος σοφός; οὔ. πᾶς ἄρα ἄνθρωπος οὐ

σοφός. | τοῦτο γὰρ ψεῦδος, ἀλλὰ τὸ οὐ πᾶς ἄρα ἄνθρωπος σοφός ||

ἀληθές. αὕτη δέ γέ ἐστιν ἡ ἀντικειμένη, ἐκείνη δὲ ἡ ἐναντία.

그런데 개별자의 경우에는, 만일 질문 받은 자가 부정하여 참이라면,

긍정 또한 참이라는 점 또한 명백하다. 예를 들어 "소크라테스는

현명한 것으로 있나?" "아니오." "그럼 소크라테스는 안-현명한 것으로 

있다." 반면 보편자의 경우 마찬가지 방식으로 말해지는 주장이 참이

아니라, 부정이 참이다. 예를 들어 "모든 인간이 현명한 것으로 있는가?"

"아니오." "그럼 모든 인간이 안-현명한 것으로 있다." 이는 거짓이고,

"모든 인간이 현명한 것으로 있지는 않다"라는 것은 참이다. 이것이

모순인 반면, 전자는 반대이다.


Αἱ δὲ κατὰ τὰ ἀόριστα ἀντικείμεναι ὀνόματα καὶ ῥή|ματα,

οἷον ἐπὶ τοῦ μὴ ἄνθρωπος καὶ μὴ δίκαιος, ὥσπερ ἀπο|φάσεις ἄνευ

ὀνόματος καὶ ῥήματος δόξαιεν ἂν εἶναι. οὐκ εἰσὶ | δὲ· ἀεὶ γὰρ

ἀληθεύειν ἀνάγκη ἢ ψεύδεσθαι τὴν ἀπόφασιν, || ὁ δὲ εἰπὼν οὐκ                   35

ἄνθρωπος οὐδὲν μᾶλλον τοῦ ἄνθρωπος | ἀλλὰ καὶ ἧττον ἠλήθευκέ

τι ἢ ἔψευσται, ἐὰν μή τι προστεθῇ. |

비규정 이름과 술어에 따라 대립되는 문장들, 예를 들어 "비-인간"과

"안-정의로움"의 경우, 마치 그 부정들이 이름과 술어 없이 성립한다고

여겨질 수 있다. 그러나 그렇지 않다. 왜냐하면 그 부정은 언제나 필연적으로

참이 되거나 아니면 거짓이 되고, "비-인간"을 발언하는 자는, 무언가를

추가하지 않는 한, "인간"을 발언하는 자보다 전혀 조금도 더도 덜도

참된 것도 거짓된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Σημαίνει δὲ τὸ ἔστι πᾶς οὐκ ἄνθρωπος δίκαιος οὐδεμιᾷ

ἐκείνων | ταὐτόν, οὐδὲ ἡ ἀντικειμένη ταύτῃ ἡ οὐκ ἔστι πᾶς οὐκ

ἄνθρωπος | δίκαιος· τὸ δὲ πᾶς οὐ δίκαιος οὐκ ἄνθρωπος τῷ οὐδεὶς

δίκαιος || οὐκ ἄνθρωπος ταὐτὸν σημαίνει. ||                                            40

그런데 "모든 비-인간이 정의로운 것으로 있다"라는 것은 저것들

중 아무것과도 같은 것을 지시하지 않고, "모든 비-인간이 정의로운

것으로 있지 않다"라는 이 문장에 대립되는 문장으로 있지도 않다.

반면 "모든 비-인간은 안-정의로운 것으로 있다"라는 것은 "어떤

비-인간도 정의로운 것으로 있지 않다"라는 것과 같은 것을 지시한다.


Μετατιθέμενα δὲ τὰ ὀνόματα καὶ τὰ ῥήματα ταὐτὸν | σημαί-                20b

νει, οἷον ἔστι λευκὸς ἄνθρωπος ― ἔστιν ἄνθρωπος λευκός. | εἰ γὰρ

μὴ τοῦτό ἐστιν, τοῦ αὐτοῦ πλείους ἔσονται ἀποφάσεις, | ἀλλ᾿

ἐδέδεικτο ὅτι μία μιᾶς. τοῦ μὲν γὰρ ἔστι λευκὸς ἄνθρω||πος                        5

ἀπόφασις τὸ οὐκ ἔστι λευκὸς ἄνθρωπος· τοῦ δὲ ἔστιν ἄν|θρωπος

λευκός, εἰ μὴ ἡ αὐτή ἐστι τῇ ἔστι λευκὸς ἄνθρωπος, | ἔσται

ἀπόφασις ἤτοι τὸ οὐκ ἔστιν οὐκ ἄνθρωπος λευκός ἢ τὸ | οὐκ ἔστιν

ἄνθρωπος λευκός. ἀλλ᾿ ἡ ἑτέρα μέν ἐστιν ἀπόφασις | τοῦ ἔστιν οὐκ

ἄνθρωπος λευκός, ἡ ἑτέρα δὲ τοῦ ἔστι λευκὸς ἄν||θρωπος, ὥστε                  10

ἔσονται δύο μιᾶς. ὅτι μὲν οὖν μετατιθεμένου τοῦ | ὀνόματος καὶ

τοῦ ῥήματος ἡ αὐτὴ γίγνεται κατάφασις καὶ | ἀπόφασις, δῆλον. |

그런데 이름과 술어가 바뀌어 놓이더라도 같은 것을 지시한다. 예를 들어

"인간이 흰 것으로 있다."―"흰 것으로서 인간이 있다." 왜냐하면

만일 이렇지 않다면, 같은 것에 대한 더 많은 부정들이 있게 될 것이나,

단일한 것에 대해 단일한 것이 있다는 점이 증명된 바 있기 때문이다.

즉 "인간이 흰 것으로 있다"에 대한 부정은 "인간이 흰 것으로 있지 않다."라는

것이다. 반면 "흰 것으로서 인간이 있다"라는 것에 대해서는, 

만일 "인간이 흰 것으로 있지 않다"와 같은 문장으로 있지 않다면, 

"흰 것으로서 비-인간이 있지 않다"라는 것 또는 "흰 것으로서 인간이 있지

않다"라는 것이 부정으로서 있게 될 것이다. 그러나 둘 중 한 쪽은 "흰 것으로서

비-인간이 있다"에 대한 부정이고, 다른 한 쪽은 "인간이 흰 것으로 있다"에 대한

부정이기에, 그래서 단일한 주장에 대해 두 주장들이 있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름과 술어가 바뀌어 놓이더라도 똑같은 긍정과 부정이 성립된다는

점은, 분명하다.


- 미규정 명사(e.g., 비-인간)나 

미규정 술어(e.g., "안-걷는다," "안-정의로운 것으로서 있다.")의 범위는 어디까지인가? 

예를 들어 안-붉음의 경우 이것 이외의 색들을 의미하는가, 아니면 형태나 상태, 여타의

실체까지 포함하는가? 이와 관련하여 미규정 술어와 술어 부정, 계사 부정은 서로 구분되는가?


- 휘태커, 여기에서 "있다"는 주어 의존적 귀결을 가리키며, 따라서 주어가 다양할 수 있는 그 만큼 

다양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e.g., 불이 있다 → 불이 뜨겁다. 이 경우 "염솨슴이 있다"가 거짓이며,

그럼에도 의미가 있다는 것은 어떻게 이해될 것인가? 비존재자에 포함된 모든 술어는 거짓?

또는 "A or ~A"가 가리키는 실재 사태는 없지만 그 의미와 진리치는 있다는 것에 주목. 

존재론과 의미론의 구분이 이루어질 실마리가 나타나고 있는 듯?

  이런 식으로 이해할 때 휘태커는 "to on"의 존재사적 용법을 부정하는가? 


- Cf. External Negation/Internal Negation. 선언문의 진리치와 선언지 각각의 독립적 진리치의 관계는?


-蟲-


9. Ἐπὶ μὲν οὖν τῶν ὄντων καὶ γενομένων ἀνάγκη τὴν κα|τάφασιν ἢ

τὴν ἀπόφασιν ἀληθῆ ἢ ψευδῆ εἶναι, καὶ ἐπὶ μὲν || τῶν καθόλου ὡς                 30

καθόλου ἀεὶ τὴν μὲν ἀληθῆ τὴν δὲ ψευδῆ | καὶ ἐπὶ τῶν καθ᾿ 

ἕκαστα, ὥσπερ εἴρηται, ἐπὶ δὲ τῶν | καθόλου μὴ καθόλου ληφ-

θέντων οὐκ ἀνάγκη· εἴρηται δὲ καὶ | περὶ τούτων. ἐπὶ δὲ τῶν καθ᾿

ἕκαστα καὶ μελλόντων οὐχ ὁμοίως.

그러므로 존재하는 것들과 생성되는 것들에 대하여 부정 또는 긍정이

참 또는 거짓임은 필연적이고, 보편자들에 대해서는 보편적으로

언제나 한편의 주장은 참이고 다른 한편의 주장은 거짓임이 그리고

개별자에 대해서도 그러함이, 논의된 것처럼, 필연적이지만, 보편자에

대해 보편적이지 않게 상정될 때에는 그것이 필연적이지 않다. 이러한

일들에 관련하여서도 논의되었다. 반면 개별적으로 또한 장차의

것들이기도 한 것들에 대해서는 마찬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Εἰ γὰρ πᾶσα κατάφασις καὶ ἀπόφασις ἀληθὴς ἢ ψευδής, || καὶ                        35

ἅπαν ἀνάγκη ὑπάρχειν ἢ μὴ ὑπάρχειν, ὥστε εἰ ὁ μὲν | φήσει

ἔσεσθαί τι, ὁ δὲ μὴ φήσει τὸ αὐτὸ τοῦτο, δῆλον ὅτι | ἀνάγκη

ἀληθέυειν τὸν ἕτερον αὐτῶν, εἰ πᾶσα κατάφασις | καὶ ἀπόφασις

ἀληθὴς ἢ ψευδής· ἄμφω γὰρ οὐχ ὑπάρξει | ἅμα ἐπὶ τοῖς τοιόυτοις.

왜냐하면 만일 모든 긍정과 부정이 참이거나 거짓이라면, 또 통틀어

모든 것이 존속하거나 존속하지 않음이 필연적이라면, 그래서 만일

한편에서는 모종의 것이 있으리라 주장할 것이고, 다른 한편에서는

바로 그 똑같은 바를 주장하지 않을 것이라면, 그 중 어느 한쪽이

참이 됨이 필연적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만일 모든 긍정과 부정이

참이거나 거짓이라면.

εἰ γὰρ ἀληθὲς εἰπεῖν ὅτι λευκὸν ἢ || ὅτι οὐ λευκόν ἐστιν, ἀνάγκη                18b

εἶναι ἢ λευκὸν ἢ οὐ λευκόν, καὶ εἰ | ἔστιν <ἢ> λευκὸν ἢ οὐ λευκόν,

ἀληθὲς ἦν ἢ φάναι ἢ ἀποφάναι· καὶ | εἰ μὴ ὑπάρχει, ψεύδεται, καὶ

εἰ ψεύδεται, οὐχ ὑπάρχει, | ὥστε ἀνάγκη ἢ τὴν κατάφασιν ἢ τὴν

ἀπόφασιν ἀληθῆ εἶναι || ἢ ψευδῆ.                                                             5

왜냐하면 만일 희다는 것을 말함이나 희지 않다는 것을 말함이 참이라면,

흰 것으로 있거나 희지 않은 것으로 있음이 필연적이고, 또 만일

흰 것으로 있거나 희지 않은 것으로 있다면, 주장하거나 부정함이

참이었을 터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만일 존속하지 않는다면, 거짓이

되고, 또 만일 거짓으로 된다면, 존속하지 않기에, 그래서 긍정이나

부정이 참이거나 거짓임은 필연적이다.

Οὐδὲν ἄρα οὔτε ἔστιν οὔτε γίγνεται οὔτε ἀπὸ τύχης οὔτε |

ὁπότερ᾿ ἔτυχεν οὐδὲ ἔσται ἢ οὐκ ἔσται, ἀλλ᾿ ἐξ ἀνάγκης ἅπαν|τα

καὶ οὐχ ὁπότερ᾿ ἔτυχεν ― ἢ γὰρ ὁ φὰς ἀληθεύει ἢ ὁ ἀπο|φάς ―·

ὁμοίως γὰρ ἂν ἐγίγνετο ἢ οὐκ ἐγίγνετο· τὸ γὰρ ὁπότερ᾿ ἔτυχεν |

οὐδὲν μᾶλλον οὕτως ἢ μὴ οὕτως ἔχει ἢ ἕξει.

따라서 아무것도 우연을 통해서든 우발적으로든 존재지도 생성되지도

않고 존재할 것도 존재하지 않을 것도 아니라, 오히려 모든 것들이 전부

필연을 통해 우발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그러하다(왜냐하면 주장하는 자가

참이거나 아니면 부정하는 자가 참이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그와

같은 방식으로 생성되었을 것도 아니고 생성되지 않았을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즉 우발적인 것은 그렇지 않기 보다 전혀 더 

그러한 상태로 있지도 않고 있을 것이지도 않기 때문이다.

Ἔτι εἰ ἔστι λευκὸν || νῦν, ἀληθὲς ἦν εἰπεῖν πρότερον ὅτι ἔσται                        10

λευκόν, ὥστε ἀεὶ ἀλη|θὲς ἦν εἰπεῖν ὁτιοῦν τῶν γενομένων ὅτι

ἔσται. εἰ δὲ ἀεὶ | ἀληθὲς ἦν εἰπεῖν ὅτι ἔστιν ἢ ἔσται, οὐχ οἷόν τε

τοῦτο μὴ εἶναι | οὐδὲ μὴ ἔσεσθαι. ὃ δὲ μὴ οἷόν τε μὴ γενέσθαι,

ἀδύνατον μὴ | γενέσθαι· ὃ δὲ ἀδύνατον μὴ γενέσθαι, ἀνάγκη

γενέσθαι. ἅπαντα || οὖν τὰ ἐσόμενα ἀναγκαῖον γενέσθαι. οὐδὲν                      15

ἄρα ὁπότερ᾿ ἔτυχεν | οὐδὲ ἀπὸ τύχης ἔσται· εἰ γὰρ ἀπὸ τύχης, οὐκ

ἐξ ἀνάγκης.

또한 만일 현재 흰 것으로 있다면, 흰 것으로 있을 것이라는 것을

더 먼저 말하는 일이 참이고, 그래서 생성되는 것들 중 그 무엇이든 

그것이 있을 것이라는 점을 말함은 언제나 참이다. 그런데 만일 있다거나

있을 것이라는 점을 말함이 언제나 참이라면, 이것이 있지 않을 수도

있었지 않을 수도 없다. 그런데 생성되지 않을 수 없는 것은, 생성되지

않는 일이 불가능하다. 그런데 생성되지 않는 일이 불가능한 것은,

생성됨이 필연적이다. 그러므로 모든 존재할 것 전부는 생성되는 일이

필연적이다. 따라서 아무것도 우발적으로든 우연히든 존재할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만일 우연이라면, 필연을 통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Ἀλ|λὰ μὴν οὐδ᾿ ὡς οὐδέτερόν γε ἀληθὲς ἐνδέχεται λέγειν, οἷον

ὅτι | οὔτε ἔσται οὔτε οὐκ ἔσται. πρῶτον μὲν γὰρ οὔσης τῆς κατα-

φάσεως | ψευδοῦς ἡ ἀπόφασις οὐκ ἀληθής, καὶ ταύτης ψευδοῦς

οὔσης τὴν || κατάφασιν συμβαίνει μὴ ἀληθῆ εἶναι. καὶ πρὸς                            20

τούτοις, εἰ | ἀληθὲς εἰπεῖν ὅτι λευκὸν καὶ μέγα, δεῖ ἄμφω

ὑπάρχειν, εἰ | δὲ ὑπάρξει εἰς αὔριον, ὑπάρξειν εἰς αὔριον. εἰ δὲ

μήτε ἔσται | μήτε μὴ ἔσται αὔριον, οὐκ ἂν εἴη ὁπότερ᾿ ἔτυχεν, οἷον

ναυ|μαχία· δέοι γὰρ ἂν μήτε γενέσθαι ναυμαχίαν μήτε || μὴ                           25

γενέσθαι. |

그러나 물론 둘 중 어느 쪽이든 참이 아니라고 말하는 일이 허용되지는

않는데, 예를 들어 있을 것도 아니고 있지 않을 것도 아니라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우선 긍정이 거짓임에도 부정이 참이

아니고, 또한 이 부정이 거짓임에도 긍정이 참이지 않은 것으로

귀결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들에 더하여, 만일 희고 크다는 것을

말함이 참이라면, 그 양자 모두가 존속해야 하고, 그런데 만일

내일 존속할 것이라면, 내일 존속할 것이어야 한다. 그런데 만일

내일 있을 것도 아니고 있지 않을 것도 아니라면, 있지 않을

것이 우발적으로 있지 않을 터이기 때문이다, 이를 테면 해전처럼.

즉 해전이 일어나지도 않아야 하고 일어나지 않지도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Τὰ μὲν δὴ συμβαίνοντα ἄτοπα ταῦτα καὶ τοιαῦτα | ἕτερα,

εἴπερ πάσης καταφάσεως καὶ ἀποφάσεως, ἢ ἐπὶ τῶν | καθόλου

λεγομένων ὡς καθόλου ἢ ἐπὶ τῶν καθ᾿ ἕκαστα, ἀνάγκη | τῶν

ἀντικειμένων εἶναι τὴν μὲν ἀληθῆ τὴν δὲ ψευδῆ, μηδὲν || δὲ                          30

ὁπότερ᾿ ἔτυχεν εἶναι ἐν τοῖς γιγνομένοις, ἀλλὰ πάντα | εἶναι καὶ

γίγνεσθαι ἐξ ἀνάγκης. ὥστε οὔτε βουλεύεσθαι δέοι | ἂν οὔτε

πραγματεύεσθαι, ὡς ἐὰν μὲν τοδὶ ποιήσωμεν, ἔσται | τοδί, ἐὰν δὲ

μὴ τοδί, οὐκ ἔσται. οὐδὲν γὰρ κωλύει καὶ εἰς | μυριοστὸν ἔτος τὸν

μὲν φάναι τοῦτο ἔσεσθαι τὸν δὲ μὴ φά||ναι, ὥστε ἐξ ἀνάγκης                          35

ἔσεσθαι ὁποτερονοῦν αὐτῶν ἀληθὲς ἦν | εἰπεῖν τότε.

그리하여 그 결론들은 이러한 그리고 이런 종류의 또 다른 이상한 것들이다,

만일 모든 긍정과 부정이, 보편자에 관하여 보편적으로 서술되든 개별자에

관하여 서술되든, 대립되는 서술들 중 한편은 참이고 다른 한편은 거짓임이

필연적이라면, 그런데 생성되는 것들에 있어서 아무것도 우발적이지 않고,

오히려 모든 것들이 필연적으로 존재하고 또한 생성된다면. 그래서

고려할 필요도 문제 삼을 필요도 없을 것이다, 어떻게 만일 한편으로 우리가

이러저러한 것을 행한다면, 이러저러한 것이 있을 것이고, 다른 한편

이러저러한 것을 그리하지 않는다면, 있지 않을 것인지. 왜냐하면 수 만 년에

이르기까지도 한 사람은 이러한 일이 있으리라고 주장하고 또 다른 자는

부정하는 일을 아무것도 막지 않고, 그래서 둘 중 어느 쪽이든 참을 말했던

그 때 그것이 필연적으로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Ἀλλὰ μὴν οὐδὲ τοῦτο διαφέρει, εἴ τινες εἶπον τὴν | ἀντίφασιν ἢ

μὴ εἶπον. δῆλον γὰρ ὅτι οὕτως ἔχει τὰ πράγ|ματα, κἂν μὴ ὁ μὲν

καταφήσῃ τι, ὁ δὲ ἀποφήσῃ· οὐ γὰρ | διὰ τὸ καταφαθῆναι ἢ

ἀποφαθῆναι ἔσται ἢ οὐκ ἔσται, οὐδ᾿ εἰς || μυριοστὸν ἔτος μᾶλλον ἢ             19a

ἐν ὁποσῳοῦν χρόνῳ. ὥστε εἰ ἐν ἅπαντι | χρόνῳ οὕτως εἶχεν ὥστε

τὸ ἕτερον ἀληθεύεσθαι, <ἀεὶ> ἀναγκαῖον | ἦν τοῦτο γενέσθαι, καὶ

ἕκαστον τῶν γενομένων ἀεὶ οὕτως εἶχεν | ὥστε ἐξ ἀνάγκης

γενέσθαι. ὅ τε γὰρ ἀληθῶς εἶπέ τις ὅτι || ἔσται, οὐχ οἷόν τε μὴ                          5

γενέσθαι· καὶ τὸ γενόμενον ἀληθὲς ἦν | εἰπεῖν ἀεὶ ὅτι ἔσται. |

그러나 물론, 어떤 이들이 모순을 말했든 말하지 않았든 이것이 차이를

만들어내지도 않는다. 왜냐하면 설령 누군가는 모종의 것을 긍정할 것이고,

또 다른 자는 부정할 것이라 할지라도, 사태들이 그러하다는 것은

분명하기 때문이다. 즉 긍정되거나 부정되는 일로 인하여 있을 것이거나

있지 않을 것이 아니고, 수 만 년 후이든 다른 그 어떤 시간에서든

그렇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만일 다른 쪽이 참이 되도록 그런 식으로

모든 시간에 상황이 그러하다면, <언제나> 이 일이 발생됨이 필연적이었고,

발생한 일들 각각은 언제나 필연적으로 발생되도록 그런 식일 것이다.

왜냐하면 있으리라고 누군가 참되게 주장할 때, 생성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생성되고 있는 것을 두고 있을 것이라고 말하는 것도

언제나 참이다.

Εἰ δὴ ταῦτα ἀδύνατα ― ὁρῶμεν γὰρ ὅτι ἔστιν ἀρχὴ | τῶν

ἐσομένων καὶ ἀπὸ τοῦ βουλεύεσθαι καὶ ἀπὸ τοῦ πρᾶξαί | τι, καὶ

ὅτι ὅλως ἔστιν ἐν τοῖς μὴ ἀεὶ ἐνεργοῦσι τὸ δυνατὸν || εἶναι καὶ μή,                    10

ἐν οἷς ἄμφω ἐνδέχεται, καὶ τὸ εἶναι | καὶ τὸ μὴ εἶναι, ὥστε καὶ τὸ

γενέσθαι καὶ τὸ μὴ γενέσθαι· | καὶ πολλὰ ἡμῖν δῆλά ἐστιν οὕτως

ἔχοντα, οἷον ὅτι τουτὶ τὸ | ἱμάτιον δυνατόν ἐστι διατμηθῆναι καὶ

οὐ διατμηθήσεται, ἀλλ᾿ | ἔμπροσθεν κατατριβήσεται· ὁμοίως δὲ

καὶ τὸ μὴ διατμη||θῆναι δυνατόν· οὐ γὰρ ἂν ὑπῆρχει τὸ ἔμπροσθεν                   15

αὐτὸ κατα|τριβῆναι, εἴγε μὴ δυνατὸν ἦν τὸ μὴ διατμηθῆναι· ὥστε

καὶ | ἐπὶ τῶν ἄλλων γενέσεων, ὅσαι κατὰ δύναμιν λέγονται τὴν |

τοιαύτην ―, φανερὸν ἄρα ὅτι οὐχ ἅπαντα ἐξ ἀνάγκης οὔτε ἔστιν |

οὔτε γίγνεται, ἀλλὰ τὰ μὲν ὁπότερ᾿ ἔτυχε καὶ οὐδὲν μᾶλλον || ἡ                        20

κατάφασις ἢ ἡ ἀπόφασις ἀληθής, τὰ δὲ μᾶλλον μὲν καὶ | ὡς ἐπὶ τὸ

πολὺ θάτερον, οὐ μὴν ἀλλ᾿ ἐνδέχεται γενέσθαι καὶ | θάτερον,

θάτερον δὲ μή. |

그리하여 이러한 일들이 불가능하다면―왜냐하면 우리는 있을 것들의

기원이 모종의 것을 고려함으로부터 그리고 수행함으로부터 나온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또한 있음과 있지 않음이 가능한 것은 이 양자를 그

안에 허용하는 바 항상 현실화되어 있지는 않은 것들 안에 전반적으로

속하여 있고, 있다는 것과 있지 않다는 것 모두가 속하여 있으며, 그래서

생성된다는 것과 생성되지 않는다는 것 또한 속하여 있다는 것 역시

알고 있기 때문이다. 사정이 그러하다는 것은 여러 지점에서 우리에게

분명한데, 예를 들어 여기 이 옷은 잘리는 일이 가능한 것이자 또한 

잘리지 않고 오히려 그보다 먼저 해어질 것이다. 그런데 마찬가지로

잘리지 않는 일이 가능한 것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그것이 그보다 먼저

해어진다는 것이 존속하지 못할 터이기 때문이다, 적어도 만일 잘리지

않는 일이 가능하지 않았더라면 말이다. 그래서 여타의, 이러한 종류의 

가능성에 따라 말해진, 그러한 생성들에 대해서도 그러하다―, 통틀어

모든 것들이 필연적으로 존재하는 것도 생성되는 것은 아니고, 오히려

어떤 것들은 우발적로 그리하며 긍정이 부정보다 전혀 더 참된 것도

아닌데, 어떤 것들은 더 많이 그리고 일반적으로 (그 둘 중) 어느

한쪽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쪽도 생성되는 일이 허용되며,

다른 쪽은 그렇지 않다. 

Τὸ μὲν οὖν εἶναι τὸ ὄν, ὅταν ᾖ, καὶ τὸ μὴ ὂν μὴ εἶναι, | ὅταν

μὴ ᾖ, ἀνάγκη· οὐ μέντοι οὔτε τὸ ὂν ἅπαν ἀνάγκη εἶναι οὔτε || τὸ                       25

μὴ ὂν μὴ εἶναι. οὐ γὰρ ταὐτόν ἐστι τὸ ὂν ἅπαν εἶναι ἐξ | ἀνάγκης,

ὅτε ἔστιν, καὶ τὸ ἁπλῶς εἶναι ἐξ ἀνάγκης· ὁμοίως | δὲ καὶ ἐπὶ τοῦ

μὴ ὄντος. καὶ ἐπὶ τῆς ἀντιφάσεως ὁ αὐτὸς | λόγος. εἶναι μὲν <δὴ> ἢ

μὴ εἶναι ἅπαν ἀνάγκη καὶ ἔσεσθαί γε | ἢ μή· οὐ μέντοι διελόντα

γε εἰπεῖν θάτερον ἀναγκαῖον. λέγω || δέ, οἷον ἀνάγκη μὲν ἢ                             30

ἔσεσθαι ναυμαχίαν αὔριον ἢ μὴ ἔσεσθαι, | οὐ μέντοι γενέσθαι ναυ-

μαχίαν αὔριον ἀναγκαῖον οὐδὲ μὴ | γενέσθαι· γενέσθαι μέντοι ἢ

μὴ γενέσθαι ἀναγκαῖον.

그러므로 있는 것이 있다는 것은, 그것이 있을 때, 그리고 있지 않은

것이 있지 않다는 것은, 그것이 있지 않을 때, 필연적이다. 그렇지만

있는 것 전부가 필연적으로 있지도 않고 있지 않은 것이 필연적으로

있지 않지도 않다. 왜냐하면 '있는 경우에, 있는 것 전부가 필연적으로

있다는 것'과 '필연적으로 단적으로(무조건적으로) 있다는 것'은 같지

않기 때문이다. 있지 않은 것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모순의

경우에도 같은 논리가 적용된다. 그래서 모든 것이 전부 필연적으로

있거나 있지 않고 게다가 있을 것이거나 있지 않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것들을 분할하며 둘 중 한쪽을 필연적인 것으로 말하는 것은 아니다.

내가 말하는 바는, 이를 테면 내일 해전이 있을 것이거나 있지 않을

것임이 필연적이지만, 내일 해전이 필연적으로 생성되는 것도 아니고

생성되지 않는 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그렇지만 생성되거나 아니면

생성되지 않는다는 것은 필연적이다.

Ὥστε ἐπεὶ | ὁμοίως οἱ λόγοι ἀληθεῖς ὥσπερ τὰ πράγματα,

δῆλον ὅτι | ὅσα οὕτως ἔχει ὥστε ὁπότερ᾿ ἔτυχε καὶ τὰ ἐναντία

ἐνδέχεσθαι, || ἀνάγκη ὁμοίως ἔχειν καὶ τὴν ἀντίφασιν. ὅπερ                             35

συμβαίνει ἐπὶ | τοῖς μὴ ἀεὶ οὖσιν ἢ μὴ ἀεὶ μὴ οὖσιν. τούτων γὰρ

ἀνάγκη μὲν | θάτερον μόριον τῆς ἀντιφάσεως ἀληθὲς εἶναι ἢ

ψεῦδος, οὐ | μέντοι τόδε ἢ τόδε, ἀλλ᾿ ὁπότερ᾿ ἔτυχεν, καὶ μᾶλλον

μὲν | ἀληθῆ τὴν ἑτέραν, οὐ μέντοι ἤδη ἀληθῆ ἢ ψευδῆ.

그래서 사태들이 그러한 것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문장들이 참이기에,

우발적으로 그리고 반대항들을 허용하도록 그런 식으로 있는 것들은,

모순주장 역시 그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지니는 일이 필연적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항상 존재하지는 않는 것들과 항상 존재하지 않지는

않는 것들에 대해 귀결되는 바가 바로 이것이다. 왜냐하면 이러한

것들에 대한 모순의 둘 중 한 부분은 필연적으로 참이거나 아니면

거짓이지만, 특정한 이것이나 저것이 아니라, 우발적인 것이 그러하고,

어느 한쪽이 더 많이 참이지만, 이미 참이거나 거짓인 것은 아니다. 

Ὥστε δῆλον || ὅτι οὐκ ἀνάγκη πάσης καταφάσεως καὶ                               19b

ἀποφάσεως τῶν ἀν|τικειμένων τὴν μὲν ἀληθῆ τὴν δὲ ψευδῆ εἶναι·

οὐ γὰρ ὥσπερ | ἐπὶ τῶν ὄντων, οὕτως ἔχει καὶ ἐπὶ τῶν μὴ ὄντων [μὲν],

δυνατῶν | δὲ εἶναι ἢ μὴ εἶναι, ἀλλ᾿ ὥσπερ εἴρηται. ||

그리하여 대립된 모든 긍정과 부정이 한편은 참이고 다른 쪽은 거짓임이

필연적이지는 않다는 것이 분명하다. 왜냐하면 있는 것들의 경우에 그러하듯,

있지 않지만 있음 혹은 있지 않음이 가능한 것들에 대해서도 그러한 것은 

아니고, 후자에 대해서는 이야기된 대로이기 때문이다. 


-蟲-

7. Ἐπεὶ δὲ ἐστι τὰ μὲν καθόλου τῶν πραγμάτων, τὰ δὲ | καθ᾿

ἕκαστον ― λέγω δὲ καθόλου μὲν ὃ ἐπὶ πλειόνων πέφυκε || κατ-                 40

ηγορεῖσθαι, καθ᾿ ἕκαστον δὲ ὃ μή, οἷον ἄνθρωπος μὲν || τῶν                17b

καθόλου, Καλλίας δὲ τῶν καθ᾿ ἕκαστον ―, ἀνάγκη δὲ | ἀπο-

φαίνεσθαι ὡς ὑπάρχει τι ἢ μὴ ὁτὲ μὲν τῶν καθόλου | τινὶ, ὁτὲ δὲ

τῶν καθ᾿ ἕκαστον, ἐὰν μὲν οὖν καθόλου ἀποφαίνη|ται ἐπὶ τοῦ

καθόλου ὅτι ὑπάρχει τι ἢ μή, ἔσονται ἐναντίαι || ἀποφάνσεις ―                   5

λέγω δὲ ἐπὶ τοῦ καθόλου ἀποφαίνεσθαι καθ|όλου, οἷον πᾶς

ἄνθρωπος λευκός, οὐδεὶς ἄνθρωπος λευκός ―, ὅταν | δὲ ἐπὶ τῶν

καθόλου μέν, μὴ καθόλου δέ, αὗται μὲν οὐκ εἰσὶν | ἐναντίαι, τὰ

μέντοι δηλούμενα ἔστιν εἶναι ἐναντία ποτέ ― λέγω | δὲ τὸ μὴ

καθόλου ἀποφαίνεσθαι ἐπὶ τῶν καθόλου, οἷον ἔστι || λευκὸς                       10

ἄνθρωπος, οὐκ ἔστι λευκὸς ἄνθρωπος· καθόλου γὰρ ὄντος | τοῦ

ἄνθρωπος οὐχ ὡς καθόλου κέχρηται τῇ ἀποφάνσει· τὸ | γὰρ πᾶς

οὐ τὸ καθόλου σημαίνει, ἀλλ᾿ ὅτι καθόλου.

사태들 중에는 한편으로는 보편자가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개별자가 

있기에 ― 나는 본성상 더 많은 것들에 대해 서술되는 바의 것은 

보편자로, 그렇지 않은 것은 개별자로 말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인간은

보편자에 속하고, 칼리아스는 개별자에 속한다 ―, 때로는 보편자 중 

무언가에게 무엇이 존속하거나 하지 않는다고, 때로는 개별자 중에서 

그런 식으로 주장함이 필연적이다. 그러므로 만일 한편으로 보편자에 

대해 무언가가 존속하거나 하지 않는다는 점이 보편적으로 주장된다면, 

반대 주장들이 있게 될 것이고 ― 보편자에 대해 보편적으로 주장된다는 

것은, 이를 테면 "모든 인간은 희다(every human is white)," "어떤 인간도 

희지 않다(no-one human is white)" 등을 말한다. ―, 보편자에 대해서이지만,

보편적이지 않게 주장된다면, 이 주장들은 반대 주장들로 있지 않지만,

반면에 모종의 경우에 반대항들로 있다는 점을 드러내는 것들은 있다.

― 보편자들에 대해 보편적이지 않게 주장된다는 것은, 예를 들어

"인간이 희다," "인간이 희지 않다" 등이다. 왜냐하면 인간이 보편적으로

있더라도 해당 주장에 의해 보편적으로 사용된 것으로서는 아니기

때문이다. 즉 "모든"이란 것은 보편자를 지시하지는 않지만, 보편적으로

있다는 점을 지시하기 때문이다.

* Definition의 경우 katholou 서술인지, to katholou가 주어인지, to katholou가 아니라면

그것은 실체인지, 형상인지, 질료인지. 

Ἐπὶ δὲ τοῦ | κατηγορουμένου καθόλου τὸ καθόλου κατηγορεῖν

καθόλου οὐκ ἔστιν ἀλη|θές· οὐδεμία γὰρ κατάφασίς <γε> ἀληθὴς

ἔσται, ἐν ᾗ τοῦ κατη||γορουμένου καθόλου τὸ καθόλου <καθόλου>              15

κατηγορηθήσεται, οἷον ἔστι πᾶς | ἄνθρωπος πᾶν ζῷον.

보편적으로 서술된 것에 대해 보편자를 보편적으로 서술한다는 것은 

참이 아니다. 왜냐하면 그 안에서 보편적으로 서술된 것의 보편자가 

<보편적으로> 서술될 그러한 단 하나의 긍정도 참이 아닐 터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모든 인간은 모든 동물이다." 같은 것이 그러하다.

Ἀντικεῖσθαι μὲν οὖν κατάφασιν ἀπο|φάσει λέγω ἀντιφατικῶς

τὴν τὸ καθόλου <ὅτι καθόλου> σημαίνουσαν <τῇ> τὸ | αὐτὸ ὅτι οὐ 

καθόλου, οἷον πᾶς ἄνθρωπος λευκός ― οὐ πᾶς | ἄνθρωπος λευκός, 

οὐδεὶς ἄνθρωπος λευκός ― ἔστι τις ἄνθρω||πος λευκός· ἐναντίως δὲ              20

τὴν τοῦ καθόλου <καθόλου> κατάφασιν καὶ | τὴν τοῦ καθόλου

<καθόλου> ἀπόφασιν, οἷον | πᾶς ἄνθρωπος δίκαιος ― οὐδεὶς ἂν-

θρωπος | δίκαιος. διὸ ταύτας μὲν οὐχ οἷόν τε ἅμα ἀληθεῖς εἶναι, |

τὰς δὲ ἀντικειμένας αὐταῖς ἐνδέχεταί ποτε ἐπὶ τοῦ αὐτοῦ, || οἷον οὐ               25

πᾶς ἄνθρωπος λευκός καὶ ἔστι | τις ἄνθρωπος λευκός.

그러므로 긍정은 부정과 대립된다고 말할 때 나는 보편자가 보편적으로

있다는 것을 지시한 긍정이 바로 그 보편자가 보편적이지 않게 있다는

것을 지시한 부정과 모순적으로 대립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예를

들어 "모든 인간은 희다/모든 인간이 희지는 않다," "어떤 인간도 희지

않다/어떤 인간은 희다." 다른 한편 보편자에 대해 보편적으로

수행되는 긍정과 보편자에 대해 보편적으로 [수행되는] 부정은 반대되는

방식으로 대립된다. 예를 들어 "모든 인간은 정의롭다/어떤 인간도

정의롭지 않다." 이로 인해 이러한 주장들(모순쌍, 반대쌍)은 동시에 

참일 수 없고, 그것들과 대립되는 주장들은 경우에 따라 같은 것에 대해 

(참임이) 허용된다. 예를 들어 "모든 인간이 희지는 않다"와 

"어떤 인간은 희다."

* 보편적으로 서술된 것과 보편적이지 않게 서술된 것 사이의 긍정과 부정 대립이 모순대립.

  (일단 주어는 계속 보편자가 나오고 있고.)

  모순의 고사성어는 창과 방패 다 "모든 경우"이기에 논리적 모순관계가 아님. 주의.

Ὅσαι μὲν οὖν ἀντιφάσεις τῶν καθόλου | εἰσὶ καθόλου, ἀνάγκη

τὴν ἑτέραν ἀληθῆ εἶναι ἢ ψευδῆ, καὶ | ὅσαι ἐπὶ τῶν καθ᾿ ἕκαστα,

οἷον ἔστι Σωκράτης λευκός ― οὐκ | ἔστι Σωκράτης λευκός· ὅσαι

δὲ ἐπὶ τῶν καθόλου μέν, μὴ καθ||όλου δέ, οὐκ ἀεὶ ἡ μὲν ἀληθὴς ἡ                  30

δὲ ψευδής· ἅμα γὰρ ἀλη|θές ἐστιν εἰπεῖν ὅτι ἔστιν ἄνθρωπος

λευκὸς καὶ ὅτι οὐκ ἔστιν | ἄνθρωπος λευκός, καὶ ἔστιν ἄνθρωπος

καλός, καὶ οὐκ ἔστιν ἄν|θρωπος καλός. [εἰ γὰρ αἰσχρός, καὶ οὐ

καλός· καὶ εἰ γίγνεταί | τι, καὶ οὐκ ἔστιν.] δόξειε δ᾿ ἂν ἐξαίφνης

ἄτοπον εἶναι διὰ τὸ || φαίνεσθαι σημαίνειν τὸ οὐκ ἔστιν ἄνθρωπος               35

λευκός ἅμα καὶ | ὅτι οὐδεὶς ἄνθρωπος λευκός· τὸ δὲ οὔτε ταὐτὸν

σημαίνει οὔθ᾿ | ἅμα ἐξ ἀνάγκης. |

그러므로 보편자에 대해 보편적인 모순주장(쌍)은, 둘 중 하나가 

참이거나 아니면 거짓임이 필연적이고, 개별자에 대한 모순주장(쌍)도,

예를 들어 "소크라테스는 희다/소크라테스는 희지 않다" 역시 그러하다.

반면 보편자에 대해서, 그러나 보편적이지 않게 [수행되는] 모순주장(쌍)은,

항상 한편은 참이고 다른 한편은 거짓인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인간이

희다라는 것과 인간이 희지 않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 또한 인간이

훌륭하고 인간이 훌륭하지 않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 동시에 참이기

때문이다. [즉 만일 추하다면, 훌륭하지 않기도 하기 때문이다. 또한

모종의 것이 그렇게 된다면, 그렇게 있지는 않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는 (a)"인간이 희지 않다"라는 것이 동시에 어떤 인간도 희지 

않다는 것까지 지시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점으로 인해 즉각적으로 

이상하게 여겨질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같은 것을 지시하지도 않고 

또한 필연적으로 동시에 지시하는 것도 아니다.

* 인간이 희다/인간이 희지 않다 동시에 참. 그러나 인간이 희지 않다가 

어떤 인간도 희지 않다를 함의하는 것처럼 보여 이상해 보일 수 있다.

후자는 보편자, 전자는? 이렇게 구분된다고 볼 경우 휘태커의 입장을

지지해주는 문헌근거일 수 있다. 그러나 휘태커는 여기에서 전체 주제인

모순에 대해 예외가 되는 사례를 여기에서 언급하고 있다고 지적.

인간은 우연적으로 희기도 하고 희지 않기도 하다(둘 모두 참).

여기에서 "인간이 희지 않다"의 "인간"이 소크라테스라면?

어쨌든 계속 보편자를 가리키나, 아니면 한쪽은 보편자, 다른 쪽은 

형상을 가리키나? "같은 것"은 대상인지 아니면 사건인지. 


* (a)는 사람들이 통상적으로 "인간은 희지 않다"를 

"아무도 희지 않다"로 이해한다는 것. 그렇다면 

그렇게 이해할 여지가 생기는 이유는?

인간이 이성적이다와 이성적이지 않다 모두 참이면서

인간의 정의는 이성적이다라면?


*보편자에 대한 서술과 실체 혹은 형상에 대한 서술이 구분되고

 다시 본질, 정의 차원의 서술과 일반, 필연/우연, 속성귀속 서술이 구분되나?

총 네 경우가 나오는 것인가? 


* 문제는 여기에서 "인간"이 일관되게 보편자로 취급되고 있다는 것.

위의 문제제기들은 보편자와 실체(또는 형상, 자연종)가 구분된다는 가정에 의거하는데,

그런 식의 구분은 보이지 않는다. 


구조분석 이전의, 이항술어("무엇"의 실체)로서의 실체가 이 단계까지의 실체,

이후 형이상학적 논의에서 본질과 형상, 질료 등의 구조분석 이후의 실체가 고려되고 있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Cf. 『형이상학』 Ζ 10~13? 


Φανερὸν δὲ ὅτι καὶ μία ἀπόφασις μιᾶς καταφάσεως· | τὸ γὰρ

αὐτὸ δεῖ ἀποφῆσαι τὴν ἀπόφασιν ὅπερ κατέ||φησεν ἡ κατάφασις,                  40

καὶ ἀπὸ τοῦ αὐτοῦ, ἢ τῶν καθ᾿ ἕκαστά || τινος ἢ ἀπὸ τῶν καθόλου            18a

τινός, ἢ ὡς καθόλου ἢ μὴ ὡς καθόλου. | λέγω δέ, οἷον ἔστι

Σωκράτης λευκός ― οὐκ ἔστι Σωκράτης λευ|κός. ἐὰν δὲ ἄλλο τι ἢ

απ᾿ ἄλλου τὸ αὐτό, οὐχ ἡ ἀντικει|μένη, ἀλλ᾿ ἔσται ἐκείνης ἑτέρα.

τῇ δὲ πᾶς ἄνθρωπος λευκός || ἡ οὐ πᾶς ἄνθρωπος λευκός, τῇ δὲ τὶς                 5

ἄνθρωπος λευκός ἡ οὐ|δεὶς ἄνθρωπος λευκός, τῇ δὲ ἔστιν ἄν-

θρωπος λευκός ἡ οὐκ ἔστιν | ἄνθρωπος λευκός. |

반면 단일 부정이 단일 긍정에 대한 것이라는 점 또한 분명하다. 왜냐하면 

해당 긍정이 긍정한 바로 그것을 해당 부정이 부정해야 하고, 바로 그로부터 

부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모종의 개별자에 대해서든 모종의 보편자에 

대해서든, 보편적으로든 보편적인 방식으로서가 아니든. 내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이를 테면 "소크라테스는 희다/소크라테스는 희지 않다"의 

경우이다. 그런데 만일 여타의 모종의 것을 부정하거나 아니면 그것을

여타의 것에 대해 부정한다면, 대립되는 주장이 아니라, 저 주장과 다른

주장일 것이다. "모든 인간은 희다"라는 긍정에 "모든 인간이 희지는 

않다"라는 부정이, "어떤 인간이 희다"라는 긍정에 "어떤 인간도 희지 

않다"라는 부정이, "인간은 희다"라는 긍정에 "인간은 희지 않다"라는 

부정이 대립되는 주장이다.

Ὅτι μὲν οὖν μία κατάφασις μιᾷ ἀποφάσει ἀντίκειται |

ἀντιφατικῶς, καὶ τίνες εἰσὶν αὗται, εἴρηται, καὶ ὅτι αἱ ἐναν||τίαι                       10

ἄλλαι, καὶ τίνες εἰσὶν αὗται, εἴρηται, καὶ ὅτι οὐ πᾶσα | ἀληθὴς ἢ

ψευδὴς ἀντίφασις, καὶ διὰ τί, καὶ πότε ἀληθὴς | ἢ ψευδής. |

이리하여 단일 긍정이 단일 부정에 모순적으로 대립된다는 점, 그리고

어떤 주장들이 이러한 주장들인지, 그것이 논의되었고, 여타의 주장들은

반대주장들이라는 점, 그리고 어떤 주장들이 이러한 것들인지, 이 또한

논의되었으며, 모든 모순주장이 참이거나 아니면 거짓인 것은 아니라는

점, 그리고 무엇 때문에 그러한지, 또 어떤 경우에 참이거나 아니면

거짓인지도 논의되었다.


8. Μία δέ ἐστι κατάφασις καὶ ἀπόφασις ἡ ἓν καθ᾿ ἑνὸς | σημαίνουσα,

ἢ καθόλου ὄντος καθόλου ἢ μὴ ὁμοίως, οἷον πᾶς || ἄνθρωπος λευ-                  15

κός ἐστιν ― οὐκ ἔστι πᾶς ἄνθρωπος λευκός, ἔστιν | ἄνθρωπος 

λευκός ― οὐκ ἔστιν ἄνθρωπος λευκός, οὐδεὶς ἄνθρωπος | λευκός

― ἔστι τις ἄνθρωπος λευκός, εἰ τὸ λευκὸν ἓν σημαίνει. | εἰ δὲ δυοῖν

ἓν ὄνομα κεῖται, ἐξ ὧν μή ἐστιν ἕν, οὐ μία κατά|φασις οὐδὲ

ἀπόφασις μία. οἷον εἴ τις θεῖτο ὄνομα ἱμάτιον || ἵππῳ καὶ                               20

ἀνθρώπῳ, τὸ ἔστιν ἱμάτιον λευκόν, αὕτη οὐ μία κα|τάφασις [οὐδὲ

ἀπόφασις μία]· οὐδὲν γὰρ διαφέρει τοῦτο εἰπεῖν | ἢ ἔστιν ἵππος

καὶ ἄνθρωπος λευκός, τοῦτο δὲ οὐδὲν διαφέρει | τοῦ εἰπεῖν ἔστιν

ἵππος λευκός, καὶ ἔστιν ἄνθρωπος λευκός. εἰ | οὖν αὗται πολλὰ

σημαίνουσι καὶ εἰσὶ πολλαί, δῆλον ὅτι καὶ || ἡ πρώτη ἤτοι πολλὰ                     25

ἢ οὐδὲν σημαίνει· οὐ γάρ ἐστί τις ἄν|θρωπος ἵππος. ὥστε οὐδ᾿ ἐν

ταύταις ἀνάγκη τὴν μὲν ἀληθῆ | τὴν δὲ ψευδῆ εἶναι ἀντίφασιν. |

8. 단일자에 따라 단일자를 지시한, 또는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것에

대해 보편적으로 또는 마찬가지이지 않은 방식으로 지시한 긍정과

부정은 단일하다. 예를 들어 "모든 인간은 희다/모든 인간이 흰 것은

아니다," "인간이 희다/인간이 희지 않다," "어떤 인간도 희지 않다/어떤

인간은 희다"가, 만일 "흰 것"이 단일자를 지시한다면 그러하다. 그런데

만일 단일한 이름이 단일한 것을 구성하지 못하는 한쌍에 대해 부여된다면,

단일 긍정도 아니고 단일 부정도 아니다. 예를 들어 만일 누군가가 "옷"이란

이름을 말과 사람에 부여한다면, "옷이 희지 않다"라는 것, 이것은 단일

긍정이 아니다 [그리고 단일 부정도 아니다]. 왜냐하면 이것을 말하는 것이나

"말 그리고 인간이 희다"를 말하는 것이나 아무런 차이가 없고, 그런데 이는

"말이 희다," 그리고 "인간이 희다"를 말하는 것과 아무런 차이도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만일 이러한 주장들이 여러가지 것들을 지시하고 또

여러 주장들로 있다면, 첫 번째 주장 또한 여러가지 것들을 지시하거나

아무것도 지시하지 않거나 한다는 점이 분명하다. 왜냐하면 모종의 인간은

말로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주장들 중에서 한편은 참이고 다른

한편은 거짓인 모순주장이 있음이 필연적이지도 않다.


- 단일/다수, 단순/복합. 예를 들어 Syllogism은 접속사 연결의 경우 복합적 단일문장이라 볼 수 있는지? 

11장, "하나가 여럿에 대해 긍정되거나 부정, 여럿이 하나에 대해 긍정되거나 부정." 

여기에서 여럿은 여럿으로 구성된 '하나'는 아니라는 조건 하에.


소크라테스는 걸어가는 하얀 사람이다. 술어 여럿은 그로부터 하나가 구성되지 않는다.

소크라테스는 두 발 달린 이성적 동물이다. 술어 여럿은 그로부터 하나가 구성된다. 

* 우리 집 정원의 나무는 세 그루이다. / 우리 집 정원의 나무는 '모두' 푸르다.

전자는 집합에 대한 서술, 후자는 원소에 대한 서술. 

이 경우 소크라테스라는 원소와 소크라테스만을 원소로 갖는 집합이 구분되어야 한다.

여기에 아리스토텔레스는 특정 집합의 원소들 사이에서는 본질적 결합, 하나로 구성됨이 있는 반면

다른 집합의 원소들 사이에서는 부수적, 우연적 결합만 있다는 구분을 추가하고 있는가?


바이데만:

 

 

 

단일명제

 

 

 

 

단순명제

 

 

 

복합명제

 

긍정문

 

부정문

 

 

 

 



-蟲- 

4. Λόγος δὲ ἐστι φωνὴ σημαντική, ἧς τῶν | μερῶν τι σημαντικόν

ἐστι κεχωρισμένον, ὡς φάσις, ἀλλ᾿ | οὐχ ὡς κατάφασις. λέγω δέ,

οἷον ἄνθρωπος ση|μαίνει τι, ἀλλ᾿ οὐκ ὅτι ἔστιν ἢ οὐκ ἔστιν· ἀλλ᾿

ἔσται κα||τάφασις ἢ ἀπόφασις, ἐάν τι προστεθῇ. ἀλλ᾿ οὐχὶ τοῦ                       30

ἀν|θρώπου συλλαβὴ μία· οὐδὲ γὰρ ἐν τῷ μῦς τὸ ῦς σημαντικόν, |

ἀλλὰ φωνή ἐστι νῦν μόνον. [ἐν δὲ τοῖς διπλοῖς σημαίνει μέν, | ἀλλ᾿ 

οὐ καθ᾿ αὑτό, ὡς προείρηται.] ||

말은 지시적 음성언어로, 그 음성언어의 부분들 중 모종의 지시적 

부분(이름?)이 언표로서 독립되어 있지만, 긍정으로서 있지는 

않는 것이다. 내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예를 들어 "인간"은 

모종의 것을 지시하지만, 그것이 있다(or 그것이다) 혹은 있지 않다(or 

그것이 아니다) 라는 것을 지시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모종의 것이 추가된다면, 긍정 혹은 부정이 있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인간"이라는 음절만으로는 그렇지 않다. 왜냐하면 "거북" 내에서 

"북" 또한 지시적이지 않고, 오히려 실상은 단지 소리일 뿐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중으로 된 것들 내에서는 한편으로 지시하기는 

하나, 자체적으로 지시하지는 않는다. 앞서 말한 바와 같다.]

Ἔστι δὲ λόγος ἅπας μὲν σημαντικός, οὐχ ὡς ὄργανον | δέ,                       17a

ἀλλ᾿ ὥσπερ εἴρηται, κατὰ συνθήκην. ἀποφαντικὸς δὲ | οὐ πᾶς,

ἀλλ᾿ ἐν ᾧ τὸ ἀληθεύειν ἢ ψεύδεσθαι ὑπάρχει. οὐκ | ἐν ἅπασι δὲ

ὑπάρχει, οἷον ἡ εὐχὴ λόγος μέν, ἀλλ᾿ οὔτε || ἀληθὴς οὔτε ψευδής.                    5

οἱ μὲν οὖν ἄλλοι ἀφείσθωσαν· ῥητορι|κῆς γὰρ ἢ ποιητικῆς

οἰκειοτέρα ἡ σκέψις· ὁ δὲ ἀποφαν|τικὸς τῆς νῦν θεωρίας. |

모든 말은 지시적이나, 도구로서가 아니라, 이야기된 대로, 협약에

따라 그러하다. 그러나 모든 진술이 서술적인 것이 아니라, 그 안에서

참이나 거짓이 성립하는 진술이 그러하다. 그런데 모든 진술 내에서

[진리치가] 성립하는 것은 아닌 바, 예를 들어 기원은 진술이긴 하나,

참도 거짓도 아니다. 그러므로 여타의 진술들은 배제시키기로 하자.

왜냐하면 그 고찰이 수사학이나 시학에 더욱 고유한 문제인 반면,

서술적인 진술이 지금의 탐구에 속하기 때문이다.


5. Ἔστι δὲ εἷς πρῶτος λόγος ἀποφαντικὸς κατάφασις, | εἶτα ἀπό-

φασις· οἱ δὲ ἄλλοι πάντες συνδέσμῳ εἷς.

일차 단일 서술 말은 긍정이고, 그 다음은 부정이다. 여타의

서술 말들 모두는 결속에 의해 단일 말로 있다.

Ἀνάγκη || δὲ πάντα λόγον ἀποφαντικὸν ἐκ ῥήματος εἶναι ἢ                           10

πτώσεως | ῥήματος· καὶ γὰρ ὁ τοῦ ἀνθρώπου λόγος, ἐὰν μὴ τὸ

ἔστιν ἢ | ἦν ἢ ἔσται ἢ τι τοιοῦτο προστεθῇ, οὔπω λόγος ἀπο-

φαντικός. | διότι δὲ ἕν τί ἐστιν ἀλλ᾿ οὐ πολλὰ τὸ ζῷον πεζὸν

δίπουν | ― οὐ γὰρ δὴ τῷ σύνεγγυς εἰρῆσθαι εἷς ἔσται ―, ἔστι δὲ

ἄλλης || τοῦτο πραγματείας εἰπεῖν.                                                        15

그런데 모든 말은 술어를 통해서 서술적으로 있거나 또는 술어의

활용을 통해 그러함이 필연적이다. 왜냐하면 인간에 대한 정의(말)도, 

"있다"나 "있었다"나 "있을 것이다" 또는 모종의 이러한 것이 추가되지 

않는다면, 아직 서술 말이 아니기 때문이다. 바로 이 점으로 인해 

"두-발 달린-동물"이 복수 것들이 아니라 모종의 단일한 것인데

(왜냐하면 잇달아 말해짐으로써 단일한 말으로 있게 되지는

않을 테니까), 이 점을 다른 주제에 대해 말할 수 있다.

Ἔστι δὲ εἷς λόγος ἀποφαντικὸς ἢ | ὁ ἓν δηλῶν ἢ ὁ συνδέσμῳ

εἷς, πολλοὶ δὲ οἱ πολλὰ καὶ | μὴ ἓν ἢ οἱ ἀσύνδετοι.

단일한 것을 표현하는 말이든 결속에 의한 단일 말이든 단일

서술 말인 반면, 단일한 것이 아닌 복수의 것들을 표현하는

말들 또는 결속되지 않은 말들은 복수의 말들이다.

(Τὸ μὲν οὖν ὄνομα καὶ τὸ ῥῆμα φάσις | ἔστω μόνον, ἐπεὶ οὐκ

ἔστιν εἰπεῖν οὕτω δηλοῦντά τι τῇ φωνῇ | ὥστε ἀποφαίνεσθαι, ἢ

ἐρωτῶντός τινος, ἢ μή, ἀλλ᾿ αὐτὸν || προαιρούμενον.)                                   20

(그러므로 명사 그리고 술어는 오직 언표로만 있는 것으로 하자.

왜냐하면, 누군가가 질문을 하는 경우든, 혹은 그렇지 않고, 스스로

의도하여 말하는 경우든, 그런 식으로 표현함으로써 모종의 것이

서술되도록 말할 수 없기 때문이다.)


* 19. (a) οὕτω와 ὥστε를 분리시켜 번역하였다. 이 둘을 연결하면,

  (b) "...모종의 것이 음성언어에 의해 서술되도록 하는 그런 식으로

표현하면서 말할 수 없기 때문이다."

  (a)는 "그런 식"이 명사만, 혹은 술어만을 말하는 경우를 가리키는

것으로, (b)는 "명사"와 "술어"라는 말이 생략된 것으로 번역하게 된다.

** Loeb 편집에 따라 20 ἢ μή 앞에 쉼표 추가.

*** Ackrill의 제안에 따라 이 문단을 괄호 안으로. 17a21의 "Τούτων"이

명사와 술어, 언표를 지시하면 언표가 다시 말로 취급되는 모순된

번역이 발생한다. 해당 문단을 괄호처리하여 문제의 단어가 "단일 말"과

"복수의 말들"을 지시하도록 하면 문제가 해결된다.


Τούτων δὲ ἡ μὲν ἁπλῆ ἐστιν ἀπόφανσις, οἷον | τὶ κατὰ τινὸς ἢ

τὶ ἀπὸ τινός, ἡ δὲ ἐκ τούτων συγκειμένη, | οἷον λόγος τις ἤδη

σύνθετος. ἔστι δὲ ἡ μὲν ἁπλῆ ἀπόφανσις | φωνὴ σημαντικὴ περὶ

τοῦ εἰ ὑπάρχει τι ἢ μὴ ὑπάρχει, ὡς | οἱ χρόνοι διῄρηνται. ||

이러한 말들 중 한편은 단순 서술로, 이를 테면 무엇에 따라(긍정) 

무엇을 서술하거나 무엇으로부터 벗어나(부정) 무엇을 서술하는 것이고, 

다른 한편은 이것들로부터 조합된 서술로, 이를 테면 모종의 이미

복합된 말인 것이다. 그런데 단순 서술은 모종의 것이 존속하는지

혹은 존속하지 않는지 여부에 관한 지시적 음성언어


6. Κατάφασις δέ ἐστιν ἀπόφανσις τινὸς κατὰ τινός, ἀπό|φασις δέ                     25

ἐστιν ἀπόφανσις τινὸς ἀπὸ τινός. ἐπεὶ δὲ ἔστι καὶ | τὸ ὑπάρχον

ἀποφαίνεσθαι ὡς μὴ ὑπάρχον καὶ τὸ μὴ | ὑπάρχον ὡς ὑπάρχον

καὶ τὸ ὑπάρχον ὡς ὑπάρχον καὶ | τὸ μὴ ὑπάρχον ὡς μὴ ὑπάρχον,

καὶ περὶ τοὺς ἐκτὸς δὲ || τοῦ νῦν χρόνους ὡσαύτως, ἅπαν ἂν                         30

ἐνδέχοιτο καὶ ὃ κατέφησέ | τις ἀποφῆσαι καὶ ὃ ἀπέφησέ τις

καταφῆσαι. ὥστε δῆλον | ὅτι πάσῃ καταφάσει ἐστὶν ἀπόφασις

ἀντικειμένη καὶ πάσῃ | ἀποφάσει κατάφασις. καὶ ἔστω ἀντίφασις

τοῦτο, κατάφα|σις καὶ ἀπόφασις αἱ ἀντικείμεναι. λέγω δὲ

ἀντικεῖσθαι || τὴν τοῦ αὐτοῦ κατὰ τοῦ αὐτοῦ, μὴ ὁμωνύμως δέ, καὶ                 35

ὅσα | ἄλλα τῶν τοιούτων προσδιοριζόμεθα πρὸς τὰς σοφιστικὰς |

ἐνοχλήσεις. |

긍정은 무엇에 따른 무엇에의 서술이고, 부정은 무엇으로부터 벗어난

무엇에의 서술이다. 그런데 존속하는 것이 존속하지 않는다고도 또

존속하지 않는 것이 존속한다고도 그리고 존속하는 것이 존속한다고도

존속하지 않는 것이 존속하지 않는다고도 서술될 수 있기에, 그리고

현재 시간 이외의 시간들의 경우에서도 마찬가지이기에, 누군가가 

긍정했던 바를 부정하게 되는 일도 또 누군가가 부정했던 바를 긍정하게

되는 일도 전적으로 허용될 것이다. 그래서 모든 긍정에 부정이 대립되는 

것으로 있고 또 모든 부정에 긍정이 그러하다는 점이 분명하다. 이를 

대립이라 하기로 하고, 대립항들을 긍정과 부정이라 하기로 하자. 나는

대립된다는 말로 같은 것에 따른 같은 것의 대립을 의미하며, 동음이의적이지

않은 방식을 뜻하고, 짜증을 자아내는 소피스트스러운 것들에 대항하여

우리가 앞서 규정한 바 있는 이러한 종류의 여타의 것들 또한 말하고 있다.


- 말의 단일성과 단순성의 두 기준에 대하여. 여러 표현이 정의로서 본질적으로 단일 대상을 지시하게 되는 경우와 우연한 속성들을 결합시켜 하나를 지시하는 듯하지만 실상 여러 대상들이 지시되는 경우의 구분인지?


- "not"과 "분리"에 대한 이해. 주어와 술어를 분리시키는 것이 "not"의 기능인가? 이것은 It is not the case that~ 의 의미인가? 1~3장에서 비규정명사, 비규정동사와의 구분은? 플라톤은 <소피스트>에서 not을 다름으로, 분리는 (프레데에 따른다면)

not과 being의 결합이 수행하는 분리를 통하여.


-蟲-

 ΠΕΡΙ ΕΡΜΗΝΕΙΑΣ


I. Πρῶτον δεῖ θέσθαι τί ὄνομα καὶ τί ῥῆμα, ἔπειτα τί | ἐστιν ἀπό-

φασις καὶ κατάφασις καὶ ἀπόφανσις καὶ λόγος. |

1. 우선 명사가 무엇이고 술어가 무엇인지 정해져야 하고, 다음으로

긍정과 부정 그리고 서술과 진술이 무엇인지 정해져야 한다.

Ἔστι μὲν οὖν τὰ ἐν τῇ φωνῇ τῶν ἐν τῇ ψυχῇ παθη|μάτων 

σύμβολα, καὶ τὰ γραφόμενα τῶν ἐν τῇ φωνῇ. || καὶ ὥσπερ οὐδὲ                    5

γράμματα πᾶσι τὰ αὐτά, οὐδὲ φωναὶ αἱ | αὐταί· ὧν μέντοι ταῦτα

σημεῖα πρώτως, ταὐτὰ πᾶσι παθή|ματα τῆς ψυχῆς, καὶ ὧν ταῦτα 

ὁμοιώματα, πράγματα | ἤδη ταὐτά. περὶ μὲν οὖν τούτων εἴρηται 

ἐν τοῖς περὶ ψυ|χῆς· ἄλλης γὰρ πραγματείας.

그러면 음성에 속하는 것들은 영혼 내에서의 영향[을 받은 상태]에 대한 

대응물이고, 기록된 것들도 음성에 속하는 것들에 대해 그러하다. 또한

모든 이에게 문자가 같지 않듯, 음성도 [모두에게] 같지 않다. 그렇지만

이것들이 일차적으로 그에 대한 표지(기호)인 바, 그러한 영혼의 상태가

모두에게 같으며, 이것들이 그에 대한 유사물인 바, 사태도 이미 [모두에게]

같다. 그러므로 이러한 것들에 관하여서는 영혼에 관한 일들에서

이야기된다. [이러한 것들은 지금의 논의와] 다른 문제에 속하기 때문이다.


Ἔστι δ᾿, ὥσπερ ἐν τῇ ψυχῇ || ὁτὲ μὲν νόημα ἄνευ τοῦ                                 10

ἀληθεύειν ἢ ψεύδεσθαι, ὁτὲ δὲ ἤδη | ᾧ ἀνάγκη τούτων ὑπάρχειν 

θάτερον, οὕτω καὶ ἐν τῇ φωνῇ· | περὶ γὰρ σύνθεσιν καὶ διαίρεσίν 

ἐστι τὸ ψεῦδος καὶ τὸ | ἀληθές. τὰ μὲν οὖν ὀνόματα αὐτὰ καὶ τὰ

ῥήματα ἔοικε | τῷ ἄνευ συνθέσεως καὶ διαιρέσεως νοήματι, οἷον τὸ 

ἄνθρω||πος ἢ τὸ λευκόν, ὅταν μὴ προστεθῇ τι· οὔτε γὰρ ψεῦδος |                  15

οὔτε ἀληθές πω, σημεῖον δ᾿ ἐστὶ τοῦδε. καὶ γὰρ ὁ τραγέλα|φος

σημαίνει μέν τι, οὔπω δὲ ἀληθὲς ἢ ψεῦδος,, ἐὰν μὴ | τὸ εἶναι ἢ μὴ 

εἶναι προστεθῇ, ἢ ἁπλῶς ἢ κατὰ χρόνον. |

다른 한편, 영혼 내에서 어떤 경우에는 생각이 참이 되는 일도

거짓되는 일도 없는가 하면, 또 어떤 경우에는 이미 그것에게 이 둘 중 

다른 한쪽이 필연적으로 성립하는 것처럼, 음성 내에서도 그런 식이다. 

왜냐하면 거짓과 참이 결합과 분할에 관련하여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편으로 명사와 술어는 결합과 분할 없는 생각과 유사한데, 예를 들어

"인간"이나 "흰-것"이 무언가 추가되지 않은 경우이다. 즉 ["인간"이나

"흰-것"은] 거짓도 참도 아직 아닌데, 실체[여기 이것]에 대한 표지이다. 

그리고 "염솨슴(염소+사슴)"도 모종의 것을 지시하기는 하나,

아직 참이나 거짓은 아닌데, "있다" 혹은 "있지 않다"가 추가되지 않을

경우에 [그러하며], 단적으로든 시간상으로든 [그러하다].


II. Ὄνομα μὲν οὖν ἐστὶ φωνὴ σημαντικὴ κατὰ συνθήκην || ἄνευ                     20

χρόνου, ἧς μηδὲν μέρος ἐστὶ σημαντικὸν κεχωρισμένον· | ἐν γὰρ 

τῷ Κάλλιππος τὸ ἵππος οὐδὲν αὐτὸ καθ᾿ ἑαυτὸ | σημαίνει, ὥσπερ 

ἐν τῷ λόγῳ τῷ καλὸς ἵππος. οὐ μὴν οὐδ᾿ | ὥσπερ ἐν τοῖς ἁπλοῖς 

ὀνόμασιν, οὕτως ἔχει καὶ ἐν τοῖς | ≪συμ≫πεπλεγμένοις· ἐν ἐκείνοις μὲν 

γὰρ οὐδαμῶς τὸ μέρος ση||μαντικόν, ἐν δὲ τούτοις βούλεται μέν,                    25

ἀλλ᾿ οὐδενὸς κεχωρι|σμένον, οἷον ἐν τῷ ἐπακτροκέλης τὸ κέλης. ≪οὐδὲν σημαίνει καθ᾿ ἑαυτό.≫ |

2. 그러므로 명사는 시간(시제) 없이 협약에 따라 지시 기능을 하는

음성이며, 그것의 어떤 부분도 독립된 채로 지시 기능을 가진 것으로 있지

않다. 즉 "칼맆포스(아름다운-말)" 내에서 "힢포스(말)"가 그 자체로, 마치 

"칼로스 힢포스(아름다운 말)"라는 진술에서 하는 식으로, 아무것도 [그렇게] 

지시하지 않는다. 물론 단순 명사들 내에서처럼, 복합된 명사들 내에서도 

그렇지는 않다. 즉 저 [단순 명사] 안에서는 결코 부분이 지시적이지 않은 반면, 

이 [복합 명사] 안에서는 [부분이 지시적이기를] 의도하지만, [부분이] 

독립된 채로는 어떤 것에 대해서도 그렇지 않다. 예를 들어 

"해적선(-船, or 해적선, ἐπακτρίς: 경량-선박 + κέλης: 단노-선)"에서

"(단노)선"이 그러하다. ≪[부분] 그 자체로는 <아무것에 대해서도> 

아무것도 지시하지 않는다.≫

Τὸ δὲ κατὰ συνθήκην, ὅτι φύσει τῶν ὀνομάτων οὐδέν | ἐστιν, 

ἀλλ᾿ ὅταν γένηται σύμβολον· ἐπεὶ δηλοῦσί γέ τι καὶ | οἱ ἀγράμ-

ματοι ψόφοι, οἷον θηρίων, ὧν οὐδέν ἐστιν ὄνομα. ||

그런데 "협약에 따라" 라는 것은, 자연적으로 명사들 중 어떤 것도

있지 않고, 대응물이 될 때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문자화되지 않는 

소음들, 예를 들어 짐승의 소리 같은, 그것들 중 어떤 것도 명사이지 

않은 것들조차도, 모종의 것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Τὸ δ᾿ οὐκ ἄνθρωπος οὐκ ὄνομα. οὐ μὴν οὐδὲ κεῖται ὄνομα | ὅ                       30

τι δεῖ καλεῖν αὐτό ― οὔτε γὰρ λόγος οὔτε ἀπόφασίς ἐστιν ―, | 

ἀλλ᾿ ἔστω ὄνομα ἀόριστον. | ≪ὅτι ὁμοίως ἐφ᾿ ὁτουοῦν ὑπάρχει καὶ ὄντος καὶ μὴ ὄντος.≫

그런데 "비(非) 인간(not human)"은 이름이 아니다. 물론 그것("비 인간")을

그리 불러야 하는 모종의 이름이 마련되어 있지도 않고 ―  ["비 인간"이]

진술도 아니고 부정도 아니기 때문에 ―, 오히려 부정(不定) 명사라

하기로 하자. ≪[이것이] 그 무엇을 두고서든 그것이 있는 경우에도 

있지 않은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성립하기 때문이다.≫

Τὸ δὲ Φίλωνος ἢ Φίλωνι καὶ ὅσα || τοιαῦτα οὐκ ὀνόματα, ἀλλὰ                   16b

πτώσεις ὀνόματος. λόγος δέ | ἐστιν αὐτοῦ τὰ μὲν ἄλλα κατὰ τὰ 

αὐτά, ὅτι δὲ μετὰ τοῦ | ἔστιν ἢ ἦν ἢ ἔσται οὐκ ἀληθεύει ἢ 

ψεύδεται, τὸ δὲ ὄνομα | ἀεί, οἷον Φίλωνός ἐστιν ἢ οὐκ ἔστιν· οὐδὲν 

γάρ πω οὔτε ἀλη||θεύει οὔτε ψεύδεται. |                                                     5

그런데 "필론의" 혹은 "필론에게" 그리고 이런 종류의 것들은 명사가

아니라, 명사의 격들이다. 그것에 대한 설명은 여타의 사항들에서는

같은 방식인데, 반면 "있다" 혹은 "있었다" 또는 "있을 것이다"를 동반하여

참이 되거나 거짓이 되지 않지만, 명사는 언제나 ["있다" 등을 동반하여 참이 

되거나 아니면 거짓이 된다] 라는 점이 있으니, 예를 들어 "필론의 있다" 

혹은 "[필론의] 있지 않다"가 그러하다. 즉 [이것은] 아직 참이 되지도 

거짓이 되지도 않는다.


III. Ῥῆμα δὲ ἐστι τὸ προσσημαῖνον χρόνον, οὗ μέρος οὐδὲν | σημαίνει 

χωρίς· καὶ ἔστιν ἀεὶ τῶν καθ᾿ ἑτέρου λεγομένων | σημεῖον. λέγω 

δ᾿ ὅτι προσσημαίνει χρόνον, οἷον ὑγίεια μὲν | ὄνομα, τὸ δὲ 

ὑγιαίνει ῥῆμα· προσσημαίνει γὰρ τὸ νῦν ὑπάρ||χειν. καὶ ἀεὶ τῶν                       10

καθ᾿ ἑτέρου λεγομένων σημεῖόν ἐστιν, οἷον | τῶν καθ᾿ ὑποκειμένου 

[ἢ ἐν ὑποκειμένῳ]. |

3. 시간을 부가적으로 지시하는 것, 그것의 부분이 독립적으로는 아무것도

지시하지 않는 것, 그것이 술어이다. 또한 [술어는] 언제나 다른 것에 대해서

진술된 것들에 대한 표지이다. 그런데 나는 [술어가] 시간을 부가적으로

지시한다는 점을 말하고 있고, 예를 들어 "건강"은 이름인 반면,

"건강하다"라는 것은 술어이다. 왜냐하면 ["건강하다"가] 지금 성립(지속)하고

있다는 것을 부가적으로 지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언제나 [술어는]

다른 것에 대해서 진술된 것들에 대하여 있으니, 예를 들어 기체에 대해서

[또는 기체 내에서] [진술된] 것들에 대하여 있다.

Τὸ δὲ οὐχ ὑγιαίνει καὶ τὸ οὐ κάμνει οὐ ῥῆμα λέγω· | προσ-

σημαίνει μὲν γὰρ χρόνον καὶ ἀεὶ κατά τινος ὑπάρχει, | τῇ δὲ δια-

φορᾷ ὄνομα οὐ κεῖται· ἀλλ᾿ ἔστω ἀόριστον ῥῆμα, || ὅτι ὁμοίως ἐφ᾿                   15

ὁτουοῦν ὑπάρχει καὶ ὄντος καὶ μὴ ὄντος. |

반면 나는 "안 건강하다"와 "안 아프다"는 술어가 아니라고 말한다.

왜냐하면 시간을 부가적으로 지시하고 언제나 모종의 것에 대해서

성립하지만, 이름이 놓이지 않는다는 차이가 있다. 오히려 부정 술어라

하기로 하자, [이것이] 그 무엇을 두고서든 그것이 있는 경우에도 

있지 않은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성립하기 때문이다.(cf. 16a32)

Ὁμοίως δὲ καὶ τὸ ὑγίανεν ἢ τὸ ὑγιανεῖ οὐ ῥῆμα, ἀλλὰ | 

πτῶσις ῥήματος· διαφέρει δὲ τοῦ ῥήματος, ὅτι τὸ μὲν τὸν | παρ-

όντα προσσημαίνει χρόνον, τὰ δὲ τὸ πέριξ. |

그런데 "건강했다" 또는 "건강할 것이다"도 마찬가지로 술어가 아니라,

술어의 격이다. [술어의 격은] 술어와 차이가 나는데, 술어는 현재 시간을

부가적으로 지시하는 반면, 격들은 그 주위를 그리한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Αὐτὰ μὲν οὖν καθ᾿ ἑαυτὰ λεγόμενα τὰ ῥήματα ὀνό||ματά ἐστι                          20

καὶ σημαίνει τι ― ἴστησι γὰρ ὁ λέγων τὴν διά|νοιαν, καὶ ὁ ἀκού-

σας ἠρέμησεν ―, ἀλλ᾿ εἰ ἔστιν ἢ μή, οὔπω | σημαίνει. οὐδὲ γὰρ 

τὸ<ῦ> εἶναι ἢ μὴ εἶναι σημεῖόν ἐστι τοῦ πράγματος, οὐδ᾿ ἐὰν τὸ ὂν 

εἴπῃς αὐτὸ καθ᾿ ἑαυτὸ ψιλόν· | αὐτὸ μὲν γὰρ οὐδέν ἐστιν, 

προσσημαίνει δὲ σύνθεσίν τινα, ἣν || ἄνευ τῶν συγκειμένων οὐκ                      25

ἔστι νοῆσαι. |

그러므로 그 자체로 진술되는 술어는 이름이며 모종의 것을

지시하지만 ― 왜냐하면 진술하는 자가 생각을 정지시키고, 그러면 

들은 자가 [그 생각에] 멈추기 때문이다 ―, [모종의 것이] 있는지 아니면 있지

않은지는, 아직 지시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있다" 혹은 "있지 않다"라는 것이

사태의 표지이지도 않고(or "왜냐하면 [그 자체로 진술되는 술어는] '있다' 혹은 

'있지 않다'라는 사태의 표지이지도 않고), 당신이 "있는 것"을 그 자체로 

단적으로(고립된 것, 발가벗겨진 것으로) 이야기한다 하더라도 [사태의 표지가] 

아니다. 그것[고립된 "있는 것"]은 어떤 것으로도 있지 않지만, 모종의 결합, 

결합되는 것들 없이는 생각할 수 없는 그런 결합을 부가적으로 지시하기 때문이다.


* 술어 자체는 독립적으로 지시적인 점에서 명사의 기능을 하지만, 연결의 기능이 주도적이다.

이 연결 기능의 대표격으로 be 술어를 고려할 때, be 자체조차도 연결 기능을 혼자 완수할 수 없고

또한 be의 경우 독립적으로는 명사의 지시기능조차 상실한다.

-蟲-

Φαίνεται δ᾿ ἐξετάζουσι τὸν λόγον τοὐναντίον

μᾶλλον· τά τε γὰρ εἰρημένα λύειν οὐ χαλεπόν, καὶ

πρὸς τούτοις ἄλλα συμβαίνει λέγειν ἀδύνατα. πρῶ-

τον μὲν οὖν ὅτι οὐθὲν σημεῖον ἡ ὁμοιότης τοῦ

ἀπιέναι ἀπὸ παντός, ὅτι καὶ φωνὴν καὶ ὄνυχας καὶ                            5

τρίχας ὅμοιοι γίγνονται καὶ τὴν κίνησιν, ἀφ᾿ ὧν

οὐθὲν ἀπέρχεται. ἔνια δ᾿ οὐκ ἔχουσί πω ὅταν γεν-

νῶσιν, οἷον τρίχωσιν πολιῶν ἢ γενείου. 

그런데 그 주장을 면밀히 검토하는 자들에게는 오히려

반대가 더 분명하다. 왜냐하면 이야기된 점들도 해결하기

어렵지 않거니와, 이런 것들에 더하여 다른 불가능한 

것들도 말하도록 귀결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선

유사성이 전체로부터의 방출의 아무런 징표도 아니라는

점이 [분명한데], 목소리에서도 손톱에서도 체모에서도 

또한 움직임에서도 유사한 자들이 생성되기 때문이다,

그것들로부터 아무것도 방출되지 않는데도. 그런데 

어떤 것들은 그들이 낳을 때 아직 지니고 있지 않은

것들로, 예를 들어 센 머리카락이나 턱의 수염 등이다.

- 부모가 출산 시 아직 지니지 않은 특징이 이후

  자식과 부모가 모두 늙었을 때 유사한 특징으로 될 경우.

  

                                                    ἔτι τοῖς

ἄνωθεν γονεῦσιν ἐοίκασιν, ἀφ᾿ ὧν οὐθὲν ἀπῆλθεν·

ἀποδιδόασι γὰρ διὰ πολλῶν γενεῶν αἱ ὁμοιότητες,

οἷον καὶ ἐν Ἤλιδι ἡ τῷ Αἰθίοπι συγγενομένη· οὐ                              10

γὰρ ἡ θυγάτηρ ἐγένετο, ἀλλ᾿ ὁ ἐκ ταύτης Αἰθίοψ.

                                                     더 나아가 

그들로부터 아무것도 나오지 않은 그런 윗대 선조와 

닮기도 한다. 왜냐하면 유사성들이 여러 대를 지나 

반복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엘리스에서도 

피부가 검은 자와 성교를 한 여인이 있다. 말인 즉 

그 딸은 [검은 피부로] 생성되지 않았으나, 이 딸로부터 

나온 아들은 피부가 검은 자로 생성되었다는 것이다.

καὶ ἐπὶ τῶν φυτῶν δὲ ὁ αὐτὸς λόγος· δῆλον γὰρ ὅτι

καὶ τούτοις ἀπὸ πάντων ἂν τῶν μερῶν τὸ σπέρμα

γίγνοιτο. πολλὰ δὲ τὰ μὲν οὐκ ἔχει, τὰ δὲ καὶ

ἀφέλοι τις ἄν, τὰ δὲ προσφύεται. ἔτι οὐδ᾿ ἀπὸ

τῶν περικαρπίων ἀπέρχεται· καίτοι καὶ ταῦτα γί-                             15

νεται τὴν αὐτὴν ἔχοντα μορφήν.                                                        //200214

그런데 식물들에 관련하여서도 동일한 논리가 성립한다. 

왜냐하면 이것들에게도 종자가 모든 부분들로부터

생성될 것이 분명하니 말이다. 그런데 다수의 식물들이 

어떤 부분들은 지니지 않는가 하면, 어떤 부분들은 또 

누군가가 제거하기도 할 것이며, 또 어떤 부분들은 

웃자라기도 한다. 더욱이 껍질로부터는 아무것도 

나오지 않는다. 그렇지만 이것들도 같은 형태를 

지닌 것들로 생성된다.


Ἔτι πότερον ἀπὸ τῶν ὁμοιομερῶν μόνον ἀπ-

έρχεται ἀφ᾿ ἑκάστου, οἷον ἀπὸ σαρκὸς καὶ ὀστοῦ

καὶ νεύρου, ἢ καὶ ἀπὸ τῶν ἀνομοιομερῶν, οἷον

προσώπου καὶ χειρός; εἰ μὲν γὰρ ἀπ᾿ ἐκείνων

μόνον, <ἐοικέναι ἔδει ἐκεῖνα μόνον·> ἐοίκασι δὲ                                20

μᾶλλον ταῦτα τοῖς γονεῦσι [τὰ ἀνομοιομερῆ],

οἷον πρόσωπον καὶ χεῖρας καὶ πόδας· εἴπερ οὖν

μηδὲ ταῦτα τῷ ἀπὸ παντὸς ἀπελθεῖν, τί κωλύει

μηδ᾿ ἐκεῖνα τῷ ἀπὸ παντὸς ἀπελθεῖν ὅμοια εἶναι,

ἀλλὰ δι᾿ ἄλλην αἰτίαν;

더 나아가 (1) 균질적인 부분들로부터만 그 각각으로부터

[종자가] 나오는지, 예를 들어 살과 뼈와 피 등으로부터,

아니면 비균질적 부분들로부터도 나오는지, 예를 들어

얼굴과 손으로부터? (a) 왜냐하면 만일 오직 저 [균질적인]

부분들로부터만 나온다면, <오직 저것들만 닮아야 했을

터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저것들이 아니라] 이 [비균질적]

부분들에서 훨씬 더 선조와 닮았다 [비균질적 부분들에서],

예를 들어 얼굴과 손과 발에서. 그러므로 만일 정말로

이 [비균질적인] 부분들에서도 전체로부터 나오는 일에 

의해서 [닮은 것이] 아니라면, 저 [균질적인] 부분들에서도 

전체로부터 나오는 일에 의해서 유사한 것들이 있는 게 

아니라, 다른 원인으로 인해 [유사한 것들이 있게 되는 일을] 

무엇이 막는가?

- 『동물부분론』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사람을 기준으로 다른

동물들을 논한다.

- OCT는 [τὰ ἀνομοιομερῆ . . . πόδας] 까지 생략. 

 

                              εἰ δ᾿ ἀπὸ τῶν ἀνομοιο-

μερῶν μόνον, οὐκ ἄρα ἀπὸ πάντων. προσήκει

δὲ μᾶλλον ἀπ᾿ ἐκείνων· πρότερα γὰρ ἐκεῖνα, καὶ                               25

σύγκειται τὰ ἀνομοιομερῆ ἐξ ἐκείνων, καὶ ὥσπερ

πρόσωπον καὶ χεῖρας γίγνονται ἐοικότες, οὕτω καὶ

σάρκας καὶ ὄνυχας. 

                               (b) 그런데 만일 오직 비균질적인 

부분들로부터만 [종자가] 나온다면, 그럼 모든 부분들로부터 

나오지는 않는다. 그런데 저 [균질적인] 부분들로부터 나오는 

일이 더욱 적절하다. 왜냐하면 저것들이 더 앞선 것들이고, 

비균질적인 부분들은 저것들로부터 조직되며, 마치 얼굴과 

손이 닮은 것들로 생성되듯, 그런 식으로 살과 뼈도 [닮은 

것들로 생성되기] 때문이다. 

                          εἰ δ᾿ ἀπ᾿ ἀμφοτέρων, τίς ὁ

τρόπος ἂν εἴη τῆς γενέσεως; σύγκειται γὰρ ἐκ

τῶν ὁμοιομερῶν τὰ ἀνομοιομερῆ, ὥστε τὸ ἀπὸ

τούτων ἀπιέναι τὸ ἀπ᾿ ἐκείνων ἂν εἴη ἀπιέναι καὶ                               30

τῆς συνθέσεως· ὥσπερ κἂν εἰ ἀπὸ τοῦ γεγραμ-

μένου ὀνόματος ἀπῄει τι, εἰ μὲν ἀπὸ παντός, κἂν

ἀπὸ τῶν συλλαβῶν ἑκάστης, εἰ δ᾿ ἀπὸ τούτων, ἀπὸ

τῶν στοιχείων καὶ τῆς συνθέσεως.

                           (c) 그런데 만일 양쪽 부분들 

모두로부터 나온다면, 그 생성의 방식은 무엇이겠는가? 

왜냐하면 균질적 부분들로부터 비균질적 부분들이 

조합되고, 그래서 이 [비균질적] 부분들로부터 산출함은 

저 [균질적] 부분들로부터 산출함 그리고 조합으로부터 

산출함일 것이기 때문이다.  마치 문자로 기록된 

이름으로부터 무엇이든 산출되었다고 할 경우라면 

그러했을 것처럼, 한편으로 그 [이름] 전체로부터라고 

한다면, 그 음절들의 각각으로부터이기도 할 것이고, 

다른 한편 이 음절들로부터라고 한다면, 철자들로부터 

그리고 그 조합으로부터일 것이다.

- c.f. 『형이상학』 Ζ에서 집과 건축자재들의 단순합, 문장과

철자들의 단순합 사이의 구분. 

- 『테아이테토스』 202- 소크라테스의 꿈이론.

                                              ὥστ᾿ εἴπερ ἐκ

πυρὸς καὶ τῶν τοιούτων σάρκες καὶ ὀστᾶ συνεστᾶ-

σιν, ἀπὸ τῶν στοιχείων ἂν εἴη μόνον· ἀπὸ γὰρ                                  35

τῆς συνθέσεως πῶς ἐνδέχεται; ἀλλὰ μὴν ἄνευ γε                         722b

ταύτης οὐκ ἂν εἴη ὅμοια. ταύτην δ᾿ εἴ τι δημι-

ουργεῖ ὕστερον, τοῦτ᾿ ἂν εἴη τὸ τῆς ὁμοιότητος

αἴτιον, ἀλλ᾿ οὐ τὸ ἀπελθεῖν ἀπὸ παντός.

                                               그래서 만일 정말로 

불과 그러한 종류의 것들로부터 살과 뼈가 구성되었다면, 

[종자는] 원소들로부터만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어떻게 

그 조합으로부터 있을 수 있겠는가? 그러나 물론 이 조합 

없이는 닮은 것들로 있지 못할 것이다. 그런데 모종의 것이 

이 조합을 나중에 제작한다면, 유사성의 원인이 이런 것일 

터이며, 전체로부터의 산출은 아닐 것이다.

- 살, 피, 뼈 → 손, 발. homoiomere에서 anhomoiomere로.

  이 과정에서 sunthesis 개입.

  불 및 원소 → 살, 피, 뼈. homoiomere에서 homoiomere로.

  이 과정에서는 sunthesis 개입 여지가 없음.

  

Ἔτι εἰ μὲν διεσπασμένα τὰ μέρη ἐν τῷ σπέρματι,

πῶς ζῇ; εἰ δὲ συνεχῆ, ζῷον ἂν εἴη μικρόν. καὶ τὰ                                5

τῶν αἰδοίων πῶς; οὐ γὰρ ὅμοιον τὸ ἀπιὸν ἀπὸ

τοῦ ἄρρενος καὶ τοῦ θήλεος.

더욱이 만일 한편으로 종자 안에서 부분들이 해체되어

있다면, 어떻게 살아있겠는가? 다른 한편 [부분들이] 연속되어 

있다면, [종자는] 작은 동물일 것이다. 그리고 생식기들의 

부분들은 어떤가? 수컷으로부터 나온 것과 암컷으로부터 

나온 것이 유사하지 않기 때문이다.


Ἔτι εἰ ἀμφοτέρων ὁμοίως ἀπὸ πάντων ἀπ-

έρχεται, δύο γίγνεται ζῷα· ἑκατέρων γὰρ ἅπαντα

ἕξει. διὸ καὶ Ἐμπεδοκλῆς ἔοικεν, εἴπερ οὕτω

λεκτέον, μάλιστα λέγειν ὁμολογούμενα τούτῳ τῷ

λόγῳ [τό γε τοσοῦτον, ἀλλ᾿ εἴπερ ἑτέρᾳ πῃ, οὐ                                  10

καλῶς]· φησὶ γὰρ ἐν τῷ ἄρρενι καὶ τῷ θήλει οἷον

σύμβολον ἐνεῖναι, ὅλον δ᾿ ἀπ᾿ οὐδετέρου ἀπιέναι,

더욱이 만일 그 둘 모두로부터 마찬가지 방식으로

산출된다면, 두 동물들이 생성될 것이다. 왜냐하면

그 둘 각각의 모든 것들을 전부 가질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엠페도클레스도, 만일 정말로 그런

식으로 말해야만 한다면, 특히 이러한 논리에 동의하는

말들을 한 것처럼 보인다 [적어도 그 만큼은, 그러나

만일 정말로 다른 어떤 방식으로 말한다면, 훌륭하지는

못하게]. 왜냐하면 그는 수컷과 암컷 안에 부신이

내재한다고, 그런데 그 전체는 둘 중 어느 한 쪽으로부터도

산출되지 않는다고,

ἀλλὰ διέσπασται μελέων φύσις, ἡ μὲν ἐν ἀν-

δρός . . .

오히려 사지의 본성이 파편화되며, 한편으로는

남성의 본성이 . . . 

διὰ τί γὰρ τὰ θήλεα οὐ γεννᾷ ἐξ αὑτῶν, εἴπερ ἀπὸ

παντός τε ἀπέρχεται καὶ ἔχει ὑποδοχήν; ἀλλ᾿

ὡς ἔοικεν ἢ οὐκ ἀπέρχεται ἀπὸ παντός, ἢ οὕτως                                15

ὥσπερ ἐκεῖνος λέγει, οὐ ταὐτὰ ἀφ᾿ ἑκατέρου, διὸ

καὶ δέονται τῆς ἀλλήλων συνουσίας. ἀλλὰ καὶ

τοῦτ᾿ ἀδύνατον. ὥσπερ γὰρ καὶ μεγάλα ὄντ᾿ ἀδύ-

νατον διεσπασμένα σώζεσθαι καὶ ἔμψυχα εἶναι,

καθάπερ Ἐμπεδοκλῆς γεννᾷ ἐπὶ τῆς φιλότητος,

λέγων                                                                                      20

왜냐하면 무엇으로 인해 암컷들이 자신들을 통해

출산하지 않겠는가, 만일 정말로 모든 것으로부터

나오기도 하거니와 그릇도 지니고 있다면? 허나

그럴 듯해 보이기로는 모든 것으로부터 나오지 않거나,

혹은 저 엠페도클레스가 말하는 것처럼 그런 식으로,

양편 각각으로부터 같은 것들이 나오지 않고, 이로 인해

[부절들] 서로간의 교접이 필요하기도 한 것일 터이다. 

그러나 이런 일도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부분들이] 

큰 것들로 있을 경우 분절되고서 살아남고 또 영혼을 

갖춘 것들로 있기란 불가능한 것처럼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엠페도클레스가 애정의 시기에 다음과 같이 

말하면서 태어나게 하듯 [큰 것들로 있으면서 분절되어서],

ᾗ πολλαὶ μὲν κόρσαι ἀναύχενες ἐβλάστησαν.

그로써 여러 목 없는 머리들이 싹을 틔웠다.

εἶθ᾿ οὕτως συμφύεσθαί φησιν. τοῦτο δὲ φανερὸν

ὅτι ἀδύνατον· οὔτε γὰρ μὴ ψυχὴν ἔχοντα οὔτε

μὴ ζωήν τινα δύναιτ᾿ ἂν σώζεσθαι, οὔτε ὥσπερ

ζῷα ὄντα πλείω συμφύεσθαι ὥστ᾿ εἶναι πάλιν ἕν.

그 다음 그런 식으로 동반생장된다고 주장한다. 그런데

이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은 분명하다. 왜냐하면 영혼을

지니지 않는 부분들도 모종의 생명을 지니지 않는 부분들도

살아남을 능력이 없을 것이고, 또 마치 많은 동물들이 

있는 것처럼 [그 부분들이 있다가] 동반성장하고 그래서 

다시 하나로 있게 되는 것도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ἀλλὰ μὴν τοῦτον τὸν τρόπον συμβαίνει λέγειν τοῖς                            25

ἀπὸ παντὸς ἀπιέναι φάσκουσιν, ὥσπερ τότε ἐν

τῇ γῇ ἐπὶ τῆς φιλότητος, οὕτω τούτοις ἐν τῷ

σώματι. ἀδύνατον γὰρ συνεχῆ τὰ μόρια γίγνε-

σθαι, καὶ ἀπιέναι εἰς ἕνα τόπον συνιόντα. εἶτα

πῶς καὶ "διέσπασται" τὰ ἄνω καὶ κάτω καὶ

δεξιὰ καὶ ἀριστερὰ καὶ πρόσθια καὶ ὀπίσθια;

πάντα γὰρ ταῦτα ἄλογά ἐστιν.                                                       30

그렇지만 모든 것으로부터의 산출을 주장하는 자들은

이런 방식을 논하도록 귀결되는데, 마치 애정의 시기에

대지에서의 경우에서처럼, 이런 부분들의 경우 육체 

안에서 그런 식으로 [된다고 말하도록 귀결된다.] 

왜냐하면 부분들이 연속적인 것들이 되는 것도 

불가능하고, 그래서 한 곳을 향해 모여서 산출하기도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서 어떻게 위 아래 

우와 좌 그리고 전과 후로 "분절되기까지 하겠는가?" 

즉 이런 모든 일들을 부조리하다.

- 28 "γὰρ"는 무엇을 설명하고 있는가?

  이 앞의 논의는 범생설이 엠페도클레스를 편들 수밖에 없다.

  Cho. 제안) 25-27까지를 괄호 안에 넣는 처리를 하면, 

                앞 24까지에 대한 설명일 수 있다.


Ἔτι τὰ μέρη τὰ μὲν δυνάμει τὰ δὲ πάθεσι διώ-

ρισται, τὰ μὲν ἀνομοιομερῆ τῷ δύνασθαί τι ποιεῖν,

οἷον γλῶττα καὶ χείρ, τὰ δ᾿ ὁμοιομερῆ σκληρότητι

καὶ μαλακότητι καὶ τοῖς ἄλλοις τοῖς τοιούτοις

πάθεσιν. οὐ πάντως οὖν ἔχον αἷμα οὐδὲ σάρξ.

더욱이 부분들은 한편으로는 능력에 의해 다른 한편

으로는 상태에 의해 규정되는데, 비균질적 부분들은

무엇을 행할 능력이 있는지에 의해, 예를 들어 혀와

손처럼, 다른 한편 균질적인 부분들은 단단함과 유연함

그리고 이런 종류의 여타의 상태들로 규정된다.

그러므로 피도 살도 모든 상태로 있는 것은 아니다.

δῆλον τοίνυν ὅτι ἀδύνατον τὸ ἀπελθὸν εἶναι συν-                             35

ώνυμον τοῖς μέρεσιν, οἷον αἷμα ἀπὸ αἵματος ἢ                           723a

σάρκα ἀπὸ σαρκός. ἀλλὰ μὴν εἴ γ᾿ ἐξ ἑτέρου τινὸς                                     //

ὄντος αἷμα γίνεται, οὐδ᾿ ἂν τῆς ὁμοιότητος αἴτιον

ἀπὸ πάντων τῶν μορίων· ἱκανὸν γὰρ ἀφ᾿ ἑνὸς

ἀπιέναι μόνον, εἴπερ μὴ ἐξ αἵματος αἷμα γίγνεται.                              5

διὰ τί γὰρ οὐκ ἂν καὶ ἅπαντα ἐξ ἑνὸς γίγνοιτο;

그러니 산출된 것이 그 부분들과 동의어이기는, 

예를 들어 피에서 피가 혹은 살에서 살이 나왔다는 

것처럼, 불가능하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렇지만

만일 모종의 다른 것이 있어서 그로부터 피가

생성된다고 한다면, 이 또한 모든 부분들로부터의

유사성에 대한 원인은 아닐 것이다. 왜냐하면 오직

하나로부터의 산출이면 충분하기 때문이다, 만일

정말로 피가 피로부터 생성되지 않는다면. 왜냐하면

무슨 이유로 하나로부터 그 모든 것들도 생성되지

못하겠는가? 

[각자 기원과 산물이 동종적일 필요가 없다면

하나에서 모든 것이 나올 수 있다?]

- 몸에서 분리된 손은 더 이상 손이 아니다. 

ὁ αὐτὸς γὰρ λόγος ἔοικεν εἶναι οὗτος τῷ Ἀναξ-

αγόρου, τῷ μηθὲν γίγνεσθαι τῶν ὁμοιομερῶν·

πλὴν ἐκεῖνος μὲν ἐπὶ πάντων, οὗτοι δ᾿ ἐπὶ τῆς

γενέσεως τῶν ζῴων τοῦτο ποιοῦσιν. ἔπειτα τίνα

τρόπον αὐξηθήσεται ταῦτα τὰ ἀπελθόντα ἀπὸ παν-                           10

τός; Ἀναξαγόρας μὲν γὰρ εὐλόγως φησὶ σάρκας

ἐκ τῆς τροφῆς προσιέναι ταῖς σαρξίν· τοῖς δὲ ταῦτα

μὲν μὴ λέγουσιν, ἀπὸ παντὸς δ᾿ ἀπιέναι φάσκουσι,

πῶς ἑτέρου προσγιγνομένου ἔσται μεῖζον, εἰ μὴ

μεταβάλλει τὸ προσελθόν; 

이는 아낙사고라스의 논리와 같은 논리인 것일

듯하다, 균질적인 부분들 중 아무것도 생성되지

않는다는 주장과. 저 자(아낙사고라스)는 모든 것에 

대해 논하지만, 이 사람들은 동물의 생성을 놓고

이 작업을 한다는 점을 제외하고. 그리하여 

모든 것으로부터의 이러한 산출물들은 무슨 방식으로

성장하겠는가? 아낙사고라스는 양분을 통해 살이

살에 추가된다고는 합리적으로 주장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것들을 말하지 않고, 그런데 모든 것으로

부터의 산출을 주장하는 자들에게는, 어떻게 다른 것이

덧붙여 생겨날 때 더 큰 것으로 있겠는가, 만일 추가된

것이 변화하지 않는다면?

                                   ἀλλὰ μὴν εἴ γε

δύναται μεταβάλλειν τὸ προσελθόν, διὰ τί οὐκ                                  15

εὐθὺς ἐξ ἀρχῆς τὸ σπέρμα τοιοῦτόν ἐστιν ὥστ᾿ 

ἐξ αὐτοῦ δυνατὸν εἶναι γίνεσθαι αἷμα καὶ σάρκας,

ἀλλὰ μὴ αὐτὸ εἶναι ἐκεῖνο καὶ αἷμα καὶ σάρκας;

허나 만일 추가된 것이 변화하는 일이 가능한 경우라도,

무엇으로 인해 처음부터 곧장 종자가 그로부터 피와 살이

생성되는 일이 가능할 그러한 것이고, 저것 자체가 피이기도

하고 살이기도 가능할 그러한 것이지는 않는 것이 아닐

이유는 무엇인가?

οὐ γὰρ δὴ οὐδὲ τοῦτο ἐνδέχεται λέγειν, ὡς τῇ

κατακεράσει αὐξάνεται ὕστερον οἷον οἶνος ὕδατος

προσεγχυθέντος· αὐτὸ γὰρ ἂν πρῶτον μάλιστα

ἦν ἕκαστον ἄκρατον ὄν· νῦν δὲ ὕστερον μᾶλλον                                20

καὶ σὰρξ καὶ ὀστοῦν καὶ τῶν ἄλλων ἕκαστόν ἐστι

μορίων. τοῦ δὲ σπέρματος φάναι τι νεῦρον εἶναι

καὶ ὀστοῦν λίαν ἐστὶν ὑπὲρ ἡμᾶς τὸ λεγόμενον.

왜냐하면 이것을 포도주가 물에 섞이는 경우처럼 혼합에

의해 이후에 증가된다고 말하는 일도 허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우선 무엇보다도 혼합되지 않은

채로 있는 각각의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제 나중이 되어

살이기도 뼈이기도 여타의 부분들 각각이기도 한 것이다.

그런데 종자의 어떤 것은 신경이고 또 뼈라고 주장하는

일은 논의되는 바가 우리를 지나치게 넘어선다.


-작성중-

Τὰ μὲν γὰρ προΐεται φανερῶς σπέρμα τῶν

ζῴων, οἷον ὅσα αὐτῶν ἔναιμα τὴν φύσιν ἐστί, τὰ

δ᾿ ἔντομα καὶ τὰ μαλάκια ποτέρως, ἄδηλον. ὥστε

τοῦτο θεωρητέον, πότερον πάντα προΐεται σπέρμα

τὰ ἄρρενα ἢ οὐ πάντα, καὶ εἰ μὴ πάντα, διὰ τίν᾿

αἰτίαν τὰ μὲν τὰ δ᾿ οὔ· καὶ τὰ θήλεα δὲ πότερον                        35

συμβάλλεται σπέρμα τι ἢ οὔ, καὶ εἰ μὴ σπέρμα,                   721b

πότερον οὐδ᾿ ἄλλο οὐθέν, ἢ συμβάλλεται μέν τι,

οὐ σπέρμα δέ. ἔτι δὲ καὶ τὰ προϊέμενα σπέρμα τί

συμβάλλεται διὰ τοῦ σπέρματος πρὸς τὴν γένεσιν

σκεπτέον, καὶ ὅλως τίς ἐστιν ἡ τοῦ σπέρματος φύσις

καὶ ἡ τῶν καλουμένων καταμηνίων, ὅσα ταύτην                        5

τὴν ὑγρότητα προΐεται τῶν ζῴων.                                               //200207

동물들 중 일부는 분명히 종자를 방출하는데,

예를 들어 동물들 중 본성에 있어서 유혈동물들인

것들이 그러하고, 반면 절지동물들과 연체동물들은

둘 중 어느 방식인지(분명히 혹은 그렇지 않게), 불분명하다. 

그래서 이 점이 관찰되어야만 하는데, 수컷들 전부가 

종자를 방출하는지 아니면 전부는 아닌지, 그리고 만일 

전부가 아니라면, 무슨 원인으로 인해 일부는 그리하고 

일부는 그리하지 않는지가 관찰되어야 한다. 또한 암컷들은 

일종의 종자에 기여하는지 혹은 그렇지 않은지, 또 만일 

종자에 기여하지 않는다면 다른 아무것에도 기여하지 않는지, 

혹은 무엇인가에는 기여하지만, 종자에는 기여하지 않는지

관찰되어야만 한다. 더 나아가 종자를 방출하는 것들은

종자를 통해 생성을 위해 무슨 기여를 하는지 관찰되어야만

하며, 일반적으로 종자의 본성이 무엇이고 소위 하혈이란

것들의 본성이 무엇인지, 동물들 중 이러한 액체를 방출하는

모든 경우에서, 관찰되어야만 한다.

- 종자가 사원인 중 어떤 것(들)으로서 생성에 기여하는지.

Δοκεῖ δὲ πάτνα γίνεσθαι ἐκ σπέρματος, τὸ δὲ

σπέρμα ἐκ τῶν γεννώντων. διὸ τοῦ αὐτοῦ λόγου

ἐστί, πότερον καὶ τὸ θῆλυ καὶ τὸ ἄρρεν προΐεται

ἄμφω ἢ θάτερον μόνον, καὶ πότερον ἀπὸ παντὸς

ἀπέρχεται τοῦ σώματος ἢ οὐκ ἀπὸ πνατός· εὔ-                            10

λογον γάρ, εἰ μὴ ἀπὸ πνατός, μηδ᾿ ἀπ᾿ ἀμφοτέρων

τῶν γεννώντων. διόπερ ἐπισκεπτέον, ἐπειδὴ φασί

τινες ἀπὸ παντὸς ἀπιέναι τοῦ σώματος, περὶ τούτου

πῶς ἔχει πρῶτον. 

그런데 모든 것들이 종자로부터 생성되는 것으로

여겨지고, 종자는 낳는 것들로부터 생성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로 인해 같은 설명에 속하니, 암컷도

수컷도 양자 모두 [종자를] 방출하는지 아니면 오직 

어느 한쪽만 그리하는지, 또 전 물체로부터 [종자가]

발생하는지 아니면 전 물체로부터인 것은 아닌지

여부가 그러하다. 왜냐하면 합리적이기 때문이다,

만일 전 물체로부터가 아니라면, 낳는 것들 양편

모두로부터도 아니라는 것이. 바로 이로 인해 고찰

되어야만 한다, 어떤 이들은 전 물체로부터 방출을

주장하기에, 이에 관련하여 사정이 어떠한지가 우선

[고찰되어야만 한다.]

                       ἔστι δὲ σχεδόν, οἷς ἄν τις χρή-

σαιτο τεκμηρίοις ὡς ἀφ᾿ ἑκάστου τῶν μορίων

ἀπιόντος τοῦ σπέρματος, τέτταρα, πρῶτον μὲν ἡ                         15

σφοδρότης τῆς ἡδονῆς· μᾶλλον γὰρ ἡδὺ πλέον

ταὐτὸ γινόμενον πάθος, πλέον δὲ τὸ πᾶσι τοῖς

μορίοις ἢ τὸ ἑνὶ ἢ ὀλίγοις συμβαῖνον αὐτῶν. ἔτι

τὸ ἐκ κολοβῶν κολοωὰ γίνεσθαι· διὰ μὲν γὰρ τὸ

τοῦ μορίου ἐνδεὲς εἶναι οὐ βαδίζειν σπέρμα ἐν-

τεῦθέν φασιν, ὅθεν δ᾿ ἂν μὴ ἔλθῃ, τοῦτο συμβαίνειν                     20

μὴ γίνεσθαι. 

                      그런데, 누군가가 부분들의 각각으로부터 

종자가 방출된다고 여기면서 그 증거로 사용할 것들은,

거의 네 가지로, 우선은 (1) 쾌락의 격렬함이다. 왜냐하면

같은 상태가 더 많아질 때 쾌락이 훨씬 더 커지고,

그 부분들 중 모든 부분들에 귀결된 것이 하나나 

혹은 적은 부분들에 귀결된 것보다 더 많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2) 훼손된 자들로부터는 훼손된 자들이 생성된다는

것이다. 즉 그들은 한편으로 그 부분의 결함으로 인해서는

그 부분으로부터 종자가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다고 그들이

주장하고, 그로부터 종자가 출현하지 않을 부분, 이러한 

부분이 생성되지 않도록 귀결된다고 주장한다.

                 πρὸς δὲ τούτοις αἱ ὁμοιότητες πρὸς

τοὺς γεννήσαντας· γίνονται γὰρ ἐοικότες, ὥσπερ

καὶ ὅλον τὸ σῶμα, καὶ μόρια μορίοις· εἴπερ οὖν

καὶ τῷ ὅλῳ αἴτιον τῆς ὁμοιότητος τὸ ἀφ᾿ ὅλου

ἐλθεῖν τὸ σπέρμα, καὶ τοῖς μορίοις αἴτιον ἂν εἴη τὸ

ἀφ᾿ ἑκάστου τι τῶν μορίων ἐλθεῖν. 

이러한 것들에 더하여 (3) 낳은 것들에 대한 유사성들이

있다. 왜냐하면 [낳아진 것들이] 닮은 것들로 생성되는데, 

온 신체도 [닮]고, 부분들도 부분들과 [닮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만일 정말로 전체로부터 종자가 나왔다는 것이 

전체와의 유사성의 원인이라면, 부분들 중 각 특정

부분으로부터 나왔다는 것은 부분들과의 유사성의

원인일 것이다.

                                              ἔτι δὲ καὶ

εὔλογον ἂν εἶναι δόξειεν, ὥσπερ καὶ τοῦ ὅλου ἐστί                       25

τι ἐξ οὗ γίνεται πρῶτον, οὕτω καὶ τῶν μορίων

ἑκάστου, ὥστ᾿ εἰ ἐκείνου σπέρμα, καὶ τῶν μορίων

ἑκάστου εἴη ἄν τι σπέρμα ἴδιον. 

                                              더 나아가 

(4) 합리적인 것이라고도 보일 것인데, 마치 전체에도 

그 전체가 그로부터 생성된 최초의 무언가가 있는 것처럼, 

그런 식으로 부분들 각각의 경우에도 그러하며, 그래서 

만일 저 전체의 종자가 있다면, 부분들 각각에 대해서도

어떤 고유한 종자가 있을 것이다.

                                           πιθανὰ δὲ καὶ τὰ

τοιαῦτα μαρτύρια ταύταις ταῖς δόξαις· οὐ γὰρ

μόνον τὰ σύμφυτα προσεοικότες γίνονται τοῖς γο-

νεῦσιν οἱ παῖδες, ἀλλὰ καὶ τὰ ἐπίκτητα· οὐλάς τε                          30

γὰρ ἐχόντων τῶν γεννησάντων ἤδη τινὲς ἔσχον ἐν

τοῖς αὐτοῖς τόποις τῶν ἐκγόνων τὸν τύπον τῆς

οὐλῆς, καὶ στίγμα ἔχοντος ἐν τῷ βραχίονι τοῦ

πατρὸς ἐπεσήμηνεν ἐν Χαλκηδόνι τῷ τέκνῳ συγ-

κεχυμένον μέντοι καὶ οὐ διηρθρωμένον τὸ γράμμα.

ὅτι μὲν οὖν ἀπὸ παντὸς ἔρχεται τὸ σπέρμα, σχεδὸν                      35

ἐκ τούτων μάλιστα πιστεύουσί τινες.                                   722a

                                           그런데 이러한

통념들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증거들도 신뢰를 주는

것들이다. 자식들은 선천적인 측면에서만 자식이 부모를 

닮은 것으로 생성되는 게 아니라, 후천적인 측면에서도

그러하기 때문이다. 낳은 것들이 상처를 지닐 때 자손들

중 어떤 이들은 같은 위치들에 상처의 흔적을 지니기도

하고, 칼케돈에서 아버지가 팔에 낙인을 지니는데 그의

자식에게 희미해지고 뚜렷하게 식별되진 않았지만 그 

글자가 나타나기도 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종자가 

모든 것으로부터 나온다는 점은, 거의 이런 점들로부터 

어떤 이들이 특히나 신뢰한다.


-蟲-

Ἔχει δὲ τὰ περὶ τοὺς ὄρχεις καὶ καὶ τὰς ὑστέρας                             [Ⅲ]

οὐχ ὁμοίως πᾶσι τοῖς ἐναίμοις ζῴοις, καὶ πρῶτον

τὰ περὶ τοὺς ὄρχεις τοῖς ἄρρεσιν. τὰ μὲν γὰρ                         15

ὅλως ὄρχεις οὐκ ἔχει τῶν τοιούτων ζῴων, οἷον τό

τε τῶν ἰχθύων γένος καὶ τὸ τῶν ὄφεων, ἀλλὰ

πόρους μόνον δύο σπερματικούς· τὰ δ᾿ ἔχει μὲν

ὄρχεις, ἐντὸς δ᾿ ἔχει τούτους πρὸς τῇ ὀσφύι κατὰ

τὴν τῶν νεφρῶν χώραν, ἀπὸ δὲ τούτων ἑκατέρου

πόρον, ὥσπερ ἐν τοῖς μὴ ἔχουσιν ὄρχεις, συνάπ-                    20

τοντας εἰς ἕν, καθάπερ καὶ ἐπ᾿ ἐκείνων, οἷον οἵ τε

ὄρνιθες πάντες καὶ τὰ ᾠοτοκοῦντα τετράποδα τῶν

δεχομένων τὸν ἀέρα καὶ πλεύμονα ἐχόντων· καὶ

γὰρ ταῦτα πάντα ἐντὸς ἔχει πρὸς τῇ ὀσφύι τοὺς

ὄρχεις, καὶ δύο πόρους ἀπὸ τούτων ὁμοίως τοῖς

ὄφεσιν, οἷον σαῦροι καὶ χελῶναι καὶ τὰ φολιδωτὰ                  25

πάντα. 

그런데 고환과 자궁에 관련한 부분들은 모든 유혈

동물들에게 마찬가지이지는 않고, 우선 고환에 관련된

부분들이 수컷 동물들에게 있다. 전체적으로 이러한

[유혈] 동물들 중 일부는 고환을 지니지 않는데, 예를

들어 어-류나 뱀-류가 그렇고, 종자생성이 가능한

두 관들만을 지닐 뿐이다. 그런데 [유혈 동물 중 다른]

일부는 고환을 지니기는 하지만, 내부에 신장의 위치에서

등허리 쪽으로 이것들을 지니고, 이 둘 각각으로부터

관을 지니는데, 마치 고환을 지니지 않는 것들의 경우에서

처럼 그러하며, 이 관들은 하나로 합치되는 바, 마치

[고환을 지니지 않는] 저것들의 경우에서도 그러하듯 [합치되며],

예를 들어 새들 전부와 호흡 가능하고 폐를 지니는 것들 중

사족 보행 난생 동물들이 그러하다. 이러한 것들을 모두 내부에

등허리 쪽에서 고환으로서 지니고, 또한 뱀과 마찬가지로

이것들로부터 나온 두 관들 또한 지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도마뱀과 거북 그리고 [비늘 달린] 파충류들

모두가 그러하다.

          τὰ δὲ ζῳοτόκα πάτνα μὲν ἐν τῷ ἔμπροσθεν

ἔχει τοὺς ὄρχεις, ἀλλ᾿ ἔνια αὐτῶν ἔσω πρὸς τῷ

τέλει τῆς γαστρός, οἷον ὁ δελφίς, καὶ οὐ πόρους

ἀλλ᾿ αἰδοῖον ἀπὸ τούτων περαῖνον εἰς τὸ ἔξω,

καθάπερ οἱ βόες, τὰ δ᾿ ἔξω, καὶ τούτων τὰ μὲν

ἀπηρτημένους, ὥσπερ ἄνθρωπος, τὰ δὲ πρὸς τῇ                     30

ἕδρᾳ, καθάπερ οἱ ὕες. διώρισται δὲ περὶ αὐτῶν

ἀκριβέστερον ἐν ταῖς ἱστορίαις ταῖς περὶ τῶν ζῴων.

         반면 태생 동물들 모두는 전면에 고환을

지니지만, 그것들 중 일부는 복부 말단 내부로

지니는데, 예를 들어 돌고래가 그러하고, 관들이

아니라 이것들로부터 나와 외부로 끝나는 음부를

지니는데, 마치 소들처럼 그러하며, 일부는 외부에

지니는데, 이것들 중 일부는 매달린 것들을 지니며,

이는 마치 인간의 경우처럼 그러하고, 다른 일부는 

둔부 쪽으로 지니는데, 마치 돼지들처럼 그러하다.

그런데 이것들에 관해서는 『동물들에 관한 보고들』

에서 더 정확하게 규정된다.

Αἱ δ᾿ ὑστέραι πᾶσι μέν εἰσι διμερεῖς, καθάπερ

καὶ οἱ ὄρχεις τοῖς ἄρρεσι δύο πᾶσιν· ταύτας δ᾿

ἔχουσι τὰ μὲν πρὸς τοῖς ἄρθροις, καθάπερ αἵ τε

γυναῖκες καὶ πάντα τὰ ζῳοτοκοῦντα μὴ μόνον                       35

θύραζε ἀλλὰ καὶ ἐν αὑτοῖς, καὶ οἱ ἰχθύες ὅσοι                  717a

ᾠοτοκοῦσιν εἰς τοὐμφανές, τὰ δὲ πρὸς τῷ ὑπο-

ζώματι, καθάπερ οἵ τ᾿ ὄρνιθες πάντες καὶ τῶν

ἰχθύων οἱ ζῳοτοκοῦντες. ἔχουσι δὲ δικρόας καὶ

τὰ μαλακόστρακα τὰς ὑστέρας καὶ τὰ μαλάκια· τὰ

γὰρ καλούμενα τούτων ᾠὰ τοὺς περιέχοντας                         5

ὑμένας ὑστερικοὺς ἔχει.

반면 자궁은 모든 경우에 두 부분으로 있는데,

고환이 모든 수컷들에게 둘인 것과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일부는 이것들을 외음부 쪽에 지니는데,

마치 여성들과 모든 태생 동물들이 외부만이 아니라

자신들 내부에도 지니는 것과 같으며, 난생인 

모든 어류도 명백히 그러하고, 어떤 것들은 횡경막

쪽으로 지니는데, 마치 새들 전부와 물고기들 중

태생인 것들처럼 그러하다. 그런데 갑각류와 연체동물은

두쪽으로 된 자궁들을 지닌다. [이것들이] 이것들의 

소위 알을 감싸는 자궁 역할을 하는 막을 지니기 때문이다. 

Μάλιστα δὲ ἀδιόριστον ἐπὶ τῶν πολυπόδων ἐστίν,

ὥστε δοκεῖν μίαν εἶναι· τούτου δ᾿ αἴτιον ὁ τοῦ

σώματος ὄγκος πάντῃ ὅμοιος ὤν. δικρόαι δὲ καὶ

αἱ τῶν ἐντόμων εἰσὶν ἐν τοῖς μέγεθος ἔχουσιν·

ἐν δὲ τοῖς ἐλάττοσιν ἄδηλοι διὰ τὴν μικρότητα

τοῦ σώματος.                                                                  10

[자궁은] 두족류들의 경우 특히 규정되지 않은 

것인데, 그래서 유일한 것이라 여겨진다. 그런데

이 원인은 몸-통이 전방위로 유사하다는 것이다.

반면 절지동물의 자궁은 크기가 큰 것들 안에는

있다. 반면 작은 것들 안에서는 몸체가 작기 때문에

불분명하다.

Τὰ μὲν οὖν εἰρημένα μόρια τοῖς ζῴοις τοῦτον

ἔχει τὸν τρόπον·

그러므로 이야기된 부분들은 동물들에게 이런

방식으로 있다.


Περὶ δὲ τῆς ἐν τοῖς ἄρρεσι διαφορᾶς τῶν σπερ-                             [Ⅳ]

ματικῶν ὀργάνων, εἴ τις μέλλει θεωρήσειν τὰς

αἰτίας δι᾿ ἅς εἰσιν, ἀνάγκη λαβεῖν πρῶτον τίνος

ἕνεκεν ἡ τῶν ὄρχεών ἐστι σύστασις. εἰ δὴ πᾶν ἡ                      15

φύσις ἢ διὰ τὸ ἀναγκαῖον ποιεῖ ἢ διὰ τὸ βέλτιον,

κἂν τοῦτο τὸ μόριον εἴη διὰ τούτων θάτερον. ὅτι

μὲν τοίνυν οὐκ ἀναγκαῖον πρὸς τὴν γένεσιν, φα-

νερόν· πᾶσι γὰρ ἂν ὑπῆρχε τοῖς γεννῶσι, νῦν δ᾿

οὔθ᾿ οἱ ὄφεις ἔχουσιν ὄρχεις οὔθ᾿ οἱ ἰχθύες· ὠμμένοι

γάρ εἰσι συνδυαζόμενοι καὶ πλήρεις ἔχοντες θοροῦ                 20

τοὺς πόρους. λείπεται τοίνυν βελτίονός τινος

χάριν. 

그런데 수컷의 경우에서 종자 기관들의 차이에

관련하여서는, 그 차이가 성립하는 원인들을

누군가 관찰하고자 한다면, 우선 고환의 구성이

무엇을 위한 것인지 파악하는 일이 필연적이다.

그래서 만일 모든 자연 본성이 필수성으로 인해서든

이익을 위해서든 그것을 제작한다면, 바로 이 부분은

이러한 것들을 통해 다른 것일 터이다. 그러니까

한편으로 생성에 필수적이지 않다는 것, 이는 분명하다.

왜냐하면 [필수적이었다면] 자손을 낳는 모든 것들에게 

고환이 존속했을 텐데, 뱀도 물고기도 지니지를 않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그것들이 짝짓기가 관찰되는 것들이고

정액으로 채워진 정관을 지니는 것들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어떤 이익을 위해서란 것이 남는다.

         ἔστι δὲ τῶν μὲν πλείστων ζῴων ἔργον

σχεδὸν οὐθὲν ἄλλο πλὴν ὥσπερ τῶν φυτῶν σπέρμα

καὶ καρπός. ὥσπερ δ᾿ ἐν τοῖς περὶ τὴν τροφὴν

τὰ εὐθυέντερα λαβρότερα πρὸς τὴν ἐπιθυμίαν τὴν

τῆς τροφῆς, οὕτω καὶ τὰ μὴ ἔχοντα ὄρχεις πόρους                  25

δὲ μόνον, ἢ ἔχοντα μὲν ἐντὸς δ᾿ ἔχοντα, πάντα

ταχύτερα πρὸς τὴν ἐνέργειαν τῶν συνδυασμῶν. ἃ

δὲ δεῖ σωφρονέστερα εἶναι, ὥσπερ ἐκεῖ οὐκ εὐθυ-

έντερα, καὶ ἐνταῦθ᾿ ἕλικας ἔχουσιν οἱ πόροι πρὸς

τὸ μὴ λάβρον μηδὲ ταχεῖαν εἶναι τὴν ἐπιθυμίαν.

         그런데 대다수 동물들의 활동산물은 식물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거의 종자와 열매 외에 다른 

아무것도 아니다시피 하다. 그런데 양분에 관련한

경우들에서 직장을 가진 것들이 양분에의 욕구 쪽으로

더 격렬한 것처럼, 그렇게 고환은 지니지 않고 관만을

지니는 것들, 또는 지니기는 하되 내부에 지니는 것들,

이것들 전부는 짝짓기의 실현 쪽으로 더욱 재빠르다.

그런데 저 경우에 직장을 지니지 않은 것들처럼, 

이 경우에 

οἱ δ᾿ ὄρχεις εἰσὶ πρὸς τοῦτο μεμηχανημένοι· τοῦ                    30

γὰρ σπερματικοῦ περιττώματος στασιμωτέραν

ποιοῦσι τὴν κίνησιν, ἐν μὲν τοῖς ζῳοτόκοις, οἷον

ἵπποις τε καὶ τοῖς ἄλλοις τοῖς τοιούτοις καὶ ἐν

ἀνθρώποις, σώζοντες τὴν ἐπαναδίπλωσιν (ὃν δὲ

τρόπον ἔχει αὕτη, ἐκ τῶν ἱστοριῶν τῶν περὶ τὰ

ζῷα δεῖ θεωρεῖν)· οὐθὲν γὰρ εἰσι μόριον τῶν πόρων               35

οἱ ἄρχεις, ἀλλὰ πρόσκεινται, καθάπερ τὰς λαιὰς

προσάπτουσιν αἱ ὑφαίνουσαι τοῖς ἱστοῖς· ἀφαιρου-

μένων γὰρ αὐτῶν ἀνασπῶνται οἱ πόροι ἐντός, ὥστ᾿         717b

οὐ δύνανται γεννᾶν τὰ ἐκτεμνόμενα, ἐπεὶ εἰ μὴ

ἀνεσπῶντο, ἐδύναντο ἄν, καὶ ἤδη ταῦρός τις μετὰ

τὴν ἐκτομὴν εὐθέως ὀχεύσας ἐπλήρωσε διὰ τὸ

μήπω τοὺς πόρους ἀνεσπάσθαι. 

                                          τοῖς δ᾿ ὄρνισι καὶ                   5

τοῖς ᾠοτόκοις τῶν τετραπόδων δέχονται τὴν σπερ-

ματικὴν περίττωσιν, ὥστε βραδυτέραν εἶναι τὴν

ἔξοδον ἢ τοῖς ἰχθύσιν. φανερὸν δ᾿ ἐπὶ τῶν ὀρνίθων·

περὶ γὰρ τὰς ὀχείας πολὺ μείζους ἴσχουσι τοὺς

ὄρχεις, καὶ ὅσα γε τῶν ὀρνέων καθ᾿ ὥραν μίαν

ὀχεύει, ὅταν ὁ χρόνος οὗτος παρέλθῃ, οὕτω μικροὺς                10

ἔχουσιν ὥστε σχεδὸν ἀδήλους εἶναι, περὶ δὲ τὴν

ὀχείαν σφόδρα μεγάλους. θᾶττον μὲν οὖν ὀχεύουσι

τὰ ἐντὸς ἔχοντα· καὶ γὰρ τὰ ἐκτὸς ἔχοντα οὐ

πρότερον τὸ σπέρμα ἀφίησι πρὶν ἀνασπάσαι τοὺς

ὄρχεις.


-작성중-

Ἐπεὶ δὲ περὶ τῶν ἄλλων μορίων εἴρηται τῶν ἐν                               

τοῖς ζῴοις καὶ κοινῇ καὶ καθ᾿ ἕκαστον γένος περὶ

τῶν ἰδίων χωρίς, τίνα τρόπον διὰ τὴν τοιαύτην

αἰτίαν ἐστὶν ἕκαστον, λέγω δὲ ταύτην τὴν ἕνεκά

του· ὑπόκεινται γὰρ αἰτίαι τέτταρες, τό τε οὗ

ἕνεκα ὡς τέλος, καὶ ὁ λόγος τῆς οὐσίας (ταῦτα

μὲν οὖν ὡς ἕν τι σχεδὸν ὑπολαβεῖν δεῖ), τρίτον                            5

δὲ καὶ τέταρτον ἡ ὕλη καὶ ὅθεν ἡ ἀρχὴ τῆς κινή-

σεως―περὶ μὲν οὖν τῶν ἄλλων εἴρηται (ὅ τε γὰρ

λόγος καὶ τὸ οὗ ἕνεκα ὡς τέλος ταὐτόν, καὶ ὕλη

τοῖς ζῴοις τὰ μέρη, παντὶ μὲν τῷ ὅλῳ τὰ ἀν-                                10

ομοιομερῆ, τοῖς δ᾿ ἀνομοιομερέσι τὰ ὁμοιομερῆ,

τούτοις δὲ τὰ καλούμενα στοιχεῖα τῶν σωμάτων),

λοιπὸν δὲ τῶν μὲν μορίων τὰ πρὸς τὴν γένεσιν

συντελοῦντα τοῖς ζῴοις, περὶ ὧν οὐθὲν διώρισται

πρότερον, περὶ αἰτίας δὲ τῆς κινούσης, τίς αὕτη.

τὸ δὲ περὶ ταύτης σκοπεῖν καὶ τὸ περὶ τῆς

γενέσεως τῆς ἑκάστου τρόπον τινὰ ταὐτόν ἐστιν·                          15

διόπερ ὁ λόγος εἰς ἓν συνήγαγε, τῶν μὲν περὶ τὰ

μόρια τελευταῖα ταῦτα, τῶν δὲ περὶ γενέσεως τὴν

ἀρχὴν ἐχομένην τούτων τάξας.

동물들에 속한 부분들에 관련하여서 공통적으로도

그리고 각 유에 따라 고유한 부분들에 관하여 개별적으로도,

어떤 방식에서 이러한 원인으로 인해 각각이 있는지

이야기되었을 때, 나는 이 원인을 목적이란 뜻으로

말하고 있다. 왜냐하면 원인들은 넷으로서, 완결로서의 

목적과, 또한 실체에 대한 정의 (그러므로 이것들은 

거의 모종의 하나로 간주해야 한다), 세 번째와

네 번째인 질료와 운동의 기원인 출처로 확정되어 있기

때문이다.―그러므로 여타의 것들에 관련하여서는

이야기되었고 (왜냐하면 정의도 완결로서의 목적도

같은 것이고, 동물들에게 그 부분들은 질료이며, 그

전체로서의 모두에게는 비동종적 부분들이, 비동족적

부분들에게는 동종적 부분들이, 이러한 것들에게는

물체들의 원소들이라 불리는 것들이 질료이기 때문이다.), 

부분들 중 남은 것은 생성에 대해 동물들에게 공헌하는

부분들인데, 이것들에 관련해서는 이전까지 전혀 규정되지

않았고, 운동을 일으키는 원인에 관련하여서는, 이것이

무엇인지 [규정되지 않았고 남은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원인에 관한 고찰은 각 동물의 생성에 관한 고찰과 모종의

방식에서 같은 일이다. 바로 이 점으로 인해, 한편으로는

부분들에 관련한 이러한 결론들을, 다른 한편으로는 

생성에 관련한 시작을 이것들에 이어서 배치함으로써, 

이 논의가 하나로 종합하는 것이다.

Τῶν δὴ ζῴων τὰ μὲν ἐκ συνδυασμοῦ γίνεται

θήλεος καὶ ἄρρενος, ἐν ὅσοις γένεσι τῶν ζῴων ἐστὶ

τὸ θῆλυ καὶ τὸ ἄρρεν· οὐ γὰρ ἐν πᾶσίν ἐστιν, ἀλλ᾿                         20

ἐν μὲν τοῖς ἐναίμοις ἔξω ὀλίγων ἅπασι τὸ μὲν

ἄρρεν τὸ δὲ θῆλυ τελειωθέν ἐστι, τῶν δ᾿ ἀναίμων

τὰ μὲν ἔχει τὸ θῆλυ καὶ τὸ ἄρρεν, ὥστε τὰ ὁμογενῆ

γεννᾶν, τὰ δὲ γεννᾷ μέν, οὐ μέντοι τά γε ὁμογενῆ·

τοιαῦτα δ᾿ ἐστὶν ὅσα γίνεται μὴ ἐκ ζῴων συνδυαζο-

μένων, ἀλλ᾿ ἐκ γῆς σηπομένης καὶ περιττωμάτων.                         25

그래서 동물들 중 일부는 암컷과 수컷의 짝짓기를 통해

생성되는데, 동물들의 그 만큼의 유들 안에 암과 수가 

있다. 즉 모든 동물들 안에 있는 것이 아니라, 소수의 

동물들을 제외한 유혈동물들 안에서 암이나 수로 

완결된 것이 있고, 무혈동물들 중 어떤 것들은 암과

수를 지니며, 그래서 동류인 것들을 낳고, 어떤 것들은 

낳긴 하지만, 그럼에도 동류인 것들을 낳지는 않는다.

그런데 이러한 것들은 짝짓기하는 동물들을 통해서가

아니라, 부패하는 대지로부터 그리고 부산물들로부터

(배설물들로부터) 생성되는 것들이다.

ὡς δὲ κατὰ παντὸς εἰπεῖν, ὅσα μὲν κατὰ τόπον

μεταβλητικὰ τῶν ζῴων ἐστὶ τὰ μὲν νευστικὰ τὰ

δὲ πτηνὰ τὰ δὲ πεζευτικὰ τοῖς σώμασιν, ἐν πᾶσι

τούτοις ἐστὶ τὸ θῆλυ καὶ τὸ ἄρρεν, οὐ μόνον

τοῖς ἐναίμοις, ἀλλὰ ἐνίοις καὶ ἀναίμοις· καὶ                                   30

τούτων τοῖς μὲν καθ᾿ ὅλον τὸ γένος, οἷον τοῖς                      715b

μαλακίοις καὶ τοῖς μαλακοστράκοις· ἐν δὲ τῷ τῶν

ἐντόμων γένει τὰ πλεῖστα. τούτων δ᾿ αὐτῶν ὅσα

μὲν ἐκ συνδυασμοῦ γίνεται τῶν συγγενῶν ζῴων,

καὶ αὐτὰ γεννᾲ κατὰ τὴν συγγένειαν· ὅσα δὲ μὴ

ἐκ ζῴων ἀλλ᾿ ἐκ σηπομένης τῆς ὕλης, ταῦτα δὲ                             5

γεννᾷ μὲν ἕτερον δὲ γένος, καὶ τὸ γιγνόμενον

οὔτε θῆλύ ἐστιν οὔτε ἄρρεν. τοιαῦτα δ᾿ ἐστὶν ἔνια

τῶν ἐντόμων. καὶ τοῦτο συμβέβηκεν εὐλόγως·

그런데 전반적으로 말하자면, 한편으로 동물들 중

장소에 따른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것들은 그 신체로

그 일부는 유영하는 것들이고 또 일부는 비행하는 

것들이며 일부는 보행하는 것들로, 이 모든 것들 안에

암과 수가 있으며, 유혈동물들에게만 아니라, 일부 

무혈동물들에게도 있다. 이것들 일부는 그 유 전체에

따라 암수가 있는데, 예를 들어 연체동물들과 갑각류가

그러하다. 절지동물 유에서는 대다수가 그러하다. 그런데

바로 이것들 중 동류의 동물들의 짝짓기를 통해 생성되는

것들, 이것들이 또한 동류에 따라 낳는다. 그런데

동물들로부터가 아니라 부패하는 질료로부터 생성되는

것들, 이것들은 다른 유를 낳고, 생성되는 것도

암컷이지도 수컷이지도 않다. 그런데 유혈동물들 중

일부가 이런 것들이다. 이 또한 합리적으로 귀결된 바이다.

εἰ γὰρ ὅσα μὴ γίγνεται ἐκ ζῴων, ἐκ τούτων

ἐγίνετο ζῷα συνδυαζομένων, εἰ μὲν ὁμοιογενῆ, καὶ

τὴν ἐξ ἀρχῆς τοιαύτην ἔδει τῶν τεκνωσάντων                              10

εἶναι γένεσιν (τοῦτο δ᾿ εὐλόγως ἀξιοῦμεν· φαίνεται

γὰρ συμβαῖνον οὕτως ἐπὶ τῶν ἄλλων ζῴων)· εἰ

δ᾿ ἀνόμοια μὲν δυνάμενα δὲ συνδυάζεσθαι, πάλιν

ἐκ τούτων ἑτέρα τις ἂν ἐγίνετο φύσις, καὶ πάλιν

ἄλλη τις ἐκ τούτων, καὶ τοῦτ᾿ ἐπορεύετ᾿ ἂν εἰς

ἄπειρον. ἡ δὲ φύσις φεύγει τὸ ἄπειρον· τὸ μὲν                              15

γὰρ ἄπειρον ἀτελές, ἡ δὲ φύσις ἀεὶ ζητεῖ τέλος.

왜냐하면 만일 동물들로부터 생성되지 않은 것들,

이것들이 짝짓기를 하여 이로부터 동물들이 생성되었더라면,

그런데 동류인 것들로 생성되었더라면, 기원이 되는 바로 

이러한 생성이 또한 [동물들을] 산출한 것들의 생성이어야

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점은 우리가 합리적으로 

추정한 것이다. 왜냐하면 여타 동물들에 대해서도

그런 식으로 귀결되는 것으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그런데 만일 유사하지는 않지만 짝짓기는 할 수 있는

것들이라면, 다시 이것들로부터 다른 어떤 자연본성이

생성되었을 것이고, 또 다시 이것들로부터 여타의

어떤 자연본성이 생성되었을 것이며, 그리고 이런 일이

무한히 진행되었을 것이다. 그런데 자연본성은 무한을

피한다. 왜냐하면 무한은 완결이 없는 것인데, 자연본성은

언제나 완결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 첫 귀결절은 비현실 가정의 이행되지 않은 "의무"를

표현하느라 ἂν이 생략, 두 번째 귀결절은 의무가 아닌

사항이라서 부활.

ὅσα δὲ μὴ πορευτικά, καθάπερ τὰ ὀστρακόδερμα

τῶν ζῴων καὶ τὰ ζῶντα τῷ προσπεφυκέναι, διὰ

τὸ παραπλησίαν αὐτῶν εἶναι τὴν οὐσίαν τοῖς

φυτοῖς, ὥσπερ οὐδ᾿ ἐν ἐκείνοις, οὐδ᾿ ἐν τούτοις

ἐστὶ τὸ θῆλυ καὶ τὸ ἄρρεν, ἀλλ᾿ ἤδη καθ᾿ ὁμοιό-                          20

τητα καὶ κατ᾿ ἀναλογίαν λέγεται· μικρὰν γάρ

τινα τοιαύτην ἔχει διαφοράν. καὶ γὰρ ἐν τοῖς

φυτοῖς ὑπάρχει τὰ μὲν καρποφόρα δένδρα τοῦ

αὐτοῦ γένους, τὰ δ᾿ αὐτὰ μὲν οὐ φέρει καρπόν,

συμβάλλεται δὲ τοῖς φέρουσι πρὸς τὸ πέττειν, οἷον

συμβαίνει περὶ τὴν συκῆν καὶ τὸν ἐρινεόν.                                  25

그런데, 마치 동물들 중 유각류와 기생하여 살아가는 

것들처럼, 이동하지 않는 것들은, 그것들의 본질이

식물들과 거의 유사하기 때문에, 저 식물들 안에

없듯이, 이런 것들 안에도 암과 수는 없으나, 

유사성과 유비에 따라 이미 말해지고 있다. 왜냐하면 

그것이 이러한 어떤 사소한 차이를 지니기 때문이다. 

즉 식물들 안에도 같은 유에서 한편으로 유실수인 

식물들이 있는가 하면, 어떤 것들은 동일한 식물들이지만 

열매를 맺지 않는데, 숙성을 향해 이행시키는 것들에게 

공헌하니, 예를 들어 무화과와 야생무화과에 관련하여 

그렇게 귀결된다는 말이다.

καθ᾿ ὁμοιότητα καὶ κατ᾿ ἀναλογίαν: 유사성이 유비적으로

이야기되는 경우와 단적인 유사성이 구분된다. 전자는

상사성, 후자는 상동성. 이 구분은 아리스토텔레스에게서,

특히 그가 동물 인지와 인간 인지를 구분하는 맥락에서 중요.

"동물에게는 숙고나 상기가 없다. 추론능력이 없으므로."

but "동물에게도 사유나 사려나 기술 따위가 있다." 후자는

상사성에 기반한 서술로 이해될 가능성이 있다.

- τὸ πέττειν: πέψις. 혈액에서 정자. 음식물의 소화. 열매의 완숙.

[Ἔστι δὲ καὶ ἐπὶ τῶν φυτῶν τὸν αὐτὸν τρόπον·

τὰ μὲν γὰρ ἐκ σπέρματος γίνεται, τὰ δ᾿ ὥσπερ

αὐτοματιζούσης τῆς φύσεως· γίνεται γὰρ ἢ τῆς

γῆς σηπομένης ἢ μορίων τινῶν ἐν τοῖς φυτοῖς·

ἔνια γὰρ αὐτὰ μὲν οὐ συνίσταται καθ᾿ αὑτὰ χωρίς,

ἐν ἑτέροις δ᾿ ἐγγίνεται δένδρεσιν, οἷον ὁ ἰξός.]                             30

그런데 식물들에 관련하여서도 같은 방식이 성립한다.

왜냐하면 일부는 종자로부터 생성되는 반면, 일부는

마치 자연본성이 자발적으로 산출해내서 생성되는

것처럼 생성되기때문이다. 즉 흙이 부패해서나 혹은 

식물들 내에서의 어떤 부분들이 [부패해서] 생성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일부는 그 자체 독립적으로 구성되지 

않지만, 다른 나무들 내에 생성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참나무-겨우살이가 그렇다.

Περὶ μὲν οὖν φυτῶν, αὐτὰ καθ᾿ αὑτὰ χωρὶς                          716a

ἐπισκεπτέον.

그리하여 식물들에 관하여서는, 그것들 자체가

독립적으로 고찰되어야만 한다.

Περὶ δὲ τῶν ἄλλων ζῴων τῆς γενέσεως λεκτέον                                   

κατὰ τὸν ἐπιβάλλοντα λόγον καθ᾿ ἕκαστον αὐτῶν,

ἀπὸ τῶν εἰρημένων συνείροντας. καθάπερ γὰρ

εἴπομεν, τῆς γενέσεως ἀρχὰς ἄν τις οὐχ ἥκιστα                             5

θείη τὸ θῆλυ καὶ τὸ ἄρρεν, τὸ μὲν ἄρρεν ὡς τῆς

κινήσεως καὶ τῆς γενέσεως ἔχον τὴν ἀρχήν, τὸ δὲ

θῆλυ ὡς ὕλης. 

그런데 여타 동물들에 관련하여서는 그 생성에 대해

그 동물들 각각에 따라 적용되는 논리에 따라 논해져야만

한다, 이야기된 바들로부터 이어 논함으로써.

왜냐하면 우리가 이야기하였던 것처럼, 누군가는 생성의

기원들로 암과 수를 놓을 것이고, 수는 운동과 생성의

기원을 지니는 것으로서, 암은 질료로서 놓을 것이기

때문이다. 

                   τοῦτο δὲ μάλιστ᾿ ἄν τις πιστεύσειε

θεωρῶν πῶς γίενται τὸ σπέρμα, καὶ πόθεν· ἐκ

τούτου μὲν γὰρ τὰ φύσει γινόμενα συνίσταται, τοῦτο

δὲ πῶς ἀπὸ τοῦ θήλεος καὶ τοῦ ἄρρενος συμβαίνει                        10

γίγνεσθαι, δεῖ μὴ λανθάνειν· τῷ γὰρ ἀποκρίνεσθαι

τὸ τοιοῦτον μόριον ἀπὸ τοῦ θήλεος καὶ τοῦ ἄρρενος,

καὶ ἐν τούτοις τὴν ἀπόκρισιν εἶναι καὶ ἐκ τούτων,

διὰ τοῦτο τὸ θῆλυ καὶ τὸ ἄρρεν ἀρχαὶ τῆς γενέσεώς

εἰσιν. 

그런데 누군가는 종자가 어떻게 생성되었는지,

그리고 어디로부터 생성되었는지 관찰함으로써 이 점을

특히 신뢰할 것이다. 왜냐하면 이 종자라는 것으로부터는 

자연본성상 생성되는 것들이 합성되는 반면, 이 종자라는 

것은 어떻게 암컷과 수컷으로부터 산출(분리?)되는 일이 

귀결되는지, 모르는 채로 넘어가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암과 수로부터 이러한 부분이 분리된다는 

점에 의해, 그리고 이러한 것들 내에서 또 이것들로부터 

그 산출이 있다는 점에 의해, 이러한 점으로 인해 암과 수가 

생성의 기원들이기 때문이다.

        ἄρρεν μὲν γὰρ λέγομεν ζῷον τὸ εἰς ἄλλο

γεννῶν, θῆλυ δὲ τὸ εἰς αὑτό· διὸ καὶ ἐν τῷ ὅλῳ τὴν                        15

τῆς γῆς φύσιν ὡς θῆλυ καὶ μητέρα ὀνομάζουσιν,

οὐρανὸν δὲ καὶ ἥλιον ἢ τι τῶν ἄλλων τῶν τοιούτων

ὡς γεννῶντας καὶ πατέρας προσαγορεύουσιν.

                                 우리는 여타의 것에게 낳아

넣는 것을 수컷 동물이라고, 반면 자신에게 낳아 넣는

것을 암컷이라고 말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사람들은 

전체(전 우주?) 내에서도 대지의 자연본성을 암으로 

그리고 어머니로 명명하고, 하늘과 태양 또는 이런 

여타의 것들 중 무언가는 낳는 것이자 아버지라고 

부른다.


Τὸ δ᾿ ἄρρεν καὶ τὸ θῆλυ διαφέρει κατὰ μὲν τὸν

λόγον τῷ δύνασθαι ἕτερον ἑκάτεορν, κατὰ δὲ τὴν

αἴσθησιν μορίοις τισίν, κατὰ μὲν τὸν λόγον τῲ                             20

ἄρρεν μὲν εἶναι τὸ δυνάμενον γεννᾶν εἰς ἕτερον,

καθάπερ ἐλέχθη πρότερον, τὸ δὲ θῆλυ τὸ εἰς αὑτό,

καὶ ἐξ οὗ γίνεται ἐνυπάρχον ἐν τῷ γεννῶντι τὸ

γεννώμενον.

그런데 수와 암은 정의에 따라서는(이론적으로는) 

각각이 다른 능력을 지닌다는 점에서 차이가 나지만, 

지각에 따라서는 특정 부분들에서 차이가 나며, 정의에 

따라서는 수가, 앞서 논해졌던 것처럼, 다른 것에게 

낳아 넣을 수 있는 것인 반면, 암은 자신에게 낳아 넣을 

수 있는 것이고, 그 암으로부터 낳는 것 내에서 낳아지는 것이 

내재하여 생성된다.

- logos와 aisthesis가 충돌할 경우 후자를 따라야, 또

aisthesis나 phainomenon이 혼용되기도. 

- 능력이 logos의 내용. 그렇다면 logos는 반드시

실현이나 현실태를 포함할 필요는 없는가?

                 ἐπεὶ δὲ δυνάμει διώρισται καὶ ἔργῳ

τινί, δεῖται δὲ πρὸς πᾶσαν ἐργασίαν ὀργάνων,

ὄργανα δὲ ταῖς δυνάμεσι τὰ μέρη τοῦ σώματος,                            25

ἀναγκαῖον εἶναι καὶ πρὸς τὴν τέκνωσιν καὶ τὸν

συνδυασμον μόρια, καὶ ταῦτα διαφέροντ᾿ ἀλλήλων,

καθὸ τὸ ἄρρεν διοίσει τοῦ θήλεος. εἰ γὰρ καὶ καθ᾿

ὅλου λέγεται τοῦ ζῴου τοῦ μὲν τὸ θῆλυ τοῦ δὲ τὸ

ἄρρεν, ἀλλ᾿ οὐ κατὰ πᾶν γε [τὸ] αὐτὸ θῆλυ καὶ

ἄρρεν ἐστίν, ἀλλὰ κατὰ τινα δύναμιν καὶ κατά τι                           30

μόριον, ὥσπερ καὶ ὁρατικὸν καὶ πορευτικόν, ὅπερ

καὶ φαίνεται κατὰ τὴν αἴσθησιν. 

                 그런데 [암과 수가] 능력으로도 모종의 

기능(작용 or 현실태?)로도 규정되기에, 그런데 모든 기능을 

위해서는 수단들이 필요하며, 신체의 부분들이 능력들에 

수단들이기에, 출산과 짝짓기를 위해서도 부분이 있음이 

필연적이며, 이것들이 서로 차이가 남으로써, 이에 따라서 

수가 암과 차이가 날 것이다. 왜냐하면 전체로서의 동물에 

대해서까지 그것의 암과 그것의 수가 서술된다면, 그래도 

여전히 전체에 따라 그 자체가 암이자 수이지는 않고, 

특정 능력에 따라 그리고 특정 부분에 따라 말해질 것이기 

때문이다, 마치 시각능력을 가진 것도 이동할 수 있는 것도 

말해지듯 말이다. 지각에 따라서 바로 그것인 바의 것이 

드러나기도 한다.


- dunamis와 ergon 관계는? 전자가 더욱 포괄적. e.g. 장소는

무언가를 받아들이는 dunamis를 가지지만 이것이 장소의

ergon이라고 이야기되진 않는다. 능력과 그 실현된 작용의

대비가 있을 수는 있다. 

- 혹은, 신체의 부분들이 능력들에 의해 수단들로 규정되기에

- 특정 능력이나 특정 기관으로 동물이 규정되는 것처럼,

  암컷과 수컷이란 규정도 특정 능력이나 기관으로.


                                           τοιαῦτα δὲ τυγ-

χάνει μόρια ὄντα τοῦ μὲν θήλεος αἱ καλούμεναι

ὑστέραι, τοῦ δ᾿ ἄρρενος τὰ περὶ τοὺς ὄρχεις καὶ τοὺς

περινέους ἐν πᾶσι τοῖς ἐναίμοις· τὰ μὲν γὰρ ὄρχεις

ἔχει αὐτῶν, τὰ δὲ τοὺς τοιούτους πόρους. εἰσὶ δὲ                           35

διαφοραὶ τοῦ θήλεος καὶ ἄρρενος καὶ ἐν τοῖς ἀναί-                 716b

μοις, ὅσα αὐτῶν ἔχει ταύτην τὴν ἐναντίωσιν. 

                                            그런데 마침 이러한

부분들이 암의 경우에는 자궁이라 불리는 것이고, 

수의 경우에는 [이러한 부분들이] 모든 유혈동물에서 

고환과 전립선에 관련된 부분들이다. 그것들 중 일부는 

고환들을 지니는가 하면, 일부는 이와 같은 관들을 

지니기 때문이다. 그런데 무혈동물들에서도 암과 수의

차이들이 있으니, 그것들 중 이와 같은 반대를 지니는 

것들에 한해서 그러하다.

- Smyth. 2542. 주절의 선행사에 대한 수식적 gen.이 

관계절 안으로 들어오는 경우가 있다.

                                                           δια-

φέρει δ᾿ ἐν τοῖς ἐναίμοις τὰ μέρη τὰ πρὸς τὴν μίξιν

τοῖς σχήμασιν. δεῖ δὲ νοεῖν ὅτι μικρᾶς ἀρχῆς μετα-

κινουμένης πολλὰ συμμεταβάλλειν εἴωθε τῶν μετὰ

τὴν ἀρχήν. δῆλον δὲ τοῦτο ἐπὶ τῶν ἐκτεμνομένων·                        5

τοῦ γεννητικοῦ γὰρ μορίου διαφθειρομένου μόνον

ὅλη σχεδὸν ἡ μορφὴ συμμεταβάλλει τοσοῦτον ὥστε

ἢ θῆλυ δοκεῖν εἶναι ἢ μικρὸν ἀπολείπειν, ὡς οὐ

κατὰ τὸ τυχὸν μόριον οὐδὲ κατὰ τὴν τυχοῦσαν

δύναμιν θῆλυ ὂν καὶ ἄρρεν τὸ ζῷον. φανερὸν οὖν                         10

ὅτι ἀρχή τις οὖσα φαίνεται τὸ θῆλυ καὶ τὸ ἄρρεν·

πολλὰ γοῦν συμμεταβάλλει μεταβαλλόντων ᾗ θῆλυ

καὶ ἄρρεν, ὡς ἀρχῆς μεταπιπτούσης.

그런데 유혈동물들 내에서 형태들의 혼합에 대한

부분들이 차이가 난다. 그런데 사소한 기원이 변화하면

그 기원 이후에 오는 것들 중 많은 것들이 동반변화하는 

것이 일반적이라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그런데 이 점은

거세된 것들의 경우에 분명하다. 왜냐하면 낳을 수 있는

부분이 소멸되는 것만으로 거의 모든 형태가 암컷이라고

여겨질 그 만큼 혹은 약간만 [수컷 형태가] 남아있다고

여겨질 만큼 동반변화하기 때문이다, 임의의 부분에 따라서도

또 임의의 능력에 따라서도 해당 동물이 암이거나 수이지

않는 식으로 말이다. 그러므로 암과 수가 모종의 기원인 것으로

드러난다는 점은 분명하다. 그러므로, 기원이 변화되는 것처럼,

암과 수가 성립하는 그 측면에서 부분들이 변화할 때 많은

것들이 동반변화한다.


- 시작에서의 작은 차이가 이후 큰 변화를 초래한다.


-蟲-

ΞΕ. Μὴ τοίνυν μηδ᾿ εἰς τὰ λοιπὰ ἀθυμῶμεν. ἐπειδὴ γὰρ

πέφανται ταῦτα, τῶν ἔμπροσθεν ἀναμνησθῶμεν κατ᾿ εἴδη              c

διαιρέσεων.

그러니 남은 일들을 향해서도 전혀 낙심하지 마세나.

이러한 것들이 드러났으니, 앞서 형상들에 따른 분할들을 

상기해 보자는 말이지.

ΘΕΑΙ. Ποίων δή;

어떤 분할들 말씀이시죠?

ΞΕ. Διειλόμεθα τῆς εἰδωλοποιικῆς εἴδη δύο, τὴν μὲν

εἰκαστικήν, τὴν δὲ φανταστικήν.                                                  5

우리는 상제작술의 형상을 둘로 분할하였다네, 한편은

모상제작술로, 다른 한편은 가상제작술로 말일세.

ΘΕΑΙ. Ναί.

네.

ΞΕ. Καὶ τὸν σοφιστὴν εἴπομεν ὡς ἀποροῖμεν εἰς

ὁποτέραν θήσομεν.

그리고 소피스트를 그 둘 중 어느 쪽에 세울지

길을 잃었다고 이야기했지.

ΘΕΑΙ. Ἦν ταῦτα.

그런 일들이 있었지요.

ΞΕ. Καὶ τοῦθ᾿ ἡμῶν ἀπορουμένων ἔτι μείζων κατεχύθη                    10

σκοτοδινία, φανέντος τοῦ λόγου τοῦ πᾶσιν ἀμφισβητοῦν-

τος ὡς οὔτε εἰκὼν οὔτε εἴδωλον οὔτε φάντασμ᾿ εἴη τὸ

παράπαν οὐδὲν διὰ τὸ μηδαμῶς μηδέποτε μηδαμοῦ                      d

ψεῦδος εἶναι.

그리고 이 일로 우리가 길을 잃고 헤매고 있는 와중에 훨씬

더 큰 현기증이 덮쳐왔다네, 도대체 그 무엇도 어떤 식으로도 

단 한 번도 그 어디에도 거짓이 있지 않음으로 인해 모상도 

상도 가상도 있지 않을 것이라고 모두와 논쟁을 벌이는 

그 말이 나타났을 때 말이지.

ΞΕ. Λέγεις ἀληθῆ.

참된 말씀이십니다.

ΞΕ. Νῦν δέ γ᾿ ἐπειδὴ πέφανται μὲν λόγος, πέφανται δ᾿

οὖσα δόξα ψευδής, ἐγχωρεῖ δὴ μιμήματα τῶν ὄντων εἶναι                5

καὶ τέχνην ἐκ ταύτης γίγνεσθαι τῆς διαθέσεως ἀπατη-

τικήν.

그런데 적어도 지금은 한편으로는 말이, 다른 한편으로는

믿음이 거짓으로 있었다고 드러났기에, 그래서 있는 것들의

모방물들이 있을 여지와 이러한 조건에서 기만하는 기술이

생길 여지가 마련된다네.

ΘΕΑΙ. Ἐγχωρεῖ.

그럴 여지가 있지요.

ΞΕ. Καὶ μὴν ὅτι γ᾿ ἦν ὁ σοφιστὴς τούτων πότερον,

διωμολογημένον ἡμῖν ἐν τοῖς πρόσθεν ἦν.                                     10

그런가 하면 소피스트가 그러한 것들의 둘 중 어느 

쪽이었는지, 이는 우리가 앞서 동의한 바 있지.

ΘΕΑΙ. Ναί.

네.

ΞΕ. Πάλιν τοίνυν ἐπιχειρῶμεν, σχίζοντες διχῇ τὸ

προτεθὲν γένος, πορεύεσθαι κατὰ τοὐπὶ δεξιὰ ἀεὶ μέρος                 e

τοῦ τμηθέντος, ἐχόμενοι τῆς τοῦ σοφιστοῦ κοινωνίας, ἕως

ἂν αὐτοῦ τὰ κοινὰ πάντα περιελόντες, τὴν οἰκείαν λιπόντες

φύσιν ἐπιδείξωμεν μάλιστα μὲν ἡμῖν αὐτοῖς, ἔπειτα καὶ              265a

τοῖς ἐγγυτάτω γένει τῆς τοιαύτης μεθόδου πεφυκόσιν.

그러니 다시금 손을 대 보세, 앞서의 유를 두 가지로 자르면서, 

그 잘려나온 것에서 매번 오른쪽 부분을 따라 가는 일을,

소피스트의 공통점을 가지고서, 그의 공통된 모든 것들을

벗겨내면서, 그 고유한 본성을 남겨 특히 우리 자신에게, 

그리고 나서 이러한 방식에 본래부터 유적으로 가장 

가까운 자들에게도 증명해 보일 때까지 말일세.

- 『테아이테토스』 208? 말의 세 가지 정의 중 마지막. 

  자신들에게 스스로 보인 다음, 이 방법에 가까운 자들에게 보여주는 이유는?

  "이 방법"은 일단 분할. 그래서 앞의 D5, 정화기술을 연상시킨다.

   다른 한편 이것이 결합과 분리의 원리를 아는 것이란 의미에서 변증술과 

   관련되어 보이기도 한다.

ΘΕΑΙ. Ὀρθῶς.

옳게 말이지요.

ΞΕ. Οὐκοῦν τότε μὲν ἠρχόμεθα ποιητικὴν καὶ κτητικὴν

τέχνην διαιρούμενοι;                                                                5

그럼 우리가 그 때 제작하는 기술과 획득하는 기술을

분할하며 시작했지?

ΘΕΑΙ. Ναί.

네.

ΞΕ. Καὶ τῆς κτητικῆς ἐν θηρευτικῇ καὶ ἀγωνίᾳ καὶ

ἐμπορικῇ καί τισιν ἐν τοιούτοις εἴδεσιν ἐφαντάζεθ᾿ ἡμῖν;

그리고 획득술의 사냥과 경쟁과 무역 그리고 이런 어떤

형상들에서 우리에게 나타났었지?

ΘΕΑΙ. Πάνυ μὲν οὖν.

물론이지요.

ΞΕ. Νῦν δέ γ᾿ ἐπειδὴ μιμητικὴ περιείληφεν αὐτὸν                            10

τέχνη, δῆλον ὡς αὐτὴν τὴν ποιητικὴν δίχα διαιρετέον

πρώτην. ἡ γάρ που μίμησις ποίησίς τίς ἐστιν, εἰδώλων                   b

μέντοι, φαμέν, ἀλλ᾿ οὐκ αὐτῶν ἑκάστων· ἦ γάρ;

그런데 적어도 이제는 모방하는 기술이 그를 포위하였기에,

제작술 자체가 우선 두 가지로 분할되어야만 한다는 게

분명하군. 왜냐하면 아마 모방이란 어떤 제작으로서 있기는

한데, 형상들의 제작이지, 각각의 것들 그 자체의 제작이

아니라고 우리가 주장하니까. 그렇지 않나?

ΘΕΑΙ. Παντάπασι μὲν οὖν.

전적으로 그렇습니다.

ΞΕ. Ποιητικῆς δὴ πρῶτον δύ᾿ ἔστω μέρη.

그래서 제작술에 우선 두 부분이 있다네.

ΘΕΑΙ. Ποίω;                                                                            5

어떤 부분들인지요?

ΞΕ. Τὸ μὲν θεῖον, τὸ δ᾿ ἀνθρώπινον.

한편은 신적인 것이고, 다른 쪽은 인간적인 것이지.

ΘΕΑΙ. Οὔπω μεμάθηκα.

아직 알아듣지를 못하였습니다.

ΞΕ. Ποιητικήν, εἴπερ μεμνήμεθα τὰ κατ᾿ ἀρχὰς

λεχθέντα, πᾶσαν ἔφαμεν εἶναι δύναμιν ἥτις ἂν αἰτία γίγνη-

ται τοῖς μὴ πρότερον οὖσαν ὕστερον γίγνεσθαι.                             10

제작술은, 만일 정말로 우리가 처음에 말해진 것들을

기억하고 있다면, 그 전부가 능력으로서 있되 그 능력은

좌우지간 이전에 있지 않았던 것이 이후에 생성되도록 하는

원인이 되는 것이라고 우리는 주장하고 있었지.

ΘΕΑΙ. Μεμνήμεθα.

우리가 기억하고 있고요.

ΞΕ. Ζῷα δὴ πάντα θνητά, καὶ δὴ καὶ φυτὰ ὅσα τ᾿ ἐπὶ                     c

γῆς ἐκ σπερμάτων καὶ ῥιζῶν φύεται, καὶ ὅσα ἄψυχα ἐν γῇ

συνίσταται σώματα τηκτὰ καὶ ἄτηκτα, μῶν ἄλλου τινὸς ἢ

θεοῦ δημιουργοῦντος φήσομεν ὕστερον γίγνεσθαι

πρότερον οὐκ ὄντα; ἢ τῷ τῶν πολλῶν δόγματι καὶ ῥήματι                 5

χρώμενοι―

그럼 모든 필멸하는 생명들, 더 나아가 땅 위의 씨앗과 뿌리로부터 

자라나는 식물들도, 그리고 땅 속에서 용해되거나 용해되지 않는 

영혼 없는 물체들이 짜맞추어진 것들도, 물론 다른 누구도 아닌 

신께서 장인노릇을 하실 때 우리가 이전에 있지 않은 것들로서 

이후에 생긴다고 주장할 게 아닌가? 또는 다중의 견해와 표현을 

사용해서―

ΘΕΑΙ. Ποίῳ τῳ;

어떤 견해를 사용해서요?                                                                 //200708

ΞΕ. Τὴν φύσιν αὐτὰ γεννᾶν ἀπό τινος αἰτίας αὐτο-

μάτης καὶ ἄνευ διανοίας φυούσης; ἢ μετὰ λόγου τε καὶ

ἐπιστήμης θείας ἀπὸ θεοῦ γιγνομένης;                                           10

본성(자연)이 그것들을 저절로 생각 없이 자라나는 

어떤 원인으로부터 낳는가? 아니면 신으로부터 생겨나는

신적인 말과 앎으로부터 그리하는가?

ΘΕΑΙ. Ἐγὼ μὲν ἴσως διὰ τὴν ἡλικίαν πολλάκις                              d

ἀμφότερα μεταδοξάζω· νῦν μὴν βλέπων εἰς σὲ καὶ ὑπο-

λαμβάνων οἴεσθαί σε κατά γε θεὸν αὐτὰ γίγνεσθαι, ταύτῃ

καὶ αὐτὸς νενόμικα.

저로서는 제 나이로 인해 자주 그 양편으로 생각을 달리하는

것 같습니다. 물론 지금은 당신을 바라보며 당신께서 그것들이

어쨌든 신에 따라 생겨난다고 생각하신다고 간주하면서, 저 

자신도 이런 식으로 생각하였습니다.

ΞΕ. Καλῶς γε, ὦ Θεαίτητε. καὶ εἰ μέν γέ σε ἡγούμεθα                       5

τῶν εἰς τὸν ἔπειτ᾿ <ἂν> χρόνον ἄλλως πως δοξαζόντων

εἶναι, νῦν ἂν τῷ λόγῳ μετὰ πειθοῦς ἀναγκαίας ἐπε-

χειροῦμεν ποιεῖν ὁμολογεῖν· ἐπειδὴ δέ σου καταμανθάνω

τὴν φύσιν, ὅτι καὶ ἄνευ τῶν παρ᾿ ἡμῶν λόγων αὐτὴ πρόσει-           e

σιν ἐφ᾿ ἅπερ νῦν ἕλκεσθαι φῄς, ἐάσω· χρόνος γὰρ ἐκ περιτ-

τοῦ γίγνοιτ᾿ ἄν. ἀλλὰ θήσω τὰ μὲν φύσει λεγόμενα

ποιεῖσθαι θείᾳ τέχνῃ, τὰ δ᾿ ἐκ τούτων ὑπ᾿ ἀνθρώπων συνι-

στάμενα ἀνθρωπίνῃ, καὶ κατὰ τοῦτον δὴ τὸν λόγον δύο                  5

ποιητικῆς γένη, τὸ μὲν ἀνθρώπινον εἶναι, τὸ δὲ θεῖον.

어쨌든 훌륭하게 말이지, 테아이테토스. 또 한편 만일 우리가

자네를 나중 가서는 다른 어떤 식으로 믿을 자들에 속해

있다고 생각했더라면, 지금 필연적인 설득력을 갖춘 말로써

동의하게 만들고자 시도했겠지. 그런데 자네의 본성을 내

잘 알고 있기에, 우리쪽의 말들 없이도 그 본성이 지금 자네가

이끌렸다 주장하는 바로 그쪽으로 나아가는 것을 알기에, 나는 

자네의 본성을 놓아둘 걸세. 시간이 과하게 걸릴 테니까. 그러나 

나는 한편으로 자연에서 말해지는 것들은 신적인 기술에 의해 

제작된다고, 다른 한편 이것들을 재료로 하여 인간에 의해 

짜맞추어지는 것들은 인간적인 기술에 의해 그렇다고, 더 나아가 

이런 논리에 따라 제작 기술의 유들이 둘이라고, 한편은 인간적인 

유로서 있고, 다른 쪽은 신적인 유로서 있다고 정할 걸세.

ΘΕΑΙ. Ὀρθῶς.

옳게 말이죠.

ΞΕ. Τέμνε δὴ δυοῖν οὔσαιν δίχα ἑκατέραν αὖθις.

그럼 둘로 있는 그것들의 그 둘 각각을 곧장 두 가지로

잘라 보게.

ΘΕΑΙ. Πῶς;

어떻게요?

ΞΕ. Οἷον τότε μὲν κατὰ πλάτος τέμνων τὴν ποιητικὴν              266a

πᾶσαν, νῦν δὲ αὖ κατὰ μῆκος.

이를 테면 아까는 제작술 전부를 횡으로 자르면서 했는데,

지금 이번엔 종으로 함으로써 그리하는 것이지.

ΘΕΑΙ. Τετμήσθω.

그리 잘렸다고 하죠.

ΞΕ. Τέτταρα μὴν αὐτῆς οὕτω τὰ πάντα μέρη γίγνεται,

δύο μὲν τὰ πρὸς ἡμῶν, ἀνθρώπεια, δύο δ᾿ αὖ τὰ πρὸς θεῶν,              5

θεῖα.

물론 그 기술에 대해 그런 식으로 그 모든 부분들은 넷이

되고, 둘은 우리에 대한 것들로서, 인간적인 부분들인 반면,

다른 둘은 이번엔 신들에 대한 것들로, 신적인 부분들이지.

ΘΕΑΙ. Ναί.

네.

ΞΕ. Τὰ δέ γ᾿ ὡς ἑτέρως αὖ διῃρημένα, μέρος μὲν ἓν ἀφ᾿

ἑκατέρας τῆς μερίδος αὐτοποιητικόν, τὼ δ᾿ ὑπολοίπω

σχεδὸν μάλιστ᾿ ἂν λεγοίσθην εἰδωλοποιικώ· καὶ κατὰ                      10

ταῦτα δὴ πάλιν ἡ ποιητικὴ διχῇ διαιρεῖται.

그런가 하면 그것들이 이번엔 다른 식으로 분할되면서,

그 양쪽 각 부분에서 자체적인 것을 제작하는 한 부분이

나오고, 남은 두 부분이 상제작적인 부분이라고 이야기되는

것이 거의 최선이라네. 그래서 이런 방식으로도 다시금 

제작술이 두 가지로 분할되는 걸세.

ΘΕΑΙ. Λέγε ὅπῃ ἑκατέρα αὖθις.                                                 b

그 양쪽 부분들 각각이 대체 어떤 식으로 [분할]되는지

다시 말해주세요.

ΞΕ. Ἡμεῖς μέν που καὶ τἆλλα ζῷα καὶ ἐξ ὧν τὰ

πεφυκότ᾿ ἐστίν, πῦρ καὶ ὕδωρ καὶ τὰ τούτων ἀδελφά, θεοῦ

γεννήματα πάντα ἴσμεν αὐτὰ ἀπειργασμένα ἕκαστα· ἢ

πῶς;                                                                                     5

아마 우리나 여타 동물들 그리고 자라나온 것들이 그것들로

이루어져 나온 바의 것들인 바, 불과 물 그리고 이런 것들의 

형제격인 것들은, 그 자체 각각의 것들로 만들어져 나온 모든 

것이 신의 산출물임을 우리는 안다네. 아니면 어떤 식으로

말할까? 

ΘΕΑΙ. Οὕτως.

그리 말씀해 주세요.

ΞΕ. Τούτων δέ γε ἑκάστων εἴδωλα ἀλλ᾿ οὐκ αὐτὰ

παρέπεται, δαιμονίᾳ καὶ ταῦτα μηχανῇ γεγονότα.

그런가 하면 그것들 각각 원물들이 아니라 그 각각의

모상이 따라오고, 이러한 것들도 신령한 재주로 

생겨난 것들이라네.

ΘΕΑΙ. Ποῖα;

어떤 것들인가요?

ΞΕ. Τά τε ἐν τοῖς ὕπνοις καὶ ὅσα μεθ᾿ ἡμέραν                                10

φαντάσματα αὐτοφυῆ λέγεται, σκιὰ μὲν ὅταν ἐν τῷ πυρὶ

σκότος ἐγγίγνηται, διπλοῦν δὲ ἡνίκ᾿ ἂν φῶς οἰκεῖόν τε καὶ             c

ἀλλότριον περὶ τὰ λαμπρὰ καὶ λεῖα εἰς ἓν συνελθὸν τῆς

ἔμπροσθεν εἰωθυίας ὄψεως ἐναντίαν αἴσθησιν παρέχον

εἶδος ἀπεργάζηται.

잠 속에서의 그리고 낮 동안의 가상들도 저절로 자라나온

것들로 말해지는데, 한편으로는 그림자가 그렇게 말해지니,

불빛 속에 어둠이 생겨날 때 그러하고, 반면 중복되어 나온 것이 

그렇게 말해지기도 하는데, 고유한 빛과 이질적인 빛이 

반짝이고 매끄러운 것들 주변에서 하나로 모여서 눈에 익숙한 

앞서의 지각과 반대되는 지각을 내놓음으로써 형상을 만들어내는 

경우에 그렇다네.

- 여기에서 phantasma가 앞서 모상과 대비된 가상이라는 협소한

의미로 일관되게 사용되는지, 아니면 넓은 의미에서 상과 유사한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는가?


ΘΕΑΙ. Δύο γὰρ οὖν ἐστι ταῦτα θείας ἔργα ποιήσεως,                       5

αὐτό τε καὶ τὸ παρακολουθοῦν εἴδωλον ἑκάστῳ.

그야 신적인 제작의 작품들이 이러한 두 가지 것들로

있으니까요, 그 자체인 것과 각각의 것에 수반하는 상으로

말입니다.

ΞΕ. Τί δὲ τὴν ἡμετέραν τέχνην; ἆρ᾿ οὐκ αὐτὴν μὲν

οἰκίαν οἰκοδομικῇ φήσομεν ποιεῖν, γραφικῇ δέ τιν᾿ ἑτέραν,

οἷον ὄναρ ἀνθρώπινον ἐγρηγορόσιν ἀπειργασμενην;

그런데 우리쪽 기술의 경우에는 어떠한가? 혹시 건축물

자체는 건출술로써 제작하지만, 회화술로는 다른 무언가를,

이를 테면 깨어 있는 자들에게 인간적인 꿈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제작한다고 우리가 주장하지 않겠나?

ΘΕΑΙ. Πάνυ μὲν οὖν.                                                             d

물론입니다.

ΞΕ. Οὐκοῦν καὶ τἆλλα οὕτω κατὰ δύο διττὰ ἔργα τῆς

ἡμετέρας αὖ ποιητικῆς πράξεως, τὸ μὲν αὐτό, φαμέν,

αὐτουργικῆς, τὸ δὲ εἴδωλον εἰδωλοποιικῆς.

그렇다면 여타의 것들도 그렇게 두 개씩 두 가지 결과물들이

이번엔 우리의 제작하는 행위에 속하는데, 한편은 그 자체로서의 

작품으로, 자체적인 것을 제작하는 행위에 속하고, 다른 한편 

상은 상제작 행위에 속한다고 주장하고 있지 않나 하네.

ΘΕΑΙ. Νῦν μᾶλλον ἔμαθον, καὶ τίθημι δύο διχῇ                             5

ποιητικῆς εἴδει· θείαν μὲν καὶ ἀνθρωπίνην κατὰ θάτερον

τμῆμα, κατὰ δὲ θάτερον τὸ μὲν αὐτῶν ὄν, τὸ δὲ ὁμοιω-

μάτων τινῶν γέννημα.

이제 훨씬 더 잘 알아들었고, 제작의 두 형상을 두 가지로 

놓습니다. 신적인 형상과 인간적인 형상을 잘려진 한쪽에 

따라서 놓고, 다른 한쪽에 따라서는 한편으로는 자체적인

것들에 대한 형상을, 다른 한편으로는 어떤 것들의 유사물들을

낳는 형상을 놓습니다.

ΞΕ. Τῆς τοίνυν εἰδωλουργικῆς ἀναμνησθώμεν ὅτι τὸ

μὲν εἰκαστικόν, τὸ δὲ φανταστικὸν ἔμελλεν εἶναι γένος, εἰ              10

τὸ ψεῦδος ὄντως ὂν ψεῦδος καὶ τῶν ὄντων ἕν τι φανείη             e

πεφυκός.

그러면 상을 만들어내는 기술에 대해 그 한쪽은 모상적인 유,

다른 한편은 가상적인 유로 있을 것이었다는 점을, 만일 거짓이 

있는 그대로 거짓으로 있고 또 본디 있는 것들 중 어떤 하나로 

있게 마련이라 드러난다면 그러했다는 점을 상기하도록 하세.

ΘΕΑΙ. Ἦν γὰρ οὖν.

그야 그랬죠.

ΞΕ. Οὐκοῦν ἐφάνη τε καὶ διὰ ταῦτα δὴ καταριθμή-

σομεν αὐτὼ νῦν ἀναμφισβητήτως εἴδη δύο;                                5

그렇다면 그리 드러났기도 했고 게다가 이런 이유들로

인해 우리는 지금 논란의 여지 없이 그 형상들을 둘로

셈하지 않겠나?

ΘΕΑΙ. Ναί.

네.

ΞΕ. Τὸ τοίνυν φανταστικὸν αὖθις διορίζωμεν δίχα.                267a

그러면 가상적인 유를 다시 두 가지로 분할하도록 하세.

ΘΕΑΙ. Πῇ;

어떤 식으로요?

ΞΕ. Τὸ μὲν δι᾿ ὀργάνων γιγνόμενον, τὸ δὲ αὐτοῦ

παρέχοντος ἑαυτὸν ὄργανον τοῦ ποιοῦντος τὸ φάντασμα.

한쪽은 수단을 통해 생겨나는 유이고, 다른 쪽은

스스로 자기 자신을 수단으로 내놓아 가상을 제작하는 자에

속하는 유라네.

ΘΕΙΑ. Πῶς φῄς;                                                                      5

어찌 하시는 말씀이신지요?

ΞΕ. Ὅταν οἶμαι τὸ σὸν σχῆμά τις τῷ ἑαυτοῦ χρώμενος

σώματι προσόμοιον ἢ φωνὴν φωνῇ φαίνεσθαι ποιῇ,

μίμησις τοῦτο τῆς φανταστικῆς μάλιστα κέκληταί που.

내 생각에 자네의 모습을 누군가가 제 자신의 신체를

사용해서 또는 자네의 목소리를 자신의 목소리로 유사해

보이도록 만들 때, 가상적인 기술의 특히나 이런 부분이

아마 모방이라고 불렸지 싶네.                                                   //200721

ΘΕΑΙ. Ναί.

네.

ΞΕ. Μιμητικὸν δὴ τοῦτο αὐτῆς προσειπόντες ἀπο-                         10

νειμώμεθα· τὸ δ᾿ ἄλλο πᾶν ἀφῶμεν μαλακισθέντες καὶ

παρέντες ἑτέρῳ συναγαγεῖν τε εἰς ἓν καὶ πρέπουσαν                   b

ἐπωνυμίαν ἀποδοῦναί τιν᾿ αὐτῷ.

그럼 그 기술의 이러한 부분을 모방적인 것이라 부르면서

떼어놓도록 하세. 그런데 여타의 모든 부분은 유연하게

굴면서 다른 이에게 하나로 모으고 어울리는 무슨 명칭을

그것에 부여하도록 넘겨주고서 내버려 두기로 하세.

ΘΕΑΙ. Νενεμήσθω, τὸ δὲ μεθείσθω.

그리 놓였다고 치고, 풀려난 걸로 치시죠.

ΞΕ. Καὶ μὴν καὶ τοῦτο ἔτι διπλοῦν, ὦ Θεαίτητε, ἄξιον

ἡγεῖσθαι· δι᾿ ἃ δέ, σκόπει.                                                         5

더 나아가 이런 것도 여전히 이중으로, 테아이테토스,

생각할 만하다네. 어떤 것들로 인해 그러한지는, 자네가

살펴 보게.

ΘΕΑΙ. Λέγε.

말씀해 주세요.

ΞΕ. Τῶν μιμουμένων οἱ μὲν εἰδότες ὃ μιμοῦνται τοῦτο

πράττουσιν, οἱ δ᾿ οὐκ εἰδότες. καίτοι τίνα μείζω διαίρεσιν

ἀγνωσίας τε καὶ γνώσεως θήσομεν;

모방하는 자들 중 어떤 이들은 모방되는 것을 알면서

이러한 일을 수행하는 반면, 어떤 이들은 알지 못한 채로

그리 한다네. 그렇긴 하네만 우리가 무지와 앎보다 더 큰

무슨 구분을 내세우겠는가?

ΘΕΑΙ. Οὐδεμίαν.                                                                     10

아무것도요.

ΞΕ. Οὐκοῦν τό γε ἄρτι λεχθὲν εἰδότων ἦν μίμημα; τὸ

γὰρ σὸν σχῆμα καὶ σὲ γιγνώσκων ἄν τις μιμήσαιτο.

그러니 적어도 방금 말해진 것은 아는 자들의 모방물이

아니었겠나? 그야 자네의 모습과 또 자네를 앎으로써

누군가가 모방을 했을 테니까.

ΘΕΑΙ. Πῶς δ᾿ οὔ;                                                                  c

어찌 아니겠습니까?

ΞΕ. Τί δὲ δικαιοσύνης τὸ σχῆμα καὶ ὅλης συλλήβδην

ἀρετῆς; ἆρ᾿ οὐκ ἀγνοοῦντες μέν, δοξάζοντες δέ πῃ, σφόδρα

ἐπιχειροῦσιν πολλοὶ τὸ δοκοῦν σφίσιν τοῦτο ὡς ἐνὸν αὐτοῖς

προθυμεῖσθαι φαίνεσθαι ποιεῖν, ὅτι μάλιστα ἔργοις τε καὶ              5

λόγοις μιμούμενοι;

그런데 정의의 모습과 통틀어 덕 전체의 모습의 경우에는 어떤가? 

혹시 무지하지만, 어떤 식으로 믿고는 있으면서, 많은 이들이 

그들에게 이러한 것이라고 여겨(믿어)지는 것이 자신 안에 있는 것처럼

나타나도록 만드는 일을 엄청난 열의를 가지고 시도하지 않는가?

일로도 말로도 최대한 모방하면서 말이지.

ΘΕΑΙ. Καὶ πάνυ γε πολλοί.

확실히 많은 이들이 그리 합니다.

ΞΕ. Μῶν οὖν πάντες ἀποτυγχάνουσι τοῦ δοκεῖν εἶναι

δίκαιοι μηδαμῶς ὄντες; ἢ τούτου πᾶν τοὐναντίον;

그러니 모두가 어떤 식으로도 전혀 정의로운 자들로 있지

않으면서 정의로운 자들로 있다고 여겨지는 일에 실패하지는

않지? 오히려 이와 완전히 반대이지?

ΘΕΑΙ. Πᾶν.                                                                            10

완전히요.

ΞΕ. Μιμητὴν δὴ τοῦτόν γε ἕτερον ἐκείνου λεκτέον                      d

οἶμαι, τὸν ἀγνοοῦντα τοῦ γιγνώσκοντος.

그래서 적어도 이러한 모방자는 저 자와는 다른 자라

말해야만 한다고 생각하네, 무지한 자가 아는 자와 다르다고.

ΘΕΑΙ. Ναί.

네.

ΞΕ. Πόθεν οὖν ὄνομα ἑκατέρῳ τις αὐτῶν λήψεται

πρέπον; ἢ δῆλον δὴ χαλεπὸν ὄν, διότι τῆς τῶν γενῶν κατ᾿              5

εἴδη διαιρέσεως παλαιά τις, ὡς ἔοικεν, ἀργία τοῖς ἔμπρο-

σθεν καὶ ἀσύννους παρῆν, ὥστε μηδ᾿ ἐπιχειρεῖν μηδένα

διαιρεῖσθαι· καθὸ δὴ τῶν ὀνομάτων ἀνάγκη μὴ σφόδρα

εὐπορεῖν. ὅμως δέ, κἂν εἰ τολμηρότερον εἰρῆσθαι, διαγνώ-

σεως ἕνεκα τὴν μὲν μετὰ δόξης μίμησιν δοξομιμητικὴν                e

προσείπωμεν, τὴν δὲ μετ᾿ ἐπιστήμης ἱστορικήν τινα μίμη-

σιν.

그러면 누군가는 그 둘 각각에 적절한 이름이 어디로부터 

포착할까? 아니면 정말로 어려운 것임이 분명하지, 그럴 

듯하기로는, 유들에 대한 형상들에 따른 분할에서 오랫동안 

어떤 생각없는 게으름이 선조들 곁에 있어 왔고, 그래서 단 

한 명도 분할하려는 시도조차 하지 않을 지경이었다는 이유로 

말일세. 그래서 이에 따라 이름들로 아주 충분하지는 못함이 

필연적이지. 허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설령 이야기되기에는

더 과감한 일이라 하더라도, 구분을 위해서는 우리가 믿음을 

동반한 모방을 믿음-모방술이라고, 반면 앎을 동반한 모방은

사실적인 어떤 모방이라고 불러 보세.

ΘΕΑΙ. Ἔστω.

그렇다고 하시죠.

ΞΕ. Θατέρῳ τοίνυν χρηστέον· ὁ γὰρ σοφιστὴς οὐκ ἐν                     5

τοῖς εἰδόσιν ἦν ἀλλ᾿ ἐν τοῖς μιμουμένοις δή.

그러니까 둘 중 어느 한쪽이 쓰여야만 하네. 왜냐하면 소피스트는

아는 자들 중에 있던 게 아니라 모방하는 자들 사이에 있었으니.

> 소피스트는 모방자들에 속하기는 하되 아는 자에는 속하지 않는다.

그런데 모방은 과거까지 이름이 하나였고, 우리가 과감하게 둘로 나눠 봤다.

그래서 그냥 아는 모방까지 포함하는 모방이 아니라 그 하위분류 '둘 중 한쪽'만을 써야 한다.

ΘΕΑΙ. Καὶ μάλα.

무척이나 그렇습니다.

ΞΕ. Τὸν δοξομιμητὴν δὴ σκοπώμεθα ὥσπερ σίδηρον,

εἴτε ὑγιὴς εἴτε διπλόην ἔτ᾿ ἔχων τινά ἐστιν ἐν αὑτῷ.

그럼 믿음-모방자를 마치 쇳덩이인 것처럼 살펴보도록 하세,

온전한 것인지 아니면 아직 자신 안에 어떤 균열을 

지닌 채로 있는지.

ΘΕΑΙ. Σκοπῶμεν.                                                                    10

살펴 보기로 하죠.

ΞΕ. Ἔχει τοίνυν καὶ μάλα συχνήν. ὁ μὲν γὰρ εὐήθης

αὐτῶν ἐστιν, οἰόμενος εἰδέναι ταῦτα ἃ δοξάζει· τὸ δὲ              268a

θατέρου σχῆμα διὰ τὴν ἐν τοῖς λόγοις κυλίνδησιν ἔχει

πολλὴν ὑποψίαν καὶ φόβον ὡς ἀγνοεῖ ταῦτα ἃ πρὸς τοὺς

ἄλλους ὡς εἰδὼς ἐσχημάτισται.

그러고 보면 심지어 무척이나 길기까지 한 균열을 지닌다네.

왜냐하면 그들 중 한편은 순진한 자로, 그가 믿는 바로 그것들을

안다고 생각하면서 그리하는 자인 반면, 또 다른 자의 모습은

말들 사이에서 굴러본 덕분에, 그가 여타의 사람들을 상대로 

아는 자의 모습을 하는 바로 그 일들을 그가 모른다고 하는 

숱한 의심과 두려움을 지닌다네.

> 논박과 정화 관련. 소피스트들은 소크라테스와의 문답을 피하고

일방적인 연설을 선호. 논박을 통해 무지가 드러날까봐 두려워하는 것?

『에우튀데모스』의 소피스트들, 『국가』의 트라시마코스, 『프로타고라스』나

『고르기아스』 등등도 이런 해석에 부합할지.

이들이 논박에 경험이 많아서, 상대방의 무지가 드러나는 경우도 매우 자주 만나고,

그를 통해서 오히려 자기 자신의 무지가 드러날 위험을 더 크게 느낄 수도.


ΘΕΑΙ. Πάνυ μὲν οὖν ἔστιν ἑκατέρου γένους ὧν                             5

εἴρηκας.

그러므로 물론 그들은 당신께서 말씀하신 두 부류 

각각에 속해 있지요.

ΞΕ. Οὐκοῦν τὸν μὲν ἁπλοῦν μιμητήν τινα, τὸν δὲ

εἰρωνικὸν μιμητὴν θήσομεν;

그렇다면 우리가 한 쪽은 단순한 어떤 모방자로, 다른 쪽은

가장적인(척을 하는) 모방자로 놓지 않겠나?

ΘΕΑΙ. Εἰκὸς γοῦν.

그야 그럴 듯하긴 합니다.

ΞΕ. Τούτου δ᾿ αὖ τὸ γένος ἓν ἢ δύο φῶμεν;                                  10

그런데 이번엔 그의 유가 하나라고 주장할까 아니면

둘이라고 주장할까?

ΘΕΑΙ. Ὅρα σύ.

당신께서 봐 주시지요.

ΞΕ. Σκοπῶ, καί μοι διττὼ καταφαίνεσθόν τινε· τὸν μὲν                 b

δημοσίᾳ τε καὶ μακροῖς λόγοις πρὸς πλήθη δυνατὸν

εἰρωνεύεσθαι καθορῶ, τὸν δὲ ἰδίᾳ τε καὶ βραχέσι λόγοις

ἀναγκάζοντα τὸν προσδιαλεγόμενον ἐναντιολογεῖν αὐτὸν

αὑτῷ.                                                                                   5

살펴 보면, 내게는 그 둘이 어떤 이중의 것들로 드러나 보인다네.

나는 한쪽을 대중적으로 그리고 또 긴 말들로 다수를 상대로 가장할

능력이 있는 자로 보고 있고, 다른 쪽은 사적으로 또 짧은 말들로

대화상대자가 스스로 자기 자신에게 모순되는 말을 하도록 강제하는

자로 보고 있지.

ΘΕΑΙ. Λέγεις ὀρθότατα.

더할 나위 없이 맞는 말씀이십니다.

ΞΕ. Τίνα οὖν ἀποφαινώμεθα τὸν μακρολογώτερον

εἶναι; πότερα πολιτικὸν ἢ δημολογικόν;

그렇다면 우리는 장광설을 늘어놓는 자가 누구로 있다고 

드러내 밝히겠는가? 정치가로 있다고 하겠나 아니면

대중연설가로 있다고 하겠나?

ΘΕΑΙ. Δημολογικόν.

대중연설가로요.

ΞΕ. Τί δὲ τὸν ἕτερον ἐροῦμεν; σοφὸν ἢ σοφιστικόν;                        10

그런데 다른 쪽은 우리가 무엇이라 이야기하게 될까?

현자라고 할까 현명함에 관련된 자(소피스트)라고 할까?

ΘΕΑΙ. Τὸ μέν που σοφὸν ἀδύνατον, ἐπείπερ οὐκ

εἰδότα αὐτὸν ἔθεμεν· μιμητὴς δ᾿ ὢν τοῦ σοφοῦ δῆλον ὅτι             c

παρωνύμιον αὐτοῦ τι λήψεται, καὶ σχεδὸν ἤδη μεμάθηκα

ὅτι τοῦτον δεῖ προσειπεῖν ἀληθῶς αὐτὸν ἐκεῖνον τὸν

παντάπασιν ὄντως σοφιστήν.

아마도 현자라고 하는 것은 불가능하겠죠, 정말로 그를 

알지 못하는 자로 우리가 정했으니 말입니다. 그런데 현자에

대한 모방자로 있음으로써 그에게서 어떤 별칭을 얻었다는

것은 분명하고, 이젠 거의 알겠습니다, 이러한 자를 참으로

완전히 있는 그대로 저 소피스트 그 자신이라 불러야 한다는

점을 말입니다.

ΞΕ. Οὐκοῦν συνδήσομεν αὐτοῦ, καθάπερ ἔμπροσθεν,                     5

τοὔνομα συμπλέξαντες ἀπὸ τελευτῆς ἐπ᾿ ἀρχήν;

그렇다면 앞서 그랬던 것처럼, 그 자의 이름을 끝에서부터 

처음까지 모아 엮으며 한데 묶지 않겠나?

ΘΕΑΙ. Πάνυ μὲν οὖν.

물론입니다.

ΞΕ. Τὸν δὴ τῆς ἐναντιοποιολογικῆς εἰρωνικοῦ μέρους

τῆς δοξαστικῆς μιμητικόν, τοῦ φανταστικοῦ γένους ἀπὸ

τῆς εἰδωλοποιικῆς οὐ θεῖον ἀλλ᾿ ἀνθρωπικὸν τῆς ποιήσεως          d

ἀφωρισμένον ἐν λόγοις τὸ θαυματοποιικὸν μόριον,

"ταύτης τῆς γενεᾶς τε καὶ αἵματος" ὃς ἂν φῇ τὸν ὄντως

σοφιστὴν εἶναι, τἀληθέστατα, ὡς ἔοικεν, ἐρεῖ.

그래서 모순되는-말의-제작술의 가장적인 부분에서 믿음에-

관련하는 모방적인 자가, 상-제작술로부터 나온 가상에-관련하는 

유에서 제작술의 신적인 게 아니라 인간적인 부분으로서

말에서 경악스러운-것을-제작하는 부분으로 따로 정의됨으로써,

"이러한 가계와 혈통으로부터" 있는 그대로 소피스트로서

있다고 말하는 자는, 가장 참되게 이야기하는 것일 듯하다네.

ΘΕΑΙ. Παντάπασι μὲν οὖν.                                                       5

그야 전적으로 그렇습니다.


-蟲-

ΞΕ. Καὶ γάρ, ὠγαθέ, τό γε πᾶν ἀπὸ παντὸς ἐπιχειρεῖν

ἀποχωρίζειν ἄλλως τε οὐκ ἐμμελὲς καὶ δὴ καὶ παντάπασιν               e

ἀμούσου τινὸς καὶ ἀφιλοσόφου.

말인 즉, 훌륭한 친구, 모든 것으로부터 모든 것을 분리시키려

시도하는 것만큼은 특히나 질서가 없는 데다 전적으로 무식하고

지혜를 사랑할 줄 모르는 누군가에게나 속한다는 걸세.

ΘΕΑΙ. Τί δή;

그래서요?

ΞΕ. Τελεωτάτη πάντων λόγων ἐστὶν ἀφάνισις τὸ

διαλύειν ἕκαστον ἀπὸ πάντων· διὰ γὰρ τὴν ἀλλήλων τῶν                   5

εἰδῶν συμπλοκὴν ὁ λόγος γέγονεν ἡμῖν.

모든 것들로부터 각각을 해체시키는 것이 모든 말들에 대한

가장 궁극적인 파괴라네. 왜냐하면 형상들 서로 간의 엮임으로

인해 우리에게 말이 생긴 것이니.

ΘΕΑΙ. Ἀληθῆ.

참된 말씀이십니다.

ΞΕ. Σκόπει τοίνυν ὡς ἐν καιρῷ νυνδὴ τοῖς τοιούτοις                    260a

διεμαχόμεθα καὶ προσηναγκάζομεν ἐᾶν ἕτερον ἑτέρῳ

μείγνυσθαι.

그러니 우리가 방금 이러한 자들에 맞서 싸우며 어떤 것이

다른 것과 섞인다는 것을 인정하도록 강제한 것이 얼마나

적절한 시기에 했던 일인지 생각해 보게나.

ΘΕΑΙ. Πρὸς δὴ τί;

무엇을 위한 적절한 시기인가요?

ΞΕ. Πρὸς τὸ τὸν λόγον ἡμῖν τῶν ὄντων ἕν τι γενῶν                            5

εἶναι. τούτου γὰρ στερηθέντες, τὸ μὲν μέγιστον, φιλο-

σοφίας ἂν στερηθεῖμεν· ἔτι δ᾿ ἐν τῷ παρόντι δεῖ λόγον ἡμᾶς

διομολογήσασθαι τί ποτ᾿ ἔστιν, εἰ δὲ ἀφῃρέθημεν αὐτὸ

μηδ᾿ εἶναι τὸ παράπαν, οὐδὲν ἂν ἔτι που λέγειν οἷοί τ᾿ ἦμεν.

ἀφῃρέθημεν δ᾿ ἄν, εἰ συνεχωρήσαμεν μηδεμίαν εἶναι                       b

μεῖξιν μηδενὶ πρὸς μηδέν.                                                                 //200624

우리가 다루는 말이란 것이 있는 것들로서의 유들 중

어떤 하나로 있다는 것을 위해서 말일세. 우리가 이를

상실한 채로는, 우리는 가장 위대한 것, 지혜에 대한 사랑을

상실하게 될 걸세. 다른 한편 더 나아가 당장은 우리가 말이

도대체 무엇인지 합의해야 하는데, 만일 저 말을 빼앗기고 

그것이 전적으로 그 어떤 것으로도 있지 조차 않게 되어버리면,

아마 우린 더 이상 아무 말도 할 수 없게 되겠지. 그런데

만일 우리가 무엇에 대해서도 그 어떤 것과의 아무런 섞임도

있지 않다고 동의해 버리고 나면, 우린 그렇게 빼앗기고야

말 걸세.

ΘΕΑΙ. Ὀρθῶς τοῦτό γε· λόγον δὲ δι᾿ ὅτι νῦν διο-

μολογητέον οὐκ ἔμαθον.

그건 맞는 말씀이십니다. 그런데 도대체 무엇 때문에

지금 말을 놓고 합의를 해야만 하는지는 알아듣지

못했습니다.

ΞΕ. Ἀλλ᾿ ἴσως τῇδ᾿ ἑπόμενος ῥᾷστ᾿ ἂν μάθοις.                                    5

허나 이런 식으로 따라옴으로써 아마 자네가 아주 쉽게

알아들을 수 있을 것 같군.

ΘΕΑΙ. Πῇ;

어떤 식인지요?

ΞΕ. Τὸ μὲν δὴ μὴ ὂν ἡμῖν ἕν τι τῶν ἄλλων γένος ὂν

ἀνεφάνη, κατὰ πάντα τὰ ὄντα διεσπαρμένον.

그러니까 있지 않은 것은 우리에게 여타의 유들 중 어떤

한 유로 있는 것으로 드러났지, 모든 있는 것들에 퍼뜨려져

있는 것으로서 말일세.

- 1) 이것이 유들 중 다름과 동일시(혹은 다름의 부분과 동일시) or

  2) 예를 들어 아름답지 않은 것은 김태희이거나 조각상이거나 어떤 무엇인가이다.

      1)은 여태까지 애써 구분해왔던 서로 다른 유들 중 어느 한 쌍을 동일시하는 게 부담스럽다.
      2)는 단순히 ti on이 아닌 ti hen genos라는 점에서 받아들이기 어렵다.
  3) 있지 않은 것은 (말 말고) 그 외의 것들 중 어느 한 유이다.
      3)은 말과 말 이외의 것들을 구분하는 기준이 마련되었는지 의문. 
      "ἀνεφάνη"의 시제를 고려하면 더욱 어려움.

ΘΕΑΙ. Οὕτως.

그렇게 드러났지요.

ΞΕ. Οὐκοῦν τὸ μετὰ τοῦτο σκεπτέον εἰ δόξῃ τε καὶ                             10

λόγῳ μείγνυται.

그렇다면 그 다음으로 검토해야만 할 일은 그게 믿음과

말에도 섞이는지 하는 것이 아닐까 하네.

ΘΕΑΙ. Τί δή;

그래서요?

ΞΕ. Μὴ μειγνυμένου μὲν αὐτοῦ τούτοις ἀναγκαῖον                            c

ἀληθῆ πάντ᾿ εἶναι, μειγνυμένου δὲ δόξα τε ψευδὴς γίγνεται

καὶ λόγος· τὸ γὰρ τὰ μὴ ὄντα δοξάζειν ἢ λέγειν, τοῦτ᾿ ἔστι

που τὸ ψεῦδος ἐν διανοίᾳ τε καὶ λόγοις γιγνόμενον.

그게 이것들과 섞이지 않을 경우 모든 것들은 참인 것들로

있음이 필연적이고, 다른 한편 섞일 경우 믿음도 말도 거짓이

된다네(거짓 믿음도 거짓 말도 생긴다네). 왜냐하면 

있지 않은 것들을 믿거나 말하는 일, 분명 사유와 말들 속에서 

생겨나는 거짓은 이런 것이니까.

ΘΕΑΙ. Οὕτως.                                                                              5

그렇습니다.

ΞΕ. Ὄντος δέ γε ψεύδους ἔστιν ἀπάτη.

그런가 하면 거짓이 있을 경우 기만이 있지.

ΘΕΑΙ. Ναί.

네.

ΞΕ. Καὶ μὴν ἀπάτης οὔσης εἰδώλων τε καὶ εἰκόνων

ἤδη καὶ φαντασίας πάντα ἀνάγκη μεστὰ εἶναι.

게다가 기만이 있으니 모든 것들이 이제 상들과 모상들

그리고 가상으로 가득 차 있음이 필연적이라네.

ΘΕΑΙ. Πῶς γὰρ οὔ;                                                                        10

어찌 아니겠습니까?

ΞΕ. Τὸν δέ γε σοφιστὴν ἔφαμεν ἐν τούτῳ που τῷ τόπῳ

καταπεφευγέναι μέν, ἔξαρνον δὲ γεγονέναι τὸ παράπαν                   d

μηδ᾿ εἶναι ψεῦδος· τὸ γὰρ μὴ ὂν οὔτε διανοεῖσθαί τινα οὔτε

λέγειν· οὐσίας γὰρ οὐδὲν οὐδαμῇ τὸ μὴ ὂν μετέχειν.

그런가 하면 우리는 소피스트가 이런 어떤 장소 안으로

도피한 반면, 다른 한편으로 거짓이 아예 있다는 것조차 

부정하게 되었다고 말했지. 있지 않은 것을 누가 사유한다는 

것도 말한다는 것도 부정하니 말일세. 있지 않은 것은 있음에 

어떤 측면에서도 전혀 참여하지 않는다고 하니까.

ΘΕΑΙ. Ἦν ταῦτα.

그런 일들이 있었지요.

ΞΕ. Νῦν δέ γε τοῦτο μὲν ἐφάνη μετέχον τοῦ ὄντος,                              5

ὥστε ταύτῃ μὲν ἴσως οὐκ ἂν μάχοιτο ἔτι· τάχα δ᾿ ἂν φαίη

τῶν εἰδῶν τὰ μὲν μετέχειν τοῦ μὴ ὄντος, τὰ δ᾿ οὔ, καὶ λόγον

δὴ καὶ δόξαν εἶναι τῶν οὐ μετεχόντων, ὥστε τὴν εἰδωλο-

ποικὴν καὶ φανταστικήν, ἐν ᾗ φαμεν αὐτὸν εἶναι, διαμά-

χοιτ᾿ ἂν πάλιν ὡς παντάπασιν οὐκ ἔστιν, ἐπειδὴ δόξα καὶ                   e

λόγος οὐ κοινωνεῖ τοῦ μὴ ὄντος· ψεῦδος γὰρ τὸ παράπαν

οὐκ εἶναι ταύτης μὴ συνισταμένης τῆς κοινωνίας. διὰ ταῦτ᾿

οὖν λόγον πρῶτον καὶ δόξαν καὶ φαντασίαν διερευνητέον

ὅτι ποτ᾿ ἔστιν, ἵνα φανέντων καὶ τὴν κοινωνίαν αὐτῶν τῷ                   5

μὴ ὄντι κατίδωμεν, κατιδόντες δὲ τὸ ψεῦδος ὂν ἀποδεί-                261a

ξωμεν, ἀποδείξαντες δὲ τὸν σοφιστὴν εἰς αὐτὸ ἐνδήσωμεν,

εἴπερ ἔνοχός ἐστιν, ἢ καὶ ἀπολύσαντες ἐν ἄλλῳ γένει

ζητῶμεν.

그런데 적어도 지금은 이것이 있는 것에 참여하는 것으로

드러났고, 그래서 이런 방식으로는 더 이상 그가 싸우지 못할

것 같군. 그런데 어쩌면 형상들 중 어떤 것들은 있지 않은

것에 참여하지만, 어떤 것들은 그렇지 않다고, 게다가 더

나아가 말과 믿음이 그 참여하지 않는 것들에 속해 있다고

주장할지도 모르고, 그래서 상제작술과 환상제작술, 그 안에 

그가 있다고 우리가 주장하는 바 그것이 전적으로 있지 않다고 

그가 다시 맞서 싸울 걸세, 만일 정말로 믿음과 말이 있지 않은 것과 

공유관계를 맺지 않는다면 말일세. 그는 이러한 공유가 함께 

성립하지 않고서는 거짓이 도무지 있지를 못할 테니까. 그러므로 

이런 것들로 인해 우선 말과 믿음 그리고 환상이 도대체

무엇인지 추적해야만 한다네, 그것들이 나타나면 그것들의 

있지 않은 것과의 공유까지 우리가 간파할 수 있도록, 그리고 이를

간파함으로써 거짓인 것이 있다고 증명해 보일 수 있도록,

그리고 그렇게 증명함으로써 소피스트를 그곳에 구속시켜둘

수 있도록 말이지, 만일 정말로 그가 관련자로 있다면. 아니면

우리가 그를 풀어주더라도 다른 유에서 추적하기 위해서 말일세.

ΘΕΑΙ. Κομιδῇ γε, ὦ ξένε, ἔοικεν ἀληθὲς εἶναι τὸ περὶ                            5

τὸν σοφιστὴν κατ᾿ ἀρχὰς λεχθέν, ὅτι δυσθήρευτον εἴη τὸ

γένος. φαίνεται γὰρ οὖν προβλημάτων γέμειν, ὧν ἐπειδάν

τι προβάλῃ, τοῦτο πρότερον ἀναγκαῖον διαμάχεσθαι πρὶν

ἐπ᾿ αὐτὸν ἐκεῖνον ἀφικέσθαι. νῦν γὰρ μόγις μὲν τὸ μὴ ὂν ὡς

οὐκ ἔστι προβληθὲν διεπεράσαμεν, ἕτερον δὲ προβέβλη-                     10

ται, καὶ δεῖ δὴ ψεῦδος ὡς ἔστι καὶ περὶ λόγον καὶ περὶ                       b

δόξαν ἀποδεῖξαι, καὶ μετὰ τοῦτο ἴσως ἕτερον, καὶ ἔτ᾿ ἄλλο

μετ᾿ ἐκεῖνο· καὶ πέρας, ὡς ἔοικεν, οὐδὲν φανήσεταί ποτε.

손님, 소피스트에 관하여 처음부터 말해진 게 정확히 참된

것이긴 할 듯합니다, 그 유가 사냥하기 어려운 것이리란 게

말이죠. 그야 문제거리로 가득 찬 것으로 보이니까요. 그 중에

어떤 문제를 제시하고 나면, 바로 저 사람에게 이르기도 전에

먼저 이 문제와 싸우는 게 필연적인 그런 문제들로요. 우리가

이제 겨우 있지 않은 것이 있지 않다는 제기된 문제를 

헤쳐나왔더니, 또 다른 문제가 제기되고, 게다가 말과 관련해서도

믿음과 관련해서도 거짓이 있다고 증명해야 하는데, 이 

다음에도 또 다른 게 있을 것 같고, 그 다음에도 여전히

그 외의 것이 있을 것 같으니까요. 그럴 듯하기로는, 도대체

아무런 한계도 드러나지 않을 것 같습니다.

ΞΕ. Θαρρεῖν, ὦ Θεαίτητε, χρὴ τὸν καὶ σμικρόν τι δυνά-

μενον εἰς τὸ πρόσθεν ἀεὶ προϊέναι. τί γὰρ ὅ γ᾿ ἀθυμῶν ἐν                     5

τούτοις δράσειεν ἂν ἐν ἄλλοις, ἢ μηδὲν ἐν ἐκείνοις ἀνύτων

ἢ καὶ πάλιν εἰς τοὔπισθεν ἀπωσθείς; σχολῇ που, τὸ κατὰ

τὴν παροιμίαν λεγόμενον, ὅ γε τοιοῦτος ἄν ποτε ἕλοι πόλιν.                c

νῦν δ᾿ ἐπεί, ὠγαθέ, τοῦτο ὅ λέγεις διαπεπέρανται, τό τοι

μέγιστον ἡμῖν τεῖχος ᾑρημένον ἂν εἴη, τὰ δ᾿ ἄλλα ἤδη ῥᾴω

καὶ σμικρότερα.

용기를 내야만 한다네, 테아이테토스, 아주 조금씩이라도 

앞을 향해서 언제나 나아갈 힘이 있는 사람은 말이지. 그야

이런 일들에서 열의를 잃는 자라면 그 외의 일들에서 무엇을

해내겠는가, 저런 일들에서 아무것도 이루지 못하거나 아니면

또 다시 뒤로 떠밀리고서? 아마 여간해서는, 옛 말마따나,

이런 자는 도대체 나라를 움켜쥘 수 없겠지. 그런데, 훌륭한

친구, 지금은 자네가 말하는 문제를 헤쳐 나오게 되었으니,

보다시피 우리에게 주어진 가장 거대한 성벽이 장악된 셈일

테고, 이제 여타의 것들은 더 쉽고 더 작은 일들일 걸세.

ΘΕΑΙ. Καλῶς εἶπες.                                                                        5

훌륭한 말씀이십니다.

ΞΕ. Λόγον δὴ πρῶτον καὶ δόξαν, καθάπερ ἐρρήθη

νυνδή, λάβωμεν, ἵνα ἐναργέστερον ἀπολογισώμεαθ

πότερον αὐτῶν ἅπτεται τὸ μὴ ὄν, ἢ παντάπασιν ἀληθῆ μέν

ἐστιν ἀμφότερα ταῦτα, ψεῦδος δὲ οὐδέποτε οὐδέτερον.

그럼 우선 말과 믿음을, 방금 이야기된 대로, 취해보도록 하세,

있지 않은 것이 그것들에 접하는지, 아니면 이 양쪽 모두가

전적으로 참인 것들로 있되, 그 둘 중 어느 것도 결코 거짓으로

있지는 않은지, 우리가 더 분명하게 설명해내게 되도록 말이네.

ΘΕΑΙ. Ὀρθῶς.                                                                               10

옳은 말씀이십니다.

ΞΕ. Φέρε δή, καθάπερ περὶ τῶν εἰδῶν καὶ τῶν γραμ-                         d

μάτων ἐλέγομεν, περὶ τῶν ὀνομάτων πάλιν ὡσαύτως ἐπι-

σκεψώμεθα. φαίνεται γάρ πῃ ταύτῃ τὸ νῦν ζητούμενον.

자, 그럼, 형상들에 관련해서 그리고 철자들에 관련해서

우리가 말하던 것처럼, 다시 이름들에 관련해서 우리가

같은 방식으로 고찰해 볼 걸세. 지금 탐구되고 있는 것이

이런 어떤 식으로 나타나기 때문이지.  

- 말(logos)을 알아보자고 하고서 이름들(onomata)에 관련하여

논의가 진행된다. 아직 말로부터 이름이 구분되지 않았다.


ΘΕΑΙ. Τὸ ποῖον οὖν δὴ περὶ τῶν ὀνομάτῶν ὑπακου-

στέον;                                                                                        5

그러니까 이름들에 관련해서 어떤 것을 응답해야만 하나요?

ΞΕ. Εἴτε πάντα ἀλλήλοις συναρμόττει εἴτε μηδέν, εἴτε

τὰ μὲν ἐθέλει, τὰ δὲ μή.

모든 것들이 서로 함께 어우러지는지 아니면 아무것도 그리하지

않는지, 아니면 어떤 것들은 그러려 하는가 하면, 어떤 것들은

그러려 하지 않는지 답해야만 하네.

ΘΕΑΙ. Δῆλον τοῦτό γε, ὅτι τὰ μὲν ἐθέλει, τὰ δ᾿ οὔ.

적어도 이건 분명하죠, 어떤 것들을 그러려고 하고,

어떤 것들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요.

ΞΕ. Τὸ τοιόνδε λέγεις ἴσως, ὅτι τὰ μὲν ἐφεξῆς λεγό-

μενα καὶ δηλοῦντά τι συναρμόττει, τὰ δὲ τῇ συνεχείᾳ                        e

μηδὲν σημαίνοντα ἀναρμοστεῖ.

자네는 이런 걸 말하고 있는 것 같군, 잇달아 말해지면서

무언가를 알려주는 것들은 함께 어우러지는 반면, 그 연속으로써

아무것도 표시하지 못하는 것들은 부조화를 일으킨다는 걸.

ΘΕΑΙ. Πῶς τί τοῦτ᾿ εἶπες;

당신께서는 이런 것이 무엇이라고 어떤 식으로 말씀하시는 건가요? 

ΞΕ. Ὅπερ ᾠήθην ὑπολαβόντα σε προσομολογεῖν. ἔστι

γὰρ ἡμῖν που τῶν τῇ φωνῇ περὶ τὴν οὐσίαν δηλωμάτων                       5

διττὸν γένος.

자네가 동의하면서 가정했다고 내게 생각되는 바로 그걸세.

우리에겐 아마도 있음에 관련하여 소리로 알려주는 것들에

이중의 유가 있으니까.

ΘΕΑΙ. Πῶς;

어떻게요?

ΞΕ. Τὸ μὲν ὀνόματα, τὸ δὲ ῥήματα κληθέν.                                  262a

한편의 유는 이름들로, 다른 편의 유는 술어들로 불리는 것이지.

ΘΕΑΙ. Εἰπὲ ἑκάτερον.

그 둘 각각을 말씀해 주세요.

ΞΕ. Τὸ μὲν ἐπὶ ταῖς πράξεσιν ὂν δήλωμα ῥῆμά που

λέγομεν.

한편으로 행태들의 경우에서 알려주는 것으로 있는 것은

아마도 우리가 술어라 말하지.

ΘΕΑΙ. Ναί.                                                                                   5

네.

ΞΕ. Τὸ δέ γ᾿ ἐπ᾿ αὐτοῖς τοῖς ἐκείνας πράττουσι σημεῖον

τῆς φωνῆς ἐπιτεθὲν ὄνομα.

그런가 하면 스스로 저 행태들을 수행하는 것들의 경우에

부여된 소리로 된 표지가 이름이라네.

ΘΕΑΙ. Κομιδῇ μὲν οὖν.

정확히 그렇습니다.

ΞΕ. Οὐκοῦν ἐξ ὀνομάτων μὲν μόνων συνεχῶς λεγο-

μένων οὐκ ἔστι ποτὲ λόγος, οὐδ᾿ αὖ ῥημάτων χωρὶς ὀνο-                     10

μάτων λεχθέντων.

그러니 연속적으로 말해진 이름들만으로는 그로부터

도대체 말이 성립하지를 않고, 이번엔 이름들과 따로 말해진

술어들로도 안 되지 않나 하는 얘길세.

ΘΕΑΙ. Ταῦτ᾿ οὐκ ἔμαθον.

이런 건 알지 못했습니다.

ΞΕ. Δῆλον γὰρ ὡς πρὸς ἕτερόν τι βλέπων ἄρτι συνωμο-                      b

λόγεις· ἐπεὶ τοῦτ᾿ αὐτὸ ἐβουλόμην εἰπεῖν, ὅτι συνεχῶς ὧδε

λεγόμενα ταῦτα οὐκ ἔστι λόγος.

왜냐하면 자네가 방금 다른 무언가에 주목하면서 동의한 게

뻔하기 때문이지. 나는 바로 이런 걸 이야기하고자 하던 것이니,

이런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말해지는 이런 것들은 말로 있지 

않다는 것 말일세.

ΘΕΑΙ. Πῶς;

어떻게요?

ΞΕ. Οἷον "βαδίζει τρέχει καθεύδει," καὶ τἆλλα                                      5

ὅσα πράξεις σημαίνει ῥήματα, κἂν πάντα τις ἐφεξῆς αὔτ᾿

εἴπῃ, λόγον οὐδέν τι μᾶλλον ἀπεργάζεται.

예를 들어 "걷는다 달린다 눕는다," 또 행태들을 표시하는

그 밖의 술어들도, 누군가 그 모든 것들을 잇달아 이야기한들, 

아무런 말도 전혀 이루어내지 못한다네.

ΘΕΑΙ. Πῶς γάρ;

그야 어찌 그렇겠습니까?

ΞΕ. Οὐκοῦν καὶ πάλιν ὅταν λέγηται "λέων ἔλαφος

ἵππος," ὅσα τε ὀνόματα τῶν τὰς πράξεις αὖ πραττόντων                       10

ὠνομάσθη, καὶ κατὰ ταύτην δὴ τὴν συνέχειαν οὐδείς πω                    c

συνέστη λόγος· οὐδεμίαν γὰρ οὔτε οὕτως οὔτ᾿ ἐκείνως

πρᾶξιν οὐδ᾿ ἀπραξίαν οὐδὲ οὐσίαν ὄντος οὐδὲ μὴ ὄντος

δηλοῖ τὰ φωνηθέντα, πρῖν ἄν τις τοῖς ὀνόμασι τὰ ῥήματα

κεράσῃ· τότε δ᾿ ἥρμοσέν τε καὶ λόγος ἐγένετο εὐθὺς ἡ                           5

πρώτη συμπλοκή, σχεδὸν τῶν λόγων ὁ πρῶτός τε καὶ

σμικρότατος.

그러니 다시 "사자 사슴 말"이라고 말해지는 경우에도, 또

이번엔 저 행태들을 수행하는 것들의 이름들로 명명된

것들이 말해질 때에도 역시, 여전히 그 똑같은 연속에 따라서는

아무런 말도 아직 구성되지 않는 것 아닌가 하네. 이런 식으로도 

저런 식으로도 그 소리내어진 것들이 있는 것에 대해서도 

있지 않은 것에 대해서도 그것의 있음도 행태도 무위도 

어느 하나 전혀 알려주지 못할 테니까, 누군가가 이름들에

술어들을 섞기 전에는 말일세. 그런데 그것들이 조화되고서 또

그 첫 번째 엮임이 말이 되고 난 경우에는, 말들 중에서도 

거의 가장 처음의 가장 작은 말이 될 걸세.

ΘΕΑΙ. Πῶς ἄρ᾿ ὧδε λέγεις;

이런 방식을 어떻게 말씀하시는지요?

ΞΕ. Ὅταν εἴπῃ τις "ἄνθρωπος μανθάνει," λόγον

εἶναι φῇς τοῦτον ἐλάχιστόν τε καὶ πρῶτον;                                         10

누군가 "인간이 배운다"라고 이야기할 때, 자네는

이런 말이 최소이자 최초인 것으로 있다고 주장하나?

ΘΕΑΙ. Ἔγωγε.                                                                            d

저로서는요.

ΞΕ. Δηλοῖ γὰρ ἤδη που τότε περὶ τῶν ὄντων ἢ γιγνο-

μένων ἢ γεγονότων ἢ μελλόντων, καὶ οὐκ ὀνομάζει μόνον

ἀλλά τι περαίνει, συμπλέκων τὰ ῥήματα τοῖς ὀνόμασι. διὸ

λέγειν τε αὐτὸν ἀλλ᾿ οὐ μόνον ὀνομάζειν εἴπομεν, καὶ δὴ                       5

καὶ τῷ πλέγματι τούτῳ τὸ ὄνομα ἐφθεγξάμεθα "λόγον."

그야 아마도 그제서야 있는 것들에 관련하여서든 생성 중인 

것들에 관련하여서든 생선된 것들에 관련하여서든 장차 

있을 것들에 관련하여서든 알려줄 테니, 단지 명명할 뿐만 

아니라 무언가 한정하기를, 그가 표현들을 이름들과 함께 엮음으로써 

그리한다는 것이 분명하니까. 이로 인해 그가 단지 명명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말을 한다고 우리가 이야기하고,

더욱이 이러한 사태에 "말"이란 이름을 발설한다네.

ΘΕΑΙ. Ὀρθῶς.

옳게 말이죠.

ΞΕ. Οὕτω δὴ καθάπερ τὰ πράγματα τὰ μὲν ἀλλήλοις

ἥρμοττεν, τὰ δ᾿ οὔ, καὶ περὶ τὰ τῆς φωνῆς αὖ σημεῖα τὰ μὲν

οὐχ ἁρμόττει, τὰ δὲ ἁρμόττοντα αὐτῶν λόγον ἀπηργά-                       e

σατο.

그래서 마치 사태들이 어떤 것들은 서로 어우러지는가 하면,

어떤 것들은 그렇지 않듯 바로 그런 식으로, 이번엔 음성으로 된

표시들도 어떤 것들은 어우러지지 않는가 하면, 어떤 것들은

어우러짐으로써 그것들로 된 말을 이루어내지.

ΘΕΑΙ. Παντάπασι μὲν οὖν.

전적으로 그렇습니다.

ΞΕ. Ἔτι δὴ σμικρὸν τόδε.

그럼 아직 이런 사소한 점이 더 있다네.

ΘΕΑΙ. Τὸ ποῖον;                                                                             5

어떤 것인가요?

ΞΕ. Λόγον ἀναγκαῖον, ὅτανπερ ᾗ, τινὸς εἶναι λόγον, μὴ

δὲ τινὸς ἀδύνατον.

말은 필연적으로, 그것이 말로 있을 그 어느 경우에든, 무언가에

대한 말로 있고, 무언가에 대한 것이 아니기는 불가능하다는 걸세.

ΘΕΑΙ. Οὕτως.

그렇습니다.

ΞΕ. Οὐκοῦν καὶ ποιόν τινα αὐτὸν εἶναι δεῖ;

그렇다면 그것이 어떤 무엇인가로도 있어야 하지 않나?

ΘΕΑΙ. Πῶς δ᾿ οὔ;                                                                           10

어찌 아니겠습니까?

ΞΕ. Προσέχωμεν δὴ τὸν νοῦν ἡμῖν αὐτοῖς.

그럼 우리 자신에게 주의를 기울여 보세.

ΘΕΑΙ. Δεῖ γοῦν.

그래야 하긴 하겠네요.

ΞΕ. Λέξω τοίνυν σοι λόγον συνθεὶς πρᾶγμα πράξει δι᾿

ὀνόματος καὶ ῥήματος· ὅτου δ᾿ ἂν ὁ λόγος ᾖ, σύ μοι

φράζειν.                                                                                      15

그러면 나는 자네에게 이름과 표현을 통해 사태를 상태에

결합시킴으로써 말을 해 보겠네. 그런데 그 말이 그것에

대한 것일 바로 그것은, 자네가 내게 알려주도록 그렇게

말해 보겠네.                                                                                       //200701

ΘΕΑΙ. Ταῦτ᾿ ἔσται κατὰ δύναμιν.                                                263a

가능한 데까지는 그리 될 것입니다.

ΞΕ. "Θεαίτητος κάτηται." μῶν μὴ μακρὸς ὁ

λόγος;

"테아이테토스는 앉아있다." 이 말은 물론

길지는 않지?

ΘΕΑΙ. Οὔκ, ἀλλὰ μέτριος.

아뇨, 오히려 적당하네요.

ΞΕ. Σὸν ἔργον δὴ φράζειν περὶ οὗ τ᾿ ἐστὶ καὶ ὅτου.                               5

그럼 자네 일은 [그 말이] 그것에 관한 바의 것이자

그것에 대한 것인 바로 그것을 알려주는 걸세.

ΘΕΑΙ. Δῆλον ὅτι περὶ ἐμοῦ τε καὶ ἐμός.

저에 관한 것이며 저에 대한 것임이 분명합니다.

ΞΕ. Τί δὲ ὅδ᾿ αὖ;

그런데 이번엔 이건 어떤가?

ΘΕΑΙ. Ποῖος;

어떤 것이요?

ΞΕ. "Θεαίτητος, ᾧ νῦν ἐγὼ διαλέγομαι, πέτεται."

"테아이테토스, 지금 내가 그와 대화하고 있는 자, 그가

날고있다."

ΘΕΑΙ. Καὶ τοῦτον οὐδ᾿ ἄν εἷς ἄλλως εἴποι πλὴν ἐμόν τε                          10

καὶ περὶ ἐμοῦ.

이 역시 단 한 사람도 제게 속하는 것이자 저에 관한 것이라는

것 말고 달리는 이야기하지 못할 테지요.

ΞΕ. Ποιὸν δέ γέ τινά φαμεν ἀναγκαῖον ἕκαστον εἶναι

τῶν λόγων.

그런가 하면 우리는 그 말들에 대해 각각이 어떤 무엇으로

있는 게 필연적이라고 주장했다네.

ΘΕΑΙ. Ναί.                                                                                  b

네.

ΞΕ. Τούτων δὴ ποῖόν τινα ἑκάτερον φατέον εἶναι;

그럼 이 둘 각각이 어떤 무엇으로 있다고 주장해야만 하나?

ΘΕΑΙ. Τὸν μὲν ψευδῆ που, τὸν δὲ ἀληθῆ.

한편은 아마 거짓 말이라고, 다른 한편은 참인 말이라고요.

ΞΕ. Λέγει δὲ αὐτῶν ὁ μὲν ἀληθὴς τὰ ὄντα ὡς ἔστιν περὶ

σοῦ.                                                                                             5

헌데 그것들 중 참인 말은 자네에 관하여 있는 것들을 있다고

말하는군.

ΘΕΑΙ. Τί μήν;

그야 왜 아니겠습니까?

ΞΕ. Ὁ δὲ δὴ ψευδὴς ἕτερα τῶν ὄντων.

헌데 그럼 거짓 말은 그 있는 것들과는 다른 것들을 말하는군.

ΘΕΑΙ. Ναί.

네.

ΞΕ. Τὰ μὴ ὄντ᾿ ἄρα ὡς ὄντα λέγει.

그래서 있지 않은 것들을 있다고 말한다네.

ΘΕΑΙ. Σχεδόν.                                                                                 10

거의 그렇습니다.

ΞΕ. Ὄντων δέ γε ὄντα ἕτερα περὶ σοῦ. πολλὰ μὲν γὰρ

ἔφαμεν ὄντα περὶ ἕκαστον εἶναί που, πολλὰ δὲ οὐκ ὄντα.

그런가 하면 있는 것들 중 자네에 관하여 다른 것들로

있는 것들을 말하지. 우리는 각각에 관해 한편으로 여러 

있는 것들이 있다고, 다른 한편 여러 있지 않은 것들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었으니 말일세.

ΘΕΑΙ. Κομιδῇ μὲν οὖν.

정확히 그렇습니다.

ΞΕ. Ὅν ὕστερον δὴ λόγον εἴρηκα περὶ σοῦ, πρῶτον                             c

μέν, ἐξ ὦν ὡρισάμεθα τί ποτ᾿ ἔστι λόγος, ἀναγκαιότατον

αὐτὸν ἕνα τῶν βραχυτάτων εἶναι.

그래서 자네에 관하여 나중에 이야기한 쪽 말이, 첫째로, 

우리가 도대체 말이란 무엇인지를 정의하였던 바들로부터, 

가장 짧은 것들 중 하나로서 그 말이 속하여 있음이 무척이나 

필연적이라네.

ΘΕΑΙ. Νυνδὴ γοῦν ταύτῃ συνωμολογήσαμεν.

어쨌든 방금은 이런 식으로 우리가 동의하였지요.

ΞΕ. Ἔπειτα δέ γε τινός.                                                                     5

그런가 하면 다음으로는 무엇에 대한 것인지를 동의하였지.

ΘΕΑΙ. Οὕτως.

그렇습니다.

ΞΕ. Εἰ δὲ μὴ ἔστιν σός, οὐκ ἄλλου γε οὐδενός.

그런데 만일 그게 자네에 속한 게 아니라면, 적어도

다른 그 누구에 대한 것도 아니지.

ΘΕΑΙ. Πῶς γάρ;

그야 어찌 그렇겠습니까?

ΞΕ. Μηδενὸς <δέ> γε ὢν οὐδ᾿ ἂν λόγος εἴη τὸ παράπαν·

ἀπεφήναμεν γὰρ ὅτι τῶν ἀδυνάτων ἦν λόγον ὄντα μηδενὸς                     10

εἶναι λόγον.

아무것에 대해서도 있지 않는 한 도무지 말로도 있지를

못할 테지. 말이 아무것에 대해서도 있지 않으면서 말로

있기란 불가능한 일들에 속해 있다는 걸 우리가 드러내 보였으니.

ΘΕΑΙ. Ὀρθότατα.

가장 옳게 말이죠.

ΞΕ. Περὶ δὴ σοῦ λεγόμενα, <λεγόμενα> μέντοι θάτερα                         d

ὡς τὰ αὐτὰ καὶ μὴ ὄντα ὡς ὄντα, παντάπασιν ἔοικεν ἡ

τοιαύτη σύνθεσις ἔκ τε ῥημάτων γιγνομένη καὶ ὀνομάτων

ὄντως τε καὶ ἀληθῶς γίγνεσθαι λόγος ψευδής.

그럼 자네에 관하여 말해지지만, 다른 것들을 같은 것들로 

그리고 있지 않은 것들을 있는 것들로 말하는 것들의 경우, 

표현들과 이름들로부터 생겨나는 이런 식의 결합이 있는 그대로 

또한 참되게 거짓 말이 된다는 게 전적으로 그럴 듯하군.

ΘΕΑΙ. Ἀληθέστατα μὲν οὖν.                                                              5

지극히 참된 말씀이십니다.

ΞΕ. Τί δὲ δή; διάνοιά τε καὶ δόξα καὶ φαντασία, μῶν

οὐκ ἤδη δῆλον ὅτι ταῦτα τὰ γένη ψευδῆ τε καὶ ἀληθῆ πάνθ᾿ 

ἡμῶν ἐν ταῖς ψυχαῖς ἐγγίγνεται;

그런데 어떤가? 생각과 믿음과 인상은, 이러한 유들이 우리의

영혼 안에 거짓으로도 참으로도 생성되어 들어오게 된다는 점이

이제 분명하지 못한 것은 물론 아니겠지?


-말과 말의 대상 사이의 닮음 관계는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가?

 여기에서 인상이 매개적 역할을 해줄 수 있지 않은가? by Kang.


ΘΕΑΙ. Πῶς;

어찌 그렇습니까?

ΞΕ. Ὧδ᾿ εἴσῃ ῥᾷον, ἂν πρῶτον λάβῃς αὐτὰ τί ποτ᾿ ἔστιν                          10

καὶ τί διαφέρουσιν ἕκαστα ἀλλήλων.                                                e

이러면 자네가 더 쉽게 알걸세, 우선 그것들이 도대체 

무엇인지 파악하고 그것들 각각이 서로간에 무슨 

차이가 있는지 파악한다면 말이지.

ΘΕΑΙ. Δίδου μόνον.

그저 설명해주시기만 바랍니다.

ΞΕ. Οὐκοῦν διάνοια μὲν καὶ λόγος ταὐτόν· πλὴν ὁ μὲν

ἐντὸς τῆς ψυχῆς πρὸς αὑτὴν διάλογος ἄνευ φωνῆς

γιγνόμενος τοῦτ᾿ αὐτὸ ἡμῖν ἐπωνομάσθη, "διά νοια;"                              5

사유(dianoia)와 말은 같은 것 아닌가? 한편은 영혼 안에서

영혼 자신을 향한 소리 없는 대화(dialogos)가 되기에 

바로 이 점에서 우리에 의해 "사고(생각)을 통한 것(dia noia)"이란

명칭으로 불린다는 점만 제외하면 말일세.

ΘΕΑΙ. Πάνυ μὲν οὖν.

무척이나 그렇습니다.

ΞΕ. Τὸ δέ γ᾿ ἀπ᾿ ἐκείνης ῥεῦμα διὰ τοῦ στόματος ἰὸν

μετὰ φθόγγου κέκληται λόγος;

그런가 하면 저 영혼으로부터 입을 통해 목소리와 더불어

나오는 흐름은 말이라고 불렸지?

ΘΕΑΙ. Ἀληθῆ.

참으로 그렇습니다.

ΞΕ. Καὶ μὴν ἐν λόγοις γε αὖ ἴσμεν ἐνὸν―                                              10

게다가 이번엔 말들 안에서도 우리는 그 안에 있는 것을 

보았으니―

ΘΕΑΙ. Τὸ ποῖον;

어떤 것을요?

ΞΕ. Φάσιν τε καὶ ἀπόφασιν.

주장과 부정을 말일세.

ΘΕΑΙ. Ἴσμεν.

보았네요.

ΞΕ. Ὅταν οὖν τοῦτο ἐν ψυχῇ κατὰ διάνοιαν ἐγγίγνηται                   264a

μετὰ σιγῆς, πλὴν δόξης ἔχεις ὅτι προσείπῃς αὐτό;

그러니 이런 것이 영혼 안에 생각을 따라 침묵과 더불어

생겨날 경우, 자네가 그것을 부를 것이 믿음 말고 있는가?

ΘΕΑΙ. Καὶ πῶς;

또 어찌 그렇겠습니까?

ΞΕ. Τί δ᾿ ὅταν μὴ καθ᾿ αὑτὸ ἀλλὰ δι᾿ αἰσθήσεως παρῇ

τινι, τὸ τοιοῦτον αὖ πάθος ἆρ᾿ οἷόν τε ὀρθῶς εἰπεῖν ἕτερον τι                   5

πλὴν φαντασίαν;

그런데 [긍정과 부정이] 그 자체로 그런 게 아니라 

지각을 통해서 누군가에게 곁해 있을 경우, 이번엔 이런 상태가

혹시 인상 말고 다른 무엇이라고 이야기하는 게 옳을 수가 있겠나?

ΘΕΑΙ. Οὐδέν.

전혀요.

ΞΕ. Οὐκοῦν ἐπείπερ λόγος ἀληθὴς ἦν καὶ ψευδής,

τούτων δ᾿ ἐφάνη διάνοια μὲν αὐτῆς πρὸς ἑαυτὴν ψυχῆς

διάλογος, δόξα δὲ διανοίας ἀποτελεύτησις, "φαίνεται"                           b

δὲ ὃ λέγομεν σύμμειξις αἰσθήσεως καὶ δόξης, ἀνάγκη δὴ

καὶ τούτων τῷ λόγῳ συγγενῶν ὄντων ψευδῆ γε αὐτῶν ἔνια

καὶ ἐνίοτε εἶναι.

그러니 만일 정말로 말이 참으로도 있고 거짓으로도 있다면,

그런데 그것들 중 생각은 영혼 자신의 자기 자신을 상대로 한

대화로 드러났고, 믿음은 생각의 결론으로, 또 우리가 "나타난다"

라고 말하는 것은 지각과 믿음의 섞임으로 드러났다면, 나아가

이것들이 말과 동류인 것들로 있기에 그것들 중 일부가 때때로

거짓으로는 있음이 필연적이라네.

ΘΕΑΙ. Πῶς δ᾿ οὔ;                                                                              5

어찌 아니겠습니까?

ΞΕ. Κατανοεῖς οὖν ὅτι πρότερον ηὑρέθη ψευδὴς δόξα

καὶ λόγος ἢ κατὰ τὴν προσδοκίαν ἣν ἐφοβήθημεν ἄρτι, μὴ

παντάπασιν ἀνήνυτον ἔργον ἐπιβαλλοίμεθα ζητοῦντες

αὐτό;

그렇다면 자네는 방금 우리가 두려워하던 예상에 따른 것보다

더 먼저 거짓 믿음과 거짓 말이 발견되었다는 것을 알아보겠나?

그걸 추적하면서 우리가 도무지 이룰 수 없는 일에 뛰어든 건

아닐까 두려워하던 그 예상에 따른 것보다 말일세.

ΘΕΑΙ. Κατανοῶ.                                                                               10

알겠습니다.


-蟲-


ΞΕ. Ὅτ᾿ οὖν δὴ τὰ μὲν ἡμῖν τῶν γενῶν ὡμολόγηται

κονωνεῖν ἐθέλειν ἀλλήλοις, τὰ δὲ μή, καὶ τὰ μὲν ἐπ᾿

ὀλίγον, τὰ δ᾿ ἐπὶ πολλά, τὰ δὲ καὶ διὰ πάντων οὐδὲν                        10

κωλύειν τοῖς πᾶσι κεκοινωνηκέναι, τὸ δὴ μετὰ τοῦτο συν-               c

επισπώμεθα τῷ λόγῳ τῇδε σκοποῦντες, μὴ περὶ πάντων

τῶν εἰδῶν, ἵνα μὴ ταραττώμεθα ἐν πολλοῖς, ἀλλὰ προ-

ελόμενοι τῶν μεγίστων λεγομένων ἄττα, πρῶτον μὲν ποῖα

ἕκαστά ἐστιν, ἔπειτα κοινωνίας ἀλλήλων πῶς ἔχει δυνά-                    5

μεως, ἵνα τό τε ὂν καὶ μὴ ὂν εἰ μὴ πάσῃ σαφηνείᾳ δυνάμ-

εθα λαβεῖν, ἀλλ᾿ οὖν λόγου γε ἐνδεεῖς μηδὲν γιγνώμεθα

περὶ αὐτῶν, καθ᾿ ὅσον ὁ τρόπος ἐνδέχεται τῆς νῦν

σκέψεως, ἐὰν ἄρα ἡμῖν πῃ παρεικάθῃ τὸ μὴ ὂν λέγουσιν ὡς              d

ἔστιν ὄντως μὴ ὂν ἀθῴοις ἀπαλλάττειν.

그러므로 우리에게 유들 중 한편은 서로와 공유하려 하고,

다른 한편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 동의되었고, 일부는 소수를

두고, 일부는 여럿들을 두고 그리하며, 또 일부는 모든 것들을

관통하여서까지 모든 것들과 공유해 있는 걸 아무것도 가로막지

않다는 것이 동의되었기 때문에, 그래서 이 다음으로 우리는 그

논리를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고찰하면서 함께 좇도록 하세, 모든

형상들에 관련하여서가 아니라, 많은 형상들 사이에서 우리가

곤란을 겪지 않게끔, 차라리 논의된 가장 중요한 것들 중

일부를 선택하여, 우선은 각각의 것들이 어떤 것들로 있는지,

다음으로 서로간의 공유 능력을 어떻게 견지하는지를, 있는 것도

또 있지 않은 것도 우리가 만일 전적인 확실성으로 파악할

능력이 없다면, 그렇다면 차라리 그것들에 관한 말에 대해서

만큼은, 지금의 탐구 방식이 허용하는 한에서, 우리가 아무런 

부족함이 없도록, 그래서 어떤 식으로든 우리가 있지 않은 것이 

있는 그대로 있지 않은 것으로 있다고 무고하게 말하며 빠져나갈

여지가 있다면 말이네.

ΘΕΑΙ. Οὐκοῦν χρή.

그야 그래야만 하지 않나 합니다.

ΞΕ. Μέγιστα μὴν τῶν γενῶν ἃ νυνδὴ διῇμεν τό τε ὂν

αὐτὸ καὶ στάσις καὶ κίνησις.                                                          5

물론 우리가 방금 거쳐온 유들 중 가장 중요한 것들은 

있는 것 그 자체와 정지와 운동이지.

ΘΕΑΙ. Πολύ γε.

무척이나 그렇습니다.

ΞΕ. Καὶ μὴν τώ γε δύο φαμὲν αὐτοῖν ἀμείκτω πρὸς

ἀλλήλω.

그런가 하면 우리는 적어도 둘은 그것들 서로를 향해

섞이지 않는 것들이라 주장했다네.

ΘΕΑΙ. Σφόδρα γε.

더할 나위 없이요.

ΞΕ. Τὸ δέ γε ὂν μεικτὸν ἀμφοῖν· ἐστὸν γὰρ ἄμφω που.                        10

그런데 있는 것은 양자 모두와 섞이는 것이라 주장했지.

왜냐하면 아마 양쪽 다 있으니까.

ΘΕΑΙ. Πῶς δ᾿ οὔ;

어찌 아니겠습니까?

ΞΕ. Τρία δὴ γίγνεται ταῦτα.

그래서 이것들은 셋이 된다네.

ΘΕΑΙ. Τί μήν;

왜 아니겠습니까?

ΞΕ. Οὐκοῦν αὐτῶν ἕκαστον τοῖν μὲν δυοῖν ἕτερόν ἐστιν,

αὐτὸ δ᾿ ἑαυτῷ ταὐτόν.                                                                 15

그렇다면 이것들 각각은 두 가지 것들과는 다른 것으로 있고,

그 자체는 자신과 같은 것으로 있지 않나 하네.

ΘΕΑΙ. Οὕτως.                                                                          e

그렇지요.

ΞΕ. Τί ποτ᾿ αὖ ἂν νῦν οὕτως εἰρήκαμεν, τό τε "ταὐτόν"

καὶ "θάτερον"; πότερα δύο γένη τινὲ αὖ ταύτω, τῶν μὲν

τριῶν ἄλλω, συμμειγνυμένω μὴν ἐκείνοις ἐξ ἀνάγκης ἀεί,

καὶ περὶ πέντε ἀλλ᾿ οὐ περὶ τριῶν ὡς ὄντων αὐτῶν                            5

σκεπτέον, ἢ τό τε ταὐτὸν τοῦτο καὶ θάτερον ὡς ἐκείνων τι          255a

προσαγορεύοντες λανθάνομεν ἡμᾶς αὐτούς;

이번엔 지금 우리가 그렇게 말한 것, "같은 것"과 "다른 것"이란

것은 도대체 무엇이겠나? 이번엔 이런 것들이 어떤 두 유들이고,

저 셋 이외의 둘인가? 이 둘이 물론 저 셋과 필연을 통해 언제나

함께 섞임에도? 그래서 그것들이 있다고 보고 셋에 관해서가

아니라 다섯에 관하여 검토해야만 하는가? 아니면 이러한 같은

것과 다른 것이라는 것을 우리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저것들 중

어떤 것으로 우리가 부르고 있는가?

ΘΕΑΙ. Ἴσως.

그럴 것 같습니다.

ΞΕ. Ἀλλ᾿ οὔ τι μὴν κίνησίς γε καὶ στάσις οὔθ᾿ ἕτερον

οὔτε ταὐτόν ἐστι.                                                                        5

하지만 물론 적어도 운동과 정지는 다른 것으로도 같은

것으로도 있지 않지.

ΘΕΑΙ. Πῶς;

어째서요?

ΞΕ. Ὅτιπερ ἂν κοινῇ προσείπωμεν κίνησιν καὶ στάσιν,

τοῦτο οὐδέτερον αὐτοῖν οἷόν τε εἶναι.

무엇이든지 간에 우리가 운동과 정지에 공통되게 덧붙여

부를 것, 그것은 그 둘 중 어느 한쪽으로도 있을 수 없는

것이라네.

ΘΕΑΙ. Τί δή;

그래서 무엇을 말씀하십니까?

ΞΕ. Κίνησίς τε στήσεται καὶ στάσις αὖ κινηθήσεται·                             10

περὶ γὰρ ἀμφότερα θάτερον ὁποτερονοῦν γιγνόμενον

αὐτοῖν ἀναγκάσει μεταβάλλειν αὖ θάτερον ἐπὶ ταὐναντίον

τῆς αὑτοῦ φύσεως, ἅτε μετασχὸν τοῦ ἐναντίου.                             b

이번엔 운동도 정지할 테고 정지도 운동할 걸세. 왜냐하면

양자 모두에 관하여 그 둘 중 어느 쪽이든 다른 것으로 됨으로써

이번엔 다른 것이 그 자신의 본성과 반대되는 쪽으로 변하도록

강제할 걸세, 반대되는 것에 참여하는 한에서 말이지.

ΘΕΑΙ. Κομιδῇ γε.

정확히 그렇습니다.

ΞΕ. Μετέχετον μὴν ἄμφω τοὐτοῦ καὶ θατέρου.

물론 양자 모두 같은 것과 다른 것에 참여하지.

ΘΕΑΙ. Ναί.

네.

ΞΕ. Μὴ τοίνυν λέγωμεν κίνησίν γ᾿ εἶναι ταὐτὸν ἢ                              5

θάτερον, μηδ᾿ αὖ στάσιν.

그러니까 적어도 운동은 같은 것 혹은 다른 것으로

있다고, 또 이번엔 정지 역시 그렇다고 말하지 말도록 

하세.

ΘΕΑΙ. Μὴ γάρ.

그리 말하지 않을 테니까요.

ΞΕ. Ἀλλ᾿ ἆρα τὸ ὂν καὶ τὸ ταὐτὸν ὡς ἕν τι διανοητέον

ἡμῖν;

허나 혹시 있는 것과 같은 것이 어떤 하나로서 우리에게

사유되어야만 하는가?

ΘΕΑΙ. Ἴσως.                                                                              10

그럴 것 같습니다.

- is가 동일성기호와 혼동되던 앞서의 맥락이 있었다고 한다면,

이러한 대답이 가능한 이유를 추정해 볼 수 있다.

ΞΕ. Ἀλλ᾿ εἰ τὸ ὂν καὶ τὸ ταὐτὸν μηδὲν διάφορον

σημαίνετον, κίνησιν αὖ πάλιν καὶ στάσιν ἀμφότερα εἶναι

λέγοντες ἀμφότερα οὕτως αὐτὰ ταὐτὸν ὡς ὄντα προσεροῦ-              c

μεν.

하지만 만일 있는 것과 같은 것이 하나도 차이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면, 이번엔 다시 운동과 정지 양자 모두를

있다고 말하면서 우리는 그런 식으로 바로 그 양자 모두를 

있는 것들로서 같은 것으로 부른 것이라네.

- "있다"가 일의적이고 "같다"가 자기동일성으로 이해된다면

  "있는 것"도 자기동일성을 갖는다. 그런데 "있다"와 "같다"가

  아무런 차이도 없다면, 그리고 정지도 있고 운동도 있다면,

  정지가 있는 것으로서 자기동일한 것(있는 것의 자기동일성)이고

  운동도 있는 것으로서 자기동일한 것(있는 것의 자기동일성)이다.

  정지의 정지로서 자기 자신과 같음과 운동의 운동으로서 자기 자신과 같음 사이에

  이 차이와 구분이 살아남지 못한다.

- (a) 운동이 있는 것으로 "있다." (a-1)"있다"가 동일성기호의 의미로 이해될 경우 (a-2) 운동은 있는 것과 "같다." Stasis "is" a Being(is). → Stasis "is the same with" a Being.

  (b) 정지가 있는 것으로 "있다." *b-1)"있다"가 동일성기호의 의미로 이해될 경우 (b-2) 정지가 있는 것과 "같다. Kinesis "is" a Being(is). → Kinesis "is the same with" a Being.

  (c) 운동도 있는 것과 같고, 정지도 있는 것과 같으므로, 운동과 정지는 있는 것들로서는 서로도 같다. Stasis and Kinesis "is the same thing" as beings.


ΘΕΑΙ. Ἀλλὰ μὴν τοῦτό γε ἀδύνατον.

허나 물론 이건 불가능한 일입니다.

ΞΕ. Ἀδύνατον ἄρα ταὐτὸν καὶ τὸ ὂν ἓν εἶναι.

그래서 같은 것과 있는 것이 하나로 있기는 불가능하네.

ΘΕΑΙ. Σχεδόν.                                                                             5

거의 불가능하죠.

ΞΕ. Τέταρτον δὴ πρὸς τοῖς τρισὶν εἴδεσιν τὸ ταὐτὸν

τιθῶμεν;

그럼 세 형상들에 더하여 같은 것을 네 번째 것으로

정할까?

ΘΕΑΙ. Πάνυ μὲν οὖν.

확실히 그렇습니다.

ΞΕ. Τί δέ; τὸ θάτερον ἆρα ἡμῖν λεκτέον πέμπτον; ἢ

τοῦτο καὶ τὸ ὂν ὡς δύ᾿ ἄττα ὀνόματα ἐφ᾿ ἑνὶ γένει διανοεῖ-                  10

σθαι δεῖ;

그런데 어떤가? 혹시 다른 것을 우리는 다섯 번째 것으로

말해야만 할까? 아니면 이것과 있는 것을 하나의 유를 놓고

어떤 두 이름들로 생각해야 하는 것이겠나?

ΘΕΑΙ. Τάχ᾿ ἄν.

어쩌면요.

ΞΕ. Ἀλλ᾿ οἶμαί σε συγχωρεῖν τῶν ὄντων τὰ μὲν αὐτὰ

καθ᾿ αὑτά, τὰ δὲ πρὸς ἄλλα ἀεὶ λέγεσθαι.                                          15

하지만 나는 자네가 있는 것들 중 어떤 것들은 그 자체로,

또 어떤 것들은 여타의 것들에 대하여 항상 말해진다고

동의한다 생각한다네.

ΘΕΑΙ. Τί δ᾿ οὔ;

왜 아니겠습니까?

ΞΕ. Τὸ δέ γ᾿ ἕτερον ἀεὶ πρὸς ἕτερον· ἦ γάρ;                                      d

그렇긴 하지만 다른 것은 항상 다른 것에 대해서이고. 

그렇지 않나?

ΘΕΑΙ. Οὕτως.

그렇습니다.

ΞΕ. Οὐκ ἄν, εἰ γε τὸ ὂν καὶ τὸ θάτερον μὴ πάμπολυ

διεφερέτην· ἀλλ᾿ εἴπερ θάτερον ἀμφοῖν μετεῖχε τοῖν εἰδοῖν

ὥσπερ τὸ ὄν, ἦν ἄν ποτέ τι καὶ τῶν ἑτέρων ἕτερον οὐ πρὸς                   5

ἕτερον· νῦν δὲ ἀτεχνῶς ἡμῖν ὅτιπερ ἂν ἕτερον ᾖ, συμβέ-

βηκεν ἐξ ἀνάγκης ἑτέρου τοῦτο ὅπερ ἐστὶν εἶναι.

적어도 만일 있는 것과 다른 것이 완전히 차이나지 않았더라면, 

그렇지 않았겠지. 하지만 만일 정말로 다른 것이 마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양쪽 종류의 것들 모두에 참여했더라면, 다른 것들 

중에서도 도대체 어떤 것이든 다른 것에 대한 것이 아닌 다른 것으로 

있었겠지. 반면 사실은 우리에겐 다른 게 무엇이든지, 그것으로 있는 

바로 그것은 다른 것에 대한 것으로 있음이 필연적 귀결이라네.         //200520

ΘΕΑΙ. Λέγεις καθάπερ ἔχει.

상황 그대로 말씀해주시는군요.

ΞΕ. Πέμπτον δὴ τὴν θατέρου φύσιν λεκτέον ἐν τοῖς

εἴδεσιν οὖσαν οἷς προαιρούμεθα.                                                  e

그래서 다른 것의 본성은 우리가 고른 형상들 사이에서

다섯 번째 것으로 있다고 말해야만 한다네.

ΘΕΑΙ. Ναί.

네.

ΞΕ. Καὶ διὰ πάντων γε αὐτὴν αὐτῶν φήσομεν εἶναι

διεληλυθυῖαν· ἓν ἕκαστον γὰρ ἕτερον εἶναι τῶν ἄλλων οὐ

διὰ τὴν αὑτοῦ φύσιν, ἀλλὰ διὰ τὸ μετέχειν τῆς ἰδέας τῆς                        5

θατέρου.

게다가 우리는 그 모든 형상들을 그 본성이 관통한 채로

있노라고 주장할 걸세. 왜냐하면 각기 하나가 여타의 것들과

다른 것으로 있는 것은 그 자신의 본성으로 인해서가 아니라,

다른 것이라는 형상에의 참여로 인해서라고 주장할 것이기

때문이지.

ΘΕΑΙ. Κομιδῇ μὲν οὖν.

정확히 그렇습니다.

ΞΕ. Ὧδε δὴ λέγωμεν ἐπὶ τῶν πέντε καθ᾿ ἓν ἀναλαμβά-

νοντες.

그럼 그 다섯 가지 것들을 놓고 하나씩 취해가며 이런 식으로

말해 보세.

ΘΕΑΙ. Πῶς;                                                                                  10

어떻게요?

ΞΕ. Πρῶτον μὲν κίνησιν, ὡς ἔστι παντάπασιν ἕτερον

στάσεως. ἢ πῶς λέγομεν;

우선은 운동을, 정지와 전적으로 다른 것으로 있다고

하세. 아님 우리가 달리 어찌 말하는가?

ΘΕΑΙ. Οὕτως.

그리 말하지요.

ΞΕ. Οὐ στάσις ἄρ᾿ ἐστίν.

그럼 정지 아닌 것으로 있군.

ΘΕΑΙ. Οὐδαμῶς.                                                                          15

전혀 아닌 식으로요.

ΞΕ. Ἔστι δέ γε διὰ τὸ μετέχειν τοῦ ὄντος.                                 256a

그런가 하면 있는 것에 참여함으로 인해 있다네.

ΘΕΑΙ. Ἔστιν.

있지요.

ΞΕ. Αὖθις δὴ πάλιν ἡ κίνησις ἕτερον ταὐτοῦ ἐστιν.

그럼 또 다시 운동은 같은 것과 다른 것으로 있지.

ΘΕΑΙ. Σχεδόν.

거의 그렇죠.

ΞΕ. Ου ταὐτὸν ἄρα ἐστίν.                                                              5

그럼 같지 않은 것으로 있지.

- ~있지 않다/~아닌 것으로 있다/~가 아니다. 셋 중 어느 것이 맥락과

본의에 더 잘 부합하는가?


ΘΕΑΙ. Οὐ γὰρ οὖν.

그야 아니니까요.

ΞΕ. Ἀλλὰ μὴν αὑτῇ γ᾿ ἦν ταὐτὸν διὰ τὸ μετέχειν αὖ πᾶν

ταὐτοῦ.

그렇긴 하네만, 이번엔 모든 것이 같은 것에 참여함으로 인해, 

적어도 [운동] 자신과는 같은 것으로 있었지.

ΘΕΑΙ. Καὶ μάλα.

더할 나위 없이요.

ΞΕ. Τὴν κίνησιν δὴ ταὐτόν τ᾿ εἶναι καὶ μὴ ταὐτὸν                               10

ὁμολογητέον καὶ οὐ δυσχεραντέον. οὐ γὰρ ὅταν εἴπωμεν

αὐτὴν ταὐτὸν καὶ μὴ ταὐτόν, ὁμοίως εἰρήκαμεν, ἀλλ᾿

ὁπόταν μὲν ταὐτόν, διὰ τὴν μέθεξιν ταὐτοῦ πρὸς ἑαυτὴν                  b

οὕτω λέγομεν, ὅταν δὲ μὴ ταὐτόν, διὰ τὴν κοινωνίαν αὖ

θατέρου, δι᾿ ἣν ἀποχωριζομένη ταὐτοῦ γέγονεν οὐκ ἐκεῖνο

ἀλλ᾿ ἕτερον, ὥστε ὀρθῶς αὖ λέγεται πάλιν οὐ ταὐτόν.

그래서 운동은 같은 것으로도 또 같지 않은 것으로도 있다는 게

합의되어야만 하고 주저되지 않아야만 하네. 왜냐하면 우리가

운동을 같은 것이자 같지 않은 것으로 말할 때, 마찬가지 방식으로

말했던 게 아니라, 같은 것으로 말할 바로 그 경우엔, 자신에 대한

같은 것에의 참여로 인해 우리가 그리 말하고, 반면 같지 않은 것으로

말할 땐, 이번엔 다른 것에의 공유(관계)로 인해, 그 공유로 인해

[운동이] 같은 것으로부터 분리되어 나와 저 [같은] 것이 아니라 

다른 것이 되는 바, 그래서 이번엔 다시 같지 않은 것으로 제대로

말해진 걸세.

ΘΕΑΙ. Πάνυ μὲν οὖν.                                                                    5

그야 물론 그렇습니다.

ΞΕ. Οὐκοῦν κἂν εἴ πῃ μετλάμβανεν αὐτὴ κίνησις

στάσεως, οὐδὲν ἂν ἄτοπον ἦν στάσιμον αὐτὴν προσαγο-

ρεύειν;

그럼 어떤 식으로든 운동 자체가 정지에 참여했더라면야,

그 운동을 정지한 것으로 부르는 일이 전혀 이상할 게 없었겠지?                 //200527

ΘΕΑΙ. Ὀρθότατά γε, εἴπερ τῶν γενῶν συγχωρησό-

μεθα τὰ μὲν ἀλλήλοις ἐθέλειν μείγνυσθαι, τὰ δὲ μή.                            10

가장 제대로 된 것이긴 하겠죠, 만일 정말로 유들에 대해

어떤 것들은 서로 섞이려는 경향이 있지만, 어떤 것들은

그렇지 않다고 우리가 동의할 거라면 말입니다.

ΞΕ. Καὶ μὴν ἐπί γε τὴν τούτου πρότερον ἀπόδειξιν ἢ                       c

τῶν νῦν ἀφικόμεθα, ἐλέγχοντες ὡς ἔστι κατὰ φύσιν ταύτῃ.

게다가 지금 논의들보다 더 앞서 우리는 이에 대한 입증에

이르렀지, 본성에 따라 이런 식으로 있다고 시험하면서.

ΘΕΑΙ. Πῶς γὰρ οὔ;

어찌 아니겠습니까?

ΞΕ. Λέγωμεν δὴ πάλιν· ἡ κίνησίς ἐστιν ἕτερον τοῦ

ἑτέρου, καθάπερ ταὐτοῦ τε ἦν ἄλλο καὶ τῆς στάσεως;                         5

그럼 우리 다시 말할까, 운동은 다른 것과는 다른 것으로

있는데, 마치 같은 것과도 또 정지와도 그 외의 것으로 있듯

그러하다고?

ΘΕΑΙ. Ἀναγκαῖον.

필연적으로요.

ΞΕ. Οὐχ ἕτερον ἄρ᾿ ἐστί πῃ καὶ ἕτερον κατὰ τὸν νυνδὴ

λόγον.

그럼 어떤 식으로 다르지 않은 것으로 있고 또 다른 것으로

있군, 방금 논리에 따라서 말일세.

ΘΕΑΙ. Ἀληθῆ.

참으로 그렇습니다.

ΞΕ. Τί οὖν δὴ τὸ μετὰ τοῦτο; ἆρ᾿ αὖ τῶν μὲν τριῶν                             10

ἕτερον αὐτὴν φήσομεν εἶναι, τοῦ δὲ τετάρτου μὴ φῶμεν,

ὁμολογήσαντες αὐτὰ εἶναι πέντε, περὶ ὧν καὶ ἐν οἷς                        d

προυθέμεθα σκοπεῖν;

그러니 이 다음은 무엇이겠나? 혹시 이번엔 우리가 

운동은 세 가지 것들과는 다른 것으로 있다고 주장할 테지만,

네 번째 것과는 그렇지 않다고 주장하도록 할까? 그것들이

다섯 가지 것들로 있다고 합의하고서도, 그것들에 관해

그리고 그 안에서 검토해 보기로 우리가 제안한 바로 그것들이

말이네.

ΘΕΑΙ. Καὶ πῶς; ἀδύνατον γὰρ συγχωρεῖν ἐλάττω τὸν

ἀριθμὸν τοῦ νυνδὴ φανέντος.

또 어찌 그러겠습니까? 방금 드러난 것보다 더 적은 수에

동의하기란 불가능하니 말이죠.

ΞΕ. Ἀδεῶς ἄρα τὴν κίνησιν ἕτερον εἶναι τοῦ ὄντος                              5

διαμαχόμενοι λέγωμεν;

그럼 우리는 운동이 있는 것과 다른 것으로 있다고

두려움없이 맞서 싸우며 말하도록 할까?

ΘΕΑΙ. Ἀδεέστατα μὲν οὖν.

그야 가장 두려움 없이요.

ΞΕ. Οὐκοῦν δὴ σαφῶς ἡ κίνησις ὄντως οὐκ ὄν ἐστι καὶ

ὄν, ἐπείπερ τοῦ ὄντος μετέχει;

그러니 운동은 정말로 확실하게 있는 그대로 있지 않은 것으로

있고 또 있는 것으로 있지 않나, 정말로 있는 것에 참여한다면?

ΘΕΑΙ. Σαφέστατά γε.                                                                    10

더할 나위 없이 확실하게요.

ΞΕ. Ἔστιν ἄρα ἐξ ἀνάγκης τὸ μὴ ὂν ἐπί τε κινήσεως

εἶναι καὶ κατὰ πάντα τὰ γένη· κατὰ πάντα γὰρ ἡ θατέρου

φύσις ἕτερον ἀπεργαζομένη τοῦ ὄντος ἕκαστον οὐκ ὂν                    e

ποιεῖ, καὶ σύμπαντα δὴ κατὰ ταὐτὰ οὕτως οὐκ ὄντα ὀρθῶς

ἐροῦμεν, καὶ πάλιν, ὅτι μετέχει τοῦ ὄντος, εἶναί τε καὶ

ὄντα.

그럼 있지 않은 것이 운동을 놓고서도 또 모든 유들에 따라서도

있다는 게 필연적이군. 모든 것들에 따라 다름의 본성이 각각의 것을

있는 것과는 다른 것으로 완성시켜냄으로써 있지 않은 것으로

만들고, 더욱이 통틀어 모든 것들이 같은 점들에 따라 그런 식으로

있지 않은 것들이라고 우리가 옳게 말할 것이며, 또 다시금,

있는 것에 참여한다는 점에서, 있기도 하거니와 있는 것들이기도

하다고 옳게 말할 것이니까.

- 처음에는 Differ from F → not-F → Dif-Being → not-Being. by Kang.

ΘΕΑΙ. Κινδυνεύει.                                                                         5

그럴지도 모릅니다.

ΞΕ. Περὶ ἕκαστον ἄρα τῶν εἰδῶν πολὺ μέν ἐστι τὸ ὄν,

ἄπειρον δὲ πλήθει τὸ μὴ ὄν.

그럼 형상들의 각각에 관련하여 있는 것은 많고, 있지 않은

것은 그 수에서 한이 없다네.

ΘΕΑΙ. Ἔοικεν.

그럴 듯합니다.

ΞΕ. Οὐκοῦν καὶ τὸ ὂν αὐτὸ τῶν ἄλλων ἕτερον εἶναι                    257a

λεκτέον.

그러니 있는 것도 그 자체가 여타의 것들과는 다른 것으로

있다고 말해야만 하지 않나 싶네.

ΘΕΑΙ. Ἀνάγκη.

필연적으로요.

ΞΕ. Καὶ τὸ ὂν ἄρ᾿ ἡμῖν, ὅσαπέρ ἐστι τὰ ἄλλα, κατὰ

τοσαῦτα οὐκ ἔστιν· ἐκεῖνα γὰρ οὐκ ὂν ἓν μὲν αὐτό ἐστιν,                     5

ἀπέραντα δὲ τὸν ἀριθμὸν τἆλλα οὐκ ἔστιν αὖ.

그래서 우리에겐 있는 것 또한, 여타의 것들이 있는, 바로

그 만큼 있지 않다네. 왜냐하면 저것들로 있지 않으면서 그

자체는 하나로 있는 반면, 수로 보자면 이번엔 여타의 다른

무한한 것들로 있지 않다네.

ΘΕΑΙ. Σχεδὸν οὕτως.

거의 그렇습니다.                                                                              //200603


- by Kang. e.g. 운동은 참여하는 것들로 있고, 그것들이 운동에 관하여 있다.

                    그런데 운동은 정지와는 아예 섞이지 않는다. 그 외에

                    색, 형태, 기타 여러 섞이지 않는 것들이 있다.

                    이런 식으로 있는 것보다 있지 않은 것이 훨씬 더 많게 만들 수 있지 않나?

                    + a is b. b는 a에 관련한 있는-것에 참여. 

                    

ΞΕ. Οὐκοῦν δὴ καὶ ταῦτα οὐ δυσχεραντέον, ἐπείπερ

ἔχει κοινωνίαν ἀλλήλοις ἡ τῶν γενῶν φύσις. εἰ δέ τις ταῦτα

μὴ συγχωρεῖ, πείσας ἡμῶν τοὺς ἔμπροσθεν λόγους οὕτω                     10

πειθέτω τὰ μετὰ ταῦτα.

그러니 이런 것들도 주저하지 않아야만 하지, 만일 정말로

유들의 본성이 서로와의 공유를 지닌다면 말일세. 그런데 만일

누군가 이런 것들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우리의 앞선 말들을

설복시키고서 그런 식으로 이 다음의 것들도 설복시키라고 하세.

ΘΕΑΙ. Δικαιότατα εἴρηκας.

더할 나위 없이 마땅한 말씀이십니다.

ΞΕ. Ἴδωμεν δὴ καὶ τόδε.                                                            b

그럼 이런 것도 알아보세.

ΘΕΑΙ. Τὸ ποῖον;

어떤 것을요?

ΞΕ. Ὁπόταν τὸ "μὴ ὄν" λέγωμεν, ὡς ἔοικεν, οὐκ

ἐναντίον τι λέγομεν τοῦ ὄντος ἀλλ᾿ ἕτερον μόνον.

"있지 않은 것"이라고 우리가 말할 때마다, 보이기로는,

우리가 있는 것과 반대되는 뭔가를 말한다기 보다는

단지 다른 것을 말할 뿐인 듯하다네.

ΘΕΑΙ. Πῶς;                                                                                  5

어떻게요?

ΞΕ. Οἷον ὅταν εἴπωμέν τι "μὴ μέγα," τότε μᾶλλόν τί

σοι φαινόμεθα τὸ σμικρὸν ἢ τὸ ἴσον δηλοῦν τῷ ῥήματι;

예를 들어 우리가 "크지 않은 것" 같은 뭔가를 이야기할

경우, 이 때 자네에게는 우리가 그 표현(술어, 동사)으로

작은 것을 같은 크기라는 것보다 뭔가 더 표현하는 것처럼

보이는가?

ΘΕΑΙ. Καὶ πῶς;

또 어찌 그렇겠습니까?

ΞΕ. Οὐκ ἄρ᾿, ἐναντίον ὅταν ἀπόφασις λέγηται σημαί-

νειν, συγχωρησόμεθα, τοσοῦτον δὲ μόνον, ὅτι τῶν ἄλλων                    10

τι μηνύει τὸ "μή" καὶ τὸ "οὔ" προτιθέμενα τῶν ἐπιόντων                  c

ὀνομάτων―μᾶλλον δὲ τῶν πραγμάων περὶ ἅττ᾿ ἂν κέηται

τὰ ἐπιφθεγγόμενα ὕστερον τῆς ἀποφάσεως ὀνόματα.

그래서, 부정이 진술될 때 반대를 의미한다는 것을 우리가 동의할

게 아니라, 이만큼만을, 즉 "아닌"이나 "않은" 등이 추가됨으로써

이에 따라오는 이름들 외의 것들 중 어떤 것을 나타낸다는 것,

―차라리 부정 이후에 언표되는 이름들이 그것들에 관련하여

놓일 그 사태들 외의 것들 중 어떤 것을 나타낸다는 것까지만을

동의할 걸세.

ΘΕΑΙ. Παντάπασι μὲν οὖν.

전적으로 그렇습니다.

ΞΕ. Τόδε δὲ διανοηθῶμεν, εἰ καὶ σοὶ συνδοκεῖ.                                    5

그런데, 자네에게도 괜찮아 보인다면, 이런 점을 염두에 두도록 하세.

ΘΕΑΙ. Τὸ ποῖον;

어떤 것을요?

ΞΕ. Ἡ θατέρου μοι φύσις φαίνεται κατακεκερματί-

σθαι καθάπερ ἐπιστήμη.

내겐 다름의 본성이 마치 앎처럼 파편화되었다고 보인다네.

ΘΕΑΙ. Πῶς;

어떻게요?

ΞΕ. Μία μέν ἐστί που καὶ ἐκείνη, τὸ δ᾿ ἐπί τῳ γιγνό-                             10

μενον μέρος αὐτῆς ἕκαστον ἀφορισθὲν ἐπωνυμίαν ἴσχει

τινὰ ἑαυτῆς ἰδίαν· διὸ πολλαὶ τέχναι τ᾿ εἰσὶ λεγόμεναι καὶ                 d

ἐπιστῆμαι.

저 앎도 분명 단일하기는 하나, 뭔가를 놓고 이에 관한 것으로

되는 그 앎의 부분은 각각이 따로 정의됨으로써 제 자신의

어떤 고유한 명칭을 지니지. 이로 인해 여러 기술들과 또한 앎들이

말해지고 있다네.

ΘΕΑΙ. Πάνυ μὲν οὖν.

무척이나 그렇습니다.

ΞΕ. Οὐκοῦν καὶ τὰ τῆς θατέρου φύσεως μόρια μιᾶς

οὔσης ταὐτὸν πέπονθε τοῦτο.                                                          5     ////200610

그러니 다름의 본성의 부분들도 이 본성은 단일하더라도

이와 같은 일을 겪었지 않나 하네.                                                           

ΘΕΑΙ. Τάχ᾿ ἄν· ἀλλὰ πῇ δὴ λέγωμεν;

어쩌면요. 허나 그럼 어떤 방식이라고 말할까요?

ΞΕ. Ἔστι τῷ καλῷ τι θατέρου μόριον ἀντιτιθέμενον;

다름의 어떤 부분인가가 아름다운 것과 맞세워져 있나?

ΘΕΑΙ. Ἔστιν.

그렇죠.

ΞΕ. Τοῦτ᾿ οὖν ἀνώνυμον ἐροῦμεν ἤ τιν᾿ ἔχον ἐπωνυ-

μίαν;                                                                                          10

그렇다면 이런 것을 우리는 무명의 것이라 이야기하나 아니면

어떤 단일한 명칭을 지닌 것이라 말하나?

ΘΕΑΙ. Ἔχον· ὃ γὰρ "μὴ καλόν" ἑκάστοτε φθεγγό-

μεθα, τοῦτο οὐκ ἄλλου τινὸς ἕτερόν ἐστιν ἢ τῆς τοῦ καλοῦ

φύσεως.

지닌 것이라고요. 그야 우리가 경우마다 "아름답지 않은 것"이라고 

언급하는 것, 이건 다름 아니라 아름다운 것의 본성과 다른 것이니까요.

ΞΕ. Ἴθι νυν τόδε μοι λέγε.

자 그럼 이제 이것도 내게 말해주게.

ΘΕΑΙ. Τὸ ποῖον;                                                                        e

어떤 것을요?

ΞΕ. Ἄλλο τι τῶν ὄντων τινὸς ἑνὸς γένους μέρος ἀφο-

ρισθέν, καὶ πρός τι τῶν ὄντων αὖ πάλιν ἀντιτεθέν, οὕτω

συμβέβηκεν εἶναι τὸ μὴ καλόν;

다름 아니라 어떤 것이 있는 것들 중 어느 한 유의 부분으로부터

따로 규정되어서, 이번엔 다시 있는 것들 중 어떤 것을 상대로

맞세워져, 그렇게 아름답지 않은 것으로 있다고 귀결된 게지?

ΘΕΑΙ. Οὕτως.                                                                               5

그런 식으로요.

ΞΕ. Ὄντος δὴ πρὸς ὂν ἀντίθεσις, ὡς ἔοικ᾿, εἶναί τις

συμβαίνει τὸ μὴ καλόν.

그래서 있는 것을 상대로 한 있는 것의 맞세움으로,

보이기로는, 아름답지 않은 것이 그런 어떤 것으로 

있다고 귀결되는 듯하네.

ΘΕΑΙ. Ὀρθότατα.

더할 나위 없이 맞는 말씀이십니다.

ΞΕ. Τί οὖν; κατὰ τοῦτον τὸν λόγον ἆρα μᾶλλον μὲν τὸ

καλὸν ἡμῖν ἐστι τῶν ὄντων, ἧττον δὲ τὸ μὴ καλόν;                              10

그렇다면 어떤가? 이러한 논리에 따라 혹시 아름다운 것은

있는 것들 편에 더 많이 속하는 반면, 아름답지 않은 것은

덜 속하는가?

ΘΕΑΙ. Οὐδέν.

전혀 아닙니다.

ΞΕ. Ὁμοίως ἄρα τὸ μὴ μέγα καὶ τὸ μέγα αὐτὸ εἶναι                    258a

λεκτέον;

그럼 크지 않은 것과 큰 것 자체가 마찬가지로 있다고

말해야만 하지?

ΘΕΑΙ. Ὁμοίως.

마찬가지로요.

ΞΕ. Οὐκοῦν καὶ τὸ μὴ δίκαιον τῷ διακίῳ κατὰ ταὐτὰ

θατέον πρὸς τὸ μηδέν τι μᾶλλον εἶναι θάτερον θατέρου;                    5

그러니 정의롭지 않은 것도 정의로운 것과 같은 방식으로

한 쪽이 다른 쪽보다 전혀 조금도 더 있지는 않다고

놓아야만 하지 않나?

ΘΕΑΙ. Τί μήν;

왜 아니겠습니까?

ΞΕ. Καὶ τἆλλα δὴ ταύτῃ λέξομεν, ἐπείπερ ἡ θατέρου

φύσις ἐφάνη τῶν ὄντων οὖσα, ἐκείνης δὲ οὔσης ἀνάγκη δὴ

καὶ τὰ μόρια αὐτῆς μηδενὸς ἧττον ὄντα τιθέναι.

더 나아가 우리는 여타의 것들도 그런 식으로 말할 걸세, 만일

정말로 다름의 본성이 있는 것들에 속해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면, 저 본성이 있기에 더욱이 그 본성의 부분들도

그 어느 것보다도 덜 있지는 않은 것들로 놓는 게 필연적라면

말일세.

ΘΕΑΙ. Πῶς γὰρ οὔ;                                                                       10

그야 어찌 아니겠습니까?

ΞΕ. Οὐκοῦν, ὡς ἔοικεν, ἡ τῆς θατέρου μορίου φύσεως

καὶ τῆς τοῦ ὄντος πρὸς ἄλληλα ἀντικειμένων ἀντίθεσις                    b

οὐδὲν ἧττον, εἰ θέμις εἰπεῖν, αὐτοῦ τοῦ ὄντος οὐσία ἐστίν,

οὐκ ἐναντίον ἐκείνῳ σημαίνουσα ἀλλὰ τοσοῦτον μόνον,

ἕτερον ἐκείνου.

그렇다면, 보이기로는, 다름의 부분의 본성 그리고 있는 것의

부분의 본성이 서로를 향해 맞놓인 그 맞세움은, 적법하게

말하자면, 있는 것 자체에 전혀 못지 않게 있는 것으로 있는

듯하네, 저것과 반대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이만큼만을, 저것과 다른 것만큼만을 의미하는 것이기에 말일세.


ΘΕΑΙ. Σαφέστατά γε.                                                                    5

더할 나위 없이 확실하게 말이죠.

ΞΕ. Τίν᾿ οὖν αὐτὴν προσείπωμεν;

그러니 그 맞세움을 우리가 무어라 부를까?

ΘΕΑΙ. Δῆλον ὅτι τὸ μὴ ὄν, ὃ διὰ τὸν σοφιστὴν ἐζη-

τοῦμεν, αὐτό ἐστι τοῦτο.

있지 않은 것, 소피스트 때문에 우리가 추적하던 바,

이것이 바로 그것이라는 점이 분명합니다.

ΞΕ. Πότερον οὖν, ὥσπερ εἶπες, ἔστιν οὐδενὸς τῶν

ἄλλων οὐσίας ἐλλειπόμενον, καὶ δεῖ θαρροῦντα ἤδη λέγειν                  10

ὅτι τὸ μὴ ὂν βεβαίως ἐστὶ τὴν αὑτοῦ φύσιν ἔχον, ὥσπερ τὸ

μέγα ἦν μέγα καὶ τὸ καλὸν ἦν καλὸν καὶ τὸ μὴ μέγα <μὴ                 c

μέγα> καὶ τὸ μὴ καλὸν <μὴ καλόν>, οὕτω δὲ καὶ τὸ μὴ ὂν

κατὰ ταὐτὸν ἦν τε καὶ ἔστι μὴ ὄν, ἐνάριθμον τῶν πολλῶν

ὄντων εἶδος ἕν; ἢ τινα ἔτι πρὸς αὐτό, ὦ Θεαίτητε, ἀπιστίαν

ἔχομεν;                                                                                      5

그러니, 자네가 얘기하던 대로, [있지 않은 것은] 여타의 것들 중

무엇에 비해서도 전혀 있음을 결여하지 않은 것으로 있고,

그래서 있지 않은 것이 확고하게 그 자신의 본성을 지닌 것으로서

있기를, 마치 큰 것이 큰 것으로 있었고 아름다운 것이 아름다운

것으로 있었으며 또 크지 않은 것도 <크지 않은 것으로 있었고> 

아름답지 않은 것도 <아름답지 않은 것으로 있었던> 그런 것처럼, 

그런 식으로 있지 않은 것도 같은 점에 따라 있지 않은 것으로 

있었거니와 있기도 하며, 여러 있는 것들 중 한 형상으로 셈해

넣어지는 것이라는 점을 이제는 당당하게 말해야 하는 것일까?

아니면 그 점에 대해 아직, 테아이테토스, 모종의 불신을 우리가

품고 있는가?

ΘΕΑΙ. Οὐδεμίαν.

아무런 불신도 품지 않고 있습니다.

ΞΕ. Οἶσθ᾿ οὖν ὅτι Παρμενίδῃ μακροτέρως τῆς ἀπορ-

ρήσεως ἠπιστήκαμεν;

그렇다면 자네 우리가 파르메니데스님의 금지로부터 

한참 더 멀리까지 그 분께 거역하였다는 점을 알겠는가?

ΘΕΑΙ. Τί δή;

무슨 말씀이십니까?

ΞΕ. Πλεῖον ἢ ᾿κεῖνος ἀπεῖπε σκοπεῖν, ἡμεῖς εἰς τὸ                                 10

πρόσθεν ἔτι ζητήσαντες ἀπεδείξαμεν αὐτῷ.

저 분께서 고찰하기를 금지하셨던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우리가 여전히 더 앞을 향해 추구함으로써 그 분께 

제시해 드렸다네.

ΘΕΑΙ. Πῶς;

어째서 그런가요?

ΞΕ. Ὅτι ὁ μέν πού φησιν―                                                        d

그 분께서는 분명 말씀하셨지―

Οὐ γὰρ μή ποτε τοῦτο δαμῇ, εἶναι μὴ ἐόντα,

ἀλλὰ σὺ τῆσδ᾿ ἀφ᾿ ὁδοῦ διζήσιος εἶργε νόημα.

"이러한 일이 결코 고려되지 않도록, 있지 않은 것들이 있다는 것이,

오히려 그대가 여기 이 탐구의 길로부터 사유를 차단하라.                    //200617 (d3)


ΘΕΑΙ. Λέγει γὰρ οὖν οὕτως.

그야 그리 말씀하시니까요.

ΞΕ. Ἡμεῖς δέ γε οὐ μόνον τὰ μὴ ὄντα ὡς ἔστιν ἀπεδεί-                          5

ξαμεν, ἀλλὰ καὶ τὸ εἶδος ὃ τυγχάνει ὂν τοῦ μὴ ὄντος

ἀπεφηνάμεθα· τὴν γὰρ θατέρου φύσιν ἀποδείξαντες οὖσάν

τε καὶ κατακεκερματισμένην ἐπὶ πάντα τὰ ὄντα πρὸς                      e

ἄλληλα, τὸ πρὸς τὸ ὂν ἕκαστον μόριον αὐτῆς ἀντιτιθέμενον

ἐτολμήσαμεν εἰπεῖν ὡς αὐτὸ τοῦτό ἐστιν ὄντως τὸ μὴ ὄν.

그런가 하면 우리는 있지 않은 것들이 있다고 제시해

보인 것만이 아니라, 마침 있지 않은 것에 속해 있는 바

그 형상까지도 드러내 보였다네. 다름의 본성이 있거니와

이것이 서로를 향한 모든 있는 것들을 놓고 파편화되어

들어가 있음을 드러내 보임으로써, 각각의 것으로 있는

것을 상대로 맞세워진 그 [다름의] 본성의 부분이 이것 자체로

있는 그대로 있지 않은 것으로 있다고 이야기하길 감행하였으니

말이지.

- πρὸς ἄλληλα는 (1) τὰ ὄντα을 수식하는 것인가,

                       (2) κατακεκερματισμένην에 부사적으로 결합하는가?

  어느 경우든, 비교 상황 하에서만 다름이 적용된다는 의미는 달라지지 않을 듯.

  그러나 (2)의 경우 경우 'pros allo' ta onta와 'kath' auto' ta onta의 구분, 그리고 이 중

  후자에만 pros allo heteron이 적용된느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ΘΕΑΙ. Καὶ παντάπασί γε, ὦ ξένε, ἀληθέστατά μοι

δοκοῦμεν εἰρηκέναι.                                                                     5

그런 데다가, 손님, 제게는 우리가 전적으로 더할 나위 없이

바른 말을 했다고 여겨집니다.

ΞΕ. Μὴ τοίνυν ἡμᾶς εἴπῃ τις ὅτι τοὐναντίον τοῦ ὄντος

τὸ μὴ ὂν ἀποφαινόμενοι τολμῶμεν λέγειν ὡς ἔστιν. ἡμεῖς

γὰρ περὶ μὲν ἐναντίου τινὸς αὐτῷ χαίρειν πάλαι λέγομεν,

εἴτ᾿ ἔστιν εἴτε μή, λόγον ἔχον ἢ καὶ παντάπασιν ἄλογον· ὃ           259a

δὲ νῦν εἰρήκαμεν εἶναι τὸ μὴ ὄν, ἢ πεισάτω τις ὡς οὐ

καλῶς λέγομεν ἐλέγξας, ἢ μέχριπερ ἄν ἀδύνατῇ, λεκτέον

καὶ ἐκείνῳ καθάπερ ἡμεῖς λέγομεν, ὅτι συμμείγνυταί τε

ἀλλήλοις τὰ γένη καὶ τό τε ὂν καὶ θάτερον διὰ πάντων καὶ                   5

δι᾿ ἀλλήλων διεληλυθότε τὸ μὲν ἕτερον μετασχὸν τοῦ ὄντος

ἔστι μὲν διὰ ταύτην τὴν μέθεξιν, οὐ μὴν ἐκεῖνό γε οὗ

μετέσχεν ἀλλ᾿ ἕτερον, ἕτερον δὲ τοῦ ὄντος ὂν ἔστι

σαφέστατα ἐξ ἀνάγκης εἶναι μὴ ὄν· τὸ δὲ ὂν αὖ θατέρου                   b

μετειληφὸς ἕτερον τῶν ἄλλων ἂν εἴη γενῶν, ἕτερον δ᾿

ἐκείνων ἁπάντων ὂν οὐκ ἔστιν ἕκαστον αὐτῶν οὐδὲ

σύμπαντα τὰ ἄλλα πλὴν αὐτό, ὥστε τὸ ὂν ἀναμ-

φισβητήτως αὖ μυρία ἐπὶ μυρίοις οὐκ ἔστι, καὶ τἆλλα δὴ                      5

καθ᾿ ἕκαστον οὕτω καὶ σύμπαντα πολλαχῇ μὲν ἔστι, πολ-

λαχῇ δ᾿ οὐκ ἔστιν.

그러니 누군가 우리 보고 있지 않은 것을 있는 것에 반대되는

것으로 드러내 보이면서 그것이 있다고 말하려 감행했다고

이야기하지는 못하게 하세. 왜냐하면 우리는 그 있는 것에

반대되는 무언가에 관하여서는 진작에 작별을 고하였으니,

그게 있든 그렇지 않든, 말이 되든 전적으로 말이 되지 않든

말일세. 그런데 지금 우리가 있지 않은 것이 그것으로 있다고

말하는 바의 것을 두고서는, 우리가 훌륭하지 못하게 논했다고

누가 논박하여 설득을 하든지, 그렇지 않고 그럴 능력이 없는

한에서라면, 저 사람 역시 우리가 말하는 그대로 말해야만

하네, 유들이 서로 함께 섞이며 있는 것도 다른 것도 모든 것들을

통하여 또한 서로를 통하여 관통해 있기에 다른 것은 있는 것에

참여하여 이러한 참여로 인해서는 있지만, 물론 그 참여 대상인

바의 저것은 아니고 다른 것으로 있는 반면, 있는 것과는 다른

것으로 있음으로써 있지 않은 것으로서 있음이 가장 확실하게

필연적이라는 것을 말일세. 반면 이번엔 있는 것은 다른 것에

관여함으로써 여타의 유들과 다른 것으로서 있을 것인데,

저 모든 것들과는 다른 것으로 있음으로써 그것들 각각으로

있지도 않고 자신 말고는 여타의 모든 것들로도 있지 않으며,

그래서 있는 것이 이번엔 가타부타할 것 없이 수 많은 것들을

두고 수 많은 것들로 있지 않으며, 게다가 여타의 것들도 각각에

따라 그런 식으로 여러 차례 온갖 것들로 있는가 하면, 여러 번

있지 않다고.

ΘΕΑΙ. Ἀληθῆ.

참된 말씀이십니다.

ΞΕ. Καὶ ταύταις δὴ ταῖς ἐναντιώσεσιν εἴτε ἀπιστεῖ τις,

σκεπτέον αὐτῷ καὶ λεκτέον βέλτιόν τι τῶν νῦν εἰρημένων·                    10

εἴτε ὥς τι χαλεπὸν κατανενοηκὼς χαίρει τοτὲ μὲν ἐπὶ                        c

θάτερα τοτὲ δ᾿ ἐπὶ θάτερα τοὺς λόγους ἕλκων, οὐκ ἄξια

πολλῆς σπουδῆς ἐσπούδακεν, ὡς οἱ νῦν λόγοι φασί. τοῦτο

μὲν γὰρ οὔτε τι κομψὸν οὔτε χαλεπὸν εὑρεῖν, ἐκεῖνο δ᾿ ἤδη

καὶ χαλεπὸν ἅμα καὶ καλόν.                                                            5

더 나아가 누군가 이러한 모순들을 불신한다면, 그는 지금

이야기된 것들보다 더 나은 무언가를 모색해야만 하고 또

말해야만 한다네. 또 뭔가 어려운 것을 알아냈다고 생각하며

때마다 이러저러한 서로 다른 것들에다가 논의들을 끌어들이길

즐거워한다면, 그다지 열중할 가치가 없는 일에 열중한 것이지,

지금의 논의들이 주장하는 바대로 말일세. 왜냐하면 이게 무슨

복잡미묘한 것을 발견한 것도 어려움을 발견한 것도 아니고,

또 저 경우는 이제는 어렵기도 하지만 동시에 아름답기도 한

것이기 때문이라네.

ΘΕΑΙ. Τὸ ποῖον;

어떤 것이요?

ΞΕ. Ὃ καὶ πρόσθεν εἴρηται, τὸ ταῦτα ἐάσαντα ὡς

<παντὶ> δυνατὰ τοῖς λεγομένοις οἷόν τ᾿ εἶναι καθ᾿ ἕκαστον

ἐλέγχοντα ἐπακολουθεῖν, ὅταν τέ τις ἕτερον ὄν πῃ ταὐτὸν

εἶναι φῇ καὶ ὃταν ταὐτὸν ὂν ἕτερον, ἐκείνῃ καὶ κατ᾿ ἐκεῖνο ὅ              d

φησι τούτων πεπονθέναι πότερον. τὸ δὲ ταὐτὸν ἕτερον

ἀποφαίνειν ἁμῇ γέ πῃ καὶ τὸ θάτερον ταὐτὸν καὶ τὸ μέγα

σμικρὸν καὶ τὸ ὅμοιον ἀνόμοιον, καὶ χαίρειν οὕτω

τἀναντία ἀεὶ προφέροντα ἐν τοῖς λόγοις, οὔτε τις ἔλεγχος                      5

οὗτος ἀληθινὸς ἄρτι τε τῶν ὄντων τινὸς ἐφαπτομένου

δῆλος νεογενὴς ὢν.

앞서도 이야기된 바, 이러한 것들을 <모든 것들에게> 가능한

것들로서 허용하고 나면 그 말해지는 바들에 그 각각을 논박하며

따라갈 수 있다는 것이지, 누군가가 다른 것으로 있는

것이 어떤 식으로는 같은 것으로 있다고 주장할 때에도 또

같은 것으로 있는 것이 다른 것으로 [있다고] 주장할 때에도,

그가 그것들 중 어느 한 쪽을 겪었다고 주장하는 바 그 방식으로

또 그것에 따라 그리 주장한다고 말일세. 그런데 같은 것을

적어도 어떤 특정한 방식에서 다른 것으로 드러내 보이는 것

그리고 다른 것을 같은 것으로 또 큰 것을 작은 것으로 그리고

닮은 것을 안 닮은 것으로 내보이는 것, 그런 식으로 언제나

논의 속에 모순들을 가져오기를 즐기는 것은, 이런 사람이

무슨 참된 논박자도 아니고 분명 있는 것들에 갓 접한 누군가의

갓난아이일 게 분명하다네.

ΘΕΑΙ. Κομιδῇ μὲν οὖν.

정확히 그렇습니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