ΣΩ. Δεύτερον δέ γε, ᾧ μήτε προστιθοῖτο μήτε ἀφαι-

ροῖτο, τοῦτο μήτε αὐξάνεσθαί ποτε μήτε φθίνειν, ἀεὶ δὲ

ἴσον εἶναι.

두 번째로는, 그것에서 더하지도 빼지도 않을 것,

그것은 증가되지도 감소되지도 않고, 언제나 같은 만큼이라는

것이지.

ΘΕΑΙ. Κομιδῇ μὲν οὖν.                                                      10

정확히 그렇습니다.

ΣΩ. Ἆρ᾿ οὖν οὐ καὶ τρίτον, ὃ μὴ πρότερον ἦν, ὕστερον          b

ἀλλὰ τοῦτο εἶναι ἄνευ τοῦ γενέσθαι καὶ γίγνεσθαι ἀδύ-

νατον;

그럼 혹시 세 번째로, 이전에는 아니었던 것이, 이후

생성되었음이나 생성됨 없이 이러저러한 것이기는

불가능하다는 것이지 않나?

ΘΕΑΙ. Δοκεῖ γε δή.

실로 그리 여겨지긴 합니다.

ΣΩ. Ταῦτα δή, οἴομαι, ὁμολογήματα τρία μάχεται                   5

αὐτὰ αὑτοῖς ἐν τῇ ἡμετέρᾳ ψυχῇ, ὅταν τὰ περὶ τῶν ἀστρα-

γάλων λέγωμεν, ἢ ὅταν φῶμεν ἐμὲ τηλικόνδε ὄντα, μήτε

αὐξηθέντα μήτε τοὐναντίον παθόντα, ἐν ἐνιαυτῷ σοῦ τοῦ

νέου νῦν μὲν μείζω εἶναι, ὕστερον δὲ ἐλάττω, μηδὲν τοῦ

ἐμοῦ ὄγκου ἀφαιρεθέντος ἀλλὰ σοῦ αὐξηθέντος. εἰμὶ γὰρ        c

δὴ ὕστερον ὃ πρότερον οὐκ ἦ, οὐ γενόμενος· ἄνευ γὰρ τοῦ

γίγνεσθαι γενέσθαι ἀδύνατον, μηδὲν δὲ ἀπολλὺς τοῦ

ὄγκου οὐκ ἄν ποτε ἐγιγνόμην ἐλάττων. καὶ ἄλλα δὴ μυρία

ἐπὶ μυρίοις οὕτως ἔχει, εἴπερ καὶ ταῦτα παραδεξόμεθα.           5

ἕπει γάρ που, ὦ Θεαίτητε· δοκεῖς γοῦν μοι οὐκ ἄπειρος

τῶν τοιούτων εἶναι.

그래서, 내 생각에, 이러한 세 가지 합의들이

우리 두 사람의 영혼 안에서 자신들끼리 싸우는데, 지골구슬들에 관한

일들을 우리가 말할 때 그렇고, 혹은 우리가 나를 이러한 나이라고 이야기할 때,

증가되거나 그 반대의 일을 겪지 않는데도, 올해에 어린 자네보다

지금은 더 크지만, 나중에는 자네보다 더 작은데, 내 규모(크기)는

전혀 감소되지 않지만 자네가 증가되어 그렇다네. 왜냐하면 실로

이후의 나는 앞서의 나이지 않았던 자이고, 생겨난 게 아니면서도 그러니까.

그야 생성됨 없이 생성되었기란 불가능하고, 내가 규모를 전혀 상실하지 않은 채로는

결코 작아지지 못했을 테니까 말일세. 게다가 여타 수많은 것들도 수많은 점에서

사정이 그러한데, 우리가 정말로 받아들인다면 말이야. 아마 자네가 따라오고 있겠지,

테아이테토스. 그야 내게는 자네가 이런 일들에 숙맥은 아니라고 여겨지니까.

ΘΕΑΙ. Καὶ νὴ τοὺς θεούς γε, ὦ Σώκρατες, ὑπερφυῶς

ὡς θαυμάζω τί ποτ᾿ ἐστὶ ταῦτα, καὶ ἐνίοτε ὡς ἀληθῶς

βλέπων εἰς αὐτὰ σκοτοδινιῶ.                                               10

신들께 맹세코, 소크라테스, 저는 이런 일들이 도대체 무슨 일인지

이상하리만치 놀라워하고 있고, 때로는 그것들을 바라보느라

참말로 아뜩해지기까지 합니다.

ΣΩ. Θεόδωρος γὰρ ὅδε, ὦ φίλε, φαίνεται οὐ κακῶς                 d

τοπάζειν περὶ τῆς φύσεώς σου. μάλα γὰρ φιλοσόφου τοῦτο

τὸ πάθος, τὸ θαυμάζειν· οὐ γὰρ ἄλλη ἀρχὴ φιλοσοφίας ἢ

αὕτη, καὶ ἔοικεν ὁ τὴν Ἶριν Θαύμαντος ἔκγονον φήσας οὐ

κακῶς γενεαλογεῖν. ἀλλὰ πότερον μανθάνεις ἤδη δι᾿ ὃ               5

ταῦτα τοιαῦτ᾿ ἐστὶν ἐξ ὧν τὸν Πρωταγόραν φαμὲν λέγειν, ἢ

οὕπω;

그야, 이보게, 여기 이 테오도로스께서 자네의 본성에 관하여

잘못 짐작하지는 않으신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지. 왜냐하면 무엇보다도

그게 철학자가 겪는 것이니까, 놀라워한다는 게 말일세. 이것 외에

달리 철학의 시작이 없고, 이리스(경이)를 타우마스(경이)의 자식이라 말한 이는

계보를 잘못 말하지 않은 듯하니. 하지만 자네 전부터 이미

우리가 프로타고라스의 말이라고 한 것들을 통해 그것들이 이러한 것들이게 되는

게 무엇으로 인해서인지 알고 있는가, 아니면 아직 모르는가?

ΘΕΑΙ. Οὔπω μοι δοκῶ.

아직 모르는 걸로 여겨집니다.

ΣΩ. Χάριν οὖν μοι εἴσῃ ἐάν σοι ἀνδρός, μᾶλλον δὲ

ἀνδρῶν ὀνομαστῶν τῆς διανοίας τὴν ἀλήθειαν ἀποκεκρυμ-      10

μένην συνεξερευνήσωμαι αὐτῶν;                                       e

내가 감사받을 일이 되겠군, 자네에게 사나이의, 특히 

이름난 사내들의 생각에서 감추어진 진리를 

그들에게서 함께 면밀히 고찰해주게 된다면?

ΘΕΑΙ. Πῶς γὰρ οὐκ εἴσομαι, καὶ πάνυ γε πολλήν;

제가 어찌 감사하게 되지 않겠습니까? 그것도 무척이나 크게 말이죠.

ΣΩ. Ἄθρει δὴ περισκοπῶν μή τις τῶν ἀμυήτων

ἐπακούῃ. εἰσὶν δὲ οὗτοι οἱ οὐδὲν ἄλλο οἰόμενοι εἶναι ἢ οὗ

ἂν δύνωνται ἀπρὶξ τοῖν χεροῖν λαβέσθαι, πράξεις δὲ καὶ           5

γενέσεις καὶ πᾶν τὸ ἀόρατον οὐκ ἀποδεχόμενοι ὡς ἐν

οὐσίας μέρει.

그럼 입교하지 않은 자들 중 누가 듣지나 않나 주위를 살피며

주목해 주게. 그런데 이 사람들은 두 손에 꽉 움켜쥘 수

있는 것 말고 다른 것은 아무것도 아니라고(없다고) 생각하고, 

행위와 생성 그리고 눈에 보이지 않는 모든 것을

존재의 일부에 들어가는 것으로 허용하지 않는 자들이라네.

ΘΕΑΙ. Καὶ μὲν δή, ὦ Σώκρατες, σκληρούς γε λέγεις

καὶ ἀντιτύπους ἀνθρώπους.                                         156a

소크라테스, 정말이지 고약하고 고집불통인 인간들을

말씀하시는군요.

ΣΩ. Εἰσὶν γάρ, ὦ παῖ, μάλ᾿ εὖ ἄμουσοι· ἄλλοι δὲ πολὺ

κομψότεροι, ὧν μέλλω σοι τὰ μυστήρια λέγειν. ἀρχὴ δέ,

ἐξ ἧς καὶ ἃ νυνδὴ ἐλέγομεν πάντα ἤρτηται, ἥδε αὐτῶν, ὡς

τὸ πᾶν κίνησις ἦν καὶ ἄλλο παρὰ τοῦτο οὐδέν, τῆς δὲ κινή-       5

σεως δύο εἴδη, πλήθει μὲν ἄπειρον ἑκάτερον, δύναμιν δὲ τὸ

μὲν ποιεῖν ἔχον, τὸ δὲ πάσχειν. 

이보게, 그야 그들이 대단히도 교양머리 없는 자들이기 때문이라네.

그런데 그 외의 사람들은 훨씬 더 세련된 자들이고, 내가 자네에게 말해

주려는 게 그들의 비전이지. 방금 우리가 논하던 그 모든 것도 그로부터

이야기되어 나온 그 출발점은 그들에게는 이와 같은 것인데, 

만물은 변화(운동)란 것이며 이것을 벗어나서는 달리 아무것도 없고, 그 변화의

두 형상이, 다수로는 그 둘 각기 무한하지만, 능력으로는 한편은 행할 수

있는 것, 다른 한편은 겪을 수 있는 것이란 것일세.

ἦν : Philosophical imperfect.

                                          ἐκ δὲ τῆς τούτων ὁμιλίας τε

καὶ τρίψεως πρὸς ἄλληλα γίγνεται ἔκγονα πλήθει μὲν

ἄπειρα, δίδυμα δέ, τὸ μὲν αἰσθητόν, τὸ δὲ αἴσθησις, ἀεὶ             b

συνεκπίπτουσα καὶ γεννωμένη μετὰ τοῦ αἰσθητοῦ. 

                                            그런데 이것들의 교류와

또한 상호간의 마찰로부터 후손들이 생겨나는데 다수로는 

무한하지만, 한 쌍인 것들로, 한편은 감각되는 것이고, 

다른 편은 감각으로 항상 감각되는 것과 함께 빠져 나가고

그것과 함께 산출되는 것이지. 

                                                                    αἱ μὲν

οὖν αἰσθήσεις τὰ τοιάδε ἡμῖν ἔχουσιν ὀνόματα, ὄψεις τε

καὶ ἀκοαὶ καὶ ὀσφρήσεις καὶ ψύξεις τε καὶ καύσεις καὶ

ἡδοναί γε δὴ καὶ λῦπαι καὶ ἐπιθυμίαι καὶ φόβοι κεκλη-               5

μέναι καὶ ἄλλαι, ἀπέραντοι μὲν αἱ ἀνώνυμοι, παμπληθεῖς

δὲ αἱ ὠνομασμέναι· τὸ δ᾿ αὖ αἰσθητὸν γένος τούτων ἑκά-

σταις ὁμόγονον, ὄψεσι μὲν χρώματα παντοδαπαῖς παντο-         c

δαπά, ἀκοαῖς δὲ ὡσαύτως φωναί, καὶ ταῖς ἄλλαις

αἰσθήσεσι τὰ ἄλλα αἰσθητὰ συγγενῆ γιγνόμενα.

                                                                    그리하여

감각들은 우리에게 바로 이런 이름들로 불리는데, 시각이나

청각 또는 후각이라든지 추위(춥게 됨? 춥게 함?)와 더위(덥게?)에서 더 나아가

쾌락들과 고통들 그리고 열망들과 공포들이라 불리는가 하면

달리 불리기도 하며, 이름 없는 것들로서는 무한하지만, 명명된

것들로서는 다수가 모두 아울러지는 것들이지. 그런데 감각되는

것으로 보자면 그 부류는 이러한 감각들 각각과 동류로,

온갖 종류의 시각과 온갖 색들이, 청각과는 마찬가지로 소리들이,

다른 감각들과는 감각되는 다른 것들이 동족들이 되는 것들이지.

- 마지막 설명과 같은 구조로 열망이나 고통 같은 감각은

어떤 감각되는 것과 부합되는가?

- 쾌락, 고통, 열망, 공포가 스토아에서는 감정. 

잘못된 판단들에서 비롯된 것들. 

- 아리스토텔레스 지각이론. 촉각을 통해 형상이 동일해짐.

                                                               τί δὴ οὖν

ἡμῖν βούλεται οὗτος ὁ μῦθος, ὦ Θεαίτητε, πρὸς τὰ

πρότερα; ἆρα ἐννοεῖς;                                                          5

그러니 실로 이러한 이야기가 앞선 얘기들에 더하여 우리에게

전하려는 바는 무엇인가, 테아이테토스? 혹시 알고 있는가?

- 왜 logos가 아니고 mythos? 정: 역사적 사실이 아닌 구성된 이야기.

  강: "비의" 언급과 관련하여. 

ΘΕΑΙ. Οὐ πάνυ, ὦ Σώκρατες.

그리 잘은 알지 못하네요, 소크라테스.

ΣΩ. Ἀλλ᾿ ἄθρει ἐάν πως ἀποτελεσθῇ. βούλεται γὰρ δὴ

λέγειν ὡς ταῦτα πάντα μὲν ὥσπερ λέγομεν κινεῖται, τάχος

δὲ καὶ βραδυτὴς ἔνι τῇ κινήσει αὐτῶν. ὅσον μὲν οὖν βραδύ,

ἐν τῷ αὐτῷ καὶ πρὸς τὰ πλησιάζοντα τὴν κίνησιν ἴσχει καὶ          10

οὕτω δὴ γεννᾷ, τὰ δὲ γεννώμενα 〈                                        d

       〉 οὕτω δὴ θάττω ἐστίν. φέρεται γὰρ καὶ ἐν φορᾷ

αὐτῶν ἡ κίνησις πέφυκεν. 

그럼 어찌 결말이 날지 주목하게나. 그들이 말하려던

것은 이 모든 것들이 한편으로는 우리가 말하는 그대로 변화하지만,

빠름과 느림이 그것들의 그 변화 안에 있다는 것이니. 그러므로 느린

것은 모두, 제 자리에서 그리고 근접한 것들에 관련하여 변화를 붙들고

있고 그래서 그렇게 변화를 낳으며, 태어난 것들은 〈별개의 변화로서

변화하기에〉 그래서 그렇게 더 빠르다네. 그것들이 이동하고 또 

그것들의 변화란 것이 본디 이동에서 나온 것이니 말일세.

- Hicken, τὰ δὲ γεννώμενα 〈ἑτέραν τὴν κίνησιν κινούμενα〉

- 장소의 이동으로부터 감각의 변화가 산출된다? 감각되는 것과

감각 사이의 교류와 마찰, 충돌로부터 '태어난 것들'은 이 둘보다

더 빠른가? 이 '태어난 것들'의 변화는 '장소 이동'인가?

- 생겨난 감각이 감각되는 것보다 더 빨리 변화한다.

                                  ἐπειδὰν οὖν ὄμμα καὶ ἄλλο τι

τῶν τούτῳ συμμέτρων πλησιάσαν γεννήσῃ τὴν λευκότητά

τε καὶ αἴσθησιν αὐτῇ σύμφυτον, ἃ οὐκ ἄν ποτε ἐγένετο ἑκα-        5

τέρου ἐκείνων πρὸς ἄλλο ἐλθόντος, τότε δὴ μεταξὺ φερο-

μένων τῆς μὲν ὄψεως πρὸς τῶν ὀφθαλμῶν, τῆς δὲ                    e

λευκότητος πρὸς τοῦ συναποτίκτοντος τὸ χρῶμα, ὁ μὲν

ὀφθαλμὸς ἄρα ὄψεως ἔμπλεως ἐγένετο καὶ ὁρᾷ δὴ τότε

καὶ ἐγένετο οὔ τι ὄψις ἀλλ᾿ ὀφθαλμὸς ὁρῶν, τὸ δὲ συγ-

γεννῆσαν τὸ χρῶμα λευκότητος περιεπλήσθη καὶ ἐγένετο            5

οὐ λευκότης αὖ ἀλλὰ λευκόν, εἴτε ξύλον εἴτε λίθος εἴτε

ὁτιοῦν συνέβη χρῆμα χρωσθῆναι τῷ τοιούτῳ χρώματι. 

그러므로 눈 그리고 그 눈과 척도를 공유하는 것들 중 어떤 

눈 외의 것이 접근하여서 흼과 또한 이와 함께 자라나오는 감각을

낳을 때, 그것들은 저것들 둘 각각이 이 둘 외의 것을 향해 

나아가는 어떤 경우에도 생겨나지 않는데, 그 때 그 중간에서

시각은 두 눈에서, 흼은 그 색을 함께 내놓는 것에서 

이동하고, 그래서 눈은 시각으로 가득차게 되었고, 그제서야

보게 될 것이며, 그 때 무슨 시각이 아니라 눈이 보게

되었는가 하면, 그 색을 함께 낳은 것은 흼으로 채워져서

이번엔 흼이 아니라 흰 것이 되었다네, 나무든 돌이든

어떤 것이든지 색이 이런 종류의 사물에 덧씌워지게 된 것은.

-ὃτου οὖν. ὁτῳοῦν; χρῆμα, χρῶμα, σῶμα, σχῆμα. 

                                                                        καὶ

τἆλλα δὴ οὕτω, σκληρὸν καὶ θερμὸν καὶ πάντα, τὸν αὐτὸν

τρόπον ὑποληπτέον, αὐτὸ μὲν καθ᾿ αὑτὸ μηδὲν εἶναι, ὃ δὴ

καὶ τότε ἐλέγομεν, ἐν δὲ τῇ πρὸς ἄλληλα ὁμιλίᾳ πάντα          157a

γίγνεσθαι καὶ παντοῖα ἀπὸ τῆς κινήσεως, ἐπεὶ καὶ τὸ

ποιοῦν εἶναι τι καὶ τὸ πάσχον αὐτῶν ἐπὶ ἑνὸς νοῆσαι, ὥς

φασιν, οὐκ εἶναι παγίως. 

                                                                     실로

여타의 것들도 그런 식으로, 단단함과 더위와 모든 것들이, 똑같은 

방식으로 가정되어야 하는데, 그 자체로는 아무것도 아니지만,

그게 아까 우리가 말하던 것이기도 하고, 반면 서로를 향한 교류에서는

변화를 통해 모든 그리고 이러저러한 온갖 것들이 된다고, 행하는 것이

그리고 겪는 것도 어떤 것이라고 이것들을 하나씩 사고하는 것은, 그들이

말하기로, 확고하게 할 수는 없기 때문이라고 말이지.

이것들을 : 위의 사례들? 작용자와 피작용자? Campbell p.55.

                                 οὔτε γὰρ ποιοῦν ἐστί τι πρὶν ἂν

τῷ πάσχοντι συνέλθῃ, οὔτε πάσχον πρὶν ἂν τῷ ποιοῦντι· τό         5

τέ τινι συνελθὸν καὶ ποιοῦν ἄλλῳ αὖ προσπεσὸν πάσχον

ἀνεφάνη. ὥστε ἐξ ἁπάντων τούτων, ὅπερ ἐξ ἀρχῆς ἐλέ-

γομεν, οὐδὲν εἶναι ἓν αὐτὸ καθ᾿ αὑτό, ἀλλά τινι ἀεὶ

γίγνεσθαι, τὸ δ᾿ εἶναι πανταχόθεν ἐξαιρετέον, οὐχ ὅτι ἡμεῖς       b

πολλὰ καὶ ἄρτι ἠναγκάσμεθα ὑπὸ συνηθείας καὶ ἀνεπιστη-

μοσύνης χρῆσθαι αὐτῷ. 

왜냐하면 행하는 것도 겪는 것과 함께하기 전에는 어떤 것이

아니고, 겪는 것도 행하는 것과 그러하기 때문일세. 

(or 어떤 것이 겪는 것과 함께하기 전에는 뭔가를 행하는 게 아니고...)

어떤 것과 함께 하는 것이자 행하는 것이 그 외의 것에 결부되어서는

겪는 것으로 드러나지. 그래서 통틀어 이러한 모든 점들로부터, 

우리가 처음부터 말하던 바로 그처럼, 아무것도 그 자체로 하나이지 않고,

오히려 항상 어떤 것에게 생겨나도록, ~이라는 것은 모든 측면에서

배제되어야만 하게끔, 우리가 많은 경우 방금도 관습과 앎의 결여로 그것을

사용하도록 강제되었더라도 그렇도록 말일세.

- "하나"이지 않음과 위의 "이것들을"의 관계? 

                                τὸ δ᾿ οὐ δεῖ, ὡς ὁ τῶν σοφῶν

λόγος, οὔτε τι συγχωρεῖν οὔτε του οὔτ᾿ ἔμοῦ οὔτε τόδε οὔτ᾿

ἐκεῖνο οὔτε ἄλλο οὐδὲν ὄνομα ὅτι ἂν ἱστῇ, ἀλλὰ κατὰ φύσιν         5

φθέγγεσθαι γιγνόμενα καὶ ποιούμενα καὶ ἀπολλύμενα καὶ

ἀλλοιούμενα· ὡς ἐάν τί τις στήσῃ τῷ λόγῳ, εὐέλεγκτος ὁ

τοῦτο ποιῶν. 

                                 현자들의 말대로, 그래서는 안 되고,

뭔가라고도 무언가에 대해서라고도 나에 대해서라고도 여기 이것이나

저것이라고도 그 외 정립시킬 그 어떤 이름이라고도 동의하지 않아야

하며, 오히려 생성되는 것들과 만들어지는 것들과 해체되는 것들과

변경되는 것들이라고 본성에 따라 이야기되어야 하지. 누군가 어떤

것을 말로써 정지시킨다면, 이렇게 만드는 자는 논박당하기 십상이니까.

- 기간토마키아. 인식 문제로 가서 정지 중심인 자들은 인식된 것과 인식하는 것 결합 불가.

운동 중심인 이들도 어떤 것을 그것인 채로 고정시킬 수 없어 논박됨.

                  δεῖ δὲ καὶ κατὰ μέρος οὕτω λέγειν καὶ περὶ

πολλῶν ἁθροισθέντων, ᾦ δὴ ἁθροίσματι ἄνθρωπόν τε

τίθενται καὶ λίθον καὶ ἕκαστον ζῷόν τε καὶ εἶδος. ταῦτα δή,       c

ὦ Θεαίτητε, ἆρ᾿ ἡδέα δοκεῖ σοι εἶναι, καὶ γεύοιο ἂν αὐτῶν

ὡς ἀρεσκόντων;

                 개별적으로도 취합된 여럿들에 관하여서도

그렇게 말해야 하는데, 그런 취합된 것에 인간이니

돌이니 각각의 동물이니 형상이 세워지지. 그래서 이런 것들이,

테아이테토스, 혹시 달갑다고 여겨지고, 그것들이 흡족하다면

얼마나 흡족한지 맛보겠는가? 

ΘΕΑΙ. Οὐκ οἶδα ἔγωγε, ὦ Σώκρατες· καὶ γὰρ οὐδὲ

περὶ σοῦ δύναμαι κατανοῆσαι πότερα δοκοῦντά σοι λέγεις          5

αὐτὰ ἢ ἐμοῦ ἀποπειρᾷ.

저로서는 모르겠습니다, 소크라테스. 당신에 관하여 

당신께 여겨지는 것들을 그대로 말씀하시는 건지 

저를 검증해 보시는 건지조차 저는 파악할 수가 없으니까요.

ΣΩ. Οὐ μνημονεύεις, ὦ φίλε, ὅτι ἐγὼ μὲν οὔτ᾿ οἶδα

οὔτε ποιοῦμαι τῶν τοιούτων οὐδὲν ἐμόν, ἀλλ᾿ εἰμὶ αὐτῶν

ἄγονος, σὲ δὲ μαιεύομαι καὶ τούτου ἕνεκα ἐπᾴδω τε καὶ

παρατίθημι ἑκάστων τῶν σοφῶν ἀπογεύεσθαι, ἕως ἂν εἰς          d

φῶς τὸ σὸν δόγμα συνεξαγάγω· ἐξαχθέντος δὲ τότ᾿ ἤδη

σκέψομαι εἴτ᾿ ἀνεμιαῖον εἴτε γόνιμον ἀναφανήσεται. ἀλλὰ

θαρρῶν καὶ καρτερῶν εὖ καὶ ἀνδρείως ἀποκρίνου ἃ ἂν

φαίνηταί σοι περὶ ὧν ἂν ἐρωτῶ.                                             5

친애하는 이여, 자네는 잊고 있구만, 나로서는 이런 것들 중 

어느 하나 알지도 못하며 내 자신의 것으로 행하지도 않고, 

오히려 나는 그것들에 불임이며, 반면 자네에게는 

내가 산파일을 행하고 이를 위해 주문도 읊고

각각의 지혜로운 것들을 음미하도록 내놓기도 하여, 백일하에

자네의 주장을 내가 함께 내놓을 때까지 그리한다는 걸 말일세.

그런데 그게 내놓아지면 그 때에는 그게 헛바람 든 것으로 드러날지

아님 알맹이 있는 것으로 드러날지 비로소 내가 검토할 걸세. 그럼

과감하고도 굳건한 채로 좋고도 남자답게 답해주게, 내가 묻는

것들에 관하여 자네에게 나타나 보이는 것들을 말이지.

ΘΕΑΙ. Ἐρώτα δή.

그럼 물어보시지요.

ΣΩ. Λέγε τοίνυν πάλιν εἴ σοι ἀρέσκει τὸ μή τι εἶναι

ἀλλὰ γίγνεσθαι ἀεὶ ἀγαθὸν καὶ καλὸν καὶ πάντα ἃ ἄρτι

διῇμεν.

그러면 다시 말해 보게, 자네 마음에 드는지, 뭔가가 

좋고 아름답고 방금 우리가 상술한 그 모든 것이지 않고

오히려 언제나 그러하게 된다는 것이 말일세.

ΘΕΑΙ. Ἀλλ᾿ ἔμοιγε, ἐπειδὴ σοῦ ἀκούω οὕτω διεξιόν-                   10

τος, θαυμασίως φαίνεται ὡς ἔχειν λόγον καὶ ὑποληπτέον

ᾗπερ διελήλυθας.

허나 저로서는, 당신께서 그렇게 상술해내신 것을 들으니,

어찌나 말이 되어 보이는지 놀라울 정도이고 당신께서

상술하신 바로 그대로 받아들여야만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ΣΩ. Μὴ τοίνυν ἀπολίπωμεν ὅσον ἐλλεῖπον αὐτοῦ.                    e

λείπεται δὲ ἐνυπνίων τε πέρι καὶ νόσων τῶν τε ἄλλων καὶ

μανίας, ὅσα τε παρακούειν ἢ παρορᾶν ἤ τι ἄλλο παραισθά-

νεσθαι λέγεται. οἶσθα γάρ που ὅτι ἐν πᾶσι τούτοις ὁμολο-

γουμένως ἐλέγχεσθαι δοκεῖ ὅν ἄρτι διῇμεν λόγον, ὡς                  5

παντὸς μᾶλλον ἡμῖν ψευδεῖς αἰσθήσεις ἐν αὐτοῖς γιγνομέ-     158a

νας, καὶ πολλοῦ δεῖ τὰ φαινόμενα ἑκάστῳ ταῦτα καὶ εἶναι,

ἀλλὰ πᾶν τοὐναντίον οὐδὲν ὧν φαίνεται εἶναι.

그러면 거기서 남겨둔 만큼의 것을 남겨놓지 말도록 하세.

그런데 꿈 속의 일들이나 질병들 중에서도 특히 광증에 관련하여,

환청을 듣거나 환시를 보거나 또는 환각을 느낀다고들 하는 것들이 남았네.

그야 자네도 알겠기에 하는 말일세, 이 모든 경우에서 합의될 정도로

방금 우리가 상술한 논변이 시험받는 것으로 여겨진다는 것, 

무엇보다도 우리에게 거짓 감각들이 그것들 안에서 생겨나기 때문에,

또 각자에게 나타나는 그것들이 그러한 것들이기도 하다는 것은 

한참이나 거리가 먼 얘기고, 오히려 모든 것이 정반대로 나타나는 것들 중 

어느 하나 그러한 것이지 않다고 여겨진다는 것을.

ΘΕΑΙ. Ἀληθέστατα λέγεις, ὦ Σώκρατες.

무척이나 참된 말씀이십니다, 소크라테스.


-蟲-

ΣΩ. Κινδυνεύεις μέντοι λόγον οὐ φαῦλον εἰρηκέναι

περὶ ἐπιστήμης, ἀλλ᾿ ὃν ἔλεγε καὶ Πρωταγόρας. τρόπον δέ   152a 

τινα ἄλλον εἴρηκε τὰ αὐτὰ ταῦτα. φησὶ γάρ που "πάντων

χρημάτων μέτρον" ἄνθρωπον εἶναι, "τῶν μὲν ὄντων ὡς

ἔστι, τῶν δὲ μὴ ὄντων ὡς οὐκ ἔστιν." ἀνέγνωκας γάρ που;

그런데 자네 앎에 관해 뻔한 말이 아니라,

프로타고라스께서도 말씀하셨던 그런 논의를 이야기하는 것 같군.

헌데 그 분께서는 똑같은 그런 것들을 또 다른 어떤 방식으로 이야기하셨다네.

왜냐하면 어디선가 "만물의 척도", "~인 것들에 대해서는

~이라고 하는, ~이지 않은 것들에 대해서는 ~이지 않다고 하는" 그것을

인간이라고 말씀하시니까 말일세. 자네도 분명 읽어 봤지?

ὡς : that, how. 

ΘΕΑΙ. Ἀνέγνωκα καὶ πολλάκις.                                             5

몇 차례나 읽어 봤지요.

ΣΩ. Οὐκοῦν οὕτω πως λέγει, ὡς οἷα μὲν ἕκαστα ἐμοὶ

φαίνεται τοιαῦτα μὲν ἔστιν ἐμοί, οἷα δὲ σοί, τοιαῦτα δὲ αὖ

σοί· ἄνθρωπος δὲ σύ τε κἀγώ;

그럼 어쨌든 그 분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시는 게 아닌가? 나에게

각각의 것들이 나타나는 그대로 나에게 바로 그러한 것들이고, 자네에게

그런 것들은 그대로 자네에게는 또 바로 그런 것들이라고 말일세.

그런데 자네나 나나 사람이고.

 οὕτω πως : 플라톤의 해석. φαίνεται 보이는 것의 문제?

 ἄνθρωπος σύ τε κἀγώ 개개인을 '인간'의 의미로 해석.

ΘΕΑΙ. Λέγει γὰρ οὖν οὕτω.

그야 그렇게 말씀하시니까요.

ΣΩ. Εἰκὸς μέντοι σοφὸν ἄνδρα μὴ ληρεῖν· ἐπακολου-             b

θήσωμεν οὖν αὐτῷ. ἆρ᾿ οὐκ ἐνίοτε πνέοντος ἀνέμου τοῦ

αὐτοῦ ὁ μὲν ἡμῶν ῥιγῷ, ὁ δ᾿ οὔ; καὶ ὁ μὲν ἠρέμα, ὁ δὲ

σφόδρα;

하지만 지혜로운 사내가 헛소리를 하지는 않을 듯하네. 그러니

그 분께 바짝 따라붙어 보세나. 때로 같은 바람이 부는데

우리 중 한 사람은 추워하고, 다른 사람은 그렇지 않지 않나?

또 한 사람은 온화하게 여기는 한편, 다른 사람은 거세게 여기지 않나?

ΘΕΑΙ. Καὶ μάλα.                                                                5

무척이나 그렇습니다.

ΣΩ. Πότερον οὖν τότε αὐτὸ ἐφ᾿ ἑαυτοῦ τὸ πνεῦμα

ψυχρὸν ἢ οὐ ψυχρὸν φήσομεν; ἢ πεισόμεθα τῷ Πρωτα-

γόρᾳ ὅτι τῷ μὲν ῥιγῶντι ψυχρόν, τῷ δὲ μὴ οὔ;

그러면 우리는 그 때에 같은 바람 그 자체가 

찬 것이라 말할까 아니면 차지 않은 것이라 말할까? 

혹은 프로타고라스께 설득되어 추워하는 자에게는

차다고, 그렇지 않은 자에게는 그렇지 않다고 납득할까?

ΘΕΑΙ. Ἔοικεν.

납득할 듯합니다.

ΣΩ. Οὐκοῦν καὶ φαίνεται οὕτω ἑκατέρῳ;                               10

그럼 그 둘 각자에게 그렇게 나타나기도 하지 않나?

ΘΕΑΙ. Ναί.

네.

ΣΩ. Τὸ δέ γε "φαίνεται" αἰσθάνεταί ἐστιν;

그런가 하면 "나타난다"라는 것은 감각한다는 것이지?

ΘΕΑΙ. Ἔστιν γάρ.

그렇지요.

ΣΩ. Φαντασία ἄρα καὶ αἴσθησις ταὐτὸν ἔν τε θερμοῖς             c

καὶ πᾶσι τοῖς τοιούτοις. οἷα γὰρ αἰσθάνεται ἕκαστος,

τοιαῦτα ἑκάστῳ καὶ κινδυνεύει εἶναι.

그래서 나타남(현상)과 감각은 뜨거움이나 이런 종류의

모든 것에서 같은 것이지. 왜냐하면 각자가 어떠한 것들로 

감각하는 것들은, 각자에게 바로 그러한 것들일 것 같기도

하니 말일세.

ΘΕΑΙ. Ἔοικεν.

그럴 듯합니다.

ΣΩ. Αἴσθησις ἄρα τοῦ ὄντος ἀεί ἐστιν καὶ ἀψευδὲς ὡς                5

ἐπιστήμη οὖσα.

그래서 ~인 것에 대한 감각은 그것이 앎이기에 항상

~이고 또한 거짓 없는 것이라네.

ΘΕΑΙ. Φαίνεται.

ΣΩ. Ἆρ᾿ οὖν πρὸς Χαρίτων πάσσοφός τις ἦν ὁ

Πρωταγόρας, καὶ τοῦτο ἡμῖν μὲν ᾐνίξατο τῷ πολλῷ

συρφετῷ, τοῖς δὲ μαθηταῖς ἐν ἀπορρήτῳ τὴν ἀλήθειαν              10

ἔλεγεν;

카리스들께 대고, 그러면 혹시 프로타고라스께서는

어떤 전지하신 분이셨고, 여러 머리가 뒤엉킨 우리에게는

그것을 수수께끼로 내셨던 반면, 제자들에게는 비전으로 진리를

말씀하셨던 것일까?

- Εὐφροσύνη, Ἀγλαΐα, Θάλεια. 아프로디테의 세 시녀요정(?)들.

- ᾐνίξατο. αἰνίσσομαι aor.

ΘΕΑΙ. Πῶς δή, ὦ Σώκρατες, τοῦτο λέγεις;                               d

소크라테스, 실로 어찌 그런 말씀을 하시는지요?

ΣΩ. Ἐγὼ ἐρῶ καὶ μάλ᾿ οὐ φαῦλον λόγον, ὡς ἄρα ἓν μὲν

αὐτὸ καθ᾿ αὑτὸ οὐδέν ἐστιν, οὐδ᾿ ἄν τι προσείποις ὀρθῶς

οὐδ᾿ ὁποιονοῦν τι, ἀλλ᾿ ἐὰν ὡς μέγα προσαγορεύῃς, καὶ

σμικρὸν φανεῖται, καὶ ἐὰν βαρύ, κοῦφον, σύμπαντά τε              5

οὕτως, ὡς μηδενὸς ὄντος ἑνὸς μήτε τινὸς μήτε ὁποιουοῦν·

나는 지극히 흔치 않은 논변을 이야기할 걸세, 그러니까

아무것도 그 자체로 하나이지 않고, 무엇이라고도 어떤 것이라고도

자네가 제대로(옳게) 부르지도 못할 것이며, 오히려 설령 자네가

큰 것이라 부르더라도, 작은 것으로도 나타날 테고, 무거운 것이라

하더라도, 가벼운 것으로 나타날 것이며, 통틀어 모든 것이 또한

그럴 것이니, 아무것도 하나인 것도 아니고 무엇이지도 않고

어떠하지도 않기 때문이란 논변 말이지.

ἐκ δὲ δὴ φορᾶς τε καὶ κινήσεως καὶ κράσεως πρὸς ἄλληλα

γίγνεται πάντα ἅ δή φαμεν εἶναι, οὐκ ὀρθῶς προσαγορεύ-

οντες· ἔστι μὲν γὰρ οὐδέποτ᾿ οὐδέν, ἀεὶ δὲ γίγνεται. καὶ           e

περὶ τούτου πάντες ἑξῆς οἱ σοφοὶ πλὴν Παρμενίδου συμ-

φερέσθων, Πρωταγόρας τε καὶ Ἡράκλειτος καὶ Ἐμπε-

δοκλῆς, καὶ τῶν ποιητῶν οἱ ἄκροι τῆς ποιήσεως ἑκατέρας,

κωμῳδίας μὲν Ἐπίχαρμος, τραγῳδίας δὲ Ὅμηρος, <ὃς>             5

εἰπών―

         Ὠκεανόν τε θεῶν γένεσιν καὶ μητέρα Τηθύν

πάντα εἴρηκεν ἔκγονα ῥοῆς τε καὶ κινήσεως· ἢ οὐ δοκεῖ

τοῦτο λέγειν;

반면에 실은 이동과 운동 그리고 상호간의 혼합을 통해

실로 우리가 그러한 것들이라고 하는 모든 것들이 생겨난다고 하네,

우리가 제대로 부르고 있지 못한 것들이 말이지. 왜냐하면

결코 아무것도 ~이지는 않고, 항상 생겨나기 때문이라네.

그리고 이러한 일에 관하여 파르메니데스를 제외한 모든

지혜로운 자들이 잇달아 동의하였다고 하세, 프로타고라스와

헤라클레이토스 그리고 엠페도클레스, 그리고 시인들 중

양편의 시 각각의 정점에서 선 자들, 희극의 에피카르모스,

비극의 호메로스가 말일세. <그는> 이야기하기를

         신들의 생성(기원)은 오케아노스와 어머니 테튀스이다

라고 함으로써 모든 것이 흐름과 운동의 자손이라 이야기했지.

아니면 그가 이걸 논한 것으로 여겨지지 않는가?

ΘΕΑΙ. Ἔμοιγε.                                                                   10

제게는 그리 여겨집니다.

ΣΩ. Τίς οὖν ἂν ἔτι πρός γε τοσοῦτον στρατόπεδον καὶ        153a

στρατηγὸν Ὅμηρον δύναιτο ἀμφισβητήσας μὴ κατα-

γέλαστος γενέσθαι;

그러면 누가 이 만큼이나 되는 군대와 그 지휘관 호메로스를

상대로 해서도 말싸움을 벌여 비웃음을 사지 않게 될 수 있겠나? 

ΘΕΑΙ. Οὐ ῥᾴδιον, ὦ Σώκρατες.

쉽지 않겠지요, 소크라테스.

ΣΩ. Οὐ γάρ, ὦ Θεαίτητε. ἐπεὶ καὶ τάδε τῷ λόγῳ                        5

σημεῖα ἱκανά, ὅτι τὸ μὲν εἶναι δοκοῦν καὶ τὸ γίγνεσθαι

κίνησις παρέχει, τὸ δὲ μὴ εἶναι καὶ ἀπόλλυσθαι ἡσυχία· τὸ

γὰρ θερμόν τε καὶ πῦρ, ὃ δὴ καὶ τἆλλα γεννᾷ καὶ ἐπιτρο-

πεύει, αὐτὸ γεννᾶται ἐκ φορᾶς καὶ τρίψεως· τούτω δὲ κινή-

σεις. ἢ οὐχ αὗται γενέσεις πυρός;                                           10

그야 쉽지 않지, 테아이테토스. 그 논변에는 이하의 것들로도

증표(증거/깃발)가 충분하니, ~이라 여겨지는 것과 

~된다는 것은 운동이 내놓는 반면, ~이지 않고 없어진다는 건

침묵이 그리 한다는 말에 말일세. 그야 열과 불은, 더욱이 다른 것들을

낳아 기르기도 하는데, 그것이 이동과 마찰로부터 생겨나니까.

그런데 이 둘은 운동에 속하지. 아니면 이것들이 불의 기원들이 

아닌 겐가?

- τῷ λόγῳ <ὅτι> τάδε <εἶναι> σημεῖα : that 이하라는 논변에 다음(gar 이하)이 충분한 증거로서 있다.

- τῷ λόγῳ σημεῖα <ὅτι> : 논리적으로 that 이하라는 사실을 보여주는 증거는...

- τάδε <ὅτι> : 호메로스 논변의 증거는 운동이 다른 것을 낳고 불이 운동에서 나온다는 것.

ΘΕΑΙ. Αὗται μὲν οὖν.                                                          b

그야 이것들이지요.

ΣΩ. Καὶ μὴν τό γε τῶν ζῴων γένος ἐκ τῶν αὐτῶν

τούτων φύεται.

그런데다가 생물들의 부류도 똑같은 이것들로부터

자라나지.

ΘΕΑΙ. Πῶς δ᾿ οὔ;

어찌 아니겠습니까?

ΣΩ. Τί δέ; ἡ τῶν σωμάτων ἕξις οὐχ ὑπὸ ἡσυχίας μὲν                    5

καὶ ἀργίας διόλλυται, ὑπὸ γυμνασίων δὲ καὶ κινήσεως ἐπὶ

τὸ πολὺ σῴζεται;

그런데 어떤가? 물체들의 상태는 침묵과 비활성에 의해서는

파훼되어버리지만, 활동들과 운동에 의해서는 대부분

보전되지?

ΘΕΑΙ. Ναί.

네.

ΣΩ. Ἡ δ᾿ ἐν τῇ ψυχῇ ἕξις οὐχ ὑπὸ μαθήσεως μὲν καὶ

μελέτης, κινήσεων ὄντων, κτᾶταί τε μαθήματα καὶ                      10

σῴζεται καὶ γίγνεται βελτίων, ὑπὸ δ᾿ ἡσυχίας, ἀμελετη-

σίας τε καὶ ἀμαθίας οὔσης, οὔτε τι μανθάνει ἅ τε ἂν μάθῃ            c

ἐπιλανθάνεται;

그런데 영혼 내의 상태는 운동들에 속하는 배움과

연습에 의해서는 배우는 내용들을 획득하거나

보전하거나 더 나아지고, 연습과 배움의 부재인

침묵에 의해서는, 뭐라도 배우는 것도 아니고 배웠던 것들을

잊기도 하지 않나?

ΘΕΑΙ. Καὶ μάλα.

물론입니다.

ΣΩ. Τὸ μὲν ἄρα ἀγαθὸν κίνησις κατά τε ψυχὴν καὶ

κατὰ σῶμα, τὸ δὲ τοὐναντίον;                                                5

혹시 영혼에 따라서도 육체에 따라서도 좋은 것은

운동이고, 다른 것은 그 반대의 것이지?

ΘΕΑΙ. Ἔοικεν.

그럴 듯합니다.

ΣΩ. Ἔτι οὖν σοι λέγω νηνεμίας τε καὶ γαλήνας καὶ ὅσα

τοιαῦτα, ὅτι αἱ μὲν ἡσυχίαι σήπουσι καὶ ἀπολλύασι, τὰ δ᾿

ἕτερα σῴζει; καὶ ἐπὶ τούτοις τὸν κολοφῶνα, προσβιβάζω

τὴν χρυσῆν σειρὰν ὡς οὐδὲν ἄλλο ἢ τὸν ἥλιον Ὅμηρος               10

λέγει, καὶ δηλοῖ ὅτι ἕως μὲν ἂν ἡ περιφορὰ ᾖ κινουμένη            d

καὶ ὁ ἥλιος, πάντα ἔστι καὶ σῴζεται τὰ ἐν θεοῖς τε καὶ

ἀνθρώποις, εἰ δὲ σταίη τοῦτο ὥσπερ δεθέν, πάντα χρήματ᾿ 

ἂν διαφθαρείη καὶ γένοιτ᾿ ἂν τὸ λεγόμενον ἄνω κάτω

πάντα;                                                                              5

그럼 게다가 나는 자네에게 평온과 고요 그리고 이런 종류의 

모든 것에 대해, 침묵들은 부패시키고 파훼하는 반면,

다른 것들은 보전한다고 말할까? 그리고

이러한 것들에 마무리로, 나는 호메로스가 다름 아닌 태양이라

말씀하시는 황금 끈을 더하고 있으며, 회전과 태양이

움직여지는 한, 신들과 인간들의 모든 일들이 그러한 것들이며

보전되는데, 속박되기라도 하여 이것이 정지한다면, 모든

사물이 파멸할 것이고 천지 만물이 뒤집힌다는 그 말대로

되리란 게 분명한가?

ΘΕΑΙ. Ἀλλ᾿ ἔμοιγε δοκεῖ, ὦ Σώκρατες, ταῦτα δηλοῦν

ἅπερ λέγεις.

허나 제게는, 소크라테스, 당신께서 하시는 말씀이 바로

그것임이 분명하다 여겨집니다.

ΣΩ. Ὑπόλαβε τοίνυν, ὦ ἄριστε, οὑτωσί· κατὰ τὰ

ὄμματα πρῶτον, ὃ δὴ καλεῖς χρῶμα λευκόν, μὴ εἶναι αὐτὸ

ἕτερόν τι ἔξω τῶν σῶν ὀμμάτων μηδ᾿ ἐν τοῖς ὄμμασι μηδέ          10

τιν᾿ αὐτῷ χώραν ἀποτάξῃς· ἤδη γὰρ ἂν εἴη τε δήπου ἐν            e

τάξει καὶ μένον καὶ οὐκ ἂν ἐν γενέσει γίγνοιτο.

그럼, 훌륭한 친구, 이런 식으로 가정해 보게. 우선 눈들에 대해,

자네가 색 흼이라 부르는 것, 이것이 자네의 두 눈 외부의

무슨 다른 것이지도 않고 자네가 두 눈안에 그것을 위한 무슨 자리를

마련해주지도 말도록 하게. 그럼 이미 자리를 잡고 

머물러 있으며 생성 중에 생겨나지 않을 것이 분명하니까.

ΘΕΑΙ. Ἀλλὰ πῶς;

허나 어떻게 그런 겁니까?

ΣΩ. Ἑπώμεθα τῷ ἄρτι λόγῳ, μηδὲν αὐτὸ καθ᾿ αὑτὸ ἓν

ὂν τινθέντες· καὶ ἡμῖν οὕτω μέλαν τε καὶ λευκὸν καὶ ὁτιοῦν         5

ἄλλο χρῶμα ἐκ τῆς προσβολῆς τῶν ὀμμάτων πρὸς τὴν

προσήκουσαν φορὰν φανεῖται γεγενημένον, καὶ ὃ δὴ

ἕκαστον εἶναί φαμεν χρῶμα οὔτε τὸ προσβάλλον οὔτε τὸ     154a

προσβαλλόμενον ἔσται, ἀλλὰ μεταξύ τι ἑκάστῳ ἴδιον

γεγονός· ἢ σὺ διισχυρίσαιο ἂν ὡς οἷον σοὶ φαίνεται

ἕκαστον χρῶμα, τοιοῦτον καὶ κυνὶ καὶ ὁτῳοῦν ζῴῳ;

방금 논의를 따라가 보세, 아무것도 그 자체로 하나이지는

않다고 치면서 말일세. 그래서 우리에게 그런 식으로 검음과

흼 그리고 무엇이든 다른 색도 눈의 관련된 운동을 향한

부딪침을 통해 생겨난 것으로 드러나고, 우리가 그 각각을 색이라

말하는 것은 부딪치는 것도 아니고 부딪쳐지는 것도 아닐

것이며, 오히려 중간에서 뭔가 각자에게(각 경우에) 고유한 것으로 생겨난 것으로

드러나지. 그렇지 않으면 자네는 자네에게 각각의 색으로 나타나는

그대로, 개나 뭐가 되었든 어떤 동물에게도 바로 그런 것으로

나타난다고 확신해 마지 않는가?

- 부딪침 논의와 상관 없이 "각자에게 고유한 것"이라서 테아이테토스가 보는 색은

짐승이 보는 색과 다르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인가?

하나가 아니라는 것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는 것이고 부딪치는 운동을 통해

생성 중에 있는 것은 남들과 공유될 수 있는 단일한 것이 아니라 각자의 눈과

그 눈이 부딪치는 운동(?)의 쌍에 따라 전부 다르다는 이야기인가?

"적절한 운동" 혹은 "관련된 운동"이란 무엇인가? 그것과 눈 사이의 충돌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모든 것은 변화 중이므로 모든 것은 운동이고,

따라서 시각이 가서 부딪칠 대상은 그 역시 모두 어떤 무엇으로 고정된 것이 아닌

이러저러한 운동들인가?

-던짐. pros + acc. 적절한 운동에 관련해서 눈이 던지는 것.

ΘΕΑΙ. Μὰ Δί᾿ οὐκ ἔγωγε.                                                         5

제우스께 맹세코 저로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ΣΩ. Τί δέ; ἄλλῳ ἀνθρώπῳ ἆρ᾿ ὅμοιον καὶ σοὶ φαίνεται

ὁτιοῦν; ἔχεις τοῦτο ἰσχυρῶς, ἢ πολὺ μᾶλλον ὅτι οὐδὲ σοὶ

αὐτῷ ταὐτὸν διὰ τὸ μηδέποτε ὁμοίως αὐτὸν σεαυτῷ ἔχειν;

그런데 어떤가? 혹시 다른 사람에게 나타나는 무엇이든

자네에게도 마찬가지 것으로 나타나는가? 자네는 이 입장을 

강하게 취하는가, 아니면 자네 자신에게도 아무것도 같은 것으로

나타나지 않는다고, 단 한 순간도 자네가 자네 자신과 마찬가지

상태이지 않다는 점으로 인해 그렇다고 하는 쪽을 훨씬 더 견지하는가? 

ΘΕΑΙ. Τοῦτο μᾶλλόν μοι δοκεῖ ἢ ἐκεῖνο.

이 얘기가 저 얘기보다 훨씬 더 괜찮게 여겨지네요.

ΣΩ. Οὐκοῦν εἰ μὲν παραμετρούμεθα ἢ οὗ ἐφαπτό-                   b

μεθα μέγα ἢ λευκὸν ἢ θερμὸν ἦν, οὐκ ἄν ποτε ἄλλῳ προσ-

πεσὸν ἄλλο ἂν ἐγεγόνει, αὐτό γε μηδὲν μεταβάλλον· εἰ δὲ

αὖ τὸ παραμετρούμενονἐφαπτόμενον ἕκαστον ἦν

τούτων, οὐκ ἂν αὖ ἄλλου προσελθόντος ἤ τι παθόντος αὐτὸ           5

μηδὲν παθὸν ἄλλο ἂν ἐγένετο. ἐπεὶ νῦν γε, ὦ φίλε,

θαυμαστά τε καὶ γελοῖα εὐχερῶς πως ἀναγκαζόμεθα

λέγειν, ὡς φαίη ἂν Πρωταγόρας τε καὶ πᾶς ὁ τὰ αὐτὰ

ἐκείνῳ ἐπιχειρῶν λέγειν.

그러니 만일 우리가 척도로 삼는 것(or 우리가 측정하는 대상)이나 

손대는 것이 크거나 희거나 뜨거웠더라면, 그것이 결코 다른

자와 만나 또 다른 것이 되지 않았을 걸세, 그 자체는

전혀 변하지 않으니 말이지. 그런데 이번엔 만일

측정된 것(or 측정하는 자)이나 손에 닿은 것(or 손을 대는 자)이 이러한 것들의

각각의 것이었더라면, 이번엔 또 다른 것이 오거나 뭐라도 겪은 게

아닐 때 그것은 아무것도 겪지 않은 채로는 다른 것이 되지

않았을 테지. 지금은, 친애하는 이여, 놀랍고도 우스운 일들을 어쨌든

무모하게 우리가 말할 수밖에 없게 되는군, 프로타고라스와

그가 이야기한 것과 같은 것들을 말하고자 시도한 모든 사람이 

그리 말할 것처럼 말일세.

- 전자가 척도이고 후자가 측정된 것이라는 번역이 맞는지.

  각자에게 나타나는 바가 한 순간도 고정되지 않고 계속 변화한다는 것이

  이전까지의 논의이고 테아이테토스가 수용하는 입장이라면

  지금 논의는 맥락이 갑작스럽게 바뀐 것인가?

  혹은 '겪지 않는 한' 변화하지 않지만 겪을 경우 변화하고,

  모든 것이 변화하므로, 모든 것이 무언가 끊임없이 겪는다는 결론으로

  나아가는 것인가?

  정준영 선생님 번역대로 측정 주체와 측정 대상의 문제인가?

  이 경우에도 여전히, 무언가 겪지 않고서는 변화가 있을 수 없다는 지금의 주장은

  측정 주체조차 포함하여 모든 것이 한 순간도 머무르지 않고 계속 변화한다는 주장과

  연속선상에서 제기되고 있는 것인가?

- ὡς φαίη : 그들이 말할 것처럼 '우스운 일'인가, 그들이 말할 것처럼 '그렇게 말할 수밖에

없다'는 그 내용이 우스운 것인가?

  

ΘΕΑΙ. Πῶς δὴ καὶ ποῖα λέγεις;                                                    10

그래서 어떤 것들을 어찌 말씀하시는지요?

ΣΩ. Σμικρὸν λαβὲ παράδειγμα, καὶ πάντα εἴσῃ ἃ                           c

βούλομαι. ἀστραγάλους γάρ που ἕξ, ἂν μὲν τέτταρας

αὐτοῖς προσενέγκῃς, πλείους φαμὲν εἶναι τῶν τεττάρων

καὶ ἡμιολίους, ἐὰν δὲ δώδεκα, ἐλάττους καὶ ἡμίσεις, καὶ

οὐδὲ ἀνεκτὸν ἄλλως λέγειν· ἢ σὺ ἀνέξῃ;                                        5

사소한 것을 본으로 잡아 보게, 그러면 내가 말하려는 모든 것을

자네가 알게 될 걸세. 아마 지골 구슬(주사위?) 여섯 개를 본 삼고, 거기에

네 개를 자네가 가져다 대면, 우리가 여섯 개가 네 개보다 더 많고 

네 개의 1½이라고 말할 테고, 열 두 개를 그리 한다면, 여섯 개가

그보다 더 적고 그 절반이라고, 그리고 달리 말하는 건 받아들일

수도 없다고 말할 거란 말이지. 아니면 자네는 그걸 받아들이겠는가?

- 여기에서 측정대상은 6이고 이것이 겪는 것은 4와 12 이 둘 각각인가?

ΘΕΑΙ. Οὐκ ἔγωγε.

저로서는 못 받아들이지요.

ΣΩ. Τί οὖν; ἄν σε Πρωταγόρας ἔρηται ἤ τις ἄλλος· "Ὦ

Θεαίτητε, ἔσθ᾿ ὅπως τι μεῖζον ἢ πλέον γίγνεται ἄλλως ἢ

αὐξηθέν;" τί ἀποκρινῇ;

그렇다면 어떠한가? 프로타고라스나 다른 누군가가 자네에게 이리

묻는다면 말일세. "테아이테토스, 도대체 증가되는 것 외에 달리

더 커지거나 더 많아지는 일이 가능하기나 한가?" 자네는 무어라

대답하겠나?

ΘΕΑΙ. Ἐὰν μέν, ὦ Σώκρατες, τὸ δοκοῦν πρὸς τὴν νῦν                      10

ἐρώτησιν ἀποκρίνωμαι, ὅτι οὐκ ἔστιν· ἐὰν δὲ πρὸς τὴν προ-           d

τέραν, φυλάττων μὴ ἐναντία εἴπω, ὅτι ἔστιν.

만일, 소크라테스, 지금 그 질문에 대해서라면 여겨지는 바를 답할

거라면, 가능하지 않다고 답하죠. 그런데 만일 더 이전 질문에

대해서라면, 모순되게 말하지 않을까 주의를 기울이며, 가능하다고

답할 겁니다.

- '지금 질문' : 증가 외에 더 커지거나 더 많아질 수 있는가?

  '더 앞선 질문' : 6에 4를 대면 6은 (4보다) 더 크고 (4의) 1½이지만

  같은 6에 12를 대면 6은 (12보다) 더 작고 (12의) ½인가?

ΣΩ. Εὖ γε νὴ τὴν Ἥραν, ὦ φίλε, καὶ θείως. ἀτάρ, ὡς

ἔοικεν, ἐὰν ἀποκρίνῃ ὅτι ἔστιν, Εὐριπίδειόν τι συμβήσεται·

ἡ μὲν γὰρ γλῶττα ἀνέλεγκτος ἡμῖν ἔσται, ἡ δὲ φρὴν οὐκ                 5

ἀνέλεγκτος.

헤라 여신께 맹세코 잘도 신과 같이 답했네, 친구. 그렇지만,

그럴싸해 보이기로는, 만일 자네가 가능하다고 답한다면, 

에우리피데스의 것 같은 어떤 결론이 나올 걸세.

우리에게 혀는 반문의 여지가 없을 것이나, 가슴은 반문의 여지가

없지 않을 테니까.

ΘΕΑΙ. Ἀληθῆ.

맞는 말씀이십니다.

ΣΩ. Οὐκοῦν εἰ μὲν δεινοὶ καὶ σοφοὶ ἐγώ τε καὶ σὺ ἦμεν,

πάντα τὰ τῶν φρενῶν ἐξητακότες, ἤδη ἂν τὸ λοιπὸν ἐκ

περιουσίας ἀλλήλων ἀποπειρώμενοι, συνελθόντες σοφ-                e

ιστικῶς εἰς μάχην τοιαύτην, ἀλλήλων τοὺς λόγους τοῖς

λόγοις ἐκρούομεν· νῦν δὲ ἅτε ἰδιῶται πρῶτον βουλησό-

μεθα θεάσασθαι αὐτὰ πρὸς αὑτὰ τί ποτ᾿ ἐστὶν ἃ διανοού-

μεθα, πότερον ἡμῖν ἀλλήλοις συμφωνεῖ ἢ οὐδ᾿ ὁπωστιοῦν.              5

그야 물론 만일 나도 자네도 능란하며 지혜로운 자들이었더라면,

우리 가슴에 속한 모든 일들을 검토했는지라, 이제 서로에게 차고 넘쳐

남은 것을 검증하며, 소피스트 같은 방식으로 이러한 전투에

동참하여, 서로의 논변들을 서로의 논변들로 두드려 보았겠지.

그런데 지금 문외한들인 한에서 우선 우리는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것들이 그것들 자체로 도대체 무엇인지, 우리에게 그것들이 서로

부합하는지 아니면 무엇이 어찌 되었든지간에 부합하지 않는지

관조하기를 바랄 걸세.

ΘΕΑΙ. Πάνυ μὲν οὖν ἔγωγε τοῦτ᾿ ἂν βουλοίμην.

그야 물론 저로서는 그러기를 바랄 테지요.

ΣΩ. Καὶ μὴν ἐγώ. ὅτε δ᾿ οὕτως ἔχει, ἄλλο τι ἢ ἠρέμα,

ὡς πάνυ πολλὴν σχολὴν ἄγοντες, πάλιν ἐπανασκεψόμεθα,

οὐ δυσκολαίνοντες ἀλλὰ τῷ ὄντι ἡμᾶς αὐτοὺς ἐξετάζοντες,      155a

ἅττα ποτ᾿ ἐστὶ ταῦτα τὰ φάσματα ἐν ἡμῖν; ὧν πρῶτον

ἐπισκοποῦντες φήσομεν, ὡς ἐγὼ οἶμαι, μηδέποτε μηδὲν ἂν

μεῖζον μηδὲ ἔλαττον γενέσθαι μήτε ὄγκῳ μήτε ἀριθμῷ,

ἕως ἴσον εἴη αὐτὸ ἑαυτῷ. οὐχ οὕτως;                                         5

나 역시도 그러하다네. 그런데 사정이 그러할 때, 꽤나 많은

여가를 누리고 있으니, 우리가 느긋하게 다시금 고찰하지 않고

달리 무얼 하겠나? 신경질을 부리지 않고 실제로 우리 자신에게

따져 물으면서, 우리 안에 나타나는 이런 것들이 도대체 무엇인지를

말이지. 내가 생각하기로는, 이런 것들 중 첫 번째로 우리가 고찰하며

말할 것은 결코 아무것도 규모에서도 수에서도 전혀 더 커지거나 더

작아지지 않으리란 것, 그것이 제 자신과 같은 만큼의 것인 한 그러리란

것이라네. 그렇지 않은가?

ΘΕΑΙ. Ναι.

그렇습니다.


-蟲-

ΣΩ. Κάλλιστα. ἀλλὰ τί τὸ μετὰ τοῦτο;

멋지기 그지없군. 그럼 그 다음은 무언가?

ΘΕΑΙ. Ὅσαι μὲν γραμμαὶ τὸν ἰσόπλευρον καὶ ἐπί-

πεδον ἀριθμὸν τετραγωνίζουσι, μῆκος ὡρισάμεθα, ὅσαι δὲ

τὸν ἑτερομήκη, δυνάμεις, ὡς μήκει μὲν οὐ συμμέτρους               b

ἐκείναις, τοῖς δ᾿ ἐπιπέδοις ἃ δύνανται. καὶ περὶ τὰ στερεὰ

ἄλλο τοιοῦτον.

등변이며 평면인 수를 사각형으로 만드는 모든 선분들은,

저희가 길이로 정하였고, 부등변 수를 그리하는 것들은,

가능한 길이들로 하였는데, 길이에서 저것들(길이)과 통약되지

않기에, 반면 평면에서는 통약되는 일이 가능한 것들이기에

그리하였습니다. 입체들에 관련하여서도 이런 또 다른 일을

하였고요.

- 넓이 a²(a=정수) 사각형의 변의 길이들은 '길이'. 

  넓이 2, 3, 5, 7, 11, 12, 13, 14, 15, 17까지(?) 사각형의

  변의 길이들은 '가능한 길이'.

  변의 길이에서는 척도를 공유하지 않는다-통약 불가능.

  평면의 넓이에서는 척도를 공유한다-통약 가능.

-δυνάμεις : 이 경우 "제곱근"으로 번역된다면 등평면 사각수의 제곱근은 배제된다.

ΣΩ. Ἄριστά γ᾿ ἀνθρώπων, ὦ παῖδες· ὥστε μοι δοκεῖ ὁ

Θεόδωρος οὐκ ἔνοχος τοῖς ψευδομαρτυρίοις ἔσεσθαι.                 5

자네들, 정말이지 인간들 중 가장 뛰어난 자들이로군. 그래서 내게는

테오도로스께서 위증죄로 끌려갈 일은 없으시리라 여겨진다네.

ΘΕΑΙ. Καὶ μήν, ὦ Σώκρατες, ὅ γε ἐρωτᾷς περὶ

ἐπιστήμης οὐκ ἂν δυναίμην ἀποκρίνασθαι ὥσπερ περὶ τοῦ

μήκους τε καὶ τῆς δυνάμεως. καίτοι σύ γέ μοι δοκεῖς

τοιοῦτόν τι ζητεῖν· ὥστε πάλιν αὖ φαίνεται ψευδὴς ὁ

Θεόδωρος.                                                                        c

그런데 말이죠, 소크라테스, 당신께서 앎에 관하여

물으신 것은 제가 길이와 제곱수에 관해서와 마찬가지로

대답을 드릴 능력은 없을 겁니다. 그런데도 당신께서는

그런 어떤 것을 추적하시는 걸로 제게는 여겨지네요. 그래서

다시금 이번에는 테오도로스께서 거짓된 분으로 드러나십니다.

ΣΩ. Τί δέ; εἴ σε πρὸς δρόμον ἐπαινῶν μηδενὶ οὕτω

δρομικῷ ἔφη τῶν νέων ἐντετυχηκέναι, εἶτα διαθέων τοῦ

ἀκμάζοντος καὶ ταχίστου ἡττήθης, ἦττόν τι ἂν οἴει ἀληθῆ

τόνδ᾿ ἐπαινέσαι;                                                                   5

그런데 어떤가? 만일 그 분께서 자네를 경주에 대해 칭찬하시며

젊은이들 중 그렇게 경주를 잘 하는 자는 아무도 만나보지 못했다고

말씀하신다면, 그 이후 자네가 경주하면서 절정기에 이른 가장 빠른 자에게

졌다면, 여기 이 분께서 뭔가 덜 참되게 칭찬하신 것이라 생각하는가?

ΘΕΑΙ. Οὐκ ἔγωγε.

저로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ΣΩ. Ἀλλὰ τὴν ἐπιστήμην, ὥσπερ νυνδὴ ἐγὼ ἔλεγον,

σμικρόν τι οἴει εἶναι ἐξευρεῖν καὶ οὐ τῶν πάντῃ ἄκρων;

허나 앎은, 방금 내가 말하던 것처럼,

탐구하기엔 뭔가 사소한 일이고 모든 면에서 정점에 있는 자들의 일이

아니라고 생각하는가?

ΘΕΑΙ. Νὴ τὸν Δί᾿ ἔγωγε καὶ μάλα γε τῶν ἀκροτάτων.

제우스께 맹세코 아닐 뿐더러 특히나 가장 정점에 있는 자들의 일이라 생각합니다.

ΣΩ. Θάρρει τοίνυν περὶ σαυτῷ καὶ τὶ οἴου Θεόδωρον                  10

λέγειν, προθυμήθητι δὲ παντὶ τρόπῳ τῶν τε ἄλλων πέρι             d

καὶ ἐπιστήμης λαβεῖν λόγον τί ποτε τυγχάνει ὄν.

그러면 자네 자신에 관련하여 용기를 내 테오도로스께서

뭐라도 말씀을 하시는 거라고 생각해 보게, 다른 일들에 관련해서도

그렇거니와 앎에 관하여서도 모든 방식으로 도대체 그것이 무엇인가 하는

말(정의, 설명)을 열렬히 파악하고자 하시게.

ΘΕΑΙ. Προθυμίας μὲν ἕνεκα, ὦ Σώκρατες, φανεῖται.

열의가 문제라면, 소크라테스, 밝혀질 겁니다.

ΣΩ. Ἴθι δή―καλῶς γὰρ ἄρτι ὑφηγήσω―πειρῶ

μιμούμενος τὴν περὶ τῶν δυνάμεων ἀπόκρισιν, ὥσπερ                  5

ταύτας πολλὰς οὔσας ἑνὶ εἴδει περιέλαβες, οὕτω καὶ τὰς

πολλὰς ἐπιστήμας ἑνὶ λόγῳ προσειπεῖν.

그럼 가 보세―방금 자네가 훌륭하게 인도해 주었으니―

제곱수들에 관한 자네의 대답을 모방하면서, 자네가 

그것들이 여럿인데도 한 형상으로 포괄하였듯, 그렇게 

여러 앎들도 한 말로 불러보고자 시도해 주게.

ΘΕΑΙ. Ἀλλ᾿ εὖ ἴσθι, ὦ Σώκρατες, πολλάκις δὴ αὐτὸ                      e

ἐπεχείρησα σκέψασθαι, ἀκούων τὰς παρὰ σοῦ ἀποφερο-

μένας ἐρωτήσεις. ἀλλὰ γὰρ οὔτ᾿ αὐτὸς δύναμαι πεῖσαι

ἐμαυτὸν ὡς ἱκανῶς τι λέγω οὔτ᾿ ἄλλου ἀκοῦσαι λέγοντος

οὕτως ὡς σὺ διακελεύῃ, οὐ μὲν δὴ αὖ οὐδ᾿ ἀπαλλαγῆναι               5

τοῦ μέλειν.

허나 부디 알아주십쇼, 소크라테스, 제가 정말로 여러 차례

그것을 고찰하고자 시도했다는 사실을요, 당신을 출처로 하는

질문들을 들으면서 말이지요. 허나 제 자신이 스스로

제가 충분히 말했다고 납득하지 못하고 있기도 하고 당신께서 명하시듯

그렇게 다른 이가 논하는 걸 듣지도 못했으니까요, 물론 다시금

그 관심으로부터 풀려나지도 못하고 말이지요.

ΣΩ. Ὠδίνεις γάρ, ὦ φίλε Θεαίτητε, διὰ τὸ μὴ κενὸς

ἀλλ᾿ ἐγκύμων εἶναι.

친애하는 테아이테토스, 그 말인 즉 빈 것이 아니라

아이를 밴 것으로 인한 산통이로군.

ΘΕΑΙ. Οὐκ οἶδα, ὦ Σώκρατες· ὃ μέντοι πεπονθα

λέγω.                                                                                10

모르겠습니다, 소크라테스. 그렇지만 제가 겪은 바를

말씀드리고 있지요.

ΣΩ. Εἶτα, ὦ καταγέλαστε, οὐκ ἀκήκοας ὡς ἐγώ εἰμι                149a

ὑὸς μαίας μάλα γενναίας τε καὶ βλοσυρᾶς, Φαιναρέτης;

그렇다면, 재밌는 친구, 자네 내가 무척이나 고상하고도 건장한

산파이신 파이나레스의 아들이라고 듣지 못했나?

ΘΕΑΙ. Ἤδη τοῦτό γε ἤκουσα.

그 얘기는 익히 들었지요.

ΣΩ. Ἆρα καὶ ὅτι ἐπιτηδεύω τὴν αὐτὴν τέχνην ἀκήκοας;

혹시 내가 그와 똑같은 기술을 일로 삼고 있다는 것도 들었고?

ΘΕΑΙ. Οὐδαμῶς.                                                                    5

전혀 듣지 못했습니다.

ΣΩ. Ἀλλ᾿ εὖ ἴσθ᾿ ὅτι· μὴ μέντοι μου κατείπῃς πρὸς τοὺς

ἄλλους. λέληθα γάρ, ὦ ἑταῖρε, ταύτην ἔχων τὴν τέχνην· οἱ

δέ, ἅτε οὐκ εἰδότες, τοῦτο μὲν οὐ λέγουσι περὶ ἐμοῦ, ὅτι δὲ

ἀτοπώτατός εἰμι καὶ ποιῶ τοὺς ἀνθρώπους ἀπορεῖν. ἦ καὶ

τοῦτο ἀκήκοας;                                                                    10

그럼 잘 알아두시게. 그렇지만 내 얘기를 다른 사람들에게 들려주지는

말게나. 왜냐하면, 친구, 나는 나도 모르게(남들 모르게?) 바로 그 기술을 

지니게 되었기 때문이라네. 그런데 어떤 이들은, 그걸 알지 못하고서,

나에 관해 그걸 말하지는 않고, 내가 너무나 이상한 사람이며 사람들을

당황하도록 만든다고 말하지. 아님 이 얘기도 들었나?

- 왜 남들에게 알리지 말아야 하는가?

+ 액자식 구성을 고려하면 소크라테스는 이미 에우클레이데스에게

지금 이 이야기를 지금 이 방식대로 전해주었다.

ΘΕΑΙ. Ἔγωγε.                                                                     b

저는 들었습니다.

ΣΩ. Εἴπω οὖν σοι τὸ αἴτιον;

그러면 내 자네에게 그 까닭을 말해줄까?

ΘΕΑΙ. Πάνυ μὲν οὖν.

물론입니다.

ΣΩ. Ἐννόησον δὴ τὸ περὶ τὰς μαίας ἅπαν ὡς ἔχει, καὶ

ῥᾷον μαθήσῃ ὃ βούλομαι. οἶσθα γάρ που ὡς οὐδεμία                   5

αὐτῶν ἔτι αὐτὴ κυϊσκομένη τε καὶ τίκτουσα ἄλλας

μαιεύεται, ἀλλ᾿ αἱ ἤδη ἀδύνατοι τίκτειν.

산파들에 관련하여 만사가 어찌 돌아가는지 생가하도록 하게.

그러면 내가 의도하는 바를 더 쉽게 배우겠지. 그야 자네 아마

그들 중 어느 누구도 여전히 스스로 임신하고 출산하면서 다른

여성의 산파노릇을 하는 자는 없고, 이미 출산할 수 없는 여성들이

산파노릇을 한다는 걸 알고 있을 테니까.

ΘΕΑΙ. Πάνυ μὲν οὖν.

물론입니다.

ΣΩ. Αἰτίαν δέ γε τούτου φασὶν εἶναι τὴν Ἄρτεμιν, ὅτι

ἄλοχος οὖσα τὴν λοχείαν εἴληχε. στερίφαις μὲν οὖν ἄρα               10

οὐκ ἔδωκε μαιεύεσθαι, ὅτι ἡ ἀνθρωπίνη φύσις ἀσθενε-                c

στέρα ἢ λαβεῖν τέχνην ὧν ἂν ᾖ ἄπειρος· ταῖς δὲ δι᾿ ἡλικίαν

ἀτόκοις προσέταξε τιμῶσα τὴν αὑτῆς ὁμοιότητα.

그런가 하면 그 일의 원인이 사람들은 아르테미스 여신이시라고 하는데,

처녀이시면서 출산을 주재하셨기 때문이라고 하지. 그렇지만 여신께서

불임인 여성들에게는 산파일을 허락치 않으셨던 것 같은데, 인간적인 본성이

경험 없는 것들에 대한 기술을 파악하기에는 나약하기 때문이라네. 반면

나이 때문에 안 낳는 자들에게는 여신 자신과의 닮음을 존중하시어 

그 일을 맡기셨다네.

- 산파술을 주관하는 것은 신. 이 기술의 전문가를 자처하는 것은 불경?(윤철형님)

 경험 없는 일은 인간의 나약한 본성 때문에 인간에게 적합하지 않다.

  그렇다면 소크라테스는 영혼의 출산 경험이 있는 자?

  그러나 자기 자신은 지혜를 내놓은 일이 없다고 말한다.

ΘΕΑΙ. Εἰκός.

그렇겠네요.

ΣΩ. Οὐκοῦν καὶ τόδε εἰκός τε καὶ ἀναγκαῖον, τὰς                          5

κυούσας καὶ μὴ γιγνώσκεσθαι μᾶλλον ὑπὸ τῶν μαιῶν ἢ

τῶν ἄλλων;

그러면 이 또한 그렇겠고 또 필연적이지 않나? 임신한

여성들과 그렇지 않은 여성들이 다른 자들에 의해서 보다도

산파들에 의해 훨씬 잘 알려진다는 것 말일세.

ΘΕΑΙ. Πάνυ γε.

확실히요.

ΣΩ. Καὶ μὴν καὶ διδοῦσαί γε αἱ μαῖαι φαρμάκια καὶ

ἐπᾴδουσαι δύνανται ἐγείρειν τε τὰς ὠδῖνας καὶ μαλθακω-            d

τέρας ἂν βούλωνται ποιεῖν, καὶ τίκτειν τε δὴ τὰς δυστοκού-

σας, καὶ ἐὰν †νέον ὂν† δόξῃ ἀμβλίσκειν, ἀμβλίσκουσιν;

산파들이 약을 주거나 주문을 외워 바라는 대로 산통을 일으킬 수도

있고 또 산통을 더 완화시킬 수도 있다는 것이나, 산고를 겪는

여성들이 출산을 하도록 만들 수도 있다는 것 역시 그렇고, 

어릴 때 유산시키는 편이 좋겠다고 여겨진다면, 그들은 유산을 시키겠지?

ΘΕΑΙ. Ἔστι ταῦτα.

그야 그렇습니다.

ΣΩ. Ἆρ᾿ οὖν ἔτι καὶ τόδε αὐτῶν ᾔσθησαι, ὅτι καὶ                          5

προμνήστριαί εἰσι δεινόταται, ὡς πάσσοφοι οὖσαι περὶ τοῦ

γνῶναι ποίαν χρὴ ποίῳ ἀνδρὶ συνοῦσαν ὡς ἀρίστους

παῖδας τίκτειν;

그럼 혹시 더 나아가 그들의 이런 점도 자네가 감을 잡았나?

그들이 중매인들로서도 무섭도록 뛰어나다는 것, 

최선인 자식들을 출산하기 위해 어떤 여인이 어떤 사내와 교접해야 필요한지

아는 일과 관련하여 전적으로 지혜로운 자들이기에 그렇다는 것 말일세.

ΘΕΑΙ. Οὐ πάνυ τοῦτο οἶδα.

그건 전혀 알지 못합니다.

ΣΩ. Ἀλλ᾿ ἴσθ᾿ ὅτι ἐπὶ τούτῳ μεῖζον φρονοῦσιν ἢ ἐπὶ τῇ                  10

ὀμφαλητομίᾳ. ἐννόει γάρ· τῆς αὐτῆς ἢ ἄλλης οἴει τέχνης                e

εἶναι θεραπείαν τε καὶ συγκομιδὴν τῶν ἐκ γῆς καρπῶν καὶ

αὖ τὸ γιγνώσκειν εἰς ποίαν γῆν ποῖον φυτόν τε καὶ σπέρμα

καταβλητέον;

그럼 그들이 탯줄을 자르는 일에서보다 그 점에서 훨씬 더

현명하다(분별있다/신경쓴다?)는 사실을 알아두시게. 생각해 보란 말일세.

땅으로부터의 열매들에 대한 돌봄과 수확 그리고 또한 

어떤 땅에 어떤 싹과 씨가 뿌려져야만 하는지 아는 일도 

같은 기술 아닌 다른 기술에 속한다고 생각하는가?

ΘΕΑΙ. Οὔκ, ἀλλὰ τῆς αὐτῆς.                                                       5

아니요, 같은 기술에 속한다고요.

ΣΩ. Εἰς γυναῖκα δέ, ὦ φίλε, ἄλλην μὲν οἴει τοῦ τοιού-

του, ἄλλην δὲ συγκομιδῆς;

여성에 관한 경우에는, 이보게, 이런 일에 속하는

기술이 있는가 하면, 수확에 속하는 기술은 달리 있다고 생각하는가?

ΘΕΑΙ. Οὔκουν εἰκός γε.

그야 그렇지는 않겠지요.

ΣΩ. Οὐ γάρ. ἀλλὰ διὰ τὴν ἄδικόν τε καὶ ἄτεχνον                   150a

συναγωγὴν ἀνδρὸς καὶ γυναικός, ᾗ δὴ προαγωγία ὄνομα,

φεύγουσι καὶ τὴν προμνηστικὴν ἅτε σεμναὶ οὖσαι αἱ μαῖαι,

φοβούμεναι μὴ εἰς ἐκείνην τὴν αἰτίαν διὰ ταύτην ἐμπέ-

σωσιν· ἐπεὶ ταῖς γε ὄντως μαίαις μόναις που προσήκει καὶ             5

προμνήσασθαι ὀρθῶς.

아니니 하는 말일세. 그러나 사내와 계집의 부정하고 기술 없는

결합으로 인해, 이 결합에서 뚜쟁이질이란 이름이 왔는데,

존경스러운 산파들인 한에서 그들은 중매술까지 기피하니,

이 기술로 인해 저러한 비난에 빠지지는 않을까

두려워하기 때문이라네. 적어도 진정한 산파들이라면

오직 그들에게만 중매하는 일 역시 분명 제대로 걸맞겠는데도.

ΘΕΑΙ. Φαίνεται.

그리 보입니다.

ΣΩ. Τὸ μὲν τοίνυν τῶν μαιῶν τοσοῦτον, ἔλαττον δὲ τοῦ

ἐμοῦ δράματος. οὐ γὰρ πρόσεστι γυναιξὶν ἐνίοτε μὲν

εἴδωλα τίκτειν, ἔστι δ᾿ ὅτε ἀληθινά, τοῦτο δὲ μὴ ῥᾴδιον              b

εἶναι διαγνῶναι. εἰ γὰρ προσῆν, μέγιστόν τε καὶ κάλλιστον

ἔργον ἦν ἂν ταῖς μαίαις τὸ κρίνειν τὸ ἀληθές τε καὶ μή· ἢ

οὐκ οἴει;

하지만 산파들의 일은 이만큼의 것이네만, 내 자신이 하고 다니는 

일보다는 부족하다네. 왜냐하면 여인들에게는 어느 때엔 모상을 낳고,

또 어느 때엔 참된 것을 낳으며, 그것을 판가름하기 쉽지 않다는 일이

속하지 않기 때문이지. 만일 속했더라면, 가장 대단하고도 가장 훌륭한

작업이었을 걸세, 산파들에게 그 참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판단하는 일이

말일세. 그렇게 생각하지 않나?

ΘΕΑΙ. Ἔγωγε.                                                                       5

저로서는 그리 생각합니다.

ΣΩ. Τῇ δέ γ᾿ ἐμῇ τέχνῃ τῆς μαιεύσεως τὰ μὲν ἄλλα

ὑπάρχει ὅσα ἐκείναις, διαφέρει δὲ τῷ τε ἄνδρας ἀλλὰ μὴ

γυναῖκας μαιεύεσθαι καὶ τῷ τὰς ψυχὰς αὐτῶν τικτούσας

ἐπισκοπεῖν ἀλλὰ μὴ τὰ σώματα. μέγιστον δὲ τοῦτ᾿ ἔνι τῇ

ἡμετέρᾳ τέχνῃ, βασανίζειν δυνατὸν εἶναι παντὶ τρόπῳ                 c

πότερον εἴδωλον καὶ ψεῦδος ἀποτίκτει τοῦ νέου ἡ διάνοια

ἢ γόνιμόν τε καὶ ἀληθές. 

그런가 하면 산파일에 속하는 나의 기술에는 저 기술에 속하는

그 모든 다른 일들이 속하는가 하면, 사내에 대한 산파일이지

계집에 대한 것이 아니라는 점과 그들의 영혼이 출산하는 것을

살피는 것이지 육체를 살피는 것은 아니라는 점은 차이가 난다네.

그런데 우리쪽 기술에서는 이 점이 가장 중대한 것으로 속하니,

모든 방식으로 시금석 노릇을 할 수 있다는 점이지,

그 젊은이의 생각이 모상과 거짓을 출산해내는지 아니면

씨가 있는 것이자 참되기도 한 것을 출산해내는지 말일세.

                                 ἐπεὶ τόδε γε καὶ ἐμοὶ ὑπάρχει

ὅπερ ταῖς μαίαις· ἄγονός εἰμι σοφίας, καὶ ὅπερ ἤδη πολλοί

μοι ὠνείδισαν, ὡς τοὺς μὲν ἄλλους ἐρωτῶ, αὐτὸς δὲ οὐδὲν              5

ἀποφαίνομαι περὶ οὐδενὸς διὰ τὸ μηδὲν ἔχειν σοφόν,

ἀληθὲς ὀνειδίζουσιν. τὸ δὲ αἴτιον τούτου τόδε· μαιεύεσθαί

με ὁ θεὸς ἀναγκάζει, γεννᾶν δὲ ἀπεκώλυσεν. 

산파들에게 속하는 바로 이런 점은 내게도 속하지만.

나는 지혜의 불임인 자이고, 이미 대부분이 내게 책망한 바이기도

하네만, 내가 다른 자들에게는 물으면서, 나 자신은 아무런 지혜도

지니지 못하고 있다는 점으로 인해 아무것에 관해서도 전혀

드러내지 않는다고 하는데, 맞는 비난을 하는 게지. 그런데 그 일의

원인은 이런 걸세. 신께서 나로 하여금 산파노릇을 하도록 강제하시고,

출산은 막으셨지.

                                                          εἰμὶ δὴ οὖν

αὐτὸς μὲν οὐ πάνυ τι σοφός, οὐδέ τί μοι ἔστιν εὕρημα                  d

τοιοῦτον γεγονὸς τῆς ἐμῆς ψυχῆς ἔκγονον· οἱ δ᾿ ἐμοὶ συγ-

γιγνόμενοι τὸ μὲν πρῶτον φαίνονται ἔνιοι μὲν καὶ πάνυ

ἀμαθεῖς, πάντες δὲ προϊούσης τῆς συνουσίας, οἷσπερ ἂν ὁ

θεὸς παρείκῃ, θαυμαστὸν ὅσον ἐπιδιδόντες, ὡς αὑτοῖς τε                5

καὶ τοῖς ἄλλοις δοκοῦσι· καὶ τοῦτο ἐναργὲς ὅτι παρ᾿ ἐμοῦ

οὐδὲν πώποτε μαθόντες, ἀλλ᾿ αὐτοὶ παρ᾿ αὑτῶν πολλὰ καὶ

καλὰ εὑρόντες τε καὶ τεκόντες. τῆς μέντοι μαιείας ὁ θεός τε

καὶ ἐγὼ αἴτιος. 

그래서 정말로 나 자신은 뭔가에 전혀 지혜로운 자가 아니고,

내 영혼의 자손으로 태어난 그런 무슨 발견이랄 것도 내게는 없지.

그런데 나와 교제하는 자들이 처음에는 몇몇은 퍽이나

무식한 자들로까지 보이다가, 모두가 그 교제가 진행되면서, 

신께서 허하신 그런 자들이라면, 놀라울 만큼 진전한 것으로 드러나는데,

자신들에게도 다른 이들에게도 그리 여겨진다네. 이 점도 확실한데

내게서는 단 한 번도 아무것도 배운 적 없으면서, 그들 스스로

자신들에게서 많고도 훌륭한 것들을 발견하고 출산하며 진전을 보는 것으로

드러난다는 것이지. 다만 산파의 신과 나 자신이 그 원인이라네.

                    ὧδε δὲ δῆλον· πολλοὶ ἤδη τοῦτο ἀγνοή-                e

σαντες καὶ ἑαυτοὺς αἰτιασάμενοι, ἐμοῦ δὲ καταφρονή-

σαντες, ἢ αὐτοὶ ἢ ὑπ᾿ ἄλλων πεισθέντες ἀπῆλθον

πρῳαίτερον τοῦ δέοντος, ἀπελθόντες δὲ τά τε λοιπὰ

ἐξήμιβλωσαν διὰ πονηρὰν συνουσίαν καὶ τὰ ὑπ᾿ ἐμοῦ                    5

μαιευθέντα κακῶς τρέφοντες ἀπώλεσαν, ψευδῆ καὶ

εἴδωλα περὶ πλείονος ποιησάμενοι τοῦ ἀληθοῦς, τελευτῶν-

τες δ᾿ αὑτοῖς τε καὶ τοῖς ἄλλοις ἔδοξαν ἀμαθεῖς εἶναι.

이런 식으로 분명하지. 이미 많은 이들이 그 점을 모르고서

제 자신을 원인 삼으며, 나에 대해서는 업신여기고는,

그들 스스로 혹은 다른 이들에 의해 설득되어 필요 이상으로

이르게 떠났고, 떠나서는 남은 것들도 저열한 교제로 인해

유산시켜 버렸고 또한 내게 산파일을 받아 낳은 것들도

나쁘게 양육하여 죽여 없애 버렸으며, 거짓과 모상을

참된 것보다 더 중히 여겨서는, 결국에 자신들에게나

다른 이들에게나 무식한 자들이라고 여겨졌다네.

                                                                       ὦν

εἷς γέγονεν Ἀριστείδης ὁ Λυσιμάχου καὶ ἄλλοι πάνυ πολ-         151a

λοί· οὕς, ὅταν πάλιν ἔλθωσι δεόμενοι τῆς ἐμῆς συνουσίας

καὶ θαυμαστὰ δρῶντες, ἐνίοις μὲν τὸ γιγνόμενόν μοι

δαιμόνιον ἀποκωλύει συνεῖναι, ἐνίοις δὲ ἐᾷ, καὶ πάλιν

οὗτοι ἐπιδιδόασι. πάσχουσι δὲ δὴ οἱ ἐμοὶ συγγιγνόμενοι                  5

καὶ τοῦτο ταὐτὸν ταῖς τικτούσαις· ὠδίνουσι γὰρ καὶ

ἀπορίας ἐμπίμπλανται νύκτας τε καὶ ἡμέρας πολὺ μᾶλλον

ἢ᾿ κεῖναι· ταύτην δὲ τὴν ὠδῖνα ἐγείρειν τε καὶ ἀποπαύειν ἡ

ἐμὴ τέχνη δύναται.

뤼시마코스의 아리스테이데스가 그런 자들 중 하나가 되었고

다른 훨씬 많은 자들도 그랬다네. 그들을 말하자면, 다시 돌아와 

나와의 교제를 요구하며 놀라운 짓들을 해댔을 때, 내게 생겨난

신령스러운 것이 그들 중 어떤 이들과의 교제는 금지하고,

또 어떤 이들과의 교제는 허하여, 그래서 다시 이들은

진전을 이루었지. 그런데 나와 교제하는 자들은 정말로

출산한 자들과 똑같은 그 일까지 겪는다네. 즉 산고를 겪고

당혹으로 가득 차기를 밤낮으로 그리하며 저 출산한 자들보다

훨씬 더 심하게 겪는단 말일세. 바로 그 산통을 일으키는 것도

그치게 하는 것도 나의 기술이 해낼 수 있지.

                          καὶ οὗτοι μὲν δὴ οὕτως. ἐνίοις δέ, ὦ                b

Θεαίτητε, οἳ ἄν μοι μὴ δόξωσί πως ἐγκύμονες εἶναι, γνοὺς

ὅτι οὐδὲν ἐμοῦ δέονται, πάνυ εὐμενῶς προμνῶμαι καί, σὺν

θεῷ εἰπεῖν, πάνυ ἱκανῶς τοπάζω οἷς ἂν συγγενόμενοι

ὄναιντο· ὧν πολλοὺς μὲν δὴ ἐξέδωκα Προδίκῳ, πολλοὺς                  5

δὲ ἄλλοις σοφοῖς τε καὶ θεσπεσίοις ἀνδράσι. ταῦτα δή σοι,

ὦ ἄριστε, ἕνεκα τοῦδε ἐμήκυνα· ὑποπτεύω σε, ὥσπερ καὶ

αὐτὸς οἴει, ὠδίνειν τι κυοῦντα ἔνδον.

이 자들은 정말로 그렇다네. 그런데 어떤 이들은, 테아이테토스,

내겐 어쨌든 임신할 수 있는 자들로는 여겨지지 않는 자들인데,

그들이 나를 전혀 필요로하지 않는다는 것을 내가 알고서, 한결

호의적으로 중매해주고, 신과 함께 말하건데, 그들이 어울림으로써

이로울 자들을 충분하고도 넘치게 추정해 주고 있다네.

그들 대다수는 프로디코스께 맡겼고, 많은 이들을

다른 지혜롭고도 영험한 사내들에게 맡겼지. 그래서 이런 일들을 자네에게,

아주 훌륭한 친구, 다음과 같은 이유로 늘어놓았다네. 자네가,

자네도 스스로 그리 생각하듯, 안으로 무언가를 밴 채로 산고를 겪고 있다고

짐작하고 있으니.

                                                 προσφέρου οὖν πρός

με ὡς πρὸς μαίας ὑὸν καὶ αὐτὸν μαιευτικόν, καὶ ἃ ἄν                     c

ἐρωτῶ προθυμοῦ ὅπως οἷός τ᾿ εἶ οὕτως ἀποκρίνασθαι· καὶ

ἐὰν ἄρα σκοπούμενός τι ὧν ἂν λέγῃς ἡγήσωμαι ἔιδωλον

καὶ μὴ ἀληθές, εἶτα ὑπεξαιρῶμαι καὶ ἀποβάλλω, μὴ

ἀγρίαινε ὥσπερ αἱ πρωτοτόκοι περὶ τὰ παιδία. 

그러니 나에 대해 산파의 아들이자 나 자신 산파일에 능한 자를 대하듯

대해주고, 내가 묻는 것들을 자네가 답할 수 있을 그런 방식으로

대답하고자 열의를 가져주게. 그리고 만일 혹시라도 내가 검토하며

자네가 논하는 것들 중 어떤 것을 모상이자 참되지 못한 것으로

간주하게 되고, 다음으로 거두어내 내다 버린다면, 

초산인 자들이 그 자식들에 관하여 그리하듯 화를 내진 말아 주게.

- 『소피스트』에서 ἔιδωλον은 하위분류로 εἰκών과 φάντασμα를 가진다.

φάντασμα는 지각과 믿음의 결합물로 간주된다.

이후 논의에서 지각이 앎이라는 주장에 제기되는 것과의 관련은?

ὥσπερ 관련. 헛소리 제거해도 나와 신이 악의가 있는 게 아니다.

신의 산파술(실제 아이)/나의 산파술(지혜) 구분 가능?

                                                              πολλοὶ γὰρ              5

ἢδη, ὦ θαυμάσιε, πρός με οὕτω διετέθησαν, ὥστε ἀτεχνῶς

δάκνειν, ἐπειδάν τινα λῆρον αὐτῶν ἀφαιρῶμαι, καὶ οὐκ

οἴονταί με εὐνοίᾳ τοῦτο ποιεῖν, πόρρω ὄντες τοῦ εἰδέναι ὅτι

οὐδεὶς θεὸς δύσνους ἀνθρώποις, οὐδ᾿ ἐγὼ δυσνοίᾳ                       d

τοιοῦτον οὐδὲν δρῶ, ἀλλά μοι ψεῦδός τε συγχωρῆσαι καὶ

ἀληθὲς ἀφανίσαι οὐδαμῶς θέμις. πάλιν δὴ οὖν ἐξ ἀρχῆς, ὦ

Θεαίτητε, ὅτι ποτ᾿ ἐστὶν ἐπιστήμη, πειρῶ λέγειν· ὡς δ᾿ οὐχ

οἷός τ᾿ εἶ, μηδέποτ᾿ εἴπῃς. ἐὰν γὰρ θεὸς ἐθέλῃ καὶ ἀνδρίζῃ,               5

οἷός τ᾿ ἔσῃ.

그야 이미 많은 자들이, 놀라운 친구, 나를 향해 그런 식의

태도를 보여서, 말 그대로 물어 뜯을 지경이 되어서는,

내가 그들의 어떤 폐기물을 끄집어 낼 때면, 내가 좋은 생각에서

그 일을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데, 어떤 신도 인간들에게 나쁜 생각을

품지 않으시며, 나 역시도 나쁜 생각에서 그런 어떤 일도 전혀

하지 않고, 오히려 내게 거짓에 동조하고 진실에 눈감는 건 전혀

합당하지 않다는 것을 아는 것과는 영 거리가 먼 채로 그러니 말일세.

그러니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서, 테아이테토스, 도대체 앎이란 무엇인지,

말해 보도록 하게. 자네가 그리 할 수 없다고는, 결코 말하지 못할 걸세.

신께서 바라시고 남자답게 만들어 주신다면야, 자네는 그리 할 수 있는

사람일 테니까.

-θέμις : 150c7-8. 신이 ἀναγκάζει.

ΘΕΑΙ. Ἀλλὰ μέντοι, ὦ Σώκρατες, σοῦ γε οὕτω παρα-

κελευομένου αἰσχρὸν μὴ οὐ παντὶ τρόπῳ προθυμεῖσθαι ὅτι

τις ἔχει λέγειν. δοκεῖ οὖν μοι ὁ ἐπιστάμενός τι αἰσθάνεσθαι            e

τοῦτο ὃ ἐπίσταται, καὶ ὥς γε νυνὶ φαίνεται, οὐκ ἄλλο τί

ἐστιν ἐπιστήμη ἢ αἴσθησις.

어쨌든지 간에 그러시다면, 소크라테스, 바로 당신께서 그렇게

응원해주시는데도 누구든 말할 수 있는 바로 그것을 말하고자 

모든 방법으로 열의를 보이지 않는다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지요.

그래서 드리는 말씀입니다만 제게는 뭔가를 아는 자는 그가

아는 바로 그것을 감각한다고 여겨지고, 적어도 지금 당장

보이기로는, 앎은 감각 외에 다른 아무것도 아닙니다.

ΣΩ. Εὖ γε καὶ γενναίως, ὦ παῖ· χρὴ γὰρ οὕτως ἀπο-

φαινόμενον λέγειν. ἀλλὰ φέρε δὴ αὐτὸ κοινῇ σκεψώμεθα,                5

γόνιμον ἢ ἀνεμιαῖον τυγχάνει ὄν. αἴσθησις, φῄς, ἐπιστήμη;

좋고도 고상하게 말해주었네, 소년. 드러내는 사람은 그렇게

말해야만 하는 법이지. 허나, 자, 그것을 공동으로 탐문해 보세,

씨알 있는 것인지 아님 실은 헛바람이 든 것인지. 자네는

감각이 앎이라고 이야기하겠나?

ΘΕΑΙ. Ναί. 

네.

-蟲-

ΘΕΑΙ. Οὔχ, ὅσον γέ με εἰδέναι.                                           145a5

아닙니다, 적어도 제가 아는 한에서는 말이죠.

ΣΩ. Ἆρ᾿ οὐδὲ γεωμετρικός;

혹시 기하학자도 아니신 겐가?

ΘΕΑΙ. Πάντως δήπου, ὦ Σώκρατες.

전적으로 확실히 기하학자시죠, 소크라테스.

ΣΩ. Ἦ καὶ ἀστρονομικὸς καὶ λογιστικός τε καὶ

μουσικὸς καὶ ὅσα παιδείας ἔχεται;

물론 천문학자이시기도 하고 산술학자이시기도 하며

음악가이시기도 하고 교육에 관계하는 모든 것에서도 전문가이시지?

ΘΕΑΙ. Ἔμοιγε δοκεῖ.                                                               10

제게는 구분이 그리 여겨지십니다.

ΣΩ. Εἰ μὲν ἄρα ἡμᾶς τοῦ σώματός τι ὁμοίους φησὶν

εἶναι ἐπαινῶν πῃ ἢ ψέγων, οὐ πάνυ αὐτῷ ἄξιον τὸν νοῦν

προσέχειν.

그럼 만일 그 분께서 우리가 신체에서 무언가 닮았다고

어떤 식으로든 칭찬하시거나 비난하시어 말씀하신다면,

그 분께 그다지 주의를 기울일 가치는 없겠지.

ΘΕΑΙ. Ἴσως οὔ.

그럴 가치는 없을 것 같군요.

ΣΩ. Τί δ᾿ εἰ ποτέρου τὴν ψυχὴν ἐπαινοῖ πρὸς ἀρετήν τε               b

καὶ σοφίαν; ἆρ οὐκ ἄξιον τῷ μὲν ἀκούσαντι προθυμεῖσθαι

ἀνασκέψασθαι τὸν ἐπαινεθέντα, τῷ δὲ προθύμως ἑαυτὸν

ἐπιδεικνύναι;

그런데 만일 둘 중 누군가의 영혼을 덕과 지혜에 대해 칭송하신다면

어떤가? 혹시 그 이야기를 들은 자는 칭송 받는 자를 따져 보고자

열의를 가질 가치가 있고, 칭송 받는 자는 열의를 가지고 제 자신을

증명해 보일 가치가 있지 않은가?

ΘΕΑΙ. Πάνυ μὲν οὖν, ὦ Σώκρατες.                                              5

무척이나 그럴 가치가 있죠, 소크라테스.

ΣΩ. Ὥρα τοίνυν, ὦ φίλε Θεαίτητε, σοὶ μὲν ἐπιδεικνύ-

ναι, ἐμοὶ δὲ σκοπεῖσθαι· ὡς εὖ ἴσθι ὅτι Θεόδωρος πολλοὺς

δὴ πρός με ἐπαινέσας ξένους τε καὶ ἀστοὺς οὐδένα πω

ἐπῄνεσεν ὡς σὲ νυνδή.

그러니까 보게나, 친애하는 테아이테토스, 자네는 증명할

만하고, 나는 따져볼 만하지. 잘 알아두게나, 테오도로스께서는

나를 상대로 정말 많은 외지인들과 도시 사람들을 칭찬하셨으나

그 누구도 한 번도 방금 자네처럼 칭찬하신 적이 없다는 걸 말일세. 

ΘΕΑΙ. Εὖ ἂν ἔχοι, ὦ Σώκρατες· ἀλλ᾿ ὅρα μὴ παίζων                       10

ἔλεγεν.                                                                              c

그럼 좋겠습니다, 소크라테스. 하지만 그 분께서 장난조로

말씀하시지는 않았나 보시지요.

ΣΩ. Οὐχ οὗτος ὁ τρόπος Θεοδώρου· ἀλλὰ μὴ ἀναδύου

τὰ ὡμολογημένα σκηπτόμενος παίζοντα λέγειν τόνδε, ἵνα

μὴ καὶ ἀναγκασθῇ μαρτυρεῖν―πάντως γὰρ οὐδεὶς

ἐπισκήψετ᾿ αὐτῷ―ἀλλὰ θαρρῶν ἔμμενε τῇ ὁμολογίᾳ.                     5

그런 건 테오도로스의 방식이 아닐세. 허나 이 분께서 장난으로

말씀하신다고 간주하여 동의된 것들을 물리지는 마시게, 그 분께서

증인으로 서도록 강제받지 않으시게끔 말이지―그야 전적으로 아무도

그 분을 고발하지 않을 테니까―오히려 용기를 내 동의에 머무르도록 하게.

ΘΕΑΙ. Ἀλλὰ χρὴ ταῦτα ποιεῖν, εἰ σοὶ δοκεῖ.

그럼 그래야만 하지요, 당신께 그게 좋아 보인다면요.

ΣΩ. Λέγε δή μοι· μανθάνεις που παρὰ Θεοδώρου γεω-

μετρίας ἄττα;

그러면 내게 말해주게. 자네는 아마 테오도로스에게서

기하학의 일단을 배우고 있는가?

ΘΕΑΙ. Ἔγωγε.

저야 그렇습니다.

ΣΩ. Καὶ τῶν περὶ ἀστρονομίαν τε καὶ ἁρμονίας καὶ                     d

λογισμούς;

그리고 천문학과 화성학 그리고 산술에 관한 것들도?

ΘΕΑΙ. Προθυμοῦμαί γε δή.

정말로 그럴 열의는 가지고 있습니다.

ΣΩ. Καὶ γὰρ ἐγώ, ὦ παῖ, παρά τε τούτου καὶ παρ᾿ 

ἄλλων οὓς ἂν οἴωμαί τι τούτων ἐπαίειν. ἀλλ᾿ ὅμως τὰ μὲν              5

ἄλλα ἔχω περὶ αὐτὰ μετρίως, σμικρὸν δέ τι ἀπορῶ ὃ μετὰ

σοῦ τε καὶ τῶνδε σκεπτέον. καί μοι λέγε· ἆρ᾿ οὐ τὸ μαν-

θάνειν ἐστὶν τὸ σοφώτερον γίγνεσθαι περὶ ὃ μανθάνει τις;

나 역시도, 이보게, 이 분께도 그렇거니와 이런 것들 중

무언가를 칭송하는 것으로 보이는 다른 사람들에게서 배우기를 열망한다네.

허나 그럼에도 여타의 것들은 그것들에 관하여 내가 그럭저럭 하겠지만,

사소한 어떤 것은 곤란을 겪어 자네나 여기 이분과 함께 살펴보아야만 하겠네.

그러니 내게 말해주게. 혹시 배운다는 것은 누구든 그가 배우는 것에 관하여

그가 더 지혜롭게 된다는 것이지 않은가?

ΘΕΑΙ. Πῶς γὰρ οὔ;                                                                  10

어찌 아니겠습니까?

ΣΩ. Σωφίᾳ δέ γ᾿ οἶμαι σοφοὶ οἱ σοφοί.

그런가 하면 내 생각에 지혜로운 자들은 지혜로써 지혜로운 자들이라네.

ΘΕΑΙ. Ναί.

네.

ΣΩ. Τοῦτο δὲ μῶν διαφέρει τι ἐπιστήμης;                                   e

그런데 그건 물론 앎과 어떤 점에서 차이가 나는 건 아니지?

ΘΕΑΙ. Τὸ ποῖον;

어떤 것이 그렇다는 말씀이시죠?

ΣΩ. Ἡ σοφία. ἢ οὐχ ἅπερ ἐπιστήμονες ταῦτα καὶ

σοφοί;

지혜가 말일세. 아니면 아는 자들이 아는 바로 그것들에서

그들이 지혜롭기도 하지는 않은 건가?

ΘΕΑΙ. Τί μήν;                                                                         5

왜 아니겠습니까?

ΣΩ. Ταὐτὸν ἄρα ἐπιστήμη καὶ σοφία;

그럼 앎과 지혜가 같은 것인가?

ΘΕΑΙ. Ναί.

네.

ΣΩ. Τοῦτ᾿ αὐτὸ τοίνυν ἐστὶν ὃ ἀπορῶ καὶ οὐ δύναμαι

λαβεῖν ἱκανῶς παρ᾿ ἐμαυτῷ, ἐπιστήμη ὅτι ποτὲ τυγχάνει 

ὄν. ἆρ᾿ οὖν δὴ ἔχομεν λέγειν αὐτό; τί φατέ; τίς ἂν ἡμῶν           146a

πρῶτος εἴποι; ὁ δὲ ἁμαρτών, καὶ ὃς ἂν ἀεὶ ἁμαρτάνῃ,

καθεδεῖται, ὥσπερ φασὶν οἱ παῖδες οἱ σφαιρίζοντες, ὄνος·

ὃς δ᾿ ἂν περιγένηται ἀναμάρτητος, βασιλεύσει ἡμῶν καὶ

ἐπιτάξει ὃτι ἂν βούληται ἀποκρίνεσθαι. τί σιγᾶτε; οὔ τί                  5

που, ὦ Θεόδωρε, ἐγὼ ὑπὸ φιλολογίας ἀγροικίζομαι,

προθυμούμενος ἡμᾶς ποιῆσαι διαλέγεσθαι καὶ φίλους τε

καὶ προσηγόρους ἀλλήλοις γίγνεσθαι;

그러니까 바로 이것이 내가 곤란을 겪으며 스스로 충분히

파악할 능력이 없는 것인데, 앎이 도대체 대관절 무엇인가

하는 것일세. 그러니 혹시 정말로 우리가 그걸 말할 수 있을까?

여러분들께서는 무어라 말씀하십니까? 우리 중 누가 처음으로

말할까요? 실수하는 사람, 그러니까 언제나 실수할 그런 사람은,

공놀이하는 아이들이 말하는 것처럼, 당나귀로 주저앉을 겁니다.

반면 실수를 빠져나가는 자는, 우리들의 왕 노릇을 할 테고

답을 듣고자 하는 바를 명령할 것입니다. 어찌 조용히 계십니까?

테오도로스, 혹시 제가 논의사랑으로 인해 뭔가 촌스러운 짓을 한 건 아닌가요?

우리가 대화를 하도록 만들기를 또한 서로 친구이자 마음에 드는 자들이 되기를

열망하느라 말입니다.

ΘΕΟ. Ἥκιστα μέν, ὦ Σώκρατες, τὸ τοιοῦτον ἂν εἴη                      b

ἄγροικον, ἀλλὰ τῶν μειρακίων τινὰ κέλευέ σοι ἀποκρίνε-

σθαι· ἐγὼ μὲν γὰρ ἀήθης τῆς τοιαύτης διαλέκτου, καὶ οὐδ᾿ 

αὖ συνεθίζεσθαι ἡλικίαν ἔχω. τοῖσδε δὲ πρέποι τε ἂν τοῦτο

καὶ πολὺ πλέον ἐπιδιδοῖεν· τῷ γὰρ ὄντι ἡ νεότης εἰς πᾶν                5

ἐπίδοσιν ἔχει. ἀλλ᾿, ὥσπερ ἤρξω, μὴ ἀφίεσο τοῦ Θεαιτήτου

ἀλλ᾿ ἐρώτα.

그런 사람이 촌스러울 리는 거의 없을 것입니다만, 소크라테스,

오히려 젊은이들 중 누군가가 당신에게 답하라고 말씀하세요.

저는 이런 식의 대화에 익숙하질 못하고, 익숙해질 나이도 아니니까요.

그런 일은 이 친구들에게 어울릴 테고 또 무척이나 많은 진척이

있을 겁니다. 그야 실제로 젊음이 모든 일에 진척을 보일 것이니 말입니다.

그럼, 시작하셨던 것처럼, 테아이테토스를 풀어주지 마시고 그에게

질문하시죠.

ΣΩ. Ἀκούεις δή, ὦ Θεαίτητε, ἃ λέγει Θεόδωρος, ᾧ

ἀπιστεῖν, ὡς ἐγὼ οἶμαι, οὔτε σὺ ἐθελήσεις, οὔτε θέμις περὶ             c

τὰ τοιαῦτα ἀνδρὶ σοφῷ ἐπιτάττοντι νεώτερον ἀπειθεῖν.

ἀλλ᾿ εὖ καὶ γενναίως εἰπέ· τί σοι δοκεῖ εἶναι ἐπιστήμη;

그럼, 테아이테토스, 테오도로스께서 하시는 말씀을 듣고,

내가 생각하기로는, 자네가 그 분을 불신하려 하지도 않고,

이런 일들에 관련하여 지혜로운 분께서 명하시는 데에

더 젊은 사람이 납득하지 않는 것이 도리도 아니라네.

허나 잘 그리고 고상하게 말해보게. 자네에겐 앎이 무어라 여겨지는가?

ΘΕΑΙ. Ἀλλὰ χρή, ὦ Σώκρατες, ἐπειδήπερ ὑμεῖς

κελεύετε. πάντως γάρ, ἄν τι καὶ ἁμάρτω, ἐπανορθώσετε.                5

그럼 그래야만 하네요, 소크라테스, 여러분들께서 정말이지

그러라 하신다면 말입니다. 제가 뭔가 실수라도 저지른다면,

여러분들께서 모든 방식으로 바로잡아주실 테니까요.

ΣΩ. Πάνυ μὲν οὖν, ἄνπερ γε οἷοι τε ὦμεν.

그야 물론이지, 우리가 그럴 수 있는 사람들이라면야.

ΘΕΑΙ. Δοκεῖ τοίνυν μοι καὶ ἃ παρὰ Θεοδώρου ἄν τις

μάθοι ἐπιστῆμαι εἶναι, γεωμετρία τε καὶ ἃς νυνδὴ σὺ

διῆλθες, καὶ αὖ σκυτοτομική τε καὶ αἱ τῶν ἄλλων δημι-                d

ουργῶν τέχναι, πᾶσαί τε καὶ ἑκάστη τούτων, οὐκ ἄλλο τι ἢ

ἐπιστήμη εἶναι.

그러니까 제게는 누군가 테오도로스께 배울 것들도

앎이고, 기하학이든 방금 당신께서 상술하신 기술들이든,

또 제화술이든 여타 장인들의 기술들이든,

그 전부도 이것들 각각도, 다름 아닌 앎이라고 여겨집니다.

ΣΩ. Γενναίως γε καὶ φιλοδώρως, ὦ φίλε, ἕν αἰτηθεὶς

πολλὰ δίδως καὶ ποικίλα ἀντὶ ἁπλοῦ.                                          5

고상하고도 베풀기 좋아하는 식으로, 친구여, 하나를 요청받고

단순한 것 대신 여러 다채로운 것들을 주는군.

ΘΕΑΙ. Πῶς τί τοῦτο λέγεις, ὦ Σώκρατες;

어떻게 왜 그리 말씀하시는지요, 소크라테스?

ΣΩ. Ἴσως μὲν οὐδέν· ὃ μέντοι οἶμαι, φράσω. ὅταν

λέγῃς σκυτικήν, μή τι ἄλλο φράζεις ἢ ἐπιστήμην ὑποδη-

μάτων ἐργασίας;

아무것도 아닐 것 같네만, 내 생각을 밝혀보겠네.

자네가 제화술을 말할 때, 신발들의 제작에 대한 앎 외에

달리 무언가를 말하는 건 아니지?

ΘΕΑΙ. Οὐδέν.                                                                         10

다른 아무것도요.

ΣΩ. Τί δ᾿ ὅταν τεκτονικήν; μή τι ἄλλο ἢ ἐπιστήμην τῆς                  e

τῶν ξυλίνων σκευῶν ἐργασίας;

그런데 조립술을 말할 때는 어떤가? 목재 가구들의 제작에 대한

앎 이외에 다른 무언가를 말하는 건 아니지?

ΘΕΑΙ. Οὐδὲ τοῦτο.

다른 건 아닙니다.

ΣΩ. Οὐκοῦν ἐν ἀμφοῖν, οὗ ἑκατέρα ἐπιστήμη, τοῦτο

ὁρίζεις;                                                                                 5

그럼 자네는 두 경우 모두에서, 두 앎 각각이 무엇에 대한 것인지,

그 점을 규정하고 있는 게 아닌가?

ΘΕΑΙ. Ναί.

네.

ΣΩ. Τὸ δέ γ᾿ ἐρωτηθέν, ὦ Θεαίτητε, οὐ τοῦτο ἦν, τίνων

ἡ ἐπιστήμη, οὐδὲ ὁπόσαι τινές· οὐ γὰρ ἀριθμῆσαι αὐτὰς

βουλόμενοι ἠρόμεθα ἀλλὰ γνῶναι ἐπιστήμην αὐτὸ ὃτι ποτ᾿

ἐστίν. ἢ οὐδὲν λέγω;                                                                10

그렇지만 질문받은 바는, 테아이테토스, 앎이 무엇들에 관한

것인지, 그게 아니었고, 무슨 앎들이 얼만큼인지도 아니었다네.

왜냐하면 그 앎들을 셈하려고 생각하며 우리가 질문한 게 아니라

앎 자체가 도대체 무엇인지를 알고자 생각하며 질문했으니까.

아니면 내가 말도 안 되는 소리르 하는 겐가?

ΘΕΑΙ. Πάνυ μὲν οὖν ὀρθῶς.

물론 맞는 말씀이십니다.

ΣΩ. Σκέψαι δὴ καὶ τόδε. εἴ τις ἡμᾶς τῶν φαύλων τι καὶ              147a

προχείρων ἔροιτο, οἷον περὶ πηλοῦ ὅτι ποτ᾿ ἐστίν, εἰ ἀπο-

κριναίμεθα αὐτῷ πηλὸς ὁ τῶν χυτρέων καὶ πηλὸς ὁ τῶν

ἰπνοπλαθῶν καὶ πηλὸς ὁ τῶν πλινθουργῶν, οὐκ ἂν γελοῖοι

εἶμεν;                                                                                     5

그럼 이 점도 고찰해 보게. 만일 누군가 하찮고 손에 닿는(일상적인)

무언가를 우리에게 묻는다면, 예를 들어 진흙이 도대체 무엇인지 묻고,

우리가 도공들의 진흙과 와공들의 진흙 그리고 벽돌공들의 진흙이라

대답한다면, 우리는 우스운 자들이지 않겠나?

ΘΕΑΙ. Ἴσως.

그렇겠지요.

ΣΩ. Πρῶτον μέν γέ που οἰόμενοι συνιέναι ἐκ τῆς

ἡμετέρας ἀποκρίσεως τὸν ἐρωτῶντα, ὅταν ἔιπωμεν πηλός,

εἴτε ὁ τῶν κοροπλαθῶν προσθέντες εἴτε ἄλλων ὡντινωνοῦν            b

δημιουργῶν. ἢ οἴει τίς τι συνίησίν τινος ὄνομα, ὃ μὴ οἶδεν

τί ἐστιν;

일단 첫 번째로는 그 질문자가 우리의 그 대답을 통해

이해한다고 어쨌든 생각하면서, 우리가 진흙을 말할 때,

'도예가들의' 라고 하든 '무엇이든지 다른 장인들의' 라고 하든

덧붙이면서 우스워지겠지. 아니면 자네는, 누구든 그가 그게 무엇인지

알지 못하는 어떤 것의 이름을 조금이라도 이해하리라 생각하는가?

ΘΕΑΙ. Οὐδαμῶς.

결코 아닙니다.

ΣΩ. Οὐδ᾿ ἄρα ἐπιστήμην ὑποδημάτων συνίησιν ὁ                            5

ἐπιστήμην μὴ εἰδώς.

그럼 앎을 알지 못하는 사람은 신발들의 앎도 알지 못하네.

ΘΕΑΙ. Οὐ γάρ.

그야 알지 못하지요.

ΣΩ. Σκυτικὴν ἄρα οὐ συνίησιν ὃς ἂν ἐπιστήμην ἀγνοῇ,

οὐδέ τινα ἄλλην τέχνην.

그럼 앎에 무지한 자라면 제화술 제화술을 이해하지 못할 테고,

다른 어떤 기술도 이해하지 못하겠지.

ΘΕΑΙ. Ἔστιν οὕτως.                                                                  10

그야 그렇지요.

ΣΩ. Γελοία ἄρα ἡ ἀπόκρισις τῷ ἐρωτηθέντι ἐπιστήμη

τί ἐστιν, ὅταν ἀποκρίνηται τένης τινὸς ὄνομα. τινὸς γὰρ

ἐπιστήμην ἀποκρίνεται οὐ τοῦτ᾿ ἐρωτηθείς.                                  c

그럼 앎이 무엇인지 묻는 사람에게 그 대답은 우스운 것이지,

무언가에 대한 기술의 이름이 답으로 주어질 때 말일세. 왜냐하면

그런 것을 질문 받지 않았는데 무언가의 앎을 답으로 내놓고 있으니까.

ΘΕΑΙ. Ἔοικεν.

그런 것 같습니다.

ΣΩ. Ἔπειτά γέ που ἐξὸν φαύλως καὶ βραχέως ἀπο-

κρίνασθαι περιέρχεται ἀπέραντον ὁδόν. οἷον καὶ ἐν τῇ τοῦ

πηλοῦ ἐρωτήσει φαῦλόν που καὶ ἁπλοῦν εἰπεῖν ὅτι γῆ                      5

ὑγρῷ φυραθεῖσα πηλὸς ἂν εἴη, τὸ δ᾿ ὅτου ἐᾶν χαίρειν.

그런데다가 쉽고도 짧게 답하는 게 가능한데도

한정 없는 길을 에둘러 가고 있다네. 이를 테면 진흙의 질문에서도

땅이 물과 섞여서 진흙이라고 어느 정도 쉽고 또 단순한 것을

말할 수 있었을 테고, '무엇의' 라는 것은 내버려둘 수 있었을 걸세.

ΘΕΑΙ. Ῥᾴδιον, ὦ Σώκρατες, νῦν γε οὕτω φαίνεται·

ἀτὰρ κινδυνεύεις ἐρωτᾶν οἷον καὶ αὐτοῖς ἡμῖν ἔναγχος

εἰσῆλθε διαλεγομένοις, ἐμοί τε καὶ τῷ σῷ ὁμωνύμῳ τούτῳ                d

Σωκράτει.

한결 쉽군요, 소크라테스, 이제는 그렇게 보이네요.

그런데 말이죠, 당신께서 물으시려는 것이 저희들 자신에게도 방금

대화하면서 떠올랐던 그런 것이네요, 저와 또 당신의 동명이인인

여기 이 소크라테스에게 말이에요.

ΣΩ. Τὸ ποῖον δή, ὦ Θεαίτητε;

그래서 어떤 것이었나, 테아이테토스?

ΘΕΑΙ. Περὶ δυνάμεών τι ἡμῖν Θεόδωρος ὅδε ἔγραφε,

τῆς τε τρίποδος πέρι καὶ πεντέποδος ὅτι μήκει οὐ σύμ-                     5

μετροι τῇ ποδιαίᾳ, καὶ οὕτω κατὰ μίαν ἑκάστην προ-

αιρούμενος μέχρι τῆς ἑπτακαιδεκάποδος· ἐν δὲ ταύτῃ πως

ἐνέσχετο. ἡμῖν οὖν εἰσῆλθέ τι τοιοῦτον, ἐπειδὴ ἄπειροι τὸ

πλῆθος αἱ δυνάμεις ἐφαίνοντο, πειραθῆναι συλλαβεῖν εἰς

ἕν, ὅτῳ πάσας ταύτας προσαγορεύσομεν τὰς δυνάμεις.                    e

가능수들에 관하여 어떤 것을 저희에게 테오도로스께서 이렇게 작도해

주셨는데요, 3피트 제곱수나 5피트의 제곱수, 즉 길이에서 피트로 

측정되지 않는 것에 관해서, 그리고 그렇게 각기 하나씩 제시하시면서

17피트의 제곱수에 이르기까지 작도해 주셨습니다. 그런데 이 가능수에서

어쨌든(어떤 식으론가) 멈추셨습니다. 그리하여 저희에게 이런 어떤 생각이 

들었습니다만, 제곱수들이 수에서 무한한 것들로 나타나고 있었기에,

하나로 모아 보아야 하겠다는 것입니다. 이것으로 그런 모든 제곱수들을

저희가 부르도록 말이죠.

ΣΩ. Ἦ καὶ ηὕρετέ τι τοιοῦτον;

정말로 자네들이 그런 어떤 것을 발견하기까지 한 겐가?

ΘΕΑΙ. Ἔμοιγε δοκοῦμεν· σκόπει δὲ καὶ σύ.

제게는 저희가 발견했다고 여겨집니다만, 당신께서도 살펴봐 주세요.

ΣΩ. Λέγε.

말해 보게.

ΘΕΑΙ. Τὸν ἀριθμὸν πάντα δίχα διελάβομεν· τὸν μὲν                          5

δυνάμενον ἴσον ἰσάκις γίγνεσθαι τῷ τετραγώνῳ τὸ σχῆμα

ἀπεικάσαντες τετράγωνόν τε καὶ ἰσόπλευρον προσείπομεν.

저희는 수를 모두 두 가지로 나누어 파악하였습니다. 한편의 수는

같은 크기의 수를 그 수 만큼 거듭하여 생성될 수 있기에 모양에서 

사각형에 빗대어 사각수 또는 등변수라 이름붙였습니다.

ΣΩ. Καὶ εὖ γε.

그것 참 잘 해냈군.

ΘΕΑΙ. Τὸν τοίνυν μεταξὺ τούτου, ὧν καὶ τὰ τρία καὶ

τὰ πέντε καὶ πᾶς ὃς ἀδύνατος ἴσος ἰσάκις γενέθαι, ἀλλ᾿ ἢ             148a

πλείων ἐλαττονάκις ἢ ἐλάττων πλεονάκις γίγνεται, μείζων

δὲ καὶ ἐλάττων ἀεὶ πλευρὰ αὐτὸν περιλαμβάνει, τῷ

προμήκει αὖ σχήματι ἀπεικάσαντες προμήκη ἀριθμὸν

ἐκαλέσαμεν.                                                                             5

그리고서 그 수의 사이의 수, 3과 5와 또한 같은 크기의 수를 

그 수 만큼 거듭하여 생겨나는 것이 불가능하고, 오히려 더 많은 수를 

그보다 적은 횟수로 거듭하거나 더 적은 수를 그보다 더 많은 횟수로 

거듭하여 생겨나며, 더 큰 변과 더 작은 변이 그 수를 에워싸는 모든

수가 그에 속하는 수를, 직사각 형태에 빗대어 직사각 수라고

불렀습니다.

αὐτὸν Smyth 2517

-蟲-

ΘΕΑΙΤΗΤΟΣ

ΕΥΚΛΕΙΔΗΣ  ΤΕΡΨΙΩΝ


ΕΥ. Ἄρτι, ὦ Τερψίων, ἢ πάλαι ἐξ ἀγροῦ;                               142a

테르시온, 시골에서 나온 게 얼마 전인가 아니면 오래 된 겐가?

ΤΕΡ. Ἐπιεικῶς πάλαι. καὶ σέ γε ἐξήτουν κατ᾿ ἀγορὰν

καὶ ἐθαύμαζον ὅτι οὐχ οἷός τ᾿ ἦ εὑρεῖν.

꽤나 오래 되었지. 내가 자네를 시장에서 찾고 있었네만

찾을 수가 없어서 놀라고 있었다네.

ΕΥ. Οὐ γὰρ ἦ κατὰ πόλιν.

도시에 없었으니 말이네.

ΤΕΡ. ποῦ μήν;                                                                       5

그럼 어디 있었던 겐가?

ΕΥ. Εἰς λιμένα καταβαίνων Θεαιτήτῳ ἐνέτυχον φερο-

μένῳ ἐκ Κορίνθου ἀπὸ τοῦ στρατοπέδου Ἀθήναζε.

항구로 내려갔는데 코린토스의 군에서 아테네로 후송되어 

나오던 테아이테토스를 만났었다네.

ΤΕΡ. Ζῶντι ἢ τετελευτηκότι;

살아있는 테아이테토스와 만난 겐가 아니면 죽어버린 그와 만난 겐가?

ΕΥ. Ζῶντι καὶ μάλα μόγις· χαλεπῶς μὲν γὰρ ἔχει καὶ                     b

ὑπὸ τραυμάτων τινῶν, μᾶλλον μὴν αὐτὸν αἱρεῖ τὸ γεγονὸς

νόσημα ἐν τῷ στρατεύματι.

그야말로 아주 가까스로 살아있는 그와 만났다네. 어떤 부상들로도

어려운 처지였는데, 더구나 그가 그 군대에 창궐한 역병에

걸렸으니 말이지.

ΤΕΡ. Μῶν ἡ δυσεντερία;

설마 이질은 아니었겠지?

ΕΥ. Ναί.                                                                               5

그렇다네.

ΤΕΡ. Οἷον ἄνδρα λέγεις ἐν κινδύνῳ εἶναι.

자네 곤경에 빠진 사람 이야기를 하는구만.

자네 그런 사람이 곤경에 빠져 있다고 말하는구만.

ΕΥ. Καλόν τε καὶ ἀγαθόν, ὦ Τερψίων, ἐπεί τοι καὶ νῦν

ἢκουόν τινων μάλα ἐγκωμιαζόντων αὐτὸν περὶ τὴν μάχην.

아름답고도 훌륭한 사람 말일세, 테릅시온. 알다시피 지금까지도

나는 어떤 사람들로부터 그 전투와 관련하여 그를 칭송하는 소리들을 들어왔으니.

-아름답고 훌륭한 데다가 전쟁터에서 칭송을 지금도 들었다.

ΤΕΡ. Καὶ οὐδέν γ᾿ ἄτοπον, ἀλλὰ πολὺ θαυμαστότερον

εἰ μὴ τοιοῦτος ἦν. ἀτὰρ πῶς οὐκ αὐτοῦ Μεγαροῖ κατέλυεν;            c

하등 이상할 것도 없고, 오히려 그가 이런 사람이 아니었더라면

훨씬 더 놀랄 일이지. 어떻게 그럼에도 그는 여기 메가라에 머물지 않았나?

ΕΥ. Ἠπείγετο οἴκαδε· ἐπεὶ ἔγωγ᾿ ἐδεόμην καὶ

συνεβούλευον, ἀλλ᾿ οὐκ ἤθελεν. καὶ δῆτα προπέμψας

αὐτόν, ἀπιὼν πάλιν ἀνεμνήσθην καὶ ἐθαύμασα Σωκράτους

ὡς μαντικῶς ἄλλα τε δὴ εἶπε καὶ περὶ τούτου. δοκεῖ γάρ                5

μοι ὀλίγον πρὸ τοῦ θανάτου ἐντυχεῖν αὐτῷ μειρακίῳ ὄντι,

καὶ συγγενόμενός τε καὶ διαλεχθεὶς πάνυ ἀγασθῆναι αὐτοῦ

τὴν φύσιν. καί μοι ἐλθόντι Ἀθήναζε τούς τε λόγους οὓς διε-

λέχθη αὐτῷ διηγήσατο καὶ μάλα ἀξίους ἀκοῆς, εἶπέ τε ὅτι             d

πᾶσα ἀνάγκη εἴη τοῦτον ἐλλόγιμον γενέσθαι, εἴπερ εἰς

ἡλικίαν ἔλθοι.

그는 집(고국)으로 길을 재촉했다네. 나 자신도 청했거니와

조언도 하였네만, 그는 바라지 않았지. 그리고, 그래, 그를

배웅해주고서, 되돌아 떠나오며 소크라테스께서 다른 일들을

말씀하셨을 때도 그렇지만(특히) 그 사람에 관하여 말씀하셨을 때

얼마나 예언자같으셨는지 기억을 떠올리고는 놀라 버렸다네.

왜냐하면 내게는 거의 죽음에 이른 그 분께서 소년인 그와 만나셨던 것으로,

또 함께 어울리게 되셔서 대화를 나누시고는 그 사람의 본성에

크게 감탄하셨던 것으로 여겨졌으니까. 또한 그 분께서는 아테네에 갔던

내게 그 분께서 그와 나누셨고 무척이나 들을 가치가 있기도 한 말들을

풀어내주셨을 뿐만 아니라, 이런 사람이, 만일 청년기에 이르기만 한다면,

명성을 떨치게 되리란 것은 전적으로 필연적이리라고도 말씀하셨다네.

ΤΕΡ. Καὶ ἀληθῆ γε, ὡς ἔοικεν, εἶπεν. ἀτὰρ τίνες ἦσαν

οἱ λόγοι; ἔχοις ἂν διηγήσασθαι;                                                5

게다가 맞는 말씀을 하신 것 같기도 하군. 그런데 그 말들은

무슨 말들이었나? 자네가 풀어내줄 수 있겠나?

ΕΥ. Οὐ μὰ τὸν Δία, οὔκουν οὕτω γε ἀπὸ στόματος· ἀλλ᾿

ἐγραψάμην μὲν τότ᾿ εὐθὺς οἴκαδ᾿ ἐλθὼν ὑπομνήματα,            143a

ὕστερον δὲ κατὰ σχολὴν ἀναμιμνῃσκόμενος ἔγραφον, καὶ

ὁσάκις Ἀθήναζε ἀφικοίμην, ἐπανηρώτων τὸν Σωκράτη ὃ

μὴ ἐμεμνήμην, καὶ δεῦρο ἐλθὼν ἐπηνωρθούμην· ὥστε μοι

σχεδόν τι πᾶς ὁ λόγος γέγραπται.                                             5

제우스께 맹세코 그렇지를 못하다네, 내 입으로 그렇게는 못하지.

허나 그때 곧장 집으로 가서(그때 곧장 집으로 가자마자) 기억할 거리들을 적어두었고,

이후 여가시간마다 기억을 떠올리며 적었으며, 내가 아테네에

들를 때마다, 소크라테스님께 내가 기억하지 못한 바를

여쭈어서, 이곳에 와서 바로잡았다네. 그래서 내게

그 논의 거의 전부가 기록되어 있지.

ΤΕΡ. Ἀλλ᾿ ἤδη ἤκουσά σου καὶ πρότερον, καὶ μέντοι

ἀεὶ μέλλων κελεύσειν ἐπιδεῖξαι διατέτριφα δεῦρο. ἀλλὰ τί

κωλύει νῦν ἡμᾶς διελθεῖν; πάντως ἔγωγε καὶ ἀναπαύσα-

σθαι δέομαι ὡς ἐξ ἀγροῦ ἥκων.

이전에도 자네에게 이미 들었고, 게다가 물론

언제나 보여달라 하려던 참이었네만 여기(지금)까지 미뤄 왔다네. 허나

이제 우리가 펼쳐놓는 걸 무엇이 막겠는가? 나로서는 시골에서 

참이니 전적으로 휴식을 필요로 하기도 하고 말일세.

(앞에 '오래 전'이 하루 안이냐 몇 달 전이냐.) 

ΕΥ. Ἀλλὰ μὲν δὴ καὶ αὐτὸς μέχρι Ἐρινοῦ Θεαίτητον                    b

προύπεμψα, ὥστε οὐκ ἂν ἀηδῶς ἀναπαυοίμην. ἀλλ᾿ ἴωμεν,

καὶ ἡμῖν ἅμα ἀναπαυομένοις ὁ παῖς ἀναγνώσεται.

허나 실은 나도 테아이테토스를 에리노스까지

배웅해주었으니, 쉬는 일이 달갑지 않을 것 없다네. 그럼 가보세,

우리가 함께 쉬고 있으면 시종아이가 읽어줄 걸세.

ΤΕΡ. Ὀρθῶς λέγεις.

맞는 말이군.


ΕΥ. Τὸ μὲν δὴ βιβλίον, ὦ Τερψίων, τουτί· ἐγραψάμην                    5

δὲ δὴ οὑτωσὶ τὸν λόγον, οὐκ ἐμοὶ Σωκράτη διηγούμενον

ὡς διηγεῖτο, ἀλλὰ διαλεγόμενον οἷς ἔφη διαλεχθῆναι. ἔφη

δὲ τῷ τε γεωμέτρῃ Θεοδώρῳ καὶ τῷ Θεαιτήτῳ. ἵνα οὖν ἐν

τῇ γραφῇ μὴ παρέχοιεν πράγματα αἱ μεταξὺ τῶν λόγων             c

διηγήσεις περὶ αὑτοῦ τε ὁπότε λέγοι ὁ Σωκράτης, οἷον

"καὶ ἐγὼ ἔφην" ἢ "καὶ ἐγὼ εἶπον," ἢ αὖ περὶ τοῦ ἀπο-

κρινομένου ὅτι "συνέφη" ἢ "οὐχ ὡμολόγει," τούτων ἕνεκα

ὡς αὐτὸν αὐτοῖς διαλεγόμενον ἔγραψα, ἐξελὼν τὰ                        5

τοιαῦτα.

이게 정말로 그 책이라네, 테릅시온. 그런데 그 논의를

소크라테스께서 내게 상술해주신 것이 아니라,

저들과 대화하셨다고 그 분께서 말씀하셨던 대화로 

그렇게 적어두었지. 그 분께서는 저들이 기하학자 테오도로스와

테아이테토스라고 말씀하셨네. 그러니 글 안에서 논의들 사이의

당신 자신에 관한 언급들이 소크라테스께서 말씀하실 때마다

말썽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그리고 내가 말했네" 라든지

"내가 말했지" 또는 대답하는 이와 관련해서 "그가 한 목소리를 냈네," 

"그는 동의하지 않았네" 같은 이런 언급들 때문에

그 분께서 저들과 대화하시는 것으로 적었고, 저런 것들은

빼버렸다네.

ΤΕΡ. Καὶ οὐδέν γε ἀπὸ τρόπου, ὦ Εὐκλείδη.

게다가 이상할 것도 전혀 없군, 에우클레이데스.

ΕΥ. Ἀλλά, παῖ, λαβὲ τὸ βιβλίον καὶ λέγε.

그럼, 얘야, 책을 들어 말해주렴.

- 죽음을 앞둔 소크라테스와 어린 테아이테토스의 대화

-> 아테네에 온 에우클레이데스에게 소크라테스가 전해줌

-> 에우클레이데스가 기록하고 소크라테스와 만나 교정 

-> 에우클레이데스가 테릅시온과 만나 노예가 읽어줌

테아이테토스는 현재 전쟁 부상. 시간의 경과+실제 대화로부터의 거리. 거리두기? 문자로 지식의 전달될 수 있는지의 문제?

'새장의 비유'와 관련해서 생각해볼 수 있는 부분이 있는가?

『소피스트』도 이 액자 내부의 이야기로 연속되는지?


ΘΕΑΙΤΗΤΟΣ

ΣΩΚΡΑΤΗΣ ΘΕΟΔΩΡΟΣ ΘΕΑΙΤΗΤΟΣ


ΣΩ. Εἰ μὲν τῶν ἐν Κυρήνῃ μᾶλλον ἐκηδόμην, ὦ                          d

Θεόδωρε, τὰ ἐκεῖ ἄν σε καὶ περὶ ἐκείνων ἀνηρώτων, εἴ

τινες αὐτόθι περὶ γεωμετρίαν ἤ τινα ἄλλην φιλοσοφίαν εἰσὶ

τῶν νέων ἐπιμέλειαν ποιούμενοι· νῦν δὲ ἧττον γὰρ ἐκείνους

ἢ τούσδε φιλῶ, καὶ μᾶλλον ἐπιθυμῶ εἰδέναι τίνες ἡμῖν τῶν            5

νέων ἐπίδοξοι γενέσθαι ἐπιεικεῖς. ταῦτα δὴ αὐτός τε

σκοπῶ καθ᾿ ὅσον δύναμαι, καὶ τοὺς ἄλλους ἐρωτῶ οἷς ἂν

ὁρῶ τοὺς νέους ἐθέλοντας συγγίγνεσθαι. σοὶ δὴ οὐκ ὀλί-

γιστοι πλησιάζουσι, καὶ δικαίως· ἄξιος γὰρ τά τε ἄλλα καὶ           e

γεωμετρίας ἕνεκα. εἰ δὴ οὖν τινι ἐνέτυχες ἀξίῳ λόγου,

ἡδέως ἂν πυθοίμην.

만일 퀴레네의 사람들을 염려하고 있었다면, 테오도로스,

저곳의 일들과 저들에 관해 당신께 여쭈었겠지요, 

바로 그곳에서 젊은이들 중 어떤 이들이 기하학이나 다른 어떤 지혜사랑에 관해

관심을 기울고 있는지를 말입니다. 헌데 실은 제가 저들을

이곳 사람들보다는 덜 사랑하고, 우리네 젊은이들 중

어떤 이들이 잘 될 만한 자들인지 알기를 훨씬 더 열망합니다. 그래서 제 자신도

이런 일들을 능력이 닿는 한 살펴보고 있고, 제가 보기에 젊은이들이

그들과 어울리길 바라는 것으로 보이는 그런 다른 이들에게도 묻고 있지요.

그래서 그들이 당신께 결코 적잖이 따르고 있고, 그게 마땅하기도 합니다. 다른 점들에서도 그렇거니와

기하학 때문에도 그럴 가치가 있는 분이시니까요. 그러하니 실로 누군가 언급할 만한 이를

만나셨다면, 기쁘게 듣고자 합니다.

ΘΕΟ. Καὶ μήν, ὦ Σώκρατες, ἐμοί τε εἰπεῖν καὶ σοὶ

ἀκοῦσαι πάνυ ἄξιον οἵῳ ὑμῖν τῶν πολιτῶν μειρακίῳ ἐντε-             5

τύχηκα. καὶ εἰ μὲν ἦν καλός, ἐφοβούμην ἂν σφόδρα λέγειν,

μὴ καί τῳ δόξω ἐν ἐπιθυμίᾳ αὐτοῦ εἶναι. νῦν δέ―καὶ μή

μοι ἄχθου―οὐκ ἔστι καλός, προσέοικε δὲ σοὶ τήν τε

σιμότητα καὶ τὸ ἔξω τῶν ὀμμάτων· ἦττον δὲ ἢ σὺ ταῦτ᾿

ἔχει.                                                                             144a

뿐만 아니라, 소크라테스, 당신네 시민들 중에서 내가 만난 적이

있는 친구는 나로서도 무척이나 말할 만하고 자네에게도 무척이나

들을 만한 사람이지요. 또 그가 만일 아름다웠더라면, 과장하여 말하기가

두려웠을 겝니다, 제가 그에 대한 열망에 빠진 것으로 여겨지지나 않을까 해서요.

그런데 실은―제게 화를 내진 마시고요―그가 아름답지 않고, 들창코나

튀어나온 두 눈이 당신을 닮았답니다. 당신보단 덜 하지만 말이에요.


     ἀδεῶς δὴ λέγω. εὖ γὰρ ἴσθι ὅτι ὧν δὴ πώποτε ἐνέ-             144a

τυχον―καὶ πάνυ πολλοῖς πεπλησίακα―οὐδένα πω

ᾐσθόμην οὕτω θαυμαστῶς εὖ πεφυκότα. τὸ γὰρ εὐμαθῆ

ὄντα ὡς ἄλλῳ χαλεπὸν πρᾷον αὖ εἶναι διαφερόντως, καὶ

ἐπὶ τούτοις ἀνδρεῖον παρ᾿ ὁντινοῦν, ἐγὼ μὲν οὔτ᾿ ἂν ᾠόμην          5

γενέσθαι οὔτε ὁρῶ γιγνόμενον· 

거리낌 없이 말합니다. 잘 알아두시란 말씀입니다. 제가 만났던

자들 중―무척이나 많은 이들을 따라다녔기도 했고요―여지껏

그렇게나 놀랍도록 훌륭하게 타고난 자는 그 누구도 본 적이 없습니다.

다른 이에게 어려울 만큼 잘 배우는가 하면 또 특출나게 온화하기도 하며,

이런 점들에 더하여 그 누구에 비해서도 용감하다니, 저는 그런 일이

생겨나리라 생각지도 못했을 테고 그리 된 일을 보지도 못하고 있습니다.

ὧν δὴ 데니스톤 δὴ 설명 중.

                                         ἀλλ᾿ οἵ τε ὀξεῖς ὥσπερ

οὗτος καὶ ἀγχίνοι καὶ μνήμονες ὡς τὰ πολλὰ καὶ πρὸς τὰς

ὀργὰς ὀξύρροποί εἰσι, καὶ ᾄττοντες φέρονται ὥσπερ τὰ

ἀνερμάτιστα πλοῖα, καὶ μανικώτεροι ἢ ἀνδρειότεροι

φύονται, οἵ τε αὖ ἐμβριθέστεροι νωθροί πως ἀπαντῶσι         b

πρὸς τὰς μαθήσεις καὶ λήθης γέμοντες. ὁ δὲ οὕτω λείως τε

καὶ ἀπταίστως καὶ ἀνυσίμως ἔρχεται ἐπὶ τὰς μαθήσεις τε

καὶ ζητήσεις μετὰ πολλῆς πρᾳότητος, οἷον ἐλαίου ῥεῦμα

ἀψοφητὶ ῥέοντος, ὥστε θαυμάσαι τὸ τηλικοῦτον ὄντα                  5

οὕτως ταῦτα διαπράττεσθαι.

                                        그러나 그 친구처럼 

예리하고 영민하며 기억력이 좋은 사람들은 대개 욱하기 

쉬운 자들이고, 달려들기를 마치 바닥짐 없는 배들처럼 

움직여대며, 더 용감하기 보다는 더 광적인

자들로 타고나고(자라고), 또 한편 더 진중한 자들도

어쨌든 우둔한 자들로 배움에 마주하고 망각으로 가득차지요.

그런데 그 친구는 그렇게나 부드럽고도 신중하며 효율적으로

온화함을 가지고 배움과 탐구에 임하여, 올리브 기름이

소리 없이 흐르듯 하기에, 그래서 그 나이에 그런 식으로

그런 일들을 해낸다는 것이 놀라울 정도랍니다.

ΣΩ. Εὖ ἀγγέλλεις. τίνος δὲ καὶ ἔστι τῶν πολιτῶν;

좋은 소식을 전해주시네요. 그런데 시민들 중 누구의 자제인가요?

ΘΕΟ. Ἀκήκοα μὲν τοὔνομα, μνημονεύω δὲ οὔ. ἀλλὰ

γάρ ἐστι τῶνδε τῶν προσιόντων ὁ ὲν τῷ μέσῳ· ἄρτι γὰρ ἐν           c

τῷ ἔξω δρόμῳ ἠλείφοντο ἑταῖροί τέ τινες οὗτοι αὐτοῦ καὶ

αὐτός, νῦν δέ μοι δοκοῦσιν ἀλειψάμενοι δεῦρο ἰέναι. ἀλλὰ

σκόπει εἰ γιγνώσκεις αὐτόν.

이름은 들었습니다만, 기억하지는 못합니다. 허나

다가오고 있는 이 사람들 중 가운데에 있는 사람입니다. 방금

외부 경주로에서 그 친구와 그의 동료 몇이 몸에 기름을

바르고 있었는데, 이제 기름을 바르고 여기로 오고 있는 걸로

여겨져서요. 그를 알아보시겠는지 살펴보시죠.

ΣΩ. Γιγνώσκω· ὁ τοῦ Σουνιέως Εὐφρονίου ἐστιν, καὶ                     5

πάνυ γε, ὦ φίλε, ἀνδρὸς οἷον καὶ σὺ τοῦτον διηγῇ, καὶ

ἄλλως εὐδοκίμου, καὶ μέντοι καὶ οὐσίαν μάλα πολλὴν

κατέλιπεν. τὸ δ᾿ ὄνομα οὐκ οἶδα τοῦ μειρακίου.

알아보겠네요. 수니온의 에우프로니오스의 아들이고,

그는 꽤나 당신께서 저 친구를 말씀하신 그런 사람입니다만,

다른 식으로도 평판이 좋은 사람이고, 더욱이 재산도 무척이나

많이 남겼답니다. 그런데 청년의 이름은 알지 못합니다.

ΘΕΟ. Θεαίτητος, ὦ Σώκρατες, τό γε ὄνομα· τὴν μέντοι                 d

οὐσίαν δοκοῦσί μοι ἐπίτροποί τινες διεφθαρκέναι. ἀλλ᾿

ὅμως καὶ πρὸς τὴν τῶν χρημάτων ἐλευθεριότητα θαυμα-

στός, ὦ Σώκρατες.

그 이름은 테아이테토스랍니다, 소크라테스. 그 재산은 

후견인 몇이 날려버린 것으로 여겨지지만요. 허나

그럼에도 재물에 대한 자유인다움에 대해서도 그는

놀라운 사람이랍니다, 소크라테스.

ΣΩ. Γεννικὸν λέγεις τὸν ἄνδρα. καί μοι κέλευε αὐτὸν                     5

ἐνθάδε παρακαθίζεσθαι.

혈통이 좋은 사내를 말씀하시는군요. 그럼 저를 위해 그 친구가

여기로 와 곁에 앉으라 해 주시죠.

ΘΕΟ. Ἔσται ταῦτα. θεαίτητε, δεῦρο παρὰ Σωκράτη.

그럴 겁니다. 테아이테토스, 이쪽 소크라테스 곁이라네.

ΣΩ. Πάνυ μὲν οὖν, ὦ Θεαίτητε, ἵνα κἀγὼ ἐμαυτὸν

ἀνασκέψωμαι ποῖόν τι ἔχω τὸ πρόσωπον· φησὶν γὰρ

Θεόδωρος ἔχειν με σοὶ ὅμοιον. ἀτὰρ εἰ νῷν ἔχόντοιν ἑκα-            e

τέρου λύραν ἔφη αὐτὰς ἡρμόσθαι ὁμοίως, πότερον εὐθὺς

ἂν ἐπιστεύομεν ἢ ἐπεσκεψάμεθ᾿ ἂν εἰ μουσικὸς ὢν λέγει;

그러하니 부디, 테아이테토스, 나로서도 나 자신이

외모가 뭐가 어찌 되어있는지 돌이켜 살펴볼 수 있게 말일세.

테오도로스께서 내가 자네와 닮은 꼴을 가지고 있다고 말씀하시니까.

그렇지만 만일 우리 두 사람이 각자 뤼라를 지니고 있는데

그 뤼라들이 닮은 식으로 조율되었다고 말씀하시는 거라면, 우리는

곧장 믿겠는가 아니면 그 분께서 음악에 능한 분으로서 말씀하시는지

검토해 보겠는가?

ΘΕΑΙ. Ἐπεσκεψάμεθ᾿ ἄν.

검토해 보겠지요.

ΣΩ. Οὐκοῦν τοιοῦτον μὲν εὑρόντες ἐπειθόμεθ᾿ ἄν,                        5

ἄμουσον δέ, ἠπιστοῦμεν;

그럼 그런 분임을 알고서는(발견하고서는) 우리가 믿을 테지만,

음악에 문외한이시라면, 안 믿겠지?

ΘΕΑΙ. Ἀληθῆ.

맞습니다.

ΣΩ. Νῦν δέ γ᾿, οἶμαι, εἴ τι μέλει ἡμῖν τῆς τῶν

προσώπων ὁμοιότητος, σκεπτέον εἰ γραφικὸς ὢν λέγει ἢ         145a

οὔ.

그런데 이제, 내 생각에, 만일 우리 외모의 닮음이 무슨

관심거리라면, 이 분께서 그림에 능한 분으로서 말씀하시는지

아닌지를 검토해야만 한다네.

ΘΕΑΙ. Δοκεῖ μοι.

그리 여겨집니다.

ΣΩ. Ἦ οὖν ζωγραφικὸς Θεόδωρος;

그럼 테오도로스께서는 회화(채색화?)에 능한 분이신가?


-蟲-

1034.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18b ]

καὶ ταῦτα μὲν ἰδίᾳ βουλεύσῃ προϊόντος τοῦ λόγου· κοινῇ δὲ μετ’ ἐμοῦ σοι συσκεπτέον ἀρχομένῳ πρῶτονὡς ἐμοὶ φαίνεταινῦν ἀπὸ τοῦ σοφιστοῦζητοῦντι καὶ ἐμφανίζοντι λόγῳ τί ποτ’ ἔστινῦν γὰρδὴ σύ τε κἀγὼ


1035.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19d ]

μισθώσεων καὶ ἀγοράσεωντὸ δὲ λοιπόν κατ’ ἔργα  κατὰ λόγους χειρούμενον σύμπανχειρωτικὸν ἂν εἴηφαίνεται γοῦν ἐκ τῶν εἰρημένωντί δέτὴν χειρωτικὴν ἆρ’ οὐ διχῇ τμητέονπῇτὸ


1036.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24e ]

ἀγοραστικόνκαπηλικὸν εἴτε αὐτοπωλικόνἀμφοτέρωςὅτιπερ ἂν  περὶ τὰ τοιαῦτα μαθηματοπωλικὸν γένοςἀεὶ σὺ προσερεῖςὡς φαίνῃσοφιστικόνἀνάγκη· τῷ γὰρ λόγῳ δεῖ συνακολουθεῖνἔτι δὴσκοπῶμεν εἴ τινι τοιῷδε προσέοικεν ἄρα


1037.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26d ]

διακρίσεσι τὸ μὲν χεῖρον ἀπὸ βελτίονος ἀποχωρίζειν ἦντὸ δ’ ὅμοιον ἀφ’ ὁμοίουσχεδὸν οὕτω νῦν λεχθὲν φαίνεταιτῆς μὲν τοίνυν ὄνομα οὐκ ἔχω λεγόμενον· τῆς δὲ καταλειπούσης μὲν τὸ βέλτιονδιακρίσεωςτὸ δὲ χεῖρον


1038.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28d ]

μὲν οὖνψυχὴν ἄρα ἀνόητον αἰσχρὰν καὶ ἄμετρον θετέονἔοικενἔστι δὴ δύο ταῦταὡς φαίνεταικακῶν ἐν αὐτῇ γένητὸ μὲν πονηρία καλούμενον ὑπὸ τῶν πολλῶννόσος αὐτῆς σαφέστατα ὄνναί.


1039.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29a ]

τινὲ ἐγενέσθηντίνε τούτωπερὶ μὲν αἶσχος γυμναστικήπερὶ δὲ νόσον ἰατρικήφαίνεσθονοὐκοῦν καὶ περὶ μὲν ὕβριν καὶ ἀδικίαν καὶ δειλίαν  κολαστικὴ πέφυκε τεχνῶν μάλιστα δὴ πασῶν


1040.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1a ]

οὖντί δέτοὺς ταύτῃ χρωμένους τῇ τέχνῃ τίνας φήσομενἐγὼ μὲν γὰρ φοβοῦμαι σοφιστὰς φάναιτί δήμὴ μεῖζον αὐτοῖς προσάπτωμεν γέραςἀλλὰ μὴν προσέοικέ γε τοιούτῳ τινὶ τὰ νῦν


1041.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1c ]

εἶναι λεγέσθω πλὴν  γένει γενναία σοφιστικήλεγέσθω μέν· ἀπορῶ δὲ ἔγωγε ἤδη διὰ τὸ πολλὰ πεφάνθαιτί χρή ποτε ὡς ἀληθῆ λέγοντα καὶ διισχυριζόμενον εἰπεῖν ὄντως εἶναι τὸν σοφιστήνεἰκότωςγε σὺ ἀπορῶν.


1042.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1d ]

δὴ στάντες οἷον ἐξαναπνεύσωμενκαὶ πρὸς ἡμᾶς αὐτοὺς διαλογισώμεθα ἅμα ἀναπαυόμενοιφέρεὁπόσα ἡμῖν  σοφιστὴς πέφανταιδοκῶ μὲν γάρτὸ πρῶτον ηὑρέθη νέων καὶ πλουσίων ἔμμισθοςθηρευτήςναίτὸ δέ γε δεύτερον


1043.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2a ]

καθαρτὴν αὐτὸν εἶναιπαντάπασι μὲν οὖνἆρ’ οὖν ἐννοεῖςὅταν ἐπιστήμων τις πολλῶν φαίνηταιμιᾶς δὲ τέχνης ὀνόματι προσαγορεύηταιτὸ φάντασμα τοῦτο ὡς οὐκ ἔσθ’ ὑγιέςἀλλὰ δῆλον ὡς πάσχων αὐτὸ


1044.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2d ]

ἕκαστον αὐτὸν τὸν δημιουργὸν ἀντειπεῖνδεδημοσιωμένα που καταβέβληται γεγραμμένα τῷ βουλομένῳ μαθεῖντὰ Πρωταγόρειά μοι φαίνῃ περί τε πάλης καὶ τῶν ἄλλων τεχνῶν εἰρηκέναικαὶ πολλῶνγε μακάριεἑτέρωνἀτὰρ δὴ


1045.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2e ]

τῆς ἀντιλογικῆς τέχνης ἆρ’ οὐκ ἐν κεφαλαίῳ περὶ πάντων πρὸς ἀμφισβήτησιν ἱκανή τις δύναμις ἔοικ’ εἶναιφαίνεται γοῦν δὴ σχεδὸν οὐδὲν ὑπολιπεῖνσὺ δὴ πρὸς θεῶν παῖδυνατὸν ἡγῇ τοῦτοτάχαγὰρ ἂν ὑμεῖς


1046.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3b ]

νέοις δόξαν παρασκευάζειν ὡς εἰσὶ πάντα πάντων αὐτοὶ σοφώτατοιδῆλον γὰρ ὡς εἰ μήτε ἀντέλεγον ὀρθῶς μήτε ἐκείνοις ἐφαίνοντοφαινόμενοί τε εἰ μηδὲν αὖ μᾶλλον ἐδόκουν διὰ τὴν ἀμφισβήτησινεἶναι φρόνιμοιτὸ σὸν δὴ τοῦτοσχολῇ ποτ’


1047.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3b ]

παρασκευάζειν ὡς εἰσὶ πάντα πάντων αὐτοὶ σοφώτατοιδῆλον γὰρ ὡς εἰ μήτε ἀντέλεγον ὀρθῶς μήτε ἐκείνοις ἐφαίνοντοφαινόμενοί τε εἰ μηδὲν αὖ μᾶλλον ἐδόκουν διὰ τὴν ἀμφισβήτησιν εἶναιφρόνιμοιτὸ σὸν δὴ τοῦτοσχολῇ ποτ’ ἂν


1048.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3c ]

γὰρ οὔδρῶσι δέ γε τοῦτο πρὸς ἅπανταφαμένναίπάντα ἄρα σοφοὶ τοῖς μαθηταῖς φαίνονταιτί μήνοὐκ ὄντες γε· ἀδύνατον γὰρ τοῦτό γε ἐφάνηπῶς γὰρ οὐκ ἀδύνατον;


1049.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3c ]

πάντα ἄρα σοφοὶ τοῖς μαθηταῖς φαίνονταιτί μήνοὐκ ὄντες γε· ἀδύνατον γὰρ τοῦτό γε ἐφάνηπῶς γὰρ οὐκ ἀδύνατονδοξαστικὴν ἄρα τινὰ περὶ πάντων ἐπιστήμην  σοφιστὴς ἡμῖν ἀλλ’ οὐκ


1050.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4d ]

ἐγγύθεν καὶ διὰ παθημάτων ἀναγκαζομένους ἐναργῶς ἐφάπτεσθαι τῶν ὄντωνμεταβάλλειν τὰς τότε γενομένας δόξαςὥστε σμικρὰ μὲν φαίνεσθαι τὰ μεγάλαχαλεπὰ δὲ τὰ ῥᾴδιακαὶ πάντα πάντῃἀνατετράφθαι τὰ ἐν τοῖς λόγοις φαντάσματα ὑπὸ τῶν


1051.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5d ]

εὖκαὶ ταῦτα ταύτῃ ποιητέονκατὰ δὴ τὸν παρεληλυθότα τρόπον τῆς διαιρέσεως ἔγωγέ μοι καὶ νῦν φαίνομαι δύο καθορᾶν εἴδη τῆς μιμητικῆς· τὴν δὲ ζητουμένην ἰδέανἐν ὁποτέρῳ ποθ’ ἡμῖν οὖσατυγχάνεικαταμαθεῖν οὐδέπω


1052.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6a ]

τῶν καλῶν ἀληθινὴν συμμετρίανοἶσθ’ ὅτι σμικρότερα μὲν τοῦ δέοντος τὰ ἄνωμείζω δὲ τὰ κάτω φαίνοιτ’ ἂν διὰ τὸ τὰ μὲν πόρρωθεντὰ δ’ ἐγγύθεν ὑφ’ ἡμῶν ὁρᾶσθαιπάνυ μὲν οὖνἆρ’ οὖν


1053.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6b ]

μιμητικῆς τὸ ἐπὶ τούτῳ μέρος κλητέον ὅπερ εἴπομεν ἐν τῷ πρόσθενεἰκαστικήνκλητέοντί δέτὸ φαινόμενον μὲν διὰ τὴν οὐκ ἐκ καλοῦ θέαν ἐοικέναι τῷ καλῷδύναμιν δὲ εἴ τις λάβοι τὰ τηλικαῦταἱκανῶς ὁρᾶν,


1054.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6b ]

δὲ εἴ τις λάβοι τὰ τηλικαῦτα ἱκανῶς ὁρᾶνμηδ’ εἰκὸς  φησιν ἐοικέναιτί καλοῦμενἆρ’ οὐκἐπείπερ φαίνεται μένἔοικε δὲ οὔφάντασματί μήνοὐκοῦν πάμπολυ καὶ κατὰ τὴν ζωγραφίαν τοῦτο τὸ


1055.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6e ]

πῶς καὶ πρὸς τί τοῦτο εἴρηκαςὄντως μακάριεἐσμὲν ἐν παντάπασι χαλεπῇ σκέψειτὸ γὰρ φαίνεσθαι τοῦτο καὶ τὸ δοκεῖνεἶναι δὲ μήκαὶ τὸ λέγειν μὲν ἄτταἀληθῆ δὲ μήπάντα ταῦτά ἐστι μεστὰ


1056.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9a ]

πῶς γὰρ οὔοὐκοῦν τό γε εἶναι προσάπτειν πειρώμενος ἐναντία τοῖς πρόσθεν ἔλεγονφαίνῃτί δέτοῦτο προσάπτων οὐχ ὡς ἑνὶ διελεγόμηνναίκαὶ μὴν ἄλογόν γε λέγων καὶ


1057.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9c ]

μέχρι τούτου λέγωμεν ὡς παντὸς μᾶλλον πανούργως εἰς ἄπορον  σοφιστὴς τόπον καταδέδυκενκαὶ μάλα δὴ φαίνεταιτοιγαροῦν εἴ τινα φήσομεν αὐτὸν ἔχειν φανταστικὴν τέχνηνῥᾳδίως ἐκ ταύτηςτῆς χρείας τῶν λόγων


1058.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41d ]

καὶ βιάζεσθαι τό τε μὴ ὂν ὡς ἔστι κατά τι καὶ τὸ ὂν αὖ πάλιν ὡς οὐκ ἔστι πῃφαίνεται τὸ τοιοῦτον διαμαχετέον ἐν τοῖς λόγοιςπῶς γὰρ οὐ φαίνεται καὶ τὸ λεγόμενον δὴ τοῦτο τυφλῷ;


1059.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41d ]

ὂν αὖ πάλιν ὡς οὐκ ἔστι πῃφαίνεται τὸ τοιοῦτον διαμαχετέον ἐν τοῖς λόγοιςπῶς γὰρ οὐ φαίνεται καὶ τὸ λεγόμενον δὴ τοῦτο τυφλῷτούτων γὰρ μήτ’ ἐλεγχθέντων μήτε ὁμολογηθέντων σχολῇ ποτέ τιςοἷός τε


1060.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42c ]

ἐπὶ κρίσιν ὥρμησε τοῦ τὰ ὄντα διορίσασθαι πόσα τε καὶ ποῖά ἐστινπῇμῦθόν τινα ἕκαστος φαίνεταί μοι διηγεῖσθαι παισὶν ὡς οὖσιν ἡμῖν μὲν ὡς τρία τὰ ὄνταπολεμεῖ δὲ ἀλλήλοις ἐνίοτε αὐτῶν


1061.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45b ]

αἵρεσινἀληθέστατα μέντοι λέγειςπεπονθός τε γὰρ τὸ ὂν ἓν εἶναί πως οὐ ταὐτὸν ὂν τῷ ἑνὶ φανεῖταικαὶ πλέονα δὴ τὰ πάντα ἑνὸς ἔσταιναίκαὶ μὴν ἐάν γε τὸ ὂν  μὴ


1062.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45e ]

ὅλον ἀναγκαῖον αὐτὸ εἶναικομιδῇ γεκαὶ τοίνυν ἄλλα μυρία ἀπεράντους ἀπορίας ἕκαστον εἰληφὸς φανεῖται τῷ τὸ ὂν εἴτε δύο τινὲ εἴτε ἓν μόνον εἶναι λέγοντιδηλοῖ σχεδὸν καὶ τὰ νῦν ὑποφαίνοντα·


1063.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48a ]

λέγεινδέχονται τοῦτοκαλῶς· ἴσως γὰρ ἂν εἰς ὕστερον ἡμῖν τε καὶ τούτοις ἕτερον ἂν φανείηπρὸς μὲν οὖν τούτους τοῦτο ἡμῖν ἐνταῦθα μενέτω συνομολογηθένμένειπρὸς δὴ τοὺς ἑτέρους ἴωμεν,


1064.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49b ]

καὶ ψυχὴν <ἔχειν>, ἀκίνητον μέντοι τὸ παράπαν ἔμψυχον ὂν ἑστάναιπάντα ἔμοιγε ἄλογα ταῦτ’ εἶναι φαίνεταικαὶ τὸ κινούμενον δὴ καὶ κίνησιν συγχωρητέον ὡς ὄνταπῶς δ’ οὔσυμβαίνει δ’ οὖν,


1065.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49d ]

κεκινημένατὸ ὄν τε καὶ τὸ πᾶν συναμφότερα λέγεινἀληθέστατατί οὖνἆρ’ οὐκ ἐπιεικῶς ἤδη φαινόμεθα περιειληφέναι τῷ λόγῳ τὸ ὄνπάνυ μὲν οὖνβαβαὶ †μέντ’ ἂν ἄρα,†  Θεαίτητεὥς μοι


1066.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49e ]

αὖ καὶ τί τοῦτ’ εἴρηκας μακάριεοὐκ ἐννοεῖς ὅτι νῦν ἐσμεν ἐν ἀγνοίᾳ τῇ πλείστῃ περὶ αὐτοῦφαινόμεθα δέ τι λέγειν ἡμῖν αὐτοῖςἐμοὶ γοῦν· ὅπῃ δ’ αὖ λελήθαμεν οὕτως ἔχοντεςοὐ πάνυ συνίημι.


1067.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50e ]

ἐν ἐλάττονί τινι νῦν ἐσμεν ἀπορίᾳ περὶ τὸ ὄνἐμοὶ μέν ξένεεἰ δυνατὸν εἰπεῖνἐν πλείονι φαινόμεθατοῦτο μὲν τοίνυν ἐνταῦθα κείσθω διηπορημένον· ἐπειδὴ δὲ ἐξ ἴσου τό τε ὂν καὶ τὸ μὴ ὂν


1068.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56d ]

περὶ ὧν καὶ ἐν οἷς προυθέμεθα σκοπεῖνκαὶ πῶςἀδύνατον γὰρ συγχωρεῖν ἐλάττω τὸν ἀριθμὸν τοῦ νυνδὴ φανέντοςἀδεῶς ἄρα τὴν κίνησιν ἕτερον εἶναι τοῦ ὄντος διαμαχόμενοι λέγωμενἀδεέσταταμὲν οὖνοὐκοῦν


1069.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57b ]

τοῦ ὄντος ἀλλ’ ἕτερον μόνονπῶςοἷον ὅταν εἴπωμέν τι μὴ μέγατότε μᾶλλόν τί σοι φαινόμεθα τὸ σμικρὸν  τὸ ἴσον δηλοῦν τῷ ῥήματικαὶ πῶςοὐκ ἄρ’ἐναντίον ὅταν ἀπόφασις λέγηται


1070.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57c ]

μὲν οὖντόδε δὲ διανοηθῶμενεἰ καὶ σοὶ συνδοκεῖτὸ ποῖον θατέρου μοι φύσις φαίνεται κατακεκερματίσθαι καθάπερ ἐπιστήμηπῶςμία μέν ἐστί που καὶ ἐκείνητὸ δ’ ἐπί τῳ γιγνόμενον


1071.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58a ]

τι μᾶλλον εἶναι θάτερον θατέρουτί μήνκαὶ τἆλλα δὴ ταύτῃ λέξομενἐπείπερ  θατέρου φύσις ἐφάνη τῶν ὄντων οὖσαἐκείνης δὲ οὔσης ἀνάγκη δὴ καὶ τὰ μόρια αὐτῆς μηδενὸς ἧττον ὄντα τιθέναιπῶς


1072.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0d ]

οὔτε λέγειν· οὐσίας γὰρ οὐδὲν οὐδαμῇ τὸ μὴ ὂν μετέχεινἦν ταῦτανῦν δέ γε τοῦτο μὲν ἐφάνη μετέχον τοῦ ὄντοςὥστε ταύτῃ μὲν ἴσως οὐκ ἂν μάχοιτο ἔτι· τάχα δ’ ἂν φαίη τῶν εἰδῶν τὰ μὲν


1073.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0e ]

μὴ συνισταμένης τῆς κοινωνίαςδιὰ ταῦτ’ οὖν λόγον πρῶτον καὶ δόξαν καὶ φαντασίαν διερευνητέον ὅτι ποτ’ ἔστινἵνα φανέντων καὶ τὴν κοινωνίαν αὐτῶν τῷ μὴ ὄντι κατίδωμενκατιδόντες δὲ τὸψεῦδος ὂν ἀποδείξωμενἀποδείξαντες


1074.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1a ]

δέ γε ξένεἔοικεν ἀληθὲς εἶναι τὸ περὶ τὸν σοφιστὴν κατ’ ἀρχὰς λεχθένὅτι δυσθήρευτον εἴη τὸ γένοςφαίνεται γὰρ οὖν προβλημάτων γέμεινὧν ἐπειδάν τι προβάλῃτοῦτο πρότερον ἀναγκαῖονδιαμάχεσθαι πρὶν ἐπ’ αὐτὸν ἐκεῖνον


1075.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1b ]

περὶ δόξαν ἀποδεῖξαικαὶ μετὰ τοῦτο ἴσως ἕτερονκαὶ ἔτ’ ἄλλο μετ’ ἐκεῖνο· καὶ πέραςὡς ἔοικενοὐδὲν φανήσεταί ποτεθαρρεῖν Θεαίτητεχρὴ τὸν καὶ σμικρόν τι δυνάμενον εἰς τὸ πρόσθεν ἀεὶπροϊέναιτί γὰρ


1076.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1d ]

φέρε δήκαθάπερ περὶ τῶν εἰδῶν καὶ τῶν γραμμάτων ἐλέγομενπερὶ τῶν ὀνομάτων πάλιν ὡσαύτως ἐπισκεψώμεθαφαίνεται γάρ πῃ ταύτῃ τὸ νῦν ζητούμενοντὸ ποῖον οὖν δὴ περὶ τῶν ὀνομάτωνὑπακουστέονεἴτε πάντα


1077.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4a ]

εἰπεῖν ἕτερόν τι πλὴν φαντασίανοὐδένοὐκοῦν ἐπείπερ λόγος ἀληθὴς ἦν καὶ ψευδήςτούτων δ’ ἐφάνη διάνοια μὲν αὐτῆς πρὸς ἑαυτὴν ψυχῆς διάλογοςδόξα δὲ διανοίας ἀποτελεύτησις, “φαίνεται” δὲ λέγομεν


1078.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4b ]

καὶ ψευδήςτούτων δ’ ἐφάνη διάνοια μὲν αὐτῆς πρὸς ἑαυτὴν ψυχῆς διάλογοςδόξα δὲ διανοίας ἀποτελεύτησις, “φαίνεται” δὲ  λέγομεν σύμμειξις αἰσθήσεως καὶ δόξηςἀνάγκη δὴ καὶ τούτων τῷ λόγῳσυγγενῶν ὄντων ψευδῆ τε αὐτῶν


1079.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4c ]

ἔργον ἐπιβαλλοίμεθα ζητοῦντες αὐτόκατανοῶμὴ τοίνυν μηδ’ εἰς τὰ λοιπὰ ἀθυμῶμενἐπειδὴ γὰρ πέφανται ταῦτατῶν ἔμπροσθεν ἀναμνησθῶμεν κατ’ εἴδη διαιρέσεωνποίων δήδιειλόμεθα τῆςεἰδωλοποιικῆς εἴδη δύο,


1080.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4c ]

ὡς ἀποροῖμεν εἰς ὁποτέραν θήσομενἦν ταῦτακαὶ τοῦθ’ ἡμῶν ἀπορουμένων ἔτι μείζων κατεχύθη σκοτοδινίαφανέντος τοῦ λόγου τοῦ πᾶσιν ἀμφισβητοῦντος ὡς οὔτε εἰκὼν οὔτε εἴδωλον οὔτεφάντασμ’ εἴη τὸ παράπαν οὐδὲν


1081.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4d ]

οὐδὲν διὰ τὸ μηδαμῶς μηδέποτε μηδαμοῦ ψεῦδος εἶναιλέγεις ἀληθῆνῦν δέ γ’ ἐπειδὴ πέφανται μὲν λόγοςπέφανται δ’ οὖσα δόξα ψευδήςἐγχωρεῖ δὴ μιμήματα τῶν ὄντων εἶναι καὶ τέχνην ἐκ ταύτηςγίγνεσθαι


1082.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4d ]

διὰ τὸ μηδαμῶς μηδέποτε μηδαμοῦ ψεῦδος εἶναιλέγεις ἀληθῆνῦν δέ γ’ ἐπειδὴ πέφανται μὲν λόγοςπέφανται δ’ οὖσα δόξα ψευδήςἐγχωρεῖ δὴ μιμήματα τῶν ὄντων εἶναι καὶ τέχνην ἐκ ταύτηςγίγνεσθαι τῆς διαθέσεως


1083.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6e ]

τὸ δὲ φανταστικὸν ἔμελλεν εἶναι γένοςεἰ τὸ ψεῦδος ὄντως ὂν ψεῦδος καὶ τῶν ὄντων ἕν τι φανείη πεφυκόςἦν γὰρ οὖνοὐκοῦν ἐφάνη τε καὶ διὰ ταῦτα δὴ καταριθμήσομεν αὐτὼ νῦν ἀναμφισβητήτως


1084.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6e ]

ψεῦδος ὄντως ὂν ψεῦδος καὶ τῶν ὄντων ἕν τι φανείη πεφυκόςἦν γὰρ οὖνοὐκοῦν ἐφάνη τε καὶ διὰ ταῦτα δὴ καταριθμήσομεν αὐτὼ νῦν ἀναμφισβητήτως εἴδη δύοναίτὸ


1085.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7a ]

πῶς φῄςὅταν οἶμαι τὸ σὸν σχῆμά τις τῷ ἑαυτοῦ χρώμενος σώματι προσόμοιον  φωνὴν φωνῇ φαίνεσθαι ποιῇμίμησις τοῦτο τῆς φανταστικῆς μάλιστα κέκληταί πουναίμιμητικὸν δὴ τοῦτο αὐτῆςπροσειπόντες


1086.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7c ]

οὐκ ἀγνοοῦντες μένδοξάζοντες δέ πῃσφόδρα ἐπιχειροῦσιν πολλοὶ τὸ δοκοῦν σφίσιν τοῦτο ὡς ἐνὸν αὐτοῖς προθυμεῖσθαι φαίνεσθαι ποιεῖνὅτι μάλιστα ἔργοις τε καὶ λόγοις μιμούμενοικαὶ πάνυ γεπολλοίμῶν οὖν πάντες

=============================================

619.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18a ]

κινδυνεύει πρὸς μὲν ταῦτα οὐδὲν ἔτι λεκτέον εἶναιΘεαίτητε· πρὸς δὲ σὲ ἤδη τὸ μετὰ τοῦτοὡς ἔοικεγίγνοιτο ἂν  λόγοςἂν δ’ ἄρα τι τῷ μήκει πονῶν ἄχθῃμὴ ἐμὲ αἰτιᾶσθαι τούτωνἀλλὰ τούσδε τοὺς


620.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21d ]

ὡς παντὸς δεῖ τοιοῦτος εἶναι τό γε ὄνομα τοῦτο ἔχωνἀλλά τινα τέχνην αὐτὸν ἡμῖν ἔχονταὡς ἔοικεθετέοντίνα ποτ’ οὖν δὴ ταύτηνἆρ’  πρὸς θεῶν ἠγνοήκαμεν τἀνδρὸς τὸν ἄνδρα ὄντα


621.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22a ]

γε. μέχρι μὲν τοίνυν ἐνταῦθα  σοφιστὴς καὶ  ἀσπαλιευτὴς ἅμα ἀπὸ τῆς κτητικῆς τέχνης πορεύεσθονἐοίκατον γοῦνἐκτρέπεσθον δέ γε ἀπὸ τῆς ζῳοθηρικῆς μὲν ἐπὶ θάλαττάν που καὶ ποταμοὺς καὶλίμναςτὰ


622.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22d ]

τὸ μὲν μισθαρνητικόν ἐστιντὸ δὲ δωροφορικόνοὐ μανθάνωτῇ τῶν ἐρώντων θήρᾳ τὸν νοῦνὡς ἔοικαςοὔπω προσέσχεςτοῦ πέριὅτι τοῖς θηρευθεῖσι δῶρα προσεπιδιδόασινἀληθέστατα λέγεις.


623.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23b ]

εἰπὼν τὸ προσῆκον ὄνομ’ ἂν ἡγοῦμαι καλεῖν αὐτόνκατὰ δὴ τὸν νῦν Θεαίτητελόγονὡς ἔοικεν τέχνης οἰκειωτικῆς, <χειρωτικῆς>, κτητικῆςθηρευτικῆςζῳοθηρίαςπεζοθηρίαςχερσαίαςἡμεροθηρικῆςἀνθρωποθηρίας, <πιθανοθηρίας>, ἰδιοθηρίας,


624.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26a ]

νῦν τέταρτον τὸν μεταδιωκόμενον ὑφ’ ἡμῶν σοφιστήνοὐδὲν ἀλλ’  τὸ χρηματιστικὸν γένοςὡς ἔοικενἐριστικῆς ὂν τέχνηςτῆς ἀντιλογικῆςτῆς ἀμφισβητητικῆςτῆς μαχητικῆςτῆς ἀγωνιστικῆςτῆςκτητικῆς ἔστινὡς  λόγος


625.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28d ]

οὐδὲν ἄλλο πλὴν παραφροσύνηπάνυ μὲν οὖνψυχὴν ἄρα ἀνόητον αἰσχρὰν καὶ ἄμετρον θετέονἔοικενἔστι δὴ δύο ταῦταὡς φαίνεταικακῶν ἐν αὐτῇ γένητὸ μὲν πονηρία καλούμενον ὑπὸ τῶνπολλῶν,


626.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29e ]

τοῦτο ἔτι πῃ σχίζεσθαικατὰ τίτῆς ἐν τοῖς λόγοις διδασκαλικῆς  μὲν τραχυτέρα τις ἔοικεν ὁδὸς εἶναιτὸ δ’ ἕτερον αὐτῆς μόριον λειότεροντὸ ποῖον δὴ τούτων ἑκάτερον λέγομεντὸ μὲν


627.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0a ]

παραμυθούμενοι· τὸ δ’ οὖν σύμπαν αὐτὸ ὀρθότατα εἴποι τις ἂν νουθετητικήνἔστιν οὕτωςτὸ δέ γεεἴξασί τινες αὖ λόγον ἑαυτοῖς δόντες ἡγήσασθαι πᾶσαν ἀκούσιον ἀμαθίαν εἶναικαὶ μαθεῖν οὐδένποτ’ ἂν ἐθέλειν τὸν


628.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2e ]

ἑτέρωνἀτὰρ δὴ τὸ τῆς ἀντιλογικῆς τέχνης ἆρ’ οὐκ ἐν κεφαλαίῳ περὶ πάντων πρὸς ἀμφισβήτησιν ἱκανή τις δύναμις ἔοικ’ εἶναιφαίνεται γοῦν δὴ σχεδὸν οὐδὲν ὑπολιπεῖνσὺ δὴ πρὸς θεῶν παῖδυνατὸν ἡγῇ τοῦτο;


629.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3e ]

πῶς πάντα εἶπεςτὴν ἀρχὴν τοῦ ῥηθέντος σύ γ’ ἡμῖν εὐθὺς ἀγνοεῖς· τὰ γὰρ σύμπανταὡς ἔοικαςοὐ μανθάνειςοὐ γὰρ οὖνλέγω τοίνυν σὲ καὶ ἐμὲ τῶν πάντων καὶ πρὸς ἡμῖν τἆλλα ζῷα


630.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6b ]

ἐν τῷ πρόσθενεἰκαστικήνκλητέοντί δέτὸ φαινόμενον μὲν διὰ τὴν οὐκ ἐκ καλοῦ θέαν ἐοικέναι τῷ καλῷδύναμιν δὲ εἴ τις λάβοι τὰ τηλικαῦτα ἱκανῶς ὁρᾶνμηδ’ εἰκὸς  φησιν ἐοικέναιτί καλοῦμεν;


631.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6b ]

ἐκ καλοῦ θέαν ἐοικέναι τῷ καλῷδύναμιν δὲ εἴ τις λάβοι τὰ τηλικαῦτα ἱκανῶς ὁρᾶνμηδ’ εἰκὸς  φησιν ἐοικέναιτί καλοῦμενἆρ’ οὐκἐπείπερ φαίνεται μένἔοικε δὲ οὔφάντασματί μήνοὐκοῦνπάμπολυ καὶ


632.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6b ]

τις λάβοι τὰ τηλικαῦτα ἱκανῶς ὁρᾶνμηδ’ εἰκὸς  φησιν ἐοικέναιτί καλοῦμενἆρ’ οὐκἐπείπερ φαίνεται μένἔοικε δὲ οὔφάντασματί μήνοὐκοῦν πάμπολυ καὶ κατὰ τὴν ζωγραφίαν τοῦτο τὸ μέρος ἐστὶ


633.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6d ]

ἁνὴρ καὶ κατιδεῖν παγχάλεποςἐπεὶ καὶ νῦν μάλα εὖ καὶ κομψῶς εἰς ἄπορον εἶδος διερευνήσασθαι καταπέφευγενἔοικενἆρ’ οὖν αὐτὸ γιγνώσκων σύμφης σε οἷον ῥύμη τις ὑπὸ τοῦ λόγουσυνειθισμένον συνεπεσπάσατο πρὸς τὸ


634.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7e ]

τὸ δὲ “τινὲς” πολλῶνπῶς γὰρ οὔτὸν δὲ δὴ μὴ τὶ λέγοντα ἀναγκαιότατονὡς ἔοικεπαντάπασι μηδὲν λέγεινἀναγκαιότατον μὲν οὖνἆρ’ οὖν οὐδὲ τοῦτο συγχωρητέοντὸ τὸν τοιοῦτον λέγειν


635.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38b ]

μηδ’ ἐπιχειρῶμεν ἀριθμοῦ μήτε πλῆθος μήτε ἓν πρὸς τὸ μὴ ὂν προσφέρεινοὔκουν ἂν ὀρθῶς γεὡς ἔοικενἐπιχειροῖμενὥς φησιν  λόγοςπῶς οὖν ἂν  διὰ τοῦ στόματος φθέγξαιτο ἄν τις  καὶ τῇ


636.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40b ]

ἕτερον δὲ λέγεις τοιοῦτον ἀληθινόν ἐπὶ τίνι τὸ τοιοῦτον εἶπεςοὐδαμῶς ἀληθινόν γεἀλλ’ ἐοικὸς μένἆρα τὸ ἀληθινὸν ὄντως ὂν λέγωνοὕτωςτί δέτὸ μὴ ἀληθινὸν ἆρ’ ἐναντίον


637.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40b ]

τί δέτὸ μὴ ἀληθινὸν ἆρ’ ἐναντίον ἀληθοῦςτί μήνοὐκ ὄντως οὐκ ὂν ἄρα λέγεις τὸ ἐοικόςεἴπερ αὐτό γε μὴ ἀληθινὸν ἐρεῖςἀλλ’ ἔστι γε μήν πωςοὔκουν ἀληθῶς γεφῄς.


638.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41c ]

μικρὸν μέρος τοίνυν αὐτῶν διεληλύθαμενοὐσῶν ὡς ἔπος εἰπεῖν ἀπεράντωνἀδύνατόν γ’ ἄνὡς ἔοικενεἴη τὸν σοφιστὴν ἑλεῖνεἰ ταῦτα οὕτως ἔχειτί οὖνοὕτως ἀποστησόμεθα νῦν μαλθακισθέντες;οὔκουν


639.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45d ]

οὔτε γένεσιν ὡς οὖσαν δεῖ προσαγορεύειν τὸ ἓν  τὸ ὅλον ἐν τοῖς οὖσι μὴ τιθένταπαντάπασιν ἔοικε ταῦθ’ οὕτως ἔχεινκαὶ μὴν οὐδ’ ὁποσονοῦν τι δεῖ τὸ μὴ ὅλον εἶναι· ποσόν τι γὰρ ὄνὁπόσον


640.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46a ]

ὄντος οὐδὲν εὐπορώτερον εἰπεῖν ὅτι ποτ’ ἔστινοὐκοῦν πορεύεσθαι χρὴ καὶ ἐπὶ τούτουςκαὶ μὴν ἔοικέ γε ἐν αὐτοῖς οἷον γιγαντομαχία τις εἶναι διὰ τὴν ἀμφισβήτησιν περὶ τῆς οὐσίας πρὸς ἀλλήλους.πῶς;


641.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49c ]

ἰσχυρίζηται περί τινος ὁπῃοῦνσφόδρα γετῷ δὴ φιλοσόφῳ καὶ ταῦτα μάλιστα τιμῶντι πᾶσαὡς ἔοικενἀνάγκη διὰ ταῦτα μήτε τῶν ἓν  καὶ τὰ πολλὰ εἴδη λεγόντων τὸ πᾶν ἑστηκὸς ἀποδέχεσθαιτῶν


642.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50c ]

εἶναι λέγωμενοὐκ ἄρα κίνησις καὶ στάσις ἐστὶ συναμφότερον τὸ ὂν ἀλλ’ ἕτερον δή τι τούτωνἔοικενκατὰ τὴν αὑτοῦ φύσιν ἄρα τὸ ὂν οὔτε ἕστηκεν οὔτε κινεῖταισχεδόνποῖ δὴ χρὴ


643.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52a ]

οὐσίας μὴ προσκοινωνοῦνοὐκ ἔσταιταχὺ δὴ ταύτῃ γε τῇ συνομολογίᾳ πάντα ἀνάστατα γέγονενὡς ἔοικενἅμα τε τῶν τὸ πᾶν κινούντων καὶ τῶν ὡς ἓν ἱστάντων καὶ ὅσοι κατ’ εἴδη τὰ ὄντα κατὰ ταὐτὰ


644.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54a ]

τοῦ μὴ ὄντος σκοτεινότητατριβῇ προσαπτόμενος αὐτῆςδιὰ τὸ σκοτεινὸν τοῦ τόπου κατανοῆσαι χαλεπός·  γάρἔοικεν δέ γε φιλόσοφοςτῇ τοῦ ὄντος ἀεὶ διὰ λογισμῶν προσκείμενος ἰδέᾳδιὰ τὸλαμπρὸν αὖ τῆς χώρας


645.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56e ]

κινδυνεύει. περὶ ἕκαστον ἄρα τῶν εἰδῶν πολὺ μέν ἐστι τὸ ὄνἄπειρον δὲ πλήθει τὸ μὴ ὄνἔοικενοὐκοῦν καὶ τὸ ὂν αὐτὸ τῶν ἄλλων ἕτερον εἶναι λεκτέονἀνάγκηκαὶ τὸ


646.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57b ]

δικαιότατα εἴρηκαςἴδωμεν δὴ καὶ τόδετὸ ποῖονὁπόταν τὸ μὴ ὂν λέγωμενὡς ἔοικενοὐκ ἐναντίον τι λέγομεν τοῦ ὄντος ἀλλ’ ἕτερον μόνονπῶςοἷον ὅταν εἴπωμέν τι μὴ μέγα,


647.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57e ]

αὖ πάλιν ἀντιτεθὲν οὕτω συμβέβηκεν εἶναι τὸ μὴ καλόνοὕτωςὄντος δὴ πρὸς ὂν ἀντίθεσιςὡς ἔοικ’εἶναί τις συμβαίνει τὸ μὴ καλόνὀρθότατατί οὖνκατὰ τοῦτον τὸν λόγον ἆρα μᾶλλον μὲν


648.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58a ]

οὔσης ἀνάγκη δὴ καὶ τὰ μόρια αὐτῆς μηδενὸς ἧττον ὄντα τιθέναιπῶς γὰρ οὔοὐκοῦνὡς ἔοικεν τῆς θατέρου μορίου φύσεως καὶ τῆς τοῦ ὄντος πρὸς ἄλληλα ἀντικειμένων ἀντίθεσις οὐδὲν ἧττονεἰ


649.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1a ]

αὐτὸ ἐνδήσωμενεἴπερ ἔνοχός ἐστιν καὶ ἀπολύσαντες ἐν ἄλλῳ γένει ζητῶμενκομιδῇ δέ γε ξένεἔοικεν ἀληθὲς εἶναι τὸ περὶ τὸν σοφιστὴν κατ’ ἀρχὰς λεχθένὅτι δυσθήρευτον εἴη τὸ γένοςφαίνεται γὰρ οὖν προβλημάτων


650.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1b ]

λόγον καὶ περὶ δόξαν ἀποδεῖξαικαὶ μετὰ τοῦτο ἴσως ἕτερονκαὶ ἔτ’ ἄλλο μετ’ ἐκεῖνο· καὶ πέραςὡς ἔοικενοὐδὲν φανήσεταί ποτεθαρρεῖν Θεαίτητεχρὴ τὸν καὶ σμικρόν τι δυνάμενον εἰς τὸ πρόσθενἀεὶ προϊέναι.


651.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3d ]

περὶ δὴ σοῦ λεγόμενα, <λεγόμεναμέντοι θάτερα ὡς τὰ αὐτὰ καὶ μὴ ὄντα ὡς ὄνταπαντάπασιν ὡς ἔοικεν  τοιαύτη σύνθεσις ἔκ τε ῥημάτων γιγνομένη καὶ ὀνομάτων ὄντως τε καὶ ἀληθῶς γίγνεσθαιλόγος ψευδής.


652.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7d ]

τις αὐτῶν λήψεται πρέπον δῆλον δὴ χαλεπὸν ὄνδιότι τῆς τῶν γενῶν κατ’ εἴδη διαιρέσεως παλαιά τιςὡς ἔοικενἀργία τοῖς ἔμπροσθεν καὶ ἀσύννους παρῆνὥστε μηδ’ ἐπιχειρεῖν μηδένα διαιρεῖσθαι· καθὸ δὴ τῶν ὀνομάτων ἀνάγκη μὴ


653. Plato. Sophist [ Pl. Soph. section 268d ]

εἰδωλοποιικῆς οὐ θεῖον ἀλλ’ ἀνθρωπικὸν τῆς ποιήσεως ἀφωρισμένον ἐν λόγοις τὸ θαυματοποιικὸν μόριον, “ταύτης τῆς γενεᾶς τε καὶ αἵματος” ὃς ἂν φῇ τὸν ὄντως σοφιστὴν εἶναιτἀληθέσταταὡςἔοικενἐρεῖπαντάπασι μὲν οὖν.

ΠΡΩ. Τὰ μέν πως, ὦ Σώκρατες, δοκῶ σου μανθάνειν,

τὰ δὲ ἔτι σαφέστερον δέομαι ἃ λέγεις ἀκοῦσαι.

소크라테스, 한편의 것들은 당신 말씀을 제가 알아들은 것으로 여겨집니다만,

당신께서 말씀하시는 다른 쪽 것들은 좀 더 확실하게 들려주셨으면 합니다.

ΣΩ. Σαφὲς μήν, ὦ Πρώταρχε, ἐστὶν ἐν τοῖς γράμ-

μασιν ὃ λέγω, καὶ λάμβαν᾿ αὐτὸ ἐν τούτοις οἷσπερ καὶ

πεπαίδευσαι.

내가 말하는 건, 프로타르코스, 문법적인 것들 안에서

확실하니, 자네도 자네가 배우기도 한 바로 그 문법적인 것들 안에서

그 점을 파악하게나.

ΠΡΩ. Πῶς;

어떻게요?

ΣΩ. Φωνὴ μὲν ἡμῖν ἐστί που μία διὰ τοῦ στόματος

ἰοῦσα, καὶ ἄπειρος αὖ πλήθει, πάντων τε καὶ ἑκάστου.

우리에게 소리란 분명 입을 통해 나온 단일한 것이겠고,

또 수에서 무한하며, 모든 이들 입들을 통해서나 각각의 입을 통해서나 그러하지.

ΠΡΩ. Τί μήν;

그래서 뭔가요?

ΣΩ. Καὶ οὐδὲν ἑτέρῳ γε τούτων ἐσμέν πω σοφοί, οὔτε

ὅτι τὸ ἄπειρον αὐτῆς ἴσμεν οὔθ᾿ ὅτι τὸ ἕν· ἀλλ᾿ ὅτι πόσα

τ᾿ ἐστὶ καὶ ὁποῖα, τοῦτό ἐστι τὸ γραμματικὸν ἕκαστον

ποιοῦν ἡμῶν.

그리고 그 소리의 무한을 아는 것이든 하나를 아는 것이든,

그것들 중 어느 한 쪽으로 여전히 우리가 지혜로워지는 것은 전혀 아닐세.

오히려 소리가 얼만큼이며 어떠한 것인지, 이것이 우리 각자를

문법지식을 갖춘 자로 만들어주는 것이라네.

ΠΡΩ. Ἀληθέστατα.

참된 말씀이십니다.

ΣΩ. Καὶ μὴν καὶ τὸ μουσικὸν ὃ τυγχάνει ποιοῦν, τοῦτ᾿

ἔστι ταὐτόν.

게다가 사실상 음악적인 자로 만들어주는 것, 이것도

같은 것이지.

ΠΡΩ. Πῶς;

어떻게요?

ΣΩ. Φωνὴ μέν που καὶ τὸ κατ᾿ ἐκείνην τὴν τέχνην ἐστὶ

μία ἐν αὐτῇ.

소리는 분명 저 기술에 따른 경우에도 이 기술에서도

단일하지.

ΠΡΩ. Πῶς δ᾿ οὔ;

어찌 아니겠습니까?

ΣΩ. Δύο δὲ θῶμεν βαρὺ καὶ ὀξύ, καὶ τρίτον ὁμότονον.

ἢ πῶς;

그런데 우리는 저음과 고음을 둘로 놓고, 고른 음을 세 번째로 놓도록 하세.

아니면 어찌 할까? 

ΠΡΩ. Οὔτως.

그리 해야지요.

ΣΩ. Ἀλλ᾿ οὔπω σοφὸς ἂν εἴης τὴν μουσικὴν εἰδὼς

ταῦτα μόνα, μὴ δὲ εἰδὼς ὥς γ᾿ ἔπος εἰπεῖν εἰς ταῦτα

οὐδενὸς ἄξιος ἔσῃ.

그러나 이것들만 앎으로써 아직 음악기술에 있어서

지혜롭진 못할 테고, 그런데 알지 못한다면 말하자면 이런 일들 쪽으로는

아무 쓸모도 없을 걸세.

ΠΡΩ. Οὐ γὰρ οὖν.

그야 쓸모 없지요.

ΣΩ. Ἀλλ᾿, ὦ φίλε, ἐπειδὰν λάβῃς τὰ διαστήματα ὁπόσα 

ἐστὶ τὸν ἀριθμὸν τῆς φωνῆς ὀξύτητός τε πέρι καὶ βαρύτητος, 

καὶ ὁποῖα, καὶ τοὺς ὅρους τῶν διαστημάτων, καὶ τὰ ἐκ τού- 

των ὅσα συστήματα γέγονεν―ἃ κατιδόντες οἱ πρόσθεν παρ- 

ἐδοσαν ἡμῖν τοῖς ἑπομένοις ἐκείνοις καλεῖν αὐτὰ ἁρμονίας, 

ἔν τε ταῖς κινήσεσιν αὖ τοῦ σώματος ἕτερα τοιαῦτα ἐνόντα 

πάθη γιγνόμενα, ἃ δὴ δι᾿ ἀριθμῶν μετρηθέντα δεῖν αὖ φασι  

ῥυθμοὺς καὶ μέτρα ἐπονομάζειν, καὶ ἅμα ἐννοεῖν ὡς οὕτω 

δεῖ περὶ παντὸς ἑνὸς καὶ πολλῶν σκοπεῖν―ὅταν γὰρ αὐτά 

τε λάβῃς οὕτω, τότε ἐγένου σοφός, ὅταν τε ἄλλο τῶν ἓν 

ὁτιοῦν ταύτῃ σκοπούμενος ἕλῃς, οὕτως ἔμφρων περὶ τοῦτο 

γέγονας· τὸ δ᾿ ἄπειρόν σε ἑκάστων καὶ ἐν ἑκάστοις πλῆθος 

ἄπειρον ἑκάστοτε ποιεῖ τοῦ φρονεῖν καὶ οὐκ ἐλλόγιμον οὐδ᾿ 

ἐνάριθμον, ἅτ᾿ οὐκ εἰς ἀριθμὸν οὐδένα ἐν οὐδενὶ πώποτε  

ἀπιδόντα. 

그럼, 이보게, 그 다음으로 간격들이

소리의 높음과 낮음에 관련하여 그 수가 얼마이며

또 어떠한 것들인지를, 그리고 그 간격들의 표지들을, 또한

이것들을 통해 체계가 되는 것들까지 파악해 보게 ― 

선조들은 이것들을 분간하면서 저들의 후손인 우리들에게 

그것들을 화음이라 부르도록 넘겨주었고, 또한 신체의 운동들

안에서도 내재하여 생겨나는 이러한 또 다른 상태들을,

수들을 통해 측정되기에 다시 리듬과 박자라 이름붙여야

한다고 말하며, 동시에 모든 하나와 여럿에 관하여 그렇게

검토해야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말한다네.

왜냐하면 그것들을 그런 식으로 파악할 때, 바로 그 때 자네는

지혜로운 자가 되고, 그 밖에 하나인 것들 중 무엇이든

이 방식으로 검토하여 파악할 때, 그렇게 그것에 관하여

지혜를 갖추게 되기 때문이지. 그런데 각각의 것들의 무한과 

각각의 것들 안에서 무한한 다수는 자네를 매번 지혜에서 

손꼽히지도 않고 고려할 것도 없는 사람으로 만드는데, 

마치 수 쪽으로는 어디에서도 전혀 아무것도

쳐다본 적 없는 자라는 한에서 그렇다는 것이지.

ΠΡΩ. Κάλλιστα, ὦ Φίληβε, ἔμοιγε τὰ νῦν λεγόμενα

εἰρηκέναι φαίνεται Σωκράτης.

내게는 지금 논의되는 것들을 무척이나 훌륭하게

소크라테스께서 이야기하신 것처럼 보이는군, 필레보스.

ΦΙ. Κἀμοὶ ταῦτά γε αὐτά· ἀλλὰ τί δή ποτε πρὸς ἡμᾶς ὁ

λόγος οὗτος νῦν εἴρηται καὶ τί ποτε βουλόμενος;

내게도 그건 그래 보인다네. 허나 도대체 왜 지금 이런 논의가 우리를 향해

이야기되는 것이고 도대체 무엇을 의도하고 있는 건가?

ΣΩ. Ὀρθῶς μέντοι τοῦθ᾿ ἡμᾶς, ὦ Πρώταρχε, ἠρώτηκε

Φίληβος.

그러니까 필레보스는 우리한테 맞는 질문을 했다네, 프로타코스.

ΠΡΩ. Πάνυ μὲν οὖν, καὶ ἀποκρίνου γε αὐτῷ.

물론입니다, 그럼 그에게 답을 해 주시죠.

ΣΩ. Δράσω ταῦτα διελθὼν σμικρὸν ἔτι περὶ αὐτῶν τού-

των. ὥσπερ γὰρ ἓν ὁτιοῦν εἴ τίς ποτε λάβοι, τοῦτον, ὥς

φαμεν, οὐκ ἐπ᾿ ἀπείρου φύσιν δεῖ βλέπειν εὐθὺς ἀλλ᾿ ἐπί

τινα ἀριθμόν, οὕτω καὶ τὸ ἐναντίον ὅταν τις τὸ ἄπειρον

ἀναγκασθῇ πρῶτον λαμβάνειν, μὴ ἐπὶ τὸ ἓν εὐθύς, ἀλλ᾿ [ἐπ᾿]

ἀριθμὸν αὖ τινα πλῆθος ἕκαστον ἔχοντά τι κατανοεῖν, τελευ-

τᾶν τε ἐκ πάντων εἰς ἕν. πάλιν δὲ ἐν τοῖς γράμμασι τὸ

νῦν λεγόμενον λάβωμεν.

바로 저것들에 관하여 조금 더 상술하고서 그걸 할 걸세.

왜냐하면 누군가가 언제든 뭐가 되었든 하나를 붙잡으면, 

우리가 말했듯, 그는 무한의 본성으로 곧장 눈을 돌리지 말고

어떤 수로 눈을 돌려야 하는 것처럼, 그렇게 반대의 경우에도 누군가 무한을

먼저 취할 수밖에 없을 때에는, 곧장 하나를 향하는 게 아니라, 

이번엔 수를 향해 각각이 어떤 다수를 지니는 무엇인지 알아봐야 하며,

모든 것들로부터 하나로 끝을 맺어야 하기 때문이라네.

ΠΡΩ. Πῶς;

어떻게요?

ΣΩ. Ἐπειδὴ φωνὴν ἄπειρον κατενόησεν ειτε τἴςεἴτε τις θεὸς

εἴτε καὶ θεῖος ἄνθρωπος―ὡς λόγος ἐν Αἰγύπτῳ Θεῦθ τινα

τοῦτον γενέσθαι λέγων, ὃς πρῶτος τὰ φωνήεντα ἐν τῷ

ἀπείρῳ κατενόησεν οὐχ ἓν ὄντα ἀλλὰ πλείω, καὶ πάλιν

ἕτερα φωνῆς μὲν οὔ, φθόγγου δὲ μετέχοντά τινος, ἀριθμὸν

δέ τινα καὶ τούτων εἶναι, τρίτον δὲ εἶδος γραμμάτων διε-

στήσατο τὰ νῦν λεγόμενα ἄφωνα ἡμῖν· τὸ μετὰ τοῦτο διῄρει

τά τε ἄφθογγα καὶ ἄφωνα μέχρι ἑνὸς ἑκάστου, καὶ τὰ φωνή-

εντα καὶ τὰ μέσα κατὰ τὸν αὐτὸν τρόπον, ἕως ἀριθμὸν αὐτῶν

λαβὼν ἑνί τε ἑκάστῳ καὶ σύμπασι στοιχεῖον ἐπωνόμασε·

καθορῶν δὲ ὡς οὐδεὶς ἡμῶν οὐδ᾿ ἂν ἓν αὐτὸ καθ᾿ αὑτὸ ἄνευ

πάντων αὐτῶν μάθοι, τοῦτον τὸν δεσμὸν αὖ λογισάμενος ὡς

ὄντα ἕνα καὶ πάντα ταῦτα ἕν πως ποιοῦντα μίαν ἐπ᾿ αὐτοῖς

ὡς οὖσαν γραμματικὴν τέχνην ἐπεφθέγξατο προσειπών.

무슨 신인지 신적인 사람인지 그가 소리는 무한하다는 것을

알아보았기에―일설에는 이집트에 있던 테우트가 이런 어떤 것을

논하게 되었다고 하는데, 그는 말소리들이 무한 안에서

하나인 것들이 아니라 여럿인 것들임을 처음으로 알아냈고, 또

다시 어떤 소리들은 자음에는 참여하지 않지만, 무슨 반모음 같은 것에 참여함을,

그런데 이것들에도 어떤 수가 속한다는 것을 알아냈으며, 문자들의 세 번째 형상은

지금 논의된 자음들로 우리에게 정해주었다네. 그 다음 그는

반모음 아닌 자음들을 각기 하나까지 분할하였고, 말소리들과

중간것들을 같은 방식으로 분할하여, 그것들의 수를 파악하여

각각 하나에도 통틀어 모두에도 자모라고 이름을 붙여주었지.


ΦΙ. Ταῦτ᾿ ἔτι σαφέστερον ἐκείνων αὐτά γε πρὸς ἄλληλα,

ὦ Πρώταρχε, ἔμαθον· τὸ δ᾿ αὐτό μοι τοῦ λόγου νῦν τε καὶ

σμικρὸν ἔμπροσθεν ἐλλείπεται.

ΣΩ. Μῶν, ὦ Φίληβε, τὸ τί πρὸς ἔπος αὖ ταῦτ᾿ ἐστίν;

ΦΙ. Ναί, τοῦτ᾿ ἔστιν ὃ πάλαι ζητοῦμεν ἐγώ τε καὶ

Πρώταρχος.

ΣΩ. Ἦ μὴν ἐπ᾿ αὐτῷ γε ἤδη γεγονότες ζητεῖτε, ὡς φῄς,

πάλαι. 

ΦΙ. Πῶς;

ΣΩ. Ἆρ᾿ οὐ περὶ φρονήσεως ἦν καὶ ἡδονῆς ἡμῖν ἐξ

ἀρχῆς ὁ λόγος, ὁπότερον αὐτοῖν αἱρετέον;

ΦΙ. Πῶς γὰρ οὔ;

ΣΩ. Καὶ μὴν ἕν γε ἑκάτερον αὐτοῖν εἶναί φαμεν.

ΦΙ. Πάνυ μὲν οὖν.

ΣΩ. Τοῦτ᾿ αὐτὸ τοίνυν ἡμᾶς ὁ πρόσθεν λόγος ἀπαιτεῖ,

πῶς ἔστιν ἓν καὶ πολλὰ αὐτῶν ἑκάτερον, καὶ πῶς μὴ ἄπειρα

εὐθύς, ἀλλά τινά ποτε ἀριθμὸν ἑκάτερον ἔμπροσθεν κέκτηται

τοῦ ἄπειρα αὐτῶν ἕκαστα γεγονέναι;


-작성중-

ΘΕΑΙ.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ΞΕ. Μέχρι μὲν τοίνυν ἐνταῦθα ὁ σοφιστής τε καὶ ὁ

ἀσπαλιευτὴς ἅμα ἀπὸ τῆς κτητικῆς τέχνης πορεύεστθον.

그러니까 여기까지는 소피스트와 낚시꾼이 동시에 

획득하는 기술로부터 걸어 나아갔군.

ΘΕΑΙ. Ἐοίκατον γοῦν.

그야 그런 듯합니다.

ΞΕ. Ἐκτρέπεσθον δέ γε ἀπὸ τῆς ζῳοθηρικῆς, ὁ μὲν ἐπὶ

θάλααττάν που καὶ ποταμοὺς καὶ λίμνας, τὰ ἐν τούτοις ζῲα

θηρευσόμενος.

그 둘은 동물사냥술로부터 걸어나왔고, 한 쪽은

아마도 바다와 강과 호수로 향해, 이런 곳들의 동물들을

사냥하는 자라네.

ΘΕΑΙ. Τί μήν;

그래서요?

ΞΕ. Ὁ δέ γε ἐπὶ τὴν γῆν καὶ ποταμοὺς ἑτέρους αὖ

τινας, πλούτου καὶ νεότητος οἷον λειμῶνας ἀφθόνους, τἀν

τούτοις θρέμματα χειρωσόμενος.

그런데 다른 쪽은 대지와 이번엔 다른 어떤 강들로 향해,

부와 젊음의 말하자면 아낌 없는 목초지에 속할 그런 곳에서,

이와 같은 곳들의 사냥감들을 장악하는 자일세.

ΘΕΑΙ. Πῶς λέγεις;

어찌 하시는 말씀이십니까?

ΞΕ. Τῆς πεζῆς θήρας γίγνεσθον δύο μεγίστω τινὲ

μέρει.

육상 사냥의 가장 큰 어떤 두 부분이 생기지.

ΘΕΑΙ. Ποῖον ἑκάτερον;

각각이 어떤 부분입니까?

ΞΕ. Τὸ μὲν τῶν ἡμέρων, τὸ δὲ τῶν ἀγρίων.

한편은 길들여진 것들에 대한 부분이고, 다른 쪽은 야생의 것들에 대한 부분이라네.

ΘΕΑΙ. Εἶτ᾿ ἔστι τις θήρα τῶν ἡμέρων;

길들여진 것들에 대한 사냥이요?

ΞΕ. Εἴπερ γέ ἐστιν ἄνθρωπος ἥμερον ζῷον. θὲς δὲ ὅπῃ

χαίρεις, εἴτε μηδὲν τιθεὶς ἥμερον, εἴτε ἄλλο μὲν ἥμερόν τι,

τὸν δὲ ἄνθρωπον ἄγριον, εἴτε ἥμερον μὲν λέγεις αὖ τὸν

ἄνθρωπον, ἀνθρώπων δὲ μηδεμίαν ἡγῇ θήραν· τούτων

ὁπότερ᾿ ἂν ἡγῇ φίλον εἰρῆσθαί σοι, τοῦτο ἡμῖν διόρισον.

만일 정말로 인간이 길들여진 동물이라면야 말이지. 그런데 자네

좋을대로 정하시게, 길들여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정하든,

길들여진 건 다른 어떤 것이고 인간은 야생이라 하든, 또 인간은

길들여진 동물이라 말을 하나, 아무것도 전혀 인간에 대한 사냥이지 않다고 생각하든:

이것들 중 자네가 이야기하기에 흡족하다 생각할 무엇이든, 그것을 우리에게 정해주게. 

ΘΕΑΙ. Ἀλλ᾿ ἡμᾶς τε ἥμερον, ὦ ξένε, ἡγοῦμαι ζῷον,

θήραν τε ἀνθρώπων εἶναι λέγω.

그럼 손님, 저는 우리가 길들여진 동물이라 생각하기도 하고,

인간에 대해서도 사냥이란 말을 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ΞΕ. Διττὴν τοίνυν καὶ τὴν ἥμεροθηρικὴν εἴπωμεν.

그러면 길들여진 동물 사냥술도 이중의 것이라 말하도록 하세.

ΘΕΑΙ. Κατὰ τί λέγοντες;

어떤 점에 따라서 말하면서 말씀이십니까?

ΞΕ. Τὴν μὲν λῃστικὴν καὶ ἀνδραποδιστικὴν καὶ τυραν-

νικὴν καὶ σύμπασαν τὴν πολεμικήν, ἓν πάντα, βίαιον

θήραν, ὁρισάμενοι.

해적기술과 납치기술 그리고 참주기술과 전쟁기술 전반은,

그 모두를 하나로서, 강압적인 사냥으로, 규정하면서 말일세.

ΘΕΑΙ. Καλῶς.

훌륭합니다.

ΞΕ. Τὴν δέ γε δικανικὴν καὶ δημηγορικὴν καὶ προσο-

μιλητικήν, ἓν αὖ τὸ σύνολον, πιθανουργικήν τινα μίαν

τέχνην προσειπόντες.

그런가 하면 법정에서 승리하는 기술과 대중연설기술 그리고

사교기술은, 또 그 전체를 함께 하나로 하여, 설득술 같은 어떤 단일한

기술로 이름붙이면서 말하도록 하세.

ΘΕΑΙ. Ὀρθῶς.

맞는 말씀이십니다.

ΞΕ. Τῆς δὴ πιθανουργικῆς διττὰ λέγωμεν γένη.

그럼 설득기술의 두 유들을 말해보세.

ΘΕΑΙ. Ποῖα;

어떤 것들인가요?

ΞΕ. Τὸ μὴν ἕτερον ἰδίᾳ, τὸ δὲ δημοσίᾳ γιγνόμενον.

다른 한쪽은 개인에게, 또 다른 쪽은 대중에게 이루어지는 것일세.

ΘΕΑΙ. Γίγνεσθον γὰρ οὖν εἶδος ἑκάτερον.

그야 양편 각각의 형상이 그리 이루어지니까요.

ΞΕ. Οὐκοῦν αὖ τῆς ἰδιοθηρευτικῆς τὸ μὲν μισθαρνη-

τικόν ἐστιν, τὸ δὲ δωροφορικόν;

그럼 또 사적인 사냥술의 한편은 보수를 받는 형상인 반면,

다른 쪽은 선물을 주는 형상이지 않나?

ΘΕΑΙ. Οὐ μανθάνω.

모르겠습니다.

ΞΕ. Τῇ τῶν ἐρώντων θήρᾳ τὸν νοῦν, ὡς ἔοικας, οὔπω

προσέσχες.

보자니 자네, 구애자들의 사냥에는 한 번도 신경쓴 적이 없나 보군.

ΘΕΑΙ. Τοῦ πέρι;

어떤 점에서요?

ΞΕ. Ὅτι τοῖς θηρευθεῖσι προσέτι δῶρα διδόασιν.

그들이 사냥감들에게 선물을 얹어 준다는 점에서 말이네.

ΘΕΑΙ. Ἀληθέστατα.

정말로 그렇습니다.

ΞΕ. Τοῦτο μὲν τοίνυν ἐρωτικῆς τέχνης ἔστω εἶδος.

그러니 이것은 연애하는 기술에 속하는 형상이지.

ΘΕΑΙ.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ΞΕ. Τοῦ δέ γε μισθαρνητικοῦ τὸ μὲν προσομιλοῦν διὰ

χάριτος καὶ παντάπασι δι᾿ ἡδονῆς τὸ δέλεαρ πεποιημένον

καὶ τὸν μισθὸν πραττόμενον τροφὴν ἑαυτῷ μόνον κολα-

κικήν, ὡς ἐγᾦμαι, πάντες φαῖμεν ἂν <ἢ> ἡδυντικήν τινα

τέχνην εἶναι.

그런가 하면 보수를 받는 쪽의 한편은 전적으로 호의와 

쾌락을 통해 미끼를 만들어내어 사교하고 

보수를 자신의 양분으로 삼는 단지 아첨일 뿐인 것으로,

내 생각에는, 모든 사람이 쾌락술 같은 무슨 기술이라고 말한다네.

ΘΕΑΙ. Πῶς γὰρ οὔ;

어찌 아니겠습니까?

ΞΕ. Τὸ δὲ ἐπαγγελλόμενον μὲν ὡς ἀρετῆς ἕνεκα τὰς

ὁμιλίας ποιούμενον, μισθὸν δὲ νόμισμα πραττόμενον, ἆρα

οὐ τοῦτο τὸ γένος ἑτέρῳ προσειπεῖν ἄξιον ὀνόματι;

그런데 덕을 위해 교제를 한다고 공언하면서,

금전을 보수로 삼는 쪽, 이것은 혹시

다른 이름을 붙일 만한 부류 아니겠는가?

ΘΕΑΙ. Πῶς γὰρ οὔ;

어찌 아니겠습니까?

ΞΕ. Τίνι δὴ τούτῳ; πειρῶ λέγειν.

무슨 이름으로 말인가? 말해 보도록 하게.

ΘΕΑΙ. Δῆλον δή· τὸν γὰρ σοφιστήν μοι δοκοῦμεν

ἀνηυρηκέναι. τοῦτ᾿ οὖν ἔγωγε εἰπὼν τὸ προσῆκον ὄνομ᾿ ἂν

ἡγοῦμαι καλεῖν αὐτόν.

분명하죠. 제게는 소피스트를 발견해낸 것으로 여겨지니까요.

그러니 저는 바로 그 적절한 이름을 말하여 그를 부르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ΞΕ. Κατὰ δὴ τὸν νῦν, ὦ Θεαίτητε, λόγον, ὡς ἔοικεν, ἡ

τέχνης οἰκειωτικῆς, θηρευτικῆς, ζῳοθηρίας, χερσαίας,

ἀνθρωποθηρίας, <πιθανοθηρίας>, ἰδιοθηρίας, νομισμα-

τοπωλικῆς, δοξοπαιδευτικῆς, νέων πλουσίων καὶ ἐνδόξων

γιγνομένη θήρα προσρητέον, ὡς ὁ νῦν λόγος ἡμῖν συμ-

βαίνει, σοφιστική.

그럼 지금 논의에 따르면 전유하는 기술에서, 사냥술에서,

동물사냥에서, 뭍사냥에서, 인간사냥에서, <설득사냥에서>, 개인사냥에서,

금전거래술에서, 믿음교육술(or 유사교육술)에서, 부유하고 명망있는 젊은이들에 대해

이루어지는 사냥은, 그 논변이 우리에게 귀결된대로,

소피스트기술이라 불려야만 하는 것 같군.

ΘΕΑΙ. Παντάπασι μὲν οὖν.

전적으로 그렇습니다.

ΞΕ. Ἔτι δὲ καὶ τῇδε ἴδωμεν· οὐ γάρ τι φαύλης μέτοχόν

ἐστι τέχνης τὸ νῦν ζητούμενον, ἀλλ᾿ εὖ μάλα ποικίλης. καὶ

γὰρ οὖν ἐν τοῖς πρόσθεν εἰρημένοις φάντασμα παρέχεται

μὴ τοῦτο ὃ νῦν αὐτὸ ἡμεῖς φαμεν ἀλλ᾿ ἕτερον εἶναι τι γένος.

이런 식으로도 좀 더 보도록 하세. 지금 쫓기는 것은 단순한 기술에

참여하는 뭔가가 아니라, 특히나 아주 다채로운 기술에 참여하는 것이니.

또 그래서 앞서 이야기된 것들에서 그 유가 지금 우리가 그것이라 말한 

바로 그것이 아니라 다른 어떤 유라는 인상들이 주어지니 말일세.

ΘΕΑΙ. Πῇ δή;

어떤 점에서 말씀이십니까?

ΞΕ. Τὸ τῆς κτητικῆς τέχνης διπλοῦν ἦν εἶδός που, τὸ

μὲν θηρευτικὸν μέρος ἔχον, τὸ δὲ ἀλλακτικόν.

분명 획득하는 기술의 형상은 이중이었고, 그 한편은

사냥하는 부분을 지니는 것이었던 반면, 다른 쪽은 교환하는 부분을 지닌 것이었지.

ΘΕΑΙ. Ἦν γὰρ οὖν.

그야 그랬으니 말입니다.

ΞΕ. Τῆς τοίνυν ἀλλακτικῆς δύο εἴδη λέγωμεν, τὸ μὲν

δωρητικόν, τὸ δὲ ἕτερον ἀγοραστικόν;

그러니 우리 교환술의 두 형상들을, 한편은 선물을 주는

형상으로, 다른 쪽은 거래하는 형상으로 말하겠나?

ΘΕΑΙ. Εἰρήσθω.

그리 이야기되도록 하지요.

ΞΕ. Καὶ μὴν αὖ φήσομεν ἀγοραστικὴν διχῇ τέμνεσθαι.

그런가 하면 우리는 또 거래술이 두 가지로 나뉜다고 말할 걸세.

ΘΕΑΙ. Πῇ;

어떤 쪽으로 나뉩니까?

ΞΕ. Τὴν μὲν τῶν αὐτουργῶν αὐτοπωλικὴν διαιρου-

μένην, τὴν δὲ τὰ ἀλλότρια ἔργα μεταβαλλομένην μεταβλη-

τικήν.

자가제작물들에 대한 자가매매술로 분할된 쪽과,

타인의 일들을 맞바꾸는 매매술로 분할된 쪽으로 말이지.

ΘΕΑΙ.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ΞΕ. Τί δέ; τῆς μεταβλητικῆς οὐχ ἡ μὲν κατὰ πόλιν

ἀλλαγή, σχεδὸν αὐτῆς ἥμισυ μέρος ὄν, καπηλικὴ προσ-

αγορεύεται;

그럼 어떤가? 매매술의 한편은 폴리스에서의 교환이고,

이 교환의 거의 절반인 바, 소매술이라 불리지 않는가?

ΘΕΑΙ. Ναί.

네.

ΞΕ. Τὸ δέ γε ἐξ ἄλλης εἰς ἄλλην πόλιν διαλλάττον ὠνῇ

καὶ πράσει ἐμπορική;

그런데 한 도시에서 다른 도시로의 매입과 판매로 되는 맞교환은

무역술이라 불리고? 

ΘΕΑΙ. Τί δ᾿ οὔ;

왜 아니겠습니까?

ΞΕ. Τῆς δ᾿ ἐμπορικῆς ἆρ᾿ οὐκ ᾐσθήμεθα ὅτι τὸ μὲν

ὅσοις τὸ σῶμα τρέφεται καὶ χρῆται, τὸ δὲ ὅσοις ἡ ψυχή,

πωλοῦν διὰ νομίσματος ἀλλάττεται;

그런데 혹시 무역술에서 한편은 신체가 그로써 양식삼고 

사용하는 것들을, 다른 편은 영혼이 그리 하는 것들을,

현금을 통해 팔아 교환하지 않는가?

ΘΕΑΙ. Πῶς τοῦτο λέγεις;

그것은 어찌 하시는 말씀이십니까?

ΞΕ. Τὸ περὶ τὴν ψυχὴν ἴσως ἀγνοοῦμεν, ἐπεὶ τό γε

ἕτερόν που συνίεμεν.

영혼에 관한 쪽은 우리 둘 다 마찬가지로 모르지만,

다른 쪽은 아마 우리 둘 다 알고 있지.

ΘΕΑΙ. Ναί.

네.

ΞΕ. Μουσικήν τε τοίνυν συνάπασαν λέγωμεν, ἐκ

πόλεως ἑκάστοτε εἰς πόλιν ἔνθεν μὲν ὠνηθεῖσαν, ἑτέρωσε

δὲ ἀγομένην καὶ πιπρασκομένην, καὶ γραφικὴν καὶ

θαυματοποιικὴν καὶ πολλὰ ἕτερα τῆς ψυχῆς τὰ μὲν παρα-

μυθίας, τὰ δὲ καὶ σπουδῆς χάριν ἀχθέντα καὶ πωλούμενα,

τὸν ἄγοντα καὶ πωλοῦντα μηδὲν ἦττον τῆς τῶν σιτίων καὶ

ποτῶν πράσεως ἔμπορον ὀρθῶς ἂν λεγόμενον παρασχεῖν.

그러니 통틀어 교양술 전부를 우리가 말하도록 하세나,

때마다 그 기술이 도시에서 도시로 한편으로는 그 자리에서 

구매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다른 곳으로 이끌려 수출되며, 

회화술도 곡예술도 다른 많은 것들도 한편으로는 영혼의 

위안거리들로, 다른 한편으로는 진지한 목적으로도 이끌려와 

판매되는데, [이것들을] 이끌고 와 판매하는 자가 먹거리와

마실거리의 판매에 비해 하나도 덜 제대로 무역상이라

말해지도록 만들지 않았으리라고 말일세.

ΘΕΑΙ. Ἀληθέστατα λέγεις.

더없이 맞는 말씀이십니다.

ΞΕ. Οὐκοῦν καὶ τὸν μαθήματα συνωνούμενον πόλιν τε

ἐκ πόλεως νομίσματος ἀμείβοντα ταὐτὸν προσερεῖς ὄνομα;

그러면 자네는 배울거리들을 사 모아 도시에서 도시로 보수를 받고

교환하는 자도 같은 이름으로 부르지 않는가? 

ΘΕΑΙ. Σφόδρα γε.

지극히 그렇습니다.

ΞΕ. Τῆς δὴ ψυχεμπορικῆς ταύτης ἆρ᾿ οὐ τὸ μὲν ἐπι-

δεικτικὴ δικαιότατα λέγοιτ᾿ ἄν, τὸ δὲ γελοίῳ μὲν οὐχ ἦττον

τοῦ πρόσθεν, ὅμως δὲ μαθημάτων οὖσαν πρᾶσιν αὐτὴν

ἀδελφῷ τινι τῆς πράξεως ὀνόματι προσειπεῖν ἀνάγκη;

그래서 이러한 영혼에 관련된 매매술의 한편은

매우 정당하게 과시술이라 논해질 것이고, 다른 한편은 앞서의

이름보다 우습기가 덜하지 않은 것으로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울거리들에 대한 판매이기에 그것을

그 행위와 형제간인 어떤 이름으로 부를 수밖에 없지 않은가?

ΘΕΑΙ. Πάνυ μὲν οὖν.

물론 그러합니다.

ΞΕ. Ταύτης τοίνυν τῆς μαθηματοπωλικῆς τὸ μὲν περὶ

τὰ τῶν ἄλλων τεχνῶν μαθήματα ἑτέρῳ, τὸ δὲ περὶ τὸ τῆς

ἀρετῆς ἄλλῳ προσρητέον.

그러면 이러한 교육매매술의 한편으로 여타 기술들에 대한

배움들에 관한 쪽은 다른 이름으로, 덕에 관한 쪽은 그 외의

이름으로 불러야만 하는 것이네.

ΘΕΑΙ. Πῶς γὰρ οὔ;

어찌 아니겠습니까?

ΞΕ. Τεχνοπωλικὸν μὴν τό γε περὶ τἆλλα ἂν ἁρμόττοι·

τὸ δὲ περὶ ταῦτα σὺ προθυμήθητι λέγειν ὄνομα.

여타의 것들에 관한 것은 기술판매하는 쪽으로 부르는 게 어울리겠지.

그런데 이것들에 관한 쪽은 자네가 그 이름을 말할 마음을 먹어 보게.

ΘΕΑΙ. Καὶ τί τις ἂν ἄλλο εἰπὼν ὄνομα οὐκ ἂν πλημ-

μελοίη πλὴν τὸ νῦν ζητούμενον αὐτὸ εἶναι τὸ σοφιστικὸν

γένος;

누군들 소피스트적인 부류가 지금 추적받는 그 부류라는 것

이외에 다른 어떤 이름을 입에 담아 엇박을 치지 않겠습니까?

ΞΕ. Οὐδὲν ἄλλο. ἴθι δὴ νῦν συναγάγωμεν αὐτὸ λέγον-

τες ὡς τὸ κτηκικῆς, μεταβλητικῆς, ἀγοραστικῆς, ἐμ-

πορικῆς, ψυχεμπορικῆς περὶ λόγους καὶ μαθήματα ἀρετῆς

πωλητικὸν δεύτερον ἀνεφάνη σοφιστική.

다른 그 어떤 이름도 말이지. 자, 그럼, 이제 그것을 모아보세.

획득술에서, 교환술에서, 거래술에서,

무역술에서, 영혼에 관련된 매매술에서 진술과 배움에 관련하여

탁월함의 매매를 하는 것이 두 번째로 소피스트 기술이라 드러났다고

말하면서 말일세.

ΘΕΑΙ. Μάλα γε.

무척이나 그렇습니다.

ΞΕ. Τρίτον δέ γ᾿ οἶμαι σε, κἂν εἴ τις αὐτοῦ καθιδρυ-

μένος ἐν πόλει, τὰ μὲν ὠνούμενος, τὰ δὲ καὶ τεκταινόμενος

αὐτὸς μαθήματα περὶ τὰ αὐτὰ ταῦτα καὶ πωλῶν, ἐκ τούτου

τὸ ζῆν προυτάξατο, καλεῖν οὐδὲν ἄλλο πλὴν ὅπερ νυνδή.

그런가 하면 내 생각에 세 번째로, 누군가는 그가

폴리스에 자리를 잡고서, 어떤 것들은 구매하고, 또 어떤 것들은

스스로 그것들 자체에 관한 배울거리들을 창안해내 팔기도 하며,

이로부터 그의 삶이 영위된다면, 방금 바로 그것 외에 다른 어떤 것으로도

그를 부르지 않으리라고 생각한다네.

ΘΕΑΙ. Τί δ᾿ οὐ μέλλω;

왜 아니겠습니까?

ΞΕ. Καὶ τὸ κτητικῆς ἄρα μεταβλητικόν, ἀγοραστικόν,

καπηλικὸν εἴτε αὐτοπωλικόν, ἀμφοτέρως, ὅτιπερ ἂν ᾖ

περὶ τὰ τοιαῦτα μαθηματοπωλικὸν γένος, ἀεὶ σὺ προσ-

ερεῖς, ὡς φαίνῃ, σοφιστικόν.

그럼 획득술에서도 교환적인 것, 거래하는 것,

소매이든 자작판매이든, 양쪽 모두이든, 

이러한 것들에 관한 교육매매의 부류일 것은 무엇이든,

언제나 자네가 소피스트적인 부류라 부르는 게로군.

나타나는 바로는 말일세.

ΘΕΑΙ. Ἀνάγκη· τῲ γὰρ λόγῳ δεῖ συνακολουθεῖν.

그럴 수밖에요. 왜냐하면 논변에 따라야 하니 말이지요.

ΞΕ. Ἔτι δὴ σκοπὼμεν εἴ τινι τοιῷδε προσέοικεν ἄρα τὸ

νῦν μεταδιωκόμενον γένος.

그럼 지금 쫓기는 그 부류가 이런 어떤 것에도 어울릴지

더 나아가 검토해 보기로 하세.

-작성중-

ΞΕ. Μέθοδον μὴν αὐτὸν ἐλπίζω καὶ λόγον οὐκ                     a

ἀνεπιτήδειον ἡμῖν ἔχειν πρὸς ὃ βουλόμεθα.

나는 정말이지 그가 우리가 바라는 일에 대해 

우리에게 부적합하지 않은 방법과 설명을 지니고 있기를 희망한다네.

ΘΕΑΙ. Καλῶς ἂν ἔχοι.

훌륭하게 지니고 있을 것입니다.

ΞΕ. Θέρε δή, τῇδε ἀρχώμεθα αὐτοῦ. καί μοι λέγε·

πότερον ὡς τεχνίτην αὐτὸν ἤ τινα ἄτεχνον, ἄλλην δὲ             5

δύναμιν ἔχοντα θήσομεν;

자, 우리 이런 식으로 그로부터 시작해 보세. 그럼 내게 말해주게.

우리는 그를 기술적인 자로 정하겠는가, 아니면 기술적이지 않은 어떤 자,

그 외의 능력을 지닌 자로 정하겠는가?

ΘΕΑΙ. Ἥκιστά γε ἄτεχνον.

기술적이지 않은 자는 전혀 아니지요.

ΞΕ. Ἀλλὰ μὴν τῶν γε τεχνῶν πασῶν σχεδὸν εἴδη δύο.

허나 물론 모든 기술들은 거의 두 형상으로 나뉘지.

ΘΕΑΙ. Πῶς;

어떻게 말씀이시죠?

ΞΕ. Γεωργία μὲν καὶ ὅση περὶ τὸ θνητὸν πᾶν σῶμα                10

θεραπεία, τό τε αὖ περὶ τὸ σύνθετον καὶ πλαστόν, ὃ δὴ

σκεῦος ὠνομάκαμεν, ἥ τε μιμητική, συμπαντα ταῦτα             b

δικαιότατ᾿ ἂν ἑνὶ προσαγορεύοιτ᾿ ἂν ὀνόματι.

농사와 가사적인 모든 신체에 관한 온갖 보살핌,

또 결합되거나 주조된, 그래서 우리가 산물이라 

명명한 것에 관한 형상, 또는 모방술, 이 모든 것이 통틀어

매우 정당하게 한 이름으로 불리겠지.

ΘΕΑΙ. Πῶς καὶ τίνι;

어떻게 또 어떤 이름으로 말씀이십니까?

ΞΕ. Πᾶν ὅπερ ἂν μὴ πρότερόν τις ὂν ὕστερον εἰς οὐσίαν

ἄγῃ, τὸν μὲν ἄγοντα ποιεῖν, τὸ δὲ ἀγόμενον ποιεῖσθαι πού       5

φαμεν.

이전에 어떤 것이 아닌 것을 이후에 무엇인 것으로 이끌 무엇이든

그 모든 것은, 이끄는 쪽은 만든다고, 이끌리는 쪽은 만들어진다고

우리는 어쨌든 말한다네. 

ΘΕΑΙ. Ὀρθῶς.

맞습니다.

ΞΕ. Τὰ δέ γε νυνδὴ <ἃ> διήλθομεν ἅπαντα εἶχεν εἰς

τοῦτο τὴν αὑτῶν δύναμιν.

그런데 방금 우리가 논한 그 모든 것들은 자신들의 능력을

이런 일에 관련시키고 있었지.

ΘΕΑΙ. Εἶχε γὰρ οὖν.                                                          10

그야 그 쪽에 관련시키고 있었으니까요.

ΞΕ. Ποιητικὴν τοίνυν αὐτὰ συγκεφαλαιωσάμενοι

προσείπωμεν.

그러니 그것들을 간추려 모으고서 제작술이라고

부르기로 하세나.

ΘΕΑΙ. Ἔστω.                                                                 c

그렇다고 하죠.

ΞΕ. Τὸ δὲ μαθηματικὸν αὖ μετὰ τοῦτο εἶδος ὅλον καὶ

τὸ τῆς γνωρίσεως τό τε χρηματιστικὸν καὶ ἀγωνιστικὸν

καὶ θηρευτικόν, ἐπειδὴ δημιουργεῖ μὲν οὐδὲν τούτων, τὰ

δὲ ὄντα καὶ γεγονότα τὰ μὲν χειροῦται λόγοις καὶ πράξεσι,      5

τὰ δὲ τοῖς χειρουμένοις οὐκ ἐπιτρέπει, μάλιστ᾿ ἄν που διὰ

ταῦτα συνάπαντα τὰ μέρη τέχνη τις κτητικὴ λεχθεῖσα ἂν

διαπρέψειεν.

그런데 또 그 다음으로 학문적인 형상 전체와

인식에 속하는 형상이나 재화를 만들거나 경쟁하거나

사냥하는 형상은, 이것들 중 어느 것도 제작을 하지는 않고,

무엇인 것들이나 무엇이 된 것들을 어떤 것들은 말과 행동으로 장악하고,

또 어떤 것들은 장악하는 자들에게 넘기지 않는데, 특히나

이런 모든 것들을 통해서 어떤 확보하는 기술이 논해진다는 것은

적절할 걸세.

ΘΕΑΙ. Διαπρέποι γὰρ ἄν.

적절한 것일 테지요.

ΞΕ. Κτητικῆς δὴ καὶ ποιητικῆς συμπασῶν οὐσῶν τῶν              d

τεχνῶν ἐν ποτέρᾳ τὴν ἀσπαλιευτικήν, ὦ Θεαίτητε, τιθῶ-

μεν;

그럼 기술인 바의 통틀어 모든 것들 중 확보술과 제작술의

둘 중 어느 쪽에 우리가 낚시기술을 세워놓겠나,

테아이테토스?

ΘΕΑΙ. Ἐν κτητικῇ που δῆλον.

아마 확보술에 놓을 게 분명하겠지요.

ΞΕ. Κτητικῆς δὲ ἆρ᾿ οὐ δύο εἴδη; τὸ μὲν ἑκόντων πρὸς             5

ἑκόντας μεταβλητικὸν ὂν διά τε δωρεῶν καὶ μισθώσεων

καὶ ἀγοράσεων, τὸ δὲ λοιπόν, ἢ κατ᾿ ἔργα ἢ κατὰ λόγους

χειρούμενον σύμπαν, χειρωτικὸν ἂν εἴη;

그런데 혹시 확보술의 형상은 두 가지가 아닌가? 하나는 자발적인 자가

자발적인 자를 향해 하는 교환적인 것으로서 선물과 보수

그리고 시장을 통해 하는 형상인 반면, 남은 쪽은, 일에서든 말에서든

장악하는 것 전부는, 장악적인 것이겠지?

ΘΕΑΙ. Φαίνεται γοῦν ἐκ τῶν εἰρημένων.

이야기된 바들로부터 그리 드러나니까요.

ΞΕ. Τί δέ; τὴν χειρωτικὴν ἆρ᾿ οὐ διχῇ τμητέον;                       10

이건 어떤가? 혹시 장악술도 다시 두 가지로 나뉘어야 하는 것 아닌가? 

ΘΕΑΙ. Πῇ;

어떤 식으로요?

ΞΕ. Τὸ μὲν ἀναφανδὸν ὅλον ἀγωνιστικὸν θέντας, τὸ δὲ           e

κρυφαῖον αὐτῆς πᾶν θηρευτικόν.

드러내놓는 쪽 전체는 경쟁적인 것으로 놓고, 그 기술의

감추는 쪽은 모두 사냥 쪽으로 놓는 걸세.

ΘΕΑΙ. Ναί.

그렇습니다.

ΞΕ. Τήν γε μὴν θηρευτικὴν ἄλογον τὸ μὴ οὐ τέμνειν

διχῇ.                                                                             5

사냥술은 두 가지로 나누지 않는다는 건 정말로 말이

안되는 일이지.

ΘΕΑΙ. Λέγε ὅπῃ.

어떻게 분할하는지 말씀해 주시지요.

ΞΕ. Τὸ μὲν ἀψύχου γένους διελομένους, τὸ δ᾿ ἐμψύχου.

영혼 없는 부류에 대한 쪽을 분할하여, 영혼이 담긴 부류에 대한 다른 쪽을 분할하네.

ΘΕΑΙ. Τί μήν; εἴπερ ἔστον γε ἄμφω.

왜 아니겠습니까? 정말로 그 둘이 그 양편이라면 말이죠.

ΞΕ. Πῶς δὲ οὐκ ἔστον; καὶ δεῖ γε ἡμᾶς τὸ μὲν τῶν             220

ἀψύχων, ἀνώνυμον ὂν πλὴν κατ᾿ ἔνια τῆς κολυμβητικῆς

ἄττα μέρη καὶ τοιαῦτ᾿ ἄλλα βραχέα, χαίρειν ἐᾶσαι, τὸ δέ,

τῶν ἐμψύχων ζῴων οὖσαν θήραν, προσειπεῖν ζῳοθηρικήν.

어찌 아니겠는가? 나아가 우리는 영혼 없는 것들에 대한

쪽, 잠수기술에 속하는 일부에 따른 몇몇 부분들과

이와 같은 그 외의 사소한 것들을 제외하고는 이름 없는 쪽은,

인사를 고해야 하고, 다른 쪽, 영혼이 담긴 동물들에 대한 

사냥은, 동물사냥술이라 불러주어야 하네.

ΘΕΑΙ. Ἔστω.                                                                   5

그렇게 하시죠.

ΞΕ. Ζῳοθηρικῆς δὲ ἆρ᾿ οὐ διπλοῦν εἶδος ἂν λέγοιτο ἐν

δίκῃ, τὸ μὲν πεζοῦ γένους, πολλοῖς εἴδεσι καὶ ὀνόμασι

διῃρημένον, πεζοθηρικόν, τὸ δ᾿ ἕτερον νευστικοῦ ζῴου πᾶν

ἐνυγροθηρικόν;

그런데 혹시 동물사냥의 이중의 형상이 두 측면에서,

한편은 여러 형상들과 이름들로 분할되는 발 달린(육상)

부류에 대한, 육상사냥으로, 헤엄치는(수생) 동물에 대한 다른 모든 형상은

수상사냥으로 이야기되지 않겠는가?

ΘΕΑΙ. Πάνυ γε.                                                                10

물론입니다.

ΞΕ. Νευστικοῦ μὴν τὸ μὲν πτηνὸν φῦλον ὁρῶμεν, τὸ δὲ          b

ἔνυδρον;

물론 우리는 수생에서 한편으로 깃 달린 족속을, 다른 한편으로는

수중에 사는 족속을 보고 있지?

ΘΕΑΙ. Πῶς δ᾿ οὔ;

어찌 아니겠습니까?

ΞΕ. Καὶ τοῦ πτηνοῦ μὴν γένους πᾶσα ἡμῖν ἡ θήρα

λέγεταί πού τις ὀρνιθευτική.                                              5

그래서 깃 달린 부류에 대한 모든 사냥은 아마도

우리가 어떤 조류사냥술이라 논하겠지.

ΘΕΑΙ. Λέγεται γὰρ οὖν.

그리 논해지니까요.

ΞΕ. Τοῦ δὲ ἐνύδρου σχεδὸν τὸ σύνολον ἁλιευτική.

그런데 수중에 대한 부분의 통틀어 거의 전체는 어획기술이라네.

ΘΕΑΙ. Ναί.

그렇습니다.

ΞΕ. Τί δέ; ταύτην αὖ τὴν θήραν ἆρ᾿ οὐκ ἂν κατὰ

μέγιστα μέρη δύο διέλοιμεν;                                             10

그런데 어떤가? 우리는 또 이 사냥을 혹시 

가장 큰 부분들에 따라 둘로 분할하지 않을까?

ΘΕΑΙ. Κατὰ ποῖα;

어떤 부분들에 따라서요?

ΞΕ. Καθ᾿ ἃ τὸ μὲν ἕρκεσιν αὐτοῖν ποιεῖται τὴν θήραν, τὸ

δὲ πληγῇ.

사냥이 맨손으로 가두는 것을 통해 만들어지는 부분, 그리고

타격으로 만들어지는 부분에 따라서라네.

ΘΕΑΙ. Πῶς λέγεις, καὶ πῇ διαιρούμενος ἑκάτερον;

어떤 의미로, 또 어떤 식으로 그 둘 각각을 분할하시면서 말씀하시는 건가요?

ΞΕ. Τὸ μέν, ὅτι πᾶν ὅσον ἂν ἕνεκα κωλύσεως εἴργῃ τι             c

περιέχον, ἕρκος εἰκὸς ὀνομάζειν.

한편은, 막아두기 위해 무언가 에워싸 가로막는 모든 것이기에,

가두는 것 비슷한 이름을 붙인다는 말이지.

ΘΕΑΙ. Πάνυ μὲν οὖν.

물론 그렇습니다.

ΞΕ. Κύρτους δὴ καὶ δίκτυα καὶ βρόχους καὶ πόρκους

καὶ τὰ τοιαῦτα μῶν ἄλλο τι πλὴν ἕρκη χρὴ προσαγορεύειν;     5

나아가 통발과 그물과 올가미와 어량과 이와 같은 것들을

가두는 기술 외에 다른 무엇으로 불러야 하는 것은 물론 아니겠지?

ΘΕΑΙ. Οὐδέν.

달리 부를 필요는 없지요.

ΞΕ. Τοῦτο μὲν ἄρα ἑρκοθηρικὸν τῆς ἄγρας τὸ μέρος

φήσομεν ἤ τι τοιοῦτον.

그러면 우리는 몰이(사냥)의 이 부분을 가두는 사냥을 하는 부분이나

그런 어떤 것으로 부를 걸세.

ΘΕΑΙ. Ναι.

네.

ΞΕ. Τὸ δὲ ἀγκίστροις καὶ τριόδουσι πληγῇ γιγνόμενον             10

ἕτερον μὲν ἐκείνου, πληκτικὴν δέ τινα θήραν ἡμᾶς προσει-    d

πεῖν ἑνὶ λόγῳ νῦν χρεών· ἢ τί τις ἄν, ὦ Θεαίτητε, εἴποι κάλ-

λιον;

그런데 갈고리와 작살(삼지창)로 가격하여 이뤄지는 부분은 

저것과 다른 부분으로, 가격하는 어떤 사냥이라는 하나의 말로

불러야만 하는 것이라네. 혹은, 테아이테토스, 누군가 더 나은 무언가를

말할 수 있겠나?

ΘΕΑΙ. Ἀμελῶμεν τοῦ ὀνόματος· ἀρκεῖ γὰρ καὶ τοῦτο.

이름에는 신경쓰지 말도록 하시죠. 이것으로도 충분하니까요.

ΞΕ. Τῆς τοίνυν πληκτικῆς τὸ μὲν νυκτερινὸν οἶμαι πρὸς           5

πυρὸς φῶς γιγνόμενον ὑπ᾿ αὐτῶν τῶν περὶ τὴν θήραν

πυρευτικὴν ῥηθῆναι συμβέβηκεν.

그리고 내 생각에 가격술에서 밤에 하는 쪽은 내 생각에 

횃불의 빛 앞에서 이루어지기에 사냥하는 자들 스스로 

횃불사냥이라 이야기되게 된 것 같군.

ΘΕΑΙ.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ΞΕ. Τὸ δέ γε μεθημερινόν, ὡς ἐχόντων ἐν ἄκροις

ἄγκιστρα καὶ τῶν τριοδόντων, πᾶν ἀγκιστρευτικόν.               10

그런데 낮 동안에 하는 쪽은, 작살도 끝에 갈고리를

지니기에, 모두 갈고리사냥을 하는 부분이지.

ΘΕΑΙ. Λέγεται γὰρ οὖν.                                                   e

그리 논해지니까요.

ΞΕ. Τοῦ τοίνυν ἀγκιστρευτικοῦ τῆς πληκτικῆς τὸ μὲν

ἄνωθεν εἰς τὸ κάτω γιγνόμενον διὰ τὸ τοῖς τριόδουσιν

οὕτω μάλιστα χρῆσθαι τριοδοντία τις οἶμαι κέκληται.

그런가 하면 나는 가격술의 갈고리사냥에서 위로부터 아랫쪽을

향해 이루어지는 쪽은 특히 그렇게 작살을 사용한다는 이유로

작살사냥 같은 무언가로 불렸다고 생각하네.

ΘΕΑΙ. Φασὶ γοῦν τινές.                                                     5

그래서 어떤 이들은 그리 말하긴 합니다.

ΞΕ. Τὸ δέ γε λοιπόν ἐστιν ἓν ἔτι μόνον ὡς εἰπεῖν εἶδος.

그리고 남은 것은 말하자면 이제 단 하나의 형상이지.

ΘΕΑΙ. Τὸ ποῖον;

어떤 형상인가요?

ΞΕ. Τὸ τῆς ἐναντίας ταύτῃ πληγῆς, ἀγκίστρῳ τε γιγνό-

μενον καὶ τῶν ἰχθύων οὐχ ᾗ τις ἂν τύχῃ τοῦ σώματος,

ὥσπερ τοῖς τριόδουσιν, ἀλλὰ περὶ τὴν κεφαλὴν καὶ τὸ      221

στόμα τοῦ θηρευθέντος ἑκάστοτε, καὶ κάτωθεν εἰς τοὐναν-

τίον ἄνω ῥάβδοις καὶ τεράμωσιν ἀνασπώμενον· οὗ τί

φήσομεν, ὦ Θεαίτητε, δεῖν τοὔνομα λέγεσθαι;

이와 반대되는 가격에서, 물고기에 대해서 그리고 갈고리로 

이뤄지되 우연히 그 몸통의 어딘가에, 마치 작살로 하듯

하는 것이 아니라, 매번 사냥당하는 것의 대가리와 주둥이

주변에서 이뤄지는, 그리고 아래로부터 그 반대인 위를 향해

막대와 대롱으로 당겨올리는 형상 말일세. 그것에 대해,

테아이테토스, 우리는 그 이름이 무엇이라 말해져야 한다고 이야기하겠나?

ΘΕΑΙ. Δοκῶ μέν, ὅπερ ἄρτι προυθέμεθα δεῖν ἐξευρεῖν,           5

τοῦτ᾿ αὐτὸ νῦν ἀποτετελέσθαι.

저로서는, 방금 우리가 찾아내야 한다고 정했던 바로 그 일,

그 일 자체가 지금 완수된 것이라 여겨집니다.

ΞΕ. Νῦν ἄρα τῆς ἀσπαλιευτικῆς πέρι σύ τε κἀγὼ συν-

ωμολογήκαμεν οὐ μόνον τοὔνομα, ἀλλὰ καὶ τὸν λόγον         b

περὶ αὐτὸ τοὖργον εἰλήφαμεν ἱκανῶς. συμπάσης γὰρ

τέχνης τὸ μὲν ἥμισυ μέρος κτητικὸν ἦν, κτητικοῦ δὲ χειρω-

τικόν, χειρωτικοῦ δὲ θηρευτικόν, τοῦ δὲ θηρευτικοῦ

ζῳοθηρικόν, ζῳθητικοῦ δὲ ἐνυγροθηρικόν, ἐνυγροθηρι-         5

κοῦ δὲ τὸ κάτωθεν τμῆμα ὅλον ἁλιευτικόν, ἁλιευτικῆς δὲ

πληκτικόν, πληκτικῆς δὲ ἀγκιστρευτικόν· τούτου δὲ τὸ

περὶ τὴν κάτωθεν ἄνω πληγὴν ἀνασπωμένην, ἀπ᾿ αὐτῆς      c

τῆς πράξεως ἀφομοιωθὲν τοὔνομα, ἡ νῦν "ἀσπαλιευτικὴ"

ζητηθεῖσα ἐπίκλην γέγονεν.

그래서 이제 낚시기술에 관하여 자네나 나나 

단지 그 이름만 동의한 게 아니라, 그 일 자체에 관한 

논변(설명)까지도 우리가 충분히 파악하였군. 왜냐하면 통틀어

모든 기술에서 절반인 부분은 확보술이었고, 확보술에서는 장악

하는 부분이, 장악하는 것에서는 사냥하는 부분이, 사냥하는 부분에서는

동물사냥하는 부분이, 동물사냥 부분에서는 수중사냥하는 부분이 있었으며, 

수중사냥하는 부분에서는 아래로부터 나뉜 전체는 어획하는 부분이고, 

어획술에서는 가격하는 부분이, 가격하는 부분에서는 갈고리를 사용하는 부분이 있었으니.

이 부분에서 아래로부터 위로 당겨올려지는 가격에 관한 부분이 있었고, 바로 이

행위로부터 이를 닮은 이름이 만들어져, 이제 "낚시기술"이

추적되어 명칭이 되었기 때문이라네.

ΘΕΑΙ. Παντάπασι μὲν οὖν τοῦτό γε ἱκανῶς δεδή-

λωται.                                                                         5

그리하여 그 점은 전적으로 충분하게 분명해졌습니다.

ΞΕ. Φέρε δή, κατὰ τοῦτο τὸ παράδειγμα καὶ τὸν

σοφιστὴν ἐπιχειρῶμεν εὑρεῖν ὅτι ποτ᾿ ἔστιν.

자 그럼, 이러한 본에 따라 소피스트도 도대체 무엇인지

찾아 나서 보도록 하세.

ΘΕΑΙ. Κομιδῇ μὲν οὖν.

그야 확실히 그렇습니다.

ΞΕ. Καὶ μὴν ἐκεῖνό γ᾿ ἦν τὸ ζήτημα πρῶτον, πότερον

ἰδιώτην ἤ τινα τέχνην ἔχοντα θετέον εἶναι τὸν ἀσπαλιευτήν.  10

그건 그렇고 저 처음에 추적하려던 것은, 낚시꾼이

문외한으로 놓여야 하는 것인지 아니면 어떤 기술을 

가진 자로 놓여야 하는 것인지 여부였네.

ΘΕΑΙ. Ναί.

네.

ΞΕ. Καὶ νῦν δὴ τοῦτον ἰδιώτην θήσομεν, ὦ Θεαίτητε, ἢ         d

παντάπασιν ὡς ἀληθῶς σοφιστήν;

그래서 지금도 이 자를, 테아이테토스, 우리는 문외한으로 놓겠나

아니면 전적으로 참으로 소피스트(지식기술자)로 놓겠나?

ΘΕΑΙ. Οὐδαμῶς ἰδιώτην· μανθάνω γὰρ ὃ λέγεις, ὡς

παντὸς δεῖ τοιοῦτος εἶναι τό γε ὄνομα τοῦτο ἔχων.

결코 문외한으로 놓지는 않을 겁니다. 그런(소피스트라는) 이름을

가진 자는 이런 자와는 한참이나 동떨어진 자라고 

당신이 말씀하고 계시다는 걸 알고 있으니 말이지요.

ΞΕ. Ἀλλά τινα τέχνην αὐτὸν ἡμῖν ἔχοντα, ὡς ἔοικε,                 5

θετέον.

오히려 우리가 보기에 그는 어떤 기술을 가진 자로

놓아야 할 것 같지.

ΘΕΑΙ. Τίνα ποτ᾿ οὖν δὴ ταύτην;

그래서 그 기술은 정말로 대체 어떤 기술인가요?

ΞΕ. Ἆρ᾿ ὦ πρὸς θεῶν ἠγνοήκαμεν τἀνδρὸς τὸν ἄνδρα

ὄντα συγγενῆ;

신들께 걸고 혹시나 우리는 그 자가 그 자와 같은 부류임을

몰랐던 겐가?

ΘΕΑΙ. Τίνα τοῦ;                                                               10

누가 누구와요?

ΞΕ. Τὸν ἀσπαλιευτὴν τοῦ σοφιστοῦ.

낚시꾼이 소피스트와 말이지.

ΘΕΑΙ. Πῇ;

어떤 점에서요?

ΞΕ. Θηρευτά τινε καταφαίνεσθον ἄμφω μοι.

내게는 양쪽 모두 어떤 사냥꾼들로 드러난다네.

ΘΕΑΙ. Τίνος θήρας ἅτερος; τὸν μὲν γὰρ ἕτερον                      e 

εἴπομεν.

다른 쪽은 무슨 사냥에 속하나요? 또 다른 족은

우리가 이야기했으니까요.

ΞΕ. Δίχα που νυνδὴ διείλομεν τὴν ἄγραν πᾶσαν,

νευστικοῦ μέρους, τὸ δὲ πεζοῦ τέμνοντες.

우리는 아마도 방금 몰이질 전체를 둘로 분할하였지.

수생동물 부분에 속하는 쪽, 그리고 육상동물에 속하는 쪽으로 나누면서 말이야.

ΘΕΑΙ. Ναί.                                                                       5

네.

ΞΕ. Καὶ τὸ μὲν διήλθομεν, ὅσον περὶ τὰ νευστικὰ τῶν

ἐνύδρων· τὸ δὲ πεζὸν εἰάσαμεν ἄσχιστον, εἰπόντες ὅτι

πολυειδὲς εἴη.

수생동물들 중에서 수중동물들에 관한 그 만큼의 것도

우리는 논의하였네. 그런데 육상동물 쪽은 가르지 않고 내버려 두었다네.

여러형상인 것이라고 말하면서 말일세.


-작성중-

ΣΟΦΙΣΤΗΣ


ΘΕΟΔΩΡΟΣ  ΣΩΚΡΑΤΗΣ

ΕΛΕΑΤΗΣ ΞΕΝΟΣ  ΘΕΑΙΤΗΤΟΣ


ΘΕΟ. Κατὰ τὴν χθὲς ὁμολογίαν, ὦ Σώκρατες, ἥκομεν         216a

αὐτοί τε κοσμίως καὶ τόνδε τινὰ ξένον ἄγομεν, τὸ μὲν γένος

ἐξ Ἐλέας, ἑταῖρον δὲ τῶν ἀμφὶ Παρμενίδην καὶ Ζήνωνα,

μάλα δὲ ἄνδρα φιλόσοφον.

어제 약속대로, 소크라테스, 저희도 제대로 왔고 여기 어떤

외지 손님도 모셔왔습니다만, 부류는 엘레아 출신이시고,

파르메니데스와 제논을 따르는 자들의 동료이시며,

특히나 철학을 하시는 분이시랍니다.

- 『테아이테토스』에서는 거짓이 어떻게 가능한지 설명 불가능. 콘포드, 찰스 칸. 

  『테아이테토스』의 액자식 구성 속 사건과 『소피스트』의 전면 사건 사이 소크라테스 죽음 시리즈.

  엘레아 부류-철학자의 부류//소피스트의 부류 ? 정치가의 부류 구분? τοῦ ὄντος

ΣΩ. Ἆρ᾿ οὖν, ὦ Θεόδωρε, οὐ ξένον ἀλλά τινα θεὸν                  5

ἄγων κατὰ τὸν Ὁμήρου λόγον λέληθας; ὅς φησιν ἄλλους

τε θεοὺς τοῖς ἀνθρώποις ὁπόσοι μετέχουσιν αἰδοῦς                b

δικαίας, καὶ δὴ καὶ τὸν ξένιον οὐχ ἥκιστα θεὸν συνοπαδὸν

γιγνόμενον ὕβρεις τε καὶ εὐνομίας τῶν ἀνθρώπων

καθορᾶν. τάχ᾿ οὖν ἂν καὶ σοί τις οὗτος τῶν κρειττόνων

συνέποιτο, φαύλους ἡμᾶς ὄντας ἐν τοῖς λόγοις ἐποψόμενός        5

τε καὶ ἐλέγξων, θεὸς ὤν τις ἐλεγκτικός.

그럼 혹시, 테오도로스, 외지 손님이 아니라 어떤 신을

호메로스 말대로 자네도 모르는 사이에 모셔온 겐가? 호메로스는 다른

신들도 정의로운 경외에 참여하는 인간들에게 그렇거니와,

더욱이 누구보다도 손님맞이의 신께서 동반자가 되시어

인간들의 오만과 순종을 살피신다 이야기하지.

그러니 어쩌면 자네에게도 우월하신 분들 중에 이와 같은 어떤 분께서

동행하셨을지도 모른다네, 단순한 우리들을 방문하시고 또한

논박하시고자, 어떤 논박술을 갖춘 신으로서 말이야.

ΘΕΟ. Οὐχ οὗτος ὁ τρόπος, ὦ Σώκρατες, τοῦ ξένου,

ἀλλὰ μετριώτερος τῶν περὶ τὰς ἔριδας ἐσπουδακότων. καί

μοι δοκεῖ θεὸς μὲν ἁνὴρ οὐδαμῶς εἶναι, θεῖος μήν· πάντας

γὰρ ἐγὼ τοὺς φιλοσόφους τοιούτους προσαγορεύω.               c

그 외지 손님의 방식은 그런 게 아니고요, 소크라테스,

쟁론에 몰두하는 자들보다 더욱 점잖은 방식입니다. 그리고

제게는 이 사람이 결코 신이지는 않지만, 신적이긴 하다고 여겨집니다. 그야

저는 모든 철학자들을 이런(신적인) 사람들이라 부르니 말이지요.

ΣΩ. Καὶ καλῶς γε, ὦ φίλε. τοῦτο μέντοι κινδυνεύει τὸ

γένος οὐ πολύ τι ῥᾷον ὡς ἔπος ἐιπεῖν εἶναι διακρίνειν ἢ τὸ

τοῦ θεοῦ· πάνυ γὰρ ἆνδρες οὗτοι "παντοῖοι" φανταζό-

μενοι διὰ τὴν τῶν ἄλλων ἄγνοιαν "ἐπιστρωφῶσι                     5

πόληας," οἱ μὴ πλαστῶς ἀλλ᾿ ὄντως φιλόσοφοι, καθ-

ορῶντες ὑψόθεν τὸν τῶν κάτω βίον, καὶ τοῖς μὲν δοκοῦσιν

εἶναι τοῦ μηδενὸς τίμιοι, τοῖς δ᾿ ἄξιοι τοῦ παντός· καὶ τοτὲ

μὲν πολιτικοὶ φαντάζονται, τοτὲ δὲ σοφισταί, τοτὲ δ᾿ ἔστιν     d

οἷς δόξαν παράσχοιντ᾿ ἂν ὡς παντάπασιν ἔχοντες μανικῶς.

τοῦ μέντοι ξένου ἡμῖν ἡδέως ἂν πυνθανοίμην, εἰ φίλον

αὐτῷ, τί ταῦθ᾿ οἱ περὶ τὸν ἐκεῖ τόπον ἡγοῦντο καὶ ὠνόμ-   217

αζον.

훌륭하게 말한 것이기도 하고, 친구. 그렇긴 하지만 이런

부류가 신의 부류에 비해 판별하기에 그닥 더 쉬운 것도 

아닐 걸세. 이러한 모든 자들이 그 외의 사람들의 무지로 인해

"온갖 모습들"로 나타나 "도시들을 드나드는데, 그들이 지어낸

철학자들이 아니라 실제로 철학자들이며, 위로부터 

아랫것들의 삶을 굽어 보면서, 어떤 이들에게는 아무 짝에도

쓸모없는 자들이라 여겨지는가 하면, 또 어떤 이들에게는 

모든 일을 할 만한 자들이라 여겨지니까 말이야. 또 어떤 때엔

정치가들로 나타나고, 또 다른 때엔 소피스트들로 나타나며, 

또 어떤 때에는 사람들에게 전적으로 모든 점에서 

미쳐 있는 자들이라는 믿음을 줄 자들이라네.

그렇지만 우리로서는, 손님께서 좋으시다면, 저쪽 지방 사람들은 그런 것들을 무어라

생각하였고 이름불렀는지를 손님께 기쁘게 배울 걸세.

ΘΕΟ. Τὰ ποῖα δή;

어떤 것들을 말이죠?

ΣΩ. Σοφιστήν, πολιτικόν, φιλόσοφον.

소피스트, 정치가, 철학자 말일세.

ΘΕΟ. Τί δὲ μάλιστα καὶ τὸ ποῖόν τι περὶ αὐτῶν δια-               5

πορηθεὶς ἐρέσθαι διενοήθης;

그런데 특히 무슨 이유로 그것들에 관한 어떤 점에 당혹해하시며

묻고자 생각하셨나요?

ΣΩ. Τόδε· πότερον ἓν πάντα ταῦτα ἐνόμιζον ἢ δύο, ἢ

καθάπερ τὰ ὀνόματα τρία, τρία καὶ γένη διαιρούμενοι καθ᾿

ἓν ὄνομα γένος ἑκάστῳ προσῆπτον;

이런 걸세: 그들이 이것들 모두를 하나로 생각했는지 아니면 둘로 생각했는지,

또는 이름들이 셋이듯, 유들도 셋으로 구분하면서 한 이름마다

유를 각각에 결부시켰는지? <모습이나 활동을 나누는 것이 아니라 유(類)를 나누고 있다.>

ΘΕΟ. Ἀλλ᾿ οὐδείς, ὡς ἐγᾦμαι, φθόνος αὐτῷ διελθεῖν               10

αὐτά· ἢ πῶς, ὦ ξένε, λέγωμεν;

제 생각에 그 분께는 그런 일들을 상술하는 것이 전혀 인색하게 굴 일이

아닙니다. 아니면 우리가 어찌 말할까요, 손님?

ΞΕ. Οὕτως, ὦ Θεόδωρε. φθόνος μὲν γὰρ οὐδεὶς οὐδὲ             b

χαλεπὸν εἰπεῖν ὅτι γε τρί᾿ ἡγοῦντο· καθ᾿ ἕκαστον μὴν διο-

ρίσασθαι σαφῶς τί ποτ᾿ ἔστιν, οὐ σμικρὸν οὐδὲ ῥᾴδιον

ἔργον.

그렇습니다, 테오도로스. 그들이 셋이라고 생각했다는 건

인색하게 굴 일도 아니고 어렵지도 않으니까요. 물론 그 각각에 대해

명백하게 도대체 무엇인지를 정의하기란, 작지도 쉽지도

않은 일이지만 말이죠.

ΘΕΟ. Καὶ μὲν δὴ κατὰ τύχην γε, ὦ Σώκρατες, λόγων                5

ἐπελάβου παραπλησίων ὧν καὶ πρὶν ἡμᾶς δεῦρ᾿ ἐλθεῖν

διερωτῶντες αὐτὸν ἐτυγχάνομεν, ὁ δὲ ταὐτὰ ἅπερ πρὸς σὲ

νῦν καὶ τότε ἐσκήπτετο πρὸς ἡμᾶς· έπεὶ διακηκοέναι γέ

φησιν ἱκανῶς καὶ οὐκ ἀμνημονεῖν.

게다가 우연이긴 합니다만, 소크라테스, 당신께서 붙들고 계셨던

논변들과 거의 유사한 것들을 여기에 도착하기 전에도

저희가 그 분께 마침 캐묻던 참이었는데, 그 분께서는 당신께

지금 대고 계신 바로 그 핑계들을 그 때에도 저희에게 들이대셨어요.

충분히 들으셨고 기억 못하시는 것이 아니라고 말씀은 하시지만요.

ΣΩ. Μὴ τοίνυν, ὦ ξένε, ἡμῶν τήν γε πρώτην                         c

αἰτησάντων χάριν ἀπαρνηθεὶς γένῃ, τοσόνδε δ᾿ ἡμῖν

φράζε. πότερον εἴωθας ἥδιον αὐτὸς ἐπὶ σαυτοῦ μακρῷ

λόγῳ διεξιέναι λέγων τοῦτο ὅ ἂν ἐνδείξασθαί τῳ

βουληθῇς, ἢ δι᾿ ἐρωτήσεων, οἷόν ποτε καὶ Παρμενίδῃ             5

χρωμένῳ καὶ διεξιόντι λόγους παγκάλους παρεγενόμην

ἐγὼ νέος ὤν, ἐκείνου μάλα δὴ τότε ὄντος πρεσβύτου;

그러면, 손님, 처음으로 부탁드리는 저희를 위해

거절치 말아 주시고, 이 정도는 저희에게 말씀해 주세요.

당신께서는 자신이 혼자 긴 논변으로 누군가에게 보여주길

바라시는 그러한 것을 말씀하시며 상술하기를

즐기시는 데에 익숙하십니까, 아니면 질문을 통하는 편이 익숙하십니까?

예를 들어 언젠가 어릴 적 저는 파르메니데스께서도 이 방법을 사용하시며 

매우 훌륭한 논변들을 상술하시는 그 곁에 있게된 적이 있습니다만, <『파르메니데스』를 지시? 『테아이테토스』에서도 언급 등장?>

그 때 저 분께서는 훨씬 더 연로하셨답니다.

ΞΕ. Τῷ μέν, ὦ Σώκρατες, ἀλύπως τε καὶ εὐηνίως                     d

προσδιαλεγομένῳ ῥᾷον οὕτω, τὸ πρὸς ἄλλον· εἰ δὲ μή, τὸ

καθ᾿ αὑτόν.

공격적이지 않고 유순한 방식으로 대화하는 자에게는, 소크라테스,

그렇게 다른 이를 상대로 하는 편이 더욱 쉽지요. 그렇지 않다면,

스스로 하는 쪽이고요.

ΣΩ. Ἔξεστι τοίνυν τῶν παρόντων ὃν ἂν βουληθῇς

ἐκλέξασθαι, πάντες γὰρ ὑπακούσονταί σοι πρᾴως· συμ-           5

βούλῳ μὴν ἐμοὶ χρώμενος τῶν νέων τινὰ αἱρήσῃ, Θεαίτη-

τον τόνδε, ἢ καὶ τῶν ἄλλων εἴ τίς σοι κατὰ νοῦν.

그러시다면 이 자리에 있는 자들 중 당신께서 바라시는 사람을

고르시면 되겠습니다. 모두 당신 말씀에 얌전히 귀기울일 테니까요.

제게 조언을 구하신다면 젊은이들 중 누군가를 선택하시겠지요. 여기 이

테아이테토스라든지, 혹은 다른 자들 중 누군가 당신 마음에 든다면 그 사람도요.

ΞΕ. Ὦ Σώκρατες, αἰδώς τίς μ᾿ ἔχει τὸ νῦν πρῶτον συγ-

γενόμενον ὑμῖν μὴ κατὰ σμικρὸν ἔπος πρὸς ἔπος ποιεῖσθαι

τὴν συνουσίαν, ἀλλ᾿ ἐκτειναντα ἀπομηκύνειν λόγον συχνὸν    e

κατ᾿ ἐμαυτόν, εἴτε καὶ πρὸς ἕτερον, οἷον ἐπίδειξιν ποιού-

μενον· τῷ γὰρ ὄντι τὸ νῦν ῥηθὲν οὐχ ὅσον ὦδε ἐρωτηθὲν

ἐλπίσειεν ἂν αὐτὸ εἶναι τις, ἀλλὰ τυγχάνει λόγου παμμή-

κους ὄν. τὸ δὲ αὖ σοὶ μὴ χαρίζεσθαι καὶ τοῖσδε, ἄλλως τε         5

καὶ σοῦ λέξαντος ὡς εἶπες, ἄξενόν τι καταφαίνεταί μοι καὶ

ἄγριόν· ἐπεὶ Θεαίτητόν γε τὸν προσδιαλεγόμενον εἶναι       218

δέχομαι παντάπασιν ἐξ ὧν αὐτός τε πρότερον διείλεγμαι

καὶ σὺ τὰ νῦν μοι διακελεύῃ.

소크라테스, 제가 지금 처음 여러분과 함께하며 

작은 말을 주고 받는 식으로 이 회합을 만들지 않고, 

장광설을 질질 끌며 늘어놓기를 혼자서 그리 하든, 

다른 사람을 향해 그러든, 마치 과시하는 자처럼 굴면 

어떤 부끄러움이 저를 붙듭니다. 실은 지금 이야기된 바는 이런 질문에 대해

그것이 어떠하리라 기대할 그 만큼이 아니라, 무척이나 긴 연설에

속하는 것이기에 드리는 말씀입니다. 그러나 또한 당신과

여기 계신 분들께, 특히나 당신 말씀대로도, 호의를 

보여드리지 않는 일은, 제게는 손님답지 못할 뿐더러

야만스러운 짓으로 보입니다. 테아이테토스는 제가 이전에

대화해 보기도 하였고 당신께서도 제게 강권하시니

대화상대자로 전면적으로 받아들이는 바이니까요.

ΘΕΑΙ. Δρᾶ τοίνυν, ὦ ξένε, οὕτω καὶ καθάπερ εἶπε

Σωκράτης πᾶσιν κεχαρισμένος ἔσῃ.                                      5

그러면 손님, 그렇게 해주시어 소크라테스님 말씀대로

당신께서는 모든 이에게 호의를 베푸시게 될 겁니다.

ΞΕ. Κινδυνεύει πρὸς μὲν ταῦτα οὐδὲν ἔτι λεκτέον εἶναι,

Θεαίτητε· πρὸς δὲ σὲ ἤδη τὸ μετὰ τοῦτο, ὡς ἔοικε, γίγνοιτο

ἂν ὁ λόγος. ἂν δ᾿ ἄρα τι τῷ μήκει πονῶν ἄχθῃ, μὴ ἐμὲ

αἰτιᾶσθαι τούτων, ἀλλὰ τούσδε τοὺς σοὺς ἑταίρους.

이런 일들에 대해서는 더 할 말이 없을 것 같군,

테아이테토스. 그런데 그 다음으로 이제 자네를 상대로는,

논의가 생길 것으로 보이는구만. 그런데 혹시 그 길이에 시달려

자네가 싫증이 난다면, 그 시달림을 내 탓으로 하지 말고,

여기 자네의 동료들 탓을 하시게나.

ΘΕΑΙ. Ἀλλ᾿ οἶμαι μὲν δὴ νῦν οὕτως οὐκ ἀπερεῖν· ἂν δ᾿            b

ἄρα τι τοιοῦτον γίγνηται, καὶ τόνδε παραληψόμεθα

Σωκράτη, τὸν Σωκράτους μὲν ὁμώνυμον, ἐμὸν δὲ ἡλι-

κιώτην καὶ συγγυμναστήν, ᾧ συνδιαπονεῖν μετ᾿ ἐμοῦ τὰ

πολλὰ οὐκ ἄηθες.                                                             5

허나 지금은 그런 식으로 포기하지는 않으리라 생각합니다.

혹시라도 그런 일이 생긴다면, 우리는 여기 이 소크라테스를

참여시키겠지요. 그는 저 소크라테스님과 동명이인인데, 

저의 동년배이자 운동동료로, 저와 함께 숱한 고생을 겪는 일이 

그에게 낯설지 않은 사람입니다.

ΞΕ. Εὖ λέγεις, καὶ ταῦτα μὲν ἰδίᾳ βουλεύσῃ προϊόντος

τοῦ λόγου· κοινῇ δὲ μετ᾿ ἐμοῦ σοι συσκεπτέον ἀρχομένῳ

πρῶτον, ὡς ἐμοὶ φαίνεται, νῦν ἀπὸ τοῦ σοφιστοῦ, ζητοῦντι

καὶ ἐμφανίζοντι λόγῳ τί ποτ᾿ ἔστι. νῦν γὰρ δὴ σύ τε κἀγὼ       c

τούτου πέρι τοὔνομα μόνον ἔχομεν κοινῇ, τὸ δὲ ἔργον ἐφ᾿ ᾧ

καλοῦμεν ἑκάτερος τάχ᾿ ἄν ἰδίᾳ παρ᾿ ἡμῖν αὐτοῖς ἔχοιμεν·

좋은 얘기네만, 그런 일들도 논의가 진행되는 동안 

개인적으로 숙고해 보게. 헌데 나와 함께는, 내게 보이기로는,

지금은 우선 소피스트로부터 공동탐구를 시작하여, 

그것이 도대체 무엇인지 논변으로 추적하고 밝혀내야 하겠군.

왜냐하면 지금은 사실 자네나 나나 이에 관하여

이름만 함께 가지고 있고, 우리가 그에 따라 이름을 부르는

그 일은 어쩌면 우리 둘 각자가 개인적으로 제 나름대로

가지고 있는 듯하니 말일세. 

δεῖ δὲ ἀεὶ παντὸς πέρι τὸ πρᾶγμα αὐτὸ μᾶλλον διὰ λόγων ἢ

τοὔνομα μόνον συνωμολογῆσθαι χωρὶς λόγου. τὸ δὲ φῦλον     5

ὃ νῦν ἐπινοοῦμεν ζητεῖν οὐ πάντων ῥᾷστον συλλαβεῖν τί

ποτ᾿ ἔστιν, ὁ σοφιστής· ὅσα δ᾿ αὖ τῶν μεγάλων δεῖ δια-

πονεῖσθαι καλῶς, περὶ τῶν τοιούτων δέδοκται πᾶσιν καὶ

πάλαι τὸ πρότερον ἐν σμικροῖς καὶ ῥᾴοσιν αὐτὰ δεῖν             d

μελετᾶν, πρὶν ἐν αὐτοῖς τοῖς μεγίστοις. νῦν οὖν, ὦ

Θεαίτητε, ἔγωγε καὶ νῷν οὕτω συμβουλεύω, χαλεπὸν καὶ

δυσθήρευτον ἡγησαμένοις εἶναι τὸ τοῦ σοφιστοῦ γένος

πρότερον ἐν ἄλλῳ ῥᾴονι τὴν μέθοδον αὐτοῦ προμελετᾶν, εἰ     5

μὴ σύ ποθεν εὐπετεστέραν ἔχεις εἰπεῖν ἄλλην ὁδόν.

허나 언제나 모든 것에 관하여 오직 이름만 논변과 따로 합의하기 보다는

논변들을 통해 사태 그 자체에 합의해야 할 필요가 있지. 

그런데 지금 우리가 추적하고자 마음먹은 족속은 그것이 도대체

무엇인지 파악하기가 전혀 쉽지 않다네. 소피스트 말이야. 또 대단한 일들 중

훌륭하게 수행되어야 하는, 그런 일들에 관해서는 예나 지금이나 모든 이가

그보다 먼저 작고 쉬운 일들에서 그런 것들을 연습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왔다네. 대단한 일들 그 자체에 뛰어들기 전에 말일세. 

그러니 지금은, 테아이테토스, 나로서는 우리 둘에게도 그렇게 권하네,

소피스트의 부류가 어렵고 잡히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우리가

더 먼저 다른 더 쉬운 것에서 그 일의 방법을 예행연습하기를,

만일 자네가 어디 다른 더 알맞은 길을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면 말이지.  

ΘΕΑΙ. Ἀλλ᾿ οὐκ ἔχω.

허나 그럴 수가 없습니다.

ΞΕ. Βούλει δῆτα περί τινος τῶν φαύλων μετιόντες

πειραθῶμεν παράδειγμα αὐτὸ θέσθαι τοῦ μείζονος;

정말로 괜찮다면 단순한 것들 중 뭔가에 관하여 탐색하여

그것을 더 거대한 것의 본으로 세워 보도록 하겠는가?

ΘΕΑΙ. Ναί.                                                                    e

네.

ΞΕ. Τί δῆτα προταξαίμεθ᾿ ἂν εὔγνωστον μὲν καὶ σμι-

κρόν, λόγον δὲ μηδενὸς ἐλάττονα ἔχον τῶν μειζόνων; οἷον

ἀσπαλιευτής· ἆρ᾿ οὐ πᾶσί τε γνώριμον καὶ σπουδῆς οὐ

πάνυ τι πολλῆς τινος ἐπάξιον;                                            5

잘 알려지고 작은 것이나, 더 거대한 것들에 비해 조금도 

적지 않은 진술을 지닌 것으로 우리가 앞세울 것이 무엇일까?

예를 들면 낚시꾼 말일세. 혹시 그건 잘 알려진 것이면서도

그다지 많은 노력을 들일 만한 것은 아니라고 말들 하지 않나? 

ΘΕΑΙ. Οὕτως.

그렇습니다.


-작성중-

ΠΡΩ. Ἀλλ᾿ οὐ μὴν δεῖ τοῦτο γενέσθαι, πλὴν τοῦ σωθῆναι.

τό γε μήν μοι ἴσον τοῦ σοῦ τε καὶ ἐμοῦ λόγου ἀρέσκει·

πολλαὶ μὲν ἡδοναὶ καὶ ἀνόμοιοι γιγνέσθων, πολλαὶ δὲ

ἐπιστῆμαι καὶ διάφοροι.

우리가 구제받는다는 것만 제외하면, 그런 일은 물론 일어나지 않아야 하지요.

확실히 당신 논변이나 제 논변이나 같은 정도로 괜찮습니다.

쾌락들이 여럿이자 안 닮은 것들이 되도록 하고, 앎들은

여럿이며 차이 나는 것들이 되게끔 합시다.

ΣΩ. Τὴν τοίνυν διαφορότητα, ὦ Πρώταρχε, [τοῦ ἀγαθοῦ]          b

τοῦ τ᾿ ἐμοῦ καὶ τοῦ σοῦ μὴ ἀποκρυπτόμενοι, κατατιθέντες δὲ

εἰς τὸ μέσον, τολμῶμεν, ἄν πῃ ἐλεγχόμενοι μηνύσωσι πότερον

ἡδονὴν τἀγαθὸν δεῖ λέγειν ἢ φρόνησιν ἤ τι τρίτον ἄλλο εἶναι.

νῦν γὰρ οὐ δήπου πρός γε αὐτὸ τοῦτο φιλονικοῦμεν, ὅπως        5

ἁγὼ τίθεμαι, τοῦτ᾿ ἔσται τὰ νικῶντα, ἢ ταῦθ᾿ ἃ σύ, τῷ δ᾿

ἀληθεστάτῳ δεῖ που συμμαχεῖν ἡμᾶς ἄμφω.

그럼 프로타르코스, 내 쪽의 차이도 당신 쪽의 차이도

감추지 말고, 한 가운데로 내어놓으며, 그것들이 어떻게 시험받아 

쾌락을 좋은 것이라 말해야 하는지 혹은 분별을 그리 말해야 하는지 

아니면 그 밖의 어떤 제 3의 것을 그렇게 말해야 하는지를 알려줄지,

용기를 내보도록 하세. 그야 물론 우리가 바로 그 일에 대해 승리를

바라는 건 아닐 테고, 내가 내세운 그대로, 그런 것들이 승자일 것이든,

혹은 자네가 말한 그것들이 그럴 것이든, 우리 둘 모두 가장 참된 것과

동맹을 맺어야 할 것이니 말이지.

ΠΡΩ. Δεῖ γὰρ οὖν.

그야 그리 해야하니까요.

ΣΩ. Τοῦτον τοίνυν τὸν λόγον ἔτι μᾶλλον δι᾿ ὁμολογίας             c

βεβαιωσώμεθα.

그럼 이 논변을 우리는 동의를 거쳐 훨씬 더 확고히 하고 가세나.

ΠΡΩ. Τὸν ποῖον δή;

어떤 논변 말씀이시죠?

ΣΩ. Τὸν πᾶσι παρέχοντα ἀνθρώποις πράγματα ἑκοῦσί τε

καὶ ἄκουσιν ἐνίοις καὶ ἐνίοτε.                                               5

모든 인간들에게 주어지는 문제들을 자발적으로 받아들이는

사람과 경우도 있고 마지못해 하는 사람과 경우도 있다는 논변이지.

ΠΡΩ. Λέγε σαφέστερον.

더 정확히 말씀해 주세요.

ΣΩ. Τὸν νυνδὴ παραπεσόντα λέγω, φύσει πως πεφυκότα

θαυμαστόν. ἓν γὰρ δὴ τὰ πολλὰ εἶναι καὶ τὸ ἓν πολλὰ

θαυμαστὸν λεχθέν, καὶ ῥᾴδιον ἀμφισβητῆσαι τῷ τούτων

ὁποτερονοῦν τιθεμένῳ.                                                       10

나는 방금 일어난 논변을 말하고 있다네. 그것이 본성상 타고 나길

얼마나 놀라운지. 왜냐하면 정말이지 여럿이 하나이고 하나가 여럿이라는

놀라운 논변이 논해졌고, 그 둘 중 어느 한 쪽을 내세우는 자와 논쟁하기란

쉬운 일이기 때문이라네.

ΠΡΩ. Ἆρ᾿ οὖν λέγεις ὅταν τις ἐμὲ φῇ Πρώταρχον ἕνα

γεγονότα φύσει πολλοὺς εἶναι πάλιν τοὺς ἐμὲ καὶ ἐναντίους       d

ἀλλήλοις, μέγαν καὶ σμικρὸν τιθέμενος καὶ βαρὺν καὶ κοῦφον

τὸν αὐτὸν καὶ ἄλλα μυρία;

그럼 혹시 당신께서는, 누군가가 본성상 하나로 태어난 저 프로타르코스를

여럿이며 다시 그 여럿인 제가 서로 반대되는 것들이기도 하다고,

큰 저와 작은 저, 그리고 무거운 저와 가벼운 저, 저 자신과 그 밖의 무수한 것들을 

내세우시며 그리 말하는 경우를 말씀하시는 건가요?

→ 동일한 대상에 상반되는 서술이 양립 가능한가? Synthia Hampton, Chapter 1, n.5. 동일성 진술과 서술적 진술의 구분. 이 구분이 『소피스트』에서만이 아니라 『국가』에도 나타남. 긍정 형상(F)과 부정 형상(not-G)에의 참여. 통합론 지지.

ΣΩ. Σὺ μέν, ὦ Πρώταρχε, εἴρηκας τὰ δεδημευμένα τῶν

θαυμαστῶν περὶ τὸ ἓν καὶ πολλά, συγκεχωρημένα δὲ ὡς ἔπος      5

εἰπεῖν ὑπὸ πάντων ἤδη μὴ δεῖν τῶν τοιούτων ἅπτεσθαι,

παιδαριώδη καὶ ῥᾴδια καὶ σφόδρα τοῖς λόγοις ἐμπόδια

ὑπολαμβανόντων γίγνεσθαι, ἐπεὶ μηδὲ τὰ τοιάδε, ὅταν τις

ἑκάστου τὰ μέλη τε καὶ ἅμα μέρη διελὼν τῷ λόγῳ, πάντα           e

ταῦτα τὸ ἓν ἐκεῖνο εἶναι διομολογησάμενος, ἐλέγχῃ κατα-

γελῶν ὅτι τέρατα διηνάγκασται φάναι, τό τε ἓν ὡς πολλά ἐστι

καὶ ἄπειρα, καὶ τὰ πολλὰ ὡς ἓν μόνον.

프로타르코스, 자네는 하나이자 여럿인 것에 관한 

놀라운 일들 중 널리 퍼진 것들을, 말하자면 유치하고 

단순하며 논변들에 너무나도 장애가 되는 일들이 일어난다고 

간주하기에, 모든 이들에 의해 이미 이런 것들에

손댈 필요가 없다고 합의된 것들을 얘기하였네.

그들은 이런 것들도, 누군가 각자의 사지와 부분들을 동시에

논변으로 분할하며, 이 모든 것들이 하나인 저것이라고 

동의하면서, 하나는 여러 무한한 것들이라고, 또 여럿은 

오직 하나라고, 믿을 수 없는 것들을 인정할 수밖에 없게 된다는 

그 점을 비웃으며 시험할 경우의 이런 일들도 손댈 필요가 없다고 합의했으니.

ΠΡΩ. Σὺ δὲ δὴ ποῖα, ὦ Σώκρατες, ἕτερα λέγεις, ἃ μήπω                5

συγκεχωρημένα δεδήμευται περὶ τὸν αὐτὸν τοῦτον λόγον;

그런데 소크라테스, 당신께서는 그래서 바로 그 논변에 관하여

아직까지 합의되어 널리 퍼지지 않은 다른 것들이 어떤 것이라 말씀하십니까?

ΣΩ. Ὁπόταν, ὦ παῖ, τὸ ἓν μὴ τῶν γιγνομένων τε καὶ               15

ἀπολλυμένων τις τιθῆται, καθάπερ ἀρτίως ἡμεῖς εἴπομεν.

ἐνταυθοῖ μὲν γὰρ καὶ τὸ τοιοῦτον ἕν, ὅπερ εἴπομεν νυνδή,

συγκεχώρηται τὸ μὴ δεῖν ἐλέγχειν· ὅταν δέ τις ἕνα ἄνθρωπον

ἐπιχειρῇ τίθεσθαι καὶ βοῦν ἕνα καὶ τὸ καλὸν ἓν καὶ τὸ ἀγαθὸν      5

ἕν, περὶ τούτων τῶν ἑνάδων καὶ τῶν τοιούτων ἡ πολλὴ

σπουδὴ μετὰ διαιρέσεως ἀμφισβήτησις γίγνεται.

이보게, 누군가 하나를 생성소멸하는 것들 중에 놓지 않는

어떤 경우든 그것을 말한다네. 바로 방금 우리가 말했던 것처럼 말이지.

왜냐하면 이 경우 이런 것조차 하나라는 것은. 우리가 방금 말한 그대로,

시험할 필요가 없는 것이라 합의되었으니까. 그런데 누군가 사람을 하나로

놓고 소를 하나로 놓으며 아름다운 것을 하나로 놓고 좋은 것을 하나로

놓고자 시도할 때, 바로 그 하나 자체들과 이러한 것들에 관하여 

분할과 더불어 수 많은 치열한 논쟁이 생긴다네.

ΠΡΩ. Πῶς;

어떻게 말이죠?

ΣΩ. Πρῶτον μὲν εἴ τινας δεῖ τοιαύτας εἶναι μονάδας                  b

ὑπολαμβάνειν ἀληθῶς οὔσας· εἶτα πῶς αὖ ταύτας, μίαν

ἑκάστην οὖσαν ἀεὶ τὴν αὐτὴν καὶ μήτε γένεσιν μήτε ὄλεθρον

προσδεχομένην, ὅμως εἶναι βεβαιότατα μίαν ταύτην; μετὰ

δὲ τοῦτ᾿ ἐν τοῖς γιγνομένοις αὖ καὶ ἀπείροις εἴτε διεσπα-              5

σμένην καὶ πολλὰ γεγονυῖαν θετέον, εἴθ᾿ ὅλην αὐτὴν αὑτῆς

χωρίς, ὃ δὴ πάντων ἀδυνατώτατον φαίνοιτ᾿ ἄν, ταὐτὸν καὶ

ἓν ἅμα ἐν ἑνί τε καὶ πολλοῖς γίγνεσθαι. ταῦτ᾿ ἔστι τὰ

περὶ τὰ τοιαῦτα ἓν καὶ πολλά, ἀλλ᾿ οὐκ ἐκεῖνα, ὦ Πρώταρχε,         c

ἁπάσης ἀπορίας αἴτια μὴ καλῶς ὁμολογηθέντα καὶ εὐπορίας

[ἂν] αὖ καλῶς.

우선 이런 어떤 하나들이 참으로 유일한 바의 것들이라 간주해야

하는지 논쟁이 있지. 다음으로 또 이 하나들이 어떻게, 

그 자체가 언제나 오직 그 각자인 바의 것이자 생성도 사멸도 

허용하지 않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장 엄밀하게 그 자체로 유일한

것이라 간주해야 하는가? 그런데 그 다음으로 이 하나가 

생겨나는 것들과 무한정한 것들 안에서 흩어져 여럿이 된다고 

정해야 하는지, 아니면 그 하나 전체를 자신과 따로 떼어, 

정말로 무엇보다도 가장 불가능한 것으로 보일 일이나, 

같은 것이자 하나인 것이 동시에 하나 안에도 여럿들 안에도 생긴다고

정해야 하는지 논쟁이 있다네. 프로타르코스, 저것들이 아니라 이러한 하나와 여럿에 관한

바로 이 얘기들이 훌륭하게 합의되지 못할 때 통틀어 모든 난관의 원인이자

또 훌륭하게 될 때에는 해결의 원인인 걸세.

ΠΡΩ. Οὐκοῦν χρὴ τοῦθ᾿ ἡμᾶς, ὦ Σώκρατες, ἐν τῷ νῦν

πρῶτον διαπονήσασθαι;                                                         5

그렇다면, 소크라테스, 우리는 우선 당장 그 일에 매진해야만

하지 않습니까?

ΣΩ. Ὡς γοῦν ἐγὼ φαίην ἄν.

그야 나로서는 그리 말하려는 게지.

ΠΡΩ. Καὶ πάντας τοίνυν ἡμᾶς ὑπόλαβε συγχωρεῖν σοι

τούσδε τὰ τοιαῦτα· Φίληβον δ᾿ ἴσως κράτιστον ἐν τῷ νῦν

ἐπερωτῶντα μὴ κινεῖν εὖ κείμενον.

그럼 여기 저희 모두도 당신과 이런 일들을 합의한 것으로

간주하시죠. 그런데 필레보스는 지금 상황에서 

얌전히 있는 자를 질문하여 건드리지는 않는 편이 가장 나을 것 같습니다. 

ΣΩ. Εἶεν· πόθεν οὖν τις ταύτης ἄρξηται πολλῆς οὔσης                  d

καὶ παντοίας περὶ τὰ ἀμφισβητούμενα μάχης; ἆρ᾿ ἐνθένδε;

좋도록 하시게. 그러면 논쟁이 되는 것들에 관한 바로 이 온갖 종류의

여러 전투는 어디에서 시작되었겠나? 혹시 이런 곳이 아닌가?

ΠΡΩ. Πόθεν;

어떤 곳이요?

ΣΩ. Φαμέν που ταὐτὸν ἓν καὶ πολλὰ ὑπὸ λόγων γιγνό- 

μενα περιτρέχειν πάντῃ καθ᾿ ἕκαστον τῶν λεγομένων ἀεί,             5

καὶ πάλαι καὶ νῦν. καὶ τοῦτο οὔτε μὴ παύσηταί ποτε οὔτε

ἤρξατο νῦν, ἀλλ᾿ ἔστι τὸ τοιοῦτον, ὡς ἐμοὶ φαίνεται, τῶν

λόγων αὐτῶν ἀθάνατόν τι καὶ ἀγήρων πάθος ἐν ἡμῖν· ὁ δὲ

πρῶτον αὐτοῦ γευσάμενος ἑκάστοτε τῶν νέων, ἡσθεὶς ὥς

τινα σοφίας ηὑρηκὼς θησαυρόν, ὑφ᾿ ἡδονῆς ἐνθουσιᾷ τε καὶ        e

πάντα κινεῖ λόγον ἅσμενος, τοτὲ μὲν έπὶ θάτερα κυκλῶν καὶ

συμφύρων εἰς ἕν, τοτὲ δὲ πάλιν ἀνειλίττων καὶ διαμερίζων,

εἰς ἀπορίαν αὑτὸν μὲν πρῶτον καὶ μάλιστα καταβάλλων,

δεύτερον δ᾿ ἀεὶ τὸν ἐχόμενον, ἄντε νεώτερος ἄντε πρεσύτερος        5

ἄντε ἧλιξ ὢν τυγχάνῃ, φειδόμενος οὔτε πατρὸς οὔτε μητρὸς

οὔτε ἄλλου τῶν ἀκουόντων οὐδενός, ὀλίγου δὲ καὶ τῶν ἄλλων    16

ζῴων, οὐ μόνον τῶν ἀνθρώπων, ἐπεὶ βαρβάρων γε οὐδενὸς

ἂν φείσαιτο, εἴπερ μόνον ἑρμηνέα ποθὲν ἔχοι. 

우리는 어디선가 같은 것이 논변들에 의해 하나이자 여럿이 되어

논해진 것들 각각에 따라 예나 지금이나 언제나 모든 곳을 

돌아다닌다고 이야기했었네. 그것은 언젠가 멈출 것도 아니고 지금 

시작된 것도 아니며, 오히려, 내게 보이기로는, 논변들 그 자체의 

어떤 불멸이자 불로인 우리 안의 이러한 겪음인 듯하네. 그런데 

젊은이들 중에서 그것을 처음 음미하는 자는 매번, 무슨 지혜의

보고라도 발견했다고 즐거워하며, 쾌락에 신들려 기꺼이 모든

논변을 움직이면서, 어떤 때에는 다른 것들 주위를 돌며 그것들을

하나로 뒤섞고, 또 어떤 때에는 다시 풀어헤쳐 부분으로 나누며,

가장 처음으로 제 자신을 당혹 속으로 집어던지고,

두 번째로는 언제나 곁에 있는 자를, 그가 연하이든 연상이든

동년배이든 간에, 아버지든 어머니든 듣는 이들 중 다른 누구라도

아무도 남김 없이, 만일 통역자만 어디선가 얻는다면, 

야만인들 중에서도 그 누구도 남기지 않을 테니,

인간만이 아니라 다른 산 것들도 거의 빠짐없이 집어던진다네.

ΠΡΩ. Ἆρ᾿, ὦ Σώκρατες, οὐχ ὁρᾷς ἡμῶν τὸ πλῆθος, ὅτι

νέοι πάντες ἐσμέν, καὶ οὐ φοβῇ μή σοι μετὰ Φιλήβου                      5

συνεπιθώμεθα, ἐὰν ἡμᾶς λοιδορῇς; ὅμως δὲ μανθάνομεν γὰρ

ὃ λέγεις, εἴ τις τρόπος ἔστι καὶ μηχανὴ τὴν μὲν τοιαύτην

ταραχὴν ἡμῖν ἔξω τοῦ λόγου εὐμενῶς πως ἀπελθεῖν, ὁδὸν δέ

τινα καλλίω ταύτης ἐπὶ τὸν λόγον ἀνευρεῖν, σύ τε προθυμοῦ          b

τοῦτο καὶ ἡμεῖς συνακολουθήσομεν εἰς δύναμιν· οὐ γὰρ

σμικρὸς ὁ παρὼν λόγος, ὦ Σώκρατες.

소크라테스, 혹시 전부 젊은이인 저희들이 몇인지 안 보이셔서,

당신께서 저희를 험담하신다면, 저희가 필레보스와 함께

당신을 향한 공격에 가세하지는 않을까 두려워하지도 않으시는 겁니까?

그럼에도 당신 말씀은 저희가 알겠으니까요. 어떤 방법이나 수단으로

저희가 그 논변의 이러한 혼란 밖으로 어쨌든 좋은 자세로 빠져나갈 수 있다면,

그 논변을 위한 이보다 더 나은 무슨 길을 발견할 수 있다면, 당신께서도

그것에 마음 쏟아 주시고 저희도 힘 닿는 데까지 함께 따를 겁니다. 눈앞의

논변이 사소한 게 아니니까요, 소크라테스.

ΣΩ. Οὐ γὰρ οὖν, ὦ παῖδες, ὥς φησιν ὑμᾶς προσαγο-

ρεύων Φίληβος. οὐ μὴν ἔστι καλλίων ὁδὸς οὐδ᾿ ἂν γένοιτο               5

ἧς ἐγὼ ἐραστὴς μέν εἰμι ἀεί, πολλάκις δέ με ἤδη διαφυ-

γοῦσα ἔρημον καὶ ἄπορον κατέστησεν.

그렇다면, 필레보스가 자네들을 부르며 말하듯, 이보게들,

그야 그건 사소한 게 아니니 말일세. 사실 어느 길도 나 자신이 언제나 

그를 향한 구애자이나, 여러 차례 이미 나를 곤궁하고 막막하게

내버려두고는 떠나버린 그 길보다 더 훌륭하지 않고 

훌륭하게 되지도 않을 거라네.

ΠΡΩ. Τίς αὕτη; λεγέσθω μόνον.

그게 어떤 길입니까? 그저 논해지도록 하시죠.

ΣΩ. Ἣν δηλῶσαι μὲν οὐ πάνυ χαλεπόν, χρῆσθαι δὲ                       c

παγχάλεπον· πάντα γὰρ ὅσα τέχνης ἐχόμενα ἀνηυρέθη

πώποτε διὰ ταύτης φανερὰ γέγονε. σκόπει δὲ ἣν λέγω.

알려주기는 썩 어렵지만도 않네만, 사용하기는

전적으로 어려운 길이지. 왜냐하면 기술에 속하는 것으로 발견된 

그 모든 것은 이제껏 그 길을 통해 밝혀지게 되었으니 말일세.

내가 논하는 길을 검토해 보게.

ΠΡΩ. Λέγε μόνον.

말씀만 하시죠.

ΣΩ. Θεῶν μὲν εἰς ἀνθρώπους δόσις, ὥς γε καταφαίνεται                   5

ἐμοί, ποθὲν ἐκ θεῶν ἐρρίφη διά τινος Προμηθέως ἅμα

φανοτάτῳ τινὶ πυρί· καὶ οἱ μὲν παλαιοί, κρείττονες ἡμῶν

καὶ ἐγγυτέρων θεῶν οἰκοῦντες, ταύτην φήμην παρέδοσαν,

ὡς ἐξ ἑνὸς μὲν καὶ πολλῶν ὄντων τῶν ἀεὶ λεγομένων εἶναι,

πέρας δὲ καὶ ἀπειρίαν ἐν αὑτοῖς σύμφυτον ἐχόντων. δεῖν                 10 

οὖν ἡμᾶς τούτων οὕτω διακεκοσμημένων ἀεὶ μίαν ἰδέαν περὶ          d

παντὸς ἑκάστοτε θεμένους ζητεῖν―εὑρήσειν γὰρ ἐνοῦσαν―

ἐὰν οὖν μεταλάβωμεν, μετὰ μίαν δύο, εἴ πως εἰσί, σκοπεῖν,

εἰ δὲ μή, τρεῖς ἤ τινα ἄλλον ἀριθμόν, καὶ τῶν ἓν ἐκείνων

ἕκαστον πάλιν ὡσαύτως, μέχριπερ ἂν τὸ κατ᾿ ἀρχὰς ἓν μὴ                 5

ὅτι ἓν καὶ πολλὰ καὶ ἄπειρά ἐστι μόνον ἴδῃ τις, ἀλλὰ καὶ

ὁπόσα· τὴν δὲ τοῦ ἀπείρου ἰδέαν πρὸς τὸ πλῆθος μὴ προσ-

φέρειν πρὶν ἄν τις τὸν ἀριθμὸν αὐτοῦ πάντα κατίδῃ τὸν

μεταξὺ τοῦ ἀπείρου τε καὶ τοῦ ἑνός, τότε δ᾿ ἤδη τὸ ἓν                     e

ἕκαστον τῶν πάντων εἰς τὸ ἄπειρον μεθέντα χαίρειν ἐᾶν.

οἱ μὲν οὖν θεοί, ὅπερ εἶπον, οὕτως ἡμῖν παρέδοσαν σκοπεῖν

καὶ μανθάνειν καὶ διδάσκειν ἀλλήλους· οἱ δὲ νῦν τῶν ἀν-

θρώπων σοφφοὶ ἓν μέν, ὅπως ἂν τύχωσι, καὶ πολλὰ θᾶττον          17

καὶ βραδύτερον ποιοῦσι τοῦ δέοντος, μετὰ δὲ τὸ ἓν ἄπειρα

εὐτθύς, τὰ δὲ μέσα αὐτοὺς ἐκφεύγει―οἷς διακεχώρισται τό τε

διαλεκτικῶς πάλιν καὶ τὸ ἐριστικῶς ἡμᾶς ποιεῖσθαι πρὸς

ἀλλήλους τοὺς λόγους.                                                                  5

내가 보기엔 분명한 바이네만, 인간들을 위한 신들의 선물이

어디에선가 신들로부터 프로메테우스와 같은 누군가를 통해

어떤 가장 밝은 불과 함께 던져졌다네. 그래서 옛 사람들, 우리보다 우월하고

신들에 더욱 가까이 살았던 그들은, 이러한 노래를 남겼으니,

무엇인 바의 것이라 언제나 이야기되는 것들은 하나와 여럿으로 이루어지나,

한정과 무한을 자신 안에 타고났다고 하지.

그러니 우리는 이것들이 그런 식으로 질서잡혀 있기에 언제나

모든 것에 관하여 매번 단일한 형상을 상정하여 추구해야 하고

―내재한 것을 찾아야 하니까―그리하여 우리가 찾아낸다면, 

하나 다음에는 둘을, 만일 어쨌든 둘이라면, 탐구해야 하며,

만일 그렇지 둘이 아니라면, 셋이나 그 외의 어떤 수를, 저것들 각각을

하나하나 다시 마찬가지 방식으로 탐구해야 하고, 누군가 최초의 하나가 

하나이자 여럿이며 무한하다는 것만을 알게 되는 것만 아니라,

얼만큼인지까지도 알게 될 때까지 그래야만 하네. 

그런데 무한의 형상은 누군가 무한과 하나 사이의 그 무한의 수 모두를

알아내기 전에는 다수에 결부시키지 않아야 하고, 알아낸 그 때에 비로소 

모든 것의 하나 각각을 무한으로 흩어지도록 놓아 주어야 하네.

그러므로 신들께서는, 내가 말했던 그대로, 그렇게 우리에게

서로 살펴보고 배우고 또 가르치도록 선물을 주셨다네. 그런데 이제

인간들중 지혜로운 자들은 하나와 여럿을, 어쨌든 되는대로, 

필요 이상으로 너무 빠르거나 느리게 다루고, 하나 다음으로 곧장

무한을 다루며, 중간 것들은 건너 뛰지―이것들로 우리가 서로를 향한

논변을 변증적인 것으로 만드는 경우와 쟁론적인 것으로 만드는 경우가

구분된다네.


-작성중-

ΦΙΛΗΒΟΣ

ΣΩΚΡΑΤΗΣ ΠΡΩΤΑΡΧΟΣ ΦΙΛΗΒΟΣ


ΣΩ. Ὅρα δή, Πρώταρχε, τίνα λόγον μέλλεις παρὰ Φιλή-             11

βου δέχεσθαι νυνὶ καὶ πρὸς τίνα τὸν παρ᾿ ἡμῖν ἀμφισβητεῖν, 

ἐὰν μή σοι κατὰ νοῦν ᾖ λεγόμενος. βούλει συγκεφαλαιω-              b

σώμεθα ἑκάτερον;

보게나, 프로타르코스, 자네 이제 필레보스에게서 어떤 논변을

받아서는 우리쪽 어떤 논변에 맞서서 반박을 하려는지,

논변이 논의되면서 자네 마음에 들지 않았다면 말이지. 괜찮다면 우리

그 둘 각각을 요약해 보겠나?

→ '우리'란 표현이 의미를 가지는가?

ΠΡΩ. Πάνυ μὲν οὖν.

물론 좋습니다.

ΣΩ. Φίληβος μὲν τοίνυν ἀγαθὸν εἶναί φησι τὸ χαίρειν

πᾶσι ζῴοις καὶ τὴν ἡδονὴν καὶ τέρψιν, καὶ ὅσα τοῦ γένους              5

ἐστὶ τούτου σύμφωνα· τὸ δὲ παρ᾿ ἡμῶν ἀμφισβήτημά ἐστι

μὴ ταῦτα, ἀλλὰ τὸ φρονεῖν καὶ τὸ νοεῖν καὶ μεμνῆσθαι καὶ

τὰ τούτων αὖ συγγενῆ, δόξαν τε ὀρθὴν καὶ ἀληθεῖς λογισμούς,

τῆς γε ἡδονῆς ἀμείνω καὶ λῴω γίγνεσθαι σύμπασιν ὅσαπερ

αὐτῶν δυνατὰ μεταλαβεῖν· δυνατοῖς δὲ μετασχεῖν ὠφελιμώ-           c

τατον ἁπάντων εἶναι πᾶσι τοῖς οὖσί τε καὶ ἐσομένοις. μῶν

οὐχ οὕτω πως λέγομεν, ὦ Φίληβε, ἑκάτεροι;

그러니까 필레보스는 즐거움과 쾌락 그리고 기쁨이

살아있는 모든 것들에게 좋은 것이라 말하고, 이러한 부류에

→ is good/is the good. "the good"의 definition이 등장해야 하는지?

부합하는 것들도 그렇다고 말하네: 그런데 우리 입장에서 반박하려는 것은

그런 얘기들이 아니라, 지혜를 갖추거나 사유를 하거나 암기를 하는 것

그리고 이런 것들과 동류인 것들, 옳은 믿음과 참된 헤아림들이,

→ '믿음'이 여기에 포함된다는 것은 신기함.

그것들에 참여할 수 있는 모든 것들 전부에게 있어서

즐거움보다는 더 낫고 더 바람직한 것이 된다는 걸세: 

지금 그러한 자들이든 장차 그러할 자들이든 참여할 수 있는 자들에게는 

→ 부차적인 반복 서술인가? "참여할 수 있음"이 가장 이롭다는 번역이 제안됨.

"참여한다는 것은 가장 이롭다는 것이지." but '무엇에' 참여한다는 원문이 없이

단적인 참여가 가장 이로울 필요가 있는지. (이후 논의가 뒷받침해준다면 고려 가능)

통틀어 그 무엇보다도 가장 이롭다는 것이지. 우리 양쪽 각자가

분명 이런 어떤 식으로 논했지 않은가, 필레보스?

ΦΙ. Πάντων μὲν οὖν μάλιστα, ὦ Σώκρατες.

더할 나위 없습니다, 소크라테스.

ΣΩ. Δέχῃ δὴ τοῦτον τὸν νῦν διδόμενον, ὦ Πρώταρχε,                      5

λόγον;

그럼 이와 같이 주어진 논의를 받을 텐가, 프로타르코스?

ΠΡΩ. Ἀνάγκη δέχεσθαι· Φίληβος γὰρ ἡμῖν ὁ καλὸς

ἀπείρηκεν.

받아들일 수밖에요: 저 훌륭한 필레보스가 우리에게 말해주었으니 말입니다.

→ 필레보스는 강경하고 대화가 성립하지 않는데 '훌륭하다'라는 말은 어울리지 않는 듯.

ΣΩ. Δεῖ δὴ περὶ αὐτῶν τρόπῳ παντὶ τἀληθές πῃ περαν-

θῆναι;                                                                                     10

그럼 그것들에 관하여 모든 방식으로 어떻게든 진리가 마무리되어야 하겠군?

→ 아포리아로 끝내지 않겠다는 선언. 후기 대화편의 특징? 

ΠΡΩ. Δεῖ γὰρ οὖν.                                                                     d

그래야 하지요.

ΣΩ. Ἴθι δή, πρὸς τούτοις διομολογησώμεθα καὶ τόδε.

자, 그럼, 이런 일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점에서도 합의를 해 보도록 하세.

ΠΡΩ. Τὸ ποῖον;

어떤 것을요?

ΣΩ. Ὡς νῦν ἡμῶν ἑκάτερος ἕξιν ψυχῆς καὶ διάθεσιν

ἀποφαίνειν τινὰ ἐπιχειρήσει τὴν δυναμένην ἀνθρώποις πᾶσι                5

τὸν βίον εὐδαίμονα παρέχειν. ἆρ᾿ οὐχ οὕτως;

지금 우리 양편 각자는 모든 인간에게 행복한 삶을 허락해줄 수 있는

영혼의 습성이나 상태가 무엇인지 밝혀 보고자 시도하였다는 것이지.

그렇지 않은가?

ΠΡΩ. Οὕτω μὲν οὖν.

그야 그렇습니다.

ΣΩ. Οὐκοῦν ὑμεῖς μὲν τὴν τοῦ χαίρειν, ἡμεῖς δ᾿ αὖ τὴν

τοῦ φρονεῖν;

해서 자네들은 만족함의 상태라고, 반면 우리는 또 지혜를

갖춤의 상태라고 하지 않았나?

ΠΡΩ. Ἔστι ταῦτα.                                                                        10

그렇습니다.

ΣΩ. Τί δ᾿ ἂν ἄλλη τις κρείττων τούτων φανῇ; μῶν οὐκ,

ἂν μὲν ἡδονῇ μᾶλλον φαίνηται συγγενής, ἡττώμεθα μὲν                      e

ἀμφότεροι τοῦ ταῦτα ἔχοντος βεβαίως βίου, κρατεῖ δὲ ὁ τῆς

ἡδονὴς τὸν τῆς φρονήσεως;                                                        12

그런데 다른 어떤 것이 이것들보다 더욱 강한 것으로 드러나면 어떨까?

물론, 그것이 쾌락과 더욱 동류인 것으로 드러난다면, 우리는 양쪽 다

이런 것들을 확고하게 지니는 삶에 비해 뒤떨어지기는 하지만, 쾌락을 지닌 삶은

지혜를 지닌 삶을 압도하지 않겠나?

ΠΡΩ. Ναί.

네.

ΣΩ. Ἂν δέ γε φρονήσει, νικᾷ μὲν φρόνησις τὴν ἡδονήν,

ἡ δὲ ἡττᾶται; ταῦθ᾿ οὕτως ὁμολογούμενά φατε, ἢ πῶς;

더 나아가 그것이 지혜와 더 동류라면, 지혜가 즐거움을 이길 테고,

쾌락은 뒤떨어지겠지? 자네들은 이런 것들이 그렇게 동의된 것들이라 말하는가, 혹은 어찌 말하는가?

ΠΡΩ. Ἐμοὶ γοῦν δοκεῖ.                                                                   5

제겐 그렇게 보입니다.

ΣΩ. Τί δὲ Φιλήβῳ; τί φῄς;

필레보스에게는 어떨까? 자넨 무어라 말하겠나?

ΦΙ. Ἐμοὶ μὲν πάντως νικᾶν ἡδονὴ δοκεῖ καὶ δόξει· σὺ δέ,

Πρώταρχε, αὐτὸς γνώσῃ.

저로서는 쾌락이 전적으로 승리한다고 여겨지고 또 그리 여길 것입니다.

프로타르코스, 당신은 스스로 알게 되겠지.

→ 쾌락은 모든 경우에 지혜를 이기는가, 모든 것을 이기는가?

ΠΡΩ. Παραδούς, ὦ Φίληβε, ἡμῖν τὸν λόγον οὐκ ἂν

ἔτι κύριος εἴης τῆς πρὸς Σωκράτη ὁμολογίας ἢ καὶ τοὐ-                         10

ναντίον.

필레보스, 자네가 우리에게 자네의 논변을 넘겼으니 

소크라테스님께 동의하는 것인지 반대하는 것인지가 여전히

자네에게 달린 건 아닐 테지.

ΦΙ. Ἀληθῆ λέγεις· ἀλλὰ γὰρ ἀφοσιοῦμαι καὶ μαρτύρομαι                          b

νῦν αὐτὴν τὴν θεόν.

맞는 말일세. 하지만 나는 신성한 의무를 다하고 있으며 지금 저 여신 본인을

증인으로 모신다네.

→ ἀφοσιοῦμαι 이게 무슨 뜻? 동의와 반대의 의무에서 벗어남? 아프로디테로부터 부여된 의무에서 벗어남?

ΠΡΩ. Καὶ ἡμεῖς σοι τούτων γε αὐτῶν συμμάρτυρες ἂν

εἶμεν, ὡς ταῦτα ἔλεγες ἃ λέγεις. ἀλλὰ δὴ τὰ μετὰ ταῦτα

ἑξῆς, ὦ Σώκρατες, ὅμως καὶ μετὰ Φιλήβου ἑκόντος ἢ ὅπως                        5

ἂν ἐθέλῃ πειρώμεθα περαίνειν.

우리 자신도 바로 그 일들에 대해 자네를 위한 증인으로 동참할 걸세,

자네가 하는 그 말들을 했노라는 데에 말이지. 하지만 그 다음으로,

소크라테스, 그럼에도 필레보스 뜻에 따라서든 그가 바라는 어떤 식으로든

마무리해 보도록 할까요?

ΣΩ. Πειρατέον, ἀπ᾿ αὐτῆς δὴ τῆς θεοῦ, ἣν ὅδε Ἀφροδίτην

μὲν λέγεσθαί φησι, τὸ δ᾿ ἀληθέστατον αὐτῆς ὄνομα Ἡδονὴν

εἶναι.

마무리해야지, 실로 저 여신, 아프로디테라고 논해지지만,

그녀의 가장 참된 이름은 쾌락이라고 여기 이 사람이 말하는

그 여신으로부터 말일세.

ΠΡΩ. Ὀρθότατα.                                                                              10

맞는 말씀이십니다.

ΣΩ. Τὸ δ᾿ ἐμὸν δέος, ὦ Πρώταρχε, ἀεὶ πρὸς τὰ τῶν θεῶν                          c

ὀνόματα οὐκ ἔστι κατ᾿ ἄνθρωπον, ἀλλὰ πέρα τοῦ μεγίστου

φόβου. καὶ νῦν τὴν μὲν Ἀφροδίτην, ὅπῃ ἐκείνῃ φίλον,

ταύτῃ προσαγορεύω· τὴν δὲ ἡδονὴν οἶδα ὡς ἔστι ποικίλον,

καὶ ὅπερ εἶπον, ἀπ᾿ ἐκείνης ἡμᾶς ἀρχομένους ἐνθυμεῖσθαι δεῖ                     5

καὶ σκοπεῖν ἥντινα φύσιν ἔχει. ἔστι γάρ, ἀκούειν μὲν οὕτως

ἁπλῶς, ἕν τι, μορφὰς δὲ δήπου παντοίας εἴληφε καί τινα

τρόπον ἀνομοίους ἀλλήλαις. ἰδὲ γάρ· ἥδεσθαι μέν φαμεν

τὸν ἀκολασταίνοντα ἄνθρωπον, ἥδεσθαι δὲ καὶ τὸν σωφρο-                   d

νοῦντα αὐτῷ τῷ σωφρονεῖν· ἥδεσθαι δ᾿ αὖ καὶ τὸν ἀνοηταί-

νοντα καὶ ἀνοήτων δοξῶν καὶ ἐλπίδων μεστόν, ἥδεσθαι δ᾿ αὖ

τὸν φρονοῦντα αὐτῷ τῷ φρονεῖν· καὶ τούτων τῶν ἡδονῶν

ἑκατέρας πῶς ἄν τις ὁμοίας ἀλλήλαις εἶναι λέγων οὐκ ἀνόητος                     5

φαίνοιτο ἐνδίκως;

프로타르코스, 신들의 이름들에 대한 나의 두려움은 언제나 

인간적인 것이 아니라, 가장 큰 공포를 뛰어넘는다네.

그래서 지금 저 여신께서 호의를 가지실 방식으로, 이렇게

그녀를 아프로디테라고 부르고 있기는 하지: 그런데 쾌락이란 다채로운 것이라

생각되고, 내가 말했듯, 저 쾌락으로부터 시작하여 우리는

심혈을 기울여 도대체 저것이 어떤 본성을 지니는지 살펴보아야 하네. 들리기로는

그렇게 단순히 어떤 하나이지만, 어떤 방식으론가 서로 닮지 않은 

온갖 모습들을 분명 지녔기에 말이지. 왜냐하면 보게나: 우리는 무절제한 사람이

즐거워한다고 말하지만, 분별 있는 사람도 바로 그 분별로 즐거워한다고 말한다네:

그런데 또한 생각이 없으며 생각 없는 믿음들과 희망들로 가득 찬 자도 즐거워한다고 하고,

또 다시 지혜로운 자가 바로 그 지혜로움으로 즐거워한다고도 하지: 이러한 즐거움들의

양편 각각을 누군가가 서로 닮은 것들이라고 말하면서 어떻게 그가 정당하게 생각 없는 자로

안 보이겠는가?

ΠΡΩ. Εἰσὶ μὲν γὰρ ἀπ᾿ ἐναντίων, ὦ Σώκρατες, αὗται

πραγμάτων, οὐ μὴν αὐταί γε ἀλλήλαις ἐναντίαι. πῶς γὰρ

ἡδονῇ γε ἡδονὴ [μὴ] οὐχ ὁμοιότατον ἂν εἴη, τοῦτο αὐτὸ ἑαυτῷ,                 e

πάντων χρημάτων;

이것들은, 소크라테스, 반대되는 사물들로부터 나오지만,

그것들 자체는 결코 서로 반대되지 않으니까요. 그야 어떻게

즐거움이란 것이 즐거움에 가장 닮은 것이 아니겠습니까, 모든 것들 중에서,

이것 자체가 자신과 말이죠?

→ 『소피스트』 257b. '반대'와 '다름'의 구분? 단지 다르기만 해서는 안 되고 저 중 어떤 즐거움은 거짓이어야 하는가?

 ΣΩ. Καὶ γὰρ χρῶμα, ὦ δαιμόνιε, χρώματι· κατά γε αὐτὸ

τοῦτο οὐδὲν διοίσει τὸ χρῶμα εἶναι πᾶν, τό γε μὴν μέλαν

τῷ λευκῷ πάντες γιγνώσκομεν ὡς πρὸς τῷ διάφορον εἶναι                           5

καὶ ἐναντιώτατον ὂν τυγχάνει. καὶ δὴ καὶ σχῆμα σχήματι

κατὰ ταὐτόν· γένει μέν ἐστι πᾶν ἕν, τὰ δὲ μέρη τοῖς μέρεσιν

αὐτοῦ τὰ μὲν ἐναντιώτατα ἀλλήλοις, τὰ δὲ διαφορότητ᾿ ἔχοντα               13

μυρίαν που τυγχάνει, καὶ πολλὰ ἕτερα οὕτως ἔχονθ᾿ εὑρή-

σομεν. ὥστε τούτῳ γε τῷ λόγῳ μὴ πίστευε, τῷ πάντα τὰ

ἐναντιώτατα ἓν ποιοῦντι. φοβοῦμαι δὲ μή τινας ἡδονὰς

ἡδοναῖς εὑρήσομεν ἐναντίας.                                                                 5

복받은 사람, 색도 색과 그러하니 말일세. 바로 이 점에서는

색은 모두가 아무런 차이도 없지만, 검정은 하양과

어떤 점에서 차이가 나고 또 실로 가장 반대되는지 우리 모두가 알지.

게다가 같은 식으로 형태도 형태와 그렇다네: 유에서는 그 모두가 하나이나,

그것의 부분들은 부분들과 서로 가장 반대되는 것들인가 하면, 

가장 큰 차이들을 무수히 가질 수도 있고, 많은 다른 것들도 그런 상태란 걸

우리가 알지. 그러니 이런 논변에 확신을 갖지 마시게, 가장 반대되는

모든 것들을 하나로 만드는 논변에는 말일세. 나는 어떤 즐거움들이

즐거움들과 반대되는 것들임을 우리가 알게 되지는 않을까 두렵다네. 

→ 색으로서 같으나 검정과 하양은 반대. 유에서는 하나이나 부분들은 서로 반대.

"즐거움들이 즐거움들과 반대되는 것들"인 경우는 위의 사례와 구분되는 것?

13a3 τούτῳ γε τῷ λόγῳ, 내 제안은 종에서 반대되더라도 유에서 하나라 말할 수 있는 것.(색-하양/까망

권세혁씨 제안은 종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유에서의 단일성만 보는 논리.

ΠΡΩ. Ἴσως· ἀλλὰ τί τοῦθ᾿ ἡμῶν βλάψει τὸν λόγον;

그럴 것 같습니다. 허나 왜 이게 우리(필레보스와 프로타르코스)의 논변을 해롭게 합니까?

→ 12d7-8. "즐거움이 연원하는 사물이 반대라고 즐거움들이 반대되진 않는다."

ΣΩ. Ὅτι προσαγορεύεις αὐτὰ ἀνόμοια ὄντα ἑτέρῳ, φή-

σομεν, ὀνόματι· λέγεις γὰρ ἀγαθὰ πάντ᾿ εἶναι τὰ ἡδέα. τὸ

μὲν οὖν μὴ οὐχὶ ἡδέα εἶναι τὰ ἡδέα λόγος οὐδεὶς ἀμφισβητεῖ·

κακὰ δ᾿ ὄντα αὐτῶν τὰ πολλὰ καὶ ἀγαθὰ δέ, ὡς ἡμεῖς φαμέν,                       b

ὅμως πάντα σὺ προσαγορεύεις ἀγαθὰ αὐτά, ὁμολογῶν ἀνόμοια

εἶναι, τῷ λόγῳ εἴ τίς σε προσαναγκάζοι. τί οὖν δὴ ταὐτὸν

ἐν ταῖς κακαῖς ὁμοίως καὶ ἐν ἀγαθαῖς ἐνὸν πάσας ἡδονὰς

ἀγαθὸν εἶναι προσαγορεύεις;                                                                  5

우리편에선 자네가 그 안 닮은 것들을 다른 이름으로 부르기 때문이라고 말할 걸세: 

왜냐하면 자네는 즐거운 것들 모두가 좋은 것들이라 말하니까.

그러니 즐거운 것들은 즐겁지 않은 것들이 아니라는 논변은 누구와도

시비 붙지 않지: 그런데 우리 주장대로, 그것들 중 많은 것들이 나쁜 것들이고 또 좋은 것들인데,

그럼에도 자네는 그것들을 모두 좋은 것들이라 말하면서, 누군가 자네를 

→ or 자네는 그것들 모두 마찬가지로 좋은 것들이라 말하면서. 

b1의 ὄντα는 accusative absolute?

'실제로ὄντα' 좋은 것도 나쁜 것도 있다면 프로타르코스의 주장은 억지?

그 논변으로써 강제해 나아간다면, 그것들이 안 닮은 것들이라 동의하겠지.

그러니 정말로 나쁜 즐거움들에서도 좋은 즐거움들에서도 모든 즐거움들이

같은 방식으로 들어 있을 때 자네는 무엇을 좋은 것이라고 부르는가?

→ 즐거움은 하나이나 부분들이 다른 경우가 아니라, 좋은 즐거움과 나쁜 즐거움이 다른 경우.

ΠΡΩ. Πῶς λέγεις, ὦ Σώκρατες; οἴει γάρ τινα συγχωρή-

σεσθαι, θέμενον ἡδονὴν εἶναι τἀγαθόν, εἶναι ἀνέξεσθαί σου

λέγοντος τὰς μὲν εἶναί τινας ἀγαθὰς ἡδονάς, τὰς δέ τινας                            c

ἑτέρας αὐτῶν κακάς;

무슨 말씀이십니까, 소크라테스? 그러니까 당신은 누군가가

동의한다고, 좋은 것은 즐거움이라고 상정하면서, 

어떤 즐거움들은 좋은 즐거움들이지만, 그것들과 다른 

어떤 것들은 나쁜 즐거움들이라고 당신이 말하는 걸

받아줄 수 있다고 생각하시는 겁니까?

→ 즐거움은 전체로서 좋은가? 『소피스트』에서 늦게 배우는 자들의 입장?

ΣΩ. Ἀλλ᾿ οὖν ἀνομοίους γε φήσεις αὐτὰς ἀλλήλαις εἶναι

καί τινας ἐναντίας.

그야 자네는 그 즐거움들은 서로 안 닮았고 또 어떤 반대되는

것들이라고 말할 테니까.

ΠΡΩ. Οὔτι καθ᾿ ὅσον γε ἡδοναί.                                                              5

즐거움들이라는 점에 한해서는 아니지요.

ΣΩ. Πάλιν εἰς τὸν αὐτὸν φερόμεθα λόγον, ὦ Πρώταρχε,

οὐδ᾿ ἄρα ἡδονὴν ἡδονῆς διάφορον, ἀλλὰ πάσας ὁμοίας εἶναι

φήσομεν, καὶ τὰ παραδείγματα ἡμᾶς τὰ νυνδὴ λεχθέντα

οὐδὲν τιτρώσκει, πεισόμεθα δὲ καὶ ἐροῦμεν ἅπερ οἱ πάντων

φαυλότατοί τε και περὶ λόγους ἅμα νέοι.                                                 d

우리는 다시 같은 논변으로 옮겨왔군, 프로타르코스.

그래서 우리는 즐거움은 즐거움과 전혀 차이가 없고, 모든 즐거움이 닮은 것이라

말할 테고, 그래서 방금 이야기된 본들도 우리들을

전혀 해치지 않으며, 그러나 누구보다도 가장 단순하며 

동시에 논변에 관하여 미숙하기도 한 자들이 겪고 말할 것들을 

우리가 겪고 말하게 될 걸세.

→ 늦게 배우는 자들?

ΠΡΩ. Τὰ ποῖα δὴ λέγεις;

어떤 것들을 말씀하시는 겁니까?

ΣΩ. Ὅτι σε μιμούμενος ἐγὼ καὶ ἀμυνόμενος ἐὰν τολμῶ 

λέγειν ὡς τὸ ἀνομοιότατό ἐστι τῷ ἀνομοιοτάτῳ πάντων

ὁμοιότατον, ἕξω τὰ αὐτὰ σοὶ λέγειν, καὶ φανούμεθά γε                                 5

νεώτεροι τοῦ δέοντος, καὶ ὁ λόγος ἡμῖν ἐκπεσὼν οἰχήσεται.

πάλιν οὖν αὐτὸν ἀνακρουώμεθα, καὶ τάχ᾿ ἂν ἰόντες εἰς τὰς

ὁμοίας ἴσως ἄν πως ἀλλήλοις συγχωρήσαιμεν.

내가 자네를 흉내내면서 스스로 방어하며 

가장 안 닮은 것이 가장 안 닮은 것과 그 무엇보다도

가장 닮은 것이라고 말하기를 감행한다면,

자네에게 똑같은 얘기들을 할 수 있게 될 테고, 나아가

필요 이상으로 어리석은 자들처럼 보이게 될 것이며,

우리의 논변은 나가 떨어지리란 것일세.

그러니 그 논변을 뒤로 물리도록 하세나. 그리하여 어쩌면

우리가 닮은 상황들(λαβάς)에 같은 식으로 이르러

어쨌든 서로 간에 합의를 보게 될지도 모를 일이지.

ΠΡΩ. Λέγε πῶς;                                                                                  e

어떤 식으로 말씀이십니까?

ΣΩ. Ἐμὲ θὲς ὑπὸ σοῦ πάλιν ἐρωτώμενον, ὦ Πρώταρχε.

거꾸로 나를 자네에게 질문 받는 자로 세워 보게, 프로타르코스. 

ΠΡΩ. Τὸ ποῖον δή;

어떤 질문이요?

ΣΩ. Φρόνησίς τε καὶ ἐπιστήμη καὶ νοῦς καὶ πάνθ᾿ ὁπόσα

δὴ κατ᾿ ἀρχὰς ἐγὼ θέμενος εἶπον ἀγαθά, διερωτώμενος ὅτι                           5

ποτ᾿ ἐστὶν ἀγαθόν, ἆρ᾿ οὐ ταὐτὸν πείσονται τοῦτο ὅπερ ὁ σὸς

λόγος;

분별과 앎과 이성과 또한 내가 처음에 내세워 좋은 것들이라 말한

그 모든 것들은, 도대체 무엇이 좋은지 질문받는다면,

혹시 자네의 논변이 겪은 것과 같은 바로 그 일을 겪게 되지 않겠나?

ΠΡΩ.  Πῶς;

어떻게요?

ΣΩ. Πολλαί τε αἱ συνάπασαι ἐπιστῆμαι δόξουσιν εἶναι

καὶ ἀνόμοιοί τινες αὐτῶν ἀλλήλαις· εἰ δὲ καὶ ἐναντίαι πῃ                               10

γίγνονταί τινες, ἆρα ἄξιος ἂν εἴην τοῦ διαλέγεσθαι νῦν, εἰ                        14

φοβηθεὶς τοῦτο αὐτὸ μηδεμίαν ἀνόμοιον φαίην ἐπιστήμην

ἐπιστήμῃ γίγνεσθαι, κἄπειθ᾿ ἡμῖν οὕτως ὁ λόγος ὥσπερ

μῦθος ἀπολόμενος οἴχοιτο, αὐτοὶ δὲ σῳζοίμεθα ἐπί τινος

ἀλογίας;                                                                                              5

통틀어 모든 지식들은 많다고도 여겨질 것이고

그것들 중 어떤 것들은 서로 안 닮은 것들이라고도 여겨질 걸세. 그런데 만일

어떤 지식들이 어떤 식으로 반대되는 것들이 된다면, 

만일 내가 바로 그 점을 두려워하며 지식은 그 어느 하나

지식과 안 닮은 것이 되지 않는다고 말하고, 우리에게 설득력 없는 그 논변이  

마치 이야기마냥 그렇게 부서져 떠나 버리고, 우리 자신은 어떤

비논리에 의해 구제받아야 한다면, 어찌 이제 내가 대화할 만한 

가치가 있는 자이겠는가?

→ 단지 유로부터 종차를 구분하여 유에서의 단일성과 종차에서의 복수성을 양립시키는 것만으로는 지금 제기되는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한다. 다시 말해 지금 제기되는 문제는 같은 유에 속하면서 종차를 가지는 서로 다른 것들을 설명하는 문제가 아니다.

→ 쾌락은 그 자체로 이야기되는데 앎은 무엇에 대한 앎인지 관계적이다. 이것이 두 입장 모두 같은 방식으로 가능한가?

-蟲-

14. einai 용법들의 체계에서 표현되는 바로서의 Being 개념과 데카르트 이래의 근대적 사유에서 현존 개념 사이의 대조를 통해 좀 더 가까이 가 보도록 하자. 그 체계에 대한 우리의 설명은 유형 6의 문장들에서("The gods are," "A centaur is not") 해당 동사의 사변적 용법에 아무런 특수한 역할도 할당하지 않았다. 더욱이, 그리스 철학자들에 의한 Being 논의에서 그런 문장들의 상대적으로 주변적 위치는 파르메니데스로부터 아리스토텔레스에 이르기까지 존재론적 사변에서 현존 개념이 전혀 명백히 정의되지 않은 역할을 그저 그렇게 수행한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현존에 대한 물음들은 내가 나 자신의 현존을 확신할 수 있는가, 다른 어떤 것에 대해서든 확신할 수 있는가, 물질적 대상들은 현존하는가, 나는 나 이외의 정신들이 있다는 것을 아는가, 과거는 실제인가, 이런 주제들에 관심의 초점이 맞추어지는, 데카르트에 의해 착수된 전통에서 갖는 그런 핵심적 중요성을 그리스 형이상학에서 갖추지 못한다. 
  어떻게 그 두 가지 전통 사이의 이런 극단적 차이를 설명할 것인가? 그 설명의 일부는 틀림없이 회의주의에 의해 수행된 역할 안에 놓인다. [32쪽] 회의주의의 극단적 도전은 - 무엇이 되었든, 우리가 무엇을 확실성을 갖고 알 수 있는가? - 고대 철학에서 역사적으로 이차적인 것이다. 이러한 회의적 물음이 일찍이 크세노파네스에 의해 유발되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기원후 3세기 두 번째 아카데미의 발흥 전까지, 고전적 사유의 주요 체계가 정식화되기 전에는, 그리스 철학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차지하진 못하였다. 반면, 그 회의주의의 도전과 그에 답하기 위해 요청된 인식론은 데카르트 자신의 사상에서도 그의 후속세대들의 사유에서도, 근대 철학에서 시작부터 중심적인 것이었다.

-蟲-

[30쪽] 그래서 문장 구문에 대한 플라톤의 발견은 동시에 어떠한 기술적 언어 사용에 대해서든 근본적인 조건들의 재인이었기도 하다. 주어와 술어라는 용어는 오직 아리스토텔레스와 더불어서 출현하지만, 그 통찰은 똑같다. 문장의 주-술(명사-동사) 구조는 언어내에서 우리의 언어 사용을 우리가 그에 대해 말하고 있는 그것에 연결시키는 지시와 기술의 의미론적 구조를 반영한다는 것이다. 나는 시작부터 서술 개념에서 이 근본적인 애매성에 주의를 요청해왔다. 한편으로는, 문장 내 요소들 사이의 구문론적 관계가, 다른 한편으로 문장 혹은 문장요소와 세계 내 그 지시체 사이의 의미론적 관계가 있는 것이다. 우리로 하여금 to be의 통합된 체계 내에서 계사 구문의 중심 위치를 이해하도록 허용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서술의 의미론적 기능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단순 계사 문장으로 향한다. Socrates is wise 혹은 Socrates is in the agora. 진술로서 평범하게 단언될 경우, 그런 문장은 세 가지 의미론적 관계를 포함한다. (1) 만일 그 문장이 참이라면, 주어는 반드시 현존해야만 하고, 즉, 그 문장이 그에 대한 것인 어떤 것이 있어야만 한다. (2) 그 문장은 진리 주장을 구성하는데, 즉, 그것들이 그러하다고(그렇게 있다고, that they are) 그 문장이 말하는대로, 실제로 사물들이 그러하다고(that things are in fact) 주장한다. (3) 이 주장은 문제가 되는 서술이 (being wise, 혹은 being in the agora) 실제로 그 주어에 속한다는 것, 다시 말해, 그 부합하는 속성이 "발생한다"거나 이 특수한 경우에서 예화된다는 것을 함축한다. 이러한 세 가지 의미론적 조건들은 의미론적 문장 연산자로서 einai의 세 가지 상이한 용법들에 부합한다. 1, 유형 4 문장들에서 주어에 대한 존재사적 용법 ("There is someone/no one who can escape death"); 2,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완결 문장에 대한 진리사적 구조 ("Things are as you say"); 그리고 3, 유형 5에서 술어들에 대한 발생의 동사 ("There will be vengeance from Orestes"). 일차 문장에서 서술의 신호로서 계사의 일상적 용법이 통상 이런 세 가지 의미론적 함축을 담기 때문에, 똑같은 동사가 또한 이차 문장의 세 유형들에서 이러한 의미론적 주장들을 명시적인 것으로 만드는 것이 그 기능인 문장 연산자로서도 기능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단순한 명사-동사 문장들에서 술어는 to be 동사 없이 발생한다. 그 계사 동사는 오직 술어 표현이 형용사 또는 다른 명사적 형태일 때에만 요청된다. 그런 문장들에서 우리는 계사의 최소 역할을 (1) 인칭, 시제 따위에 대한 기호를 가져오는 동사적 형태로, (2) 서술 표현이나 동사 구를 [31쪽] 형성하기 위해 형용사와 결합하는, 그런 서술동사로서, 따라서 (3) 문장성, 즉 주-술 형태의 신호로 재인한다. 그것이 우리가 계사 동사를 서술의 신호로 기술할 때 의미하는 바 그 삼중의 기능이다. Socrates walks, Theaetetus sits 같은 더 단순한 형식의 문장들에서 이 기능은 동사만으로 수행된다. 계사로서, einai는 동사화, 동사 없는 술어로부터 동사 구를 만들어내는 것으로 기능한다. 더욱이, 이미 지적하였듯, 우회적 구조에서 einai는 그 언어의 어떤 동사든 대체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Socrates is walking, Theaetetus is sitting (혹은 이것들의 그리스어 대응물들)를 명사-동사 문장의 변형들로 가진다. 전통 이론에서 계사 형태는 표준화되고 일반적인 동사라기 보다는 계사 동사가 서술의 신호로 간주되기 시작한다. 우리는 이러한 이론에 묶이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는 to be가 광범위하고 다양한 문장 형식들에 대해 서술적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을 재인하고 있다. 주요 서술 동사로서, einai는 서술 개념과 서술에 의해 내포되는 근본적인 의미론적 관계들 모두를 표현할 수 있다.
  그래서 einai 용법들의 연결망은 서술, 진리, 현존 개념들을 함께 가져오는 더 거대한 개념적 구조를 표현하는 데에 기여한다. 이 세 가지 개념들 중 어느 하나 그 이외의 것들에 대한 언급 없이 적절하게 해명될 수 없다. 고대 그리스어에서 Being 개념을 표현하는 문장 형식들의 체계에 대한 개념적 통일성을 제공하는 것, 그것은 구문론과 의미론 양자 모두의 이러한 서술의 이중구조이다.

-蟲-

13. 내 생각에 그리스어 동사 be의 사전적 의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여기까지이다. 그러나 이 사전적 설명은 Being 개념에의 탐구로서 존재론에 대한 그리스적 기획을 정당화할지도 모를 einai의 용법들의 통일성 개념을 정립시키는 데엔 아무 기여도 없다. 그렇기에 우리는 존재사적 용법과 진리사적 용법에 대한 문장 구조와 의미론적 기능에 대한 분석으로 돌아가야만 하고, 어떻게 이것들이 내가 그 전 체계의 개념적 기초로 제안하는 해당 동사의 서술적 기능과 관련되는지 보아야만 한다.
  내 논증의 앞선 단계들을 거슬러 올라가 보자. 우리는 플라톤에 의해 『소피스트』에서 독자적으로 제안된 명사와 동사 사이의 구분에서, 그 가장 단순한 문장 구조에서 묘사된대로의 서술 개념을 가지고 시작했다. 플라톤은 명사와 동사를 구문론적으로, 문장 산출을 위해 결합하는 것으로도, 뿐만 아니라 또한 의미론적 기능들로, 동사는 행위(praxis)를 나타내고, 명사는 행위자(pratton) 혹은 사물(pragma)을 나타내는 것으로도 정의하였다. 이러나 의미론적 차원은 플라톤의 간략한 설명에서 조심스럽게 전개되었다. 그의 예시 문장들은(Theaetetus sits, Theaetetus flies) 대화편 내에서 그 주어"에 대한(peri)" 것, 즉 테아이테토스 그 자신에 대한 것으로 이야기되고, 참인 문장은 그에 관련하여 "the things that are (ta onta)"을 말한다(263b). 이 논의에서 플라톤의 목표는 참인 진술과 거짓인 진술을 정의하는 것이고, 그래서 그는 방금 인용된 einai의 진리사적 용법으로 결론을 맺는다. 그러나 참과 거짓이라는 관념들을 설명하기 위해, 플라톤은 먼저 보편 문법의 기초 단어 부류로, 명사와 동사로 서술적 문장 구조의 분석을 제공할 책임이 있다. 형식적으로 말하자면, 명사와 동사는 그리스어에서 구별하기 쉽다 (설령, 우리가 아는 한, 누구 하나 앞서 그것들을 구분하는 일에 개의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그러나 플라톤이 지적한 기능적 구별은 그리스어나 심지어 인도-유럽어의 특수성이 아니다. 사피어가 언급했듯, "반드시 무언가 그것에 대해 이야기할 그러한 것이 있어야만 하고 그것이 선택되고 나면 이 담화의 주어에 대하여 무언가가 이야기되어야만 한다. ... 담화의 주어는 명사이다. ... 서술이라는 작업을 위해 확보되어 있는 형식은 ... 동사이다. ... 어떤 언어도 명사와 동사를 완전히 구별 못하는 경우는 없다."

-蟲-

  3장에서 나는 einai에 대한 이런 처소격 해석을 통시적 신화로, 하나의 원초적 의미로부터 그 동사의 모든 용법들의 파생으로 표현하였다. 그리고 나는 계속해서 그것을 언어상의 선사시대에 대한 신화적 해석으로서 거부하였다. 그렇지만, 통시적 주장 없이, 표현된 바로 그 형식에서 이 설명은 eiani의 모든 용법들에 있어서 그 동사의 직관적 의미에 대한 그럴 법한 사전적 기술을 제시한다. 그 동사의 기초적 의미는 "to be present, be available"이고, 인물들에 대해 전형적 용법 "to live, to dwell (somewhere)"이 함께 한다. 가장 공통적인 용법인 명사적 계사의 경우에서는 물론 장소적 의미가 가장 약하다. 그러나 때로 "mere copula"로 간주되는 이 경우에서조차, 우리는 고정-지속 상(相) 값에서 처소격 의미에 대한 일종의 유비를 발견한다. 그 유비는 그리스어 동사 to be의 경우에서 특히 강력하다. 그래서, 서술의 신호로서 그 구문적 역할에 더하여, 계사로서 einai는 여전히 그대로 존립함과 남아있음이라는 사전적 시사를 유지한다. 그것은 모든 계사 용법에 현존하는 고정-지속 값으로, 파르메니데스가 eternal being이란 개념으로 변형시킨 그것이다. "It never was nor will be, since it is all together now" (단편. 8, 5). 그리고 파르메니데스의 이 불변하는 Being은 여전히 처소격 용어로 표현된다: "equal to itself in every direction," "like the bulk of a rounded sphere, balanced equally from the center in every way" (단편. 8, 43과 49이하). 우리는 파르메니데스가 그 그리스어 동사의 모든 상과 어감을 다 함께 불변하는 사태 혹은 실체라는 단일한 개념, to eon, "that which is"로 끌고 옴으로써 Being이라는 형이상학적 개념을 창조했다고 말할 수 있다.
  Einai의 처소격 값들에 대한 이 논의를 마치기에 앞서, 우리는 현존과 실재성이라는 발상들을 표현하는 데에 [29쪽] 장소 혹은 상황 개념의 그런 형이상학적 확장이 얼마나 널리 기여할 수 있는지, 비단 그리스어에서만이 아닌 관점에서 주목할 것이다. 그래서 나는 진리와 현존이라는 의미론적 관념들을 명시하기 위해 담론의 영역 안에 상정한다거나 정위시킨다거나 하는 은유들을 체계적으로 이용해왔다. 위치의 구상화라는 유사하게 비환원적 용법이 또 달리 아주 다른 하이데거식 현존 규정에서 Dasein, "being-there" 그리고 in-der-Welt-sein, "being-in-the-world"로 나타나는 것은 전혀 우연이 아니다.

-蟲-

12. einai의 다양한 용법들을 탐사해 보았기에, 이제 우리는 어떻게 이러한 용법들이 하나의 체계로서 함께 엮이는가 하는 물음을 고찰할 수 있다. 나는 이미 한 가지 대답을 구문론적 분석에 기초하여 지적하였으나, 이러한 노선을 진행시키기에 앞서 그 동사의 사전적 의미라는 주제에 대해 무엇이 이야기될 수 있는지 살펴 보도록 하자.
  단일한 본뜻(Urbedeutung)이나 근본적 의미로부터 einai의 상이한 용법들을 도출해내려는 어떠한 시도든 그럴 법하게 유형1의 문장들에서 인물들에 대해 입증된 vitla-locative(生-處所格) 의미 "live, dwell"로부터 혹은 좀 더 일반적인 처소격 의미 "be present, be available, vorhanden sein"으로부터 시작할 것이다. 어느 정도까지는, 이런 유사-존재사적 의미가 처소격 보어를 가지는 einai의 모든 계사용법에 의해 자동적으로 내포된다. Socrates is here, Socrates is in the agora. 그것이 바로 그 동사의 절대, "존재사" 용법이 또한 이러한 처소격 구조에서 장소 부사를 무화시킨 결과로 보일 수 있기도 한 이유이다. Socrates is (somewhere). 이를 테면, 현존은 일반화되거나 부정형으로 남겨진 정위이다. 그 동사의 그런 처소-존재사적 의미는 "whatever is, is somewhere; what is nowhere is nothing"이란 오래된 그리스적 관념(고르기아스로부터 아리스토텔레스까지 증언되는)에 부합한다. 따라서 플라톤이 형상들에 대해 비-공간적 실재성 개념을 처음으로 정립시키길 바랐을 때, 그는 그것들을 noetos topos, 지성적 공간에 위치시킬 책임이 있었다(『국가』 6권, 508c1).
  이러한 장소적 의미가 인도-유럽어 어근 *es-의 가장 오래된 의미들 중 하나였음에 틀림없다는 점은 일반적으로 인정받는다. 그래서 Oxford English Dictionary에서는 영어 동사 be의 "원초적인 의미"가 "어떤 특정된 장소에서 '장소를 점유함(to occupy a place)(즉, to sit, stand, lie 등)'"이며 그로부터 "to be somewhere, no matter where, to be in the universe or realm of fact, to have a place among existing things, to exist"라는 더 일반적인 의미가 파생되어 나왔다고 제안한다.
  우리가 주목하였듯, "being-there" 혹은 "being-present"의 문자적 의미는 처소격 계사의 모든 용법에 함축되고, 처소-존재사격으로 분류되는 문장들에서 강화된다. 그것은 유형2와 3에 속하는 문장들 대부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there is a city Ephyre in the corner of Argos." 다른 한편, einai의 모든 용법들에 가장 공통적인 경우에서, 서술적 형용사와 명사를 가지는 계사 구조, "being in a place"라는 문자적 의미는 완전히 부재한다. Socrates is wise, Socrates is a philosopher. 여전히, 명사적 계사의 경우에 우리가 취하는 것은 언어학자들이 einani의 상태적 측면으로 재인하는 [28쪽] 그런 의미에서의 처소격 의미에 대한 일종의 그림자이다. Become에 해당하는 동사들의 변화-운동의 측면에 반대되는, 상태 혹은 단계 동사로서 einai의 이 근본적인 사전적 값은 그리스어에서 특히나 강한데, 두 가지 독특한 형태학적 대비들에 의해 뒷받침되기 때문이다. 첫째로, 인도-유럽어 어근 *es로부터 파생된 다른 동사들과 달리, 그리스어 동사 einai는 지속어간을 활용 동안에 유지하고 다른 어근들로부터 나오는 어떠한 비-지속 형태나 부정과거 형태도 (영어 동사 is가 다른 *es- 이외의 어근들로부터 나오는 be와 was를 허용하고, 라틴어 esse가 fui/fuisse를 허용한 것처럼) 허용하지 않았다. 덧붙여, εἰμί be에 대한 상태-처소격 값은 근사-동음이의어 εἶμι "I go"와의 대조를 통해 강화된다. 두 고대적 -μι 동사들 사이의 이러한 대조는 εἰμί be 동사에 "to go"와 대조를 통해 "to stay"라는 의미를 함축시켜준다. einai에 대한 이런 수렴적인 일련의 언어적 특성들은 우리로 하여금 전통적 그리스 사유에서 왜 te be는 to be somewhere인지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蟲-

  [26쪽] 이러한 사변적 문장 유형은 어떻게 발생하였는가? 유형 6에서 그 동사의 영향력에 대한 직관적 이해를 위해, 나는 부정이 먼저 나오는 것을 제안한다. 그리하여 현존에 대한 긍정은 이차적인 것으로, 회의적 의심에 대한 응답으로 보일 수 있다. "You say that Zeus does not exist? I say that he does!" 하지만 "Zeus is not?"이라고 말함으로써 의심하는 자가 의미한 바는 정확히 무엇인가? 만일 유형 4가 einai의 존재사적 용법에 대한 전형이라는 우리의 생각이 옳다면, einai의 의미론적 기능은 서술에 대한 주어를 상정하는 것임에 틀림없다. 따라서 Zeus is를 부정한다는 것은 Zeus가 무엇이 되었든 참인 어느 술어에 대해서나 주어일 수 있음을 부정하는 것이다. 제우스에 대해 이야기하는 모든 것은 단지 거짓일 뿐만 아니라 불가피하게 거짓일 수밖에 없는데, 왜냐하면 그에 대해 이야기할 그런 주어 따위 전혀 없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의 현존 부정은 한 전통 전체에 대한 진리 부정이다. 시인들과 신학자들의 전통에 대해서 말이다. Zeus is not에 대한 이러한 독해는 우리가 유형 4의 구문에 따라 발견하길 기대할 관계사의 그 무화를 설명해준다. 유형 6 현존 부정에서는 조건들을 제시되는 주어에 의해 충족될 것으로 구체화할 이유가 전혀 없는데, 왜냐하면 주어의 not-being이 그에 앞서 모든 술어의 무효화를 보장하기 때문이다.
  만일 이것이 유형 6에 대한 올바른 해석이라면, 왜 그 동사의 표면적 구문이, 라일과 그 외의 사람들이 논평하듯, 체계적으로 오해를 불러일으키는지를 쉽게 알 수 있다. 이러한 절대 구조에서 einai는 일상적인 동사마냥 일차 술어를 표현하는 것으로 보인다. einai의 표면적 구문은 그 동사가 "be alive"나 "be present"를 의미하는 유형1에서와 마찬가지인 듯, 혹은 "there are no asses in all of Scythia, because of the cold" 같은 유형 2와 3에서 처소격 계사의 유사-존재사적 용법에서와 똑같은 것처럼 보인다. 그것이 그 악명높은, existence는 술어인가 하는 물음을 불러 일으키는 이런 오해하기 쉬운 구문이다. 그것은 아마도 무엇보다 술어일 것이나, 일차 술어는 아닐 것이다. 유형 6에서 einai가 그 외양에도 불구하고 평범한, 일차 동사가 아니라는 점은 그것이 유형 1, 2, 3에서 똑같은 동사가 취하는 것처럼 시간이나 장소 보어를 취하지 않는다는 사실로부터 분명해진다.
  이러한 불일치에 주목하지 못함은, 문헌학자들이 그리스어에서 원초적인 (혹은 적어도 가장 알려진지 오래된) einai 용법으로 간주한 경우에서 유형1과 유형6을 결합시키도록 이끌었던 것처럼, 
일부 철학자들로 하여금 방황하게 만들었다. 고전 문장 유형들에 대한 나의 일람표는 유형 6이 einai의 원초적 용법일 것 같지 않다는 점을 보여주는데, 그것이 5세기 후기 이전에 등장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내 구문 분석은 유형 1의 경우로서 평범한 술어인 것과 상당히 다르게, 유형 6에서 einai는 유형 4의, 관계절에서 피연산 문장을 구체화하는, 존재사적 문장 연산자에 유비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유형 6을 그렇게나 어렵게 만드는 건 정확히 이 관계절의 부재이다.
  대신에, 우린 아마도 유형 6에서 einai의 절대 구조를 앞서 3절에서 제안되었던 것처럼 계싸 문장에서 술어를 무화시킨 결과로 해석할 것이다. X is는 X is something or other의 축약이다. 유형 6에 대한 이러한 해석은 이 유형을 계사 구조에 더 밀접하게 묶어주지만 [27쪽] 그 강력한 존재사적 값은 그리 잘 설명해주지 못한다. 유형 6의 명백하게 존재사적인 영향력은 (being something rather than nothing) 유형 4의 의미론적 문장 연산자로부터의 도출로 더 잘 설명된다.

-蟲-

  유형 6은 후기 데카르트주의 철학의 특징인 존재사적 진술들의 종류에 고대 선례를 제공한다. (하이데거가 라이프니츠에게서 인용했던 급진적인 질문을 상기해 보라: What is there anything at all rather than nothing?) 그래서 유형 6은 유형 4에서 묘사되는 구어적 개념과 대비되는 더 사변적인 현존 개념을 표현하는 데에 기여한다. 유형 1~3에서의 einai의 내포된 존재사적 영향력과 달리, 유형 4의 문장들은 명시적으로 주어의 현존이나 부재와 관련되지만, 두 측면에서, 1) 가능한 주어들의 부류가 문맥에 의해 (위의 9절에서 인용된 우리의 첫 번째 예시로서의 문장, 그 협의회의 화자들) 혹은 그 문헌 자체에 의해서 (두 번째 예시에서 트로이인들, 특히 프리아모스의 아들들) 구체화되고, 2) 긍정된 것이나 부정된 것이 일반적으로 주어의 현존이 아니라 관계절에서 상술된, 특정 술어에 대한 주어라는 측면에서, 구체화된 현존과 관련된다는 것을 우린 보았다. 두 번째 구체화는 존재양화 ∃x(Fx)에서 구성요소 Fx에서 그 상관물을 갖는다. 두 경우 모두, 상정되는 것은 일반화된 주어가 아니라 한정된 술어들을 충족시키는 주어이다. 그렇지만, 첫 번째 구체화는 일상 회화와 논리학의 형식화된 담화 사이의 차이를 짚어낸다. 유형 4의 관용적 문장들에서 그 현존이 긍정되거나 부정되는 주어는 세계 내 어떤 객체도 아닌 확정된 유형의 어떤 것이다. 이야기하도록 구체화되는 개인, 트로이 전사이다. 이런 문장들은 불특정의 현존, 아무것도 아라기 보단 어쨌든 무언가인 바의 것을 다루는 게 아니라 (우리가 신이 현존하는지, 혹은 외부 세계의 현존을 논의할 경우처럼), 오히려 구체화되거나 문맥적인 현존, 한정된 맥락에서 (협의회나 전장) 구체화된 종류의 것의 (화자나 전사) 현존을 다룬다. 사변적인 유형 6에서, 주어에 대한 종류상의 구체화는 유지되지만 (신이나 켄타우로스), 맥락상의 제한과 구체적 술어는 사라졌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문장 유형의 구문은 투명하지 않다. einai의 내포된 존재사적 영향력은 유형 4의 의미론적 문장 연산자를 상기시키지만, 유형 6에서 우리는 아무런 피연산 문장도 갖지 않는다. 아마도 유형 6에 대한 가장 자연스러운 이해는 어떤 임의의 술어에 대해서든 그 주어를 긍정하거나 부정하는 것으로, 유형 4에 대하여 einai의 주어에 종류적 제한은 견지하지만 (예를 들어 신들이나 켄타우로스들) 관계절을 제거함으로써 술어들에 대한 어떠한 구체화도 삭제하는 일반화로 이해하는 것이다. 유형 6에서 einai의 "절대" 구문, 이 경우 서술보어에 의해서든 관계절에 의해서든 제한받지 않은 구문에, 주어에 대한 현존의 마찬가지로 구체화되지 않은 긍정이나 부정이 대응한다.

-蟲-

 우리는 우리로 하여금 이러한 세 경우에서 그 동사의 영향력을 구별하도록 허용하고, 그리하여 우리가 왜 진리사적 용법에서는 "is the case"로, 유형 4에서는 "there is" 혹은 "exists"로, 유형 5에서는 "occurs," "take palce"로 einai를 번역하는지 설명하는 일을 허용하는 것이 바로 문장 연산자로서 einai와 그 기저에 놓이는 피연산 문장 사이의 다양한 관계에 대한 분석이라는 점에 주목하도록 하자. 이러한 것들은 바로 우리가, 우리 자신의 번역과 구문론적 분석에 기초하여 만든 구분들이다. 그리스어 화자에게 이것들은 동일한 동사, 일상의 계사 문장들에서 나타나는 바로 그 똑같은 동사의 단순한 세 가지 용법들일 것이다. 따라서 그리스어 화자는 진리사적 용법을 존재사적 용법으로부터 구별하려 하지도, 일상적 계사로부터 구별해내려 하지도 않을 것이다. einiai의 상이한 구문론적 용법들 사이의 어휘적 일치의 한 가지 근본적 귀결은 그리스에서 사유하는 철학자들이 일반적으로 일련의 사건이나 사태들로부터 실체들을 구별할 필요성을 느끼지 않으리란 점이다. 그들이 ta onta, "beings" 혹은 "the things that are"에 대해 이야기할 때, 그들은 아마도 개별자들 혹은 자연종들, 일식이나 달의 위상 같은 천문학적 사건들, 혹은 더욱 일반화하여 사실들과 세계 내의 사실인 무엇이 되었든 그것의 현존을 지시하고 있을 것이다. 이것은 우리로서는 꽤나 당황스러운 어떤 그리스 존재론적 논의들의 논리를 만든다. 우리의 번역과 분석은 사물, 사건, 그리고 사태 사이의 구분을 당연시한다. 그렇지만, 이런 것들은 그 언어에 의해 만들어진 구분들이 아니라 철학자들의 선별을 기다리는 것이다. 그들이 그렇게 다루는 한, 그건 늘 우리에게 익숙한 방식인 것은 아니다.

11. 내가 마지막으로 남겨둔 것은 존재사적 유형 6에 대한 논의이다. 그것은 아무런 처소격 보어나 명사적 보어도 없이 einai가 "절대적으로" 이해되는 경우의, 개별자들과 사물들의 종류들에 대한 현존의 단적인(unqualified) 선언이나 부정이다. Zeus is not. The gods are. Centaurs are not. 어떤 서술적 보어도 부재함은 einai의 이러한 용법을 근대의 동사 to exist와 유사하게 만든다. 나는 호메로스에게서는 이 문장 유형의 어떠한 사례도 발견하지 못한다. 유형 6은 그리스 문학에서 오직 [25쪽] 소피스트 시대의, 기원전 5세기 후반기 그리스에서의 신학적 회의주의의 발생과 더불어서만 나타난다. 어쨌든 그리스에서 뭔가 "exist" 같은 것을 의미하는 이러한 einai 용법은 신학적 사변의 분위기와 전통적 믿음의 대상들에 관련한 의심의 태도를 전제한다. (성경 구절에 표현된 "우매한 자들은 내심으로 '신은 없다' 말하였다." 같은 그런 의심.)

-蟲-

유형 4는 우리가 einai의 존재사 용법으로 무엇을 의미하는가에 대한 일람표 역할을 할 수 있다. 의미론적 문장 연산자로서, 그 동사는 여기에서 기능을 진리사적 구조에서 einai의 용법과 공유한다. 우리가 보았듯, 두 문장 유형 모두에서 einai는 언어외적 지시를, 문장의 주어에 대해서든 (유형 4에서) 혹은 문장 전체에 대해서든 (진리사의 경우), 명시화하는 데에 기여한다. 그리고 각 경우에서 의미론적 문장 연산자는 오직 두 가지 값(esti와 ouk esti, 긍정과 부정)을 가지는데, 피연산 문장의 기술 내용을 보증하거나 거부한다. 하지만 이 문장 형식들 사이의 구문론적 차이는 현존과 진리 사이의, 그 동사의 존재사적 용법과 진리사적 용법 사이의 구별에 결정적이다. 유형 4에서 einai는 오직 피연산 문장의 주어에 대해서만 작동하는 반면(즉, 종속절을 이끄는 관계대명사 hos "who"), 진리사의 경우에서는 문장 구조 전체에 작동하고, 대화자가 말했고 화자가 긍정한 것이라면 무엇이 되었든지 간에 그것에 작동한다. 진리사적 einai가 실재성에 있어서 "상정"하는 것은 이러한 문장 구조의 내용, 상응하는 일련의 사태이다. 유형 4의 einai에 의해 상정되는 것은 관계절에서 표현되는 조건을 충족시키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개별자들의 현존이다.

10. 존재사적 유형 5로 넘어가서, 우리는 구문론적으로 진리사적 구조에 더 가까운 문장 형식을 발견한다. 유형 5에서 그 동사의 주어는 더욱 기초적인 문장 내에서 술어 동사를 표현하는 추상적 행위 명사이다. 유형 5의 문장들에서 einai는 이하 문장의 행위가 벌어졌다는 것을 긍정하거나 부정하는, 그런 발생의 동사로 기능한다.
  Around him was a clamor of the dead, 여기에서 추상 명사 clamor(klange)는 기저 문장 The dead clamored around him에서 그 동사의 명사화이다.
  There will be vengeance from Orestes, 이 문장은 기저 문장 Orestes will take revenge의 명사화로서 vengeance를 가진다.
  For you, Odysseus, there will be no murder at a wife's hand, 이 문장은 your wife will not murder you의 명사화로서 murder(phonos)를 가진다.
  주어로서의 추상 명사와 더불어, 이 문장 유형에서 그 동사의 구문은 명백히 이차적이다. 여기에서 einai는 기저에 놓이는 동사(to clamor, to take revenge, to murder)의 명사화된 형태를 주어로 취함으로써 표적이 되는 문장에 작동한다. 유형 5에서 einai의 구문은 꽤나 분명하지만, [24쪽] 그 의미론적 기능은 진리사의 경우와 유형 4에서 문장 연산자의 기능과 유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에서 또한 esti 혹은 en은 그 의미론적 주어 - 이 경우 the verbal action - 를 "사실"로, 즉 담론의 세계에서 위치를 점하는 것으로서 상정하는 데에 기여한다.

-蟲-

  만일 유형2의 복수형식으로 해석한다면, 유형3에 속하는 문장들에 대해서도 같은 말을 할 수 있다. "There are many paths up and down the camp," "Among you are the bravest of all the Achaians." 이 유형에서 주어를 도입시키는 수사적 기능은 덜 뚜렷하지만, 계사 동사의 존재사적 영향력은 처소격 보어 또는 양화사(some, many)에 의해 강화된다. 유형 2와 3의 부정 형식들에서 존재사적 어감은 특히 강하지만 국소적으로 제한된다. "There is in the whole Scythian land neither any ass at all nor any mule, because of the cold."

9. 지금까지 묘사된 어느 문장 유형에서도(유형1~3) 우리는 현존에 대한 단언이나 부정을 발견하지 못하지만, 오히려 "there is"라는 영역을 정당화하기에 충분할 만큼 강력한 계사 동사의 용법을 발견한다. 제대로 된 존재사적 용법을 위해 우리는 유형 4로 향한다. 이 유형은 그 구조에 있어서 논리학에서의 존재 양화를 위한 ∃x(Fx) 형식과 상당히 유사하다. "There is an X such that X is F." 유형 4에서 einai 동사는 이하의 관계사절에서 정식화되는 서술을 위한 부정주어(someone, something)를 상정(혹은, 부정의 경우, 배제)하는 데에 기여한다. Let there be someone / who will speak wiser counsel; Now there is no one / who will escape death ...at my hands..., of all the Tojans and above all of the sons of Priam.
  부정주어가 전형적으로 인물 ("someone who...")이기에, 그 동사의 구문은 일차적인 것으로 보일 것이다. 하지만 이 문장 유형에서 그 동사는 그 자체로 성립하지 않는다; 그 동사는 그것이 문장 연산자로 기능하는 관계사절과 함께 이해된다. 그래서 einai의 주어는 한정된 개별자가 아니라 이를 테면 제한된 변수로서, 그 관계사절에서 구체화되는 조건을 충족시키는 anyone 혹은 anything이다. 유형 4에서 einai의 의미론적 기능은 정확히, 의미론적 주어, 열린 문장(변항을 포함하는 문장)의 문법적 주어에 상응하는 언어외적 실체를, 긍정적으로나 부정적으로 지시하는 일을 분명하게 만드는 것이다. x will speak wiser counsel, x will escape death at my hands. 그래서 유형 4의 구문론적 역할만이 아니라 의미론적 역할 또한 존재 양화의 그런 역할과 비슷하다. 특정 조건들을 충족시키는 대상의 유효성을 긍정(혹은 부정)하는 것, 특정 술어들이 그에 대해 참인 그러한 주어를 상정(혹은 배제)하는 것. 여기에서 다시 우리는 [23쪽] 서술에 대한 참과 서술의 주어에 대한 현존 사이의 개념적 연관을 재인한다.

-蟲-

[21쪽] 하지만, 이 책에서 규정되는 여섯 가지 존재사적 유형들 중, 첫 번째이자 가장 생생한 문장 유형은 명백히 의미론적인 것도 아니고 구문론적으로 이차적인 것도 아닌데, einai가 이 경우 일상적인, 구체적 의미를 지니는 일차 동사처럼 기능하기 때문이다. 이것이, einai가 "to be alive," "to dwell," 혹은 "to be present"를 의미하는 경우에서 나의 존재사적 유형 1이다. 이런 유형에서 그 동사는 인물(인간 혹은 신)을 주어로 삼는다: "Your parents are still alive" (et' eisi); "The gods who are forever" (theoi aien eontes). 그 주어가 전형적으로 인물, 대화 상대자를 말하는 그것이기에, 오직 이 경우에만 그 동사가 1인칭과 2인칭으로 격변화한다; 다른 모든 존재사적 유형은 오직 3인칭 형식으로만 등장한다. 덧붙여, einai는 유형1의 경우 여느 일반 명사와 같이 시간과 장소 부사를 취한다. 그럼 어째서 우리는 이 유형을 존재사적이라 칭하는가? 그런 문장에서 그 동사가 exists 혹은 there is로조차 번역되지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계사와 구별되는 것으로서 존재 동사 εἰμί의 예시들 가운데 L.S.J에 첫 번째로 기재되는 용법이다. 여타 권위자들도 그것을 유사하게 취급한다. 그 설명은 einai가 일단 여느 일상 동사와 마찬가지로 구체적인 의미를 가졌다는 보편적인 가정 안에 놓인다. 유형1 용법들은 그런 본래 의미가 무엇이었을는지에 대한 가장 강력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나의 유형2와 유형3으로 분류되는 존재사적 문장들은 구문론적 관점에서 유사하게 불순하다. "There is a city Ephyre in the corner of Argos". 모든 einai의 계사 용법들이 이러한 것들로, 통상 처소격이나, "there is"라는 번역에 의해 측정되는 한정된 존재사적 함축을 가진다. 만일 우리가 그리스어에서 이런 존재사적 어감에 부합하는 것이 무엇인지 묻는다면, 그 동사의 구문에서 아무런 대답도 발견할 수 없다. (언제나 그런 것은 아니지만) 종종 그 계사는 첫 번째 자리에 등장한다. 그리스어 단어 배열은 자유롭기에, 첫 자리를 통해 부여되는 강조는 문법적이라기 보다는 차라리 수사적인 의미에 속한다. 나는, 계사 동사 자체가 그 (언어외적인) 주어의 실재성을 시사하기에, 그 동사의 이러한 그 동사의 내포된 존재사적 영향력은 바로 첫 번째 자리에 의해 이끌려 나오는 것이라 제안했다.
  책에 인용되는 사례들은 유형2 문장이 일반적으로 추가 서술에 대한 주어로서의 인물이거나 혹은 이어지는 묘사에 대한 지시의 지점으로서 지형상의 항목이다. 그런 문장들에서 그 동사의 존재사적 영향력은 문장에 문법적 주어를 도입시키는 수사적 기능과 관련되지만, 그 동사는 이 일을 정확히 부합하는 의미론적 주어를 위치시킴으로써, 즉, 뒤따르는 서술에 관련있을 인물이나 장소를 위치시킴으로써 행한다. 따라서 그 동사의 기저에 놓이는 처소격-존재사적 가치 ("is present somewhere")는 상관된 담론의 영역에 그 주어를 도입시키거나 "위치"시키는 수사적 행위에 의해 강조된다. 나는 그 동사에 관하여 수사적 강조에 의해 강조된 이러한 의미론적 함축들이, 우리가 그 동사의 주어에 대한 현존의 단언으로 지각하는 것이라 제안한다. 하지만 강조된다 하더라도 이 단언은 처소격 서술 내에 내포되기에, 우리는 존재사적 유형2에서 그 동사의 [22쪽] 의미론적(이차적) 용법을 적절하게 갖지 못한다. 우리가 가지는 것은 일차 계사의 수사적으로 의도된 용법이다.

-蟲-

[20쪽] 간결함을 위하여, 나는 우리가 여기에서 일상적인 평서문을, 즉 칠판에 적힌 주인 없는 문장이 아니라 일반적 억양으로 발화된 직설법 문장을 다루고 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나는 문장과 진술 사이의 구별을 추상화시키는 중이다. 나는 앞서 einai의 일차 계사 용법들(적어도 긍정 용법들)이 일반적으로 그 의미론적 주어의 현존을 시사한다고 주장했다. 우리는 이제 아마도 단언된 것들로서의 문장들이 그것들의 문장 내용이 실제로 존재한다는 주장, 진리 주장을 담지하기도 한다는 것 - 적어도 호메로스의 세계에 속한 실재성에서 그렇다는 것을 추가할 것이다. 그래서 einai의 계사 용법들은 모든 평서 문장들처럼, 두 측면에서 암시적으로 의미론적이다: 그것들은 주어의 현존만이 아니라 그 진리 주장의 타당성 또한 시사한다. 나는 진리 주장이란 말로 문장이 단언하는 바는 무엇이든 그것을 의미한다 - 긍정적 참값의 후보로 이해된 문장내용-. 내 진리주장 개념은 비트겐슈타인이 Tractatus(4.022)에서의 언급으로 의미하였던 바로 그것이라 생각한다. "명제는 사물들이 그것이 참이라면 어떻게 서 있는지를 보여준다. 그리고 그것은 그것들이 그렇게 서 있다고 말한다." 그런 주장은 각각의 모든 평서문에 함축된다. 진리사적 구조에서 독특한 점은 이런 주장을 드러나 보이게 만든다는 것이다.
  왜 명백한 진리 주장을 위한 운반책으로서 기여하는 것이 정확히 그 동사 to be인가? 내 생각에 그 대답은 서술의 표지로서 계사 einai의 역할 안에 놓여 있어야만 한다. Theaetetus sits 같은 더 단순한 문장들에서, 이러한 기능은 일상적인 동사에 의해 수행된다. 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가 지적하였듯, 어떤 동사든 is 더하기 분사로 대체될 수 있다. Theaetetus sits는 (그리스어에서 그에 상응하는) Theaetetus is sitting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와 그 밖에 이유들로, 그 계싸 동사는 가장 보편적인 동사로 보일 수 있고, 따라서 서술의 표지로 보일 수 있다. 하지만 모든 각각의 서술은 일상적 평서문 형태에서 진리 주장을 담지한다. 따라서 서술의 표지로서 계사 동사는 진리 주장의 표지가 될 수 있다. (인도와 스칸다나비아에서 "truth"에 해당하는 단어들이 입증하듯, 선사시대에 이미 그런 표지가 되었다.) 그것이 진리사적 구조에서 진리 주장을 명백히 하는 것에 기여하는 것이 똑같은 그 동사인 이유에 대한 나의 설명이다. It is F는 일상적으로 It is truly F를 시사하기 때문에, is는 혼자서 is true를 의미할 수 있다.

8. 유사한 설명이 존재사 문장들에서 의미론적 연산자로서 einai 용법에 대해 제공될 수 있다. 계사 동사는 (직설법에서 어느 동사든 그렇듯) 그 주어의 현존에 대한 암시적 주장을 담지하기 때문에, 적절히 강조되었을 경우 똑같은 동사가 이러한 주장을 명백하게 만드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그것은 정확히 존재사 문장에서 einai의 그 기능이다. 우리는 이 일이 존재사 문장 유형의 다양성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나는 호메로스에서 그리고 호메로스 이후의 한 유형에서 다섯 가지 존재사 유형을 구별한다.

-蟲-

[19쪽] 진리사 용법을 통해 나는 "is true" 혹은 "is the case, is a fact" 값을 가질 수 있는 einai의 어떤 경우이든 그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좀 더 엄격히 말하자면 진리사적 구조는 특수한 문장 형식이다. 진리사적 구조에서 einai를 포함하는 절은 말이나 생각에 해당하는 동사를 포함하는 비교 절과 관련된다: ἔστι ταῦτα οὕτω ὅπως σὺ λέγεις "Things are as you say (that they are)". 나는 be 동사를 가진 절을 essive(태격) 절이라 부르고, 생각이나 말에 해당하는 명제 태도를 가진 절을 intentional(의도) 절이라 부른다. 관용적으로 두 번째 essive 절의 발생은 통상 무화된다. 따라서 우리는 "Things are as you say"라는 더 단순한 형식을 가진다. 그러나 이 두 번째 essive 절은 진리에 대한 더욱 분명한 철학적 형식들에서 말하기에 해당하는 동사 이후에 등장할 것이다: "To say of what is that it is not, or of what is not that it is, is false; but to say of what is that it is, or of what is not that it is not, is true"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 Γ, 1011b26). 두 번째 Essive 절이 무화되는 관용적 형태에서, 우리는 einai의 구문론적 주어로서, 대화자가 이야기했던 것이 무엇이든 그것을 지시하는, 또한 그에 따라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기저에 놓이는 문장들을 지시하는 대명사 (tauta "these things")를 가진다. 그래서 이러한 진리사적 구조 내에서 einai 구문은 명백히 이차적인데, 기저에 놓이는 einai의 주어가 형식에 있어서 문장과이기에 그러하다. Essive 절에서의 einai 동사는 그 주어로서 기저에 놓이는 문장의 내용, 즉, intentional 절 ("what you say")에서 표현된 주장에 부합하는 사태를 취한다. Essive 절에서 esti의 논리적 기능은 대화자의 주장을 정확히 이러한 사태가 존재한다거나 "현존한다"고, 사물들이 대화자가 그것들이 그러하다 말하는 방식으로 "실제로 그러하다(in reality)"고 단언함으로써 보증하는 것이다. 따라서, 만일 우리가 사태의 실재성을 현존의 특별한 방식으로 생각한다면, 우리는 진리사적 용법을 존재사적 동사의 특수한 경우로 분류할 수 있다. 
  
일차적인 essive 절("Things are this way")에서 esti 구문은 문장 연산자 구문으로 묘사될 수 있는데, 그 동사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기저에 놓인 문장들을 자료 혹은 피연산항으로 취하기 때문이다. 더 정확하게는, 그것이 의미론적 문장 연산자로 기능하는데, 그것이 피연상 문장을 "실제"로(in "reality" 호메로스의 문장들에 대해 그것이 서사시들에서의 근-허구적 실재성이라는 의미에서) 사실로 상정하기 때문이다. 의미론적 연산자로서 기능하는 것이 정확히 einai 동사인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나는 문장적 진리 주장이라는 개념을 도입해야 한다.

-蟲-

  존재사 용법과 진리사 용법에 대한 분석은 더욱 어려워질 것인데, 현존과 진리라는 개념들이 우선적으로 문장 구조가 아니라 그 동사의 의미, 혹은 전체 문장의 의미를 지시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어떻게 이러한 의미를 서술, 존재 그리고 진리라는 언어적 기능들 사이의 관계들을 설명하기 위한 기초로서 합당할 만큼 충분히 정확하게 만드는가 하는 것이다. 나의 전략은 존재사 문장과 진리사 문장에서 그 동사의 논리적 기능을 구체화시키기 위한 도구로서 구문론적 분석을 사용하는 것이었다. 나는 오직 우리가 einai의 이런 다양한 용법들의 구문론적 구조에 대한 정확한 그림을 얻을 때에만 그 용법들의 개념적 관계들에 대한 분명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고 간주한다.

7. 나는 먼저 진리사적 용법을 취하는데, 여기에서의 기초적 구문은 분명하고 균일한 반면, einai의 존재사적 용법은 문장 형식의 곤혹스러운 다양성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진리사적 용법은 (그 동사가 "is true" 혹은 "is the case"를 의미하는 경우) 통계적으로 오히려 드물고, 따라서 그 용법은 존재사적 동사의 특수한 경우로 취급되곤 하였다. 우리는 결국 그러한 취급이 정당화될 수 없음을 보게 될 것이다. 만일 내가 그 대신 이 용법에 고유한 명명을 부여하고 저술 내에 독립된 장을 그것에 할당하였다면, 그것 두 가지 이유에서이다. 첫째로, to be의 이러한 용법은 (So be it 혹은 Tell it like it is 처럼) 존중할 만한 자격을 갖고 있다. To be의 그 의미는 전사적임에 틀림없는데, 인도-유럽 세계 극지에(인도와 스칸다나비아) 속한 언어들에서 진리에 대한 단어는 *es-의 현재 분사의 파생어로써 제공되기 때문이다 (san, satya 등, 그리스어에서 to on와 직접적으로 어원을 같이 하는 단어들. 그래서 또한 고대 영어에서도 sooth라는 단어를 가진다). 진리사적 용법에 대해 내가 독립적인 주의를 기울이는 두 번째 이유는 철학에 대한 einai의 이러한 용법의 근본적인 중요성이다. 지식의 대상으로서 Being이라는 개념을 위해 우선시되는 표현들 중 하나로서 말이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와 마찬가지로 파르메니데스에게 Being(to on)이 여러 가지를 의미할지라도, 그것은 결정적으로 이해의 목표이자 지식의 대상으로서 진리라는 개념을 지적한다.

-蟲-

[17쪽] 이제 만일 우리가 이러한 의미론적 서술 개념을 구체적인 명사들을 주어로 삼는 기초 (일차) 문장들이라는 초기 개념과 결합시킨다면, 우리는 그 문법적 분석이 일부 정의된 존재론적 함축들을 지닌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기술적 대상-언어로서 형성문법에 대한 나의 개념이 적절하게, 개인들과 안정적 대상들을 그 일차적 실체들로, 일차 문장들에 대한 의미론적 주어들로 가지는 유사-아리스토텔레스식 혹은 스트로슨식 존재론을 시사할 것이다. 이것은 어떤 강력한 의미에서의 존재론도 아닌데, 『일리아스』와 『오뒷세이아』에서 나오는 내 예시 문장들에 대한 실재를 재현하는 담론의 세계는 단순히 호메로스 서사시의 그 세계일 따름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세계를 기술하는 기초 문장들은 개인들과 개별물들을 그들의 의미론적 주어들로 삼을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나의 형성문법 사용은 기초 문장들의 두 가지 대안 개념들에 맞서 문제를 제기하는 효과를 지닌다. 내가 거부하는 그 두 가지 관점들은, 한편으로, 경험주의자들이 선호하는 감각-소여 같은 어떤 것을 전달하는 프로토콜-명제, 로크식 단순 관념, 혹은 흄식 인상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데이빗슨주의자가 주장하는 바, 행위와 사건이 구체적 사물만큼이나 동일한 차원에서 기초적인 실체로 간주된다. 나는 John runs 혹은 Socrates is wise를 (언어 외적인) 주어들로서 개별자들을 취하는 기초 문장들로 선택하는 것이 형이상학적으로 정당화된다고 주장하는 게 아니라, 그리스어나 영어와 같은 자연언어에서 문장들의 구문을 분석하기 위해 그것이 더 유용하다는 것만 주장하는 것이다. 그러한 분석에서, 소크라테스의 죽음이나 프랑스 혁명 같은 사건은 의미론적 주어로서 개별자들(소크라테스, 프랑스의 사람들)을 취하는 서술에 의해 표현될 것이다.

6. 우리는 이제 einai 체계의 통일성에 대한 나의 논증을 위한 기초로서 einai의 다양한 용법들을 조사하는 쪽으로 향한다. 이러한 목표를 유념하면서 나는 작금의 조사를 계사, 존재사, 진리사 용법들에 한정한다.
  계사는 엄격히 구문론적 개념이기에, 그러한 용법에 대한 기술은 상대적으로 단적일 수 있다. 우리가 보았듯, 두 종류의 계사 문장이 있다. 명사적 계사는, einai가 서술 형용사와 명사로써 이해되고, 처소격 계사는, 장소에 대한 술어들(in the marketplace, in Athens)로써 이해된다. 처소격 계사의 하위분류는 유사처소격 구조이고, 그 서술 표현은 형식상 처소격이나 그 의미에 있어서는 비유적이다. is in trouble, is in a bad mood. 이러한 문장 형식들 모두 주어로서의 추상적 (명사화된) 형식을 취하는 이차 구문에서 다시 반복된다. Wisdom is a virtue, The outcry was far away, Killing is against the law. 그러한 이차 문장들에 대해 참인 술어가 [18쪽] 그 주어의 현존을 시사하는 원리를 해석할 필요가 있다. 그런 문장들의 추상적 주어에 대해서 현존에 대해 이야기하는 대신, 우리는 아마도 이차 계사 용법에 의해 시사되는 것이 그 기저의 일부 문장에 대해 참이라고 말할 것이다: 만일 이차 문장이 참이라면,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그 기저에 놓이는 일차 문장들은 또한 반드시 참이어야만 한다. 경건이 존재한다고 말하는 것은 누군가가 경건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혁명의 발생은 사람들이 혁명한다는 의미이다.

-蟲-

  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용어 "주어"(hypokeimenon)의 이러한 본래 뜻을 보존하고 싶고, 그건 단지 역사적인 이유 때문만은 아니다. 문장들의 그 주-술 분석에 대한 참된 철학적 관심은 그 분석이 문장들을 넘어서서 세계 내 그 문장들의 주어를 가리킨다는 것이다. 콰인에게서 나온 공식을 바꾸어 표현하자면, 우리는 주-술 문장이 오직 그 술어 표현이 주어 표현이 지시하는 그 대상의 참일 때에만 참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문장에 대해 진리 개념은 언어 외적 서술에 대한 진리 개념을 전제하는데, 언어적 표현들이 "세계 내" 혹은 일부 담론의 세계 내 대상들에 대한 참이라는 점 때문이다. 이런 식으로 참값을 통해 해석된 문장들의 주-술 구조는 의미론적 주어의 현존 개념을 포함한다. (이것은 서술, 진리, 현존 세 가지 용법들이 함께 자리한다는 내 논증의 근간이다.)
  나는 "의미론적"이라는 말을 여기에서, 일부 비언어적 모형, 예를 들면 집합론의 용어로 형식적 구조들에 대한 해석을 제공한다는 의미에서, 논리학 내에서의 형식 의미론적 개념과 유비함으로써 사용한다. 소크라테스에 관한 문장들에 대해 우리의 모형은 집합론이 아니라 고대 그리스의 역사이다. 이 책에서 분석된 호메로스의 문헌들의 경우, 의미론적 해석의 영역은 호메로스 시에서 묘사된 것으로서의 세계, 영웅들과 트로이 전쟁의 사건들일 것이다. 의미론적 해석에 대해 논의의 영역이 역사에 의해 혹은 서사시에 의해 제공되는지 여부는 문제가 아니다. 아킬레스 자신이, 소크라테스 자신이 He died in 399 B.C.라는 문장의 의미론적 주어인 것과 마찬가지로, 『일리아스』에서 여러 문장들의 의미론적 주어이다. 이러한 의미론적 서술 개념은, 문장과 그 문장이 그에 대한 것인 언어 외적 주어 사이의 관계로서, einai의 현존적 용법과 진리적 용법에 대한 우리의 설명에 필요할 것이다.

-蟲-

[15쪽] 일차문장에서 주어 N은 고유명사일 수도 있으나, 또한 인물들이나 개별물들(동물들, 식물들, 장소들 따위)을 지시하는 보통 명사일 수도 있다. 나는 A man speaks, The cat sees the mouse, The tree is tall, 그리고 The tree stands in the yard 같은 문장들을 구문론적으로 일차술어로 헤아린다. 이러한 주어자리 명사들은 또한 술어 위치에서도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일부 이론가들은 어쩌면 이 문장들을 기초적인 것들로 셈해 넣길 선호하지 않을지도 모르고 대신에 그것들을 그 상응하는 술어(is a man, is a cat 따위)로부터 형성적으로 도출해낼 수도 있다. 무엇을 기초적인 것으로 간주할 것인지에 관한 이러한 이론적 논쟁을 피하기 위해, 나는 일차 명사들에 대한 좀 더 너그러운 개념에 의존하려고 한다. 그 명사들은 인물들, 장소들, 특정물들을 지시한다. 일차명사들의 군이 순수하게 문법적인 용어들로 정의될 수 있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다. 여기에서 나는 개별적인 것들을 지시하는 "구체적인" 명사들을 한편에, 명사화된 술어들로부터 구성되는 "추상적인" 명사들을, 예를 들어 (he) is wise로부터 형성적으로 파생된 wisdom이나 (they) cried out으로부터 형성적으로 파생된 outcry 같은 것들을 다른 한편에 놓는 이러한 구별을 단순히 받아들일 따름이다. 그 문장의 구문론적 단계는 그 주어 명사의 단계에 의존할 것이다. 그래서 Socrates is wise는 계사 동사의 일차 용법이다. 다른 한편, Wisdom is a virtue와 The outcry was far away에서 그 계사 구문은 이차적인데, 이러한 문장들이 이차 (추상적) 명사들을 그 주어로 가지기 때문이다.
  일부 설명은 주부와 술부의 용어들을 위한 것이다. 서술은 (be 동사에 대한 언급 없이) 기초적인 명사-동사 문장, John runs 혹은 (플라톤이 이러한 분석을 처음 도입하는 데 사용하는 예시를 들자면) Theaetetus sits 같은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나는 문법적 주어라는 말로 이런 형식의 문장들에서 명사(혹은 명사구)를 의미하고, 문법적 술어로써 나는 그런 문장들에서의 동사 혹은 동사구를 의미한다. 서술로써 내가 의미하는 바는, 무엇보다도, 명사와 동사(혹은 주어와 술어) 사이의 관계, 문장성(-性)을 구성하는 그 관계이다. 여기에서 서술은 순수하게 구문론적 개념으로, 명사-동사 문장에 대해 문장성과 마찬가지이다.
  그래서 처음에 주부와 술부라는 용어들은 구문론적으로 정의되고,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가 onoma와 rhema로서 언급했던 두 가지 문장-성분들과 동일시된다. 그렇지만, 아리스토텔레스가 "주어"(hypokeimenon)를 그의 고유한 서술 이론에 도입하였을 때, 그는 그것을 그 onoma, 명사적 문장-성분에 귀착시키지 않았고, 오히려 해당 문장이 그에 대한 것인 바 대상이나 개별자에 귀착시켰다. 주부라는 용어의 본래 의미는 그래서 암묵적 주어나 논리적 주어로 부르는 것이다. 그 주어는 [16쪽] Socrates died in 399 B.C.라는 문장의 주어가 Socrates라는 이름이 아니라 소크라테스 그 자신이라는 의미에서의 주어이다. 문장의 언어적 부분이 아닌 실체에 대한 "주부"라는 말의 이 본래 (하지만 근대적 관점에서 이차적인) 용법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서술 개념에 본질적이고, 여기에서 그에 대한 분석이 주어질 필요가 있다. 우리는 이미 일차 명사들을 개인들이나 특정한 사물들을 지시하는 것들로 정의하면서 
(언어 외적인) 언급의 대상(subject of reference)이라는 개념에 의존해 왔다. 나는 여기서 "주어"라는 말의 이러한 이중적 의미에 주의를 당부하는데, 왜냐하면 내가 그 두 의미 모두에서 그 말을 체계적으로 사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Socrates died in 399 B.C.라는 문장을 고려할 때, 나는 Socrates를 그 문장의 구문상 혹은 문법적 주어로 부를 것이고, 반면 존재론적 혹은 의미론적 주어인 사람은 소크라테스 그 자신이기 때문이다.

-蟲-

5. 구문론적 기술로 들어가기에 앞서, 언어철학에서 일부 개념들을 차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서술과 현존 개념을 말이다. 이것들은 자료들을 적절히 기술하기 위해서만이 아니라 그 그리스어 체계의 정합성에 대한 나의 논증을 정식화하는 데에도 필요할 것이다. 덧붙여 형성문법이 계사, 존재사, 진리사 용법들을 예화하는 문장유형들에 대한 엄격한 구문론적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 요청된다. 나는 Zellig Harris의, 기초 혹은 핵심 문장들에 대한 이론을 포함하는 형식의 형성 문법을 채택했다. 그 기초 문장들은 그로부터 복합 문장들이 형성될 수 있는 혹은 이 문장들이 저것들로 해체될 수 있는 그런 문장들이다. 기초 문장들에 대한 이 이론은 아리스토텔레스가 『범주론』에서 묘사하는 1차 기술 언어 부류에 대한 현대의 완전히 잘 작동하는 모형을 제공하고, 동시에 Harris의 형성들에 대한 이론은 우리로 하여금 적어도 원칙적으로는 어떻게 언어의 남은 부분들이 그러한 기초 위에 구축될 수 있는지 알게 해준다. 이것은 그러한 형성 문법의 체계에 대한 독립적인 철학적 흥미인 것으로 치고, 문제가 되는 그리스어 동사를 기술하기 위한 그것의 쓰임을 훨씬 넘어서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실질적으로 자연어에서 문장들의 기저에 놓이는 문법적 구조를 재현하는 체계이다. 역으로, 그런 체계는 적절히 문법적인 분석과 『범주론』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적-존재론적 기획 사이의 거리를 분명하게 만들어 준다.
  우리의 구문론적 분석을 위해 우리는 기초 혹은 1차 문장 구조라는 개념을 필요로 한다. 이것은 우리의 형성 문법의 핵심 문장 형식들에 의해 이론적으로 구체화될 것이다. 여기에서, N이 명사를, V가 동사를, A가 형용사를, P가 전치사를 표시하는 몇 가지 단순한 형식들을 나열한다.

1) NV: Socrates walks
2) NVN: Socrates sees Plato
3) N is A: Socrates is wise
4) N is N: Socrates is a man
5) N is PN: Socrates is in the marketplace; Socrates is in trouble

문장 형식 3과 4는 명사 연결 계사를 표현한다; 문장 형식 5는 처소격 계사와 유사처소격 계사를 표현한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