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쪽] 진리사 용법을 통해 나는 "is true" 혹은 "is the case, is a fact" 값을 가질 수 있는 einai의 어떤 경우이든 그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좀 더 엄격히 말하자면 진리사적 구조는 특수한 문장 형식이다. 진리사적 구조에서 einai를 포함하는 절은 말이나 생각에 해당하는 동사를 포함하는 비교 절과 관련된다: ἔστι ταῦτα οὕτω ὅπως σὺ λέγεις "Things are as you say (that they are)". 나는 be 동사를 가진 절을 essive(태격) 절이라 부르고, 생각이나 말에 해당하는 명제 태도를 가진 절을 intentional(의도) 절이라 부른다. 관용적으로 두 번째 essive 절의 발생은 통상 무화된다. 따라서 우리는 "Things are as you say"라는 더 단순한 형식을 가진다. 그러나 이 두 번째 essive 절은 진리에 대한 더욱 분명한 철학적 형식들에서 말하기에 해당하는 동사 이후에 등장할 것이다: "To say of what is that it is not, or of what is not that it is, is false; but to say of what is that it is, or of what is not that it is not, is true"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 Γ, 1011b26). 두 번째 Essive 절이 무화되는 관용적 형태에서, 우리는 einai의 구문론적 주어로서, 대화자가 이야기했던 것이 무엇이든 그것을 지시하는, 또한 그에 따라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기저에 놓이는 문장들을 지시하는 대명사 (tauta "these things")를 가진다. 그래서 이러한 진리사적 구조 내에서 einai 구문은 명백히 이차적인데, 기저에 놓이는 einai의 주어가 형식에 있어서 문장과이기에 그러하다. Essive 절에서의 einai 동사는 그 주어로서 기저에 놓이는 문장의 내용, 즉, intentional 절 ("what you say")에서 표현된 주장에 부합하는 사태를 취한다. Essive 절에서 esti의 논리적 기능은 대화자의 주장을 정확히 이러한 사태가 존재한다거나 "현존한다"고, 사물들이 대화자가 그것들이 그러하다 말하는 방식으로 "실제로 그러하다(in reality)"고 단언함으로써 보증하는 것이다. 따라서, 만일 우리가 사태의 실재성을 현존의 특별한 방식으로 생각한다면, 우리는 진리사적 용법을 존재사적 동사의 특수한 경우로 분류할 수 있다. 
  
일차적인 essive 절("Things are this way")에서 esti 구문은 문장 연산자 구문으로 묘사될 수 있는데, 그 동사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기저에 놓인 문장들을 자료 혹은 피연산항으로 취하기 때문이다. 더 정확하게는, 그것이 의미론적 문장 연산자로 기능하는데, 그것이 피연상 문장을 "실제"로(in "reality" 호메로스의 문장들에 대해 그것이 서사시들에서의 근-허구적 실재성이라는 의미에서) 사실로 상정하기 때문이다. 의미론적 연산자로서 기능하는 것이 정확히 einai 동사인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나는 문장적 진리 주장이라는 개념을 도입해야 한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