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 bleibt also dabei, daß man der ersten Meinung nur schwerlich rechtgeben kann. Die Philosophie muß etwas anderes sein als ein Sammelbecken für unreife Probleme. Sie hat sicher hie und da auch diese Funktion ausgeübt, aber sie ist noch etwas mehr als das.
  또한 여전히, 사람들은 그 첫 번째 견해에 대해서만이라도 거의 인정할 수 없다. 철학은 완결되지 못한 문제들에 대한 저수조와는 다른 어떤 것임에 틀림없다. 철학은 그럼에도 확실히 때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해 왔지만, 여전히 철학은 그 이상의 어떤 것이다.

  Die zweite Meinung behauptet dagegen, daß die Philosophie nie verschwinden wird, auch wenn sich alle möglichen Wissenschaften von ihr loslösen - denn sie ist nach dieser Meinung keine Wissenschaft. Sie erforscht, wie man sagt, das Überrationale - das Unbegreifbare, das über dem Verstand oder wenigstens an seiner Grenze Liegende. Sie hat also mit der Wissenschaft, mit dem Verstand nur wenig Gemeinsames. Ihr Gebiet liegt außerhalb des Rationalen. Philosophieren heißt demnach nicht mit der Vernunft nachforschen, sondern auf irgendeine andere Weise, mehr oder weniger "unvernünftig". Das ist eine heute weit verbreitete Meinung, besonders auf dem europäischen Kontinent - und sie wird unter anderen durch gewisse sogenannte Existenzphilosophen vertreten. Ein ganz extremer Vertreter dieser Richtung ist sicher Professor Jean Wahl, der führende Pariser Philosoph, für welchen es im Grunde keinen wesentlichen Unterschied zwischen Philosophie und Dichtung gibt. Aber auch der bekannte Existenzphiosoph Karl Jaspers dürfte in dieser Beziehung Jean Wahl nahestehen. In der Deutung von Jeanne Hersch, der Genfer Philosophin, ist Philosophie ein Denken an der Grenze zwischen Wissenschaft und Musik; Gabriel Marcel, ein anderer Existenzphilosoph, hat in einem philosophischen Buch direkt ein Stück eigener Musik abdrucken lassen - ohne von den Romanen zu sprechen, die einige heutige Philosophen zu schreiben pflegen.
  두 번째 견해는 그와 반대로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철학은, 설령 모든 가능한 분과학문들이 철학으로부터 분리된다 할지라도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 왜냐하면 철학은 이러한 견해에 따르면 그 어떠한 분과학문도 아니기 때문이다. 철학은, 사람들이 말하듯, 초합리적인 것 - 불가해한 것, 지성을 넘어서는 혹은 최소한 지성의 한계에 자리하는 것을 탐구한다. 그러므로 철학은 학문과, 지성과 단지 약간의 공통분모만을 가진다. 철학은 합리의 외부에 영역을 둔다. 소위 철학함이란 그에 따라 이성으로써가 아니라 오히려 어떤 다른 방식, 다소 "비이성적인" 어떤 방식으로 탐색한다. 그것은 오늘날 널리 퍼진 견해이다, 특히 유럽 대륙에 - 그리고 그 견해는 또 다른 곳에서 소위 실존철학자들을 통해 주장된다. 이러한 주의의 매우 극단적인 지지자의 한 사람은 확실히, 파리의 주요한 철학자인 장 발 교수인데, 그에게 있어서 근본적으로 철학과 문학 사이에는 그 어떠한 본질적인 구별점(차이)도 있지 않다. 그러나 또한 저명한 실존철학자 칼 야스퍼스는 이러한 점에서 장 발과 유사할 듯싶다. 제네바의 여성철학자 잔 허쉬의 설명에서, 철학은 학문과 음악 사이의 경계에서의 사유이다; 또 다른 실존철학자 가브리엘 마르켈은 한 철학적 저술에 자신의 음악의 일부를 직접 게재하였다 - 오늘날 몇몇의 철학자들이 쓰곤하는 소설들에 대해 말하지 않고.

  Auch diese Meinung ist eine respektable philosophische These. Zwar kann man zu ihren Gunsten verschiedenes anführen. Erstens, daß in den Grenzfragen - und das sind meistens philosophische Fragen - der Mensch sich aller seiner Kräfte bedienen muß, also auch des Gemütes, des Willens, der Phantasie - wie ein Dichter. Zweitens, daß die Grundgegebenheiten der Philosophie dem Verstand gar nicht zugänglich sind - man soll sie also mit anderen Mitteln zu erfassen versuchen, inwieweit es geht. Drittens, daß alles, was den Verstand betrifft, schon der einen oder der anderen Wissenschaft angehört. Also bleibt für die Philosophie nur dieses dichterische Denken an der Grenze oder gar ganz jenseits der Grenzen des Verstandes. Man könnte vielleicht noch weitere Gründe dieser Art anführen.
  그럼에도 이러한 견해는 주목할만한 철학적 명제이다. 더욱이 사람들은 그러한 견해에 유리하도록 여러가지 것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로, 한계물음들에 있어서 - 그리고 그것은 대개 철학적인 물음들이다 - 인간이 그의 능력들을 사용해야만 하고, 그러므로 또한 감정, 의지, 상상을 - 마치 작가와 같이 사용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둘째로, 철학의 근본소여들이 지성에 전혀 접근 가능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 사람들은 그 근본소여들을 그러므로, 되도록 매개물들을 가지고 포착하고자 시도해야 할 것이다. 셋째로, 지성에 관련하는 모든 것은 이미 이러저러한 분과학문에 속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철학에는 단지 그 한계에 있어서나 혹은 지성의 한계들을 완전히 넘어서는 이러한 작가적 사유만이 남는다. 사람들은 어쩌면 여전히 이러한 방식에 대한 그 이상의 근거들을 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Gegen diese Ansicht wehren sich aber zahlreiche Denker, unter anderen jene, welche dem Spruch von Ludwig Wittgenstein treu sind: "Wovon man nicht sprechen kann, darüber muß man schweigen." Mit "Sprechen" meint hier Wittgenstein das vernünftige Sprechen, also Denken. Kann man, sagen diese Gegner der dichterischen Philosophie, etwas mit normalen menschlichen Erkenntnismitteln nicht erfassen, das heißt mit dem Verstand, dann kann man es überhaupt nicht erfassen. Der Mensch kennt nur zwei mögliche Methoden, um etwas zu erkennen: entweder den Gegenstand in irgendeiner Weise direkt zu sehen - sinnlich oder geistig - oder aber zu erschließen. Beides ist aber eine Erkenntnisfunktion und im wesentlichen ein Akt des Verstandes. Daraus, daß man etwas liebt, haßt, daß man irgendeine Angst, einen Ekel oder ähnliches erlebt, folgt vielleicht, daß man sich unglücklich beziehungsweise glücklich fühlt - aber darüber hinaus gar nichts. So sagen jene Philosophen und, ich muß mit Bedauern feststellen, sie lachen den Vertretern der anderen Meinung ins Gesicht und sagen, sie seien Schwärmer, Dichter, unernste Menschen.
  그러나 이러한 견해에 반하여 다수의 사상가들은, 저들 중에서도 특히, 루트뷔히 뷔트겐슈타인의 언명에 충실한 사상가들이 저항한다: "사람들이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 그들은 그에 대해 침묵해야만 한다." 여기에서 비트겐슈타인은 "말"로 이성적 언명들, 그러니까 사유들을 의미한다. 작가적 철학의 이러한 반대자들이 말하기로, 사람들이 통상의 인간 인식수단들로써, 즉 소위 지성으로 어떤 것을 파악할 수 없다면, 사람들은 그것을 전혀 파악할 수 없다. 인간은, 어떤 것을 인식하기 위한 오직 두 가지 가능한 방식들만을 안다: 어떤 방식에서 대상을 - 감각적으로 또는 정신적으로 - 직접 보거나 아니면 추론하는 것이다. 그러나 양자 모두 인식기능이고 본질적으로 지성의 활동이다. 사람들이 어떤 것을 사랑하는 일, 증오하는 일, 사람들이 어떤 근심을, 혐오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경험하는 일로부터, 아마도, 사람들이 불행하게 내지는 요행으로 느끼는 것이 뒤따를 것이다 - 그러나 그 외에 이상의 아무것도 뒤따르지 않는다. 저 철학자들은 그렇게 말하며, 나는 유감스럽게도, 그들이 역사 속 또 다른 견해의 지지자들을 비웃고, 그들을 몽상가, 작가, 진실하지 못한 인간들이라고 말하는 것을 확인해야만 한다.

  Ich will mich hier in die Diskussion der Frage nicht einlassen - wir werden noch später dazu Gelegenheit haben. Eines möchte ich jedoch bemerken. Sehen wir uns die Geschichte der Philosophie an - vom alten Griechen Thales bis auf Merleau-Ponty und auf Jaspers, so finden wir immer und immer wieder, daß der Philosoph die Wirklichkeit zu erklären versucht hat. Erklären heißt aber, den zu erklärenden Gegenstand vernünftig - mit Hilfe des Verstandes - zu deuten. Auch jene, die sich am schroffsten gegen den Gebrauch des Verstandes in der Philosophie gewehrt haben - wie Bergson zum Beispiel -, haben es immer so getan. Der Philosoph, so scheint es wenigstens, ist einer, der vernünftig denkt, der versucht, Klarheit - das heißt Ordnung, und das heißt wiederum Verstand - in die Welt und in das Leben zu bringen. HIstorisch gesehen - das heißt in dem, was die Philosophen wirklich getan haben, nicht in dem, was sie über ihre Arbeit sagten -, war die Philosophie im großen und ganzen eine vernünftige, eine wissenschaftliche Tätigkeit, eine Lehre, nicht eine Dichtung. Hie und da waren Philosophen auch dichterisch begabt: so Platon, so der heilige Augustinus - und, wenn man mit den Großen einen zeitgenössischen Schriftsteller vergleichen darf, Jean-Paul Sartre, der ein paar gute Theaterstücke geschrieben hat. Das alles scheint aber bei ihnen eher ein Mittel der Mitteilung des Gedankens gewesen zu sein. In ihrem Wesen ist die Philosophie, wie gesagt, immer eine Lehre, eine Wissenschaft gewesen.
  나는 그 물음에 대한 논의에 개입하지 않길 바란다 - 그럼에도 우리는 이후에 그에 대한 기회를 가질 것이다. 그럼에도 나는 한 가지 것은 언급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철학의 역사를 고찰한다 - 고대 그리스인 탈레스로부터 메를로-퐁티와 야스퍼스에 대해서까지, 그래서 우리는 거듭 되풀이하여, 철학자는 진실을 밝혀내고자 시도해 왔다는 것을 깨닫는다. 그러나 해명이란 해명할 대상을 이성적으로 - 지성의 도움으로써 - 지시하는 것을 말한다. - 베르그송처럼 - 철학에 있어서 지성의 사용에 반대하여 가장 냉혹하게 반대해 온 저들 또한 언제나 그 일을 그렇게 해 왔다. 철학자는, 적어도 보이는 바로는, 이성적으로 사유하는 사람, 분명함을 - 소위 질서를, 또 다시 말하자면 지성을 - 세계와 삶 속으로 이끌고자 시도하는 사람이다. 역사적으로 - 그것을 말하자면, 그들이 그들의 일에 대해서 말한 것에 있어서가 아니라 철학자들이 실제로 행해온 일에 있어서 - 보자면, 철학은 모든 면에서 이성적, 학문적 활동이었고, 소설이 아니라 학설이었다. 때론 철학자들도 문학적으로 되었다: 플라톤이 그러하였고, 성 아우구스티누스 - 그리고, 사람들이 그 대가들과 동시대의 문인을 비교해야 한다면, 매우 훌륭한 희곡을 작성한 장-폴 사르트르가 그러하였다. 그러나 그 모든 것은 그들에게 있어서 더욱 먼저 사상의 전달 매개체인 것이었다. 그것들에 있어서 본질은 철학이었고, 이야기되는 것처럼, 언제나 학설이었으며, 하나의 학문이었다.

 -蟲-
  Die Philosophie ist eine Angelegenheit, die nicht nur den Fachmann angeht, denn so merkwürdig es auch aussehen könnte: es gibt wahrscheinlich keinen Menschen, der nicht philosophiert. Oder wenigstens hat jeder Mensch Augenblicke in seinem Leben, in welchen er zum Philosophen wird. Das ist vor allem von unsern Naturwissenschaftlern, von Historikern und von den Künstlern wahr. Sie alle pflegen früher oder später sich mit Philosophie zu beschäftigen. Ich sage freilich nicht, daß damit der Menschheit ein bedeutender Dienst geleistet ist; die Bücher der philosophierenden Laien - seien sie auch berühmte Physiker, Dichter oder Politiker - sind gewöhnlich schlecht, sie enthalten nur zu oft eine kindlich-naive und meistens falsche Philosophie. Das ist aber hier Nebensache. Das Wichtige ist, daß wir alle philosophieren und, wie es scheint, schon philosophieren müssen.
  아주 유별나게 보지 않는다면 철학이 오직 전문가에게만 관련이 있는 문제는 아니다. 즉 철학하지 않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아니면 적어도 각각의 인간은 그들의 삶 속에서 그가 철학자가 되는 순간들을 갖는다. 그 점은 무엇보다도 우리의 자연과학자들, 역사가들과 예술가들에 대해서 참이다. 그들은 모두 늦든 이르든 철학에 몰두하곤 한다. 물론 내가 그로써 인류에 대한 매우 중요한 일이 수행된다고 말하지는 않는다. 철학하는 일에 대해 문외한인 이들의, 그저 이따금 유치하고 대체로 그릇된 철학을 포함하는 책들은 - 그들이 설령 유명한 물리학자, 작가 또는 정치가일지라도 - 보통 수준에 못 미친다. 그러나 그건 여기에서 사소한 일이다. 중요한 것은 우리 모두가 철학한다는 것, 그리고 틀림없이 철학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Und deshalb ist auch für alle die Frage wichtig: Was ist eigentlich Philosophie? Leider ist dies eine der schwierigsten philosophischen Fragen. Ich kenne nur wenige Worte, die so viele Bedeutungen haben wie das Wort "Philosophie". Gerade vor einigen Wochen habe ich in Frankreich einem Kolloquium führender europäischer und amerikanischer Denker beigewohnt. Sie alle sprachen von Philosophie, verstanden aber darunter ganz und gar Verschiedenes. Wir wollen uns die verschiedenen Deutungen näher ansehen und dann versuchen, in diesem wahren Gewimmel von Definitionen und Ansichten einen Weg zum Verständnis zu finden.
  그러므로 또한 모든 이들에게 "본래적인 철학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이 중요하다. 안타깝게도 이 물음은 가장 까다로운 철학적 물음들 중 하나이다. 나는 "철학"이라는 말만큼 그렇게 많은 의미들을 지니는 그런 단어를 거의 알지 못한다. 바로 몇 주 전 나는 프랑스에서 주요한 유럽/미국 사상가들의 토론회에 참석했다. 그들 모두는 철학에 대해서 이야기하지만, 그 아래에서 전적으로 전혀 다른 것을 파악한다. 우리는 그 상이한 의미들을 더 상세히 살펴보고, 정의들과 견해들의 이 진정한 혼잡 속에서 이해를 향한 길을 발견하는 일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Es gibt nun zuerst eine Ansicht, nach welcher die Philosophie ein Sammelbegriff für alles wäre, was noch nicht wissenschaftlich behandelt werden kann. Dies ist zum Beispiel die Ansicht von Lord Bertrand Russell und von vielen positivistischen Philosophen. Sie machen uns darauf aufmerksam, daß bei Aristoteles Philsophie und Wissenschaft dasselbe bedeuteten und daß später die einzelnen Wissenschaften sich aus der Philosophie losgelöst haben: zuerst die Medizin, dann die Physik, später die Psychologie, zuletzt sogar die Formale Logik selbst, welche, wie bekannt, heute meistens an den mathematischen Fakultäten gelehrt wird. Oder, anders ausgedrückt, es gebe überhaupt keine Philosophie in dem Sinne, wie es zum Beispiel eine Mathematik gibt, mit ihrem besonderen Gegenstand. Einen solchen Gegenstand der Philosophie gebe es nicht. Man bezeichne damit lediglich gewisse Versuche, verschiedenartige, noch unreife Probleme zu klären.
  이제 처음으로 한 가지 견해가 있다, 그에 따르면 철학이 모든 것에 대한 총체개념일, 아직 분과학문적으로 다루어질 수 없는. 이것은 예를 들어 버트란드 러셀 경과 여러 실증주의 철학자들의 견해이다. 그들은 우리로 하여금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서 철학과 과학(학문)이 동일한 것을 의미하였다는 것과 그 이후 개별적인 (분)과학(문)들이, 즉 오늘날 대개 이과 대학들에서 교육되는 학문들인 의학, 그리고 자연학, 다음으로 심리학, 끝으로 형식 논리학 그 자체도, 철학으로부터 분리되었다는 점에 대해 주의를 환기시킨다. 혹은 달리 말하면 예를 들어 수학과 같은 그런 의미에서 그 특수한 대상을 가진 어떠한 철학도 없을 것이다. 철학의 그러한 대상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사람들은 그로써 다만 특정한 시도, 다양하지만 불완전한 문제들을 명확하게 하는 시도를 가리킨다.

  Dies ist ganz gewiss ein interessanter Standpunkt, und die angeführten Argumente sehen zuerst überzeugend aus. Sieht man sich aber die Sache etwas näher an, dann erheben sich ganz große Zweifel. Denn, erstens, wäre es so, wie jene Philosophen sagen, dann sollten wir heute weniger Philosophie haben als etwa vor tausend Jahren. Das ist aber sicher nicht der Fall. Philosophie gibt es heute nicht weniger, sondern eher mehr als je. Und ich meine nicht nur der Zahl der Denker nach - es werden deren heute etwa zehntausend sein -, sondern auch der Zahl der behandelten Probleme nach. Vergleicht man die Philosophie der alten Griechen mit der unseren, so sieht man, daß wir uns im zwanzigsten Jahrhundert nach Christus bedeutend mehr Fragen stellen als die Griechen gekannt haben.
  이것은 완전히 분명하게 하나의 흥미로운 입장이고, 그 언급된 논증들은 우선 설득력있어 보인다. 그러나 사람들은 그 사태를 어느 정도 더 가까이서 관찰하고, 그리고서 훨씬 커다란 의심을 품는다. 왜냐하면, 처음에, 그렇다면, 저 철학자들이 말하는 것과 같이, 그래서 우리는 오늘날 수 천 년 앞선 것보다 더 적은 철학들을 가져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정은 확실히 그렇지 않다. 오늘날 철학은 더 적지 않고, 오히려 훨씬 더 많다. 그리고 나는 단지 사상가들의 수에 따라서가 아니라 - 그 수는 거의 수만이 될 것이다 -, 오히려 다루어지는 문제들의 수에 따라 생각한다. 사람들이 고대 그리스의 철학을 우리의 철학과 비교하여, 그렇게 사람들은, 기원 후 20세기에 우리가 그리스 인들이 알고 있었던 것보다 훨씬 더 많은 물음들을 던지고 있음을 본다.

  Zweitens ist es schon wahr, daß verschiedene Disziplinen sich von der Philosophpie im Laufe der Zeit losgelöst haben. Das Auffallende ist aber dabei, daß dann, wenn eine solche spezielle Wissenschaft sich verselbständigte, fast gleichzeitig eine parallele philosophische Disziplin entstand. So zum Beispiel in den letzten Zeiten, als sich die formale Logik von der Philosophie trennte, entstand gleich eine weit verbreitete und heiß diskutierte Philosophie der Logik. Über sie wird heute zum Beispiel in den Vereinigten Staaten Nordamerikas vielleicht mehr geschrieben und diskutiert als über die rein logischen Fragen, obwohl dieses Land gerade in der Logik führend ist - oder gerade deswegen. Die Tatsachen zeigen, daß die Philosophie, anstatt durch die Entwicklung der Wissenschaften abzusterben, noch lebendiger und reicher wird.
  두 번째로, 상이한 분과학문들이 시대의 흐름 속에서 철학으로부터 떨어져 나왔다는 것은 확실히 참이다. 그러나 그 분리와 함께, 그러한 특수 학문이 독립한 이후, 거의 동시에 하나의 대응하는 철학적 분과가 발생했던 것이다. 그래서 예를 들어, 철학으로부터 형식 논리학이 갈라선 최근에, 동시에 널리 퍼지고 열렬히 논의된 논리학에 대한 철학(논리철학)이 발생하였다. 예를 들어 오늘날 미합중국에서는, 비록 이 국가가 특히 논리학에 있어서 선도적이라 할지라도 - 혹은 바로 그렇기 때문에, 그러한 철학에 대해 순수 논리적 물음들에 대한 것 보다도 훨씬 더 많은 것이 기술되고 논의된다. 그 사실들은, 철학이, 학문들의 전개를 통하여 소멸하는 대신에, 더욱 생생하고 풍요롭게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Und endlich eine boshafte Frage an jene, die meinen, es gäbe keine Philosophie: Im Namen welcher Disziplin, welcher Wissenschaft wird diese Behauptung aufgestellt? Schon Aristoteles hielt den Gegnern der Philosophie folgendes vor: entweder - sagte er - soll man philosophieren oder man soll nicht philosophieren; wenn man aber nicht philosophieren soll, dann nur im Namen einer Philosophie. Also auch wenn man nicht philosophieren soll, muß man doch philosophieren. Und dies ist noch heute wahr. Nichts ist amüsanter als die Sicht vermeinter Feinde der Philosophie, die großartige philosophische Argumente anführen, um zu zeigen, daß es keine Philosophie gibt.
  그리고 끝으로, 어떠한 철학도 있지 않으리라는 것이라 주장하는 이들에게 짓궂은 물음이 있다: 어떤 학과, 어떤 분과학문의 이름 안에서 이러한 주장이 제시되는가? 이미 아리스토텔레스는 다음과 같이 철학의 반대자들에 맞섰다. - 그가 말했던 것으로 - 사람들은 철학을 해야 하거나 철학을 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만약 사람들이 철학을 하지 않아야 한다면, 오직 철학이라는 이름 안에서 그러할 것이다. 그러므로 또한 사람들이 철학을 하지 않아야 한다면, 사람들은 철학을 해야만 한다. 그리고 이것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참이다. 그 어떠한 철학도 없음을 보여주기 위해 웅대한 철학적 논증을 언급하는 자들, 철학의 그 잘못된 적들의 전망보다 더 놀라운 것은 아무것도 없다.

-蟲-
ᾧ δ᾿ ἐθέλῃ, μεγάλως παραγίνεται ἠδ᾿ ὀνίνησιν·

ἔν τ᾿ ἀγορῇ λαοῖσι μεταπρέπει, ὄν κ᾿ ἐθέλῃσιν·

ἠδ᾿ ὁπότ᾿ ἐσ πόλεμον φθισήνορα θωρήσσωνται
ἀνέρες, ἔνθα θεὰ παραγίνεται, οἷς κ᾿ ἐθέλῃσι
νίκην προφρονέως ὀπάσαι καὶ κῦδος ὀρέξαι.

ἔν τε δίκῃ βασιλεῦσι παρ᾿ αἰδοίοισι καθίζει,
ἐσθλὴ δ᾿ αὖθ᾿ ὁπότ᾿ ἄνδρες ἀεθλεύωσ᾿ ἐν ἀγῶνι·

ἔνθα θεὰ καὶ τοῖς παραγίνεται ἠδ᾿ ὀνίνησι·

νικήσας δὲ βίῃ καὶ κάρτει, καλὸν ἄεθλον
ῥεῖα φέρει χαίρων τε, τοκεῦσι δὲ κῦδος ὀπάζει.

ἐσθλὴ δ᾿ ἱππήεσσι παρεστάμεν, οἷς κ᾿ ἐθέλῃσιν·

καὶ τοῖς, οἳ γλαυκὴν δυσπέμφελον ἐργάζονται,
εὔχονται δ᾿ Ἑκάτῃ καὶ ἐρικτύπῳ Ἐννοσιγαίῳ,
ῥηιδίως ἄγρην κυδρὴ θεὸς ὤπασε πολλήν,
ῥεῖα δ᾿ ἀφείλετο φαινομένην, ἐθέλουσά γε θυμῷ.

ἐσθλὴ δ᾿ ἐν σταθμοῖσι σὺν Ἑρμῇ ληίδ᾿ ἀέξειν·

βουκολίας δὲ βοῶν τε καὶ αἰπόλια πλατέ᾿ αἰγῶν
ποίμνας τ᾿ εἰροπόκων ὀίων, θυμῷ γ᾿ ἐθέλουσα,
ἐξ ὀλίγων βριάει κἀκ πολλῶν μείονα θῆκεν.

οὕτω τοι καὶ μουνογενὴς ἐκ μητρὸς ἐοῦσα
πᾶσι μετ᾿ ἀθανάτοισι τετίμηται γεράεσσι.

θῆκε δέ μιν Κρονίδης κουροτρόφον, οἳ μετ᾿ ἐκείνην
ὀφθαλμοῖσιν ἴδοντο φάος πολυδερκέος Ἠοῦς.

οὕτως ἐξ ἀρχῆς κουροτρόφος, αἳ δέ τε τιμαί.


-작성중-
obscurata diu populo bonus eruet atque
proferet in lucem speciosa vocabula rerum,
quae priscis memorata Catonibus atque Cethegis
nunc situs informis premit et deserta vetustas;
asciscet nova, quae genitor produxerit usus.
훌륭한 시인이 백성에게서 오랫동안 잊혀진,
사물의 아름다운 그 말들을 발굴해낼 것이고 또한 빛으로 이끌 것이다,
고대의 카토와 또한 케테구스 의해 언급되는
* 카토: 로마의 보수적인 사람의 대명사. 케테구스: 로마의 고어 애호가.
지금은 보기 흉한 방치와 오랜 시대가 피폐하게 내친 말들을;
그 시인은 새로운 말들을, 아버지인 쓰임이 그것들을 내놓을 말들을 적용시킬 것이다.
vehemens et liquidus puroque simillimus amni
fundet opes Latiumque beabit divite lingua.
강렬하고 선명하며 순수한 강을 닮은 그는
풍요로운 언어로 역작들을 쏟아내고 라틴어를 살찌울 것이다.
luxuriantia compescet, nimis aspera sano
levabit cultu, virtute carentia tollet.
과장된 것을 제한할 것이고, 지나치게 거친 것들을 건전한
세련으로 순화할 것이고, 덕을 잃은 단어를 제거할 것이다.
ludentis speciem dabit et torquebitur, ut qui
nunc Satyrum, nunc agrestem Cyclopa movetur.
연극의 겉모습을 줄 것이고 고통받을 것이다,
한 때는 사튀르를, 또 한 때는 촌스러운 퀴클롭스를 움직이게 되는 자처럼.

-蟲-
mox etiam, si forte vacas, sequere et procul audi
quid ferat et quare sibi nectat uterque coronam.
그렇지만 다음으로, 만일 당신이 시간이 빈다면, 따라와 [떨어져] 들으시오
그 둘 각자가 무엇을 할는지 그리고 어떤 식으로 그들 자신(서로)을 위해 화환을 엮을는지.
sequere: sequor. follow. s.2.impr.
procul: away. adv.
nectat: necto. tie, bind. s.3.subj.

caedimur et totidem plagis consumimus hostem
lento Samnites ad lumina prima duello.
우리들, 삼니움인들은 (스스로) 패배하고 같은 수의 매질로 적을 해치운다
끈질긴 전쟁에서 첫번째 빛들(이 비칠 때)까지.
caedimur: caedo. chop, hew, cut out.
totidem: as many; just so/as many.
plagis: plaga. stroke, tract, open expanse of country, wep.
lento: lentus. clinging, lazy,

discedo Alcaeus puncto illius: ille meo quis?
저 사람의 낙점으로 나는 알카이우스로(~가 되어) 떠났다: 저 자는 나의 판단으로 누가 되는가?
puncto: punctum. a vote.

quis nisi Callimachus? si plus apposcere visus,
fit Mimnermus et optivo cognomine crescit.
칼리마쿠스가 아니면 누구겠는가? 만일 더 많은 것을 요구하는 듯하다면,
그는 밈네르무스가 될 것이고 원하던(선택된) 이름으로 우쭐할 것이다.

multa fero, ut placem genus irritabile vatum,
cum scribo et supplex populi suffragia capto;
나는 많은 일들을 한다, 예언가(시인)들의 예민한(신경질적인) 족속을 달래기 위하여(달랠 때),
내가 (시를)쓰면서 탄원자로서 사람들의 (후한)평가들을 바랄 때;

idem, finitis studiis et mente recepta,
obturem patulas impune legentibus auris.
idem(그러나, 그런 사람이-그런 내가), 끝을 낸 열망과 되돌려진 정신으로([그러한]열망을 끝내고 정신을 차려),
겁없이 낭송하는 이들에게서 열린 두 귀를 막을 것이다.

-蟲-

P.S. procul. (at Oxford Latin Dictionary(1968))
                  1. in a position some distance away, some way off, away.
                     b. in a position apart from others, apart.
                     c. to a position some way off, apart.
                  2. a great way off, far away, far.
                     b. (w. wbs. of perceiving).
                     c. to a great distance, far away.
                  3. at a distant time (past or future).
                     b. into a distant time.
                  4. (fig.) far (from a condition or situation).
                     b. ~(ab)est ut. it can hardly be that; haud, etc.,
                         ~est quin, it is not far from the situation that.
                  5. far (from connection or association with someone or something).
                  6. far (in quality or degree); ~dubio, without doubt.
                     b. (w. compar.) far.

P.S.2. idem. (at A Latin Dictionary. Charlton T. Lewis, Charles Short)
I. masc. eidem , freq. in MSS. and inscrr.; v. Lachm. ad Lucr. 1, 120; rarely isdem or eisdem ; plur. nom. eidem; dat. and abl. eisdem; usu. contr. idem, isdem; not iidem, iisdem; v. Neue, Formenl. 2, 198 sqq.), pron. [from the pronom. root I, whence is, and the demonstr. suff. dem; root of dies, day, time; hence, just, exactly, Corss. Aussp. 2, 855], the same.
II. In partic., idem is used,
A. When two predicates are referred to the same subject.
1. When the predicates are of the same kind it may often be rendered, at the same time, likewise, also, etc., or = is (ea, id) with quoque, etiam, simul, etc.:
2. When the predicates are in contrast with one another it may be rendered, nevertheless, yet, on the contrary:
B. Esp.
1. Connected or corresp. with the pronouns ego, tu, hic, ille, iste, qui, and with unus
2. As a word of comparison, with et, ac, que, ut, qui (quae, quod), quam, quasi, cum, or (mostly poet.) with the dat., the same as, identical with, of the same meaning as, etc.
τὴν μὲν Πήγασος εἷλε καὶ ἐσθλὸς Βελλεροφόντης·
한 편 페가소스와 훌륭한 벨레로폰테스가 그 키마이라를 잡았다:

ἡ δ᾿ ἄρα Φῖκ᾿ ὀλοὴν τέκε Καδμείοισιν ὄλεθρον,
Ὄρθῳ ὑποδμηθεῖσα, Νεμειαῖόν τε λέοντα,
τόν ῥ᾿ Ἥρη θρέψασα Διὸς κυδρὴ παράκοιτις
γουνοῖσιν κατένασε Νεμείης, πῆμ᾿ ἀνθρώποις.
다른 한편 카드메이오스인들에게 죽음인 파멸의 스핑크스를 낳고,
오르쏘스에게 굴복당하여, 네메이오스 사자를 낳고,
그 사자를 제우스의 활발한 아내 헤라가 길러
네메아의 위에 정주시켰다, 인간들에게 해를 끼치도록.
ὑποδμηθεῖσα: ὑπόδαμάζω
 
ἔνθ᾿ ἄρ᾿ ὅ γ᾿ οἰκείων ἐλεφαίρετο φῦλ᾿ ἀνθρώπων,
κοιρανέων Τρητοῖο Νεμείης ἠδ᾿ Ἀπέσαντος·
그곳에서 그 사자는 살면서 인간들을 파멸시키곤 하였다,
네메아의 네메트레토스 사과 아페산토스 산을 지배하면서:
ἐλεφαίρετο: έλεφαίρομαι. LSJ.532.Ⅱ. he used to destroy them.
Τρητοῖο: perforated, with a hole in it.
Ἀπέσαντος: ἀπό-ἵζω. 앞으로 나와 앉은.

ἀλλά ἑ ἲς ἐδάμασσε βίης Ἡρακληείης.
그러나 그 사자를 강력한 헤라클레스의 힘이 제압하였다.

  Κητὼ δ᾿ ὁπλότατον Φόρκυι φιλότητι μιγεῖσα
γείνατο δεινὸν ὄφιν, ὃς ἐρεμνῆς κεύθεσι γαίης
πείρασιν ἐν μεγάλοις παγχρύσεα μῆλα φυλάσσει.
  그리고 케토는 포르퀴스와 사랑으로 교합하여 가장 어린 것을
무서운 뱀을 낳았다, 그 뱀은 어두운 대지의 구렁에
거대한 끝에서 순금 양들을 지키고 있다.
μιγεῖσα: μίγνυμι. mix, mingle.

  τοῦτο μὲν ἐκ Κητοῦς καὶ Φόρκυνος γένος ἐστί.
  한 편으로 이것이 케토와 포르퀴스로부터 있는 자손이다.

  Τηθὺς δ᾿ Ὠκεανῷ ποταμοὺς τέκε δινήεντας,
Νεῖλόν τ᾿ Ἀλφειόν τε καὶ Ἠριδανὸν βαθυδίνην,
Στρυμόνα Μαίανδρόν τε καὶ Ἴστρον καλλιρέεθρον
Φᾶσίν τε Ῥῆσόν τ᾿ Ἀχελῷόν τ᾿ ἀργυροδίνην
Νέσσόν τε Ῥοδίον θ᾿ Ἁλιάκμονά θ᾿ Ἑπτάπορόν τε
Γρήνικόν τε καὶ Αἴσηπον θεῖόν τε Σιμοῦντα
Πῃνειόν τε καὶ Ἕρμον ἐυρρείτην τε Κάικον
Σαγγάριόν τε μέγαν Λάδωνά τε Παρθένιόν τε
Εὔηνόν τε καὶ Ἀλδῆσκον θεῖόν τε Σκάμανδρον·
  다른 한 편 오케아노스와 테튀스는 소용돌이치는 강들을,
네일로스와 말페이오스와 또 깊이 소용돌이치는 헤리아노스를
스트뤼몬과 마이안드로스와 또 아름답게 흐르는 이스트로스를
파시스와 레헤소스와 할리아크몬과 헾타포로스와
그레니코스와 또 신적인 아이세포노스와 시모에이스와
페에네이오스와 잘 흐르는 헤르모스와 카이코스를
상가리오스와 거대한 라도온과 파르테니오스와
에우에에노스와 또 신적인 알데에스코스와 스카만드로스를 낳았다.
Φᾶσίν: φημί.
Σιμοῦντα: σιμόω. turn up the nose.
Σαγγάριόν: maker.
Παρθένιόν: maidenly.
Ἀλδῆσκον: ἀλδήσκω. grow.

τίκτε δὲ Κουράων ἱερὸν γένος, αἳ κατὰ γαῖαν
ἄνδρας κουρίζουσι σὺν Ἀπόλλωνι ἄνακτι
καὶ ποταμοῖς, ταύτην δὲ Διὸς πάρα μοῖραν ἔχουσι,
Πειθώ τ᾿ Ἀδμήτη τε Ἰάντη τ᾿ Ἠλέκτρη τε
Δωρίς τε Πρυμνώ τε καὶ Οὐρανίη θεοειδὴς
Ἱππώ τε Κλυμένη τε Ῥόδειά τε Καλλιρόη τε
Ζευξώ τε Κλυτίη τε Ἰδυῖά τε Πασιθόη τε
Πληξαύρη τε Γαλαξαύρη τ᾿ ἐρατή τε Διώνη
Μηλόβοσίς τε Θόη τε καὶ εὐειδὴς Πολυδώρη
Κερκηίς τε φυὴν ἐρατὴ Πλουτώ τε Βοῶπις
Περσηίς τ᾿ Ἰάνειρά τ᾿ Ἀκάστη τε Ξάνθη τε
Πετραίη τ᾿ ἐρόεσσα Μενεσθώ τ᾿ Εὐρώπη τε
Μῆτίς τ᾿ Εὐρυνόμη τε Τελεστώ τε κροκόπεπλος
Χρυσηίς τ᾿ Ἀσίη τε καὶ ἱμερόεσσα Καλυψὼ
Εὐδώρη τε Τύχη τε καὶ Ἀμφιρὼ Ὠκυρόη τε
καὶ Στύξ, ἣ δή σφεων προφερεστάτη ἐστὶν ἁπασέων.
그런데 그 처녀들 중 신성한 종족을 낳았다, 그 처녀들은 대지 아래에서
사내들을 주인되는 아폴론과 그리고 강들과 함께 청년으로 키운다,
제우스의 이 영역을 나누어 받았다,
페이쏘와 아드메테와 이안테와 엘렉트레와
도리스와 프뤼므노와 또 신의 모습을 한 우라니아와
히포와 클뤼메네와 로데이아와 칼리로에와
케욱소와 클뤼티에와 이뒤이아와 파시토에와
플렉사우레와 갈락사우레와 사랑스러운 디오네
멜로포이시스와 토에와 잘생긴 폴뤼도오레에
케르케이스와 몸매에 있어서 사랑스러운 플루토오와 보오오피스
페르세이스와 이아네이라와 아카스테와 크산테와
페트라이에와 매력적인 메네스토와 에우로페와
메티스와 우뤼노메와 노란 베일을 한 텔레스토와
크뤼세이스와 아시에와 또 욕망을 불러일으키는 칼륍소
에우도레와 튀케와 또 암피로 오퀴로에와
스튁스, 그녀들 모두보다 가장 앞서 나온.
Ἀδμήτη: ἄδμητος. unbroken.
Πρυμνώ: πρυμνὸς. hindmost, undermost, end-most.
Κλυμένη: famous or infamous.
'Ρόδειά: ῥόδειος. of roses.
Καλλιρόη: καλλίρροος. beautiful-flowing.
Ἰδυῖά: see.

Ὠκυρόη: ὠκῠροος. swift-flowing.

-蟲-
clarus ob id factum donis ornatur honestis,
accipit et bis dena super sestertia nummum.
그 일로 인하여 유명하게 된 그는 영광의 선물[전리품 or 훈장]로 치장되고,
그리고 또한 20,000 세스테르티우스의 돈을 받는다.

forte sub hoc tempus castellum evertere praetor
nescio quod cupiens, hortari coepit eundem
verbis quae timido quoque possent addere mentem:
이 이후 무엇인지[어딘지] 모를 강력한 요새를 무너뜨리기를 바라는 집정관이,
[또는 forte를 '우연히'라는 부사로]
동일한 자를 격려하기 시작한다
어떤 소심한 자에게라도 용기를 북돋을 수 있을 그러한 말로:

'i, bone, quo virtus tua te vocat, i pede fausto,
grandia laturus meritorum praemia. quid stas?'
'가라, 훌륭한 자여, 그대의 용기가 그대를 이끄는 곳으로, 순조로운 걸음으로 가라[선선히 나아가라],
성과[전공]들에 대한 상찬들을 받도록. 어째서 멈추어 서는가?'

post haec ille catus, quantumvis rusticus, 'ibit,
ibit eo quo vis qui zonam perdidit' inquit.
이 다음 저, 촌스럽지만, 영리한 자는 '가겠지,
갈 테지, 그대가 바라는 그 곳으로 돈주머니를 잃은 자는' 이라고 말한다.


  Romae nutriri mihi contigit atque doceri
iratus Grais quantum nocuisset Achilles.
  나는 우연히 로마에서 양육되었고 또한 배울 수 있었다
분노한 아킬레우스가 그리스를 얼마나 크게 해하였는지.

adiecere bonae paulo plus artis Athenae,
scilicet ut vellem curvo dinoscere rectum
atque inter silvas Academi quaerere verum.
아름다운 아테네는 조금 더 많은 학문의 기술을 더해주었다,
알다시피, 내가 굽은 것으로부터 바른 것을[곡선으로부터 직선을] 분간하기를 바라도록
(윤리적 해석 or '기하학'에 대한 은유)
그리고 아카데무스의 숲들 사이에서 진리를 추구하도록.
(변증 or 논리학. 당시 아카데미아의 회의주의적 성격을 고려)

-蟲-
Νηρῆος δ᾿ ἐγένοντο μεγήριτα τέκνα θεάων 네레우스에게서 신들의 무수한 자식들이 태어났고,
πόντῳ ἐν ἀτρυγέτῳ καὶ Δωρίδος ἠυκόμοιο, 불모의 바다에서 아름다운 머릿결의 도리스,
κούρης Ὠκεανοῖο τελήεντος ποταμοῖο,  오케아노스의 딸인 완전한 강,
Πρωθώ τ᾿ Εὐκράντη τε Σαώ τ᾿ Ἀμφιτρίτη τε 프로쏘와 에우크란테와 사오와 암피트리테와
Εὐδώρη τε Θέτις τε Γαλήνη τε Γλαύκη τε, 에우도레와 테티스와 갈레네와 글라우케와,
Κυμοθόη Σπειώ τε θοὴ Θαλίη τ᾿ ἐρόεσσα 퀴모토에 스페이오와 토에 사랑스런 탈리에와
Πασιθέη τ᾿ Ἐρατώ τε καὶ Εὐνίκη ῥοδόπηχυς  파시테에와 에라토와 그리고 에우니케와 로도페퀴스와
καὶ Μελίτη χαρίεσσα καὶ Εὐλιμένη καὶ Ἀγαυὴ 또 우아한 멜리테도 에우리메네와 아가우에도
Δωτώ τε Πρωτώ τε Φέρουσά τε Δυναμένη τε 도토와 프로토와 테루사와 뒤나메네와
Νησαίη τε καὶ Ἀκταίη καὶ Πρωτομέδεια, 네사이에와 또 아크타이에와 프로토메데이아,
Δωρὶς καὶ Πανόπη καὶ εὐειδὴς Γαλάτεια 도리스와 파노페와 어여쁜 갈라테이아
Ἱπποθόη τ᾿ ἐρόεσσα καὶ Ἱππονόη ῥοδόπηχυς 사랑스런 힢포토에와 장밋빛 팔의 힢포노에
Κυμοδόκη θ᾿, ἣ κύματ᾿ ἐν ἠεροειδέι πόντῳ 퀴모도케, 그녀는 안갯빛 바다에서 조류와
πνοιάς τε ζαέων ἀνέμων σὺν Κυματολήγῃ 세찬 바람들의 불어옴을 퀴마톨레게와 더불어
ῥεῖα πρηΰνει καὶ ἐυσφύρῳ Ἀμφιτρίτῃ, 쉽사리 진정시킨다 아름다운 발목을 가진 암피트리테와 더불어,
Κυμώ τ᾿ Ἠιόνη τε ἐυστέφανός θ᾿ Ἁλιμήδη 퀴모오와 에이오네와 어여쁜 화환의 알리메데
Γλαυκονόμη τε φιλομμειδὴς καὶ Ποντοπόρεια 웃음을 좋아하는 글라우코노메와 폰토포레이아
Λειαγόρη τε καὶ Εὐαγόρη καὶ Λαομέδεια 레이아고레와 또 에우아고레와 라오메데이아
Πουλυνόη τε καὶ Αὐτονόη καὶ Λυσιάνασσα 풀뤼노에와 또 아우토노에와 뤼시아낫사
Εὐάρνη τε φυὴν ἐρατὴ καὶ εἶδος ἄμωμος  사랑스럽게 자란 나무랄데 없는 모습의 아우아르네
καὶ Ψαμάθη χαρίεσσα δέμας δίη τε Μενίππη 그리고 아릿따운 몸매의 프사마테와 천상의 메닢페
Νησώ τ᾿ Εὐπόμπη τε Θεμιστώ τε Προνόη τε 네소와 에우폼페와 테미스토와 프로노에와
Νημερτής θ᾿, ἣ πατρὸς ἔχει νόον ἀθανάτοιο. 네메르테스, 불멸하는 아버지의 마음을 가진.
αὗται μὲν Νηρῆος ἀμύμονος ἐξεγένοντο 나무랄데 없는 네레오스에게서 그녀들이 태어났다
κοῦραι πεντήκοντα, ἀμύμονα ἔργ᾿ εἰδυῖαι· 쉰 명의 소녀들(딸들)이, 나무랄데 없는 일들을 드러내는:

-蟲-
multa quidem nobis facimus mala saepe poetae
(ut vineta egomet caedam mea), cum tibi librum
sollicito damus aut fesso; cum laedimur, unum
si quis amicorum est ausus reprehendere versum;
cum loca iam recitata revolvimus irrevocati;
cum lamentamur non apparere labores
nostros et tenui deducta poemata filo;
cum speramus eo rem venturam ut, simul atque
carmina rescieris nos fingere, commodus ultro
arcessas et egere vetes et scribere cogas.
확실히 우리들 시인들은 종종 추악한 많은 짓들을 저지른다
(내 스스로 나의 포도밭들을 망치려 드는구나), 우리가 책을
근심하거나 싫증이 난 그대에게 줄 때; 우리가 괴로워 할 때,
만일 친구들 중 누군가가 단 한 줄의 싯구를 비난하려 든다고;
재청받지 않은 우리가 암송되었던 부분들을 되풀이 할 적에;
우리가 우리들의 노고들이 드러나지 않음을
곱게 자아진 싯구절들이 드러나지 않음을 한탄할 때;
이러한 것이 다가오리라 희망할 때,
그대가 우리의 시 지음을 알자 마자, 그대가 또 한편 때맞춰
(우리를) 부르고 결핍을 없애고 창작을 강제할 것이라고.
sollicito: sollicitus. concerned, worried, anxious.
fesso: fessus. tired.
laedimur: laedo. strike, injure, annoy.
ausus: daring, initiative.
recitata: recito. recitatus. read loud, recite.
revolvimus: revolvo. throw back, roll back.
irrevocati: irrevocatus. not called back, not encored.
lamentamur: lamentor. lament, utter cries of grief.
tenui: tenuis, tenue. thin, fine.
filo: thread, string.
speramus: hope for; trust; look forward to; hope.
venturam: venio. fut. act. part. come.
simul: at same time, likewise, also; simultaneously; at once.
rescieris: riscisco. risciveri
fingere: fingo. mold, create, produce, imagine.
commodus: suitable, opportune/timely.
ultro: besides, beyond, to/on the further/other side, voluntarily, unaided, wantonly.
arcessas: arcesso. subj. 2. sin. send for, indict, invite, bring on oneself.
egere: egeo. need, lack, want, require, be without.
vetes: veto. sb. 2. sin. forbid, prohibit, reject, veto.
cogas: cogo. sb. 2. sin. collect/gather, round up, restrict/confine, force/compel, convene, congeal.

sed tamen est operae pretium cognoscere qualis
aedituos habeat belli spectata domique
virtus, indigno non comittenda poetae.
그러나 그럼에도 알려는 것은 노력할 가치가 있다
봉사자가 전장에서와 가정에서 보였던 것들이 어떤 덕을 지닐지,
무가치한 시인에게 허락되어서는 안될.
operae: work, care, aid, service, effort, trouble.
pretium: price/value/worth; reward/pay; money; prayer/request.
cognoscere: become acquainted with/aware of, recognize, learn, find to be.
qualis: what kind of, what is like, what excellent a ….
aedituos: aedituus. sacristan, onw who has charge of a temple.
spectata: specto. pf. pass. observe, watch, look at, see.
indigno: indignus. unworthy, undeserving, undeserved.

gratus Alexandro, regi magno, fuit ille
Choerilus, incultis qui versibus et male natis
rettulit acceptos, regale nomisma, Philippos.
위대한 알렉산더 대왕에게는, 저
코에릴루스가 있었다, 정돈되지 않은 말들과 못난 천성으로
왕국의 금화, 그가 받았던 필립포스를 받은.
incultis: incultus. uncultivated, overgrown, unkempt.
natis: natus. born, arisen, made, destined, designed, intended.
rettulit: refero. report, record, propose.
regale: regalis. royal, regal.
nomisma: stamp, image on coin.

sed veluti tractata notam labemque remittunt
atramenta, fere scriptores carmine foedo
splendida facta linunt. -
그러나 사용되는 잉크가 얼룩을 남기는 것과 같이,
대부분의 작가들은 역겨운 시로
눈부신 위업들을 더럽힌다.
veluti: just as, as if.
tractata: tracto. pf. pass. draw, haul, pull, drag about, handle, manage, treat, discuss.
notam: well known, familiar, notable, famous, esteemed.
labem: labes. landslip/subsidence. fault/dishonor.
remittunt: remitto. send back.
atramenta: atramentum. writing-ink.
fere: for. subj. speak, talk, say.//almost, generally, in general.
foedo: foul, filthy, unclean; disgusting, loathsome, ghastly, beastly.
splendida: splendidus. splendid.
linunt: lino. smear, plaster (with), erase/rub over, befoul.

- idem rex ille, poema
qui tam ridiculum tam care prodigus emit,
edicto vetuit ne quis se praeter Apellen
pingeret aut alius Lysippo duceret aera
fortis Alexandri vultum simulantia. -
- 동일한 저 왕,
그렇게나 터무니없는 시를 그렇게나 귀하게 아낌없이 내놓은 그가,
선언으로써 누구도 아펠레스에 대해 치장하지 못하도록
또는 뤼시포스와 다른 자는 강력한 알렉산더의 모습의
청동 모상을 생각하지 못하도록 금하였다.
edicto: edico. pf. pass. proclaim.
praeter: prep. acc. besides, except, contrary to.
pingeret: pingo. impf. subj. paint.
duceret: duco. impf. subj. lead, command, think, consider, regard, prolong.
aera: aes. money, pay, bronze//aer.
vultum: face, expression, looks.
simulantia: simulans. imitating.

- quod si
iudicium subtile videndis artibus illud
ad libros et ad haec Musarum dona vocares,
Boeotum in crasso iurares aere natum.
그렇지만 그대
저 잘 짜여진 판단을 기억하자
책들로부터 그리고 무사 여신들의 이러한 선물들로부터,
무거운 대기 속에 보이오티아의 출신을 선언하자.
quod si: but if/if anyone or anything.
crasso: thick/deep.

-蟲-

P.S 영역 참고.
      We poets doubtless often do much mischief to our own cause - let me hack at my own vines - when you are anxious or weary and we offer you our book; when we are hurt if a friend has dared to censure a single verse; when, unasked, we turn back to passages already read; when we complain that men lose sight of our labours, and of our poems so finely spun; when we hope it will come to this, that, as soon as you hear we are composing verses, you will go so far as kindly to send for us, banish our poverty, and compel us to write.
      None the less, 'tis worth inquiring what manner of ministrants attend on Merit, tried at home and in the field, and never to be entrusted to an unworthy poet. Well-pleasing to the great king Alexander was that poor Choerilus, who could thank his uncouth and misbegotten verses for the philips - good royal coin - that he received;
      but as ink when handled leaves mark and stain, so ofttimes with unseemly verse poets put a blot on bright exploits.
      That same king who lavishly paid so dearly for a poem so foolish, by an edict forbade anyone save Apelles to paint him, or any other than Lysippus to model bronze in copying the features of brave Alexander.
      But call that judgement, so nice for veiwing works of art, to books and to these gifts of the Muses, and you'd swear that he'd been born in Boeotia's heavy air.
우리 시인들은 의심할 나위 없이 종종 많은 잘못을 우리 자신의 탓으로 저지른다 - 내 포도밭을 내가 망치는구나 - 당신이 불안하거나 지친 때에 또 우리가 당신에게 우리의 책을 제공할 때; 한 친구가 싯귀 하나를 헐뜯으려 들어 우리가 상처받을 때; 청을 받지도 않았는데 우리가 이미 읽은 구절들로 되돌아갈 때; 우리가 사람들이 우리의 노력들에 대한, 그리고 그렇게나 잘 짜인 우리의 시들에 대한 안목을 잃었다고 불평할 때; 우리가 이렇게 되리라고, 즉, 당신이 우리가 싯구들을 짓고 있다는 걸 듣자마자, 당신이 친절한 한에서 우리를 부르게 될 것이고, 우리의 빈곤을 없애게 될 것이고, 우리로 하여금 창작을 강요하게 되리라고 희망할 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알아볼 가치가 있다 덕을 돌보는 봉사자들의 방식이 무엇인지, 가정에서와 현장에서 시도되는, 그리고 절대로 무가치한 시인에게 맡겨지지 않는.
      알렉산더 대왕에게는 저 저급한 코에릴루스가 있었다, 그의 상스럽고 정돈되지 못한 문장들을 필립포스 - 훌륭한 왕국의 주화를 - 감사할 수 있었을 - 그가 받았던;
      그러나 사용될 때 책장들에 흔적을 남기고 얼룩지게 만드는 잉크와 같이, 그렇게 자주 꼴사나운 문장을 가지고 시인들이 위업들에 얼룩을 남긴다.
      저 똑같은 왕, 그렇게나 어리석은 시를 위해 그렇게 극진히 아주 후한 값을 치룬 왕이, 포고로써 그 누구도 아펠레스를 꾸며 그를 구하는 일을 못하도록, 혹은 뤼시푸스 이외의 다른 누구도 용감한 알렉산더의 모습을 청동으로 모사함에 있어서 금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저 판단을 기억하라, 예술의 작품들을 감상하기에 그렇게나 훌륭한 저 판단, 책들과 무사 여신들의 이러한 선물들에 대해, 그리고 당신은 그가 보이오티아의 무거운 대기를 타고났음을 선언하였다.
 ἄλλοι δ᾿ αὖ Γαίης τε καὶ Οὐρανοῦ ἐξεγένοντο
τρεῖς παῖδες μεγάλοι <τε> καὶ ὄβριμοι, οὐκ ὀνομαστοί,
Κόττος τε Βριάρεώς τε Γύγης θ', ὑπερήφανα τέκνα.
 그리고 또 다른 한 편 가이아와 우라노스에게서 다른 이들이 태어났다
거대하고 강력하지만, 이름이 불리지 않는 세 자식들
콧토스와 브리아레오스와 귀게스 모두, 교만한 자손들이.

τῶν ἑκατὸν μὲν χεῖρες ἀπ᾿ ὤμων ἀίσσοντο,
ἄπλαστοι, κεφαλαὶ δὲ ἑκάστῳ πεντήκοντα
ἐξ ὤμων ἐπέφυκον ἐπὶ στιβαροῖσι μέλεσσιν·
한 편으로 어깨에서 백 개의 손들이 내뻗어 있었고,
형언할 수 없는, 다른 한편으로 백 쉰 개의 머리들이
어깨 위로 억센 사지들 위에 뻗어 나와 있었다:
ἀίσσοντο: ἀΐσσω impf. mp. 3rd. pl.
ἐπέφυκον: φύω. plpf. 3rd. pl.

ἰσχὺς δ᾿ ἄπλητος κρατερὴ μεγάλῳ ἐπὶ εἴδει.
그리고 말할 수 없이 극악한 힘이 그 거대한 형체에.

 ὅσσοι γὰρ Γαίης τε καὶ Οὐρανοῦ ἐξεγένοντο,
δεινότατοι παίδων, σφετέρῳ δ᾿ ἤχθοντο τοκῆι
ἐξ ἀρχῆς· -
 가이아와 우라노스에게서 태어났던 이들은 모두 똑같이,
자식들 중에서 가장 무서웠기에, 그들 자신들의 아비에게 미움을 받고 있었다
처음부터: 

- καὶ τῶν μὲν ὅπως τις πρῶτα γένοιτο,
πάντας ἀποκρύπτασκε καὶ ἐς φάος οὐκ ἀνίεσκε
Γαίης ἐν κευθμῶνι, κακῷ δ᾿ ἐπετέρπετο ἔργῳ,
Οὐρανός· -
  그리고 한 편으로 어떤 식으로 누군가 처음에 태어나면,
모든 자식들을 빛으로 내보내지 않았고 감추었다
가이아의 지하 속에, 다른 한편 그 사악한 일로 기뻐하였다,
우라노스는:

- ἡ δ᾿ ἐντὸς στοναχίζετο Γαῖα πελώρη
στεινομένη, δολίην δὲ κακὴν ἐπεφράσσατο τέχνην.
그리고 그 동안 거대한 가이아는 신음하였다
가득 찬 채로, 그리고 교활하고 사악한 책략을 생각해 냈다.

αἶψα δὲ ποιήσασα γένος πολιοῦ ἀδάμαντος
τεῦξε μέγα δρέπανον καὶ ἐπέφραδε παισὶ φίλοισιν·
그녀는 재빨리 잿빛 견고한 돌의 종류를 지어
거대한 낫을 만들었고 사랑하는 자식들에게 보여주었다:

εἶπε δὲ θαρσύνουσα, φίλον τετιημένη ἦτορ·
그리고 그녀는 북돋우며 말했다, 사랑하는 마음에서 비통해 하면서:

 "παῖδες ἐμοὶ καὶ πατρὸς ἀτασθάλου, αἴ κ᾿ ἐθέλητε
πείθεσθαι· -
 "저 뻔뻔한 아비의 자식들아, 언제나 바라겠지
나에게 순종하기를:

- πατρός κε κακὴν τεισαίμεθα λώβην
ὑμετέρου· -
   아비의 사악한 무도를 우리가 갚을 것이다
너희들의 아비의:

- πρότερος γὰρ ἀεικέα μήσατο ἔργα."
그가 먼저 부끄러운 짓들을 획책하였으니."


 ὣς φάτο· τοὺς δ᾿ ἄρα πάντας ἕλεν δέος, οὐδέ τις αὐτῶν
φθέγξατο. θαρσήσας δὲ μέγας Κρόνος ἀγκυλομήτης
αἶψ᾿ αὖτις μύθοισι προσηύδα μητέρα κεδνήν·
 그녀는 그렇게 말했다: 그리고 곧장 공포가 그들 모두를 사로잡았고, 그들 중 그 누구도
입을 열지 않았다. 비뚤어진 지혜의 크게 용감한 크로노스가
이번엔 빠르게 신중한 어머니에게 말을 하였다:

 "μῆτερ, ἐγώ κεν τοῦτό γ᾿ ὑποσχόμενος τελέσαιμι
ἔργον, ἐπεὶ πατρός γε δυσωνύμου οὐκ ἀλεγίζω
ἡμετέρου· πρότερος γὰρ ἀεικέα μήσατο ἔργα."
 "어머니, 제가 바로 이 일을 떠맡아 끝낼 것입니다,
증오스러운 저희의 아비를 제가 두려워 하지 않을 때에:
그가 먼저 부끄러운 짓들을 획책하였으니."

-蟲-
Quem tulit ad scaenam ventoso Gloria curru,
exanimat lentus spectator, sedulus inflat;
영광의 여신이 날랜 전차로 무대를 향해 내놓는 자를,
게으른 관객은 낙담시키고, 열성적인 관객은 띄워 올린다;
tulit: fero perf. act. ind. 3. sin. bring
scaenam: scaena. theater stage.
ventoso: ventosus. windy, swift.
curru: currus. chariot.
exanimat: exanimo. kill; exhaust.
lentus: lentus. clinging, tough; slow, sluggish, lazy, procrastinating; easy, pliant.
spectator: spectator.
sedulus: attentive, painstaking, sedulous.
inflat: inflo. blow into/upon; puff out.

sic leve, sic parvum est, animum quod laudis avarum
subruit aut reficit (valeat res ludicra si me
palma negata macrum, donata reducit opimum!).
그렇게나 가볍고, 그렇게나 사소한 것이다, 찬사를 갈망하는 영혼을
나약하게 만들거나 되세우는 것이란 (잘 있거라, 무대여, 만일 나를
부정된 박수가 초라하게, 주어진 박수가 살찌우게 만든다면!).
leve: levis. light, thin, trivial; fickle.
subruit: subruo. undermine.
reficit: reficio. rebuild, repair, restore.
valeat: valeo subj.
iudicra: iudicrum. stage play, show.
palma: palm/width of the hand.
negate: nego. pass.
macrum: macer. thin, scraggy, lean, small, meager.
donata: dono. pass. present, grant; forgive; give, bestow.
reducit: reduco. lead back; restore.
opimum: opimus. rich, abundant, fat.

saepe etiam audacem fugat hoc terretque poetam,
quod numero plures, virtute et honore minores,
indocti stolidique et depugnare parati
si discordet eques, media inter carmina poscunt
aut ursum aut pugiles; his nam plebecula gaudet.
종종 대담한 시인조차 겁을 주고 도망시킨다 ,
수로는 많고, 덕과 명망으로는 저급한,
못 배우고 어리석으며 만일 기사들과 뜻이 갈린다면 싸울 준비가 된 자들이
무대의 한 가운데로 불러낸다
곰이나 복서들을; 이러한 것에 천박한 자들은 기뻐한다.
audacem: audax. bold, daring.
fugat: fugo. put to flight, rout; chase away; drive into exile;
terret: terreo. frighten, scare, terrify, deter.
depugnare: depugno. fight hard/it out, do battle.
paro: prepared; ready.
discordet: discordo. be at variance, quarrel, be different.
eques: horseman.
poscunt: ask, demand.
ursum: bear.
pugiles: boxer, pugilist.
plebecula: mob, common people.

verum equitis quoque iam migravit ab aure voluptas
omnis ad incertos oculos et gaudia vana.
그렇지만 이제 기사들의 취향조차 귀로부터
불확실한 눈과 헛된 즐거움으로 모두 옮겨 가 버렸다.
verum: adv. however.

-蟲-


Ut primum positis nugari Graecia bellis
coepit et in vitium Fortuna labier aequa,
nunc athletarum studiis, nunc arsit equorum,
marmoris aut eboris fabros aut aeris amavit,
suspendit picta vultum mentemque tabella,
nunc tibicinibus, nunc est gavisa tragoedis;
그리스는 전쟁들을 마치자 마자 어리석은 짓을
시작했고 공평한 운명으로 잘못에 빠지기 시작했다,
한 때는 운동선수들에 열을 올리고, 또 한 때는 말들에 흥분하고,
대리석의 장인들이나 상아의 장인들이나 청동의 장인들을 사랑하고,
그림 그려진 판들에 얼굴과 마음을 매어 달고(넋을 놓고),
한 때는 피리연주자들에게, 다른 때는 비극 배우들에게 기뻐하기 시작했다;
ut nunc est: OLD.1205.1.d. in present circumstances, as matters stand.
nunc ~ nunc: OLD.1205.8.a. at one moment ~ at another moment.
positis: pono. put/place/set.|nugari: nugor. play the fool.|coepit: coepio. begin.|vitium: fault.
Fortuna: the goddess of fortune(greek goddess Tyche).|labier: labor. slip, slip and fall.
aequa: level.|athletarum: wrestler, boxer, athlete.
studiis: studium. eagerness, enthusiasm, zeal, spirit.|arsit: ardeo. be on fire.|equorum: equus. horse.
marmoris: marmor. marble.|eboris: ivory.|fabros: n,workman/a,skillful.
aeris: aes. money, pay, fee, fare.|suspendit: suspendo. hang up, suspend.
picta: pingo. paint, tint, color.|vultum: vultus. face, expression(안색); looks.
mentem: mens. mind; reason, intellect, judgment; plan, intention, frame of mind; courage;
tibicinibus: tibicen. piper.|gavisa: gaudeo. be glad, rejoice.

sub nutrice puella velut si luderet infans,
quod cupide petiit, mature plena reliquit.
보모 아래에서 마치 어린 소녀가 놀듯,
간절히 바라는 것을, 금새 모두 내팽개 쳤다.
nutrice: nurse.|velut + si: just as.|luderet: iudo. play.|cupide: eagerly/zealously/passionately.
petiit: petivit. peto. attack; aim at; desire;|mature: early; at the right time.|reliquit: reliquo. leave behind.

[quid placet aut odio est quod non mutaiblie credas?]
[흡족하거나 혐오스러운 어떤 것이 변치 않으리라 그대는 믿는가?]
placet: (impersonal)it is pleasing/satisfying, gives pleasure|odio: hate/hatred/dislike/antipathy
mutabilie: mutabilis. changeable.

hoc paces habuere bonae ventique secundi.
이와 같은 것을 좋은 평화와 순풍이 가지도록 한다.
paces: paco. to impose a settlement on|

Romae dulce diu fuit et sollemne reclusa
mane domo vigilare, clienti promere iura,
cautos nominibus rectis expendere nummos,
maiores audire, minori dicere per quae
crescere res posset, minui damnosa libido.
로마에서는 오래된 기쁨이자 관습이었다,
이른 아침 깨어나 문을 여는 일, 후견받는 이들에게 합당한 대우를 해주는 일,
정당한 이름으로 신중한 돈을 쓰는 일,
나이 많은 이들에게 듣고, 나이 어린 이들에게 말하는 일
가진 것을 늘리고, 방탕한 욕망을 줄이는 방법들에 대해서.
dulce: pleasant, charming.|diu: (for) a long time/while; long since.|sollemne: solemn, traditional.
reclusa: recludo. open.|mane: in the morning.|domo: domus. house, home.
vigilare: vigilo. remain awake, be awake.|promere: promo. take/bring out/forth.|iura: ius. law? soup?
cautos: cautus. cautious/careful; circumspect, prudent.
rectis: rego. rule, guide; manage, direct.|expendere: expendo. pay, weigh, judge.
nummos: nummus. coin, cash, money.|maiores: magnus. comp.|minori: parvus. comp.
crescere: cresco. come forth, be born, become visible, grow thrive, increase.
minui: minuo. lessen, reduce, diminish.|damnosa: harmful, spendthrift.

-蟲-

Nominalism
유명론


• The motivation for nominalism
• 유명론의 계기
• Austere nominalism
• 엄격한 유명론
• Metalinguistic nominalism
• 메타언어적 유명론
• Trope theory
• 수사론
• Fictionalism
• 허구론

Overview
개관

Nominalists deny that there are universals; and the central motivation for their view is the belief that our metaphysics should exhibit simplicity of theory. They believe that given two theories with the same explanatory power, the theory that posits fewer irreducibly distinct kinds of things is preferable. And they believe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fully satisfactory accounts of attribute agreement, subject-predicate discourse, and abstract reference that posit only particulars or individuals.
유명론자들은 보편자들이 있음을 부정한다; 그리고 그러한 관점의 주된 계기는 우리의 형이상학이 이론의 단순성을 드러내야 하리라는 믿음이다. 그들은 동일한 설명력을 지닌 두 가지 이론들을 고려한다면, 더 적은 환원불가능하게 특유한 종류들의 사물들을 가정하는 이론이 더 바람직하다고 믿는다. 그리고 그들은 오직 특수자들이나 개별자들만을 가정하는 속성 일치, 주-술 담론, 그리고 추상적 지시에 대한 완전히 만족스러운 설명을 제공하는 일이 가능하다고 믿는다.

  There are, however, different forms of nominalism. The most extreme version endorses an ontology incorporating only concrete particulars and holds that all claims apparently about universals are just disguised ways of making claims about concrete particulars. There are serious difficulties with this extreme form of nominalism; and those difficulties have led some philosophers to endorse a metalinguistic form of nominalism. This view agrees that the only things that exist are concrete particulars, but holds that claims apparently about universals are really disguised ways of talking about linguistic expressions. There is also the form of nominalism that has been called trope theory. On this view, there are such things as properties or qualities, but they are one and all particular: each can be found in just one object; and the claim is that talk apparently about universals is really just talk about these particular qualities or properties (called tropes; hence the name ‘trope theory’). Finally, there is the form of nominalism called fictionalism. On this view, talk about universals is like fictional discourse. It is just an element in a fictional story we tell.
  그렇지만 유명론에는 상이한 형태들이 있다. 가장 극단적인 형태는 오직 구체적 특수자들만을 결합하는 존재론을 지지하고 명백히 보편자들에 대한 모든 주장들은 구체적 특수자들에 대한 주장들을 형성하는 잘못된 방식들일 따름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극단적 형태의 유명론에는 심각한 난점들이 있다; 그리고 그러한 난점들은 일부 철학자들을 메타언어적 형태의 유명론을 지지하는 데에로 이끌었다. 이 관점은 오직 현존하는 사물들만이 구체적 특수자들이라는 점에 동의하지만, 명백히 보편자들에 대한 주장들은 실제로 언어적 표현들에 대해 이야기하는 잘못된 방식들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수사론이라 불려온 유명론의 형태도 있다. 이 관점에서, 속성들이나 성질들과 같은 그러한 것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하나부터 열까지 모두 특수자이다: 즉 그 각각은 오직 하나의 대상에서 발견될 수 있다; 그리고 그 주장은 명백한 보편자들에 대한 말은 실제로 단지 이러한 특수한 성질들이나 속성들 (수사들이라 불리는; 그러므로 '수사론'이라는 이름이 붙는다) 에 대한 말이다. 끝으로, 허구론이라 불리는 형태의 유명론이 있다. 이 관점에서는, 보편자들에 대한 말은 허구적 담론과 같은 것이다. 그것은 단지 우리가 이야기하는 허구적 서사 내의 한 요소일 뿐이다.


The motivation for nominalism
유명론의 계기

The nominalist denies that there are universals. Why? A survey of the literature defending nominalism does not suggest a single answer to this question; for nominalists attack metaphysical realism on a wide variety of fronts. Sometimes, the target of their criticisms is the notion of multiple exemplification. According to the nominalist, the claim that numerically different particulars exemplify one and the same universal leads to incoherence.[1] Since the different particulars allegedly exemplifying a given universal at any one time occupy distinct and discontinuous or nonoverlapping regions of space at that time, the nominalist tells us that their jointly exemplifying the universal presupposes that numerically one and the same entity is wholly and completely present in nonoverlapping regions of space at a single time. The nominalist insists, however, that multiple localization of this sort is impossible; and toward showing this, he points out that were it possible, then it would be possible for claims like

  (1) The color red is 15 miles away from itself
and
  (2) The shape of triangularity is both receding from and drawing closer to itself

to be true; but the nominalist assumes that we need no argument to be convinced that, if intelligible at all, such claims are necessarily false.
유명론은 보편자들이 있음을 부정한다. 어째서 그러한가? 유명론을 옹호하는 조사 보고는 이 물음에 단일한 답변을 제시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유명론자들은 형이상학적 실재론을 광범위하게 다양한 전선(戰線)에서 공격하기 때문이다. 때때로, 그들의 비판 표적은 복합적 예화의 관념이다. 유명론에 따르면, 수적으로 상이한 특수자들이 하나의 동일한 보편자를 예화한다는 주장은 비정합성으로 나아간다. 주장된 바대로 어떤 한 순간 주어진 보편자를 예화하는 상이한 특수자들은 그 순간에 공간의 특유하고 불연속적이거나 비중첩적인 영역들을 점유하므로, 유명론은 우리에게 그 특수자들이 공동으로 그 보편자를 예화함은 수적으로 하나이고 동일한 실체가 전적으로 완벽히 단일한 시점에 공간의 비중첩적 영역들에서 현재함을 전제한다고 말한다. 그렇지만 유명론은 이러한 종류의 다중적 국재성(局在性)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를 보이기 위하여, 유명론은 그것이 가능하였더라면, 다음과 같은 주장들이 참인 일이 가능하였을 것임을 지적한다;

  (1) 그 빨간색은 그 자체로부터 15마일 떨어져 있다
그리고
  (2) 그 삼각형의 형태는 그 자체로부터 물러나면서 그 자체에 가까이 다가가고 있다.

그러나 유명론은 우리가 좌우간 지성적이라면, 그러한 주장들이 필연적으로 거짓임을 확신하기 위해 아무런 논증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추정한다.

  In other contexts, we find nominalists objecting to universals on the grounds that it is impossible to provide a noncircular account of the identity conditions for things like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2] As these nominalists see things, we are entitled to introduce a kind of object into our ontology only if we are prepared to provide an account of when we have one and the same object of that kind and when we have numerically different such objects. But we are told that there are insuperable difficulties confronting the attempt to provide noncircular identity conditions for universals. We cannot provide satisfactory identity conditions for universals by reference to the items that exemplify them. That is, we cannot say that a universal, U, is numerically identical with a universal, U', if and only if every object that exemplifies U exemplifies U' and vice versa; for clearly universals can be different even though they are exemplified by all and only the same objects. Thus, everything that exemplifies the universal mankind exemplifies the universal being a featherless biped; and every item that exemplifies the latter exemplifies the former. Nonetheless, we have different universals here. What makes mankind and being a featherless biped different is not the sets of things that exemplify them; what makes the two universals different is their content. But to explain what it is for a universal, U, and a universal, U', to differ in content, we need to introduce further universals by referring, say, to the distinct universals that enter into the definitions of U and U'. The introduction of these further universals will do the trick, however, only if we can be sure that they are numerically different; but the nominalist tells us that we could be sure of that only if we already had precisely what we are trying to provide, a general account of the identity conditions for universals.
  다른 문맥들에서, 우리는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과 같은 것들의 규정조건들에 대한 비순환적 설명을 제공하는 일이 불가능하다는 근거들에서 보편자들에 대해 반대하는 유명론자들을 발견한다. 이러한 유명론자들이 사물들을 바라보는 바로는, 우리가 한 종류의 대상을 우리의 존재론에 도입시키는 자격이 있으려면 오직 우리가 언제 그러한 종류의 하나이며 동일한 대상을 갖는지 그리고 언제 우리가 수적으로 상이한 그런 대상들을 갖는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만 한다. 그러나 우리는 보편자들에 대한 비순환적 규정 조건들을 제공하려는 시도에서 직면하는 극복할 수 없는 어려움들이 있다고 이야기하게 된다. 우리는 보편자들을 예화하는 항목들을 지시함으로써 그 보편자들에 대한 만족스러운 규정 조건들을 제공할 수는 없다. 즉, 우리는 보편자 U가 보편자 U'와 수적으로 동일함의 필충조건이 U를 예화하는 모든 대상은 U'를 예화하고 그 역도 성립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없다; 왜냐하면 분명히 보편자들은 설령 그것들이 모든 동일한 대상들에 의해 오직 그 대상들에 의해서만 예화된다 할지라도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보편자 인류를 예화하는 모든 것은 보편자 깃털 없는 두 발 동물임을 예화한다; 그리고 후자를 예화하는 모든 항목은 전자를 예화한다. 그렇다 할지라도, 우리는 여기에서 서로 다른 보편자들을 가진다. 인류와 깃털 없는 두 발 동물임을 서로 다르게 만드는 것은 그것들을 예화하는 사물들의 집합들이 아니다; 그 두 보편자들을 다르게 만드는 것은 그것들의 내용이다. 그러나 보편자 U와 보편자 U'에 대해 그 내용에 있어서 차이가 무엇인지 설명하기 우해, 우리는 말하자면 U와 U'에 대한 정의들에 들어가는 특유한 보편자들에 대해 지시함으로써 추가적 보편자들을 도입시킬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이런 추가적 보편자들의 도입은 오직 우리가 그 보편자들이 수적으로 상이함을 확신할 수 있는 한에서만 유효할 것이다; 그러나 유명론은 우리에게 우리가 오직 이미 정확히 우리가 제공하고자 하는 바로 그것을 가지고 있을 때에만, 즉 보편자들을 규정하는 조건들에 대한 일반적 설명을 지니고 있을 때에만 그 보편자들이 수적으로 상이함을 확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In still other contexts, nominalists criticize realism by pointing to problems discussed in the previous chapter. Thus, we meet with the claim that metaphysical realism is necessarily regressive, that in explaining attribute agreement or predication by reference to the exemplification of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realists land themselves in a vicious infinite regress. And we find nominalists arguing that to endorse the ontology of metaphysical realism is to court disaster in epistemology; for if the realist’s characterization of universals as abstract entities is correct, it is impossible to explain how beings like ourselves who have their roots in the concrete world of particulars could ever come to have cognitive access to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또 다른 문맥들에서, 유명론자들은 앞선 장에서 논의된 문제들을 지적함으로써 실재론을 비판한다. 그래서, 우리는 형이상학적 실재론이 필연적으로 소급적이라는, 그리고 속성들, 종류들, 그리고 관계들에 대한 예화를 지시함으로써 속성 일치나 서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실재론자들이 그들 자신을 심각한 무한 소급에 빠뜨린다는 주장과 마주친다. 그리고 우리는 형이상학적 실재론의 존재론을 지지하는 것이 인식론에 있어서 재난을 자초하는 일이라고 주장하는 유명론자들을 발견한다; 왜냐하면 만일 추상적 실체들이라는 실재론의 보편자들에 대한 규정이 정확하다면, 우리 자신들과 같이 그 기원들을 특수자들의 구체적 세계에 두는 존재자들이 도대체 어떻게 속성들, 종류들, 그리고 관계들에 대한 인지적 접촉을 지니게 될 수 있을 것인지 설명하는 일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While the various criticisms we have mentioned may explain a certain unease about multiply exemplifiable entities, it is unlikely that either individually or collectively they provide a fully satisfactory explanation of the outright rejection of metaphysical realism. Consider the first of these criticisms. The objection is that since the many particulars that supposedly exemplify a universal occupy discontinuous or nonoverlapping regions of space, the realist is committed to the necessarily false claim that a single thing is wholly and completely present at numerically different and nonoverlapping places at one and the same time. The objection just assumes, however, that the realist is committed to the claim that universals have spatial location, that a universal is itself located where its exemplifiers are located; and although some realists have been willing to endorse this claim, not all have. Thus, Bertrand Russell denies that universals have any location at all, and he thinks that the denial has strong intuitions supporting it. He points out that while the universal being north of relates Edinburgh and London, “there is no place . . . where we find the relation ‘north of.’ It does not exist in Edinburgh any more than in London; for it relates the two and is neutral between them.”[3] And Russell generalizes from this case, holding that whereas the particulars exemplifying a universal may have spatial location, the universal they exemplify never does.
  우리가 언급했던 다양한 비판들이 다중적으로 예화 가능한 실체들에 대한 특정한 우려를 설명할 수 있을지 모르는 반면, 그것은 개별저긍로나 총괄적으로 그 비판들이 형이상학적 실재론에 대한 노골적 거부에 대한 완전히 만족스러운 설명을 제공하는 것과는 다르다. 이러한 비판들 중 첫 번째 것을 고찰해 보자. 그 반박은 추정상 보편자를 예화하는 많은 특수자들이 불연속적 혹은 비중첩적 공간 영역들을 점유하므로, 실재론은 단일한 사물이 하나의 동일한 시간에 수적으로 상이하며 비중첩적인 장소들에 전적으로 완전히 현재한다는 필연적으로 거짓인 주장에 전념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그 주장은 바로 실재론이 보편자들은 공간적 위치를 지닌다는 것, 그리고 보편자는 그 자체로 그 보편자의 예화자들이 위치되는 곳에 위치된다는 것을 전제한다; 그리고 일부 실재론자들이 이러한 주장을 지지하고자 해 왔다고 할지라도, 모두가 그래오진 않았다. 그래서, 버트란드 러셀은 보편자들이 도대체 어떤 위치든 가진다는 것을 부정하고, 그 부정이 그것을 뒷받침하는 강력한 직관들을 지닌다고 생각한다. 그는 보편자 북향임이 에딘버러와 런던을 관련시키는 반면, "우리가 '북향'이라는 관계를 발견하는 그런 어떤 곳도 없음을 지적한다. '북향'이란 것은 런던뿐만 아니라 에딘버러에서도 현존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것은 그 둘을 관련시키고 그것들 사이에 중립적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러셀은 이 경우로부터 보편자를 예화하는 특수자들은 공간적 위치를 지닐지 모르는 반면, 그것들이 예화하는 그 보편자는 절대로 그런 것을 가지지 않는다고 주장함으로써 일반화시킨다.

  Now, Russell’s view does not seem incoherent; but if it is not, then the realist is not as such committed to the view that universals have a spatial location, so that the objection does not show that metaphysical realism itself is problematic. At most, it points to problems for those versions of realism that take universals to be located where their exemplifiers are located. But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objection succeeds on this more limited front only if it is, in fact, necessarily false that a single entity occupies two or more nonoverlapping places at a single time; and pretty clearly the realist who takes universals to have spatial location will deny that it is.[4] The realist will concede that it is impossible for a particular wholly and completely to occupy different nonoverlapping places at any one time and will claim that it is this impossibility, coupled with our prephilosophical tendency to be concerned with the spatial location only of particulars, that tempts us to conclude that the more general claim is necessarily false. The realist will insist, however, that by their very nature the universals exemplified by particulars are things that can occupy different and discontinuous regions of space at a given time and will maintain that the apparent oddity of claims like (1) and (2) derives not from any metaphysical impossibility, but merely from the fact that since our discourse about spatial location is typically restricted to the case of particulars, we mistakenly suppose that the principles governing their occupation of space apply across the board.
  이제, 러셀의 관점은 비정합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만일 비정합적으로 보이지 않다면, 실재론은 보편자들이 공간적 위치를 가진다는 관점에 전념하게 되는 그런 것이 아니고, 그래서 그 반박은 형이상학적 실재론 자체가 문제있는 것임을 보여주지 않는다. 기껏해야, 그 반박은 보편자들이 그것들의 예화자들이 위치되는 곳에 위치되는 것이라고 여기는 그런 형태의 실재론들에 대한 문제들만을 지적한다. 그러나 그 반박이 이 더욱 제한된 전선에서 오직 사실상 단일한 실체가 둘 혹은 그 이상의 비중첩적 장소들을 단일 시점에 점유하는 것이 필연적으로 불가능할 때에만 성공한다는 점을 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꽤나 분명히 보편자들을 공간적 위치를 지니는 것으로 여기는 실재론자는 그 점을 부정할 것이다. 그 실재론자는 한 특수자가 전적으로 완전히 어떤 한 시점에 상이한 비중첩적 장소들을 점유하는 것이 불가능함을 인정할 것이고 그것이 오직 특수자들의 공간적 위치에만 관계하는 우리의 전철학적 경향과 결부되어, 우리로 하여금 더욱 일반적인 그 주장이 필연적으로 거짓이라 결론내리게끔 하는 이끄는 불가능성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그 실재론자는 그렇지만 그 본성에 의해 특수자들에 의해 예화되는 보편자들이 주어진 한 시점에 공간의 상이하고 불연속적인 영역들을 점유할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고 (1)과 (2)와 같은 주장들의 명백한 괴이함이 어떤 형이상학적 불가능성으로부터도 유래하지 않고, 단지 우리의 공간적 위치에 대한 담론이 전형적으로 특수자들의 경우에 제한되므로, 우리는 그 특수자들의 공간 점유를 통제하는 원칙들이 일률적으로 적용된다고 잘못 생각한다는 사실로부터 유래할 따름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It is difficult to fault this reply to the objection; and the fact is that we find nominalists conceding as much. Thus, David Lewis, a staunch nominalist, tells us that “by occurring repeatedly, universals defy intuitive principles. But that is no damaging objection, since plainly the intuitions were made for particulars.”[5] Now, we can expect nominalists to have what they believe to be good reasons for being nominalists; but if nominalists themselves concede the limitations of the first objection, it is unlikely that the objection identifies the deep-lying reason for rejecting metaphysical realism and endorsing nominalism.
  그 반박에 대한 이러한 응답은 흠을 잡기 어렵다; 그리고 우리가 그만큼을 인정하는 유명론자들을 발견하는 것도 사실이다. 그래서, 충실한 유명론자인 데이비드 루이스는 우리에게 "반복적으로 발생함으로써 보편자들은 직관적 원칙들을 무시한다. 그러나 저것은 전혀 치명적인 반박이 아닌데, 명백하게 특수자들에 대한 직관들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라고 말한다. 이제, 우리는 유명론자들이 유명론자들이기 위한 훌륭한 근거들인 것으로 믿는 어떤 것을 가진다고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유명론자들 스스로 첫 번째 반박의 제한들을 인정한다면, 그 반박이 형이상학적 실재론을 거부하고 유명론을 지지하기 위한 심오한 근거를 규정할 성 싶지는 않다.

  The same is true, I think, of the second objection. That objection begins with a demand for a general account of the identity conditions for universals and then challenges the realist to come up with an account that is noncircular and nonregressive. Now, some realists have taken up the challenge and have tried to provide an account of the sort the nominalist demands. More typically, however, realists argue that the nominalist’s demand for identity conditions is inappropriate.[6] They concede that in some cases it is possible to provide noncircular conditions for identity. The mathematician’s set is a case in point. We can say that a set, α, is identical with a set, β, if and only if every member of α is a member of β and vice versa; but realists deny that the case of sets is typical. In many other cases, we find that identity conditions of the sort the nominalist demands are not forthcoming; but the realist insists that our inability to provide identity conditions in these cases does nothing to call into question the things involved. Thus, the realist might point out that for entities as unobjectionable as material objects, the attempt to provide informative conditions of identity is fraught with difficulty. We might suppose that we could formulate such conditions by reference to the spatiotemporal locations of material objects; but the realist points out that if this is supposed to be a fully general account, it too will be either circular or regressive; for any account that makes the identity of material objects turn on the identity of places and times must face the objection that the identity of places and times depends, in turn, on the identity of the objects located at them. So it may turn out that it is just not possible to provide identity conditions of the sort the nominalist demands for material objects. The realist, however, insists that our inability to provide the relevant identity conditions does nothing to call into question the legitimacy of the general category of material objects; and that, the realist argues, simply shows that the nominalist’s general demand for identity conditions is mistaken. The realist concludes, then, that if we are unable to provide a noncircular account of identity conditions for universals, that fact does nothing to cast doubt on the realist’s appeal to entities of that category.
  내 생각에는 두 번째 반박에 대해서도 사정은 같다. 저 반박은 보편자들을 규정하는 조건들에 대한 일반적 설명의 요구로 시작하고, 그래서 비순환적이고 비소급적인 설명을 찾아내도록 실재론을 시험한다. 이제, 일부 실재론자들은 그 시험을 계속하였고 유명론이 요구하는 그런 종류의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애썼다. 그렇지만 더욱 전형적으로 실재론자들은 규정 조건들에 대한 유명론의 그 요구가 부적절하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규정을 위한 비순환적 조건들을 제공하는 일이 가능함을 인정한다. 수학자의 집합이 그 지점에 속하는 경우이다. 우리는 한 집합 α가 한 집합 β와 동일할 필충조건은 α의 모든 원소가 β의 원소이고 그 역이 성립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실재론자들은 집합들의 경우가 전형적이라는 점을 부정한다. 많은 달느 경우들에 있어서, 우리는 유명론자들이 요구하는 그런 종류의 규정 조건들이 마련되어 있지 않음을 발견한다; 그러나 실재론은 우리의 이러한 경우들에 있어서 규정 조건들을 제공하는 일에 대한 우리의 무능함이 포함되는 아무런 것도 문제가 있도록 만들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실재론은 아마도 물질적 대상들만큼이나 받아들일 만한 실체들에 대해서, 규정의 유용한 조건들을 제공하려는 시도는 난점 투성이임을 지적할 것이다. 우리는 아마도 우리가 물질적 대상들의 공간적 위치들을 지시함으로써 그러한 조건들을 정식화할 수 있으리라 생각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실재론은 만일 이것이 충분히 일반적인 설명인 것으로 생각된다면, 그것은 또한 순환적이거나 소급적일 것임을 지적한다; 물질적 대상들에 대한 규정을 장소들과 시간들에 대한 규정 중심이 되도록 만드는 어떠한 설명이든 반드시 이번에는 장소들과 시간들에 대한 규정이 그것들에 정위된 대상들의 규정에 의존한다는 반박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유명론자들이 물질적 대상들에 대해 요구하는 그런 종류의 규정 조건들을 제공하는 일은 불가능할 따름임이 밝혀질 것이다. 그렇지만 실재론은 상관된 규정 조건들을 제공하는 일에 있어서 우리의 무능이 물질적 대상들의 일반 범주에 대한 적법성을 문제시되도록 하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실재론은 단순히 저것이 규정 조건들에 대한 유명론자의 일반적 요구가 오류임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실재론은 만일 우리가 보편자들에 대한 규정 조건들의 비순환적 설명을 제공하는 일을 할 수 없다면, 그 사실은 저 범주(보편자)에 속하는 실체들에 대한 실재론의 호소에 의심을 제기할 아무것도 없다고 결론내린다.

  Now, the nominalist may not find the reply fully convincing; but the reply does have the force of shifting the burden of proof to the nominalist. If the criticism is to constitute a decisive objection against realism, we need a general defense of the demand for identity conditions; and the fact is that nominalists seldom see it as central to their overall project to provide such a defense. Were nominalists’ rejection of universals grounded, first and foremost, in a concern over identity conditions, we would have expected them to be a bit more assiduous here. It seems reasonable to conclude, then, that the second objection fails to identify the central underlying motivation for nominalism.
  이제, 유명론은 그 응답이 충분히 설득력있지 않음을 알아차릴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 응답은 증명의 부담을 유명론에 떠넘길 능력을 갖는다. 만일 그 비판이 실재론에 반대한 결정적 반박이 되는 것이라면, 우리는 규정 조건들에 대한 그 요구에 대한 일반적 옹호를 필요로 한다; 그리고 유명론자들은 거의 그러한 방어를 제공하는 일을 그들의 전반적 기획에 중심적인 것으로 보지 않는다는 것도 사실이다. 보편자들에 대한 유명론자들의 거부가 기초되려면, 규정 조건들에 관련하여, 우리는 그들이 여기에서 조금은 더 성실할 것을 기대하였을 것이다. 그래서, 두 번째 반박이 유명론에 대한 그 기저에 놓인 중심적인 계기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라고 결론 내리는 일은 합당해 보인다.

  As we saw in the last chapter, realists devote considerable attention to the objection that metaphysical realism is viciously regressive; and as we noted, the objection can take a variety of forms. Realists make a convincing case that most versions of the objection fail; and while they generally concede that realism would be viciously regressive were exemplification a relational notion categorically like the more familiar relations to which it applies, realists take this claim to provide the parameters for formulating a theoretically adequate version of realism rather than a refutation of their view. What the claim shows, realists tell us, is that exemplification is a tie or a nexus rather than a relation. Now, nominalists may find the different versions of the objection that realism is regressive more powerful than realists themselves claim they are; and they may find the realist’s denial that exemplification is a relation ad hoc and the distinction between ties or nexus and relations artificial. Nonetheless, in the face of all that realists have to say in reply to the objection, it would be surprising were the nominalist to find this third objection unassailable grounds for rejecting the ontology of metaphysical realism. And in the same way, the epistemological worries about our cognitive access to abstract entities are not likely to explain the nominalist’s outright rejection of multiply exemplifiable entities. Those worries play too central a role in debates between different versions of realism to allow us to suppose that they represent plausible grounds for rejecting all forms of metaphysical realism.
  우리가 이전 장에서 보았던 것처럼, 실재론자들은 형이상학적 실재론이 심각하게 소급적이라는 반박에 주목할 만한 주의를 쏟는다; 그리고 우리가 언급하였듯, 그 반박은 다양한 형태들을 취할 수 있다. 실재론자들은 그 반박의 대다수 형태들이 실패하는 설득력 있는 사례를 구성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실재론이 심각하게 소급적이리라는 점을 인정하는 그들이 관계적 관념을 그 관념이 그에 적용되는 더욱 친숙한 관계들과 범주적으로 유사하게 예화함이었던 반면, 실재론자들은 이 주장을 그들의 관점에 대한 논박이라기 보다는 이론적으로 적합한 형태의 실재론을 정식화하기 위한 매개변수들을 제공하는 것으로 여긴다. 실재론자들은 우리에게 그 주장이 보여주는 것은 예화가 관계라기 보다는 묶음이나 연합이라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제, 유명론자들은 실재론자들이 그들 스스로 그러하다고 주장하는 것보다도 실재론이 소급적이라는 반박의 다양한 형태들이 더욱 강력함을 알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아마도 예화가 관계임에 대한 실재론자의 부정이 임시변통적이고 묶음들 혹은 연합들과 관계들 사이의 구별이 인위적임을 알게 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재론자들이 그 반박에 대한 응답을 말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 세 번째 반박이 형이상학적 실재론의 존재론을 거부하기 위한 난공불락의 근거들임을 알아차린 유명론자들이 있었다는 것을 놀라운 일일 것이다. 그리고 같은 방식으로, 추상적 실체들에 대한 우리의 인지적 접근에 대한 인식로적 우려들은 다중적으로 예화가능한 실체들에 대한 유명론의 두드러진 반박을 설명할 성 싶지 않다. 그러한 우려들은 실재론의 상이한 형태들 사이에서의 논쟁에 있어서 지나치게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므로 우리에게 그러한 염려들이 형이상학적 실재론의 모든 형태들을 거부하기 위한 그럴 듯한 근거들을 표현한다고 생각하도록 허락하지 않는다.

  None of the objections we have been considering, then, provides a fully satisfying explanation of the attractiveness of a nominalist theory. The objections all fasten on technical difficulties in realism; but the nominalist’s worries about realism are not primarily technical. The underlying source of nominalism is, I think, more straightforward; it is a certain conception of the metaphysical enterprise. As the nominalist sees things, the metaphysician, no less than the natural scientist, is in the business of theory construction. Metaphysical theories have, to be sure, a generality and comprehensiveness outstripping that of particular scientific theories; nonetheless, what is going on in the two cases is basically the same thing. There are certain phenomena that need to be explained or accounted for, and the formulation of a theory is the attempt to provide the requisite explanation or account. Central to any theory are the special objects and structures it postulates. The theory provides principles that characterize the nature and behavior of its theoretical posits and show thereby how its posits serve to explain the phenomena which constitute the domain or field of the theory. What justifies the postulation of these theoretical posits is just their role in explaining the relevant phenomena; and in evaluating a theory we are seeking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the entities the theory postulates do, in fact, explain the phenomena they were introduced to explain. In this context, we typically look to competing theories, alternative theories designed to explain phenomena from the same domain; and we compare the theoretical power of our candidate theory with that of its competitors. Where several such theories have roughly equal explanatory power, other factors come into play in determining our choice of theory. The additional factors may vary from case to case; but one consideration that is always central is that of theoretical simplicity. All other things being equal, we prefer an account with fewer theoretical commitments; we prefer a theory that posits fewer distinct types or kinds of entities. In choosing theories, then, we always invoke a principle of theoretical simplicity or parsimony: given two theories of equal explanatory power, the theory that postulates fewer irreducibly distinct kinds or types of entities is preferable.
  그래서 우리가 고찰하고 있던 반박들 중 어느 것도 유명론의 매력에 대한 충분히 만족스러운 설명을 제공하지 않는다. 그 반박들은 모두 실재론에 있어서의 기술적인 어려움들에만 매달린다; 그러나 실재론에 대한 유명론의 우려들은 처음부터 기술적이지는 않다. 유명론의 근저에 자리하는 원천은 내 생각엔 더욱 직접적이다; 그것은 형이상학적 기획에 대한 특정한 개념이다. 유명론이 사물들을 보는 바로는, 형이상학자는 자연과학자보다 조금도 덜함이 없이 이론 구축의 사업에 속한다. 형이상학적 이론은 분명 특수한 과학적 이론들을 능가하는 일반성과 종합성을 지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두 경우들 모두에서 지속되는 것은 기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해명이나 설명이 필요한 특정 현상들이 있고, 이론의 정식화는 요청되는 해명 또는 설명을 제공하려는 시도이다. 어떤 이론에 대해서든 중추적인 것은 그 이론이 상정하는 특별한 대상들이나 구조들이다. 그 이론은 그 이론의 이론적 가정들에 대한 본성과 습성을 규정하는 원칙들을 제공하고 그로써 어떻게 그 이론의 가정들이 그 이론의 영역 혹은 분야를 구성하는 현상들을 설명하는 역할을 하는지 보여준다. 이러한 이론적 가정들의 상정을 정당화하는 것은 바로 상관된 현상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그 가정들의 역할이다; 그리고 이론을 평가함에 있어서 우리는

  Now, what the nominalist wants to claim is that these general considerations about theory choice call into question the ontological framework of metaphysical realism. The realist’s ontology represents a two-category ontology; it postulates entities of two irreducibly different types: particulars and universals. According to the nominalist, however, all the theoretical work done by the two-category ontology of the realist can be done by an ontological theory that commits us to the existence of entities of just one category, particulars. So the claim is that there is a nominalist theory, an ontology that postulates no multiply exemplifiable entities, whose explanatory power equals that of the best realist theory; and the conclusion is that on grounds of theoretical simplicity we have no option but to choose the nominalist theory over its realist rival or rivals.


  That these considerations about theory building and theoretical simplicity represent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nominalist enterprise is something borne out by the history of nominalism. In the works of William of Ockham, the most sophisticated and systematic medieval nominalist and the forefather of all modern nominalists, simplicity in metaphysical explanation is repeatedly extolled as a theoretical virtue.7 Indeed, the principle of simplicity is often dubbed ‘Ockham’s Razor,’ the implication being that in endorsing the principle we commit ourselves to shearing from our theory all those irrelevant entities that play no essential explanatory role. In Ockham’s own metaphysics, universals understood as nonlinguistic entities are the first victims of the razor; and in almost every subsequent nominalist theory, the rejection of multiply exemplifiable entities is justified by reference to some version of the principle that bears Ockham’s name. The difficulties mentioned earlier do, of course, play a role in the nominalist’s case against the realist; but typically they are presented as examples of the sorts of theoretical tangles associated with an account that posits superfluous or unnecessary entities. The moral would seem to be that entities that do no work do no good; indeed, they can do a lot of harm.


Austere nominalism

If issues of explanatory adequacy and theoretical simplicity lie at the heart of the nominalist’s rejection of multiply exemplifiable entities, then we can expect nominalists to argue that a metaphysical theory postulating only particulars does, in fact, have an explanatory adequacy equaling that of metaphysical realism, and to do so by arguing that what we might call a particularist ontology provides us with all the resources we need for understanding the phenomena of attribute agreement, predication, and abstract reference that we discussed in the previous chapter. And that is just what nominalists do, but at this juncture, they part company with each other. Whereas it is possible to identify a single general form of theory which, with variations in detail, all metaphysical realists endorse, nominalists defend a number of distinct and very different ontological frameworks. To be sure, those frameworks all agree in postulating only particulars; but the particulars they postulate are of very different kinds, and the ways those frameworks are supposed to deal with the phenomena central to the debate over universals are likewise very different. To give a sense of the variety of nominalist theorizing, I shall discuss three quite different patterns of nominalist metaphysics.


  The first form of nominalism I shall discuss is the most austere version. On this view, the only things that exist are concrete particulars. The standard examples of concrete particulars are things like individual persons, individual plants, individual animals, and individual inanimate material objects, but the philosopher who endorses this austere version of nominalism has considerable latitude in deciding just what counts as an existent. If he champions the framework of common sense and holds that the familiar objects of everyday experience are fully real, then his inventory of what there is will include the standard examples. If, on the other hand, he is a hard-core scientific realist of an eliminativist stripe and holds that only the items postulated by our best version of physics genuinely exist and that what common sense takes to be objects do not really exist, then his inventory of what there is will be limited to things like individual quarks, individual gluons, and individual muons. What is characteristic of the austere version of nominalism I want to discuss is that whatever sorts of objects it takes to be real, they are all things that count as concrete particulars. To simplify matters, I will assume that the nominalist takes the particulars of our nonscientific picture of the world to be fully real, and I will rely on those objects and the claims we make about them as the materials for delineating the contours of this response to the problem of universals; but the structural points I will be making about the ontological framework of austere nominalism will not depend on this choice of materials. Anything I say about a version of austere nominalism congenial to common sense will have an obvious application to the austere nominalism of a scientific realist whose attitude toward the framework of common sense is eliminativist.


  What the austere nominalist wants to claim is that an ontology of concrete particulars provides the resources for dealing with all the phenomena the metaphysical realist claims presuppose an ontology of multiply exemplifiable entities. So the claim is, first, that we do not need universals to handle the phenomenon of attribute agreement. How, then, are we to explain the phenomenon? The austere nominalist’s answer is straightforward: we are not to explain the phenomenon at all. Instead, we are to take agreement in attribute to be a fundamental and unanalyzable feature of the world.8 On this view, then, it is an irreducibly basic fact about the world that different objects agree in attribute by all being yellow, that different objects agree in attribute by all being courageous, and that different objects agree in attribute by all being triangular. There are no prior facts that serve to explain these facts; they constitute the primitive materials out of which we construct our story of the world. Here, the austere nominalist insists that every ontological account must take some facts as primitive or basic. Thus, the metaphysical realist invokes the Platonic schema and tells us that objects are, say, triangular because they one and all exemplify the property of triangularity and insists that their exemplifying triangularity is a fundamental fact, one that rests on no prior explanatory facts. The austere nominalist is merely proposing that we invoke the concept of a primitive or fundamental fact one step earlier and take the original fact that certain things are triangular to be basic.

  Frequently, the austere nominalist defends this strategy by challenging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Platonic schema. If the Platonic schema is to provide a genuine explanation of attribute agreement, universals have to be things that can be identified and characterized independently of the facts they are introduced to explain; otherwise, any application of the schema represents the proverbial sort of pseudoexplanation in which the phenomenon of sleep is explained by a virtus dormitiva, a faculty that can be identified only as the one causally responsible for sleep. The austere nominalist wants to insist, however, that the realist’s universals lack the requisite independent identifiability.9 The realist begins by noting that things agree in attribute by being, say, circular, insists that this fact stands in need of explanation, and tells us that the explanation is given by a new fact, the fact that the objects in question all exemplify the universal circularity. Austere nominalists insist that we have only the appearance of an explanation here. What, they ask, is the allegedly explanatory entity circularity, and what is it for a thing to exemplify this entity? The only answers we can give are to say that circularity is the universal common to all and only circular things and that to exemplify circularity is just to be circular. But, then, the fact realists take to be explanatory is precisely the fact they set out to explain; and we have the illusion of explanation only because the realist has dressed up the original fact of attribute agreement in new linguistic clothing. The moral the austere nominalist draws from all of this is that we are best advised to be honest from the start and simply deny that the familiar facts of attribute agreement rest on any prior facts; they are irreducibly basic facts.


  Austere nominalists want to go on and claim that if we follow them in taking the phenomenon of attribute agreement to be irreducibly primitive, we have all the resources we need for explaining how subject-predicate sentences can manage to be true. In the first chapter, we found the metaphysical realist insisting that any satisfactory theory of subject-predicate truth must have a certain form. First, it must display subject-predicate truth as a correspondence between certain linguistic structures and certain nonlinguistic structures; second, it must show how this correspondence depends upon the referential relations tying the constituent terms of subject-predicate sentences to objects in the world. Realists claim that any theory having this form must construe predicates as referentially tied to universals. Austere nominalists accept the theoretical constraints the realist imposes, but argue that a theory conformable to their own parsimonious ontological framework satisfies those constraints.


  The theory austere nominalists recommend is straightforward. They tell us that what makes a subject-predicate sentence of the form ‘a is F’ true is just that a is F.10 Thus, what makes it true that ‘Socrates is courageous’ is that Socrates is courageous; and what makes it true that ‘Plato is wise’ is that Plato is wise. According to the austere nominalist, this account satisfies both conditions the realist imposes. First, it makes the truth of subject-predicate sentences a matter of correspondence. What the account tells us is that if ‘Socrates is courageous’ is true, it is true in virtue of how some nonlinguistic object, Socrates, is. It is because Socrates is, in fact, courageous that ‘Socrates is courageous’ is true. So it is because things are as subject-predicate sentences say they are that those sentences manage to be true. What makes subjectpredicate sentences true, then, is just that things out in the world are as they are – courageous, wise, triangular, yellow, and so on. But if we accept the austere nominalist’s claim that objects being triangular, yellow, or whatever represent irreducibly fundamental facts about the world, facts that rest on no prior explanatory facts, then we have a correspondence theory of subjectpredicate truth that makes no reference to universals. Second, the account can show the correspondence at work in subject-predicate truth to be a function of the referential connections between the constituent terms of subjectpredicate sentences and nonlinguistic objects. The fact that ‘Socrates is courageous’ manages to tell us how the world is depends upon the fact that (i) its subject term, ‘Socrates,’ names a certain object, (ii) its predicate term, ‘courageous,’ is true of or satisfied by certain objects, and (iii) the item named by its subject term is one of the items satisfying its predicate term. What grounds the correspondence between language and the world, then, is naming and satisfaction. Both are referential concepts; both tie linguistic expressions to nonlinguistic objects; and it is because they tie the appropriate linguistic expressions to the appropriate nonlinguistic objects that a certain string of words corresponds to the world. So austere nominalists can show how the referential force of its constituent terms enables a subject-predicate sentence to correspond to the world; and their account does this while holding that the only items that are referentially tied to predicate terms are the concrete particulars those predicate terms are true of.


  The account that the austere nominalist presents may strike us as trivial or platitudinous. Asked why ‘Socrates is courageous’ is true, we are given the apparently trivial answer, “Because Socrates is courageous.” The austere nominalist concedes that the account is trivial, but insists that its triviality is a virtue of the theory. A theory of truth, s/he claims, ought to give us results we regard as trivial. If asked why ‘Socrates is courageous’ is true, we do not want the answer “Because blueberries grow on bushes” or “Because water is H2O.” In saying that ‘Socrates is courageous’ is true because Socrates is courageous, we identify the only thing that can count as the nonlinguistic ground of the truth of that sentence; we tell precisely what it is about the world that makes the sentence true. The austere nominalist concedes that the realist’s account of subject-predicate truth may seem less obviously trivial, but insists that when pressed, the realist’s account turns out to be every bit as trivial as that of the austere nominalist. The realist tells us that ‘Socrates is courageous’ is true because Socrates exemplifies courage. In giving this account, realists appear to escape the charge of triviality because in explaining a subject-predicate truth they do not use the very sentence whose truth they seek to explain. But here the austere nominalists reiterate the complaint raised a few paragraphs earlier. They remind us that the only sense we can give to the claim that a thing exemplifies courage is that it is courageous; but if talk about exemplifying courage is merely talk about being courageous, then the realist’s account of the truth of ‘Socrates is courageous’ is equally trivial, equally platitudinous as that of the austere nominalist. And, the austere nominalist repeats, this is no objection against either account.


  So austere nominalists take the fact that concrete particulars agree in being courageous, in being triangular, and in being human to be an ontologically basic fact; and their account of predication follows naturally from their interpretation of attribute agreement. How, then, do they deal with the third phenomenon that played a role in the realists’ case for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 the phenomenon of abstract reference? Recall that the central fact here is that there are true sentences like

  (3) Courage is a moral virtue,
  (4) Triangularity is a shape,
  (5) Hilary prefers red to blue,
and
  (6) Red is a color,

that incorporate what appear to be proper names of universals. These sentences and others like them seem to be vehicles for making claims about the universals named by their constituent abstract singular terms. Since the claims in question are true, we seem to be committed to the existence of things like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Now, the austere nominalist concedes that such sentences enable us to make true claims, but insists that the claims are not those identified by the metaphysical realist. According to the austere nominalist, the sentences appear to express claims about universals, but are really just disguised ways of making claims about familiar concrete particulars. To soften us up for their reading of sentences like (3)–(6), the austere nominalist is likely to remind us once again of the relation between sentences like

  (7) Socrates exemplifies courage
and
  (8) Plato exemplifies wisdom,

on the one hand, and sentences like

  (9) Socrates is courageous
and
  (10) Plato is wise,

on the other. As we have seen, austere nominalists claim that if sentences like (7) and (8) have any sense at all, that sense is given by sentences like (9) and (10). They insist that (7) and (8) mean nothing more than (9) and (10); the former are merely alternative ways of saying what the latter say. But, then, (7) and (8) do not involve any claims about universals. Despite appearances to the contrary, they express perfectly straightforward claims about familiar concrete particulars; and the abstract singular terms ‘courage’ and ‘wisdom’ that appear in (7) and (8) are not genuinely singular terms; they do not name anything. In the sentences that give the meaning of (7) and (8), those terms give way to the corresponding general terms ‘courageous’ and ‘wise’; and by the austere nominalist’s showing, the use of those terms commits us to the existence of nothing but the concrete particulars of which they are true.


-작성중-
Restrictions on realism – exemplification
실재론의 제한들 - 예화

  Our discussion suggests that metaphysical realists constitute a unified group defending a single doctrine, but the fact is that realists have disagreed among themselves on a range of issues. The most important bears on the generality of the theory. Our treatment of realism suggests that realists want to apply the Platonic schema across the board, so that for every case of what we would prephilosophically call agreement in attribute, the realist will posit a separate universal. Likewise, we have implied that every general term that can function predicatively in a true subject-predicate sentence expresses or connotes a distinct universal and that every semantically distinct abstract term names a unique universal. But many realists have been unwilling to endorse such an unrestricted version of the theory. They have insisted that we place restrictions on the theory, so that universals correspond to only some of the ways things can be said to be, to only a limited pool of general terms, and to only some of the abstract terms in our language. Furthermore, the restrictions imposed on the theory have varied, so that by examining the different ways the theory has been restricted and the rationale for each restriction, we can bring to light the different forms metaphysical realism has taken.
  우리의 논의는 형이상학적 실재론자들이 단일한 원칙을 옹호하는 통합된 집단을 구성함을 시사하지만, 사실 실재론자들은 문제영역에 있어서 그들 자신들 사이에서 의견이 갈려 왔다. 가장 중요한 점은 이론의 일반성과 관련된다. 실재론에 대한 우리의 취급은 실재론자들이 플라톤적 도식을 전면적으로 적용하기를 바라며, 그래서 우리가 철학적으로 속성 일치라 부를 것에 대한 모든 경우에 대해, 실재론자는 분리된 보편자를 상정할 것이다. 같은 식으로, 우리는 참인 주-술 문장에서 술어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모든 일반 명사가 특유한 보편자를 표현하거나 내포한다는 것과 모든 의미론적으로 특유한 추상 명사는 특유한 보편자를 명명한다는 점을 시사했다. 그러나 많은 실재론자들이 그 이론의 그러한 무제한적 형태를 지지하길 꺼려 왔다. 그들은 우리가 그 이론에 제한들을 두고, 그리하여 보편자들이 오로지 사물들이 있는 것으로 이야기될 수 있는 방식들의 일부에만, 일반 명사들의 제한된 영역에만, 그리고 우리의 언어에 있어서 추상적 명사들의 일부에만 일치한다고 주장해 왔다. 더 나아가, 그 이론에 부과되는 제한들은 다양하였고, 그리하여 그 이론이 제한받아 온 상이한 방식들과 각 제한에 대한 근거를 검토함으로써, 우리는 형이상학적 실재론이 취해 온 상이한 형식들을 밝혀낼 수 있다.

  We should begin by noting that no version of metaphysical realism can consistently endorse the completely unrestricted application of the Platonic schema or hold that every nonequivalent predicate term or every nonequivalent abstract term is associated with a separate and distinct universal. An entirely unrestricted version of the theory lands one in a notorious paradox. We can bring out the paradoxical nature of an unrestricted realism by focusing on the realist’s analysis of predication. Suppose we endorse that analysis in its full generality and hold that a universal corresponds to every general term that can occupy the predicate position in a true subject-predicate sentence. Consider now the general term ‘does not exemplify itself.’ This term is, to be sure, syntactically complex; but we could, if we wished, introduce a single expression to replace the complex predicate, so the syntactic complexity is really an irrelevant detail. We have here a perfectly respectable general term, one true of or satisfied by all and only the things that do not exemplify themselves; and it is a general term that can function predicatively in true sentences. The expression is true, for example, of Bill Clinton, the number two, and the Taj Mahal. Since none of these things is selfexemplifying, each satisfies the predicate ‘does not exemplify itself’; and the relevant subjectpredicate sentences will all be true. There are, on the other hand, things, certain universals, to which the predicate does not apply. Presumably, the property of being incorporeal exemplifies itself: it has no body and so is incorporeal. Likewise, if there is such a thing as the property of being self identical, it is identical with itself and so exemplifies itself. Accordingly, neither of these things satisfies the predicate ‘does not exemplify itself.’
  우리는 형이상학적 실재론의 어떤 형태도 일관되게 플라톤적 도식의 완전히 무제한한 적용을 지지하거나 모든 부등(不等)한 술어 또는 모든 부등한 추상 명사가 독립되고 특유한 보편자와 관련된다고 주장할 수 없다는 점을 언급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할 것이다. 그 이론의 전적으로 무제한한 형태는 악명 높은 역설에 자리한다. 우리는 무제한 실재론의 역설적 본성을 술어에 대한 실재론자의 분석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끌어낼 수 있다. 우리가 저 분석을 그것의 완전한 일반성에 있어서 지지하고 한 보편자가 참인 주-술 문장에서 술어 위치를 점유할 수 있는 모든 일반 명사에 일치한다고 주장한다고 가정해 보자. 이제 '그 자신을 예화하지 못하는' 일반 명사를 고찰해 보자. 이 용어는 물론 구문론적으로 복잡하다; 그러나 우리는 만일 우리가 바란다면 그 복잡한 술어를 교체할 단일 표현을 도입할 수 있을 것이고, 그래서 그 구문론적 복잡성은 정말로 무의미한 세부사항이다. 우리는 여기에서 완벽히 훌륭한 일반 명사, 그것들 자체를 예화하지 모하는 사물들 모두에 대해 오로지 그것들에 대해서만 참이고 또 그렇게만 만족되는 일반 명사를 가진다; 그리고 그 일반 명사는 참인 문장들에서 술어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일반 명사이다. 예를 들어 빌 클린턴, 수 2, 그리고 타지마할에 대해 그 표현은 참이다. 이러한 사물들 중 어느 것도 자기예화적이지 않으므로, 그 각각은 '그 자신을 예화하지 못하는'이라는 술부를 만족시킨다; 그리고 관련된 주술문장들은 참일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사물들, 특정 보편자들, 그에 대해 그 술부가 적용되지 못하는 것들이 있다. 짐작컨데, 무형임의 속성은 그 자체를 예화할 것이다: 그것은 아무런 몸체를 지니지 않고 그래서 무형적이다. 같은 식으로, 만일 자기동일적임의 속성과 같은 그런 것이 있다면, 그것은 그 자체와 동일적이며 그래서 그 자체를 예화한다. 따라서, 이러한 두 가지 것들 중 어느 쪽도 '그 자체를 예화하지 못하는'이라는 술부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Now, since there are true subject-predicate sentences where this term functions predicatively, a totally unrestricted version of the realist’s theory of predication will tell us that there is a property expressed or connoted by this predicate expression. For convenience, let us call it the property of being nonselfexemplifying.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such a property leads immediately to paradox; for the property must either exemplify itself or fail to do so. Suppose it does exemplify itself; then, since it is the property a thing exemplifies just in case it does not exemplify itself, it turns out that it does not exemplify itself. So if it does exemplify itself, it does not exemplify itself. Suppose, on the other hand, that it does not exemplify itself; then, it turns out that it does exemplify itself; for it is the property of being  nonselfexemplifying. So if it does not exemplify itself, it does exemplify itself. But, then, it exemplifies itself just in case it does not, a deplorable result.[12] To avoid the paradox, we have no option but to deny that there is a universal associated with the general term ‘does not exemplify itself.’ The realist’s account of predication cannot hold for all general terms that function predicatively in true subject-predicate sentences.
  이제, 이 용어가 서술적으로 기능하는 참인 주-술 문장들이 있으므로, 총체적으로 술어에 대한 실재론자의 이론의 무제한적 형태는 우리에게 이 술어적 표현에 의해 표현되거나 내포되는 속성이 있다고 말할 것이다. 편의상, 우리는 그것을 자기예화불능임의 속성이라 부르기로 하자. 그러한 한 속성이 있다는 가정은 즉각적으로 역설로 이끈다; 왜냐하면 그 속성은 반드시 그 자신을 예화하거나 그렇게 하지 못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그 속성이 그 자체를 예화한다고 가정해 보자; 그러면, 그 속성은 바로 그 속성이 그 속성 자체를 예화하지 못하는 그 경우에서 한 사물이 예화하는 속성이므로, 그 속성은 그 속성 자체를 예화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난다. 그래서 만일 그 속성이 그 자체를 예화한다면, 그 속성은 그 자체를 예화하지 못한다. 다른 한편으로 그 속성이 그 자체를 예화하지 못한다고 가정해 보자; 그러면, 이번에는 그 속성이 그 자체를 예화하는 것으로 드러난다; 왜냐하면 그 속성은 자기예화불능임의 속성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만일 그 속성이 그 자체를 예화하지 못한다면, 그 속성은 그 자체를 예화한다. 그러나, 그래서, 그 속성은 그 속성이 예화할 수 없는 바로 그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유감스러운 결론에 있어서 그 자체를 예화한다. 그 역설을 피하기 위해, 우리에게는 '그 자체를 예화하지 못하는'이라는 일반 용어와 관련된 보편자가 있다는 것을 부정하는 것 이외에 선택지가 없다. 술어에 대한 실재론자의 설명은 참인 주-술 문장들에 있어서 술어적으로 기능하는 모든 일반 명사들에 대해 견지될 수는 없다.

  It is frequently claimed that still further restrictions have to be imposed on the realist’s theory. The claim is that, without additional restrictions, the realist’s theory lands us in a vicious infinite regress. The contention is very old; it can be found in Plato’s Parmenides and has been repeated again and again since the time of Plato.[13] The difficulty that is supposed to confront the realist bears on the core notion of exemplification. One way of stating the difficulty takes its origin in the realist’s use of the Platonic schema for explaining attribute agreement. According to the schema, where a number of objects agree in all being F, their agreement is grounded in their multiple exemplification of the universal F-ness. The difficulty is that, for any given application of the schema, that application explains one case of attribute agreement, the original objects all being F, only to confront a new case, their all exemplifying F-ness. But, then, we have to appeal to a further universal, the exemplification of F-ness, and we have to say that the second case of attribute agreement holds among our original objects in virtue of their jointly exemplifying this second universal; but, then, we explain our second case of attribute agreement only to confront a third case, our original objects all agreeing in exemplifying the exemplification of F-ness. So we need to appeal to a third universal which will, in turn, generate still another case of attribute agreement with the resulting need for still another universal, and we are off on an endless regress through cases of attribute agreement and supporting universals. Conclusion? If we endorse the Platonic schema, the explanation that schema is supposed to provide can never be completed.
  여전히 추가적인 제한들이 실재론에 부과되어야 한다고 자주 주장된다. 그 주장은 추가적 제한들 없이는 실재론이 우리를 고약한 무한 소급에 빠트린다는 것이다. 그 논쟁은 매우 오래되었다; 그 논쟁은 플라톤의 『파르메니데스』에서 찾을 수 있고 플라톤의 시대 이래로 거듭해서 되풀이되어 왔다. 실재론이 직면한 것으로 생각되는 난점은 예화의 핵심 관념에 관련된다. 그 어려움을 진술하는 한 가지 방식은 그 어려움의 기원을 속성 일치를 설명하기 위한 실재론의 플라톤적 도식의 사용에서 취하는 것이다. 그 도식에 따르면, 얼마간의 대상들이 모두 F임에 있어서 일치하는 곳에서, 그 대상들의 일치는 보편자 F-임에 대한 그 대상들의 다양한 예화에 기초된다. 그 어려움은 그 도식의 어떤 주어진 적용에 대해서든, 그 적용은, 오직 새로운 사례를, 그 대상들의 모든 F임을 예화함을 마주치기만 하는, 속성 일치의 한 가지 사례를, 모두가 F인 그 본래의 대상들을 설명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래서 우리는 추가적인 보편자, F임을 예화함에 호소해야 하고, 우리는 속성 일치의 두 번째 사례가 우리의 본래 대상들 사이에서 그 대상들이 이 두 번째 보편자를 공동으로 예화하는 덕분으로 견지된다고 말해야 한다; 그러나, 그래서 우리는 속성 일치에 대한 우리의 두 번째 사례를 오로지 세 번째 사례, 우리의 본래 대상들 모두가 F임에 대한 예화를 예화함에 있어서 일치함의 경우에 마주하는 것으로만 설명한다. 그래서 우리는 이번에는 여전히 또 다른 보편자를 필요로 하는 결과를 가진 속성 일치의 또 다른 사례를 여전히 산출할 세 번째 보편자에 호소할 필요가 있고, 우리는 속성 일치의 사례들을 통한 사례들과 보편자들에 대한 지지를 통해 무한 소급에서 출발한다. 그 결과는 무엇인가? 만일 우리가 플라톤적 도식을 지지한다면, 그 도식이 제공한다고 생각되는 설명은 절대로 완결될 수 없다.

  It should be obvious that the same difficulty appears to plague the realist’s attempt to explain subject-predicate truth. The realist wants to claim that an arbitrary subject-predicate sentence,

(20) a is F

is true only if the referent of ‘a’ exemplifies the universal (F-ness) expressed by ‘F.’ But, then, our original sentence, (20), is true only if a new subjectpredicate sentence,

(21) a exemplifies F-ness,

is true, and it looks as though we have not completed our explanation of the truth of (20) until we have exhibited the ground of the truth of this new sentence. However, (21) incorporates a new predicate (‘exemplifies F-ness’) and it expresses a new universal (the exemplification of F-ness). The realist’s theory tells us that (21) can be true only if the referent of ‘a’ exemplifies the new universal. But that condition is satisfied only if

(22) a exemplifies the exemplification of F-ness

is true, so it seems that our account of the truth of (20) requires an account of the truth of this third sentence. Once again, we appear to be off on an infinite regress, and once again, we have the apparent conclusion that the realist’s theory cannot do what it is supposed to do.
  똑같은 어려움이 주-술 진리를 설명하려는 실재론의 시도를 괴롭히는 것으로 드러남은 분명할 것이다. 실재론은 임의의 주-술 문장,

(20) a는 F이다

이 문장이 오로지 'a'의 지시체가 'F'에 의해 표현되는 보편자 (F-임) 를 예화할 때에만 참이라고 주장하고자 한다. 그러나 그래서 우리의 본래 문장 (20)은 오로지 다음의 새로운 주-술 문장,

(21) a는 F-임을 예화한다,

이 문장이 참일 때에만 참이고, 그것은 마치 우리가 (20)의 진리에 대한 우리의 설명을 이 새로운 문장의 진리에 대한 토대를 드러내기 전까지는 완결짓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그렇지만 (21)은 새로운 술부 ('F-임을 예화한다')를 결합시키고 그 술부는 새로운 보편자 (F-임을 예화함) 를 표현한다. 실재론은 우리에게 (21)이 오로지 'a'의 지시체가 그 새로운 보편자를 예화할 때에만 참일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저 조건은 오로지

(22) a는 F-임의 예화를 예화한다

이 문장이 참일 때에만 충족되고, 그래서 (20)의 진리에 대한 우리의 설명은 이 세 번째 문장의 진리에 대한 설명을 요구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시 한 번, 우리는 무한 소급에서 출발하는 것처럼 보이고, 다시 한 번, 우리는 실재론이 행한다고 생각되는 것을 행할 수 없다는 명백한 결론을 가진다.

  The two regresses we have outlined might seem to have a simple moral: we must reject the metaphysical realist’s account of attribute agreement and predication; and the regresses have frequently been exploited by philosophers of a nominalist bent to point up precisely this moral; but realists have often argued that the regresses have a quite different moral. They concede that the regresses must be avoided, but they think that there is an easy way to do this. We need merely to set restrictions on the use of the Platonic schema and its associated theory of predication. Confronted with the first regress, we can deny that every distinct form of attribute agreement involves a separate and distinct universal. In particular, we can deny that where the agreement consists in a number of objects exemplifying a universal, there is a further universal supporting the agreement. Likewise, in confronting the second regress, we can deny that every semantically distinct general term expresses a distinct universal. While conceding that there is a universal corresponding to the predicate of any sentence whose form is that of (20), we can deny that there are further universals corresponding to the predicates of sentences of the form of (21) or any of its successors.
  우리가 윤곽을 그렸던 그 두 가지 소급들은 아마도 단순한 교훈을 지닌 것으로 보인다: 우리는 반드시 속성일치와 술어에 대한 형이상학적 실재론의 설명을 거부해야만 한다; 그리고 그 소급들은 빈번히 정확히 이러한 교훈을 지적하는 데에로 기운 유명론에 속하는 철학자들에 의해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실재론자들은 종종 그 소급들이 상당히 다른 교훈을 가진다고 주장해 왔다. 그들은 그 소급들이 반드시 회피되어야만 한다는 점을 인정하지만, 이 회피를 행할 한 가지 쉬운 방법이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단지 플라톤적 도식의 사용과 그 도식의 관련된 술어에 대한 이론에 제한들을 정하기만 하면 된다. 첫 번째 소급에 직면한다면, 우리는 속성 일치의 모든 특유한 형식이 분리되고 특유한 보편자를 포함한다는 것을 부정할 수 있다. 특히, 우리는 그 일치가 보편자를 예화하는 얼마간의 대상들로 구성되는 곳에서, 그 일치를 지탱하는 추가적 보편자가 있음을 부정할 수 있다. 같은 식으로, 두 번째 소급에 직면하여, 우리는 모든 의미론적으로 특유한 일반 명사가 특유한 보편자를 표현한다는 것을 부정할 수 있다. (20)의 형식을 가진 어떤 문장의 술어에 대해서든 일치하는 보편자가 있음을 인정하는 동시에, 우리는 (21) 혹은 그에 뒤따르는 것들의 형식에 속하는 문장들의 술어들에 일치하는 추가적 보편자들이 있다는 것을 부정할 수 있다.

  So the claim is that if we restrict the applicability of the Platonic schema and the realist’s theory of predication, we can avoid these regresses. One might, however, challenge the idea that any restriction is called for here. If the regresses just delineated are real, it is difficult to see why the realist should be bothered by them. Consider the contention that the use of the Platonic schema is viciously regressive. The realist claims to have a schema for providing a complete account of any given case of attribute agreement; but the alleged regress does nothing to call that claim into question. If there is, as the argument claims, an infinity of cases of attribute agreement lying behind any given case, that fact does not jeopardize the realist’s use of the Platonic schema to provide a full and complete explanation of the initial case of attribute agreement. When realists tell us that our sample objects are all F because they all exemplify F-ness, they have given us a complete explanation of the original case of attribute agreement. If, as the argument claims, the explanation introduces a new case of attribute agreement, realists are free to apply the Platonic schema to the second case; but they are under no obligation to do so. In particular, the success of the original application of the schema to explain the first case of attribute agreement does not hinge on their explaining the second; and the same holds for each of the cases of attribute agreement allegedly following upon this one. So if the regress is real, it is not vicious; and, accordingly, no restriction on the use of the Platonic schema is called for.
  그래서 그 주장은 만일 우리가 플라톤적 도식과 술어에 대한 실재론의 적용 가능성을 제한한다면, 우리는 이러한 소급들을 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누군가는 여기에 대해 어떠한 제한이든 요청된다는 발상을 반박할지도 모른다. 만일 단지 묘사되기만 한 그 소급들이 진짜라면, 어째서 실재론이 그 소급들에 의해 간섭받아야 할는지 알기는 어렵다. 플라톤적 도식의 사용이 고약하게 소급적이라는 논쟁을 고찰해 보자. 실재론은 속성 일치의 어떠한 주어진 경우에 대해서든 완결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 도식을 가질 것을 주장한다; 그러나 제기된 소급은 문제가 되는 주장을 요청할 아무런 일도 하지 않는다. 만일 그 논증이 주장하는 것처럼 어떤 주어진 경우에 대해서든 그 배후에 놓이는 속성 일치의 무한한 경우들이 있다면, 그 사실은 속성 일치의 최초 경우에 대한 완전하고 완결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실재론의 플라톤적 도식의 사용을 위협하지 않는다. 실재론자들이 우리에게 우리의 예시 대상들이 모두 F인 까닭은 그 대상들 모두가 F-임을 예화하기 때문이라고 말할 때, 그들은 우리에게 속성 일치의 본래 사례에 대한 완결된 설명을 제시했다. 만일 그 논증이 주장하듯, 그 설명이 속성 일치에 대한 새로운 사례를 도입시킨다면, 실재론자들은 그 두 번째 사례에 플라톤적 도식을 적용함에 있어서 자유롭다; 그러나 그들은 그렇게 할 어떠한 의무도 지지 않는다. 특히, 속성 일치에 대한 첫 번째 사례를 설명하기 위한 그 도식의 본래 적용의 성공은 전적으로 두 번째 사례에 대한 그들의 설명에 달려 있다; 그리고 주장한 바에 의해 이 사례에 뒤따르는 속성 일치의 사례들 각각에 대해 동일한 점이 견지된다. 그래서 만일 그 소급이 사실이라면, 그 소급은 지독하지 않다; 그리고, 따라서, 플라톤적 도식의 사용에 대한 아무런 제한도 요청되지 않는다.

  A similar point can be made in reply to the claim that realists must set restrictions on the application of their theory of subject-predicate truth. Even if the regress allegedly requiring the relevant restriction is real, it is not vicious. If, as the argument claims, the realist explanation of the truth of (20) brings a new true subject-predicate sentence, (21), on the scene, the realist’s success in explaining the truth of (20) does not presuppose an explanation of the truth of (21). If the aim had been to eliminate or analyze away the subjectpredicate form of discourse, then the emergence of (21) would be genuinely problematic. But the realist is hardly committed to supposing that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at form of discourse. Indeed, if there is a regress here, it is one that infects every attempt, realist or nominalist, at delineating the ontological grounds of subject-predicate truth.[14] Consider a nominalist theory of subject-predicate truth. For each subject-predicate sentence of the form ‘a is F,’ it will identify some condition, C, and will tell us that the original sentence is true only if C is fulfilled; but then there will be a new subjectpredicate sentence (‘a is such that C is fulfilled’), and our original sentence can be true only if the second sentence is true. Accordingly, that theory will be every bit as regressive as the realist’s. And in neither case is the alleged regress vicious. So even if there is a regress here, no restriction on the range of applicability of the realist’s theory of predication is required.
  유사한 점이 실재론자들이 반드시 주-술 진리에 대한 그들의 이론을 적용함에 있어서 제한들을 두어야만 한다는 주장에 대해 응답함에 있어서도 지적될 수 있다. 설령 주장한 바대로 적절한 제한을 요청하는 소급이 사실이라 할지라도, 그 소급은 지독하지 않다. 만일, 그 논증이 주장하듯, (20)의 진리에 대한 실재론적 설명이 새로운 참인 주-술 문장 (21)을 가져온다면, 그 장면에서, (20)의 진리를 설명함에 있어서의 실재론의 성공은 (21)의 진리에 대한 설명을 전제하지 않는다. 만일 그 목적이 담론의 주술 형식을 제거하거나 분해해 버리는 것이었다면, (21)의 출현은 정말로 문제시되는 것이었을 터이다. 그러나 실재론은 담론의 저 형식을 제거하는 일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일에 헌신적이지 않다. 더욱이, 만일 여기에 소급이 있다면, 그 소급은 실재론이든 유명론이든 주-술 진리에 대한 존재론적 토대들을 기술하려는 모든 시도를 감염시키는 소급이다. 주-술 진리에 대한 유명론을 고찰해 보자. 'a는 F이다'라는 형식에 속하는 각 주-술 문장에 대해, 그 문장은 어떤 조건 C를 규정할 것이고, 우리에게 오직 C가 충족될 때에만 그 본래 문장이 참이라고 말할 것이다; 그러나 다음으로 새로운 주술 문장('a는 C가 충족된 그러한 것이다')이 있을 것이고, 우리의 본래 문장은 오직 그 두 번째 문장이 참일 때에만 참일 수 있다. 따라서, 저 이론은 실재론 만큼이나 모든 점에서 소급적일 것이다. 그리고 두 경우 어디에서도 제기된 소급은 지독하지 않다. 그래서 설령 여기에 소급이 있다 할지라도, 술어에 대한 실재론의 적용가능성의 범위에 대해 아무런 제한도 요청되지 않는다.

  But if they are not vicious, the two regresses seem to have the upshot that behind any case of attribute agreement or any true subject-predicate claim, there lies an infinite series of distinct universals. Some realists might find that fact worrisome; and in the interests of keeping the number of universals to a minimum, they might feel that the relevant restrictions need to be imposed on the realist’s theories of attribute agreement and predication. But if realists are concerned about a bloated ontology, it is open to them to deny that the relevant regresses are even real. They can challenge the idea that when we say that objects agreeing in being F all jointly exemplify the universal, F-ness, we have thereby identified a second case of attribute agreement. We can say that in applying the Platonic schema to identify the ontological ground of a given case of attribute agreement, we are providing a fully articulated and metaphysically more perspicuous characterization of that case rather than introducing a new case. And in a similar vein, they can claim that the predicate of (21), ‘exemplifies F-ness’ is only syntactically or grammatically distinct from that occurring in (20), ‘F.’ Semantically, they can claim, the two predicates are equivalent and so do not rest on distinct ontological foundations.
  그러나 만일 그 소급들이 지독하지 않다면, 그 두 가지 소급들은 속성 일치의 어떠한 경우나 혹은 어떠한 참인 주-술 주장의 이면에서든, 특유한 보편자들의 무한 연쇄가 자리하고 있다는 결말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일부 실재론자들은 저 사실을 걱정스러운 것으로 생각할지 모른다; 그리고 보편자들의 수를 최소한으로 유지하기 위해, 그들은 속성일치와 술어에 대한 실재론들에 적절한 제한들이 부과될 필요가 있다고 느낄지도 모른다. 그러나 만일 실재론자들이 비대해진 존재론에 대해 염려한다면, 상관된 소급들이 실제한다는 것을 부정할 여지가 있다. 그들은 우리가 F임에 있어서 일치하는 대상들이 모두 공동으로 보편자 F-임을 예화한다고 말할 때 우리가 그로써 속성 일치의 두 번째 사례를 규정하였다는 발상을 반박할 수 있다. 우리는 속성 일치의 주어진 사례에 대한 존재론적 토대를 규정하기 위해 플라톤적 도식을 적용함에 있어서 우리가 새로운 사례를 도입하기 보다는 오히려 저 사례에 대한 완전히 표명되고 형이상학적으로 더욱 명료한 규정을 제공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비슷한 맥락에서, 그들은 (21)의 술부 'F-임을 예화한다'가 오로지 구문론적으로 혹은 문법적으로만 (20)에서 발생하는 술부 'F'와 구분된다고 주장할 수 있다. 그들은 의미론적으로 그 두 가지 술부들은 동등하며 그래서 특유한 존재론적 기초들에 의존하지 않는다고 주장할 수 있다.

  Neither of the first two attempts at arguing that the realist theory lands us in a regress that requires a restriction on that theory carries much force, then. There is, however, a third way of arguing this claim. According to most realists, this third argument poses genuine problems for their account, problems that can be resolved only by restricting the range of the theory. According to the realist, for a particular, a, to be F, it is required that both the particular, a, and the universal, F-ness, exist. But more is required; it is required, in addition, that a exemplify F-ness. As we have formulated the realist’s theory, however, a’s exemplifying F-ness is a relational fact. It is a matter of a and F-ness entering into the relation of exemplification. But the realist insists that relations are themselves universals and that a pair of objects can bear a relation to each other only if they exemplify it by entering into it. The consequence, then, is that if we are to have the result that a is F, we need a new, higher-level form of exemplification (call it exemplification2) whose function it is to insure that a and F-ness enter into the exemplification relation. Unfortunately, exemplification2 is itself a further relation, so that we need a still higher-level form of exemplification (exemplification3) whose role it is to insure that a, F-ness, and exemplification are related by exemplification2; and obviously there will be no end to the ascending levels of exemplification that are required here. So it appears, once again, that the only way we will ever secure the desired result that a is F is by denying that exemplification is a notion to which the realist’s theory applies.
  그래서 실재론이 우리를 저 이론에 대한 제한을 요청하는 소급으로 들인다고 주장하려는 처음의 두 가지 시도들 중 어느 것도 더 큰 영향력을 지니지 않는다. 그렇지만 이러한 주장을 내세우는 세 번째 방식이 있다. 대부분의 실재론자들에 따르면, 이 세 번째 논증은 그들의 설명에 대한 진정한 문제들, 오직 그 이론의 범위를 제한함으로써만 해소될 수 있는 그러한 문제들을 부과한다. 실재론에 따르면, 특수자 a가 F이기 위해서, 특수자 a와 보편자 F-임 모두가 현존할 것이 요청된다. 그러나 그 이상이 요구된다; 덧붙여서 a가 F-임을 예화하는 것이 요청된다. 그렇지만 우리가 실재론을 정식화하였듯 a가 F-임을 예화함은 상관적인 사실이다. 그것은 예화의 관계에 들어가는 a와 F-임에 대한 문제이다. 그러나 실재론은 관계들이 그 자체로 보편자들임을 그리고 대상들의 한 쌍은 오로지 그 대상들이 상호에 대한 관계에 들어감으로써 그 관계를 예화할 때에만 상호 관계를 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그 결론은 만일 우리가 a가 F라는 결론을 가질 것이라면, 우리는 새로운 더 높은 수준의 예화 형식 (그것을 예화2라 부르자) , 그 기능이 a와 F-임이 예화 관계에 들어감을 보증하는 것인 그러한 더욱 상위 형식의 예화를 필요로 한다. 불행히도 예화2는 그 자체로 추가적 관계이며, 그래서 우리는 여전히 그 역할이 a와 F-임 그리고 예화가 예화2에 의해 관계됨을 보증하는 것인 더 높은 수준의 예화 형식(예화3)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명백히 여기에서 요청되는 예화의 수준들을 올라가는 일에는 끝이 없을 것이다. 그래서 다시 한 번 a는 F라는 바라는 결과를 우리가 보전할 유일한 방법은 예화가 실재론이 그에 적용되는 그러한 관념임을 부정함으로써만이다.

  The argument just set out is a version of a famous argument developed by F.H. Bradley.[15] Bradley’s argument sought to show that there can be no such things as relations; whereas, the argument we have been elaborating has the more modest aim of showing that the realist’s story of what is involved in a thing’s having a property, belonging to a kind, or entering into a relation cannot apply to itself. Now, some realists have held that while real, the regress just cited is not vicious.[16] They have taken the regress to be no more threatening than the first two regresses we have outlined. These realists have, however, been in the minority. Most realists have seen the regress as vicious. It is not altogether clear just why; for on the surface, the regress appears to have the same formal structure as the earlier two regresses. Of course, realists have sometimes mistakenly thought that those two regresses are problematic, so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y should find the third regress worrisome. What is puzzling is that realists who show no concern over the original pair of regresses should be bothered by this regress. Perhaps, they have felt that this regress, unlike the earlier two, makes it impossible to explain the thing we initially set out to explain – a’s being F. Perhaps, they have felt that unless realists can point to some connecting mechanism whose connecting role is secured without dependence on some further, higher-level  connecting mechanism, they have not succeeded in explaining why the particular, a, is F. It is not, however, obvious that this line of thinking is correct; for it is reasonable to think that once the realists have told us that a is F because a and F-ness enter into the relation of exemplification, they have completed their explanation of the fact that a is F. There is, of course, something new the realist might want to go on and explain – the new fact that a and F-ness enter into the relation of exemplification; however, the failure to explain this new fact would seem to do nothing to jeopardize their explanation of the original fact that a is F.
  지금 제시된 그 논증은 F.H. 브래들리에 의해 전개된 유명한 논증의 한 형태이다. 브래들리의 논증은 관계들과 같은 그러한 어떤 것들도 있을 수 없음을 보여주기를 추구하였다; 반면에, 우리가 고안해 내고 있던 그 논증은 사물의 속성을 지님, 한 종류에 속함, 또는 한 관계에 들어감에 있어서 포함되는 것에 대한 실재론의 이야기가 그 자체에 적용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는 더 소박한 목적을 지닌다. 이제, 일부 실재론자들은 실제하면서도 방금 언급된 소급이 심각하진 않다고 주장해 왔다. 그들은 그 소급을 우리가 개괄했던 처음의 두 소급들보다 조금도 더 위협적이지 않은 것으로 받아들였다. 그렇지만 이러한 실재론자들은 소수파였다. 대부분의 실재론자들은 그 소급을 심각한 것으로 보았다. 그것은 왜 그런지 전적으로 분명치는 않다; 왜냐하면 표면상, 그 소급은 앞선 두 소급들과 같은 동일한 형식적 구조를 지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물론, 실재론자들은 때때로 그러한 두 소급들이 문제시된다고 잘못 생각했고, 그래서 그들이 세 번째 소급을 걱정스러운 것으로 여길 것이 놀랍지는 않다. 혼란스럽게 만드는 것은 소급들의 본래 쌍에 대해 아무런 염려도 보이지 않는 실재론자들이 이 소급에 의해서는 시달려야 하리라는 것이다. 아마도, 그들은 이 소급을 앞선 두 소급들과 달리 우리가 최초에 설명을 제시했던 것 - a의 F임 - 을 설명하는 일을 불가능하게 만든다고 여겼을 것이다. 아마도, 그들은 실재론자들이 그 연결 역할이 어떤 추가적인 더 높은 수준의 연결 장치에 의존함이 없이 보장되는 그러한 어떤 연결 장치를 지적해낼 수 없는 한, 그들은 어째서 특수자 a가 F인지를 설명함에 있어서 성공할 수 없었다고 느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사유노선이 옳은지는 분명치 않다; 왜냐하면 일단 실재론이 우리에게 a가 F인 까닭은 a와 F-임이 예화 관계에 들어가기 때문이라고 말한 이후에는, 그들이 a가 F라는 사실에 대한 그들의 설명을 완결했다고 생각하는 것은 합당하기 때문이다. 물론 실재론이 계속해서 설명하고자 할 새로운 어떤 것 - a와 F-임이 예화의 관계에 들어간다는 새로운 사실 - 이 있다; 그렇지만, 이 새로운 사실을 설명함에 대한 실패는 a가 F라는 본래의 사실에 대한 그들의 설명을 위협하는 아무런 일도 하지 않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

  But whether we find the reason compelling, the fact remains that our third regress looms large in the history of metaphysical realism. Realists have typically believed that they have no option but to stop the regress before it gets started.[17] Toward stopping the regress, they have insisted that the realist account does not apply to the notion of exemplification itself. Obviously, some justification for this restriction is called for; and the justification given is that exemplification is not a relation. Realists claim that while relations can bind objects together only by the mediating link of exemplification, exemplification links objects into relational facts without the mediation of any further links. It is, we are told, an unmediated linker; and this fact is taken to be a primitive categorial feature of the concept of exemplification. So, whereas we have so far spoken of exemplification as a relation tying particulars to universals and universals to each other, we more accurately reflect realist thinking about the notion if we follow realists and speak of exemplification as a ‘tie’ or a ‘nexus,’ where the use of these terms has the force of bringing out the nonrelational nature of the linkage this notion provides.
  그러나 우리가 강력한 이유를 발견하든 말든, 우리의 세 번째 소급이 형이상학적 실재론의 역사에서 거대하게 드리운다는 사실은 남는다. 실재론자들은 전형적으로 그들이 소급이 시작되기 전에 소급을 중단하는 것 이외에 다른 선택지가 전혀 없다고 믿어 왔다. 그 소급을 중단하기 위해, 그들은 실재론적 설명이 그 자체를 예화함의 관념에 적용되지 않는다고 주장해 왔다. 분명히, 이러한 제한에 대한 어떤 정당화가 요청된다; 그리고 그 주어진 정당성은 예화가 관계가 아니라는 것이다. 실재론자들은 관계들이 대상들을 오직 예화의 중재 연결에 의해서만 함께 묶을 수 있는 반면, 예화는 대상들을 어떤 추가적인 연결들의 중재 없이 상관된 사실들 안에 관련짓는다고 주장한다. 우리는 그것이 중재되지 않은 연결자라고 이야기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은 예화라는 개념의 기초 범주적 특징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래서, 우리는 여태까지 예화에 대해 특수자들을 보편자들에 그리고 보편자들을 상호간에 묶는 관계로서 이야기해왔던 반면, 만일 우리가, 이러한 용어들의 사용이 이러한 관념이 제공하는 결합의 비상관적 본성을 이끌어내는 능력을 지니는 곳에서, 실재론자들에 따라 예화에 대해 '매듭'이나 '연계'로 이야기한다면 우리는 더욱 정확하게 그 관념에 대한 실재론적 생각을 반영한다.

  So realists typically deny that their own account applies to the case of exemplification. Now, whether we find the restriction well motivated, we must concede that there is a bonus to this restriction; for if the realist account does not apply to the notion of exemplification, then our earlier claim that the Platonic schema cannot apply to the predicate ‘does not exemplify itself’ looks less like a desperate and ad hoc attempt at avoiding paradox. If there are reasons for supposing that the schema does not apply to the concept of exemplification, then it is only natural to suppose that it does not apply to concepts built out of that notion; and since in claiming that exemplification is not a relation, realists have some justification for denying that the schema applies to it, they would seem to have plausible grounds, independent of the threat of paradox, for excluding from the range of the schema the notion of being non-selfexemplifying.
  그래서 실재론자들은 전형적으로 그들 자신의 설명이 예화의 경우에 적용됨을 부정한다. 이제, 우리가 잘 동기부여된 제한을 발견하든 말든, 우리는 반드시 이러한 제한에 덤이 있음을 인정해야만 한다; 왜냐하면 만일 실재론적 설명이 예화의 관념에 적용되지 않는다면, 플라톤적 도식이 '그 자체를 예화하지 못한다'라는 술부에 적용될 수 없다는 우리의 앞선 주장이 덜 역설을 피하는 필사적인 특별한 시도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만일 그 도식이 예화의 개념에 적용되지 못한다고 생각할 이유들이 있다면, 그 도식은 그 관념으로부터 구축된 개념들에 적용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것만이 자연스럽다; 그리고 예화가 관계가 아니라고 주장함에 있어서 실재론자들이 그 관계에 그 도식을 적용함을 부정할 어떤 정당성을 지니므로, 그들은 역설의 위협으로부터 독립적인, 비-자기예화의 관념을 그 도식의 범위로부터 배제시키기 위한 그럴 듯한 토대들을 지니는 것으로 보일 터이다.


Further restrictions – defined and undefined predicates
추가적 제한들 - 한정 서술과 부정(不定) 서술

As I have suggested, most realists would endorse the restrictions we have so far placed on metaphysical realism; but some realists want to place further restrictions. Consider, for example, the predicate ‘bachelor.’ As we have formulated it, the realist’s account tells us that there is a universal correlated with this predicate. Which universal is that? The property, presumably, of being a bachelor. But that universal is a property a thing has just in case it has the property of being male, the property of being a human being, and the property of being unmarried. So how many properties do we have here? We need the properties of being male, of being a human being, and of being unmarried to accommodate the predicates ‘male,’ ‘human being,’ and ‘unmarried’; but do we need the further property of being a bachelor? We can give a perfectly satisfactory account of the predicate ‘bachelor’ by reference to the other three, apparently more basic properties, so is it not redundant to add a fourth property to our inventory? Isn’t that additional property just needless clutter? But the doubt about the need to postulate an extra property for the predicate ‘bachelor’ can be extended quite naturally to the case of ‘unmarried.’ If we concede the need for a property to correspond to the predicate ‘married,’ do we need to posit an additional negative property in the case of ‘unmarried’? Can we not say instead that ‘unmarried’ is true of a thing just in case it lacks the property corresponding to the predicate ‘married’? Again, is it not redundant to add the negative property to our ontology? And, of course, if we concede, as it seems we must, that the predicate ‘married’ can be defined in terms of other more basic predicates, then the doubts we have raised about ‘bachelor’ and ‘unmarried’ can be extended even further.
내가 제시하였듯, 대부분의 실재론자들은 우리가 여태껏 형이상학적 실재론에 두어왔던 제한들을 지지할 것이다; 그러나 일부 실재론자들은 추가적인 제한들을 위치시키고자 한다. 예를 들어 '총각'이라는 술어를 고찰해 보자. 우리가 그것을 정식화하였듯, 실재론 설명은 우리에게 이 술어와 관련된 보편자가 있다고 말한다. 그것은 어떤 보편자인가? 짐작컨데 총각임의 속성일 것이다. 그러나 저 보편자는 한 사물이 남성임의 속성, 인간 존재자임의 속성, 그리고 미혼임의 속성을 가진 바로 그 경우에 지니는 하나의 속성이다. 그래서 우리는 얼마나 많은 속성들을 여기에서 가지는가? 우리는 '남성임', '인간 존재자임', 그리고 '미혼임'의 속성들을 '남성,' '인간 존재자,' 그리고 '미혼'이라는 술어들을 수용하기 위해 필요로 한다; 그러나 우리는 총각임의 추가적 속성을 필요로 하는가? 우리는 명백히 더욱 기초적인 속성들인 다른 세 가지 속성들을 지시함으로써 '총각'이라는 술어에 대한 완벽히 만족스러운 설명을 제시할 수 있고, 그래서 네 번째 속성을 우리의 목록에 추가하는 것은 과다한 것 아닌가? 저 추가적 속성은 단지 불필요한 난잡스러움은 아닌가? 그러나 '총각'이라는 술어에 대해 별도의 속성을 상정할 필요성에 대한 의심은 꽤나 자연스럽게 '미혼'의 경우까지 확장될 수 있다. 만일 우리가 '기혼'이란 술어에 상응하는 하나의 속성에 대한 필요성을 인정한다면, 우리는 우리가 '미혼'의 경우에서 추가적인 부정적 속성을 가정할 필요가 있는가? 우리는 그 대신 '미혼'이 한 사물이 '기혼'이라는 술어에 상응하는 속성을 결여한 바로 그 경우에 한 사물에 대해 참이라고 말할 수 없는가? 다시, 우리의 존재론에 그 부정적 속성을 추가하는 일은 과도한 것은 아닌가? 그리고 물론 만일 우리가 우리가 그러해야만 할 것으로 보이듯 '기혼'이라는 술어가 다른 더욱 기초적인 술어들로 한정될 수 있음을 인정한다면, 우리가 '총각'과 '미혼'에 대해 일으켰던 의심들은 더 멀리까지 확장될 수 있다.

  These doubts have led some realists to set very severe restrictions on the analysis of predication so far delineated. They have insisted on a distinction between what they call undefined and defined predicates.[18] The idea is that there are certain predicates that are not defined in terms of other predicates; these primitive predicates get their meaning by being directly correlated with universals. All other predicates are defined in terms of these primitive predicates. On this view, then, there is not a separate and distinct universal correlated with every semantically nonequivalent predicate; it is only in the case of the primitive or undefined predicates that this is so. The semantical properties of defined predicates can be explained by reference to the universals correlated with the primitive predicates in terms of which they are defined.
  이러한 의심들은 일부 실재론자들을 여태까지 기술된 술어에 대한 분석에 매우 엄중한 제한들을 놓도록 이끌어 왔다. 그들은 그들이 부정 서술과 한정 서술이라 부르는 것 사이의 구분에 대해 주장해 왔다. 그 발상은 다른 술어들로 한정되지 않는 특정 술어들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1차 술어들은 그 의미를 보편자들과 직접적으로 관련됨으로써 획득한다. 다른 모든 술어들은 이러한 1차 술어들로 한정된다. 그래서 이러한 관점에서 모든 의미론적으로 동등하지 않은 술어와 관련된 독립되고 특유한 보편자는 있지 않다; 이것이 그러한 것은 오직 1차 혹은 부정 술어들의 경우뿐이다. 한정 술어들의 의미론적 속성들은 그 속성들로 그로써 한정되는 1차 술어들과 관련된 보편자들에 대한 지시로써 설명될 수 있다.

  Although this way of restricting the realist analysis of predication may initially seem attractive, it has its problems. The central difficulty is that predicates do not come neatly divided into those that are basic or primitive and those that are defined. The philosopher must make the division, and it is arguable that any such division will be somewhat arbitrary. What one formalization of a language takes to be a basic or undefined predicate, another can, with equal adequacy, construe as a defined expression. This fact raises doubts about the distinctively metaphysical force of any attempt at dividing predicates into those that are primitive and those that are defined. If the distinction between undefined and defined predicates is to be a guide to what universals there are, it can hardly rest on the arbitrary decisions of a formalizer.
  술어에 대한 실재론적 분석을 제한하는 이러한 방식이 처음에는 매력적으로 보일지라도, 그 방식은 문제점들을 지니고 있다. 가장 핵심적인 어려움은 술어들이 기초적이거나 1차인 것들과 한정되는 것들로 깔끔하게 나뉘어 들어가지 않는다는 것이다. 철학자는 반드시 그 분할을 이루어야만 하고, 그러한 어떠한 구분도 어느 정도 임의적일 것이라고 주장될 만 하다. 어떤 것을 두고 언어에 대한 한 가지 형식화는 기초적 또는 부정 술어인 것으로 취하고, 또 다른 형식화는 동등한 타당성을 가지고 한정 표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술어들을 1차적인 술어들과 한정되는 술어들로 나누려는 어떠한 시도에 대한 특징적으로 형이상학적인 능력에 대해서나 의심들을 불러 일으킨다. 만일 부정 서술과 한정 서술 사이의 구분이 어떤 보편자들이 존재하는지에 대해 길잡이가 될 것이라면, 그 구분은 형식화 수행자의 임의적 결정들에 의존할 수는 없을 것이다.

  To avoid the charge of arbitrariness, then, the realist who finds this distinction useful will need to provide some philosophical justification for identifying certain predicates as basic. One important kind of justification that has been provided here is epistemological. Realists who have endorsed a strongly empiricist program in the theory of knowledge have insisted that the basic or primitive predicates are those that express features or characteristics that, from the empiricist’s perspective, are epistemologically basic. Accordingly, it is predicates expressing colors, sounds, smells, simple shapes, and the like that are construed as primitive. Corresponding to each such nonequivalent predicate, there is said to be a distinct and separate universal; and it is claimed that all other predicates can be defined by reference to these universals.
  그래서 임의성의 부담을 피하기 위해 이러한 구분이 유용함을 알아차린 실재론자는 어떤 철학적 정당성을 특정 술어들을 기초적인 것으로 규정하기 위해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제공되어 온 중요한 한 종류의 정당화는 인식론적이다. 앎에 대한 이론에 있어서 강력한 경험주의적 계획을 지지해 온 실재론자들은 기초적인 혹은 1차적인 술어들이 경험주의적 관점에서 인식론적으로 기초적인 특성들 혹은 특징들을 표현하는 술어들이라고 주장해 왔다. 따라서, 기초적으로 이해되는 것은 색들, 소리들, 냄새들, 단순한 형태들, 그와 같은 것들을 표현하는 술어들이다. 그러한 비동등한 술어 각각에 상응하며, 구별되고 분리된 보편자인 것으로 이야기되는 것이 있다; 그리고 다른 모든 술어들은 이러한 보편자들에 대한 지시로써 한정될 수 있다고 주장된다.

  Although the view just laid out was popular among realists in the first half of this century, it does not have many defenders nowadays. Those who endorsed the view found that a large number of predicates resist analysis in terms of merely sensory or perceptual properties. The theoretical predicates of science and moral or ethical predicates are just two cases that proved problematic for realists of the empiricist persuasion. Finding it impossible to analyze these predicates in purely perceptual terms, these realists were forced to deny that the predicates have any genuinely descriptive meaning and to endorse highly implausible accounts of their role in language. Thus, they claimed that the theoretical predicates of science are merely tools or instruments for taking us from one set of statements involving purely perceptual predicates to another such set, and that ethical predicates are nothing more than linguistic vehicles for venting our feelings or emotions about persons, their actions, and their lifestyles.
  방금 펼쳐진 그 관점이 이번 세기의 전반부에 실재론자들 사이에서 유명했었다 할지라도, 최근에는 많은 옹호자들을 지니지 못한다. 그 관점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상당수의 술어들이 단지 감각적이거나 지각적일 뿐인 속성들로의 분석에 저항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과학의 이론적 술어들과 도덕적 혹은 윤리적 술어들은 경험주의적 파벌에 속하는 실재론자들에게 문제가 있는 것으로 입증된 바로 그 두 가지 사례들이다. 이러한 술어들을 순수하게 지각적 용어들로 분석하는 일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고서, 이러한 실재론자들은 그 술어들이 어떤 진정으로 기술적인 의미를 지닌다는 것을 부정하고 언어에 있어서 그 술어들의 역할에 대한 상당히 그럴 듯하지 못한 설명들을 지지하도록 강제되었다. 그래서, 그들은 과학의 이론적 술어들이 순수하게 지각적인 술어들을 포함하는 일련의 진술들로부터 또 다른 그러한 일련의 진술들로 이끌기 위한 단순한 도구들 혹은 설비들일 뿐이며, 윤리적 술어들은 사람들, 그들의 행동들, 그들의 생활양식들에 대한 우리의 느낌들이나 감정들을 발산하기 위한 언어적 운반자들 이상의 아무것도 아니라고 주장했다.

  But it is not simply the empiricist themes at work in this proposal that left philosophers skeptical of the idea that a distinction between defined and undefined predicates is ontologically important. However one goes about the business of dividing predicates into primitive and defined, one is committed to the idea that every nonprimitive predicate can be defined wholly and completely by reference to the predicates taken to be primitive. But the fact is that few of the predicates of our language are like ‘bachelor’ in being susceptible of definition in terms of less complex predicates. Although it was invoked to make a slightly different point, Wittgenstein’s famous discussion of the predicate ‘game’ brings out the difficulty here:

  Consider for example the proceedings that we call “games.” I mean board-games, card-games, Olympic games and so on. What is common to them all? Don’t say: “There must be something common, or they would not be called ‘games’ ” – but look and see whether there is anything common to all. – For if you look at them you will not see something that is common to all, but similarities, relationships, and a whole series of them at that. To repeat: don’t think but look! Look, for example, at board-games, with their multifarious relationships. Now, pass to card-games; here you find many correspondences with the first group, but many common features drop out, and others appear. When we pass next to ball-games, much that is common is retained, but much is lost. – Are they all “amusing”? Compare chess with noughts and crosses. Or is there always winning and losing, or competition between players? Think of patience. In ball-games there is winning and losing; but when a child throws his ball at the wall and catches it again, this feature has disappeared. Look at the parts played by skill and luck; and at the difference between skill in chess and skill at tennis. Think now of games like ring-a-ring-a-roses; here is the element of amusement, but how many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have disappeared! and we can go through the many, many other groups of games in the same way; can see how similarities crop up and disappear.[19]

‘Game’ is pretty clearly not going to turn out to be a primitive predicate; but if Wittgenstein is right, the attempt to identify a set of more basic predicates whose associated properties will enable one to provid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the applicability of the predicate ‘game’ is bound to be frustrated. ‘Game’ has a looser, less regimented semantical structure than a term like ‘bachelor,’ a structure that cannot be captured by any formal definition; and Wittgenstein wants to claim that, on this score, it is typical of most of the predicates of our language.
  그러나 그것은 단순히 철학자들을 한정 술어와 부정 술어 사이의 구분이 존재론적으로 중요하다는 생각에 회의적이도록 놔두는 이러한 제안에서 작동하는 경험주의적 주제들은 아니다. 그렇지만 1차 술어와 하정 술어로 술어들을 나누는 사업에 대해 착수하고, 누군가는 모든 비1차적 술어들이 전적으로 완전히 1차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술어들에 대한 지시로써 한정될 수 있다는 생각에 헌신한다. 그러나 '총각'과 같이 우리의 언어에 속하는 소수의 술어들만이 덜 복잡한 술어들로 한정될 여지가 있다. 약간 다른 점을 만드는 것으로 연상된다 할지라도, 비트겐슈타인의 '게임'이라는 술어에 대한 유명한 논의는 여기에서 그 어려움을 이끌어낸다:

  예를 들어 우리가 "게임들"이라 부르는 행동들을 고찰해 보자. 나는 보드-게임들, 카드-게임들, 올림픽 게임들 등등을 말한다. 그것들 모두에 공통된 것은 무엇인가? "어떤 공통된 것이 반드시 있어야만 하고, 아니라면 그것들은 '게임들'이라 불리지 않을 것이다"라고는 말하지 말라. - 그러나 그것들 모두에 공통된 어떤 것이라도 있는지 살펴 보라. - 왜냐하면 만일 당신이 그것들을 살펴 본다면 당신은 그것들 모두에 공통된 어떤 것이 아니라 유사점들, 관계성들, 그리고 그것들의 전체 연속물 정도를 볼 것이기 때문이다. 다시 한 번 말한다: 생각하지 말고 바라보라! 예를 들어 보드-게임들을, 그것들의 잡다한 관계들과 함께 바라보라. 이제, 카드-게임들로 넘어가자; 여기에서 당신은 첫 번째 집단과의 많은 일치들을 발견하지만, 다수의 공통 특징들은 없어지고, 다른 것들이 나타난다. 우리가 공-놀이들로 넘어갈 때, 공통된 많은 것이 유지되지만, 많은 것들은 상실된다. - 그것들은 모두 "재미있나"? 체스와 삼목을 비교해 보자. 항상 승리와 패배가 있거나, 놀이 참여자들 사이의 경쟁이 있나? 페이션스에 대해 생각해 봐라. 공-놀이들에서는 승리와 패배가 있다; 그러나 한 소년이 벽에 공을 던지고 그걸 다시 받을 때, 이 특징은 사라졌다. 기술과 운에 의해 수행되는 역할들을 살펴 보라; 그리고 체스의 기술과 테니스의 기술 사이의 차이를 보라. 이제 ring-a-ring-a-roses[이건 뭔가 노래 부르며 돌다 주저앉는데-_-?]와 같은 놀이들에 대해 생각해 보라; 여기에서 재미는 요소이지만, 얼마나 많은 성격적 특징들이 사라졌는가! 그리고 우리는 같은 방식으로 훨씬 많고도 많은 다른 놀이들의 그룹들을 훑어볼 수 있다; 어떻게 유사성들이 나타나고 사라지는지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놀이'는 꽤나 분명하게 1차 술어인 것으로 드러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만일 비트겐슈타인이 옳다면, 그 관련된 속성들이 한 사람으로 하여금 '놀이'라는 술어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필충조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해줄 그러한 더욱 기초적인 일련의 술어들을 규정하는 시도는 좌절될 수밖에 없다. '놀이'는 '총각'과 같은 용어보다 더 느슨하게, 덜 조직화된 의미론적 구조, 어떤 형식적 한정에 의해서도 포착될 수 없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비트겐슈타인은 이 지점에서 우리의 언어에 속하는 술어들의 대부분이 전형적으로 그렇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In the light of Wittgenstein’s remarks,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primitive and defined predicates does not play a major role in the work of contemporary realists. Some simply deny that the sort of restrictions those invoking the distinction meant to set on realism are appropriate.[20] They are holists about universals; that is, they reject any attempt at reducing one set of universals to another. On the one hand, they are impressed by the fact that where we can provide formal definitions for predicates, any attempt at distinguishing between defined and undefined predicates is bound to be arbitrary. Accordingly, while perhaps conceding that the Platonic schema and its associated theory of predication do not apply to the notion of exemplification, they insist that the universals associated with predicates like ‘bachelor’ and ‘unmarried’ are every bit as respectable, every bit as real as those associated with predicates like ‘blue’ and ‘red.’ On the other hand, they agree with Wittgenstein that many predicates resist formal definition in terms of other, more basic predicates. However, unlike Wittgenstein, they find this fact no source of embarrassment for the realist. Thus, in response to Wittgenstein’s demand to identify a universal common to all the things called games, they point to the property of being a game; and they deny that the impossibility of reducing this property to other more familiar universals is, in any way, problematic.
  비트겐슈타인의 관찰들에 비추어, 1차 술어와 한정 술어 사이의 구별이 현대 실재론자들의 작업에서 주된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것은 놀랍지 않다. 일부는 단순히 실재론에 놓는 것으로 생각되는 구별을 연상시키는 그런 종류의 제한들이 적합하다는 것을 부정한다. 그들은 보편자들에 대해 전체론자들이다; 즉, 그들은 일련의 보편자들을 다른 일련의 보편자들로 바꾸는 어떠한 시도도 거부한다. 한 편으로, 그들은 우리가 술어들에 대해 형식적 정의들을 제공할 수 있는 곳에서 한정 서술과 부정 서술을 구별하려는 어떠한 시도도 임의적일 수밖에 없다는 사실에 깊은 인상을 받는다. 따라서, 아마도 플라톤적 도식과 그 도식에 결부된 술어에 대한 이론이 예화의 관념에 적용되지 않음을 인정하면서도, 그들은 '총각'과 '미혼' 같은 술어들에 결부된 보편자들이 모든 점에서 '파랑'과 '빨강' 같은 술어들과 결부된 보편자들만큼이나 모든 점에서 훌륭하고 실제적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다른 한 편으로, 그들은 많은 술어들이 다른 더욱 기초적인 술어들로의 형식적 정의에 저항한다는 점에서 비트겐슈타인에게 동의한다. 그렇지만 비트겐슈타인과 달리 그들은 이 사실이 실재론에 대한 낭패의 아무런 원천도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놀이들이라 불리는 모든 것들에 공통된 보편자를 규정하는 일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요구에 응답함에 있어서, 그들은 놀이임의 속성을 지적한다; 그리고 그들은 이 속성을 다른 더욱 친숙한 보편자들로 전환하는 가능성이 어떤 식으로든 문제된다는 것을 부정한다.

  But other contemporary realists have insisted that even if the attempt to divide predicates into those that are primitive and those that are defined fails as an ontologically revealing way of restricting the realist’s account, restrictions need to be placed on the application of the Platonic schema.[21] They agree, then, that our use of only some predicates has genuinely ontological force, and they claim that it was not in the attempt to restrict the range of realism that empiricists went wrong. Where they went wrong was in their identification of the ontologically interesting predicates with merely perceptual or observational predicates and in their claim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ontologically revealing predicates and other predicates is one of definition or translation. These realists accuse their more holistic or antireductive colleagues of apriorism, the view that we can determine what universals there are by mere armchair reflection on the structure of our language. According to the holists, to determine what universals there are, we need merely look to the stock of predicates at our disposal: to every such nonequivalent predicate, there corresponds a separate and distinct universal. In opposition to this alleged apriorism, it is claimed that the question of what universals there are is an empirical question to be settled by scientific inquiry. It should come as no surprise that those metaphysical realists who rail against linguistic apriorism are typically also scientific realists. They hold, that is, that the empirical sciences, in particular physics, represent the criterion of what there is. Accordingly, they claim that the ontologically significant predicates are those essential to the formulation of the correct physical theory. It is, then, the predicates of physics in its finished form that have ontological force.
  그러나 다른 현대 실재론자들은 설령 술어들을 기초적인 것들과 한정되는 것들로 나누는 시도가 실재론적 설명을 제한하는 방식을 존재론적으로 드러내는 것으로서 실패한다 할지라도, 플라톤적 도식의 적용에 대해 제한들이 놓이는 일이 필요하다고 주장해 왔다. 그래서 그들은 오로지 일부 술어들에 대한 우리의 사용만이 진정으로 존재론적 능력을 지닌다는 점에 동의하며, 그들은 경험주의자들이 틀렸던 것은 실재론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시도에 속하는 것이 아니었다고 주장한다. 그들이 틀렸던 곳은 단지 지각적이거나 관찰적인 술어들만을 가진 존재론적으로 흥미로운 술어들에 대한 그들의 규정과 존재론적으로 드러내는 술어들과 다른 술어들 사이의 관계가 정의 혹은 해석의 관계라는 그들의 주장에 있었다. 이러한 실재론자들은 그들의 더욱 전체론적이거나 반환원주의적인 선험론의 동료들에게 우리가 어떤 보편자들이 존재하는지를 단지 우리의 언어 구조에 대한 탁상공론적인 반성만으로 결정할 수 있다는 관점의 혐의를 제기한다. 전체론자들에 따르면, 어떤 보편자들이 존재하는지 결정하기 위해, 우리는 단지 우리에게 처분이 맡겨진 술어들의 저장고를 생각해 보는 것만으로 족하다: 즉 그러한 모든 비동등한 술어에 대해, 하나의 분리되고 특유한 보편자가 상응한다. 제기된 이러한 선험주의에 반대편에서, 어떤 보편자들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물음이 과학적 탐구에 의해 확정될 경험적 물음이라는 것이 주장되었다. 언어적 선험주의에 저항하는 노선을 걷는 그러한 형이상학적 실재론자들이 전형적으로 또한 과학적 실재론자들임은 전혀 놀라운 것으로 다가오지 않는다. 즉 그들은 경험과학들, 특히 물리학이 무엇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표현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그들은 존재론적으로 유의미한 술어들은 정확한 물리학 이론의 형식에 본질적인 술어들이라고 주장한다. 그래서 그 궁극적 형식에 있어서 존재론적 능력을 갖춘 것은 물리학의 술어들이다.

  But if we accept this claim, what are we to make of the predicates that play no role in physical theory? For obvious reasons, the idea that there are translation rules taking us from strictly physical predicates to nonphysical predicates has not been seen as a viable option for the philosopher who seeks to couple metaphysical realism with an austere scientific realism. Instead, we find philosophers who defend the two forms of realism presenting a number of different and competing view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ntologically significant framework of physical theory and the nonscientific framework of common sense. I will mention just two. The first, less radical, view will not deny that there are universals correlated with predicates and abstract terms that are not a part of physical theory; but it gives ontological priority to the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of physics. Those universals are construed as ontologically basic or fundamental, and other universals are taken to be dependent on them. The claim is that while the  universals that do not enter into physical theory may not be reducible to or analyzable in terms of universals that do, the latter fix or determine the former. What physical kinds a thing belongs to, what physical properties it possesses, and what physical relations it enters into determines uniquely what nonphysical kinds, properties, and relations it exhibits. As it is usually put, nonphysical universals supervene on physical universals. On this view, once one has identified all of the physical facts (that is, all the facts recognized by the true physical theory), one has fixed all the facts, nonphysical as well as physical. So while nonphysical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may not be analyzable in terms of the universals of physics, the latter provide the ontological foundation on which the former rest.[22]
  그러나 만일 우리가 이러한 주장을 허용한다면, 물리학 이론에서 아무런 역할도 수행하지 않는 술어들에 대해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는가? 명백한 이유들로, 우리를 엄격하게 물리학적인 술어들로부터 비물리학적 술어들로 이끄는 해석 규칙들이 있다는 발상은 형이상학적 실재론을 소박한 과학적 실재론과 엮는 일을 추구하는 철학자에게 실행 가능한 선택지로 보이지 않았다. 대신에, 우리는 물리학 이론의 존재론적으로 중요한 구조와 공통 감각(상식)의 비과학적 구조 사이의 관계에 대해 상이하고 경쟁적인 상당수의 관점들을 표현하는 실재론의 그 두 가지 형식들을 지지하는 철학자들을 발견한다. 나는 단지 둘만을 언급할 것이다. 첫째로, 덜 급진적인 관점은 물리적 이론의 일부가 아닌 술어들과 추상 명사들에 결부된 보편자들이 있다는 것을 부정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그 관점은 물리학에 속하는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에 존재론적 우위를 둔다. 그러한 보편자들은 존재론적으로 기초적이거나 근본적인 것으로 이해되고, 다른 보편자들은 그 보편자들에 의존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 주장은 물리학적 이론에 들어가지 않는 보편자들은 그렇게 들어가는 보편자들로 환원되거나 분석될 수 없을 것인 반면, 후자가 전자를 고정시키거나 결정한다는 것이다. 한 사물이 어떤 물리학적 종류들에 속하는지, 그 사물이 어떤 물리학적 속성들을 지니는지, 그리고 그 사물이 어떤 물리학적 관계들에 들어가는지는 유일하게 그 사물이 드러내는 비물리적 종류들, 속성들, 그리고 관계들이 무엇인지 결정한다. 통상 그렇게 이야기되듯, 비물리적 보편자들은 물리적 보편자들에 수반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일단 누군가 물리적 사실들 (즉, 참인 물리 이론에 의해 재인된 모든 사실들) 모두를 규정하고 나면, 그는 물리적인 것만 아니라 비물리적인 사실들까지 모두 고정시킨다. 그래서 비물리적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은 물리적 보편자들로 분석될 수 없을지 모르는 반면, 후자는 전자가 기대는 존재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A second, more radical account is that of the eliminativist who refuses to construe those predicates and abstract terms that cannot be accommodated by reference to the universals invoked in physical theory as having any ontological force.[23] As the eliminativist sees it, our ordinary nonscientific language is the expression of a theory of how the world is; and like any theory it can be displaced by a theory that provides a more accurate representation of the structure of reality. According to the eliminativist, our best theory of the nature of the world is that delineated by mature physics. To the extent that our nonscientific account of the world is incompatible with mature physical theory, it is false. Those among its predicates and abstract terms that purport to refer to universals that cannot be incorporated in the picture of the world projected by physics are terms without a reference; the universals they purport to express or name simply do not exist. The eliminativist denies that there is anything puzzling about this. It is simply one more case where the theoretical posits of one theory are rejected in favor of those of a more adequate theory.
  둘째로, 더욱 급진적인 설명은 물리학 이론에서 연상된 보편자들에 대한 지시로써 수용될 수 없는 그러한 술어들과 추상 명사들을 어떤 존재론적 능력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하기를 거부하는 제거주의의 설명이다. 제거주의가 그렇게 보듯, 우리의 일상적인 비과학적 언어는 세계가 어떠한지에 대한 이론의 표현이다; 그리고 여느 이론들과 같이 그것은 실재의 구조에 대한 더욱 정확한 재현을 제공하는 이론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제거주의에 따르면, 세계의 본성에 대한 우리의 최선의 이론은 성숙한 물리학에 의해 기술되는 것이다. 세계에 대한 우리의 비과학적 설명이 성숙한 물리학과 양립할 수 없는 범위에 이르러, 그것은 거짓이다. 그 술어들과 추상 명사들 중에서 물리학에 의해 반영된 세계에 대한 상으로 결합될 수 없는 보편자들을 지시하려는 의도를 가진 것들은 지시가 없는 용어들이다; 그들이 표현하거나 명명하려고 의도하는 보편자들은 단순히 현존하지 않는 것들이다. 제거주의는 이에 대한 혼란스러운 어떤 것이든 있음을 부정한다. 그것은 단순히 한 이론에 대한 이론적 가정들이 더욱 적합한 이론의 가정들을 위해 거부되는 또 하나의 경우일 뿐이다.


Are there any unexemplified attributes?
어떤 예화되지 않는 속성들이 있는가?

While the differences we have noted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metaphysical realism, the single most important issue dividing realists bears on the idea of unexemplified universals. In delineating the main contours of realism, our focus has been on actual cases of attribute agreement and on the use of general terms and abstract singular terms in sentences that are actually true. One important tradition, however, would insist that this emphasis on the actual is misguided; it leads us to suppose that all universals are in fact instantiated or exemplified. Realists of this persuasion want to insist, however, that, in addition to the exemplified universals, there are many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that are not, never have been, and never will be exemplified.[24] Some of these lack instances only contingently; that is, they are such that they might have been exemplified, but in fact are not. Thus, there doubtless are many complex ways physical objects might have been shaped, but never were; the corresponding shapes, these realists claim, are all contingently unexemplified universals. But many of these realists have gone on to claim that, in addition to universals that only contingently go unexemplified, there are attributes that are necessarily unexemplified, attributes such that nothing could have ever exemplified them. It is, for example, impossible that anything be both round and square. That is a way nothing could be; these realists insist that there is a corresponding attribute, one that is necessarily unexemplified.
우리가 언급하였던 차이들은 형이상학적 실재론의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던 반면, 실재론자들을 갈라놓는 단일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예화되지 않는 보편자들에 대한 생각과 관련된다. 실재론의 주된 윤곽들을 기술함에 있어서, 우리의 초점은 속성일치의 실제적 사례들과 실제로 참인 문장들에 있어서 일반 명사들과 추상적 단칭 명사들의 사용에 맞추어져 있었다. 그렇지만 한 가지 중요한 전통은 실제적인 것에 대한 이러한 강조가 잘못 인도된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것은 우리를 모든 보편자들이 사실상 예시되거나 예화된다고 생각하도록 이끈다. 이러한 파벌에 속하는 실재론자들은 그렇지만 예화되는 보편자들에 덧붙여 예화되지 않고 한 번도 예화되지 않아 왔으며 결코 예화되지 않을 많은 속성들, 종류들, 그리고 관계들이 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이것들 중 일부는 단지 우연적으로 예증들을 결여한다; 즉, 그것들은 예화될 수 있었을 터이지만 사실은 그렇지 못한 그러한 보편자들이다. 그래서, 의심의 여지 없이 물리적 대상들이 형태를 갖추었을지도 모르는, 그러나 결코 그렇지 않았을 다수의 복잡한 방식들이 있다; 이러한 실재론자들은 그 일치하는 형태들이 모두 우연적으로 예화된 보편자들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재론자들 중 다수는 계속해서 오로지 우연적으로 예화되게 된 보편자들에 덧붙여 필연적으로 예화되지 않는 속성들, 그것들을 도대체 예화할 수 있었을 아무것도 없는 그러한 속성들이 있다고 주장해 왔다. 예를 들어 어떤 것이 둥글면서 각지기는 불가능하다. 그럴 수 있는 아무런 방법도 없다; 이러한 실재론자들은 일치하는 속성, 필연적으로 예화되지 않는 속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So some realists believe that there are uninstantiated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Since there is some evidence that Plato believed that this is so, let us call realists of this persuasion Platonists.[25] Opposed to them are realists who insist that every universal has at least one instance at some time or other. It is plausible to think that Aristotle endorsed an ontology involving only exemplified universals; for he tells us that if everything were healthy, there would be no such thing as disease, and if everything were white, the color black would not exist.[26] Let us, then, call realists who reject the Platonist’s unexemplified universals Aristotelian realists.
  그래서 일부 실재론자들은 예시되지 않는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이 있다고 믿는다. 플라톤이 이렇게 믿었다는 몇몇 증거가 있으므로, 우리는 이러한 파벌에 속하는 실재론자들을 플라톤주의자들이라 부르기로 하자. 모든 보편자가 최소한 그 어떤 순간엔가는 하나의 예시를 가진다고 주장하는 실재론자들이 그들에 대립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오로지 예화되는 보편자들만을 포함하는 존재론을 지지하였다고 생각하는 것은 그럴 듯하다; 왜냐하면 그는 우리에게 만일 모든 것이 건강하다면, 질병과 같은 것은 전혀 없을 것이고, 만일 모든 것이 희다면, 검은 색은 현존하지 않았으리라고 말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플라톤주의의 예화되지 않는 보편자들을 거부하는 실재론자들을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실재론자들이라 부르기로 하자.

  What are the issues separating Aristotelian realists from Platonists?[27] As a start toward answering this question, let us ask why Aristotelians object to uninstantiated universals. Aristotelians typically tell us that to endorse Platonic realism is to deny that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need to be anchored in the spatiotemporal world. As they see it, the Platonist’s universals are ontological “free floaters” with existence conditions that are independent of the concrete world of space and time. But to adopt this conception of universals, Aristotelians insist, is to embrace a “two-worlds” ontology of the sort we find in Plato himself. On this view, we have a radical bifurcation in reality, with universals and concrete particulars occupying separate and unrelated realms. Such a bifurcation, Aristotelians claim, gives rise to insoluble problems in both metaphysics and epistemology.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how there could be any kind of connection between spatiotemporal objects and beings completely outside space and time. Nonetheless, the realist is committed to there being such connections. After all, the cornerstone of metaphysical realism, the realistic interpretation of attribute agreement, tells us that the ontological ground of spatiotemporal particulars being the way they are, being the sorts of things they are, and being related to each other in the ways they are just is their being connected or tied to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Furthermore, it is highly problematic how beings like ourselves who belong firmly to the spatiotemporal world of concrete particulars could ever have cognitive access to the nonspatial, nontemporal beings that Platonists tell us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are. Since it would seem that there can be no causal relations between spatiotemporal particulars like ourselves and beings outside space and time, it looks as though the only story we could tell about our knowledge of universals is one that makes that knowledge innate or apriori. But Aristotelians have traditionally been skeptical of the idea of innate knowledge. They want to insist that our knowledge of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like all our knowledge, has an empirical origin. Indeed, Aristotelians want to deny that we can separate or cut apart our knowledge of universals from our knowledge of concrete spatiotemporal particulars. As they see it, we grasp particulars only by grasping the kinds to which they belong, the properties they exhibit, and the relations they bear to each other; and we grasp the relevant kinds, properties, and relations, in turn, only by epistemic contact with the particulars that exemplify them.
  플라톤주의자들로부터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실재론자들을 분리시키는 문제들은 무엇인가? 이 물음에 대답하기 위한 출발점으로서, 어째서 아리스토텔레스주의가 예시되지 않는 보편자들에 대해 반대하는지 묻도록 하자. 아리스토텔레스주의는 전형적으로 우리에게 플라톤적 실재론을 지지하는 것은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이 시공간적 세계 내에 정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부정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들이 그렇게 보듯, 플라톤주의의 보편자들은 시간과 공간이라는 구체적 세계에 대해 독립적인 현존 조건들을 지닌 존재론적인 "자유로운 부유물들"이다. 그러나 보편자들에 대한 이러한 개념을 채택하는 것은 우리가 플라톤 자신에게서 발견하는 그런 종류의 "두-세계들"이라는 존재론을 포용하는 것이라고 아리스토텔레스주의는 주장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는 분리되고 연결되지 않은 영역들을 점유하는 보편자들과 구체적 특수자들을 가지고 실재성에 있어서의 급진적 분기점을 갖는다. 그러한 분기점은 형이상학과 인식론 모두에 있어서 해결불가능한 문제들을 불러 일으킨다고 아리스토텔레스주의는 주장한다. 어떻게 시공간적 대상들과 완전히 시공간 외부의 존재자들 사이에 어떤 종류의 연결이 있을 수 있을지 이해하기란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재론은 그러한 연결들이 있다는 것에 헌신한다. 무엇보다도, 형이상학적 실재론의 초석, 속성 일치에 대한 실재론적 해석은 우리에게 그것들이 존재하는 방식으로, 그런 종류로, 그러한 방식들로 상호 연결되어 그렇게 있는 시공간적 특수자들의 존재론적 토대는 바로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에 대한 그것들의 연결됨 혹은 묶임이라고 말한다. 더 나아가, 어떻게 우리 자신과 같이 확고히 구체적 특수자들의 시공간적 세계에 속하는 존재자들이 도대체 플라톤주의가 우리에게 말하는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인 그 비공간적, 비시간적 존재자들에 대한 인지적 접근을 지닐 수 있을 것인지는 상당히 문제가 된다. 우리 자신과 같은 시공간적 특수자들과 시공간 외부의 존재자들 사이에는 아무런 인과관계들도 있을 수 없을 것으로 보일 터이므로, 마치 우리가 보편자들에 대한 우리의 앎에 대해 말할 수 있을 유일한 이야기는 저 지식을 내재적으로 또는 선험적으로 만드는 이야기뿐인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주의는 전통적으로 내재적 앎이라는 생각에 대해 회의적이어 왔다. 그들은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에 대한 우리의 앎, 그와 같은 우리의 앎 모두가 경험적 기원을 지닌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덧붙여, 아리스토텔레스주의는 우리가 보편자들에 대한 우리의 앎을 구체적인 시공간적 특수자들에 대한 우리의 앎으로부터 분리시키거나 단절시킬 수 있다는 것을 부정하고자 한다. 그들이 보는 것처럼, 우리는 특수자들을 오로지 그것들이 속하는 종류들, 그것들이 드러내는 속성들, 그것들이 상호에 관련하는 관계들을 파악함으로써만 파악한다; 그리고 우리는 이번엔 상관된 종류들, 속성들, 그리고 관계들을 오로지 그것들을 예화하는 특수자들과의 인식적 접촉을 통해서만 파악한다.

  How, in turn, do Platonists defend the idea of uninstantiated or unexemplified universals? One important strategy is to argue that precisely the same sorts of semantical considerations that lead us to posit exemplified universals support the claim that there are unexemplified universals. The Platonist will argue that it is not simply the predicates of true subject-predicate sentences that take universals as their referents; the same is true of false sentences of this form. Suppose there is an object, a, and a person, P, such that P falsely believes that

(20) a is F

is true. P might well assertively utter (20). Although what P asserts in uttering (20) is false, P has asserted something. But what? Had (20) been true, in assertively uttering (20), P would have asserted that the object, a, exemplifies the universal, F-ness. The Platonist will argue that what P asserts in uttering (20) cannot depend on whether (20) is true or false, so what P falsely asserts in uttering (20) has to be the same thing P would have asserted had (20) been true. Thus, P asserts, falsely it turns out, that a  exemplifies F-ness. But, the Platonist will go on, F might have been a general term, a shapepredicate, say, true of or satisfied by no object that exists, has existed, or will exist. So the semantical considerations that lead us to suppose that there are exemplified universals support an ontology of unexemplified universals as well; and, the Platonist may go on to argue, F could just as well have been a predicate that is necessarily true of nothing, so that the same argument would seem to justify the belief that there are necessarily unexemplified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이번엔, 어떻게 플라톤주의가 예시되지 않거나 예화되지 않는 보편자들이라는 생각을 옹호하는가? 하나의 중요한 전략은 우리로 하여금 예화되는 보편자들을 가정하도록 이끄는 정확하게 동일한 종류의 의미론적 고찰들이 예화되지 않는 보편자들이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고 논증하는 것이다. 플라톤주의는 그것이 단순히 보편자들을 그 지시체들로 삼는 참인 주-술 문장들의 술어들이 아니라고 주장할 것이다; 이러한 형식의 거짓 문장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가 참이다. 하나의 대상 a와 다음과 같은 문장이 참이라고 잘못 믿는 사람 P가 있다고 가정해 보자.

(20) a는 F이다.

P는 아마도 단정적으로 (20)을 잘 발화할 것이다. P가 (20)을 발화함에 있어서 단언하는 것이 거짓이라 할지라도, P는 어떤 것을 단언했다. 하지만 그건 무엇인가? (20)이 참이었다면, (20)을 단정적으로 발화함에 있어서 P는 대상 a가 보편자 F-임을 예화한다고 단언했을 것이다. 플라톤주의는 P가 (20)을 발화함에 있어서 단언한 것은 (20)이 참인지 거짓인지 여부에 의존할 수 없고, 그래서 P가 (20)을 발화함에 있어서 잘못 단언한 것은 (20)이 참이었다면 P가 단언했을 것과 동일한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따라서, P는 결국 거짓으로 드러나는 F-임을 예화하는 것을 단언한다. 그러나 플라톤주의가 계속해 나갈 것처럼, F는 일반 명사였을 것이고, 술어 형태였을 것이며, 말하자면, 현존하거나 현존했거나 현존할 그 어떠한 대상에 대해서도 참이거나 그에 의해 만족되지 않았을 것이다. 우리를 예화되는 보편자들이 있다고 생각하도록 이끄는 의미론적 고찰들은 예화되지 않는 보편자들에 대한 존재론도 마찬가지로 뒷받침한다; 그리고, 플라톤주의는 계속해서 마찬가지로 F도 아무것에 대해서도 필연적으로 참이 아닌 술어였을 수 있을 것이고, 그래서 동일한 논증이 필연적으로 예화되지 않는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이 있다는 믿음을 정당화하는 것으로 보일 터이다.

  The Platonist will typically insist that all universals, whether exemplified or not, are necessary beings. Unlike the contingently existing particulars of common sense that exist, but need not,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are such that their nonexistence is impossible. Toward showing this, the Platonist tells us that for every property, the claim that it is a property is not just true, but necessarily true. Now, the Platonist insists that just as the truth of a claim about an object presupposes the actual existence of the object, the necessary truth of a claim about this or that object presupposes the necessary existence of the object. A necessary truth, the Platonist insists, is one that could not fail to be true; and where a necessary truth is a claim about a given object, the object in question could not fail to exist. So every property is such that it could not fail to exist; every property is a necessary being; and analogous points hold with regard to kinds and relations. So the Platonist insists that we distinguish between the existence of a property, kind, or relation and its exemplification or instantiation. Whereas the latter may be contingent, the former never is.
  플라톤주의는 전형적으로 모든 보편자들은 예화되든 그렇지 않든 필연적인 존재자들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상식의 우연적으로 현존하는 특수자들과 달리 저들은 현존하지만,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과 같이 그것들의 비현존이 불가능한 것일 필요는 없다. 이를 보이기 위해, 플라톤주의는 우리에게 모든 속성에 대해 그것이 속성이라는 주장이 단순히 참이 아니라 필연적으로 참이라고 말한다. 이제, 플라톤주의는 바로 한 대상에 대한 주장의 진리가 그 대상의 실제 현존을 가정하는 것과 같이, 이러저러한 대상에 대한 한 주장의 필연적 참이 그 대상의 필연적 현존을 가정한다고 주장한다. 플라톤주의는 하나의 필연적 참은 참이 아닐 수 없을 그러한 참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필연적 참이 주어진 한 대상에 대한 주장인 곳에서, 문제가 되는 그 대상은 현존하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모든 속성은 현존하지 않을 수 없을 그러한 것이다; 모든 속성은 필연적 존재자이다; 그리고 유사한 점들이 종류들과 관계들을 고려함에 있어서도 견지된다. 그래서 플라톤주의는 우리가 속성, 종류, 또는 관계와 그것의 예화 혹은 예시 사이를 구별한다고 주장한다. 후자는 우연적인 것일 반면, 전자는 결코 그렇지 않다.

  In criticizing Aristotelians, the Platonist will argue that by failing to draw this distinction, the Aristotelian makes the existence of a universal depend upon the existence of something to exemplify it and thereby turns things upside down. Universals were brought on the scene to explain attribute agreement among particulars, to explain why concrete particulars are the way they are. Universals, then, are supposed to be ontologically prior to the particulars that exemplify them. On the Aristotelian view, however, things turn out just the reverse. The existence of a universal turns out to depend on there being particulars that are this or that sort of things, are characterized in this or that way, or are related to each other in this or that way. Such a view undermines the core insight motivating metaphysical realism.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들에 대한 비판에 있어서, 플라톤주의는 이러한 구별을 이끌어내는 데에 실패함으로써 아리스토텔레스주의가 보편자의 현존을 그 보편자를 예화하는 어떤 것의 현존에 의존하도록 만들고 그럼으로써 사물들을 전도시킨다고 주장할 것이다. 보편자들은 특수자들 사이의 속성 일치를 설명하는 장면에서, 어째서 구체적 특수자들이 그들이 그러한 그 방식으로 있는지 설명하기 위해 초래되었다. 그래서 보편자들은 그것들을 예화하는 특수자들보다 존재론적으로 우선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지만 아리스토텔레스주의의 관점에서, 사물들은 그와 정반대로 드러난다. 보편자의 현존은 이러저러한 종류의 사물들, 이러저러한 방식으로 규정된 것들, 또는 이러저러한 방식으로 상호 결합된 것들인 존재하는 특수자들에 의존하는 것으로 드러난다. 그러한 관점은 형이상학적 실재론을 동기유발하는 핵심적 통찰을 약화시킨다.

  Finally, although some realists (including, perhaps, Plato himself) are willing to endorse a “two-worlds” ontology, many Platonists will claim that Aristotelians are just wrong to suppose that the metaphysical problems of a “two-worlds” theory have to infect an ontology of unexemplified universals. They will insist that, on their view, the nexus of exemplification serves to tie universals and particulars, and they will claim that although this notion is ontologically basic or primitive, it is a perfectly respectable notion, one that the Aristotelian no less than the Platonist is committed to. And they will argue that the Aristotelian’s contention that the Platonist faces insoluble epistemological problems is overblown. They will insist that while some universals have no instances in the spatiotemporal world, many do; and they will claim that our knowledge of exemplified universals can be captured by a thoroughgoing empiricism. As they see it, we come to have cognitive access to these universals simply by experiencing the spatiotemporal particulars that exemplify them; whatever other knowledge we have of universals is grounded in our knowledge of these exemplified universals. Thus, we come to know about some unexemplified universals by extrapolation from our empirically based knowledge of instantiated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If there are universals that have no identifiable relations to the exemplified universals we meet in our day-to-day commerce with the world, then Platonists will concede that we have no knowledge of such universals; but they will deny that this is surprising. They will claim, rather, that this is just what we would have expected.
  끝으로, 일부 실재론자들 (아마도 플라톤 자신을 포함하는) 이 "두-세계들" 존재론을 지지하길 바라고 있다 할지라도, 많은 플라톤주의자들은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들이 "두-세계들" 이론의 형이상학적 문제들이 예화되지 않는 보편자들에 대한 존재론을 감염시켜야 한다고 잘못 생각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들은 그들의 관점에서 예화의 연쇄가 보편자들과 특수자들을 묶는 일에 이바지한다고 주장할 것이고, 그들은 비록 이러한 관념이 존재론적으로 기초적이거나 1차적이라 할지라도, 그것은 완벽히 훌륭한 관념, 아리스토텔레스주의가 플라톤주의보다 조금도 덜 헌신하지 않는 관념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플라톤주의가 해결불능의 인식론적 문제들에 직면한다는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주장이 과장되었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들은 일부 보편자들이 시공간적 세계 내에서 아무런 예시들도 가지지 않는 반면, 많은 보편자들이 또한 가진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예화되는 보편자들에 대한 우리의 앎이 철저한 경험주의에 의해 포착될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들이 그렇게 보듯, 우리는 이러한 보편자들에 대해 단순히 그것들을 예화하는 시공간적 특수자들을 경험하는 것만으로 인지적 접근을 가지게 될 것이다; 보편자들에 대해 우리가 가진 다른 어떤 앎이 되었든 이러한 예화되는 보편자들에 대한 우리의 앎에 기초된다. 그래서, 우리는 예시되는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에 대한 경험적으로 기초된 우리의 앎으로부터 외삽을 통해 어떤 예화되지 않는 보편자들에 대해 알게 된다. 만일 우리가 세계와의 나날의 소통에서 마주치는 예화되는 보편자들에 대해 아무런 규정가능한 관계들도 지니지 않는 보펴자들이 있다면, 플라톤주의는 우리가 그러한 보편자들에 대해 아무런 앎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그러나 그들은 이러한 것이 놀라운 일임을 부정할 것이다. 그들은 오히려 이것이 단지 우리가 예측하였을 바로 그것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蟲-
Realism and predication
실재론과 술어


  The subject-predicate sentence is about as basic a form of discourse as there is. The following sentences are examples of this form of discourse:

(1) Socrates is courageous
(2) Plato is a human being
(3) Socrates is the teacher of Plato.

Using a sentence like one of these, we pick out or refer to a particular and go on to say something about it – to characterize or describe it in some way, to indicate what kind of thing it is, or to relate it to something else. Using (1), for example, we refer to Socrates and we say of him that he is courageous. This characterization of (1) suggests that it is only the subject term ‘Socrates’ that plays a referential role or picks out an object in (1), but metaphysical realists want to insist that such an account is incomplete. Any satisfactory analysis of (1), they claim, will show the predicate term ‘courageous’ to have referential
force as well.[6]
  주-술 문장은 거의 존재하는 것만큼 담론의 형식에 기초적이다. 다음 문장들은 이러한 담론 형식의 사례들이다.

(1) 소크라테스는 용감하다
(2) 플라톤은 인간이다
(3) 소크라테스는 플라톤의 스승이다.

이러한 것들 중 하나와 같은 문장을 사용함으로써, 우리는 하나의 특수자를 골라내거나 지시하고 계속해서 그것에 대해 무언가를 말한다 - 그것을 어떤 식으로 규정하거나 묘사하는 것, 그것이 어떤 종류의 것인지 나타내는 것, 혹은 그것을 어떤 다른 것에 관련짓는 것. 예를 들어 (1)을 사용함으로써 우리는 소크라테스를 지시하고 그에 대해 그가 용감하다고 말한다. (1)에 대한 이러한 규정은 (1)에 있어서 지시적 역할을 수행하거나 대상을 골라내는 것이 오로지 주어인 '소크라테스'일 따름임을 시사하지만, 형이상학적 실재론자들은 그러한 설명이 불완전하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그들이 주장하기로 (1)에 대한 그 어떠한 만족스러운 분석이든 그 술어 '용감'이 마찬가지로 지시적 능력을 지닌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Suppose that (1) is true. Pretty clearly, its truth depends on two things: first, what (1) says and, second, the way the world is. Both of these things are matters of structure; what (1) says is a matter of the terms that enter into its composition and the order in which they are placed. The relevant way the world is, on the other hand, is a matter of nonlinguistic structure; it is a matter of how things in a certain sector of the world are and how they are related to each other. So the truth of (1) involves a linguistic structure and a nonlinguistic structure, and the realist insists that it is because we have a correspondence between the two structures that (1) is true. It is because the linguistic structure of (1) corresponds to or mirrors the nonlinguistic structure of a certain sector of the world that (1) is true.[7] Pretty clearly, if we are to have the requisite correspondence, there must be a thing correlated with the proper name ‘Socrates,’ but the realist argues that (1) can be true only if ‘courageous’ is likewise correlated with some nonlinguistic object. As it occurs in (1), ‘courageous’ is not playing a purely formal role, the kind of role associated with terms (like the conjunctions ‘or’ and ‘if’ or the definite and indefinite articles) that do not enter into any relation with objects out in the world. Its role in (1) is to make contact with the world by referring to or picking out an object. So if (1) is to be true, both its subject term and its predicate term must have a referent, and the referents of these two terms must be related in a way that insures that what (1) says is true. But, then, as it occurs in (1), ‘courageous’ picks out an entity such that, in virtue of being related to it, the referent of ‘Socrates’ is as (1) says he is – courageous.
  (1)이 참이라고 가정해 보자. 상당히 분명하게, 그 참은 두 가지 것들에 의존한다: 첫째로, (1)이 말하는 것 그리고 둘째로 세계가 존재하는 방식. 이러한 것들 모두는 구조의 문제들이다; (1)이 말하는 것은 그 (1)의 구성요소들에 들어가는 용어들과 그 구성요소들이 배열되는 순서에 대한 문제이다. 다른 한편 세계가 존재하는 그 상과된 방식은 비언어적 구조에 대한 문제이다; 그것은 어떻게 사물들이 세계의 한 특정 영역에 존재하고 어떻게 그 사물들이 상호간에 관련되는지에 대한 문제이다. 그래서 (1)의 참은 언어적 구조와 비언어적 구조를 포함하며, 실재론자는 그것이 그러한 까닭은 우리가 (1)이 참이라는 그 두 구조들 사이의 일치를 지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그 이유는 (1)의 언어적 구조가 (1)이 참인 세계의 한 특정 영역의 비언어적 구조에 대응하거나 혹은 그것을 반영하기 때문이다. 상당히 분명하게, 만일 우리가 필요한 일치를 지니게 된다면, 반드시 '소크라테스'라는 적합한 이름과 관련된 한 사물이 있어야만 하지만, 실재론자는 (1)이 오로지 '용감'도 같은 식으로 어떤 비언어적 대상과 관련될 때에만 참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1)에서 나타나듯이, '용감'은 순수하게 형식적 역할을, 세계로부터 나온 대상들과 어떠한 관련으로도 들어서지 않는 용어들 ('or'과 'if'와 같은 접속사들 또는 정관사와 부정관사들과 같은) 과 관련된 그런 종류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 않다. (1)에서 '용감'의 역할은 하나의 대상을 지시하거나 혹은 골라냄으로써 세계와 접촉을 이루는 것이다. 그래서 만일 (1)이 참일 것이라면, 그 주어와 술어 모두 반드시 지시대상을 가져야만 하고, 이러한 두 용어들의 지시대상들은 반드시 (1)이 말하는 것이 참임을 보장하는 방식에서 관련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다음으로 (1)에서 나타나듯 '용감'은 그와 같은 실체를 그 실체에 관련됨으로 인해서 골라낸다 '소크라테스'라는 지시대상은 (1)이 그가 그렇다고 말하듯 용감하다.

  Metaphysical realists, however, are quick to point out that ‘courageous’ is a general term; it is a term that can be applied to individuals other than Socrates and so can figure as predicate in true subject-predicate sentences other than (1). Suppose, for example, that not just (1), but also

(4) Plato is courageous

is true. The argument presented for the case of (1) applies here as well. ‘Courageous’ is playing a referential role in (4) no less than in (1). But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the referents of these two occurrences of ‘courageous’? Pretty clearly, what we say about Plato when we predicate ‘courageous’ of him in (4) is precisely what we say about Socrates when we predicate ‘courageous’ of him in (1). And, according to the realist, that implies that whatever referential force ‘courageous’ has in (1) and (4), it is the same referential force in the two cases. The realist concludes that ‘courageous’ picks out a single entity in (1) and (4), a single entity such that in virtue of being related to it, both Socrates and Plato count as courageous.
  그렇지만 형이상학적 실재론자들은 신속하게 '용감'이 일반 명사임을 지적해낸다; 그것은 소크라테스 이외에도 다른 개별자들에 적용될 수 있는 용어이고 그래서 (1) 말고 다른 참인 주-술 문장들에서도 술어로서 기능할 수 있는 용어이다. 예를 들어 (1)뿐만 아니라 또한

(4) 플라톤은 용감하다

이 문장도 참이라고 가정해 보자. (1)의 경우에 대해 표현된 논증은 여기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용감'은 (1)에 비해 (4)에서 지시적 역할을 조금도 덜 수행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용감'의 두 가지 발생들의 지시대상들 사이의 관계는 무엇인가? 상다잏 분명하게, 우리가 (4)에서 플라톤에 대해 '용감'하다고 단정할 때 플라톤에 대해 우리가 말하는 것은 정확하게 우리가 (1)에서 소크라테스에 대해 '용감'하다고 단정할 때 우리가 소크라테스에 대해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실재론자에 따르면, 저것은 '용감'이 (1)과 (4)에서 지니는 지시적 능력이 무엇이 되었든, 그것은 그 두 사례들에 있어서 동일한 지시적 능력임을 시사한다. 실재론자는 '용감'이 (1)과 (4)에 있어서 단일한 실체를, 그에 관계됨으로 인해서 소크라테스와 플라톤 모두 용감한 것으로 간주되는 그와 같은 단일한 실체를 골라낸다고 결론내린다.

  And, of course, the same line of argument applies in the case of other true subject-predicate sentences where ‘courageous’ plays the predicate role. In every such sentence, ‘courageous’ has referential force or picks out an object; and provided the term is being used in a single sense in all these sentences, it has a single referential force in all of them. In every such sentence, it picks out or refers to a single entity, an entity such that in virtue of a relation between it and the referent of the sentence’s subject term, the sentence is true. But what metaphysical machinery is required to tell this story of the truth conditions for sentences like (1), (4), and their ilk? Realists insist that the ontological framework central to their account provides the materials for such a story. Assume that there are repeatable entities or universals and a relation of exemplification tying them to particulars, and our account of the truth conditions for sentences like (1) and (4) goes smoothly. It is because ‘courageous’ has as its referent a certain universal – the virtue of courage – and because each of Plato and Socrates exemplifies that universal that (1) and (4) are true.
 그리고, 물론, 논증의 동일한 노선이 '용감'이 술어적 역할을 하는 참인 주-술 문장들의 경우에 적용된다. 그러한 모든 문장에서, '용감'은 지시적 능력을 지니거나 하나의 대상을 골라낸다; 그리고 이러한 모든 문장들에 있어서 단일한 의미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가 제공된다면, 그 용어는 그 문장들 모두에 있어서 단일한 지시적 능력을 지닌다. 그러한 모든 문장에 있어서, 그것은 단일한 실체, 그 실체와 그 문장의 주어의 지시체 사이의 관계로 인해서 그 문장이 참인 그러한 실체를 골라내거나 지시한다. 그러나 (1), (4), 그리고 그런 종류와 같은 문장들에 대한 진리 조건들의 이러한 서사를 말하기 위해 어떤 형이상학적 장치가 요청되는가? 실재론자들은 그들의 설명에 중심적인 존재론적 구조가 그러한 서사를 위한 재료들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반복가능한 실체들 혹은 보편자들과 그것들을 특수자들에 결부시키는 예화의 관계가 있다고, 그리고 (1)과 (4)와 같은 문장들에 대한 진리 조건들에 대한 우리의 설명이 순조롭게 진행된다고 가정해 보자. 그것은 '용감'이 그 지시체로서 한 특정한 보편자 - 용기의 특성 - 를 지니기 때문이고 플라톤과 소크라테스 각자가 (1)과 (4)가 참인 저 보편자를 예화하기 때문이다.

  Realists want, of course, to extend the story we have told about (1) and (4) to provide a general account of subject-predicate discourse. Predicates refer to universals, and what makes a subject-predicate sentence true is just that the referent of its subject term exemplifies the universal that is the referent of its predicate term. And the realist will typically claim that there are different kinds of universals that can be the referents of predicate terms. The predicates of subject-predicate sentences like (1), where we characterize an object or say how it is, take properties as their referents. Other subject-predicate sentences are like

(2) Plato is a human being

enabling us to identify what a thing is or to say what kind of thing it is. Their predicates take kinds as their referents. Finally, there are subject-predicate sentences like

(3) Socrates is the teacher of Plato,

which enable us to say how different objects are related to each other; their predicates refer to relations.
  물론 실재론자들은 우리가 (1)과 (4)에 대해 말했던 줄거리를 주-술 담화에 대한 일반적 설명을 제공하는 데에까지 확장시키고자 한다. 술어들은 보편자들을 지시하고, 주-술 문장을 참으로 만드는 것은 바로 그 문장 주어의 지시체가 그 문장 술어의 지시체인 보편자를 예화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실재론자는 전형적으로 술어들의 지시체들일 수 있는 상이한 종류들의 보편자들이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1)과 같은 주-술 문장들의 술어들은 우리가 한 대상을 규정하거나 그 대상이 어떠한지 말할 때 그 술어들의 지시체들로 속성들을 취한다.

(2) 플라톤은 인간이다

이와 같은 다른 주-술 문장들은 우리로 하여금 한 사물이 무엇인지 규정할 수 있도록 혹은 그것이 어떤 종류의 사물인지 말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그 문장들의 술어들은 그 술어들의 지시체들로서 종류들을 취한다. 끝으로,

(3) 소크라테스는 플라톤의 스승이다

이와 같은 주-술 문장들, 우리로 하여금 상이한 대상들이 어떻게 상호에 관련되는지 말할 수 있도록 해주는 문장들이 있다; 그 문장들의 술어들은 관계들을 지시한다.

  If this analysis is to be complete, however, we need an account of the kind of referential relation that ties predicates to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Our paradigm of the referential relation is that between a name and its bearer, the sort of relation that ties ‘Socrates’ to the man Socrates; and some realists have wanted to claim that it is precisely this relation that predicates bear to universals.8 Their typical example is a sentence like

(5) This is red,

where we specify the color of some particular. We are told that (5) incorporates two names tied together by the copula ‘is’: ‘this’ names a certain particular, ‘red’ names a certain universal, and the copula expresses the relation of exemplification that ties the particular named by ‘this’ to the universal named by ‘red.’ On this account, the insight that subject-predicate truth involves a correspondence between a linguistic structure and a nonlinguistic structure gets a very strong expression; for on this view we have a one-to-one correspondence between the linguistic expressions out of which (5) is composed and the nonlinguistic items that are supposed to make (5) true. But while the claim that universals are named by predicates might seem attractive for a sentence like (5), when we turn to other subject-predicate sentences, we find that the analysis does not generalize very well. Consider, again,

(1) Socrates is courageous.

It is not plausible to suppose that its predicate is a name. Where a term names an entity, it can play the role of subject term in a subject-predicate sentence; and in that role, it refers to the item that it names. ‘Courageous’ does not, however, pass that test; it is not grammatically suited to occupy the subject position. If any term names the universal the realist wants to correlate with the predicate ‘courageous,’ it is the term ‘courage’; and just as ‘courageous’ cannot play the subject role, ‘courage’ cannot function as a predicate. Nor is the case of ‘courageous’ idiosyncratic. Consider

(6) This coin is circular,
(7) Plato is wise,
and
(8) Alcibiades is exhausted.

In none of these cases is it plausible to claim that the predicate functions as a name of the universal it is supposed to refer to. In each case, there is another term (‘circularity,’ ‘wisdom,’ ‘exhaustion’) that is more plausibly construed as the name of the relevant universal. The fact that we cannot take the predicates of (1), (6), (7), or (8) to be names of universals suggests that ‘red’ is not playing that role in (5) either; and the fact is that it is not. ‘Red,’ along with other color words is ambiguous; it can function as a noun (as in ‘Red is a color’), and in that use it is plausibly construed as a name of the relevant color; but it can also function as an adjective (as in ‘red house’ and ‘red complexion’), and in that use it does not name anything. In (5) the term has its adjectival use and so is no more a name there than ‘courageous’ is in (1).
그렇지만 만일 이러한 분석이 완결될 것이라면, 우리는 술어들을 속성들, 종류들, 그리고 관계들에 결부시키는 그런 종류의 지시적 관계에 대한 설명을 필요로 한다. 지시적 관계에 대한 우리의 전형은 이름과 그 이름의 담지자 사이의 관계, '소크라테스'를 소크라테스라는 사람에 결부시키는 그런 종류의 관계이다; 그리고 일부 실재론자들은 술어들이 보편자들에 대해 제공하는 것이 바로 정확히 이러한 관계라고 주장하고자 하였다. 그들의 전형적인 예시는

(5) 이것은 붉다,

이와 같은 문장, 우리가 어떤 특수자의 색을 상술하는 문장이다. 우리는 (5)가 함께 묶인 두 가지 이름들을 계사 'is'로써 결합시킨다고 이야기하게 된다: 'this'는 특정한 특수자를 명명하고, 'red'는 특정한 보편자를 명명하며, 그 계사는 'this'에 의해 명명된 그 특수자를 'red'에 의해 명명된 보편자에 결부시키는 예화의 관계를 표현한다. 이러한 설명에 있어서, 주-술 진리가 언어적 구조와 비언어적 구조 사이의 일치를 포함한다는 통찰은 매우 강한 억양을 획득한다; 왜냐하면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는 그로부터 (5)가 구성되는 그러한 언어적 표현들과 (5)를 참이도록 만드는 것으로 간주되는 비언어적 항목들 사이의 일대일 대응을 지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편자들이 술어들에 의해 명명된다는 주장은 (5)와 같은 문장에 대해 매력적으로 보일지 모르는 반면, 우리가 다른 주-술 문장들로 돌아설 떄, 우리는 그 분석이 아주 잘 일반화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된다. 다시 한 번

(1) 소크라테스는 용감하다.

라는 문장을 고찰해 보자. 그 문장의 술어가 하나의 이름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그럴듯해 보이지 않는다. 한 용어가 하나의 실체를 명명할 때, 그것은 주-술 문장에서 주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역할에 있어서, 그 용어는 그것이 명명하는 그 항목을 지시한다. '용감'은 그렇지만 저 시험을 통과하지 못한다; '용감'은 주어 위치를 점유하기에는 문법적으로 적합하지 않다. 만일 어떤 용어든 실재론자들이 '용감'이라는 술어와 결부시키기를 바라는 보편자를 명명한다면, 그 용어는 '용기'이다; 그리고 바로 '용감'이 주어 역할을 수행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용기'는 술어로서 기능할 수 없다. '용감'의 경우가 특이한 것도 아니다. 다음 세 문장들을 고찰해 보자.

(6) 이 동전은 원형이다,
(7) 플라톤은 현명하다,
그리고
(8) 알키비아데스는 지쳤다.

이러한 경우들 중 어느 경우에도 그 술어가 그것이 지시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보편자의 이름으로 기능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그럴듯해 보이지 않는다. 각 경우에서, 상관된 보편자의 이름으로 그럴 듯하게 이해되는 또 다른 용어 ('원형,' '지혜,' '소진') 가 있다. 우리가 (1), (6), (7), 또는 (8)의 술어들을 보편자들의 이름들일 것으로 취할 수 없다는 사실은 '붉음'이 (5)에서도 저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 않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그러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 않다는 것은 사실이다. '빨강'은 다른 색 단어들과 함께 모호하다; 그것은 ('빨강은 색이다'에서와 같이) 명사로서 기능할 수 있고, 그러한 용례에서 빨강은 상관된 색의 이름으로 그럴 듯하게 이해된다; 그러나 그것은 또한 ('빨간 집' 그리고 '빨간 낯빛'에서와 같이) 형용사로서 기능할 수 있고, 그 용례에서 그것은 어떤 것의 이름도 아니다. (5)에서 그 용어는 그 형용사적 용법을 지니고 그래서 더 이상 (1)에서 '용감'이 그러한 것보다 조금도 더 이름이 아니다.

  We have been focusing on the grammatical obstacles to construing predicates as names; but those obstacles have semantical roots. A name is a singular term; it picks out its bearer and nothing else. Predicates, by contrast, are general terms and, as such, they enter into a referential relation with each of the objects of which they can be predicated. In the semanticist’s jargon, they are true of or satisfied by those objects. But if their entering into that relation precludes their serving as names of universals, is there any other kind of referential relation that they might, nonetheless, bear to universals? Many realists have insisted that there is. They have claimed that in addition to being true of or satisfied by the objects of which they can be predicated, predicate terms express or connote universals.[9] Thus, ‘courageous’ is referentially linked to all and only courageous individuals by the relation of satisfaction; but realists have claimed that it also expresses or connotes the universal all those individuals have in common, the virtue of courage. Likewise, ‘circular’ is satisfied by all and only the individuals that are circular, but realists tell us that it bears the further semantical relation of expression or connotation to the universal those individuals all share, the shape of circularity.
  우리는 술어들을 이름들로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 문법적 장애물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그러나 그러한 장애들은 의미론적 뿌리들을 지닌다. 하나의 이름은 단칭 명사이다; 이름은 그 이름의 담지자외의 다른 아무것도 골라내지 않는다. 반면에 술어들은 일반 명사들이며, 그 자체로는 그 술어들이 그에 대해 서술될 수 있는 대상들 각각과 지시적 관계에 들어간다. 의미론의 은어에서, 그 술어들은 그러한 대상들에 대해 참이거나 그것들에 의해 만족된다. 그러나 만일 그 술어들의 저 관계에 들어감이 그 술어들의 보편자들에 대한 이름들로 역할함을 배제한다면, 그것들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편자들에 대해 가질 수 있을 그 어떤 다른 종류의 지시적 관계가 있는가? 많은 실재론자들은 그러한 것이 있다고 주장해 왔다. 그들은 그 술어들이 그에 대해 서술될 수 있는 대상들에 대해 참임 또는 그것들에 의해 만족됨에 더하여, 술어들이 보편자들을 표현하거나 내포한다고 주장해 왔다. 그래서, '용감'은 지시적으로 모두 오로지 용감한 개별자들에 충족의 관계에 의해 연결된다; 그러나 실재론자들은 그것이 또한 그러한 모든 개별자들이 공통으로 지니는 그 보편자를, 용기의 덕분으로 표현하거나 내포한다고 주장해 왔다. 같은 식으로, '원형'은 모두 오로지 원형인 개별자들에 의해서만 만족되지만, 실재론자들은 우리에게 그것이 추가적인 의미론적 관계, 그러한 개별자들 모두가 공유하는 보편자, 원형의 형태에 대한 표현이나 내포의 관계를 품는다고 말한다.

  Toward clarifying the claim that predicates express universals, realists argue that to apply a predicate term to an object is to do more than merely identify the object as a member of a set of objects; it is to identify as well the universal in virtue of which objects belong to the set. Thus, when we say that an object is triangular, we are not merely saying that it belongs to a set of objects. We are also pointing to the property shared by all the members of the set and saying that the object in question exhibits that property. According to the realist, the fact that the use of a predicate term involves more than the mere identification of the items it is true of is shown by the fact that subject-predicate sentences like our (1)–(8) admit of paraphrases in which the reference to a universal is made explicit. (1), for example, can be paraphrased
as

(1') Socrates exemplifies courage,

and (6) can be paraphrased as

(6') This coin exemplifies circularity.

In both cases, the original subject-predicate sentence gives way to a sentence in which there occurs a singular term that bears what appears to be the naming relation to the universal the realist takes the predicate of the sentence to refer to or pick out. Now, realists want to claim that the possibility of such paraphrases is general, so that any subject-predicate sentence of the form ‘a is F’ can be paraphrased by a sentence of the form ‘a exemplifies F-ness.’ But if paraphrases of this sort are always possible, then to predicate a general term, ‘F,’ of an object is just to say that the object exemplifies the universal, F-ness. And this implies that even if predicates do not name universals, their use in the context of a subject-predicate sentence has the force of introducing universals into discourse, of mentioning or referring to universals. There is, then, a referential relation here, one weaker or less direct than, but parasitic on the naming relation. That relation is what the realist calls expression or connotation. And the realist will, once again, typically claim that predicates can express or connote different kinds of universals. The predicate of a sentence like (1) expresses or connotes a property, and to assertively utter (1) is to say that a given object exemplifies that property by possessing or having it. The predicate of (2), by contrast, expresses a kind; and to assertively utter (2) is to say that some object exemplifies that kind by belonging to it. Finally, the predicate of (3) expresses a dyadic relation; and to use (3) to make a claim is to say that a particular pair of objects exemplify that dyadic relation by entering into it.
  술어들이 보편자들을 표현한다는 주장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실재론자들은 술어를 한 대상에 적용하는 일이 단순히 그 대상을 일련의 대상들에 속하는 한 구성원으로 규정하는 이상의 것을 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것은 또한 그로 인해 대상들이 그 집합에 속하는 그 보편자를 규정하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가 한 대상이 삼각형이라고 말할 때, 우리는 단순히 그 대상이 일련의 대상들에 속한다고만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또한 그 집합에 속하는 구성원들 모두에 의해 공유되는 속성을 지적하고 있으며 문제가 되는 그 대상이 그 속성을 나타낸다고 말하고 있다. 실재론자에 따르면, 술어의 사용이 그 항목들에 대해 그 술어가 참이라는 단순한 규정 이상의 것을 포함한다는 사실은 우리의 (1)-(8)과 같은 주-술 문장들이 그 안에서 보편자에 대한 그 지시가 명확해지는 그러한 말 바꾸기들에 대해 허용한다는 사실에 의해 보여진다. 예를 들어 (1)은 다음과 같이 말이 바뀌어 풀이될 수 있다.

(1') 소크라테스는 용기를 예화한다,

그리고 (6)은 다음과 같이 말이 바뀌어 풀이될 수 있다.

(6') 이 동전은 원형성을 예화한다.

두 문장들 모두에 있어서, 본래의 주-술 문장은 실재론자가 그 문장의 술어로 취하는 보편자에 대해 지시하거나 골라내는 명명관계인 것으로 보이는 것을 품은 단칭 명사가 생겨나는 방식을 제공한다. 이제, 실재론자들은 그러한 말 바꾸기의 가능성이 일반적이며, 그래서 'a는 F이다'라는 형식에 속하는 어떠한 주-술 문장이든 'a는 F-임을 예화한다'라는 형식의 문장에 의해 말이 바뀌어 풀이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그러나 만일 이러한 종류의 말 바꾸기들이 언제나 가능하다면, 한 대상의 일반 명사 'f'를 서술하는 것은 단지 그 대상이 그 보편자 F-임을 예화한다고 말하는 것일 따름이다. 그리고 이것은 설령 술어들이 보편자들을 명명하지 않는다 할지라도 그 술어들의 용례는 주-술 문장의 문맥 안에서 보편자들을 담화에 도입하는 능력, 보편자들을 언급하거나 지시하는 능력을 지닌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래서 여기에는 지시적 관계, 더 약하거나 덜 직접적이지만 명명 관계에 기생적인 지시적 관계가 있다. 저 관계는 실재론자가 표현 혹은 내포라 부르는 것이다. 그리고 실재론자는 다시 한 번 전형적으로 술어들이 상이한 종류들의 보편자들을 표현하거나 내포할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1)과 같은 문장의 술어는 하나의 속성을 표현하거나 내포하며, 단정적으로 (1)을 발화하는 것은 주어진 대상이 저 속성을 그 속성을 소유하거나 가짐으로써 예화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반면에 (2)의 술어는 하나의 종류를 표현한다; 그리고 단정적으로 (2)를 발화하는 것은 어떤 대상이 저 종류를 그 종류에 속함으로써 예화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끝으로, (3)의 술어는 이원적 관계를 표현한다; (3)을 주장에 사용하는 것은 대상들의 한 특수자 쌍이 저 이원적 관계를 그 관계에 들어감으로써 예화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So predicates express or connote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and where we have a true subject-predicate sentence, the universal expressed by the predicate is exemplified by the referent of the sentence’s subject term. The realist claims that this account does what we want it to do; it explains how subject-predicate sentences can manage to correspond to the world, and it does so in a natural or intuitively satisfying way. What makes the account so natural, according to the realist, is its connections with the realist’s interpretation of attribute agreement. General terms play the predicate role; and, on any theory, general terms mark cases of attribute agreement: all the items of which a given general term is true agree in attribute or are similar in some way. But the items that agree in attribute, according to the realist, all exemplify some one universal; and, on the realist’s account, the general term that marks a given case of attribute agreement expresses or connotes precisely the same universal that supports or grounds that case of attribute agreement. So we have an account of predication that goes hand in hand with our account of attribute agreement, and the two accounts mesh in just the way they must if we are to provide a satisfactory account of subject-predicate truth. The universal that is the referent of a predicate term is precisely the universal that must be exemplified by the referent of a subject term if that referent is to be something that instances the case of attribute agreement marked by that predicate term.
  그래서 술어들은 속성들, 종류들, 그리고 관계들을 표현하거나 내포한다; 그리고 우리가 참인 주-술 문장을 갖는 곳에서, 술어에 의해 표현된 보편자는 그 문장의 주어의 지시체에 의해 예화된다. 실재론자는 이러한 설명이 우리가 하고자 원하는 일을 한다고 주장한다; 그것은 어떻게 주-술 문장들이 세계에 대한 일치를 이루어 내는지 설명하고, 자연스럽거나 직관적으로 만족스러운 그러한 방식으로 그렇게 한다. 실재론자에 따르면 그 설명을 그렇듯 자연스럽게 만드는 것은 그 설명의 실재론자들의 속성 일치에 대한 해석과의 연결들이다. 일반적 명사들은 서술적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어떠한 이론에서든, 일반 용어들은 속성 일치의 사례들을 표시한다: 그에 대해 일반적 명사가 주어지는 모든 항목들은 속성에 있어서 참으로 일치하거나 또는 어떤 방식으로 유사하다. 그러나 속성에 있어서 일치하는 그 항목들은 실재론자에 따르면 모두 어떤 하나의 보편자를 예화한다; 그리고, 실재론자의 설명에 있어서, 속성 일치의 주어진 사례를 표시하는 일반적 명사는 정확히 그 속성 일치의 사례를 지지하거나 기초짓는 동일한 보편자를 표현하거나 내포한다. 그래서 우리는 속성 일치에 대한 우리의 설명과 관련되는 술어에 대한 설명을 지니고, 그 두 가지 설명들은 그 설명들이 만일 우리가 주-술 진리에 대한 만족스러운 설명을 제공할 것이라면 반드시 맞물려야 하는 바로 그러한 방식으로 맞물린다. 술어의 지시체인 보편자는 정확히, 만일 저 지시체가 저 술어에 의해 표시되는 속성 일치의 사례를 예증하는 어떤 것일 것이라면 주어의 지시체에 의해 예화되어야만 하는 그 보편자이다.


Realism and abstract reference
실재론과 추상적 지시

  Realists want to claim that an ontology of universals provides us with the resources for explaining more than predication. They think their metaphysical theory enables us to give an intuitively satisfying account of the phenomenon of abstract reference.[10] This phenomenon makes its most obvious appearance in the use of what are called abstract singular terms. Examples of abstract singular terms are expressions like ‘triangularity,’ ‘wisdom,’ ‘mankind,’ and ‘courage.’ They are all singular terms: they can play the subject role; and they tend to pair off with expressions that can play the predicate role – general terms. Thus, we have ‘triangularity’/‘triangular,’ ‘wisdom’/‘wise,’ ‘mankind’/‘man,’ ‘courage’/‘courageous,’ and ‘red’ (in its noun use)/‘red’ (in its adjectival use). Now, intuitively, the terms making up each of these pairs seem to be related in a quite distinctive way: the abstract singular term appears to be a device for picking out a certain property or kind and the general term appears to be an expression true of or satisfied by all and only the objects that exemplify that property or kind. The realist insists that this intuitive account is correct and claims that unless we take abstract singular terms to be devices for referring to universals, we cannot provide a satisfactory account of the sentences in which they appear. The following are examples of such sentences:

(9) Courage is a moral virtue
(10) Triangularity is a shape
(11) Hilary prefers red to blue
(12) Mankind is a kind
(13) Wisdom is the goal of the philosophic life

and so are the sentences we mentioned in our account of the referential force of predicates:

(1') Socrates exemplifies courage
and
(6') This coin exemplifies circularity.

Realists point out that sentences like these are often true, and argue that only the metaphysical realist has the resources for explaining how they can manage to be true. The realist insists that if we are to provide an account of what these sentences say, we must hold that, as they occur in these sentences, abstract singular terms are functioning in precisely the way the intuitive account tells us they function: they are playing referential roles of the most straightforward sort; they are functioning as names of universals. But if they are playing that sort of role, the sentences in which they occur can be true only if the universals they name actually exist. So only the philosopher who endorses an ontology of universals can account for the truth of sentences in which abstract singular terms appear.
  실재론자들은 보편자들의 존재론이 우리에게 서술 이상의 것을 설명하기 위한 원천들을 제공한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그들은 그들의 형이상학적 이론이 우리로 하여금 추상적 지시라는 현상에 대한 직관적으로 만족스러운 설명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고 생각한다. 이 현상은 추상적 단칭 명사들이라 불리는 것의 사용에 있어서 가장 분명하게 드러난다. 추상적 단칭 명사들의 사례들은 '삼각형,' '지혜,' '인류,' 그리고 '용기'와 같은 표현들이다. 그것들은 모두 단칭 명사들이다: 그것들은 주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그것들은 술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표현들 - 일반 명사들과 짝을 이루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우리는 '삼각형'/삼각,' '지혜'/'지혜로운,' '인류'/'인간적,' '용기'/'용감,'그리고 '빨강'(명사적 용례에 있어서)/'빨간' (형용사적 용례에 있어서)를 가진다. 이제, 직관적으로, 이러한 쌍들 각각을 구성하는 용어들은 상당히 특유한 방식으로 관련되는 것으로 보인다: 추상적 단칭 명사는 특정한 속성이나 종류를 골라내기 위한 장치인 것으로 보이고 일반 명사는 그 속성이나 종류를 예화하는 그 대상들에 대한 진리 표현이거나 모두 오로지 그것들에 의해서만 충족되는 표현인 것으로 보인다. 실재론자는 이러한 직관적 설명이 옳다고 주장하며 우리가 추상적 단칭 명사들을 보편자들을 지시하는 장치들인 것으로 받아들이지 않는 한, 우리는 그러한 추상적 단칭 명사들이 나타나는 문장들에 대한 만족스러운 설명을 제공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다음은 그러한 문장들의 사례들이다:

(9) 용기는 도덕적 특성이다
(10) 삼각형은 형태이다
(11) 힐러리는 파랑보다 빨강을 선호하다
(12) 인류는 유(類)이다
(13) 지혜는 철학적 삶의 목표이다

그리고 이 문장들은 술어들의 지시적 능력에 대한 우리의 설명에서 우리가 언급했던 문장들이다:

(1') 소크라테스는 용기를 예화한다
그리고
(6') 이 동전은 원형을 예화한다.

실재론자들은 이와 같은 문장들이 종종 참임을 지적하고, 오로지 형이상학적 실재론자만이 어떻게 그것들이 참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설명을 위한 원천들을 가진다고 주장한다. 실재론자는 만일 우리가 이러한 문장들이 말하는 바에 대한 설명을 제공할 것이라면, 우리는 반드시 이러한 문장들 안에서 그것들이 나타나는 것처럼, 추상적 단칭 명사들이 정확하게 그 직관적 설명이 우리에게 그것들이 기능한다고 말해주는 그 방식에서 기능하고 있다고 주장해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즉 그것들은 가장 직접적인 종류의 지시적 역할들을 수행하고 있다; 그것들은 보편자들의 이름들로서 기능하고 있다. 그러나 만일 그 추상적 단칭 명사들이 그러한 종류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면, 그것들이 나타나는 그 문장들은 오로지 그것들이 명명하는 보편자들이 실제로 현존하는 경우에만 참일 수 있다. 그래서 오로지 보편자들의 존재론을 지지하는 처학자만이 추상적 단칭 명사들이 나타나는 문장들의 진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Consider (9). In (9), we pick out a certain property, the property exemplified by all and only courageous individuals, and we go on to say what kind of thing it is; we say that it is a moral virtue. So (9) is a claim about a certain property, the property the intuitive account tells us is named by the abstract singular term ‘courage’; and that claim can be true only if that property exists; for surely the claim that courage is a thing of a certain kind could not be true if there were no such thing as courage. Likewise, in (10) we pick out the property exemplified by all and only triangular objects and we say of that property that it is a shape. Thus (10) is a claim about a certain property, the property the intuitive account tells us is the referent of the abstract singular term ‘triangularity’; and the truth of (10) presupposes that the referent of that abstract term exists. It could hardly be true, after all, that triangularity belongs to a certain kind if triangularity did not exist. And analogous points could be made regarding (11)–(13), (1'), and (6'). In each case, we have an abstract singular term, and the sentence in question manages to say what it does only because the relevant abstract term is functioning in the way the intuitive account tells us it functions, only because it is playing the referential role of naming a universal. Accordingly, each of these sentences can be true only if the universal named by the constituent abstract term exists. And, of course, there are many other such sentences; and like our sample sentences, their truth presupposes the existence of the universals the intuitive account takes to be the referents of their constituent abstract singular terms. But obviously many such sentences are true, and only the metaphysical realist, only the philosopher who holds that universals exist, can tell us how this is possible.
  (9)를 고찰해 보자. (9)에서, 우리는 특정한 속성, 모두 오로지 용감한 개별자들에 의해서만 예화되는 그 속성을 골라내고, 계속해서 그것이 어떠한 종류의 사물인지 이야기한다; 우리는 그것이 도덕적 특성이라 말한다. 그래서 (9)는 한 특정한 속성에 대한 주장, 직관적 설명이 우리에게 말해주는 그 속성은 그 추상적 단일 명사 '용기'에 의해 명명된다는 주장이다; 그리고 저 주장은 오로지 저 속성이 현존할 때에만 참일 수 있다; 왜냐하면 확실히 용기가 특정한 종류의 사물이라는 주장은 만일 용기와 같은 그러한 어떤 것도 존재하지 않는다면 참일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같은 식으로, (10)에서 우리는 모두 오로지 삼각인 대상들에 의해서만 예화되는 그 속성을 골라내고 저 속성에 대해 그것이 하나의 형태라고 이야기한다. 따라서 (10)은 특정한 속성에 대한 주장, 직관적 설명이 우리에게 말해주는 그 속성이 추상적 단일 명사 '삼각형'의 지시체라는 주장이다; 그리고 (10)의 진리는 저 추상적 용어의 지시체가 현존한다고 전제한다. 어쨌든 만일 삼각형이 현존하지 않는다면 저 삼각형이 한 특정한 종류에 속한다는 것은 도무지 참일 수 없을 것이다. 그리고 유사한 점들이 (11)-(13), (1') 그리고 (6')와 관련하여 지적될 수 있을 것이다. 각 경우에서, 우리는 하나의 추상적 단칭 명사를 지니고, 문제가 되는 문장은 오로지 그 상관된 추상 명사가 그 직관적 설명이 우리에게 그것이 그렇게 기능한다고 말해주는 그러한 방식으로 기능하고 있기 때문에만, 오로지 그 추상 명사가 보편자를 명명하는 지시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만 그 문장이 말하는 바를 말해낸다. 따라서, 이러한 문장들 각각은 오로지 구성적인 추상 명사에 의해 명명된 보편자가 현존할 때에만 참일 수 있다. 그리고 물론 그러한 여러 다른 문장들이 있다; 또 우리의 예시 문장들과 같이, 그 문장들의 진리는 그 직관적 설명이 그 문장들의 구성적 추상 단칭 명사들의 지시체들인 것으로 취하는 보편자들의 현존을 전제한다. 그러나 분명히 그러한 여러 문장들은 참이고, 오직 형이상학적 실재론자만이, 보편자들의 현존을 주장하는 그러한 철학자만이 우리에게 어떻게 이것이 가능한지 말할 수 있다.

  So the fact that sentences incorporating abstract singular terms can be true is something realists claim only they can explain. They insist, however, that what we have called abstract reference is not restricted to sentences like those we have been considering. There are sentences incorporating no abstract singular terms which, nonetheless, appear to involve a reference to things like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11] The following are examples of the sorts of sentences the realist has in mind:

(14) That tomato and that fire engine have the same color
(15) Some species are cross fertile
(16) There are undiscovered relations tying physical particles to each other
(17) He has the same character traits as his cousin
and
(18) That shape has been exemplified many times.

Although none of these sentences includes a singular term that names a universal, the realist tells us that they are all claims about universals, claims about the colors, character traits, and shapes things share, the biological kinds to which they belong, and the relations into which they enter and insists that none of these sentences can be true unless the universals in question actually exist. Thus, (14)–(17) are straightforward assertions of the existence of universals meeting certain conditions; none of them can be true unless there exist universals meeting those conditions; and while (18) is not an explicit existence claim, its truth presupposes the existence of at least one multiply exemplifiable entity, a certain shape. So, again, we have the claim that there are sentences whose truth implies the existence of the sorts of things the realist calls universals; the realist points out that many sentences like (14)–(18) are true and concludes that only the philosopher who endorses an ontology of universals can explain this fact.
  그래서 추상적 단칭 명사들을 결합하는 문장들이 참일 수 있다는 사실은 실재론자들이 오직 그들만이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어떤 것이다. 그들은 그렇지만 우리가 추상적 지시라고 불렀던 것이 우리가 고찰하고 있었던 그러한 문장들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아무런 추상적 단칭 명사들도 결합하지 않는, 그럼에도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과 같은 것들에 대한 지시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문장들이 있다. 다음은 실재론자들이 염두에 두는 그러한 종류의 문장들의 사례들이다.

(14) 저 토마토와 저 소방차는 같은 색을 지닌다
(15) 일부 종들은 타가수정한다
(16) 물리적 입자들을 상호 결부시키는 발견되지 않은 관계들이 있다
(17) 그는 그의 사촌과 같은 동일한 성격 특성들을 지닌다
그리고
(18) 저 형태는 여러 차례 예화되어 왔다.

이러한 문장들 중 어느 것도 보편자를 명명하는 단칭 명사를 포함하지 않는다 할지라도, 실재론자는 우리에게 그 문장들이 모두 보편자들에 대한 주장들, 색들, 성격 특성들, 그리고 사물들이 공유하는 형태들, 그것들이 속한 생물학적 종류들, 그 사물들이 들어가는 관계들에 대한 주장들이라고 말하고 이러한 문장들 중 아무것도 문제가 되는 보편자들이 실제로 현존하지 않는 한 참일 수 없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14)-(17)은 특정 조건들을 충족시키는 보편자들의 현존에 대한 직접적 단언들이다; 그것들 중 어느 것도 그러한 조건들을 충족시키는 보편자들이 현존하지 않는 한 참일 수 없다; 그리고 (18)은 명백한 현존 주장이 아닌 반면, 그 문장의 참은 최소한 하나의 다양하게 예화될 수 있는 실체, 한 특정 형태의 현존을 전제한다. 그래서 다시금 우리는 그 참이 실재론자가 보편자들이라 부르는 그런 종류의 사물들의 현존을 시사하는 문장들이 있다는 주장을 가진다; 실재로자는 (14)-(18)과 같은 많은 문장들이 참임을 지적하고 오로지 보편자들의 존재론을 지지하는 철학자만이 이 사실을 설명할 수 있다고 결론내린다.

  The sentences that exhibit the phenomenon of abstract reference, then, include both sentences with and sentences without abstract singular terms; but in both cases, the realist’s contention is the same: that to account for their truth, we must endorse the ontology of metaphysical realism. A couple of comments about this line of argument are in order. First, it is independent of the realist’s account of predication. The realist’s claims about sentences like (9)–(18) presuppose no particular theory of predication. Even if we suppose that the only semantical property associated with predicates is that of being true of or satisfied by the items of which they are predicated, the fact remains that intuitively the use of sentences like (9)–(18) has the force of making claims about entities other than familiar concrete particulars. Indeed, it is plausible to think that this argument is actually presupposed by the realist’s analysis of predication. As we have seen, when realists attempt to explicate and justify the claim that predicates take universals as their referents, they appeal to the fact that ordinary subject-predicate sentences of the form ‘a is F’ can be paraphrased by way of sentences of the form ‘a exemplifies F-ness.’ But it is only because sentences of the latter form incorporate abstract singular terms and because we take the truth of sentences incorporating such terms to commit us to the existence of universals that we take the appeal to these paraphrases as evidence for the realist’s theory of predication.
  추상적 지시의 현상을 드러내는 문장들은 그래서 추상적 단칭 명사들을 지닌 문장들과 지니지 않은 문장들 모두를 포함한다; 그러나 두 경우 모두에 있어서, 실재론자의 주장은 동일하다: 즉 그 문장들의 진리를 설명하기 위해, 우리는 반드시 형이상학적 실재론의 존재론을 지지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증 노선에 대한 한 쌍의 비판들이 다음에 차례로 있다. 첫째, 그 존재론은 술어에 대한 실재론자의 설명에 독립적이다. (9)-(18)과 같은 문장들에 대한 실재론자의 주장들은 술어에 대한 아무런 특수한 이론도 가정하지 않는다. 설령 우리가 오로지 술어들과 관련된 의미론적 속성만이 그에 대해 서술되는 항목들에 대해 참임 또는 그것들에 의해 만족됨의 속성이라고 가정한다 할지라도, 직관적으로 (9)-(18)과 같은 문장들의 사용이 친숙한 구체적 특수자들과 다른 실체들에 대한 주장들을 구성하는 능력을 지닌다는 사실은 남는다. 더욱이, 이러한 논증이 실제로 술어에 대한 실재론자의 분석에 의해 전제된다고 생각하는 것은 그럴 듯하다. 우리가 보았듯, 그들은 'a는 F이다' 형식에 속하는 일상적 주-술 문장들이 'a는 F-임을 예화한다' 형식의 문장들에 대한 방식으로 말이 바뀌어 풀이될 수 있다는 사실에 호소한다. 그러나 그것은 오직 후자 형식의 문장들이 추상적 단칭 명사들을 결합하기 때문일 따름이고 우리가 그러한 명사들을 결합하는 문장들의 진리를 우리에게 우리가 이러한 말바꾸기들에 대한 호소에 대해 술어에 대한 실재론자의 이론에 대한 증거로 취하는 보편자들의 현존에 대해 약속하는 것으로 취하기 때문일 뿐이다.

  Second, the realist’s claims about sentences involving abstract reference cannot be properly evaluated in isolation from alternative accounts of the role of abstract referring devices; for the warrant for those claims must be the failure of alternative analyses of sentences like (9)–(18). If a satisfactory nominalist account of the content and truth conditions of such sentences is forthcoming, then the realist’s claim that the truth of these sentences commits us to an ontology of universals is gratuitous. The same is true of the earlier argument from subject-predicate truth. An adequate account of how subject-predicate sentences can correspond with nonlinguistic fact that does not construe predicates as referentially tied to universals would call into question the realist’s claim that we need universals to account for subject-predicate truth. So both arguments are best understood as challenges to the nominalist to come up with systematic and intuitively attractive theories of predication and abstract reference, theories that give us an account of the metaphysical grounds of subject-predicate truth and the use of abstract referring devices without making reference to common or shared entities. As we shall see in the next chapter, nominalists have recognized the burden placed on them by the realist’s argument in these two arenas and have expended considerable effort showing that such an account is possible. And given the way that the realist’s account of abstract reference enters into the realist’s account of predication, it is not surprising that nominalists have been most concerned to provide an account of the role of abstract singular terms. As we shall see, the realist’s claim that our intuitive understanding of sentences like (9)–(18) presupposes the existence of universals is just an opening salvo. Realists realize that they must respond to alternative accounts of such sentences; but they are prepared to do so and are confident that their own analysis will be vindicated by the examination of nominalist accounts of abstract reference.
  둘째, 추상적 지시를 포함하는 문장들에 대한 실재론자의 주장들은 추상적 지시 장치들의 역할에 대한 대안적 설명들과 고립된 상태에서 적절하게 평가될 수 없다; 왜냐하면 그러한 주장들에 대한 근거는 반드시 (9)-(18)과 같은 문장들에 대한 대안적 분석들의 실패여야만 하기 때문이다. 만일 그러한 문장들의 내용과 진리 조건들에 대한 만족스러운 유명론적 설명이 마련된다면, 이러한 문장들의 진리가 우리에게 보편자들에 대한 존재론을 약속한다는 주장은 불필요하다. 주-술 참으로부터의 앞선 논증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것이 참이다. 술어들을 지시적으로 보편자들에 결부되는 것으로 이해하지 않는, 어떻게 주-술 문장들이 비언어적 사실과 일치할 수 있는지에 대한 하나의 적합한 설명은 우리가 주-술 진리에 대한 설명을 위해 보편자들을 필요로 한다는 실재론자의 주장을 문제시되도록 할 것이다. 그래서 두 논증들 모두 유명론자에게 술어와 추상 지시에 대한 체계적이고 직관적으로 매력적인 이론들, 우리에게 주-술 진리에 대한 형이상학적 토대들과 공통 또는 공유된 실체들에 대한 지시를 만들지 않는 추상적 지시 장치들의 사용에 대한 하나의 설명을 제시하는 이론들을 발견하기 위한 도전들로서 가장 잘 이해된다. 우리가 다음 장에서 보게 될 것과 같이, 유명론자들은 이러한 두 가지 무대들에서 실재론자의 논증에 의해 그들에게 지워진 짐을 재인하였고 그러한 설명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주목할 만한 노력을 펼쳐 왔다. 그리고 추상적 지시에 대한 실재론자의 설명이 술어에 대한 실재론자의 설명에 들어가는 방식을 고려하면, 유명론자들이 추상적 단칭 명사들의 역할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데에 가장 매달려 왔다는 것은 놀랍지 않다. 우리가 보게 될 것처럼, (9)–(18)과 같은 문장들에 대한 우리의 직관적 이해가 보편자들의 현존을 전제한다는 실재론자의 주장은 단지 포문이 열린 것뿐이다. 실재론자들은 그들이 그러한 문장들에 대한 대안적 설명들에 대응해야만 한다는 것을 알아차린다; 그러나 그들은 그렇게 할 준비가 되어 있고 그들의 고유한 분석이 추상적 지시에 대한 유명론적 설명들의 검토에 의해 정당성을 입증하게 될 것임을 자신한다.

-蟲-

1 The problem of universals I
1
보편자 문제 I

Metaphysical realism
형이상학적 실재론

• Realism and nominalism
• 실재론과 유명론
• The ontology of metaphysical realism
• 형이상학적 실재론의 존재론
• Realism and predication
• 실재론과 빈사(술어)
• Realism and abstract reference
• 실재론과 추상적 지시
• Restrictions on realism – exemplification
• 실재론의 제한들 - 예화
• Further restrictions – defined and undefined predicates
• 추가적 제한들 - 한정 서술과 부정(否定) 서술
• Are there any unexemplified attributes?
• 어떤 예화되지 않은 한정사들이 있는가?

Overview
개관


The phenomenon of similarity or attribute agreement gives rise to the debate between realists and nominalists. Realists claim that where objects are similar or agree in attribute, there is some one thing that they share or have in common; nominalists deny this. Realists call these shared entities universals; they say that universals are entities that can be simultaneously exemplified by several different objects; and they claim that universals encompass the properties things possess, the relations into which they enter, and the kinds to which they belong.
유사성이나 속성 일치의 현상은 실재론자들과 유명론자들 사이에서 논쟁을 불러 일으킨다. 실재론자들은 대상들이 속성에 있어서 유사하거나 일치하는 곳에서, 그 대상들이 분유하거나 공유하는 어떤 한 가지의 것이 있다고 주장한다; 유명론자들은 이러한 것을 부정한다. 실재론자들은 이러한 분배된 실체들을 보편자들이라 부른다; 그들은 보편자들이 여러 상이한 대상들에 의해 일제히 예화될 수 있는 실체들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들은 보편자들이 사물들이 소유하는 속성들, 그 사물들이 개입되는 관계들, 그 사물들이 속하는 종류들을 망라한다고 주장한다.

Toward showing us that we must endorse the reality of universals, realists point to the phenomena of subject predicate discourse and abstract reference. They claim that unless we posit universals as the referents of predicate expressions, we cannot explain how subject predicate sentences can be true, and they argue that we can explain the truth of sentences incorporating abstract referring terms only if we take universals to be the things identified by the use of those terms.
우리에게 우리가 반드시 보편자들의 실재성을 지지해야만 함을 보여주는 일에 대해서, 실재론자들은 주-술 논의와 추상적 지시의 현상을 지적한다. 그들은 우리가 술어 표현들에 대한 지시들로서 보편자들을 가정하지 않는 한, 우리는 어떻게 주-술 문장이 참일 수 있는지 설명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또 그들은 우리가 오로지 보편자들을 추상적 지시 용어들을 사용함으로써 규정되는 사물들인 것으로 받아들일 때에만 그러한 용어들을 통합하는 문장들의 참을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Realists, however, frequently disagree about the generality of their accounts of predication and abstract reference. Some realists, for example, deny that their account of predication holds for sentences incorporating the term ‘exemplifies.’ Other realists insist that their account holds only for primitive or undefined predicates or abstract terms. Furthermore, some realists hold that there are universals corresponding only to predicates that are actually true of existing objects; whereas other realists believe that there are both exemplified and unexemplified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그렇지만 실재론자들은 빈번히 술어와 추상적 지시에 대한 그들의 설명들의 일반성에 대해 의견이 갈린다. 예를 들어 일부 실재론자들은 술어에 대한 그들의 설명이 '예화한다'라는 용어를 포함하는 문장들에 대해서만 유지된다는 점을 부정한다. 다른 실재론자들은 그들의 설명이 오로지 원초적 혹은 부정 술어들 또는 추상적 용어들에 대해서만 유지된다고 주장한다. 더 나아가서, 일부 실재론자들은 오직 현존하는 대상들에 대해 실제로 참인 술어들에 대해서만 부합하는 보편자들이 있다고 주장한다; 반면에 다른 실재론자들은 예화되는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도 있고 예화되지 않는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도 있다고 믿는다.


Realism and nominalism
실재론과 유명론


The objects we talk and think about can be classified in all kinds of ways. We sort things by color, and we have red things, yellow things, and blue things. We sort them by shape, and we have triangular things, circular things, and square things. We sort them by kind, and we have elephants, oak trees, and paramecia. The kind of classification at work in these cases is an essential component in our experience of the world. There is little, if anything, that we can think or say, little, if anything, that counts as experience, that does not involve groupings of these kinds. Although almost everyone will concede that some of our ways of classifying objects reflect our interests, goals, and values, few will deny that many of our ways of sorting things are fixed by the objects themselves.[1] It is not as if we just arbitrarily choose to call some things triangular, others circular, and still others square; they are triangular, circular, and square. Likewise, it is not a mere consequence of human thought or language that there are elephants, oak trees, and paramecia. They come that way, and our language and thought reflect these antecedently given facts about them.
우리가 그에 대해 말하고 생각하는 대상들은 온갖 종류의 방식들로 분류될 수 있다. 우리는 사물들을 색으로 분류하고, 또 우리는 붉은 사물들, 노란 사물들, 파란 사물들을 가진다. 우리는 그것들을 형태로 분류하고, 삼각형인 사물들, 원형인 사물들, 사각형인 사물들을 가진다. 우리는 그것들을 종으로 구분하고, 코끼리들, 참나무들, 짚신벌레들을 지닌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작동하는 분류의 종류는 세계에 대한 우리의 경험에 있어서 본질적인 요소이다. 오히려, 우리가 생각하거나 말할 수 있는 것, 경험으로 헤아리는 것이 있다면 이러한 종류들의 분류를 포함하지 않는 것은 거의 없다. 거의 모든 이들이 대상들을 분류하는 우리의 방식들 중 일부가 우리의 관심들, 목표들, 가치들을 반영한다는 것을 인정할지라도, 사물들을 분류하는 우리의 방식들의 다수가 대상들 그 자체에 의해 고정된다는 것을 부정할 이들은 거의 없을 것이다. 그것은 마치 우리가 단지 임의로 어떤 것들은 삼각형으로, 어떤 것들은 원형으로, 또 다른 것들은 사각형으로 부르기로 정하는 것과 같은 것이 아니다; 그것들이 삼각형이고, 원형이고, 또 사각형인 것이다. 비슷하게, 그것은 단지 코끼리들, 참나무들, 짚신벌레들이 있다는 인간적 사유나 언어의 단순한 귀결인 것도 아니다. 그것들은 저 방식으로 나타나고, 우리의 언어와 사유는 그것들에 대해 선행적으로 주어진 이러한 사실들을 반영한다.

There are, then, objective similarities among things. Prior to our classifying them in the ways we do, the familiar objects of the everyday world agree in their characteristics, features, or attributes. This is not a claim born of any metaphysical theory. It is, on the contrary, a prephilosophical truism, but one that has given rise to significant philosophical theorizing. Indeed, a question that goes back to the origins of metaphysics itself is whether there is any general explanation for the prephilosophical truism that things agree in attribute. Suppose it to be a fact that certain objects agree in attribute; they are all, say, yellow. Is there some fact more basic or fundamental than this fact such that it is because and only because the more fundamental fact holds of these objects that they are all yellow? And if there is, is it possible to generalize from this case? That is, is there a very general type or form of fact such that, given any case of attribute agreement, that case obtains because and only because some fact of the relevant very general type or form obtains?
그래서 사물들 사이에는 객관적 유사성들이 있다. 우리가 행하는 방식들로 사물들을 분류하기에 앞서, 일상세계의 친숙한 대상들은 그 대상들의 성격들, 특징들, 혹은 속성들에 있어서 일치한다. 이것은 어떠한 형이상학적 이론으로부터도 유래한 주장이 아니다. 반대로 그것은 전-철학적 진부한 표명이지만, 중요한 철학적 이론화를 불러 일으켰던 것이다. 더욱이, 형이상학 그 자체의 기원들로 거슬러 올라가는 물음은 사물들이 속성에 있어서 일치한다는 전-철학적 진부한 표명에 대한 어떤 일반적 설명이 있는지 여부이다. 특정 대상들이 속성에 있어서 일치한다는 것이 사실인 것이라 가정해 보자; 말하자면, 그것들은 모두 노랗다. 그것들이 모두 노랗다는 것은 이러한 대상들에 대해 더욱 근본적인 사실이 유지되기 때문이며 오로지 그 이유 때문이라는 이 사실보다 어떤 더욱 기초적이거나 근본적인 사실이 있는가? 그리고 만일 있다면, 이 사례로부터 일반화하는 것이 가능한가? 즉, 속성 일치의 어떤 경우를 고려하든, 그 사례가 통용되는 이유는 그 상관된 매우 일반적인 유형이나 형식이 통용됨의 어떤 사실 때문이며 오직 그 이유 때문이라는 그러한 사실의 매우 일반적인 유형이나 형식이 있는가?

An affirmative answer to this question is suggested in Plato’s Parmenides, where we read that “there exist certain Forms of which these other things come to partake and so to be called after their names; by coming to partake of Likeness or Largeness or Beauty or Justice, they become like or large or beautiful or just.”[2] What is being proposed here is a general schema for explaining attribute agreement. The schema tells us that where a number of objects, a . . . n, agree in attribute, there is a thing, φ, and a relation, R, such that each of a . . . n bears R to φ, and the claim is that it is in virtue of standing in R to φ that a . . . n agree in attribute by being all beautiful or just or whatever. It turns out that many philosophers since Plato have found this schema attractive.[3] They have not always used Plato’s language. Where he speaks of things partaking of a Form, they have said that things instantiate, exhibit, or exemplify a single property, quality, or attribute. Nonetheless, the form of explanation being recommended is precisely the one Plato proposes. Different things are qualified or characterized in some way by virtue of their all standing in a relationship to the quality or characteristic in question. Attribute agreement gets grounded in a characteristic or quality common to or shared by the agreeing objects.
이러한 물음에 대한 긍정적 답변은 플라톤의 『파르메니데스』에서 제시되었다. 거기에서 우리는 "이러한 다른 사물들이 그에 참여하게 되고 그래서 나중에 그것들의 이름들로 불리게 되는 특정한 꼴들이 현존한다; 닮음이나 큼 또는 아름다움 혹은 올바름에 참여하게 됨으로써, 그것들은 닮게 되거나 크게 되거나 아름답게 되거나 올바르게 된다."라는 말을 본다. 여기에서 제안되고 있는 것은 속성 일치를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일반적 도식이다. 그 도식은 우리에게 일정 수의 대상들 a…n 이 속성에 있어서 일치하는 곳에는 하나의 사물 φ와 a…n의 각각이 φ에 대해 지니는 R로서 관계 R이 있다고 말해주며, 그 주장은 a…n이 아름다움이든 올바름이든 뭐가 되었든 모든 것임에 의해 일치하는 것은 φ에 대한 R 관계에 존립하는 덕분이라는 것이다. 플라톤 이래로 많은 철학자들이 이 도식을 매력적인 것이라 판단해왔던 것으로 밝혀진다. 그들이 항상 플라톤의 언어를 사용해 왔던 것은 아니다. 하나의 꼴에 참여하는 사물들에 대해 그가 말하는 곳에서, 그들은 사물들이 하나의 단일한 속성, 성질, 또는 특성을 예시하고, 표시하거나, 혹은 예화한다고 말해왔다. 그렇다 하더라도, 권장된 설명의 형식은 정확히 플라톤이 제안하는 그것이다. 상이한 사물들은 그 사물들 모두가 문제가 되는 성질이나 특징에 대한 하나의 관계에 존립함에 의해서 일정 방식으로 한정되거나 규정된다. 속성 일치는 일치하는 대상들에 의해 공통되거나 공유되는 특징이나 성질에 기초되게 된다.

Philosophers who endorse the Platonic schema have traditionally been called metaphysical realists or simply realists;[4] but while many philosophers have found the realist’s explanation of attribute agreement in terms of shared or common entities attractive, the form of explanation proposed by Plato has also had its critics. These critics have been known as nominalists. They argue that there are deep conceptual problems with the metaphysical machinery implied by the Platonic schema. Some nominalists take those problems to point to the need for a quite different theoretical explanation for attribute agreement, one making no reference to shared or common entities; whereas others take them to show that no theoretical account at all is required here, that the phenomenon of attribute agreement is a basic or fundamental fact not susceptible of further analysis. The debate between metaphysical realists and nominalists is perhaps the oldest sustained debate in metaphysics. Certainly the issues on which the debate has turned are as important as any in metaphysics. We need to become clear on these issues, and we will begin by attempting to delineate the main contours of the perspective labeled metaphysical realism.
플라톤적 도식을 지지하는 철학자들은 전통적으로 형이상학적 실재론자들 혹은 단순하게 실재론자들이라 불려왔다; 하지만 다수 철학자들이 속성일치를 공유된 혹은 공통의 실체들로 설명하는 실재론적 설명이 매력적이라고 판단해 왔던 동시에, 플라톤에 의해 제안된 설명의 형식은 또한 그에 대한 비판자들을 지녀왔다. 이러한 비판자들은 유명론자들로 알려져 왔다. 그들은 플라톤적 도식에 의해 시사되는 형이상학적 장치에 깊은 개념적 문제들이 있다고 주장한다. 일부 유명론자들은 그러한 문제들을 속성 일치에 대한 상당히 다른 이론적 설명, 공유되거나 공통된 실체들을 지시하도록 만들지 않는 설명이 필요하다고 지적함으로써 취한다; 반면에 다른 유명론자들은 그 문제들을 여기에서 전혀 아무런 이론적 설명도 요청되지 않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속성 일치의 현상이 추가적 분석의 여지가 없는 기초적이거나 근본적인 사실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취한다. 형이상학적 실재론자들과 유명론자들 사이의 논쟁은 아마도 형이상학에 있어서 가장 오랫동안 지탱되어온 논쟁일 것이다. 확실히 그 논쟁이 향해 왔던 문제들은 형이상학의 어떠한 문제만큼이나 중요하다. 우리는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분명히 할 필요가 있고, 형이상학적 실재론이라 명명된 전망의 주된 윤곽을 묘사하고자 시도함으로써 시작할 것이다.


The ontology of metaphysical realism
형이상학적 실재론의 존재론

Metaphysical realists want to insist that an adequate account of attribute agreement presupposes a distinction between two types or categories of objects: what are called particulars and what are called universals. The category of particulars includes what the nonphilosopher typically thinks of as “things” – familiar concrete objects like human beings, animals, plants, and inanimate material bodies; and the realist tells us that what is peculiar to particulars is that each occupies a single region of space at a given time. Universals, by contrast, are construed as repeatable entities. At any given time, numerically one and the same universal can be wholly and completely exhibited or, as realists typically put it, exemplified by several different spatially discontinuous particulars. Thus, different people can exemplify the same virtue at the same time; different automobiles can simultaneously exemplify the same shape; and different houses can, at a given time, exemplify literally the same color. The virtue, the shape, and the color are all universals. The claim of the metaphysical realist is that familiar particulars agree in attribute in virtue of their jointly exemplifying a single universal. So there are nonrepeatable entities that stand in a special relation to repeatable entities, and this fact is what grounds attribute agreement among the familiar
objects of the everyday world.
형이상학적 실재론자들은 속성일치에 대한 적합한 설명이 대상들의 두 가지 유형들 혹은 범주들 사이의 구별을 전제한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그것은 특수자들이라 불리는 것들과 보편자들이라 불리는 것들이다. 특수자들의 범주는 비철학자가 전형적으로 "사물들"인 것으로 생각하는 것 - 인간 존재자들, 동물들, 식물들, 무생물인 질료적 물체들과 같은 친숙한 구체적 대상들 - 이다; 그리고 실재론자들은 우리에게 특수자들에 특유한 것은 그 각각이 주어진 시점에 공간의 단일 영역을 점유한다는 것이라 말한다. 반면에 보편자들은 반복가능한 실체들로 해석된다. 주어진 어떤 시점에서든, 수적으로 하나이고 동일한 보편자는 전적으로 완벽하게 드러날 수 있거나, 실재론자들이 전형적으로 말하듯, 여러 상이한 공간적으로 불연속적인 특수자들에 의해 예화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사람들은 동일 시점에 동일 특성을 예화할 수 있다; 상이한 자동차들은 일제히 동일한 형태를 예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이한 집들이 주어진 한 시점에 문자 그대로 동일한 색을 예화할 수 있다. 그 특성, 형태, 그리고 색은 보편자들이다. 형이상학적 실재론자의 주장은 친숙한 특수자들이 공동으로 단일 보편자를 예화함에 의해서 속성에 있어 일치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은 일상 세계의 친숙한 사물들 사이의 속성 일치에 근거한 것이다.

Realists typically want to claim that there is more than one kind of universal. All the cases of attribute agreement we have mentioned involve what are called one-place or monadic universals. They are universals that particulars exemplify individually or one by one; but there are also relations, universals that are exemplified by several individuals in relation to each other. Thus, being a mile apart is something that is exemplified by a pair of objects: one thing is a mile away from another; and it is a universal: many pairs of objects can be so related at any given time. Likewise, being next to is a spatial relation between objects: one object is next to another and, again, it is a universal: many pairs of objects can agree in entering into it. Both these relations are what are called symmetrical relations; given any pair of objects, a and b, such that a bears either relation to b, b, in turn, bears that same relation to a. But not all relations are symmetrical. Many relations are such that pairs of objects enter into them only when taken in a certain order. Thus, being the father of is an asymmetrical relation: if one thing, a, is the father of another thing, b, then b is not the father of a. As logicians put it, it is the ordered pair, 〈a, b〉 (a and b taken in just that order), that exhibits the relation. The three relations we have considered are all two-place or dyadic relations; but obviously there can be three-place, four-place, and, generally, n-place relations.
실재론자들은 전형적으로 한 종류 이상의 보편자들이 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우리가 언급하였던 속성일치의 모든 사례들은 일항 보편자들 혹은 단일 보편자들이라 불리는 것을 포함한다. 그 보편자들은 특수자들이 개별적으로 또는 하나씩 예화하는 보편자들이다; 그러나 또한 관계들, 상호 관계 속에서 여러 개별자들에 의해 예화되는 보편자들이 있다. 따라서, 1마일 떨어져 있음은 한 쌍의 대상들에 의해 예화되는 어떤 것이다: 한 가지의 것은 다른 것으로부터 1마일 떨어져 있다; 그리고 그것은 보편자이다: 대상들의 여러 쌍들은 그렇게 어떤 주어진 시점에서든 관련될 수 있다. 같은 식으로, 다음에 있음은 대상들 사이의 공간적 관계이다: 한 대상은 다른 대상 다음에 있고, 다시금, 그것은 보편자이다: 대상들의 여러 쌍들은 그 보편자에 들어감에 있어서 일치할 수 있다. 이러한 관계들 모두 대칭적 보편자들이라 불린다; 대상들의 어떤 관계 a와 b를 고려하든, a는 b에 대한 관계를 포함하거나, b는 다시 a에 대해 동일한 관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아버지임은 비대칭적 관계이다: 만일 한 가지의 것 a가 또 다른 것 b에 대해 아버지라면, b는 a의 아버지가 아니다. 논리학자들이 말하듯, 그것은 순서쌍 <a, b> (a와 b는 바로 그 순서로 취해진다), 그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우리가 고려했던 세 가지 관계들은 모두 이항 혹은 이원 관계들이다; 그러나 명백히 삼항, 사항, 일반적으로 n-항 관계들이 있을 수 있다.

Relations, then, are polyadic or many-place universals. But colors, virtues, and shapes are all monadic. Each is exhibited by objects taken individually. Now, many realists lump all monadic universals together under the title ‘property’; but some realists (typically those influenced by the Aristotelian tradition) insist on a further distinction here. We are asked to distinguish between properties and kinds. Kinds are things like the various biological species and genera.[5] Whereas objects exemplify properties by possessing them, things exemplify kinds by belonging to them. Philosophers who draw this distinction frequently tell us that while kinds constitute the particulars that exemplify them as what they are, properties merely modify or characterize particulars antecedently so marked out; and they often claim that kinds are individuative universals. What is meant is that kinds constitute their members as individuals distinct from other individuals of the same kind as well as from individuals of other kinds. Thus, everything that belongs to the kind human being is marked out as a discrete individual, as one human being countably distinct and separate both from other human beings and from things of other kinds.
그래서 관계들은 다원적 혹은 다항적 보편자들이다. 그러나 색들, 특성들, 그리고 형태들은 모두 일원적이다. 그 각각은 개별적으로 취해진 대상들에 의해 표시된다. 이제, 많은 실재론자들은 모든 일원적 보편자들을 통틀어 '속성'이란 표제 아래 일괄적으로 다룬다; 그러나 일부 실재론자들 (전형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적 전통에 의해 영향을 받은 이들) 은 여기에서 추가적 구별에 대해 주장한다. 우리는 속성들과 종류들 사이를 구별할 것을 요구받는다. 종류들은 다양한 생물학적 종들과 유들 같은 것들이다. 대상들은 속성들을 소유함으로써 속성들을 예화하는 반면, 사물들은 종류들에 속함으로써 종류들을 예화한다. 이러한 구분을 이끌어내는 철학자들은 빈번히 우리에게 종류들은 그 종류들을 예화하는 특수자들을 그것들인 바의 것들로 구성하는 반면, 속성들은 단지 선행적으로 그렇게 구획된 특수자들을 한정하거나 규정할 따름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들은 종종 종류들이 개별적 보편자들이라 주장한다. 그 의미는 종류들이 그 원소들을 다른 종류들에 속하는 개별자들로부터 뿐만이 아니라 같은 종류에 속하는 다른 개별자들로부터도 구별되는 개별자들로 만든다는 뜻이다. 따라서, 인간 존재 종류에 속하는 모든 것은 분리된 개별자들로, 다른 인간 존재자들로부터도 그리고 다른 종류들에 속하는 사물들로부터도 가산적으로 구분되고 분리된 하나의 인간 존재자로 구획된다.

So attribute agreement can involve a variety of different types of universal. Several particulars can agree in belonging to a single kind; they can agree in possessing a single property; and several pairs, triples, or generally, n-tuples of particulars can agree in entering into a single relation. And realists want to claim that attribute agreement of any of these forms is subject to degrees. A dog and a cat agree in kind: both are mammals; but their agreement in kind is not as close as that tying two dogs. According to the realist, what gives rise to the difference in degree of agreement is the fact that the universals particulars exemplify exhibit varying degrees of generality. The more specific or determinate a shared universal, the closer is the resulting attribute agreement. Universals, then, come in hierarchies of generality. Presumably, every such hierarchy terminates in fully determinate universals, universals such that they have no less general or more determinate universals under them, and the particulars that jointly exemplify any such fully determinate universal will agree exactly in color, shape, kind, spatial relation, or whatever.
그래서 속성 일치는 상이한 보편자 유형들의 다양성을 포함할 수 있다. 여러 특수자들은 단일한 종류에 속함에 있어서 일치할 수 있다; 특수자들은 단일한 속성을 가짐으로써 일치할 수 있다; 그리고 특수자들의 여러 쌍들, 세 개 들이 묶음들, 혹은 일반적으로 n개 들이 묶음들은 단일한 관계에 속함에 있어서 일치할 수 있다. 또 실재론자들은 이러한 형식들 중 어떤 형식의 속성 일치이든 정도들에 귀결된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한 마리 개와 한 마리 고양이는 종류에 있어서 일치한다: 둘 모두 포유류이다; 그러나 종류에 있어서 그것들의 일치는 두 마리 개들을 묶는 일치만큼 밀접하진 않다. 실재론자에 따르면, 일치의 정도에 있어서 차이를 일으키도록 하는 것은 특수자들이 예화하는 보편자들이 일반성의 다양한 정도들을 나타낸다는 사실이다. 공유된 보편자가 더 구체적이거나 한정적일수록, 귀결하는 속성 일치는 더욱 밀접하다. 그래서 보편자들은 일반성의 계층들 속으로 들어온다. 아마도, 그러한 모든 계층은 완전히 한정적인 보편자들에서, 그것들 아래에 덜 일반적이거나 더 한정적인 보편자들을 전혀 가지지 않는 그러한 보편자들에서 종결할 것이고, 공동으로 그러한 어떤 완전하게 한정적인 보편자라도 예화하는 특수자들은 정확히 색, 형태, 종류, 공간적 관계, 혹은 무엇에 있어서든 일치할 것이다.

So particulars exemplify different sorts of universals of varying degrees of generality; but realists want to claim that the universals that serve to explain the attribute agreement among particulars can themselves agree in exemplifying further universals. Thus, the properties of red, yellow, and blue have various properties of tone and hue; they all belong to the kind color; and they enter into relations like being lighter than and being darker than. And, of course, the universals exemplified by colors can be more or less determinate, thereby explaining why, for example, red is closer to orange than blue is.
그래서 특수자들은 일반성의 다양한 정도들에 속하는 상이한 종류들의 보편자들을 예화한다; 그러나 실재론자들은 특수자들 사이의 속성 일치를 설명하는 데에 이바지하는 보편자들이 그것들 스스로 추가적 보편자들을 예화함에 있어서 일치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따라서, 빨강, 노랑, 파랑이라는 속성들은 명암과 색조의 다양한 속성들을 지닌다; 그것들은 모두 색의 종류에 속한다; 그리고 그것들은 더 밝음과 더 어두움과 같은 관계들에 들어간다. 그리고 물론 색들에 의해 예화되는 그 보편자들은, 예를 들어 어째서 빨강은 파랑보다 주황에 더 가까운지를 설명함으로써 더 한정적이거나 덜 한정적일 수 있다.

Thus, the original insight that familiar particulars agree in attribute by virtue of jointly exemplifying a universal gives rise to a picture of considerable complexity. Particulars and n-tuples of particulars exemplify universals of different types: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Those universals, in turn, possess further properties, belong to further kinds, and enter into further relations; the same is true of these further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and so on, seemingly, without end. And the seemingly endless series of universals that have come on the scene enter into complicated hierarchies of generality inducing thereby complex patterns of attribute agreement of varying degrees of generality. What began, then, as an apparently innocent extension of common sense has blossomed into a full-scale metaphysical theory, an ontology, that is a long distance from common sense.
그래서, 친숙한 특수자들이 공동으로 하나의 보편자를 예화함으로써 속성에 있어서 일치한다는 본래적 통찰은 주목할 만한 복잡성의 모습을 불러 일으킨다. 특수자들과 특수자들의 n개 들이 묶음들은 상이한 유형들의 보편자들을 예화한다: 속성들, 종류들, 그리고 관계들. 이번엔 그러한 보편자들이 추가적 속성들을 소유하고 추가적 종류들에 속하며 추가적 관계들에 개입한다; 이러한 추가적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에 대해서도 사정은 같다; 그리고 보이기에 그렇게 끝없이 계속된다. 등장한 보이기에 무한한 보편자들의 연쇄들은 일반성의 다양한 정도들에 대한 속성 일치의 복잡한 패턴들을 야기하도록 일반성의 복잡한 계층들 속으로 들어간다. 그래서 외관상 공통 감각(상식)의 순전한 범위로 시작된 것은 상식으로부터 아주 멀리 떨어진 전면적인 형이상학적 이론, 존재론으로 꽃피웠다.

Some might balk at the complexity of the theory, but realists want to insist that the complexity of the structure has a theoretical pay-off. The structure represents a fruitful theory, one with the resources for explaining a wide range of phenomena. Although the phenomena realists claim their account explains are diverse and numerous, we will consider just two. Both bear on semantical issues, and both have played significant roles in the history of metaphysical realism. The first concerns subject-predicate discourse; the second bears on abstract reference. According to the realist, both phenomena give rise to pressing philosophical questions, and the realist insists that the theoretical machinery associated with metaphysical realism provides straightforward and satisfying answers to those questions.
몇몇 사람들은 그 이론의 복잡성에 앞서 망설일지 모르지만, 실재론자들은 그 구조의 복잡성이 이론적 값어치가 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그 구조는 광범위한 현상들을 설명하기 위한 원천들을 가진 하나의 비옥한 이론을 표현한다. 실재론자들이 그들의 설명이 해명한다고 주장하는 그 현상들이 여러가지이고 수없이 많다고 할지라도, 우리는 단지 두 가지 것들만을 고려할 것이다. 그 둘 모두는 의미론적인 문제들과 관련하고, 둘 모두 형이상학적 실재론의 역사에 있어서 중대한 역할들을 담당해 왔다. 그 첫 번째 것은 주-술 담론에 관련한다; 두 번째 것은 추상적 지시에 관계한다. 실재론자에 따르면, 두 현상들 모두 집요한 철학적 물음들을 불러 일으키고, 실재론자는 형이상학적 실재론과 연계된 그 이론적 장치가 그러한 물음들에 대해 직접적이고 만족스러운 답변들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蟲-
Overview
개관(槪觀)

  Philosophers have disagreed about the nature of metaphysics. Aristotle and the medievals give us two different accounts of the discipline. Sometimes, they characterize it as the attempt to identify the first causes, in particular, God or the Unmoved Mover; sometimes, as the very general science of being qua being. They believed, however, that these two characterizations identify one and the same discipline. The rationalists of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by contrast, expanded the scope of metaphysics. They took it to be concerned not merely with the existence and nature of God, but also with the distinction between mind and body,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nd freedom of the will.
  철학자들은 형이상학의 본성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았다. 아리스토텔레스와 중세인들은 그 과목에 대해 우리에게 두 가지 상이한 설명들을 제시한다. 때로, 그들은 그 과목을 제일원인, 특히나, 신이나 부동의 동자를 확인하려는 시도로 규정한다; 때로는, 있음으로서의 있음에 대한 매우 일반적인 학문으로 규정한다. 그렇지만 그들은 이러한 두 가지 규정들이 하나의 그리고 똑같은 과목을 규정한다고 믿었다. 반대로 17-18세기의 이성주의자들은 형이상학의 범위를 확장시켰다. 그들은 그 과목을 단순히 신의 현존과 본성에만 관련되는 것이 아니라 또한 정신과 육체 사이의 구분, 영혼의 불멸성, 그리고 의지의 자유와도 관련되는 것으로 받아들였다.

  The empiricists and Kant were critical of both Aristotelian and rationalist conceptions of metaphysics, arguing that they seek to transcend the limits of human knowledge; but even Kant thought that there can be a legitimate kind of metaphysical knowledge. Its aim is to delineate the most general structures at work in our thought about the world. This Kantian conception of metaphysics continues to enjoy popularity among contemporary philosophers, who insist that metaphysics has as its aim the characterization of our conceptual scheme or conceptual framework. These philosophers typically agree with Kant that the structure of the world as it is in itself is inaccessible to us and that metaphysicians must be content to describe the structure of our thinking about that world.
  경험주의자들과 칸트는 형이상학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적인 개념과 이성주의적 개념들 모두에 비판적이었다. 그들은 그 개념들이 인간 지식의 한계들을 초월하는 일을 추구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칸트조차도 정당한 종류의 형이상학적 앎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 앎의 목적은 세계에 대한 우리의 사유 속에서 작동하는 가장 일반적인 구조들을 기술하는 것이다. 형이상학에 대한 이러한 칸트적 개념은 현대 철학자들, 형이상학이 우리의 개념적 도식이나 개념틀에 대한 규정을 그 목적으로 지닌다고 주장하는 이들 사이에서 계속해서 인기를 누린다. 이러한 철학자들은 전형적으로, 그 자체로서의 세계구조는 우리에게 접근불가능하고 형이상학자들은 반드시 저 세계에 대한 우리의 생각의 구조를 기술하는 데에 만족해야만 한다는 점에서 칸트에 동의한다.

  The case for this Kantian conception of metaphysics is not, however, particularly impressive; for if there are problems with characterizing the world as it is, there ought to be similar problems with characterizing our thought about the world. But if we agree that Aristotelian or rationalist metaphysics is not doomed from the start, we must concede that the two conceptions suggest very different topics for a text in metaphysics. In this book, we will follow the Aristotelian characterization of metaphysics as a discipline concerned with being qua being. That characterization gives rise to the attempt to identify the most general kinds or categories under which things fall and to delineate the relations that hold among those categories.
  그렇지만 형이상학에 대한 이런 칸트적 개념에 대한 경우가 특별히 강렬한 인상을 남기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만일 그 자체로서 세계를 규정함에 있어서 문제들이 있다면, 세계에 대한 우리의 사유를 규정하는 데에도 유사한 문제들이 있어야 하게 마련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만일 우리가 아리스토텔레스의 혹은 이성주의의 형이상학이 출발부터 망할 운명은 아님을 동의한다면, 우리는 반드시 그 두 가지 개념들이 형이상학에 대한 주제를 위해 매우 상이한 화제들을 제안한다는 점을 인정해야만 한다. 이 책에서, 우리는 형이상학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적 규정을 있음으로서의 있음과 관련된 과목으로 계속해서 다룰 것이다. 저 규정은 사물들이 영향을 받는 가장 일반적인 종류들 혹은 범주들을 규정하고 그러한 범주들 사이에서 유지하는 관계들을 기술하는 시도를 불러 일으킨다.


The nature of metaphysics – some historical reflections
형이상학의 본성 - 일부 역사적 반향들

  It is not easy to say what metaphysics is. If one looks to works in metaphysics, one finds quite different characterizations of the discipline. Sometimes these characterizations seek to be descriptive, to provide us with an account of what philosophers who have been called metaphysicians do. Sometimes, they are normative; they represent attempts to identify what philosophers ought to be doing when they do metaphysics. But descriptive or normative, these characterizations give such different accounts of the subject matter and methodology appropriate to metaphysics that the neutral observer is likely to think that they must be characterizing different disciplines. Disagreement about the nature of metaphysics is certainly tied to its long history. Philosophers have been doing or trying to do something they have called metaphysics for more than 2,000 years; and the results of their efforts have been accounts with a wide variety of subject matters and approaches. But the difficulty of identifying a unique subject matter and methodology for metaphysics is not simply traceable to the long history of the discipline. Even in its origins, there is ambiguity about just what metaphysics is supposed to be.
  형이상학이 무엇인지 말하기는 쉽지 않다. 만일 형이상학의 작업들을 고려해 본다면, 그 과목에 대한 상당히 상이한 규정들을 발견할 것이다. 때로 이러한 규정들은 기술적이기를 추구하고, 우리에게 형이상학자들로 불려왔던 철학자들이 무슨 일을 하는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일을 추구한다. 때로는, 그 규정들은 규범적이다; 그 규정들은 철학자들이 형이상학을 행할 때 마땅히 행하고 있어야 하는 일을 규정하는 시도들을 표현한다. 그러나 기술적이든 규범적이든, 이러한 규정들은 중립적 관찰자가 그러한 규정들이 반드시 상이한 과목들을 규정하고 있어야만 한다고 생각할 법한 형이상학에 적합한 주제와 방법론에 대한 그러한 상이한 설명들을 제공한다. 형이상학의 본성에 대한 의견의 불일치는 확실히 형이상학의 오랜 역사와 결부된다. 철학자들은 그들이 형이상학이라 불러온 어떤 것을 2천 년이 넘는 시간 동안 수행하거나 시도해 오고 있다; 그리고 그들의 노력들의 결과들은 다종다양한 주제들과 접근방식들을 지닌 설명들이 되어 왔다. 그러나 형이상학을 위한 유일한 주제와 방법론을 규정하는 일의 어려움은 단순히 그 과목의 긴 역사로 추적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형이상학의 기원에 있어서조차, 형이상학이 바로 무엇이어야 할는지에 대해서는 모호성이 있다.

  The term ‘metaphysics’ as the name of the discipline is taken from the title of one of Aristotle’s treatises. Aristotle himself never called the treatise by that name; the name was conferred by later thinkers. Aristotle called the discipline at work in the treatise first philosophy or theology and the knowledge that is the aim of the discipline, wisdom. Nonetheless, the subsequent use of the title Metaphysics makes it reasonable to suppose that what we call metaphysics is the sort of thing done in that treatise. Unfortunately, Aristotle does not give us a single account of what he is up to there. In some contexts, he tells us that what he is after in the treatise is a knowledge of first causes.[1] This suggests that metaphysics is one of the departmental disciplines, a discipline with a subject matter distinct from that considered by any other discipline.
 과목명으로서 '형이상학(metaphysics)'이란 용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들 중 하나의 제목으로부터 취해진다. 아리스토텔레스 자신은 결코 그 이름으로 그 저작을 명명하지 않았다; 그 이름은 후대 사상가들에 의해 부여되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 저작을 작업하면서 그 과목을 제일철학 또는 신학이라 불렀고 그 과목의 목적인 앎을 지혜라고 불렀다. 그렇더라도, 그 이후 형이상학이란 제목의 사용은 우리가 형이상학이라 부르는 것이 그 저작 내에서 수행된 그런 종류의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타당하도록 만든다. 불행히도, 아리스토텔레스는 우리에게 그가 그 곳에서 이르른 것에 대한 단일한 설명을 제공하지 않는다. 어떤 문맥에서, 그는 우리에게 그가 그 저작에서 추구하는 것이 제일원인들에 대한 앎이라고 말해준다.[1] 이것은 형이상학이 분과 과목들 중 하나, 다른 어떤 과목에 의해 고찰되는 주제와도 구별되는 한 주제를 가진 과목임을 시사한다.

  What subject matter is identified by the expression ‘first causes’? Perhaps, a number of different things; but central here is God or the Unmoved Mover. So what subsequently came to be called metaphysics is a discipline concerned with God, and Aristotle tells us a good bit about the discipline. He tells us that it is a theoretical discipline. Unlike the various arts that are concerned with production and the various practical sciences (ethics, economics, and politics) whose end is the direction of human action, metaphysics has as its goal the apprehension of truth for its own sake. In this respect, it agrees with the mathematical sciences and the various physical sciences. The former take quantities as their subject matter (discrete quantities in the case of arithmetic and continuous quantities in the case of geometry), and the latter are concerned with the nature and structure of the material or physical substances (both living and nonliving) that make up the natural world. Metaphysics, by contrast, has immaterial substance as its subject matter.[2]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ipline and its subject matter gives metaphysics an intriguing status. Unlike the other disciplines, it does not simply assume the existence of its subject matter; it must actually prove that there is an immaterial substance for it to be about. So the project of proving that there is an Unmoved Mover outside the world of nature is a part of metaphysics itself; but since Aristotle thinks that we have a distinctive discipline only where we have a distinctive subject matter, he is committed to the idea that metaphysicians can be sure that there is a discipline for them to engage in only if they succeed in carrying out one of the projects on the agenda of the discipline.
  '제일원인'이라는 표현에 의해 규정되는 주제는 무엇인가? 아마도, 상당수의 상이한 것들일 터이다; 그러나 여기에서 핵심은 신 또는 부동의 동자이다. 그래서 다음으로 형이상학이라 불리우게 되었던 것은 신과 관련된 과목이고, 아리스토텔레스는 우리에게 그 과목에 대한 훌륭한 한 마디를 말해준다. 그는 우리에게 그 과목이 신학적 과목임을 말해준다. 그 목적이 인간 활동의 지도인 것들, 생산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들과 다양한 실천적 학문들 (윤리학, 경제학, 정치학)과 달리 형이상학은 그 자체의 진리에 대한 파악을 그 목표로 가진다. 이러한 측면에서, 형이상학은 수리과학들, 그리고 다양한 물리과학들과 일치한다. 전자는 그 주제들로 양(量)들(산술학의 경우에는 불연속적 양들 그리고 기하학의 경우에는 연속적 양들)을 취하고, 후자는 자연 세계를 형성하는 물질적인 혹은 물리적인 실체들(생물과 무생물 모두)의 본성과 구조와 관련한다. 반면에 형이상학은 비물질적 실체들을 그 주제로 갖는다.[2] 그리고 그 과목과 그 주제 사이의 관련성은 형이상학에 흥미로운 사태들을 부여한다. 다른 과목들과 달리, 형이상학은 그 주제의 현존을 단순히 전제하지 않는다; 형이상학은 반드시 실제로 그것이 수행하려는 비물질적 실체가 있다는 것을 입증해야만 한다. 그래서 자연 세계 외부에 부동의 동자가 있음을 입증하는 기획은 형이상학 자체의 일부이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는 오로지 우리가 구별되는 주제를 지니는 곳에서만 구별되는 과목을 가진다고 생각하므로, 그는 형이상학자들이 오로지 그들이 그 과목의 안건에 대한 그 기획들 중 한 가지를 수행함에 있어서 성공하는 한에서만 그들이 참여할 과목이 있음을 확신할 수 있다는 생각에 헌신한다.

  But Aristotle is not satisfied to describe metaphysics as the investigation of first causes. He also tells us that it is the science that studies being qua being.[3] As this characterization gets fleshed out, metaphysics turns out to be not another departmental discipline with a special subject matter of its own. It is rather a universal science, one that considers all the objects that there are. On this characterization, then, metaphysics examines the items that constitute the subject matter for the other sciences. What is distinctive about metaphysics is the way in which it examines those objects; it examines them from a particular perspective, from the perspective of their being beings or things that exist. So metaphysics considers things as beings or as existents and attempts to specify the properties or features they exhibit just insofar as they are beings or existents. Accordingly, it seeks to understand not merely the concept of being, but also very general concepts like unity or identity, difference, similarity, and dissimilarity that apply to everything that there is. And central to metaphysics understood as a universal science is the delineation of what Aristotle calls categories. These are the highest or most general kinds under which things fall. What the metaphysician is supposed to do is to identify those highest kinds, to specify the features peculiar to each category,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 that tie the different categories together; and by doing this, the metaphysician supposedly provides us with a map of the structure of all that there is.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는 형이상학을 제일원인들에 대한 연구로 묘사하는 데에 만족하지 않는다. 그는 또한 우리에게 형이상학이 존재로서의 존재를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말한다.[3] 이러한 규정이 구체화될 때, 형이상학은 그 자체의 특별한 주제를 가진 또 다른 분과 과목이 아닌 것으로 드러난다. 형이상학은 오히려 보편과학이고, 존재하는 모든 대상들을 고찰하는 학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규정에서, 형이상학은 다른 학문들의 주제를 구성하는 항목들을 검토한다. 형이상학에 대해 구별되는 것은 형이상학이 그러한 대상들을 검토하는 방식이다; 형이상학은 대상들을 특수한 관점으로부터, 현존하는 존재자들 혹은 사물들인 그 대상들의 있음에 대한 관점으로부터 검토한다. 그래서 형이상학은 사물들을 존재자들이나 혹은 현존재들로 간주하고 그것들이 바로 존재자들이나 현존재들인 한에서 내보이는 속성들이나 특징들을 상술하고자 시도한다. 따라서, 형이상학은 단지 존재 개념만이 아니라, 또한 존재하는 모든 것들에 적용되는 단일성이나 동일성, 차이, 유사성, 그리고 비유사성과 같은 매우 일반적인 개념들까지도 이해하는 일을 추구한다. 그리고 보편 학문으로서 이해된 형이상학에 핵심적인 것은 아리스토텔레스가 범주들이라 부르는 것에 대한 기술이다. 이러한 것들은 그 아래로 사물들이 귀속되는 가장 고차원적인 혹은 가장 일반적인 종류들이다. 형이상학자가 수행해야 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일은 그러한 가장 고차원의 종류들을 규정하는 것, 각 범주에 특유한 특징들을 상술하는 것, 그리고 상이한 범주들을 함께 묶는 관계들을 규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일을 수행함으로써, 형이상학자는 아마도 우리에게 존재하는 모든 것의 구조에 대한 지도를 제공할 것이다.

  So we meet with two different accounts of what metaphysics is in Aristotle. On the one hand, there is the idea of a departmental discipline concerned to identify the first causes – in particular, God; and, on the other, there is the idea of a universal or perfectly general discipline whose task it is to consider things from the perspective of their being beings or existents and to provide a general characterization of the whole realm of being. At first glance, there appears to be a tension between these two conceptions of metaphysics.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how a single discipline can be both departmental and universal. Aristotle is himself aware of the appearance of tension here, and takes pains to show that the tension is only apparent.[4] On the one hand, he suggests that a science of first causes will identity the causes underlying the primary features of things, those features that are presupposed by any other features they may exhibit; and he seems prepared to say that since the being or existence of a thing is primary in this way, the science that studies first causes will just be the science that investigates being qua being. On the other, he seems to hold that any discipline that examines everything insofar as it is a being will number God among the items it seeks to characterize.
  그래서 우리는 아리스토텔레스에게서 형이상학이 무엇인지에 대한 두 가지 상이한 설명들과 만난다. 한편으로, 제일원인들 - 특히, 신 - 을 규정하는 일과 관련된 분과 과목이라는 발상이 있다; 그리고, 다른 한편, 그 작업이 사물들을 존재자들 혹은 현존재들인 그것들의 존재에 대한 관점으로부터 고찰하고 존재의 전영역에 대한 하나의 일반적 규정을 제공하는 것인 보편적 또는 완벽히 일반적인 과목이란 발상이 있다. 언뜻 보기에, 형이상학에 대한 이러한 두 가지 개념들 사이에 긴장이 잇을 것처럼 보인다. 어떻게 단일한 과목이 분과적이면서 동시에 보편적일 수 있는지 이해하기는 어렵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 스스로 이 지점에서 긴장의 출현을 알아차리고, 그 긴장이 오로지 외견상의 것일 따름임을 보여주기 위해 애를 쓴다.[4] 한편으로, 그는 제일원인들에 대한 학문이 사물들의 1차적인 특징들, 그 1차적 특징들이 드러낼 다른 어떤 특징들에 의해서든 전제되는 그러한 특징들 기저에 있는 원인들을 규정하리라고 시사한다; 그리고 그는 한 사물의 존재 혹은 현존이 이러한 방식으로 1차적이므로, 제일원인들을 연구하는 학문은 바로 존재로서의 존재를 연구하는 학문이리라고 말할 준비가 되어 있는 듯하다. 다른 한편, 그는 존재자인 한에서의 모든 것을 연구하는 어떠한 과목이든 그 과목이 규정하고자 추구하는 항목들에 신을 포함하리라고 여기는 것으로 보인다.

  In the medieval Aristotelian tradition, we continue to meet with this dual characterization of metaphysics; and like Aristotle, the medievals believed that the two conceptions of metaphysics are realized in a single discipline, one that aims both to delineate the categorial structure of reality and to establish the existence and nature of the Divine Substance. But when we reach the metaphysical writings of the Continental rationalists of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we meet with a conception of metaphysics that expands the scope of the metaphysical enterprise. Although they rejected many of the details of Aristotle’s metaphysical theory, they agreed that the point of doing metaphysics is to identify and characterize the most general kinds of things there are, and they agreed that a reference to the Divine Substance and His causal role is a central part of this task. Nonetheless, topics that do not figure as items on the Aristotelian metaphysical agenda came to be viewed as proper objects of metaphysical inquiry. For Aristotle, the examination of changeable physical objects, the delineation of the gap between living and nonliving things, and the identification of what is unique to human beings are all to be carried out within the context of natural or physical science rather than metaphysics. But the rationalists, confronted with an intellectual landscape where Aristotelian physics is displaced by the more mathematical and experimental account of the new physics, thought of these issues as metaphysical. As they saw things, metaphysics was concerned not simply with the existence and nature of God, but with the distinction between mind and body, their relationship in human beings, and the nature and extent of freedom of the will.
  중세 아리스토텔레스 전통에서, 우리는 계속해서 형이상학에 대한 이 한 쌍의 규정과 마주친다;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와 마찬가지로, 중세인들은 형이상학에 대한 그 두 가지 개념들이 단일한 과목에서, 실재의 범주적 구조를 기술하는 일과 신성한 실체의 현존과 본성을 확립하는 일 모두를 목표로 하는 과목에서 실현된다고 믿었다. 그러나 우리가 17-18세기 대륙 이성주의자들의 형이상학적 저술들에 당도할 때, 우리는 형이상학적 기획의 범위를 확장시키는 형이상학의 개념과 마주친다. 그들이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 이론의 구체적인 사항들 상당수를 거부했다 할지라도, 그들은 형이상학을 수행함의 핵심이 존재하는 사물들의 가장 일반적인 종류들을 확정짓고 규정하는 것이라는 점에 동의했고, 또 그들은 신성한 실체에 대한 언급과 그의 원인으로서의 역할이 이 작업의 중추라는 데에 동의했다. 그렇지만, 아리스토텔레스적인 형이상학 의제에 대한 항목들로 나오지 않는 화제들이 형이상학적 연구의 적절한 대상들로 간주되기 시작했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서, 가변적인 물리적 대상들에 대한 검토, 생물과 무생물 사이의 간극에 대한 기술, 그리고 인간 존재자들에 특유한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규정은 모두 형이상학보다는 오히려 자연과학 또는 물리과학의 문맥 내에서 수행되는 것이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적 물리학이 새로운 물리학의 더욱 수학적이고 실험적인 설명에 의해 대체되는 광경을 마주하게 된 이성주의자들은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형이상학적으로 사유했다. 그들이 사물들을 보았던 것처럼, 형이상학은 단순히 신의 현존과 본성에 관련되지 않고, 정신과 육체 사이의 구별, 인간 존재자들 내에서 그것들의 관계, 그리고 의지 자유의 본성과 범위에 관련되었다.

  Someone schooled in the Aristotelian tradition would be puzzled by this new use of the term ‘metaphysics’ and would likely charge that, in the hands of the rationalists, what is supposed to be a single discipline with a single subject matter turns out to be the examination of a hodgepodge of unrelated topics. Evidently, rationalists were sensitive to this sort of charge, and they sought to provide a rationale for their redrawing of disciplinary boundaries within philosophy. What ultimately emerged is a general map of the metaphysical terrain.[5] The claim was that there is a single subject matter for metaphysics; it is being. So the metaphysician seeks to provide an account of the nature of being; but there is a variety of different perspectives from which one can provide such an account, and corresponding to these different perspectives are different subdisciplines within metaphysics. First, one can examine being from the perspective of its being just that – being. Since this represents the most general perspective from which one can consider being, the branch of metaphysics that considers being from this perspective was dubbed general metaphysics. But the rationalists insisted that we can also examine being from a variety of more specialized perspectives. When we do, we are pursuing this or that branch of what the rationalists called special metaphysics. Thus, we can consider being as it is found in changeable things; we can, that is, consider being from the perspective of its being changeable. To do so is to engage in cosmology. We can, as well, consider being as it is found in rational beings like ourselves. To consider being from this perspective is to pursue that branch of special metaphysics the rationalists called rational psychology. Finally, we can examine being as it is exhibited in the Divine case, and to examine being in this light is to engage in natural theology. Pretty clearly, the rationalist notions of general metaphysics and natural theology correspond to the Aristotelian conceptions of metaphysics as a thoroughly universal science that studies being qua being and as a departmental discipline concerned with first causes; whereas the claim that metaphysics incorporates cosmology and rational psychology as branches expresses the new and broader scope associated with metaphysics in the rationalist scheme.
  아리스토텔레스적 전통에서 교육받은 일부 사람들은 '형이상학'이란 용어의 이러한 새로운 용법에 혼란스러울 것이고 그것을, 이성주의자들의 손에서, 단일한 주제를 가진 단일한 과목일 것으로 간주된 것이 무관한 화제들의 잡동사니에 대한 검토인 것으로 된다고 비난할 성싶다. 확실히, 이성주의자들은 이러한 종류의 비난에 예민하였고, 그들은 철학 내에서 그들의 학문적 경계들에 대한 그들의 수정에 대한 이론적 해명을 제공하는 일을 추구하였다. 궁극적으로 나타나게 된 것은 형이상학적 영역에 대한 하나의 일반적 지도이다.[5] 그 주장은 형이상학에 대한 단일한 주제가 있다는 것이었다; 그 주제는 존재이다. 그래서 형이상학자는 존재의 본성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일을 추구한다; 그러나 그러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상이한 관점들이 있고, 이러한 상이한 관점들에 부합하는 것은 형이상학 내에서 상이한 분과학문들이다. 첫째로, 존재를 그 존재의 존재에 대한 관점으로부터 - 단지 그 있음에 대한 관점으로부터 검토할 수 있다. 이것은 존재를 고찰할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관점을 표현하므로, 이 관점으로부터 존재를 고찰하는 형이상학의 분과는 일반 형이상학이라는 별칭이 붙었다. 그러나 이성주의자들은 우리가 또한 존재를 더욱 특화된 다양한 관점들로부터 검토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우리가 그렇게 할 때, 우리는 이성주의자들이 특수 형이상학이라 불렀던 것의 이러저러한 분과를 추구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존재를 그것이 발견되는 가변적인 사물들에서 고찰할 수 있다; 즉 우리는 존재를 그 존재의 가변적임에 대한 관점으로부터 고찰할 수 있다. 그렇게 하는 것은 우주론에 참여하는 것이다. 우리는 또한 존재를 우리 자신들과 같은 이성적 존재자들 내에서 발견되는 것으로서 고찰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존재를 고찰하는 것은 이성주의자들이 이성적 심리학이라 불렀던 특수 형이상학의 저 분과를 추구하는 것이다. 끝으로, 우리는 존재를 신성의 사례에서 드러나는 것으로서 검토할 수 있고, 이러한 조명에서 존재를 검토하는 것은 자연 신학에 참여하는 것이다. 꽤나 분명하게, 일반 형이상학과 자연신학에 대한 이성주의적 관념들은 존재로서의 존재를 연구하는 철저히 보편적인 학문이자 제일원인들과 관련된 분과 과목으로서 형이상학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적 개념들에 부합한다; 반면에 형이상학이 우주론과 이성적 심리학을 분과들로서 포함한다는 주장은 이성주의적 계획에 있어서 형이상학과 관련된 새롭고 더 넓은 영역을 표현한다.

  But it was not merely in its subject matter that rationalist metaphysics differed from Aristotle’s. Aristotle’s approach to metaphysical issues had been cautious. In his delineation of the categories he had sought to remain faithful to our prephilosophical conception of the world. As he had seen things, the fully real or metaphysically basic entities are the familiar objects of common sense – things like individual horses and individual human beings. And even in his account of God or the Unmoved Mover, he had been anxious to show the continuity between his philosophical account and our prephilosophical beliefs about the causal structure of the world. The result was a relatively conservative metaphysics. The metaphysical theories of the rationalists, by contrast, were anything but conservative. In their hands, metaphysics results in abstract speculative systems far removed from any recognizably commonsense picture of the world. Here, one has only to skim the works of a thinker like Spinoza or Leibniz to appreciate the extravagance of rationalist metaphysics.
  그러나 이성주의 형이상학이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과 달랐던 것은 그 주제에 있어서만은 아니었다. 형이상학적 문제들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접근방식은 신중했다. 범주들에 대한 그의 기술에서 그는 세계에 대한 우리의 전(前)철학적 개념에 충실한 채로 남고자 애썼다. 그가 사물들을 보았던 것과 같이, 완전한 실재 또는 형이상학적으로 기초적인 실체들은 공통 감각(상식?)의 친숙한 대상들 - 개별적인 말들과 개별적인 인간 존재자들과 같은 사물들 - 이다. 그리고 신이나 부동의 동자에 대한 그의 설명에 있어서조차, 그는 세계의 인과적 구조에 대한 그의 철학적 설명과 우리의 전철학적 믿음들 사이의 연속성을 보여주고자 안달하였다. 그 결과는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형이상학이었다. 반면에 이성주의자들의 형이상학적 이론들은 전혀 보수적이지 않았다. 그들의 손에서, 형이상학은 세계에 대한 인지 가능하게 상식적인 어떠한 모습과도 상당히 동떨어진 추상적이고 사변적인 체계들로 귀결된다. 여기에서, 이성주의적 형이상학의 과도함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스피노자나 라이프니츠와 같은 사상가의 저작들을 단지 일견하는 것만으로 족하다.

  The highly abstract and speculative nature of rationalist metaphysics made it a natural target for the criticisms of empiricist thinkers. The empiricists insisted that any claim to knowledge requires a justification by reference to sensory experience; and they argued that since no experience could ever justify the assertions making up rationalist metaphysical systems, the rationalist’s claims to be providing scientific knowledge of the nature of reality were spurious.[6] Indeed, the empiricists frequently made the stronger claim that the characteristic assertions of rationalist metaphysics were without meaning. The empiricists held that all of our conceptual representations are derived from the contents of sensory experience. Accordingly, they insisted that an assertion has genuine cognitive content or meaningfulness only if the terms it employs are susceptible of an analysis or explanation in terms of purely sensory contents. Since the claims of the rationalist metaphysicians did not pass this test, the empiricists concluded that they were mere sounds without sense.
  이성주의 형이상학의 고도로 추상적이고 사변적인 본성은 그 형이상학을 경험주의적 사상가들의 비판들에 대한 자연스러운 표적으로 만들었다. 경험주의자들은 앎에 대한 어떠한 주장이든 감각적 경험에 대한 언급에 의한 정당화를 요구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그들은 어떠한 경험도 결코 이성주의적 형이상학 체계들을 구성하는 단언들을 정당화할 수 없을 것이므로, 실재의 본성에 대한 학문적 앎을 제공하고 있는 이성주의자의 주장들은 비논리적일 것이라고 주장했다.[6] 더 나아가, 경험주의자들은 자주 이성주의적 형이상학의 특징적인 단언들이 무의미하였다는 더욱 강력한 주장을 구성하였다. 경험주의자들은 우리의 모든 개념적 표현들이 감각 경험의 내용들로부터 파생된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그들은 하나의 단언은 오로지 그 단언이 사용하는 용어들이 순수하게 감각적 내용들을 통한 분석이나 설명을 허용할 때에만 진정한 인지적 내용 혹은 의미를 지닌다고 주장했다. 이성주의 형이상학자들의 주장들은 이 검토를 통과하지 못하였으므로, 경험주의자들은 그 주장들이 단지 무의미한 소리들이었다고 결론내렸다.

  In the work of Kant, we meet with further criticism of the metaphysical enterprise.[7] In Kant’s account, human knowledge involves the interplay of concepts innate to the human cognitive faculties and the raw data of sense experience. The sensory data are the effects on our subjective sense faculties of a world external to those faculties. The data get structured or organized by way of the innate concepts, and the result is an object of knowledge. So what we call an object of knowledge is not a thing external to and independent of our cognitive machinery; it is the product of the application of innate conceptual structures to the subjective states of our sensory faculties. The world that produces those subjective states is something that, as it is in itself, is inaccessible to us; we grasp it only as it affects us, only as it appears to us. An object of knowledge, then, requires the sensory contents of the empiricists; but more is required. The contents must be unified and organized by conceptual structures that do not have their origin in sense experience. Kant, however, wants to insist that just as the sensory contents constitute an object of knowledge only when structured by the innate concepts, the innate conceptual structures yield an object of knowledge only when they are applied to the sensory contents for which they provide principles of unity and organization.
  칸트의 저작에서, 우리는 형이상학적 기획에 대한 추가적인 비판에 마주한다. 칸트의 설명에서, 인간의 앎은 인간 인지 능력들에 선천적인 개념들과 감각 경험의 원초적 자료의 상호작용을 포함한다. 감각자료들은 우리의 감각 능력들에 대해 외재적인 세계에 대한 우리의 주관적 감각 능력들에 영향을 미친다. 그 자료들은 내적 개념들을 통해 구조화 혹은 조직화되고, 그 결과는 앎의 대상이다. 그래서 우리가 앎의 대상이라 부르는 것은 우리의 인지 기관에 외재적이고 또 그로부터 독립적인 사물이 아니다; 그 대상은 내적 개념적 구조들을 우리의 감각 능력들의 주관적 상태들에 적용한 산물이다. 그러한 주관적 상태들을 산출하는 세계는 그 자체로는 우리에게 접근불가능한 어떤 것이다; 우리는 그 세계를 오로지 그 세계가 우리에게 영향을 미치는 대로, 오직 그 세계가 우리에게 나타나는 대로만 파악한다. 앎의 대상은 그래서 경험주의자들의 감각적 내용들을 요구한다; 그러나 더 많은 것이 요구된다. 그 내용들은 반드시 그 기원을 감각 경험에 두지 않는 개념적 구조들에 의해 통합되고 조직화되어야만 한다. 그렇지만 칸트는 바로 감각적 내용들이 오로지 내적 개념들에 의해 구조화될 때에만 앎의 대상을 형성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내적 개념적 구조들은 오로지 그 구조들이 그에 대해 통합과 조직화의 원칙들을 제공하는 그러한 감각적 내용들에 적용될 때에만 앎의 대상을 산출한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Now, as Kant saw it, metaphysics, whether of the rationalist or Aristotelian variety, represents the attempt to know what lies beyond the scope of human sensory experience. It seeks to answer questions for which sense experience is incapable of providing answers, questions about the immortality of the soul, the existence of God, and freedom of the will. It promises us knowledge about these matters. In the attempt to provide the promised knowledge, however, the metaphysician employs the conceptual structures that underlie less controversial forms of knowledge, structures like those at work in talk about substances, causation, and events. But since the relevant structures yield knowledge only when they are applied to the raw data of sensory experience, the philosopher’s use of those structures to answer the perennial questions of metaphysics never delivers the knowledge the metaphysician promises us. Given the way our cognitive machinery operates, the conditions required for knowledge can never be satisfied in the metaphysical case. The claims the metaphysician wants to make go beyond the limits of human knowledge. Accordingly, there can never be genuinely scientific knowledge in metaphysics.
  이제, 칸트가 그렇게 보았듯이 형이상학은 이성주의에 속하든 아리스토텔레스주의에 속하든, 인간 감각 경험의 범위 너머에 놓인 것을 알고자 하는 시도를 표현한다. 형이상학은 감각경험이 응답들을 제공할 능력이 없는 물음들에, 영혼의 불멸성에 대한, 신의 현존과 의지의 자유에 대한 물음들을 대답하는 일을 추구한다. 그 형이상학은 우리에게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앎을 약속한다. 그렇지만 그 약속된 앎을 제공하려는 시도에 있어서 형이상학자는 앎에 대한 덜 논란이 되는 형식들 아래에 놓인 개념적 구조들, 실체들과 원인과 사건들에 대한 이야기에서 작동하는 것과 같은 그러한 구조들을 사용한다. 그러나 그 관련된 구조들은 오로지 그 구조들이 감각경험의 가공되지 않은 자료들에 적용될 때에만 앎을 산출하므로, 그 끊임없이 지속되는 형이상학의 물음들에 답하는 그 철학자의 그러한 구조들의 사용은 결코 형이상학자가 우리에게 약속한 그 앎을 내놓지 못한다. 우리의 인지 기관이 작동하는 방식을 고려해 보자면, 앎에 요구되는 조건들은 형이상학적 경우에 있어서는 결코 만족될 수 없다. 형이상학자들이 구성하길 바라는 주장들은 인간 앎의 한계들을 넘어서 나아간다. 따라서, 형이상학에 있어서 진정으로 학문적(과학적)인 앎은 절대로 있을 수 없다.

  To bring out this feature of traditional metaphysics, Kant calls it transcendent metaphysics. He contrasts transcendent metaphysics with what he calls critical metaphysics. Critical metaphysics, he tells us, is a perfectly respectable, legitimate enterprise. Whereas transcendent metaphysics seeks to characterize a reality that transcends sense experience, critical metaphysics has as its task the delineation of the most general features of our thought and knowledge. It seeks to identify the most general concepts at work in our representation of the world, the relationships that obtain among those concepts, and the presuppositions of their objective employment. The project set by critical metaphysics is precisely the project Kant takes himself to be carrying out when he gives us his own account of the conditions for human knowledge.
  전통적 형이상학의 이러한 특징을 끌어내기 위해, 칸트는 그러한 형이상학을 초월적 형이상학이라 부른다. 그는 초월적 형이상학을 그가 비판적 형이상학이라 부르는 것과 대조시킨다. 그는 우리에게 비판적 형이상학이 완벽하게 훌륭하고 타당한 기획이라고 말한다. 초월적 형이상학이 감각 경험을 초월한 실재성을 규정하는 일을 추구하는 반면에, 비판적 형이상학은 우리 사유와 앎의 가장 일반적인 특징들에 대한 기술을 그 과업으로 삼는다. 비판적 형이상학은 세계에 대한 우리의 표현에서 작동하는 가장 일반적인 개념들, 그러한 개념들 사이에서 획득하는 관계성들, 그리고 그러한 개념들의 객관적 사용에 대한 전제들을 규정하는 일을 추구한다. 비판적 형이상학에 의해 정초되는 그 기획은 정확하게 칸트가 인간 앎의 조건들에 대한 그 자신의 고유한 설명을 우리에게 제시할 때 그 스스로 수행하고 있다고 여기는 기획이다.

  Kant’s conception of a metaphysical enterprise whose task it is to identify and characterize the most general features of our thought and experience is one that continues to find defenders in our own day.[8] These philosophers tell us that metaphysics is a descriptive enterprise whose aim is the characterization of our conceptual scheme or conceptual framework. As these philosophers see things, any thought or experience we might have involves the application of a single unified body of representations. That body of representations constitutes something like a picture of how things are; it is a kind of story we tell about the world and our place in it. The story has a distinctive structure: it is organized by way of very general concepts, and the use of those concepts is regulated by principles (often called ‘framework principles’). The aim of metaphysics is simply to delineate that structure in its most general contours.
  우리의 사유와 경험의 가장 일반적인 특징을 규정하고 특징짓는 과업을 가진 형이상학적 기획에 대한 칸트의 개념은 우리들의 시대에서도 지속적으로 옹호자들을 발견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철학자들은 우리에게 형이상학이 그 목표가 우리의 개념적 도식 혹은 개념틀의 규정인 기술적 기획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철학자들이 사물들을 보듯, 우리가 지닐 어떠한 사유나 경험도 표현들의 단일하게 통합된 전체의 적용을 포함한다. 그 표현들의 전체는 사물들이 어떻게 존재하는지에 대한 영상과 같은 어떤 것을 구성한다; 그것은 우리가 세계와 그 세계 내에서 우리의 자리에 대해 말하는 일종의 서사이다: 그것은 매우 일반적인 개념들을 통해 조직화되고, 그러한 개념들의 사용은 원칙들 (종종 '구조 원칙들'이라 불리는) 에 의해 규제된다. 형이상학의 목표는 단순히 그 구조를 그 가장 일반적인 윤곽에서 기술하는 것이다.

  Philosophers who endorse this idea of a conceptual scheme or conceptual framework do not all agree on the status enjoyed by our picture of the world. Although they do not endorse the details of Kant’s own account of human knowledge, some proponents of the idea of a conceptual scheme agree with Kant that there is a single unchanging structure that underlies anything that can be called human knowledge or experience. Others emphasize the dynamic and historical character of human thought, and they speak of alternative conceptual frameworks. They see great conceptual changes, such as the scientific revolution that saw Newtonian mechanics displaced by relativity theory, as cases where one conceptual scheme is rejected in favor of a new and different picture of the world. For thinkers of the former sort, metaphysics has a stable and unchanging subject matter: the single, uniquely human way of representing the world; for the latter, the task of metaphysics is comparative: it attempts to display the different forms at work in the alternative schemes that have historically played a role in our attempts at picturing the world.
  개념적 도식 혹은 개념틀에 대한 이러한 발상을 지지하는 철학자들이 세계에 대한 우리의 인상에 의해 향유되는 상태에 모두 동의하지는 않는다. 그들이 인간 앎에 대한 칸트의 고유한 설명의 세부사항들을 지지하지 않는다 할지라도, 일부 개념적 도식에 대한 발상의 지지자들은 인간 앎 또는 경험이라 불릴 수 있는 어떠한 것에든 그 근저에 놓이는 단일하게 불변하는 구조가 있다는 점에서 칸트에 동의한다. 다른 이들은 인간 사유의 역동적이고 역사적인 성격을 강조하고, 그들은 대안적인 개념틀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들은 뉴턴 역학이 상대성 이론에 의해 대체되는 것을 보았던 과학적 혁명과 같은, 한 개념적 도식이 세계에 대한 새롭고 색다른 상(象)에 대한 지지 속에서 거부되는 그러한 경우들과 같은 대단한 개념적 변화들을 본다. 전자의 부류에 속하는 사상가들에 대해서, 형이상학자들은 안정되고 불변하는 주제를 지닌다: 세계를 표현하는 단일하고 유일한 인간적 방식; 후자에 대해서, 형이상학의 과업은 상대적이다: 그것은 세계를 묘사하려는 우리의 시도들에 있어서 역사적으로 한 역할을 수행하였던 대안적 도식들에서 작동하는 상이한 형식들을 드러내 보이고자 시도한다.

  Philosophers of both sorts stand squarely opposed to those who defend a more traditional, pre-Kantian conception of metaphysics. Philosophers who take the notion of a conceptual scheme seriously will take metaphysics to be concerned with our way or ways of representing the world. Whether they limit the subject matter of metaphysics to the items on the Aristotelian agenda or follow the rationalists in expanding the scope of metaphysics to include topics like the mind-body problem,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nd freedom of the will, philosophers who view metaphysics in pre-Kantian terms take metaphysics to have as its task an account of the nature and structure of the world itself. An inquiry into the structure of human thought is, however, something quite different from an inquiry into the structure of the world thought is about. Of course, if one believes that the structure of our thought reflects or mirrors the structure of the world, then one might claim that the results of the two inquiries must be the same. But philosophers who are attracted by talk of conceptual schemes do not typically believe this. They claim that metaphysics has as its subject matter the structure of our conceptual scheme or schemes precisely because, like Kant, they think that the world as it really is is something that is inaccessible to us.
  두 부류의 철학자들 모두 더욱 전통적인, 전-칸트주의적 형이상학 개념을 옹호하는 이들에 정면으로 맞선다. 개념적 도식의 관념을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철학자들은 형이상학을 세계를 표현하는 우리의 방식 혹은 방식들과 관련된 것으로 간주할 것이다. 그들이 형이상학의 주제를 아리스토텔레스적 의제들의 항목들에 제한하든 아니면 심-신 문제, 영혼불멸, 의지의 자유와 같은 화제들을 포함하는 형이상학의 범위 확장에 있어서 이성주의자들에 따르든, 전-칸트주의적 용어들로 형이상학을 바라보는 철학자들은 형이상학을 세계 그 자체의 본성과 구조에 대한 설명을 그 과업으로 지니는 것으로 받아들인다. 그렇지만 인간 사유의 구조에 대한 연구는 그에 대해 사유되는 그 세계의 구조에 대한 연구와 상당히 다른 어떤 것이다. 물론, 만일 우리의 사유 구조가 세계의 구조를 비추거나 반영한다고 믿는다면, 두 연구들의 결과들이 반드시 같아야만 한다고 주장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개념적 도식들에 대한 이야기들에 매혹된 철학자들은 전형적으로 이렇게 믿지 않는다. 그들은 형이상학이 우리의 개념적 도식 또는 도식들의 구조를 그 주제로 갖는 까닭은 정확히, 칸트와 같이, 그들이 그것이 실로 그러한 것으로서의 세계가 우리에게는 접근불가능한 어떤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Why do they think this? Because they agree with Kant that our thought about the world is always mediated by the conceptual structures in terms of which we represent that world. As they see it, to think of anything external to my cognitive faculties, I must apply concepts that represent the thing as being some way or other, as belonging to some kind or as characterized in some way; but, then, what I grasp is not the object as it really is independently of my thought about it. What I grasp is the object as I conceptualize or represent it, so that the object of my thought is something that is, in part at least, the product of the conceptual or representational apparatus I bring to bear in doing the thinking. What I have is not the thing as it is in itself, but the thing as it figures in the story I tell of it or the picture I construct of it.
  어째서 그들은 이렇게 생각하는가? 왜냐하면 그들은 우리의 세계에 대한 사유가 언제나 우리가 그 세계를 그로써 표현하는 개념적 구조들에 의해 중재된다는 점에서 칸트에게 동의하기 때문이다. 그들이 그렇게 보듯, 나의 인지 능력들 외부의 어떤 것에 대해 생각하기 위해, 나는 반드시 이러저러한 방식인 것으로, 어떤 종류에 속하는 것으로나 혹은 어떤 방식으로 특징지어지는 것으로 그 사물을 표현하는 개념들을 적용해야만 한다; 그러나 다음으로 내가 파악하는 것은 그것이 그것에 대한 나의 사유와 독립적으로 실제로 그러한 것인 바의 대상이 아니다. 내가 파악하는 것은 내가 그것을 개념화하거나 표현한 것으로서의 대상이며, 그리하여 내 사유의 대상은 최소한 부분적으로 사유를 행함에 있어서 집중하는 개념적 혹은 표현적 기관의 산물인 어떤 것이다. 내가 가진 것은 그 자체인 것으로서의 사물이 아니라, 내가 그것에 대해 이야기하는 서사에 관계되는 것으로서나 또는 내가 그에 대해 구성하는 상으로서의 사물이다.

  Now, some of those who invoke the idea of a conceptual framework (the conceptual schemers, we might call them) go further and claim that the very idea of an object separate from and independent of the conceptual scheme by which we form our representations is incoherent.[9] On this radical view, all
that there is is the conceptual framework or frameworks. There is nothing more than the stories we tell, the pictures we construct. What we call the existence of an object is simply a matter of something’s figuring in a story; and what we call the truth of our beliefs is just a matter of the various components of a story fitting together or cohering with each other.
  이제, 개념틀(우리가 그것들을 개념적 도식들이라 부를 수 있는)이라는 발상을 언급하는 그러한 이들 중 일부는 더 나아가서 그로써 우리가 우리의 표현들을 형성하는 개념적 도식으로부터 분리되고 그로부터 독립적인 대상에 대한 바로 그 생각은 모순적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급진적인 관점에서,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개념틀 혹은 개념틀들이다. 우리가 이야기하는 서사들, 우리가 구상하는 상들 이외에 다른 아무것도 없다. 우리가 대상의 현존이라 부르는 것은 단순히 하나의 서사에 관련하고 있는 어떤 것에 대한 문제이다; 그리고 우리가 우리의 믿음들 중에서 참이라고 부르는 것은 단지 함께 부합하거나 상호 일관된 하나의 서사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문제이다.

  This more radical version of the conceptual scheme account is a version of what has been called idealism, and it is a view that is extremely difficult to articulate coherently. If we hold that there is nothing but the stories that human beings construct, then what are we to say of the human beings who are supposedly doing the constructing? If they are really there doing the constructing, then it is not the case that there is nothing but the stories that get constructed, and it is not the case that to exist is just to be a character in a story. If, on the other hand, we human beings are just further characters in the stories, then is it really the case that there are any stories that get told? Or is it just a further story that all these stories get constructed? And is this new story (the story that the original stories get told) itself just one more story?
  이런 더욱 급진적인 형태의 개념적 도식 설명은 관념론이라 불린 것의 형태이고, 그것은 일관되게 명료히 표명하기가 극도로 어려운 관점이다. 만일 우리가 인간 존재자들이 구성하는 서사들 이외에 아무것도 없다고 주장한다면, 그래서 아마도 그 구성을 수행하고 있을 인간 존재자들에 대해 우리가 말할 것은 무엇인가? 만일 그 존재자들이 실제로 구성을 수행하면서 있다면, 그래서 구성되는 서사들 이외에 다른 아무것도 없는 경우도 아니고, 현존한다는 것이 단지 하나의 서사 내에서 한 등장인물인 것만도 아니다. 다른 한편 만일 우리 인간 존재자들이 바로 그 서사들에 있어서 추가적인 인물들이라면, 정말로 이야기된 어떤 서사들이든 존재하는 경우인가? 혹은 바로 이러한 모든 서사들이 구성된 하나의 추가적 서사인가? 그리고 이 새로운 서사 (본래의 서사들이 이야기하게 된 그 서사) 그 자체는 단지 또 하나의 서사인가?

  As I have suggested, not all conceptual schemers endorse the more radical view we have been discussing; but even the schemer who concedes that the idea of an item that exists independently of a conceptual framework is coherent will deny that any such items as there may actually be can constitute the objects of metaphysical study. Any such items, they will insist, are grasped only by way of the conceptual structures we bring to bear in our representation of them. Those structures constitute a kind of screen that bars us from access to things as they really are. Accordingly, even the moderate conceptual schemer will deny that it is possible to do what the traditional metaphysician wants to do – to provide knowledge of the ultimate structure of reality; they will claim that if there is to be an enterprise with the generality, systematicity, and comprehensiveness philosophers have wanted to claim for metaphysics, that enterprise can consist in nothing more than the characterization of the most general structure of our conceptual scheme or schemes.
  내가 암시하였듯, 모든 개념적 도식론자들이 우리가 논의해 오고 있는 더욱 급진적인 그 관점을 지지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개념틀에 대해 독립적으로 현존하는 한 항목에 대한 발상이 일관되다고 인정하는 도식론자조차 실제로 존재할 것으로서 그러한 어떤 항목들이든 형이상학적 연구의 대상들을 구성할 수 있다는 점은 부정할 것이다. 그들은 그러한 어떤 항목들이든 오로지 우리가 그 항목들에 대한 우리의 표현에 집중하는 개념적 구조들을 통해서만 파악된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러한 구조들은 우리들을 실제로 그러한 바의 사물들에 접근하는 것으로부터 차단하는 일종의 장막을 형성한다. 따라서, 온건한 개념적 도식론자조차 전통 형이상학자가 하기를 바라는 일 - 실재성의 궁극적 구조에 대한 앎을 제공하는 일 - 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부정할 것이다; 그들은 만일 철학자들이 형이상학에 대해 주장하기를 바란 일반성, 체계성, 그리고 일관성을 갖춘 하나의 기획일 것이 있다면, 그 기획은 우리의 개념적 도식 혹은 도식들의 가장 일반적인 구조에 대한 규정 이외의 다른 아무것도 구성할 수 없다고 주장할 것이다.

  What will be the response of traditional metaphysicians to this neo-Kantian account? Most probably, they will argue that if the conceptual schemer is correct in denying that the world as it really is can be an object of serious philosophical inquiry, then the schemer is wrong to suppose that a conceptual scheme can be. The central premise in the schemer’s argument against traditional metaphysics is the claim that the application of conceptual structures in the representation of things bars us from genuine access to those things; but the defender of traditional metaphysics will point out that we need to employ concepts in our characterization of what the schemer calls a conceptual framework, and they will conclude that, by the schemer’s own principles, that(?) entails that there can be no such thing as characterizing the nature and structure of a conceptual scheme. So traditional metaphysicians will argue that if their conception of metaphysics is problematic, so is the schemer’s. But traditional metaphysicians will insist that there is a deeper moral here. That moral is that there is something self-defeating in the conceptual schemer’s account of conceptual representation. If the conceptual schemer is correct in claiming that the activity of conceptual representation bars us from an apprehension of anything we seek to represent, then why should we take seriously the schemer’s claims about conceptual representation? Those claims, after all, are just further conceptual representations; but, then, so far from revealing the nature of the activity of conceptual representation, the claims would seem to preclude our getting a hold on what those claims are supposed to be about – the activity of conceptual representation.
  이러한 신-칸트주의적 설명에 대한 전통 형이상학자들의 응답은 무엇일까? 가장 그럴 성 싶은 것은, 그들이 만일 개념적 도식론자가 실제로 그러한 것으로서의 세계가 진지한 철학적 연구의 대상일 수 있다는 점을 부정함에 있어서 정확하다면, 그 도식론자는 개념적 도식이 그러한 대상일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틀리다고 주장하리라는 것이다. 전통적 형이상학에 반대하는 그 도식론자의 논증에 있어서 중심적인 전제는 사물들에 대한 표현에 있어서 개념적 구조들의 적용이 우리를 그러한 사물들을 향한 진정한 접근으로부터 가로막는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전통적 형이상학의 옹호자들은 우리가 그 도식론자가 개념틀이라 부르는 것에 대한 우리의 규정에 있어서 개념들을 사용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할 것이고, 그들은 그 도식론자 자신의 원칙들로써, 개념적 도식의 본성과 구조를 규정하는 것으로서의 그러한 어떤 것도 있을 수 없다고 결론내릴 것이다. 그래서 전통 형이상학자들은 만일 형이상학에 대한 그들의 개념이 문제가 있는 것이라면, 그 도식론자의 개념도 그러하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러나 전통 형이상학자들은 더욱 심오한 교훈이 여기에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 교훈은 자기-상쇄적인 어떤 것이 개념적 표현에 대한 도식론자의 개념적 설명 내에 있다는 것이다. 만일 그 개념적 도식론자가 개념적 표현의 활동이 우리가 표현하는 일을 추구하는 어떤 것에 대해서든 그 우려로부터 우리를 차단한다고 주장함에 있어서 정확하다면, 어째서 우리는 개념적 표현에 대한 그 도식론자의 주장들을 진지하게 받아들여야 하겠는가? 무엇보다도 그러한 주장들은 단지 추가적인 개념적 표현들일 따름이다; 그러나, 그래서 개념적 표현 활동의 본성을 밝히기 보다는, 그 주장들은 그러한 주장들이 그에 대한 것이라 간주되는 것 - 개념적 표현 활동 - 에 대한 파악을 우리가 획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

  Traditional metaphysicians will go on to insist that we manage to think and talk about things – things as they really are and not just things as they figure in the stories we tell. They will insist that the very idea of thinking about or referring to things presupposes that there are relations that tie our thoughts and words to the mind-independent, language-independent things we think and talk about; and they will insist that so far from barring us from access to things, the concepts we employ in our thinking are the vehicles for grasping the things to which they apply. They are not screens or barriers between us and things; they are, on the contrary, our routes to objects, our ways of gaining access to them. And traditional metaphysicians will argue that there is no reason to suppose that it needs to be otherwise with the concepts traditional metaphysicians employ in their attempts at giving us an account of what there is and its general structure. They will concede that metaphysicians can get things wrong, that there can be false metaphysical claims; but they will insist that the threat of falsehood is no more serious here than it is in any other discipline where we attempt to say how things are. It may be difficult to provide a true characterization of the nature of reality, but that does not mean that it is impossible.
  전통적 형이상학자들은 계속해서 우리가 사물들 - 그것들이 실제로 그러한 것으로서 그리고 단지 우리가 이야기하는 서사들에 관겨되는 것으로서가 아닌 그러한 것들로서 - 에 대해 생각하고 말하는 일을 취급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들은 사물들에 대해 생각하거나 사물들을 언급하는 일에 대한 바로 그 발상이 우리의 사유들과 말들을 우리가 그에 대해 생각하고 말하는 그러한 정신-독립적, 언어-독립적 사물들에 결부시키는 관계들이 있다는 것을 전제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우리를 사물들로 향하는 접근으로부터 가로막는다기 보다는, 우리가 우리의 생각함에 있어서 사용하는 개념들이 그 사물들이 그에 적용되는 그 사물들의 파악을 위한 매개물들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그 개념들은 우리와 사물들 사이의 장막들 또는 장벽들이 아니다; 그 개념들은 반대로 대상들을 향한 우리의 경로들이고, 그 사물들로 향한 접근을 획득하는 우리의 방식들이다. 그리고 전통적 형이상학자들은 전통적 형이상학자들이 우리에게 존재하는 것과 그것의 일반적 구조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려는 그들의 시도에 있어서 사용하는 개념들을 가지고 다른 방식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할 아무런 이유도 없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들은 형이상학자들이 사물들을 잘못 취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할 것이고, 거짓인 형이상학적 주장들이 있을 수 있음을 시인할 것이다; 그러나 그들은 오류의 위협은 그 위협이 우리가 사물들이 어떻게 있는지 말하려고 시도하는 다른 어떤 과목에서보다도 조금도 더 심각하지 않다고 주장할 것이다. 실재성의 본성에 대한 참인 규정을 제공하는 일은 어려울지 모르지만, 그것이 그 일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진 않는다.

  Defenders of a Kantian conception of metaphysics will insist that the issues surrounding this debate are more complex and more difficult than the traditional metaphysician suggests; and although we may initially find ourselves sympathetic with the traditional metaphysician, we must concede that this debate over the methodology appropriate to metaphysics hinges on the much larger issu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ought and the world. That issue strikes at the core of any characterization of being and, by any standards, counts as metaphysical. It is, however, such an important issue that it cannot be resolved in the introductory paragraphs of a book on metaphysics. The characterization of the relationship of our thought or language and the world requires separate and extended treatment; and in this book, the concluding chapter will be devoted to that issue. There, we will examine in detail the challenge that philosophers of a Kantian persuasion – anti-Realists, as they are often called – present to the traditional accou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ought and the world. In the meantime, however, we need a conception of metaphysics to guide us; and the strategy will be to assume, tentatively, the traditional, pre-Kantian approach.
  칸트적 형이상학 개념의 옹호자들은 이 논쟁을 둘러싼 문제들이 전통적 형이상학자들이 시사하는 것보다 더욱 복잡하고 더욱 어렵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최초에는 전통적 형이상학자에 공감함을 알지라도, 우리는 반드시 형이상학에 적용하는 방법론을 둘러싼 이러한 논쟁이 사유와 세계 사이의 관계성에 대한 더욱 거대한 문제를 조건으로 삼는다는 것을 인정해야만 한다. 그 문제는 존재에 대한 어떠한 규정에 대해서든 그 핵심을 가격하고, 어떠한 기준에 의해서든, 형이상학적인 것으로 여긴다. 그렇지만 그 문제가 형이상학에 대한 책의 도입 문단들에서 해결될 수 없다는 것은 그러한 중요한 문제이다. 우리의 사유 혹은 언어와 세계의 관계성에 대한 규정은 분리되고 확장된 취급을 요구한다; 그리고 이 책에서, 결론장은 그 문제에 할애될 것이다. 거기에서, 우리는 칸트주의적 신념의 철학자들 - 그들이 종종 그렇게 불리듯 반-실재론자들 - 이 사유와 세계 사이의 관계성에 대한 전통적 설명에 대해 생각하는 도전을 구체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그렇지만 그 사이에 우리는 우리를 인도할 형이상학 개념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그 전략은 시험적으로 전통적, 전-칸트적 접근방식을 전제하는 일일 것이다.


Metaphysics as category theory
범주이론으로서의 형이상학


The aim will be to characterize the nature of reality, to say how things are. As we have seen, different traditions associate different subject matters with this project. In the Aristotelian tradition, there is the idea of a science of first causes and the idea of a science that studies being qua being. Even if there is a single science answering to the two ideas, the ideas, initially at least, appear to be different. The idea of a general science that studies beings from the perspective of their being beings corresponds to what the rationalists called general metaphysics; and a central task suggested by the idea of a science of first causes corresponds to the task associated with that branch of special metaphysics the rationalists dubbed natural theology; and we have the two other branches of special metaphysics – cosmology which provides a characterization of the changeable, material world, and rational psychology which deals, among other things, with the mind-body problem and, presumably, the problem of free will.
그 목표는 실재성의 본성을 규정하는 일, 사물들이 어떻게 있는지 말하는 일일 것이다. 우리가 보았듯, 상이한 전통들은 상이한 주제들을 이 기획과 결부시킨다. 아리스토텔레스적 전통에는, 제일원인의 학문에 대한 발상과 존재로서의 존재를 연구하는 학문에 대한 발상이 있다. 마치 두 가지 생각들, 최소한 처음에는 상이한 것으로 드러나는 그 생각들에 대해 응답하는 단일한 학문이 있는 것 같다. 존재자들로서 그것들의 존재에 대한 관점으로부터 존재자들을 연구하는 일반 학문에 대한 생각은 이성주의자들이 일반 형이상학이라 불렀던 것에 부합한다; 그리고 제일원인들에 대한 학문이라는 발상에 의해 제안된 중심 과제는 이성주의자들이 자연 신학이라 별칭하였던 특수 형이상학의 그 분과와 결부된 작업에 상응한다; 그리고 우리는 특수 형이상학의 두 가지 다른 분과들 - 가변적, 물질적 세계에 대한 규정을 제공하는 우주론과 다른 것들보다도 특히 심-신 문제, 그리고 아마도 자유 의지의 문제를 다루는 이성적 심리학 - 을 가진다.

Many introductory books on metaphysics accord with the rationalist chart of the discipline. Indeed, they make issues in what the rationalists called special metaphysics their focus. Thus, questions about the existence and nature of God, questions about the nature of human beings and the mind-body problem, and questions about freedom of the will occupy center stage. This is a perfectly appropriate strategy. Since the seventeenth century, these issues have all been dubbed metaphysical. A different strategy for constructing
an introductory text in metaphysics is, however, equally defensible. This strategy limits the topics to be discussed roughly to those that fall under the rubric of Aristotle’s science of being qua being or the rationalist’s science of general metaphysics.
형이상학을 주제로 한 다수의 개론서들은 그 과목에 대한 이성주의적 도표에 부합한다. 더욱이, 그 책들은 이성주의자들이 특수 형이상학이라 불렀던 것에 있어서의 문제들에 그들의 초점을 맞춘다. 따라서, 신의 현존과 본성에 대한 물음들, 인간 존재자들의 본성과 심-신 문제에 대한 물음들, 그리고 의지의 자유에 대한 물음들이 중심 무대를 차지할 것이다. 이것은 완벽히 적합한 전략이다. 17세기 이래로, 이러한 문제들은 모두 형이상학적이란 별칭을 얻어 왔다. 그렇지만 형이상학에 있어서 개론서를 구성하기 위한 하나의 다른 전략은 옹호가능하다. 이 전략은 그 화제들을 존재로서의 존재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학문의 부문 또는 일반 형이상학이라는 이성주의의 학문 아래로 분류되는 개략적으로 논의되는 그러한 화제들에 제한한다.

A number of considerations support this way of approaching metaphysics. Contemporary philosophers divide philosophy in ways that do not respect the disciplinary boundaries of the rationalist account. The topics that were central in the various branches of what the rationalists called special metaphysics are now discussed in subdisciplines of philosophy that are not essentially or exclusively concerned with metaphysical topics. The focus of natural theology, for example, was the existence and nature of God; that set of issues is now typically addressed in what we call the philosophy of religion, a subdiscipline of philosophy that addresses a much broader range of issues than oldstyle natural theology. It deals with epistemological questions about the rationality of religious belief in general as well as the rationality of particular religious beliefs, question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science, and question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morality. Philosophers of religion even discuss issues that were part of what the rationalists called rational psychology – questions about personal survival and immortality. Other issues discussed in rational psychology now fall under what we call the philosophy of mind; but while philosophers of mind worry about metaphysical questions about the existence and nature of mind, they worry about much else besides. They raise epistemological questions about our knowledge of our own mental states and those of others; and they spend much time attempting to get clear on the nature of explanation in psychology and the cognitive sciences. Sometimes, we find philosophers of mind raising questions about freedom of the will, but this problem is as likely as not to be debated in a still different part of philosophy called the theory of action. Contemporary philosophers typically use the term ‘metaphysics’ to refer to a branch of philosophy different from each of these branches; and when they do, what they are talking about is something that is not far removed from what the rationalists called general metaphysics and what Aristotle spoke of as the science that studies being qua being.
다수의 연구들이 형이상학에 접근하는 이러한 방식을 지지한다. 현대 철학자들은 이성주의 설명의 분과 경계들을 존중하지 않는 방식들로 철학을 분할한다. 이성주의자들이 특수 형이상학이라 불렀던 것의 다양한 분과들에서 중심적이었던 그 화제들은 이제 형이상학적 화제들과 본질적으로나 독점적으로 관련되지 않는 철학의 하위부문들에서 논의된다. 예를 들어 자연 신학의 초점은 신의 현존과 본성이었다; 저 일련의 문제들은 이제 전형적으로 우리가 종교에 대한 철학이라 부르는 것, 구(舊) 자연 신학보다 훨씬 더 넓은 영역의 문제들을 다루는 철학의 하위부문에서 다루어진다. 자연 신학은 일반적으로 종교적 믿음의 합리성에 대한 인식론적 물음들뿐만 아니라 특수한 종교적 믿음들의 합리성, 종교와 과학 사이의 관계성에 대한 물음들, 종교와 도덕성 사이의 관계성에 대한 물음들도 다룬다. 종교에 대한 철학자들도 이성주의자들이 이성적 심리학이라 불렀던 것의 부분이었던 문제들 - 개인적 생존과 불멸성 - 을 논의한다. 이성적 심리학에서 논의되는 다른 문제들은 이제 우리가 심리철학이라 부르는 것 아래에 포섭된다; 그러나 심리철학자들은 심리현상의 현존과 본성에 대한 형이상학적 물음들에 대해 염려하는 동시에, 많은 다른 측면들에 대해서도 고민한다. 그들은 우리 자신의 정신적 상태들과 다른 이들의 정신적 상태들에 대한 우리의 앎에 대해 인식론적 물음들을 제기한다; 그리고 그들은 심리학과 인지 과학들에 있어서 설명의 본성을 명확히 하고자 시도하는 데에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때때로, 우리는 의지의 자유에 대한 의문들을 제기하는 심리철학자들을 발견하지만, 이 문제는 어쩌면 행동주의이론이라 불리는 철학의 다른 부문에서는 여전히 논의되는 것이 아닐지도 모른다. 현대 철학자들은 전형적으로 '형이상학'이란 말을 이러한 각 분과들과 다른 철학의 분과를 가리키는 데에 사용한다; 그리고 그들이 그렇게 할 때, 그들이 그에 대해 마하고 있는 것은 이성주의자들이 일반 형이상학이라 불렀던 것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가 그에 대해 존재로서의 존재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말했던 것과 아주 동떨어지지는 않은 어떤 것이다.

So the way introductory texts in metaphysics are organized does not reflect the way philosophers today typically use the term ‘metaphysics’. One consequence is that the issues that are central in what we nowadays call metaphysics are not much discussed in introductory fashion. And that is unfortunate since those issues are as fundamental as any philosophical issues. So there’s one argument for an introductory metaphysics text that investigates being qua being; but there is another. The series of which this book is a
part will have texts in the Philosophy of Religion and the Philosophy of Mind; topics like the existence and nature of God and the mind-body problem will be addressed in those volumes. The metaphysics volume should focus on different issues, and it will. It will focus on the issues that arise when we attempt to provide a general account of the structure of all that there is.
그래서 형이상학에 대한 개론서들이 조직되는 방식은 철학자들이 오늘날 전형적으로 '형이상학'이란 용어를 사용하는 방식을 반영하지 않는다. 하나의 귀결은 우리가 현대에 형이상학이라 부르는 것에 있어서 중심적인 문제들이 개론적 방식에서는 썩 많이 논의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그러한 문제들이 어떠한 철학적 문제들만큼이나 기초적이므로 불행한 일이다. 그래서 존재로서의 존재를 연구하는 형이상학 개론서에 대한 하나의 주장이 있다; 그러나 다른 주장도 있다. 이 책이 그 일부인 그러한 일련의 주장들은 종교철학과 심리철학을 제목으로 하는 저작들을 지닐 것이다; 신의 현존과 본성 그리고 심-신 문제와 같은 주제들은 그러한 서적들에서 다루어질 것이다. 형이상학 책은 다른 문제들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터이고, 그렇게 할 것이다. 그 책은 우리가 존재하는 모든 것의 구조에 대한 일반적 설명을 제공하고자 시도할 때 일어나는 문제들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But what are those issues? In discussing Aristotle’s conception of metaphysics as a perfectly general discipline, I said that a central aim of such a discipline is the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categories under which things fall. It would not be far off the mark to say this is what metaphysics as it is understood these days aims at. But just what is it to identify the categories under which things fall? As I indicated earlier, Aristotle took the categories to be the highest or most general kinds under which things can be classified. This suggests that what metaphysicians do is to take all the things there are and sort them into the most general kinds under which they fall. According to Aristotle, the kinds under which a thing falls enable us to say what the thing is. It would seem, then, that if they are to identify the highest kinds, metaphysicians should seek out the most general answers to the “What is it?” question. One way it might seem they might do this is to take a familiar object like Socrates and pose the question “What is he?” The obvious answer is “A human being.” But while ‘human being’ picks out a kind under which Socrates falls, there are more general answers to the question “What kind of thing is Socrates?” He is, after all, a primate, a mammal, a vertebrate, and an animal. To identify the category to which Socrates belongs is to identify the terminus or endpoint in this list of ever more general answers to the “What is it?” question. And when do we have that? The standard reply is that we arrive at the category of a thing when we arrive at an answer to the “What is it?” question such that the only more general answer is given by a term like ‘entity,’ ‘being,’ ‘thing,’ or ‘existent’ that applies to everything that there is. Aristotle thought that the relevant answer for Socrates is given by the term ‘substance,’ so Aristotle took substance to be the category under which Socrates and other living beings fall.
그러나 그러한 문제들은 무엇인가? 완벽한 일반학문이라는 형이상학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개념을 논의함에 있어서, 나는 그러한 과목의 중심목표가 사물들이 속하는 범주들을 규정하고 특징짓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것이 이것이 오늘날 이해되는 것으로서의 형이상학이 목표로 삼는 것이라 말하는 건 크게 빗나간 말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사물들이 속하는 범주들을 규정한다는 바로 그것은 무엇인가? 내가 앞서 보였듯, 아리스토텔레스는 범주들을 사물들이 그 아래로 분류될 수 있는 가장 고차원의 혹은 가장 일반적인 종류들로 취했다. 이것은 형이상학자들이 하는 일이 존재하는 사물들 전부를 취하여 그 사물들이 그 아래에 속하는 가장 일반적인 종류들로 그 사물들을 분류하는 것임을 시사한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한 사물이 속하는 종류들은 우리로 하여금 그 사물이 무엇인지 말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래서 만일 가장 고차원의 종류들을 규정하려면, 형이상학자들은 "그것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가장 일반적인 답변들을 찾아내야 할 것으로 보일 것이다. 그들이 이 일을 행할 것으로 보일 한 가지 방식은 소크라테스와 같은 익숙한 대상을 취하고 "그는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제기하는 것이다. 그 분명한 답은 "사람임"이다. 그러나 '사람임'이 소크라테스가 분류되는 한 종류를 골라내는 동시에, "소크라테스는 어떤 종류의 것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더욱 일반적인 답변들이 있다. 우선 그는 영장류이고, 포유류이며, 척추동물이고, 동물이다. 소크라테스가 속하는 범주를 규정하는 일은 "그것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이러한 어떤 더욱 일반적인 답변들의 목록에서든 종착지나 종점을 규정하는 일이다. 우리는 언제 그 일을 하는가? 표준적인 응답은 "그것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오로지 존재하는 모든 것에 적용되는 '실체,' 존재,' '사물,' 혹은 '현존'과 같은 용어로만 제시되는 그와 같은 답변에 우리가 이를 때 한 사물의 범주에 우리가 도달한다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소크라테스에 대한 적절한 답변이 '기체[基體]'라는 용어를 통해 주어진다고 생각했고, 그래서 아리스토텔레스는 기체를 소크라테스와 다른 살아있는 존재자들이 그 아래에 속하는 범주인 것으로 받아들였다.

Now, it might seem that if our metaphysicians want to come up with the complete list of categories, they need only apply the kind of question-andanswer procedure they employed in the case of Socrates to other objects. Provided they choose their sample objects in a way that is sensitive to the differences among things, they will find themselves arriving at new and different categories. At some point, however, they will find that no new categories emerge. Repeating the procedure just brings them back to categories they have already isolated. At that point, they can be confident, subject to normal concerns about the adequacy of inductive procedures, that they have identified all the highest kinds or categories of being.
이제, 만일 우리의 형이상학자들이 범주들의 완결된 목록을 내놓고자 한다면, 그들은 단지 소크라테스의 사례에서 사용했던 그런 종류의 질문-답변 절차를 다른 대상들에 적용하기만 하면 된다. 사물들 사이의 차이들에 민감한 방식으로 그들이 선택했던 표본 대상들이 제공된다면, 그들은 그들 자신이 새롭고 상이한 범주들에 도달하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그렇지만 어떤 지점에서 그들은 어떠한 새로운 범주들도 나타나지 않음을 알아차릴 것이다. 그 절차의 반복은 단지 그 범주들을 그들이 이미 분리시켜 놓았던 범주들로 되가져올 따름이다. 그 지점에서, 그들은 귀납적 절차들의 적절성에 대한 일상적인 우려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존재의 가장 고차원적인 종류들 혹은 범주들 전부를 규정했다고 확신할 수 있다.

This is one way of thinking about categories and their role in the enterprise of metaphysics. It is, in fact, a way in which many philosophers view the whole business of identifying categories. Unfortunately, it has serious shortcomings as an account of what goes on in metaphysics. For one thing, it makes metaphysics a pretty boring business. Coming up with a table of categories is simply the mechanical procedure of finding the most general answers to the “What is it?” question; and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how a procedure requiring as little imagination as that could have occupied the efforts of mankind’s greatest minds for over 2,000 years. For another, the account makes it difficult to understand how there could be any interesting disagreements or disputes in metaphysics. On this view, if two metaphysicians give us different lists of categories, it can only be because at least one of them has made some pretty gross and palpable mistake: either he or she committed an inductive error, failing to apply the question-and-answer procedure to a proper sample of objects, or was confused about the way the classificatory terms in our language work. The fact is, however, that nothing is more common in metaphysics than debate and controversy; and the opponents in metaphysical debates are typically perceptive, clearminded thinkers, thinkers who are not likely to be guilty of gross intellectual failings.
이것은 형이상학이라는 기획에서 범주들과 그 역할에 대해 생각하는 하나의 방식이다. 사실 그것은 다수 철학자들이 범주들을 규정하는 전체 사업을 바라보는 방식이다. 불행히도, 그것은 형이상학에서 이루어지는 일에 대한 설명으로서 심각한 결점들을 지닌다. 그 한 가지로, 그 방식은 형이상학을 상당히 지루한 작업으로 만든다. 범주들의 일람표를 찾아내는 것은 단순히 "그것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답변들을 발견하는 기계적 절차이다; 그리고 어떻게 그만큼이나 적은 상상력을 요구하는 하나의 절차가 2000년이 넘도록 인류의 가장 위대한 지성인들의 노력을 점거해 올 수 있었을지 이해하기란 어려운 일이다. 다른 것으로, 그 설명은 어떻게 형이상학에 있어서 어떤 흥미로운 의견의 불일치들이나 반박들이 있을 수 있었을지 이해하기 어렵도록 만든다. 이러한 관점에서, 만일 두 형이상학자들이 우리에게 범주들의 상이한 목록들을 제시한다면, 그것은 오로지 적어도 그들 중 한 사람은 어떤 꽤나 중대하고 뚜렷한 오류를 범했기 때문일 수밖에 없다: 그 또는 그녀가 귀납적 오류를 범했거나, 질문-답변 절차를 대상들 중 적절한 표본에 적용하는 데에 실패했거나, 혹은 분류 용어들이 우리의 언어에서 작동하는 방식에 대해 호동되었다는 것이다. 그렇자미나 형이상학에 있어서 논쟁과 논란보다 더 흔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리고 형이상학적 논쟁들에 있어서 대립자들은 전형적으로 지각 있고 분명한 정신의 사상가들, 중대한 지적 착오들을 저지를 것 같지 않은 그러한 사상가들이다.

But the difficulties with this understanding of categories and the nature of metaphysics run deeper. The picture assumes that metaphysicians begin their work confronted with a totality of objects that is nonproblematically given and that their job is to find niches in which to place the objects in that totality. The fact is, however, that philosophers who disagree about categories disagree about what objects there are. There is no antecedently given set of objects about which all metaphysicians agree. Disputes in metaphysics are typically disputes about how one is to answer the question “What objects are there?” and to provide alternative lists of categories is just to provide different answers to this question.
그러나 범주들과 형이상학의 본성에 대한 이러한 이해와 더불어 난점들은 더욱 심각해진다. 그러한 구상은 형이상학자들이 논란의 여지 없이 주어지는 대상들의 총체성에 직면한 그들의 작업을 시작한다는 것과 그들의 일이 그 총체성에 있어서 대상들을 정위시키는 그 영역들을 발견하는 것임을 전제한다. 그렇지만 범주들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 철학자들이 어떤 대상들이 존재하는지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는 것은 사실이다. 모든 형이상학자들이 그에 동의하는 그 어떠한 선행적으로 주어진 일련의 대상들도 없다. 형이상학에 대한 반박들은 전형적으로 어떻게 누군가 "어떤 대상들이 존재하는가?"라는 물음을 답할 것인지 그리고 범주들의 대안적 목록들을 제공하는 것이 바로 이 물음에 대한 상이한 답변들을 제공하는 것인지에 대해 반박한다.

A simple example enables u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metaphysical disputes. Consider somersaults. ‘Somersault’ is a term that most of us who speak English know how to use; we all apply it in roughly the same situations and we withhold it in roughly the same situations; and we use it to express beliefs most of us share, beliefs about what somersaults are, beliefs about when one has occurred, beliefs about when one was done well, and so on. Now, we can imagine two philosophers reacting to these facts about the term ‘somersault’ in very different ways. One tells us that there are such things as somersaults. He/she tells us that a somersault is simply a complete revolution of what is typically a human body, done either forwards or backwards, with the heels going over the head. He/she insists that since many such revolutions have occurred, there have been many somersaults, and claims that unless we suppose there are such things as somersaults, we will be unable to explain how claims like

(1) George performed five somersaults between 3 p.m. and 4 p.m. on Thursday

can be true. The other philosopher, however, disagrees. He/she denies that there are such things as somersaults. He/she concedes that people and some animals roll themselves over in the relevant way, but he/she denies that this implies the existence of a special class of entities, somersaults. He/she concedes as well that many claims like (1) are true; but, again, he/she denies that this implies the existence of a special type of entity. What makes (1) true, he/she insists, is simply that George turned himself over five times during the relevant time period.
간 단한 사례가 우리로 하여금 형이상학적 반박들의 본성을 이해하도록 해준다. 재주넘기들을 고려해 보자. '재주넘기'는 영어 사용자인 우리들 대다수가 어떻게 사용하는지 아는 용어이다; 우리 모두는 그 용어를 개략적으로 동일한 상황들에 적용하고 개략적으로 동일한 상황들에 묶어둔다; 그리고 우리는 그 용어를 우리 대다수가 공유하는 믿음들, 재주넘기들인 것에 대한 믿음들, 그것이 언제 발생하는지에 대한 믿음들, 그것이 언제 잘 수행되었는지에 대한 믿음들 따위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다. 이제, 우리는 '재주넘기'라는 용어에 대한 이러한 사실들에 대해 아주 상이한 방식들로 반응하는 두 철학자들을 상상할 수 있다. 한 사람은 우리에게 재주넘기들로서의 그러한 사물들이 있다고 말한다. 그/녀는 우리에게 재주넘기는 단순히 전형적으로 인간 신체인 것의 완전한 회전, 머리를 넘어가는 발뒤꿈치들을 가지고 앞으로든 뒤로든 이루어지는 회전이라고 말한다. 그/녀는 그러한 많은 회전들이 발생한 이래로, 여러 재주넘기들이 있어 왔다고 주장하고, 우리가 재주넘기들로서의 그러한 사물들이 있다고 가정하지 않는 한, 우리는 어떻게 다음과 같은 것이 참일 수 있다고 주장하는지 설명할 수 없을 것이다.

(1) 조지는 목요일 오후 3시와 오후 4시 사이에 다섯 번의 재주넘기를 수행하였다.

그 렇지만 다른 남은 철학자는 동의하지 않는다. 그/녀는 재주넘기들과 같은 그런 사물들이 있음을 부정한다. 그/녀는 사람들과 일부 동물들이 적절한 방식으로 굴러 넘는다는 것을 인정하지만, 그/녀는 이것이 실체들, 그러니까 재주넘기들의 특수한 분류의 현존을 함축한다는 것은 부정한다. 그/녀는 (1)이 참이라는 것과 같은 많은 주장들을 인정하지만; 다시 한 번, 그/녀는 이것이 실체의 한 특수한 유형의 현존을 함축한다는 점은 부정한다. 그/녀는 (1)을 참으로 만드는 것이 단순히 조지가 그 자신을 관련된 시간 동안 다섯 차례 굴러 넘겼다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What are our two philosophers disagreeing about? Certainly they are not disagreeing about how we use the term ‘somersault’ in our ordinary, prephilosophical talk about the world, nor are they disagreeing about the truth value of claims like (1). They are disagreeing about whether the relevant facts of ordinary usage and the truth of the relevant prephilosophical claims require us to recognize somersaults in our “official” philosophical story about the world and its workings; they are disagreeing about whether things like somersaults should enter into our “official” philosophical inventory of things that are. Such an “official” inventory is usually called an ontology. Using this term, we can say that our two philosophers are disagreeing about whether our ontology should include somersaults. The dispute between them is a metaphysical dispute. It is not, however, the sort of dispute that is likely to occupy serious metaphysicians. It isn’t that all metaphysicians think that our ontology must include somersaults; they do not. The reason metaphysicians would not concern themselves with argument about the status of somersaults is that the topic of somersaults is too specific, too local. The disagreement between our two philosophers is, however, easily generalized; and when it is, it becomes the sort of dispute metaphysicians do characteristically enter into. The philosopher who claims that we must recognize the existence of somersaults does not make that claim out of any special fondness for somersaults. Almost certainly, the claim is inspired by the philosopher’s belief in the existence of things of a more general type. It is because he/she believes that events in general must enter into our ontology that he/she makes this claim for somersaults. In the same way, his/her opponent denies that there are such things as somersaults, not because he/she harbors a special prejudice against somersaults, but because he/she denies that our “official” story of the world should make reference to events. So the dispute over somersaults has its origin in a more general dispute. The more general dispute is a category dispute. The one philosopher believes that we should embrace the category of events; the other denies this. To disagree about categories, then, is to disagree about what things exist; and many of the most central disputes in metaphysics are disputes of this sort. Although they operate at a more general level than the dispute over somersaults, they often display a certain structure. We have a dispute organized around a question about the existence of things of a very general type or category. Are there properties? Are there relations? Are there events? Are there substances? Are there propositions? Are there states of affairs? Are there possible worlds? In each case, there is a body of prephilosophical facts that function as data for the dispute. One party to the dispute insists that to explain the relevant prephilosophical facts, we must answer the existential question affirmatively. The other party claims that there is something philosophically problematic in the admission of entities of the relevant sort into our ontology, and argues that we can account for the prephilosophical facts without doing so.
우리의 두 철학자들은 무엇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고 있는가? 확실히 그들은 우리의 우리의 일상에서 '재주넘기'라는 말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서, 세계에 대해 어떻게 전철학적으로 말하는지에 대해서도 의견이 불일치하지 않고 있으며, (1)과 같은 주장들의 진리치에 대해서도 의견이 갈리지는 않고 있다. 그들은 일상적 용법의 관련 요소들과 상관된 전철학적 주장들의 참이 우리로 하여금 세계와 세계의 작동들에 대한 우리의 "공식적"인 철학적 서사에 있어서 재주넘기들을 재인하도록 요구하는지에 대해 의견이 갈리고 있다; 그들은 재주넘기들과 같은 사물들이 존재하는 사물들에 대한 우리의 "공식적"인 철학적 목록으로 들어와야 할는지에 대해 의견이 갈리고 있다. 이 용어를 사용하면서, 우리는 우리의 두 철학자들이 우리의 존재론이 재주넘기들을 포함해야 할는지에 대해 의견이 갈리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들 사이의 반박은 형이상학적 반박이다. 그렇지만 그것은 진지한 형이상학자들을 사로잡을 것 같은 그런 종류의 반박은 아니다. 모든 형이상학자들이 우리의 존재론은 반드시 재주넘기들을 포함해야만 한다고 생각한다는 것은 아니다; 그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형이상학자들이 재주넘기들의 상태에 대한 논증에 관계하지 않을 까닭은 재주넘기라는 화제가 지나치게 특수하고, 지나치게 국소적이라는 것이다. 그렇지만 우리의 두 철학자들 사이에서의 의견 불일치는 쉽사리 일반화된다; 그리고 그것이 일반화될 때, 그것은 형이상학자들이 특징적으로 개입하는 그런 종류의 논박이 된다. 우리가 반드시 재주넘기들의 현존을 재인해야만 한다고 주장하는 철학자는 그 주장을 재주넘기들에 대한 그 어떤 특별한 기호로부터도 만들지 않는다. 거의 확실히, 그 주장은 더욱 일반적 유형의 사물들의 현존에 대한 그 철학자의 믿음에 의해 일어난다. 그/그녀가 재주넘기들에 대해 이러한 주장을 형성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사건들이 우리의 존재론 안으로 들어와야만 한다고 그/그녀가 믿기 때문이다. 같은 방식으로, 그/그녀의 반대자는 재주넘기들과 같은 그러한 사물들이 있음을 부정하는데, 그/그녀가 재주넘기들에 반대해 특수한 편견을 품고 있기 때문이 아니고, 그/그녀가 세계에 대한 우리의 "공식적"인 서사가 사건들에 대한 지시를 형성해야 하리라는 점을 부정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재주넘기들에 대한 그 반박은 그 기원을 더욱 일반적인 반박에 둔다. 그 더욱 일반적인 반박은 범주적 반박이다. 한 편의 철학자는 우리가 사건들의 범주를 수용해야 하리라고 믿는다; 다른 철학자는 이걸 부정한다. 그래서 범주들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 것은 어떤 사물들이 현존하는지에 대해 의견이 갈리는 것이다; 그리고 형이상학에 있어서 가장 중심되는 반박들의 다수는 이런 종류의 반박들이다. 그 반박들이 재주넘기들에 대한 반박보다 더 일반적인 차원에서 작동한다 할지라도, 그 반박들은 종종 특정한 구조를 드러내 보인다. 우리는 매우 일반적인 유형 또는 범주에 속하는 사물들의 현존에 대한 물음을 둘러싸고 조직된 반박을 지닌다. 속성들은 있는가? 가능세계들은 있는가? 각 경우에서, 그 반박을 위한 재료로서 기능하는 전철학적 사실들의 묶음이 있다. 그 반박에 대한 한 집단은 그 상관된 전철학적 사실들을 설명하기 위해, 우리가 반드시 현존적 물음을 긍정적으로 답해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남은 다른 집단은 그 상관된 종류의 실체들을 우리의 존재론에 허용함에 있어서 철학적으로 문제가 있는 어떤 것이 있다고 주장하고, 우리는 그렇게 허용하지 않고 그 전철학적 사실들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Disputes over categories do not, however, always have precisely this form. We do not always find the parties to the dispute giving opposed answers to a question of the form “Are there C’s?” (where ‘C’ is a category word). Sometimes we find them agreeing that there exist entities of this or that category; but, then, one party goes on and tells us that while there actually are entities corresponding to the category, they are all to be analyzed in terms of entities from some other category. Suppose the dispute centers on material objects. While both parties agree that there are material objects, one party tells us that material objects are to be analyzed as collections of sensory qualities. His/her opponent in the dispute is likely to respond by saying, “Look, you don’t really think that there are material objects. You just mouth the words. In your view, there really are no material objects; there are just sensory qualities.” In reply, his/her opponent will doubtless object that he/she really does believe that there are material objects. “I am not denying that material objects exist; I am merely telling you what they are like.” It is difficult to know how to resolve the argument about the term ‘exists’; but however we resolve it, we must concede that there is deep metaphysical disagreement here, a disagreement that is, in some broad sense, existential. A way to express the disagreement is to say that while the one metaphysician wants to include material objects among the primitive or basic elements in her ontology, the other does not. The former denies that material objects can be analyzed in terms of or reduced to any more basic entities; the latter takes material objects to be mere constructions out of more fundamental entities. Although he/she says that there are material objects, when we look to the primitive items in his/her ontology (that is, the items in his or her ontology that are not reducible to entities of a more basic kind), we find no material objects, just sensory qualities. At rock bottom, then, there are no material objects in his/her ontology. In his/her metaphysical theory, material objects are not among the basic “building blocks” of reality. We can say that while material objects comprise a primitive or underived category in the ontology of the one philosopher, they constitute a derived category in that of the other.
그렇지만 범주들을 둘러싼 논박들이 언제나 정확히 이러한 형태를 띠지는 않는다. 우리가 언제나 "C들이 있는가?"(C가 범주적 용인 곳에서) 라는 형식의 물음에 대해 반대하는 답변들을 제시하는 반박에 대한 집단들을 발견하진 않는다. 때로 우리는 이러저러한 범주 실체들이 현존한다는 것을 동의하는 집단들을 발견한다; 그래서, 그러나 한 집단은 계속 나아가 우리에게 그 범주에 부합하는 실체들이 실제로 있는 반면, 그 실체들은 모두 어떤 다른 범주로부터의 실체들로 분석되는 것이라고 말한다. 두 집단 모두 물질적 대상들이 있음을 동의하지만, 한 집단은 우리에게 물질적 대상들이 감각적 성질들의 모음들로서 분석되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 반박에 있어서 그/녀의 반대자는 "보세요, 당신은 정말로 물질적 대상들이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아요. 당신은 단지 말만 그렇게 할 따름이죠. 당신의 관점에서, 정말로 물질적 대상들은 전혀 없어요; 단지 감각적 성질들만 있죠."라고 말함으로써 응답할 것 같다. 그 응답에서, 그/녀의 반대자는 의심의 여지 없이 그/그녀가 정말로 물질적 대상들이 있다고 믿는다는 것을 반대할 것이다. "저는 물질적 대상들이 현존한다는 걸 부정하고 있지 않아요; 저는 단지 당신에게 그것들이 무엇과 같은지 말하고 있을 뿐이에요." '현존'이라는 말에 대한 그 논증을 해결하는 방식을 알기는 어렵다; 그러나 우리가 그것을 해결한다 하더라도, 우리는 반드시 여기에 심오한 형이상학적 의견 불일치가 있음을 인정해야 하는데, 그 의견 불일치는 좀 더 넓은 의미에서, 현존적이다. 그 의견 불일치를 표현하는 한 방법은 한 족의 형이상학자는 그녀의 존재론에 있어서 원초적인 혹은 기초적인 요소들 중에 물질적 대상들을 포함시키고자 하는 반면, 다른 쪽은 그렇지 않다고 말하는 것이다. 전자는 물질적 대상들이 어떤 더욱 기초적인 실체들로 분석될 수 있거나 혹은 환원될 수 있음을 부정한다; 후자는 물질적 대상들을 더욱 근본적인 실체들로부터의 단순한 구조물들인 것으로 받아들인다. 그/녀가 물질적 대상들이 있다고 말한다 할지라도, 우리가 그/녀의 존재론에 있어서 기초적인 항목들을 살펴볼 때 (즉, 그 혹은 그녀의 존재론에 있어서 더욱 기초적인 종류의 실체들로 환원될 수 없는 항목들을), 우리는 어떠한 물질적 대상들도 발견하지 못하고, 단지 감각적 성질들만을 발견한다. 그래서 그 기저에서, 그/녀의 존재론에 있어서 물질적인 대상들은 전혀 없다. 그/녀의 형이상학적 이론에 있어서, 물질적 대상들은 실재성의 기초적 "건축 자재들" 중에 들지 않는다. 우리는 물질적 대상들이 한쪽 철학자의 존재론에 있어서는 기초적이거나 또는 파생적이지 않은 범주를 구성하고, 그러한 물질적 대상들이 다른 쪽 철학자의 존재론에 있어서는 파생적 범주들을 구성한다고 말할 수 있다.

So disputes over categories are disputes about the existence of entities of some very general kind or category. Sometimes the parties to the dispute disagree about the existence of entities of the relevant kind; sometimes they disagree about whether entities of the category are reducible to entities of some more basic category. Now, to provide a complete metaphysical theory is to provide a complete catalogue of the categories under which things fall and to identify the sorts of relations that obtain among those categories. The latter task will involve the identification of certain categories as basic and others as derived, and a specification of just how entities from the derived categories are to be reduced to or analyzed in terms of entities from the basic categories. A complete catalogue of this sort would represent a general account of all that there is. Aristotle believed that an account of this sort is the goal of the metaphysical enterprise. Not many metaphysicians today are prepared to offer this kind of complete theory of categories. The issues surrounding any one of the categories that have historically been the focus of metaphysical theorizing are so complex that contemporary metaphysicians are satisfied if they can work their way through just a handful of these sets of issues. In this book, we will follow their lead. We will not attempt anything so ambitious as a complete system of categories. We will focus on the issues that arise when one seeks to answer just a few of the category questions that arise in metaphysics. The questions we will consider are all very important, very fundamental questions, so examining them should give us a good sense of just what metaphysics is. Let us get on, then, with the questions; and let us begin with the set of questions that has been called the problem of universals.
그래서 범주들을 둘러싼 반박들은 어떤 매우 일반적인 종류 혹은 범주의 실체들의 현존에 대하 반박들이다. 때로 반박 집단들은 상관된 종류의 실체들의 현존에 대해 의견이 갈린다; 때로 그들은 범주의 실체들이 어떤 더욱 기초적인 범주의 실체들로 환원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의견이 갈린다. 이제 완결된 형이상학적 이론을 제공하는 것은 사물들이 그 아래에 속하는 범주들의 완결된 목록표를 제공하는 것이고 그러한 목록표들 중에서 획득하는 그런 관계들의 종류들을 규정하는 것이다. 후자의 작업은 특정한 범주들을 기초적인 것으로 그리고 다른 범주들을 파생적인 것으로 규정함을 포함할 것이고, 바로 어떻게 파생적 범주들로부터의 실체들이 기초적 범주들로부터의 실체들로 화원되거나 분석되는 것인지를 상술하는 것을 포함할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완결된 목록표는 존재하는 것 일체에 대한 일반적 설명을 표현할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러한 종류의 설명이 형이상학적 기획의 목표라고 믿었다. 오늘날 많지 않은 형이상학자들만이 범주들에 대한 이런 종류의 완결된 이론을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다. 역사적으로 형이상학적 이론화의 초점이 되어 온 그러한 범주들 중 무엇이든 한 가지를 둘러싼 문제들은 매우 복잡해서 현대 형이상학자들이 만일 이러한 문제들의 집합들 중 단지 한 줌만을 통해서라도 그들의 방식을 작동시킬 수 있다면 만족할 지경이다. 이 책에서, 우리는 그들의 인도를 따를 것이다. 우리는 범주들에 대한 완결된 체계와 같은 그런 어떠한 야심찬 일도 시도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형이상학에서 제기되는 범주적 물음들의 단지 약간에 답변하는 일을 추구할 때 일어나는 문제들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우리가 고찰할 그 물음들은 모두 매우 중요하고, 매우 근본적인 물음들이며, 그래서 그 물음들을 검토하는 일은 우리에게 형이상학이 무엇인지에 대한 훌륭한 의미를 제공할 것이다. 그래서 그 물음들로 나아가 보자; 그리고 보편자 문제라 불려온 일련의 물음들로 시작하도록 하자.

-蟲-
Platonism in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First published Sat Jul 18, 2009

Platonism about mathematics (or mathematical platonism) is the metaphysical view that there are abstract mathematical objects whose existence is independent of us and our language, thought, and practices. Just as electrons and planets exist independently of us, so do numbers and sets. And just as statements about electrons and planets are made true or false by the objects with which they are concerned and these objects' perfectly objective properties, so are statements about numbers and sets. Mathematical truths are therefore discovered, not invented.

The most important argument for the existence of abstract mathematical objects derives from Gottlob Frege and goes as follows (Frege 1953). The language of mathematics purports to refer to and quantify over abstract mathematical objects. And a great number of mathematical theorems are true. But a sentence cannot be true unless its sub-expressions succeed in doing what they purport to do. So there exist abstract mathematical objects that these expressions refer to and quantify over.

Frege's argument notwithstanding, philosophers have developed a variety of objections to mathematical platonism. Thus, abstract mathematical objects are claimed to be epistemologically inaccessible and metaphysically problematic. Mathematical platonism has been among the most hotly debated topics in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over the past few decades.

    * 1. What is Mathematical Platonism?
          o 1.1 Historical remarks
          o 1.2 The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mathematical platonism
          o 1.3 Anti-nominalism
          o 1.4 Truth-value realism
          o 1.5 The mathematical significance of platonism
    * 2. The Fregean Argument for Existence
          o 2.1 The structure of the argument
          o 2.2 Defending Classical Semantics
          o 2.3 Defending Truth
          o 2.4 The notion of ontological commitment
    * 3. From Existence to Mathematical Platonism
          o 3.1 Abstractness
          o 3.2 Independence
    * 4. Objections to Mathematical Platonism
          o 4.1 Epistemological access
          o 4.2 A metaphysical objection
          o 4.3 Other metaphysical objections
    * 5. Lightweight Forms of Platonism
          o 5.1 Plenitudious platonism
          o 5.2 Lightweight semantic values
          o 5.3 What is mathematical platonism anyway?
    * Bibliography
    * Other Internet Resources
    * Related Entries

1. What is Mathematical Platonism?

Mathematical platonism can be defined as the conjunction of the following three theses:

    Existence.
    There are mathematical objects.

    Abstractness.
    Mathematical objects are abstract.

    Independence.
    Mathematical objects are independent of intelligent agents and their language, thought, and practices.

Some representative definitions of ‘mathematical platonism’ are listed in the supplement

    Some Definitions of Platonism

and document that the above definition is fairly standard.

Platonism in general (as opposed to platonism about mathematics specifically) is any view that arises from the above three claims by replacing the adjective ‘mathematical’ by any other adjective.

The first two claims are tolerably clear for present purposes. Existence can be formalized as ‘∃xMx’, where ‘Mx’ abbreviates the predicate ‘x is a mathematical object’ which is true of all and only the objects studied by pure mathematics, such as numbers, sets, and functions. Abstractness says that every mathematical object is abstract, where an object is said to be abstract just in case it is non-spatiotemporal and (therefore) causally inefficacious. (For further discussion, see the entry on abstract objects.)

Independence is less clear than the other two claims. What does it mean to ascribe this sort of independence to an object? The most obvious gloss is probably the counterfactual conditional that, had there not been any intelligent agents, or had their language, thought, or practices been different, there would still have been mathematical objects. It is doubtful that this gloss will do the work that Independence is supposed to do (see Section 5.3); for now, Independence will be left somewhat schematic.
1.1 Historical remarks

Platonism must be distinguished from the view of the historical Plato. Few parties to the contemporary debate about platonism make strong exegetical claims about Plato's view, much less defend it. Although the view which we are calling ‘platonism’ is inspired by Plato's famous theory of abstract and eternal Forms (see the entry on Plato's metaphysics and epistemology), platonism is now defined and debated independently of its original historical inspiration.

Not only is the platonism under discussion not Plato's, platonism as characterized above is a purely metaphysical view: it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other views that have substantive epistemological content. Many older characterizations of platonism add strong epistemological claims to the effect that we have some immediate grasp of, or insight into, the realm of abstract objects. (See e.g., Rees 1967.) But it is useful (and nowadays fairly standard) to reserve the term ‘platonism’ for the purely metaphysical view described above. Many philosophers who defend platonism in this purely metaphysical sense would reject the additional epistemological claims. Examples include Quine and other philosophers attracted to the so-called indispensability argument, which seeks to give a broadly empirical defense of mathematical platonism. (See the entry on indispensability arguments in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Finally, the above definition of ‘mathematical platonism’ excludes the claim that all truths of pure mathematics are necessary, although this claim has traditionally been made by most platonists. Again, this exclusion is justified by the fact that some philosophers who are generally regarded as platonists (for instance, Quine and some adherents of the aforementioned indispensability argument) reject this additional modal claim .
1.2 The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mathematical platonism

Mathematical platonism has considerable philosophical significance. If it were true, it would put great pressure on the physicalist idea that reality is exhausted by the physical. For platonism entails that reality extends far beyond the physical world and includes objects which aren't part of the causal and spatiotemporal order studied by the physical sciences.1 Mathematical platonism, if true, would also put great pressure on many naturalistic theories of knowledge. For there is little doubt that we possess mathematical knowledge. Mathematical platonism would therefore establish that we have knowledge of abstract (and thus causally inefficacious) objects. This would be an important discovery, which many naturalistic theories of knowledge would struggle to to accommodate.

Although these philosophical consequences are not unique to mathematical platonism, this particular form of platonism is unusually well suited to support such consequences. For mathematics is a remarkably successful discipline, both in its own right and as a tool for other sciences.2 Few contemporary analytic philosophers are willing to contradict any of the core claims of a discipline whose scientific credentials are as strong as those of mathematics (Lewis 1991, pp. 57–9). So if philosophical analysis reveals mathematics to have some strange and surprising consequences, it would be unattractive simply to reject mathematics.3 A form of platonism based on a discipline whose scientific credentials are less impressive than those of mathematics would not be in this fortunate situation. For instance, if theology turns out to have some strange and surprising philosophical consequences, many philosophers would not hesitate to reject the relevant parts of theology.
1.3 Anti-nominalism

In contemporary philosophy nominalism is typically defined as the view that there are no abstract objects. (In more traditional philosophical usage the word ‘nominalism’ refers instead to the view that there are no universals. See Burgess & Rosen 1997, pp. 13–25 and the entry on abstract objects.) Let anti-nominalism be the negation of nominalism, that is, the claim that there exist abstract objects. Anti-nominalism about mathematics is thus just the conjunction of Existence and Abstractness. Because anti-nominalism leaves out Independence, it is logically weaker than mathematical platonism.

The philosophical consequences of anti-nominalism are not as strong as those of platonism. Many physicalists would accept non-physical objects provided that these are dependent on or reducible to physical objects. They may for instance accept objects such as corporations, laws, and poems, provided that these are suitably dependent or reducible to physical objects. Moreover, there appears to be no mystery about epistemic access to non-physical objects that we have somehow made or ‘constituted’. If corporations, laws, and poems are made or ‘constituted’ by us, presumably we gain knowledge of them in the process of making or ‘constituting’ them.

Some views in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are anti-nominalist without being platonist. One example are traditional intuitionist views, which affirm the existence of mathematical objects but maintain that these objects depend on or are constituted by mathematicians and their activities.4 Some further examples of views that are anti-nominalist without being platonist will be discussed in Section 5.2.
1.4 Truth-value realism

Truth-value realism is the view that every well-formed mathematical statement has a unique and objective truth-value that is independent of whether it can be known by us and whether it follows logically from our current mathematical theories. The view also holds that most mathematical statements that are deemed to be true are in fact true.5 Thus truth-value realism is clearly a metaphysical view. But unlike platonism it is not an ontological view. For although truth-value realism claims that mathematical statements have unique and objective truth-values, it is not committed to the distinctively platonist idea that these truth-values flow from an ontology of mathematical objects.

Mathematical platonism clearly motivates truth-value realism by providing an account of how mathematical statements get their truth-values. But further premises would be needed for the former view to entail the latter. For even if there are mathematical objects, referential and quantificational indeterminacy may deprive mathematical statements of a unique and objective truth-value. Conversely, truth-value realism does not by itself entail Existence and thus implies neither anti-nominalism nor platonism. For there are various accounts of how mathematical statements can come to possess unique and objective truth-values which do not posit a realm of mathematical objects.6

In fact, many nominalists endorse truth-value realism, at least about more basic branches of mathematics, such as arithmetic. Nominalists of this type are committed to the slightly odd-sounding view that, although the ordinary mathematical statement

    (1) There are primes numbers between 10 and 20.

is true, there are in fact no mathematical objects and thus in particular no numbers. But there is no contradiction here. We must distinguish between the language LM in which mathematicians make their claims and the language LP in which nominalists and other philosophers make theirs. The statement (1) is made in LM. But the nominalist's assertion that (1) is true but that there are no abstract objects is made in LP. The nominalist's assertion is thus perfectly coherent provided that (1) is translated non-homophonically from LM into LP. And indeed, when the nominalist claims that the truth-values of sentences of LM are fixed in a way which doesn't appeal to mathematical objects, it is precisely this sort of non-homophonic translation she has in mind. The view mentioned in the previous note provides an example.

This shows that for the claim Existence to have its intended effect, it must be expressed in the language LP used by us philosophers. If the claim was expressed in the language LM used by mathematicians, then nominalists could accept the claim while still denying that there are mathematical objects, contrary to the purpose of the claim.

A small but important tradition of philosophers urge that the debate about platonism should be replaced by, or at least transformed into, a debate about truth-value realism. One reason in support of this view is that the former debate is hopelessly unclear, while the latter is more tractable (Dummett 1978a, pp. 228–232 and Dummett 1991b, pp. 10–15). Another reason offered is that the debate about truth-value realism is of greater importance to both philosophy and mathematics than the one about platonism.7
1.5 The mathematical significance of platonism

Working realism is the methodological view that mathematics should be practiced as if platonism was true (Bernays 1935, Shapiro 1997, pp. 21–27 and 38–44). This requires some explanation. In debates about the foundations of mathematics platonism has often been used to defend certain mathematical methods, such as the following:

   1. Classical first-order (or stronger) languages whose singular terms and quantifiers appear to be referring to and ranging over mathematical objects. (This contrasts with the languages that dominated earlier in the history of mathematics, which relied more heavily on constructive and modal vocabulary.)
   2. Classical rather than intuitionistic logic.
   3. Non-constructive methods (such as non-constructive existence proofs) and non-constructive axioms (such as the Axiom of Choice).
   4. Impredicative definitions (that is, definitions that quantify over a totality to which the object being defined would belong).
   5. ‘Hilbertian optimism’, that is, the belief that every mathematical problem is in principle solvable.8

According to working realism, these and other classical methods are acceptable and available in all mathematical reasoning. But working realism does not take a stand on whether these methods require any philosophical defense, and if so, whether this defense must be based on platonism. In short, where platonism is an explicitly philosophical view, working realism is first and foremost a view within mathematics itself about the correct methodology of this discipline. Platonism and working realism are therefore distinct views.

Are there any logical relations between the two views? Given the origin of working realism,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 view receives strong support from mathematical platonism. Assume that mathematical platonism is true. Then clearly the language of mathematics ought to be as described in (i). Secondly, provided it is legitimate to reason classically about any independently existing part of reality, (ii) would also follow. Thirdly, since platonism ensures that mathematics is discovered rather than invented, there would be no need for mathematicians to restrict themselves to constructive methods and axioms, which establishes (iii). Fourth, there is a powerful and influential argument due to Gödel (1944) that impredicative definitions are legitimate whenever the objects being defined exist independently of our definitions. (For instance, ‘the tallest boy in the class’ appears unproblematic despite being impredicative.) If this is correct, then (iv) would follow. Finally, if mathematics is about some independently existing reality, then every mathematical problem has a unique and determinate answer, which provides at least some motivation for Hilbertian optimism. (See, however, the discussion of plenitudinous platonism in Section 5.1.)

The truth of mathematical platonism would therefore have important consequences within mathematics itself. It would justify the classical methods associated with working realism and encourage the search for new axioms to settle questions (such as the Continuum Hypothesis) which are left open by our current mathematical theories.

However, working realism does not in any obvious way imply platonism. Although working realism says that we are justified in using the platonistic language of contemporary mathematics, this falls short of platonism in at least two ways. As the above discussion of truth-value realism showed, the platonistic language of mathematics can be analysed in such a way as to avoid reference to and quantification over mathematical objects. Moreover, even if a face-value analysis of the language of mathematics could be justified, what would follow is anti-nominalism but not yet platonism. An additional argument would be needed for the third component of platonism, namely, Independence. The prospects for such an argument are discussed in Section 3.2.
2. The Fregean Argument for Existence

What follows is a template of an argument for the existence of mathematical objects. Since the first philosopher who developed an argument of this general form was Frege, it will be referred to as the Fregean argument. But the template is general and abstracts away from most specific aspects of Frege's own defense of the existence of mathematical objects, such as his view that arithmetic is reducible to logic. Fregean logicism is just one way in which this template can be developed; some other ways will be mentioned below.
2.1 The structure of the argument

The Fregean argument is based on two premises, the first of which concerns the semantics of the language of mathematics:

    Classical Semantics.
    The singular terms of the language of mathematics purport to refer to mathematical objects, and its first-order quantifiers purport to range over such objects.

The word ‘purport’ needs to be explained. When a sentence S purports to refer or quantify in a certain way, this means that for S to be true, S must succeed in referring or quantifying in this way.

The second premise does not require much explanation:

    Truth.
    Most sentences accepted as mathematical theorems are true (regardless of their syntactic and semantic structure).

Consider sentences which are accepted as mathematical theorems and which contain one or more mathematical singular terms. By Truth, most of these sentences are true.9 Let S be one such sentence. By Classical Semantics, the truth of S requires that its singular terms succeed in referring to mathematical objects. Hence there must be mathematical objects, as asserted by Existence.10
2.2 Defending Classical Semantics

Classical Semantics claims that the language of mathematics functions semantically much like language in general functions (or at least has traditionally been assumed to function): the semantic functions of singular terms and quantifiers are, respectively, to refer to objects and to range over objects. This is a broadly empirical claim about the workings of a semi-formal language used by the community of professional mathematicians. (In the widely adopted terminology of Burgess & Rosen 1997, pp. 6–7, Classical Semantics is a hermeneutic claim; that is, it is a descriptive claim about how a certain language is actually used, not a normative claim about how this language ought to be used.) Note also that Classical Semantics is compatible with most traditional views on semantics; in particular, it is compatible with all the standard views on the meanings of sentences, namely that they are truth-values, propositions, or sets of possible worlds.

Classical Semantics enjoys strong prima facie plausibility. For the language of mathematics strongly appears to have the same semantic structure as ordinary non-mathematical language. As Burgess (1999) observes, the following two sentences appear to have the same simple semantic structure of a predicate being ascribed to a subject (p. 288):

    (4) Evelyn is prim.

    (5) Eleven is prime.

This appearance is also borne out by the standard semantic analyses proposed by linguists and semanticists.

Classical Semantics has nevertheless been challenged, for instance by nominalists such as Hellman (1989) and by Hofweber (2005). This is not the place for an extended discussion of such challenges. Let me just note that a lot of work is needed to substantiate this sort of challenge. The challenger will have to argue that the apparent semantic similarities between mathematical and non-mathematical language are deceptive. And these arguments will have to be of the sort that linguists and semanticists—with no vested interest in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could come to recognize as significant.11
2.3 Defending Truth

Truth can be defended in a variety of different ways. Common to all defenses is that they first identify some standard by which the truth-values of mathematical statements can be assessed and then argue that mathematical theorems meet this standard.

One option is to appeal to a standard that is more fundamental than that of mathematics itself. Logicism provides an example. Frege and other logicists first claim that any theorem of pure logic is true. Then they attempt to show that the theorems of certain branches of mathematics can be proved from pure logic and definitions alone.

Another option is to appeal to the standards of empirical science. The Quine-Putnam indispensability argument provides an example. First it is argued that any indispensable part of empirical science is likely to be true and therefore something we are justified in believing. Then it is argued that large amounts of mathematics are indispensable to empirical science. If both claims are correct, it follows that Truth is likely to be true and that belief in Truth therefore is justified.

A third option is to appeal to the standards of mathematics itself. Why should one have to appeal to non-mathematical standards, such as those of logic or empirical science, in order to defend the truth of mathematical theorems? When we defend the truth of the claims of logic and physics, we do not need to appeal to standards outside of respectively logic and physics. Rather we assume that logic and physics provide their own sui generis standards of justification. Why should mathematics be any different? This third strategy has received a lot of attention in recent years, often under the heading of ‘naturalism’ or ‘mathematical naturalism’. (See Burgess & Rosen 1997, Maddy 1997, and, for critical discussion, see the entry on naturalism in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Here is an example of how a naturalistic strategy can be developed. Call the attitude that mathematicians take to the theorems of mathematics ‘acceptance’. Then the following claims seem plausible:

    (6) Mathematicians are justified in accepting the theorems of mathematics.

    (7) Accepting a mathematical statement S involves taking S to be true.

    (8) When a mathematician accepts a mathematical statement S, the content of this attitude is in general the literal meaning of S.

From these three claims it follows that mathematical experts are justified in taking the theorems of mathematics to be literal truths. By extension the rest of us too are justified in believing Truth. Note that the experts with whom (6) is concerned need not themselves believe (7) and (8), let alone be justified in any such belief. What matters is that the three claims are true. The task of establishing the truth of (7) and (8) may fall to linguists, psychologists, sociologists, or philosophers, but certainly not to mathematicians themselves.
2.4 The notion of ontological commitment

Versions of the Fregean argument are sometimes stated in terms of the notion of ontological commitment. Assume we operate with the standard Quinean criterion of ontological commitment:

    Quine's Criterion.
    A first-order sentence (or collection of such sentences) is ontologically committed to such objects as must be assumed to be in the range of the variables for the sentence (or collection of sentences) to be true.

Then it follows from Classical Semantics that many sentences of mathematics are ontologically committed to mathematical objects. To see this, consider a typical mathematical theorem S, which involves some normal extensional occurrence of either singular terms or first-order quantifiers. By Classical Semantics, these expressions purport to refer to or range over mathematical objects. For S to be true, these expressions must succeed in doing what they purport to do. Consequently, for S to be true, there must be mathematical objects in the range of the variables. By Quine's Criterion this means that S is ontologically committed to mathematical objects.

Quine and many others take Quine's Criterion to be little more than a definition of the term ‘ontological commitment’ (Quine 1969 and Burgess 2004). But the criterion has nevertheless been challenged. Some philosophers deny that singular terms and first-order quantifiers automatically give rise to ontological commitments. Perhaps what “required of the world” for the sentence to be true involves the existence of some but not all of the objects in the range of the quantifiers (Rayo 2008). Or perhaps we should sever the link between the first-order existential quantifier and the notion of ontological commitment (Azzouni 2004 and Hofweber 2000).

One response to these challenges is to observe that the Fregean argument was developed above without any use of the term ‘ontological commitment’. Any challenge to the definition of ‘ontological commitment’ provided by Quine's Criterion therefore appears irrelevant to the version of the Fregean argument developed above. However, this response is unlikely to satisfy the challengers, who will respond that the conclusion of the argument developed above is too weak to have its intended effect. Recall that the conclusion, Existence, is formalized in our philosophical meta-language LP as ‘∃xMx’. So this formalization will fail to have its intended effect unless this meta-language sentence is of the sort that incurs ontological commitment. But that is precisely what the challengers dispute. This controversy cannot be pursued further here. For now, observe that the challengers need to provide an account of why their non-standard notion of ontological commitment is better and theoretically more interesting than the standard Quinean notion.
3. From Existence to Mathematical Platonism

Recall that mathematical platonism is the result of adding to Existence the two further claims Abstractness and Independence.
3.1 Abstractness

By the standards of philosophy, Abstractness has remained relatively uncontroversial. Among the few philosophers to have challenged it are Maddy (1990) (concerning impure sets) and Bigelow (1988) (concerning sets and various kinds of numbers). This relative lack of controversy means that few explicit defenses of Abstractness have been developed. But it is not hard to see how such a defense might go. Here is one idea. It is a plausible prima facie constraint on any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of mathematical practice that it should avoid ascribing to mathematics any features which would render actual mathematical practice misguided or inadequate. This constraint makes it hard to deny that the objects of pure mathematics are abstract. For if these objects had spatiotemporal locations, then actual mathematical practice would be misguided and inadequate, since pure mathematicians ought then to take an interest in the locations of their objects, just as physicists take an interest in the locations of theirs. The fact that pure mathematicians take no interest in this question suggests that their objects are abstract.
3.2 Independence

Independence says that mathematical objects, if there are any, are independent of intelligent agents and their language, thought, and practices. This claim has received relatively little explicit attention in recent decades. (Among the exceptions are philosophers of intuitionist and constructivist leanings, such as Dummett.) The claim appears to have been tacitly accepted by most analytic philosophers, not always because they are moved by any arguments in its favor, but often only because they don't understand what it would be for the claim to fail. Ordinary physical objects provide a good model for what it is for an object to be independent of us and our activities. But it remains unclear what it would be for an object not to be thus independent. However, a failure to see any clear alternatives to a view is not a defense of the view.

Can one do better? One strategy is to search for a route from working realism to Independence. Assume that the methodology of classical mathematics is justified. Could it be that the best explanation of this fact is that Independence is true? One such argument is suggested by Gödel, who claims that the legitimacy of impredicative definitions is best explained by the truth of some form of platonism, including something like our claim Independence (Gödel 1944, pp. 455–457; see also Bernays 1935 for a related but weaker claim). However, although it is widely agreed that Independence would support the legitimacy of impredicative definitions, it remains an open question whether the converse implication is defensible.

Another option is to proceed from the methodology of contemporary set theory to Independence (Gödel 1964). Much of the search for new axioms in set theory is today based on so-called “extrinsic justifications”, where candidate axioms are assessed not just for their intrinsic plausibility but also for their capacity to explain and systematize more basic mathematical facts. Perhaps this methodology can somehow be used to motivate Independence. However, it remains an open question whether this suggestion can be developed into a convincing argument. (See Maddy 1988 for a discussion of extrinsic justifications in set theory. See also Parsons 1995 for a discussion of Gödel's platonism.)
4. Objections to Mathematical Platonism

A variety of objections to mathematical platonism have been developed. Here are the most important ones.
4.1 Epistemological access

The most influential objection is probably the one inspired by Benacerraf (1973). What follows is an improved version of Benacerraf's objection due to Field (1989).12 This version relies on the following three premises.

    Premise 1.     Mathematicians are reliable, in the sense that for almost every mathematical sentence S, if mathematicians accept S, then S is true.
    Premise 2.     For belief in mathematics to be justified, it must at least in principle be possible to explain the reliability described in Premise 1.
    Premise 3.     If mathematical platonism is true, then this reliability cannot be explained even in principle.

If these three premises are correct, it will follow that mathematical platonism undercuts our justification for believing in mathematics.

But are the premises correct? The first two premises are relatively uncontroversial. Most platonists are already committed to Premise 1. And Premise 2 seems fairly secure. If the reliability of some belief formation procedure could not even in principle be explained, then the procedure would seem to work purely by chance, thus undercutting any justification we have for the beliefs produced in this way.

Premise 3 is more controversial. Field defends this premise by observing that “the truth-values of our mathematical assertions depend on facts involving platonic entities that reside in a realm outside of space-time” (Field 1989, p. 68) and thus are causally isolated from us even in principle. However, this defense assumes that any adequate explanation of the reliability in question must involve some causal correlation. This has been challenged by a variety of philosophers who have proposed more minimal explanations of the reliability claim. (See Burgess & Rosen 1997, pp. 41–49 and Lewis 1991, pp. 111–112. See Linnebo 2006 for a critique.)13
4.2 A metaphysical objection

Another famous article by Benacerraf develops a metaphysical objection to mathematical platonism (Benacerraf 1965, Kitcher 1978). Although Benacerraf focuses on arithmetic, the objection naturally generalizes to most pure mathematical objects.

Benacerraf opens by defending what is now known as a structuralist view of the natural numbers, according to which the natural numbers have no properties other than those they have in virtue of being positions in an ω-sequence. For instance, there is nothing more to being the number 3 than having certain intrastructurally defined relational properties, such as succeeding 2, being half of 6, and being prime. No matter how hard we study arithmetic and set theory, we will never know whether 3 is identical with the fourth von Neumann ordinal, or with the corresponding Zermelo ordinal, or perhaps, as Frege suggested, with the class of all three-membered classes (in some system that allows such classes to exist).

Benacerraf now draws the following conclusion:

    Therefore, numbers are not objects at all, because in giving the properties …of numbers you merely characterize an abstract structure—and the distinction lies in the fact that the “elements” of the structure have no properties other than those relating them to other “elements” of the same structure. (Benacerraf 1965, p. 291)

In other words, Benacerraf claims that there can be no objects which have nothing but structural properties. All objects must have some non-structural properties as well. (See Benacerraf 1996 for some later reflections on this argument.)

Both of the steps of Benacerraf's argument are controversial. The first step—that natural numbers have only structural properties—has recently been defended by a variety of mathematical structuralists (Parsons 1990, Resnik 1997, and Shapiro 1997). But this step is denied by logicists and neo-logicists, who claim that the natural numbers are intrinsically tied to the cardinalities of the collections that they number. And the second step—that there can be no objects with only structural properties—is explicitly rejected by all of the structuralists who defend the first step. (For some voices sympathetic to the second step, see Hellman 2001 and MacBride 2005. See also Linnebo 2008 for discussion.)
4.3 Other metaphysical objections

In addition to Benacerraf's, a variety of metaphysical objections to mathematical platonism have been developed. One of the more famous examples is an argument of Nelson Goodman's against set theory. Goodman (1956) defends the Principle of Nominalism, which states that whenever two entities have the same basic constituents, they are identical. This principle can be regarded as a strengthening of the familiar set theoretic axiom of extensionality. The axiom of extensionality states that if two sets x and y have the same elements—that is, if u(u ∈ x ↔ u ∈ y)—then they are identical. The Principle of Nominalism is obtained by replacing the membership relation with its transitive closure.14 The principle thus states that if x and y are borne ∈* by the same individuals—that is, if u(u ∈* x ↔ u ∈* y)—then x and y are identical. By endorsing this principle, Goodman disallows the formation of sets and classes, allowing only the formation of mereological sums and the application to the standard mereological operations (as described by his “calculus of individuals”).

However, Goodman's defense of the Principle of Nominalism is now widely held to be unconvincing, as witnessed by the widespread acceptance by philosophers and mathematicians of set theory as a legitimate and valuable branch of mathematics.
5. Lightweight Forms of Platonism

Anti-nominalism says there exist abstract mathematical objects, whereas platonism adds Independence, which says that mathematical objects are independent of intelligent agents and their language, thought, and practices. Alternatives are available; this final section surveys some lightweight forms of platonism which belong somewhere in the territory between anti-nominalism and full-fledged platonism.
5.1 Plenitudious platonism

One lightweight form of platonism (its name notwithstanding) is the “full-blooded platonism” of Balaguer 1998. This form of platonism is characterized by a plenitude principle to the effect that any mathematical objects that could exist actually do exist. For instance, since the Continuum Hypothesis is independent of the standard axiomatization of set theory, there is a universe of sets in which the hypothesis is true and another in which it is false. And neither universe is in any way privileged. By contrast, traditional platonism asserts that there is a unique universe of sets in which the Continuum Hypothesis is either determinately true or determinately false.

One alleged benefit of this plenitudinous view is in the epistemology of mathematics. If every consistent mathematical theory is true of some universe of mathematical objects, then mathematical knowledge will, in some sense, be easy to obtain: provided that our mathematical theories are consistent, they are guaranteed to be true of some universe of mathematical objects.

However, “full-blooded platonism” has received much criticism. Colyvan and Zalta 1999 criticize it for undermining the possibility of reference to mathematical objects, and Restall 2003, for lacking a precise and coherent formulation of the plenitude principle on which the view is based. Martin (2001) proposes that different universes of sets be amalgamated to yield a single maximal universe, which will be privileged by fitting our conception of set better than any other universe of sets.

A different version of plenitudinous platonism is developed in Linsky & Zalta 1995 and a series of further articles. (See, for instance, Linsky & Zalta 2006 and other articles cited therein.) Traditional platonism goes wrong by “conceiv[ing] of abstract objects on the model of physical objects” (Linsky & Zalta 1995, p. 533), including in particular the idea that such objects are “sparse” rather than plenitudinous. Linsky & Zalta develop an alternative approach on the basis of the second author's “object theory”. The main feature of object theory is a very general comprehension principle asserts the existence of a plenitude of abstract objects: for any collection of properties, there is an abstract object which “encodes” precisely these properties. In object theory, moreover, two abstract objects are identical just in case they encode precisely the same properties. Object theory's comprehension principle and identity criterion are said to “provide the link between our cognitive faculty of understanding and abstract objects” (ibid., p. 547). (See Ebert & Rossberg 2007 for critical discussion.)
5.2 Lightweight semantic values

Assume that anti-nominalism is true. For convenience, assume also Classical Semantics. These assumptions ensure that the singular terms and quantifiers of mathematical language refer to and range over abstract objects. Given these assumptions, should one also be a mathematical platonist? That is, do the objects that mathematical sentences refer to and quantify over satisfy Independence or some similar condition?

It will be useful to restate our assumptions in more neutral terms. We can do this by invoking the notion of a semantic value,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semantics and the philosophy of language. In these fields it is widely assumed that each expression makes some definite contribution to the truth-value of sentences in which the expression occurs. This contribution is known as the semantic value of the expression. It is widely assumed that (at least in extensional contexts) the semantic value of a singular term is just its referent.

Our assumptions can now be stated neutrally as the claim that mathematical singular terms have abstract semantic values and that its quantifiers range over the kinds of item that serve as semantic values. Let's focus on the claim about singular terms. What is the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this claim? In particular, does it support some version of Independence? The answer will depend on what is required for a mathematical singular term to have a semantic value.

Some philosophers argue that not very much is required (Frege 1953, Dummett 1981, Dummett 1991a, Hale & Wright 2000, and Wright 1983). It suffices for the term t to make some definite contribution to the truth-values of sentences in which it occurs. The whole purpose of the notion of a semantic value was to represent such contributions. It therefore suffices for a singular term to possess a semantic value that it makes some such suitable contribution.

This may even open the way for a kind of reductionism (Dummett 1991a). Although it is perfectly true that the mathematical singular term t has an abstract object as its semantic value, this truth may obtain in virtue of more basic facts which do not mention or involve the relevant abstract object. Compare for instance the relation of ownership that obtains between a person and her bank account. Although it is perfectly true that the person owns the bank account, this truth may obtain in virtue of more basic sociological or psychological facts which do not mention or involve the bank account.

If some lightweight account of semantic values is defensible, we can accept the assumptions of anti-nominalism and Classical Semantics without committing ourselves to any traditional or robust form of platonism.
5.3 What is mathematical platonism anyway?

Do the lightweight forms of platonism deserve to be called ‘platonist’? Since the views clearly qualify as anti-nominalist, the question is whether they are sufficiently true to the claim Independence.

A natural gloss on Independence is the counterfactual conditional that, had there not been any intelligent agents, or had their language, thought, or practices been suitably different, there would still have been mathematical objects. If this is all that Independence amounts to, then the lightweight forms of platonism are likely to satisfy the claim and thus qualify as genuinely platonist.

But it is doubtful that this gloss is acceptable. For Independence is meant to substantiate an analogy between mathematical objects and ordinary physical objects. Just as electrons and planets exist independently of us, so do numbers and sets. And just as statements about electrons and planets are made true or false by the objects with which they are concerned and these objects' perfectly objective properties, so are statements about numbers and sets. Since the lightweight forms of platonism explicitly distance themselves from this analogy, Independence should presumably be glossed in a way that makes it incompatible with the lightweight forms of platonism.

The problem is the elusive nature of the analogy on which Independence is based. Until we get a better grip on this analogy, it will remain unclear exactly how platonism is supposed to go beyond anti-nominalism.
Bibliography

    * Azzouni, Jody, 2004, Deflating Existential Consequence: A Case for Nominalism,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Balaguer, Mark, 1998, Platonism and Anti-Platonism in Mathematic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Benacerraf, Paul, 1965, “What numbers could not be”, Philosophical Review, 74: 47–73.
    * Benacerraf, Paul, 1973, “Mathematical Truth”, Journal of Philosophy, 70(19): 661–679.
    * Benacerraf, Paul, 1996, “What mathematical truth could not be, i”, in Benacerraf and His Critics, A. Morton and S. Stich, eds., Oxford: Blackwell.
    * Benacerraf, Paul and Putnam, Hilary (eds.), 1983, Philosophy of Mathematics: Selected Reading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econd edition.
    * Bernays, Paul, 1935, “On Platonism in Mathematics”, Reprinted in Benacerraf and Putnam (1983).
    * Bigelow, John, 1988, The Reality of Numbers: A Physicalist's Philosophy of Mathematics, Oxford: Clarendon.
    * Burgess, John P., 1999, “Review of Stewart Shapiro, Philosophy of Mathematics: Structure and Ontology”, Notre Dame Journal of Formal Logic, 40(2): 283–91.
    * Burgess, John P., 2004, “Review of Jody Azzouni, Deflating Existential Consequence: A Case for Nominalism”, Bulletin of Symbolic Logic, 10(4): 573–577.
    * Burgess, John P. and Rosen, Gideon, 1997, A Subject with No Object,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Colyvan, Mark and Zalta, Edward N., 1999, “Mathematics: Truth and Fiction?”, Philosophia Mathematica, 7(3): 336–349.
    * Dummett, Michael, 1978a, “The philosophical basis of intuitionistic logic”, in Truth and Other Enigma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15–247. Reprinted in Benacerraf and Putnam (1983).
    * Dummett, Michael, 1978b, Truth and Other Enigma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 Dummett, Michael, 1981, Frege: Philosophy of Languag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second ed.
    * Dummett, Michael, 1991a, Frege: Philosophy of Mathematic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 Dummett, Michael, 1991b, The Logical Basis of Metaphysic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 Ebert, Philip and Rossberg, Marcus, 2007, “What is the purpose of neo-logicism?”, Travaux de Logique, 18: 33–61.
    * Field, Hartry, 1989, Realism, Mathematics, and Modality, Oxford: Blackwell.
    * Frege, Gottlob, 1953, Foundations of Arithmetic, Oxford: Blackwell. Transl. by J.L. Austin.
    * Gödel, Kurt, 1944, “Russell's Mathematical Logic”, In Benacerraf and Putnam (1983).
    * Gödel, Kurt, 1964, “What is Cantor's Continuum Hypothesis?”, In Benacerraf and Putnam (1983).
    * Gödel, Kurt, 1995, “Some basic theorems on the foundations of mathematics and their implications”, in Collected Words, S. Feferman et al,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vol. III, 304–323.
    * Goodman, Nelson, 1956, “A World of Individuals”, reprinted. in P. Benacerraf and H. Putnam, eds., Philosophy of Mathematics: Selected Readings, 1st ed., Prentice-Hall.
    * Hale, Bob, 1987, Abstract Objects, Oxford: Blackwell.
    * Hale, Bob and Wright, Crispin, 2000, “Implicit Definition and the A Priori”, in New Essays on the A Priori, Paul Boghossian and Christopher Peacocke, ed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Reprinted in Hale and Wright (2001).
    * Hale, Bob and Wright, Crispin, 2001, Reason's Proper Study, Oxford: Clarendon.
    * Hellman, Geoffrey, 1989, Mathematics without Numbers, Oxford: Clarendon.
    * Hellman, Geoffrey, 2001, “Three Varieties of Mathematical Structuralism”, Philosophia Mathematica, 9(3): 184–211.
    * Hilbert, David, 1996, “Mathematical problems”, in From Kant to Hilbert, William Ewald,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vol. 2, 1096–1105.
    * Hofweber, Thomas, 2000, “Quantification and non-existent objects”, in Empty Names, Fiction and the Puzzle of Non-Existence, Anthony Everett and Thomas Hofweber, eds., Stanford, CA: CSLI Publications, 249–73.
    * Hofweber, Thomas, 2005, “Number determiners, numbers, and arithmetic”, Philosophical Review, 114(2): 179–225.
    * Isaacson, Daniel, 1994, “Mathematical intuition and objectivity”, in Mathematics and Mind, Alexander George,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chap. 5.
    * Kitcher, Philip, 1978, “The plight of the platonist”, Noûs, 12: 119–136.
    * Kreisel, Georg, 1958, “Review of Wittgenstein's remarks on the foundations of mathematics”, British Journal for the Philosophy of Science, 9: 135–158.
    * Lewis, David, 1991, Parts of Classes, Oxford: Blackwell.
    * Linnebo, Øystein, 2006, “Epistemological Challenges to Mathematical Platonism”, Philosophical Studies, 129(3): 545–574.
    * Linnebo, Øystein, 2008, “Structuralism and the Notion of Dependence”, Philosophical Quarterly, 58: 59–79.
    * Linsky, Bernard and Zalta, Edward N., 1995, “Naturalized platonism versus platonized naturalism”, Journal of Philosophy, 92(10): 525–555.
    * Linsky, Bernard and Zalta, Edward N., 2006, “What is neologicism?”, Bulletin of Symbolic Logic, 12(1): 60–99.
    * MacBride, Fraser, 2005, “Structuralism Reconsidered”, in Oxford Handbook of Philosophy of Mathematics and Logic, Stewart Shapiro, ed., Oxford: Clarendon, 563–589.
    * Maddy, Penelope, 1988, “Believing the axioms, i and ii”, Journal of Symbolic Logic, 53: 481–511 and 736–764.
    * Maddy, Penelope, 1990, Realism in Mathematics, Oxford: Clarendon.
    * Maddy, Penelope, 1997, Naturalism in Mathematics, Oxford: Clarendon.
    * Martin, Donald A., 2001, “Multiple universes of sets and indeterminate truth values”, Topoi, 20(1): 5–16.
    * Parsons, Charles, 1980, “Mathematical Intuition”, Proceedings of the Aristotelian Society, 80: 145–68.
    * Parsons, Charles, 1983, Mathematics in Philosophy,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 Parsons, Charles, 1990, “The Structuralist View of Mathematical Objects”, Synthese, 84: 303–346.
    * Parsons, Charles, 1995, “Platonism and mathematical intuition in Kurt Gödel's thought”, Bulletin of Symbolic Logic, 1(1): 44–74.
    * Quine, W.V., 1969, “Existence and quantification”, in Ontological Relativity and Other Essay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91–113.
    * Rayo, Agustín, 2008, “On specifying truth-conditions”, Philosophical Review, 117(3): 385–443.
    * Rees, D.A., 1967, “Platonism and the platonic tradition”, in The Encyclopedia of Philosophy, Paul Edwards, ed., New York: Macmillan, vol. 5, 333–341.
    * Resnik, Michael, 1980, Frege and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 Resnik, Michael, 1997, Mathematics as a Science of Pattern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Restall, Greg, 2003, “Just what Is full-blooded platonism?”, Philosophia Mathematica, 11(1): 82–91.
    * Shapiro, Stewart, 1997, Philosophy of Mathematics: Structure and Ontolog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Wright, Crispin, 1983, Frege's Conception of Numbers as Objects, Aberdeen: Aberdeen University Press.
    * Wright, Crispin, 1992, Truth and Objectivit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Other Internet Resources

[Please contact the author with suggestions.]
Related Entries

abstract objects | mathematics, philosophy of: indispensability arguments in the | mathematics, philosophy of: naturalism | physicalism | Plato: middle period metaphysics and epistemology
Acknowledgments

Thanks to Philip Ebert, Leon Horsten, James Ladyman, Hannes Leitgeb, David Liggins, Alexander Paseau, and Philip Welch for comments and discussion. Thanks also to an audience at the ECAP6 in Krakow, where parts of this material were presented. This article was written during a period of leave funded by an AHRC Research Leave Grant (number AH/E003753/1). I gratefully acknowledge their support.

===================================================================================
더 자세히 읽어 봐야 하겠지만 예상(?)대로 플라톤에 대한 해석에 있어서 수학의 비중이 지나치게 크고, 그래서 왜곡이 우려된다. 플라톤에게 있어서 현대 수학의 특징들이 아낭케에 가깝게 해석된다고 생각한다면 아무래도 '플라톤의 수리철학'이란 것은 다른 방식으로 재해석되어야 할 듯. 출처는 http://plato.stanford.edu/ 그리고 링크 알려주신 aleph_k님께 고마운 마음을 전합니다+_+

-蟲-

αἳ τότ' ἴσαν πρὸς Ὄλυμπον, ἀγαλλόμεναι ὀπὶ καλῇ,

ἀμβροσίῃ μολπῇ· /

περὶ δ' ἴαχε γαῖα μέλαινα

ὑμνεύσαις, ἐρατὸς δὲ ποδῶν ὕπο δοῦπος ὀρώρει

νισομένων πατέρ' εἰς ὅν· /

ὁ δ' οὐρανῷ ἐμβασιλεύει,

αὐτὸς ἔχων βροντὴν ἠδ' αἰθαλόεντα κεραυνόν,

κάρτει νικήσας πατέρα Κρόνον· /

εὖ δὲ ἕκαστα

ἀθανάτοις διέταξε νόμους καὶ ἐπέφραδε τιμάς.


ταῦτ' ἄρα Μοῦσαι ἄειδον Ὀλύμπια δώματ' ἔχουσαι,

ἐννέα θυγατέρες μεγάλου Διὸς ἐκγεγαυῖαι,

Κλειώ τ' Εὐτέρπη τε Θάλειά τε Μελπομένη τε

Τερψιχόρη τ' Ἐρατώ τε Πολύμνιά τ' Οὐρανίη τε

Καλλιόπη θ'· /

ἡ δὲ προφερεστάτη ἐστὶν ἁπασέων.


ἡ γὰρ καὶ βασιλεῦσιν ἅμ' αἰδοίοισιν ὀπηδεῖ.


ὅντινα τιμήσουσι Διὸς κοῦραι μεγάλοιο

γεινόμενόν τε ἴδωσι διοτρεφέων βασιλήων,

τῷ μὲν ἐπὶ γλώσσῃ γλυκερὴν χείουσιν ἐέρσην,

τοῦ δ' ἔπε' ἐκ στόματος ῥεῖ μείλιχα· /

οἱ δέ νυ λαοὶ

πάντες ἐς αὐτὸν ὁρῶσι διακρίνοντα θέμιστας

ἰθείῃσι δίκῃσιν· /

ὁ δ' ἀσφαλέως ἀγορεύων

αἶψά τι καὶ μέγα νεῖκος ἐπισταμένως κατέπαυσε·

τούνεκα γὰρ βασιλῆες ἐχέφρονες, οὕνεκα λαοῖς

βλαπτομένοις ἀγορῆφι μετάτροπα ἔργα τελεῦσι

ῥηιδίως, μαλακοῖσι παραιφάμενοι ἐπέεσσιν· /


ἐρχόμενον δ' ἀν' ἀγῶνα θεὸν ὣς ἱλάσκονται

αἰδοῖ μειλιχίῃ, μετὰ δὲ πρέπει ἀγρομένοισι.

τοίη Μουσάων ἱερὴ δόσις ἀνθρώποισιν.


-작성중-

P.S. 맡은 분량.

praesenti tibi maturos largimur honores

iurandasque tuum per numen ponimus aras,

nil oriturum alias, nil ortum tale fatentes.

지금 그대에게 우리가 무르익은 존경들을 바치고

그대에게 약속받은 것들을 우리가 신성을 통해 재단에 바친다,

일어날 다른 것들 중에도 없고, 그러한 종류의 일어났던 것도 아님을 인정하는 것들을.

praesenti : praesens. Being in the same place.

maturos : Ripe, full grown. adult.

largimur : largior pl. 1st. to give generously. bestow.

iurandas : iuro pass. fut. swear.

ponimus : pono, -ere. pl. 1st. put, place, set.

nil : nihil.

oriturum : orior fut. part. will arise.

ortum : orior pf. part. have arised.

tale : such, of such a sort.

fatentes : fateor part. pl. nom. accept as true. concede, acknowledge, admit.


sed tuus hic populus sapiens et iustus in uno

te nostris ducibus, te Grais anteferendo,

cetera nequaquam simili ratione modoque

aestimat et, nisi quae terris semota suisque

temporibus defuncta videt, fastidit et odit,

sic fautor veterum, ut tabulas peccare vetantis,

quas bis quinque viri sanxerunt, foedera regum

vel Gabiis vel cum rigidis aequata Sabinis,

pontificum libros, annosa volumina vatum

dictitet Albano Musas in monte locutas.
그러나 오로지 한 가지에 있어서 당신의 이 지혜롭고 올바른 백성은
우리의 지배자 안에서, 그리고 앞선 그리스인들 속에서,
유사한 비율과 척도로 결코 다른 것들을
평가하지 않는다, 땅에서 사라진 것들과 그것들의
시대에서 이미 떠나간 것들을 보고, 경멸하고 미워하는 이외에,
그래서 고대의 지지자는, 어김을 금함의 서판들을,
그것들을 12인들이 승인하였던, 왕들의 연합들을
가비이이든 엄숙한 사비네스와 함께이든 같아진
교황의 책들, 예언자들의 고대 서적들을
알바노의 무사들이 산에서 말한 것들을 되풀이했다.
Grais : Graius. pl. abl.
anteferendo : antefero part. pl. abl. to carry in front. to bring in advance. prefer.

nequaquam : by no means
aestimat : aestimo  estimate, value. esteem.
semota : semoveo pass. n. pl. acc. distant, remote.
defuncta : dead, deceased; defunct. (defungor)
fastidit : fastidio. disdain; be scornful; fell aversion to, be squeamish.
odit : odi, odisse, osus. hate, dislike.
sic : thus, so; as follows; in another way; in such a way;

fautor : patron, protector; admirer; supporter, partisan; who promotes/fosters interests
veterum : old, aged, ancient; former; veteran, experienced; long standing, chronic;
peccare : pecco. sin; do wrong, commit moral offense; blunder, stumble.
vetantis : veto part. gen. forbid, prohibit; reject, veto; be an obstacle to; prevent;

sanxerunt : sancio, sancire, sanxi, sanctus. confirm, fatify.
vel … vel : either … or ~.
aequata : aequo pass. part. pf. compare, reach as high or deep as.

-蟲-

P.S 오, 무슨 얘기인지 모르겠다. 참고로 두 번째 문장 영어 번역(원전 편집이 좀 다름).
But this your people, wise and just in one point (for preferring you to our own, you to the Grecian heroes), by no means estimate other things with like proportion and measure: and disdain and detest every thing, but what they see removed from earth and already gone by; such favorers are they of antiquity, as to assert that the Muses [themselves] upon Mount Alba, dictated the twelve tables, forbidding to trangress, which the decemviri ratified; the leagues of our kings concluded with the Gabii, or the rigid Sabines; the records of the pontifices, and the ancient volumes of the augurs.
그러나 당신의 이 백성, 오로지 한 점에 있어서만 지혜롭고 올바른 사람은 (우리 자신, 그리스 영웅들보다 당신을 우선하는), 다른 것들을 결코 비슷한 비율이나 척도를 가지고 평가하지 않는다: 그리고 모든 것을 경멸하고 혐오하지만, 그들이 보는 것은 땅으로부터 사라지고 이미 떠나갔다; 그러한 지지자들은 낡은 것들에 대한 지지자들이다, 다음과 같은 단언에 대해서, 알바 산의 무사들 스스로, 열 두 서판들을 구술하였다, 어기지 말도록, 10인이 승인하였던 것을; 우리의 왕들의 연합들은 가비이로, 혹은 엄숙한 사비네스로 끝맺었다; 교황들의 기록들, 그리고 예언자들의 고대의 서적들.

αἵ νύ ποθ' Ἡσίοδον καλὴν ἐδίδαξαν ἀοιδήν,

ἄρνας ποιμαίνονθ' Ἑλικῶνος ὕπο ζαθέοιο.

τόνδε δέ με πρώτιστα θεαὶ πρὸς μῦθον ἔειπον,

Μοῦσαι Ὀλυμπιάδες, κοῦραι Διὸς αἰγιόχοιο·

"ποιμένες ἄγραυλοι, κάκ' ἐλέγχεα, γαστέρες οἶον,

ἴδμεν ψεύδεα πολλὰ λέγειν ἐτύμοισιν ὁμοῖα,

ἴδμεν δ' εὖτ' ἐθέλωμεν ἀληθέα γηρύσασθαι."

ὣς ἔφασαν κοῦραι μεγάλου Διὸς ἀρτιέπειαι,

καί μοι σκῆπτρον ἔδον δάφνης ἐριθηλέος ὄζον

δρέψασαι, θηητόν· ἐνέπνευσαν δέ μοι αὐδὴν

θέσπιν, ἵνα κλείοιμι τά τ' ἐσσόμενα πρό τ' ἐόντα,

καί μ' ἐκέλονθ' ὑμνεῖν μακάρων γένος αἰὲν ἐόντων,

σφᾶς δ' αὐτὰς πρῶτόν τε καὶ ὕστατον αἰὲν ἀείδειν.

ἀλλὰ τίη μοι ταῦτα περὶ δρῦν ἢ περὶ πέτρην;

τύνη, Μουσάων ἀρχώμεθα, ταὶ Διὶ πατρὶ

ὑμνεῦσαι τέρπουσι μέγαν νόον ἐντὸς Ὀλύμπου,

εἴρουσαι τά τ' ἐόντα τά τ' ἐσσόμενα πρό τ' ἐόντα,

φωνῇ ὁμηρεῦσαι, τῶν δ' ἀκάματος ῥέει αὐδὴ

ἐκ στομάτων ἡδεῖα· γελᾷ δέ τε δώματα πατρὸς

Ζηνὸς ἐριγδούποιο θεᾶν ὀπὶ λειριοέσσῃ

σκιδναμένῃ, ἠχεῖ δὲ κάρη νιφόεντος Ὀλύμπου

δώματά τ' ἀθανάτων· αἱ δ' ἄμβροτον ὄσσαν ἱεῖσαι

θεῶν γένος αἰδοῖον πρῶτον κλείουσιν ἀοιδῇ

ἐξ ἀρχῆς, οὓς Γαῖα καὶ Οὐρανὸς εὐρὺς ἔτικτεν,

οἵ τ' ἐκ τῶν ἐγένοντο, θεοὶ δωτῆρες ἐάων·

-작성중-

Cum tot sustineas et tanta negotia solus,

res Italas armis tuteris, moribus ornes,

legibus emendes, in publica commoda peccem,

si longo sermone morer tua tempora, Caesar.

당신 홀로 그렇게나 많고도 커다란 고난들을 감내하고,

이탈리아를 창칼로 수호하며, 관습들로 예비하고,

법률로 개정하고자 할 때, 나는 공공의 이익들에 우를 범할 것이오,

만일 내가 오랜 논의로 그대의 시간을 지체시킨다면, 카이사르여.

tuteris : OL.1996. to preserve from harm, to protect as an advocate or spokesman, defend.

ornes : orno subj. OL.1271. to prepare, equip, dress, adorn.

peccem : pecco subj. 1st. sg. OL.1338. 잘못을 저지르다(?)

morer : moror subj. 1st. sg. 지연시키다.


Romulus et Liber pater et cum Castore Pollux,

post ingentia facta deorum in templa recepti,

dum terras hominumque colunt genus, aspera bella

conponunt, agros adsignant, oppida condunt,

ploravere suis non respondere favorem

speratum meritis.

diram qui contudit hydram

notaque fatali portenta labore subegit,

comperit invidiam supremo fine domari.

로물루스와 아버지 리베르 그리고 카스토르와 함께하는 폴룩스까지,

성소에서 신들의 매우 대단한 일들이 허용된 이후,

그들이 땅들과 인간들의 자손을 기르고, 거친 것들을 아름다운 것들에

맞추며, 들판들을 나누어 주고, 마을들을 재건하는 동안,

그들은 그들의 이익이 희망되었던 호의에 걸맞지 않음을 비탄했다.


ingentia : ingens. OL.906. very great.

recepti : recipio. pass. keep back, recover, undertake, guarantee, accept.

colunt : colo. cultivate, cherish.

aspera : asper. rough, harsh.

conponunt : compono. compare; place/put/add/collect together| collate; match (up)

adsignant : assign, distribute.

oppida : oppidum. town.

ploravere : ploro. lament.


urit enim fulgore suo qui praegravat artis

infra se positas; exstinctus amabitur idem:


-작성중-

Μουσάων Ἑλικωνιάδων ἀρχώμεθ' ἀείδειν,

αἵ θ' Ἑλικῶνος ἔχουσιν ὄρος μέγα τε ζάθεόν τε,

καί τε περὶ κρήνην ἰοειδέα πόσσ' ἁπαλοῖσιν

ὀρχεῦνται καὶ βωμὸν ἐρισθενέος Κρονίωνος·

우리 헬리콘 산의 무사이 여신들로부터 노래하기 시작하자,

그 여신들은 거대한 경계의 고귀한 헬리콘 산을 점하고,

또한 자줏빛 샘 주위에서도 취한 듯 부드럽게

춤을 춘다, 크로노스의 빼어나게 강대한 아들의 재단 주위에서도:

ἀρχώμεθ' : with gen. 'gen'으로부터 시작하다. pl. 1st.

ἀείδειν : 노래함, 노래부름. inf.

ἔχουσιν : 가지다, 점하다. Pl. 3rd.

ζάθεόν : 매우 신성한, 고귀한

πόσσ' ἁπαλοῖσιν ὀρχεῦνται : LS.1258. 취한 듯 부드럽게 춤춘다


καί τε λοεσσάμεναι τέρενα χρόα Περμησσοῖο

ἠ' Ἵππου κρήνης ἠ' Ὀλμειοῦ ζαθέοιο

ἀκροτάτῳ Ἑλικῶνι χοροὺς ἐνεποιήσαντο,

καλοὺς ἱμερόεντας, ἐπερρώσαντο δὲ ποσσίν.

또한 고운 살결을 페르멧소스에서 또는

말의 샘 혹은 신성한 올메이오스에서 씻고서

그녀들은 헬리콘 산 가장 높은 곳에서 춤을 추었다,

아름답고 사랑스러운 춤을, 빠르게 움직였다.

λοεσσάμεναι : λούω aor. m.p. part. f. pl. bath.

Ἑλικῶνι χοροὺς ἐνεποιήσαντο : LS.547.

ἐπερρώσαντο δὲ ποσσίν : LS.655. 2. move nimbly.


ἔνθεν ἀπορνύμεναι κεκαλυμμέναι ἠέρι πολλῷ

ἐννύχιαι στεῖχον περικαλλέα ὄσσαν ἱεῖσαι,

ὑμνεῦσαι Δία τ' αἰγίοχον καὶ πότνιαν Ἥρην

Ἀργείην, χρυσέοισι πεδίλοις ἐμβεβαυῖαν,

κούρην τ' αἰγιόχοιο Διὸς γλαυκῶπιν Ἀθήνην

Φοῖβόν τ' Ἀπόλλωνα καὶ Ἄρτεμιν ἰοχέαιραν

ἠδὲ Ποσειδάωνα γαιήοχον ἐννοσίγαιον

καὶ Θέμιν αἰδοίην ἑλικοβλέφαρόν τ' Ἀφροδίτην

Ἥβην τε χρυσοστέφανον καλήν τε Διώνην

Λητώ τ' Ἰαπετόν τε ἰδὲ Κρόνον ἀγκυλομήτην

Ἠῶ τ' Ἠέλιόν τε μέγαν λαμπράν τε Σελήνην

Γαῖάν τ' Ὠκεανόν τε μέγαν καὶ Νύκτα μέλαιναν

ἄλλων τ' ἀθανάτων ἱερὸν γένος αἰὲν ἐόντων.

그녀들은 그로부터 출발하여 많은 연무에 뒤덮히어

밤까지 나아갔고 무척이나 아름다운 목소리를 내었다,

노래하는 것을, 아이기스를 지닌 제우스와 여주인 헤라

아르고스를 지배하는 그녀를, 황금 신발로 내딛는 자를,

또한 아이기스를 지닌 제우스의 딸 안광의 아테네와

찬란한 아폴론과 활을 쏘는 아르테미스

그리고 대지를 쥐고 흔드는 포세이돈과

더불어 경외로운 테미스와 또 말아 올려진 속눈썹의 아프로디테와

황금관의 헤베와 아름다운 디오네와

레토와 이아페토스 그리고 비뚤어진 음모의 크로노스

에오스와 거대한 헬리오스와 빛나는 셀레네와

가이아와 거대한 오케아노스와 또 암흑의 뉙스

또한 영원한 이들 중 불멸하는 다른 신성의 종족을.

ἀπορνύμεναι : start from

κεκαλυμμέναι : κᾰλύπτω pf. pas. part.

ἐννύχιαι : at night, by night

στεῖχον : go, walk, march

ἐννύχιαι στεῖχον : LS.570.

ἱεῖσαι : ἵημι. utter.

ὑμνεῦσαι : to sing of someone or something.

ἐμβεβαυῖαν : ἐμβαίνω part.

κούρην : daughter.

γλαυκῶπιν : with gleaming eyes.

γαιήοχον : 대지를 쥔

ἐννοσίγαιον : 대지를 흔드는

αἰδοίην : 경외로운, 존경스러운

ἑλικοβλέφαρόν : having curling eyelashes

χρυσοστέφανον : gold-crowned

ἀγκυλομήτην : crooked of counsel.

μέλαιναν : 암흑

αἰὲν : ἀεί LS.26.


-蟲-

1. Igne vīsō, omnēs virī et uxōrēs territae sunt et ultrā urbem ad lītus īnsulae navigāvērunt, ubi perfugium inventum est.
   불이 보였기에, 모든 사내들과 부인들은 두려워 하였고 그들은 도시 너머 피난처가 발견되었던 섬의 해안으로 항해하였다.

2. Populō metū oppressō, iste imperātor nōbīs ex urbe pellendus est.
   백성들이 불안을 겪었기에, 그 황제는 우리의 도시로부터 쫓겨나야 한다.
3. Ōrātor, signō ā sacerdōte datō, eō diē revēnit et nunc tōtus populus Latīnus gaudet.
   그 연사는, 사제에 의해 신호가 주어졌기 때문에, 그 날 다시 왔고 지금 모든 로마 백성은 즐거워하고 있다.
4. Gēns Rōmāna versūs illīus scrīptōris magnā laude quondam recēpit.
   로마 민족은 저 작가의 문장들을 대단한 칭송으로 일찍이 받아들였다.
5. Laudēs atque dōna huius modī ab ōrātōribus dēsīderābantur.
   이러한 방식의 칭찬들과 또한 선물들은 연사들에 의해 열망되고 있었다.
6. Imperiō acceptō, dux magnanimus fidem suam reī pūblicae ostendit.
   권력이 취했을 때, 그 용감한 지도자는 그의 신념을 정체에 내보였다.
7. Aliquis eōs quīnque equōs ex igne ēripī posteā iusserat.
   어떤 사람이 그 다섯 마리 말들이 불로부터 구제되도록 나중에 명령했다.
8. Cernisne omnia quae tibi scienda sunt?
   그대는 그대에게 알려져야 하는 모든 것들을 분간하고 있는가?
9. Ille, ab arce urbis reveniēns, ab istīs hominibus premī coepit.
   저 자는, 도시의 요새로부터 돌아왔을 때, 그 사람들에 의해 압박받기 시작했다.
10. Cupiō tangere manum illīus mīlitis quī metū caruit atque gravia scelera contrā rem pūblicam oppressit.
   나는, 공포로부터 벗어났으며 또한 정체에 맞서 무거운 죄악들을 극복해낸 저 병사의 손을 닿기를 바라고 있다.

11. Iste dux prōtinus expulsus est, ut imperium excipiēbat.
     그 지도자는 즉시 석방되었다, 그가 권력을 잡았을 때.
12. Illae servae, autem, perfugium sōlāciumque ab amīcīs quaerēbant.
     저 노예들은, 그렇지만, 안식처와 위안을 친구들로부터 찾고 있었다.
13. Cornū audītō, ille mīles, incertus cōnsiliī, cōpiās ad mediam īnsulam vertit.
     뿔나팔이 들려왔을 때, 저 병사는, 계획에 대해 불확실해서, 섬 가운데로부터 군대를 돌렸다.
14. When the common danger had been averted, two of our sons and all our daughters came back from Asia.
     Periculo communi averso, duo ex filiis nostris et omnes filiae ex Asia revenerunt.
15. Our hopes must not be destroyed by those three evil men.
     Spes nostrae ab illis tribus viris malis non tollendae sunt.
16. Since the people of all nations are seeking peace, all leaders must conquer the passion for power.
     Populo omnium gentium pacem quaerente, cupiditas imperii omnibus ducibus vicenda sunt.

17. The leader, having been driven out by both the free men and the slaves, could not regain his command.
     Dux, et a viris liberis et servis expulsus, imperium suum non recipere poterat.

Sententiae Antīquae

1. Carthāgō dēlenda est.
    카르타고는 파괴되어야 한다.
2. Asiā victā, dux Rōmānus fēlīx multōs servōs in Italiam mīsit.
    아시아가 승리했을 때, 그 운 좋은 로마 지도자는 많은 노예들을 이탈리아로 보냈다.
3. Omnibus ferrō mīlitis perterritīs, quisque sē servāre cupiēbat.
   모든 이들이 그 병사에 대한 공포로 인해 두려워 했을 때, 각자 그 자신을 지키고자 하고 있었다.
4. Quidquid dīcendum est, līberē dīcam.
   어떤 것이든 이야기되어야만, 나는 자유롭게 이야기할 것이다.
5. Haec omnia vulnera bellī tibi nunc sānanda sunt.
   전쟁의 이 모든 상처들이 이제 그대에 의해 치유되어야만 한다.
6. Nec tumultum nec hastam mīlitis nec mortem violentam timēbō, Augustō terrās tenente.
   반란도 군인의 창도 격렬한 죽음마저도 나는 두려워 하지 않을 것이다, 아우구스투스가 그 땅들을 지배하기에.
7. Tarquiniō expulsō, nōmen rēgis audīre nōn poterat populus Rōmānus.
 
8. Ad ūtilitātem vītae omnia cōnsilia factaque nōbīs regenda sunt.


Dē Cupiditāte

Homō stultus, "Ō cīvēs, cīvēs," inquit, "pecūnia ante omnia quaerenda est; virtūs et probitās post pecūniam."
Pecūniae autem cupiditās fugienda est. Fugienda etiam est cupiditās glōriae; ēripit enim lībertātem. Neque imperia semper petenda sunt neque semper accipienda sunt.

Herculēs, in caelum propter virtūtem receptus, deōs salūtāvit; sed Plūtō veniente, quī est fīlius Fortūnae, Herculēs oculōs āvertit. Tum, Causā quaesītā, "Iste," inquit, "spernendus est quod lucrī causā omnia corrumpit."

Modus Operandi

Rīdēns saturās meās percurram, et cūr nōn? Quid vetat mē rīdentem dīcere vērum, ut puerīs ēducandīs saepe dant crūstula magistrī? Quaerō rēs gravēs iūcundō lūdō et, nōminibus fictīs, dē multīs culpīs vitiīsque narrō. Sed quid rīdēs? Mūtātō nōmine, dē tē fābula narrātur!

 

 

-작성중-

Tomgram: Chalmers Johnson, Portrait of a Sagging Empire
Posted by Chalmers Johnson at 9:29am, August 17, 2010.

In September 1998, I was handed a submission for a proposed book by Chalmers Johnson.  I was then (as I am now) consulting editor at Metropolitan Books.  9/11 was three years away, the Bush administration still an unimaginable nightmare, and though the prospective book’s prospective title had “American Empire” in it, the American Empire Project I now co-run with my friend and TomDispatch regular Steve Fraser was still almost four years from crossing either of our minds.

I remembered Johnson, however.  As a young man, I had read his book on peasant nationalism in north China where, during the 1930s, Japanese invaders were conducting “kill-all, burn-all, loot-all” operations.  Its vision of how a revolution could gain strength from a foreign occupation stayed with me.  I had undoubtedly also read some of Johnson’s well-respected work on contemporary Japan and I knew, even then, that in the Vietnam War era he had been a fierce opponent of the antiwar movement I took part in.  If I didn’t already know it, the proposal made no bones about the fact that he had also, in that era, consulted for the CIA.

I certainly turned to his submission -- a prologue, a single chapter, and an outline of the rest of a book -- with a dubious eye, but was promptly blasted away by a passage in the prologue in which he referred to himself as having been a “spear-carrier for empire” and, some pages in, by this passage as well:

    “I was sufficiently aware of Mao Zedong’s attempts to export ‘people’s war’ to believe that the United States could not afford to lose in Vietnam.  In that, too, I was distinctly a man of my times.  It proved to be a disastrously wrong position.  The problem was that I knew too much about the international Communist movement and not enough about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and its Department of Defense.  I was also in those years irritated by campus antiwar protesters, who seemed to me self-indulgent as well as sanctimonious and who had so clearly not done their homework [on the history of communism in East Asia]… As it turned out, however, they understood far better than I did the impulses of a Robert McNamara, a McGeorge Bundy, or a Walt Rostow.  They grasped something essential about the nature of America’s imperial role in the world that I had failed to perceive.  In retrospect, I wish I had stood with the antiwar protest movement.  For all its naïveté and unruliness, it was right and American policy wrong.”

I was little short of thunderstruck.  I knew then -- and I think it still holds today -- that no one of prominence with Johnson’s position on the war and in his age range had ever written such a set of sentences.  At that moment, knowing nothing else, I made the decision to publish his book.  It was possibly the single most impulsive, even irrational, and thoroughly satisfying decision I’ve made in my 30-odd years as an editor in, or at the fringes of, mainstream publishing.

Though I didn’t have expectations for the book then, the rest is, quite literally, history.  After all, its title would be Blowback, a term of CIA tradecraft that neither I nor just about any other American had ever heard of, and which, thanks to Johnson, has now become part of our language (along with the accompanying catch phrase “unintended consequences”).  On its publication in 2000, the book was widely ignored.  In the wake of the attacks of September 11, 2001, however, it seemed nothing short of prophetic, and so, in paperback, stormed those 9/11 tables at the front of bookstores, and soared to bestsellerdom.

That I ever edited Blowback or Johnson’s subsequent books was little short of a fluke, one of the luckiest of my life.  It led as well to a relationship with a man of remarkable empathy and insight, who was then on a no less remarkable journey (on which I could tag along).  Now, a new book of his, Dismantling the Empire: America’s Last Best Hope, has arrived, focused on the many subjects -- from our empire of bases to the way the Pentagon budget, the weapons industries, and military Keynesianism may one day help send us into great power bankruptcy -- that have obsessed him in recent years.  It’s not to be missed. 
Tom


    The Guns of August
    Lowering the Flag on the American Century
    By Chalmers Johnson

    In 1962, the historian Barbara Tuchman published a book about the start of World War I and called it The Guns of August. It went on to win a Pulitzer Prize.  She was, of course, looking back at events that had occurred almost 50 years earlier and had at her disposal documents and information not available to participants. They were acting, as Vietnam-era Secretary of Defense Robert McNamara put it, in the fog of war.

    So where are we this August of 2010, with guns blazing in one war in Afghanistan even as we try to extricate ourselves from another in Iraq?  Where are we, as we impose sanctions on Iran and North Korea (and threaten worse), while sending our latest wonder weapons, pilotless drones armed with bombs and missiles, into Pakistan's tribal borderlands, Yemen, and who knows where else, tasked with endless "targeted killings" which, in blunter times, used to be called assassinations?  Where exactly are we, as we continue to garrison much of the globe even as our country finds itself incapable of paying for basic services?

    I wish I had a crystal ball to peer into and see what historians will make of our own guns of August in 2060. The fog of war, after all, is just a stand-in for what might be called "the fog of the future," the inability of humans to peer with any accuracy far into the world to come.  Let me nonetheless try to offer a few glimpses of what that foggy landscape some years ahead might reveal, and even hazard a few predictions about what possibilities await still-imperial America.

    Let me begin by asking: What harm would befall the United States if we actually decided, against all odds, to close those hundreds and hundreds of bases, large and small, that we garrison around the world?  What if we actually dismantled our empire, and came home? Would Genghis Khan-like hordes descend on us?  Not likely.  Neither a land nor a sea invasion of the U.S. is even conceivable.

    Would 9/11-type attacks accelerate?  It seems far likelier to me that, as our overseas profile shrank, the possibility of such attacks would shrink with it.

    Would various countries we've invaded, sometimes occupied, and tried to set on the path of righteousness and democracy decline into "failed states?" Probably some would, and preventing or controlling this should be the function of the United Nations or of neighboring states. (It is well to remember that the murderous Cambodian regime of Pol Pot was finally brought to an end not by us, but by neighboring Vietnam.)

    Sagging Empire

    In other words, the main fears you might hear in Washington -- if anyone even bothered to wonder what would happen, should we begin to dismantle our empire -- would prove but chimeras.  They would, in fact, be remarkably similar to Washington's dire predictions in the 1970s about states all over Asia, then Africa, and beyond falling, like so many dominoes, to communist domination if we did not win the war in Vietnam.

    What, then, would the world be like if the U.S. lost control globally -- Washington's greatest fear and deepest reflection of its own overblown sense of self-worth -- as is in fact happening now despite our best efforts?  What would that world be like if the U.S. just gave it all up? What would happen to us if we were no longer the "sole superpower" or the world's self-appointed policeman?

    In fact, we would still be a large and powerful nation-state with a host of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An immigration and drug crisis on our southern border, soaring health-care costs, a weakening education system, an aging population, an aging infrastructure, an unending recession -- none of these are likely to go away soon, nor are any of them likely to be tackled in a serious or successful way as long as we continue to spend our wealth on armies, weapons, wars, global garrisons, and bribes for petty dictators.

    Even without our interference, the Middle East would continue to export oil, and if China has been buying up an ever larger share of what remains underground in those lands, perhaps that should spur us into conserving more and moving more rapidly into the field of alternative energies.

    Rising Power

    Meanwhile, whether we dismantle our empire or not, China will become (if it isn't already) the world's next superpower. It, too, faces a host of internal problems, including many of the same ones we have. However, it has a booming economy, a favorable balance of payments vis-à-vis much of the rest of the world (particularly the U.S., which is currently running an annual trade deficit with China of $227 billion), and a government and population determined to develop the country into a powerful, economically dominant nation-state.

    Fifty years ago, when I began my academic career as a scholar of China and Japan, I was fascinated by the modern history of both countries. My first book dealt with the way the Japanese invasion of China in the 1930s spurred Mao Zedong and the Chinese Communist Party he headed on a trajectory to power, thanks to its nationalist resistance to that foreign invader. Incidentally, it is not difficult to find many examples of this process in which a domestic political group gains power because it champions resistance to foreign troops.  In the immediate post-WWII period, it occurred in Vietnam, Indonesia, and Malaysia; with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in 1991, all over Eastern Europe; and today, it is surely occurring in Afghanistan and probably in Iraq as well.

    Once the Cultural Revolution began in China in 1966, I temporarily lost interest in studying the country. I thought I knew where that disastrous internal upheaval was taking China and so turned back to Japan, which by then was well launched on its amazing recovery from World War II, thanks to state-guided, but not state-owned, economic growth.

    This pattern of economic development, sometimes called the "developmental state," differed fundamentally from both Soviet-type control of the economy and the laissez-faire approach of the U.S.  Despite Japan's success, by the 1990s its increasingly sclerotic bureaucracy had led the country into a prolonged period of deflation and stagnation.  Meanwhile, post-U.S.S.R. Russia, briefly in thrall to U.S. economic advice, fell captive to rapacious oligarchs who dismantled the command economy only to enrich themselves.

    In China, Communist Party leader Deng Xiaoping and his successors were able to watch developments in Japan and Russia, learning from them both.  They have clearly adopted effective aspects of both systems for their economy and society. With a modicum of luck, economic and otherwise, and a continuation of its present well-informed, rational leadership, China should continue to prosper without either threatening its neighbors or the United States.

    To imagine that China might want to start a war with the U.S. -- even over an issue as deeply emotional as the ultimate political status of Taiwan -- would mean projecting a very different path for that country than the one it is currently embarked on.

    Lowering the Flag on the American Century

    Thirty-five years from now, America's official century of being top dog (1945-2045) will have come to an end; its time may, in fact, be running out right now. We are likely to begin to look ever more like a giant version of England at the end of its imperial run, as we come face-to-face with, if not necessarily to terms with, our aging infrastructure, declining international clout, and sagging economy. It may, for all we know, still be Hollywood's century decades from now, and so we may still make waves on the cultural scene, just as Britain did in the 1960s with the Beatles and Twiggy. Tourists will undoubtedly still visit some of our natural wonders and perhaps a few of our less scruffy cities, partly because the dollar-exchange rate is likely to be in their favor.

    If, however, we were to dismantle our empire of military bases and redirect our economy toward productive, instead of destructive, industries; if we maintained our volunteer armed forces primarily to defend our own shores (and perhaps to be used at the behest of the United Nations); if we began to invest in our infrastructure, education, health care, and savings, then we might have a chance to reinvent ourselves as a productive, normal nation. Unfortunately, I don't see that happening. Peering into that foggy future, I simply can't imagine the U.S. dismantling its empire voluntarily, which doesn't mean that, like all sets of imperial garrisons, our bases won't go someday.

    Instead, I foresee the U.S. drifting along, much as the Obama administration seems to be drifting along in the war in Afghanistan. The common talk among economists today is that high unemployment may linger for another decade.  Add in low investment and depressed spending (except perhaps by the government) and I fear T.S. Eliot had it right when he wrote: "This is the way the world ends, not with a bang but a whimper."

    I have always been a political analyst rather than an activist. That is one reason why I briefly became a consultant to the CIA's top analytical branch, and why I now favor disbanding the Agency. Not only has the CIA lost its raison d'être by allowing its intelligence gathering to become politically tainted, but its clandestine operations have created a climate of impunity in which the U.S. can assassinate, torture, and imprison people at will worldwide.

    Just as I lost interest in China when that country's leadership headed so blindly down the wrong path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so I'm afraid I'm losing interest in continuing to analyze and dissect the prospects for the U.S. over the next few years. I applaud the efforts of young journalists to tell it like it is, and of scholars to assemble the data that will one day enable historians to describe where and when we went astray.  I especially admire insights from the inside, such as those of ex-military men like Andrew Bacevich and Chuck Spinney. And I am filled with awe by men and women who are willing to risk their careers, incomes, freedom, and even lives to protest -- such as the priests and nuns of SOA Watch, who regularly picket the School of the Americas and call attention to the presence of American military bases and misbehavior in South America.

    I'm impressed as well with Pfc. Bradley Manning, if he is indeed the person responsible for potentially making public 92,000 secret documents about the war in Afghanistan. Daniel Ellsberg has long been calling for someone to do what he himself did when he released the Pentagon Papers during the Vietnam War. He must be surprised that his call has now been answered -- and in such an unlikely way.

    My own role these past 20 years has been that of Cassandra, whom the gods gave the gift of foreseeing the future, but also cursed because no one believed her. I wish I could be more optimistic about what's in store for the U.S.  Instead, there isn't a day that our own guns of August don't continue to haunt me.

    Chalmers Johnson is the author of Blowback (2000), The Sorrows of Empire (2004), and Nemesis: The Last Days of the American Republic (2006), among other works.  His newest book, Dismantling the Empire: America’s Last Best Hope (Metropolitan Books), has just been published.  To listen to Timothy MacBain's latest TomCast audio interview in which Johnson discusses America's empire of bases and his new book, click here or, to download it to your iPod, here.

    Copyright 2010 Chalmers Johnson

=================================================================================================
김우재님 트위터에서 주워 듣고
페르시안 관련기사에서 번역 보고 출처 찾아서
이 사이트에서 업어 왔음.

독자에게 전하는 말 같은 건 생략했으니 보고 싶거나 더 많은 정보(책 구매라든지-_-)를 원한다면 링크 타고 들어가시라. 그나저나 날이 어둡네.

-蟲-
Rule Reliabilism and The Evil-Demon Problem
규칙 신빙론과 사악한-악마 문제

1) In his 1996 Epistemology and Cognition, Goldman replaced process reliabilism with what we may call "rule reliabilism." Rule reliabilism makes a belief's justification a function of permission by a right system of epistemic rules - J-rules, in Goldman's terminology - and the rightness of a system of J-rules a function of reliability. Thus Goldman's 1986 proposal offers us a two-stage analysis of justified belief:

J1    S's belief B is justified if and only if (a) B is permitted by a right system of J-rules, and (b) this permission is not undermined by S's cognitive state.<20>
J2    A system of J-rules R is right if and only if R permits certain (basic) psychological process, and the instantiation of these processes results in a sufficiently high truth ratio.<21>

One main difference between the process and rule frameworks is this: According to process reliabilism, the justification of a subject's beliefs in a world W is a function of the reliability of the subject's cognitive processes in W. As a consequence, process reliabilism is vulnerable to the evil-demon problem. In an evil-demon world, the subject's perceptual processes are unreliable, yet justified. According to rule reliabilism, in contrast, the rightness of a J-rule system does not vary among different possible worlds, but is rigidly fixed in what Goldman calls normal worlds. A world W is normal, according to Goldman, if our general beliefs in the actual world are true in W. For example, one of our general beliefs is that perception is a reliable cognitive process. Consequently, any world in which perception is not a reliable cognitive process - as is the case in an evil-demon world - is not a normal world.
1) 그의 1996년 『인식론과 인지』에서, 골드만은 과정 신빙론을 우리가 "규칙 신빙론"이라 부를 것으로 대체하였다. 규칙 신빙론은 믿음의 정당성을 옳은 인식 규칙들 - 골드만의 용어로 J-규칙들 -  의 체계에 의한 허용 기능으로 만들고 J-규칙들의 체계에 대한 옳음을 신빙성의 기능으로 만든다. 따라서 골드만의 1986년 제안은 우리에게 정당화된 믿음에 대한 2-단계 분석을 제공한다.

J1    S의 믿음 B는 정당화된다 iff (a) B는 J-규칙들의 옳은 체계에 의해 허용되며, (b) 이 허용은 S의 인식 상태에 의해 약화되지 않는다.<20>
J2    J-규칙들의 체계 R은 옳다 iff R은 확실한 (기초적인) 심리적 과정을 허용하고, 이러한 과정들의 예화는 충분히 높은 정도의 진리비율로 귀결한다.<21>

과정 체계와 규칙 체계 사이의 한 가지 주요한 차이는 이것이다. 즉 과정 신빙론에 따르면 세계 W 내에서 주체의 믿음들에 대한 정당화는 W 내에서 주체의 인지 과정에 대한 신빙성의 기능이다. 그 결과로, 과정 신빙론은 사악한-악마 문제에 취약하다. 사악한-악마 세계에서 주체의 지각 과정들은 신빙성이 없지만, 그럼에도 정당화된다. 반면 규칙 신빙론에 따르면 J-규칙 체계의 옿음은 상이한 가능 세계들 가운데에서 다르지 않고 골드만이 통상 세계들이라 부르는 세계에 엄격하게 고정된다. 골드만에 따르면 세계 W는 만일 실제 세계에서의 우리의 일반적인 믿음들이 W 내에서 참이라면 통상적이다. 예를 들어, 우리의 일반적인 믿음들 중 하나는 지각이 신빙성 있ㄴ느 인지 과정이라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 사악한-악마 세계에서의 경우와 같이 - 지각이 신빙성 있는 인지 과정이 아닌 어떠한 세계도 통상 세계가 아니다.

2) This feature of rule reliabilism, which Goldman calls normal-world chauvinism, seems to allow for a neat solution to the evil-demon problem. Consider our J-rule system, which permits beliefs that are produced by undefeated perceptual processes. If we fix the rightness of this J-rule system for a world W by considering its output in W, it would not count as a right J-rule system in an evil-demon world, for in such a world it would permit beliefs that are mostly false. Thus we would get the result that perceptual beliefs in the evil-demon world are unjustified. However, Goldman's normal-world chauvinism demands that the rightness of our J-rule system be measured in normal worlds. And in normal worlds, the beliefs it permits are mostly true. Thus, when we apply our J-rule system to the evil-demon world, it rigidly remains a right J-rule system, which means our verdict must be that perceptual beliefs in that world are justified.
2) 골드만이 통상-세계의 극단적 배타성이라 부르는 규칙 신빙론의 이러한 특징은 사악한-악마 문제에 대해 간단명료한 해결책을 허용하는 듯이 보인다. 상쇄되지 않는 지각적 과정들에 의해 산출되는 믿음들을 허용하는 우리의 J-규칙 체계를 고려해 보자. 만일 우리가 이 J-규칙 체계의 옳음을 W 내에서 그 체계의 출력을 고려함으로써 세계 W에 고정시킨다면, 그것은 사악한-악마 세계에서 옳은 J-규칙 체계로 쳐지지 않을 것인데, 왜냐하면 그러한 세계에서는 그 체계가 주로 거짓인 그러한 믿음들을 허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지각적 믿음들이 사악한-악마 세계에서 정당화되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게 될 것이다. 그렇지만, 골드만의 통상-세계 극단적 배타성은 우리의 J-규칙 체계에 대한 옳음이 통상 세계들 내에서 측정될 것을 요구한다. 그리고 통상 세계들에서, 그 체계가 허용하는 믿음들은 주로 참이다. 따라서, 우리가 우리의 J-규칙 체계를 사악한-악마 세계에 적용할 때, 그 체계는 엄격하게 옳은 J-규칙 체계로 남고, 그것은 곧 우리의 평가가 반드시 그 세계 내에서의 지각적 믿음들은 정당화된다는 것이어야만 함을 의미한다.

3) As Goldman himself has pointed out, however, his normal-world chauvinism faces a serious problem.<22> Although as a matter of fact there are no justified beliefs that result from clairvoyance, it is plausible to say that such beliefs are possible. The problem with normal-world chauvinism is that it makes such beliefs impossible. Consider a possible world in which clairvoyance is a known reliable cognitive process. Since clairvoyance is unreliable in normal worlds, rule reliabilism implies that clairvoyance beliefs are unjustified in this world. Indeed, since the lack of justification for clairvoyance beliefs is rigidly fixed by the fact that in normal worlds clairvoyance is unreliable, there could not be a world in which clairvoyance results in justified beliefs. Thus it turns out that rule reliabilism, as defined in Epistemology and Cognition, has an implausible consequence.<23>
3) 그렇지만 골드만 자신이 지적하였듯 그의 통상-세계 극단적 배타성은 심각한 문제에 직면한다.<22> 비록 사실 문제로서 천리안으로부터 귀결하는 어떠한 정당화된 믿음들도 없다 할지라도, 그러한 믿음들이 가능하다고 말하는 것은 그럴 성싶다. 통상-세계 극단적 배타성과 관련된 문제는 그것이 그러한 믿음들을 불가능하게 만든다는 점이다. 천리안은 통상 세계들에서 신빙성이 없으므로, 규칙 시빙론은 천리안 믿음들이 이 세계에서 정당화되지 않음을 시사한다. 더욱이, 천리안 믿음들에 대한 정당성 결여는 통상 세계들 내에서 천리안이 신빙선 없다는 사실에 의해 엄격하게 고정되므로, 천리안이 정당화된 믿음들을 귀결하는 세계는 있을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인식론과 인지』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규칙 신빙론은 그럴 성싶지 않은 결론을 지닌다는 것이 드러난다.


Strong and Weak Justification
강한 정당화와 약한 정당화

1) In his 1988 paper "Strong and Weak Justification," Goldman proposes an alternative approach to the evil-demon problem. HIs new solution is based on a distinction between two ways in which beliefs can be justified: weakly and strongly. Weak justification results from not violating epistemic duties; strong justification, on the other hand, results from reliable processes and methods.<24> Beliefs produced by reliable processes or methods are strongly justified, whereas beliefs not thus produced are either not justified at all or weakly justified if they are held without violating epistemic duties.
1) 그의 1988년 논문 「강한 정당화와 약한 정당화」에서 골드만은 사악한-악마 문제에 대한 대안적 접근법을 제안한다. 그의 새로운 해결책은 믿음들이 정당화될 수 있는 두 가지 방식들 사이의 구분에 기초된다. 그것은 약한 방식과 강한 방식이다. 약한 정당화는 인식적 의무들을 위배하지 않음으로부터 귀결한다. 그리고 강한 정당화는 다른 한 편으로 신빙성 있는 과정과 방법들로부터 귀결한다.<24> 신빙성 있는 과정들 혹은 방법들에 의해 산출된 믿음들은 강하게 정당화되는 반면, 그와 같이 산출되지 않은 믿음들은 전혀 정당화되지 않거나 만일 그 믿음들이 인식적 의무들을 위배함이 없이 견지된다면 약하게 정당화된다.

2)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concept of weak justification, Goldman introduces the example of a culture in which people frequently base predictions on astrology, an instance of an unreliable method. The people of this culture cannot be blamed for believing these predictions, for they don't have the intellectual means to recognize that astrology is an unreliable method. As Goldman stipulates, "where outcomes reportedly go against the predictions [derived from using astrology], the community's astrology experts explain that the predictions had been based on misapplications of the method. The experts have techniques for 'protecting' their theory from easy falsification, and only sophisticated methodologies or astronomical theories would demonstrate the indefensibility of such tactics; but these are not available."<25> In this case, Goldman says, the beliefs in question are weakly justified, for the subjects cannot be blamed for trusting their astrology experts. But since the method the "experts" use is de facto unreliable, these beliefs do not enjoy strong justification.
2) 약한 정당화의 개념을 설명하려는 의도로, 골드만은 신빙성 없는 방법의 일례로 점성술에 사람들이 빈번하게 예측들을 의존하는 문화의 사례를 도입한다. 이러한 문화에 속한 사람들은 이러한 예견들을 믿는다는 이유로 비난받을 수 없는데, 왜냐하면 그들이 점성술이 신빙성 없는 방법이라는 점을 재인할 지적 수단을 지니고 있지 못한 까닭이다. 골드만이 규정하듯, "결과들이 전하는 바에 따라 그 예견들과 [점성술을 사용함으로부터 도출된] 반대되는 곳에서, 그 집단의 점성술 전문가들은 그 예견들이 방법의 잘못된 적용에 기초되었다고 설명한다. 그 전문가들은 그들의 이론을 쉬운 반증으로부터 '방어하는' 기술들을 지니고, 오로지 복잡한 방법론들 또는 점성술적 이론들만이 그러한 전략의 옹호불가능성을 증명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은 가용하지 않다."<25> 이 경우, 골드만이 말하기로는, 문제시되는 믿음들은 약하게 정당화되는데, 왜냐하면 그 주체들이 그들의 점성술 전문가들을 신뢰함으로 인해 비난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방법은 사실상 신빙성이 없으므로, 이러한 믿음들은 강한 정당성을 향유하지 못한다.

3) Weak justification, then, is justification deriving from epistemic blamelessness. A second feature of weak justification is that weakly justified beliefs are unreliably produced, for Goldman wants weak justification to be the opposite of strong justification. Applying the distinction between strong and weak justification to the evil-demon problem, Goldman's solution is that the perceptual beliefs of the deceived subjects are weakly justified without being strongly justified. Since their perceptual experiences are just like those of perceivers in normal worlds, they can't be blamed for believing in the existence of a physical world; that's why their perceptual beliefs are free of epistemic blame and thus weakly justified. On the other hand, their perceptual beliefs are unreliably produced (because in the evil-demon world perception is not a reliable cognitive process); that's why their perceptual beliefs fail to be strongly justified.
3) 그래서 약한 정당성은 인식적으로 비난받지 않음으로부터 유래하는 정당성이다. 약한 정당성의 두 번째 특징은 약하게 정당화된 믿음들이 신빙성 없이 산출된다는 것인데, 골드만이 약한 정당성을 강한 정당성에 반대항이기를 원하기 때문이다. 강한 정당성과 약한 정당성 사이의 구분을 사악한-악마 문제에 적용하면서, 골드만의 해결책은 기만당하는 주체들의 지각적 믿음들이 강하게 정당화되지 않고 약하게 정당화된다는 것이다. 그들의 지각적 경험들은 바로 통상 세계들 내에서 지각자들의 경험들과 똑같으므로, 그들은 물리적 세계의 현존을 믿는다는 이유로 비난받을 수 없다. 그것이 그들의 지각적 믿음들이 인식적 비난으로부터 자유롭고 따라서 약하게 정당화되는 이유이다. 다른 한편으로, 그들의 지각적 믿음들은 신빙성 없이 산출된다 (왜냐하면 사악한-악마 세계에서 지각은 신빙성 있는 인지 과정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것이 그들의 지각적 믿음들이 강하게 정당화되지 않는 이유이다.

4) In response to this maneuver, internalist critics of reliabilism would question the legitimacy of the distinction between weak and strong justification.<26> Advocates of a traditional, Cartesian-Lockean conception of epistemic duty could argue that there is nothing weak about the justification the deceived subjects in an evil-demon world enjoy. Their perceptual beliefs are supported by their evidence, and thus are justified fully and completely. From this internalist, traditional point of view, the unreliability of perceptual processes in the evil-demon world does not at all adversely affect the justification of perceptual beliefs. Internalist opponents of reliabilism would not, therefore, view Goldman's reconciliation offer - perceptual beliefs in the evil-demon world are weakly justified - as satisfactory. They would deny that just because these beliefs are unreliably produced, they are somehow deficient in justificatory status.
4) 이러한 책략에 대한 응답으로, 신빙론에 대한 내재주의적 비판자들은 약한 정당성과 강한 정당성 사이의 구분에 대한 적법성을 물을 것이다.<26> 전통적인 데카트르-로크적 인식 의무 개념의 지지자들은 사악한-악마 세계에서 기만당하는 주체들이 향유하는 정당성에 대한 약한 어떤 것도 전혀 없다고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들의 지각적 믿음들은 그들의 증거에 의해 지지되고, 따라서 충분히 완전하게 정당화된다. 이러한 내재주의적, 전통적 관점으로부터, 사악한-악마 세계 내에서 지각적 과정들의 신빙성 없음은 지각적 믿음들의 정당성에 전혀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신빙론에 대한 내재주의적 반대자들은 그러므로 골드만의 조정 제안 - 사악한-악마 세계 내에서 지각적 믿음들이 약하게 정당화된다고 하는 - 을 만족스러운 것으로 간주하지 않을 것이다. 그들은 단지 이러한 믿음들이 신빙성 없이 산출되었다는 이유만으로 그 믿음들이 정당화하는 상태에 있어서 어떻든 결핍이 있다는 것을 부정할 터이다.


Virtue Reliabilism
탁월성 신빙론

1) In his 1991 article "Epistemic Folkways and Scientific Epistemology," Goldman offers yet another solution to the evil-demon problem. In that paper, he distinguishes between two missions of epistemology. The first mission - descriptive in character - is to describe our commonsense epistemic concepts and norms, which Goldman calls "epistemic folkways." The second mission - normative in character - is to critically evaluate our folkways and, if necessary, to propose improvements.
1) 그의 1991년 논설 「인식적 관습과 과학적 인식론」에서, 골드만은 사악한-악마 문제에 대해 또 다른 해결책을 제시한다. 그 논문에서, 그는 인식론의 두 가지 사명들을 구분한다. 첫 번째 사명은 - 성격상 기술적인 - 우리의 공통감각(상식)적 인식 개념들과 표준들, 골드만이 "인식적 관습"이라 부른 것들을 기술하는 것이다. 두 번째 사명은 - 성격상 규범적인 - 우리의 관습들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필요하다면 개선들을 제안하는 것이다.

2) Godman's new approach to the analysis of justified belief, though still reliabilist, proceeds in terms of intellectual virtues and vices. Thus Goldman is now merging two different theoretical strands: reliabilism and virtue epistemology. According to the virtue approach to the analysis of justified belief, a belief is justified if it results from an intellectual virtue, and unjustified if it results from an intellectual vice.<27> What, however, are intellectual virtues and vices? According to Goldman, intellectual virtues are cognitive processes we deem reliable, and intellectual vices are cognitive processes we deem unreliable. The criterion for discriminating between intellectual virtues and vices, then, is that of reliability.<28>
2) 정당화된 믿음을 분석하는 데에 있어서 골드만의 새로운 접근법은 비록 여전히 신빙론적이라 할지라도 지적 탁월함과 결점들로 수행된다. 따라서 골드만은 지금 상이한 두 가지 이론적 기준들을 병합하고 있다. 그것은 신빙론과 탁월성 인식론이다. 정당화된 믿음을 분석하는 데에 있어서 탁월성 접근법에 따르면 믿음은 지적 탁월성으로부터 귀결하면 정당화되고, 지적 결함으로부터 귀결하면 정당화되지 않는다.<27> 그렇지만 지적 탁월성들과 결함들이란 무엇인가? 골드만에 따르면, 지적 탁월성들은 우리가 신빙성 있다고 여기는 인지적 과정들이고, 지적 결함들은 우리가 신빙성이 없다고 여기는 인지적 과정들이다. 그래서 지적 탁월성들과 결함들을 식별하기 위한 기준은 신빙성의 기준이다.<28>

3) Epistemic evaluators, so Goldman argues, inherit from their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lists of cognitive virtues and vices. When they evaluate beliefs, they identify the psychological process by which a belief was produced and match it against the items on their list. At this point, three different evaluations are possible:

(i) If the identified process matches virtues only, the belief is justified.
(ii) If the identified process matches either completely or partly vices, the belief is unjustified.
(iii) If the identified process is not on the list at all, the belief is categorized as nonjustified. (A nonjustified belief is neither justified nor unjustified.)<29>

Recall the two cases of Edith and her runaway dog. Consider her justified but false belief that the dog she sees is hers. Neither wishful thinking nor any other nonvirtuous process is involved in the causal genesis of her belief. The relevant process matches virtues only; thus Edith's belief qualifies as justified. Next, consider Edith's unjustified but true belief that the dog she sees is hers. In this case, it is not only perception but also wishful thinking that leads her to form belief. The relevant process, though it matches the virtue of perception, also matches the vice of wishful thinking. Thus her belief counts as unjustified. Finally, consider beliefs that have their genesis in telepathy. Since telepathy is not on our list of virtues, such beliefs turn out to be nonjustified.
3) 인식적 평가자들은 골드만이 주장하기로는 그들의 사회적 문화적 배경으로부터 인지적 탁월성들과 결함들의 목록들을 인계받는다. 그들이 믿음들을 평가할 때, 그들은 그에 의해 한 믿음이 산출되는 그 심리적 과정을 규정하고 그 과정을 그들의 목록에 항목들에 맞세워 일치시킨다. 이 지점에서, 세 가지 상이한 평가들이 가능하다.

(i) 만일 규정된 과정이 오로지 탁월성들과 일치한다면, 그 믿음은 정당화된다.
(ii) 만일 규정된 과정이 완전히 혹은 부분적으로 결함들과 일치한다면, 그 믿음은 정당화되지 않는다.
(iii) 만일 규정된 과정이 그 목록에 전혀 없다면, 그 믿음은 무정당화된 것으로 분류된다. (무정당화된 믿음은 정당화되지도 정당화되지 않지도 않는다.)<29>

에디트와 그녀의 도망간 개의 두 사례들을 상기해 보자. 그녀가 보는 개가 그녀의 개라는, 그녀의 정당화되었지만 거짓인 믿음을 고찰해 보자. 희망사항도 어떤 다른 비탁월성 과정도 그녀의 믿음에 대한 인과적 기원에 포함되지 않는다. 상관된 과정은 오로지 탁월성들에만 일치한다. 따라서 에디트의 믿음은 정당화될 자격을 얻는다. 다음으로, 그녀가 보는 개가 그녀의 개라는 에디트의 정당화되지 않지만 참인 믿음을 고찰해 보자. 이 경우, 그녀가 믿음을 형성하도록 이끈 것은 지각뿐만이 아니라 희망사항이기도 하다. 상관된 과정은 비록 지각의 탁월성에 일치한다 할지라도 또한 희망사항이라는 결함에도 일치한다. 따라서 그녀의 믿음은 정당화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끝으로, 그 기원을 텔레파시에 두는 믿음들을 고려해 보자. 텔레파시는 우리의 탁월성들에 대한 목록에 없으므로, 그러한 믿음들은 무정당화되는 것으로 드러난다.

4) What makes Goldman's virtue approach superior to the version of reliabilism he originally advocated, process reliabilism? To begin with, one might hope that virtue reliabilism is less susceptible to the generality problem than process reliabilism. This problem presents reliabilists with the challenge of describing cognitive processes in a way that is neither too broad nor too narrow. Now if some reliable processes count as virtues and others don't, then it will perhaps be possible to pin down the degree of generality appropriate to processes that produce justified beliefs. The future will show whether such an account of intellectual virtues can be successfully developed. Secondly, Goldman's virtue reliabilism permits straightforward solutions to the other two of our three standard problems: the evil-demon world and reliable clairvoyance. In the next section, we shall briefly discuss these solutions.
4) 골드만의 탁월성 접근법을 그가 본래 지지하던 신빙론의 형태인 과정 신빙론보다 우월하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우선, 누군가는 탁월성 신빙론이 과정 신빙론보다 일반성 문제에 덜 민감하다고 희망할지도 모른다. 이 문제는 신빙론자들에게 인지 과정을 너무 광범위하지도 너무 협소하지도 않은 방식으로 기술한다는 시련으로 표현된다. 이제 만일 일부 신빙성 있는 과정들이 탁월성들로 간주되고 다른 것들은 그렇지 않다면, 정당화된 믿음들을 산출하는 과정들에 적합한 일반성의 정도를 규명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미래에는 그러한 지적 탁월성들에 대한 설명이 성공적으로 전개될 수 있는지 여부가 보일 것이다. 다음으로, 골드만의 탁월성 신빙론은 우리의 세 가지 표준 문제들 중 다른 두 가지 문제들에 대해 직접적인 해결책들을 허용한다. 사악한-악마 세계와 신빙성 있는 예언의 문제들 말이다. 다음 절에서, 우리는 간략하게 이러한 해결책들을 논의할 것이다.


The Clairvoyance Problem and The Evil-Demon Problem Revisited
천리안 문제와 사악한-악마 문제의 재고

1) Here is how Goldman's virtue approach to reliabilism affords him with a solution to the clairvoyance problem, the problem posed by a subject who possesses the faculty of perfectly reliable clairvoyance. Goldman distinguishes between two kinds of clairvoyance problems: cases in which the subject ignores contrary evidence, and cases in which the subject has no evidence for or against the beliefs his clairvoyance produces. The verdict for the first kind of case is obvious. Since ignoring contrary evidence is on our list of intellectual vices, we are to say that beliefs resulting from perfectly reliable clairvoyance, if undermined by contrary evidence, are unjustified.
1) 여기 신빙론에 대한 골드만의 탁월성 접근법이 그에게 완벽하게 신빙성 있는 천리안 능력을 지닌 주체에 의해 제기되는 천리안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방식이 있다. 골드만은 두 종류의 천리안 문제들을 구별한다. 그 사례들은 주체가 반대 증거를 무시하는 사례들과 주체가 그의 천리안이 산출하는 믿음들을 지지하거나 반대하는 증거를 전혀 가지고 있지 않은 사례들이다. 첫 번째 종류의 사례에 대한 평가는 명백하다. 반대 증거를 무시하는 것은 지적 결함들에 대한 우리의 목록에 있으므로, 우리는 완벽하게 신빙성 있는 천리안으로부터 귀결하는 믿음들이 만일 반대 증거에 의해 약화된다면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말할 것이다.

2) The verdict for the second kind of case depends on whether or not we view clairvoyance as a vice. If we do, then we will say that the belief in question is unjustified. If we don't, then we must acknowledge that no intellectual vices are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the beliefs in question. So in that case there is no basis for saying that the beliefs in question are unjustified. However, provided we don't view clairvoyance as an intellectual virtue, we could say that they are nonjustified.<30>
2) 두 번째 종류의 사례에 대한 평가는 우리가 천리안을 결함으로 간주하는지 아닌지 여부에 달려 있다. 만일 우리가 그렇게 한다면, 우리는 문제가 되는 믿음이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말할 것이다. 만일 우리가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반드시 어떠한 지적 결함들도 문제가 되는 그 믿음의 형성에 포함되지 않음을 인정해야만 한다. 그래서 그 경우 문제가 되는 믿음들이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말할 어떠한 배경도 없다. 그렇지만, 우리가 천리안을 지적 탁월성으로 간주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우리는 그 믿음들이 무정당화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30>

3) Next, let us turn to the question of how Goldman's virtue approach allows him to handle the evil-demon problem. Recall that in an evil-demon world, perception is not a reliable process. But since the deceived subjects have no reason to believe that they are deceived, we judge perceptual beliefs in an evil-demon world to be justified. The point of the evil-demon objection, therefore, is that beliefs can be justified even when they are unreliably produced. Goldman now agrees with this verdict. He writes:

The account predicts that an epistemic evaluator will match the victim's vision-based processes to one (or more) of the items on his list of intellectual virtues, and therefore judge the victim's beliefs to be justified.<31>

But how does this solution to the evil-demon problem square with the fact that we are to discriminate between intellectual virtues and vices using reliability as a criterion? After all, in an evil-demon world, perception is unreliable. Are we not to judge, therefore, that in an evil-demon world, the deceived subject's perceptual beliefs are the result of exercising an intellectual vice?
3) 다음으로, 어떻게 골드만의 탁월성 접근법이 그에게 사악한-악마 문제를 취급하도록 허용하는지에 대한 물음으로 돌아가 보도록 하자. 사악한-악마 세계에서 지각은 신빙성 있는 과정이 아님을 상기하도록 하자. 그러나 기만된 주체들은 그들이 기만당한다고 믿을 아무런 근거도 없으므로, 우리는 사악한-악마 세계 내에서의 지각적 믿음들이 정당화되는 것이라고 판단한다. 그러므로 사악한-악마 반박의 핵심은 믿음들이 설령 신빙성 없이 산출될 때에라도 정당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골드만은 지금 이러한 평가에 동의한다. 그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그 설명은 인식적 평가자가 그 희생자의 시각-기반 과정들을 그의 지적 탁월성들에 대한 목록의 항목들 중 하나 (혹은 그 이상) 에 일치시키는 것, 그러므로 그 희생자의 믿음들이 정당화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예측한다.<31>

그러나 어떻게 사악한-악마 문제에 대한 이러한 해결책이 우리가 기준으로서 신빙성을 사용하는 지적 탁월성들과 결함들을 구별하리라는 사실과 동등하게 되는가? 무엇보다도, 사악한-악마 세계에서, 지각은 신빙성이 없다. 그러므로 우리는 사악한-악마 세계에서, 기만된 주체의 지각적 믿음들이 지적 결함의 행사에 대한 결과라고 판단하지 않을 것인가?

4) Here we must take into account that Goldman assigns a new role to reliability. In virtue reliabilism, it is not de facto reliability that determines whether a cognitive process is virtuous or not, but rather deemed reliability. Consider Goldman's answer to the question of what the basis is for classifying some processes as virtues and others as vices:

Belief-forming processes based on vision, hearing, memory, and ("good") reasoning are deemed virtuous because they (are deemed to) produce a high ratio of true beliefs. Processes like guessing, wishful thinking, and ignoring contrary evidence are deemed vicious, because they (are deemed to) produce a low ratio of true beliefs.<32>

4) 여기에서 우리가 반드시 고려해야만 하는 것은 골드만이 신빙성에 새로운 역할을 부과한다는 것이다. 탁월성 신빙론에 있어서, 한 인지 과정이 탁월한지 아닌지 결정하는 것은 사실에 대한 신빙성이 아니라 오히려 신빙성으로 간주되는 것이다. 일부 과정들을 탁월성들로 그리고 다른 과정들을 결함들로 분류하기 위한 배경이 무엇인지에 대한 물음에 대한 골드만의 답변을 고찰해 보자.

시각, 청각, 기억, 그리고 ("훌륭한") 추론에 기초된 믿음-형성 과정들은 탁월하다고 여겨지는데 왜냐하면 그것들이 참인 믿음들에 대한 높은 비율을 산출하기 (그렇게 여겨지기) 때문이다. 추측, 희망사항, 반대 증거의 무시와 같은 과정들은 결함으로 여겨지는데, 왜냐하면 그것들이 낮은 비율로 참인 믿음들을 산출하기 (그렇게 여겨지기) 때문이다.<32>

5) Given that it is deemed reliability that matters, Goldman's new account yields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which evaluators we consider. Evaluators in the evil-demon world don't know that they are deceived; they deem perceptual processes reliable. Hence they will judge perceptual beliefs in their own world justified. However, how should we judge perceptual beliefs in the evil-demon world? Of course, we deem perceptual processes in our world reliable, and thus consider perception an epistemic virtue. Yet, knowing that in the evil-demon world perception is unreliable, wouldn't we have to consider perception in the evil-demon world and epistemic vice? It would appear, then, that Goldman's theory gives us two responses to the problem of an evil-demon world: one for evaluators in the evil-demon world, and another one for evaluators in our world.
5) 저 문제들이 신빙성으로 여겨진다는 점을 고려하면, 골드만의 새로운 설명은 우리가 고찰하는 평가자들에 의존하는 상이한 결과들을 내놓는다. 사악한-악마 세계 내의 평가자들은 그들이 기만당하고 있음을 모른다; 그들은 지각적 과정들을 신빙성있다고 여긴다. 따라서 그들은 그들 자신들의 세계 내에서 지각적 믿음들을 정당화된다고 판단할 것이다. 그렇지만, 어떻게 우리가 사악한 악마 세계 내의 지각적 믿음들을 판단할 것인가? 물론, 우리는 우리 세계에서의 지각적 과정들을 신빙성있다고 여기며, 따라서 지각을 인식적 탁월성으로 간주한다. 그렇지만, 사악한-악마 세계에서 지각이 신빙성 없음을 알면서, 우리는

6) One crucial element of Goldman's solution to the evil-demon problem, then, is the transition from de facto to deemed reliability as a necessary condition for justification. Let's sum up Goldman's new theory as follows:

Goldman's Virtue Reliabilism
B is justified if and only if B is produced by a cognitive process P such that P is an intellectual virtue and P does not involve any intellectual vice. A cognitive process P is an intellectual virtue if we deem P reliable, and an intellectual vice if we deem it unreliable.


7) One feature of this account is that S's justification for B is dependent on, not what S deems reliable, but what we deem reliable. Hence we get one result if we adopt the point of view of evil-demon victims - for then we deem perception reliable, thus view perception a virtue, and hence judge perceptual beliefs in that world justified - and another one if we adopt our ordinary actual-world perspective - for then we deem perception in the evil-demon world unreliable, thus view perception in the evil-demon world a vice, and hence judge perceptual beliefs in that world unjustified. It is not so clear, therefore, that Goldman's virtue reliabilism offers a satisfactory solution to the problem of an evil-demon world.

8) Another feature of Goldman's new account is that it places no constraints on the reasons for which cognitive processes are deemed reliable or unreliable. What if we were to fail victim to an outbreak of collective madness and deemed the most crazy processes reliable, and thus considered them intellectual virtues? Assuming such a scenario, Goldman's theory would give us manifestly wrong results.<33>

9) In response to these difficulties, we could decide to make S's justification for B dependent on what S herself deems reliable on the basis of adequate evidence. This proposal can be formulated thus:

Evidentailist Virtue Reliabilism
S is justified in believing that p if and noly if S's belief that p is produced by a cognitive process C such that (i) C instantiates an intellectual virtue and (ii) does not instantiate any intellectual vice. A cognitive process C is an intellectual virtue if S has adequate evidence for deeming C reliable, and an intellectual vice if S has adequate evidence for deeming C unreliable.

Evidentialist virtue reliabilism allows for easy solutions to the two standard challenges. In the evil-demon world, the subjects have adequate evidence for deeming perception reliable, for they have no reason to assume that they are being deceived by an evil demon. Consequently, perceptual beliefs in an evil-demon world are justified (provided condition (ii) is met as well). Beliefs resulting from clairvoyance are unjustified if undermined by contrary evidence, for such beliefs don't satisfy condition (ii). But beliefs resulting from clairvoyance where clairvoyance is known to be reliable meet condition (i), and thus qualify as justified (again, provided condition (ii) is met). In general, any belief known to have been produced by a given process - be it clairvoyance, telepathy, or extra sensory perception - counts as justified provided the subject has adequate evidence for taking that process to be reliable.

10) It could be objected, however, that evidentialist virtue reliabilism employs a strange understanding of epistemic virtues. Consider a cognitive faculty that produces wrong results more often than not. Do we really wish to say that such a faculty is an epistemic virtue just because there is evidence for taking the faculty to be reliable when in fact it is not? Consider a related question: Would we say that a person who tries very hard but mostly fails - a person who mostly does the wrong thing but for the right reasons - is a person who has achieved virtue?

11) Furthermore, evidentialist virtue reliabilism has a flaw, that is likely to be unacceptable to reliabilists: the term "evidence" occurs in its analysans. Evidentialist virtue reliabilism fails to satisfy the naturalistic caveat that an analysis of epistemic justification be carried out without the use of epistemic terms. However, as mentioned earlier, it is not so clear that this must really be considered a weakness. Notice that Goldman's virtue reliabilism shares the following feature with his earlier process reliabilism: in order to handle potential counterexamples involving defeating evidence, it must helf itself to evidentialist considerations. According to virtue reliabilism, for a belief to be justified, there must not be any intellectual vices involved in the process that produced it. And among intellectual vices, we find a process such as ignoring contrary evidence. Unless this vice can be described in nonepistemic terms, virtue reliabilism is bound to be an evidentialist theory in any case. We may wonder, why it should be illegitimate to turn the covert appeal to the subject's evidence into an overt one.


<3> The phrase "a belief's being produced by a given process" is meant to include both its being formed and then sustained by that process.

<9> See Maffie (1990), p. 284. According to Maffie, the choice of reliability as a criterion for justification marks the difference between naturalistic and nonnaturalistic theories.

<17> It also implies that all memorial and introspective beliefs are justified, for memory and introspection are, in general, reliable processes.

<19> One strategy for solving the generality problem is to restrict the domain within which cognitive processes are permitted. For example, we could stipulate that only neurophysiological processes count as genuine cognitive processes. The problem with this proposal is that there is little reason to assume that there can't be genuinely neurophysiological OTOPs. Since this objection can be raised against all similar proposals, it doesn't seem that that strategy is a successful one. See Goldman's reply to an objection of Chisholm's (based on the generality problem) in Goldman (1988), p. 55, and Chisholm's rebuttal in Chisholm (1989), p. 79.


-작성중-
Chapter Eight

Reliabilism
신빙론

Process Reliabilism
과정 신빙론

1) Among those who are proponents of reliabilism, Alvin Goldman may be considered the most influential contributor. Let us, therefore, focus on various versions of reliabilism Goldman has proposed in a series of important papers. We shall begin with the account he developed in his 1979 paper "What Is Justified Belief?" in which he introduces the concept of belief-producing or belief-causing processes. As examples of such processes, Goldman mentions the following:

confused reasoning, wishful thinking, reliance on emotional attachment, mere hunch or guesswork, and hasty generalization

which he compares with

perceptual processes, remembering, good reasoning, and introspection.<1>

These two sets of processes differ in the following respect: those in the first group produce beliefs that are mostly false, whereas those in the second group produce beliefs that are mostly true. In short, those in the second group are reliable, while those in the first are not. Goldman's proposal is that

the justification status of a belief is a function of the reliability of the process or processes that cause it, where (as a first approximation) reliability consists in the tendency of a process to produce beliefs that are true rather than false.<2>

In order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this proposal, let us formulate it in the form of a biconditional. Since the items that are supposed to be reliable are belief-producing processes, we shall refer to this particular version of reliabilism as process reliabilism. And for the sake of simplicity, we shall call belief-producing processes cognitive processes.

Process Reliabilism (Initial Version)
S's belief B is justified if and only if B is produced by a reliable cognitive process.<3>

As Goldman himself points out, reliabilism thus understood is vulnerable to objections from evidential defeat. Such objections describe beliefs that, although reliably produced, fail to be justified because the subject has evidence for taking them to be caused by an unreliable process.<4> Suppose Spencer suffers from an apparent memory loss and decides to consult a neurophysiologist about his problem. This neurophysiologist, and eminent authority in his field, tells Spencer that his childhood memories are extremely unreliable.<5> Suppose further that although Spencer's childhood memories are in fact very reliable, Spencer is fully justified in believing the neurophysiologist's assertion to the contrary. The neurophysiologist's verdict defeats the reliability of Spencer's memories as a source of justification, and thus, if Spencer were to retain his beliefs about what happened during his childhood, these beliefs would be unjustified. According to our initial version of process reliabilism, however, they would be justified because they are reliably produced.
1) 신빙론 지지자들 중에서, 아마도 앨빈 골드만이 가장 영향력 있는 기여자로 여겨질 것이다. 그러므로 일련의 중요한 논문들에서 골드만이 제안한 다양한 형태의 신빙론들에 초점을 맞춰 보도록 하자. 우리는 그가 그의 1979년 논문 "정당화된 믿음이란 무엇인가?"에서 전개한 설명을 가지고 시작해야 할 것이다. 그 논문에서 그는 믿음-산출 혹은 믿음-유발 과정들의 개념을 도입한다. 그러한 과정들의 예시들로서 골드만은 다음과 같은 것을 언급한다.

혼란스러운 추론, 희망 사항, 감정적 애착에의 의존, 단순한 예감 또는 짐작, 그리고 성급한 일반화

그러한 것들은 그는 다음의 것들과 비교한다.

지각 과정들, 기억, 훌륭한 추론, 내성.<1>

이러한 두 부류의 과정들은 다음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즉 첫 번째 집단에 속하는 것들은 대부분 거짓인 믿음들을 산출하는 반면, 두 번째 집단에 속하는 것들은 대부분 참인 그러한 믿음들을 산출한다. 간단히, 두 번째 집단에 속하는 것들은 신빙성이 있고, 반면에 첫 번째 집단에 속하는 것들은 그렇지 않다. 골드만의 제안은 다음과 같다.

한 믿음의 정당화상태는 그 믿음을 유발하는 과정 혹은 과정들의 신빙성의 기능이고, 그 과정에서 (일차적인 근사치로서[대략적으로]) 신빙성은 거짓 보다는 참인 믿음들을 산출하는 과정의 경향으로 이루어진다.<2>

이러한 제안의 함축들을 검토하기 위하여, 그 제안을 쌍조건문 형식으로 정식화하도록 하자. 신빙성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항목들은 믿음-산출 과정들이므로, 우리는 이 특수한 형태의 신빙론을 과정 신빙론이라 불러야 할 것이다. 그리고 단순성을 위하여, 우리는 믿음-산출 과정들을 인지 과정들로 불러야 할 것이다.

과정 신빙론 (초기 형태)
S의 B라는 믿음은 정당화된다 iff B는 신빙성 있는 인지 과정에 의해 산출된다.<3>

골드만 자신이 지적하듯, 그와 같이 이해된 신빙론은 증거적 상쇄로부터의 반박들에 취약하다. 그러한 반박들은 주체가 그 믿음들을 신빙성 없는 과정에 의해 야기된 것으로 여길 증거를 지니기 때문에 비록 신빙성있게 산출되었다 할지라도 정당화되지 않는 믿음들을 묘사한다.<4> 스펜서가 기억 상실처럼 여겨지는 것을 겪고 신경생리학자에게 그의 문제에 대한 조언을 듣기로 결심한다고 가정해 보자. 그의 분야에서 저명한 권위자인 이 신경생리학자는 스펜서에게 그의 유년기 기억들이 극도로 신빙성이 없다고 말해준다.<5> 더 나아가서 비록 스펜서의 유년기 기억들이 실은 매우 신빙성이 있다 할지라도, 스펜서가 그 신경생리학자의 반대되는 주장을 믿음에 있어서 충분히 정당화된다고 가정해 보자. 그 신경생리학자의 의견은 정당화의 원천으로서 스펜서의 기억에 대한 신빙성을 상쇄시키고, 따라서, 만일 스펜서가 그의 유년기 동안에 일어났던 일에 대한 그의 믿음들을 견지하게 된다면, 이러한 믿음들은 정당화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과정 신빙론에 대한 우리의 초기 형태에 따르면 그 믿음들은 정당화될 것인데 왜냐하면 그 믿음들이 신빙성있게 산출되기 때문이다.

2) To handle cases of this kind, Goldman introduces a further condition, which is motivated by the idea that "the justificational status of a belief is not only a function of the cognitive processes actually employed in producing it; it is also a function of processes that could and should be employed."<6> Let us amend our initial version of process reliabilism with this condition:

Process Reliabilism (Final Version)
S's belief B is justified if and only if (i) B is produced by a reliable cognitive process; (ii) there is no alternative reliable process available to S that, had it been used by S in addition to the process actually used, would have resulted in S's not forming B.<7>

Let's apply this improved version of process reliabilism to the case involving the neurophysiologist. Suppose Spencer, ignoring the neurophysiologist's verdict, retains his memory beliefs about his childhood. In so doing, he ignores evidence that undermines his beliefs about his childhood. We may say, therefore, that Spencer uses the evidence available to him improperly. As Goldman points out, "the proper use of evidence would be an instance of a reliable process."<8> This process was available to Spencer, but he did not use it, although he could and should have. And had Spencer used this process, he would not have retained his memory beliefs about his childhood. Thus condition (ii) is not satisfied, and we get the correct result: Spencer's memory beliefs about his childhood are unjustified.
2) 이런 종류의 사례들을 다루기 위해, 골드만은 추가적인 조건을 도입한다. 그 조건은 "한 믿음의 정당화적 상태는 단지 실제로 그 믿음을 산출하는 데에 사용된 인지 과정들의 기능만이 아니라 또한 사용될 수 있고 사용되어야 할 과정들의 기능이기도 하다"라는 발상에 의해 동기를 부여받는다.<6> 과정 신빙론에 대한 우리의 초기 형태를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가지고 수정하도록 하자.

과정 신빙론 (최종 형태)
S의 믿음 B는 정당화된다 iff (i) B는 신빙성 있는 인지 과정에 의해 산출된다 (ii) 실제로 사용된 과정에 덧붙여 S에 의해 사용되었더라면 S가 B를 형성하지 않는 결과를 낳았을, S에게 가용한 어떠한 대안적인 신빙성 있는 과정도 없다.<7>

이 개선된 형태의 과정 신빙론을 신경생리학자와 관련된 그 사례에 적용해 보도록 하자. 스펜서가 그 신경생리학자의 견해를 무시하고 그의 유년기에 대한 그의 기억 믿음들을 견지한다고 가정하자. 그렇게 함에 있어서, 그는 그의 유년기에 대한 그의 믿음들을 약화시키는 증거를 무시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아마도 스펜서가 그에게 가용한 증거를 부당하게 사용한다고 말할 것이다. 골드만이 지적하듯, "증거의 적절한 사용은 신빙성 있는 과정의 일례이다."<8> 이 과정은 스펜서에게 가용하였지만, 그는 그 과정을 사용하지 않았다. 비록 그가 사용할 수 있었고 사용해야 했을지라도 말이다. 또 스펜서가 이 과정을 사용했더라면, 그는 그의 유년기에 대한 그의 기억 믿음들을 견지하지 않았을 것이다. 따라서 조건 (ii)는 만족되지 않고, 우리는 정확한 결과를 얻는다. 즉 스펜서의 유년기에 대한 그 자신의 기억 믿음들은 정당화되지 않는다.

3) There are three main objections to process reliabilism. According to the first, there is the possibility of an evil-demon world in which perceptual beliefs are justified although they are unreliably produced. This objection raises the issue of whether reliability is necessary for justification. The second objection presents the challenge of a reliably clairvoyant subject who does not know that he is reliably clairvoyant; his beliefs are supposed to be unjustified even though they are reliably produced. This objection raises the issue of whether reliability is sufficient for justification. And according to the third objection, when we apply process reliabilism to particular cases, it is not possible to specify the relevant cognitive process in a way that is neither too broad nor too narrow. This objection raises what is commonly referred to as the "generality problem."
3) 과정 신빙론에 대한 세 가지 주요 반박들이 있다. 첫 번째 반박에 따르면, 지각적 믿음들이 신빙성 없이 산출된다 할지라도 정당화되는 그러한 사악한-악마의 세계라는 가능성이 있다. 이 반박은 신빙성이 정당성에 필요조건인지에 대한 문제를 야기한다. 두 번째 반박은 그가 신빙성 있는 천리안임을 알지 못하는 신빙성 있는 천리안 주체에 대한 시험을 제시한다. 그의 믿음들은 설령 그 믿음들이 신빙성 있게 산출된다 할지라도 정당화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반박은 신빙성이 정당화의 충분조건인지에 대한 문제를 불러 일으킨다. 세 번째 반박에 따르면, 우리가 특정 사례들에 과정 신빙론을 적용할 때, 너무 광범위하지도 너무 협소하지도 않은 방식으로 관련된 인지 과정을 상술하는 일이 불가능하다. 이 반박은 일반적으로 "일반성 문제"라고 불리우는 문제를 불러온다.


Reliabilism and Naturalistic Epistemology
신빙론과 자연주의 인식론

1) Ever since the work of W. V. Quine gained prominence, the program of naturalizing epistemology - of replacing old-fashioned a priori armchair philosophizing with a new, thoroughly scientific approach - has enjoyed increasing support. In the next chapter, we shall discuss the merits of this project. For our present purposes, what matters is that in proposing his 1979 version of process reliabilism, Goldman intended to advance naturalized epistemology. Process reliabilism is supposed to be a naturalistic theory, one that differs in significant respects from theories advanced within nonnaturalized, traditional theories.<9> What is typical of such theories is that they analyze the nature of justification by employing evidential considerations - that is, by using conditions that are formulated in epistemic terms. Hence Goldman attempts to analyze the concept of epistemic justification without engaging in evidentialist language - that is, without using any epistemic terms such as "reasonable," "certain," or "evident."<10>
1) W. V. 콰인의 작업이 명성을 얻은 이래로, 인식론을 자연화하는 기획 - 구식의 선험적인 탁상공론 철학화를 새로운 철저하게 과학적인 접근으로 대체하는 - 은 지지의 증가를 향유하여 왔다. 다음 장에서, 우리는 이 기획의 이점들을 논의할 것이다. 우리의 현재 의도들로는, 문제는 그의 과정 신빙론의 1979년 판을 제안하면서 골드만이 자연화된 인식론을 제기하고자 하였다는 점이다. 과정 신빙론은 자연주의 이론으로 간주되고, 그것은 비자연화된 전통적 이론들 내에서 개진된 이론들과 중요한 측면들에 있어서 상이한 것이다.<9> 그러한 이론들의 전형적인 점은 그 이론들이 정당화의 본성을 증거적 숙고들을 사용함으로써 분석한다는 점이다 - 즉, 인식적 용어들로 정식화된 조건들을 사용함으로써 말이다. 따라서 골드만은 인식적 정당성 개념을 증거론적 언어에 참여함이 없이 분석하고자 시도한다 - 즉, "합리적," "확실한," 혹은 "증거가 되는" 과 같은 어떠한 인식적 용어들도 사용하지 않고 분석하고자 시도한다.<10>

2) Process reliabilism also differs from traditional theories in being an externalist theory. Recall that according to externalist theories, factors that determine a belief's justificatory status need not be accessible on reflection.<11> From the naturalistic point of view, a theory of justification ought to be externalist, for whether a belief is justified is not, according to naturalized epistemology, a matter the subject can determine on reflection. Rather, it is a scientific matter that must be settled by cognitive scientists and neurophysiologists.
2) 과정 신빙론은 또한 외재주의적 이론이라는 점에서도 전통적 이론들과 차이가 있다. 외재주의 이론들에 따르면 믿음의 정당화 상태를 결정하는 요소들은 숙고에 의해 허용가능할 필요가 없다는 점을 상기해 보자.<11> 자연주의적 관점에서, 정당성에 대한 이론은 외재주의적이어야 하는데, 왜냐하면 한 믿음이 정당화되는지 정당화되지 않는지 여부는 자연주의화된 인식론에 따르면 주체가 숙고를 통해 결정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오히려, 그것은 반드시 인지 과학자들과 신경생리학자들에 의해 결론지어져야만 하는 과학적 문제이다.

3) Why is process reliabilism an externalist theory? It is an externalist theory because whether a given belief is produced by a reliable process is something that can - at least in principle - be found out, given enough time and scientific resources. But it certainly cannot be found out on reflection. Even if on reflection the subject could pin down the cognitive process that produced the belief in question - which is by no means something that should be taken for granted - she would then have to determine whether that process produces mostly true beliefs. This could not be done merely by reflecting on the matter. Rather, an extensive empirical study would be necessary.
3) 어째서 과정 신빙론은 외재주의적 이론인가? 그것이 외재주의적 이론인 까닭은 주어진 믿음이 신빙성 있는 과정에 의해 산출되는지 여부가 - 최소한 원칙적으로는 - 충분한 시간과 과학적 자원들이 주어진다면 밝혀질 수 있는 어떤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것은 확실히 숙고를 통해서는 밝혀질 수 없다. 설령 숙고를 통해 주체가 문제가 되는 믿음을 산출한 인지 과정을 확정지을 수 있다 할지라도 - 그것은 결코 당연스럽게 받아들여져야 할 어떤 것이 아니다 - 그녀는 그 과정이 대체로 참인 믿음들을 산출하는지 여부를 결정해야 할 것이다. 이 일은 단지 그 문제에 대해 숙고하는 것만으로 행해질 수 없을 것이다. 오히려, 대규모의 경험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4) By being a version of externalism, process reliabilism satisfies the demand for naturalization. It is less clear, however, that it satisfies this demand also by avoiding evidentialist language. Indeed, we have already seen that Goldman solves the problem of evidential defeat by appealing to cognitive processes such as properly and improperly using one's evidence. If this difference is not in turn analyzed in nonepistemic terms, it would appear that the intended departure from traditional epistemology was not entirely successful.
4) 외재주의 형태가 됨으로써, 과정 신빙론은 자연주의화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킨다. 그렇지만 그것이 이러한 요구를 또한 증거적 언어를 피함으로써도 만족시키는지는 덜 분명하다. 더욱이, 우리는 이미 골드만이 증거적 상쇄 문제를 한 개인의 적절한 증거사용과 부적절한 증거사용과 같은 인지적 과정들에 호소함으로써 해결하는 것을 보았다. 만일 이러한 차이가 이제 비인식적 용어로 분석되지 않는다면, 전통적 인식론으로부터의 의도된 분리는 전적으로 성공적이지는 못했던 것으로 드러날 것이다.


The Evil-Demon Problem
사악한-악마 문제

1) Perhaps the most formidable difficulty process reliabilism faces comes in the form of cases that challenge the claim that reliability is necessary for justification. The most prominent such case is that of an evil-demon world. Suppose you are the victim of an evil demon: all of your perceptual beliefs are false because the evil demon manipulates your perceptual experiences in such a way that the existence of a physical world appears obvious to you when in fact there is no such world. All that exists are nonphysical minds without bodies, and you are one of them. Your perceptual beliefs are false because the objects your beliefs are about don't exist. For example, when you believe that there is a dog in front of you, your belief is false since, under the circumstances we are imagining, there is no dog before you simply because there are no dogs to begin with.
1) 아마도 과정 신빙론이 직면하는 가장 가공할 만한 난관은 신빙성이 정당화의 필요조건이라는 주장에 도전하는 사례들의 형태로 다가올 것이다. 그러한 사례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사악한-악마 세계의 사례이다. 당신이 사악한 악마의 희생자라고 가정해 보자. 당신의 모든 지각적 믿음들은 거짓인데 왜냐하면 사악한 악마가 당신의 지각 경험들을 사실 어떠한 물리적 세계도 없지만 당신에게는 물리적 세계의 현전이 명백하게 보이는 그러한 방식으로 규정하기 때문이다. 현존하는 모든 것은 실체 없는 비물리적 정신들이고, 당신은 그러한 정신들 중 하나이다. 당신의 지각적 믿음들은 거짓인데 왜냐하면 당신의 믿음들이 그것들에 대한 것인 그 대상들은 현존하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당신이 당신 앞에 개 한 마리가 있다고 믿을 때, 우리가 상상하고 있는 그러한 상황들 아래에서 당신의 믿음은 거짓이므로, 단순히 어떠한 개들도 처음부터 없었기 때문에 당신 앞에도 개라고는 전혀 없다.

2) One crucial assumption we must make here is that the experiences the evil demon induces in you are phenomenally indistinguishable from the experiences you actually have. They are exactly the same type of experiences you would have if you were not deceived by an evil demon, but rather lived a normal life in an ordinary physical world. This assumption is crucial because it provides us with a strong reason for saying that your perceptual beliefs are justified. After all, we ordinarily take ourselves to live in a normal world in which perceptual beliefs are usually justified. Consequently, given that there is no phenomenally discernible difference between your actual perceptual experiences and those you have in the evil-demon scenario, we must take your beliefs in the evil-demon world to be justified as well.
2) 우리가 여기에서 취해야만 하는 한 가지 결정적인 전제는 사악한 악마가 당신에게 촉발시킨 경험들이 현상적으로 당신이 실제로 가지는 경험들과 구별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그 경험들은 만일 당신이 사악한 악마에 의해 기만당하지 않고 오히려 일상적인 물리적 세계 내에서 평범한 삶을 살았더라면 당신이 가졌을 경험들과 정확하게 동일한 유형의 경험들이다. 무엇보다도, 우리는 일상적으로 우리 자신이 지각적 믿음들이 보통 정당화되는 평범한 세계에 살고 있다고 여긴다. 결론적으로, 당신의 실제 지각 경험들과 당신이 사악한-악마의 각본 속에서 지니는 경험들 사이에 현상적으로 식별 가능한 어떠한 차이도 현상적으로 식별 가능한 어떠한 차이도 없다는 것을 고려하면, 우리는 반드시 사악한-악마 세계 속에서 당신의 믿음들이 마찬가지로 정당화되는 것이라 여겨야만 한다.

3) What turns the scenario we are imagining into a difficulty for reliabilism is this: Your perceptual beliefs in the evil-demon world are all false, and thus unreliably produced. Put differently, for an evil-demon victim, perception is not a reliable cognitive process. Thus the perceptual beliefs in the evil-demon world are not produced by a reliable cognitive process. Yet they are justified. The conclusion to be drawn, then, is that reliability is not a necessary ingredient of justification.<12>
3) 우리가 상상하고 있는 그 각본을 신빙론의 난관으로 만드는 것은 이것이다. 즉 사악한-악마 세계에서 당신의 지각적 믿음들은 모두 거짓이고, 따라서 신빙성 없이 산출된다. 달리 말하자면, 사악한-악마의 희생자에 대해서, 지각은 신빙성있는 인지 과정이 아니다. 따라서 사악한-악마 세계에서 지각적 믿음들은 신빙성 있는 인지 과정에 의해 산출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그것들은 정당화된다. 그래서 도출될 결론은 신빙성이 정당화의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라는 것이다.<12>

4) Could the premise that your perceptual beliefs in the actual world are justified be questioned? From a skeptical point of view, they could. However, Goldman explicitly states that process reliabilism is intended to be an account of our ordinary concept of justification.<13> The beliefs that are justified according to reliabilism are therefore expected to coincide roughly with those beliefs that turn out to be justified when we apply our ordinary concept of justification. But if we apply this concept to the evil-demon world, our verdict must be that the perceptual beliefs in this world are (by and large) as much justified as they are in the actual world. For according to our ordinary concept of justification, beliefs based on perceptual evidence are (by and large) justified.
4) 실제 세계에서 당신의 지각적 믿음들이 정당화된다는 전제는 반문될 수 있을 것인가? 회의주의적 관점에서 그럴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골드만은 분명하게 과정 신빙론은 정당화에 대한 우리의 일상 개념에 대한 설명이고자 한다고 진술한다.<13> 신빙론에 따라 정당화되는 믿음들은 그러므로 우리가 우리의 일상적 정당성 개념을 적용할 때 정당화될 것으로 드러나는 그러한 믿음들과 거칠게나마 일치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만일 우리가 이러한 사악한-악마 세계의 개념을 적용한다면, 우리의 평가는 이러한 세계에서의 지각적 믿음들이 (대체로) 실제 세계에서의 믿음들이 정당화되는 만큼 정당화된다는 것이어야만 한다. 왜냐하면 우리의 일상적 정당성 개념에 따르자면, 지각적 증거에 기초된 믿음들은 (대체로) 정당화되기 때문이다.


The Clairvoyance Problem
천리안 문제

1) Is reliable belief production sufficient for justification? The following case is intended to establish that it is not. Suppose Norman enjoys the power of perfectly reliable clairvoyance with respect to the whereabouts of the president.<14> At any given moment, he can tell where the president is located. Furthermore, his clairvoyance normally results in beliefs about the presidnet's whereabouts only if Norman deliberately uses this power. Suppose Norman doesn't know that he has this power, and thus never uses it. On a rare ocasion, he spontaneously comes to believe, on the basis of his clairvoyance, that the president is in New York. Let us suppose further that, according to a news report Norman heard on television, the president is supposed to be receiving senators in the White House that morning. (As a matter of fact, the meetings were canceled and the president is indeed in New York that morning.)
1) 신빙성 있는 믿음 산출은 정당화에 대해 충분조건인가? 다음 사례는 그렇지 않다는 점을 확정짓고자 한다. 노만이란 사람이 대통령의 소재와 관련하여 완벽하게 신빙성 있는 천리안의 능력을 누린다고 가정해 보자.<14> 주어진 어떤 순간에서든, 그는 태통령이 위치한 곳이 어디인지 말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그의 천리안은 통상 오로지 노만이 의식적으로 이 능력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대통령의 소재에 대한 믿음들을 야기한다. 노만이 그가 지닌 능력을 모르고, 따라서 단 한 번도 그 능력을 사용한 적이 없다고 가정해 보자. 우연한 기회로, 그가 자발적으로 그의 천리안에 기초하여 대통령이 뉴욕에 있다고 믿게 된다. 나아가 우리는 노만이 텔레비젼에서 들은 뉴스 보도에 따르면 대통령이 그 날 아침 백악관에서 상원위원들을 접견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고 가정하도록 하자. (사실, 그 회동은 취소되었고 대통령은 실제로 그 날 아침 뉴욕에 있다.)

2) Ex hypothesi, Norman's belief is reliably produced. But is it justified? The news reports provide Norman with evidence against believing that the president is in New York. And since Norman has no other evidence concerning the president's whereabouts, we would have to say that Norman's belief is unjustified even though it is reliably produced. Reliable belief production by itself is not, therefore, sufficient for justification. Process reliabilism as intended by Goldman, however, involves an antidefeat clause. If amended with such a clause, it can handle the case we just considered. When Norman forms the belief that the president is in New York, there is a process available to him that he could and should have used: taking into account contrary evidence. had he used that process, he would not have formed the belief that the president is in New York. Hence process reliabilism gives us the right result: Norman's belief is unjustified.
2) 가정으로부터, 노만의 믿음은 신빙성 있게 산출된다. 그러나 그 믿음은 정당화되는가? 뉴스 보도는 노만에게 대통령이 뉴욕에 있다고 믿는 데에 반대되는 증거를 제공한다. 그리고 노만은 대통령의 소재와 관련하는 다른 어떤 증거도 가지고 있지 못하므로, 우리는 노만의 믿음이 설령 신빙성있게 산출된다 할지라도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말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신빙성 있는 믿음 산출은 그 자체로는 정당화의 충분조건이 아니다. 그렇지만 골드만에 의해 의도된 과정 신빙론은 반상쇄 조항을 포함한다. 만일 그와 같은 항목으로 수정된다면, 그 과정 신빙론은 우리가 방금 고찰한 사례를 취급할 수 있다. 노만이 대통령이 뉴욕에 있다는 믿음을 형성할 때, 그에게 그가 사용할 수 있었고 또 사용했어야 할 가용한 과정이 있다. 그가 그 과정을 사용했었더라면, 그는 대통령이 뉴욕에 있다는 믿음을 형성하지 않았을 것이다. 따라서 과정 신빙론은 우리에게 옳은 결론을 내려준다. 즉 노만의 믿음은 정당화되지 않는다.

3) What is at stake in discussing process reliabilism, then, is not the claim that reliable belief production is sufficient for justification, but rather the claim that undefeated reliable belief production is sufficient for justification. In the example we considered, there is defeating evidence: the news reports according to which the president is receiving senators in the White House that morning. Thus in order for an objection from clairvoyance to produce a genuine challenge to process reliabilism, a different kind of example must be devised. First, the belief in question must be reliably produced. Second, it must be unjustified not because it is undermined by contrary evidence, but rather because the subject has no positive evidence in its support.
3) 그래서 과정 신빙론의 성패는 신빙성 있는 믿음 산출이 정당화의 필요조건이라는 주장이 아니라 오히려 상쇄되지 않는 신빙성 있는 믿음 산출이 정당화에 대한 필요조건이라는 주장에 달려 있다. 우리가 고려하였던 사례에는 상쇄 증거가 있다. 즉 그에 따르면 대통령이 그 날 아침 백악관에서 상원의원을 접견하고 있다는 뉴스 보도이다. 따라서 천리안으로부터의 반박이 과정 신빙론에 대한 진정한 도전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다른 종류의 사례가 반드시 고안되어야만 한다. 우선, 문제가 되는 믿음은 반드시 신빙성 있게 산출되어야만 한다. 둘째, 그 믿음은 반드시 그 믿음이 반대 증거에 의해 약화되기 때문이 아니라 오히려 주체가 그 믿음의 지지에 있어서 아무런 긍정적 증거도 지니지 못하기 때문에 정당화되지 않아야만 한다.

4) It's not so clear, however, that process reliabilism can't handle cases of that kind. For Goldman could say that when S believes something without supporting evidence, there is an available process S could and should have used: taking into account the absence of supporting evidence or, more generally, believing in accord with one's evidence. So Goldman's process reliabilism, if properly applied, implies what it should: that evidentially unsupported beliefs are unjustified.
4) 그렇지만 과정 신빙론이 그런 종류의 사례들을 취급할 수 없으리란 것은 그렇게 분명하진 않다. 왜냐하면 골드만은 S가 지지증거 없이 어떤 것을 믿을 때, S가 사용할 수 있었고 사용했어야 할 가용한 과정이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즉 지지 증거의 부재를 고려려하는 것, 좀 더 일반적으로 말해서 한 개인의 증거에 따라 믿는 것 말이다. 그래서 골드만의 과정 신빙론은 만일 적절하게 적용된다면 어떠해야 할지를 시사한다. 곧 증거적으로 뒷받침되지 않는 믿음들은 정당화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5) Nevertheless, the clairvoyance problem does illuminate a feature of process reliabilism that advocates of naturalistic epistemology must view as a weakness. Process reliabilism is supposed to be a naturalistic theory - a theory that allows us to evaluate beliefs without applying evidentialist considerations. However, when process reliabilism is applied to particular cases, evidentialist considerations make their entry through the backdoor. In order to handle cases in which a reliably produced belief is defeated by contrary evidence, process reliabilists must introduce a process such as taking into account contrary evidence. And in order to handle clairvoyance cases in which supporting evidence is missing, they must appeal to a process such as taking into account the absence of supporting evidence. It could therefore be argued that, to get the right results, process reliabilists must ultimately employ evidentialist considerations. It could be doubted, therefore, that process reliabilism is in fact a genuine alternative to traditional evidentialist theories.
5)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리안 문제는 자연주의 인식론의 지지자들이 반드시 약점으로 간주해야만 하는 과정 신빙론의 특징을 밝혀낸다. 과정 신빙론은 자연주의적 이론인 것으로 생각된다 - 우리에게 증거적 고찰들을 적용하지 않고 믿음들을 평가하도록 허용하는 이론인 것으로 말이다. 그렇지만, 과정 신빙론이 특정한 사례들에 적용될 때, 증거적 고찰들은 뒷문을 통해 그 사례들의 유입을 만든다. 신빙성있게 산출된 믿음이 반대 증거에 의해 상쇄되는 사례들을 다루기 위해, 과정 신빙론자들은 반드시 반대 증거를 고려하는 것과 같은 그러한 과정을 도입해야만 한다. 그리고 지지증거가 생략되어 있는 천리안 사례들을 다루기 위해, 그들은 반드시 지지증거 부재를 고려하는 것과 같은 과정에 호소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옳은 결론을 내리기 위해 과정 신빙론자들은 반드시 궁극적으로 증거적 고찰들을 채용해야만 한다고 주장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과정 신빙론이 사실상 전통적 증거주의적 이론들에 대한 진정한 대안이라는 것은 의심스러울 수 있다.


The Generality Problem
일반성 문제

1) To study the ins and outs of the generality problem, it is best to consider initially a simplified version of reliabilism (let's clal it "simple reliabilism") and to turn at a later point to the more complicated version we discussed above. According to simple reliabilism, a belief's justification is solely a function of the reliability of the process that produced it. But a cognitive process that produces a belief in a particular case exemplifies many different types of cognitive processes. For example, when I look out my office window and see a dog on campus, the cognitive process that produces the belief "There is a dog over there" can be described thus:

(i) perception;
(ii) Vision;
(iii) Vision during daylight;
(iv) Vision during daylight through a pair of correcting lenses;
(v) Visually perceiving a moving object during daylight and through a pair of correcting lenses at a distance of approximately forty feet.

We must, therefore, distinguish between the particular token of a cognitive process that produces a belief in a specific case and the various types of cognitive processes that that token exemplifies. This distinction is important because it is types, not tokens, of cognitive processes that can be said to be reliable or unreliable. In order for a process to be reliable, the tokens that instantiate that process must produce true beliefs most of the time. Hence the particular tokens of a cognitive process type do not themselves have the property of being reliable or unreliable, but rather determine whether that process type is reliable or not.<15>
1) 일반성 문제의 안팎을 상세히 연구하기 위해, 우선 신빙론의 단순화된 형태 (이를 "단순 신빙론"이라 부르도록 하자) 를 고찰하고 이후에 우리가 위에서 논의하였던 더욱 정교화된 형태에 대한 나중 지점으로 돌아서는 것이 최선이다. 단순 신빙론에 따르면, 믿음의 정당화은 오로지 그 믿음을 산출하는 과정의 신빙성의 기능이다. 그러나 특정한 상황에서 믿음을 산출하는 인지적 과정은 여러 상이한 유형의 인지적 과정들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내가 사무실 창을 내다 보다고 캠퍼스의 개 한 마리를 볼 때, "저기 개 한 마리가 있다"라는 믿음을 산출하는 인지적 과정은 다음과 같이 기술될 수 있다.

(i) 지각;
(ii) 시각;
(iii) 햇빛이 비추는 동안의 시각;
(iv) 햇빛이 비추는 동안의 보정렌즈를 통한 시각;
(v) 햇빛이 비추는 동안 보정렌즈를 통해 근사치로 40피트(12.192m) 거리에서 움직이는 물체에 대한 시각적 지각.

그러므로 우리는 반드시 특정 상황에서 믿음을 산출하는 인지 과정의 특수한 생기형(生起型)과 그 생기형이 예화하는 다양한 유형의 인지 과정들을 구별해야만 한다. 이러한 구별은 중요한데 왜냐하면 신빙성 있다거나 없다고 이야기될 수 있는 것은 인지 과정의 유형들이지 생기형들이 아니기 때문이다. 한 과정이 신빙성 있기 위해서, 그 과정을 예증하는 생기형들은 반드시 대부분의 경우 참인 믿음들을 산출해야만 한다. 따라서 인지 과정 유형의 특정 생기형들은 그 자체로는 신빙성 유무의 속성을 지니지 않고, 오히려 그 과정 유형의 신빙성 유무를 결정한다.<15>

2) Goldman himself points out that since process types can be described broadly or narrowly, a serious problem arises: that of how to describe process types in appropriate generality.<16> In order to examine the nature of this problem, let's introduce a belief that is both true and unjustified. Suppose my colleague Edith brought her dog on campus, and the dog ran away. Now she is looking for him, and spotting in the far distance a dog, she believes

(D) There is my dog over there.

Since she doesn't recognize that dog very clearly, her visual evidence doesn't justify her belief, which is in fact an instance of wishful thinking. Thus (D) is unjustified. However, the dog she has spotted is in fact hers. Hence (D) happens to be true. Let's apply to this example simple reliabilism, which asserts:

Simple Reliabilism
Belief B is justified if and only if the process token that produces B instantiates a reliable process type.

Edith's belief is a visual belief. Since vision is a reliable cognitive process, simple reliabilism implies that (D) is justified, when in fact it is not. Hence simple reliabilism doesn't give us the right result for the case we are considering.
2) 골드만 자신은 과정 유형들이 광범위하게나 협소하게 기술될 수 있으므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고 지적한다. 그 문제는 적절한 일반성 내에서 기술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16> 이 문제의 본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참이면서 또한 정당화되지 않은 믿음을 도입해 보도록 하자. 나의 동료 이디트가 학교에 그녀의 개를 데려 왔다가, 그 개가 달아났다고 가정해 보자. 지금 그녀는 그 개를 찾고 있고, 멀리 있는 개 한 마리를 발견하고서 다음과 같이 믿는다.

(D) 저기 내 개가 있다.

그녀는 그 개를 아주 분명하게 재인하지는 못하므로, 그녀의 시각적 증거는 그녀의 믿음을 정당화하지 못하고, 그것은 사실 희망사항의 일례이다. 따라서 (D)는 정당화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그녀가 발견한 그 개가 사실은 그녀의 개이다. 따라서 (D)는 우연히 참이다. 이 예시를 단순 신빙론에 적용해 보자. 단순 신빙론은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단순 신빙론
믿음 B는 정당화된다 iff B를 산출하는 과정 생기형이 신빙성 있는 과정 유형을 예증한다.

에디트의 믿음은 시각적 믿음이다. 시각은 신빙성 있는 인지 과정이므로, 단순 신빙론은 (D)가 사실은 참이 아닌 경우에도 정당화됨을 시사한다. 따라서 단순 신빙론은 우리에게 우리가 고려하고 있는 상황에 대한 옳은 결론을 내려주지 않는다.

3) A natural response to this problem is to demand specification. However, simple reliabilism suffers not only from too much generality but also from too much specificity. Consider the following process type, which makes reference to the identity of the perceiver (Edith N.), and the precise time and place at which the perceiver spots her dog: Edith N. visually perceiving a dog at 3:15 p.m. on June 25, 1994, in front of Office 123 in Brown Hall. This process type is instantiated by one, and only one, process token: namely, the one that leads my colleague to form belief (D). Let us call process types that are instantiated by one, and only one, process token "OTOPs" (one-token-only process types). What is remarkable about OTOPs is this: Whenever the unique token that instantiates an OTOP is true, that OTOP is an example of perfect reliability. For whenever an OTOP leads to a true belief, it isn't instantiated by a single token that leads to a false belief.
3) 이 문제에 대한 자연스러운 응답은 상술을 요구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단순 신빙론은 지나친 일반성으로부터만이 아니라 지나친 상세화로부터도 곤란을 겪는다. 지각자(에디트 N.)의 정체성에 대한 언급과 그 지각자가 그녀의 개를 발견한 정확한 시간과 장소를 만드는 다음과 같은 과정 유형을 고려해 보자. 1994년 6월 25일 오후 3시 15분 브라운 관 123호 사무실 앞에서 한 마리 개를 시각적으로 지각하는 에디트 N.. 이 과정 유형은 오직 단 하나의 과정 생기형에 의해 예증된다. 말하자면, 나의 동료가 (D) 믿음을 형성하도록 이끄는 생기형 말이다. 오직 단 하나의 생기형에 의해서 예증되는 과정 유형들을 "OTOP들" (하나의 생기형뿐인 과정 유형들) 이라고 부르도록 하자. OTOP들에 대해 주목할 점은 이것이다. OTOP를 예증하는 유일한 생기형이 참인 어느 경우에든, 그 OTOP는 완벽한 신빙성의 일례이다. 왜냐하면 OTOP가 참인 믿음으로 이끄는 어느 경우에든, 그 유형은 거짓 믿음으로 이끄는 단일 생기형에 의해 예증되지 않기 때문이다.

4) The problem, then, is to describe the relevant process types in such a way that they are neither too broad nor too specific. Our example of a belief resulting from wishful thinking illustrates that since perception is, in general, a reliable process, without a specification device, process reliabilism implies that all perceptual beliefs are justified.<17> And the threat of OTOPs shows that unless the extent of permissible specification is limited, process reliabilism implies as well that all true beliefs are justified.
4) 그래서 문제는 상관된 과정 유형들을 그것들이 지나치게 광범위하지도 너무 협소하지도 않은 그런 방식으로 기술하는 것이다. 희망사항으로부터 귀결한 믿음에 대한 우리의 사례는 일반적으로 지각이 상술 장치 없이 신빙성 있는 과정이므로, 과정 신빙론은 모든 지각적 믿음들이 정당화된다는 것을 시사한다는 점을 묘사한다.<17> 그리고 OTOP들에 대한 그 위협은 허용 가능한 상술화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 한, 과정 신빙론도 마찬가지로 모든 참인 믿음들은 정당화된다는 점을 시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5) Simple reliabilism also implies that all false beliefs are unjustified. To see why, let's modify our example. Edith perceives the dog clearly and distinctly. The dog, which is in fact someone else's, is an exact look-alike of hers. Since Edith has no reason to suspect this, she is justified in believing (D). Alas, (D) is false. Now, just as in the previous case (where (D) was true) there was an OTOP of perfect reliability, there is now an OTOP of perfect unreliability. The process type Edith N. visually perceiving a dog at 3:15 p.m. on June 25, 1994, in front of Office 123 in Brown Hall is instantiated by exactly one process token - the one that led my colleague to believe (D) - and that token leads to a false belief. This means that the process in question instantiates a perfectly unreliable process type. Hence simple reliabilism gives us the wrong result: Edith's belief is unjustified. Indeed, since every process token leading to a false belief instantiates some OTOP or other, simple reliabilism implies that a belief is unjustified whenever it is false.
5) 단순 신빙론은 또한 모든 거짓 믿음들이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시사한다. 왜 그러한지 보기 위해, 우리의 예시를 수정해 보자. 에디트는 그 개를 분명하고 뚜렷하게 지각한다. 사실 다른 누군가의 개인 그 개는 그녀의 개와 정확히 꼭 닮았다. 에디트는 이렇게 의심할 아무런 근거도 없으므로, 그녀는 (D)를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 안타깝게도, (D)는 거짓이다. 이제, 앞서의 사례 ((D)가 참이었던) 에서 완벽한 신빙성의 OTOP가 있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지금도 완벽하게 신빙성 없는 OTOP가 있다. 1994년 6월 25일 브라운 관 123호 사무실 앞에서 개 한 마리를 시각적으로 지각하는 에디트 N.의 과정 유형은 저확히 하나의 과정 생기형에 의해 예증된다 - 그 생기형은 나의 동료로 하여금 (D)를 믿도록 이끌었다 - . 그리고 그 생기형은 거짓 믿음으로 이끈다. 이것은 문제가 되는 과정이 완벽하게 신빙성 없는 과정 유형을 예증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단순 신빙론은 우리에게 그릇된 결론을 제공한다: 에디트의 믿음은 정당화되지 않는다. 더욱이, 거짓 믿음으로 이끄는 모든 과정 생기형은 그 일부가 OTOP를 예증하거나 혹은 다른 유형을 예증하므로, 단순 신빙론은 한 믿음이 거짓인 그 어느 때에라도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시사한다.

6) In discussing the generality problem, we have thus far only considered a simplified version of reliabilism. It is now time to discuss whether process reliabilism is still vulnerable to the generality problem once it is amended with an antidefeat caluse. (Let's refer to that version of reliabilism as "Goldman's process reliabilism.")

Goldman's Process Reliabilism (GPR)
S's belief B is justified if and only if (i) B is produced by a reliable cognitive process; (ii) there is no alternative reliable process available to S that, had it been used by S in addition to the process actually used, would have resulted in S's not forming B.<18>

GPR does not imply that a belief is justified whenever it is true. For sometimes when S forms a true belief, S ignores contrary evidence that undermines that belief. In such cases, condition (ii) will not be satisfied. However, GPR does imply that a belief is false whenever it is unjustified. As we saw above, for every such belief, there is a perfectly unreliable OTOP that produces it. Hence false beliefs can't satisfy condition (i), and thus are always, according to GPR, unjustified.<19>
6) 일반성 문제를 논의함에 있어서, 우리는 따라서 지극히 오직 단순화된 형태의 신빙론만을 고찰하였다. 이제 과정 신빙론이 반상쇄 조항으로 수정되고 나서도 여전히 일반성 문제에 취약한지 여부를 논의할 때이다. (그러한 형태의 신빙론을 "골드만 과정 신빙론"이라 부르도록 하자.)

골드만 과정 신빙론 (GPR)
S의 믿음 B는 정당화된다 iff (i) B는 신빙성 있는 인지 과정에 의해 산출된다; (ii) S에 의해 실제로 사용된 과정에 추가로 사용되었더라면 S의 B 형성을 귀결하지 않았을 그러한 S에게 가용한 신빙성 있는 어떠한 대안적 과정도 없다.<18>

GPR은 믿음이 참일 때에는 언제든지 정당화된다고 시사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때때로 S가 참인 믿음을 형성할 때, S가 그 믿음을 약화시키는 반대 증거를 무시하기 때문이다. 그런 경우들에 있어서, 조건 (ii)는 만족되지 않을 것이다. 그렇지만, GPR은 한 믿음이 거짓일 때에는 언제라도 정당화되지 않는다는 점을 시사한다. 우리가 위에서 보았던 것처럼, 그러한 모든 믿음들에 대해서, 그 믿음을 산출하는 완벽하게 신빙성 없는 OTOP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거짓 믿음들은 조건 (i)을 만족시킬 수 없고, 그에 따라 GPR에 따르면 언제나 정당화되지 않는다.<19>

-蟲-
Supervenience: The Case for Nondoxastic Justification
수반: 비사견적 정당화의 사례

1) In Chapter 2, we studied what reasons there are for claiming that a belief's justification - a special kind of evaluative status - must supervene on a set of nonevaluative properties. Let's briefly restate the main two points. First, we argued that two beliefs that share their nonnormative properties must share their epistemic properties. This is the view that a belief's epistemic status weakly supervenes on the belief's descriptive nature. Second, we argued that if a belief has the nonnormative properties that make it justified in one possible world, then it is justified in all possible worlds in which it has these nonnormative properties. This is the thesis that a belief's epistemic status strongly supervenes on its descriptive nature.<19>
1) 2장에서, 우리는 믿음의 정당화 - 평가적 상태들 중의 한 특수한 종류 - 가 반드시 일련의 비평가적 속성들에 수반해야만 한다는 주장에 어떠한 근거들이 있는지 연구하였다. 간략하게 두 가지 주요한 점들을 재진술해 보도록 하자. 첫째, 우리는 비평가적 속성들을 공유하는 두 가지 믿음들은 반드시 인식적 속성들을 공유하여야만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것은 믿음의 인식적 상태가 믿음의 기술적 본성에 약하게 수반한다는 관점이다. 둘째로, 우리는 만일 한 믿음이 그 믿음을 하나의 가능세계에서 정당화되도록 만드는 비평가적 속성들을 지닌다면, 그 믿음은 그 믿음이 이러한 비평가적 속성들을 지니는 모든 가능 세계들에서 정당화된다고 주장하였다. 이것은 한 믿음의 인식적 상태가 강력하게 그 기술적 본성에 수반한다는 논지이다.<19>

2) Now, when coherentists make the doxastic move - when they claim that the source of justification is to be found, not in coherence itself, but in beliefs about coherence - then it becomes mysterious how coherentism can be reconciled with the supervenience of epistemic status on nonnormative properties. The reason is as follows.
2) 이제, 정합론자들이 사견적 조치를 만들 때 - 그들이 정당성의 원천은 정합성 자체가 아니라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에서 발견되는 것이라고 주장할 때 - 어떻게 정합론이 비평가적 속성들에 대한 인식적 상태의 수반과 조화될 수 있는지는 이해불가한 것이 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3) Suppose that, as the doxastic move asserts, the source from which a belief receives its justification lies in beliefs about coherence. Clearly, though, it cannot lie in unjustified beliefs about coherence. Rather, if a belief receives its justification from beliefs about coherence, then these further beliefs must be justified in turn. So what coherentism, if it incorporates the doxastic move, tells us, in effect, is that the source of a belief's justification always lies in further justified beliefs about coherence. Consider a particular belief B and assume B is justified. Now, if foundationalists ask a coherentist (who endorses the doxastic move) to say what it is that justifies B, the coherentist would have to answer: B derives its justification from at least one further justified belief about coherence that functions as B's justifying reason. But if the coherentist answers the foundationalists' question in this way, she is explaining one belief's justification in terms of another belief's justification - which is to say, she is failing to make the analytic step from the evaluative level of justification to the domain of those nonevaluative properties that generate justification.<20>
3) 사견적 조치가 주장하듯 믿음이 그 정당성을 받아오는 원천이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에 자리한다고 가정해 보자. 분명히, 그렇다 할지라도, 정당성은 정합성에 대한 정당화되지 않은 믿음들에 자리할 수는 없다. 오히려, 만일 한 믿음이 그 정당성을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로부터 받는다면, 이번에는 다시 이러한 추가적인 믿음들이 반드시 정당화되어야만 한다. 그래서 만일 정합론이 사견적 조치를 포함한다면 그러한 정합론이 우리에게 말해주는 것은 사실상 한 믿음의 정당성의 원천은 언제나 정합성에 대한 추가적인 정당화된 믿음들에 놓인다는 것이다. 특정한 믿음 B를 고려하고 B가 정당화된다고 가정해 보자. 이제, 만일 토대론자들이 한 정합론자에게 (그는 사견적 조치를 지지하는 자이다) 무엇이 B를 정당화하는 것인지 말하도록 요청한다면, 그 정합론자는 다음과 같이 대답해야 할 것이다: B는 그 정당성을 정합성에 대한 최소한 하나의 추가적인 정당화된 믿음, B의 정당화 근거로 기능하는 그러한 정당화된 믿음으로부터 이끌어낸다. 그러나 만일 그 정합론자가 이러한 방식으로 토대론자들의 물음에 대답한다면, 그녀는 한 믿음의 정당성을 다른 믿음의 정당성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 즉 그것은 그녀가 정당성의 평가적 수준으로부터 정당성을 산출하는 그러한 비평가적 속성들의 영역으로 향하는 분석적 단계를 구성하는 데에 실패하고 있다는 말이다.<20>

4) At this juncture, foundationalists will press their point. They will ask the coherentist: "Does epistemic justification ultimately arise from a nonnormative source, or does it not?" If the coherentist remains faithful to the doxastic move, she will say: "No, it does not." In light of our discussion of supervenience in Chapter 2, we must say that this would not be a plausible answer. If, however, the coherentist answers the foundationalists' question by saying "Yes, it does," then, in effect, she abandons the doxastic move and identifies coherence itself, understood as a nonepistemic relation between beliefs, as the ultimate source of justification. And in doing so, she admits in principle that there is such a thing as nondoxastic justification.<21>
4) 이러한 단계에서, 토대론자들은 그들의 관점을 밀어붙일 것이다. 그들은 그 정합론자에게 물을 것이다. "인식적 정당성은 궁극적으로 비평가적 원천으로부터 일어나는가, 아니면 그렇지 않은가?" 만일 그 정합론자가 사견적 조치에 대해 충실하게 남는다면, 그녀는 말할 것이다. "아니다, 그렇지 않다." 2장에서 수반에 대한 우리의 논의에 비추어 볼 때, 우리는 반드시 이것이 그럴 성싶은 대답은 아니리라고 말해야만 한다. 그렇지만 만일 그 정합론자가 토대론자들의 그 물음에 "맞다, 그렇다"라고 말하여 대답한다면, 사실상 그녀는 사견적 조치를 폐기하고 믿음들 사이의 비인식적 관계로 이해되는 정합성 자체를 저당성의 궁극적 원천으로 규정하는 것이다. 그렇게 함에 있어서, 그녀는 원칙적으로 비사견적 정당화와 같은 그런 어떤 것이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다.<21>

5) At the end of the section on Bonjour's argument against nondoxastic justification, we noted that our argument against the possibility of self-justification presupposes a principle that relies on the very intuition that drives Bonjour's argument, The principle is that if a belief doesn't already "have" justification, it can't "give" justification to itself. The underlying intuition, it appears, is that something can justify only if it has justification itself. However, if we accept that a belief's property of being justified supervenes on nonevaluative properties, then we must resist this intuition. And doing so poses no insurmountable obstacle, for we must distinguish between the following two principles:

(A) For any two beliefs B1 and B2, if B1 justifies B2, then B1 must be justified itself.
(B) For any two things x and y, if x is the source of y's justification, then x must be something that has justification itself.

(A), which is the principle we appealed to in our argument against the possibility of self-justification, does not imply principle (B). Principle (A) is about beliefs, which are capable of being justified or unjustified. And the intuition behind (A) is that whatever is capable of being justified must be justified itself in order to justify something else. Principle (B), in contrast, is about anything whatever; it is a principle that includes within its scope things that are incapable of being justified. Clearly, we may maintain that what is capable of being justified must be justified itself in order to justify without also having to maintain that what is incapable of being justified must be justified itself in order to justify. Indeed, if we accept the supervenience thesis about justification, we must view such things as a belief system's coherence and a belief's perceptual ground as sources of justification: as things that can justify but which are not themselves capable of being justified. Hence there is no inconsistency involved, in asserting (A) and rejecting (B).
5) 비사견적 정당성에 반대하는 봉주르의 논증에 대한 절의 마지막 부분에서, 우리는 자기-정당화의 가능성에 반대하여 봉주르의 논증을 이끌어낸 바로 그 직관에 의존하는 원칙, 만일 한 믿음이 이미 정당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그 믿음은 그 자신에게 정당성을 '줄' 수 없다는 원칙을 전제하였다. 그 근저에 놓인 직관은 어떤 것이 정당화를 할 수 있는 것은 오직 그것이 스스로 정당성을 지닐 때에만 가능하다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만일 우리가 한 믿음의 정당화됨이라는 속성이 비평가적 속성들에 수반한다는 점을 받아들인다면, 우리는 반드시 이 직관에 저항해야만 한다. 그리고 그렇게 하는 것은 극복할 수 없는 장애물을 부과하는 것이 아닌데, 왜냐하면 우리는 반드시 다음 두 가지 원칙들을 구분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A) 어떠한 두 가지 믿음 B1과 B2에 대해서도, 만일 B1이 B2를 정당화한다면, B1은 스스로 정당화되어야만 한다.
(B) 어떠한 두 가지 것들 x와 y에 대해서든, 만일 x가 y의 정당성에 대한 원천이라면, x는 반드시 그 자체로 정당성을 갖는 어떤 것이어야만 한다.

자기-정당화 가능성에 반대하는 우리의 논증에 있어서 우리가 호소하였던 원칙인 (A)는 원칙 (B)를 함축하지 않는다. 원칙 (A)는 정당화되거나 정당화되지 않을 수 있는 믿음들에 대한 것이고, (A) 이면의 직관은 정당화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무엇이 되었든지 반드시 다른 어떤 것을 정당화하기 위해서는 그 자체로 정당화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반면에 원칙 (B)는 무엇이 되었든 어떤 것에 대한 것이다. 그것은 그 범위 내에 정당화될 수 있는 능력이 없는 것들을 포함하는 원칙이다. 분명히, 우리는 아마도 정당화되는 능력이 없는 것이 정당화하기 위해 그 자체로 정당화되어야만 한다고 주장해야 할 것 없이도 정당화되는 능력이 있는 것이 정당화하기 위해서 그 자체로 정당화되어야만 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더욱이, 만일 우리가 정당화에 대한 수반 명제를 수용한다면, 우리는 반드시 믿음 체계의 정합성과 믿음의 지각적 근거와 같은 그러한 것들을 정당성의 원천들로 간주해야만 한다. 즉 정당화할 수 있지만 그 자체로 정당화되는 능력은 없는 그러한 것들을 말이다. 따라서 (A)와 (B)를 주장함에 있어서 포함되는 비일관성은 전혀 없다.

6) It would appear, then, that the foundationalist commitment to nondoxastic justification is in good shape after all. It should be seen, however, that the reasoning in support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does not, ipso facto, amount to an argument for foundationalism and against coherentism. For coherentists can admit that there is nondoxastic justification and still maintain that foundationalism and coherentism are mutually incompatible theories. If they were to do so, they would have to claim that there is one, and only one, nondoxastic source of justification: coherence relations among beliefs. In this view, justification is generated through certain nonevaluative relations beliefs bear to other beliefs, and never through relations beliefs bear to things other than beliefs. Now, while there is nothing obviously incoherent about this view, it is unclear what argument can be made in its support. For once it is granted in principle that nondoxastic justification is possible, and indeed necessary if there is justification at all, then it is difficult to see what reason there might be to exclude perceptual, introspective, and memorial states from the club of nondoxastic justifiers.
6) 그래서 비사견적 정당성에 대한 토대론적 전념은 무엇보다도 훌륭한 양태에 속하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 그렇지만 비사견적 정당성의 지지에 있어서의 추론이 결과적으로 토대론을 위하고 정합론에 반대하는 논증이 되지는 않는다는 점이 주시되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정합론자들은 비사견적 정당성이 있다는 점을 인정할 수 있으며 그리고 여전히 토대론과 정합론이 상호 양립불가능한 이론들임을 주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일 그들이 그렇게 한다면, 그들은 정당성에 대해서 하나의 유일한 비사견적 원천만이 있다고 주장해야 할 것이다. 그것은 바로 믿음들 사이의 정합적인 관계들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정당성은 다른 믿음들과 관계하는 믿음들의 특정한 비평가적 관계들을 통하여 산출되며, 결코 믿음들 이외의 다른 어떤 것들에 관계하는 믿음들의 관계들을 통해서는 산출되지 않는다. 이제, 이러한 관점에 대해 명백하게 비정합적인 어떤 것도 없는 반면, 그 관점의 지지에 있어서 어떤 논증이 구성될 수 있는지는 불분명하다. 왜냐하면 만일 정당성이란 게 좌우간 있다면 일단 원칙적으로 비사견적 정당화가 가능하고 더욱이 필요하다고 받아들이고 난 다음에는, 지각적, 내성적, 그리고 기억의 상태들을 비사견적 정당화항들의 집합으로부터 배제시킬 어떤 이유가 있을는지 알아보기란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7) Let us briefly sum up where the debate over foundationalism and coherentism has led us. The debate's starting point is Bonjour's dilemma argument against possibility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Nondoxastic justifiers are either states of awareness, and therefore need to be justified themselves; or they are not states of awareness, and thus, not being capable of being justified themselves, cannot justify anything. The foundationalist reply to this argument is that the second horn of the dilemma is false: nondoxastic states can justify even though they are not states of awareness and thus are not capable of being justified themselves. In support of this claim, foundationalists confront the coherentists with a dilemma objection of their own: Either coherentists admit coherence as a nondoxastic source of justification or they don't. If they do, then it remains mysterious on what grounds they can maintain that there are no sources of justification other than coherence relations among beliefs. If they don't, then they initiate an unacceptable level regress, and furthermore fail to identify the nonevaluative grounds on which justification supervenes.
7) 토대론과 정합론을 둘러싼 논쟁이 우리를 이끌은 곳을 간략하게 정리해 보도록 하자. 그 논쟁의 출발점은 비사견적 정당화 가능성에 반대하는 봉주르의 딜레마 논증이다. 즉 비사견적 정당화항들은 의식의 상태들이고, 그러므로 그 자체로 정당화될 필요가 있거나, 또는 그것들이 의식의 상태들이 아니며, 따라서 그 자체로 정당화될 수 있는 능력이 없고, 어떤 것도 정당화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 논증에 대한 토대론적 응답은 딜레마의 두 번째 항이 거짓이라는 것이다. 즉 비사견적 상태들은 설령 그것들이 의식의 상태가 아니고 따라서 그 자체로 정당화될 수 있는 능력이 없다고 하더라도 정당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을 지지함에 있어서 토대론자들은 그들 고유의 딜레마 반박으로 정합론자들에 맞선다. 즉 정합론자들은 정합성을 정당화의 비사견적 원천으로 인정하든가 그러지 않는다. 만일 그들이 그렇게 한다면, 어떠 근거들에서 그들이 믿음들 사이의 정합적 관계들 이외에 다른 정당성의 어떠한 원천들도 없다고 주장할 수 있는지는 불가해한 것으로 남는다. 만일 그들이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그들은 수용 불가능한 수준 소급에 착수하고 더 나아가 정당성이 그에 수반하는 비평가적 근거들을 규정하는 데에 실패한다.


Lehrer's Coherentism Reconsidered
재고찰된 레러의 정합론

1) In light of the regress problems Bonjour's version of coherentism generates, how does Lehrer's theory fare? As we saw in our examination of the theory in Chapter 5, Lehrer's notion of coherence involves two ingredients: (i) competitors must be beaten; (ii) the subject must take herself to be a trustworthy source of information under the relevant circumstances. Let's summarize Lehrer's coherentism as follows:

(JL) S's acceptance A is justified if and only if (i) in S's acceptance system, all of A's competitors are beaten; (ii) S accepts that she is a trustworthy source of information under the circumsatnces under which A was produced.

Does (JL) generate an infinite level regress? To find that out, we must focus on condition (ii). If condition (ii) is satisfied, then S's belief system contains the meta-acceptance

A*    I am a trustworthy source of information under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A was produced.

How is this meta-acceptance justified in turn? Here is Lehrer's answer to this question:

The claim that I am trustworthy in any particular matter under any special set of circumstances may be justified on the basis of the other things that I accept; I accept that I have had success in reaching the truth about similar matters in similar circumsatnces in the past and that the present circumstances do not differ in any relevant way from past circumstances when I was correct.<22>

This sounds plausible enough, but it does not address the issue that is crucial: in order for A* to be justified, must A* itself meet condition (ii) of (JL)? If it must, then we do get an infinite regress, for then A* must be accompanied by the meta-meta-acceptance

A**    I am a trustworthy source of information under the circumstance under which A* was produced.

which in turn must be accompanied by a meta-meta-meta-acceptance A***, and so forth.
1) 정합론에 대한 봉주르의 방식이 산출하는 소급 문제에 비추어, 레러의 이론은 어떻게 진행되는가? 우리가 5장에서 그 이론에 대한 우리의 검토에서 보았던 것처럼, 정합성에 대한 레러의 관념은 두 가지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i) 경쟁자들은 반드시 격파되어야만 한다; (ii) 주체는 반드시 그녀 자신을 적절한 상황들 아래에서 정보의 신뢰할 만한 원천으로 취해야만 한다. 레러의 정합론을 다음과 같이 요약해 보자:

(JL) S의 A를 수용함은 정당화된다 iff (i) S의 수용 체계에서 A의 모든 경쟁항들은 격파된다; (ii) S는 그녀가 A가 산출된 그러한 상황들 아래에서 정보의 신뢰할 만한 원천임을 수용한다.

(JL)은 무한 수준 소급을 산출하는가? 그것을 알아내기 위해, 우리는 반드시 조건 (ii)에 초점을 맞추어야만 한다. 만일 조건 (ii)가 만족된다면, S의 믿음 체계는 다음과 같은 메타-수용을 포함한다.

A*    나는 A가 산출되었던 그와 같은 상황들 아래에서 정보의 신뢰할 만한 원천이다.

이제 이러한 메타-수용은 어떻게 정당화되는가? 여기 이 물음에 대한 레러의 대답이 있다:

어떤 특수한 일련의 상황들 아래에서 어떤 특정한 문제에 있어서든 내가 신뢰할 만하다는 주장은 내가 수용하는 다른 것들에 기초하여 정당화될 것이다. 나는 과거에 유사한 상황들에서 유사한 문제들에 대해 진리에 도달하는 데에 성공하였었다는 것과 현재 상황들이 내가 옳았던 과거의 상황들과 어떠한 상관된 방식으로도 다르지 않다는 것을 수용한다.<22>

이것은 그럴 성싶게 들리지만 결정적인 문제를 처리하지 못한다. 즉 A*가 정당화되기 위해, A*는 반드시 (JL)의 조건 (ii)를 충족시켜야만 하는가? 만일 반드시 그래야만 한다면, 우리는 무한 소급을 얻게 되는데, 왜냐하면 A*는 반드시 다음과 같은 메타-메타-수용에 의해 동반되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A**    나는 A*가 산출된 그러한 상황들 아래에서 정보의 신뢰할 만한 원천이다.

그것이 이번에는 메타-메타-메타-수용 A***에 의해 반드시 동반되어야만 하고, 그렇게 계속된다.

2) Of course, the infinite regress thus generated is one of acceptances, not of beliefs. We might wonder, therefore, whether an infinite regress of acceptances, unlike one of beliefs, might not be innocuous. Now, according to Lehrer, "the mental state of acceptance is a functional state, one that plays a role in thought, inference, and action."<23> Consequently, if A* must be justified itself, then (JL) implies that every justified acceptance comes accompanied by an infinite series of mental states, each of which plays a role in thought, inference, and action. But it is doubtful, to say the least, that finite minds are capable of having an infinite regress of acceptances is just as pernicious as one of beliefs. Hence, if (JL) generates an infinite regress of meta-acceptances, then it must be viewed as a prescription for skepticism.
2) 물론, 그와 같이 산출된 무한 소급은 믿음들이 아니라 수용들 중의 하나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수용들의 무한소급이 믿음들의 무한소급과 달리 유해하지 않은지[본문 오타 추정] 궁금해할 것이다. 이제, 레러에 따르면 "수용의 정신적 상태는 기능적 상태, 사유, 추론, 행위에서 역할을 수행하는 그러한 기능적 상태이다."<23> 결론적으로, 만일 A*가 그 자체로 반드시 정당화되어야만 한다면, (JL)은 모든 정당화된 수용이, 그 각각이 사유, 추론, 행위에서 역할을 수행하는 정신적 상태들의 무한 연쇄들에 의해 동반되어 나온다는 점을 시사한다. 그러나 적어도 한정된 정신들이 믿음들의 무한 소급과 똑같이 치명적인 수용들의 무한 소급을 가질 능력이 있다는 것은 의심스럽다. 따라서, 만일 (JL)이 메타-수용들의 무한소급을 산출한다면, 그것은 반드시 회의주의에 대한 방안으로 간주되어야만 한다.

3) Lehrer, however, seems to be claiming that A* need not be justified by a meta-acceptance such as A**. Unfortunately, his reasoning behind this claim is not ideally clear. Right after the passage quoted above, he says this:

There is, however, more to the issue. I may accept that my faculties, perception, memory, reasoning, and so forth are trustworthy guides to truth in circumstances of the sort that I find myself in when I accept some claim of those faculties. I must accept, however, that I am trustworthy as well: that when I accept something, that is a good enough reason for thinking it to be true, so that it is at least more reasonable for me to accept it than to accept its denial.<25>

Now, if someone takes herself to be trustworthy in the way suggested in this passage, so Lehrer continues to argue, she accepts the following principle:

(T) Whatever I accept with the objective of accepting something just in case it is true, I accept in a trustworthy manner.<26>

Suppose, then, you take yourself to be a trustworthy source of information, and thus accept (T). How do we get from here to the result that A* need not be justified by a meta-acceptance such as A**? As mentioned above, Lehrer's exposition of this issue fails to make the desired connection ideally clear, but perhaps the following attempt at getting at the gist of his argument is a fair try.
3) 그렇지만 레러는 A*가 A**와 같은 그런 메타-수용에 의해 정당화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불행히도, 이러한 주장 이면의 그의 추론은 이상적으로 분명하진 않다. 위에서 인용된 구절 바로 다음에 그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그렇지만 그 문제에 대한 더 많은 것이 있다. 나는 아마도 나의 능력들, 지각, 기억, 추론 등이 나 자신이 그러한 능력들에 대한 어떤 주장을 수용하는 경우인 그런 종류의 상황들 내에서 진리에 대한 신뢰할 만한 길잡이들임을 수용할 것이다. 그렇지만 나는 반드시 나 자신도 신뢰할 만하다는 점을 수용해야만 한다. 즉 내가 어떤 것을 받아들일 때, 그것이 그 어떤 것을 참이라고 생각할 충분히 훌륭한 근거이기에 최소한 내가 그것을 받아들이는 것이 그것의 부정을 받아들이는 것보다는 더욱 합리적이라는 것을 수용해야만 한다.<25>

이제, 만일 누군가 그녀 자신을 이 구절에서 제시된 방식으로 신뢰할 만하다고 여긴다면, 레러가 그렇게 계속해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그녀는 다음 원칙을 수용한다:

(T) 내가 그것이 참인 바로 그 경우에 어떤 것을 받아들임의 대상을 가지고 수용하는 무엇이든, 나는 신뢰할 만한 방식으로 수용한다.<25>

다음으로 당신이 당신 자신을 정보의 신뢰할 만한 원천으로 여기고 따라서 (T)를 수용한다고 가정해 보자. 우리는 어떻게 이로부터 A*가 A**와 같은 메타-수용에 의해 정당화될 필요가 없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는가? 위에서 언급하였듯, 이 문제에 대한 레러의 설명은 기대된 결합을 이상적으로 분명하게 만드는 데에 실패하지만, 아마도 그의 논증에 대한 요지에 도달하려는 다음과 같은 시도는 정당한 시도일 것이다.

4) To begin with, let us refer to (T) as the global trustworthiness principle, for if you accept (T), then you take yourself to be a trustworthy source of information with respect to all of your cognitive faculties: perception, memory, introspection, and reasoning. The global trustworthiness principle must be distinguished from local trustworthiness claims of the form A*, which are demanded by condition (ii) of (JL). Our problem is to find out precisely how the global trustworthiness principle is supposed to exempt local trustworthiness claims of the form A* from having to meet condition (ii) - that is, from the need to be justified by meta-meta-acceptances of the form A**.
4) 우선, (T)를 전반적 신뢰성 원칙이라 부르기로 하는데, 왜냐하면 만일 당신이 (T)를 받아들인다면, 당신은 당신 자신을 당신의 인지 능력, 즉 지각, 기억, 내성, 추론 전반에 대하여 정보의 신뢰할 만한 원천으로 여길 것이기 때문이다. 전반적 신뢰성 원칙은 (JL)의 조건 (ii)에 의해 요구되는 A* 형식의 국소적 신뢰성 주장들과 반드시 구별되어야만 한다. 우리의 문제는 정확히 어떻게 전반적 신뢰성 원칙이 A* 형식의 국소적 신뢰성 주장들을 조건 (ii)를 충족시켜야 하는 일로부터 - 즉, A** 형식의 메타-메타-수용들에 의해 정당화될 필요로부터 - 면제시키는 것으로 생각되는지 알아내는 것이다.

5) Lehrer's proposal seems to be this: The desired connection is that if you accept the global trustworthiness principle, then whatever you accept is more reasonable than its denial. So if you accept the global trustworthiness principle, then all your local trustworthiness claims of the form A* are more reasonable than their denial. In this way, your local trustworthiness claims acquire a positive epistemic status without owing anything to higher-order acceptance of the form A**.
5) 레러의 제안은 이와 같은 것으로 보인다. 즉 기대되는 결합은 만일 당신이 전반적 신뢰성 원칙을 수용한다면, 당신이 수용하는 무엇이든 그 부정보다 더욱 합리적일 것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만일 당신이 전반적 신뢰성 원칙을 받아들인다면, A* 형식인 당신의 모든 국소적 신뢰성 주장들은 그것들의 부정보다 더욱 합리적이다. 이 방식으로, 당신의 국소적 신뢰성 주장들은 그 어떤 것도 A** 형식의 더 높은 단계의 수용으로부터 빌려오지 않고 긍정적인 인식적 상태를 획득한다.

6) How does this connection make local trustworthiness claims completely justified? After all, the epistemic status they receive from principle (T) is rather modest: (T) makes them merely more reasonable than their denial. Lehrer himself points out that this falls short of full-fledged justification.<27> Recall, however, what Lehrer says in the first passage we quoted above about how

A*    I am a trustworthy source of information under the circumstance under which A was produced

can be justified. According to Lehrer, it can be justified by acceptances such as these:

A1    In the past, I had success in reaching the truth about similar matter A is about under circumstances similar to those under which A was produced;
A2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I was right about these matters in the past don't differ in any relevant way from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A was produced.<28>

Now, the solution to our problem suggests itself. Acceptances such as A1 and A2 lift the epistemic status of A* from that of merely being more reasonable than its denial to that of full-fledged justificaiton. Moreover, the meta-meta-acceptance A** plays no part in how A* acquires this status. We can see, then, how Lehrer manages to produce the rabbit - full-fledged justification for A* - out of the top hat. First, principle (T) endows A* with the status of being more reasonable than its denial. Second, acceptances such as A1 and A2 elevate A*'s status of being more reasonable than its denial all the way up to complete justificaiton. Thus it would appear that Lehrer's theory accomplishes what Bonjour's does not: it makes metajustification a necessary condition of justification without, however, generating an infinite level regress.
6) 이러한 연결이 어떻게 국소적 신뢰성 주장들을 완전히 정당화되도록 만드는가? 무엇보다도, 그 주장들이 원칙 (T)로부터 받아오는 인식적 상태는 오히려 조촐하다: (T)는 그 주장들을 단지 그 부정들보다 더 합리적으로 만들 따름이다. 레러 자신은 이것이 완성된 정당성에는 부족하다고 지적한다.<27> 그렇지만 레러가 우리가 위에서 인용하였던 첫 구절에서 다음에 대해 말한 것을 기억해 보자.

A*    나는 A가 산출된 그러한 상황들 아래에서 정보의 신뢰할 만한 원천이다

이 수용이 어떻게 정당화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말이다. 레러에 따르면, 그것은 이와 같은 수용들에 의해 정당화될 수 있다.

A1    과거, 내가 A가 산출되었던 것과 유사한 상황들 아래에서 A와 유사한 문제들에 대해 진리에 도달함에 있어서 성공하였다;
A2    과거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내가 옳았던 그러한 상황들은 상관된 어떠한 방식에서든 A가 산출되었던 그러한 상황들과 다르지 않다.<28>

이제, 우리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떠오른다. A1과 A2와 같은 수용들은 A*의 인식적 상태를 단지 그 부정보다 더 합리적일 따름인 상태로부터 완성된 정당화의 상태로 끌어 올린다. 더욱이, 메타-메타-수용 A**는 A*가 이러한 상태를 획득하는 방식에 있어서 어떤 부분에서도 역할을 하지 않는다. 그래서 우리는 어떻게 레러가 그 토끼 - A*에 대한 완성된 정당화 - 를 잡을 묘안을 내는 일을 다루는지 볼 수 있다. 우선, 원칙 (T)는 A*에게 그 부정보다 더 합리적이라는 상태를 부여한다. 다음으로, A1과 A2와 같은 수용들이 A*의 그 부정보다 더 합리적이라는 상태를 완결된 정당성으로 완전히 끌어 올린다. 따라서 레러의 이론이 봉주르의 이론은 성취하지 못한 것을 성취하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 즉 그 이론은 메타정당화를 무한 수준 소급을 산출하지 않고 정당성의 필요조건으로 만드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

7) Reviewing this line of argument, we might wonder whether its result isn't too good to be true. Let's reconsider Lehrer's theory:

(JL) S's acceptance A is justified if and only if (i) in S's acceptance system, all of A's competitors are beaten; (ii) S accepts that she is a trustworthy source of information under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A was produced.

According to (JL), for an acceptance to be justified, it must meet condition (ii). As we have seen, if this is upheld for acceptances and meta-acceptances alike, then a pernicious infinite level regress is inevitable. Consequently, the upshot of Lehrer's stroy about principle (T) must be that the meta-acceptances condition (ii) generates can be justified without having to meet condition (ii). But this means that in order to avoid the regress problem, Lehrer's theory of justification splits into two separate accounts: one of first-order acceptances and another of meta-acceptances. Condition (i) is an ingredient of both theories: both acceptances and meta-acceptances are justified only if all of their competitors are beaten. Condition (ii), however, if a level regress is to be avoided, must not be imposed on the justification of meta-acceptances. But now we may wonder why it is that the standard of justification meta-acceptances of the form

A*    I am a trustworthy source of information under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A was produced

must meet is less stringent than the standard of justification first-order acceptances must meet. Why is it that an acceptance such as

(1) There is a book on the desk

must be accompanied by the meta-acceptance

(1*) I am a trustworthy source of information under the circumsatnces under which (1) was produced

whereas this meta-acceptance need not be accompanied by a meta-acceptance about my trustworthiness under the conditions under which it was produced? Why is it that (1) must, whereas (1*) need not, meet condition (ii) in (JL)? Surely we need to know what rationale there is for this difference in treatment of first-order and second-order acceptances.
7) 이 논증 노선을 재고하면서, 우리는 아마도 그 논증의 결론이 참이라기엔 지나치게 좋은 것 아닌가 궁금해할 것이다. 레러의 이론을 재고찰해 보도록 하자.

(JL)  S의 A 수용은 정당화된다 iff (i) S의 수용 체계에서 A의 모든 경쟁항들은 격파된다. (ii) S는 그녀가 A가 산출되었던 그러한 상황들 아래에서 정보의 신뢰할 만한 원천임을 수용한다.

(JL)에 따르면, 수용이 정당화되기 위해, 그 수용은 반드시 조건 (ii)를 충족시켜야만 한다. 우리가 보았듯이, 만일 이것이 수용들과 메타-수용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유지된다면, 치명적인 수준 소급이 불가피하다. 결론적으로, 원칙 (T)에 대한 레러의 이야기에서 결말은 반드시 조건 (ii)가 산출하는 메타-수용들이 조건 (ii)를 충족시켜야 하는 일 없이 정당화될 수 있다는 것이어야만 한다. 그러나 이것은 소급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정당화에 대한 레러의 이론이 두 가지 단절된 설명들로 분열된다는 것을 뜻한다. 첫-단계 수용들에 대한 설명과 메타-수용들에 대한 또 다른 설명으로 말이다. 조건 (i)은 그 두 이론들 모두에 대한 구성요소이다. 수용들과 메타-수용들 모두 오로지 그 수용들의 모든 경쟁수용들이 격파될 때에만 정당화된다. 그렇지만 조건 (ii)는 만일 수준 소급이 회피되어야 하는 것이라면 반드시 메타-수용들의 정당화에는 부과되지 않아야만 한다. 그러나 이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점에 대해 궁금해할 것이다.

A*    나는 A가 산출되었던 그러한 상황들 아래에서 정보의 신뢰할 만한 원천이다

이러한 형식의 메타 수용들이 충족시켜야만 하는 정당화의 표준이 어째서 첫-단계 수용들이 충족시켜야만 하는 정당화의 표준보다 덜 엄격한가 하는 것에 대해서 말이다. 다음과 같은 수용

(1) 책상 위에 책 한 권이 있다

그러한 수용은 반드시 다음과 같은 메타-수용

(1*) 나는 (1)이 산출되는 그러한 상황들 아래에서 정보의 신뢰할 만한 원천이다

이와 같은 메타-수용에 의해 동반되어야만 하는 반면 이 메타-수용은 그것이 산출되었던 그러한 조건들 아래에서 나의 신뢰성에 대한 메타-수용에 의해 동반될 필요가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어째서 (1)은 (JL)의 조건 (ii)를 반드시 충족시켜야만 하는 반면 (1*)는 그럴 필요가 없는 것인가? 확실히 우리는 첫-단계와 2차-단계 수용들의 관리에 있어서 이러한 차이에 대해 어떠한 근거가 있는지 알 필요가 있다.

8) It is in response to this challenge that Lehrer's principle of global trustworthiness is supposed to kick in. (T), making all of my acceptances such that they are more reasonable than their denials, so Lehrer's account would appear to go, exempts (1*) from having to meet condition (ii). But the following question immediately presents itself: Why is it that (T)'s benefits are restricted to meta-acceptances only? Why doesn't (T) exempt (1) as well from metajustification? According to Lehrer, (T) makes all acceptances of the acceptance system of which it is a member more reasonable than their denials. It stands to reason, therefore, that if (T) does have the epistemic effect Lehrer attributes to it, this effect should be the same for first-order and higher-order acceptances alike.
8) 이러한 도전에 응답함에 있어서 레러의 전반적 신뢰성 원칙이 효과를 나타내기 시작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나의 모든 수용들을 그 부정보다는 더욱 합리적인 그러한 것으로 만드는 (T)는 레러의 설명이 그렇게 진행되는 것으로 보일 것과 같이 (1*)로 하여금 조건 (ii)를 충족시켜야 하는 일로부터 면제시킨다. 그러나 다음 물음이 즉각적으로 나타난다. 어째서 (T)의 이점들은 오로지 메타-수용들에만 제한되는가? 어째서 (T)는 (1)도 마찬가지로 메타정당화로부터 면제시키지는 않는가? 레러에 따르면, (T)는 수용 체계의 구성원인 모든 수용들을 그 부정들보다 더욱 합리적으로 만든다. 그러므로 만일 (T)가 레러가 그에 귀속시킨 그러한 인식적 효과를 지닌다면, 이 효과는 높은-단계 수용들에서와 마찬가지로 첫-단계 수용들에 대해서도 동일하여야 할 것이라는 것은 당연하다.

9) Thus Lehrer's different treatment of first-order and second-order acceptances remains unjustified, which means that Lehrer's discrimination in favor of meta-acceptances - their exemption from having to meet condition (ii) - is arbitrary. Lehrer, then, faces an unfortunate dilemma. Either he exempts meta-acceptances from having to meet condition (ii) of (JL) or he does not. If he exempts them, then it becomes unclear why metajustification is necessary for first-order acceptances although it is not for higher-order acceptances. And if he does not exempt them, then a pernicious level regress is inevitable. Therefore it would seem that, in the final analysis, Lehrer's approach to level ascent is no more successful than Bonjour's.
9) 따라서 첫-단계 수용들과 2차-수용들에 대한 레러의 상이한 취급은 정당화되지 않은 채로 남고, 그것은 곧 메타-수용들에 대한 선호에 있어서의 차별 - 그 수용들의 조건 (ii)를 충족시켜야 하는 일로부터의 면책들 - 은 임의적이라는 뜻이다. 그래서 레러는 불운한 딜레마에 직면한다. 그는 메타-수용들을 (JL) 조건 (ii)를 충족시켜야 하는 일로부터 면제시키거나 그러지 않는다. 만일 그가 그것들을 면제시킨다면, 어째서 메타정당화가 높은-단계 수용들에 대해서는 필요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첫-단계 수용들에 대해서는 필요한지 여부는 불분명하게 된다. 그리고 만일 그가 그것들을 면제시키지 않는다면, 치명적 수준 소급이 불가피하다. 그러므로 결국 수준 상승에 대한 레러의 접근법은 봉주르의 것보다 조금도 더 성공적이지 않은 것으로 보일 것이다.


A Final Verdict
최종 평가

1) Coherentism, as a view about the structure of empirical justification, is essentially antifoundationalist. According to Bonjour, foundationalism is false because no belief can be justified without receiving its justification from other beliefs. According to Lehrer, foundationalism is false because no acceptance can be justified without receiving its justification from other acceptances.<29> In addition to its antifoundationalism, coherentism - at least as represented by Bonjour and Lehrer - involves a commitment to level ascent or metajustification. Both Bonjour and Lehrer insist that a belief cannot be justified without an accompanying metajustification: an epistemic evaluation of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belief was formed. Bonjour demands that this evaluation take the form of beliefs, Lehrer that it take the form of acceptances.
1) 경험적 정당화의 구조에 대한 관점으로서 정합론은 본질적으로 반-토대론적이다. 봉주르에 따르면 토대론은 거짓인데 왜냐하면 어떠한 믿음도 그 정당성을 다른 믿음들로부터 받아오지 않고서 정당화될 수 없기 때문이다. 레러에 따르면, 토대론은 거짓인데 왜냐하면 어떠한 수용도 그 정당성을 다른 수용들로부터 받아오지 않고서는 정당화될 수 없기 때문이다.<29> 그 반-토대론에 더하여, 정합론은 - 최소한 봉주르와 레러에 의해 표현되는 것으로서 - 수준 상승 또는 메타정당화에 대한 도입을 포함한다. 봉주르와 레러 모두 한 믿음은 메타정당화 동반 없이 정당화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즉 그 아래에서 그 믿음이 형성되는 그 조건들에 대한 인식적 평가 없이는 불가능하다. 봉주르는 이 평가가 믿음들의 형식을 취할 것을 요구하고, 레러는 수용들의 형식을 취할 것을 요구한다.

2) In this chapter, we have seen that these two ingredients of coherentism - antifoundationalism and the commitment to level ascent - are at variance with each other. Bonjour's and Lehrer's antifoundationalism manifests itself in, and is dependent upon, the conditions they impose on justification. Bonjour demands metabeliefs, Lehrer meta-acceptances, that evaluate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beliefs are formed. It is precisely this demand that makes coherentism antifoundationalist in nature, for if every belief's justification depends on another one that provides metajustification for it, then there can't be any basic beliefs. But these metabeliefs and meta-acceptances must themselves meet the condition Bonjour and Lehrer impose, which is what generates an infinite regress of doxastic levels. The chief problem coherentists face is how to avoid this type of regress.
2) 이 장에서, 우리는 이러한 정합론의 두 구성요소들 - 반-토대론과 수준 상승의 도입 - 이 상충함을 보았다. 봉주르의 반-토대론과 레러의 반-토대론은 그것들이 정당화에 부과하는 조건들로 드러나고 또 그에 의존한다. 그 아래에서 믿음들이 형성되는 상황들을 평가하는 것으로서 봉주르는 메타믿음들을, 레러는 메타-수용들을 요구한다. 그것은 정확히 정합론을 그 본성에 있어서 반-토대론으로 만드는 요구인데, 왜냐하면 만일 모든 믿음의 정당성이 그 믿음에 메타정당성을 제공하는 다른 믿음에 의존한다면, 어떠한 기초적 믿음도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메타믿음들과 메타-수용들은 반드시 그 자체로 봉주르와 레러가 부과한 조건, 사견적 수준들의 무한 소급을 산출하는 조건을 충족시켜야만 한다. 정합론자들이 직면하는 핵심 문제는 어떻게 이러한 유형의 소급을 피하는가 하는 것이다.

3) Since it is Lehrer's and Bonjour's antifoundationalism that is responsible for the regress problems to which their theories succumb, the question we must ask is obvious: Why not retain the second ingredient of coherentism - its commitment to level ascent - but discard the first - its antifoundationalism? Why not demand metajustification without demanding that it take the form of beliefs or acceptances? Indeed, given the seriousness of the regress problems Bonjour and Lehrer face, it would seem reasonable to combine the virtues of both coherentism and foundationalism into a single theory of justification.
3) 레러의 반-토대론과 봉주르의 반-토대론, 그 이론들이 굴복한 소급 문제들에 대해 책임이 있으므로, 우리가 반드시 물어야만 하는 물음은 명백하다. 어째서 정합론의 두 번째 구성요소 - 정합론의 수준 상승 도입 - 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첫 번째 것 - 정합론의 반-토대론 - 을 폐기하지는 않는가? 어째서 메타정당화를 믿음들이나 수용들의 형식을 취할 것을 요구함이 없이 요구하지 않는가? 덧붙여, 봉주르와 레러가 직면한 소급 문제들의 심각성을 고려한다면, 정합론과 토대론의 탁월성들을 정당화에 대한 하나의 단일 이론으로 결합하는 것은 합리적으로 보일 것이다.

4) How could a theory of justification handle the problem of demanding metajustification without generating a level regress? In Chapter 5, we outlined an evidentialist answer to this question. If we want to insist on the importance of metajustification without generating an infinite regress, then we ought to demand no more than this: that for a belief B to be justified, the subject have evidence for taking herself to be reliable under the conditions under which B was formed. But if our view of justification exhibits such modesty - if the demand for metajustification is construed as a demand, not for the formation of metabeliefs, but for the presence of evidence that would justify appropriate metabeliefs if they were formed - the door is opened for what we have called "nondoxastic justification." For then there are no grounds left for opposing the view that if an empirical belief is supported by appropriate perceptual, introspective, or memorial evidence, it can be justified without receiving its justification from any other beliefs or acceptances.
4) 정당화에 대한 하나의 이론이 어떻게 수준 소급을 산출함이 없이 메타정당화를 요구하는 문제를 다룰 수 있을 것인가? 5장에서, 우리는 이 물음에 대한 증거론적 대답을 개괄하였다. 만일 우리가 무한 소급을 산출함이 없이 메타정당화의 중요성을 주장하기를 원한다면, 우리가 요구해야 하는 것은 이 이상의 것이 아니다. 즉 믿음 B가 정당화되기 위해서, 주체는 그녀 자신을 B가 형성되었던 그러한 조건들 아래에서 신빙성있다고 여길 증거를 지닌다. 그러나 만일 우리의 정당화에 대한 관점이 그러한 겸손을 드러내 보인다면 - 만일 메타정당화에 대한 요구가 메타믿음들의 형성에 대한 요구가 아니라 만일 그러한 것들이 형성된다면 그러한 적절한 메타믿음들을 정당화할 그런 증거의 현전에 대한 요구로 해석된다면 - 우리가 "비사견적 정당성"이라 불렀던 것이 들어올 문이 열린다. 만일 경험적 믿음이 적절한 지각, 내성, 또는 기억의 증거에 의해 뒷받침된다면 그 믿음이 그 정당성을 다른 어떤 믿음들이나 수용들로부터도 받지 않고 정당화될 수 있다는 관점에 반대하도록 놓아둘 어떠한 근거들도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5) Our final verdict, then, is that foundationalists and coherentists can mutually benefit from the respective virtues their theories have to offer. Foundationalists, as we saw in Chapter 5, need to appeal to level ascent in order to explain how basic beliefs are justified. And coherentists, as we have seen in this chapter, need to come to terms with nondoxastic justification if they are to tame the regress spirits their antifoundationalism is bound to call up.
5) 그래서 우리의 최종 평가는 토대론자들과 정합론자들이 그들의 이론들이 제공해야 하는 각각의 탁월성들로부터 상호 증진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5장에서 보았던 것과 같은 토대론자들은 어떻게 기초적 믿음들이 정당화되는지 설명하기 위해 수준 상승에 호소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우리가 이 장에서 살펴본 것과 같은 정합론자들은 만일 그들이 그들의 반-토대론이 요청하게끔 묶여있는 그러한 소급적 태도들을 다스리고자 한다면 비사견적 정당성을 받아들이고자 애쓸 필요가 있다.

<4> This is not intended as a defense of consequentialism. Rather, the point is that a Davidson-type objection to consequentialism is not conclusive.
<4> 이것은 결과주의에 대한 옹호로 계획된 것이 아니다. 오히려, 핵심은 결과주의에 대한 데이비슨-유형 반박이 결정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6> In Bonjour (1989b), the argument is spelled out in terms of experiences that are states of awareness and those that are not; in Bonjour (1985), it is formulated in terms of judgmental or cognitive states versus nonjudgmental or noncognitive states.
<6> 봉주르 (1989b)에서, 그 논증은 의식의 상태들인 경험들과 그렇지 않은 경험들로 설명된다. 봉주르 (1985)에서, 그것은 판단적 혹은 인지적 상태 대(對) 비판단적 혹은 비인지적 상태들로 정식화된다.

<7> Bonjour (1985) p. 92. Cf. the following passage on p. 101: "According to a coherence theory of empirical justification, as so far characterized, the epistemic justification of an empirical belief derives entirely from its coherence with the believer's overall system of empirical beliefs…."
<7> 봉주르 (1985) 92쪽. 101쪽 다음 구절 참조. "경험적 정당성에 대한 정합성 이론에 따르면, 지금까지 규정된 바와 같이, 경험적 믿음의 인식적 정당성은 전적으로 그 믿음과 믿는 자의 경험적 믿음들에 대한 전체 체계의 정합성으로부터 유도된다…."

<8> This problem is made worse by the fact that Bonjour endorses foundationalism for beliefs that are justified a priori. See Bonjour (1985), app. A, pp. 191-211. The grounds of the justification for such beliefs must lie either in the nature of the propositions that are believed (their necessity or their axiomatic nature, for example) or in psychological states such as intuitive apprehension or grasp of necessity. What all of these grounds have in common is that they are nondoxastic sources of justification.
<8> 이 문제는 선험적으로 정당화되는 믿음들에 대해서 봉주르가 토대론을 지지한다는 사실에 의해 더욱 심각해진다. 봉주르 (1985), 부록 A 191-211쪽을 보라. 그러한 믿음들에 대한 정당성의 근거들은 반드시 믿어지는 명제들의 본성 (예를 들어 그러한 명제들의 필연성 또는 공리적 본성) 또는 직관적 포착 또는 필연성에 대한 파악과 같은 심리적 상태들에 놓여야만 한다. 이러한 근거들 모두가 공통으로 지니는 것은 그 근거들이 정당성의 비사견적 원천들이라는 점이다.

<10> Note that Bonjour's dilemma argument makes no such discrimination between possible and impossible types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Instead, its point is that nondoxastic justification as such is impossible because what can't be justified itself cannot confer justification.
<10> 봉주르의 딜레마 논증은 비사견적 정당성의 가능한 유형과 불가능한 유형 사이에 그런 어떠한 차별도 만들지 않는다는 점을 주의하라. 대신, 그 논증의 핵심은 엄밀한 의미의 비사견적 정당성이 불가능한데 왜냐하면 그 자체로 정당화될 수 없는 어떤 것은 정당성을 부여할 수도 없기 때문이란 점이다.

<21> One way in which the supervenience thesis is significant then, is that the argument for it is an argument for the existence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See Sosa (1991), pp. 149-164, and Van Cleve (1985).
<21> 수반성 논지가 중요한 그러한 한 가지 방식은 그래서, 수반성에 대한 논증이 비사견적 정당성의 현존에 대한 논증이라는 것이다. 소사 (1991) 149-164쪽, 그리고 반 클리브(1985).

<24> Is it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re could be an actual mental state that plays the functional role of a meta-acceptance at the 5873rd level?
<24> 오천 팔백 일흔 세 번째 단계에서 메타-수용의 기능적 역할을 수행하는 실제의 정신적 상태가 있을 수 있으리라 가정하는 것은 합리적인가?

<28> We might ask how A1 and A2 are justified themselves. The answer is that they are justified if they satisfy the two conditions of (JL): they must beat all of their competitors, and S must accept a meta-acceptance to the effect that she is trustworthy under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she is accepting A1 and A2.
<28> 우리는 아마도 어떻게 A1과 A2가 그 자체로 정당화되는지 물을 것이다. 그 대답은 그것들이 만일 (JL)의 두 조건들을 만족시킨다면 정당화된다는 것이다. 즉 그것들은 반드시 그것들의 모든 경쟁자들을 격파해야만 하고, S는 반드시 그녀가 A1과 A2를 수용하고 있는 그러한 상황들 아래에서 신뢰할 만하다는 취지의 메타-수용을 수용해야만 한다.

<29> However, as we saw in Chapter 6, this argument poses no threat to foundationalism as defined in Chapter 5. A basic belief is one that is justified without owing its justification to any other beliefs. Thus a belief can be basic even if it owes its justification to further acceptances - provided these acceptances are not in turn beliefs.
<29> 그렇지만, 우리가 6장에서 보았던 것처럼, 이 논증은 5장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토대론에 대해 아무런 위협도 제기하지 않는다. 기초적 믿음은 그 정당성을 다른 어떤 믿음들로부터도 빌려오지 않고 정당화되는 믿음이다. 따라서 한 믿음은 설령 그 믿음이 그 정당성을 추가적 수용들 - 제공되는 이러한 수용들이 다시 믿음들에 속하지 않는 - 에게서 빌려온다 할지라도 기초적일 수 있다.

-蟲-
Coherentism and The Regress of Levels
정합론과 수준들의 소급

1) According to the doxastic move, the source from which a justified belief receives its justification consists in beliefs about coherence. Coherentism, if it involves the doxastic move, can therefore be represented thus:

(J) For every belief B that S holds, B is justified if and only if S believes that B coheres with the other beliefs of S's belief system.

Coherentism, thus understood, implies that for every justified belief B, there must be a metabelief B* to the effect that B coheres with the other beliefs of the subject's belief system. So if B is a justified belief of mine and its justification is derived from beliefs about coherence, then I must hold at least one belief B* to the effect that B coheres with my belief system. What, however, about the justification of B* itself? According to (J), the justification of B* has its source in a belief B** to the effect that B* coheres with my belief system. The same is true, of course, of B**, B***, and so on. (J) generates, therefore, an infinite regress of the following kind:

B*    My belief B coheres with my other beliefs.
B**    Belief B* coheres with the rest of my beliefs.
B***    Belief B** coheres with the rest of my beliefs.

About this regress, it is important to notice that it isn't simply an ordinary regress of justifying beliefs; rather, it is a regress that traverses through an infinite series of doxastic levels. B* is a belief about a belief, and thus a metabelief; B** is a belief about a metabelief, and thus a meta-metabelief, and so forth. In this way, the doxastic move generates an infinite hierarchy of doxastic levels.<11>
1) 사견적 조치에 따르면, 정당화된 믿음이 그 정당성을 받아오는 원천은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정합론은 만일 그것이 사견적 조치를 포함한다면 다음과 같이 재진술될 수 있다.

(J) S가 지닌 모든 믿음 B에 대해서, B는 정당화된다 iff S는 B가 S의 믿음체계에 속하는 다른 믿음들과 정합적이라고 믿는다.

그와 같이 이해된 정합론은 모든 정당화된 믿음 B에 대하여, 반드시 B가 주체의 믿음 체계에 속하는 다른 믿음들과 정합적이라는 취지의 메타믿음 B*가 있어야만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래서 만일 B가 나의 믿음들 중 정당화된 믿음이고 그 정당성이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로부터 도출된다면, 나는 반드시 최소한 B가 나의 믿음 체계와 정합적이라는 취지의 믿음 B*를 하나는 가지고 있어야만 한다. 그렇지만 B* 그 자체의 정당성에 대해서는 어떠한가? (J)에 따르면, B*의 정당성은 그 원천을 B*가 나의 믿음 체계에 정합적이라는 취지의 믿음 B** 내에 둔다. 물론 B**, B*** 등에 대해서도 동일한 것이 참이다. 그러므로 (J)는 다음과 같은 종류의 무한 소급을 산출한다.

B*    나의 믿음 B는 나의 다른 믿음들과 정합적이다.
B**    믿음 B*는 나의 나머지 믿음들과 정합적이다.
B***    믿음 B**는 나의 나머지 믿음들과 정합적이다.

이 소급에 대해서, 그것이 단순히 정당화하는 믿음들의 일상적 소급은 아님을 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오히려, 이 소급은 사견적 수준들의 무한한 연쇄를 가로질러 나아간다.  B*는 믿음에 대한 믿음이고, 따라서 메타믿음이다. B**는 메타믿음에 대한 믿음이고, 따라서 메타-메타믿음이며 이렇게 계속해서 나아간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견적 조치는 사견적 수준들의 무한 체계를 산출한다.<11>

2) Such an infinite hierarchy is problematic for two reasons. First, quite early in the regress, such beliefs become too complicated to be comprehended. Just consider what B** amounts to when we let B stand for the belief that there is a book on the desk:

My belief that my belief "There is a book on the desk" coheres with my other beliefs coheres with my other beliefs.

Second, it is impossible for finite minds to hold an infinite series of such beliefs. The doxastic move must be considered, therefore, a prescription for skepticism. Let us see why.
2) 그러한 무한 체계는 두 가지 이유로 문제가 있다. 첫째로, 그 소급의 상당히 이른 지점부터, 그런 믿음들은 파악될 수 없을 만큼 지나치게 복잡해지기 시작한다. 우리가 B를 책상 위에 책 한 권이 있다는 믿음으로 대신하고자 할 때 B**가 무엇이 될지만 고려해 보자.

"책상 위에 책 한 권이 있다"라는 나의 믿음이 나의 다른 믿음들과 정합적이라는 나의 믿음은 나의 다른 믿음들과 정합적이다.

둘째, 유한한 정신들이 그러한 믿음들의 무한 연쇄를 지니는 것은 불가능하다. 사견적 조치는 그러므로 회의주의의 처방으로 간주되어야만 한다. 어째서 그러한지 살펴 보도록 하자.

3) According to the doxastic move, the source from which every justified belief receives its justification consists in beliefs about coherence. In other words, it is a necessary condition of justification that every justified belief B be accompanied by a belief B*, which attributes to B the property of being a member of a coherent system of beliefs. Since each belief attributing this property must itself be accompanied by a belief attributing this property, the doxastic move in effect implies that every justified belief be accompanied by an infinite series of metabeliefs. Since it is impossible for finite minds to form such an infinite series of metabeliefs, the doxastic move imposes a condition on justification finite minds cannot satisfy. Hence humans, falling short of having infinite minds, cannot have justified beliefs.
3) 사견적 조치에 따르면, 모든 정당화된 믿음들이 그 정당성을 받아오는 원천은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로 이루어진다. 달리 말해서, 모든 정당화된 믿음 B는 B에게 믿음들의 정합적 체계에 속하는 구성원이라는 속성원이라는 속성으로 기여하는 믿음 B*에 의해 동반된다는 것이 정당성의 필요조건이다. 이러한 속성에 기여하는 각 믿음은 반드시 그 자체로 이 속성에 기여하는 믿음에 의해 동반되어야만 하므로, 사견적 조치는 사실상 모든 정당화된 믿음이 메타믿음들의 무한 연쇄에 의해 동반됨을 시사한다. 유한한 정신들이 메타믿음들의 그러한 무한 연쇄를 형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사견적 조치는 유한한 정신들이 만족시킬 수 없는 조건을 정당화에 부과한다. 따라서 무한한 정신을 가지기에는 역부족인 인간들은 정당화된 믿음들을 가질 수 없다.

4) Could coherentists reply that the formation of a metabelief of the form "B coheres with my other beliefs" is not really a necessary condition? Of course they could do so, but not without implicitly admitting the possibility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For the point of the doxastic move is to maintain the coherentist position - according to which nondoxastic justification is impossible - without admitting coherence itself as a source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Hence the result the doxastic move is supposed to ensure is this: Every justified belief owes its justification, at least in part, to beliefs about coherence. But as we have seen, this result comes with the price tag of an infinite regress. It is true that this regress can be avoided by abandoning the idea that justification through beliefs about coherence is a necessary ingredient of all justification. However, as soon as that idea is abandoned, the door is opened to let nondoxastic justification in and let it play its proper part within a foundationalist theory.
4) 정합론자들은 "B가 나의 다른 믿음들과 정합적이다"라는 형식의 메타믿음 형성이 실제로는 필요조건이 아니라고 답할 수 있을 것인가? 물론 그들은 그렇게 답할 수 있을 것이지만, 함축적으로 비사견적 정당화의 가능성을 인정함이 없이는 그럴 수 없다. 왜냐하면 사견적 조치의 핵심이 정합론적 입장 - 그에 따르면 비사견적 정당화는 불가능하다 - 을 정합성 자체를 비사견적 정당화의 원천으로 인정함이 없이 견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견적 조치가 보장하는 것으로 가정되는 결과는 이와 같다. 모든 정당화된 믿음들은 그 정당성을 최소한 부분적으로나마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로부터 빌려온다. 그러나 우리가 보았듯이 이러한 결론은 무한 연쇄라는 가격표를 달고 온다. 이 연쇄가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을 통한 정당화가 모든 정당성의 필수 구성요소라는 발상을 폐기함으로써 회피될 수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그 발상이 폐기되자 마자, 비사견적 정당화를 들여 보내고 그 비사견적 정당화를 토대론적 이론 내에서의 그 적절한 부분에서 역할하도록 하는 문이 열린다.


The Bonjourean Level Regress
봉주르적 레벨 소급

1) It is worthwhile to examine precisely how Bonjour's conception of level ascent, which is based on what we have called the "doxastic move," generates an infinite regress. According to Bonjour, basic beliefs are impossible because every justified empirical belief owes its justification to at least two premises, as exhibited in the following schema:

(1) B has feature F.
(2) Beliefs having feature F are very likely to be true.
Therefore:
(3) B is very likely to be true.<12>

This schema is an account of how beliefs receive their justification: a belief is justified if and only if it is supported by premises (1) and (2). While the schema itself is silent as to whether premises (1) and (2) must simply be true or must take the form of actual beliefs, Bonjour is explicit about his view on this matter. He demands that (1) and (2) take the form of actual beliefs. What justifies our beliefs, according to Bonjour, isn't the fact of coherence, but rather our beliefs about coherence.<13>
1) 어떻게 우리가 "사견적 조치"라 불렀던 것에 기초한 봉주르의 수준 소급 개념이 무한 소급을 산출하는지는 검토할 가치가 있다. 봉주르에 따르면, 기초적 믿음들은 불가능한데 왜냐하면 모든 정당화된 경험적 믿음들은 그 정당성을 적어도 두 가지 전제들, 다음 도식에서 표현되는 것과 같은 전제들로부터 빌려온다.

(1) B는 특징 F를 지닌다.
(2) 특징 F를 지니는 믿음들은 매우 참일 성싶다.
그러므로:
(3) B는 매우 참일 성싶다.<12>

이 도식은 어떻게 믿음들이 그 정당성을 받는지에 대한 설명이다. 즉 믿음은 정당화된다 iff 그 믿음이 전제 (1)과 (2)에 의해 뒷받침된다. 그 도식 자체는 전제 (1)과 (2)가 반드시 단순하게 참이어야 하는지 혹은 반드시 실제 믿음들의 형식을 취해야 하는지에 대해 침묵하는 반면, 봉주르는 이 문제에 대한 그의 관점에 대해 분명하다. 그는 (1)과 (2)가 실제 믿음들의 형식을 취할 것을 요구한다. 우리의 믿음들을 정당화하는 것은 봉주르에 따르면 정합성에 대한 사실이 아니라 정합성에 대한 우리의 믿음들이다.<13>

2) Bonjour's schema does not impose as a necessary condition that each justified belief B must be accompanied by an explicit belief to the effect that B coheres with the subject's other beliefs. After all, a subject who does not have the concept of coherence and so could not ask herself whether her belief system enjoys coherence could still believe (1) and (2), and thus believe what in effect amounts to the requisite beliefs about coherence. Nevertheless, Bonjour's schema does generate a regress just as serious as the one we considered above. The point of the displayed schema is this: No belief can be justified unless it is accompanied by further beliefs that are reason for its truth, such as (1) and (2). And clearly these reasons themselves must be justified. Hence (1) and (2) in turn must satisfy Bonjour's schema - which is what generates a level regress.
2) 봉주르의 도식은 필요조건으로서 각각의 정당화된 믿음 B가 반드시 B가 주체의 다른 믿음들과 정합적이라는 취지의 명백한 믿음에 의해 동반되어야만 한다는 점을 부과하지 않는다. 무엇보다도, 정합성의 개념을 지니고 있지 않고 그래서 그녀 스스로 그녀의 믿음 체계가 정합성을 향유하는지 물을 수 없을 그러한 주체도 여전히 (1)과 (2)를 믿을 수 있을 것이며, 따라서 사실상 필요조건이 되는 것은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이라는 것을 믿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봉주르의 도식은 우리가 위에서 고찰하였던 것과 마찬가지로 심각한 소급을 산출한다. 제시된 도식의 핵심은 이것이다. 즉 어떠한 믿음도 (1)과 (2)와 같은 그 믿음의 참에 대해 근거가 되는 추가적 믿음들에 의해 동반되지 않고서는 정당화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명백히 이러한 근거들 자체도 반드시 정당화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1)과 (2)가 이번에는 봉주르의 도식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 그것은 곧 수준 소급을 산출하는 것이다.

3) To see how this goes, let's focus on (1). For the original belief, B, to be justified, (1) must be justified. Consequently, it is a necessary condition of B's justification that the subject form the metabelief

B*    (1) has feature F.

This metabelief, too, must satisfy Bonjour's schema. Thus we are led to a meta-metabelief:

B**    My belief "(1) has feature F" has feature F.

And since this belief as well must satisfy the schema, we get a meta-meta-metabelief B***:

B***    My belief "My belief (1) has feature F has feature F" has feature F.

Each further metabelief in the series must be justified in the same way, and thus an infinite regress of doxastic levels is generated, a regress that is just as pernicious as the one we considered above. Consider the complexity of the metabelief at the thir level, and let the belief to be justified be "There is a book on the table":

My belief that my belief that there is a book on the table has feature F has feature F has feature F.

To impose the formation of an infinite series of such metabeliefs as a necessary condition on justification is to make justification impossible. We are led to conclude, therefore, that Bonjour's doxasticism - his insistence that a belief's justifying grounds must consist in further beliefs - leads straight into the abyss of skepticism about the possibility of justified belief.
3) 이것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보기 위해, (1)에 초점을 맞추어 보자. 본래의 믿음 B가 정당화되기 위해 (1)은 반드시 정당화되어야만 한다. 결론적으로, 주체가 다음과 같은 메타믿음을 형성하는 것이 B의 정당성에 대한 필요조건이다.

B*    (1)은 특징 F를 지닌다.

이러한 메타믿음은 마찬가지로 봉주르의 도식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따라서 우리는 다음의 메타-메타믿음으로 인도된다.

B**    "(1)은 특징 F를 지닌다"라는 나의 믿음은 특징 F를 지닌다.

그리고 이러한 믿음도 또한 그 도식을 반드시 만족시켜야만 하므로, 우리는 메타-메타-메타 믿음 B***를 얻는다:

B***    "(1)이 특징 F를 지닌다는 나의 믿음이 특징 F를 지닌다"라는 나의 믿음은 특징 F를 지닌다.

이 연쇄에서 각각의 추가적인 메타믿음은 반드시 동일한 방식으로 정당화되어야만 하며, 따라서 우리가 위에서 고찰하였던 것과 마찬가지로 치명적인 사견적 수준들의 무한 소급이 산출된다. 정당화될 믿음을 "책상 위에 책 한 권이 있다"라고 치고 세 번째 수준에서 메타믿음의 복잡성을 고찰해 보자.

책상 위에 책 한 권이 있다는 나의 믿음이 특징 F를 지닌다는 나의 믿음이 특징 F를 지닌다는 나의 믿음이 특징 F를 지닌다.

그러한 메타믿음들의 무한 연쇄의 형성을 정당성에 필요조건으로 부과하는 것은 정당화를 불가능하게 만드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봉주르의 사견주의 - 한 믿음의 정당화 근거들은 반드시 추가적 믿음들로 구성되어야만 한다는 그의 주장 - 는 정당화된 믿음의 가능성에 대한 회의주의의 심연으로 곧장 인도한다는 결론을 내리는 쪽으로 이끌린다.

4) In response to this argument, Bonjour has argued that although a justified belief is always justified through further beliefs that are reasons for its truth, these further beliefs need not be metabeliefs.<14> This claim, however, is at odds with Bonjour's own general justificatory schema, which makes the formation of metabeliefs a necessary condition of justification. Now, Bonjour tries to get around this difficulty by conceding that the formation of actual beliefs in the form of premises (1) and (2) is a necessary condition of justification - but not for just any belief, merely for beliefs of a certain kind. Thus, in the following passage, he point out that his schema is intended to require metajustification only for "putatively foundational" beliefs:

It needs to be stressed, however, that the schema was formulated with putatively foundational beliefs, those for which no ordinary inferential justification is offered, in mind and was not necessarily intended to generalize to all cases in which one belief provides a reason for thinking another to be true.<15>

Bonjour proposes, then, that the schema in question is applicable only to those beliefs foundationalists would take to be basic: beliefs for which an "ordinary inferential justification" cannot be offered. Concerning those beliefs for which an ordinary inferential justification can be offered, the beliefs justifying them need not be metabeliefs. Rather, such beliefs can be justified by ordinary reasons that are located at the first level. Thus Bonjour writes:

But what is essential, on my view, is simply that the believer possess such a cogent reason, whatever form it may take…. It is not necessary that a reason for thinking that a belief is likely to be true take the form of a metabelief.<16>

Bonjour, then, distinguishes between two kinds of beliefs: (i) beliefs for which an ordinary inferential justification cannot be offered (the kind of beliefs that foundationalists take to be basic); and (ii) beliefs for which an ordinary inferential jutification can be offered. Let's refer to the former as noninferential and the latter as inferential beliefs. Bonjour maintains that both types of beliefs cannot be justified unless supported by justifying reasons in the form of further beliefs. For noninferential beliefs, these reasons must take the form of metabeliefs, because, as Bonjour concedes, such beliefs must satisfy the schema displayed above. For inferential beliefs, however, justifying reasons need not take the form of metabeliefs. And therefore, according to Bonjour, the problem of the infinite level regress is avoided.
4) 이러한 논증에 응답함에 있어서 봉주르는 비록 정당화된 믿음이 언제나 그 믿음의 참에 대한 근거들이 되는 추가적 믿음들을 통해서 정당화된다 할지라도, 이러한 추가적 믿음들은 메타믿음들일 필요가 없다고 주장해 왔다.<14> 그렇지만 이러한 주장은 메타 믿음들의 형성을 정당화의 필요조건으로 만드는 봉주르 자신의 일반적 정당화 도식과 충돌한다. 이제, 봉주르는 전제 (1)과 (2)의 형식에 있어서 실제적 믿음들의 형성이 정당화의 필요조건임을 인정함으로써 - 그러나 어떤 믿음에 대해서든이 아니라, 특정 종류의 믿음들에 대해서만 - 이와 같은 어려움을 우회하고자 시도한다. 따라서, 다음 구절에서, 그는 그의 도식이 "추정적 토대론적" 믿음들에 대해서만 메타정당성을 요청하는 경향이 있음을 지적한다.

그렇지만 그 도식이 그에 대해 어떠한 일상적인 추론적 정당화도 제공되지 않는 그러한 추정적 토대론적 믿음들을 가지고 정식화되었다는 점은 강조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그 도식이 필연적으로 한 믿음이 또 다른 믿음을 참인 것으로 생각할 이유를 제공하는 모든 경우들에 일반화되는 경향이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15>

그래서 봉주르는 문제가 되는 도식이 오로지 토대론자들이 기초적이라고 간주할 그러한 믿음들에 대해서만 적용가능하다고 제안한다. 즉 "일상적 추론적 정당화"가 그에 대해 제공될 수 없는 그러한 믿음들에 대해서만 말이다. 일상적 추론적 정당화가 그에 대해 제공될 수 없는 그러한 믿음들과 관련하여, 그 믿음들을 정당화하는 믿음들은 메타믿음들일 필요가 없다. 오히려, 그러한 믿음들은 첫 번째 수준에 정위되는 일상적 추론들에 의해 정당화될 수 있다. 따라서 봉주르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그러나 내 관점에서 본질적인 것은 단순히 믿는 사람이 어떤 행태가 되었든지 간에 설득력 있는 그러한 근거를 지닌다는 것이다…. 한 믿음이 참일 성싶다고 생각할 근거가 메타믿음의 형식을 취하는 것이 필연적이지는 않다.<16>

그래서 봉주르는 두 종류의 믿음들을 구분한다: (i) 그에 대해 일상적 추론적 정당화가 제공될 수 없는 그러한 믿음들(토대론자들이 기초적이라고 간주하는 그런 종류의 믿음들), 그리고 (ii) 그에 대해 일상적 추론적 정당화가 제공될 수 있는 그러한 믿음들. 전자를 비추론적 믿음들, 그리고 후자를 추론적 믿음들이라 부르도록 하자. 봉주르는 두 유형의 믿음들 모두 추가적 믿음들의 형식으로 정당화하는 근거들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 한 정당화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비추론적 믿음들에 대해서, 이러한 근거들은 반드시 메타믿음들의 형식을 취해야만 하는데, 왜냐하면 봉주르가 인정하는 바와 같이 그러한 믿음들은 반드시 위에서 제시된 도식을 만족시켜야만 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추론적 믿음들에 대해서 정당화하는 근거들은 메타믿음들의 형식을 취할 필요가 없다. 또한 그러므로 봉주르에 따르면 무한 수준 소급의 문제는 회피된다.

5) It is not difficult to see why this reply enjoys only limited success. Bonjour states explicitly that his schema was formulated with those beliefs in mind that foundationalists take to be basic: cognitively spontaneous beliefs for which an ordinary inferential justification is difficult to come by. His own example of such a belief is "There is a red book on the desk."<17> Now, our beliefs about our physical surroundings are to a very large extent beliefs of this type. If beliefs of this type must satisfy Bonjour's schema, then it follows, becasue of the infinite regress Bonjour's schema generates, that it is impossible for beliefs of this type to be justified. Thus Bonjour's theory leads to a strange consequence: whereas inferential beliefs can be justified, noninferential beliefs such as "There is a red book on the desk" cannot. This is a reversal of what epistemologists have typically thought: that the potential strength of an empirical belief's justification is a function of its proximity to perceptual experience. The closer a belief is connected to perceptual experience, the better its potential for justification, and the further inference removes a belief from justification, the worse its potential for justification. Be this as it may, the implication that cognitively spontaneous beliefs about ordinary physical objects can't be justified should be unacceptable to anyone opposed to skepticism about the possibility of justified belief.
5) 어째서 이러한 응답이 제한적으로만 성공하는지 알아보는 것은 어렵지 않다. 봉주르는 명백하게 그의 도식이 토대론자들이 기초적이라 여긴 그러한 믿음들을 염두에 두고 그와 관련하여 정식화되었다고 진술한다. 즉 그에 대해 일상적 추론적 정당화가 획득되기 어려운 그러한 인지적으로 자발적인 믿음들과 관련된다. 그러한 믿음에 대한 그의 고유한 예시는 "책상 위에 붉은 책 한 권이 있다"이다.<17> 이제, 우리를 둘러싼 물리적인 것들에 대한 우리의 믿음들은 이러한 종류에 속한 아주 대규모의 믿음들이다. 만일 이러한 유형의 믿음들이 반드시 봉주르의 도식을 만족시켜야만 한다면, 봉주르의 도식이 산출하는 무한소급으로 인하여, 이런 유형의 믿음들이 정당화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이 귀결된다. 따라서 봉주르의 이론은 이상한 결론으로 이끈다. 즉 추론적 믿음들은 정당화될 수 있는 반면, "책상 위에 붉은 책 한 권이 있다"와 같은 비추론적 믿음들은 그럴 수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인식론자들이 전형적으로 지니는 사유, 경험적 믿음의 정당화의 잠재적 힘은 그 정당성의 지각적 경험에 대한 근사치의 기능이라는 사유와 반대이다. 한 믿음이 지각적 경험과 더욱 밀접하게 관련될 수록, 그 믿음의 정당화에 대한 잠재적 가능성은 더욱 나아지고, 더 많은 추론이 정당화로부터 믿음을 제거할 수록, 그 믿음의 정당화에 대한 잠재적 가능성은 나빠진다. 그것은 그렇다 치고, 일상적인 물리적 대상들에 대한 인지적으로 자발적인 믿음들이 정당화될 수 없다는 함축은 정당화된 믿음의 가능성에 대한 회의주의에 반대하는 누구에게든 수용불가능한 것이어야 할 것이다.

6) Suppose Bonjour were to say that even as far as noninferential beliefs are concerned, the necessary justifying reasons need not be metabeliefs. In that case, we would have to ask what types of justifying reasons we could possibly find for such beliefs except for reasons such as premises (1) and (2) in Bonjour's schema. After all, Bonjour himself describes the beliefs in question - putatively foundational beliefs - as those for which no ordinary inferential justification can be offered. Hence if Bonjour were to abandon his justificatory schema even for noninferential beliefs, it would remain entirely mysterious how, according to his theory, such beliefs could be justified at all.<18>
6) 봉주르가 비추론적 믿음들이 관계되는 한에서조차, 필연적인 정당화 근거들이 메타믿음들일 필요는 없다고 말하게 된다고 가정해 보자. 그 경우, 우리는 봉주르의 도식에서 전제 (1)과 (2)와 같은 근거들 외에 그러한 믿음들에 대해 우리가 어떤 종류의 근거들을 발견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한지 물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봉주르 자신은 문제는 되는 믿음을  - 추정적 토대론적 믿음들 - 그에 대해 어떠한 일상적인 추론적 정당성도 제공될 수 없는 것으로 기술한다. 따라서 만일 봉주르가 비추론적 믿음들에 대해서조차 그의 정당화 도식을 폐기한다면, 그의 이론에 따라 어떻게 그러한 믿음들이 도대체 정당화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점은 전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것으로 남을 것이다.

7) Thus the objection that Bonjour's doxastic conception of coherentist justification generates an infinite level regress remains in full force at least as far as noninferential beliefs are concerned. The moral of this objection would seem to be this: Either coherentism turns into a version of skepticism with regard to noninferential beliefs, or it is construed as a theory that views coherence itself as a source of justification, and thus allows for nondoxastic justification in principle. This, of course, is a bitter pill for coherentists to swallow, for once the possibility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is conceded, it becomes unclear how they could justify their principled opposition to the foundationalist claim that there are basic beliefs.
7) 따라서 정합론적 정당성에 대한 봉주르의 사견주의적 개념이 무한 수준 소급을 산출한다는 반박은 최소한 비추론적 믿음들과 관계되는 한에서는 강력한 것으로 남는다. 이 반박의 탁월성은 이와 같은 것으로 보일 터이다. 즉 정합론이 비추론적 믿음들과 관련하여 회의주의의 한 형태로 드러나거나, 정합성 자체를 정당성의 원천으로 간주하는 이론으로, 따라서 원칙적으로 비사견적 정당화에 대해 허용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이것은 정합론자가 받아들이기에는 쓰디쓴 약인데, 왜냐하면 일단 비사견적 정당화의 가능성이 인정되고 나면, 어떻게 그들이 기초적 믿음들이 있다는 토대론적 주장에 대한 그들의 원칙적 반대를 정당화할 수 있을 것인지는 불분명해지기 때문이다.

-蟲-
Chapter 7

The Debate Over Foundationalism and Coherentism
토대론과 정합론을 둘러싼 논쟁

Davidson's "Circle of Belief" Argument
데이빗슨의 "믿음 원환" 논증

1) In his paper "The Coherence Theory of Truth and Knowledge," Donald Davidson has formulated an important objection to foundationalism. According to Davidson, advocates of coherentism maintain

that nothing can count as a reason for holding a belief except another belief. Its partisan rejects as unintelligible the request for a ground or source of justification of another ilk.<1>

This passage raises the issue that lies at the heart of the debate over foundationalism and coherentism. According to foundationalists, there is such a thing as nondoxastic justification: justification that has its ground or source in something other than beliefs. Coherentists assert, however, that the source of a belief's justification must always be one or more other beliefs. Davidson sides with the coherentists, on the basis on the following argument:

We have been trying to see it this way: a person has all his beliefs about the world - that is, all his beliefs. How can he tell if they are true, or apt to be true? Only, we have been assuming, by connecting his beliefs to the world, confronting certain of his beliefs with the deliverances of the senses one by one, or perhaps confronting the totality of his beliefs with the tribunal of experience. No such confrontation maeks sense, for of course we can't get outside our skins to find out what is causing the internal happening of which we are aware.<2>

Let us briefly review Davidson's line of argument. What he wants to establish is that a belief's justification must always have its source in other beliefs: the circle-of-belief thesis. This thesis implies, of course, that there is no such thing as nondoxastic justification. Davidson's reason for this thesis is that a confrontation of our beliefs with experience is impossible, for such a confrontation would amount to "getting outside our skins." Consequently, we cannot tell whether a given belief is true by confronting it with an experience, but only by confronting it with other beliefs.
1) 그의 논문 "진리와 앎에 대한 정합성 이론"에서, 도널드 데이빗슨은 토대론에 대한 중요한 반박을 정식화하였다. 데이빗슨에 따르면, 정합론 지지자들은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다른 믿음을 제외하고는 아무것도 한 믿음을 지니는 이유로 간주될 수 없다. 정합론의 지지자들은 또 다른 종류의 정당성의 토대나 원천에 대한 요청을 이해할 수 없는 것으로 거부한다.<1>

이 구절은 토대론과 정합론을 둘러싼 논쟁의 심장부에 놓인 문제를 불러 일으킨다. 토대론자들에 따르면, 비사견적 정당성과 같은 그러한 것이 있다. 즉 그 태도나 원천을 믿음들이 아닌 다른 어떤 것에 두는 정당성이 있다. 그렇지만 정합론자들은 한 믿음에 대한 정당성의 원천은 반드시 언제나 하나 이상의 다른 믿음들이어야만 한다고 단언한다. 데이빗슨은 다음과 같은 논증에 기초하여 정합론자들의 편에 선다.

우리는 그것을 이러한 방식으로 보고자 애써 왔다. 즉 한 사람은 세계에 대한 그의 모든 믿음들을 지닌다 - 즉, 그의 믿음들 모두를 말이다. 어떻게 그가 그 믿음들이 참인지, 혹은 참이기 쉬운지 말할 수 있는가? 우리는 그의 믿음들 중 특정한 믿음에 직면하여 감관들에 속하는 진술들로 하나씩, 혹은 어쩌면 그의 믿음들의 총체성에 직면하여 경험의 법정과 더불어, 오로지 그의 믿음들을 세계에 연결함으로써만, 그렇게 말할 수 있다고 가정해 오고 있다. 그러한 어떤 직면도 말이 되지 않는데, 왜냐하면 물론 우리는 살갗 밖으로 우리가 지각하는 어떤 것의 내적 발생을 야기하고 있는 것을 찾아 나설 수 없기 때문이다.<2>

데이빗슨의 논증노선을 간략히 재검토해 보도록 하자. 그가 확립시키고자 하는 것은 한 믿음의 정당성이 반드시 언제나 그 원천을 다른 믿음들에 두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그것 믿음 원환 논지이다. 이 논지는 물론 비사견적 정당성과 같은 그런 어떠한 것도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논지를 위한 데이빗슨의 근거는 경험을 가지고 우리의 믿음들에 마주함이 불가능한데, 왜냐하면 그러한 직면은 "우리의 피부 밖으로 나가는 일"이 될 터이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주어진 한 믿음이 참인지 여부를 경험을 가지고 그 믿음에 마주함으로써 말할 수는 없고, 오로지 다른 믿음들을 가지고 마주함으로써만 말할 수 있을 따름이다.

2) In reply to Davidson's argument, foundationalists could employ a distinction that was introduced above - that between a belief's property of being justified and a person's act of justifying a belief - and interpret Davidson's argument as being concerned, not with the former, but with the latter.<3> Note that Davidson's argument is about how we can tell whether a belief is true (or false). But if we want to tell whether a belief is true (or false), then we must engage in the activity of justification. For what is involved in telling a particular belief's truth value is asking oneself whether the belief in question is true, and then showing or arguing that it is true (or false).
2) 데이빗슨의 논증에 응답함에 있어서, 토대론자들은 위에서 도입되었던 하나의 구분을 채택할 수 있을 것이다 - 그 구분은 믿음의 정당화됨이라는 속성과 한 믿음을 정당화하는 개인의 행위 사이의 구분이다 - 그리고 데이빗슨의 논증을 전자가 아니라 후자와 관련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3> 데이빗슨의 논증이 우리가 어떻게 한 믿음이 참인지(혹은 거짓인지) 말할 수 있는가의 문제에 대한 것임을 주의하자. 그러나 만일 우리가 한 믿음이 참인지(혹은 거짓인지) 여부를 말하고자 한다면, 우리는 반드시 정당화 활동에 참여해야만 한다. 한 특수한 믿음의 진리치를 말함에 있어서 포함되는 것은 스스로 문제가 되는 믿음이 참인지 자문하여, 그 믿음이 참임을(혹은 거짓임을) 보여주거나 논증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3) Now as far as the activity of justifying one's beliefs is concerned Davidson is certainly right. When we engage in that activity, whatever we say in defense of something we believe would always have to be something else we believe. For example, if I tried to show that my belief "The book in front of me is red" is justified by saying "It looks red to me," then I would be stating just another belief of mine. And if I were to justify my belief that it looks red to me by saying that introspection into one's own perceptual states is a reliable source of information, I would again be stating just another belief. It must be conceded, therefore, that when we engage in argumentation to justify our beliefs and convictions, there is nothing other than our beliefs to go on. Foundationalists should admit, therefore, that as far as the act of justifying one's beliefs is concerned, the circle-of-belief thesis is true.
3) 이제 한 개인의 믿음들을 정당화하는 활동에 관련된 한에서 데이빗슨은 확실히 옳다. 우리가 그 활동에 참여할 때, 우리가 믿는 어떤 것에 대한 옹호로 말하는 그 무엇이 되었든 언제나 우리가 믿는 다른 어떤 것을 지녀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만일 내가 "내 앞의 책은 붉다"라는 믿음이 "그 책이 내게 붉게 보인다"라고 말함으로써 정당화된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노력한다면, 나는 바로 또 다른 나의 믿음을 말하고 있는 것이 될 터이다. 또 만일 내가 그 책이 내게 붉게 보인다는 나의 믿음을 한 개인의 고유한 지각적 상태들에 대한 내성이 정보의 신빙성있는 원천이라고 말함으로써 정당화하려고 한다면, 나는 다시금 전혀 다른 믿음을 진술하고 있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의 믿음들이 계속 나아가리란 것은 인정되어야만 한다. 그러므로 토대론자들은 한 개인의 믿음들을 정당화하는 행위에 관련되는 한에서, 믿음 원환 논지가 참임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4) When foundationalists claim that there is such a thing as nondoxastic justification, however, what they are concerned with is not the act of justifying, but rather the property of being justified and how beliefs acquire that property. Thus they would reply to Davidson's argument that premises that are true about the act of justifying a belief prove nothing regarding a belief's property of being justified. It is one thing for a belief to be justified through a perceptual experience and without the aid of any other beliefs, and quite another to tell whether, or to argue that, a particular belief is thus justified. If one were to do the latter, one would say that the belief in question is jutified through a perceptual experience. Alas, saying that is just stating another belief, and thus one would remain confined within the circle of beliefs. But that doesn't mean that the belief in question enjoys the property of being justified by virtue of that further belief rather than the perceptual experience itself.
4) 그렇지만 토대론자들이 비사견적 정당성과 같은 그런 어떤 것이 있다고 주장할 때 그들이 관심을 갖는 것은 정당화 행위가 아니라 오히려 정당화됨의 속성이고 어떻게 믿음들이 그 속성을 획득하는가 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들은 데이빗슨의 논증에 대해 믿음을 정당화하는 행위에 대해서 참인 전제들은 믿음의 정당화된 속성과 관련한 아무것도 입증하지 않는다고 응답할 것이다. 다른 어떤 믿음들의 도움도 없이 한 믿음이 지각 경험을 통하여 정당화되는 것과, 한 특수한 믿음이 그와 같이 정당화되는지 여부를 말하거나 그러하다고 주장하는 일은 전혀 별개이다. 만일 한 사람이 후자를 행하게 된다면, 그는 문제가 되는 그 믿음이 지각을 통해 정당화된다고 말할 것이다. 아쉽게도, 그렇게 말하는 것은 또 다른 믿음을 진술하는 것뿐이고, 따라서 그는 믿음들의 원환 안에 갇힌 채로 남겨질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그 문제시되는 믿음이 지각적 경험 그 자체보다도 추가적인 믿음에 의해 정당화됨의 속성을 향유한다는 뜻은 아니다.

5) Let us consider an analogy. In ethics, many philosophers endorse a view called "consequentialism": the view that an act's moral status (its property of being right or wrong) is determined by its consequences. Suppose somebody performs an act that is morally wrong because it has bad consequences. Consequentialists would say that the act is wrong whether or not the agent formed any beliefs about the consequences. They would insist that it is the consequences themselves that make the act wrong.
5) 하나의 유추를 고찰해 보도록 하자. 윤리학에 있어서, 다수의 철학자들은 "결과주의"라 불리는 관점을 지지한다: 한 행위의 도덕적 상태 (그 행위의 옳고 그름의 속성) 는 그 행위의 결과들에 의해 결정된다는 관점이다. 누군가 나쁜 결과들을 가져왔기 때문에 도덕적으로 그른 그러한 행위를 수행한다고 가정해 보자. 결과주의자들은 그 행위자가 그 결과들에 대해 어떠한 믿음들을 형성하였던지 간에 그 행위가 그릇되었다고 말할 것이다. 그들은 그 행위를 그른 것으로 만드는 것이 그 결과들 자체라고 주장할 것이다.

6) An objection to consequentialism tailored after Davidson's argument against foundationalism would go like this: When judging the moral status of an act in light of its consequences, we've got nothing to go on except our beliefs about consequences, for we can't "get out of our skins" and ascertain an act's consequences directly. Thus it's unintelligible that an act's moral status can be determined by its consequences, and hence consequentialism is false.
6) 데이빗슨의 토대론에 반대한 논증에 맞아 떨어지는 결과주의에 대한 반박은 이와 같이 진행할 것이다: 한 행위의 도덕적 상태를 그 행위의 결과들의 조명 속에서 판단할 때, 우리는 결과들에 대한 우리의 믿음들을 제외하면 아무것도 진행하지 못하는데, 왜냐하면 우리가 "우리의 피부 밖으로 나갈 수 없고" 한 행위의 결과들을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 행위의 도덕적 상태가 그 행위의 결과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은 이해할 수 없으며, 따라서 결과주의는 거짓이다.

7) Consequentialists would not be impressed by this argument. Their reply would be parallel to the foundationalist rebuttal to Davidson. They would say that we must distinguish between the act of evaluating an act's moral status and how an act acquires its moral status. When we wish to judge whether an act is right or wrong, they would say, we will indeed always be confined within our beliefs about the act's consequences. But this doesn't mean that it's our beliefs about the act's consequences that makes the act right or wrong. Rather, the act is right or wrong depending on its actual consequences, irrespective of what we believe about them.<4>
7) 결과주의자들은 이러한 논증에 의해 충격을 받지 않을 것이다. 그들의 대답은 데이빗슨에 대한 토대론적 반박과 유사할 것이다. 그들은 우리가 한 행위의 도덕적 상태를 판단하는 행위와 한 행위가 그 도덕적 상태를 획득하는 방법을 구분해야만 한다. 우리가 한 행위가 옳은지 혹은 그른지 판단하고자 할 때, 우리는 실로 언제나 그 행위의 결과들에 대한 우리의 믿음들 내부에 갇힐 것이라고 그들은 말할 터이다. 그러나 이것이 그 행위를 옳거나 그른 것으로 만드는 게 그 행위의 결과들에 대한 우리의 믿음들이란 뜻은 아니다. 오히려, 그 행위는 우리가 그 결과들에 대해 믿는 것과 무관하게 그 실제적 결과들에 의존하여 옳거나 그르다.<4>

8) The foundationalist reply to Davidson's argument runs parallel. Foundationalists claim that there is nondoxastic justification: that beliefs can be justified solely through experience. Now when we endeavor to show that a particular belief is justified by a particular experience, then of course whatever we say will represent not the experience itself but a belief about it. But this doesn't mean that it isn't the experience itself that makes the belief justified.
8) 토대론자는 데이비슨의 논증에 대해 유사하게 응답한다. 토대론자들은 비사견적 정당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곧 믿음들이 오로지 경험을 통해서만 정당화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제 우리가 특수한 믿음이 특정한 경험에 의해 정당화된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노력할 때, 물론 우리가 말하는 무엇이든 경험 자체가 아니라 그 경험에 대한 믿음을 표현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이 그 믿음을 정당화되도록 하는 것이 경험 그 자체가 아니라는 뜻은 아니다.

9) Before moving on, we should take note of the fact that the foundationalist reply to Davidson's argument should not be construed as an argument supposed to show that there is such a thing as nondoxastic justification. It does no such thing. Rather, its point is merely to show that Davidson's argument does not succeed in establishing that nondoxastic justification is impossible.
9) 다음으로 넘어가기 전에, 우리는 데이빗슨의 논증에 대한 토대론적 응답이 비사견적 정당성과 같은 그런 것이 있음을 보여주는 일을 뒷받침한 논증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라는 사실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그 응답은 전혀 그런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 응답의 핵심은 단지 데이빗슨의 논증이 비사견적 정당성은 불가능함을 확정짓는 데에 있어서 성공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뿐이다.


Bonjour's Argument Against Nondoxastic Justification
비사견적 정당성에 반대한 봉주르의 논증

1) Next we shall consider an argument of Laurence Bonjour's that, unlike Davidson's, is aimed directly at the viability of basic beliefs.<5> The conclusion of this argument is that a nondoxastic experiential state can't confer on a belief the property of being justified. Thus the maneuver that allows foundationalists to rebut Davidson's argument - that of distinguishing between the act of justifying a belief and the process by which a belief acquires the property of being justified - won't be applicable here. Bonjour's argument must be viewed, therefore, as a serious challenge to the foundationalist claim that there is such a thing as nondoxastic justification. How, then, does Bonjour arrive at the conclusion that there is no such thing?
1) 다음으로 우리는 로렌스 봉주르의 논증을 고찰할 것이다. 데이빗슨과 달리 그의 논증은 기초적 믿음들의 생존가능성을 직접적으로 겨냥한다.<5> 이 논증의 결론은 비사견적 경험적 상태는 믿음에 정당화됨의 속성을 부여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토대론자들에게 데이빗슨의 논증을 반박하도록 허용해주는 방책 - 믿음을 정당화하는 행위와 믿음이 정당화됨의 속성을 획득하는 과정의 구분에 대한 - 은 여기에는 적용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봉주르의 논증은 그러므로 반드시 비사견적 정당성과 같은 그런 것이 있다는 토대론적 주장에 대한 심각한 도전으로 간주되어야만 한다. 그러면 어떻게 봉주르는 그러한 것은 전혀 없다는 결론에 도달하는가?

2) According to Bonjour, the idea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 of justification that is conferred on a belief by an experiential state that is not a state of believing - involves the following dilemma:

The Dilemma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Nondoxastic experiences are either states of awarenes or they are not. If they are states of awareness, then they can justify only if they are justified themselves. If they are not state of awareness, then they can't be justified themselves and thus can't justify any beliefs.<6>

Suppose the first horn of the dilemma is true: nondoxastic experiences are states of awareness. If so, they can't confer justification on beliefs unless they are justified themselves. But this means that they themselves are in need of justification, and thus can't function as regress terminators. So if the first horn of the dilemma is true, beliefs justified through experiences are just as much in need of justification as beliefs justified by other beliefs, and thus cannot be basic.
2) 봉주르에 따르면, 비사견적 정당성의 발상은 - 믿음의 상태가 아닌 경험적 상태에 의해 믿음에 부여되는 정당성에 대한 생각 - 다음 딜레마를 포함한다:

비사견적 정당성의 딜레마
비사견적 경험들은 의식의 상태들이거나 그렇지 않다. 만일 그 경험들이 의식의 상태들이라면, 그 경험들은 오로지 그 경험들이 그 자체로 정당화되는 경우에만 정당화할 수 있다. 만일 그 상태들이 의식의 상태가 아니라면, 그 경험들은 스스로 정당화될 수 없고 따라서 어떤 믿음들도 정당화할 수 없다.<6>

딜레마의 첫 번째 항이 참이라고 가정해 보자: 비사견적 경험들이 의식의 상태들이라고 말이다. 만일 그렇다면, 그 경험들은 그 경험들이 스스로 정당화되지 않는 한 믿음들에 정당성을 부여할 수 없다. 그러나 이것은 그 경험들 자체가 정당성의 결여 상태임을 뜻하며, 따라서 소급 종결자들로서 기능할 수 없다. 그래서 만일 딜레마의 첫 항이 참이라면, 경험들을 통해 정당화된 믿음들은 바로 다른 믿음들에 의해 정당화된 믿음들만큼 정당성이 결여되며, 따라서 기초적일 수 없다.

3) Suppose the second horn of the dilemma is true: nondoxastic experiences are not states of awareness. In that case, they are not the kind of thing that can enjoy justification, just as tables and chairs are not the sort of thing that can. But if nondoxastic experiences can't "have" justification, then they can't "give" justification. Thus if the second horn of the dilemma is true, we get again the consequence that there can't be basic beliefs.
3) 딜레마의 두 번째 항이 참이라고 가정해 보자: 비사견적 경험들은 의식의 상태들이 아니다. 그 경우, 그 경험들은 정당성을 향유할 수 있는 그러한 종류의 것이 아니다. 바로 책상들과 의자들이 그러할 수 있는 그런 종류의 것이 아닌 것처럼 말이다. 그러나 만일 비사견적 경험들이 정당성을 "가질" 수 없다면, 그 경험들은 정당성을 "줄" 수도 없다. 따라서 만일 딜레마의 두 번째 항이 참이라면, 우리는 다시금 기초적 믿음들은 있을 수 없다는 결론을 얻게 된다.

4) In a nutshell, Bonjour's argument asserts this: The idea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poses the problem of having to choose between the two horns of the dilemma, for nondoxastic experiences indeed are either states of awareness or they are not. Second, it is also clear that foundationalists cannot choose the first alternative, for if they did, they could not maintain that basic beliefs can function as regress terminators. Hence, in order to rebut Bonjour's argument, foundationalists must show that the second alternative is acceptable: that nondoxastic states actually can confer on beliefs the property of being justified although they are not themselves the sort of thing that can have that property. In short, they must maintain that nondoxastic states can "give" justification although they can't "have" justification.
4) 분명히 말하자면, 봉주르의 논증은 이와 같이 단언한다: 비사견적 정당성에 대한 발상은 딜레마의 두 항들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는 문제를 제기하는데, 왜냐하면 비사견적 경험들은 참으로 의식의 상태들이거나 그렇지 않거나 둘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토대론자들이 첫 번째 대안을 선택할 수 없다는 점 또한 분명한데, 왜냐하면 만일 그들이 둘째 항을 선택한다면, 그들은 기초적 믿음들이 소급 종결자들로서 기능할 수 있다고 주장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봉주르의 논증을 반박하기 위해, 토대론자들은 반드시 두 번째 대안이 수용가능함을 보여야만 한다: 곧 비사견적 상태들이 비록 그 자체로 정당화됨의 속성을 가질 수 있는 그런 종류의 것은 아니라 할지라도 믿음들에는 그러한 속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어야만 한다. 간단히 말해서, 그들은 비사견적 상태들이 비록 정당성을 "가질" 수 없을지라도 그 정당성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해야만 한다.

5) This seems, at least initially, to be a hopeless task. Recall our earlier argument against the possibility of self-justification. We argued that a belief is either justified to begin with or it is not. If it is, it can't justify itself because it is already justified. And if it isn't, then it can't justify itself because a belief that doesn't "have" justification can't "give" justification to any other belief. Bonjour's verdict about the second horn of the dilemma seems to rest on the same intuition: if nondoxastic states are not capable of "having" justification, they are not capable of "giving" justification. Foundationalists, then, face the task of having to defend the view that a nondoxastic state can manage to justify a belief although it isn't the sort of thing that is capable of being justified itself. In the next section, we shall consider how foundationalists might go about accomplishing this feat.
5) 이것은 최소한 처음에는 희망없는 과업인 듯이 여겨진다. 자기-정당화 가능성에 반대하는 우리의 앞선 논증을 상기해 보자. 우리는 한 믿음은 처음부터 정당화되거나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만일 그 믿음이 정당화되어 있다면, 그 믿음은 그 스스로 정당화할 수 없는데 왜냐하면 그 믿음이 이미 정당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만일 정당화되어 있지 않다면, 그 믿음은 그 자신을 정당화할 수 없는데 왜냐하면 정당성을 "가지지" 않은 한 믿음은 다른 어떠한 믿음에도 정당성을 "줄" 수 없기 때문이다. 딜레마의 두 번째 항에 대한 봉주르의 의견은 동일한 직관에 의존하는 것으로 보인다: 즉 만일 비사견적 상태들이 정당성을 "가질" 능력이 없다면, 그 상태들은 정당성을 "부여할" 능력도 없다. 토대론자들은 그래서 비사견적 상태가 비록 그 자체로 정당화될 능력을 갖춘 그런 종류의 것이 아니라 할지라도 한 믿음을 정당화하는 일을 다룰 수 있다는 관점을 옹호해야 하는 과업에 직면한다. 다음 절에서, 우리는 어떻게 토대론자들이 이러한 위업을 성취하는 데에로 나아가는지 고찰할 것이다.


A Foundationalist Reply to Bonjour's Argument
봉주르의 논증에 대한 토대론적 응답

1) The issue Bonjour's dilemma argument raises is whether a belief's justification can have its source in something that is not itself capable of being justified. Bonjour claims that a belief's justification can't have its source in any such thing. Yet, and this is what foundationalists should say in reply to Bonjour's argument, his own coherentist position appears to presuppose that it can. The central thesis of coherentism, after all, is that beliefs are justified by coherence. As Bonjour puts it: "the justification of a particular empirical belief finally depends … on the overall system and its coherence."<7> A belief system's coherence, however, is not itself something capable of justification. A belief system's coherence can be neither justified nor unjustified; yet, according to Bonjour, it is the very source from which all justified beliefs receive their justification.
1) 봉주르의 딜레마 논증이 야기한 문제는 믿음의 정당성이 그 원천을 그 자체로 정당화될 능력이 없는 어떤 것에 둘 수 있는지 여부이다. 봉주르는 한 믿음의 정당성은 그 원천을 그런 어떤 것에도 둘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것은 봉주르의 논증에 대해 답함에 있어서 토대론자들이 말해야 할 것, 즉 그 자신의 정합론적 입장이 그것이 가능함을 가정하는 것으로 드러난다는 것이다. 정합론의 중심 논지는 무엇보다도 믿음들이 정합성에 의해 정당화된다는 것이다. 봉주르가 말하듯 그것은 "특수한 경험적 믿음의 정당성은 결국 … 전반적인 체계와 그 믿음의 정합성에 의존한다."<7> 그렇지만 한 믿음 체계의 정합성은 그 자체로는 정당화의 능력이 있는 어떤 것이 아니다. 믿음 체계의 정합성은 정당화될 수도 정당화되지 않을 수도 없다; 그런데도 봉주르에 따르면 그 정합성이 바로 모든 정당화된 믿음들이 그 정당성을 받는 원천이다.

2) Thus it would appear that coherentists themselves countenance a nondoxastic source of justification, to wit, coherence. But then they are in no position to reject foundationalism on the ground that nondoxastic justification through experiential states is impossible because there is no such thing a nondoxastic justification. Indeed, to deny the possibility of such justification with regard to basic beliefs, but to affirm it with regard to coherence, is arbitrary, if not wholly incoherent.<8>
2) 따라서 정합론자들 스스로 정당성의 비사견적 원천, 정확히 말하면 정합성을 지지하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 그러나 그래서 그들이 비사견적 정당성과 같은 그런 어떤 것도 없기 때문에 경험적 토대들을 통한 비사견적 정당성이 불가능하다는 근거에서 토대론을 반박하는 입장에 있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기초적 믿음들을 고려하면서 그러한 정당성의 가능성을 부정하지만 정합성과 관련하여서는 긍정하는 것은 만일 전적으로 비일관적이지 않다면 자의적인 것이다.<8>

3) Although Bonjour's dilemma argument seemed initially quite forceful, it must now be said that the foundationalist countermove is at least equally forceful. It derives its strength from pointing out that the coherentist attack on the possibility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runs the risk of undermining not only its intended target, foundationalism, but also the coherentist position itself. There is, however, one reply coherentists can resort to in order to recover from this setback. They could say that justified beliefs are justified, not by virtue of coherence relations themselves, but rather by virtue of the subject's beliefs about her belief system's coherence. And, in fact, Bonjour seems to conceive of coherentism in precisely that way, as borne out by his thorough doxasticism, which manifests itself in the way he conceives of the necessity of level ascent.<9>
3) 봉주르의 딜레마 논증이 처음에는 꽤 강력해 보일지라도, 이제는 토대론적 대응조치도 최소한 동등하게 강력하다는 점이 이야기되어야만 한다. 그 대응조치는 그 힘을 비사견적 정당성의 가능성에 대한 정합론적 공격이 표적으로 삼았던 토대론만이 아니라 또한 정합론적 입장 자체도 약화시키는 위험에 빠진다는 점을 지적함으로부터 끌어낸다. 그렇지만 정합론자들이 이러한 시련으로부터 되돌아 나오기 위해 의지할 수 있는 한 가지 대답이 있다. 그들은 정당화된 믿음들이 그 믿음들 자체의 정합적 관계들 덕분이 아니라 주체의 믿음 체계가 지닌 정합성에 대한 그 주체의 믿음들의 덕분으로 정당화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사실 봉주르는, 그 자체로 그가 수준 상승의 필연성에 대해 이해하는 방식에서 드러나는 그의 사견주의를 통하여 그에 의해 증명되는 것과 같이, 정합론에 대해 정확히 그 방식으로 이해하는 듯이 보인다.<9>

4) This coherentist rejoinder - let's call it the "doxastic move" - does not, however, achieve a complete recovery from the foundationalist counterattack, for it invites two rather serious objections. According to the first, a thoroughly doxastic conception of coherentism generates an infinite regress that makes justification impossible. According to the second, the doxastic move is at odds with a thesis that enjoys a high degree of plausibility: the thesis that an evaluative property such as a belief's status of being justified must supervene on, or be anchored in, a set of nonevaluative properties.
4) 이러한 정합론적 답변 - 그것을 "사견적 조치"라 부르도록 하자 - 은 그렇지만 토대론적 반격으로부터 완벽히 회복을 성취하지는 못하는데, 왜냐하면 그 조치는 두 가지 심각한 반박들을 자초하기 때문이다. 첫 번째 반박에 따르면, 철저히 사견적인 정합론의 개념은 정당화를 불가능하게 만드는 무한 소급을 산출한다. 두 번째 반박에 따르면, 사견적 조치는 고도의 개연성을 누리는 논지와 불화를 일으킨다. 그 논지는 믿음의 정당화된 상태와 같은 그런 평가적 속성이 반드시 일련의 비평가적 속성들에 수반하거나 그에 고정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5) Before moving on to discuss these two objections, let's summarize the foundationalist countermove to Bonjour's dilemma argument. Note that the point of this countermove is that coherentists face a dilemma themselves.

The Dilemma of Coherentism
According to coherentism, justification is conferred on beliefs either by coherence itself or by beliefs about coherence. If justification is conferred by coherence itself, nondoxastic justification is admitted in principle, for a belief system's coherence is nondoxastic in nature. If, on the other hand, justification is conferred by beliefs about coherence, then the resulting conception of justification suffers from two flaws: first, it generates an unpalatable infinite regress; and second, it is at odds with the thesis that the property of being justified, as an evaluative property, supervenes on nonevaluative properties.

However coherentists try to get around this dilemma, the problems they encounter are formidable. If they accept that coherence itself is a source of justification, then they are forced to admit in principle that there is such a thing as nondoxastic justification - which makes it rather tenuous to maintain that nondoxastic justification through coherence is possible, while nondoxastic justification through experience is not.<10> On the other hand, if coherentists make the doxastic move - if they argue that justification is generated not through coherence itself but only beliefs about coherence - then they face two problems that are just as serious as the one they encounter if they don't make the doxastic move. These problems will be the subject of the next three sections.
5) 이러한 두 가지 반박들을 논의하는 데에로 나아가기에 앞서, 봉주르의 딜레마 논증에 대한 토대론적 대응조치를 정리하도록 하자. 이 대응조치의 핵심은 정합론자들이 그들 스스로 딜레마에 직면한다는 것임을 주의하자.

정합론의 딜레마
정합론에 따르면, 정당성은 정합성 그 자체에 의해서나 아니면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에 의해서 믿음들에 부여된다. 만일 정당성이 정합성 그 자체에 의해 부여된다면, 비사견적 정당성이 원칙적으로 허용되는데, 왜냐하면 한 믿음 체계의 정합성은 본성에 있어서 비사견적이기 때문이다. 만일, 다른 한편으로, 정당성이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에 의해 부여된다면, 그렇게 결과하는 정당성의 개념은 두 가지 결함들을 겪는다: 첫째, 그 정당성은 받아들이기 어려운 무한 소급을 산출한다. 둘째, 그 정당성은 평가적 속성으로서 정당화됨의 속성이 비평가적 속성들에 수반한다는 논지와 갈등을 일으킨다.

정합론자들이 이러한 딜레마를 우회하고자 애쓰긴 하지만, 그들이 직면한 문제들은 가공할 만하다. 만일 그들이 정합성 자체가 정당성의 원천임을 받아들인다면, 그들은 원칙적으로 비사견적 정당성과 같은 것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도록 강제된다 - 그것은 정합성을 통한 비사견적 정당성은 가능한 반면, 경험을 통한 비사견적 정당성은 그렇지 않다고 주장하는 것을 무척이나 허약하게 만드는 것이다.<10> 다른 한편, 만일 정합론자들이 사견적 조치를 취한다면 - 만일 그들이 정당성은 정합성 자체가 아니라 오로지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에 의해서만 산출된다고 주장한다면 - 그들은 그들이 사견적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직면하는 문제와 똑같이 심각한 두 가지 문제들에 직면한다. 이러한 문제들은 다음 세 절들의 주제가 될 것이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