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The problem of universals I
1
보편자 문제 I

Metaphysical realism
형이상학적 실재론

• Realism and nominalism
• 실재론과 유명론
• The ontology of metaphysical realism
• 형이상학적 실재론의 존재론
• Realism and predication
• 실재론과 빈사(술어)
• Realism and abstract reference
• 실재론과 추상적 지시
• Restrictions on realism – exemplification
• 실재론의 제한들 - 예화
• Further restrictions – defined and undefined predicates
• 추가적 제한들 - 한정 서술과 부정(否定) 서술
• Are there any unexemplified attributes?
• 어떤 예화되지 않은 한정사들이 있는가?

Overview
개관


The phenomenon of similarity or attribute agreement gives rise to the debate between realists and nominalists. Realists claim that where objects are similar or agree in attribute, there is some one thing that they share or have in common; nominalists deny this. Realists call these shared entities universals; they say that universals are entities that can be simultaneously exemplified by several different objects; and they claim that universals encompass the properties things possess, the relations into which they enter, and the kinds to which they belong.
유사성이나 속성 일치의 현상은 실재론자들과 유명론자들 사이에서 논쟁을 불러 일으킨다. 실재론자들은 대상들이 속성에 있어서 유사하거나 일치하는 곳에서, 그 대상들이 분유하거나 공유하는 어떤 한 가지의 것이 있다고 주장한다; 유명론자들은 이러한 것을 부정한다. 실재론자들은 이러한 분배된 실체들을 보편자들이라 부른다; 그들은 보편자들이 여러 상이한 대상들에 의해 일제히 예화될 수 있는 실체들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들은 보편자들이 사물들이 소유하는 속성들, 그 사물들이 개입되는 관계들, 그 사물들이 속하는 종류들을 망라한다고 주장한다.

Toward showing us that we must endorse the reality of universals, realists point to the phenomena of subject predicate discourse and abstract reference. They claim that unless we posit universals as the referents of predicate expressions, we cannot explain how subject predicate sentences can be true, and they argue that we can explain the truth of sentences incorporating abstract referring terms only if we take universals to be the things identified by the use of those terms.
우리에게 우리가 반드시 보편자들의 실재성을 지지해야만 함을 보여주는 일에 대해서, 실재론자들은 주-술 논의와 추상적 지시의 현상을 지적한다. 그들은 우리가 술어 표현들에 대한 지시들로서 보편자들을 가정하지 않는 한, 우리는 어떻게 주-술 문장이 참일 수 있는지 설명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또 그들은 우리가 오로지 보편자들을 추상적 지시 용어들을 사용함으로써 규정되는 사물들인 것으로 받아들일 때에만 그러한 용어들을 통합하는 문장들의 참을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Realists, however, frequently disagree about the generality of their accounts of predication and abstract reference. Some realists, for example, deny that their account of predication holds for sentences incorporating the term ‘exemplifies.’ Other realists insist that their account holds only for primitive or undefined predicates or abstract terms. Furthermore, some realists hold that there are universals corresponding only to predicates that are actually true of existing objects; whereas other realists believe that there are both exemplified and unexemplified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그렇지만 실재론자들은 빈번히 술어와 추상적 지시에 대한 그들의 설명들의 일반성에 대해 의견이 갈린다. 예를 들어 일부 실재론자들은 술어에 대한 그들의 설명이 '예화한다'라는 용어를 포함하는 문장들에 대해서만 유지된다는 점을 부정한다. 다른 실재론자들은 그들의 설명이 오로지 원초적 혹은 부정 술어들 또는 추상적 용어들에 대해서만 유지된다고 주장한다. 더 나아가서, 일부 실재론자들은 오직 현존하는 대상들에 대해 실제로 참인 술어들에 대해서만 부합하는 보편자들이 있다고 주장한다; 반면에 다른 실재론자들은 예화되는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도 있고 예화되지 않는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도 있다고 믿는다.


Realism and nominalism
실재론과 유명론


The objects we talk and think about can be classified in all kinds of ways. We sort things by color, and we have red things, yellow things, and blue things. We sort them by shape, and we have triangular things, circular things, and square things. We sort them by kind, and we have elephants, oak trees, and paramecia. The kind of classification at work in these cases is an essential component in our experience of the world. There is little, if anything, that we can think or say, little, if anything, that counts as experience, that does not involve groupings of these kinds. Although almost everyone will concede that some of our ways of classifying objects reflect our interests, goals, and values, few will deny that many of our ways of sorting things are fixed by the objects themselves.[1] It is not as if we just arbitrarily choose to call some things triangular, others circular, and still others square; they are triangular, circular, and square. Likewise, it is not a mere consequence of human thought or language that there are elephants, oak trees, and paramecia. They come that way, and our language and thought reflect these antecedently given facts about them.
우리가 그에 대해 말하고 생각하는 대상들은 온갖 종류의 방식들로 분류될 수 있다. 우리는 사물들을 색으로 분류하고, 또 우리는 붉은 사물들, 노란 사물들, 파란 사물들을 가진다. 우리는 그것들을 형태로 분류하고, 삼각형인 사물들, 원형인 사물들, 사각형인 사물들을 가진다. 우리는 그것들을 종으로 구분하고, 코끼리들, 참나무들, 짚신벌레들을 지닌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작동하는 분류의 종류는 세계에 대한 우리의 경험에 있어서 본질적인 요소이다. 오히려, 우리가 생각하거나 말할 수 있는 것, 경험으로 헤아리는 것이 있다면 이러한 종류들의 분류를 포함하지 않는 것은 거의 없다. 거의 모든 이들이 대상들을 분류하는 우리의 방식들 중 일부가 우리의 관심들, 목표들, 가치들을 반영한다는 것을 인정할지라도, 사물들을 분류하는 우리의 방식들의 다수가 대상들 그 자체에 의해 고정된다는 것을 부정할 이들은 거의 없을 것이다. 그것은 마치 우리가 단지 임의로 어떤 것들은 삼각형으로, 어떤 것들은 원형으로, 또 다른 것들은 사각형으로 부르기로 정하는 것과 같은 것이 아니다; 그것들이 삼각형이고, 원형이고, 또 사각형인 것이다. 비슷하게, 그것은 단지 코끼리들, 참나무들, 짚신벌레들이 있다는 인간적 사유나 언어의 단순한 귀결인 것도 아니다. 그것들은 저 방식으로 나타나고, 우리의 언어와 사유는 그것들에 대해 선행적으로 주어진 이러한 사실들을 반영한다.

There are, then, objective similarities among things. Prior to our classifying them in the ways we do, the familiar objects of the everyday world agree in their characteristics, features, or attributes. This is not a claim born of any metaphysical theory. It is, on the contrary, a prephilosophical truism, but one that has given rise to significant philosophical theorizing. Indeed, a question that goes back to the origins of metaphysics itself is whether there is any general explanation for the prephilosophical truism that things agree in attribute. Suppose it to be a fact that certain objects agree in attribute; they are all, say, yellow. Is there some fact more basic or fundamental than this fact such that it is because and only because the more fundamental fact holds of these objects that they are all yellow? And if there is, is it possible to generalize from this case? That is, is there a very general type or form of fact such that, given any case of attribute agreement, that case obtains because and only because some fact of the relevant very general type or form obtains?
그래서 사물들 사이에는 객관적 유사성들이 있다. 우리가 행하는 방식들로 사물들을 분류하기에 앞서, 일상세계의 친숙한 대상들은 그 대상들의 성격들, 특징들, 혹은 속성들에 있어서 일치한다. 이것은 어떠한 형이상학적 이론으로부터도 유래한 주장이 아니다. 반대로 그것은 전-철학적 진부한 표명이지만, 중요한 철학적 이론화를 불러 일으켰던 것이다. 더욱이, 형이상학 그 자체의 기원들로 거슬러 올라가는 물음은 사물들이 속성에 있어서 일치한다는 전-철학적 진부한 표명에 대한 어떤 일반적 설명이 있는지 여부이다. 특정 대상들이 속성에 있어서 일치한다는 것이 사실인 것이라 가정해 보자; 말하자면, 그것들은 모두 노랗다. 그것들이 모두 노랗다는 것은 이러한 대상들에 대해 더욱 근본적인 사실이 유지되기 때문이며 오로지 그 이유 때문이라는 이 사실보다 어떤 더욱 기초적이거나 근본적인 사실이 있는가? 그리고 만일 있다면, 이 사례로부터 일반화하는 것이 가능한가? 즉, 속성 일치의 어떤 경우를 고려하든, 그 사례가 통용되는 이유는 그 상관된 매우 일반적인 유형이나 형식이 통용됨의 어떤 사실 때문이며 오직 그 이유 때문이라는 그러한 사실의 매우 일반적인 유형이나 형식이 있는가?

An affirmative answer to this question is suggested in Plato’s Parmenides, where we read that “there exist certain Forms of which these other things come to partake and so to be called after their names; by coming to partake of Likeness or Largeness or Beauty or Justice, they become like or large or beautiful or just.”[2] What is being proposed here is a general schema for explaining attribute agreement. The schema tells us that where a number of objects, a . . . n, agree in attribute, there is a thing, φ, and a relation, R, such that each of a . . . n bears R to φ, and the claim is that it is in virtue of standing in R to φ that a . . . n agree in attribute by being all beautiful or just or whatever. It turns out that many philosophers since Plato have found this schema attractive.[3] They have not always used Plato’s language. Where he speaks of things partaking of a Form, they have said that things instantiate, exhibit, or exemplify a single property, quality, or attribute. Nonetheless, the form of explanation being recommended is precisely the one Plato proposes. Different things are qualified or characterized in some way by virtue of their all standing in a relationship to the quality or characteristic in question. Attribute agreement gets grounded in a characteristic or quality common to or shared by the agreeing objects.
이러한 물음에 대한 긍정적 답변은 플라톤의 『파르메니데스』에서 제시되었다. 거기에서 우리는 "이러한 다른 사물들이 그에 참여하게 되고 그래서 나중에 그것들의 이름들로 불리게 되는 특정한 꼴들이 현존한다; 닮음이나 큼 또는 아름다움 혹은 올바름에 참여하게 됨으로써, 그것들은 닮게 되거나 크게 되거나 아름답게 되거나 올바르게 된다."라는 말을 본다. 여기에서 제안되고 있는 것은 속성 일치를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일반적 도식이다. 그 도식은 우리에게 일정 수의 대상들 a…n 이 속성에 있어서 일치하는 곳에는 하나의 사물 φ와 a…n의 각각이 φ에 대해 지니는 R로서 관계 R이 있다고 말해주며, 그 주장은 a…n이 아름다움이든 올바름이든 뭐가 되었든 모든 것임에 의해 일치하는 것은 φ에 대한 R 관계에 존립하는 덕분이라는 것이다. 플라톤 이래로 많은 철학자들이 이 도식을 매력적인 것이라 판단해왔던 것으로 밝혀진다. 그들이 항상 플라톤의 언어를 사용해 왔던 것은 아니다. 하나의 꼴에 참여하는 사물들에 대해 그가 말하는 곳에서, 그들은 사물들이 하나의 단일한 속성, 성질, 또는 특성을 예시하고, 표시하거나, 혹은 예화한다고 말해왔다. 그렇다 하더라도, 권장된 설명의 형식은 정확히 플라톤이 제안하는 그것이다. 상이한 사물들은 그 사물들 모두가 문제가 되는 성질이나 특징에 대한 하나의 관계에 존립함에 의해서 일정 방식으로 한정되거나 규정된다. 속성 일치는 일치하는 대상들에 의해 공통되거나 공유되는 특징이나 성질에 기초되게 된다.

Philosophers who endorse the Platonic schema have traditionally been called metaphysical realists or simply realists;[4] but while many philosophers have found the realist’s explanation of attribute agreement in terms of shared or common entities attractive, the form of explanation proposed by Plato has also had its critics. These critics have been known as nominalists. They argue that there are deep conceptual problems with the metaphysical machinery implied by the Platonic schema. Some nominalists take those problems to point to the need for a quite different theoretical explanation for attribute agreement, one making no reference to shared or common entities; whereas others take them to show that no theoretical account at all is required here, that the phenomenon of attribute agreement is a basic or fundamental fact not susceptible of further analysis. The debate between metaphysical realists and nominalists is perhaps the oldest sustained debate in metaphysics. Certainly the issues on which the debate has turned are as important as any in metaphysics. We need to become clear on these issues, and we will begin by attempting to delineate the main contours of the perspective labeled metaphysical realism.
플라톤적 도식을 지지하는 철학자들은 전통적으로 형이상학적 실재론자들 혹은 단순하게 실재론자들이라 불려왔다; 하지만 다수 철학자들이 속성일치를 공유된 혹은 공통의 실체들로 설명하는 실재론적 설명이 매력적이라고 판단해 왔던 동시에, 플라톤에 의해 제안된 설명의 형식은 또한 그에 대한 비판자들을 지녀왔다. 이러한 비판자들은 유명론자들로 알려져 왔다. 그들은 플라톤적 도식에 의해 시사되는 형이상학적 장치에 깊은 개념적 문제들이 있다고 주장한다. 일부 유명론자들은 그러한 문제들을 속성 일치에 대한 상당히 다른 이론적 설명, 공유되거나 공통된 실체들을 지시하도록 만들지 않는 설명이 필요하다고 지적함으로써 취한다; 반면에 다른 유명론자들은 그 문제들을 여기에서 전혀 아무런 이론적 설명도 요청되지 않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속성 일치의 현상이 추가적 분석의 여지가 없는 기초적이거나 근본적인 사실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취한다. 형이상학적 실재론자들과 유명론자들 사이의 논쟁은 아마도 형이상학에 있어서 가장 오랫동안 지탱되어온 논쟁일 것이다. 확실히 그 논쟁이 향해 왔던 문제들은 형이상학의 어떠한 문제만큼이나 중요하다. 우리는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분명히 할 필요가 있고, 형이상학적 실재론이라 명명된 전망의 주된 윤곽을 묘사하고자 시도함으로써 시작할 것이다.


The ontology of metaphysical realism
형이상학적 실재론의 존재론

Metaphysical realists want to insist that an adequate account of attribute agreement presupposes a distinction between two types or categories of objects: what are called particulars and what are called universals. The category of particulars includes what the nonphilosopher typically thinks of as “things” – familiar concrete objects like human beings, animals, plants, and inanimate material bodies; and the realist tells us that what is peculiar to particulars is that each occupies a single region of space at a given time. Universals, by contrast, are construed as repeatable entities. At any given time, numerically one and the same universal can be wholly and completely exhibited or, as realists typically put it, exemplified by several different spatially discontinuous particulars. Thus, different people can exemplify the same virtue at the same time; different automobiles can simultaneously exemplify the same shape; and different houses can, at a given time, exemplify literally the same color. The virtue, the shape, and the color are all universals. The claim of the metaphysical realist is that familiar particulars agree in attribute in virtue of their jointly exemplifying a single universal. So there are nonrepeatable entities that stand in a special relation to repeatable entities, and this fact is what grounds attribute agreement among the familiar
objects of the everyday world.
형이상학적 실재론자들은 속성일치에 대한 적합한 설명이 대상들의 두 가지 유형들 혹은 범주들 사이의 구별을 전제한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그것은 특수자들이라 불리는 것들과 보편자들이라 불리는 것들이다. 특수자들의 범주는 비철학자가 전형적으로 "사물들"인 것으로 생각하는 것 - 인간 존재자들, 동물들, 식물들, 무생물인 질료적 물체들과 같은 친숙한 구체적 대상들 - 이다; 그리고 실재론자들은 우리에게 특수자들에 특유한 것은 그 각각이 주어진 시점에 공간의 단일 영역을 점유한다는 것이라 말한다. 반면에 보편자들은 반복가능한 실체들로 해석된다. 주어진 어떤 시점에서든, 수적으로 하나이고 동일한 보편자는 전적으로 완벽하게 드러날 수 있거나, 실재론자들이 전형적으로 말하듯, 여러 상이한 공간적으로 불연속적인 특수자들에 의해 예화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사람들은 동일 시점에 동일 특성을 예화할 수 있다; 상이한 자동차들은 일제히 동일한 형태를 예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이한 집들이 주어진 한 시점에 문자 그대로 동일한 색을 예화할 수 있다. 그 특성, 형태, 그리고 색은 보편자들이다. 형이상학적 실재론자의 주장은 친숙한 특수자들이 공동으로 단일 보편자를 예화함에 의해서 속성에 있어 일치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은 일상 세계의 친숙한 사물들 사이의 속성 일치에 근거한 것이다.

Realists typically want to claim that there is more than one kind of universal. All the cases of attribute agreement we have mentioned involve what are called one-place or monadic universals. They are universals that particulars exemplify individually or one by one; but there are also relations, universals that are exemplified by several individuals in relation to each other. Thus, being a mile apart is something that is exemplified by a pair of objects: one thing is a mile away from another; and it is a universal: many pairs of objects can be so related at any given time. Likewise, being next to is a spatial relation between objects: one object is next to another and, again, it is a universal: many pairs of objects can agree in entering into it. Both these relations are what are called symmetrical relations; given any pair of objects, a and b, such that a bears either relation to b, b, in turn, bears that same relation to a. But not all relations are symmetrical. Many relations are such that pairs of objects enter into them only when taken in a certain order. Thus, being the father of is an asymmetrical relation: if one thing, a, is the father of another thing, b, then b is not the father of a. As logicians put it, it is the ordered pair, 〈a, b〉 (a and b taken in just that order), that exhibits the relation. The three relations we have considered are all two-place or dyadic relations; but obviously there can be three-place, four-place, and, generally, n-place relations.
실재론자들은 전형적으로 한 종류 이상의 보편자들이 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우리가 언급하였던 속성일치의 모든 사례들은 일항 보편자들 혹은 단일 보편자들이라 불리는 것을 포함한다. 그 보편자들은 특수자들이 개별적으로 또는 하나씩 예화하는 보편자들이다; 그러나 또한 관계들, 상호 관계 속에서 여러 개별자들에 의해 예화되는 보편자들이 있다. 따라서, 1마일 떨어져 있음은 한 쌍의 대상들에 의해 예화되는 어떤 것이다: 한 가지의 것은 다른 것으로부터 1마일 떨어져 있다; 그리고 그것은 보편자이다: 대상들의 여러 쌍들은 그렇게 어떤 주어진 시점에서든 관련될 수 있다. 같은 식으로, 다음에 있음은 대상들 사이의 공간적 관계이다: 한 대상은 다른 대상 다음에 있고, 다시금, 그것은 보편자이다: 대상들의 여러 쌍들은 그 보편자에 들어감에 있어서 일치할 수 있다. 이러한 관계들 모두 대칭적 보편자들이라 불린다; 대상들의 어떤 관계 a와 b를 고려하든, a는 b에 대한 관계를 포함하거나, b는 다시 a에 대해 동일한 관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아버지임은 비대칭적 관계이다: 만일 한 가지의 것 a가 또 다른 것 b에 대해 아버지라면, b는 a의 아버지가 아니다. 논리학자들이 말하듯, 그것은 순서쌍 <a, b> (a와 b는 바로 그 순서로 취해진다), 그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우리가 고려했던 세 가지 관계들은 모두 이항 혹은 이원 관계들이다; 그러나 명백히 삼항, 사항, 일반적으로 n-항 관계들이 있을 수 있다.

Relations, then, are polyadic or many-place universals. But colors, virtues, and shapes are all monadic. Each is exhibited by objects taken individually. Now, many realists lump all monadic universals together under the title ‘property’; but some realists (typically those influenced by the Aristotelian tradition) insist on a further distinction here. We are asked to distinguish between properties and kinds. Kinds are things like the various biological species and genera.[5] Whereas objects exemplify properties by possessing them, things exemplify kinds by belonging to them. Philosophers who draw this distinction frequently tell us that while kinds constitute the particulars that exemplify them as what they are, properties merely modify or characterize particulars antecedently so marked out; and they often claim that kinds are individuative universals. What is meant is that kinds constitute their members as individuals distinct from other individuals of the same kind as well as from individuals of other kinds. Thus, everything that belongs to the kind human being is marked out as a discrete individual, as one human being countably distinct and separate both from other human beings and from things of other kinds.
그래서 관계들은 다원적 혹은 다항적 보편자들이다. 그러나 색들, 특성들, 그리고 형태들은 모두 일원적이다. 그 각각은 개별적으로 취해진 대상들에 의해 표시된다. 이제, 많은 실재론자들은 모든 일원적 보편자들을 통틀어 '속성'이란 표제 아래 일괄적으로 다룬다; 그러나 일부 실재론자들 (전형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적 전통에 의해 영향을 받은 이들) 은 여기에서 추가적 구별에 대해 주장한다. 우리는 속성들과 종류들 사이를 구별할 것을 요구받는다. 종류들은 다양한 생물학적 종들과 유들 같은 것들이다. 대상들은 속성들을 소유함으로써 속성들을 예화하는 반면, 사물들은 종류들에 속함으로써 종류들을 예화한다. 이러한 구분을 이끌어내는 철학자들은 빈번히 우리에게 종류들은 그 종류들을 예화하는 특수자들을 그것들인 바의 것들로 구성하는 반면, 속성들은 단지 선행적으로 그렇게 구획된 특수자들을 한정하거나 규정할 따름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들은 종종 종류들이 개별적 보편자들이라 주장한다. 그 의미는 종류들이 그 원소들을 다른 종류들에 속하는 개별자들로부터 뿐만이 아니라 같은 종류에 속하는 다른 개별자들로부터도 구별되는 개별자들로 만든다는 뜻이다. 따라서, 인간 존재 종류에 속하는 모든 것은 분리된 개별자들로, 다른 인간 존재자들로부터도 그리고 다른 종류들에 속하는 사물들로부터도 가산적으로 구분되고 분리된 하나의 인간 존재자로 구획된다.

So attribute agreement can involve a variety of different types of universal. Several particulars can agree in belonging to a single kind; they can agree in possessing a single property; and several pairs, triples, or generally, n-tuples of particulars can agree in entering into a single relation. And realists want to claim that attribute agreement of any of these forms is subject to degrees. A dog and a cat agree in kind: both are mammals; but their agreement in kind is not as close as that tying two dogs. According to the realist, what gives rise to the difference in degree of agreement is the fact that the universals particulars exemplify exhibit varying degrees of generality. The more specific or determinate a shared universal, the closer is the resulting attribute agreement. Universals, then, come in hierarchies of generality. Presumably, every such hierarchy terminates in fully determinate universals, universals such that they have no less general or more determinate universals under them, and the particulars that jointly exemplify any such fully determinate universal will agree exactly in color, shape, kind, spatial relation, or whatever.
그래서 속성 일치는 상이한 보편자 유형들의 다양성을 포함할 수 있다. 여러 특수자들은 단일한 종류에 속함에 있어서 일치할 수 있다; 특수자들은 단일한 속성을 가짐으로써 일치할 수 있다; 그리고 특수자들의 여러 쌍들, 세 개 들이 묶음들, 혹은 일반적으로 n개 들이 묶음들은 단일한 관계에 속함에 있어서 일치할 수 있다. 또 실재론자들은 이러한 형식들 중 어떤 형식의 속성 일치이든 정도들에 귀결된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한 마리 개와 한 마리 고양이는 종류에 있어서 일치한다: 둘 모두 포유류이다; 그러나 종류에 있어서 그것들의 일치는 두 마리 개들을 묶는 일치만큼 밀접하진 않다. 실재론자에 따르면, 일치의 정도에 있어서 차이를 일으키도록 하는 것은 특수자들이 예화하는 보편자들이 일반성의 다양한 정도들을 나타낸다는 사실이다. 공유된 보편자가 더 구체적이거나 한정적일수록, 귀결하는 속성 일치는 더욱 밀접하다. 그래서 보편자들은 일반성의 계층들 속으로 들어온다. 아마도, 그러한 모든 계층은 완전히 한정적인 보편자들에서, 그것들 아래에 덜 일반적이거나 더 한정적인 보편자들을 전혀 가지지 않는 그러한 보편자들에서 종결할 것이고, 공동으로 그러한 어떤 완전하게 한정적인 보편자라도 예화하는 특수자들은 정확히 색, 형태, 종류, 공간적 관계, 혹은 무엇에 있어서든 일치할 것이다.

So particulars exemplify different sorts of universals of varying degrees of generality; but realists want to claim that the universals that serve to explain the attribute agreement among particulars can themselves agree in exemplifying further universals. Thus, the properties of red, yellow, and blue have various properties of tone and hue; they all belong to the kind color; and they enter into relations like being lighter than and being darker than. And, of course, the universals exemplified by colors can be more or less determinate, thereby explaining why, for example, red is closer to orange than blue is.
그래서 특수자들은 일반성의 다양한 정도들에 속하는 상이한 종류들의 보편자들을 예화한다; 그러나 실재론자들은 특수자들 사이의 속성 일치를 설명하는 데에 이바지하는 보편자들이 그것들 스스로 추가적 보편자들을 예화함에 있어서 일치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따라서, 빨강, 노랑, 파랑이라는 속성들은 명암과 색조의 다양한 속성들을 지닌다; 그것들은 모두 색의 종류에 속한다; 그리고 그것들은 더 밝음과 더 어두움과 같은 관계들에 들어간다. 그리고 물론 색들에 의해 예화되는 그 보편자들은, 예를 들어 어째서 빨강은 파랑보다 주황에 더 가까운지를 설명함으로써 더 한정적이거나 덜 한정적일 수 있다.

Thus, the original insight that familiar particulars agree in attribute by virtue of jointly exemplifying a universal gives rise to a picture of considerable complexity. Particulars and n-tuples of particulars exemplify universals of different types: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Those universals, in turn, possess further properties, belong to further kinds, and enter into further relations; the same is true of these further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and so on, seemingly, without end. And the seemingly endless series of universals that have come on the scene enter into complicated hierarchies of generality inducing thereby complex patterns of attribute agreement of varying degrees of generality. What began, then, as an apparently innocent extension of common sense has blossomed into a full-scale metaphysical theory, an ontology, that is a long distance from common sense.
그래서, 친숙한 특수자들이 공동으로 하나의 보편자를 예화함으로써 속성에 있어서 일치한다는 본래적 통찰은 주목할 만한 복잡성의 모습을 불러 일으킨다. 특수자들과 특수자들의 n개 들이 묶음들은 상이한 유형들의 보편자들을 예화한다: 속성들, 종류들, 그리고 관계들. 이번엔 그러한 보편자들이 추가적 속성들을 소유하고 추가적 종류들에 속하며 추가적 관계들에 개입한다; 이러한 추가적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에 대해서도 사정은 같다; 그리고 보이기에 그렇게 끝없이 계속된다. 등장한 보이기에 무한한 보편자들의 연쇄들은 일반성의 다양한 정도들에 대한 속성 일치의 복잡한 패턴들을 야기하도록 일반성의 복잡한 계층들 속으로 들어간다. 그래서 외관상 공통 감각(상식)의 순전한 범위로 시작된 것은 상식으로부터 아주 멀리 떨어진 전면적인 형이상학적 이론, 존재론으로 꽃피웠다.

Some might balk at the complexity of the theory, but realists want to insist that the complexity of the structure has a theoretical pay-off. The structure represents a fruitful theory, one with the resources for explaining a wide range of phenomena. Although the phenomena realists claim their account explains are diverse and numerous, we will consider just two. Both bear on semantical issues, and both have played significant roles in the history of metaphysical realism. The first concerns subject-predicate discourse; the second bears on abstract reference. According to the realist, both phenomena give rise to pressing philosophical questions, and the realist insists that the theoretical machinery associated with metaphysical realism provides straightforward and satisfying answers to those questions.
몇몇 사람들은 그 이론의 복잡성에 앞서 망설일지 모르지만, 실재론자들은 그 구조의 복잡성이 이론적 값어치가 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그 구조는 광범위한 현상들을 설명하기 위한 원천들을 가진 하나의 비옥한 이론을 표현한다. 실재론자들이 그들의 설명이 해명한다고 주장하는 그 현상들이 여러가지이고 수없이 많다고 할지라도, 우리는 단지 두 가지 것들만을 고려할 것이다. 그 둘 모두는 의미론적인 문제들과 관련하고, 둘 모두 형이상학적 실재론의 역사에 있어서 중대한 역할들을 담당해 왔다. 그 첫 번째 것은 주-술 담론에 관련한다; 두 번째 것은 추상적 지시에 관계한다. 실재론자에 따르면, 두 현상들 모두 집요한 철학적 물음들을 불러 일으키고, 실재론자는 형이상학적 실재론과 연계된 그 이론적 장치가 그러한 물음들에 대해 직접적이고 만족스러운 답변들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