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lism and predication
실재론과 술어


  The subject-predicate sentence is about as basic a form of discourse as there is. The following sentences are examples of this form of discourse:

(1) Socrates is courageous
(2) Plato is a human being
(3) Socrates is the teacher of Plato.

Using a sentence like one of these, we pick out or refer to a particular and go on to say something about it – to characterize or describe it in some way, to indicate what kind of thing it is, or to relate it to something else. Using (1), for example, we refer to Socrates and we say of him that he is courageous. This characterization of (1) suggests that it is only the subject term ‘Socrates’ that plays a referential role or picks out an object in (1), but metaphysical realists want to insist that such an account is incomplete. Any satisfactory analysis of (1), they claim, will show the predicate term ‘courageous’ to have referential
force as well.[6]
  주-술 문장은 거의 존재하는 것만큼 담론의 형식에 기초적이다. 다음 문장들은 이러한 담론 형식의 사례들이다.

(1) 소크라테스는 용감하다
(2) 플라톤은 인간이다
(3) 소크라테스는 플라톤의 스승이다.

이러한 것들 중 하나와 같은 문장을 사용함으로써, 우리는 하나의 특수자를 골라내거나 지시하고 계속해서 그것에 대해 무언가를 말한다 - 그것을 어떤 식으로 규정하거나 묘사하는 것, 그것이 어떤 종류의 것인지 나타내는 것, 혹은 그것을 어떤 다른 것에 관련짓는 것. 예를 들어 (1)을 사용함으로써 우리는 소크라테스를 지시하고 그에 대해 그가 용감하다고 말한다. (1)에 대한 이러한 규정은 (1)에 있어서 지시적 역할을 수행하거나 대상을 골라내는 것이 오로지 주어인 '소크라테스'일 따름임을 시사하지만, 형이상학적 실재론자들은 그러한 설명이 불완전하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그들이 주장하기로 (1)에 대한 그 어떠한 만족스러운 분석이든 그 술어 '용감'이 마찬가지로 지시적 능력을 지닌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Suppose that (1) is true. Pretty clearly, its truth depends on two things: first, what (1) says and, second, the way the world is. Both of these things are matters of structure; what (1) says is a matter of the terms that enter into its composition and the order in which they are placed. The relevant way the world is, on the other hand, is a matter of nonlinguistic structure; it is a matter of how things in a certain sector of the world are and how they are related to each other. So the truth of (1) involves a linguistic structure and a nonlinguistic structure, and the realist insists that it is because we have a correspondence between the two structures that (1) is true. It is because the linguistic structure of (1) corresponds to or mirrors the nonlinguistic structure of a certain sector of the world that (1) is true.[7] Pretty clearly, if we are to have the requisite correspondence, there must be a thing correlated with the proper name ‘Socrates,’ but the realist argues that (1) can be true only if ‘courageous’ is likewise correlated with some nonlinguistic object. As it occurs in (1), ‘courageous’ is not playing a purely formal role, the kind of role associated with terms (like the conjunctions ‘or’ and ‘if’ or the definite and indefinite articles) that do not enter into any relation with objects out in the world. Its role in (1) is to make contact with the world by referring to or picking out an object. So if (1) is to be true, both its subject term and its predicate term must have a referent, and the referents of these two terms must be related in a way that insures that what (1) says is true. But, then, as it occurs in (1), ‘courageous’ picks out an entity such that, in virtue of being related to it, the referent of ‘Socrates’ is as (1) says he is – courageous.
  (1)이 참이라고 가정해 보자. 상당히 분명하게, 그 참은 두 가지 것들에 의존한다: 첫째로, (1)이 말하는 것 그리고 둘째로 세계가 존재하는 방식. 이러한 것들 모두는 구조의 문제들이다; (1)이 말하는 것은 그 (1)의 구성요소들에 들어가는 용어들과 그 구성요소들이 배열되는 순서에 대한 문제이다. 다른 한편 세계가 존재하는 그 상과된 방식은 비언어적 구조에 대한 문제이다; 그것은 어떻게 사물들이 세계의 한 특정 영역에 존재하고 어떻게 그 사물들이 상호간에 관련되는지에 대한 문제이다. 그래서 (1)의 참은 언어적 구조와 비언어적 구조를 포함하며, 실재론자는 그것이 그러한 까닭은 우리가 (1)이 참이라는 그 두 구조들 사이의 일치를 지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그 이유는 (1)의 언어적 구조가 (1)이 참인 세계의 한 특정 영역의 비언어적 구조에 대응하거나 혹은 그것을 반영하기 때문이다. 상당히 분명하게, 만일 우리가 필요한 일치를 지니게 된다면, 반드시 '소크라테스'라는 적합한 이름과 관련된 한 사물이 있어야만 하지만, 실재론자는 (1)이 오로지 '용감'도 같은 식으로 어떤 비언어적 대상과 관련될 때에만 참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1)에서 나타나듯이, '용감'은 순수하게 형식적 역할을, 세계로부터 나온 대상들과 어떠한 관련으로도 들어서지 않는 용어들 ('or'과 'if'와 같은 접속사들 또는 정관사와 부정관사들과 같은) 과 관련된 그런 종류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 않다. (1)에서 '용감'의 역할은 하나의 대상을 지시하거나 혹은 골라냄으로써 세계와 접촉을 이루는 것이다. 그래서 만일 (1)이 참일 것이라면, 그 주어와 술어 모두 반드시 지시대상을 가져야만 하고, 이러한 두 용어들의 지시대상들은 반드시 (1)이 말하는 것이 참임을 보장하는 방식에서 관련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다음으로 (1)에서 나타나듯 '용감'은 그와 같은 실체를 그 실체에 관련됨으로 인해서 골라낸다 '소크라테스'라는 지시대상은 (1)이 그가 그렇다고 말하듯 용감하다.

  Metaphysical realists, however, are quick to point out that ‘courageous’ is a general term; it is a term that can be applied to individuals other than Socrates and so can figure as predicate in true subject-predicate sentences other than (1). Suppose, for example, that not just (1), but also

(4) Plato is courageous

is true. The argument presented for the case of (1) applies here as well. ‘Courageous’ is playing a referential role in (4) no less than in (1). But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the referents of these two occurrences of ‘courageous’? Pretty clearly, what we say about Plato when we predicate ‘courageous’ of him in (4) is precisely what we say about Socrates when we predicate ‘courageous’ of him in (1). And, according to the realist, that implies that whatever referential force ‘courageous’ has in (1) and (4), it is the same referential force in the two cases. The realist concludes that ‘courageous’ picks out a single entity in (1) and (4), a single entity such that in virtue of being related to it, both Socrates and Plato count as courageous.
  그렇지만 형이상학적 실재론자들은 신속하게 '용감'이 일반 명사임을 지적해낸다; 그것은 소크라테스 이외에도 다른 개별자들에 적용될 수 있는 용어이고 그래서 (1) 말고 다른 참인 주-술 문장들에서도 술어로서 기능할 수 있는 용어이다. 예를 들어 (1)뿐만 아니라 또한

(4) 플라톤은 용감하다

이 문장도 참이라고 가정해 보자. (1)의 경우에 대해 표현된 논증은 여기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용감'은 (1)에 비해 (4)에서 지시적 역할을 조금도 덜 수행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용감'의 두 가지 발생들의 지시대상들 사이의 관계는 무엇인가? 상다잏 분명하게, 우리가 (4)에서 플라톤에 대해 '용감'하다고 단정할 때 플라톤에 대해 우리가 말하는 것은 정확하게 우리가 (1)에서 소크라테스에 대해 '용감'하다고 단정할 때 우리가 소크라테스에 대해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실재론자에 따르면, 저것은 '용감'이 (1)과 (4)에서 지니는 지시적 능력이 무엇이 되었든, 그것은 그 두 사례들에 있어서 동일한 지시적 능력임을 시사한다. 실재론자는 '용감'이 (1)과 (4)에 있어서 단일한 실체를, 그에 관계됨으로 인해서 소크라테스와 플라톤 모두 용감한 것으로 간주되는 그와 같은 단일한 실체를 골라낸다고 결론내린다.

  And, of course, the same line of argument applies in the case of other true subject-predicate sentences where ‘courageous’ plays the predicate role. In every such sentence, ‘courageous’ has referential force or picks out an object; and provided the term is being used in a single sense in all these sentences, it has a single referential force in all of them. In every such sentence, it picks out or refers to a single entity, an entity such that in virtue of a relation between it and the referent of the sentence’s subject term, the sentence is true. But what metaphysical machinery is required to tell this story of the truth conditions for sentences like (1), (4), and their ilk? Realists insist that the ontological framework central to their account provides the materials for such a story. Assume that there are repeatable entities or universals and a relation of exemplification tying them to particulars, and our account of the truth conditions for sentences like (1) and (4) goes smoothly. It is because ‘courageous’ has as its referent a certain universal – the virtue of courage – and because each of Plato and Socrates exemplifies that universal that (1) and (4) are true.
 그리고, 물론, 논증의 동일한 노선이 '용감'이 술어적 역할을 하는 참인 주-술 문장들의 경우에 적용된다. 그러한 모든 문장에서, '용감'은 지시적 능력을 지니거나 하나의 대상을 골라낸다; 그리고 이러한 모든 문장들에 있어서 단일한 의미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가 제공된다면, 그 용어는 그 문장들 모두에 있어서 단일한 지시적 능력을 지닌다. 그러한 모든 문장에 있어서, 그것은 단일한 실체, 그 실체와 그 문장의 주어의 지시체 사이의 관계로 인해서 그 문장이 참인 그러한 실체를 골라내거나 지시한다. 그러나 (1), (4), 그리고 그런 종류와 같은 문장들에 대한 진리 조건들의 이러한 서사를 말하기 위해 어떤 형이상학적 장치가 요청되는가? 실재론자들은 그들의 설명에 중심적인 존재론적 구조가 그러한 서사를 위한 재료들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반복가능한 실체들 혹은 보편자들과 그것들을 특수자들에 결부시키는 예화의 관계가 있다고, 그리고 (1)과 (4)와 같은 문장들에 대한 진리 조건들에 대한 우리의 설명이 순조롭게 진행된다고 가정해 보자. 그것은 '용감'이 그 지시체로서 한 특정한 보편자 - 용기의 특성 - 를 지니기 때문이고 플라톤과 소크라테스 각자가 (1)과 (4)가 참인 저 보편자를 예화하기 때문이다.

  Realists want, of course, to extend the story we have told about (1) and (4) to provide a general account of subject-predicate discourse. Predicates refer to universals, and what makes a subject-predicate sentence true is just that the referent of its subject term exemplifies the universal that is the referent of its predicate term. And the realist will typically claim that there are different kinds of universals that can be the referents of predicate terms. The predicates of subject-predicate sentences like (1), where we characterize an object or say how it is, take properties as their referents. Other subject-predicate sentences are like

(2) Plato is a human being

enabling us to identify what a thing is or to say what kind of thing it is. Their predicates take kinds as their referents. Finally, there are subject-predicate sentences like

(3) Socrates is the teacher of Plato,

which enable us to say how different objects are related to each other; their predicates refer to relations.
  물론 실재론자들은 우리가 (1)과 (4)에 대해 말했던 줄거리를 주-술 담화에 대한 일반적 설명을 제공하는 데에까지 확장시키고자 한다. 술어들은 보편자들을 지시하고, 주-술 문장을 참으로 만드는 것은 바로 그 문장 주어의 지시체가 그 문장 술어의 지시체인 보편자를 예화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실재론자는 전형적으로 술어들의 지시체들일 수 있는 상이한 종류들의 보편자들이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1)과 같은 주-술 문장들의 술어들은 우리가 한 대상을 규정하거나 그 대상이 어떠한지 말할 때 그 술어들의 지시체들로 속성들을 취한다.

(2) 플라톤은 인간이다

이와 같은 다른 주-술 문장들은 우리로 하여금 한 사물이 무엇인지 규정할 수 있도록 혹은 그것이 어떤 종류의 사물인지 말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그 문장들의 술어들은 그 술어들의 지시체들로서 종류들을 취한다. 끝으로,

(3) 소크라테스는 플라톤의 스승이다

이와 같은 주-술 문장들, 우리로 하여금 상이한 대상들이 어떻게 상호에 관련되는지 말할 수 있도록 해주는 문장들이 있다; 그 문장들의 술어들은 관계들을 지시한다.

  If this analysis is to be complete, however, we need an account of the kind of referential relation that ties predicates to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Our paradigm of the referential relation is that between a name and its bearer, the sort of relation that ties ‘Socrates’ to the man Socrates; and some realists have wanted to claim that it is precisely this relation that predicates bear to universals.8 Their typical example is a sentence like

(5) This is red,

where we specify the color of some particular. We are told that (5) incorporates two names tied together by the copula ‘is’: ‘this’ names a certain particular, ‘red’ names a certain universal, and the copula expresses the relation of exemplification that ties the particular named by ‘this’ to the universal named by ‘red.’ On this account, the insight that subject-predicate truth involves a correspondence between a linguistic structure and a nonlinguistic structure gets a very strong expression; for on this view we have a one-to-one correspondence between the linguistic expressions out of which (5) is composed and the nonlinguistic items that are supposed to make (5) true. But while the claim that universals are named by predicates might seem attractive for a sentence like (5), when we turn to other subject-predicate sentences, we find that the analysis does not generalize very well. Consider, again,

(1) Socrates is courageous.

It is not plausible to suppose that its predicate is a name. Where a term names an entity, it can play the role of subject term in a subject-predicate sentence; and in that role, it refers to the item that it names. ‘Courageous’ does not, however, pass that test; it is not grammatically suited to occupy the subject position. If any term names the universal the realist wants to correlate with the predicate ‘courageous,’ it is the term ‘courage’; and just as ‘courageous’ cannot play the subject role, ‘courage’ cannot function as a predicate. Nor is the case of ‘courageous’ idiosyncratic. Consider

(6) This coin is circular,
(7) Plato is wise,
and
(8) Alcibiades is exhausted.

In none of these cases is it plausible to claim that the predicate functions as a name of the universal it is supposed to refer to. In each case, there is another term (‘circularity,’ ‘wisdom,’ ‘exhaustion’) that is more plausibly construed as the name of the relevant universal. The fact that we cannot take the predicates of (1), (6), (7), or (8) to be names of universals suggests that ‘red’ is not playing that role in (5) either; and the fact is that it is not. ‘Red,’ along with other color words is ambiguous; it can function as a noun (as in ‘Red is a color’), and in that use it is plausibly construed as a name of the relevant color; but it can also function as an adjective (as in ‘red house’ and ‘red complexion’), and in that use it does not name anything. In (5) the term has its adjectival use and so is no more a name there than ‘courageous’ is in (1).
그렇지만 만일 이러한 분석이 완결될 것이라면, 우리는 술어들을 속성들, 종류들, 그리고 관계들에 결부시키는 그런 종류의 지시적 관계에 대한 설명을 필요로 한다. 지시적 관계에 대한 우리의 전형은 이름과 그 이름의 담지자 사이의 관계, '소크라테스'를 소크라테스라는 사람에 결부시키는 그런 종류의 관계이다; 그리고 일부 실재론자들은 술어들이 보편자들에 대해 제공하는 것이 바로 정확히 이러한 관계라고 주장하고자 하였다. 그들의 전형적인 예시는

(5) 이것은 붉다,

이와 같은 문장, 우리가 어떤 특수자의 색을 상술하는 문장이다. 우리는 (5)가 함께 묶인 두 가지 이름들을 계사 'is'로써 결합시킨다고 이야기하게 된다: 'this'는 특정한 특수자를 명명하고, 'red'는 특정한 보편자를 명명하며, 그 계사는 'this'에 의해 명명된 그 특수자를 'red'에 의해 명명된 보편자에 결부시키는 예화의 관계를 표현한다. 이러한 설명에 있어서, 주-술 진리가 언어적 구조와 비언어적 구조 사이의 일치를 포함한다는 통찰은 매우 강한 억양을 획득한다; 왜냐하면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는 그로부터 (5)가 구성되는 그러한 언어적 표현들과 (5)를 참이도록 만드는 것으로 간주되는 비언어적 항목들 사이의 일대일 대응을 지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편자들이 술어들에 의해 명명된다는 주장은 (5)와 같은 문장에 대해 매력적으로 보일지 모르는 반면, 우리가 다른 주-술 문장들로 돌아설 떄, 우리는 그 분석이 아주 잘 일반화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된다. 다시 한 번

(1) 소크라테스는 용감하다.

라는 문장을 고찰해 보자. 그 문장의 술어가 하나의 이름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그럴듯해 보이지 않는다. 한 용어가 하나의 실체를 명명할 때, 그것은 주-술 문장에서 주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역할에 있어서, 그 용어는 그것이 명명하는 그 항목을 지시한다. '용감'은 그렇지만 저 시험을 통과하지 못한다; '용감'은 주어 위치를 점유하기에는 문법적으로 적합하지 않다. 만일 어떤 용어든 실재론자들이 '용감'이라는 술어와 결부시키기를 바라는 보편자를 명명한다면, 그 용어는 '용기'이다; 그리고 바로 '용감'이 주어 역할을 수행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용기'는 술어로서 기능할 수 없다. '용감'의 경우가 특이한 것도 아니다. 다음 세 문장들을 고찰해 보자.

(6) 이 동전은 원형이다,
(7) 플라톤은 현명하다,
그리고
(8) 알키비아데스는 지쳤다.

이러한 경우들 중 어느 경우에도 그 술어가 그것이 지시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보편자의 이름으로 기능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그럴듯해 보이지 않는다. 각 경우에서, 상관된 보편자의 이름으로 그럴 듯하게 이해되는 또 다른 용어 ('원형,' '지혜,' '소진') 가 있다. 우리가 (1), (6), (7), 또는 (8)의 술어들을 보편자들의 이름들일 것으로 취할 수 없다는 사실은 '붉음'이 (5)에서도 저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 않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그러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 않다는 것은 사실이다. '빨강'은 다른 색 단어들과 함께 모호하다; 그것은 ('빨강은 색이다'에서와 같이) 명사로서 기능할 수 있고, 그러한 용례에서 빨강은 상관된 색의 이름으로 그럴 듯하게 이해된다; 그러나 그것은 또한 ('빨간 집' 그리고 '빨간 낯빛'에서와 같이) 형용사로서 기능할 수 있고, 그 용례에서 그것은 어떤 것의 이름도 아니다. (5)에서 그 용어는 그 형용사적 용법을 지니고 그래서 더 이상 (1)에서 '용감'이 그러한 것보다 조금도 더 이름이 아니다.

  We have been focusing on the grammatical obstacles to construing predicates as names; but those obstacles have semantical roots. A name is a singular term; it picks out its bearer and nothing else. Predicates, by contrast, are general terms and, as such, they enter into a referential relation with each of the objects of which they can be predicated. In the semanticist’s jargon, they are true of or satisfied by those objects. But if their entering into that relation precludes their serving as names of universals, is there any other kind of referential relation that they might, nonetheless, bear to universals? Many realists have insisted that there is. They have claimed that in addition to being true of or satisfied by the objects of which they can be predicated, predicate terms express or connote universals.[9] Thus, ‘courageous’ is referentially linked to all and only courageous individuals by the relation of satisfaction; but realists have claimed that it also expresses or connotes the universal all those individuals have in common, the virtue of courage. Likewise, ‘circular’ is satisfied by all and only the individuals that are circular, but realists tell us that it bears the further semantical relation of expression or connotation to the universal those individuals all share, the shape of circularity.
  우리는 술어들을 이름들로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 문법적 장애물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그러나 그러한 장애들은 의미론적 뿌리들을 지닌다. 하나의 이름은 단칭 명사이다; 이름은 그 이름의 담지자외의 다른 아무것도 골라내지 않는다. 반면에 술어들은 일반 명사들이며, 그 자체로는 그 술어들이 그에 대해 서술될 수 있는 대상들 각각과 지시적 관계에 들어간다. 의미론의 은어에서, 그 술어들은 그러한 대상들에 대해 참이거나 그것들에 의해 만족된다. 그러나 만일 그 술어들의 저 관계에 들어감이 그 술어들의 보편자들에 대한 이름들로 역할함을 배제한다면, 그것들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편자들에 대해 가질 수 있을 그 어떤 다른 종류의 지시적 관계가 있는가? 많은 실재론자들은 그러한 것이 있다고 주장해 왔다. 그들은 그 술어들이 그에 대해 서술될 수 있는 대상들에 대해 참임 또는 그것들에 의해 만족됨에 더하여, 술어들이 보편자들을 표현하거나 내포한다고 주장해 왔다. 그래서, '용감'은 지시적으로 모두 오로지 용감한 개별자들에 충족의 관계에 의해 연결된다; 그러나 실재론자들은 그것이 또한 그러한 모든 개별자들이 공통으로 지니는 그 보편자를, 용기의 덕분으로 표현하거나 내포한다고 주장해 왔다. 같은 식으로, '원형'은 모두 오로지 원형인 개별자들에 의해서만 만족되지만, 실재론자들은 우리에게 그것이 추가적인 의미론적 관계, 그러한 개별자들 모두가 공유하는 보편자, 원형의 형태에 대한 표현이나 내포의 관계를 품는다고 말한다.

  Toward clarifying the claim that predicates express universals, realists argue that to apply a predicate term to an object is to do more than merely identify the object as a member of a set of objects; it is to identify as well the universal in virtue of which objects belong to the set. Thus, when we say that an object is triangular, we are not merely saying that it belongs to a set of objects. We are also pointing to the property shared by all the members of the set and saying that the object in question exhibits that property. According to the realist, the fact that the use of a predicate term involves more than the mere identification of the items it is true of is shown by the fact that subject-predicate sentences like our (1)–(8) admit of paraphrases in which the reference to a universal is made explicit. (1), for example, can be paraphrased
as

(1') Socrates exemplifies courage,

and (6) can be paraphrased as

(6') This coin exemplifies circularity.

In both cases, the original subject-predicate sentence gives way to a sentence in which there occurs a singular term that bears what appears to be the naming relation to the universal the realist takes the predicate of the sentence to refer to or pick out. Now, realists want to claim that the possibility of such paraphrases is general, so that any subject-predicate sentence of the form ‘a is F’ can be paraphrased by a sentence of the form ‘a exemplifies F-ness.’ But if paraphrases of this sort are always possible, then to predicate a general term, ‘F,’ of an object is just to say that the object exemplifies the universal, F-ness. And this implies that even if predicates do not name universals, their use in the context of a subject-predicate sentence has the force of introducing universals into discourse, of mentioning or referring to universals. There is, then, a referential relation here, one weaker or less direct than, but parasitic on the naming relation. That relation is what the realist calls expression or connotation. And the realist will, once again, typically claim that predicates can express or connote different kinds of universals. The predicate of a sentence like (1) expresses or connotes a property, and to assertively utter (1) is to say that a given object exemplifies that property by possessing or having it. The predicate of (2), by contrast, expresses a kind; and to assertively utter (2) is to say that some object exemplifies that kind by belonging to it. Finally, the predicate of (3) expresses a dyadic relation; and to use (3) to make a claim is to say that a particular pair of objects exemplify that dyadic relation by entering into it.
  술어들이 보편자들을 표현한다는 주장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실재론자들은 술어를 한 대상에 적용하는 일이 단순히 그 대상을 일련의 대상들에 속하는 한 구성원으로 규정하는 이상의 것을 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것은 또한 그로 인해 대상들이 그 집합에 속하는 그 보편자를 규정하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가 한 대상이 삼각형이라고 말할 때, 우리는 단순히 그 대상이 일련의 대상들에 속한다고만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또한 그 집합에 속하는 구성원들 모두에 의해 공유되는 속성을 지적하고 있으며 문제가 되는 그 대상이 그 속성을 나타낸다고 말하고 있다. 실재론자에 따르면, 술어의 사용이 그 항목들에 대해 그 술어가 참이라는 단순한 규정 이상의 것을 포함한다는 사실은 우리의 (1)-(8)과 같은 주-술 문장들이 그 안에서 보편자에 대한 그 지시가 명확해지는 그러한 말 바꾸기들에 대해 허용한다는 사실에 의해 보여진다. 예를 들어 (1)은 다음과 같이 말이 바뀌어 풀이될 수 있다.

(1') 소크라테스는 용기를 예화한다,

그리고 (6)은 다음과 같이 말이 바뀌어 풀이될 수 있다.

(6') 이 동전은 원형성을 예화한다.

두 문장들 모두에 있어서, 본래의 주-술 문장은 실재론자가 그 문장의 술어로 취하는 보편자에 대해 지시하거나 골라내는 명명관계인 것으로 보이는 것을 품은 단칭 명사가 생겨나는 방식을 제공한다. 이제, 실재론자들은 그러한 말 바꾸기의 가능성이 일반적이며, 그래서 'a는 F이다'라는 형식에 속하는 어떠한 주-술 문장이든 'a는 F-임을 예화한다'라는 형식의 문장에 의해 말이 바뀌어 풀이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그러나 만일 이러한 종류의 말 바꾸기들이 언제나 가능하다면, 한 대상의 일반 명사 'f'를 서술하는 것은 단지 그 대상이 그 보편자 F-임을 예화한다고 말하는 것일 따름이다. 그리고 이것은 설령 술어들이 보편자들을 명명하지 않는다 할지라도 그 술어들의 용례는 주-술 문장의 문맥 안에서 보편자들을 담화에 도입하는 능력, 보편자들을 언급하거나 지시하는 능력을 지닌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래서 여기에는 지시적 관계, 더 약하거나 덜 직접적이지만 명명 관계에 기생적인 지시적 관계가 있다. 저 관계는 실재론자가 표현 혹은 내포라 부르는 것이다. 그리고 실재론자는 다시 한 번 전형적으로 술어들이 상이한 종류들의 보편자들을 표현하거나 내포할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1)과 같은 문장의 술어는 하나의 속성을 표현하거나 내포하며, 단정적으로 (1)을 발화하는 것은 주어진 대상이 저 속성을 그 속성을 소유하거나 가짐으로써 예화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반면에 (2)의 술어는 하나의 종류를 표현한다; 그리고 단정적으로 (2)를 발화하는 것은 어떤 대상이 저 종류를 그 종류에 속함으로써 예화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끝으로, (3)의 술어는 이원적 관계를 표현한다; (3)을 주장에 사용하는 것은 대상들의 한 특수자 쌍이 저 이원적 관계를 그 관계에 들어감으로써 예화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So predicates express or connote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and where we have a true subject-predicate sentence, the universal expressed by the predicate is exemplified by the referent of the sentence’s subject term. The realist claims that this account does what we want it to do; it explains how subject-predicate sentences can manage to correspond to the world, and it does so in a natural or intuitively satisfying way. What makes the account so natural, according to the realist, is its connections with the realist’s interpretation of attribute agreement. General terms play the predicate role; and, on any theory, general terms mark cases of attribute agreement: all the items of which a given general term is true agree in attribute or are similar in some way. But the items that agree in attribute, according to the realist, all exemplify some one universal; and, on the realist’s account, the general term that marks a given case of attribute agreement expresses or connotes precisely the same universal that supports or grounds that case of attribute agreement. So we have an account of predication that goes hand in hand with our account of attribute agreement, and the two accounts mesh in just the way they must if we are to provide a satisfactory account of subject-predicate truth. The universal that is the referent of a predicate term is precisely the universal that must be exemplified by the referent of a subject term if that referent is to be something that instances the case of attribute agreement marked by that predicate term.
  그래서 술어들은 속성들, 종류들, 그리고 관계들을 표현하거나 내포한다; 그리고 우리가 참인 주-술 문장을 갖는 곳에서, 술어에 의해 표현된 보편자는 그 문장의 주어의 지시체에 의해 예화된다. 실재론자는 이러한 설명이 우리가 하고자 원하는 일을 한다고 주장한다; 그것은 어떻게 주-술 문장들이 세계에 대한 일치를 이루어 내는지 설명하고, 자연스럽거나 직관적으로 만족스러운 그러한 방식으로 그렇게 한다. 실재론자에 따르면 그 설명을 그렇듯 자연스럽게 만드는 것은 그 설명의 실재론자들의 속성 일치에 대한 해석과의 연결들이다. 일반적 명사들은 서술적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어떠한 이론에서든, 일반 용어들은 속성 일치의 사례들을 표시한다: 그에 대해 일반적 명사가 주어지는 모든 항목들은 속성에 있어서 참으로 일치하거나 또는 어떤 방식으로 유사하다. 그러나 속성에 있어서 일치하는 그 항목들은 실재론자에 따르면 모두 어떤 하나의 보편자를 예화한다; 그리고, 실재론자의 설명에 있어서, 속성 일치의 주어진 사례를 표시하는 일반적 명사는 정확히 그 속성 일치의 사례를 지지하거나 기초짓는 동일한 보편자를 표현하거나 내포한다. 그래서 우리는 속성 일치에 대한 우리의 설명과 관련되는 술어에 대한 설명을 지니고, 그 두 가지 설명들은 그 설명들이 만일 우리가 주-술 진리에 대한 만족스러운 설명을 제공할 것이라면 반드시 맞물려야 하는 바로 그러한 방식으로 맞물린다. 술어의 지시체인 보편자는 정확히, 만일 저 지시체가 저 술어에 의해 표시되는 속성 일치의 사례를 예증하는 어떤 것일 것이라면 주어의 지시체에 의해 예화되어야만 하는 그 보편자이다.


Realism and abstract reference
실재론과 추상적 지시

  Realists want to claim that an ontology of universals provides us with the resources for explaining more than predication. They think their metaphysical theory enables us to give an intuitively satisfying account of the phenomenon of abstract reference.[10] This phenomenon makes its most obvious appearance in the use of what are called abstract singular terms. Examples of abstract singular terms are expressions like ‘triangularity,’ ‘wisdom,’ ‘mankind,’ and ‘courage.’ They are all singular terms: they can play the subject role; and they tend to pair off with expressions that can play the predicate role – general terms. Thus, we have ‘triangularity’/‘triangular,’ ‘wisdom’/‘wise,’ ‘mankind’/‘man,’ ‘courage’/‘courageous,’ and ‘red’ (in its noun use)/‘red’ (in its adjectival use). Now, intuitively, the terms making up each of these pairs seem to be related in a quite distinctive way: the abstract singular term appears to be a device for picking out a certain property or kind and the general term appears to be an expression true of or satisfied by all and only the objects that exemplify that property or kind. The realist insists that this intuitive account is correct and claims that unless we take abstract singular terms to be devices for referring to universals, we cannot provide a satisfactory account of the sentences in which they appear. The following are examples of such sentences:

(9) Courage is a moral virtue
(10) Triangularity is a shape
(11) Hilary prefers red to blue
(12) Mankind is a kind
(13) Wisdom is the goal of the philosophic life

and so are the sentences we mentioned in our account of the referential force of predicates:

(1') Socrates exemplifies courage
and
(6') This coin exemplifies circularity.

Realists point out that sentences like these are often true, and argue that only the metaphysical realist has the resources for explaining how they can manage to be true. The realist insists that if we are to provide an account of what these sentences say, we must hold that, as they occur in these sentences, abstract singular terms are functioning in precisely the way the intuitive account tells us they function: they are playing referential roles of the most straightforward sort; they are functioning as names of universals. But if they are playing that sort of role, the sentences in which they occur can be true only if the universals they name actually exist. So only the philosopher who endorses an ontology of universals can account for the truth of sentences in which abstract singular terms appear.
  실재론자들은 보편자들의 존재론이 우리에게 서술 이상의 것을 설명하기 위한 원천들을 제공한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그들은 그들의 형이상학적 이론이 우리로 하여금 추상적 지시라는 현상에 대한 직관적으로 만족스러운 설명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고 생각한다. 이 현상은 추상적 단칭 명사들이라 불리는 것의 사용에 있어서 가장 분명하게 드러난다. 추상적 단칭 명사들의 사례들은 '삼각형,' '지혜,' '인류,' 그리고 '용기'와 같은 표현들이다. 그것들은 모두 단칭 명사들이다: 그것들은 주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그것들은 술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표현들 - 일반 명사들과 짝을 이루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우리는 '삼각형'/삼각,' '지혜'/'지혜로운,' '인류'/'인간적,' '용기'/'용감,'그리고 '빨강'(명사적 용례에 있어서)/'빨간' (형용사적 용례에 있어서)를 가진다. 이제, 직관적으로, 이러한 쌍들 각각을 구성하는 용어들은 상당히 특유한 방식으로 관련되는 것으로 보인다: 추상적 단칭 명사는 특정한 속성이나 종류를 골라내기 위한 장치인 것으로 보이고 일반 명사는 그 속성이나 종류를 예화하는 그 대상들에 대한 진리 표현이거나 모두 오로지 그것들에 의해서만 충족되는 표현인 것으로 보인다. 실재론자는 이러한 직관적 설명이 옳다고 주장하며 우리가 추상적 단칭 명사들을 보편자들을 지시하는 장치들인 것으로 받아들이지 않는 한, 우리는 그러한 추상적 단칭 명사들이 나타나는 문장들에 대한 만족스러운 설명을 제공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다음은 그러한 문장들의 사례들이다:

(9) 용기는 도덕적 특성이다
(10) 삼각형은 형태이다
(11) 힐러리는 파랑보다 빨강을 선호하다
(12) 인류는 유(類)이다
(13) 지혜는 철학적 삶의 목표이다

그리고 이 문장들은 술어들의 지시적 능력에 대한 우리의 설명에서 우리가 언급했던 문장들이다:

(1') 소크라테스는 용기를 예화한다
그리고
(6') 이 동전은 원형을 예화한다.

실재론자들은 이와 같은 문장들이 종종 참임을 지적하고, 오로지 형이상학적 실재론자만이 어떻게 그것들이 참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설명을 위한 원천들을 가진다고 주장한다. 실재론자는 만일 우리가 이러한 문장들이 말하는 바에 대한 설명을 제공할 것이라면, 우리는 반드시 이러한 문장들 안에서 그것들이 나타나는 것처럼, 추상적 단칭 명사들이 정확하게 그 직관적 설명이 우리에게 그것들이 기능한다고 말해주는 그 방식에서 기능하고 있다고 주장해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즉 그것들은 가장 직접적인 종류의 지시적 역할들을 수행하고 있다; 그것들은 보편자들의 이름들로서 기능하고 있다. 그러나 만일 그 추상적 단칭 명사들이 그러한 종류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면, 그것들이 나타나는 그 문장들은 오로지 그것들이 명명하는 보편자들이 실제로 현존하는 경우에만 참일 수 있다. 그래서 오로지 보편자들의 존재론을 지지하는 처학자만이 추상적 단칭 명사들이 나타나는 문장들의 진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Consider (9). In (9), we pick out a certain property, the property exemplified by all and only courageous individuals, and we go on to say what kind of thing it is; we say that it is a moral virtue. So (9) is a claim about a certain property, the property the intuitive account tells us is named by the abstract singular term ‘courage’; and that claim can be true only if that property exists; for surely the claim that courage is a thing of a certain kind could not be true if there were no such thing as courage. Likewise, in (10) we pick out the property exemplified by all and only triangular objects and we say of that property that it is a shape. Thus (10) is a claim about a certain property, the property the intuitive account tells us is the referent of the abstract singular term ‘triangularity’; and the truth of (10) presupposes that the referent of that abstract term exists. It could hardly be true, after all, that triangularity belongs to a certain kind if triangularity did not exist. And analogous points could be made regarding (11)–(13), (1'), and (6'). In each case, we have an abstract singular term, and the sentence in question manages to say what it does only because the relevant abstract term is functioning in the way the intuitive account tells us it functions, only because it is playing the referential role of naming a universal. Accordingly, each of these sentences can be true only if the universal named by the constituent abstract term exists. And, of course, there are many other such sentences; and like our sample sentences, their truth presupposes the existence of the universals the intuitive account takes to be the referents of their constituent abstract singular terms. But obviously many such sentences are true, and only the metaphysical realist, only the philosopher who holds that universals exist, can tell us how this is possible.
  (9)를 고찰해 보자. (9)에서, 우리는 특정한 속성, 모두 오로지 용감한 개별자들에 의해서만 예화되는 그 속성을 골라내고, 계속해서 그것이 어떠한 종류의 사물인지 이야기한다; 우리는 그것이 도덕적 특성이라 말한다. 그래서 (9)는 한 특정한 속성에 대한 주장, 직관적 설명이 우리에게 말해주는 그 속성은 그 추상적 단일 명사 '용기'에 의해 명명된다는 주장이다; 그리고 저 주장은 오로지 저 속성이 현존할 때에만 참일 수 있다; 왜냐하면 확실히 용기가 특정한 종류의 사물이라는 주장은 만일 용기와 같은 그러한 어떤 것도 존재하지 않는다면 참일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같은 식으로, (10)에서 우리는 모두 오로지 삼각인 대상들에 의해서만 예화되는 그 속성을 골라내고 저 속성에 대해 그것이 하나의 형태라고 이야기한다. 따라서 (10)은 특정한 속성에 대한 주장, 직관적 설명이 우리에게 말해주는 그 속성이 추상적 단일 명사 '삼각형'의 지시체라는 주장이다; 그리고 (10)의 진리는 저 추상적 용어의 지시체가 현존한다고 전제한다. 어쨌든 만일 삼각형이 현존하지 않는다면 저 삼각형이 한 특정한 종류에 속한다는 것은 도무지 참일 수 없을 것이다. 그리고 유사한 점들이 (11)-(13), (1') 그리고 (6')와 관련하여 지적될 수 있을 것이다. 각 경우에서, 우리는 하나의 추상적 단칭 명사를 지니고, 문제가 되는 문장은 오로지 그 상관된 추상 명사가 그 직관적 설명이 우리에게 그것이 그렇게 기능한다고 말해주는 그러한 방식으로 기능하고 있기 때문에만, 오로지 그 추상 명사가 보편자를 명명하는 지시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만 그 문장이 말하는 바를 말해낸다. 따라서, 이러한 문장들 각각은 오로지 구성적인 추상 명사에 의해 명명된 보편자가 현존할 때에만 참일 수 있다. 그리고 물론 그러한 여러 다른 문장들이 있다; 또 우리의 예시 문장들과 같이, 그 문장들의 진리는 그 직관적 설명이 그 문장들의 구성적 추상 단칭 명사들의 지시체들인 것으로 취하는 보편자들의 현존을 전제한다. 그러나 분명히 그러한 여러 문장들은 참이고, 오직 형이상학적 실재론자만이, 보편자들의 현존을 주장하는 그러한 철학자만이 우리에게 어떻게 이것이 가능한지 말할 수 있다.

  So the fact that sentences incorporating abstract singular terms can be true is something realists claim only they can explain. They insist, however, that what we have called abstract reference is not restricted to sentences like those we have been considering. There are sentences incorporating no abstract singular terms which, nonetheless, appear to involve a reference to things like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11] The following are examples of the sorts of sentences the realist has in mind:

(14) That tomato and that fire engine have the same color
(15) Some species are cross fertile
(16) There are undiscovered relations tying physical particles to each other
(17) He has the same character traits as his cousin
and
(18) That shape has been exemplified many times.

Although none of these sentences includes a singular term that names a universal, the realist tells us that they are all claims about universals, claims about the colors, character traits, and shapes things share, the biological kinds to which they belong, and the relations into which they enter and insists that none of these sentences can be true unless the universals in question actually exist. Thus, (14)–(17) are straightforward assertions of the existence of universals meeting certain conditions; none of them can be true unless there exist universals meeting those conditions; and while (18) is not an explicit existence claim, its truth presupposes the existence of at least one multiply exemplifiable entity, a certain shape. So, again, we have the claim that there are sentences whose truth implies the existence of the sorts of things the realist calls universals; the realist points out that many sentences like (14)–(18) are true and concludes that only the philosopher who endorses an ontology of universals can explain this fact.
  그래서 추상적 단칭 명사들을 결합하는 문장들이 참일 수 있다는 사실은 실재론자들이 오직 그들만이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어떤 것이다. 그들은 그렇지만 우리가 추상적 지시라고 불렀던 것이 우리가 고찰하고 있었던 그러한 문장들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아무런 추상적 단칭 명사들도 결합하지 않는, 그럼에도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과 같은 것들에 대한 지시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문장들이 있다. 다음은 실재론자들이 염두에 두는 그러한 종류의 문장들의 사례들이다.

(14) 저 토마토와 저 소방차는 같은 색을 지닌다
(15) 일부 종들은 타가수정한다
(16) 물리적 입자들을 상호 결부시키는 발견되지 않은 관계들이 있다
(17) 그는 그의 사촌과 같은 동일한 성격 특성들을 지닌다
그리고
(18) 저 형태는 여러 차례 예화되어 왔다.

이러한 문장들 중 어느 것도 보편자를 명명하는 단칭 명사를 포함하지 않는다 할지라도, 실재론자는 우리에게 그 문장들이 모두 보편자들에 대한 주장들, 색들, 성격 특성들, 그리고 사물들이 공유하는 형태들, 그것들이 속한 생물학적 종류들, 그 사물들이 들어가는 관계들에 대한 주장들이라고 말하고 이러한 문장들 중 아무것도 문제가 되는 보편자들이 실제로 현존하지 않는 한 참일 수 없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14)-(17)은 특정 조건들을 충족시키는 보편자들의 현존에 대한 직접적 단언들이다; 그것들 중 어느 것도 그러한 조건들을 충족시키는 보편자들이 현존하지 않는 한 참일 수 없다; 그리고 (18)은 명백한 현존 주장이 아닌 반면, 그 문장의 참은 최소한 하나의 다양하게 예화될 수 있는 실체, 한 특정 형태의 현존을 전제한다. 그래서 다시금 우리는 그 참이 실재론자가 보편자들이라 부르는 그런 종류의 사물들의 현존을 시사하는 문장들이 있다는 주장을 가진다; 실재로자는 (14)-(18)과 같은 많은 문장들이 참임을 지적하고 오로지 보편자들의 존재론을 지지하는 철학자만이 이 사실을 설명할 수 있다고 결론내린다.

  The sentences that exhibit the phenomenon of abstract reference, then, include both sentences with and sentences without abstract singular terms; but in both cases, the realist’s contention is the same: that to account for their truth, we must endorse the ontology of metaphysical realism. A couple of comments about this line of argument are in order. First, it is independent of the realist’s account of predication. The realist’s claims about sentences like (9)–(18) presuppose no particular theory of predication. Even if we suppose that the only semantical property associated with predicates is that of being true of or satisfied by the items of which they are predicated, the fact remains that intuitively the use of sentences like (9)–(18) has the force of making claims about entities other than familiar concrete particulars. Indeed, it is plausible to think that this argument is actually presupposed by the realist’s analysis of predication. As we have seen, when realists attempt to explicate and justify the claim that predicates take universals as their referents, they appeal to the fact that ordinary subject-predicate sentences of the form ‘a is F’ can be paraphrased by way of sentences of the form ‘a exemplifies F-ness.’ But it is only because sentences of the latter form incorporate abstract singular terms and because we take the truth of sentences incorporating such terms to commit us to the existence of universals that we take the appeal to these paraphrases as evidence for the realist’s theory of predication.
  추상적 지시의 현상을 드러내는 문장들은 그래서 추상적 단칭 명사들을 지닌 문장들과 지니지 않은 문장들 모두를 포함한다; 그러나 두 경우 모두에 있어서, 실재론자의 주장은 동일하다: 즉 그 문장들의 진리를 설명하기 위해, 우리는 반드시 형이상학적 실재론의 존재론을 지지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증 노선에 대한 한 쌍의 비판들이 다음에 차례로 있다. 첫째, 그 존재론은 술어에 대한 실재론자의 설명에 독립적이다. (9)-(18)과 같은 문장들에 대한 실재론자의 주장들은 술어에 대한 아무런 특수한 이론도 가정하지 않는다. 설령 우리가 오로지 술어들과 관련된 의미론적 속성만이 그에 대해 서술되는 항목들에 대해 참임 또는 그것들에 의해 만족됨의 속성이라고 가정한다 할지라도, 직관적으로 (9)-(18)과 같은 문장들의 사용이 친숙한 구체적 특수자들과 다른 실체들에 대한 주장들을 구성하는 능력을 지닌다는 사실은 남는다. 더욱이, 이러한 논증이 실제로 술어에 대한 실재론자의 분석에 의해 전제된다고 생각하는 것은 그럴 듯하다. 우리가 보았듯, 그들은 'a는 F이다' 형식에 속하는 일상적 주-술 문장들이 'a는 F-임을 예화한다' 형식의 문장들에 대한 방식으로 말이 바뀌어 풀이될 수 있다는 사실에 호소한다. 그러나 그것은 오직 후자 형식의 문장들이 추상적 단칭 명사들을 결합하기 때문일 따름이고 우리가 그러한 명사들을 결합하는 문장들의 진리를 우리에게 우리가 이러한 말바꾸기들에 대한 호소에 대해 술어에 대한 실재론자의 이론에 대한 증거로 취하는 보편자들의 현존에 대해 약속하는 것으로 취하기 때문일 뿐이다.

  Second, the realist’s claims about sentences involving abstract reference cannot be properly evaluated in isolation from alternative accounts of the role of abstract referring devices; for the warrant for those claims must be the failure of alternative analyses of sentences like (9)–(18). If a satisfactory nominalist account of the content and truth conditions of such sentences is forthcoming, then the realist’s claim that the truth of these sentences commits us to an ontology of universals is gratuitous. The same is true of the earlier argument from subject-predicate truth. An adequate account of how subject-predicate sentences can correspond with nonlinguistic fact that does not construe predicates as referentially tied to universals would call into question the realist’s claim that we need universals to account for subject-predicate truth. So both arguments are best understood as challenges to the nominalist to come up with systematic and intuitively attractive theories of predication and abstract reference, theories that give us an account of the metaphysical grounds of subject-predicate truth and the use of abstract referring devices without making reference to common or shared entities. As we shall see in the next chapter, nominalists have recognized the burden placed on them by the realist’s argument in these two arenas and have expended considerable effort showing that such an account is possible. And given the way that the realist’s account of abstract reference enters into the realist’s account of predication, it is not surprising that nominalists have been most concerned to provide an account of the role of abstract singular terms. As we shall see, the realist’s claim that our intuitive understanding of sentences like (9)–(18) presupposes the existence of universals is just an opening salvo. Realists realize that they must respond to alternative accounts of such sentences; but they are prepared to do so and are confident that their own analysis will be vindicated by the examination of nominalist accounts of abstract reference.
  둘째, 추상적 지시를 포함하는 문장들에 대한 실재론자의 주장들은 추상적 지시 장치들의 역할에 대한 대안적 설명들과 고립된 상태에서 적절하게 평가될 수 없다; 왜냐하면 그러한 주장들에 대한 근거는 반드시 (9)-(18)과 같은 문장들에 대한 대안적 분석들의 실패여야만 하기 때문이다. 만일 그러한 문장들의 내용과 진리 조건들에 대한 만족스러운 유명론적 설명이 마련된다면, 이러한 문장들의 진리가 우리에게 보편자들에 대한 존재론을 약속한다는 주장은 불필요하다. 주-술 참으로부터의 앞선 논증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것이 참이다. 술어들을 지시적으로 보편자들에 결부되는 것으로 이해하지 않는, 어떻게 주-술 문장들이 비언어적 사실과 일치할 수 있는지에 대한 하나의 적합한 설명은 우리가 주-술 진리에 대한 설명을 위해 보편자들을 필요로 한다는 실재론자의 주장을 문제시되도록 할 것이다. 그래서 두 논증들 모두 유명론자에게 술어와 추상 지시에 대한 체계적이고 직관적으로 매력적인 이론들, 우리에게 주-술 진리에 대한 형이상학적 토대들과 공통 또는 공유된 실체들에 대한 지시를 만들지 않는 추상적 지시 장치들의 사용에 대한 하나의 설명을 제시하는 이론들을 발견하기 위한 도전들로서 가장 잘 이해된다. 우리가 다음 장에서 보게 될 것과 같이, 유명론자들은 이러한 두 가지 무대들에서 실재론자의 논증에 의해 그들에게 지워진 짐을 재인하였고 그러한 설명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주목할 만한 노력을 펼쳐 왔다. 그리고 추상적 지시에 대한 실재론자의 설명이 술어에 대한 실재론자의 설명에 들어가는 방식을 고려하면, 유명론자들이 추상적 단칭 명사들의 역할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데에 가장 매달려 왔다는 것은 놀랍지 않다. 우리가 보게 될 것처럼, (9)–(18)과 같은 문장들에 대한 우리의 직관적 이해가 보편자들의 현존을 전제한다는 실재론자의 주장은 단지 포문이 열린 것뿐이다. 실재론자들은 그들이 그러한 문장들에 대한 대안적 설명들에 대응해야만 한다는 것을 알아차린다; 그러나 그들은 그렇게 할 준비가 되어 있고 그들의 고유한 분석이 추상적 지시에 대한 유명론적 설명들의 검토에 의해 정당성을 입증하게 될 것임을 자신한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