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trictions on realism – exemplification
실재론의 제한들 - 예화

  Our discussion suggests that metaphysical realists constitute a unified group defending a single doctrine, but the fact is that realists have disagreed among themselves on a range of issues. The most important bears on the generality of the theory. Our treatment of realism suggests that realists want to apply the Platonic schema across the board, so that for every case of what we would prephilosophically call agreement in attribute, the realist will posit a separate universal. Likewise, we have implied that every general term that can function predicatively in a true subject-predicate sentence expresses or connotes a distinct universal and that every semantically distinct abstract term names a unique universal. But many realists have been unwilling to endorse such an unrestricted version of the theory. They have insisted that we place restrictions on the theory, so that universals correspond to only some of the ways things can be said to be, to only a limited pool of general terms, and to only some of the abstract terms in our language. Furthermore, the restrictions imposed on the theory have varied, so that by examining the different ways the theory has been restricted and the rationale for each restriction, we can bring to light the different forms metaphysical realism has taken.
  우리의 논의는 형이상학적 실재론자들이 단일한 원칙을 옹호하는 통합된 집단을 구성함을 시사하지만, 사실 실재론자들은 문제영역에 있어서 그들 자신들 사이에서 의견이 갈려 왔다. 가장 중요한 점은 이론의 일반성과 관련된다. 실재론에 대한 우리의 취급은 실재론자들이 플라톤적 도식을 전면적으로 적용하기를 바라며, 그래서 우리가 철학적으로 속성 일치라 부를 것에 대한 모든 경우에 대해, 실재론자는 분리된 보편자를 상정할 것이다. 같은 식으로, 우리는 참인 주-술 문장에서 술어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모든 일반 명사가 특유한 보편자를 표현하거나 내포한다는 것과 모든 의미론적으로 특유한 추상 명사는 특유한 보편자를 명명한다는 점을 시사했다. 그러나 많은 실재론자들이 그 이론의 그러한 무제한적 형태를 지지하길 꺼려 왔다. 그들은 우리가 그 이론에 제한들을 두고, 그리하여 보편자들이 오로지 사물들이 있는 것으로 이야기될 수 있는 방식들의 일부에만, 일반 명사들의 제한된 영역에만, 그리고 우리의 언어에 있어서 추상적 명사들의 일부에만 일치한다고 주장해 왔다. 더 나아가, 그 이론에 부과되는 제한들은 다양하였고, 그리하여 그 이론이 제한받아 온 상이한 방식들과 각 제한에 대한 근거를 검토함으로써, 우리는 형이상학적 실재론이 취해 온 상이한 형식들을 밝혀낼 수 있다.

  We should begin by noting that no version of metaphysical realism can consistently endorse the completely unrestricted application of the Platonic schema or hold that every nonequivalent predicate term or every nonequivalent abstract term is associated with a separate and distinct universal. An entirely unrestricted version of the theory lands one in a notorious paradox. We can bring out the paradoxical nature of an unrestricted realism by focusing on the realist’s analysis of predication. Suppose we endorse that analysis in its full generality and hold that a universal corresponds to every general term that can occupy the predicate position in a true subject-predicate sentence. Consider now the general term ‘does not exemplify itself.’ This term is, to be sure, syntactically complex; but we could, if we wished, introduce a single expression to replace the complex predicate, so the syntactic complexity is really an irrelevant detail. We have here a perfectly respectable general term, one true of or satisfied by all and only the things that do not exemplify themselves; and it is a general term that can function predicatively in true sentences. The expression is true, for example, of Bill Clinton, the number two, and the Taj Mahal. Since none of these things is selfexemplifying, each satisfies the predicate ‘does not exemplify itself’; and the relevant subjectpredicate sentences will all be true. There are, on the other hand, things, certain universals, to which the predicate does not apply. Presumably, the property of being incorporeal exemplifies itself: it has no body and so is incorporeal. Likewise, if there is such a thing as the property of being self identical, it is identical with itself and so exemplifies itself. Accordingly, neither of these things satisfies the predicate ‘does not exemplify itself.’
  우리는 형이상학적 실재론의 어떤 형태도 일관되게 플라톤적 도식의 완전히 무제한한 적용을 지지하거나 모든 부등(不等)한 술어 또는 모든 부등한 추상 명사가 독립되고 특유한 보편자와 관련된다고 주장할 수 없다는 점을 언급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할 것이다. 그 이론의 전적으로 무제한한 형태는 악명 높은 역설에 자리한다. 우리는 무제한 실재론의 역설적 본성을 술어에 대한 실재론자의 분석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끌어낼 수 있다. 우리가 저 분석을 그것의 완전한 일반성에 있어서 지지하고 한 보편자가 참인 주-술 문장에서 술어 위치를 점유할 수 있는 모든 일반 명사에 일치한다고 주장한다고 가정해 보자. 이제 '그 자신을 예화하지 못하는' 일반 명사를 고찰해 보자. 이 용어는 물론 구문론적으로 복잡하다; 그러나 우리는 만일 우리가 바란다면 그 복잡한 술어를 교체할 단일 표현을 도입할 수 있을 것이고, 그래서 그 구문론적 복잡성은 정말로 무의미한 세부사항이다. 우리는 여기에서 완벽히 훌륭한 일반 명사, 그것들 자체를 예화하지 모하는 사물들 모두에 대해 오로지 그것들에 대해서만 참이고 또 그렇게만 만족되는 일반 명사를 가진다; 그리고 그 일반 명사는 참인 문장들에서 술어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일반 명사이다. 예를 들어 빌 클린턴, 수 2, 그리고 타지마할에 대해 그 표현은 참이다. 이러한 사물들 중 어느 것도 자기예화적이지 않으므로, 그 각각은 '그 자신을 예화하지 못하는'이라는 술부를 만족시킨다; 그리고 관련된 주술문장들은 참일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사물들, 특정 보편자들, 그에 대해 그 술부가 적용되지 못하는 것들이 있다. 짐작컨데, 무형임의 속성은 그 자체를 예화할 것이다: 그것은 아무런 몸체를 지니지 않고 그래서 무형적이다. 같은 식으로, 만일 자기동일적임의 속성과 같은 그런 것이 있다면, 그것은 그 자체와 동일적이며 그래서 그 자체를 예화한다. 따라서, 이러한 두 가지 것들 중 어느 쪽도 '그 자체를 예화하지 못하는'이라는 술부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Now, since there are true subject-predicate sentences where this term functions predicatively, a totally unrestricted version of the realist’s theory of predication will tell us that there is a property expressed or connoted by this predicate expression. For convenience, let us call it the property of being nonselfexemplifying.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such a property leads immediately to paradox; for the property must either exemplify itself or fail to do so. Suppose it does exemplify itself; then, since it is the property a thing exemplifies just in case it does not exemplify itself, it turns out that it does not exemplify itself. So if it does exemplify itself, it does not exemplify itself. Suppose, on the other hand, that it does not exemplify itself; then, it turns out that it does exemplify itself; for it is the property of being  nonselfexemplifying. So if it does not exemplify itself, it does exemplify itself. But, then, it exemplifies itself just in case it does not, a deplorable result.[12] To avoid the paradox, we have no option but to deny that there is a universal associated with the general term ‘does not exemplify itself.’ The realist’s account of predication cannot hold for all general terms that function predicatively in true subject-predicate sentences.
  이제, 이 용어가 서술적으로 기능하는 참인 주-술 문장들이 있으므로, 총체적으로 술어에 대한 실재론자의 이론의 무제한적 형태는 우리에게 이 술어적 표현에 의해 표현되거나 내포되는 속성이 있다고 말할 것이다. 편의상, 우리는 그것을 자기예화불능임의 속성이라 부르기로 하자. 그러한 한 속성이 있다는 가정은 즉각적으로 역설로 이끈다; 왜냐하면 그 속성은 반드시 그 자신을 예화하거나 그렇게 하지 못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그 속성이 그 자체를 예화한다고 가정해 보자; 그러면, 그 속성은 바로 그 속성이 그 속성 자체를 예화하지 못하는 그 경우에서 한 사물이 예화하는 속성이므로, 그 속성은 그 속성 자체를 예화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난다. 그래서 만일 그 속성이 그 자체를 예화한다면, 그 속성은 그 자체를 예화하지 못한다. 다른 한편으로 그 속성이 그 자체를 예화하지 못한다고 가정해 보자; 그러면, 이번에는 그 속성이 그 자체를 예화하는 것으로 드러난다; 왜냐하면 그 속성은 자기예화불능임의 속성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만일 그 속성이 그 자체를 예화하지 못한다면, 그 속성은 그 자체를 예화한다. 그러나, 그래서, 그 속성은 그 속성이 예화할 수 없는 바로 그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유감스러운 결론에 있어서 그 자체를 예화한다. 그 역설을 피하기 위해, 우리에게는 '그 자체를 예화하지 못하는'이라는 일반 용어와 관련된 보편자가 있다는 것을 부정하는 것 이외에 선택지가 없다. 술어에 대한 실재론자의 설명은 참인 주-술 문장들에 있어서 술어적으로 기능하는 모든 일반 명사들에 대해 견지될 수는 없다.

  It is frequently claimed that still further restrictions have to be imposed on the realist’s theory. The claim is that, without additional restrictions, the realist’s theory lands us in a vicious infinite regress. The contention is very old; it can be found in Plato’s Parmenides and has been repeated again and again since the time of Plato.[13] The difficulty that is supposed to confront the realist bears on the core notion of exemplification. One way of stating the difficulty takes its origin in the realist’s use of the Platonic schema for explaining attribute agreement. According to the schema, where a number of objects agree in all being F, their agreement is grounded in their multiple exemplification of the universal F-ness. The difficulty is that, for any given application of the schema, that application explains one case of attribute agreement, the original objects all being F, only to confront a new case, their all exemplifying F-ness. But, then, we have to appeal to a further universal, the exemplification of F-ness, and we have to say that the second case of attribute agreement holds among our original objects in virtue of their jointly exemplifying this second universal; but, then, we explain our second case of attribute agreement only to confront a third case, our original objects all agreeing in exemplifying the exemplification of F-ness. So we need to appeal to a third universal which will, in turn, generate still another case of attribute agreement with the resulting need for still another universal, and we are off on an endless regress through cases of attribute agreement and supporting universals. Conclusion? If we endorse the Platonic schema, the explanation that schema is supposed to provide can never be completed.
  여전히 추가적인 제한들이 실재론에 부과되어야 한다고 자주 주장된다. 그 주장은 추가적 제한들 없이는 실재론이 우리를 고약한 무한 소급에 빠트린다는 것이다. 그 논쟁은 매우 오래되었다; 그 논쟁은 플라톤의 『파르메니데스』에서 찾을 수 있고 플라톤의 시대 이래로 거듭해서 되풀이되어 왔다. 실재론이 직면한 것으로 생각되는 난점은 예화의 핵심 관념에 관련된다. 그 어려움을 진술하는 한 가지 방식은 그 어려움의 기원을 속성 일치를 설명하기 위한 실재론의 플라톤적 도식의 사용에서 취하는 것이다. 그 도식에 따르면, 얼마간의 대상들이 모두 F임에 있어서 일치하는 곳에서, 그 대상들의 일치는 보편자 F-임에 대한 그 대상들의 다양한 예화에 기초된다. 그 어려움은 그 도식의 어떤 주어진 적용에 대해서든, 그 적용은, 오직 새로운 사례를, 그 대상들의 모든 F임을 예화함을 마주치기만 하는, 속성 일치의 한 가지 사례를, 모두가 F인 그 본래의 대상들을 설명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래서 우리는 추가적인 보편자, F임을 예화함에 호소해야 하고, 우리는 속성 일치의 두 번째 사례가 우리의 본래 대상들 사이에서 그 대상들이 이 두 번째 보편자를 공동으로 예화하는 덕분으로 견지된다고 말해야 한다; 그러나, 그래서 우리는 속성 일치에 대한 우리의 두 번째 사례를 오로지 세 번째 사례, 우리의 본래 대상들 모두가 F임에 대한 예화를 예화함에 있어서 일치함의 경우에 마주하는 것으로만 설명한다. 그래서 우리는 이번에는 여전히 또 다른 보편자를 필요로 하는 결과를 가진 속성 일치의 또 다른 사례를 여전히 산출할 세 번째 보편자에 호소할 필요가 있고, 우리는 속성 일치의 사례들을 통한 사례들과 보편자들에 대한 지지를 통해 무한 소급에서 출발한다. 그 결과는 무엇인가? 만일 우리가 플라톤적 도식을 지지한다면, 그 도식이 제공한다고 생각되는 설명은 절대로 완결될 수 없다.

  It should be obvious that the same difficulty appears to plague the realist’s attempt to explain subject-predicate truth. The realist wants to claim that an arbitrary subject-predicate sentence,

(20) a is F

is true only if the referent of ‘a’ exemplifies the universal (F-ness) expressed by ‘F.’ But, then, our original sentence, (20), is true only if a new subjectpredicate sentence,

(21) a exemplifies F-ness,

is true, and it looks as though we have not completed our explanation of the truth of (20) until we have exhibited the ground of the truth of this new sentence. However, (21) incorporates a new predicate (‘exemplifies F-ness’) and it expresses a new universal (the exemplification of F-ness). The realist’s theory tells us that (21) can be true only if the referent of ‘a’ exemplifies the new universal. But that condition is satisfied only if

(22) a exemplifies the exemplification of F-ness

is true, so it seems that our account of the truth of (20) requires an account of the truth of this third sentence. Once again, we appear to be off on an infinite regress, and once again, we have the apparent conclusion that the realist’s theory cannot do what it is supposed to do.
  똑같은 어려움이 주-술 진리를 설명하려는 실재론의 시도를 괴롭히는 것으로 드러남은 분명할 것이다. 실재론은 임의의 주-술 문장,

(20) a는 F이다

이 문장이 오로지 'a'의 지시체가 'F'에 의해 표현되는 보편자 (F-임) 를 예화할 때에만 참이라고 주장하고자 한다. 그러나 그래서 우리의 본래 문장 (20)은 오로지 다음의 새로운 주-술 문장,

(21) a는 F-임을 예화한다,

이 문장이 참일 때에만 참이고, 그것은 마치 우리가 (20)의 진리에 대한 우리의 설명을 이 새로운 문장의 진리에 대한 토대를 드러내기 전까지는 완결짓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그렇지만 (21)은 새로운 술부 ('F-임을 예화한다')를 결합시키고 그 술부는 새로운 보편자 (F-임을 예화함) 를 표현한다. 실재론은 우리에게 (21)이 오로지 'a'의 지시체가 그 새로운 보편자를 예화할 때에만 참일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저 조건은 오로지

(22) a는 F-임의 예화를 예화한다

이 문장이 참일 때에만 충족되고, 그래서 (20)의 진리에 대한 우리의 설명은 이 세 번째 문장의 진리에 대한 설명을 요구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시 한 번, 우리는 무한 소급에서 출발하는 것처럼 보이고, 다시 한 번, 우리는 실재론이 행한다고 생각되는 것을 행할 수 없다는 명백한 결론을 가진다.

  The two regresses we have outlined might seem to have a simple moral: we must reject the metaphysical realist’s account of attribute agreement and predication; and the regresses have frequently been exploited by philosophers of a nominalist bent to point up precisely this moral; but realists have often argued that the regresses have a quite different moral. They concede that the regresses must be avoided, but they think that there is an easy way to do this. We need merely to set restrictions on the use of the Platonic schema and its associated theory of predication. Confronted with the first regress, we can deny that every distinct form of attribute agreement involves a separate and distinct universal. In particular, we can deny that where the agreement consists in a number of objects exemplifying a universal, there is a further universal supporting the agreement. Likewise, in confronting the second regress, we can deny that every semantically distinct general term expresses a distinct universal. While conceding that there is a universal corresponding to the predicate of any sentence whose form is that of (20), we can deny that there are further universals corresponding to the predicates of sentences of the form of (21) or any of its successors.
  우리가 윤곽을 그렸던 그 두 가지 소급들은 아마도 단순한 교훈을 지닌 것으로 보인다: 우리는 반드시 속성일치와 술어에 대한 형이상학적 실재론의 설명을 거부해야만 한다; 그리고 그 소급들은 빈번히 정확히 이러한 교훈을 지적하는 데에로 기운 유명론에 속하는 철학자들에 의해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실재론자들은 종종 그 소급들이 상당히 다른 교훈을 가진다고 주장해 왔다. 그들은 그 소급들이 반드시 회피되어야만 한다는 점을 인정하지만, 이 회피를 행할 한 가지 쉬운 방법이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단지 플라톤적 도식의 사용과 그 도식의 관련된 술어에 대한 이론에 제한들을 정하기만 하면 된다. 첫 번째 소급에 직면한다면, 우리는 속성 일치의 모든 특유한 형식이 분리되고 특유한 보편자를 포함한다는 것을 부정할 수 있다. 특히, 우리는 그 일치가 보편자를 예화하는 얼마간의 대상들로 구성되는 곳에서, 그 일치를 지탱하는 추가적 보편자가 있음을 부정할 수 있다. 같은 식으로, 두 번째 소급에 직면하여, 우리는 모든 의미론적으로 특유한 일반 명사가 특유한 보편자를 표현한다는 것을 부정할 수 있다. (20)의 형식을 가진 어떤 문장의 술어에 대해서든 일치하는 보편자가 있음을 인정하는 동시에, 우리는 (21) 혹은 그에 뒤따르는 것들의 형식에 속하는 문장들의 술어들에 일치하는 추가적 보편자들이 있다는 것을 부정할 수 있다.

  So the claim is that if we restrict the applicability of the Platonic schema and the realist’s theory of predication, we can avoid these regresses. One might, however, challenge the idea that any restriction is called for here. If the regresses just delineated are real, it is difficult to see why the realist should be bothered by them. Consider the contention that the use of the Platonic schema is viciously regressive. The realist claims to have a schema for providing a complete account of any given case of attribute agreement; but the alleged regress does nothing to call that claim into question. If there is, as the argument claims, an infinity of cases of attribute agreement lying behind any given case, that fact does not jeopardize the realist’s use of the Platonic schema to provide a full and complete explanation of the initial case of attribute agreement. When realists tell us that our sample objects are all F because they all exemplify F-ness, they have given us a complete explanation of the original case of attribute agreement. If, as the argument claims, the explanation introduces a new case of attribute agreement, realists are free to apply the Platonic schema to the second case; but they are under no obligation to do so. In particular, the success of the original application of the schema to explain the first case of attribute agreement does not hinge on their explaining the second; and the same holds for each of the cases of attribute agreement allegedly following upon this one. So if the regress is real, it is not vicious; and, accordingly, no restriction on the use of the Platonic schema is called for.
  그래서 그 주장은 만일 우리가 플라톤적 도식과 술어에 대한 실재론의 적용 가능성을 제한한다면, 우리는 이러한 소급들을 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누군가는 여기에 대해 어떠한 제한이든 요청된다는 발상을 반박할지도 모른다. 만일 단지 묘사되기만 한 그 소급들이 진짜라면, 어째서 실재론이 그 소급들에 의해 간섭받아야 할는지 알기는 어렵다. 플라톤적 도식의 사용이 고약하게 소급적이라는 논쟁을 고찰해 보자. 실재론은 속성 일치의 어떠한 주어진 경우에 대해서든 완결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 도식을 가질 것을 주장한다; 그러나 제기된 소급은 문제가 되는 주장을 요청할 아무런 일도 하지 않는다. 만일 그 논증이 주장하는 것처럼 어떤 주어진 경우에 대해서든 그 배후에 놓이는 속성 일치의 무한한 경우들이 있다면, 그 사실은 속성 일치의 최초 경우에 대한 완전하고 완결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실재론의 플라톤적 도식의 사용을 위협하지 않는다. 실재론자들이 우리에게 우리의 예시 대상들이 모두 F인 까닭은 그 대상들 모두가 F-임을 예화하기 때문이라고 말할 때, 그들은 우리에게 속성 일치의 본래 사례에 대한 완결된 설명을 제시했다. 만일 그 논증이 주장하듯, 그 설명이 속성 일치에 대한 새로운 사례를 도입시킨다면, 실재론자들은 그 두 번째 사례에 플라톤적 도식을 적용함에 있어서 자유롭다; 그러나 그들은 그렇게 할 어떠한 의무도 지지 않는다. 특히, 속성 일치에 대한 첫 번째 사례를 설명하기 위한 그 도식의 본래 적용의 성공은 전적으로 두 번째 사례에 대한 그들의 설명에 달려 있다; 그리고 주장한 바에 의해 이 사례에 뒤따르는 속성 일치의 사례들 각각에 대해 동일한 점이 견지된다. 그래서 만일 그 소급이 사실이라면, 그 소급은 지독하지 않다; 그리고, 따라서, 플라톤적 도식의 사용에 대한 아무런 제한도 요청되지 않는다.

  A similar point can be made in reply to the claim that realists must set restrictions on the application of their theory of subject-predicate truth. Even if the regress allegedly requiring the relevant restriction is real, it is not vicious. If, as the argument claims, the realist explanation of the truth of (20) brings a new true subject-predicate sentence, (21), on the scene, the realist’s success in explaining the truth of (20) does not presuppose an explanation of the truth of (21). If the aim had been to eliminate or analyze away the subjectpredicate form of discourse, then the emergence of (21) would be genuinely problematic. But the realist is hardly committed to supposing that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at form of discourse. Indeed, if there is a regress here, it is one that infects every attempt, realist or nominalist, at delineating the ontological grounds of subject-predicate truth.[14] Consider a nominalist theory of subject-predicate truth. For each subject-predicate sentence of the form ‘a is F,’ it will identify some condition, C, and will tell us that the original sentence is true only if C is fulfilled; but then there will be a new subjectpredicate sentence (‘a is such that C is fulfilled’), and our original sentence can be true only if the second sentence is true. Accordingly, that theory will be every bit as regressive as the realist’s. And in neither case is the alleged regress vicious. So even if there is a regress here, no restriction on the range of applicability of the realist’s theory of predication is required.
  유사한 점이 실재론자들이 반드시 주-술 진리에 대한 그들의 이론을 적용함에 있어서 제한들을 두어야만 한다는 주장에 대해 응답함에 있어서도 지적될 수 있다. 설령 주장한 바대로 적절한 제한을 요청하는 소급이 사실이라 할지라도, 그 소급은 지독하지 않다. 만일, 그 논증이 주장하듯, (20)의 진리에 대한 실재론적 설명이 새로운 참인 주-술 문장 (21)을 가져온다면, 그 장면에서, (20)의 진리를 설명함에 있어서의 실재론의 성공은 (21)의 진리에 대한 설명을 전제하지 않는다. 만일 그 목적이 담론의 주술 형식을 제거하거나 분해해 버리는 것이었다면, (21)의 출현은 정말로 문제시되는 것이었을 터이다. 그러나 실재론은 담론의 저 형식을 제거하는 일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일에 헌신적이지 않다. 더욱이, 만일 여기에 소급이 있다면, 그 소급은 실재론이든 유명론이든 주-술 진리에 대한 존재론적 토대들을 기술하려는 모든 시도를 감염시키는 소급이다. 주-술 진리에 대한 유명론을 고찰해 보자. 'a는 F이다'라는 형식에 속하는 각 주-술 문장에 대해, 그 문장은 어떤 조건 C를 규정할 것이고, 우리에게 오직 C가 충족될 때에만 그 본래 문장이 참이라고 말할 것이다; 그러나 다음으로 새로운 주술 문장('a는 C가 충족된 그러한 것이다')이 있을 것이고, 우리의 본래 문장은 오직 그 두 번째 문장이 참일 때에만 참일 수 있다. 따라서, 저 이론은 실재론 만큼이나 모든 점에서 소급적일 것이다. 그리고 두 경우 어디에서도 제기된 소급은 지독하지 않다. 그래서 설령 여기에 소급이 있다 할지라도, 술어에 대한 실재론의 적용가능성의 범위에 대해 아무런 제한도 요청되지 않는다.

  But if they are not vicious, the two regresses seem to have the upshot that behind any case of attribute agreement or any true subject-predicate claim, there lies an infinite series of distinct universals. Some realists might find that fact worrisome; and in the interests of keeping the number of universals to a minimum, they might feel that the relevant restrictions need to be imposed on the realist’s theories of attribute agreement and predication. But if realists are concerned about a bloated ontology, it is open to them to deny that the relevant regresses are even real. They can challenge the idea that when we say that objects agreeing in being F all jointly exemplify the universal, F-ness, we have thereby identified a second case of attribute agreement. We can say that in applying the Platonic schema to identify the ontological ground of a given case of attribute agreement, we are providing a fully articulated and metaphysically more perspicuous characterization of that case rather than introducing a new case. And in a similar vein, they can claim that the predicate of (21), ‘exemplifies F-ness’ is only syntactically or grammatically distinct from that occurring in (20), ‘F.’ Semantically, they can claim, the two predicates are equivalent and so do not rest on distinct ontological foundations.
  그러나 만일 그 소급들이 지독하지 않다면, 그 두 가지 소급들은 속성 일치의 어떠한 경우나 혹은 어떠한 참인 주-술 주장의 이면에서든, 특유한 보편자들의 무한 연쇄가 자리하고 있다는 결말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일부 실재론자들은 저 사실을 걱정스러운 것으로 생각할지 모른다; 그리고 보편자들의 수를 최소한으로 유지하기 위해, 그들은 속성일치와 술어에 대한 실재론들에 적절한 제한들이 부과될 필요가 있다고 느낄지도 모른다. 그러나 만일 실재론자들이 비대해진 존재론에 대해 염려한다면, 상관된 소급들이 실제한다는 것을 부정할 여지가 있다. 그들은 우리가 F임에 있어서 일치하는 대상들이 모두 공동으로 보편자 F-임을 예화한다고 말할 때 우리가 그로써 속성 일치의 두 번째 사례를 규정하였다는 발상을 반박할 수 있다. 우리는 속성 일치의 주어진 사례에 대한 존재론적 토대를 규정하기 위해 플라톤적 도식을 적용함에 있어서 우리가 새로운 사례를 도입하기 보다는 오히려 저 사례에 대한 완전히 표명되고 형이상학적으로 더욱 명료한 규정을 제공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비슷한 맥락에서, 그들은 (21)의 술부 'F-임을 예화한다'가 오로지 구문론적으로 혹은 문법적으로만 (20)에서 발생하는 술부 'F'와 구분된다고 주장할 수 있다. 그들은 의미론적으로 그 두 가지 술부들은 동등하며 그래서 특유한 존재론적 기초들에 의존하지 않는다고 주장할 수 있다.

  Neither of the first two attempts at arguing that the realist theory lands us in a regress that requires a restriction on that theory carries much force, then. There is, however, a third way of arguing this claim. According to most realists, this third argument poses genuine problems for their account, problems that can be resolved only by restricting the range of the theory. According to the realist, for a particular, a, to be F, it is required that both the particular, a, and the universal, F-ness, exist. But more is required; it is required, in addition, that a exemplify F-ness. As we have formulated the realist’s theory, however, a’s exemplifying F-ness is a relational fact. It is a matter of a and F-ness entering into the relation of exemplification. But the realist insists that relations are themselves universals and that a pair of objects can bear a relation to each other only if they exemplify it by entering into it. The consequence, then, is that if we are to have the result that a is F, we need a new, higher-level form of exemplification (call it exemplification2) whose function it is to insure that a and F-ness enter into the exemplification relation. Unfortunately, exemplification2 is itself a further relation, so that we need a still higher-level form of exemplification (exemplification3) whose role it is to insure that a, F-ness, and exemplification are related by exemplification2; and obviously there will be no end to the ascending levels of exemplification that are required here. So it appears, once again, that the only way we will ever secure the desired result that a is F is by denying that exemplification is a notion to which the realist’s theory applies.
  그래서 실재론이 우리를 저 이론에 대한 제한을 요청하는 소급으로 들인다고 주장하려는 처음의 두 가지 시도들 중 어느 것도 더 큰 영향력을 지니지 않는다. 그렇지만 이러한 주장을 내세우는 세 번째 방식이 있다. 대부분의 실재론자들에 따르면, 이 세 번째 논증은 그들의 설명에 대한 진정한 문제들, 오직 그 이론의 범위를 제한함으로써만 해소될 수 있는 그러한 문제들을 부과한다. 실재론에 따르면, 특수자 a가 F이기 위해서, 특수자 a와 보편자 F-임 모두가 현존할 것이 요청된다. 그러나 그 이상이 요구된다; 덧붙여서 a가 F-임을 예화하는 것이 요청된다. 그렇지만 우리가 실재론을 정식화하였듯 a가 F-임을 예화함은 상관적인 사실이다. 그것은 예화의 관계에 들어가는 a와 F-임에 대한 문제이다. 그러나 실재론은 관계들이 그 자체로 보편자들임을 그리고 대상들의 한 쌍은 오로지 그 대상들이 상호에 대한 관계에 들어감으로써 그 관계를 예화할 때에만 상호 관계를 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그 결론은 만일 우리가 a가 F라는 결론을 가질 것이라면, 우리는 새로운 더 높은 수준의 예화 형식 (그것을 예화2라 부르자) , 그 기능이 a와 F-임이 예화 관계에 들어감을 보증하는 것인 그러한 더욱 상위 형식의 예화를 필요로 한다. 불행히도 예화2는 그 자체로 추가적 관계이며, 그래서 우리는 여전히 그 역할이 a와 F-임 그리고 예화가 예화2에 의해 관계됨을 보증하는 것인 더 높은 수준의 예화 형식(예화3)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명백히 여기에서 요청되는 예화의 수준들을 올라가는 일에는 끝이 없을 것이다. 그래서 다시 한 번 a는 F라는 바라는 결과를 우리가 보전할 유일한 방법은 예화가 실재론이 그에 적용되는 그러한 관념임을 부정함으로써만이다.

  The argument just set out is a version of a famous argument developed by F.H. Bradley.[15] Bradley’s argument sought to show that there can be no such things as relations; whereas, the argument we have been elaborating has the more modest aim of showing that the realist’s story of what is involved in a thing’s having a property, belonging to a kind, or entering into a relation cannot apply to itself. Now, some realists have held that while real, the regress just cited is not vicious.[16] They have taken the regress to be no more threatening than the first two regresses we have outlined. These realists have, however, been in the minority. Most realists have seen the regress as vicious. It is not altogether clear just why; for on the surface, the regress appears to have the same formal structure as the earlier two regresses. Of course, realists have sometimes mistakenly thought that those two regresses are problematic, so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y should find the third regress worrisome. What is puzzling is that realists who show no concern over the original pair of regresses should be bothered by this regress. Perhaps, they have felt that this regress, unlike the earlier two, makes it impossible to explain the thing we initially set out to explain – a’s being F. Perhaps, they have felt that unless realists can point to some connecting mechanism whose connecting role is secured without dependence on some further, higher-level  connecting mechanism, they have not succeeded in explaining why the particular, a, is F. It is not, however, obvious that this line of thinking is correct; for it is reasonable to think that once the realists have told us that a is F because a and F-ness enter into the relation of exemplification, they have completed their explanation of the fact that a is F. There is, of course, something new the realist might want to go on and explain – the new fact that a and F-ness enter into the relation of exemplification; however, the failure to explain this new fact would seem to do nothing to jeopardize their explanation of the original fact that a is F.
  지금 제시된 그 논증은 F.H. 브래들리에 의해 전개된 유명한 논증의 한 형태이다. 브래들리의 논증은 관계들과 같은 그러한 어떤 것들도 있을 수 없음을 보여주기를 추구하였다; 반면에, 우리가 고안해 내고 있던 그 논증은 사물의 속성을 지님, 한 종류에 속함, 또는 한 관계에 들어감에 있어서 포함되는 것에 대한 실재론의 이야기가 그 자체에 적용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는 더 소박한 목적을 지닌다. 이제, 일부 실재론자들은 실제하면서도 방금 언급된 소급이 심각하진 않다고 주장해 왔다. 그들은 그 소급을 우리가 개괄했던 처음의 두 소급들보다 조금도 더 위협적이지 않은 것으로 받아들였다. 그렇지만 이러한 실재론자들은 소수파였다. 대부분의 실재론자들은 그 소급을 심각한 것으로 보았다. 그것은 왜 그런지 전적으로 분명치는 않다; 왜냐하면 표면상, 그 소급은 앞선 두 소급들과 같은 동일한 형식적 구조를 지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물론, 실재론자들은 때때로 그러한 두 소급들이 문제시된다고 잘못 생각했고, 그래서 그들이 세 번째 소급을 걱정스러운 것으로 여길 것이 놀랍지는 않다. 혼란스럽게 만드는 것은 소급들의 본래 쌍에 대해 아무런 염려도 보이지 않는 실재론자들이 이 소급에 의해서는 시달려야 하리라는 것이다. 아마도, 그들은 이 소급을 앞선 두 소급들과 달리 우리가 최초에 설명을 제시했던 것 - a의 F임 - 을 설명하는 일을 불가능하게 만든다고 여겼을 것이다. 아마도, 그들은 실재론자들이 그 연결 역할이 어떤 추가적인 더 높은 수준의 연결 장치에 의존함이 없이 보장되는 그러한 어떤 연결 장치를 지적해낼 수 없는 한, 그들은 어째서 특수자 a가 F인지를 설명함에 있어서 성공할 수 없었다고 느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사유노선이 옳은지는 분명치 않다; 왜냐하면 일단 실재론이 우리에게 a가 F인 까닭은 a와 F-임이 예화 관계에 들어가기 때문이라고 말한 이후에는, 그들이 a가 F라는 사실에 대한 그들의 설명을 완결했다고 생각하는 것은 합당하기 때문이다. 물론 실재론이 계속해서 설명하고자 할 새로운 어떤 것 - a와 F-임이 예화의 관계에 들어간다는 새로운 사실 - 이 있다; 그렇지만, 이 새로운 사실을 설명함에 대한 실패는 a가 F라는 본래의 사실에 대한 그들의 설명을 위협하는 아무런 일도 하지 않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

  But whether we find the reason compelling, the fact remains that our third regress looms large in the history of metaphysical realism. Realists have typically believed that they have no option but to stop the regress before it gets started.[17] Toward stopping the regress, they have insisted that the realist account does not apply to the notion of exemplification itself. Obviously, some justification for this restriction is called for; and the justification given is that exemplification is not a relation. Realists claim that while relations can bind objects together only by the mediating link of exemplification, exemplification links objects into relational facts without the mediation of any further links. It is, we are told, an unmediated linker; and this fact is taken to be a primitive categorial feature of the concept of exemplification. So, whereas we have so far spoken of exemplification as a relation tying particulars to universals and universals to each other, we more accurately reflect realist thinking about the notion if we follow realists and speak of exemplification as a ‘tie’ or a ‘nexus,’ where the use of these terms has the force of bringing out the nonrelational nature of the linkage this notion provides.
  그러나 우리가 강력한 이유를 발견하든 말든, 우리의 세 번째 소급이 형이상학적 실재론의 역사에서 거대하게 드리운다는 사실은 남는다. 실재론자들은 전형적으로 그들이 소급이 시작되기 전에 소급을 중단하는 것 이외에 다른 선택지가 전혀 없다고 믿어 왔다. 그 소급을 중단하기 위해, 그들은 실재론적 설명이 그 자체를 예화함의 관념에 적용되지 않는다고 주장해 왔다. 분명히, 이러한 제한에 대한 어떤 정당화가 요청된다; 그리고 그 주어진 정당성은 예화가 관계가 아니라는 것이다. 실재론자들은 관계들이 대상들을 오직 예화의 중재 연결에 의해서만 함께 묶을 수 있는 반면, 예화는 대상들을 어떤 추가적인 연결들의 중재 없이 상관된 사실들 안에 관련짓는다고 주장한다. 우리는 그것이 중재되지 않은 연결자라고 이야기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은 예화라는 개념의 기초 범주적 특징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래서, 우리는 여태까지 예화에 대해 특수자들을 보편자들에 그리고 보편자들을 상호간에 묶는 관계로서 이야기해왔던 반면, 만일 우리가, 이러한 용어들의 사용이 이러한 관념이 제공하는 결합의 비상관적 본성을 이끌어내는 능력을 지니는 곳에서, 실재론자들에 따라 예화에 대해 '매듭'이나 '연계'로 이야기한다면 우리는 더욱 정확하게 그 관념에 대한 실재론적 생각을 반영한다.

  So realists typically deny that their own account applies to the case of exemplification. Now, whether we find the restriction well motivated, we must concede that there is a bonus to this restriction; for if the realist account does not apply to the notion of exemplification, then our earlier claim that the Platonic schema cannot apply to the predicate ‘does not exemplify itself’ looks less like a desperate and ad hoc attempt at avoiding paradox. If there are reasons for supposing that the schema does not apply to the concept of exemplification, then it is only natural to suppose that it does not apply to concepts built out of that notion; and since in claiming that exemplification is not a relation, realists have some justification for denying that the schema applies to it, they would seem to have plausible grounds, independent of the threat of paradox, for excluding from the range of the schema the notion of being non-selfexemplifying.
  그래서 실재론자들은 전형적으로 그들 자신의 설명이 예화의 경우에 적용됨을 부정한다. 이제, 우리가 잘 동기부여된 제한을 발견하든 말든, 우리는 반드시 이러한 제한에 덤이 있음을 인정해야만 한다; 왜냐하면 만일 실재론적 설명이 예화의 관념에 적용되지 않는다면, 플라톤적 도식이 '그 자체를 예화하지 못한다'라는 술부에 적용될 수 없다는 우리의 앞선 주장이 덜 역설을 피하는 필사적인 특별한 시도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만일 그 도식이 예화의 개념에 적용되지 못한다고 생각할 이유들이 있다면, 그 도식은 그 관념으로부터 구축된 개념들에 적용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것만이 자연스럽다; 그리고 예화가 관계가 아니라고 주장함에 있어서 실재론자들이 그 관계에 그 도식을 적용함을 부정할 어떤 정당성을 지니므로, 그들은 역설의 위협으로부터 독립적인, 비-자기예화의 관념을 그 도식의 범위로부터 배제시키기 위한 그럴 듯한 토대들을 지니는 것으로 보일 터이다.


Further restrictions – defined and undefined predicates
추가적 제한들 - 한정 서술과 부정(不定) 서술

As I have suggested, most realists would endorse the restrictions we have so far placed on metaphysical realism; but some realists want to place further restrictions. Consider, for example, the predicate ‘bachelor.’ As we have formulated it, the realist’s account tells us that there is a universal correlated with this predicate. Which universal is that? The property, presumably, of being a bachelor. But that universal is a property a thing has just in case it has the property of being male, the property of being a human being, and the property of being unmarried. So how many properties do we have here? We need the properties of being male, of being a human being, and of being unmarried to accommodate the predicates ‘male,’ ‘human being,’ and ‘unmarried’; but do we need the further property of being a bachelor? We can give a perfectly satisfactory account of the predicate ‘bachelor’ by reference to the other three, apparently more basic properties, so is it not redundant to add a fourth property to our inventory? Isn’t that additional property just needless clutter? But the doubt about the need to postulate an extra property for the predicate ‘bachelor’ can be extended quite naturally to the case of ‘unmarried.’ If we concede the need for a property to correspond to the predicate ‘married,’ do we need to posit an additional negative property in the case of ‘unmarried’? Can we not say instead that ‘unmarried’ is true of a thing just in case it lacks the property corresponding to the predicate ‘married’? Again, is it not redundant to add the negative property to our ontology? And, of course, if we concede, as it seems we must, that the predicate ‘married’ can be defined in terms of other more basic predicates, then the doubts we have raised about ‘bachelor’ and ‘unmarried’ can be extended even further.
내가 제시하였듯, 대부분의 실재론자들은 우리가 여태껏 형이상학적 실재론에 두어왔던 제한들을 지지할 것이다; 그러나 일부 실재론자들은 추가적인 제한들을 위치시키고자 한다. 예를 들어 '총각'이라는 술어를 고찰해 보자. 우리가 그것을 정식화하였듯, 실재론 설명은 우리에게 이 술어와 관련된 보편자가 있다고 말한다. 그것은 어떤 보편자인가? 짐작컨데 총각임의 속성일 것이다. 그러나 저 보편자는 한 사물이 남성임의 속성, 인간 존재자임의 속성, 그리고 미혼임의 속성을 가진 바로 그 경우에 지니는 하나의 속성이다. 그래서 우리는 얼마나 많은 속성들을 여기에서 가지는가? 우리는 '남성임', '인간 존재자임', 그리고 '미혼임'의 속성들을 '남성,' '인간 존재자,' 그리고 '미혼'이라는 술어들을 수용하기 위해 필요로 한다; 그러나 우리는 총각임의 추가적 속성을 필요로 하는가? 우리는 명백히 더욱 기초적인 속성들인 다른 세 가지 속성들을 지시함으로써 '총각'이라는 술어에 대한 완벽히 만족스러운 설명을 제시할 수 있고, 그래서 네 번째 속성을 우리의 목록에 추가하는 것은 과다한 것 아닌가? 저 추가적 속성은 단지 불필요한 난잡스러움은 아닌가? 그러나 '총각'이라는 술어에 대해 별도의 속성을 상정할 필요성에 대한 의심은 꽤나 자연스럽게 '미혼'의 경우까지 확장될 수 있다. 만일 우리가 '기혼'이란 술어에 상응하는 하나의 속성에 대한 필요성을 인정한다면, 우리는 우리가 '미혼'의 경우에서 추가적인 부정적 속성을 가정할 필요가 있는가? 우리는 그 대신 '미혼'이 한 사물이 '기혼'이라는 술어에 상응하는 속성을 결여한 바로 그 경우에 한 사물에 대해 참이라고 말할 수 없는가? 다시, 우리의 존재론에 그 부정적 속성을 추가하는 일은 과도한 것은 아닌가? 그리고 물론 만일 우리가 우리가 그러해야만 할 것으로 보이듯 '기혼'이라는 술어가 다른 더욱 기초적인 술어들로 한정될 수 있음을 인정한다면, 우리가 '총각'과 '미혼'에 대해 일으켰던 의심들은 더 멀리까지 확장될 수 있다.

  These doubts have led some realists to set very severe restrictions on the analysis of predication so far delineated. They have insisted on a distinction between what they call undefined and defined predicates.[18] The idea is that there are certain predicates that are not defined in terms of other predicates; these primitive predicates get their meaning by being directly correlated with universals. All other predicates are defined in terms of these primitive predicates. On this view, then, there is not a separate and distinct universal correlated with every semantically nonequivalent predicate; it is only in the case of the primitive or undefined predicates that this is so. The semantical properties of defined predicates can be explained by reference to the universals correlated with the primitive predicates in terms of which they are defined.
  이러한 의심들은 일부 실재론자들을 여태까지 기술된 술어에 대한 분석에 매우 엄중한 제한들을 놓도록 이끌어 왔다. 그들은 그들이 부정 서술과 한정 서술이라 부르는 것 사이의 구분에 대해 주장해 왔다. 그 발상은 다른 술어들로 한정되지 않는 특정 술어들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1차 술어들은 그 의미를 보편자들과 직접적으로 관련됨으로써 획득한다. 다른 모든 술어들은 이러한 1차 술어들로 한정된다. 그래서 이러한 관점에서 모든 의미론적으로 동등하지 않은 술어와 관련된 독립되고 특유한 보편자는 있지 않다; 이것이 그러한 것은 오직 1차 혹은 부정 술어들의 경우뿐이다. 한정 술어들의 의미론적 속성들은 그 속성들로 그로써 한정되는 1차 술어들과 관련된 보편자들에 대한 지시로써 설명될 수 있다.

  Although this way of restricting the realist analysis of predication may initially seem attractive, it has its problems. The central difficulty is that predicates do not come neatly divided into those that are basic or primitive and those that are defined. The philosopher must make the division, and it is arguable that any such division will be somewhat arbitrary. What one formalization of a language takes to be a basic or undefined predicate, another can, with equal adequacy, construe as a defined expression. This fact raises doubts about the distinctively metaphysical force of any attempt at dividing predicates into those that are primitive and those that are defined. If the distinction between undefined and defined predicates is to be a guide to what universals there are, it can hardly rest on the arbitrary decisions of a formalizer.
  술어에 대한 실재론적 분석을 제한하는 이러한 방식이 처음에는 매력적으로 보일지라도, 그 방식은 문제점들을 지니고 있다. 가장 핵심적인 어려움은 술어들이 기초적이거나 1차인 것들과 한정되는 것들로 깔끔하게 나뉘어 들어가지 않는다는 것이다. 철학자는 반드시 그 분할을 이루어야만 하고, 그러한 어떠한 구분도 어느 정도 임의적일 것이라고 주장될 만 하다. 어떤 것을 두고 언어에 대한 한 가지 형식화는 기초적 또는 부정 술어인 것으로 취하고, 또 다른 형식화는 동등한 타당성을 가지고 한정 표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술어들을 1차적인 술어들과 한정되는 술어들로 나누려는 어떠한 시도에 대한 특징적으로 형이상학적인 능력에 대해서나 의심들을 불러 일으킨다. 만일 부정 서술과 한정 서술 사이의 구분이 어떤 보편자들이 존재하는지에 대해 길잡이가 될 것이라면, 그 구분은 형식화 수행자의 임의적 결정들에 의존할 수는 없을 것이다.

  To avoid the charge of arbitrariness, then, the realist who finds this distinction useful will need to provide some philosophical justification for identifying certain predicates as basic. One important kind of justification that has been provided here is epistemological. Realists who have endorsed a strongly empiricist program in the theory of knowledge have insisted that the basic or primitive predicates are those that express features or characteristics that, from the empiricist’s perspective, are epistemologically basic. Accordingly, it is predicates expressing colors, sounds, smells, simple shapes, and the like that are construed as primitive. Corresponding to each such nonequivalent predicate, there is said to be a distinct and separate universal; and it is claimed that all other predicates can be defined by reference to these universals.
  그래서 임의성의 부담을 피하기 위해 이러한 구분이 유용함을 알아차린 실재론자는 어떤 철학적 정당성을 특정 술어들을 기초적인 것으로 규정하기 위해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제공되어 온 중요한 한 종류의 정당화는 인식론적이다. 앎에 대한 이론에 있어서 강력한 경험주의적 계획을 지지해 온 실재론자들은 기초적인 혹은 1차적인 술어들이 경험주의적 관점에서 인식론적으로 기초적인 특성들 혹은 특징들을 표현하는 술어들이라고 주장해 왔다. 따라서, 기초적으로 이해되는 것은 색들, 소리들, 냄새들, 단순한 형태들, 그와 같은 것들을 표현하는 술어들이다. 그러한 비동등한 술어 각각에 상응하며, 구별되고 분리된 보편자인 것으로 이야기되는 것이 있다; 그리고 다른 모든 술어들은 이러한 보편자들에 대한 지시로써 한정될 수 있다고 주장된다.

  Although the view just laid out was popular among realists in the first half of this century, it does not have many defenders nowadays. Those who endorsed the view found that a large number of predicates resist analysis in terms of merely sensory or perceptual properties. The theoretical predicates of science and moral or ethical predicates are just two cases that proved problematic for realists of the empiricist persuasion. Finding it impossible to analyze these predicates in purely perceptual terms, these realists were forced to deny that the predicates have any genuinely descriptive meaning and to endorse highly implausible accounts of their role in language. Thus, they claimed that the theoretical predicates of science are merely tools or instruments for taking us from one set of statements involving purely perceptual predicates to another such set, and that ethical predicates are nothing more than linguistic vehicles for venting our feelings or emotions about persons, their actions, and their lifestyles.
  방금 펼쳐진 그 관점이 이번 세기의 전반부에 실재론자들 사이에서 유명했었다 할지라도, 최근에는 많은 옹호자들을 지니지 못한다. 그 관점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상당수의 술어들이 단지 감각적이거나 지각적일 뿐인 속성들로의 분석에 저항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과학의 이론적 술어들과 도덕적 혹은 윤리적 술어들은 경험주의적 파벌에 속하는 실재론자들에게 문제가 있는 것으로 입증된 바로 그 두 가지 사례들이다. 이러한 술어들을 순수하게 지각적 용어들로 분석하는 일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고서, 이러한 실재론자들은 그 술어들이 어떤 진정으로 기술적인 의미를 지닌다는 것을 부정하고 언어에 있어서 그 술어들의 역할에 대한 상당히 그럴 듯하지 못한 설명들을 지지하도록 강제되었다. 그래서, 그들은 과학의 이론적 술어들이 순수하게 지각적인 술어들을 포함하는 일련의 진술들로부터 또 다른 그러한 일련의 진술들로 이끌기 위한 단순한 도구들 혹은 설비들일 뿐이며, 윤리적 술어들은 사람들, 그들의 행동들, 그들의 생활양식들에 대한 우리의 느낌들이나 감정들을 발산하기 위한 언어적 운반자들 이상의 아무것도 아니라고 주장했다.

  But it is not simply the empiricist themes at work in this proposal that left philosophers skeptical of the idea that a distinction between defined and undefined predicates is ontologically important. However one goes about the business of dividing predicates into primitive and defined, one is committed to the idea that every nonprimitive predicate can be defined wholly and completely by reference to the predicates taken to be primitive. But the fact is that few of the predicates of our language are like ‘bachelor’ in being susceptible of definition in terms of less complex predicates. Although it was invoked to make a slightly different point, Wittgenstein’s famous discussion of the predicate ‘game’ brings out the difficulty here:

  Consider for example the proceedings that we call “games.” I mean board-games, card-games, Olympic games and so on. What is common to them all? Don’t say: “There must be something common, or they would not be called ‘games’ ” – but look and see whether there is anything common to all. – For if you look at them you will not see something that is common to all, but similarities, relationships, and a whole series of them at that. To repeat: don’t think but look! Look, for example, at board-games, with their multifarious relationships. Now, pass to card-games; here you find many correspondences with the first group, but many common features drop out, and others appear. When we pass next to ball-games, much that is common is retained, but much is lost. – Are they all “amusing”? Compare chess with noughts and crosses. Or is there always winning and losing, or competition between players? Think of patience. In ball-games there is winning and losing; but when a child throws his ball at the wall and catches it again, this feature has disappeared. Look at the parts played by skill and luck; and at the difference between skill in chess and skill at tennis. Think now of games like ring-a-ring-a-roses; here is the element of amusement, but how many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have disappeared! and we can go through the many, many other groups of games in the same way; can see how similarities crop up and disappear.[19]

‘Game’ is pretty clearly not going to turn out to be a primitive predicate; but if Wittgenstein is right, the attempt to identify a set of more basic predicates whose associated properties will enable one to provid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the applicability of the predicate ‘game’ is bound to be frustrated. ‘Game’ has a looser, less regimented semantical structure than a term like ‘bachelor,’ a structure that cannot be captured by any formal definition; and Wittgenstein wants to claim that, on this score, it is typical of most of the predicates of our language.
  그러나 그것은 단순히 철학자들을 한정 술어와 부정 술어 사이의 구분이 존재론적으로 중요하다는 생각에 회의적이도록 놔두는 이러한 제안에서 작동하는 경험주의적 주제들은 아니다. 그렇지만 1차 술어와 하정 술어로 술어들을 나누는 사업에 대해 착수하고, 누군가는 모든 비1차적 술어들이 전적으로 완전히 1차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술어들에 대한 지시로써 한정될 수 있다는 생각에 헌신한다. 그러나 '총각'과 같이 우리의 언어에 속하는 소수의 술어들만이 덜 복잡한 술어들로 한정될 여지가 있다. 약간 다른 점을 만드는 것으로 연상된다 할지라도, 비트겐슈타인의 '게임'이라는 술어에 대한 유명한 논의는 여기에서 그 어려움을 이끌어낸다:

  예를 들어 우리가 "게임들"이라 부르는 행동들을 고찰해 보자. 나는 보드-게임들, 카드-게임들, 올림픽 게임들 등등을 말한다. 그것들 모두에 공통된 것은 무엇인가? "어떤 공통된 것이 반드시 있어야만 하고, 아니라면 그것들은 '게임들'이라 불리지 않을 것이다"라고는 말하지 말라. - 그러나 그것들 모두에 공통된 어떤 것이라도 있는지 살펴 보라. - 왜냐하면 만일 당신이 그것들을 살펴 본다면 당신은 그것들 모두에 공통된 어떤 것이 아니라 유사점들, 관계성들, 그리고 그것들의 전체 연속물 정도를 볼 것이기 때문이다. 다시 한 번 말한다: 생각하지 말고 바라보라! 예를 들어 보드-게임들을, 그것들의 잡다한 관계들과 함께 바라보라. 이제, 카드-게임들로 넘어가자; 여기에서 당신은 첫 번째 집단과의 많은 일치들을 발견하지만, 다수의 공통 특징들은 없어지고, 다른 것들이 나타난다. 우리가 공-놀이들로 넘어갈 때, 공통된 많은 것이 유지되지만, 많은 것들은 상실된다. - 그것들은 모두 "재미있나"? 체스와 삼목을 비교해 보자. 항상 승리와 패배가 있거나, 놀이 참여자들 사이의 경쟁이 있나? 페이션스에 대해 생각해 봐라. 공-놀이들에서는 승리와 패배가 있다; 그러나 한 소년이 벽에 공을 던지고 그걸 다시 받을 때, 이 특징은 사라졌다. 기술과 운에 의해 수행되는 역할들을 살펴 보라; 그리고 체스의 기술과 테니스의 기술 사이의 차이를 보라. 이제 ring-a-ring-a-roses[이건 뭔가 노래 부르며 돌다 주저앉는데-_-?]와 같은 놀이들에 대해 생각해 보라; 여기에서 재미는 요소이지만, 얼마나 많은 성격적 특징들이 사라졌는가! 그리고 우리는 같은 방식으로 훨씬 많고도 많은 다른 놀이들의 그룹들을 훑어볼 수 있다; 어떻게 유사성들이 나타나고 사라지는지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놀이'는 꽤나 분명하게 1차 술어인 것으로 드러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만일 비트겐슈타인이 옳다면, 그 관련된 속성들이 한 사람으로 하여금 '놀이'라는 술어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필충조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해줄 그러한 더욱 기초적인 일련의 술어들을 규정하는 시도는 좌절될 수밖에 없다. '놀이'는 '총각'과 같은 용어보다 더 느슨하게, 덜 조직화된 의미론적 구조, 어떤 형식적 한정에 의해서도 포착될 수 없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비트겐슈타인은 이 지점에서 우리의 언어에 속하는 술어들의 대부분이 전형적으로 그렇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In the light of Wittgenstein’s remarks,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primitive and defined predicates does not play a major role in the work of contemporary realists. Some simply deny that the sort of restrictions those invoking the distinction meant to set on realism are appropriate.[20] They are holists about universals; that is, they reject any attempt at reducing one set of universals to another. On the one hand, they are impressed by the fact that where we can provide formal definitions for predicates, any attempt at distinguishing between defined and undefined predicates is bound to be arbitrary. Accordingly, while perhaps conceding that the Platonic schema and its associated theory of predication do not apply to the notion of exemplification, they insist that the universals associated with predicates like ‘bachelor’ and ‘unmarried’ are every bit as respectable, every bit as real as those associated with predicates like ‘blue’ and ‘red.’ On the other hand, they agree with Wittgenstein that many predicates resist formal definition in terms of other, more basic predicates. However, unlike Wittgenstein, they find this fact no source of embarrassment for the realist. Thus, in response to Wittgenstein’s demand to identify a universal common to all the things called games, they point to the property of being a game; and they deny that the impossibility of reducing this property to other more familiar universals is, in any way, problematic.
  비트겐슈타인의 관찰들에 비추어, 1차 술어와 한정 술어 사이의 구별이 현대 실재론자들의 작업에서 주된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것은 놀랍지 않다. 일부는 단순히 실재론에 놓는 것으로 생각되는 구별을 연상시키는 그런 종류의 제한들이 적합하다는 것을 부정한다. 그들은 보편자들에 대해 전체론자들이다; 즉, 그들은 일련의 보편자들을 다른 일련의 보편자들로 바꾸는 어떠한 시도도 거부한다. 한 편으로, 그들은 우리가 술어들에 대해 형식적 정의들을 제공할 수 있는 곳에서 한정 서술과 부정 서술을 구별하려는 어떠한 시도도 임의적일 수밖에 없다는 사실에 깊은 인상을 받는다. 따라서, 아마도 플라톤적 도식과 그 도식에 결부된 술어에 대한 이론이 예화의 관념에 적용되지 않음을 인정하면서도, 그들은 '총각'과 '미혼' 같은 술어들에 결부된 보편자들이 모든 점에서 '파랑'과 '빨강' 같은 술어들과 결부된 보편자들만큼이나 모든 점에서 훌륭하고 실제적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다른 한 편으로, 그들은 많은 술어들이 다른 더욱 기초적인 술어들로의 형식적 정의에 저항한다는 점에서 비트겐슈타인에게 동의한다. 그렇지만 비트겐슈타인과 달리 그들은 이 사실이 실재론에 대한 낭패의 아무런 원천도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놀이들이라 불리는 모든 것들에 공통된 보편자를 규정하는 일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요구에 응답함에 있어서, 그들은 놀이임의 속성을 지적한다; 그리고 그들은 이 속성을 다른 더욱 친숙한 보편자들로 전환하는 가능성이 어떤 식으로든 문제된다는 것을 부정한다.

  But other contemporary realists have insisted that even if the attempt to divide predicates into those that are primitive and those that are defined fails as an ontologically revealing way of restricting the realist’s account, restrictions need to be placed on the application of the Platonic schema.[21] They agree, then, that our use of only some predicates has genuinely ontological force, and they claim that it was not in the attempt to restrict the range of realism that empiricists went wrong. Where they went wrong was in their identification of the ontologically interesting predicates with merely perceptual or observational predicates and in their claim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ontologically revealing predicates and other predicates is one of definition or translation. These realists accuse their more holistic or antireductive colleagues of apriorism, the view that we can determine what universals there are by mere armchair reflection on the structure of our language. According to the holists, to determine what universals there are, we need merely look to the stock of predicates at our disposal: to every such nonequivalent predicate, there corresponds a separate and distinct universal. In opposition to this alleged apriorism, it is claimed that the question of what universals there are is an empirical question to be settled by scientific inquiry. It should come as no surprise that those metaphysical realists who rail against linguistic apriorism are typically also scientific realists. They hold, that is, that the empirical sciences, in particular physics, represent the criterion of what there is. Accordingly, they claim that the ontologically significant predicates are those essential to the formulation of the correct physical theory. It is, then, the predicates of physics in its finished form that have ontological force.
  그러나 다른 현대 실재론자들은 설령 술어들을 기초적인 것들과 한정되는 것들로 나누는 시도가 실재론적 설명을 제한하는 방식을 존재론적으로 드러내는 것으로서 실패한다 할지라도, 플라톤적 도식의 적용에 대해 제한들이 놓이는 일이 필요하다고 주장해 왔다. 그래서 그들은 오로지 일부 술어들에 대한 우리의 사용만이 진정으로 존재론적 능력을 지닌다는 점에 동의하며, 그들은 경험주의자들이 틀렸던 것은 실재론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시도에 속하는 것이 아니었다고 주장한다. 그들이 틀렸던 곳은 단지 지각적이거나 관찰적인 술어들만을 가진 존재론적으로 흥미로운 술어들에 대한 그들의 규정과 존재론적으로 드러내는 술어들과 다른 술어들 사이의 관계가 정의 혹은 해석의 관계라는 그들의 주장에 있었다. 이러한 실재론자들은 그들의 더욱 전체론적이거나 반환원주의적인 선험론의 동료들에게 우리가 어떤 보편자들이 존재하는지를 단지 우리의 언어 구조에 대한 탁상공론적인 반성만으로 결정할 수 있다는 관점의 혐의를 제기한다. 전체론자들에 따르면, 어떤 보편자들이 존재하는지 결정하기 위해, 우리는 단지 우리에게 처분이 맡겨진 술어들의 저장고를 생각해 보는 것만으로 족하다: 즉 그러한 모든 비동등한 술어에 대해, 하나의 분리되고 특유한 보편자가 상응한다. 제기된 이러한 선험주의에 반대편에서, 어떤 보편자들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물음이 과학적 탐구에 의해 확정될 경험적 물음이라는 것이 주장되었다. 언어적 선험주의에 저항하는 노선을 걷는 그러한 형이상학적 실재론자들이 전형적으로 또한 과학적 실재론자들임은 전혀 놀라운 것으로 다가오지 않는다. 즉 그들은 경험과학들, 특히 물리학이 무엇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표현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그들은 존재론적으로 유의미한 술어들은 정확한 물리학 이론의 형식에 본질적인 술어들이라고 주장한다. 그래서 그 궁극적 형식에 있어서 존재론적 능력을 갖춘 것은 물리학의 술어들이다.

  But if we accept this claim, what are we to make of the predicates that play no role in physical theory? For obvious reasons, the idea that there are translation rules taking us from strictly physical predicates to nonphysical predicates has not been seen as a viable option for the philosopher who seeks to couple metaphysical realism with an austere scientific realism. Instead, we find philosophers who defend the two forms of realism presenting a number of different and competing view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ntologically significant framework of physical theory and the nonscientific framework of common sense. I will mention just two. The first, less radical, view will not deny that there are universals correlated with predicates and abstract terms that are not a part of physical theory; but it gives ontological priority to the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of physics. Those universals are construed as ontologically basic or fundamental, and other universals are taken to be dependent on them. The claim is that while the  universals that do not enter into physical theory may not be reducible to or analyzable in terms of universals that do, the latter fix or determine the former. What physical kinds a thing belongs to, what physical properties it possesses, and what physical relations it enters into determines uniquely what nonphysical kinds, properties, and relations it exhibits. As it is usually put, nonphysical universals supervene on physical universals. On this view, once one has identified all of the physical facts (that is, all the facts recognized by the true physical theory), one has fixed all the facts, nonphysical as well as physical. So while nonphysical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may not be analyzable in terms of the universals of physics, the latter provide the ontological foundation on which the former rest.[22]
  그러나 만일 우리가 이러한 주장을 허용한다면, 물리학 이론에서 아무런 역할도 수행하지 않는 술어들에 대해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는가? 명백한 이유들로, 우리를 엄격하게 물리학적인 술어들로부터 비물리학적 술어들로 이끄는 해석 규칙들이 있다는 발상은 형이상학적 실재론을 소박한 과학적 실재론과 엮는 일을 추구하는 철학자에게 실행 가능한 선택지로 보이지 않았다. 대신에, 우리는 물리학 이론의 존재론적으로 중요한 구조와 공통 감각(상식)의 비과학적 구조 사이의 관계에 대해 상이하고 경쟁적인 상당수의 관점들을 표현하는 실재론의 그 두 가지 형식들을 지지하는 철학자들을 발견한다. 나는 단지 둘만을 언급할 것이다. 첫째로, 덜 급진적인 관점은 물리적 이론의 일부가 아닌 술어들과 추상 명사들에 결부된 보편자들이 있다는 것을 부정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그 관점은 물리학에 속하는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에 존재론적 우위를 둔다. 그러한 보편자들은 존재론적으로 기초적이거나 근본적인 것으로 이해되고, 다른 보편자들은 그 보편자들에 의존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 주장은 물리학적 이론에 들어가지 않는 보편자들은 그렇게 들어가는 보편자들로 환원되거나 분석될 수 없을 것인 반면, 후자가 전자를 고정시키거나 결정한다는 것이다. 한 사물이 어떤 물리학적 종류들에 속하는지, 그 사물이 어떤 물리학적 속성들을 지니는지, 그리고 그 사물이 어떤 물리학적 관계들에 들어가는지는 유일하게 그 사물이 드러내는 비물리적 종류들, 속성들, 그리고 관계들이 무엇인지 결정한다. 통상 그렇게 이야기되듯, 비물리적 보편자들은 물리적 보편자들에 수반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일단 누군가 물리적 사실들 (즉, 참인 물리 이론에 의해 재인된 모든 사실들) 모두를 규정하고 나면, 그는 물리적인 것만 아니라 비물리적인 사실들까지 모두 고정시킨다. 그래서 비물리적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은 물리적 보편자들로 분석될 수 없을지 모르는 반면, 후자는 전자가 기대는 존재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A second, more radical account is that of the eliminativist who refuses to construe those predicates and abstract terms that cannot be accommodated by reference to the universals invoked in physical theory as having any ontological force.[23] As the eliminativist sees it, our ordinary nonscientific language is the expression of a theory of how the world is; and like any theory it can be displaced by a theory that provides a more accurate representation of the structure of reality. According to the eliminativist, our best theory of the nature of the world is that delineated by mature physics. To the extent that our nonscientific account of the world is incompatible with mature physical theory, it is false. Those among its predicates and abstract terms that purport to refer to universals that cannot be incorporated in the picture of the world projected by physics are terms without a reference; the universals they purport to express or name simply do not exist. The eliminativist denies that there is anything puzzling about this. It is simply one more case where the theoretical posits of one theory are rejected in favor of those of a more adequate theory.
  둘째로, 더욱 급진적인 설명은 물리학 이론에서 연상된 보편자들에 대한 지시로써 수용될 수 없는 그러한 술어들과 추상 명사들을 어떤 존재론적 능력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하기를 거부하는 제거주의의 설명이다. 제거주의가 그렇게 보듯, 우리의 일상적인 비과학적 언어는 세계가 어떠한지에 대한 이론의 표현이다; 그리고 여느 이론들과 같이 그것은 실재의 구조에 대한 더욱 정확한 재현을 제공하는 이론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제거주의에 따르면, 세계의 본성에 대한 우리의 최선의 이론은 성숙한 물리학에 의해 기술되는 것이다. 세계에 대한 우리의 비과학적 설명이 성숙한 물리학과 양립할 수 없는 범위에 이르러, 그것은 거짓이다. 그 술어들과 추상 명사들 중에서 물리학에 의해 반영된 세계에 대한 상으로 결합될 수 없는 보편자들을 지시하려는 의도를 가진 것들은 지시가 없는 용어들이다; 그들이 표현하거나 명명하려고 의도하는 보편자들은 단순히 현존하지 않는 것들이다. 제거주의는 이에 대한 혼란스러운 어떤 것이든 있음을 부정한다. 그것은 단순히 한 이론에 대한 이론적 가정들이 더욱 적합한 이론의 가정들을 위해 거부되는 또 하나의 경우일 뿐이다.


Are there any unexemplified attributes?
어떤 예화되지 않는 속성들이 있는가?

While the differences we have noted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metaphysical realism, the single most important issue dividing realists bears on the idea of unexemplified universals. In delineating the main contours of realism, our focus has been on actual cases of attribute agreement and on the use of general terms and abstract singular terms in sentences that are actually true. One important tradition, however, would insist that this emphasis on the actual is misguided; it leads us to suppose that all universals are in fact instantiated or exemplified. Realists of this persuasion want to insist, however, that, in addition to the exemplified universals, there are many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that are not, never have been, and never will be exemplified.[24] Some of these lack instances only contingently; that is, they are such that they might have been exemplified, but in fact are not. Thus, there doubtless are many complex ways physical objects might have been shaped, but never were; the corresponding shapes, these realists claim, are all contingently unexemplified universals. But many of these realists have gone on to claim that, in addition to universals that only contingently go unexemplified, there are attributes that are necessarily unexemplified, attributes such that nothing could have ever exemplified them. It is, for example, impossible that anything be both round and square. That is a way nothing could be; these realists insist that there is a corresponding attribute, one that is necessarily unexemplified.
우리가 언급하였던 차이들은 형이상학적 실재론의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던 반면, 실재론자들을 갈라놓는 단일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예화되지 않는 보편자들에 대한 생각과 관련된다. 실재론의 주된 윤곽들을 기술함에 있어서, 우리의 초점은 속성일치의 실제적 사례들과 실제로 참인 문장들에 있어서 일반 명사들과 추상적 단칭 명사들의 사용에 맞추어져 있었다. 그렇지만 한 가지 중요한 전통은 실제적인 것에 대한 이러한 강조가 잘못 인도된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것은 우리를 모든 보편자들이 사실상 예시되거나 예화된다고 생각하도록 이끈다. 이러한 파벌에 속하는 실재론자들은 그렇지만 예화되는 보편자들에 덧붙여 예화되지 않고 한 번도 예화되지 않아 왔으며 결코 예화되지 않을 많은 속성들, 종류들, 그리고 관계들이 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이것들 중 일부는 단지 우연적으로 예증들을 결여한다; 즉, 그것들은 예화될 수 있었을 터이지만 사실은 그렇지 못한 그러한 보편자들이다. 그래서, 의심의 여지 없이 물리적 대상들이 형태를 갖추었을지도 모르는, 그러나 결코 그렇지 않았을 다수의 복잡한 방식들이 있다; 이러한 실재론자들은 그 일치하는 형태들이 모두 우연적으로 예화된 보편자들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재론자들 중 다수는 계속해서 오로지 우연적으로 예화되게 된 보편자들에 덧붙여 필연적으로 예화되지 않는 속성들, 그것들을 도대체 예화할 수 있었을 아무것도 없는 그러한 속성들이 있다고 주장해 왔다. 예를 들어 어떤 것이 둥글면서 각지기는 불가능하다. 그럴 수 있는 아무런 방법도 없다; 이러한 실재론자들은 일치하는 속성, 필연적으로 예화되지 않는 속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So some realists believe that there are uninstantiated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Since there is some evidence that Plato believed that this is so, let us call realists of this persuasion Platonists.[25] Opposed to them are realists who insist that every universal has at least one instance at some time or other. It is plausible to think that Aristotle endorsed an ontology involving only exemplified universals; for he tells us that if everything were healthy, there would be no such thing as disease, and if everything were white, the color black would not exist.[26] Let us, then, call realists who reject the Platonist’s unexemplified universals Aristotelian realists.
  그래서 일부 실재론자들은 예시되지 않는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이 있다고 믿는다. 플라톤이 이렇게 믿었다는 몇몇 증거가 있으므로, 우리는 이러한 파벌에 속하는 실재론자들을 플라톤주의자들이라 부르기로 하자. 모든 보편자가 최소한 그 어떤 순간엔가는 하나의 예시를 가진다고 주장하는 실재론자들이 그들에 대립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오로지 예화되는 보편자들만을 포함하는 존재론을 지지하였다고 생각하는 것은 그럴 듯하다; 왜냐하면 그는 우리에게 만일 모든 것이 건강하다면, 질병과 같은 것은 전혀 없을 것이고, 만일 모든 것이 희다면, 검은 색은 현존하지 않았으리라고 말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플라톤주의의 예화되지 않는 보편자들을 거부하는 실재론자들을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실재론자들이라 부르기로 하자.

  What are the issues separating Aristotelian realists from Platonists?[27] As a start toward answering this question, let us ask why Aristotelians object to uninstantiated universals. Aristotelians typically tell us that to endorse Platonic realism is to deny that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need to be anchored in the spatiotemporal world. As they see it, the Platonist’s universals are ontological “free floaters” with existence conditions that are independent of the concrete world of space and time. But to adopt this conception of universals, Aristotelians insist, is to embrace a “two-worlds” ontology of the sort we find in Plato himself. On this view, we have a radical bifurcation in reality, with universals and concrete particulars occupying separate and unrelated realms. Such a bifurcation, Aristotelians claim, gives rise to insoluble problems in both metaphysics and epistemology.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how there could be any kind of connection between spatiotemporal objects and beings completely outside space and time. Nonetheless, the realist is committed to there being such connections. After all, the cornerstone of metaphysical realism, the realistic interpretation of attribute agreement, tells us that the ontological ground of spatiotemporal particulars being the way they are, being the sorts of things they are, and being related to each other in the ways they are just is their being connected or tied to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Furthermore, it is highly problematic how beings like ourselves who belong firmly to the spatiotemporal world of concrete particulars could ever have cognitive access to the nonspatial, nontemporal beings that Platonists tell us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are. Since it would seem that there can be no causal relations between spatiotemporal particulars like ourselves and beings outside space and time, it looks as though the only story we could tell about our knowledge of universals is one that makes that knowledge innate or apriori. But Aristotelians have traditionally been skeptical of the idea of innate knowledge. They want to insist that our knowledge of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like all our knowledge, has an empirical origin. Indeed, Aristotelians want to deny that we can separate or cut apart our knowledge of universals from our knowledge of concrete spatiotemporal particulars. As they see it, we grasp particulars only by grasping the kinds to which they belong, the properties they exhibit, and the relations they bear to each other; and we grasp the relevant kinds, properties, and relations, in turn, only by epistemic contact with the particulars that exemplify them.
  플라톤주의자들로부터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실재론자들을 분리시키는 문제들은 무엇인가? 이 물음에 대답하기 위한 출발점으로서, 어째서 아리스토텔레스주의가 예시되지 않는 보편자들에 대해 반대하는지 묻도록 하자. 아리스토텔레스주의는 전형적으로 우리에게 플라톤적 실재론을 지지하는 것은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이 시공간적 세계 내에 정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부정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들이 그렇게 보듯, 플라톤주의의 보편자들은 시간과 공간이라는 구체적 세계에 대해 독립적인 현존 조건들을 지닌 존재론적인 "자유로운 부유물들"이다. 그러나 보편자들에 대한 이러한 개념을 채택하는 것은 우리가 플라톤 자신에게서 발견하는 그런 종류의 "두-세계들"이라는 존재론을 포용하는 것이라고 아리스토텔레스주의는 주장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는 분리되고 연결되지 않은 영역들을 점유하는 보편자들과 구체적 특수자들을 가지고 실재성에 있어서의 급진적 분기점을 갖는다. 그러한 분기점은 형이상학과 인식론 모두에 있어서 해결불가능한 문제들을 불러 일으킨다고 아리스토텔레스주의는 주장한다. 어떻게 시공간적 대상들과 완전히 시공간 외부의 존재자들 사이에 어떤 종류의 연결이 있을 수 있을지 이해하기란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재론은 그러한 연결들이 있다는 것에 헌신한다. 무엇보다도, 형이상학적 실재론의 초석, 속성 일치에 대한 실재론적 해석은 우리에게 그것들이 존재하는 방식으로, 그런 종류로, 그러한 방식들로 상호 연결되어 그렇게 있는 시공간적 특수자들의 존재론적 토대는 바로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에 대한 그것들의 연결됨 혹은 묶임이라고 말한다. 더 나아가, 어떻게 우리 자신과 같이 확고히 구체적 특수자들의 시공간적 세계에 속하는 존재자들이 도대체 플라톤주의가 우리에게 말하는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인 그 비공간적, 비시간적 존재자들에 대한 인지적 접근을 지닐 수 있을 것인지는 상당히 문제가 된다. 우리 자신과 같은 시공간적 특수자들과 시공간 외부의 존재자들 사이에는 아무런 인과관계들도 있을 수 없을 것으로 보일 터이므로, 마치 우리가 보편자들에 대한 우리의 앎에 대해 말할 수 있을 유일한 이야기는 저 지식을 내재적으로 또는 선험적으로 만드는 이야기뿐인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주의는 전통적으로 내재적 앎이라는 생각에 대해 회의적이어 왔다. 그들은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에 대한 우리의 앎, 그와 같은 우리의 앎 모두가 경험적 기원을 지닌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덧붙여, 아리스토텔레스주의는 우리가 보편자들에 대한 우리의 앎을 구체적인 시공간적 특수자들에 대한 우리의 앎으로부터 분리시키거나 단절시킬 수 있다는 것을 부정하고자 한다. 그들이 보는 것처럼, 우리는 특수자들을 오로지 그것들이 속하는 종류들, 그것들이 드러내는 속성들, 그것들이 상호에 관련하는 관계들을 파악함으로써만 파악한다; 그리고 우리는 이번엔 상관된 종류들, 속성들, 그리고 관계들을 오로지 그것들을 예화하는 특수자들과의 인식적 접촉을 통해서만 파악한다.

  How, in turn, do Platonists defend the idea of uninstantiated or unexemplified universals? One important strategy is to argue that precisely the same sorts of semantical considerations that lead us to posit exemplified universals support the claim that there are unexemplified universals. The Platonist will argue that it is not simply the predicates of true subject-predicate sentences that take universals as their referents; the same is true of false sentences of this form. Suppose there is an object, a, and a person, P, such that P falsely believes that

(20) a is F

is true. P might well assertively utter (20). Although what P asserts in uttering (20) is false, P has asserted something. But what? Had (20) been true, in assertively uttering (20), P would have asserted that the object, a, exemplifies the universal, F-ness. The Platonist will argue that what P asserts in uttering (20) cannot depend on whether (20) is true or false, so what P falsely asserts in uttering (20) has to be the same thing P would have asserted had (20) been true. Thus, P asserts, falsely it turns out, that a  exemplifies F-ness. But, the Platonist will go on, F might have been a general term, a shapepredicate, say, true of or satisfied by no object that exists, has existed, or will exist. So the semantical considerations that lead us to suppose that there are exemplified universals support an ontology of unexemplified universals as well; and, the Platonist may go on to argue, F could just as well have been a predicate that is necessarily true of nothing, so that the same argument would seem to justify the belief that there are necessarily unexemplified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이번엔, 어떻게 플라톤주의가 예시되지 않거나 예화되지 않는 보편자들이라는 생각을 옹호하는가? 하나의 중요한 전략은 우리로 하여금 예화되는 보편자들을 가정하도록 이끄는 정확하게 동일한 종류의 의미론적 고찰들이 예화되지 않는 보편자들이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고 논증하는 것이다. 플라톤주의는 그것이 단순히 보편자들을 그 지시체들로 삼는 참인 주-술 문장들의 술어들이 아니라고 주장할 것이다; 이러한 형식의 거짓 문장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가 참이다. 하나의 대상 a와 다음과 같은 문장이 참이라고 잘못 믿는 사람 P가 있다고 가정해 보자.

(20) a는 F이다.

P는 아마도 단정적으로 (20)을 잘 발화할 것이다. P가 (20)을 발화함에 있어서 단언하는 것이 거짓이라 할지라도, P는 어떤 것을 단언했다. 하지만 그건 무엇인가? (20)이 참이었다면, (20)을 단정적으로 발화함에 있어서 P는 대상 a가 보편자 F-임을 예화한다고 단언했을 것이다. 플라톤주의는 P가 (20)을 발화함에 있어서 단언한 것은 (20)이 참인지 거짓인지 여부에 의존할 수 없고, 그래서 P가 (20)을 발화함에 있어서 잘못 단언한 것은 (20)이 참이었다면 P가 단언했을 것과 동일한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따라서, P는 결국 거짓으로 드러나는 F-임을 예화하는 것을 단언한다. 그러나 플라톤주의가 계속해 나갈 것처럼, F는 일반 명사였을 것이고, 술어 형태였을 것이며, 말하자면, 현존하거나 현존했거나 현존할 그 어떠한 대상에 대해서도 참이거나 그에 의해 만족되지 않았을 것이다. 우리를 예화되는 보편자들이 있다고 생각하도록 이끄는 의미론적 고찰들은 예화되지 않는 보편자들에 대한 존재론도 마찬가지로 뒷받침한다; 그리고, 플라톤주의는 계속해서 마찬가지로 F도 아무것에 대해서도 필연적으로 참이 아닌 술어였을 수 있을 것이고, 그래서 동일한 논증이 필연적으로 예화되지 않는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이 있다는 믿음을 정당화하는 것으로 보일 터이다.

  The Platonist will typically insist that all universals, whether exemplified or not, are necessary beings. Unlike the contingently existing particulars of common sense that exist, but need not,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are such that their nonexistence is impossible. Toward showing this, the Platonist tells us that for every property, the claim that it is a property is not just true, but necessarily true. Now, the Platonist insists that just as the truth of a claim about an object presupposes the actual existence of the object, the necessary truth of a claim about this or that object presupposes the necessary existence of the object. A necessary truth, the Platonist insists, is one that could not fail to be true; and where a necessary truth is a claim about a given object, the object in question could not fail to exist. So every property is such that it could not fail to exist; every property is a necessary being; and analogous points hold with regard to kinds and relations. So the Platonist insists that we distinguish between the existence of a property, kind, or relation and its exemplification or instantiation. Whereas the latter may be contingent, the former never is.
  플라톤주의는 전형적으로 모든 보편자들은 예화되든 그렇지 않든 필연적인 존재자들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상식의 우연적으로 현존하는 특수자들과 달리 저들은 현존하지만,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과 같이 그것들의 비현존이 불가능한 것일 필요는 없다. 이를 보이기 위해, 플라톤주의는 우리에게 모든 속성에 대해 그것이 속성이라는 주장이 단순히 참이 아니라 필연적으로 참이라고 말한다. 이제, 플라톤주의는 바로 한 대상에 대한 주장의 진리가 그 대상의 실제 현존을 가정하는 것과 같이, 이러저러한 대상에 대한 한 주장의 필연적 참이 그 대상의 필연적 현존을 가정한다고 주장한다. 플라톤주의는 하나의 필연적 참은 참이 아닐 수 없을 그러한 참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필연적 참이 주어진 한 대상에 대한 주장인 곳에서, 문제가 되는 그 대상은 현존하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모든 속성은 현존하지 않을 수 없을 그러한 것이다; 모든 속성은 필연적 존재자이다; 그리고 유사한 점들이 종류들과 관계들을 고려함에 있어서도 견지된다. 그래서 플라톤주의는 우리가 속성, 종류, 또는 관계와 그것의 예화 혹은 예시 사이를 구별한다고 주장한다. 후자는 우연적인 것일 반면, 전자는 결코 그렇지 않다.

  In criticizing Aristotelians, the Platonist will argue that by failing to draw this distinction, the Aristotelian makes the existence of a universal depend upon the existence of something to exemplify it and thereby turns things upside down. Universals were brought on the scene to explain attribute agreement among particulars, to explain why concrete particulars are the way they are. Universals, then, are supposed to be ontologically prior to the particulars that exemplify them. On the Aristotelian view, however, things turn out just the reverse. The existence of a universal turns out to depend on there being particulars that are this or that sort of things, are characterized in this or that way, or are related to each other in this or that way. Such a view undermines the core insight motivating metaphysical realism.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들에 대한 비판에 있어서, 플라톤주의는 이러한 구별을 이끌어내는 데에 실패함으로써 아리스토텔레스주의가 보편자의 현존을 그 보편자를 예화하는 어떤 것의 현존에 의존하도록 만들고 그럼으로써 사물들을 전도시킨다고 주장할 것이다. 보편자들은 특수자들 사이의 속성 일치를 설명하는 장면에서, 어째서 구체적 특수자들이 그들이 그러한 그 방식으로 있는지 설명하기 위해 초래되었다. 그래서 보편자들은 그것들을 예화하는 특수자들보다 존재론적으로 우선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지만 아리스토텔레스주의의 관점에서, 사물들은 그와 정반대로 드러난다. 보편자의 현존은 이러저러한 종류의 사물들, 이러저러한 방식으로 규정된 것들, 또는 이러저러한 방식으로 상호 결합된 것들인 존재하는 특수자들에 의존하는 것으로 드러난다. 그러한 관점은 형이상학적 실재론을 동기유발하는 핵심적 통찰을 약화시킨다.

  Finally, although some realists (including, perhaps, Plato himself) are willing to endorse a “two-worlds” ontology, many Platonists will claim that Aristotelians are just wrong to suppose that the metaphysical problems of a “two-worlds” theory have to infect an ontology of unexemplified universals. They will insist that, on their view, the nexus of exemplification serves to tie universals and particulars, and they will claim that although this notion is ontologically basic or primitive, it is a perfectly respectable notion, one that the Aristotelian no less than the Platonist is committed to. And they will argue that the Aristotelian’s contention that the Platonist faces insoluble epistemological problems is overblown. They will insist that while some universals have no instances in the spatiotemporal world, many do; and they will claim that our knowledge of exemplified universals can be captured by a thoroughgoing empiricism. As they see it, we come to have cognitive access to these universals simply by experiencing the spatiotemporal particulars that exemplify them; whatever other knowledge we have of universals is grounded in our knowledge of these exemplified universals. Thus, we come to know about some unexemplified universals by extrapolation from our empirically based knowledge of instantiated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If there are universals that have no identifiable relations to the exemplified universals we meet in our day-to-day commerce with the world, then Platonists will concede that we have no knowledge of such universals; but they will deny that this is surprising. They will claim, rather, that this is just what we would have expected.
  끝으로, 일부 실재론자들 (아마도 플라톤 자신을 포함하는) 이 "두-세계들" 존재론을 지지하길 바라고 있다 할지라도, 많은 플라톤주의자들은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들이 "두-세계들" 이론의 형이상학적 문제들이 예화되지 않는 보편자들에 대한 존재론을 감염시켜야 한다고 잘못 생각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들은 그들의 관점에서 예화의 연쇄가 보편자들과 특수자들을 묶는 일에 이바지한다고 주장할 것이고, 그들은 비록 이러한 관념이 존재론적으로 기초적이거나 1차적이라 할지라도, 그것은 완벽히 훌륭한 관념, 아리스토텔레스주의가 플라톤주의보다 조금도 덜 헌신하지 않는 관념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플라톤주의가 해결불능의 인식론적 문제들에 직면한다는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주장이 과장되었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들은 일부 보편자들이 시공간적 세계 내에서 아무런 예시들도 가지지 않는 반면, 많은 보편자들이 또한 가진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예화되는 보편자들에 대한 우리의 앎이 철저한 경험주의에 의해 포착될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들이 그렇게 보듯, 우리는 이러한 보편자들에 대해 단순히 그것들을 예화하는 시공간적 특수자들을 경험하는 것만으로 인지적 접근을 가지게 될 것이다; 보편자들에 대해 우리가 가진 다른 어떤 앎이 되었든 이러한 예화되는 보편자들에 대한 우리의 앎에 기초된다. 그래서, 우리는 예시되는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에 대한 경험적으로 기초된 우리의 앎으로부터 외삽을 통해 어떤 예화되지 않는 보편자들에 대해 알게 된다. 만일 우리가 세계와의 나날의 소통에서 마주치는 예화되는 보편자들에 대해 아무런 규정가능한 관계들도 지니지 않는 보펴자들이 있다면, 플라톤주의는 우리가 그러한 보편자들에 대해 아무런 앎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그러나 그들은 이러한 것이 놀라운 일임을 부정할 것이다. 그들은 오히려 이것이 단지 우리가 예측하였을 바로 그것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