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 Philo, Leg. alleg. 2.22-3 (SVF 2.458, part)
(1) ὁ γυμνὸς καὶ ἀνένδετος σώματι νοῦς - περὶ γὰρ τοῦ μήπω ἐνδεδεμένου ἐστὶν ὁ λόγος - Πολλὰς ἔχει δυνάμεις, ἑκτικὴν φυσικὴν ψυχικὴν λογικὴν διανοητικήν, ἄλλας μυρίας κατά τε εἴδη καὶ γένη. (2) ἡ μὲν ἕξις κοινὴ καὶ τῶν ἀψύχων ἐστὶ λίθων καὶ ξύλων, ἧς μετέχει καὶ τὰ ἐν ἡμῖν ἐοικότα λίθοις ὀστέα. (3) ἡ δὲ φύσις διατείνει καὶ ἐπὶ τὰ φυτά· καὶ ἐν ἡμῖν δέ ἐστιν ἐοικότα φυτοῖς, ὄνυχές τε καὶ τρίχες· ἔστι δὲ ἡ φύσις ἕξις ἥδη κινουμένη. (4) ψυχὴ δέ ἐστι φύσις προσειληφυῖα φαντασίαν καὶ ὁρμήν· ὅυτη κοινὴ καὶ τῶν ἀλόγων ἐστίν· ἔχει δὲ καὶ ὁ ἡμέτερος νοῦς ἀναλογοῦν τι ἀλόγου ψυχῇ. πάλιν ἡ διανοητικὴ δύναμις ἰδία τοῦ νοῦ ἐστι, καὶ ἡ λογικὴ κοινὴ μὲν τάχα καὶ τῶν θειοτέρων φύσεων, ἰδία δὲ ὡς ἐν θνητοῖς ἀνθρώπου· αὕτη δὲ διττή, ἡ μὲν καθ᾿ ἣν λογικοί ἐσμεν νοῦ μετέχοντες, ἡ δὲ καθ᾿ ἣν διαλεγόμεθα.
(1) 노골적이며 육체에 묶이지 않은 정신은 - 왜냐하면 합리는 여전히 제한되지 않은 것에 관한 것이기에 - 많은 능력들을, 견지적 능력 자연적 능력 영적 능력 합리적 능력 지적 능력, 종들과 유들에 따른 그 밖의 무수한 능력들을 지닌다. (2) 견지는 영혼 없는 돌들과 목재들에도 공통되는데, 그 견지에 돌들과 닮은 우리 안의 뼈들도 참여한다. (3) 그런데 자연은 식물들에게까지도 확장한다: 우리들 안에서도 식물들과 닮은 것들이, 손톱과 머리카락이다: 자연은 촉발되는 견지이다. (4) 그런데 영혼은 인상과 충동을 더하여 가진 자연이다: 이러한 영혼은 비합리적인 것들에도 공통된다: 우리의 지성도 비합리적인 것의 영혼과 어떤 유사점을 갖는다. 역으로 지적 능력은 지성에 고유하며, 합리적 능력은 아마 더 신적인 본성들과도 공통되겠지만, 필멸자들 중에서는 인간에게 고유하다: 이러한 능력은 두 가지로, 하나는 그에 따라 지성에 참여하는 이들이 합리적인 자들이 될 것이고, 다른 쪽은 그에 따라 우리가 대화한다.

Q Philo, Quod deus sit immutabilis 35-6 (SVF 2.458, part)
(1) τῶν γὰρ σωμάτων τὰ μὲν ἐνεδήσατο ἕξει, τὰ δὲ φύσει, τὰ δὲ ψυχῇ, τὰ δὲ λογικῇ ψυχῇ. (2) λίθων μὲν οὖν καὶ ξύλων, ἃ δὴ τῆς συμφυίας ἀπέσπασται, δεσμὸν κραταιότατον ἕξιν εἰργάζετο· ἡ δέ ἐστι πνεῦμα ἀναστρέφον ἐφ᾿ ἑαυτό· ἄρχεται μὲν γὰρ ἀπὸ τῶν μέσων ἐπὶ τὰ πέρατα τείνεσθαι, ψαῦσαν δὲ ἄκρας ἐπιφανείας ἀνακάμπτει πάλιν, ἄχρις ἂν ἐπὶ τὸν αὐτὸν ἀφίκηται τόπον, ἀφ᾿ οὗ τὸ πρῶτον ὡρμήθη· (3) ἕξεως ὁ συνεχὴς οὗτος δίαυλος ἄφθαρτος.
왜냐하면 (신이) 물체들 중 일부는 견지로써 구속하였고, 다른 것들은 자연으로써, 또 다른 것들은 영혼으로써, 또 다른 것들은 합리적 영혼으로써 그리 하였기 때문이다. (2) 그러므로 돌들과, 자연적 연결로부터 빠져나온, 그런 목재들의 구속을 가장 강력한 견지로 만들었다: 그런데 그 견지는 자신으로 회귀하는 프네우마이다: 왜냐하면 중앙의 것들로부터 끝들을 향해 연장되기 시작하지만, 가장 바깥 표면에서 멈추어 되돌아 휘어들고, 거기에서부터 처음 추동된 그 동일한 장소에 도달할 때까지 그리하기 때문이다: (3) 견지의 이러한 지속적 왕복은 불멸이다.

R Philo, Quaestiones et solutiones in Genesin 2.4 (SVF 2.802)
  Corpus autem nostrum, ex multis compositum, extrinsecus et intrinsecus unitum est atque propria habitudine constat; superior autem habitudo conexionis istorum anima est, quae in medio consistens ubique permeat usque ad superficiem deque superficie in medium vertitur, ut unica natura spiritualis duplici convolvatur ligamine in firmiorem soliditatem unionemque coaptata.
  하지만 우리들의 육신, 많은 요소들로 이루어진 육신은, 안팎으로 통일되어 있으며 고유한 견지로써 존속한다: 하지만 이러한 것들의 연속보다 더 상위의 견지는 영혼이다, 영혼은 중앙에서 모든 곳에 존립하면서 모든 표면에서 표면으로 관통하여 중앙으로 되돌아 온다, 단일한 영적 본성이 이중의 끝에 의해 더욱 확고하게 결합된 단일성과 통일성으로 결속되도록.
  (1) Why does God command that the ark be tarred inside and outside? ... (2) Everything that is sustained by glue is immediately forced into a natural union. (3) Now our body, which is composed of many parts, is united externally and internally, and it holds firm by its own tenor. And the higher tenor of these parts is the soul: being at the centre, it moves everywhere, right to the surface and from the surface it returns to the centre. The result is that a single animate nature is enveloped by a double bond, thus being fitted to a stronger tenor and union. (4) This ark, then, is smeared with tar inside and outside for the reason mentioned.
  (1) 어째서 신은 방주가 안팎으로 도포되도록 명하는가? ... (2) 접착제에 의해 견지되는 모든 것은 즉각적으로 자연적 통일에로 강제된다. (3) 이제 우리의 신체, 여러 부분들로 구성된 신체는, 안팎으로 통일되어 있으며, 고유한 견지에 의해 견고히 유지한다. 그리고 이러한 부분들에 대한 더 상위의 견지는 영혼이다: 중앙에 있으면서, 그것은 모든 곳으로 움직이고, 바로 표면으로 또한 표면으로부터 그것이 중앙으로 돌아온다. 그 결과는 단일한 영혼의 본성이 이중의 끈에 의해 감싸이는 것이다, 더 강한 견지와 통일에 적합하도록. (4) 그래서 이 방주는 언급된 이유로 안팎이 타르로 칠해진다.

S Simplicius, In Ar. Cat. 237, 25 - 238, 20 (SVF 2.393, part)
(1) ἄξιον δὲ καὶ τὴν τῶν Στωικῶν συνήθειαν περὶ τὰ ὀνόματα ταῦτα καταμαθεῖν. δοκοῦσι γὰρ οὗτοί τισιν ἀνάπαλιν τῷ Ἀριστοτέλει τὴν διάθεσιν τῆς ἕξεως μονιμωτέραν ἡγεῖσθαι· (2) τὸ δὲ ἀφορμὴν μὲν ἔχει τῆς τοιαύτης ὑπονοίας, οὐ μέντοι κατὰ τὸ μονιμώτερον ἢ μὴ παρὰ τοῖς Στωικοῖς ἡ τούτων εἴληπται διαφορά, ἀλλὰ κατ᾿ ἄλλας διαθέσεις· καὶ γὰρ τὰς μὲν ἕξεις ἐπιτείνεσθαί φασιν δύνασθαι καὶ ἀνίεσθαι, τὰς δὲ διαθέσεις ἀνεπιτάτους εἶναι καὶ ἀνανέτους. διὸ καὶ τὴν εὐθύτητα τῆς ῥάβδου, κἂν εὐμετάβολος ᾖ δυναμένη κάμπτεσθαι, διάθεσιν εἶναί φασιν· μὴ γὰρ ἂν ἀνεθῆναι ἢ ἐπιταθῆναι τὴν εὐθύτητα μηδὲ ἔχειν τὸ μᾶλλον ἢ ἧττον, διόπερ εἶναι διάθεσιν. οὑτωσὶ δὲ καὶ τὰς ἀρετὰς διαθέσεις εἶναι, οὐ κατὰ τὸ μόνιμον ἰδίωμα, ἀλλὰ κατὰ τὸ ἀνεπίτατον καὶ ἀνεπίδεκτον τοῦ μᾶλλον· τὰς δὲ τέχνας καίτοι δυσκινήτους οὔσας [ἢ] μὴ εἶναι διαθέσεις.
(1) 이러한 용어들에 관한 스토아 학파의 관례적 용법 또한 자세히 배울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이들이 어떤 이들에게는 아리스토텔레스와 반대로 성향을 견지보다 더 안정적인 것으로 생각한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2) 그런데 이러한 추정의 계기는, 허나 더 안정적인 것에 따라서나 스토아 학파에 의해 취해진 이것들(상태와 성향)의 차이가 아니라, 다른 성향들에 따른 것이다: 왜냐하면 그들이 견지들은 긴장과 이완이 가능한 반면, 성향들은 긴장도 이완도 되지 않는 것들이라고 말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막대의 곧음도, 휘어질 수 있기에 가변적인 것일지라도, 성향이라고 말한다: 왜냐하면 그 곧음이 긴장이나 이완할 수도 없고 더 하거나 덜 할 수도 없을 것이며, 바로 그 점에서 성향이라고 말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런 식으로 덕들 또한 성향들이라고, 안정적 특성에 따라서가 아니라, 증가 불가와 증대의 불허에 따라서 그리 말한다: 그렇지만 기술들은 움직이기 어려운 것들임에도 성향들이 아니라고 말한다.
(3) καὶ ἐοίκασιν τὴν μὲν ἕξιν ἐν τῷ πλάτει τοῦ εἴδους θεωρεῖν, τὴν δὲ διάθεσιν ἐν τῷ τέλει τοῦ εἴδους καὶ ἐν τῷ μάλιστα, εἴτε κινοῖτο καὶ μεταβάλλοι, ὡς τὸ εὐθὺ τῆς ῥάβδου, εἴτε καὶ μή. (4) μᾶλλον δὲ ἐχρῆν ἐκεῖνο ἐπιστῆσαι, μὴ ἡ παρὰ τοῖς Στωικοῖς σχέσις ἡ αὐτή ἐστιν τῇ παρὰ Ἀριστοτέλει διαθέσει, κατὰ τὸ εὐανάλυτον καὶ δυσανάλυτον διισταμένη πρὸς τὴν ἕξιν. ἀλλ᾿ οὐδὲ οὕτως συμφωνοῦσιν. ὁ μὲν γὰρ Ἀριστοτέλης τὴν ἀβέβαιον ὑγίειαν διάθεσιν εἶναί φησιν, οἱ δὲ ἀπὸ τῆς Στοᾶς τὴν ὑγίειαν, ὅπως ἂν ἔχῃ, οὐ συγχωροῦσιν σχέσιν εἶναι· φέρειν γὰρ τὸ τῆς ἕξεως ἰδίωμα· τὰς μὲν γὰρ σχέσεις ταῖς ἐπικτήτοις καταστάσεσιν χαρακτηρίζεσθαι, τὰς δὲ ἕξεις ταῖς ἐξ ἑαυτῶν ἐνεργείαις.
(3) 또한 그들은 견지를 종의 넓이(범위)에서 파악하는 반면, 성향은 종의 결과와 최대치에서 파악하는 듯하다, 움직이거나 변화하든, 막대의 곧음처럼 그렇지 않든. (4) 저것을 좀 더 알아야만 한다. 스토아 학파의 '상태'라는 것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성향'과 같지 않다. 그것은 잘 분해되는 것과 분해되기 어려운 것에 따라 그의 '상태'와 구분된다. 허나 그들은 그런 식으로 동의하지도 않는다. 왜냐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불확실한 건강이 성향이라고 말하지만, 스토아 출신의 사람들은 그런 어떤 상태의 건강도 상태라고 동의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그들은 그것이 견지의 특성을 갖는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상태들은 획득된 상태들에 의해 특징지어지는(각인되는) 반면, 견지들은 그 자체로부터의 현실태들에 의해 특징지어지기 때문이다.
(5) ὅθεν οὐδὲ χρόνου μήκει ἢ ἰσχύι εἰδοποιοῦνται αἱ ἕξεις κατ᾿ αὐτούς, ἰδιότητι δέ τινι καὶ χαρακτῆρι, καὶ ὥσπερ τὰ ἐρριζωμένα μᾶλλον καὶ ἧττον ἐρρίζωται, ἓν δὲ ἔχει τὸ κοινὸν ἰδίωμα τὸ ἀντέχεσθαι τῆς γῆς, οὕτω καὶ ἡ ἕξις ἐπὶ τῶν δυσκινήτων καὶ εὐκινήτων ἡ αὐτὴ θεωρεῖται· ὅλως γὰρ τῷ γένει πολλὰ ποιὰ ὄντα ἐκλελυμένον ἐκεῖνο τὸ ἰδίωμα ἔχει καθ᾿ ὃ εἰδοποιεῖται, ὡς ὁ αὐστηρὸς οἶνος καὶ ἀμύγδαλα πικρὰ καὶ Μολοττικὸς κύων καὶ Μελιταῖος, οἷς πᾶσιν μέτεστι μὲν ὁ γενικὸς χαρακτήρ, ἐπὶ βραχὺ δὲ καὶ ἀνειμένως, καὶ ὅσον ἐπ᾿ αὐτοῖς τοῖς ἐν τῇ ἕξει λόγοις ἐπιμένει ἐπὶ μιᾶς καταστάσεως αὕτη, τὸ δὲ εὐκίνητον πολλάκις ἐξ ἄλλης αἰτίας ἔχει.
이로부터 그들에 따르자면 견지들은 시간의 길이로도 강도로도 형상화되지 않고, 어떤 고유성과 각인에 의해, 또한 마치 뿌리내려지는 것들이 더하거나 덜하게 뿌리내려지듯, 그러나 대지에 매달려 있다는 하나의 공통된 특성을 가지듯, 그런 식으로 견지도 움직이기 어렵거나 움직이기 쉬운 것들과 관련하여 같은 것으로 파악된다: 왜냐하면 전반적으로 유로써 이러저러한(성질을 지닌) 많은 것들은 그에 따라 형상화된 저 특성을 결여된 것으로서 지니는데, 거친 포도주와 쓴 아몬드 그리고 몰로시아 견(犬)과 몰타 견처럼 그러하며, 이런 것들 모두에 유(類)적인 각인이 함께하지만, 부족하게 그리고 약하게 함께하며, 그 견지에 속하는 바로 그 로고스들과 관련하는 한에서 단일한 상태에 관해 동일한 것으로 머물고, 그러나 자주 그 밖의 원인들로부터 변화하기 쉬운 것이다.

T Plutarch, Prim. frig. 948D-E, 949B (SVF 2.430, part)
(1) ἐπεὶ τὸ πῦρ θερμὸν ἅμα καὶ λαμπρόν ἐστι, δεῖ τὴν ἀντικειμένην τῷ πυρὶ φύσιν ψυχράν τ᾿ εἶναι καὶ σκοτεινήν· ἀντίκειται γὰρ ὡς τῷ λαμπρῷ τὸ ζοφερὸν οὕτω τῷ θερμῷ τὸ ψυχρόν· ἔστι γὰρ ὡς ὄψεως τὸ σκοτεινὸν οὕτω τὸ ψυχρὸν ἁφῆς συγχυτικόν, ἡ δὲ θερμοτής διαχεῖ τὴν αἴσθησιν τοῦ ἁπτομένου καθάπερ ἡ λαμπρότης τοῦ ὁρῶντος. τὸ ἄρα πρώτως σκοτεινὸν ἐν τῇ φύσει πρώτως καὶ ψυχρόν ἐστιν. ὅτι δ᾿ ἀὴρ τὸ πρώτως σκοτεινόν ἐστιν, οὐδὲ τοὺς ποιητὰς λέληθεν· . . . (2) καὶ μὴν ἁπάντων γε τῶν γινομένων ὑπὸ ψυχρότητος ἐν τοῖς σώμασι σφοδρότατον καὶ βιαιότατον ἡ πῆξις οὖσα πάθος μέν ἐστιν ὕδατος ἔργον δ᾿ ἀέρος· αὐτὸ μὲν γὰρ καθ᾿ ἑαυτὸ τὸ ὕδωρ εὐδιάχυτον καὶ ἀπαγὲς καὶ ἀσύστατόν ἐστιν, ἐντείνεται δὲ καὶ συνάγεται τῷ ἀέρι σφιγγόμενον ὑπὸ ψυχρότητος.
(1) 불은 뜨거운 동시에 밝은 것이기에, 불과 반대되는 본성은 차갑고 어두워야 한다: 왜냐하면 탁함이 밝음에 반대되듯 그런 식으로 뜨거움에 차가움이 반대되기 때문이다: 즉 시각에 대해 어두움처럼 촉각에 대해 차가움이 교란자인데, 뜨거움은 접촉하는 자의 감각을 마치 빛이 보는 자에 대해 그러하듯 분산시킨다. 그래서 본성상 일차적으로 어두운 것은 또한 일차적으로 차갑기도 하다. 일차적으로 어두운 것이 공기라는 것은, 시인들이 잘못 알았던 것도 아니다: . . . (2) 그런가 하면 차가움에 의해 물체들 내에 생겨나는 모든 것들 중에서 가장 극단적이고 가장 강제적인 겪음(상태)으로서 고체화(동결)은 물에 대한 공기의 작용이다: 왜냐하면 그 자체로 바로 그 물은 쉽사리 분산되고 비고정적이며 조밀하지 못하지만, 차가움에 의해 당겨짐으로써 공기에 의해 긴장되고 밀집되기 때문이다.

-蟲-

{ΣΩ.} Τελέως τε καὶ λαμπρῶς ἔοικα ἀνταπολήψεσθαι τὴν τῶν λόγων ἑστίασιν. σὸν οὖν ἔργον λέγειν ἄν, ὦ Τίμαιε, τὸ μετὰ τοῦτο, ὡς ἔοικεν, εἴη καλέσαντα κατὰ νόμον θεούς.
완전하고도 찬란하게 
{ΤΙ.} Ἀλλ', ὦ Σώκρατες, τοῦτό γε δὴ πάντες ὅσοι καὶ κατὰ βραχὺ σωφροσύνης μετέχουσιν, ἐπὶ παντὸς ὁρμῇ καὶ σμικροῦ καὶ μεγάλου πράγματος θεὸν ἀεί που καλοῦσιν· [Stephanus page 27, section c, line 4] ἡμᾶς δὲ τοὺς περὶ τοῦ παντὸς λόγους ποιεῖσθαί πῃ μέλλοντας, ᾗ γέγονεν ἢ καὶ ἀγενές ἐστιν, εἰ μὴ παντάπασι παραλλάττομεν, ἀνάγκη θεούς τε καὶ θεὰς ἐπικαλουμένους εὔχεσθαι πάντα κατὰ νοῦν ἐκείνοις μὲν μάλιστα, ἑπομένως δὲ ἡμῖν εἰπεῖν. καὶ τὰ μὲν περὶ θεῶν ταύτῃ παρακεκλήσθω· τὸ δ' ἡμέτερον παρακλητέον, ᾗ ῥᾷστ' ἂν ὑμεῖς μὲν μάθοιτε, ἐγὼ δὲ ᾗ διανοοῦμαι μάλιστ' ἂν περὶ τῶν προκειμένων ἐνδειξαίμην.

Ἔστιν οὖν δὴ κατ' ἐμὴν δόξαν πρῶτον διαιρετέον τάδε· τί τὸ ὂν ἀεί, γένεσιν δὲ οὐκ ἔχον, καὶ τί τὸ γιγνόμενον μὲν [Stephanus page 28, section a, line 1] ἀεί, ὂν δὲ οὐδέποτε; τὸ μὲν δὴ νοήσει μετὰ λόγου περιληπτόν, ἀεὶ κατὰ ταὐτὰ ὄν, τὸ δ' αὖ δόξῃ μετ' αἰσθήσεως ἀλόγου δοξαστόν, γιγνόμενον καὶ ἀπολλύμενον, ὄντως δὲ οὐδέποτε ὄν.

πᾶν δὲ αὖ τὸ γιγνόμενον ὑπ' αἰτίου τινὸς ἐξ ἀνάγκης γίγνεσθαι· παντὶ γὰρ ἀδύνατον χωρὶς αἰτίου γένεσιν σχεῖν. ὅτου μὲν οὖν ἂν ὁ δημιουργὸς πρὸς τὸ κατὰ ταὐτὰ ἔχον βλέπων ἀεί, τοιούτῳ τινὶ προσχρώμενος παραδείγματι, τὴν ἰδέαν καὶ δύναμιν αὐτοῦ ἀπεργάζηται, καλὸν ἐξ ἀνάγκης οὕτως ἀποτελεῖσθαι πᾶν· οὗ δ' ἂν εἰς γεγονός, γεννητῷ παραδείγματι προσχρώμενος, οὐ καλόν.

ὁ δὴ πᾶς οὐρανὸς [Stephanus page 28, section b, line 3] - ἢ κόσμος ἢ καὶ ἄλλο ὅτι ποτὲ ὀνομαζόμενος μάλιστ' ἂν δέχοιτο, τοῦθ' ἡμῖν ὠνομάσθω - σκεπτέον δ' οὖν περὶ αὐτοῦ πρῶτον, ὅπερ ὑπόκειται περὶ παντὸς ἐν ἀρχῇ δεῖν σκοπεῖν, πότερον ἦν ἀεί, γενέσεως ἀρχὴν ἔχων οὐδεμίαν, ἢ γέγονεν, ἀπ' ἀρχῆς τινος ἀρξάμενος. γέγονεν· ὁρατὸς γὰρ ἁπτός τέ ἐστιν καὶ σῶμα ἔχων, πάντα δὲ τὰ τοιαῦτα αἰσθητά, τὰ δ' αἰσθητά, δόξῃ περιληπτὰ μετ' αἰσθήσεως, γιγνόμενα καὶ γεννητὰ ἐφάνη.

τῷ δ' αὖ γενομένῳ φαμὲν ὑπ' αἰτίου τινὸς ἀνάγκην εἶναι γενέσθαι. τὸν μὲν οὖν ποιητὴν καὶ πατέρα τοῦδε τοῦ παντὸς εὑρεῖν τε ἔργον καὶ εὑρόντα εἰς πάντας [Stephanus page 28, section c, line 5] ἀδύνατον λέγειν· τόδε δ' οὖν πάλιν ἐπισκεπτέον περὶ αὐτοῦ, πρὸς πότερον τῶν παραδειγμάτων ὁ τεκταινόμενος αὐτὸν ἀπηργάζετο, πότερον πρὸς τὸ κατὰ ταὐτὰ καὶ ὡσαύτως ἔχον ἢ πρὸς τὸ γεγονός.

εἰ μὲν δὴ καλός ἐστιν ὅδε ὁ κόσμος ὅ τε δημιουργὸς ἀγαθός, δῆλον ὡς πρὸς τὸ ἀίδιον ἔβλεπεν· εἰ δὲ ὃ μηδ' εἰπεῖν τινι θέμις, πρὸς γεγονός. παντὶ δὴ σαφὲς ὅτι πρὸς τὸ ἀίδιον· ὁ μὲν γὰρ κάλλιστος τῶν γεγονότων, ὁ δ' ἄριστος τῶν αἰτίων. οὕτω δὴ γεγενημένος πρὸς τὸ λόγῳ καὶ φρονήσει περιληπτὸν καὶ κατὰ ταὐτὰ ἔχον δεδημιούργηται· τούτων δὲ ὑπαρχόντων αὖ πᾶσα ἀνάγκη τόνδε τὸν [Stephanus page 29, section b, line 2] κόσμον εἰκόνα τινὸς εἶναι.

μέγιστον δὴ παντὸς ἄρξασθαι κατὰ φύσιν ἀρχήν. ὧδε οὖν περί τε εἰκόνος καὶ περὶ τοῦ παραδείγματος αὐτῆς διοριστέον, ὡς ἄρα τοὺς λόγους, ὧνπέρ εἰσιν ἐξηγηταί, τούτων αὐτῶν καὶ συγγενεῖς ὄντας· τοῦ μὲν οὖν μονίμου καὶ βεβαίου καὶ μετὰ νοῦ καταφανοῦς μονίμους καὶ ἀμεταπτώτους - καθ' ὅσον οἷόν τε καὶ ἀνελέγκτοις προσήκει λόγοις εἶναι καὶ ἀνικήτοις, τούτου δεῖ μηδὲν ἐλλείπειν - τοὺς δὲ τοῦ πρὸς μὲν ἐκεῖνο ἀπεικασθέντος, ὄντος δὲ εἰκόνος εἰκότας ἀνὰ λόγον τε ἐκείνων ὄντας· ὅτιπερ πρὸς γένεσιν οὐσία, τοῦτο πρὸς πίστιν ἀλήθεια.

[Stephanus page 29, section c, line 4] ἐὰν οὖν, ὦ Σώκρατες, πολλὰ πολλῶν πέρι, θεῶν καὶ τῆς τοῦ παντὸς γενέσεως, μὴ δυνατοὶ γιγνώμεθα πάντῃ πάντως αὐτοὺς ἑαυτοῖς ὁμολογουμένους λόγους καὶ ἀπηκριβωμένους ἀποδοῦναι, μὴ θαυμάσῃς· ἀλλ' ἐὰν ἄρα μηδενὸς ἧττον παρεχώμεθα εἰκότας, ἀγαπᾶν χρή, μεμνημένους ὡς ὁ λέγων ἐγὼ ὑμεῖς τε οἱ κριταὶ φύσιν ἀνθρωπίνην ἔχομεν, ὥστε περὶ τούτων τὸν εἰκότα μῦθον ἀποδεχομένους πρέπει τούτου μηδὲν ἔτι πέρα ζητεῖν.

{ΣΩ.} Ἄριστα, ὦ Τίμαιε, παντάπασί τε ὡς κελεύεις ἀποδεκτέον· τὸ μὲν οὖν προοίμιον θαυμασίως ἀπεδεξάμεθά σου, [Stephanus page 29, section d, line 6] τὸν δὲ δὴ νόμον ἡμῖν ἐφεξῆς πέραινε.

{ΤΙ.} Λέγωμεν δὴ δι' ἥντινα αἰτίαν γένεσιν καὶ τὸ πᾶν τόδε ὁ συνιστὰς συνέστησεν. ἀγαθὸς ἦν, ἀγαθῷ δὲ οὐδεὶς περὶ οὐδενὸς οὐδέποτε ἐγγίγνεται φθόνος· τούτου δ' ἐκτὸς ὢν πάντα ὅτι μάλιστα ἐβουλήθη γενέσθαι παραπλήσια ἑαυτῷ. ταύτην δὴ γενέσεως καὶ κόσμου μάλιστ' ἄν τις ἀρχὴν κυριωτάτην παρ' ἀνδρῶν φρονίμων ἀποδεχόμενος ὀρθότατα ἀποδέχοιτ' ἄν.

βουληθεὶς γὰρ ὁ θεὸς ἀγαθὰ μὲν πάντα, φλαῦρον δὲ μηδὲν εἶναι κατὰ δύναμιν, οὕτω δὴ πᾶν ὅσον ἦν ὁρατὸν παραλαβὼν οὐχ ἡσυχίαν ἄγον ἀλλὰ κινούμενον πλημμελῶς [Stephanus page 30, section a, line 5] καὶ ἀτάκτως, εἰς τάξιν αὐτὸ ἤγαγεν ἐκ τῆς ἀταξίας, ἡγησάμενος ἐκεῖνο τούτου πάντως ἄμεινον. θέμις δ' οὔτ' ἦν οὔτ' ἔστιν τῷ ἀρίστῳ δρᾶν ἄλλο πλὴν τὸ κάλλιστον·


-작성중-

H Galen, Palc. 5.3.8 (SVF 2.841, part)
τοῦτ᾿ οὖν τὸ πνεῦμα δύο μὲν κέκτηται μόριά τε καὶ στοιχεῖα καὶ καταστάσεις, δι᾿ ὅλων ἀλλήλοις κεκραμ[μ]ένα, τὸ ψυχρὸν καὶ θερμόν, εἴπερ δ᾿ ἑτέροις ὀνόμασι καὶ ἀπὸ τῶν οὐσιῶν ἐθέλοι τις αὐτὰ προσαγορεύειν, ἀέρα τε καὶ πῦρ· οὐ μὴν ἀλλὰ καὶ ἰκμάδα τινὰ προσείληφεν ἀπὸ τῶν σωμάτων ἐν οἷς διαιτᾶται.
그러므로 이러한 프네우마는, 그 전체들에 걸쳐 상호에 혼합되는 것들인 두 부분들, 원소들이자 상태들을, 냉(冷)과 온(溫), 만일 누군가 그것들을 그것들의 ousia들로부터 나온 다른 이름들로 부르고자 한다면, 공기와 불을 지닌다: 그뿐만 아니라 물체들, 그것들 안에서 그것이 살아가는 그 물체들로부터 나온 어떤 습기 또한 더하여 가진다.
κεκραμένα : κεράννυμι pf. part. mix, mingle. blend. κρᾶσις. differ from μείγνυμι.
I Alexander, Mixt. 224,14-27 (SVF 2.442)
(1) πρὸς δὲ τούτοις, εἰ τὸ πνεῦμα γεγονὸς ἐκ πυρός τε καὶ ἀέρος διὰ πάντων πεφοίτηκε τῶν σωμάτων <τῷ> πᾶσιν αὐτοῖς κεκρᾶσθαι καὶ ἑκάστῳ αὐτῶν ἐκ τούτου ἠρτῆσθαι τὸ εἶναι, πῶς ἂν ἔτι ἁπλοῦν τι εἴη σῶμα; πῶς δ᾿ ἄν, εἰ ὕστερον τὸ ἔκ τινων συγκείμενον τῶν ἁπλῶν, τὸ πῦρ ἂν καὶ ὁ ἀήρ εἴη, ἐξ ὧν μιγνυμένων τὸ πνεῦμα γίνεται, οὗ χωρὶς ἀδύνατον εἶναί τι σώμα; εἰ γὰρ ἐξ ἐκείνων μὲν ἡ γένεσις τῷ πνεῦματι, ἀδύνατον δὲ ἐκείνων εἶναί τι χωρὶς πνεύματος, οὔτ᾿ ἂν ἐκείνων τι εἴη πρὸ τῆς τοῦ πνεύματος γενέσεως, οὔτ᾿ ἂν τὸ πνεῦμα γίνοιτο, οὐκ ὄντων, ἐξ ὧν ἡ γένεσις αὐτῷ. πῶς δ᾿ ἄν τις ἐν τῷ ψυχρῷ ἐνεργείᾳ τι θερμόν εἶναι λέγοι; (2) τίς δὲ καὶ ἡ εἰς τὸ ἐναντίον ἅμα κίνησις αὐτοῦ, καθ᾿ ἣν συνέχειν τὰ ἐν οἷς ἂν ᾗ, ὂν ὥς φασι πνεῦμα κινούμενον ἅμα ἐξ αὑτοῦ τε καὶ εἰς αὑτό; καὶ κατὰ τί εἶδος κινήσεως γίνεται; κατ᾿ οὐδὲν γὰρ οἷόν τ᾿ ἐστὶ νοῆσαί τι ἅμα εἰς τὰ ἐναντία κινούμενον καθ᾿ αὑτό.
(1) 이것들에 더하여, 만일 프네우마가 불과 공기로부터 생겨나서 모든 물체들을 통하여 이 모든 것들과 결합함으로써 그리고 그 물체들 각각으로서의 '~임'이 그 프네우마에 의존함으로써 나아간다면, 어떻게 여전히 그것이 어떤 단순한 물체이겠는가? 그런데, 만일 단순한 어떤 것들로 이루어진 이후의 결합물이라면, 그것들이 섞임을 통하여, 그것과 따로 떨어져 어떤 물체이기가 불가능한 프네우마가 생겨나는, 그 불과 공기가 어떻게 있겠는가? 저것들로부터 프네우마에게 생성이 주어지는 반면, 저것들의 무엇임은 프네우마와 따로 떨어져서는 불가능하고, 프네우마의 생성에 앞서 저것들 중 무엇이지도 못할 것이며, 그런데 프네우마는 생겨날 테고, 그것들로부터 프네우마에 생성이 주어지는 그것들에게서 생겨나진 않을 테니. 한편 누가 어떻게 냉한 현실태 안에 무언가 온함이 있다고 말하겠는가? (2) 또한, 그 운동에 따라 프네우마가 그것들 안에 내재하는 그런 것들을 지탱하는, 반대 방향으로의 프네우마 자체의 운동이 무엇인가? 그들 말대로 프네우마는 그 자신으로부터 또한 동시에 그 자신에게로 향하여 움직이는 것이니. 또한 운동의 어떤 형상에 따라 생겨나는가? 왜냐하면 그 자체로 동시에 반대쪽으로 움직이는 무언가는 어떤 식으로도 생각할 수 없기 때문이다.
πεφοίτηκε : φοιτάω pf. go to and fro. roam wildly about. resort to. come in regularly, be imported.
ἠρτῆσθαι : ἀρτάω pf. mp. fasten to, hang upon. ἔκ τινος. depend upon.
J Nemesius 70,6-71,4
(1) εἰ τοίνυν σῶμά ἐστιν ἡ ψυχὴ οἱονδήποτε, εἰ καὶ λεπτομερέστατον, τί πάλιν ἐστὶ τὸ συνέχον ἐκείνην; (2) ἐδείχθη γὰρ πᾶν σῶμα δεῖσθαι τοῦ συνέχοντος, καὶ οὕτως εἰς ἄπειρον, ἕως ἂν καταντήσωμεν εἰς ἀσώματον. (3) εἰ δὲ λέγοιεν, καθάπερ οἱ Στωικοί, τονικήν τινα εἶναι κίνησιν περὶ τὰ σώματα, εἰς τὸ ἔσω ἅμα καὶ εἰς τὸ ἔξω κινουμένην, καὶ τὴν μὲν εἰς τὸ ἔξω μεγεθῶν καὶ ποιοτήτων ἀποτελεστικὴν εἶναι, τὴν δὲ εἰς τὸ ἔσω ἑνώσεως καὶ οὐσίας, ἐρωτητέον αὐτούς, ἐπειδὴ πᾶσα κίνησις ἀπό τινός ἐστι δυνάμεως, τίς ἡ δύναμις αὕτη καὶ ἐν τίνι οὐσίωται;
(1) 따라서 만일 영혼이 어쨌든 어떤 물체라면, 또 만일 가장 희박한 물체라면, 다시 저 영혼을 지탱하는 것은 무엇인가? (2) 왜냐하면 모든 물체가 지탱해주는 것을 필요로 한다는 점이 증명되었고, 그런 식으로 무한하게, 비물체적인 것에 닿을 때까지 갈 것이기 때문이다. (3) 그런데 만일 그들이 스토아 학자들처럼 물체들에 관련하여 어떤 연장하는 운동이 있다고, 그 운동이 동시에 안팎으로 움직이는 것이라고, 바깥으로는 크기들과 성질들의 결정인인 반면, 안으로는 통일성과 존재의 결정인이라고 한다면, 그들은 질문을 받아야만 한다. 모든 운동은 어떤 능력으로부터 성립하기에, 이 능력이 무엇이며 무엇 안에서 성립되었는가?
K Galen, Musc. mot. 4.402,12-403,10 (SVF 2.450, part)
(1) ἔστω τις ὑψηλὸς ὄρνις ἐν ταὐτῷ τόπῳ φαινόμενος μένειν. πότερον ἀκίνητον εῑναι τοῦτον λεκτέον, ὥσπερ εἰ καὶ κρεμάμενος ἄνωθεν ἔτυχεν, ἢ κινεῖσθαι τὴν ἐπὶ τὰ ἄνω κίνησιν εἰς τοσοῦτον εἰς ὅσον ἤγαγεν αὐτὸν κάτω τὸ τοῦ σώματος βάρος; ἐμοὶ μὲν τοῦτο ἀληθέτερον εἶναι δοκεῖ. στερήσας γοῦν αὐτὸν τῆς ψυχῆς ἢ τοῦ τῶν μυῶν τόνου, ταχέως ἐπὶ τὴν γῆν ὄψει καταφερόμενον· ᾧ δῆλον ὅτι τὴν σύμφυτον τῷ τοῦ σώματος βάρει κάτω ῥοπὴν εἰς ἴσον ἀντεσήκου τῇ κατὰ τὸν τῆς ψυχῆς τόνον ἄνω φορᾷ. (2) πότερον οὖν ἐν ταῖς τοιαύταις ἁπάσαις καταστάσεσι ποτὲ μὲν κάτω ποτὲ δὲ ἄνω τὸ σῶμα φέρεται τἀναντία πάσχον ἐν μέρει, διὰ δὲ τὸ ταχείας τε καὶ ὀξυρρόπους γίνεσθαι τὰς μεταβολὰς καὶ κατὰ βραχυτάτων διαστημάτων φέρεσθαι τὰς κινήσεις ἐν ταὐτῷ φαίνεται τόπῳ μένειν, ἢ ὄντως ἕνα διὰ παντὸς τοῦ χρόνου κατέχει τόπον, οὐ τοῦ παρόντος καιροῦ διελθεῖν.
높은 곳 같은 장소에 머물러 있는 것처럼 보이는 새가 있다고 하자. 이 새가 움직이지 않는다고 말해야 하는가, 마치 상공에 매달려 있기라도 한 듯이, 아니면 그 물체의 무게가 그 새를 아래로 이끌 그 만큼까지 상향의 움직임에서 움직여졌다고 말해야 하는가? 나로서는 이쪽(후자)이 더욱 참된 것이라 여겨진다. 그 새에게서 영혼을 또는 그 근육의 tonos(긴장?)를 빼앗고 나면, 당신은 곧 그 새가 땅으로 떨어지는 것을 볼 것이다: 이로써 분명한 사실은 (그 새가 자신의) 물체의 무게에 본래적인 하강 경향성을 (그 새의) 영혼의 tonos에 따른 상승 운동과 균형잡고 있었다는 것이다. (2) 그러므로 이와 같은 모든 정지들에서 어떤 경우에는 아래로 또 어떤 경우에는 위로 물체가 번갈아(차례로) 반대되는 일들을 겪으며 이동되고, 그 변화들이 빠르고 급격하게 됨으로 인하여 그리고 매우 짧은 간격들에 따른 이동으로 인하여 그 운동들이 동일한 장소에 머무는 것처럼 보이는 것인지, 또는 실제로 모든 시간에 걸쳐 단일한 장소를 점유하는지, 현시점에서 상술할 것은 아니다.
κρεμάμενος : κρεμάννυμι. mp. part. hang up. to be hung up. suspended.
στερήσας : στερέω aor. part. deprive c. acc. pers. et c. gen.
μυῶν : μῦς. muscle.
ῥοπὴν : ῥέπω. incline.
ἀντεσήκου : ἀντισηκόω impf. counterbalance.
L Alexander, Mixt. 223,25-36 (SVF 2.441, part)
(1) τούτου δ᾿ οὕτως ἔχοντος, πῶς ἂν ἔτι ἀληθὲς εἴη τὸ πᾶν ἡνῶσθαί τε καὶ συνέχεσθαι, πνεύματός τινος διὰ παντὸς διήκοντος αὐτοῦ; (2) ἔπειτα δ᾿ εὔλογον μὲν ἦν ὁμοίαν τὴν ὑπὸ τοῦ πνεύματος συνοχὴν γινομένην ἐν πᾶσιν εἶναι τοῖς σώμασιν· οὐχ οὕτως δ᾿ ἔχει. τῶν γὰρ σωμάτων τὰ μέν ἐστι συνεχῆ, τὰ δὲ διωρισμένα. διὸ εὐλογώτερον ἕκαστον αὐτῶν ὑπὸ τοῦ οἰκείου εἴδους συνέχεσθαί τε καὶ ἡνῶσθαι λέγειν πρὸς ἑαυτό, καθό ἐστιν αὐτῶν ἑκάστῳ τὸ εἶναι, τὴν <δὲ> συμπάθειαν αὐτῶν σῴζεσθαι τὴν πρὸς ἄλληλα διά τε τὴν τῆς ὕλης κοινωνίαν καὶ τὴν τοῦ περικειμένου θείου σώματος αὐτοῖς φύσιν, ἢ τῷ διὰ τοῦ πνεύματος δεσμῷ. (3) τίς γὰρ καὶ ὁ τόνος τοῦ πνεύματος, ὑφ᾿ οὗ συνδούμενα τήν τε συνέχειαν ἔχει τὴν πρὸς τὰ οἰκεῖα μέρη καὶ συνῆπται τοῖς παρακειμένοις;
(1) 그런데 사정이 이러할 때(물과 공기의 완전한 혼합이 불가능할 때), 어떻게 여전히 모든 것이 통일되고 견지된다는 것이 참일 수 있겠는가, 어떤 프네우마가 그 모든 것을 관통하여 있음에도? (2) 그리하여 프네우마에 의해 이루어지는 지속이 모든 물체들 내에서 동일하다는 것은 합리적이긴 하다: 그러나 사정은 그렇지 않다. 왜냐하면 물체들 중 일부는 지속시키는 것들이고, 다른 것들은 한정된 것들이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그것들 각각이 고유한 형상에 의해 그 자신을 향해 지속되고 통일되며, 그것들 각각에게 ~임인 바에 따라 그리 되는 한편, 서로에 대한 공동작용(?)은 질료의 공유와 그것들을 감싸는 신적인 물체의 본성으로 인해 구제된다고 말하는 편이, 프네우마를 통한 구속으로써 그리 된다고 하는 것보다 더욱 합리적이다. (3) 왜냐하면 프네우마의 tonos, 그것에 의해 (물체들이) 함께 묶임으로써 고유한 부분들을 향한 지속을 지니며 또한 곁하여 놓이는 것들에 연결되는 그 tonos는 또 무엇이란 말인가?
ἡνῶσθαί : ἑνόω pf. mp.
M Plutarch, St. rep. 1053F-1054B (SVF 2.449)
(1) πάλιν ἐν τοῖς Περὶ ἕξεων οὐδὲν ἄλλο τὰς ἕξεις πλὴν ἀέρας εἶναί φησιν· "ὑπὸ τούτων γὰρ συνέχεται τὸ σώματα· καὶ τοῦ ποιὸν ἕκαστον εἶναι τῶν ἕξει συνεχομένων αἴτιος ὁ συνέχων ἀήρ ἐστιν, ὃν σκληρότητα μὲν ἐν σιδήρῳ πυκνότητα δ᾿ ἐν λίθῳ λευκότητα δ᾿ ἐν ἀργύρῳ καλοῦσι". . . (2) καίτοι πανταχοῦ τὴν ὕλην ἀργὸν ἐξ ἑαυτῆς καὶ ἀκίνητον ὑποκεῖσθαι ταῖς ποιότησιν ἀποφαίνουσι, τὰς δὲ ποιότητας πνεύματα οὔσας καὶ τόνους ἀερώδεις, οἷς(vel οἷος) ἂν ἐγγένωνται μέρεσι τῆς ὕλης, εἰδοποιεῖν ἕκαστα καὶ σχηματίζειν.
(1) 다시 『상태들에 관하여』에서 그(크뤼싶포스)는 그 상태들이 공기의 상태들 외에 다른 무엇도 아니라고 말한다: "왜냐하면 이 상태들에 의해 물체가 지속되기 때문이다: 그 상태에 의해 지속되는 것들의 각 성질(어떠함)에 대해 원인이 되는 것은 지속시키는 공기이고, 그것은 철에서는 경(硬)으로 돌에서는 밀(密)로 은에서는 백(白)으로 부르는 것이다.". . . (2) 게다가 질료는 모든 면에서 그 자체로부터 비활성의 것이자 부동의 것으로서 성질들의 기체로 놓인다고 주장하며, 성질들이 프네우마이자 공기의 형상을 한 tonos들이기에, 질료의 부분들에 내재할 것들로서, 각각의 것들을 형상화하고 형태부여한다고 주장한다.
N Galen, Intr. 14.726,7-11 (SVF 2.716, part)
τοῦ δὲ ἐμφύτου πνεύματος διττὸν εἶδος, τὸ μὲν φυσικόν, τὸ δὲ ψυχικόν· εἰσὶ δὲ οἳ καὶ τρίτον εἰσάγουσι, τὸ ἑκτικόν· ἑκτικὸν μὲν οὖν ἐστι πνεῦμα τὸ συνέχον τοὺς λίθους, φυσικὸν δὲ τὸ τρέφον τὰ ζῷα καὶ τὰ φυτά, ψυχικὸν δὲ τὸ ἐπὶ τῶν ἐμψύχων αἰσθητικά τε ποιοῦν τὰ ζῷα καὶ κινούμενα πᾶσαν κίνησιν.
본래적 프네우마에 대해 두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자연적인 것이고, 다른 것은 영혼스러운(?) 것이다: 그런데 세 번째로 상태적인 것을 도입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므로 돌들을 지속시키는 것은 상태적인 프네우마이고, 동식물을 생육하는 것은 자연적인 것이며, 영혼을 가진 것들에 대해 동물들을 감각을 지닌 것들이자 모든 움직임이 되도록 만드는 것은 영혼스러운 것이다.
O Diogenes Laertius 7.138-9 (including SVF 2.634)
(1) τὸν δὴ κόσμον διοικεῖσθαι κατὰ νοῦν καὶ πρόνοιαν, καθά φησι Χρύσιππός τ᾿ ἐν τῷ πέμπτῳ Περὶ προνοίας καὶ Ποσειδώνιος ἐν τῷ τρισκαιδεκάτῳ Περὶ θεῶν, εἰς ἅπαν αὐτοῦ μέρος διήκοντος τοῦ νοῦ, καθάπερ ἐφ᾿ ἡμῶν τῆς ψυχῆς· (2) ἀλλ᾿ ἤδη δι᾿ ὧν μὲν μᾶλλον, δι᾿ ὧν δὲ ἧττον. δι᾿ ὧν μὲν γὰρ ὡς ἕξις κεχώρηκεν, ὡς διὰ τῶν ὀστῶν καὶ τῶν νεύρων· δι᾿ ὧν δὲ ὡς νοῦς, ὡς διὰ τοῦ ἡγεμονικοῦ. (3) οὕτω δὴ καὶ τὸν ὅλον κόσμον ζῷον ὄντα καὶ ἔμψυχον καὶ λογικόν, ἔχειν ἡγεμονικὸν μὲν τὸν αἰθέρα, καθά φησιν Ἀντίπατρος ὁ Τύριος ἐν τῷ ὀγδόῳ Περὶ κόσμου. (4) Χρύσιππος δ᾿ ἐν τῷ πρώτῳ Περὶ προνοίας καὶ Ποσειδώνιος ἐν τῷ Περὶ θεῶν τὸν οὐρανόν φασι τὸ ἡγεμονικὸν τοῦ κόσμου, Κλεάνθης δὲ τὸν ἥλιον. ὁ μέντοι Χρύσιππος διαφορώτερον πάλιν τὸ καθαρώτατον τοῦ αἰθέρος ἐν ταὐτῷ· ὃ καὶ πρῶτον θεὸν <ὂν> λέγουσιν αἰσθητικῶς ὥσπερ κεχωρηκέναι διὰ τῶν ἐν ἀέρι καὶ διὰ τῶν ζῴων ἁπάντων καὶ φυτῶν, διὰ δὲ τῆς γῆς αὐτῆς καθ᾿ ἕξιν.
(1) 그들은 우주가 지성과 지혜에 따라 주재된다고 말한다, 크뤼싶포스가 『지혜에 관하여』 5권에서 그리고 포세이도니오스가 『신들에 관하여』 30권에서 말하는 바들에 따라, 지성이 그 우주의 모든 부분으로 관통하기에, 마치 우리들에게 영혼이 그러한 것과 마찬가지로 그렇기에: (2) 하지만 이제 그것들 중 일부를 통해서는 더 많이, 다른 것들을 통해서는 더 적게 관통한다. 왜냐하면 그것들의 일부를 통해서는 상태인 것으로서 침윤하여 있는데, 뼈들과 힘줄들을 통해서처럼 그리하고: 반면 다른 것들을 통해서는 지성으로서, 주재처(主宰處, hegemonikon)를 통해서처럼 침윤하여 있기 때문이다. (3) 그런 식으로 더 나아가 그들은 우주 전체가 살아있는 것이자 영혼을 가진 것 그리고 이성적인 것으로서, aether를 주재처로 지닌다고 말한다, 튀로스인 안티파트로스가 『우주에 관하여』 8권에서 말하는 바들에 따라. (4) 크뤼싶포스는 『지혜에 관하여』 1권에서 포세이도니오스는 『신들에 관하여』에서 하늘을 우주의 주재처로 말하고, 클레안테스는 태양을 그리 말한다. 그렇지만 크뤼싶포스는 같은 곳에서 다시 더욱 다른 것, aether의 가장 정화된 것을 말한다: 그들은 이것을 최초의 신인 것으로서 감각적으로,  공기 중의 것들을 통해서 그리고 모든 동식물들을 통해서, 그리고 대지 자체를 통해서 상태에 따라서 침윤하는 것처럼 말한다.

-蟲-

47 Elements, breath, tenor, tension
A Stobaeus 1.129,2-130,13 (SVF 2.413, part)
(1) Χρυσίππου. περὶ δὲ τῶν ἐκ τῆς οὐσίας στοιχείων τοιαῦτά τινα ἀποφαίνεται, τῷ τῆς αἱρέσεως ἡγεμόνι Ζήνωνι κατακολουθῶν, (2) τέτταρα λέγων εἶναι στοιχεῖα <πῦρ, ἀέρα, ὕδωρ, γῆν, ἐξ ὧν συνίστασθαι πάντα (καὶ ζῷα> καὶ φυτὰ καὶ τὸν ὅλον κόσμον καὶ τὰ ἐν αὐτῷ περιεχόμενα) καὶ εἰς ταῦτα διαλύεσθαι.
(1) 크뤼십포스. 그는 존재로부터 나오는 원소들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어떠한 것들이라고 주장하는데, 그 학파의 지도자 제논에 따름으로써, (2) 원소들이 네 가지로 불, 공기, 물, 흙이며 그것들로부터 동물도 식물도 코스모스 전체도 그 안에 포함되는 것들이 결합되어 나오고 그것들로 해체되어 들어간다고 논함으로써 그리한다.
τῆς αἱρέσεως : LSJ p41. Ⅱ.2. system of philosophic principles, sect, school.
(3) τὸ δὲ κατ᾿ ἐξοχὴν στοιχεῖον λέγεσθαι διὰ τὸ ἐξ αὐτοῦ πρώτου τὰ λοιπὰ συνίστασθαι κατὰ μεταβολὴν καὶ εἰς αὐτὸ ἔσχατον πάντα χεόμενα διαλύεσθαι, τοῦτο δὲ μὴ ἐπιδέχεσθαι τὴν εἰς ἄλλο χύσιν ἢ ἀνάλυσιν·. . . (4) κατὰ μὲν τὸν λόγον τοῦτον αὐτοτελῶς λεγομένου τοῦ πυρὸς στοιχείου· οὐ μετ᾿ ἄλλου γάρ· κατὰ δὲ τὸν πρότερον καὶ μετ᾿ ἄλλων συστατικὸν εἶναι, πρώτης μὲν γιγνομένης τῆς ἐκ πυρὸς κατὰ σύστασιν εἰς ἀέρα μεταβολῆς, δευτέρας δ᾿ ἀπὸ τούτου εἰς ὕδωρ, τρίτης δ᾿ ἔτι μᾶλλον κατὰ τὸ ἀνάλογον συνισταμένου τοῦ ὕδατος εἰς γῆν. πάλιν δ᾿ ἀπὸ ταύτης διαλυομένης καὶ διαχεομένης πρώτη μὲν γίγνεται χύσις εἰς ὕδωρ, δευτέρα δ᾿ ἐξ ὕδατος εἰς ἀέρα, τρίτη δὲ καὶ ἐσχάτη εἰς πῦρ.
그런데 탁월한 원소는 최초에 그 자신으로부터 나머지 것들이 결합되고 변화에 따라 또 그것으로 최후에 흩어지는 것들이 해체되어 들어간다는 점으로 인하여 그리 논해진다고, 그런데 이 원소는 그 밖의 것으로의 분산도 해체도 허용하지 않는다고 논해진다: . . . (4) 이러한 논의에 따르면 불은 자족적인 원소로 논의된다: 왜냐하면 그 밖의 것과 함께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더 앞선 논의에 따르면 (불이) 다른 것들과도 함께 결합하는 것인데, 최초에 불로부터 결합(밀도)에 따라 공기로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두 번째로 이로부터 물로, 세 번째로 더 나아가 비례에 따라 물이 결합하여 흙으로 그러하기(변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다시 이 흙이 해체되고 흩어짐으로부터 물로의 최초의 분산이 이루어지고, 두 번째로 물로부터 공기로, 세 번째로 더 나아가 끝으로 불로의 분산이 이루어진다.
ἐξοχὴν : prominence, elevated nature. κατ᾿ ἐ-. par excellence.
χεόμενα : χέω. pour out. shed, melt, scatter.
(5) λέγεσθαι πῦρ τὸ πυρῶδες πᾶν καὶ ἀέρα τὸ ἀερῶδες καὶ ὁμοίως τὰ λοιπά. (6) τριχῶς δὴ λεγομένου κατὰ Χρύσιππον τοῦ στοιχείου, (7) καθ᾿ ἕνα μὲν τρόπον τοῦ πυρός, διὰ τὸ ἐξ αὐτοῦ τὰ λοιπὰ συνίστασθαι κατὰ μεταβολὴν καὶ εἰς αὐτὸ λαμβάνειν τὴν ἀνάλυσιν, (8) καθ᾿ ἕτερον δέ, καθὸ λέγεται τὰ τέσσαρα στοιχεῖα, πῦρ, ἀήρ, ὕδωρ, γῆ (ἐπεὶ διὰ τούτων τινὸς ἢ τινῶν ἢ καὶ πάντων τὰ λοιπὰ συνέστηκε, διὰ μὲν τῶν τεττάρων, ὡς τὰ ζῷα καὶ τὰ ἐπὶ γῆς πάντα συγκρίματα, διὰ δυοῖν δέ, ὡς ἡ σελήνη διὰ πυρὸς καὶ ἀέρος συνέστηκε, δι᾿ ἑνὸς δὲ ὡς ὁ ἥλιος, διὰ πυρὸς γὰρ μόνου, ὁ γὰρ ἥλιος πῦρ ἐστιν εἰλικρινές), (9) κατὰ τρίτον λόγον λέγεται στοιχεῖον εἶναι ὃ πρῶτον συνέστηκεν οὕτως, ὥστε γένεσιν διδόναι ἀφ᾿ αὑτοῦ ὁδῷ μέχρι τέλους καὶ ἐξ ἐκείνου τὴν ἀνάλυσιν δέχεσθαι εἰς ἑαυτὸ τῇ ὁμοίᾳ ὁδῷ.
불 같은 모든 것은 불이라고, 공기같은 것은 공기라고 그리고 나머지 것들도 마찬가지로 논의된다고 한다. (6) 그래서 크뤼십포스에 따라 원소가 세 가지로 논해질 때, 한 방식에 따라서는 불이 원소라고 논해지는데, 그 불로부터 나머지 것들이 결합하고 변화에 따라 그것으로의 해체를 취한다는 점에서 그러하고, (8) 다른 방식에 따라서는, 그 방식에 따라 네 가지 원소들이 논해지는데, 불, 공기, 물, 흙이며 (이것들 중 어떤 것 혹은 어떤 것들 또는 모든 것들을 통하여 나머지 것들이 결합했기에, 그 네 가지 원소들을 통해서는, 동물들과 지상의 모든 결합물들의 경우, 두 가지를 통해서는, 불과 공기를 통해 달이 결합한 경우, 하나를 통해서는 태양의 경우 그러한데, 왜냐하면 (태양이) 오직 불만을 통해서 결합했기 때문에, 즉 태양은 순수하게 불이기에), (9) 세 번째 논의에 따라서는 그런 식으로 최초로 결합한 것, 그래서 그 결합한 자신으로부터 완결까지 길에 따라 생성을 부여하고 저것(완결?)으로부터 그 결합한 자신에게로 동일한 길을 따라 해체를 받아들이도록 하는 것이 원소라고 논해진다.
Β Diogenes Laertius 7.136-7 (SVF 2.580)
ἔστι δὲ στοιχεῖον ἐξ οὗ πρώτου γίνεται τὰ γινόμενα καὶ εἰς ὃ ἔσχατον ἀναλύεται. τὰ δὴ τέτταρα στοιχεῖα εἶναι ὁμοῦ τὴν ἄποιον οὐσίαν τὴν ὕλην· (1) εἶναι δὲ τὸ μὲν πῦρ τὸ θερμόν, τὸ δ᾿ ὕδωρ τὸ ὑγρόν, τόν τ᾿ ἀέρα τὸ ψυχρόν, καὶ τὴν γῆν τὸ ξηρόν. οὐ μὴν ἀλλὰ καὶ ἔτι ἐν τῷ ἀέρι εἶναι τὸ αὐτὸ μέρος. (2) ἀνωτάτω μὲν οὖν εἶναι τὸ πῦρ, ὃ δὴ αἰθέρα καλεῖσθαι, ἐν ᾧ πρώτην τὴν τῶν ἀπλανῶν σφαῖραν γεννᾶσθαι, εἶτα τὴν τῶν πλανωμένων· μεθ᾿ ἣν τὸν ἀέρα, εἶτα τὸ ὕδωρ, ὑποστάθμην δὲ πάντων τὴν γῆν, μέσην ἁπάντων οὖσαν.
그런데 원소는 그 최초의 원소로부터 생성물들이 생겨나고 그것으로 각각의 것(생성물?)이 해체되는 것이다. 그래서 그 네 가지 원소들은 마찬가지로 무성질의 존재인 질료이다. (1) 그런데 불은 온한 것이고, 물은 습한 것이며, 공기는 냉한 것이고, 흙은 건조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기 안에까지도 동일한 부분이 속한다. (2) 그러므로 가장 위로는 불이 있고, 아이테르라고 불리는데, 그 안에 고정된 별들의 천구가 최초로 생겨나고, 다음으로 행성들의 천구가 생겨난다: 이 천구 다음으로 공기, 다음으로 물이 생기며, 흙이 모든 것들의 기초가 되는데, 모든 것들 일체의 중앙으로서 그리 된다.
C Cicero, ND 2.23-5, 28-30
(1) sic enim res se habet, ut omnia quae alantur et quae crescant contineant in se vim caloris, sine qua neque ali possent nec crescere. nam omne quod est calidum et igneum cietur et agitur motu suo; quod autem alitur et crescit motu quodam utitur certo et aequabili; qui quam diu remanet in nobis tam diu sensus et vita remanet. refrigerato autem et extincto calore occidimus ipsi et extinguimur.
양육되고 성장하는 모든 것들이, 그것 없이는 양육도 성장도 할 수 없는, 그러한 열의 힘을 자체 내에 포함한다는 것은, 사정이 실로 그러하다. 온하고 뜨거운 모든 것이 그 자체의 움직임에 의해 움직여지고 이끌리기 때문이다; 하지만 양육되고 성장하는 것은 확정되고 일정한 어떤 움직임에 의해 그리된다; 감각과 생명이 머무는 그 동안 그것(움직임?)이 우리 안에 머문다. 하지만 열이 차가워지고 소멸함으로써 우리 자신이 죽고 소멸한다.
(2) quod quidem Cleanthes his etiam argumentis docet, quanta vis insit caloris in omni corpore: negat enim esse ullum cibum tam gravem quin is nocte et die concoquatur; cuius etiam in reliquiis inest calor iis quas natura respuerit. iam vero venae et arteriae micare non desinunt quasi quodam igneo motu, animadversumque saepe est cum cor animantis alicuius evolsum ita mobiliter palpitaret ut imitaretur igneam celeritatem. omne igitur quod vivit, sive animal sive terra editum, id vivit propter inclusum in eo calorem. ex quo intellegi debet eam caloris naturam vim habere in se vitalem per omnem mundum pertinentem.
클레안테스는 다음과 같은 논증들로써도, 모든 신체 내에 열의 힘이 얼만큼 내재하는지, 보여준다: 왜냐하면 그는 이 낮과 밤 동안 소화되지 않을 만큼 묵중한 어떠한 양식도 있지 않다고 하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그 양분에서 자연이 배출한 이 남은 것들 내에도 열이 내재한다. 이제 참으로 정맥들과 동맥들이 마치 불길의 움직임에 의한 것인냥 맥박치기를 멈추지 않고, 어떤 생물이든 그것의 심장이 꺼내어졌을 때 날랜 불길을 모방하는 듯 그렇게 빠르게 뛰는 것이 종종 관찰되었기도 하다. 그러므로 살아있는 모든 것은, 동물이든 대지에서 산출된 것이든, 그 안에 포함된 열 덕분에 그것이 살아있다. 이로부터 열의 본성이 모든 세계를 통하여 퍼지는 생명력을 자체 내에 지닌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3) atque id facilius cernemus toto genere hoc igneo quod tranat omnia subtilius explicato. omnes igitur partes mundi (tangam autem maximas) calore fultae sustinentur. quod primum in terrena natura perspici potest. . . (4) ex quo concluditur, cum omnes mundi partes sustineantur calore, mundum etiam ipsum simili parique natura in tanta diuturnitate servari, eoque magis quod intellegi debet calidum illud atque igneum ita in omni fusum esse natura, ut in eo insit procreandi vis et causa gignendi, a quo et animantia omnia et ea quorum stirpes terra continentur et nasci sit necesse et augescere.
(3) 우리는 전체적인 방식으로 모든 것을 관통하는 이 불이 더 정교하게 설명됨으로써 이것을 더 쉽게 분간할 것이다. 따라서 세계의 모든 부분들은(하지만 나는 최대의 것들을 언급할 것이다) 열에 의해 지탱됨으로써 유지된다. 대지의 자연에서 최초로 인지될 수 있다. . . (4) 이로부터 귀결되는 바, 세계의 모든 부분들은 열에 의해 유지되기에, 세계 자체도 유사하며 동등한 자연에 의해 그렇게 오랜 동안 보존되고, 온한 것과 불이 모든 자연 안에 퍼져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기 때문에 훨씬 더 그러하다, 산출의 힘과 생성의 원인이 그 안에 내재하는 것처럼, 모든 살아있는 것들과 그것들의 뿌리들이 땅에 감싸인 모든 것들이 그것(불)에 의해 생겨나고 자라나야만 한다.
(5) natura est igitur quae contineat mundum omnem eumque tueatur, et ea quidem non sine sensu atque ratione. omnem enim naturam necesse est, quae non solitaria sit neque simplex sed cum alio iuncta atque conexa, habere aliquem in se principatum, ut in homine mentem, in belua quiddam simile mentis unde oriantur rerum adpetitus; in arborum autem et earum rerum quae gignuntur e terra radicibus inesse principatus putatur. principatum autem id dico quod Graeci ἡγεμονικόν vocant. quo nihil in quoque genere nec potest nec debet esse praestantius. ita necesse est illud etiam in quo sit totius naturae principatus esse omnium optumum omniumque rerum potestate dominatuque dignissimum.
그러므로 세계 전체를 견지하고 그것을 지키기도 하는 자연이, 그리고 감각과 지성을 결여하지 않은 어떤 자연이 있다. 왜냐하면 모든 자연은, 고립되어 있지 않고 단순하지도 않으나 다른 것과 결합되고 연결되는 것은, 자체 내에 어떤 지배적인 것을 가짐이 필연적이기 때문이다, 인간에게서 정신이, 짐승에게서 정신 비슷한 것이 그렇듯, 그로부터 사물에 대한 욕구가 일어난다; 나무들과 땅으로부터 생겨나는 것들의 뿌리들에도 지배적인 것이 내재한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나는 그리스인들이 Hegemonikon이라 부르는 것을 주도적인 것이라 말한다. 그 같은 유에 더 특출한 아무것도 있을 수도 있을 필요도 없다. 그래서 자연 전체에 대해 지배적인 것이 그 안에 있을 저것은 모든 것들 중 최상의 것이자 모든 것들에 대한 힘과 지배에 가장 합당한 것임이 필연적이다.
(6) videmus autem in partibus mundi (nihil est enim in omni mundo quod non pars universi sit) inesse sensum atque rationem. in ea parte igitur, in qua mundi inest principatus, haec inesse necessest, et acriora quidem atque maiora. quocirca sapientem esse mundum necesse est, naturamque eam quae res omnes conplexa teneat perfectione rationis excellere, eoque deum esse mundum omnemque vim mundi natura divina contineri. atque etiam mundi ille fervor purior perlucidior mobiliorque multo ob easque causas aptior ad sensus commovendos quam hic noster calor, quo haec quae nota nobis sunt retinentur et vigent.
허나 우리는 부분적인 세계들에서(왜냐하면 세계 전체 내에서는 우주의 부분 아닌 것이 아무것도 없으니까) 감각과 지성이 내재함을 본다. 그러므로 이 부분 내에, 그 안에 세계의 주도적인 것이 내재하는, 이것들이 내재함이 필연적이고, 어떤 더욱 날카롭고 더욱 대단한 것들임이 필연적이다. 그러므로 세계는 지적임이 필연적이며, 포함된 모든 것들을 지니는 자연 또한 완벽하고 특출나게 지적임이 필연적이고, 이로부터 세계가 신이라는 것도 세계의 모든 힘도 신성한 자연에 의해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도 필연적이다. 더 나아가 세계의 저 백열은 훨씬 더 순수하고 훨씬 더 청결하며 훨씬 더 재빨라야 하며, 이로 인해 감각으로 촉발하기에 우리의 이 열보다 더 적절한 원인들이다, 그로써 우리에게 알려지는 것들이 보존되고 여실해지는.
D Nemesius 164,15-18 (SVF 2.418)
λέγουσι δὲ οἱ Στωικοὶ τῶν στοιχείων τὰ μὲν εἶναι δραστικά, τὰ δὲ παθητικά· δραστικὰ μὲν ἀέρα καὶ πῦρ, παθητικὰ δὲ γῆν καὶ ὕδωρ.
스토아 학자들은 원소들 중 어떤 것들은 능동적인 것들인 반면, 다른 것들은 수동적인 것들이라 말한다: 능동적인 것들은 공기와 불이고, 수동적인 것들은 흙과 물이다.
E Galen, Nat. fac. 106,13-17 (SVF 2.406)
καίτοι τούτοις μέν, ὡς ἂν καὶ αὐτῶν τῶν στοιχείων τὴν εἰς ἄλληλα μεταβολὴν χύσεσί τέ τισι καὶ πιλήσεσιν ἀναφέρουσιν, εὔλογον ἦν ἀρχὰς δραστικὰς ποιήσασθαι τὸ θερμὸν καὶ τὸ ψυχρόν, Ἀριστοτέλει δ᾿ οὐχ οὕτως.
게다가, 그 원소들 자체에 대해서도 서로를 향한 변화를 어떤 분산들과 응축들로써 드러낼, 이런 사람들에게는 온한 것과 냉한 것이 능동적인 기원들을 만들었다는 것이 합리적이었지만, 아리스토텔레스에게는 그렇지 않았다.
F Galen, Plen. 7.525,7-14 (SVF 2.439) and 527,13-16 (SVF 2.440, part)
ποιεῖν δ᾿ εἰς ἑαυτὸ λέγειν ὁτιοῦν ἢ ἐνεργεῖν εἰς ἑαυτὸ παρὰ τὴν ἔννοιάν ἐστιν· οὕτως οὖν καὶ συνέχειν ἑαυτό. καὶ γὰρ οἱ μάλιστα εἰσηγησάμενοι τὴν συνεκτικὴν δύναμιν, ὡς οἱ Στωικοί, τὸ μὲν συνέχον ἕτερον ποιοῦσι, τὸ συνεχόμενον δὲ ἄλλο· τὴν μὲν γὰρ πνευματικὴν οὐσίαν τὸ συνέχον, τὴν δὲ ὑλικὴν τὸ συνεχόμενον· ὅθεν ἀέρα μὲν καὶ πῦρ συνέχειν φασί, γῆν δὲ καὶ ὕδωρ συνέχεσθαι . . . οὐδὲ γὰρ οὐδ᾿ οἱ πολλοὶ τῶν Ἡροφιλείων οὐδ᾿ οἱ νεώτεροι Στωικοὶ λέγουσί τινα ἀπόδειξιν τοῦ τὸ μὲν πνεῦμα καὶ τὸ πῦρ συνέχειν ἑαυτό τε καὶ τὰ ἄλλα, τὸ δὲ ὕδωρ καὶ τὴν γῆν ἑτέρου δεῖσθαι τοῦ συνέξοντος.
무엇이든 자신을 위해 행하거나 자신을 위해 수행한다고 말하는 것은 사유에 따른 것이다: 그러므로 그런 식으로 그 자신을 견지하기도 한다. 또한 스토아 학파 사람들처럼 견지하는 능력을 도입하는 주된 자들은 견지하는 쪽을 다른 것으로, 견지되는 쪽을 그 외의 것으로 만든다: 왜냐하면 견지하는 것은 프네우마적인 존재로, 견지되는 쪽은 질료적인 존재로 만들기 때문이다: 이로부터 그들은 공기와 불은 견지한다고 말하고, 흙과 물은 견지된다고 말한다. . . 헤로필레들의 대다수도 시진 스토아 학자들도 프네우마와 불은 자신과 또한 그 밖의 것들도 유지하는 한편, 물과 흙은 견지해주는 다른 것을 필요로 한다는 것에 대한 어떤 증명(설명)을 진술하지 않기 때문이다.
G Plutarch, Comm. not. 1085C-D (SVF 2.444, part)
γῆν μὲν γάρ φασι καὶ ὕδωρ οὔθ᾿ αὑτὰ συνέχειν οὔθ᾿ ἕτερα, πνευματικῆς δὲ μετοχῇ καὶ πυρώδους δυνάμεως τὴν ἑνότητα διαφυλάττειν· ἀέρα δὲ καὶ πῦρ αὑτῶν τ᾿ εἶναι δι᾿ εὐτονίαν ἑκτικά, καὶ τοῖς δυσὶν ἐκείνοις ἐγκεκραμένα τόνον παρέχειν καὶ τὸ μόνιμον καὶ οὐσιῶδες.
왜냐하면 그들은 흙과 물이 자신들을 견지하지도 다른 것들을 견지하지도 않는 반면, 프네우마적인 그리고 불과 같은 능력에 대한 참여로써 그 통일성을 유지한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공기와 불은 지탱해주는 긴장으로 인해 자신들에게 속하여 있고, 저 나머지 두 가지 것들과 섞임으로써 긴장을 내놓고 고정과 존재성도 내놓는다고 말한다.
ἐγκεκραμένα : ἐγκεράννυμι pf. mix.

-蟲-

‘모순불가능성’ : Plato, Euthydemus 285e9-286a3, 286a4-b3, 286b8-c1

Τί οὖν; ἦ δ' ὅς· εἰσὶν ἑκάστῳ τῶν ὄντων λόγοι;
"그렇다면 어떤가?" 그(디오뉘소도로스)가 말했네: "진술들은 ~인 것들 저마다에 속하는가?"
{ - }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 - } Οὐκοῦν ὡς ἔστιν ἕκαστον ἢ ὡς οὐκ ἔστιν;
그렇다면 그 각각이 ~이라고 하는 겐가 아니면 ~이지 않다고 하는 겐가?
{ - } Ὡς ἔστιν. ~이라고 하는 것이지요.
{ - } Εἰ γὰρ μέμνησαι, ἔφη, ὦ Κτήσιππε, καὶ ἄρτι ἐπεδείξαμεν μηδένα λέγοντα ὡς οὐκ ἔστι· τὸ γὰρ μὴ ὂν οὐδεὶς ἐφάνη λέγων.
그가 말하길, "만일 자네가 기억한다면, 크테십포스, 방금도 우리는 아무도 ~이지 않다고 말하지 못한다는 것을 증명했었기에 하는 말일세: 왜냐하면 한 사람도 ~이지 않은 것을 말하지는 않는 것으로 드러났으니까."
{ - } Τί οὖν δὴ τοῦτο; ἦ δ' ὃς ὁ Κτήσιππος· ἧττόν τι ἀντιλέγομεν ἐγώ τε καὶ σύ;
"그럼 이건 어찌 된 일입니까?" 크테십포스가 말했네: "저와 당신이 뭔가 반박을 덜 한 건가요?"
{ - } Πότερον οὖν, ἦ δ' ὅς, ἀντιλέγοιμεν ἂν τοῦ αὐτοῦ πράγματος λόγον ἀμφότεροι [Stephanus page 286, section a, line 6] λέγοντες, ἢ οὕτω μὲν ἂν δήπου ταὐτὰ λέγοιμεν;
"그렇다면 둘 중 한 쪽이지?" 그가 말했네, "우리가 둘 모두가 진술하면서 같은 일에 대한 진술을 반박할 수 있거나, 아니면 그런 식으로 분명 동일한 것들을 우리가 말하거나 말일세."
{ - } Συνεχώρει.
그는 동의하였다네.
{ - } Ἀλλ' ὅταν μηδέτερος, ἔφη, τὸν τοῦ πράγματος λόγον λέγῃ, τότε ἀντιλέγοιμεν ἄν; ἢ οὕτω γε τὸ παράπαν οὐδ' ἂν μεμνημένος εἴη τοῦ πράγματος οὐδέτερος ἡμῶν;
"허나 우리 둘 중 아무도," 그가 말했네, "그 일에 대한 진술을 하지 않을 때, 그 때에 우리가 반박할 수 있겠나? 혹은 적어도 그런 식으로는 우리 둘 중 어느 쪽도 그 일에 대해 아무것도 언급하지 않은 것이 되겠지?
μεμνημένος : μιμνήσκω mp. pf. part. c. gen. make mention of.
{ - } Καὶ τοῦτο συνωμολόγει.
그는 이 또한 동의하였지.
{ - } Ἀλλ' ἄρα, ὅταν ἐγὼ μὲν τὸν τοῦ πράγματος λόγον λέγω, σὺ δὲ ἄλλου τινὸς ἄλλον, τότε ἀντιλέγομεν; ἢ ἐγὼ λέγω μὲν τὸ πρᾶγμα, σὺ δὲ οὐδὲ λέγεις τὸ παράπαν; ὁ δὲ μὴ λέγων τῷ λέγοντι πῶς <ἂν> ἀντιλέγοι;
허나 혹시, 내가 그 일에 대한 진술을 논할 적에, 그런데 자네는 어떤 그 밖의 일에 대한 그 외의 진술을 논할 때, 그 때 우리는 논박할 수 있겠는가? 아니면 내가 어떤 일을 진술하고, 자네는 그 일을 전혀 진술하지 않는가? 진술하지 않는 자가 진술하는 자에게 어떤 식으로 논박할 수 있겠는가?
Καὶ ὁ μὲν Κτήσιππος ἐσίγησεν· ἐγὼ δὲ θαυμάσας τὸν λόγον, Πῶς, ἔφην, ὦ Διονυσόδωρε, λέγεις; οὐ γάρ τοι [Stephanus page 286, section c, line 1] ἀλλὰ τοῦτόν γε τὸν λόγον πολλῶν δὴ καὶ πολλάκις ἀκηκοὼς ἀεὶ θαυμάζω - καὶ γὰρ οἱ ἀμφὶ Πρωταγόραν σφόδρα ἐχρῶντο αὐτῷ καὶ οἱ ἔτι παλαιότεροι· ἐμοὶ δὲ ἀεὶ θαυμαστός τις δοκεῖ εἶναι καὶ τούς τε ἄλλους ἀνατρέπων καὶ αὐτὸς αὑτόν - οἶμαι δὲ αὐτοῦ τὴν ἀλήθειαν παρὰ σοῦ κάλλιστα πεύσεσθαι. ἄλλο τι ψευδῆ λέγειν οὐκ ἔστιν; - τοῦτο γὰρ δύναται ὁ λόγος· ἦ γάρ; - ἀλλ' ἢ λέγοντ' ἀληθῆ λέγειν ἢ μὴ λέγειν;
그리고 크테십포스는 침묵했다네: 그런데 나는 그 진술에 놀라서 말했지, "디오뉘소도로스, 어찌 하시는 말씀이신가요? 정말이지 바로 그 논변이야말로 내가 많은 이들에게서 게다가 빈번하게 들으면서도 항상 놀라기에 하는 말이에요 - 프로타고라스를 위시한 자들이도 그 논변을 써먹는 데에 열을 올렸고 훨씬 더 오래된 자들도 그랬으니까요: 그런데 제게는 다른 이들도 그렇거니와 자기 자신까지도 스스로 뒤엎는 누군가는 언제나 놀라운 자로 여겨집니다 - 헌데 저는 그 논변의 진리가 당신에 의해서 아주 훌륭하게 납득되리라 생각합니다. 거짓들은 말할 수 없다는 것에 다름 아니지요? - 그 진술은 이와 마찬가지이니까요: 아닌가요? - 허나 진술하는 자는 진실들을 진술하거나 진술하지 않는다는 것이죠?
ἐχρῶντο : χράω impf. mp. desire, yearn after. use.
Συνεχώρει.
그가 동의하였네.

파르메니데스 단편 DK28B2, B6, B8.
εἰ δ᾿ ἄγ᾿ ἐγὼν ἐρέω, κόμισαι δὲ σὺ μῦθον ἀκούσας, αἵπερ ὁδοὶ μοῦναι διζήσιός εἰσι νοῆσαι· ἡ μὲν ὅπως ἔστιν τε καὶ ὡς οὐκ ἔστι μὴ εἶναι, πειθοῦς ἐστι κέλευθος (Ἀληθείῃ γὰρ ὀπηδεῖ), ἡ δ᾿ ὡς οὐκ ἔστιν τε καὶ ὡς χρεών ἐστι μὴ εἶναι, τὴν δή τοι φράζω παναπευθέα ἔμμεν ἀταρπόν· οὔτε γὰρ ἂν γνοίης τό γε μὴ ἐὸν (οὐ γὰρ ἀνυστόν) οὔτε φράσαις.
자, 내가 말할지니, 그대는 이야기를 듣고서 명심하라, 오직 둘 뿐인 탐구의 바로 그 길들이 사유함을 위한 길들이다: 한편의 길은 ~이라고 하는 그리고 ~이지 않을 수 없다고 하는 길로서, 설득의 노정이며 (진리의 여신에 따르기에), 다른 편의 길은 ~이지 않다고 하는 또한 ~이지 않아야만 한다고 하는 길로서, 이제 나는 그대에게 그 길이 불가해한 행로임을 지적하는 바이다: 그대 ~이지 않음을 알아볼 수도 지적할 수도 없을 것이기에.
Coxon A. H. (1986) edition : εἰ δ᾿ ἄγε, τῶν ἐρέω, κόμισαι δὲ σὺ μῦθον ἀκούσας, αἵπερ ὁδοὶ μοῦναι διζήσιός εἰσι νοῆσαι· ἡ μὲν, ὅπως ἔστιν τε καὶ ὡς οὐκ ἔστι μὴ εἶναι, πειθοῦς ἐστι κέλευθος, ἀληθείῃ γὰρ ὀπηδεῖ, ἡ δ᾿, ὡς οὐκ ἔστιν τε καὶ ὡς χρεών ἐστι μὴ εἶναι, τὴν δὴ τοι φράζω παναπευθέα ἔμμεν ἀταρπόν· οὔτε γὰρ ἂν γνοίης τό γε μὴ ἐὸν, οὐ γὰρ ἀνυστόν, οὔτε φράσαις.
자, 오라, 그 길들에 대하여 말할지니, 그대는 이야기를 듣고서 명심하라, 사유함을 위한 오직 둘 뿐인 탐구의 바로 그 길들에 대하여: 한편의 길, ~이며 ~이지 않을 수 없는, 그 길은 설득의 노정이니, 진리에 따르기 때문이고, 다른 편의 길, ~이지 않으며 ~이지 않아야만 한다는, 그 길을 이제 나는 그대에게 불가해한 행로라 지적하는 바이다: 그대는 이루어질 수 없는 일이기에 ~이지 않음을 알아볼 수도 없으며 또한 가리킬 수도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χρὴ τὸ λέγειν τε νοεῖν τ᾿ ἐὸν ἔμμεναι· ἔστι γὰρ εἶναι, μηδὲν δ᾿ οὐκ ἔστιν· τά σ᾿ ἐγὼ φράζεσθαι ἄνωγα.
진술과 사유를 위하여 ~임이어야만 한다: ~임이고, 아무것도 아닌 것이 ~이지 않기 때문이다: 나 그대에게 그것들을 숙고토록 명하였다.
οὐδ᾿ ἐκ μὴ ἐόντος ἐάσσω φράσθαι σ᾿ οὐδὲ νοεῖν· οὐ γὰρ φατὸν οὐδὲ νοητόν ἔστιν ὅπως οὐκ ἔστι.
나 그대에게 ~이지 않음으로부터 숙고함도 사유함도 허락치(ἐάσω corr. by coxon.) 않으리라: ~이지 않다라는 것은 언급되지도 사유되지도 않는 것이기에.

Τί δέ, ἔφη, ὦ Κτήσιππε, ὁ Εὐθύδημος, ἦ δοκεῖ σοι οἷόν τ' εἶναι ψεύδεσθαι;
"그러데 어떤가, 크테십포스," 에우튀데모스가 말했네, "실로 자네에겐 거짓됨이 가능하다 여겨지는가?"
{ - } Νὴ Δία, ἔφη, εἰ μὴ μαίνομαί γε.
"물론이죠," 그가 말했네, "만일 내가 미치지만 않았다면요."
{ - } Πότερον λέγοντα τὸ πρᾶγμα περὶ οὗ ἂν ὁ λόγος ᾖ, ἢ μὴ [Stephanus page 284, section a, line 1] λέγοντα;
진술이 그 일에 관한 것일 그 일을 진술하는 경우에 그런가, 아니면 진술치 않는 경우에 그리 할 수 있는가?
{ - } Λέγοντα, ἔφη.
"진술하는 경우죠," 그가 말했네.
{ - } Οὐκοῦν εἴπερ λέγει αὐτό, οὐκ ἄλλο λέγει τῶν ὄντων ἢ ἐκεῖνο ὅπερ λέγει;
그렇다면 그가 진술하는 바로 그것은, 그가 진술하는 바로 저것 외에 ~인 것들 중 다른 어떤 것은 아니지 않은가?
{ - } Πῶς γὰρ ἄν; ἔφη ὁ Κτήσιππος.
"어찌 그렇겠습니까?" 크테십포스가 말했네.
{ - } Ἓν μὴν κἀκεῖνό γ' ἐστὶν τῶν ὄντων, ὃ λέγει, χωρὶς τῶν ἄλλων.
물론 그가 말하는 저것도 ~인 것들 중에 그 밖의 것들과 따로 하나이지.
{ - }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 - } Οὐκοῦν ὁ ἐκεῖνο λέγων τὸ ὄν, ἔφη, λέγει;
"그렇다면 저걸 진술하는 자는 ~인 것을," 그가 말했네, "진술하지 않는가?
{ - } Ναί.
네.
{ - } Ἀλλὰ μὴν ὅ γε τὸ ὂν λέγων καὶ τὰ ὄντα τἀληθῆ λέγει· ὥστε ὁ Διονυσόδωρος, εἴπερ λέγει τὰ ὄντα, λέγει τἀληθῆ καὶ οὐδὲν κατὰ σοῦ ψεύδεται.
허나 분명 ~인 것과 ~인 것들을 진술하는 자는 진실들을 진술하지: 그래서 디오뉘소도로스는, 그가 정녕 ~인 것들을 진술하고 있다면, 진실들을 진술하고 있고 자네에 따르자면 전혀 거짓되지 않는군.
Ναί, ἔφη· ἀλλ' ὁ ταῦτα λέγων, ἔφη ὁ Κτήσιππος, ὦ Εὐθύδημε, οὐ τὰ ὄντα λέγει.
"네," 그가 말했네: "하지만 그런 것들을 진술하는 자는," 크테십포스가 말했네, "~인 것들을 말하고 있지 않습니다."
[Stephanus page 284, section b, line 3] Καὶ ὁ Εὐθύδημος, Τὰ δὲ μὴ ὄντα, ἔφη, ἄλλο τι ἢ οὐκ ἔστιν;
에우튀데모스도 말했네, "그런데 ~이지 않은 것들은 다름아니라 ~이지 않지?"
{ - } Οὐκ ἔστιν.
~이지 않습니다.
{ - } Ἄλλο τι οὖν οὐδαμοῦ τά γε μὴ ὄντα ὄντα ἐστίν;
그렇다면 ~이지 않은 것들은 어떤 식으로도 ~인 것들이 아니라는 말에 다름 아닌가?
{ - } Οὐδαμοῦ.
어떤 식으로도요.
{ - } Ἔστιν οὖν ὅπως περὶ ταῦτα, τὰ μὴ ὄντα, πράξειεν ἄν τίς τι, ὥστε καὶ εἶναι ποιήσειεν ἂν καὶ ὁστισοῦν τὰ μηδαμοῦ ὄντα;
그렇다면 그것들, 즉 ~이지 않은 것들에 관하여 누가 뭐든 행할 수가 있겠는가? 또한 그리하여 (~이지 않은 것들을) 그 어떤 식으로도 ~이지 않은 것들을 또 그 누가 되었든지 간에 ~이도록 만들 수가 있겠는가?
Hermann's edition. T vind :
       Ἔστιν οὖν ὅπως περὶ ταῦτα, τὰ μὴ ὄντα, πράξειεν ἄν τίς τι, ὥστ᾿ ἐκεῖνα ποιήσειεν ἂν καὶ ὁστισοῦν τὰ μηδαμοῦ ὄντα;
그렇다면 그것들, 즉 ~이지 않은 것들에 관하여 누가 뭐든 행할 수가 있겠는가? 그리하여 저것들 즉 어떤 식으로도 ~이지 않은 것들을 또 그 누가 되었든지 간에 지어낼 수 있겠는가?
{ - } Οὐκ ἔμοιγε δοκεῖ, ἔφη ὁ Κτήσιππος.
"적어도 제겐 그리 여겨지지 않습니다," 크테십포스가 말했네.
{ - } Τί οὖν; οἱ ῥήτορες ὅταν λέγωσιν ἐν τῷ δήμῳ, οὐδὲν πράττουσι;
그렇다면 어떤가? 연설가들이 군중 속에서 진술할 때에, 아무것도 하지 않는가?
{ - } Πράττουσι μὲν οὖν, ἦ δ' ὅς.
"하긴 하지요," 그가 말했네.
{ - } Οὐκοῦν εἴπερ πράττουσι, καὶ ποιοῦσι;
그럼 정녕 그들이 행한다면, 만들기도 하지 않나? (행위한다면, 작용하기도?)
{ - } Ναί. 네.
{ - } Τὸ λέγειν ἄρα πράττειν τε καὶ ποιεῖν ἐστιν;
혹시 진술한다는 것은 행하는 것이자 만드는 것인가?
{ - } Ὡμολόγησεν.
그가 동의하였다네.
{ - } Οὐκ ἄρα τά γε μὴ ὄντ', ἔφη, λέγει οὐδείς - ποιοῖ γὰρ ἂν ἤδη τί· σὺ δὲ [Stephanus page 284, section c, line 4] ὡμολόγηκας τὸ μὴ ὂν μὴ οἷόν τ' εἶναι μηδένα ποιεῖν - ὥστε κατὰ τὸν σὸν λόγον οὐδεὶς ψευδῆ λέγει, ἀλλ' εἴπερ λέγει Διονυσόδωρος, τἀληθῆ τε καὶ τὰ ὄντα λέγει.
"그럼 적어도 ~이지 않은 것들은," 그가 말했네, "아무도 진술하지 않는다네 - 이미 무엇인가 만들 테고: 그런데 자네는 ~이지 않은 것을 아무도 만들(지어낼) 수 없다고 동의하였으니 - 그래서 자네 진술에 따라 아무도 거짓을 진술하지 않고, 오히려 정말로 디오뉘소도로스가 진술하고 있다면야, 진실들이자 ~인 것들을 진술하고 있다네.

‘올바른 논의에 대하여’: Plutarch, Pericles 36 5.1-6.1 (DK80 A10)
πεντάθλου γάρ τινος ἀκοντίῳ πατάξαντος Ἐπίτιμον τὸν Φαρσάλιον ἀκουσίως καὶ κτείναντος, ἡμέραν ὅλην ἀναλῶσαι μετὰ Πρωταγόρου διαποροῦντα, πότερον τὸ ἀκόντιον ἢ τὸν βαλόντα μᾶλλον ἢ τοὺς ἀγωνοθέτας κατὰ τὸν ὀρθότατον λόγον αἰτίους χρὴ τοῦ πάθους ἡγεῖσθαι.
오종 경기 선수인 누군가가 파르살론 출신 에피티모스를 의도치 않게 창으로 맞춰 죽였을 때, 가장 올바른 진술에 따르면 그 사건의 원인들로 생각되어야 하는 게 창인지 던진 자인지 심판들인지, 프로타고라스와 함께 고민하느라 온 종일을 보냈다고 하기 때문이다.
ἀκοντίῳ : javelin.
πατάξαντος : πατάσσω aor. part. strike, smite.
ἀκουσίως : ἀεκούσιος adv. involuntarily.

-蟲-

C Diogenes Laertius 7.142 (SVF 1.102, part)
(1) γίνεσθαι δὲ τὸν κόσμον ὅταν ἐκ πυρὸς ἡ οὐσία τραπῇ δι᾿ ἀέρος εἰς ὑγρόν· εἶτα τὸ παχυμερὲς αὐτοῦ συστὰν ἀποτελεσθῇ γῆ, τὸ δὲ λεπτομερὲς ἐξαραιωθῇ, καὶ τοῦτ᾿ ἐπὶ πλέον λεπτυνθὲν πῦρ ἀπογεννήσῃ. (2) εἶτα κατὰ μίξιν ἐκ τούτων φυτά τε καὶ ζῷα καὶ τὰ ἄλλα γένη.
(1) 존재가 불로부터 공기를 통해 물로 전환할 때 코스모스가 생성된다: 다음으로 그 코스모스의 밀도를 지닌 부분이 결합하여서 대지가 완성되고, 작은 입자로 이루어진 것은 희박해지며, 이것이 더욱 희박해질 때 불을 산출해낼 것이다. (2) 다음으로 이것들로 이루어진 결합에 따라 생장하는 것들과 살아있는 것들 그리고 그 밖의 유들을 산출해낼 것이다.
τὸ παχυμερὲς : the dense part.
συστὰν : συνίστημι aor. part. combine.
D Stobaeus 1.213, 15-21 (SVF 1.120, part)
(1) Ζήνων τὸν ἥλιόν φησι καὶ τὴν σελήνην καὶ τῶν ἄλλων ἄστρων ἕκαστον εἶναι νοερὸν καὶ φρόνιμον, πύρινον <δὲ> πυρὸς τεχνικοῦ. (2) δύο γὰρ γένη πυρός, τὸ μὲν ἄτεχνον καὶ μεταβάλλον εἰς ἑαυτὸ τὴν τροφήν, τὸ δὲ τεχνικόν, αὐξητικόν τε καὶ τηρητικόν, οἷον ἐν τοῖς φυτοῖς ἐστι καὶ ζῴοις, ὃ δὴ φύσις ἐστὶ καὶ ψυχή. (3) τοιούτου δὴ πυρὸς εἶναι τὴν τῶν ἄστρων οὐσίαν.
(1) 제논은 태양과 달 그리고 그 밖의 천체들 각각이 지적이고 현명한 것이라고, 그런데 불타는 것(천제?)은 장인적인 불에 속한다고 말한다. (2) 왜냐하면 불은 두 가지 유들인데, 그 하나는 비기술적이고 그 자신으로 변화하는 양분인 반면, 다른 쪽은 기술적이고, 성장시키는 것이자 유지하는 것으로서, 말하자면 생장하는 것들과 살아있는 것들 내부에 있는, 그러니까 본성과 영혼인 것이기 때문이다. (3) 그는 천체들의 존재가 이러한 불에 속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E Plutarch, St. rep. 1052C-D (SVF 2.604, part)
(1) ἐν δὲ τῷ πρώτῳ Περὶ προνοίας τὸν Δία φησὶν αὔξεσθαι μέχρι ἂν εἰς αὑτὸν ἅπαντα καταναλώσῃ· "ἐπεὶ γὰρ ὁ θάνατος μέν ἐστι ψυχῆς χωρισμὸς ἀπὸ τοῦ σώματος, ἡ δὲ τοῦ κόσμου ψυχὴ οὐ χωρίζεται μὲν αὔξεται δὲ συνεχῶς μέχρι ἂν εἰς αὑτὴν ἐξαναλώσῃ τὴν ὕλην, οὐ ῥητέον ἀποθνήσκειν τὸν κόσμον.". . . (2) σαφῶς γὰρ αὐτὸς ἐν τῷ αὐτῷ γέγραφεν· "αὐτάρκης δ᾿ εἶναι λέγεται μόνος ὁ κόσμος διὰ τὸ μόνος ἐν αὑτῷ πάντ᾿ ἔχειν ὧν δεῖται, καὶ τρέφεται ἐξ αὑτοῦ καὶ αὔξεται, τῶν ἄλλων μορίων εἰς ἄλληλα καταλλαττομένων."
『예견에 관하여』 서두에서 그는 제우스가 일체의 모든 것들을 자신에게로 소모시킬 때까지 확장된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죽음은 육체로부터 영혼의 분리인 반면, 코스모스의 영혼은 분리되지는 않고 자신의 질료를 자신에게로 전적으로 소멸시킬 때까지 연속적으로 확장되기에, 코스모스가 사멸해 버린다고는 말하지 않아야만 하기 때문이다." . . . (2) 왜냐하면 확실히 그가 그 안에 기록하였기 때문이다: "오직 코스모스만이, 그것만이 자체 내에 필요한 모든 것들을 지닌다는 것으로 인하여, 자족적이라고 이야기되고, 그 자신으로부터 양육되고 확장된다, 그 밖의 무수한 것들이 서로 상호교환할 때."
F Plutarch, St. rep. 1053B (SVF 2.605, part)
(1) καὶ μὴν ὅταν ἐκπύρωσις γένηται διόλου, <τὸν κόσμον διόλου> ζῆν καὶ ζῷον εἶναί φησι, σβεννύμενον δ᾿ αὖθις καὶ παχυνόμενον εἰς ὕδωρ καὶ γῆν καὶ τὸ σωματοειδὲς τρέπεσθαι. (2) λέγει δ᾿ ἐν τῷ πρώτῳ Περὶ προνοίας· "διόλου μὲν γὰρ ὢν ὁ κόσμος πυρώδης εὐθὺς καὶ ψυχή ἐστιν ἑαυτοῦ καὶ ἡγεμονικόν· ὅτε δέ, μεταβαλὼν εἴς τε τὸ ὑγρὸν καὶ τὴν ἐναπολειφθεῖσαν ψυχήν, τρόπον τινὰ εἰς σῶμα καὶ ψυχὴν μετέβαλεν ὥστε συνεστάναι ἐκ τούτων, ἄλλον τινὰ ἔσχε λόγον."
세계에 걸쳐 대화재가 이루어질 때, <코스모스는 그 전체에 걸쳐> 삶이자 살아있는 것이라고, 그런데 진화되자마자 응고되어 물과 땅과 물체의 형상을 지닌 것으로 전환된다고 말한다. (2) 그런데 그는 『예견에 관하여』 서두에서 말한다: "왜냐하면 전체에 걸쳐서는 코스모스가 불의 형상을 지닌 것으로서 곧 그 자신의 영혼이기도 하고 주재적인 것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다른 때엔, (코스모스가) 물로도 그리고 내적으로 부재하는 영혼으로도 변화함으로써, 어떤 방식에선가 육체와 영혼의 결합이 되도록 그것들로 변화하였고, 그 밖의 다른 방식에서 로고스를 지녔다."
ἐναπολειφθεῖσαν : ἐν-ἀπό-λιμπάνω(λείπω). aor. pass. part. to be absent.
G Aristocles (Eusebius, Pr. ev. 15.14.2 = SVF 1.98, part)
(1) ἔπειτα δὲ καὶ κατά τινας εἱμαρμένους χρόνους ἐκπυροῦσθαι τὸν σύμπαντα κόσμον, εἶτ᾿ αὖθις πάλιν διακοσμεῖσθαι. (2) τὸ μέντοι πρῶτον πῦρ εἶναι καθαπερεί τι σπέρμα, τῶν ἁπάντων ἔχον τοὺς λόγους καὶ τὰς αἰτίας τῶν γεγονότων καὶ τῶν γιγνομένων καὶ τῶν ἐσομένων· τὴν δὲ τούτων ἐπιπλοκὴν καὶ ἀκολουθίαν εἱμαρμένην καὶ ἐπιστήμην καὶ ἀλήθειαν καὶ νόμον εἶναι τῶν ὄντων ἀδιάδραστόν τινα καὶ ἄφυκτον. (3) ταύτῃ δὲ πάντα διοικεῖσθαι τὰ κατὰ τὸν κόσμον ὑπέρευ, καθάπερ ἐν εὐνομωτάτῃ τινὶ πολιτείᾳ.
통틀어 우주 모두가 운명지어진 어떤 시기들에 따라서 대화재가 된 다음, 이어서 곧장 다시 질서지어진다(코스모스가 되어 나온다)고 말한다. (2) 그렇지만 최초의 불은 바로 어떤 씨앗 같은 것이다, 모든 것들의 로고스들과 생성된 것들 그리고 생성되는 것들과 존재하는 것들의 원인들을 지님으로써: 그런데 이것들의 운명지어진 엮임과 잇따름 그리고 인식과 진리와 법칙은 존재하는 것들의 필연적이고 불가피한 무언가라고 말한다. (3) 이런 식으로 코스모스에 대한 것들은 모두가 탁월하게 주재된다고 말한다, 마치 법제를 잘 갖춘 어떤 폴리스 내에서 그러하듯이.
ἐπιπλοκὴν : 엮임. / ἀκολουθίαν : 잇따름. / ἀδιάδραστόν : inevitable. / ἄφυκτον : not to be shunned.
H Origen, Cels. 4.14 (SVF 2.1052, part)
ἀλλὰ καὶ ὁ τῶν Στωικῶν θεός, ἅτε σῶμα τυγχάνων, ὁτὲ μὲν ἡγεμονικὸν ἔχει τὴν ὅλην οὐσίαν, ὅταν ἡ ἐκπύρωσις ᾖ· ὁτὲ δὲ ἐπὶ μέρους γίνεται αὐτῆς, ὅταν ᾖ διακόσμησις.
그러나 스토아 학파의 신 또한, 물체이기도 하기에, 어떤 때엔 주도적으로 존재 전체를 지닌다, 대화재일 때에: 그런데 다른 때엔 그 존재의 부분들에 부가된다, 질서잡힐(우주일) 때에.
I Alexander Lycopolis 19, 2-4
τὸν Ζήνωνος τοῦ Κιτιέως . . . λόγον, ὃς "τὸ πᾶν ἐκπυρωθήσεται" λέγων· "πᾶν τὸ καῖον ἔχον <ὅτι> καύσῃ ὅλον καύσει· καὶ ὁ ἥλιος πῦρ ἐστιν καὶ ὃ ἔχει οὐ καύσει;" ἐξ οὗ συνήγετο, ὡς ᾢετο, "τὸ πᾶν ἐκπυρωθήσεσθαι".
키테우스 출신 제논의 논변이다, 그는 이렇게 말한다: "모든 것은 대화재로 산화할 것이다. 태우거나 태울 것을 가진 모든 것은 전체를 태울 것이다: 태양 또한 불이며 그것이 지닌 것을 태우지 않겠는가?" 그가 생각했던 바, 이로부터 그는 "모든 것이 대화재로 산화할 것이다"라고 귀결지었다.
J Diogenes Laertius 7.141 (SVF 2.589, part)
ἀρέσκει δ᾿ αὐτοῖς καὶ φθαρτὸν εἶναι τὸν κόσμον, ἄτε γενητὸν τῷ λόγῳ τῶν δι᾿ αἰσθήσεως νοουμένων, οὗ τε τὰ μέρη φθαρτά ἐστι, καὶ τὸ ὅλον· τὰ δὲ μέρη τοῦ κόσμου φθαρτά· εἰς ἄλληλα γὰρ μεταβάλλει· φθαρτὸς ἄρα ὁ κόσμος.
그들은 코스모스가 사멸하는 것이라고도 의견을 세운다, 감각을 통해 사유되는 것들의 로고스에 따라 생성하는 것이기에, 그것의 부분들이 사멸하는 것들인, 그 전체도 사멸하기에: 그런데 코스모스의 부분들은 사멸하는 것들이다: 왜냐하면 서로에게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코스모스는 사멸하는 것이다.
K Eusevius, Pr. ev. 15.18.2 (SVF 2.596, part)
οὐ γὰρ ἐπὶ τῆς τοῦ κόσμου κατὰ περιόδους τὰς μεγίστας γινομένης φθορᾶς κυρίως παραλαμβάνουσι τὴν φθορὰν οἱ τὴν εἰς πῦρ ἀνάλυσιν τῶν ὅλων δογματίζοντες, ἣν δὴ καλοῦσιν ἐκπύρωσιν, ἀλλ᾿ ἀντὶ τῆς κατὰ φύσιν μεταβολῆς χρῶνται τῇ προσηγορίᾳ τῆς φθορᾶς.
왜냐하면 전체들의 불로의 소멸을 의견으로 세우는 자들이 우주의 거대한 주기들에 따라 생성되는 소멸에 대해 그 소멸을 정확하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래서 그들이 대화재라 부르는 그 소멸을, 오히려 본성에 따른 변화를 위해 소멸이란 용어로 사용한다.
L Plutarch, Com. not. 1075D (SVF 1.510)
ἔτι τοίνυν ἐπαγωνιζόμενος ὁ Κλεάνθης τῇ ἐκπυρώσει λέγει τὴν σελήνην καὶ τὰ λοιπὰ ἄστρα τὸν ἥλιον <ὡς ἡγεμονικὸν> ἐξομοιῶσαι πάντα ἑαυτῷ καὶ μεταβαλεῖν εἰς ἑαυτόν.
따라서 더욱이 클레안테스는 대화재에 대해 강조하며 달과 여타의 천체들을 그 모든 것들을 <주도적인 것으로서> 태양이 자신에게로 동화시키고 자신에게로 변화시킨다고 말한다.
M Philo, Aet. mundi 90 (SVF 1.511)
ὅτι τὸν κόσμον ἐκπυρωθέντα γενέσθαι μὲν ἄνθρακι παραπλήσιον ἀμήχανον, ὡς δέδεικται, γεώδους πολλῆς ἂν ὑπολειφθείσης οὐσίας, ᾗ δεήσει τὸ πῦρ ἐλλοχᾶν, ἴσως δ᾿ οὐδ᾿ ἐκπυρώσεως τότε κρατούσης, εἴ γε μένει τὸ στοιχείων βαρύτατον καὶ δυσαναλωτότατον ἔτι, γῆ μὴ διαλυθεῖσα, μεταβάλλειν δὲ ἢ εἰς φλόγα ἢ εἰς αὐγὴν ἀναγκαῖον, εἰς μὲν φλόγα, ὡς ᾢετο Κλεάνθης, εἰς δ᾿ αὐγήν, ὡς ὁ Χρύσιππος.
그가 설명한 바대로, 대화재를 지난 코스모스는 작용없는 탄과 같은 것이 된다는 점에서, 그 불이 거기에 잠복해야 할 존재가 숱한 흙들로 소멸되어 남을 때, 만일, 대지가 분해되지 않음으로써, 원소들 중 가장 묵중하고 가장 견고한 것이 여전히 남아 있다고 한다면, 그 때 대화재는 전혀 강력하지 않을 것 같음에도, (그 우주는? 그 원소는?) 화염이나 빛으로 변화함이 필연적이다, 클레안테스가 생각한 것처럼 화염으로든, 크뤼싶포스가 생각하였듯 빛으로든.
N Plutarch, Comm. not. 1067A (SVF 2.606)
ὅταν ἐκπυρώσωσι τὸν κόσμον οὗτοι, κακὸν μὲν οὐδὲ ὁτιοῦν ἀπολείπεται, τὸ δὲ ὅλον φρόνιμόν ἐστι τηνικαῦτα καὶ σοφόν.
이 사람들이 코스모스를 대화재로 만들 때, 남아 있는 뭐가 되었든 나쁜 것은 전혀 없고, 그 전체는 그 순간에 현명하고도 지혜로운 것이다.
O Seneca, Ep. 9.16 (SVF 2.1065)
qualis tamen futura est vita sapientis, si sine amicis relinquatur in custodiam coniectus vel in aliqua gente aliena destitutus vel in navigatione longa retentus aut in desertum litus eiectus? qualis est Iovis, cum resoluto mundo et dis in unum confusis paulisper cessante natura adquiescit sibi cogitationibus suis traditus. tale quiddam sapiens facit: in se reconditur, secum est.
그렇지만 어떤 종류의 삶이 지혜로운 자의 것이 될 것인가, 만일 친구들도 없이 버려졌거나 옥 중에 유폐되었거나 어딘가 낯선 나라에 버려졌거나 긴 여정에 붙잡혔거나 사람이 살지 않는 해변에 내몰렸다면? 일종의 제우스의 삶이다, 세계가 분해되고 신들이 하나 안에서 뒤섞이는 짧은 시간 동안 자연이 멈출 때 그(제우스)가 자신의 사유들에 내맡겨진 채로 쉴 때에. 그러한 어떤 일을 현자가 행한다: 자신 안에 숨어, 자신과 더불어 있다.
P Philo, Aet. mundi 76-7
Βοηθὸς γοῦν ὁ Σιδώνιος καὶ Παναίτιος . . . τὰς ἐκπυρώσεις καὶ παλιγγενεσίας καταλιπόντες πρὸς θειότερον δόγμα τὸ τῆς ἀφθαρσίας τοῦ κόσμου παντὸς ηὐτομόλησαν. λέγεται δὲ καὶ Διογένης ἡνίκα νέος ἦν συνεπιγραψάμενος τῷ δόγματι τῆς ἐκπυρώσεως ὀψὲ τῆς ἡλικίας ἐνδοιάσας ἐπισχεῖν.
그러므로 시돈의 보에토스와 파나이티오스는 . . . 대화재들과 재생들을 버려둠으로써 모든 코스모스의 불멸이라는 더욱 신적인 원리로 전향하였다. 그런데 젊은 시절의 디오게네스 또한 그 대화재의 원리에 동의했으나 이후 시기 동안 의심하여 중단하였다고 이야기된다.

-蟲-

언어의 올바른 사용(오르토에페이아Orthoepeia):
Plato, Cratylus 390e1-391d1 (DK80 A24) and Phaedrus 267b10-c7 (DK80 A26)
Aristotle, Rhetoric III 5.1047(corr.1407)b6-9 (DK80 A27), Sophistical Refutations XIV 173b16-25 (DK80 A28) and Poetics XIX 1456b15-18 (DK80 A29)
Diogenes Laertius, Lives of the Eminent Philosopher 9.52, 53-54 (DK80 A1)
Aristophanes, Clouds 658-680 (DK80 C3); Ammonius, Scholium on Homer col. XII 20 (DK80 A30)

Plato, Cratylus 390e1-391d1 (DK80 A24)
{ΣΩ.} Κινδυνεύει ἄρα, ὦ Ἑρμόγενες, εἶναι οὐ φαῦλον, ὡς σὺ οἴει, ἡ τοῦ ὀνόματος θέσις, οὐδὲ φαύλων ἀνδρῶν οὐδὲ τῶν ἐπιτυχόντων. καὶ Κρατύλος ἀληθῆ λέγει λέγων φύσει τὰ ὀνόματα εἶναι τοῖς πράγμασι, καὶ οὐ πάντα δημιουργὸν ὀνομάτων εἶναι, ἀλλὰ μόνον ἐκεῖνον τὸν ἀποβλέποντα εἰς τὸ τῇ φύσει ὄνομα ὂν ἑκάστῳ καὶ δυνάμενον αὐτοῦ τὸ εἶδος τιθέναι εἴς τε τὰ γράμματα καὶ τὰς συλλαβάς.
그래서, 헤르모게네스, 이름의 세움이 자네 생각처럼 단순하지만은 않을 성싶고, 단순한 자들의 것도 초동급부들의 것도 아닐 것 같다네. 크라튈로스도 본성상 이름들은 사안들에 속한다고, 모두가 이름에 대해 장인이 아니라, 오직 각각에게 본성상 이름인 그 이름을 주목하는 저 자만이 그리고 그 이름의 형상을 문법과 철자법을 향해 세울 능력이 있는 자만이 이름들의 장인인 것이라 말하며 찬된 말을 하고 있지.
ἐπιτυχόντων : ἐπιτυγχάνω aor. part. the first person one meets.
{ΕΡΜ.} Οὐκ ἔχω, ὦ Σώκρατες, ὅπως χρὴ πρὸς ἃ λέγεις ἐναντιοῦσθαι. ἴσως μέντοι οὐ ῥᾴδιόν ἐστιν οὕτως ἐξαίφνης πεισθῆναι, ἀλλὰ δοκῶ μοι ὧδε ἂν μᾶλλον πιθέσθαι σοι, εἴ [Stephanus page 391, section a, line 3] μοι δείξειας ἥντινα φῂς εἶναι τὴν φύσει ὀρθότητα ὀνόματος.
소크라테스, 저는 당신께서 말씀하시는 바들에 대해 어찌 반대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렇지만 그렇게 별안간 설득된다는 것은 쉽지 않을 것 같고, 오히려 제게는 이런 방식이라면 제가 당신께 훨씬 잘 설득될 것으로 여겨집니다, 만일 당신께서 제게 무엇이 되었든 이름의 본성상 옳음이라 말씀하시는 바를 보여주신다면요.
ἐξαίφνης : on a sudden.
{ΣΩ.} Ἐγὼ μέν, ὦ μακάριε Ἑρμόγενες, οὐδεμίαν λέγω, ἀλλ' ἐπελάθου γε ὧν ὀλίγον πρότερον ἔλεγον, ὅτι οὐκ εἰδείην ἀλλὰ σκεψοίμην μετὰ σοῦ. νῦν δὲ σκοπουμένοις ἡμῖν, ἐμοί τε καὶ σοί, τοσοῦτον μὲν ἤδη φαίνεται παρὰ τὰ πρότερα, φύσει τέ τινα ὀρθότητα ἔχον εἶναι τὸ ὄνομα καὶ οὐ παντὸς ἀνδρὸς ἐπίστασθαι [καλῶς] αὐτὸ πράγματι ὁτῳοῦν θέσθαι· ἢ οὔ;
나로서는, 복받은 친구 헤르모게네스, 아무런 말도 할 수가 없네만, 적어도 자네 앞서 내가 말하던 것들은 거진 다 잊어버렸군, 나는 알지 못하고 자네와 더불어 우리가 검토해 보리란 것을 말일세. 그런데 지금 겈토 중인 자네와 나, 우리에게 이 만큼은 이미 앞서의 것들에 따라 드러났다네, 이름이란 본성상 무언가 옳음을 지닌 것이고 모든 사람에게 그것을 어떤 사태에든 세울 줄 알도록 속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지: 아니 그런가?
{ΕΡΜ.} Πάνυ γε. 무척이나 그렇습니다.
[Stephanus page 391, section b, line 4] {ΣΩ.} Οὐκοῦν τὸ μετὰ τοῦτο χρὴ ζητεῖν, εἴπερ ἐπιθυμεῖς εἰδέναι, ἥτις ποτ' αὖ ἐστιν αὐτοῦ ἡ ὀρθότης.
그렇다면 그 다음으로 추적해야 하는 것은, 자네가 정말로 알기를 열망한다면, 이번엔 그 이름의 올바름이 도대체 무엇인가 하는 것이지.
{ΕΡΜ.} Ἀλλὰ μὴν ἐπιθυμῶ γε εἰδέναι. 그야 정말이지 저는 알기를 열망합니다.
{ΣΩ.} Σκόπει τοίνυν. 그렇다면 살펴 보시게.
{ΕΡΜ.} Πῶς οὖν χρὴ σκοπεῖν; 그럼 어떤 식으로 살펴 보아야 하는지요?
{ΣΩ.} Ὀρθοτάτη μὲν τῆς σκέψεως, ὦ ἑταῖρε, μετὰ τῶν ἐπισταμένων, χρήματα ἐκείνοις τελοῦντα καὶ χάριτας κατατιθέμενον. εἰσὶ δὲ οὗτοι οἱ σοφισταί, οἷσπερ καὶ ὁ ἀδελφός σου Καλλίας πολλὰ τελέσας χρήματα σοφὸς δοκεῖ εἶναι. ἐπειδὴ δὲ οὐκ ἐγκρατὴς εἶ τῶν πατρῴων, λιπαρεῖν χρὴ τὸν [Stephanus page 391, section c, line 3] ἀδελφὸν καὶ δεῖσθαι αὐτοῦ διδάξαι σε τὴν ὀρθότητα περὶ τῶν τοιούτων ἣν ἔμαθεν παρὰ Πρωταγόρου.
탐구에 속하는 가장 옳은 일은, 친구, 아는 자들과 더불어 하는 것이지, 저 사람들에게 값을 치르고 감사함으로써 말일세. 그런데 이러한 사람들은 전문가들(소피스테스들), 자네의 형제인 칼리아스도 그들에게 많은 돈을 지불하여 그들에게 지혜로운 자로 여겨진 그 사람들이지. 그런데 자네는 유산들의 주인이 아니니, 자네의 형제에게 간청해야 하고 이런 문제들에 관하여 그가 프로타고라스에게서 배웠던 그 옳음을 자네에게 가르쳐 줄 것을 그에게 청해야 한다네.
ἐγκρατὴς : in possession of power. c.gen. having possession of.
{ΕΡΜ.} Ἄτοπος μεντἂν εἴη μου, ὦ Σώκρατες, ἡ δέησις, εἰ τὴν μὲν Ἀλήθειαν τὴν Πρωταγόρου ὅλως οὐκ ἀποδέχομαι, τὰ δὲ τῇ τοιαύτῃ ἀληθείᾳ ῥηθέντα ἀγαπῴην ὥς του ἄξια.
그게 아니라 저의 간청은 이상한 일이 될 겁니다, 만일 제가 프로타고라스의 『진리』편은 전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그런데 이러한 진리에 의해 이야기된 바들은 뭔가에 가치있는 것들이라 여기고 애호한다면 말입니다.
ἀγαπῴην : ἀγαπάω opt. love.
{ΣΩ.} Ἀλλ' εἰ μὴ αὖ σε ταῦτα ἀρέσκει, παρ' Ὁμήρου χρὴ μανθάνειν καὶ παρὰ τῶν ἄλλων ποιητῶν.…
허나 이번엔 만일 이런 것들이 자네를 만족시키지 못한다면, 호메로스에게서 그리고 그 밖의 시인들에게서 배워야만 하네.…

Phaedrus 267b10-c7 (DK80 A26)
{ΣΩ.} Τὰ δὲ Πώλου πῶς φράσωμεν αὖ μουσεῖα λόγων - ὡς <διπλασιολογίαν> καὶ <γνωμολογίαν> καὶ <εἰκονολογίαν> - ὀνομάτων τε Λικυμνίων ἃ ἐκείνῳ ἐδωρήσατο πρὸς ποίησιν εὐεπείας;
그런데 이번엔 폴로스의 진술들과 - 반복어법과 격언어법과 비유어법 같은 것들로서 - 리큄니오스가 저 사람에게 아름다운 문체로 시를 짓기 위해 선사하였던 그 리큄니오스식 이름들의 전당은 우리가 어떻게 말하겠는가?
{ΦΑΙ.} Πρωταγόρεια δέ, ὦ Σώκρατες, οὐκ ἦν μέντοι τοιαῦτ' ἄττα;
그런데 소크라테스, 허나 이와 같은 어떤 것들은 프로타고라스의 것들이 아니었습니까?
{ΣΩ.} <Ὀρθοέπειά> γέ τις, ὦ παῖ, καὶ ἄλλα πολλὰ καὶ καλά.…
적어도 뭔가 『바른말』 같은 것은, 이보게, 그리고 다른 많고도 훌륭한 것들도 그렇지. …


Aristotle, Rhetoric III 5.1407b6-9 (DK80 A27)
Πρωταγόρας τὰ γένη τῶν ὀνομάτων διῄρει, ἄρρενα καὶ θήλεα καὶ σκεύη· δεῖ γὰρ ἀποδιδόναι καὶ ταῦτα ὀρθῶς· "ἡ δ᾿ ἐλθοῦσα καὶ διαλεχθεῖσα ᾤχετο". …
프로타고라스는 이름들의 유들을 구분하였다, 남성과 여성과 무생물(중성)로: 왜냐하면 다음과 같은 것들도 옳게 설명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녀는 와서 이야기를 나누고서 떠났다".(여성형 관사와 여성형 어미로 된 분사 두 개 그리고 주동사로 이루어진 문장.)

Sophistical Refutations XIV 173b16-25 (DK80 A28)
Σολοικισμὸς δ᾿ οἷον μέν ἐστιν εἴρηται πρότερον· ἔστι δὲ τοῦτο καὶ ποιεῖν καὶ μὴ ποιοῦντα φαίνεσθαι καὶ ποιοῦντα μὴ δοκεῖν, καθάπερ, ὃ Πρωταγόρας ἔλεγεν, εἰ "ὁ μῆνις" καὶ "ὁ πήληξ" ἄρρενά ἐστιν· ὁ μὲν γὰρ λέγων "οὐλομένην" σολοικίζει μὲν κατ᾿ ἐκεῖνον, οὐ φαίνεται δὲ τοῖς ἄλλοις, ὁ δὲ "οὐλόμενον" φαίνεται μέν, ἀλλ᾿ οὐ σολοικίζει.…
어법위반은 예를 들자면 앞서 이야기된 것이다: 그런데, 마치 프로타고라스가 논했던 바와 마찬가지로, 만일 "ὁ μῆνις(분노)" 와 "ὁ πήληξ(투구)"가 남성형의 것들이라면, 그 이야기된 것은 (어법위반을) 행하지 않으면서도 행한 것으로도 보이고 행하면서도 그렇게 여겨지지 않기도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저 사람에 따르면 "οὐλομένην(비참한. 형용사 여성형어미)"이라고 말하는 사람은 어법위반을 하지만, 그 밖의 사람들에게는 그렇게 보이지 않는 반면, "οὐλόμενον(남성형어미)"이라고 말하는 사람은 어법위반을 한 것으로 보이지만, 그러나 어법위반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호메로스 『일리아스』 첫 행, '여신이여, 아킬레우스의 분노를 노래하라'. 원문은 여성형어미 형용사로 수식.)….

Poetics XIX 1456b15-18 (DK80 A29)
τί γὰρ ἄν τις ὑπολάβοι ἡμαρτῆσθαι ἃ Πρωταγόρας ἐπιτιμᾷ, ὅτι εὔχεσθαι οἱόμενος ἐπιτάττει εἰπὼν "μῆνιν ἄειδε θεά"; τὸ γὰρ κελεῦσαι, φησίν, ποιεῖν τι ἢ μὴ ἐπίταξίς ἐστιν.…
왜냐하면 어떤 점에서 누군가가, (호메로스가) "여신이여 분노를 노래하라"라고 말하면서 기원법을 생각하며 명령법을 사용했기 때문에, 프로타고라스가 지적한 오류들을 범했다고 간주하겠는가? 즉, 그가 말하길, 무언가를 행하라거나 말라고 주문하는 것은 명령이기 때문이다.…
ἡμαρτῆσθαι : ἁμαρτάνω pf. mp. do wrong, err, sin.
εὔχεσθαι : εὔχομαι. inf. pray.
ἐπιτάττει : ἐπιτάσσω. use the imperative mood.

Diogenes Laertius, Lives of the Eminent Philosopher 9.52, 53-54 (DK80 A1)
καὶ πρῶτος μέρη χρόνου διώρισε καὶ καιροῦ δύναμιν ἐξέθετο …. 
그(프로타고라스)는 또한 최초로 시간의 부분들(시제들)을 나누었고 의미를 정리하였다 ….
Διεῖλέ τε τὸν λόγον πρῶτος εἰς τέτταρα· εὐχωλήν, ἐρώτησιν, ἀπόκρισιν, ἐντολήν| (οἱ δὲ εἰς ἑπτά· διήγησιν, ἐρώτησιν, ἀπόκρισιν, ἐντολήν, ἀπαγγελίαν, εὐχωλήν, κλῆσιν), οὓς καὶ πυθμένας εἶπε λόγων. …
그는 최초로 진술을 넷으로 나누었다: 기원, 의문, 대답, 명령으로| (다른 이들은 여섯으로: 설명, 의문, 대답, 명령, 보고, 기원, 제안), 그는 이것들을 진술들의 기초들이라 말했다. …
πυθμένας : πυθμήν. bottom.

Aristophanes, Clouds 658-680 (DK80 C3)
Σω. ἀλλ᾿ ἕτερα δεῖ σε πρότερα τούτου μανθάνειν, τῶν τετραπόδων ἅττ᾿ ἐστιν ὀρθῶς ἄρρενα.
소크라테스 : 허나 자네는 그보다 먼저 다른 것들을 배워야 하네, 네 발 달린 것들 중 어떤 것들이 옳게 수컷들인지를 말일세.
Στ. ἀλλ᾿ οἶδ᾿ ἔγωγε τἄρρεν᾿, εἰ μὴ μαίνομαι· κριός, τράγος, ταῦρος, κύων, ἀλεκτρυών.
스트렙시아테스 : 허나 저로서는 수컷인 것들을 잘 알고 있는걸요, 제가 미치지 않는다면 말이죠: (숫-)양, (숫-)염소, (수-)소, (수-)개, 닭 말입니다.
Σω. ὁρᾷς ἃ πάσχεις; τήν τε θήλειαν καλεῖς ἀλεκτρυόνα κατὰ ταὐτὸ καὶ τὸν ἄρρενα.
소 : 자네 자네 꼴을 보고 있나? 자네는 암컷이나 수컷이나 같은 방식으로 닭이라고 부르고 있네.
Στ. πῶς δή, φέρε;
스 : 어째서죠? 말씀해 주세요.
Σω. πῶς; ἀλεκτρυὼν κἀλεκτρυών.
소 : 어째서냐고? 닭이라고 하고 또 닭이라고 하는 게지.
Στ. νὴ τὸν Ποσειδῶ. νῦν δὲ πῶς με χρὴ καλεῖν;
스 : 포세이돈이시여. 그런데 이제 제가 어떻게 불러야 합니까?
Σω. ἀλεκτρύαιναν, τὸν δ᾿ ἕτερον ἀλέκτορα.
소 : 닭순이라고, 다른 쪽은 닭돌이라고 불러야지.
Στ. ἀλεκτρύαιναν; εὖ γε νὴ τὸν Ἀέρα· ὥστ᾿ ἀντὶ τούτου τοῦ διδάγματος μόνου διαλφιτώσω σου κύκλῳ τὴν κάρδοπον.
스 : 닭순이요? 바람이시여, 그야말로 좋군요: 그런고로 이러한 유일한 가르침에 답례로 당신의 그릇을 둥글게 보릿가루로 가득 채워 드리겠습니다.
διαλφιτώσω : διαλφιτόω. to fill full of barley meal.
Σω. ἰδοὺ μάλ᾿ αὖθις, τοῦθ᾿ ἕτερον. τὴν κάρδοπον ἄρρενα καλεῖς θήλειαν οὖσαν.
소 : 또 그러는 것 좀 보게, 달리 하네 그려(틀렸다, euphemistic). 그릇은 암컷인데 수컷으로 부르는군.
Στ. τῷ τρόπῳ; ἄρρενα καλῶ ᾿γὼ κάρδοπον;
스 : 어떤 방식에서 말씀이십니까? 제가 그릇을 수컷으로 부른다고요?
Σω. μάλιστά γε, ὥσπερ γε καὶ Κλεώνυμον.
소 : 더할 나위 없지, 게다가 마치 클레오뉘모스처럼 그렇다네.
Στ. πῶς δή; φράσον.
스 : 어째서죠? 짚어 주시죠.
Σω. ταὐτὸν δύναταί σοι κάρδοπος Κλεωνύμῳ.
소 : 자네에겐 그릇이 클레오뉘모스와 같은 것일 수 있다네.
Στ. ἀλλ᾿ ὦ ᾿γάθ᾿, οὐδ᾿ ἦν κάρδοπος Κλεωνύμῳ, ἀλλ᾿ ἐν θυείᾳ στρογγύλῃ γ᾿ ἀνεμάττετο. ἀτὰρ τὸ λοιπὸν πῶς με χρὴ καλεῖν;
스 : 허나 훌륭하신 분, 그릇은 클레오뉘모스와 전혀 같지 않고, 저는 오히려 둥근 절구에 반죽을 치댈 겁니다. 그럼에도 이제부터 제가 어떻게 불러야 합니까?
θυείᾳ : mortar. / στρογγύλῃ : round. / ἀνεμάττετο : ἐμμάσσομαι. knead bread in.
Σω. ὅπως; τὴν καρδόπην, ὥσπερ καλεῖς τὴν Σωστράτην.
소 : 어떻게냐고? 그릇순이라고 해야지, 마치 소스트라토순이라고 자네가 부르듯 말일세.
Στ. τὴν καρδόπην θήλειαν;
스 : 그릇순이는 암컷(여성형)입니까?
Σω. ὀρθῶς γὰρ λέγεις. …
소 : 자네 옳게 말하는구만. …


Ammonius, Scholium on Homer col. XII 20 (DK80 A30)
Πρωταγόρας φησὶν πρὸς τὸ διαλαβεῖν τὴν μάχην τὸ ἐπεισόδιον γεγονέναι τὸ ἑξῆς τῆς Ξάνθου καὶ θνητοῦ μάχης ἵν᾿ εἰς τὴν θεομαχίαν μεταβῇ, τάχα δὲ ἵνα καὶ τὸν Ἀχιλλέα αὐξήσῇ καὶ προκατα(?) τῶν η…… τοῖς κινδύνοις τῷ ησ……ς καταλαμβάνοντα τα…… ἐπ]ήδα δὲ οὐκ ἐν τῷ ῥείθρῳ ἔτι ἀλλ᾿ ἐν τῷ πεδίῳ

διαλαβεῖν : διαλαμβάνω grasp or lay hold of separately. treat, handle. divide.
ἐπεισόδιον : comeing in besides, addition for the purpose of giving pleasure.
μεταβῇ : μεταβαίνω pass over.
ῥείθρῳ : that which flows, a river, stream.
ἐν τῷ πεδίῳ : on a fertile plain.

-작성중-

{ΣΩ.} Εὖ λέγεις. ἀλλὰ δὴ ποῖον ἔργον τοῦτο Κριτίας οὐ λεγόμενον μέν, ὡς δὲ πραχθὲν ὄντως ὑπὸ τῆσδε τῆς πόλεως ἀρχαῖον διηγεῖτο κατὰ τὴν Σόλωνος ἀκοήν;
말씀 잘 하셨습니다. 허나 그래서 전해지지는 않지만, 크리티아스께서 솔론께 들은 바대로 고대에 이 폴리스에 의해 실제로 행해진 것이라고 상술하셨던 바, 그 업적은 어떤 것입니까?
{ΚΡ.} Ἐγὼ φράσω, παλαιὸν ἀκηκοὼς λόγον οὐ νέου ἀνδρός. ἦν μὲν γὰρ δὴ τότε Κριτίας, ὡς ἔφη, σχεδὸν ἐγγὺς ἤδη τῶν ἐνενήκοντα ἐτῶν, ἐγὼ δέ πῃ μάλιστα δεκέτης· ἡ δὲ Κουρεῶτις ἡμῖν οὖσα ἐτύγχανεν Ἀπατουρίων.
제가 말씀드리겠습니다, 젊지 않은 사람에게서 들었던 오래된 진술을. 그야 당시 크리티아스께서는, 그 분 말씀으로, 이미 거의 80세에 가까우셨고, 저는 많아야 대략 열 살 즈음이었으니까요: 마침 아파투리아의 쿠레오티스(아파투리아 축제의 셋째 날)였습니다.
τὸ δὴ τῆς [Stephanus page 21, section b, line 3] ἑορτῆς σύνηθες ἑκάστοτε καὶ τότε συνέβη τοῖς παισίν· ἆθλα γὰρ ἡμῖν οἱ πατέρες ἔθεσαν ῥαψῳδίας. πολλῶν μὲν οὖν δὴ καὶ πολλὰ ἐλέχθη ποιητῶν ποιήματα, ἅτε δὲ νέα κατ' ἐκεῖνον τὸν χρόνον ὄντα τὰ Σόλωνος πολλοὶ τῶν παίδων ᾔσαμεν.
그래서 매번 축제의 관습이 그 때에도 그 아이들에게 따랐습니다. 그러니까 저희에게 아버지들께서 서사시 낭송의 경연을 시키셨던 겁니다. 그리하여 여러 시인들의 더욱이 많은 시들이 있었지만, 저 시절에는 솔론의 것들이 새로운 것들이었던지라 아이들 중 대다수가 (그의 시들을) 노래하였습니다.
εἶπεν οὖν τις τῶν φρατέρων, εἴτε δὴ δοκοῦν αὐτῷ τότε εἴτε καὶ χάριν τινὰ τῷ Κριτίᾳ φέρων, δοκεῖν οἱ τά τε ἄλλα σοφώτατον γεγονέναι Σόλωνα καὶ κατὰ τὴν ποίησιν αὖ τῶν ποιητῶν πάντων ἐλευθεριώτατον. ὁ δὴ γέρων - σφόδρα γὰρ οὖν μέμνημαι - μάλα τε ἥσθη καὶ διαμειδιάσας εἶπεν·
그리하여 문중의 누군가가 말하였기를, 그에게 당시에 그럼직하게 여겨졌든 크리티아스께 뭔가 호의까지 베푸는 것이었든, 그에게 다른 점들에서도 솔론이 가장  지혜로운 자가 된 것으로 여겨지고 또한 그 창작에 따라서도 모든 시인들 중 가장 자유인에 걸맞는 자가 된 것으로 여겨진다고 하였습니다. 그래서 그 노인께서 - 저는 정말로 아주 잘 기억하고 있으니까요 - 무척이나 기뻐하셨고 미소를 띤 채 말씀하셨습니다.
“Εἴ γε, ὦ Ἀμύνανδρε, μὴ παρέργῳ τῇ ποιήσει κατεχρήσατο, [Stephanus page 21, section c, line 5] ἀλλ' ἐσπουδάκει καθάπερ ἄλλοι, τόν τε λόγον ὃν ἀπ' Αἰγύπτου δεῦρο ἠνέγκατο ἀπετέλεσεν, καὶ μὴ διὰ τὰς στάσεις ὑπὸ κακῶν τε ἄλλων ὅσα ηὗρεν ἐνθάδε ἥκων ἠναγκάσθη καταμελῆσαι, κατά γε ἐμὴν δόξαν οὔτε Ἡσίοδος οὔτε Ὅμηρος οὔτε ἄλλος οὐδεὶς ποιητὴς εὐδοκιμώτερος ἐγένετο ἄν ποτε αὐτοῦ.”
"만일 적어도, 아뮈난드로스, 그가 창작에 부차적인 일로 헛짓을 한 게 아니라, 다른 사람들처럼 진지하게 임했더라면, 또한 이집트로부터 이곳으로 가져온 그 진술도 완성했었다면, 그리고 내전으로 인해서 또 다른 악들에 의해 의도치 않게 소홀히 굴도록 강제받지 않았더라면, 적어도 내 의견으로는 헤시오도스도 호메로스도 다른 그 어떤 시인도 도대체 그 사람보다 더 영광스러워지지 못했을 걸세."
“Τίς δ' ἦν ὁ λόγος,” ἦ δ' ὅς, “ὦ Κριτία;” “Ἦ περὶ μεγίστης,” ἔφη, “καὶ ὀνομαστοτάτης πασῶν δικαιότατ' ἂν πράξεως οὔσης, ἣν ἥδε ἡ πόλις ἔπραξε μέν, διὰ δὲ χρόνον καὶ φθορὰν τῶν ἐργασαμένων οὐ διήρκεσε δεῦρο ὁ λόγος.”
그가 말했습니다. "그런데 그 진술은 무엇이었습니까, 크리티아스?" 크리티아스께서 말씀하셨습니다. "정말이지 대단하고 모든 업적들 가운데 가장 명성을 받아 마땅할 실천에 대한 것이었음에도, 여기 이 폴리스가 그 일을 했으나, 시간과 그 이루어진 일들의 파멸로 인하여 여기까지 이어지지 못한 진술이라네."
“Λέγε ἐξ ἀρχῆς,” ἦ δ' ὅς, “τί τε καὶ πῶς καὶ [Stephanus page 21, section d, line 8] παρὰ τίνων ὡς ἀληθῆ διακηκοὼς ἔλεγεν ὁ Σόλων.”
그가 말했습니다, "처음부터 말씀해 주세요, 무엇을 그리고 또한 어떻게 또 누구들에게서 듣고서는 솔론이 참이라고 진술했는지 말입니다."
”Ἔστιν τις κατ' Αἴγυπτον,” ἦ δ' ὅς, “ἐν τῷ Δέλτα, περὶ ὃν κατὰ κορυφὴν σχίζεται τὸ τοῦ Νείλου ῥεῦμα Σαϊτικὸς ἐπικαλούμενος νομός, τούτου δὲ τοῦ νομοῦ μεγίστη πόλις Σάις - ὅθεν δὴ καὶ Ἄμασις ἦν ὁ βασιλεύς - οἷς τῆς πόλεως θεὸς ἀρχηγός τίς ἐστιν, Αἰγυπτιστὶ μὲν τοὔνομα Νηίθ, Ἑλληνιστὶ δέ, ὡς ὁ ἐκείνων λόγος, Ἀθηνᾶ· μάλα δὲ φιλαθήναιοι καί τινα τρόπον οἰκεῖοι τῶνδ' εἶναί φασιν.
그 분께서 말씀하셨습니다, "이집트 지역의 누군가인데, 나일강의 물줄기가 그 둘레로 정상으로부터 따라 갈라지는 삼각주 안에서 사이티코스고 불린 지역이지, 그런데 이 지역에서 위대한 폴리스가 사이스이니 - 더욱이 그곳에서 아마시스 왕이 나왔고 - 이 사람들에게 그들의 폴리스의 어떤 주신이, 이집트인들에 의해서는 네이트라는 이름이나, 그리스인들에 의해서는, 저들의 말대로, 아테나라네. 그런데 그들은 특히나 아테네-애호자들이며 어떤 식으로는 이곳 사람들의 친족들이라고 말하지.
οἷ δὴ Σόλων ἔφη πορευθεὶς σφόδρα τε γενέσθαι παρ' αὐτοῖς ἔντιμος, καὶ δὴ καὶ τὰ παλαιὰ ἀνερωτῶν ποτε τοὺς μάλιστα περὶ [Stephanus page 22, section a, line 2] ταῦτα τῶν ἱερέων ἐμπείρους, σχεδὸν οὔτε αὑτὸν οὔτε ἄλλον Ἕλληνα οὐδένα οὐδὲν ὡς ἔπος εἰπεῖν εἰδότα περὶ τῶν τοιούτων ἀνευρεῖν.
해서 솔론은 이곳에 가서 지극히도 그들에게서 존경받았다고, 게다가 언젠가 고대의 일들을 특히나 이런 것들에 관하여 연륜있는 신관들에게 물어서, 그 자신도 다른 그리스인 그 누구도 이런 일들에 관하여 말마따나 거의 전혀 아는 바 없다는 걸 알아냈다고 말했네.
καί ποτε προαγαγεῖν βουληθεὶς αὐτοὺς περὶ τῶν ἀρχαίων εἰς λόγους, τῶν τῇδε τὰ ἀρχαιότατα λέγειν ἐπιχειρεῖν, περὶ Φορωνέως τε τοῦ πρώτου λεχθέντος καὶ Νιόβης, καὶ μετὰ τὸν κατακλυσμὸν αὖ περὶ Δευκαλίωνος καὶ Πύρρας ὡς διεγένοντο μυθολογεῖν, καὶ τοὺς ἐξ αὐτῶν γενεαλογεῖν, καὶ τὰ τῶν ἐτῶν ὅσα ἦν οἷς ἔλεγεν πειρᾶσθαι διαμνημονεύων τοὺς χρόνους ἀριθμεῖν· καί τινα εἰπεῖν τῶν ἱερέων εὖ μάλα παλαιόν·
그리고 언젠가 그는 그들이 고대의 일들에 관하여 진술들을 더욱 진행시키길 바라, 여기 이 폴리스의 일들 중 가장 오래된 것들을 논하기 시작했다고 하였지, 최초라 논해진 포로네우스와 니오베에 관하여, 그리고 대홍수 이후 또 데우칼리온과 퓌라가 어떻게 존속하였는지를 서사조로 논하고자 하였다고, 그리고 그들로부터 나온 자들의 계보를 논했다고, 그리고 그 연수(年數)가 얼만큼일지 그가 말했던 것들을 가지고 그 시기들을 기억해 가며 헤아리고자 시도했다고 하네. 그러자 그 신관들 중 무척이나 연로한 누군가가 말했다더군.
‘Ὦ Σόλων, Σόλων, Ἕλληνες ἀεὶ [Stephanus page 22, section b, line 5] παῖδές ἐστε, γέρων δὲ Ἕλλην οὐκ ἔστιν.’
'솔론, 솔론, 그대들 헬라인들은 언제나 아이이며, 핼렌은 노인이 아니오.'
Ἀκούσας οὖν, ‘Πῶς τί τοῦτο λέγεις;’ φάναι.
그래서 그 말을 듣고서는, '무슨 뜻에서 왜 그 말씀을 하십니까?' 라고 답했다 하네.
‘Νέοι ἐστέ,’ εἰπεῖν, ‘τὰς ψυχὰς πάντες· οὐδεμίαν γὰρ ἐν αὐταῖς ἔχετε δι' ἀρχαίαν ἀκοὴν παλαιὰν δόξαν οὐδὲ μάθημα χρόνῳ πολιὸν οὐδέν. τὸ δὲ τούτων αἴτιον τόδε. πολλαὶ κατὰ πολλὰ φθοραὶ γεγόνασιν ἀνθρώπων καὶ ἔσονται, πυρὶ μὲν καὶ ὕδατι μέγισται, μυρίοις δὲ ἄλλοις ἕτεραι βραχύτεραι.
'그대들은 어리기 때문이오,' 그가 말했다고 하는 바, '그대들의 모든 영혼들이 말이오. 그대들은 영혼 안에 고대의 전승을 통한 선조의 믿음도 무엇 하나 없거니와 시간에 바랜 배움도 전혀 없으니. 여러 멸망들이 여러 방식으로 인간들에게 생겨왔고 생길 것인데, 불과 물에 의한 멸망이 가장 거대하나, 다른 무수한 것들에 의한 다른 멸망들은 더 소규모의 것들이라오.
τὸ γὰρ οὖν καὶ παρ' ὑμῖν λεγόμενον, ὥς ποτε Φαέθων Ἡλίου παῖς τὸ τοῦ πατρὸς ἅρμα ζεύξας διὰ τὸ μὴ δυνατὸς εἶναι κατὰ τὴν τοῦ πατρὸς ὁδὸν ἐλαύνειν τά τ' ἐπὶ γῆς συνέκαυσεν καὶ αὐτὸς κεραυνωθεὶς [Stephanus page 22, section c, line 7] διεφθάρη, τοῦτο μύθου μὲν σχῆμα ἔχον λέγεται, τὸ δὲ ἀληθές ἐστι τῶν περὶ γῆν κατ' οὐρανὸν ἰόντων παράλλαξις καὶ διὰ μακρῶν χρόνων γιγνομένη τῶν ἐπὶ γῆς πυρὶ πολλῷ φθορά.
그야 그대들에게서도 이야기되는 바, 이를 테면 헬리오스의 아들 파에톤이 그 아버지의 전차 고삐를 쥐었으나 아버지의 길을 따라 몰 능력이 없었던 고로 지상의 것들을 불살라 버렸고 자신은 벼락을 맞아 파멸하였다는, 이러한 것이 신화의 형태를 가지고 진술되긴 하지만, 대지 주위로 하늘을 따라 진행하는 것들의 위치변화와 긴 시기들을 통해 이루어지는 큰 불에 의해 지상의 것들의 멸망은 참된 것이오.
τότε οὖν ὅσοι κατ' ὄρη καὶ ἐν ὑψηλοῖς τόποις καὶ ἐν ξηροῖς οἰκοῦσιν μᾶλλον διόλλυνται τῶν ποταμοῖς καὶ θαλάττῃ προσοικούντων· ἡμῖν δὲ ὁ Νεῖλος εἴς τε τἆλλα σωτὴρ καὶ τότε ἐκ ταύτης τῆς ἀπορίας σῴζει λυόμενος.
그리하여 그때 산아래 높고 마른 지대에서 살던 이들 모두가 강과 바다를 대하여 살던 자들보다 훨씬 크게 파멸당한다오. 헌데 우리에게는 나일강이 다른 일들에 대해서도 그렇거니와 그 때에도 구원자로서 풀려나심으로써 이러한 곤란으로부터 구제해 주신다오.
ὅταν δ' αὖ θεοὶ τὴν γῆν ὕδασιν καθαίροντες κατακλύζωσιν, οἱ μὲν ἐν τοῖς ὄρεσιν διασῴζονται βουκόλοι νομῆς τε, οἱ δ' ἐν ταῖς παρ' ὑμῖν πόλεσιν εἰς τὴν θάλατταν ὑπὸ τῶν ποταμῶν φέρονται· [Stephanus page 22, section e, line 2] κατὰ δὲ τήνδε χώραν οὔτε τότε οὔτε ἄλλοτε ἄνωθεν ἐπὶ τὰς ἀρούρας ὕδωρ ἐπιρρεῖ, τὸ δ' ἐναντίον κάτωθεν πᾶν ἐπανιέναι πέφυκεν.
그런데 이제 신들께서 대지를 물로써 정화하시며 범람시키실 때엔, 산 속의 사람들인 소 치는 이들과 양치는 이들은 구원받지만, 그대들 곁의 폴리스들에 사는 자들은 강에 의해 바다로 쓸려간다네. 그런데 여기 이 자리로 그 때에도 다른 때에도 경작지들 위로 물이 흘러들지 않고, 반대로 모두 자연스레 아래로부터 되솟아오르지.
ὅθεν καὶ δι' ἃς αἰτίας τἀνθάδε σῳζόμενα λέγεται παλαιότατα· τὸ δὲ ἀληθές, ἐν πᾶσιν τοῖς τόποις ὅπου μὴ χειμὼν ἐξαίσιος ἢ καῦμα ἀπείργει, πλέον, τοτὲ δὲ ἔλαττον ἀεὶ γένος ἐστὶν ἀνθρώπων.
이로부터 그리고 이러한 원인들로 인해 이곳에서 구제된 것들이 가장 오래된 것들이라 진술된다오. 그런데 지나친 혹한이나 혹서가 가로막지 않는 곳이라면 어디든 모든 장소에서, 많은, 때로는 적은 인간들의 유가 항시 있다오.
ὅσα δὲ ἢ παρ' ὑμῖν ἢ τῇδε ἢ καὶ κατ' ἄλλον τόπον ὧν ἀκοῇ ἴσμεν, εἴ πού τι καλὸν ἢ μέγα γέγονεν ἢ καί τινα διαφορὰν ἄλλην ἔχον, πάντα γεγραμμένα ἐκ παλαιοῦ τῇδ' ἐστὶν ἐν τοῖς ἱεροῖς καὶ σεσωσμένα· τὰ δὲ παρ' ὑμῖν καὶ τοῖς ἄλλοις ἄρτι κατεσκευασμένα [Stephanus page 23, section a, line 6] ἑκάστοτε τυγχάνει γράμμασι καὶ ἅπασιν ὁπόσων πόλεις δέονται, καὶ πάλιν δι' εἰωθότων ἐτῶν ὥσπερ νόσημα ἥκει φερόμενον αὐτοῖς ῥεῦμα οὐράνιον καὶ τοὺς ἀγραμμάτους τε καὶ ἀμούσους ἔλιπεν ὑμῶν, ὥστε πάλιν ἐξ ἀρχῆς οἷον νέοι γίγνεσθε, οὐδὲν εἰδότες οὔτε τῶν τῇδε οὔτε τῶν παρ' ὑμῖν, ὅσα ἦν ἐν τοῖς παλαιοῖς χρόνοις.
그런데 그대들에게서든 이곳에서든 다른 우리가 전언으로 아는 곳들 중 다른 어떤 곳에서든, 만일 어딘가에서 뭔가 아름답거나 대단한 일이 이루어졌거나 뭔가 다른 특출난 일이 있으면, 그 모든 것들이 고대로부터 이곳에 기록되고 신전들에서 보존된 것들이라오. 그런데 그대들이나 혹은 다른 이들에게서 그때마다 당장 폴리스가 필요로 하게 되는 그 만큼의 것들 중 문자들이과 온갖 것들이 마련되어서, 다시 일정한 연수들을 거쳐 마치 질병처럼 하늘의 격류가 그들에게 덥쳐 오고 그대들 중 문맹들과 교양없는 자들이 남아, 다시 처음부터 말하자면 어려지게 된다오, 이곳의 것들이든 당신들에게 있는 것들이든, 고대의 시간들 속에서 있던 모든 것들을 아무것도 모르는 채로 말이오.
τὰ γοῦν νυνδὴ γενεαλογηθέντα, ὦ Σόλων, περὶ τῶν παρ' ὑμῖν ἃ διῆλθες, παίδων βραχύ τι διαφέρει μύθων, οἳ πρῶτον μὲν ἕνα γῆς κατακλυσμὸν μέμνησθε πολλῶν ἔμπροσθεν γεγονότων, ἔτι δὲ τὸ κάλλιστον καὶ ἄριστον γένος ἐπ' ἀνθρώπους ἐν τῇ [Stephanus page 23, section b, line 8] χώρᾳ παρ' ὑμῖν οὐκ ἴστε γεγονός, ἐξ ὧν σύ τε καὶ πᾶσα ἡ πόλις ἔστιν τὰ νῦν ὑμῶν, περιλειφθέντος ποτὲ σπέρματος βραχέος, ἀλλ' ὑμᾶς λέληθεν διὰ τὸ τοὺς περιγενομένους ἐπὶ πολλὰς γενεὰς γράμμασιν τελευτᾶν ἀφώνους.
그러니 방금 계보를 좇아 진술된 것들은, 솔론, 그대들에게서의 일들에 관하여 그대가 상술했던 그것들은, 아이들의 동화들과 별반 다를 것도 없으니, 우선 그대들은 한 차례의 지상의 범람을 기억하는데 앞서 많은 범람들이 일어났음에도 그리하며, 나아가 인간들에게 가장 아름답고도 훌륭한 유가 그 자리에서 그대들 곁에 생겼었음을 알지 못하오, 당신이나 온 폴리스 즉 오늘날 그대들의 것들이 그들로부터 나오는데, 언젠가 소수의 씨앗이 남겨졌기 때문이나, 문자로써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많은 유들이 죽음을 맞이하였다는 이유로 그대들은 잊어 버렸소.
ἦν γὰρ δή ποτε, ὦ Σόλων, ὑπὲρ τὴν μεγίστην φθορὰν ὕδασιν ἡ νῦν Ἀθηναίων οὖσα πόλις ἀρίστη πρός τε τὸν πόλεμον καὶ κατὰ πάντα εὐνομωτάτη διαφερόντως· ᾗ κάλλιστα ἔργα καὶ πολιτεῖαι γενέσθαι λέγονται κάλλισται πασῶν ὁπόσων ὑπὸ τὸν οὐρανὸν ἡμεῖς ἀκοὴν παρεδεξάμεθα.’
왜냐하면, 솔론, 실로 언젠가 그 물에 의한 대멸망에 앞서 오늘날 아테네인들에게 속한 그 폴리스는 전쟁에 대해서 최고였을 뿐만 아니라 모든 일들에서 특출나게 법제가 가장 잘 갖추어졌었기 때문이오. 그 폴리스에서 하늘 아래 우리들이 전하여 들었던 그 모든 것들 중 가장 아름다운 업적들과 시민들이 이루어졌다고 전해진다오.

-蟲-

45 Body

A Cicero, Acad. 1. 39 (SVF 1.90)
discrepabat [sc. Zeno] etiam ab iisdem [sc. Academicis et Peripateticis] quod nullo modo arbitrabatur quidquam effici posse ab ea [sc. natura] quae expers esset corporis - cuius generis Xenocrates et superiores etiam animum esse dixerant - nec vero aut quod efficeret aliquid aut quod efficeretur posse esse non corpus.
제논은 아카데미학파와 소요학파와 의견을 달리 한다, 본성상 물체와 독립적인 것 - 크세노크라테스와 그 이전 사람들이 또한 영혼이 그 부류에 속한다고 말했었던 - 그것에 의해 무엇이든 본성상 영향받을 수 있다고 어떤 식으로도 생각하지 않았고 다른 것에 작용하는 것이든 작용받는 것이든 물체가 아닐 수 있다고 생각지도 않았기 때문이다.

B Sextus Empiricus, M. 8.263 (SVF 2.363)
τὸ γὰρ ἀσώματον κατ᾿ αὐτοὺς οὔτε ποιεῖν τι πέφυκεν οὔτε πάσχειν.
왜냐하면 그들에 따르면 비물체적인 것인 본래 조금도 작용하지도 작용받지도 못하기 때문이다.

C Nemesius 78.7-79.2 (SVF 1.518, part)
(1) ἔτι φησίν· οὐδὲν ἀσώματον συμπάσχει σώματι, οὐδὲ ἀσωμάτῳ σῶμα, ἀλλὰ σῶμα σώματι· (2) συμπάσχει δὲ ἡ ψυχὴ τῷ σώματι νοσοῦντι καὶ τεμνομένῳ, καὶ τὸ σῶμα τῇ ψυχῇ· αἰσχυνομένης γοῦν ἐρυθρὸν γίνεται καὶ φοβουμένης ὠχρόν· (3) σῶμα ἄρα ἡ ψυχή.
(1) 더 나아가 그들은 말한다: 어떤 비물체적인 것도 물체에게 상호작용받지 않고, 물체와 비물체에게 그리하지 않으며, 그러나 물체는 물체와 그리한다: (2) 그런데 영혼은 신체가 병에 걸렸을 때 그리고 잘렸을 때 그 물체에 의해 상호작용받고, 신체도 영혼에 의해 그러하다: 그렇기에 (영혼이) 수치스러울 경우 (물체가) 붉어지고 (영혼이) 두려울 경우 (물체가) 창백해진다: (3) 그래서 영혼은 물체이다.

D Nemesius 81.6-10 (SVF 2.790, part)
(1) Χρύσιππος δέ φησιν ὅτι ὁ θάνατός ἐστι χωρισμὸς ψυχῆς ἀπὸ σώματος· (2) οὐδὲν δὲ ἀσώματον ἀπὸ σώματος χωρίζεται· (3) οὐδὲ γὰρ ἐφάπτεται σώματος ἀσώματον· (4) ἡ δὲ ψυχὴ καὶ ἐφάπτεται καὶ χωρίζεται τοῦ σώματος· (5) σῶμα ἄρα ἡ ψυχή.
그런데 크뤼싶포스는 죽음이 육체로부터 영혼의 분리라고 말한다: (2) 헌데 어떤 비물체적인 것도 물체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3) 왜냐하면 어떤 비물체도 물체에 접촉하지 않으니까: (4) 그런데 영혼은 물체에 접촉하기도 하고 분리되기도 한다: (5) 그래서 영혼은 물체이다.

E Diogenes Laertius 7.135 (SVF 3 Apollodorus 6, part)
σῶμα δ᾿ ἐστίν, ὥς φησιν Ἀπολλόδωρος ἐν τῇ Φυσικῇ, τὸ τριχῇ διαστατόν, εἰς μῆκος, εἰς πλάτος, εἰς βάθος· τοῦτο δὲ καὶ στερεὸν σῶμα καλεῖται.
아폴로도로스가 『자연학』에서 말하듯, 물체는 길이, 넓이, 깊이로의 세 차원을 가진 것이다: 그런데 이런 것은 고체로도 불리운다.

F Galen, Qual. inc. 19.483, 13-16 (SVF 2.381, part)
διὰ τί δὲ μόνον . . . τοῦ σώματος τοῦτον ὅρον εἶναί φασιν τὸ τριχῇ διαστατὸν μετὰ ἀντιτυπίας, οὐχὶ δὲ καὶ χρόαν καὶ χυλὸν καὶ χυμὸν καὶ τῶν λοιπῶν συμβεβηκότων ἕκαστον οὕτως ὁρίζονται;
무엇 때문에 오직 . . . 저항을 지닌 세 차원을 가진 것이라는 이 점만이 물체의 징표(경계, 정의)라고 하면서, 색도 맛도 향도 남은 부수적인 것들 각각도 그런 식으로 정의하지 않는가?

G Aristotle (Eusebius, Pr. ev. 15.14.1 = SVF 1.98, part)
στοιχεῖον εἶναί φησι [sc. Ζήνων] τῶν ὄντων τὸ πῦρ, καθάπερ Ἡράκλειτος, τούτου δ᾿ ἀρχὰς ὕλην καὶ θεόν, ὡς Πλάτων. ἀλλ᾿ οὗτος ἄμφω σώματά φησιν εἶναι, καὶ τὸ ποιοῦν καὶ τὸ πάσχον, ἐκείνου τὸ πρῶτον ποιοῦν αἴτιον ἀσώματον εἶναι λέγοντος.
그는 헤라클레이토스와 마찬가지로, 불이 있는 것들의 원소라고, 그리고 플라톤처럼, 그 불의 원리들이 질료와 신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이 자는 능동자와 수동자, 양자가 사물들이라 말한다, 저 사람(플라톤)이 최초의 운동인은 비물체적이라고 말함에도.

H Alexander, Mixt. 224.32-225.3 (SVF 2.310, part)
αἰτιάσαιτο δ᾿ ἄν τις εὐλόγως αὐτῶν ἐνταῦθα τοῦ λόγου γενόμενος καὶ τὸ δύο ἀρχὰς τῶν πάντων λέγοντας εἶναι ὕλην τε καὶ θεόν, ὧν τὸν μὲν ποιοῦντα εἶναι τὴν δὲ πάσχουσαν, μεμῖχθαι τῇ ὕλῃ λέγειν τὸν θεόν, διὰ πάσης αὐτῆς διήκοντα καὶ σχηματίζοντα αὐτήν, καὶ μορφοῦντα καὶ κοσμοποιοῦντα τούτῳ τῷ τρόπῳ.
누군가는 그들의 진술(이론)이 여기에서 합리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모든 것들의 두 가지 원리들이 질료와 신이라고 말하는 자들을 지적할 것이다, 신은 능동적이고 질료는 수동적이라고, 신이 질료와 섞인다고, 모든 질료에 걸쳐 스며들어 질료를 틀 잡아 주며, 바로 그 방식으로 형태를 부여하고 질서잡음으로써 그리한다고 말한다고.

46 God, fire, cosmic cycle

A Aetius 1.7.33 (SVF 2.1027, part)
(1) οἱ Στωικοὶ νοερὸν θεὸν ἀποφαίνονται, πῦρ τεχνικὸν ὁδῷ βαδίζον ἐπὶ γενέσει κόσμου, ἐμπεριειληφός <τε> πάντας τοὺς σπερματικοὺς λόγους καθ᾿ οὓς ἅπαντα καθ᾿ εἱμαρμένην γίνεται, (2) καὶ πνεῦμα μὲν ἐνδιῆκον δι᾿ ὅλoυ τοῦ κόσμου, τὰς δὲ προσηγορίας μεταλαμβάνον κατὰ τὰς τῆς ὕλης, δι᾿ ἧς κεχώρηκε, παραλλάξεις.
(1) 스토아 학파는 합리적인 신을, 길을 따라 우주의 생성으로 나아가는 기술적인(지적인?) 불이라 주장하고, 그에 따라 모든 만물이 운명에 따라 생겨나는 그 씨앗이 되는 모든 로고스들을 포함한 것이라 주장한다, (2) 그리고 우주 전체에 걸쳐 스며들은 숨결로도 주장한다, 숨이 그를 통해 진행한 그 질료의 갈마듦들에 따라 이름들을 바꾸는 것으로서.

B Diogenes Laertius 7.135-6 (SVF 1.102, part)
(1) ἕν τ᾿ εἶναι θεὸν καὶ νοῦν καὶ εἱμαρμένην καὶ Δία, πολλαῖς τ᾿ ἑτέραις ὀνομασίαις προσονομάζεσθαι. (2) κατ᾿ ἀρχὰς μὲν οὖν καθ᾿ αὑτὸν ὄντα τρέπειν τὴν πᾶσαν οὐσίαν δι᾿ ἀέρος εἰς ὕδωρ. καὶ ὥσπερ ἐν τῇ γονῇ τὸ σπέρμα περιέχεται, οὕτω καὶ τοῦτον σπερματικὸν λόγον ὄντα τοῦ κόσμου, τοιόνδε ὑπολείπεσθαι ἐν τῷ ὑγρῷ, εὐεργὸν αὑτῷ ποιοῦντα τὴν ὕλην πρὸς τὴν τῶν ἑξῆς γένεσιν. (3) εἶτ᾿ ἀπογεννᾶν πρῶτον τὰ τέσσαρα στοιχεῖα, πῦρ, ὕδωρ, ἀέρα, γῆν.
(1) 신과 지성과 운명과 제우스는 하나라고,다른 많은 이름들로도 명명된다고 한다. (2) 그러므로 원리들에 따라서는 그 스스로 존재하며 모든 존재를 공기를 통해 물로 전환시킨다고 한다. 그리고 종자(정액?) 안에서 정자가 감싸여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그렇게 우주의 이 씨앗 되는 로고스로서, 이와 같은 신은 습기 안에 남겨져 있다고, 질료를 자신에게 연이는 것들의 생성을 우해 쓸 만한 것으로 만들면서 그렇다고 말한다. (3) 그리하여 최초에 네 가지 씨앗들, 불, 물, 공기, 땅을 산출했다고 한다.

-蟲-

프로타고라스, 프로디코스, 이중논변, 이암블리코스 강독 2주차 (프로타고라스, 교육i관련 단편 外)
교육관련 단편들: Plato, Protagoras 318e4-319a2 (DK80 A5), Anecdota Parisiensia I.171.31 (De Hippomacho B 3) (DK80 B3) (‘Megas Logos’), Stobaeus iii (Flor.) 29.80 (DK80 B10), Plutarch, On Practice 178.25 (DK80 B11).

Plato, Protagoras 318e4-319a2.
οἱ μὲν γὰρ ἄλλοι λωβῶνται τοὺς νέους· τὰς γὰρ τέχνας αὐτοὺς πεφευγότας ἄκοντας πάλιν αὖ ἄγοντες ἐμβάλλουσιν εἰς τέχνας, λογισμούς τε καὶ ἀστρονομίαν καὶ γεωμετρίαν καὶ μουσικὴν διδάσκοντες - καὶ ἅμα εἰς τὸν Ἱππίαν ἀπέβλεψεν - παρὰ δ' ἐμὲ ἀφικόμενος μαθήσεται οὐ περὶ ἄλλου του ἢ περὶ οὗ ἥκει. τὸ δὲ μάθημά ἐστιν εὐβουλία [Stephanus page 318, section e, line 6] περὶ τῶν οἰκείων, ὅπως ἂν ἄριστα τὴν αὑτοῦ οἰκίαν διοικοῖ, καὶ περὶ τῶν τῆς πόλεως, ὅπως τὰ τῆς πόλεως δυνατώτατος ἂν εἴη καὶ πράττειν καὶ λέγειν.

다른 이들은 젊은이들을 망쳐 버린다네: 왜냐하면 기술들을 꺼려하며 기피하였던 그들을 다시 또 기술들로 쳐박아 버리기 때문이지, 산술과 천문 그리고 기하와 음악을 가르침으로써 말일세 - 그러는 동안에도 그는 히피아스를 바라보았다네 - 그런데 내게 와서는 지금 그가 관련하는 일이나 그 밖의 것에 관하여 배우지는 않을 걸세. 그러나 내게서 배울거리는 집안의 일들과 관련한 숙고, 즉 가능한 한 최선으로 그 자신의 집을 다스리도록 하는 것, 그리고 폴리스의 일들에 관련하여서도, 폴리스의 일들을 가장 유능하게 해내고 또 말하도록 하는 것이지.

ΜΕΓΑΣ ΛΟΓΟΣ : ὅτι ἐν τῷ ἐπιγραφομένῷ 'Μεγάλῳ Λόγῳ' ὁ Πρωταγόρας εἶπε· "φύσεως καὶ ασκήσεως διδασκαλία δεῖται" καὶ "ἀπὸ νεότητος δὲ ἀρξαμένους δεῖ μανθάνειν". οὐκ ἂν δὲ ἔλεγε τοῦτο, εἰ αὐτὸς ὀψιμαθὴς ἦν, ὡς ἐνόμιζε καὶ ἔλεγεν Ἐπίκουρος περὶ Πρωταγόρου[fr. 173 Usener; cf. DK68 A9].

『위대한 연설』이라 제목 붙은 글에서 프로타고라스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는 것이다: "가르침은 본성과 훈련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사람들은 어린 시절부터 배우기 시작해야 한다". 그런데 그는 이걸 말하지 않았을 것이다, 만일 에피쿠로스가 프로타고라스에 관하여 생각하고 말했던 것처럼, 그가 늦게 배운 사람이었다면.

Nicht sproßt Bildung in der Seele, wenn man nicht zu zu Tiefe kommt.
La culture n'écôt pas dan l'â,e; quand on manque de raciness profondes.
Education does not sprout in the soul unless one goes to a great depth.

인간이 심연으로 나아가지 않는 한, 교육은 그 영혼 안에 아무것도 싹틔우지 못한다.
Πρωταγόρας ἔλεγε μηδὲν εἶναι μήτε τέχνην ἄνευ μελέτης μήτε μελέτην ἄνευ τέχνης.
프로타고라스는 연마 없는 기술도 기술 없는 연마도 아무것도 아니라고 말했다.

‘있음/~임에 대하여’:
Porphyry, from Book I of the Lecture on Literature (Eusebius, Preparation for the Gospel X.3.25) (DK80 B2)
ΠΕΡΙ ΤΟΥ ΟΝΤΟΣ : ἀπὸ τοῦ α τῆς Φιλολόγου ἀκροάσεως b.
σπάνια δὲ τὰ τῶν πρὸ τοῦ Πλάτωνος γεγονότων βιβλία, ἐπεὶ ἴσως πλείους ἄν τις ἐφώρασε τοῦ φιλοσόφου <κλοπάς>· ἐγὼ δ᾿ οὖν, ᾗ κατὰ τύχην περιπέπτωκα, Πρωταγόρου τὸν 'Περὶ τοῦ ὄντος' ἀναγινώσκων λόγον πρὸς τοὺς ἓν τὸ ὄν εἰσάγοντας τοιαύταις αὐτὸν εὑρίσκω χρώμενον ἀπαντήσεσιν· ἐσπούδασα γὰρ αὐταῖς λέξεσι τὰ ῥηθέντα μνημονεύειν. [Eusebius ad.] Καὶ ταῦτ᾿ εἰπὼν διὰ πλειόνων τίθησι τὰς ἀποδείξεις.
플라톤 이전에 태어난 자들의 책들은 드문데, 아마도 누군가 그 철학자의 대부분의 것들이 표절들임을 발견했을 것이다: 그러므로 나는, 우연히 맞딱드린 방식으로, 프로타고라스의 『~인 것에 관하여』를 읽으며 다음과 같은 추론들로써 ~인 것을 하나로 도입하는 자들에 대항하여 선언하는 연설(logos)을 발견한다: 왜냐하면 내가 그 연설들로써 이야기된 바들을 간절히 기억하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그는 이것들을 말하면서 많은 것들에 걸쳐 과시연설들로 세운다.

‘안티로기아이’: Diogenes Laertius, Lives of the Eminent Philosophers 3.37, 3.57 (DK80 B5)
ΑΝΤΙΛΟΓΙΩΝ AB
Εὐφορίων δὲ καὶ Παναίτιος εἰρήκασι πολλάκις ἐστραμμένην εὑρῆσθαι τὴν ἀρχὴν τῆς Πολιτείας. ἣν Πολιτείαν Ἀριστόξενός φησι πᾶσαν σχεδὸν ἐν τοῖς Πρωταγόρου γεγράφθαι Ἀντιλογικοῖς. Πολιτείας … ἣν καὶ εὑρίσκεσθαι σχεδὸν ὅλην παρὰ Πρωταγόρᾳ ἐν τοῖς Ἀντιλογικοῖς φησι Φαβωρῖνος ἐν Παντοδαπῆς ἱστορίας δευτέρῳ.
에우포리온과 파나이티오스는 자주 정체의 기원이 갈마든다는 것이 발견되었다고 말했다. 아리스토크세노스는 프로타고라스에 의해 쓰여진 『반박들』에서 이러한 거의 모든 정체를 말한다. 정체들을 … 이런 것으로 그리고 프로타고라스의 『반박들』에서 거의 전체적인 정체가 발견되었다고 파보리노스는 『모든 것의 역사』2권에서 말한다.

프로타고라스 단편 6-9
ΤΕΧΝΗ ΕΡΙΣΤΙΚΩΝ
Cicero, Brutus 12.46. : scriptasque fuisse et paratas a Protagora rerum inlustrium disputationes, quae nunc communes appellantur loci.
프로타고라스에 의해 명백한 것들에 대한 반박(논쟁)들이 기록되고 마련되었다, 그 반박들은 오늘날 공통된 주제들로 명명된다.
inlustrium : bright, clear, famous.
Quintilian Ⅲ 1.10. : Abderites P., a quo decem milibus denariorum didicisse artem, quam edidit, Euathlus dicitur [cf. DL.9.54, 9.56(DK80 A1); Eusebius' Chronicle according to Jerome and Apuleius' Florida 18(DK80 A4)].

압데라 출신의 프로타고라스는, 전해지는 바, 그로부터 에우아틀로스가 1만 데나리우스(은화 단위)에 기술(지식)을 배웠다고 이야기된다.

1,12: horum primi communis locos tractasse dicuntur P., Gorgias, afectus Prodicus et Hippias et idem P., et Thrasymachus.
이들 중 최초로 공통된 주제들을 다룬 것으로 프로타고라스가 이야기되고, 고르기아스, 프로디코스와 히피아스 그리고 마찬가지로 프로타고라스, 또한 트라시마코스가 영향 받은 것으로 이야기된다.

참고 Eusebius’ Chronicle according to Jerome and Apuleius’ Florida 18 (DK80 A4)
EUSEB. Chron. Hier: Euripides ... clarus habetur et P. sophista cuius libros decreto publico Athenienses combusserunt Ol. 84 [444—41].
에우리피데스는 … 유명하다고 간주되며 소피스테스인 프로타고라스는 그의 책들을 공식 판결로써 아테네인들이 불태웠다.
APUL. Flor. 18: P. qui sophista fuit longe multiscius et cum primis rhetoricae repertoribus perfacundus, Democriti physici civis aequaevus (inde ei suppeditata doctrina est), eum Protagoran aiunt cum suo sibi discipulo Euathlo mercedem nimis uberem condicione temeraria pepigisse etc.
오랫동안 소피스테스였으며 초창기 수사학의 고안자들 사이에서 특히 연설에 뛰어났던, 프로타고라스는 자연학자 데모크리토스의 당대 동료시민이었고(따라서 그에게서 교육을 받았다), 사람들은 이 프로타고라스가 자신의 제자 에우아틀로스에게 막대한 금액을 보수로 일상적인 상황에서 제시했다고 이야기한다.
perfacundus : very eloquent.
DL.9.51(DK80 A1) : Καὶ πρῶτος (Π.) ἔφη δύο λόγους εἶναι περὶ παντὸς πράγματος ἀντικειμένους ἀλλήλοις·
그는 모든 문제에 관련한 진술들이 서로 반대되는 두 가지라고 말한다.
Aristotle, Rhetoric Ⅱ 24.1402a23 : τὸ τὸν ἥττω δὲ λόγον κρείττω ποιεῖν.

약한 진술을 강하게 만드는 것.

ΠΕΡΙ ΤΩΝ ΜΑΘΗΜΑΤΩΝ
Aristotle, Metaphysics Ⅲ 2.997b32-998a4 : ἅμα δὲ οὐδὲ τοῦτο ἀληθές, ὡς ἡ γεωδαισία τῶν αἰσθητῶν ἐστὶ μεγεθῶν καὶ φθαρτῶν· ἐφθείρετο γὰρ ἂν φθειρομένων. - ἀλλὰ μὴν οὐδὲ τῶν αἰσθητῶν ἂν εἴη μεγεθῶν οὐδὲ περὶ τὸν οὐρανὸν ἡ ἀστρολογία τόνδε. οὔτε γὰρ αἱ αἰσθηταὶ γραμμαὶ τοιαῦται εἰσιν οἵας λέγει ὁ γεωμέτρης· οὐθὲν γὰρ εὐθὺ τῶν αἰσθητῶν οὕτως οὐδὲ στρογγύλον· ἅπτεται γὰρ τοῦ κανόνος οὐ κατὰ στιγμὴν ὁ κύκλος ἀλλ᾿ ὥσπερ Πρωταγόρας ἔλεγεν ἐλέγχων τοὺς γεωμέτρας, οὔθ᾿

그러나 동시에 이것은, 측지(기하)학이 감각들과 크기들 그리고 소멸하는 것들에 대한 것이라고 하는 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 소멸하는 것들에 관한 것이었다면 <기하학은> 소멸하였을 테니까. - 그러나 물론 이런 점에서 하늘에 관한 천문학도 감각되는 크기들에 속하는 것도 아니다. 왜냐하면 이와 같은 감각되는 선들은 기하학자가 진술하는 그러한 것들도 아니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감각되는 것들 중 곧바로 그 어떤 것도 그런 식으로 완전구형이지 않기 때문이다: 즉 프로타고라스가 기하학자들을 논박하며 진술하였던 것처럼 원이 점에서 직선에 접하는 게 아니라,


ΠΕΡΙ ΠΑΛΗΣ
Plato, Sophist 232d5-e1, 233a5-7 :
ΞΕ. Τά γε μὴν περὶ πασῶν τε καὶ κατὰ μίαν ἑκάστην τέχνην, ἃ δεῖ πρὸς ἕκαστον αὐτὸν τὸν δημιουργὸν ἀντειπεῖν, δεδημοσιωμένα που καταβέβληται γεγραμμένα τῷ βουλομένῳ μαθεῖν.
각각의 바로 그 장인을 상대로 논박해야 하는 것들, 모든 일들에 관하여 또한 단 하나의 기술에 따라서 그런 것들이, 아마도  배우기를 바라는 자를 위해 출판되어 글로 쓰여졌지.
ΘΕΑΙ. Τὰ Πρωταγόρειά μοι φαίνῃ περί τε πάλης καὶ τῶν ἄλλων τεχνῶν εἰρηκέναι.

프로타고라스의 글들이 씨름에 관하여서도 그 밖의 기술들에 관하여서도 말한 것으로 제게는 보입니다.
ΞΕ. Πῶς οὖν ἄν ποτέ τις πρός γε τὸν ἐπιστάμενον αὐτὸς ἀνεπιστήμων ὢν δύναιτ᾿ ἂν ὑγιές τι λέγων ἀντειπεῖν;
그렇다면 어떻게 도대체 누구인들 스스로 알지 못하는 자이면서 바로 그 아는 자를 상대로 뭔가 건전한 말을 하며 반박할 수 있겠는가?
ΘΕΑΙ. Οὐδαμῶς.
결코 그럴 수 없습니다.
ΠΕΡΙ ΠΟΛΙΤΕΙΑΣ΢[cf. DL. 9.55 (DK80 A1) and 3.37 & 57 (DK80 B5)]
『정체에 관하여』
ΠΕΡΙ ΤΗΣ ΕΝ ΑΡΧΑΙ ΚΑΤΑΣΤΑΣΕΩΣ [cf. DL. 9.55 (DK80 A1) and Plato, Protagoras 320c8-324d1 (DK80 C1)]
『시초에서의 정착에 관하여』
ΠΕΡΙ ΦΙΛΟΤΙΜΙΑΣ΢ [cf. DL. 9.55 (DK80 A1)]
『명예욕에 관하여』
ΠΕΡΙ ΑΡΕΤΩΝ [cf. DL. 9.55 (DK80 A1)]
『덕(탁월함)들에 관하여』
ΠΕΡΙ ΤΩΝ ΟΥΚ ΟΡΘΩΣ ΤΟΙΣ ΑΝΘΡΩΠΟΙΣ ΠΡΑΣΣΟΜΕΝΩΝ [cf. DL. 9.55 (DK80 A1)]
『인간들에 의해 옳지 못하게 행해진 일들에 관하여』
ΠΡΟΣΤΑΤΙΚΟΣ΢ [cf. DL. 9.55 (DK80 A1)]
『위인(승자? 훌륭한 자?)』
ΔΙΚΗ ΥΠΕΡ ΜΙΣΘΟΥ [cf. DL. 9.55 &56 (DK80 A1) and Quintilian III 1.10 (DK80 B6)]
『보수를 위한 재판』
ΠΕΡΙ ΤΩΝ ΕΝ ΑΙΔΟΥ [cf. DL. 9.55 (DK80 A1)]
『저승에서의 일들에 관하여』


Plutarch, Letter of Consolation to Apollonius 33 p. 118e :
Περικλέα δὲ τὸν Ὀλύμπιον προσαγορευθέντα διὰ τὴν περὶ τὸν λόγον καὶ τὴν σύνεσιν ὑπερβεβλημένην δύναμιν, πυθόμενον ἀμφοτέρους αὐτοῦ τοὺς υἱοὺς μετηλλαχέναι τὸν βίον, Πάραλόν τε καὶ Ξάνθιππον, ὥς φησι Πρωταγόρας, εἰπὼν οὕτως· "τῶν γὰρ υἱέων νεηνιέων ἐόντων καὶ καλῶν, ἐν ὀκτὼ δὲ τῇσι πάσῃσιν ἡμέρῃσι ἀποθανόντων νηπενθέως ἀνέτλη· εὐδίης γὰρ εἴχετο, ἐξ ἧς πολλὸν ὤνητο κατὰ πᾶσαν ἡμέρην εἰς εὐποτμίην καὶ ἀνωδυνίην καὶ τὴν ἐν τοῖσι πολλοῖσι δόξαν· πᾶς γάρ τίς μιν ὁρέων τὰ ἑωυτοῦ πένθεα ἐρρωμένως φέροντα, μεγαλόφρονά τε καὶ ἀνδρήιον ἐδόκεε εἶναι καὶ ἑωυτοῦ κρέσσω, κάρτα εἰδὼς τὴν ἑωυτοῦ ἐν τοισίδε πρήγμασι ἀμηχανίην· τοῦτον γὰρ εὐθὺς μετὰ τὴν προσαγγελίαν ἀμφοτέρων τῶν υἱέων οὐδὲν ἧττον ἐστεφανωμένον κατὰ τὸ πάτριον ἔθος καὶ λευχειμονοῦντα δημηγορεῖν 'βουλάς τ᾿ ἐξάρχοντ᾿ ἀγαθὰς' πρός τε τὸν πόλεμον ἐπιπαρορμῶντα τοὺς Ἀθηναίους."
프로타고라스에 따르면, 그 설명과 이해에 관한 특출한 능력으로 인하여 올림푸스 출신이라 불린 페리클레스는, 그의 두 아들들, 파랄로스와 크산팊포스 모두 생을 저버렸음을 알게 되었고, 프로타고라스는 이렇게 말했다: "왜냐하면 그의 두 아들들이 젊고 아름다울 때, 이 여덟 날 전부에 그들이 죽었음에도 그는 슬픔으로부터 벗어나 견뎠다: 왜냐하면 평정을, 그로부터 날마다 좋은 운명과 고통으로부터의 자유를 향한 많은 유익을 얻고 또 많은 이들 사이에서 명성을 얻은, 평정을 유지하였기 때문이다: 누구든 모두 자신의 아픔들을 건강하게 견디는 그를 봄으로써, 위대한 지혜를 지니고 남자답다고 여겨지고 자기 자신보다 강하다고 여겨졌다, 특히나 바로 이러한 문제들에서 자신의 어찌할 수 없음을 앎으로써: 왜냐하면 이 사람은 자신의 두 아들들에 대한 전언에 바로 뒤이어 전혀 전례의 관습에 따라 관을 쓰지도 않고 흰 옷을 입지도 않고서 '훌륭한 조언들을 시작하며' 또한 아테네인들을 전쟁으로 고무시키며 연설하였다고 하기 때문이다."
μετηλλαχέναι : μεταλλάσσω, undergo a change, change.

-蟲-

{ΤΙ.} Οὕτως. 그렇습니다.

{ΣΩ.} Ἆρ' οὖν δὴ διεληλύθαμεν ἤδη καθάπερ χθές, ὡς ἐν κεφαλαίοις πάλιν ἐπανελθεῖν, ἢ ποθοῦμεν ἔτι τι τῶν [Stephanus page 19, section a, line 9] ῥηθέντων, ὦ φίλε Γ(Τ?)ίμαιε, ὡς ἀπολειπόμενον;
자, 그럼 이제 어제와 마찬가지로, 주요한 점들에 있어서는 다시 거슬러 가 본 바, 우리가 상술해 낸 것이지요? 아니면, 친애하는 티마이오스, 우리는 아직 이야기된 것들 중 뭔가를 남겨졌다고 여겨 아쉬워하고 있는 건가요?

{ΤΙ.} Οὐδαμῶς, ἀλλὰ αὐτὰ ταῦτ' ἦν τὰ λεχθέντα, ὦ Σώκρατες.
그럴리가요, 오히려 논의되었던 것들은 바로 그것들이었습니다, 소크라테스.

{ΣΩ.} Ἀκούοιτ' ἂν ἤδη τὰ μετὰ ταῦτα περὶ τῆς πολιτείας ἣν διήλθομεν, οἷόν τι πρὸς αὐτὴν πεπονθὼς τυγχάνω. προσέοικεν δὲ δή τινί μοι τοιῷδε τὸ πάθος, οἷον εἴ τις ζῷα καλά που θεασάμενος, εἴτε ὑπὸ γραφῆς εἰργασμένα εἴτε καὶ ζῶντα ἀληθινῶς ἡσυχίαν δὲ ἄγοντα, εἰς ἐπιθυμίαν ἀφίκοιτο θεάσασθαι κινούμενά τε αὐτὰ καί τι τῶν τοῖς σώμασιν δοκούντων προσήκειν κατὰ τὴν ἀγωνίαν ἀθλοῦντα· ταὐτὸν καὶ ἐγὼ [Stephanus page 19, section c, line 2] πέπονθα πρὸς τὴν πόλιν ἣν διήλθομεν.
이제 우리가 어제 상술하였던 정체에 관하여 그것들 다음 것들을 여러분들께서 들어보시길 바랍니다, 말하자면 그 정체에 대해 내가 마침 어떤 감정을 겪었는지(어떤 기분이 들었는지) 같은 것을 말입니다. 그 감정은 내가 보기에 이런 어떤 자와 닮았는데, 예를 들어 만일 누군가 아름다운 동물을 어딘가에서 보게 되고서, 그림으로 이루어진 것이든 참으로 살아있는 것이나 침묵하고 있는 것이든 말이오, 그렇다면 그것이 움직이는 것을, 그리고 그 몸체들에 어울리는 것들 중 뭔가에 있어서 경연을 통해 겨루는 걸 보고 싶은 열망에 다다를 것이듯이 말입니다: 나 또한 이런 감정을 우리가 상술하였던 그 폴리스에 대해 겪었답니다.
ἡδέως γὰρ ἄν του λόγῳ διεξιόντος ἀκούσαιμ' ἂν ἄθλους οὓς πόλις ἀθλεῖ, τούτους αὐτὴν ἀγωνιζομένην πρὸς πόλεις ἄλλας, πρεπόντως εἴς τε πόλεμον ἀφικομένην καὶ ἐν τῷ πολεμεῖν τὰ προσήκοντα ἀποδιδοῦσαν τῇ παιδείᾳ καὶ τροφῇ κατά τε τὰς ἐν τοῖς ἔργοις πράξεις καὶ κατὰ τὰς ἐν τοῖς λόγοις διερμηνεύσεις πρὸς ἑκάστας τῶν πόλεων. ταῦτ' οὖν, ὦ Κριτία καὶ Ἑρμόκρατες, ἐμαυτοῦ μὲν αὐτὸς κατέγνωκα μή ποτ' ἂν δυνατὸς γενέσθαι τοὺς ἄνδρας καὶ τὴν πόλιν ἱκανῶς ἐγκωμιάσαι.
그야 저는 폴리스가 겨루는 그 경연들이라면, 다른 폴리스들과 그 폴리스가 경연하는 그것들을 진술로써 상술해 주시는 분께 기쁘게 귀기울일 테니까요, 전투에 적절하게 임하고 또 전투를 수행함에 있어서 적절한 일들을 교육과 양육으로써 폴리스들 각각에 대해 실전에서의 일들에 따라서도 진술들로 행하는 교섭들에서의 일들에 따라서도 제공하는 것을 말입니다. 그러므로 이런 점들에서, 크리티아스와 헤르모크라테스, 제 스스로 저 자신에 대해 그 사람들과 폴리스를 충분히 칭송할 능력을 결코 갖추지 못할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
διερμηνεύσεις : parleying.
καὶ τὸ μὲν ἐμὸν οὐδὲν θαυμαστόν· ἀλλὰ τὴν αὐτὴν δόξαν εἴληφα [Stephanus page 19, section d, line 4] καὶ περὶ τῶν πάλαι γεγονότων καὶ περὶ τῶν νῦν ὄντων ποιητῶν, οὔτι τὸ ποιητικὸν ἀτιμάζων γένος, ἀλλὰ παντὶ δῆλον ὡς τὸ μιμητικὸν ἔθνος, οἷς ἂν ἐντραφῇ, ταῦτα μιμήσεται ῥᾷστα καὶ ἄριστα, τὸ δ' ἐκτὸς τῆς τροφῆς ἑκάστοις γιγνόμενον χαλεπὸν μὲν ἔργοις, ἔτι δὲ χαλεπώτερον λόγοις εὖ μιμεῖσθαι.
또 제 경우는 전혀 놀랄 것도 없고 말입니다: 허나 고대에 생겨났던 시인들에 관해서도 오늘날의 시인들에 관하여서도 저는 마찬가지 의견을 가졌습니다, 시인의 일을 하는 부류를 가벼이 여겨서가 아니라, 오히려 모방에 종사하는 집단은, 그로써 양육받은 바의 것들, 그것들은 매우 쉽게 또 아주 훌륭하게 모방할 테지만, 그 양육 밖의 것은 각기 실제의 일들로써 이루어지기 어려운 것이고, 더욱이 진술들로써 잘 모방해내기란 더욱 어려운 것이라는 게 모두에게 분명합니다.
τὸ δὲ τῶν σοφιστῶν γένος αὖ πολλῶν μὲν λόγων καὶ καλῶν ἄλλων μάλ' ἔμπειρον ἥγημαι, φοβοῦμαι δὲ μή πως, ἅτε πλανητὸν ὂν κατὰ πόλεις οἰκήσεις τε ἰδίας οὐδαμῇ διῳκηκός, ἄστοχον ἅμα φιλοσόφων ἀνδρῶν ᾖ καὶ πολιτικῶν, ὅσ' ἂν οἷά τε ἐν πολέμῳ καὶ μάχαις πράττοντες [Stephanus page 19, section e, line 7] ἔργῳ καὶ λόγῳ προσομιλοῦντες ἑκάστοις πράττοιεν καὶ λέγοιεν.
그런데 이번엔 소피스테스들의 부류는 많은 진술들과 그 밖의 아름다운 것들에 경험이 많은 부류라 제가 생각하지만, 다른 한편, 폴리스들에 따라 떠돌아다니며 고유한 거주지들에 한 번도 정착하지 않았던 탓에, 그와 동시에 철학하는 자들과 정치가들에게, 그런 자들이 전쟁과 전투들에서 실천으로써 수행하며 또한 진술로써 협상하며 각각의 것으로써 수행해내고 진술해낼 만큼에, 어떤 식으로 미치지 못하는 부류는 아닐까 저어됩니다.
διῳκηκός : διοικέω pf. inhabit distinct places.
καταλέλειπται δὴ τὸ τῆς ὑμετέρας ἕξεως γένος, ἅμα ἀμφοτέρων φύσει καὶ τροφῇ μετέχον. Τίμαιός τε γὰρ ὅδε, εὐνομωτάτης ὢν πόλεως τῆς ἐν Ἰταλίᾳ Λοκρίδος, οὐσίᾳ καὶ γένει οὐδενὸς ὕστερος ὢν τῶν ἐκεῖ, τὰς μεγίστας μὲν ἀρχάς τε καὶ τιμὰς τῶν ἐν τῇ πόλει μετακεχείρισται, φιλοσοφίας δ' αὖ κατ' ἐμὴν δόξαν ἐπ' ἄκρον ἁπάσης ἐλήλυθεν· Κριτίαν δέ που πάντες οἱ τῇδε ἴσμεν οὐδενὸς ἰδιώτην ὄντα ὧν λέγομεν. τῆς δὲ Ἑρμοκράτους αὖ περὶ φύσεως καὶ τροφῆς, πρὸς ἅπαντα ταῦτ' εἶναι ἱκανὴν πολλῶν μαρτυρούντων [Stephanus page 20, section b, line 1] πιστευτέον.
그래서 여러분들과 같은 상태의 부류가 남습니다, 그 양자 모두에 본성으로써 그리고 양육으로써 관여하는 부류 말입니다. 왜냐하면 여기 이 분 티마이오스께서는, 법이 잘 갖추어진 폴리스인 이탈리아의 도크리스에 속하시며, 재산으로든 출신으로든 저 사람들 그 누구에도 뒤쳐지지 않는 분으로서, 그 폴리스의 사람들 중 가장 대단한 직책들과 명예를 손에 넣으셨고, 그런가 하면 또 제 의견으로는 철학 전반의 정점에 닿으셨으니까요: 그런데 아마 크리티아스도 이 자리의 우리 모두가 그 분께서 우리가 논하였던 것들 중 무엇에 대해서도 문외한이 아니시란 점을 알고 있습니다. 이번엔 헤르모크라테스의 본성과 양육에 관하여서, 이와 같은 모든 점들에 대해 그것으로 충분하다는 것을 많은 이들이 증언하는 마당에 믿어야 합니다.
μετακεχείρισται : μεταχειρίζω pf. mp. have in hand.
διὸ καὶ χθὲς ἐγὼ διανοούμενος, ὑμῶν δεομένων τὰ περὶ τῆς πολιτείας διελθεῖν, προθύμως ἐχαριζόμην, εἰδὼς ὅτι τὸν ἑξῆς λόγον οὐδένες ἂν ὑμῶν ἐθελόντων ἱκανώτερον ἀποδοῖεν - εἰς γὰρ πόλεμον πρέποντα καταστήσαντες τὴν πόλιν ἅπαντ' αὐτῇ τὰ προσήκοντα ἀποδοῖτ' ἂν μόνοι τῶν νῦν - εἰπὼν δὴ τἀπιταχθέντα ἀντεπέταξα ὑμῖν ἃ καὶ νῦν λέγω.
이런 이유로 어제도 제가 생각하면서, 그 정체에 관한 일들을 상술하길 여러분들께서 청하실 때, 기꺼이 응하였지요, 이어질 논의를 여러분들께서 제공하고자 바라실 경우 그보다 더 만족스럽게 할 수 있는 자들은 전혀 없다는 사실을 제가 알고서 말입니다 - 왜냐하면 그 폴리스가 적절히 전쟁에 나선다고 가정하고서 그 도시에 적절한 모든 것들을 내놓으실 분들은 오늘날 사람들 중에 오직 여러분들뿐이시니까요 - 그래서 요청된 바들을 말씀드리고서 순서대로 제가 여러분께 지금 제가 말씀드리고 있기도 한 것들을 청하였습니다.
τἀπιταχθέντα : τὰ ἐπιταχθέντα, ἐπιτάσσω pass. aor. put upon one as a duty. impose, commands. pass., accept orders.
ἀντεπέταξα : ἀντεπιτάσσω aor.
συνωμολογήσατ' οὖν κοινῇ σκεψάμενοι πρὸς ὑμᾶς αὐτοὺς εἰς νῦν ἀνταποδώσειν μοι τὰ τῶν λόγων ξένια, πάρειμί τε οὖν δὴ κεκοσμημένος ἐπ' αὐτὰ καὶ πάντων ἑτοιμότατος ὢν δέχεσθαι.
그러므로 여러분들께서 여러분들 스스로 공동으로 검토해 보시고서 제게 그 논의들을 통한 대접들을 내놓으시는 쪽으로 합의를 하셨고, 그러므로 저는 그 일들을 위해 걸맞는 차림으로 여기 있으며 대접받을 모든 일들에 대해 무척이나 잘 준비되어 있습니다.

[Stephanus page 20, section c, line 4] {ΕΡ.} Καὶ μὲν δή, καθάπερ εἶπεν Τίμαιος ὅδε, ὦ Σώκρατες, οὔτε ἐλλείψομεν προθυμίας οὐδὲν οὔτε ἔστιν οὐδεμία πρόφασις ἡμῖν τοῦ μὴ δρᾶν ταῦτα· ὥστε καὶ χθές, εὐθὺς ἐνθένδε ἐπειδὴ παρὰ Κριτίαν πρὸς τὸν ξενῶνα οὗ καὶ καταλύομεν ἀφικόμεθα, καὶ ἔτι πρότερον καθ' ὁδὸν αὐτὰ ταῦτ' ἐσκοποῦμεν.
그것도 그렇고, 소크라테스, 여기 티마이오스가 말했듯, 우리는 그 열의에 전혀 부족하지 않게 해드릴 것이고 그리 하지 않을 아무런 이유도 없기도 합니다: 그래서 어제도, 우리가 머무는 이곳 크리티아스의 집 접객실에 도착하자마자, 그리고 이전까지 길에서도 여전히 바로 이런 것들을 검토하고 있었지요.
ὅδε οὖν ἡμῖν λόγον εἰσηγήσατο ἐκ παλαιᾶς ἀκοῆς· ὃν καὶ νῦν λέγε, ὦ Κριτία, τῷδε, ἵνα συνδοκιμάσῃ πρὸς τὴν ἐπίταξιν εἴτ' ἐπιτήδειος εἴτε ἀνεπιτήδειός ἐστι.
그래서 이 사람이 예로부터 전해오는 진술을 우리에게 설명해주었습니다: 크리티아스, 지금도 그걸 이런 식으로 말씀드리시게, 그 부탁에 적절한 것인지 그렇지 않은 것인지 함께 검토해 보시게끔 말일세.
{ΚΡ.} Ταῦτα χρὴ δρᾶν, εἰ καὶ τῷ τρίτῳ κοινωνῷ Τιμαίῳ [Stephanus page 20, section d, line 5] συνδοκεῖ.
그리 해야만 하네, 만일 세 번째 동료 티마이오스에게도 괜찮게 여겨진다면 말일세.
{ΤΙ.} Δοκεῖ μήν. 물론 좋아 보이네.
{ΚΡ.} Ἄκουε δή, ὦ Σώκρατες, λόγου μάλα μὲν ἀτόπου, παντάπασί γε μὴν ἀληθοῦς, ὡς ὁ τῶν ἑπτὰ σοφώτατος Σόλων ποτ' ἔφη. ἦν μὲν οὖν οἰκεῖος καὶ σφόδρα φίλος ἡμῖν Δρωπίδου τοῦ προπάππου, καθάπερ λέγει πολλαχοῦ καὶ αὐτὸς ἐν τῇ ποιήσει· πρὸς δὲ Κριτίαν τὸν ἡμέτερον πάππον εἶπεν, ὡς ἀπεμνημόνευεν αὖ πρὸς ἡμᾶς ὁ γέρων, ὅτι μεγάλα καὶ θαυμαστὰ τῆσδ' εἴη παλαιὰ ἔργα τῆς πόλεως ὑπὸ χρόνου καὶ φθορᾶς ἀνθρώπων ἠφανισμένα, πάντων δὲ ἓν μέγιστον, [Stephanus page 21, section a, line 1] οὗ νῦν ἐπιμνησθεῖσιν πρέπον ἂν ἡμῖν εἴη σοί τε ἀποδοῦναι χάριν καὶ τὴν θεὸν ἅμα ἐν τῇ πανηγύρει δικαίως τε καὶ ἀληθῶς οἷόνπερ ὑμνοῦντας ἐγκωμιάζειν.
그럼 소크라테스, 무척이나 이상한, 그럼에도 전적으로 사실인 진술을 들어 보십시오, 여섯 현인들 중 가장 지혜로운 솔론이 일찍이 말했 바입니다. 그 분께서는 제 증조부 드로피데스의 친족이자 지극한 친우셨지요, 그 자신도 시 속에서 자주 말하였다시피 말입니다: 그런데 그 분께서 제 할아버지 크리티아스에게 말하길, 노년의 그 분께서 다시 우리에게 기억해내어 주신 바, 고대 이와 같은 폴리스의 대단하고도 경탄스러운 업적들, 시간과 인간들의 파괴에 의해 사라졌던 업적들이었는데, 그 모든 일들 중 가장 대단한 것, 오늘날 우리들이 기억하기에 적절할 것이고 당신께도 여신께도 보답으로도 그러할 것이며 축일 동안에 합당하고도 참되게 그야말로 찬양하여 기도드릴 만한 것일 터입니다.

-蟲-

43. The scope of physics

A. Diogenes Laertius 7.148-9 (SVF 2.1022 and 2.1132)
(1) ὀυσίαν δὲ θεοῦ Ζήνων μέν φησι τὸν ὅλον κόσμον καὶ τὸν οὐρανόν, ὁμοίως δὲ καὶ Χρύσιππος ἐν τῷ πρώτῳ Περὶ θεῶν καὶ Ποσειδώνιος ἐν πρώτῳ Περὶ θεῶν . . . (2) φύσιν δὲ ποτὲ μὲν ἀποφαίνονται τὴν συνέχουσαν τὸν κόσμον, ποτὲ δὲ τὴν φύσουσαν τὰ ἐπὶ γῆς. ἔστι δὲ φύσις ἕξις ἐξ αὑτῆς κινουμένη κατὰ σπερματικοὺς λόγους ἀποτελοῦσά τε καὶ συνέχουσα τὰ ἐξ αὑτῆς ἐν ὡρισμένοις χρόνοις καὶ τοιαῦτα δρῶσα ἀφ᾿ οἵων ἀπεκρίθη. ταύτην δὲ καὶ τοῦ συμφέροντος στοχάζεσθαι καὶ ἡδονῆς, ὡς δῆλον ἐκ τῆς τοῦ ἀνθρώπου δημιουργίας.
(1) 제논은 온 우주와 하늘이 신의 본질이라 말하고, 크뤼싶포스도 『신들에 관하여』 처음에서 그리고 포세이도니오스도 『신들에 관하여』 처음에서 마찬가지로 말한다 … (2) 그들은 어느 때엔 우주를 포괄(점유, 견지)하는 것을 자연으로 설명하고, 다른 때엔 지상의 것들을 생장시킬 것을 자연으로 설명한다. 그런데 자연은 자기 자신으로부터 촉발되어 씨앗이 되는 로고스들에 따라 그 자신으로부터 나오는 것들을 한정된 시간들 속에서 완성시키고 포괄하며 또한 이러한 일들을 수행함으로써 이런 것들로부터 구분되어 나오는 질서이다. 그런가 하면

B. Diogenes Laertius 7.132
τὸν δὲ φυσικὸν λόγον διαιροῦσιν εἴς τε τὸν περὶ σωμάτων τόπον καὶ περὶ ἀρχῶν καὶ στοιχείων καὶ θεῶν καὶ περάτων καὶ τόπου καὶ κενοῦ. καὶ οὕτω μὲν εἰδικῶς, γενικῶς δ᾿ εἰς τρεῖς τόπους, τόν τε περὶ κόσμου καὶ τὸν περὶ τῶν στοιχείων καὶ τρίτον τὸν αἰτιολογικόν.
그런데 그들은 자연학적 이론을 물질들 관한 주제와 원리들에 관한 주제 그리고 원소들에 관한 주제와 신들에 관한 주제 또한 한계들에 관한 것과 장소에 관한 것 그리고 허공에 관한 것으로 나눈다. 또한 특수한 방식으로는 그렇게 나누지만, 일반적으로는 세 주제들로, 우주에 관한 주제와 원소들에 관한 주제 그리고 세 번째로 원인론으로 나눈다.

  In approaching Stoic physics, we should recall its integral connexion with Stoic philosophy as a whole (26B 4, D). Whether regarded as philosophy's flesh and blood (26D) or its soul (26B 2), physics, which is literally the study of nature, offers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world and its contents' (26A). The indispensability of such knowledge to the ethical end, 'living in agreement with nature' (63A-C), is based upon the principle that our individual human natures are parts of universal nature (63C 2).
  스토아 자연학에 접근함에 있어서, 우리는 그것이 총체로서의 스토아 철학과 지니는 필수적인 연결을 상기해야 할 것이다. 철학의 살과 피로 간주되든 그 영혼으로 간주되든 자연학은 말 그대로 자연에 대한 탐구로서 세계와 그 내용물들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제공한다. 자연과의 일치 속에서 살아가는 윤리적 목표를 위한 그와 같은 지식의 불가결함은 우리의 사적 인간 본성들이 보편적(우주적) 자연의 부분들이라는 원칙에 기초한다.
  Physics therefore provides us with the understanding of who we are and of how we fit into the general workings of the world. Since the world is the 'substance' of god, and god is the 'nature which sustains the world and makes things grow' (A), physics, in the final analysis, is theology {26C; cf. 63E). To put it another way, physics is that part of Stoic philosophy which provides the terms and theories for understanding that the world functions according to laws of an omnipresent divine nature - a nature, moreover, which is through and through alive, generative, and designing all its products according to a rational plan. Most sections of this chapter, especially 44, 46, 52-5, will underline these points repeatedly (and for further discussion of A 2 see commentary on 46A). Stoic physics contains many theories and strategies which are of great interest in their own right to the history of science. But in order to appreciate their conceptual significance, we should acknowledge the Stoics' lack of concern in general for quantitative analysis and the controlled observations characteristic of, say, Galen and Ptolemy. What fired the Stoics' imagination, in their observation of the world, was a total commitment to the rationalist theology just described.
  그러므로 자연학은 우리에게 우리가 누구인지에 대한 그리고 우리가 어떻게 세계의 일반적 작동들에 적합하게 되는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세계는 신의 '실체'이기에, 그리고 신은 세계를 지탱하고 사물들을 자라도록 만드는 자연이며, 자연학은 그 마지막 분류에서 신학이다. 또 다른 방식으로 상정할 때, 자연학은 편재하는 신성한 자연 - 더 나아가 철저하게 살아있고, 생육하며, 그 모든 산물들을 합리적 계획에 따라 설계하는 자연의 법칙들에 따라 세계가 기능한다는 것을 이해하기 위한 용어들과 이론들을 제공하는 스토아 철학의 부분이다. 이 장의 대다수 절들, 특히 44, 46, 52-5는 이러한 지점들을 반복적으로 강조할 것이다(A2에 대한 추가적 논의는 46A에 대한 주석을 보라). 스토아 자연학은 과학(학문?)의 역사에 대한 고유한 권리에 대단한 흥미거리가 되는 여러 이론들과 전략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그것들의 개념적 중요성을 평가하기 위해, 우리는 말하자면 갈레노스과 프톨레마이오스에게 특유한 정량적 분석과 통제된 관찰들에 대한 스토아 학파의 결핍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세계에 대한 그들의 관찰에서 스토아학파의 상상을 촉발시켰던 것, 그것은 기술된 그대로의 합리주의 신학에 대한 총체적 전념이었다.
  Turning now to their detailed treatment, we find the topics of physics, just like those of logic (31 A) and ethics (56A), systematically categorized (B). (For the technical niceties concerning division procedure, see 32C.) This procedure will certainly have gone back to Chrysippus. although Diogenes Laertius' source for his summary was probably a handbook written shortly after the time of Posidonius. The general acceptability of the divisions Diogenes records is suggested by the fact that his own exposition sticks fairly closely to that order of topics. This can be seen by aligning his chapters and their subjects with the Topics of B:
  이제 그들의 세부적인 작업으로 돌아가서, 우리는 논리학과 윤리학의 주제들이 그러하듯 자연학의 체계적으로 범주화된 주제들을 발견한다. (분할 절차와 관련한 기술적 세부사항들은 32C 참조.) 이 절차는 확실히 크뤼싶포스로 돌아갔다. 그의 개략에 대한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의 자료가 아마도 포시디오니우스의 시기 이후 간략하게 쓰인 교과서였을 것임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디오게네스가 기록하는 그 분할들의 일반적 수용가능성은 그의 고유한 해설이 상당히 단단하게 주제들에 대한 그 질서를 고수한다는 사실에 의해 시사된다. 이 점은 그의 장들과 그 장들의 주제들을 B의 주제들과 병렬시킴으로써 볼 수 있다.
1. Specific division
D.L. 134 principles = (ii)
D.L. 135 body and limits = (i) and (v)
D.L. 136 god = (iv)
D.L. 137 elements = (iii)
2. Generic division
D.L. 137-51 world (including god, heavenly bodies, elements) = (i) and (ii)
D.L. 152-9 meteorology, geography, psychology = (iii)
  The two divisions appear to have as their basis a distinction between physics and metaphysics (as it would now be called), with the 'specific' division covering the kind of topics that Aristotle regarded as the business of'first philosophy . Diogenes' second division, the 'generic one', takes the present world-order as its starting-point. It offers an account of natural phenomena, with some reference to general principles but nothing comparable to the scope of the 'specific' division. In this latter the subject-matter is not restricted to the contents of the present world-order, which comes into being and ceases to exist (see 46; 52), The five topics of the 'specific' division seem to give an exhaustive account of the species of real things, whether they are everlasting and irreducible, or temporary, or 'subsistent' as non-bodily 'somethings' (see 27). Thus we have a division into bodies (i)-(iv), and non-bodies (v) as exemplified by 'limits, place, and void'. The first tour species seem to cover the bodily constituents of reality in ascending order of complexity. I.e., (i) the Stoics held that reality consists basically, permanently and irreducibly of 'bodies' (27B); (ii) the 'principles' themselves are 'bodies' (44B); (iii) the 'elements' are temporary dispositions of body caused by and reducible to the interaction of the 'principles' (see 47); (iv) the 'gods' are bodies, which can be explained by reference either to the 'elements' or, in the case of Zeus, to the active 'principle'. Given (v), the nonbodies, there is nothing in the nature of things that this division omits.
  두 분할들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일철학의 일로 간주하였던 그런 종류의 주제들을 포괄하는 '특수한' 분할과 함께, (오늘날 불려질 바와 같이)자연학과 형이상학 사이의 구별을 그것들의 기초로서 지니는 것으로 드러난다. 디오게네스의 두 번째 분할인 '일반적' 분할은 현재 세계-질서를 출발점으로 삼는다. 그것은, '특수' 분할의 영역에 비견할 만한 것은 아니지만 일반 원리들에 대한 몇몇 조회들과 더불어, 자연현상들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이 후자의 분할에서 주제적 문제는 현재 세계-질서의 내용들, 생성되어 현존을 유지하는 내용들에 국한되지 않는데, '특수' 분할의 다섯 주제들은 실제 사물들의 종들에 대한 완전한 설명을 제시하는 듯하다, 사물들이 영구적이며 환원불가능한지, 아니면 일시적인지, 혹은 비-물체적으로 '어떤 것들'로서 '존재'하는지. 그래서 우리는 물체들에 속하는 분할(i)-(iv), 그리고 '한계들, 장소, 허공'으로서 예화되는 것으로서 비-물체들에 속하는 분할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 일별되는 종들은 복잡성의 오름차순에 있어서 현실의 물체적 구성요소들을 포괄하는 것처럼 보인다. 즉, (i) 스토아학파는 실재가 '물체들'을 통해 기초적으로, 영속적으로, 그리고 비환적으로 구성된다고 주장한다. (ii) '원리들' 자체는 '물체들'이다; (iii) '원소들'은 '원리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야기되고 또한 그 작용으로 환원가능한 물체의 일시적 배치들이다; (iv) '신들'은 물체들인데, '원소들' 혹은 제우스의 사례에서는 '원리'에 대한 조회로써 설명될 수 있는 것들이다. (v), 즉 비물체들을 고려할 경우, 사물들의 본성에서 이 분할이 빠트리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Such an interpretation of Diogenes' 'specific' division can only be conjectural. Yet it coheres well with Stoic doctrines, especially their concept of the 'something' which embraces all particulars whether corporeal or not (see 27). So understood, the 'specific' division details those items which are fundamental to any understanding of the world in general and its features. In one respect, however, the order of specific topics raises a problem. Diogenes presents 'bodies' as the first topic, but the one that he handles first is the second, 'principles'. Since the principles are bodies, this procedure, which we will also follow, may be taken to be an expository device that need not cast doubt on the ultimate priority of bodies in the Stoics' metaphysical scheme.
  디오게네스의 '특수' 분할에 대한 그런 하나의 해석은 다지 추측일 수 있을 뿐이다. 하지만 그건 스토아의 주의들과 잘 부합되며, 특히 물체적이든 아니든 모든 개별자들을 포함하는 그들의 '어떤 것'이라는 개념에 부합한다. 그런 식으로 이해할 때, '특수' 분할은 일반적인 세계와 세계의 특성들에 대한 어떤 이해에든 근본적인 이러한 항목들을 상세히 알려준다. 그렇지만 한편으로 특수 주제들의 질서는 문제를 일으킨다. 디오게네스는 '물체들'을 첫 번째 주제로 내세우지만, 그가 첫 번째로 다룬 주제는 두 번째 것, '원리들'이다. 원리들은 물체들이므로, 우리가 또한 따르게 될 이 절차는 아마도 스토아학파의 형이상학적 계획에서 물체들의 궁극적인 우선순위에 의심을 품을 필요가 없는 설명적 장치일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44. Principles

A. Sextus Empiricus. M. 9.332 (SVF 2.524. part)
καὶ δὴ οἱ ἀπὸ τῆς Στοᾶς φιλόσοφοι διαφέρειν ὑπολαμβάνουσι τὸ ὅλον καὶ τὸ πάν· ὅλον μὲν γὰρ εἶναι λέγουσι τὸν κόσμον, πᾶν δὲ τὸ σὺν τῷ κόσμῳ ἔξωθεν κενόν, καὶ διὰ τοῦτο τὸ μὲν ὅλον πεπερασμένον εἶναι (πεπέρασται γὰρ ὁ κόσμος), τὸ δὲ πᾶν ἄπειρον (τοιοῦτον γὰρ τὸ ἐκτὸς τοῦ κόσμου κενόν).
더욱이 스토아 학파의 철학자들은 전체(whole)와 모든 것(all)을 다른 것으로 가정한다: 왜냐하면 그들이 우주를 전체라고 진술하는 반면, 우주와 함께하는 외부의 허공을 모든 것이라 진술하고, 이로 인하여 전체는 한정된 것이라고 (우주는 한정되었으니), 그런데 모든 것은 무한하다고 (우주 외부의 허공이 이런 것이기에) 진술한다.

B. Diogenes Laertius 7.134 (SVF 2.300, part, and 2.299)
(1) δοκεῖ δ᾿ αὐτοῖς ἀρχὰς εἶναι τῶν ὅλων δύο, τὸ ποιοῦν καὶ τὸ πάσχον. (2) τὸ μὲν οὖν πάσχον εἶναι τὴν ἄποιον οὐσίαν τὴν ὕλην, τὸ δὲ ποιοῦν τὸν ἐν αὐτῇ λόγον τὸν θεόν· τοῦτον γὰρ ἀίδιον ὄντα διὰ πάσης αὐτῆς δημιουργεῖν ἕκαστα. . . . (3) διαφέρειν δέ φασιν ἀρχὰς καὶ στοιχεῖα· τὰς μὲν γὰρ εἶναι ἀγενήτους <καὶ> ἀφθάρτους, τὰ δὲ στοιχεῖα κατὰ τὴν ἐκπύρωσιν φθείρεσθαι. ἀλλὰ καὶ σώματα εἶναι τὰς ἀρχὰς καὶ ἀμόρφους, τὰ δὲ μεμορφῶσθαι.
(1) 그런데 그들에게는 전체들의 원리들이 두 가지인 것으로 여겨진다, 하는 것(doing)과 겪는 것. (2) 그러므로 겪는 것은 어떠함이 없는 실체인 질료이고, 하는 것은 그 질료 내의 로고스로서 신이라고 여겨진다: 왜냐하면 이러한 것이 영속적인 것이기에 그 질료 전체에 걸쳐 각각의 것들을 제작한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 (3) 그런데 그들은 원리들과 원소들이 다르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원리들은 불생불멸이라고 하는 반면, 원소들은 하소(煆燒)에 따라 소멸된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들은 원리들은 물체들이자 형체 없는 것들이라고, 그런데 원소들은 형체가 갖추어졌다고 말한다.

C. Sextus Empiricus. M. 9.75-6 (SVF 2.311)
(1) ἡ τοίνυν τῶν ὄντων οὐσία, φασίν, ἀκίνητος οὖσα ἐξ αὑτῆς καὶ ἀσχημάτιστος ὑπό τινος αἰτίας ὀφείλει κινεῖσθαί τε καὶ σχηματίζεσθαι· (2) καὶ διὰ τοῦτο, ὡς χαλκούργημα περικαλλὲς θεασάμενοι ποθοῦμεν μαθεῖν τὸν τεχνίτην ἅτε καθ᾿ αὑτὴν τῆς ὕλης ἀκινήτου καθεστώσης, οὕτω καὶ τὴν τῶν ὅλων ὕλην θεωροῦντες κινουμένην καὶ ἐν μορφῇ τε καὶ διακοσμήσει τυγχάνουσαν εὐλόγως ἂν σκεπτοίμεθα τὸ κινοῦν αὐτὴν καὶ πολυειδῶς μορφοῦν αἴτιον. (3) τοῦτο δὲ οὐκ ἄλλο τι πιθανόν ἐστιν εἶναι ἢ δύναμίν τινα δι᾿ αὐτῆς πεφοιτηκυῖαν, καθάπερ ἡμῖν ψυχὴ πεφοίτηκεν. (4) αὔτη οὖν ἡ δύναμις ἤτοι αὐτοκίνητός ἐστιν ἢ ὑπὸ ἄλλης κινεῖται δυνάμεως. (5) καὶ εἰ μὲν ὑφ᾿ ἑτέρας κινεῖται, τὴν ἑτέραν ἀδύνατον ἔσται κινεῖσθαι μὴ ὑπ᾿ ἄλλης κινουμένην, ὅπερ ἄτοπον. ἔστι τις ἄρα καθ᾿ ἑαυτὴν αὐτοκίνητος δύναμις, ἥτις ἂν εἴη θεία καὶ ἀίδιος. (6) ἢ γὰρ ἐξ αἰῶνος κινήσεται ἢ ἀπό τινος χρόνου. (7) ἀλλ᾿ ἀπό τινος χρόνου μὲν οὐ κινήσεται· οὐ γὰρ ἔσται τις αἰτία τοῦ ἀπό τινος αὐτὴν χρόνου κινεῖσθαι. ἀίδιος τοίνυν ἐστὶν ἡ κινοῦσα τὴν ὕλην δύναμις καὶ τεταγμένως αὐτὴν εἰς γενέσεις καὶ μεταβολὰς ἄγουσα. ὥστε θεὸς ἂν εἴη αὕτη.
(1) 따라서 있는 것들의 실체는, 그들이 말하길, 그 자체로부터 움직여지지 않는 것이자 형체 없는 것으로서 어떤 원인에 의해 움직여지고 형체갖추어질 필요가 있다: (2) 또한 이로 인하여, 청동으로 만들어진 아주 아름다운 작품을 우리가 보면서 질료가 그 자체로는 움직여지지 않는 것으로 정해져 있는 까닭에 그 기술자(장인)를 알기를 갈망하듯, 그런 식으로 전체들의 질료 또한 우리가 그것이 형상 내에서 그리고 질서 속에서 마침 움직이는 것을 볼 때 합리적으로 우리는 그 질료를 움직이고 많은 형상들로 형체를 만든 원인을 검토할 것이다. (3) 그런데 이것이, 마치 영혼이 우리에게 들어서 있듯, 그 자체로 들어서 있는 어떤 능력 외에 다른 무언가라는 건 신빙성이 없다. (4) 그러므로 스스로 운동하지 않는다면 그 밖의 능력에 의해 움직여진다. (5) 다른 능력에 의해 움직여진다면, 그 다른 능력은 또 다른 능력에 의해 움직여지지 않을 경우 움직일 능력이 없을 것이고, 그야말로 이상한 일이다. 그래서 무언가 그 자신에 따라 스스로 움직이는 능력이 있는데, 그 능력은 신적인 것이자 영속적인 것이다. (6) 왜냐하면 영원을 통해 움직이거나 어떤 시간에서부터 움직일 것이기 때문이다. (7) 하지만 어떤 시간에서부터 움직이지는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어떤 시간에서부터 그 능력을 움직이는 일의 어떤 원인이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질료를 움직이고 질서 있게 생성과 변화로 이끄는 능력은 영속적이다. 그래서 그 능력은 신일 것이다.
ὀφείλει : ὀφείλω. behove.
ποθοῦμεν : ποθέω. long for, yearn after.
πεφοιτηκυῖαν : φοιτάω pf. part. go in.

D. Calcidius 292 (SVF 1.88, part)
(1) Zeno hanc ipsam essentiam finitam esse dicit unamque eam communem omnium quae sunt esse substantiam, (2) dividuam quoque et usque quaque mutabilem. (3) partes quippe eius verti sed non interire, ita ut de existentibus consumantur in nihilum. sed ut innumerabilium diversarum etiam cerearum figurarum, sic neque formam neque figuram nec ullam omnino qualitatem propriam fore censet fundamenti rerum omnium silvae, coniunctam tamen esse semper et inseparabiliter cohaerere alicui qualitate. (4) cumque tam sine ortu sit quam sine interitu, quia neque de non existente substitit nec consumetur in nihilum, non deesse ei spiritum ac vigorem ex aeternitate, qui moveat eam rationabiliter totam interdum, non numquam pro portione.
제논은 바로 이 실체가 한정된 것이라고 그리고 그것만이 존재하는 모든 것들의 공통된 기체라고, (2) 또한 분할가능한 것이자 모든 면에서 변화 가능한 것이라고 말한다. (3) 그는 물론 그것의 부분들은 변화되나, 현존으로부터 무로 환원될 정도로, 파괴되지는 않는다고 말한다. 그러나 마치 헤아릴 수 없이 분할된 밀랍들의 형태들과 같이, 그렇게 그는 형상도 형태도 전적으로 어떤 고유한 성질도 모든 사물의 토대인 질료에는 있지 않으리라고, 그렇지만 (질료가) 연속된 것이고 다른 어떤 성질에 불가분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4) 파괴만큼 시작도 없을 것이므로, 비-존재로부터 나왔던 것도 아니고 무로 환원되지도 않을 것이기에, 이따금 그 질료를 전체로서 이성적으로 운동시키고, 때로는 부분에 대해 그리하는, 그것은 영원으로부터 숨결과 활력을 결여하지 않는다고 그는 생각한다.

E. Calcidius 293
(1) ergo corpus universum iuxta Stoicos determinatum est et unum et totum et essentia. (2) totum quidem, quia nihil ei partium deest; unum autem, quia inseparabiles eius partes sunt et invicem sibi cohaerent; essentia vero, quia princeps silva est omnium corporum per quam ire dicunt rationem solidam atque universam, perinde ut semen per membra genitalia. (3) quam quidem rationem ipsum fore opificem volunt, cohaerens vero corpus et sine qualitate, patibile totum et commutabile silvam sive essentiam. (4) quae vertatur quidem nec intereat tamen neque tota neque partium excidio, ideo quia philosophorum omnium commune dogma est neque quid fieri ex nihilo nec in nihilum interire. licet enim cuncta corpora casu aliquo diffluant, silva tamen semper est et opifex deus, ratio scilicet, in qua sit fixum quo quidque tempore tam nascatur quam occidat. (5) proptereaque de existentibus genituram fieri et in existens desinere quod finiatur immortalibus perseverantibus, a quo fit et item ex quo fit quod gignitur.
그러므로 우주적 신체는 스토아 학자들에 따르자면 한정된 것이자 하나이며 전체이고 실체이다. (2) 그것에 어떤 부분도 결여되지 않기에, 그것은 전체이다; 그렇지만 그것의 부분들이 불가분하며 또한 자신들에게 결합하기에, 그것은 하나이다; 진정으로 실체이다, 모든 물체들의 제일의 질료로서 그를 통해, 생식 기관을 통하여 정액이 그리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완전하고 보편적인 이성이 지난다고 그들은 말하기 때문이다. (3) 그들은 이 이성을 바로 장인일 것으로 생각하고, 반면 결합하는 물체를 성질 없는 것, 전적으로 수동적이며 변화하는 질료나 실체일 것으로 생각한다. (4) 그 실체는 변화하지만 전체로서도 부분의 파괴를 통해서도 소멸하지도 않는데, 모든 철학자들의 공통된 신조는 어떤 것이 무로부터 생성되지도 무로 소멸하지도 않는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설령 모든 물체들이 어떤 이유로 해체된다 할지라도, 여전히 질료와 장인 신, 즉 이성, 그 안에서 각각의 모든 것이 언제 생겨나고 사라질지 확정될 그 이성은 영원하다.  (5) 또한 그러므로 현존하는 것들로부터 탄생이 나오고 현존하는 것들로 소멸하는데, 왜냐하면, 산출되는 것이 그것에 의해 그리고 그것으로부터 이루어지는, 그 탄생이 불멸하고 지속하는 것들로 한정지어지기 때문이다.

F. Diogenes Laertius 7.137-8 (SVF 2.526)
λέγουσι δὲ κόσμον τριχῶς· αὐτόν τε τὸν θεὸν τὸν ἐκ τῆς ἁπάσης οὐσίας ἰδίως ποιόν, ὃς δὴ ἄφθαρτός ἐστι καὶ ἀγένητος, δημιουργὸς ὢν τῆς διακοσμήσεως, κατὰ χρόνων ποιὰς περιόδους ἀναλίσκων εἰς ἑαυτὸν τὴν ἅπασαν οὐσίαν καὶ πάλιν ἐξ ἑαυτοῦ γεννῶν· καὶ αὐτὴν δὲ τὴν διακόσμησιν [τῶν ἀστέρων] κόσμον εἶναι λέγουσι· καὶ τρίτον τὸ συνεστηκὸς ἐξ ἀμφοῖν. καὶ ἔστι κόσμος ὁ ἰδίως ποιὸς τῆς τῶν ὅλων οὐσίας ἢ, ὥς φησι Ποσειδώνιος ἐν τῇ Μετεωρολογικῇ στοιχειώσει, σύστημα ἐξ οὐρανοῦ καὶ γῆς καὶ τῶν ἐν τούτοις φύσεων, ἢ σύστημα ἐκ θεῶν καὶ ἀνθρώπων καὶ τῶν ἕνεκα τούτων γεγονότων.
그들은 우주를 세 가지 방식으로 진술한다: 그것을 모든 실체로 이루어진 특유한 성질의 신, 그래서 소멸하지도 생성되지도 않는 신이라고도 말한다, 세계질서의 장인이기에, 시간들의 어떠한 주기들에 따라 그 자신에게로 모든 실체를 소멸시키고 또 다시 자신으로부터 생성시킴으로써: 게다가 바로 이 세계질서를 [별들의] 우주라고 그들은 진술한다: 세 번째로 양자로부터 결합한 것이라 진술한다. 그리고 전체들의 실체에 대한 특유한 성질의 것이 우주이거나, 『기상학 교설』에서 포세이도니오스가 말하듯, 천상과 대지 그리고 이것들 안의 본성들(자연들)로부터 이루어진 체계이거나, 신들과 인간들 그리고 이들로 인하여 생겨난 것들로 이루어진 체계이다.

g. Plotinus 2.4.1 (SVF 2.320, part)
καὶ δὴ καὶ τολμῶσι καὶ μέχρι θεῶν αὐτὴν [sc. ὕλην] ἄγειν· καὶ τέλος δὴ καὶ αὐτὸν αὐτῶν τὸν θεὸν ὕλην ταύτην πως ἔχουσαν εἶναι.
더욱이 그들은 신들에 대해서까지 그것(질료)을 이끌어 내려 든다: 더 나아가 결국 그들의 바로 그 신은 어떤 상태에 있는 이러한 질료라고 (말한다? 생각한다?).

h. Plato, Soph. 247d8-e4
ΞΕΝΟΣ. λέγω δὴ τὸ καὶ ὁποιανοῦν [τινα] κεκτημένον δύναμιν εἴτ᾿ εἰς τὸ ποιεῖν ἕτερον ὁτιοῦν πεφυκὸς εἴτ᾿ εἰς τὸ παθεῖν καὶ σμικρότατον ὑπὸ τοῦ φαυλοτάτου, κἄν εἰ μόνον εἰς ἅπαξ, πᾶν τοῦτο ὄντως εἶναι· τίθεμαι γὰρ ὅρον [ὁρίζειν] τὰ ὄντα ὡς ἔστιν οὐκ ἄλλο τι πλὴν δύναμις.
손님. 그래서 나는 그 무엇이 되었든지 간에 본디 다른 뭐든지 그것에 행하는 쪽으로든 매우 하찮은 것에 의해 극미하게라도 겪는 쪽으로든 그럴 능력을 갖춘 것은, 설령 오직 단 한 차례만이라 하더라도, 이런 모든 것을 실제로 ~이라고 말한다네: 왜냐하면 다른 무엇도 아닌 능력이 ~인 것들이 ~이라는 표지라 세우기 때문이지.
* Benardete, White 모두 "ὡς ἔστιν"을 ὅρον을 수식하는 that 절(W) 혹은 ὁρίζειν의 목적절인 that 절(B)로 번역하고 동사의 주어를 τὰ ὄντα로 본다. ὁρίζειν의 유무와 관련이 없다. 그러나 이창우 국역본의 경우 "ὡς ἔστιν οὐκ ἄλλο τι πλὴν δύναμις" 전체를 절로 보는 듯하다. 물어봐야 할 듯.
B : 본문 I'm proposing, in short, a definition (boundary-mark): 'The things which are' are not anything else but power. 주석 I'm proposing, in short, a definition (boundary-mark) to define (bound) the things which are, that they are, etc.
W : I'll take it as a definition that those which are amount to nothing other than capacity.

  Stoic physical theory starts from the presupposition that a single world-order exists. Like their predecessors and contemporary rivals they then asked, what must the world possess as constituents and causal principles which will explain its state at all times? Their answer is given in B-E: an active principle, termed 'reason' (logos) or 'god' or 'cause' (cf. 55E), and a passive principle, termed 'unqualified substance' or 'matter' or 'substrate'. God and matter are the foundations of the world, but this is not equivalent to the 'all' (A), i.e. literally everything. The world is a 'whole' but it is surrounded by infinite void (see 49A2). So the two principles are advanced not as an exhaustive account of everything but as comprising together the 'whole' of the world.
  The capacity to act or to be acted upon (B I) was no novelty as the defining characteristic of what exists. In so characterizing their principles, the Stoics could appeal to the Platonic and Aristotelian tradition (see h vol. 2); where they differed radically from this tradition was in their insistence that only bodies are capable of acting or of being acted upon (see 45). The persistence of empirical entities through change (already heavily emphasized in Aristotle's account of primary substances) provides reasons for distinguishing between the matter of some object and its shape or structure (see 28D 10-12). The Stoics, then, with startling economy, propose to explain all the formal or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objects by reference to the presence, within their matter, of a divine principle that activates and shapes them.
  According to this scheme any object, or the world as a whoie, can be analysed as a composite of matter and god. But ac this level of generality, neither matter nor god, just by itself, provides particular objects with any definite description; unlike the four elements (see 46-7), whose form is earth, water etc., the principles, which consticute che elements, are themselves 'without form' (B 3). Matter is what you would get if (per impossibile) you could remove all the characteristics of an object which make it someching particular. God accounts for those characteristics, but does not furnish the matter that must underlie anything with characteristics. Matter needs god in order to be a particular entity, and god needs matter in order that there shall be some entity for god to characterize.
  It is important to notice that the two principles are so described that they do not depend upon specific theories about bodies, elements, or any of the detailed apparatus which underpins Stoic analysis of particular phenomena. We are asked, however, in C—F to accept the passive principle, matter, as the Stoics' answer to the question, 'What is substance?', and to acknowledge its possessing che properties stated in those passages: it is unqualified, incapable of initiating motion, finite, common to every body, plastic, everlasting, one, whole. Matter, as so described, underlies or provides the foundation for every particular object and thus for the differentiated world as a whole (E2). Since it is uniform, finite, everlasting and unqualified, it makes for a world capable of persisting indefinitely and yet sustaining within itself constant and varied changes.
  In C 4-7 and D 4 reasons are given for matter's being everlastingly pervaded, moved, and shaped by the active principle. And C, by seeps which recall Plato's Phaedrus and Ariscode. Physics vm, infers chat the active principle, as universal efficient cause, is god. Because god or logos is always present in matter (B2), matter always has 'some quality or other". The effecc of chis constant combination of god and matter is to make the world in a sense equivalent to god (D3). Hence the description (F) of god as 'the peculiarly qualified individual consisting of all substance' (cf. 28D-J; 43Ai). Under god's direction, this substance or matter alternates everlastingly between a state of pure fire (cf. 46G I) and a state which is the differentiated world.
  The philosophical economy of the two principles is striking. They purport to answer at least three distinct questions about the world. (1) Matter and god together totally comprise the actual ingredients or constituents of the world. (2) Matter and god together provide the two concepts needed for causal explanations, since all particular beings are constructed by god out of matter (cf. 5SE). (3) Matter and god together give a metaphysical foundation for any statement about the world, since to predicate a property of a subject is to describe a quality or disposition of god in matter.
  Their historical origin is complex. Reasoning that goes back to Parmenides helps to establish some of their properties (D 4, E 4-5; cf. 4A with commentary for Epicurus' use of similar laws); but echoes of Plato and Aristotle are more significant. As the active principle, god is a 'craftsman' (E3-4) recalling the cosmology of the Timaeus, with its 'receptacle' which is utterly plastic and funcnons as the recipient of qualities. Cosmogony apart, there is a general similarity to Aristotle's form and matter. But the principles are distinctively Stoic, not least because they introduce an all-pervasive divine causal agent immanent in matter. For details of their specific cosmological functions see 45-8, 52, 54-5.

-작성중-

‘신들에 대하여’
Eusebius, Preparation for the Gospel XIV 3.7 (DK80 B4), Diogenes Laertius 9.51-52 (A1),
Plato, Theaetetus 162d5-e2 (A23), Cicero, On the Nature of the Gods I.1.2 (C. A23), I.12.29 & I.23.63 (A23),
Philodemus, On Piety col. 22 (A23), Diogenes of Oenoanda fr. 12 c.2.1.19W (A23)

ὁ μὲν γὰρ Δημοκρίτου γεγονὼς ἑταῖρος, ὁ Πρωταγόρας, ἄθεον ἐκτήσατο δόξαν· λέγεται γοῦν τοιᾷδε κεχρῆσθαι εἰσβολῇ ἐν τῷ Περὶ θεῶν συγγράμματι· "Περὶ μὲν θεῶν οὐκ οἶδα οὔθ᾿ ὡς εἰσὶν οὔθ᾿ ὡς οὐκ εἰσὶν οὔθ᾿ ὁποῖοί τινες ἰδέαν."

왜냐하면 데모크리토스의 동료가 되었던 이, 프로타고라스는, 무신론자라는 평을 얻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신들에 관하여』 라는 책에서 바로 이와 같은 서문을 사용했던 것으로 진술된다: "나는 신들에 관해서는 그들이 ~이라는 것도 ~이지 않다는 것도 형상에 있어서 어떠한 누구들인지도 알지 못한다."

ἐκτήσατο : κτάομαι aor. posses, hold, to be gotten.

καὶ ἀλλαχοῦ δὲ τοῦτον ἤρξατο τὸν τρόπον (DK 80 B 4)·
"περὶ μὲν θεῶν οὐκ ἔχω εἰδέναι οὔθ᾿ ὡς εἰσίν, οὔθ᾿ ὡς οὐκ εἰσίν· πολλὰ γὰρ τὰ κωλύοντα εἰδέναι, ἥ τ᾿ ἀδηλότης καὶ βραχὺς ὢν ὁ βίος τοῦ ἀνθρώπου." διὰ ταύτην δὲ τὴν ἀρχὴν τοῦ συγγράμματος ἐξεβλήθη πρὸς Ἀθηναίων· καὶ τὰ βιβλία αὐτοῦ κατέκαυσαν ἐν τῇ ἀγορᾷ, ὑπὸ κήρυκι ἀναλεξάμενοι παρ᾿ ἑκάστου τῶν κεκτημένων.

또 다른 곳에서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시작하였다:
"나는 신들에 관하여서는 그들이 ~이라고도, ~이지 않다고도 알 수 없다: 왜냐하면 아는 데에 많은 장애들이 있거나, 혹은 불분명하고 인간의 삶이 짧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저술의 이와 같은 시작으로 인하여 그는 아테네인들에게서 추방당했다: 그의 저술들도 아고라에서 불태워졌다, 전령에 의해 그 단편들이 각 권마다 읽히면서.


Ὦ γενναῖοι παῖδές τε καὶ γέροντες, δημηγορεῖτε συγκαθεζόμενοι, θεούς τε εἰς τὸ μέσον ἄγοντες, οὓς ἐγὼ ἔκ τε τοῦ λέγειν καὶ τοῦ γράφειν περὶ αὐτῶν ὡς εἰσὶν ἢ ὡς οὐκ εἰσίν, ἐξαιρῶ.

고귀한 어린이들과 노인들이여, 함께 앉아서 연설하시오, 신들 또한 한가운데로 이끌어 와서,  신들이 ~이라거나 ~이지 않다고 진술하고 기록하는 점으로부터 이런 자들을, 나는 칭송할 것이오.

velut in hac quaestione plerique, quod maxime veri simile est et quo omnes fere* duce natura venimus, deos esse dixerunt, dubitare se Protagoras, nullos esse omnino Diagoras Melius et Theodorus Cyrenaicus putaverunt. *(fere Plasberg: sese σ)
이 문제에 있어서 대다수가 그러하듯, 최대한 진리에 근사한 것으로 그리고 우리들 거의 모두가 어떤 본성으로써 간주하게 될 바, 그들은 신이 있다고 말했으며, 프로타고라스 자신은 의심한다고 말했고, 멜로스의 디아고라스와 퀴레네의 테오도로스는 전적으로 아무도 아니라고 생각했다.

nec vero Protagoras, qui sese negat omnino de deis habere quod liqueat, sint non sint qualesve sint, quicquam videtur de natura deorum suspicari.
그 스스로 신들에 대하여, ~일지 ~이지 않을지 어떠할지, 입증되는 바를 지님을 전적으로 부정하는 프로타고라스는 확실히, 신들의 본성에 대하여 뭐가 되었든 추측한 것으로 보이지도 않는다.

Abderites quidem Protagoras sophistes temporibus illis vel maximus, cum in principio libri sic posuisset de divis neque ut sint neque ut non sint habeo dicere, Atheniensium iussu urbe atque agro est exterminatus librique eius in contione combusti.

더욱이 저 시대에 실제로 최고의 소피스트인 압데라 출신의 프로타고라스는, 그의 책 시작에서 다음과 같이 신령들에 대하여 "~이라고도 ~이지 않다고도 나는 말할 수 없다" 라고 적었기에, 아테네인들의 법령에 의해 도시와 지역에서 추방되었고 그의 책들도 집회에서 불살라졌다.

posuisset : pono plpf. subj. to place, set, put. put down.

ἢ τοὺς ἄγνωστον εἴ τινές εἰσι θεοὶ λέγοντας ἢ ποῖοί τινές εἰσιν.

신들이 누구들인지든 어떠한 누구들인지든 그들을 알지 못한다고 말하면서.

Πρωταγόρας δὲ ὁ Ἀβδηρείτης τῇ μὲν δυνάμει τὴν αὐτὴν ἤνεν(γ?)κε Διαγόραι δόξαν, ταῖς λέξεσιν δὲ ἑτέραις ἐχρήσατο, ὡς τὸ λείαν ἰταμὸν αὐτῆς ἐκφευξούμενος. ἔφησε γὰρ μὴ εἰδέναι, εἰ θεοὶ εἰσίν· τοῦτο δ᾿ ἐστὶν τὸ αὐτὸ τῷ λέγειν εἰδέναι ὅτι μὴ εἰσίν.
압데라의 프로타고라스는 그의 능력으로는 디아고레스와 같은 명성을 얻었고, 그 외의 연설들을 사용하였는데, 자신의 과격함을 부드러운 것인냥 회피하면서 그리하였다. 왜냐하면 그는 신들이 ~인지 알지 못한다고 말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것은 신들이 ~이지 않다는 것을 안다고 말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Maximus of Tyre (probably second century CE), Dialexeis 11.V.4–5(C. A23): κἂν ἀγνοεῖν τι φῇς[concerning the gods], ὡς Πρωταγόρας.
당신은 조금도 모른다고 말할 것이다, 프로타고라스처럼.

Theophilus of Antioch (second century CE, died probably between CE 183 and 185), To Autolycus III.28 (C. A23): τί δ᾿ οὐχὶ καὶ Κριτίας καὶ Πρωταγόρας ὁ Ἀβδηρίτης λέγων· Εἴτε γάρ εἰσιν θεοί, οὐ δύναμαι [sc. Protagoras] περὶ αὐτῶν (i.e. θεῶν) λέγειν, οὔτε ὁποῖοί εἰσιν δηλῶσαι· πολλὰ γάρ ἐστιν τὰ κωλύοντά με.
크리티아스도 압데라 출신의 프로타고라스도 논하면서 뭔가 말하지 않았다(λέγων <ἐφή> Pleon.?): 즉 신들인지 아닌지도, 나는 그들에 관하여 말할 능력이 없고, 어떠한지 밝혀낼 수도 없다: 왜냐하면 내게 장애물들이 많기 때문이다.

Sextus Empiricus (second to third century CE, probably CE 160–210), M. 9.56 (DK80 A12): περὶ δὲ θεῶν οὔτε εἰ εἰσὶν οὔθ᾿ ὁποῖοί τινές εἰσι δύναμαι λέγειν· πολλὰ γὰρ ἐστι τὰ κωλύοντά με.
신들에 관하여서는 그들이 ~인지 아닌지도 어떤 누구들인지도 나는 진술할 수 없다: 왜냐하면 나에게 있어서 많은 장애물들이 많기 때문이다.

Flavius Philostratus (CE 170–247), V.S. 1.10 (DK80 A2): τὸ δὲ ἀποερῖν φάσκειν, εἴτε εἰσὶ θεοὶ εἴτε οὐκ εἰσί, δοκεῖ μοι [Philostratus] Πρωταγόρας ἐκ τῆς Περσικῆς παιδεύσεως παρανομῆσαι· μάγοι γὰρ ἐπιθειάζουσι μὲν οἷς ἀφανῶς δρῶσι, τὴν δὲ ἐκ φανεροῦ δόξαν τοῦ θείου καταλύουσιν οὐ βουλόμενοι δοκεῖν παρ᾿ αὐτοῦ δύνασθαι.
그런데 신들이 ~인지도 ~이지 않은지도, 말하기에 당혹스러워한다는 점에서, 내게는 프로타고라스가 페르시아식 교육을 통하여 죄를 지은 것이라 여겨진다: 왜냐하면 배화교도들은 그들이 비의를 행하는 이들에게는 신을 모셔 대하지만, 공적인 의견에 있어서는 신에 의해 능력을 갖게 된다고 여겨지길 바라지 않기에 그 신적인 일에 대해 부정한다.
ἐπιθειάζουσι : ἐπιθειάζω. 3pl. treat with reverence.

Marcus Minucius Felix (presumably, second century CE), Octavius 8.3 (C. A23): Abderiten Pythagoram (read 'Protagoram‘) Athenienses viri consulte potius quam profane de divinitate disputantem, et expulerint suis finibus, et in concione eius scripta deusserint.
아테네의 사내들은 차라리 현명하게, 신성에 대하여 굉장히 불경스럽게 논하는 압데라 출신 프로타고라스를, 그들의 국경 밖으로 추방하였고, 그의 저술들을 집회에서 불살랐다.

Lucius Caecilius Firmianus Lactantius (CE 240–320), The Divine Institutions I.2 (C. A23): Sed et antea Protagoras, qui deos in dubium vocavit.
그러나 과거에도 프로타고라스가 있었다, 신들을 의심하였던 자로서.

On the Wrath of God 9 (C. A23): Primus omnium Protagoras extitit, temporibus Socratis, qui sibi diceret non liquere, utrum esset aliqua divinitas, necne. Quae disputatio eius adeo impia et contra veritatem et religionem iudicata est, ut et ipsum Athenienses expulerint suis finibus, et libros eius in concione, quibus haec continebantur exusserint. De cuius sententia non est opus disputare, quia nihil certi pronuntiaverit.
소크라테스의 시대에, 프로타고라스가 모든 이들 중 최초로 등장했다, 스스로 증명할 수 없다고 말했던, 어떤 식으로 신성한 것들이 있을지, 혹은 그렇지 않을지. Quae disputatio eius adeo impia et contra veritatem et religionem iudicata est, ut et ipsum Athenienses expulerint suis finibus, et libros eius in concione, quibus haec continebantur exusserint. De cuius sententia non est opus disputare, quia nihil certi pronuntiaverit.

Epiphanius of Salamis (CE 310/320–403), Adversus Haereses III.16 (C. A23): Πρωταγόρας ὁ τοῦ Μενάνδρου Ἀβδηρίτης ἔφη μὴ θεοὺς εἶναι, μηδὲ ὅλως θεὸν ὑπάρχειν.
메난드로스의 아들 압데라 출신의 프로타고라스는 신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총체적으로 신이 현존하지도 않는다고 말했다.

Theodoret of Cyrrhus (CE 393–457/460), Cure of the Greek Maladies II.112.2–114.1 (C. A23): οὔτω γάρ τις καὶ τῆς παλαιᾶς καὶ τῆς καινῆς θεολογίας τὴν ξυμφωνίαν ὁρῶν, θαυμάσεται τὴν ἀλήθειαν καὶ φεύξεται μὲν Διαγόρου τοῦ Μιλησίου καὶ τοῦ Κυρηναϊκοῦ Θεοδώρου καὶ Εὐημέρου τοῦ Τεγεάτου τὸ ἄθεον· τούτους γὰρ ὁ Πλούταρχος ἔφησε μηδένα νενομικέναι θεόν· φεύξεται δὲ καὶ τῶν Στωϊκῶν τὴν ἀπρεπῆ περὶ τοῦ θείου δόξαν· σωματοειδῆ γὰρ οὗτοι τὸν θεὸν ἔφασαν εἶναι· βδελύξεται δὲ καὶ Πρωταγόρου τοὺς ἀμφιβόλους περὶ τοῦ θεοῦ καὶ ἀπίστους λόγους· ἐκείνου γάρ ἐστι τὰ τοιάδε· Περὶ μὲν οὖν τῶν θεῶν οὐκ οἶδα, οὔτε εἰ εἰσίν, οὔθ᾿ ὡς οὐκ εἰσίν, οὐθ᾿ ὁποῖοί τινες τὴν ἰδέαν εἰσίν.
왜냐하면 누군가 고금의 신론에 대한 합의를 보면, 그 진리를 경탄할 것이고 밀레토스의 디아고로스와 퀴레네의 테오도로스 그리고 테게아의 에우에메로스의 그 무신론을 기피할 것이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플루타르코스가 이들을 누구 하나 신을 믿지 않았다고 말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스토아학파 사람들의 신적인 것에 대한 부적절한 의견 역시 피할 것이다: 왜냐하면 그들이 신을 유기체적인 것이라 말했기 때문이다: 또한 신에 관한 프로타고라스의 말싸움들과 신뢰 못할 논변들을 혐오할 것이다: 왜냐하면 바로 이런 얘기들이 저 자에게 속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신들에 관하여 나는 알지 못한다, 그들이 ~이라고도, ~이지 않다고도, 형상에 있어서 어떠한 누구인지도."
βδελύξεται : βδελύσσομαι fut. feel a loathing at.

Hesychius of Miletus (probably flourished in the sixth century CE at Constantinople), Onomatologus in Scholia on Plato’s Republic 600c (DK80 A3): ἐκαύθη δὲ τὰ τούτου βιβλία ὑπ᾿ Ἀθηναίων. εἶπε γάρ περὶ θεῶν οὐκ ἔχω [sc. Protagoras] εἰδέναι οὔθ᾿ ὡς εἰσίν, οὔθ᾿ ὡς οὐκ εἰσίν.
이 사람의 책은 아테네인들에 의해 불태워졌다. 왜냐하면 그는 신들에 관하여 "나는 그들이 ~이라고도, ~이지 않다고도 알 수 없다"라고 말했기 때문이다.

Suda (tenth century CE) letter Π, 2958, line 14 (C. A3a): περὶ θεῶν οὐκ ἔχω [sc. Protagoras] εἰδέναι, οὔτε ὥς εἰσιν, οὔτε ὡς οὐκ εἰσί.
신들에 관하여 나는 알 수 없다, 그들이 ~이라고도, ~이지 않다고도.

Cf. Plato (424/423–348/347 BCE); Cicero (106–43 BCE); Philodemus (probably first century BCE); Diogenes of Oenoanda (probably second century CE); Diogenes Laertius (between second and fifth century CE, probably flourished in the first half of the third century); Eusebius (CE 263–339).
디뒤무스 단편: Didymus the Blind’s Commentary on Psalms 3, 222.21–22
σοφιστὴς δὲ ἦν ὁ Πρωταγόρας - λέγει, ὅτι τὸ εἶναι τοῖς οὖσιν ἐν τῷ φαίνεσθαί ἐστιν. [λ]έγει ὅτι φαίνομαι σοὶ τῷ παρόντι καθήμενος· τῷ δὲ ἀπόντι οὐ φαίνομαι καθήμενος· ἄδηλον εἰ κάθημαι ἢ οὐ κάθημαι.
그런데 프로타고라스는 소피스테스였다 - 그는 말하길, ~인 것은 사실들로서 현상하는 것 안의 것이라고 말한다. 그는 "나는 여기 있는 당신에게 앉은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여기 없는 자에게는 앉은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내가 앉아 있는지 앉아 있지 않은지 불분명하다."라고 말한다.

-蟲-

{ΣΩ.} Εἷς, δύο, τρεῖς· ὁ δὲ δὴ τέταρτος ἡμῖν, ὦ φίλε Τίμαιε, ποῦ τῶν χθὲς μὲν δαιτυμόνων, τὰ νῦν δὲ ἑστιατόρων;
하나, 둘, 셋: 그런데, 친애하는 티아이오스, 어제 대접 받던 이들 사이에 있었고 오늘은 대접을 할 사람들에 속하는 네 번째 사람은 어디 있습니까?

{ΤΙ.} Ἀσθένειά τις αὐτῷ συνέπεσεν, ὦ Σώκρατες· οὐ γὰρ ἂν ἑκὼν τῆσδε ἀπελείπετο τῆς συνουσίας.
그는 뭔가 몸이 좋지 못했습니다, 소크라테스: 일부러 이 모임에 빠졌던 건 아니리란 얘기지요.

{ΣΩ.} Οὐκοῦν σὸν τῶνδέ τε ἔργον καὶ τὸ ὑπὲρ τοῦ ἀπόντος ἀναπληροῦν μέρος;
그렇다면 부재하시는 분을 위한 역할과 몫 채우는 일은 여기 이 분들의 일이자 당신 일이 아닙니까?
ἀναπληροῦν : ἀναπληρόω part. fill up.

{ΤΙ.} Πάνυ μὲν οὖν, καὶ κατὰ δύναμίν γε οὐδὲν ἐλλείψομεν· οὐδὲ γὰρ ἂν εἴη δίκαιον, χθὲς ὑπὸ σοῦ ξενισθέντας [Stephanus page 17, section b, line 3] οἷς ἦν πρέπον ξενίοις, μὴ οὐ προθύμως σὲ τοὺς λοιποὺς ἡμῶν ἀνταφεστιᾶν.
물론입니다, 능력이 닿는 한에서라면야 부족함이 없도록 할 것입니다: 그야 온당치 못한 일일 테니까요, 어제 당신께 손들에게 적절할 것으로 손님대접을 받아 놓고서, 우리들 중 남은 이들이 당신께 열심으로 보답하여 대접해 드리지 않으려 든다는 건 말입니다.
ξενισθέντας : ξενίζω aor. pass. part. pl.m.
ἀνταφεστιᾶν : ἀναφεστιάω inf. feast in return.

{ΣΩ.} Ἆρ' οὖν μέμνησθε ὅσα ὑμῖν καὶ περὶ ὧν ἐπέταξα εἰπεῖν;
그렇다면 혹시 여러분들께 그것들에 관하여 말씀해 주십사 제가 부탁드렸던 모든 일들을 여러분들께서 기억하시는지요?

{ΤΙ.} Τὰ μὲν μεμνήμεθα, ὅσα δὲ μή, σὺ παρὼν ὑπομνήσεις· μᾶλλον δέ, εἰ μή τί σοι χαλεπόν, ἐξ ἀρχῆς διὰ βραχέων πάλιν ἐπάνελθε αὐτά, ἵνα βεβαιωθῇ μᾶλλον παρ' ἡμῖν.
그 만큼은 아니지만, 당신께서 곁에서 기억시켜 주실 것들은 기억합니다: 그런데 오히려, 당신께 뭔가 어려운 일이 아니라면, 그것들을 짧은 말들로 처음부터 다시 떠올려 주시기 바랍니다, 저희들에게서 보다 훨씬 정확하게 이야기되도록 말입니다.

{ΣΩ.} Ταῦτ' ἔσται. χθές που τῶν ὑπ' ἐμοῦ ῥηθέντων λόγων περὶ πολιτείας ἦν τὸ κεφάλαιον οἵα τε καὶ ἐξ οἵων ἀνδρῶν ἀρίστη κατεφαίνετ' ἄν μοι γενέσθαι.
이런 것들일 것입니다. 아마도 어제 저에 의해 이야기된 폴리테이아에 관한 진술들 중 주된 것은 어떤 사내들로부터 어떤 최선의 폴리테이아가 이루어지는가 하는 것으로 제게는 드러났습니다.

[Stephanus page 17, section c, line 4] {ΤΙ.} Καὶ μάλα γε ἡμῖν, ὦ Σώκρατες, ῥηθεῖσα πᾶσιν κατὰ νοῦν.
거기에 더하여 특히 저희 모두로서도, 소크라테스, 이야기된 바들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ΣΩ.} Ἆρ' οὖν οὐ τὸ τῶν γεωργῶν ὅσαι τε ἄλλαι τέχναι πρῶτον ἐν αὐτῇ χωρὶς διειλόμεθα ἀπὸ τοῦ γένους τοῦ τῶν προπολεμησόντων;
그렇다면 우선 우리 그 밖의 기술들과 더불어 농사꾼들의 유를 이 폴리테이아 안에서 그 유의 수호자들의 유로부터 따로 구분하지 않았습니까?

{ΤΙ.} Ναί. 네.

{ΣΩ.} Καὶ κατὰ φύσιν δὴ δόντες τὸ καθ' αὑτὸν ἑκάστῳ πρόσφορον ἓν μόνον ἐπιτήδευμα, μίαν ἑκάστῳ τέχνην, τούτους οὓς πρὸ πάντων ἔδει πολεμεῖν, εἴπομεν ὡς ἄρ' αὐτοὺς δέοι φύλακας εἶναι μόνον τῆς πόλεως, εἴτε τις ἔξωθεν ἢ καὶ [Stephanus page 17, section d, line 4] τῶν ἔνδοθεν ἴοι κακουργήσων, δικάζοντας μὲν πρᾴως τοῖς ἀρχομένοις ὑπ' αὐτῶν καὶ φύσει φίλοις οὖσιν, χαλεποὺς δὲ ἐν ταῖς μάχαις τοῖς ἐντυγχάνουσιν τῶν ἐχθρῶν γιγνομένους.
게다가 본성에 따라서도 각자에게 그 자신에 따라 적합한 단 하나의 직무를, 각자 하나의 기술을 우리가 주면서, 모든 이들을 위해 전쟁을 해야 하는 그들을, 우리는 그래서 그들이 오직 폴리스의 수호자여야만 한다고, 외부로부터든 아니면 내부로부터든 누군가 악행을 일삼으려 다가온다면, 그들에 의해 지배받는 이들과 본성상 친구인 자들에게는 온화하게, 전투들에서 그들이 마주치게 되는 적들에게는 가혹하게 정의로운 일을 함으로써 그리 해야 한다고 우리는 말했습니다.

{ΤΙ.} Παντάπασι μὲν οὖν. 전적으로 그러합니다.

{ΣΩ.} Φύσιν γὰρ οἶμαί τινα τῶν φυλάκων τῆς ψυχῆς ἐλέγομεν ἅμα μὲν θυμοειδῆ, ἅμα δὲ φιλόσοφον δεῖν εἶναι διαφερόντως, ἵνα πρὸς ἑκατέρους δύναιντο ὀρθῶς πρᾷοι καὶ χαλεποὶ γίγνεσθαι.
왜냐하면 제 생각에 우리는 수호자들의 영혼에 속하는 어떤 본성이 격정적이면서도, 동시에 특별히 지혜를 사랑하여야 한다고 진술했기 때문입니다, 양측 각각을 향해 옳은 방식으로 온화한 자들도 가혹한 자들도 될 수 있도록 말입니다.

{ΤΙ.} Ναί. 네.

{ΣΩ.} Τί δὲ τροφήν; ἆρ' οὐ γυμναστικῇ καὶ μουσικῇ μαθήμασίν [Stephanus page 18, section a, line 10] τε ὅσα προσήκει τούτοις, ἐν ἅπασι τεθράφθαι;
양육은 어떻습니까? 혹시 운동기술과 교양기술 교육 그리고 그들에게 적절할 것들, 그 모든 것들 안에서 길러졌다고 우리가 말하지 않았습니까?
τεθράφθαι : τρέφω pf. pass. inf. cause to grow, bring up, rear. grow up.

{ΤΙ.} Πάνυ μὲν οὖν. 물론 그렇습니다.

{ΣΩ.} Τοὺς δέ γε οὕτω τραφέντας ἐλέχθη που μήτε χρυσὸν μήτε ἄργυρον μήτε ἄλλο ποτὲ μηδὲν κτῆμα ἑαυτῶν ἴδιον νομίζειν δεῖν, ἀλλ' ὡς ἐπικούρους μισθὸν λαμβάνοντας τῆς φυλακῆς παρὰ τῶν σῳζομένων ὑπ' αὐτῶν, ὅσος σώφροσιν μέτριος, ἀναλίσκειν τε δὴ κοινῇ καὶ συνδιαιτωμένους μετὰ ἀλλήλων ζῆν, ἐπιμέλειαν ἔχοντας ἀρετῆς διὰ παντός, τῶν ἄλλων ἐπιτηδευμάτων ἄγοντας σχολήν.
그런가 하면 그런 식으로 양육된 자들은 금도 은도 다른 어떤 재물도 그들의 사유물로 생각지 말아야 하고, 오히려 용병들이 수호의 보수를 받는 것처럼 그들에 의해 구제받는 자들에게서, 현명한 자들에게 적정한 만큼의 보수를, 공동으로 받고 또한 서로 함께 공동생활을 하며 살아야 한다고, 모든 것을 통하여 탁월함에 대한 돌봄을 견지하며, 다른 일들에 대해서는 여가를 활용하며 그리 해야 한다고 진술되었습니다.
ἐλέχθη : λέγω aor. pass.
ἐπικούρους : helper, ally.
συνδιαιτωμένους : συνδιαιτάομαι. live with or together. keep house together.

{ΤΙ.} Ἐλέχθη καὶ ταῦτα ταύτῃ. 그런 것들도 그런 식으로 진술되었지요.

[Stephanus page 18, section c, line 1] {ΣΩ.} Καὶ μὲν δὴ καὶ περὶ γυναικῶν ἐπεμνήσθημεν, ὡς τὰς φύσεις τοῖς ἀνδράσιν παραπλησίας εἴη συναρμοστέον, καὶ τὰ ἐπιτηδεύματα πάντα κοινὰ κατά τε πόλεμον καὶ κατὰ τὴν ἄλλην δίαιταν δοτέον πάσαις.
더 나아가 여인들에 관하여서도 우리는 기억합니다, 그녀들의 본성들이 사내들에 근접하게 조화를 이루어야 할 것이라고, 그리고 전쟁에 따라서도 그 외의 생활에 따라서도 모든 일들이 모두에게 공동으로 주어져야 한다고 말입니다.
ἐπεμνήσθημεν : ἐπιμιμνήσκομαι aor. pass.
παραπλησία : coming near, about equal.

{ΤΙ.} Ταύτῃ καὶ ταῦτα ἐλέγετο. 그런 것들도 그렇게 논하고 있었습니다.

{ΣΩ.} Τί δὲ δὴ τὸ περὶ τῆς παιδοποιίας; ἢ τοῦτο μὲν διὰ τὴν ἀήθειαν τῶν λεχθέντων εὐμνημόνευτον, ὅτι κοινὰ τὰ τῶν γάμων καὶ τὰ τῶν παίδων πᾶσιν ἁπάντων ἐτίθεμεν, μηχανωμένους ὅπως μηδείς ποτε τὸ γεγενημένον αὐτῶν ἰδίᾳ γνώσοιτο, νομιοῦσιν δὲ πάντες πάντας αὐτοὺς ὁμογενεῖς, ἀδελφὰς [Stephanus page 18, section d, line 2] μὲν καὶ ἀδελφοὺς ὅσοιπερ ἂν τῆς πρεπούσης ἐντὸς ἡλικίας γίγνωνται, τοὺς δ' ἔμπροσθεν καὶ ἄνωθεν γονέας τε καὶ γονέων προγόνους, τοὺς δ' εἰς τὸ κάτωθεν ἐκγόνους παῖδάς τε ἐκγόνων;
그럼 출산과 관련하여서는 어떻습니까? 혹은 이건 논의된 바들의 생경함으로 인해 기억하기 좋지요? 혼인들에 관한 일들과 또 아이들에 관한 일들도 그 모든 이들 전부에게 공동의 일들로 세웠다는 것을, 그 누구도 결코 그들의 출생을 사적으로 알 수 없도록 조작받음으로써, 모든 이들이 그들 모두를 똑같은 동류로 생각할 것임을, 적절한 나이대 안으로는 자매들과 형제들이 될 것이고, 더 앞서부터 그리고 위로부터는 부모들과 그 부모들의 선조들이 될 것이며, 그 아래로는 후손이 되는 아이들과 그 후손들의 아이들이 될 것이라는 점을 말입니다.
μηχανωμένους : μηχανάομαι. make by art, construct, build. prepare.
πρεπούσης : πρέπω.

{ΤΙ.} Ναί, καὶ ταῦτα εὐμνημόνευτα ᾗ λέγεις. 네, 이런 점들 또한 당신 말씀대로 기억하기 좋습니다.

{ΣΩ.} Ὅπως δὲ δὴ κατὰ δύναμιν εὐθὺς γίγνοιντο ὡς ἄριστοι τὰς φύσεις, ἆρ' οὐ μεμνήμεθα ὡς τοὺς ἄρχοντας ἔφαμεν καὶ τὰς ἀρχούσας δεῖν εἰς τὴν τῶν γάμων σύνερξιν λάθρᾳ μηχανᾶσθαι κλήροις τισὶν ὅπως οἱ κακοὶ χωρὶς οἵ τ' ἀγαθοὶ ταῖς ὁμοίαις ἑκάτεροι συλλήξονται, καὶ μή τις αὐτοῖς ἔχθρα διὰ [Stephanus page 18, section e, line 3] ταῦτα γίγνηται, τύχην ἡγουμένοις αἰτίαν τῆς συλλήξεως;
그래서 그런 식으로 능력에 따라 태어나자 마자 그 본성들이 가능한 한 가장 훌륭하도록 하기 위해서, 혹시 우리는 지배자들과 지배하는 여인들이 혼인들의 결합에 대해 몰래 어떤 제비뽑기들로 조작하여야 한다고 말했다는 것을 기억하지 못하였습니까? 나쁜 자들과 좋은 자들이 따로이 각자 유사한 자들과 추첨되어 엮이도록, 그리고 이런 일들로 인하여 그들에게 모종의 증오가 생겨나지 않도록, 추첨에 의한 결합의 원인이 운이라 생각함으로써 그리하도록 말입니다.
συλλήξονται : συλλαγχάνω med. fut. to be joined by lot with.

{ΤΙ.} Μεμνήμεθα. 우린 기억하고 있었습니다.

{ΣΩ.} Καὶ μὴν ὅτι γε τὰ μὲν τῶν ἀγαθῶν θρεπτέον ἔφαμεν εἶναι, τὰ δὲ τῶν κακῶν εἰς τὴν ἄλλην λάθρᾳ διαδοτέον πόλιν· ἐπαυξανομένων δὲ σκοποῦντας ἀεὶ τοὺς ἀξίους πάλιν ἀνάγειν δεῖν, τοὺς δὲ παρὰ σφίσιν ἀναξίους εἰς τὴν τῶν ἐπανιόντων χώραν μεταλλάττειν;
게다가 좋은 자들의 경우에는 돌보아져야 하는 것이라고, 그런데 나쁜 자들의 경우에는 그 외의 폴리스로 몰래 퍼뜨려야하는 것으로 우리가 말했다는 것도 기억합니까: 자라나는 이들을 항상 살펴봄으로써 그들 중 가치있는 자들은 다시 데려와야 하고, 그 돌아온 자들의 자리로 그들 외에 무가치한 자들을 대체시켜야 한다고 한 것을요?
ἐπαυξανομένων : ἐπαυξάνω. increase, enlarge. pass., grow.
ἐπανιόντων : ἐπάνειμι. go back, return.

-蟲-

{ΚΑΛ.} Πολέμου καὶ μάχης φασὶ χρῆναι, ὦ Σώκρατες, οὕτω μεταλαγχάνειν.
소크라테스, 사람들은 전쟁과 전투에서 그런 식으로 나눠 가져야 한다고 말합니다.

{ΣΩ.} Ἀλλ' ἦ, τὸ λεγόμενον, κατόπιν ἑορτῆς ἥκομεν καὶ ὑστεροῦμεν;
그럼 정말이지, 말마따나, 우린 늦은데다가 잔치가 끝난 뒤에 온 겐가?

{ΚΑΛ.} Καὶ μάλα γε ἀστείας ἑορτῆς· πολλὰ γὰρ καὶ καλὰ Γοργίας ἡμῖν ὀλίγον πρότερον ἐπεδείξατο.
그것도 매혹적인 잔치가 끝난 다음이지요: 방금 전까지 고르기아스께서 저희에게 많고도 아름다운 것들을 보여주셨으니 말입니다.

{ΣΩ.} Τούτων μέντοι, ὦ Καλλίκλεις, αἴτιος Χαιρεφῶν ὅδε, [Stephanus page 447, section a, line 8] ἐν ἀγορᾷ ἀναγκάσας ἡμᾶς διατρῖψαι.
그렇지만 칼리클레스, 이렇게 된 건 이 사람 카이레폰 탓일세, 우리가 아고라에서 시간을 보낼 수밖에 없도록 만들었으니.

{ΧΑΙ.} Οὐδὲν πρᾶγμα, ὦ Σώκρατες· ἐγὼ γὰρ καὶ ἰάσομαι. φίλος γάρ μοι Γοργίας, ὥστ' ἐπιδείξεται ἡμῖν, εἰ μὲν δοκεῖ, νῦν, ἐὰν δὲ βούλῃ, εἰς αὖθις.
아무 문제 없습니다, 소크라테스: 제가 또 갚아 드릴 테니까요. 고르기아스가 제 친구인지라, 만일 괜찮다면 지금 우리에게 보여줄 것이고, 당신께서 원하신다면 다음 기회에 그리할 테니 말입니다.

{ΚΑΛ.} Τί δέ, ὦ Χαιρεφῶν; ἐπιθυμεῖ Σωκράτης ἀκοῦσαι Γοργίου;
헌데 어떤가, 카이레폰? 소크라테스께서는 고르기아스께 이야기 듣기를 바라시는가?

{ΧΑΙ.} Ἐπ' αὐτό γέ τοι τοῦτο πάρεσμεν.
보다시피 바로 그걸 위해 우리가 여기 있다네.

{ΚΑΛ.} Οὐκοῦν ὅταν βούλησθε παρ' ἐμὲ ἥκειν οἴκαδε· παρ' ἐμοὶ γὰρ Γοργίας καταλύει καὶ ἐπιδείξεται ὑμῖν.


{ΣΩ.} Εὖ λέγεις, ὦ Καλλίκλεις. ἀλλ' ἆρα ἐθελήσειεν ἂν [Stephanus page 447, section c, line 1] ἡμῖν διαλεχθῆναι; βούλομαι γὰρ πυθέσθαι παρ' αὐτοῦ τίς ἡ δύναμις τῆς τέχνης τοῦ ἀνδρός, καὶ τί ἐστιν ὃ ἐπαγγέλλεταί τε καὶ διδάσκει· τὴν δὲ ἄλλην ἐπίδειξιν εἰς αὖθις, ὥσπερ σὺ λέγεις, ποιησάσθω.

{ΚΑΛ.} Οὐδὲν οἷον τὸ αὐτὸν ἐρωτᾶν, ὦ Σώκρατες. καὶ γὰρ αὐτῷ ἓν τοῦτ' ἦν τῆς ἐπιδείξεως· ἐκέλευε γοῦν νυνδὴ ἐρωτᾶν ὅτι τις βούλοιτο τῶν ἔνδον ὄντων, καὶ πρὸς ἅπαντα ἔφη ἀποκρινεῖσθαι.

{ΣΩ.} Ἦ καλῶς λέγεις. ὦ Χαιρεφῶν, ἐροῦ αὐτόν.

{ΧΑΙ.} Τί ἔρωμαι;

[Stephanus page 447, section d, line 1] {ΣΩ.} Ὅστις ἐστίν.

{ΧΑΙ.} Πῶς λέγεις;

{ΣΩ.} Ὥσπερ ἂν εἰ ἐτύγχανεν ὢν ὑποδημάτων δημιουργός, ἀπεκρίνατο ἂν δήπου σοι ὅτι σκυτοτόμος· ἢ οὐ μανθάνεις ὡς λέγω;

{ΧΑΙ.} Μανθάνω καὶ ἐρήσομαι. Εἰπέ μοι, ὦ Γοργία, ἀληθῆ λέγει Καλλικλῆς ὅδε ὅτι ἐπαγγέλλῃ ἀποκρίνεσθαι ὅτι ἄν τίς σε ἐρωτᾷ;

{ΓΟΡ.} Ἀληθῆ, ὦ Χαιρεφῶν· καὶ γὰρ νυνδὴ αὐτὰ ταῦτα ἐπηγγελλόμην, καὶ λέγω ὅτι οὐδείς μέ πω ἠρώτηκε καινὸν [Stephanus page 448, section a, line 3] οὐδὲν πολλῶν ἐτῶν.

{ΧΑΙ.} Ἦ που ἄρα ῥᾳδίως ἀποκρινῇ, ὦ Γοργία.

{ΓΟΡ.} Πάρεστι τούτου πεῖραν, ὦ Χαιρεφῶν, λαμβάνειν.

{ΠΩΛ.} Νὴ Δία· ἂν δέ γε βούλῃ, ὦ Χαιρεφῶν, ἐμοῦ. Γοργίας μὲν γὰρ καὶ ἀπειρηκέναι μοι δοκεῖ· πολλὰ γὰρ ἄρτι διελήλυθεν.

{ΧΑΙ.} Τί δέ, ὦ Πῶλε; οἴει σὺ κάλλιον ἂν Γοργίου ἀποκρίνασθαι;

{ΠΩΛ.} Τί δὲ τοῦτο, ἐὰν σοί γε ἱκανῶς;

{ΧΑΙ.} Οὐδέν· ἀλλ' ἐπειδὴ σὺ βούλει, ἀποκρίνου.

[Stephanus page 448, section b, line 3] {ΠΩΛ.} Ἐρώτα.

{ΧΑΙ.} Ἐρωτῶ δή. εἰ ἐτύγχανε Γοργίας ἐπιστήμων ὢν τῆς τέχνης ἧσπερ ὁ ἀδελφὸς αὐτοῦ Ἡρόδικος, τί ἂν αὐτὸν ὠνομάζομεν δικαίως; οὐχ ὅπερ ἐκεῖνον;

{ΠΩΛ.} Πάνυ γε.

{ΧΑΙ.} Ἰατρὸν ἄρα φάσκοντες αὐτὸν εἶναι καλῶς ἂν ἐλέγομεν.

{ΠΩΛ.} Ναί.

{ΧΑΙ.} Εἰ δέ γε ἧσπερ Ἀριστοφῶν ὁ Ἀγλαοφῶντος ἢ ὁ ἀδελφὸς αὐτοῦ ἔμπειρος ἦν τέχνης, τίνα ἂν αὐτὸν ὀρθῶς [Stephanus page 448, section b, line 13] ἐκαλοῦμεν;

{ΠΩΛ.} Δῆλον ὅτι ζωγράφον.

{ΧΑΙ.} Νῦν δ' ἐπειδὴ τίνος τέχνης ἐπιστήμων ἐστίν, τίνα ἂν καλοῦντες αὐτὸν ὀρθῶς καλοῖμεν;

{ΠΩΛ.} Ὦ Χαιρεφῶν, πολλαὶ τέχναι ἐν ἀνθρώποις εἰσὶν ἐκ τῶν ἐμπειριῶν ἐμπείρως ηὑρημέναι· ἐμπειρία μὲν γὰρ ποιεῖ τὸν αἰῶνα ἡμῶν πορεύεσθαι κατὰ τέχνην, ἀπειρία δὲ κατὰ τύχην. ἑκάστων δὲ τούτων μεταλαμβάνουσιν ἄλλοι ἄλλων ἄλλως, τῶν δὲ ἀρίστων οἱ ἄριστοι· ὧν καὶ Γοργίας ἐστὶν ὅδε, καὶ μετέχει τῆς καλλίστης τῶν τεχνῶν.

[Stephanus page 448, section d, line 1] {ΣΩ.} Καλῶς γε, ὦ Γοργία, φαίνεται Πῶλος παρεσκευάσθαι εἰς λόγους· ἀλλὰ γὰρ ὃ ὑπέσχετο Χαιρεφῶντι οὐ ποιεῖ.

{ΓΟΡ.} Τί μάλιστα, ὦ Σώκρατες;

{ΣΩ.} Τὸ ἐρωτώμενον οὐ πάνυ μοι φαίνεται ἀποκρίνεσθαι.

{ΓΟΡ.} Ἀλλὰ σύ, εἰ βούλει, ἐροῦ αὐτόν.

{ΣΩ.} Οὔκ, εἰ αὐτῷ γε σοὶ βουλομένῳ ἐστὶν ἀποκρίνεσθαι, ἀλλὰ πολὺ ἂν ἥδιον σέ. δῆλος γάρ μοι Πῶλος καὶ ἐξ ὧν εἴρηκεν ὅτι τὴν καλουμένην ῥητορικὴν μᾶλλον μεμελέτηκεν [Stephanus page 448, section d, line 10] ἢ διαλέγεσθαι.

{ΠΩΛ.} Τί δή, ὦ Σώκρατες;

{ΣΩ.} Ὅτι, ὦ Πῶλε, ἐρομένου Χαιρεφῶντος τίνος Γοργίας ἐπιστήμων τέχνης, ἐγκωμιάζεις μὲν αὐτοῦ τὴν τέχνην ὥσπερ τινὸς ψέγοντος, ἥτις δέ ἐστιν οὐκ ἀπεκρίνω.

{ΠΩΛ.} Οὐ γὰρ ἀπεκρινάμην ὅτι εἴη ἡ καλλίστη;

{ΣΩ.} Καὶ μάλα. ἀλλ' οὐδεὶς ἐρωτᾷ ποία τις ἡ Γοργίου τέχνη, ἀλλὰ τίς, καὶ ὅντινα δέοι καλεῖν τὸν Γοργίαν· ὥσπερ τὰ ἔμπροσθέν σοι ὑπετείνατο Χαιρεφῶν καὶ αὐτῷ καλῶς καὶ διὰ βραχέων ἀπεκρίνω, καὶ νῦν οὕτως εἰπὲ τίς ἡ τέχνη [Stephanus page 449, section a, line 2] καὶ τίνα Γοργίαν καλεῖν χρὴ ἡμᾶς. μᾶλλον δέ, ὦ Γοργία, αὐτὸς ἡμῖν εἰπὲ τίνα σε χρὴ καλεῖν ὡς τίνος ἐπιστήμονα τέχνης.


-작성중-

ΘΕΟ. Εἰς τὸ κοινὸν μὲν οὖν, ἀποκρινέσθω δὲ ὁ [b]νεώτερος· σφαλεὶς γὰρ ἦττον ἀσχημονήσει.
그렇다면 공통으로 해주시되, 더 젊은 사람이 답하도록 하시죠: 거꾸러져도 덜 민망해 할 테니까요.
σφαλεὶς : overthrow.
ἀσχημονήσει : behave unseemly, disgrace oneself.

ΣΩ. Λέγω δὴ τὸ δεινότατον ἐρώτημα, ἔστι δὲ οἶμαι τοιόνδε τι· "Ἆρα οἶόν τε τὸν αὐτὸν εἰδότα τι τοῦτο ὅ οἶδεν μὴ εἰδέναι;"
그럼 내 아주 무시무시한 질문을 진술하지, 그런데 내 생각에 그건 이런 무언가일세: "혹시 아는 바로 그 뭔가를 아는 자가 알지 못할 수 있는가?"

ΘΕΟ. Τί δὴ οὖν ἀποκρινούμεθα, ὦ Θεαίτητε;
그렇다면 우리가 뭐라 대답하는가, 테아이테토스?

ΘΕΑΙ. Ἀδύνατόν που, οἶμαι ἔγωγε.
적어도 제 생각에는 아마도 불가능합니다.

ΣΩ. οὔκ, εἰ τὸ ὁρᾶν γε ἐπίστασθαι θήσεις. τί γὰρ χρήσῃ ἀφύκτῳ ἐρωτήματι, τὸ λεγόμενον ἐν φρέατι συσχόμενος, ὅταν ἐρωτᾷ ἀνέκπληκτος ἀνήρ, καταλαβὼν τῇ χειρὶ [c]σοῦ τὸν ἕτερον ὀφθαλμόν, εἰ ὁρᾷς τὸ ἱμάτιον τῷ κατειλημμένῳ;
그렇지 않을 걸세, 만일 자네가 적어도 본다는 걸 안다는 것으로 세운다면 말일세. 그야 자네 벗어날 수 없는 질문을 어찌 다루겠나, 말마따나 수렁 속에 빠져서? 대담한 사내가 손으로 자네의 한쪽 눈을 덮으며 자네가 그 덮힌 눈으로 그의 히마티온을 보는지 물을 경우에 말일세?
ἀφύκτῳ : ἀ + φεύγω.
φρέατι : an artificial well. tank.
ἀνέκπληκτος : undaunted, intrepid.
κατειλημμένῳ : καταλαμβάνω pf. mp. part.

ΘΕΑΙ. Οὐ φήσω οἶμαι τούτῳ γε, τῷ μέντοι ἑτέρῳ.
제 생각엔 그쪽 눈으로 본다고는 말하지 않을 테고, 그렇지만 다른 쪽으로 본다고 말할 겁니다.

ΣΩ. Οὐκοῦν ὁρᾷς τε καὶ οὐχ ὁρᾷς ἅμα ταὐτόν;
그렇다면 자네는 동일한 것을 동시에 보면서 보지 않는 게 아닌가?

ΘΕΑΙ. Οὕτω γέ πως. 적어도 어떤 식으로는 그렇지요.

ΣΩ. οὐδὲν ἐγώ, φήσει, τοῦτο οὔτε τάττω οὔτ᾿ ἠρόμην τὸ ὅπως, ἀλλ᾿ εἰ ὅ ἐπίστασαι, τοῦτο καὶ οὐκ ἐπίστασαι. νῦν δὲ ὅ οὐχ ὁρᾷς ὁρῶν φαίνῃ. ὡμολογηκὼς δὲ τυγχάνεις τὸ ὁρᾶν ἐπίστασθαι καὶ τὸ μὴ ὁρᾶν μὴ ἐπίστασθαι. ἐξ οὖν τούτων λογίζου τί σοι συμβαίνει.
그는 말할 걸세, 나는 그 방식을 전혀 요구하지도 묻지도 않았고, 당신이 아는 바, 그것을 당신이 알지 못하기도 하는지를 따져 물었소. 그런데 지금 당신은 못 보는 것을 보는 것으로 드러났지. 그런데 마침 당신은 보는 것이 아는 것이요 못 보는 것은 알지 못하는 것이라 동의하였고. 그러므로 이런 것들로부터 당신에게 무엇이 귀결되는지 헤아려 보시오.

[d]ΘΕΑΙ. Ἀλλὰ λογίζομαι ὅτι τἀναντία οἷς ὑπεθέμην.
그럼 저는 제가 가정하였던 것들과 정반대란 점을 헤아립니다.

ΣΩ. Ἴσως δέ γ᾿, ὦ θαυμάσιε, πλείω ἄν τοιαῦτ᾿ ἔπαθες εἴ τίς σε προσηρώτα εἰ ἐπίστασθαι ἔστι μὲν ὀξύ, ἔστι δὲ ἀμβλύ, καὶ ἐγγύθεν μὲν ἐπίστασθαι, πόρρωθεν δὲ μή, καὶ σφόδρα καὶ ἠρέμα τὸ αὐτό, καὶ ἄλλα μυρία, ἅ ἐλλοχῶν ἄν πελταστικὸς ἀνὴρ μισθοφόρος ἐν λόγοις ἐρόμενος, ἡνίκ᾿ ἐπιστήμην καὶ αἴσθησιν ταὐτὸν ἔθου, ἐμβαλὼν ἄν εἰς τὸ ἀκούειν καὶ ὀσφραίνεσθαι καὶ τὰς τοιαύτας αἰσθήσεις, [e] ἤλεγχεν ἄν ἐπέχων καὶ οὐκ ἀνιεὶς πρὶν θαυμάσας τὴν πολυάρατον σοφίαν συνεποδίσθης ὑπ᾿ αὐτοῦ, οὗ δή σε χειρωσάμενός τε καὶ συνδήσας ἤδη ἄν τότε ἐλύτρου χρημάτων ὅσων σοί τε κἀκείνῳ ἐδόκει. τίν᾿ οὖν δὴ ὁ Πρωταγόρας, φαίης ἄν ἴσως, λόγον ἐπίκουρον τοῖς αὑτοῦ ἐρεῖ; ἄλλο τι πειρώμεθα λέγειν;
그런 듯한 데다가, 놀라운 친구, 자네는 이런 일들을 더 많이 겪을 걸세, 만일 누군가 자네에게 선명하게 알 수 있는 반면, 불분명하게 알 수 있는지, 가까이서는 알 수 있지만, 멀리서는 그렇지 않은지, 그것이 지극하게도 되고 경미하게도 되는지, 그 외에도 돈벌이로 논변(진술)들에서 문답하며 공방에 능한 자가 논박하는 수 많은 일들을 겪겠지, 자네가 앎과 감각을 같은 것으로 두고, 듣거나 냄새맡거나 이와 같은 감각들에 붙잡아 두는 한, 그는 자네가 그에 의해 안달나는(저주스런) 지혜에 경악하고 발이 묶이기 전까지 놓아주지 않고 붙들고서 논박할 걸세, 그리고서 그 점에서 자네를 사로잡아 결박시킨 다음 그제서야 자네에게도 저 사람에게도 그리 여겨지는 만큼의 몸값으로 풀어줄 테지. 그러하니, 자네가 말할 것 같으면, 프로타고라스가 자신의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논변으로 무엇을 말하겠는가? 우리가 다른 뭔가를 진술하고자 시도해 보겠나?
πελταστικὸς : skilled in the use of the πέλτη. targeteer.
ὀσφραίνεσθαι : ὀσφραίνομαι. catch scent of.
ἀνιεὶς : ἀνίημι part. let go.
πολυάρατον : much-wished-for, cursed.
συνεποδίσθης : συμποδίζω aor. pass. tie the feet together, bind hand and foot. entangle, enchain.
ἐλύτρου : λυτρόω impf. release on receipt of a ransom, hold to ransom.

ΘΕΑΙ. Πάνυ μὲν οὖν. 물론입니다.

{ΣΩ.} Ταῦτά τε δὴ πάντα ὅσα ἡμεῖς ἐπαμύνοντες αὐτῷ [Stephanus page 166, section a, line 1] λέγομεν, καὶ ὁμόσε οἶμαι χωρήσεται καταφρονῶν ἡμῶν καὶ λέγων· “Οὗτος δὴ ὁ Σωκράτης ὁ χρηστός, ἐπειδὴ αὐτῷ παιδίον τι ἐρωτηθὲν ἔδεισεν εἰ οἷόν τε τὸν αὐτὸν τὸ αὐτὸ μεμνῆσθαι ἅμα καὶ μὴ εἰδέναι, καὶ δεῖσαν ἀπέφησεν διὰ τὸ μὴ δύνασθαι προορᾶν, γέλωτα δὴ τὸν ἐμὲ ἐν τοῖς λόγοις ἀπέδειξεν.
그래서 우리가 그를 도와 진술하는 그 모든 것들도 그렇거니와, 내 생각에 그는 우리를 비웃으면서 이렇게 말하면서 그 전장에도 뛰어들 걸세: "이 사람 쓸모있는 자 소크라테스는, 어떤 아이가 그에게 같은 사람이 같은 것을 기억하는 동시에 알지 못할 수 있는지 질문 받고서 겁을 집어먹고, 겁이 나서 예견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부정하였기에, 그래서 나의 진술들 속에서 나를 우스꽝스러운 자로 드러내 보였소.
ἐπαμύνοντες : come to aid, succour.
χωρήσεται : χωρέω with ὁμόσε. to join battle.
καταφρονῶν : καταφρονέω. look down upon, think slightly of.

τὸ δέ, ὦ ῥᾳθυμότατε Σώκρατες, τῇδ' ἔχει· ὅταν τι τῶν ἐμῶν δι' ἐρωτήσεως σκοπῇς, ἐὰν μὲν ὁ ἐρωτηθεὶς οἷάπερ ἂν ἐγὼ ἀποκριναίμην ἀποκρινάμενος σφάλληται, ἐγὼ ἐλέγχομαι, εἰ δὲ ἀλλοῖα, αὐτὸς ὁ ἐρωτηθείς. αὐτίκα γὰρ δοκεῖς τινά σοι συγχωρήσεσθαι μνήμην παρεῖναί τῳ ὧν [Stephanus page 166, section b, line 3] ἔπαθε, τοιοῦτόν τι οὖσαν πάθος οἷον ὅτε ἔπασχε, μηκέτι πάσχοντι; πολλοῦ γε δεῖ. ἢ αὖ ἀποκνήσειν ὁμολογεῖν οἷόν τ' εἶναι εἰδέναι καὶ μὴ εἰδέναι τὸν αὐτὸν τὸ αὐτό; ἢ ἐάνπερ τοῦτο δείσῃ, δώσειν ποτὲ τὸν αὐτὸν εἶναι τὸν ἀνομοιούμενον τῷ πρὶν ἀνομοιοῦσθαι ὄντι; μᾶλλον δὲ τὸν εἶναί τινα ἀλλ' οὐχὶ τούς, καὶ τούτους γιγνομένους ἀπείρους, ἐάνπερ ἀνομοίωσις γίγνηται, εἰ δὴ ὀνομάτων γε δεήσει θηρεύσεις διευλαβεῖσθαι ἀλλήλων;
그런데, 성미 급한 소크라테스, 그 일은 이런 것이오: 당신이 나의 진술들 중 뭔가를 질문들을 거쳐서 검토할 적에, 질문 받은 자가 내가 답할 바로 그런 식으로 답하며 전복당한다면, 나는 논박될 것이나, 만일 달리 한다면, 질문 받은 바로 그가 논박될 것이오. 그야 당장에 당신에게 누군가 겪었던 그 일들에 대한 기억이 그에게 현전한다고 동의하리라 여겨지시오? 말하자면 한 때 그가 겪었으나, 더 이상 겪고 있지 않은 어떤 경험이 이와 같은 것이기에 말이오. 그건 거리가 먼 얘기요. 혹은 이번엔 동일한 자가 동일한 것을 알면서 알지 못할 수 있다는 걸 그가 망설이리라 여기시오(δοκεῖς)? 아니면 만일 정말로 그가 이 일을 두려워 한다면, 도대체 달라지기 이전의 사람과 달라진 사람이 같은 사람이라는 걸 그가 허용하리라 여기시오? 더구나, 만일 정말로 달라지는 일이 생긴다면 무한하게 생겨날 이러한 그들이 아니라 누군가 한 사람이라고 말이오? 만일 서로 간에 이름들의 추적들을 주의할 필요가 있다면?"
διευλαβεῖσθαι : διευλαβέομαι. treat with caution, beware of. c.acc., c.gen.

ἀλλ', ὦ μακάριε,” φήσει, “γενναιοτέρως ἐπ' αὐτὸ ἐλθὼν ὃ λέγω, εἰ δύνασαι, ἐξέλεγξον ὡς οὐχὶ ἴδιαι αἰσθήσεις ἑκάστῳ ἡμῶν γίγνονται, ἢ ὡς ἰδίων γιγνομένων [Stephanus page 166, section c, line 5] οὐδέν τι ἂν μᾶλλον τὸ φαινόμενον μόνῳ ἐκείνῳ γίγνοιτο, ἢ εἰ εἶναι δεῖ ὀνομάζειν, εἴη ᾧπερ φαίνεται· ὗς δὲ δὴ καὶ κυνοκεφάλους λέγων οὐ μόνον αὐτὸς ὑηνεῖς, ἀλλὰ καὶ τοὺς ἀκούοντας τοῦτο δρᾶν εἰς τὰ συγγράμματά μου ἀναπείθεις, οὐ καλῶς ποιῶν.
그는 말할 걸세, "허나, 복된 이여, 당신이 그리 할 수 있다면, 내가 말하는 바에 대해 더 고상한 방식으로 다가서서, 우리들 각자에게 감각들이 고유한 것들이 되지 않는다거나, 그것들이 고유한 것들이 되더라도 그 중 아무것도 오직 그것이 그에게 그리 나타난 그 자에게 그 나타난 것이 되거나, 혹은 만일 '~임'이라는 이름을 사용해야 한다면, 그리 나타난 것'이지는' 않으리라고 논박해내 보시오: 그런데 멧돼지들과 원숭이들을 말하면서 당신 자신만이 꿀꿀거릴 뿐만 아니라, 청중들까지도 나의 저술들에 대하여 이 짓거리를 한다고 설득하고 있소, 훌륭하지 못하게 행하며 말이오.

ἐγὼ γάρ φημι μὲν τὴν ἀλήθειαν ἔχειν ὡς γέγραφα· μέτρον γὰρ ἕκαστον ἡμῶν εἶναι τῶν τε ὄντων καὶ μή, μυρίον μέντοι διαφέρειν ἕτερον ἑτέρου αὐτῷ τούτῳ, ὅτι τῷ μὲν ἄλλα ἔστι τε καὶ φαίνεται, τῷ δὲ ἄλλα. καὶ σοφίαν καὶ σοφὸν ἄνδρα πολλοῦ δέω τὸ μὴ φάναι εἶναι, ἀλλ' αὐτὸν τοῦτον καὶ λέγω σοφόν, ὃς ἄν τινι ἡμῶν, [Stephanus page 166, section d, line 7] ᾧ φαίνεται καὶ ἔστι κακά, μεταβάλλων ποιήσῃ ἀγαθὰ φαίνεσθαί τε καὶ εἶναι.
왜냐하면 나로서는 내가 썼던 것처럼 진리가 있다고 말하니 말이오: 우리들 각자가 ~인 것들과 ~이지 않은 것들의 척도라고, 그럼에도 한 사람이 다른 사람과 바로 이런 점에서 헤아릴 수 없이 다르다고, 한 사람에게는 어떤 것들이 ~이고 또 그리 나타나지만, 다른 자에게는 그 외의 것들이 그러하고 그리 나타난다는 점에서 그렇다고 말하기 때문이지. 또한 나는 지혜든 지혜로운 사내든 ~이라고 말하지 않는 것과는 거리가 멀고, 오히려 바로 이런 자가 지혜로운 자라고 말하기도 하오, 우리들 중 그에게 나쁜 것들로 나타나고 또한 그러한 누군가에게, 변화시켜 좋은 것들로 나타나도록 그리고 그러하도록 만들 그런 사람 말이오.

τὸν δὲ λόγον αὖ μὴ τῷ ῥήματί μου δίωκε, ἀλλ' ὧδε ἔτι σαφέστερον μάθε τί λέγω. οἷον γὰρ ἐν τοῖς πρόσθεν ἐλέγετο ἀναμνήσθητι, ὅτι τῷ μὲν ἀσθενοῦντι πικρὰ φαίνεται ἃ ἐσθίει καὶ ἔστι, τῷ δὲ ὑγιαίνοντι τἀναντία ἔστι καὶ φαίνεται. σοφώτερον μὲν οὖν τούτων οὐδέτερον δεῖ ποιῆσαι - οὐδὲ γὰρ δυνατόν - οὐδὲ κατηγορητέον ὡς ὁ μὲν κάμνων ἀμαθὴς ὅτι τοιαῦτα δοξάζει, ὁ δὲ ὑγιαίνων σοφὸς ὅτι ἀλλοῖα, μεταβλητέον δ' ἐπὶ θάτερα· ἀμείνων γὰρ ἡ ἑτέρα ἕξις.
그런데 이번엔 내 진술을 내 말을 갖고 물고 늘어지지 말고, 내가 무슨 말을 하는지 이런 식으로 더욱 더 확실하게 배워 주시오. 즉 예를 들어 앞서 내가 이야기했던 것들에서 기억해 보시오, 허약한 자에게는 그가 먹는 것들이 쓴 것들로 나타나고 또 쓴 것들인 반면, 건강한 자에게는 반대이고 반대로 나타난다는 점을 말이오. 그러므로 그들 중 어느 쪽도 더 지혜로운 자로 만들 필요도 없고 - 그야 그럴 수도 없고 말이오 - 앓는 자가 이런 식으로 믿는다는 점에서 무식쟁이라고, 그러나 건강한 자는 달리 믿기에 지혜롭다고 선언해야 하는 것도 아니고, 다른 쪽으로 전환해야 하는 것이오: 왜냐하면 다른 방식이 더 나으니 말이오.

-蟲-

{ΣΩ.} Τῇδε· ὁ μὲν ὁρῶν ἐπιστήμων, φαμέν, τούτου γέγονεν οὗπερ ὁρῶν· ὄψις γὰρ καὶ αἴσθησις καὶ ἐπιστήμη ταὐτὸν ὡμολόγηται.
이런 식으로 말일세: 보는 자는, 우리가 말한 대로, 그가 보는 바로 그것에 대해 알게 되었네: 왜냐하면 시각과 감각과 앎이 동일한 것이라 동의되었기 때문이지.

{ΘΕΑΙ.}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ΣΩ.} Ὁ δέ γε ὁρῶν καὶ ἐπιστήμων γεγονὼς οὗ ἑώρα, ἐὰν μύσῃ, μέμνηται μέν, οὐχ ὁρᾷ δὲ αὐτό. ἦ γάρ;
그런데 보는 자이자 본 것에 대해 알게 되는 자가, 만일 눈을 감았다면, 기억은 하지만, 그것을 보는 건 아니지. 아니 그런가?
μύσῃ : μύω aor. subj. sg. 3rd. shut the eyes.

{ΘΕΑΙ.} Ναί. 네.

{ΣΩ.} Τὸ δέ γε “οὐχ ὁρᾷ” “οὐκ ἐπίσταταί” ἐστιν, εἴπερ καὶ τὸ “ὁρᾷ” “ἐπίσταται.”
그런가 하면 "보고 있지 않다"라는 것은 "알지 못한다"라는 것이지, 만일 정말로 "본다"는 것이 "안다"라는 것이라면.

[Stephanus page 164, section b, line 3]{ΘΕΑΙ.} Ἀληθῆ. 참으로 그렇습니다.

{ΣΩ.} Συμβαίνει ἄρα, οὗ τις ἐπιστήμων ἐγένετο, ἔτι μεμνημένον αὐτὸν μὴ ἐπίστασθαι, ἐπειδὴ οὐχ ὁρᾷ· ὃ τέρας ἔφαμεν ἂν εἶναι εἰ γίγνοιτο.
그래서 이리 귀결하네, 누군가가 어떤 것에 대해 알게 되었던 것, 그것이 기억될 때까지 그 자는 아는 게 아니라고 말일세, 그는 보고 있지 않으니까: 우리는 만일 그리 된다면 가공할 일일 것이라 말했지.

{ΘΕΑΙ.} Ἀληθέστατα λέγεις. 무척이나 참된 말씀이십니다.

{ΣΩ.} Τῶν ἀδυνάτων δή τι συμβαίνειν φαίνεται ἐάν τις ἐπιστήμην καὶ αἴσθησιν ταὐτὸν φῇ εἶναι.
그래서 만일 누군가 앎과 감각이 같은 것이라 말한다면 불가능한 것들 중의 뭔가로 귀결이 된 듯하네.

{ΘΕΑΙ.} Ἔοικεν. 그런 것 같습니다.

{ΣΩ.} Ἄλλο ἄρα ἑκάτερον φατέον.
그럼 그 둘 각각을 그 외의 것이라 말해야만 하겠군.

{ΘΕΑΙ.} Κινδυνεύει. 그럴 성싶습니다.

[Stephanus page 164, section c, line 1] {ΣΩ.} Τί οὖν δῆτ' ἂν εἴη ἐπιστήμη; πάλιν ἐξ ἀρχῆς, ὡς ἔοικεν, λεκτέον. καίτοι τί ποτε μέλλομεν, ὦ Θεαίτητε, δρᾶν;
그래, 그렇다면 앎이란 무엇이겠는가? 아마도 다시 처음부터 진술해야 할 듯하네. 그렇긴 하지만, 테아이테토스, 우리가 장차 도대체 무슨 일을 하게 되겠나?

{ΘΕΑΙ.} Τίνος πέρι; 무엇에 관하여 말씀하시는 겁니까?

{ΣΩ.} Φαινόμεθά μοι ἀλεκτρυόνος ἀγεννοῦς δίκην πρὶν νενικηκέναι ἀποπηδήσαντες ἀπὸ τοῦ λόγου ᾄδειν.
내게는 우리가 태생이 좋지 못한 닭이 하는 짓처럼 승리를 거두기도 전에 그 진술로부터 뛰어 내리며 울부짖은 듯이 보인다네.
ἀλεκτρυόνος : ἀλεκτρυών gen. a cokc.
ἀγεννοῦς : ἀγεννής gen. ἀ + γενναῖος.
δίκην : in the way of, after the manner of. c.gen.
ἀποπηδήσαντες : ἀποπηδάω aor. part. leap off, start off.
ᾄδειν : ἀείδω contr. inf. sing, whistle. to crow.

{ΘΕΑΙ.} Πῶς δή; 그래서 무슨 말씀이신지요?

{ΣΩ.} Ἀντιλογικῶς ἐοίκαμεν πρὸς τὰς τῶν ὀνομάτων ὁμολογίας ἀνομολογησάμενοι καὶ τοιούτῳ τινὶ περιγενόμενοι τοῦ λόγου ἀγαπᾶν, καὶ οὐ φάσκοντες ἀγωνισταὶ ἀλλὰ φιλόσοφοι εἶναι λανθάνομεν ταὐτὰ ἐκείνοις τοῖς δεινοῖς ἀνδράσιν [Stephanus page 164, section d, line 2] ποιοῦντες.
우리는 이름들에 대한 동의에 대해 반박술의 방식으로 동의해 버렸고 이런 어떤 점에서 그 논변에 우위를 점하여 만족하였던 것 같고, 우리를 경쟁하는 자들이 아니라 지혜를 사랑하는 자들이라 단언하면서 우리도 모르게 저 무시무시한 사내들과 같은 일들을 만들고 있다는 걸세.
περιγενόμενοι : περιγίγνομαι aor. part.

{ΘΕΑΙ.} Οὔπω μανθάνω ὅπως λέγεις. 아직 당신께서 말씀하시는 바를 알지 못하겠습니다.

{ΣΩ.} Ἀλλ' ἐγὼ πειράσομαι δηλῶσαι περὶ αὐτῶν ὅ γε δὴ νοῶ. ἠρόμεθα γὰρ δὴ εἰ μαθὼν καὶ μεμνημένος τίς τι μὴ ἐπίσταται, καὶ τὸν ἰδόντα καὶ μύσαντα μεμνημένον ὁρῶντα δὲ οὒ ἀποδείξαντες, οὐκ εἰδότα ἀπεδείξαμεν καὶ ἅμα μεμνημένον· τοῦτο δ' εἶναι ἀδύνατον. καὶ οὕτω δὴ μῦθος ἀπώλετο ὁ Πρωταγόρειος, καὶ ὁ σὸς ἅμα ὁ τῆς ἐπιστήμης καὶ αἰσθήσεως ὅτι ταὐτόν ἐστιν.
그럼 나는 그 일들에 관하여 특히나 내가 생각하는 바를 분명하게 만들고자 시도할 것이네. 왜냐하면 우리는 뭔가를 배우고 또한 기억하는 누군가가 알지는 못하는지 묻고 있었고, 보고서 눈을 감은 자가 기억하며 보지 않는다는 것을 밝혀 보임으로써, 알지 못하면서 동시에 기억한다는 점을 밝혀 보였었으니까: 그런데 이런 일은 불가능하다는 것도 말이지. 게다가 그런 식으로 프로타고라스의 신화가 파멸하였고, 앎과 감각에 대해 그것들이 같은 것이라는 자네의 이야기도 동시에 파멸하였지.

{ΘΕΑΙ.} Φαίνεται. 그리 보입니다.

[Stephanus page 164, section e, line 2] {ΣΩ.} Οὔ τι ἄν, οἶμαι, ὦ φίλε, εἴπερ γε ὁ πατὴρ τοῦ ἑτέρου μύθου ἔζη, ἀλλὰ πολλὰ ἂν ἤμυνε· νῦν δὲ ὀρφανὸν αὐτὸν ἡμεῖς προπηλακίζομεν. καὶ γὰρ οὐδ' οἱ ἐπίτροποι, οὓς Πρωταγόρας κατέλιπεν, βοηθεῖν ἐθέλουσιν, ὧν Θεόδωρος εἷς ὅδε. ἀλλὰ δὴ αὐτοὶ κινδυνεύσομεν τοῦ δικαίου ἕνεκ' αὐτῷ βοηθεῖν.
허나 내 생각엔, 친구, 만일 정말로 그 다른 쪽 신화의 아버지가 살아있었더라면, 뭔가 그렇지 않고 그가 많은 것들을 지켜냈을 것 같다네: 그런데 이제 우리로서는 그 이야기를 사생아라 먹칠을 해 버렸지. 왜냐하면 프로타고라스가 남겨주었던 이들, 그 상속자들이 도우려 하지 않을 테니까, 여기 이 사람 테오도로스도 그들 중 한 사람이지. 허나 그래서 우리 자신이 정당하게 그 신화를 돕기를 감행하게 될 걸세.
ἤμυνε : ἀμύνω aor.
ὀρφανόν : orphan, without parents, fatherless.
προπηλακίζομεν : προπηλακίζω. bespatter with mud, trample in the mire.
ἐπίτροποι : executor.

{ΘΕΟ.} Οὐ γὰρ ἐγώ, ὦ Σώκρατες, ἀλλὰ μᾶλλον Καλλίας ὁ Ἱππονίκου τῶν ἐκείνου ἐπίτροπος· ἡμεῖς δέ πως θᾶττον ἐκ τῶν ψιλῶν λόγων πρὸς τὴν γεωμετρίαν ἀπενεύσαμεν. χάριν γε μέντοι σοὶ ἕξομεν ἐὰν αὐτῷ βοηθῇς.
그야 저는 아니니까요, 소크라테스, 허나 그들보다는 히포니코스의 아들 칼리아스가 더욱 저 이야기의 상속사입니다: 그러나 우리들은 어쨌든 금새 벌거벗은 진술들을 통해 기하학 쪽으로 기울었습니다. 그렇지만 적어도 우린 당신께서 그 신화를 도우신다면 당신께 감사할 것입니다.
θᾶττον : ταχύς comp. usual form. sooner, rather.
ψιλῶν : ψιλός. bare. uncovered.
ἀπενεύσαμεν : bend away from, incline towards.

{ΣΩ.} Καλῶς λέγεις, ὦ Θεόδωρε. σκέψαι οὖν τήν γ' [Stephanus page 165, section a, line 5] ἐμὴν βοήθειαν. τῶν γὰρ ἄρτι δεινότερα ἄν τις ὁμολογήσειεν μὴ προσέχων τοῖς ῥήμασι τὸν νοῦν, ᾗ τὸ πολὺ εἰθίσμεθα φάναι τε καὶ ἀπαρνεῖσθαι. σοὶ λέγω ὅπῃ, ἢ Θεαιτήτῳ;
훌륭한 말일세, 테오도로스. 그렇다면 나의 도움을 검토해 주시게. 왜냐하면 누군가 그 말들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을 경우 방금 이야기들보다 더욱 무서운 일들에 동의하게 될 테니까 말이지, 우리가 단언하고 부정하는 데에 익숙한 그런 방식으로 말일세. 내가 자네에게 어떤 식으로 진술할까, 아니면 테아이테토스에게 그리 할까?
εἰθίσμεθα : ἐθίζω pf.

-蟲-

{ΣΩ.} [Stephanus page 163, section a, line 4] Ἄλλῃ δὴ σκεπτέον, ὡς ἔοικεν, ὡς ὅ τε σὸς καὶ ὁ Θεοδώρου λόγος.
그럼 그 외의 방식으로 검토해야 할 듯이 보이는군, 자네와 테오도로스의 진술인 것으로서 말일세.
→ Burnyeat : 자네와 테오도로스의 진술인 바에 따라, 다른 식으로 검토해야 할 듯하군?

{ΘΕΑΙ.} Πάνυ μὲν οὖν ἄλλῃ. 물론 무척 다른 방식으로요.

{ΣΩ.} Τῇδε δὴ σκοπῶμεν εἰ ἄρα ἐστὶν ἐπιστήμη τε καὶ αἴσθησις ταὐτὸν ἢ ἕτερον. εἰς γὰρ τοῦτό που πᾶς ὁ λόγος ἡμῖν ἔτεινεν, καὶ τούτου χάριν τὰ πολλὰ καὶ ἄτοπα ταῦτα ἐκινήσαμεν. οὐ γάρ;
그럼 이런 식으로 검토해 보세, 혹시 앎과 감각이 동일한 것인지 아니면 다른 것인지를 말이네. 왜냐하면 아마도 우리의 경우 그 모든 진술이 이 점을 목표로 하였고, 이를 위해 이런 많은 이상한 점들을 우리가 촉발시켰으니까. 아니 그런가?

{ΘΕΑΙ.} Παντάπασι μὲν οὖν. 전적으로 그렇습니다.

{ΣΩ.} Ἦ οὖν ὁμολογήσομεν, ἃ τῷ ὁρᾶν αἰσθανόμεθα ἢ τῷ ἀκούειν, πάντα ταῦτα ἅμα καὶ ἐπίστασθαι; οἷον τῶν [Stephanus page 163, section b, line 3] βαρβάρων πρὶν μαθεῖν τὴν φωνὴν πότερον οὐ φήσομεν ἀκούειν ὅταν φθέγγωνται, ἢ ἀκούειν τε καὶ ἐπίστασθαι ἃ λέγουσι; καὶ αὖ γράμματα μὴ ἐπιστάμενοι, βλέποντες εἰς αὐτὰ πότερον οὐχ ὁρᾶν ἢ ἐπίστασθαι εἴπερ ὁρῶμεν διισχυριούμεθα;
그렇다면 우리는 정말로 동의하겠나? 봄으로써 혹은 들음으로써 우리가 감각하는, 이런 모든 것들을 동시에 알기도 한다는 것을 말이네. 이를 테면 야만인들에 대해서 우리는 그들의 발음을 배우기 전에 그들이 말하는 것들을 그들이 언표할 때 우리가 듣지 못한다고 말하겠는가 아니면 듣고 안다고 말하겠는가? 또 이번엔 철자들을 알지 못하는 채로, 그것들을 바라보며 우리가 설령 본다고 할지라도 보지 못한다 단언하겠나 아니면 안다고 단언하겠나?

{ΘΕΑΙ.} Αὐτό γε, ὦ Σώκρατες, τοῦτο αὐτῶν, ὅπερ ὁρῶμέν τε καὶ ἀκούομεν, ἐπίστασθαι φήσομεν· τῶν μὲν γὰρ τὸ σχῆμα καὶ τὸ χρῶμα ὁρᾶν τε καὶ ἐπίστασθαι, τῶν δὲ τὴν ὀξύτητα καὶ βαρύτητα ἀκούειν τε ἅμα καὶ εἰδέναι· ἃ δὲ οἵ τε γραμματισταὶ περὶ αὐτῶν καὶ οἱ ἑρμηνῆς διδάσκουσιν, οὔτε [Stephanus page 163, section c, line 3] αἰσθάνεσθαι τῷ ὁρᾶν ἢ ἀκούειν οὔτε ἐπίστασθαι.
소크라테스, 그 일들 중, 우리가 보고 듣는, 바로 그것을 우리가 안다고 말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것들의 모양과 색은 보면서 또한 알고, 그것들의 고음들과 저음들은 들으면서 동시에 압니다만: 문법교사들과 통역자들이 그것들에 관하여 가르치는 것들은, 보거나 들음으로써 감각할 수도 알 수도 없기 때문입니다.

{ΣΩ.} Ἄριστά γ', ὦ Θεαίτητε, καὶ οὐκ ἄξιόν σοι πρὸς ταῦτα ἀμφισβητῆσαι, ἵνα καὶ αὐξάνῃ. ἀλλ' ὅρα δὴ καὶ τόδε ἄλλο προσιόν, καὶ σκόπει πῇ αὐτὸ διωσόμεθα.
아주 훌륭하네, 테아이테토스, 또한 자네에게 이런 일들에 대해서 논쟁할 필요는 없겠군, 자네의 성장을 위해서도 말일세. 그럼 더 나아가 그 외에 이런 추가적인 것도 보고, 우리가 어떤 식으로 그것을 헤쳐 나아갈지 검토해 주게.
προσιόν : πρόσειμι(sum) part. be attached to, be added to, belong to.
διωσόμεθα : διωθέω fut. push asunder.

{ΘΕΑΙ.} Τὸ ποῖον δή; 그래서 어떤 것을 말씀하시는 것입니까?

{ΣΩ.} Τὸ τοιόνδε· εἴ τις ἔροιτο· “Ἆρα δυνατὸν ὅτου τις ἐπιστήμων γένοιτό ποτε, ἔτι ἔχοντα μνήμην αὐτοῦ τούτου καὶ σῳζόμενον, τότε ὅτε μέμνηται μὴ ἐπίστασθαι αὐτὸ τοῦτο ὃ μέμνηται;” μακρολογῶ δέ, ὡς ἔοικε, βουλόμενος ἐρέσθαι εἰ μαθών τίς τι μεμνημένος μὴ οἶδε.
이런 걸세: 만일 누군가 이렇게 묻는다면: "혹시 누군가가 일단 아는 자가 되었을 때, 여전히 바로 그 일에 대한 기억을 지니고 구해내는 자가, 기억하는 바로 그 때 기억하는 바로 그것을 알지 못하는 일이 가능한가?" 그런데 뭔가를 배우고 기억하는 누군가가 알지는 못하는지 묻기를 바라면서 내가 아마도 장황하게 이야기한 듯하군.

{ΘΕΑΙ.} [Stephanus page 163, section d, line 6] Καὶ πῶς, ὦ Σώκρατες; τέρας γὰρ ἂν εἴη ὃ λέγεις.
또 어찌 하시는 말씀이십니까, 소크라테스? 당신께서 말씀하시는 바가 경악스러운 것일 터이기에 말입니다.

{ΣΩ.} Μὴ οὖν ἐγὼ ληρῶ; σκόπει δέ. ἆρα τὸ ὁρᾶν οὐκ αἰσθάνεσθαι λέγεις καὶ τὴν ὄψιν αἴσθησιν;
그러니 내가 어리석은 소리를 한 게 아닌가? 그러나 검토해 주게. 혹시 자네 본다는 것을 감각한다고 그리고 시력을 감각이라고 진술하지 않는가?
ληρῶ : ληρέω. to be foolish or silly, speak or act foolishly.

{ΘΕΑΙ.} Ἔγωγε. 저로서는 그렇습니다.

{ΣΩ.} Οὐκοῦν ὁ ἰδών τι ἐπιστήμων ἐκείνου γέγονεν ὃ εἶδεν κατὰ τὸν ἄρτι λόγον;
그렇다면 방금 진술에 따라 어떤 것을 보는 자는 그가 본 저것에 대해 알게 되었지 않은가?

{ΘΕΑΙ.} Ναί. 네.

{ΣΩ.} Τί δέ; μνήμην οὐ λέγεις μέντοι τι; 그런데 어떤가? 그렇지만 자네 기억을 무엇인가라고 말하지 않나?

{ΘΕΑΙ.} Ναί. 네.

{ΣΩ.} Πότερον οὐδενὸς ἢ τινός; 그건 아무것에 대한 것도 아닌가 아니면 무엇인가에 대한 것인가?

{ΘΕΑΙ.} [Stephanus page 163, section e, line 7] Τινὸς δήπου. 분명 무언가에 대한 것이죠.

{ΣΩ.} Οὐκοῦν ὧν ἔμαθε καὶ ὧν ᾔσθετο, τοιουτωνί τινων;
그렇다면 배웠던 것들과 감각했던 것들, 이런 어떤 것들에 대한 것 아닌가?

{ΘΕΑΙ.} Τί μήν; 왜 아니겠습니까?

{ΣΩ.} Ὃ δὴ εἶδέ τις, μέμνηταί που ἐνίοτε; 그럼 아는 누군가는, 아마도 이따금 기억하지?

{ΘΕΑΙ.} Μέμνηται. 기억합니다.

{ΣΩ.} Ἦ καὶ μύσας; ἢ τοῦτο δράσας ἐπελάθετο;
참으로 눈을 감았을 때조차도 그러한가? 혹은 이 일을 해낸 다음엔 잊어 버리는가?

{ΘΕΑΙ.} Ἀλλὰ δεινόν, ὦ Σώκρατες, τοῦτό γε φάναι.
그럼 그런 일은 말하기 무서운 것이네요, 소크라테스.

{ΣΩ.} Δεῖ γε μέντοι, εἰ σώσομεν τὸν πρόσθε λόγον· εἰ δὲ μή, οἴχεται.
그렇지만 말할 필요가 있다네, 만일 우리가 이전 진술을 구해내려면 말일세. 그렇지 않다면, 받아들이고.

{ΘΕΑΙ.} Καὶ ἐγώ, νὴ τὸν Δία, ὑποπτεύω, οὐ μὴν ἱκανῶς [Stephanus page 164, section a, line 4] γε συννοῶ· ἀλλ' εἰπὲ πῇ.
저로서도, 신께 맹세코, 의심스럽습니다만, 확실히 충분하게는 이해하질 못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당신께서 어떤 식으로 그러한지 말씀해 주시지요.
ὑποπτεύω : to be suspicious.

-蟲-

{ΘΕΟ.} Ὦ Σώκρατες, φίλος ἁνήρ, ὥσπερ σὺ νυνδὴ εἶπες. οὐκ ἂν οὖν δεξαίμην δι' ἐμοῦ ὁμολογοῦντος ἐλέγχεσθαι Πρωταγόραν, οὐδ' αὖ σοὶ παρὰ δόξαν ἀντιτείνειν. τὸν οὖν Θεαίτητον πάλιν λαβέ· πάντως καὶ νυνδὴ μάλ' ἐμμελῶς σοι ἐφαίνετο ὑπακούειν.
소크라테스, 그 사람은 제 친구입니다, 방금 당신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말이죠. 그러니 제가 동의함으로써 프로타고라스를 논박하는 일을 받아들이지도 않을 것이고, 또 당신께 제 의견에 어긋나게 반대하는 일도 받아들이지 않을 겁니다. 그러므로 다시 테아이테토스를 붙잡으세요: 그는 방금도 전적으로 아주 알맞게 당신께 귀를 기울이는 듯 보였습니다.

{ΣΩ.} Ἆρα κἂν εἰς Λακεδαίμονα ἐλθών, ὦ Θεόδωρε, πρὸς τὰς παλαίστρας ἀξιοῖς ἂν ἄλλους θεώμενος γυμνούς, ἐνίους φαύλους, αὐτὸς μὴ ἀντεπιδεικνύναι τὸ εἶδος παραποδυόμενος;
테오도로스, 자네는 라케다이몬에 가서, 씨름판으로 가 몇몇은 볼품없더라도 나신인 자네 외의 사람들을 보면서 자네 자신이 옷 벗은 모습을 드러내 보이지 않는 일이 적절하다 생각하겠는가?

{ΘΕΟ.} [Stephanus page 162, section b, line 4] Ἀλλὰ τί μὴν δοκεῖς, εἴπερ μέλλοιέν μοι ἐπιτρέψειν καὶ πείσεσθαι; ὥσπερ νῦν οἶμαι ὑμᾶς πείσειν ἐμὲ μὲν ἐᾶν θεᾶσθαι καὶ μὴ ἕλκειν πρὸς τὸ γυμνάσιον σκληρὸν ἤδη ὄντα, τῷ δὲ δὴ νεωτέρῳ τε καὶ ὑγροτέρῳ ὄντι προσπαλαίειν.
왜 아니라 여기십니까, 만일 장차 정말로 그들이 제게 의지하고 설득되는 일이 일어난다면요? 마치 지금 제가 여러분들께서 저로 하여금 구경하도록 놓아두시되 이미 뻣뻣한 저를 단련장으로 이끌지 마시게끔, 그래서 더 젊고 유연한 자와 씨름을 겨루시도록 설득하게 되리라 생각하는 것처럼 말입니다.

{ΣΩ.} Ἀλλ' εἰ οὕτως, ὦ Θεόδωρε, σοὶ φίλον, οὐδ' ἐμοὶ ἐχθρόν, φασὶν οἱ παροιμιαζόμενοι. πάλιν δὴ οὖν ἐπὶ τὸν σοφὸν Θεαίτητον ἰτέον. λέγε δή, ὦ Θεαίτητε, πρῶτον μὲν ἃ νυνδὴ διήλθομεν, ἆρα οὐ σὺ θαυμάζεις εἰ ἐξαίφνης οὕτως ἀναφανήσῃ μηδὲν χείρων εἰς σοφίαν ὁτουοῦν ἀνθρώπων ἢ καὶ θεῶν; ἢ ἧττόν τι οἴει τὸ Πρωταγόρειον μέτρον εἰς [Stephanus page 162, section c, line 6] θεοὺς ἢ εἰς ἀνθρώπους λέγεσθαι;
허나 만일 그렇다면, 테오도로스, 속담들을 언급하는 자들이 자네에게 호의적이고 내게도 적대적이지는 않은 바를 말하는구만. 그러면 다시금 지혜로운 테아이테토스에게로 가야만 하네. 그럼, 테아이테토스, 우선 방금 우리가 상술하였던 것들을 진술해 주게, 혹시 자네는 만일 갑작스럽게 그런 식으로 인간들이 되었든 심지어 신들이 되었든지 간에 그 누구보다도 지혜라는 면에서 자네가 전혀 못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난다면 놀라지 않겠는가? 혹은 자네 프로타고라스의 척도가 인간들에 대해서 보다 조금이라도 덜 신들에 대해서 진술된다고 생각하는가?
ἐξαίφνης : adv. on a sudden.

{ΘΕΑΙ.} Μὰ Δί' οὐκ ἔγωγε· καὶ ὅπερ γε ἐρωτᾷς, πάνυ θαυμάζω. ἡνίκα γὰρ διῇμεν ὃν τρόπον λέγοιεν τὸ δοκοῦν ἑκάστῳ τοῦτο καὶ εἶναι τῷ δοκοῦντι, πάνυ μοι εὖ ἐφαίνετο λέγεσθαι· νῦν δὲ τοὐναντίον τάχα μεταπέπτωκεν.
제우스께 맹세코 저로서는 그리 생각하지 않습니다: 게다가 당신께서 물으시는 바, 저는 무척이나 놀랐지요. 왜냐하면 각자에게 여겨지는 그것이 그 여기는 자에게 그러하기도 하다고 진술하는 그의 방식을 우리가 거칠 때, 제게는 꽤나 잘 진술된 듯이 보였으니까요: 그러나 지금은 금새 반대로 변해 버렸습니다.
διῇμεν : go through.
μεταπέπτωκεν : μεταπίπτω pf.

{ΣΩ.} Νέος γὰρ εἶ, ὦ φίλε παῖ· τῆς οὖν δημηγορίας ὀξέως ὑπακούεις καὶ πείθῃ. πρὸς γὰρ ταῦτα ἐρεῖ Πρωταγόρας ἤ τις ἄλλος ὑπὲρ αὐτοῦ· “Ὦ γενναῖοι παῖδές τε καὶ γέροντες, δημηγορεῖτε συγκαθεζόμενοι, θεούς τε εἰς τὸ μέσον ἄγοντες, οὓς ἐγὼ ἔκ τε τοῦ λέγειν καὶ τοῦ γράφειν περὶ αὐτῶν ὡς [Stephanus page 162, section e, line 2] εἰσὶν ἢ ὡς οὐκ εἰσίν, ἐξαιρῶ, καὶ ἃ οἱ πολλοὶ ἂν ἀποδέχοιντο ἀκούοντες, λέγετε ταῦτα, ὡς δεινὸν εἰ μηδὲν διοίσει εἰς σοφίαν ἕκαστος τῶν ἀνθρώπων βοσκήματος ὁτουοῦν· ἀπόδειξιν δὲ καὶ ἀνάγκην οὐδ' ἡντινοῦν λέγετε ἀλλὰ τῷ εἰκότι χρῆσθε, ᾧ εἰ ἐθέλοι Θεόδωρος ἢ ἄλλος τις τῶν γεωμετρῶν χρώμενος γεωμετρεῖν, ἄξιος οὐδ' ἑνὸς μόνου ἂν εἴη. σκοπεῖτε οὖν σύ τε καὶ Θεόδωρος εἰ ἀποδέξεσθε πιθανολογίᾳ τε καὶ εἰκόσι περὶ τηλικούτων λεγομένους λόγους.”
자넨 젊으니 말이지, 사랑스런 친구: 그러므로 자네가 대중몰이연설을 예민하게 듣고 또 겪는 걸세. 프로타고라스나 그 외의 누군가는 그 자신을 위해 이런 일들에 대해 이야기할 걸세: "고귀한 소년들과 노인들이여, 그대들은 함께 자리하여 연설한다, 신들을 한가운데로 이끌어서, 그들에 관해 ~이라거나 ~이지 않다고 하는 나의 진술과 기록을 통하여 내가 걷어낼 그 신들을 끌어들여서. 그리고 많은 이들이 들어 받아들일 것들, 그것들을 당신들은 진술한다, 지혜에서 인간들 각자가 그 어떤 가축과도 전혀 다를 바 없다면 얼마나 가공할 일인지: 그대들이 진술하는 뭐가 되었든 증명과 필연이 아니고 오히려 그대들은 그 유사물을 사용하고 있다, 만일 그로써 테오도로스든 기하학자들 중 그 외의 누구든 기하학을 하려 든다면, 단 한 사람도 가치 있지 못할 그러한 유사물을. 그러니 그대도 테오도로스도 그대들이 그럴듯한 진술과 유사물로써 그렇게 큰 일들에 관하여 진술되는 그 진술들을 받아들일 것인지 고찰해 보라."

{ΘΕΑΙ.} Ἀλλ' οὐ δίκαιον, ὦ Σώκρατες, οὔτε σὺ οὔτε ἂν ἡμεῖς φαῖμεν.
그러나 소크라테스, 당신께서도 정당치 않다 하실 것이고 우리도 그리 말할 것입니다.

-蟲-

{ΘΕΟ.} Ἀνέξεται, ὦ Σώκρατες, Θεαίτητος· οὐδαμῶς γὰρ δύσκολος. ἀλλὰ πρὸς θεῶν εἰπὲ ᾗ αὖ οὐχ οὕτως ἔχει;
소크라테스, 테아이테토스는 견뎌낼 겁니다: 왜냐하면 그는 결코 불평쟁이가 아니니까요. 허나 신들께 맹세코 당신께서는 또 어떤 점에서 사정이 그렇지 않다고 말씀하십니까?
δύσκολος : discontented, fretful, peevish.

{ΣΩ.} Φιλόλογός γ' εἶ ἀτεχνῶς καὶ χρηστός, ὦ Θεόδωρε, ὅτι με οἴει λόγων τινὰ εἶναι θύλακον καὶ ῥᾳδίως ἐξελόντα ἐρεῖν ὡς οὐκ αὖ ἔχει οὕτω ταῦτα· τὸ δὲ γιγνόμενον οὐκ ἐννοεῖς, ὅτι οὐδεὶς τῶν λόγων ἐξέρχεται παρ' ἐμοῦ ἀλλ' ἀεὶ παρὰ τοῦ ἐμοὶ προσδιαλεγομένου, ἐγὼ δὲ οὐδὲν ἐπίσταμαι πλέον πλὴν βραχέος, ὅσον λόγον παρ' ἑτέρου σοφοῦ λαβεῖν καὶ ἀποδέξασθαι μετρίως. καὶ νῦν τοῦτο παρὰ τοῦδε πειράσομαι,[Stephanus page 161, section b, line 6] οὔ τι αὐτὸς εἰπεῖν.
자네는 단적으로 진술을 사랑하는 자이자 친절한 자일세, 테오도로스, 나를 무슨 진술들의 부댓자루라 생각하고 내가 그것들이 또 그렇지 않다는 것을 쉽사리 들어올려 말하리라 생각하니: 그런데 자네는 되어가는 바를 고려하지 않고 있군, 내게서는 진술들로부터는 아무것도 나오지 않고 오히려 언제나 나와 대화하는 사람에게서 그리 되며, 나는 다른 지혜로운 자에게서 적절히 취하고 받아들인 만큼의 짤막한 진술 외에 전혀 더 많이 알지는 못하다는 것을 말일세. 지금도 이 친구에게서 그 일을 시도할 것이네, 내 스스로 아무 말 않는 것 말이지.
θύλακον : sack.
ἐξελόντα : ἐξαίρω part. m. sg. acc. lift up the earth:
ἐρεῖν : ἐρω fut. inf.

{ΘΕΟ.} Σὺ κάλλιον, ὦ Σώκρατες, λέγεις· καὶ ποίει οὕτως.
당신께선 훌륭히도 말씀하시는군, 소크라테스: 그럼 그리 하시죠.

{ΣΩ.} Οἶσθ' οὖν, ὦ Θεόδωρε, ὃ θαυμάζω τοῦ ἑταίρου σου Πρωταγόρου;
그렇다면, 테오도로스, 자넨 내가 자네의 동료인 프로타고라스에게서 놀란 점을 알고 있는가?

{ΘΕΟ.} Τὸ ποῖον; 어떤 점을요?

{ΣΩ.} Τὰ μὲν ἄλλα μοι πάνυ ἡδέως εἴρηκεν, ὡς τὸ δοκοῦν ἑκάστῳ τοῦτο καὶ ἔστιν· τὴν δ' ἀρχὴν τοῦ λόγου τεθαύμακα, ὅτι οὐκ εἶπεν ἀρχόμενος τῆς Ἀληθείας ὅτι “Πάντων χρημάτων μέτρον ἐστὶν ὗς” ἢ “κυνοκέφαλος” ἤ τι ἄλλο ἀτοπώτερον τῶν ἐχόντων αἴσθησιν, ἵνα μεγαλοπρεπῶς καὶ πάνυ [Stephanus page 161, section c, line 7] καταφρονητικῶς ἤρξατο ἡμῖν λέγειν, ἐνδεικνύμενος ὅτι ἡμεῖς μὲν αὐτὸν ὥσπερ θεὸν ἐθαυμάζομεν ἐπὶ σοφίᾳ, ὁ δ' ἄρα ἐτύγχανεν ὢν εἰς φρόνησιν οὐδὲν βελτίων βατράχου γυρίνου, μὴ ὅτι ἄλλου του ἀνθρώπων. ἢ πῶς λέγωμεν, ὦ Θεόδωρε; εἰ γὰρ δὴ ἑκάστῳ ἀληθὲς ἔσται ὃ ἂν δι' αἰσθήσεως δοξάζῃ, καὶ μήτε τὸ ἄλλου πάθος ἄλλος βέλτιον διακρινεῖ, μήτε τὴν δόξαν κυριώτερος ἔσται ἐπισκέψασθαι ἕτερος τὴν ἑτέρου ὀρθὴ ἢ ψευδής, ἀλλ' ὃ πολλάκις εἴρηται, αὐτὸς τὰ αὑτοῦ ἕκαστος μόνος δοξάσει, ταῦτα δὲ πάντα ὀρθὰ καὶ ἀληθῆ, τί δή ποτε, ὦ ἑταῖρε, Πρωταγόρας μὲν σοφός, ὥστε καὶ ἄλλων [Stephanus page 161, section e, line 1] διδάσκαλος ἀξιοῦσθαι δικαίως μετὰ μεγάλων μισθῶν, ἡμεῖς δὲ ἀμαθέστεροί τε καὶ φοιτητέον ἡμῖν ἦν παρ' ἐκεῖνον, μέτρῳ ὄντι αὐτῷ ἑκάστῳ τῆς αὑτοῦ σοφίας; ταῦτα πῶς μὴ φῶμεν δημούμενον λέγειν τὸν Πρωταγόραν; τὸ δὲ δὴ ἐμόν τε καὶ τῆς ἐμῆς τέχνης τῆς μαιευτικῆς σιγῶ ὅσον γέλωτα ὀφλισκάνομεν, οἶμαι δὲ καὶ σύμπασα ἡ τοῦ διαλέγεσθαι πραγματεία. τὸ γὰρ ἐπισκοπεῖν καὶ ἐπιχειρεῖν ἐλέγχειν τὰς ἀλλήλων φαντασίας τε καὶ δόξας, ὀρθὰς ἑκάστου οὔσας, οὐ μακρὰ μὲν καὶ διωλύγιος φλυαρία, εἰ ἀληθὴς ἡ Ἀλήθεια Πρωταγόρου ἀλλὰ μὴ παίζουσα ἐκ τοῦ ἀδύτου τῆς βίβλου [Stephanus page 162, section a, line 3] ἐφθέγξατο;
그 밖의 것들은 내게 꽤나 흡족하게 그가 이야기하였지, 각자에게 믿어지는 이것이 (실로) 그러하기도 하다고: 그런데 그 진술의 시작에 내가 놀랐으니, 그가 『진리』를 시작하며 "모든 문제들의 척도는 멧돼지이다"라거나 "개머리 원숭이이다"라거나 감각을 지니는 것들 중에 그 외에 더 이상한 뭔가라고 말하지 않았다는 사실 때문이라네, 웅장하고도 퍽이나 깔보는 투로 우리에게 진술을 시작했던 거기에서, 우리는 그가 그를 지혜에 있어서 마치 신과 같은 자로 놀라워 하였으나, 그는 사려 쪽으로 인간들 중 다른 자뿐만 아니라 개구리 올챙이보다도 전혀 나을 것이 없는 자였다는 점을 밝혀 보임으로써 말일세. 혹은 우리가 어찌 말할까, 테오도로스? 만일 감각을 통해 그가 믿을 것이 정말로 각자에게 진리일 터라면, 어떤 자의 경험(겪음)을 그 외의 사람이 더 낫다고 판단하지도 못하고, 믿음에 있어서 더 권위있는 다른 자가 또 다른 자의 믿음을 옳은 믿음인지 거짓 믿음인지 검토할 수도 없을 것이나, 종종 회자되는 바, 오직 각자가 스스로 자신의 것들을 믿을 것이고, 이런 모든 것들이 옳은 것들이자 참인 것들이니, 이보게 동지, 그럼 도대체 왜 프로타고라스는 지혜로워서, 다른 이들의 선생이 될 만하기도 하고 마땅히 대단한 보수들을 가질 만하기도 한 반면, 우리는 더 어리석은 자들이며 우리가 저 자에게 의지해야만 할 것이란 말인가, 각자 자신이 그 자신의 지혜에 대한 척도인데도? 우리가 어떻게 이런 것들을 프로타고라스가 노래 부르고 다닌다고 말하지 않겠나? 그래서 나 자신의 일이든 나의 조산술(助産術)에 속하는 일이든 우리가 비웃음 받을 만한 만큼의 것에 대해서는 침묵할 것이나, 대화의 일 전체를 통틀어서도 그리 생각하네. 왜냐하면 서로의 인상들과 믿음들을 고찰하고 논박하는 일을 시도하는 것은, 각자의 그런 것들이 옳을 경우, 길고도 엄청나게 어리석은 짓이 아닌가, 만일 프로타고라스의 『진리』가 참이고 그 책의 내밀한 곳으로부터 장난을 쳐 발언한 게 아니라면?
μὴ ὅτι : not only not.

-蟲-

P.S 하루 하나씩 하면 개강 전에 끝날 수도!? ...어렵네-_-

[Stephanus page 266, section a, line 8] {ΞΕ.} Τὰ δέ γ' ὡς ἑτέρως αὖ διῃρημένα, μέρος μὲν ἓν ἀφ' ἑκατέρας τῆς μερίδος αὐτοποιητικόν, τὼ δ' ὑπολοίπω σχεδὸν μάλιστ' ἂν λεγοίσθην εἰδωλοποιικώ· καὶ κατὰ ταῦτα δὴ πάλιν ἡ ποιητικὴ διχῇ διαιρεῖται.
그런데 그것들이 또 다른 식으로 나뉘어질 때, 그 두 부분들 각각으로부터 한 부분은 저절로 만들어내는 것이고, 남은 한 쌍에 의해서는 거의 확실히 영상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이야기될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것들에 따라서 실로 다시금 제작술은 두 가지 방식으로 구분됩니다.
다음으로 그것들이 이번엔 다른 방식으로 분할되었기에, 한 편으로 그 두 부분들 각각으로부터 나온 한 부분이 어떤 것 자체를 만드는 부분이고, 남은 한 쌍의 부분은 아마도 특히나 영상을 제작하는 쌍으로 진술될 걸세: 나아가 이런 점들에 따라서 다시금 제작술이 두 가지로 분할되지.
διῃρημένα : διαιρέω pass. pf. part. divide.
μερίδος : μερίς. part.
λεγοίσθην : λέγω mp. opt. dual.

{ΘΕΑΙ.} Λέγε ὅπῃ ἑκατέρα αὖθις.
방금 그 둘 각각이 어떤 식으로 되는지 말씀해 주세요.

{ΞΕ.} Ἡμεῖς μέν που καὶ τἆλλα ζῷα καὶ ἐξ ὧν τὰ πεφυκότ' ἐστίν, πῦρ καὶ ὕδωρ καὶ τὰ τούτων ἀδελφά, θεοῦ γεννήματα πάντα ἴσμεν αὐτὰ ἀπειργασμένα ἕκαστα· ἢ πῶς;
우리로서는 아마도 다른 동물들도 그리고, 불과 물과 이런 것들의 동류들인 것들, 그런 것들로부터 산출된 것들이, 모두 그 자체들이 각각 완성된 신의 산물들이라고 알고 있네: 아니 그런가?
ἀπειργασμένα : ἀπεργάξομαι pf. part. finish off.

{ΘΕΑΙ.} Οὕτως. 그렇습니다.

{ΞΕ.} Τούτων δέ γε ἑκάστων εἴδωλα ἀλλ' οὐκ αὐτὰ [Stephanus page 266, section b, line 7] παρέπεται, δαιμονίᾳ καὶ ταῦτα μηχανῇ γεγονότα.
다음으로 이러한 각각의 것들의 그 자체들이 아니라 영상들이 동반되는데, 신령한 장치로 이러한 것들 또한 생겨남으로써 그리 되네.
παρέπεται : παρέπομαι mp. accompany.

{ΘΕΑΙ.} Ποῖα; 그것들이 어떤 것들입니까?

{ΞΕ.} Τά τε ἐν τοῖς ὕπνοις καὶ ὅσα μεθ' ἡμέραν φαντάσματα αὐτοφυῆ λέγεται, σκιὰ μὲν ὅταν ἐν τῷ πυρὶ σκότος ἐγγίγνηται, διπλοῦν δὲ ἡνίκ' ἂν φῶς οἰκεῖόν τε καὶ ἀλλότριον περὶ τὰ λαμπρὰ καὶ λεῖα εἰς ἓν συνελθὸν τῆς ἔμπροσθεν εἰωθυίας ὄψεως ἐναντίαν αἴσθησιν παρέχον εἶδος ἀπεργάζηται.
꿈 속에서도 그리고 낮에도 모든 인상들이 저절로 생겨나는 것들로 이야기되고, 그림자는 불빛 속에서 음영이 그 안에 생겨나는 언제든, 집안과 또 다른 곳의 이중의 빛이 밝고 매끄러운 것들 주위로 하나로 모여서 앞서 익숙해진 눈에 반대되는 감각을 제공하여 형상을 완성해냅니다.
한편으로는 꿈 속에서 그리고 낮 동안 저절로 생겨나는 것들로 이야기되는 현상들이지, 한편으로는 불빛 속에서 그늘이 생길 때 그림자가 그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본래의(익숙한, 자연스러운) 빛과 이질적인 빛이라는 이중의 빛이 밝고 매끄러운 것들 주위에서 하나로 모여들어 이전에 익숙해진 시야에 반대되는 감각을 건넴으로써 형상이 완성된다네.
ἡνίκα : at the time when.
εἰωθυίας : ἔθω pf. part. accustomed.

{ΘΕΑΙ.} Δύο γὰρ οὖν ἐστι ταῦτα θείας ἔργα ποιήσεως, αὐτό τε καὶ τὸ παρακολουθοῦν εἴδωλον ἑκάστῳ.
그러니까 즉 신적인 만듦의 이러한 결과물들은 두 가지인데, 그 자체와 그 각각에 붙어 따르는 영상이군요.
그렇다면 신적인 제작의 작업물들은 이러한 두 가지 것들로, 그 자체와 그 자체 각각에 따라붙는 영상이란 얘기네요.
παρακολουθοῦν : παρακολουθέω part. follow or attend closely.

[Stephanus page 266, section c, line 7] {ΞΕ.} Τί δὲ τὴν ἡμετέραν τέχνην; ἆρ' οὐκ αὐτὴν μὲν οἰκίαν οἰκοδομικῇ φήσομεν ποιεῖν, γραφικῇ δέ τιν' ἑτέραν, οἷον ὄναρ ἀνθρώπινον ἐγρηγορόσιν ἀπειργασμένην;
그런데 우리쪽의 기술은 무엇입니까? 혹시 집짓는 기술로는 집 자체를 만든다고, 그런데 그리는 기술로는 다른 어떤 집을 만든다고 우리가 말하지 않겠습니까, 말하자면 깨어 있는 자들에게 인간적인 꿈 같은 것을 만들어냄으로써 말이죠?
그런데 우리 자신의 기술은 어떤가? 혹시 그 기술이 집은 집 짓는 기술로써 만든다고, 그런데 그리는 기술로써는 뭔가 다른 집을, 말하자면 깨어 있는 자들에게 인간적인 꿈 같은 것을 만들어냄으로써 다른 집을 만든다고 우리가 말하지 않겠나?
ὄναρ : dream.
ἐγρηγορόσιν : ἐγείρω pf. part.

{ΘΕΑΙ.} Πάνυ μὲν οὖν. 물론 그렇습니다.

{ΞΕ.} Οὐκοῦν καὶ τἆλλα οὕτω κατὰ δύο διττὰ ἔργα τῆς ἡμετέρας αὖ ποιητικῆς πράξεως, τὸ μὲν αὐτό, φαμέν, [αὐτουργική], τὸ δὲ εἴδωλον [εἰδωλοποιική].
그래서 다른 것들도 그렇게 두 가지 방식으로 다시 우리의 만드는 행위의 이중의 결과들을, 한 쪽은 그 자체, 그 자체를 만드는 기술, 그리고 다른 쪽은 영상, 영상을 만드는 기술이라고 우리는 말합니다.
그러므로 그 외의 것들도 그렇게 두 가지 방식으로 우리의 제작술에 대한 실행의 이중의 작업물들을 말할 걸세, 한편은 그 자체인 것을, 다른 한편은 영상을 말일세.
{ΘΕΑΙ.} Νῦν μᾶλλον ἔμαθον, καὶ τίθημι δύο διχῇ ποιητικῆς εἴδει· θείαν μὲν καὶ ἀνθρωπίνην κατὰ θάτερον τμῆμα, κατὰ δὲ θάτερον τὸ μὲν αὐτῶν ὄν, τὸ δὲ ὁμοιωμάτων τινῶν γέννημα.
이제 저는 더욱 잘 알았고, 또 만듦의 형상들을 두 가지 방식으로 둘로 둡니다: 나뉜 한 쪽 부분에 따라서는 신적인 기술과 인간적인 기술을, 그런데 남은 다른 쪽에 따라서는 한 편은 그 자체인 것들에 속해 있는 것을, 다른 편은 어떤 닮은 것들에 속하는 산물을 둡니다.
이제 제가 좀 더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저는 두 가지 제작술의 두 형상들을 세웁니다: 하나의 절단을 따라서는 신적인 기술과 인간적인 기술을 놓고, 다른 절단에 따라서는 한편으로 그 자체인 것들의 ~임을, 다른 쪽은 어떤 유사물들의 산출을 놓습니다.

[Stephanus page 266, section d, line 8] {ΞΕ.} Τῆς τοίνυν εἰδωλουργικῆς ἀναμνησθῶμεν ὅτι τὸ μὲν εἰκαστικόν, τὸ δὲ φανταστικὸν ἔμελλεν εἶναι γένος, εἰ τὸ ψεῦδος ὄντως ὂν ψεῦδος καὶ τῶν ὄντων ἕν τι φανείη πεφυκός.
그러므로 우리 영상을 만드는 기술에 대해 기억을 떠올려 보도록 합시다 한 편은 닮음을 만드는 부류, 다른 한편은 인상을 만드는 부류인 것 같았다는 것을요, 만일 거짓이 정말로 거짓으로 '있고' 또 있는 것들 중의 어떤 하나로 본성상 드러난다면 말이죠.
따라서 우리 영상제작술에 대해 그 한편은 모상에 관련하는 유일 듯하고, 다른 한편은 현상에 관련하는 유일 듯하다는 점을 기억해내도록 하세, 만일 거짓이 진정으로 거짓인 것이고 ~인 것들 중 어떤 하나의 것으로 본성적으로 드러난다면 말일세.

{ΘΕΑΙ.} Ἦν γὰρ οὖν. 그야 그러했으니까요.

{ΞΕ.} Οὐκοῦν ἐφάνη τε καὶ διὰ ταῦτα δὴ καταριθμήσομεν αὐτὼ νῦν ἀναμφισβητήτως εἴδη δύο;
그러면 그것이 나타났고 또한 이러한 것들에 따라서도 우리는 그것들의 형상들을 지금 논란의 여지 없이 둘로 헤아리지 않을까요?
그렇다면 그리 드러났고 더욱이 이런 점들로 인해 우리가 그 두 가지를 이제 논란의 여지없이 두 형상들로 헤아리지 않겠나?
καταριθμήσομεν : κατᾰριθμέω. count or reckon among.

{ΘΕΑΙ.} Ναί. 네.

{ΞΕ.} Τὸ τοίνυν φανταστικὸν αὖθις διορίζωμεν δίχα.
따라서 인상의 기술을 이제는 우리가 두 가지 방식으로 나누도록 합시다.
그러니까 우리는 현상에 관련하는 것을 곧장 두 가지로 규정하도록 하세.

{ΘΕΑΙ.} Πῇ; 어떻게요?

{ΞΕ.} Τὸ μὲν δι' ὀργάνων γιγνόμενον, τὸ δὲ αὐτοῦ [Stephanus page 267, section a, line 4] παρέχοντος ἑαυτὸν ὄργανον τοῦ ποιοῦντος τὸ φάντασμα.
한 편은 도구들을 통하여 있게 되는 것이고, 다른 한 편은 인상을 만드는 자가 그 스스로 자기 자신을 도구로 가질 때의 것입니다.
한편은 도구들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고, 다른 한편은 현상을 만드는 자가 스스로 자기 자신을 도구로 내놓을 때 이루어지는 걸세.

{ΘΕΑΙ.} Πῶς φῄς; 어찌 하시는 말씀이십니까?

{ΞΕ.} Ὅταν οἶμαι τὸ σὸν σχῆμά τις τῷ ἑαυτοῦ χρώμενος σώματι προσόμοιον ἢ φωνὴν φωνῇ φαίνεσθαι ποιῇ, μίμησις τοῦτο τῆς φανταστικῆς μάλιστα κέκληταί που.
제 생각에 누군가 그 자신의 몸을 사용하여 당신의 모습을 흡사한 모습으로 또는 (닮은) 목소리를 (그 자신의) 목소리로 나타나게 만들 때, 아마도 인상을 만드는 기술에 속하는 이것이 무엇보다도 모방이라고 불릴 것 같습니다.
내 생각엔 누군가가 자네의 외양을 그 자신의 신체를 사용하여 혹은 자신의 목소리로 자네의 목소리와 유사한 것으로  보이도록 만들 때, 아마도 그것이 현상제작술에서 특히 모방(모사)이라 불리는 듯하네.

{ΘΕΑΙ.} Ναί. 네.

{ΞΕ.} Μιμητικὸν δὴ τοῦτο αὐτῆς προσειπόντες ἀπονειμώμεθα· τὸ δ' ἄλλο πᾶν ἀφῶμεν μαλακισθέντες καὶ παρέντες ἑτέρῳ συναγαγεῖν τε εἰς ἓν καὶ πρέπουσαν ἐπωνυμίαν ἀποδοῦναί τιν' αὐτῷ.
그래서 그 기술의 이러한 것을 모방하는 것이라 말하면서 우리는 구분하도록 합시다: 그러나 다른 모든 것은 놓아 둡시다, 마음 편히 그리고 다른 자에게 한 곳으로 모으고 어울리는 어떤 이름을 그것에 붙이는 일을 허락하면서 말이죠.
그래서 그 기술의 이러한 부분을 모방에 관련하는 것으로 부르면서 떼어 내도록 하세: 그 외의 모든 것은 다른 자에게 하나로 모으거나 그것에 어떤 적절한 이름을 붙이는 일을 허락해 줌으로써 온화하게 내버려 두세.
ἀπονειμώμεθα : ἀπονέμω aor. med. subj. assign or take to oneself. part off, devide.
ἀφῶμεν : ἀφίημι aor. subj. let fall, give up or hand over to.
μαλακισθέντες : μᾰλᾰκίζομαι aor. part. to be softened, appeased.
πρέπουσαν : πρέπω part. beseem.

[Stephanus page 267, section b, line 3] {ΘΕΑΙ.} Νενεμήσθω, τὸ δὲ μεθείσθω.
그 일은 다루어지도록 하고, 다른 것은 풀려나도록 하죠.
그리 다루고, 다른 건 풀어 주지요.
Νενεμήσθω : νέμω pf. mp. imper. manage.
μεθείσθω : μεθίημι pf. mp. imper. set loose, let go.

{ΞΕ.} Καὶ μὴν καὶ τοῦτο ἔτι διπλοῦν, ὦ Θεαίτητε, ἄξιον ἡγεῖσθαι· δι' ἃ δέ, σκόπει.
좋습니다, 그럼 아직 이 이중의 것이, 테아이테토스, 생각할 가치가 있습니다: 이런 것들로 인해서인데, 당신께서 검토해 보십시오.
좋군, 그럼, 테아이테토스, 이것도 여전히 이중적이라 생각할 만하네: 어떤 점들로 인해서인지는, 자네가 검토해 보게.

{ΘΕΑΙ.} Λέγε. 말씀하세요.

{ΞΕ.} Τῶν μιμουμένων οἱ μὲν εἰδότες ὃ μιμοῦνται τοῦτο πράττουσιν, οἱ δ' οὐκ εἰδότες. καίτοι τίνα μείζω διαίρεσιν ἀγνωσίας τε καὶ γνώσεως θήσομεν;
모방하는 자들 중 일부는 모방되는 것을 알면서 이 일을 수행하는데, 다른 자들은 알지 못하고서 합니다. 그럼에도 무지와 앎보다 더 큰 어떤 구분을 우리가 세울까요?
모방하는 자들 중 일부는 모방되는 바의 것을 알면서 그 일을 수행하지만, 다른 이들은 알지 못한 채로 그리 하네. 그럼에도 우리가 무지와 인지보다 더 큰 어떤 분할을 세우겠나?

{ΘΕΑΙ.} Οὐδεμίαν. 전혀요.

{ΞΕ.} Οὐκοῦν τό γε ἄρτι λεχθὲν εἰδότων ἦν μίμημα; τὸ γὰρ σὸν σχῆμα καὶ σὲ γιγνώσκων ἄν τις μιμήσαιτο.
그러면 방금 이야기된 그것은 아는 자들의 모방이 아니었습니까? 왜냐하면 당신의 모습과 당신을 알고서 누군가 모방했었던 것일 테니까요.
그렇다면 방금 진술된 것은 알고 하는 자들의 모방이지 않았나? 왜냐하면 자네의 외양과 자네를 알면서 누군가가 모방할 테니 말일세.

[Stephanus page 267, section c, line 1] {ΘΕΑΙ.} Πῶς δ' οὔ; 어찌 아니겠습니까?

{ΞΕ.} Τί δὲ δικαιοσύνης τὸ σχῆμα καὶ ὅλης συλλήβδην ἀρετῆς; ἆρ' οὐκ ἀγνοοῦντες μέν, δοξάζοντες δέ πῃ, σφόδρα ἐπιχειροῦσιν πολλοὶ τὸ δοκοῦν σφίσιν τοῦτο ὡς ἐνὸν αὐτοῖς προθυμεῖσθαι φαίνεσθαι ποιεῖν, ὅτι μάλιστα ἔργοις τε καὶ λόγοις μιμούμενοι;
그런데 정의의 모습 그리고 탁월함의 그 통틀은 총체의 모습은 어떻습니까? 혹시 알지는 못하면서, 그러나 모종의 방식으로 믿으면서, 많은 이들이 열광적으로 시도합니다, 그들에게 그 믿음이, 그것이 그 자신들 안에 있는 것처럼 보이도록 만들기를 열망하는 일을 말이죠, 일들과 말들로 그들이 모방할 수 있는 한에서요.
그럼 정의로움과 요컨데 덕(탁월함) 전체의 그 외양은 어떤가? 혹시 모르는 채로, 허나 어떤 식으로 믿으면서, 많은 사람들이 그들 스스로 믿는 그것이 자신들 안에서 ~인 것으로 보이도록 만드는 일에 열중하는 것을 열광적으로 시도하지 않는가? 작업들과 진술들에서 모방할 수 있는 한 말일세.
συλλήβδην : adv. collectively, in sum, in short.
προθυμεῖσθαι : προθῡμέομαι inf. to be ready, willing, eager to do a thing.

{ΘΕΑΙ.} Καὶ πάνυ γε πολλοί. 꽤나 많은 사람들이요.

{ΞΕ.} Μῶν οὖν πάντες ἀποτυγχάνουσι τοῦ δοκεῖν εἶναι δίκαιοι μηδαμῶς ὄντες; ἢ τούτου πᾶν τοὐναντίον;
그러므로 물론 모든 이들이 실패하지 않겠습니까, 정의로운 이들인 것으로 보이는 일에 대해서, 그들이 전혀 그런 자들로 '있지' 않으니까요? 혹은 이와는 정반대입니까?
그렇다면 물론 그 모든 자들은 전혀 정의로운 자들이지 않음으로써 정의로운 자들이라고 여겨지는 일에 실패하겠지? 혹은 이와 전적으로 반대인가?
ἀποτυγχάνουσι : ἀποτυγχάνω. fail. c.gen.

{ΘΕΑΙ.} Πᾶν. 전적으로 그렇습니다.

[Stephanus page 267, section d, line 1] {ΞΕ.} Μιμητὴν δὴ τοῦτόν γε ἕτερον ἐκείνου λεκτέον οἶμαι, τὸν ἀγνοοῦντα τοῦ γιγνώσκοντος.
그래서 이 모방자를 저 자와는 다른 자라고 이야기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아는 자와 달리 무지한 자라고요.
그럼 나아가 이런 모방자는 다른 자로 진술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네, 아는 자와 달리 모르는 자라고 말일세.

{ΘΕΑΙ.} Ναί. 네.

{ΞΕ.} Πόθεν οὖν ὄνομα ἑκατέρῳ τις αὐτῶν λήψεται πρέπον; ἢ δῆλον δὴ χαλεπὸν ὄν, διότι τῆς τῶν γενῶν κατ' εἴδη διαιρέσεως παλαιά τις, ὡς ἔοικεν, ἀργία τοῖς ἔμπροσθεν καὶ ἀσύννους παρῆν, ὥστε μηδ' ἐπιχειρεῖν μηδένα διαιρεῖσθαι· καθὸ δὴ τῶν ὀνομάτων ἀνάγκη μὴ σφόδρα εὐπορεῖν. ὅμως δέ, κἂν εἰ τολμηρότερον εἰρῆσθαι, διαγνώσεως ἕνεκα τὴν μὲν μετὰ δόξης μίμησιν δοξομιμητικὴν προσείπωμεν, τὴν δὲ [Stephanus page 267, section e, line 2] μετ' ἐπιστήμης ἱστορικήν τινα μίμησιν.
그러므로 어디에서 그들 중 누군가가 그 각자에게 어울리는 이름을 얻어내겠습니까? 혹은 실로 어려운 일임에 분명합니다, 형상들에 따른 부류들의 구분의 어떤 오래되고 생각없는 게으름이 이전 사람들에게 있었다는 것으로 인하여, 그래서 그 누구도 어떠한 구분도 시도할 수 없을 정도로 말이죠: 그런 이유로 실로 이름들을 아주 넘치게 보유하고 있지는 못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마찬가지로, 만일 더욱 과감하게 이야기한다면, 무지에 한하여 믿음과 함께하는 모방을 우리는 믿음모방이라 이름붙이도록 하고, 앎과 함께하는 것은 어떤 사실적인 모방이라고 합시다.
그렇다면 어디에서 그것들의 양자 각각에 어떤 적절한 이름이 취해지겠는가? 혹은 실로 어려운 일임이 분명하여, 형상들에 따른 유들의 분할에 대한 오랜 게으름과 생각없음이 이전 사람들의 곁에 있었던 까닭에, 그래서 아무것도 분할하려 시도조차 하지 않은 걸세: 그러한 한에서 그 이름들을 아주 충분히 지니지는 못할 수밖에 없지. 허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일 더 과감하게 이야기한다면, 구별을 위해 믿음을 가지고 하는 모방은 믿음모방술이라 부르고, 앎을 가지고 하는 쪽은 어떤 사실적인(역사적인, 정확한, 과학적인) 모방이라 부르기로 하세.
ἀργία : want of employment.
καθὸ : καθ᾿ ὅ. in so far as, according as. wherefore.
εὐπορεῖν : ἐυπορέω. c.gen. have plenty of, abound in.
τολμηρότερον : τολμηρός compr. daring.
ἕνεκα : on account of, as far as regards, in consequence of.
ἱστορικήν : exact, precise, scientific. informed.

{ΘΕΑΙ.} Ἔστω. 그렇게 하죠.

{ΞΕ.} Θατέρῳ τοίνυν χρηστέον· ὁ γὰρ σοφιστὴς οὐκ ἐν τοῖς εἰδόσιν ἦν ἀλλ' ἐν τοῖς μιμουμένοις δή.
그러니 다른 쪽을 사용해야 하네: 왜냐하면 소피스테스는 아는 자들이 아니라 실로 모방하는 자들 안에 있으니.

{ΘΕΑΙ.} Καὶ μάλα. 무척이나 그렇습니다.

{ΞΕ.} Τὸν δοξομιμητὴν δὴ σκοπώμεθα ὥσπερ σίδηρον, εἴτε ὑγιὴς εἴτε διπλόην ἔτ' ἔχων τινά ἐστιν ἐν αὑτῷ.
그럼 우리 그 믿음모방자를 마치 쇠붙이처럼 검토해 보도록 하세, 그것이 온전한 것인지 아니면 아직 그 자체 안에 어떤 균열이 가 있는 것인지 말이지.
ὑγιὴς : sound, unbroken.
διπλόην : porous substance between the double plates in the bones in the skull. weak spot, flaw.

{ΘΕΑΙ.} Σκοπῶμεν. 살펴보도록 하죠.

{ΞΕ.} Ἔχει τοίνυν καὶ μάλα συχνήν. ὁ μὲν γὰρ εὐήθης [Stephanus page 268, section a, line 1] αὐτῶν ἐστιν, οἰόμενος εἰδέναι ταῦτα ἃ δοξάζει· τὸ δὲ θατέρου σχῆμα διὰ τὴν ἐν τοῖς λόγοις κυλίνδησιν ἔχει πολλὴν ὑποψίαν καὶ φόβον ὡς ἀγνοεῖ ταῦτα ἃ πρὸς τοὺς ἄλλους ὡς εἰδὼς ἐσχημάτισται.
그러니까 그것은 큰 균열이 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의 한 쪽은 단순하기 때문입니다, 그가 믿는 이것들을 안다고 그들이 믿고 있으니까요: 그런데 다른 편의 모습은 말들 안에서 굴러가는 것(기술)으로 인해 그가 다른 이들에 마주하여 아는 것처럼 가장하는 그러한 것들을 모르지 않나 하는 많은 의혹과 우려를 지니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커다란 균열을 지니고 있네. 왜냐하면 그들의 한 편은 단순하니까, 그들이 믿는 것들을 안다고 생각하기에: 그러나 다른 쪽의 외양은 진술들 사이에서 뒹굴어 보았기에 의심과 염려를 지닌다네, 그들 외의 사람들에게 자신들이 아는 자로 행세하는 바들을 자신들이 모른다는 생각에서 말일세.
συχνήν : long. many. large.
εὐήθης : simple, silly.
κυλίνδησιν : rolling, wallowing. constant practice, skill.
ὑποψίαν : suspicion. φόβος καὶ ὑ. apprehension.
ἐσχημάτισται : σχηματίζω pf. mp. assume a certain form, figure, posture or position. give a certain form to a thing.

{ΘΕΑΙ.} Πάνυ μὲν οὖν ἔστιν ἑκατέρου γένος ὧν εἴρηκας.
당신께서 말씀하신 것들이 그 양자 각각의 유임은 확실합니다.

{ΞΕ.} Οὐκοῦν τὸν μὲν ἁπλοῦν μιμητήν τινα, τὸν δὲ εἰρωνικὸν μιμητὴν θήσομεν;
그러면 우리가 한 쪽은 어떤 단순한 모방자로, 다른 쪽은 위장하는 모방자로 두겠나?
εἰρωνικὸν : dissembling, hollow, insincere

{ΘΕΑΙ.} Εἰκὸς γοῦν. 그럴 것 같습니다.

{ΞΕ.} Τούτου δ' αὖ τὸ γένος ἓν ἢ δύο φῶμεν;
그럼 이번엔 이 유사모방자의 유를 우린 하나라고 하겠나 둘이라고 하겠나?

{ΘΕΑΙ.} Ὅρα σύ. 당신께서 봐주세요.

[Stephanus page 268, section b, line 1] {ΞΕ.} Σκοπῶ, καί μοι διττὼ καταφαίνεσθόν τινε· τὸν μὲν δημοσίᾳ τε καὶ μακροῖς λόγοις πρὸς πλήθη δυνατὸν εἰρωνεύεσθαι καθορῶ, τὸν δὲ ἰδίᾳ τε καὶ βραχέσι λόγοις ἀναγκάζοντα τὸν προσδιαλεγόμενον ἐναντιολογεῖν αὐτὸν αὑτῷ.
제가 살펴 보면, 저에게도 이중의 어떤 것들로 보입니다: 나는 한 편을 공적인 긴 말들로 다수를 향해 가장할 수 있는 부류로 간주할 것이고, 다른 편은 사적인 짧은 말들로 대화하고 있는 자 스스로 그 자신과 모순되도록 강제하는 부류로 간주할 것입니다.
내가 검토하기로, 내게는 어떤 두 가지 것들로 드러난다네: 한 편은 공적이면서 긴 진술들로 다수를 향해 위장할 수 있는 자로 보았고, 다른 쪽은 사적이자 짧은 진술들로 대화상대자가 스스로 자신과 반대되는 진술을 하도록 강제하는 자로 보았지.
πλήθη : great number, multitude.
εἰρωνεύεσθαι : εἰρωνεύομαι inf. feign ignorance. dissemble, shuffle.

{ΘΕΑΙ.} Λέγεις ὀρθότατα. 무엇보다도 옳은 말씀들이십니다.

{ΞΕ.} Τίνα οὖν ἀποφαινώμεθα τὸν μακρολογώτερον εἶναι; πότερα πολιτικὸν ἢ δημολογικόν;
그러면 우리는 어느 쪽을 더욱 길게 말하는 부류라고 밝히도록 할까요? 정치인인가요 아니면 대중연설가인가요?
그렇다면 우리가 더 길게 말하는 자를 무엇이라고 드러내 보이겠는가? 정치가인가 아니면 대중연설가(선동가)인가?

{ΘΕΑΙ.} Δημολογικόν. 대중연설가입니다.

{ΞΕ.} Τί δὲ τὸν ἕτερον ἐροῦμεν; σοφὸν ἢ σοφιστικόν;
그런데 다른 쪽은 우리가 무어라 이야기할까? 지혜로운 자(智者)라고 하겠나 아니면 소피스테스(지식인)라고 하겠나?

[Stephanus page 268, section b, line 11] {ΘΕΑΙ.} Τὸ μέν που σοφὸν ἀδύνατον, ἐπείπερ οὐκ εἰδότα αὐτὸν ἔθεμεν· μιμητὴς δ' ὢν τοῦ σοφοῦ δῆλον ὅτι παρωνύμιον αὐτοῦ τι λήψεται, καὶ σχεδὸν ἤδη μεμάθηκα ὅτι τοῦτον δεῖ προσειπεῖν ἀληθῶς αὐτὸν ἐκεῖνον τὸν παντάπασιν ὄντως σοφιστήν.
아마도 지혜로운 자일 수는 없을 것인데, 왜냐하면 그를 우리는 알지 못하는 자로 두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지혜로운 자의 모방자는 그 지혜로운 자에게서 파생된 어떤 이름을 취하리란 것이 분명하고, 또 이미 저는 거의 알고 있습니다, 이런 자는 참으로 그를 전적으로 실제로 소피스테스라고 불러야 한다는 것을 말입니다.
παρωνύμιον : deviating form the sense, slightly altered in sense.

{ΞΕ.} Οὐκοῦν συνδήσομεν αὐτοῦ, καθάπερ ἔμπροσθεν, τοὔνομα συμπλέξαντες ἀπὸ τελευτῆς ἐπ' ἀρχήν;
그러면 앞서와 마찬가지로 우리가 그의 이름을 그 끝으로부터 처음에다 엮어서 묶을까?

{ΘΕΑΙ.} Πάνυ μὲν οὖν. 물론입니다.

{ΞΕ.} Τὸ δὴ τῆς ἐναντιοποιολογικῆς εἰρωνικοῦ μέρους τῆς δοξαστικῆς μιμητικόν, τοῦ φανταστικοῦ γένους ἀπὸ τῆς [Stephanus page 268, section d, line 1] εἰδωλοποιικῆς οὐ θεῖον ἀλλ' ἀνθρωπικὸν τῆς ποιήσεως ἀφωρισμένον ἐν λόγοις τὸ θαυματοποιικὸν μόριον, “ταύτης τῆς γενεᾶς τε καὶ αἵματος” ὃς ἂν φῇ τὸν ὄντως σοφιστὴν εἶναι, τἀληθέστατα, ὡς ἔοικεν, ἐρεῖ.
그럼 믿음을 만들어내는 기술에서 가장하는 부분에 속하는 모순을 만들어내는 기술에서의 모방에 관련하는, 영상을 만드는 기술로부터 나온 현상을 만드는 유에 속하는 신적인 것이 아니라 인간적인 것으로서 제작 중 진술들에서 경악스러운 것을 만드는 부분이 규정되어 나옴으로써, "이와 같은 부류와 혈족의" 그 모방을 실제로 소피스테스라고 말하는 그 누구든, 그 무엇보다도 참된 것들을 말하는 것 같군.

{ΘΕΑΙ.} Παντάπασι μὲν οὖν. 전적으로 그렇습니다.

-검토중-

{ΞΕ.} Ποιὸν δέ γέ τινά φαµεν ἀναγκαῖον ἕκαστον εἶναι τῶν λόγων.
그런데 우리는 그 말들의 각각이 어떤 무엇임이 필연적이라고 말합니다.
다음으로 우리는 그 진술들의 각각이 필연적으로 어떤 무엇이라고 말하지.

{ΘΕΑΙ.} Ναί. 네.

{ΞΕ.} Τούτων δὴ ποῖόν τινα ἑκάτερον φατέον εἶναι;
그러면 이것들의 각각은 어떤 무엇이라고 이야기해야 합니까?
그럼 이것들 둘 중 각각이 어떤 무엇이라고 이야기되어야 하는가?

{ΘΕΑΙ.} Τὸν µὲν ψευδῆ που, τὸν δὲ ἀληθῆ.
아마도 한 편은 거짓이라고, 다른 편은 참이라고요.

{ΞΕ.} Λέγει δὲ αὐτῶν ὁ µὲν ἀληθὴς τὰ ὄντα ὡς ἔστιν περὶ σοῦ.
그런데 그것들 중 참인 쪽은 당신에 관하여 있는 것들이 있다고 말합니다.
그런데 그것들 중에 참인 진술은 자네에 관해 ~인 것들을 ~이라고 진술하네.

{ΘΕΑΙ.} Τί µήν; 왜 아니겠습니까?

{ΞΕ.} Ὁ δὲ δὴ ψευδὴς ἕτερα τῶν ὄντων.
그런데 거짓은 있는 것들과는 다른 것들을 말합니다.
그럼 거짓 진술은 ~인것들과 다른 것들을 진술하는군.

[Stephanus page 263, section b, line 8]  {ΘΕΑΙ.} Ναί. 네.

{ΞΕ.} Τὰ µὴ ὄντ' ἄρα ὡς ὄντα λέγει.
그래서 그것은 있지 않은 것들을 있는 것들로서 말합니다.
그래서 ~이지 않은 것들을 ~인 것들로 진술하네.

{ΘΕΑΙ.} Σχεδόν. 아마도요.

{ΞΕ.} Ὄντων δέ γε ὄντα ἕτερα περὶ σοῦ. πολλὰ µὲν γὰρ ἔφαµεν ὄντα περὶ ἕκαστον εἶναί που, πολλὰ δὲ οὐκ ὄντα.
그런데 그것은 당신에 관하여 있는 것들과 달리 있는 것들을 말합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많은 것들을 아마도 각각에 관하여 있는 것들이라고 말하고 있었지만, 많은 것들이 있지 않은 것들이라고 말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런가 하면 그것은 자네에 관하여 ~인 것들과 다른 것들인 것들을 진술하네. 우리는 아마도 많은 ~인 것들을 각각에 관하여 ~이라고 이야기할 테고, 또 많은 ~이지 않은 것들을 그리 말할 테니까.
* πολλὰ μὲν ὄντα, πολλὰ δὲ οὐκ ὄντα. : 둘 다 περὶ ἕκαστον εἶναι를 술부로 갖는지, 아니면 후자는 οὐκ εἶναι가 되는지.

{ΘΕΑΙ.} Κοµιδῇ µὲν οὖν. 정확히 그렇습니다.

{ΞΕ.} Ὃν ὕστερον δὴ λόγον εἴρηκα περὶ σοῦ, πρῶτον µέν, ἐξ ὧν ὡρισάµεθα τί ποτ' ἔστι λόγος, ἀναγκαιότατον αὐτὸν ἕνα τῶν βραχυτάτων εἶναι.
당신에 관하여 이야기된 그 나중 말에서, 우선, 우리가 말이 도대체 무엇인지 정의한 것들로부터, 그것이 가장 짧은 것들 중의 하나라는 것은 무엇보다도 필연적입니다.
그래서 자네에 관하여 내가 나중에 진술한 것은, 우선, 진술이 도대체 무엇인지 우리가 동의하였던 것들로부터, 그 진술이 가장 짧은 진술들 중의 하나라는 것이 필연적이라네.

{ΘΕΑΙ.} Νυνδὴ γοῦν ταύτῃ συνωµολογήσαµεν. 그야 그 점에 방금 우리가 합의하였습니다.

[Stephanus page 263, section c, line 5 ]  {ΞΕ.} Ἔπειτα δέ γε τινός. 그 다음으로 그 진술은 무언가에 관한 것일세.

{ΘΕΑΙ.} Οὕτως. 그렇습니다.

{ΞΕ.} Εἰ δὲ µὴ ἔστιν σός, οὐκ ἄλλου γε οὐδενός.  
그런데 만일 당신이 아니라면, 다른 그 누구에 대해서도 아닙니다.
헌데 만일 자네에 관한 것이 아니라면, 그건 그 외의 다른 누구에 대한 것도 아니지.

{ΘΕΑΙ.} Πῶς γάρ; 어떻게 그렇겠습니까?

{ΞΕ.} Μηδενὸς <δέ> γε ὢν οὐδ' ἂν λόγος εἴη τὸ παράπαν· ἀπεφήναµεν γὰρ ὅτι τῶν ἀδυνάτων ἦν λόγον ὄντα µηδενὸς εἶναι λόγον.
나아가 아무한테도 속하지 않으면 전적으로 말이 아닐 것입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말이 아무것에 대해서도 속하지 않으면서 말인 것은 불가능한 일들에 속하는 것이라는 점을 보여주었으니 말입니다.
나아가 그 누구에 대한 것도 아닐 경우 전적으로 전혀 진술이 아닐 걸세: 그 누구에 대한 것이지도 않은 진술이 진술이라는 것은 불가능한 일들에 속하리란 점을 우리가 드러내 보였으니까.
ἀπεφήναµεν : ἀποφαίνω mp aor?

{ΘΕΑΙ.} Ὀρθότατα. 무엇보다도 옳은 말씀들이십니다.

{ΞΕ.} Περὶ δὴ σοῦ λεγόµενα, <λεγόµενα> µέντοι θάτερα ὡς τὰ αὐτὰ καὶ µὴ ὄντα ὡς ὄντα, παντάπασιν [ὡς] ἔοικεν ἡ  [Stephanus page 263, section d, line 3] τοιαύτη σύνθεσις ἔκ τε ῥηµάτων γιγνοµένη καὶ ὀνοµάτων ὄντως τε καὶ ἀληθῶς γίγνεσθαι λόγος ψευδής.
그래서 당신에 관하여 이야기된 것들, 다른 것들이 같다고 그리고 있지 않은 것들이 있다고 이야기되는 것들, 전적으로 이와 같은 결합이 동사들과 이름들로부터 생겨나 실제로 또 참으로 거짓말이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자네에 관하여 진술되는 것들, 그렇지만 다른 것들이 같은 것들로 그리고 ~이지 않은 것들이 ~인 것들로 진술되는 것들이, 아마도 전적으로 이와 같은 함께 세워짐이 동사들과 또한 이름들로 이루어짐으로써 실제로 그리고 참으로 거짓 진술이 되는 것 같군.

{ΘΕΑΙ.} Ἀληθέστατα µὲν οὖν. 무엇보다도 참된 말씀들입니다.

{ΞΕ.} Τί δὲ δή; διάνοιά τε καὶ δόξα καὶ φαντασία, µῶν οὐκ ἤδη δῆλον ὅτι ταῦτά γε ψευδῆ τε καὶ ἀληθῆ πάνθ' ἡµῶν ἐν ταῖς ψυχαῖς ἐγγίγνεται;
그런데 어떻습니까? 생각과 믿음과 인상은, 바로 이러한 것들이 이제 우리의 영혼들 속에서 거짓들과 참들 모두가 된다는 것이 분명하지 않습니까?
그럼 이건 어떤가? 사유도 믿음도 인상도, 확실히 이젠 이와 같은 것들은 거짓들로도 참들로도 모든 것들이 우리들의 영혼들 안에서 내재화된다는 것이 분명하지 않은가?

{ΘΕΑΙ.} Πῶς; 어떻게요?

{ΞΕ.} Ὧδ' εἴσῃ ῥᾷον, ἂν πρῶτον λάβῃς αὐτὰ τί ποτ' ἔστιν καὶ τί διαφέρουσιν ἕκαστα ἀλλήλων.
당신은 이런 식으로 더욱 쉽게 알게 될 것입니다, 당신이 우선 그것들이 도대체 무엇인지 그리고 서로 간의 각각의 것들이 어떤 점에서 다른지 취한다면 말입니다.
이런 식으로 자네가 쉽게 알 수 있을 걸세, 우선 자네가 그것들이 도대체 무엇인지 파악하고 각각의 것들이 서로 간에 뭐가 다른지 파악악한다면 말일세.

{ΘΕΑΙ.} ∆ίδου µόνον. 제시해 주시기만 하시죠.

[Stephanus page 263, section e, line 3] {ΞΕ.} Οὐκοῦν διάνοια µὲν καὶ λόγος ταὐτόν· πλὴν ὁ µὲν ἐντὸς τῆς ψυχῆς πρὸς αὑτὴν διάλογος ἄνευ φωνῆς γιγνόµενος τοῦτ' αὐτὸ ἡµῖν ἐπωνοµάσθη, διάνοια;
생각과 말은 동일한 것 아니겠습니까: 내면에서 영혼의 그 자신을 향한 대화 이외에 소리 없이 이루어질 때 그것은 우리에 의해 다음과 같이 명명되지 않습니까, 생각이라고요?
사유와 진술은 같은 것이 아닌가 하네: 한 쪽은 영혼 안에서 영혼 자신을 향한 소리 없는 대화가 이루어질 때 바로 이것이 우리에 의해 이름붙여지길, 사유라 한다는 것만 제외하면?
ἐπωνοµάσθη : ἐπονομάζω aor. pass.

{ΘΕΑΙ.} Πάνυ µὲν οὖν. 무척이나 그렇습니다.

{ΞΕ.} Τὸ δέ γ' ἀπ' ἐκείνης ῥεῦµα διὰ τοῦ στόµατος ἰὸν µετὰ φθόγγου κέκληται λόγος;
저 생각으로부터 동사가 입을 통하여 소리와 함께 나오는 것은 말이라 불리지요?
다음으로 저 사유로부터 입을 통해 발음과 더불어 흘러나오는 것이 진술이라 불렸지?

{ΘΕΑΙ.} Ἀληθῆ. 참된 말씀이십니다.

{ΞΕ.} Καὶ µὴν ἐν λόγοις γε αὖ ἴσµεν ἐνὸν -  
또 그래서 그 말들 속에서 우리는 또 내재하는 것을 봅니다 -
그런가 하면 진술들 안에서 또 우리는 내재하는 것을 안다네 -

{ΘΕΑΙ.} Τὸ ποῖον; 어떤 것을요?

{ΞΕ.} Φάσιν τε καὶ ἀπόφασιν. 긍정과 부정을 말일세.

[Stephanus page 264, section d, line 9 ] {ΘΕΑΙ.} Ἴσµεν. 우린 그것들을 압니다.

{ΞΕ.} Ὅταν οὖν τοῦτο ἐν ψυχῇ κατὰ διάνοιαν ἐγγίγνηται µετὰ σιγῆς, πλὴν δόξης ἔχεις ὅτι προσείπῃς αὐτό;
그러므로 이것이 영혼 속에서 생각에 따라 침묵과 함께 내재하게 될 때, 당신은 믿음 이외에 그것을 부를 어떤 것이든 지닙니까?
그러므로 영혼 안에서 사유에 따라 침묵과 함께 이런 것이 내재화될 때, 자네 믿음 말고 달리 그것을 부를 것을 갖고 있는가?

{ΘΕΑΙ.} Καὶ πῶς; 또 어찌 지니겠습니까?

{ΞΕ.} Τί δ' ὅταν µὴ καθ' αὑτὸ ἀλλὰ δι' αἰσθήσεως παρῇ τινι, τὸ τοιοῦτον αὖ πάθος ἆρ' οἷόν τε ὀρθῶς εἰπεῖν ἕτερόν τι πλὴν φαντασίαν;
그런데 어떻습니까, (상태가) 누군가에게 그 자체에 따라서가 아니라 감각을 통하여 현재할 때, 이와 같은 상태는 이번엔 혹시 이를 테면 인상 말고 다른 어떤 것이 옳게 말하는 것이겠습니까?
헌데 어떤가, 그와 같은 것을 따라서가 아니라 감각에 따라 누군가에게 현전할 때, 다시 이와 같은 겪음을 혹시 인상 외에 다른 어떤 것이라 옳게 이야기할 수 있을까?

{ΘΕΑΙ.} Οὐδέν. 전혀요.

{ΞΕ.} Οὐκοῦν ἐπείπερ λόγος ἀληθὴς ἦν καὶ ψευδής, τούτων δ' ἐφάνη διάνοια µὲν αὐτῆς πρὸς ἑαυτὴν ψυχῆς διάλογος, [Stephanus page 264, section b, line 1] δόξα δὲ διανοίας ἀποτελεύτησις, “<φαίνεται>“ δὲ ὃ λέγοµεν σύµµειξις αἰσθήσεως καὶ δόξης, ἀνάγκη δὴ καὶ τούτων τῷ λόγῳ συγγενῶν ὄντων ψευδῆ [τε] αὐτῶν ἔνια καὶ ἐνίοτε εἶναι.
그러니까 확실히 말은 참이면서 거짓이기도 하였으므로, 그런데 이것들에 대한 생각은 그 영혼의 그 자신에 대한 대화로 나타났었고, 그러나 믿음은 생각의 결과로 나타났었으며, 우리가 말하는 그 '나타났다'는 것은 감각과 믿음의 혼합물이기에, 그래서 이러한 것들도 말에 대해 동류여서 그것들의 일부는 또 어떤 때에는 거짓임이 필연적입니다.
그러므로 만일 정말로 진술이 참이고 또한 거짓이라면, 그것들 중 사유는 영혼 자신의 자신을 향한 대화로 드러나고, 믿음은 사유의 결론으로, "현상한다"라는 것 우리가 감각과 믿음의 섞임으로 말한 것으로 드러나며, 더 나아가 이러한 것들이 진술과 친족적일 경우 그것들의 일부가 종종 거짓이라는 것은 필연적일세.

{ΘΕΑΙ.} Πῶς δ' οὔ; 어찌 아니겠습니까?

{ΞΕ.} Κατανοεῖς οὖν ὅτι πρότερον ηὑρέθη ψευδὴς δόξα καὶ λόγος ἢ κατὰ τὴν προσδοκίαν ἣν ἐφοβήθηµεν ἄρτι, µὴ παντάπασιν ἀνήνυτον ἔργον ἐπιβαλλοίµεθα ζητοῦντες αὐτό;
그러니 당신은 우리가 이 예측에 따라 방금, 우리가 그 일을 추구함으로써 완전히 한도 끝도 없는 일을 시도하지는 않았나 하고 우려했던 것에 비해, 믿음과 말이 거짓인 게 더 일찍 알려졌다는 것을 이해하십니까?
그렇다면 자네 알겠는가? 우리가 그를 추적하면서 전적으로 끝나지 않을 일을 시도하지는 않았나 하며, 방금 두려워하였던 그 예견에 따른 것보다는 더 먼저 거짓 믿음과 거짓 진술이 발견되었다는 것을 말일세.
ηὑρέθη : εὐρίσκω aor. pass. find.
προσδοκία : looking for, expectation.
ἐφοβήθηµεν : φοβέω aor. pass.
ἀνήνυτον : endless.
ἐπιβαλλοίµεθα : ἐπιβάλλω mp. opt. LSJ p624. Ⅲ.3. c.acc. w.ἔργον. attempt, undertake.

{ΘΕΑΙ.} Κατανοῶ. 알겠습니다.

{ΞΕ.} Μὴ τοίνυν µηδ' εἰς τὰ λοιπὰ ἀθυµῶµεν. ἐπειδὴ γὰρ πέφανται ταῦτα, τῶν ἔµπροσθεν ἀναµνησθῶµεν κατ' [Stephanus page 264, section c, line 2] εἴδη διαιρέσεων.
따라서 남은 일들을 향해 우리 전혀 낙담하진 말도록 합시다. 왜냐하면 이러한 것들이 드러났으니, 앞서의 구별들에 대하여 형상에 따라 떠올려 보도록 하죠.
그러니 남은 일들에 대해서도 전혀 낙담하지 말기로 하세. 이런 것들이 드러났으니, 형상들에 따른 이전의 구분(분할)들에 대해 상기해 보자고 하는 얘길세.
ἀναµνησθῶµεν : ἀναμιμνήσκω subj. pass.

{ΘΕΑΙ.} Ποίων δή; 어떤 구분들에 대해서죠?

{ΞΕ.} ∆ιειλόµεθα τῆς εἰδωλοποιικῆς εἴδη δύο, τὴν µὲν εἰκαστικήν, τὴν δὲ φανταστικήν.
우리는 영상제작술의 형상들을 둘로 나누었네, 하나는 모상제작술로, 다른 쪽은 인상제작술로.

{ΘΕΑΙ.} Ναί. 네.

{ΞΕ.} Καὶ τὸν σοφιστὴν εἴποµεν ὡς ἀποροῖµεν εἰς ὁποτέραν θήσοµεν.
그리고 우리는 소피스테스를 어느 쪽에 둘지 당혹스러워 하고 있다고 이야기했었지.

{ΘΕΑΙ.} Ἦν ταῦτα. 그런 일들이 있었지요.

{ΞΕ.} Καὶ τοῦθ' ἡµῶν ἀπορουµένων ἔτι µείζων κατεχύθη σκοτοδινία, φανέντος τοῦ λόγου τοῦ πᾶσιν ἀµφισβητοῦντος [Stephanus page 264, section c, line 12] ὡς οὔτε εἰκὼν οὔτε εἴδωλον οὔτε φάντασµ' εἴη τὸ παράπαν οὐδὲν διὰ τὸ µηδαµῶς µηδέποτε µηδαµοῦ ψεῦδος εἶναι.
또한 이 일로 우리가 갈피를 잡지 못하여 나아가 더욱 큰 혼란이 흘러들었습니다, 말이 모든 이들에게 논쟁하는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에요, 유사닮음도 닮음도 인상도 전적으로 전혀 아니라고, 어떤 식으로도 그 어떤 때에도 어떤 곳에서라도 거짓은 있지 않다는 것으로 인해서 그렇다고요.
이 점에서 우리가 당혹해 할 때 나아가 더 큰 현기증이 덮쳐왔는데, 결코 어떤 경우에도 그 무엇에 대해서도 거짓은 ~이지 않다는 이유로 모상도 영상도 현상도 전적으로 전혀 아무것도 아니리라는 진술이 모두에게 논란이 되는 걸로 드러났기 때문일세.
κατεχύθη : καταχέω aor. pass. pour.
σκοτοδινία : dizziness, vertigo.

{ΘΕΑΙ.} Λέγεις ἀληθῆ. 맞는 말씀이십니다.

{ΞΕ.} Νῦν δέ γ' ἐπειδὴ πέφανται µὲν λόγος, πέφανται δ' οὖσα δόξα ψευδής, ἐγχωρεῖ δὴ µιµήµατα τῶν ὄντων εἶναι καὶ τέχνην ἐκ ταύτης γίγνεσθαι τῆς διαθέσεως ἀπατητικήν.
그런데 이제 말이 드러났고, 그러나 거짓 믿음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으므로, 그래서 있는 것들의 모방물들이 있다는 것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로부터 기만하는 기술이 생겨난다는 것이 가합니다.
그렇지만 이제 진술이 드러난 다음, 거짓 믿음이 ~인 것으로 드러났고, 그래서 ~인 것들의 모방물들이 ~이라는 게 가능하며 이러한 조건으로부터 기술이 기만적인 것이 되는 일이 가능하다네.
ἐγχωρεῖ : ἐγχωρέω give a room, allow, admit of. impers., it is possible or allowable.
διαθέσεως : state, condition.
ἀπατητικήν : fallacious.

{ΘΕΑΙ.} Ἐγχωρεῖ. 그럴 수 있습니다.

{ΞΕ.} Καὶ µὴν ὅτι γ' ἦν ὁ σοφιστὴς τούτων πότερον, διωµολογηµένον ἡµῖν ἐν τοῖς πρόσθεν ἦν.
또한 실로 소피스테스가 이것들 중 어느 한 쪽이라는 그것은, 우리에게 앞선 논의들 안에서 합의된 것이었습니다.
그런가 하면 소피스테스가 이런 둘 중 어느 한 쪽이라는 건, 우리에게 앞서의 진술들에서 합의된 바의 것이지.

[Stephanus page 264, section d, line 9] {ΘΕΑΙ.} Ναί. 네.

{ΞΕ.} Πάλιν τοίνυν ἐπιχειρῶµεν, σχίζοντες διχῇ τὸ προτεθὲν γένος, πορεύεσθαι κατὰ τοὐπὶ δεξιὰ ἀεὶ µέρος τοῦ τµηθέντος, ἐχόµενοι τῆς τοῦ σοφιστοῦ κοινωνίας, ἕως ἂν αὐτοῦ τὰ κοινὰ πάντα περιελόντες, τὴν οἰκείαν λιπόντες φύσιν ἐπιδείξωµεν µάλιστα µὲν ἡµῖν αὐτοῖς, ἔπειτα καὶ τοῖς ἐγγυτάτω γένει τῆς τοιαύτης µεθόδου πεφυκόσιν.
따라서 다시 우리 시도해 봅시다, 합당하게 앞서의 부류를 분류하면서, 언제나 오른손 위의 분할된 부분에 따라 나아가는 일을요, 소피스테스의 모임을 지니고서 말이죠, 그의 공통된 모든 것들을 우리가 제거해내기 전까지요, 우리가 그 고유한 본성을 남김으로써 무엇보다도 우리 자신에게 밝혀 보이고, 다음으로 이와 같은 방식의 가장 가까이 타고난 부류들에게 밝혀 보이도록 합시다.
그러니까 다시, 앞서의 유를 두 가지로 쪼개면서, 항상 잘린 유의 오른쪽 부분을 향해 나아가도록 시도해 보세. 소피스테스의 공유를 견지하면서, 그의 모든 공유물들을 벗겨냄으로써, 그의 고유한 본성을 남김으로써 특히 우리 자신에게, 다음으로 이런 방식에 가장 익숙하게 타고난 류의 사람들에게 증명할 때까지 말일세.
* ἐχόµενοι τῆς τοῦ σοφιστοῦ κοινωνίας, ἕως ἂν αὐτοῦ τὰ κοινὰ πάντα περιελόντες, τὴν οἰκείαν λιπόντες φύσιν : 분할의 방식에 대한 재정의. 하나의 유의 공유를 유지하되 공유물들을 모두 제거하여 고유한 본성을 증명할 때까지 유지한다. 최근유와 종차?
πορεύεσθαι : πορεύω mp. inf. go.
τοὐπί : τὸ + ἐπί.
περιελόντες : περιαιρέω aor. part. take away something that surrounds, strip off, remove.

{ΘΕΑΙ.} Ὀρθῶς. 옳습니다.

{ΞΕ.} Οὐκοῦν τότε µὲν ἠρχόµεθα ποιητικὴν καὶ κτητικὴν τέχνην διαιρούµενοι;
그 때 우리는 제작술과 획득하는 기술을 구분함으로써 시작하지 않았나?

[Stephanus page 265, section a, line 6 ] {ΘΕΑΙ.} Ναί. 네.

{ΞΕ.} Καὶ τῆς κτητικῆς ἐν θηρευτικῇ καὶ ἀγωνίᾳ καὶ ἐµπορικῇ καί τισιν ἐν τοιούτοις εἴδεσιν ἐφαντάζεθ' ἡµῖν;
그리고 획득술 중 사냥술과 경합술과 거래술 그리고 이와 같은 어떤 형상들 안에서 그가 우리에게 나타났지?

{ΘΕΑΙ.} Πάνυ µὲν οὖν. 물론 그렇습니다.

{ΞΕ.} Νῦν δέ γ' ἐπειδὴ µιµητικὴ περιείληφεν αὐτὸν τέχνη, δῆλον ὡς αὐτὴν τὴν ποιητικὴν δίχα διαιρετέον πρώτην. ἡ γάρ που µίµησις ποίησίς τίς ἐστιν, εἰδώλων µέντοι, φαµέν, ἀλλ' οὐκ αὐτῶν ἑκάστων· ἦ γάρ;
그런데 이제 모방하는 기술이 그를 포함하였으니, 바로 그 기술을 먼저 분간하여야 한다는 건 분명하네. 왜냐하면 아마도 어떤 모방하는 제작은, 우리가 말하기로는 영상물들에 대한 것이긴 하지만, 그 각각의 것들에 대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지: 그렇지 않나?

{ΘΕΑΙ.} Παντάπασι µὲν οὖν. 전적으로 그렇습니다.

{ΞΕ.} Ποιητικῆς δὴ πρῶτον δύ' ἔστω µέρη.
그러면 우선 제작술의 두 부분들이 있다고 하세.

[Stephanus page 265, section b, line 5] {ΘΕΑΙ.} Ποίω; 어떤 둘입니까?

{ΞΕ.} Τὸ µὲν θεῖον, τὸ δ' ἀνθρώπινον. 하나는 신적인 부분이고, 다른 부분은 인간적인 부분이지.

{ΘΕΑΙ.} Οὔπω µεµάθηκα. 저는 아직 모르겠습니다.

Οὔπω : not yet.

{ΞΕ.} Ποιητικήν, εἴπερ µεµνήµεθα τὰ κατ' ἀρχὰς λεχθέντα, πᾶσαν ἔφαµεν εἶναι δύναµιν ἥτις ἂν αἰτία γίγνηται τοῖς µὴ πρότερον οὖσιν ὕστερον γίγνεσθαι.
제작술은, 만일 실로 우리가 처음 논의된 것들을 기억한다면, 모두 먼저 있지 않은 것들에게 원인이 생겨나면 이후에 생겨나도록 할 수 있는 무엇이든 그러한 능력이라고 우리는 말합니다.
만일 우리가 처음부터 진술된 바들을 기억하고 있다면, 제작술은 그 전부가 능력으로서 그것이 무엇이든 이전에 ~이지 않음을 이후에 ~되도록 하는 원인이 되는 그런 능력이라고 이야기했네.

{ΘΕΑΙ.} Μεµνήµεθα. 우리는 기억합니다.

{ΞΕ.} Ζῷα δὴ πάντα θνητά, καὶ δὴ καὶ φυτὰ ὅσα τ' ἐπὶ γῆς ἐκ σπερµάτων καὶ ῥιζῶν φύεται, καὶ ὅσα ἄψυχα ἐν γῇ συνίσταται σώµατα τηκτὰ καὶ ἄτηκτα, µῶν ἄλλου τινὸς ἢ [Stephanus page 265, section c, line 4] θεοῦ δηµιουργοῦντος φήσοµεν ὕστερον γίγνεσθαι πρότερον οὐκ ὄντα; ἢ τῷ τῶν πολλῶν δόγµατι καὶ ῥήµατι χρώµενοι -  
필멸하는 모든 동물들, 더 나아가 씨앗들과 뿌리들로부터 땅 위에 자라는 모든 식물들, 그리고 생명 없이 땅 속에 함께 놓여있는 모든 녹는 물질들과 녹지 않는 물질들이, 물론 신 이외의 다른 어떤 것이 제조할 때 그것들이 이전에 ~이지 않은 것들이 이후에 ~된다고 우리가 말하지는 않겠지? 아니면 많은 사람들의 믿음과 말을 우리가 사용해서 -

συνίσταται : συνίστημι mp.

{ΘΕΑΙ.} Ποίῳ τῳ; 어떤 믿음과 말을 말입니까?

{ΞΕ.} Τὴν φύσιν αὐτὰ γεννᾶν ἀπό τινος αἰτίας αὐτοµάτης καὶ ἄνευ διανοίας φυούσης, ἢ µετὰ λόγου τε καὶ ἐπιστήµης θείας ἀπὸ θεοῦ γιγνοµένης;
자연이 그것들을 어떤 저절로 또 생각 없이 생육하는 원인으로부터 길러낸다는 것, 아니면 신으로부터 생겨난 신적인 논리와 인식과 더불어서라는 것?
γεννᾶν : γεννάω inf.

{ΘΕΑΙ.} Ἐγὼ µὲν ἴσως διὰ τὴν ἡλικίαν πολλάκις ἀµφότερα µεταδοξάζω· νῦν µὴν βλέπων εἰς σὲ καὶ ὑπολαµβάνων οἴεσθαί σε κατά γε θεὸν αὐτὰ γίγνεσθαι, ταύτῃ καὶ αὐτὸς νενόµικα.
저로서는 나이 탓인 것 같은데 자주 양자를 오가며 믿습니다: 그래서 이제 당신께 의지하여 그리고 당신께서 바로 신에 따라서 그것들이 생겨난다고 믿는다고 가정하면서, 제 자신도 이런 식으로 생각했습니다.
βλέπων : βλέπω part. w.εἰς. look to, rely on.

[Stephanus page 265, section d, line 5 ] {ΞΕ.} Καλῶς γε, ὦ Θεαίτητε. καὶ εἰ µέν γέ σε ἡγούµεθα τῶν εἰς τὸν ἔπειτ' <ἂν> χρόνον ἄλλως πως δοξαζόντων εἶναι, νῦν ἂν τῷ λόγῳ µετὰ πειθοῦς ἀναγκαίας ἐπεχειροῦµεν ποιεῖν ὁµολογεῖν· ἐπειδὴ δέ σου καταµανθάνω τὴν φύσιν, ὅτι καὶ ἄνευ τῶν παρ' ἡµῶν λόγων αὐτὴ πρόσεισιν ἐφ' ἅπερ νῦν ἕλκεσθαι φῄς, ἐάσω· χρόνος γὰρ ἐκ περιττοῦ γίγνοιτ' ἄν. ἀλλὰ θήσω τὰ µὲν φύσει λεγόµενα ποιεῖσθαι θείᾳ τέχνῃ, τὰ δ' ἐκ τούτων ὑπ' ἀνθρώπων συνιστάµενα ἀνθρωπίνῃ, καὶ κατὰ τοῦτον δὴ τὸν λόγον δύο ποιητικῆς γένη, τὸ µὲν ἀνθρώπινον εἶναι, τὸ δὲ θεῖον.  
훌륭합니다, 테아이테토스. 그리고 만일 당신이 이후에 어떤 다른 식으로 믿는 자들에 속한다고 우리가 믿었다면, 지금 그 말에 불가항력의 설득을 가지고 동의하게끔 만들고자 시도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나는 당신의 본성을 확실히 알기에, 우리들의 말들 없이도 그 본성은 당신이 지금 이끌린다 말할 바로 그것을 향해 나아간다는 것을 말이죠, 그래서 놓아둡니다: 왜냐하면 지나치게 시간이 걸릴 테니까요. 하지만 나는 자연으로 이야기되는 것들은 신적인 기술에 의해 만들어진다고 가정할 것이고, 이런 것들로부터 인간에 의해 조합된 것들은 인간적인 기술로 그렇다고, 또 그래서 이러한 말에 따라 기술의 두 가지 부류들을, 한 편은 인간적인 것으로, 다른 쪽은 신적인 것으로 둘 것입니다.
멋지군, 테아이테토스. 게다가 만일 내가 자네를 나중이 되어서는 다른 어떤 방식으로 믿는 자들에 속한다고 우리가 생각했더라면, 이제 설득의 강제들을 가지고 진술로써 동의하게 만들고자 시도할 테지: 그러나 자네의 본성을, 내게서 나온 진술들 없이도 그 본성 자체가 지금 자네가 이끌린다고 말한 바로 그런 것들을 향해 나아간다는 사실을 알아차렸으니, 난 그리 놓아두겠네: 쓸 데 없는 시간이 될테니까. 그럼 나는 본성으로 진술되는 것들은 신적인 기술에 의해 만들어진다고 놓을 것이고, 이러한 것들로 인간들에 의해 함께 세워지는 것들은 인간적인 기술로 그리 된다고 할 것이며, 더 나아가 동일한 진술에 따라서 제작술의 두 유들이, 한 쪽은 인간적인 것이고, 다른 쪽은 신적인 것이라 놓을 걸세.
εἰς τὸν ἔπειτ' <ἂν> χρόνον : ἔπειτα LSJ.615.Ⅰ.2.
πειθοῦς : πειθώ gen.
ἕλκεσθαι : ἕλκω mp. inf. draw.
ἐκ περιττοῦ : περισσός LSJ.1387.Ⅱ. superfluously, uselessly.

[Stephanus page 265, section e, line 7 ] {ΘΕΑΙ.} Ὀρθῶς. 옳습니다.

{ΞΕ.} Τέµνε δὴ δυοῖν οὔσαιν δίχα ἑκατέραν αὖθις.
그러면 둘이 있으니 그 둘 각각을 두 가지로 다시 한 번 갈라 주시게.
οὔσαιν : dual. part. gen.

{ΘΕΑΙ.} Πῶς; 어떻게요?

{ΞΕ.} Οἷον τότε µὲν κατὰ πλάτος τέµνων τὴν ποιητικὴν πᾶσαν, νῦν δὲ αὖ κατὰ µῆκος.
말하자면 그 때에는 너비에 따라(좌/우로) 제작술 전체를 갈랐고, 이번에는 높이에 따라(위/아래로) 갈라 주게.

{ΘΕΑΙ.} Τετµήσθω. 그렇게 잘리도록 하죠.

{ΞΕ.} Τέτταρα µὴν αὐτῆς οὕτω τὰ πάντα µέρη γίγνεται, δύο µὲν τὰ πρὸς ἡµῶν, ἀνθρώπεια, δύο δ' αὖ τὰ πρὸς θεῶν, θεῖα.
그렇게 그 기술의 모든 부분들은 네 가지가 되는데, 우리들을 향한 것들 둘은, 인간적인 것들이고, 그러나 또 신들을 향한 것들 둘은, 신적인 것들이네.

{ΘΕΑΙ.} Ναί. 네.

-검토중-

[Stephanus page 259, section b, line 8] {ΞΕ.} Καὶ ταύταις δὴ ταῖς ἐναντιώσεσιν εἴτε ἀπιστεῖ τις, σκεπτέον αὐτῷ καὶ λεκτέον βέλτιόν τι τῶν νῦν εἰρημένων· εἴτε ὥς τι χαλεπὸν κατανενοηκὼς χαίρει τοτὲ μὲν ἐπὶ θάτερα τοτὲ δ' ἐπὶ θάτερα τοὺς λόγους ἕλκων, οὐκ ἄξια πολλῆς σπουδῆς ἐσπούδακεν, ὡς οἱ νῦν λόγοι φασί. τοῦτο μὲν γὰρ οὔτε τι κομψὸν οὔτε χαλεπὸν εὑρεῖν, ἐκεῖνο δ' ἤδη καὶ χαλεπὸν ἅμα καὶ καλόν.
그리고 누군가 이와 같은 반대들에 대하여 누군가 불신하는 자는, 그 자신이 검토해야 하고 지금 이야기되는 것들보다 더 나은 무언가를 이야기해야 합니다: 혹은 그가 어느 때는 어떤 것들에 대해 또 어떤 때는 또 다른 것들에 대해 논변들을 이끌어 내면서 뭔가 어려운 것을 생각해냈다고 기뻐하는 자는, 열중할 가치가 많지 않은 일에 열중한 것입니다, 지금의 논변들이 말하듯이 말이죠. 왜냐하면 이것은 어떤 영리한 일도 찾기 어려운 일도 아니지만, 저것은 벌써 어렵고도 동시에 훌륭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그 반대들(모순들)을 누군가 믿지 않는다면, 지금 이야기된 것들보다 더 나은 어떤 것을 그가 검토하고 이야기하여야만 하네: 또는 뭔가 난해한 것을 배웠다고 생각하여 어떤 경우에는 다른 것들로 또 다른 경우에는 또 다른 것들로 진술들을 끌고 다니며 즐거워한다면, 그는 많이 열중할 만한 가치는 없는 것에 열중하였던 걸세, 지금 진술들이 이야기해주듯이. 왜냐하면 이런 일은 뭔가 세련된 것도 그렇다고 난해한 것도 찾아낸 게 아니고, 이제는 저 일이 난해하면서도 아름다운 것이기 때문이지.
ἕλκων : ἕλκω part. draw.

{ΘΕΑΙ.} Τὸ ποῖον; 어떤 것입니까?

{ΞΕ.} Ὃ καὶ πρόσθεν εἴρηται, τὸ ταῦτα ἐάσαντα ὡς †δυνατὰ† τοῖς λεγομένοις οἷόν τ' εἶναι καθ' ἕκαστον [Stephanus page 259, section c, line 9] ἐλέγχοντα ἐπακολουθεῖν, ὅταν τέ τις ἕτερον ὄν πῃ ταὐτὸν εἶναι φῇ καὶ ὅταν ταὐτὸν ὂν ἕτερον, ἐκείνῃ καὶ κατ' ἐκεῖνο ὅ φησι τούτων πεπονθέναι πότερον. τὸ δὲ ταὐτὸν ἕτερον ἀποφαίνειν ἁμῇ γέ πῃ καὶ τὸ θάτερον ταὐτὸν καὶ τὸ μέγα σμικρὸν καὶ τὸ ὅμοιον ἀνόμοιον, καὶ χαίρειν οὕτω τἀναντία ἀεὶ προφέροντα ἐν τοῖς λόγοις, οὔτε τις ἔλεγχος οὗτος ἀληθινὸς ἄρτι τε τῶν ὄντων τινὸς ἐφαπτομένου δῆλος νεογενὴς ὤν.
앞서도 이야기된 것입니다, 이러한 것들을 가능한 것들로 인정함으로써 말하는 자들에게 각각에 따라 논박하면서 추적하는 일이 가능하다는 것과 같은 것, 누군가 다름인 것을 어떤 식으로 같은 것이라 말할 때, 또 같음인 것을 다른 것이라 할 때, 저 방식으로 또 그가 말한 저것에 따라 그 둘 중 어느 쪽이든 영향을 받는다는 것. 그런데 우리의 그 방식으로 같은 것은 다른 것으로 또 다른 것은 같은 것으로 그리고 큰 것은 작은 것으로 닮은 것은 닮지 않은 것으로 드러난다는 것, 그리고 논변들 안에서 그렇게 반대되는 것들을 언제나 내놓는 것을 즐긴다는 것, 이런 어떤 논박은 참됨직하지 않고 이제 막 있는 것들에 접한 누군가로부터 갓 나온 것임이 분명합니다.
앞서도 이야기된 걸세, 이런 것들을 가능한 것들로 받아들인 자가 하나씩 논박함으로써 진술되는 것들을 준수할 수 있다는 것이지. 누군가가 다름인 것이 어떤 식으로 같다고 말할 때에도 같음인 것이 다르다고 말할 때에도, 저 방식으로 두 가지 일들 중 어느 한 쪽을 겪는다고 그가 말하는 저 일에 따라서. 그런데 어떻게 해서든 같은 것이 다르다고 또 다른 것이 같다고 그리고 큰 것이 작고 닮은 것이 닮지 않았다고 증명하는 일은, 또 그런 식으로 언제나 반대되는 것들을 진술들 내에 가져다 놓으며 즐거워하는 것은, 이런 어떤 논박이 진정한 것도 아니고 또한 ~인 것들에 방금 접한 어떤 자에 속하는 신출내기임이 분명하다네.
ἐάσαντα : ἐάω aor. part. suffer, permit.
ἐπακολουθεῖν : ἐπᾱκολουθέω inf. follow close upon, follow. attend to. obey.
ἁμῇ : ἁμός. ἁμῇ γέ πῃ. somehow or other.
χαίρειν : χαίρω inf. w.part. be glad to do, delight in doing, to be want to do.
προφέροντα : προφέρω part. bring before or to one.
ἐφαπτομένου : ἐφάπτω med. part. touch, lay hold of or reach with the mind.

{ΘΕΑΙ.} Κομιδῇ μὲν οὖν. 정확히 그렇습니다.

{ΞΕ.} Καὶ γάρ, ὠγαθέ, τό γε πᾶν ἀπὸ παντὸς ἐπιχειρεῖν [Stephanus page 259, section e, line 1] ἀποχωρίζειν ἄλλως τε οὐκ ἐμμελὲς καὶ δὴ καὶ παντάπασιν ἀμούσου τινὸς καὶ ἀφιλοσόφου.
또한 왜냐하면, 훌륭한 이여, 모든 것으로부터 모든 것을 떼어내 버리기를 시도하는 것을 다른 식으로 조화롭지 못한 것이고 정말로 전적으로 비예술적이고 미철학적인 자에게 속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훌륭한 친구, 모든 것으로부터 모든 것을 떼어내 버리고자 손을 대는 일은 다른 식으로도 적절하지 못한데다가 전적으로 교양 없고 비철학적인 어떤 자에 속하는 것일세.
ἐπιχειρεῖν : ἐπιχειρέω inf. put one's hand to, set to work at, attempt.

{ΘΕΑΙ.} Τί δή; 그래서 무슨 말씀이신지요?

{ΞΕ.} Τελεωτάτη πάντων λόγων ἐστὶν ἀφάνισις τὸ διαλύειν ἕκαστον ἀπὸ πάντων· διὰ γὰρ τὴν ἀλλήλων τῶν εἰδῶν συμπλοκὴν ὁ λόγος γέγονεν ἡμῖν.
모든 것들로부터 각각의 것을 풀어 헤쳐 놓는 것이 모든 논변들의 가장 완전한 파괴입니다: 왜냐하면 형상들 서로 간의 함께 엮임으로 인하여 논변이 우리에게 생겨나기 때문입니다.
모든 것들로부터 각각의 것을 산산조각내는 일은 모든 진술들의 궁극적인 파괴라네: 우리에게 진술은 형상들 서로간의 얽힘으로 인하여 이루어지니까 말이지.
Τελεωτάτη : τέλειος sup.perfect. entire. without spot or blemish.
ἀφάνισις : getting rid of, destruction.
διαλύειν : διαλύω inf. loose one from another, part asunder. dissolve, break up.
συμπλοκὴν : πλοκη twining, twisting.

{ΘΕΑΙ.} Ἀληθῆ. 참된 말씀이십니다.

{ΞΕ.} Σκόπει τοίνυν ὡς ἐν καιρῷ νυνδὴ τοῖς τοιούτοις διεμαχόμεθα καὶ προσηναγκάζομεν ἐᾶν ἕτερον ἑτέρῳ μείγνυσθαι.
그러니 당신께서는 보십시오 지금 이 순간에 이와 같은 자들에게 우리가 다른 것이 또 다른 것과 뒤섞인다는 것을 인정하도록 주장하고 또 강요하고 있었다는 것을요.
따라서 자네 우리가 방금 적기에 이런 자들에게 저항하며 다른 것이 또 다른 것과 섞인다는 것을 인정하도록 강제하고자 했다는 걸 고찰하게.
διεμαχόμεθα : διαμάχομαι impf. fight, contend.

[Stephanus page 260, section a, line 4] {ΘΕΑΙ.} Πρὸς δὴ τί; 어떤 점에서 그렇습니까?

{ΞΕ.} Πρὸς τὸ τὸν λόγον ἡμῖν τῶν ὄντων ἕν τι γενῶν εἶναι. τούτου γὰρ στερηθέντες, τὸ μὲν μέγιστον, φιλοσοφίας ἂν στερηθεῖμεν· ἔτι δ' ἐν τῷ παρόντι δεῖ λόγον ἡμᾶς διομολογήσασθαι τί ποτ' ἔστιν, εἰ δὲ ἀφῃρέθημεν αὐτὸ μηδ' εἶναι τὸ παράπαν, οὐδὲν ἂν ἔτι που λέγειν οἷοί τ' ἦμεν. ἀφῃρέθημεν δ' ἄν, εἰ συνεχωρήσαμεν μηδεμίαν εἶναι μεῖξιν μηδενὶ πρὸς μηδέν.
우리에게 그 논변이 있는 것들의 부류들에 속하는 어느 하나이도록 하기 위해서요. 왜냐하면 이를 빼앗기고서는, 가장 대단한 것, 철학을 우리가 빼앗겼을 테니까요: 그러나 더 나아가 지금 여기에서 그 논변이 도대체 무엇인지 합의를 도출해 내야 하는데, 만일 그것이 전적으로 있지 않도록 우리가 금지되었다면, 어디에서도 그러한 우리들은 전혀 논변할 수 없었을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금지당했을 것입니다, 만일 우리가 그 무엇에 대해서도 어떤 것과도 단 하나의 관련조차 없다고 동의했더라면 말이죠.
우리에게 진술이란 ~인 것들인 유들 중의 하나의 무엇이라는 점에서일세. 우리가 이것을 빼앗겼을 때, 가장 크게는, 우리는 철학을 빼앗기겠지: 더욱이 지금 상황에서는 우리가 진술이 도대체 무엇인지에 대해 동의해야 하는데, 만일 그것이 전적으로 ~이지 못하도록 우리가 금지당하다면, 아마도 여전히 우리는 그러한 한에서 아무것도 진술할 수 없었을 것이네. 허나 우린 금지당했을 걸세, 만일 그 무엇 단 하나도 그 어떤 것과도 어떤 것에 대해서도 섞이지 않는다고 우리가 인정했었더라면 말일세.
στερηθέντες : στερέω aor. pass. part. deprive, breave, rob of anything. pass.c.gen.
ἀφῃρέθημεν : ἀφαιρέω aor. pass. 1st.pl.
συνεχωρήσαμεν : συγχωρέω aor.

{ΘΕΑΙ.} Ὀρθῶς τοῦτό γε· λόγον δὲ δι' ὅτι νῦν διομολογητέον οὐκ ἔμαθον.
그건 옳은 말씀이십니다: 그러나 저는 무엇 때문에 지금 진술이란 것이 동의되어야 하는 것인지 알지 못합니다.

[Stephanus page 260, section b, line 5] {ΞΕ.} Ἀλλ' ἴσως τῇδ' ἑπόμενος ῥᾷστ' ἂν μάθοις.
허나 이런 식으로 내가 이야기한다면 자네가 쉽사리 알 수도 있을 것 같군.

{ΘΕΑΙ.} Πῇ; 어떤 식으로요?

{ΞΕ.} Τὸ μὲν δὴ μὴ ὂν ἡμῖν ἕν τι τῶν ἄλλων γένος ὂν ἀνεφάνη, κατὰ πάντα τὰ ὄντα διεσπαρμένον.
실로 그 있지 않은 것은 우리에게 또 다른 것들의 어떤 한 부류로 있는 것으로 드러나 보여졌습니다, 있는 모든 것들로 퍼져 있음으로써 말입니다.
한 편으로 ~이지 않음은 우리에게 그 외의 것들 중 어떤 하나의 유인 것으로 드러나 보였지, 모든 ~인 것들 아래로 흩어져 들어가 있기에 말일세.
διεσπαρμένον : διασπείρω pf. mp. part. scatter or spread about.

{ΘΕΑΙ.} Οὕτως. 그렇습니다.

{ΞΕ.} Οὐκοῦν τὸ μετὰ τοῦτο σκεπτέον εἰ δόξῃ τε καὶ λόγῳ μείγνυται.
그러면 이 다음으로 살펴보아야 할 것은 그 있지 않은 것이 믿음과 또한 논변과 뒤섞이는지 여부입니다.
그렇다면 다음으로는 그것이 믿음과 진술에도 섞이는지 검토해 보아야만 하네.

{ΘΕΑΙ.} Τί δή; 그래서요?

{ΞΕ.} Μὴ μειγνυμένου μὲν αὐτοῦ τούτοις ἀναγκαῖον ἀληθῆ πάντ' εἶναι, μειγνυμένου δὲ δόξα τε ψευδὴς γίγνεται καὶ [Stephanus page 260, section c, line 3] λόγος· τὸ γὰρ τὰ μὴ ὄντα δοξάζειν ἢ λέγειν, τοῦτ' ἔστι που τὸ ψεῦδος ἐν διανοίᾳ τε καὶ λόγοις γιγνόμενον.
그 있지 않은 것이 이러한 것들(믿음과 논변)과 섞이지 않을 경우 모든 참들이 있다는 것은 필연적입니다만, 섞일 때에는 믿음도 또 논변도 거짓이 됩니다: 왜냐하면 있지 않은 것들을 믿는 일이거나 혹은 말하는 일, 이것이 아마도 생각과 논변들 속에서 생겨나는 거짓이기 때문입니다.
그것이 이것들과 섞이지 않을 때에는 모든 것들이 참이라는 것이 필연적이고, 섞일 경우에는 믿음도 진술도 거짓이 되지: 왜냐하면 ~이지 않은 것들을 믿거나 진술하는 것, 이것이 아마도 사유와 진술들에서 이루어지는 거짓일 테니까 말일세.

{ΘΕΑΙ.} Οὕτως. 그렇습니다.

{ΞΕ.} Ὄντος δέ γε ψεύδους ἔστιν ἀπάτη.
그런데 바로 그 거짓이 있음으로써 기만이 있습니다.
다음으로 거짓이 ~일 때 기만이 ~이라네.
ἀπάτη : trick, fraud, deceit.

{ΘΕΑΙ.} Ναί. 네.

{ΞΕ.} Καὶ μὴν ἀπάτης οὔσης εἰδώλων τε καὶ εἰκόνων ἤδη καὶ φαντασίας πάντα ἀνάγκη μεστὰ εἶναι.
또 참으로 기만이 있음으로써 더욱이 상들과 또한 모조들에 온갖 허상들이 가득함이 필연적입니다.
나아가 기만이 ~이고 나면 모든 것들이 영상들과 모상들 더 나아가 현상들로 가득한 것들이라는 게 필연적이지.

{ΘΕΑΙ.} Πῶς γὰρ οὔ; 어찌 아니겠습니까?

{ΞΕ.} Τὸν δέ γε σοφιστὴν ἔφαμεν ἐν τούτῳ που τῷ τόπῳ καταπεφευγέναι μέν, ἔξαρνον δὲ γεγονέναι τὸ παράπαν μηδ' [Stephanus page 260, section d, line 2] εἶναι ψεῦδος· τὸ γὰρ μὴ ὂν οὔτε διανοεῖσθαί τινα οὔτε λέγειν· οὐσίας γὰρ οὐδὲν οὐδαμῇ τὸ μὴ ὂν μετέχειν.
그런데 우리는 소피스트가 아마도 바로 이러한 자리에 숨어들었다고 말하고 있었는데, 거짓이 있다는 것은 전적으로 완전히 부정되었다고 말하고 있었습니다: 즉 있지 않은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할 수도 말할 수도 없다고: 왜냐하면 있지 않은 것은 결코 어떤 식으로도 전혀 존재에 참여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입니다.
다음으로 소피스테스는 어딘가 이런 자리로 숨어들었다고, 그런데 거짓이 전적으로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은 완전히 부정되었다고 우리는 이야기했네: 왜냐하면 ~이지 않음은 무엇이라고 사유할 수도 진술할 수도 없다고 말했으니 말이지: 그야 ~이지 않음은 ~임에 결코 전혀 참여하지 않는다고 말했으니까.
ἔξαρνον δὲ γεγονέναι : ἔ. εἰμι or γίγνομαι = ἐξαρνέομαι. deny utterly.

{ΘΕΑΙ.} Ἦν ταῦτα. 그런 얘기들이 있었지요.

{ΞΕ.} Νῦν δέ γε τοῦτο μὲν ἐφάνη μετέχον τοῦ ὄντος, ὥστε ταύτῃ μὲν ἴσως οὐκ ἂν μάχοιτο ἔτι· τάχα δ' ἂν φαίη τῶν εἰδῶν τὰ μὲν μετέχειν τοῦ μὴ ὄντος, τὰ δ' οὔ, καὶ λόγον δὴ καὶ δόξαν εἶναι τῶν οὐ μετεχόντων, ὥστε τὴν εἰδωλοποιικὴν καὶ φανταστικήν, ἐν ᾗ φαμεν αὐτὸν εἶναι, διαμάχοιτ' ἂν πάλιν ὡς παντάπασιν οὐκ ἔστιν, ἐπειδὴ δόξα καὶ λόγος οὐ κοινωνεῖ τοῦ μὴ ὄντος· ψεῦδος γὰρ τὸ παράπαν [Stephanus page 260, section e, line 3] οὐκ εἶναι ταύτης μὴ συνισταμένης τῆς κοινωνίας. διὰ ταῦτ' οὖν λόγον πρῶτον καὶ δόξαν καὶ φαντασίαν διερευνητέον ὅτι ποτ' ἔστιν, ἵνα φανέντων καὶ τὴν κοινωνίαν αὐτῶν τῷ μὴ ὄντι κατίδωμεν, κατιδόντες δὲ τὸ ψεῦδος ὂν ἀποδείξωμεν, ἀποδείξαντες δὲ τὸν σοφιστὴν εἰς αὐτὸ ἐνδήσωμεν, εἴπερ ἔνοχός ἐστιν, ἢ καὶ ἀπολύσαντες ἐν ἄλλῳ γένει ζητῶμεν.
그런데 지금 이것은 있음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었고, 그래서 이 방식과 마찬가지로는 더 이상 그가 싸울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는 어쩌면 말할지도 모릅니다, 형상들의 일부는 있지 않은 것에 참여하지만, 다른 것들은 그렇지 않다고, 또 실로 논변과 믿음은 참여하지 않는 것들에 속하는 것이라고, 그래서 상을 만드는 기술과 환상술, 그가 그 안에 있다고 우리가 말하는 그 기술을, 다시 전적으로 있지 않다고 맞서 싸우며 주장할 지도 모릅니다, 믿음과 논변이 있지 않은 것과 공유하지 않으므로: 즉 거짓은 이와 같은 공유가 함께 서지 않으면 있을 수 없기 때문이라고 말입니다. 그러므로 이로 인해서 우선 논변과 믿음 그리고 환상은 도대체 무엇이 되었든지 추적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그것들이 나타났을 때 그것들의 있지 않은 것과의 공유 또한 우리가 알아보기 위해서, 그러나 우리가 알아 봄으로써 그 거짓을 있는 것으로 내놓도록, 그런데 내놓음으로써 소피스테스를 그 거짓 안으로 말려들게 만들도록, 그가 정말로 묶인다면요, 아니면 우리가 풀어주고서 다른 부류에서 추구하기 위해서 말이죠.
그런데 이제는 이것이 ~임에 참여하는 것으로 드러났고, 그래서 이 점에서는 그가 더 이상 싸울 일이 없을 것 같군: 그런데 어쩌면 그가 형상들의 일부는 ~이지 않음에 참여하지만, 다른 것들은 그렇지 않으며, 진술과 또한 믿음까지도 그 참여하지 않는 것들에 속한다고 말할 것 같고, 그래서 영상제작술과 현상제작술, 그가 거기에 속한다고 우리가 말하는, 그 기술이 다시금 전적으로 ~이지 않다고, 믿음과 진술이 ~이지 않음에 공유하지 않기에 그러하다고 맞서 싸울 듯하네: 왜냐하면 이러한 공유와 함께 서지 않을 때에는 전적으로 거짓이지 않기 때문이지. 그러므로 이런 점들로 인하여 우선 진술과 믿음 그리고 현상이 도대체 무엇인지 추적되어야만 하네, 그것들이 나타났을 때 그것들의 ~이지 않음과의 공유도 알아보기 위해, 그리 알아 보면서 그것이 거짓이라고 드러내 밝히기 위해, 드러내 밝힘으로써, 만일 정말로 그가 죗값이 있다면, 소피스테스를 그 안에 구속해 놓기 위해서, 아니라면 풀어주면서 다른 유에서 우리가 추적하기 위해서 말일세.
διερευνητέον : διερευνέω. one must track down.
φανέντων : φαίνω aor. pass. part.
ἐνδήσωμεν : ἐνδέω aor. subj. bind. entangle.
ἔνοχός : held in, bound by. connected with.c.gen.

{ΘΕΑΙ.} Κομιδῇ δέ γε, ὦ ξένε, ἔοικεν ἀληθὲς εἶναι τὸ περὶ τὸν σοφιστὴν κατ' ἀρχὰς λεχθέν, ὅτι δυσθήρευτον εἴη τὸ γένος. φαίνεται γὰρ οὖν προβλημάτων γέμειν, ὧν ἐπειδάν τι προβάλῃ, τοῦτο πρότερον ἀναγκαῖον διαμάχεσθαι [Stephanus page 261, section a, line 8] πρὶν ἐπ' αὐτὸν ἐκεῖνον ἀφικέσθαι. νῦν γὰρ μόγις μὲν τὸ μὴ ὂν ὡς οὐκ ἔστι προβληθὲν διεπεράσαμεν, ἕτερον δὲ προβέβληται, καὶ δεῖ δὴ ψεῦδος ὡς ἔστι καὶ περὶ λόγον καὶ περὶ δόξαν ἀποδεῖξαι, καὶ μετὰ τοῦτο ἴσως ἕτερον, καὶ ἔτ' ἄλλο μετ' ἐκεῖνο· καὶ πέρας, ὡς ἔοικεν, οὐδὲν φανήσεταί ποτε.
확실히 그렇습니다, 손님, 소피스테스에 관하여 처음부터 이야기된 것이 참인 것 같습니다, 그 부류는 잡기 어려우리란 것이요. 즉 그러니까 그는 보루들로 가득찬 것으로 나타납니다, 언제든 그가 보루들 중 뭔가를 앞에 던져 놓으면, 저 자 자신에게 닿기 전에 더 먼저 그 던진 것을 두고 싸우는 것이 필연적입니다. 왜냐하면 지금 있지 않은 것을 있지 않다고 앞에 던져진 것을 어렵사리 거쳐 나왔는데, 그러나 다른 것이 앞에 던져졌고, 또 실로 거짓이 논변에 관해서도 믿음에 관하여서도 있다고 드러내 보여야 하고, 이 다음으로 마찬가지로 다른 것이, 저것 다음에는 아직도 또 다른 것이 있습니다: 보이기로는 그 한계도 전혀 어디에서도 나타나지 않을 것 같습니다.
네, 하지만 손님, 그건 정확히 참인 것 같습니다, 소피스테스에 관하여 처음부터 진술된 바, 그 유는 사냥하기 까다로운 것이라는 사실 말입니다. 그도 그럴 것이 그 유는 장애물들로 가득한 것으로 보이니까요. 그것들 중 뭔가를 그가 앞에 던져놓고 나면, 저 소피스테스 자신에 닿기 전에 더 먼저 이 장애물과 싸울 수밖에 없습니다. 이제 겨우 앞에 던져진 ~이지 않음이 ~이지 않다고 하는 것을 우리가 헤쳐 나왔건만, 다른 것이 앞에 던져졌고, 나아가 진술에 관하여서도 믿음에 관해서도 거짓이 ~이라고 밝혀내야 하며, 이 다음에도 또 다른 것이 던져질 것 같으며, 저것 다음에도 여전히 그 외의 것이 던져질 것 같아서 드리는 말씀입니다: 한계조차 어딘가에서 드러나지 않을 것 같습니다.
δυσθήρευτον : δυσ-θήρευτον. hard to catch.
γέμειν : γέμω. to be full of.
διεπεράσαμεν : διαπεράω aor. go over or across, pass through it.

{ΞΕ.} Θαρρεῖν, ὦ Θεαίτητε, χρὴ τὸν καὶ σμικρόν τι δυνάμενον εἰς τὸ πρόσθεν ἀεὶ προϊέναι. τί γὰρ ὅ γ' ἀθυμῶν ἐν τούτοις δράσειεν ἂν ἐν ἄλλοις, ἢ μηδὲν ἐν ἐκείνοις ἀνύτων ἢ καὶ πάλιν εἰς τοὔπισθεν ἀπωσθείς; σχολῇ που, τὸ κατὰ [Stephanus page 261, section c, line 1] τὴν παροιμίαν λεγόμενον, ὅ γε τοιοῦτος ἄν ποτε ἕλοι πόλιν. νῦν δ' ἐπεί, ὠγαθέ, τοῦτο ὃ λέγεις διαπεπέρανται, τό τοι μέγιστον ἡμῖν τεῖχος ᾑρημένον ἂν εἴη, τὰ δ' ἄλλα ἤδη ῥᾴω καὶ σμικρότερα.
테아이테토스, 가능한 조금이라도 앞을 향하여 언제나 나아갈 용기를 내야 합니다. 왜냐하면 이러한 일들에 있어서 낙담하는 자가 또 다른 일들에서 무엇을 해내겠습니까, 저러한 일들에 있어서 아무것도 성취하지 못하거나 또 다시 뒤쪽으로 떠밀려 나가면서? 아마도 거의, 속담에 이르듯, 이런 자는 도대체 폴리스를 취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런데 이제, 훌륭한 이여, 그대가 말한 이 일이 극복되었으므로, 보시오, 대단한 장벽이 우리에 의해 붙잡혔을 것이고, 이제 더 쉽고 더 작은 또 다른 벽들이 있습니다.
테아이테토스, 뭔가 조금이라도 앞을 향해 항상 나아갈 능력이 있는 이는 용기를 가져야만 한다네. 그야 이런 일들에서 낙담하는 자가 다른 일들에서 무엇을 해내겠는가, 저 일들에서 아무것도 해내지 못하거나 다시 뒤로 물러 서면서? 진술되는 격언대로, 이와 같은 자는 도대체 폴리스를 취하기가 거의 어려울 것이네. 그런데, 훌륭한 친구, 지금 자네가 말한 것은 결론이 지어졌으니, 알다시피 우리에게 가장 큰 장벽이 장악된 것일 테고, 다른 일들은 이제 더 쉽고 더 작은 것들이지.
θαρρέω : θαρσέω Att.. to be over-bold, fear not.
εἰς τοὔπισθεν : back.
ἀπωσθείς : ἀπωθέω aor. pass. part. thrust away, push back.
σχολῇ : at one's leisure. i.e. hardly, scarcely.
παροιμίαν : proverb, maxim, saw. κατὰ τὴν π. as the saying goes.
ἕλοι : αἱρέω aor. opt.
διαπεπέρανται : διαπεραίνω pf. mp. conclusion.
τεῖχος : wall, city-wall.

{ΘΕΑΙ.} Καλῶς εἶπες. 훌륭한 말씀이십니다.

{ΞΕ.} Λόγον δὴ πρῶτον καὶ δόξαν, καθάπερ ἐρρήθη νυνδή, λάβωμεν, ἵνα ἐναργέστερον ἀπολογισώμεθα πότερον  αὐτῶν ἅπτεται τὸ μὴ ὂν ἢ παντάπασιν ἀληθῆ μέν ἐστιν ἀμφότερα ταῦτα, ψεῦδος δὲ οὐδέποτε οὐδέτερον.
우선 실로 논변과 믿음을, 방금 이야기된 것처럼, 우리가 취해 봅시다, 더욱 명백하게 우리가 변론할 수 있도록, 있지 않은 것이 그 둘을 붙잡는지 아니면 이들 양자는 전적으로 참된 것들이지만, 그것들 둘 중 어느 쪽도 거짓은 아닌지 말이죠.
그럼 우선, 방금 이야기된 것처럼, 진술과 믿음을 우리가 취해 보세, ~이지 않음이 그것들을 붙드는지 아니면 이것들 양자가 전적으로 진실인 반면, 거짓은 그 둘 중 어떤 것도 결코 아닌지 우리가 더 분명히 설명해내기 위해서 말이네.
ἀπολογισώμεθα : render an account.

{ΘΕΑΙ.} Ὀρθῶς. 옳은 말씀이십니다.

[Stephanus page 261, section d, line 1] {ΞΕ.} Φέρε δή, καθάπερ περὶ τῶν εἰδῶν καὶ τῶν γραμμάτων ἐλέγομεν, περὶ τῶν ὀνομάτων πάλιν ὡσαύτως ἐπισκεψώμεθα. φαίνεται γάρ πῃ ταύτῃ τὸ νῦν ζητούμενον.
자 그럼, 형상들과 문자들에 관하여 우리가 이야기하고 있었던 것처럼, 이름들에 관하여 다시 그런 식으로 살펴보도록 합시다. 왜냐하면 지금 추구되는 것이 이런 방식으로 나타나니까요.
자 그럼, 형상들과 철자들에 관하여 우리가 진술하였던 것처럼, 다시 이름들에 관하여 같은 방식으로 고찰해 들어가 보기로 하세. 지금 좇는 것이 이런 어떤 방식으로 나타나니 말일세.

{ΘΕΑΙ.} Τὸ ποῖον οὖν δὴ περὶ τῶν ὀνομάτων ὑπακουστέον;
그러면 이름들에 관하여 실로 어떤 종류의 것이 대답되어야 하는 것입니까?
그렇다면 이름들에 관하여 어떤 점이 답해져야 하는 것인가요?
ὑπακουστέον : one must accept at invitation. one must answer.

{ΞΕ.} Εἴτε πάντα ἀλλήλοις συναρμόττει εἴτε μηδέν, εἴτε τὰ μὲν ἐθέλει, τὰ δὲ μή.
모든 것들이 서로간에 함께 맞는지 아니면 모든 것이 그렇지 않은지, 혹은 어떤 것들은 그러기를 바라고, 다른 것들은 그렇지 않은지 하는 것입니다.
모든 것들(이름들)이 서로 함께 어우러지는지 전혀 그렇지 않은지, 아니면 어떤 것들은 그러려 하고, 다른 것들은 그렇지 않은지 하는 걸세.

{ΘΕΑΙ.} Δῆλον τοῦτό γε, ὅτι τὰ μὲν ἐθέλει, τὰ δ' οὔ.
어떤 것들은 그러려 하고, 다른 것들은 그렇지 않다는 것만은 분명합니다.

{ΞΕ.} Τὸ τοιόνδε λέγεις ἴσως, ὅτι τὰ μὲν ἐφεξῆς λεγόμενα καὶ δηλοῦντά τι συναρμόττει, τὰ δὲ τῇ συνεχείᾳ μηδὲν [Stephanus page 261, section e, line 2] σημαίνοντα ἀναρμοστεῖ.
당신께서는 이와 같은 것을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즉 순서대로 이야기되고 뭔가를 분명히하는 것들은 함께 맞아 떨어지지만, 그 연속으로 아무 것도 의미하지 않는 것들은 함께 맞아 떨어지지 않는다고 말이죠.
자네 이런 어떤 걸 말하는 것 같군. 순서대로 진술되는 것들과 뭔가를 밝혀주는 것들은 서로 함께 어우러지지만, 연속으로써 아무것도 지시(의미, 언명)하지 못하는 것들은 어우러지지 않는다는 것 말일세.
ἐφεξῆς : in order, in a row, one after another. c.dat, next to. successively, continuously. thereupon, immediately afterwards.
δηλοῦντά : δηλόω. make visible, show, disclose. make known.

{ΘΕΑΙ.} Πῶς τί τοῦτ' εἶπας; 어떤 식으로 이것이 무엇이라 말씀하십니까?

{ΞΕ.} Ὅπερ ᾠήθην ὑπολαβόντα σε προσομολογεῖν. ἔστι γὰρ ἡμῖν που τῶν τῇ φωνῇ περὶ τὴν οὐσίαν δηλωμάτων διττὸν γένος.
당신이 취함으로써 동의한다고 제가 믿은 그것입니다. 왜냐하면 우리에게 아마도 소리로써 존재에 관하여 분명하게 만드는 것들 중에 두 가지 부류들이 있을 테니까요.
자네가 가정하면서 동의한 것으로 내가 생각하는 바로 그것이네. 즉 우리에게 아마도 소리로써 ~임에 관하여 밝혀주는 것들은 두 가지 유라네.
ᾠήθην : οἴομαι aor. pass.

{ΘΕΑΙ.} Πῶς; 어떻게요?

{ΞΕ.} Τὸ μὲν ὀνόματα, τὸ δὲ ῥήματα κληθέν.
한 쪽은 이름들로, 다른 쪽은 말들로 불림으로써 말이지요.
한 쪽은 이름, 다른 쪽은 말이라 불린 것이네.
κληθέν : καλέω aor. pass.

{ΘΕΑΙ.} Εἰπὲ ἑκάτερον. 그 각각을 말씀해 주세요.

{ΞΕ.} Τὸ μὲν ἐπὶ ταῖς πράξεσιν ὂν δήλωμα ῥῆμά που λέγομεν.
행위들에 대해 분명하게 만드는 것은 우리가 아마 말이라고 이야기할 겁니다.
행위들에 대해 밝혀주는 바의 것을 우리는 아마도 동사라 진술할 걸세.

[Stephanus page 262, section a, line 5] {ΘΕΑΙ.} Ναί. 네.

{ΞΕ.} Τὸ δέ γ' ἐπ' αὐτοῖς τοῖς ἐκείνας πράττουσι σημεῖον τῆς φωνῆς ἐπιτεθὲν ὄνομα.
그런데 저 행위들을 성취하는 그 자신들에 대해 두어지는 소리의 기호는 이름입니다.
저 행위들을 수행하는 그 자체인 것들에 부과되는 소리의 기호는 이름이지.
ἐπιτεθὲν : ἐπιτίθημι aor. pass. part.

{ΘΕΑΙ.} Κομιδῇ μὲν οὖν. 정확히 그러합니다.

{ΞΕ.} Οὐκοῦν ἐξ ὀνομάτων μὲν μόνων συνεχῶς λεγομένων οὐκ ἔστι ποτὲ λόγος, οὐδ' αὖ ῥημάτων χωρὶς ὀνομάτων λεχθέντων.
그래서 순서대로 이야기되는 이름들로부터만 논변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고, 또 이름들로부터 분리되어 이야기된 말들로 이루어지는 것도 아닙니다.
그러니 오직 연속적으로 진술되는 이름들만으로는 결코 진술이 아니고, 또 이름들과 따로 진술된 이름들만 가지고서도 진술이 아니라네.

{ΘΕΑΙ.} Ταῦτ' οὐκ ἔμαθον. 이건 모르겠습니다.

{ΞΕ.} Δῆλον γὰρ ὡς πρὸς ἕτερόν τι βλέπων ἄρτι συνωμολόγεις· ἐπεὶ τοῦτ' αὐτὸ ἐβουλόμην εἰπεῖν, ὅτι συνεχῶς ὧδε [Stephanus page 262, section b, line 3] λεγόμενα ταῦτα οὐκ ἔστι λόγος.
당신이 방금 동의할 적에 뭔가 다른 것을 바라 보고 있었다는 게 분명하니까요: 우리는 바로 다음과 같이 말하기를 바라고 있었기에 말입니다, 이런 식으로 순차로 이야기되는 바로 그것들은 논변이 아니라고 말이죠.
분명 방금 자네가 뭔가 다른 걸 염두에 두고 동의한 까닭이네: 우린 바로 이렇게 얘기하길 바라고 있었으니.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이것들이 진술될 경우 진술이 아니라고 말일세.
βλέπων : part. see.

{ΘΕΑΙ.} Πῶς; 어떻게요?

{ΞΕ.} Οἷον “<βαδίζει>“ “<τρέχει>“ “<καθεύδει,>“ καὶ τἆλλα ὅσα πράξεις σημαίνει ῥήματα, κἂν πάντα τις ἐφεξῆς αὔτ' εἴπῃ, λόγον οὐδέν τι μᾶλλον ἀπεργάζεται.
예를 들어 "걷는다" "뛴다" "눕는다" 그리고 행위들을 의미하는 다른 모든 술어들은, 누군가 그것들 전부를 순서대로 말할지라도, 전혀 더 어떤 진술을 완성하진 못할 걸세.

{ΘΕΑΙ.} Πῶς γάρ; 어찌 그렇게 하겠습니까?

{ΞΕ.} Οὐκοῦν καὶ πάλιν ὅταν λέγηται “<λέων>“ “<ἔλαφος>“ “<ἵππος>,” ὅσα τε ὀνόματα τῶν τὰς πράξεις αὖ  πραττόντων ὠνομάσθη, καὶ κατὰ ταύτην δὴ τὴν συνέχειαν οὐδείς πω συνέστη λόγος· οὐδεμίαν γὰρ οὔτε οὕτως οὔτ' ἐκείνως [Stephanus page 262, section c, line 3] πρᾶξιν οὐδ' ἀπραξίαν οὐδὲ οὐσίαν ὄντος οὐδὲ μὴ ὄντος δηλοῖ τὰ φωνηθέντα, πρὶν ἄν τις τοῖς ὀνόμασι τὰ ῥήματα κεράσῃ. τότε δ' ἥρμοσέν τε καὶ λόγος ἐγένετο εὐθὺς ἡ πρώτη συμπλοκή, σχεδὸν τῶν λόγων ὁ πρῶτός τε καὶ σμικρότατος.
그러면 또 다시 "사자" "사슴" "말" 이, 또 행위들을 수행하는 것들의 명명된 이름들 모두가 진술될 때, 동일한 순서에 따라 그 어떤 진술도 전혀 성립하지 않는다네: 왜냐하면 소리내어진 것들이 이런 식으로도 저런 식으로도 행위도 비행위도 ~인 것의 ~임도 ~이지 않은 것의 ~임도 어느 것 하나 전혀 명백히 하지 못 할 것이기 때문이지, 동사들을 이름들과 섞지 않는 한 말일세. 그러나 어우러졌을 때 그 최초의 얽힘이 곧장 진술이기도 하게 되었고, 진술들 중에서도 거의 첫째이자 또 가장 작은 진술이 되었네.
κεράσῃ : κεράννυμι aor. subj. mix, mingle.
συμπλοκή : intertwinning, complication, combination.

{ΘΕΑΙ.} Πῶς ἄρ' ὧδε λέγεις; 이런 식이라는 것이 어떤 방식을 말씀하시는지요?

{ΞΕ.} Ὅταν εἴπῃ τις· “<ἄνθρωπος μανθάνει>,” λόγον εἶναι φῂς τοῦτον ἐλάχιστόν τε καὶ πρῶτον;
누군가 "인간이 안다"라고 말할 때, 자넨 이 진술을 가장 작고 첫 번째인 것이라고 말하는가?

{ΘΕΑΙ.} Ἔγωγε. 저로서는요.

{ΞΕ.} Δηλοῖ γὰρ ἤδη που τότε περὶ τῶν ὄντων ἢ γιγνομένων [Stephanus page 262, section d, line 3] ἢ γεγονότων ἢ μελλόντων, καὶ οὐκ ὀνομάζει μόνον ἀλλά τι περαίνει, συμπλέκων τὰ ῥήματα τοῖς ὀνόμασι. διὸ λέγειν τε αὐτὸν ἀλλ' οὐ μόνον ὀνομάζειν εἴπομεν, καὶ δὴ καὶ τῷ πλέγματι τούτῳ τὸ ὄνομα ἐφθεγξάμεθα λόγον.
왜냐하면 그는 이미 그 때 아마도 ~인 것들에 관하여 혹은 ~되는 것들에 관하여 혹은 ~된 것들에 관하여 아니면 ~될 것들에 관하여 밝혀낼 것이고, 이름을 부를 뿐만 아니라 뭔가를 한정하기 때문입니다, 동사들을 이름들에 함께 엮음으로써 말이죠. 그런 이유로 우리는 진술하는 것을 단지 이름을 부르는 것이라고만 말하지 않고, 더 나아가 우리는 이러한 얽힘으로 그 이름을 진술이라고 불렀습니다.

{ΘΕΑΙ.} Ὀρθῶς. 옳습니다.

{ΞΕ.} Οὕτω δὴ καθάπερ τὰ πράγματα τὰ μὲν ἀλλήλοις ἥρμοττεν, τὰ δ' οὔ, καὶ περὶ τὰ τῆς φωνῆς αὖ σημεῖα τὰ μὲν οὐχ ἁρμόττει, τὰ δὲ ἁρμόττοντα αὐτῶν λόγον ἀπηργάσατο.
그래서 그렇게 어떤 사물들은 서로 조화하고, 다른 사물들은 그렇지 않은 것과 마찬가지로, 이번엔 다시 음성의 표시들에 관하여서도 일부는 조화하지 못하고, 그것들 중 다른 조화하는 것들은 진술을 이루어 낸다네.

{ΘΕΑΙ.} Παντάπασι μὲν οὖν. 전적으로 그러합니다.

{ΞΕ.} Ἔτι δὴ σμικρὸν τόδε. 아직 이런 작은 점이 있다네.

[Stephanus page 262, section e, line 4] {ΘΕΑΙ.} Τὸ ποῖον; 어떤 것이요?

{ΞΕ.} Λόγον ἀναγκαῖον, ὅτανπερ ᾖ, τινὸς εἶναι λόγον, μὴ δὲ τινὸς ἀδύνατον.
진술은 필연적으로, 진술'인' 그 어느 경우에라도, 어떤 것에 대한 진술이고, 어떤 것에 대한 것이 아닐 수는 없다는 것일세.

{ΘΕΑΙ.} Οὕτως. 그러합니다.

{ΞΕ.} Οὐκοῦν καὶ ποιόν τινα αὐτὸν εἶναι δεῖ;
그러면 바로 그건 어떤 무엇'이어야' 하지 않나?

{ΘΕΑΙ.} Πῶς δ' οὔ; 어찌 아니겠습니까?

{ΞΕ.} Προσέχωμεν δὴ τὸν νοῦν ἡμῖν αὐτοῖς.
그러면 우리 자신에게 주목하도록 하세나.

{ΘΕΑΙ.} Δεῖ γοῦν. 그래야 합니다.

{ΞΕ.} Λέξω τοίνυν σοι λόγον συνθεὶς πρᾶγμα πράξει δι' ὀνόματος καὶ ῥήματος· ὅτου δ' ἂν ὁ λόγος ᾖ, σύ μοι [Stephanus page 262, section e, line 14] φράζειν.
따라서 나는 자네에게 사물을 행위와 함께 세움으로써 이름과 동사를 통해 진술할 걸세: 그런데 그 진술이 무엇에 대한 것일지, 자네가 내게 알려 주게.

{ΘΕΑΙ.} Ταῦτ' ἔσται κατὰ δύναμιν. 그 일은 가능한 일에 따라 이루어질 것입니다.

{ΞΕ.} “<Θεαίτητος κάθηται>.” μῶν μὴ μακρὸς ὁ λόγος;
"테아이테토스는 앉아 있다." 이 진술은 물론 길지 않지?

{ΘΕΑΙ.} Οὔκ, ἀλλὰ μέτριος. 아니요, 적당합니다.

{ΞΕ.} Σὸν ἔργον δὴ φράζειν περὶ οὗ τ' ἐστὶ καὶ ὅτου.
그러면 자네의 일은 누구에 대한 것이고 무엇에 대한 것인지 알려주는 것입니다.
그럼 자네 일은 그것이 누구에 관한 그리고 무엇에 관한 것인지 알려주는 것이네.

{ΘΕΑΙ.} Δῆλον ὅτι περὶ ἐμοῦ τε καὶ ἐμός.
분명 제 자신에 대한 것이고 또한 저의 것에 관한 것입니다.

{ΞΕ.} Τί δὲ ὅδ' αὖ; 그런데 또 이런 것은 어떤가?

{ΘΕΑΙ.} Ποῖος; 어떤 것이죠?

{ΞΕ.} “<Θεαίτητος>, ᾧ νῦν ἐγὼ διαλέγομαι, <πέτεται>.”
"테아이테토스는, 내가 지금 대화하고 있는 그는, 날고 있다."

{ΘΕΑΙ.} Καὶ τοῦτον οὐδ' ἂν εἷς ἄλλως εἴποι πλὴν ἐμόν [Stephanus page 263, section a, line 10] τε καὶ περὶ ἐμοῦ.
이것 또한 단 한 사람도 저와 저에 관한 것 이외에는 달리 말할 수 없을 것입니다.

-검토중-

[Stephanus page 254, section a, line 4] {ΞΕ.} Ὁ μὲν ἀποδιδράσκων εἰς τὴν τοῦ μὴ ὄντος σκοτεινότητα, τριβῇ προσαπτόμενος αὐτῆς, διὰ τὸ σκοτεινὸν τοῦ τόπου κατανοῆσαι χαλεπός· ἦ γάρ;
한 쪽은 ~이지 않음의 어둠으로 달아남으로써, 그 어둠에 일상화 되어서, 그 자리의 어둠으로 인해 파악하기 어렵다네: 그렇지 않은가?
ἀποδιδράσκων : ἀποδιδράσκω part. run away. flee, shun.

{ΘΕΑΙ.} Ἔοικεν. 그런 것 같습니다.

{ΞΕ.} Ὁ δέ γε φιλόσοφος, τῇ τοῦ ὄντος ἀεὶ διὰ λογισμῶν προσκείμενος ἰδέᾳ, διὰ τὸ λαμπρὸν αὖ τῆς χώρας οὐδαμῶς εὐπετὴς ὀφθῆναι· τὰ γὰρ τῆς τῶν πολλῶν ψυχῆς ὄμματα καρτερεῖν πρὸς τὸ θεῖον ἀφορῶντα ἀδύνατα.
그런데 지혜를 사랑하는 자는, 언제나 헤아림(추론, 논증, 계산)들을 통해 ~임의 형상에 전념하여, 이번에는 그 위치한 곳의 광휘로 인해 결코 쉽사리 보이지 않네: 왜냐하면 많은 이들의 영혼의 두 눈은 신적인 것을 향해 바라다 보면서 견뎌낼 능력이 없는 것들이기 때문이지.
προσκείμενος : πρόσκειμαι part. to be placed or laid by or upon. devote oneself to.
εὐπετὴς : εὖ + πίπτω. easy.
ὀφθῆναι : ὁράω aor. pass. inf.
καρτερεῖν : to be steadfast, patient.

{ΘΕΑΙ.} Καὶ ταῦτα εἰκὸς οὐχ ἧττον ἐκείνων οὕτως ἔχειν.
이런 점들도 저 일들 못지 않게 그러한 것 같습니다.

{ΞΕ.} Οὐκοῦν περὶ μὲν τούτου καὶ τάχα ἐπισκεψόμεθα [Stephanus page 254, section b, line 4] σαφέστερον, ἂν ἔτι βουλομένοις ἡμῖν ᾖ· περὶ δὲ τοῦ σοφιστοῦ που δῆλον ὡς οὐκ ἀνετέον πρὶν ἂν ἱκανῶς αὐτὸν θεασώμεθα.
그러므로 이 사람에 관하여 우리가 조만간 더 확실하게 고찰해 볼 걸세, 우리가 여전히 그러하길 바란다면 말일세: 그러나 소피스테스에 관하여서는 아마도 그를 우리가 충분히 보게 되기 전까지 긴장을 놓아서는 안 된다는 게 분명하지.
ἀνετέον : one must relax.

{ΘΕΑΙ.} Καλῶς εἶπες. 훌륭한 말씀이십니다.

{ΞΕ.} Ὅτ' οὖν δὴ τὰ μὲν ἡμῖν τῶν γενῶν ὡμολόγηται κοινωνεῖν ἐθέλειν ἀλλήλοις, τὰ δὲ μή, καὶ τὰ μὲν ἐπ' ὀλίγον, τὰ δ' ἐπὶ πολλά, τὰ δὲ καὶ διὰ πάντων οὐδὲν κωλύειν τοῖς πᾶσι κεκοινωνηκέναι, τὸ δὴ μετὰ τοῦτο συνεπισπώμεθα τῷ λόγῳ τῇδε σκοποῦντες, μὴ περὶ πάντων τῶν εἰδῶν, ἵνα μὴ ταραττώμεθα ἐν πολλοῖς, ἀλλὰ προελόμενοι τῶν μεγίστων λεγομένων ἄττα, πρῶτον μὲν ποῖα ἕκαστά ἐστιν, ἔπειτα [Stephanus page 254, section c, line 5] κοινωνίας ἀλλήλων πῶς ἔχει δυνάμεως, ἵνα τό τε ὂν καὶ μὴ ὂν εἰ μὴ πάσῃ σαφηνείᾳ δυνάμεθα λαβεῖν, ἀλλ' οὖν λόγου γε ἐνδεεῖς μηδὲν γιγνώμεθα περὶ αὐτῶν, καθ' ὅσον ὁ τρόπος ἐνδέχεται τῆς νῦν σκέψεως, ἐὰν ἄρα ἡμῖν πῃ παρεικάθῃ τὸ μὴ ὂν λέγουσιν ὡς ἔστιν ὄντως μὴ ὂν ἀθῴοις ἀπαλλάττειν.
그러면 유들 중에 어떤 것들은 서로 공유하려 하고, 다른 것들은 그렇지 않다고, 또한 어떤 것들은 소수의 것들을 향해 그러하고, 다른 것들은 여러 가지 것들을 향해 그러하며, 또 다른 것들은 모든 것들을 통하여 그 모든 것들과 공유한 것을 아무것도 막지 않는다고 우리가 동의하였기에, 우리 그 다음 것을 고찰하면서 이런 진술에 함께 따라 보세. 모든 형상들에 관하여서가 아니라, 많은 형상들 속에서 우리가 혼란을 겪지 않도록, 진술되는 가장(or 매우) 거대한(or 중요한) 것들 중 몇몇 것들을 택하고 나서, 우선은 그것들 각각이 어떤 것들인지, 다음으로 그것들이 어떤 식으로 서로에 대한 공유 능력을 지니는지를 말일세. ~임과 ~이지 않음을 전적인 분명함을 가지고 파악할 수 없을지라도, 그렇다면, 그 방식이 지금의 고찰을 허용하는 한에서, 적어도 그것들에 관한 진술에는 앎이 전혀 부족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라네. 그래서 어떤 점에서 ~이지 않음을 실제로 ~이지 않음'이라고' 말하는 우리에게 거리낌 없이(문제 없이) 풀려나는 일이 허용될 테지.
συνεπισπώμεθα : συνεφέπομαι aor. subj. follow together.
ταραττώμεθα : ταράσσω subj. mp. confuse.
προελόμενοι : προαιρέω aor. med.
σαφηνείᾳ : clearness, distinctness.
παρεικάθῃ : παρείκω aor. mp. subj. impers. it is competent, allowalbe.
ἀθῴοις : scot-free. free from a thing. not deserving punishment, guiltless.
ἀπαλλάττειν : set fee.

{ΘΕΑΙ.} Οὐκοῦν χρή. 그래야만 합니다.

{ΞΕ.} Μέγιστα μὴν τῶν γενῶν ἃ νυνδὴ διῇμεν τό τε ὂν αὐτὸ καὶ στάσις καὶ κίνησις.
물론 우리가 방금 살펴보고 있던 유들 중 가장 거대한 것들은 ~임 자체와 섬 그리고 움직임일세.
διῇμεν : δίειμι. go through.

{ΘΕΑΙ.} Πολύ γε. 물론입니다.

[Stephanus page 254, section d, line 7] {ΞΕ.} Καὶ μὴν τώ γε δύο φαμὲν αὐτοῖν ἀμείκτω πρὸς ἀλλήλω.
그런가 하면 그 두 가지 것들은 양자가 서로에 대해 섞이지 않는 것들이라 말하네.

{ΘΕΑΙ.} Σφόδρα γε. 지극히 그렇습니다.

{ΞΕ.} Τὸ δέ γε ὂν μεικτὸν ἀμφοῖν· ἐστὸν γὰρ ἄμφω που.
그런데 ~임은 양자와 섞이는 것이지: 그 둘 모두 분명 ~이니까.

{ΘΕΑΙ.} Πῶς δ' οὔ; 어찌 아니겠습니까?

{ΞΕ.} Τρία δὴ γίγνεται ταῦτα. 그럼 이것들은 세 가지가 되지.

{ΘΕΑΙ.} Τί μήν; 왜 아니겠습니까?

{ΞΕ.} Οὐκοῦν αὐτῶν ἕκαστον τοῖν μὲν δυοῖν ἕτερόν ἐστιν, αὐτὸ δ' ἑαυτῷ ταὐτόν.
그렇다면 그것들 각각은 두 가지 그들과는 다른 것이고(다르고), 그 자체는 자기 자신과 동일한 것이네(동일하네).

{ΘΕΑΙ.} Οὕτως. 그렇습니다.

[Stephanus page 254, section e, line 2] {ΞΕ.} Τί ποτ' αὖ νῦν οὕτως εἰρήκαμεν τό τε ταὐτὸν καὶ θάτερον; πότερα δύο γένη τινὲ αὐτώ, τῶν μὲν τριῶν ἄλλω, συμμειγνυμένω μὴν ἐκείνοις ἐξ ἀνάγκης ἀεί, καὶ περὶ πέντε ἀλλ' οὐ περὶ τριῶν ὡς ὄντων αὐτῶν σκεπτέον, ἢ τό τε ταὐτὸν τοῦτο καὶ θάτερον ὡς ἐκείνων τι προσαγορεύοντες λανθάνομεν ἡμᾶς αὐτούς;
그런데 다시 우리가 방금 그렇게 말한 같음과 다름은 도대체 무엇인가? 그것들이 어떤 두 가지 유들인가, 세 가지 것들과 다른 두 개의 것들로, 그 둘이 저것들과 언제나 필연을 통하여 함께 섞임으로써, 그것들이 ~인 것들이라 생각하여 세 가지 것들에 관하여서가 아니라 다섯 가지 것들에 관하여 고찰해야 하는가, 아니면 저것들 중 무언가로서 이 같음과 다름을 우리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부르고 있는 겐가?

{ΘΕΑΙ.} Ἴσως. 그런 것 같습니다.(다섯 가지 것들에 관하여 고찰해야 하는 것)

{ΞΕ.} Ἀλλ' οὔ τι μὴν κίνησίς γε καὶ στάσις οὔθ' ἕτερον οὔτε ταὐτόν ἐστι.
그럼 적어도 움직임과 섬은 전혀 다름도 같음도 아니네.

{ΘΕΑΙ.} Πῶς; 어째서죠?

[Stephanus page 255, section a, line 7] {ΞΕ.} Ὅτιπερ ἂν κοινῇ προσείπωμεν κίνησιν καὶ στάσιν, τοῦτο οὐδέτερον αὐτοῖν οἷόν τε εἶναι.
우리가 움직임과 섬을 공통으로 부르는 바로 그것, 그것은 그 둘 중 어느 쪽일 수도 없네.

{ΘΕΑΙ.} Τί δή; 무엇 때문에요?

{ΞΕ.} Κίνησίς τε στήσεται καὶ στάσις αὖ κινηθήσεται· περὶ γὰρ ἀμφότερα θάτερον ὁποτερονοῦν γιγνόμενον αὐτοῖν ἀναγκάσει μεταβάλλειν αὖ θάτερον ἐπὶ τοὐναντίον τῆς αὑτοῦ φύσεως, ἅτε μετασχὸν τοῦ ἐναντίου.
움직임도 설 것이고 또 섬도 움직여질 걸세: 그 양자에 관하여 다름이 양자 중 어느 한 쪽이 됨으로써 이번에는 다른 것을 그것의 본성과 반대되는 것으로 전환시킴이 필연적일 것이니까, (그 다른 것이) 반대되는 것의 몫을 가지는(참여하는) 한에서 말일세.

{ΘΕΑΙ.} Κομιδῇ γε. 정확히 그렇습니다.

{ΞΕ.} Μετέχετον μὴν ἄμφω ταὐτοῦ καὶ θατέρου. 그래서 양자는 같음과 다름의 몫을 가지네(~에 참여하네).

{ΘΕΑΙ.} Ναί. 네.

[Stephanus page 255, section b, line 5] {ΞΕ.} Μὴ τοίνυν λέγωμεν κίνησίν γ' εἶναι ταὐτὸν ἢ θάτερον, μηδ' αὖ στάσιν.
그러니까 우리 움직임은 같다거나(같음이라거나) 다르다고(다름이라고) 말하지 않도록 하세, 또한 섬도 그리 하지 않도록 하세.

{ΘΕΑΙ.} Μὴ γάρ. 그리 하지 않아야지요.

{ΞΕ.} Ἀλλ' ἆρα τὸ ὂν καὶ τὸ ταὐτὸν ὡς ἕν τι διανοητέον ἡμῖν;
그럼 혹시 우리에게 ~임과 같음은 어떤 하나로서 생각되어야 하는 것인가?

{ΘΕΑΙ.} Ἴσως. 그런 것 같습니다.

{ΞΕ.} Ἀλλ' εἰ τὸ ὂν καὶ τὸ ταὐτὸν μηδὲν διάφορον σημαίνετον, κίνησιν αὖ πάλιν καὶ στάσιν ἀμφότερα εἶναι λέγοντες ἀμφότερα οὕτως αὐτὰ ταὐτὸν ὡς ὄντα προσεροῦμεν.
허나 만일 ~임과 같음이 전혀 차이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면, 이번엔 다시 움직임과 섬 둘 모두가 ~이라고 말함으로써 그런 식으로 그 양자를 그것들이 ~인 것들이라는 생각에서 동일하다고 우리가 부를 걸세.

{ΘΕΑΙ.} Ἀλλὰ μὴν τοῦτό γε ἀδύνατον. 그렇지만 그런 일은 불가능합니다.

[Stephanus page 255, section c, line 3] {ΞΕ.} Ἀδύνατον ἄρα ταὐτὸν καὶ τὸ ὂν ἓν εἶναι.
그럼 같음과 ~임이 하나이기는 불가능하군.

{ΘΕΑΙ.} Σχεδόν. 거의 그렇지요.

{ΞΕ.} Τέταρτον δὴ πρὸς τοῖς τρισὶν εἴδεσιν τὸ ταὐτὸν τιθῶμεν;
그래서 우리 같음을 세 가지 형상들에 더하여 네 번째 것으로 세울까?

{ΘΕΑΙ.} Πάνυ μὲν οὖν. 물론입니다.

{ΞΕ.} Τί δέ; τὸ θάτερον ἆρα ἡμῖν λεκτέον πέμπτον; ἢ τοῦτο καὶ τὸ ὂν ὡς δύ' ἄττα ὀνόματα ἐφ' ἑνὶ γένει διανοεῖσθαι δεῖ;
그런데 어떤가? 혹시 다름은 우리에게 다섯 번째 것으로 이야기되어야 하는 것인가? 아니면 이것과 ~임이 하나의 유에 대한 어떤 두 이름들로 이해될 필요가 있는가?

{ΘΕΑΙ.} Τάχ' ἄν. 어쩌면요.

[Stephanus page 255, section c, line 12] {ΞΕ.} Ἀλλ' οἶμαί σε συγχωρεῖν τῶν ὄντων τὰ μὲν αὐτὰ καθ' αὑτά, τὰ δὲ πρὸς ἄλλα ἀεὶ λέγεσθαι.
허나 나는 자네가 ~인 것들 중 일부는 그것들이 그 자체로, 그 외의 것들은 또 다른 것들에 대해서 언제나 이야기된다는 것을 인정하다고 생각하네.

{ΘΕΑΙ.} Τί δ' οὔ; 왜 아니겠습니까?

{ΞΕ.} Τὸ δέ γ' ἕτερον ἀεὶ πρὸς ἕτερον· ἦ γάρ;
게다가 다름은 언제나 다른 것에 대해서 이야기되지: 아니 그런가?

{ΘΕΑΙ.} Οὕτως. 그렇습니다.

{ΞΕ.} Οὐκ ἄν, εἴ γε τὸ ὂν καὶ τὸ θάτερον μὴ πάμπολυ διεφερέτην· ἀλλ' εἴπερ θάτερον ἀμφοῖν μετεῖχε τοῖν εἰδοῖν ὥσπερ τὸ ὄν, ἦν ἄν ποτέ τι καὶ τῶν ἑτέρων ἕτερον οὐ πρὸς ἕτερον· νῦν δὲ ἀτεχνῶς ἡμῖν ὅτιπερ ἂν ἕτερον ᾖ, συμβέβηκεν ἐξ ἀνάγκης ἑτέρου τοῦτο ὅπερ ἐστὶν εἶναι.
만일 ~임과 다름이 매우 차이나지 않았더라면, 그렇지 않았을 걸세: 허나 만일 정말로 다름이 마치 ~임처럼 그 두 형상들 양자에 참여한다면, 어떤 경우에는 다른 것들 중에서도 어떤 것이 다른 것에 대한 것이 아닌 다른 것일 걸세: 그러나 실은 단적으로 우리에게, 다름일 어떤 것(다를 것)은, 바로 그것대로의 것이 다름에 속한다는 것(~에 대한 것이라는 것)이 필연적으로 귀결하였네,

[Stephanus page 255, section d, line 8] {ΘΕΑΙ.} Λέγεις καθάπερ ἔχει. 확실히 그러할 듯한 것을 말씀해 주시네요.

{ΞΕ.} Πέμπτον δὴ τὴν θατέρου φύσιν λεκτέον ἐν τοῖς εἴδεσιν οὖσαν, ἐν οἷς προαιρούμεθα.
그래서 우리가 택한 그 형상들 내에서 다름의 본성은 다섯 번째인 것으로 이야기되어야만 하네.

{ΘΕΑΙ.} Ναί. 네.

{ΞΕ.} Καὶ διὰ πάντων γε αὐτὴν αὐτῶν φήσομεν εἶναι διεληλυθυῖαν· ἓν ἕκαστον γὰρ ἕτερον εἶναι τῶν ἄλλων οὐ διὰ τὴν αὑτοῦ φύσιν, ἀλλὰ διὰ τὸ μετέχειν τῆς ἰδέας τῆς θατέρου.
그리고 그것들 전부를 통하여 그 본성이 관통해 있다고 우리는 이야기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것들 하나 하나가 그 자체의 본성으로 인해서가 아니고, 그러나 다름의 형상에 참여함으로 인하여 다른 것들과 다른 것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느 또한 그 본성이 그것들 모두를 관통한 것이라고 말할 걸세: 그 각 하나가 그 자체의 본성으로 인해서가 아니라, 다름의 형상에 대한 몫을 가진다는 것(참여한다는 것)으로 인해서 그 외의 것들과 다른 것이라고(다르다고) 말할 테니까.
διεληλυθυῖαν : διέρχομαι pf. part. go through.

{ΘΕΑΙ.} Κομιδῇ μὲν οὖν. 정확히 그렇습니다.

{ΞΕ.} Ὧδε δὴ λέγωμεν ἐπὶ τῶν πέντε καθ' ἓν ἀναλαμβάνοντες.
그러면 이런 식으로 다섯 가지 것들에 관하여 하나씩 우리가 꼽아 보면서 이야기하도록 합시다.
그럼 우리 그 다섯 가지 것들에 관하여 하나씩 꼽아 가며 이런 식으로 진술해 보세.

[Stephanus page 255, section e, line 10]  {ΘΕΑΙ.} Πῶς; 어떤 식으로요?

{ΞΕ.} Πρῶτον μὲν κίνησιν, ὡς ἔστι παντάπασιν ἕτερον στάσεως. ἢ πῶς λέγομεν;
우선 운동을, 그것이 정지와 전적으로 다른 것이라고(말합시다). 아니면 우리가 어찌 말합니까?
우선 움직임은, 그것이 섬과 전적으로 다르다고(다른 것이라고) 진술하세. 혹은 우리가 어찌 말하는가?

{ΘΕΑΙ.} Οὕτως. 그리 말합니다.

{ΞΕ.} Οὐ στάσις ἄρ' ἐστίν. 그래서 그건 섬이 아닐세.

{ΘΕΑΙ.} Οὐδαμῶς. 결코 아니지요.

{ΞΕ.} Ἔστι δέ γε διὰ τὸ μετέχειν τοῦ ὄντος.
그런가 하면 그것은 ~임에 참여함으로 인하여 ~이지.

{ΘΕΑΙ.} Ἔστιν. 그렇게 ~이지요.

{ΞΕ.} Αὖθις δὴ πάλιν ἡ κίνησις ἕτερον ταὐτοῦ ἐστιν.
그럼 또 다시 돌아와 움직임은 같음과 다른 것이네(다르다네).

[Stephanus page 256, section a, line 4] {ΘΕΑΙ.} Σχεδόν. 아마도요.

{ΞΕ.} Οὐ ταὐτὸν ἄρα ἐστίν. 그래서 같은 것이 아니지(같음이 아니지/같지 않지).

{ΘΕΑΙ.} Οὐ γὰρ οὖν. 그야 아니지요.

{ΞΕ.} Ἀλλὰ μὴν αὕτη γ' ἦν ταὐτὸν διὰ τὸ μετέχειν αὖ πάντ' αὐτοῦ.
그렇긴 하지만 이 움직임은 다시 모든 것들이 같음에 참여한다는 것으로 인해 같음이었지(philosophical imperfect).

{ΘΕΑΙ.} Καὶ μάλα. 더할 나위 없이 그렇습니다.

{ΞΕ.} Τὴν κίνησιν δὴ ταὐτόν τ' εἶναι καὶ μὴ ταὐτὸν ὁμολογητέον καὶ οὐ δυσχεραντέον. οὐ γὰρ ὅταν εἴπωμεν αὐτὴν ταὐτὸν καὶ μὴ ταὐτόν, ὁμοίως εἰρήκαμεν, ἀλλ' ὁπόταν μὲν ταὐτόν, διὰ τὴν μέθεξιν ταὐτοῦ πρὸς ἑαυτὴν οὕτω λέγομεν, [Stephanus page 256, section b, line 2] ὅταν δὲ μὴ ταὐτόν, διὰ τὴν κοινωνίαν αὖ θατέρου, δι' ἣν ἀποχωριζομένη ταὐτοῦ γέγονεν οὐκ ἐκεῖνο ἀλλ' ἕτερον, ὥστε ὀρθῶς αὖ λέγεται πάλιν οὐ ταὐτόν.
그래서 운동은 같은 것이기도 하고 같은 것이 아니기도 하다고 동의되어야 하는 것이고 망설이지 않아야 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그 운동을 같은 것이자 같지 않은 것이라고 말할 때, 우리가 같은 식으로 말했던 것은 아니고, 하지만 같은 것은 그 언제라도, 그 자신을 향한 같음에의 참여로 인하여 그렇게 우리가 이야기하고, 그러나 같지 않은 것은, 또한 다름의 공유로 인하여, 동일한 것에 대한 그 운동 자체의 분리로 인하여 저것이 아닌 다른 것이 되었고, 그래서 옳게 이번에는 다시 한 번 같지 않은 것으로 이야기됩니다.
그래서 움직임은 같음이기도 하고 같음이지 않기도 하다고 동의되어야만 하며 그 동의에 망설임이 없어야만 하네. 우리가 움직임을 같음이라고도 같음이 아니라고도 말할 경우, 우리는 같은 방식으로 그리 말했던 것이 아니라, 언제든 같음이라 말할 때엔, 같음에 대한 참여(몫을 가짐)로 인해서 그 자체(움직임 or 참여)에 대해 그런 식으로 진술하고, 같음이 아니라고 할 때엔, 다시 다름에 대한 공유로 인해서, 그 공유로 인해 같음으로부터 분리되어 나옴으로써 저것(같음)이 아니라 다른 것이(다름이, 다르게) 되는데, 그래서 또한 다시금 같음이 아니라고(같지 않다고) 옳게 진술되기 때문이지.
δυσχεραντέον : one must boggle at.
ἀποχωριζομένη : ἀποχωρίζω mp. part. separate from.

{ΘΕΑΙ.} Πάνυ μὲν οὖν. 무척이나 그러합니다.

{ΞΕ.} Οὐκοῦν κἂν εἴ πῃ μετελάμβανεν αὐτὴ κίνησις στάσεως, οὐδὲν ἂν ἄτοπον ἦν στάσιμον αὐτὴν προσαγορεύειν;
그러므로 또한 만일 어떤 식으로 그 운동 자체가 정지에 참여했다면, 그 운동을 정지한 것으로 부르는 일이 이상한 일이 아니었지 않겠습니까?
그렇다면 만일 어떤 점에서 움직임 자체가 정지에 대해 몫을 취했다면, 그 움직임을 선 것으로 부르는 일이 전혀 이상하지 않은 일 아니겠나?

{ΘΕΑΙ.} Ὀρθότατά γε, εἴπερ τῶν γενῶν συγχωρησόμεθα τὰ μὲν ἀλλήλοις ἐθέλειν μείγνυσθαι, τὰ δὲ μή.
그건 참으로 옳은 말씀입니다, 만일 실로 부류들 중 한 쪽은 서로에게 뒤섞이게 되기를 바라고, 다른 쪽은 그렇지 않다고 동의한다면 말이죠.
그야 맞는 말씀이십니다, 만일 정말로 유들 중에 어떤 것들은 서로 섞이려 하고, 다른 것들은 그렇지 않다고 우리가 동의할 것이라면 말이지요.

{ΞΕ.} Καὶ μὴν ἐπί γε τὴν τούτου πρότερον ἀπόδειξιν ἢ τῶν νῦν ἀφικόμεθα, ἐλέγχοντες ὡς ἔστι κατὰ φύσιν [Stephanus page 256, section c, line 3] ταύτῃ.
그리고 실로 이 일의 증명에 우리는 지금의 것들보다 더 먼저 당도하였습니다, 우리가 이런 식으로 본성에 따라 있다고 입증함으로써 말이죠.
게다가 지금 얘기들 보다 먼저 그 일의 증명에 우리가 당도하였지, 이런 식으로 본성에 따라 ~이라고 검토함으로써 말일세.
ἀφικόμεθα : ἀφικνέομαι aor. arrive at, come to, reach.

{ΘΕΑΙ.} Πῶς γὰρ οὔ; 어찌 아니겠습니까?

{ΞΕ.} Λέγωμεν δὴ πάλιν· ἡ κίνησίς ἐστιν ἕτερον τοῦ ἑτέρου, καθάπερ ταὐτοῦ τε ἦν ἄλλο καὶ τῆς στάσεως;
그러면 우리 다시금 말해봅시다: 운동은 다른 것과 다른 것입니까, 마치 그것이 같은 것 그리고 정지와 달랐던 것처럼?
그럼 다시 말해 보세: 움직임은 다름과 다른가, 마치 같음과 섬에 대해 그 외의 것이었듯이?

{ΘΕΑΙ.} Ἀναγκαῖον. 필연적으로 그렇습니다.

{ΞΕ.} Οὐχ ἕτερον ἄρ' ἐστί πῃ καὶ ἕτερον κατὰ τὸν νυνδὴ λόγον.
그러면 그것은 지금 이 논변에 따라 다른 것이 아니면서 어떤 점에서 또 다른 것입니다.
그럼 그건 방금의 진술에 따라 어떤 점에서 다르기도 하고 다르지 않기도 하군.

{ΘΕΑΙ.} Ἀληθῆ. 참으로 그렇습니다.

{ΞΕ.} Τί οὖν δὴ τὸ μετὰ τοῦτο; ἆρ' αὖ τῶν μὲν τριῶν ἕτερον αὐτὴν φήσομεν εἶναι, τοῦ δὲ τετάρτου μὴ φῶμεν, [Stephanus page 256, section d, line 1] ὁμολογήσαντες αὐτὰ εἶναι πέντε, περὶ ὧν καὶ ἐν οἷς προυθέμεθα σκοπεῖν;
그러면 이 다음의 것은 어떻습니까? 혹시 또 그 세 가지 것들과 그것은 다른 것이라고 말할까요, 그러나 네 번째 것과는 다른 것이 아니라고 말하도록 할까요, 우리가 그것들에 관하여 그리고 이것들 안에서 살펴 보기를 제안했던 그것들이 다섯 가지라고 동의했으면서?
그렇다면 다음으로 이건 어떤가? 이번엔 혹시 그것(움직임)이 그 세 가지 것들과는 다르다고 우리가 말할 것이지만, 네 번째 것에 대해서는 그리 말하지 않을 것인가, 그것들에 관하여 또한 그것들 내에서 고찰하기를 우리가 제안했던 그것들이 다섯 가지 것들이라고 동의하였으면서도?
προυθέμεθα : προτίθημι aor. med.

{ΘΕΑΙ.} Καὶ πῶς; ἀδύνατον γὰρ συγχωρεῖν ἐλάττω τὸν ἀριθμὸν τοῦ νυνδὴ φανέντος.
또 어찌 그렇겠습니까? 방금 밝혀졌던 것보다 더 적은 수라고 인정하기는 불가능하니까요.
φανέντος : φαίνω aor. pass. part.

{ΞΕ.} Ἀδεῶς ἄρα τὴν κίνησιν ἕτερον εἶναι τοῦ ὄντος διαμαχόμενοι λέγωμεν;
그러면 두려움 없이 운동을 있는 것과 다른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우리가 말하도록 할까요?
그럼 움직임을 우리는 ~임과 다른 것이라 주장함으로써 두려움 없이 진술하겠는가?
διαμαχόμενοι : διαμάχομαι part. contend or maintain that.

{ΘΕΑΙ.} Ἀδεέστατα μὲν οὖν. 무엇보다도 두려움 없이 말입니다.

{ΞΕ.} Οὐκοῦν δὴ σαφῶς ἡ κίνησις ὄντως οὐκ ὄν ἐστι καὶ ὄν, ἐπείπερ τοῦ ὄντος μετέχει;
그러면 실로 확실하게 운동은 실제로 있지 않은 것도 있는 것도 아닙니까, 그것이 있음에 관여하기 때문에?
그렇다면 확실히 움직임은 실제로 ~이자 ~이지 않은 것이지 않은가, 만일 정말로 ~임에 참여한다면?

{ΘΕΑΙ.} Σαφέστατά γε. 그 무엇보다도 확실히 그렇습니다.

[Stephanus page 256, section d, line 11] {ΞΕ.} Ἔστιν ἄρα ἐξ ἀνάγκης τὸ μὴ ὂν ἐπί τε κινήσεως εἶναι καὶ κατὰ πάντα τὰ γένη· κατὰ πάντα γὰρ ἡ θατέρου φύσις ἕτερον ἀπεργαζομένη τοῦ ὄντος ἕκαστον οὐκ ὂν ποιεῖ, καὶ σύμπαντα δὴ κατὰ ταὐτὰ οὕτως οὐκ ὄντα ὀρθῶς ἐροῦμεν, καὶ πάλιν, ὅτι μετέχει τοῦ ὄντος, εἶναί τε καὶ ὄντα.
그러면 있지 않은 것이 있다는 것은 움직임에 관해서도 모든 부류들에 따라서도 필연적입니다: 왜냐하면 모든 것들에 따라 다름의 본성이 각각을 있음과 다른 것으로 만듦으로써 있지 않도록 만들고, 또한 그 모든 것들을 통틀어 실로 그 동일한 것들에 따라 그렇게 있지 않은 것들이라고 우리가 옳게 이야기할 것이고, 그리고 다시, 있음에 참여하기 때문에, 있다고 그리고 있는 것들이라고 말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럼 ~이지 않음이 움직임에 대해서도 또 모든 유들에 따라서도 필연적으로 ~인 것일세: 왜냐하면 모든 것들에 대해 다름의 본성이 각각을 ~임과 다른 것으로 만들어냄으로써 ~이지 않게 만들고, 더 나아가 이 모든 것들을 통틀어 그것들 자체에 다라 그런 식으로 ~이지 않은 것들이라고 우리가 옳게 이야기할 것이며, 또 다시, ~임에 참여한다는 점에서, ~이라고 또한 ~인 것들이라고 옳게 이야기할 테니까.
ἀπεργαζομένη : finish off, complete. cause, produce.

{ΘΕΑΙ.} Κινδυνεύει. 그럴 수도 있습니다.

{ΞΕ.} Περὶ ἕκαστον ἄρα τῶν εἰδῶν πολὺ μέν ἐστι τὸ ὄν, ἄπειρον δὲ πλήθει τὸ μὴ ὄν.
그러면 그 종들(형상들)의 각각에 관하여 있는 것이 많은 부분이지만, 있지 않은 것은 엄청난 수로 무한합니다.
그래서 그 형상들(종들)의 각각에 관하여 ~인 것은 많고, ~이지 않은 것은 그 수가 무한하다네.
πλήθει : πλῆθος dat.

{ΘΕΑΙ.} Ἔοικεν. 그럴 것 같네요.

{ΞΕ.} Οὐκοῦν καὶ τὸ ὂν αὐτὸ τῶν ἄλλων ἕτερον εἶναι [Stephanus page 257, section a, line 2] λεκτέον.
그러면 있는 것 자체도 다른 것들과 또 다르다고 이야기되어야 합니다.
그렇다면 ~임 자체도 그 외의 것들과 다르다고(다른 것이라고) 이야기되어야만 하네.

{ΘΕΑΙ.} Ἀνάγκη. 필연적입니다.

{ΞΕ.} Καὶ τὸ ὂν ἄρ' ἡμῖν, ὅσαπέρ ἐστι τὰ ἄλλα, κατὰ τοσαῦτα οὐκ ἔστιν· ἐκεῖνα γὰρ οὐκ ὂν ἓν μὲν αὐτό ἐστιν, ἀπέραντα δὲ τὸν ἀριθμὸν τἆλλα οὐκ ἔστιν αὖ.
그러면 또 있는 것은 우리에게, 얼만큼의 다른 것들이 있든, 그 만큼의 것들에 따라 있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그 있음 자체는 저것들이 아니면서 하나이고, 그러나 수에 있어서 무한한 다른 것들이 또한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ΘΕΑΙ.} Σχεδὸν οὕτως. 아마도 그렇습니다.

{ΞΕ.} Οὐκοῦν δὴ καὶ ταῦτα οὐ δυσχεραντέον, ἐπείπερ ἔχει κοινωνίαν ἀλλήλοις ἡ τῶν γενῶν φύσις. εἰ δέ τις ταῦτα μὴ συγχωρεῖ, πείσας ἡμῶν τοὺς ἔμπροσθεν λόγους οὕτω πειθέτω τὰ μετὰ ταῦτα.
그러면 실로 이 점들도 망설이지 않아야 하는 것입니다, 그 부류들의 본성이 서로에게 공유하기에 말입니다. 그런데 만일 누군가 이러한 것들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당신이 우리들의 앞선 논변들을 설득시킬 것이고 그렇게 이것들 다음의 것들도 당신께서 설득시키도록 하십시오.
그렇다면 더욱이 이런 일들도 망설여서는 안 되는 것이네, 그 유들의 본성이 상호의 공유를 지니기에 말일세. 그런데 만일 누군가 이런 것들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그가 우리들의 앞선 진술들을 설득시키고 나서 그런 식으로 그것들을 넘어선 것들을 설득하라고 하세.

[Stephanus page 257, section a, line 12] {ΘΕΑΙ.} Δικαιότατα εἴρηκας. 무엇보다도 합당한 말씀을 하셨습니다.

{ΞΕ.} Ἴδωμεν δὴ καὶ τόδε. 더욱이 우리는 이와 같은 것도 알 걸세.

{ΘΕΑΙ.} Τὸ ποῖον; 어떤 것을요?

{ΞΕ.} Ὁπόταν τὸ μὴ ὂν λέγωμεν, ὡς ἔοικεν, οὐκ ἐναντίον τι λέγομεν τοῦ ὄντος ἀλλ' ἕτερον μόνον.
우리가 있지 않은 것을 말할 그 언제라도, 제가 보기에, 있는 것에 반대되는 어떤 것이 아니라 오직 다른 것뿐이라고 우리는 말합니다.
우리가 ~이지 않'은 것'이라 말하는 언제든, 아마도, 우리는 ~임의 어떤 반대가 아니라 단지 그와 다른 것을 말하는 것이지.

{ΘΕΑΙ.} Πῶς; 어떤 식으로 말씀이십니까?

{ΞΕ.} Οἷον ὅταν εἴπωμέν τι μὴ μέγα, τότε μᾶλλόν τί σοι φαινόμεθα τὸ σμικρὸν ἢ τὸ ἴσον δηλοῦν τῷ ῥήματι;
예를 들어 우리가 어떤 것이 크지 않다고 말할 때와 같이, 바로 그 때 당신에게는 우리가 그 이야기된 것으로써 같은 크기인 것보다 작은 어떤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드러납니까?
예를 들어 우리가 어떤 것을 크지 않다고 말할 때, 그 경우 자네에게는 그 말로 같은 크기인 것보다 작은 것을 조금이라도 더 밝혀주는 것으로 보이는가?

{ΘΕΑΙ.} Καὶ πῶς; 또 어떻게 말씀이시죠?

{ΞΕ.} Οὐκ ἄρ', ἐναντίον ὅταν ἀπόφασις λέγηται σημαίνειν, [Stephanus page 257, section b, line 10] συγχωρησόμεθα, τοσοῦτον δὲ μόνον, ὅτι τῶν ἄλλων τὶ μηνύει τὸ μὴ καὶ τὸ οὒ προτιθέμενα τῶν ἐπιόντων ὀνομάτων, μᾶλλον δὲ τῶν πραγμάτων περὶ ἅττ' ἂν κέηται τὰ ἐπιφθεγγόμενα ὕστερον τῆς ἀποφάσεως ὀνόματα.
그러니까 부정이 반대를 의미한다고 이야기될 때, 우리는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지만, 오직 다음 만큼만, 곧 비(非)와 부(否)가 덧붙는 이름들의 앞에 놓이면서 다른 것들 중의 어떤 것을 나타낸다는 것, 오히려 부정 뒤에 언명되는 이름들이 그에 관해 놓일 어떤 문제들 중의 어떤 것을 나타낸다는 것(만큼만 받아들일 것이다).
그러니까, 부정이 반대를 의미한다고 진술될 경우, 우리는 동의하지 않을 것이고, 오직 이만큼의 것만을, 즉 'μή(不)'와 'οὔ(非)'가 앞섬으로써 그 뒤에 오는 이름들 외의 것들 중 어떤 것을, 차라리 그 부정 뒤에 언급되는 이름들이 관련하여 놓여지는 일부(몇몇) 사태들 외의 다른 어떤 것을 알려준다는 것만을 인정할 것이 아닌가 말일세. (이름들과 다른 것, 그리고 이름들이 관련하는 사태들과 다른 것.)
μηνύει : μηνύω. disclose what is secret, reveal. make known, declare.
ἐπιόντων : ἔπειμι(ibo) part. come upon.
κέηται : κεῖμαι subj. be laid.
ἀποφάσεως : ἀπόφασις. denial, negation. negative particle.

{ΘΕΑΙ.} Παντάπασι μὲν οὖν. 전적으로 그렇습니다.

{ΞΕ.} Τόδε δὲ διανοηθῶμεν, εἰ καὶ σοὶ συνδοκεῖ.
그런데 우리가 다음의 점을 염두에 두도록 합시다, 만일 당신에게도 받아들여질 만하다면 말이죠.
그런데 우리 이런 것을 염두해 두도록 하세나, 만일 자네에게도 괜찮게 여겨진다면 말이지.
διανοηθῶμεν : διανοέω aor. mp. have in mind.

{ΘΕΑΙ.} Τὸ ποῖον; 어떤 것을요?

{ΞΕ.} Ἡ θατέρου μοι φύσις φαίνεται κατακεκερματίσθαι καθάπερ ἐπιστήμη.
내게는 다름의 본성이 마치 앎이 그러하듯 나누어 가르는 것으로 보입니다.
내게는 다름의 본성이 마치 앎과 같이 조각들로 나뉘어지는 것으로 보이네.
κατακεκερματίσθαι : κατακερματίζω pf. mp. inf. chop up, cut into.

{ΘΕΑΙ.} Πῶς; 어떻게요?

[Stephanus page 257, section c, line 10] {ΞΕ.} Μία μέν ἐστί που καὶ ἐκείνη, τὸ δ' ἐπί τῳ γιγνόμενον μέρος αὐτῆς ἕκαστον ἀφορισθὲν ἐπωνυμίαν ἴσχει τινὰ ἑαυτῆς ἰδίαν· διὸ πολλαὶ τέχναι τ' εἰσὶ λεγόμεναι καὶ ἐπιστῆμαι.
아마도 저것(앎) 또한 단일한 것이겠습니다만, 그것에 대해 생겨난 그 자체의 부분은 각각의 정해진 주제를 그 자체의 고유한 어떤 것으로 지닙니다: 따라서 이야기되는 많은 기술들과 또한 앎들이 있습니다.
아마 저 앎도 단일하겠지만(~한 것이겠지만), 거기에 더해 앎의 각 부분이 됨으로써 한정된 것은 그 앎의 어떤 고유한 것으로 제목(성씨)을 가진다네: 이런 이유에서 진술되는 기술들과 앎들이 많다네(많은 것들이다).
ἀφορισθὲν : ἀφορίζω aor. pass. part.
ἐπωνυμίαν : derived or significant name. title.
ἴσχει : keep back. hold, have in possession.

{ΘΕΑΙ.} Πάνυ μὲν οὖν. 무척이나 그러합니다.

{ΞΕ.} Οὐκοῦν καὶ τὰ τῆς θατέρου φύσεως μόρια μιᾶς οὔσης ταὐτὸν πέπονθε τοῦτο.
그래서 다름의 본성의 부분들도 그것들이 단일하면서 이와 같은 동일한 일을 겪었습니다.
그러므로 다름의 본성의 부분들도 단 하나인 것(본성)으로서 이와 동일한 일을 겪은 걸세.

{ΘΕΑΙ.} Τάχ' ἄν· ἀλλ' ὅπῃ δὴ λέγωμεν;
어쩌면요: 하지만 실로 어떤 식으로 우리가 진술할까요?

{ΞΕ.} Ἔστι τῷ καλῷ τι θατέρου μόριον ἀντιτιθέμενον;
아름다움에 대해 다름의 어떤 부분이 맞세워지는(반대편에 세워지는) 것이지?

{ΘΕΑΙ.} Ἔστιν. 그런 것입니다.

[Stephanus page 257, section d, line 9] {ΞΕ.} Τοῦτ' οὖν ἀνώνυμον ἐροῦμεν ἤ τιν' ἔχον ἐπωνυμίαν;
그러면 우리 그것을 이름 없는 것이라 할까요 아니면 어떤 제목을 가진 것이라 할까요?
그렇다면 이것을 우리는 이름 없는 것으로 말하겠나 아니면 어떤 성(제목)을 지닌 것으로 말하겠나?

{ΘΕΑΙ.} Ἔχον· ὃ γὰρ μὴ καλὸν ἑκάστοτε φθεγγόμεθα, τοῦτο οὐκ ἄλλου τινὸς ἕτερόν ἐστιν ἢ τῆς τοῦ καλοῦ φύσεως.
가진 것으로요: 왜냐하면 우리가 때마다 아름다운 것이 아니라고 언명하는 것, 그것은 아름다움의 본성과 다른 것이지 그 외의 것과 다른 것이 아니니까요.

{ΞΕ.} Ἴθι νυν τόδε μοι λέγε.
자, 이제 이 점을 내게 진술해 주게.

{ΘΕΑΙ.} Τὸ ποῖον; 어떤 것을요?

{ΞΕ.} Ἄλλο τι τῶν ὄντων τινὸς ἑνὸς γένους ἀφορισθὲν καὶ πρός τι τῶν ὄντων αὖ πάλιν ἀντιτεθὲν οὕτω συμβέβηκεν εἶναι τὸ μὴ καλόν;
아름답지 않은 것은 있는 것들 중 어떤 하나의 부류에 대한 다른 어떤 것으로 정의되고 또 있는 것들 중 어떤 것에 대해 또 다시 반대되어서 그러한 것이 됩니까?
~인 것들 중 어떤 하나의 유에서 한정되고 또 ~인 것들 중 어떤 것에 대해 이번엔 다시 맞세워짐으로써(반대로 세워짐으로써) 그런 식으로 아름답지 않은 것이라고 귀결했다는 것 외에 달리 무엇이겠나?
Ἄλλο τι : 이창우 역에서는 '어떤 다른 것'이 주어로 간주되었음. 그러나 LSJ p70. Plato, Grg, 470b, 495c 등등.

{ΘΕΑΙ.} Οὕτως. 그렇습니다.

{ΞΕ.} Ὄντος δὴ πρὸς ὂν ἀντίθεσις, ὡς ἔοικ', εἶναί τις [Stephanus page 257, section e, line 7] συμβαίνει τὸ μὴ καλόν.
그러면 아름답지 않은 것은 보이기로는 있음에 대해 있음의 어떤 반대인 것으로 드러납니다.
그래서 아마도 ~임에 대한 ~임의 어떤 반대가 아름답지 않은 것이라고 귀결하네.

{ΘΕΑΙ.} Ὀρθότατα. 무엇보다도 옳은 말씀이십니다.

{ΞΕ.} Τί οὖν; κατὰ τοῦτον τὸν λόγον ἆρα μᾶλλον μὲν τὸ καλὸν ἡμῖν ἐστι τῶν ὄντων, ἧττον δὲ τὸ μὴ καλόν;
그러면 어떻습니까? 이 논변에 따르면 혹시 아름다움은 우리에게 있어서 있음들에 더 많이 속하고, 그러나 아름답지 않음은 덜 속합니까?
그렇다면 어떤가? 이러한 진술에 따라 혹시 아름다운 것은 우리에게 있어서 ~인 것들에 더 속하고, 아름답지 않은 것은 덜 속하는가?

{ΘΕΑΙ.} Οὐδέν. 전혀 아닙니다.

{ΞΕ.} Ὁμοίως ἄρα τὸ μὴ μέγα καὶ τὸ μέγα αὐτὸ εἶναι λεκτέον;
그러면 마찬가지로 크지 않음과 큼 자체가 있다고 이야기되어야 합니까?
그럼 같은 방식으로 크지 않은 것과 큰 것 자체가 ~이라고 이야기되어야 하는가?

{ΘΕΑΙ.} Ὁμοίως. 마찬가지로요.

{ΞΕ.} Οὐκοῦν καὶ τὸ μὴ δίκαιον τῷ δικαίῳ κατὰ ταὐτὰ θετέον πρὸς τὸ μηδέν τι μᾶλλον εἶναι θάτερον θατέρου;
그러면 같은 식으로 정의롭지 않음은 정의로움과 함께 두어져야 하지 않습니까 다른 것이 또 다른 것에 대해 전혀 더 있지 않다는 점에 대해서?
그렇다면 정의롭지 않은 것도 정의로운 것과 같은 것들에 따라서 세워져야하지 않나, 다른 쪽이 또 다른 쪽보다 조금도 더 ~이지 않다는 점에서?

[Stephanus page 258, section a, line 6] {ΘΕΑΙ.} Τί μήν; 왜 아니겠습니까?

{ΞΕ.} Καὶ τἆλλα δὴ ταύτῃ λέξομεν, ἐπείπερ ἡ θατέρου φύσις ἐφάνη τῶν ὄντων οὖσα, ἐκείνης δὲ οὔσης ἀνάγκη δὴ καὶ τὰ μόρια αὐτῆς μηδενὸς ἧττον ὄντα τιθέναι.
그러면 또한 다른 것들도 같은 방식으로 우리가 이야기할 것입니다, 다름의 본성이 있는 것들 사이에 있는 것으로 드러날 것이므로, 그런데 저 본성이 있기에 그 본성 자체의 부분들 또한 어느 것 하나 조금도 덜 있지 않은 것들로 두는 것이 필연적입니다.
나아가 우리는 다른 것들도 같은 방식으로 진술할 걸세, 다름의 본성이 ~인 것들에 속하는 것이라고 드러났고, 저러한 본성일 때 더욱이 저 본성의 부분들이 그 무엇에 대해서도 덜 ~인 것들로 세워지지 않아야 함이 필연적이기에 말이지.

{ΘΕΑΙ.} Πῶς γὰρ οὔ; 어찌 아니 그러하겠습니까?

{ΞΕ.} Οὐκοῦν, ὡς ἔοικεν, ἡ τῆς θατέρου μορίου φύσεως καὶ τῆς τοῦ ὄντος πρὸς ἄλληλα ἀντικειμένων ἀντίθεσις οὐδὲν ἧττον, εἰ θέμις εἰπεῖν, αὐτοῦ τοῦ ὄντος οὐσία ἐστίν, οὐκ ἐναντίον ἐκείνῳ σημαίνουσα ἀλλὰ τοσοῦτον μόνον, ἕτερον ἐκείνου.
그러면, 보이기로는, 다름의 부분의 본성과 있음의 본성이 서로에 대해서 맞세워지는 그것들 사이의 반대는 조금도 덜 하지 않습니다, 만일 그렇게 말할 법하다면, 있음 자체의 있음에 비해서, 그 반대가 저 있음과 반대를 가리키지 않고 오히려 오직 다음 만큼만, 저 있음과 다른 것이라는 만큼만 뜻하였기에 말이지요.
그렇다면 아마도 다름의 부분의 본성이 ~임의 부분의 본성과 상호에 대해 마주 놓일 경우의 그 맞세움은, 그리 이야기하는 것이 적법하다면, ~임 자체에 비해 조금도 덜 ~인 것이지 않군, 저것과 반대인 것을 의미한 것이 아니라 오직 이만큼의 것만을, 저것과 다른 것만을 의미하기에 말일세.

{ΘΕΑΙ.} Σαφέστατά γε. 무엇보다도 확실히 그렇습니다.

[Stephanus page 258, section b, line 5] {ΞΕ.} Τίν' οὖν αὐτὴν προσείπωμεν;
그렇다면 이 맞세움을 우리가 무어라 부르겠나?

{ΘΕΑΙ.} Δῆλον ὅτι τὸ μὴ ὄν, ὃ διὰ τὸν σοφιστὴν ἐζητοῦμεν, αὐτό ἐστι τοῦτο.
우리가 소피스트를 통해 추구하고 있었던 그 있지 않음이 바로 그것임이 분명합니다.
~이지 않음, 우리가 소피스테스 때문에 추적하던, 바로 그것이 이것이라는 점이 분명합니다.

{ΞΕ.} Πότερον οὖν, ὥσπερ εἶπες, ἔστιν οὐδενὸς τῶν ἄλλων οὐσίας ἐλλειπόμενον, καὶ δεῖ θαρροῦντα ἤδη λέγειν ὅτι τὸ μὴ ὂν βεβαίως ἐστὶ τὴν αὑτοῦ φύσιν ἔχον, ὥσπερ τὸ μέγα ἦν μέγα καὶ τὸ καλὸν ἦν καλὸν καὶ τὸ μὴ μέγα <μὴ μέγα> καὶ τὸ μὴ καλὸν <μὴ καλόν>, οὕτω δὲ καὶ τὸ μὴ ὂν κατὰ ταὐτὸν ἦν τε καὶ ἔστι μὴ ὄν, ἐνάριθμον τῶν πολλῶν ὄντων εἶδος ἕν; [Stephanus page 258, section c, line 4] ἤ τινα ἔτι πρὸς αὐτό, ὦ Θεαίτητε, ἀπιστίαν ἔχομεν;
그러면 당신 말처럼, 다른 것들의 그 어떤 있음에도 미치지 못하지 않는 것입니까 아닙니까, 그리고 있지 않은 것은 확실히 그것 자체의 본성을 지니는 것이라고 이제 과감하게 말할 필요가 있습니까 그렇지 않습니까, 그러니까 마치 큰 것이 크고 아름다운 것이 아름답고 크지 않은 것도 아름답지 않은 것도 크지 않고 아름답지 않은 것처럼, 그렇게 있지 않은 것도 같은 방식에 따라 있지 않은 것'이었고' 또한 '이기도 하다고', 있는 많은 것들의 형상이 한 가지로 헤아려지는 것입니까? 아니면 아직 그것에 대해서 뭔가, 테아이테토스여, 믿지 못할 것을 우리가 갖고 있습니까?
그렇다면, 자네가 이야기하듯, ~임 외의 것들 중 어느 것도 ~임에 미치지 못하는 것이 아니고, 이제 용감하게 ~이지 않음이 엄밀한 뜻에서 그 자신의 본성을 지니는 것이라는 점을, 마치 큰 것이 크고 아름다운 것이 아름다우며 크지 않은 것이 크지 않고 아름답지 않은 것이 아름답지 않은 것처럼, 그런 식으로 ~이지 않은 것도 동일한 것에 따라 ~이지 않은 것이었으며 ~이지 않은 것이라는 점을, 많은 ~인 것들 중 하나의 형상으로 헤아려지는 것임을 진술해야 하는가? 아니면 그것에 대해, 테아이테토스, 여전히 무언가 확신이 들지 않는 것을 우리가 가지고 있는가?
ἐλλειπόμενον : ἐλλείπω mp. part. fall short of. w.gen.
θαρροῦντα : θαρσέω, Att.θαρρέω part. be of good courage, be over-bold.
ἐνάριθμον : taken into account, esteemed.
ἀπιστίαν : unbelief, distrust.

{ΘΕΑΙ.} Οὐδεμίαν. 그런 건 단 하나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ΞΕ.} Οἶσθ' οὖν ὅτι Παρμενίδῃ μακροτέρως τῆς ἀπορρήσεως ἠπιστήκαμεν;
그러면 당신은 파르메니데스에게 우리가 그의 금지로부터 더욱 멀리 불복하였다는 것을 아십니까?
그렇다면 자네 우리가 파르메니데스에게 그가 금지한 것보다 더 멀리 거역하였다는 것을 아는가?
Οἶσθ᾿ : οἶδα pf. 2nd. sg.
μακροτέρως : μακρός1. compr. long. far, remote.
ἀπορρήσεως : άπόρρησις gen. prohibition.
ἠπιστήκαμεν : ἀπιστέω pf. c.dat. disbelieve, distrust.

{ΘΕΑΙ.} Τί δή; 그게 무슨 말씀이십니까?

{ΞΕ.} Πλεῖον ἢ 'κεῖνος ἀπεῖπε σκοπεῖν, ἡμεῖς εἰς τὸ πρόσθεν ἔτι ζητήσαντες ἀπεδείξαμεν αὐτῷ.
저 사람이 검토하기를 거부하고 있던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우리 스스로 앞서의 것을 향해 더욱 더 추구하여서 그에게 보여주었습니다.
저 분께서 고찰하길 거부하셨던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우리가 앞으로 더욱 더 추적함으로써 그에게 드러내 보여주었지.
ἀπεῖπε : ἀπεῖπον 3rd.sg. c.inf. refuse.

{ΘΕΑΙ.} Πῶς; 어째서요?

{ΞΕ.} Ὅτι ὁ μέν πού φησιν
- [Stephanus page 258, section d, line 2]
Οὐ γὰρ μή ποτε τοῦτο δαμῇ, εἶναι μὴ ἐόντα,
ἀλλὰ σὺ τῆσδ' ἀφ' ὁδοῦ διζήσιος εἶργε νόημα.
그는 어딘가에서 말했으니까 
- ~이지 않은 것들이 이라는, 이 일이 결코 강제되지 않도록 하고,
  오히려 그대는 탐구의 이러한 길로부터 생각을 닫으라.
δαμῇ : δαμάζω aor. subj. pass. overcome, overpower. to be subject to.
διζήσιος : δίζησις  inquiry. Parm.1.33, 4.2.
εἶργε : ἔργω 2nd. sg. imper. shut out or keep away from. c.gen.

{ΘΕΑΙ.} Λέγει γὰρ οὖν οὕτως.그야 그분께서 그리 말씀하시니까요.

{ΞΕ.} Ἡμεῖς δέ γε οὐ μόνον τὰ μὴ ὄντα ὡς ἔστιν ἀπεδείξαμεν, ἀλλὰ καὶ τὸ εἶδος ὃ τυγχάνει ὂν τοῦ μὴ ὄντος ἀπεφηνάμεθα· τὴν γὰρ θατέρου φύσιν ἀποδείξαντες οὖσάν τε καὶ κατακεκερματισμένην ἐπὶ πάντα τὰ ὄντα πρὸς ἄλληλα, τὸ πρὸς τὸ ὂν ἕκαστον μόριον αὐτῆς ἀντιτιθέμενον ἐτολμήσαμεν εἰπεῖν ὡς αὐτὸ τοῦτό ἐστιν ὄντως τὸ μὴ ὄν.
그런데 우리 자신은 단지 있지 않은 것들만 있다고 드러내 보였을 뿐만 아니라, 또한 있지 않음의 그 있음이기도 한 형상까지 밝혀냈습니다: 왜냐하면 다름의 본성을 우리가 있는 것으로 그리고 또한 있는 모든 것들에 관하여 서로에 대해 나뉘어 들어가는 것으로 밝혀내 보임으로써, 그 본성의 있음에 대하여 반대되는 각 부분에 대해 있지 않음이 실제로 이와 같은 것이라고 말하고자 감행하였으니까요.
그런데 우리는 ~이지 않은 것들이 ~이라고 밝혀 냈을 뿐만 아니라, ~이지 않음에 속하는 것이기도 한 그 형상을 드러내 보였네: 다름의 본성이 ~인 것이자 서로에 대해 모든 ~인 것들에 조각들어 나뉘어 듦을 밝혀 냄으로써, ~인 것 각각에 대해 그 본성의 부분이 맞세워지는 것을 바로 이것이 실제로 ~이지 않은 것이라고 이야기하고자 감행하였으니까.
ἀπεφηνάμεθα : ἀποφαίνω aor. med.

[Stephanus page 258, section e, line 4] {ΘΕΑΙ.} Καὶ παντάπασί γε, ὦ ξένε, ἀληθέστατά μοι δοκοῦμεν εἰρηκέναι.
손님이시여, 또한 전적으로 그러하고 제게는 우리가 무엇보다도 참되게 이야기한 것으로 여겨집니다.

{ΞΕ.} Μὴ τοίνυν ἡμᾶς εἴπῃ τις ὅτι τοὐναντίον τοῦ ὄντος τὸ μὴ ὂν ἀποφαινόμενοι τολμῶμεν λέγειν ὡς ἔστιν. ἡμεῖς γὰρ περὶ μὲν ἐναντίου τινὸς αὐτῷ χαίρειν πάλαι λέγομεν, εἴτ' ἔστιν εἴτε μή, λόγον ἔχον ἢ καὶ παντάπασιν ἄλογον· ὃ δὲ νῦν εἰρήκαμεν εἶναι τὸ μὴ ὄν, ἢ πεισάτω τις ὡς οὐ καλῶς λέγομεν ἐλέγξας, ἢ μέχριπερ ἂν ἀδυνατῇ, λεκτέον καὶ ἐκείνῳ καθάπερ ἡμεῖς λέγομεν, ὅτι συμμείγνυταί τε ἀλλήλοις τὰ γένη καὶ τό τε ὂν καὶ θάτερον διὰ πάντων καὶ [Stephanus page 259, section a, line 6] δι' ἀλλήλων διεληλυθότε τὸ μὲν ἕτερον μετασχὸν τοῦ ὄντος ἔστι μὲν διὰ ταύτην τὴν μέθεξιν, οὐ μὴν ἐκεῖνό γε οὗ μετέσχεν ἀλλ' ἕτερον, ἕτερον δὲ τοῦ ὄντος ὂν ἔστι σαφέστατα ἐξ ἀνάγκης εἶναι μὴ ὄν· τὸ δὲ ὂν αὖ θατέρου μετειληφὸς ἕτερον τῶν ἄλλων ἂν εἴη γενῶν, ἕτερον δ' ἐκείνων ἁπάντων ὂν οὐκ ἔστιν ἕκαστον αὐτῶν οὐδὲ σύμπαντα τὰ ἄλλα πλὴν αὐτό, ὥστε τὸ ὂν ἀναμφισβητήτως αὖ μυρία ἐπὶ μυρίοις οὐκ ἔστι, καὶ τἆλλα δὴ καθ' ἕκαστον οὕτω καὶ σύμπαντα πολλαχῇ μὲν ἔστι, πολλαχῇ δ' οὐκ ἔστιν.
따라서 누군가 우리를 다음과 같이 말하지는 말도록 합시다, 있지 않은 것을 있는 것의 반대되는 것으로 밝혀내면서 우리가 있다고 말하려 든다고는 말이죠. 왜냐하면 우리 자신이 그 있음에 대한 어떤 반대에 관하여서는 반긴다고 말합니다, 있거나 있지 않거나, 말이 되거나 전혀 말이 되지 않아도요: 그러나 지금 우리가 말한 그 있지 않음이 있다는 것은, 누군가 우리가 훌륭하게 말하지 않는다고 논박함으로써 설득시키도록 하거나, 혹은 만일 그가 그리 할 수 없다면 그러한 한에서, 저 사람에게도 우리가 말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이야기되어야 합니다, 많은 부류들이 뒤섞이고 또 있음과 또한 다름이 모든 것들을 통해서도 서로를 통해서도 관통하여서 다른 것은 있음에 참여하여 그 참여 자체로 인하여 있지만, 바로 저 다름이 그 다름에 참여하여서가 아니라 다른 것이고, 그런데 있음에 대한 다름이어서 무엇보다 확실히 필연적으로 있지 않은 것이라고: 그러나 또 있음은 다름에 관여하여서 다른 부류들과 다른 것일 터인데, 저것들 전부와 다르기에 그 자체 외에 그것들의 각각도 아니고 또 다른 것들의 총체도 아니며, 그래서 있음은 논란의 여지 없이 이번엔 수 없이 많은 경우에 있지 않고, 또 다른 것들도 그래서 각자 그렇게 또 모두 함께 여러 가지 방식으로 있고, 그러나 여러 방식으로 있지 않다고.
따라서 우리에게 누군가 우리가 ~이지 않은 것을 ~인 것의 반대인 것으로 드러내 보이며 그것이 ~이라고 말하려 든다고 이야기하지 말하지 못하도록 하세. 왜냐하면 우리는 그것과 반대되는 무언가에 관하여서는, ~이든 그렇지 않든, 진술을 지니든 전적으로 진술되지 않는 것이든, 오래 전에 작별을 고한 것으로 진술하고 있으니까: 그러나 지금 우리가 ~이지 않은 것이라고 이야기한 것은, 누군가가 우리가 훌륭하게 진술하지 못한다고 논박하여 설득을 하도록 하거나, 그렇지 않고 그가 그럴 능력이 없다면 그러한 한에서, 저자에게도 우리가 진술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다음의 것이 진술되어야만 하는 것이네. 유들이 서로들과 함께 섞이고 ~임과 다름도 모든 것들을 통하여 또한 그 둘이 서로를 통해 관통해 있을 때 다름은 ~임의 몫을 가짐으로써 이러한 참여로 인해, 결코 그것이 참여하는 저것(~임)이 아니라 다름'이지만', ~임과 다른 것임으로써 ~이지 않은 것이라는 점은 아주 확실하게 필연적이라고: 그런데 다시 ~임은 다름에 참여해 있음으로써 그 외의 유들과 다른 것일 테고, 그래서 ~임은 재론의 여지 없이 또한 수 많은 것들에 대해 수 없이 많이 ~이지 않고, 더 나아가 다른 것들도 각각에 따라 그런 식으로 통틀어 모든 것들도 한 편으로 여러 면에서 ~이고, 여러 면에서 ~이지 않다고 말일세.
ἐλέγξας : ἐλέγχω aor. part.
μέχριπερ : so long as, until.
συμμείγνυταί : συμμείγνυμι mp. mix together, commingle.
διεληλυθότε : διέρχομαι dual. pf. part. pass through.
μετειληφὸς : μεταλαμβάνω pf. part. have or get a share of, partake of.

{ΘΕΑΙ.} Ἀληθῆ. 참된 말씀이십니다.

-검토중-

{ΘΕΑΙ.} Καλῶς. 훌륭한 말씀이십니다.

{ΞΕ.} Λέγωμεν δὴ καθ' ὅντινά ποτε τρόπον πολλοῖς ὀνόμασι ταὐτὸν τοῦτο ἑκάστοτε προσαγορεύομεν.
그러면 우리 도대체 어떤 방식에 따라 많은 이름들로 이 동일한 것을 그 때마다 우리가 부르고 있는지 말해 봅시다.
그럼 대체 어떤 방식에 따라서 이 동일한 것을 때마다 많은 이름들로 부르는지 진술해 보세.

{ΘΕΑΙ.} Οἷον δὴ τί; παράδειγμα εἰπέ.
그래서 그것은 어떠한 무엇입니까? 당신께서 본을 말씀해 주세요.

{ΞΕ.} Λέγομεν ἄνθρωπον δήπου πόλλ' ἄττα ἐπονομάζοντες, τά τε χρώματα ἐπιφέροντες αὐτῷ καὶ τὰ σχήματα καὶ μεγέθη καὶ κακίας καὶ ἀρετάς, ἐν οἷς πᾶσι καὶ ἑτέροις μυρίοις οὐ μόνον ἄνθρωπον αὐτὸν εἶναί φαμεν, ἀλλὰ καὶ ἀγαθὸν καὶ ἕτερα [Stephanus page 251, section b, line 2] ἄπειρα, καὶ τἆλλα δὴ κατὰ τὸν αὐτὸν λόγον οὕτως ἓν ἕκαστον ὑποθέμενοι πάλιν αὐτὸ πολλὰ καὶ πολλοῖς ὀνόμασι λέγομεν.
우리는 아마도 어떤 많은 이름들을 붙이면서 사람을 이야기합니다, 그에게 몸들도 덧붙이고 모습들도 크기들도 나쁜 것들도 탁월함들도 덧붙이면서, 그것들 전부 그리고 그 각각의 수없이 많은 것들 안에 오직 인간 자체만이 있다고 우리가 말하지는 않고, 좋음과 또한 다른 무한한 것들도 있다고 말하는 그러한 것들을 말이죠, 그리고 또 다른 것들도 그 동일한 논변에 따라 그렇게 각각을 하나로 전제하면서 다시 그것을 여러 가지 것들로 그리고 여러 이름들로 이야기합니다.
우리는 아마도 인간을 어떤 많은 것들로 명명하며 진술하지, 그것에 색들도 형태들도 크기들도 단점들도 장점들도 가져다 둠으로써 말일세. 그것들과 또 수많은 다른 것들 중에서 단지 인간 자체만이 ~이라고 우리가 이야기하지 않고, 오히려 좋음도 그리고 무한한 다른 것들도 ~이라고 이야기하네, 게다가 그 동일한 진술에 따라서 다른 것들도 그런 식으로 각기 하나로 전제하면서 다시 그것을 많은 것들로 그리고 많은 이름들로써 진술하지.
ἐπονομάζοντες : ἐπονομάζω part. apply a word as a name to a thing.
ἐπιφέροντες : confer, impose, upon.

{ΘΕΑΙ.} Ἀληθῆ λέγεις. 참된 말씀이십니다.

{ΞΕ.} Ὅθεν γε οἶμαι τοῖς τε νέοις καὶ τῶν γερόντων τοῖς ὀψιμαθέσι θοίνην παρεσκευάκαμεν· εὐθὺς γὰρ ἀντιλαβέσθαι παντὶ πρόχειρον ὡς ἀδύνατον τά τε πολλὰ ἓν καὶ τὸ ἓν πολλὰ εἶναι, καὶ δήπου χαίρουσιν οὐκ ἐῶντες ἀγαθὸν λέγειν ἄνθρωπον, ἀλλὰ τὸ μὲν ἀγαθὸν ἀγαθόν, τὸν δὲ ἄνθρωπον ἄνθρωπον. ἐντυγχάνεις γάρ, ὦ Θεαίτητε, ὡς ἐγᾦμαι, πολλάκις τὰ τοιαῦτα ἐσπουδακόσιν, ἐνίοτε πρεσβυτέροις [Stephanus page 251, section c, line 4] ἀνθρώποις, καὶ ὑπὸ πενίας τῆς περὶ φρόνησιν κτήσεως τὰ τοιαῦτα τεθαυμακόσι, καὶ δή τι καὶ πάσσοφον οἰομένοις τοῦτο αὐτὸ ἀνηυρηκέναι.
제가 생각하기로는 어떤 연유로 우리가 젊은이들과 또 노인들 중 배움이 더딘 이들에게 잔칫상을 차려 주었습니다: 왜냐하면 곧장 그들 모두에게 여럿이 하나이고 하나가 여럿이기는 불가능하다는 것이 수중에 확보되고, 또 아마도 그들은 사람이 선하다고 말하는 것을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하지만 좋음은 좋음이고, 인간은 인간이라고 말하는 것을 받아들이며 기뻐하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테아이테토스, 제가 생각하기로는, 당신은 자주 이러한 것들에 열중한 자들과 대화하고 있으니까요, 때로 더 나이 많은 사람들과, 그리고 분별에 관련한 소유의 결핍 하에서 이와 같은 것들을 그들이 궁금하게 여긴 자들과, 그리고 더 나아가 어떤 완전한 지혜를 바로 이것에 있어서 얻었다고 생각하는 자들과 말이죠.
내 생각엔 어떤 이유에선가 우리는 젊은이들과 노인들 중 배움이 더딘 자들에게 상을 차려 준 듯하네: 왜냐하면 많은 것들이 하나이자 하나가 많은 것들이기는 불가능하다고 즉각 반박하기란 모두에게 쉬운 일이고, 아마도 그들은 인간이 좋다고 진술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지만, 좋음이 좋고, 인간은 인간이라고 진술하는 일을 허용하며 기뻐할 테니까. 그야, 테아이테토스, 내 생각엔 자네가 이런 일들에 열중한 자들과 자주 대화하는 듯해서 하는 말일세. 때론 더 나이 많은 사람들과, 그들의 사려에 관한 획득의 궁핍에 의해  이런 일들에 놀라워 하는 자들과, 더욱이 바로 이 점에서 무언가 완전한 지혜를 발견해냈다고 생각하는 자들과 말이지.
Ὅθεν : whence. / ὀψιμαθέσι : ὁψιμαθής. late in learning, late to learn. / θοίνην : meal, feast. dinner.
παρεσκευάκαμεν : παρασκευάζω pf. get ready, prepare.
ἀντιλαβέσθαι : ἀντιλαμβάνω aor. med. inf. lay hold of, take in hand. hold back.
χαίρουσιν : χαίρω. rejoice. be glad. / ἐῶντες : ἐάω part. ἐᾱν χαίρειν τινά. dismiss from one's mind, put away, renounce.
ἐντυγχάνεις : ἐντυγχάνω. converse with, talk to. τινί. / ἐσπουδακόσιν : σπουδάζω pf. part.
ἐνίοτε : at times, sometimes. / ἀνηυρηκέναι : ἀνευρίσκω pf. inf. find out, discover. gain. think out.

{ΘΕΑΙ.} Πάνυ μὲν οὖν. 확실히 그렇습니다.

{ΞΕ.} Ἵνα τοίνυν πρὸς ἅπαντας ἡμῖν ὁ λόγος ᾖ τοὺς πώποτε περὶ οὐσίας καὶ ὁτιοῦν διαλεχθέντας, ἔστω καὶ πρὸς τούτους καὶ πρὸς τοὺς ἄλλους, ὅσοις ἔμπροσθεν διειλέγμεθα, τὰ νῦν ὡς ἐν ἐρωτήσει λεχθησόμενα.
따라서 그 모든 자들을 향해 우리에게 그 논변이 언제든 존재에 관해서 무엇이 되었든 논의하였던 그 모든 자들을 향하게끔, 이 자들을 향하고 또 다른 자들, 앞서 우리가 대화한 그 모든 자들로도 향하게 합시다, 지금 물음에 있어서 논의될 것 같은 것들에 있어서.
그러니까 우리가 보기에 그 진술이 언제고 ~임에 관하여 무엇이든 논했던 자들 모두를 향하도록, 이 자들과 또한 앞서 우리가 논의했던 다른 자들을 향하게 하세, 지금 물음 내에서 논의될 것들이 말일세.

{ΘΕΑΙ.} Τὰ ποῖα δή; 그래서 그건 어떠한 것들입니까?

{ΞΕ.} Πότερον μήτε τὴν οὐσίαν κινήσει καὶ στάσει [Stephanus page 251, section d, line 6] προσάπτωμεν μήτε ἄλλο ἄλλῳ μηδὲν μηδενί, ἀλλ' ὡς ἄμεικτα ὄντα καὶ ἀδύνατον μεταλαμβάνειν ἀλλήλων οὕτως αὐτὰ ἐν τοῖς παρ' ἡμῖν λόγοις τιθῶμεν; ἢ πάντα εἰς ταὐτὸν συναγάγωμεν ὡς δυνατὰ ἐπικοινωνεῖν ἀλλήλοις; ἢ τὰ μέν, τὰ δὲ μή; τούτων, ὦ Θεαίτητε, τί ποτ' ἂν αὐτοὺς προαιρεῖσθαι φήσομεν;
존재를 우리가 운동에도 정지에도 적용하지 않을 것이고 또 다른 어떤 것도 또 다른 어떤 것에도 적용하지 않을 것이지만, 뒤섞이지 않고 있는 것들로서 그리고 그것들 서로 간에 함께 취함이 불가능한 것으로서 그렇게 그것들을 우리의 논변들에서 우리가 정립시킬까요? 아니면 우리가 모든 것들을 똑같은 것으로(한 곳으로) 상호간에 공유함이 가능한 것들로서 모아 넣을까요? 혹은 일부는 그렇고 나머진 그렇지 않다고? 테아이테토스, 이러한 것들 중에 도대체 무엇을 그들 스스로 선호한다고 우리가 말하겠습니까?
우리는 ~임을 움직임에도 섬에도 덧붙이지 않고 다른 것을 또 다른 그 무엇에도 전혀 덧붙이지 말겠는가, 그것들이 섞이지 않는 것들이라 생각하여 서로간에 참여(관여)하는 일이 불가능한 것으로 그런 식으로 그것들을 우리의 진술들 내에 세우겠는가? 아니면 서로를 향한 공유가 가능한 것들이라 생각하고 모든 것들을 동일한 것을 향해 함께 모으겠는가? 그렇지 않으면 어떤 것들은 그렇고, 또 다른 것들은 그렇지 않다고 하겠는가? 테아이테토스, 그들은 이것들 중 도대체 무엇을 선택하리라 우리가 말하겠는가?
ἄμεικτα : unmigled.
προαιρεῖσθαι : προαιρέω mp. inf. choose, prefer.

{ΘΕΑΙ.} Ἐγὼ μὲν ὑπὲρ αὐτῶν οὐδὲν ἔχω πρὸς ταῦτα ἀποκρίνασθαι.
제 자신은 그 사람들에 관하여 그 일들에 대해 대답할 아무것도 지니고 있지 못합니다.

{ΞΕ.} Τί οὖν οὐ καθ' ἓν ἀποκρινόμενος ἐφ' ἑκάστου τὰ συμβαίνοντα ἐσκέψω;
그렇다면 왜 자네는 그 귀결들을 각각에 관하여 하나씩 대답하면서 살펴보지 않는가?

{ΘΕΑΙ.} Καλῶς λέγεις. 훌륭한 말씀이십니다.

[Stephanus page 251, section e, line 7] {ΞΕ.} Καὶ τιθῶμέν γε αὐτοὺς λέγειν, εἰ βούλει, πρῶτον μηδενὶ μηδὲν μηδεμίαν δύναμιν ἔχειν κοινωνίας εἰς μηδέν. οὐκοῦν κίνησίς τε καὶ στάσις οὐδαμῇ μεθέξετον οὐσίας;
그리고 우리 그들이 다음과 같이 말한다고 칩시다, 당신이 원한다면요, 우선 그 어떤 것도 그 무엇과도 단 하나도 어떤 것에 대해서도 공유되는 것들을 지닐 수 없다고 말이죠. 운동과 정지는 어떤 식으로도 전혀 존재를 나눠 갖지 않겠지요?
이제 자네가 바란다면 그들이 이리 말한다고 치세. 우선 아무것도 그 어떤 것과도 무엇에 대해서든 전혀 공유할 능력을 지니지 않는다고 말일세. 그야 움직임과 섬은 어떤 점에서도 ~임에 참여하지 않는 것 아닌가?
μεθέξετον : μετέχω dual, fut. c.gen.

{ΘΕΑΙ.} Οὐ γὰρ οὖν. 그야 그렇지 않으니까요.

{ΞΕ.} Τί δέ; ἔσται πότερον αὐτῶν οὐσίας μὴ προσκοινωνοῦν;
그럼 어떤가? 그것들 중 어느 한 쪽이 ~임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이겠는가?

{ΘΕΑΙ.} Οὐκ ἔσται. 그렇지 않을 것입니다.

{ΞΕ.} Ταχὺ δὴ ταύτῃ γε τῇ συνομολογίᾳ πάντα ἀνάστατα γέγονεν, ὡς ἔοικεν, ἅμα τε τῶν τὸ πᾶν κινούντων καὶ τῶν ὡς ἓν ἱστάντων καὶ ὅσοι κατ' εἴδη τὰ ὄντα κατὰ ταὐτὰ [Stephanus page 252, section a, line 8] ὡσαύτως ἔχοντα εἶναί φασιν ἀεί· πάντες γὰρ οὗτοι τό γε εἶναι προσάπτουσιν, οἱ μὲν ὄντως κινεῖσθαι λέγοντες, οἱ δὲ ὄντως ἑστηκότ' εἶναι.
그래서 금새 이와 같은 동의로 온갖 혼란들이 생겨났습니다, 보이기로는, 곧장 모든 것을 운동시키는 사람들과 하나로서 멈춰 세워놓는 자들의 혼란이, 그리고 형상들에 따라 있는 것들이 그 자체로 마찬가지 상태들로 영원히 있다고 말하는 모든 자들이 말이지요: 왜냐하면 그들 전부가 있다라는 바로 그것을 적용하기 때문입니다, 일부는 실제로 운동하게 된다고 말하면서, 다른 사람들은 실제로 정지해 있다고 말하면서요.
그래서 곧 이런 동의로 모든 것들이 전복된 것들이 되었던 것 같다네, 모든 것을 움직이는 자들과 동시에 형상들에 따라 ~인 것들은 동일한 것들에 따라서 동일한 방식(상태)을 유지하는 것들이라고 언제나 말하는, <모든 것을> 하나라고 멈춰 세우는 자들의 모든 것들이 말일세: 왜냐하면 이러한 자들 모두가 바로 그 ~이라는 것을 덧붙이기 때문일세, 한 편의 사람들은 실제로 움직인다고 말하면서, 다른 편의 사람들은 실제로 멈추어 선 것들이라고 말하면서.
ἅμα :  ἅμα τε ~ καί, at once, at the same time. 이 경우 genetive를 부분 및 소유의 용법으로. / ἅμα + part, as soon as. 후자의 경우 "모든 것을 움직이자 마자, 그리고 하나라고 멈춰 세우자 마자." 이 경우 part. pl. gen.는 absolute genative. 주절의 주어(πάντα)와 다른 주어(τε τῶν ~ καὶ τῶν ~)의 동시동작을 표현할 때 사용.

{ΘΕΑΙ.} Κομιδῇ μὲν οὖν. 정확히 그렇습니다.

{ΞΕ.} Καὶ μὴν καὶ ὅσοι τοτὲ μὲν συντιθέασι τὰ πάντα, τοτὲ δὲ διαιροῦσιν, εἴτε εἰς ἓν καὶ ἐξ ἑνὸς ἄπειρα εἴτε εἰς πέρας ἔχοντα στοιχεῖα διαιρούμενοι καὶ ἐκ τούτων συντιθέντες, ὁμοίως μὲν ἐὰν ἐν μέρει τοῦτο τιθῶσι γιγνόμενον, ὁμοίως δὲ καὶ ἐὰν ἀεί, κατὰ πάντα ταῦτα λέγοιεν ἂν οὐδέν, εἴπερ μηδεμία ἔστι σύμμειξις.
더 나아가 어떤 경우에는 모든 것들을 함께 세워두고, 또 다른 때에는 나누는 자들, 무한한 것들을 하나로부터 하나로든 한정을 지닌 원자들 쪽으로 나누면서 그리고 이런 것들로부터 함께 세움으로써 그리 하는 자들이, 마찬가지로 한편으로는 부분적으로 그 일이 이루어진다(생겨난다)고 정하고, 또 마찬가지로 다른 한편으로는 언제나 그러하다고 정한다면, 이러한 모든 것들에 대해 그들은 아무 진술도 하지 못할 것이네, 만일 정말로 아무것도 섞임이 아니라면 말일세.

[Stephanus page 252, section b, line 7] {ΘΕΑΙ.} Ὀρθῶς. 맞습니다.

{ΞΕ.} Ἔτι τοίνυν ἂν αὐτοὶ πάντων καταγελαστότατα μετίοιεν τὸν λόγον οἱ μηδὲν ἐῶντες κοινωνίᾳ παθήματος ἑτέρου θάτερον προσαγορεύειν.
그러니까 그들이 아무것도 또 다른 것을 겪음에 대한 공유로써 다른 것으로 부르는 일을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더욱이 그들 스스로 모든 이들 중에 가장 우스꽝스럽게 진술을 추구하게 될 테지.
μετίοιεν : μέτειμι 3rd. pl. opt.

{ΘΕΑΙ.} Πῶς; 어째서죠?

{ΞΕ.} Τῷ τε “<εἶναί>“ που περὶ πάντα ἀναγκάζονται χρῆσθαι καὶ τῷ “<χωρὶς>“ καὶ τῷ “<τῶν ἄλλων>“ καὶ τῷ “<καθ' αὑτὸ>“ καὶ μυρίοις ἑτέροις, ὧν ἀκρατεῖς ὄντες εἴργεσθαι καὶ μὴ συνάπτειν ἐν τοῖς λόγοις οὐκ ἄλλων δέονται τῶν ἐξελεγξόντων, ἀλλὰ τὸ λεγόμενον οἴκοθεν [Stephanus page 252, section c, line 7] τὸν πολέμιον καὶ ἐναντιωσόμενον ἔχοντες, ἐντὸς ὑποφθεγγόμενον ὥσπερ τὸν ἄτοπον Εὐρυκλέα περιφέροντες ἀεὶ πορεύονται.
그들은 어떤 식으로든 모든 것들에 관하여 '~이다'라는 것 그리고 '따로'와 '다른 것들과' 또한 '그 자체로' 그리고 수 많은 또 다른 것들을 사용하도록 강제된다네. 그런 것들에 대해 그들이 진술들 내에서 금지할 힘도 결부시키지 않을 힘도 없는 이들이어서 논박해내줄 다른 이들은 필요로 하지 않는데, 오히려 고유한 입장으로부터 진술된 적이자 반대자를 그들이 지니기에 그러하지, 그들은 내면에서 낮은 목소리를 내는 마치 저 이상한 에우뤼클레스 같은 자를 언제나 지닌 채로 다닌다네.
ἀκρατεῖς : without power.
ἐξελεγξόντων : ἐξελέγχω. fut. pat.
περιφέροντες : περιφέρω m. part. carry round, move round.
πορεύονται : πορεύω mp. go, walk, march.

{ΘΕΑΙ.} Κομιδῇ λέγεις ὅμοιόν τε καὶ ἀληθές.
정확히 똑같고도 참된 말씀이십니다.

{ΞΕ.} Τί δ', ἂν πάντα ἀλλήλοις ἐῶμεν δύναμιν ἔχειν ἐπικοινωνίας;
그럼 어떤가, 우리는 모든 것들이 서로를 향한 공유의 능력을 지닌다고 받아들이겠나?

{ΘΕΑΙ.} Τοῦτο μὲν οἷός τε κἀγὼ διαλύειν.
이것은 저 같은 사람이라도 격파할 수 있습니다.

{ΞΕ.} Πῶς; 어떻게 말인가?

{ΘΕΑΙ.} Ὅτι κίνησίς τε αὐτὴ παντάπασιν ἵσταιτ' ἂν καὶ [Stephanus page 252, section d, line 7] στάσις αὖ πάλιν αὐτὴ κινοῖτο, εἴπερ ἐπιγιγνοίσθην ἐπ' ἀλλήλοιν.
움직임 자체도 전적으로 멈추어 서고 정지 또한 다시 그 자체가 움직인다는 점에서요, 만일 정말로 양자 상호에 덧붙여 이루어진다면 말입니다.
ἐπιγιγνοίσθην : ἐπιγίγνομαι aor. opt.

{ΞΕ.} Ἀλλὰ μὴν τοῦτό γέ που ταῖς μεγίσταις ἀνάγκαις ἀδύνατον, κίνησίν τε ἵστασθαι καὶ στάσιν κινεῖσθαι;
그럼 물론 어쨌든 이런 일은 가장 큰 필연들로써 불가능한 일이지? 움직임이 서는 것도 정지가 움직여지는 것도?

{ΘΕΑΙ.} Πῶς γὰρ οὔ; 어찌 아니겠습니까?

{ΞΕ.} Τὸ τρίτον δὴ μόνον λοιπόν. 그럼 남은 건 오직 세 번째 것뿐이군.

{ΘΕΑΙ.} Ναί. 네.

{ΞΕ.} Καὶ μὴν ἕν γέ τι τούτων ἀναγκαῖον, ἢ πάντα ἢ μηδὲν ἢ τὰ μὲν ἐθέλειν, τὰ δὲ μὴ συμμείγνυσθαι.
그렇긴 하지만 이것들 중 어느 하나는 필연적이네, 모든 것들이 함께 섞이려 하거나 혹은 아무것도 그렇지 않거나 아니면 한 쪽 것들은 그렇고 다른 쪽 것들은 그렇지 않거나 하다는 것 말일세.

{ΘΕΑΙ.} Πῶς γὰρ οὔ; 어찌 아니겠습니까?

[Stephanus page 252, section e, line 4] {ΞΕ.} Καὶ μὴν τά γε δύο ἀδύνατον ηὑρέθη.
그렇지만 적어도 두 가지는 불가능한 것들로 알려졌네.
ηὑρέθη : εὑρίσκω aor. pass.

{ΘΕΑΙ.} Ναί. 네.

{ΞΕ.} Πᾶς ἄρα ὁ βουλόμενος ὀρθῶς ἀποκρίνεσθαι τὸ λοιπὸν τῶν τριῶν θήσει.
그럼 옳게 답하기를 바라는 모든 이가 그 셋 중 남은 것을 세울 걸세.

{ΘΕΑΙ.} Κομιδῇ μὲν οὖν. 정확히 그렇습니다.

{ΞΕ.} Ὅτε δὴ τὰ μὲν ἐθέλει τοῦτο δρᾶν, τὰ δ' οὔ, σχεδὸν οἷον τὰ γράμματα πεπονθότ' ἂν εἴη. καὶ γὰρ ἐκείνων τὰ μὲν ἀναρμοστεῖ που πρὸς ἄλληλα, τὰ δὲ συναρμόττει.
그래서 어떤 것들은 그 일을 수행하려 하고, 다른 것들은 그렇지 않을 때, 아마도 예를 들자면 철자들이 겪는 그런 일일 될테지. 왜냐하면 저것들 중 어떤 것들은 어떤 식으로 서로에 대해 어우러지지 못하지만, 다른 것들은 함께 어우러지니 말일세.

{ΘΕΑΙ.} Πῶς δ' οὔ; 어찌 아니겠습니까?

{ΞΕ.} Τὰ δέ γε φωνήεντα διαφερόντως τῶν ἄλλων οἷον [Stephanus page 253, section a, line 5] δεσμὸς διὰ πάντων κεχώρηκεν, ὥστε ἄνευ τινὸς αὐτῶν ἀδύνατον ἁρμόττειν καὶ τῶν ἄλλων ἕτερον ἑτέρῳ.
그런데 모음들은 다른 것들과 달리 말하자면 사슬처럼 모든 것들을 거쳐 관통하였고, 그래서 그것들 중 어떤 것 없이는 그 외의 것들 중 다른 것이 또 다른 것과도 어우러지지는 일이 불가능하네.
φωνήεντα : φωνήεις.
κεχώρηκεν : χωρέω pf.

{ΘΕΑΙ.} Καὶ μάλα γε. 물론 그렇습니다.

{ΞΕ.} Πᾶς οὖν οἶδεν ὁποῖα ὁποίοις δυνατὰ κοινωνεῖν, ἢ τέχνης δεῖ τῷ μέλλοντι δρᾶν ἱκανῶς αὐτό;
그렇다면 모든 이가 어떤 것들이 어떤 것들과 공유할 능력이 있는지 아는가, 아니면 그 일을 장차 충분히 수행해내려면 기술을 필요로 하는가?

{ΘΕΑΙ.} Τέχνης. 기술이 필요하지요.

{ΞΕ.} Ποίας; 어떤 기술이 필요한가?

{ΘΕΑΙ.} Τῆς γραμματικῆς. 철자술이 필요합니다.

{ΞΕ.} Τί δέ; περὶ τοὺς τῶν ὀξέων καὶ βαρέων φθόγγους ἆρ' οὐχ οὕτως; ὁ μὲν τοὺς συγκεραννυμένους τε καὶ μὴ [Stephanus page 253, section b, line 3] τέχνην ἔχων γιγνώσκειν μουσικός, ὁ δὲ μὴ συνιεὶς ἄμουσος;
헌데 어떤가? 고음들과 저음들의 음들에 관하여 혹 그러하지 않은가? 함께 섞이는 것들과 그렇지 않은 것들을 인식하기 위한 기술을 지닌 쪽은 음악가이고, 그렇지 않고서 함께 소리내는 쪽은 비(非)음악적인 자이지?
συγκεραννυμένους : συγκεραννῦμι mp. part. mix together.

{ΘΕΑΙ.} Οὕτως. 그렇습니다.

{ΞΕ.} Καὶ κατὰ τῶν ἄλλων δὴ τεχνῶν καὶ ἀτεχνιῶν τοιαῦτα εὑρήσομεν ἕτερα.
더 나아가 다른 기술자들과 비기술자들에 대해서도 이와 같은 또 다른 것들을 우리는 발견할 걸세.

{ΘΕΑΙ.} Πῶς δ' οὔ; 어찌 아니겠습니까?

{ΞΕ.} Τί δ'; ἐπειδὴ καὶ τὰ γένη πρὸς ἄλληλα κατὰ ταὐτὰ μείξεως ἔχειν ὡμολογήκαμεν, ἆρ' οὐ μετ' ἐπιστήμης τινὸς ἀναγκαῖον διὰ τῶν λόγων πορεύεσθαι τὸν ὀρθῶς μέλλοντα δείξειν ποῖα ποίοις συμφωνεῖ τῶν γενῶν καὶ ποῖα ἄλληλα οὐ δέχεται; καὶ δὴ καὶ διὰ πάντων εἰ συνέχοντ' ἄττ' αὔτ' [Stephanus page 253, section c, line 2] ἐστιν, ὥστε συμμείγνυσθαι δυνατὰ εἶναι, καὶ πάλιν ἐν ταῖς διαιρέσεσιν, εἰ δι' ὅλων ἕτερα τῆς διαιρέσεως αἴτια;
그럼 어떤가? 유들도 서로에 대해 같은 점들에 따라서 섞임을 지닌다고 우리가 동의하였으니, 혹시 어떤 앎을 가지고 그 진술들을 통하여 유들 중에서 어떤 것들이 어떤 것들과 화음을 이루고 또 어떤 것들이 서로 받아들이지 않는지 장차의 증명을 추구함이 필연적이지 않은가? 만일 어떤 것들이 모든 것들을 통해 그것들이 함께 섞일 능력이 있는 것들이도록 또 한편 함께 붙들어주는 것들이라면, 그리고 다시 그것들의 분할들에서, 만일 그 전체들을 통하여 또 다른 것들이 분리의 원인이라면 그렇지 않나?

{ΘΕΑΙ.} Πῶς γὰρ οὐκ ἐπιστήμης δεῖ, καὶ σχεδόν γε ἴσως τῆς μεγίστης;
어찌 앎이 필요치 않겠습니까, 그것도 거의 가장 대단한 앎이 필요할 것 같은데요?

{ΞΕ.} Τίν' οὖν αὖ νῦν προσεροῦμεν, ὦ Θεαίτητε, ταύτην; ἢ πρὸς Διὸς ἐλάθομεν εἰς τὴν τῶν ἐλευθέρων ἐμπεσόντες ἐπιστήμην, καὶ κινδυνεύομεν ζητοῦντες τὸν σοφιστὴν πρότερον ἀνηυρηκέναι τὸν φιλόσοφον;
그렇다면 이제 또 우린 무어라 부르겠나, 테아이테토스, 그 앎을 말일세? 혹은 제우스께 맹세코 우리는 모르는 사이에 자유인들의 앎에 들어섰던 겐가, 우리는 소피스테스를 추적하면서 어쩌면 그보다 먼저 지혜를 사랑하는 자를 발견해낸 것 같군?
τῶν ἐλευθέρων : ἐλεύθερος. free.
ἐμπεσόντες : ἐμπίπτω aor. part.
ἀνηυρηκέναι : ἀνευρίσκω pf. inf.

{ΘΕΑΙ.} Πῶς λέγεις; 어찌 하시는 말씀이신지요?

{ΞΕ.} Τὸ κατὰ γένη διαιρεῖσθαι καὶ μήτε ταὐτὸν εἶδος [Stephanus page 253, section d, line 2] ἕτερον ἡγήσασθαι μήτε ἕτερον ὂν ταὐτὸν μῶν οὐ τῆς διαλεκτικῆς φήσομεν ἐπιστήμης εἶναι;
유들에 따라서 분류하고 동일한 형상을 다른 것으로 생각하지도 않고 다른 것을 같은 것이라 생각하지도 않는다는 건 물론 변증술에 대한 앎이라 우리가 말하지 않겠나?

{ΘΕΑΙ.} Ναί, φήσομεν. 네, 그리 말할 것입니다.

{ΞΕ.} Οὐκοῦν ὅ γε τοῦτο δυνατὸς δρᾶν μίαν ἰδέαν διὰ πολλῶν, ἑνὸς ἑκάστου κειμένου χωρίς, πάντῃ διατεταμένην ἱκανῶς διαισθάνεται, καὶ πολλὰς ἑτέρας ἀλλήλων ὑπὸ μιᾶς ἔξωθεν περιεχομένας, καὶ μίαν αὖ δι' ὅλων πολλῶν ἐν ἑνὶ συνημμένην, καὶ πολλὰς χωρὶς πάντῃ διωρισμένας· τοῦτο δ' ἔστιν, ᾗ τε κοινωνεῖν ἕκαστα δύναται καὶ ὅπῃ μή, διακρίνειν κατὰ γένος ἐπίστασθαι.
그렇다면 바로 그 일을 해낼 능력이 있는 자는 단 하나의 형상이 각기 하나로 따로 잘려지는 모든 것들을 통하여 모든 곳에 퍼져 있음을 충분히 지각해내고, 또 많은 서로 다른 것들이 하나의 형상에 의해 밖으로부터 둘러싸여 있음을, 또 다시 단 하나의 형상이 많은 전체들을 통하여 하나 속에서 함께 붙어있음을, 또 많은 형상들이 따로이 모든 곳에서 한정지어져 있음을 충분히 지각해내지: 헌데 이런 것은, 어떤 식으로 각각의 것들이 공유할 능력을 지니고 또 어떤 식으로 그렇지 않은지, 유에 따라 판단할 줄 아는 것일세.
διατεταμένην : διατείνω mp. pf. part. f. sg.
συνημμένην : συνάπτω pass. pf. part. f. sg.
διωρισμένας : διορίζω mp. pf. part. f. pl.

[Stephanus page 253, section e, line 3] {ΘΕΑΙ.} Παντάπασι μὲν οὖν. 전적으로 그러합니다.

{ΞΕ.} Ἀλλὰ μὴν τό γε διαλεκτικὸν οὐκ ἄλλῳ δώσεις, ὡς ἐγᾦμαι, πλὴν τῷ καθαρῶς τε καὶ δικαίως φιλοσοφοῦντι.
그렇긴 하지만 내가 생각하기로는 자네가 그 변증술을 다른 자에게 줄 것 같지는 않군, 순전하고도 정당하게 지혜를 사랑하는 자를 제외하고서는 말일세.

{ΘΕΑΙ.} Πῶς γὰρ ἂν ἄλλῳ δοίη τις; 누가 어찌 다른 자에게 주겠습니까?

{ΞΕ.} Τὸν μὲν δὴ φιλόσοφον ἐν τοιούτῳ τινὶ τόπῳ καὶ νῦν καὶ ἔπειτα ἀνευρήσομεν ἐὰν ζητῶμεν, ἰδεῖν μὲν χαλεπὸν ἐναργῶς καὶ τοῦτον, ἕτερον μὴν τρόπον ἥ τε τοῦ σοφιστοῦ χαλεπότης ἥ τε τούτου.
그래서 우리가 만일 그를 추적한다면 우리는 지혜를 사랑하는 자를 지금도 이후에도 이와 같은 어떤 자리에서 알게 될 걸세, 이 사람을 명백하게 알아보기는 어렵다는 것, 소피스테스에 대한 어려움이든 이 사람에 대한 어려움이든 다른 방식으로 그렇다는 것을 말이지.

{ΘΕΑΙ.} Πῶς; 어째서죠?

-蟲-

[Stephanus page 248, section a, line 4]{ΞΕ.} Πρὸς δὴ τοὺς ἑτέρους ἴωμεν, τοὺς τῶν εἰδῶν φίλους· σὺ δ' ἡμῖν καὶ τὰ παρὰ τούτων ἀφερμήνευε.
그럼 다른 자들에게로 가 봅시다, 형상들의 친구들에게로요: 그런데 당신께서는 우리에게 이 사람들 쪽의 것들 또한 해명해 주십시오.
그럼 또 다른 자들에게로 가 보세, 형상들의 친구들에게로 말일세: 자네는 우리에게 그들 쪽 얘기들도 해설해 주게나.
ἀφερμήνευε : interpret, expound.

{ΘΕΑΙ.} Ταῦτ' ἔσται. 그리 될 것입니다.

{ΞΕ.} Γένεσιν, τὴν δὲ οὐσίαν χωρίς που διελόμενοι λέγετε; ἦ γάρ;
그대들은 생성을, 그러나 실체를 별개로 어떤 식으로 구분하면서 말씀하고 계십니까? 그런가요?
"당신들은 ~됨을, 아마도 ~임과는 따로 구분하며 말하시오? 아니 그렇소?"
χωρίς : separately, apart.
διελόμενοι : διαιρέω aor. med. part.

{ΘΕΑΙ.} Ναί. "그리 말합니다."

{ΞΕ.} Καὶ σώματι μὲν ἡμᾶς γενέσει δι' αἰσθήσεως κοινωνεῖν, διὰ λογισμοῦ δὲ ψυχῇ πρὸς τὴν ὄντως οὐσίαν, ἣν ἀεὶ κατὰ ταὐτὰ ὡσαύτως ἔχειν φατέ, γένεσιν δὲ ἄλλοτε ἄλλως.
또한 우리는 신체로 감각을 통하여 생성과 관련하지만, 추론을 통하여 영혼으로 실제 실체에게 관련한다고, 이 실체는 언제나 이러한 것들에 따라 마찬가지의 상태에 있는데, 그렇게 당신들은 말씀하십니다, 생성은 또 다른 경우에 또 다르게 있지만요.
"그리고 물체와는 우리가 감각을 통하여 ~됨으로써 공유하지만(관련하지만), 헤아림을 통해서는 영혼과 진정한 ~임에 대해 그리 한다고, 그 ~임이 항상 동일한 것들에 따라 마찬가지 방식으로 견지한다고 당신들은 말하고, 생성은 다른 경우에 다른 방식으로 그리한다 말합니다."

[Stephanus page 248, section b, line 1] {ΘΕΑΙ.} Φαμὲν γὰρ οὖν. "우리가 그렇게 말하니까요."

{ΞΕ.} Τὸ δὲ δὴ κοινωνεῖν, ὦ πάντων ἄριστοι, τί τοῦθ' ὑμᾶς ἐπ' ἀμφοῖν λέγειν φῶμεν; ἆρ' οὐ τὸ νυνδὴ παρ' ἡμῶν ῥηθέν;
그러나 실로 그 연관을, 모든 이들 중에 가장 뛰어난 분들이여, 당신들이 그 양자에 대해 말하는 이것을 우리가 무어라 말할까요? 혹시 바로 지금 우리에게서 이야기되었던 그것 아닙니까?
"모든 이들 중 가장 고귀하신 분들, 그런데 그 공유한다는 것(관련한다는 것), 당신들이 양자에 대해 진술하는 이걸 우리가 뭐라 말할까요? 혹시 방금 우리에게서 이야기된 그것 아닙니까?"

{ΘΕΑΙ.} Τὸ ποῖον; "어떠한 것 말씀이십니까?"

{ΞΕ.} Πάθημα ἢ ποίημα ἐκ δυνάμεώς τινος ἀπὸ τῶν πρὸς ἄλληλα συνιόντων γιγνόμενον. τάχ' οὖν, ὦ Θεαίτητε, αὐτῶν τὴν πρὸς ταῦτα ἀπόκρισιν σὺ μὲν οὐ κατακούεις, ἐγὼ δὲ ἴσως διὰ συνήθειαν.
어떤 능력을 통해 서로에 대해 함께 있는 것들로부터 생겨나는 겪음이나 행함입니다. 어쩌면, 테아이테토스, 이러한 일들에 대해 당신은 그들의 대답을 듣지 못할 겁니다만, 제 자신은 익숙함 때문에 들을 것 같습니다.
"서로 함께 만나는 것들로부터 어떤 능력으로 인해 이루어지는(생성되는) 겪음이나 행함입니다." 어쩌면, 테아이테토스, 이런 일들에 대한 그들의 대답을 자네는 충분히 알아듣지 못할지 모르나, 나는 익숙한 교류를 통해 알아들을 수도 있을 것 같네.

{ΘΕΑΙ.} Τίν' οὖν δὴ λέγουσι λόγον; 그렇다면 그들은 무슨 진술을 하고 있나요?

{ΞΕ.} Οὐ συγχωροῦσιν ἡμῖν τὸ νυνδὴ ῥηθὲν πρὸς τοὺς [Stephanus page 248, section c, line 2] γηγενεῖς οὐσίας πέρι.
그들은 실체들에 관하여 대지의(필멸의) 종족에 대해 방금 이야기된 것을 두고 우리에게 동의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대지의 부류들을 향해 ~임에 관하여 방금 이야기되었던 것을 두고 우리에게 동의하지 않는다네.

{ΘΕΑΙ.} Τὸ ποῖον; 그게 어떠한 것입니까?

{ΞΕ.} Ἱκανὸν ἔθεμεν ὅρον που τῶν ὄντων, ὅταν τῳ παρῇ ἡ τοῦ πάσχειν ἢ δρᾶν καὶ πρὸς τὸ σμικρότατον δύναμις;
우리가 혹시 있는 것들에 대해 만족스러운 경계석을 두었던가요, 지극히 미미한 일에 대해서라도 겪음이나 행함에 속하는 능력이 그것(있는 것들)에 현전할 경우 말입니다만?
우리가 아마도 ~인 것들의 충분한 경계석으로 놓았었지? 그것(중성 복수 단수취급으로 ὄντων을 받거나 성-수 일치에 따라 ὅρον을 받거나)에 아주 자잘한 것에 대해서라도 겪음이든 해냄이든 그럴 능력이 곁해 있을(현전할, 의존할) 경우에 말이네.

{ΘΕΑΙ.} Ναί. 네.

{ΞΕ.} Πρὸς δὴ ταῦτα τόδε λέγουσιν, ὅτι γενέσει μὲν μέτεστι τοῦ πάσχειν καὶ ποιεῖν δυνάμεως, πρὸς δὲ οὐσίαν τούτων οὐδετέρου τὴν δύναμιν ἁρμόττειν φασίν.
실로 이러한 것들에 대해 그들은 이 점을 말합니다, 생성은 겪음과 행함의 능력에 참여한다고, 그런데 실체에 대해서는 이것들 중 어느 쪽의 능력도 어울리지 않는다고 이야기합니다.
그럼 이런 것들에 대해 그들은 이런 점을 말한다네, ~됨(생성)은 겪음과 행함의 능력을 더불어 지닌다는 것을, 그러나 ~임에 대해서는 그것들 둘 중 어느 쪽의 능력도 어울리지 않는다고 말하네.
ἁρμόττειν : ἁρμόζω inf.

{ΘΕΑΙ.} Οὐκοῦν λέγουσί τι; 그래서 그들이 뭐라 진술합니까?

{ΞΕ.} Πρὸς ὅ γε λεκτέον ἡμῖν ὅτι δεόμεθα παρ' αὐτῶν [Stephanus page 248, section d, line 1] ἔτι πυθέσθαι σαφέστερον εἰ προσομολογοῦσι τὴν μὲν ψυχὴν γιγνώσκειν, τὴν δ' οὐσίαν γιγνώσκεσθαι.
만일 그들이 영혼은 인식하지만, 실체는 인식된다고 동의하는지 우리가 그들에게서 아직 더욱 확실하게 배우기를 바란다는 것이 우리에 의해 이야기되어야만 하는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요.
그 점에 대해 그들에게서 그들이 영혼은 인식하고, ~임은 인식된다는 걸 인정해 주는지 아직 우리가 더 확실하게 들어야 한다는 점을 논해야 한다네.
πυθέσθαι : πυνθάνομαι, also πεύθομαι aor. med. inf. learn.
προσομολογοῦσι : προσομολογέω. concede, agree with, allow.

{ΘΕΑΙ.} Φασὶ μὴν τοῦτό γε. 그들은 실로 바로 이 점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ΞΕ.} Τί δέ; τὸ γιγνώσκειν ἢ τὸ γιγνώσκεσθαί φατε ποίημα ἢ πάθος ἢ ἀμφότερον; ἢ τὸ μὲν πάθημα, τὸ δὲ θάτερον; ἢ παντάπασιν οὐδέτερον οὐδετέρου τούτων μεταλαμβάνειν;
그런데 어떻습니까? 인식함이나 인식됨을 당신들은 행함이라고 말합니까 아니면 겪음이라 말합니까 양자 모두라고 말합니까? 아니면 한 쪽은 겪음이고, 다른 쪽은 남은 다른 쪽의 것이라고 합니까? 혹은 전적으로 이것들 중 어느 쪽도 그 어느 쪽에 대해서도 참여하지 않는다고 말합니까?
어떤가? 인식한다는 것이나 인식된다는 것으로 그들은 행함이나 겪음 혹은 그 둘 모두를 말하는가? 아니면 한 쪽은 행함을, 다른 쪽으로는 다른 것을 말하는가? 혹은 전적으로 둘 중 어느 쪽도 그것들 중 어느 쪽에든 관여하지(몫을 취하지) 않는다고 말하는가?

{ΘΕΑΙ.} Δῆλον ὡς οὐδέτερον οὐδετέρου· τἀναντία γὰρ ἂν τοῖς ἔμπροσθεν λέγοιεν.
분명 둘 중 어느 쪽에 대해서도 둘 중 어느 것도 아니라고 합니다: 왜냐하면 앞서의 것들과 반대되는 것들을 그들이 말할 테니까요.
둘 중 어느 것도 둘 중 어느 것에든 그렇지 않다고 하는 게 분명합니다: 앞서의 것들과 반대로 진술하게 될 테니까요.

{ΞΕ.} Μανθάνω· τόδε γε, ὡς τὸ γιγνώσκειν εἴπερ ἔσται [Stephanus page 248, section e, line 1] ποιεῖν τι, τὸ γιγνωσκόμενον ἀναγκαῖον αὖ συμβαίνει πάσχειν. τὴν οὐσίαν δὴ κατὰ τὸν λόγον τοῦτον γιγνωσκομένην ὑπὸ τῆς γνώσεως, καθ' ὅσον γιγνώσκεται, κατὰ τοσοῦτον κινεῖσθαι διὰ τὸ πάσχειν, ὃ δή φαμεν οὐκ ἂν γενέσθαι περὶ τὸ ἠρεμοῦν.
알겠습니다: 바로 이것, 인식함이 만일 정말로 뭔가를 행함일 것이라면, 이번엔 인식되는 것은 겪는다는 것이 필연적으로 뒤따릅니다. 실로 그 논변에 따라 실체는 인식에 의해 이와 같이 인식되는 것입니다, 그것이 인식되는 한에서, 겪음을 통해 움직여지는 그만큼 말입니다, 실로 우리가 멈추어 있는 것에 관해서는 생겨나지 않는다고 말하는 것이지요.
알겠네: 적어도 이건 그들이 진술하지, 만일 정말로 인식함이 어떤 행함이라면, 인식되는 것은 다시(이번엔) 필연적으로 겪는다는 걸로 귀결된다고 말일세. 그래서 ~임은 동일한 진술에 따라 인식에 의해 인식될 때, 인식되는 바로 그 만큼 그 겪음으로 인하여 움직여진다고 하고, 그래서 그 일이 멈춤에 관하여서는 이루어지지(생성되지) 않는다고 우리는 말하네.
κινεῖσθαι : κῑνέω pass. inf. be caused, be called forth.
τὸ ἠρεμοῦν : to be still, keep quiet, be at rest.

{ΘΕΑΙ.} Ὀρθῶς. 옳습니다.

{ΞΕ.} Τί δὲ πρὸς Διός; ὡς ἀληθῶς κίνησιν καὶ ζωὴν καὶ ψυχὴν καὶ φρόνησιν ἦ ῥᾳδίως πεισθησόμεθα τῷ παντελῶς ὄντι μὴ παρεῖναι, μηδὲ ζῆν αὐτὸ μηδὲ φρονεῖν, ἀλλὰ σεμνὸν καὶ ἅγιον, νοῦν οὐκ ἔχον, ἀκίνητον ἑστὸς εἶναι;
제우스에 대고 그럼 어떻습니까? 우리는 참으로 움직임과 생명과 영혼과 사려를 실로 전적으로 있는 것에 현전하지 않는다고 쉽사리 납득하게 될까요, 그 자체가 살아있는 것도 생각하는 것도 아니고, 하지만 존엄하고 신성한, 정신을 지니지 않은 채, 세워진 부동자라고요?
세상에, 어떤가? 참으로 움직임과 삶과 영혼과 사려를 완전하게 ~인 것에 의존하지(현전하지) 않는다고 우리가 정말이지 쉽사리 납득하겠는가, 그것이 살지도 생각하지도 않는다고, 하지만, 지성을 지니지 않으면서, 존엄하고 신성하다고,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서 있는 것이라 납득하겠나?
πεισθησόμεθα : πείθω fut. pass.
σεμνὸν : revered, august, holy. / ἅγιον : devoted to the gods. sacred, holy.

{ΘΕΑΙ.} Δεινὸν μεντἄν, ὦ ξένε, λόγον συγχωροῖμεν.
만일 그러하다면, 손님, 우리는 무서운 진술을 인정하게 될 겁니다.

[Stephanus page 249, section a, line 4] {ΞΕ.} Ἀλλὰ νοῦν μὲν ἔχειν, ζωὴν δὲ μὴ φῶμεν;
허나 정신은 가진다고, 그러나 생명은 그렇지 않다고 우리가 말할까요?
그럼 지성은 지니지만, 삶은 그렇지 않다고 말할까?

{ΘΕΑΙ.} Καὶ πῶς; 어찌 그리 하겠습니까?

{ΞΕ.} Ἀλλὰ ταῦτα μὲν ἀμφότερα ἐνόντ' αὐτῷ λέγομεν, οὐ μὴν ἐν ψυχῇ γε φήσομεν αὐτὸ ἔχειν αὐτά;
허나 이러한 것들이 양자 모두 그것에 내재한다고 우리가 말하고, 실로 바로 영혼 안에는 그 자체로 그것들을 지니지 않는다고 말할 것입니까?
그럼 그런 것들은 양쪽이 그것에 내재한다고 진술하고, 분명 그런 것들을 그것이 바로 영혼 안에 지닌다고 우리가 이야기할까?

{ΘΕΑΙ.} Καὶ τίν' ἂν ἕτερον ἔχοι τρόπον; 또 달리 무슨 수가 있겠습니까?

{ΞΕ.} Ἀλλὰ δῆτα νοῦν μὲν καὶ ζωὴν καὶ ψυχὴν <ἔχειν>, ἀκίνητον μέντοι τὸ παράπαν ἔμψυχον ὂν ἑστάναι;
허나 진정으로 정신과 생명과 영혼은 [지닌다고], 따라서 부동자가 전적으로 영혼 있는 것이면서 존립한다고?
그럼 정녕 지성과 삶과 영혼은 지닌다고, 그럼에도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서 전적으로 영혼을 지닌 것인 채로 서 있다고 할까?

{ΘΕΑΙ.} Πάντα ἔμοιγε ἄλογα ταῦτ' εἶναι φαίνεται.
저로서는 이러한 모든 것들이 말도 안 되는 것들이라고 보입니다.

{ΞΕ.} Καὶ τὸ κινούμενον δὴ καὶ κίνησιν συγχωρητέον ὡς ὄντα.
그래서 움직여지는 것도 움직임도 ~인 것들이라고 동의되어야 하네.

[Stephanus page 249, section b, line 4] {ΘΕΑΙ.} Πῶς δ' οὔ; 어찌 아니겠습니까?

{ΞΕ.} Συμβαίνει δ' οὖν, ὦ Θεαίτητε, ἀκινήτων τε ὄντων νοῦν μηδενὶ περὶ μηδενὸς εἶναι μηδαμοῦ.
헌데 그러면 이리 귀결된다네, 테아이테토스, ~인 것들이 움직여지지 않을 경우 지성은 아무것에 관해서도 그 어디에도 아무것이지도 않다고 말일세.

{ΘΕΑΙ.} Κομιδῇ μὲν οὖν. 정확히 그렇습니다.

{ΞΕ.} Καὶ μὴν ἐὰν αὖ φερόμενα καὶ κινούμενα πάντ' εἶναι συγχωρῶμεν, καὶ τούτῳ τῷ λόγῳ ταὐτὸν τοῦτο ἐκ τῶν ὄντων ἐξαιρήσομεν.
또한 실로 만일 이번엔 모든 것들은 옮겨지는 것들과 움직여지는 것들임을 우리가 인정한다면, 이 논변으로써 우리는 바로 이 동일한 것을 있는 것들로부터 끄집어낼 것입니다.
또 물론 다시 모든 것들은 옮겨지고 움직여지는 것들이라고 우리가 인정한다면, 우리는 이 동일한 진술로써 바로 그것을 ~인 것들로부터 제거하게 될 것이네.
ἐξαιρήσομεν : take out.

{ΘΕΑΙ.} Πῶς; 어째서죠?

{ΞΕ.} Τὸ κατὰ ταὐτὰ καὶ ὡσαύτως καὶ περὶ τὸ αὐτὸ δοκεῖ [Stephanus page 249, section c, line 1] σοι χωρὶς στάσεως γενέσθαι ποτ' ἄν;
이러한 것들에 따르고 같은 방식이자 그 똑같은 것에 관련된 것이 당신에게 도대체 정지 없이 생겨난다고 여겨집니까?
동일한 것들에 따라 같은 방식으로 그 자신에 관련하는 것이 도대체 정지와 따로 ~된다고(이루어진다고, 생성된다고) 자네에게 여겨(믿어)지는가?

{ΘΕΑΙ.} Οὐδαμῶς.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ΞΕ.} Τί δ'; ἄνευ τούτων νοῦν καθορᾷς ὄντα ἢ γενόμενον ἂν καὶ ὁπουοῦν;
그럼 어떻습니까? 이러한 것들 없이 당신은 정신을 있는 것으로 혹은 생겨나는 것으로 어디에서건 보실 것입니까?
어떤가? 이런 것들 없이 지성이 어디서건 ~이거나 ~됨을 파악하겠는가?

{ΘΕΑΙ.} Ἥκιστα. 조금도 그렇지 않습니다.

{ΞΕ.} Καὶ μὴν πρός γε τοῦτον παντὶ λόγῳ μαχετέον, ὃς ἂν ἐπιστήμην ἢ φρόνησιν ἢ νοῦν ἀφανίζων ἰσχυρίζηται περί τινος ὁπῃοῦν.
바로 이러한 자에 대해서도 실로 모든 논변으로 맞서 싸워야하는 것입니다, 인식이나 사려 혹은 정신을 보이지 않게 하면서 어떤 것에 관하여 어떤 식으로 자신을 강화할 그런 자에게 맞서서 말입니다.
물론 이런 자에 맞서 모든 진술로써 싸워야 하네, 앎이나 사려 혹은 지성을 가림으로써 무언가에 관하여 어떤 식으로든 강경하게 주장하는 자 말일세.
ἀφανίζων : ἀφανίζω part. make unseen, hide.
ἰσχυρίζηται : ἰσχῡρίζομαι subj. make oneself strong, be strong.

{ΘΕΑΙ.} Σφόδρα γε. 지극히 그렇습니다.

{ΞΕ.} Τῷ δὴ φιλοσόφῳ καὶ ταῦτα μάλιστα τιμῶντι πᾶσα, [Stephanus page 249, section c, line 11] ὡς ἔοικεν, ἀνάγκη διὰ ταῦτα μήτε τῶν ἓν ἢ καὶ τὰ πολλὰ εἴδη λεγόντων τὸ πᾶν ἑστηκὸς ἀποδέχεσθαι, τῶν τε αὖ πανταχῇ τὸ ὂν κινούντων μηδὲ τὸ παράπαν ἀκούειν, ἀλλὰ κατὰ τὴν τῶν παίδων εὐχήν, ὅσα ἀκίνητα καὶ κεκινημένα, τὸ ὄν τε καὶ τὸ πᾶν συναμφότερα λέγειν.
지혜를 사랑하는 자이자 이러한 모든 것들을 무척이나 존경하는 자에게는, 보이기로는, 이러한 것들로 인하여 모든 것이 하나 혹은 여럿의 형상을 세웠다고 말하는 자들에 동의하지 않는 것이 필연적이고, 다시 온갖 방식으로 있는 것을 움직이는 자들에 대해서도 전적으로 듣지 말아야 함도 필연적이지만, 소년들의 기도에 따라, 부동의 것들과 움직여진 것들 모두를, 있는 것과 모든 것을 양자의 결합들로 말하는 것이 필연적입니다.
그래서 지혜를 사랑하는 자와 특히 이런 모든 것들을 존중하는 자에게, 내 보기엔, 이런 일들로 인하여 하나 또는 여러 형상들을 말하는 자들에게서 모든 것이 정지해 있다는 얘기를 받아들이지도 않고, 또 이번엔 모든 면에서 ~인 것을 움직이는 자들에게 전적으로 귀 기울이지도 않으며, 오히려 아이들의 소망대로, 움직여지지 않는 것들과 움직여지는 것들, 그 양자 모두의 것들이 ~인 것이자 모든 것이라 진술함이 필연적일 걸세.
ἑστηκὸς : ἵστημι pf. part.
ἀποδέχεσθαι : ἀποδέχομαι inf. accept. admit. c.gen. with part. receive or accept a statement from him. believe or agree with his statement. / εὐχήν : prayer or vow.

{ΘΕΑΙ.} Ἀληθέστατα. 무엇보다도 참된 말씀이십니다.

{ΞΕ.} Τί οὖν; ἆρ' οὐκ ἐπιεικῶς ἤδη φαινόμεθα περιειληφέναι τῷ λόγῳ τὸ ὄν;
그러면 어떻습니까? 혹시 적절하게 우리가 이미 그 논변으로써 있는 것을 파악한 것으로 드러나지 않습니까?
어떤가? 혹시 이제는 우리가 그 진술로써 ~인 것을 적절하게 파악한 것으로 보이지(나타나지) 않는가?
ἐπιεικῶς : farily, tolerably, moderately.
περιειληφέναι : περιλαμβάνω pf. inf. comprehend.

{ΘΕΑΙ.} Πάνυ μὲν οὖν. 물론입니다.

{ΞΕ.} Βαβαὶ †μέντ' ἂν ἄρα,† ὦ Θεαίτητε, ὥς μοι δοκοῦμεν [Stephanus page 249, section d, line 10] νῦν αὐτοῦ γνώσεσθαι πέρι τὴν ἀπορίαν τῆς σκέψεως.
아, 혹시나 또한 그러하다면, 테아이테토스, 나로서는 우리가 이제 바로 그것(~인 것)에 관한 고찰의 어려움을 알게 될 것으로 여겨지는군.

{ΘΕΑΙ.} Πῶς αὖ καὶ τί τοῦτ' εἴρηκας; 또 어떤 식으로 왜 이런 말씀을 하십니까?

{ΞΕ.} Ὦ μακάριε, οὐκ ἐννοεῖς ὅτι νῦν ἐσμεν ἐν ἀγνοίᾳ τῇ πλείστῃ περὶ αὐτοῦ, φαινόμεθα δέ τι λέγειν ἡμῖν αὐτοῖς;
복받은 친구, 자넨 지금 우리가 바로 그것과 관련하여 가장 큰 무지에 처해 있다는 걸, 그러나 우리가 뭔가 진술하는 듯해 보인다는(나타난다, 드러난다) 점을 이해하지 못하는가?

{ΘΕΑΙ.} Ἐμοὶ γοῦν· ὅπῃ δ' αὖ λελήθαμεν οὕτως ἔχοντες, οὐ πάνυ συνίημι.
제게는 그리 보입니다: 허나 또 어떤 식으로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그리 되었는지, 저는 전혀 깨닫지 못했습니다.
λελήθαμεν : λανθάνω pf. escape notice or detection.
συνίημι : perceive. to be aware of.

{ΞΕ.} Σκόπει δὴ σαφέστερον εἰ τὰ νῦν συνομολογοῦντες δικαίως ἂν ἐπερωτηθεῖμεν ἅπερ αὐτοὶ τότε ἠρωτῶμεν τοὺς λέγοντας εἶναι τὸ πᾶν θερμὸν καὶ ψυχρόν.
그러면 당신께서 더욱 정확하게 검토하십시오, 지금 우리가 동의하고 있는 것들에 있어서 우리 자신이 그 때 모든 것은 뜨거움과 차가움이라고 말하는 자들에게 묻고 있었던 바로 그것들을 우리가 정당하게 질문받고 있는 것은 아닐지 말입니다.
그럼 자네가 더 확실하게 검토해 보게, 지금 우리가 동의하는 것들에 정당하게 질문될 수 있을지, 우리 자신이 모든 것은 뜨거움과 차가움이라고 진술하는 자들에게 그 때 물었던 바로 그것들이 말일세.
ἐπερωτηθεῖμεν : ἐπερωτάω aor. opt. pass. asked. to be questioned.

[Stephanus page 250, section a, line 3] {ΘΕΑΙ.} Ποῖα; ὑπόμνησόν με. 어떠한 것들입니까? 당신께서 제게 상기시켜 주십시오.
ὑπόμνησόν : ὑπομιμνήσκω aor. imper. remind.

{ΞΕ.} Πάνυ μὲν οὖν· καὶ πειράσομαί γε δρᾶν τοῦτο ἐρωτῶν σὲ καθάπερ ἐκείνους τότε, ἵνα ἅμα τι καὶ προΐωμεν.
물론입니다: 그리고 저는 당신께 그 때 저들에게 물었던 바로 그와 같이 물음으로써 이 일을 해내기를 시도할 것입니다, 우리 둘 다 어떤 진전을 이룰 수 있도록 말이죠.
그야 물론이지: 게다가 나는 그 때 저들에게 물었던 바로 그런 식으로 자네에게 물음으로써 그 일을 해내고자 시도할 걸세, 동시에 우리가 뭔가 나아갈 수 있기도 하게끔 말이지.

{ΘΕΑΙ.} Ὀρθῶς. 옳은 말씀이십니다.

{ΞΕ.} Εἶεν δή, κίνησιν καὶ στάσιν ἆρ' οὐκ ἐναντιώτατα λέγεις ἀλλήλοις;
좋습니다, 움직임과 멈춤을 혹시 당신은 서로에게 정반대되는 것들이라 말씀하시지 않습니까?
좋네, 혹시 자네 움직임과 섬(정지)은 서로에게 가장 반대되는 것들이라 진술하지 않는가?

{ΘΕΑΙ.} Πῶς γὰρ οὔ; 어찌 아니겠습니까?

{ΞΕ.} Καὶ μὴν εἶναί γε ὁμοίως φῂς ἀμφότερα αὐτὰ καὶ ἑκάτερον;
또 실로 당신은 그 양자가 그것들 자체도 그리고 그 각각도 같은 식으로 있다고 말씀하시겠습니까?
그런가 하면 양자 모두 마찬가지로 그 자체들로도 각각으로도 ~이라고 말하지?

[Stephanus page 250, section b, line 1] {ΘΕΑΙ.} Φημὶ γὰρ οὖν. 저는 그리 말하니까요.

{ΞΕ.} Ἆρα κινεῖσθαι λέγων ἀμφότερα καὶ ἑκάτερον, ὅταν εἶναι συγχωρῇς;
혹시 그 양자와 각각이 움직인다고 말하면서요, 당신이 있다고 인정할 때 말입니다만?
혹시 양자 모두 그리고 각각이 움직여진다고 말하면서 그리 말하나, 그것들이 ~이라고 인정할 경우에 말일세?

{ΘΕΑΙ.} Οὐδαμῶς.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ΞΕ.} Ἀλλ' ἑστάναι σημαίνεις λέγων αὐτὰ ἀμφότερα εἶναι;
하지만 당신이 그 둘 모두가 있다고 말하면서 성립하였음을 의미하고 계시지요?
그럼 그것들 양자가 ~이라고 진술하며 자네는 그것들이 멈추어 서있다는 걸 뜻하는 겐가?

{ΘΕΑΙ.} Καὶ πῶς; 어찌 그렇겠습니까?

{ΞΕ.} Τρίτον ἄρα τι παρὰ ταῦτα τὸ ὂν ἐν τῇ ψυχῇ τιθείς, ὡς ὑπ' ἐκείνου τήν τε στάσιν καὶ τὴν κίνησιν περιεχομένην, συλλαβὼν καὶ ἀπιδὼν αὐτῶν πρὸς τὴν τῆς οὐσίας κοινωνίαν, οὕτως εἶναι προσεῖπας ἀμφότερα;
혹시 당신께서 이것들 외에 어떤 세 번째 것을 있는 것으로 영혼에 두십니까, 저것에 의해 운동도 또 정지도 포섭되는 것처럼, 그것들을 한 데 모아서 실체의 공유에 견주면서, 그렇게 당신이 둘 모두 있다고 말하는 그런 식으로?
그럼 무언가 그것들 외에 ~인 것을 세 번째 것으로 영혼 안에 세우는 겐가, 저것에 의해 움직임도 섬도 둘러싸였다고 생각하기에, 그것들의 ~임과의 공유(연관)에 비추어 보면서 함께 취하여, 그런 식으로 그 양자의 것들을 ~이라고 부르는가?
περιεχομένην : περιέχω mp. part. encompass, embrace, surround.
συλλαβὼν : συλλαμβάνω part.
ἀπιδὼν : ἀφοράω aor. part. look at. have in view. with.πρός. compare.
προσεῖπας : προσεῖπον. address as, call, name.

[Stephanus page 250, section c, line 1] {ΘΕΑΙ.} Κινδυνεύομεν ὡς ἀληθῶς τρίτον ἀπομαντεύεσθαί τι τὸ ὄν, ὅταν κίνησιν καὶ στάσιν εἶναι λέγωμεν.
우리는 참으로 있는 것을 어떤 세 번째 것으로 예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운동과 정지를 우리가 있다고 말할 때에는요.
우리는 ~인 것이 참으로 어떤 세 번째 것이라 예견할 듯합니다, 움직임과 섬이 ~이라고 진술할 때에 말입니다.
ἀπομαντεύεσθαί : ἀπομαντεύομαι inf. divine by instinct, presage.

{ΞΕ.} Οὐκ ἄρα κίνησις καὶ στάσις ἐστὶ συναμφότερον τὸ ὂν ἀλλ' ἕτερον δή τι τούτων.
그러면 움직임과 섬 둘 모두 다 ~인 것이지는 않고 그것들과 다른 어떤 것이 그래서 있는 것이네.

{ΘΕΑΙ.} Ἔοικεν. 그런 것 같습니다.

{ΞΕ.} Κατὰ τὴν αὑτοῦ φύσιν ἄρα τὸ ὂν οὔτε ἕστηκεν οὔτε κινεῖται.
그러면 그것의 본성에 따라 있는 것은 서있지도 움직이지도 않습니다.
그럼 그것의 본성에 따라 ~인 것은 서 있지도 움직이지도 않는군.

{ΘΕΑΙ.} Σχεδόν. 거의 그럴 것입니다.

{ΞΕ.} Ποῖ δὴ χρὴ τὴν διάνοιαν ἔτι τρέπειν τὸν βουλόμενον ἐναργές τι περὶ αὐτοῦ παρ' ἑαυτῷ βεβαιώσασθαι;
그러면 어디에서 그 자신에게 있어서 그것에 관하여 명백함에 속하는 어떤 것을 정립하기를 바라는 자가 더 나아가 그의 생각을 전환해야 하겠습니까?
그럼 명백한 무언가를 그것에 관하여 그 자신에게 정립시키길 바라는 자는 더 이상 어디로 생각을 돌려야 하겠나?
ἐναργές : visible. manifest to the mind's eye.
βεβαιώσασθαι : βεβαιόω aor. inf. med. confirm, establish.

[Stephanus page 250, section c, line 11] {ΘΕΑΙ.} Ποῖ γάρ; 어디로요?

{ΞΕ.} Οἶμαι μὲν οὐδαμόσε ἔτι ῥᾴδιον. εἰ γάρ τι μὴ κινεῖται, πῶς οὐχ ἕστηκεν; ἢ τὸ μηδαμῶς ἑστὸς πῶς οὐκ αὖ κινεῖται; τὸ δὲ ὂν ἡμῖν νῦν ἐκτὸς τούτων ἀμφοτέρων ἀναπέφανται. ἦ δυνατὸν οὖν τοῦτο;
제가 생각하기로는 전혀 아직 쉽게는 안됩니다. 왜냐하면 만일 어떤 것이 움직이지 않는다면, 어떻게 멈추어 서지 않겠습니까? 혹은 전혀 멈추어 서있지 않은 것이 또 어찌 움직이지 않겠습니까? 그러나 있는 것은 우리에게 이제 이러한 것들 양자 외의 것으로 드러나 보였습니다. 아니면 이런 일이 가능한가요?
내 생각에 아직은 전혀 쉬운 일이 아닐세. 만일 무언가가 움직이지 않는다면, 어떻게 서 있지 않을 수 있겠는가? 혹은 어떤 식으로도 서 있지 않으면서 또 어떻게 움직이지 않을 수가 있겠는가? 그런데 우리에게 지금 ~인 것은 그런 양자 외의 것으로 나타났지. 그럼 진정 이게 가능한 일인가?
ἀναπέφανται : ἀναφαίνω pf. mp.

{ΘΕΑΙ.} Πάντων μὲν οὖν ἀδυνατώτατον. 그건 무엇보다도 가장 불가능한 일이지요.

{ΞΕ.} Τόδε τοίνυν μνησθῆναι δίκαιον ἐπὶ τούτοις.
그러니 이런 점이 그것들에 대해 기억되어 마땅하네.
μνησθῆναι : μιμνήσκω aor. inf. pass.

{ΘΕΑΙ.} Τὸ ποῖον; 어떤 것입니까?

{ΞΕ.} Ὅτι τοῦ μὴ ὄντος ἐρωτηθέντες τοὔνομα ἐφ' ὅτι ποτὲ δεῖ φέρειν, πάσῃ συνεσχόμεθα ἀπορίᾳ. μέμνησαι;
있지 않은 것의 이름을 도대체 무엇에 가져다 두어야 하는지 질문 받으면서, 우리가 온갖 난관으로 무너졌다는 것 말입니다. 기억하셨습니까?
~이지 않음의 그 이름을 대체 무엇에 가져다 놓을지 우리가 질문받으면서, 온갖 어려움들로 무너졌다는 사실일세. 기억하였는가?
συνεσχόμεθα : συνόχωκα

[Stephanus page 250, section d, line 9] {ΘΕΑΙ.} Πῶς γὰρ οὔ; 어찌 아니겠습니까?

{ΞΕ.} Μῶν οὖν ἐν ἐλάττονί τινι νῦν ἐσμεν ἀπορίᾳ περὶ τὸ ὄν;
그러므로 우리는 지금 있는 것과 관련하여 어떤 더 작은 난관에 봉착해 있지 않나요?
그러므로 우리는 물론 지금 ~임에 관하여 조금이라도 더 작은 어려움에 처하지 않았나?

{ΘΕΑΙ.} Ἐμοὶ μέν, ὦ ξένε, εἰ δυνατὸν εἰπεῖν, ἐν πλείονι φαινόμεθα.
제게는, 손님, 만일 그리 말할 수 있다면, 우리가 더 큰 어려움에 처한 것으로 보입니다.

{ΞΕ.} Τοῦτο μὲν τοίνυν ἐνταῦθα κείσθω διηπορημένον· ἐπειδὴ δὲ ἐξ ἴσου τό τε ὂν καὶ τὸ μὴ ὂν ἀπορίας μετειλήφατον, νῦν ἐλπὶς ἤδη καθάπερ ἂν αὐτῶν θάτερον εἴτε ἀμυδρότερον εἴτε σαφέστερον ἀναφαίνηται, καὶ θάτερον οὕτως ἀναφαίνεσθαι· καὶ ἐὰν αὖ μηδέτερον ἰδεῖν δυνώμεθα, τὸν [Stephanus page 251, section a, line 2] γοῦν λόγον ὅπῃπερ ἂν οἷοί τε ὦμεν εὐπρεπέστατα διωσόμεθα οὕτως ἀμφοῖν ἅμα.
따라서 여기에서 이 일이 어려움에 빠진 것으로 가정되도록 합시다: 그런데 마찬가지로 있는 것도 있지 않은 것도 그 어려움들을 나눠 가지므로, 이제는 그것들 중 다른 한 쪽이 더 모호하거나 더 확실한 것으로 드러나 보일 것과 마찬가지로, 또 그렇게 다른 한 쪽이 드러나 보일 것이란 희망이 있습니다: 그리고 또한 만일 둘 중 어느 쪽도 우리가 볼 수 없다면, 적어도 어떤 식으로든지 우리 같은 사람들도 그 논변을 그렇게 양자 모두에 동시에 가장 그럴 듯하게 밀어붙이는 것이 가능할 것입니다.
그러니까 여기에서 그 일이 난처한 지경에 처해 버렸다고 해 두도록(가정되도록) 하세: 그러나 ~임과 ~이지 않음이 같은 정도로 어려움을 나눠가졌기에, 지금에 와서는 그것들 중 다른 쪽이 더 흐린 것으로든 더 확실한 것으로든 나타나 보이는 바로 그런 방식으로, 나머지 다른 것도 그렇게 나타나 보이리란 희망이 있다네: 그리고 다시 만일 둘 중 어느 쪽도 우리가 알아볼 능력이 없다면, 적어도 그렇기에 그 진술을 어느 쪽으로든 우리가 가능한 한 그럴 듯한 이들이 될 방식으로 그렇게 동시에 양자 사이로 밀고 나아가게 될 걸세.
κείσθω : κεῖμαι imper. mp. to be laid. to be situated. posited.
διηπορημένον : διαπορέω pf. mp. part. / μετειλήφατον : μεταλαμβάνω dual. pf.
ἀμυδρότερον : compr. vague. / εὐπρεπέστατα : εὐπρεπής. well-looking, comely. decent. plausible.

-蟲-

{ΣΩ.} Κινδυνεύεις μέντοι λόγον οὐ φαῦλον εἰρηκέναι περὶ ἐπιστήμης, ἀλλ' ὃν ἔλεγε καὶ Πρωταγόρας. τρόπον δέ τινα ἄλλον εἴρηκε τὰ αὐτὰ ταῦτα. φησὶ γάρ που “πάντων χρημάτων μέτρον” ἄνθρωπον εἶναι, “τῶν μὲν ὄντων ὡς ἔστι, τῶν δὲ μὴ ὄντων ὡς οὐκ ἔστιν.” ἀνέγνωκας γάρ που;
그런데 자네는 앎에 관하여 사소하지 않은 말을 하길 감행하고 있지만, 프로타고라스도 말했던 것을 말하려 하고 있네. 그런데 그가 다른 어떤 자리에서는 바로 다음과 같은 말들을 했지. 그러니까 그는 아마도 "모든 사물들의 척도"가 인간이라고, "~인 것들에 대해서는 ~이라는, ~이지 않은 것들에 대해서는 ~이지 않다는" 바의 척도라고 말하네. 아마 자네는 읽어 보았을 테지?

{ΘΕΑΙ.} Ἀνέγνωκα καὶ πολλάκις. 여러 번 읽어 보았습니다.

{ΣΩ.} [Stephanus page 152, section a, line 6]Οὐκοῦν οὕτω πως λέγει, ὡς οἷα μὲν ἕκαστα ἐμοὶ φαίνεται τοιαῦτα μὲν ἔστιν ἐμοί, οἷα δὲ σοί, τοιαῦτα δὲ αὖ σοί· ἄνθρωπος δὲ σύ τε κἀγώ;
어쨌든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하지 않나, 나에게 나타나는 각각의 것들은 내게 이와 같은 것들이고, 자네에게 나타나는 것들은, 다시 자네에게 그러한 것들이라고: 그런데 자네와 나 모두 인간이라고?

{ΘΕΑΙ.} Λέγει γὰρ οὖν οὕτω. 그야 그가 그렇게 말하니까요.

{ΣΩ.} Εἰκὸς μέντοι σοφὸν ἄνδρα μὴ ληρεῖν· ἐπακολουθήσωμεν οὖν αὐτῷ. ἆρ' οὐκ ἐνίοτε πνέοντος ἀνέμου τοῦ αὐτοῦ ὁ μὲν ἡμῶν ῥιγῷ, ὁ δ' οὔ; καὶ ὁ μὲν ἠρέμα, ὁ δὲ σφόδρα;
하지만 지혜로운 사람이 어리석게 말하지는 않을 것 같군: 그러니 우리 그 사람을 따라 보세. 혹시 때로 똑같은 바람이 부는데도 우리 중 한 사람은 추워하고, 다른 사람은 그렇지 않지 않나? 또 한 사람은 약간 추워하고, 다른 이는 격하게 추워하지?
ληρεῖν : ληρέω inf. to be foolish or silly, speak or act foolishly.
ἐπακολουθήσωμεν : ἐπακολουθέω aor. subj. follow. attend to.
ῥιγῷ : ῥιγόω subj.

{ΘΕΑΙ.} Καὶ μάλα. 물론입니다.

{ΣΩ.} Πότερον οὖν τότε αὐτὸ ἐφ' ἑαυτοῦ τὸ πνεῦμα ψυχρὸν ἢ οὐ ψυχρὸν φήσομεν; ἢ πεισόμεθα τῷ Πρωταγόρᾳ [Stephanus page 152, section b, line 7] ὅτι τῷ μὲν ῥιγῶντι ψυχρόν, τῷ δὲ μὴ οὔ;
그러니 그 경우 우리는 바람 그 자체를 차가운 것이라 말하겠나 아님 차갑지 않은 것이라 하겠나? 혹은 프로타고라스에 따라 추워하는 자에게는 차가운 것이고, 그렇지 않은 자에겐 그렇지 않은 것이라 우리가 납득하겠나?

{ΘΕΑΙ.} Ἔοικεν. 그럴 것 같습니다.

{ΣΩ.} Οὐκοῦν καὶ φαίνεται οὕτω ἑκατέρῳ;
그럼 그 각각에게 그렇게 나타나는 것이기도 하지?

{ΘΕΑΙ.} Ναί. 네.

{ΣΩ.} Τὸ δέ γε “φαίνεται” αἰσθάνεσθαί ἐστιν;
그런데 바로 그 "나타난다"라는 건 감각한다는 것이지?

{ΘΕΑΙ.} Ἔστιν γάρ. 그야 그러니까요.

{ΣΩ.} Φαντασία ἄρα καὶ αἴσθησις ταὐτὸν ἔν τε θερμοῖς καὶ πᾶσι τοῖς τοιούτοις. οἷα γὰρ αἰσθάνεται ἕκαστος, τοιαῦτα ἑκάστῳ καὶ κινδυνεύει εἶναι.
그래서 나타나는 것과 감각은 따뜻함 그리고 그와 같은 것들과 동일한 하나의 것일세. 왜냐하면 각자가 감각하는 것들, 이러한 것들이 각자에게 그러한 것들일 것 같으니 말일세.

{ΣΩ.} Τὰ μὲν ἄλλα μοι πάνυ ἡδέως εἴρηκεν, ὡς τὸ δοκοῦν ἑκάστῳ τοῦτο καὶ ἔστιν· τὴν δ' ἀρχὴν τοῦ λόγου τεθαύμακα, ὅτι οὐκ εἶπεν ἀρχόμενος τῆς Ἀληθείας ὅτι “Πάντων χρημάτων μέτρον ἐστὶν ὗς” ἢ “κυνοκέφαλος” ἤ τι ἄλλο ἀτοπώτερον τῶν ἐχόντων αἴσθησιν, ἵνα μεγαλοπρεπῶς καὶ πάνυ [Stephanus page 161, section c, line 7] καταφρονητικῶς ἤρξατο ἡμῖν λέγειν, ἐνδεικνύμενος ὅτι ἡμεῖς μὲν αὐτὸν ὥσπερ θεὸν ἐθαυμάζομεν ἐπὶ σοφίᾳ, ὁ δ' ἄρα ἐτύγχανεν ὢν εἰς φρόνησιν οὐδὲν βελτίων βατράχου γυρίνου, μὴ ὅτι ἄλλου του ἀνθρώπων.
다른 것들은 그가 내게 썩 만족스럽게 이야기하였네, 각자에게 믿는 바로 그것이 또한 그러하다고: 그런데 그 논변의 시작에는 놀라고 말았네, 그 진리에 대해 거만하고도 꽤나 경멸스럽게 논의를 시작하기 위하여  "가축이" 혹은 "개코원숭이가" 아니면 감각을 지니는 것들 중 더 기괴한 다른 뭔가가 "만물의 척도이다"라고 말을 시작하질 않고, 우리가 그를 마치 지혜에 있어서 신인 듯이 놀라워하였던 반면, 실상 그는 개구리보다 나을 것도 없음을, 사람들의 지혜와 다른 것도 아님을 밝혀줌으로써 그리 하니 말일세.

Sextus Empiricus, Against the Mathematicians VII 60.
Καὶ Πρωταγόραν δὲ τὸν Ἀβδηρίτην ἐγκατέλεξάν τινες τῷ χορῷ τῶν ἀναιρούντων τὸ κριτήριον φιλοσόφων, ἐπεί φησι πάσας τὰς φαντασίας καὶ τὰς δόξας ἀληθεῖς ὑπάρχειν καὶ τῶν πρός τι εἶναι τὴν ἀλήθειαν διὰ τὸ πᾶν τὸ φανὲν ἢ δόξαν τινὶ εὐθέως πρὸς ἐκεῖνον ὑπάρχειν. ἐναρχόμενος γοῦν τῶν Καταβαλλόντων ἀνεφώνησε "πάντων χρημάτων μέτρον ἐστὶν ἄνθρωπος, τῶν μὲν ὄντων ὡς ἔστιν, τῶν δὲ οὐκ ὄντων ὡς οὐκ ἔστιν".
압데라의 프로타고라스를 어떤 이들은 규준을 배제하는 철학자들의 일단에 셈해 넣었다, 그가 모든 참된 인상들과 믿음들이 현존한다고 그리고 진리는 상대적인 것들 중에 속한다고, 누군가에게 나타나고 믿어지는 모든 것은 곧 저 사람에 대해 현존한다는 사실로 인하여. 그러므로 『폐기자들』을 시작하면서 그는 선언하였다 "만사의 척도는 인간이다, ~인 것들에 대해서는 ~이라는, ~이지 않은 것들에 대해서는 ~이지 않다는."

A 13  =  Plato, Cratylus 385e6-386a1.
ὥσπερ Πρωταγορας ἔλεγεν λέγων πάντων χρημάτων μέτρον εἶναι ἄνθρωπον (Β 1), ὡς ἄρα οἷα μὲν ἂν ἐμοὶ φαίνηται τὰ πράγματα εἶναι, τοιαῦτα μὲν ἔστιν ἐμοί· οἷα δ᾿ ἂν σοί, τοιαῦτα δὲ σοί.
프로타고라스가 만물의 척도는 인간이라고 말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내게 그러한 것들이라고 보이는 사물들은, 내게 실제로 그러하고: 자네에게 그리 보이는 사물들은, 자네에게 실제로 그러하네.

A 14  =  Sextus Empirikus, outlines of Pyrrhonism I, 216-219.
καὶ ὁ Πρωταγορας δὲ βούλεται πάντων χρημάτων εἶναι μέτρον τὸν ἄνθρωπον τῶν μὲν ὄντων ὡς ἔστιν, τῶν δὲ οὐκ ὄντων ὡς οὐκ ἔστιν (Β 1), μέτρον μὲν λέγων τὸ κριτήριον, χρημάτων δὲ τῶν πραγμάτων, ὡς δυνάμει φάσκειν πάντων πραγμάτων κριτήριον εἶναι τὸν ἄνθρωπον, τῶν μὲν ὄντων ὡς ἔστιν, τῶν δὲ οὐκ ὄντων ὡς οὐκ ἔστιν. καὶ διὰ τοῦτο τίθησι τὰ φαινόμενα ἑκάστωι μόνα, καὶ οὕτως εἰσάγει τὸ πρός τι ...
그런가 하면 프로타고라스는 인간이 만물에 대하여 ~인 것들에 대해서는 ~이라는, ~이지 않은 것들에 대해서는 ~이지 않다는 척도이길 바란다, 규준을 척도라고 말하면서, 사태들을 만물로 말하면서, 인간이 만사의 규준이라 단언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서, ~인 것들에 대해서는 ~이라는, ~이지 않은 것들에 대해서는 ~이지 않다는. 이런 이유로 또한 그는 각자에게 현상들만을 유일한 것들로 세우며, 그런 식으로 무언가에 대한 것도 적용시킨다. ...
(217) φησὶν οὖν ὁ ἀνὴρ τὴν ὕλην ῥευστὴν εἶναι, ῥεούσης δὲ αὐτῆς συνεχῶς προσθέσεις ἀντὶ τῶν ἀποφορήσεων γίγνεσθαι καὶ τὰς αἰσθήσεις μετακοσμεῖσθαί τε καὶ ἀλλοιοῦσθαι παρά τε <τὰς> ἡλικίας καὶ παρὰ τὰς ἄλλας κατασκευὰς τῶν σωμάτων.
그러므로 그 사내는 질료가 유전하는 것이라 말하는데, 질료가 유전함으로써 결핍들에 반하여 연속적으로 추가들이 발생하고 감각들이 물질(육신?)들의 시간이나 여타의 지속들로부터 재배치되며 변화된다고 말한다.
(218) λέγει δὲ καὶ τοὺς λόγους πάντων τῶν φαινομένων ὑποκεῖσθαι ἐν τῆι ὕληι, ὡς δύνασθαι τὴν ὕλην ὅσον ἐφ᾿ ἑαυτῆι πάντα εἶναι ὅσα πᾶσι φαίνεται. τοὺς δὲ ἀνθρώπους ἄλλοτε ἄλλων ἀντιλαμβάνεσθαι παρὰ τὰς διαφόρους αὐτῶν διαθέσεις· τὸν μὲν γὰρ κατὰ φύσιν ἔχοντα ἐκεῖνα τῶν ἐν τῆι ὕληι καταλαμβάνειν ἃ τοῖς κατὰ φύσιν ἔχουσι φαίνεσθαι δύναται, τὸν δὲ παρὰ φύσιν ἃ τοῖς παρὰ φύσιν.
그는 모든 현상되는 것들에 대한 진술들이 질료 내에 현존한다고 말한다, 모두에게 현상하는 그러한 것들 전부가 질료 그 자체에서 성립될 수 있는 한에서. 그런데 인간들은 다른 경우 그들의 상이한 상태들과 다른 것들에 대해 파악한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어떤 이는 본성에 따라 질료 내의 것들 중에 저것들을 지님으로써 본성에 따르는 이들에게 나타날 수 있는 것들로 파악하는 반면, 다른 이는 본성과 어긋난 이들에게 나타날 수 있는 것들을 본성과 어긋나게 지님으로써 파악한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219) καὶ ἤδη παρὰ τὰς ἡλικίας καὶ κατὰ τὸ ὑπνοῦν ἢ ἐγρηγορέναι καὶ καθ᾿ ἕκαστον εἶδος τῶν διαθέσεων ὁ αὐτὸς λόγος. γίνεται τοίνυν κατ᾿ αὐτὸν τῶν ὄντων κριτήριον ὁ ἄνθρωπος. πάντα γὰρ τὰ φαινόμενα τοῖς ἀνθρώποις καὶ ἔστιν, τὰ δὲ μηδενὶ τῶν ἀνθρώπων φαινόμενα οὐδὲ ἔστιν. ὁρῶμεν οὖν ὅτι καὶ περὶ τοῦ τὴν ὕλην ῥευστὴν εἶναι καὶ περὶ τοῦ τοὺς λόγους τῶν φαινομένων πάντων ἐν αὐτῆι ὑποκεῖσθαι δογματίζει, ἀδήλων ὄντων καὶ ἡμῖν ἐφεκτῶν.
또한 이제 연령으로부터 그리고 수면상태나 각성상태에 따라 그리고 상태들의 각 종류에 따라 동일한 설명이 성립한다. 따라서 동일한 논변에 따라 인간이 ~인 것들의 규준이 된다. 왜냐하면 인간들에게 현상하는 모든 것들은 그러한 것들이기며, 인간들 중 그 누구에게도 ~이지 않은 현상들은 ~이지 않은 것들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질료가 유전한다는 것에 대해서도 그리고 모든 현상들에 대한 진술들이 그 질료 내에 자리한다는 것에 대해서도 그가 의견을 개진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불명료한 것들로 우리에겐 유보될지라도.

Καῖ Πρῶτος ἔφη δύο λόγους εἶναι περὶ παντὸς πράγματος ἀντικειμένους ἀλλήλοις· οἷς καὶ συνηρώτα, πρῶτος τοῦτο πράξας. ἀλλὰ καὶ ἤρξατό που τοῦτον τὸν τρόπον· "πάντων χρημάτων μέτρον ἄνθρωπος, τῶν μὲν ὄντων ὡς ἔστιν, τῶν δὲ οὐκ ὄντων ὡς οὐκ ἔστιν." ἔλεγέ τε μηδὲν εἶναι ψυχὴν παρὰ τὰς αἰσθήσεις, καθὰ καὶ Πλάτων φησὶν ἐν Θεαιτήτῳ, καὶ πάντα εἶναι ἀληθῆ.
또한 그는 만사에 관하여 상호 모순되는 이중의 논변들이 있다고 말한 최초의 사람이다: οἷς καὶ συνηρώτα, πρῶτος τοῦτο πράξας. 그런가 하면 어딘가에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그는 시작한다: "만사의 척도는 인간이다, ~인 것들에 대해서는 ~이라는, ~이지 않은 것들에 대해서는 ~이지 않다는." 그는 또 감각 외에 영혼은 아무것도 아니라고 말했다, 플라톤 또한 『테아이테토스』에서 전하는 바에 따라, 모든 것이 참이라고도 말한다.

-작성중-

[Stephanus page 245, section a, line 5] {ΞΕ.} Τὸ δὲ πεπονθὸς ταῦτα ἆρ' οὐκ ἀδύνατον αὐτό γε τὸ ἓν αὐτὸ εἶναι;
그런데 이러한 것들을 겪은 것이 바로 그 하나 자체와 동일한 것이기는 불가능한 것 아닙니까?
그런데 이런 일들을 겪은 것은 혹시 하나 자체와는 동일한 것일 수 없지 않은가?

{ΘΕΑΙ.} Πῶς; 어째서죠?

{ΞΕ.} Ἀμερὲς δήπου δεῖ παντελῶς τό γε ἀληθῶς ἓν κατὰ τὸν ὀρθὸν λόγον εἰρῆσθαι.
아마도 참으로 하나인 것은 올바른 논변에 따라 무엇보다도 확실히 부분 없는 것으로 이야기되어야 합니다.
아마도 전적으로 참되게 하나인 것은 올바른 진술에 따르자면 부분이 없는 것으로 이야기되어야 하네.
παντελῶς : most certainly.

{ΘΕΑΙ.} Δεῖ γὰρ οὖν. 그래야 하지요.

{ΞΕ.} Τὸ δέ γε τοιοῦτον ἐκ πολλῶν μερῶν ὂν

 οὐ συμφωνήσει τῷ [ὅλῳ] λόγῳ.
그런데 많은 부분들로부터 이러한 있음은 그 [전체] 논변에 어울리지 않을 것입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것은 많은 부분들로 이루어지기에 그 진술에 어울리지 않을 걸세.

{ΘΕΑΙ.} Μανθάνω. 알겠습니다.

{ΞΕ.} Πότερον δὴ πάθος ἔχον τὸ ὂν τοῦ ἑνὸς οὕτως ἕν τε [Stephanus page 245, section b, line 5] ἔσται καὶ ὅλον, ἢ παντάπασι μὴ λέγωμεν ὅλον εἶναι τὸ ὄν;
그러면 그 상태에서 하나에 속하는 있음은 그렇게 하나이면서 전체일 것입니까, 아니면 전적으로 우리는 있음이 전체라고 말하지 말까요?
그럼 그런 겪음을 하나에게서 지님으로써 그 ~임은 하나이자 전체이겠나, 아니면 모든 면에서 그 ~임은 전체가 아니라고 우리가 말하겠나?

{ΘΕΑΙ.} Χαλεπὴν προβέβληκας αἵρεσιν. 난처한 선택을 제시하셨습니다.
προβέβληκας : προβάλλω pf. sg2.

{ΞΕ.} Ἀληθέστατα μέντοι λέγεις. πεπονθός τε γὰρ τὸ ὂν ἓν εἶναί πως οὐ ταὐτὸν ὂν τῷ ἑνὶ φανεῖται, καὶ πλέονα δὴ τὰ πάντα ἑνὸς ἔσται.
물론 당신은 무엇보다도 참되게 말씀하십니다. 왜냐하면 그 있음이 하나이도록 영향을 받아 어떤 식으로든 하나와 동일하지 않은 있음으로 나타날 것이고, 실로 모든 것들은 하나보다 더 많은 것일 터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자네 말은 더할 나위 없이 맞네. 그 ~임이 하나임을 겪었기에 어떤 식으로 그 하나와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날 것이고, 게다가 모든 것들은 하나보다 많은 것들일 것이기 때문일세.

{ΘΕΑΙ.} Ναί. 네.

{ΞΕ.} Καὶ μὴν ἐάν γε τὸ ὂν ᾖ μὴ ὅλον διὰ τὸ πεπονθέναι τὸ ὑπ' ἐκείνου πάθος, ᾖ δὲ αὐτὸ τὸ ὅλον, ἐνδεὲς τὸ ὂν ἑαυτοῦ συμβαίνει.
또한 실로 만일 그 있음이 저 상태에 의해 영향을 받은 일로 인하여 전체가 아닐 것이라면, 그러나 전체 그 자체가 있을 것이라면, 그 있음은 그 자신에 대한 결여로 귀결합니다.
그런가 하면 그 ~임은 만일 저것(하나?)에 의해 겪음을 겪었다는 이유로 정녕 전체이지 않았다면, 반면에 전체 자체가 있다면, 그 ~임은 자기 자신을 결핍한 것으로 되어 버리네.
ἐνδεὲς : ἐνδεής, ές. wanting or lacking in, in need of. c.gen.

{ΘΕΑΙ.} Πάνυ γε. 확실히요.

[Stephanus page 245, section c, line 5] {ΞΕ.} Καὶ κατὰ τοῦτον δὴ τὸν λόγον ἑαυτοῦ στερόμενον οὐκ ὂν ἔσται τὸ ὄν.
또한 실로 이와 같은 논변에 따라 있음은 그 자신에 대해 결여함으로써 있지 않은 것일 터입니다.
게다가 그러한 진술(논리)에 따라 그 자신을 결여함으로써 ~임은 ~이지 않은 것일 테지.
στερόμενον : στέρομαι part. to be without, lack, lose.

{ΘΕΑΙ.} Οὕτως. 그렇습니다.

{ΞΕ.} Καὶ ἑνός γε αὖ πλείω τὰ πάντα γίγνεται, τοῦ τε ὄντος καὶ τοῦ ὅλου χωρὶς ἰδίαν ἑκατέρου φύσιν εἰληφότος.
그리고 모든 것들은 이번엔 그 하나보다 더 많게 될 것입니다, 있음도 전체도 별개로 각각의 개별적인 본성을 지녔기에 말입니다.
그런가 하면 또 그 모든 것들은 하나보다 더 많게 된다네, ~임도 전체도 따로 그 둘 각자의 개별적인(고유한) 본성을 지님으로써 말일세.
χωρὶς : separately, apart.

{ΘΕΑΙ.} Ναί. 네.

{ΞΕ.} Μὴ ὄντος δέ γε τὸ παράπαν τοῦ ὅλου, ταὐτά τε ταῦτα ὑπάρχει τῷ ὄντι, καὶ πρὸς τῷ μὴ εἶναι μηδ' ἂν γενέσθαι ποτὲ ὄν.
그런데 전적으로 전체가 있지 않기에, 이러한 일들은 있음에도 똑같은 것들로 있고, 또 있음 아닌 것에 대해서도 도대체 있음이 되지 못합니다.
그런데 통틀어 전체가 있지 않을 때, ~임에도 바로 이런 일들도 동일하게 발생하고, ~이지 않다는 것에 더해 도대체 아무것도 있게 되지 않을 것이기에 말이네.

{ΘΕΑΙ.} Τί δή; 왜 그런가요?

[Stephanus page 245, section d, line 4] {ΞΕ.} Τὸ γενόμενον ἀεὶ γέγονεν ὅλον· ὥστε οὔτε οὐσίαν οὔτε γένεσιν ὡς οὖσαν δεῖ προσαγορεύειν [τὸ ἓν ἢ] τὸ ὅλον ἐν τοῖς οὖσι μὴ τιθέντα.
생겨나는 것은 언제나 전체로서 생겨납니다: 그래서 있는 것들에 전체를 두지 않는 자는 있는 것도 생겨남도 있음으로서 부르지 않아야 합니다.
~되는 것은 언제나 전체가 되지: 그래서 전체가 ~인 것들에 놓이지 않을 때 그 전체를 ~이라고 생각하여 ~임(존재)이라고 부르는 일도 ~됨(생성)이라고 부르는 일도 안 되는 일이네.

{ΘΕΑΙ.} Παντάπασιν ἔοικε ταῦθ' οὕτως ἔχειν.
전적으로 이러한 일들은 사정이 그러할 것 같습니다.

{ΞΕ.} Καὶ μὴν οὐδ' ὁποσονοῦν τι δεῖ τὸ μὴ ὅλον εἶναι· ποσόν τι γὰρ ὄν, ὁπόσον ἂν ᾖ, τοσοῦτον ὅλον ἀναγκαῖον αὐτὸ εἶναι.
또한 전체가 아닌 것은 어떤 그 만큼도 아니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어떤 것이 얼만큼이라면, 그만큼일 것이고, 그것이 그만큼의 전체임이 필연적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확실히 전체가 아닌 것은 그 만한 무엇이어서도 안 된다네: 무언가 얼마만한 것일 때, 그것은 그 만한 것일 테고, 그것은 이러한 만큼의 전체임이 필연적이기 때문이지.

{ΘΕΑΙ.} Κομιδῇ γε. 정확히 그렇습니다.

{ΞΕ.} Καὶ τοίνυν ἄλλα μυρία ἀπεράντους ἀπορίας ἕκαστον εἰληφὸς φανεῖται τῷ τὸ ὂν εἴτε δύο τινὲ εἴτε ἓν μόνον εἶναι [Stephanus page 245, section e, line 2] λέγοντι.
또 따라서 각기 한 없는 어려움들을 불러오는 수 없이 많은 다른 일들이 있음을 어떤 둘이나 유일한 하나라고 말하는 자에게 나타날 것입니다.
따라서 ~임을 어떤 둘이라거나 혹은 오직 하나라고 말하는 자에게 다른 헤아릴 수 없는 일들도 각기 한없는 어려움들을 지닌 것으로 나타날 걸세.

{ΘΕΑΙ.} Δηλοῖ σχεδὸν καὶ τὰ νῦν ὑποφαίνοντα· συνάπτεται γὰρ ἕτερον ἐξ ἄλλου, μείζω καὶ χαλεπωτέραν φέρον περὶ τῶν ἔμπροσθεν ἀεὶ ῥηθέντων πλάνην.
당장 드러나는 일들도 거의 분명합니다: 왜냐하면 또 다른 것으로부터 다른 쪽의 것이 결합하기 때문입니다, 앞서 항상 이야기된 것들에 관하여 더 크고 더욱 어려운 방황을 가져오면서 말이죠.
당장에 드러나는 일들도 얼추 분명합니다: 다른 것으로부터 또 다른 것이 결합하기 때문이죠, 언제나 앞서 이야기된 것들에 관하여 더 크고 더욱 어려운 헤매임을 이끌어 오면서요.

{ΞΕ.} Τοὺς μὲν τοίνυν διακριβολογουμένους ὄντος τε πέρι καὶ μή, πάντας μὲν οὐ διεληλύθαμεν, ὅμως δὲ ἱκανῶς ἐχέτω· τοὺς δὲ ἄλλως λέγοντας αὖ θεατέον, ἵν' ἐκ πάντων ἴδωμεν ὅτι τὸ ὂν τοῦ μὴ ὄντος οὐδὲν εὐπορώτερον εἰπεῖν ὅτι ποτ' ἔστιν.
따라서 있음과 그렇지 않음에 관하여 우리가 상세히 고찰하는 자들, 그 모든 자들을 우리가 샅샅히 살피지는 않았습니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분하다고 해둡시다: 그러나 달리 말하는 자들 또한 보아야 합니다, 우리가 모든 면에서 있음이 없음보다 도대체 그것이 무엇인지 말하기 전혀 더 쉽지 않음을 알기 위해서 말입니다.
그러니 ~임과 ~이지 않음에 관하여 면밀히 고찰하는 자들, 그 모든 자들을 우리가 고찰하지는 않았지만, 그렇더라도 충분하다고 해두세: 이번엔 달리 말하는 자들을 살펴 보아야 하는데, ~임이 도대체 무엇인지 말하기가 ~이지 않음보다 전혀 더 녹록치 않다는 점을 우리가 모든 점으로부터 알기 위해서일세.
διακριβολογουμένους : inquire minutely. (count-λογίζομαι 연관 가능한지 확인요망)
διεληλύθαμεν : διέρχομαι mp. go through.

{ΘΕΑΙ.} Οὐκοῦν πορεύεσθαι χρὴ καὶ ἐπὶ τούτους. //190420
확실히 이런 자들을 향해서도 나아가야만 합니다.

[Stephanus page 246, section a, line 4] {ΞΕ.} Καὶ μὴν ἔοικέ γε ἐν αὐτοῖς οἷον γιγαντομαχία τις εἶναι διὰ τὴν ἀμφισβήτησιν περὶ τῆς οὐσίας πρὸς ἀλλήλους.
또한 바로 그들 사이에서 예를 들어 어떤 거인전쟁과 같은 것이 있는 듯합니다, 서로들에 맞서 실체에 관한 말싸움을 통해서 말이지요.
그런데 ~임에 관한 서로를 향한 논쟁으로 인하여 그들 사이에는 예컨데 어떤 거신전쟁이 있던 듯하네.

{ΘΕΑΙ.} Πῶς; 어떤 식으로 말씀이십니까?

{ΞΕ.} Οἱ μὲν εἰς γῆν ἐξ οὐρανοῦ καὶ τοῦ ἀοράτου πάντα ἕλκουσι, ταῖς χερσὶν ἀτεχνῶς πέτρας καὶ δρῦς περιλαμβάνοντες. τῶν γὰρ τοιούτων ἐφαπτόμενοι πάντων διισχυρίζονται τοῦτο εἶναι μόνον ὃ παρέχει προσβολὴν καὶ ἐπαφήν τινα, ταὐτὸν σῶμα καὶ οὐσίαν ὁριζόμενοι, τῶν δὲ ἄλλων εἴ τίς <τι> φήσει μὴ σῶμα ἔχον εἶναι, καταφρονοῦντες τὸ παράπαν καὶ οὐδὲν ἐθέλοντες ἄλλο ἀκούειν.
한 쪽은 하늘과 보이지 않는 곳으로부터 땅으로 모든 것들을 끌어냅니다, 말 그대로 그들의 손들로 바위들과 나무들을 움켜잡고서 말이죠. 왜냐하면 이와 같은 모든 것들을 쥐고서 다음과 같은 것만이, 즉 어떤 충돌이나 접촉을 산출하는 것만이 있다고 확언하기 때문입니다, 이와 물체를 실체와 같은 것으로 정의하면서, 만일 누군가 다른 것들 중에서 물체를 지니지 않는 것이 있다고 말한다면, 완전히 업신여기면서 또 다른 것은 전혀 들으려고도 하지 않으면서요.
한 편에서는 하늘과 보이지 않는 곳으로부터 땅으로 모든 것들을 끌어내는데, 말 그대로 그들의 손으로 바위들과 나무들을 움켜잡으며 그리하네. 왜냐하면 그들은 그런 모든 것들을 붙들고서 어떤 접근과 접촉을 내놓는 그것뿐이라고 단언하니까, 물체(신체)와 ~임을 같은 것으로 정의하면서, 만일 다른 이들 중 누군가 뭔가를 물체를 지니지 않는 것이라 말한다면, 싸잡아 업신여기며 다른 아무것도 들으려 하지 않으면서 말일세.
διισχυρίζονται : affirm confidently.

[Stephanus page 246, section b, line 4] {ΘΕΑΙ.} Ἦ δεινοὺς εἴρηκας ἄνδρας· ἤδη γὰρ καὶ ἐγὼ τούτων συχνοῖς προσέτυχον.
당신께선 정말이지 무시무시한 자들을 말씀하셨네요: 이미 제 자신도 그들의 상당수들과 마주쳤으니 드리는 말씀입니다.

{ΞΕ.} Τοιγαροῦν οἱ πρὸς αὐτοὺς ἀμφισβητοῦντες μάλα εὐλαβῶς ἄνωθεν ἐξ ἀοράτου ποθὲν ἀμύνονται, νοητὰ ἄττα καὶ ἀσώματα εἴδη βιαζόμενοι τὴν ἀληθινὴν οὐσίαν εἶναι· τὰ δὲ ἐκείνων σώματα καὶ τὴν λεγομένην ὑπ' αὐτῶν ἀλήθειαν κατὰ σμικρὰ διαθραύοντες ἐν τοῖς λόγοις γένεσιν ἀντ' οὐσίας φερομένην τινὰ προσαγορεύουσιν. ἐν μέσῳ δὲ περὶ ταῦτα ἄπλετος ἀμφοτέρων μάχη τις, ὦ Θεαίτητε, ἀεὶ συνέστηκεν.
그러니까 그 이유는 바로 그와 같은 자들에 맞서 반론하는 이들은 아주 신중하게 보이지 않는 어떤 곳으로부터 위쪽으로 피하기 때문입니다, 정신적이며 비물질적인 어떤 형상들을 진실된 실체인 것이도록 강요함으로써 말이지요: 그러나 저들의 물체들과 저들에 의해 이야기된 진리를 작은 것들로 논의 속에서 조각냄으로써 실체 대신에 산출된 어떤 생성으로 그들은 부릅니다. 그런데 이러한 일들과 관련한 한 가운데에서 둘 사이에 어떤 막대한 싸움이, 테아이테토스, 언제나 맞붙었습니다.
그러니까 그런 이유로 그 자들을 상대로 반론하는 이들은 무척이나 신중하게 보이지 않는 위쪽 어딘가로부터 방어한다네, 정신적인 어떤 것들과 비물체적인 형상들을 진정한 ~임이라 강요함으로써 말이지:  그리고 저들의 물체들과 저들에 의해 진리라 이야기되는 것을 그들은 진술들 내에서 잘게 조각내어 ~임 대신 이끌려진 어떤 ~됨(생성)이라 부른다네. 이런 일들에 관하여 그 한복판에서 양자간의 어떤 엄청난 전쟁이 언제나 함께 일어났지.
εὐλαβῶς : εὐλαβής adv. taking hold well, holding fast, clinging. undertaking prudently, discreet, cautious.
ἀμύνονται : ἀμύνω mp. keep or ward off from onself, guard or defend oneself against.
διαθραύοντες : break in small pieces.
συνέστηκεν : συνίστημι pf. in hostile sense, to be joined.

[Stephanus page 246, section c, line 4] {ΘΕΑΙ.} Ἀληθῆ. 맞는 말씀이십니다.

{ΞΕ.} Παρ' ἀμφοῖν τοίνυν τοῖν γενοῖν κατὰ μέρος λάβωμεν λόγον ὑπὲρ ἧς τίθενται τῆς οὐσίας.
따라서 그 양쪽 두 부류에게서 부분적(개별적)으로 우리 그들이 실체로 두는 것을 위한 논변을 취해 보도록 합시다.
그러니 그 양쪽 부류에게서 각기 그 부류가 ~임으로 세우는 것의 진술을 취해 보세.

{ΘΕΑΙ.} Πῶς οὖν δὴ ληψόμεθα; 그러면 우리가 어떤 식으로 취할까요?

{ΞΕ.} Παρὰ μὲν τῶν ἐν εἴδεσιν αὐτὴν τιθεμένων ῥᾷον, ἡμερώτεροι γάρ· παρὰ δὲ τῶν εἰς σῶμα πάντα ἑλκόντων βίᾳ χαλεπώτερον, ἴσως δὲ καὶ σχεδὸν ἀδύνατον. ἀλλ' ὧδέ μοι δεῖν δοκεῖ περὶ αὐτῶν δρᾶν.
형상들에 그것을 두는 자들 쪽에서는 더욱 쉽게(우리가 취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더욱 온건한 자들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모든 것들을 물체 쪽으로 끌어 들이는 자들 쪽에서는 더욱 어려운데, 거의 가능하지 않을 것도 같습니다. 하지만 저로서는 이런 식으로 그것들에 관련하여 해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임을 형상들 사이에 놓는 이들에게서는 우리가 쉽사리 취할 텐데, 그들이 한결 온건한 자들이기 때문이네: 허나 모든 것들을 물체로 억지로 끌어오는 자들에게서는 일이 더욱 어렵고, 심지어 거의 불가능할 듯도 싶구만. 허나 내 보기엔 그들에게서는 이런 식으로 할 필요가 있을 것 같네.
ἡμερώτεροι : ἥμερος compr. tame.
ἑλκόντων : ἕλκω part. draw.

{ΘΕΑΙ.} Πῶς; 어떻게요?

{ΞΕ.} Μάλιστα μέν, εἴ πῃ δυνατὸν ἦν, ἔργῳ βελτίους [Stephanus page 246, section d, line 5] αὐτοὺς ποιεῖν· εἰ δὲ τοῦτο μὴ ἐγχωρεῖ, λόγῳ ποιῶμεν, ὑποτιθέμενοι νομιμώτερον αὐτοὺς ἢ νῦν ἐθέλοντας ἂν ἀποκρίνασθαι. τὸ γὰρ ὁμολογηθὲν παρὰ βελτιόνων που κυριώτερον ἢ τὸ παρὰ χειρόνων· ἡμεῖς δὲ οὐ τούτων φροντίζομεν, ἀλλὰ τἀληθὲς ζητοῦμεν.
무엇보다도, 만일 어떤 식으로 가능하다면, 실제로 그들을 더욱 나은 자들로 만드는 일입니다: 그러나 만일 이러한 일이 가능하지 않다면, 논변으로 우리가 그리 만들도록 합시다, 우리가 그들을 지금 그들이 대답하길 바라는 것보다 더 적법하게 가정함으로써 말입니다. 왜냐하면 더 나은 자들에게서 동의되었던 것은 아마도 더 못한 자들에게서의 것보다는 더욱 권위있는 것일 테니까요: 그러나 우리 자신은 이러한 것들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고, 그러나 진리를 추구합니다.
무엇보다도, 만일 어떤 식으로 가능하다면, 실제로 그들을 더 나은 자들로 만들 필요가 있지: 그런데 만일 이 일이 여지가 없다면, 진술로 그리 만들어 보세, 그들을 지금 그들이 답하려 할 것보다 더 합당한 걸 답한다고 가정함으로써 말이네. 더 나은 자들에게서 동의된 것이 아마도 더 저열한 자들에게서 정의된 것보다 더 권위있을 테니까: 그러나 우리 이런 것들은 고려치 말고, 진리를 추구하기로 하세.
ἐγχωρεῖ : give room to do a thing, allow. impers. there is time, it is possible.
νομιμώτερον : conformable to custom, legitimate.
ὁμολογηθὲν : ὁμολογέω aor. pass. part.
κυριώτερον : having power or authority. supreme.

{ΘΕΑΙ.} Ὀρθότατα. 옳은 말씀이십니다.

{ΞΕ.} Κέλευε δὴ τοὺς βελτίους γεγονότας ἀποκρίνασθαί σοι, καὶ τὸ λεχθὲν παρ' αὐτῶν ἀφερμήνευε.
그래서 당신은 그 더 나아진 자들이 당신에게 대답하도록 재촉하시고, 또 그들에 의해 이야기된 것을 설명하세요.
그럼 자네 더 나아진 그들이 대답을 촉구하게, 그리고 그들에게서 진술된 것을 해설해 주게.
Κέλευε : urge on, drive on. exhort, bid. order.
ἀφερμήνευε : interpret, expound. translate.

{ΘΕΑΙ.} Ταῦτ' ἔσται. 그리 할 것입니다.

{ΞΕ.} Λεγόντων δὴ θνητὸν ζῷον εἴ φασιν εἶναί τι.
그들이 혹시 필멸하는 생명인 어떤 것이 있다고 이야기하는지 말하도록 합시다.
그럼 그들이 뭔가를 필멸하는 생물이라 말하는지 그들로 하여금 진술하게 해보세.

[Stephanus page 246, section e, line 6] {ΘΕΑΙ.} Πῶς δ' οὔ; 어찌 아니겠습니까?

{ΞΕ.} Τοῦτο δὲ οὐ σῶμα ἔμψυχον ὁμολογοῦσιν;
그런데 그들은 그것이 영혼을 가진 육체(물체)라 동의하지 않나?

{ΘΕΑΙ.} Πάνυ γε. 물론입니다.

{ΞΕ.} Τιθέντες τι τῶν ὄντων ψυχήν; 그들이 영혼을 ~인 것들 중 무언가로 두면서 말인가?

{ΘΕΑΙ.} Ναί. 네.

{ΞΕ.} Τί δέ; ψυχὴν οὐ τὴν μὲν δικαίαν, τὴν δὲ ἄδικόν φασιν εἶναι, καὶ τὴν μὲν φρόνιμον, τὴν δὲ ἄφρονα;
그런데 어떻습니까? 그들은 어떤 영혼은 올바르지만, 다른 영혼은 올바르지 못하다고 말하고, 어떤 영혼은 사려깊은데, 다른 영혼은 어리석다고 말하지 않습니까?
헌데 어떤가? 그들은 영혼이 어떤 것은 정의롭지만, 다른 것은 부정의하다고 말하지 않나, 또 어떤 것은 사려 깊지만, 다른 것은 어리석다고 하지 않는가?
φρόνιμον : in one's right mind. sensible, prudent.

{ΘΕΑΙ.} Τί μήν; 왜 아니겠습니까?

{ΞΕ.} Ἀλλ' οὐ δικαιοσύνης <ἤ φρονήσεως> ἕξει καὶ παρουσίᾳ τοιαύτην αὐτῶν ἑκάστην γίγνεσθαι, καὶ τῶν ἐναντίων τὴν ἐναντίαν;
하지만 올바름의 상태와 현전으로 그 영혼들 중에 이와 같은 각각의 영혼이 생겨난다고, 또 반대의 것들에서 반대의 영혼이 생겨난다고 말하지는 않습니까?
그럼 정의로움이나 사려 깊음의 소유와 의존으로 그것들 각각의 그러한 영혼이 된다고, 또 반대되는 것들 중 반대되는 영혼이 된다고 말하지 않나?

[Stephanus page 247, section a, line 7] {ΘΕΑΙ.} Ναί, καὶ ταῦτα σύμφασιν. 네, 그런 것들도 그들이 동의합니다.

{ΞΕ.} Ἀλλὰ μὴν τό γε δυνατόν τῳ παραγίγνεσθαι καὶ ἀπογίγνεσθαι πάντως εἶναί τι φήσουσιν.
하지만 실로 현재함이나 부재함이 가능한 어떤 것이 전적으로 있다고 그들은 말할 것입니다.
그럼 실로 의존됨과 분리됨의 능력이 있는 것은 전적으로 무엇인가라고 그들이 말할 걸세.

{ΘΕΑΙ.} Φασὶ μὲν οὖν. 그들은 그렇게 말합니다.

{ΞΕ.} Οὔσης οὖν δικαιοσύνης καὶ φρονήσεως καὶ τῆς ἄλλης ἀρετῆς καὶ τῶν ἐναντίων, καὶ δὴ καὶ ψυχῆς ἐν ᾗ ταῦτα ἐγγίγνεται, πότερον ὁρατὸν καὶ ἁπτὸν εἶναί φασί τι αὐτῶν ἢ πάντα ἀόρατα;
그러므로 올바름과 사려깊음과 다른 덕과 그 반대의 것들이 있고, 또한 더 나아가 이러한 것들이 그 안에 생겨나는 영혼도 있으니, 그들은 그것들 중 어떤 보이고 만질 수 있는 어떤 것이 있다고 말합니까 아니면 전부 볼 수 없는 것들이라고 말합니까?
그러므로 정의로움과 사려깊음 그리고 다른 덕과 그 반대되는 것들이 ~인데도, 더 나아가 그런 것들이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영혼까지 ~인데도, 그들은 그것들 중 무언가가 보이고 닿는 것이라 하는가 아니면 그 모든 것들이 보이지 않는 것들이라 하는가?

{ΘΕΑΙ.} Σχεδὸν οὐδὲν τούτων γε ὁρατόν.
아마도 이것들 중 아무것도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ΞΕ.} Τί δὲ; τῶν τοιούτων μῶν σῶμά τι λέγουσιν ἴσχειν;
그런데 다음과 같은 것들에 대해서는 어떻습니까? 그들이 어떤 물체를 주장한다고 말합니까?
그럼 어떤가? 물론 무언가가 그러한 것들의 물체를 지닌다고 진술하진 않지?
μῶν : adv. surely not? not, are you?
ἴσχειν : ἴσχω inf. keep, hold. involve.

[Stephanus page 247, section b, line 7] {ΘΕΑΙ.} Τοῦτο οὐκέτι κατὰ ταὐτὰ ἀποκρίνονται πᾶν, ἀλλὰ τὴν μὲν ψυχὴν αὐτὴν δοκεῖν σφίσι σῶμά τι κεκτῆσθαι, φρόνησιν δὲ καὶ τῶν ἄλλων ἕκαστον ὧν ἠρώτηκας, αἰσχύνονται τὸ τολμᾶν ἢ μηδὲν τῶν ὄντων αὐτὰ ὁμολογεῖν ἢ πάντ' εἶναι σώματα διισχυρίζεσθαι.
이 모든 것을 더 이상 이러한 것들에 따라 대답하지는 않지만, 영혼 자체는 그들에게 어떤 물체를 지닌다고 여겨진다고 (대답합니다), 그러나 당신께서 물으셨던 사려깊음과 다른 것들의 각각은, 있는 것들 중에 아무것도 아니라고 동의하려 드는 것이든 모든 것들이 물체들이라고 확언하려 드는 것이든 수치스러워 합니다.
그런 것들에 대해서는 더 이상 그게 전부라 답하지는 않습니다만, 영혼 자체는 그들에게 어떤 물체를 지녔다고 여겨진다 답하고, 사려 깊음과 당신께서 말씀하신 다른 것들 각각은, 그것들이 ~인 것들 중 그 어떤 것이라고도 동의하지 않는 것이든 모든 것들이 물체들이라 확언하는 일이든 감행하길 수치스러워합니다.
σφίσι : σφεῖς dat. they, them.
κεκτῆσθαι : κτάομαι pf. mp. inf. to have acquired. possess, hold.
τολμᾶν : τολμάω inf. dare, endure, submit. to have the courage. venturing on it.
διισχυρίζεσθαι : διϊσχῡρίζομαι inf. affirm confidently.

{ΞΕ.} Σαφῶς γὰρ ἡμῖν, ὦ Θεαίτητε, βελτίους γεγόνασιν ἇνδρες· ἐπεὶ τούτων οὐδ' ἂν ἓν ἐπαισχυνθεῖεν οἵ γε αὐτῶν σπαρτοί τε καὶ αὐτόχθονες, ἀλλὰ διατείνοιντ' ἂν πᾶν ὃ μὴ δυνατοὶ ταῖς χερσὶ συμπιέζειν εἰσίν, ὡς ἄρα τοῦτο οὐδὲν τὸ παράπαν ἐστίν.
왜냐하면 우리에겐 확실하게, 테아이테토스여, 그들이 더 나은 자들이 되었으니까요: 그들 중 교화되고 또 본토출신인 자들은 이것들 중 어느 것 하나에 대해서도 수치스러워하지 않을 것이지만, 그들의 손들로 움켜쥘 수 없는 모든 일을 두고 전력할 것입니다, 혹시 이것이 전적으로 아무것도 아니지 않나 하고 말입니다.
그야, 테아이테토스, 확실히 우리에게 그 자들이 더 나은 자들이 되었기 때문이네: 그들 중 씨 뿌려진 자들이자 토박이들은 그 일들 중 한 가지도 부끄러워하지 않을 테고, 되려 그들이 손으로 움켜쥘 수 없는 모든 것, 그건 죄다 아무것도 아니라고 강변할 터이니.
ἐπαισχυνθεῖεν : ἐπαισχύνομαι aor. opt. mp. to be ashamed at or of.
σπαρτοί : sown, grown from seed, cultivated.
διατείνοιντο : διατείνω opt. mp. exert oneself.
συμπιέζειν : συμπιέζω inf. press or squeeze together, grasp closely.

[Stephanus page 247, section c, line 8] {ΘΕΑΙ.} Σχεδὸν οἷα διανοοῦνται λέγεις.
아마 당신께선 그들이 말할 법한 만큼의 것들을 말씀하고 계십니다.
διανοοῦνται : διανοέω mp. to be minded. intend.

{ΞΕ.} Πάλιν τοίνυν ἀνερωτῶμεν αὐτούς· εἰ γάρ τι καὶ σμικρὸν ἐθέλουσι τῶν ὄντων συγχωρεῖν ἀσώματον, ἐξαρκεῖ. τὸ γὰρ ἐπί τε τούτοις ἅμα καὶ ἐπ' ἐκείνοις ὅσα ἔχει σῶμα συμφυὲς γεγονός, εἰς ὃ βλέποντες ἀμφότερα εἶναι λέγουσι, τοῦτο αὐτοῖς ῥητέον. τάχ' οὖν ἴσως ἂν ἀποροῖεν· εἰ δή τι τοιοῦτον πεπόνθασι, σκόπει, προτεινομένων ἡμῶν, ἆρ' ἐθέλοιεν ἂν δέχεσθαι καὶ ὁμολογεῖν τοιόνδ' εἶναι τὸ ὄν.
따라서 다시 한 번 우리 그들에게 묻도록 합시다: 왜냐하면 만일 그들이 있는 것들 중 작은 어떤 것이 비물체적인 것이라고 받아들이기를 바란다면, 그것으로 충분하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이것들에 대해서도 그리고 또 물체를 지닌 저것들에 대해서도 생겨난 본성, 그들이 바라보면서 그 양자 모두 있다고 말하는 것, 이것이 그들에게는 이야기해야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어쩌면 그들이 길을 잃을 것도 같습니다: 만일 실로 이와 같은 어떤 것을 그들이 겪었다면, 숙고하도록 하십시오, 우리가 제의할 때, 혹시 그들이 이와 같은 것이 있는 것이라고 받아들이고 동의하기를 바랄지 말입니다.
그러니 그들에게 다시 물어 보도록 하세: 만일 ~인 것들 중 자그마한 무엇이라도 비물체적이라고 그들이 동의할 성 싶다면, 그걸로 족하다네. 그런 것들과 동시에 물체를 지니는 저것들에 공통으로 타고나 이루어진 것, 그것을 바라보며 양자 모두 ~이라고 그들이 말하는 것, 그것을 그들이 말해야 하네. 그러니 아마 그들은 곤란에 빠질 걸세: 그래서, 만일 그런 어떤 일을 그들이 겪는다면, 숙고해 보게, 우리가 내세울 적에, 혹시 그들이 ~임이 이런 것이라 받아들이고 동의할 성싶은지 말일세.
συγχωρεῖν : come together, combine. move together, close up. fall in with, agree with. concede, give up. grant that.
ἐξαρκεῖ : ἐξαρκέω. impers. it is enough for. / συμφυὲς : συμφῠής. born with one, congenital, natural.
γεγονός : γίγνομαι pf. part. / βλέποντες : βλέπω part. with. ἐς or εἰς, look to. / πεπόνθασι : πάσχω pf.
σκόπει : sg2. imper. / προτεινομένων : προτείνω part. mp. hold out, offer.
δέχεσθαι : δέχομαι inf. take, accept, receive.

{ΘΕΑΙ.} Τὸ ποῖον δή; λέγε, καὶ τάχα εἰσόμεθα.
실로 어떠한 것입니까? 말씀해 주세요, 그럼 곧 우리가 알게 될 것입니다.

{ΞΕ.} Λέγω δὴ τὸ καὶ ὁποιανοῦν [τινα] κεκτημένον δύναμιν [Stephanus page 247, section e, line 1] εἴτ' εἰς τὸ ποιεῖν ἕτερον ὁτιοῦν πεφυκὸς εἴτ' εἰς τὸ παθεῖν καὶ σμικρότατον ὑπὸ τοῦ φαυλοτάτου, κἂν εἰ μόνον εἰς ἅπαξ, πᾶν τοῦτο ὄντως εἶναι· τίθεμαι γὰρ ὅρον ὁρίζειν τὰ ὄντα ὡς ἔστιν οὐκ ἄλλο τι πλὴν δύναμις.
그래서 무엇이 되었든 그것 아닌 다른 것을 내놓은 만듦 쪽으로든 아니면 아주 저열한 것에 의해 극히 사소한 것이라도 겪음 쪽으로든 어떤 종류의 힘을 획득한 것을, 만일 오직 단 한 차례뿐이라도, 이런 것 전부가 실제로 있다고 저는 말합니다: 왜냐하면 저는 있는 것들을 힘 이외에 다른 어떤 것도 아닌 것으로 정의를 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나는 뭐든지 간에 어떤 능력을 획득한 것은, 뭐가 되었든 달리 타고난 것을 만들어 내는 쪽으로든 아주 미미한 것에 의해 매우 작게라도 겪는 쪽으로든 말일네만, 설령 단 한 번만이라 할지라도, 그 모두가 진정으로 ~이라고 말하네: 내가 능력 외에 다른 무엇도 ~인 것들이 ~이라고 경계 짓는 경계석으로 두지 않는 까닭이지.
ὁποιανοῦν : ὁποῖος f.acc. of what sort or quality.
κεκτημένον : κτάομαι pf. mp. part. procure, get, acquire.
πεφυκὸς : φύω pf. part. bring forth, produce, put forth.
φαυλοτάτου : cheap, easy, slight, palty. low, mean, common.
εἰς ἅπαξ : εἰσάπαξ. adv. at once, once for all.

{ΘΕΑΙ.} Ἀλλ' ἐπείπερ αὐτοί γε οὐκ ἔχουσιν ἐν τῷ παρόντι τούτου βέλτιον λέγειν, δέχονται τοῦτο.
하지만 바로 그들 자신이 현전하는 것 속에 이것보다 더 나은 말할 것을 지니지 못하므로, 이것을 그들이 받아들일 것입니다.
실로 지금 그들은 그보다 더 나은 것을 말할 수 없기에, 그것을 받아들일 것입니다.

{ΞΕ.} Καλῶς· ἴσως γὰρ ἂν εἰς ὕστερον ἡμῖν τε καὶ τούτοις ἕτερον ἂν φανείη. πρὸς μὲν οὖν τούτους τοῦτο ἡμῖν ἐνταῦθα μενέτω συνομολογηθέν.
훌륭합니다: 왜냐하면 이후로 우리에게도 이 사람들에게도 다른 것(정의)이 나타날 것 같으니 말입니다. 그러므로 그들과 우리에게 이 점이 여기에서 동의되었던 것으로 머무르도록 합시다.
충분하네: 이후로도 우리에게나 그들에게나 또 다른 것이 나타날 것 같으니까. 그러니 그들에 대해 우리와 그 점이 여기에서 동의된 것으로 머무르게끔 하세.
εἰς ὕστερον : ἐσύστερον. adv. hereafter.
συνομολογηθέν : συνομολογέω aor. pass. part.

{ΘΕΑΙ.} Μένει. 그 점은 그리 머무릅니다.

-蟲-


11. That it is of his own power that he dies, and that mortality is not a property of human nature which is pure
그가 죽는 것이 그의 고유한 능력이라는 것, 그리고 필멸성은 순수한 인간 본성의 속성이 아니라는 것

A. It now remains to investigate whether he is capable of dying as a consequence of his human nature; for, in consequence of his divine nature, he will always be incorruptible.
이제 남아있는 탐구할 것은 그가 그의 인간 본성의 귀결로서 죽을 능력이 있는지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의 신성의 귀결로, 그는 불후할 것이기 때문이다.
B. Why need we have doubt about this, seeing that he is to be a true man and all mankind is by nature mortal?
우리가 이것에 대해 왜 의심해야 하는가, 그는 진정한 인간일 것이고 모든 인류는 본성상 필멸인데?
A. I do not think that mortality is a property of pure human nature, rather of human nature which is corrupt. Certainly, if man had never sinned and his immortality had been confirmed in such a way that it could not be changed, he would none the less have been truly human. Moreover, when mortals rise again into incorruptibility, they will be no less true human beings. Now, if mortality were a property essential for the genuineness of human nature, it would not be possible for someone immortal to be human. For corruptibility or incorruptibility is not a determinant of the genuineness of human nature, since neither makes or destroys a human being: rather, one has the power to cause him misery, the other happiness. But, on the reasoning that there is no human being who does not die, ‘mortal’ is specified in the definition of a man given by philosophers who did not believe that the whole man had ever been, or could be, immortal. Because of this, the fact that he is truly human is insufficient to prove that the man we have in mind need be mortal.
나는 필멸이 순수한 인간 본성의 속성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오히려 오염된 인간 본성에 속한다고 생각한다. 확실히, 만일 인간이 결코 죄를 짓지 않았고 그의 불멸성이 변할 수 없을 그런 방식으로 확정되었더라면, 그는 조금도 덜 참된 인간이지 않았을 것이다. 더욱이, 필멸자들이 불후성으로 부활할 때, 그들은 전혀 덜 인간존재들인 게 아닐 것이다. 이제, 만일 필멸이 이간 본성의 진성에 본질적 속성이었다면, 불멸하는 누군가가 인간이 되기는 불가능했을 것이다. 왜냐하면 가후성이나 불후성은 인간 본성의 진성을 결정하는 요소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것이 인간 존재를 만들지도 파괴하지도 않으므로: 오히려, 그 한 쪽은 그를 불행하게 만들 능력을 가지고, 다른 쪽은 행복하게 만들 능력을 가진다. 그러나, 죽지 않는 인간 존재는 아무도 없다는 추론에서, '필멸'은 전체로서의 인간이 결코 불멸이었거나 그럴 수 있었다 믿지 않는 철학자들에 의해 가정된 인간의 정의 속에서 규정된다. 이로 인하여, 그가 참된 인간이라는 사실은 우리가 고려하는 인간이 필멸이어야 함을 증명하기에 부족하다.
B. So, look for another line of reasoning. For I do not know of a way of proving that he is capable of dying, if you do not know one.
그래, 추론의 다른 노선을 보자. 왜냐하면 나는 그가 죽을 능력이 있다고 증명할 방법을 모르니까, 만일 니가 모른다면.
A. There is no doubt that he will be omnipotent, seeing that he is like God.
그가 전능할 것임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는 신과 같으므로.
B. This is true.
그거 맞다.
A. If it is his will, then, he will be able to lay aside his soul and take it up again.
만일 그게 그의 의지라면, 그래서, 그는 그의 영혼을 내려놓고 다시 되찾을 능력이 있을 것이다.
B. If he cannot do this, I do not see that he is omnipotent.
만일 그가 이리 할 수 없다면, 나는 그가 전능하다고 보지 않는다.
A. It will be in his power, therefore, never to die, if he wishes; it will also be in his power to die and rise again. Furthermore, it makes no difference, so far as his power is concerned, whether he lays his soul aside without involvement of any other person in the action, or whether it is another person who will bring it about that he lays it aside, having given his own consent.
그러므로 절대로 죽지 않음이 그의 능력 안에 있을 것이다, 만일 그가 바란다면; 또한 죽고 부활할 것도 그의 능력 안에 있을 것이다. 더욱이, 그의 능력과 관련하여, 그가 그의 영혼을 다른 어떤 인격의 개입 없이 그 행위 안에서 그의 영혼을 내려 놓는지 그렇지 않은지, 혹은 그가 그 영혼을 내려놓는 일을 불러일으킬 것이 또 다른 인격인지 아닌지, 그 자신의 허락을 고려하였을 경우 아무런 차이도 없다.
B. This is undoubtedly the case.
의심할 바 없는 사실이다.
A. If, therefore, it is his will to give his permission, it will be possible for him to be killed, and, if it is not, this will not be possible.
그러므로, 만일 그의 허락을 내놓는 것이 그의 의지라면, 그가 죽임을 당하는 일이 가능할 것이고, 만일 그렇지 않다면, 이건 불가능할 것이다.
B. This is the conclusion to which logic unswervingly leads us.
변함없이 우리를 인도하는 논리에 따르는 결론이다.
A. Logic has also taught us that he ought to possess something greater than everything which is below God, which he may give to God voluntarily and not in repayment of a debt.
논리는 또한 우리에게, 신으로부터 빌린 모든 것보다 더 대단한 어떤 것을 그가 지녀야 한다고 가르친다. 그것은 그가 자발적으로 그리고 빚의 보상이 아닌 것으로 신에게 줄 것이다.
B. That is right.
맞다.
A. But this cannot be found either below God or outside him.
하지만 이건 신으로부터 빌리든 그의 외부에서든 발견될 수 없다.
B. True.
맞다.
A. It is within the man himself, therefore, that it has to be found.
그러므로, 발견되어야 하는 것은 그 인간 자신 속에 있다.
B. This follows.
그리 귀결된다.
A. What he will give, therefore, will either be himself or something from himself.
그가 줄 것은 그러므로 그 자신이거나 그 자신으로부터의 어떤 것일 것이다.
B. I cannot conceive it to be otherwise.
달리 생각할 수 없다.
A. The question which now has to be asked is of what kind this giving ought to be. Now, he will not be able to give to God either himself or something from himself, as if he were making himself belong to one who does not own him—for every created being belongs to God.
지금 던져야 하는 질문은 주어야 하는 이것이 어떤 종류의 것인지 하는 것이다. 이제, 그는 신에게 그 자신이든 그 자신으로부터의 어떤 것이든 줄 능력이 없을 것이다, 마치 그가 그 자신을 그를 소유하지 않는 자에게 속하도록 만들고 있는 것처럼- 왜냐하면 모든 피조물은 신에게 속하니까.
B. This is so.
그렇다.
A. The way in which this giving has to be understood, therefore, is this: that in some way he will be laying aside himself, or something from himself, to the honour of God, since he will not be a debtor.
그러므로 이 제공은 이런 식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어떤 식으로 그는 그 자신을 내려놓을 것이거나, 혹은 그 자신으로부터의 어떤 것을, 신의 영광에 대해 내려놓을 것이다, 그는 채무자가 될 수 없을 것이므로.
B. This follows from what has been said earlier.
앞서 이야기된 것에서 귀결한다.
A. If we say that he will make a present of himself as an act of obedience to God, in that he will be submitting himself to God’s will by upholding righteousness with perseverance, this will not constitute giving something which God does not demand from him in repayment of a debt. For every rational creature owes this obedience to God.
만일 우리가 그는 복종의 행위로서 그 자신을 신에게 선사할 것이라 말한다면, 그가 그가 그 자신을 인내와 더불어 정의를 지킴으로써 신의 의지에 복종하고 있으리란 점에서, 이 일은 신이 그에게 빚의 상환에 있어서 요구하지 않은 어떤 것을 주는 일을 구성하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모든 이성적 피조물은 이 복종을 신에게 빚지고 있으니.
B. It is impossible to deny this.
이걸 부정할 수 없다.
A. It ought to be in some other way, therefore, that he should give either himself or something from himself.
그러므로 그가 그 자신이나 그 자신으로부터의 뭔가를 주어야 함은 다른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B. Reason impels us to this conclusion.
추론이 우리를 이 결론으로 강제한다.
A. Let us see whether perhaps this may not be for him to give his life, or to lay aside his soul, or to hand himself over to death, for the honour of God. For this is not something which God will demand from him in repayment of a debt, given that, since there will be no sin in him, he will be under no obligation to die, as we have said.
혹시 그가 그의 생명을 내놓거나, 그의 영혼을 내려놓거나, 그 자신을 죽음에 내맡기거나, 이 일이 신의 영광을 위한 게 아닐 수도 있는지 보자. 왜냐하면 이 일은 신이 빚의 상환에 있어서 그에게 요구할 어떤 것이 아니니까, 그의 내부에 아무런 죄도 없을 것이므로, 그는 죽을 아무런 의무 하에도 있지 않으리란 것, 우리 말대로 그러리란 것을 가정하면.
B. I cannot interpret the matter differently.
그 문제를 달리 볼 수 없다.
A. Let us consider further whether it is logically appropriate for it to be so.
그 일이 그리되는 게 논리적으로 적절한지 더 살펴보자.
B. Speak, and I will be happy to listen.
말해라, 나는 기꺼이 들으마.
A. If man sinned through pleasure, is it not fitting that he should give recompense through pain? And if it was in the easiest possible way that man was defeated by the devil, so as to dishonour God by his sinning, is it not justice that man, in giving recompense for sin, should, for the honour of God, defeat the devil with the greatest possible difficulty? Is it not fitting that man, who, by sinning, removed himself as far as he possibly could away from God, should, as recompense to God, make a gift of himself in an act of the greatest possible self-giving?
만일 인간이 쾌락을 통해 죄 지었다면, 고통을 통해 보상을 바쳐야 하리란 것이 어울리지 않나? 그리고 만일 인간이 악마에 의해 굴복당하는 것이 가능한 가장 쉬운 방식으로 이루어졌었다면, 그의 죄로 인한 신에 대한 불명예에 관한 한, 죄에 대한 보상을 줌에 있어서, 인간이 신의 영광을 위해 가능한 가장 어려운 일로 악마를 굴복시킴이 정의롭지 않나? 죄로써 그 자신을 그가 신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가능한 한 가장 멀리까지 떨어뜨린 인간이 신에 대한 보상으로서 가능한 가장 큰 자기-헌신의 행위에서 그 자신을 선사하는 게 적절하지 않나?
B. This is unsurpassable logic.
더할 나위 없는 논리다.
A. There can, moreover, be nothing that a man may suffer—voluntarily and without owing repayment of a debt—more painful or more difficult than death. And there is no act of self-giving whereby a man may give himself to God greater than when he hands himself over to death for God’s glory.
더욱이 인간이 겪을 죽음보다 더한 고통도 더한 어려움도 전혀 있을 수 없다 - 자발적으로 그리고 빚에 대한 상환의무 없이-. 그리고 그로써 인간이 그 자신을 신에게 줄 헌신의 행위로 그 자신을 신의 영광을 위해 죽음에 내맡기는 때보다 더 대단한 행위는 아무것도 없다.
B. All these things are true.
이거 다 맞다.
A. The one whose will it is to be to pay recompense for the sin of mankind ought therefore to have the characteristic of being able to die if he wishes.
인류의 죄에 대해 보상을 지불하게 되기를 의지하는 그는 그러므로 그가 바란다면 죽을 능력이 있는 자의 특성을 지녀야 한다
B. I see clearly that the man whom we are seeking ought to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t will not be as a matter of necessity that he will die, because he will be omnipotent; he will not be dying obligatorily, because he will never be a sinner, and it will be within his capacity to die of his own free will, because this will be necessary.
나는 우리가 찾고 있는 그 인간이 다음과 같은 특성들을 지녀야 한다는 걸 분명히 안다: 그가 죽을 것이 필연의 문제가 아닐 것인데, 왜냐하면 그는 전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는 의무적으로 죽게 되지 않을 것인데, 왜냐하면 그는 결코 죄인이 아닐 것이기 때문이고, 그것은 그의 고유한 자유의지로 죽을 그의 능력 안에 있을 것인데, 왜냐하면 이 이것이 필연적일 것이기 때문이다.
A. There are many other reasons too why it will be extremely appropriate for him to bear a resemblance to mankind and have the behaviour belonging to mankind—while being without sin. These reasons are more readily and clearly discernible in Christ’s life and works than can be demonstrated by reason alone, hypothetically, as if before experience of the events. For who may explain how necessary and wise a thing it was for it to come about that he who was to redeem the human race and bring it back from the way of death and destruction to the way of life and eternal happiness, should live in the company of human beings and, while he was teaching them verbally how they ought to live, should, through his very behaviour, present himself as an example? Furthermore, how was he to present himself to weak and mortal humans as an example of the fact that they should not depart from righteousness on account of injustices, insults, pain or death, if they were not aware that he himself had experience of all these things?
그가 인류와 유사함이 그리고 인류에 속하는 행동을 가짐이 왜 극도로 적절할 것인지에 대해 다른 많은 이유들이 있다-죄가 없음에도. 이런 이유들은 마치 그 사건들의 경험 이전인듯이 가정적으로 오직 추론만을 통해 증명될 수 있는 것보다 더욱 기껍고 분명하게 그리스도의 삶과 업적들 속에서 인식될 수 있다. 왜냐하면 인종을 구원하고 죽음과 파괴의 길로부터 삶과 영원한 복락의 길로 돌이킬 그가 인간 존재들의 세속에서 살아야 하고, 그가 그들에게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구두로 가르치던 동안에, 그의 바로 그 행위를 통하여, 그 자신을 예시로서 보여주었던 일이 일어났다는 것이 얼마나 필연적이고 지혜로운 일이었는지 누가 설명하겠는가? 더욱이, 어떻게 그가 나약하고 필멸인 인간들에게 그들이 의로움으로부터 부정의, 모욕들, 고통이나 죽음으로 인하여 떠나서는 안 되다는 사실의 실례로서 자기 자신을 보여주었겠는가, 만일 그들이 그 스스로 이 모든 일들에 대한 경험을 지녔음을 알지 못한다면?

12. That, although he is a sharer in our discomforts, he is nevertheless not unhappy
설령 그가 우리의 불편을 공유할지라도, 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행하지 않다는 것

B. All these considerations make it patently obvious that it is right for him to be mortal and a sharer in our discomforts. But these are all circumstances which belong to our unhappiness. Will he not, therefore, be unhappy?
이 모든 고찰들은 그가 가사자가 되고 우리의 불편들을 공유하는 자가 됨이 옳다는 것을 명백히 분명하게 해준다. 그러나 이런 것들은 우리의 불행에 속하는 조건들이다. 그러므로 그는 불행하지 않겠나?
A. Not at all. For, just as a comfort which someone possesses against his will is not conducive to happiness, similarly it is not unhappiness to take upon oneself a discomfort willingly, out of wisdom, not out of any necessity.
전혀. 왜냐하면, 누군가 그의 의지에 반하여 지니는 안락이 행복에 기여하는 바가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유사하게 자의적으로, 어떤 필연이 아니라 숙려를 통해 자처한 불편은 불행이 아니다.
B. This must be admitted.
받아들여야만 하네.

13. That he does not have ignorance along with our other weaknesses
우리의 다른 나약함들에 더하여 그가 무지를 지니지는 않는다는 것

However, as regards the likeness which he needs to bear to members of the human race, say whether he is going to have ignorance in the same way as he is to have our other weaknesses.
그렇지만, 그가 인간 종의 구성원들에 속하기 위해 필요한 유사성을 고려해서, 그가 우리의 다른 나약함들을 지니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무지를 지니게 될지 말해줘.
A. Why do you have doubts with regard to God, as to whether he is omniscient?
왜 그가 전지한지에 관하여 신에 대해 의심하냐?
B. Because, although he is to be immortal as a consequence of his divine nature, he will nevertheless be mortal as a consequence of his humanity. Why, in view of this, will it not be possible for the man we have in mind to be truly ignorant, just as he will be truly mortal?
왜냐하면, 설령 그가 그의 신성의 결과로 불멸이라 할지라도, 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인성의 귀결로 가사자가 될 테니까. 이 관점에서, 왜 우리가 고려하는 그 인간이 참으로 무지함이, 마치 그가 참으로 가사자가 될 것과 마찬가지로, 가능할 수 없을까?
A. The accepting of man into the unity of the person of God will not be brought about otherwise than wisely, by the highest wisdom, and therefore there will be no acceptance[각주:1] of something which is in no way useful, but detrimental rather, for the work which the man is going to undertake. Now, there would be no purpose for which ignorance would be useful to him: rather it would be for many purposes detrimental. For how is he going to perform all the many great works which he is to perform, without immeasurable wisdom? Again, how are people going to believe in him, if they know he is ignorant? Moreover, supposing this is something they do not know: for what purpose will that ignorance be useful to him? And again, if it is the case that nothing is loved except that which is known: by the same token as it will be no good thing for him not to love, it will be no good thing for him to be ignorant. Furthermore, no one has a perfect knowledge of what is good who does not know how to distinguish it from what is bad. It is also the case that no one who is ignorant of the bad knows how to draw this distinction. The man we have in mind will therefore have all knowledge, even though he may not make this evident in public in his dealings with mankind.
신의 인격의 통합 속으로 이간을 수용함은 다른 식으로가 아니라 지혜롭게 이루어질 것이고, 최상의 지혜에 의해 이루어질 거라서, 그러므로 아무 쓸모 없는, 오히려 그 인간이 떠맡을 일에 대해 해로운 어떤 것의 수용은 전혀 없을 것이다. 이제, 무지가 그에게 유용할 어떤 용도도 없을 것이다: 오히려 해로운 많은 용도들이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어떻게 그가 행한 많은 위대한 업적들 모두를 가늠할 수 없는 지혜 없이 수행하게 되었겠나? 다시, 만일 그가 무지하다는 걸 사람들이 알았더라면, 그들이 어떻게 그를 믿게 되었겠나? 더욱이, 그게 그들이 몰랐던 것이라 가정하면: 무지가 그에게 유용할 무슨 용도가 있겠는가? 또 다시, 만일 알려진 것 외에 어떤 것도 사랑받지 않음이 사실이라면: 같은 이유로 그가 사랑하지 않음이 좋은 것이 전혀 아닐 것이듯, 그가 무지함이 좋은 일이 전혀 아닐 것이다. 더 나아가, 나쁜 것으로부터 좋은 것을 어떻게 구분하는지 알지 못하는 자는 그 누구도 좋은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완벽한 앎을 지니지 못한다. 나쁜 것에 대해 무지한 그 누구도 이 구분을 어떻게 이끌어낼지 알지 못한다는 것도 사실이다. 우리가 고려하는 인간은 그러므로 모든 지식을 지닐 것이다, 설령 그가 인류를 대함에 있어서 공적으로 명백하게 이점을 드러내진 않았을지라도.
B. What you are saying seems to hold good for his adulthood; but in his infancy it will not be the appropriate time for wisdom to appear in him, and similarly there will be no need, and consequently it will be incongruous, too, for him to have it.
그의 성년기에 대해서는 좋아 보이는 말이다; 하지만 그의 어릴 적에는 그에게서 지혜가 드러나기에 적절한 시기가 아닐 것이고, 마찬가지로 그럴 필요도 없을 것이며, 따라서 그가 그 지혜를 지님이 어울리지 않을 것이다.
A. Have I not said that the incarnation which we have in mind will be brought about in a way characterized by wisdom? Now, it will be in wisdom that God will take mortality upon himself, and it will be in wisdom that he will put it to use, because he will be using it to great advantage. But he will not be able to take ignorance upon himself in wisdom, because ignorance is never useful, always detrimental rather, except perhaps when an evil desire—something which will never be found in the God-Man—is prevented from being fulfilled. For even if sometimes ignorance is not detrimental in any other regard, it is nevertheless detrimental in the mere fact that it does away with the good which consists in knowledge. Moreover, to complete my brief reply to your enquiry: from the time when he becomes human, he will always be full of God, God’s identity being his own. Hence he will never be without God’s power and fortitude and wisdom.
우리가 고려하는 육화가 지혜에 의해 규정되는 방식에서 발생되리란 것을 말하지 않았냐? 이제, 신이 가사성을 자처할 것임이 지혜에 속할 것이고, 그 가사성을 이용할 것임이 지혜에 속할 것인데, 왜냐하면 그걸 아주 유용하게 써먹을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는 지혜 안에서 무지를 자처할 능력은 없을 것인데, 왜냐하면 무지는 결코 유용하지 않고, 언제나 차라리 해롭기 때문이다, 아마도 악한 욕망이 - 신-인가 안에서는 결코 찾을 수 없을 그런 것으로서- 성취되는 일로부터 제지될 때를 제외하면. 왜냐하면 무지가 다른 경우 해롭지 않을 때가 종종 있더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혜로 이루어지는 선이 없어진다는 단순한 사실에서 해롭다. 더욱이, 네 탐구에 대한 내 간략한 답변을 마무리하면: 그가 인간이 된 순간으로부터, 그는 언제나 완전한 신일 것이고, 신의 정체성은 그에게 고유한 것일 것이다. 따라서 그는 결코 신의 능력과 용기 그리고 지혜가 없지 않을 것이다.
B. I did not doubt that this was always the case with Christ but, even so, I none the less made this enquiry with the aim that I should hear a rational explanation for this fact also. For often we are certain that something is the case, but do not know how to prove it logically.
나는 이게 그리스도와 함께 언제나 사실임을 의심하지 않았지만, 그럴지라도, 이 사실에 대해 또한 이성적 설명을 들으리란 목적을 가진 이 탐구를 조금도 덜 이루지 않았다. 왜냐하면 종종 우리는 어떤 것이 사실임을, 하지만 그걸 어떻게 논리적으로 증명할지 모른다는 걸 확신하고 있으니.

14. That his death outweighs the number and magnitude of all sins
그의 죽음이 모든 죄들의 수와 크기를 압도한다는 것

Now my request is that you should teach me how it is that his death outweighs the number and magnitude of all sins, seeing that you make it clear that one sin which we consider the most lightweight is of such infinite magnitude that one ought not to take a glance contrary to the will of God, even supposing that an infinite number of universes, each full of creatures just as this one is, were to be laid out before one, and could not be kept from being reduced to nothing, except if someone were to take this glance.
이제 내 요청은 니가 어떻게 그의 죽음이 모든 죄의 수와 크기를 압도하는지 나에게 가르쳐주어야 한다는 거다, 너는 우리가 고려한 가장 가벼운 하나의 죄가 설령 이 세상처럼 피조물들로 각각이 가득 찬 무한한 수의 세계들을 가정할지라도 신의 의지에 반하여 눈길을 돌리는 일을 해서는 안 되는 것으로 드러날 것이고 전혀 경감될 수 없을 것으로, 누군가 이 눈길을 취하게 될 경우를 제외하면 그러리라고 하는 그렇게 무한히 큰 것에 속한다는 점을 밝혔으니까.
A. If the man we have in mind were to be present, and you knew who he was, and someone were to say to you, ‘If you do not kill this man, the whole of the universe will perish, and whatever is not God’, would you do it in order to preserve the whole of the rest of creation?
우리가 고려하는 인간이 현존한다면, 그가 당신이 알고 있는 그라면, 그리고 누군가 너에게 '만일 니가 이 사람을 죽이지 않으면, 세계 전체가 파멸할 것이고, 신 외에 뭐든 파멸할 것이다'라고 말한다면, 너 나머지 모든 창조 전체를 지키기 위해 죽일 거냐?
B. I would not do it, even if an infinite number of universes were offered to me.
안 죽일 거다, 설령 내게 무한한 세계들이 제공되더라도.
A. What if someone were to follow this up by saying, ‘Either you will kill him or all the sins of the world will come upon you’?
그를 죽이든지 세계의 죄들 모두가 너에게 부과되든지, 이리 말하면?
B. I would answer that I would rather take upon myself all other sins, not just all the sins of this universe—both those committed in the past and those to be committed in the future—but whatever sins can be conceived of as existing in addition to these. And I think I ought to make this answer not only with regard to the act of killing him, but with respect to any small injury whatsoever which would harm him.
차라리 다른 모든 죄 짊어진다고 답할 거다, 과거에 저질러지고 미래에 저질러질 죄들, 이 세계의 모든 죄들 전부가 아니고, 이것들에 더하여 현존하는 것으로 인정될 수 있는 죄들 무엇이든. 나는 내가 그를 죽이는 행위과 관련해서만이 아니라 그를 해할 그 어떤 종류의 작은 상해라도 관련해서 이리 대답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A. You are right in thinking so. But tell me why your heart makes such a judgement, being more horrified at one sin involving injury to this man than at all else that can be conceived of, given that all the sins ever committed are against him.
그리 생각하는 게 맞다. 하지만 왜 네 마음이 그런 판단을 내렸는지 말해라, 그에 대하여 저질러졌던 모든 죄들을 고려하여 인정될 수 있는 다른 모든 죄들보다도 이 사람에 대해 상해를 포함하는 하나의 죄에 더 두려워하면서.
B. It is because a sin which is directed at this man’s person is incomparably greater than all conceivable sins which are directed elsewhere than at his person.
그건 곧장 이 사람의 인격을 향하는 죄가 그의 인격 외에 다른 어떤 곳을 향하게 되는 가능한 모든 죄들보다 비할 수 없이 크기 때문이다.
A. What will you say to the objection that often someone willingly endures discomfiture to his own person so as not to endure greater discomfiture in his business dealings.
니가 말할 반대는 뭐냐, 종종 누군가 자의적으로 그의 일에 있어서 더 큰 실패를 감당하지 않기 위해 그 자신의 인격에 실패를 감당한다는 것에 대해서.
B. I will say that God has no need of this endurance, for all things are subject to his power, just as you said earlier in reply to some question of mine.
나는 신이 이런 감내를 전혀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왜냐하면 모든 것은 그의 능력에 지배받기 때문이라고, 니가 내 어떤 질문에 답하면서 앞서 말했듯 그렇다고 말할 거다.
A. Your answer is a good one. We see, therefore, that no sins, no matter how immeasurably great or numerous, which are directed elsewhere than against the person of God, can be regarded as equal to the violation of the bodily life of the man whom we have in mind.
니 대답 좋다. 그러므로 우리는 안다 어떤 죄도 그게 얼마나 가늠할 수 없이 크거나 많더라도 상관 없이, 신의 인격에 반하는 것 외에 다른 곳을 향하는 죄는, 우리가 고려하는 인간의 육체적 삶에 대한 폭력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걸.
B. This is perfectly clear.
완전히 명백하다.
A. How great a good does he[각주:2] seem to you to constitute, given that killing him is such a bad thing?
그가 이루는 것으로 네게 여겨지는 선이 얼마나 위대한가, 그를 죽임이 그렇게 나쁜 일임을 고려하면?
B. If every good is as good as its destruction is bad, he[각주:3] is an incomparably greater good than the sins immeasurably outweighed by his killing are bad.
모든 좋은 것들이 좋을 만큼이나 그 파괴가 나쁘다면, 그는 그를 죽이는 일이 나쁜 것이기에 모든 죄들이 가늠할 수 없이 압도되는 것보다 훨씬 더 비할 수 없이 대단한 선이다.
A. What you are saying is true. Consider also that sins are as hateful as they are bad and that the life which you have in mind is as loveable as it is good. Hence it follows that this life is more loveable than sins are hateful.
니가 말하는 거 맞다. 또한 죄들이 나쁠 뿐만 아니라 증오스럽기도 하고 니가 고려하는 삶이 좋을 뿐만 아니라 사랑할 만하다는 것을 고려해라. 따라서 이 삶이 죄들이 증오스러운 것보다 더욱 사랑스럽다는 것이 귀결한다.
B. This is something which I cannot fail to appreciate.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A. Do you think that something which is so great a good and so loveable can suffice to pay the debt which is owed for the sins of the whole world?
너는 그렇게나 좋고 그렇게나 사랑스러운 어떤 것이 세계 전체의 죄들에 대해 갚아야 하는 빚을 지불하는 데에 충분할 수 있다고 생각하냐?
B. Indeed, it is capable of paying infinitely more.
게다가, 무한히 넘치게 지불할 능력이 있다고 본다.
A. You see, therefore, how, if this life is given for all sins, it outweighs them all.
그러니까 너는 만일 이 삶이 모든 죄들을 위해 제공되면, 그 죄들 전부를 어떻게 압도하는지 안다.
B. Plainly.
충분히.
A. If, then, to accept death is to give one’s life, just as his life outweighs all the sins of mankind, so does his acceptance of death.
그래서 만일 죽음을 받아들임이 그의 삶을 제공하는 것이라면, 그의 삶이 인류의 모든 죄들을 압도하는 것처럼, 그렇게 그의 죽음 수용도 그렇다.
B. It is established that this is the case with all sins which do not touch the person of God.
신의 인격을 건드리지 않는 모든 죄들과 더불어 이게 참임이 확정적이다.


15. That this same death destroys the sins even of those who put him to death
이 동일한 죽음이 그를 죽음으로 몰아넣은 자들의 죄들까지도 소멸시킨다는 것

But now I see that another question has to be asked. For if to kill him is as bad as his life is good, how can his death overcome and destroy the sins of those who killed him? Or, if it destroys the sin of any one of them, how can it destroy in addition any sin committed by other people? For we believe that many of the human race have been saved, and that countless others are being saved.
하지만 이제 나는 또 다른 질문이 던져져야 한다는 걸 안다. 왜냐하면 만일 그를 죽임이 그의 삶이 좋은 만큼 나쁘다면, 어떻게 그의 죽음이 그를 죽였던 자들의 죄들을 압도하고 소멸시킬 수 있는가? 혹은 만일 그 죽음이 그들 중 누구 하나의 죄를 소멸시킨다면, 어떻게 다른 사람들에 의해 저질러진 어떤 죄든 추가로 소멸시킬 수 있는가?
A. The Apostle who said, ‘If they had known it, they would not have crucified the Lord of glory’ [1 Cor. 2: 8], provided the answer to this question. For so great is the difference between a sin committed knowingly and one which is committed through ignorance, that an evil which, if it were recognized for what it was, they would never be able to commit because of its enormity, is capable of being pardoned because it was committed through ignorance. For no member of the human race would ever wish to kill God, at least no one would knowingly wish it, and therefore those who killed him unknowingly did not fall headlong into that infinite sin with which no other sins can be compared. Bear in mind that in order to see how good his life was, we considered the magnitude of that sin not in relation to the fact that it was committed in ignorance, but as if it were committed knowingly—something which no one has ever done or would have been capable of doing.
'만일 그들이 알았더라면 그들은 영광의 주를 십자가에 매달지 않았을 것이다'라고 말했던 사도는, 이 물음에 답을 준다. 왜냐하면 그렇게나 대단하게 알고서 저질러진 죄와 무지로 저질러진 죄가 다르기 때문이다, 만일 그게 뭔지 알았다면 그들이 결코 그 심각함 때문에 저지를 수 없었을 그 일은 무지를 통해서였기 때문에 양해될 수 있는 것에 속하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인간 종의 그 어떤 구성원도 신을 죽이길 바라지 않을 것이고, 최소한 알고서 그러길 바라진 않을 것이며, 그러므로 그를 모르고 죽였던 자들은 다른 죄들과 비할 수 없는 무한한 죄로 곤두박질치지 않는다. 그의 삶이 얼마나 선한지 알기 위해서, 우리가 무지에서 그 죄가 저질러졌다는 사실과 관련하여 그 죄의 크기를 고찰하지 않았지만, 마치 알고서 저지른 것처럼 했음을 염두에 둬라 - 그 누구도 하지 않았을 혹은 할 수 없었을.
B. You have demonstrated logically that it was possible for those who killed Christ to attain to forgiveness of their sin.
그리스도 죽인 자들이 그들의 죄를 용서받을 수 있음을 논리적으로 증명했다.
A. What more are you asking now? Look! You recognize how logical necessity makes it clear that the city above has to have its complement made up by members of the human race, and that this cannot come about except through the remission of sins, which no man can have except through a man who is identical with God and who by his death reconciles sinners to God. We have clearly found Christ, whom we acknowledge to be God and man and to have died for our sakes. Be sure of this too, without any doubt: all that he says is true, since God is incapable of lying, and the deeds he did were done wisely, even though the reasoning behind them may not be understood by us.
이제 니가 물을 게 또 뭐냐? 봐라! 너는 논리적 필연이 어떻게 천상의 나라가 그 충족을 이루어야 하는지, 인간 종의 숫자를 통해 그래야 하는지, 그리고 이것이 죄의 사함을 통해서가 아니라면 일어날 수 없다는 걸, 신과 동일하고 그의 죽음으로 신에 대한 죄인들에 상응시키는 인간을 통해서가 아니라면 가질 수 없다는 걸 분명하게 하는지 알게 되었다. 우리는 그리스도, 우리가 신이며 인간이자 우리 때문에 죽었던 자로 인정하는 그를 분명히 찾았다. 어떤 의심의 여지도 없다: 그가 말하는 모든 게 참인데, 신은 거짓말할 능력이 없기 때문이고, 그가 행한 행위들은 지혜롭게 이루어졌는데, 설령 그 이면의 추론이 우리에 의해 이해될 수 없더라도 그렇다.
B. What you are saying is true, and I do not doubt that what he said is true or that what he did was done in accordance with reason. I nevertheless ask you to explain to me by what logic this truth, which to those who do not believe in the Christian faith seems as if it were not right and not possible, is in fact right and possible. I ask this not in order that you should confirm me in the faith, rather so that you should give one already confirmed in the faith the joy which comes from an understanding of the absolute truth.
니가 말 맞다, 그리고 나는 그가 말했던 것이 참임을 의심하지 않고 혹은 그가 했더 일이 이성에 따라 행해졌음을 의심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니가 나에게 어떤 논리로 이 진리가, 그리스도교 신앙에서 믿음을 가지지 않는 자들에게 마치 옳지 않고 불가능해 보이는 이 진리가 사실 옳고 가능한지 설명해주길 바란다. 나는 이걸 니가 나를 신앙에 있어서 확신시켜주길 바라고 요구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니가 이미 신앙 안에서 확신하는 자에게 절대적 진리를 이해하는 일로부터 오는 기쁨을 주길 바라고 요구한다.


16. How God produced a man without sin out of sinful matter; also about the salvation of Adam and Eve
어떻게 신은 죄로 물든 물질로부터 죄 없는 인간을 만들었는지; 또한 아담과 이브의 구원에 대하여

In view of this, it is my request that you should explain the reasoning behind the matters about which I have yet to ask you in the same way as you have elucidated the reasoning behind the matters which we have spoken of up to now. My first question is: how did God produce a man without sin out of the human race, which is totally permeated with sin? This was like producing unleavened bread out of leavened dough. For, granted that the actual conception of this man was untainted and devoid of the sin of carnal pleasure, the Virgin from whom he was taken was conceived ‘amid iniquities’ and her mother ‘conceived’ her ‘in sin’ [cf. Ps. 50: 7 Vulg. 51: 5], and she was born with original sin since she sinned in Adam, ‘in whom all have sinned’ [Rom. 15: 12].
이런 관점에서, 내 요청은 니가 우리가 지금까지 이야기했던 문제들의 이면의 추론을 설명했을 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내가 아직 너에게 묻고 있는 그 문제들의 이면의 추론을 설명해 달라는 거다. 내 첫 물음은 : 어떻게 신이 인종, 완전히 죄로 물든 종으로부터 죄 없는 인간을 만들었는지? 이건 효모 없는 빵을 효모 들어간 반죽에서 만드는 것 같다. 왜냐하면, 이 인간의 구체적 개념이 때묻지 않고 육욕의 쾌락의 죄가 없었던 것이었음을 받아들이면, 부당성들 가운데 그가 그로부터 취해질 수 있었던 처녀를 인정하면 그리고 그녀의 어머니가 죄 안에서 그녀를 품었고, 그녀는 원죄와 함께 태어났는데 아담의 경우에서 그녀가 죄를 지었으므로, 그 안에 모든 죄가 있는.
A. Once it is agreed that the man whom we have in mind is God and the reconciler of sinners, there is no doubt that he is completely without sin. Moreover, this cannot be so if he has not been produced without sin out of sinful matter. Now, if we cannot understand the reasoning whereby the Wisdom of God did this, we ought not to express astonishment, but reverently bear with the fact that in the hidden recesses of so surpassingly great an actuality there is something which we do not know. Indeed, God’s restoration of human nature was more miraculous than his creation of it. For the two acts—restoration and creation—are both equally easy for God. However, in the time before he was created, man did not sin, and hence there was no need for restoration to take place. But after he was created he sinned and, because of his sin, deserved to lose both the fact of being created and the destiny for which he was created. In fact, though, he did not entirely lose the fact of being created. This was so that he could be the object of God’s punishment or of his mercy. For neither of these options could come about if he had been annihilated. It follows, then, that God’s restoration of human nature was more miraculous than his action in bringing it into existence, to the extent that the restoration was concerned with man as sinner and was contrary to what he deserved, whereas the creation was concerned with man in a state of sinlessness, and was not contrary to what he deserved. What a great thing it is, too, for God and man to combine in One, in such a way that a man is identical with God, while the integrity of both natures is preserved! Who may presume even to think that a human intellect might be capable of fathoming how it is that such an act has been performed, so wisely and so wonderfully?
일단 우리가 고려하는 인간이 신이며 죄의 조정자임을 동의하면, 그가 완전히 죄 없는 건 의심할 수 없다. 더욱이, 만일 그가 죄의 물질에서 죄 없이 탄생하지 않았다면 그럴 수 없다. 이제, 만일 우리가 신의 지혜로 이 일을 행한 그 추로을 이해할 수 없다면, 우리는 경악을 표할 게 아니라, 경건하게 깊숙하게 숨겨진 그렇게나 놀랍도록 대단한 실재성, 우리가 모르는 어떤 것이 있다는 그 현실성을 감내해야 한다. 더구나, 인간 본성에 대한 신의 복원은 그에 대한 창조보다 더 기적이었다. 왜냐하면 두 행위들 - 복원과 창조 - 모두 마찬가지로 신에게 쉽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그가 창조했던 때 이전에, 인간은 죄를 짓지 않았고, 따라서 복원이 일어날 필요가 없다. 하지만 그가 창조한 다음 그가 죄를 지었고, 그의 죄 때문에, 창조되었다는 사실과 그가 그를 위해 창조된 운명 모두 잃을 만하다. 사실, 그렇지만, 그는 창조된 사실을 완전히 잃지 않는다. 그래서 그가 신의 처벌 대상이 될 수 있었거나 그의 자비의 대상이 될 수 있었게 하도록. 왜냐하면 이 선택지들 중 어느 쪽도 만일 그가 무화되었더라면 일어날 수 없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의 인간 본성 복원은 그걸 존재하게 만든 것보다 더 기적이다, 복원이 죄인으로서의 인간과 관련된 만큼 그리고 그가 받아야 할 것에 반대되는 만큼, 반면에 창조는 죄 없는 상태의 인간과 관련되고, 그가 받을 것에 반대되지 않는다. 이 무슨 대단한 일인가, 신과 인간이 하나로 결합하여 그런 식으로 인간이 신과 동일화되는 방식으로, 두 본성 모두의 완전성이 보존되는 한에서! 인간 지성이 그런 행위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이해할 능력을 가질 만큼 그렇게나 현명하고 경이롭다고 그 누가 짐작하겠는가?
B. I agree that no human being can in this life disclose the innermost depths of such a great mystery, and I am not asking you to do what no human can do, only as much as you can do. For you will be making a more persuasive case for there being deeper reasons for this action if you show that you discern some reason for it, than if, by saying nothing, you make it self-evident that you understand no reason at all.
그 어떤 인간도 이 삶 속에서 그런 대단한 신비의 가장 내밀한 깊이를 드러낼 수 없음을 동의한다, 그리고 나는 누구도 할 수 없는 걸 너한테 요구하지 않는다, 오직 니가 할 수 있는 한에서 요구한다. 왜냐하면 너는 만일 니가 아무것도 말하지 않음으로써 니가 어떤 추로도 전혀 이해하지 못함을 자명하게 하는 것보다 그 일에 대해 어떤 이유를 분간한다는 걸 보여준다면 이 행위에 대해 더 깊은 이유들이 있음에 대해 더 설득력 있는 경우를 만들 거다.
A. I see that I am unable to set myself free from your importunity. But let us give thanks to God if I can to any extent make clear the subject which you are demanding I should clarify. If, on the other hand, I cannot, let the proofs arrived at earlier suffice. For if it is established that God ought to become man, there is no doubt that he does not lack the wisdom and the power whereby this may be effected without sin.
나는 내가 내 스스로 네 끈질김에서 나를 자유롭게 할 능력이 없음을 안다. 하지만 만일 내가 어느 정도 분명하게 니가 내게 밝히길 요구하는 주제를 밝힌다면 신에게 감사하도록 하자. 만일 다른 한편으로 내가 할 수 없다면, 앞선 증명들이 충분하다고 하자. 왜냐하면 만일 신이 인간이 되어야 함이 확정된다면, 이 일이 죄 없이 완수될 지혜와 능력의 결여가 없으리란 것은 의심할 수 없으니까.
B. I am happy to accept terms of this sort.
그런 말은 기꺼이 받아들인다.
A. It was right, certainly, that the redemption which Christ brought about should benefit not only the people in being at that time, but others too. Let us imagine that there is a king and that the entire populace of one of his cities has sinned against him, with the exception of one man, who is none the less of the same race. None of them, moreover, is capable of doing anything to escape from the death penalty. Now, the man who is the only innocent party enjoys such favour with the king that he has it in his power to bring about the reconciliation of all those who believe in his advice, and he has such love towards the guilty that he wishes to do this. This reconciliation will be brought about by means of some service which will be very pleasing to the king, and which he will perform on a stated day in accordance with the king’s desire. And, since not all who are in need of reconciliation are able to assemble on that day, the king makes the concession, in view of the magnitude of the service, that any people who acknowledge before or after that day that they wish to receive pardon through the act which is to be performed on that day, and that they accede to the agreement concluded on that occasion, will be absolved from all their past guilt. Furthermore, supposing it should come about after this pardon that they should sin again, and provided that they should then be willing to give satisfaction in a suitable way and receive correction, they would receive pardon again through the effective power of this same agreement. There would be this proviso: that no one should enter his palace until the deed had been done whereby their wrongdoings were forgiven.
확실히 그리스도가 일으켰던 보상이 그 당시에 있던 인간들에게만 유익한 게 아니라 다른 이들에게도 유익해야 한다는 건 맞다. 왕이 있고 그의 도시들 중 하나의 대중이 그에게 반대하여 죄를 지었다고 가정해 보자, 같은 종족인 한 사람만 제외하고. 그들 중 누구도 사형으로부터 피할 수 없다고 하자. 이제, 유일하게 결백한 자가 그의 능력 내에서 그의 조언을 믿는 모든 자들의 화해를 일으키는 것으로 왕과 더불어 그런 기쁨을 누린다. 이 화해는 신을 기쁘게 할 어떤 봉사의 수단으로 일어날 거다. 그리고 신이 바라는 때에 맞추어 이루어질 거다. 그리고, 화해를 결여한 모든 이가 그 날 참여할 능력이 없기에, 왕은 양보할 것이다, 그 봉사의 크기의 관점에서, 전후에 그들이 그 날 수행될 그 행위를 통해 용서받기를 바라는 날 인정하는 누구든, 그 때 결론난 동의에 응한다, 무죄방면된다 적절하게 보상하길 바라고 교정 받는 자들, 그들이 이 동의의 효력을 통해 다시 용서받을 것이다. 단서가 있다. 누구도 그의 왕실에 그들의 죄가 용서받기 전까지 들어가지 않는다.
The thrust of this parable is that, when Christ brought about the redemption which we have in mind, not all those human beings who were to receive salvation were able to be present, and consequently there was such power in his death that its effect extends to those who were absent either geographically or temporally. That it would not be right for his death only to benefit those present is readily comprehensible from the fact that it was not possible for as many people to be present at his death as are needed for the building up of the heavenly city, even if all the people anywhere in existence at the time of his death were to be accepted for the redemption to which we have referred. For there are more evil angels than there would have been humans alive on that day, and it is from the human race that the full number of replacements for them has to be found. Nor is it to be believed that, since mankind’s first creation, there has been any time in which this world, filled as it is with creatures which were created for the use of mankind, has been so barren that there was no one in it from the human race bearing any relation to the purpose for which mankind was created. For it seems an incongruity that God should for one moment have permitted the human race, and all that he made for the use of the beings from whose ranks the heavenly city was to be completed, to exist, as it were, to no purpose. For they would seem to have their being in vain for as long as they did not seem to exist with a view to the purpose for which they were principally created.
이 우화의 요지는, 그리스도가 우리가 생각하는 그 보상을 일으킬 때, 구원 받을 인간 존재들 전부가 참석할 능력이 있지는 않고, 따라서 지리적으로든 시기적으로든 부재하는 자들의 범위까지 영향을 미치는 능력이 그의 죽음 안에 있어야 한다. 그의 죽음이 오직 현재하는 이들에게만 유익함은 옳지 않을 것임은 그의 죽음 당시에 있던 만큼의 사람들만 천국 구성에 필요하다는 건 불가능하다는 사실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설령 그의 죽음 당시 있던 어느 곳의 사람들이든 모두 우리가 말한 보상에 허용될 것이라 하더라도. 왜냐하면 그 날 살아있는 인간들보다 악한 천사들이 더 많기 때문이다. 그리고 인간 종으로부터 그들의 보충수가 찾아져야 하니까.
B. You are demonstrating with consistent and apparently incontrovertible reasoning that, since mankind was first created, there has never been any time devoid of some person connected with that reconciliation without which all mankind was created in vain. And we can conclude that this is not only fitting, but a necessity. For, assume that this state of affairs is more fitting and logical than that there should have been at some time no one with regard to whom the intention of God in creating mankind was to be fulfilled; assume too that there is no obstacle to this logical state of affairs: in that case it is a necessary fact that there has always been someone connected with the reconciliation we have in mind. Hence it is not to be doubted that Adam and Eve had a connection with that act of redemption, even though divine authority does not state this explicitly.

A. It also seems incredible that God excluded those two from his plan, in view of the fact that he created them and made it his plan, never deviating from it, to create from them all the human beings whom he was to take up into the heavenly city.

B. Indeed, what one ought to believe, rather, is that he created Adam and Eve particularly with the purpose in view that they should number among those for the sake of whom they were themselves created.

A. Your observation is a good one. But no soul could enter the heavenly Paradise before the death of Christ, in accordance with what I said earlier with reference to the ‘king’s palace’.

B. Such is the teaching which we hold to.

A. But that Virgin from whom the man about whom we are speaking was received was one of those who, before his birth, were cleansed of sins through him, and he was received from her in the state of cleanness which was hers.

B. What you are saying would please me greatly were it not for this: whereas he ought to have cleanness from sin in his own person and on his own account, he would appear to have it from his mother, and not to be clean on his own account, but through her.

A. It is not so. Rather, his mother’s cleanness, whereby he is clean, would not have existed, if it had not come from him, and so he was clean on his own account and by his own agency.

B. Good—so far as that issue is concerned. But there seems to me another question to be asked. We have said earlier that he is not going to die as a matter of necessity, and now we see that his mother was clean because of his death which was to happen in the future. How, then, is it that this man, who could not have existed if it were not for the fact that he was going to die, did not die of necessity? For, if he had not been going to die, the Virgin from whom he was received would not have been clean, since this could in no way be so, except in the light of a belief in the reality of his death, and there was no other way in which he could have been received from her. Hence, if he did not die obligatorily, after he was received from the Virgin, the consequence is that he could not be received from the Virgin after he was, in fact, received—and this is an impossibility.

A. If you had considered well our previous discussions, you would have understood that in the course of them this question had been resolved.

B. I do not see how.

A. When we raised the question whether the God-Man could tell lies, did we not demonstrate that where telling lies was concerned there were two potentialities, one being a desire to tell lies, the other, actual lie-telling? Did we not also show that, while he had the capacity for telling lies, he had the characteristic inherent in himself of not being able to wish to lie, and that, for this reason, he was worthy of praise for the righteousness whereby he kept to the truth?

B. Yes.

A. Similarly, in the case of saving one’s life, there is the capacity for wishing to save one’s life and the capacity for saving it. When, therefore, the question is asked whether the same God-Man could have saved his life, so as never to die, it is not a matter for doubt that he always had the capacity for saving it, even though he was not capable of wishing to save it, so as never to die. And since this was something he had inherent in him—I mean, this inability to have this wish—he laid down his soul not obligatorily but by the free exercise of his power.

B. These potentialities in him to which you refer—that for telling lies and that for saving his life—were not in the least comparable. For in the one case, it is a logical consequence that he would be capable of telling a lie if he were to wish it, but in the other, it appears that, if he were to wish not to die, he would no more be capable of this than he could not be what he was. For the purpose of his being a man was this: for him to die; and it was because of the assuredness of his future death that it was possible for him to be received from a Virgin.

A. You think that he was incapable of not dying, or that it was a matter of necessity that he died, because he was incapable of not being what he was: you may just as well assert that he was incapable of wishing not to die or that he wished of necessity to die. For it was no more for the purpose that he should die that he was made a man than for the purpose that he should wish to die. Therefore, just as you ought not to say that he could not wish not to die, or that he wished to die obligatorily, similarly it ought not to be said that he could not not die, or that it was of necessity that he died.

B. No indeed. Since both these things—that is, dying and wishing to die—are subject to the same line of reasoning, and both of them seem to have been inherent in him of necessity.

A. Who was it who wished of his own volition to make himself a man, so that, by the same unchangeable will, he would die and the Virgin from whom he—that man—was to be received would be made clean through faith in the certitude in his death?

B. God, the Son of God.

A. Has it not been demonstrated earlier that when the will of God is said to do something of necessity, it is not actually coerced by necessity, but is maintaining itself by its own spontaneous unchangeability?

B. This has indeed been demonstrated. Rather we see, conversely, that something which is God’s unchangeable will cannot not be and that it is necessary for it to be. Therefore, if it was God’s will that the man we have in mind should die, he could not not die.

A. As an inference from the fact that the Son of God took manhood upon himself with the intention that he should die, you are asserting that the man in question could not not die?

B. That is how I understand the matter.

A. Has it not emerged likewise from our earlier discussions that the Son of God is one person with the manhood which he took upon himself, so that the Son of God and the son of the Virgin are identical?

B. Yes, it has.

A. The same man, therefore, of his own volition, could not not die and did, in fact, die.

B. I cannot deny it.

A. Since, therefore, it is not out of any necessity that the will of God performs any action, but on the strength of his own power, and since the will of that man was the will of God, it was not out of any necessity that he died but on the strength of his power alone.

B. I am incapable of rebutting your lines of argument. For I can in no way invalidate either the propositions which you are adducing as premisses or the consequences which you are inferring. However, something which I have said keeps on coming back to me: that, if it were his will not to die, he would be no more capable of doing so than of not being what he was. For he was truly going to die since, if he had not been truly going to die, the faith in his future death would not be true, and it was through this faith that both the Virgin from whom he was born, and many others, have been cleansed from sin. Now, if it had not been true, it could not have been of any benefit. Consequently, if he was capable of not dying, he was capable of rendering untrue something which was the truth.

A. Why was it the truth, before he died, that he was going to die?

B. Because he wished for this spontaneously and with an unchangeable will.

A. If, therefore, as you say, he could not not die for the reason that he was truly going to die, and he was truly going to die owing to the fact that this was his spontaneous and unchangeable will, it follows that he could not not die for any other reason than because, by his unchangeable volition, it was his will to die.

B. That is right. But, whatever the reason may have been, it is nevertheless true that he could not not die and that it was necessary for him to die.

A. You are too persistent in grasping at nothingness and, as the saying goes, looking for a knot in a bulrush.

B. Have you forgotten what I said in the face of your excuses at the beginning of this disputation of ours, namely that it would not be for the learned that you would be doing what I asked, but for me and for those who were making the request along with me? Allow me therefore to ask questions corresponding to the slowness and dullness of our intelligence, so that in this way you may give me and those other people satisfaction even in the case of childish questioning, as you did at the outset.


17. That in God no necessity or impossibility exists; and that there is a necessity which compels and a necessity which does not compel

A. We have already said that it is incorrect to say of God that he ‘cannot do something’ or that he ‘does it of necessity’. For all necessity, and all impossibility, is subject to his will. Moreover his will is not subject to any necessity or impossibility. For nothing is necessary or impossible for any reason other than that he himself so wills it. Indeed, for God himself to will something, or not will it, on account of necessity or impossibility, is a notion foreign to the truth. Hence, from the fact that he does all things which are his will and does nothing other than the things which are his will, two consequences follow: no necessity or impossibility precedes his volition or nonvolition and, similarly, neither precedes his action or inaction, no matter how many things he may unchangeably wish or do. Moreover, when God does something, the deed cannot be undone after it has been done, but it is for ever the truth that it has been done; yet, despite this, it cannot be correctly stated that it is impossible for God to make a past event not a past event: neither the necessity for action or the impossibility of inaction is operative in this case, only the will of God who, being himself the Truth, always wishes the truth to be unchangeable, as he is. Correspondingly, in the event that God plans that he is unalterably going to do something, even though, in the time preceding his action, what he has in mind is not not going to happen, there is in him no necessity for action or impossibility of inaction, since in him it is the will alone which is operative. Now, on all occasions when it is stated that God is ‘incapable’ of something, this is not a negation of any capacity in him: rather, it is his insuperable power and might which is being signified. For the meaning is none other than that nothing can bring it about that he should do the thing which he is being said to be ‘incapable’ of doing. Now, much use is made of the type of expression whereby something is said to ‘be possible’, not because possibility is inherent in that thing, but because it is inherent in something else, and ‘not to be possible’, not because impossibility is inherent in that thing but because it is inherent in something else. For we say: ‘This man is capable of being defeated’, instead of ‘Someone is capable of defeating him’, and ‘He cannot be defeated’, instead of ‘No one can defeat him’. For to be ‘capable of being defeated’ does not constitute a capability, but an incapability, and to be ‘incapable of being defeated’ does not constitute powerlessness, but power. Nor is it because there is any necessity inherent in him that we say that God does something ‘of necessity’, but rather because the necessity exists in something else; this is comparable to what I have said with reference to ‘incapability’ in statements to the effect that someone ‘is incapable’. As for necessity, every case of it constitutes either compulsion or prohibition, and these two necessities are opposites, the converse of one another, as are ‘necessity’ and ‘impossibility’. However, when we say with reference to God that something is, or is not, a necessity, the meaning is not that there exists in him either coercive or prohibitive necessity: the significance is that there is necessity inherent in all things other than himself which prevents him from acting—and compels him not to act—against what is predicated of God. For, when we say that it is a necessary fact that God always speaks the truth, and that it is a necessary fact that he never lies, all that is being said is that inherent in him there is such a high degree of constancy with regard to upholding the truth that nothing can make him not speak the truth, or tell lies. Consequently, when with reference to the man we have in mind— who, in view of the unity of his person, as has been said earlier, is identical with the Son of God, God—we say that he could not not die, or could not wish not to die, after he was born of the Virgin, what is being signified is not any inability to preserve his own life, or to wish to preserve it, immortal. What is being signified, rather, is the unchangeability of his will, in response to which he had of his own volition made himself a man with the specific intent that he would die in the steadfast pursuance of that same will, and the fact that nothing could change that will. For it would be incapability more than capability, if he were to be capable of wishing to lie or to deceive or to change his will, having previously willed that it should be unalterable. Moreover, as I said earlier, when someone voluntarily plans to do some good thing, and afterwards, in accordance with the same will, completes what he planned, it is not right to say of him that he is doing what he is doing out of necessity, even though, supposing that he were unwilling to fulfil his promise, it would be possible for him to be compelled to do so. For one ought not to say that anything is being done, or not being done, out of necessity or incapability, when it is neither necessity nor incapability that is operative, but will. If, I say, this is so in the case of a human being, it is very much more the case that the terms ‘necessity’ and ‘incapability’ are not to be used at all with reference to God, who does nothing which is not his will, and whose will no force has the power to compel or prohibit. For, in the case of Christ, the difference between his natures and the unity of his person had the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for his divine nature to bring about what had to happen for the restoration of mankind, should his human nature not be capable of this, and for his human nature to show forth whatever was not at all appropriate for his divine nature. Moreover, it would not be a case of ‘this man . . .’ and ‘the other . . .’, but both would be himself, one and the same, and, being completely both human and divine, he would pay through his human nature the debt which human nature owed, and would be capable, through his divine nature, of what was expedient. Finally, the Virgin who was made clean through faith, so that he might be received from her, by no means believed that he was going to die for any reason other than that it was his will to do so, this being in accordance with the teaching of the prophet who said of him, ‘He was made a sacrifice, because he willed it’ [Isa. 53: 7 Vulg.]. Consequently, since her belief was true, it was a necessity that it would come about just as she believed. Now, if it troubles you once more that I am saying, ‘It was a necessity’, remember that the truth of the Virgin’s belief was not the cause of his dying voluntarily: rather the belief was true because his dying voluntarily was in the future to be an actuality. Hence, supposing it is said, ‘It was necessary that he should die only through his will, because prior belief or prophecy concerning it was true’: this is no different from saying that it was necessary for it to come about thus in the future, since it was going to come about thus. Moreover, this sort of ‘necessity’ does not compel something to be: rather, the existence of an actuality makes it a necessary fact. For there is a necessity which precedes, being the cause for an actuality’s existence, and there is a necessity which is consequent, being caused by an actuality. It is a case of a necessity which precedes and effects when the statement is made that ‘the sky revolves because it is a necessity that it should revolve’. It is a case of a necessity which is consequent and effects nothing but is itself caused when I say, ‘You are, of necessity, speaking’. This is because when I say this, what I mean is that nothing can bring it about that, while you are speaking, you are not speaking; I do not mean that something is compelling you to speak. For the violence of a natural state of affairs compels the sky to revolve, but there is no necessity which is causing you to speak. Now, wherever there exists antecedent necessity, consequent necessity also exists. But it is not the case that where there is consequent necessity, there immediately exists antecedent necessity. For we can say, ‘It is a necessity that the sky should turn, because it does turn’, but it is not similarly true to say, ‘You are speaking for the reason that it is a necessity for you to speak’. This consequent necessity occurs throughout the tenses, in this way. It is a necessity that whatever has been, has been. It is a necessity that whatever is, is. It is a necessity that whatever is, has been going to be. It is a necessity that everything that is going to be, is going to be. This is the necessity which, in Aristotle’s treatment of singular and future propositions,37 appears to deny the existence of alternatives and affirms that all things exist of necessity. Since the conviction and the prophecy about Christ—that he was going to die voluntarily and not out of necessity—were true, it was on the strength of this consequent, non-effectual necessity that it was necessary that it should be so. This was the necessity whereby he was made man; whereby he did and had done to him38 whatever he did and had done to him; whereby he willed whatever he willed. These things of necessity were, for the reason that they were going to be, and they were going to be because they were, and they were because they were. And if you want to know what the true necessity was behind all the things which he did and had done to him, know this: all these things of necessity were, because he himself so willed it. Indeed, no necessity is antecedent to his will. Hence, given that it was for no reason that these things were, other than that he willed it: if he had not so willed, they would not have been. In this way, therefore, no one took his life from him, but he himself laid it down and took it up again, because he had the ‘power to lay down his life and take it up again’, as he himself says [John 10: 18].

B. You have satisfied me that Christ cannot be proved to have undergone death out of any necessity, and I am not sorry that I was a nuisance to you, in order that you should do this.

A. We have made clear, I think, a definite logical explanation of how God raised up a man without sin out of sinful matter. I also think that one certainly must not deny there to be—apart from the consideration that God can do what human reasoning cannot comprehend—a logical explanation other than the one of which we have been speaking. But the explanation which I have given you seems sufficient to me, and also, if I were to wish to investigate another now, it would be necessary to look into what original sin is, and how it percolates through to the whole human race from our first ancestors, and it would be necessary to confront certain other questions which demand their own separate treatment. Let us be content, therefore, with the explanation of which we have been speaking, and

37 Cf. Aristotle, De Interpretatione, cited by Boethius, In De Interpretatione Aristotelis Vol. 1: 9.31–10.1 Meiser, PL 64, 333, meaning, approximately, ‘It is not the case, therefore, that anything exists or comes into being by chance, nor will it in future alternatively be or not be, but all things exist of necessity, and not as a matter of alternatives.’

38 Lat. passus est; alternative translation, ‘suffered’.

proceed to the remaining parts of the work which we have undertaken.

B. As you wish—but on condition that, with God’s help, you will some time, as if in repayment of a debt, explore that other reason which you are avoiding looking into now.

A. I do not refuse your request, since I am aware that I have a desire to undertake this. But because I am uncertain about future events, I do not dare to make a promise, but place the matter at God’s disposal.


18. How the life of Christ is recompense paid to God for the sins of mankind; and how Christ was obliged, and was not obliged, to suffer

In consequence of the question which you put forward at the beginning, many other questions have presented themselves. But say now what aspect of it seems to you in want of a complete solution.

B. The substance of the question was: why God became man, so that he might save mankind through his death, when it appears that he could have done this in another way. You have responded to this question with many cogent lines of reasoning, and have thereby shown that it was not right that the restoration of human nature should be left undone, and that it could not have been brought about unless man repaid what he owed to God. This debt was so large that, although no one but man owed it, only God was capable of repaying it, assuming that there should be a man identical with God. Hence it was a necessity that God should take man into the unity of his person, so that one who ought, by virtue of his nature, to make the repayment and was not capable of doing so, should be one who, by virtue of his person, was capable of it. Next,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man who was God had to be taken from a Virgin and from the person of the Son of God, you have also shown how he could have been taken sinless from out of sinful matter. You have furthermore proved that the life of this man is so sublime and so precious that it can suffice to repay the debt owed for the sins of the whole world, and infinitely more besides. It now remains, therefore, to show how his life is recompense for the sins of mankind.

A. If he allowed himself to be killed on account of his righteousness, did he not give his life for God’s honour?

B. If I can understand what I do not doubt, I will admit— although I do not see how he was acting rationally in doing this, seeing that he could have upheld righteousness unswervingly and could have preserved his life eternally—that he voluntarily gave to God, for his honour, some gift of the sort with which all that is not God cannot be compared, but which can be given as recompense for the debts of all mankind.

A. When Christ endured with kindly patience the sufferings— injuries and insults and death on the cross along with robbers— which were inflicted on him because of the righteousness which, as we have said earlier, he was obediently maintaining, he set an example to mankind, the purpose of which was that people should not turn aside, without the provocation of any perceptible discomforts, from the righteousness which they owe to God. He would certainly not have been setting this example if he had taken advantage of his power and turned aside from the death which, for such a reason, was being inflicted on him. Do you not understand this?

B. It does not seem that it was a matter of any necessity that he should personally have set this example, seeing that many people before his coming, and John the Baptist after his coming but before his death, are recognized to have done this adequately by enduring death bravely for the sake of the truth.

A. No member of the human race except Christ ever gave to God, by dying, anything which that person was not at some time going to lose as a matter of necessity. Nor did anyone ever pay a debt to God which he did not owe. But Christ of his own accord gave to his Father what he was never going to lose as a matter of necessity, and he paid, on behalf of sinners, a debt which he did not owe. In view of this, he was all the more setting an example, the purpose of this being that people would not, when there was a compelling reason, have doubts about giving to God something which each of them was some time before long to lose. He was in no way needy on his own account, or subject to compulsion from others, to whom he owed nothing, unless it was punishment that he owed them. Nevertheless, he gave his life, so precious; no, his very self; he gave his person—think of it—in all its greatness, in an act of his own, supremely great, volition.

B. You are approaching very close to my heart’s desire. But be so patient as to allow me to ask a question which you may perhaps think me foolish to ask but to which it is not immediately obvious how I would reply, if I were to be asked it. You say that, when Christ died, he gave something which he did not owe. But no one will deny that, when he set this example in the way he did, he acted in a better way, and one more pleasing to God, than if he had not done this. And no one will say that he ought not to do something which he understood to be the better option and more pleasing to God. How, therefore, are we to assert that he did not owe to God what he did—namely, what he knew to be better and more pleasing to God—especially since a creature owes to God all that it is, and all that it knows and is capable of ?

A. Although a creature possesses nothing of itself, none the less, when God gives it leave to do or not to do something with his permission, he is granting it the gift of having two options, under such terms that, although one option may be better, neither is definitely demanded. Instead, whether the creature does what is better, or the alternative, it is said that what it is doing is what it ought to do. Moreover, if it does what is better, it has a reward, because it is giving of its own accord what is its own. For instance, although virginity is better than marriage, neither is definitely demanded from a human being. Rather, it is said of a person who prefers to marry, and of one who prefers to preserve virginity, that this is what he ought to do. For no one says that a person ought not to choose virginity, or marriage. Rather, we say that what a person prefers, before choosing one of these options, he ought to do. And if he preserves his virginity, he looks forward to a reward for the voluntary gift which he is offering to God. When, therefore, you say that a creature owes to God what it knows is better and what it is capable of, this is not invariably true—not if you interpret the action as a matter of indebtedness, and do not read into your statement the unstated implication, ‘If God commands it’. For indeed, as I have said, a person does not owe virginity as a debt. Rather, he ought to marry, if this is his preference. But if the word ‘ought’ perturbs you and you cannot conceive of a meaning for it without any sense of ‘owing’, take note of the fact that, just as the words ‘can’ and ‘cannot’ and ‘necessity’ are sometimes uttered not because they apply to the subjects of the utterance in which they occur, but because they apply to something else, so it is with ‘ought’. For instance, when we say that the poor ‘ought’ to receive alms from the rich, this is no different from saying that the rich ‘ought’ to give alms to the poor. For the debt owed here is not something to be exacted from a poor person, but from a rich one. It is said of God too that he ‘ought’ to be pre-eminent over all things, not because he is in this respect in any sense a debtor, but because all things ‘ought’ to be subordinate to him. It is said of him that he ‘ought’ to do what is his will, since that which is his will ought to be. Thus, when some creature wishes to do something which it is its own prerogative to do or not to do, the reason why the expression ‘ought to do’ is used is that what it wishes ought to be. When, therefore, it was the will of the Lord Jesus, as we have said, to endure death, in view of the fact that it was his prerogative to suffer or not to suffer, the reason why he ‘ought’ then to do what he did was that what he wished ought to be. His action was not something that he owed, because it was not a matter of indebtedness. Indeed he is both God and man, so consequently, where his human nature was concerned, from the time when he became human, he received from his divine nature—which is different from human nature—the circumstance that whatever he had was his own. As a result, there was nothing which he ‘ought’ to give, except what he wished. But, where his person was concerned, he had what he had from himself, and thus was perfectly self-sufficient, and, as a result, neither owed recompense to anyone, nor needed to give recompense to himself.

B. I see plainly now that, contrary to what my reasoning seemed to indicate, there was no logical reason why it was as a result of an obligation owed that Christ gave himself up to death for the sake of God’s honour—and that, nevertheless, what he did was something which he ‘ought’ to do.

A. That honour, to be sure, belongs to the whole of the Trinity. It follows that because Christ himself is God, the Son of God, the offering he made of himself was to his own honour as well as to the Father and the Holy Spirit; that is, he offered up his humanity to his divinity, the one selfsame divinity which belongs to the three persons. However, so that we may express our meaning more clearly, while remaining steadfast in the same truth, let us say, as customary usage has it, that the Son voluntarily offered himself to the Father. For it is most appropriate to speak in this way, because, in referring to the one person, one understands the whole God to whom Christ offered himself as a human being. Moreover, through the naming of Father and Son, a feeling of immense pious devotion is aroused in the hearts of listeners, since the Son is said in this way to be making supplication to the Father on our behalf.

B. I accept this most gladly.


19. With what very great logicality the salvation of mankind follows from his death

A. Let us contemplate now, as far as we are able, with what very great logicality human salvation follows from his death.

B. This is the direction towards which my heart inclines. For, although it seems to me that I understand this, I none the less want the structure of the logic to be worked out by you.

A. There is no need, however, to expound what a great gift it is that the Son voluntarily gave.

B. That is sufficiently clear.

A. Moreover, it will not be your judgement that someone who gives such a great gift to God ought to go without recompense.

B. No. I see that it is necessary that the Father should compensate the Son. Otherwise, he would seem unjust if he lacked the will, and powerless if he lacked the ability, to do so; both of which qualities are foreign to God.

A. Someone who gives recompense to another either gives what that person does not have or excuses what cannot be exacted from him. But before the Son performed his supremely great action, all things which belonged to the Father belonged to him, and he had no debt which he could be excused. What compensation is to be given, therefore, to someone who lacks nothing and to whom nothing can be given or excused?

B. On the one hand, I see the necessity for compensation and, on the other, its impossibility. For it is both necessary for God to give what he owes, and there is nothing for him to give as recompense.

A. If a reward, supremely great and supremely well-merited, is not given to him or to anyone else, the Son will seem to have done his supremely great act to no purpose.

B. It is an abomination to countenance this idea.

A. It is inevitable, therefore, that, because it cannot be given to him, it must be given to someone else.

B. This follows inevitably.

A. Supposing the Son wished that what was owed to him should be given to someone else, could the Father have justly prevented him, or denied the gift to the intended recipient?

B. No. I appreciate that it is both just and necessary that it should be handed over as recompense by the Father to the recipient to whom the Son wished to give it. This is for two reasons: it is permissible for the Son to give what is his own, and it is only to someone else that the Father can give what he owes.

A. On whom is it more appropriate for him to bestow the reward and recompense for his death than on those for whose salvation, as the logic of truth teaches us, he made himself a man, and for whom, as we have said, he set an example, by his death, of dying for the sake of righteousness? For they will be imitators of him in vain, if they are not to be sharers in his reward. Again, whom is he with greater justice to make heirs of the recompense due to him, and of the overflowing of his bounty, than those who are parents and brothers to him, whom he sees, bound by so many and such enormous debts, wasting away with deprivation in the depths of misery? The debt that they owe for their sins would, as a result, be excused and they would be given what, because of their sins, they are deprived of.

B. There can be nothing more logical, nothing sweeter, nothing more desirable that the world can hear. I indeed derive such confidence from this that I cannot now express in words with what joy my heart is rejoicing. For it seems to me that God rejects no member of the human race who approaches him on this authority.

A. So it is, if he makes the approach in the way that he should. Moreover, how one should approach the state of sharing in this grace, and how one should live once subject to that state, is something which Holy Scripture teaches, based as it is on the solid truth into which, with God’s help, we have to some extent gained an insight, truth which is, as it were, a firm foundation.

B. Truly, whatever is built upon this foundation is founded on firm rock.

A. I think I have now gone some little way towards a satisfactory reply to your question, although someone better than I could do it more fully, and there are more, and greater, reasons for this thing than my intellect, or any mortal intellect, can comprehend. It is clear also that God in no way had a need which required him to perform the action of which we have been speaking: rather, it was unchangeable truth that demanded that this be so. For, granted that this was the action of the man of whom we have spoken and that it may be said that God did it, in view of the unity of his person, it is nevertheless not the case that God needed to come down from heaven to conquer the devil, or to take action against him in order to set mankind free. Rather, God demanded it of man that he should defeat the devil and should pay recompense by means of righteousness, having previously offended God through sin. Certainly God did not owe the devil anything but punishment, nor did man owe him anything but retribution—to defeat in return him by whom he had been defeated. But, whatever was demanded from man, his debt was to God, not to the devil.


20. How great and just the mercy of God is

Now, the mercy of God which, when we were considering the justice of God and the sin of mankind, seemed to you to be dead,39 we have found to be so great, and so consonant with justice, that a greater and juster mercy cannot be imagined. What, indeed, can be conceived of more merciful than that God the Father should say to a sinner condemned to eternal torments and lacking any means of redeeming himself, ‘Take my only-begotten Son and give him on your behalf ’, and that the Son himself should say, ‘Take me and redeem yourself ’. For it is something of this sort that they say when they call us and draw us towards the Christian faith. What also could be juster than that the one to whom is given a reward greater than any debt should absolve all debt, if it is presented with the feeling that is due?


21. That it is impossible for the devil to receive reconciliation

As for the reconciling of the devil about which you asked,40 you will understand this to be impossible if you carefully consider the reconciling of mankind. For just as man could not be reconciled except by a man-God who was capable of dying, through whose righteousness what God lost through the sin of mankind might be restored, likewise the condemned angels cannot be saved except by an angel-

39 Cf. 1.25 above.
40 Cf. 1.17.

God who would be capable of dying and who would restore by his righteousness what the sins of the others have stolen. Moreover, just as it was not right that man should be restored by another man who was not of the same race, even if he were of the same nature, similarly it is not right that an angel should be saved by another angel, even if he were of the same nature, since angels are not of one race as human beings are. For angels are not all descended from one angel in the same way that human beings are descended from one man. Another thing which rules out their restoration is that, just as they fell without having as the cause of their fall injury from anyone else, similarly they ought to rise once more without the assistance of anyone else—and this is impossible for them. For there is no other way in which they can be restored to the dignity which they were to have possessed, since, supposing they had not sinned, they would have been remaining steadfast in the truth without anyone else’s assistance, through power which they had received as their own. Consequently, if anyone advances the opinion that our Saviour’s redemption ought at some time to be extended to them, it is proved by logic that he is being deceived contrary to logic. I do not say this on the supposition that the value of the death of Christ does not outweigh in its magnitude all the sins of mankind and of the angels, but because unalterable logic opposes the granting of relief to the fallen angels.


22. That by the things which have been said, the truth of the Old Testament and the New has been proved

B. All the things which you say seem to me logical and incontrovertible. And my understanding is that, through the solution given to the single problem which we set ourselves, all that is contained in the New Testament and the Old has been proved. For you prove that it is a matter of necessity for God to become man, and you do so in such a way that, even if one were to remove the few things posited by you that come from books of ours, such as the material you have touched upon with regard to the three persons of God and with regard to Adam—you would be providing something which would satisfy not only Jews, but even pagans. The God-Man himself it is who establishes the New Testament and confirms the Old. Therefore, in the same way that it is a necessity to acknowledge that the God-Man is truthful, likewise no one can fail to acknowledge that all that is contained in those Testaments is true.

A. If we have said anything that ought to be corrected, I do not refuse correction. But if it is corroborated by the Testimony of Truth, as we think we have by means of logic discovered, we ought to attribute this not to ourselves but to God, who is blessed throughout all ages. Amen.

-작성중-

  1. 34 For non assumet here (Schmitt, 112:23) perhaps we should read non assumetur. [본문으로]
  2. 35 The text here raises suspicions: one would expect to read ‘his life’ rather than ‘he’, and it may be we should indeed read conjecturally: Quantum bonum tibi videtur cuius interemptio tam mala est. [본문으로]
  3. 36 Or ‘it’, if we have read , ‘his life’. [본문으로]

1. 일단 Brian Davies랑 G. R. Evans 번역부터.

1. That man was created righteous so that he might be blessedly happy
   인간이 지복을 누리도록 정의롭게 창조되었다는 것


A. It ought not to be doubted that the nature of rational beings[각주:1] was created by God righteous[각주:2] in order that, through rejoicing in him, it might be blessedly happy. For the reason why it is rational is in order that it may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and between the greater good and the lesser good. Otherwise it was created rational to no purpose. But God did not make it rational to no purpose. On the basis of similar logic there is proof that rational nature received the power of discrimination in order that it might hate and avoid what is bad, and love and choose the good, and, moreover, love and choose, for preference, the greater good. For otherwise it would have been to no purpose that God had given it that power of discrimination, if no love resulted from the discriminating, and no avoidance. But it is not fitting that God should have given such an important power to no purpose. It is a certainty, therefore, that rational nature was created to the end that it should love and choose, above all, the highest good, and that it should do this, not because of something else, but because of the highest good itself. For if the loving were for the sake of something else, it would have as its object not the highest good itself but the other thing. But loving the highest good is something which rational nature cannot do unless it is righteous. In order, therefore, that its rationality should not be purposeless, it was simultaneously created rational and righteous. Now, it was created with these characteristics—if it was created for the purpose of choosing and loving the highest good—either so that it should attain to what it was loving and choosing, or, alternatively, so that it would not. But if it is not the case that rational nature has been created righteous in order that some day it may attain to what it loves and chooses, it has been created with this characteristic to no purpose, as a result loving and choosing the highest good without there being any reason why it will ever be its due to attain to it. For so long, then, as it performs righteous acts, loving and choosing the highest good—the purpose for which it was created—it will be miserable, because it will be in need against its will, not having what it yearns for. This is an extreme absurdity. Hence rational nature was created righteous to the end that it might be made happy by rejoicing in the highest good, that is, in God. Man, being rational by nature, was created righteous to the end that, through rejoicing in God, he might be blessedly happy.
안 : 이성적 존재자들의 본성이 신에 의해서, 신 안에서 기뻐함을 통하여, 지복을 누리도록 창조되었다는 것은 의심하지 않아야 한다. 왜냐하면 그 본성이 이성적인 이유가 올바름과 그릇됨을, 그리고 더 큰 선과 더 적은 선을 구분하도록 하기 위함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달리 어떤 목적을 위해서도 창조된 것이 아니다. 하지만 신은 목적 없이 그 본성을 만들지 않았다. 비슷한 논리에 기초하여 이성적 본성은 악을 미워하고 피하도록, 그리고 선을 사랑하고 선택하도록 하기 위해, 그리고, 더 나아가, 선호에 대하여, 더 큰 선을 사랑하고 택하도록 하기 위해 분별의 능력을 받았다는 증명이 있다. 왜냐하면 다른 식으로는 신이 그 본성에 분별력을 주었다는 것이 아무 목적도 없는 일일 테니, 만일 그 분별로부터 아무런 사랑도, 아무런 기피도 귀결하지 않는다면. 하지만 신이 그런 중요한 능력을 아무 목적 없이 줘야 했으리란 것은 어울리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성적 본성이 무엇보다도 최상의 선을 사랑하고 택하도록 하는 목적으로 창조되었다는 것, 그리고 그 본성은 이 일을 다른 어떤 것 때문이 아니라 최상의 선 자체로 인해 행해야 한다는 것은 확실하다. 하지만 최상의 선을 사랑하는 일은 이성적 본성이 정의롭지 않는 한 행할 수 없는 어떤 것이다. 그러므로 그 본성의 이성이 맹목적이어서는 안 되겠기에, 그 본성은 이성적인 동시에 정의롭게 창조되었다. 이제, 그 본성은 이런 특성들과 더불어 창조되었다 - 만일 그 본성이 최상의 선을 사랑하고 택하는 것을 목적으로 창조되었다면 - 그리하여 그가 사랑하고 택하는 그것을 얻도록, 혹은, 대신에, 그러지 못하도록. 하지만 만일 이성적 본성이 언젠가 그 본성이 사랑하고 택하는 것을 얻도록 정의롭게 창조되었던 것이 아니라면, 그 본성은 아무 목적 없이 이러한 성격과 더불어 창조되었다, 그것을 얻어야 할 이유가 될 것도 없이 최상의 선을 사랑하고 택한다는 일의 결과로. 그래서 그 본성이 정의로운 행위들을 수행하는 한, 최상의 선을 사랑하고 택함으로써 - 그 본성이 창조된 목적 - 그 본성은 비참해지는데, 그 본성이 그 의지에 반하여 결핍에 처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것이 갈구하는 바를 지니지 못함으로써. 이것은 지극히 부조리하다. 따라서 이성적 본성은 최사의 선, 즉 신 안에서 기뻐함으로써 지복을 누리게 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정의롭게 창조되었다. 본성에 의해 이성적인 존재인 인간은 신 안에서의 기쁨을 통하여 지복을 누리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정의롭게 창조되었다.


2. That he would not die if he had not sinned
 그는 죄를 짓지 않았더라면 죽지 않았을 것이다.


Furthermore, because man was created with this characteristic in order that he should not inevitably die, it is easily proved on this basis that, as we have already said, it is repugnant to the wisdom and justice of God that he should force him, if guiltless, to suffer death, having made him righteous for the purpose of eternal happiness. It follows, therefore, that if he had never sinned, he would never die.
더 나아가, 인간이 이런 성격과 더불어 불가피하게 죽어야 하는 것은 아니게끔 창조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배경에서, 우리가 이미 이야기했던 것처럼, 신의 지혜와 정의에 대해 그가 인간으로 하여금, 그가 죄가 없을 경우, 죽음을 겪도록 강제하리란 것, 영원한 지복의 목적으로 그를 정의롭게 만들면서도 그랬다는 것은 혐오스러운 일임이 쉽사리 증명된다. 그러므로 만일 그가 결코 죄 지은 일이 없었다면, 그는 결코 죽지 않았으리란 점이 귀결한다.

3. That he rises with the body in which he lives in this life
그는 이 삶에서 그가 살던 그 육신과 더불어 일어서리라는 것


Hence there is proof that there is to be at some time a resurrection of the dead. For if man is to be restored in perfection, he ought to be reconstituted as the sort of being he would have been if he had not sinned.
따라서 언젠가 죽은 자들의 부활이 있으리란 것의 증명이 있다. 만일 인간이 완전한 채로 복원될 것이라면, 그는 그가 죄를 짓지 않았더라면 그러하였을 그런 종류의 존재로서 재구성되어야 한다.

B. It cannot be otherwise.
달리 될 수는 없다.

A. In the same way, therefore, that if man had not sinned, he would have been bound to undergo change into incorruptibility, likewise it is right that, when in the future he is restored, he will be restored in the body in which he lives in this life.
그러므로 같은 방식으로, 만일 인간이 죄를 짓지 않았더라면, 그는 불후성으로의 전환을 겪도록 되어 있었을 것이고, 같은 방식으로, 미래에 그가 복원될 때, 그는 그가 이 삶을 살아가는 그 육체 안에서 복원될 것이라는 점은 옳다.

B. What are we to answer, if someone should say that it is right that this should happen in the case of those in whom the human race is to be restored, but that it is not necessary where the wicked are concerned?
만일 누군가 이런 일이 복원될 그런 인간종의 경우에는 일어나야 하는 게 맞다고, 하지만 악한들이 관련된 경우에는 필연적이지 않다고 말한다면, 우리가 답할 바는 무엇인가?

A. Nothing more just or appropriate can be conceived of than that, just as a human being, if he had persevered in righteousness, would have enjoyed eternal blessedness as an entirety, that is, with soul and body, similarly, if he perseveres in unrighteousness, he should, as an entirety, be eternally miserable.
바로 인간종으로서, 만일 그가 정의로움 안에서 존속하였다면, 전체로서, 즉 영혼과 육신을 가지고 영원한 지복을 향유하였을 것인 바와 마찬가지로, 만일 그가 부정의 안에서 존속하였다면, 전체로서 영원히 비참하였을 것이라는 것보다 더 정의롭거나 적절하다고 인정될 수 있는 아무것도 없다.

B. You have not taken long to satisfy me about these matters.
이 문제들에 대해 내게 만족할 만큼 길게 다루지 않았다.


4. That, with regard to the nature of mankind, God will bring to completion what he has begun
인류의 본성을 고려하여, 신은 그가 시작한 일을 완성하리란 것


A. On the basis of these considerations it is easy to recognize, that with regard to the nature of mankind, there are two alternatives: either God will complete what he has begun, or it was to no avail that he created this life-form[각주:3]—so sublime a life-form, and with such great good as its purpose. But, if it is recognized that God has made nothing more precious than rational nature, whose intended purpose is that it should rejoice in him, it is totally foreign to him to allow any rational type of creature to perish utterly.
이런 고찰들을 기초로, 인류의 본성을 고려하여, 두 가지 대안들이 있다는 것은 알아차리기 쉬운 것이다: 신이 그가 시작한 일을 완결짓거나, 아니면 그가 이 삶의 형식 - 그렇게나 절묘한 삶의 형식, 그리고 그렇게나 커다란 선을 그 목적으로 가진 - 을 만들었던 것이 아무 쓸모도 없는 일이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만일 신이, 그가 의도한 목적이 그 본성이 신 안에서 기뻐하게 되는 것인 그 신이, 이성적 본성보다 더 귀중한 다른 어떤 것도 만들지 않았다는 점을 인정한다면, 어떤 종류의 이성적 피조물이든 완전히 소멸하는 것을 허용함이 그에게 전적으로 이질적이다.

B. A heart that is rational cannot think otherwise.
합리적 심장은 달리 생각할 수 없다.

A. It is necessary, therefore, that, with regard to the nature of mankind, God should finish what he has begun. However, this cannot be done, as we have said, except through the paying of complete recompense for sin, something which no sinner can bring about.
그러므로 인류의 본성을 고려하면, 신이 그가 시작한 일을 끝마치리란 것은 필연적이다. 그렇지만, 우리가 말했듯, 이 일은 죄에 대한 완결된 보상을 지불함을 통해서가 아니라면 행해질 수 없다, 그 어떤 죄인도 야기할 수 없는 그런 어떤 것(선행사가 the paying이야 this야?)

B. I understand now that it is necessary that God should accomplish what he has begun, in order that he may not appear, unfittingly, to be failing in his undertaking.
난 이제 신이 그가 시작했던 일을 완성하리란 게 필연적임을 이해한다, 신이 어울리지 않게 그가 맡은 일에 실패하는 것으로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5. That, although it is a matter of necessity that this should happen, it will not be under compulsion of necessity that he will do this; that, moreover, there is a necessity which removes or diminishes graciousness and a necessity which increases it
이 일이 일어나리란 것이 필연적인 일이라 할지라도, 그가 이 일을 해내리란 것이 필연의 강제 아래 있지는 않으리란 것; 즉, 더 나아가, 영광을 제거하거나 약화시키는 필연성과 그것을 증대시키는 필연성이 있다는 것.


But if this is so, God seems, as it were, to be forced to bring about the salvation of mankind by the necessity for avoiding unfittingness. How can it be denied, therefore, that he is taking this action for his own sake rather than ours? Again, if this is the case, what gratitude[각주:4] do we owe him for this thing which he is doing for his own sake? Furthermore, how is it that we are to attribute our salvation to his grace, if it is of necessity that he saves us?
하지만 만일 이 일이 그렇다면, 신은 마치 부적절함을 피하기 위한 필연에 의해 인류 구원을 일으키도록 강제받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므로 그가 이 행위를 우리보다도 그 자신 때문에 취하고 있다는 걸 어떻게 부정할 수 있는가? 다시, 만일 이게 사실이라면, 그가 그 자신을 위해 하고 있는 이 일을 위해 우리가 그에게 줘야 할 감사가 무엇인가? 더 나아가, 어떻게 우리의 구원을 신의 은혜로 돌리게 되는가, 만일 그가 우릴 구원하는 것이 필연에 속한다면?

A. There is a necessity which removes graciousness from someone who is acting beneficently, or diminishes it, and there is a necessity whereby the debt of gratitude owed for a benefaction is increased. For when someone acts beneficently against his will due to the unavoidable force of circumstances to which he is subject, he is owed either no gratitude or less gratitude. When, on the other hand, he subjects himself freely to a force which inevitably requires him to do good, and is not reluctant to endure it, then he certainly deserves greater gratitude for his good deed. Now, this action is not to be called an act of necessity but an act of grace, because it is under no one’s compulsion that he undertakes it and carries it out, but freely. For, suppose you promise today that you will give a present tomorrow and tomorrow make the gift of your own free will: even though it is a matter of necessity for you to keep your promise, if you can—otherwise you will be a liar—the person to whom you are making the gift is no less indebted to you than if you had not made the promise, because you did not hesitate to make yourself his debtor before presenting the gift. A comparable case is when someone of his own free will makes a vow about holy living. It is true that he is of necessity under an obligation to keep the vow after he has made it, in order that he may not incur the condemnation due to an apostate; it is true, also, that he can be forced to keep it, supposing he does not wish to.
유익하게 행위하는 누군가로부터 영광을 제거하거나 혹은 그 영광을 약화시키는 필연성이 있고, 자선에 대해 갚아야 할 감사의 빚이 증대되는 그런 필연성이 있다. 누군가 그의 의지에 반하여 그가 지배받는 상황의 불가피한 강제 탓으로 유익하게 행위할 때, 그는 전혀 감사받지 않아야 하거나 덜 감사받아야 한다. 반면에 그가 불가피하게 선을 행하도록 요구하는 강제로부터 자유롭게 그 자신을 지배할 때, 그리고 그 일을 감내하기를 내키지 않아 하지 않을 때, 그러면 그가 확실히 그의 선행에 대해 더 큰 감사를 받을 만하다. 이제, 이런 행위는 필연에 속한 행위로 불려야 하는 것이 아니라, 은혜에 속한 행위로 불려야 하는데, 그 행위는 그가 그 행위를 떠맏고 또 수행하도록 하는 누구의 강제 하에도 있지 않고 자유롭기 때문이다. 당신이 내일 선물을 주겠노라고 오늘 약속하고 내일 당신 자신의 자유로운 의지로 선물을 만든다고 가정해 보자: 당신이 당신의 약속을 지키는 것이 필연의 문제라 할지라도, 만일 당신이 그럴 수 있다면 - 다른 식으로는 당신이 거짓말쟁이가 될 것이다 - 당신이 그에게 줄 선물을 만들고 있는 그 사람은 당신이 그 약속을 하지 않았다면 그러했을 것보다 당신에게 조금도 덜 고마워하지 않는다, 당신 자신을 그 선물을 하기 전까지 그 사람에 대한 채무자로 만들기를 주저하지 않았기 때문에. 비견할 만한 경우는 누군가 그의 자유로운 의지로 경건한 삶에 대한 맹세를 하게 될 경우이다. 그는 그가 맹세한 이후로 그 맹세를 지킬 의무 하에 필연에 속해 있다는 건 참이다, 변절자(배교자)라는 이유로 비난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또한 그가 바라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그 맹세를 지키도록 강제받을 수 있다는 것도 참이다.
But even so, if he keeps his vow willingly, he is not less, but more, pleasing to God than if he had not made the vow, since what he has renounced for the sake of God is not only life in ordinary society[각주:5] but permission to participate in it. Moreover, it is not right to say of him that he is living a holy life as a matter of necessity, but in freedom, rather—the same freedom in which he made his vow. Consequently, despite the fact that it is not fitting for God to fail to bring to completion a good beginning, we ought all the more to attribute it entirely to his grace if he completes the act of beneficence towards mankind which he has begun, seeing that he has begun it for our sake, not for his own, being himself in need of nothing. For it was no secret to God what man was going to do, when he created him, and yet, by his own goodness in creating him, he put himself under an obligation to bring his good beginning to fulfilment. Ultimately, God does nothing under compulsion of necessity—because he is in no way forced to do, or prohibited from doing, anything. And when we say that God is performing some action as if out of a necessary obligation to avoid what is dishonourable—something of which he certainly has no fear—what we should understand, rather, is that he is acting thus out of a necessary obligation to uphold what is honourable. The necessity to which I am referring is plainly nothing other than the unchangeability of God’s honour, which he possesses of himself, and from no one apart from himself. For this reason, ‘necessity’ is a misnomer. Let us say, nevertheless, that it is a necessity that the goodness of God should bring to completion what it has begun with respect to mankind, because of his unchangeability, although the whole of what he does is grace.
허나 그렇긴 해도, 만일 그가 그의 맹세를 자진하여 지킨다면, 만일 그가 맹세를 하지 않았다면 그러했을 것보다 덜 신을 기쁘게 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더욱 기쁘게 한다, 그가 신을 위하여 단념하였던 것은 단지 세속에서의 삶만이 아니라, 그 삶에 참여함에 대한 허용까지이므로. 더욱이, 그에 대해 그가 필연의 문제로 경건한 삶을 살고 있다고 말하는 것은 옳지 않고, 자유 속에서, 오히려 - 그가 그 안에서 그의 맹세를 하였던 것과 동일한 자유 안에서 그렇다고 말하는 게 옳다. 결론적으로, 선한 시작을 완성시키지 못함이 신에 대해 적절하지 않다는 것이 사실임에도, 우리는 만일 신이 그가 시작한 인류에 대한 유익한 행위를 완수한다면 그 일을 전적으로 더욱 더 그의 은혜로 돌려야 하는데, 그가 우리를 위해 그 일을 시작하였고, 스스로 어떤 결핍도 없는 그 자신을 위해서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신이 인간을 창조했을 때 인간이 무엇을 하게 될 것인지는 신에게 비밀이 아니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을 창조함에 있어서 신 자신의 선에 의하여, 신은 자신을 그의 선한 시작이 충족되도록 할 책임 하에 두었기 때문이다. 궁극적으로, 신은 아무것도 필연의 강제 하에 행하지 않는다 - 그는 어떤 식으로도 그 어떤 것도 행하도록 강제받거나 행함으로부터 금지당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우리가 신이 어떤 일을 마치 불명예일 수 있는 어떤 것을 피할 필연적 의무로부터인 것처럼 수행하고 있다고 말할 때 - 그 일에 대해 신이 확실히 아무런 두려움도 없는 - 우리가 이해해야 하는 바는, 오히려, 신이 명예로울 일을 유지하는 필연적 의무로부터 행위하고 있다는 것이다. 내가 언급하고 있는 필연성은 분명히 신의 영광의 불변성, 그가 그 자신의 것으로 지니는 불변성, 그리고 그 자신 외에 그 어떤 것으로부터도 나오지 않는 그 불변성 외에 다른 아무것도 아니다. 이런 이유로, '필연성'은 잘못된 이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의 선이 그 선이 인류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시작했던 일의 완성을 이루어야 한다고, 그의 불변성 때문에, 그가 행하는 모든 일이 은혜로울지라도 그렇다고 말하기로 하자.

B. You have my leave to say so.
난 당신이 그리 말하도록 허락한다.


6. That no one is capable of bringing about the recompense by which mankind may be saved except someone who is God and man
신이면서 인간인 누군가를 제외하고 누구 하나 그로써 인류가 구원될 보상을 일으킬 능력이 없다는 것


A. But this cannot come about unless there should be someone who would make a payment to God greater than everything that exists apart from God.
그러나 이 일은 신 외에 존재하는 모든 것보다 더 큰 것을 신에게 보상할 누군가가 있지 않는 한 일어날 수 없다.

B. That is agreed.
그건 동의되었다.

A. It is also a necessity that someone who can give to God from his own property something which exceeds everything which is inferior to God, must himself be superior to everything that exists apart from God.
또한 신에게 미치지 못하는 모든 것을 넘어서는 뭔가를 그 자신의 소유로부터 신에게 줄 수 있는 누군가는, 그 자신이 신 외에 존재하는 모든 것에 대해 넘어서는 자여야만 한다는 것은 필연적이다.

B. I cannot deny it.
부정할 수 없다.

A. Now, there is nothing superior to all that exists which is not God—except God.
이제, 신을 제외하고는, 신 아닌 존재하는 모든 것을 넘어서는 아무것도 없다.

B. That follows.
귀결된다.

A. But the obligation rests with man, and no one else, to make the payment referred to. Otherwise mankind is not making recompense.
하지만 언급된 죗값을 치르는 의무는 다른 누구도 아닌 인간 책임이다. 다른 식으로 인류는 보상을 이룰 수 없다.

B. This seems pre-eminently just.
특히나 정의로워 보인다.

A. If, therefore, as is agreed, it is necessary that the heavenly city should have its full complement made up by members of the human race, and this cannot be the case if the recompense of which we have spoken is not paid, which no one can pay except God, and no one ought to pay except man: it is necessary that a God-Man should pay it.
그러므로 만일 동의된 바대로 천국이 인간 종의 수로 채워진 완전수를 지님이 필연적이라면, 그리고 만일 우리가 말했던, 신 외에 그 누구도 갚을 수 없는, 인간 외에 그 누구도 갚아야 하는 게 아닌 그 보상이 지불되지 않는다면 이 일이 불가능하다면: 신-인간이 그걸 갚아야 함이 필연적이다.

B. Blessed be God! Now we have made a great discovery relating to the object of our search. Continue, therefore, as you have begun. For I have hope that God will help us.
신 만세. 이제 우리는 우리 탐구의 목표에 관련된 대단한 발견을 해냈다. 그러니까 시작했던 것처럼 계속해라. 나는 신이 우릴 도울 거라는 희망을 가진다.


7. That it is necessary for one and the same person to be perfect God and perfect man
동일한 하나의 인격이 완전한 신이자 완전한 인간임이 필연적이라는 것

A. What we now have to investigate is how it is possible for a God-Man to exist. For it is not the case that divine nature and human nature are mutually interchangeable so that divine nature may become human or human, divine; nor can the two be mixed so that some third nature might arise from them, a nature which would not be divine—not at all—and not human either. To sum up, if it were possible for one nature to be changed into another, the result would be someone who would either be God and not man, or man and not God. Alternatively, if they were mixed so that a third nature was produced as the consequence of intercontamination of the two natures,[각주:6] the result would be neither man nor God. We may compare how the issue of two individual animals, male and female, of different species, is a third type of animal, which preserves neither the nature of its father nor that of its mother in its entirety, but has a third nature which is a mixture of both. The God-Man who is the object of our quest cannot, therefore, come into existence out of divine and human nature, or out of the changing of one into the other, or a contaminating mixture of the two resulting in a third nature. For these things cannot happen, or, supposing they were possibilities, they would not have the power to effect the outcome at which our enquiries are directed.
지금 우리가 탐구하고 있는 것은 신-인간이 존재하는 게 어떻게 가능한지이다. 신성과 인성이 상호 전환가능하여 신성이 인성이 되거나 인성이 신성이 된다는 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 둘이 섞일 수 있어서 신성도 아닐-전혀 아닐- 그리고 인성도 아닐 제 3의 어떤 본성이 그것들로부터 생겨날 수도 없다. 요컨데, 만일 한 본성이 다른 것으로 변화되는 일이 가능하다면, 결론으로 신이면서 인간은 아니거나, 인간이면서 신은 아닌 누군가가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만일 그것들이 섞여서 그 두 본성들의 상호-오염의 결과로 제 3의 본성이 산출된다면, 그 결과는 인간도 신도 아닐 것이다. 우리는 상이한 종들에 속하는 개별적 두 동물들 수컷과 암컷의 문제에 비교할 것이다, 어떻게 제 3 유형의 동물, 그 부계나 모계의 전체로서의 본성을 어느 쪽도 유지하지 않는 동물이, 허나 그 양자가 뒤섞인 제 3의 본성을 가지는지. 그러므로 우리의 목표인 신-인간은 신성과 인성으로부터 현존하게될 수 없거나,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의 변화로부터, 아니면 제 3의 본성으로 귀결하는 그 둘의 오염시키는 뒤섞음으로부터 나온다. 이런 것들은 일어날 수 없거나, 가능하다고 가정하면, 우리의 조사가 향하는 결과를 산출할 능력을 가지지 않을 것이다.
If, furthermore, these two natures, as wholes, are said to be somehow conjoined to a limited extent whereby man and God are distinct from one another and not one and the same, it is impossible that both should bring about what it is necessary should happen. For God will not do it because it will not be his obligation to do it, and a man will not do it because he will not be able to. In order, therefore, that a God-Man should bring about what is necessary, it is essential that the same one person who will make the recompense should be perfect God and perfect man. For he cannot do this if he is not true God, and he has no obligation to do so if he is not a true man. Given, therefore, that it is necessary for a God-Man to be found in whom the wholeness of both natures is kept intact, it is no less necessary for these two natures to combine, as wholes, in one person, in the same way as the body and the rational soul coalesce into one human being. For otherwise it cannot come about that one and the same person may be perfect God and perfect man.
더욱이, 만일 이런 두 본성들이, 전체인 것들로서, 어떤 식으로 그로써 신과 인간이 하나가 다른 하나로부터 구별되고 하나이며 동일한 것이 아니게 되는 제한된 정도로 결합되는 것으로 이야기된다면, 그 양자가 필연적으로 일어나야 하는 것을 야기시키리란 것은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신은 그 일을 행함이 그의 의무가 아닐 것이기에 그 일을 행하지 않을 것이고, 인간은 그것이 불가능하기에 그 일을 행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신=인간이 필연적인 일을 야기하도록 하기 위해, 그 보상을 만들어낼 동일한 한 인격이 완전한 신이자 완전한 인간이어야 함이 본질적이다. 왜냐하면 그는 만일 그가 참으로 신이지 않다면 이 일을 할 수 없고, 그가 참으로 인간이 아니라면 그렇게 할 의무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신-인간이 두 본성들의 전체성이 손상되지 않은 채로 그 안에서 발견될 것이 필연적이라는 것을 전제하면, 이 두 본성들이, 전체들로서, 하나의 인격 안에서, 육체와 이성적 영혼이 하나의 인간 존재로 결합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함이 조금도 덜 필연적이지 않다. 왜냐하면 그렇지 않다면 하나의 동일한 인격이 완전한 신이자 완전한 인간이 되는 일은 일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B. I am happy with all that you are saying.
당신이 말하고 있는 모든 것에 기쁘다.


8. That it is right that God should assume human nature from the race of Adam and from a virgin woman
신이 아담의 종으로부터 그리고 동정녀로부터 인간 본성을 취했으리란 것이 옳다는 것.


A. It remains now to investigate from what source, and how, God will take human nature upon himself. For either he will take on this nature from Adam, or he will create a new man, just as he created Adam from no other human being. But if he creates a new man who is not from the race of Adam, this new man will not belong to the human race which is descended from Adam. Consequently, he will not have an obligation to give recompense on behalf of this race, because he will not be from it. For, just as it is right that it should be a human being who should pay recompense for the guilt of humanity, it is likewise necessary that the person paying recompense should be identical with the sinner, or a member of the same race. Otherwise, it will be neither Adam nor his race who will be making recompense on Adam’s behalf. Therefore, just as, starting from Adam and Eve, sin has been engendered in all human beings, similarly, no one except either these two themselves, or someone descended from them, has an obligation to pay recompense for the sin of mankind. As they themselves are not able to do so, it is necessary that the person who is to do this will be descended from them.
이제 어떤 원천으로부터 어떻게 신이 그 자신에 대한 인간 본성을 취할 것인지 탐구하는 일이 남았다. 왜냐하면 신은 이 본성을 아담으로부터 취할 것이거나, 아니면 새로운 인간을 창조할 것이기 때문이다, 다른 어떤 인간 존재로부터도 아담을 창조하지 않았던 것처럼. 하지만 만일 그가 아담 종으로부터 나오지 않은 새로운 인간을 창조한다면, 이 새로운 인간은 아담으로부터 유래한 인간 종에 속하지 않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그는 이 종에 기인한 보상을 내놓을 의무를 지지 않을 것인데, 그가 그로부터 나오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인간성에 속하는 죄에 보상을 지불해야 할 자가 인간존재여야 함이 맞는 것처럼, 마찬가지로 보상을 지불하는 인격은 죄인과 동일할 것이거나 동일 종의 구성원임이 필연적이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다면, 아담의 탓으로 보상을 할 자가 아담도 그의 종도  아닐 것이다. 그러므로, 아담과 이브로부터 시작하여 죄가 모든 인간 존재들 안에 잉태되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유사하게, 이 두 사람 자신들이나 그들로부터 유래한 누군가 외에 그 누구도 인류의 죄에 대한 보상을 지불할 의무를 지지 않는다. 그들 스스로 그리 할 수 없으므로, 이 일을 할 그 인격은 그들로부터 유래할 것임이 필연적이다.
I will enlarge on this. If Adam had not sinned, he and all his race would have maintained their standing without the support of another creature: correspondingly, if this same race rises again after its fall, it is right that it should rise again, and be raised up again, through its own doing. For, whoever it is through whose agency man is restored to the standing which belongs to him, man will certainly owe his standing in future to this person through whose agency he recovers his standing. Moreover, it was in Adam alone that God originally created human nature, and it was God’s will to create woman—in order that human beings of both sexes would be multiplied—from an origin which was none other than Adam. God therefore made it perfectly clear that it had not been his will that his future action regarding human nature would be without derivation from Adam. Consequently, supposing the race of Adam were to be raised up again by some man from a different race, it will not be restored to that dignity which it was to have had if Adam had not sinned. Hence it will not be completely restored; also God’s plan will appear to be failing. Both of these consequences are unfitt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he man through whom the race of Adam is to be restored should be taken from Adam’s progeny.
난 이걸 더 상세히 살펴볼 것이다. 만일 아담이 죄를 짓지 않았다면, 그와 그의 모든 종은 그들의 위치를 다른 피조물의 도움 없이 유지하였을 것이다: 그에 따라서, 만일 이 동일한 종이 그 추락 이후 다시 부상한다면, 그 종 고유의 행위를 통해 다시 부상해야 하고 다시 부상될 것이라는 게 옳다. 왜냐하면 누구라도 그의 작용을 통해 인간이 그에게 속한 위치로 복원되든, 인간은 확실히 그의 미래 위치를 그가 그의 작용을 통해 그의 위치를 되찾은 이 인격에 빚질 것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신이 본래 인간 본성을 창조했다는 것은 오직 아담에게만 속했던 것이고, 여성을 창조하고자 하는 신의 의지는-양성의 인간 존재들이 번식되도록-다름 아닌 아담이었던 그 기원으로부터 나왔다. 그러므로 신은 아담으로부터 유래하지 않았을 인간 본성을 고려하여 그의 미래 행동이 그의 의지가 아니었다는 점을 절대적으로 분명하게 만들었다. 결론적으로, 아담의 종족이 다른 종족으로부터의 어떤 인간에 의해 다시 격상될 것으로 가정하면, 그 종족은 만일 아담이 죄를 짓지 않았더라면 지니고 있었을 것이었던 품격으로 회복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그 종족은 완전히 복원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신의 계획은 실패한 것으로 보일 것이다. 이 결론들 모두 부적절하다. 그러므로, 아담의 종족이 그를 통해 복원될 바로 그 인간은 아담의 자손으로부터 취해져야 한다는 점이 필연적이다.
B. If we maintain a logical approach, as we have proposed to do, this must inevitably be the case.
만일 논리적 접근을 견지한다면, 그리 하자고 제안했던 것처럼 그런다면, 이건 불가피한 사실이어야만 한다.
A. Let us now investigate the question of how God is to take human nature upon himself: whether from father and mother, as is the case with other human beings, or from a man without a woman, or from a woman without a man. For, in whichever of the ways it is to be, the human nature so assumed will derive from Adam and Eve, from whom every human being, of either sex, is descended. Moreover, it is not the case that one of these three ways of operating is easier for God than the others, so that it is in this way that human nature ought to be assumed by him in preference to the others.
이제 어떻게 신이 인간 본성은 신 자신에게 취하는지 그 물음을 탐구하도록 하자: 아버지와 어머니로부터, 다른 인간 존재자들의 경우처럼 그런지, 아니면 여성 없이 남성으로부터, 혹은 남성 없이 여성으로부터인지. 왜냐하면, 그러할 어느 방식에서든, 인간 모든 본성은 모든 인간 존재들이 그로부터 유래한, 양쪽 성의, 아담과 이브로부터 유래할 것으로 추정되었으니까. 더 나아가, 이 작동의 세 방식들 중 하나가 다른 것들보다 신에게 더 쉽다는 것, 그래서 인간 본성은 신에 의해 다른 것들에 대해 더 선호함에 있어서 추정되어야 하는 그런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B. The way in which you are proceeding is good.
당신이 진행하는 방식은 훌륭하다.
A. But there is no need for great effort in order to demonstrate that the human being we have in mind will be more purely and honourably procreated from a man in isolation, or from a woman in isolation, than from an intermingling of the two like that whereby all other human children are procreated.
허나 우리가 염두에 두는 인간 존재가 고립된 한 인간으로부터 혹은 고립된 한 여성으로부터 산출되는 것이 다른 모든 인간 자손들이 산출되는 그 둘의 결합으로부터 산출되는 것보다 더 순수하고 명예롭게 산출되리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크게 노력할 필요는 전혀 없다.
B. Enough said.
충분히 말했다.
A. Therefore he must be taken either from a man in isolation or from a woman in isolation.
그러므로 그는 고립된 남성이나 고립된 여성으로부터 취해져야만 한다.
B. He can come from nowhere else.
그는 다른 어느 곳으로부터도 나올 수 없다.
A. God can create a human being by four methods. To be specific: he can do this either from a man and a woman together, as the usual practice demonstrates, or from neither a man nor a woman, as in the case of Adam’s creation, or from a man without a woman, as in the creation of Eve, or from a woman without a man—which he has not yet done. In order, therefore, that he should prove that this method too is within his competence and that it has been kept in reserve for the very undertaking which we have in mind, it is pre-eminently fitting that he should take the man who is the object of our quest from a woman without a man.
신은 네 가지 방식으로 인간 존재를 창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는 남성과 여성 모두로부터 이 일을 할 수 있다, 일반적 관습이 증명하듯, 혹은 남녀 어느 쪽으로부터 하지 않을 수 있다, 아담의 창조의 경우처럼, 아니면 여성 없이 남성으로부터만, 이브의 창조에서처럼, 아니면 남성 없이 여성으로부터만 - 그가 아직 하지 않았던 일이다. 그러므로 이 방식 역시 그의 권한 내에 있음을 증명하도록 그리고 우리가 염두에 둔 바로 그 일에 대해 예비해 두기 위하여, 남성 없이 여성으로부터 우리 작업의 목표인 그 사람을 신이 취할 것임은 특히나 적절하다.
B. You are speaking in accordance with my heart’s desire.
내 마음의 열망에 부합하게 말하고 있다.
A. Is what we have been saying something solid, or is it—as you have told me unbelievers allege in their criticisms of us—insubstantial like a cloud?
우리가 말해오고 있는 것이 어떤 견고한 것인가, 아니면 - 비신자들이 우리에 대한 비판들에서 혐의를 제기한다고 당신이 말했던 것처럼 - 구름처럼 공허한 건가?
B. Nothing could be more solid.
아무것도 더 견고할 수 없다.
A. Paint your picture, then, not upon an empty sham but upon solid truth, and say that it is extremely appropriate that, just as the sin of mankind and the cause of our damnation originated from a woman, correspondingly the medicine of sin and the cause of salvation should be born of a woman. Moreover, women might lose hope that they have a part in the destiny of the blessed ones, in view of the fact that such great evil proceeded from a woman: in order to prevent this, it is right that an equivalent great good should proceed from a woman, so as to rebuild their hope. Include this, too, in your picture: on the supposition that it was a virgin woman who has been the cause of all the evil besetting the human race, it is all the more appropriate that the woman who is to be the cause of all good should be a virgin. Another thing to include in your picture is this. One may presume that the woman whom God created from a man without a woman was created from someone who was a virgin: on this supposition, it is extremely fitting that the man who is to be created from a woman without a man, should be brought forth by a virgin. For the moment, however, let these considerations suffice with regard to the pictures which may be painted on the subject of how the God-Man ought to be born of a virgin woman.
그럼 네 그림을 공허한 허풍이 아니라 견고한 진리 위에 그려 봐라, 그리고 여성으로부터 기원하였던 인류의 죄와 천벌의 원인과 마찬가지로, 그에 부합하게 죄의 치유와 구원의 원인이 여성으로부터 출생할 것임이 지극히 적절하다고 말하라. 더욱이, 여성들은 축복받은 자들의 운명에 몫을 가질 희망을 잃었을 테니, 그렇게나 대단한 악이 한 여성으로부터 나왔다는 사실의 관점에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등가의 대단한 선이 한 여성으로부터 나올 것이 옳다, 그들의 희망을 되세우도록. 네 그림에 이를 포함해라: 인간 종족에 붙어있는 모든 악의 원인이었던 여성이 처녀였다는 가정에서, 모든 선의 원인일 여성이 처녀일 것은 더할 나위 없이 적절하다. 니 그림에 포함시킬 또 다른 게 이거다. 신이 남성으로부터 여성 없이 창조했던 여성이 처녀였던 어떠 여성으로부터 창조되었다 추정할지 모른다: 이 가정에서, 남성 없이 여성으로부터 창조될 남성은, 처녀에 의해 출산되어야 할 것이 지극히 적절하다. 그렇지만 우선 이런 고찰들이 어떻게 신-인간이 처녀 여성으로부터 태어나야 하는지 하는 주제에 대해 그려질 그림들을 고려하여 충분하다고 하자.
B. These pictures of yours are extremely beautiful and in accordance with logic.
네 이 그림들 지극히 아름답고 논리에 맞는다.


9.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Word alone and man to combine in a single person
로고스만이 인간과 단일한 인격 안에서 결합함이 필연적이라는 것(그래, 신은 고자다, 지랄)


A. Something else which we must investigate now is this: in what person is God, who is three persons, to take manhood upon himself? For several persons cannot take upon themselves one and the same manhood with resultant unity of person. But I have said sufficient, I believe, for the purposes of our present enquiry, in the letter On the Incarnation of the Word, addressed to the lord Pope Urban, about this uniting of the person of God with man and the question in which person of God this ought best to come about.
이제 우리가 탐구해야만 하는 다른 건 이거다: 세 인격들인 신이 그 자신에게 취할 인성으로서 어떤 인격 안에 있는지? 몇몇의 인격들은 그들 스스로 결과적 인격 통합과 함께 하나의 동일한 인성을 취할 수 없으니까. 하지만 내가 믿기로 지금 우리 탐구의 목적들을 위해 로고스의 육화에 대한 글에서, 교황 우르반에게 보냈던 것에서, 신의 인격과 인간의 이 통합에 대해서 그리고 이것이 그 안에서 최선이 되어야 하는 신의 인격이 무엇인지 하는 물음에 대해서 충분히 말했다.
B. Even so, do touch briefly, at this point, on the reasons why it is the person of the Son which ought to be made incarnate, rather than that of the Father or the Holy Spirit.
그렇더라도 육화로 이루어져야하는 것이 성부나 성령이 아닌 성자의 인격인 이유들에 대해서, 이 점에서 간략히 건드려 줘.
A. Supposing any other of the persons is to be made incarnate, there will be two sons in the Trinity, namely: the Son of God, who is Son even before the incarnation, and he who will be the Virgin’s son through the incarnation. Moreover there will be, among persons who ought always to be equals, an inequality resulting from the distinction of their respective births. For the one who is born of God will have more distinguished birth than the one who is born of the Virgin. Also, if it is to be the Father who is made incarnate, there will be two grandsons in the Trinity, because, through his assumption of manhood, the Father will be the grandson of the parents of the Virgin, and the Word, despite having no trace of human nature in him, will none the less be the grandson of the Virgin, because he will be the son of her son. All these eventualities are incongruous, and do not come about if it is the Word who is made incarnate.
다른 인격들이 육화로 이루어진다고 치면, 삼위 안에 두 아들들이 있을 것이다, 즉: 신의 아들, 육화 전에도 성자인 그가 있고, 육화를 통해 성모의 아들일 그. 더욱이 항상 동일해야 할 그 인격들 사이에서, 각자의 탄생들의 구분으로부터 귀결하는 불일치가 있을 것이다. 신의 태생인 쪽이 성모 태생인 놈보다 더 구별되었을 것이다. 또한, 만일 육화로 이루어졌던 성부가 있다면, 삼위 안에 두 손자들이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의 인성 상정을 통해, 성부는 성모의 부모의 손자일 것이고, 로고스는, 그 안에 아무런 인간 본성의 자취도 가지지 않을지라도, 조금도 덜 성모 손자이지 않을 것인데, 왜냐하면 그녀의 아들의 아들일 테니까. 이 사건들은 다 이상하고, 육화로 이루어지는 게 로고스라면 일어나지 않는다.
And there is yet another reason why it is more appropriate for the Son to be made incarnate than the other persons: because it sounds more appropriate for the Son to make supplication to the Father than for any other of the persons to supplicate another. Also, both man, for whom the Son was to pray, and the devil, whom he was to defeat, had both wilfully taken upon themselves a false likeness of God. Hence they had sinned, as it were, most specifically against the person of the Son, who is believed to be the true likeness of the Father. The avenging or pardoning of a wrong, therefore, is most appropriately being assigned to the person on whom the injury is most specifically inflicted. Inescapable logic, then, has led us to the conclusion that it is necessary for divine and human nature to combine in one person, and that this cannot come about with respect to more than one person of God; moreover it is evident that it is more fitting for this to happen with respect to the person of the Word than to the other persons. It is, consequently, an inevitability that God the Word and a human being should combine in one person.
육화로 이루어질 것이 성자임이 더 적절한 또 다른 이유가 아직 있다: 성자가 성부에게 간청하는 게 다른 인격들 중 뭐든 또 다른 것에 간청하는 것보다 더 적절하게 들리기 때문이다. 또한, 성자가 그를 위해 기도할 인간이나 성부가 이겨낼 악마나 모두 고의로 신의 겉닮음을 그들 자신들에게 취했다. 따라서 그들은 죄를 지었고, 특히 성자의 인격에 맞서, 성부의 진짜 모상으로 믿어지는 자에 반대하여. 그러므로 잘못의 복수든 용서든 가장 확실하게 그에게 상처가 입혀지는 그 인격에 할당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불가피한 논리로 그래서 우리는 신성과 인성이 한 인격 안에서 결합함이 필연적이고, 이것은 특히 신의 한 인격 면에서보다 더 일어날 수는 없다: 더욱이 이 일은 로고스의 인격 면에서 일어나는 것이 다른 인격들 면에서보다 더 적절하다는 게 분명하다. 결론적으로 로고스 신과 인간 존재는 한 인격 안에서 결합될 것은 불가피하다.
B. The road, fortified on both sides by logic, along which you are leading me is such that I see I cannot depart from it either to the right or to the left.
니가 날 따라 이끈 논리에 의해 양쪽으로 강화된 그 길이 오른쪽으로도 왼쪽으로도 떠날 수 없음을 알 그런 거다.
A. But it is not I who am leading you but the one about whom I am speaking, without whom we can do nothing, and who is our guide wherever we keep to the way of truth.
허나 너 이끈 게 내가 아니라 내가 말하고 있는 자고, 그 없이 우린 못 했을 거고, 우리 인도자다 진리의 길을 지키는 언제든.
(...읽을 수록 정나미가 떨어져서, 씨바.)


10. That this same man does not die obligatorily; and in what sense he is, or is not, capable of sinning, and why he, or an angel, should be praised for his righteousness, even though they are incapable of sinning
이 동일한 인간이 의무적으로 죽은 게 아니라는 것; 어떤 의미에서 그가 죄를 짓거나 짓지 않을 능력이 있는지, 그리고 왜 그나 천사가 그의 정의로움에 대해 기원되어야 하는지, 설령 그들이 죄를 짓지 못할지라도.

We must now investigate whether that man is obligatorily to die, just as all other men die obligatorily. . .[각주:7] But, if it is the case that Adam would not have been destined to die if he had not sinned, then this man, in whom it will be impossible for sin to exist because he is to be God, will have still less of an obligation to die.
이제 우리 저 인간이 의무적으로 죽을 건지, 다른 모든 인간들이 의무적으로 죽는 것처럼...?... 탐구해야만 해. 하지만, 만일 아담이 죄를 짓지 않았더라면 죽도록 운명지어지지 않았을 것이란 게 사실이라면, 이 인간은 그가 신일 것이라서 그 안에 죄가 있는 게 불가능할 자로서 죽을 의무를 훨씬 덜 지닐 거다.
B. I wish to detain you on this point for a little while. For whether it is said that he cannot sin, or that he can, in either case a question of considerable importance arises, as I see it. For if he is said to be incapable of sinning, it seems difficult to believe that he has this obligation. Let us speak, just for a moment, not as if with reference to a person who has never existed, which has been our procedure so far, but about the person whom we know, and whose deeds we are acquainted with. Who will deny that he could have done many things which we call sins? For instance—not to mention other examples—how are we to say that he could not have lied, something which is always a sin. For, given that he says to the Jews, with reference to the Father, ‘If I say that I do not know him, I shall be a liar, like you’ [ Joh. 8: 55], and he says in the course of this utterance, ‘I do not know him’; who will be able to assert that he could not have uttered these five words[각주:8] in isolation from the remainder of the utterance, so as to say, ‘I do not know him’? If he were to do this, as he himself states, he would be a liar—and that is to be a sinner. Hence, since he could do this, he was capable of sin.
나는 이 지점에서 조금 더 당신을 붙들고 싶다. 왜냐하면 그가 죄를 지을 수 없다는 얘긴지, 아니면 그가 그럴 수 있다는 건지, 어느 경우이든 주목할 만한 중요한 질문이 야기된다, 내가 보기에. 만일 그가 죄 지을 능력이 없는 것으로 얘기된다면, 그가 이 의무를 진다는 것을 믿는 게 어려워 보인다. 잠깐이라도 지금까지 우리가 진행해 왔던 것으로, 마치 절대로 존재하지 않았던 사람에 관련한 것처럼이 아니라, 우리가 알고 있는 사람에 대해서, 그리고 그의 업적들을 우리가 익히 아는 사람에 대해서. 우리가 죄들이라 부르는 많은 것들을 그가 행할 수 있었으리란 것을 누가 부정하겠나? 예를 들어 - 다른 예들을 빼고 - 어떻게 우리가 그가 거짓말을 할 수 없었을 거라 말하겠나, 언제나 하나의 죄인 어떤 것으로서. 왜냐하면, 그가 유대인들에게 성부와 관련하여 '만일 내가 그를 모른다고 말한다면, 나는 거짓말쟁이가 될 것이다, 늬들처럼'이라 말했다고 가정하면, 그가 이 발언과정에서 '나는 그를 모른다'라고 말했기 때문이다; 누구라고 그가 이 다섯 단어들을 그 발언의 나머지 부분들로부터 독립적으로, 언급할 수 없었다고 단언할 수 있겠는가? 만일 그가 이리 했다면, 그 스스로 진술하듯, 그는 거짓말쟁이가 되었을 것이고 - 죄인이 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이리 할 수 있었으니, 그는 죄를 지을 수 있었다.
A. It was possible for him to say this and, at the same time, not to be capable of sin.
이 말을 하는 게 그에게 가능했고, 동시에, 죄를 지을 수 없었다.
B. Demonstrate this.
이걸 증명해 줘.
A. All capability is consequent upon will. For when I say, ‘I am capable of speaking’ or ‘walking’, this contains an implicit subtext, ‘If it is my will’. If will, then, is not implicit, what is being referred to is not capability but inevitability. For if I say, ‘I am capable of being dragged away’ or ‘defeated’, against my will, the reference is not to my capability, but to inevitability, and the capability of another individual. To be precise, to say, ‘I am capable of being dragged away’ or ‘of being defeated’ is no different from saying, ‘Another person is capable of dragging me away’ or ‘defeating me’. We can therefore say of Christ that he could tell a lie, if this statement is recognized to contain the implication, ‘If it were his will’. And since he could not lie unwillingly and it could not be his will to tell a lie, it can equally be stated that he was incapable of lying. It follows that thus he both could, and could not, tell a lie.
모든 능력은 의지의 결과다. 왜냐하면 내가 '나는 말할 수 없다'거나 '나는 걸을 수 없다'라고 말할 때, 이건 내포된 숨은 이유를 포함한다, '만일 그것이 내 의지라면'이라는 걸. 그래서 만일 의지가 내포되지 않는다면, 언급되는 것은 능력이 아니라 불가피성이다. 왜냐하면 만일 내가 내 의지에 반하여 '나는 끌려갈 능력이 없다'거나 '나는 패배될 능력이 없다'고 한다면, 그 언급은 내 능력에 대해서가 아니라, 내 불가피성에 대해서이고, 또 다른 별개의 능력이다. 정확히, '나는 끌려갈 능력이 없다'거나 '패배당할 능력이 없다'는 '또 다른 자가 날 끌어내릴 능력이 없다'거나 '나를 패배시킬 능력이 없다'라는 말과 차이가 없다. 우리는 그러므로 그리스도에 대해 그가 거짓말할 수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만일 이 진술이 다음 함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인정된다면, '만일 그것이 그의 의지라면'. 그리고 그가 비자발적으로 거짓말할 수 없었고 거짓말을 하는 것이 그의 의지일 수 없었으므로, 그가 거짓말할 능력이 없었다고 똑같이 진술될 수 있다. 그래서 그는 거짓말을 할 수 있었기도 없었기도 하다는 결론이다.
B. Let us now revert to making investigations about Christ in the manner we adopted at the outset: as if there were as yet no such person. What I say is this: if he is not going to be capable of sinning, because, as you say, he will not be capable of wishing to sin, he will be upholding righteousness as a matter of inevitable necessity. For this reason, he is not going to be righteous as a result of free will. What gratitude, then, will be due to him for his righteousness? For it is customary among us to say that God’s purpose in making angels and human beings such as to be capable of sinning, was that, in the event that they maintained righteousness while being capable of abandoning it, they should deserve gratitude and praise which they would not deserve if they were righteous as a matter of inevitability.
이제 그리스도에 대해 우리가 처음에 적용했던 방식으로 탐구들을 하는 일로 되돌아가자: 마치 아직 그런 사람이 있던 적 없던 것처럼. 내가 할 말은 이거다: 만일 그가 죄 지을 능력이 없게될 것이라면, 당신 말대로 그가 죄 짓길바랄 능력이 없을 것이기 때문에 그렇다면, 그는 불가피한 필연의 문제로 격상된 정의로움일 것이다. 이런 이유로, 그는 자유 의지의 결과로 정의롭게 되진 않을 것이다. 그럼 그의 정의로움에 대해 그에게 돌릴 감사가 무엇이겠나? 왜냐하면 신이 천사들과 인간 존재들을 죄 지을 능력이 있도록 그렇게 만듦의 목적은, 그들이 정의를 폐기시킬 능력이 있음에도 정의를 유지했던 그 경우에서, 그들이 만일 불가피하게 정의로웠더라면 받을 만하지 않았을 감사와 찬사를 받을 만하도록 하는 것이었다고 우리 사이에서 습관적으로 말하니까.
A. Are the angels, who are now incapable of sinning, not worthy of praise?
지금 죄 지을 능력이 없는 천사들은 찬사받을 만한 가치가 없나?
B. They certainly are, because the fact that they cannot now sin was their reward for not wishing to sin, when capable of doing so.
그들은 확실히 그럴 만한데, 왜냐하면 그들이 지금 죄 지을 수 없다는 사실은 그렇게 할 능력이 있던 때 죄 짓길 바라지 않았음에 대한 상이었기 때문이다.
A. What about God, who cannot sin, and whose inability to sin has not been earned as a reward for not having sinned while being capable of sinning—what do you say about him? Is he not to be praised for his righteousness?
죄를 지을 수 없고 그 죄 지을 능력 없음이 죄 지을 능력이 있음에도 죄 짓지 않았음에 대한 상으로 얻어진 것이 아니었던 신에 대해서는 - 그에 대해서는 뭐라 할 건가? 그는 그의 정의로움에 대해 찬사받지 않게 되겠나?
B. On this point my wish is that you should answer on my behalf. For if I say that he is not worthy of praise, I know that I am lying. But if I say that he is worthy of praise, I am afraid of invalidating the argument which I mentioned about the angels.
이 지점에서 나는 당신이 나를 위해 답하길 기대한다. 왜냐하면 만일 내가 그는 찬사받을 만하지 않다고 하면, 내가 거짓말하고 있다는 걸 내가 아니까. 하지만 만일 그가 찬사 받을만 하다고 말하면, 내가 천사들에 대해 언급했던 논증을 무효화할까 두렵다.
A. The reason why the angels are to be praised for their righteousness is not that they were in the past capable of sinning, but because in some way they possess—independently[각주:9]—an inability to sin; in this respect they somewhat resemble God, who possesses whatever he possesses independently. Now, someone who does not take something away, when he is capable of doing so, is said to be ‘making a gift of it’, and a person who is capable of making something not be, but refrains from doing so, is said to be ‘making do with it’. In this sense, then, it is correct to assert that an angel ‘gave himself ’ righteousness and ‘made himself ’ righteous, given that, while capable of depriving himself of righteousness, he did not do so and, while capable of making himself unrighteous, he did not make himself so. He therefore possesses righteousness ‘independently’ in this way, because it is impossible for a created being to possess anything ‘independently’ in any other way. As a consequence of this, he deserves to be praised for his righteousness. Furthermore he is not righteous as a matter of necessity but in freedom, because it is not correct to speak of necessity where there is neither any compulsion nor any prohibition. It follows that, since God possesses to a perfect degree what he possesses independently, he most of all is worthy to be praised for the good things which he possesses and keeps in his possession, doing this not out of any inevitable necessity, but as I have said earlier, out of an unchangeability which is his peculiar property and lasts for ever. Thus the man we have in mind, who is also to be God, will be righteous independently and therefore worthy of praise, since he will possess independently every good thing which he will possess, not out of necessity but in freedom. Even though his human nature will possess what he is to possess thanks to his divine nature, he will be possessing it ‘independently’, since his two natures will be one person.
천사들이 그들의 의로움에 대해 찬사받게 될 이유는 그들이 과거에 죄를 지을 능력이 있었기 때문이 아니라, 어떤 식으로 그들이 죄를 지을 능력이 없었음을 -독립적으로- 지녔기 때문이다; 이런 면에서 그들은 어떤 신의 모사이다, 그가 지닌 무엇이든 독립적으로 지니는 그의. 이제, 뭔가를 취할 능력이 있을 때 취하지 않는 누군가는 그것을 '증여함을 이루는 것'이라 얘기되고, 뭔가 있지 않게 만들 능력이 있는 자가, 그러나 그리 하길 관두는 사람은 '그것을 가지고 행했다'고 이야기된다. 이런 의미에서, 그래서, 천사가 의로움에 '그 자신을 주었'고 의롭게 '그 자신을 만들었다'고 주장하는 것은 옳다, 그 자신을 의로움으로부터 저지할 능력이 있음에도, 그리 하지 않았고, 그 자신을 부정의하게 만들 능력이 있음에도, 그 자신을 그렇게 만들지 않았음을 가정하면. 그러므로 그는 이런 식으로 '독립적으로' 의로움을 지닌다, 피조물이 다른 식으로 '독립적으로' 어떤 것을 지니기는 불가능하니까. 이것의 귀결로, 그는 의로움에 대해 찬사받을 만하다. 더욱이 그는 필연의 문제로 의로운 게 아니라 자유롭게 의로운데, 왜냐하면 어떤 강제도 어떤 금지도 없는 곳에서 필연을 말하는 것 부정확하기 때문이다. 결론으로, 신이 완전한 정도로 그가 지닌 것을 독립적으로 지니므로, 그는 무엇보다도 그가 지니고 그의 소유로 견지한 좋은 것들에 대해 찬사받을 만하다, 이 일을 어떤 불가피한 필연으로부터도 아니라, 내가 앞서 말했듯, 그의 특유하고 영원한 불변성으로부터 함으로써. 그래서 우리가 염두에 두는 사람은, 또한 신이기도 한 그는, 독립적으로 의로울 것이고 그래서 찬사받을 만한데, 그가 독립적으로 그가 지닐 모든 좋은 것들을 지닐 것이기 때문이고, 필연으로부터가 아니라 자유롭게 그럴 것이기 때문이다. 그의 인간 본성이 그가 그의 신성에 그 소유를 감사할 것을 지닐 것이라 하더라도, 그는 그것을 '독립적으로' 지니고 있게 될 것인데, 그의 두 본성들이 한 인격일 것이기 때문이다.
B. You have satisfied me by means of this argument, and I see plainly both that it will not be possible for him to sin and that, even so, he will be worthy of praise for his righteousness. But now I think the question has to be asked: given that God is capable of creating such a man, why did he not make the angels and the first two human beings such that they would likewise be both incapable of sinning and worthy of praise for their righteousness?
이 논증으로 넌 날 채워줬어(앙), 그리고 나는 그가 죄 짓는 게 불가능하리란 것도, 그렇지만 그는 그의 의로움에 대해 찬사받을 만하다는 것도 충분히 알았어. 하지만 이제 나는 이런 물음을 던져야 한다고 생각해: 신이 그런 인간을 만들 능력이 있었다고 가정하면, 왜 마찬가지로 죄 지을 능력도 없고 의로움으로 찬사도 받을 만한 천사들과 처음 두 인간 존재들을 만들지 않았지?
A. Do you understand what you are saying?
니가 말하고 있는 게 뭔 소린지 알아?
B. It seems to me that I understand it, and that is why I am asking why he did not make them like this.
난 이해하는 것 같아, 그리고 내가 묻고 있는 이유는 그가 그들을 이와 같이 만들지 않았던 이유야.
A. This was because it was neither right nor possible for it to be brought about that any one of them should be identical with God, as is the case, so we are saying, with this man. And if you ask why he does not bring this about for as many such human beings as there are persons of God, or why he did not at least do it for one of them, I answer that reason did not at all demand that this should be done: rather, since God does nothing irrationally, it prohibited this.
그게 옳지도 않았고 그들 중 누구 하나, 우리가 말하고 있는 이 사람의 경우처럼, 신과 동일시될 것이 일어난다는 게 가능하지도 않았기 때문에 그래. 그리고 만일 니가 왜 신이 신의 인격들이 있는 만큼 그런 인간 존재들을 그렇게 하지 않는지 이유를 묻는다면, 혹은 그가 최소한 그들 중 한 사람에 대해서 그걸 하지 않았는지 묻는다면, 나는 이성이 이것이 그리 되어야 할 것을 전혀 요구하지 않았다고 답해: 차라리, 신이 아무것도 비이성적으로 하지 않으므로, 이성이 이 일을 금지했어.
B. I am ashamed at having asked this question.
이 물음 물은 게 부끄럽네.
A. Let us say, therefore, that the God-Man will be under no obligation to die, since he will not be a sinner.
그러니까 신-인간은 죽을 아무런 의무도 없을 것인데, 그가 죄인이 안 될 거라 그렇다고 말하자.
B. I must admit this to be the case.
난 이걸 사실이라 인정해야만 해.

-蟲-

  1. 25 Lat. rationalem naturam, lit. ‘rational nature’. [본문으로]
  2. 26 ‘Righteous’, Lat. iustus, -a, -um, also equivalent to ‘just’. [본문으로]
  3. 27 ‘Life-form’, Lat. natura again. [본문으로]
  4. 28 Lat. gratia in this chapter is translated variously as ‘gratitude’, ‘grace’, ‘graciousness’ and ‘an act of grace’. [본문으로]
  5. 29 ‘Life in ordinary society’, Lat. communem vitam. [본문으로]
  6. 30 ‘Inter-contamination of the two natures’, Lat. ex duabus corruptis (sc. naturis). [본문으로]
  7. 31 The thought-sequence here is elliptical, in a way uncharacteristic of Anselm, and it may be surmised that a sentence of his original may be missing. [본문으로]
  8. 32 ‘These five words’: Lat. tres . . . dictiones with reference to the three words, non scio eum, translated as, ‘I do not know him’. [본문으로]
  9. 33 ‘Independently’ here and elsewhere in this passage: Lat. a se, lit. ‘from themselves’, ‘from himself ’. [본문으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