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KrV.167. 2010.02.09
- Die Anfänge der Philsophie bei den Griechen.1. 2010.02.08
- KrV.166. 2010.02.08
- KrV.165. 2010.02.07
- ΕΥΘ.4. 2010.02.03
- KrV.161-164. 2010.01.31
- AGL.11.27. 2010.01.25
- 로고스. 2010.01.23
- Χαρ.5 2010.01.23
- DBG.6-7. 2010.01.23
- DBG.5. 2010.01.18
- Allen and Greenough's New Latin Grammar for Schools and Colleges.1 2010.01.18
- DBG.4. 2010.01.17
- χαρ.4. 2010.01.17
- DBG.3. 2010.01.12
- χαρ.3. 2010.01.12
- DBG.2. 2010.01.10
- KrV.158-160. 2010.01.10
- KrV.157. 2010.01.09
- Χαρ.2. 2010.01.08
- KrV.156. 2010.01.08
- KrV.155. 2010.01.08
- KrV.154. 2010.01.08
- KrV.153. 2010.01.06
- De Bello Gallico.1. 2010.01.05
- Χαρμίδης.1. 2010.01.05
- KrV.152. 2010.01.04
- KrV.151. 2010.01.03
- KrV.150. 2010.01.02
- KrV.149. 2010.01.01
KrV.167.
Die Anfänge der Philsophie bei den Griechen.1.
KrV.166.
KrV.165.
ΕΥΘ.4.
Εὐθύφρων
οὕτω.
Σωκράτης
ταὔτ᾽ ἄρα, ὡς ἔοικεν, μισεῖταί τε ὑπὸ τῶν θεῶν καὶ φιλεῖται, καὶ θεομισῆ τε καὶ θεοφιλῆ ταὔτ᾽ ἂν εἴη.
그러니까 이러한 것들은, 보다시피, 신들에 의해 미움받고 또 사랑받으며, 신이 미워하는 것과 신이 사랑하는 것이 이러한 것들이겠군.
μισεῖταί : μῖσέω pas. sin.-3rd. to be hated.
Εὐθύφρων
ἔοικεν.
Σωκράτης
καὶ ὅσια ἄρα καὶ ἀνόσια τὰ αὐτὰ ἂν εἴη, ὦ Εὐθύφρων, τούτῳ τῷ λόγῳ.
그러니까 경건도 또한 불경도 똑같은 것들이겠군, 에우튀프론, 이 논변으로는.
Εὐθύφρων
κινδυνεύει.
그럴지도요.
κινδυνεύει : κινδύνεύω impers. it may be, possibly
Σωκράτης
οὐκ ἄρα ὃ ἠρόμην ἀπεκρίνω, ὦ θαυμάσιε. οὐ γὰρ τοῦτό γε ἠρώτων, ὃ τυγχάνει ταὐτὸν ὂν ὅσιόν τε καὶ ἀνόσιον· ὃ δ᾽ ἂν θεοφιλὲς ᾖ καὶ θεομισές ἐστιν, ὡς ἔοικεν. [8b] ὥστε, ὦ Εὐθύφρων, ὃ σὺ νῦν ποιεῖς τὸν πατέρα κολάζων, οὐδὲν θαυμαστὸν εἰ τοῦτο δρῶν τῷ μὲν Διὶ προσφιλὲς ποιεῖς, τῷ δὲ Κρόνῳ καὶ τῷ Οὐρανῷ ἐχθρόν, καὶ τῷ μὲν Ἡφαίστῳ φίλον, τῇ δὲ Ἥρᾳ ἐχθρόν, καὶ εἴ τις ἄλλος τῶν θεῶν ἕτερος ἑτέρῳ διαφέρεται περὶ αὐτοῦ, καὶ ἐκείνοις κατὰ τὰ αὐτά.
그러니까 내가 물었던 것을 그대는 대답하지 않았네, 놀라운 이여. 왜냐하면 바로 이러한 것을 내가 묻고 있지는 않았기 때문이지, 동일한 것이 경건하면서도 또한 불경한 것을: 만일 신들의 사랑을 받는 것이라면 또한 신들의 미움을 받는 것이라고, 그렇게 보이니. 그러니까, 에우튀프론, 그대가 지금 아비를 비난하면서 하고 있는 그 일이, 조금도 놀라울 것이 없다 만일 이러한 일을 행함으로써 한편으로 제우스에게는 사랑받을 만한 일을 하고, 다른 한편 크로노스와 우라노스에게는 분노를 살 만한 일을 한다면, 그리고 헤파이스토스에게는 사랑스러운 것이고, 헤라에게는 미움받을 것을, 또한 신들 중의 또 어떤 다른 신이 다른 신과 동일한 것에 대해 다르다면, 저 신들은 동일한 것들에 따라.
ἠρόμην : ἔρομαι 2.aor. mid. sin.-1st. ask.
ἀπεκρίνω : ἀποκρίνω mid. aor. sin.-2nd. give answer to, reply to a question.
ἠρώτων : ἐρωτάω impf. sin.-1st. ask.
κολάζων : κολάζω part. sin.-nom. check, chastise, punish.
δρῶν : δράω part. sin.-nom. do. accomplish.
Εὐθύφρων
ἀλλ᾽ οἶμαι, ὦ Σώκρατες, περί γε τούτου τῶν θεῶν οὐδένα ἕτερον ἑτέρῳ διαφέρεσθαι, ὡς οὐ δεῖ δίκην διδόναι ἐκεῖνον ὃς ἂν ἀδίκως τινὰ ἀποκτείνῃ.
그러나 생각됩니다, 소크라테스, 바로 이것에 대해서는 신들 중에 그 어떤 다른 신도 또 다른 신들과 다르지 않다고, 누군가를 부정의하게 살해하였다면 그러한 저 자를 처벌하지 말아야 한다고 할 것처럼.
Σωκράτης
τί δέ; ἀνθρώπων, ὦ Εὐθύφρων, ἤδη τινὸς ἤκουσας [8c] ἀμφισβητοῦντος ὡς τὸν ἀδίκως ἀποκτείναντα ἢ ἄλλο ἀδίκως ποιοῦντα ὁτιοῦν οὐ δεῖ δίκην διδόναι;
그렇다면 어떻지? 사람들 중에서, 에우튀프론, 어떤 자가 저항하는 것을 일찍이 그대는 들었는가 부정하게 살인한 자를 또는 다른 부정의하게 행한 자를 그 누구라도 처벌할 필요가 없다고?
Εὐθύφρων
οὐδὲν μὲν οὖν παύονται ταῦτα ἀμφισβητοῦντες καὶ ἄλλοθι καὶ ἐν τοῖς δικαστηρίοις· ἀδικοῦντες γὰρ πάμπολλα, πάντα ποιοῦσι καὶ λέγουσι φεύγοντες τὴν δίκην.
그러니까 이러한 것들을 반론하는 이들은 굴하지 않습니다 법정에서든 어디에서든: 왜냐하면 엄청나게 많은 부정의한 자들이, 온갖 짓들을 하고 또 온갖 말들을 하기 때문입니다 고소당하면서.
Σωκράτης
ἦ καὶ ὁμολογοῦσιν, ὦ Εὐθύφρων, ἀδικεῖν, καὶ ὁμολογοῦντες ὅμως οὐ δεῖν φασὶ σφᾶς διδόναι δίκην;
그들이 또한 동의합니까, 에우튀프론, 부정하다고, 그럼에도 그들 자신의 처벌이 필요 없다고(해서는 안된다고)도 동의하면서도?
ὅμως : nevertheless
σφᾶς : σφός. their own.
Εὐθύφρων
οὐδαμῶς τοῦτό γε.
Σωκράτης
οὐκ ἄρα πᾶν γε ποιοῦσι καὶ λέγουσι· τοῦτο γὰρ οἶμαι οὐ τολμῶσι λέγειν οὐδ᾽ ἀμφισβητεῖν, ὡς οὐχὶ εἴπερ [8d] ἀδικοῦσί γε δοτέον δίκην, ἀλλ᾽ οἶμαι οὔ φασιν ἀδικεῖν· ἦ γάρ;
Εὐθύφρων
ἀληθῆ λέγεις.
Σωκράτης
οὐκ ἄρα ἐκεῖνό γε ἀμφισβητοῦσιν, ὡς οὐ τὸν ἀδικοῦντα δεῖ διδόναι δίκην, ἀλλ᾽ ἐκεῖνο ἴσως ἀμφισβητοῦσιν, τὸ τίς ἐστιν ὁ ἀδικῶν καὶ τί δρῶν καὶ πότε.
Εὐθύφρων
ἀληθῆ λέγεις.
Σωκράτης
οὐκοῦν αὐτά γε ταῦτα καὶ οἱ θεοὶ πεπόνθασιν, εἴπερ στασιάζουσι περὶ τῶν δικαίων καὶ ἀδίκων ὡς ὁ σὸς λόγος, καὶ οἱ μέν φασιν ἀλλήλους ἀδικεῖν, οἱ δὲ οὔ φασιν; ἐπεὶ ἐκεῖνό γε δήπου, ὦ θαυμάσιε, οὐδεὶς οὔτε θεῶν οὔτε [8e] ἀνθρώπων τολμᾷ λέγειν, ὡς οὐ τῷ γε ἀδικοῦντι δοτέον δίκην.
Εὐθύφρων
ναί, τοῦτο μὲν ἀληθὲς λέγεις, ὦ Σώκρατες, τό γε κεφάλαιον.
네, 이것을 옳게 말씀하십니다, 소크라테스, 그것도 정곡을요.
Σωκράτης
ἀλλ᾽ ἕκαστόν γε οἶμαι, ὦ Εὐθύφρων, τῶν πραχθέντων ἀμφισβητοῦσιν οἱ ἀμφισβητοῦντες, καὶ ἄνθρωποι καὶ θεοί, εἴπερ ἀμφισβητοῦσιν θεοί· πράξεώς τινος πέρι διαφερόμενοι οἱ μὲν δικαίως φασὶν αὐτὴν πεπρᾶχθαι, οἱ δὲ ἀδίκως· ἆρ᾽ οὐχ οὕτω;
πάνυ γε.
Σωκράτης
[9a] ἴθι νυν, ὦ φίλε Εὐθύφρων, δίδαξον καὶ ἐμέ, ἵνα σοφώτερος γένωμαι, τί σοι τεκμήριόν ἐστιν ὡς πάντες θεοὶ ἡγοῦνται ἐκεῖνον ἀδίκως τεθνάναι, ὃς ἂν θητεύων ἀνδροφόνος γενόμενος, συνδεθεὶς ὑπὸ τοῦ δεσπότου τοῦ ἀποθανόντος, φθάσῃ τελευτήσας διὰ τὰ δεσμὰ πρὶν τὸν συνδήσαντα παρὰ τῶν ἐξηγητῶν περὶ αὐτοῦ πυθέσθαι τί χρὴ ποιεῖν, καὶ ὑπὲρ τοῦ τοιούτου δὴ ὀρθῶς ἔχει ἐπεξιέναι καὶ ἐπισκήπτεσθαι φόνου τὸν ὑὸν τῷ πατρί; ἴθι, περὶ τούτων πειρῶ τί μοι [9b] σαφὲς ἐνδείξασθαι ὡς παντὸς μᾶλλον πάντες θεοὶ ἡγοῦνται ὀρθῶς ἔχειν ταύτην τὴν πρᾶξιν· κἄν μοι ἱκανῶς ἐνδείξῃ, ἐγκωμιάζων σε ἐπὶ σοφίᾳ οὐδέποτε παύσομαι.
이제 가 봅시다, 에우튀프론, 또한 나에게도 알려주시오, 내가 더욱 지혜로워지도록, 당신에게 어떠한 증거가 있는지 모든 신들이 저 자가 부정의하게 죽었다고 믿을, 품팔이를 하면서 살인자가 되었을 그가, 죽임을 당한 자의 주인에 의해 묶여서, 먼저 포박으로 인해서 죽은 그가 묶은 자가 엑세게토스들에게서 그 자에 대해 어떻게 해야 할지 듣기도 전에, 또 이러한 자를 위하여 자식이 아버지를 살인죄로 고소하고 비난하는 것이 옳게 하는 것인가? 자, 이러한 일들에 대해서 나에게 정확하게 밝히려고 노력하시오 무엇보다도 모든 신들이 이러한 행위를 옳다고 믿는다고: 또한 만일 나에게 그대가 충분히 밝힌다면, 그대를 지혜에 대해서 칭찬하면서 결코 그치지 않을 것이오.
δίδαξον : διδάσκω aor. imper. sin.
τεκμήριόν : proof
τεθνάναι : θνῄσκω opt. inf. to be dead.
θητεύων : θητεύω part. sin.-nom. to be a serf or labourer
συνδεθεὶς : συνδέω pas. aor. part. to be bound.
δεσπότου : master, lord.
ἀποθανόντος : ἀποθνῄσκω aor. part. sin.-gen.
φθάσῃ : φθάνω aor. subj. sin.-3rd. come, arrive, reach. to be in time.
τελευτήσας : τελευτάω aor. part. sin.-nom. finish. end life, die.
δεσμὰ : δεσμός. bond.
συνδήσαντα : συνδέω aor. part. pl. nom/acc. bind.
πυθέσθαι : πυνθάνομαι. 듣다. 들어서 알다.
Εὐθύφρων
ἀλλ᾽ ἴσως οὐκ ὀλίγον ἔργον ἐστίν, ὦ Σώκρατες, ἐπεὶ πάνυ γε σαφῶς ἔχοιμι ἂν ἐπιδεῖξαί σοι.
그러나 쉬운 일이 아닐 것 같습니다, 소크라테스, 제가 당신께 나중에 꽤나 자세하게 보여드릴 수 있겠지요.
ἔχοιμι : ἔχω opt. sin.-1st. c.inf. to be able.
ἐπιδεῖξαί : ἐπιδείκνῡμι aor. inf. display, exhibit.
Σωκράτης
μανθάνω· ὅτι σοι δοκῶ τῶν δικαστῶν δυσμαθέστερος εἶναι, ἐπεὶ ἐκείνοις γε ἐνδείξῃ δῆλον ὅτι ὡς ἄδικά τέ ἐστιν καὶ οἱ θεοὶ ἅπαντες τὰ τοιαῦτα μισοῦσιν.
알겠습니다: 당신에게는 제가 배심원들보다도 더욱 더디게 배우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지요, 바로 저들에게는 부정의한 것들이고 또 신들이 이와 같은 모든 것들을 미워한다는 것이 명확히 드러날 테니까요.
ἐνδείξῃ : ἐνδείκνῡμι subj. sin.-3rd. exhibit, display.
Εὐθύφρων
πάνυ γε σαφῶς, ὦ Σώκρατες, ἐάνπερ ἀκούωσί γέ μου λέγοντος.
상당히 정확하게, 소크라테스, 만일 제가 말하는 것을 그들이 듣기만 한다면 말이죠.
Σωκράτης
[9c] ἀλλ᾽ ἀκούσονται. ἐάνπερ εὖ δοκῇς λέγειν. τόδε δέ σου ἐνενόησα ἅμα λέγοντος καὶ πρὸς ἐμαυτὸν σκοπῶ· “εἰ ὅτι μάλιστά με Εὐθύφρων διδάξειεν ὡς οἱ θεοὶ ἅπαντες τὸν τοιοῦτον θάνατον ἡγοῦνται ἄδικον εἶναι, τί μᾶλλον ἐγὼ μεμάθηκα παρ᾽ Εὐθύφρονος τί ποτ᾽ ἐστὶν τὸ ὅσιόν τε καὶ τὸ ἀνόσιον; θεομισὲς μὲν γὰρ τοῦτο τὸ ἔργον, ὡς ἔοικεν, εἴη ἄν. ἀλλὰ γὰρ οὐ τούτῳ ἐφάνη ἄρτι ὡρισμένα τὸ ὅσιον καὶ μή· τὸ γὰρ θεομισὲς ὂν καὶ θεοφιλὲς ἐφάνη”. ὥστε τούτου μὲν ἀφίημί σε, ὦ Εὐθύφρων· εἰ βούλει, πάντες αὐτὸ [9d] ἡγείσθων θεοὶ ἄδικον καὶ πάντες μισούντων. ἀλλ᾽ ἆρα τοῦτο ὃ νῦν ἐπανορθούμεθα ἐν τῷ λόγῳ -- ὡς ὃ μὲν ἂν πάντες οἱ θεοὶ μισῶσιν ἀνόσιόν ἐστιν, ὃ δ᾽ ἂν φιλῶσιν, ὅσιον· ὃ δ᾽ ἂν οἱ μὲν φιλῶσιν οἱ δὲ μισῶσιν, οὐδέτερα ἢ ἀμφότερα -- ἆρ᾽ οὕτω βούλει ἡμῖν ὡρίσθαι νῦν περὶ τοῦ ὁσίου καὶ τοῦ ἀνοσίου;
Εὐθύφρων
τί γὰρ κωλύει, ὦ Σώκρατες;
οὐδὲν ἐμέ γε, ὦ Εὐθύφρων, ἀλλὰ σὺ δὴ τὸ σὸν σκόπει, εἰ τοῦτο ὑποθέμενος οὕτω ῥᾷστά με διδάξεις ὃ ὑπέσχου.
Εὐθύφρων
[9e] ἀλλ᾽ ἔγωγε φαίην ἂν τοῦτο εἶναι τὸ ὅσιον ὃ ἂν πάντες οἱ θεοὶ φιλῶσιν, καὶ τὸ ἐναντίον, ὃ ἂν πάντες θεοὶ μισῶσιν, ἀνόσιον.
Σωκράτης
οὐκοῦν ἐπισκοπῶμεν αὖ τοῦτο, ὦ Εὐθύφρων, εἰ καλῶς λέγεται, ἢ ἐῶμεν καὶ οὕτω ἡμῶν τε αὐτῶν ἀποδεχώμεθα καὶ τῶν ἄλλων, ἐὰν μόνον φῇ τίς τι ἔχειν οὕτω συγχωροῦντες ἔχειν; ἢ σκεπτέον τί λέγει ὁ λέγων;
그러면 또한 이것을 살펴보아야 하지 않겠소, 에우튀프론, 만일 훌륭하게 이야기되었다면, 아니면 우리는 내버려 두고 받아들이겠는가 우리들 중에서도 다른 이들 중에서도, 누군가 단 한 명이 어떤 것이 우리들이 그렇다고 동의하듯 그러하다고 말하기만 하면 그를? 아니면 말한 사람이 무엇을 말하는지 살펴보아야 하겠소?
ἐῶμεν : ἐάω subj. pl.-1st. suffer, permit.
ἀποδεχώμεθα : ἀποδέχομαι mid.&pass. subj. pl.-1st. accept.
συγχωροῦντες : συγχωρέω part. pl.-nom. agree with.
σκεπτέον : one must reflect or consider.
Εὐθύφρων
σκεπτέον· οἶμαι μέντοι ἔγωγε τοῦτο νυνὶ καλῶς λέγεσθαι.
고려해 보아야만 하겠지요: 저로서는 물론 지금 이것이 훌륭하게 이야기되었다고 생각합니다.
-蟲-
KrV.161-164.
Des Leitfadens der Entdeckung aller reinen Verstandesbegriffe
모든 순수 지성개념들의 발견의 실마리
Zweiter Abschnitt
제 2 장
§ 9. Von der logischen Funktion des Verstandes in Urteilen
§ 9. 판단들에 있어서 지성의 논리적 기능에 대하여
Wenn wir von allem Inhalte eines Urteils überhaupt abstrahieren, und nur auf die bloße Verstandesform darin Acht geben, so finden wir, daß die Funktion des Denkens in demselben unter vier Titel gebracht werden könne, deren jeder drei Momente unter sich enthält. Sie können füglich in folgender Tafel vorgestellt werden.
→ 만일 우리가 판단 전반의 모든 내용들을 추상하고 그 점에 있어서 단지 순전한 지성형식에만 주목한다면 우리는 지성의 기능이 그 판단 자체에서 그 각각이 세 계기들을 포섭하는 네 항목들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 그 항목들은 적절하게 다음 표에서 제시될 수 있다.
| 1. Quantität der Urteile. 판단의 양 |
| ||
| Allgemeine 전칭 Besondere 특칭 Einzelne 단칭 |
| ||
2. Qualität. 질 |
| 3. Relation. 관계 | ||
Bejahende 긍정 Verneinende 부정 Unendliche 무한 |
| Kategorische 정언 Hypothetische 가언 Disjunktive 선언 | ||
| 4. Modalität. 양상 |
| ||
| Problematische 개연 Assertorische 단정 Apodiktische 필연 |
|
Da diese Einteliung in einigen, obgleich nicht wesentlichen Stücken, von der gewohnten Technik der Logiker abzuweichen scheint, so werden folgende Verwahrungen wider den besorglichen Mißverstand nicht unnötig sein.
→ 이러한 구분은 비록 본질적인 부분들에서는 아니더라도 몇몇 부분들에서 논리학자들의 통상적인 기술과 구분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염려되는 오해에 대한 다음과 같은 이의들이 불필요하지는 않을 것이다.
1. Die Logiker sagen mit Recht, daß man beim Gebrauch der Urteile in Vernunftschlüssen die einzelnen Urteile gleich den allgemeinen behandeln könne. Denn eben darum, weil sie gar keinen Umfang haben, kann das Prädikat derselben nicht bloß auf einiges dessen, was unter dem Begriff des Subjekts enthalten ist, gezogen, von einigem aber ausgenommen werden. Es gilt also von jenem Begriffe ohne Ausnahme, gleich als wenn derselbe ein gemeingültiger Begriff wäre, der einen Umfang hätte, von dessen ganzer Bedeutung das Prädikat gelte. Vergleichen wir dagegen ein einzelnes Urteil mit einem gemeingültigen, bloß als Erkenntnis, der Größe nach, so verhält sie sich zu diesem wie Einheit zur Unendlichkeit, und ist also sich selbst davon wesentlich unterschieden. Also, wenn ich ein einzelnes Urteil (judicium singulare) nicht bloß nach seiner innern Gültigkeit, sondern auch, als Erkenntnis überhaupt, nach der Größe, die es in Vergleichung mit andern Erkenntnissen hat, schätze, so ist es allerdings von gemeingültigen Urteilen (judicia communia) unterschieden, und verdient in einer vollständigen Tafel der Momente des Denkens überhaupt (obzwar freilich nicht in der bloß auf den Gebrauch der Urteile untereinander eingeschränkten Logik) eine besondere Stelle.
→1. 논리학자들이 사람들은 이성 추론들에서 판단들의 사용에 있어서 단칭 판단들을 전칭 판단들과 마찬가지로 취급할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은 정당하다.→ 왜냐하면 단칭 판단들이 전혀 아무런 외연도 가지지 않으므로 정확히 그 점에서 그 판단들의 술어가 주어의 개념 아래에 포함되는 몇몇에만 관련되고 몇몇에는 제외될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 단칭 판단은 모든 개념들에 대해서 예외 없이 유효한데, 동일한 판단이 외연을 가지는 보편타당한 개념일 경우 전체 의미의 개념에 대해 술어가 타당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 우리는 그에 반해 단칭 판단을 크기에 따르는 순전한 인식으로서 보편타당한 판단에 비유한다. 그래서 이러한 판단에 그 인식이 무한성에 대한 통일성과 같이 관계하고, 그러므로 그 인식 자체는 그로부터 본질적으로 구분된다.→ 그러므로 만일 내가 단칭 판단을 단지 그 내적 정당성이 아니라 오히려 인식 전반으로서 다른 인식들과의 비교 속에서 가지는 크기에 따라 평가한다면, 그 판단은 당연히 보편타당한 판단들과 구분되고, 사유 전반의 계기들의 완전한 도표 안에서 (비록 확실히 판단들 상호의 사용에 대한 제한된 논리학에서는 아니라 하더라도) 특수한 위치를 차지할 만하다.
2. Eben so müssen in einer transzendentalen Logik unendliche Urteile von bejahenden noch unterschieden werden, wenn sie gleich in der allgemeinen Logik jeden mit Recht beigezählt sind und kein besonderes Glied der Einteilung ausmachen. Diese nämlich abstrahieret von allem Inhalt des Prädikats (ob es gleich verneinend ist) und sieht nur darauf, ob dasselbe dem Subjekt beigelegt, oder ihm entgegengesetzt werde. Jene aber betrachtet das Urteil auch nach dem Werte oder Inhalt dieser logischen Bejahung vermittelst eines bloß verneinenden Prädikats, und was diese in Ansehung des gesamten Erkenntnisses für einen Gewinn verschafft. Hätte ich von der Seele gesagt, sie ist nicht sterblich, so hätte ich durch ein verneinendes Urteil wenigstens einen Irrtum abgehalten. Nun habe ich durch den Satz: die Seele ist nichtsterblich, zwar der logischen Form nach wirklich bejahet, indem ich die Seele in den unbeschränkten Umfang der nichtsterbenden Wesen setze. Weil nun von dem ganzen Umfang möglicher Wesen das Sterbliche einen Teil enthält, das Nichtsterbende aber den andern, so ist durch meinen Satz nichts anders gesagt, als daß die Seele eines von der unendlichen Mange Dinge sei, die übrig bleiben, wenn ich das Sterbliche insgesamt wegnehme. Dadurch aber wird nur die unendliche Sphäre alles Möglichen in so weit beschränkt, daß das Sterbliche davon abgetrennt, und in dem übrigen Raum ihres Umfangs die Seele gesetzt wird. Dieser Raum bleibt aber bei dieser Ausnahme noch immer unendlich, und können noch mehrere Teile desselben weggenommen werden, ohne daß darum der Begriff von der Seele im mindesten wächst, und bejahend bestimmt wird. Diese unendliche Urteile also in Ansehung des logischen Umfanges sind wirklich bloß beschränkend in Ansehung des Inhalts der Erkenntnis überhaupt, und in so fern müssen sie in der transtzendentalen Tafel aller Momente des Denkens in den Urteilen nicht übergangen werden, weil die hierbei ausgeübte Funktion des Verstandes vielleicht in dem Felde seiner reinen Erkenntnis a priori wichtig sein kann.
→ 2. 마찬가지로, 비록 그 무한판단들이 일반 논리학에서 정당하게 저 긍정판단들로 셈해지고 구분의 어떠한 특수한 절도 형성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초월론적 논리학에서 무한판단들은 긍정판단과 구분되어야만 한다. → 다시 말해 이러한 무한판단은 술어의 모든 내용을 도외시하고 (비록 그 내용이 부정이라 할지라도) 단지, 그 술어 자체가 주어에 덧붙여지는지, 또는 그 주어에 반대되는지 그에 대해서만 본다.→ 그러나 저 긍정판단은 판단을 또한 순전한 부정 술어에 따라서 이러한 논리적 긍정의 값이나 내용에 따라 평가하고, 이러한 것을 이익에 대한 전체 인식의 고려 속에서 이러한 것을 마련하는 것을 평가한다. → 내가 영혼에 대해 영혼이 필멸이 아니라고 이야기 한다면 나는 부정판단을 통하여 최소한 오류를 막을 것이다. → 이제 나는, 내가 영혼을 불멸하는 실체들의 무한정한 범위 안으로 놓음으로써, 영혼은 불사적이다라는 명제를 통하여, 더욱이 그 논리적 형식을 통하여 실질적으로 긍정한다. → 이제 가능한 실체들의 전범위로부터 필멸하는 것이 일부분을 포함하고, 그러나 불멸하는 것은 다른 부분을 (포함하므로), 그래서 나의 명제를 통해서, 영혼은 내가 필멸하는 것 모두를 제거할 때 남아 있는 무한히 많은 것들 중에 하나일 것이라는 것 외에 다른 아무것도 이야기되지 않는다.→ 그러나 그를 통하여 다만 모든 가능한 것의 무한한 범위가, 필멸하는 것을 그로부터 분리시키고, 그 범위의 남은 공간에 영혼이 놓인다는 것, 그 만큼에서 한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공간은 이러한 예외에 있어서 여전히 무한하고, 그 공간의 더 많은 부분들이, 영혼에 대한 개념이 최소한으로 확장되거나, 또 긍정적으로 규정되는 것 없이 제거될 수 있다. → 이러한 무한한 판단들은 그러므로 논리적 범위의 고려 속에서 실제로 순전히 인식 전반의 내용에 대한 고려에서 제한되고, 그러한 한에서 무한한 판단들이 판단들 속에서 사유의 모든 계기들의 초월론적 목록표 안에서 넘어서게 되지 않아야만 한다. 왜냐하면 이와 관련하여 수행된 지성의 활동은 아마도 그 지성의 순수한 선험적 인식의 범위 안에서 주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Alle Verhältnisse des Denkens in Urteilen sind die a) des Prädikats zum Subjekt, b) des Grundes zur Folge, c) der eingeteilten Erkenntnis und der gesammleten Glieder der Einteilung unter einander. In der ersteren Art der Urteile sind nur zwei Begriffe, in der zweiten zweene Urteile, in der dritten mehrere Urteile im Verhältnis gegen einander betrachtet. Der hypothetische Satz: wenn eine vollkommene Gerechtigkeit da ist, so wird der beharrlich Böse bestraft, enthält eigentlich das Verhältnis zweier Stätze: Es ist eine vollkommene Gerechtigkeit da, und der beharllich Böse wird bestraft. Ob beide dieser Sätze an sich wahr sein, bleibt hier unausgemacht. Es ist nur die Konsequenz, die durch dieses Urteil gedacht wird.
→ 3. 판단들 속에서 사유의 모든 관계들은 a) 주어에 대한 술어의 관계, b) 결과에 대한 원인의 관계, c) 분할된 인식의 관계와 상호간의 구분의 취합된 마디들의 관계이다.→ 첫번째 관계에서 판단의 기능은 단지 두 가지 개념들을, 두번째 관계에서는 두 가지 판단들을, 세번째 관계에서는 더 많은 판단들을 상호 관계에 있어서 관찰된다.→ 완전한 정의가 여기에 있을 때에는, 그래서 완강한 죄인들은 처벌받는다는 가설적 명제는 본래, 하나의 완전한 정의가 여기에 있다는, 그리고 완강한 죄인들이 처벌받는다는 두 명제들의 관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명제들 둘 모두가 그 자체로 참인지 아닌지는, 여기에서 결정되지 않고 남는다.→ 그것은 단지 이러한 판단을 통해 생각되는 결론일 뿐이다.
Des Leitfadens der Entdeckung aller reinen Verstandesbegriffe
모든 순수 지성개념들의 발견의 실마리
Zweiter Abschnitt
제 2장
§ 9. Von der logischen Funktion des Verstandes in Urteilen
§ 9. 판단에서 지성의 논리적 기능에 대해서
Wenn wir von allem Inhalte eines Urteils überhaupt abstrahieren, und nur auf die bloße Verstandesform darin Acht geben, so finden wir, daß die Funktion des Denkens in demselben unter vier Titel gebracht werden könne, deren jeder drei Momente unter sich enthält.
만일 우리가 판단 전반의 모든 내용들을 추상한다면, 그리고 그 점에 있어서 단지 순전한 지성형식에만 주목한다면, 우리는 발견한다, 지성의 기능이 그 판단 자체에서 네 항목들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그 항목들의 각각이 세 계기들을 포섭하는.
→ 만일 우리가 판단 전반의 모든 내용들을 추상하고 그 점에 있어서 단지 순전한 지성형식에만 주목한다면 우리는 지성의 기능이 그 판단 자체에서 그 각각이 세 계기들을 포섭하는 네 항목들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
Sie können füglich in folgender Tafel vorgestellt werden.
그 항목들은 적합하게 다음 표에서 제시될 수 있다.
→ 그 항목들은 적절하게 다음 표에서 제시될 수 있다.
|
1. Quantität der Urteile. 판단의 양 |
| ||
|
Allgemeine 전칭 Besondere 특칭 Einzelne 단칭 |
| ||
2. Qualität. 질 |
|
3. Relation. 관계 | ||
Bejahende 긍정 Verneinende 부정 Unendliche 무한 |
|
Kategorische 정언 Hypothetische 가언 Disjunktive 선언 | ||
|
4. Modalität. 양상 |
| ||
|
Problematische 개연 Assertorische 단정 Apodiktische 필연 |
|
Da diese Einteliung in einigen, obgleich nicht wesentlichen Stücken, von der gewohnten Technik der Logiker abzuweichen scheint, so werden folgende Verwahrungen wider den besorglichen Mißverstand nicht unnötig sein.
이러한 구분은 몇몇 부분들에서, 비록 본질적인 부분들에서는 아니더라도, 논리학자들의 통례의 기술과 구분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염려되는 오해에 대한 다음과 같은 이의들이 불필요하지는 않을 것이다.
→ 이러한 구분은 비록 본질적인 부분들에서는 아니더라도 몇몇 부분들에서 논리학자들의 통상적인 기술과 구분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염려되는 오해에 대한 다음과 같은 이의들이 불필요하지는 않을 것이다.
1. Die Logiker sagen mit Recht, daß man beim Gebrauch der Urteile in Vernunftschlüssen die einzelnen Urteile gleich den allgemeinen behandeln könne.
1. 논리학자들은 정당하게 말한다, 사람들은 이성 추론들에서 판단들의 사용에 있어서 단칭 판단들을 전칭 판단들과 마찬가지로 취급할 수 있다고.
→1. 논리학자들이 사람들은 이성 추론들에서 판단들의 사용에 있어서 단칭 판단들을 전칭 판단들과 마찬가지로 취급할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은 정당하다.
Denn eben darum, weil sie gar keinen Umfang haben, kann das Prädikat derselben nicht bloß auf einiges dessen, was unter dem Begriff des Subjekts enthalten ist, gezogen, von einigem aber ausgenommen werden.
왜냐하면 정확히 그 점에서, 단칭 판단들이 전혀 아무런 외연도 가지지 않으므로, 그 단칭 판단들의 술어가 순전히 몇몇에만, 주어의 개념 아래에 포함되는, 관련되고, 몇몇에는 제외될 수는 없기 때문이다.
→ 왜냐하면 단칭 판단들이 전혀 아무런 외연도 가지지 않으므로 정확히 그 점에서 그 판단들의 술어가 주어의 개념 아래에 포함되는 몇몇에만 관련되고 몇몇에는 제외될 수는 없기 때문이다.
Es gilt also von jenem Begriffe ohne Ausnahme, gleich als wenn derselbe ein gemeingültiger Begriff wäre, der einen Umfang hätte, von dessen ganzer Bedeutung das Prädikat gelte.
그러므로 그 단칭 판단은 모든 개념들에 대해 예외 없이 유효하다, 동일한 판단이 보편타당한 개념이라면, 그 개념이 외연을 가질, 전체 의미의 개념에 대해 술어가 타당한 것과 마찬가지로.
→ 그러므로 그 단칭 판단은 모든 개념들에 대해서 예외 없이 유효한데, 동일한 판단이 외연을 가지는 보편타당한 개념일 경우 전체 의미의 개념에 대해 술어가 타당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Vergleichen wir dagegen ein einzelnes Urteil mit einem gemeingültigen, bloß als Erkenntnis, der Größe nach, so verhält sie sich zu diesem wie Einheit zur Unendlichkeit, und ist also sich selbst davon wesentlich unterschieden.
우리는 그에 대해 단칭 판단을 보편타당한 판단에 비유한다, 순전히 인식으로서, 그 인식이 크기에 따르는, 그래서 이러한 판단에 그 인식이 무한성에 대한 통일성과 같이 관계하고, 그러므로 그 인식 자체는 그로부터 본질적으로 구분된다.
→ 우리는 그에 반해 단칭 판단을 크기에 따르는 순전한 인식으로서 보편타당한 판단에 비유한다. 그래서 이러한 판단에 그 인식이 무한성에 대한 통일성과 같이 관계하고, 그러므로 그 인식 자체는 그로부터 본질적으로 구분된다.
Also, wenn ich ein einzelnes Urteil (judicium singulare) nicht bloß nach seiner innern Gültigkeit, sondern auch, als Erkenntnis überhaupt, nach der Größe, die es in Vergleichung mit andern Erkenntnissen hat, schätze, so ist es allerdings von gemeingültigen Urteilen (judicia communia) unterschieden, und verdient in einer vollständigen Tafel der Momente des Denkens überhaupt (obzwar freilich nicht in der bloß auf den Gebrauch der Urteile untereinander eingeschränkten Logik) eine besondere Stelle.
그러므로, 만일 내가 단칭 판단(iudicium, 판단 + singularis gen.)을 단지 그 판단의 내적 정당성에 따라서가 아니라, 오히려, 인식 전반으로, 크기에 따라서, 그 크기를 그 판단이 다른 인식들과의 비교 속에서 가지는, 평가한다면, 그래서 그 판단은 당연히 보편타당한 판단들(iudicium + communis a.)과 구분되고, 사유 전반의 계기들의 완전한 도표 안에서 (비록 확실히 판단들 상호의 사용에 대한 제한된 논리학에서는 아니라 하더라도) 특수한 위치를 차지할 만하다.
→ 그러므로 만일 내가 단칭 판단을 단지 그 내적 정당성이 아니라 오히려 인식 전반으로서 다른 인식들과의 비교 속에서 가지는 크기에 따라 평가한다면, 그 판단은 당연히 보편타당한 판단들과 구분되고, 사유 전반의 계기들의 완전한 도표 안에서 (비록 확실히 판단들 상호의 사용에 대한 제한된 논리학에서는 아니라 하더라도) 특수한 위치를 차지할 만하다.
2. Eben so müssen in einer transzendentalen Logik unendliche Urteile von bejahenden noch unterschieden werden, wenn sie gleich in der allgemeinen Logik jenen mit Recht beigezählt sind und kein besonderes Glied der Einteilung ausmachen.
2. 마찬가지로 초월론적 논리학에서 무한판단들은 긍정판단과 구분되어야만 한다, 비록 그 무한판단들이 일반 논리학에서 정당하게 저 긍정판단들로 셈해지고 구분의 어떠한 특수한 절도 형성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 2. 마찬가지로, 비록 그 무한판단들이 일반 논리학에서 정당하게 저 긍정판단들로 셈해지고 구분의 어떠한 특수한 절도 형성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초월론적 논리학에서 무한판단들은 긍정판단과 구분되어야만 한다.
Diese nämlich abstrahieret von allem Inhalt des Prädikats (ob es gleich verneinend ist) und sieht nur darauf, ob dasselbe dem Subjekt beigelegt, oder ihm entgegengesetzt werde.
다시 말해 이러한 무한판단은 술어의 모든 내용을 도외시하고 (비록 그 내용이 부정이라 할지라도) 단지 그에 대해서 본다, 그 술어 자체가 주어에 덧붙여지는지, 또는 그 주어에 반대되는지.
→ 다시 말해 이러한 무한판단은 술어의 모든 내용을 도외시하고 (비록 그 내용이 부정이라 할지라도) 단지, 그 술어 자체가 주어에 덧붙여지는지, 또는 그 주어에 반대되는지 그에 대해서만 본다.
Jene aber betrachtet das Urteil auch nach dem Werte oder Inhalt dieser logischen Bejahung vermittelst eines bloß verneinenden Prädikats, und was diese in Ansehung des gesamten Erkenntnisses für einen Gewinn verschafft.
그러나 저 긍정판단은 판단을 또한 순전한 부정 술어에 따라서 이러한 논리적 긍정의 값이나 내용에 따라 평가하고, 이러한 것을 이익에 대한 전체 인식의 고려 속에서 이러한 것을 마련하는 것을 평가한다.
→ 그러나 저 긍정판단은 판단을 또한 순전한 부정 술어에 따라서 이러한 논리적 긍정의 값이나 내용에 따라 평가하고, 이러한 것을 이익에 대한 전체 인식의 고려 속에서 이러한 것을 마련하는 것을 평가한다.
Hätte ich von der Seele gesagt, sie ist nicht sterblich, so hätte ich durch ein verneinendes Urteil wenigstens einen Irrtum abgehalten.
내가 영혼에 대해 이야기 한다면, 영혼이 필멸이 아니라고, 그래서 나는 부정판단을 통하여 최소한 오류를 막을 것이다.
→ 내가 영혼에 대해 영혼이 필멸이 아니라고 이야기 한다면 나는 부정판단을 통하여 최소한 오류를 막을 것이다.
Nun habe ich durch den Satz: die Seele ist nichtsterblich, zwar der logischen Form nach wirklich bejahet, indem ich die Seele in den unbeschränkten Umfang der nichtsterbenden Wesen setze.
이제 나는 영혼은 불사적이다라는 명제를 통하여, 더욱이 그 논리적 형식을 통하여 실질적으로 긍정한다, 내가 영혼을 불멸하는 실체들의 무한정한 범위 안으로 놓음으로써.
→ 이제 나는, 내가 영혼을 불멸하는 실체들의 무한정한 범위 안으로 놓음으로써, 영혼은 불사적이다라는 명제를 통하여, 더욱이 그 논리적 형식을 통하여 실질적으로 긍정한다.
Weil nun von dem ganzen Umfang möglicher Wesen das Sterbliche einen Teil enthält, das Nichtsterbende aber den andern, so ist durch meinen Satz nichts anders gesagt, als daß die Seele eines von der unendlichen Menge Dinge sei, die übrig bleiben, wenn ich das Sterbliche insgesamt wegnehme.
이제 가능한 실체들의 전범위로부터 필멸하는 것이 일부분을 포함하고, 그러나 불멸하는 것은 다른 부분을 (포함하므로), 그래서 나의 명제를 통해서 다른 아무것도 이야기되지 않는다, 영혼은 무한히 많은 것들에 대한 하나일 것이다, 그 많은 것들이 남아 있는, 내가 필멸하는 것 모두를 제거할 때.
→ 이제 가능한 실체들의 전범위로부터 필멸하는 것이 일부분을 포함하고, 그러나 불멸하는 것은 다른 부분을 (포함하므로), 그래서 나의 명제를 통해서, 영혼은 내가 필멸하는 것 모두를 제거할 때 남아 있는 무한히 많은 것들 중에 하나일 것이라는 것 외에 다른 아무것도 이야기되지 않는다.
Dadurch aber wird nur die unendliche Sphäre alles Möglichen in so weit beschränkt, daß das Sterbliche davon abgetrennt, und in dem übrigen Raum ihres Umfangs die Seele gesetzt wird.
그러나 그를 통하여 다만 모든 가능한 것의 무한한 범위가 그 만큼에서 한정된다, 필멸하는 것을 그로부터 분리시키고, 그 범위의 남은 공간에 영혼이 놓인다는 것.
→ 그러나 그를 통하여 다만 모든 가능한 것의 무한한 범위가, 필멸하는 것을 그로부터 분리시키고, 그 범위의 남은 공간에 영혼이 놓인다는 것, 그 만큼에서 한정된다.
Dieser Raum bleibt aber bei dieser Ausnahme noch immer unendlich, und können noch mehrere Teile desselben weggenommen werden, ohne daß darum der Begriff von der Seele im mindesten wächst, und bejahend bestimmt wird.
그러나 이러한 공간은 이러한 예외에 있어서 여전히 무한하고, 그 공간의 더 많은 부분들이 제거될 수 있다, 영혼에 대한 개념이 최소한으로 확장되거나, 또 긍정적으로 규정되는 것 없이.
→ 그러나 이러한 공간은 이러한 예외에 있어서 여전히 무한하고, 그 공간의 더 많은 부분들이, 영혼에 대한 개념이 최소한으로 확장되거나, 또 긍정적으로 규정되는 것 없이 제거될 수 있다.
Diese unendliche Urteile also in Ansehung des logischen Umfanges sind wirklich bloß beschränkend in Ansehung des Inhalts der Erkenntnis überhaupt, und in so fern müssen sie in der transtzendentalen Tafel aller Momente des Denkens in den Urteilen nicht übergangen werden, weil die hierbei ausgeübte Funktion des Verstandes vielleicht in dem Felde seiner reinen Erkenntnis a priori wichtig sein kann.
이러한 무한한 판단들은 그러므로 논리적 범위의 고려 속에서 실제로 순전히 인식 전반의 내용에 대한 고려에서 제한되고, 그러한 한에서 무한한 판단들이 판단들 속에서 사유의 모든 계기들의 초월론적 목록표 안에서 넘어서게 되지 않아야만 한다, 왜냐하면 이와 관련하여 수행된 지성의 활동은 아마도 그 지성의 순수한 선험적 인식의 범위 안에서 주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이러한 무한한 판단들은 그러므로 논리적 범위의 고려 속에서 실제로 순전히 인식 전반의 내용에 대한 고려에서 제한되고, 그러한 한에서 무한한 판단들이 판단들 속에서 사유의 모든 계기들의 초월론적 목록표 안에서 넘어서게 되지 않아야만 한다. 왜냐하면 이와 관련하여 수행된 지성의 활동은 아마도 그 지성의 순수한 선험적 인식의 범위 안에서 주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Alle Verhältnisse des Denkens in Urteilen sind die a) des Prädikats zum Subjekt, b) des Grundes zur Folge, c) der eingeteilten Erkenntnis und der gesammleten Glieder der Einteilung unter einander.
3. 판단들 속에서 사유의 모든 관계들은 a) 주어에 대한 술어의 관계, b) 결과에 대한 원인의 관계, c) 분할된 인식의 관계와 상호간의 구분의 취합된 마디들의 관계이다.
→ 3. 판단들 속에서 사유의 모든 관계들은 a) 주어에 대한 술어의 관계, b) 결과에 대한 원인의 관계, c) 분할된 인식의 관계와 상호간의 구분의 취합된 마디들의 관계이다.
In der ersteren Art der Urteile sind nur zwei Begriffe, in der zweiten zweene Urteile, in der dritten mehrere Urteile im Verhältnis gegen einander betrachtet.
첫번째 관계에서 판단의 기능은 단지 두 가지 개념들을, 두번째 관계에서는 두 가지 판단들을, 세번째 관계에서는 더 많은 판단들을 상호 관계에 있어서 관찰된다.
→ 첫번째 관계에서 판단의 기능은 단지 두 가지 개념들을, 두번째 관계에서는 두 가지 판단들을, 세번째 관계에서는 더 많은 판단들을 상호 관계에 있어서 관찰된다.
Der hypothetische Satz: wenn eine vollkommene Gerechtigkeit da ist, so wird der beharrlich Böse bestraft, enthält eigentlich das Verhältnis zweier Stätze: Es ist eine vollkommene Gerechtigkeit da, und der beharllich Böse wird bestraft.
가설적 명제: 완전한 정의가 여기에 있을 때에는, 그래서 완강한 죄인들은 처벌받는다, 는 본래 두 명제들의 관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완전한 정의가 여기에 있다는 것, 그리고 완강한 죄인들이 처벌받는다는 것이다.
→ 완전한 정의가 여기에 있을 때에는, 그래서 완강한 죄인들은 처벌받는다는 가설적 명제는 본래, 하나의 완전한 정의가 여기에 있다는, 그리고 완강한 죄인들이 처벌받는다는 두 명제들의 관계를 포함한다.
Ob beide dieser Sätze an sich wahr sein, bleibt hier unausgemacht.
이러한 명제들 둘 모두가 그 자체로 참인지 아닌지는, 여기에서 결정되지 않고 남는다.
→ 이러한 명제들 둘 모두가 그 자체로 참인지 아닌지는, 여기에서 결정되지 않고 남는다.
Es ist nur die Konsequenz, die durch dieses Urteil gedacht wird.
그것은 단지 결론일 뿐이다, 그 결론이 이러한 판단을 통해 생각되는.
→ 그것은 단지 이러한 판단을 통해 생각되는 결론일 뿐이다.
-蟲-
AGL.11.27.
Reflexive Pronouns
1. sē ex nāvī prōiēcit 그는 그 자신을 배로부터 집어 던졌다
proicio pf sin-3rd, to throw or fling forth;
2. Dumnorīgem ad sē vocat 둠노릭스를 그 자신에게로 부르고 있다
3. sēsē castrīs tenēbant 그들은 그들 자신들을 야영지들에 붙잡아 두고 있었다.
castrum, a fortified post or settlement
4. contemnī sē putant 그들은 그들 자신들이 멸시받는다고 생각하고 있다
contemno pass inf, to regard with contempt, despise.
puto pl-3rd, (w. acc. and inf.) to think, to suppose, believe (that).
5. Caesar suās cōpiās subdūcit 카이사르는 그 자신의 군대를 이끌고 있다
6. Caesar statuit sibi Rhēnum esse trānseundum 카이사르는 그 자신에게 레누스 강을 건너져야 할 것으로 결심했다.
statuo pf sin-3rd, set, put up, cause, make decision
transeo gerundive, come or go across from one place to another.
1. mortī mē obtulī 나는 죽음에 나 자신을 드러냈다.
offero pf sin-1st, put in the path or danger.
2. hinc tē rēgīnae ad līmina perfer 그러니 그대는 그대 자신을 여왕의 문턱으로 전하라.
hinc, from here, hence.
perfero imper sin, carry or convey, (refl. or pass) continue on one's way.
3. quid est quod tantīs nōs in labōribus exerceāmus 어째서 우리는 우리 자신을 그렇게나 큰 노고 속에 종사시키는지 그 이유는 무엇인가
quid est quod, why is that
tantum, such a quantity, so much.
exerceo sub pl-1st, keep busy, employ
4. singulīs vōbīs novēnōs ex turmī manipulīsque vestrī similēs ēligite 그대들은 그대들 자신들의 스쿼드들과 보병중대들에서 아홉을 그대들 자신들을 각자에게 내놓아라.
elego² imper pl, will away(one's property)
1. iūdicārī potest quantum habeat in sē bonī cōnstantia 그것은 절대로 결정될 수 없다 그가 얼마나 많은 훌륭한 확신들을 그 자신 안에 가질지.
iudico pass inf. judge, try, decide
habeo sub sin-3rd.
constans, standing firm
2. nōluit eum locum vacāre, nē Germānī ē suīs fīnibus trānsīrent 그는 이 지역을 비워 두기를 바라지 않았다, 게르만인들이 자신들의 국경으로부터 건너지는 않을까 하여.
nolo pf sin-3rd.
vaco inf. to be left free for a person's use.
transeo sub impf pl-3rd.
3. sī qua sīgnificātiō virtūtis ēlūceat ad quam sē similis animus adplicet et adiungat
만일 덕의 어떤 기미로 그가 빛난다면 그 자신에 유사한 영혼이 그 조짐에 다가와 붙을 것이다
eluceo sub sin-3rd, shine forth, shine out
ad(p)plico 〃, bring into contact (with)
adiungo 〃, contact, link up
1. petiērunt ut sibi licēret 그들은 자신들에게 그것(일?)이 허가되도록 청원했다.
peto pf, seek.
licet sub impf, it is permitted.
2. Iccius nūntium mittit, nisi subsidium sibi submittātur 이키우스는 전언을 보내고 있다, 그 자신에게 증원이 제공되기 전까지.
subsidium, reinforcement.
submitto pass, allow to grow unchecked, send out, hold out in supplication.
3. decima legiō eī grātiās ēgit, quod dē sē optimum iūdicium fēcisset 열 번째 군단은 그에게 감사했다, 왜냐하면 그가 그들 자신들에 대해서 최선의 판결을 내렸었기 때문이다.
4. sī obsidēs ab eīs sibi dentur, sē cum eīs pācem esse factūrum 만일 그들에 의해 인질들이 그 자신에게 주어진다면, 그들과 더불어 그 자신에게 평화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N. cum ipsī deō nihil minus grātum futūrum sit quam nōn omnibus patēre ad sē plācandum viam 바로 그 신에게 더 적은 기쁨도 전혀 없을 때 그 신에게 받아들여질 길은 모든 이에게 열리지 않을 것이다.
pateo inf, be open.
placeo fut pass part, be pleasing, find favour
1. sunt ita multī ut eōs carcer capere nōn possit 감옥이 그들을 잡아두지 못할 만큼 그렇게나 많은 이들이 있다
2. ibi in proximīs vīllīs ita bipartītō fuērunt, ut Tiberis inter eōs et pōns interesset 티베르 강이 그것들 사이에 그리고 다리가 그 사이에 있는 것과 같은 식으로, 그들은 가장 가까운 농장들에 그 곳에 둘로 나뉘어 있었다.
bipartito, in two parts or divisions, be divided, in two ways
intersum sub imper sin-3rd.
3. nōn fuit eō contentus quod eī praeter spem acciderat 그는 그것으로 만족하지 않았다 그에게 희망을 벗어나 일어난.
contentus, (w. abl.) content with
accido plpf, to happen, occur, come to pass.
praeter, (as prep. w. acc) passing, beyond.
quī fit, Maecēnās, ut nēmō, quam sibi sortem seu ratiō dederit seu fors obiēcerit, illā contentus vīvat
1. cūr dē suā virtūte aut dē ipsīus dīligentiā dēspērārent 어째서 그들은 자신의 덕에 대해서나 바로 그 자신의 근면에 대해서 절망하는지
despero sub impf, despair.
2. omnia aut ipsōs aut hostēs populātōs 그들은 그들 자신들이든 적들이든 모든 것들을 유린했다
3. quī sē ex hīs minus timidōs exīstimārī volēbant, nōn sē hostem verērī, sed angustiās itineris et māgnitūdinem silvārum quae intercēderent inter ipsōs atque Ariovistum … timēre dīcēbant 그들 중에서 덜 겁쟁이로 여겨지고 싶은 이들은, 그들 자신들에게 있어서 적들이 아니라, 길의 협소함들과 숲의 크기, 그들 자신들과 아리오위스투스 사이에 위치한, 그것을 두려워한다고(여겨지길 바랐다?)
existimo pass inf, value, hold an opinion of, consider, think(w.acc.&inf.), suppose.
volo impf, want, wish for.
vereor inf, to show respect for, fear.
angustia, narrowness, limitation, pettiness.
iter, journey.
magnitudo, size.
silua, an area of woodland, forest, a mass of material.
intercedo sub impf, situated between, intervene,
4. audī(-vi?)stis nūper dīcere lēgātōs Tyndaritānōs Mercurium quī sacrīs anniversāriīs apud eōs colerētur esse sublātum
sacrum, sacred object, holy place, religious ceremony, festival, sacred status.
anniversarius, employed, occurring every year.
1. Paetus omnīs librōs quōs frāter suus relīquisset mihi dōnāvit 파이투스는 자신의 형이 남겨줬다는 모든 책들을 나에게 주었다.
1. Sōcratem cīvēs suī interfēcērunt 소크라테스는 바로 자신의 시민들이 죽였다
2. quī poterat salūs sua cuiquam nōn probārī 어떻게 어느 누구에게 그 자신의 만족이 찬성받지 않을 수 있었겠는가
3. hunc sī secūtī erunt suī comitēs 만일 그의 동료들이 그를 따른다면, 그를
-N. studeō sānāre sibi ipsōs 나는 그들에게 그들을 치료함에 열중한다
1. suīs flammīs dēlēte Fīdēnās 그대들은 피데나이를 그 불길로 파괴하라.
1. suī laus 자기자랑
2. habētis ducem memorem vestrī, oblītum suī 그대들은 가지고 있다 그대들을 기억하는, 그리고 자신은 잊은 지도자를.
3. perditī hominēs cum suī similibus servīs 파렴치한 인간들이 그들 자신과 닮은 종들과 함께
1. contentum suīs rēbus esse maximae sunt dīvitiae 그 자신의 것들에 만족하는 것은 가장 큰 부이다.
2. cui prōposita sit cōnservātiō suī
1. inter sē cōnflīgunt 그들 서로 싸우다
2. inter sē continentur 그들 서로 엮이다
Possessive-
1. haec ōrnāmenta sunt mea
2. meī sunt ōrdinēs, mea dīscrīptiō
3. multa in nostrō collēgiō praeclāra
4. Germānī suās cōpiās castrīs ēdūxērunt
1. domus mea
2. pater noster
3. patrimōnium tuum
-N2. cuium pecus
1. ut suā clēmentiā ac mānsuētūdine ūtātur
2. īgnōrantī quem portum petat nūllus suus ventus est
3. tempore tuō pūgnāstī
1. socium fraudāvit
1. nostrī
2. suōs continēbat
3. flamma extrēma meōrum
4. Sullānī
1. meā sōlius causā
2. in nostrō omnium flētū
3. ex Anniānā Milōnis domō
4. nostra omnium patria
5. suum ipsīus rēgnum
Relative-
1. iter in ea loca facere coepit, quibus in locīs esse Germānōs audiēbat
1. eī quī Alesiae obsīdēbantur
2. T. Balventius, quī superiōre annō prīmum pīlum dūxerat
3. quae cum ita sint
1. eum nihil dēlectābat quod fās eset
1. ea diēs quam cōnstituerat vēnit
2. pontem quī erat ad Genāvam iubet rescindī
3. Aduatucī, dē quibus suprā dīximus, domum revertērunt
1. fīlium et fīliam, quōs valdē dīlēxit, unō tempore āmīsit
2. grandēs nātū mātrēs et parvulī līberī, quōrum utrōrumque aetās misericordiam nostram requīrit
3. ōtium atque dīvitiae, quae prīma mortālēs putant
4. eae frūgēs et frūctūs quōs terra gignit
1. mare etiam quem Neptūnum esse dīcēbās
2. Thēbae ipsae, quod Boeōtiae caput est
-N. flūmen quod appellātur Tamesis
1. sī aliquid agās eōrum quōrum cōnsuēstī
-N. 1. urbem quam statuō vestra est
2. Naucratem, quem convenīre voluī, in nāvī nōn erat
1. quārtum genus … quī in vetere aere aliēnō vacillant
2. ūnus ex eō numerō quī parātī erant
3. coniūrāvēre paucī, dē quā dicam
-N. nostra ācta, quōs tyrannōs vocās
Antecedent of the Relative
1. locī nātūra erat haec quem locum nostrī dēlēgerant
1. quīs rēs in cōnsulātū nostrō gessimus attigit hīc versibus
2. quae prīma innocentis mihi dēfēnsiō est oblāta suscēpī
-N. 1. quae pars cīvitātis calamitātem populō Rōmānō intulerat, ea prīnceps poenās persolvit
2. quae grātia currum fuit vīvīs, eadem sequitur
3. quī fit ut nēmō, quam sibi sortem ratiō dederit, illā contentus vīvat
1. quī decimae legiōnis aquilam ferēbat
2. quī cōgnōscerent mīsit
1. Gabīniō dīcam anne Pompeiō? an utrīque - id quod est vērius?
2. multum sunt in vēnātiōnibus, quae rēs vīrēs alit
-N. Cassius noster, quod mihi māgnae voluptātī fuit, hostem reiēcerat
1. fīrmī, cuius generis est māgna pēnūria
1. vāsa ea quae pulcherrima apud eum vīderat
Special Uses of the Relative
1. liber quem mihi dedistī
2. is sum quī semper fuī
3. eō in locō est dē quō tibi locūtus sum
1. erat profectus obviam legiōnibus Macedonicīs quattuor, quās sibi conciliāre pecūniā cōgitābat eāsque ad urbem addūcere
1. lēgēs quae nunc sunt
2. Caesar quī Galliam vicit
3. iūsta glōria quī est frūctus virtūtis
4. ille quī petit
quī legit
1. quae pars civitātis Helvētiae īnsīgnem calamitātem populō Rōmānō intulerat, ea prīnceps poenās persolvit
-N. ille quī cōnsultē cavet, diūtinē ūtī bene licet partum bene
1. quae vestra prūdentia est
2. audīssēs cōmoedōs vel lēctōrem vel lyristēn, vel, quae mea līberālitās, omnēs
1. Caesar statuit exspectandam classem; quae ubi convēnit
2. quae quī audiēbant
3. quae cum ita sint
4. quōrum quod simile factum
5. quō cum vēnisset
1. mortuus Cūmis quō sē contulerat
2. locus quō aditus nōn erat
3. rēgna unde genus dūcis
4. unde petitur
5. idem quod semper
6. cum esset tālis quālem tē esse videō
7. tanta dīmicātiō quanta numquam fuit
8. tot mala quot sīdera
Indefinite Pronouns
1. dīxerit quis
2. aliquī philosophī ita putant
3. habitant hīc quaedam mulierēs pauperculae
1. quid sī hōc quispiam voluit deus
2. nisi alicui suōrum negōtium daret
3. cavēbat Pompeius omnia, nē aliquid vōs timērētis
1. iūstitia numquam nocet cuiquam
2. nōn sine aliquō metū
3. cum aliquid nōn habeās
1. sī quisquam, ille sapiēns fuit
2. dum praesidia ūlla fuērunt
3. sī quid in tē peccāvī
1. nōn cuivīs hominī contingit adīre Corinthum
2. quemlibet modo aliquem
3. sī quisquam est timidus
4. sī tempus est ūllum iūre hominis necandī
1. bonus liber melior est quisque quō maior
2. ambō exercitūs suās quisque abeunt domōs
3. uterque utrīque erat exercitus in cōnspectū
4. pōnite ante oculōs ūnum quemque rēgum
1. quō quisque est sollertior, hōc docet īrācundius
1. nōbilissimus quisque
2. prīmō quōque tempore
3. antīquissimum quodque tempus
4. decimus quisque
-N. 1. sapientissimus quisque aequissimō animō moritur
-N. 1. quotus enim quisque disertus? quotus quisque iūris perītus est
2. quotus enim istud quisque fēcisset
1. nēminem accūsat
1. vir nēmō bonus
1. nūllum mittitur tēlum
2. nūllō hoste prohibente
3. nūllīus īnsector calamitātem
4. nūllō adiuvante
5. nūllī erant praedōnēs
6. nūllī eximentur
Alius and Alter
1. proptereā quod aliud iter habērent nūllum
2. ūnī epistulae respondī, veniō ad alteram
3. alterum genus
4. iēcissem ipse mē potius in profundum ut cēterōs cōnservārem
5. Servīlius cōnsul, reliquīque magistrātūs
6. cum sit necesse alterum utrum vincere
1. dum nē sit tē dītior alter
2. nōn ut magis alter, amīcus
1. alterī dīmicant, alterī victōrem timent
2. alteram alterī praesidiō esse iusserat
3. aliī gladiīs adoriuntur, aliī fragmentīs saeptōrum
4. alius ex aliō causam quaerit
5. alius alium percontāmur
1. alter cōnsulum
2. aliud est maledīcere, aliud accūsāre
1. alius aliud petit
2. iussit aliōs alibī fodere
3. aliī aliō locō resistēbant
-작성중-
로고스.
LS 대사전에 나온 로고스(λόγος, logos)의 정의 및 출전.
✪ λόγος, ὁ, verbal noun of λέγω (b), with senses corresponding to λέγω (b) ii and iii (on the various senses of the word v. Theo Sm.pp.72, 73 H., An.Ox.4.327): common in all periods in Prose and Verse, exc. Epic, in which it is found in signf. derived from λέγω (b) iii, cf. infr. vi. 1a:
I. computation, reckoning (cf. λέγω (b)ii).
1. account of money handled, σανίδες εἰς ἃς τὸν λ. ἀναγράφομεν IG12.374.191; ἐδίδοσαν τὸν λ. ib. 232.2; λ. δώσεις τῶν μετεχείρισας χρημάτων Hdt.3.142, cf. 143; οὔτε χρήματα διαχειρίσας τῆς πόλεως δίδωμι λ. αὐτῶν οὔτε ἀρχὴν ἄρξας οὐδεμίαν εὐθύνας ὑπέχω νῦν αὐτῆς Lys.24.26; λ. ἀπενεγκεῖν Arist.Ath.54.1; ἐν ταῖς εὐθύναις τοῦ τοιούτου λ. ὑπεχέτω Pl.Lg.774b; τὸν τῶν χρημάτων λ. παρὰ τούτων λαμβάνειν D.8.47; ἀδικήματα εἰς ἀργυρίου λ. ἀνήκοντα Din.1.60; συνᾶραι λόγον μετά τινος settle accounts with, Ev.Matt.18.23, etc.; δεύτεροι λ. a second audit, Cod.Just.1.4.26.1; ὁ τραπεζιτικὸς λ. banking account, Theo Sm.p.73 H.: metaph., οὐκ ἂν πριαίμην οὐδενὸς λ. βροτόν εἰ δέ τις ἐνχειρήσει, ἕξι τὸν λόγον πρὸς ‹?τὸν Θεόν› SEG30.1546 (iv/v a.d.); also of other things than money, οἰνικὸς λ. Stud.Pal.20.85 ii 1, λ. κριθῆς PCair.Zen.464.1 (iii b.c.) S.Aj.477.
b. public accounts, i.e. branch of treasury, ἴδιος λ., in Egypt, OGI188.2, 189.3, 669.38; also as title of treasurer, ib. 408.4, Str.17.1.12; ὁ ἐπὶ τῶν λ. IPE2.29 A (Panticapaeum); δημόσιος λ., = Lat. fiscus, OGI1669.21 (Egypt, i a.d.), etc. (but later, = aerarium), Cod.Just.1.5.15; also Καίσαρος λ. OGI669.30; κυριακὸς λ. ib. 18.
c. ἐκ λόγου, in accounts, brought forward, freq. in papyri, ἐγ λ. λήμματος τοῦ δεκάτου ἔτους PLond.131 (i a.d.); ἐγ λ. τοῦ μηνὸς ἐλοιπογραφήθησαν there were entered as balance from the month’s account, BGU362 vi 9 (iii a.d.); τὸ ἐγ λ. τοῦ Φαμενώθ the balance from Ph., PCair.Zen.333.1 (iii b.c.); ὃ ἔχεις ἐγ λ. the balance you have in hand, ib. 593.12 (iii b.c.): see also ἔκλογος (C).
2. generally, account, reckoning, μὴ φῦναι τὸν ἅπαντα νικᾷ λ. excels the whole account, i.e. is best of all, S.OC1225 (lyr.); δόντας λ. τῶν ἐπόησαν accounting for, i.e. paying the penalty for their doings, Hdt.8.100, ἴ τις δὲ τολμῇ ἀνῦξεν, δώσι Κυρίῳ λόγον BCHsuppl. 8 no 58 (Beroea, iii/iv a.d.); λ. αἰτεῖν Pl.Plt.285e; λ. δοῦναι καὶ δέξασθαι Id.Prt.336c, al.; λαμβάνειν λ. καὶ ἐλέγχειν Id.Men.75d; παρασχεῖν τῶν εἰρημένων λ. Id.R.344d; λ. ἀπαιτεῖν D.30.15, cf. Arist.EN1104a3; λ. ὑπέχειν, δοῦναι, D.19.95; λ. ἐγγράψαι Id.24.199, al.; λ. ἀποφέρειν τῇ πόλει Aeschin.3.22, cf. Ev.Luc.16.2, Ep.Hebr.13.17; τὸ παράδοξον τῶν συμβεβηκότων ὑπὸ λόγον ἄγειν Plb.15.34.2; λ. ἡ ἐπιστήμη, πολλὰ δέ ὁ λ. the account is manifold, Plot.6.9.4; ἔχων λόγον τοῦ διὰ τί an account of the cause, Arist.APo.74b27; ἐς λ. τινός on account of, ἐς χρημάτων λ. Th.3.46, cf. Plb.5.89.6, Lxx2Ma.1.14, JRS18.152 (Jerash); λόγῳ c. gen., by way of, Cod.Just.3.2.5, al., εἰς μισθοῦ λ. Plu.2.240d; κατὰ λόγον τοῦ μεγέθους if we take into account his size, Arist.HA517b27, Plb.9.20.3; πρὸς ὃν ἡμῖν ὁ λ. Ep.Hebr.4.13, cf. D.Chr.31.123.
3. measure, tale (cf. infr. ii. 1), θάλασσα .. μετρέεται ἐς τὸν αὐτὸν λ. ὁκοῖος πρόσθεν Heraclit.31; ψυχῆς ἐστι λ. ἑαυτὸν αὔξυν Id.115; ἐς τούτου (sc. γήραος) λ. οὐ πολλοί τινες ἀπικνέονται to the point of old age, Hdt.3.99, cf. 7.9. β´; ὁ ξύμπας λ. the full tale, Th.7.56, cf. Ep.Phil.4.15; κοινῷ λ. νομίσαντα common measure, Pl.Lg.746e; sum, total of expenditure, IG42(1).103.151 (Epid., iv b.c.); ὁ τῆς οὐσίας λ., = Lat. patrimonii modus, Cod.Just.1.5.12.20.
4. esteem, consideration, value put on a person or thing (cf. infr. vi. 2d), οὗ πλείων λ. ἢ τῶν ἄλλων who is of more worth than all the rest, Heraclit.39; βροτῶν λ. οὐκ ἔσχεν αὐδέν᾽ A.Pr.233; οὐ σμικροῦ λ. S.OC1163: freq. in Hdt., Μαρδονίου λ. οὐδεὶς γίνεται 8.102; τῶν ἦν ἐλάχιστος ἀπολλυμένων λ. 4.135, cf. E.Fr.94; περὶ ἐμοῦ οὐδεὶς λ. Ar.Ra.87; λόγου οὐδενὸς γίνεσθαι πρός τινος to be of no account, repute with .., Hdt.1.120, cf. 4.138; λόγου ποιήσασθαί τινα make one of account, Id.1.33; ἐλαχίστου, πλείστου λ. εἶναι, to he highly, lowly esteemed, Id.1.143, 3.146; but also λόγον τινὸς ποιεῖσθαι, like Lat. rationem habere alicujus, make account of, set a value on, Democr.187, etc.: usu. in neg. statements, οὐδένα λ. ποιήσασθαί τονος Hdt.1.4, cf. 13, Plb.21.14.9, etc.; λ. ἔχειν Hdt.1.62, 115; λ. ἴσχειν περί τινος Pl.Ti.87c; λ. ἔχειν περὶ τοὺς ποιητάς Lycurg.107; λ. ἔχειν τινός D.18.199, Arist.EN1102b32, Plu.Phil.18 (but also, have the reputation of .., v. infr. vi. 2e), οὐδ᾽ ἐν λόγῳ ἄνδρα τιθείην Tyrt.12.1. ἐν οὐδενὶ λ. ποιήσασθαί τι Hdt.3.50; ἐν οὐδενὶ λ. ἀπώλοντο without regard, Id.9.70; ἐν σμικρῷ λ. εἶναι Pl.R.550a; ὑμεῖς οὔτ᾽ ἐν λ. οὔτ᾽ ἐν ἀριθμῷ Orac.ap.Sch.Theoc.14.48; ἐν ἀνδρῶν λ. [εἶναι] to be reckoned, count as a man, Hdt.3.120; ἐν ἰδιώτεω λόγῳ καὶ ἀτίμου reckoned as .., Eus.Mynd.Fr.59; σεμνὸς εἰς ἀρετῆς λ. καὶ δόξης D.19.142.
II. relation, correspondence, proportion,
1. generally, ὑπερτερίης λ. relation (of gold to lead), Thgn.418 = 1164; πρὸς λόγον τοῦ σήματος A.Th.519; κατὰ λόγον προβαίνοντες τιμῶσι in inverse ratio, Hdt.1.134, cf. 7.36; κατὰ λ. τῆς ἀποφορῆς Id.2.109; τἄαλλα κατὰ λ. in like fashion, Hp.VM16, Prog.17: c. gen., κατὰ λ. τῶν πρόσθεν ib. 24; κατὰ λ. τῶν ἡμερῶν Ar.Nu.619; κατὰ λ. τῆς δυνάμεως X.Cyr.8.6.11; ἐλάττω ἢ κατὰ λ. Arist. HA508a2, cf. PA671a18; ἐκ ταύτης ἐγένετο ἐκείνη κατὰ λ. Id.Pol.1257a31; cf. εὔλογος: sts. with ὁ αὐτός added, κατὰ τὸν αὐτὸν λ. τῷ τείχεϊ in fashion like to .., Hdt.1.186; περὶ τῶν νόσων ὁ αὐτὸς λ. analogously, Pl.Tht.158d, cf. Prm.136b, al.; εἰς τὸν αὐτὸν λ. similarly, Id.R.353d; κατὰ τὸν αὐτὸν λ. in the same ratio, IG12.76.8; by parity of reasoning, Pl.Cra.393c, R.610a, al.; ἀνὰ λόγον τινός, τινί, Id.Ti.29c, Alc.2.145d; τοῦτον ἔχει τὸν λ. πρὸς .. ὃν ἡ παιδεία πρὸς τὴν ἀρετήν is related to .. as .., Procl.in Euc.p.20 F., al.
2. Math., ratio, proportion (ὁ κατ᾽ ἀνάλογον λ., λ. τῆς ἀναλογίας Theo Sm.p.73 H.), Pythag.2; ἰσότης λόγων Arist.EN1131a31; λ. ἐστὶ δύο μεγεθῶν ἡ κατὰ πηλικότητα ποιὰ σχέσις Euc.5 Def.3; τῶν ἁρμονιῶν τοὺς λ. Arist.Metaph.985b32, cf. 1092b14; λόγοι ἀριθμῶν numerical ratios, Aristox.Harm.p.32 M.; τοὺς φθόγγους ἀναγκαῖον ἐν ἀριθμοῦ λ. λέγεσθαι πρὸς ἀλλήλους to be expressed in numerical ratios, Euc.Sect.Can.Proëm.: in Metre, ratio between arsis and thesis, by which the rhythm is defined, Aristox.Harm.p.34 M.; ἐὰν ᾖ ἰσχυροτέρα τοῦ αἰσθητηρίου ἡ κίνησις, λύεται ὁ λ. Arist.de An.424a31; ἀνὰ λόγον analogically, Archyt.2; ἀνὰ λ. μερισθεῖσα [ἡ ψυχή] proportionally, Pl.Ti.37a; so κατὰ λ. Men.319.6; πρὸς λόγον in proportion, Plb.6.30.3, 9.15.3 (but πρὸς λόγον ἐπὶ στενὸν συνάγεται narrows uniformly, Sor.1.9, cf. Diocl.Fr.171); ἐπὶ λόγον IG5(1).1428 (Messene), λόγον ἔχειν πρός τι be in proportion to, Plu.2.147a.
3. Gramm., analogy, rule, τῷ λ. τῶν μετοχικῶν, τῆς συγκοπῆς, by the rule of the participles, of syncope, Choerob.in Theod.1.75 Gaisf., 1.377 H.; εἰπέ μοι τὸν λ. τοῦ Αἴας Αἴαντος, τουτέστι τὸν κανόνα An.Ox.4.328.
III. explanation,
1. plea, pretext, ground, ἐκ τίνος λ.; A.Ch.515; ἐξ οὐδενὸς λ. S.Ph.731; ἀπὸ παντὸς λ. Id.OC762; χὠ λ. καλὸς προσῆν Id.Ph.352; σὺν ἀφανεῖ λ. Id.OT657 (lyr., v.l. λόγων); ἐν ἀφανεῖ λ. Antipho 5.59; ἐπὶ τοιούτῳ λ. Hdt.6.124; κατὰ τίνα λ.; on what ground? Pl.R.366b; αὐδὲ πρὸς ἕνα λ. to no purpose, Id.Prt.343d; ἐπὶ τίνι λ.; for what reason? X.HG2.2.19; τὸν λ. τοῦτον this ground of complaint, Aeschin.3.228; τίνι δικαίῳ λ.; what just cause is there? Pl.Grg.512c; τίνι λ.; on what account? Act.Ap.10.29; κατὰ λόγον ἂν ἠνεσ ξόμην ὑμῶν reason would that .., ib.18.14; λ. ἔχειν, with personal subject, εἶχον ἄν τινα λ. I (i.e. my conduct) would have admitted of an explanation, Pl.Ap.31b; τὸν ὀρθὸν λ. the true explanation, ib. 34b.
b. plea, case, in Law or argument (cf. viii. 1), τὸν ἥττω λ. κρείττω ποιεῖν to make the weaker case prevail, ib. 18b, al., Arist.Rh.1402a24, cf. Ar.Nu.1042 (pl.); personified, ib. 886, al.; ἀμύνεις τῷ τῆς ἡδονῆς λ. Pl.Phlb.38a; ἀνοίσεις τοὺς λ. αὐτῶν πρὸς τὸν θεόν LxxEx.18.19; ἔχειν λ. πρός τινα to have a case, ground of action against .., Act.Ap.19.38.
2. statement of a theory, argument, οὐκ ἐμεῦ ἀλλὰ τοῦ λ. ἀκούσαντας prob. in Heraclit.50; λόγον ἠδὲ νόημα ἀμφὶς ἀληθείης discourse and reflection on reality, Parm.8.50; δηλοῖ οὗτος ὁ λ. ὅτι .. Democr.7; οὐκ ἔχει λόγον it is not arguable, i.e. reasonable, S.El.466, Pl.Phd.62d, etc.; ἔχει λ. D.44.32; οὐδεὶς αὐτὰ καταβαλεῖ λ. E.Ba.202; δίκασον .. τὸν λ. ἀκούσας Pl.Lg.696b; personified, φησὶ αὗτος ὁ λ. ib. 714d, cf. Sph.238b, Phld.50a; ὡς ὁ λ. (sc. λέγει) Arist.EN1115b12; ὡς ὁ λ. ὁ ὀρθὸς λέγει ib. 1138b20, cf. 29; ὁ λ. θέλει προσβιβάζειν Phld.Rh.1.41, cf. 1.19 S.; οὐ γὰρ ἂν ἀκούσειε λόγου ἀποτρέποντος Arist.EN1179b27; λ. καθαίρων Aristo Stoic.1.88; λόγου τυγχάνειν to be explained, Phld.Mus.p.77 K.; ὁ τὸν λ. μον ἀκούων my teaching, Ev.Jo.5.24; ὁ προφητικὸς λ., collect., of VT prophecy, 2Ep.Pet.1.19: pl., ἁκόσων λόγους ἤκουσα Heraclit.108; οὐκ ἐπίθετο τοῖς ἐμοῖς λ. Ar.Nu.73; of arguments leading to a conclusion (ὁ λ.), Pl.Cri.46b; τὰ Ἀναξαγόρου βιβλία γέμει τούτων τῶν λ. Id.Ap.26d; λ. ἀπὸ τῶν ἀρχῶν, ἐπὶ τὰς ἀρχάς Arist.EN1095a31; συλλογισμός ἐστι λ. ἐν ᾧ τεθέντων τινῶν κτλ. Id.APr.24b18; λ. ἀντίτυπός τε καὶ ἄπορος, of a self-contradictory theory, Plot.6.8.7.
b. ὁ περὶ θεῶν λ., title of a discourse by Protagoras, D.L.9.54; ὁ Ἀχιλλεύς λ., name of an argument, ib. 23; ὁ αυξόμενος λ. Plu.2.559b; καταβάλλοντες (sc. λόγοι), title of work by Protagoras, S.E.M.7.60; λ. σοφιστκοί Arist.SE165a34, al.; οἱ μαθηματικοὶ λ. Id.Rh.1417a19, etc.; οἱ ἐξωτερικοὶ λ., current outside the Lyceum, Id.Ph.217b31, al.; Δισσοὶ λ., title of a philosophical treatise ( = Dialex.); Δ. καὶ Δογίνα, name of play of Epicharmus, quibble, argument, personified, Ath.8.338d.
c. in Logic, proposition, whether as premiss or conclusion, πρότασίς ἐστι λ. καταφατικὸς ἢ ἀποφατικός τινος κατά τινος Arist.APr.24a16.
d. rule, principle, law, as embodying the result of λογισμός, Pi.O.2.22, P.1.35, N.4.31; πείθεσθαι τῷ λ. ὃς ἄν μοι λογιζομένῳ βέλτιστος φαίνηται Pl.Cri.46b, cf. c; ἡδονὰς τοῖς ὀρθοῖς λ. ἑπομένας obeying right principles, Id.Lg.696c; προαιρέσεως [ἀρχὴ] ὄρεξις καὶ λ. ὁ ἕνεκά τινος principle directed to an end, Arist.EN1139a32; of the final cause, ἀρχὴ ὁ λ. ἔν τε τοῖς κατὰ τέχνην καὶ ἐν τοῖς φύσει συνεστηκόσιν Id.PA639b15; ἀποδιδόασι τοὺς λ. καὶ τὰς αἰτίας οὗ ποιοῦσι ἑκάστου ib. 18; [τέχνη] ἕχις μετὰ λ. ἀληθοῦς ποιητική Id.EN1140a10; ἀρθὸς λ. true principle, right rule, ib. 1144b27, 1147b3, al.; κατὰ λόγον by rule, consistently, ὁ κατὰ λ. ζῶν Pl.Lg.689d, cf. Ti.89d; τὸ κατὰ λ. ζῆν, opp. κατὰ πάθος, Arist.EN1169a5; κατὰ λ. προχωρεῖν according to plan, Plb.1.20.3.
3. law, rule of conduct, ᾧ μάλιστα διηνεκῶς ὁμιλοῦσι λόγῳ Heraclit.72; πολλοὶ λόγον μὴ μαθόντες ζῶσι κατὰ λόγον Democr.53; δεῖ ὑπάρχειν τὸν λ. τὸν καθόλου τοῖς ἄρχουσιν universal principle, Arist.Pol.1286a17; ὁ νόμος .. λ. ὢν ἀπό τινος φρονήσεως καὶ νοῦ Id.EN1180a21; ὀ νόμος .. ἔμψυχος ὢν ἑαυτῷ λ. conscience, Plu.2.780c; τὸν λ. πρόχειρον ἔχειν precept, Phld.Piet.30, cf. 102; ὁ προστακτικὸς τῶν ποιητέων ἢ μὴ λ. κοινός M.Ant.4.4.
4. thesis, hypothesis, provisional ground, ὡς ἂν εἰ λέγοι λόγον maintain a thesis, Pl.Prt.344b; ὑποθέμενος ἐκάστοτε λ. provisionally assuming a proposition, Id.Phd.100a; τὸν τῆς ὁμοιότητος λ. hypothesis of equivalence, Arist.Cael.296a20.
5. reason, ground, πάντων γινομένων κατὰ τὸν λ. τόνδε Heraclit.1; οὕτω βαθὺν λ. ἔχει Id.45; ἐκ λόγου, opp. μάτην, Leucipp.2; μέγιστον σημεῖον αὗτος ὁ λ. Meliss.8; [ἐμπειρία] οὐκ ἔχει λ. οὐδένα ὧν προσφέρει has no grounds for .., Pl.Grg.465a; μετὰ λόγου τε καὶ ἐπιστήμης θείας Id.Sph.265c; ἡ μετα λόγου ἀληθὴς δόξα (= ἐπιστήμη) Id.Tht.201c; λόγον ζητοῦσιν ὧν οὐκ ἔστι λ. proof, Arist.Metaph.1011a12; οἱ ἁπάντων ζητοῦντες λ. ἀναιροῦσι λ. Thphr.Metaph.26.
6. formula (wider than definition, but freq. equivalent thereto), term expressing reason, λ. τῆς πολιτείας Pl.R.497c; ψυχῆς οὐσία τε καὶ λ. essential definition, Id.Phdr.245e; ὁ τοῦ δικαίου λ. Id.R.343a; τὸν λ. τῆς οὐσίας ib. 534b, cf. Phd.78d; τὰς πολλὰς ἐπιστήμας ἑνὶ λ. προσειπεῖν Id.Tht.148d; ὁ τῆς οἰκοδομήσεως λ. ἔχει τὸν τῆς οἰκίας Arist.PA646b3; τεθείη ἂν ἴδιον ὄνομα καθ᾽ ἕκαστον τῶν λ. Id.Metaph.1006b5, cf. 1035b4; πᾶς ὁρισμὸς λ. τίς ἐστι Id.Top.102a5; ἐπὶ τῶν σχημάτων λ. κοινός generic definition, Id. de An.414b23; ἀκριβέστατος λ. specific definition, Id.Pol.1276b24; πηγῆς λ. ἔχον Ph.2.447; τὸ ᾠὸν οὔτε ἀρχῆς ἔχει λ. fulfils the function of .., Plu.2.637d; λ. τῆς μίξεως formula, i.e. ratio (cf. supr. ii) of combination, Arist.PA642a22, cf. Metaph.993a17.
7. reason, law exhibited in the world-process, κατὰ λόγον by law, κόσμῳ πάντα καὶ κατὰ λ. ἔχοντα Pl.R.500c; κατ τὸν ‹αὐτὸν αὖ› λ. by the same law, Epich.170.18; ψυχῆς τὸ πᾶν τόδε διοικούσης κατὰ λ. Plot.2.3.13; esp. in Stoic Philos., the divine order, τὸν τοῦ παντὸς λ. ὃν ἔνιοι εἱμαρμένην καλοῦσιν Zeno Stoic.1.24; τὸ ποιοῦντὸν ἐν [τῇ ὕλῃ] λ. τὸν θεόν ibid., cf. 42; ὁ τοῦ κόσμου λ. Chrysipp.Stoic.2.264; λόγος, = φύδει νόμος, Stoic.2.169; κατὰ τὸν κοινὸν θεοῖς καὶ ἀνθρώποις λ. M.Ant.7.53; ὁ ὀρθὸς λ. διὰ πάντων ἐρχόμενος Chrysipp.Stoic.3.4: so in Plot., τὴν φύσιν εἶναι λόγον, ὃς ποιεῖ λ. ἄλλον γέννημα αὐτοῦ 3.8.2.
b. σπερματικὸς λ. generative principle in organisms, ὁ θεὸς σπ. λ. τοῦ κόσμου Zeno Stoic.1.28: usu. in pl., Stoic.2.205, 314, al.; γίνεται τὰ ἐν τῷ παντὶ οὐ κατὰ σπερματικούς, ἀλλὰ κατὰ λ. περιληπτικούς Plot.3.1.7, cf. 4.4.39; so without σπερματικός, ὥσπερτινὲς λ. τῶν μερῶν Cleanth.Stoic.1.111; οἱ λ. τῶν ὅλων Ph.1.9.
c. in Neo-Platonic Philos., of regulative and formative forces, derived from the intelligible and operative in the sensible universe, ὄντων μειξόνων λ. καὶ θεωρούντων αὑτοὺς ἐγὼ γεγέννημαι Plot.3.8.4; οἰ ἐν σπέρματι λ. πλάττουσι .. τὰ ζῷα οἷον μικρούς τινας κόσμους Id.4.3.10, cf. 3.2.16, 3.5.7; opp. ὅρος, Id.6.7.4; ἀφανεῖς λ. τῆς φύσεως Procl.in R.1.18 K.; τεχνικοὶ λ. ib. 142 K., al.
IV. inward debate of the soul (cf. λ. ὃν αὐτὴ πρὸς αὑτὴν ἡ ψυχὴ διεξέρχεται Pl.Tht.189e (διάλογος in Sph.263e) ὁ ἐν τῇ ψυχῇ, ὁ ἔσω λ. (opp. ὁ ἔχω λ.), Arist.APo.76b25, 27; ὁ ἐνδιάθετος, opp. ὁ προφορικὸς λ., Stoic.2.43, Ph.2.154),
1. thinking, reasoning, τοῦ λ. ἐόντος ξυνοῦ, opp. ἰδία φρόνησις, Heraclit.2; κρῖναι δὲ λόγῳ .. ἔλεγχον test by reflection, Parm.1.36; reflection, deliberation (cf. vi. 3), ἐδίδου λόγον ἑωυτῷ περὶ τῆς ὄψιος Hdt.1.209, cf. 34, S.OT583, D.45.7; μὴ εἰδέναι .. μήτε λόγῳ μήτε ἔργῳ neither by reasoning nor by experience, Anaxag.7; ἃ δὴ λόγῳ μὲν καὶ διανοίᾳ ληπτά, ὄψει δ᾽ οὔ Pl.R.529d, cf. Prm.135e; ὁ λ. ἢ ἡ αἴσθησις Arist.EN1149a35, al.; αὐτῷ μόνον τῷ λ. πιστεύειν (opp. αἰσθήσεις), of Parmenides and his school, Aristocl.ap.Eus.PE14.17: hence λόγῳ or τῷ λ. in idea, in thought, τῷ λ. τέμνειν Pl.R.525e; τῷ λ. δύο ἐστίν, ἀχώριστα πεφυκότα two in idea, though indistinguishable in fact, Arist.EN1102a30, cf. GC320b14, al.; λόγῳ θεωρητά mentally conceived, opp. sensibly perceived, Placit.1.3.5, cf. Demetr.Lac.Herc.1055.20; τοὺς λ. θεωρητοὺς χρόνους Epicur.Ep.1 p.19 U.; διὰ λόγου θ. χ. ib. p.10 U.; λόγῳ καταληπτός Phld.Po.5.20, etc.; ὁ λ. οὕτω αἱρέει analogy proves, Hdt.2.33; ὁ λ. or λ. αἱρέει reasoning convinces, Id.3.45, 6.124, cf. Pl.Cri.48c (but, our argument shows, Lg.663d): also c. acc. pers., χρᾶται ὅ τι μιν λ. αἱρέει as the whim took him, Hdt.1.132; ἢν μὴ ἡμέας λ. αἱρῇ unless we see fit, Id.4.127, cf. Pl.R.607b; later ὁ οἱρῶν λ. ordaining reason, Zeno Stoic.1.50, M.Ant.2.5, cf. 4.24, Arr.Epict.2.2.20, etc.: coupled or contrasted with other functions, καθ᾽ ὕπνον ἐπειδὴ λόγου καὶ θρονήσεως οὐ μετεῖχε since reason and understanding are in abeyance, Pl.Ti.71d; μετὰ λόγου τε καὶ ἐπιστήμης, opp. αἰτία αὐτομάτη, of Nature’s processes of production, Id.Sph.265c; τὸ μὲν δὴ νοήσει μετὰ λόγου περιληπτόν embraced by thought with reflection, opp. μετ᾽ αἰσθήσεως ἀλόγου, Id.Ti.28a; τὸ μὲν ἀεὶ μετ᾽ ἀληοῦς λ., opp. τὸ δὲ ἄλογον, ib. 51e, cf. 70d, al.; λ. ἔχων ἑπόμενον τῷ νοεῖν Id.Phlb.62a; ἐπιστήμη ἐνοῦσα καὶ ὀρθὸς λ. scientific knowledge and right process of thought, Id.Phd.73a; πᾶς λ. καὶ πᾶσα ἐπιστήμη τῶν καθόλου Arist.Metaph.1059b26; τὸ λόγον ἔχον Id.EN1102b15, 1138b9, al.: in sg. and pl., contrasted by Pl. and Arist. as theory, abstract reasoning with outward experience, sts. with depreciatory emphasis on the former, εἰς τοὺς λ. καταφυγόντα Pl.Phd.99e; τὸν ἐν λόγοις σκοπούμενον τὰ ὄντα, opp. τὸν ἐν ἔργοις (realities), ib. 100a; τῇ αἰσθήσει μᾶλλον τῶν λ. πιστευτέον Arist.GA760b31; γνωριμώτερα κατὰ τὸν λ., opp. κατὰ τὴν αἴσθησιν, Id.Ph.189a4; ἐκ τῶν λ. δῆλον, opp. ἐκ τῆς ἐπαγωγῆς, Id.Mete.378b20; ἡ τῶν λ. πίστις, opp. ἐκ τῶν ἔργων φανερόν, Id.Pol.1326a29; ἡ πίστις οὐ μόνον ἐπὶ τῆς αἰσθήσεως ἀλλὰ καὶ ἐπὶ τοῦ λ. Id.Ph.262a19; μαρτυρεῖ τὰ γιγνόμενα τοῖς λ. Id.Pol.1334a6; ὁ μὲν λ. τοῦ καθόλου, ἡ δὲ αἴσθησις τοῦ κατὰ μέρος explanation, opp. perception, Id.Ph.189a7; ἔσονται τοῖς λ. αἱ πράξεις ἀκόλουθοι theory, opp. practice, Epicur.Sent.25; in Logic, of discursive reasoning, opp. intuition, Arist.EN1142a26, 1143b1; reasoning in general, ib. 1149a26; πᾶς λ. καὶ πᾶσα ἀπόδειξις all reasoning and demonstration, Id.Metaph.1063b10; λ. καὶ φρόνησιν Phld.Mus.p.105 K.; ὁ λ. ἢ λογισμός ibid.; τὸ ἰδεῖν οὐκέτι λ., ἀλλὰ μεῖζον λόγου καὶ πρὸ λόγου, of mystical vision, opp. reasoning, Plot.6.9.10.—Phrases, κατὰ λ. τὸν εἰκότα by probable reasoning, Pl.Ti.30b; οὔκουν τὸν γ᾽ εἰκότα λ. ἂν ἔχοι Id. Lg.647d; παρὰ λόγον, opp. κατὰ λ., Arist.Rh.Al.1429a29, cf. EN1167b19; cf. παράλογος (but παρὰ λ. unexpectedly, E.Ba.940).
2. reason as a faculty, ὁ λ. ἀνθρώπους κυβερνᾷ [Epich.]256; [θυμοειδὲς] τοῦ λ. κατήκοον Pl.Ti.70a; [θυμὸς] ὑπὸ τοῦ λ. ἀνακληθείς Id.R.440d; σύμμαχον τῷ λ. τὸν θυμόν ib.b; πειθαρχεῖ τῷ λ. τὸ τοῦ ἐγκρατοῦς Arist.EN1102b26; ἄλλο τι παρὰ τὸν λ. πεφυκός, ὃ μάχεται τῷ λ. ib. 17; ἐναντίωσις λόγου πρὸς ἐπιθυμίας Plot.4.7.13(8); οὐ θυμός, οὐκ ἐπιθυμία, οὐδὲ λ. αὐδέ τις νόησις Id.6.9.11: freq. in Stoic. Philos. of human Reason, opp. φαντασία, Zeno Stoic.1.39; opp. φύσις Stoic.2.206; οὐ σοφία οὐδὲ λ. ἐστὶν ἐν [τοῖς ζῴοις] ibid.; τοῖς ἀλόγοις ζῳοις ὡς λ. ἔχων λ. μὴ ἔχουσι χρῶ M.Ant.6.23; ὁ λ. κοινὸν πρὸς τοὺς θεούς Arr.Epict.1.3.3; οἷον [εἰκὼν] λ. ὁ ἐν προφορᾷ λόγου τοῦ ἐν ψυχῇ, οὕτω καὶ αὐτὴ λ. νοῦ Plot.5.1.3; τὸ τὸν λ. σχεῖν τὴν οἰκείαν ἀρετὴν (sc. εὐδαιμονίαν) Procl.in Ti.3.334 D.; also of the reason which pervades the universe, θεῖος λ. [Epich.] 257; τὸν θεῖον λ. καθ᾽ Ἡράκλειτον δι᾽ ἀναπνοῆς σπάσαντες νοεροὶ γινόμεθα S.E.M.7.129 (cf. infr. x).
b. creative reason, ἀδύνατον ἦν λόγον μὴ αὐκ ἐπὶ πάντα ἐλθεῖν Plot.3.2.14; ἀρχὴ αὖν λ. καὶ πάντα λ. καὶ τὰ γινόμενα κατ᾽ αὐτὸν Id.3.2.15; οἱ λ. πάντες ψυχαί Id.3.2.18
V. continuous statement, narrative (whether fact or fiction), oration, etc. (cf. λέγω (b) ii. 2),
1. fable, Hdt.1.141; Αἰσώπου λόγοι Pl.Phd.60d, cf. Arist.Rh.1393b8; ὁ τοῦ κυνὸς λ. X.Mem.2.7.13.
2. legend, ἱρὸς λ. Hdt.2.62, cf. 47, Pi.P.3.80 (pl.); συνθέντες λ. E.Ba.297; λ. θεῖος Pl.Phd.85d; ἱεροὶ λ., of Orphic rhapsodies, Suid. s.v. Ὀρφεύς.
3. tale, story, ἄλλον ἔπειμι λ. Xenoph.7.1, cf. Th.1.97, etc.; συνθέτους λ. A.Pr.686; σπουδὴν λόγου urgent tidings, E.Ba.663; ἄλλος λ. ‘another story’, Pl.Ap.34e; ὁμολογούμενος ὁ λ. ἐστίν the story is consistent, Isoc.3.27: pl., histories, ἐν τοῖσι Ἀσσυρίοισι λ. Hdt.1.184, cf. 106, 2.99; so in sg., a historical work, Id.2.123, 6.19, 7.152: also in sg., one section of such a work (like later βίβλος), Id.2.38, 6.39, cf. vi. 3d; so in pl., ἐν τοῖσι Διβυκοῖσι λ. Id.2.161, cf. 1.75, 5.22, 7.93, 213; ἐν τῷ πρώτῳ τῶν λ. Id.5.36; ὁ πρῶτος λ., of St. Luke’s gospel, Act.Ap.1.1: in Pl., opp. μῦθος, as history to legend, Ti.26e; ποιεῖν μύθους ἀλλ᾽ οὐ λόγους Phd.61b, cf. Grg.523a (but μῦθον λέγειν, opp. λόγῳ (argument) διεξελθεῖν Prt.320c, cf. 342d); περὶ λόγων καὶ μύθων Arist.Pol.1336a30; ὁ λ. .. μῦθός ἐστι Ael.NA4.34.
4. speech, delivered in court, assembly, etc., χρήσομαι τῇ τοῦ λ. τάξει ταύτῃ Aeschin.3.57, cf. Arist.Rh.1358a38; δικανικοὶ λ. Id.EN1181a4; τρία γένη τῶν λ. τῶν ῥητορικῶν, συμβουλευτικόν, δικανικόν, ἐπιδεικτικόν Id.Rh.1358b7; τῷ γράψαντι τὸν λ. Thphr.Char.17.8, cf. λογογράφος ii; ἐπιτάφιος λ. funeral oration, Pl.Mx.236b; esp. of the body of a speech, opp. ἐπίλογος, Arist.Rh.1420b3; opp. προοίμιον, ib. 1415a12; body of a law, opp. proem, Pl.Lg.723b; spoken, opp. written word, τὸν τοῦ εἰδότος λ. ζῶντα καὶ ἔμψυχον οὗ ὁ γεγραμμένος εἴδωλόν τι Id.Phdr.276a; ὁ ἐκ τοῦ βιβλίου ῥηθεὶς [λ.] speech read from a roll, ib. 243c; published speech, D.C.40.54; rarely of the speeches in Tragedy (ῥήσεις), Arist.Po.1450b6, 9.
VI. verbal expression or utterance (cf. λέγω (b) iii), rarely a single word, v. infr. b, never in Gramm. signf. of vocable (ἔπος, λέξις, ὄνομα, ῥῆμα), usu. of a phrase, cf. ix. 3 (the only sense found in Ep.).
a. pl., without Art., talk, τὸν ἔτερπε λόγοις Il.15.393; αἱμύλιοι λ. Od.1.56, h.Merc.317, Hes.Th.890, Op.78, 789, Thgn.704, A.R.3.1141; ψευδεῖς Δ., personified, Hes.Th.229; ἀφροδίσιοι λ. Semon.7.91; ἀγανοῖσι λ. Pi.P.4.101; ὄψον δὲ λ. φθονεροῖσιν tales, Id.N.8.21; σμικροὶ λ. brief words, S.Aj.1268 (s.v.l.), El.415; δόκησις ἀγνὼς λόγων bred of talk, Id.OT681 (lyr.): also in sg., τὰ μὲν ἄν Μοίσαι .. ἐμβαίεν λόγ[ῳ] Ibyc.1(a).24 P. λέγ᾽ εισοι τῷ λ. τις ἡδονή speak if thou delightest in talking, Id.El.89.1.
b. sg., expression, phrase, πρὶν εἰπεῖν ἐσ θλὸν ἢ κακὸν λ. Id.Ant.1245, cf. E.Hipp.514; μυρίας ὡς εἰπεῖν λόγῳ Hdt.2.37; μακρὸς λ. rigmarole, Simon.189, Arist.Metaph.1091a8; λ. ἠρέμα λεχθεὶς διέθηκε τὸ πόρρω a whispered message, Plot.4.9.3; ἑνὶ λόγῳ to sum up, in brief phrase, Pl.Phdr.241e, Phd.65d; concisely, Arist.EN1103b21 (but also, = ἁπλῶς, περὶ πάντων ἐνὶ λ. Id.GC325a1): pl., λ. θελκτήριοι magic words, E.Hipp.478; rarely of single words, λ. εὐσύνθετος οἷον τὸ “χρονοτριβεῖν” Arist.Rh.1406a36; οὐκ ἀπεκρίθη αὐτῇ λ. answered her not a word, Ev.Matt.15.23.
c. coupled or contrasted with words expressed or understood signifying act, fact, truth, etc., mostly in a depreciatory sense, λ. ἔργου σκιή Democr.145; ὥσπερ μικρὸν παῖδα λόγοις μ᾽ ἀπατᾷς Thgn.254; λόγῳ, opp. ἔργῳ, Democr.82, etc.; νηπίοισι αὐ λ. ἀλλὰ ξυμφορὴ δδάσκαλος Id.76; ἔργῳ κοὐ λόγῳ τεκμαίρομαι A.Pr.338, cf. S.El.59, OC782; λόγῳ μὲν λέγουσι .. ἔργῳ δὲ οὐκ ἀποδεικνῦσι Hdt.4.8; οὐ λόγων, φασίν, ἡ ἀγορὴ δεῖται, χαλκῶν δέ Herod.7.49; οὔτε λ. οὔτε ἔργῳ Lys.9.14; λόγοις, opp. ψήφῳ, Aeschin.2.33; opp. νόῳ, Hdt.2.100; οὐ λόγῳ μαθών E.Heracl.5; ἐκ λόγων, κούφου πράγματος Pl.Lg.935a; λόγοισι εἰς τὸ πιθανὸν περιπεπεμμένα ib. 886e, cf. Luc.Anach.19; ἵνα μὴ λ. οἴησθε εἶναι, ἀλλ᾽ εἰδῆτε τὴν ἀλήθειαν Lycurg.23, cf. D.30.34; opp. πρᾶγμα, Arist.Top.146a4; opp. βία Id.EN1179b29, cf. 1180a5; opp. ὄντα, Pl.Phd.100a; opp. γνῶσις, 2Ep.Cor.11.6; λόγῳ in pretence, Hdt.1.205, Pl.R.361b, 376d, Ti.27a, al.; λόγου ἕνεκα merely as a matter of words, ἄλλως ἕνεκα λ. ἐλέγετο Id.Cri.46d; λόγου χάριν, opp. ὠς ἀληθῶς, Arist.Pol.1280b8; but also, let us say, for instance, Id.EN1144a33, Plb.10.46.4, Phld.Sign.29, M.Ant.4.32; λόγου ἕνεκα let us suppose, Pl.Tht.191c; ἕως λόγου, μέχρι λ., = Lat. verbo tenus, Plb.10.24.7, Epict.Ench.16: sts. without depreciatory force, the antithesis or parallelism being verbal (cf. ‘word and deed’), λόγῳ τε καὶ σθένει S.OC68; ἔν τε ἔργῳ καὶ λ. Pl.R.382e, cf. D.S.13.101, Ev.Luc.24.19, Act.Ap.7.22, Paus.2.16.2; ὅσα μὲν λόγῳ εἶπον, opp. τὰ ἔργα τῶν πραχθέντων, Th.1.22.
2. common talk, report, tradition, ὡς λ. ἐν θνητοῖσιν ἔην Batr.8; λ. ἐκ πατέρων Alc.71; οὐκ ἔστ᾽ ἔτυμος λ. οὗτος Stesich.32; διξὸς λέγεται λ. Hdt.3.32; λ. ὑπ᾽ Αἰγυπτίων λεγόμενος Id.2.47; νέον [λ.] tidings, S.Ant.1289 (lyr.); τὰ μὲν αὐτοὶ ὡρῶμεν, τὰ δὲ λόγοισι ἐπυνθανόμεθα by hearsay, Hdt.2.148: also in pl., ἐν γράμμασιν λόγοι κέμενοι traditions, Pl.Lg.886b.
b. rumour, ἐπὶ παντὶ λ. ἐπτοῆσθαι Heraclit.87; αὐδάεις λ. voice of rumour, B.14.44; περὶ θεῶν διῆλθεν ὁ λ. ὅτι .. Th.6.46; λ. παρεῖχεν ὡς .. Plb.3.89.3; ἐξῆλθεν ὁ λ. οὗτος εἴς τινας ὅτι .. Ev.Jo.21.23 cf. Act.Ap.11.22; fiction, Ev.Matt.28.15.
c. mention, notice, description, οὐκ ὕει λόγου ἅξιον οὐδέν worth mentioning, Hdt.4.28, cf. Plb.1.24.8, etc.; ἔργα λόγου μέζω beyond expression, Hdt.2.35; κρεῖσσον λόγου τὸ εἶδος τῆς νόσου beyond description, Th.2.50; μείζω ἔργα ἢ ὡς τῷ λ. τις ἂν εἴποι D.6.11.
d. the talk one occasions, repute, mostly in good sense, good report, praise, honour (cf. supr. i. 4), πολλὰ φέρειν εἴωθε λ. .. πταίσματα Thgn.1221; λ. ἑαλὸν ἀκοῦσαι Pi.I.5(4).13; πλέονα. .. λ. Ὀδυσσέος ἢ πάθαν Id.N.7.21; ἵνα λ. σε ἔχῃ πρὸς ἀνθρώπων ἀγαθός Hdt.7.5, cf. 9.78; Τροίαν .. ἧς ἁπανταχοῦ λ. whose fame, story fills the world, E.IT517; οὐκ ἂν ἦν λ. σέθεν Id.Med.541; less freq. in bad sense, evil report, λ. κακόθρους, κακός, S.Aj.138 (anap.), E.Heracl.165: pl., λόγους ψιθύρους πλάσσων slanders, S.Aj.148 (anap.).
e. λ. ἐστί, ἔχει, κατέχει, the story goes, c. acc. et inf. ἔστ τις λ. τὰν Ἀρετὰν ναίειν Simon.58.1, cf. S.El.417; λ. μὲν ἔστ᾽ ἀρχαῖος ὡς .. Id.Tr.1; λ. alone, E.Heracl.35; ὡς λ. A.Supp.230, Pl.Phlb.65e, etc.; λ. ἐστί Hdt.7.129, 9.26, al.; λ. αἰὲν ἔχει S.OC1573 (lyr.); ὅσον ὁ λ. κατέχει tradition prevails, Th.1.10: also with a personal subject in the reverse construction, Κλεισθένης λ. ἔχει τὴν Πνθίην ἀναπεῖσαι has the credit of .., Hdt.5.66, cf. Pl.Epin.987b, 988b; λ. ἔχοντα σοφίας Ep.Col.2.23, v. supr. i. 4.
3. discussion, debate, deliberation, πολλὸς ἦν ἐν τοῖσι λ. Hdt.8.59; συνελέχθησαν οἱ Μῆδοι ἐς τὠυτὸ καὶ ἐδίδοσαν σφίσι λόγον, λέγοντες περὶ τῶν κατηκόντων Id.1.97; οἱ Πελασγοὶ ἐωυτοῖσι λόγους ἐδίδοσαν Id.6.138; πολέμῳ μᾶλλον ἢ λόγοις τὰ ἐγκλήματα διαλύεσθαι Th.1.140; οἱ περὶ τῆς εἰρήνης λ. Aeschin.2.74; τοῖς ἔξωθεν λ. πεπλήρωκε τὸν λ. [Plato] has filled his dialogue with extraneous discussion, Arist.Pol.1264b39; τὸ μῆκος τῶν λ. D.Chr.7.131; μεταβαίνων ὁ λ. εἰς ταὐτὸν ἀφῖκται our debate, Arist.EN1097a24; ὁ παρὼν λ. ib. 1104a11; θεῶν ὧν νῦν ὁ λ. ἐστί discussion, Pl.Ap.26b, cf. Tht.184a, M.Ant.8.32; τῷ λ. διελθεῖν, διϊέναι, Pl.Prt.329c Grg.506a, etc.; τὸν λ. διεξελθεῖν conduct the debate, Id.Lg.893a; ξυνελθεῖν ἐς λόγον confer, Ar.Eq.1300: freq. in pl., ἐς λόγους συνελθόντες parley, Hdt.1.82; ἐς λ. ἐλθεῖν τίι have speech with, ib. 86; ἐς λ. ἀπικέσθαι τινί Id.2.32; διὰ λόγων ἰέναι E.Tr.916; ἐμαυτῇ διὰ λ. ἀφικόμην Id.Med.872; ἐς λ. ἄγειν τινά X.HG4.1.2; κοινωνεῖν λόγων καὶ διανοίας Arist.EN1170b12, παρεῖναι ἐν λ., i.e. where there is speaking, οἳ π. ἐν λ. who hear my words, E.Rh.149 (v.l.), Ar.Ach.513; in direct address to the audience, ὦνδρες οἱ παρόντες ἐν λ. Id.Av.30; ἀπὸ λόγου app. orally, PMich. viii 492.5, 19 (ii a.d.).
b. right of discussion or speech, ἢ ᾽πὶ τῷ πλήθει λ.; S.OC66; λ. αἰτήσασθαι ask leave to speak, Th.3.53; λ. διδόναι X.HG5.2.20; οὐ προυτέθη σφίσιν λ. κατὰ τὸν νόμον ib. 1.7.5; λόγον τυχεῖν D.18.13, cf. Arist.EN1095b21, Plb.18.52.1; οἱ λόγον τοὺς δούλους ἀποστεροῦντες Arist.Pol.1260b5; δοῦλος πέφυκας, οὐ μέτεστί σοι λόγου Trag.Adesp.304; διδόντας λ. καὶ δεχομένους ἐν τῷ μέρει Luc.Pisc.8: hence, time allowed for a speech, ἐν τῷ ἐμῷ λ. And.1.26, al.; ἐν τῷ ἑαυτοῦ λ. Pl.Ap.34a; οὐκ ἐλάττω λ. ἀνήλωκε D.18.9.
c. dialogue, as a form of philosophical debate, ἵνα μὴ μαχώμεθα ἐν τοῖς λ. ἐγώ τε καὶ σύ Pl.Cra.430d; πρὸς ἀλλήλους τοὺς λ. ποιεῖσθαι Id.Prt.348a: hence, dialogue as a form of literature, οἱ Σωκρατικοὶ λ. Arist.Po.1447b11, Rh.1417a20; cf. διάλογος.
d. section, division of a dialogue or treatise (cf. v. 3), ὁ πρῶτος λ. Pl.Prm.127d; ὁ πρόσθεν, ὁ παρελθὼν λ., Id.Phlb.18e, 19b; ἐν τοῖς πρώτοις λ. Arist.PA682a3; ἐν τοῖς περὶ κινήσεως λ. in the discussion of motion (i.e. Ph.bk.8), Id.GC318a4; ἐν τῷ περὶ ἐπαίνου λ. Phld.Rh.1.219; branch, department, division of a system of philosophy, τὴν φρόνησιν ἐκ τριῶν συνεστηκέναι λ., τῶν φυσικῶν καὶ τῶν ἠθικῶν καὶ τῶν λογικῶν Chrysipp.Stoic.2.258.
e. in pl., literature, letters, Pl.Ax.365b, Epin.975d, D.H.Comp.1, 21 (but, also in pl., treatises, Plu.2.16c); οἱ ἐπὶ λόγοις εὐδοκιμώτατοι Hdn.6.14; Λόγοι, personified, AP9.171 (Pall.), also rhetoric, as discipline, GVI1081.3.
VII. a particular utterance, saying:
1. divine utterance, oracle, Pi.P.4.59; λ. μαντικοί Pl.Phdr.275b; οὐ γὰρ ἐμὸν ἐρῶ τὸν λ. Pl.Ap.20e; ὁ λ. τοῦ θεοῦ Apoc.1.2, 9.
2. proverb, maxim, saying, Pi.N.9.6, A.Th.218; ὧδ᾽ ἔχει λ. ib. 225; τόνδ᾽ ἐκαίνισεν λ. ὡς .. Critias21, cf. Pl.R.330a, Ev.Jo.4.37; ὁ παλαιὸς λ. Pl.Phdr.240c, cf. Smp.195b, Grg.449c, Lg.757a, 1Ep.Ti.1.15, Plu.2.1082e, Luc.Alex.9, etc.; ἵνα τὸ τοῦ λόγου πάθω Men.Dysc.633 S. τὸ τοῦ λόγον δὴ τοῦτο Herod.2.45, cf. D.Chr.66.24, Luc.JTr.3, Alciphr.3.56, etc.: pl., Arist.EN1147a21.
3. assertion, opp. oath, S.OC651; ψιλῷ λ. bare word, opp. μαρτυρία, D.27.54.
4. express resolution, κοινῷ λ. by common consent, Hdt.1.141, al.; ἐπὶ λ. τοιῷδε, ἐπ᾽ ᾧ τε .. on the following terms, Id.7.158, cf. 9.26; ἐνδέξασθαι τὸν λ. Id.1.60, cf. 9.5; λ. ἔχοντες πλεονέκτην a greedy proposal, Id.7.158: freq. in pl., terms, conditions, Id.9.33, etc.
5. word of command, behest, A.Pr.17, 40 (both pl.), Pers.363; ἐνθρώπους πιθανωτέρους ποιεῖν λόγῳ X.Oec.13.9; ἐξέβαλε τὰ πνεύματα λόγῳ Ev.Matt.8.16; οἱ δέκα λ. the ten Commandments, LxxEx.34.28, Ph.1.496.
6. declaration of legal immunity, τοὺς καλουμένους λόγους Just.Nov.17.6; cf. οἷς ἄν ἐθέλοιεν λόγον ἀσυλίας παρέχοντας id.Edict.2 pr.
7. ὁ διὰ λόγων, expression used to add a person’s official name, according to official documents called .., BGU2263.7 (ii a.d.).
VIII. thing spoken of, subject-matter (cf. iii. 1b and 2), λ. τοῦτον ἐάσομεν Thgn.1055; προπεπυσμένος πάντα λ. the whole matter, Hdt.1.21, cf. iii; τὸν ἐόντα λ. the truth of the matter, ib. 95, 116; μετασχεῖν τοῦ λ. to be in the secret, ib. 127; μηδενὶ ἄλλῳ τὸν λ. τοῦτον εἴπῃς Id.8.65; τίς ἦν λ.; S.OT684 (= πρᾶγμα, 699); περί τινος λ. διελεγόμεθα subject, question, Pl.Prt.314c; [τὸ προοίμιον] δεῖγμα τοῦ λ. case, Arist.Rh.1415a12, cf. iii. 1b; τέλος δὲ παντὸς τοῦ λ. ψηφίζονται the end of the matter was that .., Aeschin.3.124; οὐκ ἔστεξε τὸν λ. Plb.8.12.5; οὐκ ἔστι σοι μερὶς οὐδὲ κλῆρος ἐν τῷ λ. τούτῳ Act.Ap.8.21; ἱκανὸς αὐτῷ ὁ λ. Pl.Grg.512c; οὐχ ὑπολείπει [Γοργίαν] ὁ λ. matter for talk, Arist.Rh.1418a35; μηδένα λ. ὑπολιπεῖν Isoc.4.146; πρὸς λόγον to the point, apposite, οὐδὲν πρὸς λ. Pl.Phlb.42e, cf. Prt.344a; ἐὰν πρὸς λ. τι ᾖ Id.Phlb.33c; also πρὸς λόγου Id.Grg.459c (s.v.l.).
2. plot of a narrative or dramatic poem, = μῦθος, Arist.Po.1455b17, al.
b. in Art, subject of a painting, ζωγραφίας λόγοι Philostr.VA6.10; λ. τῆς γραφῆς Id.Im.1.25.
3. thing talked of, event, μετὰ τοὺς λ. τούτους Lxx1Ma.7.33, cf. Act.Ap.15.6.
IX. expression, utterance, speech regarded formally, τὸ ἀπὸ [ψυχῆς] ῥεῦμα διὰ τοῦ στόματος ἰὸν μετὰ φθόγγου λ., opp. διάνοια, Pl.Sph.263e; intelligent utterance, opp. φωνή, Arist.Pol.1253a14; λ. ἐστὶ φωνὴ σημαντικὴ κατὰ συνθήκην Id.Int.16b26, cf. Diog.Bab.Stoic.3.213; ὃθεν (from the heart) ὁ λ. ἀναπέμπεται Stoic.2.228, cf. 244; Protagoras was nicknamed λόγος, Hsch.ap.Sch.Pl.R.600c, Suid.; λόγου πειθοῖ Democr.181: in pl., eloquence, Isoc.3.3, 9.11; τὴν ἐν λόγοις εὐρυθμίαν Epicur.Sent.Pal.5p.69 v. d. M.; λ. ἀκριβής precise language, Ar.Nu.130 (pl.), cf. Arist.Rh.1418b1; τοῦ μὴ ᾀδομένου λ. Pl.R.398d; ἡδυσμένος λ., of rhythmical language set to music, Arist.Po.1449b25; ἐν παντὶ λ. in all manner of utterance, 1Ep.Cor.1.5; ἐν λόγοις in orations, Arist.Po.1459a13; λ. γελοῖοι, ἀσχήμονες, ludicrous, improper speech, Id.SE182b15, Pol.1336b14.
2. of various modes of expression, esp. artistic and literary, ἔν τε ῷδαῖς καὶ μύθοις καὶ λόγοις Pl.Lg.664a; ἐν λόγῳ καὶ ἐν ῷδαῖς X.Cyr.1.4.25, cf. Pl.Lg.835b; prose, opp. ποίησις, Id.R.390a; opp. ψιλομετρία, Arist.Po.1448a11; opp. ἔμμετρα, ib. 1450b15 (pl.); τῷ λ. τοῦτο τῶν μέτρων (sc. τὸ ἰαμβεῖον) ὁμοιότατον εἶναι Id.Rh.1404a31; in full, ψιλοὶ λ. prose, ib. b33 (but ψιλοὶ λ., = arguments without diagrams, Pl.Tht.165a); λ. πεζοί, opp. ποιητική, D.H.Comp.6; opp. ποιήματα, ib. 15; καινὰ καὶ ποιημάτων καὶ λόγων Phld.Po.5.7; πεζὸς λ. ib. 27, al.
b. of the constituents of lyric or dramatic poetry, words, τὸ μέλος ἐκ τριῶν .. λόγον τε καὶ ἀρμονίας καὶ ῥυθμοῦ Pl.R.398d; opp. πρᾶξις, Arist.Po.1454a18; dramatic dialogue, opp. τὰ τοῦ χοροῦ, ib. 1449a17.
3. Gramm., phrase, complex term, opp. ὄνομα, Id.SE165a13; λ. ὀνοματώδης noun-phrase, Id.APo.93b30, cf. Rh.1407b27; expression, D.H.Th.2, Demetr.Eloc.92.
b. sentence, complete statement, “ἄνθρωπος μανθάνει” λόγον εἶναί φῃς .. ἐλάχιστόν τε καὶ πρῶτον Pl.Sph.262c; λ. αὐτοτελής A.D.Synt.3.6, D.T.634.1; ῥηθῆναι λόγῳ to be expressed in a sentence, Pl.Tht.202b; λ. ἔχειν to be capable of being so expressed, ib. 201e, cf. Arist.Rh.1404b26.
c. language, τὰ τοῦ λ. μέρη parts of speech, Chrysipp.Stoic.2.31, S.E.M.9.350, etc.; τὰ μόρια τοῦ λ. D.H.Comp.6; μέρος λ. D.T.633.26, A.D.Pron.4.6, al. (but ἓν μέρος ‹τοῦ cod.› λόγου one word, Id.Synt.340.10, cf. 334.22); περὶ τῶν στοιχείων τοῦ λ., title of work by Chrysippus.
X. the Word or Wisdom of God, personified as his agent in creation and world-government, ὁ παντοδύναμός σου λ. LxxWi.18.15; ὁ ἐκ νοὸς φωτεινὸς λ. υἱὸς θεοῦ Corp.Herm.1.6, cf. Plu.2.376c; λ. θεοῦ δι᾽ οὗ κατεσκευάσθη [ὁ κόσμος] Ph.1.162; τῆς τοῦ θεοῦ σοφίας· ἡ δέ ἑστιν ὁ θεοῦ λ. ib. 56; λ. θεῖος .. εἰκὼν θεοῦ ib. 561, cf. 501; τὸν τομέα τῶν συμπάντων [θεοῦ] λ. ib. 492; τὸν ἄγγελον ὅς ἐστι λ. ib. 122: in NT identified with the person of Christ, ἐν ἀρχῇ ἦν ὁ λ. Ev.Jo.1.1, cf. 14, 1Ep.Jo.2.7, Apoc.19.13; ὁ λ. τῆς ζωῆς 1Ep.Jo.1.1.
- Liddell, Henry George; Scott, Robert; Jones, Henry Stuart; McKenzie, Roderick: A Greek-English Lexicon. Rev. and augm. throughout. Oxford; New York: Clarendon Press;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S. 1057.
로고스가 뭐길래. -蟲-
Χαρ.5
- Τί οὖν; ἦν δ' ἐγώ, δοκεῖ ἄν σοι πόλις εὖ οἰκεῖσθαι ὑπὸ τούτου τοῦ νόμου τοῦ κελεύοντος τὸ ἑαυτοῦ ἱμάτιον ἕκαστον ὑφαίνειν καὶ πλύνειν, καὶ ὑποδήματα σκυτοτομεῖν, καὶ λήκυθον καὶ στλεγγίδα καὶ τἆλλα πάντα κατὰ τὸν αὐτὸν λόγον, [162a] τῶν μὲν ἀλλοτρίων μὴ ἅπτεσθαι, τὰ δὲ ἑαυτοῦ ἕκαστον ἐργάζεσθαί τε καὶ πράττειν;
- 어째서 그렇지? 내가 말했다, 그대에게는 폴리스가 이러한 법에 따라서 잘 운영되는 것으로 보이는가? 그 자신의 각각의 옷을 짓고 세탁하도록, 그리고 가죽신의 가죽을 자르도록, 또한 기름병과 때수건과 다른 모든 것들을 이 법령에 따라서, 외지인들에 관련되지 않고, 그 자신의 것들을 각자가 노동하고 생산하도록 명령하는.
οἰκεῖσθαι : οἰκέω pass inf. LS.1203.B.Ⅱ.2. to be governed or administered.
κελεύοντος : κελεύω part sin-gen. LS.936.1. order A to do B.
ὑφαίνειν : weave. acc.ἱμάτιον to weave a cloth.
πλύνειν : wash, clean. LS.1423.
ὑποδήματα : sandal. 가죽신.
σκυτοτομεῖν : cut leather for shoes.
λήκυθον : oil-flask, casket of unguents, consmetics.
στλεγγίδα : στλεγγίς. scraper, to remove the oil and dirt from the skin in the bath or after the exercises of the Palaestra. LS.1646.
ἀλλοτρίων : foreign, strange. mas pl gen.
ἅπτεσθαι : ἅπτω mid&pass inf. c.gen. fasten onself to, grasp. engage onself.
- Οὐκ ἔμοιγε δοκεῖ, ἦ δ' ὅς.
제 자신에게는 그렇게 보이지 않습니다, 그가 말했다.
- Ἀλλὰ μέντοι, ἔφην ἐγώ, σωφρόνως γε οἰκοῦσα εὖ ἂν οἰκοῖτο.
그렇긴 하지만, 내가 말했다, σωφροσύνη하게 다스려지는 것(폴리스)이 잘 다스려지겠지?
οἰκοῦσα : οἰκέω part fem sin nom. LS.1203.B.Ⅱ.2.
οἰκοῖτο : οἰκέω mid&pass opt sin-3rd.
- Πῶς δ' οὔκ; ἔφη.
어찌 아니겠습니까? 그가 말했다.
- Οὐκ ἄρα, ἦν δ' ἐγώ, τὸ τὰ τοιαῦτά τε καὶ οὕτω τὰ αὑτοῦ πράττειν σωφροσύνη ἂν εἴη.
그러니까, 내가 말했다, 이러한 것들과 이런 식으로 그 자신의 것들을 만드는 것은 σωφροσύνη가 아니겠군.
- Οὐ φαίνεται.
아닐 것 같습니다.
- Ἠινίττετο ἄρα, ὡς ἔοικεν, ὅπερ ἄρτι ἐγὼ ἔλεγον, ὁ λέγων τὸ τὰ αὑτοῦ πράττειν σωφροσύνην εἶναι· οὐ γάρ που οὕτω [162b] γε ἦν εὐήθης. Ἤ τινος ἠλιθίου ἤκουσας τουτὶ λέγοντος, ὦ Χαρμίδη;
그러니까 수수께끼 같이 이야기되었구나, 보다시피, 내가 말했던 바로 그것은, 내가 자신의 일들을 하는 것이 σωφροσύνη라고 말하면서: 왜냐하면 아마도 이렇게 단순하지는 않았으니까. 아니면 이러한 것을 말하는 어떤 어리석은 자에게서 들었는가?
Ἠινίττετο : αἰνίσσομαι mid&pass imp sin-3rd. speak darkly or in riddles.
- Ἥκιστά γε, ἔφη, ἐπεί τοι καὶ πάνυ ἐδόκει σοφὸς εἶναι.
최소한, 그가 말했다, 꽤나 지혜로운 자로 보였었으니까요.
- Παντὸς τοίνυν μᾶλλον, ὡς ἐμοὶ δοκεῖ, αἴνιγμα αὐτὸ προύβαλεν, ὡς ὂν χαλεπὸν τὸ τὰ αὑτοῦ πράττειν γνῶναι ὅτι ποτε ἔστιν.
그러니까 그 누구보다도 더, 내가 보기에는, 그는 이런 수수께끼를 냈고, 그 자신의 일들을 하는 것이 도대체 무엇인지 아는 것은 어려운 수수께끼니까.
προύβαλεν : προβάλλω. throw or lay before, throw to.
- Ἴσως, ἔφη.
그럴 것 같습니다, 그가 말했다.
- Τί οὖν ἂν εἴη ποτὲ τὸ τὰ αὑτοῦ πράττειν; Ἔχεις εἰπεῖν;
그렇다면 도대체 그 자신의 일들을 한다는 것은 무엇일까? 넌 이야기할 수 있겠니?
- Οὐκ οἶδα μὰ Δία ἔγωγε, ἦ δ' ὅς· ἀλλ' ἴσως οὐδὲν κωλύει μηδὲ τὸν λέγοντα μηδὲν εἰδέναι ὅτι ἐνόει.
제우스께 맹세코 저로서는 모릅니다, 그가 말했다: 그러나 그 누구도 그 말한 사람이 그가 생각했던 것을 알지 못하도록 방해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Καὶ ἅμα ταῦτα λέγων ὑπεγέλα τε καὶ εἰς τὸν Κριτίαν ἀπέβλεπεν. [162c] Καὶ ὁ Κριτίας δῆλος μὲν ἦν καὶ πάλαι ἀγωνιῶν καὶ φιλοτίμως πρός τε τὸν Χαρμίδην καὶ πρὸς τοὺς παρόντας ἔχων, μόγις δ' ἑαυτὸν ἐν τῷ πρόσθεν κατέχων τότε οὐχ οἷός τε ἐγένετο· δοκεῖ γάρ μοι παντὸς μᾶλλον ἀληθὲς εἶναι, ὃ ἐγὼ ὑπέλαβον, τοῦ Κριτίου ἀκηκοέναι τὸν Χαρμίδην ταύτην τὴν ἀπόκρισιν περὶ τῆς σωφροσύνης. Ὁ μὲν οὖν Χαρμίδης βουλόμενος μὴ αὐτὸς ὑπέχειν λόγον ἀλλ' ἐκεῖνον τῆς ἀποκρίσεως, [162d] ὑπεκίνει αὐτὸν ἐκεῖνον, καὶ ἐνεδείκνυτο ὡς ἐξεληλεγμένος εἴη· ὁ δ' οὐκ ἠνέσχετο, ἀλλά μοι ἔδοξεν ὀργισθῆναι αὐτῷ ὥσπερ ποιητὴς ὑποκριτῇ κακῶς διατιθέντι τὰ ἑαυτοῦ ποιήματα. Ὥστ' ἐμβλέψας αὐτῷ εἶπεν, - Oὕτως οἴει, ὦ Χαρμίδη, εἰ σὺ μὴ οἶσθα ὅτι ποτ' ἐνόει ὃς ἔφη σωφροσύνην εἶναι τὸ τὰ ἑαυτοῦ πράττειν, οὐδὲ δὴ ἐκεῖνον εἰδέναι;
그리고 이러한 것들을 말하면서 그는 미소지었고 크리티아스를 지그시 바라보았다. 또 크리티아스는 분명 한편으로는 진작부터 안절부절 못하고 있었고 카르미데스와 그리고 곁에 있는 이들과 겨루려 들고 있었으며, 다른 한편 어렵사리 그 자신을 앞선 시간동안 자제하고 있다가 이제는 그러지 못하게 되었다: 왜냐하면 나에게는 무엇보다도 진실이라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내가 가정하였던 것이, 카르미데스가 σωφροσύνη에 대해서 이와 같은 답변을 크리티아스로부터 들었다고. 그러므로 한편으로 카르미데스는 그 자신이 주장하기를 바라지 않고 오히려 저 사람(크리티아스)이 그 답변의 λόγος를 내세우기를 바랐기 때문에, 바로 그 사람을 재촉하였고, 또한 그가 논박당했다고 드러내 보였다: 그런데 그는 나서지 않았고, 그러나 나에게는 그가 그(카르미데스)에게 화가 난 것으로 보였다 마치 시인이 그 자신의 작품들을 망친 연기자에게 그러하듯이. 화가 나서 그(크리티아스)는 그(카르미데스)에게 말했다, - 그렇게 생각하나, 카르미데스, 만일 네가 σωφροσύνη는 자기 자신의 일들을 하는 것이라고 말하는 사람이 도대체 무엇을 생각하는지 알지 못한다면, 저 사람도 아는 것이 아니라고?
ὑπεγέλα : ὑπογελάω imp sin-3rd. laugh a little, smile LS.1877
ἀπέβλεπεν : ἀπόβλέπω imp sin-3rd. gaze steadfastly.
πάλαι : adv. long ago.
ἀγωνιῶν : ἀγωνιάω part sin nom. to be distressed or anxious, be in an agony.
φιλοτίμως : embitiously, emulously. ἔχω + φ. to vie emulously with.
ὑπέλαβον : ὑπολαμβάνω 2nd-aor sin-1st. LS.1886. Ⅲ. take up a notion, assume, suppose.
ἀκηκοέναι : ἀκούω pf inf.
ὑπέχειν : ὑπέχω inf. LS.1871. sustain, maintain.
ὑπεκίνει : ὑποκῖνέω LS.1884. 2. urge gently on.
ἐνεδείκνυτο : ἐνδείκνῦμι mid&pass imp sin-3rd. show forth onself.
ἐξεληλεγμένος εἴη: ἐξελέγχω pf opt sin-3rd. put to the proof.
ὡς + opt. : indirect discourse.
ἠνέσχετο : ἀνέχω mid&pass imp sin-3rd. hold up what is one's own
ὀργισθῆναι : ὀργίζω mid&pass inf. grow angry.
διατιθέντι : διατίθημι part sin dat. manage.
- Ἀλλ', ὦ βέλτιστε, ἔφην ἐγώ, Κριτία, τοῦτον μὲν οὐδὲν [162e] θαυμαστὸν ἀγνοεῖν τηλικοῦτον ὄντα· σὲ δέ που εἰκὸς εἰδέναι καὶ ἡλικίας ἕνεκα καὶ ἐπιμελείας. Εἰ οὖν συγχωρεῖς τοῦτ' εἶναι σωφροσύνην ὅπερ οὑτοσὶ λέγει καὶ παραδέχῃ τὸν λόγον, ἔγωγε πολὺ ἂν ἥδιον μετὰ σοῦ σκοποίμην εἴτ' ἀληθὲς εἴτε μὴ τὸ λεχθέν.
그러나, 뛰어난 자여, 내가 말했다, 크리티아스, 그 나이에 있는 아무도 이러한 가장 놀라운 것을 모릅니다: 그런데 그대는 아마 나이와 관심을 고려하여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러니 만일 그대가 그가 σωφροσύνη는 이러한 어떤 것이라고 말한 것에 동의하고 그 말을 받아들인다면, 나로서는 무척이나 기쁘게 그대와 더불어 들여다볼 것입니다 참이든 말이 안되는 것이든.
ἡλικίας : age
συγχωρεῖς : συγχωρέω. agree with.
παραδέχῃ : παραδέχομαι. admit, allow.
σκοποίμην : σκοπέω opt.
λεχθέν : λέγω 1st-aor pass part nom or acc.
- Ἀλλὰ πάνυ συγχωρῶ, ἔφη, καὶ παραδέχομαι.
얼마든지 동의합니다, 그가 말했다, 그리고 받아들이고요.
- Καλῶς γε σὺ τοίνυν, ἦν δ' ἐγώ, ποιῶν. Καί μοι λέγε, ἦ καὶ ἃ νυνδὴ ἠρώτων ἐγὼ συγχωρεῖς, τοὺς δημιουργοὺς πάντας ποιεῖν τι;
아주 좋습니다, 내가 말했다. 그리고 나에게 말하시오, 또한 지금 내가 묻고 있던 것들을 그대가 동의하는지, 모든 장인들은 무엇인가를 만든다고?
- Ἔγωγε.
저로서는(동의합니다).
-[163a] Ἦ οὖν δοκοῦσί σοι τὰ ἑαυτῶν μόνον ποιεῖν ἢ καὶ τὰ τῶν ἄλλων;
그러면 그대에게는 그들이 자신들의 것들만을 만드는 것으로 보입니까 다른 이들의 것들도 만드는 것으로 보입니까?
- Καὶ τὰ τῶν ἄλλων.
다른 이들의 것들도 만들지요.
- Σωφρονοῦσιν οὖν οὐ τὰ ἑαυτῶν μόνον ποιοῦντες;
그러면 σωφροσύνη하는 이들은 그 자신의 것들만을 만드는 이들이 아니겠군요?
- Τί γὰρ κωλύει; ἔφη.
무엇이 막겠습니까? 그가 말햇다.
- Οὐδὲν ἐμέ γε, ἦν δ' ἐγώ· ἀλλ' ὅρα μὴ ἐκεῖνον κωλύει, ὃς ὑποθέμενος σωφροσύνην εἶναι τὸ τὰ ἑαυτοῦ πράττειν ἔπειτα οὐδέν φησι κωλύειν καὶ τοὺς τὰ τῶν ἄλλων πράττοντας σωφρονεῖν.
내게 있어서는 아무것도요, 내가 말했다: 그러나 ὅρα μὴ ἐκεῖνον κωλύει, σωφροσύνη가 자신의 일들을 하는 것이라고 전제하고도 그 다음에 다른 이들의 일들을 하는 사람들이 σωφροσύνη이 하다는 것을 막을 것이 아무 것도 없다고 말하는.
κωλύει : κωλύω LS.1017.6.
- Ἐγὼ γάρ που, ἦ δ' ὅς, τοῦθ' ὡμολόγηκα, ὡς οἱ τὰ τῶν ἄλλων πράττοντες σωφρονοῦσιν, εἰ τοὺς ποιοῦντας ὡμολόγησα.
[163b] - Εἰπέ μοι, ἦν δ' ἐγώ, οὐ ταὐτὸν καλεῖς τὸ ποιεῖν καὶ τὸ πράττειν;
- Οὐ μέντοι, ἔφη· οὐδέ γε τὸ ἐργάζεσθαι καὶ τὸ ποιεῖν. Ἔμαθον γὰρ παρ' Ἡσιόδου, ὃς ἔφη ἔργον [δ'] οὐδὲν εἶναι ὄνειδος. Οἴει οὖν αὐτόν, εἰ τὰ τοιαῦτα ἔργα ἐκάλει καὶ ἐργάζεσθαι καὶ πράττειν, οἷα νυνδὴ σὺ ἔλεγες, οὐδενὶ ἂν ὄνειδος φάναι εἶναι σκυτοτομοῦντι ἢ ταριχοπωλοῦντι ἢ ἐπ' οἰκήματος καθημένῳ; Οὐκ οἴεσθαί γε χρή, ὦ Σώκρατες, ἀλλὰ καὶ ἐκεῖνος οἶμαι ποίησιν πράξεως καὶ ἐργασίας ἄλλο ἐνόμιζεν, [163c] καὶ ποίημα μὲν γίγνεσθαι ὄνειδος ἐνίοτε, ὅταν μὴ μετὰ τοῦ καλοῦ γίγνηται, ἔργον δὲ οὐδέποτε οὐδὲν ὄνειδος· τὰ γὰρ καλῶς τε καὶ ὠφελίμως ποιούμενα ἔργα ἐκάλει, καὶ ἐργασίας τε καὶ πράξεις τὰς τοιαύτας ποιήσεις. Φάναι δέ γε χρὴ καὶ οἰκεῖα μόνα τὰ τοιαῦτα ἡγεῖσθαι αὐτόν, τὰ δὲ βλαβερὰ πάντα ἀλλότρια· ὥστε καὶ Ἡσίοδον χρὴ οἴεσθαι καὶ ἄλλον ὅστις φρόνιμος τὸν τὰ αὑτοῦ πράττοντα τοῦτον σώφρονα καλεῖν.
[163d] - Ὦ Κριτία, ἦν δ' ἐγώ, καὶ εὐθὺς ἀρχομένου σου σχεδὸν ἐμάνθανον τὸν λόγον, ὅτι τὰ οἰκεῖά τε καὶ τὰ αὑτοῦ ἀγαθὰ καλοίης, καὶ τὰς τῶν ἀγαθῶν ποιήσεις πράξεις· καὶ γὰρ Προδίκου μυρία τινὰ ἀκήκοα περὶ ὀνομάτων διαιροῦντος. Ἀλλ' ἐγώ σοι τίθεσθαι μὲν τῶν ὀνομάτων δίδωμι ὅπῃ ἂν βούλῃ ἕκαστον· δήλου δὲ μόνον ἐφ' ὅτι ἂν φέρῃς τοὔνομα ὅτι ἂν λέγῃς. Νῦν οὖν πάλιν ἐξ ἀρχῆς σαφέστερον ὅρισαι· [163e] ἆρα τὴν τῶν ἀγαθῶν πρᾶξιν ἢ ποίησιν ἢ ὅπως σὺ βούλει ὀνομάζειν, ταύτην λέγεις σὺ σωφροσύνην εἶναι;
- Ἔγωγε, ἔφη.
- Οὐκ ἄρα σωφρονεῖ ὁ τὰ κακὰ πράττων, ἀλλ' ὁ τἀγαθά;
- Σοὶ δέ, ἦ δ' ὅς, ὦ βέλτιστε, οὐχ οὕτω δοκεῖ;
- Ἔα, ἦν δ' ἐγώ· μὴ γάρ πω τὸ ἐμοὶ δοκοῦν σκοπῶμεν, ἀλλ' ὃ σὺ λέγεις νῦν.
- Ἀλλὰ μέντοι ἔγωγε, ἔφη, τὸν μὴ ἀγαθὰ ἀλλὰ κακὰ ποιοῦντα οὔ φημι σωφρονεῖν, τὸν δὲ ἀγαθὰ ἀλλὰ μὴ κακὰ σωφρονεῖν· τὴν γὰρ τῶν ἀγαθῶν πρᾶξιν σωφροσύνην εἶναι σαφῶς σοι διορίζομαι.
-작성중-
DBG.6-7.
Erant omnino itinera duo, quibus itineribus domo exire possent: unum per Sequanos, angustum et difficile, inter montem Iuram et flumen Rhodanum, vix qua singuli carri ducerentur, mons autem altissimus impendebat, ut facile perpauci prohibere possent; alterum per provinciam nostram, multo facilius atque expeditius, propterea quod inter fines Helvetiorum et Allobrogum, qui nuper pacati erant, Rhodanus fluit isque nonnullis locis vado transitur. extremum oppidum Allobrogum est proximumque Helvetiorum finibus Genava. ex eo oppido pons ad Helvetios pertinet. Allobrogibus sese vel persuasuros, quod nondum bono animo in populum Romanum viderentur, existimabant vel vi coacturos ut per suos fines eos ire paterentur. omnibus rebus ad profectionem comparatis diem dicunt qua die ad ripam Rhodani omnes conveniant. is dies erat a. d. V. Kal. Apr. L. Pisone A. Gabinio consulibus.
모두 두 길들이 있었다, 그 길들로 그들이 고국으로부터 떠날 수 있는: 한 길은 세쿠아노스를 통해서, 협소하고 험한, 유라 산과 로다누스 강 사이, 간신히 한 번에 수레 한 대만 지날, 그렇지만 매우 오래된 산이 솟아 있었다, 쉽사리 매우 소수만으로도 방어할 수 있었을 만큼; 다른 한 길은 우리 지역을 통해, 훨씬 더 쉽고 자유롭게, 왜냐하면 헬웨티인들과 알로브로게스의 국경들 사이로, 그 알로브로게스인들이 근래에 정복되었던, 로다누스 강이 흐르고 몇몇 지역들에서 강으로 가로질러지기 때문이다. 알로브게스의 가장 먼 마을이자 헬웨티인들의 영토에서 가장 가까운 것(마을)은 게네와이다. 이 마을로부터 헬웨티로 다리가 이른다.
Caesari cum id nuntiatum esset eos per provinciam nostram iter facere conari, maturat ab urbe proficisci et quam maximis potest itineribus in Galliam ulteriorem contendit et ad Genavam pervenit. provinciae toti quam maximum potest militum numerum imperat—erat omnino in Gallia ulteriore legio una—; pontem qui erat ad Genavam iubet rescindi. ubi de eius adventu Helvetii certiores facti sunt, legatos ad eum mittunt nobilissimos civitatis, cuius legationis Nammeius et Verucloetius principem locum obtinebant, qui dicerent sibi esse in animo sine ullo maleficio iter per provinciam facere, propterea quod aliud iter haberent nullum; rogare ut eius voluntate id sibi facere liceat. Caesar, quod memoria tenebat L. Cassium consulem occisum exercitumque eius ab Helvetiis pulsum et sub iugum missum, concedendum non putabat; neque homines inimico animo, data facultate per provinciam itineris faciundi, temperaturos ab iniuria et maleficio existimabat. tamen, ut spatium intercedere posset, dum milites quos imperaverat convenirent, legatis respondit diem se ad deliberandum sumpturum; si quid vellent, ad Id. Apr. reverterentur.
-작성중-
DBG.5.
Post eius mortem nihilominus Helvetii id quod constituerant facere conantur, ut e finibus suis exeant.
그의 죽음 이후로도 헬웨티인들은 그들이 하고자 결정하였던 것을 감행한다, 그들 자신의 국경들로부터 나아가기 위해.
ubi iam se ad eam rem paratos esse arbitrati sunt, oppida sua omnia numero ad duodecim, vicos ad quadringentos, reliqua privata aedificia incendunt, frumentum omne, praeter quod secum portaturi erant, comburunt, ut domum reditionis spe sublata paratiores ad omnia pericula subeunda essent; trium mensum molita cibaria sibi quemque domo efferre iubent.
그들이 스스로 이미 이 일을 위하여 준비되었다고 생각했을 때, 그들의 모든 영지들을 수로 약 12곳, 촌락들을 대략 400곳, 나머지 사유 건물들을, 모든 식량을, 자신들이 휴대한 것을 제외한, 불태운다, 집으로 귀환할 희망의 파괴 모든 위험들을 견뎌내기에 더욱 준비된 자들이 되도록; 세 달 동안
se + paratos esse : acc + pass pf inf.
praeter : w.acc. except.
subeunda : subeo gerundive.
persuadent Rauracis et Tulingis et Latobrigis finitimis uti eodem usi consilio oppidis suis vicisque exustis una cum iis proficiscantur, Boiosque, qui trans Rhenum incoluerant et in agrum Noricum transierant Noreiamque oppugnabant, receptos ad se socios sibi adsciscunt.
그들은 라우라키와 툴링기 그리고 라토브리기
-작성중-
Allen and Greenough's New Latin Grammar for Schools and Colleges.1
Optative Subjunctive. (271p)
ita vivam : ita with subjunctive in such way that
나는 그렇게 살 텐데
ne vivam si scio
내가 안다면 살지 않을 텐데
di te perduint
신들께서 그대를 저주한다면!
valeant, valeant cives mei; sint incolumes
나의 시민들이 강녕하다면; 그들이 무사하다면!
di facerent sine patre forem
신들께서 아비 없이 내가 있도록 허하신다면.
The perfect subjunctive in a wish is archaic
di faxint
신들께서 허하시기를
quod di omen averterint
신들께서 이 전조를 외면하기를 quod?
be preceded by the particle utinam; regularly in the imperfect and pluperfect
falsus utinam vates sim ; vates, prophet. utinam 'how I wish that'
내가 틀린 예언자이기를 (얼마나 바라는지).
utinam Clodius viveret
클로디우스가 살아있더라면
utinam me mortuum vidisses
그대가 죽은 나를 보았더라면
utinam ne vere scriberem
내가 진실을 기록하지 않았더라면
in poetry and old Latin uti or ut ; in poetry si or o si
ut pereat positum robigine telum ; pereo, perish. positum, ?. rogigo, rust.
그 무기가 녹슬어 버렸더라면
o si angulus ille accedat
아 만일 저 모서리가 온다면
si nunc se nobis ille aureus ramus ostendat
만일 지금 우리에게 저 황금 가지가 그 자신을 보여준다면.
note 2. ac venerata Ceres, ita culmo surgeret alto
그리고 케레스는 기원했다, 높은 꽃자루로 일어서기를?
velim and vellem
velim tibi persuadeas
그대가 그대 자신을 설득하기를
de Menedemo vellem verum fuisset, de regina velim verum sit
메네데무스에 대하여 그것이 진실이었기를, 여왕에 대하여 그것이 그러하기를
nollem accidisset tempus
그 시간이 결코 오지 않기를
mallem Cerberum metueres
차라리 그대가 케르베루스를 두려워 하기를
Deliberative Subjunctive. (272p)
doubt, indignation / impossibility
quid agam, iudices? quo me vertam
내가 무엇을 하겠는가, 판관들이여? 나는 어디로 돌아서겠는가
etiamne eam salutem
내가 그녀를 반기겠는가
quid hoc homine facias? quod supplicium dignum libidini eius invenias
그대는 이 사람과 무엇을 하겠는가? 그대는 그의 격정에 어떤 적절한 처벌을 고안하겠는가?
an ego non venirem
아니면 내가 오지 않겠는가
quid dicerem
내가 무엇을 말하겠는가
quis enim celaverit ignem
누가 불꽃을 감추겠는가
exclamation
mihi umquam bonorum praesidium defuturum putarem
선한 이들의 도움이
Potential Subjunctive. (273p)
cautious or modest assertions. 1st-singular saying, thinking, or wishing
pace tua dixerim
haud sciam an
tu velim sic existimes
certum affirmare non ausim
vellem, nollem, mallem
vellem adesset M. Antonius
indifinite 2nd-singular saying, thinking, or wishing
credas non de puero scriptum sed a puero
crederes victos
reos diceres
videres susurros
freto assimilare possis
other verbs, in all persons
nil ego contulerim iucundo sanus amico
fortunam citius reperias quam retineas
aliquis dicat
forsitan, perhaps
forsitan quaeratis qui iste terror sit
forsitan temere fecerim
fortasse, perhaps
quaeres fortasse
-작성중-
DBG.4.
Ea res est Helvetiis per indicium enuntiata. moribus suis Orgetorigem ex vinculis causam dicere coegerunt; damnatum poenam sequi oportebat ut igni cremaretur. die constituta causae dictionis Orgetorix ad iudicium omnem suam familiam, ad hominum milia decem, undique coegit et omnes clientes obaeratosque suos, quorum magnum numerum habebat, eodem conduxit; per eos ne causam diceret se eripuit. cum civitas ob eam rem incitata armis ius suum exsequi conaretur multitudinemque hominum ex agris magistratus cogerent, Orgetorix mortuus est; neque abest suspicio, ut Helvetii arbitrantur, quin ipse sibi mortem consciverit.
이러한 것들이 밀고자를 통해 헬웨티인들에게 폭로되었다. 그들은 그들 자신의 관습으로 오르게토릭스가 변론하도록 강제했다; 그가 형량을 선고 받음에 따라 그는 화형 당하는 것이 불가피하였다. 재판이 확정된 그 날 오르게토릭스는 재판으로 그의 모든 가신을, 10,000 명 가까이 되는, 사방에서 호출하였고 그 자신의 모든 하인들과 농노들을, 그가 엄청난 수의 그들을 가졌던, 같은 곳으로 모았다; 이들을 통해서 그는 그 자신을 변론하지 않도록 구해냈다. 이러한 것들에 자극받은 시민들이 군사력으로 그들의 법을 주장하고 있었고 치안관이 영지들로부터 군중을 부르고 있던 때에, 오르게토릭스는 죽었다; 의심의 여지는 없었다, 헬웨티인들이 그리 여겼듯이, 그 자신이 스스로 자살했다는 것은.
per : through, across. w.acc.
indicium : information, evidence, any mark, sign, token.
enuntiata : enuntio -are. enuntiatum -i. disclosed.
ex : out of, from within. w.abl.
vinculis : imprisonment.
causam dicere : to plead one's case
coegerunt : cogo. pf. to compel.
damnatum : damno. to condemn.
sequi : sequor, -i, secutus sum. to follow, ensue; to befall.
oportebat : oportet, ere, uit. it is right, it is necesary.
ignis : fire.
cremo : burn. ; igni cremaretur : to burn to death
constituta : to settle, place, station, fix, decide.
dictio : pleading ; causae dictio : trial.
incitata : incito, -are, avi, atum. excite, encourage, arouse, enrage.
ius : right, law; rights; authority, sphere of authority
exsequi : exsequor, -i, -secutus sum; to carry out, assert.
conaretur : conor, -ari, -atus sum; try, attempt.
mortuus est : morior, mori, mortuus sum. to die.
-蟲-
χαρ.4.
[160a] - Ἡ δ' ἀγχίνοια οὐχὶ ὀξύτης τίς ἐστιν τῆς ψυχῆς ἀλλ' οὐχὶ ἡσυχία;
그런데 기민함은 영혼의 어떤 날카로움이 아니거나 고요함이 아니겠나?
ἀγχίνοια : ready wit, sagacity, shrewdness
ὀξύτης : sharpness, pointedness
- Ἀληθῆ.
참으로 그렇지요.
- Οὐκοῦν καὶ τὸ συνιέναι τὰ λεγόμενα, καὶ ἐν γραμματιστοῦ καὶ κιθαριστοῦ καὶ ἄλλοθι πανταχοῦ, οὐχ ὡς ἡσυχαίτατα ἀλλ' ὡς τάχιστά ἐστι κάλλιστα;
그렇다면 또 이야기된 것들에 있어서 따라나오는 것은, 또한 서기에게도 키타라연주자에게도 다른 모든 것들에서도, 가능한 한 고요한 것들이 아니라 최대한 빠른 것들이 가장 좋은 것 아닐까?
συνιέναι : σύνειμι. go or come together, to be contracted.
- Ναί.
네.
- Ἀλλὰ μὴν ἔν γε ταῖς ζητήσεσιν τῆς ψυχῆς καὶ τῷ βουλεύεσθαι οὐχ ὁ ἡσυχιώτατος, ὡς ἐγὼ οἶμαι, καὶ μόγις βουλευόμενός τε καὶ ἀνευρίσκων ἐπαίνου δοκεῖ ἄξιος εἶναι, [160b] ἀλλ' ὁ ῥᾷστά τε καὶ τάχιστα τοῦτο δρῶν.
그렇지만 영혼의 탐구와 숙고 속에서 가장 고요한 것이 아니라, 내 생각에는, 성취의 힘겹게 숙고하고 생각해내는 것은 가치 있어 보이지만, 그가 가장 쉽고도 가장 빠르게 이것을 해낸다.
ζητήσεσιν : seeking, search for, examining, inquiry, investigation.
βουλεύεσθαι : βουλεύω middle infinitive. deliberate
ἐπαίνου : approval, praise, commendation.
- Ἔστιν ταῦτα, ἔφη.
이러합니다, 그가 말했다.
- Οὐκοῦν πάντα, ἦν δ' ἐγώ, ὦ Χαρμίδη, ἡμῖν καὶ τὰ περὶ τὴν ψυχὴν καὶ τὰ περὶ τὸ σῶμα, τὰ τοῦ τάχους τε καὶ τῆς ὀξύτητος καλλίω φαίνεται ἢ τὰ τῆς βραδυτῆτός τε καὶ ἡσυχιότητος;
그렇다면 모든 것들은, 내가 말했다, 카르미데스여, 우리에게 또한 영혼에 대한 것들과 육체에 대한 것들은, 빠르고 날렵한 데에 속하는 것들이 더디고 고요한 데에 속하는 것들보다 더욱 빼어난 것으로 보이는가?
- Kινδυνεύει, ἔφη.
그럴 것 같습니다, 그가 말했다.
Kινδυνεύει : κινδύνεύω.
- Οὐκ ἄρα ἡσυχιότης τις ἡ σωφροσύνη ἂν εἴη, οὐδ' ἡσύχιος ὁ σώφρων βίος, ἔκ γε τούτου τοῦ λόγου, ἐπειδὴ καλὸν αὐτὸν δεῖ εἶναι σώφρονα ὄντα. Δυοῖν γὰρ δὴ τὰ ἕτερα· ἢ οὐδαμοῦ [160c] ἡμῖν ἢ πάνυ που ὀλιγαχοῦ αἱ ἡσύχιοι πράξεις ἐν τῷ βίῳ καλλίους ἐφάνησαν ἢ αἱ ταχεῖαί τε καὶ ἰσχυραί. Εἰ δ' οὖν, ὦ φίλε, ὅτι μάλιστα μηδὲν ἐλάττους αἱ ἡσύχιοι τῶν σφοδρῶν τε καὶ ταχειῶν πράξεων τυγχάνουσιν καλλίους οὖσαι, οὐδὲ ταύτῃ σωφροσύνη ἂν εἴη μᾶλλόν τι τὸ ἡσυχῇ πράττειν ἢ τὸ σφόδρα τε καὶ ταχέως, οὔτε ἐν βαδισμῷ οὔτε ἐν λέξει οὔτε ἄλλοθι οὐδαμοῦ, οὐδὲ ὁ ἡσύχιος βίος [κόσμιος] τοῦ μὴ ἡσυχίου [160d] σωφρονέστερος ἂν εἴη, ἐπειδὴ ἐν τῷ λόγῳ τῶν καλῶν τι ἡμῖν ἡ σωφροσύνη ὑπετέθη, καλὰ δὲ οὐχ ἧττον ταχέα τῶν ἡσυχίων πέφανται.
그렇다면 어떤 고요한 것은 σωφροσύνη가 아닐 것이고, 그 어떤 고요한 사람도 σωφροσύνη한 삶은 아닐 것이네, 이러한 말들로부터, σωφροσύνη한 것들은 그 자체로 빼어난 것이어야 할 테니까 말이지. 물론 두 가지로 서로 다른 것들이고: 우리에게는 삶 속에서 고요한 행위들이 빠르고도 건강한 행위들보다 더욱 빼어나 보이는 것은 아예 없거나 아주 드물게 있겠지. 그런데 만일, 친애하는 이여,
οὐδαμοῦ : nowhere.
ὀλιγαχοῦ : in a few places.
ἐλάττους : ἐλασσων. smaller, less. worse than, inferior to. fewer.
ὑπετέθη :
ἧττον :
- Ὀρθῶς μοι δοκεῖς, ἔφη, ὦ Σώκρατες, εἰρηκέναι.
제게는 맞는 것 같습니다, 그가 말했다, 소크라테스여, 말씀하신 것이.
εἰρηκέναι : ἐρῶ. perfect indicative infinitive.
- Πάλιν τοίνυν, ἦν δ' ἐγώ, ὦ Χαρμίδη, μᾶλλον προσέχων τὸν νοῦν καὶ εἰς σεαυτὸν ἐμβλέψας, ἐννοήσας ὁποῖόν τινά σε ποιεῖ ἡ σωφροσύνη παροῦσα καὶ ποία τις οὖσα τοιοῦτον ἀπεργάζοιτο ἄν, πάντα ταῦτα συλλογισάμενος εἰπὲ εὖ καὶ [160e] ἀνδρείως τί σοι φαίνεται εἶναι;
- 자 그러면 이제, 내가 말했다, 카르미데스야, 다시금 너 자신에게로 주의를 돌려 들여다 보면서, 어떤 방식이 너를 σωφροσύνη가 있게끔 만드는지 숙고하고 어떤 약초가 이와 같은 일을 성취해낼지 숙고함으로써, 이러한 모든 것들을 간추려서 잘, 그리고 남자답게 말해 보도록 하렴, 너에게는 그것이 무엇으로 보이지?
Πάλιν : of Place. back, back-wards. contradiction, contrariwise. again, once more. in turn.
τοίνυν : therefore, accordingly. well, well then, further, moreover, again. now.
μᾶλλον : more, rather. exceedingly.
προσέχων τὸν νοῦν : turn one's mind, attention to a thing, be intent on it. present participle masculine singular nominative.
ἐμβλέψας : ἔμβλέπω. look in the face, look at. 1-aor part m sin nom.
ἐννοήσας : ἐννοέω. w.acc. reflect upon, consider. 1-aor part m sin nom.
παροῦσα : πάρειμι. part f sin nom.
ποία : Ion. πόα. grass, herb. f.
τοιοῦτον : such as this. so(good, noble, bad and so on)
ἀπεργάζοιτο : ἀπεργάζομαι finish off, complete, bring to perfection. cause, produce. make so. present optative singular-3rd.
ἄν + optative : with protasis in present. might perhaps.
συλλογισάμενος : συλλογίζομαι. compute, reckon up. recapitulate.1-aor mid participle sin nom.
Καὶ ὃς ἐπισχὼν καὶ πάνυ ἀνδρικῶς πρὸς ἑαυτὸν διασκεψάμενος, δοκεῖ τοίνυν μοι, ἔφη, αἰσχύνεσθαι ποιεῖν ἡ σωφροσύνη καὶ αἰσχυντηλὸν τὸν ἄνθρωπον, καὶ εἶναι ὅπερ αἰδὼς ἡ σωφροσύνη.
약간의 시간을 지체하고 꽤나 남자답게 그 자신에 대하여 숙고하던 그는, 그러니까 제가 보기에는, 말했다, σωφροσύνη는 사람을 부끄러워하도록 만들고 겸손하게 만드는 것으로 보이고, 어떤 부끄러움이 σωφροσύνη인 것으로 보입니다.
ἐπισχὼν : ἐπέχω LS.619p. 1-aor part sin nom.
ἀνδρικῶς : like a man
διασκεψάμενος : διασκοπέω. look at in different ways, examine or consider well. 1-aor mid participle sin nom
αἰσχύνεσθαι : αἰσχύνω. LS43 B.Ⅱ.2.c.to be ashamed to do. present passive infinitive.
αἰσχυντηλὸν : modest
αἰδὼς : sense of honor, awe, respect for, shame, self-respect.
- Εἶεν, ἦν δ' ἐγώ, οὐ καλὸν ἄρτι ὡμολόγεις τὴν σωφροσύνην εἶναι;
좋지만, 내가 말했다, 지금 막 너는 σωφροσύνη가 빼어난 것이라고 동의하고 있지 않았니?
Εἶεν : well, quite so, very good.
ἄρτι : just
ὡμολόγεις : ὁμολογέω agree with. imperfect 2nd-imperfect.
- Πάνυ γ', ἔφη.
물론입니다, 그가 말했다.
- Οὐκοῦν καὶ ἀγαθοὶ ἄνδρες οἱ σώφρονες;
그렇다면 또한 훌륭한 사내들은 σωφροσύνη한 이들이겠군?
- Ναί.
네.
- Ἆρ' οὖν ἂν εἴη ἀγαθὸν ὃ μὴ ἀγαθοὺς ἀπεργάζεται;
그렇다면 좋은 사람들을 이루어내지 못하는 것은 좋은 것이겠니?
- Οὐ δῆτα.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 Οὐ μόνον οὖν ἄρα καλόν, ἀλλὰ καὶ ἀγαθόν ἐστιν.
그렇다면 오직 빼어난 것만이 아니라, 좋은 것이기도 하겠구나.
[161a] - Ἔμοιγε δοκεῖ.
제게는 그렇게 보입니다.
- Τί οὖν; ἦν δ' ἐγώ· Ὁμήρῳ οὐ πιστεύεις καλῶς λέγειν, λέγοντι ὅτι
왜 그렇지? 내가 말했다. 너는 호메로스가 빼어나게 말한 것으로 믿지 않니, 그는 이렇게 말했지,
Aἰδὼς δ' οὐκ ἀγαθὴ κεχρημένῳ ἀνδρὶ παρεῖναι; HOM. OD. 17.347
그러나 부끄러움은 빈곤한 사내들에게는 좋지 않은 것이다.
κεχρημένῳ : χράω. mid pf part
- Ἔγωγ', ἔφη.
제 자신으로서는요, 그가 말했다.
- Ἔστιν ἄρα, ὡς ἔοικεν, αἰδὼς οὐκ ἀγαθὸν καὶ ἀγαθόν.
그렇다면, 온당히, 부끄러움은 좋지 않은 것이면서 좋은 것이군.
- Φαίνεται.
그렇게 보입니다.
- Σωφροσύνη δέ γε ἀγαθόν, εἴπερ ἀγαθοὺς ποιεῖ οἷς ἂν παρῇ, κακοὺς δὲ μή.
그런데 바로 이 σωφροσύνη는 좋은 것인데,
- Ἀλλὰ μὴν οὕτω γε δοκεῖ μοι ἔχειν, ὡς σὺ λέγεις.
- Οὐκ ἄρα σωφροσύνη ἂν εἴη αἰδώς, εἴπερ τὸ μὲν ἀγαθὸν [161b] τυγχάνει ὄν, αἰδὼς δὲ [μὴ] οὐδὲν μᾶλλον ἀγαθὸν ἢ καὶ κακόν.
- Ἀλλ' ἔμοιγε δοκεῖ, ἔφη, ὦ Σώκρατες, τοῦτο μὲν ὀρθῶς λέγεσθαι· τόδε δὲ σκέψαι τί σοι δοκεῖ εἶναι περὶ σωφροσύνης. Ἄρτι γὰρ ἀνεμνήσθην - ὃ ἤδη του ἤκουσα λέγοντος - ὅτι σωφροσύνη ἂν εἴη τὸ τὰ ἑαυτοῦ πράττειν. Σκόπει οὖν τοῦτο εἰ ὀρθῶς σοι δοκεῖ λέγειν ὁ λέγων.
- Καὶ ἐγώ, ὦ μιαρέ, ἔφην, Κριτίου τοῦδε ἀκήκοας αὐτὸ ἢ [161c] ἄλλου του τῶν σοφῶν.
- Ἔοικεν, ἔφη ὁ Κριτίας, ἄλλου· οὐ γὰρ δὴ ἐμοῦ γε.
- Ἀλλὰ τί διαφέρει, ἦ δ' ὅς, ὁ Χαρμίδης, ὦ Σώκρατες, ὅτου ἤκουσα;
- Οὐδέν, ἦν δ' ἐγώ· πάντως γὰρ οὐ τοῦτο σκεπτέον, ὅστις αὐτὸ εἶπεν, ἀλλὰ πότερον ἀληθὲς λέγεται ἢ οὔ.
- Νῦν ὀρθῶς λέγεις, ἦ δ' ὅς.
- Νὴ Δία, ἦν δ' ἐγώ. Ἀλλ' εἰ καὶ εὑρήσομεν αὐτὸ ὅπῃ γε ἔχει, θαυμάζοιμ' ἄν· αἰνίγματι γάρ τινι ἔοικεν.
- Ὅτι δὴ τί γε; ἔφη.
[161d] - Ὅτι οὐ δήπου, ἦν δ' ἐγώ, ᾗ τὰ ῥήματα ἐφθέγξατο ταύτῃ καὶ ἐνόει, λέγων σωφροσύνην εἶναι τὸ τὰ αὑτοῦ πράττειν. Ἢ σὺ οὐδὲν ἡγῇ πράττειν τὸν γραμματιστὴν ὅταν γράφῃ ἢ ἀναγιγνώσκῃ;
- Ἔγωγε, ἡγοῦμαι μὲν οὖν, ἔφη.
- Δοκεῖ οὖν σοι τὸ αὑτοῦ ὄνομα μόνον γράφειν ὁ γραμματιστὴς καὶ ἀναγιγνώσκειν ἢ ὑμᾶς τοὺς παῖδας διδάσκειν, ἢ οὐδὲν ἧττον τὰ τῶν ἐχθρῶν ἐγράφετε ἢ τὰ ὑμέτερα καὶ τὰ τῶν φίλων ὀνόματα;
- Οὐδὲν ἧττον.
- Ἦ οὖν ἐπολυπραγμονεῖτε καὶ οὐκ ἐσωφρονεῖτε τοῦτο [161e] δρῶντες;
- Οὐδαμῶς.
- Καὶ μὴν οὐ τὰ ὑμέτερά γε αὐτῶν ἐπράττετε, εἴπερ τὸ γράφειν πράττειν τί ἐστιν καὶ τὸ ἀναγιγνώσκειν.
- Ἀλλὰ μὴν ἔστιν.
- Καὶ γὰρ τὸ ἰᾶσθαι, ὦ ἑταῖρε, καὶ τὸ οἰκοδομεῖν καὶ τὸ ὑφαίνειν καὶ τὸ ᾑτινιοῦν τέχνῃ ὁτιοῦν τῶν τέχνης ἔργων ἀπεργάζεσθαι πράττειν δήπου τί ἐστιν.
- Πάνυ γε.
- Τί οὖν; ἦν δ' ἐγώ, δοκεῖ ἄν σοι πόλις εὖ οἰκεῖσθαι ὑπὸ τούτου τοῦ νόμου τοῦ κελεύοντος τὸ ἑαυτοῦ ἱμάτιον ἕκαστον ὑφαίνειν καὶ πλύνειν, καὶ ὑποδήματα σκυτοτομεῖν, καὶ λήκυθον καὶ στλεγγίδα καὶ τἆλλα πάντα κατὰ τὸν αὐτὸν λόγον, [162a] τῶν μὲν ἀλλοτρίων μὴ ἅπτεσθαι, τὰ δὲ ἑαυτοῦ ἕκαστον ἐργάζεσθαί τε καὶ πράττειν;
-작성중-
DBG.3.
His rebus adducti et auctoritate Orgetorigis permoti constituerunt ea quae ad proficiscendum pertinerent comparare, iumentorum et carrorum quam maximum numerum coemere, sementes quam maximas facere, ut in itinere copia frumenti suppeteret, cum proximis civitatibus pacem et amicitiam confirmare. ad eas res conficiendas biennium sibi satis esse duxerunt, in tertium annum profectionem lege confirmant. ad eas res conficiendas Orgetorix deligitur. is sibi legationem ad civitates suscepit. in eo itinere persuadet Castico Catamantaloedis filio Sequano, cuius pater regnum in Sequanis multos annos obtinuerat et ab senatu populi Romani amicus appellatus erat, ut regnum in civitate sua occuparet, quod pater ante habuerat; itemque Dumnorigi Haeduo, fratri Diviciaci, qui eo tempore principatum in civitate obtinebat ac maxime plebi acceptus erat, ut idem conaretur persuadet eique filiam suam in matrimonium dat. perfacile factu esse illis probat conata perficere propterea quod ipse suae civitatis imperium obtenturus esset: non esse dubium, quin totius Galliae plurimum Helvetii possent; se suis copiis suoque exercitu illis regna conciliaturum confirmat. hac oratione adducti inter se fidem et ius iurandum dant et regno occupato per tres potentissimos ac firmissimos populos totius Galliae sese potiri posse sperant.
-작성중-
χαρ.3.
καὶ γὰρ νῦν,” ἔφη, “τοῦτ' ἔστιν τὸ ἁμάρτημα περὶ τοὺς ἀνθρώπους, ὅτι χωρὶς ἑκατέρου, σωφροσύνης τε καὶ ὑγιείας, ἰατροί τινες ἐπιχειροῦσιν εἶναι:” καί μοι πάνυ σφόδρα ἐνετέλλετο μήτε πλούσιον οὕτω μηδένα εἶναι μήτε γενναῖον μήτε καλόν, ὃς [157c] ἐμὲ πείσει ἄλλως ποιεῖν. ἐγὼ οὖν--ὀμώμοκα γὰρ αὐτῷ, καί μοι ἀνάγκη πείθεσθαι--πείσομαι οὖν, καὶ σοί, ἐὰν μὲν βούλῃ κατὰ τὰς τοῦ ξένου ἐντολὰς τὴν ψυχὴν πρῶτον παρασχεῖν ἐπᾷσαι ταῖς τοῦ Θρᾳκὸς ἐπῳδαῖς, προσοίσω τὸ φάρμακον τῇ κεφαλῇ: εἰ δὲ μή, οὐκ ἂν ἔχοιμεν+ ὅτι ποιοῖμέν+ σοι, ὦ φίλε Χαρμίδη.
그가 말했다, "그럼 이제, 이러한 것은 사람들에 대해서 잘못이다, 둘 중 어느 하나 없이, 사려도 또한 건강도, 어떤 의사들이 있도록 하려는 것은:" 그리고 그는 나에게 아주 엄하게(대단하게) 명했다 재물도 이와 같은 그 어떤 것들도 고귀한 가문도 아름다움도 아니도록 하라고, 나를 다른 식으로 행하도록 설득할 자가. 그러므로 나 자신은 -- 그에게 약속했기 때문에, 그리고 나에게는 설득이 필요하므로 -- 물론 설득할 것인데, 그리고 그대에게, 만일 그대가 그 외국 친구의 명령에 따라 먼저 영혼에 있어서 트라키아의 주문들을 외우는 것을 보여주기를 원한다면, 내가 두통의 약을 내놓을 것이다: 만일 아니라면, 그대에게 하자고 그러하지 못할 것이고, 친애하는 카르미데스여.
χωρὶς : c.gen. without.
σφόδρα : very much.
ἐνετέλλετο : ἐντέλλω imperfect middle&passive. enjoin, command.
ἀκούσας οὖν μου ὁ Κριτίας ταῦτ' εἰπόντος, Ἕρμαιον, ἔφη, ὦ Σώκρατες, γεγονὸς ἂν εἴη ἡ τῆς κεφαλῆς ἀσθένεια τῷ νεανίσκῳ, εἰ ἀναγκασθήσεται καὶ τὴν διάνοιαν διὰ τὴν [157d] κεφαλὴν βελτίων γενέσθαι. λέγω+ μέντοι σοι ὅτι Χαρμίδης τῶν ἡλικιωτῶν οὐ μόνον τῇ ἰδέᾳ δοκεῖ διαφέρειν, ἀλλὰ καὶ αὐτῷ τούτῳ, οὗ σὺ φῂς τὴν ἐπῳδὴν ἔχειν: φῂς δὲ σωφροσύνης: ἦ γάρ;
크리티아스가 내 얘기를 듣고 이러한 것을 말하기를, 그는 말했다, "소크라테스, 헤르메스의 선물(예기치 않은 행운)이 될 것이오 저 소년에게 머리의 아픔이, 머리가 나아지는 것을 통해 지성을 또한 강요한다면. 나는 그대에게 또래들 중에 카르미데스가 그저 외모로만 남달라 보이지 않고, 또한 바로 이것으로도 남다르다고 말합니다, 그대가 주문을 외우는 것을 말하지 않고: 그런데 그대는 사려를 말하는데, 그렇지 않나요?
πάνυ γε, ἦν δ' ἐγώ.
나는 말했다, 물론이요.
εὖ τοίνυν ἴσθι, ἔφη, ὅτι πάνυ πολὺ δοκεῖ σωφρονέστατος εἶναι τῶν νυνί, καὶ τἆλλα πάντα, εἰς ὅσον ἡλικίας ἥκει, οὐδενὸς χείρων ὤν.
그가 말했다, 아주 잘 알아두십시오, 요즘 사람들 중 가장 뛰어나게 무척이나 사려깊어 보인다는 것을, 그리고 다른 많은 것들에 있어서도, 나이가 와 있는 만큼은, 그 무엇도 덜하지 않다는 것을.
καὶ γάρ, ἦν δ' ἐγώ, καὶ δίκαιον, ὦ Χαρμίδη, διαφέρειν σε [157e] τῶν ἄλλων πᾶσιν τοῖς τοιούτοις: οὐ γὰρ οἶμαι ἄλλον οὐδένα τῶν ἐνθάδε ῥᾳδίως ἂν ἔχειν ἐπιδεῖξαι ποῖαι δύο οἰκίαι συνελθοῦσαι εἰς ταὐτὸν τῶν Ἀθήνησιν ἐκ τῶν εἰκότων καλλίω ἂν καὶ ἀμείνω γεννήσειαν ἢ ἐξ ὧν σὺ γέγονας. ἥ τε γὰρ πατρῴα ὑμῖν οἰκία, ἡ Κριτίου τοῦ Δρωπίδου, καὶ ὑπὸ Ἀνακρέοντος καὶ ὑπὸ Σόλωνος καὶ ὑπ' ἄλλων πολλῶν ποιητῶν ἐγκεκωμιασμένη παραδέδοται ἡμῖν, ὡς διαφέρουσα κάλλει τε [158a] καὶ ἀρετῇ καὶ τῇ ἄλλῃ λεγομένῃ εὐδαιμονίᾳ, καὶ αὖ ἡ πρὸς μητρὸς ὡσαύτως: Πυριλάμπους γὰρ τοῦ σοῦ θείου οὐδεὶς τῶν ἐν τῇ ἠπείρῳ λέγεται καλλίων καὶ μείζων ἀνὴρ δόξαι εἶναι, ὁσάκις ἐκεῖνος ἢ παρὰ μέγαν βασιλέα ἢ παρὰ ἄλλον τινὰ τῶν ἐν τῇ ἠπείρῳ πρεσβεύων ἀφίκετο, σύμπασα δὲ αὕτη ἡ οἰκία οὐδὲν τῆς ἑτέρας ὑποδεεστέρα. ἐκ δὴ τοιούτων γεγονότα εἰκός σε εἰς πάντα πρῶτον εἶναι. τὰ μὲν οὖν ὁρώμενα+ τῆς [158b] ἰδέας+, ὦ φίλε παῖ Γλαύκωνος, δοκεῖς μοι οὐδένα τῶν πρὸ σοῦ ἐν οὐδενὶ ὑποβεβηκέναι: εἰ δὲ δὴ καὶ πρὸς σωφροσύνην καὶ πρὸς τἆλλα κατὰ τὸν τοῦδε λόγον ἱκανῶς πέφυκας, μακάριόν σε, ἦν δ' ἐγώ, ὦ φίλε Χαρμίδη, ἡ μήτηρ ἔτικτεν. ἔχει δ' οὖν οὕτως. εἰ μέν σοι ἤδη πάρεστιν, ὡς λέγει Κριτίας ὅδε, σωφροσύνη καὶ εἶ σώφρων ἱκανῶς, οὐδὲν ἔτι σοι ἔδει οὔτε τῶν Ζαλμόξιδος οὔτε τῶν Ἀβάριδος τοῦ Ὑπερβορέου ἐπῳδῶν, ἀλλ' αὐτό σοι ἂν ἤδη δοτέον εἴη τὸ [158c] τῆς κεφαλῆς φάρμακον: εἰ δ' ἔτι τούτων ἐπιδεὴς εἶναι δοκεῖς, ἐπᾳστέον πρὸ τῆς τοῦ φαρμάκου δόσεως. αὐτὸς οὖν μοι εἰπὲ πότερον ὁμολογεῖς τῷδε καὶ φῂς ἱκανῶς ἤδη σωφροσύνης μετέχειν ἢ ἐνδεὴς εἶναι;
내가 말했다, 더욱이, 카르미데스여, 또한 다른 이들 중에서 네가 이러한 모든 것들로 남다르다는 것이 합당한 것이다: 아니라면
ἀνερυθριάσας οὖν ὁ Χαρμίδης πρῶτον μὲν ἔτι καλλίων ἐφάνη--καὶ γὰρ τὸ αἰσχυντηλὸν αὐτοῦ τῇ ἡλικίᾳ ἔπρεψεν-- ἔπειτα καὶ οὐκ ἀγεννῶς ἀπεκρίνατο: εἶπεν γὰρ ὅτι οὐ ῥᾴδιον εἴη ἐν τῷ παρόντι οὔθ' ὁμολογεῖν οὔτε ἐξάρνῳ εἶναι τὰ [158d] ἐρωτώμενα. ἐὰν μὲν γάρ, ἦ δ' ὅς, μὴ φῶ εἶναι σώφρων, ἅμα μὲν ἄτοπον αὐτὸν καθ' ἑαυτοῦ τοιαῦτα λέγειν, ἅμα δὲ καὶ Κριτίαν τόνδε ψευδῆ ἐπιδείξω καὶ ἄλλους πολλούς, οἷς δοκῶ εἶναι σώφρων, ὡς ὁ τούτου λόγος: ἐὰν δ' αὖ φῶ καὶ ἐμαυτὸν ἐπαινῶ, ἴσως ἐπαχθὲς φανεῖται. ὥστε οὐκ ἔχω ὅτι σοι ἀποκρίνωμαι.
καὶ ἐγὼ εἶπον ὅτι μοι εἰκότα φαίνῃ λέγειν, ὦ Χαρμίδη. καί μοι δοκεῖ, ἦν δ' ἐγώ, κοινῇ ἂν εἴη σκεπτέον εἴτε κέκτησαι [158e] εἴτε μὴ ὃ πυνθάνομαι, ἵνα μήτε σὺ ἀναγκάζῃ λέγειν ἃ μὴ βούλει, μήτ' αὖ ἐγὼ ἀσκέπτως ἐπὶ τὴν ἰατρικὴν τρέπωμαι. εἰ οὖν σοι φίλον, ἐθέλω σκοπεῖν μετὰ σοῦ: εἰ δὲ μή, ἐᾶν.
그리고 나로서는 나에게 말하는 것이 있음직한 것들로 보인다고 말한다, 카르미데스. "그리고 나에게는 보인다," 내가 말했다, "공동으로 반성해 보아야만 할 것이다 그대가 지니고 있는지 아닌지 내가 물은 것이, 그대는 강제로 말하게 되지도 않을 것이고 그대가 원치 않는 것들을, 또한 나 자신이 경솔하게 치료로 돌아서지도 않을 것이다. 그러니 만일 그대에게 기쁨이라면, 자네와 함께 면밀히 살피고자 한다: 만일 아니라면, 내버려 두고.
εἰκότα : likelihood, probability.
φαίνῃ : φαίνω. present subjunctive singular-3rd(εἰκότα n.pl.). ⅢB.2. bring to light, cause to appear.
κοινῇ : κοινός B.Ⅱ. in common
σκεπτέον : one must reflect or consider.
εἴτε… εἴτε : whether or.
κέκτησαι : κτάομαι. perfect 2nd-singular. to have acquired, possess, hold.
πυνθάνομαι : learn by hearsay or by inquiry.
ἀναγκάζῃ : ἀναγκάζω. present subjunctive passive singular-2nd. compel.
βούλει : βούλομαι middle singular-2nd. wish.
ἀσκέπτως : inadvisebly.
τρέπωμαι : τρέπω. middle singular-1st. turn one's steps, turn in a certain direction.
σκοπεῖν : σκόπέω. infinitive. examine, inspect.
ἀλλὰ πάντων μάλιστα, ἔφη, φίλον: ὥστε τούτου γε ἕνεκα+, ὅπῃ αὐτὸς οἴει βέλτιον σκέψασθαι, ταύτῃ σκόπει.
그가 말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가장 더 반깁니다: 실로 이것에 관한 한, 바로 당신이 어떤 식으로 살펴보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하시는, 그런 식으로 살피도록 하십시오.
ἕνεκα : for the sake, as far as
σκέψασθαι : σκόπέω. aorist middle infinitive. behold, contemplate
σκόπει : imperative singular.
τῇδε τοίνυν, ἔφην ἐγώ, δοκεῖ μοι βελτίστη εἶναι ἡ σκέψις περὶ αὐτοῦ. δῆλον γὰρ ὅτι εἴ σοι πάρεστιν σωφροσύνη, [159a] ἔχεις τι περὶ αὐτῆς δοξάζειν. ἀνάγκη γάρ που ἐνοῦσαν αὐτήν, εἴπερ ἔνεστιν, αἴσθησίν τινα παρέχειν, ἐξ ἧς δόξα ἄν τίς σοι περὶ αὐτῆς εἴη ὅτι ἐστὶν καὶ ὁποῖόν τι ἡ σωφροσύνη: ἢ οὐκ οἴει;
그러니까 이 점에서, 내가 말했다, 내게는 당신 자신에 대해서 살펴봄이 가장 좋아 보인다. 왜냐하면 그대에게 σωφροσύνη가 속해 있다면, 그대가 동일한 것(σωφροσύνη)에 대해 어떤 견해를 가지고 있을 것은 분명하기 때문이다. 아마도 그 동일한 것이 안에 있다면, 그것이 안에 틀림없이 있을 터인데, 어떤 인상을 가지는 것이 필연적이니까, 그로부터 σωφροσύνη가 무엇이며 어떠한 종류의 것인지, 바로 그것에 대한 어떤 견해가 그대에게 있을(그런 인상이): 아니면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가?
σκέψις : viewing, perception, examination, speculation, consideration.
ἐνοῦσαν : ἔνειμι. participle feminine singular accusative.
αἴσθησίν : sense-perception, sensation, impression.
ἔγωγε, ἔφη, οἶμαι.
저로서는, 그가 말했다, 그렇게 생각하지요.
οὐκοῦν τοῦτό γε, ἔφην, ὃ οἴει, ἐπειδήπερ ἑλληνίζειν ἐπίστασαι, κἂν εἴποις δήπου αὐτὸ ὅτι σοι φαίνεται;
그렇다면 바로 이것이, 내가 말했다, 당신이 생각하는 것이, 그대가 그리스말을 할 줄 알 테니, 또한 틀림없이 그대에게 보이는 그것이라고 말하겠지?
ἐπειδήπερ : inasmuch as, since.
ἑλληνίζειν : ἑλληνίζω. speak Greek.
ἐπίστασαι : know how to do.
εἴποις : ἔπω optative singular-3rd.
ἴσως, ἔφη.
아마도요, 그가 말했다.
ἵνα τοίνυν τοπάσωμεν εἴτε σοι ἔνεστιν εἴτε μή, εἰπέ, ἦν δ' ἐγώ, τί φῂς εἶναι σωφροσύνην κατὰ τὴν σὴν δόξαν.
바로 이 점에서 우리는 그대에게 안에 있는지 아닌지 예측할 것이다, 말하라, 내가 말했다, 그대는 그대 자신의 견해에 따라 무엇을 σωφροσύνην라고 말하는지.
τοπάσωμεν : τοπάζω. aim at, guess, divine
[159b] καὶ ὃς τὸ μὲν πρῶτον ὤκνει τε καὶ οὐ πάνυ ἤθελεν ἀποκρίνασθαι: ἔπειτα μέντοι εἶπεν ὅτι οἷ δοκοῖ σωφροσύνη εἶναι τὸ κοσμίως πάντα πράττειν καὶ ἡσυχῇ, ἔν τε ταῖς ὁδοῖς βαδίζειν καὶ διαλέγεσθαι, καὶ τὰ ἄλλα πάντα ὡσαύτως ποιεῖν. καί μοι δοκεῖ, ἔφη, συλλήβδην ἡσυχιότης τις εἶναι ὃ ἐρωτᾷς.
그리고 그는 먼저 망설였고 또한 그다지 대답하고자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나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말했다 어디에서나 σωφροσύνη는 조화롭게 모든 일을 행하는 것과 고요하게 (모든 일을 하는 것)으로, 또한 그 길들(방법들)로 나아가고 대화하는 것으로, 그리고 다른 모든 일들을 그렇게 이루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저에게는, 그가 말했다, 결국 어떤 고요함이 사랑받을 만한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ὤκνει : ὀκνέω. imperfect singular-3rd. shrink from doing.
ἤθελεν : ἐθέλω. imperfect singular-3rd. wish.
ἀποκρίνασθαι : ἀποκρίνω. middle infinitive. give answer to, reply to a question.
οἷ : whither.
δοκοῖ : δοκέω. optative singular-3rd / middle&passive singular 2nd. seem
κοσμίως : cosmically.
βαδίζειν : walk, go, proceed.
ὡσαύτως : in like manner, just so.
συλλήβδην : collectively, in sum, in short.
ἆρ' οὖν, ἦν δ' ἐγώ, εὖ λέγεις; φασί γέ τοι, ὦ Χαρμίδη, τοὺς ἡσυχίους σώφρονας εἶναι: ἴδωμεν δὴ εἴ τι λέγουσιν. [159c] εἰπὲ γάρ μοι, οὐ τῶν καλῶν μέντοι ἡ σωφροσύνη ἐστίν;
정말로, 내가 말했다, 그대는 잘 말하는가? 최소한 사람들은 말하지, 카르미데스여, 고요한 것들을 σωφροσύνη한 것들이라고: 이제 우리는 그들이 무엇을 말하는지 보도록 하자. 그러면 나에게 말해다오, 그럼에도 빼어난 것들 중에 σωφροσύνη가 있지 않나?
πάνυ γε, ἔφη.
분명히요, 그가 말했다.
πότερον οὖν κάλλιστον ἐν γραμματιστοῦ τὰ ὅμοια γράμματα γράφειν ταχὺ ἢ ἡσυχῇ;
그러면 학교의 글을 쓰는 방식들에서 가장 빼어난 것은 빠르게 하는 것일까 아니면 고요하게 하는 것일까?
ταχύ.
빠르게요.
τί δ' ἀναγιγνώσκειν; ταχέως ἢ βραδέως;
그런데 되새기는 것(읽는 것)은? 빠르게 혹은 더디게?
ἀναγιγνώσκειν : know again, read.
ταχέως.
빠르게요.
καὶ μὲν δὴ καὶ τὸ κιθαρίζειν ταχέως καὶ τὸ παλαίειν ὀξέως πολὺ κάλλιον τοῦ ἡσυχῇ τε καὶ βραδέως;
그렇다면 한편으로 또한 더욱이 빠르게 키타라를 연주하는 것도 또 레슬링을 날렵하게 하는 것도 고요하고도 더디게 하는 것보다 훨씬 빼어난 것이니?
παλαίειν : παλαίω. wrestle.
ναί.
네.
τί δὲ πυκτεύειν τε καὶ παγκρατιάζειν; οὐχ ὡσαύτως;
다른 한편 스파링을 하는 것과 팡크라티온을 하는 것은 어떠니? 더디게 하는 것은 아니지?
πάνυ γε.
물론이죠.
θεῖν δὲ καὶ ἅλλεσθαι καὶ τὰ τοῦ σώματος ἅπαντα ἔργα, [159d] οὐ τὰ μὲν ὀξέως καὶ ταχὺ γιγνόμενα τὰ τοῦ καλοῦ ἐστιν, τὰ δὲ [βραδέα] μόγις τε καὶ ἡσυχῇ τὰ τοῦ αἰσχροῦ;
다른 한편 달리기와 뛰어 오르기 그리고 육체의 어떠한 행위들이든, 한편으로 날렵하고 재빠르게 이루어지는 일들이 아름다움에 속하는 것들이 아니고, 다른 한편 힘겹고도 고요하게 (이루어지는 일들은) 추함에 속하는 것들이 아닌가?
ἅλλεσθαι : ἅλλομαι. leap upon.
μόγις : with toil and pain
φαίνεται.
그렇게 보이네요.
φαίνεται ἄρα ἡμῖν, ἔφην ἐγώ, κατά γε τὸ σῶμα οὐ τὸ ἡσύχιον, ἀλλὰ τὸ τάχιστον καὶ ὀξύτατον κάλλιστον ὄν. ἦ γάρ;
곧 우리에게는 그렇게 보이는군, 내가 말했다, 바로 육체에 있어서는 고요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가장 빠르고 가장 날렵한 것이 가장 빼어난 것으로 말이야. 참으로?
πάνυ γε.
물론이요.
ἡ δέ γε σωφροσύνη καλόν τι ἦν;
그런데 이 σωφροσύνη란 어떤 빼어난 것이었지?
ναί.
네.
οὐ τοίνυν κατά γε τὸ σῶμα ἡ ἡσυχιότης ἂν ἀλλ' ἡ ταχυτὴς σωφρονέστερον εἴη, ἐπειδὴ καλὸν ἡ σωφροσύνη.
이 점에서 바로 육체에 따르면 고요함이 아니라 오히려 빠름이 더 σωφροσύνη한 것이겠군, σωφροσύνη가 빼어난 것일 테니.
ἔοικεν, ἔφη.
그럴 것 같아요, 그가 말했다.
[159e] τί δέ; ἦν δ' ἐγώ, εὐμαθία κάλλιον ἢ δυσμαθία;
그러면 어떤가? 내가 말했다, 눈치 빠른 것과 둔한 것 중 어느 것이 더 빼어날까?
εὐμαθία : readiness in learning, docility.
δυσμαθία : slowness at learning.
εὐμαθία.
눈치 빠른 것이요.
ἔστιν δέ γ', ἔφην, ἡ μὲν εὐμαθία ταχέως μανθάνειν, ἡ δὲ δυσμαθία ἡσυχῇ καὶ βραδέως;
그게 그렇다면은, 내가 말했다, 한편으로 눈치 빠른 것은 빠르게 아는 것이고, 다른 한편 둔한 것은 고요하고 더디게 (아는 것) 일까?
ναί.
네.
διδάσκειν δὲ ἄλλον οὐ ταχέως [καὶ] κάλλιον καὶ σφόδρα μᾶλλον ἢ ἡσυχῇ τε καὶ βραδέως;
그런데 빠르게 다른 이를 가르치는 것은 고요하고도 더디게 하는 것보다 또한 훨씬 더 두드러지게 빼어나지 않을까?
ναί.
네.
τί δέ; ἀναμιμνῄσκεσθαι καὶ μεμνῆσθαι ἡσυχῇ τε καὶ βραδέως κάλλιον ἢ σφόδρα καὶ ταχέως;
그러면 어떤가? 기억나게 하는 것과 기억하는 것은 고요하고 더디게 하는 편과 빠르게 하는 것 중 어느 것이 훨씬 더 좋을까?
σφόδρ', ἔφη, καὶ ταχέως.
훨씬 더, 그가 말했다, 빠르게 하는 것이요.
-작성중-
DBG.2.
Apud Helvetios longe nobilissimus fuit et ditissimus Orgetorix. is M. Messala [et P.] M. Pisone consulibus¹ regni cupiditate inductus coniurationem nobilitatis fecit et civitati persuasit, ut de finibus suis cum omnibus copiis exirent²: perfacile esse, cum virtute omnibus praestarent³, totius Galliae imperio potiri. id hoc facilius iis persuasit, quod undique loci natura Helvetii continentur: una ex parte flumine Rheno latissimo atque altissimo, qui agrum Helvetium a Germanis dividit, altera ex parte monte Iura altissimo, qui est inter Sequanos et Helvetios, tertia lacu Lemanno et flumine Rhodano, qui provinciam nostram ab Helvetiis dividit. his rebus fiebat ut et minus late vagarentur et minus facile finitimis bellum inferre possent; qua ex parte homines bellandi cupidi magno dolore adficiebantur. pro multitudine autem hominum et pro gloria belli atque fortitudinis angustos se fines habere arbitrabantur, qui in longitudinem milia passuum ccxl, in latitudinem clxxx patebant.
오르게토릭스는 헬웨티우스에서 오랫동안 가장 유명하고 가장 부유하였다. 그는 M.메살라 M. 피소네 집정관들이었을 때 왕정의 야망으로 이끌려 귀족의 연맹을 만들었고 국가를 설득했다, 그들 자신의 국경으로 모든 재산을 가지고 떠나도록 : 아주 쉬울 것이다, 그들은 용기에 모든 것들로 특출나기 때문에, 갈리아인들 전체의 주권에 지배가 되기는. 그것을 이렇게 쉬운 것으로 저들에게 설득했다, 왜냐하면 그들이 모든 면에서 헬웨티우스의 지역의 자연으로 감싸이기 때문이다: 그 한 자연은 매우 넓고도 매우 깊은 레노(라인) 강 일부에 의해서, 그 부분이 헬위티오스 땅을 게르만으로부터 나눠놓는, 다른 자연은 매우 높은 유라 산 일부에 의해서, 그 부분이 세퀴아노스와 헬웨티오스 사이에 있는, 세번째 자연은 레만노 호수와 로다노 강으로, 그것이 우리 영토를 헬웨티오스로부터 나눠놓는. 이것들로 인하여 덜 넓게 이동하도록 그리고 덜 쉽게 이웃들에게 전쟁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 경로로 일부의 전쟁광인 사람들이 대단한 후회로 영향을 받고 있었다. 그렇지만 많은 사람들을 위해서 그리고 전쟁과 또한 강자의 영광을 위해서 자신들이 좁은 경계를 가진다고 생각되었다, 그들이 milia? 길이로 211 걸음, 넓이로 180 걸음을 넓혔다.
¹. 탈격 독립구(sum 분사 생략).
². ut + exirent : exeo subjunctive imperfect plural 3rd. in oder to go.
³. cum + praestarent : praesto subjunctive imperfect plural 3rd.
-蟲-
KrV.158-160.
Die Transzendentalphilosophie hat den Vorteil, aber auch die Verbindlichkeit, ihre Begriffe nach einem Prinzip aufzusuchen; weil sie aus dem Verstande, als absoluter Einheit, rein und unvermischt entspringen, und daher selbst nach einem Begriffe, oder Idee, unter sich zusammenhangen mussen. Ein solcher Zusammenhang aber gibt eine Regel an die Hand, nach welcher jedem reinen Verstandesbegriff seine Stelle und allen insgesamt ihre Vollstandigkeit a priori bestimmt werden kann, welches alles sonst vom Belieben, oder vom Zufall abhangen wurde. → 초월론적 철학은 그 철학의 개념들을 원칙에 따라 찾아낸다는 이점이자 의무를 가진다,; 왜냐하면 그 개념들은 절대정 통일성으로서의 지성으로부터 순수하고 뒤섞이지 않고서 유래하고, 그런 이유로 그 자체로 한 개념 혹은 이념에 따라서 그 개념들 아래로 결합되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러한 결합은 그에 따라서 각각의 순수 지성 개념이 그 개념의 위치와 그 위치의 선험적 완전성에 있어서 규정될 수 있는, 그렇지 않으면 모든 것이 의향에, 혹은 우연에 의존하였을 규칙을 제공한다. Des Transzendenatlen Leitfadens der Entdeckung aller reinen Verstandesbegriffe 모든 순수 지성개념들의 발견의 초월론적 실마리 Erster Abschnitt 제 1장 Von dem logischen Verstandesgebrauche uberhaupt 논리적 지성사용 전반에 대하여 Der Verstand wurde oben bloß negativ erklart: durch ein nichtsinnliches Erkenntnisvermogen. Nun konnen wir, unabhangig von der Sinnlichkeit, keiner Anschauung teilhaftig werden. Also ist der Verstand kein Vermogen der Anschauung. Es gibt aber, außer der Anschauung, keine andere Art, zu erkennen, als durch Begriffe. Also ist die Erkenntnis eines jeden, wenigstens des menschlichen, Verstandes, eine Erkenntnis durch Begriffe, nicht intuitiv, sondern diskursiv. Alle Anschauungen, als sinnlich, beruhen auf Affektionen, die Begriffe also auf Funktionen. Ich verstehe aber unter Funktion die Einheit der Handlung, verschiedene Vorstellungen unter einer gemeinschaftlichen zu ordnen. Begriffe grunden sich also auf der Spontaneitat des Denkens, wie sinnliche Anschauungen auf der Rezeptivitat der Eindrucke. Von diesen Begriffen kann nun der Verstand keinen andern Gebrauch machen, als daß er dadurch urteilt. Da keine Vorstellung unmittelbar auf den Gegenstand geht, als bloß die Anschauung, so wird ein Begriff niemals auf einen Gegenstand unmittelbar, sondern auf irgend eine andre Vorstellung von demselben (sie sei Anschauung oder selbst schon Begriff) bezogen. Das Urteil ist also die mittelbare Erkenntnis eines Gegenstandes, mithin die Vorstellung einer Vorstellung desselben. In jedem Urteil ist ein Begriff, der fur viele gilt, und unter diesem Vielen auch eine gegebene Vorstellung begreift, welche letztere denn auf den Gegenstand unmittelbar bezogen wird. So bezieht sich z.B. in dem Urteile: alle Korper sind teilbar, der Begriff des Teilbaren auf verschiedene andere Begriffe; unter diesen aber wird er hier besonders auf den Begriff des Korpers bezogen; dieser aber auf gewisse uns vorkommende Erscheinungen. Also werden diese Gegenstande durch den Begriff der Teilbarkeit mittelbar vorgestellt. Alle Urteile sind demnach Funktionen der Einheit unter unsern Vorstellungen, da namlich statt einer unmittelbaren Vorstellung eine hohere, die diese und mehrere unter sich begreift, zur Erkenntnis des Gegenstandes gebraucht, und viel mogliche Erkenntnisse dadurch in einer zusammengezogen werden. Wir konnen aber alle Handlungen des Verstandes auf Urteile zuruckfuhren, so daß der Verstand uberhaupt als ein Vermogen zu urteilen vorgestellt werden kann. Denn er ist nach dem obigen ein Vermogen zu denken. Denken ist das Erkenntnis durch Begriffe. Begriffe aber beziehen sich, als Pradikate moglicher Urteile, auf irgend eine Vortsellung von einem noch unbestimmten Gegenstande. So bedeutet der Begriff des Korpers etwas, z.B. Metall, was durch jenen Begriff erkannt werden kann. Er ist also nur dadurch jenen Begriff, daß unter ihm andere Vorstellungen enthalten sind, vermittelst deren er sich auf Gegenstande beziehen kann. Er ist also das Pradikat zu einem moglichen Urteile, z.B. ein jedes Metall ist ein Korper. Die Funktionen des Verstandes konnen also insgesamt gefunden werden, wenn man die Funktionen der Einheit in den Urteilen vollstandig darstellen kann. Daß dies aber sich ganz wohl bewerkstelligen lasse, wird der folgende Abschnitt vor Augen stellen. → 지성은 위에서 비감성적 인식능력을 통하여 순전히 부정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제 우리는 감성에 대하여 예속되지 않고서는 어떠한 직관에도 관여하게 될 수 없다.→ 그러므로 지성은 그 어떠한 직관의 능력도 아니다.→ 그러므로 각각의, 최소한 인간의, 지성의 인식은 개념을 통한 인식이고 직관적이지 않고 논증적이다.→ 모든 직관들은 감성적인 것으로서 자극(촉발)에 근거하고, 그러므로 개념들은 기능에 근거한다.→ 그러나 나는 기능이란 말을 상이한 표상들을 공동의 표상으로 질서지우는 행위의 통일성으로 이해한다.→ 개념들은 그러므로 감성적 직관이 인상의 수용성에 기초하는 것처럼 사유의 자발성에 기초한다.→ 이러한 개념에 대하여 이제 지성은 개념을 통하여 판단하는 것 이외의 다른 어떠한 사용도 형성할 수 없다.→ 순전한 직관 이외에 어떠한 표상도 직접 대상으로 나아가지 않으므로, 개념도 전혀 대상에 직접 적용되지 않고 오히려 (그것이 직관이든 그 자체로 이미 개념이든) 좌우간 그 대상에 대한 다른 표상에 적용된다.→ 그러므로 판단은 대상에 대한 간접적 인식이고, 따라서 그 대상의 표상의 표상이다.→각각의 판단에는 많은 것들에 적용되는 개념이 있고 이러한 많은 것들 아래에서 또한 주어진 표상을 이해하는, 종국에는 대상에 직접적으로 관계를 맺는 개념이 있다.→ 그래서 예를 들어 모든 물체는 가분적이다, 라는 판단에서 가분성의 개념은 상이한 다른 개념들과 관계맺는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 가운데에서 그 개념은 여기에서 특히 물체의 개념과 관계된다; 그러나 이러한 개념은 우리에게 나타나는 특정한 현상들에 관계된다.→ 모든 판단들은 그에 따라 우리의 표상들 아래에서 통일의 자발성이다. 즉 직접적인 표상 대신에 이러한 표상과 몇 몇 표상을 자신 아래에서 포괄하는 더 상위의 표상이, 대상의 인식에 사용되고, 많은 가능한 인식들이 그를 통하여 그 안으로 모인다.→ 그러나 우리는 지성의 모든 활동들의 원인을 판단들로부터 찾을 수 있다. 그래서 지성 전반이 판단하는 능력으로서 표상될 수 있다. → 왜냐하면 지성은 앞서 말한 바에 따라 사유하는 능력이기 때문이다.→ 사유는 개념을 통한 인식이다.→ 그러나 개념들은 가능한 판단들의 술어로서, 어떻든 규정되지 않은 대상에 대한 표상에 적용된다.→ 그래서 어떤 물체에 대한 개념, 예를 들어 금속의 개념은 저런 개념을 통해서 인식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그 개념은 단지 그를 통하여 그 아래에 그에 따라 개념이 대상에 적용될 수 있는 그러한 다른 표상들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 개념은 그러므로 가능한 판단, 예를 들어 각각의 금속은 물체라는 판단의 술어이다.→ 지성의 기능은 그러므로, 만일 사람들이 판단들에서 통일의 기능을 완전히 명시할 수 있다면 모두 다 발견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이 그러나 전적으로 잘 성취될 것이라는 것은, 다음 장이 명시할 것이다. Die Transzendentalphilosophie hat den Vorteil, aber auch die Verbindlichkeit, ihre Begriffe nach einem Prinzip aufzusuchen; weil sie aus dem Verstande, als absoluter Einheit, rein und unvermischt entspringen, und daher selbst nach einem Begriffe, oder Idee, unter sich zusammenhangen mussen. 초월론적 철학은 이점을 지닌다, 그러나 의무 또한 가진다, 그 철학의 개념들을 원칙에 따라 찾아낸다는; 왜냐하면 그 개념들은 지성으로부터, 절대정 통일성으로서, 순수하고 뒤섞이지 않고서 유래하고, 그런 이유로 그 자체로 한 개념에, 혹은 이념에 따라서, 그 개념들 아래로 결합되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 초월론적 철학은 그 철학의 개념들을 원칙에 따라 찾아낸다는 이점이자 의무를 가진다,; 왜냐하면 그 개념들은 절대정 통일성으로서의 지성으로부터 순수하고 뒤섞이지 않고서 유래하고, 그런 이유로 그 자체로 한 개념 혹은 이념에 따라서 그 개념들 아래로 결합되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Ein solcher Zusammenhang aber gibt eine Regel an die Hand, nach welcher jedem reinen Verstandesbegriff seine Stelle und allen insgesamt ihre Vollstandigkeit a priori bestimmt werden kann, welches alles sonst vom Belieben, oder vom Zufall abhangen wurde. 그러나 그러한 결합은 규칙을 제공한다, 그 규칙에 따라서 각각의 순수 지성 개념이 그 개념의 위치와 그 위치의 선험적 완전성에 있어서 규정될 수 있는, 그렇지 않으면 모든 것이 의향에, 혹은 우연에 의존하였을. → 그러나 그러한 결합은 그에 따라서 각각의 순수 지성 개념이 그 개념의 위치와 그 위치의 선험적 완전성에 있어서 규정될 수 있는, 그렇지 않으면 모든 것이 의향에, 혹은 우연에 의존하였을 규칙을 제공한다. Des Transzendenatlen Leitfadens der Entdeckung aller reinen Verstandesbegriffe 모든 순수 지성 개념들의 발견의 초월론적 실마리 Erster Abschnitt 제 1 장 Von dem logischen Verstandesgebrauche uberhaupt 논리적 지성사용 전반에 대하여 Der Verstand wurde oben bloß negativ erklart: durch ein nichtsinnliches Erkenntnisvermogen. 지성은 위에서 순전히 부정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비감성적 인식능력을 통하여. → 지성은 위에서 비감성적 인식능력을 통하여 순전히 부정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Nun konnen wir, unabhangig von der Sinnlichkeit, keiner Anschauung teilhaftig werden. 이제 우리는, 감성에 대하여 예속되지 않고, 어떠한 직관에도 관여하게 될 수 없다. → 이제 우리는 감성에 대하여 예속되지 않고서는 어떠한 직관에도 관여하게 될 수 없다. Also ist der Verstand kein Vermogen der Anschauung. 그러므로 지성은 그 어떠한 직관의 능력도 아니다. → 그러므로 지성은 그 어떠한 직관의 능력도 아니다. Es gibt aber, außer der Anschauung, keine andere Art, zu erkennen, als durch Begriffe. 그러나 직관 이외에는 개념을 통하는 것 외에 인식하는 다른 어떠한 방법도 없다. → 그러나 직관 이외에는 개념을 통하는 것 외에 인식하는 다른 어떠한 방법도 없다. Also ist die Erkenntnis eines jeden, wenigstens des menschlichen, Verstandes, eine Erkenntnis durch Begriffe, nicht intuitiv, sondern diskursiv. 그러므로 각각의, 최소한 인간의, 지성의 인식은 개념을 통한 인식이고 직관적이지 않고 논증적이다. → 그러므로 각각의, 최소한 인간의, 지성의 인식은 개념을 통한 인식이고 직관적이지 않고 논증적이다. Alle Anschauungen, als sinnlich, beruhen auf Affektionen, die Begriffe also auf Funktionen. 모든 직관들은, 감성적인 것으로서, 자극(촉발)에 근거하고, 그러므로 개념들은 기능에 근거한다. → 모든 직관들은 감성적인 것으로서 자극(촉발)에 근거하고, 그러므로 개념들은 기능에 근거한다. Ich verstehe aber unter Funktion die Einheit der Handlung, verschiedene Vorstellungen unter einer gemeinschaftlichen zu ordnen. 그러나 나는 기능이란 말을 행위의 통일성으로 이해한다, 상이한 표상들을 공동의 표상으로 질서지우는. → 그러나 나는 기능이란 말을 상이한 표상들을 공동의 표상으로 질서지우는 행위의 통일성으로 이해한다. Begriffe grunden sich also auf der Spontaneitat des Denkens, wie sinnliche Anschauungen auf der Rezeptivitat der Eindrucke. 개념들은 그러므로 사유의 자발성에 기초한다, 감성적 직관이 인상의 수용성에 기초하는 것처럼. → 개념들은 그러므로 감성적 직관이 인상의 수용성에 기초하는 것처럼 사유의 자발성에 기초한다. Von diesen Begriffen kann nun der Verstand keinen andern Gebrauch machen, als daß er dadurch urteilt. 이러한 개념들에 대하여 이제 지성은 다른 어떠한 사용도 형성할 수 없다, 지성이 그를 통하여 판단하는 것 이외의. → 이러한 개념에 대하여 이제 지성은 개념을 통하여 판단하는 것 이외의 다른 어떠한 사용도 형성할 수 없다. Da keine Vorstellung unmittelbar auf den Gegenstand geht, als bloß die Anschauung, so wird ein Begriff niemals auf einen Gegenstand unmittelbar, sondern auf irgend eine andre Vorstellung von demselben (sie sei Anschauung oder selbst schon Begriff) bezogen. 어떠한 표상도 직접 대상으로 나아가지 않으므로, 순전한 직관 이외에, 개념도 전혀 대상에 직접 적용되지 않고, 오히려 좌우간 (그것이 직관이든 그 자체로 이미 개념이든) 그 대상에 대한 다른 표상에 적용된다. → 순전한 직관 이외에 어떠한 표상도 직접 대상으로 나아가지 않으므로, 개념도 전혀 대상에 직접 적용되지 않고 오히려 (그것이 직관이든 그 자체로 이미 개념이든) 좌우간 그 대상에 대한 다른 표상에 적용된다. Das Urteil ist also die mittelbare Erkenntnis eines Gegenstandes, mithin die Vorstellung einer Vorstellung desselben. 그러므로 판단은 대상에 대한 간접적 인식이고, 따라서 그 대상의 표상의 표상이다. → 그러므로 판단은 대상에 대한 간접적 인식이고, 따라서 그 대상의 표상의 표상이다. In jedem Urteil ist ein Begriff, der fur viele gilt, und unter diesem Vielen auch eine gegebene Vorstellung begreift, welche letztere denn auf den Gegenstand unmittelbar bezogen wird. 각각의 판단에는 개념이 있다, 그 개념이 많은 것들에 적용되는, 그리고 이러한 많은 것들 아래에서 또한 주어진 표상을 이해하는, 종국에는 대상에 직접적으로 관계를 맺게 되는. →각각의 판단에는 많은 것들에 적용되는 개념이 있고 이러한 많은 것들 아래에서 또한 주어진 표상을 이해하는, 종국에는 대상에 직접적으로 관계를 맺는 개념이 있다. So bezieht sich z.B. in dem Urteile: alle Korper sind teilbar, der Begriff des Teilbaren auf verschiedene andere Begriffe; unter diesen aber wird er hier besonders auf den Begriff des Korpers bezogen; dieser aber auf gewisse uns vorkommende Erscheinungen. 그래서 예를 들어 모든 물체는 가분적이다, 라는 판단에서 가분성의 개념은 상이한 다른 개념들과 관계맺는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 가운데에서 그 개념은 여기에서 특히 물체의 개념과 관계된다; 그러나 이러한 개념은 우리에게 나타나는 특정한 현상들에 관계된다. → 그래서 예를 들어 모든 물체는 가분적이다, 라는 판단에서 가분성의 개념은 상이한 다른 개념들과 관계맺는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 가운데에서 그 개념은 여기에서 특히 물체의 개념과 관계된다; 그러나 이러한 개념은 우리에게 나타나는 특정한 현상들에 관계된다. Also werden diese Gegenstande durch den Begriff der Teilbarkeit mittelbar vorgestellt. 그러므로 이러한 대상들은 가분성의 개념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표상된다. → 그러므로 이러한 대상들은 가분성의 개념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표상된다. Alle Urteile sind demnach Funktionen der Einheit unter unsern Vorstellungen, da namlich statt einer unmittelbaren Vorstellung eine hohere, die diese und mehrere unter sich begreift, zur Erkenntnis des Gegenstandes gebraucht, und viel mogliche Erkenntnisse dadurch in einer zusammengezogen werden. 모든 판단들은 그에 따라 우리의 표상들 아래에서 통일의 자발성이다, 즉 직접적인 표상 대신에 더 상위의 표상이, 그 표상이 이러한 표상과 몇 몇 표상을 자신 아래에서 포괄하는, 대상의 인식에 사용되고, 많은 가능한 인식들이 그를 통하여 그 안으로 모인다. → 모든 판단들은 그에 따라 우리의 표상들 아래에서 통일의 자발성이다. 즉 직접적인 표상 대신에 이러한 표상과 몇 몇 표상을 자신 아래에서 포괄하는 더 상위의 표상이, 대상의 인식에 사용되고, 많은 가능한 인식들이 그를 통하여 그 안으로 모인다. Wir konnen aber alle Handlungen des Verstandes auf Urteile zuruckfuhren, so daß der Verstand uberhaupt als ein Vermogen zu urteilen vorgestellt werden kann. 그러나 우리는 지성의 모든 활동들의 원인을 판단들로부터 찾을 수 있다, 지성 전반이 판단하는 능력으로서 표상될 수 있다. → 그러나 우리는 지성의 모든 활동들의 원인을 판단들로부터 찾을 수 있다. 그래서 지성 전반이 판단하는 능력으로서 표상될 수 있다. Denn er ist nach dem obigen ein Vermogen zu denken. 왜냐하면 지성은 앞서 말한 바에 따라 사유하는 능력이기 때문이다. → 왜냐하면 지성은 앞서 말한 바에 따라 사유하는 능력이기 때문이다. Denken ist das Erkenntnis durch Begriffe. 사유는 개념을 통한 인식이다. → 사유는 개념을 통한 인식이다. Begriffe aber beziehen sich, als Pradikate moglicher Urteile, auf irgend eine Vortsellung von einem noch unbestimmten Gegenstande. 그러나 개념들은 가능한 판단들의 술어로서, 어떻든 규정되지 않은 대상에 대한 표상에 적용된다. → 그러나 개념들은 가능한 판단들의 술어로서, 어떻든 규정되지 않은 대상에 대한 표상에 적용된다. So bedeutet der Begriff des Korpers etwas, z.B. Metall, was durch jenen Begriff erkannt werden kann. 그래서 어떤 물체에 대한 개념, 예를 들어 금속의 개념은 저런 개념을 통해서 인식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 그래서 어떤 물체에 대한 개념, 예를 들어 금속의 개념은 저런 개념을 통해서 인식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Er ist also nur dadurch jenen Begriff, daß unter ihm andere Vorstellungen enthalten sind, vermittelst deren er sich auf Gegenstande beziehen kann. 그러므로 그 개념은 단지 그를 통하여 저러한 개념이다, 그 개념 아래에 다른 표상들을 포함하는, 그 표상들에 따라 개념이 대상에 적용될 수 있는. → 그러므로 그 개념은 단지 그를 통하여 그 아래에 그에 따라 개념이 대상에 적용될 수 있는 그러한 다른 표상들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Er ist also das Pradikat zu einem moglichen Urteile, z.B. ein jedes Metall ist ein Korper. 그 개념은 그러므로 가능한 판단, 예를 들어 각각의 금속은 물체라는 판단의 술어이다. → 그 개념은 그러므로 가능한 판단, 예를 들어 각각의 금속은 물체라는 판단의 술어이다. Die Funktionen des Verstandes konnen also insgesamt gefunden werden, wenn man die Funktionen der Einheit in den Urteilen vollstandig darstellen kann. 지성의 기능은 그러므로 모두 다 발견될 수 있다, 만일 사람들이 판단들에서 통일의 기능을 완전히 명시할 수 있다면. → 지성의 기능은 그러므로, 만일 사람들이 판단들에서 통일의 기능을 완전히 명시할 수 있다면 모두 다 발견될 수 있다. Daß dies aber sich ganz wohl bewerkstelligen lasse, wird der folgende Abschnitt vor Augen stellen. 이러한 것이 그러나 전적으로 잘 성취될 것이라는 것은, 다음 장이 명시할 것이다. → 이러한 것이 그러나 전적으로 잘 성취될 것이라는 것은, 다음 장이 명시할 것이다. -蟲-
KrV.157.
Wir werden also die reinen Begriffe bis zu ihren ersten Keimen und Anlagen im menschlichen Verstande verfolgen, in denen sie vorbereitet liegen, bis sie endlich bei Gelegenheit der Erfahrung entwickelt und durch eben denselben Verstand, von den ihnen anhängenden empirischen Bedingungen befreiet, in ihrer Lauterkeit dargestellt werden.
→ 그러므로 우리는 순수 개념들을 그 발단들 안에 준비되어 있는 개념들이 결국 경험을 계기로 전개되고 개념들에 부수하는 경험적 조건들을 제거한 바로 그와 같은 지성을 통하여 그 개념들의 순수성에서 묘사될 때까지 그 개념들의 최초 기원과 발단까지 인간 지성 안에서 추적할 것이다.
Der Analytik der Begriffe
개념의 분석학
Erstes Hauptstück
제 1 부문
Von den Leitfaden der Entdeckung aller reinen Verstandesbegriffe
모든 순수지성개념들을 발견할 실마리에 대하여
Wenn man ein Erkenntnisvermögen ins Spiel setzt, so tun sich, nach den mancherlei Anlässen, verschiedene Begriffe hervor, die dieses Vermögen kennbar machen und sich in einem mehr oder weniger ausführlichen Aufsatz sammeln lassen, nachdem die Beobachtung derselben längere Zeit, oder mit größerer Scharfsinnigkeit angestellt worden. Wo diese Untersuchung werde vollendet sein, läßt sich, nach diesem gleichsam mechanischen Verfahren, niemals mit Sicherheit bestimmen. Auch entdecken sich die Begriffe, die man nur so bei Gelegenheit auffindet, in keiner Ordnung und systematischen Einheit, sondern werden zuletzt nur nach Ähnlichkeiten gepaart und nach der Größe ihres Inhalts, von den einfachen an, zu den mehr zusammengesetzten, in Reihen gestellt, die nichts weniger als systematisch, obgleich auf gewisse Weise methodisch zu Stande gebracht werden.
→ 사람들이 인식능력을 여러가지 계기들에 따라 시도해 볼 때 상이한 개념들이 드러난다. 그 개념들을 이러한 능력이 오랜 시간, 혹은 대단한 예리함을 가지고 관찰이 시도된 뒤에 가지(可知)적으로 만들고 그 자체로 다소간 상세한 논고 안에서 모으도록 한다.→ 이러한 말하자면 기계적인 방식에 따라서 이러한 조사가 어디에서 완수될 것인가는 전혀 확실하게 정하도록 하지 않는다.→ 또한 사람들이 단지 그러한 기회에 발견한 개념들은 어떠한 질서나 체계적 통일에서도 드러나지 않고, 오히려 결국에는 단지 유사점들에 따라 결합되고 그 개념들의 내용의 크기에 따라, 단순한 것으로부터 더 복합적인 것에까지, 줄 세워진다. 비록 확실한 방식에서 방법적으로 성취된다 할지라도 그 줄은 전혀 체계적이지 않다.
Wir werden also die reinen Begriffe bis zu ihren ersten Keimen und Anlagen im menschlichen Verstande verfolgen, in denen sie vorbereitet liegen, bis sie endlich bei Gelegenheit der Erfahrung entwickelt und durch eben denselben Verstand, von den ihnen anhängenden empirischen Bedingungen befreiet, in ihrer Lauterkeit dargestellt werden.
그러므로 우리는 순수 개념들을 그 개념들의 최초 기원과 발단까지 인간 지성 안에서 추적할 것이다, 그 발단들 안에 개념들이 준비되어 있는, 그 개념들이 결국 경험을 계기로 전개되고 바로 그와 같은 지성을 통하여, 그 지성으로부터 개념들에 부수하는 경험적 조건들을 제거한, 그 개념들의 순수성에서 묘사될 때까지.
→ 그러므로 우리는 순수 개념들을 그 발단들 안에 준비되어 있는 개념들이 결국 경험을 계기로 전개되고 개념들에 부수하는 경험적 조건들을 제거한 바로 그와 같은 지성을 통하여 그 개념들의 순수성에서 묘사될 때까지 그 개념들의 최초 기원과 발단까지 인간 지성 안에서 추적할 것이다.
Der Analytik der Begriffe
개념들의 분석학
Erstes Hauptstück
제 1 부문
Von den Leitfaden der Entdeckung aller reinen Verstandesbegriffe
모든 순수 지성 개념들의 발견의 실마리에 대하여
Wenn man ein Erkenntnisvermögen ins Spiel setzt, so tun sich, nach den mancherlei Anlässen, verschiedene Begriffe hervor, die dieses Vermögen kennbar machen und sich in einem mehr oder weniger ausführlichen Aufsatz sammeln lassen, nachdem die Beobachtung derselben längere Zeit, oder mit größerer Scharfsinnigkeit angestellt worden.
사람들이 인식능력을 시도해 볼 때, 여러가지 계기들에 따라, 상이한 개념들이 드러난다, 그 개념들을 이러한 능력이 가지(可知)적으로 만들고 그 자체로 다소간 상세한 논고 안에서 모으도록 하는, 관찰이 그와 같은 것을 오랜 시간, 혹은 대단한 예리함을 가지고 시도된 뒤에.
→ 사람들이 인식능력을 여러가지 계기들에 따라 시도해 볼 때 상이한 개념들이 드러난다. 그 개념들을 이러한 능력이 오랜 시간, 혹은 대단한 예리함을 가지고 관찰이 시도된 뒤에 가지(可知)적으로 만들고 그 자체로 다소간 상세한 논고 안에서 모으도록 한다.
Wo diese Untersuchung werde vollendet sein, läßt sich, nach diesem gleichsam mechanischen Verfahren, niemals mit Sicherheit bestimmen.
이러한 조사가 어디에서 완수될 것인가, 이러한 말하자면 기계적인 방식에 따라서, 전혀 확실하게 정하도록 하지 않는다.
→ 이러한 말하자면 기계적인 방식에 따라서 이러한 조사가 어디에서 완수될 것인가는 전혀 확실하게 정하도록 하지 않는다.
Auch entdecken sich die Begriffe, die man nur so bei Gelegenheit auffindet, in keiner Ordnung und systematischen Einheit, sondern werden zuletzt nur nach Ähnlichkeiten gepaart und nach der Größe ihres Inhalts, von den einfachen an, zu den mehr zusammengesetzten, in Reihen gestellt, die nichts weniger als systematisch, obgleich auf gewisse Weise methodisch zu Stande gebracht werden.
또한 개념들은 드러난다, 그 개념들을 사람들이 단지 그러한 기회에 발견한, 어떠한 질서나 체계적 통일에서도 아니고, 오히려 결국에는 단지 유사점들에 따라 결합되고 그 개념들의 내용의 크기에 따라, 단순한 것으로부터, 더 복합적인 것에까지, 줄 세워진다, 그 줄은 전혀 체계적이지 않다, 비록 확실한 방식에서 방법적으로 성취된다 할지라도.
→ 또한 사람들이 단지 그러한 기회에 발견한 개념들은 어떠한 질서나 체계적 통일에서도 드러나지 않고, 오히려 결국에는 단지 유사점들에 따라 결합되고 그 개념들의 내용의 크기에 따라, 단순한 것으로부터 더 복합적인 것에까지, 줄 세워진다. 비록 확실한 방식에서 방법적으로 성취된다 할지라도 그 줄은 전혀 체계적이지 않다.
-蟲-
Χαρ.2.
τοῦτο μέν, ἦν δ' ἐγώ, ὦ φίλε Κριτία, πόῤῥωθεν ὑμῖν τὸ καλὸν ὑπάρχει ἀπὸ τῆς Σόλωνος συγγενείας. ἀλλὰ τί οὐκ ἐπέδειξάς μοι τὸν νεανίαν καλέσας δεῦρο; οὐδὲ γὰρ ἄν που εἰ ἔτι ἐτύγχανε νεώτερος ὤν, αἰσχρὸν ἂν ἦν αὐτῷ διαλέγεσθαι ἡμῖν ἐναντίον γε σοῦ, ἐπιτρόπου τε ἅμα καὶ ἀνεψιοῦ ὄντος.
내가 말했다, 친애하는 크리티아스, 오래 전부터 이러한 아름다움이 그대들에게 솔론의 혈통에서부터 시작합니다. 허나 어째서 그 아름다운 소년을 여기로 나에게 보여주지 않소? 그가 마침 아직까지 더 어리지도 않으면서, 당신의 맞은편에서 우리에게 대화하는 것이 그에게 부끄러울 것도 아니라면, 당신은 후견인이자 사촌이기도 하니까요.
πόῤῥωθεν: LS.1533 Ⅱ. from long ago.
ἐπέδειξάς : ἐπιδείκνῡμι aorist. 2nd singular.
ἐτύγχανε : τυγχάνω aorist. 3rd singular.
ἀλλὰ καλῶς, ἔφη, λέγεις, καὶ καλοῦμεν αὐτόν. καὶ [155b] ἅμα πρὸς τὸν ἀκόλουθον, Παῖ, ἔφη, κάλει Χαρμίδην, εἰπὼν ὅτι βούλομαι αὐτὸν ἰατρῷ συστῆσαι περὶ τῆς ἀσθενείας ἧς πρῴην πρός με ἔλεγεν ὅτι ἀσθενοῖ. πρὸς οὖν ἐμὲ ὁ Κριτίας, Ἔναγχός τοι ἔφη βαρύνεσθαί τι τὴν κεφαλὴν ἕωθεν ἀνιστάμενος: ἀλλὰ τί σε κωλύει προσποιήσασθαι πρὸς αὐτὸν ἐπίστασθαί τι κεφαλῆς φάρμακον;
Ἔναγχός : recent
τοι : in truth
βαρύνεσθαί : βαρύνω depress.
ἕωθεν : from morn.
ἀνιστάμενος : 일어나면서
κωλύει : κωλύω. 3rd singular.
ἐπίστασθαί : ἐπίστᾰμαι middle infinitive. know how to do
οὐδέν, ἦν δ' ἐγώ: μόνον ἐλθέτω.
내가 말했다, 아무것도: 그저 그가 오도록.
ἐλθέτω : ἔρχομαι aorist imperative 3rd singular.
ἀλλ' ἥξει, ἔφη.
그가 말했다, 그는 올 것입니다.
ἥξει : future.
ὃ οὖν καὶ ἐγένετο. ἧκε γάρ, καὶ ἐποίησε γέλωτα [155c] πολύν: ἕκαστος γὰρ ἡμῶν τῶν καθημένων συγχωρῶν τὸν πλησίον ἐώθει σπουδῇ, ἵνα παρ' αὑτῷ καθέζοιτο, ἕως τῶν ἐπ' ἐσχάτῳ καθημένων τὸν μὲν ἀνεστήσαμεν, τὸν δὲ πλάγιον κατεβάλομεν. ὁ δ' ἐλθὼν μεταξὺ ἐμοῦ τε καὶ τοῦ Κριτίου ἐκαθέζετο. ἐνταῦθα μέντοι, ὦ φίλε, ἐγὼ ἤδη ἠπόρουν, καί μου ἡ πρόσθεν θρασύτης ἐξεκέκοπτο, ἣν εἶχον ἐγὼ ὡς πάνυ ῥᾳδίως αὐτῷ διαλεξόμενος: ἐπειδὴ δέ, φράσαντος τοῦ Κριτίου ὅτι ἐγὼ εἴην ὁ τὸ φάρμακον ἐπιστάμενος, ἐνέβλεψέν τέ μοι [155d] τοῖς ὀφθαλμοῖς ἀμήχανόν τι οἷον καὶ ἀνήγετο ὡς ἐρωτήσων, καὶ οἱ ἐν τῇ παλαίστρᾳ ἅπαντες περιέῤῥεον ἡμᾶς κύκλῳ κομιδῇ, τότε δή, ὦ γεννάδα, εἶδόν τε τὰ ἐντὸς τοῦ ἱματίου καὶ ἐφλεγόμην καὶ οὐκέτ' ἐν ἐμαυτοῦ ἦν καὶ ἐνόμισα σοφώτατον εἶναι τὸν Κυδίαν τὰ ἐρωτικά, ὃς εἶπεν ἐπὶ καλοῦ λέγων παιδός, ἄλλῳ ὑποτιθέμενος, εὐλαβεῖσθαι μὴ κατέναντα λέοντος νεβρὸν ἐλθόντα μοῖραν αἱρεῖσθαι [155e] κρεῶν: αὐτὸς γάρ μοι ἐδόκουν ὑπὸ τοῦ τοιούτου θρέμματος ἑαλωκέναι. ὅμως δὲ αὐτοῦ ἐρωτήσαντος εἰ ἐπισταίμην τὸ τῆς κεφαλῆς φάρμακον, μόγις πως ἀπεκρινάμην ὅτι ἐπισταίμην.
그리고 그가 왔다. 그는 와서, 많은 웃음을 지었다: 왜냐하면 앉아있던 우리들 각자가 서로 곁을 열심으로 밀치고 있었고, 다른 한편 힘으로 자신의 곁에 앉히고자 했다, 앉아 있던 이들 중의 끄트머리에서 한 사람을 일으키고, 다른 한 사람을 옆으로 떨어뜨릴 때까지. 그가 나와 크리톤 곁으로 와서 앉았다. 바로 그 때 물론, 친애하는 이여, 나 자신은 즉각 어찌할 줄을 몰랐고, 나의 앞서의 넘치던 자신감은 끝장났다, 내가 얼마나 쉽사리 그에게 이야기를 할 것인지에 대한 자신감을 지녔던: 그런데 그 다음에, 크리티아스가 내가 약을 알고 있는 사람일 것이라고 말했고, 그가 무어라 형언할 수 없는 눈으로 나를 바라보았고 물어 보고자 준비하는데, 레슬링 학원 안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우리를 원형으로 완전히 둘러쌌고, 바로 그 때, 고결한 자여, 나는 바로 히마티온 속을 보았고 상기되었고 생각했네 사랑의 일들에 있어서 퀴디아스는 가장 현명하다고, 그가 아름다운 소년에 대해서 말하면서 다른 이에게 제안하여 말하기를, 사자 앞에 온 사슴은 살점을 잡히지 않는 것을 주의한다고 말했던: 왜냐하면 나에게는 나 자신이 바로 이러한 짐승 밑에 사로잡힌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로 그가 머리의 약을 혹시 아는지에 대해 물었고, 간신히 어떤 식으로 내가 알 것이라고 답했다.
καθημένων : κάθημαι. participle. sit still.
συγχωρῶν : συγχωρέω participle. together
πλησίον : near.
ἐώθει : ὠθέω imperfect. push.
σπουδῇ : be eager
ἵνα : 힘
καθέζοιτο : καθέζομαι passive optative singular 3rd.
ἕως : until.
ἐσχάτῳ : farthest
ἀνεστήσαμεν : ἀνίστημι aorist 1st plural. rise up.
πλάγιον : placed
κατεβάλομεν : καταβάλλω aorist 1st plural. thrown.
ἤδη : forthwith
ἠπόρουν : ἀπορέω.
θρασύτης : over-boldness.b. metaph., cut off, make an end of,
φράσαντος : φράζω aorist participle genitive. declare, point out.
φράσαντος τοῦ Κριτίου : absolute construction.
ἐνέβλεψέν : ἐμβλέπω look at.
ὀφθαλμοῖς : to eyes.
ἀμήχανόν τι οἷον : it is impossible to say. LS.82
ἀνήγετο : ἀνάγω imperfect middle singular 3rd. LS.102.B. prepare oneself
περιέῤῥεον : περιρρέω imperfect plural 3rd. 둘러싸다
ἐφλεγόμην : φλέγω imperfect middle&passive.
ἐν ἐμαυτοῦ ~ εἶναι : to be master of oneself
ὑποτιθέμενος : ὑποτίθημι present middle participle nominative. propose.
εὐλαβεῖσθαι : εὐλάβέομαι present middle infinitive. take care.
αἱρεῖσθαι : αἱρέω present middle infinitive, catch. overtake.
κρεῶν : body, flesh.
ἐδόκουν : δοκέω imperfect 1st singular.
ἑαλωκέναι : ἁλίσκομαι. 사로잡히다.
ἐρωτήσαντος : ἐρωτάω. ask.
ἐπισταίμην : ἐπίσταμαι middle&passive optative singular 3rd. know.
μόγις : LS.1140. hardly.
ἀπεκρινάμην : ἀποκρίνω. aorist meddle 1st singular. LS.204. Ⅳ. reply.
τί οὖν, ἦ δ' ὅς, ἐστίν;
그가 말했다, 그게 무엇인가요?
καὶ ἐγὼ εἶπον ὅτι αὐτὸ μὲν εἴη φύλλον τι, ἐπῳδὴ δέ τις ἐπὶ τῷ φαρμάκῳ εἴη, ἣν εἰ μέν τις ἐπᾴδοι ἅμα καὶ χρῷτο αὐτῷ, παντάπασιν ὑγιᾶ ποιοῖ τὸ φάρμακον: ἄνευ δὲ τῆς ἐπῳδῆς οὐδὲν ὄφελος εἴη τοῦ φύλλου.
그리고 내가 말하기를 바로 그것은 어떤 식물인데, 다른 한편으로는 약에 대한 어떤 주문이고, 만일 누군가 주문을 외운다면 곧장 그에게 쓰일 것이고, 전적으로 건강에 있어서 어떤 식으로든 약이다: 그런데 주문 없이는 아무런 쓸모도 없는 이파리일 것라고.
παντάπασιν : wholly.
ποιοῖ : how.
ὄφελος : advantage, help.
[156a] καὶ ὅς, Ἀπογράψομαι τοίνυν, ἔφη, παρὰ σοῦ τὴν ἐπῳδήν.
그가 말했다, 그러니 적을 것입니다 당신 곁에서 그 주문을.
Ἀπογράψομαι : ἀπογρᾰφω. 명심하다. meddle.
πότερον, ἦν δ' ἐγώ, ἐάν με πείθῃς ἢ κἂν μή;
내가 말했다, 그대가 나를 설득하든, 아니든?
γελάσας οὖν, ἐάν σε πείθω, ἔφη, ὦ Σώκρατες.
그러더니 웃으면서 그가 말했다, 제가 당신을 설득하기를, 소크라테스.
εἶεν, ἦν δ' ἐγώ: καὶ τοὔνομά μου σὺ ἀκριβοῖς;
내가 말했다, 그렇게 될 것이다: 그리고 나의 이름을 너는 확신하는가?
ἀκριβοῖς : ἀκρῑβόω LS.55.2. are you sure of … ?
εἰ μὴ ἀδικῶ γε, ἔφη: οὐ γάρ τι σοῦ ὀλίγος λόγος ἐστὶν ἐν τοῖς ἡμετέροις ἡλικιώταις, μέμνημαι δὲ ἔγωγε καὶ παῖς ὢν Κριτίᾳ τῷδε συνόντα σε.
그가 말했다, 제가 틀리지 않다면요: 왜냐하면 우리 또래들 안에서 당신에 대한 말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나로서는 또한 소년이었고 그 때 크리티아스와 함께 있는 당신을 기억한다.
ἀδικῶ : ἀδῐκέω LS.23. b. if I am not mistaken.
μέμνημαι : μιμνήσκω. LS.1134. B.3. ~하는 것을 기억한다.
καλῶς γε σύ, ἦν δ' ἐγώ, ποιῶν: μᾶλλον γάρ σοι παῤῥησιάσομαι [156b] περὶ τῆς ἐπῳδῆς οἵα τυγχάνει οὖσα: ἄρτι δ' ἠπόρουν τίνι τρόπῳ σοι ἐνδειξαίμην τὴν δύναμιν αὐτῆς. ἔστι γάρ, ὦ Χαρμίδη, τοιαύτη οἵα μὴ δύνασθαι τὴν κεφαλὴν μόνον ὑγιᾶ ποιεῖν, ἀλλ' ὥσπερ ἴσως ἤδη καὶ σὺ ἀκήκοας τῶν ἀγαθῶν ἰατρῶν, ἐπειδάν τις αὐτοῖς προσέλθῃ τοὺς ὀφθαλμοὺς ἀλγῶν, λέγουσί που ὅτι οὐχ οἷόν τε αὐτοὺς μόνους ἐπιχειρεῖν τοὺς ὀφθαλμοὺς ἰᾶσθαι, ἀλλ' ἀναγκαῖον εἴη ἅμα καὶ τὴν κεφαλὴν θεραπεύειν, εἰ μέλλοι [156c] καὶ τὰ τῶν ὀμμάτων εὖ ἔχειν: καὶ αὖ τὸ τὴν κεφαλὴν οἴεσθαι ἄν ποτε θεραπεῦσαι αὐτὴν ἐφ' ἑαυτῆς ἄνευ ὅλου τοῦ σώματος πολλὴν ἄνοιαν εἶναι. ἐκ δὴ τούτου τοῦ λόγου διαίταις ἐπὶ πᾶν τὸ σῶμα τρεπόμενοι μετὰ τοῦ ὅλου τὸ μέρος ἐπιχειροῦσιν θεραπεύειν τε καὶ ἰᾶσθαι: ἢ οὐκ ᾔσθησαι ὅτι ταῦτα οὕτως λέγουσίν τε καὶ ἔχει;
내가 말했다, 바로 네가 잘 한 것이다: 왜냐하면 너에게 내가 주문에 대해서 그것이 어떠한 것인지 더 많은 것을 자유롭게 말할 것이니까: 정확히 어떤 방식으로 너에게 그 주문의 힘을 보여줄지 어찌할 줄 몰랐지. 카르미데스여, 이와 같은 주문은 머리만을 건강하게 하는 그런 식의 것이 아니라, 바로 네가 실제로 훌륭한 의사들에게서 들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누군가 바로 그들에게 눈이 아파서 갈 때라면 언제라도, 그들은 아마 말한다 오로지 바로 그 눈만을 치료하고자 시도하는 그런 식이 아니고, 오히려 동시에 머리를 치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고, 만일 눈에 속하는 것들을 낫게 하고 싶다면: 그리고 또 머리를 생각함에 있어서 그것을 치료할 때 대해 몸 전체에 대해서가 아니라 그것 자체에 대해서 치료할 것은 상당히 정신나간 것이다. 이와 같은 말들로부터 삶의 방식에 있어서 몸 전부를 향해 있는 이들이 전체와 더불어 부분을 보살피고 치료하고자 시도한다. 혹시 이와 같은 것들을 그들이 그렇게 말하고 또한 행한다는 것을 깨닫지 못했나?
ἐνδειξαίμην : ἐνδείκνῡμι 1st-aorist optative middle singular 1st. show.
ἀκήκοας : ἀκούω. perfect singular 2nd.
ᾔσθησαι : αἰσθάνομαι. perceive.
πάνυ γε, ἔφη.
그가 말했다, 물론이죠.
οὐκοῦν καλῶς σοι δοκεῖ λέγεσθαι καὶ ἀποδέχῃ τὸν λόγον;
너에게는 잘 이야기된 것으로 보이고 그 말을 받아들이겠니?
πάντων μάλιστα, ἔφη.
그가 말했다, 모든 것보다도 더욱 더.
[156d] κἀγὼ ἀκούσας αὐτοῦ ἐπαινέσαντος ἀνεθάῤῥησά τε, καί μοι κατὰ σμικρὸν πάλιν ἡ θρασύτης συνηγείρετο, καὶ ἀνεζωπυρούμην. καὶ εἶπον: τοιοῦτον τοίνυν ἐστίν, ὦ Χαρμίδη, καὶ τὸ ταύτης τῆς ἐπῳδῆς. ἔμαθον δ' αὐτὴν ἐγὼ ἐκεῖ ἐπὶ στρατιᾶς παρά τινος τῶν Θρᾳκῶν τῶν Ζαλμόξιδος ἰατρῶν, οἳ λέγονται καὶ ἀπαθανατίζειν. ἔλεγεν δὲ ὁ Θρᾲξ οὗτος ὅτι ταῦτα μὲν [ἰατροὶ] οἱ Ἕλληνες, ἃ νυνδὴ ἐγὼ ἔλεγον, καλῶς λέγοιεν: ἀλλὰ Ζάλμοξις, ἔφη, λέγει ὁ ἡμέτερος βασιλεύς, θεὸς ὤν, [156e] ὅτι ὥσπερ ὀφθαλμοὺς ἄνευ κεφαλῆς οὐ δεῖ ἐπιχειρεῖν ἰᾶσθαι οὐδὲ κεφαλὴν ἄνευ σώματος, οὕτως οὐδὲ σῶμα ἄνευ ψυχῆς, ἀλλὰ τοῦτο καὶ αἴτιον εἴη τοῦ διαφεύγειν τοὺς παρὰ τοῖς Ἕλλησιν ἰατροὺς τὰ πολλὰ νοσήματα, ὅτι τοῦ ὅλου ἀμελοῖεν οὗ δέοι τὴν ἐπιμέλειαν ποιεῖσθαι, οὗ μὴ καλῶς ἔχοντος ἀδύνατον εἴη τὸ μέρος εὖ ἔχειν. πάντα γὰρ ἔφη ἐκ τῆς ψυχῆς ὡρμῆσθαι καὶ τὰ κακὰ καὶ τὰ ἀγαθὰ τῷ σώματι καὶ παντὶ τῷ ἀνθρώπῳ, καὶ ἐκεῖθεν ἐπιῤῥεῖν ὥσπερ ἐκ τῆς κεφαλῆς ἐπὶ [157a] τὰ ὄμματα: δεῖν οὖν ἐκεῖνο καὶ πρῶτον καὶ μάλιστα θεραπεύειν, εἰ μέλλει καὶ τὰ τῆς κεφαλῆς καὶ τὰ τοῦ ἄλλου σώματος καλῶς ἔχειν. θεραπεύεσθαι δὲ τὴν ψυχὴν ἔφη, ὦ μακάριε, ἐπῳδαῖς τισιν, τὰς δ' ἐπῳδὰς ταύτας τοὺς λόγους εἶναι τοὺς καλούς: ἐκ δὲ τῶν τοιούτων λόγων ἐν ταῖς ψυχαῖς σωφροσύνην ἐγγίγνεσθαι, ἧς ἐγγενομένης καὶ παρούσης ῥᾴδιον ἤδη εἶναι τὴν ὑγίειαν καὶ τῇ κεφαλῇ καὶ τῷ ἄλλῳ [157b] σώματι πορίζειν. διδάσκων οὖν με τό τε φάρμακον καὶ τὰς ἐπῳδάς, “ὅπως,” ἔφη, “τῷ φαρμάκῳ τούτῳ μηδείς σε πείσει τὴν αὑτοῦ κεφαλὴν θεραπεύειν, ὃς ἂν μὴ τὴν ψυχὴν πρῶτον παράσχῃ τῇ ἐπῳδῇ ὑπὸ σοῦ θεραπευθῆναι.
-작성중-
KrV.156.
Daher wird der Inbegriff seiner Erkenntnis ein unter einer Idee zu befasendes und zu bestimmendes System ausmachen, dessen Vollständigkeit und Artikulation zugleich einen Probierstein der Richtigkeit und Echtheit aller hineinpassenden Erkenntnisstücke abgeben kann. Es besteht aber dieser ganze Teil der transzendentalen Logik aus zwei Büchern, deren das eine die Begriffe, das andere die Grundsätze des reinen Verstandes enthält.
→ 그런 이유에서 그 순수지성의 인식의 총체는 이념 아래에서 취급하고 규정하는 체계를, 그 체계의 완전성과 명료함이 동시에 모든 적합한 인식부분들의 정당성과 참에 대한 시금석을 제공할 수 있는 체계를 형성한다.→ 그러나 초월론적 논리학의 이러한 전체 부분은 한 권은 개념들을, 다른 한 권은 순수 지성의 근본명제들을 포함하는 2권으로 구성된다.
Der Transzendenatlen Analytik Erstes Buch
초월론적 분석학 제 1권
Die Analytik der Begriffe
개념들의 분석학
Ich verstehe unter der Analytik der Begriffe nicht die Analysis derselben, oder das gewöhnliche Verfahren in philosophischen Untersuchungen, Begriffe, die sich darbieten, ihrem Inhalte nach zu zergliedern und zur Deutlichkeit zu bringen, sondern die noch wenig versuchte Zergliederung des Verstandesvermögens selbst, um die Möglichkeit der Begriffe a priori dadurch zu erforschen, daß wir sie im Verstande allein, als ihrem Geburtsorte, aufsuchen und dessen reinen Gebrauch überhaupt analysieren; denn dieses ist das eigentümliche Geschäfte einer Transzendental-Philosophie; das übrige ist die logische Behandlung der Begriffe in der Philosophie überhaupt.
→ 나는 개념의 분석학이라는 말에서 개념의 해석을, 또는 철학적 연구들에서 그 내용들을 분해함에 따라서 그리고 명료성으로 이끌어 옴에 따라서 드러나는 그러한 개념들에 대한 통상의 취급을 생각하지 않고 오히려 그 개념의 분석학이 최소한 그를 통하여 선험적 개념들의 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하여 지성능력 자체의, 우리가 오로지 그 가능성의 출생지로서 지성 안에서만 찾아내고 지성의 순수한 사용 전반을 해석하는, 그러한 분해를 시도했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이러한 것은 초월-철학의 고유한 특성이기 때문이다; 그 나머지는 철학 전반에서 개념들의 논리적 취급이다.
Daher wird der Inbegriff seiner Erkenntnis ein unter einer Idee zu befasendes und zu bestimmendes System ausmachen, dessen Vollständigkeit und Artikulation zugleich einen Probierstein der Richtigkeit und Echtheit aller hineinpassenden Erkenntnisstücke abgeben kann.
그런 이유에서 그 순수지성의 인식의 총체는 이념 아래에서 취급하고 규정하는 체계를 형성한다, 그 체계의 완전성과 명료함은 동시에 모든 적합한 인식부분들의 정당성과 참에 대한 시금성을 제공할 수 있다.
→ 그런 이유에서 그 순수지성의 인식의 총체는 이념 아래에서 취급하고 규정하는 체계를, 그 체계의 완전성과 명료함이 동시에 모든 적합한 인식부분들의 정당성과 참에 대한 시금성을 제공할 수 있는 체계를 형성한다.
Es besteht aber dieser ganze Teil der transzendentalen Logik aus zwei Büchern, deren das eine die Begriffe, das andere die Grundsätze des reinen Verstandes enthält.
그러나 초월론적 논리학의 이러한 전체 부분은 2권으로 구성된다, 그것의 한 권은 개념들을, 다른 한 권은 순수 지성의 근본명제들을 포함하는.
→ 그러나 초월론적 논리학의 이러한 전체 부분은 한 권은 개념들을, 다른 한 권은 순수 지성의 근본명제들을 포함하는 2권으로 구성된다.
Ich verstehe unter der Analytik der Begriffe nicht die Analysis derselben, oder das gewöhnliche Verfahren in philosophischen Untersuchungen, Begriffe, die sich darbieten, ihrem Inhalte nach zu zergliedern und zur Deutlichkeit zu bringen, sondern die noch wenig versuchte Zergliederung des Verstandesvermögens selbst, um die Möglichkeit der Begriffe a priori dadurch zu erforschen, daß wir sie im Verstande allein, als ihrem Geburtsorte, aufsuchen und dessen reinen Gebrauch überhaupt analysieren; denn dieses ist das eigentümliche Geschäfte einer Transzendental-Philosophie; das übrige ist die logische Behandlung der Begriffe in der Philosophie überhaupt.
나는 개념의 분석학이라는 말에서 개념의 해석을, 또는 철학적 연구들에서 통상의 취급을, 개념들, 그것들이 드러나는, 그 개념들의 내용들을 분해함에 따라서 그리고 명료성으로 이끌어 옴에 따라서, 생각하지 않고 오히려 그 개념의 분석학이 최소한 지성능력 자체의 분해를 시도했다고, 그를 통하여 선험적 개념들의 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하여, 우리가 그 가능성을 오로지 지성 안에서만, 그 가능성의 출생지로서, 찾아내고 지성의 순수한 사용 전반을 해석하는; 왜냐하면 이러한 것은 초월-철학의 고유한 특성이기 때문이다; 그 나머지는 철학 전반에서 개념들의 논리적 취급이다.
→ 나는 개념의 분석학이라는 말에서 개념의 해석을, 또는 철학적 연구들에서 그 내용들을 분해함에 따라서 그리고 명료성으로 이끌어 옴에 따라서 드러나는 그러한 개념들에 대한 통상의 취급을 생각하지 않고 오히려 그 개념의 분석학이 최소한 그를 통하여 선험적 개념들의 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하여 지성능력 자체의, 우리가 오로지 그 가능성의 출생지로서 지성 안에서만 찾아내고 지성의 순수한 사용 전반을 해석하는, 그러한 분해를 시도했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이러한 것은 초월-철학의 고유한 특성이기 때문이다; 그 나머지는 철학 전반에서 개념들의 논리적 취급이다.
-蟲-
KrV.155.
Der Transzendentalen Logik Erste Abteilung
초월론적 논리학 제 1장
Die Transzendenatle Analytik
초월론적 분석학
Diese Analytik ist die Zergliederung unseres gesamten Erkenntnisses a priori in die Elemente der reinen Verstandeserkenntnis. Es kommt hiebei auf folgende Stücke an. 1. Daß die Begriffe reine und nicht empirische Begriffe sein. 2. Daß sie nicht zur Anschauung und zur Sinnlichkeit, sondern zum Denken und Verstande gehören. 3. Daß sie Elementarbegriffe sein und von den abgeleiteten, oder daraus zusammengesetzten, wohl unterschieden werden. 4. Daß ihre Tafel vollständig sei, und sie das ganze Feld des reinen Verstandes gänzlich ausfüllen. Nun kann diese Vollständigkeit einer Wissenschaft nicht auf den Überschlag, eines bloß durch Versuche zu Stande gebrachten Aggregats, mit Zuverlässigkeit angenommen werden; daher ist sie nur vermittelst einer Idee des Ganzen der Verstandeserkenntnis a priori und durch die daraus bestimmte Abteilung der Begriffe, welche sie ausmachen, mithin nur durch ihren Zusammenhang in einem System möglich. Der reine Verstand sondert sich nicht allein von allem Empirischen, sondern so gar von aller Sinnlichkeit völlig aus. Er ist also eine vor sich selbst beständige, sich selbst genugsame, und durch keine äußerlich hinzukommende Zusätze zu vermehrende Einheit.
→ 이러한 분석학은 우리의 모든 선험적 인식들을 순수지성인식의 요소들로 분해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어지는 부분들이 문제이다.→ 1. 개념들은 순수하고 경험적이지 않은 개념들이다.→ 2. 그 개념들은 직관과 감성이 아니라 오히려 사유와 지성에 속한다.→ 3. 그 개념들은 기초개념들이며 파생된 개념들로부터, 혹은 그로부터 복합된 개념들로부터 잘 구분된다.→ 4. 그 개념들의 표는 완전하고, 그 개념들은 순수 지성의 전(全) 영역을 완전히 가득 채운다.→ 이제 이러한 학의 완전성은 순전히 조사를 통해 마련된 집합체를 통하여 어림짐작으로는 확실성을 가지고 수용될 수 없다; 그런 이유로 그 확실성은 단지 선험적 지성인식의 전체의 이념에 따라서만 그리고 그로부터 그 이념을 형성하는 개념들의 규정된 구분을 통하여, 따라서 단지 그것들의 체계 내에서의 관련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순수 지성은 자신을 경험적인 것들로부터만이 아니라 오히려 그 만큼이나 모든 감성으로부터도 완전히 분리시킨다.→ 그 순수 지성은 그러므로 자기 자신에 대하여 지속하고, 그 스스로 자족하며, 어떠한 외적으로 부가하는 첨가물로부터도 증대하는 통일성이 아니다.
Diese Analytik ist die Zergliederung unseres gesamten Erkenntnisses a priori in die Elemente der reinen Verstandeserkenntnis.
이러한 분석학은 우리의 모든 선험적 인식들을 순수지성인식의 요소들로 분해하는 것이다.
→ 이러한 분석학은 우리의 모든 선험적 인식들을 순수지성인식의 요소들로 분해하는 것이다.
Es kommt hiebei auf folgende Stücke an.
이와 관련하여 이어지는 부분들에 이른다.
→ 이와 관련하여 이어지는 부분들이 문제이다.
1. Daß die Begriffe reine und nicht empirische Begriffe sein.
1. 개념들은 순수하고 경험적이지 않은 개념들이다.
→ 1. 개념들은 순수하고 경험적이지 않은 개념들이다.
2. Daß sie nicht zur Anschauung und zur Sinnlichkeit, sondern zum Denken und Verstande gehören.
2. 그 개념들은 직관과 감성이 아니라 오히려 사유와 지성에 속한다.
→ 2. 그 개념들은 직관과 감성이 아니라 오히려 사유와 지성에 속한다.
3. Daß sie Elementarbegriffe sein und von den abgeleiteten, oder daraus zusammengesetzten, wohl unterschieden werden.
3. 그 개념들은 기초개념들이며 파생된 개념들로부터, 혹은 그로부터 복합된 개념들로부터, 잘 구분된다.
→ 3. 그 개념들은 기초개념들이며 파생된 개념들로부터, 혹은 그로부터 복합된 개념들로부터 잘 구분된다.
4. Daß ihre Tafel vollständig sei, und sie das ganze Feld des reinen Verstandes gänzlich ausfüllen.
4. 그 개념들의 표는 완전하고, 그 개념들은 순수 지성의 전(全) 영역을 완전히 가득 채운다.
→ 4. 그 개념들의 표는 완전하고, 그 개념들은 순수 지성의 전(全) 영역을 완전히 가득 채운다.
Nun kann diese Vollständigkeit einer Wissenschaft nicht auf den Überschlag, eines bloß durch Versuche zu Stande gebrachten Aggregats, mit Zuverlässigkeit angenommen werden; daher ist sie nur vermittelst einer Idee des Ganzen der Verstandeserkenntnis a priori und durch die daraus bestimmte Abteilung der Begriffe, welche sie ausmachen, mithin nur durch ihren Zusammenhang in einem System möglich.
이제 이러한 학의 완전성은 어림짐작으로, 순전히 조사를 통해 마련된 집합체를 통하여, 확실성을 가지고 수용될 수 없다; 그런 이유로 그 확실성은 단지 선험적 지성인식의 전체의 이념에 따라서만 그리고 그로부터 개념들의 규정된 구분을 통하여, 그 이념을 형성하는, 따라서 단지 그것들의 체계 내에서의 관련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 이제 이러한 학의 완전성은 순전히 조사를 통해 마련된 집합체를 통하여 어림짐작으로는 확실성을 가지고 수용될 수 없다; 그런 이유로 그 확실성은 단지 선험적 지성인식의 전체의 이념에 따라서만 그리고 그로부터 그 이념을 형성하는 개념들의 규정된 구분을 통하여, 따라서 단지 그것들의 체계 내에서의 관련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Der reine Verstand sondert sich nicht allein von allem Empirischen, sondern so gar von aller Sinnlichkeit völlig aus.
순수 지성은 자신을 경험적인 것들로부터만이 아니라 오히려 그 만큼이나 모든 감성으로부터도 완전히 분리시킨다.
→ 순수 지성은 자신을 경험적인 것들로부터만이 아니라 오히려 그 만큼이나 모든 감성으로부터도 완전히 분리시킨다.
Er ist also eine vor sich selbst beständige, sich selbst genugsame, und durch keine äußerlich hinzukommende Zusätze zu vermehrende Einheit.
그 순수 지성은 그러므로 자기 자신에 대하여 지속하고, 그 스스로 자족하며, 어떠한 외적으로 부가하는 첨가물로부터도 증대하는 통일성이 아니다.
→ 그 순수 지성은 그러므로 자기 자신에 대하여 지속하고, 그 스스로 자족하며, 어떠한 외적으로 부가하는 첨가물로부터도 증대하는 통일성이 아니다.
-蟲-
KrV.154.
Da sie also eigentlich nur ein Kanon der Beurteilung des empirischen Gebaruchs sein solte, so wird sie gemißbraucht, wenn man sie als das Organon eines allgemeinen und unbeschränkten Gebrauchs gelten läßt, und sich mit dem reinen Verstande allein wagt, synthetisch über Gegenstände überhaupt zu urteilen, zu behaupten, und zu entscheiden. Also würde der Gebrauch des reinen Verstandes alsdenn dialektisch sein. Der zweite Teil der transzendentalen Logik muß also eine Kritik dieses dialektischen Scheines sein, und heißt transzendentale Dialektik, nicht als eine Kunst, dergleichen Schein dogmatisch zu erregen, (eine leider sehr gangbare Kunst mannigfaltiger metaphysischer Gaukelwerke) sondern als eine Kritik des Verstandes und der Vernunft in Ansehung ihres hyperphysischen Gebrauchs, um den falschen Schein ihrer sprüche auf Erfindung und Erweiterung, die sie bloß durch transzendentale Grundsätze zu erreichen vermeinet, zur bloßen Beurteilung und Verwahrung des reinen Verstandes vor sophistischem Belendwerke herabzusetzen.
→ 그러므로 초월론적 논리학은 단지 경험적 사용의 판단기준이어야만 하기 때문에, 그래서 그 논리학은 사람들이 보편적이고 무제한한 사용의 도구로 여겨지도록 둔다면, 그리고 순수한 지성만을 가지고 대상 일반에 대한 종합적 판단, 주장, 결정을 감행한다면 오용된다.→ 그러므로 순수한 지성의 사용은 그리하여 변증적이게 된다.→ 그러므로 초월론적 논리학의 두번째 부분은 이러한 변증적 가상의 비판이어야만 하고, 그와 같은 가상을 교조적으로 자극하는 (유감스럽게도 여러 형이상학적 눈속임의 매우 잘 통하는 방법) 방법으로서가 아니라, 오히려 그것의 초자연적 사용에 대한 고려 속에서 지성과 이성이 초월론적 근본명제들을 통하여 획득하는 줄로 착각하는 고안과 확장에 대한 지성과 이성의 주장의 그릇된 가상을 궤변론적 기만에 대한 순수 지성의 순전한 평과와 보존에 대해서 격하하기 위한 지성과 이성의 비판으로서 초월론적 변증학이라고 불린다.
Da sie also eigentlich nur ein Kanon der Beurteilung des empirischen Gebaruchs sein solte, so wird sie gemißbraucht, wenn man sie als das Organon eines allgemeinen und unbeschränkten Gebrauchs gelten läßt, und sich mit dem reinen Verstande allein wagt, synthetisch über Gegenstände überhaupt zu urteilen, zu behaupten, und zu entscheiden.
그러므로 초월론적 논리학은 단지 경험적 사용의 판단기준이어야만 하기 때문에, 그래서 그 논리학은 오용된다, 사람들이 보편적이고 무제한한 사용의 도구로 여겨지도록 둔다면, 그리고 순수한 지성만을 가지고 감행한다면, 대상 일반에 대한 종합적 판단, 주장, 결정을.
→ 그러므로 초월론적 논리학은 단지 경험적 사용의 판단기준이어야만 하기 때문에, 그래서 그 논리학은 사람들이 보편적이고 무제한한 사용의 도구로 여겨지도록 둔다면, 그리고 순수한 지성만을 가지고 대상 일반에 대한 종합적 판단, 주장, 결정을 감행한다면 오용된다.
Also würde der Gebrauch des reinen Verstandes alsdenn dialektisch sein.
그러므로 순수한 지성의 사용은 그리하여 변증적이게 된다.
→ 그러므로 순수한 지성의 사용은 그리하여 변증적이게 된다.
Der zweite Teil der transzendentalen Logik muß also eine Kritik dieses dialektischen Scheines sein, und heißt transzendentale Dialektik, nicht als eine Kunst, dergleichen Schein dogmatisch zu erregen, (eine leider sehr gangbare Kunst mannigfaltiger metaphysischer Gaukelwerke) sondern als eine Kritik des Verstandes und der Vernunft in Ansehung ihres hyperphysischen Gebrauchs, um den falschen Schein ihrer Ansprüche auf Erfindung und Erweiterung, die sie bloß durch transzendentale Grundsätze zu erreichen vermeinet, zur bloßen Beurteilung und Verwahrung des reinen Verstandes vor sophistischem Belendwerke herabzusetzen.
그러므로 초월론적 논리학의 두번째 부분은 이러한 변증적 가상의 비판이어야만 하고, 초월론적 변증학이라고 불린다, 방법으로서가 아니라, 그와 같은 가상을 교조적으로 자극하는, (유감스럽게도 여러 형이상학적 눈속임의 매우 잘 통하는 방법) 오히려 그것의 초자연적 사용에 대한 고려 속에서 지성과 이성의 비판으로서, 고안과 확장에 대한 지성과 이성의 주장의 그릇된 가상을, 그 고안과 확장을 지성과 이성이 초월론적 근본명제들을 통하여 획득하는 줄로 착각하는, 궤변론적 기만에 대한 순수 지성의 순전한 평과와 보존에 대해서 격하하기 위하여.
→ 그러므로 초월론적 논리학의 두번째 부분은 이러한 변증적 가상의 비판이어야만 하고, 그와 같은 가상을 교조적으로 자극하는 (유감스럽게도 여러 형이상학적 눈속임의 매우 잘 통하는 방법) 방법으로서가 아니라, 오히려 그것의 초자연적 사용에 대한 고려 속에서 지성과 이성이 초월론적 근본명제들을 통하여 획득하는 줄로 착각하는 고안과 확장에 대한 지성과 이성의 주장의 그릇된 가상을 궤변론적 기만에 대한 순수 지성의 순전한 평과와 보존에 대해서 격하하기 위한 지성과 이성의 비판으로서 초월론적 변증학이라고 불린다.
-蟲-
KrV.153.
Ⅳ. Von der Einteilung der transzendentalen Logik in die Transzendentale Analytik und Dialektik
Ⅳ. 초월론적 논리학에 대한 초월론적 분석학과 변증학으로의 구분에 대하여
In einer transzendentalen Logik isolieren wir den Verstand, (so wie oben in der transzendentalen Ästhetik die Sinnlichkeit) und heben bloß den Teil des Denkens aus unserm Erkenntnisse heraus, der lediglich seinen Ursprung in dem Verstande hat. Der Gebrauch dieser reinen Erkenntnis aber beruhet darauf, als ihrer Bedingung: daß uns Gegenstände in der Anschauung gegeben sein, worauf jene angewandt werden können. Denn ohne Anschauung fehlt es aller unserer Erkenntnis an Objekten, und sie bleibt alsdenn völlig leer. Der Teil der transzendentalen Logik also, der die Elemente der reinen Verstandeserkenntnis vorträgt, und die Prinzipien, ohne welche überall kein Gegenstand gedacht werden kann, ist die transzendentale Analytik, und zugleich eine Logik der Wahrheit. Denn ihr kann keine Erkenntnis widersprechen, ohne daß sie zugleich allen Inhalt verlöre, d.i. alle Beziehung auf irgend ein Objekt, mithin alle Wahrheit. Weil es aber sehr anlockend und verleitend ist, sich dieser reinen Verstandeserkenntnisse und Grundsätze allein, und selbst über die Grenzen der Erfahrung hinaus, zu bedienen, welche doch einzig und allein uns die Materie (Objekte) an die Hand geben kann, worauf jene reine Verstandesbegriffe angewandt werden können: so gerät der Verstand in Gefahr, durch leere Vernünfteleien von den bloßen formalen Prinzipien des reinen Verstandes einen materialen Gebrauch zu machen, und über Gegenstände ohne Unterschied zu urteilen, die uns doch nicht gegeben sind, ja vielleicht auf keinerlei Weise gegeben werden können.
→ 초월론적 논리학에서 우리는 (위에 초월론적 감성학에서 감성을 그렇게 하였듯이) 지성을 고립시키고 우리의 인식들로부터 그 자신의 원천을 다만 지성 안에서만 가지는 순전한 지성의 부분만을 빼낸다.→ 그러나 이러한 순수한 인식의 사용은 사용의 조건으로서: 우리에게 직관 중에 거기에 적용될 수 있는 대상들이 주어진다는 것에 기인한다.→ 왜냐하면 직관 없이는 우리의 모든 인식에게 객관이 부족하고, 그 인식은 그리하여 완전히 공허하게 남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순수한 지성인식의 요소들과 그러한 것들 없이는 결코 어떠한 대상도 생각될 수 없는 그러한 원칙들을 개진하는 초월론적 논리학의 부분은 초월론적 분석학이자 동시에 진리의 논리학이다.→ 왜냐하면 그 인식이 동시에 모든 내용을, 즉 좌우간 객관과의 모든 관련을, 따라서 모든 진리를 상실하지 않는다면 그 부분은 어떠한 인식에도 모순될 수 없기 때문이다.→ 스스로 경험의 한계를 넘어서서 오로지 유일하게 그것만이 또한 우리에게만 거기에 저 순수한 지성개념들이 적용될 수 있는 실질(객관)을 손 안에 쥐어줄 수 있을 오로지 이런 순수한 지성인식들과 근본명제들을 사용하는 것 그러나 그것은 매우 매혹적이고도 미혹스럽기 때문에: 그래서 지성은 순수 지성의 순전히 형식적인 원칙들에 대한 공허한 궤변들을 통하여 실질적 사용을 형성하는, 그리고 우리에게는 주어지지 않는, 아마도 어떤 방식으로부터도 주어질 수 없는 대상들에 대해서 구별 없이 판단하는 위험에 빠질 것이다.
In einer transzendentalen Logik isolieren wir den Verstand, (so wie oben in der transzendentalen Ästhetik die Sinnlichkeit) und heben bloß den Teil des Denkens aus unserm Erkenntnisse heraus, der lediglich seinen Ursprung in dem Verstande hat.
초월론적 논리학에서 우리는 지성을 고립시킨다, (위에 초월론적 감성학에서 감성을 그렇게 하였듯이) 그리고 우리의 인식들로부터 순전히 지성의 부분만을 빼낸다, 그 부분이 그 부분의 원천을 다만 지성 안에서만 가지는.
→ 초월론적 논리학에서 우리는 (위에 초월론적 감성학에서 감성을 그렇게 하였듯이) 지성을 고립시키고 우리의 인식들로부터 그 자신의 원천을 다만 지성 안에서만 가지는 순전한 지성의 부분만을 빼낸다.
Der Gebrauch dieser reinen Erkenntnis aber beruhet darauf, als ihrer Bedingung: daß uns Gegenstände in der Anschauung gegeben sein, worauf jene angewandt werden können.
그러나 이러한 순수한 인식의 사용은 그것에 기인한다, 그 사용의 조건으로서: 우리에게 직관 중에 대상들이 주어진다는 것, 거기에 그 대상들이 적용될 수 있는.
→ 그러나 이러한 순수한 인식의 사용은 사용의 조건으로서: 우리에게 직관 중에 거기에 적용될 수 있는 대상들이 주어진다는 것에 기인한다.
Denn ohne Anschauung fehlt es aller unserer Erkenntnis an Objekten, und sie bleibt alsdenn völlig leer.
왜냐하면 직관 없이는 우리의 모든 인식에게 객관이 부족하고, 그 인식은 그리하여 완전히 공허하게 남기 때문이다.
→ 왜냐하면 직관 없이는 우리의 모든 인식에게 객관이 부족하고, 그 인식은 그리하여 완전히 공허하게 남기 때문이다.
Der Teil der transzendentalen Logik also, der die Elemente der reinen Verstandeserkenntnis vorträgt, und die Prinzipien, ohne welche überall kein Gegenstand gedacht werden kann, ist die transzendentale Analytik, und zugleich eine Logik der Wahrheit.
그러므로 초월론적 논리학의 부분은, 그 부분이 순수한 지성인식의 요소들과 원칙들을 개진하는, 그러한 원칙들 없이는 결코 어떠한 대상도 생각될 수 없는, 초월론적 분석학이고, 동시에 진리의 논리학이다.
→ 그러므로 순수한 지성인식의 요소들과 그러한 것들 없이는 결코 어떠한 대상도 생각될 수 없는 그러한 원칙들을 개진하는 초월론적 논리학의 부분은 초월론적 분석학이자 동시에 진리의 논리학이다.
Denn ihr kann keine Erkenntnis widersprechen, ohne daß sie zugleich allen Inhalt verlöre, d.i. alle Beziehung auf irgend ein Objekt, mithin alle Wahrheit.
왜냐하면 그 부분은 어떠한 인식에도 모순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 인식이 동시에 모든 내용을, 즉 좌우간 객관과의 모든 관련을, 따라서 모든 진리를 상실하지 않는다면.
→ 왜냐하면 그 인식이 동시에 모든 내용을, 즉 좌우간 객관과의 모든 관련을, 따라서 모든 진리를 상실하지 않는다면 그 부분은 어떠한 인식에도 모순될 수 없기 때문이다.
Weil es aber sehr anlockend und verleitend ist, sich dieser reinen Verstandeserkenntnisse und Grundsätze allein, und selbst über die Grenzen der Erfahrung hinaus, zu bedienen, welche doch einzig und allein uns die Materie (Objekte) an die Hand geben kann, worauf jene reine Verstandesbegriffe angewandt werden können: so gerät der Verstand in Gefahr, durch leere Vernünfteleien von den bloßen formalen Prinzipien des reinen Verstandes einen materialen Gebrauch zu machen, und über Gegenstände ohne Unterschied zu urteilen, die uns doch nicht gegeben sind, ja vielleicht auf keinerlei Weise gegeben werden können.
그러나 그것은 매우 매혹적이고도 미혹스럽기 때문에, 오로지 이런 순수한 지성인식들과 근본명제들을, 그리고 스스로 경험의 한계를 넘어서서, 사용하는 것, 오로지 유일하게 그것만이 또한 우리에게만 실질(객관)을 손 안에 쥐어줄 수 있을, 거기에 저 순수한 지성개념들이 적용될 수 있는: 그래서 지성은 위험에 빠질 것이다, 순수 지성의 순전히 형식적인 원칙들에 대한 공허한 궤변들을 통하여 실질적 사용을 형성하는, 그리고 대상들에 대해서 구별 없이 판단하는, 그 대상들이 우리에게는 주어지지 않는, 아마도 어떤 방식으로부터도 주어질 수 없는.
→ 스스로 경험의 한계를 넘어서서 오로지 유일하게 그것만이 또한 우리에게만 거기에 저 순수한 지성개념들이 적용될 수 있는 실질(객관)을 손 안에 쥐어줄 수 있을 오로지 이런 순수한 지성인식들과 근본명제들을 사용하는 것 그러나 그것은 매우 매혹적이고도 미혹스럽기 때문에: 그래서 지성은 순수 지성의 순전히 형식적인 원칙들에 대한 공허한 궤변들을 통하여 실질적 사용을 형성하는, 그리고 우리에게는 주어지지 않는, 아마도 어떤 방식으로부터도 주어질 수 없는 대상들에 대해서 구별 없이 판단하는 위험에 빠질 것이다.
-蟲-
De Bello Gallico.1.
Gallia est omnis divisa in partes tres, quarum¹ unam incolunt Belgae, aliam Aquitani, tertiam qui² ipsorum lingua Celtae, nostra Galli appellantur. hi omnes lingua, institutis, legibus inter se differunt. Gallos ab Aquitanis Garunna flumen, a Belgis Matrona et Sequana dividit. horum omnium fortissimi sunt Belgae, propterea quod a cultu³ atque humanitate provinciae longissime absunt minimeque ad eos mercatores saepe commeant⁴ atque ea, quae ad effeminandos animos pertinent, important proximique sunt Germanis, qui trans Rhenum incolunt, quibuscum continenter bellum gerunt. qua de causa Helvetii quoque reliquos Gallos virtute praecedunt, quod fere cotidianis proeliis cum Germanis contendunt, cum aut suis finibus eos prohibent aut ipsi in eorum finibus bellum gerunt. eorum una pars, quam Gallos obtinere dictum est, initium capit a flumine Rhodano, continetur Garunna flumine, Oceano, finibus Belgarum, attingit etiam ab Sequanis et Helvetiis flumen Rhenum, vergit ad septentriones. Belgae ab extremis Galliae finibus oriuntur, pertinent ad inferiorem partem fluminis Rheni, spectant in septentrionem et orientem solem. Aquitania a Garunna flumine ad Pyrenaeos montes et eam partem Oceani, quae est ad Hispaniam, pertinet, spectat inter occasum solis et septentriones.
갈리아 전체는 세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그 부분들의 하나를 벨가이들이 살고, 다른 하나를 아퀴타니들이, 세번째를 바로 그들의 말로 켈타이, 우리들의 것(말)으로 갈리라고 불리는 이들이 사는. 이 모든 사람들은 언어로, 제도들로, 법들로 그들 자신들 사이에서 다르다. 갈리인들을 아퀴타니아로부터 가룬나 강이, 벨가이인들로부터 마트로나 강과 세쿠아나 강이 나눈다. 벨가이들이 이들 전체에서 가장 강력하다, 그러니까(?) 속주의 교양과 문화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고 최소한으로 상인들이 그들에게 종종 드나들며 이것들을, 그것들이 정신을 여성스럽게 만드는 경향이 있는, 수입하고 가장 가까이 게르만이들이 있기 때문이다, 그들이 레누스 강에 걸쳐서 거주하는, 그들과 함께 지속적으로 전쟁을 일으키는. 어떤 이유로 헬웨티인들은 또한 나머지 갈리인들을 용기로 능가한다, 왜냐하면 그들이 거의 매일 게르마니들과의 전투로 긴장하기 때문이다, 그들의 국경들에서 그들을 쫓아내거나 바로 그들 자신이 그들의 국경에서 전쟁을 일으켜서. 이것들 중 일부는, 그것을 갈리인들이 했다고 이야기되는, 로다누스 강에서 시작했다, 가룬나 강으로, 바다로, 벨가이들의 국경으로 둘러싸이는, 또한 세쿠아니스와 헬웨티스로부터 레누스 강에 가깝고, 북극성으로 뻗었다.
-蟲-
Χαρμίδης.1.
[153a] Σωκράτης
ἥκομεν τῇ προτεραίᾳ ἑσπέρας ἐκ Ποτειδαίας ἀπὸ τοῦ στρατοπέδου, οἷον δὲ διὰ χρόνου ἀφιγμένος ἁσμένως ᾖα ἐπὶ τὰς συνήθεις διατριβάς. καὶ δὴ καὶ εἰς τὴν Ταυρέου παλαίστραν τὴν καταντικρὺ τοῦ τῆς Βασίλης ἱεροῦ εἰσῆλθον, καὶ αὐτόθι κατέλαβον πάνυ πολλούς, τοὺς μὲν καὶ ἀγνῶτας ἐμοί, τοὺς δὲ πλείστους γνωρίμους. καί με ὡς [153b] εἶδον εἰσιόντα ἐξ ἀπροσδοκήτου, εὐθὺς πόῤῥωθεν ἠσπάζοντο ἄλλος ἄλλοθεν: Χαιρεφῶν δέ, ἅτε καὶ μανικὸς ὤν, ἀναπηδήσας ἐκ μέσων ἔθει πρός με, καί μου λαβόμενος+ τῆς χειρός+, ὦ Σώκρατες, ἦ δ' ὅς, πῶς ἐσώθης ἐκ τῆς μάχης; Ὀλίγον δὲ πρὶν ἡμᾶς ἀπιέναι μάχη ἐγεγόνει ἐν τῇ Ποτειδαίᾳ, ἣν ἄρτι ἦσαν οἱ τῇδε πεπυσμένοι.
소크라테스 : 우리는 이전 전날 밤 포테다이아로부터 진지에서 왔다, 시간이 지나 도착해서 나는 기쁘게 지인들이 시간을 보내는 곳으로 갔다. 그리고 또 바실레아 신전 바로 아래 타우레오스 레슬링장으로 들어갔고, 곧장 나는 실로 많은 이들을 알아봤다, 일부는 나에게는 모르는 사람들이고, 나머지는 거의 아는 사람들을 그리고 예상치 않게 들어서는 나를 본 듯, 그들이 당장에 멀리서 반갑게 환영했고 다른 이들은 다른 곳에서 (환영했다): 그런데 카이레폰은, 정말로 미친 사람처럼, 내 앞으로 습관적으로 뛰어올랐고, 나의 손을 잡고서, "소크라테스", 그가 말했다, "어떻게 그 전쟁에서 살아남으셨습니까? 여러분들이 떠나기 조금 전에 포테다이아에서 전쟁이 일어났습니다, 최근에 여기 사람들이 들었는데.
καὶ ἐγὼ πρὸς αὐτὸν ἀποκρινόμενος, Οὑτωσί, ἔφην, ὡς σὺ ὁρᾷς.
그리고 나는 그에게 대답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그대가 보듯이."
καὶ μὴν ἤγγελταί γε δεῦρο, ἔφη, ἥ τε μάχη πάνυ ἰσχυρὰ [153c] γεγονέναι καὶ ἐν αὐτῇ πολλοὺς τῶν γνωρίμων τεθνάναι.
"그 뿐만 아니라 이곳으로 전해졌습니다", 그가 말했다, "그 전쟁이 매우 격렬하게 일어났다는 것과 그 전쟁에서 유명한 사람들(잘 알려진 사람들)이 죽었다는 것이."
καὶ μὴν : LS.1127. Ⅱ.2
ἤγγελταί : ἀγγέλλω. passive perfect.
καὶ ἐπιεικῶς, ἦν δ' ἐγώ, ἀληθῆ ἀπήγγελται.
"또한 알맞게", 내가 말했다, "진실이 전해졌습니다."
παρεγένου μέν, ἦ δ' ὅς, τῇ μάχῃ;
그러면 곁에 계셨습니까, 그가 말했다, 전쟁에?
παρεγένου : παραγίγνομαι.
παρεγενόμην.
δεῦρο δή, ἔφη, καθεζόμενος ἡμῖν διήγησαι: οὐ γάρ τί πω πάντα+ σαφῶς πεπύσμεθα. καὶ ἅμα με καθίζει ἄγων παρὰ Κριτίαν τὸν Καλλαίσχρου.
그러면 여기에, 그가 말했다, 앉아서 우리들에게 자세히 말해 주십시오: 왜냐하면 아직 무엇인가 모든 것을 정확하게 듣지 않았으니까요. 그리고 동시에 당신이 나를 칼라이스크로스의 크리티아스 곁에 앉도록 합니다.
καθεζόμενος : καθέζομαι sit down in, encamp.
διήγησαι : διηγέομαι. set out in detail.
οὐ γάρ : S.2805.b. is it not so?
πω : yet.
πεπύσμεθα : πέπυσμαι hear.
παρακαθεζόμενος οὖν+ ἠσπαζόμην τόν τε Κριτίαν καὶ τοὺς ἄλλους, καὶ διηγούμην αὐτοῖς τὰ ἀπὸ στρατοπέδου, ὅτι μέ [153d] τις ἀνέροιτο: ἠρώτων δὲ ἄλλος ἄλλο.
그러면 함께 앉아서 크리티아스와 다른 사람들을 반갑게 맞이하면서, 그리고 이들에게 진영으로부터의 것들을 자세히 이야기 함으로써,
ἠσπαζόμην : ἀσπάζομαι. wellcome.
ἐπειδὴ δὲ τῶν τοιούτων ἅδην+ εἴχομεν, αὖθις ἐγὼ αὐτοὺς ἀνηρώτων τὰ τῇδε, περὶ φιλοσοφίας ὅπως ἔχοι τὰ νῦν, περί τε τῶν νέων, εἴ τινες ἐν αὐτοῖς διαφέροντες ἢ σοφίᾳ ἢ κάλλει ἢ ἀμφοτέροις ἐγγεγονότες εἶεν. καὶ ὁ Κριτίας ἀποβλέψας [154a] πρὸς τὴν θύραν, ἰδών τινας νεανίσκους εἰσιόντας καὶ λοιδορουμένους ἀλλήλοις καὶ ἄλλον ὄχλον ὄπισθεν ἑπόμενον, περὶ μὲν τῶν καλῶν, ἔφη, ὦ Σώκρατες, αὐτίκα μοι δοκεῖς εἴσεσθαι: οὗτοι γὰρ τυγχάνουσιν οἱ εἰσιόντες πρόδρομοί τε καὶ ἐρασταὶ ὄντες τοῦ δοκοῦντος καλλίστου εἶναι τά γε δὴ νῦν, φαίνεται δέ μοι καὶ αὐτὸς ἐγγὺς ἤδη που εἶναι προσιών.
ἔστιν δέ, ἦν δ' ἐγώ, τίς τε καὶ τοῦ;
οἶσθά που σύ γε, ἔφη, ἀλλ' οὔπω ἐν ἡλικίᾳ ἦν πρίν σε [154b] ἀπιέναι, Χαρμίδην τὸν τοῦ Γλαύκωνος τοῦ ἡμετέρου θείου ὑόν, ἐμὸν δὲ ἀνεψιόν.
οἶδα μέντοι νὴ Δία, ἦν δ' ἐγώ: οὐ γάρ τι φαῦλος οὐδὲ τότε ἦν ἔτι παῖς ὤν, νῦν δ' οἶμαί που εὖ μάλα ἂν ἤδη μειράκιον εἴη.
αὐτίκα, ἔφη, εἴσῃ καὶ ἡλίκος καὶ οἷος γέγονεν. καὶ ἅμα ταῦτ' αὐτοῦ λέγοντος ὁ Χαρμίδης εἰσέρχεται.
ἐμοὶ μὲν οὖν, ὦ ἑταῖρε, οὐδὲν σταθμητόν: ἀτεχνῶς γὰρ λευκὴ στάθμη εἰμὶ πρὸς τοὺς καλούς--σχεδὸν γάρ τί μοι πάντες οἱ ἐν τῇ ἡλικίᾳ καλοὶ φαίνονται--ἀτὰρ οὖν δὴ καὶ [154c] τότε ἐκεῖνος ἐμοὶ θαυμαστὸς ἐφάνη τό τε μέγεθος καὶ τὸ κάλλος, οἱ δὲ δὴ ἄλλοι πάντες ἐρᾶν ἔμοιγε ἐδόκουν αὐτοῦ-- οὕτως ἐκπεπληγμένοι τε καὶ τεθορυβημένοι ἦσαν, ἡνίκ' εἰσῄει--πολλοὶ δὲ δὴ ἄλλοι ἐρασταὶ καὶ ἐν τοῖς ὄπισθεν εἵποντο. καὶ τὸ μὲν ἡμέτερον τὸ τῶν ἀνδρῶν ἧττον θαυμαστὸν ἦν: ἀλλ' ἐγὼ καὶ τοῖς παισὶ προσέσχον τὸν νοῦν, ὡς οὐδεὶς ἄλλοσ' ἔβλεπεν αὐτῶν, οὐδ' ὅστις σμικρότατος ἦν, ἀλλὰ πάντες ὥσπερ ἄγαλμα ἐθεῶντο αὐτόν. καὶ ὁ [154d] Χαιρεφῶν καλέσας με, τί σοι φαίνεται ὁ νεανίσκος, ἔφη, ὦ Σώκρατες; οὐκ εὐπρόσωπος;
ὑπερφυῶς, ἦν δ' ἐγώ.
οὗτος μέντοι, ἔφη, εἰ ἐθέλοι ἀποδῦναι, δόξει σοι ἀπρόσωπος εἶναι: οὕτως τὸ εἶδος πάγκαλός ἐστιν.
συνέφασαν οὖν καὶ οἱ ἄλλοι ταὐτὰ ταῦτα+ τῷ Χαιρεφῶντι: κἀγώ, Ἡράκλεις, ἔφην, ὡς ἄμαχον λέγετε τὸν ἄνδρα, εἰ ἔτι αὐτῷ ἓν δὴ μόνον τυγχάνει προσὸν σμικρόν τι.
τί; ἔφη ὁ Κριτίας.
[154e] εἰ τὴν ψυχήν, ἦν δ' ἐγώ, τυγχάνει εὖ πεφυκώς. πρέπει δέ που, ὦ Κριτία, τοιοῦτον αὐτὸν εἶναι τῆς γε ὑμετέρας ὄντα οἰκίας.
ἀλλ', ἔφη, πάνυ καλὸς καὶ ἀγαθός ἐστιν καὶ ταῦτα.
τί οὖν, ἔφην, οὐκ ἀπεδύσαμεν αὐτοῦ αὐτὸ τοῦτο καὶ ἐθεασάμεθα πρότερον τοῦ εἴδους; πάντως γάρ που τηλικοῦτος ὢν ἤδη ἐθέλει διαλέγεσθαι.
καὶ πάνυ γε, ἔφη ὁ Κριτίας, ἐπεί τοι καὶ ἔστιν φιλόσοφός [155a] τε καί, ὡς δοκεῖ ἄλλοις τε καὶ ἑαυτῷ, πάνυ ποιητικός.
-작성중-
KrV.152.
Eine sophistische Kunst, seiner Unwissenheit, ja auch seinen vorsätzlichen Blendwerken den Anstrich der Wahrheit zu geben, daß man die Methode der Gründlichkeit, welche die Logik überhaupt vorschreibt,nachahmete, und ihre Topik zu Beschönigung jedes leeren Vorgebens benutzte. Nun kann man es als eine sichere und brauchbare Warnung anmerken: daß die allgemeine Logik, als Organon betrachtet, jederzeit eine Logik des Scheins, d.i. dialektisch sei. Denn da sie uns gar nichts über den Inhalt der Erkenntnis lehret, sondern nur bloß die formalen Bedingungen der Übereinstimmung mit dem Verstande, welche übrigens in Ansehung der Gegenstände gänzlich gleichgültig sein; so muß die Zumutung, sich derselben als eines Werkzeugs (Organon) zu gebrauchen, um seine Kenntnisse, wenigstens dem Vorgeben nach, auszubreiten und zu erweitern, auf nichts als Geschwätzigkeit hinauslaufen, alles, was man will, mit einigem Schein zu behaupten, oder auch nach Belieben anzufechten.
→ 그러한 궤변적인 방식은 사람들이 논리학 전반이 지시하는 철저성의 방식을 모방하고 논리학의 총체론을 각각의 공허한 사칭의 변명에 이용함으로써 그의 무지에게, 또한 그의 의도적인 기만들에 진리의 도료를 입히는 것이다.→ 이제 사람들은 하나의 확실하고 가용한 경고로서 그것을 주의할 수 있다: 도구라고 여겨지는 보편적인 논리학은 언제나 가상의 논리학, 증 변증적인 것이라고.→ 왜냐하면 보편적인 논리학은 우리에게 인식의 내용에 대하여 전혀 아무것도 가르쳐주지 않고, 오히려 단지 그 밖에 대상들에 대한 고려 속에서 전적으로 무관한 조건들, 지성과의 일치에 대한 형식적 조건들만을 가르쳐주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 가상의 논리학 자체를 최소한 그 사칭에 따르자면 그의 지식들을 펼치고 넓히기 위해서 수단(도구)으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부당한 요구는 사람들이 원하는 모든 것을 몇 가지 가상을 가지고 주장하거나 원하는 대로 논박하는 수다 외에 다른 아무 결과도 내지 못함에 틀림 없다.
Eine solche Unterweisung ist der Würde der Philosophie auf keine Weise gemäß. Um deswillen hat man diese Benennung der Dialektik lieber, als eine Kritik des dialektischen Scheins, der Logik beigezählt, und als eine solche wollen wir sie auch hier verstanden wissen.
→ 그러한 가르침은 철학의 품위에 어떤 식으로도 걸맞지 않다.→ 그 때문에 사람들은 변증학의 이러한 명칭을 변증적 가상의 비판으로서 논리학에 고려해 넣었고, 그러한 것으로서 우리도 또한 여기에서 그 명칭을 이해된 것으로 알고자 한다.
Eine sophistische Kunst, seiner Unwissenheit, ja auch seinen vorsätzlichen Blendwerken den Anstrich der Wahrheit zu geben, daß man die Methode der Gründlichkeit, welche die Logik überhaupt vorschreibt, nachahmete, und ihre Topik zu Beschönigung jedes leeren Vorgebens benutzte.
그러한 궤변적인 방식은, 그 가상의 무지에게, 또한 그 가상의 의도적인 기만들에 진리의 도료를 입히는, 사람들이 철저성의 방식을, 논리학 전반이 지시하는, 모방함으로써, 그리고 논리학의 총체론을 각각의 공허한 사칭의 변명에 이용함으로써.
→ 그러한 궤변적인 방식은 사람들이 논리학 전반이 지시하는 철저성의 방식을 모방하고 논리학의 총체론을 각각의 공허한 사칭의 변명에 이용함으로써 그의 무지에게, 또한 그의 의도적인 기만들에 진리의 도료를 입히는 것이다.
Nun kann man es als eine sichere und brauchbare Warnung anmerken: daß die allgemeine Logik, als Organon betrachtet, jederzeit eine Logik des Scheins, d.i. dialektisch sei.
이제 사람들은 하나의 확실하고 가용한 경고로서 그것을 주의할 수 있다: 보편적인 논리학은, 도구라고 여겨지는, 언제나 가상의 논리학, 증 변증적인 것이라고.
→ 이제 사람들은 하나의 확실하고 가용한 경고로서 그것을 주의할 수 있다: 도구라고 여겨지는 보편적인 논리학은 언제나 가상의 논리학, 증 변증적인 것이라고.
Denn da sie uns gar nichts über den Inhalt der Erkenntnis lehret, sondern nur bloß die formalen Bedingungen der Übereinstimmung mit dem Verstande, welche übrigens in Ansehung der Gegenstände gänzlich gleichgültig sein; so muß die Zumutung, sich derselben als eines Werkzeugs (Organon) zu gebrauchen, um seine Kenntnisse, wenigstens dem Vorgeben nach, auszubreiten und zu erweitern, auf nichts als Geschwätzigkeit hinauslaufen, alles, was man will, mit einigem Schein zu behaupten, oder auch nach Belieben anzufechten.
왜냐하면 보편적인 논리학은 우리에게 인식의 내용에 대하여 전혀 아무것도 가르쳐주지 않고, 오히려 단지 지성과 일치에 대한 형식적 조건들만을 가르쳐준다, 그 조건들이 그 밖에 대상들에 대한 고려 속에서 전적으로 무관한; 그래서 그 부당한 요구는, 그 가상의 논리학 자체를 수단(도구)으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그의 지식들을, 최소한 그 사칭에 따라서, 펼치고 넓히기 위해서, 수다 외에 다른 아무 결과도 내지 못함에 틀림 없다, 모든 것을, 사람들이 원하는, 몇 가지 가상을 가지고 구장하는, 혹은 원하는 대로 논박하는.
→ 왜냐하면 보편적인 논리학은 우리에게 인식의 내용에 대하여 전혀 아무것도 가르쳐주지 않고, 오히려 단지 그 밖에 대상들에 대한 고려 속에서 전적으로 무관한 조건들, 지성과의 일치에 대한 형식적 조건들만을 가르쳐주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 가상의 논리학 자체를 최소한 그 사칭에 따르자면 그의 지식들을 펼치고 넓히기 위해서 수단(도구)으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부당한 요구는 사람들이 원하는 모든 것을 몇 가지 가상을 가지고 주장하거나 원하는 대로 논박하는 수다 외에 다른 아무 결과도 내지 못함에 틀림 없다.
Eine solche Unterweisung ist der Würde der Philosophie auf keine Weise gemäß.
그러한 가르침은 철학의 품위에 어떤 식으로도 걸맞지 않다.
→ 그러한 가르침은 철학의 품위에 어떤 식으로도 걸맞지 않다.
Um deswillen hat man diese Benennung der Dialektik lieber, als eine Kritik des dialektischen Scheins, der Logik beigezählt, und als eine solche wollen wir sie auch hier verstanden wissen.
그 때문에 사람들은 변증학의 이러한 명칭을, 변증적 가상의 비판으로서, 논리학에 고려해 넣었고, 그러한 것으로서 우리는 또한 여기에서 그 명칭을 이해된 것으로 알고자 한다.
→ 그 때문에 사람들은 변증학의 이러한 명칭을 변증적 가상의 비판으로서 논리학에 고려해 넣었고, 그러한 것으로서 우리도 또한 여기에서 그 명칭을 이해된 것으로 알고자 한다.
-蟲-
KrV.151.
Weil aber die bloße Form des Erkenntnisses, so sehr sie auch mit logischen Gesetzen übereinstimmen mag, noch lange nicht hinreicht, materielle (objektive) Wahrheit dem Erkenntnisse darum auszumachen, so kann sich niemand bloß mit der Logik wagen, über Gegenstände zu urteilen, und irgend etwas zu behaupten, ohne von ihnen vorher gegründete Erkundigung außer der Logik eingezogen zu haben, um hernach bloß die Benutzung und die Verknüpfung derselben in einem zusammenhangenden Ganzen nach logischen Gesetzen zu versuchen, noch besser aber, sie lediglich darnach zu prüfen. Gleichwohl liegt so etwas Verleitendes in dem Besitze einer so scheinbaren Kunst, allen unseren Erkenntnissen die Form des Verstandes zu geben, ob man gleich in Ansehung des Inhalts derselben noch sehr leer und arm sein mag, daß jene allgemeine Logik, die bloß ein Kanon zur Beurteilung ist, gleichsam wie ein Organon zur wirklichen Hervorbringung wenigstens zum Blendwerk von objektiven Behauptungen gebraucht, und mithin in der Tat dadurch gemißbraucht worden. Die allgemeine Logik nun, als vermeintes Organon, heißt Dialektik.
→ 그러나 인식의 순전한 형식은 아무리 그 형식이 논리적 원칙들과 일치할지라도 실체적인(객관적인) 진리를 인식에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결코 충분하지는 않기 때문에, 그래서 앞서서 먼저 논리학 외에 근거 있는 문의를 이끌어 오고, 그 후에 관련한 전체에서 논리적 법칙들에 따라 조사한 것의 이용과 결합만으로, 그러나 더 낫게는, 그 대상들을 단지 그에 따라서만 시험해 보는 것 없이, 단순히 논리학만 가지고는 아무도 대상들을 판단함 너머로, 그리고 좌우간 어떤 것을 주장하는 것 너머로 나아갈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그 인식들의 내용에 대한 고려 속에서 공허하고 부족함에도 약간은 유혹하는 어떤 것이 우리의 모든 인식들에 지성의 형식을 주는 매우 그럴듯한 방법으로 유지된다. 평가에 대한 규준인 그러한 보편적 논리학은, 마치 객관적 주장들에 대한 실질적인 산출에 대한 도구가 최소한 기만에라도 사용되듯이, 그리고 따라서 실제로 그렇게 오용된다.→그 보편적 논리학은 이제 허위의 도구로서 변증학이라 불린다.
So verschieden auch die Bedeutung ist, in der die Alten dieser Benennung einer Wissenschaft oder Kunst sich bedienten, so kann man doch aus dem wirklichen Gebrauche derselben sicher abnehmen, daß sie bei ihnen nichts anders war, als die Logik des Scheins.
→ 또한 옛 사람들이 학문이나 방법의 이러한 명칭을 사용했던 그 의미는 상이하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럼에도 그 명칭의 실질적 사용으로부터 그 명칭이 옛 사람들에게 있어서 가상의 논리학 이외에 다른 아무것도 아니었음을 확실하게 추측할 수 있다.
Weil aber die bloße Form des Erkenntnisses, so sehr sie auch mit logischen Gesetzen übereinstimmen mag, noch lange nicht hinreicht, materielle (objektive) Wahrheit dem Erkenntnisse darum auszumachen, so kann sich niemand bloß mit der Logik wagen, über Gegenstände zu urteilen, und irgend etwas zu behaupten, ohne von ihnen vorher gegründete Erkundigung außer der Logik eingezogen zu haben, um hernach bloß die Benutzung und die Verknüpfung derselben in einem zusammenhangenden Ganzen nach logischen Gesetzen zu versuchen, noch besser aber, sie lediglich darnach zu prüfen.
그러나 인식의 순전한 형식은, 아무리 그 형식이 논리적 원칙들과 일치할지라도, 여전히 결코 충분하지는 않다, 실체적인(객관적인) 진리를 인식에게 그것에 관하여 형성하기 위해서는, 그래서 논리학만 가지고는 아무도 나아갈 수 없다, 대상들을 판단하는 것에 대하여, 그리고 좌우간 어떤 것을 주장하는 것에 대하여, 그것들에 앞서 먼저 논리학 외에 근거 있는 문의를 이끌어 오는 것, 그 후에 관련한 전체에서 논리적 법칙들에 따라 조사한 것의 이용과 결합만으로, 그러나 더 낫게는, 다만 그에 따라서만 그 대상들을 시험해 보는 것.
→ 그러나 인식의 순전한 형식은 아무리 그 형식이 논리적 원칙들과 일치할지라도 실체적인(객관적인) 진리를 인식에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결코 충분하지는 않기 때문에, 그래서 앞서서 먼저 논리학 외에 근거 있는 문의를 이끌어 오고, 그 후에 관련한 전체에서 논리적 법칙들에 따라 조사한 것의 이용과 결합만으로, 그러나 더 낫게는, 그 대상들을 단지 그에 따라서만 시험해 보는 것 없이, 단순히 논리학만 가지고는 아무도 대상들을 판단함 너머로, 그리고 좌우간 어떤 것을 주장하는 것 너머로 나아갈 수 없다.
Gleichwohl liegt so etwas Verleitendes in dem Besitze einer so scheinbaren Kunst, allen unseren Erkenntnissen die Form des Verstandes zu geben, ob man gleich in Ansehung des Inhalts derselben noch sehr leer und arm sein mag, daß jene allgemeine Logik, die bloß ein Kanon zur Beurteilung ist, gleichsam wie ein Organon zur wirklichen Hervorbringung wenigstens zum Blendwerk von objektiven Behauptungen gebraucht, und mithin in der Tat dadurch gemißbraucht worden.
그럼에도 불구하고 약간은 유혹하는 어떤 것이 매우 그럴듯한 방법으로 유지된다, 우리의 모든 인식들에 지성의 형식을 주는, 사람들이 그 인식들의 내용에 대한 고려 속에서 공허하고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보편적 논리학이, 그 논리학이 평가에 대한 규준인, 마치 객관적 주장들에 대한 실질적인 산출에 대한 도구가 최소한 기만에라도 사용되듯이, 그리고 따라서 실제로 그렇게 오용된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그 인식들의 내용에 대한 고려 속에서 공허하고 부족함에도 약간은 유혹하는 어떤 것이 우리의 모든 인식들에 지성의 형식을 주는 매우 그럴듯한 방법으로 유지된다. 평가에 대한 규준인 그러한 보편적 논리학은, 마치 객관적 주장들에 대한 실질적인 산출에 대한 도구가 최소한 기만에라도 사용되듯이, 그리고 따라서 실제로 그렇게 오용된다.
Die allgemeine Logik nun, als vermeintes Organon, heißt Dialektik.
그 보편적 논리학은 이제, 허위의 도구로서, 변증학이라 불린다.
→그 보편적 논리학은 이제 허위의 도구로서 변증학이라 불린다.
So verschieden auch die Bedeutung ist, in der die Alten dieser Benennung einer Wissenschaft oder Kunst sich bedienten, so kann man doch aus dem wirklichen Gebrauche derselben sicher abnehmen, daß sie bei ihnen nichts anders war, als die Logik des Scheins.
또한 그 의미는 상이하다, 그 의미에 옛 사람들이 학문이나 방법의 이러한 명칭을 사용했던, 그래서 사람들은 그럼에도 그 명칭의 실질적 사용으로부터 확실하게 추측할 수 있다, 그 명칭이 그들에게 있어서 다른 아무것도 아니었음을, 가상의 논리학 이외에.
→ 또한 옛 사람들이 학문이나 방법의 이러한 명칭을 사용했던 그 의미는 상이하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럼에도 그 명칭의 실질적 사용으로부터 그 명칭이 옛 사람들에게 있어서 가상의 논리학 이외에 다른 아무것도 아니었음을 확실하게 추측할 수 있다.
-蟲-
KrV.150.
Denn, was diesen widerspricht, ist falsch, weil der Verstand dabei seinen allgemeinen Regeln des Denkens, mithin sich selbst widerstreitet. Diese Kriterien aber betreffen nur die Form der Wahrheit, d.i. des Denkens überhaupt, und sind so fern ganz richtig, aber nicht hinreichend. Denn obgleich eine Erkenntnis der logischen Form völlig gemäß sein möchte, d.i. sich selbst nicht widerspräche, so kann sie doch noch immer dem Gegenstande widersprechen. Also ist das bloß logische Kriterium der Wahrheit, nämlich die Übereinstimmung einer Erkenntnis mit den allgemeinen und formalen Gesetzen des Verstandes und der Vernunft zwar die conditio sine qua non, mithin die negative Bedingung aller Wahrheit: weiter aber kann die Logik nicht gehen, und den Irrtum, der nicht die Form, sondern den Inhalt trifft, kann die Logik durch keinen Probierstein entdecken.
→ 왜냐하면 이러한 모순되는 것은 거짓이기 때문인데, 지성이 동시에 그 지성의 보편적 사유법칙들, 따라서 그 자체와 모순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표지들은 단지 진리의 형식만을, 즉 사유 전반의 형식만 관계하고, 전적으로 정당한 한에서만 그러하며, 그러나 충분하지는 않다.→ 왜냐하면 비록 인식이 논리적 형식에 완전히 적합할는지는 몰라도, 즉 그 자체로 모순은 아닐지라도, 그 인식이 또한 여전히 대상에 모순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진리의 순전히 논리적 표지, 말하자면 인식이 지성과 이성의 보편적이고 형식적인 원칙들과 이루는 일치는 필수적 전제 조건, 따라서 모든 진리의 부정적 조건이다: 그러나 그 이상 논리학이 나아갈 수는 없고, 형식이 아니라 오히려 내용을 마주치는 오류를 논리학은 어떠한 시금석을 통해서도 발견할 수 없다.
Die allgemeine Logik löset nun das ganze formale Geschäfte des Verstandes und der Vernunft in seine Elemente auf, und stellet sie als Prinzipien aller logischen Beurteilung unserer Erkenntnis dar. Dieser Teil der Logik kann daher Analytik heißen, und ist eben darum der wenigstens negative Probierstein der Wahrheit, in dem man zuvörderst alle Erkenntnis, ihrer Form nach, an diesen Regeln prüfen und schätzen muß, ehe man sie selbst ihrem Inhalt nach untersucht, um auszumachen, ob sie in Ansehung des Gegenstandes positive Wahrheit enthalten.
→ 보편적 논리학은 이제 지성과 이성의 전(全) 형식적 업무를 그것의 요소 안으로 풀어내고, 그것이 우리 인식의 모든 논리적 평가의 원칙들로서 드러낸다.→ 논리학의 이러한 부분은 그 때문에 분석학이라 불릴 수 있고, 바로 그 점에서 그 안에서 사람들이 사람들이 그것들 자체를 그것의 내용에 따라 탐구하기 전에 그것들이 대상들을 고려했을 때 긍정적 진리를 포함하는지 어떤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먼저 모든 인식을 그것의 형식에 따라 이러한 법칙들에 있어서 증명하고 평가해야만 하는 진리에 대한 최소한의 부정적 시금석이다.
Denn, was diesen widerspricht, ist falsch, weil der Verstand dabei seinen allgemeinen Regeln des Denkens, mithin sich selbst widerstreitet.
왜냐하면, 이러한 모순되는 것이, 거짓이기 때문인데, 지성이 동시에 그 지성의 보편적 사유법칙들, 따라서 그 자체와 모순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 왜냐하면 이러한 모순되는 것은 거짓이기 때문인데, 지성이 동시에 그 지성의 보편적 사유법칙들, 따라서 그 자체와 모순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Diese Kriterien aber betreffen nur die Form der Wahrheit, d.i. des Denkens überhaupt, und sind so fern ganz richtig, aber nicht hinreichend.
그러나 이러한 표지들은 단지 진리의 형식만을, 즉 사유 전반의 형식만 관계하고, 전적으로 정당한 한에서만 그러하며, 그러나 충분하지는 않다.
→ 그러나 이러한 표지들은 단지 진리의 형식만을, 즉 사유 전반의 형식만 관계하고, 전적으로 정당한 한에서만 그러하며, 그러나 충분하지는 않다.
Denn obgleich eine Erkenntnis der logischen Form völlig gemäß sein möchte, d.i. sich selbst nicht widerspräche, so kann sie doch noch immer dem Gegenstande widersprechen.
왜냐하면 비록 인식이 논리적 형식에 완전히 적합할는지는 몰라도, 즉 그 자체로 모순이 아닐지라도, 그 인식이 또한 여전히 대상에 모순될 수 있기 때문이다.
→ 왜냐하면 비록 인식이 논리적 형식에 완전히 적합할는지는 몰라도, 즉 그 자체로 모순은 아닐지라도, 그 인식이 또한 여전히 대상에 모순될 수 있기 때문이다.
Also ist das bloß logische Kriterium der Wahrheit, nämlich die Übereinstimmung einer Erkenntnis mit den allgemeinen und formalen Gesetzen des Verstandes und der Vernunft zwar die conditio sine qua non, mithin die negative Bedingung aller Wahrheit: weiter aber kann die Logik nicht gehen, und den Irrtum, der nicht die Form, sondern den Inhalt trifft, kann die Logik durch keinen Probierstein entdecken.
그러므로 진리의 순전히 논리적 표지, 말하자면 인식이 지성과 이성의 보편적이고 형식적인 원칙들과 이루는 일치는 필수적 전제 조건, 따라서 모든 진리의 부정적 조건이다: 그러나 그 이상 논리학이 나아갈 수는 없고, 오류를, 그 오류가 형식이 아니라 오히려 내용을 마주치는, 논리학은 어떠한 시금석을 통해서도 발견할 수 없다.
→ 그러므로 진리의 순전히 논리적 표지, 말하자면 인식이 지성과 이성의 보편적이고 형식적인 원칙들과 이루는 일치는 필수적 전제 조건, 따라서 모든 진리의 부정적 조건이다: 그러나 그 이상 논리학이 나아갈 수는 없고, 형식이 아니라 오히려 내용을 마주치는 오류를 논리학은 어떠한 시금석을 통해서도 발견할 수 없다.
Die allgemeine Logik löset nun das ganze formale Geschäfte des Verstandes und der Vernunft in seine Elemente auf, und stellet sie als Prinzipien aller logischen Beurteilung unserer Erkenntnis dar.
보편적 논리학은 이제 지성과 이성의 전(全) 형식적 업무를 그것의 요소 안으로 풀어내고, 그것이 우리 인식의 모든 논리적 평가의 원칙들로서 드러낸다.
→ 보편적 논리학은 이제 지성과 이성의 전(全) 형식적 업무를 그것의 요소 안으로 풀어내고, 그것이 우리 인식의 모든 논리적 평가의 원칙들로서 드러낸다.
Dieser Teil der Logik kann daher Analytik heißen, und ist eben darum der wenigstens negative Probierstein der Wahrheit, in dem man zuvörderst alle Erkenntnis, ihrer Form nach, an diesen Regeln prüfen und schätzen muß, ehe man sie selbst ihrem Inhalt nach untersucht, um auszumachen, ob sie in Ansehung des Gegenstandes positive Wahrheit enthalten.
논리학의 이러한 부분은 그 때문에 분석학이라 불릴 수 있고, 바로 그 점에서 진리에 대한 최소한의 부정적 시금석이다, 그 안에서 사람들이 무엇보다도 먼저 모든 인식을, 그것의 형식에 따라, 이러한 법칙들에 있어서 증명하고 평가해야만 하는, 사람들이 그것들 자체를 그것의 내용에 따라 탐구하기 전에, 결정하기 위해서, 그것들이 대상들을 고려했을 때 긍정적 진리를 포함하는지 어떤지를.
→ 논리학의 이러한 부분은 그 때문에 분석학이라 불릴 수 있고, 바로 그 점에서 그 안에서 사람들이 사람들이 그것들 자체를 그것의 내용에 따라 탐구하기 전에 그것들이 대상들을 고려했을 때 긍정적 진리를 포함하는지 어떤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먼저 모든 인식을 그것의 형식에 따라 이러한 법칙들에 있어서 증명하고 평가해야만 하는 진리에 대한 최소한의 부정적 시금석이다.
-蟲-
KrV.149.
Wenn Wahrheit in der Übereinstimmung einer Erkenntnis mit ihrem Gegenstande besteht, so muß dadurch dieser Gegenstand von andern unterschieden werden; denn eine Erkenntnis ist falsch, wenn sie mit dem Gegenstande, worauf sie bezogen wird, nicht übereinstimmt, ob sie gleich etwas enthält, was wohl von andern Gegenständen gelten könnte. Nun würde ein allgemeines Kriterium der Wahrheit dasjenige sein, welches von allen Erkenntnissen, ohne Unterschied ihrer Gegenstände, gültig wäre. Es ist aber klar, daß, da man bei demselben von allem Inhalt der Erkenntnis (Beziehung auf ihr Objekt) abstrahiert, und Wahrheit gerade diesen Inhalt angeht, es ganz unmöglich und ungereimt sei, nach einem Merkmale der Wahrheit dieses Inhalts der Erkenntnisse zu fragen, und daß also ein hinreichendes, und doch zugleich allgemeines Kennzeichen der Wahrheit unmöglich angegeben werden könne. Da wir oben schon den Inhalt einer Erkenntnis die Materie derselben genannt haben, so wird man sagen müssen: von der Wahrheit der Erkenntnis der Materie nach läßt sich kein allgemeines Kennzeichen verlangen, weil es in sich selbst widersprechend ist.
→ 만일 진리가 인식과 그 대상의 일치 속에서 존립한다면, 그를 통하여 이러한 대상이 다른 것으로부터 구분되어야만 한다; 왜냐하면 비록 그 인식이 충분히 다른 대상들에 유효할 수 있는 어떤 것을 포함하고 있을지라도 만일 그 인식이 관련되는 대상과 일치하지 않는다면 인식은 허위이기 때문이다.→ 이제 진리의 보편적 표지는 모든 인식들에 대하여, 그 인식의 대상들에 대한 구분 없이, 정당할 것이 될 것이다.→ 그러나 사람들이 그 곁에서 인식의 모든 내용을 (그것의 객체에 대한 연관을) 도외시하고, 진리가 직접 이러한 내용에 관계하기 때문에, 인식의 이러한 내용의 진리에 대한 표지에 따라 묻는 것이 전적으로 불가능하고 부조리할 것이고, 그러므로 충분하고도 또한 동시에 보편적인 진리의 표지가 제시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왜냐하면 우리가 위에서 이미 인식의 내용을 그것의 소재라고 불렀기 때문에, 그래서 사람들은 : 인식의 진리에 대하여 소재에 따라서는 그것에 어떠한 보편적인 표지도 요구하지 않아야 한다고 말해야만 할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그 자체로 모순이기 때문이다.
Was aber das Erkenntnis der bloßen Form nach (mit Beiseitesetzung alles Inhalts) betrifft, so ist eben so klar: daß eine Logik, so fern sie die allgemeinen und notwendigen Regeln des Verstandes vorträgt, eben in diesen Regeln Kriterien der Wahrheit darlegen müsse.
→ 그러나 순전한 형식에 따라서 인식에 (모든 내용들에 대한 무시와) 관련하는 것은, 바로 그래서 : 논리학은, 그것이 지성의 보편적이고 필연적인 법칙들을 개진하는 한, 바로 이러한 법칙들 안에서 진리의 표지들을 명시해야 한다는 것은 매우 분명하다.
Wenn Wahrheit in der Übereinstimmung einer Erkenntnis mit ihrem Gegenstande besteht, so muß dadurch dieser Gegenstand von andern unterschieden werden; denn eine Erkenntnis ist falsch, wenn sie mit dem Gegenstande, worauf sie bezogen wird, nicht übereinstimmt, ob sie gleich etwas enthält, was wohl von andern Gegenständen gelten könnte.
만일 진리가 인식과 그 대상의 일치 속에서 존립한다면, 그를 통하여 이러한 대상이 다른 것으로부터 구분되어야만 한다; 왜냐하면 인식은 허위이기 때문이다, 만일 그 인식이 대상과, 그것에 인식이 관련되는, 일치하지 않는다면, 비록 그 인식이 어떤 것을 포함하고 있을지라도, 충분히 다른 대상들에 유효할 수 있는.
→ 만일 진리가 인식과 그 대상의 일치 속에서 존립한다면, 그를 통하여 이러한 대상이 다른 것으로부터 구분되어야만 한다; 왜냐하면 비록 그 인식이 충분히 다른 대상들에 유효할 수 있는 어떤 것을 포함하고 있을지라도 만일 그 인식이 관련되는 대상과 일치하지 않는다면 인식은 허위이기 때문이다.
Nun würde ein allgemeines Kriterium der Wahrheit dasjenige sein, welches von allen Erkenntnissen, ohne Unterschied ihrer Gegenstände, gültig wäre.
이제 진리의 보편적 표지는 그것이 될 것이다, 모든 인식들에 대하여, 그 인식의 대상들에 대한 구분 없이, 정당할.
→ 이제 진리의 보편적 표지는 모든 인식들에 대하여, 그 인식의 대상들에 대한 구분 없이, 정당할 것이 될 것이다.
Es ist aber klar, daß, da man bei demselben von allem Inhalt der Erkenntnis (Beziehung auf ihr Objekt) abstrahiert, und Wahrheit gerade diesen Inhalt angeht, es ganz unmöglich und ungereimt sei, nach einem Merkmale der Wahrheit dieses Inhalts der Erkenntnisse zu fragen, und daß also ein hinreichendes, und doch zugleich allgemeines Kennzeichen der Wahrheit unmöglich angegeben werden könne.
그러나 명백하다, 그것, 사람들이 그 곁에서 인식의 모든 내용을 (그것의 객체에 대한 연관을) 도외시하고, 진리가 직접 이러한 내용에 관계하기 때문에, 전적으로 불가능하고 부조리할 것이다, 인식의 이러한 내용의 진리에 대한 표지에 따라 묻는 것이, 그리고 그러므로 충분한, 그리고 또한 동시에 보편적인 진리의 표지가 불가능하게 제시될 수 있다는 것이.
→ 그러나 사람들이 그 곁에서 인식의 모든 내용을 (그것의 객체에 대한 연관을) 도외시하고, 진리가 직접 이러한 내용에 관계하기 때문에, 인식의 이러한 내용의 진리에 대한 표지에 따라 묻는 것이 전적으로 불가능하고 부조리할 것이고, 그러므로 충분하고도 또한 동시에 보편적인 진리의 표지가 제시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Da wir oben schon den Inhalt einer Erkenntnis die Materie derselben genannt haben, so wird man sagen müssen: von der Wahrheit der Erkenntnis der Materie nach läßt sich kein allgemeines Kennzeichen verlangen, weil es in sich selbst widersprechend ist.
왜냐하면 우리가 위에서 이미 인식의 내용을 그것의 소재라고 불렀기 때문에, 그래서 사람들은 말해야만 할 것이다: 인식의 진리에 대하여 소재에 따라서는 그것에 어떠한 보편적인 표지도 요구하지 않아야 한다고, 왜냐하면 그것은 그 자체로 모순이기 때문이다.
→ 왜냐하면 우리가 위에서 이미 인식의 내용을 그것의 소재라고 불렀기 때문에, 그래서 사람들은 : 인식의 진리에 대하여 소재에 따라서는 그것에 어떠한 보편적인 표지도 요구하지 않아야 한다고 말해야만 할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그 자체로 모순이기 때문이다.
Was aber das Erkenntnis der bloßen Form nach (mit Beiseitesetzung alles Inhalts) betrifft, so ist eben so klar: daß eine Logik, so fern sie die allgemeinen und notwendigen Regeln des Verstandes vorträgt, eben in diesen Regeln Kriterien der Wahrheit darlegen müsse.
그러나 순전한 형식에 따라서 인식에 (모든 내용들에 대한 무시와) 관련하는 것은, 바로 그래서 매우 분명하다: 논리학은, 그것이 지성의 보편적이고 필연적인 법칙들을 개진하는 한, 바로 이러한 법칙들 안에서 진리의 표지들을 명시해야 한다는 것.
→ 그러나 순전한 형식에 따라서 인식에 (모든 내용들에 대한 무시와) 관련하는 것은, 바로 그래서 : 논리학은, 그것이 지성의 보편적이고 필연적인 법칙들을 개진하는 한, 바로 이러한 법칙들 안에서 진리의 표지들을 명시해야 한다는 것은 매우 분명하다.
-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