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blematische Urteile sind solche, wo man das Bejahen oder Verneinen als bloß moglich (beliebig) annimmt. Assertorische, da es als wirklich (wahr) betrachtet wird. Apodiktische, in denen man es als notwendig ansieht¹. So sind die beiden Urteile, deren Verhaltnis das hypothetische Urteil ausmacht, (antec. und consequ.), imgleichen in deren Wechselwirkung das Disjunktive besteht, (Glieder der Einteilung) insgesamt nur problematisch. In dem obigen Beispiel wird der Satz: es ist eine vollkommene Gerechtigkeit da, nicht assertorisch gesagt, sondern nur als ein beliebiges Urteil, wovon es moglich ist, daß jemand es annehme, gedacht, und nur die Konsequenz ist assertorisch. Daher konnen solche Urteile auch offenbar falsch sein, und doch, problematisch genommen, Bedingungen der Erkenntnis der Wahrheit sein. So ist das Urteil: die Welt ist durch blinden Zufall da, in dem disjunktiven Urteil nur von problematischer Bedeutung, namlich, daß jemand diesen Satz etwa auf einen Augenblick annehmen moge, und dient doch, (wie die Verzeichnung des falschen Weges, unter der Zahl aller derer, die man nehmen kann,) den wahren zu finden.
→ 개연 판단들은 사람들이 긍정이나 부정을 순전히 가능적인 것으로서 (임의적인 것으로서) 받아들이는 경우 그러한 개연 판단들이다.→ 단정 판단들은 그것이 현실적인 것으로 (참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그러한 판단들이다.→ 필연 판단들은 그 판단들 안에서 사람들이 그것을 필연적인 것으로 간주하는¹ 그러한 판단들이다.→ 그래서 그것들의 관계가 가언 판단을 형성하는 양자의 판단들(전제와 결론)은 그 판단들의 상호작용 안에 선언 판단이 존립하는 판단들(분할의 마디들)과 마찬가지로 모두 다 단지 개연적이다.→ 상술한 예시에서 :여기에 완전한 정의가 있다 라는 명제는 단정적으로 이야기되지 않고, 오히려 단지 그와 관련하여 누군가는 그것을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한, 임의적 판단으로서만 생각된다. 그리고 오로지 결론만이 단정적이다.→ 그런 이유로 그러한 판단은 또한 명백한 오류일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연적으로 취해질 때 진리에 대한 인식의 조건들일 수 있다.→ 그래서 :세계는 맹목적 우연에 의해 여기 있다 라는 판단은 선언 판단 안에서 오로지 개연적 의미에 대한 것일 뿐이다. 즉 누군가 이 명제를 어느 정도 현재에 대해 취할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사람들이 취할 수 있는 그 모든 길들의 수 아래에서 잘못된 길의 기록과 같이) 진리를 발견하는 데에 쓸모가 있다.

¹ Gleich, als wenn das Denken im ersten Fall eine Funktion des Verstandes, im zweiten der Urteilskraft, im dritten der Vernunft ware. Eine Bemerkung, die erst in der Folge ihre Aufklarung erwartet.
→ ¹ 마찬가지로, 사유는 첫째로 지성의 기능이고, 다음으로 판단력의, 세 번째로 이성의 기능일 것이다.→ 이 소견은 이어지는 장들에서 처음으로 그 해명이 기대된다.


Problematische Urteile sind solche, wo man das Bejahen oder Verneinen als bloß moglich (beliebig) annimmt.
개연 판단들은 그러한 것들이다, 사람들이 긍정이나 부정을 순전히 가능적인 것으로서 (임의적인 것으로서) 받아들이는 경우.
→ 개연 판단들은 사람들이 긍정이나 부정을 순전히 가능적인 것으로서 (임의적인 것으로서) 받아들이는 경우 그러한 개연 판단들이다.
Assertorische, da es als wirklich (wahr) betrachtet wird.
단정 판단들은, 그것이 현실적인 것으로 (참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 단정 판단들은 그것이 현실적인 것으로 (참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그러한 판단들이다.
Apodiktische, in denen man es als notwendig ansieht¹.
필연 판단들은, 그 판단들 안에서 사람들이 그것을 필연적인 것으로 간주하는¹.
→ 필연 판단들은 그 판단들 안에서 사람들이 그것을 필연적인 것으로 간주하는¹ 그러한 판단들이다.
So sind die beiden Urteile, deren Verhaltnis das hypothetische Urteil ausmacht, (antec. und consequ.), imgleichen in deren Wechselwirkung das Disjunktive besteht, (Glieder der Einteilung) insgesamt nur problematisch.
그래서 양자의 판단들은, 그것들의 관계가 가언 판단을 형성하는, (전제와 결론), 그 판단들의 상호작용 안에 선언 판단이 존립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분할의 마디들) 모두 다 단지 개연적이다.
→ 그래서 그것들의 관계가 가언 판단을 형성하는 양자의 판단들(전제와 결론)은 그 판단들의 상호작용 안에 선언 판단이 존립하는 판단들(분할의 마디들)과 마찬가지로 모두 다 단지 개연적이다.
In dem obigen Beispiel wird der Satz: es ist eine vollkommene Gerechtigkeit da, nicht assertorisch gesagt, sondern nur als ein beliebiges Urteil, wovon es moglich ist, daß jemand es annehme, gedacht, und nur die Konsequenz ist assertorisch.
상술한 예시에서 :여기에 완전한 정의가 있다 라는 명제는, 단정적으로 이야기되지 않고, 오히려 단지 임의적 판단으로서만, 그로부터 그것이 가능한, 누군가 그것을 받아들이는 것이, 생각된다, 그리고 오로지 결론만이 단정적이다.
→ 상술한 예시에서 :여기에 완전한 정의가 있다 라는 명제는 단정적으로 이야기되지 않고, 오히려 단지 그와 관련하여 누군가는 그것을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한, 임의적 판단으로서만 생각된다. 그리고 오로지 결론만이 단정적이다.
Daher konnen solche Urteile auch offenbar falsch sein, und doch, problematisch genommen, Bedingungen der Erkenntnis der Wahrheit sein.
그런 이유로 그러한 판단은 또한 명백한 오류일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연적으로 취해질 때, 진리에 대한 인식의 조건들일 수 있다.
→ 그런 이유로 그러한 판단은 또한 명백한 오류일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연적으로 취해질 때 진리에 대한 인식의 조건들일 수 있다.
So ist das Urteil: die Welt ist durch blinden Zufall da, in dem disjunktiven Urteil nur von problematischer Bedeutung, namlich, daß jemand diesen Satz etwa auf einen Augenblick annehmen moge, und dient doch, (wie die Verzeichnung des falschen Weges, unter der Zahl aller derer, die man nehmen kann,) den wahren zu finden.
그래서 :세계는 맹목적 우연에 의해 여기 있다 라는 판단은, 선언 판단 안에서 오로지 개연적 의미에 대한 것일 뿐이다. 즉, 누군가 이 명제를 어느 정도 현재에 대해 취할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쓸모가 있다, (잘못된 길의 기록이, 그 모든 잘못된 길들의 수 아래에서, 그 수를 사람들이 취할 수 있는,) 진리를 발견하는.
→ 그래서 :세계는 맹목적 우연에 의해 여기 있다 라는 판단은 선언 판단 안에서 오로지 개연적 의미에 대한 것일 뿐이다. 즉 누군가 이 명제를 어느 정도 현재에 대해 취할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사람들이 취할 수 있는 그 모든 길들의 수 아래에서 잘못된 길의 기록과 같이) 진리를 발견하는 데에 쓸모가 있다.

¹ Gleich, als wenn das Denken im ersten Fall eine Funktion des Verstandes, im zweiten der Urteilskraft, im dritten der Vernunft ware.
¹ 마찬가지로, 사유가 첫째로 지성의 기능이고, 다음으로 판단력의, 세 번째로 이성의 기능일 것이다.
→ ¹ 마찬가지로, 사유는 첫째로 지성의 기능이고, 다음으로 판단력의, 세 번째로 이성의 기능일 것이다.
Eine Bemerkung, die erst in der Folge ihre Aufklarung erwartet.
소견, 처음으로 이어지는 장들에서 그 소견의 해명을 기대하는.
→ 이 소견은 이어지는 장들에서 처음으로 그 해명이 기대된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