뭔가 이 논문 때문에 방문자 수가 늘었나 싶어 일단 출처를 좀 더 자세히 밝힌다. http://www.philosophy.ox.ac.uk/members/emeritus/lesley_brown ...그런데 생각해 보니 뭘로 검색하든 저 페이지가 먼저 뜰 텐데 그럼 왜 갑자기 방문자가 400 가까이 되는 거냐. 뭐 그러거나 말거나. 일단 참고문헌들 빠방하고 논증이 견고한 듯하여 읽는 재미와 읽는 고됨이 동반되는 글이다. 영어 때문인지 이해가 부족한 건지 따라가지 못한 부분도 몇 개 있어서 좀 물고 빨고 해야 할 듯. 아, 그리고 Mrs Lesley Brown, 혹시 이 글 보면 그리스어 서식으로 S-Greek 쓰지 마요... 복붙을 못 하겠잖아요...

  Charles Kahn’s work on the verb ‘be’ in ancient Greek has sparked what he has “modestly called [his] version of the Copernican Revolution: replacing existence by predication at the center of the system of uses for einai”.[각주:1] In gratitude for the stimulus I have gained from this rich seam within Kahn’s wide-ranging work, and for fruitful exchanges on einai over the years, I am very happy to contribute these tentative remarks on a stretch of Plato’s Sophist. His insight about einai and predication will prove to be an important key in unlocking some of the difficulties I examine below. My aim is to try to understand what I regard as the most difficult stretch of the Sophist, 257-9. In responding to a particularly impenetrable claim made by the Eleatic Stranger (ES), Theaetetus announces at 258b7 that they have found τὸ μὴ ὄν (not being), which they have been searching for on account of the sophist. He is thinking, of course, of what sparked the long excursus into not being and being: the sophist’s imagined challenge to the inquirers’ defining his expertise as involving images and falsehood. Here’s that challenge: speaking of images and falsehood requires speaking of what is not, and combining it with being, but to do so risks contradiction and infringes a dictum of Parmenides. This heralds the puzzles of not being, and of being, which are followed by the positive investigations of the Sophist’s Middle Part. So Theaetetus’ eureka moment ought to signal some satisfying clarification and closure to the discussions. But in fact the stretch it is embedded in is singularly baffling, and the subject of continuing debate among commentators.[각주:2] There is little agreement about what issues Plato is discussing in this section, let alone about any supposed solutions.
  고대 그리스어에서 'be' 동사에 대한 찰스 칸의 작업은 그가 "점잖게 이름하여 [그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라 부른, einai 용례 체계의 중심에서 계사에 의한 존재사의 교체"를 촉발시켰다. 칸의 광범위한 작업 내의 이 보고로부터 내가 얻은 자극에 대한, 그리고 einai에 관한 유익한 교환들에 대한 감사에서, 플라톤의 『소피스테스』의 일정 대목에 관하여 이 잠정적인 언급들을 표명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 einai와 계사에 대한 그의 통찰은 이하에서 내가 고찰하는 난점들 중 일부를 해소하는 데에 중요한 열쇠임이 드러날 것이다. 내 목표는 내가 『소피스테스』에서 가장 어려운 대목으로 간주하는 257-9를 이해해 보는 것이다. 엘레아 손님에 의해 구성되는 특히나 불가해한 요청에 답하면서, 테아이테토스는 258b7에서 그들이 소피스테스 때문에 추적하고 있던 to me on을 발견했다고 선언한다. 그는 물론 not being과 being으로 들어서는 긴 여담을 촉발시켰던 것, 소피스트의 기술을 모상과 거짓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는 탐구자들의 정의에 대한 소피스테스의 가상의 이의제기에 대해 생각하고 있다. 그 이의제기는 이런 것이다: 모상들과 거짓을 말하는 것은 what is not에 대해 말함을 요구받고, 그것을 being과 결합시킬 것을 요청받지만, 그렇게 하는 것은 모순을 범하고 파르메니데스의 금언을 위반할 위험이 있다. 이것은 『소피스테스』의 핵심부에 대한 결정적인 연구들에 의해 귀결되는, not being 그리고 being의 수수께끼에 대한 전조이다. 그래서 테아이테토스의 발견의 순간은 그 논의들에 대한 어느 정도 만족스러운 해명과 종결의 신호여야 한다. 하지만 실상 그 순간이 포함된 대목은 유독 당혹스럽고, 주석가들 사이에서 지속되는 논쟁의 주제이다. 이 부분에서 추정된 해법들에 대해서는 고사하고 플라톤이 논의하고 있는 문제들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거의 동의된 바 없다.
  [2] My strategy is to try to read the passage without preconceived ideas about what it ought to contain. Some of the most celebrated discussions fall down, in my view, precisely because they have an agenda about what must be found there. For instance, many commentators note that an account of negative predication is a desideratum. This is to fill the gap between 256e, (by which point we have an account of ‘Kinesis is not being’ where this is a denial of identity between Kinesis and the kind being,) and 263, where we are given an account of the false predicative sentence ‘Theaetetus flies’, which seems to require that Plato has already offered an account of negative predication. So some critics attempt to find an account of negative predication at a point in our stretch where the topic is, I submit, quite different: see my analysis of Stage 2 below.[각주:3] To take a different example, Owen’s celebrated essay locates the key error exposed by Plato as that of taking ‘is not’ to mean ‘is not anything at all’, and Owen sees a reference to this at 2586ff, where the ES remarks that in revealing τὸ μὴ ὄν (not being) they have not been so bold as to say that the contrary of being is. To justify that account (which may well be correct) Owen offered a very forced reading of the opening of our problem stretch - I label it Stage 1 below -, believing that there the ES is explaining the negation of ‘… is…’ by an analogy with the negation of ‘large’. Again, careful reading of that passage reveals - I shall argue - that Owen’s account of it cannot stand.[각주:4]
  나의 전략은 해당 구절이 무엇을 포함해야 한다는 것에 대한 선입견 없이 그 구절을 독해해 보는 것이다. 가장 유명한 일부 논의들은 내가 보기에 부족하다, 정확히 말하자면 그 이유는 그들이 그곳에서 발견되어야만 하는 것에 대한 일종의 안건을 지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여러 주석가들은 부정술어에 대한 설명이 필수적인 것이라는 데에 주목한다. 이것은 256e(그 지점에서 'Kinesis is not being'이 Kinesis와 유類 being 사이의 동일성에 대한 부정이라는 설명을 우리가 얻는)와 '테아이테토스가 날고 있다'라는 거짓 서술문장에 대해, 플라톤이 이미 부정 서술에 대한 설명을 제공했다는 점이 요청되는 듯한, 그런 설명이 주어지는 263 사이의 간극을 메워주는 것이다. 그래서 일부 비평가들은 내 생각에 상당히 어려운 문제를 다루는 우리의 대목 중 한 지점에서 부정 서술에 대한 설명을 발견하고자 시도한다. 2단계 이하에서의 내 분석을 참고하라. 다른 예를 들자면, 오웬의 유명한 논문은 플라톤에 의해 노출된 핵심적인 오류를 'is not'이 'is not anything at all'을 의미한다고 받아들이는 오류로 두고, 오웬은 이에 대한 언급을 2586 이하<아마도 '258e6 이하'의 오기인 듯>, ES가 not being을 밝힘에 있어서 being의 반대인 것이라고 말할 정도로 무모하진 않았다고 언급하는 구절에서 찾는다. 그 설명(아마도 옳을)을 정당화하기 위해 오웬은 우리가 문제 삼는 대목 - 나는 아래에서 그 대목을 1 단계로 이름붙인다 - 의 도입부에 대해 매우 억지스러운 독해를 내놓았다, 거기에서 ES가 'large'에 대한 부정과의 유비로 '… is…'의 부정을 설명하고 있다고 믿으면서 말이다. 다시, 해당 구절에 대한 주의 깊은 독해는 - 내가 주장하기로 - 오웬의 그 설명이 견지될 수 없음을 밝혀준다.
  I start by outlining three problems concerning our passage.
  우리가 다루는 구절에 관련된 세 가지 문제들을 간략히 소개하면서 시작한다.
  First: the obscurity problem (whence my title’s “dark matter”). The topic or topics of the section are hard to discern, and have given rise to a plethora of very different readings. The section culminates in two accounts of not being, both of them worded obscurely and hard to fathom. The accounts are apparently meant to be equivalent (258d), though they seem to be rather different, as I discuss below.
  첫 번째, 모호성 문제 (내 제목의 'dark matter'가 거기서 나온다). 이 부분의 문제 혹은 문제들은 분간하기 어렵고, 지극히 상이한 독해들의 범람을 야기시켜왔다. 그 부분은 결국 not being에 대한 두 가지 설명으로 귀결된다. 그 둘 모두 모호하고 헤아리기 어려운 말로 된다. 그 설명들은 외견상 같은 것으로 여겨진다, 그것들이 상당히 다른 듯 보이더라도, 내가 이하에서 논의하는 것처럼.
  Second: the sandwich problem. This obscure stretch comes between two very carefully written and highly important stretches of the work. It follows the ‘Communion of Kinds‘ section, where Plato makes the ES set out four quartets of statements showing how Kinesis combines with the four other kinds. He shows how both (1) ‘Kinesis is the same’ and (2) ‘Kinesis is not the same’ can be true, and [3] explains why this is so, in manner which can explain the parallel claims that Kinesis both is and is not different, and Kinesis is and is not being.[각주:5] Though scholars are divided over how to read the lines in which the ES explains why (1) and (2) are not, despite appearances, contradictory, it is clear that the Communion of Kinds section is carefully written and fully signposted by Plato. And the section that follows our problem stretch - that on logos and false logos - is even more carefully signposted. From 260b-261c the ES explains patiently that the new problem - that of not being as falsehood - is different from the topic of not being discussed before. And what follows - the stretch in which the ES explains what a logos is, and how a false logos is possible, 261d-264b - is another brilliant stretch of dialogue. So our problematic stretch is sandwiched between two careful, lucid and successful discussions.
  두 번째, 샌드위치 문제. 이 모호한 대목은 아주 주의 깊게 쓰인 그리고 이 작품의 고도로 중요한 두 대목들 사이에 온다. 이 대목은 '유들의 결합' 부분에 뒤따르는데, 그 부분은 플라톤이 ES로 하여금 어떻게 운동이 다른 네 가지 유들과 결합하는지 보여주는 네 항목으로 된 네 묶음의 진술들을 정리하도록 하는 부분이다. 그는 어떻게 (1) 'Kinesis is the same'과 (2) 'Kinesis is not the same' 둘 모두 참일 수 있는지 보여주고, 이것이 왜 그러한지, Kinesis is and is not different, Kinesis is and is not being이라는 양립하는 주장들을 설명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명한다. ES가 외견상으로 모순됨에도 불구하고 (1)과 (2)가 모순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는 구절을 어떻게 읽을 것인지에 대해 학자들의 의견이 분분하더라도, 유들의 결합 부분이 플라톤에 의해 주의 깊게 쓰이고 충실한 이정표로 제시된다는 점은 분명하다. 그리고 우리가 문제 삼는 대목을 뒤따르는 부분 - logos와 거짓 logos에 관한 - 은 한층 더 신준하게 이정표로 제시된다. 260b부터 261c까지 ES는 끈기 있게 새로운 문제 - 거짓으로서의 not being에 대한 문제 - 가 앞서 논의된 not being 문제와 다르다는 점을 설명한다. 그리고 이어지는 것은 - ES가 logos는 무엇인지 설명하고, 어떻게 거짓 logos가 가능한지 설명하는, 261d-264b - 대화편의 또 다른 멋진 대목이다. 그래서 우리의 문제적인 대목은 두 가지 주의 깊고 명철하며 성공적인 논의들 사이에서 샌드위치된다.(짜부된다? 낑긴다?)
  Third: the résumé problem. After a preamble from 258e6, the ES gives (from 259a4) what purports to be a résumé of our problem passage, but it signally leaves out what had appeared to be its key moments, the accounts of what the form of not being is.
  세 번째, 요약 문제. 258e6부터의 서두 이후, ES는 (259a4부터) 우리가 문제 삼는 구절에 대한 요지가 될 것을 제공하지만, 그 핵심이 되는 지점들인 듯이 보인, not being의 형상이 무엇인지에 대한 설명들을 분명 남겨 둔다.
  Stranger: [Intro.] Then let no-one say against us that it is some contrary of being which we are bringing to light when we make bold to say that not being is. As far as some contrary of it goes, we long ago said goodbye to such a thing, (259a) whether it is or is not, whether any explanation [logos] can be given of it or whether it's utterly unexplainable [alogon]. But as for what we've just now said not being is - if someone wants to try to refute that and to persuade us that it's not correct, let them do so; but until they succeed, they must say just what we say on these matters: [Résumé] viz, that the kinds mix (a5) with one another, and that being and the different pervade all the kinds and each other.[각주:6] The different shares in being and is because of that sharing, not that in which it shares but different, and, because it is different from being, (259b) it clearly has to be that it is not being.[각주:7] And, being, in turn, because it shares in the different, will be different from the other kinds, and, being [4] different from them all, is not each of them or all of them except itself.[각주:8] So being, in turn, undeniably is not a thousand things, while those other kinds in the same way, each and every one of them, is in many ways and in many ways is not.[각주:9]
  손님: [도입] 그래서 그 누구도 우리에게 맞서 우리가 과감히 not being is라고 말할 때 우리가 밝히고 있는 것이 being의 어떤 반대되는 것이라고 말하지 못하도록 하세. 그것과 반대되는 어떤 것에 관하여서는, 그런 것에 대해 우리가 오래 전에 작별을 고했네, (259a) 그것이 is든 is not이든, 어떤 설명 [logos]가 그것에 대해 주어질 수 있든 전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것 [alogon]이든 말이지. 하지만 방금 우리가 말했던 not being 이라는 것에 관하여서는 - 누군가 그것을 반박하고 그것이 옳지 못하고 우리를 설득하길 원한다면, 그들이 그렇게 하도록 내버려 두게; 하지만 그들이 성공하기 전까지, 그들은 반드시 우리가 말하는 바로 그것처럼 이 문제들에 대해 말해야만 하네. [요지] 즉, 유들이 상호에 섞인다고, 그리고 being과 다름이 모든 유들과 서로에 스며든다고 말일세. 다름은 being을 나누어 가지고 그 나누어 가짐 때문에 ~이지만, 그것이 나누어 가지는 것이 아니라 다른 것이며, 그것이 being과 다르기 때문에, (259b) 그것이 being이지 않다는 것은 분명하지. 또 이번엔 being은 다름을 나누어 가지기 때문에, 다른 유들과 다를 것이고, being이 그것들 모두와 다르기에, 그 자신을 제외하고 그것들 각각도 그것들 모두도 아닐세. 그래서 이번엔, being은 부정할 수 없이 수 천 가지의 것들이지 않고, 반면 저 다른 유들도 같은 방식으로, 그것들 각각 모든 하나하나가 여러 가지 방식에서 ~이고 또 많은 방식에서 ~이지 않다네.
  There is a question what the introductory lines refer to. There may be a reference to 257b1-c4 (discussed below), but it seems more likely that the back reference is to the aporetic passage at 238c-239a. What is quite plain is that in the résumé proper, the ES rehearses points that had been established in the discussion of the Communion of Kinds, as my footnotes marking some of the parallels indicate. That is, before our problem passage begins at 257b1. This difficulty faces everyone trying to understand our stretch, but it poses an especially severe problem for those (such as Michael Frede and others) who hold that here Plato has set himself and accomplished the novel task of explaining negative predication. Frede holds that a key advance is made in our stretch, with the much-desired account of negative predication, an advance that is crucial, in his view, to the account of falsehood that follows. But, as Frede admits, ‘it has to be granted that it is puzzling that Plato in the summary [i.e. 259a3-b6, above] returns to the cases of not being that do not seem worrisome and that, in any case, we are not worried about if we are worried about false statements’.[각주:10]
  도입부의 구절들이 언급하는 바가 무엇인지에 대해 문제가 있다. 아마도 257b1-c4(이하에서 논의되는)를 언급할 수도 있겠지만, 238c-239a의 난해한 구절에 대한 재언급이라는 것이 더욱 그럴 듯해 보인다. 꽤나 분명한 점은 그 요지 내에서, ES가 유들의 결합에 대한 논의에서 확립되었던 점들을 예행연습한다는 것이다, 내 각주에서 그 유사점들이 드러나듯. 그것은 257b1에서 우리가 문제 삼는 구절들이 시작되기 전이다. 이 어려움은 우리의 그 대목을 이해하고자 시도하는 모든 이들이 직면하게 되지만, 특히나 (미카엘 프레데와 다른 사람들 같은) 여기에서 플라톤이 그 자신을 내세우고 부정 서술을 설명한다는 새로운 과업을 성취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에게 특히 심각한 문제를 제기한다. 프레데는 핵심적인 진전이 그 대목에서 이루어진다고 주장한다, 무척이나 바라는 부정 서술에 대한 설명과 함께, 뒤따르는 거짓에 대한 설명에, 그가 보기에 결정적인 진전이 말이다. 하지만, 프레데가 인정하듯, '플라톤이 그 요약[즉, 위의259a3-b6]에서 우리가 거짓 진술들에 대해 걱정한다면 어떤 경우에도 걱정하지 않고 걱정스러운 것으로 보이지도 않는 not being의 사례들로 돌아간다는 것은 수수께끼라는 점을 받아들여야 한다'.
I now turn to our problem passage itself. I divide it into four stages, as follows:
First stage, 257b1-c4: the meaning of negative expressions: ‘not contrary but only different’.
Second stage, 257c5-d13: the parts of the different and their names compared to the parts of knowledge and their names
Third stage, 257d14-258e5: more on the parts of the different, culminating in two accounts of what ‘the form of not being’ is.
Fourth stage, 258e6- 259b7: conclusion with résumé (quoted and discussed above).
나는 이제 우리가 문제 삼는 구절 그 자체로 향한다. 나는 그것을 네 단계로 다음과 같이 나눈다.
첫 번째 단계, 257b1-c4: 부정 표현들의 의미: '반대가 아니라 단지 다름'.
두 번째 단계, 257c5-d13: 지식의 부분들과 그것들의 이름들에 비교된 다름의 부분들과 그것들의 이름들.
세 번째 단계, 257d14-258e5: 'not being의 형상'인 것에 대한 두 가지 설명들로 귀결되는, 다름의 부분들에 관한 추가적 설명.
네 번째 단계, 258e6-259b7: 요지와 함께 결론 (위에서 인용되고 논의된)

Stage 1: what negative expressions mean (I justify this controversial title below)
첫 단계: 부정 표현들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 논란거리인 제목을 이하에서 정당화한다)
[5]
Str. Now then, let's look at the following as well -
ES. 자 이제, 다음의 것도 살펴봅시다 -
Tht. What?
테아이테토스. 무엇을 살펴보죠?
Str. Whenever we speak of not being, (so it seems), we don't speak of something contrary to being, but only different. A1
우리가 not being을 말할 때는 언제든, (그렇게 보이는 바), 우리가 being에 반대되는 뭔가가 아니라, 단지 다른 것만을 말합니다. A1
Tht. How so?
어떻게 그렇죠?
Str. For example, when we call something “not large”, do you think we signify small by that expression any more than same-sized? A2
예를 들어, 우리가 "크지 않은" 어떤 것을 부를 때, 당신은 우리가 그 표현으로 같은 크기인 것보다 작은 것을 조금이라도 더 의미한다고 생각하십니까? A2
Tht. No.
아닙니다.
Str. So, when it is said that a negative signifies a contrary, we shan't agree, but we'll allow only this much - the prefixed word "not" indicates something other than the words following the negative, or rather, other than the things which the words uttered after the negative apply to. A3
그렇게, 부정이 반대를 의미한다고 이야기될 때, 우리는 동의하지 않을 것이나, 오직 이것 만큼만 받아들일 것입니다 - 앞에 놓이는 'not'이 그 부정에 뒤따르는 단어들과 다른 어떤 것을 가리키거나, 혹은 차라리, 부정 뒤에 그 언표된 단어들이 적용되는 것(사물)들과 다른 것을 지시한다고 말입니다. A3
Tht. Absolutely.
절대적으로 그렇습니다.

  The key to understanding this problematic stretch lies in seeing the relation between the claims I have labelled A1, A2 and A3. And to do so it helps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aetetus’ responses. A1 makes a claim that Theaetetus doesn’t understand. Once the ES has explained it with an example or illustration in A2, he has got the point; he now understands what the ES means by ‘not contrary but only different’. The ES then repeats the point at A3, and Theaetetus now concurs fully.[각주:11]
  이 문제가 되는 대목을 이해하는 열쇠는 내가 A1, A2, A3라 부른 주장들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에 있다. 그리고 그렇게 하는 데에 테아이테토스의 대답들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도움이 된다. A1은 테아이테토스가 이해하지 못하는 주장을 제기한다. 일단 ES는 그것을 A2에서 예 혹은 묘사를 가지고 설명했다. 그는 논점을 이해했다; 그는 이제 ES가 '반대가 아니라 단지 다름'이라는 말로써 의미하는 바를 이해한다. 그래서 ES는 A3에서 그 논점을 반복하고, 테아이테토스는 이제 완전히 동의한다.
  From this we must conclude that at A1 ὁπόταν τὸ μὴ ὂν λέγωμεν the ES is referring to every time we speak of (or say) not being something; an example of such speaking is when we say ‘not large’. This is somewhat surprising, since we might expect the phrase to mean ‘when we use the expression μὴ ὄν’. But taking the passage as a whole, I find strong reasons against that initially suggested reading, and in favour of the one I’ve just offered.[각주:12] We must, contra Owen and others, understand [6] οἷον as ‘for example’, so that speaking of not large is an example, a case, of speaking of μὴ ὄν.[각주:13] As we see from A3, where the point is repeated, the topic of this stretch is negative expressions generally: compare τῷ ῥήματι in b7. At A2 we are given ‘not large’ as an example of such a ῥήμα or phrase.[각주:14]
  이로부터 우리는 A1 'ὁπόταν τὸ μὴ ὂν λέγωμεν(우리가 ~이지 않은 것을 진술할 언제든)'에서 ES가 우리가 무엇이 아닌 것을 말하는 모든 순간을 언급하고 있다고 결론내려야만 한다; 그러한 발화의 일례는 우리가 '크지 않다'고 말할 때이다. 이것은 어느 정도 놀라운 일인데, 우리가 아마도 그 구절이 '~이지 않음이라는 표현을 사용할 때'를 의미할 것으로 기대할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구절 전체를 취하여, 나는 처음에 제안된 독해에 반대할 강력한 근거들을 발견하고, 내가 제안했던 하 가지 것에 유리하다. 우리는 오웬과 그 외의 사람들에 반대로, οἷον을 '예를 들어'로 이해해야만 한다, 크지 않음을 말함이 '~이지 않음'을 말하는 예시, 사례이게끔 말이다. 우리가 논점이 반복되는 A3에서 보듯, 이 대목의 주제는 일반적 방식에서 부정 표현들이다: b7에서 'τῷ ῥήματι'와 비교해 보라. A2에서 우리에게는 그런 ῥήμα 혹은 구의 예로 '크지 않음'이 주어진다.
  In what follows I’ll proce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passage is discussing negative expressions generally. Later in this essay, I return to give further reasons for rejecting Owen’s rival interpretation, on which we should translate οἷον ‘just as’ and read the passage as explaining the negation of ‘is’ by analogy with the negation of ‘large’. So the passage tells us in A1 that we don’t mean the contrary of something when we say not something, but ‘only different’; and this is recalled in A3 with the claim that a negative expression ‘only indicates this much, one of the others τῶν ἄλλων τί’.[각주:15] To explain the terms contrary and different the ES takes the case of ‘not large’ and offers ‘small’ and ‘same-sized’ as ‘contrary’ and ‘only different’ respectively: not large doesn’t mean its contrary small. I take it that both small and same-sized are different from large, while small (but not same-sized) is contrary as well as different. So contrary here means polar contrary.
  뒤에서 나는 그 구절이 부정 표현들을 일반적으로 논의하고 있다는 가정에 대해 계속 진행할 것이다. 이 논문의 후반부에서, 나는 오웬의 경쟁적 해석에 반대하기 위한 추가적인 근거들을 제시하는 데에로 돌아온다. 그 해석에서 우리는 οἷον을 '바로 ~와 같이'로 번역할 것이고 그 구절을 '큼'에 대한 부정과의 유비를 통해 'is'의 부정을 설명하는 것으로 읽을 것이다. 그래서 그 구절은 우리에게 A1에서 우리가 어떤 것이 아니라고 말할 때 어떤 것의 반대가 아니라 '오직 다름만'을 의미한다는 점을 말해준다; 그리고 이 점은 A3에서 부정 표현이 '단지 이 만큼만을 가리키는데, 다른 것들 중의 하나τῶν ἄλλων τί'를 가리킨다는 주장과 함께 상기된다. 반대와 다름을 설명하기 위해 ES는 '크지 않음'의 사례를 들고 '작음'과 '같은 크기임'을 각기 '반대'와 '단지 다를 뿐인 것'으로서 제시한다: 크지 않음은 그 반대인 작음을 의미하지 않는다. 나는 그것을 작음과 같은 크기임 모두 큼과 다르다고, 반면에 작음(하지만 같은 크기는 아님)이 다를 뿐만 아니라 반대이기도 하다고 취한다. 그래서 반대는 여기에서 극단적 반대를 의미한다.
  Before asking how to understand ‘different’, we should clarify the terms large, small, same-sized (ἴσον). Plato is clearly thinking of the trio larger than, same-sized as, smaller than, a trio he often discusses together.[각주:16] Though he here uses the terms large and small, rather than larger than/smaller than, it is clear that he has the above trio in [7] mind.[각주:17] The point made in A2 alludes to the fact that what is not large (in comparison to Y) need not be small (in comparison to Y) but may be the same size (as Y). One who recognizes that ‘large’ is interchangeable with ‘larger’ and who has an elementary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 between larger than, smaller than and equal to/same-sized as would understand the point at once, as Theaetetus does.[각주:18]
  '다름'을 이해하는 방식을 묻기에 앞서, 우리는 큼, 작음, 같은 크기임(ἴσον)이라는 용어들을 명확히 해야 할 것이다. 플라톤은 분명히 더 큼, 그 만큼의 같은 크기임, 더 작음이라는 그가 종종 한꺼번에 논의하는 셋에 대해 생각하고 있다. 그가 여기에서 더 큼이나 더 작음이 아니라 큼과 작음이라는 용어들을 사용하고 있더라도, 그가 위의 셋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는 것은 분명하다. A2에서 구성된 논점은 크지 않은 것(Y에 비교해)은 작은 것(Y에 비교해)일 필요는 없지만 같은 크기일 수도 있다(Y와)는 사실을 암시한다. '큼'이 '더 큼'과 대체가능하다는 것을 인지하는 사람 그리고 더 큼, 더 작음 그리고 어떤 것과 동등함/그 만큼의 같은 크기임 사이의 관계들에 대해 기초적인 이해를 갖춘 사람은 테아이테토스가 그러하듯 단번에 논점을 이해할 것이다.
  Now to the contested question: how to understand the claim that not … does not mean the contrary of… but ‘only different’. It is crucial that the ‘only different’ term (see A1, A3) - i.e same-sized in A2 - , as well as the ‘contrary’ term small, excludes large. To repeat what I have written elsewhere: “think how laughable it would have been if the ES had chosen a random attribute - say, yellow - different from large and said ‘When we say ‘not large’ do you think we signify small any more than yellow?’ Being yellow does not rule out being large, so appealing to it in the explication of not large’ would be ridiculous.”[각주:19] Not any old term referring to a property different from large could be used in A2; and it is clear that the ES has in mind a range of incompatible properties, F, G, H, and so on, such that not F does not (or need not) mean the contrary of F but only a different one from F in that range.[각주:20]
  이제 이론의 여지가 있는 물음으로 가서: … 아님이 … 에 반대가 아니라 '단지 다름'을 의미한다는 주장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단지 다를 뿐'이라는 용어 (A1, A3을 보라) - 즉 A2에서 같은 크기임 - 는 '반대' 용어 작음만큼이나 큼을 배제한다. 다른 곳에서 썼던 것을 되풀이하자면: "만일 ES가 임의의 속성 - 말하자면, 노랑 - 을 큼과 다른 것으로 선택했다고 그리고 '우리가 '크지 않음'을 말할 때 너는 우리가 노랑보다 조금이라도 더 작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하는가?'라고 말했다고 한다면 얼마나 우스운 일이 될지 생각해 보라. 노란 것임은 큰 것임을 배제하지 않고, 크지 않음에 대한 해명에서 그렇게 그것에 호소한다는 건 조롱거리일 것이다." 큼과 다른 속성을 가리키는 어떤 기존 용어든지 A2에서 사용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리고 ES가 양립 불가능한 속성들 F, G, H 등의 영역, not F가 F의 반대를 의미하지도 않고 그럴 필요도 없으나 단지 그 영역 내에서 F와 다른 어떤 것만 의미하는 그런 영역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But, critics protest, heteron means different, not incompatible. Indeed it does, and we must concede this point: heteron and allo continue to mean different i.e. nonidentical. But the analysis the ES offers of negative expressions makes crucial use of the understood notion of a range of incompatible predicates, which A2 proffers precisely to explicate the point that ‘not … doesn’t mean contrary but only different. So a different term will, since it belongs to such a range, pick out an attribute which is in fact incompatible, as equal to Y is indeed incompatible with larger than Y, while not its contrary.[각주:21] We have such a locution in English: if I say ‘the policeman was other than helpful’, you will understand me to mean that his attitude was different from and incompatible with being helpful.
  하지만 비판자들은 heteron이 다름을 의미하지 양립불가능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저항한다. 그것이 그렇기도 하거니와, 우리는 이 점을 인정해야만 한다: heteron과 allo는 계속해서 다름, 즉 비동일성을 의미한다는 것을 말이다. 하지만 ES가 부정 표현들에 대해 제공하는 분석들은 양립 불가능한 술어들의 영역에 대한 암묵적(동의된) 생각의 결정적인 용례를 만들어낸다, A2가 '~이 아님이 반대가 아니라 단지 다름만을 의미한다'라는 점에 대해 정확히 해명을 내놓는 용례를 말이다. 그런 식으로 다름이라는 용어는, 그러한 영역에 속하기에, Y와 같음이 Y보다 큼과 양립불가능하기도 하듯, 사실상 양립 불가능한 속성을 지적해낸다, 하지만 그 반대는 아닌 속성을. 우리는 영어에서 그런 어구를 가지고 있다: 만일 내가 '그 경찰은 기꺼이 도우려는 것과는 달랐어'라고 말한다면, 당신은 내가 그의 태도는 기꺼이 도움을 주려는 것임과 달랐고 양립불가능했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걸 이해할 것이다.
  The upshot of this reading of Stage 1 is that, contrary to first appearances, the ES is not offering an analysis of the expression μὴ ὄν, but rather taking μὴ ὄν to stand in for any expression ‘not F’. I noted above that this may seem surprising, but Charles [8] Kahn’s work above all has paved the way for an understanding of Greek einai such that to talk of being is, above all, to talk of predication; the predicative function of einai is central to understanding it.
  첫 단계에 대한 이러한 독해의 결과는, 첫인상들과 반대로, ES가 μὴ ὄν 표현의 분석을 제공하고 있는 게 아니라, 오히려 어떤 것이든 'not F' 표현을 대신하는 것으로 μὴ ὄν을 취하고 있다는 것이다. 나는 위에서 이것이 놀라워 보일지도 모른다고 주목하였으나, 찰스 칸의 작업이 무엇보다도 그리스어 einai에 대한 그러한 being is에 대해 말하고, 특히, 술어에 대해 말하는 이해를 위한 길을 닦았다; einai의 술어적 기능은 그것을 이해하기 위한 중심이다.
  So I read Phase 1 as offering an account of negative expressions of the type ‘not F’, an account which makes key use of the notion of a range of incompatible properties such that to be not F is to have a different one (taken from that range) from the property Fness. Now many critics have resisted attributing such an account to Plato, since it has a serious drawback. It offers at best a sufficient condition, but not a necessary condition, for being not F. As Price remarked in opposing such a theory, it is true and meaningful to insist that virtue is not square, although it’s not the case that virtue is some shape other than square.[각주:22]
  그런 식으로 나는 첫 단계를 'not F' 식의 부정 표현들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것으로, 양립 불가능한 속성들의 영역에 대한 생각의 핵심적인 사용, F이지 않다는 것이 F임이란 속성과 다른 속성(그 범위에서 취한)을 가진다는 것으로 쓰이는 용례를 만들어 주는 설명을 제공하는 것으로 읽는다. 오늘날 많은 비판자들이 그러한 설명을 플라톤에게 돌리는 것에 저항해 왔다, 그것이 심각한 결점을 지니기에. 그것은 기껏해야 충분 조건을 제공할 뿐, 필요 조건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F이지 않음에 대해서 말이다. Price가 그런 이론에 반대하여 언급하였듯, 덕이 네모지지 않다고 주장하는 것은 참이며 의미를 가진다, 설령 덕이 사각형과 다른 어떤 도형이라는 것이 사실이 아니라 하더라도.
  A rival interpretation of Phase 1 may be labelled the extensional interpretation. It agrees that Phase 1 focuses on negative expressions generally, rather than on the expression μὴ ὄν. It takes Plato to be explaining negative predications ‘x is not F’, but reads the account very differently from the way proposed above. The advantage of the interpretation is that it finds Plato offering an account of ‘x is not F’ as ‘x is different from all the Fs’, and the two are indeed materially equivalent. But to find this reading in the text is - I submit - impossible, in spite of the ingenious arguments offered in its support.[각주:23] The interpretation focuses on the claim, in A1 and A3, that not … means different, but it cannot adequately explain the way this is elaborated, either in A2 or in A3. It is particularly hard to get the reading Bostock wants from the sentence at A3, since that speaks of ‘not’ signifying ‘one of the others (τῶν ἄλλων τί) than the words following the negative, or rather, than the things the words … apply to.’ I submit that this cannot be read as telling us that to say that ‘x is not F’ is to say that x is one of the others than, i.e. different from everything that is F.[각주:24] The [9] reading I have given, on the other hand, fits the preceding sentence perfectly. Just as not large need not mean small any more than same-sized, so in general not F means one of the others than F (that is, one or another from the understood range of properties other than F, and not necessarily the contrary). Since Bostock supports his reading by appealing to a sentence from Stage 2, I’ll have a little more to say about it below.
  첫 단계에 대한 경쟁적 해석은 확장적 해석이라 명명될지도 모른다. 그 해석은 1 단계가 μὴ ὄν이라는 표현에 대해서라기 보다는 일반적으로 부정 표현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 동의한다. 그 해석은 플라톤이 'x는 F이지 않다'라는 부정 서술들을 설명하고 있다는 것을 받아들이지만, 위에서 제안된 방식과 매우 다른 방식으로 그 설명을 독해한다. 그 해석의 장점은 그 해석이 'x는 F이지 않다'에 대한 설명으로 플라톤이 'X는 모든 F들과 다르다'를 제공하고 있음을, 그리고 그 둘이 더욱이 실질적으로 동치라는 것을 발견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내가 보기에 이러한 독해를 문헌 내에서 찾아내기란 불가능하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제공된 기발한 논증들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그 해석은 A1과 A3에서 ~이지 않음이 다름을 의미하지만, 그것은 A2에서든 A3에서든 이것이 정교화되는 그 방식을 적절히 설명할 수 없다는 주장에 초점을 맞춘다. 특히 보스톡이 A3의 그 문장에서 바라는 독해를 얻기란 어려운데, 'not'이 '부정 뒤에 따르는 단어들과는 다른 단어들 중 하나, 혹은 차라리, 그 단어들이 ... 적용되는 그 사물들과 다른 사물들 중 한 사물을' 의미한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나는 'x는 F이지 않다'라고 말하는 것이 x가 F와 다른 것들 중 하나, 즉 F인 모든 것들과 다르다고 말하는 것임을 말해주는 것이 이 구절이 읽힐 수 없다고 생각한다. 내가 제시했던 독해는 그와 달리 이전 문장에 완벽하게 맞아 떨어진다. 크지 않음이 같음보다 조금도 더 작음일 필요가 없듯, 그런 식으로 일반적으로 F이지 않음은 F와 다른 것들 중 하나를 의미한다 (즉, F와 다른, 또한 필연적으로 반대인 것은 아닌 속성들의 합의된 영역으로부터 나온 이러저러한 것). 보스톡은 두 번째 단계에서 나오는 문장에 호소하여 그의 독해를 지지하므로, 나는 아래에서 그것에 대해 좀 더 말할 것이다.
  Our conclusion about Stage 1 is that is best read as offering a tempting, if flawed account of expressions such as ‘not F’, and/or of their use in negative predications ‘x is not F’. (It’s tempting to think that ‘x is not white’ means ‘x is some colour other than white’, but careful reflection shows that this cannot be correct.) Paying attention to the illustration in A2, we saw how to interpret contrary (viz as polar contrary) and different (viz, as a different one from a range of incompatible properties). No other interpretation offers an adequate explanation of the point of A2. I prefer an interpretation that makes good sense of the text, even if it credits Plato with a less than watertight account of negation, to ones that do Procrustean violence to what Plato wrote.
  첫 단계에 대한 우리의 결론은 그것이 매력적 제안으로서 최선의 독해라는 것이다, 설령 'not F'와 같은 표현들에 대해, 그리고/혹은 'x는 F이지 않다'라는 부정 서술들에서 그 표현들의 쓰임에 대해 결함이 있는 설명이라 할지라도. ('x가 희지 않다'라는 것이 'x는 흼과 다른 어떤 색이다'를 의미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매력적이지만, 주의 깊은 숙고는 이것이 옳을 수 없음을 보여준다.) A2에서의 묘사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우리는 반대(즉 극단적 반대)와 다름(즉 양립 불가능한 속성들의 범위에서 나온 한 가지 다른 것으로서)을 어떻게 해석하는지 보았다. 다른 어떤 해석도 A2의 논점에 대해 적절한 설명을 제공하지 않는다. 나는 해당 문헌을 합리화하는 해석을 선호한다, 설령 부정에 대한 물 샐 틈 없는 설명보다는 덜한 공을 플라톤에게 돌리게 되더라도, 플라톤이 저술한 것에 대해 프로크루스테스적인 폭력을 행사하는 해석보다는 말이다.

Stage 2: the parts of the different and their names, compared to the parts of knowledge and their names
두 번째 단계: 다름의 부분들과 그것들의 이름들, 지식의 부분들과 그것들의 이름들에 비교된.
  The following passage, and particularly the closing sentence uttered by Theaetetus, has given rise to a popular but incorrect reading. Frede, Bostock and others find in the remark by Theaetetus at 257d11-13 an account of negative predication (of ‘x is not beautiful’) such that it is to be read as ‘x is different from all the beautiful things’.[각주:25] But a closer look at the passage shows that its function is not to give an account of negative predication, but to introduce a novel notion, that of a ‘part of the different’ - named by a phrase such as ‘not beautiful’, by analogy with a part of knowledge, named by (for instance) ‘geometry’. This is the prelude to further discussion of negative forms in the succeeding lines.
  이하의 구절, 그리고 특히 테아이테토스에 의해 발화되는 마지막 문장은, 유명하지만 부정확한 독해를 불러 일으켜 왔다. 프레데, 보스톡 그리고 다른 이들은 257d11-13에서 테아이테토스에 의한 언급에서 부정 서술에 대한('x는 아름답지 않다'에 대한) 설명으로 'x는 모든 아름다운 것들과 다르다'로 읽혀야 된다는 설명을 발견한다. 하지만 그 구절에 대한 더 근접한 고찰은 그 역할이 부정 서술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는 것, 즉 '다름의 부분'이라는 개념을 도입하는 것임을 보여준다 - '아름답지 않음'과 같은 구에 의해 명명되는 부분, 지식의 부분과의 유비를 통해, (예를 들어) '기하학'에 의해 명명되는. 이것은 이어지는 구절들에서 부정적 형상들에 대한 추가적 논의에 대한 서곡이다.
[10]
257c5 Str. And we should consider the following, if you agree.
또한 우리는 다음의 것을 고찰해야 할 걸세, 자네가 동의한다면.
Tht. What? 무엇을요?
Str. It seems to me that the nature of the different is to be parcelled out, just like knowledge.
내게는 다름의 본성이 나뉘어지는 것인 듯 보인다네, 마치 지식처럼 말일세.
Tht. How so? 어떻게 그렇습니까?
c10 Str. Well, knowledge also is a single thing, surely, but each of its parts that applies to something is marked off and gets some special name of its own. That’s why there are many skills and kinds of knowledge that get spoken of.
자, 지식 또한 단일한 것일세, 물론, 하지만 어떤 것에 적용된 그 각 부분들은 한정(정의)되어 나오고 그 자체의 고유한 어떤 특수한 이름을 얻지. 그것이 논해지는 많은 기술들과 지식의 유들이 있는 이유라네.
Tht. Certainly. 확실히 그렇습니다.
257d4 Str. And so with the nature of the different: though it's a single thing, it has parts in a similar fashion.
다름의 본성의 경우도 마찬가지일세: 그것이 단일한 것일지라도, 그것은 비슷한 방식으로 부분들을 가지지.
Tht. Possibly, but shouldn't we say how? 아마도요, 하지만 우리가 어떤 식으론가 말하지 않나요?
Str. Is there some part of the different that is set against the beautiful?
아름다움에 반대로 놓인 다름의 어떤 부분이 있는가?
Tht. There is. 있지요.
Str. So shall we say it's nameless, or that it has a name?
그럼 우리는 그것이 이름 없는 것이라 말할까, 아님 이름을 가진 것이라 말할까?
257d10Tht. That it has a name; because what -from time to time- we put into words as “not beautiful”, it’s this that is different from nothing other than the nature of the beautiful.
이름을 가진 것으로요; 왜냐하면 때때로 우리가 '아름답지 않은'이라는 문장을 내놓으니까요, 이것이 다름 아니라 아름다움의 본성과 다른 것이지요.
(in other words: the name you just asked me about (of the ‘part of the different set against the beautiful’) is “not beautiful”.)
(다른 식으로: 당신께서 방금 제게 물으셨던 이름은 (아름다움에 반대되어 놓인 다름의 부분) "아름답지 않음"입니다.)
  Once again the ES begins with a claim Theaetetus doesn’t understand. But the young man rapidly catches on, this time without the help of an example, and at 257d3 signifies that he understands how the parts of knowledge, each applied to something, have names of their own. Still, let’s supply some examples, using names of ‘parts of knowledge’ from the dialogue in which we first meet him.
  다시 한 번 ES는 테아이테토스가 이해하지 못하는 주장으로 시작한다. 하지만 그 젊은이는 재빨리, 이번에는 예시의 도움 없이, 파악하고 257d3에서 각각이 어떤 것에 적용되는 지식의 부분들이 어떻게 그것들의 고유한 이름들을 가지는지 이해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럼에도, 몇 가지 예시들을 보충해 보자, 우리가 처음 그를 만난 대화로부터 '지식의 부분들'의 이름들을 사용하면서.
[11]
Knowledge
APPLIED TO: producing shoes / shapes / numbers
NAME: cobblery /geometry / arithmetic
  The ES proceeds with his analogy, and gets Theaetetus to agree that there is a part of the different set against the beautiful, and to name it. The young man obliges with the name ‘not beautiful’.
  ES는 그의 유비를 진행시키고, 테아이테토스에게서 아름다움에 반대되어 놓이는 다름의 부분이 있다는 동의를 얻어내고, 그것을 명명하게 만든다. 그 젊은이는 '아름답지 않음'이라는 이름으로 돕는다.
Different
FROM: beautiful / large / etc
NAME: not beautiful / not large / etc
  That is the entire message of this short passage. It does not, pace Bostock and Frede, offer an account of negative predication, and a fortiori does not offer one in extensional terms. Both scholars interpret Theaetetus as offering an analysis of ‘x is not beautiful’ as ‘x is different from everything that is beautiful’. But to take the phrase ‘different from nothing other than the nature of the beautiful’ to mean ‘different from everything which is beautiful’ is a desperate expedient, and the alleged parallels cited by Frede go no way towards making this interpretation plausible.[각주:26]
  저것이 이 짧은 구절 전체의 전달하려는 바이다. 보스톡과 프레데에게는 미안한 일이지만, 그것은 부정 서술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지 않고, 더 강력한 이유로 확장된 용어들로 설명을 제공하지도 않는다. 두 학자들 모두 테아이테토스가 'x는 아름답지 않다'를 'x는 아름다운 모든 것들과 다르다'로 분석해 내는 것으로 해석한다. 하지만 '다른 무엇도 아닌 아름다움의 본성과 다른'이라는 구절을 '아름다운 모든 것과 다른'을 의미하는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가망 없는 방편이고, 프레데에 의해 인용되어 주장된 유사점들은 이 해석을 타당하게 만드는 쪽으로 나아갈 길이 전혀 없다.

  Here’s how Bostock argues for his view. Taking his start from the phrase ὅ γὰρ μὴ καλὸν ἑκάστοτε φθεγγόμεθα, he writes: ‘the subject expression must be taken as ‘whatever is not beautiful’ for otherwise the word ἑκάστοτε has no intelligible function. [He is assuming that ἑκάστοτε must be translated ‘on each occasion’, which I dispute below.] But then it follows that ‘the nature of the beautiful’ must also be taken as generalizing, and equivalent to ‘whatever is beautiful’ if we are not to credit Plato with obvious nonsense. Of course we do not call things not beautiful just because they are other than the form of beauty.’[각주:27] Reply: indeed we do not, but the better inference is that ‘the nature of the beautiful’ does indeed mean the form of beauty, and that the subject expression therefore should not be understood as referring to whatever is not beautiful.
  보스톡이 그의 관점을 논증하는 방식은 이와 같다. 그는 'ὅ γὰρ μὴ καλὸν ἑκάστοτε φθεγγόμεθα(우리가 아름답지 않다는 것을 때마다 발화하기 때문이다)'라는 구절에서 시작하여 이렇게 쓰고 있다: '그 주어표현은 '아름답지 않은 무엇이든'으로 취해져야만 하는데 다른 방식이라면 'ἑκάστοτε(때마다)'라는 단어가 아무런 합리적인 역할도 가지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는 ἑκάστοτε가 '각 경우마다'라고 번역되어야만 한다고 가정하고 있는데, 이후에 반박한다.] 하지만 그 다음으로 '아름다움의 본성'이 일반화하는 것으로, 또한 '아름다운 무엇이든'에 상응하는 것으로 취해져야만 한다는 것 또한 뒤따른다, 만일 우리가 플라톤에게 명백한 역설이 있다고 믿지 않는다면. 물론 우리는 사물들을 그것들이 아름다움의 형상과 다르다는 바로 그 이유로 아름답지 않다고 말한다.' 그에 대한 대답은 이러하다. 실살 우리는 그렇게 하지 않고, 허나 더 나은 추론은 '아름다움의 본성'이 아름다움의 형상을 의미한다는 것, 그리고 그 주어 표현은 그러므로 아름답지 않은 아무것이나 언급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할 것이라는 것이다.
[12]
  My alternative translation ‘what -from time to time- we put into words as “not beautiful”’ indicates that the topic is precisely the form or kind the not beautiful, that is, the very part of the different set against the beautiful that Theaetetus was asked to name. I justify it by pointing out that Plato commonly uses ἑκάστοτε in contexts where it cannot mean ‘each time’ but rather ‘from time to time’.[각주:28] But even if we keep the traditional translation, the reading given by Bostock and Frede can be safely set aside, both because it ignores the context of Theaetetus’ remark, and because it gives a very strained, if not impossible, reading of the words ‘is different from nothing other than the nature of the beautiful’.[각주:29]
  내 대안적 번역 '- 때때로 - 우리가 "아름답지 않은'이라는 말로 표현하는 것'이라는 번역은 정확히 그 주제가 아름답지 않은 것의 형상이나 유라는 것, 즉, 테아이테토스가 명명을 요청받은, 아름다움에 반대되어 놓인 다름의 바로 그 부분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나는 그 점을 플라톤이 흔하게 'ἑκάστοτε'를 그것이 '때마다'를 의미할 수 없고 오히려 '때때로'를 의미할 문맥들에서 사용한다는 것을 지적함으로써 정당화한다. 하지만 우리가 전통적 해석을 견지한다 하더라도, 보스톡과 프레데에 의해 제시된 독해는 무난하게 제외될 수 있는데, 그것이 테아이테토스의 발언 문맥을 무시한다는 이유에서도, 또한 '다른 아무것도 아닌 아름다움의 본성과 다르다'라는 문장에 대해 불가능하진 않더라도 매우 불편한 독해를 제시한다는 이유에서도 그러하다.
  So what is the role of this passage? The analogy between knowledge and its parts, and the different and its parts, suggests the following. Knowledge is a form, and (probably) its objects are forms too; hence its parts - branches identified by their objects- are forms. And by comparing the different to knowledge, Plato suggests that, in just the same way, the different is a form, what each part of it is ‘set against’ (ἀντιτιθέμενον) is a form (e.g. the beautiful), and so the resulting part itself, whose name is ‘not beautiful’, is itself a form. Those who might - with good reason - baulk at such negative forms are to be lulled into acceptance by the analogy with the parts of knowledge; and comforted by noting a parallel between the ways each of Knowledge and the Different are parcelled out.[각주:30] In the sequel, the ES will stress that the not beautiful, the not large, the not just and so on have an equal claim to being as the beautiful, the large and the just.[각주:31] This seems a strange thesis for Plato to be arguing for, and one that seems to conflict with Aristotle’s claims that the Platonists deny negative forms.[각주:32]
  이 구절의 역할은 그럼 무엇인가? 지식과 그 부분들, 그리고 다름과 그 부분들 사이의 유비는 다음을 시사한다. 지식은 형상이며, (아마도) 그 대상들도 역시 형상들일 것이다; 그러므로 그 부분들 - 그 대상들에 의해 규정된 분과들 - 은 형상들이다. 그리고 다름을 지식에 비교함으로써, 플라톤은, 바로 동일한 방식으로, 다름이 형상이라는 것, 그것의 각 부분이 '마주 놓이는(ἀντιτιθέμενον)' 바의 것이 형상(예를 들어 아름다움)이라는 것, 그리고 그런 식으로 귀결하는 부분 자체, 그 이름이 '아름답지 않음'인 그 부분 자체도 형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한 부정적 형상들을 - 적절한 이유로 - 꺼려하는 사람들은 지식의 부분들 유비에 의해 허용하는 쪽으로 넘어가게 될 것이다. 그리고 지식과 다름 각각이 나뉘어지는 방식들 사이에 유사점에 주목함으로써 안도하게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ES는 아름답지 않음, 크지 않음, 정의롭지 않음 같은 것들이 아름다움, 큼 그리고 정의로움과 동등하게 being에 대한 권리를 지닌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것은 플라톤이 주장하기에는 낯선 논지인 듯하고, 아리스토텔레스의 플라톤주의자들은 부정적 형상들을 부정한다는 주장들과 상충하는 것으로 보인다.
  How are we to understand the positing of a form of not F, described as a part of the different set against F? How can we apply the moral of Stage 1 to this? One way to do so - though I don’t feel entirely confident it is right - is to carry over the idea that [13] Plato has in mind a range of incompatible properties such that to be not F is to have some property taken from that range that is other than Fness. Thus the form not large is the form or property of being some size (relative to…) other than large. Likewise the form not beautiful is the property of having some aesthetic property other than beautiful: perhaps plain, perhaps ugly. I have already noted, above, that this is unsatisfactory as an account of negation, even though it is an account that appealed to thinkers as diverse as Hegel, Bosanquet and Ryle. But if we set aside that objection, we can see the appeal of understanding ‘not square’ as ‘having some shape other than square’ and ‘not green’ as ‘having some colour other than green’. If you want to countenance negative forms/forms of negations, it is comforting (if incorrect) to do so with some positive designation.[각주:33] A more serious difficulty for this understanding of the notion of not large as a part of the different, is this: how do we apply this to the account - or rather the two accounts - of not being that follow?
  우리는 F에 반대되어 놓인 다름의 부분으로서 묘사되는 not F 형상의 상정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우리가 어떻게 첫 단계의 교훈을 이것에 적용시킬 수 있는가? 그렇게 할 한 가지 방법은 - 내가 그것이 옳다고 전적으로 확신을 가지지는 않을지라도 - 플라톤이 양립 불가능한 속성들의 범위를, F이지 않다는 것이 저 범위에서 취해진 F임과 다른 어떤 속성을 가지는 것이라는, 그런 식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발상을 이어가는 것이다. 그래서 크지 않음이라는 형상은 큼과 다른 (~에 상대적인) 어떤 크기임이라는 형상 혹은 속성이다. 유사한 방식으로 아름답지 않음이라는 형상은 아름다움과 다른 어떤 심미적 속성을 가진다는 그런 속성이다: 아마도 뻔하고, 아마도 추하다. 나는 위에서 이미 이것이 부정에 대한 설명으로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것을 주지시켰다, 설령 그것이 헤겔, 보잔켓, 라일 같이 다양한 사상가들에게 호소력있는 설명이라 할지라도 말이다. 하지만 만일 우리가 그 반대를 차치하면, 우리는 '사각이 아님'을 '사각과 다른 어떤 형태를 지님'으로 그리고 '푸르지 않음'을 '푸름과 다른 어떤 색을 지님'으로 이해함의 매력을 볼 수 있다. 만일 당신이 부정적인 형상들/부정들에 대한 형상들을 지지하길 원한다면, (부정확할지라도) 어느 정도 긍정적인 명칭을 가지고 그렇게 하는 편이 편하다. 크지 않음이라는 관념을 다름의 일부로 이렇게 이해하는 데에 대한 더 심각한 어려움은 이러한 것이다: 뒤따르는 not being에 대한 설명 - 혹은 차라리 두 가지 설명들 - 에 이것을 어떻게 우리가 적용시키는가?

Stage 3 the two formulae for not being
세 번째 단계: not being의 두 가지 공식들
  In the third and most puzzling stretch the ES will offer, in swift succession, two formulae for τὸ μὴ ὄν, not being. Let’s call them the first formula for not being, 258a11-b8, and the second formula for not being, 258d5-e3. There is a sharp divide between scholars who favour
 * the Analogy interpretation - whereby Plato offers an account of not being according to which it is one part of the different, the one set against being - by analogy with the not large, which is another part of the different, this time set against large[각주:34]
and those who favour
  * the Generalization interpretation, whereby not being is ‘the part of the different set against each being’ (258e2, or against ‘the being of each’ if we read hekastou); in other words whereby not being generalises over not F, not G etc.[각주:35]
  세 번째 가장 곤란한 대목에서 ES는 신속하게 잇달아 τὸ μὴ ὄν, not being에 대해 두 가지 공식들을 내어놓을 것이다. 그것들을 258a11-b8, not being에 대한 첫 번째 공식과 258d5-e3, not being에 대한 두 번째 공식이라 부르기로 하자. 학자들 사이에는 날카로운 구분이 존재한다.
  * 유비 해석을 선호하는 학자들은 그로써 플라톤이 그에 따라 not being이, being에 마주 놓인 일련의 것, 다름의 한 부분인 설명을 제공한다 - 크지 않음의 유비로써, 그것은 이 경우 크지 않음에 마주 놓인 다름의 또 다른 부분이다.
  * 일반화 해석을 선호하는 학자들의 경우, 그로써 not being이 '각 being에 마주 놓인 다름의 부분' (258e2, 혹은 우리가 hekastou를 읽는다면 '각각의 being'에 마주 놓이는)이다. 달리 말해 그로써 not being은 not F, not G 등에 대해 일반화된다.

[14]
  Now the debate is a crucial one. If the analogy interpretation is right, the ES does indeed postulate a form of not being, in a manner parallel to the forms of not beautiful, not large and so on that he had argued for in Phase 2. And indeed much of his language suggests that he is doing precisely that. See 258b9-c5, at the close of which the ES remarks ‘just as the large was large and the beautiful beautiful, and the not large not large and the not beautiful not beautiful, so too not being in just the same way was and is not being.’[각주:36] This seems to be a clear statement that there is a form of not being, in just the same way as (and in addition to) the other negative forms. So far the so-called Analogy interpretation of the first formula seems to be vindicated. But it faces serious difficulties. After setting out, the relevant texts I shall argue that the socalled generalization interpretation is probably the correct one. Before we proceed, note that on one point both formulae are in agreement: not being is not identified with the different, but with either one special part of it - Analogy reading, suggested by first formula, or with any part of the different - Generalization reading.
  이제 그 논쟁이 결정적인 한 가지 것이다. 만일 유비 해석이 옳다면, ES는 확실히 not being의 형상을 상정하는 것이다, 아름답지 않음, 크지 않음 등 그가 2 단계에서 논증하였던 그와 같은 형상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그리고 더욱이 그의 말의 상당부분은 그가 정확히 그 일을 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258b9-c5를 보면, 그 말미에서 ES는 '바로 큼이 컸고 아름다움이 아름다웠던 것처럼, 크지 않음도 크지 않았고 아름답지 않음도 아름답지 않았으며, 그렇게 not being 또한 바로 동일한 방식으로 not being이었고 not being이다'라고 언급한다. 이것은 not being의 형상이 있다는 명백한 진술인 듯이 보인다, 다른 부정적인 형상들과 동일한 바로 그런 방식으로(혹은 그러한 형상들에 더하여). 여기까지 첫 공식에 대한 소위 유비 해석이 입증된 듯 보인다. 하지만 그 해석은 심각한 어려움들에 직면한다. 정리 이후, 나는 연관된 문헌들로 소위 일반화 해석이 하나의 올바른 해석일 것 같다는 점을 논증하고자 한다. 진행하기에 앞서, 두 공식들 모두 동의하는 한 가지 지점을 주의하자. not being은 다름과 동일시되지 않지만, 그것의 특정한 한 부분 - 첫 공식에 의해 시사되는 유비적 독해 - 혹은 다름의 어떤 부분과든 - 일반화 독해 - 동일시된다.

First formula for not being Sophist 258a11-b8

Str. So, it seems, the setting-against of a part of the nature of the different and <a part of> of the nature of being, lying one against the other, is no less being [ousia] than being itself – if I may be permitted to put it like that -, for it signifies not a contrary of it, but just this: different from being.
그래서, 보이기로는, 다름의 본성의 부분과 being의 본성의 <부분의> 마주 놓임은, 상호에 마주 놓임으로써, being 자체 못지 않게 being[ousia]인 듯하다 - 만일 내가 그렇게 놓아도 괜찮다면 -, 왜냐하면 그것이 그것의 반대가 아니라, 바로 이것, being과 다름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Tht. That's very clear. (258b5) 그것은 매우 분명합니다.
Str. So what shall we call this setting-against? 그럼 우리는 이 마주 놓임을 무엇이라 부를까?
Tht. It's clear that this very thing is that not being which we have been searching for on account of the sophist! (258b8)
이것이 우리가 소피스테스에 대한 설명(정의)을 위해 추적해 온 바로 그 not being이란 것은 분명합니다.
  Theaetetus’ response at b5 is surely meant to raise a smile from the reader. The preceding sentence is one of the hardest to fathom. Lee has discussed the many [15] possible construals of the Greek, and has pointed out that in any event it is a small slip on Plato’s part to make the antithesis subject of ‘signifies’ (however we understand the antithesis in question). But the major issue is how we understand what the antithesis is between, and this hangs on whether or not we mentally supply <a part of> at b1.[각주:37] If we do not do so, then the antithesis is between a part of the different and being, and this yields the Analogy interpretation favoured by Owen and others. If we do make that mental supplement, then the formula can perhaps be seen to fall into line with the second formula, which (as I show below) seems unambiguously to favour the Generalization interpretation. For if we do, the effect is that not being is an antithesis between a part of the different and any part of being (for instance, the beautiful). It has to be admitted that this is a strained reading of the first formula, and, if the ES had stopped after the first formula for not being, the Analogy interpretation would prevail. As I noted above, the lines which follow the statement of the first formula, 258b9ff, certainly seem to point us to μὴ ὄν (not being) as a form in its own right, on a par with the not beautiful, the not large and so on.
  b5에서 테아이테토스의 응답은 물론 독자로 하여금 미소를 짓게 할 것이다. 계속되는 문장은 헤아리기 가장 어려운 문장 중 하나이다. Lee는 해당 그리스어의 가능한 여러 해석들을 논의하였고, 어느 경우에서든 'antithesis'를 '의미하다'의 주어로 만드는 것은 플라톤으로서는 작은 실수라는 점을 지적해냈다(그렇지만 우리는 문제가 되는 그 antithesis를 이해한다). 하지만 주요 쟁점은 우리가 antithesis가 무엇 사이에 있는지 이해하는 방식이며, 이것은 우리가 마음속으로 <a part of>를 b1에서 보충하는지 하지 않는지에 달려 있다. 만일 우리가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antithesis는 다름의 부분과 being 사이에 있고, 이것은 오웬과 그 외의 사람들에 의해 지지받는 유비적 해석을 내놓는다. 만일 우리가 심리적 보완을 행한다면, 그 공식은 아마도 두 번째 공식과 보조를 맞추는 데에 맞아떨어지는 듯이 보일 수 있다, (내가 아래에서 보여주듯) 모호하지 않게 일반화 해석을 지지하는 것으로 보이는. 왜냐하면 만일 우리가 그 일을 한다면, 그 결과는 not being이 다름의 부분과 being의 어떤 부분(예를 들어, 아름다움) 사이의 antithesis라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첫 번째 공식에 대한 억지스런 독해라는 점은 받아들여야 하고, 만일 ES가 not being에 대한 첫 번째 공식 이후로 중단했었더라면, 유비적 해석이 승리했을 것이다. 위에서 내가 주목하였듯, 첫 번째 공식에 뒤따르는 258b9 이하 구절들은 확실히 우리에게 μὴ ὄν (not being)을 그 자체 고유하게 형상으로 지시하는 듯이 보인다, 아름답지 않음, 크지 않음 등 그러한 것들과 동등하게 말이다.
  But the sequel, the second formula for not being, puts things in a different light.
  하지만 그 뒤를 잇는 것, not being에 대한 두 번째 공식은 사물들을 다른 관점에 놓는다.

Second formula for not being, Soph 258d5 -258e5
not being에 대한 두 번째 공식, 258d5-258e5
         ...생략...
258e2 ἄλληλα, τὸ πρὸς τὸ ὂν ἕκαστον[각주:38] μόριον αὐτῆς
         ...생략...

258d Str. Whereas we have not only demonstrated that the things that
        are not are, but in addition we've brought to light what the form of
        not being is. We've demonstrated the nature of the different,
        showing that it is, and that it's parcelled out[각주:39] over all the
[16]
    e  things that are, set against each other[각주:40]; and the part of it set
        against each being - that very thing is what we've dared to say
        really is not being.
        반면 우리는 ~인 것들이 ~이지 않다는 것을 증명했을 뿐만이 아니라,
        추가로 not being의 형상이 무엇인지 밝혀냈다네.
        우리는 다름의 본성을 증명하였고,
        그것이 ~이라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그것이, 서로 반대되어 놓인,
        모든 ~인 것들에 걸쳐 나뉘어져 들어간다는 것도 증명했지.
        그리고 그것의 부분이 각각의 being에 반대되어 놓인 것 -
        바로 그것이 우리가 정말로 not being이라 말하고자 감행했던 그것일세.
    e4 Tht. Absolutely, sir; I think we've spoken very truly indeed.
        완벽히 그렇습니다, 선생님; 저는 우리가 더구나 매우 참되게 말했다고 생각합니다.

  We must first try to identify the two achievements referred to by the ES: a) we’ve demonstrated that the things that are not are and b) we’ve brought to light what the form of not being is. We may hazard that with a) the ES refers back to the Communion of Kinds section, with its final proof that the kind Kinesis really is not being and being, since it shares in being (256d8-9). If so the μὴ ὄντα, the things that are not, are things which are not the kind being, as Kinesis is not the kind being, but of course is a being. The additional feat b), of bringing to light what the form of not being is, is presumably what occurs from 257c onwards, culminating in the first formula for not being that I’ve just discussed.
  우리는 ES에 의해 언급되는 두 가지 성취들을 동일시하고자 시도해야만 한다: a) 우리는 ~인 것들이 ~이지 않다는 것을 증명했고 b) 우리는 not being의 형상이 무엇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우리는 아마도 a)를 가지고 ES가 돌이켜 유들의 결합 부분을 언급한다는 것을, 운동이라는 유가, being의 몫을 나누어 가지기에, 실제로 not being이자 being이라는(256d8-9) 그 마지막 증명과 더불어 어림짐작할 것이다. 만일 그렇다면 μὴ ὄντα, ~이지 않은 것들, 그것들은, 운동이 유 being이 아닌 것처럼, 유 being이지 않은 것들이지만, 물론 어떤 being이다. not being의 형상이 무엇인지 밝혀냈다는 그 추가적인 성과 b)는 추정컨데, 내가 방금 논의했던 not being에 대한 첫 번째 공식으로 귀결되는, 257c부터 이어지는 과정에서 나온 것이다.
  In the sentence beginning ‘We’ve demonstrated’ then, the ES is offering to restate what the form of not being is. First he remarks that he has demonstrated that the nature of the different is. This may refer back to the proof that same and different were among the five megista gene (254e2-255b6). But when he adds that he’s demonstrated that it’s parcelled out over all the things that are, we recognise our Stage 2, the analogy between knowledge and the different. Now comes the problematic part: the remainder of the sentence, which purports to remind Theaetetus what he had shown not being to be. Whichever textual reading we adopt, the upshot is effectively the same: the second formula says that not being is the part of (the different) set against each being’ or the part of (the different) set against the being of each.[각주:41] Even if we follow a translator such as White and understand the phrase as ‘each part of the different set against being’, the effect is the same: not being is identified with each and any part of the different set against a being.[각주:42] It is not identified with a single part, the one set against being. In other words, not being is explained as not being beautiful, or not being large, or not being just, or ….. and so on. The second formula [17] for not being clearly offers the generalizing account of not being.[각주:43] And since it is introduced as a restatement of what he already delivered (note ἀπεφηνάμεθα and ἀποδείξαντες in 258d8), we should try to make the two formulae cohere if possible. That is why I favoured the less obvious way of interpreting the first formula, as discussed above.[각주:44]
  그래서 '우리는 증명했다'로 시작하는 문장에서, ES는 not being의 형상이 무엇이라는 재진술을 제공하고 있다. 첫째로 그는 그가 다름의 본성이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고 언급한다. 이것은 아마도 같음과 다름이 다섯 가지 최고류들에 속한다는 증명에 대한 재언급일 것이다 (254e2-255b6). 하지만 그가 그 다름이 ~인 모든 것들에 걸쳐 나뉘어져 들어간다는 것을 증명했다고 덧붙일 때, 우리는 우리의 두 번째 단계, 지식과 다름 사이의 유비를 재인한다. 이제 문제가 되는 부분이 등장한다: 그 문장의 남은 부분, 테아이테토스로 하여금 그가 not being이 그것이리라 보여주었던 것을 상기시킨다고 하는. 어떤 원문 독해를 우리가 사용하든, 그 결과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두 번째 공식은 not being이 '각 being에 마주 놓인 (다름) 의 부분' 혹은 각각의 것의 being에 마주 놓인 (다름) 의 부분이라고 말한다. being에 마주 놓인 일련의 것, 그것은 단일한 부분과 동일시되지 않는다. 달리 말해서, not being은 아름답지 않은 것, 혹은 크지 않은 것, 정의롭지 않은 것 혹은 그러한 등등의 것으로 설명된다. Not being에 대한 두 번째 공식은 분명 not being에 대한 일반화 설명을 제공한다. 그리고 그 설명이 그가 이미 내놓았던 것에 대한 재진술로 도입되기에 (258d8에서 ἀπεφηνάμεθα, '우리가 보여주었다.aor.'와  ἀποδείξαντες, '우리가 증명하였다.aor.'에 주의하라), 우리는 그 두 공식들이 가능하다면 일관되도록 만들고자 시도해야 할 것이다. 그것이 내가 위에서 논의했던 것처럼 첫 번째 공식을 덜 분명한 방식으로 해석하는 일을 지지하는 이유이다.

  Let us take stock of the upshot of this discussion. Is it a surprise to find the ES explaining the much trumpeted form of not being in this way: reducing it, in effect, to not F or not G or not H? For this is how - as I’ve just argued - the second formula for not being must be read.
  이 논의의 축적된 결과를 취해 보자. ES가 not being의 대대적으로 선언된 형상을 이런 식으로 설명한다는 것, 그 형상을 사실상 not F나 not G 혹은 not H로 환원(축소)시키는 방식으로 설명한다는 것을 발견하는 일이 놀랄 일인가? 이것이 - 내가 방금 주장했듯 - not being에 대한 두 번째 공식이 읽혀야만 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Once again I appeal to the important insight due to Charles Kahn, who emphasized the centrality of predication in the Greek concept of being. Given that the core of being is being something, it is not so surprising to find Plato explaining not being as not being large, not being beautiful and so on. Indeed this was the very understanding of Stage 1 I argued for above. A careful reading of that stretch showed that what the ES was explicating was negative expressions in general, even though he introduced the point with the remark ὁπόταν τὸ μὴ ὂν λέγωμεν, whenever we speak of not being.
  다시 한 번 나는 찰스 칸에 기인하는 중요한 통찰에 호소한다, 그는 그리스어 being 개념에서 서술의 중심성을 강조했다. Being의 핵심이 어떤 것'임'이라고 전제한다면, 플라톤이 not being을 크지 않음, 아름답지 않음 등으로 설명하는 것을 발견하는 일이 그리 놀라운 일은 아니다. 더욱이 이것은 내가 위에서 논증했던 첫 단계에 대한 바로 그 이해였다. 그 대목에 대한 신중한 독해는 ES가 해석하고 있던 것이 부정 표현들 일반이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설령 그가 그 지점을 'ὁπόταν τὸ μὴ ὂν λέγωμεν,' 우리가 not being을 말하는 언제든 이라는 언급과 함께 도입시켰다 하더라도 말이다.
  Now, as we saw, Owen favoured a different interpretation both of Stage 1 above, and of the formula for not being, whereby not large and so on were analogues for not being (rather than, as on my view, examples of not being). But, as Owen himself implicitly recognized, the alleged analogy simply doesn’t work. Owen explained the analogy he discerned in Stage 1 as follows. The ES points out that not large needn’t mean the contrary small, since same-sized (or middling, as Owen prefers to translate ison), which is not the contrary, is available as the meaning of not large. This, according to Owen, allows us to recognize by analogy the following point: negating ‘is’ does not yield ‘is not in any way’ (the contrary of ‘is’) but ‘is not something’.[각주:45]
  이제, 우리가 보았듯, 오웬은 위에서 첫 단계에 대해서도 not being에 대한 공식에 대해서도 양자 모두에 상이한 해석을 지지했고, 그 해석으로써 크지 않음 같은 것들이 not being에 대한 유비들이었다 (내 관점에서는 차라리 not being의 예시들). 하지만, 오웬 자신이 암암리에 인정하였듯, 그 제기된 유비는 단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 오웬은 그가 첫 단계에서 분간해냈던 그 유비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ES는 크지 않음이 반대되는 작음을 의미할 필요가 없고, 그것은 같은 크기임 (혹은 중간, ison에 대한 번역으로 오웬이 선호하는 것처럼), 그 반대 아닌 것이, 크지 않음이라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점을 지적해낸다. 이것은, 오웬에 따르면, 우리로 하여금 유비를 통해 다음의 점을 인정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다'를 부정함은 '어떤 식으로도 ~이지 않다' ('~이다'의 반대)가 아니라 '어떤 것이지 않다'를 주장한다.
[18]
…not … /                    / contrary
not large / same-sized / small
is not / is not something / is not anything at all
  But as the table shows, and as Owen in effect accepts, there is a strong disanalogy between the two points he sees Plato making.[각주:46] For what is not large may be either same-sized or small; so in this case the contrary is possible, but is not required by the negative expression. But things are quite different with the negation of ‘is’. Owen takes Plato to be making the point that the contrary of being, viz ‘what is not in any way’ cannot be applied to anything.
  하지만 도표가 보여주듯, 그리고 오웬이 사실상 받아들이듯, 플라톤이 만든다고 그가 보는 두 지점들 사이에는 강력한 불일치가 존재한다. 크지 않은 것은 같은 크기이거나 작거나 둘 중 하나일 것이고; 그래서 이 경우에서 반대는 가능하지만, 그것은 부정 표현에 의해 요청되지 않는다. 하지만 사물들은 '~이다'의 부정과 확연히 다르다. 오웬은 플라톤이 being의 반대, 즉 '어떤 식으로도 ~이지 않은 것'이 어떤 것에든 적용될 수는 없다는 지점을 드러내고 있다고 간주한다.

Concluding remarks

결론

  That almost concludes my discussion of the dark stretch. I do not think I have shed much light on Stage 3, and I certainly am not convinced that ‘this carefully constructed doctrine of the Parts of Otherness’ represents one of Plato’s ‘major “analytic” achievements’, as Lee describes it.[각주:47] So I find it less surprising than Lee does that it is left ‘totally unused in Plato’s subsequent account of falsity’, though I agree in finding it strange that it is not even mentioned in the résumé.
  저것이 그 어두운 대목에 대한 내 논의의 거진 결론이다. 나는 내가 세 번째 단계에 대해 많은 조명을 했다고 생각하지 않고, '다름의 부분들에 대한 이 주의깊게 구성된 원칙'이 플라톤의 '주요한 "분석적" 성취들" 중 하나를 대표한다는 것을 확신한다, Lee가 묘사하듯이. 그래서 나는 그것이 '거짓에 대한 플라톤의 이후 설명에서 충분히 사용되지 않은' 채로 남겨진다는 것에 대해 Lee보다는 덜 놀란다, 내가 그것이 요점정리에서 언급조차 되지 않았다는 것이 이상하다는 것을 발견한다는 데에 동의하더라도.
  The role of Stage 1, however, seems to me clear. Whether or not Plato intended it as the missing account of negative predication, or simply as an account of the meaning of negative expressions - and I do not think we need to choose between the two suggestions, for Stage 1-, he certainly introduced a key notion when he claimed that a negative term need not signify the contrary of F but ‘only different’. I have argued above that he gives a clear indication of his meaning here with the help of the example in A2 that invokes the trio large/small/ same-sized (though commentators have been reluctant to take the hint, for fear of saddling Plato with an incorrect account), and that we must understand him to appeal to the notion of something different chosen from a range of incompatible properties. Plato will make use of the same disputed term ‘different’, which he uses to paraphrase ‘not’ in his account of what it is for ‘Theaetetus flies’ to be false, and there too, as and I others have argued, [19] we understand his account best if we invoke the notion of something different chosen from a range of incompatible properties.[각주:48] There we are offered as a true statement ‘Theaetetus sits’ and we note the relation of flying to sitting, just as we noted the relation of equal to large: not any old different attribute, but a different one from an understood range. On this point at least, our dark stretch helps throw light on an important part still to come in Sophist, the justly admired discussion of false statement.[각주:49]
  그렇지만 첫 단계의 역할은 내가 보기에는 분명하다. 플라톤이 그 단계를 부정 서술에 대한 잃어버린 서술로, 혹은 단순히 부정 표현들의 의미에 대한 설명으로 생각했든 그렇지 않든 - 또한 나는 우리가 그 두 제안들 중에서 선택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첫 단계와 관련하여 -, 그는 부정적 용어가 F의 반대를 의미할 필요는 없고 '단지 다름만' 의미하면 된다고 주장했을 때 확실히 핵심 개념을 도입시켰다. 나는 위에서 그가 여기에서 큼/작음/같은 크기임을 언급하는 A2의 예시의 도움으로 (비록 주석가들은 그 암시를 받아들이길 주저하지만, 부정확한 설명을 플라톤이 짊어지게 만들까 하는 두려움에서) 그가 의미하는 바에 대한 분명한 암시를 준다는 것을 논증했고, 우리는 그가 양립불가능한 속성들의 범위로부터 선택된 어떤 다른 것이라는 개념에 호소한다고 이해해야만 한다는 것을 논증했다. 플라톤은 논의된 그 동일한 '다름'이라는 용어를 활용할 것이다, 그가 '테아이테토스가 난다'라는 것이 거짓이라는 것에 대한 그의 설명에서 'not'을 다른 말로 바꾸기 위해 사용하는 그 용어를, 그곳에서도 마찬가지로, 나와 다른 사람들이 주장하였듯, 만일 우리가 양립 불가능한 속성들의 범위에서 선택된 어떤 다른 것이라는 개념을 든다면 그의 설명을 최선의 방식으로 이해한다. 거기에서 우리는 '테아이테토스는 앉는다'라는 것을 참인 진술로서 제공받고 우리가 큼에 대한 같음의 관계에 주목하였듯 바로 그렇게 앉음에 대한 난다는 것의 관계에 주목한다: 그 어떤 무작위로 다른 속성이 아니라, 합의된 범위에서 나온 다른 속성. 적어도 이 지점에서, 우리의 그 어두운 대목은 여전히 『소피스테스』에 들어서기 위해 중요한 부분에 빛을 밝히는 데에 도움을 준다, 마땅히 경탄받을 만한 거짓 진술에 대한 논의에 말이다.

-작성중-


  1. 1 Charles Kahn, The Verb ‘be’ in ancient Greek reprinted by Hackett (2003), x. The new introduction, from which the above quotation comes, is reprinted in the welcome volume Essays on Being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본문으로]
  2. 2 I list here and in the next two notes some of the major discussions. I have learned from them all, and from many others not mentioned. M.Frede, Prädikation und Existenzaussage (Göttingen, Hypomnemata xviii 1967). G.E.L.Owen, “Plato on Not-being” in G.Vlastos (ed), Plato: A collection of critical essays 1, (Garden City 1971) 223-267. Owen’s essay is reprinted in G. Fine (ed), Plato 1: Metaphysics and Epistemolog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E.N.Lee, “Plato on Negation and Not-being in the Sophist”, Philosophical Review LXXXI.3 1972, 267-304. D.Bostock, “Plato on “Is Not” (Sophist 254-9)”, (Oxford: Oxford Studies in Ancient Philosophy 2, 1984), 89-119. M.Ferejohn, “Plato and Aristotle on Negative Predication and Semantic Fragmentation”, Archiv für Geschichte der Philosophie 71, (1989), 257-82. M.Frede, “Plato’s Sophist on False Statements” in R.Kraut (ed) The Cambridge Companion to Plato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397-424. [본문으로]
  3. 3 J. van Eck “Falsity without Negative Predication: On Sophistes 255e-263d”, Phronesis, 40 (1995), 20-47 exposes the drawbacks of this approach. J. van Eck가 이러한 접근의 결점들을 노출시킨다. [본문으로]
  4. 4 J. Kostman, “False Logos and Not-Being in Plato’s Sophist” in J.M.E.Moravcsik (ed), Patterns in Plato’s Thought (Dordrecht, Holland:Reidel 1973) already made such objections to Owen’s argumentation. 이미 오웬의 논증에 대한 그러한 반론들이 위 책에서 구성되었다. [본문으로]
  5. 5 In L.Brown, “The Sophist on Statements, Predication and Falsehood”, in G.Fine (ed) The Oxford Handbook of Plato,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437-462, I discuss the Communion of Kinds stretch at 444-451. Agreeing with Kahn, The Verb ‘be’, 372, 400, I find no grounds for saying that an ‘is’ of identity is marked off, either in that passage or elsewhere in Plato or Aristotle. I prefer instead to see Plato noting a distinction between kinds of statement (predicative versus identifying statements). In this essay I argue at greater length for the interpretation of 257a-c adumbrated in that paper at 456-7. 나는 444-451에서 유들의 결합 대목을 논의한다. 칸의 책 372, 400에 동의하면서, 나는 저 구절에서든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의 다른 어떤 곳에서든 동일성의 'is'가 규정되어 나온다고 말할 아무런 근거도 찾지 못한다. 나는 대신에 플라톤이 진술의 종류들(서술적 진술들 vs 동일화 진술들) 사이에서의 구분을 주목한다고 보는 쪽을 선호한다. 이 논문에서 나는 상당한 분량으로 257a-c의 해석을 논증한다. 이는 해당 논문 456-7에서 개괄되었다. [본문으로]
  6. 6 cf. 255e4. [본문으로]
  7. 7 cf. 256d11-e1. [본문으로]
  8. 8 cf. 257a1-5. [본문으로]
  9. 9 cf. 257a4. [본문으로]
  10. 10 Frede, “False Statement”, 211; others including Lee, “Negation”, 299n53, note this enigma. 프레데와 Lee를 포함한 다른 사람들이 이 수수께끼에 주목한다. [본문으로]
  11. I am in considerable agreement here with Kostman’s valuable article, ‘False Logos’, section IV, though I do not agree with him that we have to translate heteron as incompatible. 코츠만의 논문 4장에 동의하지만 우리가 heteron을 양립불가능성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점은 동의하지 않는다. [본문으로]
  12. Compare the following imaginary dialogue: ‘When we say mighty something, we don’t mean strong we mean to intensify.’ ‘How so?’ ‘For instance, when we say ‘mighty rich’, we mean very rich, not strong and rich.’ I take A1 in a similar way, i.e. roughly as: when we say ‘not something’…. 다음의 가상 대화와 비교해 보라. '우리가 강력한 뭔가를 말하 때, 우리는 물리적 강함이 아닌 정도의 심화를 의미합니다.' '어떻게 그렇습니까?' '예를 들어, 우리가 '강력한 부'라고 말할 때, 우리는 대단한 부를 의미하고, 힘이 센 것과 부유함을 뜻하진 않습니다.' 나는 A1을 그 유사한 방식으로, 거칠게 말해서 다음과 같이 받아들인다: 우리가 '어떤 것이 아니다'라고 말할 때. [본문으로]
  13. In support of the translation ‘for instance’ note that in all the following places οἷον ὅταν is used to introduce an illustration of a general claim: Phaedo 70e6, Cratylus 394d6, Cratylus 424e2, Republic 462c10. '예를 들어'라는 번역을 지지함에 있어서 οἷον ὅταν이 일반적 주장에 대한 묘사를 도입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점을 주목하라. 『파이돈』 70e6, 『크라튈로스』 394d6, 424e2, 『국가/정체』 462c10. [본문으로]
  14. Note that at 257b8 ‘not large’ is called a rhema, while at 257c1 the ES refers to the words (onomata) which follow the negative. This is keeping with Plato’s standard usage (prior to the Sophist) of onoma for single word, rhema for phrase. In 261d ff he will announce, with considerable fanfare, a new usage for the two terms. 257b8에서 '크지 않음'이 rhema로 불리는 반면, 257c1에서 ES는 부정에 뒤따르는 것으로 단어들(onomata)을 언급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라. 이것은 단일 단어에 대해 onoma를, 구에 대해 rhema를 사용하는 (『소피스테스』에 앞선) 플라톤의 표준적인 용법에 따르고 있다. 261d 이하에서 그는 대대적인 축하와 더불어 그 두 가지 용어들에 대한 새로운 용법을 발표할 것이다. [본문으로]
  15. I am making two assumptions: a) that Plato does not intend to distinguish between what we mean (A1, A2) and what an expression means and b) that he intends the three verbs to be roughly, if not exactly, equivalent: A1 λέγομεν, A2 δηλοῦν and A3 μηνύει. We can explain the weaker μηνύει by the vagueness of the claim that ‘not F’ means ‘one of the others’. See M.Dixsaut, “La Négation, Le non-Etre et L’Autre dans le Sophiste”, in Etudes sur le Sophiste de Platon (Paris: Bibliopolis 1991), 195. I do not agree with J.McDowell, “Falsehood and not-being in Plato’s Sophist”, in edd. M.Schofield and M.Nussbaum Language and Logo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2) ch 6, 119 that Plato is not making a semantic point in A3. 나는 두 가지 가정들을 구성하고 있다: a) 플라톤은 우리가 의미하는 바 (A1, A2)와 표현이 의미하는 바 사이의 구별을 의도하고 있지 않다는 것 그리고 b) 세 동사들, 즉 A1 λέγομεν, A2 δηλοῦν 그리고 A3 μηνύει를 설령 정확하진 않더라도 거칠게 말해서 등가인 것으로 생각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더 약한 의미의 μηνύει를 'not F'가 '그 외의 것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는 주장의 막연함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나는 플라톤이 A3에서 의미론적 관점을 구성하고 있지 않다는 멕도웰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 [본문으로]
  16. Phaedo 75c9 and Republic 602e4-5 both cite the trio using comparatives: larger than/equal to/smaller than. Parmenides 167c has the trio largeness/smallness/equality. See D.Sedley “Equal Sticks and Stones” ch 4 of D.Scott (ed) Maieusi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70. I choose the translation ‘same-sized’, given the connection with large and small, though ‘equal’ is also a possible translation. Owen’s translation ‘middling’ is adopted by many, but is unwarranted. 『파이돈』 75c9와 『국가/정체』 602e4-5 양자 모두 비교급으로 사용하는 세 가지 것을 언급한다: 더 큼/같음/더 작음. 『파르메니데스』 167c는 큼/작음/같음의 세 항을 가진다. 나는 '같은 크기임'이라는 번역을 선택했다, 큼과 작음에 연결을 고려하여, '같음' 또한 가능한 번역이라 하더라도. 오웬의 번역인 '중간'이 많은 이들에 의해 채택되지만, 부적절하다. [본문으로]
  17. See previous note, and, for large and larger than as equivalent, see Phaedo 100e5. [본문으로]
  18. cf Sedley, n16, ‘Equal Sticks’ 69-72. [본문으로]
  19. Brown, n5, “The Sophist on Statements”, 457. [본문으로]
  20. I pass over the question of how exactly to construe the positive thesis about the meaning of not large. The issue is, in part, whether one takes ‘one of the others’ de re or de dicto. 나는 크지 않음이라는 의미에 대한 긍정 명제를 정확히 어떻게 해석하는지에 대한 물음을 지나쳤다. 그 문제는, 부분적으로, '그 외의 것들 중 하나'를 de re로 취하는지 아니면 de dicto로 취하는지의 문제이다. [본문으로]
  21. Ferejohn, “Semantic Fragmentation” 262ff. [본문으로]
  22. Brown, n 5 “The Sophist on Statements”, 458, notes that the incompatibility range account of negation and falsehood was supported by Mabbott and Ryle in an Aristotelian Society Symposium in 1929, and effectively criticised by H.H.Price. [본문으로]
  23. Frede, Prädikation, 78, and “False Statements”, 408-9, offers this interpretation but does not show how he derives it from A3. Bostock, “Is not”, 115 admits it is a strained reading of A3 but tries to justify it, cf. next note. 프레데는 A3으로부터 그것을 어떻게 도출하는지 보여주지 않는다. 보스톡은 그 독해가 억지스럽다는 것을 인정하지만 그에 대한 정당화를 시도한다. [본문으로]
  24. Bostock, “Is not”, 115 notes the expression “the things which the words following the ‘not’ stand for” πραγμάτα περὶ ἅττ᾿ ἂν κέηται τὰ ὀνόματα and suggests that here Plato is talking not about forms (as the things the words apply to) but about instances of forms, the terms being assigned what Bostock calls their generalizing role. But this does not fit with the full version of what the ES says, for he begins by saying that ‘not’ indicates ‘one of the others than the words’ and then corrects himself - ‘or rather, than the things etc. That slip could hardly have occurred if the ES was all along thinking not of forms but their instances. 보스톡은 "'not'을 뒤따르는 단어들이 나타내는 것(사물)들"이라는 표현 πραγμάτα περὶ ἅττ᾿ ἂν κέηται τὰ ὀνόματα(단어들이 그것들에 관하여 놓이는 사태들)에 주목하고 여기에서 플라톤이 형상들 (단어들이 적용되는 것들로서) 이 아니라 형상들의 예화들에 관하여 말하고 있다고 제안한다, 보스톡이 그것들의 일반화하는 역할이라 부르는 것을 배정받은 용어들로서. 하지만 이것은 ES가 말한 것 전체에 부합하지 않는데, 그는 'not'이 '그 단어들과는 다른 단어들 중 하나'를 가리킨다고 말함으로써 시작하고 그 스스로 정정하기 때문이다 - '차라리, 사물들... 과 다른'이라고. 저 실수는 만일 ES가 내내 형상들이 아니라 그 예화들에 대해 생각하고 있었다면 거의 일어날 수 없는 일이다. [본문으로]
  25. Frede, Prädikation, 86-9; Bostock, “Is not”, 115-7 [본문으로]
  26. Frede, Prädikation, 88 cites Phaedrus 248c, 251b; Republic 429c for ‘the nature of F’ meaning simply ‘the Fs’. [본문으로]
  27. Bostock, “Is not”, 116. [본문으로]
  28. The clearest cases are Theaetetus 187e5, Symposium 177a5, Republic 393b7. It is striking how frequently Plato combines ἑκάστοτε with verbs of saying, often - it seems- as a sort of catchphrase. I have noted over twenty occurrences. See also Sophist 237d6. 그 가장 분명한 사례들은 『테아이테토스』 187e5, 『향연』 177a5, 『국가/정체』 393b7이다. 플라톤이 ἑκάστοτε를 발화동사와 얼마나 빈번히, 종종 보이기로는 일종의 구호로서, 결합시키는지는 결정적이다. 나는 스무 번의 출현들에 대해 주목했다. 『소피스테스』 237d6 또한 보라. [본문으로]
  29. As van Eck, “Falsity without”, 32, argues persuasively, while keeping the traditional translation of ἑκάστοτε. [본문으로]
  30. 257c. A further parallel is missed in English: knowledge of… and different from… are both expressed by the genitive case in Greek. [본문으로]
  31. 257b9-10 not beautiful ‘is no less than’ beautiful. 258a1-2 ὁμοίως ἄρα τὸ μὴ μέγα καὶ τὸ μέγα αὐτὸ εἶναι λεκτέον; 258b9-c4 indicates that these are regarded as forms. 257b9-10 아름답지 않음'은' 아름다'에 전혀 못지 않게'. 258a1-2 ὁμοίως ἄρα τὸ μὴ μέγα καὶ τὸ μέγα αὐτὸ εἶναι λεκτέον;(혹시 같은 방식으로 크지 않은 것도 큰 것 자체도 ~이다라고 논해져야만 하는가?) 258b9-c4는 이러한 것들이 형상들로 간주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문으로]
  32. Metaphysics 990b13-14, 1079a9-10. The issue is a complex one; see Frede, Prädikation, 92 and G.Fine, On Idea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113-6 with notes. I agree with Frede, against Fine, that this passage does assert the existence of negative forms/forms of negations. 나는 이 구절이 부정적 형상들/부정들의 형상들의 현존을 단언한다는 점에서 프레데에 동의하고 파인에 반대한다. [본문으로]
  33. Ferejohn, “Semantic Fragmentation”, 279 argues for this line, putting a lot of weight on the term antithesis. See also M-L Gill at . Contra, many scholars including Lee, “Plato on Negation”, 292 and 296, Dixsaut, “La Négation”, n 15, 188. [본문으로]
  34. Owen, “Not-Being”, 232-241, esp 239 [본문으로]
  35. Defended by, among others, Frede, Prädikation, 91-2, and J. van Eck, “Not being and difference: on Plato’s Sophist 256d5-258e3”, Oxford Studies in Ancient Philosophy 2002, 68-83, at 73ff. [본문으로]
  36. With the OCT, I accept the additions by Boeckh in 258c1-2. Those who prefer not to add them to the text must supply them mentally. [본문으로]
  37. Lee, “Negation”, 282-3, lists various interpretations with their adherents. He argues against supplying to yield either part of being, or part of the nature of being, protesting - strongly but not decisively - that we have not been introduced to the notion of a part of being. Frede, Prädikation, 91-2 defends supplying , to make the first formula cohere with the second. 리는 다양한 해석들과 그 지지자들을 나열한다. 그는 를 보충하는 데에 반대하여 part of being 또는 part of the nature of being을 주장한다, 강경하지만 결정적이지는 못한 방식으로, 우리가 a part of being이라는 생각을 도입시키지 않았다고 항의하면서. 프레데는 을 보충하는 일을 옹호한다, 첫 공식을 두 번째 공식에 일치시키기 위해. [본문으로]
  38. ἑκάστου mss and Simplicius; ἕκαστον Simplicius. [본문으로]
  39. cf. 257c7. [본문으로]
  40. cf. 258b1. [본문으로]
  41. We find both forms in Simplicius, cf.n38. [본문으로]
  42. To see that both interpretations yield a reading whereby not being is understood as any part of the different, not just one part, compare the following phrases: 1) each threshold set against a door, and 2) the threshold set against each door. In both case the phrase generalises over thresholds set against doors; in neither case does it pick just one threshold. 두 해석 모두 not being이 다름의 단적으로 한 부분이 아니라 어떤 부분으로 이해되는 독해를 주장한다는 점을 보기 위해, 다음 구들을 비교해 보라. 1) 각 문지방은 문에 마주 놓인다, 그리고 2) 그 문지방은 각 문에 마주 놓인다. 두 경우 모두에서 그 구절은 문들에 마주 놓인 문지방들을 일반화한다; 어느 경우에서도 단 하나의 문지방을 특정하지 않는다. [본문으로]
  43. See Frede, Prädikation, 91-2. Even Owen, “Not Being”, 239-240 n33 gives this generalizing interpretation of the second formula, despite his taking the opposing view both of Stage 1 and of the first formula. 프레데 그리고 오웬까지도 두 번째 공식에 대한 이러한 일반화 해석을 내놓는다, 첫 단계와 첫 번째 공식 모두에 대해 그가 취하는 반대되는 관점에도 불구하고. [본문으로]
  44. Lee, “Plato on Negation”, 282 n 21, has a different way of reconciling the two formulae. He insists, plausibly, that the first formula discusses ‘Being Itself’ but suggests tha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ormula Theaetetus’ incorrect way of understanding that notion is corrected by the ES. 리는 두 공식들을 조화시키는 다른 방식을 가진다. 그는 설득력 있게 첫 번째 공식이 'being 자체'를 논의한다고 주장하지만 첫 공식과 두 번째 공식 사이에서 그 개념에 대한 테아이테토스의 부정확한 이해방식이 ES에 의해 교정된다고 제안한다. [본문으로]
  45. Owen, “Not-Being”, 234 “…just as…calling a thing not white does not relegate it to the other extreme black, so ..saying that it ‘not is’ does not relegate it to the other extreme from being”. 오웬은 "한 사물(것)을 희지 않은 것으로 부르는 일이 그것을 극단적으로 검은 다른 것으로 격하시키지 않는 것처럼, 바로 그렇게 그것이 'not is'이라고 말하는 것은 그것을 being으로부터 극단적으로 다른 것으로 격하시키지 않는다"라고 말한다. [본문으로]
  46. Owen, “Not-Being”, 234: “The conclusion he is leading us to is that in one case this latter option is not open. With the verb “to be” the negative construction not only does not mean the contrary (which is what the analogy is designed to show) but cannot even be applied to anything in the contrary state.” Kostman, “False Logos”, 203, points out the disanalogy. 오웬은 "그가 우리를 이끌어 가고 있는 결론은 한 경우에서 <즉 'is'의 부정에 대한 경우에서> 이 후자의 선택지는 주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to be"라는 동사를 가진 부정적 구문구조는 반대를 의미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그 유비가 그것을 보여주기 위해 고안된 그것) 반대 상태 내의 어떤 것에도 적용될 수조차 없다"고 말한다. 코츠만도 그 불일치를 지적한다. [본문으로]
  47. Lee, “Negation”, 299 n53. [본문으로]
  48. Brown, “The Sophist on Statements”, 456n52 cites Ferejohn “Semantic Fragmentation” n9 for a list of earlier advocates of this view, and adds M-L.Gill, see n 33, and J.Szaif, Platon’s Begriff der Wahrheit (Munich, Verlag Karl Alber, 1998) 487-99. [본문으로]
  49. I am very grateful to all who made helpful comments on an earlier version of this paper, both in the workshop for ancient philosophy in Oxford, and at the Delphi conference in June 2009. Especial thanks are due to Charles Kahn. [본문으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