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sson 13. μι-동사들: 현재, 미완료, 제 1, 제 2 부정과거. ἵστημι와 δίδωμι 직설법 능동. 복합동사들.
³ δίδωμι와 τίθημι, ἵημι의 제 2 부정과거 단수 어미들은 불규칙하다.
1. 앞서 설명되었듯, 이 부류의 동사들은 현재시제 체계에서(현재와 미완료 시제들) 어간의 첫번째 자음을 ι와 함께 중복한다. 이러한 시제들에서 어간 모음은 단수에서 자음이고 복수에서 단음이다. μι-어형변화의 특징적인 인칭 어미들은 그래서 어간에 직접 첨가된다. 이러한 어미들은, 제 1 시제*들에 대해서 : -μι, -ς, -σι, -μεν, -τε, -ασι; 제 2 시제*들에 대해서 : -ν, -ς, -, -μεν, -τε, -σαν이다.
* Primary Tenses. 현재를 표현하는 현재와 현재완료, 미래를 표현하는 미래와 미래완료. S.360.
Secondary Tenses. 과거를 표현하는 미완료, 대과거, 부정과거. S.360.
2. ἵστημι, 일으켜 세우다; στα어간¹의 형태들.
PRESENT | IMPERFECT | ||
ἵστημι | I make stand | ἵστην | I was making stand |
ἵστης | you - | ἵστης | you were - |
ἵστησι | she(he) makes - | ἵστη | she(he) was - |
ἵσταμεν | we make - | ἵσταμεν | we were - |
ἵστατε | you - | ἵστατε | you - |
ἵστᾶσι | they - | ἵστασαν | they - |
INFINITIVE | |||
ἱστάναι | |||
SECOND AORIST² | FIRST AORIST² | ||
ἔστην | I stood | ἔστησα | I made stand |
ἔστης | you - | ἔστησας | you - |
ἔστη | she(he) - | ἔστησε | she(he) - |
ἔστημεν | we - | ἐστήσαμεν | we - |
ἔστητε | you - | ἐστήσατε | you - |
ἔστησαν | they - | ἔστησαν | they - |
INFINITIVE στῆναι | INFINITIVE στῆσαι |
¹ ἵστημι는 원래 σίστημι였다: 라틴어 sisto를 참조하라. 그리스어에서 원래의 첫번째 σ는 빈번하게 기식음을 일어나도록 하고서 사라진다.
² ἵστημι의 제 2 부정과거는 의미에 있어서 자동사이다; 제 1 부정과거는 타동사 의미들을 갖는다.
3. 이 동사의 현재와 미완료에서 단수에서는 η가, 복수에서는 α가 발견된다는 것에 유의하라.
4. δίδωμι, 내가 준다,의 형태들.
PRESENT | IMPERFECT | SECOND AORIST | |||
δίδωμι | I give, etc. | ἐδίδουν | I was giving, etc. | ἔδωκα³ | I gave, etc. |
δίδως | ἐδίδους | ἔδωκας | |||
δίδωσι | ἐδίδου | ἔδωκε | |||
δίδομεν | ἐδίδομεν | ἔδομεν | |||
δίδοτε | ἐδίδοτε | ἔδοτε | |||
διδόασι | ἐδίδοσαν | ἔδοσαν | |||
INFINITIVE | INFINITIVE | ||||
διδόναι | δοῦναι |
5. μι-동사들의 미래는 ω-동사들의 미래와 비슷하다; 예를 들어 στήσω, δώσω.
6. 복합동사들은 단순한 단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치사들을 접두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러한 복합어들의 형성법과 정서법에 관련한 중요한 규칙들의 상당수는 다음과 같다.
(a) 모음으로 끝나는 전치사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동사에 접두될 때, 전치사의 끝 모음은 생략된다. 예를 들어 ἀπό + ἄγω = ἀπάγω.⁴
⁴περί와 πρό는 이 규칙들에 예외들이다.
(b) 만일 그 동사가 기식음을 가지고 전치사의 생략된 모음 앞에 자음이 폐쇄음이라면, 그 폐쇄음은 그 부류의 기식음 형태로 바뀌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ἐπί + ἵημι = ἐφίημι.
(c) 철자 ν은 여러 변화들에 영향을 받는다:
순음 폐쇄음 혹은 μ 앞에서, ν는 μ가 된다. σύν + πέμπω = συμπέμπω, σύν + μάχομαι = συμμάχομαι.
구개음 폐쇄음 앞에서 ν은 γ가 된다. ἐν + γράφω = ἐγγράφω.
λ 앞에서 ν는 λ이 된다. σύν + λαμβάνω = συλλαμβάνω.
σ와 ζ 앞에서 ν는 탈락된다. σύν + στρατεύω = συστρατεύω.
(d) 복합동사들은 전치사의 요소 뒤에서 증강된다. 그리고 생략은 증강 앞에서 일어난다. 예를 들어 ἀποδίδωμι, ἀπέδωκα; ἀποπέμπω, ἀπέπεμψα. 모음들은 음운변화의 규칙들에 맞추어 증강 앞에서 언래의 형태로 돌아간다. συμπέμπω, συνέπεμψα.
(e) 복합동사의 강세는 절대로 증강을 넘어서까지 멀어질 수 없다. ἀπάγω, ἀπῆγον. 부정사들과 분사들은 비복합 형태들의 강세를 유지한다. ἀπαγαγεῖν, ἀπάγον.
-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