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aus erhellet, daß diese logische Kriterien der Möglichkeit der Erkenntnis überhaupt die drei Kategorien der Größe, in denen die Einheit in der Erzeugung des Quantum durchgängig gleichartig angenommen werden muß, hier nur in Absicht auf die Verknüpfung auch ungleichartiger Erkenntnisstücke in einem Bewußtsein durch die Qualität eines Erkenntnisses als Prinzips verwandeln. So ist das Kriterium der Möglichkeit eines Begriffs (nicht des Objekts derselben) die Definition, in der die Einheit des Begriffs, die Wahrheit alles dessen, was zunächst aus ihm abgeleitet werden mag, endlich die Vollständigkeit dessen, was aus ihm gezogen worden, zur Herstellung des ganzen Begriffs das Erforderliche desselben ausmacht; oder so ist auch das Kriterium einer Hypothese die Verständlichkeit des angenommenen Erklärungsgrundes oder dessen Einheit (ohne Hülfshypothese) die Wahrheit (Übereinstimmung unter sich selbst und mit der Erfahrung) der daraus abzuleitenden Folgen, und endlich die Vollständigkeit des Erklärungsgrundes zu ihnen, die auf nichts mehr noch weniger zurückweisen, als in der Hypothese angenommen worden, und das, was a priori synthetisch gesammenstimmen. - Also wird durch die Begriffe von Einheit, Wahrheit und Vollkommenheit die transzendentale Tafel der Kategorien gar nicht, indem das Verhältnis dieser Begriffe auf Objekte gänzlich bei Seite gesetzt wird, das Verfahren mit ihnen unter allgemeine logische Regeln der Übereinstimmung der Erkenntnis mit sich selbst gebracht.
→ 그로부터 인식 일반의 가능성에 대한 이러한 논리적 표지들이 그 안에서 양의 산출에 있어서 통일성이 일반적으로 동종으로 받아들여져야만 하는 크기의 세 가지 범주들을, 여기에서 단지 또한 이종적인 인식의 부분들의 결합에의 의도로서만 의식 안에서 원칙으로서 인식의 질을 통해 전환시킨다는 것이 밝혀진다.→ 그래서 개념의 (대상 자체가 아니라) 가능성의 표지는 정의이다. 그 정의 안에서 개념의 통일이, 맨 먼저 그 개념으로부터 이끌려 나올지도 모르는 그 모든 것의 진리를, 궁극적으로 그 개념으로부터 증명된 것의 완전성을, 전체 개념의 재건을 위해 그 개념의 필수적인 것을 형성한다; 혹은 그래서 또한 가설의 표지는 수용된 설명근거의 이해가능성이거나 그 근거의 통일성 (보조가설 없이) 그로부터 도출한 결론들의 진리 (그 자체 아래에서의 일치와 경험과의 일치), 그리고 궁극적으로 그 결론들에 대한 설명근거의 완전성이다, 가설 안에서 수용될 때 그 귀결들은 많든 적든 그 어떤 것도 인용하지 않고, 선험적 종합적으로 생각되었던 그것을, 후험적 분석적으로 다시금 산출하고 거기에 일치시킨다.→ - 그러므로 통일성, 진리 그리고 완전성에 대한 개념들을 통하여 범주들의 초월론적 도표는 전혀, 마치 그 도표가 약간 불충분하기라도 한 듯, 보완되지는 않고, 오히려 단지, 이러한 개념들의 객체와의 관계가 전적으로 제쳐 놓여짐으로써, 그 개념들을 가지고 하는 작업이 인식 그 자체의 일치에 대한 일반 논리학적 규칙 아래에서 사용될 뿐이다.


Woraus erhellet, daß diese logische Kriterien der Möglichkeit der Erkenntnis überhaupt die drei Kategorien der Größe, in denen die Einheit in der Erzeugung des Quantum durchgängig gleichartig angenommen werden muß, hier nur in Absicht auf die Verknüpfung auch ungleichartiger Erkenntnisstücke in einem Bewußtsein durch die Qualität eines Erkenntnisses als Prinzips verwandeln.
그로부터 밝혀진다, 인식 일반의 가능성에 대한 이러한 논리적 표지들이 크기의 세 가지 범주들을, 그 범주들 안에서 양의 산출에 있어서 통일성이 일반적으로 동종으로 받아들여져야만 하는, 여기에서 단지 또한 이종적인 인식의 부분들의 결합에의 의도로서만 의식 안에서 인식의 질을 통해 원칙으로서 전환시킨다는 것이.
→ 그로부터 인식 일반의 가능성에 대한 이러한 논리적 표지들이 그 안에서 양의 산출에 있어서 통일성이 일반적으로 동종으로 받아들여져야만 하는 크기의 세 가지 범주들을, 여기에서 단지 또한 이종적인 인식의 부분들의 결합에의 의도로서만 의식 안에서 원칙으로서 인식의 질을 통해 전환시킨다는 것이 밝혀진다.
So ist das Kriterium der Möglichkeit eines Begriffs (nicht des Objekts derselben) die Definition, in der die Einheit des Begriffs, die Wahrheit alles dessen, was zunächst aus ihm abgeleitet werden mag, endlich die Vollständigkeit dessen, was aus ihm gezogen worden, zur Herstellung des ganzen Begriffs das Erforderliche desselben ausmacht; oder so ist auch das Kriterium einer Hypothese die Verständlichkeit des angenommenen Erklärungsgrundes oder dessen Einheit (ohne Hülfshypothese) die Wahrheit (Übereinstimmung unter sich selbst und mit der Erfahrung) der daraus abzuleiten den Folgen, und endlich die Vollständigkeit des Erklärungsgrundes zu ihnen, die auf nichts mehr noch weniger zurückweisen, als in der Hypothese angenommen worden, und das, was a priori synthetisch gedacht war, a posteriori analytisch wieder liefern und dazu zusammenstimmen.
그래서 개념의 (대상 자체가 아니라) 가능성의 표지는 정의이다, 그 정의 안에서 개념의 통일이, 그 모든 것의 진리를, 맨 먼저 그 개념으로부터 이끌려 나올지도 모르는, 궁극적으로 그것의 완전성을, 그 개념으로부터 증명된, 전체 개념의 재건을 위해 그 개념의 필수적인 것을 형성하는; 혹은 그래서 또한 가설의 표지는 수용된 해명의 전제의 이해가능성이거나 그 전제의 통일성이 (보조가설 없이) 그로부터 도출한 결론들의 진리를 (그 자체 아래에서의 일치와 경험과의 일치), 그리고 궁극적으로 해명의 전제의 완전성을 그것들에, 그것들이 많든 적든 그 어떤 것도 인용하지 않는, 가설 안에서 수용될 때, 그리고 그것이, 선험적 종합적으로 생각되었던, 후험적 분석적으로 다시금 산출하고 거기에 일치시킨다.
→ 그래서 개념의 (대상 자체가 아니라) 가능성의 표지는 정의이다. 그 정의 안에서 개념의 통일이, 맨 먼저 그 개념으로부터 이끌려 나올지도 모르는 그 모든 것의 진리를, 궁극적으로 그 개념으로부터 증명된 것의 완전성을, 전체 개념의 재건을 위해 그 개념의 필수적인 것을 형성한다; 혹은 그래서 또한 가설의 표지는 수용된 설명근거의 이해가능성이거나 그 근거의 통일성 (보조가설 없이) 그로부터 도출한 결론들의 진리 (그 자체 아래에서의 일치와 경험과의 일치), 그리고 궁극적으로 그 결론들에 대한 설명근거의 완전성이다, 가설 안에서 수용될 때 그 귀결들은 많든 적든 그 어떤 것도 인용하지 않고, 선험적 종합적으로 생각되었던 그것을, 후험적 분석적으로 다시금 산출하고 거기에 일치시킨다.
- Also wird durch die Begriffe von Einheit, Wahrheit und Vollkommenheit die transzendentale Tafel der Kategorien gar nicht, als wäre sie etwa mangelhaft, ergänzt, sondern nur, indem das Verhältnis dieser Begriffe auf Objekte gänzlich bei Seite gesetzt wird, das Verfahren mit ihnen unter allgemeine logische Regeln der Übereinstimmung der Erkenntnis mit sich selbst gebracht.
- 그러므로 통일성, 진리 그리고 완전성에 대한 개념들을 통하여 범주들의 초월론적 도표는 전혀, 마치 그 도표가 약간 불충분하기라도 한 듯, 보완되지는 않고, 오히려 단지, 이러한 개념들의 객체와의 관계가 전적으로 제쳐 놓여짐으로써, 그 개념들을 가지고 하는 작업이 인식 그 자체의 일치에 대한 일반 논리학적 규칙 아래에서 사용될 뿐이다.
→ - 그러므로 통일성, 진리 그리고 완전성에 대한 개념들을 통하여 범주들의 초월론적 도표는 전혀, 마치 그 도표가 약간 불충분하기라도 한 듯, 보완되지는 않고, 오히려 단지, 이러한 개념들의 객체와의 관계가 전적으로 제쳐 놓여짐으로써, 그 개념들을 가지고 하는 작업이 인식 그 자체의 일치에 대한 일반 논리학적 규칙 아래에서 사용될 뿐이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