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ese vermeintlich transzendentale Prädikate der Dinge sind nichts anders als logische Erfordernisse und Kriterien aller Erkenntnis der Dinge überhaupt, und legen ihr die Kategorien der Quantität, nämlich der Einheit, Vielheit und Allheit, zum Grunde, nur daß sie diese, welche eigentlich material, als zur Möglichkeit der Dinge selbst gehörig, genommen werden müßten, in der Tat nur in formaler Bedeutung als zur logischen Forderung in Ansehung jeder Erkenntnis gehörig brauchten, und doch diese Kriterien des Denkens unbehutsamer Weise zu Eigenschaften der Dinge an sich selbst machten. In jedem Erkenntnisse eines Objektes ist nämlich Einheit des Begriffes, welche man qualitative Einheit nennen kann, so fern darunter nur die Einheit der Zusammenfassung des Mannigfaltigen der Erkenntnisse gedacht wird, wie etwa die Einheit des Thema in einem Schauspiel, einer Rede, einer Fabel. Zweitens Wahrheit in Ansehung der Folgen. Je mehr wahre Folgen aus einem gegebenen Begriffe, desto mehr Kennzeichen seiner objektiven Realität. Dieses könnte man die qualitative Vielheit der Merkmale, die zu einem Begriffe als einem gemeinschaftlichen Grunde gehören, (nicht in ihm als Größe gedacht werden,) nennen. Endlich drittens Vollkommenheit, die darin besteht, daß umgekehrt diese Vielheit zusammen auf die Einheit des Begriffes zurückführt, und zu diesem und keinem anderen völlig zusammenstimmt, welches man die qualitative Vollständigkeit (Totalität) nennen kann.
→ 이러한 사물의 소위 초월론적 술어들은 사물 일반의 모든 인식의 논리적 조건들과 표지들 외에 다른 아무것도 아니다. 그 술어들은 그 조건들에 양의 범주들을, 즉 하나, 다수와 모두를 기초에 둔다. 오로지 본래 질료적인 사물 자체의 가능성에 속하는 것으로서 취해져야만 하는 이러한 범주들을, 실제로 형식적 조건에 있어서 각 인식의 고려 속에서 논리적 요구에 속하는 것으로 사용하였고, 또한 이러한 사유의 표지들을 경솔한 방식으로 물자체의 성질들로 만들었다.→ 각각의 인식에 있어서 객체는, 연극에 있어서 주제, 대사, 줄거리의 어떤 통일과 같이 오로지 그 아래에서만 인식의 잡다들의 총괄의 통일이 생각되는 한에서, 사람들이 질적인 통일이라고 부를 수 있는, 즉 개념들의 통일이다.→ 두번째 것은 결론들과의 관련 속에서 참이다.→ 주어진 개념으로부터 참인 결론들이 많으면 많을수록, 그 개념의 객관적 실재성의 표지들도 더욱 더 많다.→ 이러한 것을 사람들은 (그 개념에서 크기로서 생각되지 않고) 공통된 토대로서 개념에 속하는 표지들의 질적 다수성이라고, 명명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세번째 것은 반대되는 이러한 다수성이 동시에 개념의 통일성으로 환원하는, 그리고 다른 무엇도 아닌 이러한 것에 완전히 일치하는, 사람들이 질적 완전성(총체성)이라고 부를 수 있는 그 안에 존립하는 완전함이다.


Diese vermeintlich transzendentale Prädikate der Dinge sind nichts anders als logische Erfordernisse und Kriterien aller Erkenntnis der Dinge überhaupt, und legen ihr die Kategorien der Quantität, nämlich der Einheit, Vielheit und Allheit, zum Grunde, nur daß sie diese, welche eigentlich material, als zur Möglichkeit der Dinge selbst gehörig, genommen werden müßten, in der Tat nur in formaler Bedeutung als zur logischen Forderung in Ansehung jeder Erkenntnis gehörig brauchten, und doch diese Kriterien des Denkens unbehutsamer Weise zu Eigenschaften der Dinge an sich selbst machten.
이러한 사물의 소위 초월론적 술어들은 사물 일반의 모든 인식의 논리적 조건들과 표지들 외에 다른 아무것도 아니며, 그 조건들에 양의 범주들을, 즉 하나, 다수와 모두를, 기초에 둔다. 오로지 그 범주들이 이러한 것들인, 본래 질료적인, 사물 자체의 가능성에 속하는 것으로서, 취해져야만 하는, 실제로 형식적 조건에 있어서 각 인식의 고려 속에서 논리적 요구에 속하는 것으로 사용하며, 또한 이러한 사유의 표지들이 경솔한 방식으로 물자체의 성질들로 형성하는.
→ 이러한 사물의 소위 초월론적 술어들은 사물 일반의 모든 인식의 논리적 조건들과 표지들 외에 다른 아무것도 아니다. 그 술어들은 그 조건들에 양의 범주들을, 즉 하나, 다수와 모두를 기초에 둔다. 오로지 본래 질료적인 사물 자체의 가능성에 속하는 것으로서 취해져야만 하는 이러한 범주들을, 실제로 형식적 조건에 있어서 각 인식의 고려 속에서 논리적 요구에 속하는 것으로 사용하였고, 또한 이러한 사유의 표지들을 경솔한 방식으로 물자체의 성질들로 만들었다.
In jedem Erkenntnisse eines Objektes ist nämlich Einheit des Begriffes, welche man qualitative Einheit nennen kann, so fern darunter nur die Einheit der Zusammenfassung des Mannigfaltigen der Erkenntnisse gedacht wird, wie etwa die Einheit des Thema in einem Schauspiel, einer Rede, einer Fabel.
각각의 인식에 있어서 객체는 다시 말해 개념들의 통일이다, 사람들이 질적인 통일이라고 부를 수 있는, 오로지 그 아래에서만 인식의 잡다들의 총괄의 통일이 생각되는 한에서, 연극에 있어서 주제, 대사, 줄거리의 어떤 통일과 같이.
→ 각각의 인식에 있어서 객체는, 연극에 있어서 주제, 대사, 줄거리의 어떤 통일과 같이 오로지 그 아래에서만 인식의 잡다들의 총괄의 통일이 생각되는 한에서, 사람들이 질적인 통일이라고 부를 수 있는, 즉 개념들의 통일이다.
Zweitens Wahrheit in Ansehung der Folgen.
두번째 것은 결론들과의 관련 속에서 참이다.
→ 두번째 것은 결론들과의 관련 속에서 참이다.
Je mehr wahre Folgen aus einem gegebenen Begriffe, desto mehr Kennzeichen seiner objektiven Realität.
주어진 개념으로부터 참인 결론들이 많으면 많을수록, 그 개념의 객관적 실재성의 표지들도 더욱 더 많다.
→ 주어진 개념으로부터 참인 결론들이 많으면 많을수록, 그 개념의 객관적 실재성의 표지들도 더욱 더 많다.
Dieses könnte man die qualitative Vielheit der Merkmale, die zu einem Begriffe als einem gemeinschaftlichen Grunde gehören, (nicht in ihm als Größe gedacht werden,) nennen.
이러한 것을 사람들은 표지들의 질적 다수성이라고, 그 다수성이 공통된 토대로서 개념에 속하는, (그 개념에서 크기로서 생각되지 않고) 명명할 수 있을 것이다.
→ 이러한 것을 사람들은 (그 개념에서 크기로서 생각되지 않고) 공통된 토대로서 개념에 속하는 표지들의 질적 다수성이라고, 명명할 수 있을 것이다.
Endlich drittens Vollkommenheit, die darin besteht, daß umgekehrt diese Vielheit zusammen auf die Einheit des Begriffes zurückführt, und zu diesem und keinem anderen völlig zusammenstimmt, welches man die qualitative Vollständigkeit (Totalität) nennen kann.
끝으로 세번째 것은 완전함이다, 그 안에 존립하는, 반대되는 이러한 다수성이 동시에 개념의 통일성으로 환원하는, 그리고 다른 무엇도 아닌 이러한 것에 완전히 일치하는, 사람들이 질적 완전성(총체성)이라고 부를 수 있는.
→ 끝으로 세번째 것은 반대되는 이러한 다수성이 동시에 개념의 통일성으로 환원하는, 그리고 다른 무엇도 아닌 이러한 것에 완전히 일치하는, 사람들이 질적 완전성(총체성)이라고 부를 수 있는 그 안에 존립하는 완전함이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