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

Es findet sich aber in der Transzendentalphilosophie der Alten noch ein Haupstück vor, welches reine Verstandesbegriffe enthält, die, ob sie gleich nicht unter die Kategorien gezählt werden, dennoch, nach ihnen, als Begriffe a priori von Gegenständen gelten sollten, in welchem Falle sie aber die Zahl der Kategorien vermehren würden, welches nicht sein kann. Diese trägt der unter den Scholastikern so berufene Satz vor: quodlibet ens est unum, verum, bonum. Ob nun zwar der Gebrauch dieses Prinzips in Absicht auf die Folgerungen (die lauter tautologische Sätze gaben) sehr kümmerlich ausfiel, so, daß man es auch in neueren Zeiten beinahe nur ehrenhalber in der Metaphysik aufzustellen pflegt, so verdient doch ein Gedanke, der sich so lange Zeit erhalten hat, so leer er auch zu sein scheint, immer eine Untersuchung seines Ursprungs, und berechtigt zur Vermutung, daß er in irgend einer Verstandesregel seinen Grund habe, der nur, wie es oft geschieht, falsch gedolmetscht worden.
→ 그러나 고대인들의 초월철학 내에서도 순수 지성개념들을 포함하는 그 한 장이 발견된다. 그 개념들이, 비록 그것들이 범주들로 간주되지는 않는다고 할지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에 따르면, 대상들에 선험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개념들이라고 한다. 그러나 그 경우 그 개념들은 범주들의 수를 늘릴 것이지만, 그러한 범주일 수 없다.→ 이러한 개념들은 스콜라 철학자들 사이에서 그렇게나 유명한 명제를 내놓는다: 있는 것은 어디서든 일이요, 진이요, 선이니라.(ens: sum present participle sons. modified form ab-sens, prae-sens, The simple form ens.)→ 이제 비록 그 결과들에 대한 의도 속에서 이러한 원칙들의 사용이 (순수한 동의이어적 명제를 주는) 매우 옹색한 결과가 되었고, 그래서, 사람들이 그것을 또한 새로운 시대에 형이상학 안에서 거의 체면치레만을 위해 제시하곤 한다고는 할지라도, 그래서 또한 그렇게나 공허하게 보이는 것이 그렇게 오랜 시간 유지해 온 것은 언제나 그것의 기원에 대한 연구를 생각할 가치가 있다. 그리고 그러한 것은 그것이 좌우간 지성규칙 안에 자주 그러하듯이 단지 그릇되게 납득되었던 근거를 가진다고 추측하게끔 한다.

Es findet sich aber in der Transzendentalphilosophie der Alten noch ein Haupstück vor, welches reine Verstandesbegriffe enthält, die, ob sie gleich nicht unter die Kategorien gezählt werden, dennoch, nach ihnen, als Begriffe a priori von Gegenständen gelten sollten, in welchem Falle sie aber die Zahl der Kategorien vermehren würden, welches nicht sein kann.
그러나 발견된다 고대인들의 초월철학 내에서도 그 한 장이, 순수 지성개념들을 포함하는, 그 개념들이, 비록 그것들이 범주들로 간주되지는 않는다고 할지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에 따르면, 대상들에 선험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개념들로서, 그 개념들이 그러나 범주들의 수를 넘어서게 될 경우, 그러한 것일 수 없는.
→ 그러나 고대인들의 초월철학 내에서도 순수 지성개념들을 포함하는 그 한 장이 발견된다. 그 개념들이, 비록 그것들이 범주들로 간주되지는 않는다고 할지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에 따르면, 대상들에 선험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개념들이라고 한다. 그러나 그 경우 그 개념들은 범주들의 수를 늘릴 것이지만, 그러한 범주일 수 없다.
Diese trägt der unter den Scholastikern so berufene Satz vor: quodlibet ens est unum, verum, bonum.
이러한 개념들은 내놓는다 스콜라 철학자들 사이에서 그렇게나 유명한 명제를: 있는 것은 어디서든 일이요, 진이요, 선이니라.(ens: sum present participle sons. modified form ab-sens, prae-sens, The simple form ens.)
→ 이러한 개념들은 스콜라 철학자들 사이에서 그렇게나 유명한 명제를 내놓는다: 있는 것은 어디서든 일이요, 진이요, 선이니라.(ens: sum present participle sons. modified form ab-sens, prae-sens, The simple form ens.)
Ob nun zwar der Gebrauch dieses Prinzips in Absicht auf die Folgerungen (die lauter tautologische Sätze gaben) sehr kümmerlich ausfiel, so, daß man es auch in neueren Zeiten beinahe nur ehrenhalber in der Metaphysik aufzustellen pflegt, so verdient doch ein Gedanke, der sich so lange Zeit erhalten hat, so leer er auch zu sein scheint, immer eine Untersuchung seines Ursprungs, und berechtigt zur Vermutung, daß er in irgend einer Verstandesregel seinen Grund habe, der nur, wie es oft geschieht, falsch gedolmetscht worden.
이제 비록 그 결과들에 대한 의도 속에서 이러한 원칙들의 사용이 (순수한 동의이어적 명제를 주는) 매우 옹색한 결과가 되었고, 그래서, 사람들이 그것을 또한 새로운 시대에 형이상학 안에서 거의 체면치레만을 위해 제시하곤 한다고는 할지라도, 그래서 또한 생각할 가치가 있다, 그렇게 오랜 시간 유지해 온 것은, 그것이 그렇게나 공허하게 보이는, 언제나 그것의 기원에 대한 연구를, 그리고 추측하게끔 한다, 그것이 좌우간 지성규칙 안에 그것의 근거를 가진다고, 그것이 단지, 그것이 자주 일어나는 것처럼, 그릇되게 납득되었던.
→ 이제 비록 그 결과들에 대한 의도 속에서 이러한 원칙들의 사용이 (순수한 동의이어적 명제를 주는) 매우 옹색한 결과가 되었고, 그래서, 사람들이 그것을 또한 새로운 시대에 형이상학 안에서 거의 체면치레만을 위해 제시하곤 한다고는 할지라도, 그래서 또한 그렇게나 공허하게 보이는 것이 그렇게 오랜 시간 유지해 온 것은 언제나 그것의 기원에 대한 연구를 생각할 가치가 있다. 그리고 그러한 것은 그것이 좌우간 지성규칙 안에 자주 그러하듯이 단지 그릇되게 납득되었던 근거를 가진다고 추측하게끔 한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