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e erste ist: daß sich diese Tafel, welche vier Klassen von Verstandesbegriffen enthält, zuerst in zwei Abteilungen zerfällen lasse, deren erstere auf Gegenstände der Anschauung (der reinen sowohl als empirischen), die zweite aber auf die Existenz dieser Gegenstände (entweder in Beziehung auf einander oder auf den Verstand) gerichtet sind.
→ 첫번째 주해는: 지성개념들에 대한 네 가지 부문들을 포함하는 이러한 도표가 먼저 두 구분으로 나뉘어 있고, 그 중의 첫번째 것은 직관의 대상들에 대해 (순수한 직관뿐만 아니라 경험적 직관까지도), 그러나 두번째 것은 이러한 대상들의 현존에 대해 (상호에 관해서든지성에 관해서든) 향해진다는 것이다.

Die erste Klasse würde ich die der mathematischen, die zweite der dynamischen Kategorien nennen. Die erste Klasse hat, wie man sieht, keine Korrelate, die allein in der zweiten Klasse angetroffen werden. Dieser Unterschied muß doch einen Grund in der Natur des Verstandes haben.
→ 그 첫번째 부문을 나는 수학적 범주들의 부문, 두번째 부문을 역학적 범주들의 부문이라 명명할 것이다.→ 첫번째 부문은, 사람들이 보았듯이, 오로지 두번째 부문에서만 발견되는 어떠한 상관개념들도 가지지 않는다.→ 이러한 구분은 지성의 본성에 이유를 가짐에 틀림없다.

2te Anmerk. Daß allerwärts eine gleiche Zahl der Kategorien jeder Klasse, nämlich drei sind, welches eben sowohl zum Nachdenken auffodert, da sonst alle Einteilung a priori durch Begriffe dichotomie sein muß. Dazu kommt aber noch, daß die dritte Kategorie allenthalben aus der Verbindung der zweiten mit der ersten ihrer Klasse entspringt.
→ 두번째 주해. 어느 곳에서나 각 부문의 범주들의 수는 똑같이 셋이다. 더욱이 모든 구분들은 선험적으로 개념들을 통해 양분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똑같이 숙고를 요구한다.→ 그러나 게다가 세번째 범주들이 어디에서나 그 범주들의 부문의 두번째 것과 세번째 것의 결합으로부터 발생한다는 것이 있다.


Die erste ist: daß sich diese Tafel, welche vier Klassen von Verstandesbegriffen enthält, zuerst in zwei Abteilungen zerfällen lasse, deren erstere auf Gegenstände der Anschauung (der reinen sowohl als empirischen), die zweite aber auf die Existenz dieser Gegenstände (entweder in Beziehung auf einander oder auf den Verstand) gerichtet sind.
첫번째 주해는: 이러한 도표가, 지성개념들에 대한 네 가지 부문들을 포함하는, 먼저 두 구분으로 나뉘어 있고, 그 중의 첫번째 것이 직관의 대상들에 대해 (순수한 직관뿐만 아니라 경험적 직관까지도), 그러나 두번째 것은 이러한 대상들의 현존에 대해 (상호에 관해서든지성에 관해서든) 향해진다는 것이다.
→ 첫번째 주해는: 지성개념들에 대한 네 가지 부문들을 포함하는 이러한 도표가 먼저 두 구분으로 나뉘어 있고, 그 중의 첫번째 것은 직관의 대상들에 대해 (순수한 직관뿐만 아니라 경험적 직관까지도), 그러나 두번째 것은 이러한 대상들의 현존에 대해 (상호에 관해서든지성에 관해서든) 향해진다는 것이다.

Die erste Klasse würde ich die der mathematischen, die zweite der dynamischen Kategorien nennen.
그 첫번째 부문을 나는 수학적 범주들의 부문, 두번째 부문을 역학적 범주들의 부문이라 명명할 것이다.
→ 그 첫번째 부문을 나는 수학적 범주들의 부문, 두번째 부문을 역학적 범주들의 부문이라 명명할 것이다.
Die erste Klasse hat, wie man sieht, keine Korrelate, die allein in der zweiten Klasse angetroffen werden.
첫번째 부문은, 사람들이 보았듯이, 어떠한 상관개념들도 가지지 않는다, 그 상관개념들이 오로지 두번째 부문에서만 발견되는.
→ 첫번째 부문은, 사람들이 보았듯이, 오로지 두번째 부문에서만 발견되는 어떠한 상관개념들도 가지지 않는다.
Dieser Unterschied muß doch einen Grund in der Natur des Verstandes haben.
이러한 구분은 지성의 본성에 이유를 가짐에 틀림없다.
→ 이러한 구분은 지성의 본성에 이유를 가짐에 틀림없다.

2te Anmerk. Daß allerwärts eine gleiche Zahl der Kategorien jeder Klasse, nämlich drei sind, welches eben sowohl zum Nachdenken auffodert, da sonst alle Einteilung a priori durch Begriffe dichotomie sein muß.
두번째 주해. 어느 곳에서나 각 부문의 범주들의 동일한 수가, 즉 셋이, 똑같이 숙고를 요구하는, 더욱이 모든 구분들은 선험적으로 개념들을 통해 양분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 두번째 주해. 어느 곳에서나 각 부문의 범주들의 수는 똑같이 셋이다. 더욱이 모든 구분들은 선험적으로 개념들을 통해 양분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똑같이 숙고를 요구한다.
Dazu kommt aber noch, daß die dritte Kategorie allenthalben aus der Verbindung der zweiten mit der ersten ihrer Klasse entspringt.
그러나 게다가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세번째 범주들이 어디에서나 그 범주들의 부문의 두번째 것과 세번째 것의 결합으로부터 발생한다는 것.
→ 그러나 게다가 세번째 범주들이 어디에서나 그 범주들의 부문의 두번째 것과 세번째 것의 결합으로부터 발생한다는 것이 있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