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her ist weder der Raum, noch irgend eine geometrische Bestimmung desselben a priori eine transzendentale Vorstellung, sondern nur die Erkenntnis, daß diese Vorstellungen gar nicht empirischen Ursprungs sein, und die Möglichkeit, wie sie sich gleichwohl a priori auf Gegenstände der Erfahrung beziehen könne, kann transzendental heißen. Imgleichen würde der Gebrauch des Raumes von Gegenständen überhaupt auch transzendental sein: aber ist er lediglich auf Gegenstände der Sinne eingeschränkt, so heißt er empirisch. Der Unterschied des Transzendentalen und Empirischen gehört also nur zur Kritik der Erkenntnisse, und betrifft nicht die Beziehung derselben auf ihren Gegenstand.

→ 그런 이유로 공간도, 그것의 선험적인 어떠한 기하학적 규정도 초월론적 표상은 아니고, 오히려 단지 이러한 표상들이 전혀 경험적 원천이 아니라는 인식이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선험적으로 경험의 대상들에 어떻게 관련될 수 있는가 하는 가능성은 초월론적이라 부를 수 있다.→ 그와 마찬가지 것에서 대상들 전반에 대한 공간의 사용 역시 초월론적이다: 그러나 그것은 다만 감관의 대상들에 대해서만으로 제한되고, 그래서 그것은 경험적이라 부른다.→ 초월론적인 것과 경험적인 것의 구분은 그러므로 단지 인식의 비판에만 속하고, 그것들의 대상에 대한 그것들의 관계는 관련하지 않는다.

In der Erwartung also, daß es vielleicht Begriffe geben könne, die sich a priori auf Gegenstände beziehen mögen, nicht als reine oder sinnliche Anschauungen, sondern bloß als Handlungen des reinen Denkens, die mithin Begriffe, aber weder empirischen noch ästhetischen Ursprungs sind, so machen wir uns zum voraus die Idee von einer Wissenschaft des reinen Verstandes- und Vernunfterkenntnisses, dadurch wir Gegenstände völlig a priori denken. Eine solche Wissenschaft, welche den Ursprung, den Umfang und die objektive Gültigkeit solcher Erkenntnisse bestimmete, würde transzendentale Logik heißen müssen, weil sie es bloß mit den Gesetzen des Verstandes und der Vernunft zu tun hat, aber lediglich, so fern sie auf Gegenstände a priori bezogen wird, und nicht, wie die allgemeine Logik, auf die empirischen so wohl, als reinen Vernunfterkenntnisse ohne Unterschied.

→ 그러므로 어쩌면 선험적으로 대상들에 관계할지도 모르는 개념들이 있을 수도 있다는 기대 속에서, 순수하거나 감각적인 직관들로서가 아니라 오히려 순전히 순수한 사유의 작용들로서, 따라서 그러나 경험적인 원천도 감성적인 원천도 아닌 그 개념들을 우리가 우리에게 그를 통하여 우리가 대상들을 완전히 선험적으로 사유하는 순수한 지성인식과 순수한 이성인식의 학문에 대한 이념을 그에 대해 더 앞서서 마련한다.→ 그러한 인식들의 기원과 한계와 객관적 정당성을 규정하는 그러한 학문은 초월론적 논리학이라고 불려야만 한다. 왜냐하면 그 학문은 순전히 지성과 이성의 원칙들에만 관계하고, 그러나 단지, 그 학문이 대상들에 선험적으로 관련되는 한에서만, 그리고 보편적 논리학과 같이 순수한 이성인식과 구분도 없이 경험적인 것들에도 관련하지는 않는 한에서만 관계하기 때문이다.

 

 

 

Daher ist weder der Raum, noch irgend eine geometrische Bestimmung desselben a priori eine transzendentale Vorstellung, sondern nur die Erkenntnis, daß diese Vorstellungen gar nicht empirischen Ursprungs sein, und die Möglichkeit, wie sie sich gleichwohl a priori auf Gegenstände der Erfahrung beziehen könne, kann transzendental heißen.

그런 이유로 공간도, 그것의 선험적인 어떠한 기하학적 규정도 초월론적 표상은 아니고, 오히려 단지 인식이다, 이러한 표상들이 전혀 경험적 원천이 아니라는, 그리고 가능성은, 그 가능성이 마찬가지로 선험적으로 경험의 대상들에 어떻게 관련될 수 있는가 하는, 초월론적이라 부를 수 있다.

→ 그런 이유로 공간도, 그것의 선험적인 어떠한 기하학적 규정도 초월론적 표상은 아니고, 오히려 단지 이러한 표상들이 전혀 경험적 원천이 아니라는 인식이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선험적으로 경험의 대상들에 어떻게 관련될 수 있는가 하는 가능성은 초월론적이라 부를 수 있다.

Imgleichen würde der Gebrauch des Raumes von Gegenständen überhaupt auch transzendental sein: aber ist er lediglich auf Gegenstände der Sinne eingeschränkt, so heißt er empirisch.

그와 마찬가지 것에서 대상들 전반에 대한 공간의 사용 역시 초월론적이다: 그러나 그것은 다만 감관의 대상들에 대해서만으로 제한되고, 그래서 그것은 경험적이라 부른다.

→ 그와 마찬가지 것에서 대상들 전반에 대한 공간의 사용 역시 초월론적이다: 그러나 그것은 다만 감관의 대상들에 대해서만으로 제한되고, 그래서 그것은 경험적이라 부른다.

Der Unterschied des Transzendentalen und Empirischen gehört also nur zur Kritik der Erkenntnisse, und betrifft nicht die Beziehung derselben auf ihren Gegenstand.

초월론적인 것과 경험적인 것의 구분은 그러므로 단지 인식의 비판에만 속하고, 그것들의 대상에 대한 그것들의 관계는 관련하지 않는다.

→ 초월론적인 것과 경험적인 것의 구분은 그러므로 단지 인식의 비판에만 속하고, 그것들의 대상에 대한 그것들의 관계는 관련하지 않는다.

 

In der Erwartung also, daß es vielleicht Begriffe geben könne, die sich a priori auf Gegenstände beziehen mögen, nicht als reine oder sinnliche Anschauungen, sondern bloß als Handlungen des reinen Denkens, die mithin Begriffe, aber weder empirischen noch ästhetischen Ursprungs sind, so machen wir uns zum voraus die Idee von einer Wissenschaft des reinen Verstandes- und Vernunfterkenntnisses, dadurch wir Gegenstände völlig a priori denken.

그러므로 기대 속에서, 어쩌면 개념들이 있을 수도 있다는, 그 개념들이 선험적으로 대상들에 관계할지도 모르는, 순수하거나 감각적인 직관들로서가 아니라, 오히려 순전히 순수한 사유의 작용들로서, 따라서 그 개념들을, 그러나 경험적인 원천도 감성적인 원천도 아닌, 우리가 우리에게 순수한 지성인식과 순수한 이성인식의 학문에 대한 이념을 그에 대해 더 앞서서 마련한다, 그를 통하여 우리가 대상들을 완전히 선험적으로 사유하는.

→ 그러므로 어쩌면 선험적으로 대상들에 관계할지도 모르는 개념들이 있을 수도 있다는 기대 속에서, 순수하거나 감각적인 직관들로서가 아니라 오히려 순전히 순수한 사유의 작용들로서, 따라서 그러나 경험적인 원천도 감성적인 원천도 아닌 그 개념들을 우리가 우리에게 그를 통하여 우리가 대상들을 완전히 선험적으로 사유하는 순수한 지성인식과 순수한 이성인식의 학문에 대한 이념을 그에 대해 더 앞서서 마련한다.

Eine solche Wissenschaft, welche den Ursprung, den Umfang und die objektive Gültigkeit solcher Erkenntnisse bestimmete, würde transzendentale Logik heißen müssen, weil sie es bloß mit den Gesetzen des Verstandes und der Vernunft zu tun hat, aber lediglich, so fern sie auf Gegenstände a priori bezogen wird, und nicht, wie die allgemeine Logik, auf die empirischen so wohl, als reinen Vernunfterkenntnisse ohne Unterschied.

그러한 학문은, 그것이 그러한 인식들의 기원과 한계와 객관적 정당성을 규정하는, 초월론적 논리학이라고 불려야만 한다, 왜냐하면 그 학문은 순전히 지성과 이성의 원칙들에만 관계하고, 그러나 단지, 그 학문이 대상들에 선험적으로 관련되는 한에서만, 그리고 보편적 논리학과 같이 순수한 이성인식과 구분도 없이 경험적인 것들에도 관련하지는 않는 한에서만.

→ 그러한 인식들의 기원과 한계와 객관적 정당성을 규정하는 그러한 학문은 초월론적 논리학이라고 불려야만 한다. 왜냐하면 그 학문은 순전히 지성과 이성의 원칙들에만 관계하고, 그러나 단지, 그 학문이 대상들에 선험적으로 관련되는 한에서만, 그리고 보편적 논리학과 같이 순수한 이성인식과 구분도 없이 경험적인 것들에도 관련하지는 않는 한에서만 관계하기 때문이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