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hmen wir aber dieses Empirische überhaupt, und fragen, ohne uns an die Einstimmung desselben mit jedem Menschensinne zu kehren, ob auch dieses einen Gegenstand an sich selbst (nicht in Regentropfen, denn die sind denn schon, als Erscheinungen, empirische Objekte,) vorstelle, so ist die Frage von der Beziehung der Vorstellung auf den Gegenstand transzendental, und nicht allein diese Tropfen sind bloße Erscheinungen, sondern selbst ihre runde Gestalt, ja so gar der Raum, in welchen sie fallen, sind nichts an sich selbst, sondern bloße Modifikationen, oder Grundlagen unserer sinnlichen Anschauung, das transzendentale Objekt aber bleibt uns unbekannt.

→ 그러나 우리가 이러한 감각적인 것 전반을 취하고, 우리에게 각각의 인간들의 감관과 그것의 일치를 돌아봄 없이, 비록 이러한 것이 대상 그 자체를 (빗방울들 속에서가 아니라, 왜냐하면 그것들은 실로 이미, 현상들로서, 감각적 객체들이기 때문에,) 표상할지 묻는다면, 대상에 대한 표상들의 관계에 대한 물음은 초월적이고, 이러한 물방울들만이 순전한 현상들인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의 둥근 모양 자체도, 그렇게 더욱이 그 안에서 빗방울들이 떨어지는 공간도, 그 자체인 어떤 것도 아니고, 오히려 그저 변화들, 혹은 우리의 감각적 직관의 원료이고, 그러나 그 초월적 객체는 우리에게 인식되지 않은 채로 남는다.

 

Die zweite wichtige Angelegenheit unserer transzendentalen Ästhetik ist, daß sie nicht bloß als scheinbare Hypothese einige Gunst erwerbe, sondern so gewiß und ungezweifelt sei, als jemals von einer Theorie gefordert werden kann, die zum Organon dienen soll. Um diese Gewißheit völlig einleuchtend zu machen, wollen wir irgend einen Fall wählen, woran dessen Gültigkeit augenscheinlich werden und zu mehrer Klarheit dessen, was § 3. angeführt worden, dienen kann.

→ 우리의 초월론적 감성학의 두번째 중대한 관심사는, 그것이 순전히 가상의 가정으로서 일치된 허가를 얻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일찍이 이론에 대하여 요구될 수 있는 것으로서, 도구로서 사용되어야 하는 매우 확실하고 의심할 수 없는 것이리라는 것이다.→ 이러한 확실성을 충분히 분명하게 만들기 위해서, 우리는 어떻게든 한 상황을 선택하고자 한다. 그 상황에서 그것의 정당성이 명백하게 될 수 있고 그것의 더 많은 명확함을 위해 § 3.에서 제시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Setzet demnach, Raum und Zeit seien an sich selbst objektiv und Bedingungen der Möglichkeit der Dinge an sich selbst, so zeigt sich erstlich: daß von beiden a priori apodiktische und synthetische Sätze in großer Zahl vornehmlich vom Raum vorkommen, welchen wir darum vorzüglich hier zum Beispiel untersuchen wollen. Da die Sätze der Geometrie synthetisch a priori und mit apodiktischer Gewißheit erkannt werden, so frage ich: woher nehmt ihr dergleichen Sätze, und worauf stützt sich unser Verstand, um zu dergleichen schlechthin notwendigen und allgemein gültigen Wahrheiten zu gelangen?

→ 그런 이유에서, 공간과 시간이 그 자체로 객관적이고 사물 그 자체의 가능성의 조건들이리라고 가정해 보자. 그렇게 최초로 드러난다: 그 양자로부터, 우리가 그에 대해 특히 여기에서 예시에 대해 탐구하고자 하는, 선험적으로 자명하고 종합적인 명제들이 엄청난 수에서 특히 공간으로부터 나온다.→ 여기에서 기하학의 명제들은 선험적으로 종합적이며 자명한 확실성을 가지고 인식되기 때문에, 그래서 나는 묻는다: 당신들은, 그와 같은 전적으로 필연적이며 보편적으로 타당한 사실들에 도달하기 위해 어디에서 그와 같은 명제들을 취하는지, 그리고 우리의 지성이 무엇을 근거로 하는지.

 

 

Nehmen wir aber dieses Empirische überhaupt, und fragen, ohne uns an die Einstimmung desselben mit jedem Menschensinne zu kehren, ob auch dieses einen Gegenstand an sich selbst (nicht in Regentropfen, denn die sind denn schon, als Erscheinungen, empirische Objekte,) vorstelle, so ist die Frage von der Beziehung der Vorstellung auf den Gegenstand transzendental, und nicht allein diese Tropfen sind bloße Erscheinungen, sondern selbst ihre runde Gestalt, ja so gar der Raum, in welchen sie fallen, sind nichts an sich selbst, sondern bloße Modifikationen, oder Grundlagen unserer sinnlichen Anschauung, das transzendentale Objekt aber bleibt uns unbekannt.

그러나 우리가 이러한 감각적인 것 전반을 취하고, 묻는다면, 우리에게 각각의 인간들의 감관과 그것의 일치를 돌아봄 없이, 비록 이러한 것이 대상 그 자체를 (빗방울들 속에서가 아니라, 왜냐하면 그것들은 실로 이미, 현상들로서, 감각적 객체들이기 때문에,) 표상할지라도, 대상에 대한 표상들의 관계에 대한 물음은 초월적이고, 이러한 물방울들만이 순전한 현상들인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의 둥근 모양 자체도, 그렇게 더욱이 공간도, 그 안에서 빗방울들이 떨어지는, 그 자체인 어떤 것도 아니고, 오히려 그저 변화들, 혹은 우리의 감각적 직관의 원료이고, 그러나 그 초월적 객체는 우리에게 인식되지 않은 채로 남는다.

→ 그러나 우리가 이러한 감각적인 것 전반을 취하고, 우리에게 각각의 인간들의 감관과 그것의 일치를 돌아봄 없이, 비록 이러한 것이 대상 그 자체를 (빗방울들 속에서가 아니라, 왜냐하면 그것들은 실로 이미, 현상들로서, 감각적 객체들이기 때문에,) 표상할지 묻는다면, 대상에 대한 표상들의 관계에 대한 물음은 초월적이고, 이러한 물방울들만이 순전한 현상들인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의 둥근 모양 자체도, 그렇게 더욱이 그 안에서 빗방울들이 떨어지는 공간도, 그 자체인 어떤 것도 아니고, 오히려 그저 변화들, 혹은 우리의 감각적 직관의 원료이고, 그러나 그 초월적 객체는 우리에게 인식되지 않은 채로 남는다.

 

Die zweite wichtige Angelegenheit unserer transzendentalen Ästhetik ist, daß sie nicht bloß als scheinbare Hypothese einige Gunst erwerbe, sondern so gewiß und ungezweifelt sei, als jemals von einer Theorie gefordert werden kann, die zum Organon dienen soll.

우리의 초월론적 감성학의 두번째 중대한 관심사는, 그것이 순전히 가상의 가정으로서 일치된 허가를 얻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매우 확실하고 의심할 수 없는 것이리라는 것, 일찍이 이론에 대하여 요구될 수 있는 것으로서, 도구로서 사용되어야 하는.

→ 우리의 초월론적 감성학의 두번째 중대한 관심사는, 그것이 순전히 가상의 가정으로서 일치된 허가를 얻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일찍이 이론에 대하여 요구될 수 있는 것으로서, 도구로서 사용되어야 하는 매우 확실하고 의심할 수 없는 것이리라는 것이다.

Um diese Gewißheit völlig einleuchtend zu machen, wollen wir irgend einen Fall wählen, woran dessen Gültigkeit augenscheinlich werden und zu mehrer Klarheit dessen, was § 3. angeführt worden, dienen kann.

이러한 확실성을 충분히 분명하게 만들기 위해서, 우리는 어떻게든 한 상황을 선택하고자 한다, 그 상황에서 그것의 정당성이 명백하게 될 수 있고 그것의 더 많은 명확함을 위해, § 3.에서 제시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 이러한 확실성을 충분히 분명하게 만들기 위해서, 우리는 어떻게든 한 상황을 선택하고자 한다. 그 상황에서 그것의 정당성이 명백하게 될 수 있고 그것의 더 많은 명확함을 위해 § 3.에서 제시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Setzet demnach, Raum und Zeit seien an sich selbst objektiv und Bedingungen der Möglichkeit der Dinge an sich selbst, so zeigt sich erstlich:

그런 이유에서 가정해 보자, 공간과 시간이 그 자체로 객관적이고 사물 그 자체의 가능성의 조건들이리라고, 그렇게 최초로 드러난다:

daß von beiden a priori apodiktische und synthetische Sätze in großer Zahl vornehmlich vom Raum vorkommen, welchen wir darum vorzüglich hier zum Beispiel untersuchen wollen.

그 양자로부터 선험적으로 자명하고 종합적인 명제들이 엄청난 수에서 특히 공간으로부터 나온다, 그것으로 우리가 그에 대해 특히 여기에서 예시에 대해 탐구하고자 하는.

→ 그런 이유에서, 공간과 시간이 그 자체로 객관적이고 사물 그 자체의 가능성의 조건들이리라고 가정해 보자. 그렇게 최초로 드러난다: 그 양자로부터, 우리가 그에 대해 특히 여기에서 예시에 대해 탐구하고자 하는, 선험적으로 자명하고 종합적인 명제들이 엄청난 수에서 특히 공간으로부터 나온다.

Da die Sätze der Geometrie synthetisch a priori und mit apodiktischer Gewißheit erkannt werden, so frage ich:

여기에서 기하학의 명제들은 선험적으로 종합적이며 자명한 확실성을 가지고 인식되기 때문에, 그래서 나는 묻는다:

woher nehmt ihr dergleichen Sätze, und worauf stützt sich unser Verstand, um zu dergleichen schlechthin notwendigen und allgemein gültigen Wahrheiten zu gelangen?

당신들은 어디에서 그와 같은 명제들을 취하는지, 그리고 우리의 지성이 무엇을 근거로 하는지, 그와 같은 전적으로 필연적이며 보편적으로 타당한 사실들에 도달하기 위해.

→ 여기에서 기하학의 명제들은 선험적으로 종합적이며 자명한 확실성을 가지고 인식되기 때문에, 그래서 나는 묻는다: 당신들은, 그와 같은 전적으로 필연적이며 보편적으로 타당한 사실들에 도달하기 위해 어디에서 그와 같은 명제들을 취하는지, 그리고 우리의 지성이 무엇을 근거로 하는지.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