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r Transzendentalen Ästhetik Erster Abschnitt

초월적 감성학 제 1장

Von der Raume

공간에 대하여

§ 2. Metaphysische Erörterung dieses Begriffs

§ 2. 이 개념의 형이상학적 논구

Vermittelst des äußeren Sinnes, (einer Eigenschaft unsres Gemüts,) stellen wir uns Gegenstände als außer uns, und diese insgesamt im Raume vor. Darinnen ist ihre Gestalt, Größe und Verhältnis gegen einander bestimmt, oder bestimmbar. Der innere Sinn, vermittelst dessen das Gemüt sich selbst, oder seinen inneren Zustand anschauet, gibt zwar keine Anschauung von der Seele selbst, als einem Objekt; allein es ist doch eine bestimmte Form, unter der die Anschauung ihres innern Zustandes allein möglich ist, so, daß alles, was zu den innern Bestimmungen gehört, in Verhältnissen der Zeit vorgestellt wird. Äußerlich kann die Zeit nicht angeschaut werden, so wenig wie der Raum, als etwas in uns. Was sind nun Raum und Zeit? Sind es wirkliche Wesen? Sin des zwar nur Bestimmungen, oder auch Verhältnisse der Dinge, aber doch solche, welche ihnen auch an sich zukommen würden, wenn sie auch nicht angeschaut würden, oder sind sie solche, die nur an der Form der Anschauung allein haften, und mithin an der subjektiven Beschaffenheit unseres Gemüts, ohne welche diese Prädikate gar keinem Dinge beigeleget werden können?

→ 외감에 따라서, (우리의 심정의 본성의,) 우리는 우리에게 대상들을 우리 외부에 있는 것으로서, 그리고 이러한 대상들을 모두 다 공간 속에서 표상한다. 그 속에서 대상의 형태, 크기 그리고 관계가 다른 것들에 대해서 규정되거나, 규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심정 자체를, 혹은 심정의 내적 상태를 관찰하는 내감은, 더욱이 영혼 자체에 대한 어떠한 직관도, 객체로서 주지 않는다; 오로지 그것이 규정된 형식인 경우에만, 그 아래에서 그것의 내적 상태의 직관만이 가능하고, 그래서, 그 내적 규정에 속하는 모든 것은, 시간 관계들 속에서 표상된다. 외적으로 시간은 관찰될 수 없고, 그만큼 공간은, 우리 안에 어떤 것으로서 관찰될 수 없다. 이제 공간과 시간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실질적 실체(본질)인가? 그것은 단순한 규정들이거나, 사물의 내용들인가, 그러나 또한, 그 자체로 부합하게 되는 그러한 것들이, 그것들이 직관되지 않는다면, 혹은 그것들이, 단지 직관의 형식에만 부착되어 있는, 그리고 그에 따라 우리의 심정의 주관적 성질에 부착되어 있는, 이러한 술어가 없이는 전혀 어떠한 사물도 부여될 수 없는 그러한 것들인가?

 

Der Transzendentalen Ästhetik Erster Abschnitt

초월적 감성학 제 1장

Von der Raume

공간에 대하여

§ 2. Metaphysische Erörterung dieses Begriffs

§ 2. 이 개념의 형이상학적 논구

Vermittelst des äußeren Sinnes, (einer Eigenschaft unsres Gemüts,) stellen wir uns Gegenstände als außer uns, und diese insgesamt im Raume vor.

외감에 따라서, (우리의 심정의 본성의,) 우리는 우리에게 대상들을 우리 외부에 있는 것으로서, 그리고 이러한 대상들을 모두 다 공간 속에서 표상한다.

→ 외감에 따라서, (우리의 심정의 본성의,) 우리는 우리에게 대상들을 우리 외부에 있는 것으로서, 그리고 이러한 대상들을 모두 다 공간 속에서 표상한다.

Darinnen ist ihre Gestalt, Größe und Verhältnis gegen einander bestimmt, oder bestimmbar.

그 속에서 대상의 형태, 크기 그리고 관계가 다른 것들에 대해서 규정되거나, 규정할 수 있다.

→ 그 속에서 대상의 형태, 크기 그리고 관계가 다른 것들에 대해서 규정되거나, 규정할 수 있다.

Der innere Sinn, vermittelst dessen das Gemüt sich selbst, oder seinen inneren Zustand anschauet, gibt zwar keine Anschauung von der Seele selbst, als einem Objekt;

내감, 그에 따라 심정 자체를, 혹은 심정의 내적 상태를 관찰하는, 더욱이 영혼 자체에 대한 어떠한 직관도, 객체로서 주지 않는다;

allein es ist doch eine bestimmte Form, unter der die Anschauung ihres innern Zustandes allein möglich ist, so, daß alles, was zu den innern Bestimmungen gehört, in Verhältnissen der Zeit vorgestellt wird.

오로지 그것이 규정된 형식인 경우에만, 그 아래에서 그것의 내적 상태의 직관만이 가능하고, 그래서, 그 모든 것은, 내적 규정에 속하는(모든 것), 시간 관계들 속에서 표상된다.

→ 그에 따라 심정 자체를, 혹은 심정의 내적 상태를 관찰하는 내감은, 더욱이 영혼 자체에 대한 어떠한 직관도, 객체로서 주지 않는다; 오로지 그것이 규정된 형식인 경우에만, 그 아래에서 그것의 내적 상태의 직관만이 가능하고, 그래서, 그 내적 규정에 속하는 모든 것은, 시간 관계들 속에서 표상된다.

Äußerlich kann die Zeit nicht angeschaut werden, so wenig wie der Raum, als etwas in uns.

외적으로 시간은 관찰될 수 없고, 그만큼 공간은, 우리 안에 어떤 것으로서 (관찰될 수 없다).

→ 외적으로 시간은 관찰될 수 없고, 그만큼 공간은, 우리 안에 어떤 것으로서 관찰될 수 없다.

Was sind nun Raum und Zeit? Sind es wirkliche Wesen?

이제 공간과 시간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실질적 실체(본질)인가?

→ 이제 공간과 시간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실질적 실체(본질)인가?

Sind es zwar nur Bestimmungen, oder auch Verhältnisse der Dinge, aber doch solche, welche ihnen auch an sich zukommen würden, wenn sie auch nicht angeschaut würden, oder sind sie solche, die nur an der Form der Anschauung allein haften, und mithin an der subjektiven Beschaffenheit unseres Gemüts, ohne welche diese Prädikate gar keinem Dinge beigeleget werden können?

그것은 단순한 규정들이거나, 사물의 내용들이다, 그러나 또한 그러한 것들이, 그 자체로 부합하게 되는, 그것들이 직관되지 않는다면, 혹은 그것들이 그러한 것들이다, 단지 직관의 형식에만 부착되어 있는, 그리고 그에 따라 우리의 심정의 주관적 성질에 부착되어 있는, 이러한 술어가 없이는 전혀 어떠한 사물도 부여될 수 없는?

→ 그것은 단순한 규정들이거나, 사물의 내용들인가, 그러나 또한, 그 자체로 부합하게 되는 그러한 것들이, 그것들이 직관되지 않는다면, 혹은 그것들이, 단지 직관의 형식에만 부착되어 있는, 그리고 그에 따라 우리의 심정의 주관적 성질에 부착되어 있는, 이러한 술어가 없이는 전혀 어떠한 사물도 부여될 수 없는 그러한 것들인가?

 

-蟲-

1-1) Um deswillen ist es ratsam, diese Benennung entweder wiederum eingehen zu lassen, und sie derjenigen Lehre aufzubehalten, die wahre Wissenschaft ist, (wodurch man auch der Sprache und dem Sinne der Alten näher treten würde, bei denen die Einteilung der Erkenntnis in αλσθετὰ χαὶ νοητά sehr berühmt war), oder sich in die Benennung mit der spekulativen Philosophie zu teilen und die Ästhetik teils im transzendentalen Sinne, teils in psychologischer Bedeutung zu nehmen.

→ 1-1) 그 때문에, 이러한 명칭을 한편으로 받아들이도록 하는 것과 그 명칭을, 참된 학문인 그 설에 붙잡아 두는 것이나, (그를 통하여 사람들이 또한, 그들에게 있어서 감성적인 것과 지성적인 것으로의 인식 구분이 매우 유명하였던, 옛 사람들의 언어와 의미에 더 가까이 다가가게 될 것이다), 아니면 그 이름 안에서 사변적 철학과 공유하는 것과 감성학을 일부분 초월적 의미에서, 부분적으로는 심리학적 의미에서 취하는 것이나 권장할 만하다.

Es muß also eine solche Wissenschaft geben, die den ersten Teil der transzendentalen Elementarlehre ausmacht, im Gegensatz derjenigen, welche die Prinzipien des reinen Denkens enthält, und transzendentale Logik genannt wird.

→ 그러므로 초월적 요소론의 제 1부를 구성하는 그러한 학문이 있어야만 한다. 그리고 그것의 대립에 있어서(그 맞은 편에), 순수한 사유의 원칙을 포함하는 그러한 것이, 초월적 논리학이라 명명된다.

In der transzendentalen Ästhetik also werden wir zuerst die Sinnlichkeit isolieren, dadurch, daß wir alles absondern, was der Verstand durch seine Begriffe dabei denkt, damit nichts als empirische Anschauung übrig bleibe. Zweitens werden wir von dieser noch alles, was zur Empfindung gehört, abtrennen, damit nichts als reine Anschauung und die bloße Form der Erscheinungen übrig bleibe, welches das einzige ist, das die Sinnlichkeit a priori liefern kann. Bei dieser Untersuchung wird sich finden, daß es zwei reine Formen sinnlicher Anschauung, als Prinzipien der Erkenntnis a priori gebe, nämlich Raum und Zeit, mit deren Erwägung wir uns jetzt beschäftigen werden.

→ 그러므로 초월적 감성학에서 우리는 처음에, 우리가 모든 것을 분류하는 것, 오성이 오성의 개념을 통하여 동시에 사유하는 모든 것을 통하여, 감성을 고립시킨다. 그러므로 감각적 직관 이외에 아무것도 남지 않는다. 다음으로 우리는 이러한 것으로부터 또한, 지각에 속하는 모든 것을, 분리시킨다. 그러므로 순수한 직관과 현상의 순전한 형식 이외의 아무것도 남지 않는다. 그러한 것은 선험적 감성을 산출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와 동시에, 감성적 직관의 두 가지 순수한 형식들이, 선험적 인식의 원리들로서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다시 말해 공간과 시간, 우리는 이제 그것들의 숙고에 몰두할 것이다.

 

 

1-1) Um deswillen ist es ratsam, diese Benennung entweder wiederum eingehen zu lassen, und sie derjenigen Lehre aufzubehalten, die wahre Wissenschaft ist, (wodurch man auch der Sprache und dem Sinne der Alten näher treten würde, bei denen die Einteilung der Erkenntnis in αλσθετὰ χαὶ νοητά sehr berühmt war), oder sich in die Benennung mit der spekulativen Philosophie zu teilen und die Ästhetik teils im transzendentalen Sinne, teils in psychologischer Bedeutung zu nehmen.

1-1) 그 때문에 권장할 만하다, 이러한 명칭을 한편으로 받아들이도록 하는 것과 그 명칭을 그 설에 붙잡아 두는 것이나, 그 설은 참된 학문인데, (그를 통하여 사람들이 또한 옛 사람들의 언어와 의미에 더 가까이 다가가게 될 것이다, 그들에게 있어서 감성적인 것과 지성적인 것으로의 인식 구분이 매우 유명하였던), 아니면 그 이름 안에서 사변적 철학과 공유하는 것과 감성학을 일부분 초월적 의미에서, 부분적으로는 심리학적 의미에서 취하는 것이나.

→ 1-1) 그 때문에, 이러한 명칭을 한편으로 받아들이도록 하는 것과 그 명칭을, 참된 학문인 그 설에 붙잡아 두는 것이나, (그를 통하여 사람들이 또한, 그들에게 있어서 감성적인 것과 지성적인 것으로의 인식 구분이 매우 유명하였던, 옛 사람들의 언어와 의미에 더 가까이 다가가게 될 것이다), 아니면 그 이름 안에서 사변적 철학과 공유하는 것과 감성학을 일부분 초월적 의미에서, 부분적으로는 심리학적 의미에서 취하는 것이나 권장할 만하다.

 

 

Es muß also eine solche Wissenschaft geben, die den ersten Teil der transzendentalen Elementarlehre ausmacht, im Gegensatz derjenigen, welche die Prinzipien des reinen Denkens enthält, und transzendentale Logik genannt wird.

그러므로 그러한 학문이 있어야만 한다, 그 학문은 초월적 요소론의 제 1부를 구성하는데, 그것의 대립에 있어서(그 맞은 편에), 그러한 것이 순수한 사유의 원칙을 포함하는, 그리고 초월적 논리학이라 명명된다.

→ 그러므로 초월적 요소론의 제 1부를 구성하는 그러한 학문이 있어야만 한다. 그리고 그것의 대립에 있어서(그 맞은 편에), 순수한 사유의 원칙을 포함하는 그러한 것이, 초월적 논리학이라 명명된다.

 

In der transzendentalen Ästhetik also werden wir zuerst die Sinnlichkeit isolieren, dadurch, daß wir alles absondern, was der Verstand durch seine Begriffe dabei denkt, damit nichts als empirische Anschauung übrig bleibe.

그러므로 초월적 감성학에서 우리는 처음에 감성을 고립시킨다, 그를 통하여, 우리가 모든 것을 분류하는 것, 오성이 오성의 개념을 통하여 동시에 사유하는(모든 것), 그러므로 감각적 직관 이외에 아무것도 남지 않는 것.

→ 그러므로 초월적 감성학에서 우리는 처음에, 우리가 모든 것을 분류하는 것, 오성이 오성의 개념을 통하여 동시에 사유하는 모든 것을 통하여, 감성을 고립시킨다. 그러므로 감각적 직관 이외에 아무것도 남지 않는다.

Zweitens werden wir von dieser noch alles, was zur Empfindung gehört, abtrennen, damit nichts als reine Anschauung und die bloße Form der Erscheinungen übrig bleibe, welches das einzige ist, das die Sinnlichkeit a priori liefern kann.

다음으로 우리는 이러한 것으로부터 또한 모든 것을, 지각에 속하는(모든 것), 분리시킨다, 그러므로 순수한 직관과 현상의 순전한 형식 이외의 아무것도 남지 않는다, 그러한 것은 유일한 것이다, 그것이 선험적 감성을 산출할 수 있는.

→ 다음으로 우리는 이러한 것으로부터 또한, 지각에 속하는 모든 것을, 분리시킨다. 그러므로 순수한 직관과 현상의 순전한 형식 이외의 아무것도 남지 않는다. 그러한 것은 선험적 감성을 산출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이다.

Bei dieser Untersuchung wird sich finden, daß es zwei reine Formen sinnlicher Anschauung, als Prinzipien der Erkenntnis a priori gebe, nämlich Raum und Zeit, mit deren Erwägung wir uns jetzt beschäftigen werden.

이러한 연구와 동시에 알 것이다, 감성적 직관의 두 가지 순수한 형식들이, 선험적 인식의 원리들로서 있다는 것, 다시 말해 공간과 시간, 우리는 이제 그것들의 숙고에 몰두할 것이다.

→ 이러한 연구와 동시에, 감성적 직관의 두 가지 순수한 형식들이, 선험적 인식의 원리들로서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다시 말해 공간과 시간, 우리는 이제 그것들의 숙고에 몰두할 것이다.

 

-蟲-

So, wenn ich von der Vorstellung eines Körpers das, was der Verstand davon denkt, als Substanz, Kraft, Teilbarkeit etc. imgleichen, was davon zur Empfindung gehört, als Undurchdringlichkeit, Härte, Farbe etc. absondere, so bleibt mir aus dieser empirischen Anschauung noch etwas übrig, nämlich Ausdehnung und Gestalt. Diese gehören zur reinen Anschauung, die a priori, auch ohne einen wirklichen Gegenstand der Sinne oder Empfindung, als eine bloße Form der Sinnlichkeit im Gemüte stattfindet.

→ 그래서, 내가 물체의 표상으로부터 오성이 생각하는 실체, 힘, 가분성 등으로서 분류하는 것을, 그로부터 직관에 속하는 것을, 불가투입성, 견고성, 색채 등으로서 분류할 때, 그래서 나에게 이러한 감각적 직관으로부터 또한 어떤 것이, 즉 연장과 형태가 남아 있다. 이러한 것들은, 선험적인, 또한 감관이나 지각의 실질적 대상이 없이, 감성의 순전한 형식으로서 심정에 발생하는 순수한 직관에 속한다.

Eine Wissenschaft von allen Prinzipien der Sinnlichkeit a priori nenne ich die transzendentale Ästhetik 1).

→선험적 감성의 모든 원칙들에 대한 학문을 나는 초월적 감성학이라 이름한다.

1) Die Deutschen sind die einzigen, welche sich jetzt des Worts Ästhetik bedienen, um dadurch das zu bezeichnen, was andre Kritik des Geschmacks heißen. Es liegt hier eine verfehlte Hoffnung zum Grunde, die der vortreffliche Analyst Baumgarten faßte, die kritische Beurteilung des Schönen unter Vernunftprinzipien zu bringen, und die Regeln derselben zur Wissenschaft zu erheben. Allein diese Bemühung ist vergeblich. Denn gedachte Regeln, oder Kriterien, sind ihren vornehmsten Quellen nach bloß empirisch, und können also niemals zu bestimmten Gesetzen a priori dienen, wornach sich unser Geschmacksurteil richten müßte, vielmehr macht das letztere den eigentlichen Probierstein der Richtigkeit der ersteren aus.

→1) 오늘날 Ästhetik 이란 단어를, 또 다른 취미비판이라 불리는 것을 그를 통해 그려내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은 독일이 유일하다.→ 여기에, 우수한 분석가 바움가르텐이 품었던, 이성원칙 하에서 아름다움의 비판적 평가를 이끌어내고, 그 비판 자체의 규칙들을 학문으로 내세우려는, 빗나간 희망이 근저에 놓인다.→ 단지 이러한 노력만으로는 헛수고이다.→ 왜냐하면 고려된 규칙들, 혹은 판단의 표지들은, 그것들의 주요한 원천에 있어서 순전히 감각적인 것에 따르고, 그러므로, 우리의 취미판단이 그것을 표준으로 삼는 법칙들로, 더욱이 후자(감각적인 것)가 전자(고려된 원칙들, 판단의 표지들)의 정당성에 대한 유일무이한 시금석을 형성하는, 규정된 선험적 법칙들로는 전혀 사용할 수 없다.

 

 

So, wenn ich von der Vorstellung eines Körpers das, was der Verstand davon denkt, als Substanz, Kraft, Teilbarkeit etc. imgleichen, was davon zur Empfindung gehört, als Undurchdringlichkeit, Härte, Farbe etc. absondere, so bleibt mir aus dieser empirischen Anschauung noch etwas übrig, nämlich Ausdehnung und Gestalt.

그래서, 내가 물체의 표상으로부터 그것을, 오성이 그것을 생각하는 것을, 실체, 힘, 가분성 등으로서 분류하는, 그로부터 직관에 속하는 것을, 불가투입성, 견고성, 색채 등으로서 분류할 때, 그래서 나에게 이러한 감각적 직관으로부터 또한 어떤 것이 남아 있다, 즉 연장과 형태.

→ 그래서, 내가 물체의 표상으로부터 오성이 생각하는 실체, 힘, 가분성 등으로서 분류하는 것을, 그로부터 직관에 속하는 것을, 불가투입성, 견고성, 색채 등으로서 분류할 때, 그래서 나에게 이러한 감각적 직관으로부터 또한 어떤 것이, 즉 연장과 형태가 남아 있다.

Diese gehören zur reinen Anschauung, die a priori, auch ohne einen wirklichen Gegenstand der Sinne oder Empfindung, als eine bloße Form der Sinnlichkeit im Gemüte stattfindet.

이러한 것들은 순수한 직관에 속한다, 선험적인, 또한 감관이나 지각의 실질적 대상이 없이, 감성의 순전한 형식으로서 심정에 발생하는 직관.

→ 이러한 것들은, 선험적인, 또한 감관이나 지각의 실질적 대상이 없이, 감성의 순전한 형식으로서 심정에 발생하는 순수한 직관에 속한다.

 

Eine Wissenschaft von allen Prinzipien der Sinnlichkeit a priori nenne ich die transzendentale Ästhetik 1).

선험적 감성의 모든 원칙들에 대한 학문을 나는 초월적 감성학이라 이름한다.

→선험적 감성의 모든 원칙들에 대한 학문을 나는 초월적 감성학이라 이름한다.

 

1) Die Deutschen sind die einzigen, welche sich jetzt des Worts Ästhetik bedienen, um dadurch das zu bezeichnen, was andre Kritik des Geschmacks heißen.

1) 독일이 유일하다, 오늘날 Ästhetik 이란 단어를 사용하는, 그를 통해 그려내기 위해서, 또 다른 취향의 비판이라 불리는 것을.

→1) 오늘날 Ästhetik 이란 단어를, 또 다른 취미비판이라 불리는 것을 그를 통해 그려내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은 독일이 유일하다.

Es liegt hier eine verfehlte Hoffnung zum Grunde, die der vortreffliche Analyst Baumgarten faßte, die kritische Beurteilung des Schönen unter Vernunftprinzipien zu bringen, und die Regeln derselben zur Wissenschaft zu erheben.

여기에 빗나간 희망이 근저에 놓인다, 우수한 분석가 바움가르텐이 품었던, 이성원칙 하에서 아름다움의 비판적 평가를 이끌어내려는, 그 비판 자체의 규칙들을 학문으로 내세우려는.

→ 여기에, 우수한 분석가 바움가르텐이 품었던, 이성원칙 하에서 아름다움의 비판적 평가를 이끌어내고, 그 비판 자체의 규칙들을 학문으로 내세우려는, 빗나간 희망이 근저에 놓인다.

Allein diese Bemühung ist vergeblich.

단지 이러한 노력만으로는 헛수고이다.

→ 단지 이러한 노력만으로는 헛수고이다.

Denn gedachte Regeln, oder Kriterien, sind ihren vornehmsten Quellen nach bloß empirisch, und können also niemals zu bestimmten Gesetzen a priori dienen, wornach sich unser Geschmacksurteil richten müßte, vielmehr macht das letztere den eigentlichen Probierstein der Richtigkeit der ersteren aus.

왜냐하면 고려된 규칙들, 혹은 판단의 표지들은, 그것들의 주요한 원천에 있어서 순전히 감각적인 것에 따르고, 그러므로 규정된 선험적 법칙들로는 전혀 사용할 수 없다, 우리의 취미판단이 그것을 표준으로 삼는 법칙들로, 더욱이 후자는 전자의 정당성에 대한 유일무이한 시금석을 형성하는.

→ 왜냐하면 고려된 규칙들, 혹은 판단의 표지들은, 그것들의 주요한 원천에 있어서 순전히 감각적인 것에 따르고, 그러므로, 우리의 취미판단이 그것을 표준으로 삼는 법칙들로, 더욱이 후자(감각적인 것)가 전자(고려된 원칙들, 판단의 표지들)의 정당성에 대한 유일무이한 시금석을 형성하는, 규정된 선험적 법칙들로는 전혀 사용할 수 없다.

 

-蟲-

Kritik der reinen Vernunft Ⅰ. Transzendentale Elementarlehre

순수이성비판 Ⅰ. 초월적 요소론

Der Transzendentale Elementarlehre

Erster Teil

Die Transzendentale Ästhetik

초월적 요소론 제1 부문 초월적 감성학

§ 1.

 

Auf welche Art und durch welche Mittel sich auch immer eine Erkenntnis auf Gegenstände beziehen mag, so ist doch dijenige, wodurch sie sich auf dieselbe unmittelbar bezieht, und worauf alles Denken als Mittel abzweckt, die Anschauung. Diese findet aber nur statt, so fern uns der Gegenstand gegeben wird; dieses aber ist wiederum, uns Menschen wenigstens, nur dadurch möglich, daß er das Gemüt auf gewisse Wiese affiziere. Die Fähigkeit, (Rezeptivität) Vorstellungen durch die Art, wie wir von Gegenständen affiziert werden, zu bekommen, heißt Sinnlichkeit. Vermittelst der Sinnlichkeit also werden uns Gegenstände gegeben, und sie allein liefert uns Anschauungen; durch den Verstand aber werden sie gedacht, und von ihm entspringen Begriffe. Alles Denken aber muß sich, es sei geradezu (directe), oder im Umschweife (indirecte), vermittelst gewisser Merkmale, zuletzt auf Anschauungen, mithin, bei uns, auf Sinnlichkeit beziehen, weil uns auf andere Weise kein Gegenstand gegeben werden kann.

→ 어떠한 방식으로 그리고 어떠한 수단을 통하여 항상 인식이 대상들에 속하든지, 또한 그를 통하여 인식이 대상들 자체에 곧바로 관계하는 그것은, 그리고 그것을 모든 사유가 수단으로서 목표로 하는 것은, 직관이다.→ 이러한 것은 그러나 우리에게 대상이 주어지는 한에서 발생할 따름이다; 이러한 대상은 그러나 반면에, 최소한 우리 인간에게는, 단지 그 대상이 심성에 확실한 방식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통하여서만 가능하다.→ (감수성) 표상들을 그 방식을 통하여, 우리가 대상들로부터 영향을 받는 것과 같이, 획득하는 그 소질은, 감성이라 이름한다.→ 그러므로 감성에 따라서 우리에게 대상들이 주어지고, 오직 그 감성만이 우리에게 직관을 제공한다; 그러나 오성을 통하여 대상들이 사유되고, 그 오성으로부터 개념이 발생한다.→ 그러나 모든 사유는, 우리에게 다른 식으로는 어떠한 대상도 주어질 수 없기 때문에, 그것이 곧장이든 (직접), 혹은 우회로든 (간접), 확실한 표지에 따라서, 최후에는 직관에, 그러므로 우리에게 있어서, 감성에 관계해야만 한다.

 

 

Kritik der reinen Vernunft Ⅰ. Transzendentale Elementarlehre

순수이성비판 Ⅰ. 초월론적 요소론

Der Transzendentale Elementarlehre

초월론적 요소론

Erster Teil

제1부문

Die Transzendentale Ästhetik § 1.

초월론적 감성학 § 1.

 

Auf welche Art und durch welche Mittel sich auch immer eine Erkenntnis auf Gegenstände beziehen mag, so ist doch dijenige, wodurch sie sich auf dieselbe unmittelbar bezieht, und worauf alles Denken als Mittel abzweckt, die Anschauung.

어떠한 본성 위에서 그리고 어떠한 수단을 통하여 항상 인식이 대상들에 속하든지, 그래서 또한 그것은, 그를 통하여 인식이 대상들 자체에 곧바로 관계하는, 그리고 그것을 모든 사유가 수단으로서 목표로 하는, 직관이다.

→ 어떠한 방식으로 그리고 어떠한 수단을 통하여 항상 인식이 대상들에 속하든지, 또한 그를 통하여 인식이 대상들 자체에 곧바로 관계하는 그것은, 그리고 그것을 모든 사유가 수단으로서 목표로 하는 것은, 직관이다.

Diese findet aber nur statt, so fern uns der Gegenstand gegeben wird;

이러한 것은 그러나 발생할 따름이다, 우리에게 대상이 주어지는 한에서;

dieses aber ist wiederum, uns Menschen wenigstens, nur dadurch möglich, daß er das Gemüt auf gewisse Wiese affiziere.

이러한 대상은 그러나 반면에, 최소한 우리 인간에게는, 단지 그것을 통하여서만 가능하다, 그 대상이 심성에 확실한 방식으로 작용한다는 것.

→ 이러한 것은 그러나 우리에게 대상이 주어지는 한에서 발생할 따름이다; 이러한 대상은 그러나 반면에, 최소한 우리 인간에게는, 단지 그 대상이 심성에 확실한 방식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통하여서만 가능하다.

Die Fähigkeit, (Rezeptivität) Vorstellungen durch die Art, wie wir von Gegenständen affiziert werden, zu bekommen, heißt Sinnlichkeit.

그 소질은, (감수성) 표상들을 그 방식을 통하여, 우리가 대상들로부터 영향을 받는 것과 같이, 획득하는, 감성이라 이름한다.

→ (감수성) 표상들을 그 방식을 통하여, 우리가 대상들로부터 영향을 받는 것과 같이, 획득하는 그 소질은, 감성이라 이름한다.

Vermittelst der Sinnlichkeit also werden uns Gegenstände gegeben, und sie allein liefert uns Anschauungen;

그러므로 감성에 따라서 우리에게 대상들이 주어지고, 오직 그 감성만이 우리에게 직관을 제공한다;

durch den Verstand aber werden sie gedacht, und von ihm entspringen Begriffe.

그러나 오성을 통하여 대상들이 사유되고, 그 오성으로부터 개념이 발생한다.

→ 그러므로 감성에 따라서 우리에게 대상들이 주어지고, 오직 그 감성만이 우리에게 직관을 제공한다; 그러나 오성을 통하여 대상들이 사유되고, 그 오성으로부터 개념이 발생한다.

Alles Denken aber muß sich, es sei geradezu (directe), oder im Umschweife (indirecte), vermittelst gewisser Merkmale, zuletzt auf Anschauungen, mithin, bei uns, auf Sinnlichkeit beziehen, weil uns auf andere Weise kein Gegenstand gegeben werden kann.

그러나 모든 사유는, 그것이 곧장이든 (직접), 혹은 우회로든 (간접), 확실한 표지에 따라서, 최후에는 직관에, 그러므로 우리에게 있어서, 감성에 관계해야만 한다, 우리에게 다른 식으로는 어떠한 대상도 주어질 수 없기 때문에.

→ 그러나 모든 사유는, 우리에게 다른 식으로는 어떠한 대상도 주어질 수 없기 때문에, 그것이 곧장이든 (직접), 혹은 우회로든 (간접), 확실한 표지에 따라서, 최후에는 직관에, 그러므로 우리에게 있어서, 감성에 관계해야만 한다.

 

-蟲-

 

P.S 이전 작업 http://cafe.naver.com/wahrhei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