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ilosophy and Faith
철학과 신념

One of my jobs as a teacher of bright, mostly Catholic undergraduates is to get them thinking about why they hold their religious beliefs.  It’s easy enough to spark discussion about the problem of evil (“Can you really read the newspaper everyday and continue to believe in an all-perfect God?”) or about the diversity of religious beliefs (“If you’d been born in Saudi Arabia, don’t you think you’d be a Muslim?”).  Inevitably, however, the discussion starts to fizzle when someone raises a hand and says (sometimes ardently, sometimes smugly) “But aren’t you forgetting about faith?”
대부분 가톨릭 전공인 똑똑한 학부생들의 선생으로서 내 일들 중 하나는 그들이 왜 그들의 종교적 믿음을 지니는지에 대해 생각하도록 만드는 일이다. 악의 문제에 대해서나 또는 종교적 믿음의 다양성에 대해서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란 충분히 쉬운 일이다("자네는 매일 신문을 읽으면서도 정말로 모든 면에서 완벽한 신을 계속 믿을 수 있나?" 혹은 "만일 자네가 사우디 아라비아에서 태어났다면, 당신이 무슬림이었을 거라고 생각하지 않나?"). 그렇지만 누군가 손을 들고 이렇게 말할 때(때로는 열정적으로, 때로는 의기양양하게) 그 논의는 어쩔 수 없이 흐지부지되기 시작한다. "하지만 당신은 신념을 잊어 버리셨나요?"
That seems to be enough for most students.  The trump card has been played, and they — or at least the many who find religion more a comfort than a burden — happily remember that believing means never having to explain why.
그걸로 대부분의 학생들에게는 충분한 듯 보인다. 그 결정적인 카드가 던져지고, 그들은 - 혹은 최소한 종교를 짐보다는 더욱이 위안으로 간주하는 많은 이들은 - 만족스럽게 믿는 일은 결코 이유를 설명해야 한다는 뜻이 아님을 기억한다.
I myself, the product of a dozen years of intellectually self-confident Jesuit education, have little sympathy with the “it’s just faith” response.  “How can you say that?” I reply.  “You wouldn’t buy a used car just because you had faith in what the salesperson told you.  Why would you take on faith far more important claims about your eternal salvation?”  And, in fact, most of my students do see their faith not as an intellectually blind leap but as grounded in evidence and argument.
나 자신은 지적으로 자기확신적인 예수회 교육의 12년에 걸친 산물로 "그건 단지 신념일 뿐이다"라는 대답에 일말의 동정도 갖지 않는다. "당신은 세일즈맨이 당신에게 말했던 것에 대한 신념을 갖는다는 이유만으로 중고차를 사진 않을 것이다. 왜 당신이 당신의 영원한 구원에 대해 주장하는 신념에 대해 훨씬 더 중요하게 생각하겠는가?" 그리고, 사실 나의 학생들 대부분은 그들의 신념을 지적으로 눈먼 비약이 아니라 증거와 논증에 근거한 것이라 생각한다.

    The popular formulations to which theists and atheists appeal do not prove what they claim to prove.
    유신론자들과 무신론자들이 그에 호소하는 유명한 표현들은 그것들이 증명한다고 주장하는 어떤 것을 증명하지 않는다.

“Well, if there’s no God,” they say, “how can you explain why anything at all exists or why the world is governed by such precise laws of nature?”
그들은 이렇게 말한다. "자, 만일 신이 없다면, 무엇이 되었든 좌우간 그게 왜 존재하는지 또는 어째서 세계가 그렇듯 정확한 자연법칙에 의해 지배되는지 당신이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At this point, the class perks up again as I lay out versions of the famous arguments for the existence of God, and my students begin to think that they’re about to get what their parents have paid for at a great Catholic university: some rigorous intellectual support for their faith.
이 지점에서, 내가 신존재에 대한 유명한 논증들의 각색들을 펼쳐놓을 때 강의실은 다시금 귀를 세우고, 내 학생들은 그들이 당장이라도 그들의 부모들이 대단한 가톨릭 대학에 지불하였던 것을 돌려받기라도 할 듯이 생각하기 시작한다. 그들의 신념을 위한 어떤 철저한 지적 지지 같은 것을 말이다.
Soon enough, however, things again fall apart, since our best efforts to construct arguments along the traditional lines face successive difficulties.  The students realize that I’m not going to be able to give them a convincing proof, and I let them in on the dirty secret: philosophers have never been able to find arguments that settle the question of God’s existence or any  of the other “big questions” we’ve been discussing for 2500 years.
그렇지만 이내 그것들은 다시 허물어져 버리는데, 전통적 노선들에 따라 논증들을 구축하려는 우리의 최선의 노력들이 연이은 난관들에 부딪치기 때문이다. 학생들은 내가 그들에게 확실한 증명을 내놓을 수 있게 되지는 않으리란 것을 알아차리고, 나는 그들에게 더러운 비밀을 알려준다. 그건 철학자들이 결코 단 한 번도 신의 현존에 대한 물음이나 우리가 2500년 동안 논의해 오고 있는 다른 "거대한 물음들" 중 그 어떤 것에 대해서도 그것을 해결하는 논증들을 발견할 수 없었다는 사실이다.
This seems to bring us back to where we started: “It’s all faith.”  I, with my Jesuit-inspired confidence in reason and evidence, have always resisted this. But  I have also felt the tug of my students’ conclusion that philosophy, although a good intellectual exercise and the source of tantalizing puzzles and paradoxes, has no real significance for religious faith.
이건 우리를 시작했던 곳으로 되돌려 보내는 것처럼 보인다. "그건 모두 신념이다." 나는 나의 예수회적 영감을 받은 추론과 증거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언제나 이러한 생각에 저항해 왔다. 그러나 나는 또한 철학이 비록 훌륭한 지적 훈련이고 감질나는 퍼즐들과 역설들의 원천이라 할지라도 종교적 신념을 위한 아무런 실질적인 의미도 없다는 내 학생들의 결론에 끌리기도 한다.
Recently, however, I’ve realized  a mistake in the way that I — and most of my professional colleagues — tend to think about philosophy and faith.  (One of the great benefits of getting to teach philosophy to bright  undergraduates is that it makes it easier to think outside the constraints of current professional assumptions.)  The standard view is that philosophers’ disagreements over arguments about God make their views irrelevant to the faith of ordinary believers and non-believers.  The claim seems obvious: if we professionals can’t agree among ourselves, what can we have to offer to non-professionals?  An appeal to experts requires consensus among those experts, which philosophers don’t have.
그렇지만 최근에 나는 내가 - 그리고 나의 직업상의 동료들 대부분이 - 철학과 신념에 대해 생각해 버릇한 방식에 잘못이 있음을 깨달았다. (총기있는 학생들에게 철학을 가르치게 되는 일의 아주 대단한 이점들 중 하나는 그게 통상의 전문적인 전제들에 속하는 제한들 밖으로 생각하는 일을 더 쉽게 해준다는 점이다.) 그 표준적 관점은 신논증들에 대한 철학자들 사이에서 의견의 불일치들이 그들의 관점들을 일반 신앙인들과 비-신앙인들의 신념에 부적합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그 주장은 분명해 보인다: 만일 우리 전문가들이 우리 자신들끼리 동의할 수 없다면, 우리가 비-전문가들에게 제공할 무엇을 가질 수 있겠는가? 전문가들을 향한 호소는 그 전문가들 사이의 의견일치를 요구한다. 그건 철학자들이 가지고 있지 못한 것이다.
This line of thought ignores the fact that when philosophers’ disagree it is only about specific aspects of the most subtle and sophisticated versions of arguments for and against God’s existence (for example, my colleague Alvin Plantinga’s modal-logic formulation of St. Anselm’s ontological argument or William Rowe’s complex version of a probabilistic argument from evil). There is no disagreement among philosophers about the more popular arguments to which theists and atheists typically appeal: as formulated, they do not prove (that is, logically derive from uncontroversial premises) what they claim to prove. They are clearly inadequate in the judgment of qualified professionals.  Further, there are no more sophisticated formulations that theists or atheists can accept — the way we do scientific claims — on the authority of expert consensus.
이러한 사유의 노선은 철학자들의 의견이 갈릴 때 그것은 오로지 신의 현존에 대한 가장 미묘하고 복잡한 형태의 찬반논증들의 특수한 측면들에 대해서만 있는 불일치라는 사실을 도외시한다 (예를 들어 성 안셀무스의 존재론적 논증에 대한 내 동료 앨빈 플랜팅가의 양상-논리적 정식화나 윌리암 로우의 악으로부터의 개연적 논증의 복잡한 형태). 유신론자들이나 무신론자들이 전형적으로 호소하는 그런 더 대중적인 논증들에 대해서는 철학자들 사이에 아무런 의견의 불일치도 없다. 언급되었듯, 그들은 그들이 증명하고자 주장하는 바를 증명하지 않는다 (즉, 논란의 여지 없는 전제들로부터 논리적으로 도출하지 않는다). 그들은 분명히 자격을 갖춘 전문가들의 판단에 있어서는 부족하다. 더욱이, 유신론자들이나 무신론자들이 - 우리가 과학적으로 주장하는 방식 - 전문적 의견일치에 준거하여 수용할 수 있는 어떤 더 복잡한 표현들도 없다.
In these popular debates about God’s existence, the winners are neither theists nor atheists, but agnostics — the neglected step-children of religious controversy, who rightly point out that neither side in the debate has made its case.   This is the position supported by the consensus of expert philosophical opinion.
신의 현존에 대한 이런 대중적인 논쟁들에 있어서, 승자는 유신론자들도 무신론자들도 아니고, 불가지론자들이다  - 그들은 그 논쟁의 어느 쪽도 자신의 주장을 입증하지 못했다는 것을 올바르게 지적한 종교적 논란의 버려진 서자이다. 불가지론은 전문적인 철학적 의견들의 일치에 의해 지지되는 입장이다.
This conclusion should particularly discomfit popular proponents of atheism, such as Richard Dawkins, whose position is entirely based on demonstrably faulty arguments.  Believers, of course, can fall back on the logically less rigorous support that they characterize as faith.  But then they need to reflect on just what sort of support faith can give to religious belief.   How are my students’ warm feelings of certainty as they hug one another at Sunday Mass in their dorm really any different from the trust they might experience while under the spell of a really plausible salesperson?
이러한 결론은 특히나 리처드 도킨스 같은 무신론의 대중적 지지자들을 혼란스럽게 만들 것이다. 그들의 입장은 증명적으로 불완전한 논증들에 완전히 기초하는 입장이다. 물론 신앙인들도 그들이 신념이라 규정하는 논리적으로 덜 엄격한 지지에 기댈 수 있다. 그러나 다음으로 그들은 신념이 종교적 믿음에 바로 어떤 종류의 지지를 줄 수 있는지 숙고할 필요가 있다. 주일미사 때 기숙사에서 서로를 끌어안는 것과 같은 내 학생들의 확실성에 대한 따뜻한 감정들이 실로 그럴싸한 세일즈맨의 말을 듣는 동안 그들이 경험할 수도 있는 신뢰와 실제로 어떻게 다른가?

    What sort of religious experience could support the claim that Jesus Christ was God incarnate and not just a great moral teacher?
    어떤 종류의 종교적 경험이 예수 그리스도가 단지 위대한 도덕적 지도자가 아니라 육화한 신이었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을 것인가?
 
An answer may lie in work by philosophers as different as David Hume, Ludwig Wittgenstein, and Alvin Plantinga.  In various ways, they have shown that everyday life is based on “basic” beliefs for which we have no good arguments. There are, for example, no more basic truths from which we can prove that the past is often a good guide to the future, that our memories are reliable, or that other people have a conscious inner life.  Such beliefs simply — and quite properly — arise from our experience in the world. Plantinga in particular has argued that core religious beliefs can have a status similar to these basic but unproven beliefs. His argument has clear plausibility for some sorts of religious beliefs. Through experiences of, for example, natural beauty, moral obligation, or loving and being loved, we may develop an abiding sense of the reality of an extraordinarily good and powerful being who cares about us.  Who is to say that such experiences do not give reason for belief in God as much as parallel (though different) experiences give reason for belief in reliable knowledge of the past and future and of other human minds?  There is still room for philosophical disputes about this line of thought, but it remains the most plausible starting point of a philosophical case for religious belief.
한 가지 대답은 데이비드 흄과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그리고 앨빈 플랜팅가 만큼이나 상이한 철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질지도 모른다. 다양한 방식들로, 그들은 일상생활이 우리가 어떠한 훌륭한 논증들도 가지고 있지 않은 "기초적" 믿음들에 의존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우리가 과거는 미래의 훌륭한 길잡이라거나, 우리의 기억들은 신뢰할 수 있다거나, 또는 다른 사람들이 의식적인 영적 삶을 보내고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어떤 더 많은 기초적 진리들도 없다. 그런 믿음들은 단순히 - 그리고 꽤나 적절하게 - 우리의 세계 내 경험으로부터 생겨난다. 특히나 플랜팅가는 핵심적인 종교적 믿음들이 이러한 기초적이지만 증명되지 않는 믿음들과 유사한 상태를 가질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의 논증은 일부 종교적 믿음들에 대해 분명한 타당성을 지닌다. 예를 들어 자연미에 대한 경험들을 통하여, 또는 도덕적 의무, 아니면 사랑하고 사랑받는 일에 대한 경험들을 통해서 우리는 우리를 보살피는 특별히 선하고 강력한 존재에 대한 지속적인 감각을 전개시킬지도 모른다. 그러한 경험들이 과거와 미래 그리고 다른 사람의 마음들에 대한 신뢰할 만한 앎에 대한 믿음을 위한 근거를 제공하는 만큼, 그러한 유사한 믿음들이(비록 다를지라도) 신에 대한 믿음을 위한 근거를 제공하지는 못한다고 누가 말할 수 있는가? 이러한 사유 노선에 대해 여전히 철학적 논쟁의 여지는 있지만, 그 사유 노선은 종교적 믿음에 대한 철학적 상황의 가장 그럴싸한 출발점으로 남는다.
But this defense of faith faces a steep hurdle. Although it may support generic religious claims about a good and powerful being who cares for us, it is very hard to see it sustaining the specific and robust claims of Judaism, Christianity and Islam about how God is concretely and continually involved in our existence.  God is said to be not just good and powerful but morally perfect and omnipotent, a sure ultimate safeguard against any evil that might threaten us.  He not only cares about us but has set up precise moral norms and liturgical practices that we must follow to ensure our eternal salvation. Without such specificity, religion lacks the exhilarating and terrifying possibilities that have made it such a powerful force in human history.
그러나 신념에 대한 이러한 옹호는 가파른 장벽에 직면한다. 비록 그 옹호가 우리를 보살피는 선하고 강력한 존재자에 대한 포괄적인 종교적 주장들을 뒷받침할 수 있을지 몰라도, 어떻게 신이 구체적이고도 지속적으로 우리의 현존에 관계되는지에 대한 유대교, 그리스도교, 이슬람교의 뚜렷하고 확고한 주장들을 지탱한다는 것을 알아보기는 매우 어렵다. 신은 단지 선하고 강력할 따름인 것으로 이야기되지 않고 도덕적으로 완전하고 전능한 것으로, 우리를 위협할지 모를 어떠한 악에도 맞서는 확실한 궁극적 보호책인 것으로 이야기된다. 그는 우리를 보살필 뿐만 아니라 우리가 영원한 구원을 보장받기 위하여 반드시 따라야만 하는 정확한 도덕적 규범들과 예배식의 관습들을 세웠다. 그러한 구체성 없이는, 종교는 그 종교를 인간사에 있어서 그렇듯 강력한 힘으로 만든 용기를 주고 두려움을 주는 가능성들을 결여한다.
But how can religious experience sustain faith in a specific salvation narrative, particularly given the stark differences among the accounts of the great religious traditions?  What sort of religious experience could support the claim that Jesus Christ was God incarnate and not just a great moral teacher?  Or that the Bible rather than the Koran is the revelation of God’s own words?  Believers may have strong feelings of certainty, but each religion rejects the certainty of all the others, which leaves us asking why they privilege their own faith.
그러나, 특히 위대한 종교적 전통들에 대한 설명들 사이의 적나라한 차이들을 고려하면, 어떻게 종교적 경험들이 구체적 구원 서사에 대한 신념을 지탱할 수 있는가? 어떤 종류의 종교적 경험들이 예수 그리스도가 단지 위대한 도덕적 지도자가 아닌 육화한 신이었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을 것인가? 혹은 신 그 자신의 말에 속한느 계시가 코란이 아니라 성경이라는 것은? 신앙인들은 아마도 확실성에 대한 강렬한 감정들을 지닐 것이지만, 각각의 종교는 그 종교 이외의 종교들에 대한 확실성을 거부하고, 그것은 우리에게 어째서 그 종교들이 그 자신들의 신념에 특권을 부여하는지 묻도록 내버려 둔다.
I am not saying that religious believers are in principle incapable of finding satisfactory answers to such questions.  I am saying that philosophy and religion can and must speak to each other, and that those who take their beliefs seriously need to reflect on these questions, and that contemporary philosophical discussions (following on Hume and Wittgenstein) about knowledge, belief, certainty and disagreement are highly relevant to such reflection — and potentially, to an individual’s belief.  This is what I will try to convey to my students the next time I teach introductory philosophy of religion.
나는 종교적 신앙인들이 원칙적으로 그런 물음들에 대한 만족스런 대답들을 찾을 능력이 없다고 말하고 있는 게 아니다. 나는 철학과 종교가 서로에게 말할 수 있고 말해야만 한다고, 그리고 자신들의 믿음을 진지하게 여기는 사람들이 이러한 물음들에 대해 숙고할 필요가 있다고, 또 (흄과 비트겐슈타인에 따른) 앎, 믿음, 확실성과 불일치에 대한 현대의 철학적 논의들이 그러한 숙고에 대해 - 또 잠재적으로 개인의 믿음에 깊은 관련이 있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이 내가 나의 학생들에게 종교철학의 개론을 가르친 다음 시간에 전하려고 애쓰는 바이다.

New York Times
Opinionator
Exclusive Online Commentary From The Times
By GARY GUTTING
August 1, 2010, 5:30 pm
============================jonghwan님 트윗터에서 업어왔음===================================

  무신론자이고 신앙 없는 인간이라고 자부(?)하지만 엄밀히 따지자면 나는 불가지론, 아니, 더 정확히 말하자면 판단을 유보하고 있는 입장이다. 기초적 믿음, 그 기초적 믿음에 의해 정당화되는 믿음들과 기초적 믿음(들) 사이의 관계, 기초적 믿음을 정당화시키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물음, 과연 이런 것들을 통해 신앙의 문제, 혹은 신념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으려나? 흄의 기초적 믿음들과 비트겐슈타인의 기초적 믿음들, 만일 그들에게 그렇게 부를 것들이 있다면 아마도 그것들은 서로 크게 다를 듯하다. 그리고 그건 플랜팅가가 생각하는 기초적 믿음과도 상이하리라 생각한다. 문제거리들을 잘 품고 기억해 두자. 이 지긋지긋하고 추잡한 처지에서 벗어나기만 하면 다시 문제를 문제시삼고 해결하려는 진중한 노력을 계속할 수 있을 거다. 그런데 그건 언제지? 언제냐고.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