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phanus page 257, section b, line 7] {ΦΑΙ.} Συνεύχομαί σοι, ὦ Σώκρατες, εἴπερ ἄμεινον ταῦθ' ἡμῖν εἶναι, ταῦτα γίγνεσθαι. τὸν λόγον δέ σου πάλαι θαυμάσας ἔχω, ὅσῳ καλλίω τοῦ προτέρου ἀπηργάσω· ὥστε ὀκνῶ μή μοι ὁ Λυσίας ταπεινὸς φανῇ, ἐὰν ἄρα καὶ ἐθελήσῃ πρὸς αὐτὸν ἄλλον ἀντιπαρατεῖναι. καὶ γάρ τις αὐτόν, ὦ θαυμάσιε, ἔναγχος τῶν πολιτικῶν τοῦτ' αὐτὸ λοιδορῶν ὠνείδιζε, καὶ διὰ πάσης τῆς λοιδορίας ἐκάλει λογογράφον· τάχ' οὖν ἂν ὑπὸ φιλοτιμίας ἐπίσχοι ἡμῖν ἂν τοῦ γράφειν.
당신과 함께 기원하겠습니다, 소크라테스, 만일 정말로 이러한 일들이 우리에게 더 좋다면, 그러한 일들이 이루어지기를 말입니다. 그런데 진작부터 당신의 말씀(logos)에 감탄해 하던 참이었습니다, 앞서 해내신 것보다 어찌나 더 아름답던지 말입니다. 그래서 뤼시아스가 제게 시시해 보이지나 않을까 염려됩니다, 혹시 그 말씀에 맞서 다른 논변을 견주려 들기까지 한다면요. 또한 그 사람을, 놀라우시 분이여, 최근 정치가들 중 누군가가 바로 그 점을 욕하며 비난하였고, 게다가 그 온갖 욕설을 통해 연설문 작성가라 불렀으니까요. 그러니 아마도 우리가 보기에 명예사랑에 의해 그가 글쓰기를 관둘 겁니다.
{ΣΩ.} Γελοῖόν γ', ὦ νεανία, τὸ δόγμα λέγεις, καὶ τοῦ ἑταίρου συχνὸν διαμαρτάνεις, εἰ αὐτὸν οὕτως ἡγῇ τινα [Stephanus page 257, section d, line 2] ψοφοδεᾶ. ἴσως δὲ καὶ τὸν λοιδορούμενον αὐτῷ οἴει ὀνειδίζοντα λέγειν ἃ ἔλεγεν.
그야말로 우스운 의견을 논하는군, 젊은 친구, 자네의 동료에 대해서 자네가 대단히 잘못 짚고 있기도 하고, 만일 그를 그렇게 무슨 겁쟁이라 생각한다면 말일세. 그런데 자네 그에게 욕을 하는 사람이 비난을 하면서 그가 했던 말들을 논한다고 생각하는 듯하군.
{ΦΑΙ.} Ἐφαίνετο γάρ, ὦ Σώκρατες· καὶ σύνοισθά που καὶ αὐτὸς ὅτι οἱ μέγιστον δυνάμενοί τε καὶ σεμνότατοι ἐν ταῖς πόλεσιν αἰσχύνονται λόγους τε γράφειν καὶ καταλείπειν συγγράμματα ἑαυτῶν, δόξαν φοβούμενοι τοῦ ἔπειτα χρόνου, μὴ σοφισταὶ καλῶνται.
그리 보이니까요, 소크라테스. 아마 당신께서도 능력있고 존엄한 사람들이 폴리스들에서 논변들을 쓰고 자신들의 글들을 남기는 일을 부끄러워한다는 걸 동의하기도 하실 테니까요, 소피스테스들이라 불리지는 않을까, 후대의 평판을 두려워하며 말입니다.
{ΣΩ.} Γλυκὺς ἀγκών, ὦ Φαῖδρε, λέληθέν σε ὅτι ἀπὸ τοῦ μακροῦ ἀγκῶνος τοῦ κατὰ Νεῖλον ἐκλήθη· καὶ πρὸς τῷ ἀγκῶνι λανθάνει σε ὅτι οἱ μέγιστον φρονοῦντες τῶν πολιτικῶν [Stephanus page 257, section e, line 3] μάλιστα ἐρῶσι λογογραφίας τε καὶ καταλείψεως συγγραμμάτων, οἵ γε καὶ ἐπειδάν τινα γράφωσι λόγον, οὕτως ἀγαπῶσι τοὺς ἐπαινέτας, ὥστε προσπαραγράφουσι πρώτους οἳ ἂν ἑκασταχοῦ ἐπαινῶσιν αὐτούς.
파이드로스, 자네 달콤한 굽이를 잊었군, 나일강의 긴 굽이로부터 명명된 그 굽이 말일세. 또한 자네는 그 굽이에 더해서 정치가들 중 가장 자긍심 높은 자들이 특히나 논변을 작성하고 책을 남기는 데에 애착을 가진다는 것, 게다가 그들이 무언가 논변을 쓰고 나서, 칭찬하는 자들을 반기기를, 때마다 그들을 칭찬한 자들을 처음으로 추가로 기록할 정도라는 것을 잊었다네.
{ΦΑΙ.} Πῶς λέγεις τοῦτο; οὐ γὰρ μανθάνω. 그게 무슨 말씀이십니까? 저는 모르겠어서요.
{ΣΩ.} Οὐ μανθάνεις ὅτι ἐν ἀρχῇ ἀνδρὸς πολιτικοῦ [συγγράμματι] πρῶτος ὁ ἐπαινέτης γέγραπται.
자네는 정치하는 사람의 저술 시작에 칭송자가 처음으로 적히다는 걸 모르는구만.
{ΦΑΙ.} Πῶς; 어떻게요?
{ΣΩ.} “Ἔδοξέ” πού φησιν “τῇ βουλῇ” ἢ “τῷ δήμῳ” ἢ ἀμφοτέροις, καὶ “ὃς <καὶ ὃς> εἶπεν” - τὸν αὑτὸν δὴ λέγων [Stephanus page 258, section a, line 6] μάλα σεμνῶς καὶ ἐγκωμιάζων ὁ συγγραφεύς - ἔπειτα λέγει δὴ μετὰ τοῦτο, ἐπιδεικνύμενος τοῖς ἐπαινέταις τὴν ἑαυτοῦ σοφίαν, ἐνίοτε πάνυ μακρὸν ποιησάμενος σύγγραμμα· ἤ σοι ἄλλο τι φαίνεται τὸ τοιοῦτον ἢ λόγος συγγεγραμμένος;
아마 그는 "의회가 의결하였다" 라거나 "민중이 의결하였다" 라거나 양자 모두가 그리하였다고, 또 "바로 그 사람이 말했다"라고 하겠지 - 그래서 글쓴이가 제 자신을 무척이나 위풍당당하게 격찬까지 해가며 말일세 - 이 다음으로 그제서야 그는 논한다네, 제 자신의 지혜를 칭찬하는 자들에게 과시하면서, 이따금 꽤나 긴 글을 지어가면서. 아니면 자네에겐 저술된 논변 외에 이런 것이 다른 뭔가로 보이는가?
{ΦΑΙ.} Οὐκ ἔμοιγε. 제겐 달리 보이지 않습니다.
{ΣΩ.} Οὐκοῦν ἐὰν μὲν οὗτος ἐμμένῃ, γεγηθὼς ἀπέρχεται ἐκ τοῦ θεάτρου ὁ ποιητής· ἐὰν δὲ ἐξαλειφθῇ καὶ ἄμοιρος γένηται λογογραφίας τε καὶ τοῦ ἄξιος εἶναι συγγράφειν, πενθεῖ αὐτός τε καὶ οἱ ἑταῖροι.
그러므로 이런 논변이 자리잡으면, 그 시인은 기쁘게 극장을 뜬다네. 그런데 논변이 제거되어 버리고 연설작성에 대해서나 저술을 쓸 자격에 대해서나 몫을 얻지도 못하게 되면, 그 자신도 그 동료들도 애석해 하지.
{ΦΑΙ.} Καὶ μάλα. 무척이나 그렇습니다.
[Stephanus page 258, section b, line 7] {ΣΩ.} Δῆλόν γε ὅτι οὐχ ὡς ὑπερφρονοῦντες τοῦ ἐπιτηδεύματος, ἀλλ' ὡς τεθαυμακότες.
적어도 그 일을 두고 하찮게 여겨서가 아니라, 경탄해 했기 때문이란 점은 분명하네.
{ΦΑΙ.} Πάνυ μὲν οὖν. 물론입니다.
{ΣΩ.} Τί δέ; ὅταν ἱκανὸς γένηται ῥήτωρ ἢ βασιλεύς, ὥστε λαβὼν τὴν Λυκούργου ἢ Σόλωνος ἢ Δαρείου δύναμιν ἀθάνατος γενέσθαι λογογράφος ἐν πόλει, ἆρ' οὐκ ἰσόθεον ἡγεῖται αὐτός τε αὑτὸν ἔτι ζῶν, καὶ οἱ ἔπειτα γιγνόμενοι ταὐτὰ ταῦτα περὶ αὐτοῦ νομίζουσι, θεώμενοι αὐτοῦ τὰ συγγράμματα;
어떤가? 연설가나 왕에 족한 자가 되어, 그래서 뤼쿠르고스나 솔론 혹은 다레이오스의 능력을 갖추고서 폴리스에서 불멸의 연설작성가가 될 정도일 때, 혹시 살아 있을 때까지 스스로 제 자신이 시과 같은 자라 생각하며, 또한 이후에 생겨난 자들도 그 자에 대해 이와 같이 생각하지 않겠나, 그의 저술들을 보며 말일세?
{ΦΑΙ.} Καὶ μάλα. 무척이나 그렇지요.
[Stephanus page 258, section c, line 7] {ΣΩ.} Οἴει τινὰ οὖν τῶν τοιούτων, ὅστις καὶ ὁπωστιοῦν δύσνους Λυσίᾳ, ὀνειδίζειν αὐτὸ τοῦτο ὅτι συγγράφει;
그럼 이런 자들 중 누가, 누구든 뤼시아스에게 악감정을 품은 자라도, 그가 저술한 바로 이것을 욕한다고 생각하나?
{ΦΑΙ.} Οὔκουν εἰκός γε ἐξ ὧν σὺ λέγεις· καὶ γὰρ ἂν τῇ ἑαυτοῦ ἐπιθυμίᾳ, ὡς ἔοικεν, ὀνειδίζοι.
당신 말씀을 통해서는 그야 그럴 것 같진 않군요. 또한 제 자신의 열망을 욕하는 게 될 듯하니까요.
{ΣΩ.} Τοῦτο μὲν ἄρα παντὶ δῆλον, ὅτι οὐκ αἰσχρὸν αὐτό γε τὸ γράφειν λόγους.
그래서 이 점은 모든 이에게 분명하다네, 논변을 작성하는 일 자체는 부끄러운 일이 아니라는 것 말일세.
{ΦΑΙ.} Τί γάρ; 왜 아니겠습니까?
{ΣΩ.} Ἀλλ' ἐκεῖνο οἶμαι αἰσχρὸν ἤδη, τὸ μὴ καλῶς λέγειν τε καὶ γράφειν ἀλλ' αἰσχρῶς τε καὶ κακῶς.
하지만 내 생각에 이제 저런 것은 부끄러운 걸세, 아름답게 논하거나 글쓰지 못하고 추하고 못나게 그리하는 것 말이지.
{ΦΑΙ.} Δῆλον δή. 실로 분명한 일입니다.
[Stephanus page 258, section d, line 7] {ΣΩ.} Τίς οὖν ὁ τρόπος τοῦ καλῶς τε καὶ μὴ γράφειν; δεόμεθά τι, ὦ Φαῖδρε, Λυσίαν τε περὶ τούτων ἐξετάσαι καὶ ἄλλον ὅστις πώποτέ τι γέγραφεν ἢ γράψει, εἴτε πολιτικὸν σύγγραμμα εἴτε ἰδιωτικόν, ἐν μέτρῳ ὡς ποιητὴς ἢ ἄνευ μέτρου ὡς ἰδιώτης;
그러면 훌륭하게 그리고 그렇지 못하게 글쓰는 그 방식은 무엇인가? 우리는, 파이드로스, 이런 일들에 관하여 뤼시아스든 언젠가 뭔가 썼거나 혹은 쓸 다른 누구든, 정치적인 글이든 사적인 글이든 간에, 운율에 맞추어 시인으로서 쓰든 운율 없이 문외한으로서 쓰든 면밀히 고찰할 필요가 있겠지?
{ΦΑΙ.} Ἐρωτᾷς εἰ δεόμεθα; τίνος μὲν οὖν ἕνεκα κἄν τις ὡς εἰπεῖν ζῴη, ἀλλ' ἢ τῶν τοιούτων ἡδονῶν ἕνεκα; οὐ γάρ που ἐκείνων γε ὧν προλυπηθῆναι δεῖ ἢ μηδὲ ἡσθῆναι, ὃ δὴ ὀλίγου πᾶσαι αἱ περὶ τὸ σῶμα ἡδοναὶ ἔχουσι· διὸ καὶ δικαίως ἀνδραποδώδεις κέκληνται.
당신께서는 우리가 그래야 하는지 물으시는 건가요? 그야 말하자면 누가 무얼 위해 살겠습니까, 이런 즐거움들을 위해서가 아니라면요? 아마 적어도 저 앞선 고통을 겪어야 하고 그렇지 않고서는 즐겁지 못할 것들을 위해서는 아닐 테니까요, 육체와 관련한 거의 모든 즐거움들이 그러하죠. 이 때문에 정당하게도 노예스러운 즐거움들로 불립니다.
[Stephanus page 258, section e, line 6] {ΣΩ.} Σχολὴ μὲν δή, ὡς ἔοικε· καὶ ἅμα μοι δοκοῦσιν ὡς ἐν τῷ πνίγει ὑπὲρ κεφαλῆς ἡμῶν οἱ τέττιγες ᾄδοντες καὶ ἀλλήλοις διαλεγόμενοι καθορᾶν καὶ ἡμᾶς. εἰ οὖν ἴδοιεν καὶ νὼ καθάπερ τοὺς πολλοὺς ἐν μεσημβρίᾳ μὴ διαλεγομένους ἀλλὰ νυστάζοντας καὶ κηλουμένους ὑφ' αὑτῶν δι' ἀργίαν τῆς διανοίας, δικαίως ἂν καταγελῷεν, ἡγούμενοι ἀνδράποδ' ἄττα σφίσιν ἐλθόντα εἰς τὸ καταγώγιον ὥσπερ προβάτια μεσημβριάζοντα περὶ τὴν κρήνην εὕδειν· ἐὰν δὲ ὁρῶσι διαλεγομένους καὶ παραπλέοντάς σφας ὥσπερ Σειρῆνας ἀκηλήτους, ὃ γέρας παρὰ θεῶν ἔχουσιν ἀνθρώποις διδόναι, [Stephanus page 259, section b, line 2] τάχ' ἂν δοῖεν ἀγασθέντες.
그럼 여유는 있는 듯하군. 또 동시에 내게는 숨막히는 더위 속에서 우리의 머리 위로 매미들이 노래하며 서로 대화하며 우리를 내려다 본다고 여겨진다네. 그러니 만일 그들이 대부분의 사람들처럼 우리 자신도 한낮에 대화는 않고 낮잠을 자며 생각의 게으름으로 인하여 그들에 의해 홀린 것을 본다면, 합당하게 비웃을 걸세, 샘 주위에서 낮잠을 자느라 한낮의 시간을 보내는 어린 양들마냥 그들의 쉼터를 찾아온 어떤 노예들이라 생각하며 말이지. 그러나 우리가 대화를 하며 마치 세이렌들에게 홀리지 않은 자들처럼 그들 곁을 항해해 지나가는 것을 그들이 본다면, 인간들에게 선사하도록 신들로부터 그들이 받은 영광의 선물을, 아마도 경탄하며 선사할 걸세.
{ΦΑΙ.} Ἔχουσι δὲ δὴ τί τοῦτο; ἀνήκοος γάρ, ὡς ἔοικε, τυγχάνω ὤν.
그런데 실로 그들이 가진 그것이 뭔가요? 마침 저는 듣지 못한 듯해서요.
{ΣΩ.} Οὐ μὲν δὴ πρέπει γε φιλόμουσον ἄνδρα τῶν τοιούτων ἀνήκοον εἶναι. λέγεται δ' ὥς ποτ' ἦσαν οὗτοι ἄνθρωποι τῶν πρὶν Μούσας γεγονέναι, γενομένων δὲ Μουσῶν καὶ φανείσης ᾠδῆς οὕτως ἄρα τινὲς τῶν τότε ἐξεπλάγησαν ὑφ' ἡδονῆς, ὥστε ᾄδοντες ἠμέλησαν σίτων τε καὶ ποτῶν, καὶ ἔλαθον τελευτήσαντες αὑτούς· ἐξ ὧν τὸ τεττίγων γένος μετ' ἐκεῖνο φύεται, γέρας τοῦτο παρὰ Μουσῶν λαβόν, μηδὲν τροφῆς [Stephanus page 259, section c, line 4] δεῖσθαι γενόμενον, ἀλλ' ἄσιτόν τε καὶ ἄποτον εὐθὺς ᾄδειν, ἕως ἂν τελευτήσῃ, καὶ μετὰ ταῦτα ἐλθὸν παρὰ Μούσας ἀπαγγέλλειν τίς τίνα αὐτῶν τιμᾷ τῶν ἐνθάδε. Τερψιχόρᾳ μὲν οὖν τοὺς ἐν τοῖς χοροῖς τετιμηκότας αὐτὴν ἀπαγγέλλοντες ποιοῦσι προσφιλεστέρους, τῇ δὲ Ἐρατοῖ τοὺς ἐν τοῖς ἐρωτικοῖς, καὶ ταῖς ἄλλαις οὕτως, κατὰ τὸ εἶδος ἑκάστης τιμῆς· τῇ δὲ πρεσβυτάτῃ Καλλιόπῃ καὶ τῇ μετ' αὐτὴν Οὐρανίᾳ τοὺς ἐν φιλοσοφίᾳ διάγοντάς τε καὶ τιμῶντας τὴν ἐκείνων μουσικὴν ἀγγέλλουσιν, αἳ δὴ μάλιστα τῶν Μουσῶν περί τε οὐρανὸν καὶ λόγους οὖσαι θείους τε καὶ ἀνθρωπίνους [Stephanus page 259, section d, line 7] ἱᾶσιν καλλίστην φωνήν. πολλῶν δὴ οὖν ἕνεκα λεκτέον τι καὶ οὐ καθευδητέον ἐν τῇ μεσημβρίᾳ.
시가를 애호하는 사내가 이런 일들에 대해 듣지 못했다는 건 적어도 실로 어울리진 않는 일이라네. 언젠가 이들은 무사 여신들께서 태어나시기 전 인간들이었는데, 무사여신들께서 태어나시고 노래가 생겨나자마자 당시 자들 중 어떤 자들이 쾌락에 정신을 잃었으니, 먹는 것도 마시는 것도 돌보지 않고 노래만 할 정도였고, 그들 스스로 죽는 것마저 몰랐다고 논해지지. 이 자들로부터 매미들의 유가 저 다음으로 자라나, 그 영광의 선물을 무사여신들로부터 받았으니, 먹고 살 것은 전혀 필요치 않고, 오히려 먹지도 마시지도 않고 곧장 노래를 부르되, 죽을 때까지 부르도록, 그 다음으로 무사 여신들께 가서 이 세상의 사람들 중 누가 그 여신들 중 어느 분께 존경을 바치는지 전하도록 태어나서 말일세. 그리하여 그 가무단들에서 트렙시코레께 존경을 바친 자들을 그녀에게 전하여 그들이 더욱 사랑받는 자들이 되도록 만들고, 에라테스께는 사랑의 기술에서 그러 자들을, 다른 신들께도 그런 식으로 하였으니, 각기 그 존경의 종류에 따라 그리하였다네. 그런데 가장 연장자인 칼리오페와 그녀 다음인 우라니아께는 지혜사랑 속에서 살아가는 자들과 저분들의 시가술을 존경한 자들을 전해 올리니, 실로 그 분들께서 무사 여신들 중에서도 특히나 천상에 관해서 그리고 신적이고 인간적인 논변들에 관하여서도 가장 아름다운 소리를 내시지. 그리하여 실로 많은 이유들로 무언가 논의해야만 하고 한낮에 잠들어서는 안 되는 걸세.
{ΦΑΙ.} Λεκτέον γὰρ οὖν. 그야 논의해야만 하니까요.
{ΣΩ.} Οὐκοῦν, ὅπερ νῦν προυθέμεθα σκέψασθαι, τὸν λόγον ὅπῃ καλῶς ἔχει λέγειν τε καὶ γράφειν καὶ ὅπῃ μή, σκεπτέον.
그럼, 우리가 방금 검토할 것을 제안한 바, 논변을 훌륭하게 논하고 쓸 수 있는 방식은 무엇이고 또 그렇지 않은 방식은 무엇인지, 검토해야만 하네.
{ΦΑΙ.} Δῆλον. 분명히 그렇지요.
{ΣΩ.} Ἆρ' οὖν οὐχ ὑπάρχειν δεῖ τοῖς εὖ γε καὶ καλῶς ῥηθησομένοις τὴν τοῦ λέγοντος διάνοιαν εἰδυῖαν τὸ ἀληθὲς ὧν ἂν ἐρεῖν πέρι μέλλῃ;
그럼 혹시 잘 게다가 아름답게 연설할 자들에게는 그 논하는 자의 생각, 장차 그것들에 관련하여 말할 것들의 진실을 알고 있는 그 생각이 있어야 하지 않는가?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