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m sich dieser Übereinstimmung zu versichern, muß man bemerken: daß in allen disjunktiven Urteilen die Sphäre (die Menge alles dessen, was unter ihm enthalten ist) als ein Ganzes in Teile (die untergeordneten Begriffe) geteilt vorgestellt wird, und, weil einer nicht unter dem andern enthalten sein kann, sie als einander koordiniert, nicht subordiniert, so daß sie einander nicht einseitig, wie in einer Reihe, sondern wechselseitig, als in einem Aggregat, bestimmen (wenn ein Glied der Einteilung gesetzt wird, alle übrige ausgeschlossen werden, und so umgekehrt), gedacht werden.
→ 이러한 일치를 확신하기 위하여, 사람들은 알아야만 한다: 모든 선언적 판단들에 있어서 그 범위는 (그 판단 아래에 속해지는 모든 것의 집합) 전체로서 부분(종속된 개념)으로 표상되고, 하나가 다른 것 아래에 포함될 수 없기 때문에, 그것들이 상호 병렬하고, 종속시키지 않으며, 그래서 줄에 있어서 처럼 그것들 상호에 일방적으로가 아니라, 오히려 집합체 안에 있는 것으로서 상호적으로 규정 (구분의 마디가 놓일 때, 모든 남은 것들은 제외되고, 정반대된다) 되고, 사유된다.

Nun wird eine ähnliche Verknüpfung in einem Ganzen der Dinge gedacht, da nicht eines, als Wirkung, dem andern, als Ursache seines Daseins, untergeordnet, sondern zugleich und wechselseitig als Ursache in Ansehung der Bestimmung der andern beigeordnet wird, (z.B in einem Körper, dessen Teile einander wechselseitig ziehen, und auch widerstehen,) welches eine ganz andere Art der Verknüpfung ist, als die, so im bloßen Verhältnis der Ursache zur Wirkung (des Grundes zur Folge) angetroffen wird, in welchem die Folge nicht wechselseitig wiederum den Grund bestimmt, und darum mit diesem (wie der Weltschöpfer mit der Welt) nicht ein Ganzes ausmacht. Dasselbe Verfahren des Verstandes, wenn er sich die Sphäre eines eingeteilten Begriffs vorstellt, beobachtet er auch, wenn er ein Ding als teilbar denkt, und, wie die Glieder der Einteilung im ersteren einander ausschließen und doch in einer Sphäre verbunden sind, so stellt er sich die Teile des letzteren als solche, deren Existenz (als Substanzen) jedem auch ausschließlich von den übrigen zukommt, doch als in einem Ganzen verbunden vor.
→ 이제 유사한 결합이 사물의 전체 안에서 사유된다. 왜냐하면 작용으로서 어떤 것이 그 사물의 현존의 원인으로서의 다른 것에 종속되지 않고, 동시에 상호적으로 원인으로서 다른 것의 규정에의 고려 속에서 병렬되며, (예를 들어 육체에 있어서, 육체의 부분들이 상호적으로 끌어 당기고, 또한 맞선다,) 그 안에서 결과가 상호적으로 다시금 근거를 규정하지 않고 그 근거에 대해 이 결과를 가지고 (조물주가 세계를 가지고) 전체를 형성하지 않는 그러한 작용에 대한 원인의(결과에 대한 근거의) 순전한 관계 내에서 발견되는 그것과는 전적으로 다른, 그러한 결합의 방식이기 때문이다.→ 지성은 지성이 분할된 개념의 범위를 표상할 때의 동일한 방식들을 지성이 사물을 가분적으로 생각할 때 또한 주시하고, 그리고, 분할의 마디가 전자에 있어서 상호 제외하고 또한 한 범위 내에서 결합되는 것처럼, 그렇게 지성은 자신에게 후자의 부분을 그러한 것으로서, 그 부분의 현존(실체들로서)이 각각에 또한 남은 부분들에서 배타적으로 속하고, 더욱이 전체 내에서 결합된 것으로서 표상한다.



Um sich dieser Übereinstimmung zu versichern, muß man bemerken: daß in allen disjunktiven Urteilen die Sphäre (die Menge alles dessen, was unter ihm enthalten ist) als ein Ganzes in Teile (die untergeordneten Begriffe) geteilt vorgestellt wird, und, weil einer nicht unter dem andern enthalten sein kann, sie als einander koordiniert, nicht subordiniert, so daß sie einander nicht einseitig, wie in einer Reihe, sondern wechselseitig, als in einem Aggregat, bestimmen (wenn ein Glied der Einteilung gesetzt wird, alle übrige ausgeschlossen werden, und so umgekehrt), gedacht werden.
이러한 일치를 확신하기 위하여, 사람들은 알아야만 한다: 모든 선언적 판단들에 있어서 그 범위는 (그 판단 아래에 속해지는 모든 것의 집합) 전체로서 부분(종속된 개념)으로 표상되고, 하나가 다른 것 아래에 포함될 수 없기 때문에, 그것들이 상호 병렬하고, 종속시키지 않으며, 그래서 그것들 상호에 일방적으로가 아니라, 줄에 있어서 처럼, 오히려 상호적으로, 집합체 안에 있는 것으로서, 규정 (구분의 마디가 놓일 때, 모든 남은 것들은 제외되고, 정반대된다) 되고, 사유된다.
→ 이러한 일치를 확신하기 위하여, 사람들은 알아야만 한다: 모든 선언적 판단들에 있어서 그 범위는 (그 판단 아래에 속해지는 모든 것의 집합) 전체로서 부분(종속된 개념)으로 표상되고, 하나가 다른 것 아래에 포함될 수 없기 때문에, 그것들이 상호 병렬하고, 종속시키지 않으며, 그래서 줄에 있어서 처럼 그것들 상호에 일방적으로가 아니라, 오히려 집합체 안에 있는 것으로서 상호적으로 규정 (구분의 마디가 놓일 때, 모든 남은 것들은 제외되고, 정반대된다) 되고, 사유된다.

Nun wird eine ähnliche Verknüpfung in einem Ganzen der Dinge gedacht, da nicht eines, als Wirkung, dem andern, als Ursache seines Daseins, untergeordnet, sondern zugleich und wechselseitig als Ursache in Ansehung der Bestimmung der andern beigeordnet wird, (z.B in einem Körper, dessen Teile einander wechselseitig ziehen, und auch widerstehen,) welches eine ganz andere Art der Verknüpfung ist, als die, so im bloßen Verhältnis der Ursache zur Wirkung (des Grundes zur Folge) angetroffen wird, in welchem die Folge nicht wechselseitig wiederum den Grund bestimmt, und darum mit diesem (wie der Weltschöpfer mit der Welt) nicht ein Ganzes ausmacht.
이제 유사한 결합이 사물의 전체 안에서 사유된다, 왜냐하면 작용으로서 어떤 것이, 다른 것에, 그 사물의 현존의 원인으로서, 종속되지 않고, 동시에 상호적으로 원인으로서 다른 것의 규정에의 고려 속에서 병렬되며, (예를 들어 육체에 있어서, 육체의 부분들이 상호적으로 끌어 당기고, 또한 맟선다,) 전적으로 다른 결합의 방식이다, 그것으로서, 작용에 대한 원인의(결과에 대한 근거의) 순전한 관계 내에서 발견되는, 그 안에서 결과가 반면에 상호적으로 근거를 규정하지 않고, 그것에 대해 이것을 가지고 (조물주가 세계를 가지고) 전체를 형성하지 않는.
→ 이제 유사한 결합이 사물의 전체 안에서 사유된다. 왜냐하면 작용으로서 어떤 것이 그 사물의 현존의 원인으로서의 다른 것에 종속되지 않고, 동시에 상호적으로 원인으로서 다른 것의 규정에의 고려 속에서 병렬되며, (예를 들어 육체에 있어서, 육체의 부분들이 상호적으로 끌어 당기고, 또한 맞선다,) 그 안에서 결과가 상호적으로 다시금 근거를 규정하지 않고 그 근거에 대해 이 결과를 가지고 (조물주가 세계를 가지고) 전체를 형성하지 않는 그러한 작용에 대한 원인의(결과에 대한 근거의) 순전한 관계 내에서 발견되는 그것과는 전적으로 다른, 그러한 결합의 방식이기 때문이다.
Dasselbe Verfahren des Verstandes, wenn er sich die Sphäre eines eingeteilten Begriffs vorstellt, beobachtet er auch, wenn er ein Ding als teilbar denkt, und, wie die Glieder der Einteilung im ersteren einander ausschließen und doch in einer Sphäre verbunden sind, so stellt er sich die Teile des letzteren als solche, deren Existenz (als Substanzen) jedem auch ausschließlich von den übrigen zukommt, doch als in einem Ganzen verbunden vor.
지성의 동일한 방식들을, 지성이 분할된 개념의 범위를 표상할 때, 지성이 또한 주시하고, 지성이 사물을 가분적으로 생각할 때, 그리고, 분할의 마디가 전자에 있어서 상호 제외하고 또한 한 범위 내에서 결합되는 것처럼, 그렇게 지성은 자신에게 후자의 부분을 그러한 것으로서, 그 부분의 현존(실체들로서)이 각각을 또한 남은 부분들에서 배타적으로 나타나고, 더욱이 전체 내에서 결합된 것으로서 표상한다.
→ 지성은 지성이 분할된 개념의 범위를 표상할 때의 동일한 방식들을 지성이 사물을 가분적으로 생각할 때 또한 주시하고, 그리고, 분할의 마디가 전자에 있어서 상호 제외하고 또한 한 범위 내에서 결합되는 것처럼, 그렇게 지성은 자신에게 후자의 부분을 그러한 것으로서, 그 부분의 현존(실체들로서)이 각각에 또한 남은 부분들에서 배타적으로 속하고, 더욱이 전체 내에서 결합된 것으로서 표상한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