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쪽] 명제의 구조: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서 Logos와 Pragma


본 연구는 진술-형성 발화에 대한 의미론의 핵심, 즉 진리치의 담지자에 대한 정의가 무엇일지에 대한 연구에 견고한 토대를 마련한 한 연구자를 기리기 위해 저술되었다.


첫 장에서 나는 플라톤의 진술-형성 표현에 대한 의미론과 그에 포함된 몇몇 핵심개념에 대한 검토를 제시한다. 다음으로, 나는 해당 문제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을 탐구한다. 이는 참으로서의 being과 거짓으로서의 not-being 개념을 포함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pragma 개념에 대한 논의로 시작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logos가 가진 본성에 대한 고찰에서, 나는 이 개념을 onomazein(이름하다, 명명하다) 차원에서 출현하는 것으로서만이 아니라 legein(말하다) 차원에서 작용하는 방식으로서도 논의한다. 다음으로, 나는 synthesis(모음, 종합)와 dihaeresis(나눔, 분할)라는 주요 개념과 단항 함수로서 ["a monadic functor," 이 사람은 완전 용법 is를 이렇게 부르던데 이 용어의 우리말 번역을 뭐라 할지 모르겠다] 그리고 범주적 being의 공의적 견지자인 한에서 ["syncategorematic container of categorial being," 자체적으로는 의미를 가지지 않고 10범주 중 하나 이상의 것을 보어로 취할 때 그 주어가 어느 범주로 분류되는지를 의미하게 되는 'is.' 불완전 용법 is이나 copula는 아니다.] einai의 역할을 고찰한다. 끝으로, 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진술-형성 발화의 성격을 규정해 보이고자 시도한다.


1. 플라톤의 진술-형성 표현 의미론.


1.1. 플라톤에서의 Logos.


플라톤에게 logos는 이름(onoma)과 한정어(rhēma)로 구성된 의미를 지니는 표현이다. 여러 대화편들에서[각주:1] logos는 언제나 무언가를 지시하거나 묘사하는 복수의 단어로 된 표현인 것으로 나타난다. 어떤 onoma든 logos의 일부일 것이고 그래서 '이름,' 즉 실체를 지시하는 단어로 기능하거나, 아니면 rhēma 역할을 하는 경우, 또 다른 onoma에 추가되는 한정어로 기능한다.  실상, 어느 logos든 그 자체가 실체-지시적 또는 기술적 요소로서 기능하는 onomata로 구성되기에 실체를 지시하는 데에(예를 들어 'hode ho leukos anthrōpos'에서 'leukos anthrōpos' = '이 하얀 인간') [28쪽] 또는 기술적으로(예를 들어 'Sokratēs esti leukos anthōpos' = '소크라테스는 하얀 인간이다') 사용될 것이라 기대된다. 또한 onoma처럼, logos는 사물의 관념을 단지 상기시키고 그 사물을 우리나 청자의 심상 앞으로 가져온다. 기본적으로 logos가 그 구성요소들과 똑같은 기능을 지닌다는 것, 즉 논의를 위해 무언가를 이러저러한 방식으로 기술함으로써, 마치 '논의'라는 logos의 넓은 의미에서(혹은 모든 종류의 '진술'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인 '설명(exposition)'이란 의미에서) 플라톤에 의해 logos가 적절하게 회화에 비교되었던 것처럼(Cratylus, 424d-425a),[각주:2] 사물을 가져다 놓는 기능을 한다는 것은 놀랄 필요가 없는 일이다.


플라톤의 의미론에서 logos의 본성을 모색하는 경우 그 단어의 어원을 유념하는 일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일에 해당한다. 'Logos'는 어근 'leg-'에서 파생되는데 이 어근은 기본적으로 '질서잡힌 방식으로 모은다'라는 의미이다.[각주:3] 그래서 logos는 항상, 처음에 모종의 혼란이 발생한 그런 상황에서 성취되거나 혹은 성취되어야 할 '질서' 또는 '질서를 부여함'이라는 함축을 지닌다.[각주:4] 앎에 관한 플라톤의 관점에 대한 우리의 논의로부터 분명해질 것인 바(이하, nr. 1.3을 보라), logos는 관찰되는 사물들의 조화로운 구조를 인지하고자 시도할 때 거치는 그 인지적 절차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이 문제에 들어서기에 앞서, 우리는 먼저 'logos'에 관한 플라톤의 관점에 관련된 오해를 다루어야만 한다. 'Logos'라는 단어가 사실상 '진술(statement)'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긴 하지만 플라톤에게 있어서는 '진술'이 확실히 통상 오늘날 우리의 'S is P' 형식으로 지시되는 표현과 동일시되지 않아야 한다. 이제 플라톤의 서술에 관한 관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1.2. 술어에 관한 플라톤의 관점.


플라톤이 진술-형성 현상을 단순한 사물 명명과 대비되는 것으로서 충분히 의식하고 있다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다. 이런 틀에서, 명명(onomazein) 차원과 진술(legein) 차원 사이의 대립에 대한, Sophist 261c6 이하에서[각주:5] 플라톤이 논의하는 설명이 호출된다. 명명 차원은 그 안에서 이름들(onomata)이 세계로부터 우리의 정신 앞으로 사물을 가져오는 데에 사용되는 그러한 영역이며, 반면에 서술 차원에서 우리의 관심이 집중되는 것은 완결된 진술들이다. 플라톤에 따르면, logos(단지 결합된 onoma 역할을 할)는 이중적 특징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a) logos가 이름과 한정어의 특수한 조합으로서 그에 상응하는 (것으로 가정되는) 형상들의 결합을 반영하거나, (b) (결과적으로, 즉, 서술 차원에서 역할을 하는 경우) 진술-형성 표현으로서 기능하고 사실인 것 혹은 사실이 아닌 것에 관한 정보를 채워준다.


[29쪽] Logos도 명명 차원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런 (onomata의 단순 결합물로서 그 중 하나는 onoma 위치에, 나머지는 rhēma 위치에 있는[각주:6]) logos가 진술 차원을 불러오는 logos는 아니라는 점을 쉽게 알 수 있다. 왜냐하면 해당 logos가 누군가에 의해 실제로 단언된(아니면 적어도 실제로 단언될 것이라 가정은 되는) logos가 아닌 한 진술 차원에 대한 아무런 문제도 없기 때문이다. [onomata 결합 구조물로서 명명차원의 logos와 진술 차원에서 이것이 사실로서 단언된 logos를 구분하고 있다. 글쎄?] 이러한 관계에서, 플라톤이 "누군가가 한정어(rhēma)를 이름과 결합시키지 않는 한, 있거나 있지 않은 무언가에 관하여 아무런 정보도 공급되지 않는다"라고, 그리고 "logos를 사용하는 자는 무언가에 관련하여 이름과 한정어를 함께 엮는 일을 완수하고 그를 통해 무언가를 진술한다"라고 명백하게 주장한다는 것이(Sophist, 262c3-5; 262d2-5) 지극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 밖에, logos인 것은 그게 실제로 누군가에 의해 내적 발화에서 사용되든 외적 발화에서 사용되는 진술 차원에서 아무런 차이도 만들지 않는다는 것도 있다.[각주:7]


그런 식으로 플라톤이 logos를 진술-형성 발화로 생각한다는 데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렇지만 앞서 언급했듯 그에게 '진술'은 'S is P' 형식으로 표현된 우리에게 익숙한 진술과는 상당히 다른 본성을 지닌다. 플라톤의 관점에서 logos는 항상, 정확히 한 표현으로 남아있으면서 구문론적으로 구분되는 두 요소들, 주어와 술어 같은 것으로 분해되지 않는 'more-than-one-word-expression'[각주:8]이다. 진술 차원에서 사용될 경우 logos는 실제로, Thaetetus 190a5의 표현으로 하자면, logos eirēmenos, 또는 '실제로 단언된 logos'(혹은 '확보한 것으로 이야기되는')로서 내적으로든(Theaet. 190a) 외적으로든 발화된 것이다. 그 심층구조를 고려할 때 플라톤의 진술-형성 발화는 'obtains'나 'is the case'라는 문장 함수가 선행하는 그런 pragma를 표현하는 형식으로 구성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고, 그리하여 'A man is righteous'라는 진술은 다음과 같이 읽혀야 한다:


'obtains : [man(인간), righteous(올바름)],'


man과 righteous가 플라톤이 dynameis(가능적인 것들)라고 부르는 것들을 표현하는 경우, 즉 초월적 형상들인 MAN과 RIGHTEOUSNESS에 참여하는 참여자들을 표현하는 경우에. 그리하여 이 진술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도 읽혀야 한다.


'obtains: [man-being(인간으로-있음), righteous-being(정의롭게-있음)].'


표층 구조 문장들에서 나타나는 시제들에 관해서는(이것들에 대해서는 Sophist 262d2-3을 보라) 그것들은 단지 함수에 관련될 뿐이다. 예를 들어 '한 인간이 정의로웠다'는 다음과 같이 문장전환되는 것이다:


'obtained : [man, righteous].'[각주:9]



[30쪽] 1.3. 플라톤에 있어서 Logos와 지식.[각주:10]


직전의 분석에서 플라톤에게 초월적 형상이 지식의 진정한 대상이더라도, 지식에 적합한 대상들인 것은 형상의 예화이다. 그래서 진정한 지식은 개별적으로 표현되는 다양한 예화들(플라톤이 dynameis라고 부르는 것들)에 대한 식별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Republic VII 523e-524d와 VII 507b-c에서는 지식 개념이 상이한 dynameis에 정확하게 이름을 할당하는 일과 명시적으로 결부된다.


인지적 절차에 해당하는 기술은 플라톤에 의해 종종 '문답'으로 묘사되곤 한다. 이 문답은 정신으로 하여금 "yes, it's this" or "that"이라고 각 경우에 말함으로써 확정적 선택을 이루도록 이끌어야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Meno 81a-d와 Phaedo 72e-77e의 유명한 상기(anamnēsis)의 절차는 적절하게 문답하는 절차와 연결된다. 또한 Rep. VII 538d6-e3에서는 이 절차가 상당히 명시적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이러한 연결에 관한 가장 유명한 구절은 Theaetetus 189d7-e3, 영혼의 생각이 '네 또는 아니오 라고 말하면서 스스로 묻고 답하는 대화를 이어가는 것'으로 묘사되는 구절이다.[각주:11]


Anapherein이라는 동사가 플라톤에 의해 이와 관련된 절차를 가리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 동사는 '일부 참여를 부합하는 초월적 형상으로 환원시킴'을 표현한다. 사실상, anapherein은 말하자면 '집으로 가져감'이고 [bring up, bring back 정도. 뭘 굳이 home까지-_-], 외부 세계에 대한 감각을 관찰된 사물이 참여하는 바[각주:12] 각각의 초월적 형상으로 돌려놓는 것이 된다. 사실, 진정한 인지 절차는 우리가 형상들의 내재적 예화들(dynameis)을 외부 세계에서 직면하는 어느 경우든 그 형상들을 인지하고 규정하려는 부단한 노력이며, 그로써, 매우 자연스럽게, 그와 같은 정도로 이러한 예화들(그리고 사례들 또는 개별 사물들)이 같은  초월적 형상들에 대한 참여자들로 인지되고 규정된다.


다른 한편, 플라톤은 자주 사물에 대한 지식을 관련된 사물에 대한 정확한 설명을 제공하는 인간의 능력과 결부시킨다. 예를 들어 Phaedo

73a9, 76b5-7를 보라. Symposion 202a5-9에서, 디오티마는 소크라테스에게 참된 의견은 그것이 지식도 아니고 무지도 아니기 때문에 설명을 제공할 능력이 없다는 것을 알지 못하느냐고 묻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logos는 인지적 절차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앞선 언급의 연장선에서 logos 형식에 포함된 'being' 개념이 정확히 무엇인지 물을 수 있다. 예를 들어


'obtains: [man-being, righteous-being].'


[31쪽] 나는 Greek 'be' 개념이 'hyparctic'이란 말로 가장 잘 규정된다고 생각한다(De Rijk 1986: 348). 이 용어는 (아리스토텔레스적인) 'substance'와 'subsistence'[ousia와 hypokeimenon?] 개념에 더욱 밀접하게 결부되는 '존재사' 지표에 내재된 모든 논쟁적 함축을 피하기 위해 사용된다. 더욱이, '존재'는 매우 자주 '본질(essence)'에 대비되어 이해되는데, 본질 역시 플라톤적 사유에는 같은 정도로 이질적이다. Logos 형식은 적절하게 말하자면,[각주:13] being이 인간 정신에 의해 경험되는 것으로서(또는 각기 사변적으로 관찰되는 것으로서) '외부 세계에 시공간적으로 주어져 있는 것'과 마찬가지인 경우, 외부세계에서 발견되는 몇몇 dynameis나 'being'의 양태들을 가리킨다. 그래서 being의 시공간적 측면은, Charles Kahn(1973:331 이하)이 '진리사'라 부른 개념이 일부 인간의 인지적 활동이 있다는 함축을 이미 강화시키는 것처럼 보이는 부차적인 것인 데에 반해, 우세한 것처럼 보인다.[각주:14]


'Obtains'라는 함수와 관련하여, 이것은 이중의 기능을 지닌다. 첫째로, 이 함수는 해당 logos를 통해 외부 세계의 dynameis로서 발생하기에 적합한 것이 무엇인지를 화자가 실제로 인식하고 규정한다는 것을 표현한다. 다른 한편 이 함수는 시-공간 개념의 담지자 역할을 한다: 'it obtained (or will obtain) here (or there)' 등.


[지식과 참인 믿음의 구분을 전자는 진술-형성 발화로, 후자는 긍정이나 부정 이전의 단순 명제 같은 것으로 취급하는 것처럼 보인다. 아닌가? 그런데 말과 생각은 각기 밖으로 또는 안으로 이루어지는 logos로 규정되고, logos는 onoma와 rhēma의 결합물로 이야기된다. 그리고 이러한 말이나 생각에 대한 긍정이나 부정이 doxa이며, 이러한 doxa에 감각이 개입된 것이 phantasia(인상?)이다. 즉, 긍정과 부정은 지식과 믿음의 구분에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1.4. 플라톤에 있어서 사태로서의 pragma.


의심할 여지 없이, 개별 화용론이 무엇을 다루어야 하느냐는 근본적인 질문은 언어적 도구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그리고 그것들이 무엇을 표현해 왔는가 하는 질문이다. 이런 이유로 플라톤은 Cratylus 383a에서 서론격의 질문을 던진다. 스토아학파가 이후 의미와 지시체(sēmainomenon과 tynchanon)라 부른 것들 사이의 구분에 앞서, 플라톤의 가장 오래된 대화편에서도, 소크라테스가 onoma에 의해 표시되는 대상들의 실제 본성을 확정하고자 여러 차례 시도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대상들은 pragmata나 onta('things there are')라 불리고 이 용어들은 가변적 세계에서 나타나는 '사물들'이나 정확히 그 실질적 본성들로 이해된 것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구분 없이 사용된다. 후기 대화편에서도 플라톤은 외부세계의 사물에 대해 말하면서 실제로 이름을 사용할 때 지시하는 언어외적 대상의 정확한 본성을 파악하려는 지속적인 시도에 관여한다. 그의 생각에, 이 초-언어적-대상은 존재론적 하나, 궁극적으로 (PhaedoRepublic 이래로) 초월적 형상 그 자체이다. 의미론적 관점에서 이 초-언어적 대상은 이름의 함축 또는 내포('의미체')로, 그것이 사실상 제시된 이름이 정확하게 적용될 그 어떤 대상에든 관련된 일련의 개념들이다.


[32쪽] 의미가 초월적 형상(관련된 언어 표현에 의해 지시되는 것)과 동일시되지 않고 오히려 그 형상(또는 부합하는 내재적 형식이나 외부세계에서 출현하는 dynamis)이 인간 사유에 의해 그것으로 이해된다는 점이 중요하다.[각주:15] 


여기에서 pragma의 정확한 뜻이 무엇인지 질문이 생긴다. Sophist 257b-c에서 'pragma'는 외부세계 사물과 해당 표현의 의미체 모두를 구분 없이 의미하는 데에 사용된다. 또 다른 증거는 Protag., 349b3-4; Euthydemus 283e5-6; 284d1; Crat. 386a2; e1; 390e1; Phaedo 103b3; Theaet. 197e4; Soph. 218c4; 244d3; 257b9-c2이다.


'Ousia(being-ness)'에 대비되어, 'pragma'는 그와 유사한 상호 대비를 개별적인 돌에 대해 이야기되는 'being-stone'과 'being-stone' 사이에서 전달한다. 그래서 'pragma'는 무언가의 'being such-and such' (즉 this or that combination of dynameis)를 지적해내는 것처럼 보이고, 반면에 'being-ness(ousia)'는 일차적으로 사물의 being(또는 BEING에 대한 참여)에 초점을 맞춘다. 그래서 'pragma'는 사유에 의해 지시되어 나온 것으로서 dynamis를 표현하는 것처럼 보인다. 아리스토텔레스에서 해당 단어의 유사한 용례를 찾을 수 있다.


Logos와 pragma 사이에는 밀접한 관련이 있어 보인다. 플라톤의 진술-형성 발화에서 사실상 주요 구성요소('논증')인 logos는 언제나 특정 pragma를 표현한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pragma는 '사태'와 동등해진다. 그렇지만 그런('more-than-one-word-expression' 또는 '구성된 이름'으로서) logos는 다음과 같은 유형의 '사태 정식화'이다.


'being man plus being righteous,'


혹은 오히려 진술 차원에서 다음과 같이 사용되는 표현이다.


'man is righteous.'


차라리, 단지 'dynameis의 묶음' 또는 'being의 일련의 양태들'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Euthydemus의 유명한 예시)


'wanting-one's-darling-to-be-dead-and-gone'


(또는 'Ctesippus-wanting-Clinias-to-be-dead'). 다른 한편 단언된 logos란 [33쪽] 해당 logos를 통해 누군가가 지시된 사태를 실제로 확정하는 표현에 불과하다.[각주:16] 


이에 대한 일부 결정적 증거는 Euthydemus에서 발생하는 뜨거운 논쟁 중에 발견된다. 디오뉘소도로스는 소크라테스가 스테십포스의 연인 클리니아스가 현명한 자가 되기를 바란다는 것으로부터 그가 "그가 그 사람이 아닌 자로 되기를 그리고 더 이상 그인 자로는 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따라서 "그가 죽어 없어지기를 바란다고" 악의적으로 추론한다(283c8 이하). 크테싶포스는 화를 내며 디오뉘소도로스에게 답한다. "나와 다른 사람을 그런 처지(toiouton pragma)로 몰아넣을 그 따위 생각은 어디서 얻은 거냐?"(283e5-6) "내가(우리가)-클리니아스가-죽기를-바란다"라는 "상황"을(또는 "클리니아스를-죽을-것이-나에-의해-기대되는-자로" 같은 logos를) pragma가 표현한다는 것은 충분히 분명하다.[각주:17]


동일선상에서 Theaetetus의 pragma가 의미하는 바를 해석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여기에서는 pragma가 "의견(doxa)"에 대비되는 것으로서 "지식"의 참된 본성에 대한 논의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유명한 "지식의 조각들"을 지시하는 것이 분명하다.[각주:18]



2. 진술-형성 표현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의미론


2.1. Pragam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


진리치 담지자에 관한 연구에서 Gabriel Nuchelmans는 아리스토텔레스의 De interpr. 21b28에서 pragma가 16b23에서와 같은 의미를 지니며, 즉 그것은 '사태(state of affairs)'라는 의미라고 보는 입장을 성공적으로 논증한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다른 저작들도 증거로 제시하는데, 그가 불분명하다거나 느슨하다고 여긴 pragma 용례에 대한 세부사항 몇 가지를 보완해 보고자 한다.


2.1.1. 몇 가지 문헌 근거들.


Categ. 5, 4a34-b13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logos와 doxa가 우연한 사건(예를 들어 '누군가 앉아 있다')에 관련될 경우에도 절대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되는 반면, 그 진리치는 변화하는 pragma에 의존한다고 말한다(4a34-b2). "왜냐하면 pragma가 있거나 있지 않기 때문에(4b8-10) logos가 참이라 이야기되거나 거짓이라 이야기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pragma는 분명히 'x-being-so-and-so'를 표현한다.[각주:19] 반면 pragma의 변화는 변화하는 속성들(앉아-있음 또는 걷고-있음)으로 [34쪽]  구성되는데, 물론 그것은 전체 pragma 'x-being-so-and-so'의 변화에 부합하게 된다.


Categ. 10에서 대립의 상이한 방식들이 논의되는 가운데, 아리스토텔레스는 긍정 또는 부정 기저에 놓인 것이 비록 긍정이나 부정 logos 자체는 아니더라도 logos가 대립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대립된다고 말한다. 더욱이 '그가 앉아 있다'라는 긍정문이 '그가 앉아 있지 않다'라는 부정문에 대립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이 중 한쪽의 기저에 놓인 pragma가 그 대응문의 기저에 놓인 것에 대립된다고, 'to-be-seated'가 'to-be-not-seated'에 대립된다고 말한다(12b10-6).[각주:20]


주목할 점은 두 가지이다. (1) pragma는 '긍정 또는 부정의 기저에 놓이는 것'이다. (2) 'pragma'라는 용어는 현실에 적용되든 그렇지 않든 어떤 사태를 의미하는 데에 사용되고, 그로써 그것이 실제로 단언되는 어느 경우든[각주:21] 실제로 그것이 참인지 혹은 거짓인지 여부는 문제가 되는 존재론적 상황에 달려 있다.


Categ. 11, 14a10-4에서도 이 노선을 따른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거기에서 "만일 'Socrates-being-well(소크라테스가 건강하다)'가 'Socrates-being-sick(소크라테스가 아프다)'에 모순된다면, 그리고 그 둘 모두가 동시에 동일한 사람에게 견지되기란 불가능하다면, 그 모순쌍의 한쪽이 사실<the case>일 경우, 다른 한쪽도 마찬가지로 사실이기는 불가능할 것이다. 더욱이 만일 소크라테스가 건강하다가 사실이라면, 소크라테스가 아프다가 사실이기는 가능할 수 없을 것이다."라고 주장한다.


Categ. 12, 14b9 이하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연적 우선성'에 해당하는 특수한 사례를 논의거리로 가져온다. 그 사례는 'there being a man'에 속하는 상호 함축과 이에 부합하는 logos의 진리치에 관련된 것이다. 다음 인용문은 아리스토텔레스가 A와 B 사이에서의 완전한 상호교환이 언제나 성립하는 '자연적 우선성'의 사례를 설명하고자 시도하는 대목이다.


14b9-22: "그래서 '우선'이란 이러한 여러 가지 방식으로 말해진다. 그렇지만 이러한 언급된 방식들 외에 우선성의 또 다른 방식이 있는 것처럼 보일 것이다. 왜냐하면 이러한 사물들 중에서, 한쪽의 being이 다른 쪽의 being을 함의하는 것이 있고, 한쪽이 어떤 식으로 다른 쪽 being의 원인인 것을 '자연적으로 우선한다'라고 합리적으로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사례들이 있음은 분명하다. 왜냐하면 'being-a-man(to gar einai anthrōpon)'은 그것에 관한 참인 logos와 being에 대한 함축으로서 교환되기 때문이다. 만일 그가 사람이라면, 그가 사람이라고 말하는 logos는 참이다. 그리고 교환적으로, 만일 그가 사람이라고 말하는 logos가 참이라면, 그는 사람으로 있다. 참인 logos는 pragma의 being에 대해 어떤 식으로도 원인이 아니지만, pragma는 어떤 식으론가 logos가 참임의 원인인 것처럼 보인다. 더욱이, logos가 참이나 거짓이라 불리는 것은 해당 pragma가 being이거나 not-being이기 때문이다."


[35쪽] 아크릴은 그런 사례에 '상호적 존재 함축('tou einai akolouthēsis'에 대한 그의 번역)'을 논하는 것이 이상하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there being a man의 존재가 there is a man이라는 참인 진술의 존재를 함축하고 또 그 존재에 의해 함축된다고 말해서는 안 된다." (op. cit., 112). 그의 말은 맞다. 그렇지만 그는 logos의 einai를 그것의 존재, 즉 누군가에 의해 그것이 실제로 단언되어 있음이라고 잘못 생각한 것처럼 보인다. 대신에, logos being(또는 being the case)은 단지 그 내용이 사실임을 나타낼 뿐이다.[각주:22] 즉 아리스토텔레스의 einai에 대해 'being the case'라는 번역이 아크릴의 '존재'라는 번역보다 선호되어야 하는 이유가 이것이다.


'Pragma'의 뜻과 관련하여, 이 단어는 '사태'를 표현하고 'the pragma's being'은 외부세계에서 실제로 사실인 사태를 나타내야만 한다.


De interpr. 3, 16b19-23에서 pragma는 이와 유사한 의미를 지녀야만 한다. 즉 dianoia(생각)에 의해 표시되는 사태여야 한다. 하지만 rhēma가 그 자체로 발하된 한에서 어떤 사태가 사실이거나 사실이 아니라는 것은 표시되지 않는다고 아리스토텔레스는 주장한다. 설령 'to be' 동사가 독립적으로 사용되더라도 einai나 mē einai조차 어느 쪽도 pragma의 표지는 아니기에 사태에 대한 어떠한 시사도 없다고 계속해서 주장한다. 예를 들어 'be-running'을 말하는 경우. 사실, 'on(being)'을 독립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아무것도 단언하지 않는다. 거기에 무언가를 추가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being)-stone, (being)-man 또는 tree-beautiful.[각주:23]


De interpr. 12, 21b19-32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동사 'to be'(또는 'not to be')를 <해당 표현의 다른 요소들에> 추가함으로써 언제나 긍정(또는 부정)이 산출되는 것은 아니라고, 즉 양상문에서는 그렇지 않다고 지적한다. 더욱이, 양상문을 부정하기 위해서는 'to be' 동사가 아니라 바로 그 양식에 부정을 추가해야 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결론은 "'being-a-man'이나 'being-a-pale-man' 같은 단언 형식들의 앞선 사례들에서 'to be'와 'not to be'가 추가되는 반면, 'pale'과 'man'은 hypokeimena pragmata(기저에 놓이는 사태들)인 것처럼, 같은 방식으로 여기 양상 형식에서 'to be'는 기체인 반면, 'to be possible'과 'to be admissible'은 추가되는 것들이다. 양상 사례에서[각주:24] <기체 역할을 하는 'to be'가> being-possible(가능한 것)과 being-not-possible(가능하지 않은 것)로 구분되는데, 이는 단언 사례에서 'to be'와 'not to be'가 기저에 놓이는 pragmata를 being the case(사실인 것)와 being not the case(사실 아닌 것)로 구분하는 것(21b26-32)과[각주:25] 같은 방식이다. 명백하게 'ta hypokeimena pragmata'는 21b28에서 사태를, 'to be a man'과 'to-be-a-pale-man' 각각을 가리킨다.[각주:26]


Metaph. Th.10, 1051b2-62, '참과 거짓이라는 의미에서 being'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의에서 유사한 pragma 용례가 등장한다. "이런 종류의 being은 [36쪽] pragmata가 관련되는 한에서 결합됨 혹은 분리됨에 의존하기에, 그래서 분리된 것은 분리된 것으로 또 결합된 것을 결합된 것으로 생각하는 자는 누구든 진리를 취하고, 반면 그의 생각이 pragmata에 모순되는 자는 누구든 잘못을 범한다."(1051b2-5) 1051b6-9에서 추가설명이 이루어진다. "당신이 하얗게 있는 것은 우리가 당신이 하얗게 있다고 참되게 생각하기 때문이 아니라 당신이 하얗게 있다는, 이를 말하는 우리가 참되다는 사실 때문이다." 다시, pragma는 특정 사태('your being pale')를 표현한다. 그렇지만, 앞서 외부 세계에서 발생하는 사태를, 이해되거나 생각되는 사태와는 대비되는 것으로서 의미하는 데에 사용된 pragma는 다르다. 'being combined(결합)' 또는 분리는 외부 세계의 특성으로 간주되고 정신적인 결합이나 분리 행위를 가리키지 않는다는 것이 뒤따르는 바에 따라 분명하다(1051b9-17).


Metaph. K11, 1067b18은, Metaph.가 pragma나 hypokeimenon pragma 보다는 hypokeimenon을 논한다 하더라도, 위에서 다룬 Categ. 12b15와 De interpr. 21b19에 부합할지 모른다. Hypokeimenon은 여기에서 to kataphasei dēloumenon, '긍정적(적극적) 용어로 표현되는 것'으로 정의되고, 무규정적 명사(indefinite noun, De interpr. 2, 16a30-2)로 표현되는 것에 대비된다는 것을 시사하기는 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Metaph.에서 사태로 이해되는 것에 관하여 pragma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를 꺼리는 것처럼 보이긴 한다.



2.1.2. Pragma의 상이한 의미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저작들에서 pragma를 상이한 의미로 논한다. Pragma가 Prattein('to achieve,' 'to act') 그리고 praxis ('doing,' 'action')과 의미 영역을 공유하는 것으로서 'deed' 의미로 Ethics에서(예를 들어 II3, 1105b5; IV6, 1126b12) 꽤나 자연스럽게 나타난다.


정신 활동과 그 활동이 관련된 대상 사이의 구분이 있는 여러 경우에 pragma가 사용된다. Pragma는 그것을 지시하는 이름과 대비된다. Soph. El. 1, 165a6: auta ta pragmata: "사물들 그 자체, 우리가 이것들을 지시하는 언어적 수단에 대비되는 것으로서." 사물들의 영역이 단어(이름)의 영역에 대비되는 같은 책 16, 175a8을 참조하라. 또한 19, 177a31과 22, 178a26도 참조. Top. I18, 108a21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syllogism이 단어에 의해 지시되는 사물에 관련되어야지, 단지 사용된 용어에만 관련되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De generat. I8, 325a17-8에서는 이론적 관점(logoi)이 그것이 상관하는 사물(pragma)에 대비된다. Physics III 8, 208a15-6에서 pragma는 De interpr. 1, 16a7-8에서도 등장하는 생각(noēsis)과 대비된다. [37쪽]  Top. VI7, 146a3-13에서 pragma는 정의 형식의 내용으로 정의되어야 하는 사물로서 to kata ton logon(말에 따른 것, 말에 대한 것)에 대비된다.


마지막 항목에서 pragma가 단순히 외부 세계의 사물을 표현하는 게 아니라 '우리의 관심이 그리로 정향된 것'을 의미한다는 점이 흥미롭다. Poetics 14, 1453b2-5와 1454a13-4에서 ta pragmata가 단순히 외부세계에서 발생한 사건들이 아니라 연극에서 이야기된 것으로서의 사건들, 'plot'인 그런 유사한 용법도 등장한다.


그렇지만, 정신적 활동에 대비되는 의미에서 pragma의 의미들에 대한 탐구를 계속하면서, Physics VIII 8, 263a17-8이 pragma가 alētheia(참)과 병치된 곳으로서 인용될 수 있다. 'pros to pragma kai tēn alētheian' = '실제 사태의 관점에서,' 즉 운동이 사실상 어떻게 발생하는지. Metaph. A3, 984a18에서 auto to pragma는 '현실 그 자체'를 의미하고 그 용법은 De anima III8, 432a4에서 일치하는 표현이 등장한다. pragma authen = 'nothing real.' Nicomachean Ethics IX 10, 1171a13-4에서는 epi tōn pragmatōn = '사물들의 측면에서' = '실제로(in practice)'가 이 용법에 근접하다.


앞서와 다른 의미는 Politics III 9, 1280a17-9와 IV 15, 1299b18, 사물(pragmata)이 개인에 대비되는 곳에서 등장한다. 하지만 다른 종류의 대비로서 사물의 속성이나 부수적 속성에 대비되는 것으로서 사물을 pragma로 표현하는 구절도 많다. Topics I 5, 102a19와 I 8, 103b8; Soph. El. 24, 179a28; Physics IV 14, 223b25; V 3, 226b30과 V4, 227b28; Meteor. IV1, 379a32-b1. 이 용법은 Rhetorics (I1, 1354a15-23; 1354b17; 1355a2와 19; III4, 1415b6): ta exō tou pragmatos = ''논점 외'에서 발견되는 형식과 비교될 수 있다.


형식적으로 생각으로부터 구분되는 pragma 용법은 pragma가 비록 여전히 정신적 영역의 일부일지라도 Metaph. L, pragma를 '지식'과 생각의 내적 대상 각각으로 다루는 구절에서 발견된다. "일부 경우 지식은 대상이다(to pragma); ...... 이론적 학문에서 정의와 앎이 바로 그 대상이다(to pragma);" L9, 1074b38-1075a3.


사태로 이해되는 Pragma는 Anal.Pr. II 27, 70a32, pragma가 '모든 지혜로운 사람들은 좋다'라는 주장을 표현하는 곳에서 등장한다. 유사한 인식적 의미의 pragmata는 De interpr. 7, 17a38, pragmata가 보편적인 것과 개별적인 것으로 구분되는 경우에서 등장한다.


[38쪽] 끝으로 Metaph.는 두 가지 유용한 전거를 제공한다. 해당 책 Delta에서 그는 pseudos('falsehood')에 관한 장을 구성하고 E 마지막 장은 '참으로서의 being과 거짓으로서의 not-being'을 다룬다. 이 두 장에서 pragma 개념은 핵심적 역할을 한다.


Metaph. D29에서 거짓의 상이한 의미들이 논의된다. Christopher Kirwan(1971:78)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사태를 지지하는 진술과 믿음을 간과하기에' 그에 의해 제시되는 분류가 놀랍다고 불평한다. Ross도 "거짓 대상이나 거짓 사실 같은 그런 사물은 분명 전혀 없다"라는 점에서 불편함을 느끼는 듯하다(344). 반면, 그는 꿈의 사례와 관련하여 곤란을 겪는데, 그는 그것이 정신 상태 이외에 다른 아무것도 아니라고 믿기 때문이다. 내가 보기에, 놀라거나 불편해할 필요는 없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분명 (1) hōs pramga pseudos(사물로 취급되는 거짓)이라 불리는 거짓을 (2) logos pseudēs(거짓 설명)이라 불리는 거짓과 구분되는 것으로 다룬다. (1)은 정확하게 (거짓) 사태와 관련되고 다시 하위분류 (1.1) 대각선의 통약가능함(아리스토텔레스가 '항상 거짓인 것'으로 언급하는) 또는 너의 앉아 있음(때때로 거짓인 것)과 (1.2) 약도(skiagraphia, 부정확함으로 인해 부정확하다는 의미에서 거짓)이나 꿈(어떤 것들로서 있기는 하지만 우리에게 그것들이 연상시키는 바로 그것으로서 있지는 않은 것; 1024b23-4)으로 분할된다.


Hōs pramga pseudos 형식에서 pragma는 현실과의 관련(거짓 가능성으로 이어지는) 내에서 정신활동의 내용으로 간주되는 '사태'를 표현한다. 그래서 b25에서 pragma는 사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그러나 '실제 사물'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사물[사태]은 그 not being <the case>(사실 아님)으로부터 그 자체 거짓이라고 불리거나 그로부터 귀결된 연상이 사실이 아니라는 사실로부터 거짓이라고 불린다." (1024b24-6). 'not being <the case> 설명(또는 사유)'은 설명이나 사유가 obtain(실현)하지 못함을 말하는 통상적인 형식임을 유념해야 한다.[각주:27]


Metaph. D29, '거짓 설명'이 논의되는 곳에서, 논의되는 것은 거짓 진술('S is P' 형식의)이 아니라 '거짓 기술'이다. 중요한 것은 아리스토텔레스가 거짓을 누군가에 의해 어떤 것에 잘못 부여된 사태(묘사라는 의미에서)로 생각한다는 점이다.


[39쪽] Metaph. E4는 '실제 사물'이란 다른 의미로 pragma를 사용하는 것처럼 보인다. "거짓과 참은 pragmata 안에 있지 않고(예를 들어 좋은 pragma는 참으로 있고 나쁜 pragma는 그 자체로 거짓), 사유(dianoia) 안에 있다" (1027b25-7). 그렇지만 그 대비는 실제로 결합과 분리로 구성되는 사유활동으로서 dianoia와 사유-내용(pragma)에 관련된다. 이 사유-내용은 결합과 분리 같은 활동을 통해 단언되거나 부정된다는 그 일과는 구분된다. 그래서 참과 거짓이 사유-내용 안에 있는 게 아니라는 것은 맞는 말이다. 사유-내용은 단언이나 부정에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사유에서 긍정이나 부정에 진리치가 의존하지 사유 내용에 의존하는 것은 아니란 얘기.]


Nuchelmans가 pragma란 단어의 불분명함에 대해 말한 것이 완전히 다 맞지는 않다. Pragma는 일관되게 사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것이 외부 세계에서 실제로 발생한 것이든, 생각된 것이든 상관없이. 발생한 경우, eu prattein과 kakōs prattein, 잘 한 일이나 못한 일 그 자체를 지시한다. 후자의 경우, 지각되거나 의미된 대로의 사물을 가리킨다. 존재적 용법(being-so-and-so 또는 x-being-so-and-so)과 인식적 용법('(x) conceived-of-as-being-so-and-so) 사이의 밀접한 관계에 관련한 세부사항은 De Rijk (1986: 171)을 참조하라. Pragma의 이러한 이중 함축은 한쪽이 다른 한쪽보다 우세해지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문맥을 통해 정확한 해석이 가능할 것이다.



2.2. 아리스토텔레스에서 Logos와 일부 관련 개념


플라톤의 logos와 매우 유사하게, 아리스토텔레스적 logos도 오늘날 '진술'과 똑같지는 않고 '설명'이나 '합성된 기술적 표현'(또는 정의항)에 가까우며, 진술의 서술적 부분으로 사용된다는 것과는 관련이 없다. Metaph. D29, 1024b26-39에서 아리스토텔레스가 '거짓 설명(logos pseudēs)'에 관해 말하는 바에서 [40쪽] '거짓'은 'not-applying'과 동의어이고, alēthes는 'applying'을 의미하는 데에 사용된다는 점이 이를 보여준다.


De interpr. 4,16b26-8에서 잘 알려진 logos에 대한 정의에서 번역어 '설명'이나 '합성된 표현'은 '문장'이나 '진술'이 더 적절해 보이는 곳에서도 잘 작동한다. 그래서 logos=설명 공식은 16a22(kalos hippos 구), 16bl, 19a28, 19b19, 21b24 (17a11과 21a29에서 logos가 정의항이기에)뿐만 아니라 19a33에서도 성립한다: "참인 설명은 그 설명의 pragmata(즉 그 설명이 의미하는 사태)가 참인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참이다." 예를 들어 '내일 해전이 일어날 것이다'라는 것은 내일 실제로 발생하는 해전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해당 pragma가 '내일 해전이 일어날 것이다'라는 표현에 의해 표현된 것으로 이해되는 사태이다.


이러한 연결은 to kathēsthai tina(누군가가 앉아 있다는 것)라는 부정사 구문이 logos라고 불리는 곳을 지시하게 될 것이다. Pragma와의 유일한 차이는 logos가 언어적 표현을 의미하는 반면 pragma는 그 내용을 표현한다는 것이다.


Kataphasis가 때때로 긍정적 logos에 대한 서술적 표현으로 사용되는 표현이라는 점은 '합성된 표현'으로서의 logos와 궤를 같이 한다. 아크릴은 De interpr. 12,21b3-5에서 '긍정'과 '부정'이 진술이 아니라 서술적 표현이라고 옳게 언급하였다. 다른 한편, 진술은(S=P 형식이 아니더라도) 그 안에 참이나 거짓이 들어있는 logos로 정의되는 바, apophantikos(선언적, 언명적) logos라는 용어로 표현된다(17a2-3). 그리고 이는 명백히 참도 거짓도 아닌 logos로서 기원에 대비된다. 따라서 그런 logos는 아직 진리치를 포함하지 못하며 참이나 거짓이 될 자격을 가져오는 것은 apophantikos 요소이다. 참이나 거짓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무언가가 추가되어야 하는데, to einai 또는 이를 포함하는 또 다른 동사가 추가되어야 한다. 16b28-30, 21b5-10과 함께.



2.2.1. 아리스토텔레스에서 명명과 단언


이상의 내용은 아리스토텔레스에서 명명과 단언에 관하여 몇 마디를 하도록 이끈다. 용어의 선명성을 위해 관련 용어들을 일람할 필요가 있다. Nuchelmans(1973:23-32와 색인) 참고. 


I - Logos: '합성된 표현'

    '한-단어-이상의-명칭'


[41쪽] II - pragma: 'logos(또는 이름)의 내용' = 합성된 표현에 의해 표현되는 '사태.' 존재적이거나('외부세계 내의 사태') 인식적('이해된 사태'), 또는 그 결합이다.


III - Apophainesthai: '알려지도록 만드는 것,' '무언가가 사실이라고 단언하는 것.' Categ. 7, 8b22; De interp. 5, 17al9; a27; b2-9; 11, 20b29. apophainesthai ti peri tinos에 대해서는 Bonitz, Index Arist. 88, a36-41을 보라.


   - apophansis: '무언가에 대해 무언가(pragma)를 긍정하거나 부정하는 단언(선언).' De interp. 6, 17a20-26; 7, 17b5.


   - 모순의 부분(즉 kataphasis 긍정이든, apophasis 부정이든)을 포함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취급되는 경우. Anal. Post. 12, 72a11.


     apophansis는 두 가지로 구분된다.

     1. kataphasis (이하에서 kataphasis(2);) = apophansis tinos kata tinos (무언가에 대해 무언가를 긍정하는 발화)

     2. apophasis (이하에서 apophasis(2);) = apophansis tinos apo tinos (무언가에 대해 무언가를 부정하는 발화). De interp. 6, 17a25-6.


Apophansis의 정의(17a23-4: 무언가(pragma)가 성립하는지 성립하지 않는지에 관한 의미를 가진 발화된 음성구조(phōnē))를 고려하면, '무언가에 대해 무언가를'이라는 형식은 성립과 비 성립이란 용어로 설명되어야 할 것이다.


   - Apophantikos: logos apophantikos = '진술-형성 합성 표현,' '참이나 거짓이 그 안에 들어 있는 logos'로 정의된다(De interpr. 4, 17a2-3).


     logos apophantikos는 두 가지로 구분된다.

     1. logos kataphatikos = '긍정 진술' = kataphasis(2)

     2. logos apophatikos = '부정 진술' = apophasis(2)

     De interpr. 4, 17a8-9


IV - Phanai = - '생각을 행함,' '의견을 가짐.' 단순히 '생각,' '파악'을 표현하는 noein에 대비되어.

                - '말함.'


[42쪽]        phanai는 이중의 의미로 나타난다.

                phanai(1): 'to have in one's thought,' 'to have before one's mind.' 그것이 사실이라는 것을 단언하거나 부정하지 않고. 그래서 Metaph. Th.10, 1051b24에서 참은 thigein kai phanai, 생각으로 접촉하고 파악함으로 정의된다.

                phanai(2): '그것이 사실이라고 말하거나 생각함' ( = kataphanai). De interpr. 9, 18a36과 여러 곳; 12, 21b20

                phanai(2)는 자연스럽게 apophanai에 대비된다, 긍정함이 부정함에 대비되듯. 그래서 De interpr. 9, 18b2; 12, 21b20; 22b12; Anal.Post. I 4, 73b23; I11, 77a10과 여러 곳; Soph.El. 11, 171b3과 여러 곳.


이중적 phanai는 이중적 phasis와 함께 간다.


phasis:

phasis(1): '표현' (한 단어 표현이든 여러 단어로 된 표현이든.) De interpr. 4, 16b27; 5, 17a17; 12, 21b19 (tas antikeimenas phaseis = '대립되는 표현들'). Metaph. Th.10, 1051b24-5에서 phasis는 'mental expression', 'grasp'를 의미한다.

phasis(2): '단언.' 느슨하게 취급하여 '분명한 찬성이나 반대('yes'나 'no'에 개입되지 않는 단순한 생각 dianoia에 대비되는 것으로서).' Eth. Nic. VI9, 1142b13 영혼의 '내적 대화'라는 플라톤의 묘사. Theaet. 189e4-190a6 그리고 Sophist 263e3; Nuchelmans (1973: 19, 24); De Rijk (1986: 295-6; 338-9) 참조.


두 가지 phasis 모두 kataphasis와 apophasis로 하위분할된다.


kataphasis(1): '무언가에 대해 무언가를 긍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술어 표현'

apophasis(1): '무언가에 대해 무언가를 부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술어 표현' Categ.10, 12b15; De interpr. 10, 19b7; 12, 21b3-5; Physics V1,

225a6; Metaph. K11, 1067b18;

kataphasis(2): logos kataphatikos.

apophasis(2): logos apophatikos.


Phasis와 apophasis는 함께 antiphasis(모순)을 구성한다. 모순은 '상호 반대되는 긍정 plus 부정'으로 정의된다. De interpr. 6, 17a33-4.

De interpr. 9, 18b37; 11, 21a22과 38 이하.; 14, 23b24-32; 24b7; 그리고 다른 곳; Anal. Post.I2, 72a12; Metaph.I7, 1057a34; 그리고 다른 곳.


[43쪽] Phanai처럼 phasis라는 용어도 '찬성(반대에 대비되는 것으로)'을 의미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이 용어들이 명명 차원에 속하는지 아니면 진술 차원에 속하는지 여부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A) 명명 차원

 - logos: '합성 표현'

 - pragma: 합성(혹은 단일 단어) 표현의 내용'

 - phasis(1): '표현' ('긍정 표현')

 - kataphasis(1): 긍정적으로 사용된 표현

 - apophasis(1): 부정적으로 사용된 표현


B) 진술 차원

 - apophansis

 - logos apophantikos - logos kataphatikos

                             - logos apophatikos

- phasis(2) - kataphasis(2)

               - apophasis(2)



2.2.2. 아리스토텔레스에서 명제적 구조


아리스토텔레스에게서 발견되는 명제적 구조를 규정하기 위해 Mohan Matthen(1983: 125-31)은 '술어적 복합체(predicative complex)'라는 개념을 도입한다. 그는 이를 보편자를 개별자가 예화할 경우 그 보편자와 개별자로부터 구성된 하나의 대상이라 보았다. 아리스토텔레스가 Metaphysics Z12에서 제안한 것과 같다. 서술적 복합체는 pragma인 듯하고 그는 이를 '개별자와 술어'로 구성되도록 만드는 것 같다. 그래서 문장은 서술적 복합체에 단항적 'being'이나 'not-being'을 부여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런데 서술적 복합체는 개별자와 술어를 분리시키는 계사('is')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다른 한편 이 복합체를 '술어적'이라 부르는 것은 복합체 외부에 그 대응자로서 어떤 주어가 있을 것임을 시사하고, 반면 그는 단항 함수로서 'being'과 'not-being'을 말한다. [44쪽] 그래서 아리스토텔레스의 logos, pragma를 포함하는 logos는 단언가능한 혹은 진술가능한 복합체라 불러야 할 것이다. 진술가능 복합체(개별자 plus 속성을 포함하고 그 둘 모두에 대해 공의적 being을 포함하는)는 긍정적으로든 부정적으로든, 단항 함수 'being'이나 'not-being'에 의해 '진술'될 수도 있다. 


Logos도 phasis(kata-, apo-)도 단언하거나 부정하는 발화 행위에 관련되지 않는다는 것이 드러난다. 이러한 특징은 Metaphysics E 마지막 장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이를 논하기 위해 먼저 핵심 개념 몇 가지를 살펴 본다.



2.3. logos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의미론에 포함된 일부 핵심 개념들


Metaphysics E4 참으로서 'what-is'와 거짓으로서 'what-is-not'에 관한 논의에서 결합, 분할, 그리고 pragma 개념이 중요하다. pragmata는 거기에서 dianoia에 대비되고 참과 거짓은 전자가 아닌 후자 안에 있다고 이야기된다. 그런 이유로 dianoia, synthesis(결합), dihairesis(분할)을 개략적으로 살펴보자. 이는 결합과 분리라는 활동, 즉 모아 생각하는 것과 따로 생각하는 것이라는 짝의 기저에 놓인 사유 과정에 관한 언급으로 이어진다. 



2.3.1. dianoia와 pragma


dianoia는 일반적으로 참되게 생각하는 능력이나 활동을 가리키는 데에 사용되고, 식별(분간)을 함축한다. 따라서 dianoia는 개념들의 결합과 분리를 다루는 문맥에서 등장한다. Metaphysics E4, K8에서 참으로서의 'what-is'가 사유를 통해 성취되는 결합에 의존한다고 이야기된다. NE V12는 이러한 dianoia 단어 용례를 제공한다. 해당 문맥에서 사유에서의 긍정과 부정은 욕구에서의 추구와 기피에 대응되고, [45쪽] 긍정과 추구 모두 'yes'에 대한 의도적 선택으로, 부정과 기피 모두 'no'에 대한 선택으로 간주된다.


Metaphysics에서 pragmata가 dianoia에 대비될 때, 후자를 단순히 생각 속에 떠올리는 것에 대비되는 것으로서 긍정과 부정의 과정이라는 의미에서의 생각으로 간주하였다. 단순 파악의 경우 참은 생각에서도 발견되지 않는데 이 경우 참은 아무런 긍정이나 부정도 없는 단순한 접촉과 같기 때문이다. 


따라서 긍정이나 부정의 사유과정에 대비되는 것으로서 사유 내용으로 pragmata를 이해하는 것이 곧장 외부세계 대상을 지시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보다 적절하다.



2.3.2. Alēthes(참)와 Pseudos(거짓).


결합과 분할을 다루기에 앞서 참과 거짓을 논해야 하는데, 결합-분할이 참과 거짓이 있는 형식적 원인들로서 규정되기 때문이다(Metaph.

E4, 1027b18-22; Th.10).


Th.10, 1051b2-5: "이것[참으로서 'what is'와 거짓으로서 'what-is-not']은 사물의 측면에(epi tōn pragmatōn), 그 사물들의 결합되어 있음(synkeisthai) 혹은 분리되어 있음(dihēirēsthai)에 의존해서 분리된 것을 분리되었다고 생각하고 결합된 것을 결합되었다고 생각하는 자는 참을 가지고, 반면 사물의 상태와 반대 상태의 생각을 가진 자는 오류에 빠진다."


여기서 아리스토텔레스는 대상의 being을 그 구성 요소들의 실제 결합으로 정의하고 그 not-being을 특정 요소들의 실제 분리되어 있음으로 정의하며, 다음으로 참되게 말하거나 거짓되게 말하는 것을 말과 외부 대상(ta pragmata) 사이의 부합으로 정의한다.


[46쪽] 그렇지만 다음 구절에서는 대상의 being에 한정하여 참이 '사실임(being the case)'을 표현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듯한 반면, 사실임을 단언(혹은 부정)하는 것은 고찰하지 않는 듯하다.


Th.10, 1051b32-5: "참으로서 'what is'와 거짓으로서 'what-is-not'은 한 경우[즉 단언과 부정의 경우]에서 만일 <logos로 지시되는 요소들의> 결합이 있다면 참이 있고 만일 그런 결합이 있지 않다면 거짓[='사실이 아님']이 있다."


내가 보기에 첫 번째 인용문은 참이 된다는 것을 통합된 한에서 참인 것이 진정으로 참인 것이라 취하는 것으로 이해하도록, 또는 통합되지 않은 채로 거짓으로서 있지 않은 것을 거짓으로 있지 않은 것으로 취하는 것으로 이해하도록 만드는 듯하다. 오류에 빠지는 경우는 이것들과 다른 경로를 통한 것이다. 참은 종종 거짓으로서 있지 않은 것을 거짓으로서 있지 않은 것이라 부름으로써 참이 되고, 그런 경우 참으로서 있는 것 일부에 관련하지 않으며, 오히려 일부 거짓으로서 있지 않은 것에 관련한다. 


이러한 해석에서 아리스토텔레스가 (단언이나 부정 상황에서) 만일 <합성된 이름(logos)에 의해 지시되는> 요소들이 통합된다면 참(또는 '사실임')이 있고, 만일 그 요소들이 통합되지 않는다면 거짓(혹은 '사실이 아님')이 있다고 주장했어야 한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참이 되는(참되게 말하는) 절차 혹은 거짓이 되는(거짓되게 말하는) 절차를 동일한 logos를 다루는 상반되는 두 가지 방식들로 보는 관점, 그리하여 단언(혹은 부정)이 관련된 동일한 logos를 향한 찬성(혹은 반대)이 되도록 하는 관점을 가져야 한다. 예를 들어,


'obtains [man plus sickness]'


그리고


'does not obtain [man plus sickness],


이 둘 각각이 사례가 된다, [man plus sickness]라는 logos가 pragma(사태), 'that-the-man-is-sick'을 표현하는 경우에. 이는 pragma(또한 그 언어적 장치로서 logos)가 결코 부정적인 것이 아니며, 따라서, 항상 결합의 결과일 뿐 결코 분할의 결과이지는 않다는 점을 시사한다.


Alēthes와 Pseudos에 대해 추가할 언급들로, 첫째, to alēthes(to pseudos)와 to on hōs alēthes(to mē on hōs pseudos)를 구분해야 한다. 후자는 '관련된 pragma가 사실임' 또는 '사실이 아님'을 가리키고, 반면 [47쪽] alēthes(pseudos) 그 자체는 두 종류의 단언(legein)으로 정의된다(Metaph. G7,1011a26-8): "있는 것을 있지 않다고, 또는 있지 않은 것을 있다고 말하는 것은 거짓이다. 반면 있는 것을 있다고, 있지 않은 것을 있지 않다고 말하는 것은 참이다." 이는 다음과 비교된다. Anal.Pr. I, 46, 52a32: "'그것은 참이다'라는 표현은 '그것이다'와 매우 근접하다." 다음과도 비교된다. Metaph. Th.l0,1051b22-3; "참이 동일하지 않기에 ...., 그래서 being 또한 동일하지 않다." Rhet. I 7, 1364b8-9에서 참은 pragmata와 병렬되며 참이 '참인 사태'라는 의미를 갖도록 한다. Methaph. D7, 1017a31-3: "'To be'와 'is'는 <관련된 pragma가>참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not to be'는 참이 아니라 거짓이라는 것을 의미하며, 단언이나 부정의 경우에서 같은 정도로 그러하다." De anima III8, 432all-2에서 참과 거짓은 개념들의 결합(symplokē) 또는 그런 결합과의 관련으로 불린다(De anima III 6, 430a27-8; De interpr. I, 16a12-3). 이로부터 참과 거짓은 사태(pragma)에 대해 그것이 사실이라고 또는 사실이 아니라고 말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들이다.


이러한 노선에서 to on hōs alēthes(being qua true)와 to mē on hōs pseudos(not-being qua false)는 각기 특수한 종류의 being 그리고 not-being을 기술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들은 Metaphysics (E2, 1026a35; 4, 1027b18; 0-10, 1051b1이하.; K8, 1065a21-3; 11, 1067b25; N2, 1089a28)에서, 참인 사태 그리고 거짓인 사태를 표현하는 곳에서 사용된다. 



2.3.3. Synthesis와 Dihairesis 그리고 einai(mē einai)의 역할 


앞선 해석에 따라 synthesis가 logos('결합된 이름,' 'sick man' 같은 것)를 구성하는 이름들에 의해 지시되는 요소들의 결합과 관련되리라 기대할 것이다. 결합은 logos가 성립하기 위한 필수 조건이다. Logos가 단순하고 분리된 이름들에 대비되기에 그러하다. 그렇지만 이 '결합'이나 '연결'은 이중적 본성을 보여준다. 첫째로 synthesis는 (논리-문법 관점에서) logos 내에서 '연결된' 이름들을 가리키고, 또한 (존재론적 관점에서) 외부세계 내 사실로서 해당 지시체들의 통합을 지시하기도 한다. 논리적 synthesis는 명명 차원에서 성취되는 결합이거나 진술 차원에서 성취되어서 명명 차원에서 성취된 것에 대한 단언(찬성)과 같은 것일 터이다.


[48쪽] Synthesis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술에서 두 용례를 가진다. (1) 존재론적으로 물리적 사물에 대해 이야기되는 '결합 구조' 또는 '구성.' (2) 둘 이상의 개념들(noēmata)을 통합시키는 논리적 연산자. 후자의 의미는 0을 통해 표시하기로 한다. 이제 synthesis(0)는 특수한 두 가지 논리적 의미로서 명명 차원에서 성취되는 통합(또는 통합시키는 행위)를 의미하는 synthesis(1)과 간접적으로 외부세계의 일부로서 있는 사태에 대한 단언을 의미하는 synthesis(2) 사이에서 중립적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synthesis 용례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존재론적 용법:

synthesis: '함께 어울림' 혹은 '구조를 구성함'(결합)

논리-문법적 용법:

synthesis(0): 둘 이상의 개념들을 통합시키는 정신 활동

synthesis(1): 둘 이상의 개념들을 통합시킴(통합), 명명 차원에서 logos를 만들어 냄.

synthesis(2): 진술 차원에서 logos(pragma)에 대한 단언.


Synthesis(2)는 synthesis(1)에 대한 단언(긍정)이다. 반면 dihaeresis는 synthesis(1)에 대한 부정이다.


Synthesis의 대응짝인 dihairesis는 정신활동으로서 '파편화된 구조'나 '비일관된 대상' 등의 존재론적 의미를 지니지 않는다. 논리-문법적 용법('분리,' '부정')은 진술 차원으로 엄격하게 제한되기에 synthesis(2)의 대응물로 작용하고, 따라서 간접적으로는 관련된 logos에 의해 지시되는 결합에 대한 부정을 의미한다.


진정한 단언이나 부정이 있기 위한 근간이자, 따라서 거짓과 참의 근간인 Synthesis는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여러 차례 논의된다.


De intetpr. I, 16a12-8: "거짓과 참은 결합과 분리에 관련된다. 그래서 이름과 rhemata 그 자체(예를 들어 'man'이나 'pale'에 아무것도 덧붙지 않은 경우)는 통합함도 분리함도 없이 <형성되어> 있는 생각들과 같다. 왜냐하면 참도 아니고 거짓도 아니기 때문이다. <....> 'be' 또는 'not be'가 추가되지 않는 한, 단적으로든 혹은 시간 지시를 동반하든." [Categ. 4, 2a4-10 참조]


[49쪽] 아리스토텔레스는 synthesis(1)과 (2)를 포함하는 (0)에 대해 말하고, 반면 dihairesis는 관련된 logos로 지시되는 pragma의 부정을 표현한다. 또한 참과 거짓의 성립 조건으로서 추가가  동사 einai(mē einai)에 관련된다는 주장이 중요하다. 이 동사는 logos를 logos apophantikos로 만드는 함수로 사용되는 경우의 것을 말한다.


Einai의 이러한 기능은 Metaph. D7, 1017a31이하에서도 논의된다.


: "다시, 'be'와 'is'는 <일부 pragma가> 참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반면 'not be'는 그것이 참이 아니라 거짓임을, <그리고> 단언과 부정의 경우에서 같은 정도로 <그렇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is: Scorates-being-artistic' <의미한다> 이것이 참이다['사실이다'] 또는 'is: Socrates-being-no-pale' <의미한다> <이것이> 참이라는 것, 반면 'is not: the-diagonal-commensurable' <의미한다> <이것이> 거짓이라는 것을.


이는 apophasis가 onoma와 미규정 rhēma로 구성된 부정적 logos('Socrates-being-not-pale 같은)가 아니라, 'is not'(ouk estin)이란 부정 함수로 수행된 부정을 지시하는 데에 사용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be' 함수 관련 정보는 De anima III 6에서 단언과 부정이 기술되는 곳에서도 수집된다.


: 참과 거짓이 적용되는 곳에는 이미 <지시체들을 포함하는> 개념들에 대한 그 함께 속하여 있는 것으로서의 모종의 통합(synthesis)이 있다.

  <생략>


이 synthesis는 synthesis(1)에 해당한다. 


430b1-4: "거짓은 언제나 synthesis를 포함한다. 왜냐하면 [50쪽] 'is not: the pale being pale'의 경우에서조차, pale과 not-pale의 synthesis를 구성하였기에. 그렇지만 이 모든 것을 dihairesis로 부르는 일도 가능하다."


430b4-6: "그건 그렇지만, Cleon is pale을 단언하는 참이나 거짓만이 가능한 게 아니라 he was 또는 he will be <pale>이라고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렇지만 각각의 모든 경우, 통합하는 것은 정신(nous)이다."



2.4. Metaph. E4. 재해석.


부수적으로 있는 것(kata symbebēkos on)을 다루는 논의에 이어서 참과 거짓이 아니라 참이란 의미에서의 being과 거짓이란 의미에서의 not-being 논의가 진행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런 종류의 being(not-being)이 synthesis 그리고 dihairesis와 관련된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그는 synthesis(2)(synthesis(1)에 대한 긍정)와 그 대응물로 dihairesis(synthesis(1)의 부정)을 염두에 두고 있다. 다음으로 참으로서의 being과 거짓으로서의 not-being 사이의 논리적 관계가 밝혀진다.


Metaph. E4, 1027b18-23: "참으로서 있는 것과 거짓으로서 있지 않은 것은 결합과 분리에 의존하고(para synthesin esti kai dihairesin), 둘 모두 모순의 부분들의 배열과 관련된다. 참은 (실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의 경우에 긍정의 영역을 포괄하고 (실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의 경우 부정의 영역을 포괄하기 때문이다. 반면 거짓은 이 배열에 반대와 관련된다."


단언과 부정이 logos에, 그 부분들이 통합을 구성하는 그 logos에 관련하지 단순한 용어들의 나열에 관련하지는 않는다는 점이 밝혀진다:


Ibid. 1027b23-5: "'함께 생각함'과 '나누어 생각함'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또 다른 이야기가 있다. '함께'와 '나누어'를 통해 나는 그렇게 <생각>함으로써 <개념들의> 단지 연쇄가 있는 게 아니라 모종의 하나인 것[=pragma]으로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51쪽] 그는 참과 거짓(여기에서 다뤄지는 종류의 being 아래에서)이 결합과 분리 활동에 관련된다는 사실이, 관련된 logos의 내용들인 pragmata에 의존한다는 것을 함의하지 않음을 설명한다. 물론 거짓과 참은 결합과 분리라는 활동에 의존하지만, 그 내용, pragmata에 의존하는 것은 아니다. 단순 파악(dianoetical thought에 대비하여)에 관한 한, 이는 dianoia와 무관하며, pragmata에 개입하지 않는다. 하지만 단순 파악은 이후 다음과 같이 다루어진다.


Ibid., 1027b25-9: "거짓과 참은 사유-내용(pragmata) 안에(마치 좋음이 참이고 나쁨이 그 자체로 거짓인 것처럼) 있지 않다 - 오히려 discursive thought 안에 있다. <생략>"


아리스토텔레스는 우연적으로 'being qua truth'(그리고 'not-being qua falsehood')인 'being'이 'being-in-the-main-sense'에 대한 지금의 논의에서 빠지는 것처럼 논한다. 이제 being qua truth의 특징적인 본성이 설명된다.


Ibid., 1027b29-1028a1: "엮임과 분리는 discursive thought 안에 있고 사유-내용에 들어 있지는 않으며, 이런 의미에서의 있는 것은 근본적 의미에서의 'thing-that-is'와는 다른 것이다. (왜냐하면 사유가 실체적 being이나 질적 being 또는 양적 being이나 다른 어떤 것을 결합하거나 분리시키기 때문이다) - 우연적 being과 참인 한에서의 being은 제외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후자의 원인은 특정한 측면에서의 사유이기 때문이다."


Kirwan(1971: 198)이 De interpr. 1, 16a9-18이 여기에 부합한다고 언급한 것은 맞다. 그는 De interpr. 1, 16a9-18가 참인 사유와 거짓인 사유에 대해('that-Callias-is-pale'이라는 생각) 논하는 반면, E4는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사유가 아니라 그러한 사물(Callias와 pallor)를 논한다고 본다. 그렇지만 이는 잘못된 것인데, 동일한 logos가(Callias-being-pale) 단언이나 부정의 대상이기 때문이다.


[52쪽] Kirwan(199)은 아리스토텔레스의 혼동을 지적한다. 첫째로, (1) '창백한 칼리아스에 대한 사유'와 (2) '칼리아스가 창백하게 있다라고 하는 사유' 사이의 혼동이 있다고 본다. 그렇지만 아리스토텔레스에게 그 둘 사이의 구분은 필요하지 않고 그 둘은 같은데, 단언이든 부정이든 결합이나 분리의 요소인 각 용어에 관련되는 게 아니라 동일한 logos('Callias-being-aple' = 'pale Callias'), 분할되기 보다는 단언되거나 아니면 거부되는 그 logos에 관련되기 때문이다.



[53쪽] 3. Epilogue.


1. 플라톤


1.1. logos는 아직 진술-형성 발화이지 못한 이름(onoma)과 한정어(rhēma)로 구성되는 합성 표현이다.


1.2. logos는 사태(pragma), 즉 외부세계에서 일부 참여대상(dynameis)들의 실제 결합을 표현한다.


1.3. logos eirēmenos가 진술-형성 발화이다. 이것은 logos로 표현된 pragma이 실제로 사실이라는 것을 단언한다.



2. 아리스토텔레스


2.1. logos는 개념적 사태와 존재론적 사태 모두를 표현하는 onoma와 rhēma로 구성되는 합성 표현이다. 이는 '진술가능 복합체'로 규정될 수 있을 것이다.


2.2. pragma는 사태이다.

     존재론적으로: 외부 세계의 일부로서의 사태이거나

     의미론적으로: logos를 통해 이해되고 표현되는 사태이다.


2.3. logos apophantikos('진술-형성 발화')는 실제로 진술된 logos이다(단언되었든 부정되었든).


2.4. logos는 명명 차원에서 사용되거나 진술 차원에서 (qua logos apophantikos) 사용된다. 유사하게, phasis(kataphasis, apophasis)도 이 두 차원 중 어느 한 차원에서 사용된다.


2.5. synthesis는 synthesis(1) = onoma와 rhēma를 (명명 차원에서) logos로 통합시키는 활동이거나 synthesis(2) = logos apophantikos 안에서 성취되는 그러한 통합에 대한 (진술 차원에서) 단언이고, 반면에 dihairesis는 언제나 (진술 차원에서) 그러한 통합에 대한 부정이다.


2.6. logos apophantikos의 일부를 이루는 esti는 계사가 아니다. 오히려 이 동사는 synthesis(2)의 표지이다. onoma와 rhēma는 synthesis(1)에 의해 이미 진술가능 복합체인 logos를 이루는 방식으로 통합되어 있고, 그래서 esti는 이항 계사적 함수보다는 단지 '진술가능 복합체'가 실제로 진술되고 있음에 대한 단항 표지에 불과하다.


2.7. logos apophantikos 내에서 발견되는 명제적 구조는 다음과 같이 기술될 것이다.

언어적으로: 범주적 being을 표현하는 logos(being의 열 가지 범주 중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것에 의해 보충어를 취하게 되는 공의적인 being)는 '(긍정적으로든 부정적으로든) [54쪽] 단항 함수 'be' 또는 'not be'에 의해 진술된다.'

의미론적으로: logos에 의해 표현되는 pragma는 외부세계의 일부로 있는 것으로(혹은 있지 않은 것으로) (또는 '사실 (or 아닌) 것으로) 이야기된다.


이와 같이 요약된 결론에 비추어, '이항 서술과 삼항 서술' 사이의 구분은 관련이 있기 어렵다. 그 언어적 차이 대신, 모든 부정 진술과 긍정 진술은 단일한 복합 논증, 즉 logos에 선행하는 단항 함수를 지닌다. 그 표층 구조에서 볼 때 형용사적 동사는 단항 함수 'be'와 logos의 rhēma 부분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존재 동사는 단항 함수와 공의적 being, 관련된 logos의 onoma 부분과 rhēma 부분에 의해 지시되는 그러한 범주들에 의해 보완되는 도식으로 기능하는 그러한 공의적 being으로 나뉜다.


-蟲-

  1. See De Rijk (1986: 231-4, and passim). [본문으로]
  2. Ibid., 229. [본문으로]
  3. Ibid., 225-31. [본문으로]
  4. See ibid., 282 where, following Prauss (1965: 51)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logos and dionomazein is pointed out. [본문으로]
  5. For the distinction between the onomazein level and the legein level, see Nuchelmans (1973: 14-7) and De Rijk (1986: 196-202) and below, p. 34; 45. [본문으로]
  6. See De Rijk (1986: 271-6). [본문으로]
  7. Ibid. 201-2 and 309-16. [본문으로]
  8. Ibid., 225-34. [본문으로]
  9. Plato's view of propositional structure is more fully discussed in De Rijk (1986: 306-16; 349-50; 353-4). [본문으로]
  10. For this section, see De Rijk (1986: 332-50) and the literature mentioned there. [본문으로]
  11. Cf. Mc.Dowell (1973) ad toe. and De Rijk (1986: 296 and 339). Fo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ocess of doxazein involved here, see Nuchelmans (1973: 19). [본문으로]
  12. See the important passages in Prauss (1965: 36; 110-22 and 191). [본문으로]
  13. By 'logos properly speaking' I refer to the unasserted logos, or the logos taken apart from its being actually asserted respectively. [본문으로]
  14. See De Rijk (1986: 348-54). I am glad to see that in an extensive and quite penetrating review article of Kahn's book my Amsterdam colleague C.J. Ruygh had arrived (in Lingua 48 (1979: 43-83) at a similar conclusion: "Ia valeur fondamentale de 'es-en grec ancien est 'etre present, etre Ia', sans specification ulterieure" (p. 78). See also his paper: 'Sur Ia valeur fondamentale de einai, Une replique", in Mnemosyne 37 (1984: 264-70). [본문으로]
  15. See De Rijk, (1986: 248-53 and 281-2). [본문으로]
  16. See De Rijk (1986: 286-7; 322-6; 350-4). Throughout the whole passage (Euthyd. 283C-286B) pragma seems to stand for a subject including the phenomenal condition(s) ascribed to it by the user of the logos. See De Rijk (1986: 285-90). [본문으로]
  17. For the context, see De Rijk (1986: 285-90). [본문으로]
  18. See De Rijk (1986: 293-302; 345). [본문으로]
  19. Cf. what Plato calls (Sophist, 261D-C) praxeis ('appurtenances'; see De Rijk, (1986: 197), n.16)), where states as well as actions may be meant; see Nuchelmans (1973: 14 and 95). [본문으로]
  20. Nuchelmans as well as Ackrill (ad loc.) have 'his sitting' where Aristotle omits the subject accusative (to kathesthai). However, Nuchelmans did notice (35) that at 12b15 Aristotle only mentions the predicate expression 'sitting' instead of the complete affirmation. One might ask why Ackrill and Nuchelmans do not render, quite in line with their translations at 12b14-6, estin anthropos (at Categ. 12, 14b16 ff.): 'he is a man' rather than 'there is a man' (their rendition ad loc .) or 'is-a-man' (which I would prefer; see below, p.OO). For the re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formulas is not very important, it seems. [본문으로]
  21. For this important requirement, see below, p.00. [본문으로]
  22. For this important requirement, see below, p.00. [본문으로]
  23. For this difficult passage, see Ackrill, ad loc. I hope to argue for my interpretation elsewhere. To be sure, the meaning of pragma as 'state of affairs' is not affected by the special difficulties of the passage. [본문으로]
  24. I cannot possibly make something out of the MSS reading epi tau einai (rendered by Ackrill: "in the case of 'to be'"). Besides, the important opposition between the assertoric and the modal cases which is so neatly indicated at b27-29: ep' ekeinon, entautha) is obscured at b30-2 by ep' ekeinon and epi tou einai, and therefore I would propose to read at b32: epi tou einai dynaton kai einai ou dynaton, where epi tout on is the counterpart of ep' ekeinon, and to einai dynaton kai einai ou dynaton that of to alethes. [본문으로]
  25. dihorizousai.. ..... to a/ethes. Note that here dihorizein means 'to differentiate'= 'to constitute by differentiation', rather than 'to distinguish something into different types of it'. Cf. Aristotle, Physics IV 6, 213b 24-7, where the void is said to dihorizein things' natures or to establish things' different natures. Cf. Liddell and Scott: 'to determine one to be so and so', e.g. Demosthenes XX, 158 and Sophocles, Oed. Tyr., 1083. [본문으로]
  26. Nuchelmans seems to be wrong in assuming (1973: 36) that, unlike at Categ. 12b15 (where the underlying pragmata are 'Socrates's sitting' and 'Socrates's not sitting', respectively, at De interpr. 21b28 the (two) pragmata of the (supposedly) one example, 'A man is pale' would be 'man' and 'pale'. Rather, 21b28 should be linked with 21a39-b3, where the two examples 'to-be-a-man' and 'to-be-a-pale-man' are mentioned, instead of just one example 'A man is pale', as is assumed by Nuchelmans, presumably starting from 21b28. Hence, it seems more reasonable to assume that two examples are put forward by Aristotle, and that the pragmata involved are 'to-be-a-man' and 'to-be-a-pale-man' respectively (or, if you wish, 'being-a-man', and 'being-a-pale-man')-. For that matter, at 21b28 we should rather read to men leukos < anthropos > , to de anthropos as this would be more in line with Aristotle's own examples. For a similar use of 'pragma' seeAnal.Post., e.g. I 2, 71b12; 72a2b. [본문으로]
  27. Therefore Kirwan's speaking (1971: 178-9) of an inadequate treatment of false states of affairs by Aristotle seems to be beside the point. His objecting to Aristotle that he appears to take false states of affairs as non-existent is merely due to the fact that Kirwan seems to ignore that for Aristotle, 'a state of affairs is not' equals 'is not the case' = 'does not obtain'. Besides, Kirwan seems to have forgotten that he himself had correctly noticed that here the discussion concerns states of affairs ('descriptions') rather than statements. A similar optical error has been made by Ackrill where, when commenting upon Categ. 12, 14a26 ff., he says (1963: 111-2) that "it is odd to call this a reciprocal implication of existence (his italics; that between truly saying and actual being is meant): we should not say that the existence of there being a man implies and is implied by the existence of the true statement that there is a man". Ackrill seems to ignore, indeed, that 'being ' said of a statement (rather: 'account') does not refer to its being really asserted but to its content being the case in the outside world. - For this usage in the case of doxa and logos, see Nuchelmans (1973: 17) and De Rijk (1986: 194-5). [본문으로]

1. 전문기술로서의 소피스트술


『소피스트』에서의 소피스트술 정의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우리는 소피스트술의 문제를 소피스트가 부당하거나 건전하지 못하다는 논리적 의미에서 나쁜 논증들을 사용하는 것이라 가정하는 경향이 있다. 소피스트술은 잘못된 형식의 논증 사용에서의 어떤 특정한 안이함 또는 그런 논증을 자진해서 사용한다는 특징적 결함, 혹은 양자 모두라는 것이다. 그러나 논리적 오류라는 개념은 소피스트술에 대한 플라톤의 관점을 왜곡시킨다. 그 관점은 낯설고도 더욱 흥미로운 것이다. 이를 내가 논증하고자 한다. 더욱이, 아마도 더욱 흥미로운 지점이자, 그 고유한 방식에서 소피스트 정의의 혼란스러운 측면은 간과되어 왔다. 엘레아 손님은 소피스트술을 전문기술(τέχνη, Soph. 221D1-6)로 정의한다는 것이다.[각주:1] 이는 놀라운 일이다. 왜냐하면 전문기술은 인지적 성취인 반면, 우리는 소피스트술이 일종의 인지적 결함(어쩌면 그 성격적 결함)으로 정의되길 기대할 것이기 때문이다. 독자들은 오류 추리로서의 소피스트 개념에 발목 잡히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소피스트술이 전문기술로서 정의된다는 사실을 간과해 왔기 때문이다.


전문기술자로서 소피스트 정의는 또한 플라톤 사유의 일반적 배경에 반대된다는 점에서도 놀랍다. 이 정의는 소피스트에 대한 플라톤의 고유한 생각에 대대적 수정을 가하기 때문이다. 『고르기아스』에서 플라톤은 소크라테스로 하여금 소피스트가 기술자임을 부정하게 만든다. 여기에서 소크라테스의 주 관심사는 소피스트가 아니라 수사술이다. 수사술이 기술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과정에서, 그는 소피스트가 기술이라는 점 또한 부정한다(462e-466a. 소피스트술은 463b6과 465c2에 등장한다.). 수사술과 소피스트술은 두 가지 의미에서 유사기술이다. 첫째로, 영혼의 진정으로 좋은 상태를 산출하지 않고 단지 좋은 상태처럼 보이는 것만을 산출한다(464a3-4). 둘째로, 기술이 아닌 요령에 불과하다. [? 아첨 얘기는? 아첨인 게 더 중요하지 않음?] 이들은 이들 스스로 산출하는 결과에 대한 인과적 설명을 제공할 수 없다.(465a2-6)[각주:2]


소크라테스는 유사기술이라는 것의 두 의미가 필연적으로 결합된다고 생각하는 것이 분명하다. 즉, 겉보기에만 좋은 상태를 산출할 뿐인 능력은 전문기술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는 단지 겉보기에 불과한 것의 원인들에 대한 체계적 이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 그래서 겉보기만 좋은 상태 산출을 위한 요령을 갖더라도 그렇게 하는 기술은 가질 수 없는 것이다. 반대로 좋은 상태라는 것을 이해한 자는 또한 그 좋음을 설명할 줄 아는 자이며, 짐작컨데, 좋아 보이게 만들 줄도 알 것이다.[각주:3] 그래서 『고르기아스』는 좋아 보이게 만드는 기술의 여지를 남겨두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그런 기술은 사물들이 실제로 어떻게 있는지에 대한 지식과 동일시될 것이다. 의학적 대상들을 좋아 보이게(혹은 나빠 보이게) 만드는 기술자는 의사이고 기하학적 대상들을 참으로 보이게 혹은 거짓으로 보이게 만드는 것은 기하학자이다.[각주:4]


『고르기아스』의 논의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1소피스트술: 사물들을 특정 방식으로 "나타나 보이게" 만들지만 그런 방식으로 "있게" 만들지는 못하는 능력.

2전문기술: "나타나 보이게" 만들기도 하고 "있게" 만들기도 하는 능력.

결론: 소피스트술은 전문기술이 아니다.


[누구 맘대로? 전문기술에 "나타나 보이게"가 왜 들어가나? 의술에 병들게 하는 능력이 포함되지 않는 건 『국가』에 명시되지 않음? 그리고 『고르기아스』에서 아첨 계기를 빼니까 전문기술 규정에 부정적 가능성을 배제시킬 수 없게 된 거 아니냐?]


『소피스트』에서 플라톤이 소피스트술을 기술로서 재인식할 때 그는 위의 두 번째 전제를 거부하고 있는 듯하다. 이에 대해 우리가 기대할 만한 내용을 명시적으로 언급한 바는 없지만, 대강의 생각은 충분히 드러나는 듯하다. [뭘 또 이렇게 구렁이 담 넘듯이 넘어가?] X로 나타나는 것, 이것은 전문기술의 대상으로서 제대로된 종류의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건강처럼 나타나는 것"은 매우 임의적인 종류의 "것"이다. 언젠가 어디선가 누군가에게 건강으로 생각되는 것은 또 다른 경우에 다른 자에게(혹은 심지어 그 자신에게) 그리 생각되는 것과는 아무 상관이 없다. 이런 이유에서 "건강처럼 나타나는 것"은 지식에 필요조건인 바 일반적이고 설명적인 방식에서의 이해가 불가능하다. 이는 꽤 그럴싸한 생각으로 보인다. 만일 소피스트술이 모조품 지혜의 능력이라면, 그래서 전문기술일 수 없을 것인데, 지혜라고 보이는 것은 지식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특정 개인이 누군가 중저음의 목소리로 양자역학을 떠들면 지혜롭다고 여긴다고 해보자. 이런 개인의 임의의 특수한 성격을 활용하는 능력은 기술이 아니다.


하지만 『소피스트』에서 플라톤은 모상을 두 종류로 나눈다. 이는 경우에 따라 X로 보이는 것이 지식의 대상이 되는 것이 어떻게 그러한지 설명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각주:5] 더 정확히 말해서, 진짜 X에 대한 지식은 아닌 그런 지식에 대해 X로 보이는 것이 그 대상이 되는 일이 가능하도록 만든다. 일반화하여, 특정 상황이 관찰자의 관점을 규칙적이고 설명가능한 방식으로 왜곡시킨다는 생각이다.[각주:6] 표준적 사례는 매우 거대한 규모의 조각상을 밑에서 올려다 볼 때 우리의 관점에 의한 왜곡이다. 소피스트술의 경우, 인간은 일반적으로 지혜를 특정한 변증적 기술과 마찬가지인 것으로 간주하는 관점을 취한다. 거칠게 말해서 소크라테스적 대화 과정에서 상대방은 스스로 모순되게 만드는 반면 자기 자신은 모순되지 않는 기술이다. 하지만 일반적 인간은 모순이 무엇인지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잘못을 범한다. 이런 이유로, 그들은 지혜에 대한 왜곡된 관점을 갖게 된다. 이 왜곡은 임의적이거나 설명할 수 없는 종류의 것이 아니라, 보편적이고 설명가능한 것이다. 소피스트는 그 왜곡된 관점을 이해하고 있다. 바로 이것이 소피스트의 전문기술로서 "있다." 지혜처럼 보이는 것은 기술의 적합한 대상이다. 하지만 이 기술은 지혜 그 자체가 아니다. 그래서 연설을 지혜롭게 보이도록 만드는 데에는 기술이 있는데, 그것은 연설을 지혜로운 것으로 있도록 만드는 기술은 아니다.


이 대화편이 애초에 소피스트술을 정의하는 작업을 진지하게 수행하고 있는지 여부가 의심받아 왔다. 또한 소피스트술을 기술로 정의하는 것 자체가 진지하게 받아들여야 할 것인지도 의심받아 왔다. 6장에서 나는 이런 대안적 해석에 대해 상세히 답할 것이다. 플라톤은 굉장히 신경써서 말하는 사람이라, 경고도 없이 그렇다고 눈에 띄는 동기도 없이 주요 화제에서 그런 핵심 용어를 그렇게 대충 사용하기 시작했다는 건 이상한 일일 것이다. 수사술과 소피스트술이 기술인지 여부에 대한 물음은 초기 대화편에서 핵심적 역할을 한다. 그런데 플라톤은 손님을 통해 명시적으로 이와 다른 대답을 내놓는다. 그래서 소피스트술이 전문기술이라고 명백하게 직접적으로 말할 때 우리는 문자 그대로 그 대화편을 받아들여야 한다.[각주:7]


이제 이 정의를 해명해 보자. 특히, 이 대화편의 간과된 또 다른 측면에 주목해야 한다. 소피스트가 제작하는 모상이 어떤 종류의 것인지에 대한 난관이 그것이다. 거의 무시되다시피 한 이 난관은 사실 대화편의 문제를 좌우한다. [...무시당하긴 뭘... 이 논문이 원래 2010년도 출판 예정인 책에 실릴 거였는데, 아무튼 그 즈음에 기획된 논문이다. 그럼 모상의 종류, 즉 상(eidōlon)의 하위분류로 모상(eikōn)과 가상(허상? phantasma)의 구분 문제가 그 당시까지 "거의 간과"되어왔다는 건데, 브라운, 프레데, 크레빌리가 한 작업은 뭐가 되냐? 콘포드, 아크릴, 보스톡, 블라스토스 같은 어르신들이 be 동사 문제에 천착하긴 했는데, 그런 옛날 아저씨들이 좀 간과했다고 그걸 일반화시키면 안 되는 거지. 뭐 말이 모상이라는 관점에 반대하느라고 이런 관점을 취하면서 상이나 모상, 가상 논한 사람들은 일단 제쳐둔 건가 보네.]



2. 소피스트는 가상을 만드나 모상을 만드나?


소피스트 정의의 쟁점은 가상(phantasma)과 모상(eikōn) 사이의 구분이다. 가상과 모상은 상(eidōlon)의 두 하위분류이다. 235d-236c에서 구분된 바 있다.[각주:8] 거칠게 말해서, 손님은 원본(model)의 내적 비율을 충실하게 보존하는 상과 그 비율을 의도적으로 왜곡시킨 상을 구분한다. 여기에서, 우선 나는 그 구분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설명할 것이고, 다음으로 그 구분 자체의 의미를 설명할 것이며, 끝으로 왜 소피스트를 분류하는 방식에 관련하여 난관이 있는지 설명할 것이다.


가상과 모상 사이의 구분은 최초의 난관에 배경이 되는 것을 상대로 제시된다. 엘레아 손님과 대화상대 테아이테토스는 소피스트에 대한 단일한 설명이 아닌 여섯 가지 설명을 제시하면서[각주:9] 그 다양함에 곤란을 겪는다. 그러나 손님은 이 정의들의 다양성을 감수할 수 없는 것으로 본다. 이 많은 것들이 집중되는 한 점(232a4-5)을 파악할 수 없게 만들기 때문이다. 소피스트가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요구되는 것은 단지 모든 소피스트들에게 그리고 오직 소피스트에게만 적용되는 정식화만이 아니라, 거기에 단일성을 부여하는 정식화이다.[각주:10]


소피스트 정의의 첫 실패로, 엘레아 손님은 재시작을 한다(232b 이하). 손님과 테아이테토스는 일단 소피스트가 모방자임에 동의한다. 소피스트의 기술은 상 제작에 속하는 기술이다. 손님은 상제작을 모상제작과 가상제작으로 구분한다. 손님과 테아이테토스는 이제 소피스트가 모상제작자 또는 가상제작자라는 것을 받아들인다. 하지만 두 사람 다 그 둘 중 어디에 소피스트가 있는지 알아내지 못한다(235c-d, 236c-d). 첫 난관은 다음 난관을 제공한다. 소피스트는 모상을 만드는가 가상을 만드는가? 전체 분량 스테파누스 쪽수로 52쪽 중 36쪽이 이 문제를 푸는 데에 할애된다.


성공적인 마지막 정의를 정리하기에 앞서 손님은 가상과 모상에 관련한 난관을 상기시킨다(264c-d). 몇 쪽 안 지나서, 해당 난관의 해법을 제시한다.

266d9-267a1.

손님: 그러니까 상제작술에 대해서 우리 그 유로 한편은 모상적인 것, 다른 한편은 가상적인 것이 있으리란 점을 기억하세. 만일 거짓이 있는 그대로 거짓으로서 또한 있는 것들 중 어떤 한 가지 것으로 있게 마련이라고 드러난다면 말일세.

테아이테토스: 그야 그랬으니까요.

손님: 그렇다면 그리 나타나기도 했으니 이런 이유들로 인해서도 더욱이 우리는 그 둘을 이제 논란의 여지 없는 두 형상들로 셈해 넣지 않겠나?

테아이테토스: 네.

손님: 그러면 곧장 가상적인 쪽을 두 가지 방식으로 정의해 보세.


놀랍게도, 소피스트가 모상제작자가 아닌 가상제작자로 분류되어야 하는 이유에 관해 손님이 말한 것은 여기까지이다. 즉, 아무 얘기도 안 했다.


물론 손님이 소피스트를 그렇게 분류하는 게 놀랍진 않다. 소피스트는 부정적으로 묘사되어 왔고, 가상제작인 상제작의 열등한 종류로 간주되어 왔다.


더욱이, 소피스트를 가상제작 정의에 결부시키는 분명한 단초들이 있다. 가상제작자는 거대한 상들로 작업하는 경향이 있고(235d-236a) [...아, 진짜. 이게 비율 왜곡 설명하려고 도입한 특수한 사례지, 왜 가상제작자의 일반적 경향이 되냐?] 소피스트는 뭔가 큰 것을, 그걸 당신이 지혜로 생각하든(233c6) 만물로 생각하든(233e1), 아무튼 큰 걸 만드는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소피스트는 큰 걸 작아 보이게, 작은 걸 커 보이게 만든다(234d). 또한 소피스트는 어린 애들의 관점을 이용해 먹는다. 애들은 진실에서 멀리 떨어져 서서(234c4) 있다. 얘들이 크고 나면, 그래서 "실제 사물"에 가까워지면, 속지 않는다(234c-e). 하지만 이것들 중, 상의 비율을 왜곡시키고 그래서 그걸 좀 더 원본 같이 보이게 만드는 기술로서 가상제작의 정의와 직결되는 것은 없다.


그래서 소피스트를 왜 가상제작자로 분류하는지 그 이유를 물어야 한다. 구트리의 불평에 플라톤은 책임이 있다. "그건 괜찮은 논증이기가 어렵지, 소피스트 기술의 유해함에 대한 플라톤의 고질적인 확신을 상기시키기만 하는 건."[각주:11] 


소피스트가 가상제작자로 분류된 이유를 알려면 소피스트가 제작하는 상의 종류가 무엇인지에 관한 첫 번째 난관이 왜 발생하는지 분명하게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두 종류 상 구분을 더 분명하게 밝혀야 한다.


이 구분은 비율(summetria) 개념을 가지고 도입된다. 모상은 원본 비율을 보존하는 상이다. 가상은 비율을 왜곡시키는 상이다. 그런데 닮는 데에 실패해서 그런게 아니라, 오히려 상을 더 닮아 보이게 만들려고 왜곡시키는 것이다.[각주:12] [이건 확실히 고민해 볼 문제. 비율을 왜곡시키는 것이고, 실제로 닮아 있는(be) 것은 아닌데, 그래도 어쨌든 '더' 닮아 '보이게(seems)' 된다.] 그래서 "모상(likeness)"과 "가상(appearance)"은 적절한 용어다. 모상은 실제로 원본을 닮은 것, 원본 비율과 같은 비율을 가진 것ㄷ이다. 반대로 가상은 그게 실제로 원본을 닮아 있는 것보다 더 많이 닮은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이 구분은 시각적 기술과 결부된다. 우선 모상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235d6-e2 상제작에서 모상제작이 있는데, 원본 형태 비율과 색배치를 지키면서 상을 제작할 때 사용된다는 얘기.


예를 들어 파르테논 모상은 파르테논의 황금비를 지녀야만 한다.[각주:13]


테아이테토스는 이 언급에 놀라는데, 상 제작자는 다 그러는 거 아니냐는 것이다. 이에 손님이 다음과 같이 답한다.


손님: 큰 상은 아름다운[각주:14] 원본의 참된 비율을 주면 밑에서 보면 아래는 커 보이고 먼 윗쪽은 작아 보인다. 그래서 어떤 이들은 진실은 내팽개친 채 실제 비율이 아니라 그럴싸해 보이는 상을 만들려고 아래를 실제보다 더 작게, 위를 실제보다 더 크게 만든다는 뭐 그런 내용.


큰 작품은 제작자에게 문제를 야기하는데 그건 관찰자의 관점 때문이다. 이로 인해 원본 비율을 유지하는 상은 원본과 덜 닮아 보인다. 가상 제작자는 실제로는 원본과 덜 닮아 보이게 상을 만듦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한다. 가상 제작은 매우 대규모의 모상이 겪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입되었다. [인정하긴 해야 하겠다. 관찰자의 관점이 원인이 되어 상이 원본과 달라 보인다는 문제가 있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가상 제작이 고려될 수 있다.]


플라톤은 회화 기술에서 실제 발전에 반응하여 이 구분을 잘 이끌어낸 것일지도 모른다. 증거가 부족하긴 하지만, 상관된 문헌 근거 두 가지가 있다. 우선 직접 관련은 되지만 덜 믿을만한 것은 『킬리아데스』이다. 『건축에 대하여』 7권도 있다. 아이스킬로스의 비극 무대를 만들면서 이차원 평면에 깊이가 있는 것처럼 보이게 만들려고 했고 한 대상이 다른 대상보다 더 앞으로 가까이 있어 보이게 하려고 했다. 데모크리토스와 아낙사고라스도 이에 대해 썼다.[각주:15] 나는 이런 기술이 모상 제작보다 가상제작으로 간주되는 편이 그럴 듯하다고 본다. 첫째로, 해당 정의에 부합한다. 둘째로, 손님은 조각상을 얘기하지만, 손님은 소피스트를 거울 들고 다니는 애에도 비교한다. 거울 속 상은 평면에 있지만 깊이를 지닌 것처럼 보이는데, 이게 위의 무대 회화(?)랑 비슷하다. 어쨌든 위 두 문헌 근거에서 해당 가상 제작은 전문기술로 간주된다. [아니, 문제는 플라톤이 가상 제작을 기술로 봤느냐 안 봤느냐 하는 거지, 당대에 그런 비슷한 일을 하는 기술이 다른 사람들한테 기술로 인정 받든 말든 그게 근거가 되냐? 당대 일반인들은 철학이 기술이 아니라 잡담이라고 봤는데?]


모상제작자는 원본 비율 유지를 위해 원본 비율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필요로 한다. 모상의 비율은 원본 비율처럼 보여야만 할 뿐만 아니라 실제로 그 비율로 있어야만 하기도 하다. 만일 모상제작자가 아름다운 여신의 조각상을 만든다면 그는 아름다운 여신의 비율을 알아야만 한다. 모상제작은 기술이기 때문에, 요행으로 비율을 획득한들 해당 기술의 수행이 아니다.


가상 제작자는 반대로 원본 비율에 대한 지식을 요구받지 않는다. 오히려 상이 실제 가진 것과는 다른 비율로 보이는 그런 비율에 대한 지식을 필요로 한다. 가상제작의 성공 기준은 특정인에게 특정방식으로 보이는 것이고, 그래서 가상제작은 감상자가 원본 비율이라 간주할 것이 무엇인지 아는 것만 필요로 한다.[각주:16] 예를 들어 만일 가상제작자가 아름다운 여신의 가상을 만들고자 한다면, 그는 아름다운 여신의 실제 비율을 알 필요가 없고, 오히려 사람들이 아름다운 여신의 비율이라 여길 게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가상 제작자의 전문기술은 원본이 실제로 그런 비율을 지니지 않지만 마치 지니는 것처럼 보이게 만드는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주의. 가상이 원본의 비율을 가진 것처럼, 이 아니라 여기에서는 가상을 통해 '원본이' 그 가상의 비율을 본래 가지는 것처럼 보이게 만든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는 흥미로운 접근. ? 아니, 내가 영어를 잘못 읽은 건가=_=?]


가상 제작자가 비율을 왜곡시키려면 원본 비율을 알긴 알아야 한다고 반론할지도 모른다.[각주:17] 내 대답은 가상제작자가 원본 비율을 왜곡하는 건 요구되지 않고, 그저 가상제작자가 원본이 지닌 것과는 다른 비율을 원본이 지닌 것처럼 보이게 모조품을 구성하는 것뿐이라는 것이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가상 제작자는 실제 원본 비율을 알 필요가 없다. 몇몇 경우, 가상 제작자가 그 비율을 알 것으로 기대될 수는 있으나, 그건 특수한 경우, 이를 테면 특정 인간 개인이 원본인 경우일 것이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가상제작자가 원본 비율을 알 필요는 없다. 오히려 가상 제작자는 감상자가 원본 비율이 그럴 거라고 생각하는 그것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만일 감상자가 무슨 이유에서든 원본 비율을 잘못 생각한다면, 가상 제작자는 모방물이 원본의 실제 비율이 아니라 저 잘못 생각된 비율을 가진 것처럼 보이게 만들어야 한다. [감상자가 기대하는 (잘못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원본 비율을 가진 가상을 제작한다.(x) 감상자가 기대하는 비율을 '가진 것처럼 보이는(실제로는 가지지 않는)' 가상을 만들어야 한다(?)] 


이러한 고찰은 지혜에 대한 지식과 구분되는, 지혜로워 보이는 일에서의 전문기술로서 소피스트술이 성립할 여지를 시사해준다. 만일 소피스트술이 모상제작이라면, 소피스트는 당연히 지혜의 비율을 알아야 할 것이다(또한 스스로 지혜롭기도 해야할 것이다.). 하지만 만일 소피스트술이 가상제작술이라면, 소피스트는 지혜의 비율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전혀 필요치 않고 스스로 지혜로울 필요도 없을 것이다. 그래서 가상이라는 개념은 지혜와 동일시되지 않는 그러한 소피스트의 전문기술을 가능하게 만들어준다. 이 개념은 소피스트의 지식 대상을 제공하는데, 해당 지식이 지혜 그 자체와 충돌하지 않는 방식으로 그렇게 해준다. 허나 그런 기술은 제대로 된 기술일 수 있는데, 단지 감상자들의 믿음들을 임의로 취합해 설명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소피스트는 관점에 의한 왜곡에 관하여 알고 있다.


하지만 지혜의 비율이란 게 무엇인가? 감상자의 관점이란 무엇인가? 비율, 관점, 감상자라는 개념은 회화로부터 도출된다. 이게 소피스트에 적용될 경우 그 의미가 분명하지 않다. 이게 소피스트를 모상과 가상 둘 중 어디로 놓을지 난관에 처하는 이유이다.[각주:18] 소피스트는 화가가 아니라 연설과 진술 분야에서 일하기 때문에(232b-e, 234c), 상의 두 종류 구분이 소피스트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불분명한 것이다. 특히, 말(연설, 진술, 등등)이 보존하거나 왜곡시키는 비율이란 게 무엇인지 불분명하다.



3. 잘못된 제안.

 

말이 있는 것의 비율을 왜곡 또는 보존한다 생각할 수 있다. 참인 진술은 비율을 보존하고 거짓 진술은 왜곡한다. 이 관점에서 모든 말은 상이다. 참인 진술은 모상, 거짓 진술은 가상이다.[각주:19]


이 대화편은 해당 관점을 지지하지 않는다. 반대증거를 문헌에서 찾기 전에, 그게 얼마나 이상한 관점일지부터 보자. 소피스트는 일반적으로 거짓 진술과 결부될 것이다. 하지만 소피스트는 아무 거짓 진술이나 만드는 게 아니라, 우리가 합리적으로 수용해야 할 것처럼 보이는 거짓 진술을 만든다. 전혀 지혜롭다는 인상을 주지 않는 수 많은 거짓 진술들이 있다. 예를 들어 '테아이테토스는 날고 있다' 같은 것이 그렇다. [아니... 모든 말이 상이고 거짓말이 가상이라고 해서, 그게 곧장 가상 제작자로서의 소피스트가 '모든' 거짓 진술을 '무차별적으로' 제작해야 한다는 결론으로 이어지는 건 아니지. 상대방 논증을 이렇게 일방적으로 약화시키진 않아 줬으면 좋겠는데.]


해당 대화편은 거짓 진술을 특별히 가상과 관련시키는 게 아니라 일반적으로 상이라는 유 전반과 관련시킨다.[각주:20] 손님이 일단 모상과 가상에 관한 어려움을 토로한 뒤, 그는 소피스트 분류 문제가 일반적으로 상과 거짓 진술의 가능성 문제 아래에 들어온다고 말한다(236e1-237a1). 이후 손님이 거짓 진술과 상의 가능성을 설명할 때, 그는 '거짓이 있다면 기만이 있고 기만이 있다면, 그럼 필연적으로 모든 것이 상, 모상과 가상으로 가득 찰 것이다'라고 말한다(260c).[각주:21] [각주에 원문 달아 놓고서 왜 이러시나. 앞서 계속 '가상(appearance)'으로 번역한 건 phantasma이고 여기는 phantasia다. phantasia는 바로 이 대화편 안에서 생각, 말, 믿음과 동류로 언급되고, 이 점에서 상의 하위 분류인 phantasma랑 아무런 설명 없이 동일시할 수는 없다.] 그리고 손님이 소피스트의 첫 번째 분류를 제시할 때, 그는 다시 거짓 진술을 특별히 가상에 연관시키는 게 아니라 모상과 가상 모두에 연관시킨다(266d9-e2). 


말을 모상으로 생각하지 않는 게 이상해 보일 수 있다. 이건 말을 발화된 음성 기호나 기록된 기호로 생각하는 데에 기인하는 듯하다. 하지만 해당 대화편은 말을 이런 언어적인 것이 아니라 그것이 표현하는 바의 것으로 간주하게 만든다.[각주:22] [글쎄? "linguistic item"이랑 "which a linguistic item expresses"의 구분은 결국 model과 copy 구분 아닌가? 혹은 to on과 eidōlon 구분이거나] 예를 들어 손님은 생각과 말이 같다고 이야기한다. (263e3-5).[각주:23] 손님은 믿음(doxa)과 지각적 가상(phantasia)를 말에 결부시킨다(264a-b). 대화편 도입부에서 손님은 그저 "소피스트"라는 이름만을 공통으로 갖는 게 아니라, 그 일(ergon) 자체를 공통으로 가지는 게 목표라고 말한다. 그리고 이것은 "말을 통해(218c1-5)" 성취될 것이다. 이런 언급들은 일반적으로 진술을 상으로 간주하기 어렵게 만든다.[각주:24] [왜??? '이름'은 onoma고 말은 logos, 게다가 말을 통해 사태에 합의하는 데에 이른다면 말이 사태와 사람을 매개해 줘야 할 거 아니냐? 근데 각주는 주목할 만하네. 말에서의 탐구가 어쨌든 현실(or 일, ergon)에 비해 더 모상(eikōn)에서의 탐구에 가까운 건 아니라는 얘기니까. 그런데 이거야 말 자체에 치중하는 거랑 말을 경유해 실제 사태로 나아가는 거 구분도 가능하고, 또 행위나 경험을 통한 탐구에 비해 말을 통한 탐구가 덜 현실적인 건 아니라는 얘기로 볼 수도 있고. 그리고 "있는 것들(ta onta)"을 탐구한다는 게 중요해 보인다. 뭐 엄청 결정적으로 Beer 주장을 지지해 주는 문헌 근거는 아닐 듯.]


더욱이, 철학자는 말로 작업하긴 한다. 하지만 상 개념은 철학자에 적용하긴 어려울 과장된 비유 방식으로 이 대화편에서 도입된다. 소피스트는 모든 것을 만든다고 장담하지만 실은 모든 것의 상을 만드는 것으로 드러난다. 이는 철학자가 전혀 개입할 일 없는 작업이다(233d-235a). [정말? 철학자도 우주를, 인간을, 국가를 다 다루어야 하는데? 철학자가 상의 도움 없이 이 모든 걸 다룰 수 있어? 그 상이 말(생각, 믿음과 동류인) 말고 다른 것일 수 있어?] 상을 제작하는 것은 바로 이 부분에서 지극히 호의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표현되고, 이것이 철학자가 그 어떤 종류의 상 제작에도 개입하지 않는다고 생각해야 하리란 점을 시사한다. [별로 설득력 있지 않은데? 말을 기만에 사용했으니 소피스트의 경우에서 바로 그 사용된 말이 부정적으로 묘사되는 것이지, 이게 왜 말로 된 상 자체가 전부 완전히 부정적이라는 얘기로 넘어가냐?]


플라톤은 우리가 사물 자체를 우리의 사유를 가지고 직접 파악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처럼 보인다. 우리의 인지가 있는 것에 접하는 것에 대해 보는 것과 만지는 것으로 유비하는 핵심이 이것이라고 나는 본다.[각주:25] [아닐걸?] 그러한 사유들은 정신과 사유된 사물 사이의 매개체가 아니다. 그래서 더욱이, 그런 사유들은 상들이 아니며, 정확한 상도 아니고, 오히려 사물에 대한 매개 없는 파악이다.


우리는 비트겐슈타인의 언급을 사용해 플라톤적 사유라는 것을 달리 말해볼 수 있다. '사실이 이러저러하다고 우리가 말하고 또 그것을 의미할 때, 우리-그리고 우리의 의미-는 사실에 못 미치는 어딘가에 멈추는 게 아니라, "이것이 그러하다"라는 것을 의미한다. 비트겐슈타인은 여기에서 사실이 우리가 말하는 바를 넘어서거나 그 외부에 있는 게 아니라는 관점을 제기한다. 말이 상이라는 가정은 비트겐슈타인이 거부하고 있는 사유의 한 형태이고, 우리와 우리의 의미가 언제나 필연적으로 "사실에 못 미치는 곳에서 멈춘다'는 생각이다. [아니, 그건 비씨 생각이고, 말해진 것이나 생각된 것이 매개물이라는 게 플라톤이 영혼을 이데아에 가져다 붙이는 그 직관을 불가능한 것으로 만들진 않잖아?]


요컨데, 우리는 『소피스트』가 모든 말을 상이라고 이야기하는 것이라 해석하지 않아야 한다. 손님은 실제로 말하진 않아도 일부 말이 사물 자체에 대한 파악이라 시사한다. 말이 모상인지 아닌지, 소피스트의 말로 된 상 제작과 동반하는 말로 된 모상 제작이 있는지 없는지, 이 가능성은 열린 채로 남아 있다.


지금 문제와 관련해서는, 왜 이 대화편이 소피스트를 모상 제작자가 아닌 가상 제작자로 분류하는지 좀 더 봐야 한다.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 적어도 지혜가 무엇인지에 관련하여 뭔가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게 우리로 하여금 그것의 비율이 무엇인지에 관해 뭔가 말할 수 있게 해줄 거고, 그래서 소피스트가 그 '비율'을 보존하는지 왜곡시키는지 여부에 대해 합리적인 답을 제시하게 해줄 거다. 이 대화편이 지혜를 다루는 주요 구절은 두 가지이고, 그게 우리가 찾고 있는 것에 빛을 비춰줄 거다.



4. 지혜의 비율 (i): 반박불가능성.


인상적이게도, 지혜가 논의되는 첫 대목은 비율이 논의된 첫 대목이다. 해당 대목은 여섯 번째로 제안된 소피스트 정의를 상술한다. 이 정의에서, 소피스트는 배움을 방해하는 믿음들로부터 영혼을 정화하는 자이다(231e5-6). 이 정의는 개인의 고유한 지혜에 대한 믿음에 관련된 것이기에 소크라테스에게 적용되는 것처럼 보인다.[각주:26] 소피스트술에 대한 이러한 설명은 소피스트 활동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전개하는 철학적으로 풍부한 여담을 포함한다. 해당 여담에서 손님은 악덕과 무지에 대한 꽤나 실질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이는 영혼에 영향을 주는 두 종류의 악덕으로 표현된다(227d13). 이는 이것들에 대비되는 덕과 지혜에 대한 암시적 설명을 포함한다. 중요한 것은 지혜가 논박불가능성이고 이는 곧 개인 영혼 내의 조화로운 비율(균형)이라는 것이다. 이는 지혜가 비율과 관련된다는 의미에서 설명의 단초를 제공한다. 그래서 소피스트가 어떻게 지혜의 비율을 왜곡시키는지에 대한 설명의 방식을 예비하게 해준다. [으어, 이 부분 마음에 드네. 영혼의 균형과 원본의 비율(균형) 그리고 이에 대한 왜곡으로 소피스트 정의까지 연결.]


문제가 되는 반박불가능성은 개인이 익숙한 소크라테스적 문답법에 의해 자기모순을 저지르지 않을 수 있게 해주는 영혼의 상태이다. 자신의 지혜에 대한 믿음으로부터 개인을 정화하기 위해 이 방법을 사용하는 자는 그 개인이 정화대상이 되는 해당 개인이 지혜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알아야 한다. 만일 당신이 물리학을 잘못 이해하였음을 당신에게 보여준다면, 그런데 당신은 지혜와 물리학이 관련 없다고 생각한다면, 이 경우 당신은 당신의 지혜에 대한 믿음을 계속 유지할 것이다. 소크라테스식 방법이 전제하는 건 정화 대상 개인이 관련된 방식으로 자기 모순을 범할 때, 스스로 지혜롭지 않음을 받아들인다는 것이다. 이 절차는 다음과 같은 익숙한 방식으로 묘사된다.


230b4-8. 믿음들을 한 군데로 모아서 상충되는 걸 보여준다는 내용.


영혼 정화자는 질문 받는 자가 이 방식으로 스스로 모순을 범할 때 스스로 지혜롭지 않다고 하는 가정에 의존한다. 그리고 플라톤은 이게 맞다고 본다는 점을 해당 대목이 시사해준다. 자기 모순을 범한 자는 이 방식에서 지혜롭지 않다.[각주:27] 이것은 칼리클레스와 트라쉬마코스로부터 에우튀프론과 아뉘토스에 이르기까지 모든 이들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문답에 전제된 것이다.


따라서 (소크라테스적 논박 하에서) 논박불가능성은 지혜의 필요조건이다. 또한 이게 지혜의 충분조건이라 볼 이유도 있는데, 이를 논증하기에 앞서, 어떻게 논박불가능성이 영혼에서의 균형으로 간주될 수 있는지 설명하겠다.


균형(비율) 개념은 불균형과 함께 논의에 도입된다. 손님은 추함을 불균형의 일종으로 정의한다(228a10-11).[각주:28] 손님은 영혼의 특정 상태, 지혜에 대비되는 무지가 추함의 정의 아래에 들어온다고 논증을 전개시킨다. 균형(비율) 개념은 여기서 등장한다.


228c1-6. 화살을 쏘는데 표적을 빗맞추는 건 균형 때문인가 불균형 때문인가? (불균형 때문이다.)


손님은 무지한 영혼은 추하고 불균형하다고 결론내린다(228d4).[각주:29]


나아가 손님은 무지의 두 종류를 구분하는데, 하나는 크고 어려운 종류의 무지로 나머지 모든 무지에 대응된다. 이 무지는 뭔가 알지 못하는 것을 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것 때문에 생각에서의 모든 잘못이 일어난다.(229c5-6)


모든 무지는 추함의 일종이지만, 모르는 걸 안다고 생각하는 무지는 다른 무지가 아니라 오직 이 무지 때문에 사유에서의 모든 잘못이 일어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사유에서의 모든 무지의 책임이 이러한 무지에 있다. 소크라테스적 논박이 정화하는 종류의 무지가 이런 거다. 결정적으로, 이는 개인의 지혜에 대한 거짓 믿음으로 기술된다(230a7). 정화는 유사-믿음에 대한 논박을 통해 성립한다(231b6).


이로부터 우리는 영혼에서의 추함이 개인의 고유한 지식과 지혜에 대한 거짓 믿음이라고 추론해야 한다. 영혼은 이 불균형에 의해서 겨냥하는 진리를 빗맞추게 된다(228c-d). 영혼은 영혼 자신이 지식을 가졌다는 잘못된 확신 때문에 진리를 놓친다. 그래서 손님은 개인의 고유한 지혜에 대한 믿음이 그 자체로 영혼의 흉측한 불균형이라 말한다. 이는 이 논박을 통해 고유한 지혜에 대한 믿음이 정화되지 않는 한 대왕조차 행복하지 못하도록 가로막는 무식과 추함에 처한다는 주장에 의해(230d7-e4)[각주:30] 강력하게 지지된다. 추함으로부터 영혼을 정화하고 아름답게 만드는 것은 고유한 지혜에 대한 거짓 믿음의 제거로 이루어질 것이다.


더욱이 이 문맥은 논박불가능성이 지혜의 필요조건이며 또한 충분조건이기도 함을 보여준다. 오류의 원인은 고유한 지혜에 대한 거짓 믿음, 그 자체 영혼의 불균형인 바 그 거짓 믿음이다. 일단 고유 지혜에 대한 거짓 믿음이 제거되고 나면, 진리를 놓칠 어떤 원인도 없다. 물론 진리를 놓칠 다른 여러 다양한 이유들이 있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엘레아 손님은 이런 거짓 믿음이 사유에서의 모든 잘못의 원인이라 말하고 있다(229c5-6). 그래서 영혼은 고유 지혜에 대한 거짓 믿음이 정화되면 진리를 포착할 것이다. 틀리게 만드는 원인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논박불가능성은 지혜의 필요충분조건이다. 나는 논박불가능성이 지혜와 동일시된다고 제안한다. 지혜는 추정컨데 특정한 대상들에 대한 지식이고 바로 이러한 지식이 논박불가능한 것이다. (지혜로운 자가 아는 것이 무엇인지 문제는 다음 장에서 논한다.)


물론 이런 생각은 다른 대화편들, 특히 『국가』를 반영한다. 거기에서 소크라테스는 좋음의 이데아를 아는 필요충분조건이 마치 전투에서처럼 모든 논박에서 살아남는 것이라고 말한다(7권 534b8-d1). 철인 통치자가 지닐 그 지식의 이름이 변증술이라는 사실(534e3)은 그들이 누군가가 논박당할 수 있는지 여부를 시험하는 대화의 전문가임을 시사한다. 즉 지혜로운 자는 누구에 의해서도 논박당할 수 없는데, 그의 의견들이 서로 상충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 사람은 지식을 가질 것이고 고유한 지식에 대한 거짓 믿음이라는 불균형으로부터 자유로울 것이다. 추정컨데, 그런 짓기을 가진 자는 아름답고 균형잡힌 자일 것이다. 모든 추한 불균형은 사라질 것이다.


그래서 손님은 소크라테스식 논박을 기술하면서 지혜가 논박불가능하다는 관점을 보여준다. 그런 논박불가능성은 개인의 믿음들 사이의 관계이고, 아름답고 균형잡힌 관계이며, 그로 인해 개인이 소크라테스식 대화에서 논박당할 수 없게 되는 관계이다. 만일 소피스트가 지혜를 모방한다면, 그래서 추정컨데 이 균형을 모방한다면, 그 균형을 보존하거나 기술적으로 왜곡시킬 것이다.



5. 지혜의 비율 (ii): 형상들에 대한 지식


지혜와 논박불가능성 사이의 관계는 지혜에 반대되는 무지에 대한 유용한 기준을 제공해준다. 소크라테스식 대화에서 논박당하는 자는 누구든 지혜롭지 않다. 그런 영혼은 불균형 상태에 있다. 반대 상태는 귱형적인 것이고 그는 영혼의 균형 덕분에 논박불가능하다.


이는 아직 지혜의 비율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아니다. 지혜가 논박불가능성과 같더라도, 아직 논박불가능성이 무엇으로 구성되는지는 모른다. 논박불가능해지기 위해 알아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또한 거짓 믿음, not-being, being과 관련한 난관들이 해결되는 중간부분의 긴 논의에서 이러한 해석을 지지해줄 언급이 없다고 반론할 수도 있다. 손님은 거짓 믿음에 관한 난관을 제시하고 not-being과 being에 관한 난관들도 제시하며, 이건 소피스트가 가상제작자인지 모상제작자인지에 관한 난관을 해결하기 위해 요청된 것이다. 그것은 소피스트 분류 문제를 거짓 믿음, not-being, being 난관 언급 없이 설명하려는 것으로 보이는 만족스럽지 못한 해석일 것이다.


이제 중간부분이 철학적 지혜에 대해, 논박불가능성을 제공하는 인간 영혼의 비율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는 그런 설명을 제공한다는 점을 논증할 것이다. 손님은 소피스트를 추적하면서 철학자를 찾았다고 말한다(253c7-9). "지혜"라는 단어는 없더라도 여기에서 철학자가 가진 지식의 본성은 설명되고, 그 지식은 지혜이다. 대화편 도입부터 철학자와 논박은 밀접하게 묶인다. 철학자라 소개된 손님은 논박 신을 가장한 것일지도 모른다고 한다(216b6). 그래서 철학자의 지식이 논박과 관련되더라도 놀랍지 않을 것이다. 중간부에서 철학자의 지식은 변증적이라고 이야기된다(253d2-3). 이는 철학자 지식의 명칭이다. 왜냐하면 이것이 지혜롭지 못한 자를 논박할 수 있지만 누구에게도 논박을 당할 수는 없는 그런 방식의 대화를 할 능력이기 때문이다.


철학적 지식은 또한 형상들에 대한 지식으로 묘사된다. 이 지식이 논박불가능하다는 의미에서 개인을 지혜롭게 만들어줄 방법은 무엇인가? 손님은 형상에 대한 지식이 서로 상충하는 명제들이 무엇인지에 대한 지식을 포함한다고 생각한다는 게 내 제안이다. 손님은 사람들이 이런 것에 무지해서 모순에 빠진다고 생각하고, 반면 철학자는 그걸 아는 자로서 모순에 빠지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논박당할 수 없게 되는 것의 핵심은 단지 겉보기에 불과한 모순을 진정한 모순과 구분하는 능력이다. 이 대화편은 'is'와 'is not' 사이의 모순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이는 파르메니데스가 천착한 문제이다. 이 모순은 상과 거짓 믿음 가능성의 진정한 원천인데, 왜냐하면 이것이 not-being 문제의 원천이기 때문이다. 이 문제는 'is'와 'is not'을 반대되는 것으로, 상호배타적으로 생각함으로부터 나온다. 그 해법은 'is not'을 말하는 게 'is'에 반대가 아닌 단지 다르기만 한 것을 말하는 것임을 아는 것이다(257b3-4. Cf. 258b, 258e-259a). 대화편의 중심에 있는 being과 not-being 논의는 누군가 자기모순을 겪을 때 알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예시해주는 것이다. 진정한 모순과 겉보기 모순을 구분하기 어렵다는 이 어려움이 파르메니데스가 견지한 철학적 관점의 배경이다. 파르메니데스가 소피스트라는 언급은 없다. 오히려 소피스트는 이 어려움을 악용한다.[각주:31]


대화편에 따르면 어떤 것들이 모순되고 또 모순되지 않는지 알아야 반박불가능하게 된다. 이 지식은 정확히 형상들에 대한 지식이다. 이는 우리가 말하는 소위 논리학이 아니다. 일단 인식론적으로 다른데, 성취된 바 없는 목표이다. 또한 형이상학적으로 다른데, being의 궁극적인 형이상학적 토대의 본질에 관한 지식이기 때문이다.[각주:32] 형상에 대한 지식은 어떤 형상이 섞이고 또 섞일 수 없는지 아는 것이기에 논박불가능하게 되도록 만들어준다.[각주:33] 손님은 서로 모순되어 보이지만 그에 따르면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사례를 제공한다.[각주:34] 반대로, 다른 진술들은 모순으로서 배제되는데, 그 진술들이 상호 배타적인 형상들의 혼합을 단언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운동과 정지는 섞이지 않는다(252d). 이 형상들을 섞게 하는 진술은 모순이다.[각주:35]


더 나아가, 이 대화편은 not-being에 관한 혼란만이 아니라 'not'에 관한 혼란도 해명한다. 일반화하여, '부정이 반대를 의미한다'라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257b9-10). 형상들의 모든 가능한 관계에 관한 지식은 그래서 모든 진정한 모순에 관한 지식이다. 이 지식은 가진 자는 누구도 섞일 수 없는 형상들이 섞인다고 말하지 않을 것이고 즉 스스로 모순을 범하지 않을 것이다. 이 지식을 결여한 자들만 무엇이 무엇에 모순되는지에 관하여 잘못할 수 있다. 


손님은 철학적 지식을 요약하면서 진정한 모순을 인지하는 능력에 상석을 내어준다. 


259c7-d7: 어떤 식으로 같은 것이 다르다느니 다른 것이 같다느니 하며 말에서 모순을 제기하며 즐기는 자의 경우 그건 참된 논박이 아니라는 내용.


"어떤 식으로(or 어떤 측면에서)"라는 규정이 강조되는 것은 소크라테스의 정화술을 연상시킨다(230b8). 이것은 이 앞선 대목이 지금 변증술 대목과 연관되는 한 방식이다. 철학적 지식은 진정한 모순은 결코 허용하지 않도록 해주는데, 서로 배제하는 그리고 배제하지 않는 형상들이 무엇인지, 또한 형상들의 다른 모든 관계들에 대한 지식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요컨데, being과 not-being 문제 해법은 논박불가능성으로서의 지혜 개념과 직결된다. 이 being과 not-being 이론은 누군가 지혜롭지 않다는 걸 확정할 수 있는 시험을 넘어서는 긍정적인 무언가를 보여준다. 어쨌든 중요한 건 이게 전문기술로서의 소피스트술 개념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지혜에 관한 긍정적인 설명은 왜 지혜로운 자가 논박불가능한지 설명해준다. 손님은 사람들이 지혜로운 자가 논박불가능하다는 걸 안다고 가정한다. 이게 곧 그들이 스스로 논박당할 때 그들 스스로 지혜롭지 않음을 시인하게 되는 이유이다. 이게 어떻게 소피스트가 기술자일 수 있는지를 설명하는지, 특히 모상이 아닌 가상 제작에서의 전문가일 수 있다는 걸 설명하는지 보자.



6. 가상-제작 전문기술로서 소피스트술


소피스트가 모방하는 원본의 비율은 규정됐다. 그건 지혜로운 영혼의 비율이다. 그런 영혼은 논박불가능하고, 그건 형상과 그 관계를 파악한 덕분이다. 형상 간의 양립과 배타 관계들은 지혜를 구성하는 바 그 비율들이다. 철학자가 겉보기에 모순을 범할지라도 진정한 모순에는 결코 빠지지 않을 이유는 어떤 형상이 양립되고 또 안되는지 알기 때문이다. 'What is not truly is' 같은 것이 이 예시이다. 여기에서 우선 어떻게 해당 대화편이 소피스트를 모상제작이 아닌 가상제작 쪽으로 분류할 이유를 제공하는지 설명하고, 이게 해당 대화편이 소피스트술을 전문기술이라고 주장한다는 점을 입증한다고 논증할 것이다.


일단, 몇몇 부정적 고찰들은 소피스트가 원본 비율을 보존할 수 없고, 그래서 모상이 아닌 가상을 제작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왜냐하면 그가 지혜로운 영혼의 비율을 보존했다고, 자기 자신을 도구로 사용하면서 그렇다고 가정해 보자. 그럼 그는 자신의 고유한 성정 내에서 지혜의 비율을 보존할 것이다. 그의 믿음은 완벽한 비율로 있을 것이고 그래서 그 믿음은 서로 상충하지 않을 것이다. 그 경우, 소피스트는 지혜로운 자의 모상이 아니라, 실제로 지혜로울 것이다. 지혜의 비율을 자신 안에 보존하는 자는 진정으로 지혜로운 자이다. 지혜의 비율을 왜곡시켜 지혜를 모사하는 자는 지혜로운 자의 가상이지, 그의 모상이 아니다. 그래서 개인의 수단 안에 지혜의 모상이 자리할 수는 없다. 소피스트는 스스로 지혜의 비율을 지니는 게 아니라, 그가 그걸 지닌다는 인상을 기술적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이 논증의 한 가지 전제는 소피스트의 '도구(그가 그 안에서 작업하는 매개체)'가 그 자신이라는 것이다. 이는 해당 대화편이 소피스트를 표현하는 방식에 있어서 중요한 전환을 보여준다. Being과 not-being 문제에 앞서 일곱 번째 정의를 제시하는 첫 번째 시도에서, 소피스트는 그것들이 상들인 그러한 말을 산출하는 것으로 이야기된다(234c5). 소피스트는 한 번은 사물들을 한 번에 하나씩 모방함으로써 지혜의 상을 산출한다. 마치 화가가 한 번에 하나씩 그림을 그리듯(234b) 말이다. 이러저러한 사물의 각 모방은 각기 고유하게 성공적인 것처럼 혹은 실패한 것처럼 보인다. 회화 유비는 그래서 소피스트의 각 말(연설)이 각기 고유하게 어떤 것을 모사한다는 점을 시사할 것이다. 추정컨데, 해당 연설이 언급하는 무엇이든 그에 관한 진리(참)를 모방할 것이다(232b-e). 예를 들어, 소피스트는 완전히 부정의한 자가 완전히 행복한 것이 마치 참인 것처럼 보이게 만들지도 모른다. 모든 사안들에 이러한 기술을 사용해, 포괄적으로 봐서, 소피스트는 지혜로운 것처럼 보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관점은 해당 정의의 마지막 형태에서 상당히 수정된다. 소피스트는 지혜로운 개인을 모방함으로써 지혜의 모상을 산출한다. 이것이 지혜로운 개인의 믿음과 진술이 서로 조화를 이루는[상충이나 모순을 일으키지 않는] 방식을 모방한다는 의미가 되는 곳에서 말이다. 각기 고유한 진술은 상도 아니고 각 진술이 저마다 하나씩 지혜로운 것처럼 나타나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소피스트의 진술 총체가 지혜로운 것처럼 나타나고, 이는 그 진술들이 서로 관련되는 방식으로 인한 것이다.


소피스트가 도입시키는 왜곡에 대한 긍정적 설명도 있다. 소피스트의 왜곡에 대한 나의 설명은 세 가지 측면을 가진다. 그것은 거짓 논박이고, 포괄(총체)적이며, 기만당하는 대화 상대자의 관점과 관련된다.


(1) 소피스트는 거짓 논박 안에서 거래를 한다. 그는 먼저 대화상대자가 무언가 하나에 대해 동의를 얻어내고, 다음으로 이것과 상호 배타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그렇지는 않은 다른 것에도 동의를 얻어낸다. 이것이 원본 비율의 왜곡이다. 실제로는 이 두 진술들은 서로 배타적이지 않다. 완전히 지혜로운 자는 그런 실수를 저지르지 않겠지만, 진지한 철학자는 이 대화편이 파르메니데스가 그렇다고 하는 것처럼 'is'와 'is not'이 서로 배제한다고 생각하는 와중에 그런 실수를 저지를지도 모른다. 소피스트는 진지하지만 실수하는 철학자와 다른데, 저 상호배제가 진정한 것인지 아닌지 관심이 없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2) 소피스트는 겉보기 논박을 아무 때나 아무렇게나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방식으로 사용한다. 그는 이러저러한 논박이 진정한 종류의 것이라 생각하도록 만들고자 시도할 뿐만 아니라, 소피스트가 그 어떤 사람이든, 어떤 주제에서든, 그들이 장차 무슨 소리를 하든 아무 상관없이 논박할 수 있다고 믿게 만들고자 시도하기까지 한다. 소피스트는 제한 없이 온갖 다종다양한 문제에 완전히 대비하고 있을 것이다. 소피스트를 지혜로운 것처럼 보이게 만드는 것은 이러한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능력, 다른 이를 논박할 수 있는 것처럼 나타나 보일 수 있는 능력이다.[각주:36] 이것은 (1)에서의 왜곡에 더해 그 이상의 추가적인 왜곡을 구성한다. 지혜로운 자의 영혼은 양립불가능한 믿음들로부터 완전히 자유롭다. 소피스트의 영혼은 확실히 그렇지 않지만, 소피스트는 그 원본[자신의 영혼?]의 비율을 왜곡시키는데 마치 그의 영혼이 양립 불가능한 믿음들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운 것처럼 나타나게 만듦으로써 그리 한다.


(3) 손님이 상을 모상과 가상으로 나눌 때, 그는 관찰자의 시점이 가상에 기여한다고 선제한다. 이것은 소피스트에 대한 손님의 첫 번째 묘사에서도 볼 수 있다. 259c-d에서 진짜 모순을 가짜로부터 구분해내는 철학자의 능력을 묘사하며, 소피스트의 가장 흔한 희생자가 이제 막 being에 접해 본 사람들이라고 언급된다. 그들은 논박에 열광하는데, 혼란스럽고 유치한 방식으로 이제 막 논박과 지혜 사이의 친밀성에 속한 뭔가를 파악했기 때문이다. 이런 묘사는 소피스트의 희생자들이 사물의 진리로부터 멀리 떨어져 서 있는 어린 애들이란 앞서의 묘사를 연상시킨다(234c3-4). 그래서 소피스트는 소피스트적 논증에 그런 애들이 갖는 관점을 써먹는다. 그런 자들은 논박불가능성이 지혜의 필요조건이고 어떤 형상들은 서로 섞이지 않는다는 것(예를 들어 운동과 정지)을 정확하게 보긴 했다. 그런데 이런 사항들을 혼랍스럽고 유치한 방식으로 파악했기 때문에, 소피스트에게 사로잡히는 경향이 생기는 것이다. 그들은 소피스트의 논박이 가짜라는 것도 소피스트의 논박 사용법이 철학자의 사용법과 분명화게 구분되어야 한다는 것도 모른다.


소피스트의 전략에서 또 다른 추가적인 측면은 가능한 한 논박자 입장에 서려고 하지 시험받으려고는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소피스트는 자신이 지혜롭다는 점을 보여주기 위해 그가 논박할 수 있다는 것만이 아니라 논박당할 수 없다는 것 역시 보여줘야 하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 만일 소피스트가 결국 질문을 받게 되면, 내가 추정하기로 그는 그 겉보기 논박[겉보기 모순, 가짜 모순으로 구성된]을 꽤나 잘 빠져나갈 것이다. 대화편 내내 묘사되듯 그는 잘 도망다닌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심지어 그의 의견들이 상충할 경우에도, 그것들이 그렇다는 점을 보이기란 어려울 것이다. 소피스트가 잘해서가 아니라, 사람들이 그를 잡으려고 하는 그 (겉보기) 모순 안에서 그가 눈이 밝고, 그래서 그 덫을 피해서 말하기 때문이다. 그는 논박당한다는 겉모습을 피하기 위해 실제로 믿는 것과는 아무 상관도 없이 되는 대로의 것을 주워 섬겨 말할 것이다.


간단히 말해서, 소피스트는 지혜의 모상이 아닌 가상을 산출하는데, 소피스트가 의도적으로 지혜의 비율을 왜곡시키기 때문이다. 그는 스스로 양립불간으한 믿음들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운 것처럼 보이게 만드는데, 실제로 그의 믿음들이 서로 상충할 때 그렇게 보이게 만든다. 그는 모든 논박을 해낼 수 있는 것처럼 보이게 만들지만, 사실 어떤 주제로 누구에 대해서도 '진정한' 논박을 수행할 아무런 능력도 없다.[각주:37] 그리고 그는 청중의 관점을 써먹는데, 지혜와 논박에 대한 그들의 유치한 이해를 활용한다.


두 가지 중요한 반대가 있는데, 하나는 논박 개념에 관련되고 다른 하나는 전문가 개념에 관련된다.


첫 번째 반대는 소피스트술이 어떤 진술들이 겉보기로 어떤 진술들과 양립불가능한지 아는 능력만 요구받는 게 아니라는 것이다. 여기에 더해 이 진술들을 다른 진술들로부터 추론해내는(아니면 차라리 그렇게 하는 것처럼 보일) 능력도 요구받는다. 이 반론은 내 해석에 대한 반박이라기 보다는 이 대화편에 들어있는 소피스트술에 대한 이론에 대한 반박이다.[각주:38] [...치사하게. 자비의 원리 모름? 플라톤의 설명을 가능한 한 정당하고 말이 되는 종류의 것으로 재구성해 주어야 할 것 아니냐? 그 재구성은 당연히 해석자 몫이고, 그럼 이 대화편에서 소피스트에 대해 설명한 것이 불충분하다는 반박은 누가 책임져야 하냐? 그 설명이 도출되는 해석을 제시한 사람, 그러니까 지금 이 경우에는 플라톤이 아니라 당신이 책임을 져야지.] 아무튼 한 가지 답변은 가능할지도 모른다. 형상에 대한 지식, 변증술이 무엇으로부터 무엇이 도출되는지에 대한 지식을 포함한다고 가정하면, 형상에 대한 겉보기 지식도 도출관계에 대한 겉보기 지식을 포함할 것이다. 간단히 말해서, 소피스트술은 연역관계'처럼 보이는 것'에 대한 지식을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실제 연역관계를 포함하진 않을 것이다. 그래서 소피스트는 모순되는 진술을 연역해내는 것처럼 보일 능력을 포함할 것이다. 뭐, 그냥 생각해 본 거다.


두 번째 반박은 레슬리 브라운의 반박이다.


소피스트술이 기술이 아닐 뿐만 아니라, 애초에 그건 본질적 본성, 기술이기 위한 조건조차 갖추고 있지 못하다는 것이다. (Brown, 'Definition', 168)


이 대화편이 아쉽게도 『고르기아스』 등에서 제기된 소피스트술이 기술 아니라는 논증에 응답하지 않는다는 건 인정해야 한다. 그럼에도 나는 『소피스트』가 소피스트술을 전문기술로서 진지하게 정의한다고, 그리고 그런 전문기술의 가능성을 설명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브라운의 해석은 자포자기식이다. 브라운도 시인하듯, 해당 대화편은 소피스트 정의를 떠맡는다. 다만 브라운은 소피스트술이 정의하기에 적절한 대상이 아니라고 본다. 만일 정말 그렇다면, 이 대화편은 실패이고 무의미한 짓이다. 물론 많은 대화편들이 아포리아로 끝난다. 그것들은 "그것은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던지고 실패한다. 하지만 그 중 어느 것도 무의미한 것은 아니다. 그 안에 담긴 문제는 이해를 도모하는 데에 도움을 주려는 것처럼 보인다. 제시된 해법들은 이해 성공의 조건을 구성한다. 그런데 브라운에 따르면 『소피스트』에서는 상당히 다른 일이 일어난다. 전체 작업이 정의될 수 없는 것을 정의하려는 것이 된다. 게다가 유독 이 대화편만 심지어 정직하지 못한 실패로 끝난다. 아포리아로 끝나는 다른 대화편들과 달리, 소피스트에 대한 정의가 결론으로 언명되기 때문이다. 간단히 말해서, 브라운의 해석은 대가가 너무 크다.


이하 별 얘기 없음. 1) 기술자와 문외한 대비시키는 언급이 있는데 이게 브라운 쪽 지지하는 문헌근거 아니냐는 거. 그런데 아니다. 왜냐하면 소피스트를 전문기술자로 칭하는 언급이 너무 많이 나와서.


브라운은 기술의 조건으로 목적, 그리고 그 목적이 달성되게끔 혹은 실패하게 되는 원인에 대한 설명 두 가지를 꼽는다. 그런데 비어의 해석에 따르면 목적은 지혜로워 보이는 것이고, 성공 원인은 원본 비율 왜곡(거짓 논박으로 거짓 균형을 보여줌), 실패는 자신이 논박될 수 없음을 보여주지 못할 경우.이다. 


소크라테스의 논박과 차이가 없지 않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소피스트는 배움에 관심이 없고 '거짓 논박'과 '거짓 모순'이 핵심인 반면, 소크라테스는 교육과 탐구의 배경으로 논박을 활용한다는 차이가 있다는 대답. 



7. 소피스트의 특징.


『파이돈』의 논증혐오자 비슷한데, 차이는 지혜로워 보이게 하는 연설과 논증을 쓰는 법에는 관심이 있다는 것. 그래도 진리를 배우기 위해 연설과 논증을 활용하는 건 아니라는 점에서는 논증혐오자 같은 애. 그리고 지혜 그 자체의 아름다운 비율이 아니라 그것의 일그러진 불균형을 영혼 안에 품은 못난이들.



[총평하자면 일단 모상과 가상의 구분으로부터 논박에 이르기까지 균형과 불균형을 중심으로 해서 전체를 통합하는 해석을 제공한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자 기발한 지점으로 보인다. 다만 말이 모상이 아니라는 논증은 불충분한 듯. 그리고 이와 관련해서, 소피스트가 말로 된 모상을 제작하는 측면과 논박을 수행하고 상대방에게 모순을 강제하는 측면이 비어의 해석에서는 동일시되는데, 실제로 그러한지 불분명하다. 그는 모든 주제에 대해 누구든 논박할 수 있고, 그 과정에서 자신이 모르는 것에 대한 이러저러한 말들을 지어낼 것이다. 이 말이 가상이라면, 그 가상을 통해 수행되는 작업이 모순강제라고 볼 수 있고, 이 둘은 서로 구분될 여지가 있다. 뭐 아무튼 논박을 통해서 상대방은 스스로 무지함을 시인하게 만들고 반면 자기 자신은 논박당하지 않는 것처럼 가장하여 지혜로워 보이게 만든다는 해석은 전적으로 동의. 그런데 또 '가짜 논박' 혹은 '겉보기 모순' 같은 것과 이것들에 대비되는 진정한 혹은 참된 어쩌고의 구분은 잘 모르겠다. 정말 그럴까? 'is'와 'is not'의 모순은 가짜인가? 그 모순이 어떻게 사실은 모순이 아니고 양립 가능한 것인지 밝히는 과정에서 나온 해법은 어떤 측면에서는 상충하고 또 어떤 측면에서는 양립된다는 것이다. 여기에 가짜 모순과 진짜 모순의 대비가 있는 걸까? 아니면 모순은 그저 모순일 뿐이고, 이를 극복하느냐 그냥 거기에 머무르느냐의 차이만 있을 뿐 아닌가? 그러니까 사실 정말로 궁금한 것은, 대체 '진정한 모순'이란 게 뭐냐는 것이다. 동일률, 모순율, 배중률인가? 논리학 내에서라면 모르겠으나, 플라톤의 형이상학과 인식론을 모두 고려할 때 모든 것은 각기 그 자신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다른 여러 것들이기도 하고, 자기 자신이 불리는 그 이름과 다른 것이기도 하며, 상충하고 모순되는 여러 측면이 공존하기도 하고 그것들이 서로 엄격하게 구분되기도 한다. 어떤 관점과 조건에서 어떤 식으로 규정하느냐에 따라 다른 문제이다. 그래서 모순은 모순대로 남고, 그걸 극복한다고 모순이 소멸해 버리는 것은 아니다. 소피스트도, 일개 무지랭이도, 철학자도, 모두 같은 모순을 바라보게 된다. 그렇지 않나?]


-蟲-


  1. While I originally drafted this paper some time before the appearance of L. Brown, ‘Definition and Division in Plato’s Sophist’ [‘Definition’], in D. Charles (ed.), Definition in Greek Philosophy [Definition] (Oxford, 2010), 151–71, the two papers are antitheses to one another. Brown claims, ‘Sophistry, the sophist: these are not appropriate terms to be given a serious definition . . . there is no such genuine kind as sophistry—especially not under the genus of technē, skill, art, or expertise’(Brown, ‘Definition’, 153). I attempt here to vindicate the seventh and final definition of sophistic by vindicating the claim that sophistic is an expertise. [본문으로]
  2. τέχνην δὲ αὐτὴν οὔ ϕημι εἶναι ἀλλ’ ἐμπειρίαν, ὅτι οὐκ ἔχει λόγον οὐδένα ᾧ προσϕέρει ἃ προσϕέρει ὁποῖ ’ ἄττα τὴν ϕύσιν ἐστίν, ὥστε τὴν αἰτίαν ἑκάστου μὴ ἔχειν εἰπεῖν. ἐγὼ δὲ τέχνην οὐ καλῶ ὃ ἂν ᾖ ἄλογον πρᾶγμα.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various translations of Plato used here are taken from J. Cooper (ed.), Plato: Complete Works [Complete Works] (Indianapolis, 1997); the translations of Aristotle are my own. All the Greek texts are from the most recent OCTs. [본문으로]
  3. This is implicit in the lines just quoted. While the knack cannot give an account of the things it works with, the expertise can do so. Thus the expertise will constitute not only an expertise of making things be good, but also of making them seem good (as a doctor is expert in persuading a patient that a certain treatment is best). This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such experts will be particularly effective. The world may, sadly, be such that making (actually) good things seem good is extremely difficult under most circumstances (e.g. because patients are simply not equipped to understand their doctor’s explanations). [본문으로]
  4. The question arises whether such an expertise would also be the expertise of making things seem to be the opposite of the way they are (make the false seem true, make the bad seem good). The Gorgias does not address that question. The Phaedrus, however, does address the question. It allows that the knowledge of how things are is an art of making things seem to be as they are and also of making things seem to be other than they are.Socrates explicitly recognizes an expertise of making things seem to be a certain way, but he emphatically denies that it is possible to have this expertise without knowing how things actually are (262 a–c). Thus there is no expertise of making things seem, say, just, without the knowledge of being just. Socrates mentions deception in the law courts just before (261 e). In a court, the speaker is assigned the role of arguing for a certain conclusion, whether true or false, not the task of determining the truth. Thus it seems likely that the expertise in question is the expertise not only of making (say) just things seem just but also of making unjust things seem just. It is sometimes thought that there is a deep difference between the Gorgias and the Phaedrus on the question of whether there is such an expertise as rhetoric. But I do not think so. The reference of ‘rhetoric’ throughout the Gorgias is fixed by the description ‘the skill that Gorgias has’. All the speakers (including Gorgias himself) assume that his skill is not philosophical knowledge but something else, so the question becomes, ‘Is there an expertise of rhetoric that is not philosophical knowledge?’ In the Phaedrus, by contrast, rhetoric is that knowledge, whatever it is, in virtue of which one has the expertise of speaking persuasively in general (261 e). Thus when the Phaedrus argues that rhetoric is philosophical knowledge, i.e. dialectic, it is not contradicting the Gorgias’ claim that Gorgias’ rhetorical ability is no art (technē). In both dialogues, we find the view that there can be no expertise of making things seem true that is not also the knowledge of how things really are. [본문으로]
  5. This is an important disagreement between Lesley Brown and me. She remarks that ‘surprisingly little mileage’ is gained from this distinction (Brown, ‘Definition’, 161–2). [본문으로]
  6. This is a further point of disagreement between Brown and me. She finds it strange, perhaps impossible, that ‘a species of imitation which proceeds from knowledge’ should have the ‘hallmark . . . that it is the production of falsehoods’ (Brown, ‘Definition’, 161). As I explain in Section 2, the very point of the distinction between likenesses and appearances is to make it possible for them to be objects of knowledge. [본문으로]
  7. 9 It is Theaetetus who first makes the assertion, and the Visitor agrees (Soph. 221d 1–6). The agreement is never questioned. [본문으로]
  8. Strictly speaking, the distinction is between two kinds of the expertise of copy-making (εἰδωλοποιική), the expertise of likeness-making (εἰκαστική) and that of appearance-making (ϕανταστική, 236 c 6–7). Notably, the expertise of copy-making is introduced as the expertise of imitation (μιμητική; 234 b 1–2, 235 c 2–3, 235 d1–2). But as the dialogue proceeds, the term ‘copy-making’ is most often used, and the term ‘imitation’ acquires a new use in the final account of what the sophist is (267 a–b). [본문으로]
  9. Summarized at 231 c–e. Conspicuously, there is no attempt to reject any proposed definition on the familiar grounds that it either counts some non-sophists as sophists or fails to count some sophists as sophists. [본문으로]
  10. One might wonder why, at the end of the dialogue, with yet another definition, we are any better off. I would speculate that there is supposed to be an asymmetry among the formulas: the final account of the sophist counts as the definition, because it explains why the earlier formulas apply to all and only sophists, but none of them explains why all the others apply. But to argue for this is a task beyond the scope of this paper. (When I say that the earlier formulas apply, I mean that they are descriptions that are true of (all and only) sophists, not that they are definitions of sophistic. Thus I do not contradict my claim, below, that the proposed definitions are incompatible (Section 5). If this is correct, these formulae would specify not definitions, but (in Aristotle’s sense) propria.) [본문으로]
  11. W. K. C. Guthrie, A History of Greek Philosophy, vol. v: The Later Plato and the Academy (Cambridge, 1978) at 136, quoted in N. Notomi, The Unity of Plato’s Sophist: Between the Sophist and the Philosopher (Cambridge, 1999) at 272 n. 2. Despite contrasting himself with Guthrie, Notomi’s subsequent discussion does not shed any light on why sophists are appearance-makers, not likeness-makers (the closest he comes are his remarks at 271–2). Similarly, Rosen thinks that, ‘Since [appearances] are inaccurate copies, it is assumed that the sophist manufactures [appearances] rather than [likenesses]’ (S. Rosen, Plato’s Sophist: The Drama of Original & Image [Drama] (New Haven, 1983) at 309). But this is not right: the dialogue does not ‘simply assume’ that the sophist is an appearance-maker. It explicitly raises the question whether the sophist is an appearance-maker. The problem is to see how the dialogue has given reasons for its answer to this question. [본문으로]
  12. This important point is often misunderstood. Rosen, for instance, treats appearances (‘fantasms’ is his translation) as inaccurate copies (Rosen, Drama, 147, 170, and others). By ‘inaccurate’, he means ‘not preserving proportions’. But the proportions of an appearance differ from those of the model not in any old way, but specifically so as to appear like the model. This is a problem for Rosen’s treatment of all false statements indiscriminately as appearances. He ignores the question of what it means for speeches and statements to distort proportions so as to seem to preserve them. And his view strongly suggests that appearances are merely botched copies. In fact, the text makes clear that an appearance is a copy whose proportions make it seem more like the model than it is. A copy may well be intentionally distorted, yet not be an appearance. Giacometti’s stylized, slender statues intentionally distort the human form, but not in such a way as to appear more like human beings than they are. Thus they are not appearances in the sense of the Sophist. [본문으로]
  13. I do not know why the Eleatic Visitor also mentions the colours of the parts. Perhaps because of the practice of painting statues with extravagant, unrealistic colours, a practice also alluded to at Republic 4, 420 b–421 a. Alternatively, perhaps he has in mind a technique by which parts of a thing appear to have different colour properties from those they do have (e.g. many tiny dots of two different colours appear as a smooth field of yet a third colour). (I am indebted to Richard Sorabji for the suggestion, which has some connection with De sensu 3 (439b19 ff.).) Colour is never mentioned again in connection with appearances and likenesses. [본문으로]
  14. In 236 e 6, I read, with MSS β, T, and W (followed by Proclus and Stobaeus) καλῶν, rather than following Nicolls et al. in accepting Badham’s conjecture, κώλων, which would mean, ‘the true proportions of their limbs’. I see no compelling reason to accept the conjecture. The manuscript reading readily yields a sensible text. It merely presupposes, reasonably, that copy-makers make copies of beautiful subjects. Even if we did accept Badham’s conjecture, it would not make a difference to my argument. [본문으로]
  15. According to Vitruvius’ source, the illusion of depth was created by vanishing point perspective (supplemented, apparently, by an explanation of vanishing point perspective in terms of geometrical optics). But see the illuminating and thoughtprovoking discussion of these issues in M. Burnyeat, ‘ “All the World’s A Stage-Painting”: Scenery, Optics, and Greek Epistemology’, Oxford Studies in Ancient Philosophy, 52 (2017), 33–75. Burnyeat argues persuasively that we do not have good reasons to attribute to Agatharchus the invention of vanishing point perspective, to say nothing of the analysis of vanishing point perspective in the terms of geometrical optics. Rather, argues Burnyeat, Agatharchus probably did something simpler: he created an illusion of depth by making more distant columns smaller and partly obscured. This is very similar to the technique of foreshortening. On Burnyeat’s proposal, the actual proportions of the scenery (some painted columns are shorter than others, and the same distance from the viewer) are not the proportions that the columns appear to have (all the columns appear to be the same size, but to be at different distances from the viewer). Thus this technique very neatly and straightforwardly fits the definition of an appearance by contrast with a likeness. Although Burnyeat does not mention Plato’s Sophist, his paper and mine share the thought that techniques of illusion in the visual arts, especially stagecraft, were important for Greek epistemology. Note, too, that on Burnyeat’s reconstruction of what happened with Agatharchus, Anaxagoras, and Democritus, it is crucial that Agatharchus not only created visual illusion but also that he wrote down an explanation of how he did so. This, too, fits with Plato’s distinction in the Sophist: Agatharchus distorted the proportions in an expert way (deliberately creating a certain visual impression under certain circumstances), not haphazardly. [본문으로]
  16. If this were to turn out to be unknowable (in general and explanatory terms), then this would be presumably rule out there being an expertise of the relevant kind. This problem (which I raised in Section 1) remains to be solved. I address it in Section 6. [본문으로]
  17. This is the position taken by Seth Benardete, who writes, ‘Eikastics assumes knowledge of what is perceived, phantastics knowledge of the perceiver as well’ (S. Benardete, Plato’s Sophist: Part II of The Being of the Beautiful (Chicago, 1984) at 109). (Note that Benardete speaks specifically as if all models were perceptible. If my arguments about wisdom as knowledge of forms are correct, then the sophist’s model is not perceptible.) Benardete concludes, on the same page, that appearancemaking would be superior to likeness-making, on the assumption that the appearance-maker requires all the knowledge of the likeness-maker as well as additional knowledge (of the soul, Benardete says). This seems to me to show the incorrectness of the assumption by modus tollens. [본문으로]
  18. The text says nothing explicit about why there is this impasse. At all the other impasses in the dialogue, there is some statement about what the impasse consists in (231 b–c and 232 a; 239 b–c; 245 d–e; 250 c–e). [본문으로]
  19. This view would be strongly supported by White’s translation of 266 d 9–e 2. But I think that this is a mistranslation—not an impossible translation, but one that leans against the grain of the Greek, for which see n. 13. The translation of Brann et al. seems to me better (E. Brann et al. (eds. and trans.), Plato’s Sophist: The Professor of Wisdom [Professor] (Newburyport, 1996) at 80–1). But the view does not stand or fall with that sentence alone. The view I am rejecting is explicitly espoused by Mary Louise Gill, who writes, ‘To make a statement is to produce an appearance, one that can be true or false’ (M. L. Gill, ‘Division and Definition in Plato’s Sophist and Statesman’, in Charles (ed.), Definition, 172–99 at 184). Likewise, Stanley Rosen says, ‘an accurate sketch, or [likeness], corresponds to a true statement by someone who possesses genuine knowledge. The inaccurate sketch corresponds to a false statement and is called [an appearance]’ (Rosen, Drama, 147). (Rosen does not consider true statements by people who do not have genuine knowledge.) [본문으로]
  20. This is a point of agreement between me and Brown (Brown, ‘Definition’, 161, n. 23). [본문으로]
  21. 260 c 6–9: ὄντος δέ γε ψεύδους ἔστιν ἀπάτη . . . (a 8) καὶ μὴν ἀπάτης οὔσης εἰδώλων τε καὶ εἰκόνων ἤδη καὶ ϕαντασίας πάντα ἀνάγκη μεστὰ εἶναι. [본문으로]
  22. I take this to be Rosen’s reason for saying, ‘If true statements are not [copies], then they must be “originals” in some sense. But in what sense? . . . [One possibility is that] they are themselves the originals of which they speak, in which case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being and discourse. This contention is made by no one’ (Rosen, Drama, 153). In a way, I make precisely this contention—but not as Rosen understands it, since he thinks of logoi as linguistic items. [본문으로]
  23. οὐκοῦν διάνοια μὲν καὶ λόγος ταὐτόν · πλὴν ὁ μὲν ἐντὸς τῆς ψυχῆς πρὸς αὑτὴν διάλογος ἄνευ ϕωνῆς γιγνόμενος τοῦτ’ αὐτὸ ἡμῖν ἐπωνομάσθη, ‘διά νοια’; Cf. Tht. 189 e–190 a. [본문으로]
  24. Further evidence comes from the Phaedo: ‘I certainly do not admit that one who investigates things by means of words is dealing with likenesses [εἰκόσι] any more than one who looks at facts’ (οὐ γὰρ πάνυ συγχωρῶ τὸν ἐν λόγοις σκοπούμενον τὰ ὄντα ἐν εἰκόσι μᾶλλον σκοπεῖν ἢ τὸν ἐν ἔργοις, 100 a 1–3; trans. Grube and Reeve, modified). [본문으로]
  25. At 254 a–b, the Visitor says that philosophers are hard to see because they are themselves ‘near’ (προσκείμενος, a 9) the forms, which are hard to ‘look at’ (ἀϕορῶντα, b1) because of their brightness. The philosopher, then, can look at the forms, unlike most people, and wants to (and can) be near them. The Visitor’s and Theaetetus’ own apprehension of forms is described in terms of seeing at 260 d–261 e. Young people are forced by experiences to touch up against beings (ἐϕάπτεσθαι, 234 d 4–6). [본문으로]
  26. It is disputed whether the definition really is intended to apply to Socrates. I believe that it is, but I will not defend that claim here, since it will play no role in my argument. [본문으로]
  27. Cf. the Visitor’s admission of proceeding in a laughable way, because of ‘being forced to say opposite things’ (τὰ ἐναντία ἀναγκαζόμενος αὑτῷ λέγειν, 241 e 5–6). If they proceed laughably, then they proceed without wisdom. [본문으로]
  28. In the context, ugliness is one kind of badness, contrasting with conflict or sedition (στάσις, 228 a 4–8). (White’s translation, ‘discord’, isn’t lurid enough. I take ‘sedition’ from Brann et al., Professor.) [본문으로]
  29. There is more to this argument than I have recounted here, but it does not bear on why the sophist is an appearance-maker. [본문으로]
  30. For further elucidation of the roles played by shame and ugliness in this passage, see the illuminating treatment of this neglected passage in M. Lott, ‘Ignorance, Shame, and Love of Truth: Diagnosing the Sophist’s Error in Plato’s Sophist’, Phoenix, 66 (2012), 36–56. [본문으로]
  31. The discussion of being and not-being also exemplifies how difficult it is even to identify your own assumptions about what you know and to realize that you do not know it (242 b–c). Theaetetus is not, by disposition, inclined to be overconfident, but still he has not realized that he was assuming he knew what being is. It thus underscores the way in which the awareness of one’s own ignorance is not an attitude that can be adopted at will, but an insight. [본문으로]
  32. There is, however, a way of conceiving logic on which knowledge of forms might turn out to be logic. If logic is construed as the knowledge of the form of propositions in general, and the entailment relations that, as a consequence, obtain between them, then perhaps the knowledge of forms is in that sense logic. For perhaps the forms are the contents of all (possible) propositions and their relations determine, perhaps, the logical form of those propositions. Obviously, this is a rather complicated matter, which I hope to pursue further in future work. [본문으로]
  33. For the capacity and incapacity to mix, see 251 d 6–7, d 8–9, e 9; 253 a 8, c 2, e 1; 254 c 5–6. [본문으로]
  34. See, for example, 256 a on change being both the same and not the same. [본문으로]
  35. In Republic 5 (454 a 1–2), Socrates warns Glaucon that they unwillingly and unwittingly slipping into ἀντιλογική,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raits of sophistic in the Sophist. Socrates says in the Republic that people end up doing this, rather than conversing (διαλέγεσθαι), because they are incapable of dividing things by kinds (a 4–8). Presumably, the idea there, as in the Sophist, is that it can be very hard to tell whether one is dealing with merely apparent contradiction (ἀντιλογική) or real contradiction (διαλεκτική). [본문으로]
  36. Socrates says that something like this happened to him: ‘I acquired . . . a reputation for wisdom, for in each case the bystanders thought that I myself possessed the wisdom that I proved that my interlocutor did not have’ (ὄνομα δὲ τοῦτο λέγεσθαι, σοϕὸς εἶναι· οἴονται γάρ με ἑκάστοτε οἱ παρόντες ταῦτα αὐτὸν εἶναι σοϕὸν ἃ ἂν ἄλλον ἐξελέγξω, Apology 23 a 3–5; trans. Grube and Reeve). This shows not that Socrates is a sophist, but that a sophist exploits the general tendency of people to make this kind of mistake. Cf. Aristotle, Sophistici Elenchi 1, 165a25–7: ‘It is the job of the knower himself to avoid falsities about what he knows, and to show up someone else who commits them’ (ἔργον περὶ ἕκαστον τοῦ εἰδότος ἀψευδεῖν μὲν αὐτὸν περὶ ὧν οἶδε, τὸν δὲ ψευδόμενον ἐμϕανίζειν δύνασθαι). The sophist busies himself with seeming to do the latter. [본문으로]
  37. He might sometimes manage to perform a genuine refutation, but only by chance; thus his capacity is not a capacity to produce genuine refutations. [본문으로]
  38. In fact, Aristotle makes this objection in the opening chapter of the Sophistici Elenchi (although it is merely implicit that it is an objection to the Sophist). He criticizes and tries to improve the Platonic account of false refutation when he says, ‘A refutation is the deduction to the contrary of a given conclusion. Now some [refutations] do not really achieve this, though they seem to do so for a number of reasons’ (ἔλεγχος δὲ συλλογισμὸς μετ’ ἀντιϕάσεως τοῦ συμπεράσματος. οἱ δὲ τοῦτο ποιοῦσι μὲν οὔ, δοκοῦσι δὲ διὰ πολλὰς αἰτίας, 165a2–4). Aristotle goes on to give an account of the distinction between real and false refutation that makes no mention of forms, and relies instead on the distinction between real and apparent deduction (among other things). [본문으로]

11. That it is of his own power that he dies, and that mortality is not a property of human nature which is pure
그가 죽는 것이 그의 고유한 능력이라는 것, 그리고 필멸성은 순수한 인간 본성의 속성이 아니라는 것

A. It now remains to investigate whether he is capable of dying as a consequence of his human nature; for, in consequence of his divine nature, he will always be incorruptible.
이제 남아있는 탐구할 것은 그가 그의 인간 본성의 귀결로서 죽을 능력이 있는지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의 신성의 귀결로, 그는 불후할 것이기 때문이다.
B. Why need we have doubt about this, seeing that he is to be a true man and all mankind is by nature mortal?
우리가 이것에 대해 왜 의심해야 하는가, 그는 진정한 인간일 것이고 모든 인류는 본성상 필멸인데?
A. I do not think that mortality is a property of pure human nature, rather of human nature which is corrupt. Certainly, if man had never sinned and his immortality had been confirmed in such a way that it could not be changed, he would none the less have been truly human. Moreover, when mortals rise again into incorruptibility, they will be no less true human beings. Now, if mortality were a property essential for the genuineness of human nature, it would not be possible for someone immortal to be human. For corruptibility or incorruptibility is not a determinant of the genuineness of human nature, since neither makes or destroys a human being: rather, one has the power to cause him misery, the other happiness. But, on the reasoning that there is no human being who does not die, ‘mortal’ is specified in the definition of a man given by philosophers who did not believe that the whole man had ever been, or could be, immortal. Because of this, the fact that he is truly human is insufficient to prove that the man we have in mind need be mortal.
나는 필멸이 순수한 인간 본성의 속성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오히려 오염된 인간 본성에 속한다고 생각한다. 확실히, 만일 인간이 결코 죄를 짓지 않았고 그의 불멸성이 변할 수 없을 그런 방식으로 확정되었더라면, 그는 조금도 덜 참된 인간이지 않았을 것이다. 더욱이, 필멸자들이 불후성으로 부활할 때, 그들은 전혀 덜 인간존재들인 게 아닐 것이다. 이제, 만일 필멸이 이간 본성의 진성에 본질적 속성이었다면, 불멸하는 누군가가 인간이 되기는 불가능했을 것이다. 왜냐하면 가후성이나 불후성은 인간 본성의 진성을 결정하는 요소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것이 인간 존재를 만들지도 파괴하지도 않으므로: 오히려, 그 한 쪽은 그를 불행하게 만들 능력을 가지고, 다른 쪽은 행복하게 만들 능력을 가진다. 그러나, 죽지 않는 인간 존재는 아무도 없다는 추론에서, '필멸'은 전체로서의 인간이 결코 불멸이었거나 그럴 수 있었다 믿지 않는 철학자들에 의해 가정된 인간의 정의 속에서 규정된다. 이로 인하여, 그가 참된 인간이라는 사실은 우리가 고려하는 인간이 필멸이어야 함을 증명하기에 부족하다.
B. So, look for another line of reasoning. For I do not know of a way of proving that he is capable of dying, if you do not know one.
그래, 추론의 다른 노선을 보자. 왜냐하면 나는 그가 죽을 능력이 있다고 증명할 방법을 모르니까, 만일 니가 모른다면.
A. There is no doubt that he will be omnipotent, seeing that he is like God.
그가 전능할 것임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는 신과 같으므로.
B. This is true.
그거 맞다.
A. If it is his will, then, he will be able to lay aside his soul and take it up again.
만일 그게 그의 의지라면, 그래서, 그는 그의 영혼을 내려놓고 다시 되찾을 능력이 있을 것이다.
B. If he cannot do this, I do not see that he is omnipotent.
만일 그가 이리 할 수 없다면, 나는 그가 전능하다고 보지 않는다.
A. It will be in his power, therefore, never to die, if he wishes; it will also be in his power to die and rise again. Furthermore, it makes no difference, so far as his power is concerned, whether he lays his soul aside without involvement of any other person in the action, or whether it is another person who will bring it about that he lays it aside, having given his own consent.
그러므로 절대로 죽지 않음이 그의 능력 안에 있을 것이다, 만일 그가 바란다면; 또한 죽고 부활할 것도 그의 능력 안에 있을 것이다. 더욱이, 그의 능력과 관련하여, 그가 그의 영혼을 다른 어떤 인격의 개입 없이 그 행위 안에서 그의 영혼을 내려 놓는지 그렇지 않은지, 혹은 그가 그 영혼을 내려놓는 일을 불러일으킬 것이 또 다른 인격인지 아닌지, 그 자신의 허락을 고려하였을 경우 아무런 차이도 없다.
B. This is undoubtedly the case.
의심할 바 없는 사실이다.
A. If, therefore, it is his will to give his permission, it will be possible for him to be killed, and, if it is not, this will not be possible.
그러므로, 만일 그의 허락을 내놓는 것이 그의 의지라면, 그가 죽임을 당하는 일이 가능할 것이고, 만일 그렇지 않다면, 이건 불가능할 것이다.
B. This is the conclusion to which logic unswervingly leads us.
변함없이 우리를 인도하는 논리에 따르는 결론이다.
A. Logic has also taught us that he ought to possess something greater than everything which is below God, which he may give to God voluntarily and not in repayment of a debt.
논리는 또한 우리에게, 신으로부터 빌린 모든 것보다 더 대단한 어떤 것을 그가 지녀야 한다고 가르친다. 그것은 그가 자발적으로 그리고 빚의 보상이 아닌 것으로 신에게 줄 것이다.
B. That is right.
맞다.
A. But this cannot be found either below God or outside him.
하지만 이건 신으로부터 빌리든 그의 외부에서든 발견될 수 없다.
B. True.
맞다.
A. It is within the man himself, therefore, that it has to be found.
그러므로, 발견되어야 하는 것은 그 인간 자신 속에 있다.
B. This follows.
그리 귀결된다.
A. What he will give, therefore, will either be himself or something from himself.
그가 줄 것은 그러므로 그 자신이거나 그 자신으로부터의 어떤 것일 것이다.
B. I cannot conceive it to be otherwise.
달리 생각할 수 없다.
A. The question which now has to be asked is of what kind this giving ought to be. Now, he will not be able to give to God either himself or something from himself, as if he were making himself belong to one who does not own him—for every created being belongs to God.
지금 던져야 하는 질문은 주어야 하는 이것이 어떤 종류의 것인지 하는 것이다. 이제, 그는 신에게 그 자신이든 그 자신으로부터의 어떤 것이든 줄 능력이 없을 것이다, 마치 그가 그 자신을 그를 소유하지 않는 자에게 속하도록 만들고 있는 것처럼- 왜냐하면 모든 피조물은 신에게 속하니까.
B. This is so.
그렇다.
A. The way in which this giving has to be understood, therefore, is this: that in some way he will be laying aside himself, or something from himself, to the honour of God, since he will not be a debtor.
그러므로 이 제공은 이런 식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어떤 식으로 그는 그 자신을 내려놓을 것이거나, 혹은 그 자신으로부터의 어떤 것을, 신의 영광에 대해 내려놓을 것이다, 그는 채무자가 될 수 없을 것이므로.
B. This follows from what has been said earlier.
앞서 이야기된 것에서 귀결한다.
A. If we say that he will make a present of himself as an act of obedience to God, in that he will be submitting himself to God’s will by upholding righteousness with perseverance, this will not constitute giving something which God does not demand from him in repayment of a debt. For every rational creature owes this obedience to God.
만일 우리가 그는 복종의 행위로서 그 자신을 신에게 선사할 것이라 말한다면, 그가 그가 그 자신을 인내와 더불어 정의를 지킴으로써 신의 의지에 복종하고 있으리란 점에서, 이 일은 신이 그에게 빚의 상환에 있어서 요구하지 않은 어떤 것을 주는 일을 구성하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모든 이성적 피조물은 이 복종을 신에게 빚지고 있으니.
B. It is impossible to deny this.
이걸 부정할 수 없다.
A. It ought to be in some other way, therefore, that he should give either himself or something from himself.
그러므로 그가 그 자신이나 그 자신으로부터의 뭔가를 주어야 함은 다른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B. Reason impels us to this conclusion.
추론이 우리를 이 결론으로 강제한다.
A. Let us see whether perhaps this may not be for him to give his life, or to lay aside his soul, or to hand himself over to death, for the honour of God. For this is not something which God will demand from him in repayment of a debt, given that, since there will be no sin in him, he will be under no obligation to die, as we have said.
혹시 그가 그의 생명을 내놓거나, 그의 영혼을 내려놓거나, 그 자신을 죽음에 내맡기거나, 이 일이 신의 영광을 위한 게 아닐 수도 있는지 보자. 왜냐하면 이 일은 신이 빚의 상환에 있어서 그에게 요구할 어떤 것이 아니니까, 그의 내부에 아무런 죄도 없을 것이므로, 그는 죽을 아무런 의무 하에도 있지 않으리란 것, 우리 말대로 그러리란 것을 가정하면.
B. I cannot interpret the matter differently.
그 문제를 달리 볼 수 없다.
A. Let us consider further whether it is logically appropriate for it to be so.
그 일이 그리되는 게 논리적으로 적절한지 더 살펴보자.
B. Speak, and I will be happy to listen.
말해라, 나는 기꺼이 들으마.
A. If man sinned through pleasure, is it not fitting that he should give recompense through pain? And if it was in the easiest possible way that man was defeated by the devil, so as to dishonour God by his sinning, is it not justice that man, in giving recompense for sin, should, for the honour of God, defeat the devil with the greatest possible difficulty? Is it not fitting that man, who, by sinning, removed himself as far as he possibly could away from God, should, as recompense to God, make a gift of himself in an act of the greatest possible self-giving?
만일 인간이 쾌락을 통해 죄 지었다면, 고통을 통해 보상을 바쳐야 하리란 것이 어울리지 않나? 그리고 만일 인간이 악마에 의해 굴복당하는 것이 가능한 가장 쉬운 방식으로 이루어졌었다면, 그의 죄로 인한 신에 대한 불명예에 관한 한, 죄에 대한 보상을 줌에 있어서, 인간이 신의 영광을 위해 가능한 가장 어려운 일로 악마를 굴복시킴이 정의롭지 않나? 죄로써 그 자신을 그가 신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가능한 한 가장 멀리까지 떨어뜨린 인간이 신에 대한 보상으로서 가능한 가장 큰 자기-헌신의 행위에서 그 자신을 선사하는 게 적절하지 않나?
B. This is unsurpassable logic.
더할 나위 없는 논리다.
A. There can, moreover, be nothing that a man may suffer—voluntarily and without owing repayment of a debt—more painful or more difficult than death. And there is no act of self-giving whereby a man may give himself to God greater than when he hands himself over to death for God’s glory.
더욱이 인간이 겪을 죽음보다 더한 고통도 더한 어려움도 전혀 있을 수 없다 - 자발적으로 그리고 빚에 대한 상환의무 없이-. 그리고 그로써 인간이 그 자신을 신에게 줄 헌신의 행위로 그 자신을 신의 영광을 위해 죽음에 내맡기는 때보다 더 대단한 행위는 아무것도 없다.
B. All these things are true.
이거 다 맞다.
A. The one whose will it is to be to pay recompense for the sin of mankind ought therefore to have the characteristic of being able to die if he wishes.
인류의 죄에 대해 보상을 지불하게 되기를 의지하는 그는 그러므로 그가 바란다면 죽을 능력이 있는 자의 특성을 지녀야 한다
B. I see clearly that the man whom we are seeking ought to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t will not be as a matter of necessity that he will die, because he will be omnipotent; he will not be dying obligatorily, because he will never be a sinner, and it will be within his capacity to die of his own free will, because this will be necessary.
나는 우리가 찾고 있는 그 인간이 다음과 같은 특성들을 지녀야 한다는 걸 분명히 안다: 그가 죽을 것이 필연의 문제가 아닐 것인데, 왜냐하면 그는 전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는 의무적으로 죽게 되지 않을 것인데, 왜냐하면 그는 결코 죄인이 아닐 것이기 때문이고, 그것은 그의 고유한 자유의지로 죽을 그의 능력 안에 있을 것인데, 왜냐하면 이 이것이 필연적일 것이기 때문이다.
A. There are many other reasons too why it will be extremely appropriate for him to bear a resemblance to mankind and have the behaviour belonging to mankind—while being without sin. These reasons are more readily and clearly discernible in Christ’s life and works than can be demonstrated by reason alone, hypothetically, as if before experience of the events. For who may explain how necessary and wise a thing it was for it to come about that he who was to redeem the human race and bring it back from the way of death and destruction to the way of life and eternal happiness, should live in the company of human beings and, while he was teaching them verbally how they ought to live, should, through his very behaviour, present himself as an example? Furthermore, how was he to present himself to weak and mortal humans as an example of the fact that they should not depart from righteousness on account of injustices, insults, pain or death, if they were not aware that he himself had experience of all these things?
그가 인류와 유사함이 그리고 인류에 속하는 행동을 가짐이 왜 극도로 적절할 것인지에 대해 다른 많은 이유들이 있다-죄가 없음에도. 이런 이유들은 마치 그 사건들의 경험 이전인듯이 가정적으로 오직 추론만을 통해 증명될 수 있는 것보다 더욱 기껍고 분명하게 그리스도의 삶과 업적들 속에서 인식될 수 있다. 왜냐하면 인종을 구원하고 죽음과 파괴의 길로부터 삶과 영원한 복락의 길로 돌이킬 그가 인간 존재들의 세속에서 살아야 하고, 그가 그들에게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구두로 가르치던 동안에, 그의 바로 그 행위를 통하여, 그 자신을 예시로서 보여주었던 일이 일어났다는 것이 얼마나 필연적이고 지혜로운 일이었는지 누가 설명하겠는가? 더욱이, 어떻게 그가 나약하고 필멸인 인간들에게 그들이 의로움으로부터 부정의, 모욕들, 고통이나 죽음으로 인하여 떠나서는 안 되다는 사실의 실례로서 자기 자신을 보여주었겠는가, 만일 그들이 그 스스로 이 모든 일들에 대한 경험을 지녔음을 알지 못한다면?

12. That, although he is a sharer in our discomforts, he is nevertheless not unhappy
설령 그가 우리의 불편을 공유할지라도, 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행하지 않다는 것

B. All these considerations make it patently obvious that it is right for him to be mortal and a sharer in our discomforts. But these are all circumstances which belong to our unhappiness. Will he not, therefore, be unhappy?
이 모든 고찰들은 그가 가사자가 되고 우리의 불편들을 공유하는 자가 됨이 옳다는 것을 명백히 분명하게 해준다. 그러나 이런 것들은 우리의 불행에 속하는 조건들이다. 그러므로 그는 불행하지 않겠나?
A. Not at all. For, just as a comfort which someone possesses against his will is not conducive to happiness, similarly it is not unhappiness to take upon oneself a discomfort willingly, out of wisdom, not out of any necessity.
전혀. 왜냐하면, 누군가 그의 의지에 반하여 지니는 안락이 행복에 기여하는 바가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유사하게 자의적으로, 어떤 필연이 아니라 숙려를 통해 자처한 불편은 불행이 아니다.
B. This must be admitted.
받아들여야만 하네.

13. That he does not have ignorance along with our other weaknesses
우리의 다른 나약함들에 더하여 그가 무지를 지니지는 않는다는 것

However, as regards the likeness which he needs to bear to members of the human race, say whether he is going to have ignorance in the same way as he is to have our other weaknesses.
그렇지만, 그가 인간 종의 구성원들에 속하기 위해 필요한 유사성을 고려해서, 그가 우리의 다른 나약함들을 지니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무지를 지니게 될지 말해줘.
A. Why do you have doubts with regard to God, as to whether he is omniscient?
왜 그가 전지한지에 관하여 신에 대해 의심하냐?
B. Because, although he is to be immortal as a consequence of his divine nature, he will nevertheless be mortal as a consequence of his humanity. Why, in view of this, will it not be possible for the man we have in mind to be truly ignorant, just as he will be truly mortal?
왜냐하면, 설령 그가 그의 신성의 결과로 불멸이라 할지라도, 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인성의 귀결로 가사자가 될 테니까. 이 관점에서, 왜 우리가 고려하는 그 인간이 참으로 무지함이, 마치 그가 참으로 가사자가 될 것과 마찬가지로, 가능할 수 없을까?
A. The accepting of man into the unity of the person of God will not be brought about otherwise than wisely, by the highest wisdom, and therefore there will be no acceptance[각주:1] of something which is in no way useful, but detrimental rather, for the work which the man is going to undertake. Now, there would be no purpose for which ignorance would be useful to him: rather it would be for many purposes detrimental. For how is he going to perform all the many great works which he is to perform, without immeasurable wisdom? Again, how are people going to believe in him, if they know he is ignorant? Moreover, supposing this is something they do not know: for what purpose will that ignorance be useful to him? And again, if it is the case that nothing is loved except that which is known: by the same token as it will be no good thing for him not to love, it will be no good thing for him to be ignorant. Furthermore, no one has a perfect knowledge of what is good who does not know how to distinguish it from what is bad. It is also the case that no one who is ignorant of the bad knows how to draw this distinction. The man we have in mind will therefore have all knowledge, even though he may not make this evident in public in his dealings with mankind.
신의 인격의 통합 속으로 이간을 수용함은 다른 식으로가 아니라 지혜롭게 이루어질 것이고, 최상의 지혜에 의해 이루어질 거라서, 그러므로 아무 쓸모 없는, 오히려 그 인간이 떠맡을 일에 대해 해로운 어떤 것의 수용은 전혀 없을 것이다. 이제, 무지가 그에게 유용할 어떤 용도도 없을 것이다: 오히려 해로운 많은 용도들이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어떻게 그가 행한 많은 위대한 업적들 모두를 가늠할 수 없는 지혜 없이 수행하게 되었겠나? 다시, 만일 그가 무지하다는 걸 사람들이 알았더라면, 그들이 어떻게 그를 믿게 되었겠나? 더욱이, 그게 그들이 몰랐던 것이라 가정하면: 무지가 그에게 유용할 무슨 용도가 있겠는가? 또 다시, 만일 알려진 것 외에 어떤 것도 사랑받지 않음이 사실이라면: 같은 이유로 그가 사랑하지 않음이 좋은 것이 전혀 아닐 것이듯, 그가 무지함이 좋은 일이 전혀 아닐 것이다. 더 나아가, 나쁜 것으로부터 좋은 것을 어떻게 구분하는지 알지 못하는 자는 그 누구도 좋은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완벽한 앎을 지니지 못한다. 나쁜 것에 대해 무지한 그 누구도 이 구분을 어떻게 이끌어낼지 알지 못한다는 것도 사실이다. 우리가 고려하는 인간은 그러므로 모든 지식을 지닐 것이다, 설령 그가 인류를 대함에 있어서 공적으로 명백하게 이점을 드러내진 않았을지라도.
B. What you are saying seems to hold good for his adulthood; but in his infancy it will not be the appropriate time for wisdom to appear in him, and similarly there will be no need, and consequently it will be incongruous, too, for him to have it.
그의 성년기에 대해서는 좋아 보이는 말이다; 하지만 그의 어릴 적에는 그에게서 지혜가 드러나기에 적절한 시기가 아닐 것이고, 마찬가지로 그럴 필요도 없을 것이며, 따라서 그가 그 지혜를 지님이 어울리지 않을 것이다.
A. Have I not said that the incarnation which we have in mind will be brought about in a way characterized by wisdom? Now, it will be in wisdom that God will take mortality upon himself, and it will be in wisdom that he will put it to use, because he will be using it to great advantage. But he will not be able to take ignorance upon himself in wisdom, because ignorance is never useful, always detrimental rather, except perhaps when an evil desire—something which will never be found in the God-Man—is prevented from being fulfilled. For even if sometimes ignorance is not detrimental in any other regard, it is nevertheless detrimental in the mere fact that it does away with the good which consists in knowledge. Moreover, to complete my brief reply to your enquiry: from the time when he becomes human, he will always be full of God, God’s identity being his own. Hence he will never be without God’s power and fortitude and wisdom.
우리가 고려하는 육화가 지혜에 의해 규정되는 방식에서 발생되리란 것을 말하지 않았냐? 이제, 신이 가사성을 자처할 것임이 지혜에 속할 것이고, 그 가사성을 이용할 것임이 지혜에 속할 것인데, 왜냐하면 그걸 아주 유용하게 써먹을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는 지혜 안에서 무지를 자처할 능력은 없을 것인데, 왜냐하면 무지는 결코 유용하지 않고, 언제나 차라리 해롭기 때문이다, 아마도 악한 욕망이 - 신-인가 안에서는 결코 찾을 수 없을 그런 것으로서- 성취되는 일로부터 제지될 때를 제외하면. 왜냐하면 무지가 다른 경우 해롭지 않을 때가 종종 있더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혜로 이루어지는 선이 없어진다는 단순한 사실에서 해롭다. 더욱이, 네 탐구에 대한 내 간략한 답변을 마무리하면: 그가 인간이 된 순간으로부터, 그는 언제나 완전한 신일 것이고, 신의 정체성은 그에게 고유한 것일 것이다. 따라서 그는 결코 신의 능력과 용기 그리고 지혜가 없지 않을 것이다.
B. I did not doubt that this was always the case with Christ but, even so, I none the less made this enquiry with the aim that I should hear a rational explanation for this fact also. For often we are certain that something is the case, but do not know how to prove it logically.
나는 이게 그리스도와 함께 언제나 사실임을 의심하지 않았지만, 그럴지라도, 이 사실에 대해 또한 이성적 설명을 들으리란 목적을 가진 이 탐구를 조금도 덜 이루지 않았다. 왜냐하면 종종 우리는 어떤 것이 사실임을, 하지만 그걸 어떻게 논리적으로 증명할지 모른다는 걸 확신하고 있으니.

14. That his death outweighs the number and magnitude of all sins
그의 죽음이 모든 죄들의 수와 크기를 압도한다는 것

Now my request is that you should teach me how it is that his death outweighs the number and magnitude of all sins, seeing that you make it clear that one sin which we consider the most lightweight is of such infinite magnitude that one ought not to take a glance contrary to the will of God, even supposing that an infinite number of universes, each full of creatures just as this one is, were to be laid out before one, and could not be kept from being reduced to nothing, except if someone were to take this glance.
이제 내 요청은 니가 어떻게 그의 죽음이 모든 죄의 수와 크기를 압도하는지 나에게 가르쳐주어야 한다는 거다, 너는 우리가 고려한 가장 가벼운 하나의 죄가 설령 이 세상처럼 피조물들로 각각이 가득 찬 무한한 수의 세계들을 가정할지라도 신의 의지에 반하여 눈길을 돌리는 일을 해서는 안 되는 것으로 드러날 것이고 전혀 경감될 수 없을 것으로, 누군가 이 눈길을 취하게 될 경우를 제외하면 그러리라고 하는 그렇게 무한히 큰 것에 속한다는 점을 밝혔으니까.
A. If the man we have in mind were to be present, and you knew who he was, and someone were to say to you, ‘If you do not kill this man, the whole of the universe will perish, and whatever is not God’, would you do it in order to preserve the whole of the rest of creation?
우리가 고려하는 인간이 현존한다면, 그가 당신이 알고 있는 그라면, 그리고 누군가 너에게 '만일 니가 이 사람을 죽이지 않으면, 세계 전체가 파멸할 것이고, 신 외에 뭐든 파멸할 것이다'라고 말한다면, 너 나머지 모든 창조 전체를 지키기 위해 죽일 거냐?
B. I would not do it, even if an infinite number of universes were offered to me.
안 죽일 거다, 설령 내게 무한한 세계들이 제공되더라도.
A. What if someone were to follow this up by saying, ‘Either you will kill him or all the sins of the world will come upon you’?
그를 죽이든지 세계의 죄들 모두가 너에게 부과되든지, 이리 말하면?
B. I would answer that I would rather take upon myself all other sins, not just all the sins of this universe—both those committed in the past and those to be committed in the future—but whatever sins can be conceived of as existing in addition to these. And I think I ought to make this answer not only with regard to the act of killing him, but with respect to any small injury whatsoever which would harm him.
차라리 다른 모든 죄 짊어진다고 답할 거다, 과거에 저질러지고 미래에 저질러질 죄들, 이 세계의 모든 죄들 전부가 아니고, 이것들에 더하여 현존하는 것으로 인정될 수 있는 죄들 무엇이든. 나는 내가 그를 죽이는 행위과 관련해서만이 아니라 그를 해할 그 어떤 종류의 작은 상해라도 관련해서 이리 대답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A. You are right in thinking so. But tell me why your heart makes such a judgement, being more horrified at one sin involving injury to this man than at all else that can be conceived of, given that all the sins ever committed are against him.
그리 생각하는 게 맞다. 하지만 왜 네 마음이 그런 판단을 내렸는지 말해라, 그에 대하여 저질러졌던 모든 죄들을 고려하여 인정될 수 있는 다른 모든 죄들보다도 이 사람에 대해 상해를 포함하는 하나의 죄에 더 두려워하면서.
B. It is because a sin which is directed at this man’s person is incomparably greater than all conceivable sins which are directed elsewhere than at his person.
그건 곧장 이 사람의 인격을 향하는 죄가 그의 인격 외에 다른 어떤 곳을 향하게 되는 가능한 모든 죄들보다 비할 수 없이 크기 때문이다.
A. What will you say to the objection that often someone willingly endures discomfiture to his own person so as not to endure greater discomfiture in his business dealings.
니가 말할 반대는 뭐냐, 종종 누군가 자의적으로 그의 일에 있어서 더 큰 실패를 감당하지 않기 위해 그 자신의 인격에 실패를 감당한다는 것에 대해서.
B. I will say that God has no need of this endurance, for all things are subject to his power, just as you said earlier in reply to some question of mine.
나는 신이 이런 감내를 전혀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왜냐하면 모든 것은 그의 능력에 지배받기 때문이라고, 니가 내 어떤 질문에 답하면서 앞서 말했듯 그렇다고 말할 거다.
A. Your answer is a good one. We see, therefore, that no sins, no matter how immeasurably great or numerous, which are directed elsewhere than against the person of God, can be regarded as equal to the violation of the bodily life of the man whom we have in mind.
니 대답 좋다. 그러므로 우리는 안다 어떤 죄도 그게 얼마나 가늠할 수 없이 크거나 많더라도 상관 없이, 신의 인격에 반하는 것 외에 다른 곳을 향하는 죄는, 우리가 고려하는 인간의 육체적 삶에 대한 폭력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걸.
B. This is perfectly clear.
완전히 명백하다.
A. How great a good does he[각주:2] seem to you to constitute, given that killing him is such a bad thing?
그가 이루는 것으로 네게 여겨지는 선이 얼마나 위대한가, 그를 죽임이 그렇게 나쁜 일임을 고려하면?
B. If every good is as good as its destruction is bad, he[각주:3] is an incomparably greater good than the sins immeasurably outweighed by his killing are bad.
모든 좋은 것들이 좋을 만큼이나 그 파괴가 나쁘다면, 그는 그를 죽이는 일이 나쁜 것이기에 모든 죄들이 가늠할 수 없이 압도되는 것보다 훨씬 더 비할 수 없이 대단한 선이다.
A. What you are saying is true. Consider also that sins are as hateful as they are bad and that the life which you have in mind is as loveable as it is good. Hence it follows that this life is more loveable than sins are hateful.
니가 말하는 거 맞다. 또한 죄들이 나쁠 뿐만 아니라 증오스럽기도 하고 니가 고려하는 삶이 좋을 뿐만 아니라 사랑할 만하다는 것을 고려해라. 따라서 이 삶이 죄들이 증오스러운 것보다 더욱 사랑스럽다는 것이 귀결한다.
B. This is something which I cannot fail to appreciate.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A. Do you think that something which is so great a good and so loveable can suffice to pay the debt which is owed for the sins of the whole world?
너는 그렇게나 좋고 그렇게나 사랑스러운 어떤 것이 세계 전체의 죄들에 대해 갚아야 하는 빚을 지불하는 데에 충분할 수 있다고 생각하냐?
B. Indeed, it is capable of paying infinitely more.
게다가, 무한히 넘치게 지불할 능력이 있다고 본다.
A. You see, therefore, how, if this life is given for all sins, it outweighs them all.
그러니까 너는 만일 이 삶이 모든 죄들을 위해 제공되면, 그 죄들 전부를 어떻게 압도하는지 안다.
B. Plainly.
충분히.
A. If, then, to accept death is to give one’s life, just as his life outweighs all the sins of mankind, so does his acceptance of death.
그래서 만일 죽음을 받아들임이 그의 삶을 제공하는 것이라면, 그의 삶이 인류의 모든 죄들을 압도하는 것처럼, 그렇게 그의 죽음 수용도 그렇다.
B. It is established that this is the case with all sins which do not touch the person of God.
신의 인격을 건드리지 않는 모든 죄들과 더불어 이게 참임이 확정적이다.


15. That this same death destroys the sins even of those who put him to death
이 동일한 죽음이 그를 죽음으로 몰아넣은 자들의 죄들까지도 소멸시킨다는 것

But now I see that another question has to be asked. For if to kill him is as bad as his life is good, how can his death overcome and destroy the sins of those who killed him? Or, if it destroys the sin of any one of them, how can it destroy in addition any sin committed by other people? For we believe that many of the human race have been saved, and that countless others are being saved.
하지만 이제 나는 또 다른 질문이 던져져야 한다는 걸 안다. 왜냐하면 만일 그를 죽임이 그의 삶이 좋은 만큼 나쁘다면, 어떻게 그의 죽음이 그를 죽였던 자들의 죄들을 압도하고 소멸시킬 수 있는가? 혹은 만일 그 죽음이 그들 중 누구 하나의 죄를 소멸시킨다면, 어떻게 다른 사람들에 의해 저질러진 어떤 죄든 추가로 소멸시킬 수 있는가?
A. The Apostle who said, ‘If they had known it, they would not have crucified the Lord of glory’ [1 Cor. 2: 8], provided the answer to this question. For so great is the difference between a sin committed knowingly and one which is committed through ignorance, that an evil which, if it were recognized for what it was, they would never be able to commit because of its enormity, is capable of being pardoned because it was committed through ignorance. For no member of the human race would ever wish to kill God, at least no one would knowingly wish it, and therefore those who killed him unknowingly did not fall headlong into that infinite sin with which no other sins can be compared. Bear in mind that in order to see how good his life was, we considered the magnitude of that sin not in relation to the fact that it was committed in ignorance, but as if it were committed knowingly—something which no one has ever done or would have been capable of doing.
'만일 그들이 알았더라면 그들은 영광의 주를 십자가에 매달지 않았을 것이다'라고 말했던 사도는, 이 물음에 답을 준다. 왜냐하면 그렇게나 대단하게 알고서 저질러진 죄와 무지로 저질러진 죄가 다르기 때문이다, 만일 그게 뭔지 알았다면 그들이 결코 그 심각함 때문에 저지를 수 없었을 그 일은 무지를 통해서였기 때문에 양해될 수 있는 것에 속하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인간 종의 그 어떤 구성원도 신을 죽이길 바라지 않을 것이고, 최소한 알고서 그러길 바라진 않을 것이며, 그러므로 그를 모르고 죽였던 자들은 다른 죄들과 비할 수 없는 무한한 죄로 곤두박질치지 않는다. 그의 삶이 얼마나 선한지 알기 위해서, 우리가 무지에서 그 죄가 저질러졌다는 사실과 관련하여 그 죄의 크기를 고찰하지 않았지만, 마치 알고서 저지른 것처럼 했음을 염두에 둬라 - 그 누구도 하지 않았을 혹은 할 수 없었을.
B. You have demonstrated logically that it was possible for those who killed Christ to attain to forgiveness of their sin.
그리스도 죽인 자들이 그들의 죄를 용서받을 수 있음을 논리적으로 증명했다.
A. What more are you asking now? Look! You recognize how logical necessity makes it clear that the city above has to have its complement made up by members of the human race, and that this cannot come about except through the remission of sins, which no man can have except through a man who is identical with God and who by his death reconciles sinners to God. We have clearly found Christ, whom we acknowledge to be God and man and to have died for our sakes. Be sure of this too, without any doubt: all that he says is true, since God is incapable of lying, and the deeds he did were done wisely, even though the reasoning behind them may not be understood by us.
이제 니가 물을 게 또 뭐냐? 봐라! 너는 논리적 필연이 어떻게 천상의 나라가 그 충족을 이루어야 하는지, 인간 종의 숫자를 통해 그래야 하는지, 그리고 이것이 죄의 사함을 통해서가 아니라면 일어날 수 없다는 걸, 신과 동일하고 그의 죽음으로 신에 대한 죄인들에 상응시키는 인간을 통해서가 아니라면 가질 수 없다는 걸 분명하게 하는지 알게 되었다. 우리는 그리스도, 우리가 신이며 인간이자 우리 때문에 죽었던 자로 인정하는 그를 분명히 찾았다. 어떤 의심의 여지도 없다: 그가 말하는 모든 게 참인데, 신은 거짓말할 능력이 없기 때문이고, 그가 행한 행위들은 지혜롭게 이루어졌는데, 설령 그 이면의 추론이 우리에 의해 이해될 수 없더라도 그렇다.
B. What you are saying is true, and I do not doubt that what he said is true or that what he did was done in accordance with reason. I nevertheless ask you to explain to me by what logic this truth, which to those who do not believe in the Christian faith seems as if it were not right and not possible, is in fact right and possible. I ask this not in order that you should confirm me in the faith, rather so that you should give one already confirmed in the faith the joy which comes from an understanding of the absolute truth.
니가 말 맞다, 그리고 나는 그가 말했던 것이 참임을 의심하지 않고 혹은 그가 했더 일이 이성에 따라 행해졌음을 의심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니가 나에게 어떤 논리로 이 진리가, 그리스도교 신앙에서 믿음을 가지지 않는 자들에게 마치 옳지 않고 불가능해 보이는 이 진리가 사실 옳고 가능한지 설명해주길 바란다. 나는 이걸 니가 나를 신앙에 있어서 확신시켜주길 바라고 요구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니가 이미 신앙 안에서 확신하는 자에게 절대적 진리를 이해하는 일로부터 오는 기쁨을 주길 바라고 요구한다.


16. How God produced a man without sin out of sinful matter; also about the salvation of Adam and Eve
어떻게 신은 죄로 물든 물질로부터 죄 없는 인간을 만들었는지; 또한 아담과 이브의 구원에 대하여

In view of this, it is my request that you should explain the reasoning behind the matters about which I have yet to ask you in the same way as you have elucidated the reasoning behind the matters which we have spoken of up to now. My first question is: how did God produce a man without sin out of the human race, which is totally permeated with sin? This was like producing unleavened bread out of leavened dough. For, granted that the actual conception of this man was untainted and devoid of the sin of carnal pleasure, the Virgin from whom he was taken was conceived ‘amid iniquities’ and her mother ‘conceived’ her ‘in sin’ [cf. Ps. 50: 7 Vulg. 51: 5], and she was born with original sin since she sinned in Adam, ‘in whom all have sinned’ [Rom. 15: 12].
이런 관점에서, 내 요청은 니가 우리가 지금까지 이야기했던 문제들의 이면의 추론을 설명했을 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내가 아직 너에게 묻고 있는 그 문제들의 이면의 추론을 설명해 달라는 거다. 내 첫 물음은 : 어떻게 신이 인종, 완전히 죄로 물든 종으로부터 죄 없는 인간을 만들었는지? 이건 효모 없는 빵을 효모 들어간 반죽에서 만드는 것 같다. 왜냐하면, 이 인간의 구체적 개념이 때묻지 않고 육욕의 쾌락의 죄가 없었던 것이었음을 받아들이면, 부당성들 가운데 그가 그로부터 취해질 수 있었던 처녀를 인정하면 그리고 그녀의 어머니가 죄 안에서 그녀를 품었고, 그녀는 원죄와 함께 태어났는데 아담의 경우에서 그녀가 죄를 지었으므로, 그 안에 모든 죄가 있는.
A. Once it is agreed that the man whom we have in mind is God and the reconciler of sinners, there is no doubt that he is completely without sin. Moreover, this cannot be so if he has not been produced without sin out of sinful matter. Now, if we cannot understand the reasoning whereby the Wisdom of God did this, we ought not to express astonishment, but reverently bear with the fact that in the hidden recesses of so surpassingly great an actuality there is something which we do not know. Indeed, God’s restoration of human nature was more miraculous than his creation of it. For the two acts—restoration and creation—are both equally easy for God. However, in the time before he was created, man did not sin, and hence there was no need for restoration to take place. But after he was created he sinned and, because of his sin, deserved to lose both the fact of being created and the destiny for which he was created. In fact, though, he did not entirely lose the fact of being created. This was so that he could be the object of God’s punishment or of his mercy. For neither of these options could come about if he had been annihilated. It follows, then, that God’s restoration of human nature was more miraculous than his action in bringing it into existence, to the extent that the restoration was concerned with man as sinner and was contrary to what he deserved, whereas the creation was concerned with man in a state of sinlessness, and was not contrary to what he deserved. What a great thing it is, too, for God and man to combine in One, in such a way that a man is identical with God, while the integrity of both natures is preserved! Who may presume even to think that a human intellect might be capable of fathoming how it is that such an act has been performed, so wisely and so wonderfully?
일단 우리가 고려하는 인간이 신이며 죄의 조정자임을 동의하면, 그가 완전히 죄 없는 건 의심할 수 없다. 더욱이, 만일 그가 죄의 물질에서 죄 없이 탄생하지 않았다면 그럴 수 없다. 이제, 만일 우리가 신의 지혜로 이 일을 행한 그 추로을 이해할 수 없다면, 우리는 경악을 표할 게 아니라, 경건하게 깊숙하게 숨겨진 그렇게나 놀랍도록 대단한 실재성, 우리가 모르는 어떤 것이 있다는 그 현실성을 감내해야 한다. 더구나, 인간 본성에 대한 신의 복원은 그에 대한 창조보다 더 기적이었다. 왜냐하면 두 행위들 - 복원과 창조 - 모두 마찬가지로 신에게 쉽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그가 창조했던 때 이전에, 인간은 죄를 짓지 않았고, 따라서 복원이 일어날 필요가 없다. 하지만 그가 창조한 다음 그가 죄를 지었고, 그의 죄 때문에, 창조되었다는 사실과 그가 그를 위해 창조된 운명 모두 잃을 만하다. 사실, 그렇지만, 그는 창조된 사실을 완전히 잃지 않는다. 그래서 그가 신의 처벌 대상이 될 수 있었거나 그의 자비의 대상이 될 수 있었게 하도록. 왜냐하면 이 선택지들 중 어느 쪽도 만일 그가 무화되었더라면 일어날 수 없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의 인간 본성 복원은 그걸 존재하게 만든 것보다 더 기적이다, 복원이 죄인으로서의 인간과 관련된 만큼 그리고 그가 받아야 할 것에 반대되는 만큼, 반면에 창조는 죄 없는 상태의 인간과 관련되고, 그가 받을 것에 반대되지 않는다. 이 무슨 대단한 일인가, 신과 인간이 하나로 결합하여 그런 식으로 인간이 신과 동일화되는 방식으로, 두 본성 모두의 완전성이 보존되는 한에서! 인간 지성이 그런 행위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이해할 능력을 가질 만큼 그렇게나 현명하고 경이롭다고 그 누가 짐작하겠는가?
B. I agree that no human being can in this life disclose the innermost depths of such a great mystery, and I am not asking you to do what no human can do, only as much as you can do. For you will be making a more persuasive case for there being deeper reasons for this action if you show that you discern some reason for it, than if, by saying nothing, you make it self-evident that you understand no reason at all.
그 어떤 인간도 이 삶 속에서 그런 대단한 신비의 가장 내밀한 깊이를 드러낼 수 없음을 동의한다, 그리고 나는 누구도 할 수 없는 걸 너한테 요구하지 않는다, 오직 니가 할 수 있는 한에서 요구한다. 왜냐하면 너는 만일 니가 아무것도 말하지 않음으로써 니가 어떤 추로도 전혀 이해하지 못함을 자명하게 하는 것보다 그 일에 대해 어떤 이유를 분간한다는 걸 보여준다면 이 행위에 대해 더 깊은 이유들이 있음에 대해 더 설득력 있는 경우를 만들 거다.
A. I see that I am unable to set myself free from your importunity. But let us give thanks to God if I can to any extent make clear the subject which you are demanding I should clarify. If, on the other hand, I cannot, let the proofs arrived at earlier suffice. For if it is established that God ought to become man, there is no doubt that he does not lack the wisdom and the power whereby this may be effected without sin.
나는 내가 내 스스로 네 끈질김에서 나를 자유롭게 할 능력이 없음을 안다. 하지만 만일 내가 어느 정도 분명하게 니가 내게 밝히길 요구하는 주제를 밝힌다면 신에게 감사하도록 하자. 만일 다른 한편으로 내가 할 수 없다면, 앞선 증명들이 충분하다고 하자. 왜냐하면 만일 신이 인간이 되어야 함이 확정된다면, 이 일이 죄 없이 완수될 지혜와 능력의 결여가 없으리란 것은 의심할 수 없으니까.
B. I am happy to accept terms of this sort.
그런 말은 기꺼이 받아들인다.
A. It was right, certainly, that the redemption which Christ brought about should benefit not only the people in being at that time, but others too. Let us imagine that there is a king and that the entire populace of one of his cities has sinned against him, with the exception of one man, who is none the less of the same race. None of them, moreover, is capable of doing anything to escape from the death penalty. Now, the man who is the only innocent party enjoys such favour with the king that he has it in his power to bring about the reconciliation of all those who believe in his advice, and he has such love towards the guilty that he wishes to do this. This reconciliation will be brought about by means of some service which will be very pleasing to the king, and which he will perform on a stated day in accordance with the king’s desire. And, since not all who are in need of reconciliation are able to assemble on that day, the king makes the concession, in view of the magnitude of the service, that any people who acknowledge before or after that day that they wish to receive pardon through the act which is to be performed on that day, and that they accede to the agreement concluded on that occasion, will be absolved from all their past guilt. Furthermore, supposing it should come about after this pardon that they should sin again, and provided that they should then be willing to give satisfaction in a suitable way and receive correction, they would receive pardon again through the effective power of this same agreement. There would be this proviso: that no one should enter his palace until the deed had been done whereby their wrongdoings were forgiven.
확실히 그리스도가 일으켰던 보상이 그 당시에 있던 인간들에게만 유익한 게 아니라 다른 이들에게도 유익해야 한다는 건 맞다. 왕이 있고 그의 도시들 중 하나의 대중이 그에게 반대하여 죄를 지었다고 가정해 보자, 같은 종족인 한 사람만 제외하고. 그들 중 누구도 사형으로부터 피할 수 없다고 하자. 이제, 유일하게 결백한 자가 그의 능력 내에서 그의 조언을 믿는 모든 자들의 화해를 일으키는 것으로 왕과 더불어 그런 기쁨을 누린다. 이 화해는 신을 기쁘게 할 어떤 봉사의 수단으로 일어날 거다. 그리고 신이 바라는 때에 맞추어 이루어질 거다. 그리고, 화해를 결여한 모든 이가 그 날 참여할 능력이 없기에, 왕은 양보할 것이다, 그 봉사의 크기의 관점에서, 전후에 그들이 그 날 수행될 그 행위를 통해 용서받기를 바라는 날 인정하는 누구든, 그 때 결론난 동의에 응한다, 무죄방면된다 적절하게 보상하길 바라고 교정 받는 자들, 그들이 이 동의의 효력을 통해 다시 용서받을 것이다. 단서가 있다. 누구도 그의 왕실에 그들의 죄가 용서받기 전까지 들어가지 않는다.
The thrust of this parable is that, when Christ brought about the redemption which we have in mind, not all those human beings who were to receive salvation were able to be present, and consequently there was such power in his death that its effect extends to those who were absent either geographically or temporally. That it would not be right for his death only to benefit those present is readily comprehensible from the fact that it was not possible for as many people to be present at his death as are needed for the building up of the heavenly city, even if all the people anywhere in existence at the time of his death were to be accepted for the redemption to which we have referred. For there are more evil angels than there would have been humans alive on that day, and it is from the human race that the full number of replacements for them has to be found. Nor is it to be believed that, since mankind’s first creation, there has been any time in which this world, filled as it is with creatures which were created for the use of mankind, has been so barren that there was no one in it from the human race bearing any relation to the purpose for which mankind was created. For it seems an incongruity that God should for one moment have permitted the human race, and all that he made for the use of the beings from whose ranks the heavenly city was to be completed, to exist, as it were, to no purpose. For they would seem to have their being in vain for as long as they did not seem to exist with a view to the purpose for which they were principally created.
이 우화의 요지는, 그리스도가 우리가 생각하는 그 보상을 일으킬 때, 구원 받을 인간 존재들 전부가 참석할 능력이 있지는 않고, 따라서 지리적으로든 시기적으로든 부재하는 자들의 범위까지 영향을 미치는 능력이 그의 죽음 안에 있어야 한다. 그의 죽음이 오직 현재하는 이들에게만 유익함은 옳지 않을 것임은 그의 죽음 당시에 있던 만큼의 사람들만 천국 구성에 필요하다는 건 불가능하다는 사실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설령 그의 죽음 당시 있던 어느 곳의 사람들이든 모두 우리가 말한 보상에 허용될 것이라 하더라도. 왜냐하면 그 날 살아있는 인간들보다 악한 천사들이 더 많기 때문이다. 그리고 인간 종으로부터 그들의 보충수가 찾아져야 하니까.
B. You are demonstrating with consistent and apparently incontrovertible reasoning that, since mankind was first created, there has never been any time devoid of some person connected with that reconciliation without which all mankind was created in vain. And we can conclude that this is not only fitting, but a necessity. For, assume that this state of affairs is more fitting and logical than that there should have been at some time no one with regard to whom the intention of God in creating mankind was to be fulfilled; assume too that there is no obstacle to this logical state of affairs: in that case it is a necessary fact that there has always been someone connected with the reconciliation we have in mind. Hence it is not to be doubted that Adam and Eve had a connection with that act of redemption, even though divine authority does not state this explicitly.

A. It also seems incredible that God excluded those two from his plan, in view of the fact that he created them and made it his plan, never deviating from it, to create from them all the human beings whom he was to take up into the heavenly city.

B. Indeed, what one ought to believe, rather, is that he created Adam and Eve particularly with the purpose in view that they should number among those for the sake of whom they were themselves created.

A. Your observation is a good one. But no soul could enter the heavenly Paradise before the death of Christ, in accordance with what I said earlier with reference to the ‘king’s palace’.

B. Such is the teaching which we hold to.

A. But that Virgin from whom the man about whom we are speaking was received was one of those who, before his birth, were cleansed of sins through him, and he was received from her in the state of cleanness which was hers.

B. What you are saying would please me greatly were it not for this: whereas he ought to have cleanness from sin in his own person and on his own account, he would appear to have it from his mother, and not to be clean on his own account, but through her.

A. It is not so. Rather, his mother’s cleanness, whereby he is clean, would not have existed, if it had not come from him, and so he was clean on his own account and by his own agency.

B. Good—so far as that issue is concerned. But there seems to me another question to be asked. We have said earlier that he is not going to die as a matter of necessity, and now we see that his mother was clean because of his death which was to happen in the future. How, then, is it that this man, who could not have existed if it were not for the fact that he was going to die, did not die of necessity? For, if he had not been going to die, the Virgin from whom he was received would not have been clean, since this could in no way be so, except in the light of a belief in the reality of his death, and there was no other way in which he could have been received from her. Hence, if he did not die obligatorily, after he was received from the Virgin, the consequence is that he could not be received from the Virgin after he was, in fact, received—and this is an impossibility.

A. If you had considered well our previous discussions, you would have understood that in the course of them this question had been resolved.

B. I do not see how.

A. When we raised the question whether the God-Man could tell lies, did we not demonstrate that where telling lies was concerned there were two potentialities, one being a desire to tell lies, the other, actual lie-telling? Did we not also show that, while he had the capacity for telling lies, he had the characteristic inherent in himself of not being able to wish to lie, and that, for this reason, he was worthy of praise for the righteousness whereby he kept to the truth?

B. Yes.

A. Similarly, in the case of saving one’s life, there is the capacity for wishing to save one’s life and the capacity for saving it. When, therefore, the question is asked whether the same God-Man could have saved his life, so as never to die, it is not a matter for doubt that he always had the capacity for saving it, even though he was not capable of wishing to save it, so as never to die. And since this was something he had inherent in him—I mean, this inability to have this wish—he laid down his soul not obligatorily but by the free exercise of his power.

B. These potentialities in him to which you refer—that for telling lies and that for saving his life—were not in the least comparable. For in the one case, it is a logical consequence that he would be capable of telling a lie if he were to wish it, but in the other, it appears that, if he were to wish not to die, he would no more be capable of this than he could not be what he was. For the purpose of his being a man was this: for him to die; and it was because of the assuredness of his future death that it was possible for him to be received from a Virgin.

A. You think that he was incapable of not dying, or that it was a matter of necessity that he died, because he was incapable of not being what he was: you may just as well assert that he was incapable of wishing not to die or that he wished of necessity to die. For it was no more for the purpose that he should die that he was made a man than for the purpose that he should wish to die. Therefore, just as you ought not to say that he could not wish not to die, or that he wished to die obligatorily, similarly it ought not to be said that he could not not die, or that it was of necessity that he died.

B. No indeed. Since both these things—that is, dying and wishing to die—are subject to the same line of reasoning, and both of them seem to have been inherent in him of necessity.

A. Who was it who wished of his own volition to make himself a man, so that, by the same unchangeable will, he would die and the Virgin from whom he—that man—was to be received would be made clean through faith in the certitude in his death?

B. God, the Son of God.

A. Has it not been demonstrated earlier that when the will of God is said to do something of necessity, it is not actually coerced by necessity, but is maintaining itself by its own spontaneous unchangeability?

B. This has indeed been demonstrated. Rather we see, conversely, that something which is God’s unchangeable will cannot not be and that it is necessary for it to be. Therefore, if it was God’s will that the man we have in mind should die, he could not not die.

A. As an inference from the fact that the Son of God took manhood upon himself with the intention that he should die, you are asserting that the man in question could not not die?

B. That is how I understand the matter.

A. Has it not emerged likewise from our earlier discussions that the Son of God is one person with the manhood which he took upon himself, so that the Son of God and the son of the Virgin are identical?

B. Yes, it has.

A. The same man, therefore, of his own volition, could not not die and did, in fact, die.

B. I cannot deny it.

A. Since, therefore, it is not out of any necessity that the will of God performs any action, but on the strength of his own power, and since the will of that man was the will of God, it was not out of any necessity that he died but on the strength of his power alone.

B. I am incapable of rebutting your lines of argument. For I can in no way invalidate either the propositions which you are adducing as premisses or the consequences which you are inferring. However, something which I have said keeps on coming back to me: that, if it were his will not to die, he would be no more capable of doing so than of not being what he was. For he was truly going to die since, if he had not been truly going to die, the faith in his future death would not be true, and it was through this faith that both the Virgin from whom he was born, and many others, have been cleansed from sin. Now, if it had not been true, it could not have been of any benefit. Consequently, if he was capable of not dying, he was capable of rendering untrue something which was the truth.

A. Why was it the truth, before he died, that he was going to die?

B. Because he wished for this spontaneously and with an unchangeable will.

A. If, therefore, as you say, he could not not die for the reason that he was truly going to die, and he was truly going to die owing to the fact that this was his spontaneous and unchangeable will, it follows that he could not not die for any other reason than because, by his unchangeable volition, it was his will to die.

B. That is right. But, whatever the reason may have been, it is nevertheless true that he could not not die and that it was necessary for him to die.

A. You are too persistent in grasping at nothingness and, as the saying goes, looking for a knot in a bulrush.

B. Have you forgotten what I said in the face of your excuses at the beginning of this disputation of ours, namely that it would not be for the learned that you would be doing what I asked, but for me and for those who were making the request along with me? Allow me therefore to ask questions corresponding to the slowness and dullness of our intelligence, so that in this way you may give me and those other people satisfaction even in the case of childish questioning, as you did at the outset.


17. That in God no necessity or impossibility exists; and that there is a necessity which compels and a necessity which does not compel

A. We have already said that it is incorrect to say of God that he ‘cannot do something’ or that he ‘does it of necessity’. For all necessity, and all impossibility, is subject to his will. Moreover his will is not subject to any necessity or impossibility. For nothing is necessary or impossible for any reason other than that he himself so wills it. Indeed, for God himself to will something, or not will it, on account of necessity or impossibility, is a notion foreign to the truth. Hence, from the fact that he does all things which are his will and does nothing other than the things which are his will, two consequences follow: no necessity or impossibility precedes his volition or nonvolition and, similarly, neither precedes his action or inaction, no matter how many things he may unchangeably wish or do. Moreover, when God does something, the deed cannot be undone after it has been done, but it is for ever the truth that it has been done; yet, despite this, it cannot be correctly stated that it is impossible for God to make a past event not a past event: neither the necessity for action or the impossibility of inaction is operative in this case, only the will of God who, being himself the Truth, always wishes the truth to be unchangeable, as he is. Correspondingly, in the event that God plans that he is unalterably going to do something, even though, in the time preceding his action, what he has in mind is not not going to happen, there is in him no necessity for action or impossibility of inaction, since in him it is the will alone which is operative. Now, on all occasions when it is stated that God is ‘incapable’ of something, this is not a negation of any capacity in him: rather, it is his insuperable power and might which is being signified. For the meaning is none other than that nothing can bring it about that he should do the thing which he is being said to be ‘incapable’ of doing. Now, much use is made of the type of expression whereby something is said to ‘be possible’, not because possibility is inherent in that thing, but because it is inherent in something else, and ‘not to be possible’, not because impossibility is inherent in that thing but because it is inherent in something else. For we say: ‘This man is capable of being defeated’, instead of ‘Someone is capable of defeating him’, and ‘He cannot be defeated’, instead of ‘No one can defeat him’. For to be ‘capable of being defeated’ does not constitute a capability, but an incapability, and to be ‘incapable of being defeated’ does not constitute powerlessness, but power. Nor is it because there is any necessity inherent in him that we say that God does something ‘of necessity’, but rather because the necessity exists in something else; this is comparable to what I have said with reference to ‘incapability’ in statements to the effect that someone ‘is incapable’. As for necessity, every case of it constitutes either compulsion or prohibition, and these two necessities are opposites, the converse of one another, as are ‘necessity’ and ‘impossibility’. However, when we say with reference to God that something is, or is not, a necessity, the meaning is not that there exists in him either coercive or prohibitive necessity: the significance is that there is necessity inherent in all things other than himself which prevents him from acting—and compels him not to act—against what is predicated of God. For, when we say that it is a necessary fact that God always speaks the truth, and that it is a necessary fact that he never lies, all that is being said is that inherent in him there is such a high degree of constancy with regard to upholding the truth that nothing can make him not speak the truth, or tell lies. Consequently, when with reference to the man we have in mind— who, in view of the unity of his person, as has been said earlier, is identical with the Son of God, God—we say that he could not not die, or could not wish not to die, after he was born of the Virgin, what is being signified is not any inability to preserve his own life, or to wish to preserve it, immortal. What is being signified, rather, is the unchangeability of his will, in response to which he had of his own volition made himself a man with the specific intent that he would die in the steadfast pursuance of that same will, and the fact that nothing could change that will. For it would be incapability more than capability, if he were to be capable of wishing to lie or to deceive or to change his will, having previously willed that it should be unalterable. Moreover, as I said earlier, when someone voluntarily plans to do some good thing, and afterwards, in accordance with the same will, completes what he planned, it is not right to say of him that he is doing what he is doing out of necessity, even though, supposing that he were unwilling to fulfil his promise, it would be possible for him to be compelled to do so. For one ought not to say that anything is being done, or not being done, out of necessity or incapability, when it is neither necessity nor incapability that is operative, but will. If, I say, this is so in the case of a human being, it is very much more the case that the terms ‘necessity’ and ‘incapability’ are not to be used at all with reference to God, who does nothing which is not his will, and whose will no force has the power to compel or prohibit. For, in the case of Christ, the difference between his natures and the unity of his person had the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for his divine nature to bring about what had to happen for the restoration of mankind, should his human nature not be capable of this, and for his human nature to show forth whatever was not at all appropriate for his divine nature. Moreover, it would not be a case of ‘this man . . .’ and ‘the other . . .’, but both would be himself, one and the same, and, being completely both human and divine, he would pay through his human nature the debt which human nature owed, and would be capable, through his divine nature, of what was expedient. Finally, the Virgin who was made clean through faith, so that he might be received from her, by no means believed that he was going to die for any reason other than that it was his will to do so, this being in accordance with the teaching of the prophet who said of him, ‘He was made a sacrifice, because he willed it’ [Isa. 53: 7 Vulg.]. Consequently, since her belief was true, it was a necessity that it would come about just as she believed. Now, if it troubles you once more that I am saying, ‘It was a necessity’, remember that the truth of the Virgin’s belief was not the cause of his dying voluntarily: rather the belief was true because his dying voluntarily was in the future to be an actuality. Hence, supposing it is said, ‘It was necessary that he should die only through his will, because prior belief or prophecy concerning it was true’: this is no different from saying that it was necessary for it to come about thus in the future, since it was going to come about thus. Moreover, this sort of ‘necessity’ does not compel something to be: rather, the existence of an actuality makes it a necessary fact. For there is a necessity which precedes, being the cause for an actuality’s existence, and there is a necessity which is consequent, being caused by an actuality. It is a case of a necessity which precedes and effects when the statement is made that ‘the sky revolves because it is a necessity that it should revolve’. It is a case of a necessity which is consequent and effects nothing but is itself caused when I say, ‘You are, of necessity, speaking’. This is because when I say this, what I mean is that nothing can bring it about that, while you are speaking, you are not speaking; I do not mean that something is compelling you to speak. For the violence of a natural state of affairs compels the sky to revolve, but there is no necessity which is causing you to speak. Now, wherever there exists antecedent necessity, consequent necessity also exists. But it is not the case that where there is consequent necessity, there immediately exists antecedent necessity. For we can say, ‘It is a necessity that the sky should turn, because it does turn’, but it is not similarly true to say, ‘You are speaking for the reason that it is a necessity for you to speak’. This consequent necessity occurs throughout the tenses, in this way. It is a necessity that whatever has been, has been. It is a necessity that whatever is, is. It is a necessity that whatever is, has been going to be. It is a necessity that everything that is going to be, is going to be. This is the necessity which, in Aristotle’s treatment of singular and future propositions,37 appears to deny the existence of alternatives and affirms that all things exist of necessity. Since the conviction and the prophecy about Christ—that he was going to die voluntarily and not out of necessity—were true, it was on the strength of this consequent, non-effectual necessity that it was necessary that it should be so. This was the necessity whereby he was made man; whereby he did and had done to him38 whatever he did and had done to him; whereby he willed whatever he willed. These things of necessity were, for the reason that they were going to be, and they were going to be because they were, and they were because they were. And if you want to know what the true necessity was behind all the things which he did and had done to him, know this: all these things of necessity were, because he himself so willed it. Indeed, no necessity is antecedent to his will. Hence, given that it was for no reason that these things were, other than that he willed it: if he had not so willed, they would not have been. In this way, therefore, no one took his life from him, but he himself laid it down and took it up again, because he had the ‘power to lay down his life and take it up again’, as he himself says [John 10: 18].

B. You have satisfied me that Christ cannot be proved to have undergone death out of any necessity, and I am not sorry that I was a nuisance to you, in order that you should do this.

A. We have made clear, I think, a definite logical explanation of how God raised up a man without sin out of sinful matter. I also think that one certainly must not deny there to be—apart from the consideration that God can do what human reasoning cannot comprehend—a logical explanation other than the one of which we have been speaking. But the explanation which I have given you seems sufficient to me, and also, if I were to wish to investigate another now, it would be necessary to look into what original sin is, and how it percolates through to the whole human race from our first ancestors, and it would be necessary to confront certain other questions which demand their own separate treatment. Let us be content, therefore, with the explanation of which we have been speaking, and

37 Cf. Aristotle, De Interpretatione, cited by Boethius, In De Interpretatione Aristotelis Vol. 1: 9.31–10.1 Meiser, PL 64, 333, meaning, approximately, ‘It is not the case, therefore, that anything exists or comes into being by chance, nor will it in future alternatively be or not be, but all things exist of necessity, and not as a matter of alternatives.’

38 Lat. passus est; alternative translation, ‘suffered’.

proceed to the remaining parts of the work which we have undertaken.

B. As you wish—but on condition that, with God’s help, you will some time, as if in repayment of a debt, explore that other reason which you are avoiding looking into now.

A. I do not refuse your request, since I am aware that I have a desire to undertake this. But because I am uncertain about future events, I do not dare to make a promise, but place the matter at God’s disposal.


18. How the life of Christ is recompense paid to God for the sins of mankind; and how Christ was obliged, and was not obliged, to suffer

In consequence of the question which you put forward at the beginning, many other questions have presented themselves. But say now what aspect of it seems to you in want of a complete solution.

B. The substance of the question was: why God became man, so that he might save mankind through his death, when it appears that he could have done this in another way. You have responded to this question with many cogent lines of reasoning, and have thereby shown that it was not right that the restoration of human nature should be left undone, and that it could not have been brought about unless man repaid what he owed to God. This debt was so large that, although no one but man owed it, only God was capable of repaying it, assuming that there should be a man identical with God. Hence it was a necessity that God should take man into the unity of his person, so that one who ought, by virtue of his nature, to make the repayment and was not capable of doing so, should be one who, by virtue of his person, was capable of it. Next,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man who was God had to be taken from a Virgin and from the person of the Son of God, you have also shown how he could have been taken sinless from out of sinful matter. You have furthermore proved that the life of this man is so sublime and so precious that it can suffice to repay the debt owed for the sins of the whole world, and infinitely more besides. It now remains, therefore, to show how his life is recompense for the sins of mankind.

A. If he allowed himself to be killed on account of his righteousness, did he not give his life for God’s honour?

B. If I can understand what I do not doubt, I will admit— although I do not see how he was acting rationally in doing this, seeing that he could have upheld righteousness unswervingly and could have preserved his life eternally—that he voluntarily gave to God, for his honour, some gift of the sort with which all that is not God cannot be compared, but which can be given as recompense for the debts of all mankind.

A. When Christ endured with kindly patience the sufferings— injuries and insults and death on the cross along with robbers— which were inflicted on him because of the righteousness which, as we have said earlier, he was obediently maintaining, he set an example to mankind, the purpose of which was that people should not turn aside, without the provocation of any perceptible discomforts, from the righteousness which they owe to God. He would certainly not have been setting this example if he had taken advantage of his power and turned aside from the death which, for such a reason, was being inflicted on him. Do you not understand this?

B. It does not seem that it was a matter of any necessity that he should personally have set this example, seeing that many people before his coming, and John the Baptist after his coming but before his death, are recognized to have done this adequately by enduring death bravely for the sake of the truth.

A. No member of the human race except Christ ever gave to God, by dying, anything which that person was not at some time going to lose as a matter of necessity. Nor did anyone ever pay a debt to God which he did not owe. But Christ of his own accord gave to his Father what he was never going to lose as a matter of necessity, and he paid, on behalf of sinners, a debt which he did not owe. In view of this, he was all the more setting an example, the purpose of this being that people would not, when there was a compelling reason, have doubts about giving to God something which each of them was some time before long to lose. He was in no way needy on his own account, or subject to compulsion from others, to whom he owed nothing, unless it was punishment that he owed them. Nevertheless, he gave his life, so precious; no, his very self; he gave his person—think of it—in all its greatness, in an act of his own, supremely great, volition.

B. You are approaching very close to my heart’s desire. But be so patient as to allow me to ask a question which you may perhaps think me foolish to ask but to which it is not immediately obvious how I would reply, if I were to be asked it. You say that, when Christ died, he gave something which he did not owe. But no one will deny that, when he set this example in the way he did, he acted in a better way, and one more pleasing to God, than if he had not done this. And no one will say that he ought not to do something which he understood to be the better option and more pleasing to God. How, therefore, are we to assert that he did not owe to God what he did—namely, what he knew to be better and more pleasing to God—especially since a creature owes to God all that it is, and all that it knows and is capable of ?

A. Although a creature possesses nothing of itself, none the less, when God gives it leave to do or not to do something with his permission, he is granting it the gift of having two options, under such terms that, although one option may be better, neither is definitely demanded. Instead, whether the creature does what is better, or the alternative, it is said that what it is doing is what it ought to do. Moreover, if it does what is better, it has a reward, because it is giving of its own accord what is its own. For instance, although virginity is better than marriage, neither is definitely demanded from a human being. Rather, it is said of a person who prefers to marry, and of one who prefers to preserve virginity, that this is what he ought to do. For no one says that a person ought not to choose virginity, or marriage. Rather, we say that what a person prefers, before choosing one of these options, he ought to do. And if he preserves his virginity, he looks forward to a reward for the voluntary gift which he is offering to God. When, therefore, you say that a creature owes to God what it knows is better and what it is capable of, this is not invariably true—not if you interpret the action as a matter of indebtedness, and do not read into your statement the unstated implication, ‘If God commands it’. For indeed, as I have said, a person does not owe virginity as a debt. Rather, he ought to marry, if this is his preference. But if the word ‘ought’ perturbs you and you cannot conceive of a meaning for it without any sense of ‘owing’, take note of the fact that, just as the words ‘can’ and ‘cannot’ and ‘necessity’ are sometimes uttered not because they apply to the subjects of the utterance in which they occur, but because they apply to something else, so it is with ‘ought’. For instance, when we say that the poor ‘ought’ to receive alms from the rich, this is no different from saying that the rich ‘ought’ to give alms to the poor. For the debt owed here is not something to be exacted from a poor person, but from a rich one. It is said of God too that he ‘ought’ to be pre-eminent over all things, not because he is in this respect in any sense a debtor, but because all things ‘ought’ to be subordinate to him. It is said of him that he ‘ought’ to do what is his will, since that which is his will ought to be. Thus, when some creature wishes to do something which it is its own prerogative to do or not to do, the reason why the expression ‘ought to do’ is used is that what it wishes ought to be. When, therefore, it was the will of the Lord Jesus, as we have said, to endure death, in view of the fact that it was his prerogative to suffer or not to suffer, the reason why he ‘ought’ then to do what he did was that what he wished ought to be. His action was not something that he owed, because it was not a matter of indebtedness. Indeed he is both God and man, so consequently, where his human nature was concerned, from the time when he became human, he received from his divine nature—which is different from human nature—the circumstance that whatever he had was his own. As a result, there was nothing which he ‘ought’ to give, except what he wished. But, where his person was concerned, he had what he had from himself, and thus was perfectly self-sufficient, and, as a result, neither owed recompense to anyone, nor needed to give recompense to himself.

B. I see plainly now that, contrary to what my reasoning seemed to indicate, there was no logical reason why it was as a result of an obligation owed that Christ gave himself up to death for the sake of God’s honour—and that, nevertheless, what he did was something which he ‘ought’ to do.

A. That honour, to be sure, belongs to the whole of the Trinity. It follows that because Christ himself is God, the Son of God, the offering he made of himself was to his own honour as well as to the Father and the Holy Spirit; that is, he offered up his humanity to his divinity, the one selfsame divinity which belongs to the three persons. However, so that we may express our meaning more clearly, while remaining steadfast in the same truth, let us say, as customary usage has it, that the Son voluntarily offered himself to the Father. For it is most appropriate to speak in this way, because, in referring to the one person, one understands the whole God to whom Christ offered himself as a human being. Moreover, through the naming of Father and Son, a feeling of immense pious devotion is aroused in the hearts of listeners, since the Son is said in this way to be making supplication to the Father on our behalf.

B. I accept this most gladly.


19. With what very great logicality the salvation of mankind follows from his death

A. Let us contemplate now, as far as we are able, with what very great logicality human salvation follows from his death.

B. This is the direction towards which my heart inclines. For, although it seems to me that I understand this, I none the less want the structure of the logic to be worked out by you.

A. There is no need, however, to expound what a great gift it is that the Son voluntarily gave.

B. That is sufficiently clear.

A. Moreover, it will not be your judgement that someone who gives such a great gift to God ought to go without recompense.

B. No. I see that it is necessary that the Father should compensate the Son. Otherwise, he would seem unjust if he lacked the will, and powerless if he lacked the ability, to do so; both of which qualities are foreign to God.

A. Someone who gives recompense to another either gives what that person does not have or excuses what cannot be exacted from him. But before the Son performed his supremely great action, all things which belonged to the Father belonged to him, and he had no debt which he could be excused. What compensation is to be given, therefore, to someone who lacks nothing and to whom nothing can be given or excused?

B. On the one hand, I see the necessity for compensation and, on the other, its impossibility. For it is both necessary for God to give what he owes, and there is nothing for him to give as recompense.

A. If a reward, supremely great and supremely well-merited, is not given to him or to anyone else, the Son will seem to have done his supremely great act to no purpose.

B. It is an abomination to countenance this idea.

A. It is inevitable, therefore, that, because it cannot be given to him, it must be given to someone else.

B. This follows inevitably.

A. Supposing the Son wished that what was owed to him should be given to someone else, could the Father have justly prevented him, or denied the gift to the intended recipient?

B. No. I appreciate that it is both just and necessary that it should be handed over as recompense by the Father to the recipient to whom the Son wished to give it. This is for two reasons: it is permissible for the Son to give what is his own, and it is only to someone else that the Father can give what he owes.

A. On whom is it more appropriate for him to bestow the reward and recompense for his death than on those for whose salvation, as the logic of truth teaches us, he made himself a man, and for whom, as we have said, he set an example, by his death, of dying for the sake of righteousness? For they will be imitators of him in vain, if they are not to be sharers in his reward. Again, whom is he with greater justice to make heirs of the recompense due to him, and of the overflowing of his bounty, than those who are parents and brothers to him, whom he sees, bound by so many and such enormous debts, wasting away with deprivation in the depths of misery? The debt that they owe for their sins would, as a result, be excused and they would be given what, because of their sins, they are deprived of.

B. There can be nothing more logical, nothing sweeter, nothing more desirable that the world can hear. I indeed derive such confidence from this that I cannot now express in words with what joy my heart is rejoicing. For it seems to me that God rejects no member of the human race who approaches him on this authority.

A. So it is, if he makes the approach in the way that he should. Moreover, how one should approach the state of sharing in this grace, and how one should live once subject to that state, is something which Holy Scripture teaches, based as it is on the solid truth into which, with God’s help, we have to some extent gained an insight, truth which is, as it were, a firm foundation.

B. Truly, whatever is built upon this foundation is founded on firm rock.

A. I think I have now gone some little way towards a satisfactory reply to your question, although someone better than I could do it more fully, and there are more, and greater, reasons for this thing than my intellect, or any mortal intellect, can comprehend. It is clear also that God in no way had a need which required him to perform the action of which we have been speaking: rather, it was unchangeable truth that demanded that this be so. For, granted that this was the action of the man of whom we have spoken and that it may be said that God did it, in view of the unity of his person, it is nevertheless not the case that God needed to come down from heaven to conquer the devil, or to take action against him in order to set mankind free. Rather, God demanded it of man that he should defeat the devil and should pay recompense by means of righteousness, having previously offended God through sin. Certainly God did not owe the devil anything but punishment, nor did man owe him anything but retribution—to defeat in return him by whom he had been defeated. But, whatever was demanded from man, his debt was to God, not to the devil.


20. How great and just the mercy of God is

Now, the mercy of God which, when we were considering the justice of God and the sin of mankind, seemed to you to be dead,39 we have found to be so great, and so consonant with justice, that a greater and juster mercy cannot be imagined. What, indeed, can be conceived of more merciful than that God the Father should say to a sinner condemned to eternal torments and lacking any means of redeeming himself, ‘Take my only-begotten Son and give him on your behalf ’, and that the Son himself should say, ‘Take me and redeem yourself ’. For it is something of this sort that they say when they call us and draw us towards the Christian faith. What also could be juster than that the one to whom is given a reward greater than any debt should absolve all debt, if it is presented with the feeling that is due?


21. That it is impossible for the devil to receive reconciliation

As for the reconciling of the devil about which you asked,40 you will understand this to be impossible if you carefully consider the reconciling of mankind. For just as man could not be reconciled except by a man-God who was capable of dying, through whose righteousness what God lost through the sin of mankind might be restored, likewise the condemned angels cannot be saved except by an angel-

39 Cf. 1.25 above.
40 Cf. 1.17.

God who would be capable of dying and who would restore by his righteousness what the sins of the others have stolen. Moreover, just as it was not right that man should be restored by another man who was not of the same race, even if he were of the same nature, similarly it is not right that an angel should be saved by another angel, even if he were of the same nature, since angels are not of one race as human beings are. For angels are not all descended from one angel in the same way that human beings are descended from one man. Another thing which rules out their restoration is that, just as they fell without having as the cause of their fall injury from anyone else, similarly they ought to rise once more without the assistance of anyone else—and this is impossible for them. For there is no other way in which they can be restored to the dignity which they were to have possessed, since, supposing they had not sinned, they would have been remaining steadfast in the truth without anyone else’s assistance, through power which they had received as their own. Consequently, if anyone advances the opinion that our Saviour’s redemption ought at some time to be extended to them, it is proved by logic that he is being deceived contrary to logic. I do not say this on the supposition that the value of the death of Christ does not outweigh in its magnitude all the sins of mankind and of the angels, but because unalterable logic opposes the granting of relief to the fallen angels.


22. That by the things which have been said, the truth of the Old Testament and the New has been proved

B. All the things which you say seem to me logical and incontrovertible. And my understanding is that, through the solution given to the single problem which we set ourselves, all that is contained in the New Testament and the Old has been proved. For you prove that it is a matter of necessity for God to become man, and you do so in such a way that, even if one were to remove the few things posited by you that come from books of ours, such as the material you have touched upon with regard to the three persons of God and with regard to Adam—you would be providing something which would satisfy not only Jews, but even pagans. The God-Man himself it is who establishes the New Testament and confirms the Old. Therefore, in the same way that it is a necessity to acknowledge that the God-Man is truthful, likewise no one can fail to acknowledge that all that is contained in those Testaments is true.

A. If we have said anything that ought to be corrected, I do not refuse correction. But if it is corroborated by the Testimony of Truth, as we think we have by means of logic discovered, we ought to attribute this not to ourselves but to God, who is blessed throughout all ages. Amen.

-작성중-

  1. 34 For non assumet here (Schmitt, 112:23) perhaps we should read non assumetur. [본문으로]
  2. 35 The text here raises suspicions: one would expect to read ‘his life’ rather than ‘he’, and it may be we should indeed read conjecturally: Quantum bonum tibi videtur cuius interemptio tam mala est. [본문으로]
  3. 36 Or ‘it’, if we have read , ‘his life’. [본문으로]

1. 일단 Brian Davies랑 G. R. Evans 번역부터.

1. That man was created righteous so that he might be blessedly happy
   인간이 지복을 누리도록 정의롭게 창조되었다는 것


A. It ought not to be doubted that the nature of rational beings[각주:1] was created by God righteous[각주:2] in order that, through rejoicing in him, it might be blessedly happy. For the reason why it is rational is in order that it may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and between the greater good and the lesser good. Otherwise it was created rational to no purpose. But God did not make it rational to no purpose. On the basis of similar logic there is proof that rational nature received the power of discrimination in order that it might hate and avoid what is bad, and love and choose the good, and, moreover, love and choose, for preference, the greater good. For otherwise it would have been to no purpose that God had given it that power of discrimination, if no love resulted from the discriminating, and no avoidance. But it is not fitting that God should have given such an important power to no purpose. It is a certainty, therefore, that rational nature was created to the end that it should love and choose, above all, the highest good, and that it should do this, not because of something else, but because of the highest good itself. For if the loving were for the sake of something else, it would have as its object not the highest good itself but the other thing. But loving the highest good is something which rational nature cannot do unless it is righteous. In order, therefore, that its rationality should not be purposeless, it was simultaneously created rational and righteous. Now, it was created with these characteristics—if it was created for the purpose of choosing and loving the highest good—either so that it should attain to what it was loving and choosing, or, alternatively, so that it would not. But if it is not the case that rational nature has been created righteous in order that some day it may attain to what it loves and chooses, it has been created with this characteristic to no purpose, as a result loving and choosing the highest good without there being any reason why it will ever be its due to attain to it. For so long, then, as it performs righteous acts, loving and choosing the highest good—the purpose for which it was created—it will be miserable, because it will be in need against its will, not having what it yearns for. This is an extreme absurdity. Hence rational nature was created righteous to the end that it might be made happy by rejoicing in the highest good, that is, in God. Man, being rational by nature, was created righteous to the end that, through rejoicing in God, he might be blessedly happy.
안 : 이성적 존재자들의 본성이 신에 의해서, 신 안에서 기뻐함을 통하여, 지복을 누리도록 창조되었다는 것은 의심하지 않아야 한다. 왜냐하면 그 본성이 이성적인 이유가 올바름과 그릇됨을, 그리고 더 큰 선과 더 적은 선을 구분하도록 하기 위함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달리 어떤 목적을 위해서도 창조된 것이 아니다. 하지만 신은 목적 없이 그 본성을 만들지 않았다. 비슷한 논리에 기초하여 이성적 본성은 악을 미워하고 피하도록, 그리고 선을 사랑하고 선택하도록 하기 위해, 그리고, 더 나아가, 선호에 대하여, 더 큰 선을 사랑하고 택하도록 하기 위해 분별의 능력을 받았다는 증명이 있다. 왜냐하면 다른 식으로는 신이 그 본성에 분별력을 주었다는 것이 아무 목적도 없는 일일 테니, 만일 그 분별로부터 아무런 사랑도, 아무런 기피도 귀결하지 않는다면. 하지만 신이 그런 중요한 능력을 아무 목적 없이 줘야 했으리란 것은 어울리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성적 본성이 무엇보다도 최상의 선을 사랑하고 택하도록 하는 목적으로 창조되었다는 것, 그리고 그 본성은 이 일을 다른 어떤 것 때문이 아니라 최상의 선 자체로 인해 행해야 한다는 것은 확실하다. 하지만 최상의 선을 사랑하는 일은 이성적 본성이 정의롭지 않는 한 행할 수 없는 어떤 것이다. 그러므로 그 본성의 이성이 맹목적이어서는 안 되겠기에, 그 본성은 이성적인 동시에 정의롭게 창조되었다. 이제, 그 본성은 이런 특성들과 더불어 창조되었다 - 만일 그 본성이 최상의 선을 사랑하고 택하는 것을 목적으로 창조되었다면 - 그리하여 그가 사랑하고 택하는 그것을 얻도록, 혹은, 대신에, 그러지 못하도록. 하지만 만일 이성적 본성이 언젠가 그 본성이 사랑하고 택하는 것을 얻도록 정의롭게 창조되었던 것이 아니라면, 그 본성은 아무 목적 없이 이러한 성격과 더불어 창조되었다, 그것을 얻어야 할 이유가 될 것도 없이 최상의 선을 사랑하고 택한다는 일의 결과로. 그래서 그 본성이 정의로운 행위들을 수행하는 한, 최상의 선을 사랑하고 택함으로써 - 그 본성이 창조된 목적 - 그 본성은 비참해지는데, 그 본성이 그 의지에 반하여 결핍에 처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것이 갈구하는 바를 지니지 못함으로써. 이것은 지극히 부조리하다. 따라서 이성적 본성은 최사의 선, 즉 신 안에서 기뻐함으로써 지복을 누리게 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정의롭게 창조되었다. 본성에 의해 이성적인 존재인 인간은 신 안에서의 기쁨을 통하여 지복을 누리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정의롭게 창조되었다.


2. That he would not die if he had not sinned
 그는 죄를 짓지 않았더라면 죽지 않았을 것이다.


Furthermore, because man was created with this characteristic in order that he should not inevitably die, it is easily proved on this basis that, as we have already said, it is repugnant to the wisdom and justice of God that he should force him, if guiltless, to suffer death, having made him righteous for the purpose of eternal happiness. It follows, therefore, that if he had never sinned, he would never die.
더 나아가, 인간이 이런 성격과 더불어 불가피하게 죽어야 하는 것은 아니게끔 창조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배경에서, 우리가 이미 이야기했던 것처럼, 신의 지혜와 정의에 대해 그가 인간으로 하여금, 그가 죄가 없을 경우, 죽음을 겪도록 강제하리란 것, 영원한 지복의 목적으로 그를 정의롭게 만들면서도 그랬다는 것은 혐오스러운 일임이 쉽사리 증명된다. 그러므로 만일 그가 결코 죄 지은 일이 없었다면, 그는 결코 죽지 않았으리란 점이 귀결한다.

3. That he rises with the body in which he lives in this life
그는 이 삶에서 그가 살던 그 육신과 더불어 일어서리라는 것


Hence there is proof that there is to be at some time a resurrection of the dead. For if man is to be restored in perfection, he ought to be reconstituted as the sort of being he would have been if he had not sinned.
따라서 언젠가 죽은 자들의 부활이 있으리란 것의 증명이 있다. 만일 인간이 완전한 채로 복원될 것이라면, 그는 그가 죄를 짓지 않았더라면 그러하였을 그런 종류의 존재로서 재구성되어야 한다.

B. It cannot be otherwise.
달리 될 수는 없다.

A. In the same way, therefore, that if man had not sinned, he would have been bound to undergo change into incorruptibility, likewise it is right that, when in the future he is restored, he will be restored in the body in which he lives in this life.
그러므로 같은 방식으로, 만일 인간이 죄를 짓지 않았더라면, 그는 불후성으로의 전환을 겪도록 되어 있었을 것이고, 같은 방식으로, 미래에 그가 복원될 때, 그는 그가 이 삶을 살아가는 그 육체 안에서 복원될 것이라는 점은 옳다.

B. What are we to answer, if someone should say that it is right that this should happen in the case of those in whom the human race is to be restored, but that it is not necessary where the wicked are concerned?
만일 누군가 이런 일이 복원될 그런 인간종의 경우에는 일어나야 하는 게 맞다고, 하지만 악한들이 관련된 경우에는 필연적이지 않다고 말한다면, 우리가 답할 바는 무엇인가?

A. Nothing more just or appropriate can be conceived of than that, just as a human being, if he had persevered in righteousness, would have enjoyed eternal blessedness as an entirety, that is, with soul and body, similarly, if he perseveres in unrighteousness, he should, as an entirety, be eternally miserable.
바로 인간종으로서, 만일 그가 정의로움 안에서 존속하였다면, 전체로서, 즉 영혼과 육신을 가지고 영원한 지복을 향유하였을 것인 바와 마찬가지로, 만일 그가 부정의 안에서 존속하였다면, 전체로서 영원히 비참하였을 것이라는 것보다 더 정의롭거나 적절하다고 인정될 수 있는 아무것도 없다.

B. You have not taken long to satisfy me about these matters.
이 문제들에 대해 내게 만족할 만큼 길게 다루지 않았다.


4. That, with regard to the nature of mankind, God will bring to completion what he has begun
인류의 본성을 고려하여, 신은 그가 시작한 일을 완성하리란 것


A. On the basis of these considerations it is easy to recognize, that with regard to the nature of mankind, there are two alternatives: either God will complete what he has begun, or it was to no avail that he created this life-form[각주:3]—so sublime a life-form, and with such great good as its purpose. But, if it is recognized that God has made nothing more precious than rational nature, whose intended purpose is that it should rejoice in him, it is totally foreign to him to allow any rational type of creature to perish utterly.
이런 고찰들을 기초로, 인류의 본성을 고려하여, 두 가지 대안들이 있다는 것은 알아차리기 쉬운 것이다: 신이 그가 시작한 일을 완결짓거나, 아니면 그가 이 삶의 형식 - 그렇게나 절묘한 삶의 형식, 그리고 그렇게나 커다란 선을 그 목적으로 가진 - 을 만들었던 것이 아무 쓸모도 없는 일이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만일 신이, 그가 의도한 목적이 그 본성이 신 안에서 기뻐하게 되는 것인 그 신이, 이성적 본성보다 더 귀중한 다른 어떤 것도 만들지 않았다는 점을 인정한다면, 어떤 종류의 이성적 피조물이든 완전히 소멸하는 것을 허용함이 그에게 전적으로 이질적이다.

B. A heart that is rational cannot think otherwise.
합리적 심장은 달리 생각할 수 없다.

A. It is necessary, therefore, that, with regard to the nature of mankind, God should finish what he has begun. However, this cannot be done, as we have said, except through the paying of complete recompense for sin, something which no sinner can bring about.
그러므로 인류의 본성을 고려하면, 신이 그가 시작한 일을 끝마치리란 것은 필연적이다. 그렇지만, 우리가 말했듯, 이 일은 죄에 대한 완결된 보상을 지불함을 통해서가 아니라면 행해질 수 없다, 그 어떤 죄인도 야기할 수 없는 그런 어떤 것(선행사가 the paying이야 this야?)

B. I understand now that it is necessary that God should accomplish what he has begun, in order that he may not appear, unfittingly, to be failing in his undertaking.
난 이제 신이 그가 시작했던 일을 완성하리란 게 필연적임을 이해한다, 신이 어울리지 않게 그가 맡은 일에 실패하는 것으로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5. That, although it is a matter of necessity that this should happen, it will not be under compulsion of necessity that he will do this; that, moreover, there is a necessity which removes or diminishes graciousness and a necessity which increases it
이 일이 일어나리란 것이 필연적인 일이라 할지라도, 그가 이 일을 해내리란 것이 필연의 강제 아래 있지는 않으리란 것; 즉, 더 나아가, 영광을 제거하거나 약화시키는 필연성과 그것을 증대시키는 필연성이 있다는 것.


But if this is so, God seems, as it were, to be forced to bring about the salvation of mankind by the necessity for avoiding unfittingness. How can it be denied, therefore, that he is taking this action for his own sake rather than ours? Again, if this is the case, what gratitude[각주:4] do we owe him for this thing which he is doing for his own sake? Furthermore, how is it that we are to attribute our salvation to his grace, if it is of necessity that he saves us?
하지만 만일 이 일이 그렇다면, 신은 마치 부적절함을 피하기 위한 필연에 의해 인류 구원을 일으키도록 강제받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므로 그가 이 행위를 우리보다도 그 자신 때문에 취하고 있다는 걸 어떻게 부정할 수 있는가? 다시, 만일 이게 사실이라면, 그가 그 자신을 위해 하고 있는 이 일을 위해 우리가 그에게 줘야 할 감사가 무엇인가? 더 나아가, 어떻게 우리의 구원을 신의 은혜로 돌리게 되는가, 만일 그가 우릴 구원하는 것이 필연에 속한다면?

A. There is a necessity which removes graciousness from someone who is acting beneficently, or diminishes it, and there is a necessity whereby the debt of gratitude owed for a benefaction is increased. For when someone acts beneficently against his will due to the unavoidable force of circumstances to which he is subject, he is owed either no gratitude or less gratitude. When, on the other hand, he subjects himself freely to a force which inevitably requires him to do good, and is not reluctant to endure it, then he certainly deserves greater gratitude for his good deed. Now, this action is not to be called an act of necessity but an act of grace, because it is under no one’s compulsion that he undertakes it and carries it out, but freely. For, suppose you promise today that you will give a present tomorrow and tomorrow make the gift of your own free will: even though it is a matter of necessity for you to keep your promise, if you can—otherwise you will be a liar—the person to whom you are making the gift is no less indebted to you than if you had not made the promise, because you did not hesitate to make yourself his debtor before presenting the gift. A comparable case is when someone of his own free will makes a vow about holy living. It is true that he is of necessity under an obligation to keep the vow after he has made it, in order that he may not incur the condemnation due to an apostate; it is true, also, that he can be forced to keep it, supposing he does not wish to.
유익하게 행위하는 누군가로부터 영광을 제거하거나 혹은 그 영광을 약화시키는 필연성이 있고, 자선에 대해 갚아야 할 감사의 빚이 증대되는 그런 필연성이 있다. 누군가 그의 의지에 반하여 그가 지배받는 상황의 불가피한 강제 탓으로 유익하게 행위할 때, 그는 전혀 감사받지 않아야 하거나 덜 감사받아야 한다. 반면에 그가 불가피하게 선을 행하도록 요구하는 강제로부터 자유롭게 그 자신을 지배할 때, 그리고 그 일을 감내하기를 내키지 않아 하지 않을 때, 그러면 그가 확실히 그의 선행에 대해 더 큰 감사를 받을 만하다. 이제, 이런 행위는 필연에 속한 행위로 불려야 하는 것이 아니라, 은혜에 속한 행위로 불려야 하는데, 그 행위는 그가 그 행위를 떠맏고 또 수행하도록 하는 누구의 강제 하에도 있지 않고 자유롭기 때문이다. 당신이 내일 선물을 주겠노라고 오늘 약속하고 내일 당신 자신의 자유로운 의지로 선물을 만든다고 가정해 보자: 당신이 당신의 약속을 지키는 것이 필연의 문제라 할지라도, 만일 당신이 그럴 수 있다면 - 다른 식으로는 당신이 거짓말쟁이가 될 것이다 - 당신이 그에게 줄 선물을 만들고 있는 그 사람은 당신이 그 약속을 하지 않았다면 그러했을 것보다 당신에게 조금도 덜 고마워하지 않는다, 당신 자신을 그 선물을 하기 전까지 그 사람에 대한 채무자로 만들기를 주저하지 않았기 때문에. 비견할 만한 경우는 누군가 그의 자유로운 의지로 경건한 삶에 대한 맹세를 하게 될 경우이다. 그는 그가 맹세한 이후로 그 맹세를 지킬 의무 하에 필연에 속해 있다는 건 참이다, 변절자(배교자)라는 이유로 비난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또한 그가 바라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그 맹세를 지키도록 강제받을 수 있다는 것도 참이다.
But even so, if he keeps his vow willingly, he is not less, but more, pleasing to God than if he had not made the vow, since what he has renounced for the sake of God is not only life in ordinary society[각주:5] but permission to participate in it. Moreover, it is not right to say of him that he is living a holy life as a matter of necessity, but in freedom, rather—the same freedom in which he made his vow. Consequently, despite the fact that it is not fitting for God to fail to bring to completion a good beginning, we ought all the more to attribute it entirely to his grace if he completes the act of beneficence towards mankind which he has begun, seeing that he has begun it for our sake, not for his own, being himself in need of nothing. For it was no secret to God what man was going to do, when he created him, and yet, by his own goodness in creating him, he put himself under an obligation to bring his good beginning to fulfilment. Ultimately, God does nothing under compulsion of necessity—because he is in no way forced to do, or prohibited from doing, anything. And when we say that God is performing some action as if out of a necessary obligation to avoid what is dishonourable—something of which he certainly has no fear—what we should understand, rather, is that he is acting thus out of a necessary obligation to uphold what is honourable. The necessity to which I am referring is plainly nothing other than the unchangeability of God’s honour, which he possesses of himself, and from no one apart from himself. For this reason, ‘necessity’ is a misnomer. Let us say, nevertheless, that it is a necessity that the goodness of God should bring to completion what it has begun with respect to mankind, because of his unchangeability, although the whole of what he does is grace.
허나 그렇긴 해도, 만일 그가 그의 맹세를 자진하여 지킨다면, 만일 그가 맹세를 하지 않았다면 그러했을 것보다 덜 신을 기쁘게 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더욱 기쁘게 한다, 그가 신을 위하여 단념하였던 것은 단지 세속에서의 삶만이 아니라, 그 삶에 참여함에 대한 허용까지이므로. 더욱이, 그에 대해 그가 필연의 문제로 경건한 삶을 살고 있다고 말하는 것은 옳지 않고, 자유 속에서, 오히려 - 그가 그 안에서 그의 맹세를 하였던 것과 동일한 자유 안에서 그렇다고 말하는 게 옳다. 결론적으로, 선한 시작을 완성시키지 못함이 신에 대해 적절하지 않다는 것이 사실임에도, 우리는 만일 신이 그가 시작한 인류에 대한 유익한 행위를 완수한다면 그 일을 전적으로 더욱 더 그의 은혜로 돌려야 하는데, 그가 우리를 위해 그 일을 시작하였고, 스스로 어떤 결핍도 없는 그 자신을 위해서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신이 인간을 창조했을 때 인간이 무엇을 하게 될 것인지는 신에게 비밀이 아니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을 창조함에 있어서 신 자신의 선에 의하여, 신은 자신을 그의 선한 시작이 충족되도록 할 책임 하에 두었기 때문이다. 궁극적으로, 신은 아무것도 필연의 강제 하에 행하지 않는다 - 그는 어떤 식으로도 그 어떤 것도 행하도록 강제받거나 행함으로부터 금지당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우리가 신이 어떤 일을 마치 불명예일 수 있는 어떤 것을 피할 필연적 의무로부터인 것처럼 수행하고 있다고 말할 때 - 그 일에 대해 신이 확실히 아무런 두려움도 없는 - 우리가 이해해야 하는 바는, 오히려, 신이 명예로울 일을 유지하는 필연적 의무로부터 행위하고 있다는 것이다. 내가 언급하고 있는 필연성은 분명히 신의 영광의 불변성, 그가 그 자신의 것으로 지니는 불변성, 그리고 그 자신 외에 그 어떤 것으로부터도 나오지 않는 그 불변성 외에 다른 아무것도 아니다. 이런 이유로, '필연성'은 잘못된 이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의 선이 그 선이 인류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시작했던 일의 완성을 이루어야 한다고, 그의 불변성 때문에, 그가 행하는 모든 일이 은혜로울지라도 그렇다고 말하기로 하자.

B. You have my leave to say so.
난 당신이 그리 말하도록 허락한다.


6. That no one is capable of bringing about the recompense by which mankind may be saved except someone who is God and man
신이면서 인간인 누군가를 제외하고 누구 하나 그로써 인류가 구원될 보상을 일으킬 능력이 없다는 것


A. But this cannot come about unless there should be someone who would make a payment to God greater than everything that exists apart from God.
그러나 이 일은 신 외에 존재하는 모든 것보다 더 큰 것을 신에게 보상할 누군가가 있지 않는 한 일어날 수 없다.

B. That is agreed.
그건 동의되었다.

A. It is also a necessity that someone who can give to God from his own property something which exceeds everything which is inferior to God, must himself be superior to everything that exists apart from God.
또한 신에게 미치지 못하는 모든 것을 넘어서는 뭔가를 그 자신의 소유로부터 신에게 줄 수 있는 누군가는, 그 자신이 신 외에 존재하는 모든 것에 대해 넘어서는 자여야만 한다는 것은 필연적이다.

B. I cannot deny it.
부정할 수 없다.

A. Now, there is nothing superior to all that exists which is not God—except God.
이제, 신을 제외하고는, 신 아닌 존재하는 모든 것을 넘어서는 아무것도 없다.

B. That follows.
귀결된다.

A. But the obligation rests with man, and no one else, to make the payment referred to. Otherwise mankind is not making recompense.
하지만 언급된 죗값을 치르는 의무는 다른 누구도 아닌 인간 책임이다. 다른 식으로 인류는 보상을 이룰 수 없다.

B. This seems pre-eminently just.
특히나 정의로워 보인다.

A. If, therefore, as is agreed, it is necessary that the heavenly city should have its full complement made up by members of the human race, and this cannot be the case if the recompense of which we have spoken is not paid, which no one can pay except God, and no one ought to pay except man: it is necessary that a God-Man should pay it.
그러므로 만일 동의된 바대로 천국이 인간 종의 수로 채워진 완전수를 지님이 필연적이라면, 그리고 만일 우리가 말했던, 신 외에 그 누구도 갚을 수 없는, 인간 외에 그 누구도 갚아야 하는 게 아닌 그 보상이 지불되지 않는다면 이 일이 불가능하다면: 신-인간이 그걸 갚아야 함이 필연적이다.

B. Blessed be God! Now we have made a great discovery relating to the object of our search. Continue, therefore, as you have begun. For I have hope that God will help us.
신 만세. 이제 우리는 우리 탐구의 목표에 관련된 대단한 발견을 해냈다. 그러니까 시작했던 것처럼 계속해라. 나는 신이 우릴 도울 거라는 희망을 가진다.


7. That it is necessary for one and the same person to be perfect God and perfect man
동일한 하나의 인격이 완전한 신이자 완전한 인간임이 필연적이라는 것

A. What we now have to investigate is how it is possible for a God-Man to exist. For it is not the case that divine nature and human nature are mutually interchangeable so that divine nature may become human or human, divine; nor can the two be mixed so that some third nature might arise from them, a nature which would not be divine—not at all—and not human either. To sum up, if it were possible for one nature to be changed into another, the result would be someone who would either be God and not man, or man and not God. Alternatively, if they were mixed so that a third nature was produced as the consequence of intercontamination of the two natures,[각주:6] the result would be neither man nor God. We may compare how the issue of two individual animals, male and female, of different species, is a third type of animal, which preserves neither the nature of its father nor that of its mother in its entirety, but has a third nature which is a mixture of both. The God-Man who is the object of our quest cannot, therefore, come into existence out of divine and human nature, or out of the changing of one into the other, or a contaminating mixture of the two resulting in a third nature. For these things cannot happen, or, supposing they were possibilities, they would not have the power to effect the outcome at which our enquiries are directed.
지금 우리가 탐구하고 있는 것은 신-인간이 존재하는 게 어떻게 가능한지이다. 신성과 인성이 상호 전환가능하여 신성이 인성이 되거나 인성이 신성이 된다는 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 둘이 섞일 수 있어서 신성도 아닐-전혀 아닐- 그리고 인성도 아닐 제 3의 어떤 본성이 그것들로부터 생겨날 수도 없다. 요컨데, 만일 한 본성이 다른 것으로 변화되는 일이 가능하다면, 결론으로 신이면서 인간은 아니거나, 인간이면서 신은 아닌 누군가가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만일 그것들이 섞여서 그 두 본성들의 상호-오염의 결과로 제 3의 본성이 산출된다면, 그 결과는 인간도 신도 아닐 것이다. 우리는 상이한 종들에 속하는 개별적 두 동물들 수컷과 암컷의 문제에 비교할 것이다, 어떻게 제 3 유형의 동물, 그 부계나 모계의 전체로서의 본성을 어느 쪽도 유지하지 않는 동물이, 허나 그 양자가 뒤섞인 제 3의 본성을 가지는지. 그러므로 우리의 목표인 신-인간은 신성과 인성으로부터 현존하게될 수 없거나,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의 변화로부터, 아니면 제 3의 본성으로 귀결하는 그 둘의 오염시키는 뒤섞음으로부터 나온다. 이런 것들은 일어날 수 없거나, 가능하다고 가정하면, 우리의 조사가 향하는 결과를 산출할 능력을 가지지 않을 것이다.
If, furthermore, these two natures, as wholes, are said to be somehow conjoined to a limited extent whereby man and God are distinct from one another and not one and the same, it is impossible that both should bring about what it is necessary should happen. For God will not do it because it will not be his obligation to do it, and a man will not do it because he will not be able to. In order, therefore, that a God-Man should bring about what is necessary, it is essential that the same one person who will make the recompense should be perfect God and perfect man. For he cannot do this if he is not true God, and he has no obligation to do so if he is not a true man. Given, therefore, that it is necessary for a God-Man to be found in whom the wholeness of both natures is kept intact, it is no less necessary for these two natures to combine, as wholes, in one person, in the same way as the body and the rational soul coalesce into one human being. For otherwise it cannot come about that one and the same person may be perfect God and perfect man.
더욱이, 만일 이런 두 본성들이, 전체인 것들로서, 어떤 식으로 그로써 신과 인간이 하나가 다른 하나로부터 구별되고 하나이며 동일한 것이 아니게 되는 제한된 정도로 결합되는 것으로 이야기된다면, 그 양자가 필연적으로 일어나야 하는 것을 야기시키리란 것은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신은 그 일을 행함이 그의 의무가 아닐 것이기에 그 일을 행하지 않을 것이고, 인간은 그것이 불가능하기에 그 일을 행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신=인간이 필연적인 일을 야기하도록 하기 위해, 그 보상을 만들어낼 동일한 한 인격이 완전한 신이자 완전한 인간이어야 함이 본질적이다. 왜냐하면 그는 만일 그가 참으로 신이지 않다면 이 일을 할 수 없고, 그가 참으로 인간이 아니라면 그렇게 할 의무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신-인간이 두 본성들의 전체성이 손상되지 않은 채로 그 안에서 발견될 것이 필연적이라는 것을 전제하면, 이 두 본성들이, 전체들로서, 하나의 인격 안에서, 육체와 이성적 영혼이 하나의 인간 존재로 결합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함이 조금도 덜 필연적이지 않다. 왜냐하면 그렇지 않다면 하나의 동일한 인격이 완전한 신이자 완전한 인간이 되는 일은 일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B. I am happy with all that you are saying.
당신이 말하고 있는 모든 것에 기쁘다.


8. That it is right that God should assume human nature from the race of Adam and from a virgin woman
신이 아담의 종으로부터 그리고 동정녀로부터 인간 본성을 취했으리란 것이 옳다는 것.


A. It remains now to investigate from what source, and how, God will take human nature upon himself. For either he will take on this nature from Adam, or he will create a new man, just as he created Adam from no other human being. But if he creates a new man who is not from the race of Adam, this new man will not belong to the human race which is descended from Adam. Consequently, he will not have an obligation to give recompense on behalf of this race, because he will not be from it. For, just as it is right that it should be a human being who should pay recompense for the guilt of humanity, it is likewise necessary that the person paying recompense should be identical with the sinner, or a member of the same race. Otherwise, it will be neither Adam nor his race who will be making recompense on Adam’s behalf. Therefore, just as, starting from Adam and Eve, sin has been engendered in all human beings, similarly, no one except either these two themselves, or someone descended from them, has an obligation to pay recompense for the sin of mankind. As they themselves are not able to do so, it is necessary that the person who is to do this will be descended from them.
이제 어떤 원천으로부터 어떻게 신이 그 자신에 대한 인간 본성을 취할 것인지 탐구하는 일이 남았다. 왜냐하면 신은 이 본성을 아담으로부터 취할 것이거나, 아니면 새로운 인간을 창조할 것이기 때문이다, 다른 어떤 인간 존재로부터도 아담을 창조하지 않았던 것처럼. 하지만 만일 그가 아담 종으로부터 나오지 않은 새로운 인간을 창조한다면, 이 새로운 인간은 아담으로부터 유래한 인간 종에 속하지 않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그는 이 종에 기인한 보상을 내놓을 의무를 지지 않을 것인데, 그가 그로부터 나오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인간성에 속하는 죄에 보상을 지불해야 할 자가 인간존재여야 함이 맞는 것처럼, 마찬가지로 보상을 지불하는 인격은 죄인과 동일할 것이거나 동일 종의 구성원임이 필연적이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다면, 아담의 탓으로 보상을 할 자가 아담도 그의 종도  아닐 것이다. 그러므로, 아담과 이브로부터 시작하여 죄가 모든 인간 존재들 안에 잉태되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유사하게, 이 두 사람 자신들이나 그들로부터 유래한 누군가 외에 그 누구도 인류의 죄에 대한 보상을 지불할 의무를 지지 않는다. 그들 스스로 그리 할 수 없으므로, 이 일을 할 그 인격은 그들로부터 유래할 것임이 필연적이다.
I will enlarge on this. If Adam had not sinned, he and all his race would have maintained their standing without the support of another creature: correspondingly, if this same race rises again after its fall, it is right that it should rise again, and be raised up again, through its own doing. For, whoever it is through whose agency man is restored to the standing which belongs to him, man will certainly owe his standing in future to this person through whose agency he recovers his standing. Moreover, it was in Adam alone that God originally created human nature, and it was God’s will to create woman—in order that human beings of both sexes would be multiplied—from an origin which was none other than Adam. God therefore made it perfectly clear that it had not been his will that his future action regarding human nature would be without derivation from Adam. Consequently, supposing the race of Adam were to be raised up again by some man from a different race, it will not be restored to that dignity which it was to have had if Adam had not sinned. Hence it will not be completely restored; also God’s plan will appear to be failing. Both of these consequences are unfitt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he man through whom the race of Adam is to be restored should be taken from Adam’s progeny.
난 이걸 더 상세히 살펴볼 것이다. 만일 아담이 죄를 짓지 않았다면, 그와 그의 모든 종은 그들의 위치를 다른 피조물의 도움 없이 유지하였을 것이다: 그에 따라서, 만일 이 동일한 종이 그 추락 이후 다시 부상한다면, 그 종 고유의 행위를 통해 다시 부상해야 하고 다시 부상될 것이라는 게 옳다. 왜냐하면 누구라도 그의 작용을 통해 인간이 그에게 속한 위치로 복원되든, 인간은 확실히 그의 미래 위치를 그가 그의 작용을 통해 그의 위치를 되찾은 이 인격에 빚질 것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신이 본래 인간 본성을 창조했다는 것은 오직 아담에게만 속했던 것이고, 여성을 창조하고자 하는 신의 의지는-양성의 인간 존재들이 번식되도록-다름 아닌 아담이었던 그 기원으로부터 나왔다. 그러므로 신은 아담으로부터 유래하지 않았을 인간 본성을 고려하여 그의 미래 행동이 그의 의지가 아니었다는 점을 절대적으로 분명하게 만들었다. 결론적으로, 아담의 종족이 다른 종족으로부터의 어떤 인간에 의해 다시 격상될 것으로 가정하면, 그 종족은 만일 아담이 죄를 짓지 않았더라면 지니고 있었을 것이었던 품격으로 회복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그 종족은 완전히 복원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신의 계획은 실패한 것으로 보일 것이다. 이 결론들 모두 부적절하다. 그러므로, 아담의 종족이 그를 통해 복원될 바로 그 인간은 아담의 자손으로부터 취해져야 한다는 점이 필연적이다.
B. If we maintain a logical approach, as we have proposed to do, this must inevitably be the case.
만일 논리적 접근을 견지한다면, 그리 하자고 제안했던 것처럼 그런다면, 이건 불가피한 사실이어야만 한다.
A. Let us now investigate the question of how God is to take human nature upon himself: whether from father and mother, as is the case with other human beings, or from a man without a woman, or from a woman without a man. For, in whichever of the ways it is to be, the human nature so assumed will derive from Adam and Eve, from whom every human being, of either sex, is descended. Moreover, it is not the case that one of these three ways of operating is easier for God than the others, so that it is in this way that human nature ought to be assumed by him in preference to the others.
이제 어떻게 신이 인간 본성은 신 자신에게 취하는지 그 물음을 탐구하도록 하자: 아버지와 어머니로부터, 다른 인간 존재자들의 경우처럼 그런지, 아니면 여성 없이 남성으로부터, 혹은 남성 없이 여성으로부터인지. 왜냐하면, 그러할 어느 방식에서든, 인간 모든 본성은 모든 인간 존재들이 그로부터 유래한, 양쪽 성의, 아담과 이브로부터 유래할 것으로 추정되었으니까. 더 나아가, 이 작동의 세 방식들 중 하나가 다른 것들보다 신에게 더 쉽다는 것, 그래서 인간 본성은 신에 의해 다른 것들에 대해 더 선호함에 있어서 추정되어야 하는 그런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B. The way in which you are proceeding is good.
당신이 진행하는 방식은 훌륭하다.
A. But there is no need for great effort in order to demonstrate that the human being we have in mind will be more purely and honourably procreated from a man in isolation, or from a woman in isolation, than from an intermingling of the two like that whereby all other human children are procreated.
허나 우리가 염두에 두는 인간 존재가 고립된 한 인간으로부터 혹은 고립된 한 여성으로부터 산출되는 것이 다른 모든 인간 자손들이 산출되는 그 둘의 결합으로부터 산출되는 것보다 더 순수하고 명예롭게 산출되리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크게 노력할 필요는 전혀 없다.
B. Enough said.
충분히 말했다.
A. Therefore he must be taken either from a man in isolation or from a woman in isolation.
그러므로 그는 고립된 남성이나 고립된 여성으로부터 취해져야만 한다.
B. He can come from nowhere else.
그는 다른 어느 곳으로부터도 나올 수 없다.
A. God can create a human being by four methods. To be specific: he can do this either from a man and a woman together, as the usual practice demonstrates, or from neither a man nor a woman, as in the case of Adam’s creation, or from a man without a woman, as in the creation of Eve, or from a woman without a man—which he has not yet done. In order, therefore, that he should prove that this method too is within his competence and that it has been kept in reserve for the very undertaking which we have in mind, it is pre-eminently fitting that he should take the man who is the object of our quest from a woman without a man.
신은 네 가지 방식으로 인간 존재를 창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는 남성과 여성 모두로부터 이 일을 할 수 있다, 일반적 관습이 증명하듯, 혹은 남녀 어느 쪽으로부터 하지 않을 수 있다, 아담의 창조의 경우처럼, 아니면 여성 없이 남성으로부터만, 이브의 창조에서처럼, 아니면 남성 없이 여성으로부터만 - 그가 아직 하지 않았던 일이다. 그러므로 이 방식 역시 그의 권한 내에 있음을 증명하도록 그리고 우리가 염두에 둔 바로 그 일에 대해 예비해 두기 위하여, 남성 없이 여성으로부터 우리 작업의 목표인 그 사람을 신이 취할 것임은 특히나 적절하다.
B. You are speaking in accordance with my heart’s desire.
내 마음의 열망에 부합하게 말하고 있다.
A. Is what we have been saying something solid, or is it—as you have told me unbelievers allege in their criticisms of us—insubstantial like a cloud?
우리가 말해오고 있는 것이 어떤 견고한 것인가, 아니면 - 비신자들이 우리에 대한 비판들에서 혐의를 제기한다고 당신이 말했던 것처럼 - 구름처럼 공허한 건가?
B. Nothing could be more solid.
아무것도 더 견고할 수 없다.
A. Paint your picture, then, not upon an empty sham but upon solid truth, and say that it is extremely appropriate that, just as the sin of mankind and the cause of our damnation originated from a woman, correspondingly the medicine of sin and the cause of salvation should be born of a woman. Moreover, women might lose hope that they have a part in the destiny of the blessed ones, in view of the fact that such great evil proceeded from a woman: in order to prevent this, it is right that an equivalent great good should proceed from a woman, so as to rebuild their hope. Include this, too, in your picture: on the supposition that it was a virgin woman who has been the cause of all the evil besetting the human race, it is all the more appropriate that the woman who is to be the cause of all good should be a virgin. Another thing to include in your picture is this. One may presume that the woman whom God created from a man without a woman was created from someone who was a virgin: on this supposition, it is extremely fitting that the man who is to be created from a woman without a man, should be brought forth by a virgin. For the moment, however, let these considerations suffice with regard to the pictures which may be painted on the subject of how the God-Man ought to be born of a virgin woman.
그럼 네 그림을 공허한 허풍이 아니라 견고한 진리 위에 그려 봐라, 그리고 여성으로부터 기원하였던 인류의 죄와 천벌의 원인과 마찬가지로, 그에 부합하게 죄의 치유와 구원의 원인이 여성으로부터 출생할 것임이 지극히 적절하다고 말하라. 더욱이, 여성들은 축복받은 자들의 운명에 몫을 가질 희망을 잃었을 테니, 그렇게나 대단한 악이 한 여성으로부터 나왔다는 사실의 관점에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등가의 대단한 선이 한 여성으로부터 나올 것이 옳다, 그들의 희망을 되세우도록. 네 그림에 이를 포함해라: 인간 종족에 붙어있는 모든 악의 원인이었던 여성이 처녀였다는 가정에서, 모든 선의 원인일 여성이 처녀일 것은 더할 나위 없이 적절하다. 니 그림에 포함시킬 또 다른 게 이거다. 신이 남성으로부터 여성 없이 창조했던 여성이 처녀였던 어떠 여성으로부터 창조되었다 추정할지 모른다: 이 가정에서, 남성 없이 여성으로부터 창조될 남성은, 처녀에 의해 출산되어야 할 것이 지극히 적절하다. 그렇지만 우선 이런 고찰들이 어떻게 신-인간이 처녀 여성으로부터 태어나야 하는지 하는 주제에 대해 그려질 그림들을 고려하여 충분하다고 하자.
B. These pictures of yours are extremely beautiful and in accordance with logic.
네 이 그림들 지극히 아름답고 논리에 맞는다.


9.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Word alone and man to combine in a single person
로고스만이 인간과 단일한 인격 안에서 결합함이 필연적이라는 것(그래, 신은 고자다, 지랄)


A. Something else which we must investigate now is this: in what person is God, who is three persons, to take manhood upon himself? For several persons cannot take upon themselves one and the same manhood with resultant unity of person. But I have said sufficient, I believe, for the purposes of our present enquiry, in the letter On the Incarnation of the Word, addressed to the lord Pope Urban, about this uniting of the person of God with man and the question in which person of God this ought best to come about.
이제 우리가 탐구해야만 하는 다른 건 이거다: 세 인격들인 신이 그 자신에게 취할 인성으로서 어떤 인격 안에 있는지? 몇몇의 인격들은 그들 스스로 결과적 인격 통합과 함께 하나의 동일한 인성을 취할 수 없으니까. 하지만 내가 믿기로 지금 우리 탐구의 목적들을 위해 로고스의 육화에 대한 글에서, 교황 우르반에게 보냈던 것에서, 신의 인격과 인간의 이 통합에 대해서 그리고 이것이 그 안에서 최선이 되어야 하는 신의 인격이 무엇인지 하는 물음에 대해서 충분히 말했다.
B. Even so, do touch briefly, at this point, on the reasons why it is the person of the Son which ought to be made incarnate, rather than that of the Father or the Holy Spirit.
그렇더라도 육화로 이루어져야하는 것이 성부나 성령이 아닌 성자의 인격인 이유들에 대해서, 이 점에서 간략히 건드려 줘.
A. Supposing any other of the persons is to be made incarnate, there will be two sons in the Trinity, namely: the Son of God, who is Son even before the incarnation, and he who will be the Virgin’s son through the incarnation. Moreover there will be, among persons who ought always to be equals, an inequality resulting from the distinction of their respective births. For the one who is born of God will have more distinguished birth than the one who is born of the Virgin. Also, if it is to be the Father who is made incarnate, there will be two grandsons in the Trinity, because, through his assumption of manhood, the Father will be the grandson of the parents of the Virgin, and the Word, despite having no trace of human nature in him, will none the less be the grandson of the Virgin, because he will be the son of her son. All these eventualities are incongruous, and do not come about if it is the Word who is made incarnate.
다른 인격들이 육화로 이루어진다고 치면, 삼위 안에 두 아들들이 있을 것이다, 즉: 신의 아들, 육화 전에도 성자인 그가 있고, 육화를 통해 성모의 아들일 그. 더욱이 항상 동일해야 할 그 인격들 사이에서, 각자의 탄생들의 구분으로부터 귀결하는 불일치가 있을 것이다. 신의 태생인 쪽이 성모 태생인 놈보다 더 구별되었을 것이다. 또한, 만일 육화로 이루어졌던 성부가 있다면, 삼위 안에 두 손자들이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의 인성 상정을 통해, 성부는 성모의 부모의 손자일 것이고, 로고스는, 그 안에 아무런 인간 본성의 자취도 가지지 않을지라도, 조금도 덜 성모 손자이지 않을 것인데, 왜냐하면 그녀의 아들의 아들일 테니까. 이 사건들은 다 이상하고, 육화로 이루어지는 게 로고스라면 일어나지 않는다.
And there is yet another reason why it is more appropriate for the Son to be made incarnate than the other persons: because it sounds more appropriate for the Son to make supplication to the Father than for any other of the persons to supplicate another. Also, both man, for whom the Son was to pray, and the devil, whom he was to defeat, had both wilfully taken upon themselves a false likeness of God. Hence they had sinned, as it were, most specifically against the person of the Son, who is believed to be the true likeness of the Father. The avenging or pardoning of a wrong, therefore, is most appropriately being assigned to the person on whom the injury is most specifically inflicted. Inescapable logic, then, has led us to the conclusion that it is necessary for divine and human nature to combine in one person, and that this cannot come about with respect to more than one person of God; moreover it is evident that it is more fitting for this to happen with respect to the person of the Word than to the other persons. It is, consequently, an inevitability that God the Word and a human being should combine in one person.
육화로 이루어질 것이 성자임이 더 적절한 또 다른 이유가 아직 있다: 성자가 성부에게 간청하는 게 다른 인격들 중 뭐든 또 다른 것에 간청하는 것보다 더 적절하게 들리기 때문이다. 또한, 성자가 그를 위해 기도할 인간이나 성부가 이겨낼 악마나 모두 고의로 신의 겉닮음을 그들 자신들에게 취했다. 따라서 그들은 죄를 지었고, 특히 성자의 인격에 맞서, 성부의 진짜 모상으로 믿어지는 자에 반대하여. 그러므로 잘못의 복수든 용서든 가장 확실하게 그에게 상처가 입혀지는 그 인격에 할당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불가피한 논리로 그래서 우리는 신성과 인성이 한 인격 안에서 결합함이 필연적이고, 이것은 특히 신의 한 인격 면에서보다 더 일어날 수는 없다: 더욱이 이 일은 로고스의 인격 면에서 일어나는 것이 다른 인격들 면에서보다 더 적절하다는 게 분명하다. 결론적으로 로고스 신과 인간 존재는 한 인격 안에서 결합될 것은 불가피하다.
B. The road, fortified on both sides by logic, along which you are leading me is such that I see I cannot depart from it either to the right or to the left.
니가 날 따라 이끈 논리에 의해 양쪽으로 강화된 그 길이 오른쪽으로도 왼쪽으로도 떠날 수 없음을 알 그런 거다.
A. But it is not I who am leading you but the one about whom I am speaking, without whom we can do nothing, and who is our guide wherever we keep to the way of truth.
허나 너 이끈 게 내가 아니라 내가 말하고 있는 자고, 그 없이 우린 못 했을 거고, 우리 인도자다 진리의 길을 지키는 언제든.
(...읽을 수록 정나미가 떨어져서, 씨바.)


10. That this same man does not die obligatorily; and in what sense he is, or is not, capable of sinning, and why he, or an angel, should be praised for his righteousness, even though they are incapable of sinning
이 동일한 인간이 의무적으로 죽은 게 아니라는 것; 어떤 의미에서 그가 죄를 짓거나 짓지 않을 능력이 있는지, 그리고 왜 그나 천사가 그의 정의로움에 대해 기원되어야 하는지, 설령 그들이 죄를 짓지 못할지라도.

We must now investigate whether that man is obligatorily to die, just as all other men die obligatorily. . .[각주:7] But, if it is the case that Adam would not have been destined to die if he had not sinned, then this man, in whom it will be impossible for sin to exist because he is to be God, will have still less of an obligation to die.
이제 우리 저 인간이 의무적으로 죽을 건지, 다른 모든 인간들이 의무적으로 죽는 것처럼...?... 탐구해야만 해. 하지만, 만일 아담이 죄를 짓지 않았더라면 죽도록 운명지어지지 않았을 것이란 게 사실이라면, 이 인간은 그가 신일 것이라서 그 안에 죄가 있는 게 불가능할 자로서 죽을 의무를 훨씬 덜 지닐 거다.
B. I wish to detain you on this point for a little while. For whether it is said that he cannot sin, or that he can, in either case a question of considerable importance arises, as I see it. For if he is said to be incapable of sinning, it seems difficult to believe that he has this obligation. Let us speak, just for a moment, not as if with reference to a person who has never existed, which has been our procedure so far, but about the person whom we know, and whose deeds we are acquainted with. Who will deny that he could have done many things which we call sins? For instance—not to mention other examples—how are we to say that he could not have lied, something which is always a sin. For, given that he says to the Jews, with reference to the Father, ‘If I say that I do not know him, I shall be a liar, like you’ [ Joh. 8: 55], and he says in the course of this utterance, ‘I do not know him’; who will be able to assert that he could not have uttered these five words[각주:8] in isolation from the remainder of the utterance, so as to say, ‘I do not know him’? If he were to do this, as he himself states, he would be a liar—and that is to be a sinner. Hence, since he could do this, he was capable of sin.
나는 이 지점에서 조금 더 당신을 붙들고 싶다. 왜냐하면 그가 죄를 지을 수 없다는 얘긴지, 아니면 그가 그럴 수 있다는 건지, 어느 경우이든 주목할 만한 중요한 질문이 야기된다, 내가 보기에. 만일 그가 죄 지을 능력이 없는 것으로 얘기된다면, 그가 이 의무를 진다는 것을 믿는 게 어려워 보인다. 잠깐이라도 지금까지 우리가 진행해 왔던 것으로, 마치 절대로 존재하지 않았던 사람에 관련한 것처럼이 아니라, 우리가 알고 있는 사람에 대해서, 그리고 그의 업적들을 우리가 익히 아는 사람에 대해서. 우리가 죄들이라 부르는 많은 것들을 그가 행할 수 있었으리란 것을 누가 부정하겠나? 예를 들어 - 다른 예들을 빼고 - 어떻게 우리가 그가 거짓말을 할 수 없었을 거라 말하겠나, 언제나 하나의 죄인 어떤 것으로서. 왜냐하면, 그가 유대인들에게 성부와 관련하여 '만일 내가 그를 모른다고 말한다면, 나는 거짓말쟁이가 될 것이다, 늬들처럼'이라 말했다고 가정하면, 그가 이 발언과정에서 '나는 그를 모른다'라고 말했기 때문이다; 누구라고 그가 이 다섯 단어들을 그 발언의 나머지 부분들로부터 독립적으로, 언급할 수 없었다고 단언할 수 있겠는가? 만일 그가 이리 했다면, 그 스스로 진술하듯, 그는 거짓말쟁이가 되었을 것이고 - 죄인이 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이리 할 수 있었으니, 그는 죄를 지을 수 있었다.
A. It was possible for him to say this and, at the same time, not to be capable of sin.
이 말을 하는 게 그에게 가능했고, 동시에, 죄를 지을 수 없었다.
B. Demonstrate this.
이걸 증명해 줘.
A. All capability is consequent upon will. For when I say, ‘I am capable of speaking’ or ‘walking’, this contains an implicit subtext, ‘If it is my will’. If will, then, is not implicit, what is being referred to is not capability but inevitability. For if I say, ‘I am capable of being dragged away’ or ‘defeated’, against my will, the reference is not to my capability, but to inevitability, and the capability of another individual. To be precise, to say, ‘I am capable of being dragged away’ or ‘of being defeated’ is no different from saying, ‘Another person is capable of dragging me away’ or ‘defeating me’. We can therefore say of Christ that he could tell a lie, if this statement is recognized to contain the implication, ‘If it were his will’. And since he could not lie unwillingly and it could not be his will to tell a lie, it can equally be stated that he was incapable of lying. It follows that thus he both could, and could not, tell a lie.
모든 능력은 의지의 결과다. 왜냐하면 내가 '나는 말할 수 없다'거나 '나는 걸을 수 없다'라고 말할 때, 이건 내포된 숨은 이유를 포함한다, '만일 그것이 내 의지라면'이라는 걸. 그래서 만일 의지가 내포되지 않는다면, 언급되는 것은 능력이 아니라 불가피성이다. 왜냐하면 만일 내가 내 의지에 반하여 '나는 끌려갈 능력이 없다'거나 '나는 패배될 능력이 없다'고 한다면, 그 언급은 내 능력에 대해서가 아니라, 내 불가피성에 대해서이고, 또 다른 별개의 능력이다. 정확히, '나는 끌려갈 능력이 없다'거나 '패배당할 능력이 없다'는 '또 다른 자가 날 끌어내릴 능력이 없다'거나 '나를 패배시킬 능력이 없다'라는 말과 차이가 없다. 우리는 그러므로 그리스도에 대해 그가 거짓말할 수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만일 이 진술이 다음 함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인정된다면, '만일 그것이 그의 의지라면'. 그리고 그가 비자발적으로 거짓말할 수 없었고 거짓말을 하는 것이 그의 의지일 수 없었으므로, 그가 거짓말할 능력이 없었다고 똑같이 진술될 수 있다. 그래서 그는 거짓말을 할 수 있었기도 없었기도 하다는 결론이다.
B. Let us now revert to making investigations about Christ in the manner we adopted at the outset: as if there were as yet no such person. What I say is this: if he is not going to be capable of sinning, because, as you say, he will not be capable of wishing to sin, he will be upholding righteousness as a matter of inevitable necessity. For this reason, he is not going to be righteous as a result of free will. What gratitude, then, will be due to him for his righteousness? For it is customary among us to say that God’s purpose in making angels and human beings such as to be capable of sinning, was that, in the event that they maintained righteousness while being capable of abandoning it, they should deserve gratitude and praise which they would not deserve if they were righteous as a matter of inevitability.
이제 그리스도에 대해 우리가 처음에 적용했던 방식으로 탐구들을 하는 일로 되돌아가자: 마치 아직 그런 사람이 있던 적 없던 것처럼. 내가 할 말은 이거다: 만일 그가 죄 지을 능력이 없게될 것이라면, 당신 말대로 그가 죄 짓길바랄 능력이 없을 것이기 때문에 그렇다면, 그는 불가피한 필연의 문제로 격상된 정의로움일 것이다. 이런 이유로, 그는 자유 의지의 결과로 정의롭게 되진 않을 것이다. 그럼 그의 정의로움에 대해 그에게 돌릴 감사가 무엇이겠나? 왜냐하면 신이 천사들과 인간 존재들을 죄 지을 능력이 있도록 그렇게 만듦의 목적은, 그들이 정의를 폐기시킬 능력이 있음에도 정의를 유지했던 그 경우에서, 그들이 만일 불가피하게 정의로웠더라면 받을 만하지 않았을 감사와 찬사를 받을 만하도록 하는 것이었다고 우리 사이에서 습관적으로 말하니까.
A. Are the angels, who are now incapable of sinning, not worthy of praise?
지금 죄 지을 능력이 없는 천사들은 찬사받을 만한 가치가 없나?
B. They certainly are, because the fact that they cannot now sin was their reward for not wishing to sin, when capable of doing so.
그들은 확실히 그럴 만한데, 왜냐하면 그들이 지금 죄 지을 수 없다는 사실은 그렇게 할 능력이 있던 때 죄 짓길 바라지 않았음에 대한 상이었기 때문이다.
A. What about God, who cannot sin, and whose inability to sin has not been earned as a reward for not having sinned while being capable of sinning—what do you say about him? Is he not to be praised for his righteousness?
죄를 지을 수 없고 그 죄 지을 능력 없음이 죄 지을 능력이 있음에도 죄 짓지 않았음에 대한 상으로 얻어진 것이 아니었던 신에 대해서는 - 그에 대해서는 뭐라 할 건가? 그는 그의 정의로움에 대해 찬사받지 않게 되겠나?
B. On this point my wish is that you should answer on my behalf. For if I say that he is not worthy of praise, I know that I am lying. But if I say that he is worthy of praise, I am afraid of invalidating the argument which I mentioned about the angels.
이 지점에서 나는 당신이 나를 위해 답하길 기대한다. 왜냐하면 만일 내가 그는 찬사받을 만하지 않다고 하면, 내가 거짓말하고 있다는 걸 내가 아니까. 하지만 만일 그가 찬사 받을만 하다고 말하면, 내가 천사들에 대해 언급했던 논증을 무효화할까 두렵다.
A. The reason why the angels are to be praised for their righteousness is not that they were in the past capable of sinning, but because in some way they possess—independently[각주:9]—an inability to sin; in this respect they somewhat resemble God, who possesses whatever he possesses independently. Now, someone who does not take something away, when he is capable of doing so, is said to be ‘making a gift of it’, and a person who is capable of making something not be, but refrains from doing so, is said to be ‘making do with it’. In this sense, then, it is correct to assert that an angel ‘gave himself ’ righteousness and ‘made himself ’ righteous, given that, while capable of depriving himself of righteousness, he did not do so and, while capable of making himself unrighteous, he did not make himself so. He therefore possesses righteousness ‘independently’ in this way, because it is impossible for a created being to possess anything ‘independently’ in any other way. As a consequence of this, he deserves to be praised for his righteousness. Furthermore he is not righteous as a matter of necessity but in freedom, because it is not correct to speak of necessity where there is neither any compulsion nor any prohibition. It follows that, since God possesses to a perfect degree what he possesses independently, he most of all is worthy to be praised for the good things which he possesses and keeps in his possession, doing this not out of any inevitable necessity, but as I have said earlier, out of an unchangeability which is his peculiar property and lasts for ever. Thus the man we have in mind, who is also to be God, will be righteous independently and therefore worthy of praise, since he will possess independently every good thing which he will possess, not out of necessity but in freedom. Even though his human nature will possess what he is to possess thanks to his divine nature, he will be possessing it ‘independently’, since his two natures will be one person.
천사들이 그들의 의로움에 대해 찬사받게 될 이유는 그들이 과거에 죄를 지을 능력이 있었기 때문이 아니라, 어떤 식으로 그들이 죄를 지을 능력이 없었음을 -독립적으로- 지녔기 때문이다; 이런 면에서 그들은 어떤 신의 모사이다, 그가 지닌 무엇이든 독립적으로 지니는 그의. 이제, 뭔가를 취할 능력이 있을 때 취하지 않는 누군가는 그것을 '증여함을 이루는 것'이라 얘기되고, 뭔가 있지 않게 만들 능력이 있는 자가, 그러나 그리 하길 관두는 사람은 '그것을 가지고 행했다'고 이야기된다. 이런 의미에서, 그래서, 천사가 의로움에 '그 자신을 주었'고 의롭게 '그 자신을 만들었다'고 주장하는 것은 옳다, 그 자신을 의로움으로부터 저지할 능력이 있음에도, 그리 하지 않았고, 그 자신을 부정의하게 만들 능력이 있음에도, 그 자신을 그렇게 만들지 않았음을 가정하면. 그러므로 그는 이런 식으로 '독립적으로' 의로움을 지닌다, 피조물이 다른 식으로 '독립적으로' 어떤 것을 지니기는 불가능하니까. 이것의 귀결로, 그는 의로움에 대해 찬사받을 만하다. 더욱이 그는 필연의 문제로 의로운 게 아니라 자유롭게 의로운데, 왜냐하면 어떤 강제도 어떤 금지도 없는 곳에서 필연을 말하는 것 부정확하기 때문이다. 결론으로, 신이 완전한 정도로 그가 지닌 것을 독립적으로 지니므로, 그는 무엇보다도 그가 지니고 그의 소유로 견지한 좋은 것들에 대해 찬사받을 만하다, 이 일을 어떤 불가피한 필연으로부터도 아니라, 내가 앞서 말했듯, 그의 특유하고 영원한 불변성으로부터 함으로써. 그래서 우리가 염두에 두는 사람은, 또한 신이기도 한 그는, 독립적으로 의로울 것이고 그래서 찬사받을 만한데, 그가 독립적으로 그가 지닐 모든 좋은 것들을 지닐 것이기 때문이고, 필연으로부터가 아니라 자유롭게 그럴 것이기 때문이다. 그의 인간 본성이 그가 그의 신성에 그 소유를 감사할 것을 지닐 것이라 하더라도, 그는 그것을 '독립적으로' 지니고 있게 될 것인데, 그의 두 본성들이 한 인격일 것이기 때문이다.
B. You have satisfied me by means of this argument, and I see plainly both that it will not be possible for him to sin and that, even so, he will be worthy of praise for his righteousness. But now I think the question has to be asked: given that God is capable of creating such a man, why did he not make the angels and the first two human beings such that they would likewise be both incapable of sinning and worthy of praise for their righteousness?
이 논증으로 넌 날 채워줬어(앙), 그리고 나는 그가 죄 짓는 게 불가능하리란 것도, 그렇지만 그는 그의 의로움에 대해 찬사받을 만하다는 것도 충분히 알았어. 하지만 이제 나는 이런 물음을 던져야 한다고 생각해: 신이 그런 인간을 만들 능력이 있었다고 가정하면, 왜 마찬가지로 죄 지을 능력도 없고 의로움으로 찬사도 받을 만한 천사들과 처음 두 인간 존재들을 만들지 않았지?
A. Do you understand what you are saying?
니가 말하고 있는 게 뭔 소린지 알아?
B. It seems to me that I understand it, and that is why I am asking why he did not make them like this.
난 이해하는 것 같아, 그리고 내가 묻고 있는 이유는 그가 그들을 이와 같이 만들지 않았던 이유야.
A. This was because it was neither right nor possible for it to be brought about that any one of them should be identical with God, as is the case, so we are saying, with this man. And if you ask why he does not bring this about for as many such human beings as there are persons of God, or why he did not at least do it for one of them, I answer that reason did not at all demand that this should be done: rather, since God does nothing irrationally, it prohibited this.
그게 옳지도 않았고 그들 중 누구 하나, 우리가 말하고 있는 이 사람의 경우처럼, 신과 동일시될 것이 일어난다는 게 가능하지도 않았기 때문에 그래. 그리고 만일 니가 왜 신이 신의 인격들이 있는 만큼 그런 인간 존재들을 그렇게 하지 않는지 이유를 묻는다면, 혹은 그가 최소한 그들 중 한 사람에 대해서 그걸 하지 않았는지 묻는다면, 나는 이성이 이것이 그리 되어야 할 것을 전혀 요구하지 않았다고 답해: 차라리, 신이 아무것도 비이성적으로 하지 않으므로, 이성이 이 일을 금지했어.
B. I am ashamed at having asked this question.
이 물음 물은 게 부끄럽네.
A. Let us say, therefore, that the God-Man will be under no obligation to die, since he will not be a sinner.
그러니까 신-인간은 죽을 아무런 의무도 없을 것인데, 그가 죄인이 안 될 거라 그렇다고 말하자.
B. I must admit this to be the case.
난 이걸 사실이라 인정해야만 해.

-蟲-

  1. 25 Lat. rationalem naturam, lit. ‘rational nature’. [본문으로]
  2. 26 ‘Righteous’, Lat. iustus, -a, -um, also equivalent to ‘just’. [본문으로]
  3. 27 ‘Life-form’, Lat. natura again. [본문으로]
  4. 28 Lat. gratia in this chapter is translated variously as ‘gratitude’, ‘grace’, ‘graciousness’ and ‘an act of grace’. [본문으로]
  5. 29 ‘Life in ordinary society’, Lat. communem vitam. [본문으로]
  6. 30 ‘Inter-contamination of the two natures’, Lat. ex duabus corruptis (sc. naturis). [본문으로]
  7. 31 The thought-sequence here is elliptical, in a way uncharacteristic of Anselm, and it may be surmised that a sentence of his original may be missing. [본문으로]
  8. 32 ‘These five words’: Lat. tres . . . dictiones with reference to the three words, non scio eum, translated as, ‘I do not know him’. [본문으로]
  9. 33 ‘Independently’ here and elsewhere in this passage: Lat. a se, lit. ‘from themselves’, ‘from himself ’. [본문으로]

XXI. Quanti ponderis sit peccatum.
XXII. Quam contumeliam fecit homo deo, cum se permisit vinci a diabolo, pro qua satisfacere non potest.
XXIII. Quid abstulit deo cum peccavit, quod reddere nequit.
XXIV. Quod quamdiu non reddit deo quod debet, non possit esse beatus nec excusetur impotentia.
XXV. Quod ex necessitate per Christum salvetur homo.
(Schmitt, 88.11-96.20)

21. How heavy the weight of sin is
22. What an insult a human being inflicts on God when he allows himself to be conquered by the devil—one for which he is incapable of paying recompense
23. What it was that man stole from God when he sinned—something which he cannot give back
24. That, so long as a human being does not give back to God what he owes, he may not be blessedly happy, and his incapacity may not be excused
25. That it follows as a necessary consequence that mankind is saved by Christ


21. How heavy the weight of sin is


A. Let us hypothesize that those things which you proposed you could offer in repayment for sin are not a debt which you owe, and let us see whether they can suffice as recompense for a single sin, even so small a sin as one glance contrary to the will of God.
우리 다음과 같이 가정하기로 하세. 자네가 죄의 대가로 내놓을 수 있으리라 제안했던 그런 것들이 당신이 갚아야 할 빚이 아니라고 말일세. 그리고 그것들이 단 하나의 죄에 대한 대가로라도 충분할 수 있을지 보기로 하세. 신의 뜻에 반하여 한 번 곁눈질을 한 만큼 그렇게 작은 죄일지라도.
B. Were it not that I hear you calling this matter into question, I would think that I cancel this sin by a single moment of repentance.
이 일이 문제거리라고 하신 말씀을 제가 들은 것이 만일 그렇지 않았다면, 저는 이 죄를 회개의 단 한 순간으로 해소한다고 여겼을 테지요.
A. You have not yet considered how heavy the weight of sin is.
자네는 아직 죄의 무게가 얼마나 무거운지 고찰하지 않았네.
B. Explain this to me now.
이제 이 점을 제게 설명해 주시지요.
A. If you were to see yourself in the sight of God, and someone were to say to you, ‘Look over there’, and God were to interject, ‘It is totally against my will that you should look’, consider for yourself in your own heart what contingency there is, in the totality of things which exist, on account of which you are obliged to take that look contrary to the will of God.
만일 자네가 신의 관점에서 자네 자신을 보게 된다면, 그리고 누군가 자네에게 이리 말한다면, '저길 보시오', 그리고 신께서는 그와 반대로, '네가 보려 함을 나는 결코 원치 않는다', 이리 말씀하신다면, 자네 자신의 마음 속에서 자네 자신을 고려해 보게, 존재하는 모든 것 속에, 신의 뜻에 반하여 보는 일을 취해야 하는 이유가 되는 무언가가 있을지.
B. I can think of no contingency requiring me to do this, unless, maybe, I should be placed in an unavoidable situation where it would be absolutely necessary for me either to do this or commit a greater sin.
저는 제가 이 일을 해야 하도록 만드는 아무것도 생각할 수 없습니다, 아마도 제가 이 일을 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더 큰 죄를 저지르거나 하는 일이 절대적으로 필연적일 그런 불가피한 상황에 처하지 않는 한 말입니다.
A. Set aside that case of absolute necessity, and consider, with exclusive reference to the particular sin in question, whether you can commit it in order to secure your own redemption.
절대적으로 필연적인 경우는 제쳐두고, 고찰해 보게, 문제가 되는 그 특정한 죄에 대한 배타적인 언급을 가지고, 자네가 그 일을 자네 자신의 죄갚음을 바라며 행할 수 있을지 말일세.
B. I see clearly that I cannot.
저는 제가 하지 못하리란 걸 분명히 압니다.
A. To come to the point and not detain you further, what if it were necessary either for the whole universe and whatever is not God to perish and be brought to nothing, or for you to do this thing, such a little thing, against the will of God?
(ne te diutius protraham)나는 자네를 더 멀리까지 이끌진 않을 걸세. 그런데 만일 세계 전체와 신 아닌 무엇이든 파멸하고 무로 돌려지는 것이나, 아니면 자네가 이것, 그런 사소한 것을, 신의 뜻에 반하여 행하는 것이 필연적이라면 어떤가?
B. When I consider the action itself, I see that it is an extremely lightweight matter—but if I consider that17) it is contrary to the will of God, I realize that it is something extremely grave, and incomparably greater than any loss. But we are in the habit of doing something occasionally against someone’s will in a way which is not reprehensible, with the aim that his interests may be protected; and this deed afterwards pleases the person against whose will we are acting.
그 행위 자체를 생각해 볼 때, 저는 그것이 지극히 가벼운 문제라는 것을 압니다 - 하지만 만일 제가 그 일이 신의 뜻에 반하는 것임을 고려한다면, 저는 그 일이 극도로 중대한 것임을, 그리고 어떤 손실보다도 비교할 수 없이 대단한 어떤 것임을 깨닫습니다. 허나 우리는 종종 비난받지 않을 만한 방식으로 누군가의 뜻에 반하여 어떤 일을 해 버릇합니다, 그의 이해관계가 보호될 목적을 가지고 말이죠: 그리고 이 행위는 이후에 우리가 그의 뜻에 반하여 행위하고 있는 그 사람을 기쁘게 합니다.
17) The translation here presupposes a conjectural reading, quod sit contra voluntatem dei . . . in place of quid sit contra voluntatem dei (Schmitt, 89.5).
A. This happens in the case of the person who sometimes does not understand what is in his own interest, or is incapable of replacing what he loses. But God lacks for nothing and, if all things were to perish, he would be capable of restoring them in the same way that he created them.
이런 일은 때로 무엇이 자신의 고유한 이익인지 이해하지 못하는 그런 사람의 경우에 일어나거나, 그가 상실한 것을 대체할 능력이 없는 사람의 경우에 일어나지. 하지만 신께서는 어떤 것도 부족함이 없으시고, 만일 만물이 소멸한다면, 그 분께서는 그것들을 창조하셨던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되돌리실 능력을 갖고 계실 것이네.
B. I have no alternative but to admit that, for the sake even of preserving the whole of creation, there is nothing which I ought to do contrary to the will of God.
저로서는 받아들일 수밖에 달리 아무런 대안도 없군요, 설령 창조의 전체를 보존하기 위해서라도 할지라도, 제가 신의 뜻에 반하여 행해야 할 아무것도 없다는 걸 말입니다.
A. What if there were several universes, full of created beings, just like this one?
그런데 만일 여러 세계들이 있다면 어떤가, 바로 이 세계와 마찬가지로 피조물들로 가득 찬 세계들 말이네?
B. If there were an infinite multiplicity of universes, and they were similarly laid out before me, this is the answer which I would give.
만일 무한히 다양한 세계들이 있다면, 그리고 그 세계들이 제 앞에 유사하게 펼쳐져 있다면, 이것이 제가 내놓을 대답입니다.
A. You could not be more absolutely right. But consider, too, if it came about that you took that glance contrary to the will of God: what recompense could you make for this sin?
자네는 더할 나위 없이 옳군. 허나 생각해 보게, 마찬가지로, 만일 자네가 신의 뜻에 반하여 눈길을 주는 일을 행하게 된다고 말일세: 자네가 이 죄에 대해 행할 수 있을 보상이 무엇인가?
B. There is nothing I possess greater than what I have spoken of earlier.
제가 앞서 말씀드린 것보다 더 큰 것을 제가 지닌 바 아무것도 없습니다.
A. This is how seriously we sin, whenever we knowingly do anything, however small, contrary to the will of God. For we are always in his sight, and it is always the teaching he gives us that we should not sin.
(Sic graviter peccamus)그런 식으로 우리가 심각하게 죄를 저지른다네, 언제든 얼마나 작은 일이든 간에 뭔가 신의 뜻에 반하여 알고도 행할 때에는 말일세. 왜냐하면 우리는 언제나 그 분의 시야 안에 있고, 우리가 죄를 짓지 않아야 한다는 것은 그 분께서 언제나 우리에게 주시는 가르침이니까.
B. To judge from what I am hearing, we live very dangerously.
제가 들은 바로부터 판단컨데, 우리는 실로 위험천만하게 살고 있습니다.
A. It is obvious that God demands recompense in proportion to the magnitude of the sin.
신께서 죄의 크기에 비례하여 보상을 요구하심은 분명하지.
B. Undeniably.
부정할 수 없도록 말입니다.
A. You do not therefore give recompense if you do not give something greater than the entity on account of which you ought not to have committed the sin.
그러니 자네는 만일 자네가 그로 말미암아 죄를 짓지 않아야 했던 그것보다 더욱 큰 뭔가를 내놓지 않는다면 보상을 바치지 않는 걸세.
B. I see that logic demands this: I also see that it is utterly impossible.
저는 논리가 이런 것을 요구한다는 점을 알겠습니다: 저는 또한 그것이 전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도 알겠습니다.
A. And God cannot raise up to a state of blessedness anyone who is to any extent bound by indebtedness arising from sin.
그리고 신께서는 죄로부터 일어나는 부채로 인한 어떤 정도의 한계에든 속하는 그 누구든 지복한 상태로 격상시키실 수 없다네.
B. This verdict is an extremely grave one.
이 결론은 지극히 중요한 것이로군요.

22. What an insult a human being inflicts on God when he allows himself to be conquered by the devil—one for which he is incapable of paying recompense

A. Listen to another reason why it is equally difficult for a human being to be reconciled with God.
인간에게 신과 조화를 이룬다는 것이 마찬가지로 어려운 또 다른 이유를 들어 보게.
B. If it were not that faith were consoling me, just the one reason would force me to despair.
만일 신앙이 저를 위로하고 있다는 점만 아니라면, 바로 그 한 가지 이유가 저를 절망하도록 강제하였을 겁니다.
A. Listen, even so.
그럴지라도 들어 보게.
B. Speak.
말씀하시죠.
A. In the Garden, man was created without sin, as if he were placed there as God’s deputy, in a position between God and the devil, the intention being that he might overcome the devil by not consenting when the devil recommended sin by means of persuasion. In the event that man were not to sin despite the devil’s persuasion, this would vindicate and honour God and confound the devil, who, despite his greater strength, committed sin in heaven as a consequence of no one’s persuasion. And although man was easily capable of doing this, he allowed himself to be conquered by persuasion alone, not under forcible compulsion. He did this in accordance with the will of the devil and contrary to the will and honour of God.
낙원에서, 마치 신의 보좌로서 그 자리에 있는 듯이, 인간은 죄 없이 창조되었지, 신과 악마의 사이 자리에, 악마가 설득을 사용하여 죄를 짓도록 권할 적에, 동의하지 않음으로써 악마를 극복할 수 있을 의사를 지닌 채로 말일세. 인간이 악마의 설득에도 불구하고 죄를 짓지 않았을 경우, 신을 증거하고 또한 그 분께 영광을 바치며 악마를 반박하는 일이 될 걸세, 그의 대단한 힘에도 불구하고, 그 누구의 설득도 없던 결과로 천국에서 죄를 지었던 그를 말일세. 그리고 설령 인간이 이 일을 쉽사리 행할 능력이 있었다 하더라도, 그는 그 자신이 단지 설득만으로 정복되도록 허용하였고, 물리적 강제 하에 그리하진 않았네. 그는 이 일을 악마의 뜻에 따라 신의 뜻과 영광에 반하여 행했지.
B. Where do you intend this argument to lead?
이 논증의 어디로 인도하실 요량이신지요?
A. Judge for yourself whether it is not contrary to the honour of God that man should be reconciled with him so long as he is subject to the charge18) of having inflicted this insult upon God—unless he has previously honoured God by conquering the devil just as he has dishonoured him by having been conquered by the devil. Now, the character of this victory ought to be as follows. In the same way that man, when he was strong and potentially immortal, easily complied with the devil’s suggestion that he should commit a sin, and hence justly incurred the penalty of becoming mortal, correspondingly, now that he is weak and mortal, being himself responsible for having made himself like this, man needs to conquer the devil through the difficulty of death, and in so doing to sin in no way. He cannot do this, so long as he is conceived by the wound of primal sin, and so long as he is born in sin.
자네 스스로, 인간이, 그가 신께 이러한 모욕을 가했다는 죄의 적용을 받는 한에서 그 분께 조화되어야 한다는 것이 신의 영광에 반하지 않는가 여부를 판단해 보게 - 그가 이전에 악마에 의해 정복당했던 일로써 신께 불명예를 입혔던 바로 그런 방식으로 악마를 정복함으로써 먼저 신을 영광되게 했던 것이 아닌 한 말일세. 이제, 이 승리의 성격은 다음과 같아야 하네. 인간이, 그가 강력했고 잠재적으로 불멸이었던 때, 그가 죄를 범해야 한다는 악마의 그 제안을 쉽사리 따랐고, 그리하여 정당하게 필멸이 됨의 처벌을 받았던 것과 동일한 방식에서, 이에 부응하여, 이제 그가 나약하고 죽을 운명인 바, 그가 그 자신을 이와 같이 만들었던 데에 스스로 책임이 있는 자로서, 인간은 죽음의 고난을 통하여 악마를 정복해야 할 필요가 있고, 어떤 식으로도 죄 짓지 않는 방식으로 그리 해야 하네.(per mortis difficultatem vincat diabolum ut nullo modo peccet).
18) Calumnia: in classical Latin always a ‘false charge’; in the Latin of Anselm’s period it is sometimes used simply to mean any ‘charge’.
B. Once more I say that what you are saying is both logically proven and an impossibility.
다시 한 번 저는 당신께서 말씀하고 계신 것이 논리적으로도 증명된 것이고 또한 불가능한 것이라고 말합니다.

23. What it was that man stole from God when he sinned—something which he cannot give back

A. Here is something else again—no less impossible—without which there is no way for mankind to be justly reconciled.
여기 다시 또 다른 어떤 것이 있다네 - 조금도 덜 불가능한 것이 아닌데 - 그것 없이는 인류가 정당하게 보상을 드릴 아무런 방법도 없는 것이지.
B. You have already put before us so many things which we are under an obligation to do, that nothing that you add could make me more terrified.
당신께서는 이미, 당신께서 덧붙이실 그 어떤 것도 이 이상 저를 참담하게 만들지 못할, 우리에게 해야 할 의무가 있는 그다지도 많은 것들을 우리 앞에 내놓으셨습니다.
A. Listen, nevertheless.
그렇지만, 들어보게.
B. I am listening.
듣고 있습니다.
A. What did man steal from God when he allowed himself to be conquered by the devil?
인간이 그 자신을 악마로 하여금 정복되도록 허하였을 때 신으로부터 인간이 훔친 것은 무엇인가?
B. You do the talking, seeing that you have begun—for I do not know what he could have done additional to those evils which you have been disclosing.
당신께서 말씀해 주시지요, 당신께서 시작하셨으니 말입니다 - 왜냐하면 저는 당신께서 폭로하신 그러한 악들에 추가할 만한 뭔가를 알지 못하니까요.
A. Did he not steal from God whatever he planned to do with regard to the human species?19)
그는 신께서 인간 종(인간 본성)에 관하여 행하도록 계획하셨던 무엇이든지 간에 그것을 신으로부터 갈취하지 않았는가?
19) ‘With regard to the human species’: Lat. de humana natura.
B. This is undeniable.
이 점은 부정할 수 없습니다.
A. Subject the matter to strict justice, and judge accordingly whether man may give recompense for his sin to a level commensurate with his sin, if he does not give back, by conquering the devil, what he has stolen from God by allowing himself to be conquered by the devil. Just as, through the fact of man’s defeat, the devil took what belonged to God, and God lost it, so, correspondingly, in the event of man’s victory, the devil would be the loser and God would regain what he had lost.
엄격한 정의에 대한 문제를 주제로 삼고, 그에 따라 인간이 그의 죄에 상응하는 차원에서 그의 죄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겠는지 판단해 보게, 만일 그가 악마를 정복함으로써 그가 자신을 악마에 의해 지배되도록 허함으로써 신으로부터 훔쳐냈던 것을 되돌려주지 않는다고 한다면 말일세. 바로 그렇게, 인간의 패배라는 그 사실을 통하여, 악마는 신께 속하는 것을 취하였고, 신께서는 그것을 잃으셨으며, 그리하여, 그에 따라서, 인간의 승리의 경우, 악마는 상실한 자가 될 것이고 신께서는 당신께서 잃으신 것을 되찾으실 것이네.
B. One can imagine nothing stricter or more just.
그보다 더 엄격하거나 더욱 정의로운 아무것도 상상할 수 없습니다.
A. Do you think the supreme justice capable of violating this justice?
자네는 지고의 정의가 이러한 정의를 침해할 수 있다 생각하는가?
B. I dare not think so.
감히 그리 생각하진 않습니다.
A. Man, therefore, neither ought nor can receive from God what God planned to give him, unless man returns to God all that he has taken away from him. In this way, just as God incurred loss through man, similarly, through man’s agency, God would recover what he had lost. The only way in which this can be put into effect is as follows. Because of the man who was conquered, the whole of humanity20) is rotten and, as it were, in a ferment with sin—and God raises up no one with sin to fill up the complement of the renowned heavenly city. Correspondingly, supposing a man were victorious, because of him as many humans would be brought out of sin into a state of righteousness21) as would make up that full number to which I have referred, for the completion of which mankind was created. But a man who is a sinner is in no way capable of doing this, for one sinner cannot make another sinner righteous.
그러므로 인간은 그가 신으로부터 앗아갔던 모든 것을 신께 되돌려 드리지 않는 한, 신께서 인간에게 주기로 계획하셨던 것을 신으로부터 받아야 하는 것도 아니고 받을 수 있는 것도 아닐세. 이런 방식으로, 신께서 인간으로 인하여 상실을 당하셨던 바로 그와 같이, 유사하게, 인간의 행위를 통하여, 신께서는 그 분께서 잃으신 것을 되돌리실 것이네. 이 일이 수행될 수 있는 유일한 방식은 다음과 같네. 정복당하였던 그 인간으로 인하여, 인간 본성 전체가 부패하였네, 이를 테면, 죄와 더불은 들끓음 안에서 말일세 - 그리고 신께서는 알려진 천상의 나라의 보완자로 죄 지은 그 누구도 채워 올리지 않으신다네. 따라서, 한 사람의 승자를 가정하면, 그 자로 인하여, 죄로부터 벗어나 정의롭게 될 인간들의 수 만큼 내가 언급하였던 완전수를 구성할 터인데, 인류가 그것을 위해 창조된 그 보완 때문이지. 하지만 죄인인 자는 어떤 식으로도 이 일을 행할 능력이 없으니, 죄인은 다른 죄인을 의롭게 할 수 없기 때문이네.
20) ‘Humanity’, Lat. humana natura, so Migne edition.
21) ‘Brought . . . into a state of righteousness’; Lat. iustificentur.

B. Nothing could be more just and, equally, nothing could be more impossible. Rather, what appears to be the case from all these considerations is that the mercy of God and the hope of man are dead, so far as the state of blessedness is concerned for which mankind was created.
더할 나위 없이 정의롭고, 마찬가지로, 더할 나위 없이 불가능합니다. 차라리, 이런 고찰들로부터 사실인 것으로 드러나는 바는 신의 자비와 인간의 희망은 죽었다는 것입니다, 인류가 그와 같은 관심으로 창조되었던 그 지복의 상태와 관련하여서는 말입니다.

24. That, so long as a human being does not give back to God what he owes, he may not be blessedly happy, and his incapacity may not be excused

A. Wait a little longer.
조금 더 기다리게.
B. What further do you have in store?
뭔가 더 하실 말씀이라도 있습니까?
A. If a man who returns what he owes to another man is said to be a wrongdoer, he is much more a wrongdoer if he does not return what he owes to God.
만일 다른 사람에게 빚진 것을 되돌려 주지 않는 사람 잘못한 자라 이야기된다면, 신께 빚진 것을 되갚지 않는다면 그는 훨씬 더 잘못한 자이지.
B. If he is capable of returning it and does not do so, he is certainly a wrongdoer. But if he does not have the capacity, in what sense is he a wrongdoer?
되갚을 능력이 있으면서 그리 하지 않는다면, 그는 확실히 잘못한 자입니다. 하지만 그가 능력이 없다면, 어떤 의미에서 그가 잘못한 자인지요?
A. Perhaps, if the responsibility for his incapacity does not rest with him, he can be excused to some extent. But if there is blame inherent in the incapacity itself, the incapacity does not mitigate the sin itself, any more than it excuses the person who does not repay the debt. For suppose someone assigns his bondslave a task, and tells him not to leap into a pit from which he cannot by any means climb out, and that bondslave, despising the command and advice of his master, leaps into the pit which has been pointed out to him, so that he is completely unable to carry out the task assigned to him. Do you think that his incapacity serves in the slightest as a valid excuse for him not to perform the task assigned to him?
아마도, 만일 그의 무능력에 대해서 그가 책임이 없다면, 그는 어느 정도까지 양해받을 수 있네. 허나 만일 그 무능력 자체 내에 내재하는 책임이라면, 그 무능력이 죄 자체를 경감시키지 않지, 빚을 갚지 않은 자를 양해해 주는 그 무능력보다 조금도 더 그리하지 않는다네. 어떤 이가 자신의 노예에게 일을 맡긴다고, 그리고 그 노예에게 그 노예가 어떤 수를 쓰더라도 기어 오를 수 없는 구덩이로 뛰어들지 말라고 말한다고 가정해 보게. 그리고 그 주인의 명령과 조언을 가벼이 여기는 저 노예는 그에게 주인이 가리켜 주었던 그 구덩이로 뛰어들어서, 그에게 맡겨진 그 일을 전혀 수행할 수 없게 되었다고 가정해 보게. 자네는 그의 무능이 그에게 맡겨진 일을 수행하지 않은 데 대한 조금이라도 타당한 양해해 줄 여지가 있다고 생각하는가?
B. Not at all. It serves, rather, to increase his guilt, since he has brought the incapacity upon himself. For indeed he has sinned in two ways: in having not done what he was told to do, and in having done what he has been told not to do.
전혀 아닙니다. 그 무능은 오히려 그의 죄를 가중시킵니다. 그가 그 자신에게 그 무능을 초래하였으니 말입니다. 게다가 그는 두 가지 방식들로 죄를 저질렀으니까요: 그가 행하도록 이야기된 일을 행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그리고 그가 행하지 말라고 이야기된 일을 행했다는 점에서 말입니다.
A. Thus, a person who has of his own accord bound himself by a debt which he cannot repay, has thrown himself into this state of incapacity by his guilt. As a result, he is unable to repay what he owed before his sin, that is, an obligation not to sin, and the fact that he is in debt as a consequence of his sin is inexcusable. For the very fact of his incapacity is blameworthy: because it is something he ought not to have, no indeed, he is under an obligation not to have it. Therefore, just as it is blameworthy for someone not to have that capacity which he received in order that he should be able to guard against sin, similarly it is blameworthy for him to have an incapacity as a result of which he cannot uphold righteousness and guard against sin and cannot, moreover, repay the debt which he owes on account of his sin. For he has acted of his own volition, and it is as a consequence that he has lost his former capability, and has arrived at his present state of incapacity. Now, it is the same thing for him not to have a capability which he ought to have, as it is for him to have an incapacity which he ought not to have. Consequently, a person’s incapacity to repay to God what he owes—an incapacity which brings it about that he does not make repayment—does not excuse him, in the event that he does not make repayment. For the result22) of a sin does not excuse a sin which it brings about.
그래서, 자진하여 그가 갚을 수 없는 빚으로 그 자신을 묶은 바 있는 인간은, 그 자신의 죄로써 이와 같은 불능의 상태로 자신을 내친 것일세. 결과적으로, 그는 그가 죄에 앞서 빚진 것을 갚지 못하게 되는데, 그건 즉, 죄 짓지 않을 의무이고, 그가 자기 죄의 귀결로서 빚진 처지에 있다는 사실은 양해될 수 없다네. 그의 무능이란 바로 그 사실이 탓할 만한 것이니까: 그것은 그가 하지 않아야 했던 어떤 일이고, 그 일을 하지 않을 의무 아래 있기 때문이지. 그러므로, 어떤 이가 그가 죄에 맞서 지킬 수 있게끔 하도록 받은 저 능력을 지니지 못한다는 것이 비난받을 만한 것인 바와 마찬가지로, 유사하게 그가 죄에 맞서 정의로움을 견지하고 수호하지 못한 결과로서, 더 나아가, 그의 죄로 말미암아 그가 빚진 것을 갚지 못한 결과로서 무능력을 지닌다는 것도 비난 받아 마땅하네. 그는 자기 자신의 의지로써 행동하였고, 그 결과로 이전의 능력을 상실했던 것이며, 작금의 무능한 상태에 이르렀기 때문이지. 이제, 그가 지녀야 할 능력을 지니고 있지 못함은, 그가 지니지 말아야 할 무능력을 지니는 것과 동일한 일일세. 그 귀결로, 신께 빚진 것을 되갚지 못하는 인간의 무능은 - 그가 보상을 이루지 않도록 만든 그 무능은 - 그에게 양해되지 않는다네, 그가 보상을 이루지 않는 경우에 말일세. 왜냐하면 죄의 결과는 그 결과를 일으킨 죄를 양해해 주지 않으니까.
22) Interpreting effectum as a neuter nominative.
B. This is an exceedingly grave consideration, and equally it is an unavoidable fact.
이건 지극히 중대한 고찰이고, 그만큼이나 불가피한 사실입니다.
A. A human being who does not give back to God what he owes is, therefore, a wrongdoer.
신께 빚진 것을 되돌려 드리지 않는 인간 존재는 그러므로 잘못한 자일세.
B. That is all too true. For he is a wrongdoer because he does not give it back, and he is a wrongdoer because he is unable to give it back.
그 역시 전적으로 옳습니다. 그는 그것을 되돌려 주지 않는 탓으로 잘못하는 자이고, 그것을 되돌려 줄 수 없는 자이기에 잘못한 자입니다.
A. No wrongdoer, moreover, will be admitted to a state of blessed happiness, since blessed happiness is sufficiency in which there is no want and, correspondingly, this state is appropriate for nobody except a person in whom there is such pure righteousness that there is no wrongdoing in him.
더 나아가, 잘못한 자 그 누구라도 지복의 상태가 허락되지 않을 것인데, 지복은 아무런 결핍 없는 만족이고, 따라서, 이 상태는 내적으로 순수한, 아무 잘못이 없는 정의를 지닌 인간을 제외하고는 그 누구에게도 적당하지 않기에 그러하네.
B. I do not have the audacity to believe otherwise.
저는 달리 생각할 만큼 몰염치하지 않습니다.
A. A human being, therefore, who does not repay to God what he owes, will be incapable of being blessedly happy.
그러므로 신께 빚진 것을 갚지 않는 인간 존재는 지복한 자일 능력이 없게 될 것이네.
B. I am unable to deny that this too follows.
이리 귀결됨을 부정할 수 없습니다.
A. But if you want to say, ‘A merciful God remits the debt of anyone who begs forgiveness on the ground that he is incapable of making repayment’, God cannot be said to be remitting anything except either: that which the person ought to repay and cannot, that is, recompense which he might hypothetically be able to give for his sin—sin which ought not to be committed even for the sake of preserving everything that exists which is not God—or alternatively: that which, by way of punishment, he was about to take away from a person against that person’s will, that is, the state of blessed happiness. But if God remits what a person cannot give back of his own volition, for the reason that he is incapable of giving it back—how is this different from saying: ‘God remits what he is not able to have’. But it is mockery for mercy of this kind to be attributed to God. If, however, God remits what he was about to take away from a person against his will, because of that person’s incapacity to make payment—in that case he is making his punishment lax and making a person happy on account of his sin, in that the person has what he ought not to have. For his very incapacity is something he ought not to have, and therefore, so long as he has it without paying recompense, it is sin on his part. But mercy of this kind is absolutely contrary to God’s justice, which does not allow anything to be given in repayment for sin except punishment. Hence, given that it is impossible for God to be self-contradictory, it is impossible for him to be merciful in this way.
그러나 만일 자네가, '자비로우신 하느님께서 그가 보상할 능력이 없다는 점에서 용서를 구하는 누구의 빚이든 사하여 주신다'라고 말하고자 한다면, 신께서는 다음의 것들 외에는 어떤 것도 사하여 주시는 것으로 이야기될 수 없네. 하나는 인간이 보상해야 하지만 할 수 없는 것, 즉 그의 죄에 대하여 가정적으로 내놓을 수 있었을 보상이네 - 그 죄는 신 아닌 존재하는 만물의 보존을 위해서라도 저지르지 않아야 했던 죄일세. 혹은 대안으로, 처벌의 방식에 의해, 그 분께서 인간의 의지에 반하여 인간으로부터 앗아 가실 것으로, 즉, 복락의 상태이네. 허나 만일 신께서 인간이 그의 고유한 의지... 무능으로 보상을 신의 자기모순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런 식의 자비는 불가능하다.
B. I see that one has to look for some other ‘mercy of God’ than the ‘mercy’ to which you are referring.
더할 나위 없이 신의 자비에 어울린다.
A. Let it be true that God forgives a person who does not repay what he owes, for the reason that he is incapable of repaying.
못 갚아서 봐주는 게 참이라 치자.
B. I would wish this were the case.
그러길 바란다.
A. So long, however, as he does not repay, he will either be wishing to repay, or not wishing to do so. But in the event that he has a desire to do what he is incapable of doing, he will be a person in want: in the event that he does not have this desire, he will be a wrongdoer.
허나 그가 못 갚는 한, 그는 갚길 바라거나 바라지 않을 거다. 하지만 그가 할 수 없는 걸 욕구하는 경우, 그는 결핍된 인간일 거다. 바라지 않으면 잘못하는 거다.
B. Nothing could be clearer.
분명합니다.
A. Now, whether he is in want or whether he is a wrongdoer—in neither case will he be blessedly happy.
이제, 그가 결핍된 자인지 아닌지 혹은 그가 잘못한 자인지 아닌지, 어느 경우든 복락을 누리지 못할 거다.
B. If the God of justice acts according to logic, there is no route whereby wretched little man may escape, and it seems that the mercy of God is dead.
정의로우신 신께서 논리에 따라 행하신다면, 비참한 인간이 달아날 구멍이 없고, 신의 자비는 죽은 걸로 보인다.
A. You asked for logic: here is logic. I do not deny that God is merciful, he who saves ‘men and beasts in accordance with how’ he has ‘multiplied his mercy’.23) Moreover, we are talking about that final mercy, whereby, after this life, he makes a human being blessedly happy. That this state of bliss ought not to be given to anyone whose sins have not been utterly forgiven, and that this forgiveness ought not to happen except on repayment of the debt which is owed because of his sin and which is proportional to the magnitude of his sin, I think I have demonstrated by the logical reasonings set out earlier. If it seems to you that any objection can be made to these logical reasonings, you ought to say so.
논리를 찾는데 여기 있네. 신이 자비로운 걸 부정하지 않네, 다양한 자비의 방식에 따라 인간들과 짐승들을 구원하는 자를. 더욱이 사후 인간을 복락 누리게 하시는 궁극적 자비에 대해 말하고 있네. 이 지복의 상태는 전혀 용서받은 일 없는 죄 지은 누구에게도 주어지지 않아야 하고, 이 용서는 죄로 말미암고 그 죄의 크기에 부합하는 그 빚의 보상 외에 달리 일어나선 안 된다. 나는 앞서 제시한 논리적 추론들로 이를 증명했다 본다. 만일 이 논리적 추론들에 반박이 있어 보인다면, 말해라.
23) Cf. Vulgate, Psalmi iuxta LXX, 35 (36), 7–8: homines et iumenta salvabis, Domine, quemadmodum multiplicasti misericordiam tuam, Deus.

B. I see that I certainly cannot prove any of your logical reasonings in the slightest invalid.
조금의 부당함도 찾을 수 없다.
A. Nor do I think them so, if they are properly considered. Nevertheless, if just one piece of reasoning, out of all those which I have set forth, has the corroboration of unassailable truth, that ought to suffice. For, whether the truth is unassailably demonstrated by one argument or by several, it is equally safeguarded from all doubt.
나도 그렇게 생각한다, 만일 적절히 고려되었다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일 내가 내놓은 추론의 한 조각이라도 불가치한 진리의 확증을 가진다면 만족해야 한다. 그 진리가 불가침하게 증명되는 게 논증 하나로든 여럿으로든, 의심 막는데 마찬가지이다.
B. Self-evidently, this is the case.
자명하다.

25. That it follows as a necessary consequence that mankind is saved by Christ

B. How, then, will man be saved, if he does not himself pay what he owes, and is bound not to be saved if he does not pay? What effrontery it is on our part to assert that God, who is ‘rich in mercy’ [cf. Eph. 2: 4] beyond human understanding, cannot do this merciful thing!
그럼 어떻게 인간이 구원될까, 만일 그가 스스로 빌린 걸 못 갚으면, 그리고 그가 갚지 못하면 구원 못 받게 묶여 있으면? 인간의 지성을 넘어서서 자비로 넘치는 신이 이 자비로운 일을 할 수 없다 주장하는 건 얼마나 뻔뻔한가?
A. You ought to demand an answer now from those people, on whose behalf you are speaking, who do not believe that Christ is necessary for the salvation of mankind. They should state by what kind of means mankind can be saved without Christ. If they are in no way able to do so, let them cease mocking us, and come and join those of us who have no doubt that mankind can be saved through Christ, or alternatively let them despair of the notion that salvation can ever happen by any means whatsoever. If they are horrified at the thought, let them believe, with us, in Christ, so that they be capable of being saved.
자네가 대신 말하고 있는 그들에게 이제 답을 요구해야 한다, 예수가 인류 구원을 위해 필연적이라고 믿지 않는 자한테. 그들은 예수 없이 어떤 수단으로 인류 구원 되는지 말해야 한다. 만일 그들이 그럴 방법이 없다면, 그들이 조롱하게 내버려 두고, 인류가 예수 통해 구원될 수 있음을 의심하지 않는 우리와 함께 가거나, 그들로 하여금 어떤 수단으로든 어떻게든 구원이 있으리란 기대를 체념하게 둬라. 그들이 두려워 한다면, 우리와 함께 그리스도 안에서 믿게 하고, 그래서 그들이 구원받을 수 있도록 하라.
B. I shall make the same request as I did at the beginning: that you should explain for what reason it is that mankind is saved through Christ.
처음 요구한 거 다시: 인류가 예수 통해 구원받는 것 이유 설명해줘.
A. Surely it is sufficient proof that it is through Christ that mankind can be saved when even unbelievers affirm that there is some way in which man can become happy, and it has been adequately demonstrated that, if we posit the non-existence of Christ, the salvation of mankind cannot be effected by any means? For these are the alternatives: it will be possible for mankind to be saved through Christ, or by some other means, or by no means. Therefore, if it is untrue that this can happen by no means, or by some other means, it is necessary that it should come about through Christ.
충분한 증명이지? 그리스도 통해서 인류 구원될 수 있다고, 비신자들조차 인간 행복해질 방법 있다고 긍정할 때, 우리가 그리스도 없다 치며 인류 구원 어떤 식으로도 안 된다고 충분히 증명했지? 이건 대안들이지: 인류가 예수 통해 구원받을 수 있거나 아무 방법이 없거나. 그래서 만일 어떤 식으로 일어날 수 없다거나 다른 법이 있다는 게 거짓이면 예수 통한 게 필연적이다.
B. Suppose someone were to see the validity of the reasoning that salvation cannot happen by any other means, while not understanding why it could happen through Christ. He would wish to assert that salvation could not happen through Christ or in any way at all. What shall we say in answer to him?
불가피한 건 알아도 그리스도 통해서 왜 가능한지 모르면. 그는 어떤 식으로도 구원 없다고 할 거야. 걔한테 뭐라 할까?
A. What answer is one to give to someone who, out of an inability to understand why it is, concludes that an inevitable fact is an impossibility?
불가피한 사실이 왜 그런지 모르고 불가능한 것이라 결론내리는 바보한테 뭐라 그래?
B. The answer that he is a fool.
바보라 그러지.
A. And so, what he says deserves contempt.
엿이나 먹으라 그래.
B. True. But one needs to make clear to him the reason why the thing that he reckons impossible is actually the case.
맞아. 근데 그가 불가능하다 여기는 게 실제로 사실이란 거 이유 설명해줘야 해.
A. Do you not understand, on the basis of what we have already said, that it is a necessity that some human beings should attain to happiness? For let us assume that God created mankind without stain with this state of bliss in view and thus that it is unfitting for him to bring to this state a human being who is in any way stained—otherwise he might seem to be having regrets about his good undertaking and to be incapable of bringing his plan to fulfilment. If this is a correct assumption, the incongruity referred to makes it even more impossible that no human being can be brought forward to the state for which he was created. Consequently, one either has to look outside the Christian faith—and this is something for which no logic can offer demonstrative support—for the satisfaction for sin which, as we have demonstrated earlier, needs to come about, or, alternatively, one should have an undoubting belief in that faith. For something which is truthfully deduced to be the case by unavoidable logic ought not to be subjected to doubt, even if the reason why it should be the case is not perceived.
너 몰라? 말했던 전제에서 몇 놈은 복락 누려야 하는 게 필연적인거? 신이 인류를 오점 없이 복된 채로 관조 속에 만들고 얼룩진 놈 거기 놓는 게 안 어울린다고 가정하자. - 다른 식으로는 그의 좋은 일을 후회하고 계획 수행 못하는 걸로 보이니까. 만일 이게 정확한 가정이면, 언급된 부조화가 아무도 그를 위해 창조된 그 복에 못 가는 것을 훨씬 불가능하게 만들어. 결론적으로 그리스도교 신앙 밖에서 보거나 - 증명지지 줄 아무런 논리도 없는 것 - 죄의 보상에 대해서, 앞서 밝혔던 것처럼, 그게 일어나야 한다고, 아니면, 대신에, 그 신념에 의심 없는 신념을 가져야 해. 불가피한 논리도 사실로 추론되는 거는 의심받지 않아야 해, 그 사실이 그래야 하는 이유가 인지되지 않더라도.
B. What you are saying is true.
맞어.
A. So, what more are you asking for?
그럼, 뭐가 더 필요해?
B. I have not come to this point with the aim that you should remove from me doubt about the faith, but so that you should reveal to me the logical basis for my certainty. You have brought me by logical reasoning to this point, so that I might see that man owes to God for his sin something which he is incapable of paying back, and cannot be saved unless he repays it. I wish you likewise to bring me to a position where I may understand that, in terms of logical necessity, all the things which the Catholic faith teaches us to believe have to be the case, if we wish to be saved; where I may understand, too, how it is that they are effective for the salvation of mankind, and how God in his mercy saves mankind, when he does not forgive a person for his sin, if the person in question does not give back what he owes on account of that sin. And, so that your arguments may be all the more certain, make your beginning a long way from your eventual point,24) in such a way that you may build them on a firm foundation.
내 의심 거둬달라고 온 게 아니라 논리적 근거 달라고 온 거야. 논리적으로 이끌어 줘서 내가 인간은 죄에 대해 신에게 빚졌다고 그가 갚을 수 없는 걸 그랬다고, 못 갚으면 구원 못 받는다고 알았어. 논리적 필연으로 가톨릭 교사들이 우리한테 사실이어야 한다고 믿으라 가르치는 거 이해시켜줘. 만일 우리가 구원받길 바란다면; 어떻게 그 믿음들이 인류 구원에 효과적인지 알게 해줘. 그리고 어떻게 신이 자비 속에서 구원하는지도. 만일 인간이 죄로 빌린 거 안 갚으면 용서 못 받는 상황에서 말이야. 그리고 니 논증 확실해지게 목적지에서부터 긴 길을 시작해 줘. 확실한 기초 위에 그것들을 세울 방식으로.
24) There is archaelogical evidence that it was common 12th-cent. bad building practice to erect buildings directly over the (rubbish-filled) quarry pits from which the stone for them had been excavated.

A. May God help me now, because, in setting me such a great task, you are not sparing me in the slightest and are not taking into account the weakness of my knowledge. Nevertheless, seeing that I have made a beginning, I shall make the attempt, not putting trust in myself but in God, and I shall do what I can with his help. But, to avoid causing the would-be reader tedium by too long a continuous argument, let us separate the things which remain to be said from those already said, by making another beginning.
신이 돕는다면, 그런 큰 일 하는 데, 넌 날 조금도 아끼지 않고 내 무식도 고려 안해. 그렇지만 내가 시작했으니 그걸 해 봐야 하겠고, 내가 아니라 신을 신뢰하면서, 그리고 난 내가 그의 도움으로 할 수 있는 걸 할래. 하지만 읽을 놈들 너무 길어 지루하지 않게, 얘기할 남은 거랑 얘기된 거 나누자, 다른 시작을 해서.

-蟲-


Nominalism
유명론


• The motivation for nominalism
• 유명론의 계기
• Austere nominalism
• 엄격한 유명론
• Metalinguistic nominalism
• 메타언어적 유명론
• Trope theory
• 수사론
• Fictionalism
• 허구론

Overview
개관

Nominalists deny that there are universals; and the central motivation for their view is the belief that our metaphysics should exhibit simplicity of theory. They believe that given two theories with the same explanatory power, the theory that posits fewer irreducibly distinct kinds of things is preferable. And they believe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fully satisfactory accounts of attribute agreement, subject-predicate discourse, and abstract reference that posit only particulars or individuals.
유명론자들은 보편자들이 있음을 부정한다; 그리고 그러한 관점의 주된 계기는 우리의 형이상학이 이론의 단순성을 드러내야 하리라는 믿음이다. 그들은 동일한 설명력을 지닌 두 가지 이론들을 고려한다면, 더 적은 환원불가능하게 특유한 종류들의 사물들을 가정하는 이론이 더 바람직하다고 믿는다. 그리고 그들은 오직 특수자들이나 개별자들만을 가정하는 속성 일치, 주-술 담론, 그리고 추상적 지시에 대한 완전히 만족스러운 설명을 제공하는 일이 가능하다고 믿는다.

  There are, however, different forms of nominalism. The most extreme version endorses an ontology incorporating only concrete particulars and holds that all claims apparently about universals are just disguised ways of making claims about concrete particulars. There are serious difficulties with this extreme form of nominalism; and those difficulties have led some philosophers to endorse a metalinguistic form of nominalism. This view agrees that the only things that exist are concrete particulars, but holds that claims apparently about universals are really disguised ways of talking about linguistic expressions. There is also the form of nominalism that has been called trope theory. On this view, there are such things as properties or qualities, but they are one and all particular: each can be found in just one object; and the claim is that talk apparently about universals is really just talk about these particular qualities or properties (called tropes; hence the name ‘trope theory’). Finally, there is the form of nominalism called fictionalism. On this view, talk about universals is like fictional discourse. It is just an element in a fictional story we tell.
  그렇지만 유명론에는 상이한 형태들이 있다. 가장 극단적인 형태는 오직 구체적 특수자들만을 결합하는 존재론을 지지하고 명백히 보편자들에 대한 모든 주장들은 구체적 특수자들에 대한 주장들을 형성하는 잘못된 방식들일 따름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극단적 형태의 유명론에는 심각한 난점들이 있다; 그리고 그러한 난점들은 일부 철학자들을 메타언어적 형태의 유명론을 지지하는 데에로 이끌었다. 이 관점은 오직 현존하는 사물들만이 구체적 특수자들이라는 점에 동의하지만, 명백히 보편자들에 대한 주장들은 실제로 언어적 표현들에 대해 이야기하는 잘못된 방식들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수사론이라 불려온 유명론의 형태도 있다. 이 관점에서, 속성들이나 성질들과 같은 그러한 것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하나부터 열까지 모두 특수자이다: 즉 그 각각은 오직 하나의 대상에서 발견될 수 있다; 그리고 그 주장은 명백한 보편자들에 대한 말은 실제로 단지 이러한 특수한 성질들이나 속성들 (수사들이라 불리는; 그러므로 '수사론'이라는 이름이 붙는다) 에 대한 말이다. 끝으로, 허구론이라 불리는 형태의 유명론이 있다. 이 관점에서는, 보편자들에 대한 말은 허구적 담론과 같은 것이다. 그것은 단지 우리가 이야기하는 허구적 서사 내의 한 요소일 뿐이다.


The motivation for nominalism
유명론의 계기

The nominalist denies that there are universals. Why? A survey of the literature defending nominalism does not suggest a single answer to this question; for nominalists attack metaphysical realism on a wide variety of fronts. Sometimes, the target of their criticisms is the notion of multiple exemplification. According to the nominalist, the claim that numerically different particulars exemplify one and the same universal leads to incoherence.[1] Since the different particulars allegedly exemplifying a given universal at any one time occupy distinct and discontinuous or nonoverlapping regions of space at that time, the nominalist tells us that their jointly exemplifying the universal presupposes that numerically one and the same entity is wholly and completely present in nonoverlapping regions of space at a single time. The nominalist insists, however, that multiple localization of this sort is impossible; and toward showing this, he points out that were it possible, then it would be possible for claims like

  (1) The color red is 15 miles away from itself
and
  (2) The shape of triangularity is both receding from and drawing closer to itself

to be true; but the nominalist assumes that we need no argument to be convinced that, if intelligible at all, such claims are necessarily false.
유명론은 보편자들이 있음을 부정한다. 어째서 그러한가? 유명론을 옹호하는 조사 보고는 이 물음에 단일한 답변을 제시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유명론자들은 형이상학적 실재론을 광범위하게 다양한 전선(戰線)에서 공격하기 때문이다. 때때로, 그들의 비판 표적은 복합적 예화의 관념이다. 유명론에 따르면, 수적으로 상이한 특수자들이 하나의 동일한 보편자를 예화한다는 주장은 비정합성으로 나아간다. 주장된 바대로 어떤 한 순간 주어진 보편자를 예화하는 상이한 특수자들은 그 순간에 공간의 특유하고 불연속적이거나 비중첩적인 영역들을 점유하므로, 유명론은 우리에게 그 특수자들이 공동으로 그 보편자를 예화함은 수적으로 하나이고 동일한 실체가 전적으로 완벽히 단일한 시점에 공간의 비중첩적 영역들에서 현재함을 전제한다고 말한다. 그렇지만 유명론은 이러한 종류의 다중적 국재성(局在性)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를 보이기 위하여, 유명론은 그것이 가능하였더라면, 다음과 같은 주장들이 참인 일이 가능하였을 것임을 지적한다;

  (1) 그 빨간색은 그 자체로부터 15마일 떨어져 있다
그리고
  (2) 그 삼각형의 형태는 그 자체로부터 물러나면서 그 자체에 가까이 다가가고 있다.

그러나 유명론은 우리가 좌우간 지성적이라면, 그러한 주장들이 필연적으로 거짓임을 확신하기 위해 아무런 논증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추정한다.

  In other contexts, we find nominalists objecting to universals on the grounds that it is impossible to provide a noncircular account of the identity conditions for things like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2] As these nominalists see things, we are entitled to introduce a kind of object into our ontology only if we are prepared to provide an account of when we have one and the same object of that kind and when we have numerically different such objects. But we are told that there are insuperable difficulties confronting the attempt to provide noncircular identity conditions for universals. We cannot provide satisfactory identity conditions for universals by reference to the items that exemplify them. That is, we cannot say that a universal, U, is numerically identical with a universal, U', if and only if every object that exemplifies U exemplifies U' and vice versa; for clearly universals can be different even though they are exemplified by all and only the same objects. Thus, everything that exemplifies the universal mankind exemplifies the universal being a featherless biped; and every item that exemplifies the latter exemplifies the former. Nonetheless, we have different universals here. What makes mankind and being a featherless biped different is not the sets of things that exemplify them; what makes the two universals different is their content. But to explain what it is for a universal, U, and a universal, U', to differ in content, we need to introduce further universals by referring, say, to the distinct universals that enter into the definitions of U and U'. The introduction of these further universals will do the trick, however, only if we can be sure that they are numerically different; but the nominalist tells us that we could be sure of that only if we already had precisely what we are trying to provide, a general account of the identity conditions for universals.
  다른 문맥들에서, 우리는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과 같은 것들의 규정조건들에 대한 비순환적 설명을 제공하는 일이 불가능하다는 근거들에서 보편자들에 대해 반대하는 유명론자들을 발견한다. 이러한 유명론자들이 사물들을 바라보는 바로는, 우리가 한 종류의 대상을 우리의 존재론에 도입시키는 자격이 있으려면 오직 우리가 언제 그러한 종류의 하나이며 동일한 대상을 갖는지 그리고 언제 우리가 수적으로 상이한 그런 대상들을 갖는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만 한다. 그러나 우리는 보편자들에 대한 비순환적 규정 조건들을 제공하려는 시도에서 직면하는 극복할 수 없는 어려움들이 있다고 이야기하게 된다. 우리는 보편자들을 예화하는 항목들을 지시함으로써 그 보편자들에 대한 만족스러운 규정 조건들을 제공할 수는 없다. 즉, 우리는 보편자 U가 보편자 U'와 수적으로 동일함의 필충조건이 U를 예화하는 모든 대상은 U'를 예화하고 그 역도 성립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없다; 왜냐하면 분명히 보편자들은 설령 그것들이 모든 동일한 대상들에 의해 오직 그 대상들에 의해서만 예화된다 할지라도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보편자 인류를 예화하는 모든 것은 보편자 깃털 없는 두 발 동물임을 예화한다; 그리고 후자를 예화하는 모든 항목은 전자를 예화한다. 그렇다 할지라도, 우리는 여기에서 서로 다른 보편자들을 가진다. 인류와 깃털 없는 두 발 동물임을 서로 다르게 만드는 것은 그것들을 예화하는 사물들의 집합들이 아니다; 그 두 보편자들을 다르게 만드는 것은 그것들의 내용이다. 그러나 보편자 U와 보편자 U'에 대해 그 내용에 있어서 차이가 무엇인지 설명하기 우해, 우리는 말하자면 U와 U'에 대한 정의들에 들어가는 특유한 보편자들에 대해 지시함으로써 추가적 보편자들을 도입시킬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이런 추가적 보편자들의 도입은 오직 우리가 그 보편자들이 수적으로 상이함을 확신할 수 있는 한에서만 유효할 것이다; 그러나 유명론은 우리에게 우리가 오직 이미 정확히 우리가 제공하고자 하는 바로 그것을 가지고 있을 때에만, 즉 보편자들을 규정하는 조건들에 대한 일반적 설명을 지니고 있을 때에만 그 보편자들이 수적으로 상이함을 확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In still other contexts, nominalists criticize realism by pointing to problems discussed in the previous chapter. Thus, we meet with the claim that metaphysical realism is necessarily regressive, that in explaining attribute agreement or predication by reference to the exemplification of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realists land themselves in a vicious infinite regress. And we find nominalists arguing that to endorse the ontology of metaphysical realism is to court disaster in epistemology; for if the realist’s characterization of universals as abstract entities is correct, it is impossible to explain how beings like ourselves who have their roots in the concrete world of particulars could ever come to have cognitive access to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또 다른 문맥들에서, 유명론자들은 앞선 장에서 논의된 문제들을 지적함으로써 실재론을 비판한다. 그래서, 우리는 형이상학적 실재론이 필연적으로 소급적이라는, 그리고 속성들, 종류들, 그리고 관계들에 대한 예화를 지시함으로써 속성 일치나 서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실재론자들이 그들 자신을 심각한 무한 소급에 빠뜨린다는 주장과 마주친다. 그리고 우리는 형이상학적 실재론의 존재론을 지지하는 것이 인식론에 있어서 재난을 자초하는 일이라고 주장하는 유명론자들을 발견한다; 왜냐하면 만일 추상적 실체들이라는 실재론의 보편자들에 대한 규정이 정확하다면, 우리 자신들과 같이 그 기원들을 특수자들의 구체적 세계에 두는 존재자들이 도대체 어떻게 속성들, 종류들, 그리고 관계들에 대한 인지적 접촉을 지니게 될 수 있을 것인지 설명하는 일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While the various criticisms we have mentioned may explain a certain unease about multiply exemplifiable entities, it is unlikely that either individually or collectively they provide a fully satisfactory explanation of the outright rejection of metaphysical realism. Consider the first of these criticisms. The objection is that since the many particulars that supposedly exemplify a universal occupy discontinuous or nonoverlapping regions of space, the realist is committed to the necessarily false claim that a single thing is wholly and completely present at numerically different and nonoverlapping places at one and the same time. The objection just assumes, however, that the realist is committed to the claim that universals have spatial location, that a universal is itself located where its exemplifiers are located; and although some realists have been willing to endorse this claim, not all have. Thus, Bertrand Russell denies that universals have any location at all, and he thinks that the denial has strong intuitions supporting it. He points out that while the universal being north of relates Edinburgh and London, “there is no place . . . where we find the relation ‘north of.’ It does not exist in Edinburgh any more than in London; for it relates the two and is neutral between them.”[3] And Russell generalizes from this case, holding that whereas the particulars exemplifying a universal may have spatial location, the universal they exemplify never does.
  우리가 언급했던 다양한 비판들이 다중적으로 예화 가능한 실체들에 대한 특정한 우려를 설명할 수 있을지 모르는 반면, 그것은 개별저긍로나 총괄적으로 그 비판들이 형이상학적 실재론에 대한 노골적 거부에 대한 완전히 만족스러운 설명을 제공하는 것과는 다르다. 이러한 비판들 중 첫 번째 것을 고찰해 보자. 그 반박은 추정상 보편자를 예화하는 많은 특수자들이 불연속적 혹은 비중첩적 공간 영역들을 점유하므로, 실재론은 단일한 사물이 하나의 동일한 시간에 수적으로 상이하며 비중첩적인 장소들에 전적으로 완전히 현재한다는 필연적으로 거짓인 주장에 전념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그 주장은 바로 실재론이 보편자들은 공간적 위치를 지닌다는 것, 그리고 보편자는 그 자체로 그 보편자의 예화자들이 위치되는 곳에 위치된다는 것을 전제한다; 그리고 일부 실재론자들이 이러한 주장을 지지하고자 해 왔다고 할지라도, 모두가 그래오진 않았다. 그래서, 버트란드 러셀은 보편자들이 도대체 어떤 위치든 가진다는 것을 부정하고, 그 부정이 그것을 뒷받침하는 강력한 직관들을 지닌다고 생각한다. 그는 보편자 북향임이 에딘버러와 런던을 관련시키는 반면, "우리가 '북향'이라는 관계를 발견하는 그런 어떤 곳도 없음을 지적한다. '북향'이란 것은 런던뿐만 아니라 에딘버러에서도 현존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것은 그 둘을 관련시키고 그것들 사이에 중립적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러셀은 이 경우로부터 보편자를 예화하는 특수자들은 공간적 위치를 지닐지 모르는 반면, 그것들이 예화하는 그 보편자는 절대로 그런 것을 가지지 않는다고 주장함으로써 일반화시킨다.

  Now, Russell’s view does not seem incoherent; but if it is not, then the realist is not as such committed to the view that universals have a spatial location, so that the objection does not show that metaphysical realism itself is problematic. At most, it points to problems for those versions of realism that take universals to be located where their exemplifiers are located. But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objection succeeds on this more limited front only if it is, in fact, necessarily false that a single entity occupies two or more nonoverlapping places at a single time; and pretty clearly the realist who takes universals to have spatial location will deny that it is.[4] The realist will concede that it is impossible for a particular wholly and completely to occupy different nonoverlapping places at any one time and will claim that it is this impossibility, coupled with our prephilosophical tendency to be concerned with the spatial location only of particulars, that tempts us to conclude that the more general claim is necessarily false. The realist will insist, however, that by their very nature the universals exemplified by particulars are things that can occupy different and discontinuous regions of space at a given time and will maintain that the apparent oddity of claims like (1) and (2) derives not from any metaphysical impossibility, but merely from the fact that since our discourse about spatial location is typically restricted to the case of particulars, we mistakenly suppose that the principles governing their occupation of space apply across the board.
  이제, 러셀의 관점은 비정합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만일 비정합적으로 보이지 않다면, 실재론은 보편자들이 공간적 위치를 가진다는 관점에 전념하게 되는 그런 것이 아니고, 그래서 그 반박은 형이상학적 실재론 자체가 문제있는 것임을 보여주지 않는다. 기껏해야, 그 반박은 보편자들이 그것들의 예화자들이 위치되는 곳에 위치되는 것이라고 여기는 그런 형태의 실재론들에 대한 문제들만을 지적한다. 그러나 그 반박이 이 더욱 제한된 전선에서 오직 사실상 단일한 실체가 둘 혹은 그 이상의 비중첩적 장소들을 단일 시점에 점유하는 것이 필연적으로 불가능할 때에만 성공한다는 점을 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꽤나 분명히 보편자들을 공간적 위치를 지니는 것으로 여기는 실재론자는 그 점을 부정할 것이다. 그 실재론자는 한 특수자가 전적으로 완전히 어떤 한 시점에 상이한 비중첩적 장소들을 점유하는 것이 불가능함을 인정할 것이고 그것이 오직 특수자들의 공간적 위치에만 관계하는 우리의 전철학적 경향과 결부되어, 우리로 하여금 더욱 일반적인 그 주장이 필연적으로 거짓이라 결론내리게끔 하는 이끄는 불가능성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그 실재론자는 그렇지만 그 본성에 의해 특수자들에 의해 예화되는 보편자들이 주어진 한 시점에 공간의 상이하고 불연속적인 영역들을 점유할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고 (1)과 (2)와 같은 주장들의 명백한 괴이함이 어떤 형이상학적 불가능성으로부터도 유래하지 않고, 단지 우리의 공간적 위치에 대한 담론이 전형적으로 특수자들의 경우에 제한되므로, 우리는 그 특수자들의 공간 점유를 통제하는 원칙들이 일률적으로 적용된다고 잘못 생각한다는 사실로부터 유래할 따름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It is difficult to fault this reply to the objection; and the fact is that we find nominalists conceding as much. Thus, David Lewis, a staunch nominalist, tells us that “by occurring repeatedly, universals defy intuitive principles. But that is no damaging objection, since plainly the intuitions were made for particulars.”[5] Now, we can expect nominalists to have what they believe to be good reasons for being nominalists; but if nominalists themselves concede the limitations of the first objection, it is unlikely that the objection identifies the deep-lying reason for rejecting metaphysical realism and endorsing nominalism.
  그 반박에 대한 이러한 응답은 흠을 잡기 어렵다; 그리고 우리가 그만큼을 인정하는 유명론자들을 발견하는 것도 사실이다. 그래서, 충실한 유명론자인 데이비드 루이스는 우리에게 "반복적으로 발생함으로써 보편자들은 직관적 원칙들을 무시한다. 그러나 저것은 전혀 치명적인 반박이 아닌데, 명백하게 특수자들에 대한 직관들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라고 말한다. 이제, 우리는 유명론자들이 유명론자들이기 위한 훌륭한 근거들인 것으로 믿는 어떤 것을 가진다고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유명론자들 스스로 첫 번째 반박의 제한들을 인정한다면, 그 반박이 형이상학적 실재론을 거부하고 유명론을 지지하기 위한 심오한 근거를 규정할 성 싶지는 않다.

  The same is true, I think, of the second objection. That objection begins with a demand for a general account of the identity conditions for universals and then challenges the realist to come up with an account that is noncircular and nonregressive. Now, some realists have taken up the challenge and have tried to provide an account of the sort the nominalist demands. More typically, however, realists argue that the nominalist’s demand for identity conditions is inappropriate.[6] They concede that in some cases it is possible to provide noncircular conditions for identity. The mathematician’s set is a case in point. We can say that a set, α, is identical with a set, β, if and only if every member of α is a member of β and vice versa; but realists deny that the case of sets is typical. In many other cases, we find that identity conditions of the sort the nominalist demands are not forthcoming; but the realist insists that our inability to provide identity conditions in these cases does nothing to call into question the things involved. Thus, the realist might point out that for entities as unobjectionable as material objects, the attempt to provide informative conditions of identity is fraught with difficulty. We might suppose that we could formulate such conditions by reference to the spatiotemporal locations of material objects; but the realist points out that if this is supposed to be a fully general account, it too will be either circular or regressive; for any account that makes the identity of material objects turn on the identity of places and times must face the objection that the identity of places and times depends, in turn, on the identity of the objects located at them. So it may turn out that it is just not possible to provide identity conditions of the sort the nominalist demands for material objects. The realist, however, insists that our inability to provide the relevant identity conditions does nothing to call into question the legitimacy of the general category of material objects; and that, the realist argues, simply shows that the nominalist’s general demand for identity conditions is mistaken. The realist concludes, then, that if we are unable to provide a noncircular account of identity conditions for universals, that fact does nothing to cast doubt on the realist’s appeal to entities of that category.
  내 생각에는 두 번째 반박에 대해서도 사정은 같다. 저 반박은 보편자들을 규정하는 조건들에 대한 일반적 설명의 요구로 시작하고, 그래서 비순환적이고 비소급적인 설명을 찾아내도록 실재론을 시험한다. 이제, 일부 실재론자들은 그 시험을 계속하였고 유명론이 요구하는 그런 종류의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애썼다. 그렇지만 더욱 전형적으로 실재론자들은 규정 조건들에 대한 유명론의 그 요구가 부적절하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규정을 위한 비순환적 조건들을 제공하는 일이 가능함을 인정한다. 수학자의 집합이 그 지점에 속하는 경우이다. 우리는 한 집합 α가 한 집합 β와 동일할 필충조건은 α의 모든 원소가 β의 원소이고 그 역이 성립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실재론자들은 집합들의 경우가 전형적이라는 점을 부정한다. 많은 달느 경우들에 있어서, 우리는 유명론자들이 요구하는 그런 종류의 규정 조건들이 마련되어 있지 않음을 발견한다; 그러나 실재론은 우리의 이러한 경우들에 있어서 규정 조건들을 제공하는 일에 대한 우리의 무능함이 포함되는 아무런 것도 문제가 있도록 만들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실재론은 아마도 물질적 대상들만큼이나 받아들일 만한 실체들에 대해서, 규정의 유용한 조건들을 제공하려는 시도는 난점 투성이임을 지적할 것이다. 우리는 아마도 우리가 물질적 대상들의 공간적 위치들을 지시함으로써 그러한 조건들을 정식화할 수 있으리라 생각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실재론은 만일 이것이 충분히 일반적인 설명인 것으로 생각된다면, 그것은 또한 순환적이거나 소급적일 것임을 지적한다; 물질적 대상들에 대한 규정을 장소들과 시간들에 대한 규정 중심이 되도록 만드는 어떠한 설명이든 반드시 이번에는 장소들과 시간들에 대한 규정이 그것들에 정위된 대상들의 규정에 의존한다는 반박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유명론자들이 물질적 대상들에 대해 요구하는 그런 종류의 규정 조건들을 제공하는 일은 불가능할 따름임이 밝혀질 것이다. 그렇지만 실재론은 상관된 규정 조건들을 제공하는 일에 있어서 우리의 무능이 물질적 대상들의 일반 범주에 대한 적법성을 문제시되도록 하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실재론은 단순히 저것이 규정 조건들에 대한 유명론자의 일반적 요구가 오류임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실재론은 만일 우리가 보편자들에 대한 규정 조건들의 비순환적 설명을 제공하는 일을 할 수 없다면, 그 사실은 저 범주(보편자)에 속하는 실체들에 대한 실재론의 호소에 의심을 제기할 아무것도 없다고 결론내린다.

  Now, the nominalist may not find the reply fully convincing; but the reply does have the force of shifting the burden of proof to the nominalist. If the criticism is to constitute a decisive objection against realism, we need a general defense of the demand for identity conditions; and the fact is that nominalists seldom see it as central to their overall project to provide such a defense. Were nominalists’ rejection of universals grounded, first and foremost, in a concern over identity conditions, we would have expected them to be a bit more assiduous here. It seems reasonable to conclude, then, that the second objection fails to identify the central underlying motivation for nominalism.
  이제, 유명론은 그 응답이 충분히 설득력있지 않음을 알아차릴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 응답은 증명의 부담을 유명론에 떠넘길 능력을 갖는다. 만일 그 비판이 실재론에 반대한 결정적 반박이 되는 것이라면, 우리는 규정 조건들에 대한 그 요구에 대한 일반적 옹호를 필요로 한다; 그리고 유명론자들은 거의 그러한 방어를 제공하는 일을 그들의 전반적 기획에 중심적인 것으로 보지 않는다는 것도 사실이다. 보편자들에 대한 유명론자들의 거부가 기초되려면, 규정 조건들에 관련하여, 우리는 그들이 여기에서 조금은 더 성실할 것을 기대하였을 것이다. 그래서, 두 번째 반박이 유명론에 대한 그 기저에 놓인 중심적인 계기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라고 결론 내리는 일은 합당해 보인다.

  As we saw in the last chapter, realists devote considerable attention to the objection that metaphysical realism is viciously regressive; and as we noted, the objection can take a variety of forms. Realists make a convincing case that most versions of the objection fail; and while they generally concede that realism would be viciously regressive were exemplification a relational notion categorically like the more familiar relations to which it applies, realists take this claim to provide the parameters for formulating a theoretically adequate version of realism rather than a refutation of their view. What the claim shows, realists tell us, is that exemplification is a tie or a nexus rather than a relation. Now, nominalists may find the different versions of the objection that realism is regressive more powerful than realists themselves claim they are; and they may find the realist’s denial that exemplification is a relation ad hoc and the distinction between ties or nexus and relations artificial. Nonetheless, in the face of all that realists have to say in reply to the objection, it would be surprising were the nominalist to find this third objection unassailable grounds for rejecting the ontology of metaphysical realism. And in the same way, the epistemological worries about our cognitive access to abstract entities are not likely to explain the nominalist’s outright rejection of multiply exemplifiable entities. Those worries play too central a role in debates between different versions of realism to allow us to suppose that they represent plausible grounds for rejecting all forms of metaphysical realism.
  우리가 이전 장에서 보았던 것처럼, 실재론자들은 형이상학적 실재론이 심각하게 소급적이라는 반박에 주목할 만한 주의를 쏟는다; 그리고 우리가 언급하였듯, 그 반박은 다양한 형태들을 취할 수 있다. 실재론자들은 그 반박의 대다수 형태들이 실패하는 설득력 있는 사례를 구성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실재론이 심각하게 소급적이리라는 점을 인정하는 그들이 관계적 관념을 그 관념이 그에 적용되는 더욱 친숙한 관계들과 범주적으로 유사하게 예화함이었던 반면, 실재론자들은 이 주장을 그들의 관점에 대한 논박이라기 보다는 이론적으로 적합한 형태의 실재론을 정식화하기 위한 매개변수들을 제공하는 것으로 여긴다. 실재론자들은 우리에게 그 주장이 보여주는 것은 예화가 관계라기 보다는 묶음이나 연합이라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제, 유명론자들은 실재론자들이 그들 스스로 그러하다고 주장하는 것보다도 실재론이 소급적이라는 반박의 다양한 형태들이 더욱 강력함을 알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아마도 예화가 관계임에 대한 실재론자의 부정이 임시변통적이고 묶음들 혹은 연합들과 관계들 사이의 구별이 인위적임을 알게 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재론자들이 그 반박에 대한 응답을 말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 세 번째 반박이 형이상학적 실재론의 존재론을 거부하기 위한 난공불락의 근거들임을 알아차린 유명론자들이 있었다는 것을 놀라운 일일 것이다. 그리고 같은 방식으로, 추상적 실체들에 대한 우리의 인지적 접근에 대한 인식로적 우려들은 다중적으로 예화가능한 실체들에 대한 유명론의 두드러진 반박을 설명할 성 싶지 않다. 그러한 우려들은 실재론의 상이한 형태들 사이에서의 논쟁에 있어서 지나치게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므로 우리에게 그러한 염려들이 형이상학적 실재론의 모든 형태들을 거부하기 위한 그럴 듯한 근거들을 표현한다고 생각하도록 허락하지 않는다.

  None of the objections we have been considering, then, provides a fully satisfying explanation of the attractiveness of a nominalist theory. The objections all fasten on technical difficulties in realism; but the nominalist’s worries about realism are not primarily technical. The underlying source of nominalism is, I think, more straightforward; it is a certain conception of the metaphysical enterprise. As the nominalist sees things, the metaphysician, no less than the natural scientist, is in the business of theory construction. Metaphysical theories have, to be sure, a generality and comprehensiveness outstripping that of particular scientific theories; nonetheless, what is going on in the two cases is basically the same thing. There are certain phenomena that need to be explained or accounted for, and the formulation of a theory is the attempt to provide the requisite explanation or account. Central to any theory are the special objects and structures it postulates. The theory provides principles that characterize the nature and behavior of its theoretical posits and show thereby how its posits serve to explain the phenomena which constitute the domain or field of the theory. What justifies the postulation of these theoretical posits is just their role in explaining the relevant phenomena; and in evaluating a theory we are seeking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the entities the theory postulates do, in fact, explain the phenomena they were introduced to explain. In this context, we typically look to competing theories, alternative theories designed to explain phenomena from the same domain; and we compare the theoretical power of our candidate theory with that of its competitors. Where several such theories have roughly equal explanatory power, other factors come into play in determining our choice of theory. The additional factors may vary from case to case; but one consideration that is always central is that of theoretical simplicity. All other things being equal, we prefer an account with fewer theoretical commitments; we prefer a theory that posits fewer distinct types or kinds of entities. In choosing theories, then, we always invoke a principle of theoretical simplicity or parsimony: given two theories of equal explanatory power, the theory that postulates fewer irreducibly distinct kinds or types of entities is preferable.
  그래서 우리가 고찰하고 있던 반박들 중 어느 것도 유명론의 매력에 대한 충분히 만족스러운 설명을 제공하지 않는다. 그 반박들은 모두 실재론에 있어서의 기술적인 어려움들에만 매달린다; 그러나 실재론에 대한 유명론의 우려들은 처음부터 기술적이지는 않다. 유명론의 근저에 자리하는 원천은 내 생각엔 더욱 직접적이다; 그것은 형이상학적 기획에 대한 특정한 개념이다. 유명론이 사물들을 보는 바로는, 형이상학자는 자연과학자보다 조금도 덜함이 없이 이론 구축의 사업에 속한다. 형이상학적 이론은 분명 특수한 과학적 이론들을 능가하는 일반성과 종합성을 지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두 경우들 모두에서 지속되는 것은 기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해명이나 설명이 필요한 특정 현상들이 있고, 이론의 정식화는 요청되는 해명 또는 설명을 제공하려는 시도이다. 어떤 이론에 대해서든 중추적인 것은 그 이론이 상정하는 특별한 대상들이나 구조들이다. 그 이론은 그 이론의 이론적 가정들에 대한 본성과 습성을 규정하는 원칙들을 제공하고 그로써 어떻게 그 이론의 가정들이 그 이론의 영역 혹은 분야를 구성하는 현상들을 설명하는 역할을 하는지 보여준다. 이러한 이론적 가정들의 상정을 정당화하는 것은 바로 상관된 현상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그 가정들의 역할이다; 그리고 이론을 평가함에 있어서 우리는

  Now, what the nominalist wants to claim is that these general considerations about theory choice call into question the ontological framework of metaphysical realism. The realist’s ontology represents a two-category ontology; it postulates entities of two irreducibly different types: particulars and universals. According to the nominalist, however, all the theoretical work done by the two-category ontology of the realist can be done by an ontological theory that commits us to the existence of entities of just one category, particulars. So the claim is that there is a nominalist theory, an ontology that postulates no multiply exemplifiable entities, whose explanatory power equals that of the best realist theory; and the conclusion is that on grounds of theoretical simplicity we have no option but to choose the nominalist theory over its realist rival or rivals.


  That these considerations about theory building and theoretical simplicity represent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nominalist enterprise is something borne out by the history of nominalism. In the works of William of Ockham, the most sophisticated and systematic medieval nominalist and the forefather of all modern nominalists, simplicity in metaphysical explanation is repeatedly extolled as a theoretical virtue.7 Indeed, the principle of simplicity is often dubbed ‘Ockham’s Razor,’ the implication being that in endorsing the principle we commit ourselves to shearing from our theory all those irrelevant entities that play no essential explanatory role. In Ockham’s own metaphysics, universals understood as nonlinguistic entities are the first victims of the razor; and in almost every subsequent nominalist theory, the rejection of multiply exemplifiable entities is justified by reference to some version of the principle that bears Ockham’s name. The difficulties mentioned earlier do, of course, play a role in the nominalist’s case against the realist; but typically they are presented as examples of the sorts of theoretical tangles associated with an account that posits superfluous or unnecessary entities. The moral would seem to be that entities that do no work do no good; indeed, they can do a lot of harm.


Austere nominalism

If issues of explanatory adequacy and theoretical simplicity lie at the heart of the nominalist’s rejection of multiply exemplifiable entities, then we can expect nominalists to argue that a metaphysical theory postulating only particulars does, in fact, have an explanatory adequacy equaling that of metaphysical realism, and to do so by arguing that what we might call a particularist ontology provides us with all the resources we need for understanding the phenomena of attribute agreement, predication, and abstract reference that we discussed in the previous chapter. And that is just what nominalists do, but at this juncture, they part company with each other. Whereas it is possible to identify a single general form of theory which, with variations in detail, all metaphysical realists endorse, nominalists defend a number of distinct and very different ontological frameworks. To be sure, those frameworks all agree in postulating only particulars; but the particulars they postulate are of very different kinds, and the ways those frameworks are supposed to deal with the phenomena central to the debate over universals are likewise very different. To give a sense of the variety of nominalist theorizing, I shall discuss three quite different patterns of nominalist metaphysics.


  The first form of nominalism I shall discuss is the most austere version. On this view, the only things that exist are concrete particulars. The standard examples of concrete particulars are things like individual persons, individual plants, individual animals, and individual inanimate material objects, but the philosopher who endorses this austere version of nominalism has considerable latitude in deciding just what counts as an existent. If he champions the framework of common sense and holds that the familiar objects of everyday experience are fully real, then his inventory of what there is will include the standard examples. If, on the other hand, he is a hard-core scientific realist of an eliminativist stripe and holds that only the items postulated by our best version of physics genuinely exist and that what common sense takes to be objects do not really exist, then his inventory of what there is will be limited to things like individual quarks, individual gluons, and individual muons. What is characteristic of the austere version of nominalism I want to discuss is that whatever sorts of objects it takes to be real, they are all things that count as concrete particulars. To simplify matters, I will assume that the nominalist takes the particulars of our nonscientific picture of the world to be fully real, and I will rely on those objects and the claims we make about them as the materials for delineating the contours of this response to the problem of universals; but the structural points I will be making about the ontological framework of austere nominalism will not depend on this choice of materials. Anything I say about a version of austere nominalism congenial to common sense will have an obvious application to the austere nominalism of a scientific realist whose attitude toward the framework of common sense is eliminativist.


  What the austere nominalist wants to claim is that an ontology of concrete particulars provides the resources for dealing with all the phenomena the metaphysical realist claims presuppose an ontology of multiply exemplifiable entities. So the claim is, first, that we do not need universals to handle the phenomenon of attribute agreement. How, then, are we to explain the phenomenon? The austere nominalist’s answer is straightforward: we are not to explain the phenomenon at all. Instead, we are to take agreement in attribute to be a fundamental and unanalyzable feature of the world.8 On this view, then, it is an irreducibly basic fact about the world that different objects agree in attribute by all being yellow, that different objects agree in attribute by all being courageous, and that different objects agree in attribute by all being triangular. There are no prior facts that serve to explain these facts; they constitute the primitive materials out of which we construct our story of the world. Here, the austere nominalist insists that every ontological account must take some facts as primitive or basic. Thus, the metaphysical realist invokes the Platonic schema and tells us that objects are, say, triangular because they one and all exemplify the property of triangularity and insists that their exemplifying triangularity is a fundamental fact, one that rests on no prior explanatory facts. The austere nominalist is merely proposing that we invoke the concept of a primitive or fundamental fact one step earlier and take the original fact that certain things are triangular to be basic.

  Frequently, the austere nominalist defends this strategy by challenging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Platonic schema. If the Platonic schema is to provide a genuine explanation of attribute agreement, universals have to be things that can be identified and characterized independently of the facts they are introduced to explain; otherwise, any application of the schema represents the proverbial sort of pseudoexplanation in which the phenomenon of sleep is explained by a virtus dormitiva, a faculty that can be identified only as the one causally responsible for sleep. The austere nominalist wants to insist, however, that the realist’s universals lack the requisite independent identifiability.9 The realist begins by noting that things agree in attribute by being, say, circular, insists that this fact stands in need of explanation, and tells us that the explanation is given by a new fact, the fact that the objects in question all exemplify the universal circularity. Austere nominalists insist that we have only the appearance of an explanation here. What, they ask, is the allegedly explanatory entity circularity, and what is it for a thing to exemplify this entity? The only answers we can give are to say that circularity is the universal common to all and only circular things and that to exemplify circularity is just to be circular. But, then, the fact realists take to be explanatory is precisely the fact they set out to explain; and we have the illusion of explanation only because the realist has dressed up the original fact of attribute agreement in new linguistic clothing. The moral the austere nominalist draws from all of this is that we are best advised to be honest from the start and simply deny that the familiar facts of attribute agreement rest on any prior facts; they are irreducibly basic facts.


  Austere nominalists want to go on and claim that if we follow them in taking the phenomenon of attribute agreement to be irreducibly primitive, we have all the resources we need for explaining how subject-predicate sentences can manage to be true. In the first chapter, we found the metaphysical realist insisting that any satisfactory theory of subject-predicate truth must have a certain form. First, it must display subject-predicate truth as a correspondence between certain linguistic structures and certain nonlinguistic structures; second, it must show how this correspondence depends upon the referential relations tying the constituent terms of subject-predicate sentences to objects in the world. Realists claim that any theory having this form must construe predicates as referentially tied to universals. Austere nominalists accept the theoretical constraints the realist imposes, but argue that a theory conformable to their own parsimonious ontological framework satisfies those constraints.


  The theory austere nominalists recommend is straightforward. They tell us that what makes a subject-predicate sentence of the form ‘a is F’ true is just that a is F.10 Thus, what makes it true that ‘Socrates is courageous’ is that Socrates is courageous; and what makes it true that ‘Plato is wise’ is that Plato is wise. According to the austere nominalist, this account satisfies both conditions the realist imposes. First, it makes the truth of subject-predicate sentences a matter of correspondence. What the account tells us is that if ‘Socrates is courageous’ is true, it is true in virtue of how some nonlinguistic object, Socrates, is. It is because Socrates is, in fact, courageous that ‘Socrates is courageous’ is true. So it is because things are as subject-predicate sentences say they are that those sentences manage to be true. What makes subjectpredicate sentences true, then, is just that things out in the world are as they are – courageous, wise, triangular, yellow, and so on. But if we accept the austere nominalist’s claim that objects being triangular, yellow, or whatever represent irreducibly fundamental facts about the world, facts that rest on no prior explanatory facts, then we have a correspondence theory of subjectpredicate truth that makes no reference to universals. Second, the account can show the correspondence at work in subject-predicate truth to be a function of the referential connections between the constituent terms of subjectpredicate sentences and nonlinguistic objects. The fact that ‘Socrates is courageous’ manages to tell us how the world is depends upon the fact that (i) its subject term, ‘Socrates,’ names a certain object, (ii) its predicate term, ‘courageous,’ is true of or satisfied by certain objects, and (iii) the item named by its subject term is one of the items satisfying its predicate term. What grounds the correspondence between language and the world, then, is naming and satisfaction. Both are referential concepts; both tie linguistic expressions to nonlinguistic objects; and it is because they tie the appropriate linguistic expressions to the appropriate nonlinguistic objects that a certain string of words corresponds to the world. So austere nominalists can show how the referential force of its constituent terms enables a subject-predicate sentence to correspond to the world; and their account does this while holding that the only items that are referentially tied to predicate terms are the concrete particulars those predicate terms are true of.


  The account that the austere nominalist presents may strike us as trivial or platitudinous. Asked why ‘Socrates is courageous’ is true, we are given the apparently trivial answer, “Because Socrates is courageous.” The austere nominalist concedes that the account is trivial, but insists that its triviality is a virtue of the theory. A theory of truth, s/he claims, ought to give us results we regard as trivial. If asked why ‘Socrates is courageous’ is true, we do not want the answer “Because blueberries grow on bushes” or “Because water is H2O.” In saying that ‘Socrates is courageous’ is true because Socrates is courageous, we identify the only thing that can count as the nonlinguistic ground of the truth of that sentence; we tell precisely what it is about the world that makes the sentence true. The austere nominalist concedes that the realist’s account of subject-predicate truth may seem less obviously trivial, but insists that when pressed, the realist’s account turns out to be every bit as trivial as that of the austere nominalist. The realist tells us that ‘Socrates is courageous’ is true because Socrates exemplifies courage. In giving this account, realists appear to escape the charge of triviality because in explaining a subject-predicate truth they do not use the very sentence whose truth they seek to explain. But here the austere nominalists reiterate the complaint raised a few paragraphs earlier. They remind us that the only sense we can give to the claim that a thing exemplifies courage is that it is courageous; but if talk about exemplifying courage is merely talk about being courageous, then the realist’s account of the truth of ‘Socrates is courageous’ is equally trivial, equally platitudinous as that of the austere nominalist. And, the austere nominalist repeats, this is no objection against either account.


  So austere nominalists take the fact that concrete particulars agree in being courageous, in being triangular, and in being human to be an ontologically basic fact; and their account of predication follows naturally from their interpretation of attribute agreement. How, then, do they deal with the third phenomenon that played a role in the realists’ case for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 the phenomenon of abstract reference? Recall that the central fact here is that there are true sentences like

  (3) Courage is a moral virtue,
  (4) Triangularity is a shape,
  (5) Hilary prefers red to blue,
and
  (6) Red is a color,

that incorporate what appear to be proper names of universals. These sentences and others like them seem to be vehicles for making claims about the universals named by their constituent abstract singular terms. Since the claims in question are true, we seem to be committed to the existence of things like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Now, the austere nominalist concedes that such sentences enable us to make true claims, but insists that the claims are not those identified by the metaphysical realist. According to the austere nominalist, the sentences appear to express claims about universals, but are really just disguised ways of making claims about familiar concrete particulars. To soften us up for their reading of sentences like (3)–(6), the austere nominalist is likely to remind us once again of the relation between sentences like

  (7) Socrates exemplifies courage
and
  (8) Plato exemplifies wisdom,

on the one hand, and sentences like

  (9) Socrates is courageous
and
  (10) Plato is wise,

on the other. As we have seen, austere nominalists claim that if sentences like (7) and (8) have any sense at all, that sense is given by sentences like (9) and (10). They insist that (7) and (8) mean nothing more than (9) and (10); the former are merely alternative ways of saying what the latter say. But, then, (7) and (8) do not involve any claims about universals. Despite appearances to the contrary, they express perfectly straightforward claims about familiar concrete particulars; and the abstract singular terms ‘courage’ and ‘wisdom’ that appear in (7) and (8) are not genuinely singular terms; they do not name anything. In the sentences that give the meaning of (7) and (8), those terms give way to the corresponding general terms ‘courageous’ and ‘wise’; and by the austere nominalist’s showing, the use of those terms commits us to the existence of nothing but the concrete particulars of which they are true.


-작성중-
Restrictions on realism – exemplification
실재론의 제한들 - 예화

  Our discussion suggests that metaphysical realists constitute a unified group defending a single doctrine, but the fact is that realists have disagreed among themselves on a range of issues. The most important bears on the generality of the theory. Our treatment of realism suggests that realists want to apply the Platonic schema across the board, so that for every case of what we would prephilosophically call agreement in attribute, the realist will posit a separate universal. Likewise, we have implied that every general term that can function predicatively in a true subject-predicate sentence expresses or connotes a distinct universal and that every semantically distinct abstract term names a unique universal. But many realists have been unwilling to endorse such an unrestricted version of the theory. They have insisted that we place restrictions on the theory, so that universals correspond to only some of the ways things can be said to be, to only a limited pool of general terms, and to only some of the abstract terms in our language. Furthermore, the restrictions imposed on the theory have varied, so that by examining the different ways the theory has been restricted and the rationale for each restriction, we can bring to light the different forms metaphysical realism has taken.
  우리의 논의는 형이상학적 실재론자들이 단일한 원칙을 옹호하는 통합된 집단을 구성함을 시사하지만, 사실 실재론자들은 문제영역에 있어서 그들 자신들 사이에서 의견이 갈려 왔다. 가장 중요한 점은 이론의 일반성과 관련된다. 실재론에 대한 우리의 취급은 실재론자들이 플라톤적 도식을 전면적으로 적용하기를 바라며, 그래서 우리가 철학적으로 속성 일치라 부를 것에 대한 모든 경우에 대해, 실재론자는 분리된 보편자를 상정할 것이다. 같은 식으로, 우리는 참인 주-술 문장에서 술어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모든 일반 명사가 특유한 보편자를 표현하거나 내포한다는 것과 모든 의미론적으로 특유한 추상 명사는 특유한 보편자를 명명한다는 점을 시사했다. 그러나 많은 실재론자들이 그 이론의 그러한 무제한적 형태를 지지하길 꺼려 왔다. 그들은 우리가 그 이론에 제한들을 두고, 그리하여 보편자들이 오로지 사물들이 있는 것으로 이야기될 수 있는 방식들의 일부에만, 일반 명사들의 제한된 영역에만, 그리고 우리의 언어에 있어서 추상적 명사들의 일부에만 일치한다고 주장해 왔다. 더 나아가, 그 이론에 부과되는 제한들은 다양하였고, 그리하여 그 이론이 제한받아 온 상이한 방식들과 각 제한에 대한 근거를 검토함으로써, 우리는 형이상학적 실재론이 취해 온 상이한 형식들을 밝혀낼 수 있다.

  We should begin by noting that no version of metaphysical realism can consistently endorse the completely unrestricted application of the Platonic schema or hold that every nonequivalent predicate term or every nonequivalent abstract term is associated with a separate and distinct universal. An entirely unrestricted version of the theory lands one in a notorious paradox. We can bring out the paradoxical nature of an unrestricted realism by focusing on the realist’s analysis of predication. Suppose we endorse that analysis in its full generality and hold that a universal corresponds to every general term that can occupy the predicate position in a true subject-predicate sentence. Consider now the general term ‘does not exemplify itself.’ This term is, to be sure, syntactically complex; but we could, if we wished, introduce a single expression to replace the complex predicate, so the syntactic complexity is really an irrelevant detail. We have here a perfectly respectable general term, one true of or satisfied by all and only the things that do not exemplify themselves; and it is a general term that can function predicatively in true sentences. The expression is true, for example, of Bill Clinton, the number two, and the Taj Mahal. Since none of these things is selfexemplifying, each satisfies the predicate ‘does not exemplify itself’; and the relevant subjectpredicate sentences will all be true. There are, on the other hand, things, certain universals, to which the predicate does not apply. Presumably, the property of being incorporeal exemplifies itself: it has no body and so is incorporeal. Likewise, if there is such a thing as the property of being self identical, it is identical with itself and so exemplifies itself. Accordingly, neither of these things satisfies the predicate ‘does not exemplify itself.’
  우리는 형이상학적 실재론의 어떤 형태도 일관되게 플라톤적 도식의 완전히 무제한한 적용을 지지하거나 모든 부등(不等)한 술어 또는 모든 부등한 추상 명사가 독립되고 특유한 보편자와 관련된다고 주장할 수 없다는 점을 언급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할 것이다. 그 이론의 전적으로 무제한한 형태는 악명 높은 역설에 자리한다. 우리는 무제한 실재론의 역설적 본성을 술어에 대한 실재론자의 분석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끌어낼 수 있다. 우리가 저 분석을 그것의 완전한 일반성에 있어서 지지하고 한 보편자가 참인 주-술 문장에서 술어 위치를 점유할 수 있는 모든 일반 명사에 일치한다고 주장한다고 가정해 보자. 이제 '그 자신을 예화하지 못하는' 일반 명사를 고찰해 보자. 이 용어는 물론 구문론적으로 복잡하다; 그러나 우리는 만일 우리가 바란다면 그 복잡한 술어를 교체할 단일 표현을 도입할 수 있을 것이고, 그래서 그 구문론적 복잡성은 정말로 무의미한 세부사항이다. 우리는 여기에서 완벽히 훌륭한 일반 명사, 그것들 자체를 예화하지 모하는 사물들 모두에 대해 오로지 그것들에 대해서만 참이고 또 그렇게만 만족되는 일반 명사를 가진다; 그리고 그 일반 명사는 참인 문장들에서 술어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일반 명사이다. 예를 들어 빌 클린턴, 수 2, 그리고 타지마할에 대해 그 표현은 참이다. 이러한 사물들 중 어느 것도 자기예화적이지 않으므로, 그 각각은 '그 자신을 예화하지 못하는'이라는 술부를 만족시킨다; 그리고 관련된 주술문장들은 참일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사물들, 특정 보편자들, 그에 대해 그 술부가 적용되지 못하는 것들이 있다. 짐작컨데, 무형임의 속성은 그 자체를 예화할 것이다: 그것은 아무런 몸체를 지니지 않고 그래서 무형적이다. 같은 식으로, 만일 자기동일적임의 속성과 같은 그런 것이 있다면, 그것은 그 자체와 동일적이며 그래서 그 자체를 예화한다. 따라서, 이러한 두 가지 것들 중 어느 쪽도 '그 자체를 예화하지 못하는'이라는 술부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Now, since there are true subject-predicate sentences where this term functions predicatively, a totally unrestricted version of the realist’s theory of predication will tell us that there is a property expressed or connoted by this predicate expression. For convenience, let us call it the property of being nonselfexemplifying.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such a property leads immediately to paradox; for the property must either exemplify itself or fail to do so. Suppose it does exemplify itself; then, since it is the property a thing exemplifies just in case it does not exemplify itself, it turns out that it does not exemplify itself. So if it does exemplify itself, it does not exemplify itself. Suppose, on the other hand, that it does not exemplify itself; then, it turns out that it does exemplify itself; for it is the property of being  nonselfexemplifying. So if it does not exemplify itself, it does exemplify itself. But, then, it exemplifies itself just in case it does not, a deplorable result.[12] To avoid the paradox, we have no option but to deny that there is a universal associated with the general term ‘does not exemplify itself.’ The realist’s account of predication cannot hold for all general terms that function predicatively in true subject-predicate sentences.
  이제, 이 용어가 서술적으로 기능하는 참인 주-술 문장들이 있으므로, 총체적으로 술어에 대한 실재론자의 이론의 무제한적 형태는 우리에게 이 술어적 표현에 의해 표현되거나 내포되는 속성이 있다고 말할 것이다. 편의상, 우리는 그것을 자기예화불능임의 속성이라 부르기로 하자. 그러한 한 속성이 있다는 가정은 즉각적으로 역설로 이끈다; 왜냐하면 그 속성은 반드시 그 자신을 예화하거나 그렇게 하지 못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그 속성이 그 자체를 예화한다고 가정해 보자; 그러면, 그 속성은 바로 그 속성이 그 속성 자체를 예화하지 못하는 그 경우에서 한 사물이 예화하는 속성이므로, 그 속성은 그 속성 자체를 예화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난다. 그래서 만일 그 속성이 그 자체를 예화한다면, 그 속성은 그 자체를 예화하지 못한다. 다른 한편으로 그 속성이 그 자체를 예화하지 못한다고 가정해 보자; 그러면, 이번에는 그 속성이 그 자체를 예화하는 것으로 드러난다; 왜냐하면 그 속성은 자기예화불능임의 속성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만일 그 속성이 그 자체를 예화하지 못한다면, 그 속성은 그 자체를 예화한다. 그러나, 그래서, 그 속성은 그 속성이 예화할 수 없는 바로 그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유감스러운 결론에 있어서 그 자체를 예화한다. 그 역설을 피하기 위해, 우리에게는 '그 자체를 예화하지 못하는'이라는 일반 용어와 관련된 보편자가 있다는 것을 부정하는 것 이외에 선택지가 없다. 술어에 대한 실재론자의 설명은 참인 주-술 문장들에 있어서 술어적으로 기능하는 모든 일반 명사들에 대해 견지될 수는 없다.

  It is frequently claimed that still further restrictions have to be imposed on the realist’s theory. The claim is that, without additional restrictions, the realist’s theory lands us in a vicious infinite regress. The contention is very old; it can be found in Plato’s Parmenides and has been repeated again and again since the time of Plato.[13] The difficulty that is supposed to confront the realist bears on the core notion of exemplification. One way of stating the difficulty takes its origin in the realist’s use of the Platonic schema for explaining attribute agreement. According to the schema, where a number of objects agree in all being F, their agreement is grounded in their multiple exemplification of the universal F-ness. The difficulty is that, for any given application of the schema, that application explains one case of attribute agreement, the original objects all being F, only to confront a new case, their all exemplifying F-ness. But, then, we have to appeal to a further universal, the exemplification of F-ness, and we have to say that the second case of attribute agreement holds among our original objects in virtue of their jointly exemplifying this second universal; but, then, we explain our second case of attribute agreement only to confront a third case, our original objects all agreeing in exemplifying the exemplification of F-ness. So we need to appeal to a third universal which will, in turn, generate still another case of attribute agreement with the resulting need for still another universal, and we are off on an endless regress through cases of attribute agreement and supporting universals. Conclusion? If we endorse the Platonic schema, the explanation that schema is supposed to provide can never be completed.
  여전히 추가적인 제한들이 실재론에 부과되어야 한다고 자주 주장된다. 그 주장은 추가적 제한들 없이는 실재론이 우리를 고약한 무한 소급에 빠트린다는 것이다. 그 논쟁은 매우 오래되었다; 그 논쟁은 플라톤의 『파르메니데스』에서 찾을 수 있고 플라톤의 시대 이래로 거듭해서 되풀이되어 왔다. 실재론이 직면한 것으로 생각되는 난점은 예화의 핵심 관념에 관련된다. 그 어려움을 진술하는 한 가지 방식은 그 어려움의 기원을 속성 일치를 설명하기 위한 실재론의 플라톤적 도식의 사용에서 취하는 것이다. 그 도식에 따르면, 얼마간의 대상들이 모두 F임에 있어서 일치하는 곳에서, 그 대상들의 일치는 보편자 F-임에 대한 그 대상들의 다양한 예화에 기초된다. 그 어려움은 그 도식의 어떤 주어진 적용에 대해서든, 그 적용은, 오직 새로운 사례를, 그 대상들의 모든 F임을 예화함을 마주치기만 하는, 속성 일치의 한 가지 사례를, 모두가 F인 그 본래의 대상들을 설명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래서 우리는 추가적인 보편자, F임을 예화함에 호소해야 하고, 우리는 속성 일치의 두 번째 사례가 우리의 본래 대상들 사이에서 그 대상들이 이 두 번째 보편자를 공동으로 예화하는 덕분으로 견지된다고 말해야 한다; 그러나, 그래서 우리는 속성 일치에 대한 우리의 두 번째 사례를 오로지 세 번째 사례, 우리의 본래 대상들 모두가 F임에 대한 예화를 예화함에 있어서 일치함의 경우에 마주하는 것으로만 설명한다. 그래서 우리는 이번에는 여전히 또 다른 보편자를 필요로 하는 결과를 가진 속성 일치의 또 다른 사례를 여전히 산출할 세 번째 보편자에 호소할 필요가 있고, 우리는 속성 일치의 사례들을 통한 사례들과 보편자들에 대한 지지를 통해 무한 소급에서 출발한다. 그 결과는 무엇인가? 만일 우리가 플라톤적 도식을 지지한다면, 그 도식이 제공한다고 생각되는 설명은 절대로 완결될 수 없다.

  It should be obvious that the same difficulty appears to plague the realist’s attempt to explain subject-predicate truth. The realist wants to claim that an arbitrary subject-predicate sentence,

(20) a is F

is true only if the referent of ‘a’ exemplifies the universal (F-ness) expressed by ‘F.’ But, then, our original sentence, (20), is true only if a new subjectpredicate sentence,

(21) a exemplifies F-ness,

is true, and it looks as though we have not completed our explanation of the truth of (20) until we have exhibited the ground of the truth of this new sentence. However, (21) incorporates a new predicate (‘exemplifies F-ness’) and it expresses a new universal (the exemplification of F-ness). The realist’s theory tells us that (21) can be true only if the referent of ‘a’ exemplifies the new universal. But that condition is satisfied only if

(22) a exemplifies the exemplification of F-ness

is true, so it seems that our account of the truth of (20) requires an account of the truth of this third sentence. Once again, we appear to be off on an infinite regress, and once again, we have the apparent conclusion that the realist’s theory cannot do what it is supposed to do.
  똑같은 어려움이 주-술 진리를 설명하려는 실재론의 시도를 괴롭히는 것으로 드러남은 분명할 것이다. 실재론은 임의의 주-술 문장,

(20) a는 F이다

이 문장이 오로지 'a'의 지시체가 'F'에 의해 표현되는 보편자 (F-임) 를 예화할 때에만 참이라고 주장하고자 한다. 그러나 그래서 우리의 본래 문장 (20)은 오로지 다음의 새로운 주-술 문장,

(21) a는 F-임을 예화한다,

이 문장이 참일 때에만 참이고, 그것은 마치 우리가 (20)의 진리에 대한 우리의 설명을 이 새로운 문장의 진리에 대한 토대를 드러내기 전까지는 완결짓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그렇지만 (21)은 새로운 술부 ('F-임을 예화한다')를 결합시키고 그 술부는 새로운 보편자 (F-임을 예화함) 를 표현한다. 실재론은 우리에게 (21)이 오로지 'a'의 지시체가 그 새로운 보편자를 예화할 때에만 참일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저 조건은 오로지

(22) a는 F-임의 예화를 예화한다

이 문장이 참일 때에만 충족되고, 그래서 (20)의 진리에 대한 우리의 설명은 이 세 번째 문장의 진리에 대한 설명을 요구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시 한 번, 우리는 무한 소급에서 출발하는 것처럼 보이고, 다시 한 번, 우리는 실재론이 행한다고 생각되는 것을 행할 수 없다는 명백한 결론을 가진다.

  The two regresses we have outlined might seem to have a simple moral: we must reject the metaphysical realist’s account of attribute agreement and predication; and the regresses have frequently been exploited by philosophers of a nominalist bent to point up precisely this moral; but realists have often argued that the regresses have a quite different moral. They concede that the regresses must be avoided, but they think that there is an easy way to do this. We need merely to set restrictions on the use of the Platonic schema and its associated theory of predication. Confronted with the first regress, we can deny that every distinct form of attribute agreement involves a separate and distinct universal. In particular, we can deny that where the agreement consists in a number of objects exemplifying a universal, there is a further universal supporting the agreement. Likewise, in confronting the second regress, we can deny that every semantically distinct general term expresses a distinct universal. While conceding that there is a universal corresponding to the predicate of any sentence whose form is that of (20), we can deny that there are further universals corresponding to the predicates of sentences of the form of (21) or any of its successors.
  우리가 윤곽을 그렸던 그 두 가지 소급들은 아마도 단순한 교훈을 지닌 것으로 보인다: 우리는 반드시 속성일치와 술어에 대한 형이상학적 실재론의 설명을 거부해야만 한다; 그리고 그 소급들은 빈번히 정확히 이러한 교훈을 지적하는 데에로 기운 유명론에 속하는 철학자들에 의해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실재론자들은 종종 그 소급들이 상당히 다른 교훈을 가진다고 주장해 왔다. 그들은 그 소급들이 반드시 회피되어야만 한다는 점을 인정하지만, 이 회피를 행할 한 가지 쉬운 방법이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단지 플라톤적 도식의 사용과 그 도식의 관련된 술어에 대한 이론에 제한들을 정하기만 하면 된다. 첫 번째 소급에 직면한다면, 우리는 속성 일치의 모든 특유한 형식이 분리되고 특유한 보편자를 포함한다는 것을 부정할 수 있다. 특히, 우리는 그 일치가 보편자를 예화하는 얼마간의 대상들로 구성되는 곳에서, 그 일치를 지탱하는 추가적 보편자가 있음을 부정할 수 있다. 같은 식으로, 두 번째 소급에 직면하여, 우리는 모든 의미론적으로 특유한 일반 명사가 특유한 보편자를 표현한다는 것을 부정할 수 있다. (20)의 형식을 가진 어떤 문장의 술어에 대해서든 일치하는 보편자가 있음을 인정하는 동시에, 우리는 (21) 혹은 그에 뒤따르는 것들의 형식에 속하는 문장들의 술어들에 일치하는 추가적 보편자들이 있다는 것을 부정할 수 있다.

  So the claim is that if we restrict the applicability of the Platonic schema and the realist’s theory of predication, we can avoid these regresses. One might, however, challenge the idea that any restriction is called for here. If the regresses just delineated are real, it is difficult to see why the realist should be bothered by them. Consider the contention that the use of the Platonic schema is viciously regressive. The realist claims to have a schema for providing a complete account of any given case of attribute agreement; but the alleged regress does nothing to call that claim into question. If there is, as the argument claims, an infinity of cases of attribute agreement lying behind any given case, that fact does not jeopardize the realist’s use of the Platonic schema to provide a full and complete explanation of the initial case of attribute agreement. When realists tell us that our sample objects are all F because they all exemplify F-ness, they have given us a complete explanation of the original case of attribute agreement. If, as the argument claims, the explanation introduces a new case of attribute agreement, realists are free to apply the Platonic schema to the second case; but they are under no obligation to do so. In particular, the success of the original application of the schema to explain the first case of attribute agreement does not hinge on their explaining the second; and the same holds for each of the cases of attribute agreement allegedly following upon this one. So if the regress is real, it is not vicious; and, accordingly, no restriction on the use of the Platonic schema is called for.
  그래서 그 주장은 만일 우리가 플라톤적 도식과 술어에 대한 실재론의 적용 가능성을 제한한다면, 우리는 이러한 소급들을 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누군가는 여기에 대해 어떠한 제한이든 요청된다는 발상을 반박할지도 모른다. 만일 단지 묘사되기만 한 그 소급들이 진짜라면, 어째서 실재론이 그 소급들에 의해 간섭받아야 할는지 알기는 어렵다. 플라톤적 도식의 사용이 고약하게 소급적이라는 논쟁을 고찰해 보자. 실재론은 속성 일치의 어떠한 주어진 경우에 대해서든 완결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 도식을 가질 것을 주장한다; 그러나 제기된 소급은 문제가 되는 주장을 요청할 아무런 일도 하지 않는다. 만일 그 논증이 주장하는 것처럼 어떤 주어진 경우에 대해서든 그 배후에 놓이는 속성 일치의 무한한 경우들이 있다면, 그 사실은 속성 일치의 최초 경우에 대한 완전하고 완결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실재론의 플라톤적 도식의 사용을 위협하지 않는다. 실재론자들이 우리에게 우리의 예시 대상들이 모두 F인 까닭은 그 대상들 모두가 F-임을 예화하기 때문이라고 말할 때, 그들은 우리에게 속성 일치의 본래 사례에 대한 완결된 설명을 제시했다. 만일 그 논증이 주장하듯, 그 설명이 속성 일치에 대한 새로운 사례를 도입시킨다면, 실재론자들은 그 두 번째 사례에 플라톤적 도식을 적용함에 있어서 자유롭다; 그러나 그들은 그렇게 할 어떠한 의무도 지지 않는다. 특히, 속성 일치에 대한 첫 번째 사례를 설명하기 위한 그 도식의 본래 적용의 성공은 전적으로 두 번째 사례에 대한 그들의 설명에 달려 있다; 그리고 주장한 바에 의해 이 사례에 뒤따르는 속성 일치의 사례들 각각에 대해 동일한 점이 견지된다. 그래서 만일 그 소급이 사실이라면, 그 소급은 지독하지 않다; 그리고, 따라서, 플라톤적 도식의 사용에 대한 아무런 제한도 요청되지 않는다.

  A similar point can be made in reply to the claim that realists must set restrictions on the application of their theory of subject-predicate truth. Even if the regress allegedly requiring the relevant restriction is real, it is not vicious. If, as the argument claims, the realist explanation of the truth of (20) brings a new true subject-predicate sentence, (21), on the scene, the realist’s success in explaining the truth of (20) does not presuppose an explanation of the truth of (21). If the aim had been to eliminate or analyze away the subjectpredicate form of discourse, then the emergence of (21) would be genuinely problematic. But the realist is hardly committed to supposing that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at form of discourse. Indeed, if there is a regress here, it is one that infects every attempt, realist or nominalist, at delineating the ontological grounds of subject-predicate truth.[14] Consider a nominalist theory of subject-predicate truth. For each subject-predicate sentence of the form ‘a is F,’ it will identify some condition, C, and will tell us that the original sentence is true only if C is fulfilled; but then there will be a new subjectpredicate sentence (‘a is such that C is fulfilled’), and our original sentence can be true only if the second sentence is true. Accordingly, that theory will be every bit as regressive as the realist’s. And in neither case is the alleged regress vicious. So even if there is a regress here, no restriction on the range of applicability of the realist’s theory of predication is required.
  유사한 점이 실재론자들이 반드시 주-술 진리에 대한 그들의 이론을 적용함에 있어서 제한들을 두어야만 한다는 주장에 대해 응답함에 있어서도 지적될 수 있다. 설령 주장한 바대로 적절한 제한을 요청하는 소급이 사실이라 할지라도, 그 소급은 지독하지 않다. 만일, 그 논증이 주장하듯, (20)의 진리에 대한 실재론적 설명이 새로운 참인 주-술 문장 (21)을 가져온다면, 그 장면에서, (20)의 진리를 설명함에 있어서의 실재론의 성공은 (21)의 진리에 대한 설명을 전제하지 않는다. 만일 그 목적이 담론의 주술 형식을 제거하거나 분해해 버리는 것이었다면, (21)의 출현은 정말로 문제시되는 것이었을 터이다. 그러나 실재론은 담론의 저 형식을 제거하는 일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일에 헌신적이지 않다. 더욱이, 만일 여기에 소급이 있다면, 그 소급은 실재론이든 유명론이든 주-술 진리에 대한 존재론적 토대들을 기술하려는 모든 시도를 감염시키는 소급이다. 주-술 진리에 대한 유명론을 고찰해 보자. 'a는 F이다'라는 형식에 속하는 각 주-술 문장에 대해, 그 문장은 어떤 조건 C를 규정할 것이고, 우리에게 오직 C가 충족될 때에만 그 본래 문장이 참이라고 말할 것이다; 그러나 다음으로 새로운 주술 문장('a는 C가 충족된 그러한 것이다')이 있을 것이고, 우리의 본래 문장은 오직 그 두 번째 문장이 참일 때에만 참일 수 있다. 따라서, 저 이론은 실재론 만큼이나 모든 점에서 소급적일 것이다. 그리고 두 경우 어디에서도 제기된 소급은 지독하지 않다. 그래서 설령 여기에 소급이 있다 할지라도, 술어에 대한 실재론의 적용가능성의 범위에 대해 아무런 제한도 요청되지 않는다.

  But if they are not vicious, the two regresses seem to have the upshot that behind any case of attribute agreement or any true subject-predicate claim, there lies an infinite series of distinct universals. Some realists might find that fact worrisome; and in the interests of keeping the number of universals to a minimum, they might feel that the relevant restrictions need to be imposed on the realist’s theories of attribute agreement and predication. But if realists are concerned about a bloated ontology, it is open to them to deny that the relevant regresses are even real. They can challenge the idea that when we say that objects agreeing in being F all jointly exemplify the universal, F-ness, we have thereby identified a second case of attribute agreement. We can say that in applying the Platonic schema to identify the ontological ground of a given case of attribute agreement, we are providing a fully articulated and metaphysically more perspicuous characterization of that case rather than introducing a new case. And in a similar vein, they can claim that the predicate of (21), ‘exemplifies F-ness’ is only syntactically or grammatically distinct from that occurring in (20), ‘F.’ Semantically, they can claim, the two predicates are equivalent and so do not rest on distinct ontological foundations.
  그러나 만일 그 소급들이 지독하지 않다면, 그 두 가지 소급들은 속성 일치의 어떠한 경우나 혹은 어떠한 참인 주-술 주장의 이면에서든, 특유한 보편자들의 무한 연쇄가 자리하고 있다는 결말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일부 실재론자들은 저 사실을 걱정스러운 것으로 생각할지 모른다; 그리고 보편자들의 수를 최소한으로 유지하기 위해, 그들은 속성일치와 술어에 대한 실재론들에 적절한 제한들이 부과될 필요가 있다고 느낄지도 모른다. 그러나 만일 실재론자들이 비대해진 존재론에 대해 염려한다면, 상관된 소급들이 실제한다는 것을 부정할 여지가 있다. 그들은 우리가 F임에 있어서 일치하는 대상들이 모두 공동으로 보편자 F-임을 예화한다고 말할 때 우리가 그로써 속성 일치의 두 번째 사례를 규정하였다는 발상을 반박할 수 있다. 우리는 속성 일치의 주어진 사례에 대한 존재론적 토대를 규정하기 위해 플라톤적 도식을 적용함에 있어서 우리가 새로운 사례를 도입하기 보다는 오히려 저 사례에 대한 완전히 표명되고 형이상학적으로 더욱 명료한 규정을 제공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비슷한 맥락에서, 그들은 (21)의 술부 'F-임을 예화한다'가 오로지 구문론적으로 혹은 문법적으로만 (20)에서 발생하는 술부 'F'와 구분된다고 주장할 수 있다. 그들은 의미론적으로 그 두 가지 술부들은 동등하며 그래서 특유한 존재론적 기초들에 의존하지 않는다고 주장할 수 있다.

  Neither of the first two attempts at arguing that the realist theory lands us in a regress that requires a restriction on that theory carries much force, then. There is, however, a third way of arguing this claim. According to most realists, this third argument poses genuine problems for their account, problems that can be resolved only by restricting the range of the theory. According to the realist, for a particular, a, to be F, it is required that both the particular, a, and the universal, F-ness, exist. But more is required; it is required, in addition, that a exemplify F-ness. As we have formulated the realist’s theory, however, a’s exemplifying F-ness is a relational fact. It is a matter of a and F-ness entering into the relation of exemplification. But the realist insists that relations are themselves universals and that a pair of objects can bear a relation to each other only if they exemplify it by entering into it. The consequence, then, is that if we are to have the result that a is F, we need a new, higher-level form of exemplification (call it exemplification2) whose function it is to insure that a and F-ness enter into the exemplification relation. Unfortunately, exemplification2 is itself a further relation, so that we need a still higher-level form of exemplification (exemplification3) whose role it is to insure that a, F-ness, and exemplification are related by exemplification2; and obviously there will be no end to the ascending levels of exemplification that are required here. So it appears, once again, that the only way we will ever secure the desired result that a is F is by denying that exemplification is a notion to which the realist’s theory applies.
  그래서 실재론이 우리를 저 이론에 대한 제한을 요청하는 소급으로 들인다고 주장하려는 처음의 두 가지 시도들 중 어느 것도 더 큰 영향력을 지니지 않는다. 그렇지만 이러한 주장을 내세우는 세 번째 방식이 있다. 대부분의 실재론자들에 따르면, 이 세 번째 논증은 그들의 설명에 대한 진정한 문제들, 오직 그 이론의 범위를 제한함으로써만 해소될 수 있는 그러한 문제들을 부과한다. 실재론에 따르면, 특수자 a가 F이기 위해서, 특수자 a와 보편자 F-임 모두가 현존할 것이 요청된다. 그러나 그 이상이 요구된다; 덧붙여서 a가 F-임을 예화하는 것이 요청된다. 그렇지만 우리가 실재론을 정식화하였듯 a가 F-임을 예화함은 상관적인 사실이다. 그것은 예화의 관계에 들어가는 a와 F-임에 대한 문제이다. 그러나 실재론은 관계들이 그 자체로 보편자들임을 그리고 대상들의 한 쌍은 오로지 그 대상들이 상호에 대한 관계에 들어감으로써 그 관계를 예화할 때에만 상호 관계를 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그 결론은 만일 우리가 a가 F라는 결론을 가질 것이라면, 우리는 새로운 더 높은 수준의 예화 형식 (그것을 예화2라 부르자) , 그 기능이 a와 F-임이 예화 관계에 들어감을 보증하는 것인 그러한 더욱 상위 형식의 예화를 필요로 한다. 불행히도 예화2는 그 자체로 추가적 관계이며, 그래서 우리는 여전히 그 역할이 a와 F-임 그리고 예화가 예화2에 의해 관계됨을 보증하는 것인 더 높은 수준의 예화 형식(예화3)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명백히 여기에서 요청되는 예화의 수준들을 올라가는 일에는 끝이 없을 것이다. 그래서 다시 한 번 a는 F라는 바라는 결과를 우리가 보전할 유일한 방법은 예화가 실재론이 그에 적용되는 그러한 관념임을 부정함으로써만이다.

  The argument just set out is a version of a famous argument developed by F.H. Bradley.[15] Bradley’s argument sought to show that there can be no such things as relations; whereas, the argument we have been elaborating has the more modest aim of showing that the realist’s story of what is involved in a thing’s having a property, belonging to a kind, or entering into a relation cannot apply to itself. Now, some realists have held that while real, the regress just cited is not vicious.[16] They have taken the regress to be no more threatening than the first two regresses we have outlined. These realists have, however, been in the minority. Most realists have seen the regress as vicious. It is not altogether clear just why; for on the surface, the regress appears to have the same formal structure as the earlier two regresses. Of course, realists have sometimes mistakenly thought that those two regresses are problematic, so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y should find the third regress worrisome. What is puzzling is that realists who show no concern over the original pair of regresses should be bothered by this regress. Perhaps, they have felt that this regress, unlike the earlier two, makes it impossible to explain the thing we initially set out to explain – a’s being F. Perhaps, they have felt that unless realists can point to some connecting mechanism whose connecting role is secured without dependence on some further, higher-level  connecting mechanism, they have not succeeded in explaining why the particular, a, is F. It is not, however, obvious that this line of thinking is correct; for it is reasonable to think that once the realists have told us that a is F because a and F-ness enter into the relation of exemplification, they have completed their explanation of the fact that a is F. There is, of course, something new the realist might want to go on and explain – the new fact that a and F-ness enter into the relation of exemplification; however, the failure to explain this new fact would seem to do nothing to jeopardize their explanation of the original fact that a is F.
  지금 제시된 그 논증은 F.H. 브래들리에 의해 전개된 유명한 논증의 한 형태이다. 브래들리의 논증은 관계들과 같은 그러한 어떤 것들도 있을 수 없음을 보여주기를 추구하였다; 반면에, 우리가 고안해 내고 있던 그 논증은 사물의 속성을 지님, 한 종류에 속함, 또는 한 관계에 들어감에 있어서 포함되는 것에 대한 실재론의 이야기가 그 자체에 적용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는 더 소박한 목적을 지닌다. 이제, 일부 실재론자들은 실제하면서도 방금 언급된 소급이 심각하진 않다고 주장해 왔다. 그들은 그 소급을 우리가 개괄했던 처음의 두 소급들보다 조금도 더 위협적이지 않은 것으로 받아들였다. 그렇지만 이러한 실재론자들은 소수파였다. 대부분의 실재론자들은 그 소급을 심각한 것으로 보았다. 그것은 왜 그런지 전적으로 분명치는 않다; 왜냐하면 표면상, 그 소급은 앞선 두 소급들과 같은 동일한 형식적 구조를 지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물론, 실재론자들은 때때로 그러한 두 소급들이 문제시된다고 잘못 생각했고, 그래서 그들이 세 번째 소급을 걱정스러운 것으로 여길 것이 놀랍지는 않다. 혼란스럽게 만드는 것은 소급들의 본래 쌍에 대해 아무런 염려도 보이지 않는 실재론자들이 이 소급에 의해서는 시달려야 하리라는 것이다. 아마도, 그들은 이 소급을 앞선 두 소급들과 달리 우리가 최초에 설명을 제시했던 것 - a의 F임 - 을 설명하는 일을 불가능하게 만든다고 여겼을 것이다. 아마도, 그들은 실재론자들이 그 연결 역할이 어떤 추가적인 더 높은 수준의 연결 장치에 의존함이 없이 보장되는 그러한 어떤 연결 장치를 지적해낼 수 없는 한, 그들은 어째서 특수자 a가 F인지를 설명함에 있어서 성공할 수 없었다고 느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사유노선이 옳은지는 분명치 않다; 왜냐하면 일단 실재론이 우리에게 a가 F인 까닭은 a와 F-임이 예화 관계에 들어가기 때문이라고 말한 이후에는, 그들이 a가 F라는 사실에 대한 그들의 설명을 완결했다고 생각하는 것은 합당하기 때문이다. 물론 실재론이 계속해서 설명하고자 할 새로운 어떤 것 - a와 F-임이 예화의 관계에 들어간다는 새로운 사실 - 이 있다; 그렇지만, 이 새로운 사실을 설명함에 대한 실패는 a가 F라는 본래의 사실에 대한 그들의 설명을 위협하는 아무런 일도 하지 않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

  But whether we find the reason compelling, the fact remains that our third regress looms large in the history of metaphysical realism. Realists have typically believed that they have no option but to stop the regress before it gets started.[17] Toward stopping the regress, they have insisted that the realist account does not apply to the notion of exemplification itself. Obviously, some justification for this restriction is called for; and the justification given is that exemplification is not a relation. Realists claim that while relations can bind objects together only by the mediating link of exemplification, exemplification links objects into relational facts without the mediation of any further links. It is, we are told, an unmediated linker; and this fact is taken to be a primitive categorial feature of the concept of exemplification. So, whereas we have so far spoken of exemplification as a relation tying particulars to universals and universals to each other, we more accurately reflect realist thinking about the notion if we follow realists and speak of exemplification as a ‘tie’ or a ‘nexus,’ where the use of these terms has the force of bringing out the nonrelational nature of the linkage this notion provides.
  그러나 우리가 강력한 이유를 발견하든 말든, 우리의 세 번째 소급이 형이상학적 실재론의 역사에서 거대하게 드리운다는 사실은 남는다. 실재론자들은 전형적으로 그들이 소급이 시작되기 전에 소급을 중단하는 것 이외에 다른 선택지가 전혀 없다고 믿어 왔다. 그 소급을 중단하기 위해, 그들은 실재론적 설명이 그 자체를 예화함의 관념에 적용되지 않는다고 주장해 왔다. 분명히, 이러한 제한에 대한 어떤 정당화가 요청된다; 그리고 그 주어진 정당성은 예화가 관계가 아니라는 것이다. 실재론자들은 관계들이 대상들을 오직 예화의 중재 연결에 의해서만 함께 묶을 수 있는 반면, 예화는 대상들을 어떤 추가적인 연결들의 중재 없이 상관된 사실들 안에 관련짓는다고 주장한다. 우리는 그것이 중재되지 않은 연결자라고 이야기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은 예화라는 개념의 기초 범주적 특징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래서, 우리는 여태까지 예화에 대해 특수자들을 보편자들에 그리고 보편자들을 상호간에 묶는 관계로서 이야기해왔던 반면, 만일 우리가, 이러한 용어들의 사용이 이러한 관념이 제공하는 결합의 비상관적 본성을 이끌어내는 능력을 지니는 곳에서, 실재론자들에 따라 예화에 대해 '매듭'이나 '연계'로 이야기한다면 우리는 더욱 정확하게 그 관념에 대한 실재론적 생각을 반영한다.

  So realists typically deny that their own account applies to the case of exemplification. Now, whether we find the restriction well motivated, we must concede that there is a bonus to this restriction; for if the realist account does not apply to the notion of exemplification, then our earlier claim that the Platonic schema cannot apply to the predicate ‘does not exemplify itself’ looks less like a desperate and ad hoc attempt at avoiding paradox. If there are reasons for supposing that the schema does not apply to the concept of exemplification, then it is only natural to suppose that it does not apply to concepts built out of that notion; and since in claiming that exemplification is not a relation, realists have some justification for denying that the schema applies to it, they would seem to have plausible grounds, independent of the threat of paradox, for excluding from the range of the schema the notion of being non-selfexemplifying.
  그래서 실재론자들은 전형적으로 그들 자신의 설명이 예화의 경우에 적용됨을 부정한다. 이제, 우리가 잘 동기부여된 제한을 발견하든 말든, 우리는 반드시 이러한 제한에 덤이 있음을 인정해야만 한다; 왜냐하면 만일 실재론적 설명이 예화의 관념에 적용되지 않는다면, 플라톤적 도식이 '그 자체를 예화하지 못한다'라는 술부에 적용될 수 없다는 우리의 앞선 주장이 덜 역설을 피하는 필사적인 특별한 시도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만일 그 도식이 예화의 개념에 적용되지 못한다고 생각할 이유들이 있다면, 그 도식은 그 관념으로부터 구축된 개념들에 적용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것만이 자연스럽다; 그리고 예화가 관계가 아니라고 주장함에 있어서 실재론자들이 그 관계에 그 도식을 적용함을 부정할 어떤 정당성을 지니므로, 그들은 역설의 위협으로부터 독립적인, 비-자기예화의 관념을 그 도식의 범위로부터 배제시키기 위한 그럴 듯한 토대들을 지니는 것으로 보일 터이다.


Further restrictions – defined and undefined predicates
추가적 제한들 - 한정 서술과 부정(不定) 서술

As I have suggested, most realists would endorse the restrictions we have so far placed on metaphysical realism; but some realists want to place further restrictions. Consider, for example, the predicate ‘bachelor.’ As we have formulated it, the realist’s account tells us that there is a universal correlated with this predicate. Which universal is that? The property, presumably, of being a bachelor. But that universal is a property a thing has just in case it has the property of being male, the property of being a human being, and the property of being unmarried. So how many properties do we have here? We need the properties of being male, of being a human being, and of being unmarried to accommodate the predicates ‘male,’ ‘human being,’ and ‘unmarried’; but do we need the further property of being a bachelor? We can give a perfectly satisfactory account of the predicate ‘bachelor’ by reference to the other three, apparently more basic properties, so is it not redundant to add a fourth property to our inventory? Isn’t that additional property just needless clutter? But the doubt about the need to postulate an extra property for the predicate ‘bachelor’ can be extended quite naturally to the case of ‘unmarried.’ If we concede the need for a property to correspond to the predicate ‘married,’ do we need to posit an additional negative property in the case of ‘unmarried’? Can we not say instead that ‘unmarried’ is true of a thing just in case it lacks the property corresponding to the predicate ‘married’? Again, is it not redundant to add the negative property to our ontology? And, of course, if we concede, as it seems we must, that the predicate ‘married’ can be defined in terms of other more basic predicates, then the doubts we have raised about ‘bachelor’ and ‘unmarried’ can be extended even further.
내가 제시하였듯, 대부분의 실재론자들은 우리가 여태껏 형이상학적 실재론에 두어왔던 제한들을 지지할 것이다; 그러나 일부 실재론자들은 추가적인 제한들을 위치시키고자 한다. 예를 들어 '총각'이라는 술어를 고찰해 보자. 우리가 그것을 정식화하였듯, 실재론 설명은 우리에게 이 술어와 관련된 보편자가 있다고 말한다. 그것은 어떤 보편자인가? 짐작컨데 총각임의 속성일 것이다. 그러나 저 보편자는 한 사물이 남성임의 속성, 인간 존재자임의 속성, 그리고 미혼임의 속성을 가진 바로 그 경우에 지니는 하나의 속성이다. 그래서 우리는 얼마나 많은 속성들을 여기에서 가지는가? 우리는 '남성임', '인간 존재자임', 그리고 '미혼임'의 속성들을 '남성,' '인간 존재자,' 그리고 '미혼'이라는 술어들을 수용하기 위해 필요로 한다; 그러나 우리는 총각임의 추가적 속성을 필요로 하는가? 우리는 명백히 더욱 기초적인 속성들인 다른 세 가지 속성들을 지시함으로써 '총각'이라는 술어에 대한 완벽히 만족스러운 설명을 제시할 수 있고, 그래서 네 번째 속성을 우리의 목록에 추가하는 것은 과다한 것 아닌가? 저 추가적 속성은 단지 불필요한 난잡스러움은 아닌가? 그러나 '총각'이라는 술어에 대해 별도의 속성을 상정할 필요성에 대한 의심은 꽤나 자연스럽게 '미혼'의 경우까지 확장될 수 있다. 만일 우리가 '기혼'이란 술어에 상응하는 하나의 속성에 대한 필요성을 인정한다면, 우리는 우리가 '미혼'의 경우에서 추가적인 부정적 속성을 가정할 필요가 있는가? 우리는 그 대신 '미혼'이 한 사물이 '기혼'이라는 술어에 상응하는 속성을 결여한 바로 그 경우에 한 사물에 대해 참이라고 말할 수 없는가? 다시, 우리의 존재론에 그 부정적 속성을 추가하는 일은 과도한 것은 아닌가? 그리고 물론 만일 우리가 우리가 그러해야만 할 것으로 보이듯 '기혼'이라는 술어가 다른 더욱 기초적인 술어들로 한정될 수 있음을 인정한다면, 우리가 '총각'과 '미혼'에 대해 일으켰던 의심들은 더 멀리까지 확장될 수 있다.

  These doubts have led some realists to set very severe restrictions on the analysis of predication so far delineated. They have insisted on a distinction between what they call undefined and defined predicates.[18] The idea is that there are certain predicates that are not defined in terms of other predicates; these primitive predicates get their meaning by being directly correlated with universals. All other predicates are defined in terms of these primitive predicates. On this view, then, there is not a separate and distinct universal correlated with every semantically nonequivalent predicate; it is only in the case of the primitive or undefined predicates that this is so. The semantical properties of defined predicates can be explained by reference to the universals correlated with the primitive predicates in terms of which they are defined.
  이러한 의심들은 일부 실재론자들을 여태까지 기술된 술어에 대한 분석에 매우 엄중한 제한들을 놓도록 이끌어 왔다. 그들은 그들이 부정 서술과 한정 서술이라 부르는 것 사이의 구분에 대해 주장해 왔다. 그 발상은 다른 술어들로 한정되지 않는 특정 술어들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1차 술어들은 그 의미를 보편자들과 직접적으로 관련됨으로써 획득한다. 다른 모든 술어들은 이러한 1차 술어들로 한정된다. 그래서 이러한 관점에서 모든 의미론적으로 동등하지 않은 술어와 관련된 독립되고 특유한 보편자는 있지 않다; 이것이 그러한 것은 오직 1차 혹은 부정 술어들의 경우뿐이다. 한정 술어들의 의미론적 속성들은 그 속성들로 그로써 한정되는 1차 술어들과 관련된 보편자들에 대한 지시로써 설명될 수 있다.

  Although this way of restricting the realist analysis of predication may initially seem attractive, it has its problems. The central difficulty is that predicates do not come neatly divided into those that are basic or primitive and those that are defined. The philosopher must make the division, and it is arguable that any such division will be somewhat arbitrary. What one formalization of a language takes to be a basic or undefined predicate, another can, with equal adequacy, construe as a defined expression. This fact raises doubts about the distinctively metaphysical force of any attempt at dividing predicates into those that are primitive and those that are defined. If the distinction between undefined and defined predicates is to be a guide to what universals there are, it can hardly rest on the arbitrary decisions of a formalizer.
  술어에 대한 실재론적 분석을 제한하는 이러한 방식이 처음에는 매력적으로 보일지라도, 그 방식은 문제점들을 지니고 있다. 가장 핵심적인 어려움은 술어들이 기초적이거나 1차인 것들과 한정되는 것들로 깔끔하게 나뉘어 들어가지 않는다는 것이다. 철학자는 반드시 그 분할을 이루어야만 하고, 그러한 어떠한 구분도 어느 정도 임의적일 것이라고 주장될 만 하다. 어떤 것을 두고 언어에 대한 한 가지 형식화는 기초적 또는 부정 술어인 것으로 취하고, 또 다른 형식화는 동등한 타당성을 가지고 한정 표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술어들을 1차적인 술어들과 한정되는 술어들로 나누려는 어떠한 시도에 대한 특징적으로 형이상학적인 능력에 대해서나 의심들을 불러 일으킨다. 만일 부정 서술과 한정 서술 사이의 구분이 어떤 보편자들이 존재하는지에 대해 길잡이가 될 것이라면, 그 구분은 형식화 수행자의 임의적 결정들에 의존할 수는 없을 것이다.

  To avoid the charge of arbitrariness, then, the realist who finds this distinction useful will need to provide some philosophical justification for identifying certain predicates as basic. One important kind of justification that has been provided here is epistemological. Realists who have endorsed a strongly empiricist program in the theory of knowledge have insisted that the basic or primitive predicates are those that express features or characteristics that, from the empiricist’s perspective, are epistemologically basic. Accordingly, it is predicates expressing colors, sounds, smells, simple shapes, and the like that are construed as primitive. Corresponding to each such nonequivalent predicate, there is said to be a distinct and separate universal; and it is claimed that all other predicates can be defined by reference to these universals.
  그래서 임의성의 부담을 피하기 위해 이러한 구분이 유용함을 알아차린 실재론자는 어떤 철학적 정당성을 특정 술어들을 기초적인 것으로 규정하기 위해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제공되어 온 중요한 한 종류의 정당화는 인식론적이다. 앎에 대한 이론에 있어서 강력한 경험주의적 계획을 지지해 온 실재론자들은 기초적인 혹은 1차적인 술어들이 경험주의적 관점에서 인식론적으로 기초적인 특성들 혹은 특징들을 표현하는 술어들이라고 주장해 왔다. 따라서, 기초적으로 이해되는 것은 색들, 소리들, 냄새들, 단순한 형태들, 그와 같은 것들을 표현하는 술어들이다. 그러한 비동등한 술어 각각에 상응하며, 구별되고 분리된 보편자인 것으로 이야기되는 것이 있다; 그리고 다른 모든 술어들은 이러한 보편자들에 대한 지시로써 한정될 수 있다고 주장된다.

  Although the view just laid out was popular among realists in the first half of this century, it does not have many defenders nowadays. Those who endorsed the view found that a large number of predicates resist analysis in terms of merely sensory or perceptual properties. The theoretical predicates of science and moral or ethical predicates are just two cases that proved problematic for realists of the empiricist persuasion. Finding it impossible to analyze these predicates in purely perceptual terms, these realists were forced to deny that the predicates have any genuinely descriptive meaning and to endorse highly implausible accounts of their role in language. Thus, they claimed that the theoretical predicates of science are merely tools or instruments for taking us from one set of statements involving purely perceptual predicates to another such set, and that ethical predicates are nothing more than linguistic vehicles for venting our feelings or emotions about persons, their actions, and their lifestyles.
  방금 펼쳐진 그 관점이 이번 세기의 전반부에 실재론자들 사이에서 유명했었다 할지라도, 최근에는 많은 옹호자들을 지니지 못한다. 그 관점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상당수의 술어들이 단지 감각적이거나 지각적일 뿐인 속성들로의 분석에 저항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과학의 이론적 술어들과 도덕적 혹은 윤리적 술어들은 경험주의적 파벌에 속하는 실재론자들에게 문제가 있는 것으로 입증된 바로 그 두 가지 사례들이다. 이러한 술어들을 순수하게 지각적 용어들로 분석하는 일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고서, 이러한 실재론자들은 그 술어들이 어떤 진정으로 기술적인 의미를 지닌다는 것을 부정하고 언어에 있어서 그 술어들의 역할에 대한 상당히 그럴 듯하지 못한 설명들을 지지하도록 강제되었다. 그래서, 그들은 과학의 이론적 술어들이 순수하게 지각적인 술어들을 포함하는 일련의 진술들로부터 또 다른 그러한 일련의 진술들로 이끌기 위한 단순한 도구들 혹은 설비들일 뿐이며, 윤리적 술어들은 사람들, 그들의 행동들, 그들의 생활양식들에 대한 우리의 느낌들이나 감정들을 발산하기 위한 언어적 운반자들 이상의 아무것도 아니라고 주장했다.

  But it is not simply the empiricist themes at work in this proposal that left philosophers skeptical of the idea that a distinction between defined and undefined predicates is ontologically important. However one goes about the business of dividing predicates into primitive and defined, one is committed to the idea that every nonprimitive predicate can be defined wholly and completely by reference to the predicates taken to be primitive. But the fact is that few of the predicates of our language are like ‘bachelor’ in being susceptible of definition in terms of less complex predicates. Although it was invoked to make a slightly different point, Wittgenstein’s famous discussion of the predicate ‘game’ brings out the difficulty here:

  Consider for example the proceedings that we call “games.” I mean board-games, card-games, Olympic games and so on. What is common to them all? Don’t say: “There must be something common, or they would not be called ‘games’ ” – but look and see whether there is anything common to all. – For if you look at them you will not see something that is common to all, but similarities, relationships, and a whole series of them at that. To repeat: don’t think but look! Look, for example, at board-games, with their multifarious relationships. Now, pass to card-games; here you find many correspondences with the first group, but many common features drop out, and others appear. When we pass next to ball-games, much that is common is retained, but much is lost. – Are they all “amusing”? Compare chess with noughts and crosses. Or is there always winning and losing, or competition between players? Think of patience. In ball-games there is winning and losing; but when a child throws his ball at the wall and catches it again, this feature has disappeared. Look at the parts played by skill and luck; and at the difference between skill in chess and skill at tennis. Think now of games like ring-a-ring-a-roses; here is the element of amusement, but how many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have disappeared! and we can go through the many, many other groups of games in the same way; can see how similarities crop up and disappear.[19]

‘Game’ is pretty clearly not going to turn out to be a primitive predicate; but if Wittgenstein is right, the attempt to identify a set of more basic predicates whose associated properties will enable one to provid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the applicability of the predicate ‘game’ is bound to be frustrated. ‘Game’ has a looser, less regimented semantical structure than a term like ‘bachelor,’ a structure that cannot be captured by any formal definition; and Wittgenstein wants to claim that, on this score, it is typical of most of the predicates of our language.
  그러나 그것은 단순히 철학자들을 한정 술어와 부정 술어 사이의 구분이 존재론적으로 중요하다는 생각에 회의적이도록 놔두는 이러한 제안에서 작동하는 경험주의적 주제들은 아니다. 그렇지만 1차 술어와 하정 술어로 술어들을 나누는 사업에 대해 착수하고, 누군가는 모든 비1차적 술어들이 전적으로 완전히 1차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술어들에 대한 지시로써 한정될 수 있다는 생각에 헌신한다. 그러나 '총각'과 같이 우리의 언어에 속하는 소수의 술어들만이 덜 복잡한 술어들로 한정될 여지가 있다. 약간 다른 점을 만드는 것으로 연상된다 할지라도, 비트겐슈타인의 '게임'이라는 술어에 대한 유명한 논의는 여기에서 그 어려움을 이끌어낸다:

  예를 들어 우리가 "게임들"이라 부르는 행동들을 고찰해 보자. 나는 보드-게임들, 카드-게임들, 올림픽 게임들 등등을 말한다. 그것들 모두에 공통된 것은 무엇인가? "어떤 공통된 것이 반드시 있어야만 하고, 아니라면 그것들은 '게임들'이라 불리지 않을 것이다"라고는 말하지 말라. - 그러나 그것들 모두에 공통된 어떤 것이라도 있는지 살펴 보라. - 왜냐하면 만일 당신이 그것들을 살펴 본다면 당신은 그것들 모두에 공통된 어떤 것이 아니라 유사점들, 관계성들, 그리고 그것들의 전체 연속물 정도를 볼 것이기 때문이다. 다시 한 번 말한다: 생각하지 말고 바라보라! 예를 들어 보드-게임들을, 그것들의 잡다한 관계들과 함께 바라보라. 이제, 카드-게임들로 넘어가자; 여기에서 당신은 첫 번째 집단과의 많은 일치들을 발견하지만, 다수의 공통 특징들은 없어지고, 다른 것들이 나타난다. 우리가 공-놀이들로 넘어갈 때, 공통된 많은 것이 유지되지만, 많은 것들은 상실된다. - 그것들은 모두 "재미있나"? 체스와 삼목을 비교해 보자. 항상 승리와 패배가 있거나, 놀이 참여자들 사이의 경쟁이 있나? 페이션스에 대해 생각해 봐라. 공-놀이들에서는 승리와 패배가 있다; 그러나 한 소년이 벽에 공을 던지고 그걸 다시 받을 때, 이 특징은 사라졌다. 기술과 운에 의해 수행되는 역할들을 살펴 보라; 그리고 체스의 기술과 테니스의 기술 사이의 차이를 보라. 이제 ring-a-ring-a-roses[이건 뭔가 노래 부르며 돌다 주저앉는데-_-?]와 같은 놀이들에 대해 생각해 보라; 여기에서 재미는 요소이지만, 얼마나 많은 성격적 특징들이 사라졌는가! 그리고 우리는 같은 방식으로 훨씬 많고도 많은 다른 놀이들의 그룹들을 훑어볼 수 있다; 어떻게 유사성들이 나타나고 사라지는지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놀이'는 꽤나 분명하게 1차 술어인 것으로 드러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만일 비트겐슈타인이 옳다면, 그 관련된 속성들이 한 사람으로 하여금 '놀이'라는 술어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필충조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해줄 그러한 더욱 기초적인 일련의 술어들을 규정하는 시도는 좌절될 수밖에 없다. '놀이'는 '총각'과 같은 용어보다 더 느슨하게, 덜 조직화된 의미론적 구조, 어떤 형식적 한정에 의해서도 포착될 수 없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비트겐슈타인은 이 지점에서 우리의 언어에 속하는 술어들의 대부분이 전형적으로 그렇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In the light of Wittgenstein’s remarks,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primitive and defined predicates does not play a major role in the work of contemporary realists. Some simply deny that the sort of restrictions those invoking the distinction meant to set on realism are appropriate.[20] They are holists about universals; that is, they reject any attempt at reducing one set of universals to another. On the one hand, they are impressed by the fact that where we can provide formal definitions for predicates, any attempt at distinguishing between defined and undefined predicates is bound to be arbitrary. Accordingly, while perhaps conceding that the Platonic schema and its associated theory of predication do not apply to the notion of exemplification, they insist that the universals associated with predicates like ‘bachelor’ and ‘unmarried’ are every bit as respectable, every bit as real as those associated with predicates like ‘blue’ and ‘red.’ On the other hand, they agree with Wittgenstein that many predicates resist formal definition in terms of other, more basic predicates. However, unlike Wittgenstein, they find this fact no source of embarrassment for the realist. Thus, in response to Wittgenstein’s demand to identify a universal common to all the things called games, they point to the property of being a game; and they deny that the impossibility of reducing this property to other more familiar universals is, in any way, problematic.
  비트겐슈타인의 관찰들에 비추어, 1차 술어와 한정 술어 사이의 구별이 현대 실재론자들의 작업에서 주된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것은 놀랍지 않다. 일부는 단순히 실재론에 놓는 것으로 생각되는 구별을 연상시키는 그런 종류의 제한들이 적합하다는 것을 부정한다. 그들은 보편자들에 대해 전체론자들이다; 즉, 그들은 일련의 보편자들을 다른 일련의 보편자들로 바꾸는 어떠한 시도도 거부한다. 한 편으로, 그들은 우리가 술어들에 대해 형식적 정의들을 제공할 수 있는 곳에서 한정 서술과 부정 서술을 구별하려는 어떠한 시도도 임의적일 수밖에 없다는 사실에 깊은 인상을 받는다. 따라서, 아마도 플라톤적 도식과 그 도식에 결부된 술어에 대한 이론이 예화의 관념에 적용되지 않음을 인정하면서도, 그들은 '총각'과 '미혼' 같은 술어들에 결부된 보편자들이 모든 점에서 '파랑'과 '빨강' 같은 술어들과 결부된 보편자들만큼이나 모든 점에서 훌륭하고 실제적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다른 한 편으로, 그들은 많은 술어들이 다른 더욱 기초적인 술어들로의 형식적 정의에 저항한다는 점에서 비트겐슈타인에게 동의한다. 그렇지만 비트겐슈타인과 달리 그들은 이 사실이 실재론에 대한 낭패의 아무런 원천도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놀이들이라 불리는 모든 것들에 공통된 보편자를 규정하는 일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요구에 응답함에 있어서, 그들은 놀이임의 속성을 지적한다; 그리고 그들은 이 속성을 다른 더욱 친숙한 보편자들로 전환하는 가능성이 어떤 식으로든 문제된다는 것을 부정한다.

  But other contemporary realists have insisted that even if the attempt to divide predicates into those that are primitive and those that are defined fails as an ontologically revealing way of restricting the realist’s account, restrictions need to be placed on the application of the Platonic schema.[21] They agree, then, that our use of only some predicates has genuinely ontological force, and they claim that it was not in the attempt to restrict the range of realism that empiricists went wrong. Where they went wrong was in their identification of the ontologically interesting predicates with merely perceptual or observational predicates and in their claim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ontologically revealing predicates and other predicates is one of definition or translation. These realists accuse their more holistic or antireductive colleagues of apriorism, the view that we can determine what universals there are by mere armchair reflection on the structure of our language. According to the holists, to determine what universals there are, we need merely look to the stock of predicates at our disposal: to every such nonequivalent predicate, there corresponds a separate and distinct universal. In opposition to this alleged apriorism, it is claimed that the question of what universals there are is an empirical question to be settled by scientific inquiry. It should come as no surprise that those metaphysical realists who rail against linguistic apriorism are typically also scientific realists. They hold, that is, that the empirical sciences, in particular physics, represent the criterion of what there is. Accordingly, they claim that the ontologically significant predicates are those essential to the formulation of the correct physical theory. It is, then, the predicates of physics in its finished form that have ontological force.
  그러나 다른 현대 실재론자들은 설령 술어들을 기초적인 것들과 한정되는 것들로 나누는 시도가 실재론적 설명을 제한하는 방식을 존재론적으로 드러내는 것으로서 실패한다 할지라도, 플라톤적 도식의 적용에 대해 제한들이 놓이는 일이 필요하다고 주장해 왔다. 그래서 그들은 오로지 일부 술어들에 대한 우리의 사용만이 진정으로 존재론적 능력을 지닌다는 점에 동의하며, 그들은 경험주의자들이 틀렸던 것은 실재론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시도에 속하는 것이 아니었다고 주장한다. 그들이 틀렸던 곳은 단지 지각적이거나 관찰적인 술어들만을 가진 존재론적으로 흥미로운 술어들에 대한 그들의 규정과 존재론적으로 드러내는 술어들과 다른 술어들 사이의 관계가 정의 혹은 해석의 관계라는 그들의 주장에 있었다. 이러한 실재론자들은 그들의 더욱 전체론적이거나 반환원주의적인 선험론의 동료들에게 우리가 어떤 보편자들이 존재하는지를 단지 우리의 언어 구조에 대한 탁상공론적인 반성만으로 결정할 수 있다는 관점의 혐의를 제기한다. 전체론자들에 따르면, 어떤 보편자들이 존재하는지 결정하기 위해, 우리는 단지 우리에게 처분이 맡겨진 술어들의 저장고를 생각해 보는 것만으로 족하다: 즉 그러한 모든 비동등한 술어에 대해, 하나의 분리되고 특유한 보편자가 상응한다. 제기된 이러한 선험주의에 반대편에서, 어떤 보편자들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물음이 과학적 탐구에 의해 확정될 경험적 물음이라는 것이 주장되었다. 언어적 선험주의에 저항하는 노선을 걷는 그러한 형이상학적 실재론자들이 전형적으로 또한 과학적 실재론자들임은 전혀 놀라운 것으로 다가오지 않는다. 즉 그들은 경험과학들, 특히 물리학이 무엇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표현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그들은 존재론적으로 유의미한 술어들은 정확한 물리학 이론의 형식에 본질적인 술어들이라고 주장한다. 그래서 그 궁극적 형식에 있어서 존재론적 능력을 갖춘 것은 물리학의 술어들이다.

  But if we accept this claim, what are we to make of the predicates that play no role in physical theory? For obvious reasons, the idea that there are translation rules taking us from strictly physical predicates to nonphysical predicates has not been seen as a viable option for the philosopher who seeks to couple metaphysical realism with an austere scientific realism. Instead, we find philosophers who defend the two forms of realism presenting a number of different and competing view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ntologically significant framework of physical theory and the nonscientific framework of common sense. I will mention just two. The first, less radical, view will not deny that there are universals correlated with predicates and abstract terms that are not a part of physical theory; but it gives ontological priority to the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of physics. Those universals are construed as ontologically basic or fundamental, and other universals are taken to be dependent on them. The claim is that while the  universals that do not enter into physical theory may not be reducible to or analyzable in terms of universals that do, the latter fix or determine the former. What physical kinds a thing belongs to, what physical properties it possesses, and what physical relations it enters into determines uniquely what nonphysical kinds, properties, and relations it exhibits. As it is usually put, nonphysical universals supervene on physical universals. On this view, once one has identified all of the physical facts (that is, all the facts recognized by the true physical theory), one has fixed all the facts, nonphysical as well as physical. So while nonphysical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may not be analyzable in terms of the universals of physics, the latter provide the ontological foundation on which the former rest.[22]
  그러나 만일 우리가 이러한 주장을 허용한다면, 물리학 이론에서 아무런 역할도 수행하지 않는 술어들에 대해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는가? 명백한 이유들로, 우리를 엄격하게 물리학적인 술어들로부터 비물리학적 술어들로 이끄는 해석 규칙들이 있다는 발상은 형이상학적 실재론을 소박한 과학적 실재론과 엮는 일을 추구하는 철학자에게 실행 가능한 선택지로 보이지 않았다. 대신에, 우리는 물리학 이론의 존재론적으로 중요한 구조와 공통 감각(상식)의 비과학적 구조 사이의 관계에 대해 상이하고 경쟁적인 상당수의 관점들을 표현하는 실재론의 그 두 가지 형식들을 지지하는 철학자들을 발견한다. 나는 단지 둘만을 언급할 것이다. 첫째로, 덜 급진적인 관점은 물리적 이론의 일부가 아닌 술어들과 추상 명사들에 결부된 보편자들이 있다는 것을 부정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그 관점은 물리학에 속하는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에 존재론적 우위를 둔다. 그러한 보편자들은 존재론적으로 기초적이거나 근본적인 것으로 이해되고, 다른 보편자들은 그 보편자들에 의존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 주장은 물리학적 이론에 들어가지 않는 보편자들은 그렇게 들어가는 보편자들로 환원되거나 분석될 수 없을 것인 반면, 후자가 전자를 고정시키거나 결정한다는 것이다. 한 사물이 어떤 물리학적 종류들에 속하는지, 그 사물이 어떤 물리학적 속성들을 지니는지, 그리고 그 사물이 어떤 물리학적 관계들에 들어가는지는 유일하게 그 사물이 드러내는 비물리적 종류들, 속성들, 그리고 관계들이 무엇인지 결정한다. 통상 그렇게 이야기되듯, 비물리적 보편자들은 물리적 보편자들에 수반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일단 누군가 물리적 사실들 (즉, 참인 물리 이론에 의해 재인된 모든 사실들) 모두를 규정하고 나면, 그는 물리적인 것만 아니라 비물리적인 사실들까지 모두 고정시킨다. 그래서 비물리적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은 물리적 보편자들로 분석될 수 없을지 모르는 반면, 후자는 전자가 기대는 존재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A second, more radical account is that of the eliminativist who refuses to construe those predicates and abstract terms that cannot be accommodated by reference to the universals invoked in physical theory as having any ontological force.[23] As the eliminativist sees it, our ordinary nonscientific language is the expression of a theory of how the world is; and like any theory it can be displaced by a theory that provides a more accurate representation of the structure of reality. According to the eliminativist, our best theory of the nature of the world is that delineated by mature physics. To the extent that our nonscientific account of the world is incompatible with mature physical theory, it is false. Those among its predicates and abstract terms that purport to refer to universals that cannot be incorporated in the picture of the world projected by physics are terms without a reference; the universals they purport to express or name simply do not exist. The eliminativist denies that there is anything puzzling about this. It is simply one more case where the theoretical posits of one theory are rejected in favor of those of a more adequate theory.
  둘째로, 더욱 급진적인 설명은 물리학 이론에서 연상된 보편자들에 대한 지시로써 수용될 수 없는 그러한 술어들과 추상 명사들을 어떤 존재론적 능력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하기를 거부하는 제거주의의 설명이다. 제거주의가 그렇게 보듯, 우리의 일상적인 비과학적 언어는 세계가 어떠한지에 대한 이론의 표현이다; 그리고 여느 이론들과 같이 그것은 실재의 구조에 대한 더욱 정확한 재현을 제공하는 이론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제거주의에 따르면, 세계의 본성에 대한 우리의 최선의 이론은 성숙한 물리학에 의해 기술되는 것이다. 세계에 대한 우리의 비과학적 설명이 성숙한 물리학과 양립할 수 없는 범위에 이르러, 그것은 거짓이다. 그 술어들과 추상 명사들 중에서 물리학에 의해 반영된 세계에 대한 상으로 결합될 수 없는 보편자들을 지시하려는 의도를 가진 것들은 지시가 없는 용어들이다; 그들이 표현하거나 명명하려고 의도하는 보편자들은 단순히 현존하지 않는 것들이다. 제거주의는 이에 대한 혼란스러운 어떤 것이든 있음을 부정한다. 그것은 단순히 한 이론에 대한 이론적 가정들이 더욱 적합한 이론의 가정들을 위해 거부되는 또 하나의 경우일 뿐이다.


Are there any unexemplified attributes?
어떤 예화되지 않는 속성들이 있는가?

While the differences we have noted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metaphysical realism, the single most important issue dividing realists bears on the idea of unexemplified universals. In delineating the main contours of realism, our focus has been on actual cases of attribute agreement and on the use of general terms and abstract singular terms in sentences that are actually true. One important tradition, however, would insist that this emphasis on the actual is misguided; it leads us to suppose that all universals are in fact instantiated or exemplified. Realists of this persuasion want to insist, however, that, in addition to the exemplified universals, there are many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that are not, never have been, and never will be exemplified.[24] Some of these lack instances only contingently; that is, they are such that they might have been exemplified, but in fact are not. Thus, there doubtless are many complex ways physical objects might have been shaped, but never were; the corresponding shapes, these realists claim, are all contingently unexemplified universals. But many of these realists have gone on to claim that, in addition to universals that only contingently go unexemplified, there are attributes that are necessarily unexemplified, attributes such that nothing could have ever exemplified them. It is, for example, impossible that anything be both round and square. That is a way nothing could be; these realists insist that there is a corresponding attribute, one that is necessarily unexemplified.
우리가 언급하였던 차이들은 형이상학적 실재론의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던 반면, 실재론자들을 갈라놓는 단일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예화되지 않는 보편자들에 대한 생각과 관련된다. 실재론의 주된 윤곽들을 기술함에 있어서, 우리의 초점은 속성일치의 실제적 사례들과 실제로 참인 문장들에 있어서 일반 명사들과 추상적 단칭 명사들의 사용에 맞추어져 있었다. 그렇지만 한 가지 중요한 전통은 실제적인 것에 대한 이러한 강조가 잘못 인도된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것은 우리를 모든 보편자들이 사실상 예시되거나 예화된다고 생각하도록 이끈다. 이러한 파벌에 속하는 실재론자들은 그렇지만 예화되는 보편자들에 덧붙여 예화되지 않고 한 번도 예화되지 않아 왔으며 결코 예화되지 않을 많은 속성들, 종류들, 그리고 관계들이 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이것들 중 일부는 단지 우연적으로 예증들을 결여한다; 즉, 그것들은 예화될 수 있었을 터이지만 사실은 그렇지 못한 그러한 보편자들이다. 그래서, 의심의 여지 없이 물리적 대상들이 형태를 갖추었을지도 모르는, 그러나 결코 그렇지 않았을 다수의 복잡한 방식들이 있다; 이러한 실재론자들은 그 일치하는 형태들이 모두 우연적으로 예화된 보편자들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재론자들 중 다수는 계속해서 오로지 우연적으로 예화되게 된 보편자들에 덧붙여 필연적으로 예화되지 않는 속성들, 그것들을 도대체 예화할 수 있었을 아무것도 없는 그러한 속성들이 있다고 주장해 왔다. 예를 들어 어떤 것이 둥글면서 각지기는 불가능하다. 그럴 수 있는 아무런 방법도 없다; 이러한 실재론자들은 일치하는 속성, 필연적으로 예화되지 않는 속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So some realists believe that there are uninstantiated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Since there is some evidence that Plato believed that this is so, let us call realists of this persuasion Platonists.[25] Opposed to them are realists who insist that every universal has at least one instance at some time or other. It is plausible to think that Aristotle endorsed an ontology involving only exemplified universals; for he tells us that if everything were healthy, there would be no such thing as disease, and if everything were white, the color black would not exist.[26] Let us, then, call realists who reject the Platonist’s unexemplified universals Aristotelian realists.
  그래서 일부 실재론자들은 예시되지 않는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이 있다고 믿는다. 플라톤이 이렇게 믿었다는 몇몇 증거가 있으므로, 우리는 이러한 파벌에 속하는 실재론자들을 플라톤주의자들이라 부르기로 하자. 모든 보편자가 최소한 그 어떤 순간엔가는 하나의 예시를 가진다고 주장하는 실재론자들이 그들에 대립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오로지 예화되는 보편자들만을 포함하는 존재론을 지지하였다고 생각하는 것은 그럴 듯하다; 왜냐하면 그는 우리에게 만일 모든 것이 건강하다면, 질병과 같은 것은 전혀 없을 것이고, 만일 모든 것이 희다면, 검은 색은 현존하지 않았으리라고 말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플라톤주의의 예화되지 않는 보편자들을 거부하는 실재론자들을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실재론자들이라 부르기로 하자.

  What are the issues separating Aristotelian realists from Platonists?[27] As a start toward answering this question, let us ask why Aristotelians object to uninstantiated universals. Aristotelians typically tell us that to endorse Platonic realism is to deny that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need to be anchored in the spatiotemporal world. As they see it, the Platonist’s universals are ontological “free floaters” with existence conditions that are independent of the concrete world of space and time. But to adopt this conception of universals, Aristotelians insist, is to embrace a “two-worlds” ontology of the sort we find in Plato himself. On this view, we have a radical bifurcation in reality, with universals and concrete particulars occupying separate and unrelated realms. Such a bifurcation, Aristotelians claim, gives rise to insoluble problems in both metaphysics and epistemology.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how there could be any kind of connection between spatiotemporal objects and beings completely outside space and time. Nonetheless, the realist is committed to there being such connections. After all, the cornerstone of metaphysical realism, the realistic interpretation of attribute agreement, tells us that the ontological ground of spatiotemporal particulars being the way they are, being the sorts of things they are, and being related to each other in the ways they are just is their being connected or tied to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Furthermore, it is highly problematic how beings like ourselves who belong firmly to the spatiotemporal world of concrete particulars could ever have cognitive access to the nonspatial, nontemporal beings that Platonists tell us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are. Since it would seem that there can be no causal relations between spatiotemporal particulars like ourselves and beings outside space and time, it looks as though the only story we could tell about our knowledge of universals is one that makes that knowledge innate or apriori. But Aristotelians have traditionally been skeptical of the idea of innate knowledge. They want to insist that our knowledge of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like all our knowledge, has an empirical origin. Indeed, Aristotelians want to deny that we can separate or cut apart our knowledge of universals from our knowledge of concrete spatiotemporal particulars. As they see it, we grasp particulars only by grasping the kinds to which they belong, the properties they exhibit, and the relations they bear to each other; and we grasp the relevant kinds, properties, and relations, in turn, only by epistemic contact with the particulars that exemplify them.
  플라톤주의자들로부터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실재론자들을 분리시키는 문제들은 무엇인가? 이 물음에 대답하기 위한 출발점으로서, 어째서 아리스토텔레스주의가 예시되지 않는 보편자들에 대해 반대하는지 묻도록 하자. 아리스토텔레스주의는 전형적으로 우리에게 플라톤적 실재론을 지지하는 것은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이 시공간적 세계 내에 정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부정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들이 그렇게 보듯, 플라톤주의의 보편자들은 시간과 공간이라는 구체적 세계에 대해 독립적인 현존 조건들을 지닌 존재론적인 "자유로운 부유물들"이다. 그러나 보편자들에 대한 이러한 개념을 채택하는 것은 우리가 플라톤 자신에게서 발견하는 그런 종류의 "두-세계들"이라는 존재론을 포용하는 것이라고 아리스토텔레스주의는 주장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는 분리되고 연결되지 않은 영역들을 점유하는 보편자들과 구체적 특수자들을 가지고 실재성에 있어서의 급진적 분기점을 갖는다. 그러한 분기점은 형이상학과 인식론 모두에 있어서 해결불가능한 문제들을 불러 일으킨다고 아리스토텔레스주의는 주장한다. 어떻게 시공간적 대상들과 완전히 시공간 외부의 존재자들 사이에 어떤 종류의 연결이 있을 수 있을지 이해하기란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재론은 그러한 연결들이 있다는 것에 헌신한다. 무엇보다도, 형이상학적 실재론의 초석, 속성 일치에 대한 실재론적 해석은 우리에게 그것들이 존재하는 방식으로, 그런 종류로, 그러한 방식들로 상호 연결되어 그렇게 있는 시공간적 특수자들의 존재론적 토대는 바로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에 대한 그것들의 연결됨 혹은 묶임이라고 말한다. 더 나아가, 어떻게 우리 자신과 같이 확고히 구체적 특수자들의 시공간적 세계에 속하는 존재자들이 도대체 플라톤주의가 우리에게 말하는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인 그 비공간적, 비시간적 존재자들에 대한 인지적 접근을 지닐 수 있을 것인지는 상당히 문제가 된다. 우리 자신과 같은 시공간적 특수자들과 시공간 외부의 존재자들 사이에는 아무런 인과관계들도 있을 수 없을 것으로 보일 터이므로, 마치 우리가 보편자들에 대한 우리의 앎에 대해 말할 수 있을 유일한 이야기는 저 지식을 내재적으로 또는 선험적으로 만드는 이야기뿐인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주의는 전통적으로 내재적 앎이라는 생각에 대해 회의적이어 왔다. 그들은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에 대한 우리의 앎, 그와 같은 우리의 앎 모두가 경험적 기원을 지닌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덧붙여, 아리스토텔레스주의는 우리가 보편자들에 대한 우리의 앎을 구체적인 시공간적 특수자들에 대한 우리의 앎으로부터 분리시키거나 단절시킬 수 있다는 것을 부정하고자 한다. 그들이 보는 것처럼, 우리는 특수자들을 오로지 그것들이 속하는 종류들, 그것들이 드러내는 속성들, 그것들이 상호에 관련하는 관계들을 파악함으로써만 파악한다; 그리고 우리는 이번엔 상관된 종류들, 속성들, 그리고 관계들을 오로지 그것들을 예화하는 특수자들과의 인식적 접촉을 통해서만 파악한다.

  How, in turn, do Platonists defend the idea of uninstantiated or unexemplified universals? One important strategy is to argue that precisely the same sorts of semantical considerations that lead us to posit exemplified universals support the claim that there are unexemplified universals. The Platonist will argue that it is not simply the predicates of true subject-predicate sentences that take universals as their referents; the same is true of false sentences of this form. Suppose there is an object, a, and a person, P, such that P falsely believes that

(20) a is F

is true. P might well assertively utter (20). Although what P asserts in uttering (20) is false, P has asserted something. But what? Had (20) been true, in assertively uttering (20), P would have asserted that the object, a, exemplifies the universal, F-ness. The Platonist will argue that what P asserts in uttering (20) cannot depend on whether (20) is true or false, so what P falsely asserts in uttering (20) has to be the same thing P would have asserted had (20) been true. Thus, P asserts, falsely it turns out, that a  exemplifies F-ness. But, the Platonist will go on, F might have been a general term, a shapepredicate, say, true of or satisfied by no object that exists, has existed, or will exist. So the semantical considerations that lead us to suppose that there are exemplified universals support an ontology of unexemplified universals as well; and, the Platonist may go on to argue, F could just as well have been a predicate that is necessarily true of nothing, so that the same argument would seem to justify the belief that there are necessarily unexemplified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이번엔, 어떻게 플라톤주의가 예시되지 않거나 예화되지 않는 보편자들이라는 생각을 옹호하는가? 하나의 중요한 전략은 우리로 하여금 예화되는 보편자들을 가정하도록 이끄는 정확하게 동일한 종류의 의미론적 고찰들이 예화되지 않는 보편자들이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고 논증하는 것이다. 플라톤주의는 그것이 단순히 보편자들을 그 지시체들로 삼는 참인 주-술 문장들의 술어들이 아니라고 주장할 것이다; 이러한 형식의 거짓 문장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가 참이다. 하나의 대상 a와 다음과 같은 문장이 참이라고 잘못 믿는 사람 P가 있다고 가정해 보자.

(20) a는 F이다.

P는 아마도 단정적으로 (20)을 잘 발화할 것이다. P가 (20)을 발화함에 있어서 단언하는 것이 거짓이라 할지라도, P는 어떤 것을 단언했다. 하지만 그건 무엇인가? (20)이 참이었다면, (20)을 단정적으로 발화함에 있어서 P는 대상 a가 보편자 F-임을 예화한다고 단언했을 것이다. 플라톤주의는 P가 (20)을 발화함에 있어서 단언한 것은 (20)이 참인지 거짓인지 여부에 의존할 수 없고, 그래서 P가 (20)을 발화함에 있어서 잘못 단언한 것은 (20)이 참이었다면 P가 단언했을 것과 동일한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따라서, P는 결국 거짓으로 드러나는 F-임을 예화하는 것을 단언한다. 그러나 플라톤주의가 계속해 나갈 것처럼, F는 일반 명사였을 것이고, 술어 형태였을 것이며, 말하자면, 현존하거나 현존했거나 현존할 그 어떠한 대상에 대해서도 참이거나 그에 의해 만족되지 않았을 것이다. 우리를 예화되는 보편자들이 있다고 생각하도록 이끄는 의미론적 고찰들은 예화되지 않는 보편자들에 대한 존재론도 마찬가지로 뒷받침한다; 그리고, 플라톤주의는 계속해서 마찬가지로 F도 아무것에 대해서도 필연적으로 참이 아닌 술어였을 수 있을 것이고, 그래서 동일한 논증이 필연적으로 예화되지 않는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이 있다는 믿음을 정당화하는 것으로 보일 터이다.

  The Platonist will typically insist that all universals, whether exemplified or not, are necessary beings. Unlike the contingently existing particulars of common sense that exist, but need not,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are such that their nonexistence is impossible. Toward showing this, the Platonist tells us that for every property, the claim that it is a property is not just true, but necessarily true. Now, the Platonist insists that just as the truth of a claim about an object presupposes the actual existence of the object, the necessary truth of a claim about this or that object presupposes the necessary existence of the object. A necessary truth, the Platonist insists, is one that could not fail to be true; and where a necessary truth is a claim about a given object, the object in question could not fail to exist. So every property is such that it could not fail to exist; every property is a necessary being; and analogous points hold with regard to kinds and relations. So the Platonist insists that we distinguish between the existence of a property, kind, or relation and its exemplification or instantiation. Whereas the latter may be contingent, the former never is.
  플라톤주의는 전형적으로 모든 보편자들은 예화되든 그렇지 않든 필연적인 존재자들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상식의 우연적으로 현존하는 특수자들과 달리 저들은 현존하지만,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과 같이 그것들의 비현존이 불가능한 것일 필요는 없다. 이를 보이기 위해, 플라톤주의는 우리에게 모든 속성에 대해 그것이 속성이라는 주장이 단순히 참이 아니라 필연적으로 참이라고 말한다. 이제, 플라톤주의는 바로 한 대상에 대한 주장의 진리가 그 대상의 실제 현존을 가정하는 것과 같이, 이러저러한 대상에 대한 한 주장의 필연적 참이 그 대상의 필연적 현존을 가정한다고 주장한다. 플라톤주의는 하나의 필연적 참은 참이 아닐 수 없을 그러한 참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필연적 참이 주어진 한 대상에 대한 주장인 곳에서, 문제가 되는 그 대상은 현존하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모든 속성은 현존하지 않을 수 없을 그러한 것이다; 모든 속성은 필연적 존재자이다; 그리고 유사한 점들이 종류들과 관계들을 고려함에 있어서도 견지된다. 그래서 플라톤주의는 우리가 속성, 종류, 또는 관계와 그것의 예화 혹은 예시 사이를 구별한다고 주장한다. 후자는 우연적인 것일 반면, 전자는 결코 그렇지 않다.

  In criticizing Aristotelians, the Platonist will argue that by failing to draw this distinction, the Aristotelian makes the existence of a universal depend upon the existence of something to exemplify it and thereby turns things upside down. Universals were brought on the scene to explain attribute agreement among particulars, to explain why concrete particulars are the way they are. Universals, then, are supposed to be ontologically prior to the particulars that exemplify them. On the Aristotelian view, however, things turn out just the reverse. The existence of a universal turns out to depend on there being particulars that are this or that sort of things, are characterized in this or that way, or are related to each other in this or that way. Such a view undermines the core insight motivating metaphysical realism.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들에 대한 비판에 있어서, 플라톤주의는 이러한 구별을 이끌어내는 데에 실패함으로써 아리스토텔레스주의가 보편자의 현존을 그 보편자를 예화하는 어떤 것의 현존에 의존하도록 만들고 그럼으로써 사물들을 전도시킨다고 주장할 것이다. 보편자들은 특수자들 사이의 속성 일치를 설명하는 장면에서, 어째서 구체적 특수자들이 그들이 그러한 그 방식으로 있는지 설명하기 위해 초래되었다. 그래서 보편자들은 그것들을 예화하는 특수자들보다 존재론적으로 우선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지만 아리스토텔레스주의의 관점에서, 사물들은 그와 정반대로 드러난다. 보편자의 현존은 이러저러한 종류의 사물들, 이러저러한 방식으로 규정된 것들, 또는 이러저러한 방식으로 상호 결합된 것들인 존재하는 특수자들에 의존하는 것으로 드러난다. 그러한 관점은 형이상학적 실재론을 동기유발하는 핵심적 통찰을 약화시킨다.

  Finally, although some realists (including, perhaps, Plato himself) are willing to endorse a “two-worlds” ontology, many Platonists will claim that Aristotelians are just wrong to suppose that the metaphysical problems of a “two-worlds” theory have to infect an ontology of unexemplified universals. They will insist that, on their view, the nexus of exemplification serves to tie universals and particulars, and they will claim that although this notion is ontologically basic or primitive, it is a perfectly respectable notion, one that the Aristotelian no less than the Platonist is committed to. And they will argue that the Aristotelian’s contention that the Platonist faces insoluble epistemological problems is overblown. They will insist that while some universals have no instances in the spatiotemporal world, many do; and they will claim that our knowledge of exemplified universals can be captured by a thoroughgoing empiricism. As they see it, we come to have cognitive access to these universals simply by experiencing the spatiotemporal particulars that exemplify them; whatever other knowledge we have of universals is grounded in our knowledge of these exemplified universals. Thus, we come to know about some unexemplified universals by extrapolation from our empirically based knowledge of instantiated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If there are universals that have no identifiable relations to the exemplified universals we meet in our day-to-day commerce with the world, then Platonists will concede that we have no knowledge of such universals; but they will deny that this is surprising. They will claim, rather, that this is just what we would have expected.
  끝으로, 일부 실재론자들 (아마도 플라톤 자신을 포함하는) 이 "두-세계들" 존재론을 지지하길 바라고 있다 할지라도, 많은 플라톤주의자들은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들이 "두-세계들" 이론의 형이상학적 문제들이 예화되지 않는 보편자들에 대한 존재론을 감염시켜야 한다고 잘못 생각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들은 그들의 관점에서 예화의 연쇄가 보편자들과 특수자들을 묶는 일에 이바지한다고 주장할 것이고, 그들은 비록 이러한 관념이 존재론적으로 기초적이거나 1차적이라 할지라도, 그것은 완벽히 훌륭한 관념, 아리스토텔레스주의가 플라톤주의보다 조금도 덜 헌신하지 않는 관념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플라톤주의가 해결불능의 인식론적 문제들에 직면한다는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주장이 과장되었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들은 일부 보편자들이 시공간적 세계 내에서 아무런 예시들도 가지지 않는 반면, 많은 보편자들이 또한 가진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예화되는 보편자들에 대한 우리의 앎이 철저한 경험주의에 의해 포착될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들이 그렇게 보듯, 우리는 이러한 보편자들에 대해 단순히 그것들을 예화하는 시공간적 특수자들을 경험하는 것만으로 인지적 접근을 가지게 될 것이다; 보편자들에 대해 우리가 가진 다른 어떤 앎이 되었든 이러한 예화되는 보편자들에 대한 우리의 앎에 기초된다. 그래서, 우리는 예시되는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에 대한 경험적으로 기초된 우리의 앎으로부터 외삽을 통해 어떤 예화되지 않는 보편자들에 대해 알게 된다. 만일 우리가 세계와의 나날의 소통에서 마주치는 예화되는 보편자들에 대해 아무런 규정가능한 관계들도 지니지 않는 보펴자들이 있다면, 플라톤주의는 우리가 그러한 보편자들에 대해 아무런 앎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그러나 그들은 이러한 것이 놀라운 일임을 부정할 것이다. 그들은 오히려 이것이 단지 우리가 예측하였을 바로 그것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蟲-
Realism and predication
실재론과 술어


  The subject-predicate sentence is about as basic a form of discourse as there is. The following sentences are examples of this form of discourse:

(1) Socrates is courageous
(2) Plato is a human being
(3) Socrates is the teacher of Plato.

Using a sentence like one of these, we pick out or refer to a particular and go on to say something about it – to characterize or describe it in some way, to indicate what kind of thing it is, or to relate it to something else. Using (1), for example, we refer to Socrates and we say of him that he is courageous. This characterization of (1) suggests that it is only the subject term ‘Socrates’ that plays a referential role or picks out an object in (1), but metaphysical realists want to insist that such an account is incomplete. Any satisfactory analysis of (1), they claim, will show the predicate term ‘courageous’ to have referential
force as well.[6]
  주-술 문장은 거의 존재하는 것만큼 담론의 형식에 기초적이다. 다음 문장들은 이러한 담론 형식의 사례들이다.

(1) 소크라테스는 용감하다
(2) 플라톤은 인간이다
(3) 소크라테스는 플라톤의 스승이다.

이러한 것들 중 하나와 같은 문장을 사용함으로써, 우리는 하나의 특수자를 골라내거나 지시하고 계속해서 그것에 대해 무언가를 말한다 - 그것을 어떤 식으로 규정하거나 묘사하는 것, 그것이 어떤 종류의 것인지 나타내는 것, 혹은 그것을 어떤 다른 것에 관련짓는 것. 예를 들어 (1)을 사용함으로써 우리는 소크라테스를 지시하고 그에 대해 그가 용감하다고 말한다. (1)에 대한 이러한 규정은 (1)에 있어서 지시적 역할을 수행하거나 대상을 골라내는 것이 오로지 주어인 '소크라테스'일 따름임을 시사하지만, 형이상학적 실재론자들은 그러한 설명이 불완전하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그들이 주장하기로 (1)에 대한 그 어떠한 만족스러운 분석이든 그 술어 '용감'이 마찬가지로 지시적 능력을 지닌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Suppose that (1) is true. Pretty clearly, its truth depends on two things: first, what (1) says and, second, the way the world is. Both of these things are matters of structure; what (1) says is a matter of the terms that enter into its composition and the order in which they are placed. The relevant way the world is, on the other hand, is a matter of nonlinguistic structure; it is a matter of how things in a certain sector of the world are and how they are related to each other. So the truth of (1) involves a linguistic structure and a nonlinguistic structure, and the realist insists that it is because we have a correspondence between the two structures that (1) is true. It is because the linguistic structure of (1) corresponds to or mirrors the nonlinguistic structure of a certain sector of the world that (1) is true.[7] Pretty clearly, if we are to have the requisite correspondence, there must be a thing correlated with the proper name ‘Socrates,’ but the realist argues that (1) can be true only if ‘courageous’ is likewise correlated with some nonlinguistic object. As it occurs in (1), ‘courageous’ is not playing a purely formal role, the kind of role associated with terms (like the conjunctions ‘or’ and ‘if’ or the definite and indefinite articles) that do not enter into any relation with objects out in the world. Its role in (1) is to make contact with the world by referring to or picking out an object. So if (1) is to be true, both its subject term and its predicate term must have a referent, and the referents of these two terms must be related in a way that insures that what (1) says is true. But, then, as it occurs in (1), ‘courageous’ picks out an entity such that, in virtue of being related to it, the referent of ‘Socrates’ is as (1) says he is – courageous.
  (1)이 참이라고 가정해 보자. 상당히 분명하게, 그 참은 두 가지 것들에 의존한다: 첫째로, (1)이 말하는 것 그리고 둘째로 세계가 존재하는 방식. 이러한 것들 모두는 구조의 문제들이다; (1)이 말하는 것은 그 (1)의 구성요소들에 들어가는 용어들과 그 구성요소들이 배열되는 순서에 대한 문제이다. 다른 한편 세계가 존재하는 그 상과된 방식은 비언어적 구조에 대한 문제이다; 그것은 어떻게 사물들이 세계의 한 특정 영역에 존재하고 어떻게 그 사물들이 상호간에 관련되는지에 대한 문제이다. 그래서 (1)의 참은 언어적 구조와 비언어적 구조를 포함하며, 실재론자는 그것이 그러한 까닭은 우리가 (1)이 참이라는 그 두 구조들 사이의 일치를 지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그 이유는 (1)의 언어적 구조가 (1)이 참인 세계의 한 특정 영역의 비언어적 구조에 대응하거나 혹은 그것을 반영하기 때문이다. 상당히 분명하게, 만일 우리가 필요한 일치를 지니게 된다면, 반드시 '소크라테스'라는 적합한 이름과 관련된 한 사물이 있어야만 하지만, 실재론자는 (1)이 오로지 '용감'도 같은 식으로 어떤 비언어적 대상과 관련될 때에만 참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1)에서 나타나듯이, '용감'은 순수하게 형식적 역할을, 세계로부터 나온 대상들과 어떠한 관련으로도 들어서지 않는 용어들 ('or'과 'if'와 같은 접속사들 또는 정관사와 부정관사들과 같은) 과 관련된 그런 종류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 않다. (1)에서 '용감'의 역할은 하나의 대상을 지시하거나 혹은 골라냄으로써 세계와 접촉을 이루는 것이다. 그래서 만일 (1)이 참일 것이라면, 그 주어와 술어 모두 반드시 지시대상을 가져야만 하고, 이러한 두 용어들의 지시대상들은 반드시 (1)이 말하는 것이 참임을 보장하는 방식에서 관련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다음으로 (1)에서 나타나듯 '용감'은 그와 같은 실체를 그 실체에 관련됨으로 인해서 골라낸다 '소크라테스'라는 지시대상은 (1)이 그가 그렇다고 말하듯 용감하다.

  Metaphysical realists, however, are quick to point out that ‘courageous’ is a general term; it is a term that can be applied to individuals other than Socrates and so can figure as predicate in true subject-predicate sentences other than (1). Suppose, for example, that not just (1), but also

(4) Plato is courageous

is true. The argument presented for the case of (1) applies here as well. ‘Courageous’ is playing a referential role in (4) no less than in (1). But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the referents of these two occurrences of ‘courageous’? Pretty clearly, what we say about Plato when we predicate ‘courageous’ of him in (4) is precisely what we say about Socrates when we predicate ‘courageous’ of him in (1). And, according to the realist, that implies that whatever referential force ‘courageous’ has in (1) and (4), it is the same referential force in the two cases. The realist concludes that ‘courageous’ picks out a single entity in (1) and (4), a single entity such that in virtue of being related to it, both Socrates and Plato count as courageous.
  그렇지만 형이상학적 실재론자들은 신속하게 '용감'이 일반 명사임을 지적해낸다; 그것은 소크라테스 이외에도 다른 개별자들에 적용될 수 있는 용어이고 그래서 (1) 말고 다른 참인 주-술 문장들에서도 술어로서 기능할 수 있는 용어이다. 예를 들어 (1)뿐만 아니라 또한

(4) 플라톤은 용감하다

이 문장도 참이라고 가정해 보자. (1)의 경우에 대해 표현된 논증은 여기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용감'은 (1)에 비해 (4)에서 지시적 역할을 조금도 덜 수행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용감'의 두 가지 발생들의 지시대상들 사이의 관계는 무엇인가? 상다잏 분명하게, 우리가 (4)에서 플라톤에 대해 '용감'하다고 단정할 때 플라톤에 대해 우리가 말하는 것은 정확하게 우리가 (1)에서 소크라테스에 대해 '용감'하다고 단정할 때 우리가 소크라테스에 대해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실재론자에 따르면, 저것은 '용감'이 (1)과 (4)에서 지니는 지시적 능력이 무엇이 되었든, 그것은 그 두 사례들에 있어서 동일한 지시적 능력임을 시사한다. 실재론자는 '용감'이 (1)과 (4)에 있어서 단일한 실체를, 그에 관계됨으로 인해서 소크라테스와 플라톤 모두 용감한 것으로 간주되는 그와 같은 단일한 실체를 골라낸다고 결론내린다.

  And, of course, the same line of argument applies in the case of other true subject-predicate sentences where ‘courageous’ plays the predicate role. In every such sentence, ‘courageous’ has referential force or picks out an object; and provided the term is being used in a single sense in all these sentences, it has a single referential force in all of them. In every such sentence, it picks out or refers to a single entity, an entity such that in virtue of a relation between it and the referent of the sentence’s subject term, the sentence is true. But what metaphysical machinery is required to tell this story of the truth conditions for sentences like (1), (4), and their ilk? Realists insist that the ontological framework central to their account provides the materials for such a story. Assume that there are repeatable entities or universals and a relation of exemplification tying them to particulars, and our account of the truth conditions for sentences like (1) and (4) goes smoothly. It is because ‘courageous’ has as its referent a certain universal – the virtue of courage – and because each of Plato and Socrates exemplifies that universal that (1) and (4) are true.
 그리고, 물론, 논증의 동일한 노선이 '용감'이 술어적 역할을 하는 참인 주-술 문장들의 경우에 적용된다. 그러한 모든 문장에서, '용감'은 지시적 능력을 지니거나 하나의 대상을 골라낸다; 그리고 이러한 모든 문장들에 있어서 단일한 의미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가 제공된다면, 그 용어는 그 문장들 모두에 있어서 단일한 지시적 능력을 지닌다. 그러한 모든 문장에 있어서, 그것은 단일한 실체, 그 실체와 그 문장의 주어의 지시체 사이의 관계로 인해서 그 문장이 참인 그러한 실체를 골라내거나 지시한다. 그러나 (1), (4), 그리고 그런 종류와 같은 문장들에 대한 진리 조건들의 이러한 서사를 말하기 위해 어떤 형이상학적 장치가 요청되는가? 실재론자들은 그들의 설명에 중심적인 존재론적 구조가 그러한 서사를 위한 재료들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반복가능한 실체들 혹은 보편자들과 그것들을 특수자들에 결부시키는 예화의 관계가 있다고, 그리고 (1)과 (4)와 같은 문장들에 대한 진리 조건들에 대한 우리의 설명이 순조롭게 진행된다고 가정해 보자. 그것은 '용감'이 그 지시체로서 한 특정한 보편자 - 용기의 특성 - 를 지니기 때문이고 플라톤과 소크라테스 각자가 (1)과 (4)가 참인 저 보편자를 예화하기 때문이다.

  Realists want, of course, to extend the story we have told about (1) and (4) to provide a general account of subject-predicate discourse. Predicates refer to universals, and what makes a subject-predicate sentence true is just that the referent of its subject term exemplifies the universal that is the referent of its predicate term. And the realist will typically claim that there are different kinds of universals that can be the referents of predicate terms. The predicates of subject-predicate sentences like (1), where we characterize an object or say how it is, take properties as their referents. Other subject-predicate sentences are like

(2) Plato is a human being

enabling us to identify what a thing is or to say what kind of thing it is. Their predicates take kinds as their referents. Finally, there are subject-predicate sentences like

(3) Socrates is the teacher of Plato,

which enable us to say how different objects are related to each other; their predicates refer to relations.
  물론 실재론자들은 우리가 (1)과 (4)에 대해 말했던 줄거리를 주-술 담화에 대한 일반적 설명을 제공하는 데에까지 확장시키고자 한다. 술어들은 보편자들을 지시하고, 주-술 문장을 참으로 만드는 것은 바로 그 문장 주어의 지시체가 그 문장 술어의 지시체인 보편자를 예화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실재론자는 전형적으로 술어들의 지시체들일 수 있는 상이한 종류들의 보편자들이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1)과 같은 주-술 문장들의 술어들은 우리가 한 대상을 규정하거나 그 대상이 어떠한지 말할 때 그 술어들의 지시체들로 속성들을 취한다.

(2) 플라톤은 인간이다

이와 같은 다른 주-술 문장들은 우리로 하여금 한 사물이 무엇인지 규정할 수 있도록 혹은 그것이 어떤 종류의 사물인지 말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그 문장들의 술어들은 그 술어들의 지시체들로서 종류들을 취한다. 끝으로,

(3) 소크라테스는 플라톤의 스승이다

이와 같은 주-술 문장들, 우리로 하여금 상이한 대상들이 어떻게 상호에 관련되는지 말할 수 있도록 해주는 문장들이 있다; 그 문장들의 술어들은 관계들을 지시한다.

  If this analysis is to be complete, however, we need an account of the kind of referential relation that ties predicates to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Our paradigm of the referential relation is that between a name and its bearer, the sort of relation that ties ‘Socrates’ to the man Socrates; and some realists have wanted to claim that it is precisely this relation that predicates bear to universals.8 Their typical example is a sentence like

(5) This is red,

where we specify the color of some particular. We are told that (5) incorporates two names tied together by the copula ‘is’: ‘this’ names a certain particular, ‘red’ names a certain universal, and the copula expresses the relation of exemplification that ties the particular named by ‘this’ to the universal named by ‘red.’ On this account, the insight that subject-predicate truth involves a correspondence between a linguistic structure and a nonlinguistic structure gets a very strong expression; for on this view we have a one-to-one correspondence between the linguistic expressions out of which (5) is composed and the nonlinguistic items that are supposed to make (5) true. But while the claim that universals are named by predicates might seem attractive for a sentence like (5), when we turn to other subject-predicate sentences, we find that the analysis does not generalize very well. Consider, again,

(1) Socrates is courageous.

It is not plausible to suppose that its predicate is a name. Where a term names an entity, it can play the role of subject term in a subject-predicate sentence; and in that role, it refers to the item that it names. ‘Courageous’ does not, however, pass that test; it is not grammatically suited to occupy the subject position. If any term names the universal the realist wants to correlate with the predicate ‘courageous,’ it is the term ‘courage’; and just as ‘courageous’ cannot play the subject role, ‘courage’ cannot function as a predicate. Nor is the case of ‘courageous’ idiosyncratic. Consider

(6) This coin is circular,
(7) Plato is wise,
and
(8) Alcibiades is exhausted.

In none of these cases is it plausible to claim that the predicate functions as a name of the universal it is supposed to refer to. In each case, there is another term (‘circularity,’ ‘wisdom,’ ‘exhaustion’) that is more plausibly construed as the name of the relevant universal. The fact that we cannot take the predicates of (1), (6), (7), or (8) to be names of universals suggests that ‘red’ is not playing that role in (5) either; and the fact is that it is not. ‘Red,’ along with other color words is ambiguous; it can function as a noun (as in ‘Red is a color’), and in that use it is plausibly construed as a name of the relevant color; but it can also function as an adjective (as in ‘red house’ and ‘red complexion’), and in that use it does not name anything. In (5) the term has its adjectival use and so is no more a name there than ‘courageous’ is in (1).
그렇지만 만일 이러한 분석이 완결될 것이라면, 우리는 술어들을 속성들, 종류들, 그리고 관계들에 결부시키는 그런 종류의 지시적 관계에 대한 설명을 필요로 한다. 지시적 관계에 대한 우리의 전형은 이름과 그 이름의 담지자 사이의 관계, '소크라테스'를 소크라테스라는 사람에 결부시키는 그런 종류의 관계이다; 그리고 일부 실재론자들은 술어들이 보편자들에 대해 제공하는 것이 바로 정확히 이러한 관계라고 주장하고자 하였다. 그들의 전형적인 예시는

(5) 이것은 붉다,

이와 같은 문장, 우리가 어떤 특수자의 색을 상술하는 문장이다. 우리는 (5)가 함께 묶인 두 가지 이름들을 계사 'is'로써 결합시킨다고 이야기하게 된다: 'this'는 특정한 특수자를 명명하고, 'red'는 특정한 보편자를 명명하며, 그 계사는 'this'에 의해 명명된 그 특수자를 'red'에 의해 명명된 보편자에 결부시키는 예화의 관계를 표현한다. 이러한 설명에 있어서, 주-술 진리가 언어적 구조와 비언어적 구조 사이의 일치를 포함한다는 통찰은 매우 강한 억양을 획득한다; 왜냐하면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는 그로부터 (5)가 구성되는 그러한 언어적 표현들과 (5)를 참이도록 만드는 것으로 간주되는 비언어적 항목들 사이의 일대일 대응을 지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편자들이 술어들에 의해 명명된다는 주장은 (5)와 같은 문장에 대해 매력적으로 보일지 모르는 반면, 우리가 다른 주-술 문장들로 돌아설 떄, 우리는 그 분석이 아주 잘 일반화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된다. 다시 한 번

(1) 소크라테스는 용감하다.

라는 문장을 고찰해 보자. 그 문장의 술어가 하나의 이름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그럴듯해 보이지 않는다. 한 용어가 하나의 실체를 명명할 때, 그것은 주-술 문장에서 주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역할에 있어서, 그 용어는 그것이 명명하는 그 항목을 지시한다. '용감'은 그렇지만 저 시험을 통과하지 못한다; '용감'은 주어 위치를 점유하기에는 문법적으로 적합하지 않다. 만일 어떤 용어든 실재론자들이 '용감'이라는 술어와 결부시키기를 바라는 보편자를 명명한다면, 그 용어는 '용기'이다; 그리고 바로 '용감'이 주어 역할을 수행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용기'는 술어로서 기능할 수 없다. '용감'의 경우가 특이한 것도 아니다. 다음 세 문장들을 고찰해 보자.

(6) 이 동전은 원형이다,
(7) 플라톤은 현명하다,
그리고
(8) 알키비아데스는 지쳤다.

이러한 경우들 중 어느 경우에도 그 술어가 그것이 지시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보편자의 이름으로 기능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그럴듯해 보이지 않는다. 각 경우에서, 상관된 보편자의 이름으로 그럴 듯하게 이해되는 또 다른 용어 ('원형,' '지혜,' '소진') 가 있다. 우리가 (1), (6), (7), 또는 (8)의 술어들을 보편자들의 이름들일 것으로 취할 수 없다는 사실은 '붉음'이 (5)에서도 저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 않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그러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 않다는 것은 사실이다. '빨강'은 다른 색 단어들과 함께 모호하다; 그것은 ('빨강은 색이다'에서와 같이) 명사로서 기능할 수 있고, 그러한 용례에서 빨강은 상관된 색의 이름으로 그럴 듯하게 이해된다; 그러나 그것은 또한 ('빨간 집' 그리고 '빨간 낯빛'에서와 같이) 형용사로서 기능할 수 있고, 그 용례에서 그것은 어떤 것의 이름도 아니다. (5)에서 그 용어는 그 형용사적 용법을 지니고 그래서 더 이상 (1)에서 '용감'이 그러한 것보다 조금도 더 이름이 아니다.

  We have been focusing on the grammatical obstacles to construing predicates as names; but those obstacles have semantical roots. A name is a singular term; it picks out its bearer and nothing else. Predicates, by contrast, are general terms and, as such, they enter into a referential relation with each of the objects of which they can be predicated. In the semanticist’s jargon, they are true of or satisfied by those objects. But if their entering into that relation precludes their serving as names of universals, is there any other kind of referential relation that they might, nonetheless, bear to universals? Many realists have insisted that there is. They have claimed that in addition to being true of or satisfied by the objects of which they can be predicated, predicate terms express or connote universals.[9] Thus, ‘courageous’ is referentially linked to all and only courageous individuals by the relation of satisfaction; but realists have claimed that it also expresses or connotes the universal all those individuals have in common, the virtue of courage. Likewise, ‘circular’ is satisfied by all and only the individuals that are circular, but realists tell us that it bears the further semantical relation of expression or connotation to the universal those individuals all share, the shape of circularity.
  우리는 술어들을 이름들로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 문법적 장애물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그러나 그러한 장애들은 의미론적 뿌리들을 지닌다. 하나의 이름은 단칭 명사이다; 이름은 그 이름의 담지자외의 다른 아무것도 골라내지 않는다. 반면에 술어들은 일반 명사들이며, 그 자체로는 그 술어들이 그에 대해 서술될 수 있는 대상들 각각과 지시적 관계에 들어간다. 의미론의 은어에서, 그 술어들은 그러한 대상들에 대해 참이거나 그것들에 의해 만족된다. 그러나 만일 그 술어들의 저 관계에 들어감이 그 술어들의 보편자들에 대한 이름들로 역할함을 배제한다면, 그것들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편자들에 대해 가질 수 있을 그 어떤 다른 종류의 지시적 관계가 있는가? 많은 실재론자들은 그러한 것이 있다고 주장해 왔다. 그들은 그 술어들이 그에 대해 서술될 수 있는 대상들에 대해 참임 또는 그것들에 의해 만족됨에 더하여, 술어들이 보편자들을 표현하거나 내포한다고 주장해 왔다. 그래서, '용감'은 지시적으로 모두 오로지 용감한 개별자들에 충족의 관계에 의해 연결된다; 그러나 실재론자들은 그것이 또한 그러한 모든 개별자들이 공통으로 지니는 그 보편자를, 용기의 덕분으로 표현하거나 내포한다고 주장해 왔다. 같은 식으로, '원형'은 모두 오로지 원형인 개별자들에 의해서만 만족되지만, 실재론자들은 우리에게 그것이 추가적인 의미론적 관계, 그러한 개별자들 모두가 공유하는 보편자, 원형의 형태에 대한 표현이나 내포의 관계를 품는다고 말한다.

  Toward clarifying the claim that predicates express universals, realists argue that to apply a predicate term to an object is to do more than merely identify the object as a member of a set of objects; it is to identify as well the universal in virtue of which objects belong to the set. Thus, when we say that an object is triangular, we are not merely saying that it belongs to a set of objects. We are also pointing to the property shared by all the members of the set and saying that the object in question exhibits that property. According to the realist, the fact that the use of a predicate term involves more than the mere identification of the items it is true of is shown by the fact that subject-predicate sentences like our (1)–(8) admit of paraphrases in which the reference to a universal is made explicit. (1), for example, can be paraphrased
as

(1') Socrates exemplifies courage,

and (6) can be paraphrased as

(6') This coin exemplifies circularity.

In both cases, the original subject-predicate sentence gives way to a sentence in which there occurs a singular term that bears what appears to be the naming relation to the universal the realist takes the predicate of the sentence to refer to or pick out. Now, realists want to claim that the possibility of such paraphrases is general, so that any subject-predicate sentence of the form ‘a is F’ can be paraphrased by a sentence of the form ‘a exemplifies F-ness.’ But if paraphrases of this sort are always possible, then to predicate a general term, ‘F,’ of an object is just to say that the object exemplifies the universal, F-ness. And this implies that even if predicates do not name universals, their use in the context of a subject-predicate sentence has the force of introducing universals into discourse, of mentioning or referring to universals. There is, then, a referential relation here, one weaker or less direct than, but parasitic on the naming relation. That relation is what the realist calls expression or connotation. And the realist will, once again, typically claim that predicates can express or connote different kinds of universals. The predicate of a sentence like (1) expresses or connotes a property, and to assertively utter (1) is to say that a given object exemplifies that property by possessing or having it. The predicate of (2), by contrast, expresses a kind; and to assertively utter (2) is to say that some object exemplifies that kind by belonging to it. Finally, the predicate of (3) expresses a dyadic relation; and to use (3) to make a claim is to say that a particular pair of objects exemplify that dyadic relation by entering into it.
  술어들이 보편자들을 표현한다는 주장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실재론자들은 술어를 한 대상에 적용하는 일이 단순히 그 대상을 일련의 대상들에 속하는 한 구성원으로 규정하는 이상의 것을 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것은 또한 그로 인해 대상들이 그 집합에 속하는 그 보편자를 규정하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가 한 대상이 삼각형이라고 말할 때, 우리는 단순히 그 대상이 일련의 대상들에 속한다고만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또한 그 집합에 속하는 구성원들 모두에 의해 공유되는 속성을 지적하고 있으며 문제가 되는 그 대상이 그 속성을 나타낸다고 말하고 있다. 실재론자에 따르면, 술어의 사용이 그 항목들에 대해 그 술어가 참이라는 단순한 규정 이상의 것을 포함한다는 사실은 우리의 (1)-(8)과 같은 주-술 문장들이 그 안에서 보편자에 대한 그 지시가 명확해지는 그러한 말 바꾸기들에 대해 허용한다는 사실에 의해 보여진다. 예를 들어 (1)은 다음과 같이 말이 바뀌어 풀이될 수 있다.

(1') 소크라테스는 용기를 예화한다,

그리고 (6)은 다음과 같이 말이 바뀌어 풀이될 수 있다.

(6') 이 동전은 원형성을 예화한다.

두 문장들 모두에 있어서, 본래의 주-술 문장은 실재론자가 그 문장의 술어로 취하는 보편자에 대해 지시하거나 골라내는 명명관계인 것으로 보이는 것을 품은 단칭 명사가 생겨나는 방식을 제공한다. 이제, 실재론자들은 그러한 말 바꾸기의 가능성이 일반적이며, 그래서 'a는 F이다'라는 형식에 속하는 어떠한 주-술 문장이든 'a는 F-임을 예화한다'라는 형식의 문장에 의해 말이 바뀌어 풀이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그러나 만일 이러한 종류의 말 바꾸기들이 언제나 가능하다면, 한 대상의 일반 명사 'f'를 서술하는 것은 단지 그 대상이 그 보편자 F-임을 예화한다고 말하는 것일 따름이다. 그리고 이것은 설령 술어들이 보편자들을 명명하지 않는다 할지라도 그 술어들의 용례는 주-술 문장의 문맥 안에서 보편자들을 담화에 도입하는 능력, 보편자들을 언급하거나 지시하는 능력을 지닌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래서 여기에는 지시적 관계, 더 약하거나 덜 직접적이지만 명명 관계에 기생적인 지시적 관계가 있다. 저 관계는 실재론자가 표현 혹은 내포라 부르는 것이다. 그리고 실재론자는 다시 한 번 전형적으로 술어들이 상이한 종류들의 보편자들을 표현하거나 내포할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1)과 같은 문장의 술어는 하나의 속성을 표현하거나 내포하며, 단정적으로 (1)을 발화하는 것은 주어진 대상이 저 속성을 그 속성을 소유하거나 가짐으로써 예화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반면에 (2)의 술어는 하나의 종류를 표현한다; 그리고 단정적으로 (2)를 발화하는 것은 어떤 대상이 저 종류를 그 종류에 속함으로써 예화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끝으로, (3)의 술어는 이원적 관계를 표현한다; (3)을 주장에 사용하는 것은 대상들의 한 특수자 쌍이 저 이원적 관계를 그 관계에 들어감으로써 예화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So predicates express or connote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and where we have a true subject-predicate sentence, the universal expressed by the predicate is exemplified by the referent of the sentence’s subject term. The realist claims that this account does what we want it to do; it explains how subject-predicate sentences can manage to correspond to the world, and it does so in a natural or intuitively satisfying way. What makes the account so natural, according to the realist, is its connections with the realist’s interpretation of attribute agreement. General terms play the predicate role; and, on any theory, general terms mark cases of attribute agreement: all the items of which a given general term is true agree in attribute or are similar in some way. But the items that agree in attribute, according to the realist, all exemplify some one universal; and, on the realist’s account, the general term that marks a given case of attribute agreement expresses or connotes precisely the same universal that supports or grounds that case of attribute agreement. So we have an account of predication that goes hand in hand with our account of attribute agreement, and the two accounts mesh in just the way they must if we are to provide a satisfactory account of subject-predicate truth. The universal that is the referent of a predicate term is precisely the universal that must be exemplified by the referent of a subject term if that referent is to be something that instances the case of attribute agreement marked by that predicate term.
  그래서 술어들은 속성들, 종류들, 그리고 관계들을 표현하거나 내포한다; 그리고 우리가 참인 주-술 문장을 갖는 곳에서, 술어에 의해 표현된 보편자는 그 문장의 주어의 지시체에 의해 예화된다. 실재론자는 이러한 설명이 우리가 하고자 원하는 일을 한다고 주장한다; 그것은 어떻게 주-술 문장들이 세계에 대한 일치를 이루어 내는지 설명하고, 자연스럽거나 직관적으로 만족스러운 그러한 방식으로 그렇게 한다. 실재론자에 따르면 그 설명을 그렇듯 자연스럽게 만드는 것은 그 설명의 실재론자들의 속성 일치에 대한 해석과의 연결들이다. 일반적 명사들은 서술적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어떠한 이론에서든, 일반 용어들은 속성 일치의 사례들을 표시한다: 그에 대해 일반적 명사가 주어지는 모든 항목들은 속성에 있어서 참으로 일치하거나 또는 어떤 방식으로 유사하다. 그러나 속성에 있어서 일치하는 그 항목들은 실재론자에 따르면 모두 어떤 하나의 보편자를 예화한다; 그리고, 실재론자의 설명에 있어서, 속성 일치의 주어진 사례를 표시하는 일반적 명사는 정확히 그 속성 일치의 사례를 지지하거나 기초짓는 동일한 보편자를 표현하거나 내포한다. 그래서 우리는 속성 일치에 대한 우리의 설명과 관련되는 술어에 대한 설명을 지니고, 그 두 가지 설명들은 그 설명들이 만일 우리가 주-술 진리에 대한 만족스러운 설명을 제공할 것이라면 반드시 맞물려야 하는 바로 그러한 방식으로 맞물린다. 술어의 지시체인 보편자는 정확히, 만일 저 지시체가 저 술어에 의해 표시되는 속성 일치의 사례를 예증하는 어떤 것일 것이라면 주어의 지시체에 의해 예화되어야만 하는 그 보편자이다.


Realism and abstract reference
실재론과 추상적 지시

  Realists want to claim that an ontology of universals provides us with the resources for explaining more than predication. They think their metaphysical theory enables us to give an intuitively satisfying account of the phenomenon of abstract reference.[10] This phenomenon makes its most obvious appearance in the use of what are called abstract singular terms. Examples of abstract singular terms are expressions like ‘triangularity,’ ‘wisdom,’ ‘mankind,’ and ‘courage.’ They are all singular terms: they can play the subject role; and they tend to pair off with expressions that can play the predicate role – general terms. Thus, we have ‘triangularity’/‘triangular,’ ‘wisdom’/‘wise,’ ‘mankind’/‘man,’ ‘courage’/‘courageous,’ and ‘red’ (in its noun use)/‘red’ (in its adjectival use). Now, intuitively, the terms making up each of these pairs seem to be related in a quite distinctive way: the abstract singular term appears to be a device for picking out a certain property or kind and the general term appears to be an expression true of or satisfied by all and only the objects that exemplify that property or kind. The realist insists that this intuitive account is correct and claims that unless we take abstract singular terms to be devices for referring to universals, we cannot provide a satisfactory account of the sentences in which they appear. The following are examples of such sentences:

(9) Courage is a moral virtue
(10) Triangularity is a shape
(11) Hilary prefers red to blue
(12) Mankind is a kind
(13) Wisdom is the goal of the philosophic life

and so are the sentences we mentioned in our account of the referential force of predicates:

(1') Socrates exemplifies courage
and
(6') This coin exemplifies circularity.

Realists point out that sentences like these are often true, and argue that only the metaphysical realist has the resources for explaining how they can manage to be true. The realist insists that if we are to provide an account of what these sentences say, we must hold that, as they occur in these sentences, abstract singular terms are functioning in precisely the way the intuitive account tells us they function: they are playing referential roles of the most straightforward sort; they are functioning as names of universals. But if they are playing that sort of role, the sentences in which they occur can be true only if the universals they name actually exist. So only the philosopher who endorses an ontology of universals can account for the truth of sentences in which abstract singular terms appear.
  실재론자들은 보편자들의 존재론이 우리에게 서술 이상의 것을 설명하기 위한 원천들을 제공한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그들은 그들의 형이상학적 이론이 우리로 하여금 추상적 지시라는 현상에 대한 직관적으로 만족스러운 설명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고 생각한다. 이 현상은 추상적 단칭 명사들이라 불리는 것의 사용에 있어서 가장 분명하게 드러난다. 추상적 단칭 명사들의 사례들은 '삼각형,' '지혜,' '인류,' 그리고 '용기'와 같은 표현들이다. 그것들은 모두 단칭 명사들이다: 그것들은 주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그것들은 술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표현들 - 일반 명사들과 짝을 이루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우리는 '삼각형'/삼각,' '지혜'/'지혜로운,' '인류'/'인간적,' '용기'/'용감,'그리고 '빨강'(명사적 용례에 있어서)/'빨간' (형용사적 용례에 있어서)를 가진다. 이제, 직관적으로, 이러한 쌍들 각각을 구성하는 용어들은 상당히 특유한 방식으로 관련되는 것으로 보인다: 추상적 단칭 명사는 특정한 속성이나 종류를 골라내기 위한 장치인 것으로 보이고 일반 명사는 그 속성이나 종류를 예화하는 그 대상들에 대한 진리 표현이거나 모두 오로지 그것들에 의해서만 충족되는 표현인 것으로 보인다. 실재론자는 이러한 직관적 설명이 옳다고 주장하며 우리가 추상적 단칭 명사들을 보편자들을 지시하는 장치들인 것으로 받아들이지 않는 한, 우리는 그러한 추상적 단칭 명사들이 나타나는 문장들에 대한 만족스러운 설명을 제공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다음은 그러한 문장들의 사례들이다:

(9) 용기는 도덕적 특성이다
(10) 삼각형은 형태이다
(11) 힐러리는 파랑보다 빨강을 선호하다
(12) 인류는 유(類)이다
(13) 지혜는 철학적 삶의 목표이다

그리고 이 문장들은 술어들의 지시적 능력에 대한 우리의 설명에서 우리가 언급했던 문장들이다:

(1') 소크라테스는 용기를 예화한다
그리고
(6') 이 동전은 원형을 예화한다.

실재론자들은 이와 같은 문장들이 종종 참임을 지적하고, 오로지 형이상학적 실재론자만이 어떻게 그것들이 참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설명을 위한 원천들을 가진다고 주장한다. 실재론자는 만일 우리가 이러한 문장들이 말하는 바에 대한 설명을 제공할 것이라면, 우리는 반드시 이러한 문장들 안에서 그것들이 나타나는 것처럼, 추상적 단칭 명사들이 정확하게 그 직관적 설명이 우리에게 그것들이 기능한다고 말해주는 그 방식에서 기능하고 있다고 주장해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즉 그것들은 가장 직접적인 종류의 지시적 역할들을 수행하고 있다; 그것들은 보편자들의 이름들로서 기능하고 있다. 그러나 만일 그 추상적 단칭 명사들이 그러한 종류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면, 그것들이 나타나는 그 문장들은 오로지 그것들이 명명하는 보편자들이 실제로 현존하는 경우에만 참일 수 있다. 그래서 오로지 보편자들의 존재론을 지지하는 처학자만이 추상적 단칭 명사들이 나타나는 문장들의 진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Consider (9). In (9), we pick out a certain property, the property exemplified by all and only courageous individuals, and we go on to say what kind of thing it is; we say that it is a moral virtue. So (9) is a claim about a certain property, the property the intuitive account tells us is named by the abstract singular term ‘courage’; and that claim can be true only if that property exists; for surely the claim that courage is a thing of a certain kind could not be true if there were no such thing as courage. Likewise, in (10) we pick out the property exemplified by all and only triangular objects and we say of that property that it is a shape. Thus (10) is a claim about a certain property, the property the intuitive account tells us is the referent of the abstract singular term ‘triangularity’; and the truth of (10) presupposes that the referent of that abstract term exists. It could hardly be true, after all, that triangularity belongs to a certain kind if triangularity did not exist. And analogous points could be made regarding (11)–(13), (1'), and (6'). In each case, we have an abstract singular term, and the sentence in question manages to say what it does only because the relevant abstract term is functioning in the way the intuitive account tells us it functions, only because it is playing the referential role of naming a universal. Accordingly, each of these sentences can be true only if the universal named by the constituent abstract term exists. And, of course, there are many other such sentences; and like our sample sentences, their truth presupposes the existence of the universals the intuitive account takes to be the referents of their constituent abstract singular terms. But obviously many such sentences are true, and only the metaphysical realist, only the philosopher who holds that universals exist, can tell us how this is possible.
  (9)를 고찰해 보자. (9)에서, 우리는 특정한 속성, 모두 오로지 용감한 개별자들에 의해서만 예화되는 그 속성을 골라내고, 계속해서 그것이 어떠한 종류의 사물인지 이야기한다; 우리는 그것이 도덕적 특성이라 말한다. 그래서 (9)는 한 특정한 속성에 대한 주장, 직관적 설명이 우리에게 말해주는 그 속성은 그 추상적 단일 명사 '용기'에 의해 명명된다는 주장이다; 그리고 저 주장은 오로지 저 속성이 현존할 때에만 참일 수 있다; 왜냐하면 확실히 용기가 특정한 종류의 사물이라는 주장은 만일 용기와 같은 그러한 어떤 것도 존재하지 않는다면 참일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같은 식으로, (10)에서 우리는 모두 오로지 삼각인 대상들에 의해서만 예화되는 그 속성을 골라내고 저 속성에 대해 그것이 하나의 형태라고 이야기한다. 따라서 (10)은 특정한 속성에 대한 주장, 직관적 설명이 우리에게 말해주는 그 속성이 추상적 단일 명사 '삼각형'의 지시체라는 주장이다; 그리고 (10)의 진리는 저 추상적 용어의 지시체가 현존한다고 전제한다. 어쨌든 만일 삼각형이 현존하지 않는다면 저 삼각형이 한 특정한 종류에 속한다는 것은 도무지 참일 수 없을 것이다. 그리고 유사한 점들이 (11)-(13), (1') 그리고 (6')와 관련하여 지적될 수 있을 것이다. 각 경우에서, 우리는 하나의 추상적 단칭 명사를 지니고, 문제가 되는 문장은 오로지 그 상관된 추상 명사가 그 직관적 설명이 우리에게 그것이 그렇게 기능한다고 말해주는 그러한 방식으로 기능하고 있기 때문에만, 오로지 그 추상 명사가 보편자를 명명하는 지시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만 그 문장이 말하는 바를 말해낸다. 따라서, 이러한 문장들 각각은 오로지 구성적인 추상 명사에 의해 명명된 보편자가 현존할 때에만 참일 수 있다. 그리고 물론 그러한 여러 다른 문장들이 있다; 또 우리의 예시 문장들과 같이, 그 문장들의 진리는 그 직관적 설명이 그 문장들의 구성적 추상 단칭 명사들의 지시체들인 것으로 취하는 보편자들의 현존을 전제한다. 그러나 분명히 그러한 여러 문장들은 참이고, 오직 형이상학적 실재론자만이, 보편자들의 현존을 주장하는 그러한 철학자만이 우리에게 어떻게 이것이 가능한지 말할 수 있다.

  So the fact that sentences incorporating abstract singular terms can be true is something realists claim only they can explain. They insist, however, that what we have called abstract reference is not restricted to sentences like those we have been considering. There are sentences incorporating no abstract singular terms which, nonetheless, appear to involve a reference to things like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11] The following are examples of the sorts of sentences the realist has in mind:

(14) That tomato and that fire engine have the same color
(15) Some species are cross fertile
(16) There are undiscovered relations tying physical particles to each other
(17) He has the same character traits as his cousin
and
(18) That shape has been exemplified many times.

Although none of these sentences includes a singular term that names a universal, the realist tells us that they are all claims about universals, claims about the colors, character traits, and shapes things share, the biological kinds to which they belong, and the relations into which they enter and insists that none of these sentences can be true unless the universals in question actually exist. Thus, (14)–(17) are straightforward assertions of the existence of universals meeting certain conditions; none of them can be true unless there exist universals meeting those conditions; and while (18) is not an explicit existence claim, its truth presupposes the existence of at least one multiply exemplifiable entity, a certain shape. So, again, we have the claim that there are sentences whose truth implies the existence of the sorts of things the realist calls universals; the realist points out that many sentences like (14)–(18) are true and concludes that only the philosopher who endorses an ontology of universals can explain this fact.
  그래서 추상적 단칭 명사들을 결합하는 문장들이 참일 수 있다는 사실은 실재론자들이 오직 그들만이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어떤 것이다. 그들은 그렇지만 우리가 추상적 지시라고 불렀던 것이 우리가 고찰하고 있었던 그러한 문장들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아무런 추상적 단칭 명사들도 결합하지 않는, 그럼에도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과 같은 것들에 대한 지시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문장들이 있다. 다음은 실재론자들이 염두에 두는 그러한 종류의 문장들의 사례들이다.

(14) 저 토마토와 저 소방차는 같은 색을 지닌다
(15) 일부 종들은 타가수정한다
(16) 물리적 입자들을 상호 결부시키는 발견되지 않은 관계들이 있다
(17) 그는 그의 사촌과 같은 동일한 성격 특성들을 지닌다
그리고
(18) 저 형태는 여러 차례 예화되어 왔다.

이러한 문장들 중 어느 것도 보편자를 명명하는 단칭 명사를 포함하지 않는다 할지라도, 실재론자는 우리에게 그 문장들이 모두 보편자들에 대한 주장들, 색들, 성격 특성들, 그리고 사물들이 공유하는 형태들, 그것들이 속한 생물학적 종류들, 그 사물들이 들어가는 관계들에 대한 주장들이라고 말하고 이러한 문장들 중 아무것도 문제가 되는 보편자들이 실제로 현존하지 않는 한 참일 수 없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14)-(17)은 특정 조건들을 충족시키는 보편자들의 현존에 대한 직접적 단언들이다; 그것들 중 어느 것도 그러한 조건들을 충족시키는 보편자들이 현존하지 않는 한 참일 수 없다; 그리고 (18)은 명백한 현존 주장이 아닌 반면, 그 문장의 참은 최소한 하나의 다양하게 예화될 수 있는 실체, 한 특정 형태의 현존을 전제한다. 그래서 다시금 우리는 그 참이 실재론자가 보편자들이라 부르는 그런 종류의 사물들의 현존을 시사하는 문장들이 있다는 주장을 가진다; 실재로자는 (14)-(18)과 같은 많은 문장들이 참임을 지적하고 오로지 보편자들의 존재론을 지지하는 철학자만이 이 사실을 설명할 수 있다고 결론내린다.

  The sentences that exhibit the phenomenon of abstract reference, then, include both sentences with and sentences without abstract singular terms; but in both cases, the realist’s contention is the same: that to account for their truth, we must endorse the ontology of metaphysical realism. A couple of comments about this line of argument are in order. First, it is independent of the realist’s account of predication. The realist’s claims about sentences like (9)–(18) presuppose no particular theory of predication. Even if we suppose that the only semantical property associated with predicates is that of being true of or satisfied by the items of which they are predicated, the fact remains that intuitively the use of sentences like (9)–(18) has the force of making claims about entities other than familiar concrete particulars. Indeed, it is plausible to think that this argument is actually presupposed by the realist’s analysis of predication. As we have seen, when realists attempt to explicate and justify the claim that predicates take universals as their referents, they appeal to the fact that ordinary subject-predicate sentences of the form ‘a is F’ can be paraphrased by way of sentences of the form ‘a exemplifies F-ness.’ But it is only because sentences of the latter form incorporate abstract singular terms and because we take the truth of sentences incorporating such terms to commit us to the existence of universals that we take the appeal to these paraphrases as evidence for the realist’s theory of predication.
  추상적 지시의 현상을 드러내는 문장들은 그래서 추상적 단칭 명사들을 지닌 문장들과 지니지 않은 문장들 모두를 포함한다; 그러나 두 경우 모두에 있어서, 실재론자의 주장은 동일하다: 즉 그 문장들의 진리를 설명하기 위해, 우리는 반드시 형이상학적 실재론의 존재론을 지지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증 노선에 대한 한 쌍의 비판들이 다음에 차례로 있다. 첫째, 그 존재론은 술어에 대한 실재론자의 설명에 독립적이다. (9)-(18)과 같은 문장들에 대한 실재론자의 주장들은 술어에 대한 아무런 특수한 이론도 가정하지 않는다. 설령 우리가 오로지 술어들과 관련된 의미론적 속성만이 그에 대해 서술되는 항목들에 대해 참임 또는 그것들에 의해 만족됨의 속성이라고 가정한다 할지라도, 직관적으로 (9)-(18)과 같은 문장들의 사용이 친숙한 구체적 특수자들과 다른 실체들에 대한 주장들을 구성하는 능력을 지닌다는 사실은 남는다. 더욱이, 이러한 논증이 실제로 술어에 대한 실재론자의 분석에 의해 전제된다고 생각하는 것은 그럴 듯하다. 우리가 보았듯, 그들은 'a는 F이다' 형식에 속하는 일상적 주-술 문장들이 'a는 F-임을 예화한다' 형식의 문장들에 대한 방식으로 말이 바뀌어 풀이될 수 있다는 사실에 호소한다. 그러나 그것은 오직 후자 형식의 문장들이 추상적 단칭 명사들을 결합하기 때문일 따름이고 우리가 그러한 명사들을 결합하는 문장들의 진리를 우리에게 우리가 이러한 말바꾸기들에 대한 호소에 대해 술어에 대한 실재론자의 이론에 대한 증거로 취하는 보편자들의 현존에 대해 약속하는 것으로 취하기 때문일 뿐이다.

  Second, the realist’s claims about sentences involving abstract reference cannot be properly evaluated in isolation from alternative accounts of the role of abstract referring devices; for the warrant for those claims must be the failure of alternative analyses of sentences like (9)–(18). If a satisfactory nominalist account of the content and truth conditions of such sentences is forthcoming, then the realist’s claim that the truth of these sentences commits us to an ontology of universals is gratuitous. The same is true of the earlier argument from subject-predicate truth. An adequate account of how subject-predicate sentences can correspond with nonlinguistic fact that does not construe predicates as referentially tied to universals would call into question the realist’s claim that we need universals to account for subject-predicate truth. So both arguments are best understood as challenges to the nominalist to come up with systematic and intuitively attractive theories of predication and abstract reference, theories that give us an account of the metaphysical grounds of subject-predicate truth and the use of abstract referring devices without making reference to common or shared entities. As we shall see in the next chapter, nominalists have recognized the burden placed on them by the realist’s argument in these two arenas and have expended considerable effort showing that such an account is possible. And given the way that the realist’s account of abstract reference enters into the realist’s account of predication, it is not surprising that nominalists have been most concerned to provide an account of the role of abstract singular terms. As we shall see, the realist’s claim that our intuitive understanding of sentences like (9)–(18) presupposes the existence of universals is just an opening salvo. Realists realize that they must respond to alternative accounts of such sentences; but they are prepared to do so and are confident that their own analysis will be vindicated by the examination of nominalist accounts of abstract reference.
  둘째, 추상적 지시를 포함하는 문장들에 대한 실재론자의 주장들은 추상적 지시 장치들의 역할에 대한 대안적 설명들과 고립된 상태에서 적절하게 평가될 수 없다; 왜냐하면 그러한 주장들에 대한 근거는 반드시 (9)-(18)과 같은 문장들에 대한 대안적 분석들의 실패여야만 하기 때문이다. 만일 그러한 문장들의 내용과 진리 조건들에 대한 만족스러운 유명론적 설명이 마련된다면, 이러한 문장들의 진리가 우리에게 보편자들에 대한 존재론을 약속한다는 주장은 불필요하다. 주-술 참으로부터의 앞선 논증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것이 참이다. 술어들을 지시적으로 보편자들에 결부되는 것으로 이해하지 않는, 어떻게 주-술 문장들이 비언어적 사실과 일치할 수 있는지에 대한 하나의 적합한 설명은 우리가 주-술 진리에 대한 설명을 위해 보편자들을 필요로 한다는 실재론자의 주장을 문제시되도록 할 것이다. 그래서 두 논증들 모두 유명론자에게 술어와 추상 지시에 대한 체계적이고 직관적으로 매력적인 이론들, 우리에게 주-술 진리에 대한 형이상학적 토대들과 공통 또는 공유된 실체들에 대한 지시를 만들지 않는 추상적 지시 장치들의 사용에 대한 하나의 설명을 제시하는 이론들을 발견하기 위한 도전들로서 가장 잘 이해된다. 우리가 다음 장에서 보게 될 것과 같이, 유명론자들은 이러한 두 가지 무대들에서 실재론자의 논증에 의해 그들에게 지워진 짐을 재인하였고 그러한 설명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주목할 만한 노력을 펼쳐 왔다. 그리고 추상적 지시에 대한 실재론자의 설명이 술어에 대한 실재론자의 설명에 들어가는 방식을 고려하면, 유명론자들이 추상적 단칭 명사들의 역할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데에 가장 매달려 왔다는 것은 놀랍지 않다. 우리가 보게 될 것처럼, (9)–(18)과 같은 문장들에 대한 우리의 직관적 이해가 보편자들의 현존을 전제한다는 실재론자의 주장은 단지 포문이 열린 것뿐이다. 실재론자들은 그들이 그러한 문장들에 대한 대안적 설명들에 대응해야만 한다는 것을 알아차린다; 그러나 그들은 그렇게 할 준비가 되어 있고 그들의 고유한 분석이 추상적 지시에 대한 유명론적 설명들의 검토에 의해 정당성을 입증하게 될 것임을 자신한다.

-蟲-

1 The problem of universals I
1
보편자 문제 I

Metaphysical realism
형이상학적 실재론

• Realism and nominalism
• 실재론과 유명론
• The ontology of metaphysical realism
• 형이상학적 실재론의 존재론
• Realism and predication
• 실재론과 빈사(술어)
• Realism and abstract reference
• 실재론과 추상적 지시
• Restrictions on realism – exemplification
• 실재론의 제한들 - 예화
• Further restrictions – defined and undefined predicates
• 추가적 제한들 - 한정 서술과 부정(否定) 서술
• Are there any unexemplified attributes?
• 어떤 예화되지 않은 한정사들이 있는가?

Overview
개관


The phenomenon of similarity or attribute agreement gives rise to the debate between realists and nominalists. Realists claim that where objects are similar or agree in attribute, there is some one thing that they share or have in common; nominalists deny this. Realists call these shared entities universals; they say that universals are entities that can be simultaneously exemplified by several different objects; and they claim that universals encompass the properties things possess, the relations into which they enter, and the kinds to which they belong.
유사성이나 속성 일치의 현상은 실재론자들과 유명론자들 사이에서 논쟁을 불러 일으킨다. 실재론자들은 대상들이 속성에 있어서 유사하거나 일치하는 곳에서, 그 대상들이 분유하거나 공유하는 어떤 한 가지의 것이 있다고 주장한다; 유명론자들은 이러한 것을 부정한다. 실재론자들은 이러한 분배된 실체들을 보편자들이라 부른다; 그들은 보편자들이 여러 상이한 대상들에 의해 일제히 예화될 수 있는 실체들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들은 보편자들이 사물들이 소유하는 속성들, 그 사물들이 개입되는 관계들, 그 사물들이 속하는 종류들을 망라한다고 주장한다.

Toward showing us that we must endorse the reality of universals, realists point to the phenomena of subject predicate discourse and abstract reference. They claim that unless we posit universals as the referents of predicate expressions, we cannot explain how subject predicate sentences can be true, and they argue that we can explain the truth of sentences incorporating abstract referring terms only if we take universals to be the things identified by the use of those terms.
우리에게 우리가 반드시 보편자들의 실재성을 지지해야만 함을 보여주는 일에 대해서, 실재론자들은 주-술 논의와 추상적 지시의 현상을 지적한다. 그들은 우리가 술어 표현들에 대한 지시들로서 보편자들을 가정하지 않는 한, 우리는 어떻게 주-술 문장이 참일 수 있는지 설명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또 그들은 우리가 오로지 보편자들을 추상적 지시 용어들을 사용함으로써 규정되는 사물들인 것으로 받아들일 때에만 그러한 용어들을 통합하는 문장들의 참을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Realists, however, frequently disagree about the generality of their accounts of predication and abstract reference. Some realists, for example, deny that their account of predication holds for sentences incorporating the term ‘exemplifies.’ Other realists insist that their account holds only for primitive or undefined predicates or abstract terms. Furthermore, some realists hold that there are universals corresponding only to predicates that are actually true of existing objects; whereas other realists believe that there are both exemplified and unexemplified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그렇지만 실재론자들은 빈번히 술어와 추상적 지시에 대한 그들의 설명들의 일반성에 대해 의견이 갈린다. 예를 들어 일부 실재론자들은 술어에 대한 그들의 설명이 '예화한다'라는 용어를 포함하는 문장들에 대해서만 유지된다는 점을 부정한다. 다른 실재론자들은 그들의 설명이 오로지 원초적 혹은 부정 술어들 또는 추상적 용어들에 대해서만 유지된다고 주장한다. 더 나아가서, 일부 실재론자들은 오직 현존하는 대상들에 대해 실제로 참인 술어들에 대해서만 부합하는 보편자들이 있다고 주장한다; 반면에 다른 실재론자들은 예화되는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도 있고 예화되지 않는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도 있다고 믿는다.


Realism and nominalism
실재론과 유명론


The objects we talk and think about can be classified in all kinds of ways. We sort things by color, and we have red things, yellow things, and blue things. We sort them by shape, and we have triangular things, circular things, and square things. We sort them by kind, and we have elephants, oak trees, and paramecia. The kind of classification at work in these cases is an essential component in our experience of the world. There is little, if anything, that we can think or say, little, if anything, that counts as experience, that does not involve groupings of these kinds. Although almost everyone will concede that some of our ways of classifying objects reflect our interests, goals, and values, few will deny that many of our ways of sorting things are fixed by the objects themselves.[1] It is not as if we just arbitrarily choose to call some things triangular, others circular, and still others square; they are triangular, circular, and square. Likewise, it is not a mere consequence of human thought or language that there are elephants, oak trees, and paramecia. They come that way, and our language and thought reflect these antecedently given facts about them.
우리가 그에 대해 말하고 생각하는 대상들은 온갖 종류의 방식들로 분류될 수 있다. 우리는 사물들을 색으로 분류하고, 또 우리는 붉은 사물들, 노란 사물들, 파란 사물들을 가진다. 우리는 그것들을 형태로 분류하고, 삼각형인 사물들, 원형인 사물들, 사각형인 사물들을 가진다. 우리는 그것들을 종으로 구분하고, 코끼리들, 참나무들, 짚신벌레들을 지닌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작동하는 분류의 종류는 세계에 대한 우리의 경험에 있어서 본질적인 요소이다. 오히려, 우리가 생각하거나 말할 수 있는 것, 경험으로 헤아리는 것이 있다면 이러한 종류들의 분류를 포함하지 않는 것은 거의 없다. 거의 모든 이들이 대상들을 분류하는 우리의 방식들 중 일부가 우리의 관심들, 목표들, 가치들을 반영한다는 것을 인정할지라도, 사물들을 분류하는 우리의 방식들의 다수가 대상들 그 자체에 의해 고정된다는 것을 부정할 이들은 거의 없을 것이다. 그것은 마치 우리가 단지 임의로 어떤 것들은 삼각형으로, 어떤 것들은 원형으로, 또 다른 것들은 사각형으로 부르기로 정하는 것과 같은 것이 아니다; 그것들이 삼각형이고, 원형이고, 또 사각형인 것이다. 비슷하게, 그것은 단지 코끼리들, 참나무들, 짚신벌레들이 있다는 인간적 사유나 언어의 단순한 귀결인 것도 아니다. 그것들은 저 방식으로 나타나고, 우리의 언어와 사유는 그것들에 대해 선행적으로 주어진 이러한 사실들을 반영한다.

There are, then, objective similarities among things. Prior to our classifying them in the ways we do, the familiar objects of the everyday world agree in their characteristics, features, or attributes. This is not a claim born of any metaphysical theory. It is, on the contrary, a prephilosophical truism, but one that has given rise to significant philosophical theorizing. Indeed, a question that goes back to the origins of metaphysics itself is whether there is any general explanation for the prephilosophical truism that things agree in attribute. Suppose it to be a fact that certain objects agree in attribute; they are all, say, yellow. Is there some fact more basic or fundamental than this fact such that it is because and only because the more fundamental fact holds of these objects that they are all yellow? And if there is, is it possible to generalize from this case? That is, is there a very general type or form of fact such that, given any case of attribute agreement, that case obtains because and only because some fact of the relevant very general type or form obtains?
그래서 사물들 사이에는 객관적 유사성들이 있다. 우리가 행하는 방식들로 사물들을 분류하기에 앞서, 일상세계의 친숙한 대상들은 그 대상들의 성격들, 특징들, 혹은 속성들에 있어서 일치한다. 이것은 어떠한 형이상학적 이론으로부터도 유래한 주장이 아니다. 반대로 그것은 전-철학적 진부한 표명이지만, 중요한 철학적 이론화를 불러 일으켰던 것이다. 더욱이, 형이상학 그 자체의 기원들로 거슬러 올라가는 물음은 사물들이 속성에 있어서 일치한다는 전-철학적 진부한 표명에 대한 어떤 일반적 설명이 있는지 여부이다. 특정 대상들이 속성에 있어서 일치한다는 것이 사실인 것이라 가정해 보자; 말하자면, 그것들은 모두 노랗다. 그것들이 모두 노랗다는 것은 이러한 대상들에 대해 더욱 근본적인 사실이 유지되기 때문이며 오로지 그 이유 때문이라는 이 사실보다 어떤 더욱 기초적이거나 근본적인 사실이 있는가? 그리고 만일 있다면, 이 사례로부터 일반화하는 것이 가능한가? 즉, 속성 일치의 어떤 경우를 고려하든, 그 사례가 통용되는 이유는 그 상관된 매우 일반적인 유형이나 형식이 통용됨의 어떤 사실 때문이며 오직 그 이유 때문이라는 그러한 사실의 매우 일반적인 유형이나 형식이 있는가?

An affirmative answer to this question is suggested in Plato’s Parmenides, where we read that “there exist certain Forms of which these other things come to partake and so to be called after their names; by coming to partake of Likeness or Largeness or Beauty or Justice, they become like or large or beautiful or just.”[2] What is being proposed here is a general schema for explaining attribute agreement. The schema tells us that where a number of objects, a . . . n, agree in attribute, there is a thing, φ, and a relation, R, such that each of a . . . n bears R to φ, and the claim is that it is in virtue of standing in R to φ that a . . . n agree in attribute by being all beautiful or just or whatever. It turns out that many philosophers since Plato have found this schema attractive.[3] They have not always used Plato’s language. Where he speaks of things partaking of a Form, they have said that things instantiate, exhibit, or exemplify a single property, quality, or attribute. Nonetheless, the form of explanation being recommended is precisely the one Plato proposes. Different things are qualified or characterized in some way by virtue of their all standing in a relationship to the quality or characteristic in question. Attribute agreement gets grounded in a characteristic or quality common to or shared by the agreeing objects.
이러한 물음에 대한 긍정적 답변은 플라톤의 『파르메니데스』에서 제시되었다. 거기에서 우리는 "이러한 다른 사물들이 그에 참여하게 되고 그래서 나중에 그것들의 이름들로 불리게 되는 특정한 꼴들이 현존한다; 닮음이나 큼 또는 아름다움 혹은 올바름에 참여하게 됨으로써, 그것들은 닮게 되거나 크게 되거나 아름답게 되거나 올바르게 된다."라는 말을 본다. 여기에서 제안되고 있는 것은 속성 일치를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일반적 도식이다. 그 도식은 우리에게 일정 수의 대상들 a…n 이 속성에 있어서 일치하는 곳에는 하나의 사물 φ와 a…n의 각각이 φ에 대해 지니는 R로서 관계 R이 있다고 말해주며, 그 주장은 a…n이 아름다움이든 올바름이든 뭐가 되었든 모든 것임에 의해 일치하는 것은 φ에 대한 R 관계에 존립하는 덕분이라는 것이다. 플라톤 이래로 많은 철학자들이 이 도식을 매력적인 것이라 판단해왔던 것으로 밝혀진다. 그들이 항상 플라톤의 언어를 사용해 왔던 것은 아니다. 하나의 꼴에 참여하는 사물들에 대해 그가 말하는 곳에서, 그들은 사물들이 하나의 단일한 속성, 성질, 또는 특성을 예시하고, 표시하거나, 혹은 예화한다고 말해왔다. 그렇다 하더라도, 권장된 설명의 형식은 정확히 플라톤이 제안하는 그것이다. 상이한 사물들은 그 사물들 모두가 문제가 되는 성질이나 특징에 대한 하나의 관계에 존립함에 의해서 일정 방식으로 한정되거나 규정된다. 속성 일치는 일치하는 대상들에 의해 공통되거나 공유되는 특징이나 성질에 기초되게 된다.

Philosophers who endorse the Platonic schema have traditionally been called metaphysical realists or simply realists;[4] but while many philosophers have found the realist’s explanation of attribute agreement in terms of shared or common entities attractive, the form of explanation proposed by Plato has also had its critics. These critics have been known as nominalists. They argue that there are deep conceptual problems with the metaphysical machinery implied by the Platonic schema. Some nominalists take those problems to point to the need for a quite different theoretical explanation for attribute agreement, one making no reference to shared or common entities; whereas others take them to show that no theoretical account at all is required here, that the phenomenon of attribute agreement is a basic or fundamental fact not susceptible of further analysis. The debate between metaphysical realists and nominalists is perhaps the oldest sustained debate in metaphysics. Certainly the issues on which the debate has turned are as important as any in metaphysics. We need to become clear on these issues, and we will begin by attempting to delineate the main contours of the perspective labeled metaphysical realism.
플라톤적 도식을 지지하는 철학자들은 전통적으로 형이상학적 실재론자들 혹은 단순하게 실재론자들이라 불려왔다; 하지만 다수 철학자들이 속성일치를 공유된 혹은 공통의 실체들로 설명하는 실재론적 설명이 매력적이라고 판단해 왔던 동시에, 플라톤에 의해 제안된 설명의 형식은 또한 그에 대한 비판자들을 지녀왔다. 이러한 비판자들은 유명론자들로 알려져 왔다. 그들은 플라톤적 도식에 의해 시사되는 형이상학적 장치에 깊은 개념적 문제들이 있다고 주장한다. 일부 유명론자들은 그러한 문제들을 속성 일치에 대한 상당히 다른 이론적 설명, 공유되거나 공통된 실체들을 지시하도록 만들지 않는 설명이 필요하다고 지적함으로써 취한다; 반면에 다른 유명론자들은 그 문제들을 여기에서 전혀 아무런 이론적 설명도 요청되지 않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속성 일치의 현상이 추가적 분석의 여지가 없는 기초적이거나 근본적인 사실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취한다. 형이상학적 실재론자들과 유명론자들 사이의 논쟁은 아마도 형이상학에 있어서 가장 오랫동안 지탱되어온 논쟁일 것이다. 확실히 그 논쟁이 향해 왔던 문제들은 형이상학의 어떠한 문제만큼이나 중요하다. 우리는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분명히 할 필요가 있고, 형이상학적 실재론이라 명명된 전망의 주된 윤곽을 묘사하고자 시도함으로써 시작할 것이다.


The ontology of metaphysical realism
형이상학적 실재론의 존재론

Metaphysical realists want to insist that an adequate account of attribute agreement presupposes a distinction between two types or categories of objects: what are called particulars and what are called universals. The category of particulars includes what the nonphilosopher typically thinks of as “things” – familiar concrete objects like human beings, animals, plants, and inanimate material bodies; and the realist tells us that what is peculiar to particulars is that each occupies a single region of space at a given time. Universals, by contrast, are construed as repeatable entities. At any given time, numerically one and the same universal can be wholly and completely exhibited or, as realists typically put it, exemplified by several different spatially discontinuous particulars. Thus, different people can exemplify the same virtue at the same time; different automobiles can simultaneously exemplify the same shape; and different houses can, at a given time, exemplify literally the same color. The virtue, the shape, and the color are all universals. The claim of the metaphysical realist is that familiar particulars agree in attribute in virtue of their jointly exemplifying a single universal. So there are nonrepeatable entities that stand in a special relation to repeatable entities, and this fact is what grounds attribute agreement among the familiar
objects of the everyday world.
형이상학적 실재론자들은 속성일치에 대한 적합한 설명이 대상들의 두 가지 유형들 혹은 범주들 사이의 구별을 전제한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그것은 특수자들이라 불리는 것들과 보편자들이라 불리는 것들이다. 특수자들의 범주는 비철학자가 전형적으로 "사물들"인 것으로 생각하는 것 - 인간 존재자들, 동물들, 식물들, 무생물인 질료적 물체들과 같은 친숙한 구체적 대상들 - 이다; 그리고 실재론자들은 우리에게 특수자들에 특유한 것은 그 각각이 주어진 시점에 공간의 단일 영역을 점유한다는 것이라 말한다. 반면에 보편자들은 반복가능한 실체들로 해석된다. 주어진 어떤 시점에서든, 수적으로 하나이고 동일한 보편자는 전적으로 완벽하게 드러날 수 있거나, 실재론자들이 전형적으로 말하듯, 여러 상이한 공간적으로 불연속적인 특수자들에 의해 예화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사람들은 동일 시점에 동일 특성을 예화할 수 있다; 상이한 자동차들은 일제히 동일한 형태를 예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이한 집들이 주어진 한 시점에 문자 그대로 동일한 색을 예화할 수 있다. 그 특성, 형태, 그리고 색은 보편자들이다. 형이상학적 실재론자의 주장은 친숙한 특수자들이 공동으로 단일 보편자를 예화함에 의해서 속성에 있어 일치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은 일상 세계의 친숙한 사물들 사이의 속성 일치에 근거한 것이다.

Realists typically want to claim that there is more than one kind of universal. All the cases of attribute agreement we have mentioned involve what are called one-place or monadic universals. They are universals that particulars exemplify individually or one by one; but there are also relations, universals that are exemplified by several individuals in relation to each other. Thus, being a mile apart is something that is exemplified by a pair of objects: one thing is a mile away from another; and it is a universal: many pairs of objects can be so related at any given time. Likewise, being next to is a spatial relation between objects: one object is next to another and, again, it is a universal: many pairs of objects can agree in entering into it. Both these relations are what are called symmetrical relations; given any pair of objects, a and b, such that a bears either relation to b, b, in turn, bears that same relation to a. But not all relations are symmetrical. Many relations are such that pairs of objects enter into them only when taken in a certain order. Thus, being the father of is an asymmetrical relation: if one thing, a, is the father of another thing, b, then b is not the father of a. As logicians put it, it is the ordered pair, 〈a, b〉 (a and b taken in just that order), that exhibits the relation. The three relations we have considered are all two-place or dyadic relations; but obviously there can be three-place, four-place, and, generally, n-place relations.
실재론자들은 전형적으로 한 종류 이상의 보편자들이 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우리가 언급하였던 속성일치의 모든 사례들은 일항 보편자들 혹은 단일 보편자들이라 불리는 것을 포함한다. 그 보편자들은 특수자들이 개별적으로 또는 하나씩 예화하는 보편자들이다; 그러나 또한 관계들, 상호 관계 속에서 여러 개별자들에 의해 예화되는 보편자들이 있다. 따라서, 1마일 떨어져 있음은 한 쌍의 대상들에 의해 예화되는 어떤 것이다: 한 가지의 것은 다른 것으로부터 1마일 떨어져 있다; 그리고 그것은 보편자이다: 대상들의 여러 쌍들은 그렇게 어떤 주어진 시점에서든 관련될 수 있다. 같은 식으로, 다음에 있음은 대상들 사이의 공간적 관계이다: 한 대상은 다른 대상 다음에 있고, 다시금, 그것은 보편자이다: 대상들의 여러 쌍들은 그 보편자에 들어감에 있어서 일치할 수 있다. 이러한 관계들 모두 대칭적 보편자들이라 불린다; 대상들의 어떤 관계 a와 b를 고려하든, a는 b에 대한 관계를 포함하거나, b는 다시 a에 대해 동일한 관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아버지임은 비대칭적 관계이다: 만일 한 가지의 것 a가 또 다른 것 b에 대해 아버지라면, b는 a의 아버지가 아니다. 논리학자들이 말하듯, 그것은 순서쌍 <a, b> (a와 b는 바로 그 순서로 취해진다), 그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우리가 고려했던 세 가지 관계들은 모두 이항 혹은 이원 관계들이다; 그러나 명백히 삼항, 사항, 일반적으로 n-항 관계들이 있을 수 있다.

Relations, then, are polyadic or many-place universals. But colors, virtues, and shapes are all monadic. Each is exhibited by objects taken individually. Now, many realists lump all monadic universals together under the title ‘property’; but some realists (typically those influenced by the Aristotelian tradition) insist on a further distinction here. We are asked to distinguish between properties and kinds. Kinds are things like the various biological species and genera.[5] Whereas objects exemplify properties by possessing them, things exemplify kinds by belonging to them. Philosophers who draw this distinction frequently tell us that while kinds constitute the particulars that exemplify them as what they are, properties merely modify or characterize particulars antecedently so marked out; and they often claim that kinds are individuative universals. What is meant is that kinds constitute their members as individuals distinct from other individuals of the same kind as well as from individuals of other kinds. Thus, everything that belongs to the kind human being is marked out as a discrete individual, as one human being countably distinct and separate both from other human beings and from things of other kinds.
그래서 관계들은 다원적 혹은 다항적 보편자들이다. 그러나 색들, 특성들, 그리고 형태들은 모두 일원적이다. 그 각각은 개별적으로 취해진 대상들에 의해 표시된다. 이제, 많은 실재론자들은 모든 일원적 보편자들을 통틀어 '속성'이란 표제 아래 일괄적으로 다룬다; 그러나 일부 실재론자들 (전형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적 전통에 의해 영향을 받은 이들) 은 여기에서 추가적 구별에 대해 주장한다. 우리는 속성들과 종류들 사이를 구별할 것을 요구받는다. 종류들은 다양한 생물학적 종들과 유들 같은 것들이다. 대상들은 속성들을 소유함으로써 속성들을 예화하는 반면, 사물들은 종류들에 속함으로써 종류들을 예화한다. 이러한 구분을 이끌어내는 철학자들은 빈번히 우리에게 종류들은 그 종류들을 예화하는 특수자들을 그것들인 바의 것들로 구성하는 반면, 속성들은 단지 선행적으로 그렇게 구획된 특수자들을 한정하거나 규정할 따름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들은 종종 종류들이 개별적 보편자들이라 주장한다. 그 의미는 종류들이 그 원소들을 다른 종류들에 속하는 개별자들로부터 뿐만이 아니라 같은 종류에 속하는 다른 개별자들로부터도 구별되는 개별자들로 만든다는 뜻이다. 따라서, 인간 존재 종류에 속하는 모든 것은 분리된 개별자들로, 다른 인간 존재자들로부터도 그리고 다른 종류들에 속하는 사물들로부터도 가산적으로 구분되고 분리된 하나의 인간 존재자로 구획된다.

So attribute agreement can involve a variety of different types of universal. Several particulars can agree in belonging to a single kind; they can agree in possessing a single property; and several pairs, triples, or generally, n-tuples of particulars can agree in entering into a single relation. And realists want to claim that attribute agreement of any of these forms is subject to degrees. A dog and a cat agree in kind: both are mammals; but their agreement in kind is not as close as that tying two dogs. According to the realist, what gives rise to the difference in degree of agreement is the fact that the universals particulars exemplify exhibit varying degrees of generality. The more specific or determinate a shared universal, the closer is the resulting attribute agreement. Universals, then, come in hierarchies of generality. Presumably, every such hierarchy terminates in fully determinate universals, universals such that they have no less general or more determinate universals under them, and the particulars that jointly exemplify any such fully determinate universal will agree exactly in color, shape, kind, spatial relation, or whatever.
그래서 속성 일치는 상이한 보편자 유형들의 다양성을 포함할 수 있다. 여러 특수자들은 단일한 종류에 속함에 있어서 일치할 수 있다; 특수자들은 단일한 속성을 가짐으로써 일치할 수 있다; 그리고 특수자들의 여러 쌍들, 세 개 들이 묶음들, 혹은 일반적으로 n개 들이 묶음들은 단일한 관계에 속함에 있어서 일치할 수 있다. 또 실재론자들은 이러한 형식들 중 어떤 형식의 속성 일치이든 정도들에 귀결된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한 마리 개와 한 마리 고양이는 종류에 있어서 일치한다: 둘 모두 포유류이다; 그러나 종류에 있어서 그것들의 일치는 두 마리 개들을 묶는 일치만큼 밀접하진 않다. 실재론자에 따르면, 일치의 정도에 있어서 차이를 일으키도록 하는 것은 특수자들이 예화하는 보편자들이 일반성의 다양한 정도들을 나타낸다는 사실이다. 공유된 보편자가 더 구체적이거나 한정적일수록, 귀결하는 속성 일치는 더욱 밀접하다. 그래서 보편자들은 일반성의 계층들 속으로 들어온다. 아마도, 그러한 모든 계층은 완전히 한정적인 보편자들에서, 그것들 아래에 덜 일반적이거나 더 한정적인 보편자들을 전혀 가지지 않는 그러한 보편자들에서 종결할 것이고, 공동으로 그러한 어떤 완전하게 한정적인 보편자라도 예화하는 특수자들은 정확히 색, 형태, 종류, 공간적 관계, 혹은 무엇에 있어서든 일치할 것이다.

So particulars exemplify different sorts of universals of varying degrees of generality; but realists want to claim that the universals that serve to explain the attribute agreement among particulars can themselves agree in exemplifying further universals. Thus, the properties of red, yellow, and blue have various properties of tone and hue; they all belong to the kind color; and they enter into relations like being lighter than and being darker than. And, of course, the universals exemplified by colors can be more or less determinate, thereby explaining why, for example, red is closer to orange than blue is.
그래서 특수자들은 일반성의 다양한 정도들에 속하는 상이한 종류들의 보편자들을 예화한다; 그러나 실재론자들은 특수자들 사이의 속성 일치를 설명하는 데에 이바지하는 보편자들이 그것들 스스로 추가적 보편자들을 예화함에 있어서 일치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따라서, 빨강, 노랑, 파랑이라는 속성들은 명암과 색조의 다양한 속성들을 지닌다; 그것들은 모두 색의 종류에 속한다; 그리고 그것들은 더 밝음과 더 어두움과 같은 관계들에 들어간다. 그리고 물론 색들에 의해 예화되는 그 보편자들은, 예를 들어 어째서 빨강은 파랑보다 주황에 더 가까운지를 설명함으로써 더 한정적이거나 덜 한정적일 수 있다.

Thus, the original insight that familiar particulars agree in attribute by virtue of jointly exemplifying a universal gives rise to a picture of considerable complexity. Particulars and n-tuples of particulars exemplify universals of different types: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Those universals, in turn, possess further properties, belong to further kinds, and enter into further relations; the same is true of these further properties, kinds, and relations; and so on, seemingly, without end. And the seemingly endless series of universals that have come on the scene enter into complicated hierarchies of generality inducing thereby complex patterns of attribute agreement of varying degrees of generality. What began, then, as an apparently innocent extension of common sense has blossomed into a full-scale metaphysical theory, an ontology, that is a long distance from common sense.
그래서, 친숙한 특수자들이 공동으로 하나의 보편자를 예화함으로써 속성에 있어서 일치한다는 본래적 통찰은 주목할 만한 복잡성의 모습을 불러 일으킨다. 특수자들과 특수자들의 n개 들이 묶음들은 상이한 유형들의 보편자들을 예화한다: 속성들, 종류들, 그리고 관계들. 이번엔 그러한 보편자들이 추가적 속성들을 소유하고 추가적 종류들에 속하며 추가적 관계들에 개입한다; 이러한 추가적 속성들, 종류들, 관계들에 대해서도 사정은 같다; 그리고 보이기에 그렇게 끝없이 계속된다. 등장한 보이기에 무한한 보편자들의 연쇄들은 일반성의 다양한 정도들에 대한 속성 일치의 복잡한 패턴들을 야기하도록 일반성의 복잡한 계층들 속으로 들어간다. 그래서 외관상 공통 감각(상식)의 순전한 범위로 시작된 것은 상식으로부터 아주 멀리 떨어진 전면적인 형이상학적 이론, 존재론으로 꽃피웠다.

Some might balk at the complexity of the theory, but realists want to insist that the complexity of the structure has a theoretical pay-off. The structure represents a fruitful theory, one with the resources for explaining a wide range of phenomena. Although the phenomena realists claim their account explains are diverse and numerous, we will consider just two. Both bear on semantical issues, and both have played significant roles in the history of metaphysical realism. The first concerns subject-predicate discourse; the second bears on abstract reference. According to the realist, both phenomena give rise to pressing philosophical questions, and the realist insists that the theoretical machinery associated with metaphysical realism provides straightforward and satisfying answers to those questions.
몇몇 사람들은 그 이론의 복잡성에 앞서 망설일지 모르지만, 실재론자들은 그 구조의 복잡성이 이론적 값어치가 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그 구조는 광범위한 현상들을 설명하기 위한 원천들을 가진 하나의 비옥한 이론을 표현한다. 실재론자들이 그들의 설명이 해명한다고 주장하는 그 현상들이 여러가지이고 수없이 많다고 할지라도, 우리는 단지 두 가지 것들만을 고려할 것이다. 그 둘 모두는 의미론적인 문제들과 관련하고, 둘 모두 형이상학적 실재론의 역사에 있어서 중대한 역할들을 담당해 왔다. 그 첫 번째 것은 주-술 담론에 관련한다; 두 번째 것은 추상적 지시에 관계한다. 실재론자에 따르면, 두 현상들 모두 집요한 철학적 물음들을 불러 일으키고, 실재론자는 형이상학적 실재론과 연계된 그 이론적 장치가 그러한 물음들에 대해 직접적이고 만족스러운 답변들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蟲-
Overview
개관(槪觀)

  Philosophers have disagreed about the nature of metaphysics. Aristotle and the medievals give us two different accounts of the discipline. Sometimes, they characterize it as the attempt to identify the first causes, in particular, God or the Unmoved Mover; sometimes, as the very general science of being qua being. They believed, however, that these two characterizations identify one and the same discipline. The rationalists of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by contrast, expanded the scope of metaphysics. They took it to be concerned not merely with the existence and nature of God, but also with the distinction between mind and body,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nd freedom of the will.
  철학자들은 형이상학의 본성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았다. 아리스토텔레스와 중세인들은 그 과목에 대해 우리에게 두 가지 상이한 설명들을 제시한다. 때로, 그들은 그 과목을 제일원인, 특히나, 신이나 부동의 동자를 확인하려는 시도로 규정한다; 때로는, 있음으로서의 있음에 대한 매우 일반적인 학문으로 규정한다. 그렇지만 그들은 이러한 두 가지 규정들이 하나의 그리고 똑같은 과목을 규정한다고 믿었다. 반대로 17-18세기의 이성주의자들은 형이상학의 범위를 확장시켰다. 그들은 그 과목을 단순히 신의 현존과 본성에만 관련되는 것이 아니라 또한 정신과 육체 사이의 구분, 영혼의 불멸성, 그리고 의지의 자유와도 관련되는 것으로 받아들였다.

  The empiricists and Kant were critical of both Aristotelian and rationalist conceptions of metaphysics, arguing that they seek to transcend the limits of human knowledge; but even Kant thought that there can be a legitimate kind of metaphysical knowledge. Its aim is to delineate the most general structures at work in our thought about the world. This Kantian conception of metaphysics continues to enjoy popularity among contemporary philosophers, who insist that metaphysics has as its aim the characterization of our conceptual scheme or conceptual framework. These philosophers typically agree with Kant that the structure of the world as it is in itself is inaccessible to us and that metaphysicians must be content to describe the structure of our thinking about that world.
  경험주의자들과 칸트는 형이상학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적인 개념과 이성주의적 개념들 모두에 비판적이었다. 그들은 그 개념들이 인간 지식의 한계들을 초월하는 일을 추구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칸트조차도 정당한 종류의 형이상학적 앎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 앎의 목적은 세계에 대한 우리의 사유 속에서 작동하는 가장 일반적인 구조들을 기술하는 것이다. 형이상학에 대한 이러한 칸트적 개념은 현대 철학자들, 형이상학이 우리의 개념적 도식이나 개념틀에 대한 규정을 그 목적으로 지닌다고 주장하는 이들 사이에서 계속해서 인기를 누린다. 이러한 철학자들은 전형적으로, 그 자체로서의 세계구조는 우리에게 접근불가능하고 형이상학자들은 반드시 저 세계에 대한 우리의 생각의 구조를 기술하는 데에 만족해야만 한다는 점에서 칸트에 동의한다.

  The case for this Kantian conception of metaphysics is not, however, particularly impressive; for if there are problems with characterizing the world as it is, there ought to be similar problems with characterizing our thought about the world. But if we agree that Aristotelian or rationalist metaphysics is not doomed from the start, we must concede that the two conceptions suggest very different topics for a text in metaphysics. In this book, we will follow the Aristotelian characterization of metaphysics as a discipline concerned with being qua being. That characterization gives rise to the attempt to identify the most general kinds or categories under which things fall and to delineate the relations that hold among those categories.
  그렇지만 형이상학에 대한 이런 칸트적 개념에 대한 경우가 특별히 강렬한 인상을 남기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만일 그 자체로서 세계를 규정함에 있어서 문제들이 있다면, 세계에 대한 우리의 사유를 규정하는 데에도 유사한 문제들이 있어야 하게 마련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만일 우리가 아리스토텔레스의 혹은 이성주의의 형이상학이 출발부터 망할 운명은 아님을 동의한다면, 우리는 반드시 그 두 가지 개념들이 형이상학에 대한 주제를 위해 매우 상이한 화제들을 제안한다는 점을 인정해야만 한다. 이 책에서, 우리는 형이상학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적 규정을 있음으로서의 있음과 관련된 과목으로 계속해서 다룰 것이다. 저 규정은 사물들이 영향을 받는 가장 일반적인 종류들 혹은 범주들을 규정하고 그러한 범주들 사이에서 유지하는 관계들을 기술하는 시도를 불러 일으킨다.


The nature of metaphysics – some historical reflections
형이상학의 본성 - 일부 역사적 반향들

  It is not easy to say what metaphysics is. If one looks to works in metaphysics, one finds quite different characterizations of the discipline. Sometimes these characterizations seek to be descriptive, to provide us with an account of what philosophers who have been called metaphysicians do. Sometimes, they are normative; they represent attempts to identify what philosophers ought to be doing when they do metaphysics. But descriptive or normative, these characterizations give such different accounts of the subject matter and methodology appropriate to metaphysics that the neutral observer is likely to think that they must be characterizing different disciplines. Disagreement about the nature of metaphysics is certainly tied to its long history. Philosophers have been doing or trying to do something they have called metaphysics for more than 2,000 years; and the results of their efforts have been accounts with a wide variety of subject matters and approaches. But the difficulty of identifying a unique subject matter and methodology for metaphysics is not simply traceable to the long history of the discipline. Even in its origins, there is ambiguity about just what metaphysics is supposed to be.
  형이상학이 무엇인지 말하기는 쉽지 않다. 만일 형이상학의 작업들을 고려해 본다면, 그 과목에 대한 상당히 상이한 규정들을 발견할 것이다. 때로 이러한 규정들은 기술적이기를 추구하고, 우리에게 형이상학자들로 불려왔던 철학자들이 무슨 일을 하는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일을 추구한다. 때로는, 그 규정들은 규범적이다; 그 규정들은 철학자들이 형이상학을 행할 때 마땅히 행하고 있어야 하는 일을 규정하는 시도들을 표현한다. 그러나 기술적이든 규범적이든, 이러한 규정들은 중립적 관찰자가 그러한 규정들이 반드시 상이한 과목들을 규정하고 있어야만 한다고 생각할 법한 형이상학에 적합한 주제와 방법론에 대한 그러한 상이한 설명들을 제공한다. 형이상학의 본성에 대한 의견의 불일치는 확실히 형이상학의 오랜 역사와 결부된다. 철학자들은 그들이 형이상학이라 불러온 어떤 것을 2천 년이 넘는 시간 동안 수행하거나 시도해 오고 있다; 그리고 그들의 노력들의 결과들은 다종다양한 주제들과 접근방식들을 지닌 설명들이 되어 왔다. 그러나 형이상학을 위한 유일한 주제와 방법론을 규정하는 일의 어려움은 단순히 그 과목의 긴 역사로 추적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형이상학의 기원에 있어서조차, 형이상학이 바로 무엇이어야 할는지에 대해서는 모호성이 있다.

  The term ‘metaphysics’ as the name of the discipline is taken from the title of one of Aristotle’s treatises. Aristotle himself never called the treatise by that name; the name was conferred by later thinkers. Aristotle called the discipline at work in the treatise first philosophy or theology and the knowledge that is the aim of the discipline, wisdom. Nonetheless, the subsequent use of the title Metaphysics makes it reasonable to suppose that what we call metaphysics is the sort of thing done in that treatise. Unfortunately, Aristotle does not give us a single account of what he is up to there. In some contexts, he tells us that what he is after in the treatise is a knowledge of first causes.[1] This suggests that metaphysics is one of the departmental disciplines, a discipline with a subject matter distinct from that considered by any other discipline.
 과목명으로서 '형이상학(metaphysics)'이란 용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들 중 하나의 제목으로부터 취해진다. 아리스토텔레스 자신은 결코 그 이름으로 그 저작을 명명하지 않았다; 그 이름은 후대 사상가들에 의해 부여되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 저작을 작업하면서 그 과목을 제일철학 또는 신학이라 불렀고 그 과목의 목적인 앎을 지혜라고 불렀다. 그렇더라도, 그 이후 형이상학이란 제목의 사용은 우리가 형이상학이라 부르는 것이 그 저작 내에서 수행된 그런 종류의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타당하도록 만든다. 불행히도, 아리스토텔레스는 우리에게 그가 그 곳에서 이르른 것에 대한 단일한 설명을 제공하지 않는다. 어떤 문맥에서, 그는 우리에게 그가 그 저작에서 추구하는 것이 제일원인들에 대한 앎이라고 말해준다.[1] 이것은 형이상학이 분과 과목들 중 하나, 다른 어떤 과목에 의해 고찰되는 주제와도 구별되는 한 주제를 가진 과목임을 시사한다.

  What subject matter is identified by the expression ‘first causes’? Perhaps, a number of different things; but central here is God or the Unmoved Mover. So what subsequently came to be called metaphysics is a discipline concerned with God, and Aristotle tells us a good bit about the discipline. He tells us that it is a theoretical discipline. Unlike the various arts that are concerned with production and the various practical sciences (ethics, economics, and politics) whose end is the direction of human action, metaphysics has as its goal the apprehension of truth for its own sake. In this respect, it agrees with the mathematical sciences and the various physical sciences. The former take quantities as their subject matter (discrete quantities in the case of arithmetic and continuous quantities in the case of geometry), and the latter are concerned with the nature and structure of the material or physical substances (both living and nonliving) that make up the natural world. Metaphysics, by contrast, has immaterial substance as its subject matter.[2]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ipline and its subject matter gives metaphysics an intriguing status. Unlike the other disciplines, it does not simply assume the existence of its subject matter; it must actually prove that there is an immaterial substance for it to be about. So the project of proving that there is an Unmoved Mover outside the world of nature is a part of metaphysics itself; but since Aristotle thinks that we have a distinctive discipline only where we have a distinctive subject matter, he is committed to the idea that metaphysicians can be sure that there is a discipline for them to engage in only if they succeed in carrying out one of the projects on the agenda of the discipline.
  '제일원인'이라는 표현에 의해 규정되는 주제는 무엇인가? 아마도, 상당수의 상이한 것들일 터이다; 그러나 여기에서 핵심은 신 또는 부동의 동자이다. 그래서 다음으로 형이상학이라 불리우게 되었던 것은 신과 관련된 과목이고, 아리스토텔레스는 우리에게 그 과목에 대한 훌륭한 한 마디를 말해준다. 그는 우리에게 그 과목이 신학적 과목임을 말해준다. 그 목적이 인간 활동의 지도인 것들, 생산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들과 다양한 실천적 학문들 (윤리학, 경제학, 정치학)과 달리 형이상학은 그 자체의 진리에 대한 파악을 그 목표로 가진다. 이러한 측면에서, 형이상학은 수리과학들, 그리고 다양한 물리과학들과 일치한다. 전자는 그 주제들로 양(量)들(산술학의 경우에는 불연속적 양들 그리고 기하학의 경우에는 연속적 양들)을 취하고, 후자는 자연 세계를 형성하는 물질적인 혹은 물리적인 실체들(생물과 무생물 모두)의 본성과 구조와 관련한다. 반면에 형이상학은 비물질적 실체들을 그 주제로 갖는다.[2] 그리고 그 과목과 그 주제 사이의 관련성은 형이상학에 흥미로운 사태들을 부여한다. 다른 과목들과 달리, 형이상학은 그 주제의 현존을 단순히 전제하지 않는다; 형이상학은 반드시 실제로 그것이 수행하려는 비물질적 실체가 있다는 것을 입증해야만 한다. 그래서 자연 세계 외부에 부동의 동자가 있음을 입증하는 기획은 형이상학 자체의 일부이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는 오로지 우리가 구별되는 주제를 지니는 곳에서만 구별되는 과목을 가진다고 생각하므로, 그는 형이상학자들이 오로지 그들이 그 과목의 안건에 대한 그 기획들 중 한 가지를 수행함에 있어서 성공하는 한에서만 그들이 참여할 과목이 있음을 확신할 수 있다는 생각에 헌신한다.

  But Aristotle is not satisfied to describe metaphysics as the investigation of first causes. He also tells us that it is the science that studies being qua being.[3] As this characterization gets fleshed out, metaphysics turns out to be not another departmental discipline with a special subject matter of its own. It is rather a universal science, one that considers all the objects that there are. On this characterization, then, metaphysics examines the items that constitute the subject matter for the other sciences. What is distinctive about metaphysics is the way in which it examines those objects; it examines them from a particular perspective, from the perspective of their being beings or things that exist. So metaphysics considers things as beings or as existents and attempts to specify the properties or features they exhibit just insofar as they are beings or existents. Accordingly, it seeks to understand not merely the concept of being, but also very general concepts like unity or identity, difference, similarity, and dissimilarity that apply to everything that there is. And central to metaphysics understood as a universal science is the delineation of what Aristotle calls categories. These are the highest or most general kinds under which things fall. What the metaphysician is supposed to do is to identify those highest kinds, to specify the features peculiar to each category,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 that tie the different categories together; and by doing this, the metaphysician supposedly provides us with a map of the structure of all that there is.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는 형이상학을 제일원인들에 대한 연구로 묘사하는 데에 만족하지 않는다. 그는 또한 우리에게 형이상학이 존재로서의 존재를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말한다.[3] 이러한 규정이 구체화될 때, 형이상학은 그 자체의 특별한 주제를 가진 또 다른 분과 과목이 아닌 것으로 드러난다. 형이상학은 오히려 보편과학이고, 존재하는 모든 대상들을 고찰하는 학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규정에서, 형이상학은 다른 학문들의 주제를 구성하는 항목들을 검토한다. 형이상학에 대해 구별되는 것은 형이상학이 그러한 대상들을 검토하는 방식이다; 형이상학은 대상들을 특수한 관점으로부터, 현존하는 존재자들 혹은 사물들인 그 대상들의 있음에 대한 관점으로부터 검토한다. 그래서 형이상학은 사물들을 존재자들이나 혹은 현존재들로 간주하고 그것들이 바로 존재자들이나 현존재들인 한에서 내보이는 속성들이나 특징들을 상술하고자 시도한다. 따라서, 형이상학은 단지 존재 개념만이 아니라, 또한 존재하는 모든 것들에 적용되는 단일성이나 동일성, 차이, 유사성, 그리고 비유사성과 같은 매우 일반적인 개념들까지도 이해하는 일을 추구한다. 그리고 보편 학문으로서 이해된 형이상학에 핵심적인 것은 아리스토텔레스가 범주들이라 부르는 것에 대한 기술이다. 이러한 것들은 그 아래로 사물들이 귀속되는 가장 고차원적인 혹은 가장 일반적인 종류들이다. 형이상학자가 수행해야 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일은 그러한 가장 고차원의 종류들을 규정하는 것, 각 범주에 특유한 특징들을 상술하는 것, 그리고 상이한 범주들을 함께 묶는 관계들을 규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일을 수행함으로써, 형이상학자는 아마도 우리에게 존재하는 모든 것의 구조에 대한 지도를 제공할 것이다.

  So we meet with two different accounts of what metaphysics is in Aristotle. On the one hand, there is the idea of a departmental discipline concerned to identify the first causes – in particular, God; and, on the other, there is the idea of a universal or perfectly general discipline whose task it is to consider things from the perspective of their being beings or existents and to provide a general characterization of the whole realm of being. At first glance, there appears to be a tension between these two conceptions of metaphysics.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how a single discipline can be both departmental and universal. Aristotle is himself aware of the appearance of tension here, and takes pains to show that the tension is only apparent.[4] On the one hand, he suggests that a science of first causes will identity the causes underlying the primary features of things, those features that are presupposed by any other features they may exhibit; and he seems prepared to say that since the being or existence of a thing is primary in this way, the science that studies first causes will just be the science that investigates being qua being. On the other, he seems to hold that any discipline that examines everything insofar as it is a being will number God among the items it seeks to characterize.
  그래서 우리는 아리스토텔레스에게서 형이상학이 무엇인지에 대한 두 가지 상이한 설명들과 만난다. 한편으로, 제일원인들 - 특히, 신 - 을 규정하는 일과 관련된 분과 과목이라는 발상이 있다; 그리고, 다른 한편, 그 작업이 사물들을 존재자들 혹은 현존재들인 그것들의 존재에 대한 관점으로부터 고찰하고 존재의 전영역에 대한 하나의 일반적 규정을 제공하는 것인 보편적 또는 완벽히 일반적인 과목이란 발상이 있다. 언뜻 보기에, 형이상학에 대한 이러한 두 가지 개념들 사이에 긴장이 잇을 것처럼 보인다. 어떻게 단일한 과목이 분과적이면서 동시에 보편적일 수 있는지 이해하기는 어렵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 스스로 이 지점에서 긴장의 출현을 알아차리고, 그 긴장이 오로지 외견상의 것일 따름임을 보여주기 위해 애를 쓴다.[4] 한편으로, 그는 제일원인들에 대한 학문이 사물들의 1차적인 특징들, 그 1차적 특징들이 드러낼 다른 어떤 특징들에 의해서든 전제되는 그러한 특징들 기저에 있는 원인들을 규정하리라고 시사한다; 그리고 그는 한 사물의 존재 혹은 현존이 이러한 방식으로 1차적이므로, 제일원인들을 연구하는 학문은 바로 존재로서의 존재를 연구하는 학문이리라고 말할 준비가 되어 있는 듯하다. 다른 한편, 그는 존재자인 한에서의 모든 것을 연구하는 어떠한 과목이든 그 과목이 규정하고자 추구하는 항목들에 신을 포함하리라고 여기는 것으로 보인다.

  In the medieval Aristotelian tradition, we continue to meet with this dual characterization of metaphysics; and like Aristotle, the medievals believed that the two conceptions of metaphysics are realized in a single discipline, one that aims both to delineate the categorial structure of reality and to establish the existence and nature of the Divine Substance. But when we reach the metaphysical writings of the Continental rationalists of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we meet with a conception of metaphysics that expands the scope of the metaphysical enterprise. Although they rejected many of the details of Aristotle’s metaphysical theory, they agreed that the point of doing metaphysics is to identify and characterize the most general kinds of things there are, and they agreed that a reference to the Divine Substance and His causal role is a central part of this task. Nonetheless, topics that do not figure as items on the Aristotelian metaphysical agenda came to be viewed as proper objects of metaphysical inquiry. For Aristotle, the examination of changeable physical objects, the delineation of the gap between living and nonliving things, and the identification of what is unique to human beings are all to be carried out within the context of natural or physical science rather than metaphysics. But the rationalists, confronted with an intellectual landscape where Aristotelian physics is displaced by the more mathematical and experimental account of the new physics, thought of these issues as metaphysical. As they saw things, metaphysics was concerned not simply with the existence and nature of God, but with the distinction between mind and body, their relationship in human beings, and the nature and extent of freedom of the will.
  중세 아리스토텔레스 전통에서, 우리는 계속해서 형이상학에 대한 이 한 쌍의 규정과 마주친다;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와 마찬가지로, 중세인들은 형이상학에 대한 그 두 가지 개념들이 단일한 과목에서, 실재의 범주적 구조를 기술하는 일과 신성한 실체의 현존과 본성을 확립하는 일 모두를 목표로 하는 과목에서 실현된다고 믿었다. 그러나 우리가 17-18세기 대륙 이성주의자들의 형이상학적 저술들에 당도할 때, 우리는 형이상학적 기획의 범위를 확장시키는 형이상학의 개념과 마주친다. 그들이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 이론의 구체적인 사항들 상당수를 거부했다 할지라도, 그들은 형이상학을 수행함의 핵심이 존재하는 사물들의 가장 일반적인 종류들을 확정짓고 규정하는 것이라는 점에 동의했고, 또 그들은 신성한 실체에 대한 언급과 그의 원인으로서의 역할이 이 작업의 중추라는 데에 동의했다. 그렇지만, 아리스토텔레스적인 형이상학 의제에 대한 항목들로 나오지 않는 화제들이 형이상학적 연구의 적절한 대상들로 간주되기 시작했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서, 가변적인 물리적 대상들에 대한 검토, 생물과 무생물 사이의 간극에 대한 기술, 그리고 인간 존재자들에 특유한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규정은 모두 형이상학보다는 오히려 자연과학 또는 물리과학의 문맥 내에서 수행되는 것이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적 물리학이 새로운 물리학의 더욱 수학적이고 실험적인 설명에 의해 대체되는 광경을 마주하게 된 이성주의자들은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형이상학적으로 사유했다. 그들이 사물들을 보았던 것처럼, 형이상학은 단순히 신의 현존과 본성에 관련되지 않고, 정신과 육체 사이의 구별, 인간 존재자들 내에서 그것들의 관계, 그리고 의지 자유의 본성과 범위에 관련되었다.

  Someone schooled in the Aristotelian tradition would be puzzled by this new use of the term ‘metaphysics’ and would likely charge that, in the hands of the rationalists, what is supposed to be a single discipline with a single subject matter turns out to be the examination of a hodgepodge of unrelated topics. Evidently, rationalists were sensitive to this sort of charge, and they sought to provide a rationale for their redrawing of disciplinary boundaries within philosophy. What ultimately emerged is a general map of the metaphysical terrain.[5] The claim was that there is a single subject matter for metaphysics; it is being. So the metaphysician seeks to provide an account of the nature of being; but there is a variety of different perspectives from which one can provide such an account, and corresponding to these different perspectives are different subdisciplines within metaphysics. First, one can examine being from the perspective of its being just that – being. Since this represents the most general perspective from which one can consider being, the branch of metaphysics that considers being from this perspective was dubbed general metaphysics. But the rationalists insisted that we can also examine being from a variety of more specialized perspectives. When we do, we are pursuing this or that branch of what the rationalists called special metaphysics. Thus, we can consider being as it is found in changeable things; we can, that is, consider being from the perspective of its being changeable. To do so is to engage in cosmology. We can, as well, consider being as it is found in rational beings like ourselves. To consider being from this perspective is to pursue that branch of special metaphysics the rationalists called rational psychology. Finally, we can examine being as it is exhibited in the Divine case, and to examine being in this light is to engage in natural theology. Pretty clearly, the rationalist notions of general metaphysics and natural theology correspond to the Aristotelian conceptions of metaphysics as a thoroughly universal science that studies being qua being and as a departmental discipline concerned with first causes; whereas the claim that metaphysics incorporates cosmology and rational psychology as branches expresses the new and broader scope associated with metaphysics in the rationalist scheme.
  아리스토텔레스적 전통에서 교육받은 일부 사람들은 '형이상학'이란 용어의 이러한 새로운 용법에 혼란스러울 것이고 그것을, 이성주의자들의 손에서, 단일한 주제를 가진 단일한 과목일 것으로 간주된 것이 무관한 화제들의 잡동사니에 대한 검토인 것으로 된다고 비난할 성싶다. 확실히, 이성주의자들은 이러한 종류의 비난에 예민하였고, 그들은 철학 내에서 그들의 학문적 경계들에 대한 그들의 수정에 대한 이론적 해명을 제공하는 일을 추구하였다. 궁극적으로 나타나게 된 것은 형이상학적 영역에 대한 하나의 일반적 지도이다.[5] 그 주장은 형이상학에 대한 단일한 주제가 있다는 것이었다; 그 주제는 존재이다. 그래서 형이상학자는 존재의 본성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일을 추구한다; 그러나 그러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상이한 관점들이 있고, 이러한 상이한 관점들에 부합하는 것은 형이상학 내에서 상이한 분과학문들이다. 첫째로, 존재를 그 존재의 존재에 대한 관점으로부터 - 단지 그 있음에 대한 관점으로부터 검토할 수 있다. 이것은 존재를 고찰할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관점을 표현하므로, 이 관점으로부터 존재를 고찰하는 형이상학의 분과는 일반 형이상학이라는 별칭이 붙었다. 그러나 이성주의자들은 우리가 또한 존재를 더욱 특화된 다양한 관점들로부터 검토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우리가 그렇게 할 때, 우리는 이성주의자들이 특수 형이상학이라 불렀던 것의 이러저러한 분과를 추구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존재를 그것이 발견되는 가변적인 사물들에서 고찰할 수 있다; 즉 우리는 존재를 그 존재의 가변적임에 대한 관점으로부터 고찰할 수 있다. 그렇게 하는 것은 우주론에 참여하는 것이다. 우리는 또한 존재를 우리 자신들과 같은 이성적 존재자들 내에서 발견되는 것으로서 고찰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존재를 고찰하는 것은 이성주의자들이 이성적 심리학이라 불렀던 특수 형이상학의 저 분과를 추구하는 것이다. 끝으로, 우리는 존재를 신성의 사례에서 드러나는 것으로서 검토할 수 있고, 이러한 조명에서 존재를 검토하는 것은 자연 신학에 참여하는 것이다. 꽤나 분명하게, 일반 형이상학과 자연신학에 대한 이성주의적 관념들은 존재로서의 존재를 연구하는 철저히 보편적인 학문이자 제일원인들과 관련된 분과 과목으로서 형이상학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적 개념들에 부합한다; 반면에 형이상학이 우주론과 이성적 심리학을 분과들로서 포함한다는 주장은 이성주의적 계획에 있어서 형이상학과 관련된 새롭고 더 넓은 영역을 표현한다.

  But it was not merely in its subject matter that rationalist metaphysics differed from Aristotle’s. Aristotle’s approach to metaphysical issues had been cautious. In his delineation of the categories he had sought to remain faithful to our prephilosophical conception of the world. As he had seen things, the fully real or metaphysically basic entities are the familiar objects of common sense – things like individual horses and individual human beings. And even in his account of God or the Unmoved Mover, he had been anxious to show the continuity between his philosophical account and our prephilosophical beliefs about the causal structure of the world. The result was a relatively conservative metaphysics. The metaphysical theories of the rationalists, by contrast, were anything but conservative. In their hands, metaphysics results in abstract speculative systems far removed from any recognizably commonsense picture of the world. Here, one has only to skim the works of a thinker like Spinoza or Leibniz to appreciate the extravagance of rationalist metaphysics.
  그러나 이성주의 형이상학이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과 달랐던 것은 그 주제에 있어서만은 아니었다. 형이상학적 문제들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접근방식은 신중했다. 범주들에 대한 그의 기술에서 그는 세계에 대한 우리의 전(前)철학적 개념에 충실한 채로 남고자 애썼다. 그가 사물들을 보았던 것과 같이, 완전한 실재 또는 형이상학적으로 기초적인 실체들은 공통 감각(상식?)의 친숙한 대상들 - 개별적인 말들과 개별적인 인간 존재자들과 같은 사물들 - 이다. 그리고 신이나 부동의 동자에 대한 그의 설명에 있어서조차, 그는 세계의 인과적 구조에 대한 그의 철학적 설명과 우리의 전철학적 믿음들 사이의 연속성을 보여주고자 안달하였다. 그 결과는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형이상학이었다. 반면에 이성주의자들의 형이상학적 이론들은 전혀 보수적이지 않았다. 그들의 손에서, 형이상학은 세계에 대한 인지 가능하게 상식적인 어떠한 모습과도 상당히 동떨어진 추상적이고 사변적인 체계들로 귀결된다. 여기에서, 이성주의적 형이상학의 과도함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스피노자나 라이프니츠와 같은 사상가의 저작들을 단지 일견하는 것만으로 족하다.

  The highly abstract and speculative nature of rationalist metaphysics made it a natural target for the criticisms of empiricist thinkers. The empiricists insisted that any claim to knowledge requires a justification by reference to sensory experience; and they argued that since no experience could ever justify the assertions making up rationalist metaphysical systems, the rationalist’s claims to be providing scientific knowledge of the nature of reality were spurious.[6] Indeed, the empiricists frequently made the stronger claim that the characteristic assertions of rationalist metaphysics were without meaning. The empiricists held that all of our conceptual representations are derived from the contents of sensory experience. Accordingly, they insisted that an assertion has genuine cognitive content or meaningfulness only if the terms it employs are susceptible of an analysis or explanation in terms of purely sensory contents. Since the claims of the rationalist metaphysicians did not pass this test, the empiricists concluded that they were mere sounds without sense.
  이성주의 형이상학의 고도로 추상적이고 사변적인 본성은 그 형이상학을 경험주의적 사상가들의 비판들에 대한 자연스러운 표적으로 만들었다. 경험주의자들은 앎에 대한 어떠한 주장이든 감각적 경험에 대한 언급에 의한 정당화를 요구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그들은 어떠한 경험도 결코 이성주의적 형이상학 체계들을 구성하는 단언들을 정당화할 수 없을 것이므로, 실재의 본성에 대한 학문적 앎을 제공하고 있는 이성주의자의 주장들은 비논리적일 것이라고 주장했다.[6] 더 나아가, 경험주의자들은 자주 이성주의적 형이상학의 특징적인 단언들이 무의미하였다는 더욱 강력한 주장을 구성하였다. 경험주의자들은 우리의 모든 개념적 표현들이 감각 경험의 내용들로부터 파생된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그들은 하나의 단언은 오로지 그 단언이 사용하는 용어들이 순수하게 감각적 내용들을 통한 분석이나 설명을 허용할 때에만 진정한 인지적 내용 혹은 의미를 지닌다고 주장했다. 이성주의 형이상학자들의 주장들은 이 검토를 통과하지 못하였으므로, 경험주의자들은 그 주장들이 단지 무의미한 소리들이었다고 결론내렸다.

  In the work of Kant, we meet with further criticism of the metaphysical enterprise.[7] In Kant’s account, human knowledge involves the interplay of concepts innate to the human cognitive faculties and the raw data of sense experience. The sensory data are the effects on our subjective sense faculties of a world external to those faculties. The data get structured or organized by way of the innate concepts, and the result is an object of knowledge. So what we call an object of knowledge is not a thing external to and independent of our cognitive machinery; it is the product of the application of innate conceptual structures to the subjective states of our sensory faculties. The world that produces those subjective states is something that, as it is in itself, is inaccessible to us; we grasp it only as it affects us, only as it appears to us. An object of knowledge, then, requires the sensory contents of the empiricists; but more is required. The contents must be unified and organized by conceptual structures that do not have their origin in sense experience. Kant, however, wants to insist that just as the sensory contents constitute an object of knowledge only when structured by the innate concepts, the innate conceptual structures yield an object of knowledge only when they are applied to the sensory contents for which they provide principles of unity and organization.
  칸트의 저작에서, 우리는 형이상학적 기획에 대한 추가적인 비판에 마주한다. 칸트의 설명에서, 인간의 앎은 인간 인지 능력들에 선천적인 개념들과 감각 경험의 원초적 자료의 상호작용을 포함한다. 감각자료들은 우리의 감각 능력들에 대해 외재적인 세계에 대한 우리의 주관적 감각 능력들에 영향을 미친다. 그 자료들은 내적 개념들을 통해 구조화 혹은 조직화되고, 그 결과는 앎의 대상이다. 그래서 우리가 앎의 대상이라 부르는 것은 우리의 인지 기관에 외재적이고 또 그로부터 독립적인 사물이 아니다; 그 대상은 내적 개념적 구조들을 우리의 감각 능력들의 주관적 상태들에 적용한 산물이다. 그러한 주관적 상태들을 산출하는 세계는 그 자체로는 우리에게 접근불가능한 어떤 것이다; 우리는 그 세계를 오로지 그 세계가 우리에게 영향을 미치는 대로, 오직 그 세계가 우리에게 나타나는 대로만 파악한다. 앎의 대상은 그래서 경험주의자들의 감각적 내용들을 요구한다; 그러나 더 많은 것이 요구된다. 그 내용들은 반드시 그 기원을 감각 경험에 두지 않는 개념적 구조들에 의해 통합되고 조직화되어야만 한다. 그렇지만 칸트는 바로 감각적 내용들이 오로지 내적 개념들에 의해 구조화될 때에만 앎의 대상을 형성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내적 개념적 구조들은 오로지 그 구조들이 그에 대해 통합과 조직화의 원칙들을 제공하는 그러한 감각적 내용들에 적용될 때에만 앎의 대상을 산출한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Now, as Kant saw it, metaphysics, whether of the rationalist or Aristotelian variety, represents the attempt to know what lies beyond the scope of human sensory experience. It seeks to answer questions for which sense experience is incapable of providing answers, questions about the immortality of the soul, the existence of God, and freedom of the will. It promises us knowledge about these matters. In the attempt to provide the promised knowledge, however, the metaphysician employs the conceptual structures that underlie less controversial forms of knowledge, structures like those at work in talk about substances, causation, and events. But since the relevant structures yield knowledge only when they are applied to the raw data of sensory experience, the philosopher’s use of those structures to answer the perennial questions of metaphysics never delivers the knowledge the metaphysician promises us. Given the way our cognitive machinery operates, the conditions required for knowledge can never be satisfied in the metaphysical case. The claims the metaphysician wants to make go beyond the limits of human knowledge. Accordingly, there can never be genuinely scientific knowledge in metaphysics.
  이제, 칸트가 그렇게 보았듯이 형이상학은 이성주의에 속하든 아리스토텔레스주의에 속하든, 인간 감각 경험의 범위 너머에 놓인 것을 알고자 하는 시도를 표현한다. 형이상학은 감각경험이 응답들을 제공할 능력이 없는 물음들에, 영혼의 불멸성에 대한, 신의 현존과 의지의 자유에 대한 물음들을 대답하는 일을 추구한다. 그 형이상학은 우리에게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앎을 약속한다. 그렇지만 그 약속된 앎을 제공하려는 시도에 있어서 형이상학자는 앎에 대한 덜 논란이 되는 형식들 아래에 놓인 개념적 구조들, 실체들과 원인과 사건들에 대한 이야기에서 작동하는 것과 같은 그러한 구조들을 사용한다. 그러나 그 관련된 구조들은 오로지 그 구조들이 감각경험의 가공되지 않은 자료들에 적용될 때에만 앎을 산출하므로, 그 끊임없이 지속되는 형이상학의 물음들에 답하는 그 철학자의 그러한 구조들의 사용은 결코 형이상학자가 우리에게 약속한 그 앎을 내놓지 못한다. 우리의 인지 기관이 작동하는 방식을 고려해 보자면, 앎에 요구되는 조건들은 형이상학적 경우에 있어서는 결코 만족될 수 없다. 형이상학자들이 구성하길 바라는 주장들은 인간 앎의 한계들을 넘어서 나아간다. 따라서, 형이상학에 있어서 진정으로 학문적(과학적)인 앎은 절대로 있을 수 없다.

  To bring out this feature of traditional metaphysics, Kant calls it transcendent metaphysics. He contrasts transcendent metaphysics with what he calls critical metaphysics. Critical metaphysics, he tells us, is a perfectly respectable, legitimate enterprise. Whereas transcendent metaphysics seeks to characterize a reality that transcends sense experience, critical metaphysics has as its task the delineation of the most general features of our thought and knowledge. It seeks to identify the most general concepts at work in our representation of the world, the relationships that obtain among those concepts, and the presuppositions of their objective employment. The project set by critical metaphysics is precisely the project Kant takes himself to be carrying out when he gives us his own account of the conditions for human knowledge.
  전통적 형이상학의 이러한 특징을 끌어내기 위해, 칸트는 그러한 형이상학을 초월적 형이상학이라 부른다. 그는 초월적 형이상학을 그가 비판적 형이상학이라 부르는 것과 대조시킨다. 그는 우리에게 비판적 형이상학이 완벽하게 훌륭하고 타당한 기획이라고 말한다. 초월적 형이상학이 감각 경험을 초월한 실재성을 규정하는 일을 추구하는 반면에, 비판적 형이상학은 우리 사유와 앎의 가장 일반적인 특징들에 대한 기술을 그 과업으로 삼는다. 비판적 형이상학은 세계에 대한 우리의 표현에서 작동하는 가장 일반적인 개념들, 그러한 개념들 사이에서 획득하는 관계성들, 그리고 그러한 개념들의 객관적 사용에 대한 전제들을 규정하는 일을 추구한다. 비판적 형이상학에 의해 정초되는 그 기획은 정확하게 칸트가 인간 앎의 조건들에 대한 그 자신의 고유한 설명을 우리에게 제시할 때 그 스스로 수행하고 있다고 여기는 기획이다.

  Kant’s conception of a metaphysical enterprise whose task it is to identify and characterize the most general features of our thought and experience is one that continues to find defenders in our own day.[8] These philosophers tell us that metaphysics is a descriptive enterprise whose aim is the characterization of our conceptual scheme or conceptual framework. As these philosophers see things, any thought or experience we might have involves the application of a single unified body of representations. That body of representations constitutes something like a picture of how things are; it is a kind of story we tell about the world and our place in it. The story has a distinctive structure: it is organized by way of very general concepts, and the use of those concepts is regulated by principles (often called ‘framework principles’). The aim of metaphysics is simply to delineate that structure in its most general contours.
  우리의 사유와 경험의 가장 일반적인 특징을 규정하고 특징짓는 과업을 가진 형이상학적 기획에 대한 칸트의 개념은 우리들의 시대에서도 지속적으로 옹호자들을 발견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철학자들은 우리에게 형이상학이 그 목표가 우리의 개념적 도식 혹은 개념틀의 규정인 기술적 기획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철학자들이 사물들을 보듯, 우리가 지닐 어떠한 사유나 경험도 표현들의 단일하게 통합된 전체의 적용을 포함한다. 그 표현들의 전체는 사물들이 어떻게 존재하는지에 대한 영상과 같은 어떤 것을 구성한다; 그것은 우리가 세계와 그 세계 내에서 우리의 자리에 대해 말하는 일종의 서사이다: 그것은 매우 일반적인 개념들을 통해 조직화되고, 그러한 개념들의 사용은 원칙들 (종종 '구조 원칙들'이라 불리는) 에 의해 규제된다. 형이상학의 목표는 단순히 그 구조를 그 가장 일반적인 윤곽에서 기술하는 것이다.

  Philosophers who endorse this idea of a conceptual scheme or conceptual framework do not all agree on the status enjoyed by our picture of the world. Although they do not endorse the details of Kant’s own account of human knowledge, some proponents of the idea of a conceptual scheme agree with Kant that there is a single unchanging structure that underlies anything that can be called human knowledge or experience. Others emphasize the dynamic and historical character of human thought, and they speak of alternative conceptual frameworks. They see great conceptual changes, such as the scientific revolution that saw Newtonian mechanics displaced by relativity theory, as cases where one conceptual scheme is rejected in favor of a new and different picture of the world. For thinkers of the former sort, metaphysics has a stable and unchanging subject matter: the single, uniquely human way of representing the world; for the latter, the task of metaphysics is comparative: it attempts to display the different forms at work in the alternative schemes that have historically played a role in our attempts at picturing the world.
  개념적 도식 혹은 개념틀에 대한 이러한 발상을 지지하는 철학자들이 세계에 대한 우리의 인상에 의해 향유되는 상태에 모두 동의하지는 않는다. 그들이 인간 앎에 대한 칸트의 고유한 설명의 세부사항들을 지지하지 않는다 할지라도, 일부 개념적 도식에 대한 발상의 지지자들은 인간 앎 또는 경험이라 불릴 수 있는 어떠한 것에든 그 근저에 놓이는 단일하게 불변하는 구조가 있다는 점에서 칸트에 동의한다. 다른 이들은 인간 사유의 역동적이고 역사적인 성격을 강조하고, 그들은 대안적인 개념틀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들은 뉴턴 역학이 상대성 이론에 의해 대체되는 것을 보았던 과학적 혁명과 같은, 한 개념적 도식이 세계에 대한 새롭고 색다른 상(象)에 대한 지지 속에서 거부되는 그러한 경우들과 같은 대단한 개념적 변화들을 본다. 전자의 부류에 속하는 사상가들에 대해서, 형이상학자들은 안정되고 불변하는 주제를 지닌다: 세계를 표현하는 단일하고 유일한 인간적 방식; 후자에 대해서, 형이상학의 과업은 상대적이다: 그것은 세계를 묘사하려는 우리의 시도들에 있어서 역사적으로 한 역할을 수행하였던 대안적 도식들에서 작동하는 상이한 형식들을 드러내 보이고자 시도한다.

  Philosophers of both sorts stand squarely opposed to those who defend a more traditional, pre-Kantian conception of metaphysics. Philosophers who take the notion of a conceptual scheme seriously will take metaphysics to be concerned with our way or ways of representing the world. Whether they limit the subject matter of metaphysics to the items on the Aristotelian agenda or follow the rationalists in expanding the scope of metaphysics to include topics like the mind-body problem,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nd freedom of the will, philosophers who view metaphysics in pre-Kantian terms take metaphysics to have as its task an account of the nature and structure of the world itself. An inquiry into the structure of human thought is, however, something quite different from an inquiry into the structure of the world thought is about. Of course, if one believes that the structure of our thought reflects or mirrors the structure of the world, then one might claim that the results of the two inquiries must be the same. But philosophers who are attracted by talk of conceptual schemes do not typically believe this. They claim that metaphysics has as its subject matter the structure of our conceptual scheme or schemes precisely because, like Kant, they think that the world as it really is is something that is inaccessible to us.
  두 부류의 철학자들 모두 더욱 전통적인, 전-칸트주의적 형이상학 개념을 옹호하는 이들에 정면으로 맞선다. 개념적 도식의 관념을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철학자들은 형이상학을 세계를 표현하는 우리의 방식 혹은 방식들과 관련된 것으로 간주할 것이다. 그들이 형이상학의 주제를 아리스토텔레스적 의제들의 항목들에 제한하든 아니면 심-신 문제, 영혼불멸, 의지의 자유와 같은 화제들을 포함하는 형이상학의 범위 확장에 있어서 이성주의자들에 따르든, 전-칸트주의적 용어들로 형이상학을 바라보는 철학자들은 형이상학을 세계 그 자체의 본성과 구조에 대한 설명을 그 과업으로 지니는 것으로 받아들인다. 그렇지만 인간 사유의 구조에 대한 연구는 그에 대해 사유되는 그 세계의 구조에 대한 연구와 상당히 다른 어떤 것이다. 물론, 만일 우리의 사유 구조가 세계의 구조를 비추거나 반영한다고 믿는다면, 두 연구들의 결과들이 반드시 같아야만 한다고 주장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개념적 도식들에 대한 이야기들에 매혹된 철학자들은 전형적으로 이렇게 믿지 않는다. 그들은 형이상학이 우리의 개념적 도식 또는 도식들의 구조를 그 주제로 갖는 까닭은 정확히, 칸트와 같이, 그들이 그것이 실로 그러한 것으로서의 세계가 우리에게는 접근불가능한 어떤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Why do they think this? Because they agree with Kant that our thought about the world is always mediated by the conceptual structures in terms of which we represent that world. As they see it, to think of anything external to my cognitive faculties, I must apply concepts that represent the thing as being some way or other, as belonging to some kind or as characterized in some way; but, then, what I grasp is not the object as it really is independently of my thought about it. What I grasp is the object as I conceptualize or represent it, so that the object of my thought is something that is, in part at least, the product of the conceptual or representational apparatus I bring to bear in doing the thinking. What I have is not the thing as it is in itself, but the thing as it figures in the story I tell of it or the picture I construct of it.
  어째서 그들은 이렇게 생각하는가? 왜냐하면 그들은 우리의 세계에 대한 사유가 언제나 우리가 그 세계를 그로써 표현하는 개념적 구조들에 의해 중재된다는 점에서 칸트에게 동의하기 때문이다. 그들이 그렇게 보듯, 나의 인지 능력들 외부의 어떤 것에 대해 생각하기 위해, 나는 반드시 이러저러한 방식인 것으로, 어떤 종류에 속하는 것으로나 혹은 어떤 방식으로 특징지어지는 것으로 그 사물을 표현하는 개념들을 적용해야만 한다; 그러나 다음으로 내가 파악하는 것은 그것이 그것에 대한 나의 사유와 독립적으로 실제로 그러한 것인 바의 대상이 아니다. 내가 파악하는 것은 내가 그것을 개념화하거나 표현한 것으로서의 대상이며, 그리하여 내 사유의 대상은 최소한 부분적으로 사유를 행함에 있어서 집중하는 개념적 혹은 표현적 기관의 산물인 어떤 것이다. 내가 가진 것은 그 자체인 것으로서의 사물이 아니라, 내가 그것에 대해 이야기하는 서사에 관계되는 것으로서나 또는 내가 그에 대해 구성하는 상으로서의 사물이다.

  Now, some of those who invoke the idea of a conceptual framework (the conceptual schemers, we might call them) go further and claim that the very idea of an object separate from and independent of the conceptual scheme by which we form our representations is incoherent.[9] On this radical view, all
that there is is the conceptual framework or frameworks. There is nothing more than the stories we tell, the pictures we construct. What we call the existence of an object is simply a matter of something’s figuring in a story; and what we call the truth of our beliefs is just a matter of the various components of a story fitting together or cohering with each other.
  이제, 개념틀(우리가 그것들을 개념적 도식들이라 부를 수 있는)이라는 발상을 언급하는 그러한 이들 중 일부는 더 나아가서 그로써 우리가 우리의 표현들을 형성하는 개념적 도식으로부터 분리되고 그로부터 독립적인 대상에 대한 바로 그 생각은 모순적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급진적인 관점에서,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개념틀 혹은 개념틀들이다. 우리가 이야기하는 서사들, 우리가 구상하는 상들 이외에 다른 아무것도 없다. 우리가 대상의 현존이라 부르는 것은 단순히 하나의 서사에 관련하고 있는 어떤 것에 대한 문제이다; 그리고 우리가 우리의 믿음들 중에서 참이라고 부르는 것은 단지 함께 부합하거나 상호 일관된 하나의 서사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문제이다.

  This more radical version of the conceptual scheme account is a version of what has been called idealism, and it is a view that is extremely difficult to articulate coherently. If we hold that there is nothing but the stories that human beings construct, then what are we to say of the human beings who are supposedly doing the constructing? If they are really there doing the constructing, then it is not the case that there is nothing but the stories that get constructed, and it is not the case that to exist is just to be a character in a story. If, on the other hand, we human beings are just further characters in the stories, then is it really the case that there are any stories that get told? Or is it just a further story that all these stories get constructed? And is this new story (the story that the original stories get told) itself just one more story?
  이런 더욱 급진적인 형태의 개념적 도식 설명은 관념론이라 불린 것의 형태이고, 그것은 일관되게 명료히 표명하기가 극도로 어려운 관점이다. 만일 우리가 인간 존재자들이 구성하는 서사들 이외에 아무것도 없다고 주장한다면, 그래서 아마도 그 구성을 수행하고 있을 인간 존재자들에 대해 우리가 말할 것은 무엇인가? 만일 그 존재자들이 실제로 구성을 수행하면서 있다면, 그래서 구성되는 서사들 이외에 다른 아무것도 없는 경우도 아니고, 현존한다는 것이 단지 하나의 서사 내에서 한 등장인물인 것만도 아니다. 다른 한편 만일 우리 인간 존재자들이 바로 그 서사들에 있어서 추가적인 인물들이라면, 정말로 이야기된 어떤 서사들이든 존재하는 경우인가? 혹은 바로 이러한 모든 서사들이 구성된 하나의 추가적 서사인가? 그리고 이 새로운 서사 (본래의 서사들이 이야기하게 된 그 서사) 그 자체는 단지 또 하나의 서사인가?

  As I have suggested, not all conceptual schemers endorse the more radical view we have been discussing; but even the schemer who concedes that the idea of an item that exists independently of a conceptual framework is coherent will deny that any such items as there may actually be can constitute the objects of metaphysical study. Any such items, they will insist, are grasped only by way of the conceptual structures we bring to bear in our representation of them. Those structures constitute a kind of screen that bars us from access to things as they really are. Accordingly, even the moderate conceptual schemer will deny that it is possible to do what the traditional metaphysician wants to do – to provide knowledge of the ultimate structure of reality; they will claim that if there is to be an enterprise with the generality, systematicity, and comprehensiveness philosophers have wanted to claim for metaphysics, that enterprise can consist in nothing more than the characterization of the most general structure of our conceptual scheme or schemes.
  내가 암시하였듯, 모든 개념적 도식론자들이 우리가 논의해 오고 있는 더욱 급진적인 그 관점을 지지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개념틀에 대해 독립적으로 현존하는 한 항목에 대한 발상이 일관되다고 인정하는 도식론자조차 실제로 존재할 것으로서 그러한 어떤 항목들이든 형이상학적 연구의 대상들을 구성할 수 있다는 점은 부정할 것이다. 그들은 그러한 어떤 항목들이든 오로지 우리가 그 항목들에 대한 우리의 표현에 집중하는 개념적 구조들을 통해서만 파악된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러한 구조들은 우리들을 실제로 그러한 바의 사물들에 접근하는 것으로부터 차단하는 일종의 장막을 형성한다. 따라서, 온건한 개념적 도식론자조차 전통 형이상학자가 하기를 바라는 일 - 실재성의 궁극적 구조에 대한 앎을 제공하는 일 - 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부정할 것이다; 그들은 만일 철학자들이 형이상학에 대해 주장하기를 바란 일반성, 체계성, 그리고 일관성을 갖춘 하나의 기획일 것이 있다면, 그 기획은 우리의 개념적 도식 혹은 도식들의 가장 일반적인 구조에 대한 규정 이외의 다른 아무것도 구성할 수 없다고 주장할 것이다.

  What will be the response of traditional metaphysicians to this neo-Kantian account? Most probably, they will argue that if the conceptual schemer is correct in denying that the world as it really is can be an object of serious philosophical inquiry, then the schemer is wrong to suppose that a conceptual scheme can be. The central premise in the schemer’s argument against traditional metaphysics is the claim that the application of conceptual structures in the representation of things bars us from genuine access to those things; but the defender of traditional metaphysics will point out that we need to employ concepts in our characterization of what the schemer calls a conceptual framework, and they will conclude that, by the schemer’s own principles, that(?) entails that there can be no such thing as characterizing the nature and structure of a conceptual scheme. So traditional metaphysicians will argue that if their conception of metaphysics is problematic, so is the schemer’s. But traditional metaphysicians will insist that there is a deeper moral here. That moral is that there is something self-defeating in the conceptual schemer’s account of conceptual representation. If the conceptual schemer is correct in claiming that the activity of conceptual representation bars us from an apprehension of anything we seek to represent, then why should we take seriously the schemer’s claims about conceptual representation? Those claims, after all, are just further conceptual representations; but, then, so far from revealing the nature of the activity of conceptual representation, the claims would seem to preclude our getting a hold on what those claims are supposed to be about – the activity of conceptual representation.
  이러한 신-칸트주의적 설명에 대한 전통 형이상학자들의 응답은 무엇일까? 가장 그럴 성 싶은 것은, 그들이 만일 개념적 도식론자가 실제로 그러한 것으로서의 세계가 진지한 철학적 연구의 대상일 수 있다는 점을 부정함에 있어서 정확하다면, 그 도식론자는 개념적 도식이 그러한 대상일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틀리다고 주장하리라는 것이다. 전통적 형이상학에 반대하는 그 도식론자의 논증에 있어서 중심적인 전제는 사물들에 대한 표현에 있어서 개념적 구조들의 적용이 우리를 그러한 사물들을 향한 진정한 접근으로부터 가로막는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전통적 형이상학의 옹호자들은 우리가 그 도식론자가 개념틀이라 부르는 것에 대한 우리의 규정에 있어서 개념들을 사용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할 것이고, 그들은 그 도식론자 자신의 원칙들로써, 개념적 도식의 본성과 구조를 규정하는 것으로서의 그러한 어떤 것도 있을 수 없다고 결론내릴 것이다. 그래서 전통 형이상학자들은 만일 형이상학에 대한 그들의 개념이 문제가 있는 것이라면, 그 도식론자의 개념도 그러하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러나 전통 형이상학자들은 더욱 심오한 교훈이 여기에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 교훈은 자기-상쇄적인 어떤 것이 개념적 표현에 대한 도식론자의 개념적 설명 내에 있다는 것이다. 만일 그 개념적 도식론자가 개념적 표현의 활동이 우리가 표현하는 일을 추구하는 어떤 것에 대해서든 그 우려로부터 우리를 차단한다고 주장함에 있어서 정확하다면, 어째서 우리는 개념적 표현에 대한 그 도식론자의 주장들을 진지하게 받아들여야 하겠는가? 무엇보다도 그러한 주장들은 단지 추가적인 개념적 표현들일 따름이다; 그러나, 그래서 개념적 표현 활동의 본성을 밝히기 보다는, 그 주장들은 그러한 주장들이 그에 대한 것이라 간주되는 것 - 개념적 표현 활동 - 에 대한 파악을 우리가 획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

  Traditional metaphysicians will go on to insist that we manage to think and talk about things – things as they really are and not just things as they figure in the stories we tell. They will insist that the very idea of thinking about or referring to things presupposes that there are relations that tie our thoughts and words to the mind-independent, language-independent things we think and talk about; and they will insist that so far from barring us from access to things, the concepts we employ in our thinking are the vehicles for grasping the things to which they apply. They are not screens or barriers between us and things; they are, on the contrary, our routes to objects, our ways of gaining access to them. And traditional metaphysicians will argue that there is no reason to suppose that it needs to be otherwise with the concepts traditional metaphysicians employ in their attempts at giving us an account of what there is and its general structure. They will concede that metaphysicians can get things wrong, that there can be false metaphysical claims; but they will insist that the threat of falsehood is no more serious here than it is in any other discipline where we attempt to say how things are. It may be difficult to provide a true characterization of the nature of reality, but that does not mean that it is impossible.
  전통적 형이상학자들은 계속해서 우리가 사물들 - 그것들이 실제로 그러한 것으로서 그리고 단지 우리가 이야기하는 서사들에 관겨되는 것으로서가 아닌 그러한 것들로서 - 에 대해 생각하고 말하는 일을 취급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들은 사물들에 대해 생각하거나 사물들을 언급하는 일에 대한 바로 그 발상이 우리의 사유들과 말들을 우리가 그에 대해 생각하고 말하는 그러한 정신-독립적, 언어-독립적 사물들에 결부시키는 관계들이 있다는 것을 전제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우리를 사물들로 향하는 접근으로부터 가로막는다기 보다는, 우리가 우리의 생각함에 있어서 사용하는 개념들이 그 사물들이 그에 적용되는 그 사물들의 파악을 위한 매개물들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그 개념들은 우리와 사물들 사이의 장막들 또는 장벽들이 아니다; 그 개념들은 반대로 대상들을 향한 우리의 경로들이고, 그 사물들로 향한 접근을 획득하는 우리의 방식들이다. 그리고 전통적 형이상학자들은 전통적 형이상학자들이 우리에게 존재하는 것과 그것의 일반적 구조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려는 그들의 시도에 있어서 사용하는 개념들을 가지고 다른 방식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할 아무런 이유도 없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들은 형이상학자들이 사물들을 잘못 취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할 것이고, 거짓인 형이상학적 주장들이 있을 수 있음을 시인할 것이다; 그러나 그들은 오류의 위협은 그 위협이 우리가 사물들이 어떻게 있는지 말하려고 시도하는 다른 어떤 과목에서보다도 조금도 더 심각하지 않다고 주장할 것이다. 실재성의 본성에 대한 참인 규정을 제공하는 일은 어려울지 모르지만, 그것이 그 일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진 않는다.

  Defenders of a Kantian conception of metaphysics will insist that the issues surrounding this debate are more complex and more difficult than the traditional metaphysician suggests; and although we may initially find ourselves sympathetic with the traditional metaphysician, we must concede that this debate over the methodology appropriate to metaphysics hinges on the much larger issu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ought and the world. That issue strikes at the core of any characterization of being and, by any standards, counts as metaphysical. It is, however, such an important issue that it cannot be resolved in the introductory paragraphs of a book on metaphysics. The characterization of the relationship of our thought or language and the world requires separate and extended treatment; and in this book, the concluding chapter will be devoted to that issue. There, we will examine in detail the challenge that philosophers of a Kantian persuasion – anti-Realists, as they are often called – present to the traditional accou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ought and the world. In the meantime, however, we need a conception of metaphysics to guide us; and the strategy will be to assume, tentatively, the traditional, pre-Kantian approach.
  칸트적 형이상학 개념의 옹호자들은 이 논쟁을 둘러싼 문제들이 전통적 형이상학자들이 시사하는 것보다 더욱 복잡하고 더욱 어렵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최초에는 전통적 형이상학자에 공감함을 알지라도, 우리는 반드시 형이상학에 적용하는 방법론을 둘러싼 이러한 논쟁이 사유와 세계 사이의 관계성에 대한 더욱 거대한 문제를 조건으로 삼는다는 것을 인정해야만 한다. 그 문제는 존재에 대한 어떠한 규정에 대해서든 그 핵심을 가격하고, 어떠한 기준에 의해서든, 형이상학적인 것으로 여긴다. 그렇지만 그 문제가 형이상학에 대한 책의 도입 문단들에서 해결될 수 없다는 것은 그러한 중요한 문제이다. 우리의 사유 혹은 언어와 세계의 관계성에 대한 규정은 분리되고 확장된 취급을 요구한다; 그리고 이 책에서, 결론장은 그 문제에 할애될 것이다. 거기에서, 우리는 칸트주의적 신념의 철학자들 - 그들이 종종 그렇게 불리듯 반-실재론자들 - 이 사유와 세계 사이의 관계성에 대한 전통적 설명에 대해 생각하는 도전을 구체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그렇지만 그 사이에 우리는 우리를 인도할 형이상학 개념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그 전략은 시험적으로 전통적, 전-칸트적 접근방식을 전제하는 일일 것이다.


Metaphysics as category theory
범주이론으로서의 형이상학


The aim will be to characterize the nature of reality, to say how things are. As we have seen, different traditions associate different subject matters with this project. In the Aristotelian tradition, there is the idea of a science of first causes and the idea of a science that studies being qua being. Even if there is a single science answering to the two ideas, the ideas, initially at least, appear to be different. The idea of a general science that studies beings from the perspective of their being beings corresponds to what the rationalists called general metaphysics; and a central task suggested by the idea of a science of first causes corresponds to the task associated with that branch of special metaphysics the rationalists dubbed natural theology; and we have the two other branches of special metaphysics – cosmology which provides a characterization of the changeable, material world, and rational psychology which deals, among other things, with the mind-body problem and, presumably, the problem of free will.
그 목표는 실재성의 본성을 규정하는 일, 사물들이 어떻게 있는지 말하는 일일 것이다. 우리가 보았듯, 상이한 전통들은 상이한 주제들을 이 기획과 결부시킨다. 아리스토텔레스적 전통에는, 제일원인의 학문에 대한 발상과 존재로서의 존재를 연구하는 학문에 대한 발상이 있다. 마치 두 가지 생각들, 최소한 처음에는 상이한 것으로 드러나는 그 생각들에 대해 응답하는 단일한 학문이 있는 것 같다. 존재자들로서 그것들의 존재에 대한 관점으로부터 존재자들을 연구하는 일반 학문에 대한 생각은 이성주의자들이 일반 형이상학이라 불렀던 것에 부합한다; 그리고 제일원인들에 대한 학문이라는 발상에 의해 제안된 중심 과제는 이성주의자들이 자연 신학이라 별칭하였던 특수 형이상학의 그 분과와 결부된 작업에 상응한다; 그리고 우리는 특수 형이상학의 두 가지 다른 분과들 - 가변적, 물질적 세계에 대한 규정을 제공하는 우주론과 다른 것들보다도 특히 심-신 문제, 그리고 아마도 자유 의지의 문제를 다루는 이성적 심리학 - 을 가진다.

Many introductory books on metaphysics accord with the rationalist chart of the discipline. Indeed, they make issues in what the rationalists called special metaphysics their focus. Thus, questions about the existence and nature of God, questions about the nature of human beings and the mind-body problem, and questions about freedom of the will occupy center stage. This is a perfectly appropriate strategy. Since the seventeenth century, these issues have all been dubbed metaphysical. A different strategy for constructing
an introductory text in metaphysics is, however, equally defensible. This strategy limits the topics to be discussed roughly to those that fall under the rubric of Aristotle’s science of being qua being or the rationalist’s science of general metaphysics.
형이상학을 주제로 한 다수의 개론서들은 그 과목에 대한 이성주의적 도표에 부합한다. 더욱이, 그 책들은 이성주의자들이 특수 형이상학이라 불렀던 것에 있어서의 문제들에 그들의 초점을 맞춘다. 따라서, 신의 현존과 본성에 대한 물음들, 인간 존재자들의 본성과 심-신 문제에 대한 물음들, 그리고 의지의 자유에 대한 물음들이 중심 무대를 차지할 것이다. 이것은 완벽히 적합한 전략이다. 17세기 이래로, 이러한 문제들은 모두 형이상학적이란 별칭을 얻어 왔다. 그렇지만 형이상학에 있어서 개론서를 구성하기 위한 하나의 다른 전략은 옹호가능하다. 이 전략은 그 화제들을 존재로서의 존재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학문의 부문 또는 일반 형이상학이라는 이성주의의 학문 아래로 분류되는 개략적으로 논의되는 그러한 화제들에 제한한다.

A number of considerations support this way of approaching metaphysics. Contemporary philosophers divide philosophy in ways that do not respect the disciplinary boundaries of the rationalist account. The topics that were central in the various branches of what the rationalists called special metaphysics are now discussed in subdisciplines of philosophy that are not essentially or exclusively concerned with metaphysical topics. The focus of natural theology, for example, was the existence and nature of God; that set of issues is now typically addressed in what we call the philosophy of religion, a subdiscipline of philosophy that addresses a much broader range of issues than oldstyle natural theology. It deals with epistemological questions about the rationality of religious belief in general as well as the rationality of particular religious beliefs, question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science, and question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morality. Philosophers of religion even discuss issues that were part of what the rationalists called rational psychology – questions about personal survival and immortality. Other issues discussed in rational psychology now fall under what we call the philosophy of mind; but while philosophers of mind worry about metaphysical questions about the existence and nature of mind, they worry about much else besides. They raise epistemological questions about our knowledge of our own mental states and those of others; and they spend much time attempting to get clear on the nature of explanation in psychology and the cognitive sciences. Sometimes, we find philosophers of mind raising questions about freedom of the will, but this problem is as likely as not to be debated in a still different part of philosophy called the theory of action. Contemporary philosophers typically use the term ‘metaphysics’ to refer to a branch of philosophy different from each of these branches; and when they do, what they are talking about is something that is not far removed from what the rationalists called general metaphysics and what Aristotle spoke of as the science that studies being qua being.
다수의 연구들이 형이상학에 접근하는 이러한 방식을 지지한다. 현대 철학자들은 이성주의 설명의 분과 경계들을 존중하지 않는 방식들로 철학을 분할한다. 이성주의자들이 특수 형이상학이라 불렀던 것의 다양한 분과들에서 중심적이었던 그 화제들은 이제 형이상학적 화제들과 본질적으로나 독점적으로 관련되지 않는 철학의 하위부문들에서 논의된다. 예를 들어 자연 신학의 초점은 신의 현존과 본성이었다; 저 일련의 문제들은 이제 전형적으로 우리가 종교에 대한 철학이라 부르는 것, 구(舊) 자연 신학보다 훨씬 더 넓은 영역의 문제들을 다루는 철학의 하위부문에서 다루어진다. 자연 신학은 일반적으로 종교적 믿음의 합리성에 대한 인식론적 물음들뿐만 아니라 특수한 종교적 믿음들의 합리성, 종교와 과학 사이의 관계성에 대한 물음들, 종교와 도덕성 사이의 관계성에 대한 물음들도 다룬다. 종교에 대한 철학자들도 이성주의자들이 이성적 심리학이라 불렀던 것의 부분이었던 문제들 - 개인적 생존과 불멸성 - 을 논의한다. 이성적 심리학에서 논의되는 다른 문제들은 이제 우리가 심리철학이라 부르는 것 아래에 포섭된다; 그러나 심리철학자들은 심리현상의 현존과 본성에 대한 형이상학적 물음들에 대해 염려하는 동시에, 많은 다른 측면들에 대해서도 고민한다. 그들은 우리 자신의 정신적 상태들과 다른 이들의 정신적 상태들에 대한 우리의 앎에 대해 인식론적 물음들을 제기한다; 그리고 그들은 심리학과 인지 과학들에 있어서 설명의 본성을 명확히 하고자 시도하는 데에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때때로, 우리는 의지의 자유에 대한 의문들을 제기하는 심리철학자들을 발견하지만, 이 문제는 어쩌면 행동주의이론이라 불리는 철학의 다른 부문에서는 여전히 논의되는 것이 아닐지도 모른다. 현대 철학자들은 전형적으로 '형이상학'이란 말을 이러한 각 분과들과 다른 철학의 분과를 가리키는 데에 사용한다; 그리고 그들이 그렇게 할 때, 그들이 그에 대해 마하고 있는 것은 이성주의자들이 일반 형이상학이라 불렀던 것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가 그에 대해 존재로서의 존재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말했던 것과 아주 동떨어지지는 않은 어떤 것이다.

So the way introductory texts in metaphysics are organized does not reflect the way philosophers today typically use the term ‘metaphysics’. One consequence is that the issues that are central in what we nowadays call metaphysics are not much discussed in introductory fashion. And that is unfortunate since those issues are as fundamental as any philosophical issues. So there’s one argument for an introductory metaphysics text that investigates being qua being; but there is another. The series of which this book is a
part will have texts in the Philosophy of Religion and the Philosophy of Mind; topics like the existence and nature of God and the mind-body problem will be addressed in those volumes. The metaphysics volume should focus on different issues, and it will. It will focus on the issues that arise when we attempt to provide a general account of the structure of all that there is.
그래서 형이상학에 대한 개론서들이 조직되는 방식은 철학자들이 오늘날 전형적으로 '형이상학'이란 용어를 사용하는 방식을 반영하지 않는다. 하나의 귀결은 우리가 현대에 형이상학이라 부르는 것에 있어서 중심적인 문제들이 개론적 방식에서는 썩 많이 논의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그러한 문제들이 어떠한 철학적 문제들만큼이나 기초적이므로 불행한 일이다. 그래서 존재로서의 존재를 연구하는 형이상학 개론서에 대한 하나의 주장이 있다; 그러나 다른 주장도 있다. 이 책이 그 일부인 그러한 일련의 주장들은 종교철학과 심리철학을 제목으로 하는 저작들을 지닐 것이다; 신의 현존과 본성 그리고 심-신 문제와 같은 주제들은 그러한 서적들에서 다루어질 것이다. 형이상학 책은 다른 문제들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터이고, 그렇게 할 것이다. 그 책은 우리가 존재하는 모든 것의 구조에 대한 일반적 설명을 제공하고자 시도할 때 일어나는 문제들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But what are those issues? In discussing Aristotle’s conception of metaphysics as a perfectly general discipline, I said that a central aim of such a discipline is the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categories under which things fall. It would not be far off the mark to say this is what metaphysics as it is understood these days aims at. But just what is it to identify the categories under which things fall? As I indicated earlier, Aristotle took the categories to be the highest or most general kinds under which things can be classified. This suggests that what metaphysicians do is to take all the things there are and sort them into the most general kinds under which they fall. According to Aristotle, the kinds under which a thing falls enable us to say what the thing is. It would seem, then, that if they are to identify the highest kinds, metaphysicians should seek out the most general answers to the “What is it?” question. One way it might seem they might do this is to take a familiar object like Socrates and pose the question “What is he?” The obvious answer is “A human being.” But while ‘human being’ picks out a kind under which Socrates falls, there are more general answers to the question “What kind of thing is Socrates?” He is, after all, a primate, a mammal, a vertebrate, and an animal. To identify the category to which Socrates belongs is to identify the terminus or endpoint in this list of ever more general answers to the “What is it?” question. And when do we have that? The standard reply is that we arrive at the category of a thing when we arrive at an answer to the “What is it?” question such that the only more general answer is given by a term like ‘entity,’ ‘being,’ ‘thing,’ or ‘existent’ that applies to everything that there is. Aristotle thought that the relevant answer for Socrates is given by the term ‘substance,’ so Aristotle took substance to be the category under which Socrates and other living beings fall.
그러나 그러한 문제들은 무엇인가? 완벽한 일반학문이라는 형이상학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개념을 논의함에 있어서, 나는 그러한 과목의 중심목표가 사물들이 속하는 범주들을 규정하고 특징짓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것이 이것이 오늘날 이해되는 것으로서의 형이상학이 목표로 삼는 것이라 말하는 건 크게 빗나간 말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사물들이 속하는 범주들을 규정한다는 바로 그것은 무엇인가? 내가 앞서 보였듯, 아리스토텔레스는 범주들을 사물들이 그 아래로 분류될 수 있는 가장 고차원의 혹은 가장 일반적인 종류들로 취했다. 이것은 형이상학자들이 하는 일이 존재하는 사물들 전부를 취하여 그 사물들이 그 아래에 속하는 가장 일반적인 종류들로 그 사물들을 분류하는 것임을 시사한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한 사물이 속하는 종류들은 우리로 하여금 그 사물이 무엇인지 말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래서 만일 가장 고차원의 종류들을 규정하려면, 형이상학자들은 "그것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가장 일반적인 답변들을 찾아내야 할 것으로 보일 것이다. 그들이 이 일을 행할 것으로 보일 한 가지 방식은 소크라테스와 같은 익숙한 대상을 취하고 "그는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제기하는 것이다. 그 분명한 답은 "사람임"이다. 그러나 '사람임'이 소크라테스가 분류되는 한 종류를 골라내는 동시에, "소크라테스는 어떤 종류의 것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더욱 일반적인 답변들이 있다. 우선 그는 영장류이고, 포유류이며, 척추동물이고, 동물이다. 소크라테스가 속하는 범주를 규정하는 일은 "그것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이러한 어떤 더욱 일반적인 답변들의 목록에서든 종착지나 종점을 규정하는 일이다. 우리는 언제 그 일을 하는가? 표준적인 응답은 "그것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오로지 존재하는 모든 것에 적용되는 '실체,' 존재,' '사물,' 혹은 '현존'과 같은 용어로만 제시되는 그와 같은 답변에 우리가 이를 때 한 사물의 범주에 우리가 도달한다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소크라테스에 대한 적절한 답변이 '기체[基體]'라는 용어를 통해 주어진다고 생각했고, 그래서 아리스토텔레스는 기체를 소크라테스와 다른 살아있는 존재자들이 그 아래에 속하는 범주인 것으로 받아들였다.

Now, it might seem that if our metaphysicians want to come up with the complete list of categories, they need only apply the kind of question-andanswer procedure they employed in the case of Socrates to other objects. Provided they choose their sample objects in a way that is sensitive to the differences among things, they will find themselves arriving at new and different categories. At some point, however, they will find that no new categories emerge. Repeating the procedure just brings them back to categories they have already isolated. At that point, they can be confident, subject to normal concerns about the adequacy of inductive procedures, that they have identified all the highest kinds or categories of being.
이제, 만일 우리의 형이상학자들이 범주들의 완결된 목록을 내놓고자 한다면, 그들은 단지 소크라테스의 사례에서 사용했던 그런 종류의 질문-답변 절차를 다른 대상들에 적용하기만 하면 된다. 사물들 사이의 차이들에 민감한 방식으로 그들이 선택했던 표본 대상들이 제공된다면, 그들은 그들 자신이 새롭고 상이한 범주들에 도달하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그렇지만 어떤 지점에서 그들은 어떠한 새로운 범주들도 나타나지 않음을 알아차릴 것이다. 그 절차의 반복은 단지 그 범주들을 그들이 이미 분리시켜 놓았던 범주들로 되가져올 따름이다. 그 지점에서, 그들은 귀납적 절차들의 적절성에 대한 일상적인 우려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존재의 가장 고차원적인 종류들 혹은 범주들 전부를 규정했다고 확신할 수 있다.

This is one way of thinking about categories and their role in the enterprise of metaphysics. It is, in fact, a way in which many philosophers view the whole business of identifying categories. Unfortunately, it has serious shortcomings as an account of what goes on in metaphysics. For one thing, it makes metaphysics a pretty boring business. Coming up with a table of categories is simply the mechanical procedure of finding the most general answers to the “What is it?” question; and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how a procedure requiring as little imagination as that could have occupied the efforts of mankind’s greatest minds for over 2,000 years. For another, the account makes it difficult to understand how there could be any interesting disagreements or disputes in metaphysics. On this view, if two metaphysicians give us different lists of categories, it can only be because at least one of them has made some pretty gross and palpable mistake: either he or she committed an inductive error, failing to apply the question-and-answer procedure to a proper sample of objects, or was confused about the way the classificatory terms in our language work. The fact is, however, that nothing is more common in metaphysics than debate and controversy; and the opponents in metaphysical debates are typically perceptive, clearminded thinkers, thinkers who are not likely to be guilty of gross intellectual failings.
이것은 형이상학이라는 기획에서 범주들과 그 역할에 대해 생각하는 하나의 방식이다. 사실 그것은 다수 철학자들이 범주들을 규정하는 전체 사업을 바라보는 방식이다. 불행히도, 그것은 형이상학에서 이루어지는 일에 대한 설명으로서 심각한 결점들을 지닌다. 그 한 가지로, 그 방식은 형이상학을 상당히 지루한 작업으로 만든다. 범주들의 일람표를 찾아내는 것은 단순히 "그것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답변들을 발견하는 기계적 절차이다; 그리고 어떻게 그만큼이나 적은 상상력을 요구하는 하나의 절차가 2000년이 넘도록 인류의 가장 위대한 지성인들의 노력을 점거해 올 수 있었을지 이해하기란 어려운 일이다. 다른 것으로, 그 설명은 어떻게 형이상학에 있어서 어떤 흥미로운 의견의 불일치들이나 반박들이 있을 수 있었을지 이해하기 어렵도록 만든다. 이러한 관점에서, 만일 두 형이상학자들이 우리에게 범주들의 상이한 목록들을 제시한다면, 그것은 오로지 적어도 그들 중 한 사람은 어떤 꽤나 중대하고 뚜렷한 오류를 범했기 때문일 수밖에 없다: 그 또는 그녀가 귀납적 오류를 범했거나, 질문-답변 절차를 대상들 중 적절한 표본에 적용하는 데에 실패했거나, 혹은 분류 용어들이 우리의 언어에서 작동하는 방식에 대해 호동되었다는 것이다. 그렇자미나 형이상학에 있어서 논쟁과 논란보다 더 흔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리고 형이상학적 논쟁들에 있어서 대립자들은 전형적으로 지각 있고 분명한 정신의 사상가들, 중대한 지적 착오들을 저지를 것 같지 않은 그러한 사상가들이다.

But the difficulties with this understanding of categories and the nature of metaphysics run deeper. The picture assumes that metaphysicians begin their work confronted with a totality of objects that is nonproblematically given and that their job is to find niches in which to place the objects in that totality. The fact is, however, that philosophers who disagree about categories disagree about what objects there are. There is no antecedently given set of objects about which all metaphysicians agree. Disputes in metaphysics are typically disputes about how one is to answer the question “What objects are there?” and to provide alternative lists of categories is just to provide different answers to this question.
그러나 범주들과 형이상학의 본성에 대한 이러한 이해와 더불어 난점들은 더욱 심각해진다. 그러한 구상은 형이상학자들이 논란의 여지 없이 주어지는 대상들의 총체성에 직면한 그들의 작업을 시작한다는 것과 그들의 일이 그 총체성에 있어서 대상들을 정위시키는 그 영역들을 발견하는 것임을 전제한다. 그렇지만 범주들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 철학자들이 어떤 대상들이 존재하는지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는 것은 사실이다. 모든 형이상학자들이 그에 동의하는 그 어떠한 선행적으로 주어진 일련의 대상들도 없다. 형이상학에 대한 반박들은 전형적으로 어떻게 누군가 "어떤 대상들이 존재하는가?"라는 물음을 답할 것인지 그리고 범주들의 대안적 목록들을 제공하는 것이 바로 이 물음에 대한 상이한 답변들을 제공하는 것인지에 대해 반박한다.

A simple example enables u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metaphysical disputes. Consider somersaults. ‘Somersault’ is a term that most of us who speak English know how to use; we all apply it in roughly the same situations and we withhold it in roughly the same situations; and we use it to express beliefs most of us share, beliefs about what somersaults are, beliefs about when one has occurred, beliefs about when one was done well, and so on. Now, we can imagine two philosophers reacting to these facts about the term ‘somersault’ in very different ways. One tells us that there are such things as somersaults. He/she tells us that a somersault is simply a complete revolution of what is typically a human body, done either forwards or backwards, with the heels going over the head. He/she insists that since many such revolutions have occurred, there have been many somersaults, and claims that unless we suppose there are such things as somersaults, we will be unable to explain how claims like

(1) George performed five somersaults between 3 p.m. and 4 p.m. on Thursday

can be true. The other philosopher, however, disagrees. He/she denies that there are such things as somersaults. He/she concedes that people and some animals roll themselves over in the relevant way, but he/she denies that this implies the existence of a special class of entities, somersaults. He/she concedes as well that many claims like (1) are true; but, again, he/she denies that this implies the existence of a special type of entity. What makes (1) true, he/she insists, is simply that George turned himself over five times during the relevant time period.
간 단한 사례가 우리로 하여금 형이상학적 반박들의 본성을 이해하도록 해준다. 재주넘기들을 고려해 보자. '재주넘기'는 영어 사용자인 우리들 대다수가 어떻게 사용하는지 아는 용어이다; 우리 모두는 그 용어를 개략적으로 동일한 상황들에 적용하고 개략적으로 동일한 상황들에 묶어둔다; 그리고 우리는 그 용어를 우리 대다수가 공유하는 믿음들, 재주넘기들인 것에 대한 믿음들, 그것이 언제 발생하는지에 대한 믿음들, 그것이 언제 잘 수행되었는지에 대한 믿음들 따위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다. 이제, 우리는 '재주넘기'라는 용어에 대한 이러한 사실들에 대해 아주 상이한 방식들로 반응하는 두 철학자들을 상상할 수 있다. 한 사람은 우리에게 재주넘기들로서의 그러한 사물들이 있다고 말한다. 그/녀는 우리에게 재주넘기는 단순히 전형적으로 인간 신체인 것의 완전한 회전, 머리를 넘어가는 발뒤꿈치들을 가지고 앞으로든 뒤로든 이루어지는 회전이라고 말한다. 그/녀는 그러한 많은 회전들이 발생한 이래로, 여러 재주넘기들이 있어 왔다고 주장하고, 우리가 재주넘기들로서의 그러한 사물들이 있다고 가정하지 않는 한, 우리는 어떻게 다음과 같은 것이 참일 수 있다고 주장하는지 설명할 수 없을 것이다.

(1) 조지는 목요일 오후 3시와 오후 4시 사이에 다섯 번의 재주넘기를 수행하였다.

그 렇지만 다른 남은 철학자는 동의하지 않는다. 그/녀는 재주넘기들과 같은 그런 사물들이 있음을 부정한다. 그/녀는 사람들과 일부 동물들이 적절한 방식으로 굴러 넘는다는 것을 인정하지만, 그/녀는 이것이 실체들, 그러니까 재주넘기들의 특수한 분류의 현존을 함축한다는 것은 부정한다. 그/녀는 (1)이 참이라는 것과 같은 많은 주장들을 인정하지만; 다시 한 번, 그/녀는 이것이 실체의 한 특수한 유형의 현존을 함축한다는 점은 부정한다. 그/녀는 (1)을 참으로 만드는 것이 단순히 조지가 그 자신을 관련된 시간 동안 다섯 차례 굴러 넘겼다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What are our two philosophers disagreeing about? Certainly they are not disagreeing about how we use the term ‘somersault’ in our ordinary, prephilosophical talk about the world, nor are they disagreeing about the truth value of claims like (1). They are disagreeing about whether the relevant facts of ordinary usage and the truth of the relevant prephilosophical claims require us to recognize somersaults in our “official” philosophical story about the world and its workings; they are disagreeing about whether things like somersaults should enter into our “official” philosophical inventory of things that are. Such an “official” inventory is usually called an ontology. Using this term, we can say that our two philosophers are disagreeing about whether our ontology should include somersaults. The dispute between them is a metaphysical dispute. It is not, however, the sort of dispute that is likely to occupy serious metaphysicians. It isn’t that all metaphysicians think that our ontology must include somersaults; they do not. The reason metaphysicians would not concern themselves with argument about the status of somersaults is that the topic of somersaults is too specific, too local. The disagreement between our two philosophers is, however, easily generalized; and when it is, it becomes the sort of dispute metaphysicians do characteristically enter into. The philosopher who claims that we must recognize the existence of somersaults does not make that claim out of any special fondness for somersaults. Almost certainly, the claim is inspired by the philosopher’s belief in the existence of things of a more general type. It is because he/she believes that events in general must enter into our ontology that he/she makes this claim for somersaults. In the same way, his/her opponent denies that there are such things as somersaults, not because he/she harbors a special prejudice against somersaults, but because he/she denies that our “official” story of the world should make reference to events. So the dispute over somersaults has its origin in a more general dispute. The more general dispute is a category dispute. The one philosopher believes that we should embrace the category of events; the other denies this. To disagree about categories, then, is to disagree about what things exist; and many of the most central disputes in metaphysics are disputes of this sort. Although they operate at a more general level than the dispute over somersaults, they often display a certain structure. We have a dispute organized around a question about the existence of things of a very general type or category. Are there properties? Are there relations? Are there events? Are there substances? Are there propositions? Are there states of affairs? Are there possible worlds? In each case, there is a body of prephilosophical facts that function as data for the dispute. One party to the dispute insists that to explain the relevant prephilosophical facts, we must answer the existential question affirmatively. The other party claims that there is something philosophically problematic in the admission of entities of the relevant sort into our ontology, and argues that we can account for the prephilosophical facts without doing so.
우리의 두 철학자들은 무엇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고 있는가? 확실히 그들은 우리의 우리의 일상에서 '재주넘기'라는 말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서, 세계에 대해 어떻게 전철학적으로 말하는지에 대해서도 의견이 불일치하지 않고 있으며, (1)과 같은 주장들의 진리치에 대해서도 의견이 갈리지는 않고 있다. 그들은 일상적 용법의 관련 요소들과 상관된 전철학적 주장들의 참이 우리로 하여금 세계와 세계의 작동들에 대한 우리의 "공식적"인 철학적 서사에 있어서 재주넘기들을 재인하도록 요구하는지에 대해 의견이 갈리고 있다; 그들은 재주넘기들과 같은 사물들이 존재하는 사물들에 대한 우리의 "공식적"인 철학적 목록으로 들어와야 할는지에 대해 의견이 갈리고 있다. 이 용어를 사용하면서, 우리는 우리의 두 철학자들이 우리의 존재론이 재주넘기들을 포함해야 할는지에 대해 의견이 갈리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들 사이의 반박은 형이상학적 반박이다. 그렇지만 그것은 진지한 형이상학자들을 사로잡을 것 같은 그런 종류의 반박은 아니다. 모든 형이상학자들이 우리의 존재론은 반드시 재주넘기들을 포함해야만 한다고 생각한다는 것은 아니다; 그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형이상학자들이 재주넘기들의 상태에 대한 논증에 관계하지 않을 까닭은 재주넘기라는 화제가 지나치게 특수하고, 지나치게 국소적이라는 것이다. 그렇지만 우리의 두 철학자들 사이에서의 의견 불일치는 쉽사리 일반화된다; 그리고 그것이 일반화될 때, 그것은 형이상학자들이 특징적으로 개입하는 그런 종류의 논박이 된다. 우리가 반드시 재주넘기들의 현존을 재인해야만 한다고 주장하는 철학자는 그 주장을 재주넘기들에 대한 그 어떤 특별한 기호로부터도 만들지 않는다. 거의 확실히, 그 주장은 더욱 일반적 유형의 사물들의 현존에 대한 그 철학자의 믿음에 의해 일어난다. 그/그녀가 재주넘기들에 대해 이러한 주장을 형성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사건들이 우리의 존재론 안으로 들어와야만 한다고 그/그녀가 믿기 때문이다. 같은 방식으로, 그/그녀의 반대자는 재주넘기들과 같은 그러한 사물들이 있음을 부정하는데, 그/그녀가 재주넘기들에 반대해 특수한 편견을 품고 있기 때문이 아니고, 그/그녀가 세계에 대한 우리의 "공식적"인 서사가 사건들에 대한 지시를 형성해야 하리라는 점을 부정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재주넘기들에 대한 그 반박은 그 기원을 더욱 일반적인 반박에 둔다. 그 더욱 일반적인 반박은 범주적 반박이다. 한 편의 철학자는 우리가 사건들의 범주를 수용해야 하리라고 믿는다; 다른 철학자는 이걸 부정한다. 그래서 범주들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 것은 어떤 사물들이 현존하는지에 대해 의견이 갈리는 것이다; 그리고 형이상학에 있어서 가장 중심되는 반박들의 다수는 이런 종류의 반박들이다. 그 반박들이 재주넘기들에 대한 반박보다 더 일반적인 차원에서 작동한다 할지라도, 그 반박들은 종종 특정한 구조를 드러내 보인다. 우리는 매우 일반적인 유형 또는 범주에 속하는 사물들의 현존에 대한 물음을 둘러싸고 조직된 반박을 지닌다. 속성들은 있는가? 가능세계들은 있는가? 각 경우에서, 그 반박을 위한 재료로서 기능하는 전철학적 사실들의 묶음이 있다. 그 반박에 대한 한 집단은 그 상관된 전철학적 사실들을 설명하기 위해, 우리가 반드시 현존적 물음을 긍정적으로 답해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남은 다른 집단은 그 상관된 종류의 실체들을 우리의 존재론에 허용함에 있어서 철학적으로 문제가 있는 어떤 것이 있다고 주장하고, 우리는 그렇게 허용하지 않고 그 전철학적 사실들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Disputes over categories do not, however, always have precisely this form. We do not always find the parties to the dispute giving opposed answers to a question of the form “Are there C’s?” (where ‘C’ is a category word). Sometimes we find them agreeing that there exist entities of this or that category; but, then, one party goes on and tells us that while there actually are entities corresponding to the category, they are all to be analyzed in terms of entities from some other category. Suppose the dispute centers on material objects. While both parties agree that there are material objects, one party tells us that material objects are to be analyzed as collections of sensory qualities. His/her opponent in the dispute is likely to respond by saying, “Look, you don’t really think that there are material objects. You just mouth the words. In your view, there really are no material objects; there are just sensory qualities.” In reply, his/her opponent will doubtless object that he/she really does believe that there are material objects. “I am not denying that material objects exist; I am merely telling you what they are like.” It is difficult to know how to resolve the argument about the term ‘exists’; but however we resolve it, we must concede that there is deep metaphysical disagreement here, a disagreement that is, in some broad sense, existential. A way to express the disagreement is to say that while the one metaphysician wants to include material objects among the primitive or basic elements in her ontology, the other does not. The former denies that material objects can be analyzed in terms of or reduced to any more basic entities; the latter takes material objects to be mere constructions out of more fundamental entities. Although he/she says that there are material objects, when we look to the primitive items in his/her ontology (that is, the items in his or her ontology that are not reducible to entities of a more basic kind), we find no material objects, just sensory qualities. At rock bottom, then, there are no material objects in his/her ontology. In his/her metaphysical theory, material objects are not among the basic “building blocks” of reality. We can say that while material objects comprise a primitive or underived category in the ontology of the one philosopher, they constitute a derived category in that of the other.
그렇지만 범주들을 둘러싼 논박들이 언제나 정확히 이러한 형태를 띠지는 않는다. 우리가 언제나 "C들이 있는가?"(C가 범주적 용인 곳에서) 라는 형식의 물음에 대해 반대하는 답변들을 제시하는 반박에 대한 집단들을 발견하진 않는다. 때로 우리는 이러저러한 범주 실체들이 현존한다는 것을 동의하는 집단들을 발견한다; 그래서, 그러나 한 집단은 계속 나아가 우리에게 그 범주에 부합하는 실체들이 실제로 있는 반면, 그 실체들은 모두 어떤 다른 범주로부터의 실체들로 분석되는 것이라고 말한다. 두 집단 모두 물질적 대상들이 있음을 동의하지만, 한 집단은 우리에게 물질적 대상들이 감각적 성질들의 모음들로서 분석되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 반박에 있어서 그/녀의 반대자는 "보세요, 당신은 정말로 물질적 대상들이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아요. 당신은 단지 말만 그렇게 할 따름이죠. 당신의 관점에서, 정말로 물질적 대상들은 전혀 없어요; 단지 감각적 성질들만 있죠."라고 말함으로써 응답할 것 같다. 그 응답에서, 그/녀의 반대자는 의심의 여지 없이 그/그녀가 정말로 물질적 대상들이 있다고 믿는다는 것을 반대할 것이다. "저는 물질적 대상들이 현존한다는 걸 부정하고 있지 않아요; 저는 단지 당신에게 그것들이 무엇과 같은지 말하고 있을 뿐이에요." '현존'이라는 말에 대한 그 논증을 해결하는 방식을 알기는 어렵다; 그러나 우리가 그것을 해결한다 하더라도, 우리는 반드시 여기에 심오한 형이상학적 의견 불일치가 있음을 인정해야 하는데, 그 의견 불일치는 좀 더 넓은 의미에서, 현존적이다. 그 의견 불일치를 표현하는 한 방법은 한 족의 형이상학자는 그녀의 존재론에 있어서 원초적인 혹은 기초적인 요소들 중에 물질적 대상들을 포함시키고자 하는 반면, 다른 쪽은 그렇지 않다고 말하는 것이다. 전자는 물질적 대상들이 어떤 더욱 기초적인 실체들로 분석될 수 있거나 혹은 환원될 수 있음을 부정한다; 후자는 물질적 대상들을 더욱 근본적인 실체들로부터의 단순한 구조물들인 것으로 받아들인다. 그/녀가 물질적 대상들이 있다고 말한다 할지라도, 우리가 그/녀의 존재론에 있어서 기초적인 항목들을 살펴볼 때 (즉, 그 혹은 그녀의 존재론에 있어서 더욱 기초적인 종류의 실체들로 환원될 수 없는 항목들을), 우리는 어떠한 물질적 대상들도 발견하지 못하고, 단지 감각적 성질들만을 발견한다. 그래서 그 기저에서, 그/녀의 존재론에 있어서 물질적인 대상들은 전혀 없다. 그/녀의 형이상학적 이론에 있어서, 물질적 대상들은 실재성의 기초적 "건축 자재들" 중에 들지 않는다. 우리는 물질적 대상들이 한쪽 철학자의 존재론에 있어서는 기초적이거나 또는 파생적이지 않은 범주를 구성하고, 그러한 물질적 대상들이 다른 쪽 철학자의 존재론에 있어서는 파생적 범주들을 구성한다고 말할 수 있다.

So disputes over categories are disputes about the existence of entities of some very general kind or category. Sometimes the parties to the dispute disagree about the existence of entities of the relevant kind; sometimes they disagree about whether entities of the category are reducible to entities of some more basic category. Now, to provide a complete metaphysical theory is to provide a complete catalogue of the categories under which things fall and to identify the sorts of relations that obtain among those categories. The latter task will involve the identification of certain categories as basic and others as derived, and a specification of just how entities from the derived categories are to be reduced to or analyzed in terms of entities from the basic categories. A complete catalogue of this sort would represent a general account of all that there is. Aristotle believed that an account of this sort is the goal of the metaphysical enterprise. Not many metaphysicians today are prepared to offer this kind of complete theory of categories. The issues surrounding any one of the categories that have historically been the focus of metaphysical theorizing are so complex that contemporary metaphysicians are satisfied if they can work their way through just a handful of these sets of issues. In this book, we will follow their lead. We will not attempt anything so ambitious as a complete system of categories. We will focus on the issues that arise when one seeks to answer just a few of the category questions that arise in metaphysics. The questions we will consider are all very important, very fundamental questions, so examining them should give us a good sense of just what metaphysics is. Let us get on, then, with the questions; and let us begin with the set of questions that has been called the problem of universals.
그래서 범주들을 둘러싼 반박들은 어떤 매우 일반적인 종류 혹은 범주의 실체들의 현존에 대하 반박들이다. 때로 반박 집단들은 상관된 종류의 실체들의 현존에 대해 의견이 갈린다; 때로 그들은 범주의 실체들이 어떤 더욱 기초적인 범주의 실체들로 환원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의견이 갈린다. 이제 완결된 형이상학적 이론을 제공하는 것은 사물들이 그 아래에 속하는 범주들의 완결된 목록표를 제공하는 것이고 그러한 목록표들 중에서 획득하는 그런 관계들의 종류들을 규정하는 것이다. 후자의 작업은 특정한 범주들을 기초적인 것으로 그리고 다른 범주들을 파생적인 것으로 규정함을 포함할 것이고, 바로 어떻게 파생적 범주들로부터의 실체들이 기초적 범주들로부터의 실체들로 화원되거나 분석되는 것인지를 상술하는 것을 포함할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완결된 목록표는 존재하는 것 일체에 대한 일반적 설명을 표현할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러한 종류의 설명이 형이상학적 기획의 목표라고 믿었다. 오늘날 많지 않은 형이상학자들만이 범주들에 대한 이런 종류의 완결된 이론을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다. 역사적으로 형이상학적 이론화의 초점이 되어 온 그러한 범주들 중 무엇이든 한 가지를 둘러싼 문제들은 매우 복잡해서 현대 형이상학자들이 만일 이러한 문제들의 집합들 중 단지 한 줌만을 통해서라도 그들의 방식을 작동시킬 수 있다면 만족할 지경이다. 이 책에서, 우리는 그들의 인도를 따를 것이다. 우리는 범주들에 대한 완결된 체계와 같은 그런 어떠한 야심찬 일도 시도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형이상학에서 제기되는 범주적 물음들의 단지 약간에 답변하는 일을 추구할 때 일어나는 문제들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우리가 고찰할 그 물음들은 모두 매우 중요하고, 매우 근본적인 물음들이며, 그래서 그 물음들을 검토하는 일은 우리에게 형이상학이 무엇인지에 대한 훌륭한 의미를 제공할 것이다. 그래서 그 물음들로 나아가 보자; 그리고 보편자 문제라 불려온 일련의 물음들로 시작하도록 하자.

-蟲-
Platonism in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First published Sat Jul 18, 2009

Platonism about mathematics (or mathematical platonism) is the metaphysical view that there are abstract mathematical objects whose existence is independent of us and our language, thought, and practices. Just as electrons and planets exist independently of us, so do numbers and sets. And just as statements about electrons and planets are made true or false by the objects with which they are concerned and these objects' perfectly objective properties, so are statements about numbers and sets. Mathematical truths are therefore discovered, not invented.

The most important argument for the existence of abstract mathematical objects derives from Gottlob Frege and goes as follows (Frege 1953). The language of mathematics purports to refer to and quantify over abstract mathematical objects. And a great number of mathematical theorems are true. But a sentence cannot be true unless its sub-expressions succeed in doing what they purport to do. So there exist abstract mathematical objects that these expressions refer to and quantify over.

Frege's argument notwithstanding, philosophers have developed a variety of objections to mathematical platonism. Thus, abstract mathematical objects are claimed to be epistemologically inaccessible and metaphysically problematic. Mathematical platonism has been among the most hotly debated topics in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over the past few decades.

    * 1. What is Mathematical Platonism?
          o 1.1 Historical remarks
          o 1.2 The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mathematical platonism
          o 1.3 Anti-nominalism
          o 1.4 Truth-value realism
          o 1.5 The mathematical significance of platonism
    * 2. The Fregean Argument for Existence
          o 2.1 The structure of the argument
          o 2.2 Defending Classical Semantics
          o 2.3 Defending Truth
          o 2.4 The notion of ontological commitment
    * 3. From Existence to Mathematical Platonism
          o 3.1 Abstractness
          o 3.2 Independence
    * 4. Objections to Mathematical Platonism
          o 4.1 Epistemological access
          o 4.2 A metaphysical objection
          o 4.3 Other metaphysical objections
    * 5. Lightweight Forms of Platonism
          o 5.1 Plenitudious platonism
          o 5.2 Lightweight semantic values
          o 5.3 What is mathematical platonism anyway?
    * Bibliography
    * Other Internet Resources
    * Related Entries

1. What is Mathematical Platonism?

Mathematical platonism can be defined as the conjunction of the following three theses:

    Existence.
    There are mathematical objects.

    Abstractness.
    Mathematical objects are abstract.

    Independence.
    Mathematical objects are independent of intelligent agents and their language, thought, and practices.

Some representative definitions of ‘mathematical platonism’ are listed in the supplement

    Some Definitions of Platonism

and document that the above definition is fairly standard.

Platonism in general (as opposed to platonism about mathematics specifically) is any view that arises from the above three claims by replacing the adjective ‘mathematical’ by any other adjective.

The first two claims are tolerably clear for present purposes. Existence can be formalized as ‘∃xMx’, where ‘Mx’ abbreviates the predicate ‘x is a mathematical object’ which is true of all and only the objects studied by pure mathematics, such as numbers, sets, and functions. Abstractness says that every mathematical object is abstract, where an object is said to be abstract just in case it is non-spatiotemporal and (therefore) causally inefficacious. (For further discussion, see the entry on abstract objects.)

Independence is less clear than the other two claims. What does it mean to ascribe this sort of independence to an object? The most obvious gloss is probably the counterfactual conditional that, had there not been any intelligent agents, or had their language, thought, or practices been different, there would still have been mathematical objects. It is doubtful that this gloss will do the work that Independence is supposed to do (see Section 5.3); for now, Independence will be left somewhat schematic.
1.1 Historical remarks

Platonism must be distinguished from the view of the historical Plato. Few parties to the contemporary debate about platonism make strong exegetical claims about Plato's view, much less defend it. Although the view which we are calling ‘platonism’ is inspired by Plato's famous theory of abstract and eternal Forms (see the entry on Plato's metaphysics and epistemology), platonism is now defined and debated independently of its original historical inspiration.

Not only is the platonism under discussion not Plato's, platonism as characterized above is a purely metaphysical view: it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other views that have substantive epistemological content. Many older characterizations of platonism add strong epistemological claims to the effect that we have some immediate grasp of, or insight into, the realm of abstract objects. (See e.g., Rees 1967.) But it is useful (and nowadays fairly standard) to reserve the term ‘platonism’ for the purely metaphysical view described above. Many philosophers who defend platonism in this purely metaphysical sense would reject the additional epistemological claims. Examples include Quine and other philosophers attracted to the so-called indispensability argument, which seeks to give a broadly empirical defense of mathematical platonism. (See the entry on indispensability arguments in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Finally, the above definition of ‘mathematical platonism’ excludes the claim that all truths of pure mathematics are necessary, although this claim has traditionally been made by most platonists. Again, this exclusion is justified by the fact that some philosophers who are generally regarded as platonists (for instance, Quine and some adherents of the aforementioned indispensability argument) reject this additional modal claim .
1.2 The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mathematical platonism

Mathematical platonism has considerable philosophical significance. If it were true, it would put great pressure on the physicalist idea that reality is exhausted by the physical. For platonism entails that reality extends far beyond the physical world and includes objects which aren't part of the causal and spatiotemporal order studied by the physical sciences.1 Mathematical platonism, if true, would also put great pressure on many naturalistic theories of knowledge. For there is little doubt that we possess mathematical knowledge. Mathematical platonism would therefore establish that we have knowledge of abstract (and thus causally inefficacious) objects. This would be an important discovery, which many naturalistic theories of knowledge would struggle to to accommodate.

Although these philosophical consequences are not unique to mathematical platonism, this particular form of platonism is unusually well suited to support such consequences. For mathematics is a remarkably successful discipline, both in its own right and as a tool for other sciences.2 Few contemporary analytic philosophers are willing to contradict any of the core claims of a discipline whose scientific credentials are as strong as those of mathematics (Lewis 1991, pp. 57–9). So if philosophical analysis reveals mathematics to have some strange and surprising consequences, it would be unattractive simply to reject mathematics.3 A form of platonism based on a discipline whose scientific credentials are less impressive than those of mathematics would not be in this fortunate situation. For instance, if theology turns out to have some strange and surprising philosophical consequences, many philosophers would not hesitate to reject the relevant parts of theology.
1.3 Anti-nominalism

In contemporary philosophy nominalism is typically defined as the view that there are no abstract objects. (In more traditional philosophical usage the word ‘nominalism’ refers instead to the view that there are no universals. See Burgess & Rosen 1997, pp. 13–25 and the entry on abstract objects.) Let anti-nominalism be the negation of nominalism, that is, the claim that there exist abstract objects. Anti-nominalism about mathematics is thus just the conjunction of Existence and Abstractness. Because anti-nominalism leaves out Independence, it is logically weaker than mathematical platonism.

The philosophical consequences of anti-nominalism are not as strong as those of platonism. Many physicalists would accept non-physical objects provided that these are dependent on or reducible to physical objects. They may for instance accept objects such as corporations, laws, and poems, provided that these are suitably dependent or reducible to physical objects. Moreover, there appears to be no mystery about epistemic access to non-physical objects that we have somehow made or ‘constituted’. If corporations, laws, and poems are made or ‘constituted’ by us, presumably we gain knowledge of them in the process of making or ‘constituting’ them.

Some views in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are anti-nominalist without being platonist. One example are traditional intuitionist views, which affirm the existence of mathematical objects but maintain that these objects depend on or are constituted by mathematicians and their activities.4 Some further examples of views that are anti-nominalist without being platonist will be discussed in Section 5.2.
1.4 Truth-value realism

Truth-value realism is the view that every well-formed mathematical statement has a unique and objective truth-value that is independent of whether it can be known by us and whether it follows logically from our current mathematical theories. The view also holds that most mathematical statements that are deemed to be true are in fact true.5 Thus truth-value realism is clearly a metaphysical view. But unlike platonism it is not an ontological view. For although truth-value realism claims that mathematical statements have unique and objective truth-values, it is not committed to the distinctively platonist idea that these truth-values flow from an ontology of mathematical objects.

Mathematical platonism clearly motivates truth-value realism by providing an account of how mathematical statements get their truth-values. But further premises would be needed for the former view to entail the latter. For even if there are mathematical objects, referential and quantificational indeterminacy may deprive mathematical statements of a unique and objective truth-value. Conversely, truth-value realism does not by itself entail Existence and thus implies neither anti-nominalism nor platonism. For there are various accounts of how mathematical statements can come to possess unique and objective truth-values which do not posit a realm of mathematical objects.6

In fact, many nominalists endorse truth-value realism, at least about more basic branches of mathematics, such as arithmetic. Nominalists of this type are committed to the slightly odd-sounding view that, although the ordinary mathematical statement

    (1) There are primes numbers between 10 and 20.

is true, there are in fact no mathematical objects and thus in particular no numbers. But there is no contradiction here. We must distinguish between the language LM in which mathematicians make their claims and the language LP in which nominalists and other philosophers make theirs. The statement (1) is made in LM. But the nominalist's assertion that (1) is true but that there are no abstract objects is made in LP. The nominalist's assertion is thus perfectly coherent provided that (1) is translated non-homophonically from LM into LP. And indeed, when the nominalist claims that the truth-values of sentences of LM are fixed in a way which doesn't appeal to mathematical objects, it is precisely this sort of non-homophonic translation she has in mind. The view mentioned in the previous note provides an example.

This shows that for the claim Existence to have its intended effect, it must be expressed in the language LP used by us philosophers. If the claim was expressed in the language LM used by mathematicians, then nominalists could accept the claim while still denying that there are mathematical objects, contrary to the purpose of the claim.

A small but important tradition of philosophers urge that the debate about platonism should be replaced by, or at least transformed into, a debate about truth-value realism. One reason in support of this view is that the former debate is hopelessly unclear, while the latter is more tractable (Dummett 1978a, pp. 228–232 and Dummett 1991b, pp. 10–15). Another reason offered is that the debate about truth-value realism is of greater importance to both philosophy and mathematics than the one about platonism.7
1.5 The mathematical significance of platonism

Working realism is the methodological view that mathematics should be practiced as if platonism was true (Bernays 1935, Shapiro 1997, pp. 21–27 and 38–44). This requires some explanation. In debates about the foundations of mathematics platonism has often been used to defend certain mathematical methods, such as the following:

   1. Classical first-order (or stronger) languages whose singular terms and quantifiers appear to be referring to and ranging over mathematical objects. (This contrasts with the languages that dominated earlier in the history of mathematics, which relied more heavily on constructive and modal vocabulary.)
   2. Classical rather than intuitionistic logic.
   3. Non-constructive methods (such as non-constructive existence proofs) and non-constructive axioms (such as the Axiom of Choice).
   4. Impredicative definitions (that is, definitions that quantify over a totality to which the object being defined would belong).
   5. ‘Hilbertian optimism’, that is, the belief that every mathematical problem is in principle solvable.8

According to working realism, these and other classical methods are acceptable and available in all mathematical reasoning. But working realism does not take a stand on whether these methods require any philosophical defense, and if so, whether this defense must be based on platonism. In short, where platonism is an explicitly philosophical view, working realism is first and foremost a view within mathematics itself about the correct methodology of this discipline. Platonism and working realism are therefore distinct views.

Are there any logical relations between the two views? Given the origin of working realism,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 view receives strong support from mathematical platonism. Assume that mathematical platonism is true. Then clearly the language of mathematics ought to be as described in (i). Secondly, provided it is legitimate to reason classically about any independently existing part of reality, (ii) would also follow. Thirdly, since platonism ensures that mathematics is discovered rather than invented, there would be no need for mathematicians to restrict themselves to constructive methods and axioms, which establishes (iii). Fourth, there is a powerful and influential argument due to Gödel (1944) that impredicative definitions are legitimate whenever the objects being defined exist independently of our definitions. (For instance, ‘the tallest boy in the class’ appears unproblematic despite being impredicative.) If this is correct, then (iv) would follow. Finally, if mathematics is about some independently existing reality, then every mathematical problem has a unique and determinate answer, which provides at least some motivation for Hilbertian optimism. (See, however, the discussion of plenitudinous platonism in Section 5.1.)

The truth of mathematical platonism would therefore have important consequences within mathematics itself. It would justify the classical methods associated with working realism and encourage the search for new axioms to settle questions (such as the Continuum Hypothesis) which are left open by our current mathematical theories.

However, working realism does not in any obvious way imply platonism. Although working realism says that we are justified in using the platonistic language of contemporary mathematics, this falls short of platonism in at least two ways. As the above discussion of truth-value realism showed, the platonistic language of mathematics can be analysed in such a way as to avoid reference to and quantification over mathematical objects. Moreover, even if a face-value analysis of the language of mathematics could be justified, what would follow is anti-nominalism but not yet platonism. An additional argument would be needed for the third component of platonism, namely, Independence. The prospects for such an argument are discussed in Section 3.2.
2. The Fregean Argument for Existence

What follows is a template of an argument for the existence of mathematical objects. Since the first philosopher who developed an argument of this general form was Frege, it will be referred to as the Fregean argument. But the template is general and abstracts away from most specific aspects of Frege's own defense of the existence of mathematical objects, such as his view that arithmetic is reducible to logic. Fregean logicism is just one way in which this template can be developed; some other ways will be mentioned below.
2.1 The structure of the argument

The Fregean argument is based on two premises, the first of which concerns the semantics of the language of mathematics:

    Classical Semantics.
    The singular terms of the language of mathematics purport to refer to mathematical objects, and its first-order quantifiers purport to range over such objects.

The word ‘purport’ needs to be explained. When a sentence S purports to refer or quantify in a certain way, this means that for S to be true, S must succeed in referring or quantifying in this way.

The second premise does not require much explanation:

    Truth.
    Most sentences accepted as mathematical theorems are true (regardless of their syntactic and semantic structure).

Consider sentences which are accepted as mathematical theorems and which contain one or more mathematical singular terms. By Truth, most of these sentences are true.9 Let S be one such sentence. By Classical Semantics, the truth of S requires that its singular terms succeed in referring to mathematical objects. Hence there must be mathematical objects, as asserted by Existence.10
2.2 Defending Classical Semantics

Classical Semantics claims that the language of mathematics functions semantically much like language in general functions (or at least has traditionally been assumed to function): the semantic functions of singular terms and quantifiers are, respectively, to refer to objects and to range over objects. This is a broadly empirical claim about the workings of a semi-formal language used by the community of professional mathematicians. (In the widely adopted terminology of Burgess & Rosen 1997, pp. 6–7, Classical Semantics is a hermeneutic claim; that is, it is a descriptive claim about how a certain language is actually used, not a normative claim about how this language ought to be used.) Note also that Classical Semantics is compatible with most traditional views on semantics; in particular, it is compatible with all the standard views on the meanings of sentences, namely that they are truth-values, propositions, or sets of possible worlds.

Classical Semantics enjoys strong prima facie plausibility. For the language of mathematics strongly appears to have the same semantic structure as ordinary non-mathematical language. As Burgess (1999) observes, the following two sentences appear to have the same simple semantic structure of a predicate being ascribed to a subject (p. 288):

    (4) Evelyn is prim.

    (5) Eleven is prime.

This appearance is also borne out by the standard semantic analyses proposed by linguists and semanticists.

Classical Semantics has nevertheless been challenged, for instance by nominalists such as Hellman (1989) and by Hofweber (2005). This is not the place for an extended discussion of such challenges. Let me just note that a lot of work is needed to substantiate this sort of challenge. The challenger will have to argue that the apparent semantic similarities between mathematical and non-mathematical language are deceptive. And these arguments will have to be of the sort that linguists and semanticists—with no vested interest in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could come to recognize as significant.11
2.3 Defending Truth

Truth can be defended in a variety of different ways. Common to all defenses is that they first identify some standard by which the truth-values of mathematical statements can be assessed and then argue that mathematical theorems meet this standard.

One option is to appeal to a standard that is more fundamental than that of mathematics itself. Logicism provides an example. Frege and other logicists first claim that any theorem of pure logic is true. Then they attempt to show that the theorems of certain branches of mathematics can be proved from pure logic and definitions alone.

Another option is to appeal to the standards of empirical science. The Quine-Putnam indispensability argument provides an example. First it is argued that any indispensable part of empirical science is likely to be true and therefore something we are justified in believing. Then it is argued that large amounts of mathematics are indispensable to empirical science. If both claims are correct, it follows that Truth is likely to be true and that belief in Truth therefore is justified.

A third option is to appeal to the standards of mathematics itself. Why should one have to appeal to non-mathematical standards, such as those of logic or empirical science, in order to defend the truth of mathematical theorems? When we defend the truth of the claims of logic and physics, we do not need to appeal to standards outside of respectively logic and physics. Rather we assume that logic and physics provide their own sui generis standards of justification. Why should mathematics be any different? This third strategy has received a lot of attention in recent years, often under the heading of ‘naturalism’ or ‘mathematical naturalism’. (See Burgess & Rosen 1997, Maddy 1997, and, for critical discussion, see the entry on naturalism in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Here is an example of how a naturalistic strategy can be developed. Call the attitude that mathematicians take to the theorems of mathematics ‘acceptance’. Then the following claims seem plausible:

    (6) Mathematicians are justified in accepting the theorems of mathematics.

    (7) Accepting a mathematical statement S involves taking S to be true.

    (8) When a mathematician accepts a mathematical statement S, the content of this attitude is in general the literal meaning of S.

From these three claims it follows that mathematical experts are justified in taking the theorems of mathematics to be literal truths. By extension the rest of us too are justified in believing Truth. Note that the experts with whom (6) is concerned need not themselves believe (7) and (8), let alone be justified in any such belief. What matters is that the three claims are true. The task of establishing the truth of (7) and (8) may fall to linguists, psychologists, sociologists, or philosophers, but certainly not to mathematicians themselves.
2.4 The notion of ontological commitment

Versions of the Fregean argument are sometimes stated in terms of the notion of ontological commitment. Assume we operate with the standard Quinean criterion of ontological commitment:

    Quine's Criterion.
    A first-order sentence (or collection of such sentences) is ontologically committed to such objects as must be assumed to be in the range of the variables for the sentence (or collection of sentences) to be true.

Then it follows from Classical Semantics that many sentences of mathematics are ontologically committed to mathematical objects. To see this, consider a typical mathematical theorem S, which involves some normal extensional occurrence of either singular terms or first-order quantifiers. By Classical Semantics, these expressions purport to refer to or range over mathematical objects. For S to be true, these expressions must succeed in doing what they purport to do. Consequently, for S to be true, there must be mathematical objects in the range of the variables. By Quine's Criterion this means that S is ontologically committed to mathematical objects.

Quine and many others take Quine's Criterion to be little more than a definition of the term ‘ontological commitment’ (Quine 1969 and Burgess 2004). But the criterion has nevertheless been challenged. Some philosophers deny that singular terms and first-order quantifiers automatically give rise to ontological commitments. Perhaps what “required of the world” for the sentence to be true involves the existence of some but not all of the objects in the range of the quantifiers (Rayo 2008). Or perhaps we should sever the link between the first-order existential quantifier and the notion of ontological commitment (Azzouni 2004 and Hofweber 2000).

One response to these challenges is to observe that the Fregean argument was developed above without any use of the term ‘ontological commitment’. Any challenge to the definition of ‘ontological commitment’ provided by Quine's Criterion therefore appears irrelevant to the version of the Fregean argument developed above. However, this response is unlikely to satisfy the challengers, who will respond that the conclusion of the argument developed above is too weak to have its intended effect. Recall that the conclusion, Existence, is formalized in our philosophical meta-language LP as ‘∃xMx’. So this formalization will fail to have its intended effect unless this meta-language sentence is of the sort that incurs ontological commitment. But that is precisely what the challengers dispute. This controversy cannot be pursued further here. For now, observe that the challengers need to provide an account of why their non-standard notion of ontological commitment is better and theoretically more interesting than the standard Quinean notion.
3. From Existence to Mathematical Platonism

Recall that mathematical platonism is the result of adding to Existence the two further claims Abstractness and Independence.
3.1 Abstractness

By the standards of philosophy, Abstractness has remained relatively uncontroversial. Among the few philosophers to have challenged it are Maddy (1990) (concerning impure sets) and Bigelow (1988) (concerning sets and various kinds of numbers). This relative lack of controversy means that few explicit defenses of Abstractness have been developed. But it is not hard to see how such a defense might go. Here is one idea. It is a plausible prima facie constraint on any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of mathematical practice that it should avoid ascribing to mathematics any features which would render actual mathematical practice misguided or inadequate. This constraint makes it hard to deny that the objects of pure mathematics are abstract. For if these objects had spatiotemporal locations, then actual mathematical practice would be misguided and inadequate, since pure mathematicians ought then to take an interest in the locations of their objects, just as physicists take an interest in the locations of theirs. The fact that pure mathematicians take no interest in this question suggests that their objects are abstract.
3.2 Independence

Independence says that mathematical objects, if there are any, are independent of intelligent agents and their language, thought, and practices. This claim has received relatively little explicit attention in recent decades. (Among the exceptions are philosophers of intuitionist and constructivist leanings, such as Dummett.) The claim appears to have been tacitly accepted by most analytic philosophers, not always because they are moved by any arguments in its favor, but often only because they don't understand what it would be for the claim to fail. Ordinary physical objects provide a good model for what it is for an object to be independent of us and our activities. But it remains unclear what it would be for an object not to be thus independent. However, a failure to see any clear alternatives to a view is not a defense of the view.

Can one do better? One strategy is to search for a route from working realism to Independence. Assume that the methodology of classical mathematics is justified. Could it be that the best explanation of this fact is that Independence is true? One such argument is suggested by Gödel, who claims that the legitimacy of impredicative definitions is best explained by the truth of some form of platonism, including something like our claim Independence (Gödel 1944, pp. 455–457; see also Bernays 1935 for a related but weaker claim). However, although it is widely agreed that Independence would support the legitimacy of impredicative definitions, it remains an open question whether the converse implication is defensible.

Another option is to proceed from the methodology of contemporary set theory to Independence (Gödel 1964). Much of the search for new axioms in set theory is today based on so-called “extrinsic justifications”, where candidate axioms are assessed not just for their intrinsic plausibility but also for their capacity to explain and systematize more basic mathematical facts. Perhaps this methodology can somehow be used to motivate Independence. However, it remains an open question whether this suggestion can be developed into a convincing argument. (See Maddy 1988 for a discussion of extrinsic justifications in set theory. See also Parsons 1995 for a discussion of Gödel's platonism.)
4. Objections to Mathematical Platonism

A variety of objections to mathematical platonism have been developed. Here are the most important ones.
4.1 Epistemological access

The most influential objection is probably the one inspired by Benacerraf (1973). What follows is an improved version of Benacerraf's objection due to Field (1989).12 This version relies on the following three premises.

    Premise 1.     Mathematicians are reliable, in the sense that for almost every mathematical sentence S, if mathematicians accept S, then S is true.
    Premise 2.     For belief in mathematics to be justified, it must at least in principle be possible to explain the reliability described in Premise 1.
    Premise 3.     If mathematical platonism is true, then this reliability cannot be explained even in principle.

If these three premises are correct, it will follow that mathematical platonism undercuts our justification for believing in mathematics.

But are the premises correct? The first two premises are relatively uncontroversial. Most platonists are already committed to Premise 1. And Premise 2 seems fairly secure. If the reliability of some belief formation procedure could not even in principle be explained, then the procedure would seem to work purely by chance, thus undercutting any justification we have for the beliefs produced in this way.

Premise 3 is more controversial. Field defends this premise by observing that “the truth-values of our mathematical assertions depend on facts involving platonic entities that reside in a realm outside of space-time” (Field 1989, p. 68) and thus are causally isolated from us even in principle. However, this defense assumes that any adequate explanation of the reliability in question must involve some causal correlation. This has been challenged by a variety of philosophers who have proposed more minimal explanations of the reliability claim. (See Burgess & Rosen 1997, pp. 41–49 and Lewis 1991, pp. 111–112. See Linnebo 2006 for a critique.)13
4.2 A metaphysical objection

Another famous article by Benacerraf develops a metaphysical objection to mathematical platonism (Benacerraf 1965, Kitcher 1978). Although Benacerraf focuses on arithmetic, the objection naturally generalizes to most pure mathematical objects.

Benacerraf opens by defending what is now known as a structuralist view of the natural numbers, according to which the natural numbers have no properties other than those they have in virtue of being positions in an ω-sequence. For instance, there is nothing more to being the number 3 than having certain intrastructurally defined relational properties, such as succeeding 2, being half of 6, and being prime. No matter how hard we study arithmetic and set theory, we will never know whether 3 is identical with the fourth von Neumann ordinal, or with the corresponding Zermelo ordinal, or perhaps, as Frege suggested, with the class of all three-membered classes (in some system that allows such classes to exist).

Benacerraf now draws the following conclusion:

    Therefore, numbers are not objects at all, because in giving the properties …of numbers you merely characterize an abstract structure—and the distinction lies in the fact that the “elements” of the structure have no properties other than those relating them to other “elements” of the same structure. (Benacerraf 1965, p. 291)

In other words, Benacerraf claims that there can be no objects which have nothing but structural properties. All objects must have some non-structural properties as well. (See Benacerraf 1996 for some later reflections on this argument.)

Both of the steps of Benacerraf's argument are controversial. The first step—that natural numbers have only structural properties—has recently been defended by a variety of mathematical structuralists (Parsons 1990, Resnik 1997, and Shapiro 1997). But this step is denied by logicists and neo-logicists, who claim that the natural numbers are intrinsically tied to the cardinalities of the collections that they number. And the second step—that there can be no objects with only structural properties—is explicitly rejected by all of the structuralists who defend the first step. (For some voices sympathetic to the second step, see Hellman 2001 and MacBride 2005. See also Linnebo 2008 for discussion.)
4.3 Other metaphysical objections

In addition to Benacerraf's, a variety of metaphysical objections to mathematical platonism have been developed. One of the more famous examples is an argument of Nelson Goodman's against set theory. Goodman (1956) defends the Principle of Nominalism, which states that whenever two entities have the same basic constituents, they are identical. This principle can be regarded as a strengthening of the familiar set theoretic axiom of extensionality. The axiom of extensionality states that if two sets x and y have the same elements—that is, if u(u ∈ x ↔ u ∈ y)—then they are identical. The Principle of Nominalism is obtained by replacing the membership relation with its transitive closure.14 The principle thus states that if x and y are borne ∈* by the same individuals—that is, if u(u ∈* x ↔ u ∈* y)—then x and y are identical. By endorsing this principle, Goodman disallows the formation of sets and classes, allowing only the formation of mereological sums and the application to the standard mereological operations (as described by his “calculus of individuals”).

However, Goodman's defense of the Principle of Nominalism is now widely held to be unconvincing, as witnessed by the widespread acceptance by philosophers and mathematicians of set theory as a legitimate and valuable branch of mathematics.
5. Lightweight Forms of Platonism

Anti-nominalism says there exist abstract mathematical objects, whereas platonism adds Independence, which says that mathematical objects are independent of intelligent agents and their language, thought, and practices. Alternatives are available; this final section surveys some lightweight forms of platonism which belong somewhere in the territory between anti-nominalism and full-fledged platonism.
5.1 Plenitudious platonism

One lightweight form of platonism (its name notwithstanding) is the “full-blooded platonism” of Balaguer 1998. This form of platonism is characterized by a plenitude principle to the effect that any mathematical objects that could exist actually do exist. For instance, since the Continuum Hypothesis is independent of the standard axiomatization of set theory, there is a universe of sets in which the hypothesis is true and another in which it is false. And neither universe is in any way privileged. By contrast, traditional platonism asserts that there is a unique universe of sets in which the Continuum Hypothesis is either determinately true or determinately false.

One alleged benefit of this plenitudinous view is in the epistemology of mathematics. If every consistent mathematical theory is true of some universe of mathematical objects, then mathematical knowledge will, in some sense, be easy to obtain: provided that our mathematical theories are consistent, they are guaranteed to be true of some universe of mathematical objects.

However, “full-blooded platonism” has received much criticism. Colyvan and Zalta 1999 criticize it for undermining the possibility of reference to mathematical objects, and Restall 2003, for lacking a precise and coherent formulation of the plenitude principle on which the view is based. Martin (2001) proposes that different universes of sets be amalgamated to yield a single maximal universe, which will be privileged by fitting our conception of set better than any other universe of sets.

A different version of plenitudinous platonism is developed in Linsky & Zalta 1995 and a series of further articles. (See, for instance, Linsky & Zalta 2006 and other articles cited therein.) Traditional platonism goes wrong by “conceiv[ing] of abstract objects on the model of physical objects” (Linsky & Zalta 1995, p. 533), including in particular the idea that such objects are “sparse” rather than plenitudinous. Linsky & Zalta develop an alternative approach on the basis of the second author's “object theory”. The main feature of object theory is a very general comprehension principle asserts the existence of a plenitude of abstract objects: for any collection of properties, there is an abstract object which “encodes” precisely these properties. In object theory, moreover, two abstract objects are identical just in case they encode precisely the same properties. Object theory's comprehension principle and identity criterion are said to “provide the link between our cognitive faculty of understanding and abstract objects” (ibid., p. 547). (See Ebert & Rossberg 2007 for critical discussion.)
5.2 Lightweight semantic values

Assume that anti-nominalism is true. For convenience, assume also Classical Semantics. These assumptions ensure that the singular terms and quantifiers of mathematical language refer to and range over abstract objects. Given these assumptions, should one also be a mathematical platonist? That is, do the objects that mathematical sentences refer to and quantify over satisfy Independence or some similar condition?

It will be useful to restate our assumptions in more neutral terms. We can do this by invoking the notion of a semantic value,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semantics and the philosophy of language. In these fields it is widely assumed that each expression makes some definite contribution to the truth-value of sentences in which the expression occurs. This contribution is known as the semantic value of the expression. It is widely assumed that (at least in extensional contexts) the semantic value of a singular term is just its referent.

Our assumptions can now be stated neutrally as the claim that mathematical singular terms have abstract semantic values and that its quantifiers range over the kinds of item that serve as semantic values. Let's focus on the claim about singular terms. What is the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this claim? In particular, does it support some version of Independence? The answer will depend on what is required for a mathematical singular term to have a semantic value.

Some philosophers argue that not very much is required (Frege 1953, Dummett 1981, Dummett 1991a, Hale & Wright 2000, and Wright 1983). It suffices for the term t to make some definite contribution to the truth-values of sentences in which it occurs. The whole purpose of the notion of a semantic value was to represent such contributions. It therefore suffices for a singular term to possess a semantic value that it makes some such suitable contribution.

This may even open the way for a kind of reductionism (Dummett 1991a). Although it is perfectly true that the mathematical singular term t has an abstract object as its semantic value, this truth may obtain in virtue of more basic facts which do not mention or involve the relevant abstract object. Compare for instance the relation of ownership that obtains between a person and her bank account. Although it is perfectly true that the person owns the bank account, this truth may obtain in virtue of more basic sociological or psychological facts which do not mention or involve the bank account.

If some lightweight account of semantic values is defensible, we can accept the assumptions of anti-nominalism and Classical Semantics without committing ourselves to any traditional or robust form of platonism.
5.3 What is mathematical platonism anyway?

Do the lightweight forms of platonism deserve to be called ‘platonist’? Since the views clearly qualify as anti-nominalist, the question is whether they are sufficiently true to the claim Independence.

A natural gloss on Independence is the counterfactual conditional that, had there not been any intelligent agents, or had their language, thought, or practices been suitably different, there would still have been mathematical objects. If this is all that Independence amounts to, then the lightweight forms of platonism are likely to satisfy the claim and thus qualify as genuinely platonist.

But it is doubtful that this gloss is acceptable. For Independence is meant to substantiate an analogy between mathematical objects and ordinary physical objects. Just as electrons and planets exist independently of us, so do numbers and sets. And just as statements about electrons and planets are made true or false by the objects with which they are concerned and these objects' perfectly objective properties, so are statements about numbers and sets. Since the lightweight forms of platonism explicitly distance themselves from this analogy, Independence should presumably be glossed in a way that makes it incompatible with the lightweight forms of platonism.

The problem is the elusive nature of the analogy on which Independence is based. Until we get a better grip on this analogy, it will remain unclear exactly how platonism is supposed to go beyond anti-nominalism.
Bibliography

    * Azzouni, Jody, 2004, Deflating Existential Consequence: A Case for Nominalism,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Balaguer, Mark, 1998, Platonism and Anti-Platonism in Mathematic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Benacerraf, Paul, 1965, “What numbers could not be”, Philosophical Review, 74: 47–73.
    * Benacerraf, Paul, 1973, “Mathematical Truth”, Journal of Philosophy, 70(19): 661–679.
    * Benacerraf, Paul, 1996, “What mathematical truth could not be, i”, in Benacerraf and His Critics, A. Morton and S. Stich, eds., Oxford: Blackwell.
    * Benacerraf, Paul and Putnam, Hilary (eds.), 1983, Philosophy of Mathematics: Selected Reading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econd edition.
    * Bernays, Paul, 1935, “On Platonism in Mathematics”, Reprinted in Benacerraf and Putnam (1983).
    * Bigelow, John, 1988, The Reality of Numbers: A Physicalist's Philosophy of Mathematics, Oxford: Clarendon.
    * Burgess, John P., 1999, “Review of Stewart Shapiro, Philosophy of Mathematics: Structure and Ontology”, Notre Dame Journal of Formal Logic, 40(2): 283–91.
    * Burgess, John P., 2004, “Review of Jody Azzouni, Deflating Existential Consequence: A Case for Nominalism”, Bulletin of Symbolic Logic, 10(4): 573–577.
    * Burgess, John P. and Rosen, Gideon, 1997, A Subject with No Object,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Colyvan, Mark and Zalta, Edward N., 1999, “Mathematics: Truth and Fiction?”, Philosophia Mathematica, 7(3): 336–349.
    * Dummett, Michael, 1978a, “The philosophical basis of intuitionistic logic”, in Truth and Other Enigma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15–247. Reprinted in Benacerraf and Putnam (1983).
    * Dummett, Michael, 1978b, Truth and Other Enigma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 Dummett, Michael, 1981, Frege: Philosophy of Languag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second ed.
    * Dummett, Michael, 1991a, Frege: Philosophy of Mathematic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 Dummett, Michael, 1991b, The Logical Basis of Metaphysic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 Ebert, Philip and Rossberg, Marcus, 2007, “What is the purpose of neo-logicism?”, Travaux de Logique, 18: 33–61.
    * Field, Hartry, 1989, Realism, Mathematics, and Modality, Oxford: Blackwell.
    * Frege, Gottlob, 1953, Foundations of Arithmetic, Oxford: Blackwell. Transl. by J.L. Austin.
    * Gödel, Kurt, 1944, “Russell's Mathematical Logic”, In Benacerraf and Putnam (1983).
    * Gödel, Kurt, 1964, “What is Cantor's Continuum Hypothesis?”, In Benacerraf and Putnam (1983).
    * Gödel, Kurt, 1995, “Some basic theorems on the foundations of mathematics and their implications”, in Collected Words, S. Feferman et al,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vol. III, 304–323.
    * Goodman, Nelson, 1956, “A World of Individuals”, reprinted. in P. Benacerraf and H. Putnam, eds., Philosophy of Mathematics: Selected Readings, 1st ed., Prentice-Hall.
    * Hale, Bob, 1987, Abstract Objects, Oxford: Blackwell.
    * Hale, Bob and Wright, Crispin, 2000, “Implicit Definition and the A Priori”, in New Essays on the A Priori, Paul Boghossian and Christopher Peacocke, ed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Reprinted in Hale and Wright (2001).
    * Hale, Bob and Wright, Crispin, 2001, Reason's Proper Study, Oxford: Clarendon.
    * Hellman, Geoffrey, 1989, Mathematics without Numbers, Oxford: Clarendon.
    * Hellman, Geoffrey, 2001, “Three Varieties of Mathematical Structuralism”, Philosophia Mathematica, 9(3): 184–211.
    * Hilbert, David, 1996, “Mathematical problems”, in From Kant to Hilbert, William Ewald,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vol. 2, 1096–1105.
    * Hofweber, Thomas, 2000, “Quantification and non-existent objects”, in Empty Names, Fiction and the Puzzle of Non-Existence, Anthony Everett and Thomas Hofweber, eds., Stanford, CA: CSLI Publications, 249–73.
    * Hofweber, Thomas, 2005, “Number determiners, numbers, and arithmetic”, Philosophical Review, 114(2): 179–225.
    * Isaacson, Daniel, 1994, “Mathematical intuition and objectivity”, in Mathematics and Mind, Alexander George,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chap. 5.
    * Kitcher, Philip, 1978, “The plight of the platonist”, Noûs, 12: 119–136.
    * Kreisel, Georg, 1958, “Review of Wittgenstein's remarks on the foundations of mathematics”, British Journal for the Philosophy of Science, 9: 135–158.
    * Lewis, David, 1991, Parts of Classes, Oxford: Blackwell.
    * Linnebo, Øystein, 2006, “Epistemological Challenges to Mathematical Platonism”, Philosophical Studies, 129(3): 545–574.
    * Linnebo, Øystein, 2008, “Structuralism and the Notion of Dependence”, Philosophical Quarterly, 58: 59–79.
    * Linsky, Bernard and Zalta, Edward N., 1995, “Naturalized platonism versus platonized naturalism”, Journal of Philosophy, 92(10): 525–555.
    * Linsky, Bernard and Zalta, Edward N., 2006, “What is neologicism?”, Bulletin of Symbolic Logic, 12(1): 60–99.
    * MacBride, Fraser, 2005, “Structuralism Reconsidered”, in Oxford Handbook of Philosophy of Mathematics and Logic, Stewart Shapiro, ed., Oxford: Clarendon, 563–589.
    * Maddy, Penelope, 1988, “Believing the axioms, i and ii”, Journal of Symbolic Logic, 53: 481–511 and 736–764.
    * Maddy, Penelope, 1990, Realism in Mathematics, Oxford: Clarendon.
    * Maddy, Penelope, 1997, Naturalism in Mathematics, Oxford: Clarendon.
    * Martin, Donald A., 2001, “Multiple universes of sets and indeterminate truth values”, Topoi, 20(1): 5–16.
    * Parsons, Charles, 1980, “Mathematical Intuition”, Proceedings of the Aristotelian Society, 80: 145–68.
    * Parsons, Charles, 1983, Mathematics in Philosophy,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 Parsons, Charles, 1990, “The Structuralist View of Mathematical Objects”, Synthese, 84: 303–346.
    * Parsons, Charles, 1995, “Platonism and mathematical intuition in Kurt Gödel's thought”, Bulletin of Symbolic Logic, 1(1): 44–74.
    * Quine, W.V., 1969, “Existence and quantification”, in Ontological Relativity and Other Essay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91–113.
    * Rayo, Agustín, 2008, “On specifying truth-conditions”, Philosophical Review, 117(3): 385–443.
    * Rees, D.A., 1967, “Platonism and the platonic tradition”, in The Encyclopedia of Philosophy, Paul Edwards, ed., New York: Macmillan, vol. 5, 333–341.
    * Resnik, Michael, 1980, Frege and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 Resnik, Michael, 1997, Mathematics as a Science of Pattern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Restall, Greg, 2003, “Just what Is full-blooded platonism?”, Philosophia Mathematica, 11(1): 82–91.
    * Shapiro, Stewart, 1997, Philosophy of Mathematics: Structure and Ontolog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Wright, Crispin, 1983, Frege's Conception of Numbers as Objects, Aberdeen: Aberdeen University Press.
    * Wright, Crispin, 1992, Truth and Objectivit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Other Internet Resources

[Please contact the author with suggestions.]
Related Entries

abstract objects | mathematics, philosophy of: indispensability arguments in the | mathematics, philosophy of: naturalism | physicalism | Plato: middle period metaphysics and epistemology
Acknowledgments

Thanks to Philip Ebert, Leon Horsten, James Ladyman, Hannes Leitgeb, David Liggins, Alexander Paseau, and Philip Welch for comments and discussion. Thanks also to an audience at the ECAP6 in Krakow, where parts of this material were presented. This article was written during a period of leave funded by an AHRC Research Leave Grant (number AH/E003753/1). I gratefully acknowledge their support.

===================================================================================
더 자세히 읽어 봐야 하겠지만 예상(?)대로 플라톤에 대한 해석에 있어서 수학의 비중이 지나치게 크고, 그래서 왜곡이 우려된다. 플라톤에게 있어서 현대 수학의 특징들이 아낭케에 가깝게 해석된다고 생각한다면 아무래도 '플라톤의 수리철학'이란 것은 다른 방식으로 재해석되어야 할 듯. 출처는 http://plato.stanford.edu/ 그리고 링크 알려주신 aleph_k님께 고마운 마음을 전합니다+_+

-蟲-
Tomgram: Chalmers Johnson, Portrait of a Sagging Empire
Posted by Chalmers Johnson at 9:29am, August 17, 2010.

In September 1998, I was handed a submission for a proposed book by Chalmers Johnson.  I was then (as I am now) consulting editor at Metropolitan Books.  9/11 was three years away, the Bush administration still an unimaginable nightmare, and though the prospective book’s prospective title had “American Empire” in it, the American Empire Project I now co-run with my friend and TomDispatch regular Steve Fraser was still almost four years from crossing either of our minds.

I remembered Johnson, however.  As a young man, I had read his book on peasant nationalism in north China where, during the 1930s, Japanese invaders were conducting “kill-all, burn-all, loot-all” operations.  Its vision of how a revolution could gain strength from a foreign occupation stayed with me.  I had undoubtedly also read some of Johnson’s well-respected work on contemporary Japan and I knew, even then, that in the Vietnam War era he had been a fierce opponent of the antiwar movement I took part in.  If I didn’t already know it, the proposal made no bones about the fact that he had also, in that era, consulted for the CIA.

I certainly turned to his submission -- a prologue, a single chapter, and an outline of the rest of a book -- with a dubious eye, but was promptly blasted away by a passage in the prologue in which he referred to himself as having been a “spear-carrier for empire” and, some pages in, by this passage as well:

    “I was sufficiently aware of Mao Zedong’s attempts to export ‘people’s war’ to believe that the United States could not afford to lose in Vietnam.  In that, too, I was distinctly a man of my times.  It proved to be a disastrously wrong position.  The problem was that I knew too much about the international Communist movement and not enough about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and its Department of Defense.  I was also in those years irritated by campus antiwar protesters, who seemed to me self-indulgent as well as sanctimonious and who had so clearly not done their homework [on the history of communism in East Asia]… As it turned out, however, they understood far better than I did the impulses of a Robert McNamara, a McGeorge Bundy, or a Walt Rostow.  They grasped something essential about the nature of America’s imperial role in the world that I had failed to perceive.  In retrospect, I wish I had stood with the antiwar protest movement.  For all its naïveté and unruliness, it was right and American policy wrong.”

I was little short of thunderstruck.  I knew then -- and I think it still holds today -- that no one of prominence with Johnson’s position on the war and in his age range had ever written such a set of sentences.  At that moment, knowing nothing else, I made the decision to publish his book.  It was possibly the single most impulsive, even irrational, and thoroughly satisfying decision I’ve made in my 30-odd years as an editor in, or at the fringes of, mainstream publishing.

Though I didn’t have expectations for the book then, the rest is, quite literally, history.  After all, its title would be Blowback, a term of CIA tradecraft that neither I nor just about any other American had ever heard of, and which, thanks to Johnson, has now become part of our language (along with the accompanying catch phrase “unintended consequences”).  On its publication in 2000, the book was widely ignored.  In the wake of the attacks of September 11, 2001, however, it seemed nothing short of prophetic, and so, in paperback, stormed those 9/11 tables at the front of bookstores, and soared to bestsellerdom.

That I ever edited Blowback or Johnson’s subsequent books was little short of a fluke, one of the luckiest of my life.  It led as well to a relationship with a man of remarkable empathy and insight, who was then on a no less remarkable journey (on which I could tag along).  Now, a new book of his, Dismantling the Empire: America’s Last Best Hope, has arrived, focused on the many subjects -- from our empire of bases to the way the Pentagon budget, the weapons industries, and military Keynesianism may one day help send us into great power bankruptcy -- that have obsessed him in recent years.  It’s not to be missed. 
Tom


    The Guns of August
    Lowering the Flag on the American Century
    By Chalmers Johnson

    In 1962, the historian Barbara Tuchman published a book about the start of World War I and called it The Guns of August. It went on to win a Pulitzer Prize.  She was, of course, looking back at events that had occurred almost 50 years earlier and had at her disposal documents and information not available to participants. They were acting, as Vietnam-era Secretary of Defense Robert McNamara put it, in the fog of war.

    So where are we this August of 2010, with guns blazing in one war in Afghanistan even as we try to extricate ourselves from another in Iraq?  Where are we, as we impose sanctions on Iran and North Korea (and threaten worse), while sending our latest wonder weapons, pilotless drones armed with bombs and missiles, into Pakistan's tribal borderlands, Yemen, and who knows where else, tasked with endless "targeted killings" which, in blunter times, used to be called assassinations?  Where exactly are we, as we continue to garrison much of the globe even as our country finds itself incapable of paying for basic services?

    I wish I had a crystal ball to peer into and see what historians will make of our own guns of August in 2060. The fog of war, after all, is just a stand-in for what might be called "the fog of the future," the inability of humans to peer with any accuracy far into the world to come.  Let me nonetheless try to offer a few glimpses of what that foggy landscape some years ahead might reveal, and even hazard a few predictions about what possibilities await still-imperial America.

    Let me begin by asking: What harm would befall the United States if we actually decided, against all odds, to close those hundreds and hundreds of bases, large and small, that we garrison around the world?  What if we actually dismantled our empire, and came home? Would Genghis Khan-like hordes descend on us?  Not likely.  Neither a land nor a sea invasion of the U.S. is even conceivable.

    Would 9/11-type attacks accelerate?  It seems far likelier to me that, as our overseas profile shrank, the possibility of such attacks would shrink with it.

    Would various countries we've invaded, sometimes occupied, and tried to set on the path of righteousness and democracy decline into "failed states?" Probably some would, and preventing or controlling this should be the function of the United Nations or of neighboring states. (It is well to remember that the murderous Cambodian regime of Pol Pot was finally brought to an end not by us, but by neighboring Vietnam.)

    Sagging Empire

    In other words, the main fears you might hear in Washington -- if anyone even bothered to wonder what would happen, should we begin to dismantle our empire -- would prove but chimeras.  They would, in fact, be remarkably similar to Washington's dire predictions in the 1970s about states all over Asia, then Africa, and beyond falling, like so many dominoes, to communist domination if we did not win the war in Vietnam.

    What, then, would the world be like if the U.S. lost control globally -- Washington's greatest fear and deepest reflection of its own overblown sense of self-worth -- as is in fact happening now despite our best efforts?  What would that world be like if the U.S. just gave it all up? What would happen to us if we were no longer the "sole superpower" or the world's self-appointed policeman?

    In fact, we would still be a large and powerful nation-state with a host of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An immigration and drug crisis on our southern border, soaring health-care costs, a weakening education system, an aging population, an aging infrastructure, an unending recession -- none of these are likely to go away soon, nor are any of them likely to be tackled in a serious or successful way as long as we continue to spend our wealth on armies, weapons, wars, global garrisons, and bribes for petty dictators.

    Even without our interference, the Middle East would continue to export oil, and if China has been buying up an ever larger share of what remains underground in those lands, perhaps that should spur us into conserving more and moving more rapidly into the field of alternative energies.

    Rising Power

    Meanwhile, whether we dismantle our empire or not, China will become (if it isn't already) the world's next superpower. It, too, faces a host of internal problems, including many of the same ones we have. However, it has a booming economy, a favorable balance of payments vis-à-vis much of the rest of the world (particularly the U.S., which is currently running an annual trade deficit with China of $227 billion), and a government and population determined to develop the country into a powerful, economically dominant nation-state.

    Fifty years ago, when I began my academic career as a scholar of China and Japan, I was fascinated by the modern history of both countries. My first book dealt with the way the Japanese invasion of China in the 1930s spurred Mao Zedong and the Chinese Communist Party he headed on a trajectory to power, thanks to its nationalist resistance to that foreign invader. Incidentally, it is not difficult to find many examples of this process in which a domestic political group gains power because it champions resistance to foreign troops.  In the immediate post-WWII period, it occurred in Vietnam, Indonesia, and Malaysia; with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in 1991, all over Eastern Europe; and today, it is surely occurring in Afghanistan and probably in Iraq as well.

    Once the Cultural Revolution began in China in 1966, I temporarily lost interest in studying the country. I thought I knew where that disastrous internal upheaval was taking China and so turned back to Japan, which by then was well launched on its amazing recovery from World War II, thanks to state-guided, but not state-owned, economic growth.

    This pattern of economic development, sometimes called the "developmental state," differed fundamentally from both Soviet-type control of the economy and the laissez-faire approach of the U.S.  Despite Japan's success, by the 1990s its increasingly sclerotic bureaucracy had led the country into a prolonged period of deflation and stagnation.  Meanwhile, post-U.S.S.R. Russia, briefly in thrall to U.S. economic advice, fell captive to rapacious oligarchs who dismantled the command economy only to enrich themselves.

    In China, Communist Party leader Deng Xiaoping and his successors were able to watch developments in Japan and Russia, learning from them both.  They have clearly adopted effective aspects of both systems for their economy and society. With a modicum of luck, economic and otherwise, and a continuation of its present well-informed, rational leadership, China should continue to prosper without either threatening its neighbors or the United States.

    To imagine that China might want to start a war with the U.S. -- even over an issue as deeply emotional as the ultimate political status of Taiwan -- would mean projecting a very different path for that country than the one it is currently embarked on.

    Lowering the Flag on the American Century

    Thirty-five years from now, America's official century of being top dog (1945-2045) will have come to an end; its time may, in fact, be running out right now. We are likely to begin to look ever more like a giant version of England at the end of its imperial run, as we come face-to-face with, if not necessarily to terms with, our aging infrastructure, declining international clout, and sagging economy. It may, for all we know, still be Hollywood's century decades from now, and so we may still make waves on the cultural scene, just as Britain did in the 1960s with the Beatles and Twiggy. Tourists will undoubtedly still visit some of our natural wonders and perhaps a few of our less scruffy cities, partly because the dollar-exchange rate is likely to be in their favor.

    If, however, we were to dismantle our empire of military bases and redirect our economy toward productive, instead of destructive, industries; if we maintained our volunteer armed forces primarily to defend our own shores (and perhaps to be used at the behest of the United Nations); if we began to invest in our infrastructure, education, health care, and savings, then we might have a chance to reinvent ourselves as a productive, normal nation. Unfortunately, I don't see that happening. Peering into that foggy future, I simply can't imagine the U.S. dismantling its empire voluntarily, which doesn't mean that, like all sets of imperial garrisons, our bases won't go someday.

    Instead, I foresee the U.S. drifting along, much as the Obama administration seems to be drifting along in the war in Afghanistan. The common talk among economists today is that high unemployment may linger for another decade.  Add in low investment and depressed spending (except perhaps by the government) and I fear T.S. Eliot had it right when he wrote: "This is the way the world ends, not with a bang but a whimper."

    I have always been a political analyst rather than an activist. That is one reason why I briefly became a consultant to the CIA's top analytical branch, and why I now favor disbanding the Agency. Not only has the CIA lost its raison d'être by allowing its intelligence gathering to become politically tainted, but its clandestine operations have created a climate of impunity in which the U.S. can assassinate, torture, and imprison people at will worldwide.

    Just as I lost interest in China when that country's leadership headed so blindly down the wrong path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so I'm afraid I'm losing interest in continuing to analyze and dissect the prospects for the U.S. over the next few years. I applaud the efforts of young journalists to tell it like it is, and of scholars to assemble the data that will one day enable historians to describe where and when we went astray.  I especially admire insights from the inside, such as those of ex-military men like Andrew Bacevich and Chuck Spinney. And I am filled with awe by men and women who are willing to risk their careers, incomes, freedom, and even lives to protest -- such as the priests and nuns of SOA Watch, who regularly picket the School of the Americas and call attention to the presence of American military bases and misbehavior in South America.

    I'm impressed as well with Pfc. Bradley Manning, if he is indeed the person responsible for potentially making public 92,000 secret documents about the war in Afghanistan. Daniel Ellsberg has long been calling for someone to do what he himself did when he released the Pentagon Papers during the Vietnam War. He must be surprised that his call has now been answered -- and in such an unlikely way.

    My own role these past 20 years has been that of Cassandra, whom the gods gave the gift of foreseeing the future, but also cursed because no one believed her. I wish I could be more optimistic about what's in store for the U.S.  Instead, there isn't a day that our own guns of August don't continue to haunt me.

    Chalmers Johnson is the author of Blowback (2000), The Sorrows of Empire (2004), and Nemesis: The Last Days of the American Republic (2006), among other works.  His newest book, Dismantling the Empire: America’s Last Best Hope (Metropolitan Books), has just been published.  To listen to Timothy MacBain's latest TomCast audio interview in which Johnson discusses America's empire of bases and his new book, click here or, to download it to your iPod, here.

    Copyright 2010 Chalmers Johnson

=================================================================================================
김우재님 트위터에서 주워 듣고
페르시안 관련기사에서 번역 보고 출처 찾아서
이 사이트에서 업어 왔음.

독자에게 전하는 말 같은 건 생략했으니 보고 싶거나 더 많은 정보(책 구매라든지-_-)를 원한다면 링크 타고 들어가시라. 그나저나 날이 어둡네.

-蟲-
Rule Reliabilism and The Evil-Demon Problem
규칙 신빙론과 사악한-악마 문제

1) In his 1996 Epistemology and Cognition, Goldman replaced process reliabilism with what we may call "rule reliabilism." Rule reliabilism makes a belief's justification a function of permission by a right system of epistemic rules - J-rules, in Goldman's terminology - and the rightness of a system of J-rules a function of reliability. Thus Goldman's 1986 proposal offers us a two-stage analysis of justified belief:

J1    S's belief B is justified if and only if (a) B is permitted by a right system of J-rules, and (b) this permission is not undermined by S's cognitive state.<20>
J2    A system of J-rules R is right if and only if R permits certain (basic) psychological process, and the instantiation of these processes results in a sufficiently high truth ratio.<21>

One main difference between the process and rule frameworks is this: According to process reliabilism, the justification of a subject's beliefs in a world W is a function of the reliability of the subject's cognitive processes in W. As a consequence, process reliabilism is vulnerable to the evil-demon problem. In an evil-demon world, the subject's perceptual processes are unreliable, yet justified. According to rule reliabilism, in contrast, the rightness of a J-rule system does not vary among different possible worlds, but is rigidly fixed in what Goldman calls normal worlds. A world W is normal, according to Goldman, if our general beliefs in the actual world are true in W. For example, one of our general beliefs is that perception is a reliable cognitive process. Consequently, any world in which perception is not a reliable cognitive process - as is the case in an evil-demon world - is not a normal world.
1) 그의 1996년 『인식론과 인지』에서, 골드만은 과정 신빙론을 우리가 "규칙 신빙론"이라 부를 것으로 대체하였다. 규칙 신빙론은 믿음의 정당성을 옳은 인식 규칙들 - 골드만의 용어로 J-규칙들 -  의 체계에 의한 허용 기능으로 만들고 J-규칙들의 체계에 대한 옳음을 신빙성의 기능으로 만든다. 따라서 골드만의 1986년 제안은 우리에게 정당화된 믿음에 대한 2-단계 분석을 제공한다.

J1    S의 믿음 B는 정당화된다 iff (a) B는 J-규칙들의 옳은 체계에 의해 허용되며, (b) 이 허용은 S의 인식 상태에 의해 약화되지 않는다.<20>
J2    J-규칙들의 체계 R은 옳다 iff R은 확실한 (기초적인) 심리적 과정을 허용하고, 이러한 과정들의 예화는 충분히 높은 정도의 진리비율로 귀결한다.<21>

과정 체계와 규칙 체계 사이의 한 가지 주요한 차이는 이것이다. 즉 과정 신빙론에 따르면 세계 W 내에서 주체의 믿음들에 대한 정당화는 W 내에서 주체의 인지 과정에 대한 신빙성의 기능이다. 그 결과로, 과정 신빙론은 사악한-악마 문제에 취약하다. 사악한-악마 세계에서 주체의 지각 과정들은 신빙성이 없지만, 그럼에도 정당화된다. 반면 규칙 신빙론에 따르면 J-규칙 체계의 옿음은 상이한 가능 세계들 가운데에서 다르지 않고 골드만이 통상 세계들이라 부르는 세계에 엄격하게 고정된다. 골드만에 따르면 세계 W는 만일 실제 세계에서의 우리의 일반적인 믿음들이 W 내에서 참이라면 통상적이다. 예를 들어, 우리의 일반적인 믿음들 중 하나는 지각이 신빙성 있ㄴ느 인지 과정이라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 사악한-악마 세계에서의 경우와 같이 - 지각이 신빙성 있는 인지 과정이 아닌 어떠한 세계도 통상 세계가 아니다.

2) This feature of rule reliabilism, which Goldman calls normal-world chauvinism, seems to allow for a neat solution to the evil-demon problem. Consider our J-rule system, which permits beliefs that are produced by undefeated perceptual processes. If we fix the rightness of this J-rule system for a world W by considering its output in W, it would not count as a right J-rule system in an evil-demon world, for in such a world it would permit beliefs that are mostly false. Thus we would get the result that perceptual beliefs in the evil-demon world are unjustified. However, Goldman's normal-world chauvinism demands that the rightness of our J-rule system be measured in normal worlds. And in normal worlds, the beliefs it permits are mostly true. Thus, when we apply our J-rule system to the evil-demon world, it rigidly remains a right J-rule system, which means our verdict must be that perceptual beliefs in that world are justified.
2) 골드만이 통상-세계의 극단적 배타성이라 부르는 규칙 신빙론의 이러한 특징은 사악한-악마 문제에 대해 간단명료한 해결책을 허용하는 듯이 보인다. 상쇄되지 않는 지각적 과정들에 의해 산출되는 믿음들을 허용하는 우리의 J-규칙 체계를 고려해 보자. 만일 우리가 이 J-규칙 체계의 옳음을 W 내에서 그 체계의 출력을 고려함으로써 세계 W에 고정시킨다면, 그것은 사악한-악마 세계에서 옳은 J-규칙 체계로 쳐지지 않을 것인데, 왜냐하면 그러한 세계에서는 그 체계가 주로 거짓인 그러한 믿음들을 허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지각적 믿음들이 사악한-악마 세계에서 정당화되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게 될 것이다. 그렇지만, 골드만의 통상-세계 극단적 배타성은 우리의 J-규칙 체계에 대한 옳음이 통상 세계들 내에서 측정될 것을 요구한다. 그리고 통상 세계들에서, 그 체계가 허용하는 믿음들은 주로 참이다. 따라서, 우리가 우리의 J-규칙 체계를 사악한-악마 세계에 적용할 때, 그 체계는 엄격하게 옳은 J-규칙 체계로 남고, 그것은 곧 우리의 평가가 반드시 그 세계 내에서의 지각적 믿음들은 정당화된다는 것이어야만 함을 의미한다.

3) As Goldman himself has pointed out, however, his normal-world chauvinism faces a serious problem.<22> Although as a matter of fact there are no justified beliefs that result from clairvoyance, it is plausible to say that such beliefs are possible. The problem with normal-world chauvinism is that it makes such beliefs impossible. Consider a possible world in which clairvoyance is a known reliable cognitive process. Since clairvoyance is unreliable in normal worlds, rule reliabilism implies that clairvoyance beliefs are unjustified in this world. Indeed, since the lack of justification for clairvoyance beliefs is rigidly fixed by the fact that in normal worlds clairvoyance is unreliable, there could not be a world in which clairvoyance results in justified beliefs. Thus it turns out that rule reliabilism, as defined in Epistemology and Cognition, has an implausible consequence.<23>
3) 그렇지만 골드만 자신이 지적하였듯 그의 통상-세계 극단적 배타성은 심각한 문제에 직면한다.<22> 비록 사실 문제로서 천리안으로부터 귀결하는 어떠한 정당화된 믿음들도 없다 할지라도, 그러한 믿음들이 가능하다고 말하는 것은 그럴 성싶다. 통상-세계 극단적 배타성과 관련된 문제는 그것이 그러한 믿음들을 불가능하게 만든다는 점이다. 천리안은 통상 세계들에서 신빙성이 없으므로, 규칙 시빙론은 천리안 믿음들이 이 세계에서 정당화되지 않음을 시사한다. 더욱이, 천리안 믿음들에 대한 정당성 결여는 통상 세계들 내에서 천리안이 신빙선 없다는 사실에 의해 엄격하게 고정되므로, 천리안이 정당화된 믿음들을 귀결하는 세계는 있을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인식론과 인지』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규칙 신빙론은 그럴 성싶지 않은 결론을 지닌다는 것이 드러난다.


Strong and Weak Justification
강한 정당화와 약한 정당화

1) In his 1988 paper "Strong and Weak Justification," Goldman proposes an alternative approach to the evil-demon problem. HIs new solution is based on a distinction between two ways in which beliefs can be justified: weakly and strongly. Weak justification results from not violating epistemic duties; strong justification, on the other hand, results from reliable processes and methods.<24> Beliefs produced by reliable processes or methods are strongly justified, whereas beliefs not thus produced are either not justified at all or weakly justified if they are held without violating epistemic duties.
1) 그의 1988년 논문 「강한 정당화와 약한 정당화」에서 골드만은 사악한-악마 문제에 대한 대안적 접근법을 제안한다. 그의 새로운 해결책은 믿음들이 정당화될 수 있는 두 가지 방식들 사이의 구분에 기초된다. 그것은 약한 방식과 강한 방식이다. 약한 정당화는 인식적 의무들을 위배하지 않음으로부터 귀결한다. 그리고 강한 정당화는 다른 한 편으로 신빙성 있는 과정과 방법들로부터 귀결한다.<24> 신빙성 있는 과정들 혹은 방법들에 의해 산출된 믿음들은 강하게 정당화되는 반면, 그와 같이 산출되지 않은 믿음들은 전혀 정당화되지 않거나 만일 그 믿음들이 인식적 의무들을 위배함이 없이 견지된다면 약하게 정당화된다.

2)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concept of weak justification, Goldman introduces the example of a culture in which people frequently base predictions on astrology, an instance of an unreliable method. The people of this culture cannot be blamed for believing these predictions, for they don't have the intellectual means to recognize that astrology is an unreliable method. As Goldman stipulates, "where outcomes reportedly go against the predictions [derived from using astrology], the community's astrology experts explain that the predictions had been based on misapplications of the method. The experts have techniques for 'protecting' their theory from easy falsification, and only sophisticated methodologies or astronomical theories would demonstrate the indefensibility of such tactics; but these are not available."<25> In this case, Goldman says, the beliefs in question are weakly justified, for the subjects cannot be blamed for trusting their astrology experts. But since the method the "experts" use is de facto unreliable, these beliefs do not enjoy strong justification.
2) 약한 정당화의 개념을 설명하려는 의도로, 골드만은 신빙성 없는 방법의 일례로 점성술에 사람들이 빈번하게 예측들을 의존하는 문화의 사례를 도입한다. 이러한 문화에 속한 사람들은 이러한 예견들을 믿는다는 이유로 비난받을 수 없는데, 왜냐하면 그들이 점성술이 신빙성 없는 방법이라는 점을 재인할 지적 수단을 지니고 있지 못한 까닭이다. 골드만이 규정하듯, "결과들이 전하는 바에 따라 그 예견들과 [점성술을 사용함으로부터 도출된] 반대되는 곳에서, 그 집단의 점성술 전문가들은 그 예견들이 방법의 잘못된 적용에 기초되었다고 설명한다. 그 전문가들은 그들의 이론을 쉬운 반증으로부터 '방어하는' 기술들을 지니고, 오로지 복잡한 방법론들 또는 점성술적 이론들만이 그러한 전략의 옹호불가능성을 증명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은 가용하지 않다."<25> 이 경우, 골드만이 말하기로는, 문제시되는 믿음들은 약하게 정당화되는데, 왜냐하면 그 주체들이 그들의 점성술 전문가들을 신뢰함으로 인해 비난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방법은 사실상 신빙성이 없으므로, 이러한 믿음들은 강한 정당성을 향유하지 못한다.

3) Weak justification, then, is justification deriving from epistemic blamelessness. A second feature of weak justification is that weakly justified beliefs are unreliably produced, for Goldman wants weak justification to be the opposite of strong justification. Applying the distinction between strong and weak justification to the evil-demon problem, Goldman's solution is that the perceptual beliefs of the deceived subjects are weakly justified without being strongly justified. Since their perceptual experiences are just like those of perceivers in normal worlds, they can't be blamed for believing in the existence of a physical world; that's why their perceptual beliefs are free of epistemic blame and thus weakly justified. On the other hand, their perceptual beliefs are unreliably produced (because in the evil-demon world perception is not a reliable cognitive process); that's why their perceptual beliefs fail to be strongly justified.
3) 그래서 약한 정당성은 인식적으로 비난받지 않음으로부터 유래하는 정당성이다. 약한 정당성의 두 번째 특징은 약하게 정당화된 믿음들이 신빙성 없이 산출된다는 것인데, 골드만이 약한 정당성을 강한 정당성에 반대항이기를 원하기 때문이다. 강한 정당성과 약한 정당성 사이의 구분을 사악한-악마 문제에 적용하면서, 골드만의 해결책은 기만당하는 주체들의 지각적 믿음들이 강하게 정당화되지 않고 약하게 정당화된다는 것이다. 그들의 지각적 경험들은 바로 통상 세계들 내에서 지각자들의 경험들과 똑같으므로, 그들은 물리적 세계의 현존을 믿는다는 이유로 비난받을 수 없다. 그것이 그들의 지각적 믿음들이 인식적 비난으로부터 자유롭고 따라서 약하게 정당화되는 이유이다. 다른 한편으로, 그들의 지각적 믿음들은 신빙성 없이 산출된다 (왜냐하면 사악한-악마 세계에서 지각은 신빙성 있는 인지 과정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것이 그들의 지각적 믿음들이 강하게 정당화되지 않는 이유이다.

4) In response to this maneuver, internalist critics of reliabilism would question the legitimacy of the distinction between weak and strong justification.<26> Advocates of a traditional, Cartesian-Lockean conception of epistemic duty could argue that there is nothing weak about the justification the deceived subjects in an evil-demon world enjoy. Their perceptual beliefs are supported by their evidence, and thus are justified fully and completely. From this internalist, traditional point of view, the unreliability of perceptual processes in the evil-demon world does not at all adversely affect the justification of perceptual beliefs. Internalist opponents of reliabilism would not, therefore, view Goldman's reconciliation offer - perceptual beliefs in the evil-demon world are weakly justified - as satisfactory. They would deny that just because these beliefs are unreliably produced, they are somehow deficient in justificatory status.
4) 이러한 책략에 대한 응답으로, 신빙론에 대한 내재주의적 비판자들은 약한 정당성과 강한 정당성 사이의 구분에 대한 적법성을 물을 것이다.<26> 전통적인 데카트르-로크적 인식 의무 개념의 지지자들은 사악한-악마 세계에서 기만당하는 주체들이 향유하는 정당성에 대한 약한 어떤 것도 전혀 없다고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들의 지각적 믿음들은 그들의 증거에 의해 지지되고, 따라서 충분히 완전하게 정당화된다. 이러한 내재주의적, 전통적 관점으로부터, 사악한-악마 세계 내에서 지각적 과정들의 신빙성 없음은 지각적 믿음들의 정당성에 전혀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신빙론에 대한 내재주의적 반대자들은 그러므로 골드만의 조정 제안 - 사악한-악마 세계 내에서 지각적 믿음들이 약하게 정당화된다고 하는 - 을 만족스러운 것으로 간주하지 않을 것이다. 그들은 단지 이러한 믿음들이 신빙성 없이 산출되었다는 이유만으로 그 믿음들이 정당화하는 상태에 있어서 어떻든 결핍이 있다는 것을 부정할 터이다.


Virtue Reliabilism
탁월성 신빙론

1) In his 1991 article "Epistemic Folkways and Scientific Epistemology," Goldman offers yet another solution to the evil-demon problem. In that paper, he distinguishes between two missions of epistemology. The first mission - descriptive in character - is to describe our commonsense epistemic concepts and norms, which Goldman calls "epistemic folkways." The second mission - normative in character - is to critically evaluate our folkways and, if necessary, to propose improvements.
1) 그의 1991년 논설 「인식적 관습과 과학적 인식론」에서, 골드만은 사악한-악마 문제에 대해 또 다른 해결책을 제시한다. 그 논문에서, 그는 인식론의 두 가지 사명들을 구분한다. 첫 번째 사명은 - 성격상 기술적인 - 우리의 공통감각(상식)적 인식 개념들과 표준들, 골드만이 "인식적 관습"이라 부른 것들을 기술하는 것이다. 두 번째 사명은 - 성격상 규범적인 - 우리의 관습들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필요하다면 개선들을 제안하는 것이다.

2) Godman's new approach to the analysis of justified belief, though still reliabilist, proceeds in terms of intellectual virtues and vices. Thus Goldman is now merging two different theoretical strands: reliabilism and virtue epistemology. According to the virtue approach to the analysis of justified belief, a belief is justified if it results from an intellectual virtue, and unjustified if it results from an intellectual vice.<27> What, however, are intellectual virtues and vices? According to Goldman, intellectual virtues are cognitive processes we deem reliable, and intellectual vices are cognitive processes we deem unreliable. The criterion for discriminating between intellectual virtues and vices, then, is that of reliability.<28>
2) 정당화된 믿음을 분석하는 데에 있어서 골드만의 새로운 접근법은 비록 여전히 신빙론적이라 할지라도 지적 탁월함과 결점들로 수행된다. 따라서 골드만은 지금 상이한 두 가지 이론적 기준들을 병합하고 있다. 그것은 신빙론과 탁월성 인식론이다. 정당화된 믿음을 분석하는 데에 있어서 탁월성 접근법에 따르면 믿음은 지적 탁월성으로부터 귀결하면 정당화되고, 지적 결함으로부터 귀결하면 정당화되지 않는다.<27> 그렇지만 지적 탁월성들과 결함들이란 무엇인가? 골드만에 따르면, 지적 탁월성들은 우리가 신빙성 있다고 여기는 인지적 과정들이고, 지적 결함들은 우리가 신빙성이 없다고 여기는 인지적 과정들이다. 그래서 지적 탁월성들과 결함들을 식별하기 위한 기준은 신빙성의 기준이다.<28>

3) Epistemic evaluators, so Goldman argues, inherit from their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lists of cognitive virtues and vices. When they evaluate beliefs, they identify the psychological process by which a belief was produced and match it against the items on their list. At this point, three different evaluations are possible:

(i) If the identified process matches virtues only, the belief is justified.
(ii) If the identified process matches either completely or partly vices, the belief is unjustified.
(iii) If the identified process is not on the list at all, the belief is categorized as nonjustified. (A nonjustified belief is neither justified nor unjustified.)<29>

Recall the two cases of Edith and her runaway dog. Consider her justified but false belief that the dog she sees is hers. Neither wishful thinking nor any other nonvirtuous process is involved in the causal genesis of her belief. The relevant process matches virtues only; thus Edith's belief qualifies as justified. Next, consider Edith's unjustified but true belief that the dog she sees is hers. In this case, it is not only perception but also wishful thinking that leads her to form belief. The relevant process, though it matches the virtue of perception, also matches the vice of wishful thinking. Thus her belief counts as unjustified. Finally, consider beliefs that have their genesis in telepathy. Since telepathy is not on our list of virtues, such beliefs turn out to be nonjustified.
3) 인식적 평가자들은 골드만이 주장하기로는 그들의 사회적 문화적 배경으로부터 인지적 탁월성들과 결함들의 목록들을 인계받는다. 그들이 믿음들을 평가할 때, 그들은 그에 의해 한 믿음이 산출되는 그 심리적 과정을 규정하고 그 과정을 그들의 목록에 항목들에 맞세워 일치시킨다. 이 지점에서, 세 가지 상이한 평가들이 가능하다.

(i) 만일 규정된 과정이 오로지 탁월성들과 일치한다면, 그 믿음은 정당화된다.
(ii) 만일 규정된 과정이 완전히 혹은 부분적으로 결함들과 일치한다면, 그 믿음은 정당화되지 않는다.
(iii) 만일 규정된 과정이 그 목록에 전혀 없다면, 그 믿음은 무정당화된 것으로 분류된다. (무정당화된 믿음은 정당화되지도 정당화되지 않지도 않는다.)<29>

에디트와 그녀의 도망간 개의 두 사례들을 상기해 보자. 그녀가 보는 개가 그녀의 개라는, 그녀의 정당화되었지만 거짓인 믿음을 고찰해 보자. 희망사항도 어떤 다른 비탁월성 과정도 그녀의 믿음에 대한 인과적 기원에 포함되지 않는다. 상관된 과정은 오로지 탁월성들에만 일치한다. 따라서 에디트의 믿음은 정당화될 자격을 얻는다. 다음으로, 그녀가 보는 개가 그녀의 개라는 에디트의 정당화되지 않지만 참인 믿음을 고찰해 보자. 이 경우, 그녀가 믿음을 형성하도록 이끈 것은 지각뿐만이 아니라 희망사항이기도 하다. 상관된 과정은 비록 지각의 탁월성에 일치한다 할지라도 또한 희망사항이라는 결함에도 일치한다. 따라서 그녀의 믿음은 정당화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끝으로, 그 기원을 텔레파시에 두는 믿음들을 고려해 보자. 텔레파시는 우리의 탁월성들에 대한 목록에 없으므로, 그러한 믿음들은 무정당화되는 것으로 드러난다.

4) What makes Goldman's virtue approach superior to the version of reliabilism he originally advocated, process reliabilism? To begin with, one might hope that virtue reliabilism is less susceptible to the generality problem than process reliabilism. This problem presents reliabilists with the challenge of describing cognitive processes in a way that is neither too broad nor too narrow. Now if some reliable processes count as virtues and others don't, then it will perhaps be possible to pin down the degree of generality appropriate to processes that produce justified beliefs. The future will show whether such an account of intellectual virtues can be successfully developed. Secondly, Goldman's virtue reliabilism permits straightforward solutions to the other two of our three standard problems: the evil-demon world and reliable clairvoyance. In the next section, we shall briefly discuss these solutions.
4) 골드만의 탁월성 접근법을 그가 본래 지지하던 신빙론의 형태인 과정 신빙론보다 우월하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우선, 누군가는 탁월성 신빙론이 과정 신빙론보다 일반성 문제에 덜 민감하다고 희망할지도 모른다. 이 문제는 신빙론자들에게 인지 과정을 너무 광범위하지도 너무 협소하지도 않은 방식으로 기술한다는 시련으로 표현된다. 이제 만일 일부 신빙성 있는 과정들이 탁월성들로 간주되고 다른 것들은 그렇지 않다면, 정당화된 믿음들을 산출하는 과정들에 적합한 일반성의 정도를 규명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미래에는 그러한 지적 탁월성들에 대한 설명이 성공적으로 전개될 수 있는지 여부가 보일 것이다. 다음으로, 골드만의 탁월성 신빙론은 우리의 세 가지 표준 문제들 중 다른 두 가지 문제들에 대해 직접적인 해결책들을 허용한다. 사악한-악마 세계와 신빙성 있는 예언의 문제들 말이다. 다음 절에서, 우리는 간략하게 이러한 해결책들을 논의할 것이다.


The Clairvoyance Problem and The Evil-Demon Problem Revisited
천리안 문제와 사악한-악마 문제의 재고

1) Here is how Goldman's virtue approach to reliabilism affords him with a solution to the clairvoyance problem, the problem posed by a subject who possesses the faculty of perfectly reliable clairvoyance. Goldman distinguishes between two kinds of clairvoyance problems: cases in which the subject ignores contrary evidence, and cases in which the subject has no evidence for or against the beliefs his clairvoyance produces. The verdict for the first kind of case is obvious. Since ignoring contrary evidence is on our list of intellectual vices, we are to say that beliefs resulting from perfectly reliable clairvoyance, if undermined by contrary evidence, are unjustified.
1) 여기 신빙론에 대한 골드만의 탁월성 접근법이 그에게 완벽하게 신빙성 있는 천리안 능력을 지닌 주체에 의해 제기되는 천리안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방식이 있다. 골드만은 두 종류의 천리안 문제들을 구별한다. 그 사례들은 주체가 반대 증거를 무시하는 사례들과 주체가 그의 천리안이 산출하는 믿음들을 지지하거나 반대하는 증거를 전혀 가지고 있지 않은 사례들이다. 첫 번째 종류의 사례에 대한 평가는 명백하다. 반대 증거를 무시하는 것은 지적 결함들에 대한 우리의 목록에 있으므로, 우리는 완벽하게 신빙성 있는 천리안으로부터 귀결하는 믿음들이 만일 반대 증거에 의해 약화된다면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말할 것이다.

2) The verdict for the second kind of case depends on whether or not we view clairvoyance as a vice. If we do, then we will say that the belief in question is unjustified. If we don't, then we must acknowledge that no intellectual vices are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the beliefs in question. So in that case there is no basis for saying that the beliefs in question are unjustified. However, provided we don't view clairvoyance as an intellectual virtue, we could say that they are nonjustified.<30>
2) 두 번째 종류의 사례에 대한 평가는 우리가 천리안을 결함으로 간주하는지 아닌지 여부에 달려 있다. 만일 우리가 그렇게 한다면, 우리는 문제가 되는 믿음이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말할 것이다. 만일 우리가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반드시 어떠한 지적 결함들도 문제가 되는 그 믿음의 형성에 포함되지 않음을 인정해야만 한다. 그래서 그 경우 문제가 되는 믿음들이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말할 어떠한 배경도 없다. 그렇지만, 우리가 천리안을 지적 탁월성으로 간주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우리는 그 믿음들이 무정당화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30>

3) Next, let us turn to the question of how Goldman's virtue approach allows him to handle the evil-demon problem. Recall that in an evil-demon world, perception is not a reliable process. But since the deceived subjects have no reason to believe that they are deceived, we judge perceptual beliefs in an evil-demon world to be justified. The point of the evil-demon objection, therefore, is that beliefs can be justified even when they are unreliably produced. Goldman now agrees with this verdict. He writes:

The account predicts that an epistemic evaluator will match the victim's vision-based processes to one (or more) of the items on his list of intellectual virtues, and therefore judge the victim's beliefs to be justified.<31>

But how does this solution to the evil-demon problem square with the fact that we are to discriminate between intellectual virtues and vices using reliability as a criterion? After all, in an evil-demon world, perception is unreliable. Are we not to judge, therefore, that in an evil-demon world, the deceived subject's perceptual beliefs are the result of exercising an intellectual vice?
3) 다음으로, 어떻게 골드만의 탁월성 접근법이 그에게 사악한-악마 문제를 취급하도록 허용하는지에 대한 물음으로 돌아가 보도록 하자. 사악한-악마 세계에서 지각은 신빙성 있는 과정이 아님을 상기하도록 하자. 그러나 기만된 주체들은 그들이 기만당한다고 믿을 아무런 근거도 없으므로, 우리는 사악한-악마 세계 내에서의 지각적 믿음들이 정당화되는 것이라고 판단한다. 그러므로 사악한-악마 반박의 핵심은 믿음들이 설령 신빙성 없이 산출될 때에라도 정당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골드만은 지금 이러한 평가에 동의한다. 그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그 설명은 인식적 평가자가 그 희생자의 시각-기반 과정들을 그의 지적 탁월성들에 대한 목록의 항목들 중 하나 (혹은 그 이상) 에 일치시키는 것, 그러므로 그 희생자의 믿음들이 정당화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예측한다.<31>

그러나 어떻게 사악한-악마 문제에 대한 이러한 해결책이 우리가 기준으로서 신빙성을 사용하는 지적 탁월성들과 결함들을 구별하리라는 사실과 동등하게 되는가? 무엇보다도, 사악한-악마 세계에서, 지각은 신빙성이 없다. 그러므로 우리는 사악한-악마 세계에서, 기만된 주체의 지각적 믿음들이 지적 결함의 행사에 대한 결과라고 판단하지 않을 것인가?

4) Here we must take into account that Goldman assigns a new role to reliability. In virtue reliabilism, it is not de facto reliability that determines whether a cognitive process is virtuous or not, but rather deemed reliability. Consider Goldman's answer to the question of what the basis is for classifying some processes as virtues and others as vices:

Belief-forming processes based on vision, hearing, memory, and ("good") reasoning are deemed virtuous because they (are deemed to) produce a high ratio of true beliefs. Processes like guessing, wishful thinking, and ignoring contrary evidence are deemed vicious, because they (are deemed to) produce a low ratio of true beliefs.<32>

4) 여기에서 우리가 반드시 고려해야만 하는 것은 골드만이 신빙성에 새로운 역할을 부과한다는 것이다. 탁월성 신빙론에 있어서, 한 인지 과정이 탁월한지 아닌지 결정하는 것은 사실에 대한 신빙성이 아니라 오히려 신빙성으로 간주되는 것이다. 일부 과정들을 탁월성들로 그리고 다른 과정들을 결함들로 분류하기 위한 배경이 무엇인지에 대한 물음에 대한 골드만의 답변을 고찰해 보자.

시각, 청각, 기억, 그리고 ("훌륭한") 추론에 기초된 믿음-형성 과정들은 탁월하다고 여겨지는데 왜냐하면 그것들이 참인 믿음들에 대한 높은 비율을 산출하기 (그렇게 여겨지기) 때문이다. 추측, 희망사항, 반대 증거의 무시와 같은 과정들은 결함으로 여겨지는데, 왜냐하면 그것들이 낮은 비율로 참인 믿음들을 산출하기 (그렇게 여겨지기) 때문이다.<32>

5) Given that it is deemed reliability that matters, Goldman's new account yields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which evaluators we consider. Evaluators in the evil-demon world don't know that they are deceived; they deem perceptual processes reliable. Hence they will judge perceptual beliefs in their own world justified. However, how should we judge perceptual beliefs in the evil-demon world? Of course, we deem perceptual processes in our world reliable, and thus consider perception an epistemic virtue. Yet, knowing that in the evil-demon world perception is unreliable, wouldn't we have to consider perception in the evil-demon world and epistemic vice? It would appear, then, that Goldman's theory gives us two responses to the problem of an evil-demon world: one for evaluators in the evil-demon world, and another one for evaluators in our world.
5) 저 문제들이 신빙성으로 여겨진다는 점을 고려하면, 골드만의 새로운 설명은 우리가 고찰하는 평가자들에 의존하는 상이한 결과들을 내놓는다. 사악한-악마 세계 내의 평가자들은 그들이 기만당하고 있음을 모른다; 그들은 지각적 과정들을 신빙성있다고 여긴다. 따라서 그들은 그들 자신들의 세계 내에서 지각적 믿음들을 정당화된다고 판단할 것이다. 그렇지만, 어떻게 우리가 사악한 악마 세계 내의 지각적 믿음들을 판단할 것인가? 물론, 우리는 우리 세계에서의 지각적 과정들을 신빙성있다고 여기며, 따라서 지각을 인식적 탁월성으로 간주한다. 그렇지만, 사악한-악마 세계에서 지각이 신빙성 없음을 알면서, 우리는

6) One crucial element of Goldman's solution to the evil-demon problem, then, is the transition from de facto to deemed reliability as a necessary condition for justification. Let's sum up Goldman's new theory as follows:

Goldman's Virtue Reliabilism
B is justified if and only if B is produced by a cognitive process P such that P is an intellectual virtue and P does not involve any intellectual vice. A cognitive process P is an intellectual virtue if we deem P reliable, and an intellectual vice if we deem it unreliable.


7) One feature of this account is that S's justification for B is dependent on, not what S deems reliable, but what we deem reliable. Hence we get one result if we adopt the point of view of evil-demon victims - for then we deem perception reliable, thus view perception a virtue, and hence judge perceptual beliefs in that world justified - and another one if we adopt our ordinary actual-world perspective - for then we deem perception in the evil-demon world unreliable, thus view perception in the evil-demon world a vice, and hence judge perceptual beliefs in that world unjustified. It is not so clear, therefore, that Goldman's virtue reliabilism offers a satisfactory solution to the problem of an evil-demon world.

8) Another feature of Goldman's new account is that it places no constraints on the reasons for which cognitive processes are deemed reliable or unreliable. What if we were to fail victim to an outbreak of collective madness and deemed the most crazy processes reliable, and thus considered them intellectual virtues? Assuming such a scenario, Goldman's theory would give us manifestly wrong results.<33>

9) In response to these difficulties, we could decide to make S's justification for B dependent on what S herself deems reliable on the basis of adequate evidence. This proposal can be formulated thus:

Evidentailist Virtue Reliabilism
S is justified in believing that p if and noly if S's belief that p is produced by a cognitive process C such that (i) C instantiates an intellectual virtue and (ii) does not instantiate any intellectual vice. A cognitive process C is an intellectual virtue if S has adequate evidence for deeming C reliable, and an intellectual vice if S has adequate evidence for deeming C unreliable.

Evidentialist virtue reliabilism allows for easy solutions to the two standard challenges. In the evil-demon world, the subjects have adequate evidence for deeming perception reliable, for they have no reason to assume that they are being deceived by an evil demon. Consequently, perceptual beliefs in an evil-demon world are justified (provided condition (ii) is met as well). Beliefs resulting from clairvoyance are unjustified if undermined by contrary evidence, for such beliefs don't satisfy condition (ii). But beliefs resulting from clairvoyance where clairvoyance is known to be reliable meet condition (i), and thus qualify as justified (again, provided condition (ii) is met). In general, any belief known to have been produced by a given process - be it clairvoyance, telepathy, or extra sensory perception - counts as justified provided the subject has adequate evidence for taking that process to be reliable.

10) It could be objected, however, that evidentialist virtue reliabilism employs a strange understanding of epistemic virtues. Consider a cognitive faculty that produces wrong results more often than not. Do we really wish to say that such a faculty is an epistemic virtue just because there is evidence for taking the faculty to be reliable when in fact it is not? Consider a related question: Would we say that a person who tries very hard but mostly fails - a person who mostly does the wrong thing but for the right reasons - is a person who has achieved virtue?

11) Furthermore, evidentialist virtue reliabilism has a flaw, that is likely to be unacceptable to reliabilists: the term "evidence" occurs in its analysans. Evidentialist virtue reliabilism fails to satisfy the naturalistic caveat that an analysis of epistemic justification be carried out without the use of epistemic terms. However, as mentioned earlier, it is not so clear that this must really be considered a weakness. Notice that Goldman's virtue reliabilism shares the following feature with his earlier process reliabilism: in order to handle potential counterexamples involving defeating evidence, it must helf itself to evidentialist considerations. According to virtue reliabilism, for a belief to be justified, there must not be any intellectual vices involved in the process that produced it. And among intellectual vices, we find a process such as ignoring contrary evidence. Unless this vice can be described in nonepistemic terms, virtue reliabilism is bound to be an evidentialist theory in any case. We may wonder, why it should be illegitimate to turn the covert appeal to the subject's evidence into an overt one.


<3> The phrase "a belief's being produced by a given process" is meant to include both its being formed and then sustained by that process.

<9> See Maffie (1990), p. 284. According to Maffie, the choice of reliability as a criterion for justification marks the difference between naturalistic and nonnaturalistic theories.

<17> It also implies that all memorial and introspective beliefs are justified, for memory and introspection are, in general, reliable processes.

<19> One strategy for solving the generality problem is to restrict the domain within which cognitive processes are permitted. For example, we could stipulate that only neurophysiological processes count as genuine cognitive processes. The problem with this proposal is that there is little reason to assume that there can't be genuinely neurophysiological OTOPs. Since this objection can be raised against all similar proposals, it doesn't seem that that strategy is a successful one. See Goldman's reply to an objection of Chisholm's (based on the generality problem) in Goldman (1988), p. 55, and Chisholm's rebuttal in Chisholm (1989), p. 79.


-작성중-
Chapter Eight

Reliabilism
신빙론

Process Reliabilism
과정 신빙론

1) Among those who are proponents of reliabilism, Alvin Goldman may be considered the most influential contributor. Let us, therefore, focus on various versions of reliabilism Goldman has proposed in a series of important papers. We shall begin with the account he developed in his 1979 paper "What Is Justified Belief?" in which he introduces the concept of belief-producing or belief-causing processes. As examples of such processes, Goldman mentions the following:

confused reasoning, wishful thinking, reliance on emotional attachment, mere hunch or guesswork, and hasty generalization

which he compares with

perceptual processes, remembering, good reasoning, and introspection.<1>

These two sets of processes differ in the following respect: those in the first group produce beliefs that are mostly false, whereas those in the second group produce beliefs that are mostly true. In short, those in the second group are reliable, while those in the first are not. Goldman's proposal is that

the justification status of a belief is a function of the reliability of the process or processes that cause it, where (as a first approximation) reliability consists in the tendency of a process to produce beliefs that are true rather than false.<2>

In order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this proposal, let us formulate it in the form of a biconditional. Since the items that are supposed to be reliable are belief-producing processes, we shall refer to this particular version of reliabilism as process reliabilism. And for the sake of simplicity, we shall call belief-producing processes cognitive processes.

Process Reliabilism (Initial Version)
S's belief B is justified if and only if B is produced by a reliable cognitive process.<3>

As Goldman himself points out, reliabilism thus understood is vulnerable to objections from evidential defeat. Such objections describe beliefs that, although reliably produced, fail to be justified because the subject has evidence for taking them to be caused by an unreliable process.<4> Suppose Spencer suffers from an apparent memory loss and decides to consult a neurophysiologist about his problem. This neurophysiologist, and eminent authority in his field, tells Spencer that his childhood memories are extremely unreliable.<5> Suppose further that although Spencer's childhood memories are in fact very reliable, Spencer is fully justified in believing the neurophysiologist's assertion to the contrary. The neurophysiologist's verdict defeats the reliability of Spencer's memories as a source of justification, and thus, if Spencer were to retain his beliefs about what happened during his childhood, these beliefs would be unjustified. According to our initial version of process reliabilism, however, they would be justified because they are reliably produced.
1) 신빙론 지지자들 중에서, 아마도 앨빈 골드만이 가장 영향력 있는 기여자로 여겨질 것이다. 그러므로 일련의 중요한 논문들에서 골드만이 제안한 다양한 형태의 신빙론들에 초점을 맞춰 보도록 하자. 우리는 그가 그의 1979년 논문 "정당화된 믿음이란 무엇인가?"에서 전개한 설명을 가지고 시작해야 할 것이다. 그 논문에서 그는 믿음-산출 혹은 믿음-유발 과정들의 개념을 도입한다. 그러한 과정들의 예시들로서 골드만은 다음과 같은 것을 언급한다.

혼란스러운 추론, 희망 사항, 감정적 애착에의 의존, 단순한 예감 또는 짐작, 그리고 성급한 일반화

그러한 것들은 그는 다음의 것들과 비교한다.

지각 과정들, 기억, 훌륭한 추론, 내성.<1>

이러한 두 부류의 과정들은 다음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즉 첫 번째 집단에 속하는 것들은 대부분 거짓인 믿음들을 산출하는 반면, 두 번째 집단에 속하는 것들은 대부분 참인 그러한 믿음들을 산출한다. 간단히, 두 번째 집단에 속하는 것들은 신빙성이 있고, 반면에 첫 번째 집단에 속하는 것들은 그렇지 않다. 골드만의 제안은 다음과 같다.

한 믿음의 정당화상태는 그 믿음을 유발하는 과정 혹은 과정들의 신빙성의 기능이고, 그 과정에서 (일차적인 근사치로서[대략적으로]) 신빙성은 거짓 보다는 참인 믿음들을 산출하는 과정의 경향으로 이루어진다.<2>

이러한 제안의 함축들을 검토하기 위하여, 그 제안을 쌍조건문 형식으로 정식화하도록 하자. 신빙성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항목들은 믿음-산출 과정들이므로, 우리는 이 특수한 형태의 신빙론을 과정 신빙론이라 불러야 할 것이다. 그리고 단순성을 위하여, 우리는 믿음-산출 과정들을 인지 과정들로 불러야 할 것이다.

과정 신빙론 (초기 형태)
S의 B라는 믿음은 정당화된다 iff B는 신빙성 있는 인지 과정에 의해 산출된다.<3>

골드만 자신이 지적하듯, 그와 같이 이해된 신빙론은 증거적 상쇄로부터의 반박들에 취약하다. 그러한 반박들은 주체가 그 믿음들을 신빙성 없는 과정에 의해 야기된 것으로 여길 증거를 지니기 때문에 비록 신빙성있게 산출되었다 할지라도 정당화되지 않는 믿음들을 묘사한다.<4> 스펜서가 기억 상실처럼 여겨지는 것을 겪고 신경생리학자에게 그의 문제에 대한 조언을 듣기로 결심한다고 가정해 보자. 그의 분야에서 저명한 권위자인 이 신경생리학자는 스펜서에게 그의 유년기 기억들이 극도로 신빙성이 없다고 말해준다.<5> 더 나아가서 비록 스펜서의 유년기 기억들이 실은 매우 신빙성이 있다 할지라도, 스펜서가 그 신경생리학자의 반대되는 주장을 믿음에 있어서 충분히 정당화된다고 가정해 보자. 그 신경생리학자의 의견은 정당화의 원천으로서 스펜서의 기억에 대한 신빙성을 상쇄시키고, 따라서, 만일 스펜서가 그의 유년기 동안에 일어났던 일에 대한 그의 믿음들을 견지하게 된다면, 이러한 믿음들은 정당화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과정 신빙론에 대한 우리의 초기 형태에 따르면 그 믿음들은 정당화될 것인데 왜냐하면 그 믿음들이 신빙성있게 산출되기 때문이다.

2) To handle cases of this kind, Goldman introduces a further condition, which is motivated by the idea that "the justificational status of a belief is not only a function of the cognitive processes actually employed in producing it; it is also a function of processes that could and should be employed."<6> Let us amend our initial version of process reliabilism with this condition:

Process Reliabilism (Final Version)
S's belief B is justified if and only if (i) B is produced by a reliable cognitive process; (ii) there is no alternative reliable process available to S that, had it been used by S in addition to the process actually used, would have resulted in S's not forming B.<7>

Let's apply this improved version of process reliabilism to the case involving the neurophysiologist. Suppose Spencer, ignoring the neurophysiologist's verdict, retains his memory beliefs about his childhood. In so doing, he ignores evidence that undermines his beliefs about his childhood. We may say, therefore, that Spencer uses the evidence available to him improperly. As Goldman points out, "the proper use of evidence would be an instance of a reliable process."<8> This process was available to Spencer, but he did not use it, although he could and should have. And had Spencer used this process, he would not have retained his memory beliefs about his childhood. Thus condition (ii) is not satisfied, and we get the correct result: Spencer's memory beliefs about his childhood are unjustified.
2) 이런 종류의 사례들을 다루기 위해, 골드만은 추가적인 조건을 도입한다. 그 조건은 "한 믿음의 정당화적 상태는 단지 실제로 그 믿음을 산출하는 데에 사용된 인지 과정들의 기능만이 아니라 또한 사용될 수 있고 사용되어야 할 과정들의 기능이기도 하다"라는 발상에 의해 동기를 부여받는다.<6> 과정 신빙론에 대한 우리의 초기 형태를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가지고 수정하도록 하자.

과정 신빙론 (최종 형태)
S의 믿음 B는 정당화된다 iff (i) B는 신빙성 있는 인지 과정에 의해 산출된다 (ii) 실제로 사용된 과정에 덧붙여 S에 의해 사용되었더라면 S가 B를 형성하지 않는 결과를 낳았을, S에게 가용한 어떠한 대안적인 신빙성 있는 과정도 없다.<7>

이 개선된 형태의 과정 신빙론을 신경생리학자와 관련된 그 사례에 적용해 보도록 하자. 스펜서가 그 신경생리학자의 견해를 무시하고 그의 유년기에 대한 그의 기억 믿음들을 견지한다고 가정하자. 그렇게 함에 있어서, 그는 그의 유년기에 대한 그의 믿음들을 약화시키는 증거를 무시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아마도 스펜서가 그에게 가용한 증거를 부당하게 사용한다고 말할 것이다. 골드만이 지적하듯, "증거의 적절한 사용은 신빙성 있는 과정의 일례이다."<8> 이 과정은 스펜서에게 가용하였지만, 그는 그 과정을 사용하지 않았다. 비록 그가 사용할 수 있었고 사용해야 했을지라도 말이다. 또 스펜서가 이 과정을 사용했더라면, 그는 그의 유년기에 대한 그의 기억 믿음들을 견지하지 않았을 것이다. 따라서 조건 (ii)는 만족되지 않고, 우리는 정확한 결과를 얻는다. 즉 스펜서의 유년기에 대한 그 자신의 기억 믿음들은 정당화되지 않는다.

3) There are three main objections to process reliabilism. According to the first, there is the possibility of an evil-demon world in which perceptual beliefs are justified although they are unreliably produced. This objection raises the issue of whether reliability is necessary for justification. The second objection presents the challenge of a reliably clairvoyant subject who does not know that he is reliably clairvoyant; his beliefs are supposed to be unjustified even though they are reliably produced. This objection raises the issue of whether reliability is sufficient for justification. And according to the third objection, when we apply process reliabilism to particular cases, it is not possible to specify the relevant cognitive process in a way that is neither too broad nor too narrow. This objection raises what is commonly referred to as the "generality problem."
3) 과정 신빙론에 대한 세 가지 주요 반박들이 있다. 첫 번째 반박에 따르면, 지각적 믿음들이 신빙성 없이 산출된다 할지라도 정당화되는 그러한 사악한-악마의 세계라는 가능성이 있다. 이 반박은 신빙성이 정당성에 필요조건인지에 대한 문제를 야기한다. 두 번째 반박은 그가 신빙성 있는 천리안임을 알지 못하는 신빙성 있는 천리안 주체에 대한 시험을 제시한다. 그의 믿음들은 설령 그 믿음들이 신빙성 있게 산출된다 할지라도 정당화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반박은 신빙성이 정당화의 충분조건인지에 대한 문제를 불러 일으킨다. 세 번째 반박에 따르면, 우리가 특정 사례들에 과정 신빙론을 적용할 때, 너무 광범위하지도 너무 협소하지도 않은 방식으로 관련된 인지 과정을 상술하는 일이 불가능하다. 이 반박은 일반적으로 "일반성 문제"라고 불리우는 문제를 불러온다.


Reliabilism and Naturalistic Epistemology
신빙론과 자연주의 인식론

1) Ever since the work of W. V. Quine gained prominence, the program of naturalizing epistemology - of replacing old-fashioned a priori armchair philosophizing with a new, thoroughly scientific approach - has enjoyed increasing support. In the next chapter, we shall discuss the merits of this project. For our present purposes, what matters is that in proposing his 1979 version of process reliabilism, Goldman intended to advance naturalized epistemology. Process reliabilism is supposed to be a naturalistic theory, one that differs in significant respects from theories advanced within nonnaturalized, traditional theories.<9> What is typical of such theories is that they analyze the nature of justification by employing evidential considerations - that is, by using conditions that are formulated in epistemic terms. Hence Goldman attempts to analyze the concept of epistemic justification without engaging in evidentialist language - that is, without using any epistemic terms such as "reasonable," "certain," or "evident."<10>
1) W. V. 콰인의 작업이 명성을 얻은 이래로, 인식론을 자연화하는 기획 - 구식의 선험적인 탁상공론 철학화를 새로운 철저하게 과학적인 접근으로 대체하는 - 은 지지의 증가를 향유하여 왔다. 다음 장에서, 우리는 이 기획의 이점들을 논의할 것이다. 우리의 현재 의도들로는, 문제는 그의 과정 신빙론의 1979년 판을 제안하면서 골드만이 자연화된 인식론을 제기하고자 하였다는 점이다. 과정 신빙론은 자연주의 이론으로 간주되고, 그것은 비자연화된 전통적 이론들 내에서 개진된 이론들과 중요한 측면들에 있어서 상이한 것이다.<9> 그러한 이론들의 전형적인 점은 그 이론들이 정당화의 본성을 증거적 숙고들을 사용함으로써 분석한다는 점이다 - 즉, 인식적 용어들로 정식화된 조건들을 사용함으로써 말이다. 따라서 골드만은 인식적 정당성 개념을 증거론적 언어에 참여함이 없이 분석하고자 시도한다 - 즉, "합리적," "확실한," 혹은 "증거가 되는" 과 같은 어떠한 인식적 용어들도 사용하지 않고 분석하고자 시도한다.<10>

2) Process reliabilism also differs from traditional theories in being an externalist theory. Recall that according to externalist theories, factors that determine a belief's justificatory status need not be accessible on reflection.<11> From the naturalistic point of view, a theory of justification ought to be externalist, for whether a belief is justified is not, according to naturalized epistemology, a matter the subject can determine on reflection. Rather, it is a scientific matter that must be settled by cognitive scientists and neurophysiologists.
2) 과정 신빙론은 또한 외재주의적 이론이라는 점에서도 전통적 이론들과 차이가 있다. 외재주의 이론들에 따르면 믿음의 정당화 상태를 결정하는 요소들은 숙고에 의해 허용가능할 필요가 없다는 점을 상기해 보자.<11> 자연주의적 관점에서, 정당성에 대한 이론은 외재주의적이어야 하는데, 왜냐하면 한 믿음이 정당화되는지 정당화되지 않는지 여부는 자연주의화된 인식론에 따르면 주체가 숙고를 통해 결정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오히려, 그것은 반드시 인지 과학자들과 신경생리학자들에 의해 결론지어져야만 하는 과학적 문제이다.

3) Why is process reliabilism an externalist theory? It is an externalist theory because whether a given belief is produced by a reliable process is something that can - at least in principle - be found out, given enough time and scientific resources. But it certainly cannot be found out on reflection. Even if on reflection the subject could pin down the cognitive process that produced the belief in question - which is by no means something that should be taken for granted - she would then have to determine whether that process produces mostly true beliefs. This could not be done merely by reflecting on the matter. Rather, an extensive empirical study would be necessary.
3) 어째서 과정 신빙론은 외재주의적 이론인가? 그것이 외재주의적 이론인 까닭은 주어진 믿음이 신빙성 있는 과정에 의해 산출되는지 여부가 - 최소한 원칙적으로는 - 충분한 시간과 과학적 자원들이 주어진다면 밝혀질 수 있는 어떤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것은 확실히 숙고를 통해서는 밝혀질 수 없다. 설령 숙고를 통해 주체가 문제가 되는 믿음을 산출한 인지 과정을 확정지을 수 있다 할지라도 - 그것은 결코 당연스럽게 받아들여져야 할 어떤 것이 아니다 - 그녀는 그 과정이 대체로 참인 믿음들을 산출하는지 여부를 결정해야 할 것이다. 이 일은 단지 그 문제에 대해 숙고하는 것만으로 행해질 수 없을 것이다. 오히려, 대규모의 경험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4) By being a version of externalism, process reliabilism satisfies the demand for naturalization. It is less clear, however, that it satisfies this demand also by avoiding evidentialist language. Indeed, we have already seen that Goldman solves the problem of evidential defeat by appealing to cognitive processes such as properly and improperly using one's evidence. If this difference is not in turn analyzed in nonepistemic terms, it would appear that the intended departure from traditional epistemology was not entirely successful.
4) 외재주의 형태가 됨으로써, 과정 신빙론은 자연주의화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킨다. 그렇지만 그것이 이러한 요구를 또한 증거적 언어를 피함으로써도 만족시키는지는 덜 분명하다. 더욱이, 우리는 이미 골드만이 증거적 상쇄 문제를 한 개인의 적절한 증거사용과 부적절한 증거사용과 같은 인지적 과정들에 호소함으로써 해결하는 것을 보았다. 만일 이러한 차이가 이제 비인식적 용어로 분석되지 않는다면, 전통적 인식론으로부터의 의도된 분리는 전적으로 성공적이지는 못했던 것으로 드러날 것이다.


The Evil-Demon Problem
사악한-악마 문제

1) Perhaps the most formidable difficulty process reliabilism faces comes in the form of cases that challenge the claim that reliability is necessary for justification. The most prominent such case is that of an evil-demon world. Suppose you are the victim of an evil demon: all of your perceptual beliefs are false because the evil demon manipulates your perceptual experiences in such a way that the existence of a physical world appears obvious to you when in fact there is no such world. All that exists are nonphysical minds without bodies, and you are one of them. Your perceptual beliefs are false because the objects your beliefs are about don't exist. For example, when you believe that there is a dog in front of you, your belief is false since, under the circumstances we are imagining, there is no dog before you simply because there are no dogs to begin with.
1) 아마도 과정 신빙론이 직면하는 가장 가공할 만한 난관은 신빙성이 정당화의 필요조건이라는 주장에 도전하는 사례들의 형태로 다가올 것이다. 그러한 사례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사악한-악마 세계의 사례이다. 당신이 사악한 악마의 희생자라고 가정해 보자. 당신의 모든 지각적 믿음들은 거짓인데 왜냐하면 사악한 악마가 당신의 지각 경험들을 사실 어떠한 물리적 세계도 없지만 당신에게는 물리적 세계의 현전이 명백하게 보이는 그러한 방식으로 규정하기 때문이다. 현존하는 모든 것은 실체 없는 비물리적 정신들이고, 당신은 그러한 정신들 중 하나이다. 당신의 지각적 믿음들은 거짓인데 왜냐하면 당신의 믿음들이 그것들에 대한 것인 그 대상들은 현존하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당신이 당신 앞에 개 한 마리가 있다고 믿을 때, 우리가 상상하고 있는 그러한 상황들 아래에서 당신의 믿음은 거짓이므로, 단순히 어떠한 개들도 처음부터 없었기 때문에 당신 앞에도 개라고는 전혀 없다.

2) One crucial assumption we must make here is that the experiences the evil demon induces in you are phenomenally indistinguishable from the experiences you actually have. They are exactly the same type of experiences you would have if you were not deceived by an evil demon, but rather lived a normal life in an ordinary physical world. This assumption is crucial because it provides us with a strong reason for saying that your perceptual beliefs are justified. After all, we ordinarily take ourselves to live in a normal world in which perceptual beliefs are usually justified. Consequently, given that there is no phenomenally discernible difference between your actual perceptual experiences and those you have in the evil-demon scenario, we must take your beliefs in the evil-demon world to be justified as well.
2) 우리가 여기에서 취해야만 하는 한 가지 결정적인 전제는 사악한 악마가 당신에게 촉발시킨 경험들이 현상적으로 당신이 실제로 가지는 경험들과 구별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그 경험들은 만일 당신이 사악한 악마에 의해 기만당하지 않고 오히려 일상적인 물리적 세계 내에서 평범한 삶을 살았더라면 당신이 가졌을 경험들과 정확하게 동일한 유형의 경험들이다. 무엇보다도, 우리는 일상적으로 우리 자신이 지각적 믿음들이 보통 정당화되는 평범한 세계에 살고 있다고 여긴다. 결론적으로, 당신의 실제 지각 경험들과 당신이 사악한-악마의 각본 속에서 지니는 경험들 사이에 현상적으로 식별 가능한 어떠한 차이도 현상적으로 식별 가능한 어떠한 차이도 없다는 것을 고려하면, 우리는 반드시 사악한-악마 세계 속에서 당신의 믿음들이 마찬가지로 정당화되는 것이라 여겨야만 한다.

3) What turns the scenario we are imagining into a difficulty for reliabilism is this: Your perceptual beliefs in the evil-demon world are all false, and thus unreliably produced. Put differently, for an evil-demon victim, perception is not a reliable cognitive process. Thus the perceptual beliefs in the evil-demon world are not produced by a reliable cognitive process. Yet they are justified. The conclusion to be drawn, then, is that reliability is not a necessary ingredient of justification.<12>
3) 우리가 상상하고 있는 그 각본을 신빙론의 난관으로 만드는 것은 이것이다. 즉 사악한-악마 세계에서 당신의 지각적 믿음들은 모두 거짓이고, 따라서 신빙성 없이 산출된다. 달리 말하자면, 사악한-악마의 희생자에 대해서, 지각은 신빙성있는 인지 과정이 아니다. 따라서 사악한-악마 세계에서 지각적 믿음들은 신빙성 있는 인지 과정에 의해 산출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그것들은 정당화된다. 그래서 도출될 결론은 신빙성이 정당화의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라는 것이다.<12>

4) Could the premise that your perceptual beliefs in the actual world are justified be questioned? From a skeptical point of view, they could. However, Goldman explicitly states that process reliabilism is intended to be an account of our ordinary concept of justification.<13> The beliefs that are justified according to reliabilism are therefore expected to coincide roughly with those beliefs that turn out to be justified when we apply our ordinary concept of justification. But if we apply this concept to the evil-demon world, our verdict must be that the perceptual beliefs in this world are (by and large) as much justified as they are in the actual world. For according to our ordinary concept of justification, beliefs based on perceptual evidence are (by and large) justified.
4) 실제 세계에서 당신의 지각적 믿음들이 정당화된다는 전제는 반문될 수 있을 것인가? 회의주의적 관점에서 그럴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골드만은 분명하게 과정 신빙론은 정당화에 대한 우리의 일상 개념에 대한 설명이고자 한다고 진술한다.<13> 신빙론에 따라 정당화되는 믿음들은 그러므로 우리가 우리의 일상적 정당성 개념을 적용할 때 정당화될 것으로 드러나는 그러한 믿음들과 거칠게나마 일치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만일 우리가 이러한 사악한-악마 세계의 개념을 적용한다면, 우리의 평가는 이러한 세계에서의 지각적 믿음들이 (대체로) 실제 세계에서의 믿음들이 정당화되는 만큼 정당화된다는 것이어야만 한다. 왜냐하면 우리의 일상적 정당성 개념에 따르자면, 지각적 증거에 기초된 믿음들은 (대체로) 정당화되기 때문이다.


The Clairvoyance Problem
천리안 문제

1) Is reliable belief production sufficient for justification? The following case is intended to establish that it is not. Suppose Norman enjoys the power of perfectly reliable clairvoyance with respect to the whereabouts of the president.<14> At any given moment, he can tell where the president is located. Furthermore, his clairvoyance normally results in beliefs about the presidnet's whereabouts only if Norman deliberately uses this power. Suppose Norman doesn't know that he has this power, and thus never uses it. On a rare ocasion, he spontaneously comes to believe, on the basis of his clairvoyance, that the president is in New York. Let us suppose further that, according to a news report Norman heard on television, the president is supposed to be receiving senators in the White House that morning. (As a matter of fact, the meetings were canceled and the president is indeed in New York that morning.)
1) 신빙성 있는 믿음 산출은 정당화에 대해 충분조건인가? 다음 사례는 그렇지 않다는 점을 확정짓고자 한다. 노만이란 사람이 대통령의 소재와 관련하여 완벽하게 신빙성 있는 천리안의 능력을 누린다고 가정해 보자.<14> 주어진 어떤 순간에서든, 그는 태통령이 위치한 곳이 어디인지 말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그의 천리안은 통상 오로지 노만이 의식적으로 이 능력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대통령의 소재에 대한 믿음들을 야기한다. 노만이 그가 지닌 능력을 모르고, 따라서 단 한 번도 그 능력을 사용한 적이 없다고 가정해 보자. 우연한 기회로, 그가 자발적으로 그의 천리안에 기초하여 대통령이 뉴욕에 있다고 믿게 된다. 나아가 우리는 노만이 텔레비젼에서 들은 뉴스 보도에 따르면 대통령이 그 날 아침 백악관에서 상원위원들을 접견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고 가정하도록 하자. (사실, 그 회동은 취소되었고 대통령은 실제로 그 날 아침 뉴욕에 있다.)

2) Ex hypothesi, Norman's belief is reliably produced. But is it justified? The news reports provide Norman with evidence against believing that the president is in New York. And since Norman has no other evidence concerning the president's whereabouts, we would have to say that Norman's belief is unjustified even though it is reliably produced. Reliable belief production by itself is not, therefore, sufficient for justification. Process reliabilism as intended by Goldman, however, involves an antidefeat clause. If amended with such a clause, it can handle the case we just considered. When Norman forms the belief that the president is in New York, there is a process available to him that he could and should have used: taking into account contrary evidence. had he used that process, he would not have formed the belief that the president is in New York. Hence process reliabilism gives us the right result: Norman's belief is unjustified.
2) 가정으로부터, 노만의 믿음은 신빙성 있게 산출된다. 그러나 그 믿음은 정당화되는가? 뉴스 보도는 노만에게 대통령이 뉴욕에 있다고 믿는 데에 반대되는 증거를 제공한다. 그리고 노만은 대통령의 소재와 관련하는 다른 어떤 증거도 가지고 있지 못하므로, 우리는 노만의 믿음이 설령 신빙성있게 산출된다 할지라도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말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신빙성 있는 믿음 산출은 그 자체로는 정당화의 충분조건이 아니다. 그렇지만 골드만에 의해 의도된 과정 신빙론은 반상쇄 조항을 포함한다. 만일 그와 같은 항목으로 수정된다면, 그 과정 신빙론은 우리가 방금 고찰한 사례를 취급할 수 있다. 노만이 대통령이 뉴욕에 있다는 믿음을 형성할 때, 그에게 그가 사용할 수 있었고 또 사용했어야 할 가용한 과정이 있다. 그가 그 과정을 사용했었더라면, 그는 대통령이 뉴욕에 있다는 믿음을 형성하지 않았을 것이다. 따라서 과정 신빙론은 우리에게 옳은 결론을 내려준다. 즉 노만의 믿음은 정당화되지 않는다.

3) What is at stake in discussing process reliabilism, then, is not the claim that reliable belief production is sufficient for justification, but rather the claim that undefeated reliable belief production is sufficient for justification. In the example we considered, there is defeating evidence: the news reports according to which the president is receiving senators in the White House that morning. Thus in order for an objection from clairvoyance to produce a genuine challenge to process reliabilism, a different kind of example must be devised. First, the belief in question must be reliably produced. Second, it must be unjustified not because it is undermined by contrary evidence, but rather because the subject has no positive evidence in its support.
3) 그래서 과정 신빙론의 성패는 신빙성 있는 믿음 산출이 정당화의 필요조건이라는 주장이 아니라 오히려 상쇄되지 않는 신빙성 있는 믿음 산출이 정당화에 대한 필요조건이라는 주장에 달려 있다. 우리가 고려하였던 사례에는 상쇄 증거가 있다. 즉 그에 따르면 대통령이 그 날 아침 백악관에서 상원의원을 접견하고 있다는 뉴스 보도이다. 따라서 천리안으로부터의 반박이 과정 신빙론에 대한 진정한 도전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다른 종류의 사례가 반드시 고안되어야만 한다. 우선, 문제가 되는 믿음은 반드시 신빙성 있게 산출되어야만 한다. 둘째, 그 믿음은 반드시 그 믿음이 반대 증거에 의해 약화되기 때문이 아니라 오히려 주체가 그 믿음의 지지에 있어서 아무런 긍정적 증거도 지니지 못하기 때문에 정당화되지 않아야만 한다.

4) It's not so clear, however, that process reliabilism can't handle cases of that kind. For Goldman could say that when S believes something without supporting evidence, there is an available process S could and should have used: taking into account the absence of supporting evidence or, more generally, believing in accord with one's evidence. So Goldman's process reliabilism, if properly applied, implies what it should: that evidentially unsupported beliefs are unjustified.
4) 그렇지만 과정 신빙론이 그런 종류의 사례들을 취급할 수 없으리란 것은 그렇게 분명하진 않다. 왜냐하면 골드만은 S가 지지증거 없이 어떤 것을 믿을 때, S가 사용할 수 있었고 사용했어야 할 가용한 과정이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즉 지지 증거의 부재를 고려려하는 것, 좀 더 일반적으로 말해서 한 개인의 증거에 따라 믿는 것 말이다. 그래서 골드만의 과정 신빙론은 만일 적절하게 적용된다면 어떠해야 할지를 시사한다. 곧 증거적으로 뒷받침되지 않는 믿음들은 정당화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5) Nevertheless, the clairvoyance problem does illuminate a feature of process reliabilism that advocates of naturalistic epistemology must view as a weakness. Process reliabilism is supposed to be a naturalistic theory - a theory that allows us to evaluate beliefs without applying evidentialist considerations. However, when process reliabilism is applied to particular cases, evidentialist considerations make their entry through the backdoor. In order to handle cases in which a reliably produced belief is defeated by contrary evidence, process reliabilists must introduce a process such as taking into account contrary evidence. And in order to handle clairvoyance cases in which supporting evidence is missing, they must appeal to a process such as taking into account the absence of supporting evidence. It could therefore be argued that, to get the right results, process reliabilists must ultimately employ evidentialist considerations. It could be doubted, therefore, that process reliabilism is in fact a genuine alternative to traditional evidentialist theories.
5)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리안 문제는 자연주의 인식론의 지지자들이 반드시 약점으로 간주해야만 하는 과정 신빙론의 특징을 밝혀낸다. 과정 신빙론은 자연주의적 이론인 것으로 생각된다 - 우리에게 증거적 고찰들을 적용하지 않고 믿음들을 평가하도록 허용하는 이론인 것으로 말이다. 그렇지만, 과정 신빙론이 특정한 사례들에 적용될 때, 증거적 고찰들은 뒷문을 통해 그 사례들의 유입을 만든다. 신빙성있게 산출된 믿음이 반대 증거에 의해 상쇄되는 사례들을 다루기 위해, 과정 신빙론자들은 반드시 반대 증거를 고려하는 것과 같은 그러한 과정을 도입해야만 한다. 그리고 지지증거가 생략되어 있는 천리안 사례들을 다루기 위해, 그들은 반드시 지지증거 부재를 고려하는 것과 같은 과정에 호소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옳은 결론을 내리기 위해 과정 신빙론자들은 반드시 궁극적으로 증거적 고찰들을 채용해야만 한다고 주장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과정 신빙론이 사실상 전통적 증거주의적 이론들에 대한 진정한 대안이라는 것은 의심스러울 수 있다.


The Generality Problem
일반성 문제

1) To study the ins and outs of the generality problem, it is best to consider initially a simplified version of reliabilism (let's clal it "simple reliabilism") and to turn at a later point to the more complicated version we discussed above. According to simple reliabilism, a belief's justification is solely a function of the reliability of the process that produced it. But a cognitive process that produces a belief in a particular case exemplifies many different types of cognitive processes. For example, when I look out my office window and see a dog on campus, the cognitive process that produces the belief "There is a dog over there" can be described thus:

(i) perception;
(ii) Vision;
(iii) Vision during daylight;
(iv) Vision during daylight through a pair of correcting lenses;
(v) Visually perceiving a moving object during daylight and through a pair of correcting lenses at a distance of approximately forty feet.

We must, therefore, distinguish between the particular token of a cognitive process that produces a belief in a specific case and the various types of cognitive processes that that token exemplifies. This distinction is important because it is types, not tokens, of cognitive processes that can be said to be reliable or unreliable. In order for a process to be reliable, the tokens that instantiate that process must produce true beliefs most of the time. Hence the particular tokens of a cognitive process type do not themselves have the property of being reliable or unreliable, but rather determine whether that process type is reliable or not.<15>
1) 일반성 문제의 안팎을 상세히 연구하기 위해, 우선 신빙론의 단순화된 형태 (이를 "단순 신빙론"이라 부르도록 하자) 를 고찰하고 이후에 우리가 위에서 논의하였던 더욱 정교화된 형태에 대한 나중 지점으로 돌아서는 것이 최선이다. 단순 신빙론에 따르면, 믿음의 정당화은 오로지 그 믿음을 산출하는 과정의 신빙성의 기능이다. 그러나 특정한 상황에서 믿음을 산출하는 인지적 과정은 여러 상이한 유형의 인지적 과정들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내가 사무실 창을 내다 보다고 캠퍼스의 개 한 마리를 볼 때, "저기 개 한 마리가 있다"라는 믿음을 산출하는 인지적 과정은 다음과 같이 기술될 수 있다.

(i) 지각;
(ii) 시각;
(iii) 햇빛이 비추는 동안의 시각;
(iv) 햇빛이 비추는 동안의 보정렌즈를 통한 시각;
(v) 햇빛이 비추는 동안 보정렌즈를 통해 근사치로 40피트(12.192m) 거리에서 움직이는 물체에 대한 시각적 지각.

그러므로 우리는 반드시 특정 상황에서 믿음을 산출하는 인지 과정의 특수한 생기형(生起型)과 그 생기형이 예화하는 다양한 유형의 인지 과정들을 구별해야만 한다. 이러한 구별은 중요한데 왜냐하면 신빙성 있다거나 없다고 이야기될 수 있는 것은 인지 과정의 유형들이지 생기형들이 아니기 때문이다. 한 과정이 신빙성 있기 위해서, 그 과정을 예증하는 생기형들은 반드시 대부분의 경우 참인 믿음들을 산출해야만 한다. 따라서 인지 과정 유형의 특정 생기형들은 그 자체로는 신빙성 유무의 속성을 지니지 않고, 오히려 그 과정 유형의 신빙성 유무를 결정한다.<15>

2) Goldman himself points out that since process types can be described broadly or narrowly, a serious problem arises: that of how to describe process types in appropriate generality.<16> In order to examine the nature of this problem, let's introduce a belief that is both true and unjustified. Suppose my colleague Edith brought her dog on campus, and the dog ran away. Now she is looking for him, and spotting in the far distance a dog, she believes

(D) There is my dog over there.

Since she doesn't recognize that dog very clearly, her visual evidence doesn't justify her belief, which is in fact an instance of wishful thinking. Thus (D) is unjustified. However, the dog she has spotted is in fact hers. Hence (D) happens to be true. Let's apply to this example simple reliabilism, which asserts:

Simple Reliabilism
Belief B is justified if and only if the process token that produces B instantiates a reliable process type.

Edith's belief is a visual belief. Since vision is a reliable cognitive process, simple reliabilism implies that (D) is justified, when in fact it is not. Hence simple reliabilism doesn't give us the right result for the case we are considering.
2) 골드만 자신은 과정 유형들이 광범위하게나 협소하게 기술될 수 있으므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고 지적한다. 그 문제는 적절한 일반성 내에서 기술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16> 이 문제의 본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참이면서 또한 정당화되지 않은 믿음을 도입해 보도록 하자. 나의 동료 이디트가 학교에 그녀의 개를 데려 왔다가, 그 개가 달아났다고 가정해 보자. 지금 그녀는 그 개를 찾고 있고, 멀리 있는 개 한 마리를 발견하고서 다음과 같이 믿는다.

(D) 저기 내 개가 있다.

그녀는 그 개를 아주 분명하게 재인하지는 못하므로, 그녀의 시각적 증거는 그녀의 믿음을 정당화하지 못하고, 그것은 사실 희망사항의 일례이다. 따라서 (D)는 정당화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그녀가 발견한 그 개가 사실은 그녀의 개이다. 따라서 (D)는 우연히 참이다. 이 예시를 단순 신빙론에 적용해 보자. 단순 신빙론은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단순 신빙론
믿음 B는 정당화된다 iff B를 산출하는 과정 생기형이 신빙성 있는 과정 유형을 예증한다.

에디트의 믿음은 시각적 믿음이다. 시각은 신빙성 있는 인지 과정이므로, 단순 신빙론은 (D)가 사실은 참이 아닌 경우에도 정당화됨을 시사한다. 따라서 단순 신빙론은 우리에게 우리가 고려하고 있는 상황에 대한 옳은 결론을 내려주지 않는다.

3) A natural response to this problem is to demand specification. However, simple reliabilism suffers not only from too much generality but also from too much specificity. Consider the following process type, which makes reference to the identity of the perceiver (Edith N.), and the precise time and place at which the perceiver spots her dog: Edith N. visually perceiving a dog at 3:15 p.m. on June 25, 1994, in front of Office 123 in Brown Hall. This process type is instantiated by one, and only one, process token: namely, the one that leads my colleague to form belief (D). Let us call process types that are instantiated by one, and only one, process token "OTOPs" (one-token-only process types). What is remarkable about OTOPs is this: Whenever the unique token that instantiates an OTOP is true, that OTOP is an example of perfect reliability. For whenever an OTOP leads to a true belief, it isn't instantiated by a single token that leads to a false belief.
3) 이 문제에 대한 자연스러운 응답은 상술을 요구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단순 신빙론은 지나친 일반성으로부터만이 아니라 지나친 상세화로부터도 곤란을 겪는다. 지각자(에디트 N.)의 정체성에 대한 언급과 그 지각자가 그녀의 개를 발견한 정확한 시간과 장소를 만드는 다음과 같은 과정 유형을 고려해 보자. 1994년 6월 25일 오후 3시 15분 브라운 관 123호 사무실 앞에서 한 마리 개를 시각적으로 지각하는 에디트 N.. 이 과정 유형은 오직 단 하나의 과정 생기형에 의해 예증된다. 말하자면, 나의 동료가 (D) 믿음을 형성하도록 이끄는 생기형 말이다. 오직 단 하나의 생기형에 의해서 예증되는 과정 유형들을 "OTOP들" (하나의 생기형뿐인 과정 유형들) 이라고 부르도록 하자. OTOP들에 대해 주목할 점은 이것이다. OTOP를 예증하는 유일한 생기형이 참인 어느 경우에든, 그 OTOP는 완벽한 신빙성의 일례이다. 왜냐하면 OTOP가 참인 믿음으로 이끄는 어느 경우에든, 그 유형은 거짓 믿음으로 이끄는 단일 생기형에 의해 예증되지 않기 때문이다.

4) The problem, then, is to describe the relevant process types in such a way that they are neither too broad nor too specific. Our example of a belief resulting from wishful thinking illustrates that since perception is, in general, a reliable process, without a specification device, process reliabilism implies that all perceptual beliefs are justified.<17> And the threat of OTOPs shows that unless the extent of permissible specification is limited, process reliabilism implies as well that all true beliefs are justified.
4) 그래서 문제는 상관된 과정 유형들을 그것들이 지나치게 광범위하지도 너무 협소하지도 않은 그런 방식으로 기술하는 것이다. 희망사항으로부터 귀결한 믿음에 대한 우리의 사례는 일반적으로 지각이 상술 장치 없이 신빙성 있는 과정이므로, 과정 신빙론은 모든 지각적 믿음들이 정당화된다는 것을 시사한다는 점을 묘사한다.<17> 그리고 OTOP들에 대한 그 위협은 허용 가능한 상술화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 한, 과정 신빙론도 마찬가지로 모든 참인 믿음들은 정당화된다는 점을 시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5) Simple reliabilism also implies that all false beliefs are unjustified. To see why, let's modify our example. Edith perceives the dog clearly and distinctly. The dog, which is in fact someone else's, is an exact look-alike of hers. Since Edith has no reason to suspect this, she is justified in believing (D). Alas, (D) is false. Now, just as in the previous case (where (D) was true) there was an OTOP of perfect reliability, there is now an OTOP of perfect unreliability. The process type Edith N. visually perceiving a dog at 3:15 p.m. on June 25, 1994, in front of Office 123 in Brown Hall is instantiated by exactly one process token - the one that led my colleague to believe (D) - and that token leads to a false belief. This means that the process in question instantiates a perfectly unreliable process type. Hence simple reliabilism gives us the wrong result: Edith's belief is unjustified. Indeed, since every process token leading to a false belief instantiates some OTOP or other, simple reliabilism implies that a belief is unjustified whenever it is false.
5) 단순 신빙론은 또한 모든 거짓 믿음들이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시사한다. 왜 그러한지 보기 위해, 우리의 예시를 수정해 보자. 에디트는 그 개를 분명하고 뚜렷하게 지각한다. 사실 다른 누군가의 개인 그 개는 그녀의 개와 정확히 꼭 닮았다. 에디트는 이렇게 의심할 아무런 근거도 없으므로, 그녀는 (D)를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 안타깝게도, (D)는 거짓이다. 이제, 앞서의 사례 ((D)가 참이었던) 에서 완벽한 신빙성의 OTOP가 있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지금도 완벽하게 신빙성 없는 OTOP가 있다. 1994년 6월 25일 브라운 관 123호 사무실 앞에서 개 한 마리를 시각적으로 지각하는 에디트 N.의 과정 유형은 저확히 하나의 과정 생기형에 의해 예증된다 - 그 생기형은 나의 동료로 하여금 (D)를 믿도록 이끌었다 - . 그리고 그 생기형은 거짓 믿음으로 이끈다. 이것은 문제가 되는 과정이 완벽하게 신빙성 없는 과정 유형을 예증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단순 신빙론은 우리에게 그릇된 결론을 제공한다: 에디트의 믿음은 정당화되지 않는다. 더욱이, 거짓 믿음으로 이끄는 모든 과정 생기형은 그 일부가 OTOP를 예증하거나 혹은 다른 유형을 예증하므로, 단순 신빙론은 한 믿음이 거짓인 그 어느 때에라도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시사한다.

6) In discussing the generality problem, we have thus far only considered a simplified version of reliabilism. It is now time to discuss whether process reliabilism is still vulnerable to the generality problem once it is amended with an antidefeat caluse. (Let's refer to that version of reliabilism as "Goldman's process reliabilism.")

Goldman's Process Reliabilism (GPR)
S's belief B is justified if and only if (i) B is produced by a reliable cognitive process; (ii) there is no alternative reliable process available to S that, had it been used by S in addition to the process actually used, would have resulted in S's not forming B.<18>

GPR does not imply that a belief is justified whenever it is true. For sometimes when S forms a true belief, S ignores contrary evidence that undermines that belief. In such cases, condition (ii) will not be satisfied. However, GPR does imply that a belief is false whenever it is unjustified. As we saw above, for every such belief, there is a perfectly unreliable OTOP that produces it. Hence false beliefs can't satisfy condition (i), and thus are always, according to GPR, unjustified.<19>
6) 일반성 문제를 논의함에 있어서, 우리는 따라서 지극히 오직 단순화된 형태의 신빙론만을 고찰하였다. 이제 과정 신빙론이 반상쇄 조항으로 수정되고 나서도 여전히 일반성 문제에 취약한지 여부를 논의할 때이다. (그러한 형태의 신빙론을 "골드만 과정 신빙론"이라 부르도록 하자.)

골드만 과정 신빙론 (GPR)
S의 믿음 B는 정당화된다 iff (i) B는 신빙성 있는 인지 과정에 의해 산출된다; (ii) S에 의해 실제로 사용된 과정에 추가로 사용되었더라면 S의 B 형성을 귀결하지 않았을 그러한 S에게 가용한 신빙성 있는 어떠한 대안적 과정도 없다.<18>

GPR은 믿음이 참일 때에는 언제든지 정당화된다고 시사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때때로 S가 참인 믿음을 형성할 때, S가 그 믿음을 약화시키는 반대 증거를 무시하기 때문이다. 그런 경우들에 있어서, 조건 (ii)는 만족되지 않을 것이다. 그렇지만, GPR은 한 믿음이 거짓일 때에는 언제라도 정당화되지 않는다는 점을 시사한다. 우리가 위에서 보았던 것처럼, 그러한 모든 믿음들에 대해서, 그 믿음을 산출하는 완벽하게 신빙성 없는 OTOP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거짓 믿음들은 조건 (i)을 만족시킬 수 없고, 그에 따라 GPR에 따르면 언제나 정당화되지 않는다.<19>

-蟲-
Supervenience: The Case for Nondoxastic Justification
수반: 비사견적 정당화의 사례

1) In Chapter 2, we studied what reasons there are for claiming that a belief's justification - a special kind of evaluative status - must supervene on a set of nonevaluative properties. Let's briefly restate the main two points. First, we argued that two beliefs that share their nonnormative properties must share their epistemic properties. This is the view that a belief's epistemic status weakly supervenes on the belief's descriptive nature. Second, we argued that if a belief has the nonnormative properties that make it justified in one possible world, then it is justified in all possible worlds in which it has these nonnormative properties. This is the thesis that a belief's epistemic status strongly supervenes on its descriptive nature.<19>
1) 2장에서, 우리는 믿음의 정당화 - 평가적 상태들 중의 한 특수한 종류 - 가 반드시 일련의 비평가적 속성들에 수반해야만 한다는 주장에 어떠한 근거들이 있는지 연구하였다. 간략하게 두 가지 주요한 점들을 재진술해 보도록 하자. 첫째, 우리는 비평가적 속성들을 공유하는 두 가지 믿음들은 반드시 인식적 속성들을 공유하여야만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것은 믿음의 인식적 상태가 믿음의 기술적 본성에 약하게 수반한다는 관점이다. 둘째로, 우리는 만일 한 믿음이 그 믿음을 하나의 가능세계에서 정당화되도록 만드는 비평가적 속성들을 지닌다면, 그 믿음은 그 믿음이 이러한 비평가적 속성들을 지니는 모든 가능 세계들에서 정당화된다고 주장하였다. 이것은 한 믿음의 인식적 상태가 강력하게 그 기술적 본성에 수반한다는 논지이다.<19>

2) Now, when coherentists make the doxastic move - when they claim that the source of justification is to be found, not in coherence itself, but in beliefs about coherence - then it becomes mysterious how coherentism can be reconciled with the supervenience of epistemic status on nonnormative properties. The reason is as follows.
2) 이제, 정합론자들이 사견적 조치를 만들 때 - 그들이 정당성의 원천은 정합성 자체가 아니라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에서 발견되는 것이라고 주장할 때 - 어떻게 정합론이 비평가적 속성들에 대한 인식적 상태의 수반과 조화될 수 있는지는 이해불가한 것이 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3) Suppose that, as the doxastic move asserts, the source from which a belief receives its justification lies in beliefs about coherence. Clearly, though, it cannot lie in unjustified beliefs about coherence. Rather, if a belief receives its justification from beliefs about coherence, then these further beliefs must be justified in turn. So what coherentism, if it incorporates the doxastic move, tells us, in effect, is that the source of a belief's justification always lies in further justified beliefs about coherence. Consider a particular belief B and assume B is justified. Now, if foundationalists ask a coherentist (who endorses the doxastic move) to say what it is that justifies B, the coherentist would have to answer: B derives its justification from at least one further justified belief about coherence that functions as B's justifying reason. But if the coherentist answers the foundationalists' question in this way, she is explaining one belief's justification in terms of another belief's justification - which is to say, she is failing to make the analytic step from the evaluative level of justification to the domain of those nonevaluative properties that generate justification.<20>
3) 사견적 조치가 주장하듯 믿음이 그 정당성을 받아오는 원천이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에 자리한다고 가정해 보자. 분명히, 그렇다 할지라도, 정당성은 정합성에 대한 정당화되지 않은 믿음들에 자리할 수는 없다. 오히려, 만일 한 믿음이 그 정당성을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로부터 받는다면, 이번에는 다시 이러한 추가적인 믿음들이 반드시 정당화되어야만 한다. 그래서 만일 정합론이 사견적 조치를 포함한다면 그러한 정합론이 우리에게 말해주는 것은 사실상 한 믿음의 정당성의 원천은 언제나 정합성에 대한 추가적인 정당화된 믿음들에 놓인다는 것이다. 특정한 믿음 B를 고려하고 B가 정당화된다고 가정해 보자. 이제, 만일 토대론자들이 한 정합론자에게 (그는 사견적 조치를 지지하는 자이다) 무엇이 B를 정당화하는 것인지 말하도록 요청한다면, 그 정합론자는 다음과 같이 대답해야 할 것이다: B는 그 정당성을 정합성에 대한 최소한 하나의 추가적인 정당화된 믿음, B의 정당화 근거로 기능하는 그러한 정당화된 믿음으로부터 이끌어낸다. 그러나 만일 그 정합론자가 이러한 방식으로 토대론자들의 물음에 대답한다면, 그녀는 한 믿음의 정당성을 다른 믿음의 정당성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 즉 그것은 그녀가 정당성의 평가적 수준으로부터 정당성을 산출하는 그러한 비평가적 속성들의 영역으로 향하는 분석적 단계를 구성하는 데에 실패하고 있다는 말이다.<20>

4) At this juncture, foundationalists will press their point. They will ask the coherentist: "Does epistemic justification ultimately arise from a nonnormative source, or does it not?" If the coherentist remains faithful to the doxastic move, she will say: "No, it does not." In light of our discussion of supervenience in Chapter 2, we must say that this would not be a plausible answer. If, however, the coherentist answers the foundationalists' question by saying "Yes, it does," then, in effect, she abandons the doxastic move and identifies coherence itself, understood as a nonepistemic relation between beliefs, as the ultimate source of justification. And in doing so, she admits in principle that there is such a thing as nondoxastic justification.<21>
4) 이러한 단계에서, 토대론자들은 그들의 관점을 밀어붙일 것이다. 그들은 그 정합론자에게 물을 것이다. "인식적 정당성은 궁극적으로 비평가적 원천으로부터 일어나는가, 아니면 그렇지 않은가?" 만일 그 정합론자가 사견적 조치에 대해 충실하게 남는다면, 그녀는 말할 것이다. "아니다, 그렇지 않다." 2장에서 수반에 대한 우리의 논의에 비추어 볼 때, 우리는 반드시 이것이 그럴 성싶은 대답은 아니리라고 말해야만 한다. 그렇지만 만일 그 정합론자가 토대론자들의 그 물음에 "맞다, 그렇다"라고 말하여 대답한다면, 사실상 그녀는 사견적 조치를 폐기하고 믿음들 사이의 비인식적 관계로 이해되는 정합성 자체를 저당성의 궁극적 원천으로 규정하는 것이다. 그렇게 함에 있어서, 그녀는 원칙적으로 비사견적 정당화와 같은 그런 어떤 것이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다.<21>

5) At the end of the section on Bonjour's argument against nondoxastic justification, we noted that our argument against the possibility of self-justification presupposes a principle that relies on the very intuition that drives Bonjour's argument, The principle is that if a belief doesn't already "have" justification, it can't "give" justification to itself. The underlying intuition, it appears, is that something can justify only if it has justification itself. However, if we accept that a belief's property of being justified supervenes on nonevaluative properties, then we must resist this intuition. And doing so poses no insurmountable obstacle, for we must distinguish between the following two principles:

(A) For any two beliefs B1 and B2, if B1 justifies B2, then B1 must be justified itself.
(B) For any two things x and y, if x is the source of y's justification, then x must be something that has justification itself.

(A), which is the principle we appealed to in our argument against the possibility of self-justification, does not imply principle (B). Principle (A) is about beliefs, which are capable of being justified or unjustified. And the intuition behind (A) is that whatever is capable of being justified must be justified itself in order to justify something else. Principle (B), in contrast, is about anything whatever; it is a principle that includes within its scope things that are incapable of being justified. Clearly, we may maintain that what is capable of being justified must be justified itself in order to justify without also having to maintain that what is incapable of being justified must be justified itself in order to justify. Indeed, if we accept the supervenience thesis about justification, we must view such things as a belief system's coherence and a belief's perceptual ground as sources of justification: as things that can justify but which are not themselves capable of being justified. Hence there is no inconsistency involved, in asserting (A) and rejecting (B).
5) 비사견적 정당성에 반대하는 봉주르의 논증에 대한 절의 마지막 부분에서, 우리는 자기-정당화의 가능성에 반대하여 봉주르의 논증을 이끌어낸 바로 그 직관에 의존하는 원칙, 만일 한 믿음이 이미 정당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그 믿음은 그 자신에게 정당성을 '줄' 수 없다는 원칙을 전제하였다. 그 근저에 놓인 직관은 어떤 것이 정당화를 할 수 있는 것은 오직 그것이 스스로 정당성을 지닐 때에만 가능하다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만일 우리가 한 믿음의 정당화됨이라는 속성이 비평가적 속성들에 수반한다는 점을 받아들인다면, 우리는 반드시 이 직관에 저항해야만 한다. 그리고 그렇게 하는 것은 극복할 수 없는 장애물을 부과하는 것이 아닌데, 왜냐하면 우리는 반드시 다음 두 가지 원칙들을 구분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A) 어떠한 두 가지 믿음 B1과 B2에 대해서도, 만일 B1이 B2를 정당화한다면, B1은 스스로 정당화되어야만 한다.
(B) 어떠한 두 가지 것들 x와 y에 대해서든, 만일 x가 y의 정당성에 대한 원천이라면, x는 반드시 그 자체로 정당성을 갖는 어떤 것이어야만 한다.

자기-정당화 가능성에 반대하는 우리의 논증에 있어서 우리가 호소하였던 원칙인 (A)는 원칙 (B)를 함축하지 않는다. 원칙 (A)는 정당화되거나 정당화되지 않을 수 있는 믿음들에 대한 것이고, (A) 이면의 직관은 정당화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무엇이 되었든지 반드시 다른 어떤 것을 정당화하기 위해서는 그 자체로 정당화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반면에 원칙 (B)는 무엇이 되었든 어떤 것에 대한 것이다. 그것은 그 범위 내에 정당화될 수 있는 능력이 없는 것들을 포함하는 원칙이다. 분명히, 우리는 아마도 정당화되는 능력이 없는 것이 정당화하기 위해 그 자체로 정당화되어야만 한다고 주장해야 할 것 없이도 정당화되는 능력이 있는 것이 정당화하기 위해서 그 자체로 정당화되어야만 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더욱이, 만일 우리가 정당화에 대한 수반 명제를 수용한다면, 우리는 반드시 믿음 체계의 정합성과 믿음의 지각적 근거와 같은 그러한 것들을 정당성의 원천들로 간주해야만 한다. 즉 정당화할 수 있지만 그 자체로 정당화되는 능력은 없는 그러한 것들을 말이다. 따라서 (A)와 (B)를 주장함에 있어서 포함되는 비일관성은 전혀 없다.

6) It would appear, then, that the foundationalist commitment to nondoxastic justification is in good shape after all. It should be seen, however, that the reasoning in support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does not, ipso facto, amount to an argument for foundationalism and against coherentism. For coherentists can admit that there is nondoxastic justification and still maintain that foundationalism and coherentism are mutually incompatible theories. If they were to do so, they would have to claim that there is one, and only one, nondoxastic source of justification: coherence relations among beliefs. In this view, justification is generated through certain nonevaluative relations beliefs bear to other beliefs, and never through relations beliefs bear to things other than beliefs. Now, while there is nothing obviously incoherent about this view, it is unclear what argument can be made in its support. For once it is granted in principle that nondoxastic justification is possible, and indeed necessary if there is justification at all, then it is difficult to see what reason there might be to exclude perceptual, introspective, and memorial states from the club of nondoxastic justifiers.
6) 그래서 비사견적 정당성에 대한 토대론적 전념은 무엇보다도 훌륭한 양태에 속하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 그렇지만 비사견적 정당성의 지지에 있어서의 추론이 결과적으로 토대론을 위하고 정합론에 반대하는 논증이 되지는 않는다는 점이 주시되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정합론자들은 비사견적 정당성이 있다는 점을 인정할 수 있으며 그리고 여전히 토대론과 정합론이 상호 양립불가능한 이론들임을 주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일 그들이 그렇게 한다면, 그들은 정당성에 대해서 하나의 유일한 비사견적 원천만이 있다고 주장해야 할 것이다. 그것은 바로 믿음들 사이의 정합적인 관계들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정당성은 다른 믿음들과 관계하는 믿음들의 특정한 비평가적 관계들을 통하여 산출되며, 결코 믿음들 이외의 다른 어떤 것들에 관계하는 믿음들의 관계들을 통해서는 산출되지 않는다. 이제, 이러한 관점에 대해 명백하게 비정합적인 어떤 것도 없는 반면, 그 관점의 지지에 있어서 어떤 논증이 구성될 수 있는지는 불분명하다. 왜냐하면 만일 정당성이란 게 좌우간 있다면 일단 원칙적으로 비사견적 정당화가 가능하고 더욱이 필요하다고 받아들이고 난 다음에는, 지각적, 내성적, 그리고 기억의 상태들을 비사견적 정당화항들의 집합으로부터 배제시킬 어떤 이유가 있을는지 알아보기란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7) Let us briefly sum up where the debate over foundationalism and coherentism has led us. The debate's starting point is Bonjour's dilemma argument against possibility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Nondoxastic justifiers are either states of awareness, and therefore need to be justified themselves; or they are not states of awareness, and thus, not being capable of being justified themselves, cannot justify anything. The foundationalist reply to this argument is that the second horn of the dilemma is false: nondoxastic states can justify even though they are not states of awareness and thus are not capable of being justified themselves. In support of this claim, foundationalists confront the coherentists with a dilemma objection of their own: Either coherentists admit coherence as a nondoxastic source of justification or they don't. If they do, then it remains mysterious on what grounds they can maintain that there are no sources of justification other than coherence relations among beliefs. If they don't, then they initiate an unacceptable level regress, and furthermore fail to identify the nonevaluative grounds on which justification supervenes.
7) 토대론과 정합론을 둘러싼 논쟁이 우리를 이끌은 곳을 간략하게 정리해 보도록 하자. 그 논쟁의 출발점은 비사견적 정당화 가능성에 반대하는 봉주르의 딜레마 논증이다. 즉 비사견적 정당화항들은 의식의 상태들이고, 그러므로 그 자체로 정당화될 필요가 있거나, 또는 그것들이 의식의 상태들이 아니며, 따라서 그 자체로 정당화될 수 있는 능력이 없고, 어떤 것도 정당화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 논증에 대한 토대론적 응답은 딜레마의 두 번째 항이 거짓이라는 것이다. 즉 비사견적 상태들은 설령 그것들이 의식의 상태가 아니고 따라서 그 자체로 정당화될 수 있는 능력이 없다고 하더라도 정당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을 지지함에 있어서 토대론자들은 그들 고유의 딜레마 반박으로 정합론자들에 맞선다. 즉 정합론자들은 정합성을 정당화의 비사견적 원천으로 인정하든가 그러지 않는다. 만일 그들이 그렇게 한다면, 어떠 근거들에서 그들이 믿음들 사이의 정합적 관계들 이외에 다른 정당성의 어떠한 원천들도 없다고 주장할 수 있는지는 불가해한 것으로 남는다. 만일 그들이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그들은 수용 불가능한 수준 소급에 착수하고 더 나아가 정당성이 그에 수반하는 비평가적 근거들을 규정하는 데에 실패한다.


Lehrer's Coherentism Reconsidered
재고찰된 레러의 정합론

1) In light of the regress problems Bonjour's version of coherentism generates, how does Lehrer's theory fare? As we saw in our examination of the theory in Chapter 5, Lehrer's notion of coherence involves two ingredients: (i) competitors must be beaten; (ii) the subject must take herself to be a trustworthy source of information under the relevant circumstances. Let's summarize Lehrer's coherentism as follows:

(JL) S's acceptance A is justified if and only if (i) in S's acceptance system, all of A's competitors are beaten; (ii) S accepts that she is a trustworthy source of information under the circumsatnces under which A was produced.

Does (JL) generate an infinite level regress? To find that out, we must focus on condition (ii). If condition (ii) is satisfied, then S's belief system contains the meta-acceptance

A*    I am a trustworthy source of information under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A was produced.

How is this meta-acceptance justified in turn? Here is Lehrer's answer to this question:

The claim that I am trustworthy in any particular matter under any special set of circumstances may be justified on the basis of the other things that I accept; I accept that I have had success in reaching the truth about similar matters in similar circumsatnces in the past and that the present circumstances do not differ in any relevant way from past circumstances when I was correct.<22>

This sounds plausible enough, but it does not address the issue that is crucial: in order for A* to be justified, must A* itself meet condition (ii) of (JL)? If it must, then we do get an infinite regress, for then A* must be accompanied by the meta-meta-acceptance

A**    I am a trustworthy source of information under the circumstance under which A* was produced.

which in turn must be accompanied by a meta-meta-meta-acceptance A***, and so forth.
1) 정합론에 대한 봉주르의 방식이 산출하는 소급 문제에 비추어, 레러의 이론은 어떻게 진행되는가? 우리가 5장에서 그 이론에 대한 우리의 검토에서 보았던 것처럼, 정합성에 대한 레러의 관념은 두 가지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i) 경쟁자들은 반드시 격파되어야만 한다; (ii) 주체는 반드시 그녀 자신을 적절한 상황들 아래에서 정보의 신뢰할 만한 원천으로 취해야만 한다. 레러의 정합론을 다음과 같이 요약해 보자:

(JL) S의 A를 수용함은 정당화된다 iff (i) S의 수용 체계에서 A의 모든 경쟁항들은 격파된다; (ii) S는 그녀가 A가 산출된 그러한 상황들 아래에서 정보의 신뢰할 만한 원천임을 수용한다.

(JL)은 무한 수준 소급을 산출하는가? 그것을 알아내기 위해, 우리는 반드시 조건 (ii)에 초점을 맞추어야만 한다. 만일 조건 (ii)가 만족된다면, S의 믿음 체계는 다음과 같은 메타-수용을 포함한다.

A*    나는 A가 산출되었던 그와 같은 상황들 아래에서 정보의 신뢰할 만한 원천이다.

이제 이러한 메타-수용은 어떻게 정당화되는가? 여기 이 물음에 대한 레러의 대답이 있다:

어떤 특수한 일련의 상황들 아래에서 어떤 특정한 문제에 있어서든 내가 신뢰할 만하다는 주장은 내가 수용하는 다른 것들에 기초하여 정당화될 것이다. 나는 과거에 유사한 상황들에서 유사한 문제들에 대해 진리에 도달하는 데에 성공하였었다는 것과 현재 상황들이 내가 옳았던 과거의 상황들과 어떠한 상관된 방식으로도 다르지 않다는 것을 수용한다.<22>

이것은 그럴 성싶게 들리지만 결정적인 문제를 처리하지 못한다. 즉 A*가 정당화되기 위해, A*는 반드시 (JL)의 조건 (ii)를 충족시켜야만 하는가? 만일 반드시 그래야만 한다면, 우리는 무한 소급을 얻게 되는데, 왜냐하면 A*는 반드시 다음과 같은 메타-메타-수용에 의해 동반되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A**    나는 A*가 산출된 그러한 상황들 아래에서 정보의 신뢰할 만한 원천이다.

그것이 이번에는 메타-메타-메타-수용 A***에 의해 반드시 동반되어야만 하고, 그렇게 계속된다.

2) Of course, the infinite regress thus generated is one of acceptances, not of beliefs. We might wonder, therefore, whether an infinite regress of acceptances, unlike one of beliefs, might not be innocuous. Now, according to Lehrer, "the mental state of acceptance is a functional state, one that plays a role in thought, inference, and action."<23> Consequently, if A* must be justified itself, then (JL) implies that every justified acceptance comes accompanied by an infinite series of mental states, each of which plays a role in thought, inference, and action. But it is doubtful, to say the least, that finite minds are capable of having an infinite regress of acceptances is just as pernicious as one of beliefs. Hence, if (JL) generates an infinite regress of meta-acceptances, then it must be viewed as a prescription for skepticism.
2) 물론, 그와 같이 산출된 무한 소급은 믿음들이 아니라 수용들 중의 하나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수용들의 무한소급이 믿음들의 무한소급과 달리 유해하지 않은지[본문 오타 추정] 궁금해할 것이다. 이제, 레러에 따르면 "수용의 정신적 상태는 기능적 상태, 사유, 추론, 행위에서 역할을 수행하는 그러한 기능적 상태이다."<23> 결론적으로, 만일 A*가 그 자체로 반드시 정당화되어야만 한다면, (JL)은 모든 정당화된 수용이, 그 각각이 사유, 추론, 행위에서 역할을 수행하는 정신적 상태들의 무한 연쇄들에 의해 동반되어 나온다는 점을 시사한다. 그러나 적어도 한정된 정신들이 믿음들의 무한 소급과 똑같이 치명적인 수용들의 무한 소급을 가질 능력이 있다는 것은 의심스럽다. 따라서, 만일 (JL)이 메타-수용들의 무한소급을 산출한다면, 그것은 반드시 회의주의에 대한 방안으로 간주되어야만 한다.

3) Lehrer, however, seems to be claiming that A* need not be justified by a meta-acceptance such as A**. Unfortunately, his reasoning behind this claim is not ideally clear. Right after the passage quoted above, he says this:

There is, however, more to the issue. I may accept that my faculties, perception, memory, reasoning, and so forth are trustworthy guides to truth in circumstances of the sort that I find myself in when I accept some claim of those faculties. I must accept, however, that I am trustworthy as well: that when I accept something, that is a good enough reason for thinking it to be true, so that it is at least more reasonable for me to accept it than to accept its denial.<25>

Now, if someone takes herself to be trustworthy in the way suggested in this passage, so Lehrer continues to argue, she accepts the following principle:

(T) Whatever I accept with the objective of accepting something just in case it is true, I accept in a trustworthy manner.<26>

Suppose, then, you take yourself to be a trustworthy source of information, and thus accept (T). How do we get from here to the result that A* need not be justified by a meta-acceptance such as A**? As mentioned above, Lehrer's exposition of this issue fails to make the desired connection ideally clear, but perhaps the following attempt at getting at the gist of his argument is a fair try.
3) 그렇지만 레러는 A*가 A**와 같은 그런 메타-수용에 의해 정당화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불행히도, 이러한 주장 이면의 그의 추론은 이상적으로 분명하진 않다. 위에서 인용된 구절 바로 다음에 그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그렇지만 그 문제에 대한 더 많은 것이 있다. 나는 아마도 나의 능력들, 지각, 기억, 추론 등이 나 자신이 그러한 능력들에 대한 어떤 주장을 수용하는 경우인 그런 종류의 상황들 내에서 진리에 대한 신뢰할 만한 길잡이들임을 수용할 것이다. 그렇지만 나는 반드시 나 자신도 신뢰할 만하다는 점을 수용해야만 한다. 즉 내가 어떤 것을 받아들일 때, 그것이 그 어떤 것을 참이라고 생각할 충분히 훌륭한 근거이기에 최소한 내가 그것을 받아들이는 것이 그것의 부정을 받아들이는 것보다는 더욱 합리적이라는 것을 수용해야만 한다.<25>

이제, 만일 누군가 그녀 자신을 이 구절에서 제시된 방식으로 신뢰할 만하다고 여긴다면, 레러가 그렇게 계속해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그녀는 다음 원칙을 수용한다:

(T) 내가 그것이 참인 바로 그 경우에 어떤 것을 받아들임의 대상을 가지고 수용하는 무엇이든, 나는 신뢰할 만한 방식으로 수용한다.<25>

다음으로 당신이 당신 자신을 정보의 신뢰할 만한 원천으로 여기고 따라서 (T)를 수용한다고 가정해 보자. 우리는 어떻게 이로부터 A*가 A**와 같은 메타-수용에 의해 정당화될 필요가 없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는가? 위에서 언급하였듯, 이 문제에 대한 레러의 설명은 기대된 결합을 이상적으로 분명하게 만드는 데에 실패하지만, 아마도 그의 논증에 대한 요지에 도달하려는 다음과 같은 시도는 정당한 시도일 것이다.

4) To begin with, let us refer to (T) as the global trustworthiness principle, for if you accept (T), then you take yourself to be a trustworthy source of information with respect to all of your cognitive faculties: perception, memory, introspection, and reasoning. The global trustworthiness principle must be distinguished from local trustworthiness claims of the form A*, which are demanded by condition (ii) of (JL). Our problem is to find out precisely how the global trustworthiness principle is supposed to exempt local trustworthiness claims of the form A* from having to meet condition (ii) - that is, from the need to be justified by meta-meta-acceptances of the form A**.
4) 우선, (T)를 전반적 신뢰성 원칙이라 부르기로 하는데, 왜냐하면 만일 당신이 (T)를 받아들인다면, 당신은 당신 자신을 당신의 인지 능력, 즉 지각, 기억, 내성, 추론 전반에 대하여 정보의 신뢰할 만한 원천으로 여길 것이기 때문이다. 전반적 신뢰성 원칙은 (JL)의 조건 (ii)에 의해 요구되는 A* 형식의 국소적 신뢰성 주장들과 반드시 구별되어야만 한다. 우리의 문제는 정확히 어떻게 전반적 신뢰성 원칙이 A* 형식의 국소적 신뢰성 주장들을 조건 (ii)를 충족시켜야 하는 일로부터 - 즉, A** 형식의 메타-메타-수용들에 의해 정당화될 필요로부터 - 면제시키는 것으로 생각되는지 알아내는 것이다.

5) Lehrer's proposal seems to be this: The desired connection is that if you accept the global trustworthiness principle, then whatever you accept is more reasonable than its denial. So if you accept the global trustworthiness principle, then all your local trustworthiness claims of the form A* are more reasonable than their denial. In this way, your local trustworthiness claims acquire a positive epistemic status without owing anything to higher-order acceptance of the form A**.
5) 레러의 제안은 이와 같은 것으로 보인다. 즉 기대되는 결합은 만일 당신이 전반적 신뢰성 원칙을 수용한다면, 당신이 수용하는 무엇이든 그 부정보다 더욱 합리적일 것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만일 당신이 전반적 신뢰성 원칙을 받아들인다면, A* 형식인 당신의 모든 국소적 신뢰성 주장들은 그것들의 부정보다 더욱 합리적이다. 이 방식으로, 당신의 국소적 신뢰성 주장들은 그 어떤 것도 A** 형식의 더 높은 단계의 수용으로부터 빌려오지 않고 긍정적인 인식적 상태를 획득한다.

6) How does this connection make local trustworthiness claims completely justified? After all, the epistemic status they receive from principle (T) is rather modest: (T) makes them merely more reasonable than their denial. Lehrer himself points out that this falls short of full-fledged justification.<27> Recall, however, what Lehrer says in the first passage we quoted above about how

A*    I am a trustworthy source of information under the circumstance under which A was produced

can be justified. According to Lehrer, it can be justified by acceptances such as these:

A1    In the past, I had success in reaching the truth about similar matter A is about under circumstances similar to those under which A was produced;
A2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I was right about these matters in the past don't differ in any relevant way from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A was produced.<28>

Now, the solution to our problem suggests itself. Acceptances such as A1 and A2 lift the epistemic status of A* from that of merely being more reasonable than its denial to that of full-fledged justificaiton. Moreover, the meta-meta-acceptance A** plays no part in how A* acquires this status. We can see, then, how Lehrer manages to produce the rabbit - full-fledged justification for A* - out of the top hat. First, principle (T) endows A* with the status of being more reasonable than its denial. Second, acceptances such as A1 and A2 elevate A*'s status of being more reasonable than its denial all the way up to complete justificaiton. Thus it would appear that Lehrer's theory accomplishes what Bonjour's does not: it makes metajustification a necessary condition of justification without, however, generating an infinite level regress.
6) 이러한 연결이 어떻게 국소적 신뢰성 주장들을 완전히 정당화되도록 만드는가? 무엇보다도, 그 주장들이 원칙 (T)로부터 받아오는 인식적 상태는 오히려 조촐하다: (T)는 그 주장들을 단지 그 부정들보다 더 합리적으로 만들 따름이다. 레러 자신은 이것이 완성된 정당성에는 부족하다고 지적한다.<27> 그렇지만 레러가 우리가 위에서 인용하였던 첫 구절에서 다음에 대해 말한 것을 기억해 보자.

A*    나는 A가 산출된 그러한 상황들 아래에서 정보의 신뢰할 만한 원천이다

이 수용이 어떻게 정당화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말이다. 레러에 따르면, 그것은 이와 같은 수용들에 의해 정당화될 수 있다.

A1    과거, 내가 A가 산출되었던 것과 유사한 상황들 아래에서 A와 유사한 문제들에 대해 진리에 도달함에 있어서 성공하였다;
A2    과거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내가 옳았던 그러한 상황들은 상관된 어떠한 방식에서든 A가 산출되었던 그러한 상황들과 다르지 않다.<28>

이제, 우리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떠오른다. A1과 A2와 같은 수용들은 A*의 인식적 상태를 단지 그 부정보다 더 합리적일 따름인 상태로부터 완성된 정당화의 상태로 끌어 올린다. 더욱이, 메타-메타-수용 A**는 A*가 이러한 상태를 획득하는 방식에 있어서 어떤 부분에서도 역할을 하지 않는다. 그래서 우리는 어떻게 레러가 그 토끼 - A*에 대한 완성된 정당화 - 를 잡을 묘안을 내는 일을 다루는지 볼 수 있다. 우선, 원칙 (T)는 A*에게 그 부정보다 더 합리적이라는 상태를 부여한다. 다음으로, A1과 A2와 같은 수용들이 A*의 그 부정보다 더 합리적이라는 상태를 완결된 정당성으로 완전히 끌어 올린다. 따라서 레러의 이론이 봉주르의 이론은 성취하지 못한 것을 성취하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 즉 그 이론은 메타정당화를 무한 수준 소급을 산출하지 않고 정당성의 필요조건으로 만드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

7) Reviewing this line of argument, we might wonder whether its result isn't too good to be true. Let's reconsider Lehrer's theory:

(JL) S's acceptance A is justified if and only if (i) in S's acceptance system, all of A's competitors are beaten; (ii) S accepts that she is a trustworthy source of information under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A was produced.

According to (JL), for an acceptance to be justified, it must meet condition (ii). As we have seen, if this is upheld for acceptances and meta-acceptances alike, then a pernicious infinite level regress is inevitable. Consequently, the upshot of Lehrer's stroy about principle (T) must be that the meta-acceptances condition (ii) generates can be justified without having to meet condition (ii). But this means that in order to avoid the regress problem, Lehrer's theory of justification splits into two separate accounts: one of first-order acceptances and another of meta-acceptances. Condition (i) is an ingredient of both theories: both acceptances and meta-acceptances are justified only if all of their competitors are beaten. Condition (ii), however, if a level regress is to be avoided, must not be imposed on the justification of meta-acceptances. But now we may wonder why it is that the standard of justification meta-acceptances of the form

A*    I am a trustworthy source of information under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A was produced

must meet is less stringent than the standard of justification first-order acceptances must meet. Why is it that an acceptance such as

(1) There is a book on the desk

must be accompanied by the meta-acceptance

(1*) I am a trustworthy source of information under the circumsatnces under which (1) was produced

whereas this meta-acceptance need not be accompanied by a meta-acceptance about my trustworthiness under the conditions under which it was produced? Why is it that (1) must, whereas (1*) need not, meet condition (ii) in (JL)? Surely we need to know what rationale there is for this difference in treatment of first-order and second-order acceptances.
7) 이 논증 노선을 재고하면서, 우리는 아마도 그 논증의 결론이 참이라기엔 지나치게 좋은 것 아닌가 궁금해할 것이다. 레러의 이론을 재고찰해 보도록 하자.

(JL)  S의 A 수용은 정당화된다 iff (i) S의 수용 체계에서 A의 모든 경쟁항들은 격파된다. (ii) S는 그녀가 A가 산출되었던 그러한 상황들 아래에서 정보의 신뢰할 만한 원천임을 수용한다.

(JL)에 따르면, 수용이 정당화되기 위해, 그 수용은 반드시 조건 (ii)를 충족시켜야만 한다. 우리가 보았듯이, 만일 이것이 수용들과 메타-수용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유지된다면, 치명적인 수준 소급이 불가피하다. 결론적으로, 원칙 (T)에 대한 레러의 이야기에서 결말은 반드시 조건 (ii)가 산출하는 메타-수용들이 조건 (ii)를 충족시켜야 하는 일 없이 정당화될 수 있다는 것이어야만 한다. 그러나 이것은 소급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정당화에 대한 레러의 이론이 두 가지 단절된 설명들로 분열된다는 것을 뜻한다. 첫-단계 수용들에 대한 설명과 메타-수용들에 대한 또 다른 설명으로 말이다. 조건 (i)은 그 두 이론들 모두에 대한 구성요소이다. 수용들과 메타-수용들 모두 오로지 그 수용들의 모든 경쟁수용들이 격파될 때에만 정당화된다. 그렇지만 조건 (ii)는 만일 수준 소급이 회피되어야 하는 것이라면 반드시 메타-수용들의 정당화에는 부과되지 않아야만 한다. 그러나 이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점에 대해 궁금해할 것이다.

A*    나는 A가 산출되었던 그러한 상황들 아래에서 정보의 신뢰할 만한 원천이다

이러한 형식의 메타 수용들이 충족시켜야만 하는 정당화의 표준이 어째서 첫-단계 수용들이 충족시켜야만 하는 정당화의 표준보다 덜 엄격한가 하는 것에 대해서 말이다. 다음과 같은 수용

(1) 책상 위에 책 한 권이 있다

그러한 수용은 반드시 다음과 같은 메타-수용

(1*) 나는 (1)이 산출되는 그러한 상황들 아래에서 정보의 신뢰할 만한 원천이다

이와 같은 메타-수용에 의해 동반되어야만 하는 반면 이 메타-수용은 그것이 산출되었던 그러한 조건들 아래에서 나의 신뢰성에 대한 메타-수용에 의해 동반될 필요가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어째서 (1)은 (JL)의 조건 (ii)를 반드시 충족시켜야만 하는 반면 (1*)는 그럴 필요가 없는 것인가? 확실히 우리는 첫-단계와 2차-단계 수용들의 관리에 있어서 이러한 차이에 대해 어떠한 근거가 있는지 알 필요가 있다.

8) It is in response to this challenge that Lehrer's principle of global trustworthiness is supposed to kick in. (T), making all of my acceptances such that they are more reasonable than their denials, so Lehrer's account would appear to go, exempts (1*) from having to meet condition (ii). But the following question immediately presents itself: Why is it that (T)'s benefits are restricted to meta-acceptances only? Why doesn't (T) exempt (1) as well from metajustification? According to Lehrer, (T) makes all acceptances of the acceptance system of which it is a member more reasonable than their denials. It stands to reason, therefore, that if (T) does have the epistemic effect Lehrer attributes to it, this effect should be the same for first-order and higher-order acceptances alike.
8) 이러한 도전에 응답함에 있어서 레러의 전반적 신뢰성 원칙이 효과를 나타내기 시작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나의 모든 수용들을 그 부정보다는 더욱 합리적인 그러한 것으로 만드는 (T)는 레러의 설명이 그렇게 진행되는 것으로 보일 것과 같이 (1*)로 하여금 조건 (ii)를 충족시켜야 하는 일로부터 면제시킨다. 그러나 다음 물음이 즉각적으로 나타난다. 어째서 (T)의 이점들은 오로지 메타-수용들에만 제한되는가? 어째서 (T)는 (1)도 마찬가지로 메타정당화로부터 면제시키지는 않는가? 레러에 따르면, (T)는 수용 체계의 구성원인 모든 수용들을 그 부정들보다 더욱 합리적으로 만든다. 그러므로 만일 (T)가 레러가 그에 귀속시킨 그러한 인식적 효과를 지닌다면, 이 효과는 높은-단계 수용들에서와 마찬가지로 첫-단계 수용들에 대해서도 동일하여야 할 것이라는 것은 당연하다.

9) Thus Lehrer's different treatment of first-order and second-order acceptances remains unjustified, which means that Lehrer's discrimination in favor of meta-acceptances - their exemption from having to meet condition (ii) - is arbitrary. Lehrer, then, faces an unfortunate dilemma. Either he exempts meta-acceptances from having to meet condition (ii) of (JL) or he does not. If he exempts them, then it becomes unclear why metajustification is necessary for first-order acceptances although it is not for higher-order acceptances. And if he does not exempt them, then a pernicious level regress is inevitable. Therefore it would seem that, in the final analysis, Lehrer's approach to level ascent is no more successful than Bonjour's.
9) 따라서 첫-단계 수용들과 2차-수용들에 대한 레러의 상이한 취급은 정당화되지 않은 채로 남고, 그것은 곧 메타-수용들에 대한 선호에 있어서의 차별 - 그 수용들의 조건 (ii)를 충족시켜야 하는 일로부터의 면책들 - 은 임의적이라는 뜻이다. 그래서 레러는 불운한 딜레마에 직면한다. 그는 메타-수용들을 (JL) 조건 (ii)를 충족시켜야 하는 일로부터 면제시키거나 그러지 않는다. 만일 그가 그것들을 면제시킨다면, 어째서 메타정당화가 높은-단계 수용들에 대해서는 필요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첫-단계 수용들에 대해서는 필요한지 여부는 불분명하게 된다. 그리고 만일 그가 그것들을 면제시키지 않는다면, 치명적 수준 소급이 불가피하다. 그러므로 결국 수준 상승에 대한 레러의 접근법은 봉주르의 것보다 조금도 더 성공적이지 않은 것으로 보일 것이다.


A Final Verdict
최종 평가

1) Coherentism, as a view about the structure of empirical justification, is essentially antifoundationalist. According to Bonjour, foundationalism is false because no belief can be justified without receiving its justification from other beliefs. According to Lehrer, foundationalism is false because no acceptance can be justified without receiving its justification from other acceptances.<29> In addition to its antifoundationalism, coherentism - at least as represented by Bonjour and Lehrer - involves a commitment to level ascent or metajustification. Both Bonjour and Lehrer insist that a belief cannot be justified without an accompanying metajustification: an epistemic evaluation of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belief was formed. Bonjour demands that this evaluation take the form of beliefs, Lehrer that it take the form of acceptances.
1) 경험적 정당화의 구조에 대한 관점으로서 정합론은 본질적으로 반-토대론적이다. 봉주르에 따르면 토대론은 거짓인데 왜냐하면 어떠한 믿음도 그 정당성을 다른 믿음들로부터 받아오지 않고서 정당화될 수 없기 때문이다. 레러에 따르면, 토대론은 거짓인데 왜냐하면 어떠한 수용도 그 정당성을 다른 수용들로부터 받아오지 않고서는 정당화될 수 없기 때문이다.<29> 그 반-토대론에 더하여, 정합론은 - 최소한 봉주르와 레러에 의해 표현되는 것으로서 - 수준 상승 또는 메타정당화에 대한 도입을 포함한다. 봉주르와 레러 모두 한 믿음은 메타정당화 동반 없이 정당화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즉 그 아래에서 그 믿음이 형성되는 그 조건들에 대한 인식적 평가 없이는 불가능하다. 봉주르는 이 평가가 믿음들의 형식을 취할 것을 요구하고, 레러는 수용들의 형식을 취할 것을 요구한다.

2) In this chapter, we have seen that these two ingredients of coherentism - antifoundationalism and the commitment to level ascent - are at variance with each other. Bonjour's and Lehrer's antifoundationalism manifests itself in, and is dependent upon, the conditions they impose on justification. Bonjour demands metabeliefs, Lehrer meta-acceptances, that evaluate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beliefs are formed. It is precisely this demand that makes coherentism antifoundationalist in nature, for if every belief's justification depends on another one that provides metajustification for it, then there can't be any basic beliefs. But these metabeliefs and meta-acceptances must themselves meet the condition Bonjour and Lehrer impose, which is what generates an infinite regress of doxastic levels. The chief problem coherentists face is how to avoid this type of regress.
2) 이 장에서, 우리는 이러한 정합론의 두 구성요소들 - 반-토대론과 수준 상승의 도입 - 이 상충함을 보았다. 봉주르의 반-토대론과 레러의 반-토대론은 그것들이 정당화에 부과하는 조건들로 드러나고 또 그에 의존한다. 그 아래에서 믿음들이 형성되는 상황들을 평가하는 것으로서 봉주르는 메타믿음들을, 레러는 메타-수용들을 요구한다. 그것은 정확히 정합론을 그 본성에 있어서 반-토대론으로 만드는 요구인데, 왜냐하면 만일 모든 믿음의 정당성이 그 믿음에 메타정당성을 제공하는 다른 믿음에 의존한다면, 어떠한 기초적 믿음도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메타믿음들과 메타-수용들은 반드시 그 자체로 봉주르와 레러가 부과한 조건, 사견적 수준들의 무한 소급을 산출하는 조건을 충족시켜야만 한다. 정합론자들이 직면하는 핵심 문제는 어떻게 이러한 유형의 소급을 피하는가 하는 것이다.

3) Since it is Lehrer's and Bonjour's antifoundationalism that is responsible for the regress problems to which their theories succumb, the question we must ask is obvious: Why not retain the second ingredient of coherentism - its commitment to level ascent - but discard the first - its antifoundationalism? Why not demand metajustification without demanding that it take the form of beliefs or acceptances? Indeed, given the seriousness of the regress problems Bonjour and Lehrer face, it would seem reasonable to combine the virtues of both coherentism and foundationalism into a single theory of justification.
3) 레러의 반-토대론과 봉주르의 반-토대론, 그 이론들이 굴복한 소급 문제들에 대해 책임이 있으므로, 우리가 반드시 물어야만 하는 물음은 명백하다. 어째서 정합론의 두 번째 구성요소 - 정합론의 수준 상승 도입 - 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첫 번째 것 - 정합론의 반-토대론 - 을 폐기하지는 않는가? 어째서 메타정당화를 믿음들이나 수용들의 형식을 취할 것을 요구함이 없이 요구하지 않는가? 덧붙여, 봉주르와 레러가 직면한 소급 문제들의 심각성을 고려한다면, 정합론과 토대론의 탁월성들을 정당화에 대한 하나의 단일 이론으로 결합하는 것은 합리적으로 보일 것이다.

4) How could a theory of justification handle the problem of demanding metajustification without generating a level regress? In Chapter 5, we outlined an evidentialist answer to this question. If we want to insist on the importance of metajustification without generating an infinite regress, then we ought to demand no more than this: that for a belief B to be justified, the subject have evidence for taking herself to be reliable under the conditions under which B was formed. But if our view of justification exhibits such modesty - if the demand for metajustification is construed as a demand, not for the formation of metabeliefs, but for the presence of evidence that would justify appropriate metabeliefs if they were formed - the door is opened for what we have called "nondoxastic justification." For then there are no grounds left for opposing the view that if an empirical belief is supported by appropriate perceptual, introspective, or memorial evidence, it can be justified without receiving its justification from any other beliefs or acceptances.
4) 정당화에 대한 하나의 이론이 어떻게 수준 소급을 산출함이 없이 메타정당화를 요구하는 문제를 다룰 수 있을 것인가? 5장에서, 우리는 이 물음에 대한 증거론적 대답을 개괄하였다. 만일 우리가 무한 소급을 산출함이 없이 메타정당화의 중요성을 주장하기를 원한다면, 우리가 요구해야 하는 것은 이 이상의 것이 아니다. 즉 믿음 B가 정당화되기 위해서, 주체는 그녀 자신을 B가 형성되었던 그러한 조건들 아래에서 신빙성있다고 여길 증거를 지닌다. 그러나 만일 우리의 정당화에 대한 관점이 그러한 겸손을 드러내 보인다면 - 만일 메타정당화에 대한 요구가 메타믿음들의 형성에 대한 요구가 아니라 만일 그러한 것들이 형성된다면 그러한 적절한 메타믿음들을 정당화할 그런 증거의 현전에 대한 요구로 해석된다면 - 우리가 "비사견적 정당성"이라 불렀던 것이 들어올 문이 열린다. 만일 경험적 믿음이 적절한 지각, 내성, 또는 기억의 증거에 의해 뒷받침된다면 그 믿음이 그 정당성을 다른 어떤 믿음들이나 수용들로부터도 받지 않고 정당화될 수 있다는 관점에 반대하도록 놓아둘 어떠한 근거들도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5) Our final verdict, then, is that foundationalists and coherentists can mutually benefit from the respective virtues their theories have to offer. Foundationalists, as we saw in Chapter 5, need to appeal to level ascent in order to explain how basic beliefs are justified. And coherentists, as we have seen in this chapter, need to come to terms with nondoxastic justification if they are to tame the regress spirits their antifoundationalism is bound to call up.
5) 그래서 우리의 최종 평가는 토대론자들과 정합론자들이 그들의 이론들이 제공해야 하는 각각의 탁월성들로부터 상호 증진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5장에서 보았던 것과 같은 토대론자들은 어떻게 기초적 믿음들이 정당화되는지 설명하기 위해 수준 상승에 호소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우리가 이 장에서 살펴본 것과 같은 정합론자들은 만일 그들이 그들의 반-토대론이 요청하게끔 묶여있는 그러한 소급적 태도들을 다스리고자 한다면 비사견적 정당성을 받아들이고자 애쓸 필요가 있다.

<4> This is not intended as a defense of consequentialism. Rather, the point is that a Davidson-type objection to consequentialism is not conclusive.
<4> 이것은 결과주의에 대한 옹호로 계획된 것이 아니다. 오히려, 핵심은 결과주의에 대한 데이비슨-유형 반박이 결정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6> In Bonjour (1989b), the argument is spelled out in terms of experiences that are states of awareness and those that are not; in Bonjour (1985), it is formulated in terms of judgmental or cognitive states versus nonjudgmental or noncognitive states.
<6> 봉주르 (1989b)에서, 그 논증은 의식의 상태들인 경험들과 그렇지 않은 경험들로 설명된다. 봉주르 (1985)에서, 그것은 판단적 혹은 인지적 상태 대(對) 비판단적 혹은 비인지적 상태들로 정식화된다.

<7> Bonjour (1985) p. 92. Cf. the following passage on p. 101: "According to a coherence theory of empirical justification, as so far characterized, the epistemic justification of an empirical belief derives entirely from its coherence with the believer's overall system of empirical beliefs…."
<7> 봉주르 (1985) 92쪽. 101쪽 다음 구절 참조. "경험적 정당성에 대한 정합성 이론에 따르면, 지금까지 규정된 바와 같이, 경험적 믿음의 인식적 정당성은 전적으로 그 믿음과 믿는 자의 경험적 믿음들에 대한 전체 체계의 정합성으로부터 유도된다…."

<8> This problem is made worse by the fact that Bonjour endorses foundationalism for beliefs that are justified a priori. See Bonjour (1985), app. A, pp. 191-211. The grounds of the justification for such beliefs must lie either in the nature of the propositions that are believed (their necessity or their axiomatic nature, for example) or in psychological states such as intuitive apprehension or grasp of necessity. What all of these grounds have in common is that they are nondoxastic sources of justification.
<8> 이 문제는 선험적으로 정당화되는 믿음들에 대해서 봉주르가 토대론을 지지한다는 사실에 의해 더욱 심각해진다. 봉주르 (1985), 부록 A 191-211쪽을 보라. 그러한 믿음들에 대한 정당성의 근거들은 반드시 믿어지는 명제들의 본성 (예를 들어 그러한 명제들의 필연성 또는 공리적 본성) 또는 직관적 포착 또는 필연성에 대한 파악과 같은 심리적 상태들에 놓여야만 한다. 이러한 근거들 모두가 공통으로 지니는 것은 그 근거들이 정당성의 비사견적 원천들이라는 점이다.

<10> Note that Bonjour's dilemma argument makes no such discrimination between possible and impossible types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Instead, its point is that nondoxastic justification as such is impossible because what can't be justified itself cannot confer justification.
<10> 봉주르의 딜레마 논증은 비사견적 정당성의 가능한 유형과 불가능한 유형 사이에 그런 어떠한 차별도 만들지 않는다는 점을 주의하라. 대신, 그 논증의 핵심은 엄밀한 의미의 비사견적 정당성이 불가능한데 왜냐하면 그 자체로 정당화될 수 없는 어떤 것은 정당성을 부여할 수도 없기 때문이란 점이다.

<21> One way in which the supervenience thesis is significant then, is that the argument for it is an argument for the existence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See Sosa (1991), pp. 149-164, and Van Cleve (1985).
<21> 수반성 논지가 중요한 그러한 한 가지 방식은 그래서, 수반성에 대한 논증이 비사견적 정당성의 현존에 대한 논증이라는 것이다. 소사 (1991) 149-164쪽, 그리고 반 클리브(1985).

<24> Is it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re could be an actual mental state that plays the functional role of a meta-acceptance at the 5873rd level?
<24> 오천 팔백 일흔 세 번째 단계에서 메타-수용의 기능적 역할을 수행하는 실제의 정신적 상태가 있을 수 있으리라 가정하는 것은 합리적인가?

<28> We might ask how A1 and A2 are justified themselves. The answer is that they are justified if they satisfy the two conditions of (JL): they must beat all of their competitors, and S must accept a meta-acceptance to the effect that she is trustworthy under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she is accepting A1 and A2.
<28> 우리는 아마도 어떻게 A1과 A2가 그 자체로 정당화되는지 물을 것이다. 그 대답은 그것들이 만일 (JL)의 두 조건들을 만족시킨다면 정당화된다는 것이다. 즉 그것들은 반드시 그것들의 모든 경쟁자들을 격파해야만 하고, S는 반드시 그녀가 A1과 A2를 수용하고 있는 그러한 상황들 아래에서 신뢰할 만하다는 취지의 메타-수용을 수용해야만 한다.

<29> However, as we saw in Chapter 6, this argument poses no threat to foundationalism as defined in Chapter 5. A basic belief is one that is justified without owing its justification to any other beliefs. Thus a belief can be basic even if it owes its justification to further acceptances - provided these acceptances are not in turn beliefs.
<29> 그렇지만, 우리가 6장에서 보았던 것처럼, 이 논증은 5장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토대론에 대해 아무런 위협도 제기하지 않는다. 기초적 믿음은 그 정당성을 다른 어떤 믿음들로부터도 빌려오지 않고 정당화되는 믿음이다. 따라서 한 믿음은 설령 그 믿음이 그 정당성을 추가적 수용들 - 제공되는 이러한 수용들이 다시 믿음들에 속하지 않는 - 에게서 빌려온다 할지라도 기초적일 수 있다.

-蟲-
Coherentism and The Regress of Levels
정합론과 수준들의 소급

1) According to the doxastic move, the source from which a justified belief receives its justification consists in beliefs about coherence. Coherentism, if it involves the doxastic move, can therefore be represented thus:

(J) For every belief B that S holds, B is justified if and only if S believes that B coheres with the other beliefs of S's belief system.

Coherentism, thus understood, implies that for every justified belief B, there must be a metabelief B* to the effect that B coheres with the other beliefs of the subject's belief system. So if B is a justified belief of mine and its justification is derived from beliefs about coherence, then I must hold at least one belief B* to the effect that B coheres with my belief system. What, however, about the justification of B* itself? According to (J), the justification of B* has its source in a belief B** to the effect that B* coheres with my belief system. The same is true, of course, of B**, B***, and so on. (J) generates, therefore, an infinite regress of the following kind:

B*    My belief B coheres with my other beliefs.
B**    Belief B* coheres with the rest of my beliefs.
B***    Belief B** coheres with the rest of my beliefs.

About this regress, it is important to notice that it isn't simply an ordinary regress of justifying beliefs; rather, it is a regress that traverses through an infinite series of doxastic levels. B* is a belief about a belief, and thus a metabelief; B** is a belief about a metabelief, and thus a meta-metabelief, and so forth. In this way, the doxastic move generates an infinite hierarchy of doxastic levels.<11>
1) 사견적 조치에 따르면, 정당화된 믿음이 그 정당성을 받아오는 원천은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정합론은 만일 그것이 사견적 조치를 포함한다면 다음과 같이 재진술될 수 있다.

(J) S가 지닌 모든 믿음 B에 대해서, B는 정당화된다 iff S는 B가 S의 믿음체계에 속하는 다른 믿음들과 정합적이라고 믿는다.

그와 같이 이해된 정합론은 모든 정당화된 믿음 B에 대하여, 반드시 B가 주체의 믿음 체계에 속하는 다른 믿음들과 정합적이라는 취지의 메타믿음 B*가 있어야만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래서 만일 B가 나의 믿음들 중 정당화된 믿음이고 그 정당성이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로부터 도출된다면, 나는 반드시 최소한 B가 나의 믿음 체계와 정합적이라는 취지의 믿음 B*를 하나는 가지고 있어야만 한다. 그렇지만 B* 그 자체의 정당성에 대해서는 어떠한가? (J)에 따르면, B*의 정당성은 그 원천을 B*가 나의 믿음 체계에 정합적이라는 취지의 믿음 B** 내에 둔다. 물론 B**, B*** 등에 대해서도 동일한 것이 참이다. 그러므로 (J)는 다음과 같은 종류의 무한 소급을 산출한다.

B*    나의 믿음 B는 나의 다른 믿음들과 정합적이다.
B**    믿음 B*는 나의 나머지 믿음들과 정합적이다.
B***    믿음 B**는 나의 나머지 믿음들과 정합적이다.

이 소급에 대해서, 그것이 단순히 정당화하는 믿음들의 일상적 소급은 아님을 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오히려, 이 소급은 사견적 수준들의 무한한 연쇄를 가로질러 나아간다.  B*는 믿음에 대한 믿음이고, 따라서 메타믿음이다. B**는 메타믿음에 대한 믿음이고, 따라서 메타-메타믿음이며 이렇게 계속해서 나아간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견적 조치는 사견적 수준들의 무한 체계를 산출한다.<11>

2) Such an infinite hierarchy is problematic for two reasons. First, quite early in the regress, such beliefs become too complicated to be comprehended. Just consider what B** amounts to when we let B stand for the belief that there is a book on the desk:

My belief that my belief "There is a book on the desk" coheres with my other beliefs coheres with my other beliefs.

Second, it is impossible for finite minds to hold an infinite series of such beliefs. The doxastic move must be considered, therefore, a prescription for skepticism. Let us see why.
2) 그러한 무한 체계는 두 가지 이유로 문제가 있다. 첫째로, 그 소급의 상당히 이른 지점부터, 그런 믿음들은 파악될 수 없을 만큼 지나치게 복잡해지기 시작한다. 우리가 B를 책상 위에 책 한 권이 있다는 믿음으로 대신하고자 할 때 B**가 무엇이 될지만 고려해 보자.

"책상 위에 책 한 권이 있다"라는 나의 믿음이 나의 다른 믿음들과 정합적이라는 나의 믿음은 나의 다른 믿음들과 정합적이다.

둘째, 유한한 정신들이 그러한 믿음들의 무한 연쇄를 지니는 것은 불가능하다. 사견적 조치는 그러므로 회의주의의 처방으로 간주되어야만 한다. 어째서 그러한지 살펴 보도록 하자.

3) According to the doxastic move, the source from which every justified belief receives its justification consists in beliefs about coherence. In other words, it is a necessary condition of justification that every justified belief B be accompanied by a belief B*, which attributes to B the property of being a member of a coherent system of beliefs. Since each belief attributing this property must itself be accompanied by a belief attributing this property, the doxastic move in effect implies that every justified belief be accompanied by an infinite series of metabeliefs. Since it is impossible for finite minds to form such an infinite series of metabeliefs, the doxastic move imposes a condition on justification finite minds cannot satisfy. Hence humans, falling short of having infinite minds, cannot have justified beliefs.
3) 사견적 조치에 따르면, 모든 정당화된 믿음들이 그 정당성을 받아오는 원천은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로 이루어진다. 달리 말해서, 모든 정당화된 믿음 B는 B에게 믿음들의 정합적 체계에 속하는 구성원이라는 속성원이라는 속성으로 기여하는 믿음 B*에 의해 동반된다는 것이 정당성의 필요조건이다. 이러한 속성에 기여하는 각 믿음은 반드시 그 자체로 이 속성에 기여하는 믿음에 의해 동반되어야만 하므로, 사견적 조치는 사실상 모든 정당화된 믿음이 메타믿음들의 무한 연쇄에 의해 동반됨을 시사한다. 유한한 정신들이 메타믿음들의 그러한 무한 연쇄를 형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사견적 조치는 유한한 정신들이 만족시킬 수 없는 조건을 정당화에 부과한다. 따라서 무한한 정신을 가지기에는 역부족인 인간들은 정당화된 믿음들을 가질 수 없다.

4) Could coherentists reply that the formation of a metabelief of the form "B coheres with my other beliefs" is not really a necessary condition? Of course they could do so, but not without implicitly admitting the possibility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For the point of the doxastic move is to maintain the coherentist position - according to which nondoxastic justification is impossible - without admitting coherence itself as a source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Hence the result the doxastic move is supposed to ensure is this: Every justified belief owes its justification, at least in part, to beliefs about coherence. But as we have seen, this result comes with the price tag of an infinite regress. It is true that this regress can be avoided by abandoning the idea that justification through beliefs about coherence is a necessary ingredient of all justification. However, as soon as that idea is abandoned, the door is opened to let nondoxastic justification in and let it play its proper part within a foundationalist theory.
4) 정합론자들은 "B가 나의 다른 믿음들과 정합적이다"라는 형식의 메타믿음 형성이 실제로는 필요조건이 아니라고 답할 수 있을 것인가? 물론 그들은 그렇게 답할 수 있을 것이지만, 함축적으로 비사견적 정당화의 가능성을 인정함이 없이는 그럴 수 없다. 왜냐하면 사견적 조치의 핵심이 정합론적 입장 - 그에 따르면 비사견적 정당화는 불가능하다 - 을 정합성 자체를 비사견적 정당화의 원천으로 인정함이 없이 견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견적 조치가 보장하는 것으로 가정되는 결과는 이와 같다. 모든 정당화된 믿음들은 그 정당성을 최소한 부분적으로나마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로부터 빌려온다. 그러나 우리가 보았듯이 이러한 결론은 무한 연쇄라는 가격표를 달고 온다. 이 연쇄가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을 통한 정당화가 모든 정당성의 필수 구성요소라는 발상을 폐기함으로써 회피될 수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그 발상이 폐기되자 마자, 비사견적 정당화를 들여 보내고 그 비사견적 정당화를 토대론적 이론 내에서의 그 적절한 부분에서 역할하도록 하는 문이 열린다.


The Bonjourean Level Regress
봉주르적 레벨 소급

1) It is worthwhile to examine precisely how Bonjour's conception of level ascent, which is based on what we have called the "doxastic move," generates an infinite regress. According to Bonjour, basic beliefs are impossible because every justified empirical belief owes its justification to at least two premises, as exhibited in the following schema:

(1) B has feature F.
(2) Beliefs having feature F are very likely to be true.
Therefore:
(3) B is very likely to be true.<12>

This schema is an account of how beliefs receive their justification: a belief is justified if and only if it is supported by premises (1) and (2). While the schema itself is silent as to whether premises (1) and (2) must simply be true or must take the form of actual beliefs, Bonjour is explicit about his view on this matter. He demands that (1) and (2) take the form of actual beliefs. What justifies our beliefs, according to Bonjour, isn't the fact of coherence, but rather our beliefs about coherence.<13>
1) 어떻게 우리가 "사견적 조치"라 불렀던 것에 기초한 봉주르의 수준 소급 개념이 무한 소급을 산출하는지는 검토할 가치가 있다. 봉주르에 따르면, 기초적 믿음들은 불가능한데 왜냐하면 모든 정당화된 경험적 믿음들은 그 정당성을 적어도 두 가지 전제들, 다음 도식에서 표현되는 것과 같은 전제들로부터 빌려온다.

(1) B는 특징 F를 지닌다.
(2) 특징 F를 지니는 믿음들은 매우 참일 성싶다.
그러므로:
(3) B는 매우 참일 성싶다.<12>

이 도식은 어떻게 믿음들이 그 정당성을 받는지에 대한 설명이다. 즉 믿음은 정당화된다 iff 그 믿음이 전제 (1)과 (2)에 의해 뒷받침된다. 그 도식 자체는 전제 (1)과 (2)가 반드시 단순하게 참이어야 하는지 혹은 반드시 실제 믿음들의 형식을 취해야 하는지에 대해 침묵하는 반면, 봉주르는 이 문제에 대한 그의 관점에 대해 분명하다. 그는 (1)과 (2)가 실제 믿음들의 형식을 취할 것을 요구한다. 우리의 믿음들을 정당화하는 것은 봉주르에 따르면 정합성에 대한 사실이 아니라 정합성에 대한 우리의 믿음들이다.<13>

2) Bonjour's schema does not impose as a necessary condition that each justified belief B must be accompanied by an explicit belief to the effect that B coheres with the subject's other beliefs. After all, a subject who does not have the concept of coherence and so could not ask herself whether her belief system enjoys coherence could still believe (1) and (2), and thus believe what in effect amounts to the requisite beliefs about coherence. Nevertheless, Bonjour's schema does generate a regress just as serious as the one we considered above. The point of the displayed schema is this: No belief can be justified unless it is accompanied by further beliefs that are reason for its truth, such as (1) and (2). And clearly these reasons themselves must be justified. Hence (1) and (2) in turn must satisfy Bonjour's schema - which is what generates a level regress.
2) 봉주르의 도식은 필요조건으로서 각각의 정당화된 믿음 B가 반드시 B가 주체의 다른 믿음들과 정합적이라는 취지의 명백한 믿음에 의해 동반되어야만 한다는 점을 부과하지 않는다. 무엇보다도, 정합성의 개념을 지니고 있지 않고 그래서 그녀 스스로 그녀의 믿음 체계가 정합성을 향유하는지 물을 수 없을 그러한 주체도 여전히 (1)과 (2)를 믿을 수 있을 것이며, 따라서 사실상 필요조건이 되는 것은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이라는 것을 믿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봉주르의 도식은 우리가 위에서 고찰하였던 것과 마찬가지로 심각한 소급을 산출한다. 제시된 도식의 핵심은 이것이다. 즉 어떠한 믿음도 (1)과 (2)와 같은 그 믿음의 참에 대해 근거가 되는 추가적 믿음들에 의해 동반되지 않고서는 정당화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명백히 이러한 근거들 자체도 반드시 정당화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1)과 (2)가 이번에는 봉주르의 도식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 그것은 곧 수준 소급을 산출하는 것이다.

3) To see how this goes, let's focus on (1). For the original belief, B, to be justified, (1) must be justified. Consequently, it is a necessary condition of B's justification that the subject form the metabelief

B*    (1) has feature F.

This metabelief, too, must satisfy Bonjour's schema. Thus we are led to a meta-metabelief:

B**    My belief "(1) has feature F" has feature F.

And since this belief as well must satisfy the schema, we get a meta-meta-metabelief B***:

B***    My belief "My belief (1) has feature F has feature F" has feature F.

Each further metabelief in the series must be justified in the same way, and thus an infinite regress of doxastic levels is generated, a regress that is just as pernicious as the one we considered above. Consider the complexity of the metabelief at the thir level, and let the belief to be justified be "There is a book on the table":

My belief that my belief that there is a book on the table has feature F has feature F has feature F.

To impose the formation of an infinite series of such metabeliefs as a necessary condition on justification is to make justification impossible. We are led to conclude, therefore, that Bonjour's doxasticism - his insistence that a belief's justifying grounds must consist in further beliefs - leads straight into the abyss of skepticism about the possibility of justified belief.
3) 이것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보기 위해, (1)에 초점을 맞추어 보자. 본래의 믿음 B가 정당화되기 위해 (1)은 반드시 정당화되어야만 한다. 결론적으로, 주체가 다음과 같은 메타믿음을 형성하는 것이 B의 정당성에 대한 필요조건이다.

B*    (1)은 특징 F를 지닌다.

이러한 메타믿음은 마찬가지로 봉주르의 도식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따라서 우리는 다음의 메타-메타믿음으로 인도된다.

B**    "(1)은 특징 F를 지닌다"라는 나의 믿음은 특징 F를 지닌다.

그리고 이러한 믿음도 또한 그 도식을 반드시 만족시켜야만 하므로, 우리는 메타-메타-메타 믿음 B***를 얻는다:

B***    "(1)이 특징 F를 지닌다는 나의 믿음이 특징 F를 지닌다"라는 나의 믿음은 특징 F를 지닌다.

이 연쇄에서 각각의 추가적인 메타믿음은 반드시 동일한 방식으로 정당화되어야만 하며, 따라서 우리가 위에서 고찰하였던 것과 마찬가지로 치명적인 사견적 수준들의 무한 소급이 산출된다. 정당화될 믿음을 "책상 위에 책 한 권이 있다"라고 치고 세 번째 수준에서 메타믿음의 복잡성을 고찰해 보자.

책상 위에 책 한 권이 있다는 나의 믿음이 특징 F를 지닌다는 나의 믿음이 특징 F를 지닌다는 나의 믿음이 특징 F를 지닌다.

그러한 메타믿음들의 무한 연쇄의 형성을 정당성에 필요조건으로 부과하는 것은 정당화를 불가능하게 만드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봉주르의 사견주의 - 한 믿음의 정당화 근거들은 반드시 추가적 믿음들로 구성되어야만 한다는 그의 주장 - 는 정당화된 믿음의 가능성에 대한 회의주의의 심연으로 곧장 인도한다는 결론을 내리는 쪽으로 이끌린다.

4) In response to this argument, Bonjour has argued that although a justified belief is always justified through further beliefs that are reasons for its truth, these further beliefs need not be metabeliefs.<14> This claim, however, is at odds with Bonjour's own general justificatory schema, which makes the formation of metabeliefs a necessary condition of justification. Now, Bonjour tries to get around this difficulty by conceding that the formation of actual beliefs in the form of premises (1) and (2) is a necessary condition of justification - but not for just any belief, merely for beliefs of a certain kind. Thus, in the following passage, he point out that his schema is intended to require metajustification only for "putatively foundational" beliefs:

It needs to be stressed, however, that the schema was formulated with putatively foundational beliefs, those for which no ordinary inferential justification is offered, in mind and was not necessarily intended to generalize to all cases in which one belief provides a reason for thinking another to be true.<15>

Bonjour proposes, then, that the schema in question is applicable only to those beliefs foundationalists would take to be basic: beliefs for which an "ordinary inferential justification" cannot be offered. Concerning those beliefs for which an ordinary inferential justification can be offered, the beliefs justifying them need not be metabeliefs. Rather, such beliefs can be justified by ordinary reasons that are located at the first level. Thus Bonjour writes:

But what is essential, on my view, is simply that the believer possess such a cogent reason, whatever form it may take…. It is not necessary that a reason for thinking that a belief is likely to be true take the form of a metabelief.<16>

Bonjour, then, distinguishes between two kinds of beliefs: (i) beliefs for which an ordinary inferential justification cannot be offered (the kind of beliefs that foundationalists take to be basic); and (ii) beliefs for which an ordinary inferential jutification can be offered. Let's refer to the former as noninferential and the latter as inferential beliefs. Bonjour maintains that both types of beliefs cannot be justified unless supported by justifying reasons in the form of further beliefs. For noninferential beliefs, these reasons must take the form of metabeliefs, because, as Bonjour concedes, such beliefs must satisfy the schema displayed above. For inferential beliefs, however, justifying reasons need not take the form of metabeliefs. And therefore, according to Bonjour, the problem of the infinite level regress is avoided.
4) 이러한 논증에 응답함에 있어서 봉주르는 비록 정당화된 믿음이 언제나 그 믿음의 참에 대한 근거들이 되는 추가적 믿음들을 통해서 정당화된다 할지라도, 이러한 추가적 믿음들은 메타믿음들일 필요가 없다고 주장해 왔다.<14> 그렇지만 이러한 주장은 메타 믿음들의 형성을 정당화의 필요조건으로 만드는 봉주르 자신의 일반적 정당화 도식과 충돌한다. 이제, 봉주르는 전제 (1)과 (2)의 형식에 있어서 실제적 믿음들의 형성이 정당화의 필요조건임을 인정함으로써 - 그러나 어떤 믿음에 대해서든이 아니라, 특정 종류의 믿음들에 대해서만 - 이와 같은 어려움을 우회하고자 시도한다. 따라서, 다음 구절에서, 그는 그의 도식이 "추정적 토대론적" 믿음들에 대해서만 메타정당성을 요청하는 경향이 있음을 지적한다.

그렇지만 그 도식이 그에 대해 어떠한 일상적인 추론적 정당화도 제공되지 않는 그러한 추정적 토대론적 믿음들을 가지고 정식화되었다는 점은 강조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그 도식이 필연적으로 한 믿음이 또 다른 믿음을 참인 것으로 생각할 이유를 제공하는 모든 경우들에 일반화되는 경향이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15>

그래서 봉주르는 문제가 되는 도식이 오로지 토대론자들이 기초적이라고 간주할 그러한 믿음들에 대해서만 적용가능하다고 제안한다. 즉 "일상적 추론적 정당화"가 그에 대해 제공될 수 없는 그러한 믿음들에 대해서만 말이다. 일상적 추론적 정당화가 그에 대해 제공될 수 없는 그러한 믿음들과 관련하여, 그 믿음들을 정당화하는 믿음들은 메타믿음들일 필요가 없다. 오히려, 그러한 믿음들은 첫 번째 수준에 정위되는 일상적 추론들에 의해 정당화될 수 있다. 따라서 봉주르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그러나 내 관점에서 본질적인 것은 단순히 믿는 사람이 어떤 행태가 되었든지 간에 설득력 있는 그러한 근거를 지닌다는 것이다…. 한 믿음이 참일 성싶다고 생각할 근거가 메타믿음의 형식을 취하는 것이 필연적이지는 않다.<16>

그래서 봉주르는 두 종류의 믿음들을 구분한다: (i) 그에 대해 일상적 추론적 정당화가 제공될 수 없는 그러한 믿음들(토대론자들이 기초적이라고 간주하는 그런 종류의 믿음들), 그리고 (ii) 그에 대해 일상적 추론적 정당화가 제공될 수 있는 그러한 믿음들. 전자를 비추론적 믿음들, 그리고 후자를 추론적 믿음들이라 부르도록 하자. 봉주르는 두 유형의 믿음들 모두 추가적 믿음들의 형식으로 정당화하는 근거들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 한 정당화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비추론적 믿음들에 대해서, 이러한 근거들은 반드시 메타믿음들의 형식을 취해야만 하는데, 왜냐하면 봉주르가 인정하는 바와 같이 그러한 믿음들은 반드시 위에서 제시된 도식을 만족시켜야만 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추론적 믿음들에 대해서 정당화하는 근거들은 메타믿음들의 형식을 취할 필요가 없다. 또한 그러므로 봉주르에 따르면 무한 수준 소급의 문제는 회피된다.

5) It is not difficult to see why this reply enjoys only limited success. Bonjour states explicitly that his schema was formulated with those beliefs in mind that foundationalists take to be basic: cognitively spontaneous beliefs for which an ordinary inferential justification is difficult to come by. His own example of such a belief is "There is a red book on the desk."<17> Now, our beliefs about our physical surroundings are to a very large extent beliefs of this type. If beliefs of this type must satisfy Bonjour's schema, then it follows, becasue of the infinite regress Bonjour's schema generates, that it is impossible for beliefs of this type to be justified. Thus Bonjour's theory leads to a strange consequence: whereas inferential beliefs can be justified, noninferential beliefs such as "There is a red book on the desk" cannot. This is a reversal of what epistemologists have typically thought: that the potential strength of an empirical belief's justification is a function of its proximity to perceptual experience. The closer a belief is connected to perceptual experience, the better its potential for justification, and the further inference removes a belief from justification, the worse its potential for justification. Be this as it may, the implication that cognitively spontaneous beliefs about ordinary physical objects can't be justified should be unacceptable to anyone opposed to skepticism about the possibility of justified belief.
5) 어째서 이러한 응답이 제한적으로만 성공하는지 알아보는 것은 어렵지 않다. 봉주르는 명백하게 그의 도식이 토대론자들이 기초적이라 여긴 그러한 믿음들을 염두에 두고 그와 관련하여 정식화되었다고 진술한다. 즉 그에 대해 일상적 추론적 정당화가 획득되기 어려운 그러한 인지적으로 자발적인 믿음들과 관련된다. 그러한 믿음에 대한 그의 고유한 예시는 "책상 위에 붉은 책 한 권이 있다"이다.<17> 이제, 우리를 둘러싼 물리적인 것들에 대한 우리의 믿음들은 이러한 종류에 속한 아주 대규모의 믿음들이다. 만일 이러한 유형의 믿음들이 반드시 봉주르의 도식을 만족시켜야만 한다면, 봉주르의 도식이 산출하는 무한소급으로 인하여, 이런 유형의 믿음들이 정당화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이 귀결된다. 따라서 봉주르의 이론은 이상한 결론으로 이끈다. 즉 추론적 믿음들은 정당화될 수 있는 반면, "책상 위에 붉은 책 한 권이 있다"와 같은 비추론적 믿음들은 그럴 수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인식론자들이 전형적으로 지니는 사유, 경험적 믿음의 정당화의 잠재적 힘은 그 정당성의 지각적 경험에 대한 근사치의 기능이라는 사유와 반대이다. 한 믿음이 지각적 경험과 더욱 밀접하게 관련될 수록, 그 믿음의 정당화에 대한 잠재적 가능성은 더욱 나아지고, 더 많은 추론이 정당화로부터 믿음을 제거할 수록, 그 믿음의 정당화에 대한 잠재적 가능성은 나빠진다. 그것은 그렇다 치고, 일상적인 물리적 대상들에 대한 인지적으로 자발적인 믿음들이 정당화될 수 없다는 함축은 정당화된 믿음의 가능성에 대한 회의주의에 반대하는 누구에게든 수용불가능한 것이어야 할 것이다.

6) Suppose Bonjour were to say that even as far as noninferential beliefs are concerned, the necessary justifying reasons need not be metabeliefs. In that case, we would have to ask what types of justifying reasons we could possibly find for such beliefs except for reasons such as premises (1) and (2) in Bonjour's schema. After all, Bonjour himself describes the beliefs in question - putatively foundational beliefs - as those for which no ordinary inferential justification can be offered. Hence if Bonjour were to abandon his justificatory schema even for noninferential beliefs, it would remain entirely mysterious how, according to his theory, such beliefs could be justified at all.<18>
6) 봉주르가 비추론적 믿음들이 관계되는 한에서조차, 필연적인 정당화 근거들이 메타믿음들일 필요는 없다고 말하게 된다고 가정해 보자. 그 경우, 우리는 봉주르의 도식에서 전제 (1)과 (2)와 같은 근거들 외에 그러한 믿음들에 대해 우리가 어떤 종류의 근거들을 발견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한지 물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봉주르 자신은 문제는 되는 믿음을  - 추정적 토대론적 믿음들 - 그에 대해 어떠한 일상적인 추론적 정당성도 제공될 수 없는 것으로 기술한다. 따라서 만일 봉주르가 비추론적 믿음들에 대해서조차 그의 정당화 도식을 폐기한다면, 그의 이론에 따라 어떻게 그러한 믿음들이 도대체 정당화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점은 전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것으로 남을 것이다.

7) Thus the objection that Bonjour's doxastic conception of coherentist justification generates an infinite level regress remains in full force at least as far as noninferential beliefs are concerned. The moral of this objection would seem to be this: Either coherentism turns into a version of skepticism with regard to noninferential beliefs, or it is construed as a theory that views coherence itself as a source of justification, and thus allows for nondoxastic justification in principle. This, of course, is a bitter pill for coherentists to swallow, for once the possibility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is conceded, it becomes unclear how they could justify their principled opposition to the foundationalist claim that there are basic beliefs.
7) 따라서 정합론적 정당성에 대한 봉주르의 사견주의적 개념이 무한 수준 소급을 산출한다는 반박은 최소한 비추론적 믿음들과 관계되는 한에서는 강력한 것으로 남는다. 이 반박의 탁월성은 이와 같은 것으로 보일 터이다. 즉 정합론이 비추론적 믿음들과 관련하여 회의주의의 한 형태로 드러나거나, 정합성 자체를 정당성의 원천으로 간주하는 이론으로, 따라서 원칙적으로 비사견적 정당화에 대해 허용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이것은 정합론자가 받아들이기에는 쓰디쓴 약인데, 왜냐하면 일단 비사견적 정당화의 가능성이 인정되고 나면, 어떻게 그들이 기초적 믿음들이 있다는 토대론적 주장에 대한 그들의 원칙적 반대를 정당화할 수 있을 것인지는 불분명해지기 때문이다.

-蟲-
Chapter 7

The Debate Over Foundationalism and Coherentism
토대론과 정합론을 둘러싼 논쟁

Davidson's "Circle of Belief" Argument
데이빗슨의 "믿음 원환" 논증

1) In his paper "The Coherence Theory of Truth and Knowledge," Donald Davidson has formulated an important objection to foundationalism. According to Davidson, advocates of coherentism maintain

that nothing can count as a reason for holding a belief except another belief. Its partisan rejects as unintelligible the request for a ground or source of justification of another ilk.<1>

This passage raises the issue that lies at the heart of the debate over foundationalism and coherentism. According to foundationalists, there is such a thing as nondoxastic justification: justification that has its ground or source in something other than beliefs. Coherentists assert, however, that the source of a belief's justification must always be one or more other beliefs. Davidson sides with the coherentists, on the basis on the following argument:

We have been trying to see it this way: a person has all his beliefs about the world - that is, all his beliefs. How can he tell if they are true, or apt to be true? Only, we have been assuming, by connecting his beliefs to the world, confronting certain of his beliefs with the deliverances of the senses one by one, or perhaps confronting the totality of his beliefs with the tribunal of experience. No such confrontation maeks sense, for of course we can't get outside our skins to find out what is causing the internal happening of which we are aware.<2>

Let us briefly review Davidson's line of argument. What he wants to establish is that a belief's justification must always have its source in other beliefs: the circle-of-belief thesis. This thesis implies, of course, that there is no such thing as nondoxastic justification. Davidson's reason for this thesis is that a confrontation of our beliefs with experience is impossible, for such a confrontation would amount to "getting outside our skins." Consequently, we cannot tell whether a given belief is true by confronting it with an experience, but only by confronting it with other beliefs.
1) 그의 논문 "진리와 앎에 대한 정합성 이론"에서, 도널드 데이빗슨은 토대론에 대한 중요한 반박을 정식화하였다. 데이빗슨에 따르면, 정합론 지지자들은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다른 믿음을 제외하고는 아무것도 한 믿음을 지니는 이유로 간주될 수 없다. 정합론의 지지자들은 또 다른 종류의 정당성의 토대나 원천에 대한 요청을 이해할 수 없는 것으로 거부한다.<1>

이 구절은 토대론과 정합론을 둘러싼 논쟁의 심장부에 놓인 문제를 불러 일으킨다. 토대론자들에 따르면, 비사견적 정당성과 같은 그러한 것이 있다. 즉 그 태도나 원천을 믿음들이 아닌 다른 어떤 것에 두는 정당성이 있다. 그렇지만 정합론자들은 한 믿음에 대한 정당성의 원천은 반드시 언제나 하나 이상의 다른 믿음들이어야만 한다고 단언한다. 데이빗슨은 다음과 같은 논증에 기초하여 정합론자들의 편에 선다.

우리는 그것을 이러한 방식으로 보고자 애써 왔다. 즉 한 사람은 세계에 대한 그의 모든 믿음들을 지닌다 - 즉, 그의 믿음들 모두를 말이다. 어떻게 그가 그 믿음들이 참인지, 혹은 참이기 쉬운지 말할 수 있는가? 우리는 그의 믿음들 중 특정한 믿음에 직면하여 감관들에 속하는 진술들로 하나씩, 혹은 어쩌면 그의 믿음들의 총체성에 직면하여 경험의 법정과 더불어, 오로지 그의 믿음들을 세계에 연결함으로써만, 그렇게 말할 수 있다고 가정해 오고 있다. 그러한 어떤 직면도 말이 되지 않는데, 왜냐하면 물론 우리는 살갗 밖으로 우리가 지각하는 어떤 것의 내적 발생을 야기하고 있는 것을 찾아 나설 수 없기 때문이다.<2>

데이빗슨의 논증노선을 간략히 재검토해 보도록 하자. 그가 확립시키고자 하는 것은 한 믿음의 정당성이 반드시 언제나 그 원천을 다른 믿음들에 두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그것 믿음 원환 논지이다. 이 논지는 물론 비사견적 정당성과 같은 그런 어떠한 것도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논지를 위한 데이빗슨의 근거는 경험을 가지고 우리의 믿음들에 마주함이 불가능한데, 왜냐하면 그러한 직면은 "우리의 피부 밖으로 나가는 일"이 될 터이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주어진 한 믿음이 참인지 여부를 경험을 가지고 그 믿음에 마주함으로써 말할 수는 없고, 오로지 다른 믿음들을 가지고 마주함으로써만 말할 수 있을 따름이다.

2) In reply to Davidson's argument, foundationalists could employ a distinction that was introduced above - that between a belief's property of being justified and a person's act of justifying a belief - and interpret Davidson's argument as being concerned, not with the former, but with the latter.<3> Note that Davidson's argument is about how we can tell whether a belief is true (or false). But if we want to tell whether a belief is true (or false), then we must engage in the activity of justification. For what is involved in telling a particular belief's truth value is asking oneself whether the belief in question is true, and then showing or arguing that it is true (or false).
2) 데이빗슨의 논증에 응답함에 있어서, 토대론자들은 위에서 도입되었던 하나의 구분을 채택할 수 있을 것이다 - 그 구분은 믿음의 정당화됨이라는 속성과 한 믿음을 정당화하는 개인의 행위 사이의 구분이다 - 그리고 데이빗슨의 논증을 전자가 아니라 후자와 관련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3> 데이빗슨의 논증이 우리가 어떻게 한 믿음이 참인지(혹은 거짓인지) 말할 수 있는가의 문제에 대한 것임을 주의하자. 그러나 만일 우리가 한 믿음이 참인지(혹은 거짓인지) 여부를 말하고자 한다면, 우리는 반드시 정당화 활동에 참여해야만 한다. 한 특수한 믿음의 진리치를 말함에 있어서 포함되는 것은 스스로 문제가 되는 믿음이 참인지 자문하여, 그 믿음이 참임을(혹은 거짓임을) 보여주거나 논증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3) Now as far as the activity of justifying one's beliefs is concerned Davidson is certainly right. When we engage in that activity, whatever we say in defense of something we believe would always have to be something else we believe. For example, if I tried to show that my belief "The book in front of me is red" is justified by saying "It looks red to me," then I would be stating just another belief of mine. And if I were to justify my belief that it looks red to me by saying that introspection into one's own perceptual states is a reliable source of information, I would again be stating just another belief. It must be conceded, therefore, that when we engage in argumentation to justify our beliefs and convictions, there is nothing other than our beliefs to go on. Foundationalists should admit, therefore, that as far as the act of justifying one's beliefs is concerned, the circle-of-belief thesis is true.
3) 이제 한 개인의 믿음들을 정당화하는 활동에 관련된 한에서 데이빗슨은 확실히 옳다. 우리가 그 활동에 참여할 때, 우리가 믿는 어떤 것에 대한 옹호로 말하는 그 무엇이 되었든 언제나 우리가 믿는 다른 어떤 것을 지녀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만일 내가 "내 앞의 책은 붉다"라는 믿음이 "그 책이 내게 붉게 보인다"라고 말함으로써 정당화된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노력한다면, 나는 바로 또 다른 나의 믿음을 말하고 있는 것이 될 터이다. 또 만일 내가 그 책이 내게 붉게 보인다는 나의 믿음을 한 개인의 고유한 지각적 상태들에 대한 내성이 정보의 신빙성있는 원천이라고 말함으로써 정당화하려고 한다면, 나는 다시금 전혀 다른 믿음을 진술하고 있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의 믿음들이 계속 나아가리란 것은 인정되어야만 한다. 그러므로 토대론자들은 한 개인의 믿음들을 정당화하는 행위에 관련되는 한에서, 믿음 원환 논지가 참임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4) When foundationalists claim that there is such a thing as nondoxastic justification, however, what they are concerned with is not the act of justifying, but rather the property of being justified and how beliefs acquire that property. Thus they would reply to Davidson's argument that premises that are true about the act of justifying a belief prove nothing regarding a belief's property of being justified. It is one thing for a belief to be justified through a perceptual experience and without the aid of any other beliefs, and quite another to tell whether, or to argue that, a particular belief is thus justified. If one were to do the latter, one would say that the belief in question is jutified through a perceptual experience. Alas, saying that is just stating another belief, and thus one would remain confined within the circle of beliefs. But that doesn't mean that the belief in question enjoys the property of being justified by virtue of that further belief rather than the perceptual experience itself.
4) 그렇지만 토대론자들이 비사견적 정당성과 같은 그런 어떤 것이 있다고 주장할 때 그들이 관심을 갖는 것은 정당화 행위가 아니라 오히려 정당화됨의 속성이고 어떻게 믿음들이 그 속성을 획득하는가 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들은 데이빗슨의 논증에 대해 믿음을 정당화하는 행위에 대해서 참인 전제들은 믿음의 정당화된 속성과 관련한 아무것도 입증하지 않는다고 응답할 것이다. 다른 어떤 믿음들의 도움도 없이 한 믿음이 지각 경험을 통하여 정당화되는 것과, 한 특수한 믿음이 그와 같이 정당화되는지 여부를 말하거나 그러하다고 주장하는 일은 전혀 별개이다. 만일 한 사람이 후자를 행하게 된다면, 그는 문제가 되는 그 믿음이 지각을 통해 정당화된다고 말할 것이다. 아쉽게도, 그렇게 말하는 것은 또 다른 믿음을 진술하는 것뿐이고, 따라서 그는 믿음들의 원환 안에 갇힌 채로 남겨질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그 문제시되는 믿음이 지각적 경험 그 자체보다도 추가적인 믿음에 의해 정당화됨의 속성을 향유한다는 뜻은 아니다.

5) Let us consider an analogy. In ethics, many philosophers endorse a view called "consequentialism": the view that an act's moral status (its property of being right or wrong) is determined by its consequences. Suppose somebody performs an act that is morally wrong because it has bad consequences. Consequentialists would say that the act is wrong whether or not the agent formed any beliefs about the consequences. They would insist that it is the consequences themselves that make the act wrong.
5) 하나의 유추를 고찰해 보도록 하자. 윤리학에 있어서, 다수의 철학자들은 "결과주의"라 불리는 관점을 지지한다: 한 행위의 도덕적 상태 (그 행위의 옳고 그름의 속성) 는 그 행위의 결과들에 의해 결정된다는 관점이다. 누군가 나쁜 결과들을 가져왔기 때문에 도덕적으로 그른 그러한 행위를 수행한다고 가정해 보자. 결과주의자들은 그 행위자가 그 결과들에 대해 어떠한 믿음들을 형성하였던지 간에 그 행위가 그릇되었다고 말할 것이다. 그들은 그 행위를 그른 것으로 만드는 것이 그 결과들 자체라고 주장할 것이다.

6) An objection to consequentialism tailored after Davidson's argument against foundationalism would go like this: When judging the moral status of an act in light of its consequences, we've got nothing to go on except our beliefs about consequences, for we can't "get out of our skins" and ascertain an act's consequences directly. Thus it's unintelligible that an act's moral status can be determined by its consequences, and hence consequentialism is false.
6) 데이빗슨의 토대론에 반대한 논증에 맞아 떨어지는 결과주의에 대한 반박은 이와 같이 진행할 것이다: 한 행위의 도덕적 상태를 그 행위의 결과들의 조명 속에서 판단할 때, 우리는 결과들에 대한 우리의 믿음들을 제외하면 아무것도 진행하지 못하는데, 왜냐하면 우리가 "우리의 피부 밖으로 나갈 수 없고" 한 행위의 결과들을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 행위의 도덕적 상태가 그 행위의 결과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은 이해할 수 없으며, 따라서 결과주의는 거짓이다.

7) Consequentialists would not be impressed by this argument. Their reply would be parallel to the foundationalist rebuttal to Davidson. They would say that we must distinguish between the act of evaluating an act's moral status and how an act acquires its moral status. When we wish to judge whether an act is right or wrong, they would say, we will indeed always be confined within our beliefs about the act's consequences. But this doesn't mean that it's our beliefs about the act's consequences that makes the act right or wrong. Rather, the act is right or wrong depending on its actual consequences, irrespective of what we believe about them.<4>
7) 결과주의자들은 이러한 논증에 의해 충격을 받지 않을 것이다. 그들의 대답은 데이빗슨에 대한 토대론적 반박과 유사할 것이다. 그들은 우리가 한 행위의 도덕적 상태를 판단하는 행위와 한 행위가 그 도덕적 상태를 획득하는 방법을 구분해야만 한다. 우리가 한 행위가 옳은지 혹은 그른지 판단하고자 할 때, 우리는 실로 언제나 그 행위의 결과들에 대한 우리의 믿음들 내부에 갇힐 것이라고 그들은 말할 터이다. 그러나 이것이 그 행위를 옳거나 그른 것으로 만드는 게 그 행위의 결과들에 대한 우리의 믿음들이란 뜻은 아니다. 오히려, 그 행위는 우리가 그 결과들에 대해 믿는 것과 무관하게 그 실제적 결과들에 의존하여 옳거나 그르다.<4>

8) The foundationalist reply to Davidson's argument runs parallel. Foundationalists claim that there is nondoxastic justification: that beliefs can be justified solely through experience. Now when we endeavor to show that a particular belief is justified by a particular experience, then of course whatever we say will represent not the experience itself but a belief about it. But this doesn't mean that it isn't the experience itself that makes the belief justified.
8) 토대론자는 데이비슨의 논증에 대해 유사하게 응답한다. 토대론자들은 비사견적 정당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곧 믿음들이 오로지 경험을 통해서만 정당화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제 우리가 특수한 믿음이 특정한 경험에 의해 정당화된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노력할 때, 물론 우리가 말하는 무엇이든 경험 자체가 아니라 그 경험에 대한 믿음을 표현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이 그 믿음을 정당화되도록 하는 것이 경험 그 자체가 아니라는 뜻은 아니다.

9) Before moving on, we should take note of the fact that the foundationalist reply to Davidson's argument should not be construed as an argument supposed to show that there is such a thing as nondoxastic justification. It does no such thing. Rather, its point is merely to show that Davidson's argument does not succeed in establishing that nondoxastic justification is impossible.
9) 다음으로 넘어가기 전에, 우리는 데이빗슨의 논증에 대한 토대론적 응답이 비사견적 정당성과 같은 그런 것이 있음을 보여주는 일을 뒷받침한 논증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라는 사실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그 응답은 전혀 그런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 응답의 핵심은 단지 데이빗슨의 논증이 비사견적 정당성은 불가능함을 확정짓는 데에 있어서 성공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뿐이다.


Bonjour's Argument Against Nondoxastic Justification
비사견적 정당성에 반대한 봉주르의 논증

1) Next we shall consider an argument of Laurence Bonjour's that, unlike Davidson's, is aimed directly at the viability of basic beliefs.<5> The conclusion of this argument is that a nondoxastic experiential state can't confer on a belief the property of being justified. Thus the maneuver that allows foundationalists to rebut Davidson's argument - that of distinguishing between the act of justifying a belief and the process by which a belief acquires the property of being justified - won't be applicable here. Bonjour's argument must be viewed, therefore, as a serious challenge to the foundationalist claim that there is such a thing as nondoxastic justification. How, then, does Bonjour arrive at the conclusion that there is no such thing?
1) 다음으로 우리는 로렌스 봉주르의 논증을 고찰할 것이다. 데이빗슨과 달리 그의 논증은 기초적 믿음들의 생존가능성을 직접적으로 겨냥한다.<5> 이 논증의 결론은 비사견적 경험적 상태는 믿음에 정당화됨의 속성을 부여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토대론자들에게 데이빗슨의 논증을 반박하도록 허용해주는 방책 - 믿음을 정당화하는 행위와 믿음이 정당화됨의 속성을 획득하는 과정의 구분에 대한 - 은 여기에는 적용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봉주르의 논증은 그러므로 반드시 비사견적 정당성과 같은 그런 것이 있다는 토대론적 주장에 대한 심각한 도전으로 간주되어야만 한다. 그러면 어떻게 봉주르는 그러한 것은 전혀 없다는 결론에 도달하는가?

2) According to Bonjour, the idea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 of justification that is conferred on a belief by an experiential state that is not a state of believing - involves the following dilemma:

The Dilemma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Nondoxastic experiences are either states of awarenes or they are not. If they are states of awareness, then they can justify only if they are justified themselves. If they are not state of awareness, then they can't be justified themselves and thus can't justify any beliefs.<6>

Suppose the first horn of the dilemma is true: nondoxastic experiences are states of awareness. If so, they can't confer justification on beliefs unless they are justified themselves. But this means that they themselves are in need of justification, and thus can't function as regress terminators. So if the first horn of the dilemma is true, beliefs justified through experiences are just as much in need of justification as beliefs justified by other beliefs, and thus cannot be basic.
2) 봉주르에 따르면, 비사견적 정당성의 발상은 - 믿음의 상태가 아닌 경험적 상태에 의해 믿음에 부여되는 정당성에 대한 생각 - 다음 딜레마를 포함한다:

비사견적 정당성의 딜레마
비사견적 경험들은 의식의 상태들이거나 그렇지 않다. 만일 그 경험들이 의식의 상태들이라면, 그 경험들은 오로지 그 경험들이 그 자체로 정당화되는 경우에만 정당화할 수 있다. 만일 그 상태들이 의식의 상태가 아니라면, 그 경험들은 스스로 정당화될 수 없고 따라서 어떤 믿음들도 정당화할 수 없다.<6>

딜레마의 첫 번째 항이 참이라고 가정해 보자: 비사견적 경험들이 의식의 상태들이라고 말이다. 만일 그렇다면, 그 경험들은 그 경험들이 스스로 정당화되지 않는 한 믿음들에 정당성을 부여할 수 없다. 그러나 이것은 그 경험들 자체가 정당성의 결여 상태임을 뜻하며, 따라서 소급 종결자들로서 기능할 수 없다. 그래서 만일 딜레마의 첫 항이 참이라면, 경험들을 통해 정당화된 믿음들은 바로 다른 믿음들에 의해 정당화된 믿음들만큼 정당성이 결여되며, 따라서 기초적일 수 없다.

3) Suppose the second horn of the dilemma is true: nondoxastic experiences are not states of awareness. In that case, they are not the kind of thing that can enjoy justification, just as tables and chairs are not the sort of thing that can. But if nondoxastic experiences can't "have" justification, then they can't "give" justification. Thus if the second horn of the dilemma is true, we get again the consequence that there can't be basic beliefs.
3) 딜레마의 두 번째 항이 참이라고 가정해 보자: 비사견적 경험들은 의식의 상태들이 아니다. 그 경우, 그 경험들은 정당성을 향유할 수 있는 그러한 종류의 것이 아니다. 바로 책상들과 의자들이 그러할 수 있는 그런 종류의 것이 아닌 것처럼 말이다. 그러나 만일 비사견적 경험들이 정당성을 "가질" 수 없다면, 그 경험들은 정당성을 "줄" 수도 없다. 따라서 만일 딜레마의 두 번째 항이 참이라면, 우리는 다시금 기초적 믿음들은 있을 수 없다는 결론을 얻게 된다.

4) In a nutshell, Bonjour's argument asserts this: The idea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poses the problem of having to choose between the two horns of the dilemma, for nondoxastic experiences indeed are either states of awareness or they are not. Second, it is also clear that foundationalists cannot choose the first alternative, for if they did, they could not maintain that basic beliefs can function as regress terminators. Hence, in order to rebut Bonjour's argument, foundationalists must show that the second alternative is acceptable: that nondoxastic states actually can confer on beliefs the property of being justified although they are not themselves the sort of thing that can have that property. In short, they must maintain that nondoxastic states can "give" justification although they can't "have" justification.
4) 분명히 말하자면, 봉주르의 논증은 이와 같이 단언한다: 비사견적 정당성에 대한 발상은 딜레마의 두 항들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는 문제를 제기하는데, 왜냐하면 비사견적 경험들은 참으로 의식의 상태들이거나 그렇지 않거나 둘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토대론자들이 첫 번째 대안을 선택할 수 없다는 점 또한 분명한데, 왜냐하면 만일 그들이 둘째 항을 선택한다면, 그들은 기초적 믿음들이 소급 종결자들로서 기능할 수 있다고 주장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봉주르의 논증을 반박하기 위해, 토대론자들은 반드시 두 번째 대안이 수용가능함을 보여야만 한다: 곧 비사견적 상태들이 비록 그 자체로 정당화됨의 속성을 가질 수 있는 그런 종류의 것은 아니라 할지라도 믿음들에는 그러한 속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어야만 한다. 간단히 말해서, 그들은 비사견적 상태들이 비록 정당성을 "가질" 수 없을지라도 그 정당성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해야만 한다.

5) This seems, at least initially, to be a hopeless task. Recall our earlier argument against the possibility of self-justification. We argued that a belief is either justified to begin with or it is not. If it is, it can't justify itself because it is already justified. And if it isn't, then it can't justify itself because a belief that doesn't "have" justification can't "give" justification to any other belief. Bonjour's verdict about the second horn of the dilemma seems to rest on the same intuition: if nondoxastic states are not capable of "having" justification, they are not capable of "giving" justification. Foundationalists, then, face the task of having to defend the view that a nondoxastic state can manage to justify a belief although it isn't the sort of thing that is capable of being justified itself. In the next section, we shall consider how foundationalists might go about accomplishing this feat.
5) 이것은 최소한 처음에는 희망없는 과업인 듯이 여겨진다. 자기-정당화 가능성에 반대하는 우리의 앞선 논증을 상기해 보자. 우리는 한 믿음은 처음부터 정당화되거나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만일 그 믿음이 정당화되어 있다면, 그 믿음은 그 스스로 정당화할 수 없는데 왜냐하면 그 믿음이 이미 정당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만일 정당화되어 있지 않다면, 그 믿음은 그 자신을 정당화할 수 없는데 왜냐하면 정당성을 "가지지" 않은 한 믿음은 다른 어떠한 믿음에도 정당성을 "줄" 수 없기 때문이다. 딜레마의 두 번째 항에 대한 봉주르의 의견은 동일한 직관에 의존하는 것으로 보인다: 즉 만일 비사견적 상태들이 정당성을 "가질" 능력이 없다면, 그 상태들은 정당성을 "부여할" 능력도 없다. 토대론자들은 그래서 비사견적 상태가 비록 그 자체로 정당화될 능력을 갖춘 그런 종류의 것이 아니라 할지라도 한 믿음을 정당화하는 일을 다룰 수 있다는 관점을 옹호해야 하는 과업에 직면한다. 다음 절에서, 우리는 어떻게 토대론자들이 이러한 위업을 성취하는 데에로 나아가는지 고찰할 것이다.


A Foundationalist Reply to Bonjour's Argument
봉주르의 논증에 대한 토대론적 응답

1) The issue Bonjour's dilemma argument raises is whether a belief's justification can have its source in something that is not itself capable of being justified. Bonjour claims that a belief's justification can't have its source in any such thing. Yet, and this is what foundationalists should say in reply to Bonjour's argument, his own coherentist position appears to presuppose that it can. The central thesis of coherentism, after all, is that beliefs are justified by coherence. As Bonjour puts it: "the justification of a particular empirical belief finally depends … on the overall system and its coherence."<7> A belief system's coherence, however, is not itself something capable of justification. A belief system's coherence can be neither justified nor unjustified; yet, according to Bonjour, it is the very source from which all justified beliefs receive their justification.
1) 봉주르의 딜레마 논증이 야기한 문제는 믿음의 정당성이 그 원천을 그 자체로 정당화될 능력이 없는 어떤 것에 둘 수 있는지 여부이다. 봉주르는 한 믿음의 정당성은 그 원천을 그런 어떤 것에도 둘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것은 봉주르의 논증에 대해 답함에 있어서 토대론자들이 말해야 할 것, 즉 그 자신의 정합론적 입장이 그것이 가능함을 가정하는 것으로 드러난다는 것이다. 정합론의 중심 논지는 무엇보다도 믿음들이 정합성에 의해 정당화된다는 것이다. 봉주르가 말하듯 그것은 "특수한 경험적 믿음의 정당성은 결국 … 전반적인 체계와 그 믿음의 정합성에 의존한다."<7> 그렇지만 한 믿음 체계의 정합성은 그 자체로는 정당화의 능력이 있는 어떤 것이 아니다. 믿음 체계의 정합성은 정당화될 수도 정당화되지 않을 수도 없다; 그런데도 봉주르에 따르면 그 정합성이 바로 모든 정당화된 믿음들이 그 정당성을 받는 원천이다.

2) Thus it would appear that coherentists themselves countenance a nondoxastic source of justification, to wit, coherence. But then they are in no position to reject foundationalism on the ground that nondoxastic justification through experiential states is impossible because there is no such thing a nondoxastic justification. Indeed, to deny the possibility of such justification with regard to basic beliefs, but to affirm it with regard to coherence, is arbitrary, if not wholly incoherent.<8>
2) 따라서 정합론자들 스스로 정당성의 비사견적 원천, 정확히 말하면 정합성을 지지하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 그러나 그래서 그들이 비사견적 정당성과 같은 그런 어떤 것도 없기 때문에 경험적 토대들을 통한 비사견적 정당성이 불가능하다는 근거에서 토대론을 반박하는 입장에 있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기초적 믿음들을 고려하면서 그러한 정당성의 가능성을 부정하지만 정합성과 관련하여서는 긍정하는 것은 만일 전적으로 비일관적이지 않다면 자의적인 것이다.<8>

3) Although Bonjour's dilemma argument seemed initially quite forceful, it must now be said that the foundationalist countermove is at least equally forceful. It derives its strength from pointing out that the coherentist attack on the possibility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runs the risk of undermining not only its intended target, foundationalism, but also the coherentist position itself. There is, however, one reply coherentists can resort to in order to recover from this setback. They could say that justified beliefs are justified, not by virtue of coherence relations themselves, but rather by virtue of the subject's beliefs about her belief system's coherence. And, in fact, Bonjour seems to conceive of coherentism in precisely that way, as borne out by his thorough doxasticism, which manifests itself in the way he conceives of the necessity of level ascent.<9>
3) 봉주르의 딜레마 논증이 처음에는 꽤 강력해 보일지라도, 이제는 토대론적 대응조치도 최소한 동등하게 강력하다는 점이 이야기되어야만 한다. 그 대응조치는 그 힘을 비사견적 정당성의 가능성에 대한 정합론적 공격이 표적으로 삼았던 토대론만이 아니라 또한 정합론적 입장 자체도 약화시키는 위험에 빠진다는 점을 지적함으로부터 끌어낸다. 그렇지만 정합론자들이 이러한 시련으로부터 되돌아 나오기 위해 의지할 수 있는 한 가지 대답이 있다. 그들은 정당화된 믿음들이 그 믿음들 자체의 정합적 관계들 덕분이 아니라 주체의 믿음 체계가 지닌 정합성에 대한 그 주체의 믿음들의 덕분으로 정당화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사실 봉주르는, 그 자체로 그가 수준 상승의 필연성에 대해 이해하는 방식에서 드러나는 그의 사견주의를 통하여 그에 의해 증명되는 것과 같이, 정합론에 대해 정확히 그 방식으로 이해하는 듯이 보인다.<9>

4) This coherentist rejoinder - let's call it the "doxastic move" - does not, however, achieve a complete recovery from the foundationalist counterattack, for it invites two rather serious objections. According to the first, a thoroughly doxastic conception of coherentism generates an infinite regress that makes justification impossible. According to the second, the doxastic move is at odds with a thesis that enjoys a high degree of plausibility: the thesis that an evaluative property such as a belief's status of being justified must supervene on, or be anchored in, a set of nonevaluative properties.
4) 이러한 정합론적 답변 - 그것을 "사견적 조치"라 부르도록 하자 - 은 그렇지만 토대론적 반격으로부터 완벽히 회복을 성취하지는 못하는데, 왜냐하면 그 조치는 두 가지 심각한 반박들을 자초하기 때문이다. 첫 번째 반박에 따르면, 철저히 사견적인 정합론의 개념은 정당화를 불가능하게 만드는 무한 소급을 산출한다. 두 번째 반박에 따르면, 사견적 조치는 고도의 개연성을 누리는 논지와 불화를 일으킨다. 그 논지는 믿음의 정당화된 상태와 같은 그런 평가적 속성이 반드시 일련의 비평가적 속성들에 수반하거나 그에 고정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5) Before moving on to discuss these two objections, let's summarize the foundationalist countermove to Bonjour's dilemma argument. Note that the point of this countermove is that coherentists face a dilemma themselves.

The Dilemma of Coherentism
According to coherentism, justification is conferred on beliefs either by coherence itself or by beliefs about coherence. If justification is conferred by coherence itself, nondoxastic justification is admitted in principle, for a belief system's coherence is nondoxastic in nature. If, on the other hand, justification is conferred by beliefs about coherence, then the resulting conception of justification suffers from two flaws: first, it generates an unpalatable infinite regress; and second, it is at odds with the thesis that the property of being justified, as an evaluative property, supervenes on nonevaluative properties.

However coherentists try to get around this dilemma, the problems they encounter are formidable. If they accept that coherence itself is a source of justification, then they are forced to admit in principle that there is such a thing as nondoxastic justification - which makes it rather tenuous to maintain that nondoxastic justification through coherence is possible, while nondoxastic justification through experience is not.<10> On the other hand, if coherentists make the doxastic move - if they argue that justification is generated not through coherence itself but only beliefs about coherence - then they face two problems that are just as serious as the one they encounter if they don't make the doxastic move. These problems will be the subject of the next three sections.
5) 이러한 두 가지 반박들을 논의하는 데에로 나아가기에 앞서, 봉주르의 딜레마 논증에 대한 토대론적 대응조치를 정리하도록 하자. 이 대응조치의 핵심은 정합론자들이 그들 스스로 딜레마에 직면한다는 것임을 주의하자.

정합론의 딜레마
정합론에 따르면, 정당성은 정합성 그 자체에 의해서나 아니면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에 의해서 믿음들에 부여된다. 만일 정당성이 정합성 그 자체에 의해 부여된다면, 비사견적 정당성이 원칙적으로 허용되는데, 왜냐하면 한 믿음 체계의 정합성은 본성에 있어서 비사견적이기 때문이다. 만일, 다른 한편으로, 정당성이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에 의해 부여된다면, 그렇게 결과하는 정당성의 개념은 두 가지 결함들을 겪는다: 첫째, 그 정당성은 받아들이기 어려운 무한 소급을 산출한다. 둘째, 그 정당성은 평가적 속성으로서 정당화됨의 속성이 비평가적 속성들에 수반한다는 논지와 갈등을 일으킨다.

정합론자들이 이러한 딜레마를 우회하고자 애쓰긴 하지만, 그들이 직면한 문제들은 가공할 만하다. 만일 그들이 정합성 자체가 정당성의 원천임을 받아들인다면, 그들은 원칙적으로 비사견적 정당성과 같은 것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도록 강제된다 - 그것은 정합성을 통한 비사견적 정당성은 가능한 반면, 경험을 통한 비사견적 정당성은 그렇지 않다고 주장하는 것을 무척이나 허약하게 만드는 것이다.<10> 다른 한편, 만일 정합론자들이 사견적 조치를 취한다면 - 만일 그들이 정당성은 정합성 자체가 아니라 오로지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에 의해서만 산출된다고 주장한다면 - 그들은 그들이 사견적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직면하는 문제와 똑같이 심각한 두 가지 문제들에 직면한다. 이러한 문제들은 다음 세 절들의 주제가 될 것이다.

-蟲-
Philosophy and Faith
철학과 신념

One of my jobs as a teacher of bright, mostly Catholic undergraduates is to get them thinking about why they hold their religious beliefs.  It’s easy enough to spark discussion about the problem of evil (“Can you really read the newspaper everyday and continue to believe in an all-perfect God?”) or about the diversity of religious beliefs (“If you’d been born in Saudi Arabia, don’t you think you’d be a Muslim?”).  Inevitably, however, the discussion starts to fizzle when someone raises a hand and says (sometimes ardently, sometimes smugly) “But aren’t you forgetting about faith?”
대부분 가톨릭 전공인 똑똑한 학부생들의 선생으로서 내 일들 중 하나는 그들이 왜 그들의 종교적 믿음을 지니는지에 대해 생각하도록 만드는 일이다. 악의 문제에 대해서나 또는 종교적 믿음의 다양성에 대해서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란 충분히 쉬운 일이다("자네는 매일 신문을 읽으면서도 정말로 모든 면에서 완벽한 신을 계속 믿을 수 있나?" 혹은 "만일 자네가 사우디 아라비아에서 태어났다면, 당신이 무슬림이었을 거라고 생각하지 않나?"). 그렇지만 누군가 손을 들고 이렇게 말할 때(때로는 열정적으로, 때로는 의기양양하게) 그 논의는 어쩔 수 없이 흐지부지되기 시작한다. "하지만 당신은 신념을 잊어 버리셨나요?"
That seems to be enough for most students.  The trump card has been played, and they — or at least the many who find religion more a comfort than a burden — happily remember that believing means never having to explain why.
그걸로 대부분의 학생들에게는 충분한 듯 보인다. 그 결정적인 카드가 던져지고, 그들은 - 혹은 최소한 종교를 짐보다는 더욱이 위안으로 간주하는 많은 이들은 - 만족스럽게 믿는 일은 결코 이유를 설명해야 한다는 뜻이 아님을 기억한다.
I myself, the product of a dozen years of intellectually self-confident Jesuit education, have little sympathy with the “it’s just faith” response.  “How can you say that?” I reply.  “You wouldn’t buy a used car just because you had faith in what the salesperson told you.  Why would you take on faith far more important claims about your eternal salvation?”  And, in fact, most of my students do see their faith not as an intellectually blind leap but as grounded in evidence and argument.
나 자신은 지적으로 자기확신적인 예수회 교육의 12년에 걸친 산물로 "그건 단지 신념일 뿐이다"라는 대답에 일말의 동정도 갖지 않는다. "당신은 세일즈맨이 당신에게 말했던 것에 대한 신념을 갖는다는 이유만으로 중고차를 사진 않을 것이다. 왜 당신이 당신의 영원한 구원에 대해 주장하는 신념에 대해 훨씬 더 중요하게 생각하겠는가?" 그리고, 사실 나의 학생들 대부분은 그들의 신념을 지적으로 눈먼 비약이 아니라 증거와 논증에 근거한 것이라 생각한다.

    The popular formulations to which theists and atheists appeal do not prove what they claim to prove.
    유신론자들과 무신론자들이 그에 호소하는 유명한 표현들은 그것들이 증명한다고 주장하는 어떤 것을 증명하지 않는다.

“Well, if there’s no God,” they say, “how can you explain why anything at all exists or why the world is governed by such precise laws of nature?”
그들은 이렇게 말한다. "자, 만일 신이 없다면, 무엇이 되었든 좌우간 그게 왜 존재하는지 또는 어째서 세계가 그렇듯 정확한 자연법칙에 의해 지배되는지 당신이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At this point, the class perks up again as I lay out versions of the famous arguments for the existence of God, and my students begin to think that they’re about to get what their parents have paid for at a great Catholic university: some rigorous intellectual support for their faith.
이 지점에서, 내가 신존재에 대한 유명한 논증들의 각색들을 펼쳐놓을 때 강의실은 다시금 귀를 세우고, 내 학생들은 그들이 당장이라도 그들의 부모들이 대단한 가톨릭 대학에 지불하였던 것을 돌려받기라도 할 듯이 생각하기 시작한다. 그들의 신념을 위한 어떤 철저한 지적 지지 같은 것을 말이다.
Soon enough, however, things again fall apart, since our best efforts to construct arguments along the traditional lines face successive difficulties.  The students realize that I’m not going to be able to give them a convincing proof, and I let them in on the dirty secret: philosophers have never been able to find arguments that settle the question of God’s existence or any  of the other “big questions” we’ve been discussing for 2500 years.
그렇지만 이내 그것들은 다시 허물어져 버리는데, 전통적 노선들에 따라 논증들을 구축하려는 우리의 최선의 노력들이 연이은 난관들에 부딪치기 때문이다. 학생들은 내가 그들에게 확실한 증명을 내놓을 수 있게 되지는 않으리란 것을 알아차리고, 나는 그들에게 더러운 비밀을 알려준다. 그건 철학자들이 결코 단 한 번도 신의 현존에 대한 물음이나 우리가 2500년 동안 논의해 오고 있는 다른 "거대한 물음들" 중 그 어떤 것에 대해서도 그것을 해결하는 논증들을 발견할 수 없었다는 사실이다.
This seems to bring us back to where we started: “It’s all faith.”  I, with my Jesuit-inspired confidence in reason and evidence, have always resisted this. But  I have also felt the tug of my students’ conclusion that philosophy, although a good intellectual exercise and the source of tantalizing puzzles and paradoxes, has no real significance for religious faith.
이건 우리를 시작했던 곳으로 되돌려 보내는 것처럼 보인다. "그건 모두 신념이다." 나는 나의 예수회적 영감을 받은 추론과 증거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언제나 이러한 생각에 저항해 왔다. 그러나 나는 또한 철학이 비록 훌륭한 지적 훈련이고 감질나는 퍼즐들과 역설들의 원천이라 할지라도 종교적 신념을 위한 아무런 실질적인 의미도 없다는 내 학생들의 결론에 끌리기도 한다.
Recently, however, I’ve realized  a mistake in the way that I — and most of my professional colleagues — tend to think about philosophy and faith.  (One of the great benefits of getting to teach philosophy to bright  undergraduates is that it makes it easier to think outside the constraints of current professional assumptions.)  The standard view is that philosophers’ disagreements over arguments about God make their views irrelevant to the faith of ordinary believers and non-believers.  The claim seems obvious: if we professionals can’t agree among ourselves, what can we have to offer to non-professionals?  An appeal to experts requires consensus among those experts, which philosophers don’t have.
그렇지만 최근에 나는 내가 - 그리고 나의 직업상의 동료들 대부분이 - 철학과 신념에 대해 생각해 버릇한 방식에 잘못이 있음을 깨달았다. (총기있는 학생들에게 철학을 가르치게 되는 일의 아주 대단한 이점들 중 하나는 그게 통상의 전문적인 전제들에 속하는 제한들 밖으로 생각하는 일을 더 쉽게 해준다는 점이다.) 그 표준적 관점은 신논증들에 대한 철학자들 사이에서 의견의 불일치들이 그들의 관점들을 일반 신앙인들과 비-신앙인들의 신념에 부적합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그 주장은 분명해 보인다: 만일 우리 전문가들이 우리 자신들끼리 동의할 수 없다면, 우리가 비-전문가들에게 제공할 무엇을 가질 수 있겠는가? 전문가들을 향한 호소는 그 전문가들 사이의 의견일치를 요구한다. 그건 철학자들이 가지고 있지 못한 것이다.
This line of thought ignores the fact that when philosophers’ disagree it is only about specific aspects of the most subtle and sophisticated versions of arguments for and against God’s existence (for example, my colleague Alvin Plantinga’s modal-logic formulation of St. Anselm’s ontological argument or William Rowe’s complex version of a probabilistic argument from evil). There is no disagreement among philosophers about the more popular arguments to which theists and atheists typically appeal: as formulated, they do not prove (that is, logically derive from uncontroversial premises) what they claim to prove. They are clearly inadequate in the judgment of qualified professionals.  Further, there are no more sophisticated formulations that theists or atheists can accept — the way we do scientific claims — on the authority of expert consensus.
이러한 사유의 노선은 철학자들의 의견이 갈릴 때 그것은 오로지 신의 현존에 대한 가장 미묘하고 복잡한 형태의 찬반논증들의 특수한 측면들에 대해서만 있는 불일치라는 사실을 도외시한다 (예를 들어 성 안셀무스의 존재론적 논증에 대한 내 동료 앨빈 플랜팅가의 양상-논리적 정식화나 윌리암 로우의 악으로부터의 개연적 논증의 복잡한 형태). 유신론자들이나 무신론자들이 전형적으로 호소하는 그런 더 대중적인 논증들에 대해서는 철학자들 사이에 아무런 의견의 불일치도 없다. 언급되었듯, 그들은 그들이 증명하고자 주장하는 바를 증명하지 않는다 (즉, 논란의 여지 없는 전제들로부터 논리적으로 도출하지 않는다). 그들은 분명히 자격을 갖춘 전문가들의 판단에 있어서는 부족하다. 더욱이, 유신론자들이나 무신론자들이 - 우리가 과학적으로 주장하는 방식 - 전문적 의견일치에 준거하여 수용할 수 있는 어떤 더 복잡한 표현들도 없다.
In these popular debates about God’s existence, the winners are neither theists nor atheists, but agnostics — the neglected step-children of religious controversy, who rightly point out that neither side in the debate has made its case.   This is the position supported by the consensus of expert philosophical opinion.
신의 현존에 대한 이런 대중적인 논쟁들에 있어서, 승자는 유신론자들도 무신론자들도 아니고, 불가지론자들이다  - 그들은 그 논쟁의 어느 쪽도 자신의 주장을 입증하지 못했다는 것을 올바르게 지적한 종교적 논란의 버려진 서자이다. 불가지론은 전문적인 철학적 의견들의 일치에 의해 지지되는 입장이다.
This conclusion should particularly discomfit popular proponents of atheism, such as Richard Dawkins, whose position is entirely based on demonstrably faulty arguments.  Believers, of course, can fall back on the logically less rigorous support that they characterize as faith.  But then they need to reflect on just what sort of support faith can give to religious belief.   How are my students’ warm feelings of certainty as they hug one another at Sunday Mass in their dorm really any different from the trust they might experience while under the spell of a really plausible salesperson?
이러한 결론은 특히나 리처드 도킨스 같은 무신론의 대중적 지지자들을 혼란스럽게 만들 것이다. 그들의 입장은 증명적으로 불완전한 논증들에 완전히 기초하는 입장이다. 물론 신앙인들도 그들이 신념이라 규정하는 논리적으로 덜 엄격한 지지에 기댈 수 있다. 그러나 다음으로 그들은 신념이 종교적 믿음에 바로 어떤 종류의 지지를 줄 수 있는지 숙고할 필요가 있다. 주일미사 때 기숙사에서 서로를 끌어안는 것과 같은 내 학생들의 확실성에 대한 따뜻한 감정들이 실로 그럴싸한 세일즈맨의 말을 듣는 동안 그들이 경험할 수도 있는 신뢰와 실제로 어떻게 다른가?

    What sort of religious experience could support the claim that Jesus Christ was God incarnate and not just a great moral teacher?
    어떤 종류의 종교적 경험이 예수 그리스도가 단지 위대한 도덕적 지도자가 아니라 육화한 신이었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을 것인가?
 
An answer may lie in work by philosophers as different as David Hume, Ludwig Wittgenstein, and Alvin Plantinga.  In various ways, they have shown that everyday life is based on “basic” beliefs for which we have no good arguments. There are, for example, no more basic truths from which we can prove that the past is often a good guide to the future, that our memories are reliable, or that other people have a conscious inner life.  Such beliefs simply — and quite properly — arise from our experience in the world. Plantinga in particular has argued that core religious beliefs can have a status similar to these basic but unproven beliefs. His argument has clear plausibility for some sorts of religious beliefs. Through experiences of, for example, natural beauty, moral obligation, or loving and being loved, we may develop an abiding sense of the reality of an extraordinarily good and powerful being who cares about us.  Who is to say that such experiences do not give reason for belief in God as much as parallel (though different) experiences give reason for belief in reliable knowledge of the past and future and of other human minds?  There is still room for philosophical disputes about this line of thought, but it remains the most plausible starting point of a philosophical case for religious belief.
한 가지 대답은 데이비드 흄과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그리고 앨빈 플랜팅가 만큼이나 상이한 철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질지도 모른다. 다양한 방식들로, 그들은 일상생활이 우리가 어떠한 훌륭한 논증들도 가지고 있지 않은 "기초적" 믿음들에 의존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우리가 과거는 미래의 훌륭한 길잡이라거나, 우리의 기억들은 신뢰할 수 있다거나, 또는 다른 사람들이 의식적인 영적 삶을 보내고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어떤 더 많은 기초적 진리들도 없다. 그런 믿음들은 단순히 - 그리고 꽤나 적절하게 - 우리의 세계 내 경험으로부터 생겨난다. 특히나 플랜팅가는 핵심적인 종교적 믿음들이 이러한 기초적이지만 증명되지 않는 믿음들과 유사한 상태를 가질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의 논증은 일부 종교적 믿음들에 대해 분명한 타당성을 지닌다. 예를 들어 자연미에 대한 경험들을 통하여, 또는 도덕적 의무, 아니면 사랑하고 사랑받는 일에 대한 경험들을 통해서 우리는 우리를 보살피는 특별히 선하고 강력한 존재에 대한 지속적인 감각을 전개시킬지도 모른다. 그러한 경험들이 과거와 미래 그리고 다른 사람의 마음들에 대한 신뢰할 만한 앎에 대한 믿음을 위한 근거를 제공하는 만큼, 그러한 유사한 믿음들이(비록 다를지라도) 신에 대한 믿음을 위한 근거를 제공하지는 못한다고 누가 말할 수 있는가? 이러한 사유 노선에 대해 여전히 철학적 논쟁의 여지는 있지만, 그 사유 노선은 종교적 믿음에 대한 철학적 상황의 가장 그럴싸한 출발점으로 남는다.
But this defense of faith faces a steep hurdle. Although it may support generic religious claims about a good and powerful being who cares for us, it is very hard to see it sustaining the specific and robust claims of Judaism, Christianity and Islam about how God is concretely and continually involved in our existence.  God is said to be not just good and powerful but morally perfect and omnipotent, a sure ultimate safeguard against any evil that might threaten us.  He not only cares about us but has set up precise moral norms and liturgical practices that we must follow to ensure our eternal salvation. Without such specificity, religion lacks the exhilarating and terrifying possibilities that have made it such a powerful force in human history.
그러나 신념에 대한 이러한 옹호는 가파른 장벽에 직면한다. 비록 그 옹호가 우리를 보살피는 선하고 강력한 존재자에 대한 포괄적인 종교적 주장들을 뒷받침할 수 있을지 몰라도, 어떻게 신이 구체적이고도 지속적으로 우리의 현존에 관계되는지에 대한 유대교, 그리스도교, 이슬람교의 뚜렷하고 확고한 주장들을 지탱한다는 것을 알아보기는 매우 어렵다. 신은 단지 선하고 강력할 따름인 것으로 이야기되지 않고 도덕적으로 완전하고 전능한 것으로, 우리를 위협할지 모를 어떠한 악에도 맞서는 확실한 궁극적 보호책인 것으로 이야기된다. 그는 우리를 보살필 뿐만 아니라 우리가 영원한 구원을 보장받기 위하여 반드시 따라야만 하는 정확한 도덕적 규범들과 예배식의 관습들을 세웠다. 그러한 구체성 없이는, 종교는 그 종교를 인간사에 있어서 그렇듯 강력한 힘으로 만든 용기를 주고 두려움을 주는 가능성들을 결여한다.
But how can religious experience sustain faith in a specific salvation narrative, particularly given the stark differences among the accounts of the great religious traditions?  What sort of religious experience could support the claim that Jesus Christ was God incarnate and not just a great moral teacher?  Or that the Bible rather than the Koran is the revelation of God’s own words?  Believers may have strong feelings of certainty, but each religion rejects the certainty of all the others, which leaves us asking why they privilege their own faith.
그러나, 특히 위대한 종교적 전통들에 대한 설명들 사이의 적나라한 차이들을 고려하면, 어떻게 종교적 경험들이 구체적 구원 서사에 대한 신념을 지탱할 수 있는가? 어떤 종류의 종교적 경험들이 예수 그리스도가 단지 위대한 도덕적 지도자가 아닌 육화한 신이었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을 것인가? 혹은 신 그 자신의 말에 속한느 계시가 코란이 아니라 성경이라는 것은? 신앙인들은 아마도 확실성에 대한 강렬한 감정들을 지닐 것이지만, 각각의 종교는 그 종교 이외의 종교들에 대한 확실성을 거부하고, 그것은 우리에게 어째서 그 종교들이 그 자신들의 신념에 특권을 부여하는지 묻도록 내버려 둔다.
I am not saying that religious believers are in principle incapable of finding satisfactory answers to such questions.  I am saying that philosophy and religion can and must speak to each other, and that those who take their beliefs seriously need to reflect on these questions, and that contemporary philosophical discussions (following on Hume and Wittgenstein) about knowledge, belief, certainty and disagreement are highly relevant to such reflection — and potentially, to an individual’s belief.  This is what I will try to convey to my students the next time I teach introductory philosophy of religion.
나는 종교적 신앙인들이 원칙적으로 그런 물음들에 대한 만족스런 대답들을 찾을 능력이 없다고 말하고 있는 게 아니다. 나는 철학과 종교가 서로에게 말할 수 있고 말해야만 한다고, 그리고 자신들의 믿음을 진지하게 여기는 사람들이 이러한 물음들에 대해 숙고할 필요가 있다고, 또 (흄과 비트겐슈타인에 따른) 앎, 믿음, 확실성과 불일치에 대한 현대의 철학적 논의들이 그러한 숙고에 대해 - 또 잠재적으로 개인의 믿음에 깊은 관련이 있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이 내가 나의 학생들에게 종교철학의 개론을 가르친 다음 시간에 전하려고 애쓰는 바이다.

New York Times
Opinionator
Exclusive Online Commentary From The Times
By GARY GUTTING
August 1, 2010, 5:30 pm
============================jonghwan님 트윗터에서 업어왔음===================================

  무신론자이고 신앙 없는 인간이라고 자부(?)하지만 엄밀히 따지자면 나는 불가지론, 아니, 더 정확히 말하자면 판단을 유보하고 있는 입장이다. 기초적 믿음, 그 기초적 믿음에 의해 정당화되는 믿음들과 기초적 믿음(들) 사이의 관계, 기초적 믿음을 정당화시키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물음, 과연 이런 것들을 통해 신앙의 문제, 혹은 신념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으려나? 흄의 기초적 믿음들과 비트겐슈타인의 기초적 믿음들, 만일 그들에게 그렇게 부를 것들이 있다면 아마도 그것들은 서로 크게 다를 듯하다. 그리고 그건 플랜팅가가 생각하는 기초적 믿음과도 상이하리라 생각한다. 문제거리들을 잘 품고 기억해 두자. 이 지긋지긋하고 추잡한 처지에서 벗어나기만 하면 다시 문제를 문제시삼고 해결하려는 진중한 노력을 계속할 수 있을 거다. 그런데 그건 언제지? 언제냐고.

-蟲-
Lehrer's Coherentism and Foundationalism Compared
레러의 정합론과 비교되는 토대론

1) We may now, however, wonder whether Lehrer's cohrentism and foundationalism are really competing and mutually inconsistent theories. Putting the two key ingredients of Lehrer's coherentism together, we may sum up his theory thus:

(JL) S's acceptance A is justified if and noly if (i) in S's acceptance system all of A's competitors are beaten; (ii) S accepts that she is a trustworthy source of information under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A was produced.

Does (JL) imply that it is impossible for beliefs to be basic? Recall how we have defined basic beliefs: they are beliefs that are justified without owing their justification to any other beliefs. Now take yourself to hold a putatively basic belief:

(1) There is a red object before me

Condition (i) of (JL) demands that in your acceptance system all competitors of (1) be beaten. So according to Lehrer, for (1) to be justified, you must accept, though you need not believe, those propositions that are necessary for beating all of the competitors of (1). Consequently, condition (i) does not imply that for (1) to be justified, there must be further beliefs from which (1) receives its justification. Nor does condition (ii) imply any such thing, for condition (ii) demands acceptances, not beliefs, about your own trustworthiness. Thus if it is true that acceptances need not be beliefs, then (JL) is entirely compatible with the foundationalist assertion that beliefs can be justified without help from any other beliefs. And as we saw above, there is an excellent reason for Lehrer to concede that, indeed, acceptances need not be beliefs: the fact that under ordinary circumstances people just don't form beliefs about whether or not they are trustworthy sources of information under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they form beliefs.
1) 그렇지만 우리는 이제 아마도 레러의 정합론과 토대론이 실제로 경쟁 중이고 상호 모순되는 이론들인지 궁금해 할 것이다. 레러의 정합론에 있어서 두 가지 핵심 구성요소들을 다같이 놓고서, 우리는 그의 이론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JL) S의 수용 A는 정당화된다 iff (i) S의 수용 체계에 있어서 A의 모든 경쟁 명제들은 격파된다; (ii) S는 그녀가 A가 산출되는 상황들 아래에서 정보의 신뢰할 만한 원천임을 수용한다.

(JL)은 믿음들이 기초적이기는 불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하는가? 우리가 기초적 믿음들을 어떻게 정의했었는지 기억하자: 기초적 믿음들은 그 정당성을 다른 어떤 믿음들로부터도 빌려오지 않고 정당화된다. 이제 당신 스스로 추정상 기초적인 믿음을 지녀 보도록 하자.

(1) 내 앞에 붉은 대상이 있다.

(JL)의 조건 (i)는 당신의 수용 체계에 있어서 (1)의 모든 경쟁 명제들이 격파될 것을 요구한다. 그래서 레러에 따르면 (1)이 정당화되기 위해 당신은 (1)의 경쟁 명제 전부를 격파하기 위해 필요한 그런 명제들을 비록 믿을 필요는 없더라도 반드시 수용해야만 한다. 결론적으로, 조건 (i)은 (1)이 정당화되기 위해 (1)이 그 정당성을 그로부터 받는 그러한 추가적 믿음들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시사하지 않는다. 조건 (ii)도 그런 어떤 것도 시사하지 않는데, 왜냐하면 조건 (ii)는 당신 자신의 신뢰성에 대해 믿음들이 아니라 수용들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만일 수용들이 믿음들일 필요가 없다는 것이 참이라면, (JL)은 믿음들이 다른 어떠한 믿음들로부터의 도움도 없이 정당화될 수 있다는 토대론적 주정과 전적으로 양립가능하다. 그리고 우리가 위에서 보았듯, 레러가 더욱이 수용들을 믿음들일 필요가 없다고 인정할 탁월한 근거가 있다. 그 근거는 일상적 상황들 아래에서 사람들이 믿음들을 형성하는 그러한 상황들 아래에서 정보의 신뢰할 만한 원천들인지 아닌지에 대해 믿음들을 형성하지는 않는다는 사실이다.

2) In fact, Lehrer's coherentism seems not only compatible with, but indeed akin to, foundationalism as construed in Chapter 5. Recall that we construed foundationalism as a theory according to which S's belief B is basic, and thus justified, only if

(i) S does not have any evidence that defeats S's justification for B;
(ii) S has evidence for believing that B was formed in a reliable manner.

These conditions roughly correspond to the two conditions of Lehrer's theory. Like Lehrer's theory, foundationalism (as developed in Chapter 5) makes justification negatively dependent upon the believer's entire belief system: for a belief to be justified, there must not be any further beliefs that would defeat it. Second, it makes justification dependent upon level ascent. This second condition, however, is spelled out in terms of evidence for appropriate metabeliefs, and not, like Lehrer's, in terms of meta-acceptances. Thus the dispute between Lehrer and foundationalists may be viewed as one about how the intuitions underlying the two conditions are best captured, rather than one reflecting a conflict between irreconcilable intuitions about the structure of justification.
2) 사실, 레러의 정합론은 5장에서 해석된 바와 같은 토대론과 양립가능할 뿐만 아니라 더욱이 유사한 것으로도 보인다. 우리가 토대론을 그에 따르면 S의 믿음 B가 기초적이고, 따라서 정당화되는 것은 오로지 다음과 같은 한에서만인 그러한 이론으로 해석하였다는 것을 기억하자.

(i) S는 S의 B에 대한 정당성을 상쇄시키는 어떠한 증거도 지니지 않는다;
(ii) S는 B가 신빙성 있는 방식으로 형성되었다는 것을 믿기 위한 증거를 지닌다.

이러한 조건들은 거칠게나마 레러 이론의 두 가지 조건들에 부합한다. 레러의 이론처럼, 토대론 (5장에서 전개된 것과 같은) 은 정당성을 부정적으로 믿는 사람의 전체 믿음 체계에 의존하도록 만든다. 한 믿음이 정당화되기 위해, 그 믿음을 상쇄시킬 그 어떤 추가적인 믿음들도 결코 있어서는 안 된다. 둘째, 토대론은 정당성을 수준 상승에 의존하도록 만든다. 그렇지만 이 두 번째 조건은 적절한 메타적 믿음들에 대한 증거라는 말로 간략히 설명되며, 레러의 이론과 같이 메타적 수용들로 설명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레러와 토대론자들 사이의 논쟁은 아마도 정당성의 구조에 대한 양립할 수 없는 직관들 사이의 갈등을 숙고하는 논쟁이라기 보다는, 어떻게 그 두 조건들 기저에 놓인 직관들이 최선으로 획득되는지에 대한 논쟁일 것이다.


Laurence Bonjour: Coherence as Metajustification
로렌스 봉주르: 메타-정당성으로서의 정합성

1) Like Lehrer, Bonjour conceives of justification in terms of coherence. Unlike Lehrer, however, he insists that coherence must be understood in terms of relations between actual beliefs. Bonjour's reason for holding this view has to do with the idea of epistemic responsibility. Before we can examine Bonjour's thoughts on this topic, however, we must first discuss how he conceives of coherence.
1) 레러와 같이, 봉주르는 정당성을 정합성으로 이해한다. 그렇지만 레러와 달리 그는 정합성이 반드시 실제적 믿음들 사이의 관계들로 이해되어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관점에 대한 봉주르의 근거는 인식적 책임성에 대한 생각과 함께여야 한다. 그렇지만 우리가 봉주르의 이러한 주제에 대한 사유들을 검토할 수 있기에 앞서서 우리는 반드시 우선 어떻게 그가 정합성을 이해하는지 논의해야만 한다.

2) According to Bonjour, for an empirical belief of mine, B, to enjoy coherence, I must have two further beliefs that, taken together, make it likely that B is true.<35> Put differently, B coheres with my background beliefs if and only if I have a reason, or a justificatory argument, for the truth of B. The form of such an argument is the following:

(1) B has feature F.
(2) Beliefs having feature F are very likely to be true.
Therefore:
(3) B is very likely to be true.<36>

It is impossible to formulate such an argument without engaging in what we have called "level ascent."<37> If you believe the first premise, then you have formed a higher-level belief: a belief about a belief of yours. The same holds for the second premise and the conclusion. If you believe (2), then you hold a belief about beliefs of a certain type, and if you believe the conclusion, then you believe that a belief of yours is likely to be true. Now, the point that matters most in this context is this: According to Bonjour, my belief B can be justified only if I actually believe premises (1) and (2). He writes: "In order for B to be justified for a particular person A (at a particular time), it is necessary, not merely that justification along the above lines exist in the abstract, but also that A himself be in cognitive possession of that justification, that is, that he believes the appropriate premises of form (1) and (2)…."<38>
2) 봉주르에 따르면, 나의 경험적 믿음 B가 정합성을 누리기 위해서 나는 반드시 B가 참일 것처럼 만드는 두 가지 추가적 믿음들을 함께 취해지는 것으로 지녀야만 한다.<35> 달리 말해서, B는 나의 배경적 믿음들과 정합적이다 iff 나는 B의 참에 대한 근거 또는 정당화하는 논증을 지닌다. 그러한 논증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1) B는 특징 F를 지닌다.
(2) 특징 F를 지니는 믿음들은 매우 참일 듯하다.
그러므로:
(3) B는 매우 참일 듯하다.<36>

우리가 "수준 상승"이라 부른 일에 참여함이 없이 그러한 논증을 정식화하기란 불가능하다.<37> 만일 당신이 첫 번째 전제를 믿는다면, 당신은 상위-수준의 믿음을 형성하였다: 그것은 당신의 믿음에 대한 믿음이다. 동일한 점이 두 번째 전제와 결론에 대해서도 유지된다. 만일 당신이 (2)를 믿는다면, 당신은 특정 유형의 믿음들에 대한 믿음을 지니고, 만일 당신이 그 결론을 믿는다면, 당신은 당신의 믿음이 참일 것 같다고 믿는다. 이제, 이러한 문맥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점은 이것이다: 봉주르에 따르면, 나의 믿음 B는 오직 내가 실제로 전제 (1)과 (2)를 믿을 때에만 정당화될 수 있다. 그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특정인 A에 대해(특정 시점에서) B가 정당화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상위 노선들에 따라 이론적으로 존재하는 것뿐 아니라 또한 A 스스로 인지적으로 그 정당성을 소유하고 있는 것까지, 즉, 그가 (1)과 (2)의 형식에 대한 적절한 전제들을 믿는 것까지도 필연적이다…."<38>

3) Lehrer and Bonjour, then, agree that coherence is, at least in part, a function of level ascent. Unlike Lehrer, however, Bonjour insists that level ascent must take the form of actual beliefs. Next, we shall examine Bonjour's reasons for this view.
3) 레러와 봉주르는 그래서 정합성이 최소한 부분적으로 수준 상승의 기능임을 동의한다. 그렇지만 레러와 달리 봉주르는 수준 상승이 반드시 실제 믿음들의 형식을 취해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다음으로, 우리는 이러한 관점에 대한 봉주르의 근거들을 검토할 것이다.


Bonjourean Justification and Epistemic Responsibility
봉주르적 정당성과 인식적 책임성

1) According to Bonjour, the requirement that premises (1) and (2) be actually believed is imposed by considerations of epistemic responsibility.<39> For a subject S to be epistemically responsible in holding belief B, S must "be in cognitive possession" or "have access to" the justification for B. Bonjour writes that if S does not have access to the justification, then S "has no reason for thinking that the belief is at all likely to be true."<40>
1) 봉주르에 따르면, 전제 (1)과 (2)가 실제적으로 믿어진다는 조건이 인식적 책임성에 대한 고찰들에 의해 부과된다.<39> 주체 S가 믿음 B를 지님에 있어서 인식적으로 책임이 있기 위해, S는 반드시 B에 대한 정당성을 "인지적으로 소유"하거나 그에 대한 "수용을 지녀"야만 한다. 봉주르는 만일 S가 그 정당성에 대한 수용을 갖지 않는다면 S는 "그 믿음이 어쨌든 참일 듯하다고 생각할 아무런 근거도 가지지 않는다"고 적고 있다.<40>

2) In order to evaluate this argument, we must determine how we are to interpret phrases like "being in cognitive possession of a justification" and "having access to a justification." And here we can distinguish between a strict and a liberal interpretation. According to the latter, I have access to the justification for a belief of mine if, in order for me to recognize my belief's justification, I need to do no more than reflect on the belief's epistemic credentials. According to the strict interpretation, justification of which I am in cognitive possession, or to which I have access, must come in the form of beliefs. As we have seen, Bonjour prefers the strict interpretation, for he demands that the premises of the argument displayed above take the form of actual beliefs.
2) 이 논증을 평가하기 위해, 우리는 반드시 어떻게 우리가 "정당성을 인식적으로 소유함"과 "정당성에 대한 소유를 지님" 같은 구절들을 해석할 것인지 결정해야만 한다. 그리고 여기에서 우리는 엄격한 해석과 느슨한 해석을 구분할 수 있다. 후자에 따르면, 나는 만일 내가 나의 믿음의 정당성을 재인하기 위해 그 믿음의 인식적 신용 증명들에 대해 숙고하는 외에 다른 아무것도 할 필요가 없다면 그 정당성에 대한 수용을 지닌다. 엄격한 해석에 따르자면 내가 인식적으로 소유하고 있거나 또는 내가 그에 대한 수용을 지니는 정당성은 반드시 믿음들의 형태로 나타나야만 한다. 우리가 보았듯, 봉주르는 엄격한 해석을 선호하는데, 왜냐하면 그는 위에서 제시된 논증의 전제들이 실제적 믿음들의 형태를 취하기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3) But a problem arises for Bonjour's argument. Unless he justifies his preference for the strict interpretation of the phrase "having access to a justification," it remains unclear why considerations of epistemic responsibility necessitate the truth of the argument's conclusion. There is no doubt that Bonjour's perspective on justification is decidedly internalist, which is why he insists that a belief's justification must be cognitively accessible to the subject.<41> Internalists, however, need not agree with Bonjour that justification is accessible only if it comes in the form of further beliefs. They might hold that justification is also accessible if it comes in the form of evidence, where it doesn't matter whether this evidence manifests itself in further beliefs or not.<42> It must be said, therefore, that the underpinnings of Bonjour's strictly doxastic perspective on the nature of justification display a conspicuous weakness, one that assumes special importance when we consider, as we shall do next, what consequences Bonjour's doxasticism incurs.
3) 그러나 봉주르의 논증에 대해 문제가 발생한다. 그가 그의 "정당성에 대한 수용을 지님"이란 구절의 엄격한 해석에 대한 선호를 정당화시키지 않는 한, 어째서 인식적 책임성에 대한 고찰들이 그 논증 결론의 참을 필요로 하는지는 불분명한 채로 남는다. 봉주르의 정당성에 대한 관점이 확실히 내재주의적이라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는데, 그것이 그가 믿음의 정당성이 반드시 인식적으로 주체에게 수용가능적이어야만 한다고 주장하는 이유이다.<41> 그렇지만 내재주의자들은 정당성이 오직 추가적 믿음들의 형태로 나타날 때에만 수용가능하다는 점에서 봉주르에게 동의할 필요는 없다. 그들은 아마도 정당성이 또한 만일 증거의 형태로 나타난다면, 이 증거가 그 자신을 추가적 믿음들로 드러내든 아니든 문제가 되지 않는 곳에서 그러하다면 또한 수용 가능하다.<42> 그러므로 반드시 정당성의 본성에 대한 봉주르의 엄격하게 사견적인 관점에 대한 토대들은 뚜렷한 약점을 드러내 보인다고 이야기되어야만 한다. 그 약점은 우리가 이후에 할 것과 같이 봉주르의 사견주의가 초래하는 결과들이 무엇인지 고찰할 때 특별히 중요한 양상을 취하는 것이다.


Bonjourean Level Ascent
봉주르의 수준 상승

1) As we have seen, the basic idea of Bonjourean coherentism is that for an empirical belief B to be justified, the subject must have a further justified belief to the effect that beliefs like B are likely to be true. In order to examine how this works out in detail, let us consider one of Bonjour's own examples. Suppose I see a red book on my desk and accordingly believe

(1) There is a red book on the desk.

What justification might I have for believing this proposition?
1) 우리가 보았듯이, 봉주르 정합론의 기초적 발상은 경험적 믿음 B가 정당화되기 위해, 그 주체는 반드시 B와 같은 믿음들이 참일 듯하다는 취지의 추가적으로 정당화된 믿음을 지녀야만 한다. 어떻게 이것이 구체적으로 이루어지는지 검토하기 위해, 봉주르 자신의 예시들 중 한 가지를 고찰해 보도록 하자. 내가 내 책상 위 붉은 책 한 권을 보고 그에 따라 다음과 같이 믿는다고 가정하자.

(1) 책상 위에 붉은 책 한 권이 있다.

나는 이 명제에 대해 어떠한 정당성을 가지겠는가?

2) According to Bonjour, my justification for (1) comes in the form of two propositions. The first of these is about what kind of a belief (1) is. Bonjour points out that (1) is noninferential: it is not inferred from any other belief; it simply occurs to me. In Bonjour's terminology, such beliefs are cognitively spontaneous. Second, he refers to (1) as a belief of kind K: a belief about the color and general classification of a medium-sized object. Third, he points out that (1) is formed under what we consider standard conditions of observation: I am neither too close to nor too far away from the book, my eyes are functioning well, and the lighting is good. Putting these three points together, we shall express the first proposition thus: I have a cognitively spontaneous belief of kind K under conditions C that there is a red book on the desk.
2) 봉주르에 따르면, (1)에 대한 나의 정당성은 두 가지 명제들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것들 중 첫 번째 것은 믿음 (1)이 어떤 종류인가에 대한 것이다. 봉주르는 (1)이 비추론적임을 지적한다. 즉 (1)은 다른 어떤 믿음으로부터도 추론되지 않는다. 그것은 단순히 나에게 일어날 따름이다. 봉주르의 용어로, 그러한 믿음들은 인지적으로 자발적이다. 둘째로, 그는 (1)을 종류 K에 속하는 믿음이라 말한다. 그 믿음은 색에 대한 것이고 중간 크기 대상의 일반적 분류에 대한 것이다. 셋째, 그는 (1)이 우리가 관찰의 표준적 조건들이라 여기는 조건 아래에서 형성된다. 즉 나는 그 책으로부터 너무 가까이도 지나치게 멀리도 있지 않고, 나의 눈은 잘 기능하고 있으며, 조명은 적당하다. 이러한 세 가지 조건들을 함께 놓으면서, 우리는 첫 번째 명제를 다음과 같이 표현할 것이다: 나는 조건들 C 아래에서 종류 K에 속하는 인식적으로 자발적인 믿음, 붉은 책 한 권이 책상 위에 있다는 믿음을 지닌다.

3) The second proposition that, according to Bonjour, justifies me in believing (1) is this: Cognitively spontaneous beliefs of kind K under conditions C are very likely to be true. Now, if I conjoin both of these propositions, Bonjour's says, I am in a position to offer a justificatory argument for believing (1):

P1    I have a cognitively spontaneous belief of kind K under conditions C taht there is a red book on the desk
P2    Cognitively spontaneous beliefs of kind K under conditions C are very likely to be true.
Therefore:
(C) My belief that there is a red book on the desk is very likely to be true.

The formulation of such an argument necessarily involves level ascent. The first premise and the conclusion are about the "red book" belief, and the second premise is a generalization about a certain kind of belief held under certain condtions. It is impossible, therefore, to believe the premises and the conclusion of this argument without forming beliefs about beliefs. Unfortunately, this means, as we shall se next, that Bonjourean standards of justification are very difficult to satisfy.
3) 봉주르에 따르면 (1)을 믿음에 있어서 나를 정당화하는 두 번째 명제는 이것이다. 즉 조건들 C 아래에서 종류 K에 속하는 인식적으로 자발적인 믿음들은 매우 참일 듯하다. 이제, 만일 내가 이 두 명제들 모두를 결합시키면, 봉주르가 말하기로, 나는 (1)을 믿음에 대한 정당화 논증을 제공하는 위치에 있다:

P1    나는 조건들 C 아래에서 종류 K에 속하는 인식적으로 자발적인 믿음, 책상 위에 붉은 책 한 권이 있다는 믿음을 지닌다.
P2    조건들 C 아래에서 종류 K에 속하는 인식적으로 자발적인 믿음들은 매우 참일 듯하다.
그러므로:
(C) 책상 위에 붉은 책 한 권이 있다는 나의 믿음은 매우 참일 듯하다.

그와 같은 논증의 정식화는 필연적으로 수준 상승을 포함한다. 첫 번째 전제와 결론은 "붉은 책"이라는 믿음에 대한 것이고, 두 번째 전제는 특정 조건들 아래에 묶인 특정한 종류의 믿음에 대한 일반화이다. 그러므로 이 논증의 전제와 결론을 믿음들에 대한 믿음들을 형성하지 않고 믿는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불행히도, 이것은 우리가 다음에 볼 바와 같이 봉주르의 정당성에 대한 표준들이 만족시키기에 무척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Level Ascent and Skepticism
수준 상승과 회의주의

1) One serious issue raised by Bonjour's justificatory argument is whether it is psychologically realistic to view justification as resulting from arguments of that type. Referring to his own belief that there is a red book on the desk, Bonjour says that he believes the premises of his argument.<43> What, however, about ordinary people with no schooling in philosophy? When they form cognitively spontaneous beliefs about medium-sized objects, do they believe the premises of a justificatory argument like the one Bonjour has proposed? It seems quite doubtful that they would. As pointed out earlier in the discussion of Lehrer's coherentism, epistemic level ascent is a sophisticated epistemological procedure. Ordinarily, people don't perform cognitive operations of such complexity.<44>
1) 봉주르의 정당화 논증에 의해 발생하는 한 가지 심각한 문제는 정당성을 그런 유형의 논증들로부터 귀결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심리적으로 현실적인가 하는 것이다. 책상 위에 붉은 책 한 권이 있다는 그 자신의 믿음을 지시하면서, 봉주르는 그가 그의 논증에 속하는 전제들을 믿는다고 말한다.<43> 그렇지만 정규 철학교육을 받은 일이 없는 일상인들에 대해서는 어떠한가? 그들이 중간 크기 대상들에 대한 인지적으로 자발적인 믿음들을 형성할 때, 그들은 봉주르가 제안하였던 그와 같은 정당화하는 논증의 전제들을 믿는가? 그들이 그러하리란 건 꽤나 의심스러워 보인다. 앞서 레러의 정합론에 대한 논의에서 지적되었듯, 인식적 수준 상승은 정교한 인식론적 절차이다. 일상적으로, 사람들은 그렇게 복잡한 인지 작업들을 수행하지 않는다.<44>

2) This objection can be further advanced by bringing the concept of coherence into the discussion. The point of Bonjour's justificatory argument is to show that his belief "There is a red book on the desk" coheres with his other beliefs. So, according to Bonjour, a belief of mine is justified only if I believe it to coheres with my other beliefs. However, ordinary people don't have a grasp of the concept of coherence, and hence can't form higher-level beliefs according to which their beliefs enjoy coherence.<45> In reply to this argument, Bonjour points out that he disagrees with the claim that

Philosophically uneducated adults … have no grasp at all of this concept. On the contrary, I think that such persons frequently find failures of coherence intuitively objectionable (even though they of course wouldn't formulate the point in that way).<46>

Now, the extent to which philosophically uneducated people to do or do not grasp the concept of coherence is an empirical question that cannot be settled from the philosopher's armchair. What can be settled, however, is this: Even if it were right that ordinary people find a lack of coherence objectionable, it would not follow that when their beliefs do enjoy coherence, their doxastic systems include the kind of beliefs that are suitable as premises for justificatory arguments a la Bonjour. Just reflect on the complexity of the premises in Bonjour's argument. In order to hold higher-level beliefs that can play the role of these premises, people would constantly have to consider what kind of lower-level beliefs they are forming, under which conditions they are forming these beliefs, and whether beliefs of so-and-so kind held under such-and-such conditions are very likely to be true: It seems doubtful that ordinary people would bother considering such matters, and even more unlikely that they would know how to carry out the discriminations level ascent demands.
2) 이러한 반박은 정합성의 개념을 끌어들임으로써 그 논의로 더 진척될 수 있다. 봉주르 정당화 논증의 요지는 "책상 위에 붉은 책 한 권이 있다"라는 그의 믿음이 그의 다른 믿음들과 정합적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래서, 봉주르에 따르면, 나의 믿음은 오로지 내가 그 믿음을 나의 다른 믿음들과 정합적이라고 믿는 한에서만 정당화된다. 그렇지만, 일상인들은 정합성의 개념을 파악하지 못하고, 따라서 그들의 믿음들이 그에 따라 정합성을 향유할 그런 상위-수준 믿음들을 형성할 수 없다.<45> 이러한 논증에 대한 대답으로, 봉주르는 그 사람이 다음과 같은 주장에 동의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철학적으로 교육받지 않은 성인들은 … 이 개념에 대해 전혀 아무런 파악도 못한다. 반대로, 나는 그러한 사람들이 빈번히 정합성의 실패들이 직관적으로 반박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한다고 생각한다 (설령 그들이 물론 그러한 방식으로 그 핵심을 정식화하지는 않으리라 할지라도).<46>

이제, 철학적으로 교육받지 않은 사람들이 파악할 수 있거나 파악할 수 없는 정합성 개념의 범위는 어디까지인지, 그것은 철학자의 탁상공론으로 해결될 수 없을 경험적 물음이다. 그렇지만 결정될 수 있는 것은 이와 같다. 즉 설령 일상적 사람들이 정합성의 결여를 반박가능성으로 알아본다는 것이 옳다 할지라도, 그들의 믿음들이 정합성을 누린다는 것, 그들의 사견적 체계들이 봉주르 풍의 정당화 논증들을 위한 전제들로서 적합한 그런 종류의 믿음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귀결되진 않을 것이다. 이러한 전제들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상위-수준 믿음들을 지니기 위해, 사람들은 그들이 형성하고 있는 하위-수준 믿음들이 어떠한 종류의 것인지, 어떤 조건들 아래에서 그들이 이러한 믿음들을 형성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저러한 조건들에 묶인 그러저러한 종류의 믿음들이 매우 참일 듯한지 지속적으로 고찰해야 할 것이다. 즉 일상인들이 그러한 문제들을 고찰하는 일에 신경쓰리라는 것은 의심스러워 보이고, 그들이 수준 상승이 요구하는 식별들을 어떻게 이끌어낼지 알리란 것도 영 그럴듯 싶지 않다.

3) In fact, Bonjour admits that coherence as a standard of justification is so difficult to meet that "even we philosophically sophisticated ones fail to have a fully explicit and adequate grasp of this concept." Then he goes on to conclude:

To the extent that this is so, I hold … that even we fall short of and hence only approximate ideal epistemic justification.<47>

In response to this verdict, Bonjour distinguishes between approximate and ideal justification. As far as the latter is concerned, Bonjour pases an explicit verdict in favor of skepticism. Concerning the former, he does not.<48> Indeed, he should not, for the coherence theory of justification he advocates is supposed to provide a rebutting response to skepticism. Thus he writes:

It is … worth emphasizing at the outset that I am concerned here only with coherence theories which purport to provide a response to skepticism.<49>

However, if ordinary people don't form the kind of beliefs necessary for Bonjour's justificatory argument - and it seems very likely that they don't - then the empirical beliefs of ordinary people don't even approximate justification. It is hard to see, therefore, how we can escape the conclusion that Bonjour's coherentism must be considered a version of fullfledged skepticism about the extent to which ordinary empirical beliefs are justified.
3) 사실, 봉주르는 정당성의 표준으로서의 정합성이 "철학적으로 정교한 우리들 조차 이 개념에 대해 충분한 해명이나 적절한 파악을 지니는 데에 실패할 만큼" 그렇게 충족시키기 어렵다는 점을 인정한다. 그래서 그는 계속해서 다음과 같이 결론내린다.

이것이 그러하다면, 나는 … 우리조차 따라서 이상적인 인식적 정당성에 미치지 못하며 오로지 그 근사치에만 가까울 뿐이라고 주장한다.<47>

이러한 평가에 응답함에 있어서, 봉주르는 근사치 정당성과 이상적 정당성을 구분한다. 후자와 관련되는 한에서, 봉주르는 회의주의에 대한 지지에 있어서의 명확한 평가를 그냥 넘어간다. 전자와 관련해서는 그렇지 않다.<48> 더욱이 그는 그렇지 않아야 할 것인데, 왜냐하면 그가 지지하는 정당성에 대한 정합론이 회의주의에 반박하는 응답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내가 여기에서 오로지 회의주의에 대한 응답을 제공한다고 주장하는 정합론들에만 관심을 가진다는 것은 … 처음부터 강조할 필요가 있다.<49>

그렇지만, 만일 일상인들이 봉주르의 정당화 논증에 필요한 그런 종류의 믿음들을 형성하지 않는다면 - 그리고 그들이 상당히 그렇지 않을 것 같아 보인다 - 일상인들의 경험적 믿음들은 정당성의 근사치에도 미치지 않는다. 그러므로 어떻게 우리가 봉주르의 정합론이 반드시 일산적 경험적 믿음들이 정당화되는 범위에 대한 완숙된 회의주의의 한 형태로 간주되어야만 한다는 결론을 피할 수 있을지 알기란 어렵다.


The Isolation Objection
고립 반박

1) We shall conclude this chapter by considering how coherentists would reply to a standard objection to coherentism, according to which coherentism isolates belief systems from the world.<50> Coherentism asserts that beliefs are justified by virtue of relations between, not beliefs and the world, but beliefs only. Why, then, should it matter, as far as a belief system's justification is concerned, what the world is like? Coherentism, so the objection goes, implies that it does not matter - or, to be more precise, that it does not matter enough.
1) 우리는 이 장을 어떻게 정합론자들이 정합론에 대한 표준적 반박에 대해 응답할 것인지를 고찰함으로써 끝맺어야 할 것이다. 그 반박에 따르면 정합론은 믿음 체계들을 세계로부터 고립시킨다.<50> 정합론은 믿음들이 믿음들과 세계 사이의 관계들이 아니라 오로지 믿음들만의 관계들의 덕분으로 정당화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면, 믿음 체계의 정당성에 관련되는 한에서 어째서 정합론이 세계가 무엇과 같은지를 문제삼아야 하는가? 정합론은, 그 반박이 그렇게 진행되듯, 그것이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 혹은, 좀 더 정확히 하자면, 그것은 충분히 문제시되지는 않는다.

2) The isolation objection can be formulated in two different ways. In the words of Ernest Sosa,

the view that justification is a matter of relations among beliefs is open to an objection from alternative coherent systems or detachment from reality, depending on one's perspective. From the latter perspective the body of beliefs is held constant and the surrounding world is allowed to vary; from the former it is the surrounding world that is held constant while the body of beliefs is allowed to vary. In either case, according to the coherentists, there could be no effect on the justification for any beliefs.<51>

In order to discuss both forms of the isolation objection, we must consider an example. Let's introduce a world W in which you are visiting a zoo and are looking at an enclosure with two aardvarks that are clearly within your view. You form the cognitively spontaneous belief

(1) There are two aardvarks in this enclosure,

and this belief, so let us assume, coheres with your overall belief system M. We also assume that, besides what you observe, you don't have any other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aardvarks before you. Furthermore, let's introduce a world W* that differs from W in this respect: in W*, you clearly see three instead of two aardvarks.
2) 고립 논박은 두 가지 상이한 방식들로 정식화될 수 있다. 어니스트 소사의 말로는,

정당성이 믿음들 사이의 관계들에 대한 문제라는 관점은, 한 개인의 관점에 의존하면서, 대안적 정합 체계들이나  현실과의 단절로부터 반박에 열려 있다. 후자의 관점으로부터 믿음들의 전체는 변함없이 유지되고 주변세계는 변화를 허용한다. 전자로부터는 주변세계가 변함없이 유지되는 반면 믿음들의 전체는 변화를 허용한다. 각 경우에서, 정합론자들에 따르면 어떠한 믿음에 대해서든 정당성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다.<51>

고립 논박의 형식들 양자를 모두 논의하기 위해, 우리는 하나의 예시를 고찰해야만 한다. 당신이 동물원을 방문하고 있으며 당신의 시야 안에 분명하게 들어오는 땅돼지 두 마리가 있는 울타리를 바라보고 있는 세계 W를 도입해 보자. 당신은 다음과 같은 인지적으로 자발적인 믿음을 형성한다.

(1) 이 울타리에 땅돼지 두 마리가 있다.

그리고 이 믿음은 우리가 그렇게 가정할 것과 같이 당신의 전반적 믿음 체계 M과 정합적이다. 우리는 또한 당신이 관찰하는 것 이외에, 당신은 당신 앞의 땅돼지들의 수에 대한 다른 어떤 정보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전제한다. 더 나아가서,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W와 다른 세계 W*를 도입하도록 하자. W*에서 당신은 두 마리의 땅돼지들 대신 세 마리의 땅돼지들을 분명하게 본다.

3) In order to illustrate the detachment objection, we must hold M constant in both worlds: M is coherent in W, and equally coherent in W*. According to the detachment objection, since coherentism makes justification solely a function of coherence, coherentism implies that you are equally justified in believing (1) in both W and W*. But this is utterly implausible because when you clearly see three aardvarks in the enclosure, as you do in W*, you can't be justified in believing that there are only two aardvarks in the enclosure (supposing, as we are, that you don't have any additional relevant information).
3) 분리 반박을 설명하기 위해, 우리는 M을 두 세계 모두에서 변함없이 유지해야만 한다. M은 W에서 정합적이며, W*에서도 똑같이 정합적이다. 분리 반박에 따르면, 정합론은 정당성을 오로지 정합성의 기능으로만 만들기 때문에, 정합론은 당신이 (1)을 믿음에 있어서 W와 W* 양쪽 모두에서 똑같이 정당화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이것은 완전히 아니다 싶은데 왜냐하면 당신이 W*에서 하듯 울타리 안 세 마리 땅돼지들을 분명하게 보고 있을 때, 당신은 울타리 안에 오직 두 마리의 땅돼지들만이 있다고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될 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가 그러하듯 당신이 그 어떤 추가적인 상관된 정보도 지니고 있지 않다고 가정하면).

4) Let's consider how coherentists could reply to this objection. Suppose the transition from W to W* takes place as you are observing the aardvarks: the two aardvarks that were there to begin with are joined by a third, which emerges from an opening in an adjacent building. Yet, so we are imagining, you continue believing

(1) There are two aardvarks in this enclosure.

Coherentists would reply that if you continue believing (1), the immediate result will be a lack of coherence, for as soon as the third aardvark enters the scene, your visual perceptions will induce you to believe things that are incompatible with (1); for example:

(2) The two aardvarks in this enclosure are joined by another one.

Thus the change from W to W* is unlikely to leave your belief system's coherence intact (unless you make appropriate changes to your belief system). Coherentism does not, therefore, imply that your belief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world. Rather, coherentism can easily maintain that your belief system's coherence is, via perception, responsive to how the world changes.
4) 어떻게 정합론자들이 이러한 반박에 응답할 수 있을지 고찰해 보도록 하자. W에서 W*로의 이행이 당신이 그 땅돼지들을 관찰하고 있는 동안에 발생한다고 가정해 보자. 처음에 있던 두 마리 땅돼지들은 인접한 열려있는 건물로부터 나타난 세 번째 돼지와 모이게 된다. 그런데도, 우리가 그렇게 상상하듯, 당신은 계속해서 다음과 같이 믿는다.

(1) 이 울타리 안에는 두 마리 땅돼지들이 있다.

정합론자들은 만일 당신이 계속해서 (1)을 믿는다면, 그 당면한 결론이 정합성을 결여할 것인데, 왜냐하면 세 번째 땅돼지가 그 장면에 들어서자 마자, 당신의 시각적 지각들은 당신이 (1)과 양립불가능한 것들을 믿도록 유도할 것이기 때문이라고 대답할 것이다. 예를 들어

(2) 이 울타리의 두 마리 땅돼지들은 또 다른 한 마리와 모였다.

따라서 W에서 W*로의 변화는 당신의 믿음 체계의 정합성을 온전하게 남겨두지 않을 것 같다 (당신이 당신의 믿음체계에 적절한 변화들을 이루지 않는 한). 그러므로 정합론은 당신의 믿음체계가 세계와 연결되지 않는다고 시사하지 않는다. 오히려, 정합론은 당신의 믿음 체계 정합성이 지각을 통하여 세계가 변화하는 방식에 반응하는 것이라고 쉽사리 주장할 수 있다.

5) In response to this move, critics of coherentism could concede that coherentism does indeed allow for a percpetual connection between our beliefs and the world. But they could insist that this connection is not tight enough. True, it is unlikely that once the change we are imagining has taken place, your belief system's coherence remains preserved. What, however, if it does remain preserved? In that case, coherentism implies - absurdly - that you are justified in believing in the presence of two aardvarks when you are clearly seeing three of them.
5) 이러한 조치에 대한 응답에 있어서, 정합론의 비판자들은 정합론이 또한 우리의 믿음들과 세계 사이의 지각적 연결에 대해서도 허용한다고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들은 이러한 연결이 충분히 긴밀하지는 못하다고 주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실로, 우리가 상상하고 있는 그 변화가 일단 일어나면, 당신의 믿음 체계 정합성은 보존되어 남을 것 같지 않다. 그렇지만, 그것이 보존되어 남는다면 어떤가? 그 경우, 정합론은 - 부조리하게 - 당신이 명백히 세 마리의 땅돼지들을 보고 있을 때 두 마리 땅돼지들의 현전을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6) In order to appreciate the force of the detachment objection, suppose that, unbeknownst to you, a mad scientist has decided to make you a guinea pig for his cognitive ray gun. The rays his gun emits are perceptual neutralizers. They partially eliminate the doxastic effects your perceptual experiences tend to have. Because you are exposed to these rays, all those beliefs are eliminated from your belief system that, if induced by perceiving the third aardvark, would fail to cohere with (1). Thus, when you believe that there are two aardvarks in the enclosure although you are perceiving three, you don't believe anything that would contradict, or somehow undermine (i.e., fail to cohere with), this belief.
6) 분리 반박의 힘을 평가하기 위해서, 당신이 모르는 사이에, 한 미친 과학자가 그의 인지 광선총(?;;)으로 당신을 기니피그(실험대상)으로 만들 결심을 했다고 가정해 보자. 그의 총이 방출하는 광선은 지각적 중화물이다. 그 광선은 부분적으로 당신의 지각 경험들이 지니는 경향이 있는 사견적 영향들을 삭제한다. 당신이 이러한 광선에 노출되기 때문에, 만일 세 번째 땅돼지를 지각함으로써 유발된 것이라면 (1)과 정합적이지 않을 그러한 모든 믿음들은 당신의 믿음체계로부터 삭제된다. 따라서, 당신이 비록 세 마리 땅돼지들을 지각하고 있을지라도 울타리 안에 두 마리 땅돼지들이 있다고 믿을 때, 당신은 이 믿음에 모순될, 혹은 어떤 식으로 이 믿음을 약화시킬 (예를 들어 정합적이지 않은) 어떤 것도 믿지 않는다.

7) The significance of the case we are presently considering is this: Your belief that there are two aardvarks in the enclosure conflicts with your perceptual evidence, and thus is a prime example of an unjustified belief. Yet coherentism, since it makes justification solely a function of coherence relations among beliefs, implies that your belief is justified. Hence coherentism must be rejected.
7) 우리가 현재 고찰하고 있는 사례의 의미는 이것이다. 즉 울타리 안에 두 마리 땅돼지들이 있다는 당신의 믿음이 당신의 지각 경험과 충돌하고, 따라서 그 믿음이 정당화되지 않은 믿음의 주요한 예시라는 것이다. 그래도 정합론은, 정당성을 오로지 믿음들 사이의 정합적 관계들의 기능으로만 만들기 때문에, 당신의 믿음이 정당화된다고 시사한다. 따라서 정합론은 거부되어야만 한다.

8) Next, let us reformulate our example so as to illustrate the alternative systems objection. Again, let's suppose that, observing the aardvarks, you believe

(1) There are two aardvarks in this enclosure,

and your belief coheres with everything else you believe. However, the person next to you (let's call him "Next") believes

(3) There are three aardvarks in this enclosure.

Next is epistemically just as you are. He perceives what you perceive, and he lacks any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aardvarks just as you do. Furthermore, Next's belief system is, so we must of course assume, perfectly coherent. True, just as you are, Next is perceiving two aardvarks. Coherentists would point out, therefore, that Next's belief system is bound to fall into incoherence: his perceptions will trigger beliefs that conflict with (3). Critics of coherentism could reply, however, that Next's perceptions do not necessarily generate incoherence in his belief system. We need only assume again that a mad scientist eliminates with his cognitive ray gun from Next's belief system all those perceptually induced beliefs that conflict with (3). Coherentism implies that, under such circumstances, Next is as justified in believing (3) as you are in believing (1). But this is absurd. Since both you and Next are perceiving two aardvarks, and since neither of you has any further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aardvarks in the enclosure, you are justified in believing (1), while Next is not in believing (3).
8) 다음으로, 대안적 체계들을 통한 반박을 설명함과 관련하여 우리의 예시를 그렇게 재정식화해보도록 하자. 다시, 그 땅돼지들을 관찰하면서, 당신이 다음과 같이 믿는다고 가정해 보자.

(1) 이 울타리 안에 두 마리의 땅돼지들이 있다.

그리고 당신의 믿음이 당신이 믿는 다른 모든 것들과 정합적이라고 가정해 보자. 그렇지만, 당신 옆 사람 (그를 "엽씨"라고 부르자) 은 다음과 같이 믿는다.

(3) 이 울타리 안에는 세 마리의 땅돼지들이 있다.

엽씨는 인식적으로 당신과 마찬가지이다. 그는 당신이 지각하는 것을 지각하고, 바로 당신이 그러한 것과 마찬가지로 그 땅돼지들에 대한 어떤 추가적인 정보도 결여하고 있다. 더 나아가서, 엽씨의 믿음 체계는, 우리가 물론 그렇게 가정해야만 하듯, 완벽하게 정합적이다. 진짜로, 당신이 그러하듯, 엽씨는 두 마리 땅돼지들을 지각하고 있다. 정합론자들은 그러므로 엽씨의 믿음 체계가 비정합성으로 떨어지도록 되어 있다고 지적할 것이다. 그의 지각들은 (3)과 충돌하는 믿음들을 촉발할 것이다. 그렇지만 정합론의 비판자들은 엽씨의 지각들이 그의 믿음 체계에서 필연적으로 비정합성을 산출하지는 않는다고 응답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단지 다시금 한 미친 과학자가 그의 인지 광선총으로 엽씨의 믿음 체계로부터 지각적으로 유발된 (3)과 충돌하는 그러한 모든 믿음들을 삭제한다고 가정하기만 하면 족하다. 정합론은 그러한 상황들 아래에서 엽씨가 당신이 (1)을 믿음에 있어서 만큼이나 (3)을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이것은 부조리하다. 당신과 엽씨 모두 두 마리 땅돼지들을 지각하고 있으므로, 그리고 당신들 중 그 누구도 울타리 안 땅돼지들의 수에 대해 어떠한 추가적인 정보도 지니고 있지 않으므로, 당신은 (1)을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는 반면, 엽씨는 (3)을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

9) The detachment and the alternative systems objections raise the same difficulty for coherentism. Coherentism is sensitive to epistemic conflict between different beliefs, but not to epistemic conflict between beliefs and perceptual experiences that do not manifest themselves in beliefs. According to foundationalist critics of coherentism, nondoxastic perceptual experience can be relevant in two ways: they can justify other beliefs, and they can prevent other beliefs from being justified. Coherentism is vulnerable to the two counterexamples we developed above precisely because it acknowledges the relevance of perception only in the form of perceptual beliefs, not in the form of perceptual experience itself.
9) 분리 논박과 대안적 체계들 논박은 정합론에 동일한 난점을 불러 일으킨다. 정합론은 상이한 믿음들 사이의 인식적 충돌에 민감하지만, 믿음들과 그 자체로 믿음들로 드러나지는 않는 지각적 경험들 사이의 인식적 충돌에는 그렇지 않다. 정합론에 대한 토대론적 비판에 따르면, 비사견적 지각 경험은 두 가지 방식으로 상관될 수 있다. 그 경험들은 다른 믿음들을 정당화할 수 있고, 다른 믿음들을 정당화되지 못하도록 막을 수 있다. 정합론은 우리가 위에서 전개하였던 두 가지 반례들에 취약한데 정확히 말하자면 정합론이 지각의 관련성을 오로지 지각적 믿음들의 형태에서만 인정하고, 지각 경험 자체의 형태로는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10) How do Bonjour and Lehrer respond to the isolation objection? According to Bonjour, the isolation objection shows that coherentism must be supplemented with what he calls the "observation requirement": for a belief system M to be a justified belief system about world W, M must receive observational input about W. If thus supplemented, coherentism, so Bonjour argues, "can allow for, indeed insist upon, the possibility that a cognitive system which is coherent at one time may be rendered incoherent … by subsequent observational input."<52>
10) 봉주르와 레러는 고립 논박에 대해 어떻게 응답하는가? 봉주르에 따르면, 고립 논박은 정합론이 반드시 그아 "관찰 조건"이라 부르는 것으로 보충되어야만 함을 보여준다. 한 믿음 체계 M이 세계 W에 대해 정당화된 믿음 체계이기 위해서, M은 반드시 W에 대한 관찰적 입력을 받아야만 한다. 만일 그와 같이 보충된다면, 봉주르가 주장하기로 정합론은 "정합적인 인지 체계가 차후의 관찰적 입력에 의해 단번에 비정합적으로 해석될 가능성을 허용할 수도, 더욱이 요구할 수도 있다."<52>

11) In light of our two thought experiments, it is clear that this reply, as it stands, is insufficient. Bonjour's point is that coherentists can appreciate the importance of perception and observation as the connecting link between our beliefs and the world. But such appreciation does not preclude counterexamples. The problem is that coherentism acknowledges the relevance of perception only in the form of perceptual beliefs, not in the form of nondoxastic perceptual experiences. Consequently, foundationalist critics of coherentism can construe cases in which a belief's justification is undermined, not by other beliefs, but only by a perceptual experience, and then reject coherentism on the ground that it doesn't give us the right results for such cases.
11) 우리의 두 가지 사고 실험들의 조명 속에서, 이러한 응답이 그 상태 그대로는 불충분하다는 것은 분명하다. 봉주르의 요지는 정합론자들이 우리의 믿음들과 세계 사이의 연결고리로서 지각과 관찰의 중요성을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평가는 반례들을 방지하지 않는다. 문제는 정합론이 지각의 관련성을 오로지 지각적 믿음들의 형태로만 인정하고 비사견적 지각 경험들의 형태로는 인정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결론적으로, 정합론에 대한 토대론적 비판자들은 한 믿음의 정당성이 다른 믿음들에 의해서가 아니라 오로지 지각 경험에 의해서만도 약화되는 사례들을 추론할 수 있고, 그래서 정합론이 우리에게 그러한 경우들에 대해 옳은 결과들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근거에서 정합론을 거부할 수 있다.

12) On the other hand, Bonjour could reject such counterexamples on the ground of his strict doxasticism: his view that beliefs can be justified - and undermined in their justification - only by other beliefs. Denying that perceptual experience by itself can undermine a belief's justification, he could rebut the detachment objection by saying that if a mad scientist ensures that your belief system stays coherent after the third aardvark emerges, then you are justified in believing that there are two aardvarks in the enclosure although you are perceiving three. And concerning the alternative systems objection, he could say that if Next's belief system is rendered coherent because a mad scientist eliminates all those beliefs that would give rise to incoherence, then he is justified in believing that there are three aardvarks in the enclosure although he is perceiving only two.<53>
12) 다른 한 편, 봉주르는 그의 엄격한 사견주의에 근거하여 그러한 반례들을 거부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사견주의란 믿음들이 오로지 다른 믿음들에 의해서만 정당화될 수 있다는 - 도 그들의 정당성에 있어서 약화될 수 있다는 - 그의 관점이다. 지각 경험 그 자체가 믿음의 정당성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부정하면서, 그는 만일 미친 과학자가 당신의 믿음 체계가 세 번째 땅돼지의 출현 뒤에도 정당화된 채로 머무른다는 것을 보장한다면, 당신은 비록 세 마리 땅돼지들을 지각하고 있을지라도 울타리 안에 땅돼지 두 마리가 있다고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고 말함으로써 분리 반박을 부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대안적 체계들을 통한 반박과 관련하여, 그는 만일 엽씨의 믿음 체계가 한 미친 과학자가 비정합성을 유발시킬 그러한 모든 믿음들을 삭제하기 때문에 정합적으로 해석된다면, 그는 비록 오직 두 마리 땅돼지들만을 지각하고 있을지라도 울타리 안에 땅돼지들 세 마리가 있다고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53>

13) Whether these maneuvers enjoy plausibility, however, is a further question. In any case, what the isolation objection brings clearly into focus is what the foundationalism-coherentism controversy is ultimately about: the legitimacy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If foundationalists are right in claiming that nondoxastic perceptual experiences are epistemically relevant, then the two cases we considered must be deemed compelling counterexamples to coherentism. If, on the other hand, coherentists are right in denying the relevance of nondoxastic perceptual experiences, then they are also right in asserting the plausibility of the very implications foundationalists claim to be absurd.
13) 그렇지만 이러한 전략들이 그럴 듯함을 향유하는지 여부는 추가적인 문제이다. 어떤 경우든, 고립 반박이 분명하게 초점을 맞추는 것은 토대론-정합론 논쟁이 궁극적으로 무엇에 대한 것인가 하는 점이다. 그것은 비사견적 정당성의 적법성이다. 만일 토대론자들이 비사견적 지각 경험들이 인식적으로 관련성이 있다고 주장함에 있어서 옳다면, 우리가 고려하였던 두 가지 사례들은 반드시 정합론에 대해 반례들을 강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만 한다. 만일, 다른 한편으로 정합론자들이 비사견적 지각 경험들의 관련성을 부정함에 있어서 옳다면, 그들은 또한 토대론자들이 부조리하다고 주장하는 바로 그 함축들의 그럴 듯함을 단언함에 있어서도 옳다.

14) Lehrer's reply to the isolation objection is similar to Bonjour's. Since we are connected with the world through perception, changes in the world are reflected in our perceptual beliefs. Consequently, Lehrer would argue, if you believe in the presence of three aardvarks when you clearly see only two, your belief will have plenty of competitors in those things you accept on the basis of what you perceive, and it will not beat all of these competitors.<54>
14) 고립 논박에 대한 레러의 응답은 봉주르의 응답과 유사하다. 우리는 지각을 통해 세계와 연결되므로, 세계 내의 변화들은 우리의 지각적 믿음들 내에서 숙고된다. 결론적으로, 레러는 만일 우리가 명백히 오직 두 마리 땅돼지들만을 볼 때 세 마리 땅돼지들의 현전을 믿는다면, 당신의 믿음이 당신이 지각한 것에 기초하여 당신이 수용하는 그러한 것들에 있어서 다수의 경쟁 명제들을 가질 것이고, 그 믿음은 이러한 모든 경쟁 명제들을 격파하지 못할 것이다.<54>

15) The foundationalist rebuttal to Lehrer's reply is the same as that to Bonjour's. Lehrer's reply is that because of the condition that for a belief to be justified all of its competitors must be beaten, coherentism does assign an important role to perception. What this reply achieves is this: Lehrer's coherentism implies that the cases we considered above are unlikely, but it does not demonstrate that they are impossible. In order to establish that they could not possibly arise, Lehrer would have to formulate an additional reply: one that demonstrated that perceptual experiences, if they do not take the form of either beliefs or acceptances, are epistemically irrelevant.
15) 레러의 응답에 대한 토대론적 반론은 봉주르에 대한 것과 같다. 레러의 응답은 믿음이 정당화되기 위해 그 믿음의 모든 경쟁 믿음들이 반드시 격파되어야만 한다는 조건으로 인하여, 정합론이 지각에 중요한 역할을 부여한다는 것이다. 이 응답이 성취하는 바는 이것이다. 즉 레러의 정합론은 우리가 위에서 고려했던 사례들이 그럴 것 같지 않다는 것을 시사하지만, 그 사례들이 불가능하다고 증명하지는 않는다. 그 사례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을 수 없을 것임을 확정하기 위해, 레러는 추가적인 응답을 정식화해야 할 것이다. 즉 지각 경험들이, 만일 그 경험들이 믿음들의 형태도 수용들의 형태도 취하지 않는다면, 인식적으로 부적절하다는 것으로 증명되는 그러한 응답 말이다.

16) We must turn, therefore, to precisely this question: Do nondoxastic experiential states have epistemic significance? Can they justify beliefs, and can they prevent beliefs from being justified? In the next chapter, we will examine what both foundationalists and coherentists have to say on this matter.<55>
16) 우리는 그러므로 정확히 이러한 물음으로 돌아서야만 한다. 비사견적 경험적 상태들은 인식적 중요성을 지니는가? 그 상태들은 믿음들을 정당화할 수 있고, 믿음들이 정당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가? 다음 장에서, 우리는 토대론자들과 정합론자들 모두가 이 문제에 대해 말해야 하는 바를 검토할 것이다.<55>

<6> We must be careful here to distinguish between "x is a justifier for y" and "x completely justifies y," which are two different relations. A belief B3 can receive all of its justification from two further beliefs, B1 and B2, in such a way that B1 and B2 each functions as a justifier for B3, but neither B1 by itself nor B2 by itself completely justifies B3. A belief, then, can be a justifier for another one without completely justifying it. Now, the relation "x is a justifier for y" is clearly transitive. Consider three beliefs, B1, B2, and B3, such that B1 justifies B2 and B2 justifies B3. Since B1 contributes to the justification of B3 via B2, B1 is a justifier for B3. However, the relation "x completely justifies y" is not transitive. For what completely justifies B3 is not B1 by itself, but the conjunction of B1 and B2.
<6> 우리는 반드시 여기에서 "x는 y에 대해 정당화항이다"와 "x는 y를 완전히 정당화한다"라는 서로 다른 두 가지 관계들을 구별하는 데에 주의를 기울여야만 한다. 믿음 B3는 그 정당성 전부를 두 가지 추가적 믿음들인 B1과 B2로부터 받을 수 있고, 그러한 방식에서 B1과 B2는 각기 B3에 대한 정당화항으로 기능하지만, B1도 B2도 그 자체로 B3을 완전히 정당화하지는 않는다. 그래서 한 믿음은 또 다른 믿음에 대해 그 믿음을 완전히 정당화하지 않고도 정당화항일 수 있다. 이제, "x는 y에 대해 정당화항이다"라는 관계는 분명하게 이행적이다. B1이 B2를 정당화하고 B2가 B3를 정당화하는 그러한 믿음들 B1, B2, B3를 고려해 보자. B1은 B2를 통해 B3의 정당성에 기여하므로, B1은 B3에 대해 정당화항이다. 그렇지만, "x가 y를 완전히 정당화한다"라는 관계는 이행적이지 않다. 왜냐하면 B3를 완전히 정당화하는 것은 B1 자체가 아니라 B1과 B2의 결합이기 때문이다.

<7> The phrase "x justifies y" is ambiguous; it may mean either that x contributes to y's justification or that x completely justifies y. However, when a belief B1 justifies a belief B2, minimally it would have to be true that B1 is a justifier for B2. Consequently, however we interpret our circular chain - as one of justification contributors or as one of complete justifiers - the transitivity of "x is a justifier for y" gives us the result that B1 is a justifier for B1.
<7> "x가 y를 정당화한다"라는 구절은 모호하다: 그것은 x가 y의 정당성에 기여한다거나 혹은 x가 y를 완전히 정당화한다는 것을 뜻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믿음 B1이 믿음 B2를 정당화할 때, 최소한 B1이 B2에 대해 정당화항임은 참이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그렇지만 우리는 우리의 순환 연쇄를 - 정당화 기여자들 중 하나 혹은 완전한 정당화항들 중 하나로서 - "x가 y에 대해 정당화항이다"의 이행성이 우리에게 B1이 B2에 대해 정당화항이라는 결론을 제공한다는 것으로 해석한다.

<11> Or so it would seem. In Chapter 7, however, we shall see that, according to Bonjour, a belief system's justification actually is not generated by its coherence, but rather by beliefs about coherence. Thus construed, coherentism can't avoid an infinite regress after all.
<11> 혹은 그렇게 문제가 일어날 것처럼 보일 것이다. 그렇지만 7장에서 우리는 봉주르에 따르면 한 믿음 체계의 정당성이 실제로 그 체계의 정합성에 의해 산출되지 않고, 오히려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에 의해 산출된다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그와 같이 해석된다면, 정합론은 무엇보다도 무한소급을 피할 수 없다.

<12> Consider, for example, the following statement by Brand Blanshard: "Fully coherent knowledge would be knowledge in which every judgment entailed, and was entailed by, the rest of the system." Blanshard (1939), p. 264.
<12> 예를 들어 브랜드 블랜셔드에 의한 다음 진술을 고찰해 보자: "충분히 정합적인 앎은 그 안에 그 체계의 모든 여분을 포함했고 또 그에 의해 포함된 그러한 앎일 것이다." 블랜셔드 (1939), 264쪽.

<14> Thus P1 and P2 present us with a paradox: each of these propositions appears to be obviously true, yet they cannot both be true. For an explanation of why this is so, see Chapter 3, footnote 9.
<14> 따라서 P1과 P2는 우리에게 역설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명제들의 각각은 명백히 참인 것으로 보이지만, 그래도 그 명제들은 모두 같이 참일 수 없다. 어째서 이것이 그러한지에 대한 설명은 3장 주석 9를 참조하라.

<18> Of course there can be other explanations of why my cat is meowing. But let's simply assume that in the situation we are imagining, she is meowing because she is hungry and wants me to get her food.
<18> 물론 어째서 내 고양이가 울고 있는지에 대한 다른 설명들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그냥 단순히 우리가 상상하고 있는 그 상황에서는 그 고양이가 배가 고프고 나에게 먹이를 원하기 때문에 울고 있다고 가정하자.

<25> In order to make this counterexample stick, we would have to explain why the two situations differ with regard to beliefs (1) and (2) without, however, differing in input conditions. It would not appear that such an explanation is difficult to find. For example, we could say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beliefs is caused by a drug. You took this drug in the first situation, but not in the second. Are the chemical effects of the drug on your brain to be counted as input conditions? Certainly they are not to be so counted in a traditional view of cognitive input, according to which input is produced by such things as perception, memory, and introspection.
<25> 이러한 반례를 날카롭게 만들기 위해, 우리는 어째서 그 두 상황들이 믿음들 (1)과 (2)를 고려하여 상이하지만 입력 조건들에 있어서 다르지 않은지 설명해야 할 것이다. 그러한 설명은 찾기에 어렵지 않아 보일 것이다. 예를 들어, 우리는 그 두 믿음들 사이의 차이가 약에 의해 야기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당신은 첫 번째 상황에서 이 약을 먹었지만 두 번째 상황에서는 먹지 않았다. 당신의 두뇌에 대한 그 약의 화학적 효과들은 입력 조건으로 고려되는 것인가? 확실히 그 영향들은 전통적인 인지 입력에 대한 관점에서는 그렇게 고려되는 것이 아니다. 그 관점에 따르면 입력은 지각, 기억, 내성과 같은 것들에 의해 산출된다.

<28> For a complete account of these matters, see Lehrer (1990), chap. 6. Actually, Lehrer defines coherence not only in terms of beating but also in terms of what he calls "neutralizing." For our purposes in this chapter, however, we need not concern ourselves with this second concept.
<28>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완전한 설명에 대해서는, 레러 (1990) 6장을 참조하라. 실제로, 레러는 정합성을 단지 격파함으로만이 아니라 또한 그가 "무효화"라고 부른 것으로도 정의한다. 그렇지만 이 장에서 우리의 목적들 때문에 우리는 이러한 두 번째 개념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없다.

<31> Of course, when there are specific reasons for doubt, second thoughts about one's perceptions come naturally. When wearing blue glasses, few people believe that things are really as bluish as they appear to be.
<31> 물론, 의심할 구체적 근거들이 있을 때, 한 개인의 지각들에 대한 2차적 생각들은 자연스럽게 나온다. 푸른 선글라스를 쓰고 있을 때, 사물들이 파랗게 보이는 만큼 실제로도 파랗다고 믿을 사람은 거의 없다.

<33> The assumption here is not, of course, that I disbelieve (4) and (5), but only that (4) and (5) are not among the propositions I believe.
<33> 물론 여기에서 그 가정은 내가 (4)와 (5)를 거짓이라 믿는다는 것이 아니라, 단지 (4)와 (5)가 내가 믿는 명제들 사이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뿐이다.

<34> From Lehrer's remarks on the nature of acceptance, it is not ideally clear how he conceives of the relation between acceptance and belief. On the one hand, he claims that acceptances are a subclass of beliefs. On the other hand, he says that "most of what we accept, for example, that 57 is an odd number, we accept without ever having considered it." Lehrer (1989), p.270. Certainly, prior to reading this sentence, I had not held the belief that 57 is an odd number, for I had indeed never considered this matter. Yet Lehrer seems to be suggesting that it had been an acceptance of mine. But if had been, then that acceptance was not a belief of mine. See Greco (1993), in which Greco take Lehrer to be claiming that "acceptances need not be explicit believings"(p. 112).
<34> 수용의 본성에 대한 레러의 언급들로부터, 그가 수용과 믿음의 관계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는지가 이상적으로 분명하지는 않다. 한편으로, 그는 수용들이 믿음들의 하위부류라고 주장한다. 다른 한 편, 그는 "우리가 수용하는 것의 대부분은 예를 들어 57이 홀수라는 것은 우리가 전혀 그에 대해 고찰한 적이 없이 수용한다." 레러 (1989) 270쪽. 확실히, 이 문장을 읽기에 앞서, 나는 57이 홀수라는 믿음을 견지하고 있지 않았는데, 왜냐하면 나는 더욱이 이 문제를 결코 고려한 적이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레러는 그 믿음이 나의 수용이었다고 제안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만일 그게 그러하였다면, 그 수용은 나의 믿음이 아니었다. 그레코 (1993) 참조. 거기에서 그레코는 레러가 "수용들은 명백한 믿는 일들일 필요가 없다(112쪽)"고 주장하고 있다고 받아들인다.

<35>The restriction to empirical beliefs here is important: as far as a priori justification is concerned, Bonjour holds a foundationalist view. See Bonjour (1985), app. A.
<35> 여기에서 경험적 믿음들에 국한함은 중요하다. 선험적 정당성에 관련되는 한에서, 봉주르는 토대론적 관점을 견지한다. 봉주르 (1985) 부록 A.

<37> Bonjour cites Wilfrid Sellars as an influential advocate of the necessity of level ascent. Bonjour sums up Sellars's view as follows: According to Sellars, "the justification of an observational belief always depends on the general knowledge that beliefs of that specific kind are nomologically reliable indicators of the actual presence of the sort of factual situation whose existence they assert." Bonjour (1985), p. 116; cf. Sellars (1963).
<37> 봉주르는 윌프레드 셀라스를 수준 상승의 필연성에 대한 영향력 있는 지지자로 인용한다. 봉주르는 셀라스의 관점을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셀라스에 따르면, "관찰적 믿음의 정당성은 언제나 특정한 종류에 속하는 믿음들이 입법적으로 신빙성 있는 지표들, 그 지표들이 그 현전을 주장하는 사실적 상황과 같은 종류의 실제적 현전에 대한 지표들이라는 일반적인 앎에 의존한다." 봉주르 (1985) 116쪽. 셀라스 (1963)과 비교하라.

<42> Rather, what does matter is that it's possible for the subject to reflect on her evidence and thus to form appropriate beliefs about her evidence.
<42> 오히려, 문제가 되는 것은 주체가 그녀의 증거에 대해서 숙고하는 것과 따라서 그녀의 증거에 대한 적절한 믿음들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55> According to John Pollock, the isolation objection is inconclusive because coherentism can easily acknowledge that our beliefs are connected with the world through perception. Pollock (1986), pp. 76f. But as we have seen, this reply misses the point. It only establishes that coherentism makes the kind of counterexamples we have considered unlikely, not that it makes them impossible. Furthermore, Pollock claims that foundationalism does not differ from coherentism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our beliefs and the world. The only way the world can influence our beliefs on either a foundations theory or a coherence theory is causally" (p. 76). However, given the way we have construed foundationalism, there is indeed a crucial difference between how coherentism and foundationalism view perception as the epistemic link between beliefs and the world. According to foundationalism, perceptual states have epistemic significance even when they do not manifest themselves in beliefs. According to coherentism, perception matters only in the form of perceptual beliefs.
<55> 존 폴록에 따르면, 고립 논박은 결정적이지 못한데 왜냐하면 정합론이 쉽사리 우리의 믿음들은 지각을 통해 세계와 연결된다는 점을 인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폴록 (1986) 76쪽 이하. 그러나 우리가 보았듯, 이러한 응답은 핵심을 놓치고 있다. 그 응답은 오로지 정합론이 우리가 고찰하였던 그러한 종류의 반례들을 만들지 않을 것 같다는 점만을 확정지을 뿐 정합론이 그러한 반례들을 불가능하게 만든다는 점은 확정짓지 못한다. 더 나아가서, 폴록은 토대론이 "우리의 믿음들과 세계의 관계성에 대한 측면에서" 정합론과 다르지 않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토대론에 대해서나 정합론에 대해서나 세계가 우리의 믿음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인과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방식뿐"이라고 주장한다(76쪽). 그렇지만, 우리가 토대론을 해석하였던 방식을 고려하면, 정합론과 토대론이 지각을 어떻게 믿음들과 세계 사이의 인식적 연결고리로 간주하는지에 대해서는 더욱이 결정적인 차이가 있다. 토대론에 따르면, 지각적 상태들은 그 상태들이 그 자체로 믿음들로 드러나지 않을 때에조차 인식적 의미를 지닌다. 정합론에 따르면, 지각은 오로지 지각적 믿음들의 형태에서만 문제시된다.

-蟲-

P.S 양을 좀 늘려 보자는 취지에서 이틀치.
Lehrer on Acceptance
레러 수용에 대하여
1) To develop an appreciation of Lehrer's theory, we must begin with his notion of acceptance. Unlike other epistemologists, Lehrer does not take as the object of his analysis the notion "S is justified in believing that p," but rather the notion "S is justified in accepting that p." Accroding to Lehrer, not all beliefs are acceptances, but all acceptances are beliefs. Lehrer, then, views acceptances as a subclass of beliefs.<21>
1) 레러의 이론에 대한 평가를 개진하기 위하여, 우리는 반드시 그의 수용에 대한 관념으로 시작하여야만 한다. 다른 인식론자들과는 달리 레러는 "S가 p를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라는 관념을 그의 분석 목표로 취하지 않고, 오히려 "S가 p를 수용함에 있어서 정당화된다"라는 관점을 목표로 취한다. 레러에 따르면, 모든 믿음들이 수용들은 아니지만, 모든 수용들은 믿음들이다. 그래서 레러는 수용들을 믿음들의 하위부류로 간주한다.<21>

2) What distinguishes acceptance from belief is this: Whereas acceptance is always formed in the "interest of obtaining a truth and avoiding an error in what one accepts," belief is not always formed in the interest of obtaining a truth and avoiding error.<22> The objective in believing a proposition might not be the attainment of truth, but rather usefulness, happiness, or the fulfillment of a moral duty. Whenever that is the case, a belief falls short of being an acceptance.
2) 수용을 믿음으로부터 구분하는 것은 이것이다. 즉 수용은 언제나 "한 개인이 수용하는 것에 있어서 참을 획득하고 오류를 피함에 대한 관심"에서 형성되는 반면, 믿음은 언제나 참을 획득하고 오류를 피함에 대한 관심에서 형성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22> 한 명제를 믿음에 있어서 목표는 참의 확보가 아니라, 오히려 유용성, 행복 또는 도덕적 의무의 완수일 수 있다. 그러한 어떤 경우에든, 한 믿음은 수용이기에 부족함이 있다.

3) Furthermore, Lehrer conceives of acceptances as functional states. He writes:

Acceptance is the sort of mental state that has a specific sort of role, a functional role, in thought, inference, and action. When a person accepts that p, he or she will draw certain inferences and perform certain actions assuming the truth of p. Thus, if a person accepts that p, then the person will be ready to affirm that p or to concede that p in the appropriate circumstances.<23>

In order to appreciate what Lehrer wants to convey in this passage, let us conceive of pain as a functional state. A functional state is defined in terms of its causal relation to input and output. For example, the input that causes you to be in pain might be a hammer blow to your thumb (you missed the nail you were aiming at), and the output of your being in pain might be cursing and kicking a chair. Someone who is a functionalist about pain would say that any state resulting from input such as physical damage or trauma and output consisting in what we consider pain behavior (screaming, cursing, wincing, etc.) is a state of being in pain.
3) 더 나아가서, 레러는 수용들에 대해 기능적 상태들로 간주한다. 그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수용은 사유, 추론, 행위에 있어서 구체적인 종류의 역할, 기능적 역할을 갖는 정신적 상태의 일종이다. 한 사람이 p라는 명제를 수용할 때, 그 또는 그녀는 p의 참을 가정하면서 특정한 추론을 이끌어낼 것이고 특정 행위들을 수행할 것이다. 따라서, 만일 한 사람이 p라는 명제를 수용한다면, 그 사람은 적합한 상황들 속에서 p라는 명제를 긍정하거나 p라는 명제를 인정할 준비가 되어 있을 것이다.<23>

레러가 이 구절에서 전하고자 하는 바를 평가하기 위해서, 우리는 고통에 대해서 기능적 상태라고 간주해 보도록 하자. 하나의 기능적 상태는 그 상태의 입력과 출력에 대한 인과관계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당신을 고통 속에 있도록 야기하는 입력은 아마도 당신의 엄지 손가락에 대한 망치로 가격함일 것이고 (당신은 당신이 목표로 삼고 있던 못을 놓쳤다), 당신의 고통 속에 있음에 대한 출력은 아마도 욕지기를 뱉고 있거나 의자를 걷어 차고 있다는 것일 터이다. 고통에 대한 기능주의자인 누군가는 그러한 물리적 외상이나 정신적 충격과 같은 입력으로부터, 그리고 우리가 고통에 따른 행동으로 간주하는 일로 이루어지는 출력 (소리지름, 욕지기를 뱉음, 움찔함 등) 으로부터 귀결하는 어떠한 상태이든 고통 속에 있음에 속하는 상태라고 말할 것이다.

4) Likewise, someone who is a functionalist about acceptances would say that any mental state resulting from a certain type of input and resulting in output manifesting itself in inferences and actions is a state of accepting something. Suppose you hear the doorbell ring. This auditory experience is the input into the resulting state of accepting that the doorbell is ringing. You then infer that someone is outside, and you go and open the door. This inference and this action are the output of your accepting that the doorbell is ringing.
4) 같은 식으로, 수용들에 대한 기능주의자인 누군가는 특정 유형의 입력으로부터 귀결하고 추론들과 행위들에 있어서 스스로 드러나는 출력을 야기하는 어떠한 정신적 상태이든 어떤 것을 수용하는 하나의 상태라고 말할 것이다. 당신이 초인종 소리를 듣는다고 가정해 보자. 이 청각적 경험은 초인종이 울리고 있다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귀결되는 상태에 대한 입력이다. 다음으로 당신은 밖에 누군가 있다고 추론하고, 가서 문을 연다. 이러한 추론과 이러한 행위는 초인종이 울리고 있다는 것에 대한 당신의 수용에 속하는 출력들이다.

5) Lehrer's functionalist analysis of acceptance faces the following problem: What is essential to the functionalist approach is that the content of an acceptance is solely a result of its relations to those things that function as its input and output. The problem is whether input and output relations completely determine the content of an acceptance.<24> Suppose you are buying apples at your local grocery store, and you are now putting them in a produce bag. The input here comes in the form of tactile and visual stimulations and background beliefs about apples, whereas the output consists in a certain type of behavior: walking over to the apples, ripping off a produce bag, filling it with apples, and putting the bag in your cart. The functional role of being (i) triggered by your present sensory experience and background beliefs and (ii) inducing the behavior just described. However, is this functional role sufficient for determining the specific content of what you accept?
5) 수용에 대한 레러의 기능주의적 분석은 다음과 같은 문제에 직면한다. 즉 기능주의적 접근에 본질적인 것은 수용의 내용이 오로지 그 수용의 입출력으로서의 기능과 같은 그러한 것들에 대한 관계들의 결과일 따름이라는 것이다. 문제는 입출력 관계들이 완전하게 수용의 내용을 결정하는지 여부이다.<24> 당신이 당신의 동네 식료품점에서 사과들을 사고 있고, 당신은 지금 그 사과들을 장바구니에 담고 있다고 가정해 보자. 여기에서 입력은 촉각과 시각 자극들과 사과들에 대한 배경 믿음들의 형태로 나타나는 반면, 출력은 특정 유형의 행동으로 이루어진다. 즉 사과들을 향해 걸어감, 장바구니를 뽑아 듦, 그 장바구니를 사과들로 채움, 장바구니를 당신 카트에 놓음 같은 행위들이다. (i)촉발됨의 기능적 역할은 당신의 현재 감각적 경험과 배경 믿음들이고 (ii)행위 유발의 기능적 역할은 단지 기술적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기능적 역할은 당신이 수용하는 것에 속하는 상세한 내용을 결정하기에 충분한가?

6) It would seem it is not. Rather, it would appear that the same functional role allows for a wide range of different acceptances: "These are green apples," "These are beautiful green apples," "These are beautiful, large apples," or perhaps "These are Granny Smith apples." Thus the problem Lehrer's functionalism raises is this: By making the content of an acceptance solely a function of its relations to other mental and nonmental things, his account of acceptance ignores the inner, qualitative or nonrelational character that determines its specific content.
6) 충분치는 않아 보일 것이다. 오히려, 동일한 기능적 역할이 상이한 수용들의 광범위한 영역을 허용하는 것으로 보일 터이다: "이것들은 청사과들이다," "이것들은 아름다운 청사과들이다," "이것들은 아름답고 커다란 청사과들이다" 혹은 어쩌면 "이것들은 그래니스미스 사과들이다." 따라서 레러의 기능주의가 야기하는 문제는 이것이다. 즉 수용의 내용을 오로지 그 수용의 다른 정신적 비정신적인 것들에 대한 관계들로 만듦으로써, 수용에 대한 그의 설명은 수용의 특정 내용을 결정하는 내적, 질적, 혹은 비관계적 성격을 도외시한다.

7) This objections calls into doubt what Lehrer said about the relation between acceptance and belief. According to Lehrer, acceptances are a subclass of beliefs. But if it is true that input and output relations underdetermine the content of an acceptance, then it follows that some acceptances are not beliefs. Consider the following two situations. In the first, you believe

(1) These are beautiful green apples.

but you do not believe

(2) These are beautiful large apples.

In the second situation, you believe (2) but not (1). Is it plausible to assume that in both situations the input and output conditions are identical? That is, can we imagine two situations that differ as indicated, but otherwise are such that the perceptual experiences you undergo, the inferences you draw, your background assumptions about apples, and your behavior are the same in both situations? There is at least no obvious reason for denying that there could be such a pair of situations.<25> The first of these situations would be such taht you accept but do not believe (2), and the second such that you accept but do not believe (1). In either situation, there would be an acceptance that is not a belief. Thus if we believe that such a pair of situations is possible, we must conclude that acceptances are not, as Lehrer has suggested, a subclass of beliefs. Later on we shall see that there is a further reason for concluding that not all acceptances are beliefs.
7) 이러한 반박드은 레러가 수용과 믿음의 관계에 대해 말했던 것을 의심케 한다. 레러에 따르면, 수용들은 믿음들의 하위분류이다. 그러나 만일 입출력 관계들이 수용의 내용을 충분히 결정하지 못한다는 것이 사실이라면, 일부 수용들은 믿음들이 아니라는 점이 귀결된다. 다음 두 가지 상황들을 고찰해 보자. 당신은 다음과 같이 믿는다.

(1) 이것들은 아름다운 청사과들이다.

그러나 당신은 다음은 믿지 않는다.

(2) 이것들은 아름다운 커다란 사과들이다.

두 번째 상황에서, 당신은 (2)는 믿지만 (1)을 믿지 않는다. 두 상황 모두에 있어서 입출력조건들이 동일하다고 가정하는 것은 그럴 성 싶은가? 즉, 우리는 제시됨으로서는 상이하지만, 당신이 겪는 지각적 경험들, 당신이 이끌어내는 추론들, 사과들에 대한 당신의 배경 전제들, 그리고 당신의 행위와 같은 다른 방식으로는 두 상황 모두에 있어서 동일한 두 상황을 상상할 수 있는가? 최소한 그와 같은 한 쌍의 상황들이 있을 수 있으리란 것을 부정할 어떠한 명백한 근거도 없다.<25> 이러한 상황들 중 첫째 것은 당신이 (2)를 수용은 하지만 믿지는 않는 그러한 것일 터이고, 두 번째 것은 당신이 (1)을 수용하지만 믿지는 않는 그러한 상황일 것이다. 어느 상황에서든, 믿음이 아닌 수용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만일 우리가 그러한 한 쌍의 상황들이 가능하다고 믿는다면, 우리는 반드시 수용이 레러가 제안하였던 것과 같이 믿음들의 하위부류인 것은 아니라고 결론내려야만 한다. 나중에 우리는 모든 수용들이 믿음들은 아니라고 결론내릴 추가적인 근거가 있음을 보게 될 것이다.


Coherence as The Beating of Competitors
경쟁자들에 대한 격파로서의 정합성

1) Having examined what Lehrer means by acceptance, we must next focus on how he construes the inner mechanics of coherence. According to Lehrer, a belief of mine is justified if and only if it coheres with what he would call my "acceptance system": the set of all the propositions I accept. In general terms, the acceptance system of a person S at a time t is the set of all true propositions of the form "S accepts that p at t."<26> Lehrer conceives of coherence, then, as a relation between a particular proposition and the relevant acceptance system.
1) 레러가 수용으로 의미한 바를 검토하고서, 우리는 반드시 다음으로 그가 정합성의 내적 작동방식들을 어떻게 이해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어야만 한다. 레러에 따르면, 나의 믿음들 중 하나의 믿음은 정당화된다 iff 그 믿음이 그가 나의 "수용 체계"라고 부를 것과 정합적이다. 즉 내가 수용하는 모든 명제들의 집합과 정합적이다. 일반적인 말로, 시점 t에 한 사람 S의 수용 체계는 "S는 t 시점에 p를 수용한다"라는 형식의 모든 참인 명제들의 집합이다.<26> 레러는 그래서 정합론에 대해 특정 명제와 관련된 수용 체계 사이의 관계로 이해한다.

2) Lehrer's analysis of this relation involves two key ingredients in the form of necessary conditions. According to the first, my acceptance of p coheres with my acceptance system only if p wins out over all the propositions that compete with it. According to the second, for my acceptance of p coheres with my acceptance system, I must accept that my acceptance of p is based on a trustworthy source. We shall consider the first condition in this section, and the second in the next.
2) 레러의 이러한 관계에 대한 분석은 두 가지 핵심 구성요소들을 필요조건들의 형태로 포함한다. 첫 번째 조건에 따르면, 나의 p에 대한 수용은 나의 수용 체계에 오로지 p가 p와 경쟁하는 모든 명제들을 제압해 버릴 경우에만 정합적이다. 두 번째 조건에 따르면, 나의 p에 대한 수용은 나의 수용 체계와 정합적이기 때문에, 나는 반드시 나의 p에 대한 수용이 믿을 만한 원천에 기초된다는 것을 수용해야만 한다. 우리는 첫 번째 조건을 이 절에서 고찰할 것이고, 두 번째는 다음 절에서 고찰할 것이다.

3) According to Lehrer, when a proposition wins the competition with its competitors, it beats its competitors. In which sense, however, can one proposition be said to "compete" with another one? When you deliberate on which proposition to accept, propositions present themselves to you as competing contenders for the status of being accepted. The question you must ask yourself is which of them are worthy of your acceptance and which are not. For example, suppose you have a cat, and having noticed her right in front of you, you ask yourself whether you should accept

(1) I see a cat before me

or instead

(2) I hallucinate that there is a cat before me.

(2) is a competitor for (1), and vice versa. (For if you do see a cat before you, you do not hallucinate that there is one before you; and if you hallucinate a cat before you, then you do not see one before you.) The question before you is whether it is more reasonable to accept (1) or to accept (2). The answer of this question, Lehrer would say, depends on your acceptance system. Suppose you also accept

(3) I have not ingested any hallucinogenic substances;
(4) There is no indication of hallucination in my present experience.<27>

Given that you accept (3) and (4), it is more reasonable of you to accept (1) than to accept (2). If, however, your acceptance system were to include

(5) I took LSD as hour ago;
(6) LSD induces in me a propensity to hallucinate the presence of cats;
(7) I am in my own living room, and I don't have any cats;

then it would be more reasonable of you to accept (2) than to accept (1). According to Lehrer, which of two competing propositions coheres with your acceptance system is determined by which of the two propositions it is more reasonable for you to accept vis-a-vis your acceptance system. Hence he would say that (1) coheres with your acceptance system if it includes (3) and (4), and (2) coheres with your acceptance system if it includes (5), (6), and (7). Let us call the acceptance system including (3) and (4) System A, and the one including (5) through (7) System B. Lehrer would say that vis-a-vis System A, (1) beats (2), whereas vis-a-vis System B, (2) beats (1).
3) 레러에 따르면, 한 명제가 그 경쟁 명제들과의 경쟁에서 승리할 때, 그 명제는 그 경쟁 명제들을 격파한다. 그렇지만 어떤 의미에서 한 명제가 또 다른 명제와 "경쟁한다"고 이야기될 수 있는가? 당신이 어떤 명제에 대해 수용을 숙고할 때, 명제들은 그것들 자체를 당신에게 수용될 상태를 위해 경쟁하는 도전자들로 표현한다. 당신이 당신 자신에게 물어야만 하는 물음은 그것들 중 어떤 명제들이 당신의 수용에 합당하고 어떤 것들이 그렇지 않은지 하는 물음이다. 예를 들어, 당신이 고양이 한 마리를 가지고 있고, 당신 바로 앞의 그 고양이를 주의하고서, 당신이 당신 자신에게 다음과 같은 것을 수용해야 할지 묻는다고 가정해 보자.

(1) 나는 내 앞의 고양이 한 마리를 보고 있다

혹은 대신에

(2) 나는 내 앞에 고양이 한 마리가 있다는 환각을 겪고 있다.

(2)는 (1)에 대해 경쟁 명제이고, 그 역도 성립한다. (왜냐하면 만일 당신이 당신 앞의 고양이 한 마리를 보고 있다면, 당신은 당신 앞에 고양이 한 마리가 있다는 환각을 겪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만일 당신이 당신 앞의 고양이 한 마리라는 환각을 겪고 있다면, 당신은 당신 앞의 고양이 한 마리를 보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당신 앞의 질문은 (1)을 수용하는 것이나 (2)를 수용하는 것 중 어느 쪽이 더 합리적인가 하는 것이다. 레러는 다음과 같이 말할 터인데, 이 물음에 대한 대답은 당신의 수용 체계에 달려 있다. 당신이 또한 다음의 명제들을 수용한다고 가정해 보자.

(3) 나는 어떠한 환각 물질들도 섭취하지 않았다;
(4) 내 현재 경험에 어떠한 환각의 징후도 없다.<27>

당신이 (3)과 (4)를 수용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2)를 수용하는 것보다 (1)을 수용하는 것이 당신에게 더욱 합리적이다. 만일 그렇지만 당신의 수용 체계가 다음과 같은 명제들을 포함하게 된다면

(5) 나는 한 시간 전에 LSD를 복용했다;
(6) LSD는 내게 있어서 고양이들의 현전을 환각케 하는 경향을 유발한다;
(7) 나는 내 자신의 거실에 있고, 어떤 고양이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렇다면 (1)을 수용하는 것보다 (2)를 수용하는 것이 당신에게 더욱 합리적일 것이다. 레러에 따르면, 경쟁하는 두 명제들 중 어느 쪽이 당신의 수용 체계에 정합적인지는 두 명제들 중 어느 쪽이 수용 체계에 비추어 당신이 수용하기에 더욱 합리적인지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그는 만일 당신의 수용 체계가 (3)과 (4)를 포함한다면 (1)이 당신의 수용 체계에 정합적이라고 말할 것이고, 만일 그 수용 체계가 (5), (6), (7)을 포함한다면 (2)가 당신의 수용 체계에 정합적이라 말할 것이다. (3)과 (4)를 포함하는 수용 체계를 체계 A라고, 그리고 (5)부터 (7)까지를 포함하는 쪽을 체계 B라고 부르도록 하자. 레러는 체계 A에 비추어 (1)이 (2)를 격파하는 반면, 체계 B에 비추어서는 (2)가 (1)을 격파한다고 말할 것이다.

4) Lehrer, then, views "beating the competitors" as an essential ingredient of coherence. In his account, for a proposition p to cohere with your acceptance system, it must beat every proposition you accept that competes with it.<28>
4) 그래서 레러는 "경쟁자들을 격파함"을 정합성의 본질적 구성요소로 간주한다. 그의 설명에서, 한 명제 p가 당신의 수용 체계에 정합적이기 위해서, 그 명제는 반드시 그 명제와 경쟁하는 당신이 수용하는 모든 각각의 명제를 격파해야만 한다.<28>


Trustworthiness
신뢰성

1) The second key ingredient of Lehrer's coherentism comes into play when we consider what it actually takes for a proposition to beat all its competitors. Consider again the proposition

(1) I see a cat before me

and its competitor

(2) I am hallucinating that there is a cat before me.

For (1) to beat (2), your acceptance system must include propositions such as

(3) I have not ingested any hallucinogenic substances;
(4) There is no indication of hallucination in my present experience.

Why, however, do (3) and (4) give (1) the epistemic strength to beat (2)? Why is it that, vis-a-vis (3) and (4), it is more reasonable of you to accept (1) than to accept (2)? Lehrer would say that when you accept (3) and (4), you are, in effect, accepting that under the present circumstances you can trust perception as a source of information. That is, there is a further relevant proposition in your acceptance system, to wit:

(5) Under the present circumstances I can trust my perceptions.

The value of having (3) and (4) as members of your belief system, then, is that under the present circumstances you can trust that acceptances based on perception are true, which you could not if (2) were true. Hence, in relation to your acceptance system, it is more reasonable for you to accept (1) than to accept (2).
1) 레러의 정합론에 있어서 두 번째 핵심 구성요소는 우리가 실제로 한 명제가 그 명제의 모든 경쟁자들을 격파하는 것으로 어떤 것을 받아들일 때 작동하기 시작한다. 다시 다음 명제를 고찰해 보자.

(1) 나는 내 앞의 고양이 한 마리를 보고 있다

그리고 그 명제의 경쟁 명제

(2) 나는 내 앞에 고양이 한 마리가 있다는 환각을 겪고 있다.

(1)이 (2)를 격파하기 위해, 당신의 수용 체계는 반드시 다음과 같은 명제들을 포함해야만 한다.

(3) 나는 어떠한 환각 물질도 섭취하지 않았다;
(4) 내 현재 경험에 환각의 어떤 징후도 없다.

그렇지만 어째서 (3)과 (4)가 (1)에게 (2)를 격파할 인식적 힘을 부여하는가? 어째서 (3)과 (4)에 비추어 (1)을 수용하는 것이 (2)를 수용하는 것보다 더욱 합리적인가? 레러는 당신이 (3)과 (4)를 수용할 때 사실상 당신은 현재 상황들 라애세ㅓ 당신이 정보의 원천으로서의 지각을 신뢰할 수 있다는 것을 수용하고 있다고 말할 것이다. 즉, 당신의 수용 체계에 추가적으로 관련된 명제가 있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5) 현재 상황들 아래에서 나는 나의 지각들을 신뢰할 수 있다.

(3)과 (4)를 당신의 믿음 체계 구성요소들로 지니는 가치는 그래서 현재 상황들 아래에서 당신이 지각에 기초된 수용들이 참임을 신뢰할 수 있다는 것이고, 그것은 (2)가 참이라면 그럴 수 없을 그러한 것이다. 따라서, 당신의 수용 체계와의 관련 속에서, (2)를 수용하는 것보다 (1)을 수용하는 것이 더욱 합리적이다.

2) According to Lehrer, assumptions about one's own trustworthiness are an essential ingredient of coherence. For me to be justified in accepting p under conditions C, my acceptance system must include propositions to the effect that under conditions C I can trust the source of information on which my acceptance of p is based. Such propositions are not about the objects of perception, introspection, or memory, but rather about the conditions under which I accept propositions on the basis of perception, introspection, and memory. In accepting such propositions, I am ascending, so to speak, to a higher level: a level from which I evaluate the trustworthiness of sources of information under certain conditions. We shall, therefore, call the second ingredient of Lehrer's coherentism the requirement of level ascent.
2) 레러에 따르면, 한 개인의 고유한 신뢰성에 대한 전제들은 정합성의 본질적인 구성요소이다. 내가 조건들 C 아래에서 p를 수용함에 있어서 정당화되기 위해서는, 나의 수용 체계가 반드시 조건들 C 아래에서 p에 대한 나의 수용이 기초하는 정보의 원천을 내가 신뢰할 수 있다는 취지의 명제들을 포함해야만 한다. 그러한 명제들은 지각, 내성, 혹은 기억의 대상들에 대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내가 지각, 내성, 기억에 기초하여 명제들을 수용하는 조건들에 대한 것이다. 그러한 명제들을 수용함에 있어서, 나는 말하자면 더 높은 수준으로 상승하고 있다. 즉 내가 특정한 조건들 아래에서 정보의 원천들에 대한 신뢰성을 평가하는 그러한 수준 말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레러의 정합론에 속하는 두 번째 구성요소를 수준 상승에 대한 요청이라 부를 것이다.

3) Lehrer's commitment to the requirement of level ascent is explicitly stated in his response to a certain objection to coherentism. According to this objection, it is impossible for perception alone to justify a belief. Put differently, in order for perception to justify a belief, so the objection goes, it isn't necessary that the proposition accepted receive support from the perceiver's acceptance system. In reply to this objection, Lehrer insists on the necessity of level ascent.

Any claim that we see, remember, or introspect that something is the case immediately confronts the … objection that the belief does not emanate from a trustworthy source but arises in some untrustworthy manner. To be … justified in accepting that one sees, remembers, or introspectis something, one must, therefore, accept that these are trustworthy sources of information.<29>

3) 레러의 수준 상승 요청에 대한 전념은 정합론에 대한 특정 반박에 맞선 그의 응답에서 명확하게 진술된다. 이 반박에 따르자면, 지각만으로 믿음을 정당화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달리 말해서, 지각이 믿음을 정당화하기 위해서, 그 반박이 그렇게 진행하듯, 수용된 명제가 지각자의 수용 체계로부터 지지를 받는 것이 필연적이지는 않다. 이 반박에 응답함에 있어서, 레러는 수준 상승의 필연성을 주장한다.

우리가 어떤 것이라고 보거나, 기억하거나, 내성한다는 어떠한 주장이든 그 경우는 즉각적으로 그 믿음이 신뢰성 있는 원천으로부터 나오지 않고 어떤 신뢰할 수 없는 방식에서 발생한다는 … 반박에 직면한다. 누군가 어떤 것을 보거나, 기억하거나, 또는 내성하는 것을 수용함에 있어서 정당화되기 위해, 그러므로 그는 반드시 이러한 것들이 정보의 신뢰할 만한 원천들이라는 점을 수용해야만 한다.<29>


4) According to Lehrer, then, you can't have justified beliefs that stem from sources such as perception, memory, and introspection unless your acceptance system includes higher-level propositions asserting that these sources are trustworthy.
4) 레러에 따르면 그래서 당신은 지각, 기억, 내성과 같은 원천들로부터 유래하는 믿음들을 당신의 수용 체계가 이러한 원천들이 신뢰할 만하다고 단언하는 고차원의 명제들을 포함하지 않는 한 정당화시킬 수 없다.

5) Let us summarize what, from Lehrer's point of view, it takes for an acceptance of yours to be justified. To begin with, Lehrer would say you are justified in accepting that p if and only if p coheres with your acceptance system. And in order for your acceptance of p to cohere with your acceptance system, p must beat all of its competitors. Finally, your acceptance system must include one or several propositions to the effect that, under the present circumstances, the source from which your acceptance arises is trustworthy.
5) 레러의 관점으로부터 당신의 수용들 중 한 수용이 정당화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정리하도록 하자. 우선, 레러는 당신이 p를 수용함에 있어서 정당화된다 iff p는 당신의 수용 체계에 정합적이다, 라고 말할 것이다. 그리고 당신의 p에 대한 수용이 당신의 수용 체계와 정합적이기 위해, p는 반드시 그 모든 경쟁 명제들을 제압해야만 한다. 끝으로, 당신의 수용 체계는 반드시 하나 혹은 여럿의 명제들, 현재 상황들 아래에서 당신의 수용이 발생하는 그 원천이 신뢰할 만하다는 취지의 명제들을 포함해야만 한다.


Level Ascent, Acceptance, and Belief
수준 상승, 수용, 그리고 믿음

1) In Chapter 5, we encountered a forceful objection to modern foundationalism: people typically don't form the kind of belief stron foundationalism would countenance as basic.<30> The point of this objection is that modern foundationalism must be considered a version of skepticism. A similar objection can be formulated against coherentism if level ascent is taken to be an essential ingredient of coherence. Level ascent is a sophisticated intellectual procedure, so it could be objected, a procedure familiar to philosophers, but alien to people who have never studied philosophy. Under ordinary circumstances, people instinctively presume the trustworthiness of their perceptions, without forming actual beliefs about this matter.<31> Consider the proposition

(1) I see a cat before me

and assume that nothing is evident to me that would undermine my justification for believing (1). According to Lehrer, (1) coheres with my acceptance system only if I accept some proposition to the effect that

(2) Under the present circumstances, my perceptions are trustworthy.

But what if, though I don't disbelieve (2), I don't actually believe it either? Perhaps I did not reflect on the question of whether my perceptions are trustworthy under the present circumstances, and thus didn't form any belief about that matter. If so, am I really unjustified in believing (1)? It seems reasonable to say that I would not be unjustified. It would appear, therefore, that Lehrer's theory amounts into a version of skepticism because it demands too much of justification. Under ordinary circumstances, empirical beliefs are simply not accompanied by beliefs such as (2). Hence, so the objection against coherentism concludes, the requirement of level ascent Lehrer imposes implies that ordinary empirical beliefs are not justified.
1) 5장에서, 우리는 근대적 토대론에 대한 강력한 반박에 직면했다. 즉 사람들은 전형적으로 강한 토대론이 기초적인 것으로 지지할 그런 종류의 믿음을 형성하지 않는다는 것이다.<30> 이 반박의 핵심은 근대적 ㅗ대론이 반드시 회의주의 한 형태로 간주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만일 수준 상승이 정합성의 본질적 구성요소인 것으로 취해진다면 동일한 반박이 정합론에 반대하여 정식화될 수 있다. 수준 상승은 정교한 지적 절차이고, 그래서 그것은 철학자들에게는 친숙한 절차이지만 철학을 전혀 연구해 본 일이 없는 사람들에게는 낯선 것으로 반박될 수 있을 것이다. 일상적 상황들 아래에서,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그들의 지각에 대한 신뢰성을 전제하며, 이러한 문제에 대한 실제적 믿음들을 형성함이 없이 그렇게 한다.<31> 다음 명제를 고찰해 보자.

(1) 나는 내 앞의 고양이 한 마리를 보고 있다.

그리고 나에게 (1)을 믿음에 있어서 나의 정당성을 약화시킬 어떠한 증거도 없다고 가정해 보자. 레러에 따르면, (1)은 오로지 내가 다음과 같은 추지의 일부 명제를 수용하는 한에서만 나의 수용 체계에 정합적이다.

(2) 현재 상황들 아래에서, 나의 지각들은 신뢰할 만하다.

그러나 설령 내가 (2)를 거짓이라 믿지 않는다 할지라도, 만약 내가 실제로 그것을 믿지도 않는다면 어찌 되는가? 아마도 나는 나의 지각들이 현재 상황들 아래에서 신뢰할 만한 것인지에 대한 물음에 대해 숙고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리고 따라서 그 문제에 대해 어떠한 믿음도 형성하지 않았을 것이다. 만일 그렇다면, 나는 정말로 (1)을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지 않는가? 나는 정당화되지 않지는 않으리라고 말하는 편이 합리적으로 보인다. 그럼르ㅗ 레러의 이론은 회의주의의 한 형태가 된다고 드러날 것인데 왜냐하면 그 이론은 정당성에 대해 지나치게 많은 것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일상적 상황들 아래에서 경험적 믿음들은 그저 (2)와 같은 믿음들에 의해 동반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합론에 대한 반박이 그렇게 결론내리듯, 레러가 부과하는 수준 상승의 요청은 일상적 경험적 미음들이 정당화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2) In reply to this objection, Lehrer could argue that, according to him, coherence does not require belief, but only acceptance about level ascent. And when we consider, he might say, how people typically form beliefs, draw inferences, and act upon their beliefs, quite clearly our verdict ought to be that people do accept, unless they have evidence to the contrary, that perception is a trustworthy source of information.
2) 이 반박에 답함에 있어서, 레러는 그에 따르면 정합성이 믿음을 요청하지 않고 단지 수준 상승에 대한 수용만을 요청한다고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아마도 그가 말할 것처럼 우리가 어떻게 사람들이 전형적으로 믿음들을 형성하고, 추론들을 도출하고, 그들의 믿음들에 따라 행위하는지 고려할 때, 꽤나 분명하게 우리의 평가는 사람들이 반대되는 증거를 가지지 않는 한 지각이 정보에 대한 신뢰할 만한 원천임을 수용한다는 것이어야 한다.

3) In fact, Lehrer makes a parallel move concerning competition. Recall that, according to Lehrer's coherentism, for me to be justified in believing

(1) I see a cat before me

(1) must beat any competitor - for example, the competitor

(3) I am hallucinating that there is a cat before me.

Suppose I haven't considered the matter of hallucination at all, and thus don't believe such things as

(4) I have not ingested any hallucinogenic substances;
(5) There is no indication of hallucination in my present experience.

Does this mean I am not justified in believing (1)? Lehrer handles this difficulty by saying the following:

It is not necessary that a person have reflected on the competitor for the competitor to be beaten, but it is necessary that the acceptance system of the person imply that it is more reasonable to accept the claim than the competitor. If the acceptance system of a person implies that it is more reasonable to accept that p than to accept that c, then the person must be in a state to think and reason as though this were true.<32>

Clearly, I can be in a state to think and reason as though (4) and (5) were true - that is, be in a state of accepting (4) and (5) - even if, because I have not reflected on the possibility of hallucination, I fail to believe (4) and (5).<33> Hence I can be justified in believing (1) even if (4) and (5) are not propositions I believe.
3) 사실상, 레러는 경쟁과 관련한 동일한 조치를 형성한다. 레러의 정합론에 따르면 내가 다음과 같은 것을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기 위해

(1) 나는 내 앞의 고양이 한 마리를 보고 있다

그를 위해 (1)은 반드시 어떠한 경쟁 명제든 격파해야만 한다는 점을 상기하자.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경쟁 명제

(3) 나는 내 앞에 고양이 한 마리가 있다는 환각을 겪고 있다.

내가 환각 문제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고, 따라서 다음과 같은 것들을 믿지 않는다고 가정해 보자.

(4) 나는 어떠한 환각 물질들도 섭취하지 않았다;
(5) 나의 현재 경험에 환각의 어떠한 징후도 없다.

이것은 내가 (1)을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지 않는다는 뜻인가? 레러는 이러한 난점을 다음과 같이 말함으로써 다루고 있다:

한 사람이 경쟁 명제에 대해서 그 경쟁 명제가 격파될 것인지 숙고하였을 필요는 없지만, 그 사람의 수용 체계가 그 주장을 수용하는 것이 경쟁 명제를 수용하는 것보다 더욱 합리적이라고 시사한다는 것은 필요하다. 만일 한 사람의 수용 체계가 c를 수용하는 것보다 p를 수용하는 것이 더욱 합리적임을 시사한다면, 그 사람은 반드시 이것이 참인 듯이 생각하고 추론하는 상태에 있어야만 한다.<32>

분명히, 나는 (4)와 (5)가 참일 것처럼 생각하고 추론하는 상태에 있을 수 있다 - 즉, (4)와 (5)를 수용하는 상태에 있을 수 있다 - 설령, 내가 환각 가능성에 대해 숙고하지 않았기 때문에, (4)와 (5)를 믿지 않는다 할지라도 말이다.<33> 따라서 나는 설령 (4)와 (5)가 내가 믿는 명제들이 아니라 할지라도 (1)을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될 수 있다.

4) The same reasoning can be applied to trustworthiness. I can be in a state to think and reason as though

(2) Under the present circumstances, my perceptions are trustworthy

were true - that is, be in a state of accepting (2) - even if I have no reflected on the trustworthiness of my perceptions, and thus have formed no belief about this matter. Hence Lehrer could reply to our objection that my being justified in believing (1) does not require that I actually believe (2). It only requires that I accept (2).
4) 동일한 추론이 신뢰성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나는 다음과 같다고 생각하고 추론하는 상태에 있을 수 있다.

(2) 현재 상황들 아래에서, 나의 지각들은 신뢰할 만하다

이 명제가 참인 것처럼 생각하고 추론하는 - 즉 (2)를 수용하는 - 상태 말이다. 설령 내가 나의 지각들에 대한 신뢰성에 대해 숙고하지 않았고, 따라서 이 문제에 대해 어떠한 믿음도 형성하지 않았을지라도 그러하다. 따라서 레러는 우리의 반박에 대해 (1)을 믿음에 있어서 나의 정당화됨은 내가 실제로 (2)를 믿는 것을 요청하지는 않는다고 응답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오로지 내가 (2)를 수용하는 것을 요청할 따름이다.

5) In the earlier section on acceptance, we discussed Lehrer's claim that acceptances are a subclass of beliefs and found reasons to suspect that this claim is false. This suspicion is now reinforced. For in order to defend his version of coherentism against the objection that ordinarily the required acceptances about competition and trustworthiness don't take the form of actual beliefs, Lehrer would have to say that these acceptances need not be beliefs.<34>
5) 수용에 대한 앞선 절에서, 우리는 수용들이 믿음들의 하위분류라는 레러의 주장을 논의하였고 이 주장이 거짓이라고 의심할 근거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혐의는 이제 강화된다. 그의 정합론 형태를 일상적으로 경쟁과 신뢰성에 대해 요청되는 수용들이 실제적 믿음들의 형태를 취하지 않는다는 반박에 맞서 옹호하기 위해서, 레러는 이러한 수용들이 믿음들일 필요가 없다고 말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34>

-蟲-
Chapter 6

Coherentism
정합론

Neurath's Metaphor
누라스의 비유

1) The supporting rationale of coherentism, the theoretical alternative to foundationalism, derives from rejecting the view that knowledge and justification rest on a foundation of basic beliefs. According to that view, justification can arise from neither an infinite regress nor a circular chain of justifying reasons. Foundationalists believe, therefore, that if there are justified beliefs at all, there must be basic beliefs. Coherentists, however, maintain that it is impossible for a belief to be basic on the ground that what justifies a belief must always be one or more other beliefs. Since they agree with foundationalists that an infinite regress of reasons can't justify, they must somehow make sense of the idea of circular justification: of beliefs justifying each other without there being any foundation or bedrock in which the process of justification can be grounded. Otto Neurath, one of the first philosophers to advocate coherentism, formulated the situation thus: "We are like sailors who must rebuild their ship upon the open sea."<1>
1) 토대론의 이론적 대안으로서 정합론의 근거를 뒷받침하는 것은 앎과 정당성이 기초적 믿음들의 토대에 의존한다는 관점을 거부함으로부터 비롯된다. 그 관점에 따르면, 정당성은 무한 소급으로부터도 정당화하는 추론들의 순환 연쇄로부터도 생겨날 수 없다. 그러므로 토대론자들은 만일 어쨌든 정당화된 믿음이 있다면, 반드시 기초적 믿음들이 있어야만 한다고 믿는다. 그렇지만 정합론자들은 한 믿음을 정당화하는 것은 반드시 언제나 하나 이상의 다른 믿음들이어야만 한다는 근거에서 한 믿음이 기초적이기는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그들이 추론의 무한 소급은 정당화할 수 없다는 점에서 토대론자들과 동의하므로, 그들은 반드시 어떤 식으로 순환적 정당성에 대한 생각을 해명해야만 한다. 즉 정당화의 과정이 근거지어질 수 있는 어떤 토대나 기반 없이 믿음들이 상호 정당화한다는 것을 설명해야만 한다. 정합론을 지지하는 손꼽히는 철학자들 중 한 사람인 오토 누라스 그 상황을 다음과 같이 정식화하였다. "우리는 바다 한 가운데에서 그들의 배를 재건해야만 하는 선원들과 같다."<1>

2) In order to make sense of Neurath's metaphor, we must recall that there are two different epistemological projects: one theoretical, the other practical. Epistemologists are interested in theoretical questions concerning the concepts of knowledge and justification, questions such as, What are the meanings of these concepts? What are the criteria for their application? and What is the range of their extension? But they are also interested in evaluating their own belief systems and revising them if necessary.<2> Neurath's metaphor is best interpreted as applying to this second project.
2) 누라스의 비유를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는 반드시 두 가지 상이한 인식론적 기획들이 있다는 점을 상기해야만 한다. 그 하나는 이론적인 것이고, 다른 하나는 실천적인 것이다. 인식론자들은 앎과 정당성이라는 개념들에 관련된 이론적 물음들에 관심을 갖는다. 그 물음들은 이러한 개념들의 의미들이 무엇인지, 그 개념들의 적용을 위한 기준들은 무엇인지, 그리고 그 개념들의 범위는 어떠한지와 같은 물음들이다. 그러나 그들은 또한 그들의 고유한 믿음 체계들을 평가하고 만일 필요하다면 그 체계들을 수정하는 일에도 관심을 가진다.<2> 누라스의 비유는 이 두 번째 기획에 적용함으로써 가장 잘 해석된다.

3) When we, as epistemologists, evaluate our beliefs in terms of what we take to be appropriate standards of justification, then we might find reasons to make changes in what we believe: to reject some of our beliefs and to adopt certain others. In terms of Neurath's metaphor, this means we might find out that our ship contains some rotten planks that need to be replaced with new and sound ones. If foundationalism were true, then we could simply remove our ship from the open sea, lay it up in a dock and inspect it from the outside, all the while resting firmly on solid ground. But since foundationalism is false, we can't do that. We can't leave the open sea, which is to say we can't go outside of the system of our beliefs. If we want to decide which beliefs - planks of our ship - we want to reject and which to retain, we can't assume an external point of view - enter a dock on firm ground - from which to inspect our entire belief system all at once. Rather, all we can do is inspect our belief system from within - remaining afloat on the open sea, as it were - with no choice but to evaluate particular beliefs that strike us as questionable in terms of what else we believe.
3) 인식론자들과 같이 우리가 우리의 믿음들을 우리가 정당성에 대한 적합한 표준들로 여기는 것으로 평가할 때, 우리는 아마도 우리가 믿는 것에 있어서 변화를 꾀해야 하는 이유들을 발견할지도 모른다. 즉 우리의 믿음들 중 일부는 거부하고 특정한 다른 믿음들은 채택하는 그러한 변화 말이다. 누라스의 비유로는, 이것은 우리가 우리의 배가 새롭고 튼튼한 목재들로 교체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일부 썩은 판자들을 포함하고 있음을 우리가 알아차리게 될 것이라는 뜻이다. 토대론이 옳다면, 우리는 간단히 망망대해로부터 우리의 배를 끌어내 수 있을 것이고, 그 배를 항구에 정박시키고 외부로부터 그 배를 점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는 내내 견고한 토대에 확실하게 의지하면서 말이다. 그러나 토대론은 거짓이므로, 우리는 그렇게 할 수 없다. 우리는 바다 한 가운데에서 떠날 수 없고, 그것은 곧 우리가 우리의 믿음들의 체계 밖으로 나갈 수 없다는 말이다. 만일 우리가 어떤 믿음들 - 우리 배의 판자들 - 이 우리가 거부하고자 하는 것이고 또 유지하려는 것인지 결정하고자 한다면, 우리는 우리의 전체 믿음 체계를 동시적으로 점검할 외재적 관점 - 확고한 토대에 정박하는 - 을 가정할 수 없을 것이다. 오히려,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은 우리의 믿음 체계를 내부로부터 - 말하자면 망망대해에 떠 있는 채로 남아서 - 우리에게 의문시되는 것으로 여겨지는 특정한 믿음들을 우리가 믿는 다른 어떤 믿음들로 평가하는 것 외에 다른 어떤 선택지도 없이 점검하는 것뿐이다.

4) The point of Neurath's metaphor can be summed up by saying that when we avaluate our beliefs and attempt to make appropriate changes, there is no exit from the circle of our beliefs. But this, so coherentists would argue, affects not only the practical project of making changes to our belief system but also the theoretical project of identifying what it is that makes justified beliefs justified. For if we are like sailors on the open sea of our beliefs, then a belief's justification can be derived from nothing but other beliefs. Hence coherentists hold that epistemic circularity - the idea of beliefs justifying each other - is not such a bad idea after all. As Laurence Bonjour aptly puts it: "Having rejected both foundationalism and the actual-infinite-regress position [according to which an actual infinite regress can generate justification], coherentists must hold … that the regress of empirical justification moves in a circle."<3>
4) 누라스 비유의 핵심은 우리가 우리의 믿음들을 평가하고 적절한 변경들을 행하고자 시도할 때, 우리의 믿음들의 원환으로부터 그 어떠한 탈출구도 없다고 말함으로써 요약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정합론자들이 그렇게 주장할 것과 같이, 우리의 믿음체계에 변화들을 꾀하는 실천적 사업만이 아니라 정당화된 믿음들을 정당화되도록 만드는 그것이 무엇인지 규정하려는 이론적 기획에도 또한 영향을 미친다. 왜냐하면 만일 우리가 우리의 믿음들이라는 망망대해 위의 선원들과 같다면, 한 믿음의 정당성은 다른 어떤 것도 아니라 다른 믿음들로부터만 도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합론자들은 인식적 순환성 - 상호 정당화하는 믿음들에 대한 발상 - 이 어쨌건 그렇게 나쁜 착상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로렌스 봉주르가 적절하게 말하였듯이, "토대론과 실제적-무한-소급 입장[그 입장에 따르면 실제적 무한 소급이 정당성을 산출할 수 있다]을 모두 거부하면, 정합론자들은 반드시 … 경험적 정당화의 소급이 순환적으로 이루어진다고 주장해야만 한다."<3>


Coherentism and Circularity
정합론과 순환성

1) It is sometimes said that, according to coherentism, circular justification is just fine provided the circle of justifying beliefs is sufficiently large.<4> But it is quite mysterious how a circle's size could have any effect on its justificatory capacity. If we agree that a small circle can't justify, why should we assume that a large one can?
1) 정합론에 따르면 때로 순환적 정당성은 충분히 큰 정당화하는 믿음들의 원환으로 훌륭하게 제공된다고 이야기되곤 한다.<4> 그러나 어떻게 원환의 크기가 그 정당화 능력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을는지에 대해서는 꽤나 이해하기 어렵다. 만일 우리가 작은 원환은 정당화할 수 없다는 데에 동의한다면, 어째서 우리가 큰 원환은 그럴 수 있다고 가정해야 하는가?

2) Before concerning ourselves with large-scale circularity, let's consider what reason there is in the first place for viewing the idea of circular justificaiton as objectionable. The argument against circularity rests on two premises. First, self-justification is impossible; a belief can't be its own justifier or contribute to its own justification.<5> Second, the relation "x is a justifier for y" is transitive: for any three beliefs, B1, B2, and B3, if B1 is a justifier for B2 and B2 is a justifier for B3, then B1 is a justifier for B3.<6> To see how the argument goes, consider three beliefs, B1, B2, and B3, and assume they form a small circular justificatory chain:

B1 justifies B2, B2 justifies B3, and B3 justifies B1.

If we now take into account the second premise asserting the transitivity of "x is a justifier for y," we get

B1 is a justifier for B1.<7>

But the first premise tells us that a belief can't contribute to its own justification. Thus it's impossible for B1 to be a justifier for itself. Hence either there is, in addition to B2 and B3, a further belief that justifies B1, or the justification of B1 remains mysterious.
2) 대규모 순환성에 관계하기에 앞서, 순환적 정당화라는 발상을 반박 가능한 것으로 간주하는 데에 우선 어떤 이유가 있는지 고찰해 보도록 하자. 순환성에 반대하는 논증은 두 가지 전제들에 의존한다. 첫째, 자기-정당화는 불가능하다. 즉 한 믿음은 그 자신의 정당화항이거나 그 자신의 정당성에 기여하는 것일 수 없다.<5> 둘째, "x는 y에 대한 정당화항이다"라는 관계는 이행적이다. 즉 어떠한 세 가지 믿음들, B1, B2, B3에 대해서든 만일 B1이 B2에 대해 정당화항이고 B2가 B3에 대해 정당화항이라면, B1은 B3의 정당화항이다.<6> 논증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보기 위해, 세 가지 믿음들 B1, B2, B3를 고찰하고 그 믿음들이 소규모 순환적 정당화 연쇄를 형성한다고 가정하자.

B1은 B2를 정당화하고, B2는 B3를 정당화하면, B3는 B1을 정당화한다.

만일 우리가 이제 "x는 y에 대해 정당화항이다"에 대한 이행성을 주장하는 두 번째 전제를 고려해 넣는다면, 우리는 다음과 같은 명제를 얻는다.

B1은 B1에 대해 정당화항이다.<7>

그러나 첫 번째 전제는 우리에게 한 믿음이 그 자신의 정당성에 기여할 수 없음을 말해준다. 따라서 B1이 그 자신에 대한 정당화항이 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B2와 B3에 덧붙여 B1을 정당화하는 추가적인 믿음이 있거나, 아니면 B1의 정당성은 이해할 수 없는 것으로 남는다.

3) This argument applies to any circle, however large it may be. We must conclude, therefore, that simply increasing the number of beliefs a justificatory circle contains does not avoid the main problem of circularity - that circular reasoning collapses into self-justification. Hence there can be no such thing as a belief that is justified through a circular chain of reasons.<8>
3) 이 논증은 어떠한 원환에든 적용되지만, 큰 원환에 대해서는 그럴지도 모른다. 우리는 그러므로 단순히 정당화하는 원환이 포함하는 믿음들의 수를 증대시키는 것만으로는 순환성의 주요 문제를 피할 수 없다고 결론내려야만 한다 - 즉 순환 추론은 자기-정당화로 붕괴되어 버린다는 것이다. 따라서 추론들의 순환 연쇄를 통해 정당화되는 그런 어떠한 믿음도 있을 수 없다.<8>

4) How can this result be reconciled with Bonjour's statement that coherentists are committed to circularity? As Bonjour points out, to give coherentism a fair hearing, we must replace the linear conceptual framework within which the regress problem arises with a holistic conception of justification. In reply to the argument we just considered, Bonjour writes:

The crucial, though tacit, assumption which underlies this seemingly devastating line of argument is the idea that inferential justification is essentially linear in character, that it involves a one-dimensional sequence of beliefs, ordered by the relation of epistemic priority, along which epistemic justification is passed from the earlier to the later beliefs in the sequence via connections of inference. It is just this linear conception of justification which generates the regress problem in the first place. [Hence coherentists must] repudiate the linear conception of justification in its entirety.<9>

What coherentists must put in the place of the linear conception is, in the words of Laurence Bonjour, the view that justification is

essentially systematic or holistic in character: beliefs are justified by being inferentially related to other beliefs in the overall context of a coherent system.<10>

As we pointed out in the previous chapter, if a particular belief's justification is viewed as a relation between it and the doxastic system of which it is a member, we need no longer search for a solution to the regress problem because this problem doesn't arise in the first place. Consider a particular belief B. Coherentists would say that whether it is justified depends on whether it enjoys membership in coherent belief system. Suppose B does not. In this case, no regress problem arises. Now suppose it does. In that case, it isn't particular beliefs - say, B*, B**, and so on - that are candidates for conferring justification on B, but rather the entire doxastic system of which B is a member, whose justification in turn is generated by coherence. So in that case, a regress problem doesn't arise either.<11>
4) 어떻게 이러한 결론이 정합론자들은 순환을 저지르게 된다는 봉주르의 진술과 조화될 수 있는가? 봉주르가 지적하듯, 정함론을 공평하게 대하기 위해서, 우리는 소급 문제가 발생하는 선형 개념적 틀을 전체론적 정당성 개념으로 대체해야만 한다. 우리가 방금 고찰한 논증에 답함에 있어서, 봉주르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비록 암묵적일지라도 외견상 파괴적인 이러한 논증 노선 기저에 자리하는 결정적 전제는 추론적 정당성이 본질적으로 그 성격에 있어서 선형적이라는 것이며, 그것이 믿음들의 1차원적 연속, 그에 따라 인식적 정당성이 더 앞선 믿음으로부터 더 뒤의 믿음들로 연속적으로 추론 결합들을 통하여 이행되는 그러한 인식적 우선성의 관계에 의해 질서지워진 연속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그것이 최초에 소급 문제를 산출하는 바로 이 선형적 정당성 개념이다. [따라서 정합론자들은 반드시] 선형적 정당성 개념을 그 전체에 있어서 거부하여야만 한다.<9>

정합론자들이 선형적 개념의 자리에 반드시 두어야만 하는 것은, 로렌스 봉주르의 말로 하자면, 다음과 같은 관점이다.

정당성은 본질적으로 체계적이거나 그 성격에 있어서 전체적이다. 즉 믿음들은 종합적인 정합적 체계의 문맥 안에서 다른 믿음들과 추론적으로 관계됨에 의해 정당화된다는 것이다.<10>

우리가 앞선 장에서 지적하였듯이, 만일 특정한 믿음의 정당성이 그 믿음과 그 믿음이 구성요소로 속하는 사견적 체계 사이의 관계로 간주된다면, 우리는 더 이상 소급 문제의 해결책을 모색할 필요가 없는데, 왜냐하면 이 문제는 처음부터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특정한 믿음 B를 고려해 보자. 정합론자들은 그 믿음이 정당화되는지 여부가 그 믿음이 정합적 믿음 체계에서 구성요소의 자격을 누리는지 여부에 의존한다고 말할 것이다. B가 그렇지 않다고 가정해 보자. 이 경우, 어떠한 소급 문제도 일어나지 않는다. 이제 그 믿음이 그렇다고 가정해 보자. 그 경우, 그 믿음은 특수한 믿음 - 말하자면 B*, B** 등 - B에 정당성을 부여할 후보들인 그러한 믿음들이 아니라, 오히려 B가 그 구성요소인 사견적인 전체 체계, 그 체계의 정당성이 정합성에 의해 산출되는 그러한 체계이다. 그래서 그 경우, 소급 문제는 또한 발생하지 않는다.<11>

5) Of course, if we explain a particular belief's justification by saying that it is a member of a coherent system of beliefs, we may wonder precisely which conditions a belief system must meet in order to enjoy coherence. This brings us to our next topic: What are the elements of coherence?
5) 물론, 만일 우리가 한 특정한 믿음의 정당성을 그 믿음이 정합적 믿음 체계의 구성요소라고 말함으로써 설명한다면, 우리는 아마도 정확히 어떤 조건들이 한 믿음 체계가 정합성을 누리기 위해 충족시켜야만 하는 조건들인지 궁금해할 것이다. 이것은 우리에게 우리의 다음 주제를 가져온다. 정합성의 요소들은 무엇인가?


Putative Elements of Coherence
추정되는 정합성의 요소들

1) In this section, we shall discuss three potential contributors to a belief system's coherence: (i) entailment relations, (ii) logical consistency, and (iii) explanatory relations.
1) 이 절에서, 우리는 한 믿음 체계의 정합성에 대한 세 가지 잠재적 기여자들을 논의할 것이다. (i) 논리적 함축 관계들, (ii) 논리적 일관성, 그리고 (iii) 설명적 관계들.

2) A belief B1 entails a belief B2 if and only if it is impossible that B1 is true and B2 false. Does a belief system's coherence increase to the extent its members entail one another? At first sight, an affirmative answer to this question seems plausible. After all, the more entailment relations obtain among my beliefs, the more tightly they would appear to be interwoven.<12> The following consideration, however, strongly suggests a negative answer. If entailment relations could generate coherence, then deductive logic could be used to generate coherence in any belief system whatever. Suppose you hold two beliefs:

(1) A
(2) B

Since it is a law of logic that Q entails If P then Q, deductive logic tells us that you are entitled to believe

(3) If A, then B.
(4) If B, then A.

If entailment relations can generate coherence, we are now looking at a small belief system that enjoys a high degree of coherence by virtue of the following entailments:

(i) (1) entails (4).
(ii) (2) entails (3).
(iii) (1) and (3) entail (2).
(iv) (2) and (4) entail (1).

Since such a maneuver can be repeated over and over again, you can add on to your initial stock of beliefs whatever further beliefs strike your fancy, thus creating a tightly interwoven doxastic system of whatever size and richness you desire. Deductive logic can thus be used to make any belief system coherent, no matter how absurd and therefore unjustifiable it is. This strongly suggests that a belief system's internal entailment relations don't contribute to its coherence.<13>
2) 한 믿음 B1이 믿음 B2를 논리적으로 함축한다 iff B1이 참이면서 B2가 거짓이기는 불가능하다. 하나의 믿음 체계의 정합성은 그 체계의 구성요소들이 논리적으로 상호함축하는 범위를 증대시키는가? 직관적으로, 이 물음에 대한 긍정적 답변이 그럴 성싶어 보인다. 무엇보다도, 나의 믿음들 사이에서 논리적 함축 관계들을 더욱 많이 획득할 수록, 그 믿음들이 더욱 더 긴밀하게 직조되는 것으로 보일 터이다.<12> 그렇지만 다음 고찰은 강력하게 부정적 답변을 제안한다. 만일 논리적 함축 관계들이 정합성을 산출할 수 있을 것이라면, 연역 논리는 무엇이 되었든 어떠한 믿음체계들에 있어서도 정합성을 산출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당신이 다음 두 가지 믿음들을 지닌다고 가정해 보자.

(1) A
(2) B

P이면 Q라면 Q
Since it is a law of logic that Q entails If P then Q, deductive logic tells us that you are entitled to believe
Q가 P이면 Q임을 논리적으로 함축한다는 것은 논리법칙이므로, 연역 논리는 우리에게 당신이 다음과 같이 믿을 자격이 있음을 말해준다.

(3) 만일 A이면, B이다.
(4) 만일 B이면, A이다.

만일 논리적 함축 관계들이 정합성을 산출할 수 있다면, 우리는 지금 다음 논리적 함축들 덕분에 고도의 정합성을 향유하는 소규모 믿음 체계를 보고 있다.

(i) (1)은 (4)를 논리적으로 함축한다.
(ii) (2)는 (3)을 논리적으로 함축한다.
(iii) (1)과 (3)은 (2)를 논리적으로 함축한다.
(iv) (2)과 (4)는 (1)을 논리적으로 함축한다.

이같은 전략은 거듭해서 반복될 수 있으므로, 당신은 당신의 믿음들의 첫 비축분에 무엇이든 당신 마음에 드는 추가적인 믿음들을 덧붙일 수 있고, 따라서 어떠한 크기로도 또 어떤 풍부함으로든 당신이 원하는대로 긴밀하게 직조된 사견적 체계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연역 논리는 따라서 어떠한 믿음 체계든 정합적으로 만들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그 체계가 얼마나 부조리하고 그에 따라 얼마나 정당화가 불가능한지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는 믿음 체계의 내재적인 논리적 함축 관계들이 그 체계의 정합성에 기여하지 않음을 강력하게 시사한다.<13>

3) Let us continue with consistency. A system of beliefs {B1, B2, …Bn} is consistent if and only if it is possible for all members of that system to be true. Our question is whether consistency contributes to coherence in the sense that it is necessary for coherence, and thus, according to coherentism, necessary for justification. That is, we are to ask whether a belief system lacking consistency is necessarily a belief system lacking justification. If it isn't, then coherentists would have to conclude that even an inconsistent belief system can enjoy coherence.
3) 일관성에 대해서 이어가 보자. 믿음들 {B1, B2, …Bn}의 한 체계는 일관적이다 iff 그 체계의 모든 구성요소가 참인 것이 가능하다. 우리의 물음은 일관성이 정합성에 대해 필연적이라는 의미에서, 따라서, 정합론에 따르면, 정당성에 대해 필연적이라는 의미에서 정합성에 기여하는지 여부이다. 즉, 우리는 일관성을 결여한 믿음 체계가 필연적으로 정당성을 결여한 믿음체계인지 묻게 될 것이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정합론자들은 비일관적 믿음 체계까지도 정합성을 향유할 수 있다고 결론내려야 할 것이다.

4) Now, it is not difficult to imagine a belief system that lacks consistency, yet is justified. Consider the following two propositions:

P1    If two collections of grains of sand differ in number by just one grain, then either both collections are heaps of sand or neither is.
P2    If a collection of grains of sand contains one grain only, then it is not a heap of sand.

P1 and P2 are inconsistent with each other. If P1 is true, then P2 is false.<14> However, we can imagine situations in which you would be justified in believing both P1 and P2, for the inconsistency in question is not immediately obvious; it takes some thinking and ingenuity to discover it. Someone who is unaware of it might very well be justified in believing both propositions.
4) 이제, 일관성을 결여했지만 정당화되는 믿음 체계를 상상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다음 두 가지 명제들을 고찰해 보자.

P1    만일 두 모래 더미들이 단지 모래 한 알로만 수에서 차이가 있다면, 두 더미들 모두 모래 더미이거나 아니면 둘 모두 그렇지 않다.
P2    만일 모래알들의 집합이 단 하나의 모래알만을 포함한다면, 그것은 모래 더미가 아니다.

P1과 P2는 상호 비일관적이다. 만일 P1이 참이라면, P2는 거짓이다.<14> 그렇지만, 우리는 당신이 P1과 P2 모두를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될 그러한 상황들을 상상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문제가 되는 비일관성이 즉각적으로 분명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그 점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생각과 기발함이 필요하다. 그에 대해 알아차리지 못하는 누군가는 두 명제들 모두를 믿음에 있어서 매우 잘 정당화될 수 있을 것이다.

5) A famous example of a set of inconsistent, yet justified, beliefs is that of Frege's basic laws of arithmetic. Frege proposed these laws as the result of a long and careful study. Nevertheless, he failed to see the inconsistency they involved until Bertrand Russell sent him a letter demonstrating that inconsistency. What matters about this example is this: We can't say that Frege's belief in the laws he proposed was unjustified simply because they were inconsistent with one another. Had Frege overlooked the inconsistency as a result of carelessness or hastiness, then we would have a reason for denying that he was justified in believing them. However, in the absence of such a reason, we must grant that Frege's belief in these laws was justified.<15> Hence we must conclude that if a belief's justification is a function of its coherence with other beliefs, consistency is not a necessary condition of coherence.<16>
5) 비일관적이지만 정당화되는 일련의 믿음들에 대한 유명한 사례는 프레게의 산술기본법칙들에 대한 사례이다. 프레게는 이러한 법칙들을 길고 신중한 연구의 결과로 제안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그러한 법칙들이 포함하고 있던 비일관성을 버트란드 러셀이 그에게 그 비일관성을 증명하는 한 통의 편지를 보내기 전까지 알아보지 못했다. 이 사례의 문제되는 것은 이것이다. 즉 우리는 프레게가 제안하였던 법칙들에 대한 그의 믿음이 단순히 그 법칙들이 상호 비일관적이라는 이유만으로 정당화되지 않았다고 말할 수 없다. 프레게가 부주의와 경솔함의 결과로 그 비일관성을 간과했다면, 우리는 그가 그 법칙들을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었다는 것을 부정할 이유를 가질 것이다. 그렇지만, 그러한 이유가 부재하는 와중에, 우리는 이러한 법칙들에 대한 프레게의 믿음이 정당화되었었다고 받아들여야만 한다.<15> 따라서 우리는 반드시 만일 한 믿음의 정당성이 그 믿음과 다른 믿음들과의 정합성에 대해 상관관계에 있다면, 일관성은 정합성의 필요조건이 아니라고 결론내려야만 한다.<16>

6) Finally, let us turn to the question of how a belief system is related to explanatory relations among its members.<17> Coherentists such as Keith Lehrer and Laurence Bonjour maintain that a belief system's members are the better justified the more the belief system exhibits what they call "explanatory coherence." A belief can enjoy explanatory coherence either by explaning other beliefs or by being explained by other beliefs. Consider the following three beliefs:

(5) He missed the nail and hit his thumb;
(6) He cursed and kicked a chair;
(7) He was durnk.

(5) explains (6): he cursed and kicked a chair because he missed the nail and hit his thumb. Furthermore, (5) is explained by (7): the reason he missed the nail and hit his thumb was that he was drunk.<18> Coherentists would say that the epistemic status of (5) is increased by the fact that it both explains and is explained by other beliefs.
6) 끝으로, 어떻게 믿음 체계가 그 체계의 구성요소들 사이의 설명적 관계들에 관계되는지에 대한 물음으로 돌아서 보도록 하자.<17> 케이스 레러와 로렌스 봉주르 같은 정합론자들은 믿음 체계의 구성요소들은 그 믿음 체계가 그들이 "설명적 정합성"이라 부르는 것을 더욱 많이 내보일 수록 더 잘 정당화된다고 주장한다. 하나의 믿음은 다른 믿음들을 설명함으로써, 혹은 다른 믿음들에 의해서 설명됨으로써 설명적 정합성을 향유할 수 있다. 다음 세 가지 믿음들을 고찰해 보자.

(5) 그는 못을 놓쳤고 그의 엄지손가락을 쳤다.
(6) 그는 욕지기를 뱉었고 의자를 걷어 찼다.
(7) 그는 취해 있었다.

(5)는 (6)을 설명한다. 그는 욕지기를 하고 의자를 걷어 찼는데 왜냐하면 그가 못을 놓치고 그의 엄지손가락을 쳤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서 (5)는 (7)에 의해 설명된다. 그가 못을 놓치고 그의 엄지손가락을 친 이유는 그가 취해있었다는 것이다.<18> 정합론자들은 (5)의 인식적 지위가 그 믿음이 다른 믿음들을 설명하고 또 다른 믿음들에 의해 설명되기도 한다는 사실에 의해 증대된다고 말할 것이다.

7) In order for a belief to be justified, must it bear explanatory relations to other beliefs? It would seem the answer is "no." For example, let us imagine a situation with the following features: First, you believe.

(8) I am nervous.

Second, you are justified in believing (8). Third, you believe nothing that explains, or is explained by, (8). About this situation, we are not assuming that there is no explanation of your nervousness. We are only imagining that you have no idea of what the explanation is. Unless coherentists can convince us that such a situation is impossible, we are to conclude that explanatory coherence is not a necessary condition of justification.
7) 한 믿음이 정당화되기 위해서, 그 믿음이 반드시 다른 믿음들과 설명적 관계들을 맺어야만 하는가? 그 대답은 "아니오"인 듯 싶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다음 특성들을 지닌 한 상황을 상상해 보자. 우선, 당신은 다음과 같이 믿는다.

(8) 나는 불안하다.

두 번째로, 당신은 (8)을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 셋째, 당신은 (8)을 설명하거나 혹은 (8)에 의해 설명되는 어떤 것도 믿고 있지 않다. 이 상황에 대해서, 우리는 당신의 불안에 대한 아무런 설명도 없다고 가정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오로지 당신이 설명인 그 어떤 것에 대해 아무 생각도 갖고 있지 않다고 상상하고 있을 따름이다. 정합론자들이 우리로 하여금 그러한 상황이 불가능하다고 설득할 수 없는 한, 우리는 설명적 정합성이 정당성의 필요조건은 아니라고 결론내리게 될 것이다.

8) On the other hand, even though explanatory coherence might not be necessary for coherence, it could nevertheless be claimed to be such that it adds to, or increases, a belief's justification. Though there is no obvious reason to reject this suggestion, a problem arises from the fact that there are good and bad explanations. How are we to distinguish between them? Compare the following beliefs:

(9) I believe my cat is meowing;
(10) My cat is meowing;
(11) An evil demon makes me believe that my cat is meowing.

(10) strikes us a better explanation of (9) than does (11), but why? On what grounds can we prefer (10) to (11)? Because of the absurdity of (11), the problem would not appear to be serious. After all, if we compare how (10) and (11) in turn can be explained, it would seem that preference should be given to a scientific explanation in terms of digestive processes over an explanation in terms of demonology.
8) 다른 한 편으로, 설령 설명적 정합성이 정합성에 대해 필연적이지 않을지 모른다 할지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것이 한 믿음의 정당성에 추가되거나 그 정당성을 증대시킨다고 주장될 수 있다. 이 제안을 거부할 어떠한 명백한 이유도 없다 할지라도, 좋은 설명과 나쁜 설명이 있다는 사실로부터 문제가 발생한다. 어떻게 우리가 그것들을 구분하게 될 것인가? 다음 믿음들을 비교해 보자.

(9) 나는 나의 고양이가 야옹거리고 있다고 믿는다.
(10) 나의 고양이가 야옹거리고 있다.
(11) 사악한 악마가 나로 하여금 내 고양이가 울고 있다고 믿도록 만든다.

(10)은 우리에게 (9)에 대해 (11)보다 더 나은 설명으로 여겨지지만, 왜 그러한가? 어떠한 근거들에서 우리는 (11)보다 (10)을 더 선호할 수 있는가? (11)의 부조리 때문에, 문제는 그리 심각한 것으로 보이지 않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만일 우리가 (10)과 (11)이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지 비교한다면, 악마론 설명보다 요약적 과정들을 통한 과학적 설명에 선호가 주어져야 할 것처럼 보일 것이다.

9) Yet the problem of distinguishing between good and bad explanations should not be underestimated, for alternative explanations need not be as far-fetched as (11). Thus Richard Fumerton writes: "If you want an example of an intuitively implausible system of beliefs with maximum explanatory power and simplicity, look at Berkeley's theory of perception."<19> Fumerton's point is this. Whereas our ordinary, commonsense view of the world as a collection of physical objects is justified (assuming a nonskeptical, science-oriented point of view), a Berkeleyan view of the world as a collection of immaterial ideas is not. Yet our scientific worldview fails to beat Berkeley's immaterialism as far as explanatory coherence is concerned.
9) 하지만 좋은 설명과 나쁜 설명의 구분 문제는 경시되지 않아야 할 것인데, 왜냐하면 대안적 설명들은 (11) 만큼 설득력 없을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리차드 퍼머톤은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만일 당신이 직관적으로 아니다 싶은, 최대치의 설명력과 단순성을 갖춘 믿음들의 체계에 대한 사례를 바란다면, 지각에 대한 버클리의 이론을 살펴 보라."<19> 퍼머톤의 요지는 이것이다. 물리적 대상들의 총체로서 우리의 일상적, 상식적 세계관이 정당화되는 반면에 (비회의적, 과학-지향적 관점을 전제하면), 비물질적 관념들의 총체로서 버클리주의 세계관은 정당화되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의 과학적 세계관은 설명적 정합성이 관련되는 한 버클리의 비물질주의를 패배시키는 데에 실패한다.

10) The force of this objection should not, however, be overstated. The objection makes it clear that it is not easy to explain what makes one explanation better than another. It also shows that there must be more to coherence than explanatory relations. It does not, however, provide us with a compelling reason to dismiss the idea that explanatory relations between beliefs can contribute to a belief system's coherence.
10) 그렇지만 이러한 반박의 힘은 과장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그 반박은 하나의 설명을 다른 설명보다 더 낫게 만드는 것을 설명하는 일이 쉽지 않다는 것을 분명하게 만든다. 그것은 또한 정합성에는 반드시 설명적 관계들보다 더 많은 것이 있어야만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렇지만 그것은 우리에게 믿음들 사이의 설명적 관계들이 믿음 체계의 정합성에 기여할 수 있다는 생각을 기각시킬 강제적 이유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11) Keith Lehrer and Laurence Bonjour both take explanatory relations to be an ingredient of coherence.<20> Alas, when they actually begin to spell out how a coherence theory of justification is supposed to work in detail, explanatory coherence drops out of the picture. Instead, they give an account of what coherence amounts to in terms of defeasibility and level ascent, or metajustification. Let us, then, proceed to examine what shape and form a belief system's coherence assumes in the theories of Lehrer and Bonjour.
11) 케이스 레러와 로렌스 봉주르는 모두 설명적 관계들을 정합성의 재료인 것으로 받아들인다.<20> 오호, 통재라, 그들이 실제로 어떻게 정당성에 대한 정합론이 구체적으로 작동한다고 생각되는지 설명하기 시작했을 때, 설명적 정합성은 그 그림에서 탈락되었다. 대신에, 그들은 정합성이 무엇에 해당되는지에 대한 설명으로 상쇄가능성과 수준 상승, 또는 초정당성과 같은 말들으르 제시하였다. 그래서 우리는 레러와 봉주르의 이론들에 있어서 믿음 체계의 정합성이 어떤 형태와 형식을 전제하는지 검토를 수행해 보도록 하자.

-蟲-
Classical Foundationalism
고전적 토대론

1) A foundationalist account of justification must, as we have seen, provide an answer to two questions: (i) What makes a belief basic? (ii) How is justification transmitted from basic to nonbasic beliefs? Different versions of foundationalism answer these questions differently. In this section of the chapter we shall study three such versions: classical, strong, and minimal foundationalism.
1) 정당성에 대한 토대론적 설명은 우리가 보았듯 반드시 다음 두 가지 물음에 대해 답변을 제공해야만 한다: (i) 무엇이 믿음을 기초적으로 만드는가? (ii) 어떻게 정당성은 기초적 믿음으로부터 비기초적 믿음으로 전이되는가? 상이한 형태의 토대론들은 이러한 물음들에 상이하게 답변한다. 이 절에서 우리는 그러한 세 가지 형태들을 연구할 것이다. 즉 고전적 토대론, 강한 토대론, 그리고 축소된 토대론이 그것들이다.

2) According to classical foundationalism, a belief cannot be justified unless what justifies it provides the subject with a guarantee of its truth. Now in order for us to get a guarantee of truth extending to both basic and nonbasic beliefs, two conditions would have to be met: basic beliefs would have to be infallible, and nonbasic beliefs would have to follow deductively from basic beliefs. According to classical foundationalism, then, basic beliefs cannot be false, and nonbasic beliefs receive their justification from basic beliefs via deduction. An example of classical foundationalism is Descartes's epistemology. In his Meditations on First Philosophy, Descartes attempted to prove the existence of an external world from such infallible certainties as "I exist" and "I am thinking."
2) 고전적 토대론에 따르면, 믿음은 그 믿음을 정당화하는 것이 주체에게 그 믿음의 참을 보장하지 않는 한 정당화될 수 없다. 이제 우리가 기초적 믿음들과 비기초적 믿음들 모두에 확장하는 참에 대한 보장을 얻기 위해서, 두 가지 조건들이 충족되어야 할 것이다. 그 두 가지 조건들은 기초적 믿음들이 오류불가능적이어야 하리라는 것과, 비기초적 믿음들이 기초적 믿음들로부터 연역적으로 귀결해야 하리라는 것이다. 그래서 고전적 토대론에 따르면 기초적 믿음들은 거짓일 수 없고, 비기초적 믿음들은 기초적 믿음들로부터 연역을 통하여 그 정당성을 받는다. 고전적 토대론의 일례는 데카르트의 인식론이다. 그의 『제일철학에 대한 성찰』에서 데카르트는 "내가 존재한다"와 "내가 생각하고 있다"와 같은 오류불가능한 확실성들로부터 외부 세계의 존재를 증명하고자 시도한다.

3) Among contemporary philosophers, it would be quite difficult to find advocates of classical foundationalism. In fact, today there is widespread agreement that classical foundationalism is a philosophical dead end. To appreciate the reasons for this verdict, we must distinguish between appearance beliefs (a subspecies of introspective beliefs) and physical object beliefs. Thus beliefs such as "I am appeared to redly" or "There appears to be a triangular object before me" are appearance beliefs. In contrast, physical object beliefs are about the physical world itself; examples are "This object is red" and "There is a triangular object before me." Now, what matters about physical object beliefs is that they are fallible. When we form beliefs about the world around us, there is always some risk of error involved.
3) 현대 철학자들 중에서, 고전적 토대론의 지지자들을 발견하기란 꽤나 어려울 것이다. 사실상, 오늘날에는 고전적 토대론이 철학적으로 막다른 길에 놓였다는 광범위한 동의가 있다. 이러한 평가의 근거들을 통찰하기 위해서, 우리는 반드시 외양적 믿음들 (내성적 믿음들의 아종) 과 물리적 객체 믿음들을 구분해야만 한다. 따라서 "내게 붉게 보인다" 혹은 "내 앞에 삼각형 물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와 같은 믿음들은 외양적 믿음들이다. 반대로, 물리적 객체 믿음들은 물리적 세계 자체에 대한 믿음들이다. 그 예시들은 "이 물체는 붉다"와 "내 앞에 삼각형 물체가 있다"이다. 이제, 물리적 객체 믿음들에 대한 문제는 그 믿음들이 오류가능적이라는 점이다. 우리가 우리 주변 세계에 대한 믿음들을 형성할 때, 언제나 어느 정도 오류의 위험이 포함된다.

4) What, then, is so objectionable about classical foundationalism? To begin with, since physical object beliefs are fallible, classical foundationalists must exclude them from the foundation. Rather, the foundation must consist of beliefs that, unlike physical object beliefs, are infallible. Appearance beliefs are supposed to fill the bill: according to foundationalists, they are infallible. But are they really infallible? Critics of foundationalism would say that the number of infallible beliefs is extremely limited, even among appearance beliefs.<26> If they are right, then classical foundationalism would imply that the number of basic beliefs is extremely small, restricted to beliefs such as "I exist" and "I am thinking right now." Certainly that would be a serious problem for classical foundationalism, for we may wonder how the entire range of our physical object beliefs could be justified by such a thin foundation.
4) 그러면 고전적 토대론에 대해서 무엇이 그렇게 반박할 만한 것인가? 우선, 물리적 객체 믿음들은 오류가능적이므로, 고전적 토대론은 반드시 그러한 믿음들을 토대로부터 배제시켜야만 한다. 오히려, 그 토대는 반드시 물리적 객체 믿음들과 달리 오류불가능한 믿음들로 구성되어야만 한다. 외양적 믿음들은 그러한 값을 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즉 토대론자들에 따르면, 외양적 믿음들은 오류불가능하다. 그러나 그 믿음들이 정말로 오류불가능한가? 토대론의 비판자들은 외양적 믿음들 중에서조차 오류불가능한 믿음들의 수가 극도로 제한된다고 말할 것이다.<26> 만일 그들이 옳다면, 고전적 토대론은 기초적 믿음들의 수가 극도로 적고, "내가 존재한다"와 "바로 지금 내가 생각하고 있다" 같은 믿음들에 제한된다는 것을 시사할 것이다. 확실히 그것은 고전적 토대론에게 심각한 문제일 것인데, 왜냐하면 우리는 아마도 어떻게 물리적 객체 믿음들의 전체 범위가 그러한 얄팍한 토대에 의해 정당화될 수 있을지 궁금해할 것이기 때문이다.

5) For the sake of argument, though, let us suppose that there are indeed many introspective beliefs about one's perceptual experiences that are infallible. We are assuming, then, that when you believe yourself to be appeared to in a certain way, you couldn't be mistaken about the way you are appeared to. Nevertheless, the number of justified nonbasic beliefs will remain unimpressive. In fact, it's hard to see how, if classical foundationalism were true, there could be any justified nonbasic beliefs, because physical object beliefs don't follow deductively from beliefs about perceptual experiences. There is a logical gap between propositions describing perceptual experiences and propositions describing external physical objects. A proposition of the latter kind can't follow deductively from a set of propositions of the former kind. Suppose I believe

B1    I'm appeared to redly

from which I infer the belief

B2    There is a red object before me.

According to classical foundationalism, if B2 is a justified nonbasic belief, then it must receive its justification from B1 via a deductive support relation. This means that B2 is justified only if the argument "B1, therefore B2" is deductively valid, which, of course, it is not. If, for example, I am under the influence of a drug that makes me hallucinate the presence of a red object when in fact there is nothing red before me, the argument's premise is true and its conclusion false. In general, since it is possible to be appeared to F-ly when there is no object that is an F in front of one, no argument of the form

I'm appeared to F-ly
Therefore:
There is an object before me that is F

Can be valid.<27> Thus it follows that appearance beliefs can't justify physical object beliefs via deductive support relations. Hence, if classical foundationalism were true, it would be a version of skepticism, for then our beliefs about the physical objects surrounding us would all be unjustified.
5) 그렇다 하더라도 논증을 위해서 우리는 한 개인의 오류불가능한 지각적 경험들에 대한 꽤나 많은 내성적 믿음들이 있다고 가정해 보도록 하자. 다음으로 우리는 당신이 당신 자신에게 일정한 방식으로 보인다고 믿을 때, 당신이 당신에게 그렇게 보이는 방식에 대해 잘못 판단할 수 없으리라고 가정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당화된 비기초적 믿음의 수는 대단찮게 남을 것이다. 사실상, 만일 고전적 토대론이 참이라면 어떻게 어떤 비기초적 믿음들이 있을 수 있을지 알아보기란 어려운데, 왜냐하면 물리적 객체 믿음들은 지각적 경험들에 대한 믿음들로부터 연역적으로 귀결하지 않기 때문이다. 지각적 경험들을 기술하는 명제들과 외부의 물리적 객체들을 기술하는 명제들 사이에는 논리적 간극이 있다. 후자에 속하는 종류의 명제는 전자에 속하는 종류의 일련의 명제들로부터 연역적으로 귀결할 수 없다. 내가 다음과 같은 믿음 B1을 믿는다고 가정하자.

B1    내게 붉게 보인다

나는 B1으로부터 다음 명제를 추론한다.

B2    내 앞에 붉은 물체가 있다.

고전적 토대론에 따르면, 만일 B2가 정당화된 비기초적 믿음이라면, 그 믿음은 반드시 그 정당성을 연역적 지지관계를 통하여 B1으로부터 받아야만 한다. 이는 B2가 정당화되는 것은 오직 "B1이므로 B2"라는 논증이 연역적으로 타당할 경우만이라는 뜻이며, 물론 그것은 연역적으로 타당하지 않다. 예를 들어, 내가 나로 하여금 사실 내 앞에 아무런 붉은 것도 없을 때 붉은 대상의 현전을 환각으로 겪게끔 만드는 마약의 영향 하에 있다면, 그 논증의 전제는 참이고 그 결론은 거짓이다. 일반적으로, 그 앞에 F인 객체가 전혀 없을 때 F로 보이는 것이 가능하므로, 다음과 같은 형식의 어떠한 논증도 타당할 수 없다.<27>

내게 F로 보인다
그러므로:
내 앞에 F인 객체가 있다.

따라서 외양적 믿음들은 물리적 객체 믿음들을 연역적 지지 관계들을 통하여 정당화할 수 없다는 점이 귀결된다. 따라서, 만일 고전적 토대론이 참이라면, 그것은 회의주의의 한 형태일 터인데, 왜냐하면 우리를 둘러싼 물리적 대상들에 대한 우리의 믿음들이 전부 정당화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Morden Foundationalism
근대적 토대론

1) Modern foundationalism is akin to classical foundationalism in demanding that basic beliefs enjoy an epistemic privilege, but differs from it in allowing for nondeductive transmission of justification from basic to nonbasic beliefs. Thus while modern foundationalism is not vulnerable to the objection that the evidential gap between the foundation and the superstructure cannot be bridged deductively, it is still vulnerable to the criticism that appearance beliefs are not capable of enjoying an epistemic privilege such as certainty, indubitability, or even infallibility. However, advocates of modern foundationalism need not agree with this criticism. Indeed, it is far from obvious that there couldn't be wide range of appearance beliefs about one's own perceptual experiences that are either certain, indubitable, or infallible.<28>
1) 근대적 토대론은 기초적 믿음들이 인식적 특권을 향유할 것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고전적 토대로과 유사하지만, 기초적 믿음으로부터 비기초적 믿음들로의 정당성의 비연역적 전이를 허용한다는 점에서는 고전적 토대론과 차이가 있다. 따라서 근대적 토대론은 토대와 상부구조 사이의 증거적 간극이 연역적으로 메꿔질 수 없다는 반박에는 취약하지 않은 반면, 여전히 외양적 믿음들이 확실성, 회의불가능성, 또는 오류불가능성까지, 그러한 인식적 특권을 향유할 능력이 없다는 비판에 취약하다. 그렇지만, 근대적 토대론의 지지자들은 이러한 비판에 동의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한 개인의 고유한, 확실하거나 회의불가능하거나 오류불가능한 지각적 경험들에 대한 외양적 믿음들의 넓은 영역이 있을 수 없으리란 점은 썩 분명치 않다.<28>

2) However, even if advocates of modern foundationalism could make a good case for the claim that, in typical cases, introspective beliefs about one's own perceptual states are infallible, there would still be a formidable problem, for normally we just don't form introspective beliefs about the ways in which we are appeared to. When you see a cat, you believe "There is a cat there," but you don't believe "I am appeared to cat like."<29> In fact, with the exception of those who have studied the epistemology of perception, most people would not even know how to form such beliefs. It takes training to distinguish between the actual cat that is being perceived and the corresponding cat-like visual experience (the state of being appeared to cat-like). Finally, it is only natural to ignore the phenomenology of one's perception and instead to focus directly on the objects one perceives. For example, if the cat is hungry and must be fed, what matters is not the cat-like visual experience, but the cat itself. And when you cross a street and a truck is approaching, it would be a big mistake to focus your attention on the quality of your present perceptual experiences instead of on the truck.
2) 그렇지만, 설령 근대적 토대론의 지지자들이 전형적으로 한 개인의 지각적 상태들에 대한 내성적 믿음들이 오류불가능하다고 주장하기 위한 훌륭한 사례를 만들어낼 수 있을지라도, 여전히 만만치 않은 문제가 있을 것인데,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우리는 바로 우리에게 그렇게 보이는 방식들에 대한 내성적 믿음들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이다. 당신이 고양이 한 마리를 볼 때, 당신은 "고양이 한 마리가 있다"라고 믿지만 "내게 고양이처럼 보인다"라고 믿지는 않는다. <29> 사실, 지각에 대한 인식론을 연구한 사람들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떻게 그러한 믿음들을 형성하는지조차 알지 못할 것이다. 그것은 지각되고 있는 실제 고양이와 상응하는 고양이 같은 시각적 경험 (고양이처럼 보임의 상태)를 구분하는 훈련을 요한다. 끝으로, 한 개인의 지각 현상을 무시하고 대신에 직접 그 개인이 지각하는 대상들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따름이다. 예를 들어, 만일 그 고양이가 굶주려 있고 먹이를 먹어야만 한다면, 문제는 고양이처럼 보이는 시각경험이 아니라, 고양이 그 자체이다. 그리고 당신이 길을 건너면서 트럭 한 대가 다가오고 있을 때, 트럭 대신에 당신의 현재적 지각 경험들의 성질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은 대단히 잘못된 판단일 것이다.

3) This is not to say that we never pay attention to the phenomenal quality of our experiences. We do, for example, when we suspect that our senses might be deceiving us. The point, however, is that such situations do not occur very often. Normally, we just don't form beliefs about how we are appeared to. Consequently, if basic beliefs must indeed be infallible, then under ordinary circumstances (i.e., those in which we don't form beliefs about the phenomenal qualities of our perceptual experiences), there simply wouldn't be any foundation for physical object beliefs to rest on.<30>
3) 이것은 우리가 절대로 우리의 경험들에 대한 현상적 성질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는 말이 아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우리가 우리의 감각들이 우리를 속이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의심이 들 때 그렇게 한다. 그렇지만 핵심은 그러한 상황들이 매우 자주 발생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보통, 우리는 단지 우리에게 어떻게 보이는지에 대한 믿음들은 형성하지 않을 따름이다. 결론적으로, 만일 기초적 믿음들이 더욱이 오류불가능적이어야만 한다면, 일상적 상황들 아래에서 (즉, 우리가 우리의 지각 경험들에 대한 현상적 성질들에 대한 믿음들을 형성하지 않는 상황들에 있어서), 물리적 객체 믿음들이 의존할 어떠한 토대도 단순히 없을 것이다.<30>

4) A parallel argument can be formulated for other kinds of epistemic privilege. The gist of any such argument is the same: Physical object beliefs don't enjoy any epistemic privilege, only appearance beliefs do. So if basic beliefs must enjoy an epistemic privilege, only appearance beliefs can be basic. However, typically we don't form any appearance beliefs. Thus the requirement that basic beliefs enjoy an epistemic privilege leads to the consequence that our physical object beliefs are not normally justified, and hence turns foundationalism into a version of skepticism.
4) 동일한 논증이 다른 종류의 인식적 특권들에 대해서도 정식화될 수 있다. 그런 어떤 논증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즉 물리적 객체 믿음들은 그 어떠한 인식적 특권도 누리지 않으며, 오로지 외양적 믿음들만이 그러한 특권을 누린다. 그래서 만일 기초적 믿음들이 반드시 인식적 특권을 누려야만 한다면, 오로지 외양적 믿음들만이 기초적일 수 있다. 그렇지만, 전형적으로 우리는 어떠한 외양적 믿음들도 형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초적 믿음들이 인식적 특권을 누려야만 한다는 요구는 우리의 물리적 객체 믿음들이 일상적으로 정당화되지 않는다는 결론으로 이끌고, 따라서 토대론을 회의주의의 한 유형으로 만든다.


Minimal Foundationalism
축소된 토대론

1) Minimal foundationalism marks a significant departure from the foundationalist tradition. Typically, foundationalists have held an elitist conception of basic beliefs: for beliefs to be eligible for membership in the foundational club, they had to have an epistemic privilege of one form or another. Thus the typical foundationalist picture of the structure of belief systems has been this: the superstructure comprises physical object beliefs, the foundation comprises introspective beliefs about one's own perceptual experiences. Minimal foundationalism revises this picture. Basic beliefs need not be epistemically privileged, so nothing bars them from being about physical objects. According to minimal foundationalism, then, the difference between beliefs in the superstructure and those in the foundation is not a function of belief content; rather, whether a belief belongs to the foundation or the superstructure is solely a function of how it received its justification. If it received its justification through an experience and not from any other beliefs, then it is foundational. If, however, it received its justification from one or more other beliefs, then it belongs to the superstructure.
1) 축소된 토대론은 토대론적 전통으로부터 중대한 이탈을 나타낸다. 전형적으로, 토대론자들은 기초적 믿음들에 대한 엘리트주의적 개념을 주장해 왔다. 즉 믿음들이 토대적 모임에 회원자격을 얻기 위해서, 그 믿음들은 어떤 형식이든 인식적 특권을 지녀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믿음 체계들의 구조에 대한 전형적 토대론적 묘사는 이와 같았다. 그 상부구조는 물리적 객체 믿음들로 이루어지고, 그 토대는 한 개인의 고유한 지각적 경험들에 대한 내성적 믿음들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축소된 토대론은 이 그림을 수정한다. 기초적 믿음들은 인식적으로 특권을 가질 필요가 없으며, 그래서 아무것도 그 믿음들을 물리적 대상들에 대한 것이지 못하도록 막지 않는다. 축소된 토대론에 따르면, 그래서, 상부구조 내의 믿음들과 토대의 믿음들 사이의 차이는 믿음 내용의 기능이 아니다. 오히려, 한 믿음이 토대에 속하는지 상부구조에 속하는지는 오로지 그 믿음이 어떻게 그 정당성을 받았는지에 대한 상관관계뿐이다. 만일 그 믿음이 정당성을 경험을 통해 받았고 다른 어떤 믿음들을 통해서도 받지 않았다면 그 믿음은 토대적이다. 그렇지만 만일 그 믿음이 정당성을 하나 이상의 다른 믿음들로부터 받았다면 그 믿음은 상부구조에 속한다.

2) Here is an example to illustrate how minimal foundationalism is supposed to work. Suppose that, coming home from work, I see my wife's coat in the closet, which surprises me, for normally she comes home after me. I also see a bag of groceries on the counter in the kitchen, I smell coffee, and I hear footsteps upstairs. I form these four beliefs:

Her coat in the closet. There's a bag of groceries in the kitchen. I smell coffee. I hear footsteps upstairs.

An advocate of minimal foundationalism would say that each of these beliefs is justified by a perceptual experience, without owing any of its justification to any other beliefs. Hence, each of these beliefs is basic - that is, a member of the foundation of my belief system at the time in question. From these beliefs, I infer about my wife:

She came home early. She went grocery shopping. She made coffee. She is upstairs.

Since these beliefs owe their justification to the beliefs in the first set, and to certain other beliefs of mine (e.g., that my wife normally comes home after me, that there is no one else living in my house who could have bought groceries and made coffee, etc.), they are nonbasic, and thus members of the superstructure. Now, what divides the two sets of beliefs is not that the members of the first set enjoy a certain epistemic privilege that the members of the second set do not. Rather, what divides the two sets is how their members are justified. The members of the first set are justified nondoxastically, the members of the second set doxastically - that is, by other beliefs. Notice that both sets contain beliefs about objects external to the world of my perceptual experiences. The first set contains beliefs about a coat and a bag of groceries, and the second set beliefs about my wife.
2) 축소된 토대론이 어떻게 되는지 설명하는 한 예시가 있다. 일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면서, 내가 벽장 속 아내의 코트를 보고, 그 코트가 나를 놀래켰는데, 왜냐하면 일상적으로 그녀가 나보다 늦게 집에 돌아오기 때문이라고 가정해 보자. 나는 또한 부엌 식탁위에 장바구니를 보고, 커피 냄새를 맡으며, 위층에서 발소리를 듣는다. 나는 이와 같은 네 가지 믿음들을 형성한다.

그녀의 코트가 벽장 안에 있다. 부엌에 장바구니가 있다. 나는 커피 냄새를 맡는다. 나는 위층에서 나는 발소리를 듣는다.

축소된 토대론의 옹호자는 이러한 믿음들 각각이 지각적 경험에 의해, 그 정당성 중 어떠한 것도 다른 어떠한 믿음들로부터도 빌려오지 않고 정당화된다고 말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믿음들 각각은 기초적이다 - 즉, 문제되는 그 시간에 나의 믿음체계의 토대에 속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믿음들로부터 나는 아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추론한다.

그녀는 일찍 집에 돌아왔다. 그녀는 시장을 보러 갔었다. 그녀는 커피를 내렸다. 그녀는 위층에 있다.

이러한 믿음들은 그 정당성을 첫 번째 믿음들의 집합으로부터, 그리고 나의 특정한 다른 믿음들로부터 (예를 들어 나의 아내가 보통 나보다 늦게 들어온다는 것, 시장을 보고 커피를 만들었을 수 있을, 우리집에 살고 있는 다른 누구도 없다는 것 등.) 빌려오므로, 그 믿음들은 비기초적이며, 따라서 상부구조에 속하는 구성요소들이다. 이제, 믿음들의 두 집단들을 나누는 것은 첫 집단의 구성요소들이 두 번째 집단의 구성요소들은 누리지 못하는 특정한 인식적 특권을 향유한다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 두 집단들을 나누는 것은 그 집단들의 구성요소들이 어떻게 정당화되는지 하는 것이다. 첫 집단의 구성요소들은 비사견적으로 정당화되고, 두 번째 집단의 구성요소들은 사견적으로 - 즉 다른 믿음들에 의해서 정당화된다. 두 집단들 모두 나의 지각적 경험들에 속하는 세계 외부의 객체들에 대한 믿음들을 포함한다는 점을 주의하자. 첫 번째 집합은 코트와 장바구니에 대한 믿음들을 포함하고, 두 번째 집합은 내 부인에 대한 믿음들을 포함한다.

3) Unlike its classical and modern counterparts, minimal foundationalism is not vulnerable to criticisms according to which the vast majority of our beliefs fall short of enjoying any epistemic privileges, for it doesn't make having any such privilege a necessary condition for basic beliefs. To the contrary, minimal foundationalism makes it quite easy for a belief to be basic: if it's justified by reason, perception, introspection, or memory, and does not receive any of its justification from other beliefs, then it is basic. On this view, basic beliefs are not a select few, but instead make up a rather large proportion of a person's doxastic system. Thus, in judging the viability of minimal foundationalism, the chief question we have to discuss is this: Is it really possible for a belief to be justified without receiving its justification from other beleifs? In Chapter 7, we shall examine, among other related issues, arguments for and against answering this qeustion with "yes."
3) 그 고전적, 근대적 대응물들과 달리 축소된 토대론은 우리의 믿음들 대다수가 인식적 특권들을 누리기에는 부족하다고 귀결하는 그러한 비판들에 취약하지 않은데, 왜냐하면 축소된 토대론이 그런 어떠한 특권을 갖는 일도 기초적 믿음들의 필요조건으로 만들지 않기 때문이다. 반대로, 축소된 토대론은 꽤나 쉽게 믿음을 기초적인 것으로 만든다. 즉 만일 그 믿음이 추론, 지각, 내성, 또는 기억에 의해 정당화되고 그 정당성의 어떤 것도 다른 믿음들로부터 받지 않는다면, 그 믿음은 기초적이라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기초적 믿음들은 엄선된 소수가 아니라, 대신에 한 개인의 사견적 체계에 대해서 꽤나 큰 부분을 이룬다. 따라서, 축소된 토대론의 생존력을 판단함에 있어서, 우리가 논의해야 할 가장 중요한 물음은 이것이다. 즉 한 믿음이 그 정당성을 다른 믿음들로부터 받지 않고 정당화되는 일이 정말로 가능한가 하는 것이다. 7장에서 우리는 다른 관련된 문제들 가운데에서 이 물음에 대해 "그렇다"고 답하는 데에 대한 찬반양론들을 검토할 것이다.


Foundationalism and Coherence
토대론과 정합론

1) Before we move on to examine coherentism and then discuss the pros and cons of foundationalism and coherentism, respectively, one last thing needs to be emphasized. Whereas coherentists assert that foundationalism is false because there can't be basic beliefs, foundationalists do not assert that coherentism is false becasue coherence is not a source of justification. To the contrary, foundationalists fully acknowledge that a belief system's coherence contributes to the justification of its members.
1) 정합론을 검토하고 토대론과 정합론에 대한 찬반양론을 각기 논의하는 데에로 옮겨가기에 앞서, 마지막 한 가지 강조될 필요가 있는 것이 있다. 정합론자들은 기초적 믿음들은 있을 수 없기 때문에 토대론이 거짓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토대론자들은 정합성이 정당성의 원천이 아니라는 이유로 정합론을 거짓이라 주장하지는 않는다. 반대로, 토대론자들은 한 믿음 체계의 정합성이 그 체계의 구성요소들의 정당성에 기여한다는 점을 전적으로 인정한다.

2) They do so in two ways. First, they make coherence a necessary condition for justification by viewing coherence as resulting from the absence of defeating background beliefs. Consider again the example from the previous section. Hold everything constant except for one change: as soon as I come home, my wife calls me on the phone and tells me that she will be late tonight. In that case, the evidence I have for believing that she's at home is defeated. Foundationalists hold, therefore, that a belief is justified only if it coheres with - in the sense that it is not defeated by - the subject's relevant background beliefs.<31>
2) 그들은 두 가지 방식으로 이렇듯 인정한다. 첫째로, 그들은 정합성을 상쇄하는 배경 믿음들의 부재로부터 귀결하는 것으로 간주함으로써 정합성을 정당성의 필요조건으로 만든다. 다시 앞선 절로부터의 예시를 고찰해 보자. 한 가지 변경만 제외하고 모든 것을 변함없이 유지하도록 하자. 즉 내가 집에 돌아오자 마자, 내 아내가 나에게 전화를 걸어 그녀가 오늘 밤 늦을 것이라고 말해준다는 것이다. 그 경우, 내가 그녀가 집에 있다고 믿는 데에 있어서 지닌 증거는 상쇄된다. 토대론자들은 그러므로 한 믿음은 오로지 그 믿음이 주체의 관련된 배경 믿음들과 일관성을 갖출 때에만 - 그에 의해 그 믿음이 상쇄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 정당화된다고 주장한다.<31>

3) Second, there is no reason foundationalists should not acknowledge that if a belief coheres with other beliefs, it is more justified than it would be if it did not. For an illustration of this point, the same example will serve us again. Suppose the only evidence I have for believing my wife to be already at home is the fact that her coat, which she usually wears when she goes to work, is in the closet. However, couldn't it be that today she decided to wear her leather jacket? Or couldn't it be that she came home, put her coat in the closet, and then left to go to the gym? Because of these possibilities, if the presence of my wife's coat in the closet were the only evidence of my wife's early arrival, then I would have some justification for assuming she's at home, but certainly not very much. However, if I also smell coffee, see new groceries on the kitchen counter, and hear footsteps upstairs, then my justification is much stronger, for then I am forming a group of beliefs that compose a coherent whole, and under these circumstances my belief that my wife is at home is supported very well. In this first situation, I not only have more evidence, I have evidence that is qualitatibely better than the evidence I have in the first situation. In that situation, I have just one bit of evidence that stands on its own; whereas in the second situation, I have several pieces of evidence that support one another.<32>
3) 둘째, 토대론자들이 만일 믿음이 다른 믿음들과 정합적이라면, 그 믿음은 그 믿음이 정합적이지 않을 경우 정당화될 것보다 더욱 정당화된다는 점을 인정하지 않아야 할 아무런 이유도 없다. 이 점에 대한 설명으로, 동일한 예시가 다시금 우리에게 제공된다. 내 아내가 이미 집에 있다고 믿는 데에 대한 내가 가진 유일한 증거가 그녀가 보통 일하러 갈 때 입는 코트가 벽장에 있다는 사실이라고 가정해 보자. 그렇지만, 그녀가 오늘 그녀의 가죽 자켓을 입기로 결정하였을 수도 있지 않나? 혹은 그녀가 집에 돌아와 그녀의 코트를 벽장 안에 놓고 운동하러 나갔을 수도 있지 않은가? 이러한 가능성들 때문에, 만일 벽장 속 내 아내의 코트의 현전이 내 아내의 이른 도착에 대한 유일한 증거라면, 나는 그녀가 집에 있다고 가정할 약간의 정당성을 가질 터이지만, 그다지 썩 확실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렇지만, 만일 내가 또한 커피 냄새를 맡고, 부엌 조리대 위 새로 장 봐온 것들을 보며, 위층의 발소리를 듣는다면, 나의 정당성은 훨씬 강해지는데, 왜냐하면 내가 정합적 전체를 구성하는 믿음들의 한 집단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들 하에서 아내가 집에 있다는 나의 믿음이 아주 잘 뒷받침되기 때문이다. 이 첫 번째 상황에서, 나는 더 많은 증거를 지닐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 내가 첫 번째 상황에서 지녔던 증거보다 더 나은 증거를 가진다. 그 상황에서, 나는 동떨어져 있는 한 조각 증거만을 가지는 반면, 두 번째 상황에서, 나는 상호 뒷받침하는 증거의 여러 조각들을 지닌다.<32>

4) It would be a mistake, then, to think that foundationalists must deny that the concept of coherence has an important role to play in the account of the structure of epistemic justification. In fact, recent advocates of foundationalism have explicitly acknowledged coherence as a source of justification.<33> They are not at all opposed to appreciating the epistemic virtues of coherence, only to the view that, in addition to coherence, there are no other sources of justification. Nevertheless, many philosophers think that the foundationalist approach to the analysis of epistemic justification is mistaken. In the next chapter, we will examine the views of two philosophers who reject foundationalism and defend coherentism instead.
4) 그래서 토대론자들이 정합성 개념이 인식적 정당성 구조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을 지닌다는 점을 부정해야만 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오판일 것이다. 사실, 최근의 토대론 지지자들은 분명하게 정합성을 정당성의 한 원천으로 인정한다.<33> 그들은 정합성에 대하여 다른 어떠한 정당성의 원천들도 없다는 관점만 아니라면 정합성의 인식적 탁월성들을 인정하는 일을 전혀 반대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수 철학자들은 인식적 정당성 분석에 대한 토대론적 접근이 잘못이라고 생각한다. 다음 장에서, 우리는 토대론을 거부하고 대신 정합론을 옹호하는 두 철학자들의 관점들을 검토할 것이다.


<2> In the relevant literature, we can't find a definition of basic beliefs that is universally agreed on, and consequently lends itself to a textbook exposition. Thus our discussion of basic beliefs will follow the same guiding principle as our discussion of foundationalism: we shall consider what seems to me the most plausible conception of basic beliefs.
<2> 관련 문헌에서, 우리는 보편적으로 동의되는 기초적 믿음들에 대한 한 정의를 발견할 수 없고, 결론적으로 그 정의 자체를 교제 해제에서 빌려온다. 따라서 기초적 믿음들에 대한 우리의 논의는 토대론에 대한 우리의 논의와 동일한 지도 원리에 따를 것이다. 즉 우리는 내게 가장 그럴 성 싶게 여겨지는 기초적 믿음들에 대한 개념을 고찰할 것이다.

<3> Of course, under different circumstances, (1) might be inferential and (2) noninferential. For example, you might infer that he's soaked from puddles on the floor, and know noninferentially that it's raining because you see that it's raining.
<3> 물론, 상이한 상황들 아래에서, (1)은 추론적일지 모르고 (2)는 비추론적일지도 모른다. 예를 들어, 당신은 방바닥 고인 물들로부터 그가 젖었음을 추론할지도 모르고, 당신이 비가 오고 있음을 보기 때문에 비추론적으로 비가 오고 있음을 알 수도 있다.

<4> If I am looking at a red object under ordinary circumstances, that object "looks red" to me. Thus when we are using the phrase "x looks red to S," we are assuming the existence of two things: the perceiving subject, S, and the perceived object, x. There are, however, situations in which one has an experience as though there were an object of a certain kind when in fact there is no such object. In order to have a way of describing experience that leaves open whether there actually is a perceived object, epistemologists use the phrase "being appeared to F-ly." Thus when we say that S is appeared to redly, we leave open the question whether there is an object that looks red to S. We merely assert that S has an experience as though there were a red-looking object in front of S. See Chisholm (1977), pp. 26ff.
<4> 만일 내가 일상적 상황들 하에서 붉은 대상을 보고 있다면, 그 대상은 나에게 "붉게 보인다." 따라서 우리가 "S에게 x가 붉게 보인다"라는 구를 사용하고 있을 때, 우리는 두 가지 것들의 현존을 가정하고 있다. 즉 지각하는 주체 S와 지각되는 대상 x가 그것들이다. 그렇지만 사실 아무런 대상도 없을 때 마치 특정한 종류의 대상이 있는 것과 같은 경험을 가지는 상황이 있다. 실제로 지각되는 대상이 있는지 여부를 열어놓는 경험을 묘사하는 방식을 갖기 위해, 인식론자들은 "F로 보임"이라는 구를 사용한다. 따라서 우리가 S에게 붉게 보인다고 말할 때, 우리는 S에게 붉게 보이는 대상이 있는지에 대한 물음을 열어둔다. 우리는 단순히 S가 마치 S의 앞에 붉게 보이는 대상이 있는 것과 같은 경험을 가진다고 주장할 따름이다. 치셜 (1977) 26쪽 이하 참조.

<5> It's difficult to imagine how one can have a craving for chocolate without believing oneself to crave chocolate, but that doesn't mean that the craving and the belief are one and the same.
<5> 어떻게 한 사람이 그 자신이 초콜렛을 간절히 바란다고 믿지 않고 초콜렛에 대한 갈망을 가질 수 있을지 상상하기란 어려운 일이지만, 그것은 그 갈망과 그 믿음이 하나이고 동일한 것이라는 뜻은 아니다.

<10> An example of such argumentation can be found in Chisholm (1977), p. 19. Once the regress is started, Chisholm writes, we "might try to continue ad infinitum…. Or we might be tempted to complete a vicious circle…. But if we are rational beings, we will do neither of these things. For we will find that our Socratic questions lead us to a proper stopping place."
<10> 그런 논증의 한 예는 치셜 (1977) 19쪽에서 발견될 수 있다. 일단 소급이 시작되면, 치셜이 적고 있기로는, 우리는 "무한까지 지속하고자 시도할지도 모른다…. 또는 우리는 악순환을 종결시키도록 유도될 수도 있다…. 그러나 만일 우리가 합리적 존재자들이라면, 우리는 이러한 일들 중 어느 것도 하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는 우리의 소크라테스적 물음들이 우리로 하여금 정지시키는 장소를 선호하도록 이끈다는 것을 알아차릴 것이기 때문이다."

<15> This should not come as a surprise. For when critics of foundationalism claim that basic beliefs must have a feature F, the very idea of attributing feature F to basic beliefs is to conclude that since it is impossible for beliefs to have feature F, there can't be any basic beliefs.
<15> 이것은 놀랄 만한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토대론의 비판자들이 기초적 믿음들은 반드시 특징 F를 지녀야만 한다고 주장할 적에, 특징 F를 기초적 믿음에 귀속시키는 바로 그 발상은 믿음들이 특징 F를 지니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어떠한 기초적 믿음들도 있을 수 없다고 결론내리는 것이기 때문이다.

<16> A reflexive relation is a relation such that, if there are two things x and y, and x bears that relation to y, then x bears that relation to itself. For example, "has the same weight as" and "has the same color as" are reflexive relations. In contrast, an irreflexive relation is a relation that nothing has to itself. For example, "is married to" and "is parent of" are irreflexive relations.
<16> 재귀적 관계는 다음과 같은 관계이다. 만일 두 가지 것들 x와 y가 있다면, 그리고 x가 y에 대한 관계를 포함한다면, x는 그 자신에 대한 관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과 같은 무게를 지닌다"와 "~과 같은 색을 지닌다"와 같은 것들은 재귀적 관계들이다. 반대로, 비재귀적 관계는 그 자체에 대해 아무것도 가지지 않는 관계이다. 예를 들어, "~와 결혼하다"와 "~의 아버지이다" 같은 것들은 비재귀적 관계들이다.

<17> The idea of self-creation must be distinguished from the idea of necessary existence. To deny that God created himself is not to deny that he exists necessarily.
<17> 자기-창조의 생각은 반드시 필연적 현존의 생각과 구별되어야만 한다. 신이 그 자신을 창조하였다는 것을 부정하는 일은 그가 필연적으로 현존한다는 것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다.

<18> This point can also be stated by pointing out that transmission is an event that involves three entities: x transmits y onto z. That is, for a transmission to take place, there must be a transmitter, something that is transmitted, and a recipient for the transmission. In the event that any of these three elements is missing, there can be no transmission. See Van Cleve (1985), p. 100; see also Plantinga (1993a), p. 76.
<18> 이 점은 또한 전이가 세 가지 실체들을 포함하는 사건이라는 점을 지적함으로써 진술될 수도 있다. 즉 x는 y를 z에게 전이시킨다. 즉, 전이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이자, 전이되는 어떤 것, 그리고 전이에 대한 수령자가 있어야만 한다. 이 세가지 요소들 중 어느 하나라도 빠져 있는 사건에서, 어떠한 전이도 있을 수 없다. 반 클레브 (1985), 100쪽 참조. 또한 플랜팅카 (1993a) 76쪽 참조.

<22> I lack this ability, presumably like most people. However, that doesn't mean there couldn't be people who can recognize a dodecagon without counting engles. Oliver Sacks (1987) reports a case of two twins who can, he suspects, "see" numbers. He relates the following episode: "A box of matches on their table fell, and discharged its contents on the floor: '111,' they both cried simultaneously." …I counted the matches - it took me some time - and there were 111. 'How could you count the matches so quickly?' I asked. 'We didn't count,' they said. 'We saw the 111'" (p.199).
<22> 짐작컨데 대부분의 사람들도 그러하겠지만, 나는 이러한 능력이 없다. 그렇지만, 그것은 12각형을 각들을 세어보지 않고 재인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 수 없다는 뜻은 아니다. 올리버 삭스 (1987) 는 그가 짐작하기로는 수들을 "볼" 수 있는 쌍둥이들의 경우를 보고하고 있다. 그는 다음 일화을 전해준다: "그들의 탁자 위 성냥 한 갑이 떨어졌고, 바닥에 내용물들을 쏟았다: '111,' 그 쌍둥이들 모두가 동시에 소리쳤다." …나는 그 성냥들을 세어 보았고 - 나에겐 꽤 시간이 걸리는 일이었다 - 거기에는 111개비가 있었다. '어떻게 너희는 그렇게 빨리 그 성냥들을 셀 수 있었니?' 내가 물었다. '우리는 세지 않았어요,' 녀석들이 말했다. '우리는 111을 봤어요.'"(199쪽).

<25> What is my evidence for taking myself to be reliable in discerning the color red? Well, there is something like a common framework of reference involving red objects - e.g., tomatoes, Coke cans, Ferraris. My own identifications of red objects cohere with this framework. What other people identify as red, I identify as red, and vice versa. This provides me with a good reason for taking myself to be a reliable discerner of redness.
<25> 붉은 색을 알아봄에 있어서 나 자신을 신뢰할 만하다고 여길 나의 증거는 무엇인가? 자, 붉은 대상들을 포함하는 언급의 공통 틀 같은 어떤 것이 있다 - 예를 들어 토마토들, 코카콜라 캔들, 페라리들. 붉은 대상들에 대한 나 자신의 규정들은 이러한 틀에 정합적이다. 다른 사람들이 붉다고 규정하는 것을 내가 붉다고 규정하며 그 역도 성립한다. 이것은 나에게 나 자신을 붉음을 알아볼 신뢰할 만한 사람으로 여길 훌륭한 근거를 제공한다.

<27> Deductive validity could be achieved by adding a further premise: If I'm appeared to F-ly, then there is an object before me that is F. However, any such argument would contain a false premise, which means that no such argument could be sound.
<27> 연역적 타당성은 추가적 전제를 덧붙임으로써 성취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만일 내게 F로 보인다면, 내 앞에 F인 대상이 있다. 그렇지만, 그런 어떠한 논증이라도 거짓 전제를 포함할 것이고, 그것은 곧 그러한 어떠한 논증도 건전할 수 없으리라는 뜻이 된다.

-蟲-
Indubitability, Infallibility, and Certainty
의심불가능성, 오류불가능성, 정합성

1) In this section, we shall examine why basic beliefs, if defined as beliefs that are nondoxastically justified, need be neither indubitable nor infallible nor certain. Let us begin with indubitability, and let us define indubitable beliefs as beliefs that it would, under any circumstances whatever, be unreasonable to doubt. Descartes's first Meditation provides us with the standard example of such a belief: I exist. Since the activity of doubting would always be evidence for one's existence, there cannot be any circumstances under which it would be reasonable to doubt that one exists.
1) 이 절에서, 우리는 어째서 기초적 믿음들이 만일 비사견적으로 정당화된 믿음들로 정의된다면 의심불가능하거나 오류불가능하거나 혹은 확실한 것일 필요가 없는지를 검토할 것이다. 우리는 의심불가능성을 가지고 시작하며, 의심불가능한 믿음들을 어떤 상황 하에서건 의심하는 것이 불합리할 그러한 믿음들로 정의하도록 하자. 데카르트의 제 1 성찰은 우리에게 그러한 믿음의 표준적인 사례를 제공한다. 즉 내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의심하는 활동은 언제나 누군가의 현존에 대한 증거일 것이므로, 그 아래에서 그러한 현존을 의심하는 것이 합리적일 어떠한 상황들도 있을 수 없다.

2) Now, what is constitutive of basic beliefs is this: they are justified without owing their justification to any other beliefs. Foundationalists would say that if, for example, the belief

(1) This object is red

is justified through a perceptual experience, without receiving any of its justification from other beliefs, then it is basic. But (1) is not an indubitable belief, for certainly there are situations in which it would be reasonable to doubt that (1) is true. For example, if I am wearing red sunglasses, then I might have reason to doubt that the object before me is really red. Thus, according to our definition of basic beliefs, a belief's being basic does not require indubitability.
2) 이제, 기초적 믿음들의 구성요소는 이와 같다. 그 믿음들은 그 정당성을 다른 어떤 믿음들로부터도 빌려오지 않고 정당화된다. 토대론자들은 다음과 같이 말할 것이다. 예를 들어 만일 다음과 같은 믿음

(1) 이 사물은 붉다

그러한 믿음은 지각적 경험을 통해 정당화되는데, 그 정당성의 어떤 것도 다른 믿음들로부터 받지 않고, 그래서 그 믿음은 기초적이다라고 말이다. 그러나 (1)은 의심불가능한 믿음이 아닌데, 왜냐하면 확실히 (1)이 참임을 의심하는 것이 합리적일 그러한 상황들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만일 내가 붉은 선글라스는 착용하고 있다면, 나는 내 앞의 대상이 실제로 붉다는 것을 의심할 이유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기초적 믿음들에 대한 우리의 정의에 따르자면, 한 믿음의 기초적임은 의심불가능성을 요구하지 않는다.

3) A parallel argument will show that basic beliefs need not be infallible. A belief is infallible if there are no circumstances under which the subject could form a belief of that type and be mistaken. The belief "I exist" may serve us again as an example. Since believing anything presuppose the believer's existence, one couldn't possibly believe oneself to exist and be mistaken in this belief.
3) 동일한 논증이 기초적 믿음들이 오류불가능할 필요가 없음을 보여줄 것이다. 하나의 믿음은 만일 그 아래에서 주어가 그러한 유형의 믿음을 형성하면서 실수할 수 있을 어떠한 상황도 없다면 오류불가능하다. "내가 존재한다"라는 믿음은 우리에게 아마도 다시금 하나의 예시 역할을 할 것이다. 어떤 것을 믿는 일이 믿는 자의 존재를 선제하므로, 누구도 그 자신의 존재를 믿으면서 이 믿음에 있어서 오판할 수 없을 것이다.

4) To see that a belief can be basic without being infallible, consider again belief (1), which we are assuming to be basic - that is, to be justified by a nondoxastic source. However, (1) is not an infallible belief. For example, if I am looking at a white object and unbeknownst to me it is illuminated by red light, then I might mistakenly believe the object to be red. Nondoxastic justification, therefore, does not require infallibility, which means that being infallible is not a condition basic beliefs must meet.
4) 한 믿음이 오류불가능함이 없이 기초적일 수 있음을 보기 위해, 다시 한 번 믿음 (1), 우리가 기초적이라고 가정하고 있는 - 즉, 비사견적 원천에 의해 정당화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는 그 믿음을 고찰해 보도록 하자. 그렇지만 (1)은 오류불가능한 믿음이 아니다. 예를 들어, 만일 내가 나도 모르는 사이에 붉은 빛에 의해 비춰지고 있는 흰 대상을 바라보고 있다면, 나는 그 대상이 붉은 것이라고 잘못 믿을 수 있다. 비사견적 정당성은 그러므로 오류불가능성을 요청하지 않는다. 그 말은 오류불가능함이 기초적 믿음들이 충족시켜야만 하는 조건이 아니라는 뜻이다.

5) Finally, let's turn to certainty. Let us say that a belief B is certain if and only if it enjoys the highest possible epistemic status. This means that if B is certain, there couldn't be another belief B* such that B* is justified to a higher degree than B.<20> Now consider again our example of a basic belief:

(1) This object is red.

This belief is not certain, even if it is justified by an undefeatable experience of being appeared to redly, for there are other beliefs - for example, the belief that two plus two equals four and the belief "I exist" - that are justified to a higher degree than (1). Hence certainty is not a necessary condition of basic beliefs.
5) 끝으로, 확실성에 대해 살펴 보자. 한 믿음 B가 확실하다 iff 그 믿음이 고도로 가능적인 인식적 상태를 향유한다, 라고 말하도록 하자. 이것은 만일 B가 확실하다면, B보다 더 높은 정도로 정당화되는 그런 또 다른 믿음 B*가 있을 수 없으리란 뜻이다.<20> 이제 다시 한 번 기초적 믿음에 대한 우리의 예시를 고찰하도록 하자.

(1) 이 대상은 붉다.

이 믿음은 확실하지 않은데, 설령 그 믿음이 붉게 보인다는 상쇄불가능한 경험에 의해 정당화된다 할지라도, 다른 믿음들 - 예를 들어, 2에 2를 더한 것은 4와 같다는 믿음과 "내가 현존한다"라는 믿음 - , (1) 보다 더 높은 정도로 정당화되는 믿음들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확실성은 기초적 믿음들의 필요조건이 아니다.

6) None of these arguments establishes that it really is possible for a belief to be basic in the sense in which we defined basic beliefs. They merely demonstrate that if we define basic beliefs in the way we have, then they need not be indubitable, nor infallible, nor certain. Having established that much, we shall next examine the question of how it is possible for beliefs to be basic.
6) 이러한 논증들 중 그 무엇 하나 우리가 기초적 믿음들을 정의한 그러한 의미에서 실제로 한 믿음이 기초적인 것이 가능함을 확립시키지 않는다. 그 논증들은 다만 만일 우리가 기초적 믿음들을 우리가 가진 방식으로 정의한다면, 그 믿음들이 의심불가능할 필요도, 오류불가능하거나 확실할 필요도 없다는 것을 증명할 뿐이다. 거기까지만 확립시켜 놓은 상태에서, 다음으로 우리는 어떻게 믿음들이 기초적인 것이 가능한지에 대한 물음을 검토할 것이다.


Basic Beliefs and Experience
기초적 믿음들과 경험

1) As members of complex belief systems, basic beliefs function as regress terminators. In order to perform this function, they must be justified without receiving their justification from other beliefs. One way in which beliefs can be thus justified is through perceptual experience. For example, my belief "There is a red object before me" is basic if it is justified by the experience of being appeared to redly. And my belief "There is a triangular object before me" is basic if it is justified by the experience of being appeared to triangularly. The general idea is that the experience of being appeared to F-ly can, without the help of any further beliefs, justify my belief "There is an F before me." However, we shall now see that it is not easy to turn this idea into an account of justification that is immune to objections.
1) 복잡한 믿음 체계의 구성요소들로서, 기초적 믿음들은 소급 종결자들로 기능한다. 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그 믿음들은 반드시 그 정당성을 다른 믿음들로부터 빌려옴이 없이 정당화되어야만 한다. 믿음들이 이와 같이 정당화될 수 있는 한 가지 방식은 지각적 경험을 통한 것이다. 예를 들어, "내 앞에 붉은 대상이 있다"라는 나의 믿음은 만일 그 믿음이 붉게 보이는 경험에 의해 정당화된다면 기초적이다. 그리고 "내 앞에 삼각형의 대상이 있다"라는 나의 믿음은 만일 그 믿음이 삼각형으로 보이는 경험에 의해 정당화된다면 기초적이다. 일반화된 생각은 F-이게(로) 보이는 경험이 어떤 추가적인 믿음들의 도움도 없이 "내 앞에 F가 있다"라는 나의 믿음을 정당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우리는 이제 이러한 생각을 반박들에 내성을 지닌 정당성에 대한 설명으로 만드는 일이 쉽지 않음을 볼 것이다.

2) To begin with, let us ask whether being appeared to F-ly is sufficient for being justified in believing that there is an F before one. Suppose I know that I am not reliable in discerning whether an object is an F or not: I know that most of the time when I try to decide whether what I am looking at is an F or not, I get things wrong. Under such conditions, I am not justified in believing an object before me to be an F even if it looks like an F to me. Hence, being appeared to F-ly is not sufficient for being justified in believing there is an F before me.
2) 우선, F로 보임이 누군가의 앞에 F가 있다고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기에 충분한지 묻도록 하자. 내가 한 대상이 F인지 아닌지 알아봄에 있어서 신빙성있지 않음을 내가 안다고 가정해 보자. 즉 나는 내가 바라보고 있는 것이 F인지 아닌지 결정하려고 시도할 때 거의 매번 잘못 판단한다는 것을 안다고 가정해 보자. 그러한 조건들 하에서, 나는 내 앞의 대상이 설령 나에게 F처럼 보인다 할지라도 F라고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F로 보임은 내 앞에 F가 있다고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기에 충분하지 않다.

3) Consider an example. I know that I am reliable in recognizing, without counting sides, triangles, but not dodecagons (polygons with twelve angles).<21> If I look at a triangle, I am appeared to triangularly, which justifies me in believing that the object before me has a triangular shape. In contrast, if I look at a dodecagon, then I am appeared to dodecagonally, but I am not justified in believing that the object before me is shaped dodecagonal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ases is that the experience of being appeared to triangularly is evidence for me to believe that the object before me is triangular, while the experience of being appeared to dodecagonally is not evidence for me to believe that the object before me is a dodecagon, simply because I lack the ability to recognize twelve angles without counting.<22> Consequently, the former experience can justify me in believing that there is a triangular-shaped object before me, but the latter experience cannot justify me in believing that there is a dodecagonal object before me. We must conclude, therefore, that it is possible to be appeared to F-ly without being justified in believing that there is an F before one, which is to say that being appeared to F-ly is not sufficient for being justified in believing that there is an F before me.
3) 한 사례를 고찰해 보자. 나는 내가 변들, 각들을 세어 보지 않고 재인함에 있어서 신뢰할 만 하지만 12변 12각형들 (열 두 각들을 지닌 다각형)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음을 알고 있다.<21> 만일 내가 삼각형을 본다면, 내게 삼각형으로 여겨질 것이고, 그것은 내 앞의 대상이 삼각형 형태를 지닌다는 믿음에 있어서 나를 정당화한다. 반면, 만일 내가 12각형을 바라본다면, 내게 12각형으로 보이겠지만, 내가 내 앞의 대상이 12각형으로 되어 있다고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지는 않는다. 두 사례의 차이점은 삼각형으로 보이는 경험이 내 앞의 대상이 삼각형이라고 내가 믿는 데에 대한 증거인 반면, 12각형으로 보이는 경험은 내 앞의 대상이 12각형이라고 내가 믿는 데에 대한 증거가 아니라는 점이며, 그것은 단순히 내가 12 각들을 세어 봄이 없이 재인할 능력을 결여한 까닭이다.<22> 결론적으로, 전자의 경험은 내 앞에 삼각형으로 된 대상이 있다는 믿음에 있어서 나를 정당화할 수 있지만, 후자의 경험은 내 앞에 12각형 대상이 있다는 믿음에 있어서 나를 정당화할 수 없다. 우리는 그러므로 한 사람 앞에 F가 있음을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지 않고 F로 보이는 것이 가능하다고 결론내려야만 하며, 그것은 곧 F로 보임이 내 앞에 F가 있다고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말이다.

4) We are now in a position to see clearly what problem foundationalists face when they try to explain how basic beliefs are justified. According to foundationalists, a belief such as "This is an F" can be basic. When such a belief is basic, they would claim, then it is justified by the experience of being appeared to F-ly. But as we just saw, it is possible for me to be appeared to F-ly without being justified in believing that there is an F before me. This means foundationalists can't explain how a basic belief such as "This is an F" is justified simply by saying that it is justified by the experience of being appeared to F-ly. Rather, in addition to the condition of being appeared to F-ly, some further condition must be satisfied in order for me to be justified in believing "There is an F before me." We shall now examine three candidates for the missing condition.
4) 이제 우리는 분명하게 토대론자들이 어떻게 기초적 믿음들이 정당화되는지 설명을 시도할 때 직면하는 문제가 무엇인지를 바라보는 위치에 있다. 토대론자들에 따르면, "이것은 F이다"와 같은 그런 믿음은 기초적일 수 있다. 그러한 믿음이 기초적일 때, 그 믿음은 F로 보이는 경험에 의해 정당화된다고 그들을 주장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방금 보았듯이, 나에게 F로 보임이 내 앞에 F가 있다는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됨 없이 가능하다. 이것은 토대론자들이 어떻게 "이것은 F이다"와 같은 그러한 기초적 믿음이 단순히 F로 보이는 경험에 의해서 정당화된다고 말하는 것만으로 정당화되는지 설명할 수 없다는 뜻이다. 오히려, F로 보임이라는 조건에 더하여, 내가 "내 앞에 F가 있다"라고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기 위해 어떤 추가적인 조건이 만족되어야만 한다. 우리는 이제 이 빠진 조건의 세 가지 후보들을 검토할 것이다.


Basic beliefs and Reliability
기초적 믿음들과 신빙성

1) One prominent approach to explaining how basic beliefs are justified appeals to the concept of reliability.<23> Let us consider, then, the idea that the needed condition is that S be reliable in discerning F-things. According to this proposal, my belief "This is an F" is basic if the following three conditions are satisfied: (i) I am appeared to F-ly; (ii) there are no other beliefs of mine justifying my belief "This is an F"; (iii) I am reliable in discerning F-things.
1) 어떻게 기초적 믿음들이 정당화되는지에 설명하는 한 가지 유명한 접근방식은 신빙성 개념에 호소하는 것이다.<23> 그러므로 S가 F-인 것들을 알아봄에 있어서 신빙성 있다는 조건을 필요로 하는 발상을 고찰해 보도록 하자. 이 제안에 따르면, "이것은 F이다"라는 나의 믿음은 만일 다음 세 가지 조건들이 만족되면 기초적이다. (i) 내게 F로 보인다; (ii) 나의 믿음들 중에서 "이것은 F이다"라는 믿음을 정당화하는 다른 어떠한 믿음들도 없다; (iii) 나는 F-인 것들을 알아봄에 있어서 신빙성있다.

2) This proposal is open to an objection we will discuss again in the chapter on reliabilism: the objection that in an evil-demon world one's beliefs are justified even though one's cognitive faculties are unreliable. Suppose the totality of your perceptual experiences is caused by an evil demon. You are an immaterial spirit deceived into believing that there is a world of physical objects when in fact there is none, but you don't have any reason to suppose that you are the victim of such a deception. Under such conditions, condition (ii) of our proposal is not satisfied, yet your beliefs about the actually nonexisting physical world are by and large justified, just as they are in the actual world.
2) 이러한 제안은 우리가 신빙론에 대한 장에서 다시 논의할 하나의 반박에 대해 열려 있다. 그 반박은 사악한 악마의 세계에서 한 사람의 믿음들이 설령 그의 인지 능력들이 신빙성있지 못할지라도 정당화된다는 반박이다. 당신의 지각 경험들의 총체가 사악한 악마에 의해 야기된다고 가정해 보자. 당신은 사실 아무것도 없을 때 물리적 대상들의 세계가 있다고 믿게끔 기만된 비물질적 정신이지만, 당신이 그러한 기만의 희생자라고 생각할 아무런 근거도 가지고 있지 못하다. 그러한 조건들 아래에서, 우리의 제안에서 조건 (ii)는 만족되지 않지만, 그런데도 당신의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물리적 세계에 대한 믿음들은 대체로 정당화된다. 마치 그 믿음들이 실제 세계 속에 있는 것처럼 말이다.

3) This verdict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if an experience E1 in a world W1, and a further experience E2 in a world W2, are phenomenally indistinguishable, then either both E1 and E2 are justifying experience or neither is. Suppose you are having an experience E1 in the actual world that justifies you in believing that there is a cat before you. Suppose further that in the evil-demon world we are considering you have an experience E2 that is, from your subjective point of view, indistinguishable in its qualities from E1. According to the objection, given that E1 justifies you in believing that there is a cat before you, E2 in the evil-demon world justifies you in believing that same. However, while in the actual world you are reliable at discerning cats, in the evil-demon world you are not. (If you were, then you would notice that there aren't any cats in that world.) It is possible, therefore, to be justified in believing that there is a cat in front of one even if one is not reliable at discerning cats.
3) 이러한 견해는 만일 한 세계 W1에서 한 경험 E1이, 그리고 세계 E2에서 추가적인 경험 E2가 현상적으로 구분불가하다면, E1과 E2 모두가 정당화하는 경험이거나 둘 다 그렇지 않다는 전제에 기초된다. 당신이 실제 세계에서 당신 앞에 고양이 한 마리가 있다는 믿음에 있어서 당신을 정당화하는 경험 E1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해 보자. 더 나아가서 우리가 고려하고 있는 사악한 악마의 세계에서 당신이 당신의 주관적 관점에서는 E1과 그 성질들에 있어서 구별할 수 없는 경험 E2를 지닌다고 가정해 보자. 그 반박에 따르면, E1이 당신 앞에 고양이 한 마리가 있다고 믿음에 있어서 당신을 정당화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사악한 악마의 세계에서 E2는 똑같은 것을 믿음에 있어서 당신을 정당화한다. 그렇지만, 실제 세계에서 당신은 고양이들을 알아봄에 있어서 신빙성있는 반면, 사악한 악마의 세계에서 당신은 그렇지 못하다. (만일 당신이 신빙성있다면, 당신은 그 세계에 아무런 고양이들도 없다는 것을 알아차릴 것이다.) 그러므로 한 사람의 앞에 고양이 한 마리가 있다는 것을 믿음에 있어서 설령 고양이들을 알아봄에 있어서 신빙성이 없다 할지라도 정당화되는 일이 가능하다.

4) Foundationalists who take this objection to be decisive must conclude that it is possible to be justified in believing "This is an F" without being reliable in discerning F-things, and thus that condition (i) must be abandoned.
4) 이러한 반박을 결정적인 것으로 받아들이는 토대론자들은 반드시 F인 것들을 알아봄에 있어서 신빙성있지 않고도 "F가 있다"라고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는 일이 가능하다고 결론내려야만 하며, 따라서 조건 (i)은 폐기되어야만 한다고 결론내려야 한다.

Basic Beliefs and Presumptive Reliability
기초적 믿음들과 추정적 신빙성

1) Yet it is difficult to brush away the idea that reliability is important. Neglecting bizarre scenarios such as being deceived by an evil demon, a lack of reliability does typically mean a lack of justification. If you are unreliable in discerning cats - that is, if you really can't successfully identify cats - then you cannot be justified in believing an animal to be a cat (unless someone else whom you can trust on this matter tells you so). Let us consider, therefore, a condition that demands, not that I am reliable in discerning F-things, but rather that I have good evidence for believing myself to be reliable in discerning F-things. According to this proposal, my belief "There is an F before me" is basic if the following three conditions are satisfied: (i) I am appeared to F-ly; (ii) there are no other beliefs of mine justifying my belief "There is an F before me"; (iii) I have good evidence for taking myself to be reliable in discerning F-things.
1) 아직 신빙성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떨쳐 버리기는 어렵다. 사악한 악마에게 기만당하는 것과 같은 기이한 이야기들을 무시하면, 신빙성의 결여는 전형적으로 정당성의 결여를 의미한다. 만일 당신이 고양이들을 알아봄에 있어서 신빙성이 없다면, 즉, 만일 당신이 정말로 고양이들을 성공적으로 규정할 수 없다면 - 당신은 한 동물이 고양이라고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될 수 없다 (당신이 믿을 수 있는 다른 누군가가 이 문제에 대해 당신에게 그렇다고 말해주지 않는 한 말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내가 F-인 것들을 알아봄에 있어서 신빙성있을 것이 아니라 내가 F-인 것들을 알아봄에 있어서 나 자신이 신빙성있다고 믿을 훌륭한 증거를 가지고 있을 것을 요구하는 조건을 고려해 보도록 하자. 이러한 제안에 따르면, "내 앞에 F가 있다"라는 나의 믿음은 만일 다음 세 가지 조건들이 만족된다면 기초적이다. (i) 내게 F-로 보인다; (ii) "내 앞에 F가 있다"라는 나의 믿음을 정당화하는 나의 믿음들 중 다른 어떠한 믿음도 없다; (iii) 나는 F-인 것들을 알아봄에 있어서 나 자신이 신빙성있다고 받아들일 훌륭한 증거를 가지고 있다.

2) Condition (iii) in this proposal may be regarded as an internalist reliability condition, as opposed to condition (iii) in the previous proposal, which is an externalist reliability condition.<24> According to the latter, justification requires de facto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former, justification requires only presumptive reliability: reliability one would, on the basis of good evidence, be justified in attributing to oneself. Let us, therefore, call condition (iii) in our second proposal the "presumptive reliability condition." Whether I am, as a matter of fact, reliable in discerning F-things is, in relation to my subjective point of view, an external affair in the sense that I might be unable to tell whether I am. In contrast, whether I have good evidence for taking myself to be reliable in discerning F-things is a question that is internal to my subjective perspective: as long as I am capable of evaluating the evidence, I can tell whether I have good evidence for taking myself to be reliable in discerning F-things.
2) 이 제안의 조건 (iii)은 아마도 내재적 신빙성 조건으로 간주될 것이고, 그것은 앞선 제안에서 외재적 신빙성 조건인 조건 (iii)에 반대되는 것다.<24> 후자에 따르면, 정당성은 사실에 대한 신빙성을 요구한다. 전자에 따르면, 정당성은 오로지 추정적 신빙성만을 요구한다. 즉 한 사람이 훌륭한 증거에 기초하여 그 자신에 기인하여 정당화될 신빙성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우리의 두 번째 제안에서 조건 (iii)을 "추정적 신빙성 조건"이라 부르도록 하자. 사실상 내가 F-인 것들을 알아봄에 있어서 신빙성이 있는지 여부는 나의 주관적 관점과 관련하여 내가 그러한지 말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는 의미에서 외재적 문제이다. 반대로, 내가 F-인 것들을 알아봄에 있어서 나 자신이 신빙성 있다고 여기기 위한 훌륭한 증거를 가지는지 여부는 내 주관적 관점에 대한 내재적인 문제이다. 즉 내가 그 증거를 평가할 수 있는 한, 나는 내가 F-인 것들을 알아봄에 있어서 나 자신을 신빙성 있다고 여길 훌륭한 증거를 가지고 있는지 말할 수 있다.

3) Condition (iii), then, requires that reliability be discernible on the basis of "internal" eivdence. What, however, does it take to satisfy this condition? Under which conditions do you have good evidence for believing yourself to be reliable in discerning a certain thing? Let's consider an example. Do you have good evidence for believing yourself to be reliable in discerning kiwi fruit? Well, if you know what a kiwi looks like, then your evidence would be a piece of self-knowledge: your knowing that you know what a kiwi looks like. You can picture a kiwi in your mind, and you know that if you were to go to the produce section of supermarket, you could pick out kiwis without any trouble. Here is another example. I can't tell a raven from a crow, and I know I can't. Hence I do not have good evidence for believing myself to be reliable in recognizing crows and ravens. To the contrary, I have good evidence for believing myself to be unreliable in recognizing crows and ravens. If I were to see a raven and thus be appeared to ravenlike, I would not (without further evidence) be justified in believing that I am seeing a raven. If, however, I were appeared to kiwi-like, then I would be justified in believing that there is a kiwi before me, for knowing myself to know what kiwis look like, I have good evidence for taking myself to be reliable in discerning kiwis.
3) 그래서 조건 (iii)은 신빙성이 "내재적" 증거에 기초하여 분별 가능적이기를 요구한다. 그렇지만 무엇이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가? 어떤 조건들 아래에서 당신이 특정한 것을 알아봄에 있어서 자기 자신을 신빙성 있다고 믿을 훌륭한 증거를 가지는가? 한 사례를 고찰해 보자. 당신은 키위 열매를 알아봄에 있어서 당신 자신을 신빙성있다고 믿을 훌륭한 증거를 지니는가? 자, 만일 당신이 키위가 어떻게 생겼는지 안다면, 당신의 증거는 자기-인식의 한 조각일 것이다. 즉 키위가 어떻게 생겼는지 당신이 안다는 당신의 앎일 것이다. 당신은 당신 마음 속에 키위를 묘사할 수 있고, 만일 당신이 슈퍼마켓 농산물 코너에 가게 된다면 당신이 아무런 어려움 없이 키위들을 집어낼 수 있을 것임을 안다. 여기 또 다른 사례가 있다. 나는 까마귀와 독수리를 구분할 수 없고, 내가 그럴 수 없다는 것을 안다. 따라서 나는 까마귀들과 독수리들을 재인함에 있어서 나 자신이 신빙성있다는 믿음에 대한 훌륭한 증거를 지니지 못한다. 반대로, 나는 까마귀들과 독수리들을 재인함에 있어서 나 자신이 신빙성 없다는 믿음에 대한 훌륭한 증거를 지닌다. 만일 내가 독수리 한 마리를 보게 되고 따라서 독수리 같은 것으로 내게 보인다면, 나는 (추가적 증거 없이) 내가 독수리 한 마리를 보고 있다고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지 않을 것이다. 그렇지만 만일 내게 키위 같이 보인다면, 나는 내 앞에 키위가 있다고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될 터인데, 왜냐하면 키위가 어떻게 보이는지 안다는 나 자신에 대한 앎 때문에, 내가 키위들을 알아봄에 있어서 나 자신이 신빙성있다고 여길 훌륭한 증거를 가지기 때문이다.

4) Is the second proposal superior to the first? The second proposal acknowledge the intuitive plausibility of a reliability condition but, unlike the first, avoides the problems of externalist reliabilism by internalizing it. The externalist reliability condition runs into the problem of an evil-demon world, as explained in the previous section. The presumed reliability condition, however, does not: though the victim of an evil demon's deception lacks, ex hypothesi, de facto reliability, she need not lack presumptive reliability. Hence the third proposal, unlike the second one, does not imply that the empirical beliefs of an evil-demon victim are unjustified.
4) 두 번째 제안은 첫 번째 제안보다 뛰어난가? 두 번째 제안은 신빙성 조건의 직관적 수긍가능성을 인정하지만, 첫 번째 조건과 달리, 그 조건을 내재화함으로써 외재적 신빙론의 문제를 회피한다. 외재적 신빙성 조건은 앞선 절에서 설명된 것처럼 사악한 악마 세계의 문제로 빠져든다. 추정된 신빙성 조건은 그렇지만 그런 문제에 빠져들지 않는다. 즉 사악한 악마의 기만에 희생자가 가설에 따라 사실에 대한 신빙성을 결여한다 할지라도 그녀는 추정적 신빙성을 결여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세 번째 제안은 두 번째 제안과 달리 사악한 악마의 희생자의 경험적 믿음들이 정당화되지 않음을 시사하지 않는다.

5) Next, let's see how the presumed reliability condition solves the problem foundationalists face when they attempt to explain how basic beliefs such as "The object before me is red" are justified. As explained at the beginning of this section, this problem arises when we consider the experience of being appeared to dodecagonally. Since this experience is no evidence at all for me to believe "The object before me is a dodecagon," being appeared to dodecagonally does not justify me in believing "This object is a dodecagon." How can foundationalists maintain that, on the other hand, the experience of being appeared to redly can justify me in believing "The object before me is red"? Precisely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second proposal, the difference is that I have evidence for taking myself to be reliable in discerning the color red, whereas I do not have evidence for taking myself to be reliable in discerning dodecagons.<25> Hence the experience of being appeared to redly can justify me in believing that there is a red object before me, whereas the experience of being appeared to dodecagonally cannot justify me in believing that there is a dodecagonal object before me.
5) 다음으로, 어떻게 추정된 신빙성 조건이 토대론자들이 어떻게 "내 앞의 대상은 붉다"와 같은 그런 기초적 믿음들이 정당화되는지 설명하고자 시도할 때 직면하는 문제를 해결하는지 보도록 하자. 이 절 시작부에서 설명되었듯, 이 문제는 우리가 12각형으로 보이는 경험을 고찰할 때 발생한다. 이러한 경험은 내가 "내 앞의 대상은 12각형이다"라고 믿기 위한 전혀 아무런 증거도 아니므로, 12각형으로 보임이 "이 대상은 12각형이다"라고 믿음에 있어서 나를 정당화하지 못한다. 어떻게 토대론자들은 다른 한편으로 붉게 보이는 경험이 "내 앞의 대상은 붉다"라고 믿음에 있어서 나를 정당화할 수 있다고 주장할 수 있는가? 정확히 그 두 경험들 사이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두 번째 제안에 따르면, 그 차이는 붉은 색을 알아봄에 있어서 나 자신이 신빙성있다고 받아들일 증거를 내가 가지고 있음에 반해, 나는 12각형들을 알아봄에 있어서 나 자신을 신빙성있다고 여길 증거를 지니고 있지 못하다는 것이다.<25> 따라서 붉게 보이는 경험은 내 앞에 붉은 대상이 있다고 믿음에 있어서 나를 정당화할 수 있는 반면, 12각형으로 보이는 경험은 내 앞에 12각형이 있다는 믿음에 있어서 나를 정당화할 수 없다.

6) According to our second proposal, then, the question of how basic beliefs are justified can be answered thus: Basic beliefs are justified by appropriate experiences of being appeared to in certain ways and, in addition, by the fact that the subject may presume the relevant experiences to be a reliable source of information.
6) 우리의 두 번째 제안에 따르자면, 그래서, 어떻게 기초적 믿음들이 정당화되는지에 대한 물음은 다음과 같이 답변될 수 있다. 즉 기초적 믿음들은 특정한 방식들에서 그렇게 보이기에 적절한 경험들에 의해 정당화되고, 덧붙여, 주체가 관련된 경험들을 신뢰할 만한 정보의 원천이라 추정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정당화된다.

-蟲-
The Regress Problem and Skepticism
소급 문제와 회의주의

1)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between the regress problem we encounter in the analysis of justification and particular regress arguments.<9> The regress problem arises from the threat of infinity in a regress of justifying reasons. Unless a belief B1 is basic, it can be justified only if it is based on a reason - that is, on a belief B2 that justifies B1. But for B2 to justify B1, it must be justified itself. Thus, unless B2 is basic, the necessity of a further reason, B3, arises. Since B3 must be justified in turn, unless B3 is basic, yet another reason is necessary, and so forth. In order to solve the regress problem, it must be shown that it is possible for a belief to be justified without depending for its justification on an infinite regress of reasons.
1) 우리가 정당성에 대한 분석에서 직면한 소급 문제와 특정한 소급 논증을 구별하는 일은 중요하다.<9> 소급 문제는 정당화 추론들의 소급에서 무한성의 위협으로부터 발생한다. 하나의 믿음 B1이 기초적이지 않는 한, 그 믿음은 오로지 하나의 추론에 근거되어서만 정당화될 수 있다 - 즉, B1을 정당화하는 믿음 B2에 기초하여. 그러나 B2가 B1을 정당화하기 위해서, B2는 반드시 그 자체 정당화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B2가 기초적이지 않는 한, 추가적인 추론, B3의 필요가 발생한다. B3가 이번에는 정당화되어야만 하므로, B3가 기초적이지 않는 한, 아직 또 다른 추론이 필요하며, 그렇게 계속된다. 그 소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 믿음이 추론들의 무한 소급에 그 정당성을 의존하지 않고 정당화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이 보여져야만 한다.

2) Particular regress arguments, in contrast, always represent a certain response to the regress problem. The regress argument for foundationalism, for example, concludes that there must be basic beliefs, for otherwise the justificatory regress could not be stopped. It would be a mistake, however, to believe that the only cogent response to the regress problem is an argument on behalf of foundationalism. In fact, the regress problem can also give rise to an argument in support of skepticism. Notice that the regress argument for the existence of basic beliefs begins with the supposition that B1 is justified. Skeptics about justification could deny this assumption. Since a basic belief is supposed to be a belief that is justified without owing its justification to any other beliefs, skeptics might ask from where its justification comes. Denying that experience by itself can justify, they could argue that either a belief owes its justification to other beliefs or it cannot be justified at all. They could continue the argument by agreeing with foundationalists that if basic beliefs can't exist, regress termination is impossible. And then, pointing out that an infinite regress cannot justify anything, they would conclude that there are no justified beliefs at all. So from the skeptics' point of view, the regress argument as employed by foundationalists shows at best no more than this: if there are justified beliefs, then there must be basic beliefs.
2) 특정한 소급 논증들은 반대로 언제나 소급 문제에 대한 특정한 응답을 표현한다. 예를 들어 토대론을 위한 소급 논증은 기초적 믿음은 틀림없이 있는데 왜냐하면 다른 방식으로는 정당화 소급이 중단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결론 내린다. 그렇지만 소급 문제에 대해 유일한 설득력 있는 응답이 토대론을 위한 논증이라고 믿는 것은 실수일 것이다. 사실상, 소급 문제는 또한 회의주의를 지지하는 논증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기초적 믿음들의 존재에 대한 소급 논증은 B1이 정당화된다는 추정을 가지고 시작한다는 점을 주의하자. 정당성에 대한 회의주의자들은 이러한 추정을 부정할 수 있을 것이다. 기초적 믿음은 그 정당성을 다른 어떤 믿음들에게도 빌리지 않고 정당화되는 믿음인 것으로 가정되므로, 회의주의자들은 그 믿음의 정당성이 어디로부터 오는지 물을 수 있을 것이다. 경험이 스스로 정당화할 수 있음을 부정하면서, 그들은 한 믿음은 그 정당성을 다른 믿음들에게서 빌려오거나 전혀 정당화될 수 없다고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들은 만일 기초적 믿음들이 존재할 수 없다면, 소급 종결은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토대론자들에게 동의함으로써 논증을 계속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래서, 무한 소급은 어떤 것도 정당화할 수 없음을 지적하면서, 그들은 그 어떠한 정당화된 믿음들도 전혀 없다고 결론내릴 것이다. 그래서 회의주의자들의 관점에서, 토대론자들에 의해 채택된 소급 논증은 아무리 해도 이 이상의 것을 보여주지 않는다. 즉 만일 정당화된 믿음들이 있다면, 반드시 기초적 믿음들이 있어야만 한다는 것 말이다.

3) However, from the foundationalist point of view, the skeptical employment of the regress argument also yields only a hypothetical result: if there are no basic beliefs, then there are no justified beliefs at all. And since foundationalists believe that our beliefs are by and large justified, they ultimately conclude that there must be basic beliefs. Nevertheless, the fact that skeptics can formulate a regress argument for their own purposes shows that if foundationalists wish to derive an advantage from employing a regress argument for the existence of basic beliefs, they must defend the nonskeptical premise that our beliefs are by and large justified.
3) 그렇지만, 토대론자의 관점에서, 소급 논증의 회의주의적 사용 역시 오로지 가설적 결론만을 주장한다. 즉 만일 기초적 믿음들이 없다면, 어떠한 정당화된 믿음들도 전혀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토대론자들은 우리의 믿음들이 대체로 정당화된다고 믿으므로, 그들은 궁극적으로 반드시 기초적 믿음들이 있어야만 한다고 결론내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회의주의자들의 고유한 의도를 위한 소급 논증을 정식화할 수 있다는 사실은, 만일 토대론자들이 기초적 믿음들의 존재에 대해 소급 논증을 채용함으로부터 이점을 이끌어 오길 바란다면, 그들이 반드시 우리의 믿음들이 대체로 정당화된다는 비회의적 전제를 옹호해내야만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 Regress Problem and Coherentism
소급 문제와 정합론

1) A further premise on which the regress argument rests is the assumption that, should basic beliefs be impossible, the regress of justifying reasons must continue ad infinitum. While foundationalists and skeptics both accept this premise, coherentists - who advocate that justification is solely generated through coherence - reject it. Coherentists deny that there is such a thing as nondoxastic justification, and thus deny that there are basic beliefs. On the other hand, taking our beliefs by and large to be justified, they side with foundationalists in rejecting skepticism. Hence in order to avoid skepticism, they must deny what both foundationalists and skeptics accept - to wit, that in the absence of basic beliefs, the regress of justifying reasons will continue forever.
1) 그 소급 논증이 의존하는 추가적인 전제는 기초적 믿음들이 불가능할 것이라면, 정당화하는 추론들의 소급은 반드시 무한까지 지속되어야만 한다는 추정이다. 토대론자들과 회의주의자들 모두가 이러한 전제를 받아들이는 반면, 정합론자들 - 정당성은 오로지 정합성을 통해서만 산출된다는 점을 지지하는 이들 - 은 그 전제를 거부한다. 정합론자들은 비사견적 정당성과 같은 그런 것이 있다는 것을 부정하며, 그래서 기초적 믿음들이 있음을 부정한다. 다른 한편으로, 우리의 믿음들이 대체로 정당화된다고 여기면서, 그들은 회의주의를 부정함에 있어서 토대론자들의 편에 선다. 따라서 회의주의를 피하기 위하여, 그들은 토대론자들과 회의주의자들 모두가 허용하는 것을 부정해내야만 한다. - 정확히 말해서, 기초적 믿음들의 부재 속에서 정당화하는 추론들의 소급은 영원히 계속될 것이라는 추정을 부정해야만 한다.

2) But if the idea of regress termination through basic beliefs is abandoned, how can it be shown that justification is nevertheless possible? For one thing, coherentists might claim that a regress can eventually circle back to its point of origin. Suppose again that B1 is a justified belief, owing its justification to B2, which in turn is justified by B3. Couldn't B3 receive its justification from B1? If it did, then the regress would have come full circle. Foundationalists believe that such circularity is just as unacceptable as skepticism. Thus they typically argue that if we are to avoid the two pitfalls of skepticism and circularity, we must conclude that there are basic beliefs.<10> Coherentists might reply, however, that circularity need not be such a bad thing. They might say that a circular regress can justify the beliefs involved in it if the circle is sufficiently large and rich in content.<11> In the next chapter, we shall return to this argument and examine it in some detail.
2) 그러나 만일 기초적 믿음들을 통한 소급 종결의 발상이 폐기된다면, 어떻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당성이 가능하다는 점이 보여질 수 있는가? 그 한 가지로, 정합론자들은 아마도 소급이 결국 그 시작점으로 원을 그리며 돌아올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다시 한 번, B3에 의해 정당화되는 B2에게서 그 정당성을 빌려오면서 B1이 정당화된다고 가정해 보자. B3는 그 정당성을 B1으로부터 빌려올 수 없는가? 만일 그러하다면, 소급은 완전한 원형이 될 것이다. 토대론자들은 그러한 순환성이 회의주의만큼이나 허용불가능하다고 믿는다. 따라서 그들은 전형적으로 만일 우리가 회의주의와 순환성의 두 가지 위험들을 피하게 되려면, 우리는 반드시 기초적 믿음들이 있다고 결론내려야만 한다고 주장한다.<10> 그렇지만 정합론자들은 그 순환성이 그런 결점이 필요치 않다고 답할 것이다. 그들은 아마도 순환 소급이 내용에 있어서 충분히 크고 풍부하다면 그 소급 내에 포함되는 믿음들을 정당화할 수 있다고 말할 것이다.<11> 다음 장에서, 우리는 이 논증으로 돌아와 어느 정도 구체적으로 그것을 검토할 것이다.

3) Furthermore, coherentists can challenge the linear conception of justification that the regress argument presupposes. A conception of justification is linear if it is assumed that whenever a belief B is justified, its justification can be traced back to one or more particular beliefs, and that these beliefs owe their justification in turn to still further particular beliefs. In contrast, according to a holistic conception of justification, beliefs are not justified by virtue of bearing such linear relations to other beliefs; rather, they owe their justification to the coherence the subject's belief system enjoys as a whole. Now if that is indeed how justification is generated, a justificatory regress doesn't get started in the first place. Suppose once again that B1 is a justified belief. Coherentists could say B1 is justified because it is a member of a system of beliefs that, as a whole, is coherent. Hence there is no need for a belief B2, which justifies B1 and must be justified in turn, thus creating the need for a belief B3. So, according to a holistic conception of justification, a belief's justification involves only a two-place relation - a relation between the belief itself and the subject's belief system as a whole - and thus does not depend on a regress of justifying beliefs.
3) 더 나아가서, 정합론자들은 소급 논증이 상정하는 선형적 정당성 개념에 도전할 수 있다. 만일 B가 정당화되는 어느 때이든 그 정당성이 하나 이상의 특정한 믿음들로 소급될 수 있다고, 그리고 이러한 믿음들이 그 정당성을 여전히 추가적인 특정한 믿음들에게서 빌려온다고 가정된다면 정당성 개념은 선형적이다. 반대로, 전체론적 정당성 개념에 따르자면 믿음들은 다른 믿음들에 대한 그러한 선형적 관계들에 관련하는 덕분으로 정당화되지 않는다. 오히려 그 믿음들은 그 정당성을 주체의 믿음체계가 전체로서 향유하는 정합성에게서 빌려온다. 이제 만일 실제로 정당성이 산출되는 방식이 그러하다면, 정당화 소급은 처음부터 시작되지 않는다. 다시 한 번 B1이 정당화된 믿음이라고 가정해 보자. 정합론자들은 B1이 정당화되는데 왜냐하면 그 믿음이 전체로서 정합적인 믿음들의 체계의 구성원이기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B1을 정당화시키고 이번에는 또 정당화되어야만 하는, 따라서 믿음 B3에 대한 필요를 만들어내는 그러한 믿음 B2는 전혀 필요치 않다. 그래서, 전체론적 정당성 개념에 따르자면, 한 믿음의 정당성은 오로지 복좌(復座) 관계 - 믿음 자체와 전체로서 주체의 믿음 체계 - 만을 포함하며 따라서 믿음들을 정당화하는 소급에 의존하지 않는다.


Is an Infinitive Regress Really Impossible?
무한 소급은 정말로 불가능한가?

1) A third assumption on which the regress argument rests is that if a belief depends for its justification on an infinite regress of beliefs, it couldn't possibly be justified. This assumption can be defended in two ways. First, it could be argued that an infinite regress cannot justify any beliefs because humans, having finite minds, are not capable of forming an infinite number of beliefs. Second, it could be defended on the ground that justification through an infinite regress of reasons is logically impossible. We must, then, examine the following two issues: First, is an infinite regress of beliefs psychologically possible? Second, is it logically possible for a belief to be justified by an infinite regress of reasons?
1) 소급 논증이 의존하는 세 번째 가정은 만일 한 믿음이 그 정당성을 믿음들의 무한 소급에 의존한다면, 그 믿음은 정당화될 수 없을 것이라는 것이다. 이 가정은 두 가지 방식으로 옹호될 수 있다. 첫째로, 무한 소급은 어떠한 믿음들도 정당화할 수 없는데 왜냐하면 한정된 정신을 가진 인간들은 무한수의 믿음들을 형성할 능력이 없기 때문이라고 주장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로, 그 가정은 추론들의 무한 소급을 통한 정당성이 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근거에서 옹호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반드시 다음 두 가지 문제들을 검토해야만 한다. 첫째로, 믿음들의 무한 소급은 심리적으로 불가능한가? 둘째로, 한 믿음이 추론들의 무한 소급에 의해 정당화되는 것은 논리적으로 불가능한가?

2) As to the first question, Ernest Sosa has argued that the possibility of an infinite regress should not be dismissed too easily.<12> Consider the following example.

B1    There is at least one even number.
B2    There are at least two even numbers.
B3    There are at least three even numbers.

Can you add beliefs on to this series ad infinitum? It might be argued that you do in fact hold an infinite number of beliefs, since for any n, you believe this:

Bn    There are at least n even numbers.

2) 첫 번째 물음에 대해, 어니스트 소사는 무한 소급의 가능성이 너무 쉽게 부정되어서는 안 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B1    최소한 하나의 짝수가 있다.
B2    최소한 두 개의 짝수들이 있다.
B3    최소한 세 개의 짝수들이 있다.

당신은 이 연쇄에 무한까지 믿음들을 추가할 수 있는가? 아마도 당신이 사실상 무한 수의 믿음들을 지니는데, 어떤 n에 대해서는 당신이 다음의 명제를 믿으므로 그러하다고 주장될 수 있을 것이다.

Bn    최소한 n 개의 짝수들이 있다.

3) However, we must distinguish between your readiness in principle to believe Bn for any n and your actual capacity to form such beliefs for very high numbers. Robert Audi has argued that, beyond a certain point, the requisite beliefs could not be formed by finite minds. According to Audi,

for a finite mind there will be some point or other at which the relevant proposition cannot be grasped. The required formulation (or entertaining of the proposition) would, at some point on the way "toward" infinity, become too lengthy to permit understanding it. Thus, even if we could read or entertain it part by part, when we got to the end we would be unable to remember enough of the first part to grasp and thereby believe what the formulation expresses.<13>

Audi's argument provides us with a strong reason against the psychological possibility of an infinite regress of reasons in the form of an actual infinite series of beliefs in a person's mind. Thus as far as the first question is concerned, our verdict should be a negative.
3) 그렇지만, 우리는 반드시 원칙적으로 어떤 n에 대해서든 당신이 믿을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과 굉장히 높은 수들에 대한 그러한 믿음들을 실제로 형성할 수 있는 당신의 능력을 구분해야만 한다. 로버트 아우디는 특정 지점을 넘어서서 필요한 믿음들이 한정된 정신에 의해서는 형성될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아우디에 따르면,

한정된 정신에 대해서 관련된 명제가 파악될 수 없는 어떤 지점이 있을 것이다. 요청되는 정식화 (혹은 그 명제의 수용) 는 무한성을 "향하는" 도상의 어떤 지점에서 그 명제를 이해하는 일을 허용할 수 없을 만큼 지나치게 길어질 것이다. 따라서, 설령 우리가 그 명제를 부분부분 차례로 읽거나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라 할지라도, 우리가 그 끄트머리에 닿았을 때 우리는 그 정식화가 표현하는 바를 파악하고 그럼으로써 믿을 만큼 충분히 그 처음 부분을 기억할 수는 없을 것이다.<13>

아우디의 논증은 우리에게 한 개인의 정신에서 믿음들의 실제적 무한 연쇄 형식에 있어서 추론들의 무한 소급에 대한 심리적 가능성을 반대하는 강력한 근거를 제공한다. 따라서 첫 번째 물음에 관한 한, 우리의 평가는 부정적이어야 할 것이다.

4) Let us now turn to the second question. For the sake of argument, let us grant the psychological possibility of an infinite regress of reasons - that is, let us suppose we can in fact form beliefs of the form Bn for any n. Could the belief at the head of the regress, B1, be justified by the infinity of the beliefs succeeding it? The argument to the effect that it could not runs as follows: B1 is justified only if B2 is justified. So B1 depends for its justification on B2. Likewise, B2 depends for its justification on B3, and so forth. To generalize: Each member of the series depends for its justification on the immediately succeeding member. But this means that B1 remains unjustified unless the regress terminates in a belief that does not depend for its justification on yet another belief in the series.
4) 이제 두 번째 물음으로 돌아서 보자. 논증을 위하여, 추론들의 무한 소급에 대한 심리적 가능성을 인정하도록 하자 - 즉, 우리가 사실상 어떤 n에 대해서든 Bn 형식의 믿음들을 형성할 수 있다고 가정해 보도록 하자. 소급의 선두 믿음 B1은 그에 계속하는 믿음들의 무한성에 의해 정당화될 수 있겠는가? 그 논증은 다음과 같이 진행될 수 없을 것이라는 의미이다. 즉 B1은 오로지 B2가 정당화될 때에만 정당화된다. 그래서 B1은 그 정당성은 B2에 의존한다. 마찬가지로, B2는 그 정당성을 B3에 의존하며 그렇게 계속된다. 일반화하자면 그 연쇄의 각 구성원은 그 정당성을 곧장 뒤따르는 구성원에 의존한다. 그러나 이것은 B1이 그 정당성을 연쇄 속 다른 믿음에 의존하지 않는 믿음에서 소급이 종결하지 않는 한 정당화되지 않은 채로 남는다는 뜻이다.

5) Consider an analogy. Suppose I wish to borrow five dollars from you and you tell me: "I don't have five dollars right now, but over there is Jack, who owes me five dollars. If I get five dollars from him, then I'll give them to you." Now when you ask Jack, he tells you what you told me: "I don't have five dollars right now, but over there is Jim, who owes me five dollars. If I get five dollars from him, then I'll give them to you." Clearly, if the search for someone to borrow five dollars from continues ad infinitum, I'll never get the five dollars I need. Someone in the chain of potential lenders actually has to have the five dollars without in turn depending on someone else from whom to get five dollars. Likewise, if the regress of beliefs of the form Bn continues ad infinitum, B1 will never get justified. At some point in the regress, a belief must be justified without depending for its justification on yet another belief, or else there will never be any justification generated that can be transmitted all the way up to B1.
5) 하나의 유추를 고찰해 보자. 내가 당신에게서 5달러를 빌리고자 하고 당신이 나에게 다음과 같이 말한다고 가정해 보자. "내가 지금은 5달러가 없지만 저기 나한테서 5달러를 빌린 잭이 있어. 만일 내가 걔한테서 5달러를 받는다면 그 돈을 너한테 줄게." 이제 당신이 잭에게 물을 때, 그가 당신에게 당신이 내게 했던 말을 한다. "내가 지금은 5달러가 없지만 저기 나한테서 5달러를 빌린 짐이 있어. 만일 내가 걔한테서 5달러를 받는다면 그 돈을 너한테 줄게." 분명히, 만일 5달러를 빌린 누군가를 찾는 일이 무한까지 계속된다면, 나는 결코 내가 필요한 5달러를 얻을 수 없을 것이다. 잠재적으로 빌려줄 사람들의 연쇄 속에서 누군가는 실제로 그에게서 5달러를 받아야 할 다른 누군가에 의존함이 없이 5달러를 가지고 있어야만 한다. 같은 식으로, 만일 Bn 형식 믿음들의 소급이 무한까지 계속된다면, B1은 절대로 정당화되지 않을 것이다. 그 소급의 어떤 지점에서, 한 믿음은 반드시 그 정당성을 다른 믿음에 의존함이 없이 정당화되어야만 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B1까지 내내 전이될 수 있도록 산출되는 어떠한 정당성도 절대로 없을 것이다.

6) It is safe to say, then, that at least one of the premises of the regress argument for basic beliefs is beyond reproach: for a regress of justifying reasons that doesn't terminate, it is impossible to justify the belief at its beginning. However, foundationalists must admit that the regress argument does not straightforwardly establish the existence of basic beliefs. It is an effective defense of foundationalism only if accompanied by further argumentation against coherentism and skepticism.
6) 그래서 최소한 기초적 믿음들에 대한 소급 논증의 전제들 중 하나는 다음과 같은 비난을 넘어서서 있다고 말하는 것이 안전하다. 즉 종결하지 않는 정당화 추론들의 소급에 대해, 처음부터 그 믿음을 정당화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비난 말이다. 그렇지만 토대론자들은 반드시 그 소급 논증이 직접 기초적 믿음들의 존재를 확립시키지는 않는다는 점을 인정해야만 한다. 그것은 오로지 정합론과 회의주의에 반대하는 추가적 논증에 의해 동반될 때에만 토대론에 대한 효과적인 방어이다.


Self-Justification
자기-정당화

1) We have defined basic beliefs as beliefs that are justified without owing thier justification to other beliefs. However, both advocates and critics of foundationalism have typically assumed that for a belief to be basic, it must enjoy what is called an "epistemic privilege." For a belief to be epistemically privileged, it must have a feature that the ordinary mass of beliefs lacks. Standard examples of an epistemically previleged status are that of being self-justified, certain, indubitable, or infallible. In this section, we shall examine whether for a belief to be basic, it must really enjoy any of these epistemic privileges.
1) 우리는 기초적 믿음들을 그 정당성을 다른 믿음들에게서 빌려오지 않고 정당화되는 믿음들로 정의하였다. 그렇지만, 토대론의 지지자들과 비판자들 모두가 전형적으로 한 믿음이 기초적이기 우해서는 그 믿음이 반드시 "인식적 면책특권"이라 불리는 어떤 것을 향유해야만 한다고 가정하였다. 한 믿음이 인식적으로 특권적이기 위해서, 그 믿음은 반드시 믿음들의 일상적 모임이 결여하는 특징을 지녀야만 한다. 인식적 특권 상태의 표준적 사례들은 자기-정당화됨, 확실함, 의심불가능, 또는 오류불가능이다. 이 절에서, 우리는 믿음이 기초적이기 위해 그 믿음이 정말로 반드시 이러한 인식적 특권들 중 어떤 것이든 향유해야만 하는지 검토할 것이다.

2) According to Keith Lehrer, a leading coherentist and critic of foundationalism, a belief cannot be basic unless it is self-justified. He writes that foundationalism can be characterized

by specifying the conditions that must be met for a belief to be basic. The first is that a basic belief must be self-justified rather than being justified entirely by relations to other beliefs.<14>

This claim raises two issues. First, is it possible for a belief to be self-justified? Second, is Lehrer right in claming that for a belief to be basic, it must be self-justified?
2) 정합론자들과 토대론 비판을 선도하는 케이트 레러에 따르면, 한 믿음은 그 믿음이 자기-정당화되지 않는 한 기초적일 수 없다. 그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토대론은 규정될 수 있는데

한 믿음이 기초적이기 위해 반드시 충족되어야만 하는 조건들을 상술함으로써 그러하다. 그 첫째 조건은 기초적 믿음은 전적으로 다른 믿음들과의 관계들에 의해 정당화되는 것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반드시 자기-정당화되어야만 한다.<14>

이러한 주장은 두 가지 문제들을 불러 일으킨다. 첫째로, 한 믿음이 자기-정당화되는 것이 가능한가? 둘째로, 레러는 한 믿음이 기초적이어야 하기 위해 그 믿음이 반드시 자기-정당화되어야만 한다고 주장함에 있어서 옳은가?

3) The first question must be answered negatively.<15> The relation "x justifies y" is irreflexive, which means that just as one can't be one's own father, a belief can't be its own justifier.<16> Compare self-justification with the idea that God created himself. When God created himself, either he existed already or he did not. If he did, then he existed in the first place, and thus could not have created himself. In the first case, self-creation could not have taken place because what exists already cannot be created again, just as a child that is already born cannot be born again, or a cup of coffee that is already brewed cannot be brewed again. In the second case, God could not have created himself, for in order for him to create anything, he must exist already. The idea of self-creation, then, is an idea of something that is impossible; nothing can create itself.<17>
3) 첫 번째 물음은 반드시 부정적으로 답해져야만 한다.<15> "x가 y를 정당화한다"라는 관계는 재귀적이지 않고, 그것은 곧 한 사람이 그 자신의 아버지일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한 믿음은 그 자신의 고유한 정당화항일 수 없다는 뜻이다.<16> 자기-정당성을 자신을 창조한 신이라는 생각과 비교해 보자. 신이 그 자신을 창조할 때, 그는 이미 존재하였거나 그렇지 않다. 만일 그가 이미 존재하였다면, 그는 처음부터 존재하였고, 그래서 그 자신을 창조했을 수 없을 것이다. 첫 번째 경우, 자기-창조는 일어날 수 없었을 것인데 왜냐하면 이미 존재하는 것은 다시금 창조될 수 없기 때문이며, 이는 바로 이미 태어난 아이가 다시 태어날 수 없는 것과, 혹은 이미 타진 커피 한 잔이 다시 타질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두 번째 경우, 신은 그 자신을 창조할 수 없을 것인데, 왜냐하면 그가 무엇이든 창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미 존재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자기-창조의 생각은 그래서 불가능한 어떤 것에 대한 생각이다. 그 어떤 것도 그 자신을 창조할 수 없다.<17>

4) A parallel argument applies to self-justification. Any allegedly self-justified belief is either justified in the first place or it is not. If it is, then it can't justify itself because it is already justified, just as one can't take a loaf of bread that is already baked, write a letter that is already written, or melt an ice cube that is already melted. And if the belief is not already justified, then it can't justify itself because a belief that doesn't have justification can't transmit justification on to any other beliefs or itself, just as somebody who doesn't have any money can't give money to anyone, including himself.<18> We are to conclude, therefore, that self-justification is impossible.
4) 동일한 논증이 자기-정당화에 적용된다. 자기-정당화된 믿음이라 알려진 어떤 믿음은 처음부터 정당화되거나 그렇지 않다. 만일 처음부터 정당화된다면, 그 믿음은 그 자신을 정당화할 수 없는데 왜냐하면 그 믿음은 이미 정당화되어 있기 때문이며, 그것은 한 사람이 이미 베어 먹은 빵 한 덩어리를 먹을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고, 이미 쓰인 편지를 쓸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거나, 이미 녹아 버린 얼음조각을 녹일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만일 그 믿음이 이미 정당화되어 있는 게 아니라면, 그 믿음은 그 자신을 정당화할 수 없는데 왜냐하면 정당성을 지니지 않은 믿음은 정당성을 다른 어떤 믿음들이나 그 자신에게도 전이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이는 마치 땡전 한 푼 없는 누군가가 그 자신을 포함한 누구에게도 돈을 줄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다.<18> 그럼르ㅗ 우리는 자기-정당성은 불가능하다고 결론내리게 될 것이다.

5) Let us now turn to the second issue Lehrer raises. Is he right in claiming that basic beliefs must be self-justified? Suppose he is. Since self-justification is impossible, in that case there couldn't be any basic beliefs, and foundationalism would certainly be a mistaken view. However, foundationalists need not agree with Lehrer that basic beliefs must be self-justified. In the passage cited above, it is clear that Lehrer makes this assumption: either a belief is justified by relations to other beliefs or it is self-justified. Form the foundationalist point of view, however, this is a false dichotomy, for Lehrer's assumption leaves out the possibility of justification arising from nondoxastic sources. Recall what it takes for a belief to be basic - that is, to play the role of a regress terminator: it must be justified without owing its justification to another belief. Surely this doesn't imply that it must receive its justification from itself. Rather, as pointed out above, foundationalists can maintain that basic beliefs are justified by perceptual, introspective, and memorial experiences. According to this view, basic beliefs, unlike self-justified beliefs, do have an external source of justification - a source, however, that does not include any beliefs. They are neither justified by others nor self-justified.
5) 이제 레러가 불러온 두 번째 문제로 가 보자. 그는 기초적 믿음들이 반드시 자기-정당화되어야만 한다고 주장함에 있어서 옳은가? 그가 옳다고 가정해 보자. 자기-정당성은 불가능하므로, 그 경우 어떠한 기초적 믿음들도 있을 수 없을 것이고, 토대론은 확실히 잘못된 관점일 것이다. 그렇지만, 토대론자들은 기초적 믿음들이 자기-정당화되어야만 한다는 점에서 레러에게 동의할 필요가 없다. 위에서 인용된 구절에서, 레러가 이러한 가정을 하고 있음은 분명하다. 즉 한 믿음은 다른 믿음들과의 관계들에 의해 정당화되거나 아니면 자기-정당화된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토대론자의 관점에서 이것은 그릇된 이분법인데, 왜냐하면 레러의 가정은 비사견적 원천들로부터 발생하는 정당화의 가능성을 남겨놓기 때문이다. 한 믿음이 기초적이기 위해 취하는 것을 상기해 보자 - 즉, 소급 종결자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취하는 것 말이다. 그것은 즉 그 믿음이 다른 믿음에게서 그 정당성을 빌려오지 않고 정당화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확실히 이것은 그 믿음이 그 정당성을 그 자신으로부터 받아야만 한다는 것을 시사하지 않는다. 오히려, 위에서 지적된 바대로, 토대론자들은 기초적 믿음들이 지각적, 내성적, 기억 경험들에 의해 정당화된다고 주장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 따르면 기초적 믿음들은 자기-정당화된 믿음들과 달리 정당성의 외재적 원천 - 그렇지만 어떠한 믿음들도 포함하지 않는 원천 - 을 가진다. 그 믿음들은 다른 믿음들에 의해서 정당화되지도 그렇다고 자기-정당화되지도 않는다.

-蟲-
Chapter Five


Foundationalism
토대론

Basic Beliefs
기초적 믿음들

1) Philosophers who advocate foundationalism in one form or another maintain that a person's justified belief system - the totality of her justified beliefs - is structured in the following way.<1> First, there are basic beliefs, which make up a belief system's foundation, as opposed to nonbasic beliefs, which make up a belief system's superstructure. Second, each belief that belongs to the superstructure owes its justification ultimately to one or several beliefs in the foundation. Although it is agreed that these two claims are essential to any version of foundationalism, there is much disagreement as to what kinds of beliefs are basic and how they are related to nonbasic beliefs. Thus while there is something like the foundationalist conception of the structure of epistemic justification - the conjunction of the two claims above - there isn't one particular theory that qualifies as an undisputed representative of foundationalism as such. Rather, there is a multitude of different "foundationalisms," each of which is claimed by its advocates to be superior to the others. Obviously, this raises a difficulty for us: in order to discuss the virtues and vices of foundationalism, which particular version of it should we consider?
1) 이러저러한 형식으로 토대론을 옹호하는 철학자들은 한 개인의 정당화된 믿음 체계 - 그녀의 정당화된 믿음의 총체 - 가 다음 방식으로 구축된다고 주장한다.<1> 우선, 기초적인 믿음들이 있는데, 그러한 믿음들은 믿음 체계의 토대를 형성한다. 반대로 비기초적 믿음들은, 그러한 믿음들이 믿음 체계의 상부구조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부구조에 속하는 각각의 믿음은 그 정당성을 궁극적으로 토대에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믿음들에 의존한다. 비록 이러한 두 가지 주장들이 본질적으로 토대론의 어떤 형태에든 동의된다 할지라도, 어떤 종류의 믿음들이 기초적인지 그리고 어떻게 그러한 믿음들이 비기초적 믿음들에 관계되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불일치가 있다. 따라서 인식적 정당성의 토대론적 개념과 같은 어떤 것이 있는 반면 - 위의 두 주장들의 결합 - 엄밀히 토대론의 반박할 수 없는 대표격이 되는 하나의 특수한 이론은 없다. 오히려, 다수의 상이한 "토대론들"이 있으며, 그 각각은 그 옹호자들에 의해 다른 것들보다 우월한 것으로 주장된다. 분명히, 이것은 우리에게 어려움을 불러일으킨다. 즉 토대론의 장점들과 단점들을 논의하기 위해, 어떤 특정한 형태의 토대론을 우리가 고려해야 하는가 하는 어려움이 있다.

2) When discussing what can be said for and against a certain theory, it would be unfair to consider a version loaded with unnecessary features that are easy targets for criticism. Rather, one should always consider the most plausible construal of the thoery in question. Later in the chapter, we shall consider, therefore, three different versions of foundationalism and, for the purpose of subsequent discussion, take as representative that version which asserts no more than what is logically dictated by committing oneself to the two claims mentioned above.
2) 한 특정한 이론에 대해 그리고 그에 반대하여 무엇이 이야기될 수 있는지 논의할 때, 비판의 표적들이 되기 쉬운 불필요한 특징들로 채워진 형태를 고려하는 것은 공정치 못할 것이다. 오히려, 언제나 문제가 되는 이론의 가장 그럴 성 싶은 고안물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 장 뒷부분에서, 우리는 그러므로 세 가지 다른 형태의 토대론들을 고찰할 것이고, 다음 논의를 위해서, 위에서 언급된 두 가지 주장들에 전념함으로써 논리적으로 지시되는 것 이외의 다른 아무것도 주장하지 않는 그러한 형태를 대표적인 형태로 취할 것이다.

3) We begin our discussion of foundationalism with an examination of the concept of a basic belief.<2> Basic beliefs have three charateristics. First, they are noninferential, which means they are not inferred from other beliefs. Compare, for example, the two beliefs

(1) He's soaked.

(2) It's raining outside.

Suppose you believe that it's raining outside because you see that a man coming in from outside is wet; you infer (2) from (1). (1), in contrast, is not inferred from any other belief. Rather, you simply see, or observe, that the man you're looking at is soaked. In this situation, (2) is an inferential and (1) a noninferential belief.<3>
3) 우리는 토대론에 대한 우리의 논의를 기초적 믿음이라는 개념에 대한 검토를 가지고 시작한다.<2> 기초적 믿음들은 세 가지 특징들을 지닌다. 첫째로, 그것들은 비추론적이다. 그 말은 그 믿음들이 다른 믿음들로부터 추론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다음 두 가지 믿음들을 비교해 보자.

(1) 그는 흠뻑 젖었다.

(2) 밖에 비가 오고 있다.

당신이 밖에 비가 온다고 믿는데 왜냐하면 당신이 밖에서 안으로 들어온 사람이 젖은 것을 보기 때문이라고 가정해 보자. 그러면 당신은 (1)로부터 (2)를 추론하는 것이다. (1)은 반대로 다른 어떤 믿음으로부터도 추론되지 않는다. 오히려 당신은 단순히 당신이 보고 있는 남자가 흠뻑 젖어 있다는 것을 보거나 관찰할 따름이다. 이 상황에서, (2)는 추론적 믿음이고 (1)은 비추론적 믿음이다.<3>

4) Here are two more examples of noninferential beliefs that serve as the basis for an inference. You see that your plant's leaves are sadly drooping; you infer you forgot to water it. You hear a certain characteristic sound in the hallway; you infer the mail was just delivered. In each of these cases, you infer one thing from another that is not, in turn, inferred from anything else.
4) 추론의 기초로 역할하는 비추론적 믿음들의 두 가지 예시들이 더 있다. 당신은 당신의 나뭇잎들이 애석하게도 지고 있는 것을 본다. 그리고 당신은 당신이 그 나무에 물 주는 것을 잊었다고 추론한다. 당신은 특정한 특징적인 소리를 복도에서 듣는다. 그래서 당신은 방금 우편물이 도착했다고 추론한다. 이러한 각 사례에서 당신은 다른 어떤 것으로부터도 추론되지 않은 것으로부터 또 다른 것을 추론한다.

5) Second, since basic beliefs play the role of justifiers for nonbasic beliefs, they must be justified themselves. Thus there can't be such a things as an unjustified basic belief. Obviously, this is not true for noninferential beliefs in general, which can be justified or unjustified. For example, suppose after many days of rain, wishful thinking induces you to form the noninferential belief

(3) The sun is shining.

You have neither been outside nor looked out the window, nor has anyone told you that the sun is shining. In short, you have no evidence for (3). Thus (3) is not only noninferential but also unjustified, and therefore cannot play the role of a justifier. To see why not, suppose you were to infer

(4) It's warm outside

from (3). Since you are not justified in believing (3) in the first place, you're not justified in believing (4) either. This is so because a belief that doesn't "have" justification can't "give" justification to another. (3), then, is not a basic belief. Unlike (3), basic beliefs must, to repeat the main point, be able to trasmit justification onto nonbasic beliefs, and thus must be justified themselves.
5) 두 번째, 기초적 믿음들은 비기초적 믿음들에 대해 정당화 역할을 수행하므로, 기초적 믿음들은 반드시 그 자체로 정당화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정당화되지 않은 비기초적 믿음 같은 것들은 있을 수 없다. 분명히, 이것은 정당화되거나 정당화되지 않을 수 있는 비추론적 믿음들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참이 아니다. 예를 들어, 여러 날 비가 내린 후 희망사항이 당신으로 하여금 다음과 같은 비추론적 믿음을 형성하도록 하였다고 가정해 보자.

(3) 해가 비춘다.

당신은 밖에 있지도 않았고 창밖을 바라보지도 않았으며, 해가 비추고 있다고 누구도 당신에게 말해주지 않았다. 간략히 말해서, 당신은 (3)에 대한 아무런 증거도 없다. 따라서 (3)은 비추론적일 뿐만 아니라 정당화되지도 않으며, 그러므로 정당화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 어째서 그럴 수 없는지 보기 위해, 당신이 (3)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추론한다고 가정해 보자.

(4) 밖은 따뜻하다.

당신이 애초에 (3)을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지 않으므로, 당신은 (4)를 믿음에 있어서도 정당화되지 않는다. 이것이 그러한 까닭은 정당성을 "지니지" 않는 믿음은 다른 믿음에 정당성을 "줄" 수 없기 때문이다. (3)은 그래서 기초적 믿음이 아니다. (3)과 달리, 핵심을 반복하자면, 기초적 믿음들은 반드시 정당성을 비기초적 믿음들에 전할 수 있어야만 하고, 따라서 그 자체로 정당화되어야만 한다.

6) The first two characteristics of basic beliefs are closely linked to a third. When beliefs are both noninferential and justified, from where do they receive their justification? Foundationalists would say that they receive their justification from a nondoxastic source - that is, not from other beliefs, but from somewhere else: perception or introspection, for example. The third characteristic of basic beliefs, then, is that they are justified nondoxastically - that is, without receiving their justification from other beliefs. Thus, when foundationalists claim that there are basic beliefs, they are implicitly saying that beliefs can receive justification in two altogether different ways: from other beliefs or from some nondoxastic source. When beliefs are justified in the former way, we shall speak of "doxastic" justification, and when they are jus
tified in the latter way,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6) 기초적 믿음들의 처음 두 가지 특징들은 세 번째 특징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믿음들이 비추론적이기도 하고 정당화되기도 한 때에, 그 믿음들은 그 정당성을 어디로부터 받는가?  토대론자들은 그 믿음들이 그 정당성을 비사견적 원천으로부터 받는다고 말할 것이다. - 즉, 다른 믿음들로부터가 아니라, 그와 다른 어딘가로부터, 예를 들어 지각이나 내성으로부터 말이다. 기초적 믿음들의 세 번째 특징은 그래서 그 믿음들이 비사견적으로 정당화된다는 것이다 - 즉, 그 믿음들의 정당성을 다른 믿음들로부터 받지 않고 정당화된다는 이야기이다. 따라서 토대론자들이 기초적 믿음들이 있다고 주장할 때, 그들은 명백하게 그 믿음들이 두 가지 완전히 다른 방식들로 정당성을 받을 수 있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까 다른 믿음들로부터 받거나 일부 비사견적 원천들로부터 받는다는 말이다. 믿음들이 전자의 방식으로 정당화될 때 우리는 "사견적" 정당화라고 말할 것이고, 그 믿음들이 후자의 방식으로 정당화될 때에는 "비사견적" 정당화라고 말할 것이다.

7) Although philosophers often assert that whenever a belief is justified it is justified doxastically, foundationalists insist that there is nondoxastic justification as well. They would say that the kind of justification we have for axiomatic a priori beliefs - which derives from logical or conceptual intuition - is nondoxastic. Furthermore, they would say that perception, introspection, and memory can provide us with nondoxastic justification for our beliefs. Let us consider two examples. Suppose you have formed the noninferential belief

(5) This book is red.

Foundationalists would say that what justifies you in believing (5) is the perception of redness, or, as it is often put, the experience of being appeared to redly.<4> This experience must not be indentified with a belief. Though perceptual experiences typically trigger beliefs, perceiving an object is not the same as having a belief about it. It is possible that the book appears redly to you without your believing anything about either it or its color. If you are presently not interested in whether or not there is a book in front of you, then you might not notice its color, even if it is plainly within your view.
7) 비록 철학자들이 종종 한 믿음이 정당화될 때는 그 언제이든 그 믿음은 사견적으로 정당화된다고 단언한다 하더라도, 토대론자들은 비사견적 정당화도 마찬가지로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들은 우리가 공리적 선험적 믿음들에 대해 지니는 그러한 종류의 정당성 - 논리적 혹은 개념적 직관으로부터 도출되는 - 은 비사견적이라고 말할 것이다. 더 나아가서, 그들은 지각, 내성, 기억이 우리에게 우리의 믿음들에 대한 비사견적 정당성을 제공할 수 있다고 말할 것이다. 두 가지 사례들을 고찰해 보자. 당신이 다음과 같은 비추론적 믿음을 형성하였다고 가정해 보자.

(5) 이 책은 붉다.

토대론자들은 (5)를 믿음에 있어서 당신을 정당화하는 것이 붉음에 대한 지각이라고, 혹은 종종 그렇게 이야기되듯, 붉게 보이는 경험이라고 말할 것이다.<4> 이러한 경험은 믿음과 동일시되지 않아야만 한다. 비록 지각적 경험들이 전형적으로 믿음들을 촉발시킨다 할지라도, 한 대상을 지각함은 그 대상에 대한 믿음을 지님과 같은 것이 아니다. 당신이 그 책에 대해서나 그 책의 색에 대해서나 아무것도 믿지 않고도 그 책이 당신에게 붉게 보이는 것은 가능하다. 만일 당신이 현재 당신 앞에 책 한 권이 있는지 없는지 관심 없다면, 당신은 그 책의 색을 알아차리지 못할 것이다. 설령 그 책이 당신의 시야 안에 분명히 있다고 할지라도 말이다.

8) Just as perceptual experiences can justify a belief nondoxastically, so can introspective experiences. For example, if you believe

(6) I have a craving for a piece of chocolate

then that belief is justified, not by any other belief, but by your experience of having a craving for a piece of chocolate. And since this experience is not a further belief, but rather a mental state that is distinct from the belief that you have that craving, (6) is justified without receiving its justification from another belief.<5>
8) 지각적 경험들이 믿음을 비사견적으로 정당화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내성적 경험들도 그럴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당신이 다음 명제를 믿는다면

(6) 나는 초코렛 한 조각을 간절히 바란다

그 믿음은 다른 어떤 믿음에 의해서도 아니라 당신의 초콜렛 한 조각에 대한 간절한 바람의 경험에 의해 정당화된다. 그리고 이러한 경험은 추가적인 믿음이 아니라, 오히려 당신이 그런 간절한 바람을 가진다는 믿음과 구별되는 정신적 상태이므로, (6)은 그 정당성을 다른 믿음으로부터 받지 않고 정당화된다.<5>

9) To summarize, basic beliefs are (i) noninferential, (ii) justified, and (iii) nondoxastically justified. Obviously, the third of these characteristics implies the second. Furthermore, if a justified belief is inferred from a second belief, then it receives its justification from this second belief. So, if a belief is justified without owing its justification to any other beliefs, it must be noninferential, which means that the third characteristic implies the first as well. Hence we may define basic beliefs simply by saying that they are justified without receiving their justification from any other beliefs.
9) 정리하자면, 기초적 믿음들은 (i) 비추론적이고, (ii) 정당화되며, (iii) 비사견적으로 정당화된다. 분명히, 이러한 특징들 중 세 번째 것은 두 번째 것을 시사한다. 더 나아가서, 만일 정당화된 믿음이 두 번째 믿음으로부터 추론된다면, 그 믿음은 그 정당성을 이러한 두 번째 믿음으로부터 받는다. 그래서, 만일 하나의 믿음이 그 정당성을 다른 어떤 믿음들에도 의존하지 않고 정당화된다면, 그 믿음은 틀림없이 비추론적이며, 그것은 세 번째 특징이 첫 번째 특징도 또한 시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기초적 믿음들을 단순하게 그 믿음들이 다른 어떤 믿음들로부터도 그 정당성을 받지 않고 정당화된다고 말함으로써 정의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Foundationalism Defined
정의된 토대론

1) Having the concept of a basic belief available to us, we can now proceed to define foundationalism as such, or the hard core that is common to all versions of foundationalism.

Foundationalism
(i) Many of our beliefs are basic;
(ii) Every justified inferential belief ultimately receives its justification from one or more basic beliefs.

Foundationalism, thus understood, is a theory about the structure of belief systems. It is not an analysis of epistemic justification. Recall what we said about the analysis of epistemic justification in Chapter 2: its objective is to specify what the property of being epistemically justified supervenes on. It should identify a nonevaluative property (or a set of properties) such that, necessarily, any belief instantiatingthis property (or set of properties) is justified. Obviously, our definition of foundationalism doesn't tell us anything about such a property. There are, however, analyses of epistemic justification that are foundationalist because they imply theses (i) and (ii). The general form of such a foudationalist theory of justification is this:

S is justified in believing that p if and only if either S's belief that p has property F or bears relation R to one or more of S's beliefs that has property F.

An analysis of this form turns into a substantive version of foundationalism if F is replaced with a property that is both necessary and sufficient for a belief's being basic. It would then tell us that there are two kinds of justified beleifs: basic beliefs, which are justified by virtue of having property F; and nonbasic beliefs, which are justified by virtue of bearing relation R to one or several basic beliefs. In order to see how such a foundationalist analysis works out in detail, let us consider one particular version.
1) 우리에게 가용한 기초적 믿음의 개념을 가지고, 우리는 이제 계속해서 토대론이라 할 만한 것을, 혹은 토대론의 모든 형태들에 공통된 핵심을 정의할 수 있다.

토대론
(i) 우리의 믿음들 다수는 기초적이다;
(ii) 모든 정당화된 추론적 믿음은 궁극적으로 그 정당성을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기초적 믿음들로부터 받는다.

이와 같이 이해된 토대론은 믿음 체계의 구조에 대한 이론이다. 그것은 인식적 정당성에 대한 분석이 아니다. 우리가 인식적 정당성에 대해 2장에서 말했던 것을 상기해 보자. 그 분석의 목적은 인식적으로 정당화됨의 속성이 그에 수반하는 것이 무엇인지 상술하는 것이다. 그것은 필연적으로 이러한 속성 (또는 일련의 속성들) 을 예시하는 어떠한 믿음이든 정당화되는 그러한 비평가적 속성 (혹은 일련의 속성들) 을 규정해야 할 것이다. 분명히, 우리의 토대론에 대한 정의는 우리에게 그러한 속성에 대해 어떤 것도 말해주지 않는다. 그렇지만 토대론적인 인식적 정당성의 분석들이 있는데 왜냐하면 그 분석들이 이러한 (i)과 (ii)를 시사하기 때문이다. 그러한 정당성에 대한 토대론적 이론의 일반적 형식은 이와 같다.

S는 p를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 iff S의 p라는 믿음이 속성 F를 가지거나 속성 F를 가지는 S의 믿음들 중 하나 이상과의 관계 R을 가진다.

이러한 형식의 분석은 만일 F가 한 믿음이 기초적이기 위한 필충조건인 속성과 대체된다면 토대론의 실질적인 형태가 된다. 그래서 그것은 우리에게 두 종류의 정당화된 믿음들이 있음을 말해줄 것이다. 기초적 믿음들, 그 믿음들은 속성 F를 가지는 덕분으로 정당화된다. 그리고 비기초적 믿음들, 그러한 믿음들은 하나 이상의 기초적 믿음들에 대한 관계 R를 가지는 덕분에 정당화된다. 어떻게 그러한 토대론적 분석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산출되는지 보기 위해, 하나의 특수한 형태를 고찰해 보도록 하자.


A Sample Foundationalist Analysis
토대론적 분석 견본

1) Let property F be the property of being indubitable, and relation R that of entailment. If a belief B1 entails a belief B2, then it is impossible that B1 is true and B2 is false. And if a belief is indubitable, so let us stipulate, there are no circumstances under which it would be reasonable for the subject who holds that belief to doubt its truth. My belief that my car is still in the parking lot where I parked it is not indubitable because there are possible circumstances under which it would be reasonable of me to doubt that belief. For example, if upon returning to the lot I don't find my car where I thought I left it, and I still don't find it after searching for it, then it would be reasonable of me to doubt it's still there.
1) 속성 F를 의심할 수 없는 속성이라고 하고, 관계 R을 논리적 함축에 속하는 속성이라 하자. 만일 한 믿음 B1이 믿음 B2를 논리적으로 함축한다면, B1이 참이면서 B2가 거짓이기는 불가능하다. 그리고 만일 한 믿음이 의심할 수 없는 것이라면, 우리가 그렇게 규정하기로 하였듯이, 그 아래에서 그 믿음을 보유한 주체가 그 믿음의 참을 의심하는 것이 합리적일 수 있을 그러한 상황은 전혀 없다. 나의 차가 아직 내가 그 차를 주차시켰던 주차장에 있다는 나의 믿음은 의심할 수 없지 않은데 왜냐하면 나에게 그 믿음을 의심하는 것이 합리적일 수 있을 그러한 가능한 상황들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만일 그 주차장에 돌아가서 내가 그 차를 놔뒀다고 생각했던 곳에서 나의 차를 찾지 못한다면, 그리고 내가 그 차를 찾아 봤는데도 여전히 그 차를 발견하지 못한다면, 그 차가 여전히 거기 있다는 것을 의심하는 것이 나에게 합리적일 수 있을 것이다.

2) Let us call our sample analysis "indubitability foundationalism." Indubitability foundationalism tells us the following:

S is justified in believing that p if and only if either S's belief that p is indubitable or entailed by one or more indubitable beliefs.

If this analysis were true, we would have succeeded in specifying the nonevaluative grounds on which the evaluative property of being justified supervenes. However, indubitability foundationalism is unacceptable. There are many justified beliefs that are not indubitable, and there are many justified beliefs that are not entailed by indubitable beliefs. For example, my belief that last night's rainfall hasn't flooded my basement is justified, but it is neither indubitable nor entailed by any indubitable beliefs. A plausible version of foundationalism, then, can't define basic beliefs in terms of indubitability and relation R in terms of entailment.
2) 만일 이러한 분석이 참이라면, 정당화된다는 평가적 속성이 그에 수반하는 비평가적 근거들을 상술함에 있어서 성공하였을 것이다. 그렇지만, 의심불가능성 토대론은 허용가능하지 않다. 의심불가능하지 않은 많은 정당화된 믿음들이 있고, 의심불가능한 믿음들에 의해 논리적으로 함축되지 않는 여러 정당화된 믿음들도 있다. 예를 들어, 지난 밤 폭우가 우리 집 지하를 침수시키지 않았다는 나의 믿음은 정당화되지만, 그것은 의심불가능하지도 않고 어떤 의심불가능한 믿음들에 의해서든 논리적으로 함축되지도 않는다. 그래서 토대론의 설득력 있는 형태는 기초적 믿음들을 의심불가능성으로, R을 논리적 함축으로 정의할 수 없다.


The Regress Argument
소급 논증

1) According to foundationalism, many of our beliefs are basic. On what grounds, however, do foundationalists maintain that there are beliefs that are justified without receiving their justification from other beliefs? The classical argument for the existence of basic beliefs is due to Aristotle (although he certainly cannot be called a "foundationalist" in the contemporary sense of the term). In Posterior Analytics, Aristotle formulated the following argument for the existence of what he called "nondemonstrative knowledge".<6>

Aristotle's Argument
Whenever you know something, your knowledge is demonstrative (derived from premises) or nondemonstrative (gained without being derived from premises). If what you know is derived from premises, you must know the premises themselves, for it is impossible to derive knowledge from unknown premises. But if your knowledge of these premises is demonstrative again, it must be derived from a further set of premises, which in turn you either known nondemonstratively or on the basis of yet another set of premises, and so forth. Hence whenever you know something, your knowledge is either derived from an infinite set of premises, or ultimately grounded in nondemonstrative knowledge. Knowledge, however, cannot be derived from an infinite set of premises. Hence if you know anything at all, some of your knowledge must be nondemonstrative.

This argument is a special case of what is commonly called a "regress argument." The point of a regress argument is to support a proposition by showing that we generate an infinite regress if we deny it, or to attack a proposition by showing that we generate an infinite regress if we assert it. In formulating such an argument, it is always presupposed that the infinite regress in question is intellectually unacceptable.<7>
1) 토대론에 따르면, 위의 믿음들 중 다수는 기초적이다. 그렇지만 무슨 근거로 토대론자들은 다른 믿음들로부터 그 정당성을 받음이 없이 정당화되는 믿음들이 있다고 주장하는가? 기초적 믿음들의 존재에 대한 고전적 논증은 아리스토텔레스에 기인한다 (비록 그가 확실히 그 용어의 현대적 의미에서 "토대론자"라고 불릴 수는 없더라도 말이다). 『분석론 후서』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그가 "비논증적 앎"이라 불렀던 것의 존재에 대한 다음과 같은 논증을 정식화하였다.<6>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증
당신이 무언가 아는 그 언제든, 당신의 앎은 논증적 (전제들로부터 도출되는) 이거나 비논증적 (전제들로부터 도출됨이 없이 획득되는) 이다. 만일 당신이 아는 것이 전제들로부터 도출된다면, 당신은 반드시 전제들 그 자체를 알아야만 하는데왜냐하면 모르는 전제들로부터 앎을 이끌어내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만일 이러한 전제들에 대한 당신의 앎이 다시금 논증적이라면, 그 앎은 반드시 추가적인 일련의 전제들로부터 도출되어야만 한다. 그 전제들이 이번에는 당신이 비논증적으로 알았거나 아직 또 다른 일련의 전제들에 기초하고, 그렇게 계속된다. 따라서 당신이 무언가를 아는 그 언제든지, 당신의 앎은 무한한 일련의 전제들로부터 도출되거나, 아니면 궁극적으로 비논증적 앎에 근거하게 된다. 그렇지만 앎은 무한한 일련의 전제들로부터 도출될 수 없다. 따라서 만일 당신이 좌우간 어떤 것이든 안다면, 당신의 앎의 일부는 반드시 비논증적이어야만 한다.

이 논증은 일반적으로 "소급 논증"이라 불리는 것의 특수한 경우이다. 소급 논증의 요지는 우리가 한 명제를 부정한다면 무한 소급을 산출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그 명제를 뒷받침하거나, 또는 한 명제를 인정한다면 우리가 무한 소급을 산출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그 명제를 공격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한 논증을 정식화함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무한 소급은 지적으로 허용불가능하다는 점이 언제나 가정된다.

2) Since knowledge is intimately related to belief and justification, there is a close connection between nondemonstrative knowledge and basic beliefs. If something is known nondemonstratively, the belief in question (i.e., the belief that amounts to an instance of nondemonstrative knowledge) cannot be justified by other beliefs, and thus must be basic. Hence Aristotle's argument can readily be turned into an argument for the existence of basic beliefs.

The Regress Argument for the Existence of Basic Beliefs
Suppose a belief B1 is justified. Either B1 is basic or nonbasic. If B1 is nonbasic, then there must be a belief B2 that justifies B1. But for B2 to justify B1, B2 must be justified itself. If B2 is nonbasic in turn, then there must be a belief B3 that justifies B2. And since B3 must be justified itself, B3 is either basic or there must be a belief B4 justifying B3. This regress either terminates in a basic belief or it continues ad infinitum. However, an infinite regress of justifying beliefs cannot justify anything. Thus, given our assumption that B1 is justified, the regress must terminate in a basic belief.

According to this argument, there cannot be any justified beleifs at all unless there are basic beliefs capable of terminating a regress of justifying reasons. Thus the argument assigns a precise function to basic beliefs: basic beliefs are regress terminators. It should be evident, therefore, why we have defined basic beliefs as beliefs that are justified without receiving their justification from any other beliefs: if a basic belief is to play the role of a regress terminator, it must be capable of conferring justification on other beliefs without receiving its own justification from yet another belief in the justificatory chain.
2) 앎은 근본적으로 믿음과 정당성에 관련되므로, 비논증적 앎과 기초적 믿음들 사이에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만일 어떤 것이 비논증적으로 알려진다면, 문제가 되는 믿음 (즉, 비논증적 앎의 사례가 되는 믿음) 은 다른 믿음들에 의해 정당화될 수 없고, 따라서 반드시 기초적이어야만 한다. 따라서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증은 순조롭게 기초적 믿음들의 존재에 대한 논증으로 전환될 수 있다.

기초적 믿음들의 존재에 대한 소급 논증
믿음 B1이 정당화된다고 가정하자. B1은 기초적이거나 비기초적이다. 만일 B1이 비기초적이라면, B1을 정당화하는 믿음 B2가 반드시 있어야만 한다. 그러나 B2가 B1을 정당화하기 위해서, B2는 그 자체 정당화되어야만 한다. 만일 이번에는 B2가 비기초적이라면, B2를 정당화하는 믿음 B3가 있어야만 한다. 그리고 B3는 반드시 그 자체 정당화되어야만 하므로, B3가 기초적이거나 B3를 정당화하는 믿음 B4가 반드시 있어야만 한다. 이러한 소급은 기초적 믿음에서 종결하거나 무한까지 지속해야 한다. 그렇지만, 믿음들을 정당화하는 무한 소급은 어떤 것도 정당화할 수 없다. 따라서, B1이 정당화된다는 우리의 전제를 고려하면, 그 소급은 기초적 믿음에서 종결해야만 한다.

이 논증에 따르면, 근거들을 정당화하는 소급을 종결시킬 수 있는 기초적 믿음들이 있지 않는 한 어떠한 정당화된 믿음들이든 전혀 있을 수 없다. 따라서 그 논증은 기초적 믿음들에 대해 정확한 기능을 부과한다. 즉 기초적 믿음들은 소급 종결자들이다. 그러므로 어째서 우리가 기초적 믿음들을 다른 어떠한 믿음들로부터도 그 정당성을 받지 않은 정당화된 믿음들로 정의했는지 분명할 것이다. 즉 만일 하나의 기초적 믿음이 소급 종결자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라면, 그 믿음은 반드시 정당화 연쇄 속에서 다른 믿음들로부터 그 고유한 정당성을 받지 않으면서도 다른 믿음들에 정당성을 부여할 수 있어야만 한다.

3) Before we proceed, we should clear up two possible misconceptions. First, foundationalism does not imply that every basic belief terminates a regress. After all, you may hold a basic belief without inferring anything from it. Rather, what foundationalism does imply is that whenever a belief derives its justification from a chain of supporting beliefs, there must be a basic belief that terminates this regress. Second, foundationalism does not imply that nonbasic beliefs are always supported by single-string regress. Rather, a nonbasic belief can lie at the head of a multiple-string regress. The following figure represents a possible foundational structure of justification:




B1






B2


B3





B4
B5
B6

B7

B8

The justificatory regress begins with two nodes connecting B1 with two further nonbasic beliefs, B2 and B3. It ends with the first node branching out into three and the second node branching out into two more beliefs. The epistemic foundation of B1, then, consists in beliefs B4 through B8, while beliefs B2 and B3 function as intermediate justifiers.<8>
3) 계속하기에 앞서, 우리는 두 가지 가능한 오해들을 정리해야 할 것이다. 첫째로, 토대론은 모든 기초적 믿음들이 소급을 종결시킨다고 시사하지 않는다. 어쨌든, 당신은 다른 아무것도 그로부터 추론하지 않고 하나의 기초적 믿음을 가질 수 있을지도 모른다. 오히려, 토대론이 시사하는 것은 한 믿음이 그 정당성을 믿음들을 뒷받침하는 연쇄로부터 이끌어 오는 언제라도, 거기에는 반드시 이 소급을 종결시키는 기초적 믿음이 있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둘째로, 토대론은 비기초적 믿음들이 언제나 단일-열(-列) 소급에 의해 뒷받침된다고 시사하지 않는다. 오히려, 비기초적 믿음은 다열(多-) 소급의 선두에 놓일 수 있다. 다음 도표는 정당성의 가능한 토대적 구조를 표현한다.




B1






B2


B3





B4
B5
B6

B7

B8

정당화 소급은 B1을 두 개의 추가적인 비기초적 믿음들 B2와 B3에 연결하는 두 가지 매듭들로 시작한다. 그 소급은 세 개의 추가적 믿음들로 가지를 뻗는 첫 번째 매듭과 두 개의 추가적 믿음들로 가지를 뻗는 두 번째 매듭으로 끝난다. B1의 인식적 토대는 따라서 B4에서 B8까지의 믿음들로 구성되는 반면, 믿음들 B2와 B3는 매개 정당화항으로서 기능한다.

-蟲-
Justification and Factual Probability
정당성과 사실적 가능성

1) It would appear, then, that the concept of probability Alston has in mind is factual probability.<27> Consequently, we may reformulate his adequacy principle thus: For a belief to be justified, it must be based on a ground that makes it factually probable.
1) 그래서 알스톤이 심중에 품었던 가능성 개념은 사실적 가능성임이 드러날 것이다.<27> 결론적으로, 우리는 그의 적절성 원칙을 다음과 같이 재정식화할 수 있을 것이다: 한 믿음이 정당화되기 위해, 그 믿음은 반드시 그 믿음을 사실적으로 가능케 만드는 근거에 기초되어야만 한다.

2) Deontologists would not accept this principle. To see why not, let us consider a situation that involves the concept of moral justification.
2) 의무론자들은 이 원칙을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다. 왜 안 받아들이는지 보기 위해, 도덕적 정당성 개념을 포함하는 상황을 고찰해 보도록 하자.

3) Suppose a doctor working with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in a remote African country with poor medical services attends a patient who is suffering from a disease. This disease is fatal unless treated, and adequate treatment calls for either medication A or medication B. The doctor knows that medication A is significantly more effective than medication B: 90 percent of the patients who get medication A survive, whereas only 40 percent of the patients who get medication B survive. Unfortunately, about 5 percent of patients show a life-threatening allergic reaction to medication A. For such patients, medication B is the treatment of choice. Under ideal circumstances, tests are done to find out whether the patient is allergic to medication A before the medication is administered. However, in the situation we are considering (the location is the remote countryside), there are no means for testing for an allergic reaction. Thus our doctor has to make a decision under uncertainty: she simply does not know how the patient will react to the medication. Finally, let us suppose that, as a matter of fact, the patient belongs to the rare group of people who develop an allergic reaction to medication A.
3) 세계보건기구에서 일하는 의사가 아프리카 벽지에서 부족한 의료설비를 가지고 한 질병으로부터 고통받고 있는 한 환자를 돌본다고 가정해 보자. 이 질병은 치료받지 않는 한 사망을 초래하고, 적합한 치료는 약 A 또는 약 B를 요한다. 그 의사는 약 A가 약 B보다 상당히 더 효과적임을 알고 있다. 다시 말해 약 A를 복용한 환자들의 90%는 살아남은 반면, 약 B를 복용한 환자들의 40%만이 살아남았다. 불행히도, 약 5%의 환자들은 약 A에 대해 생명을 위협하는 알러지 반응을 보인다. 그러한 환자들에 대해서는 약 B가 치료를 위해 선택된다. 이상적 상황하에서, 그 환자가 약 A를 투여받기 이전에 그 약에 대한 알러지 여부가 있는지 밝혀내기 위한 검사들이 행해진다. 그렇지만 우리가 고려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 지역은 벽지이다), 알러지 반응을 검사하기 위한 어떠한 방법도 없다. 따라서 우리의 의사는 불확실성하에 결정을 내려야만 한다. 즉 단순히 그녀는 환자가 그 약에 대해 어떻게 반응할지 알지 못한다. 끝으로, 사실 그 환자는 약 A에 대해 알러지 반응을 보이는 드문 사람들의 집단에 속한다고 가정하도록 하자.

4) In this situation, what is the doctor justified in doing: to administer medication A or medication B? If she administers medication A, there is a .1 probability that the patient will die of the disease, and a .05 probability that the patient will develop a life-threatening allergic reaction. But if she administers medication B, there is a .6 probability  that the patient will not survive the disease. Thus, as far as the doctor can tell at the time she has to make the decision, choosing medication B involves a much greater risk to the patient than choosing medication A. Consequently, so it could be argued, what the doctor is justified in doing is to administer medication A.
4) 이 상황에서, 그 의사가 수행함에 있어서 정당화되는 일은 무엇인가? 약 A를 투여하는 것인가 아니면 약 B를 투여하는 것인가? 만일 그녀가 약 A를 투여한다면, 그 질병으로 환자가 죽을 1할의 가능성이 있고, 환자가 생명에 위협을 주는 알러지 반응을 보일 5푼의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만일 그녀가 약 B를 투여한다면, 환자가 그 질병으로부터 살아남지 못할 6할의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그 의사가 그 당시에 알 수 있는 한에서, 그녀는 약 A를 선택하는 것보다 환자에게 더욱 큰 위험을 수반하는 약 B를 선택할 결정을 내려야 한다.

5) What is crucial in this argument is this: The probabilities appealed to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doctor's choice of treatment is justified are epistemic - that is, they are probabilities depending on the doctor's evidence. These probabilities have to be contrasted with the factual probabilities of the case, which are these: If the doctor administers medication A, there is a very high probability that the patient will die because of an allergic reaction. But if she administers medication B, there is a .4 probability that the patient will be cured. Thus, with regard to the factual probabilities of the case, administering medication A presents the greater risk. Consequently, if the doctor's moral justification for her choice of treatment were determined not by what's probable as far as she can tell, but by what's probable given the facts of the case, then we would have to say that what the doctor is justified in doing is to administer medication B.
5) 이 논증에서 결정적인 것은 이것이다: 그 의사의 치료 선택이 인식적으로 정당화되는지 결정하기 위해 호소되는 가능성들, 즉, 의사의 증거에 의존하는 가능성들이다. 이러한 가능성들은 그 상황의 사실적 가능성들과 모순되어야 한다. 그 사실적 가능성들이란 만일 의사가 약 A를 투여한다면 그 환자가 알러지 반응으로 인하여 사망할 확률이 아주 높다는 것이다. 그러나 만일 그녀가 약 B를 투여한다면, 그 환자가 치료될 4할의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 상황의 사실적 가능성들과 관련하여, 약 A를 투여하는 일은 커다란 위험을 야기한다. 결론적으로, 만일 그 의사의 그녀의 치료 선택에 대한 도덕적 정당성이 그녀가 알 수 있는 한 가능한 어떤 것에 의해서가 아니라, 그 상황의 사실들을 고려하면 가능한 어떤 것에 의해 결정된다면, 우리는 그 의사가 수행함에 있어서 정당화되는 일은 약 B를 투여하는 것이라 말해야 할 것이다.

6) What, then, is the doctor justified in doing? To say that the answer to this question is determined by what's probable given the facts of the case would be a significant deviation from how ethicists have traditionally conceived of moral justification. According to this tradition, there is an intimate connection between the concepts of justification, culpability, and blame. To do what one is not justified in doing is to be culpable; it is to have acted in such a way that one can justly be blamed for having acted that way. Obviously, it would not be just to blame the doctor in our example for choosing medication A. After all, she has no way of knowing that medication B would be the better treatment in this case. Indeed, were she to choose medication B, she would be choosing what, given her knowledge at the time, would be the riskier treatment, and that would be a choice for which she could justly be blamed. Thu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ose philosophers who accept the traditional concept of justification, the doctor is justified in administering medication A, and this verdict is determined by what's probable about the case as far as the doctor can tell - that is, by the epistemic probabilities about the case.
6) 그래서 그 의사가 수행함에 있어서 정당화되는 일은 무엇인가? 이 물음에 대한 대답이 그 사례의 사실들을 고려하여 가능한 어떤 것에 의해 결정된다고 말하는 것은 윤리학자들이 전통적으로 도덕적 정당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와 상당히 큰 편차를 갖게 될 것이다. 이 전통에 따르자면, 정당성, 과실, 비난이라는 개념들 사이에는 근본적인 관계가 있다. 수행함에 있어서 정당화되지 않는 어떤 일을 하는 것은 과실이 있는 것이다. 그것은 행동를 하였다는 데에 대해 정당하게 비난 받을 수 있는 그러한 방식으로 행동하였다는 것이다. 분명히, 우리의 사례에서 그 의사를 약 A를 선택하였다고 비난하는 것은 온당치 못할 것이다. 어쨌든, 그녀는 이 상황에서 약 B가 더 나은 치료법이었으리란 것을 알 아무런 방법도 가지고 있지 못하다. 더욱이, 그녀가 약 B를 택하게 되었더라면, 그녀는 그녀에게 당시에 주어진 앎을 고려하면, 더욱 위험한 치료법이었을 어떤 것을 선택하고 있었던 것일 터이고, 그것은 그녀가 온당하게 비난받을 수 있을 그러한 선택이었을 것이다. 따라서, 전통적인 정당성 개념을 허용하는 그러한 철학자들의 관점으로부터, 그 의사는 약 A를 투여함에 있어서 정당화되고, 이러한 평가는 그 의사가 알 수 있는 한에서 그 사례에 대해 가능한 어떤 것에 의해 결정된다 - 즉, 그 상황에 대한 인식적 가능성들에 의해서 말이다.

7) Deontologists tend to think about epistemic justification in the same way. What determines one's epistemic justification is not factual, but epistemic probabilities. And the reason for this verdict is the same as that for the parallel verdict about moral justification. What determines whether one is justified in believing a proposition p is the probability of p relative to what one can tell, or relative to one's evidence. Factual probabilities, however, are not always such that one can tell what they are; they are not necessarily part of one's evidence, and thus need not be relevant to a belief's justification.
7) 의무론자들은 인식적 정당성에 대해 그와 동일한 방식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한 사람의 인식적 정당성을 결정하는 것은 사실적 가능성들이 아니라 인식적 가능성들이다. 그리고 이러한 평가의 근거는 도덕적 정당성에 대한 동일한 평가에 대한 근거와 마찬가지이다. 한 개인이 명제 p를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그 한 사람이 알 수 있는 어떤 것에 관련한, 또는 그 한 사람의 증거에 관련한 p의 가능성이다. 사실적 가능성들은 그렇지만 언제나 한 사람이 그것들이 무엇인지 알 수 있는 그러한 가능성들은 아니다. 즉 그 가능성들은 필연적으로 그 한 사람의 증거의 일부인 것은 아니고, 따라서 한 믿음의 정당성에 관련될 필요는 없다.

8) Suppose, after careful consideration, the doctor comes to believe

(1) Medication A will save the patient's life.

Is she justified in believing (1)? Deontologists would say she is because certainly she can't be blamed for believing (1). Alston, on the other hand, would say that (1), though epistemically balmeless, is not really an epistemically justified belief. A belief thus justified would have to have a favorable status vis-a-vis the epistemic end, that is, must be made factually probable by an adequate ground. But the relevant law of nature - about the chemical properties of medication A and the patient's allergy to medication A - make (1) factually improbable. Thus (1) isn't based on an adequate ground (for if it was it would have to be factually probable), and hence does not enjoy a favorable status vis-a-vis the epistemic end.
8) 신중한 숙고 뒤에, 그 의사가 다음과 같이 믿게 되었다고 가정해 보자.

(1) 약 A는 그 환자의 생명을 살릴 것이다.

그녀는 (1)을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는가? 의무론자들은 그녀가 정당화된다고 말할 것인데 왜냐하면 확실히 그녀는 (1)을 믿음에 대해 비난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알스톤은 다른 한편으로 (1)은 비록 인식적으로 비난받을 만하지 않다 할지라도 실제로 인식적으로 정당화된 믿음은 아니라고 말할 것이다. 이와 같이 정당화된 한 믿음은 인식적 목적에 마주하여 선호할 만한 상태를 지녀야 할 것이고, 즉, 반드시 적합한 근거에 의해 사실적으로 가능적이게 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그 적합한 자연법칙 - 약 A의 화학적 속성들과 그 환자의 약 A에 대한 알러지에 관한 - 은 (1)을 사실적으로 가능적이지 않게 만든다. 따라서 (1)은 적절한 근거에 기초되지 않으며 (왜냐하면 만일 (1)이 적절한 근거에 기초되었다면 (1)은 사실적으로 가능적이어야 할 것이기 때문에), 따라서 인식적 목적에 마주하여 선호할 만한 상태를 향유하지 못한다.

9) Deontologists would agree with Alston that (1) fails to be factually probable. Contra Alston, however, they would insist that (1) has the required favorable status. For from the doctor's point of view, what epistemic shortcoming can be attributed to (1)? None. Of course we, who are considering this case from a God's eye point of view, know that (1) is factually improbable. What, though, is the significance of its factual improbablility? Assume (1) is not only factually improbable, but even outright false. The patient's allergic reaction to medication A will be fatal. Note that this is not a reason to say that (1) isn't justified, for a proposition's falsehood is entirely compatible with its having a favorable epistemic status. Surely Alston wouldn't want to defend the dubious position that a belief can't be justified if it is false. However, if a belief's actual falsehood doesn't preclude it from having a favorable epistemic status, then surely the mere factual probability of its falsehood (or the lack of factual probability of its truth) doesn't either. Deontologists would see no reason, therefore, to agree with Alston that (1) lacks a favorable status vis-a-vis the epistemic end because it isn't factually probable, and hence would reject Alston's principle that a belief is justified only if it is based on an adequate ground.
9) 의무론자들은 (1)이 사실적으로 가능적인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알스톤에게 동의할 것이다. 그렇지만 알스톤과 반대로 그들은 (1)이 요청된 선호할 만한 상태를 지닌다고 주장할 것이다. 왜냐하면, 그 의사의 관점으로부터, (1)에 귀속될 수 있는 어떤 인식적 결함이 있는가? 아무것도 없기 때문이다. 물론 이 상황을 전지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있는 우리는 (1)이 사실적으로 가능적이지 않음을 알고 있다. 그렇다 할지라도, 그 상황의 사실적 불가능성의 의미는 무엇인가?  (1)이 사실적으로 가능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노고적으로 거짓이기까지 하다고 가정해 보자. 그 환자의 약 A에 대한 알러지 반응은 치명적일 것이다. 이것은 (1)이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말하는 이유가 아닌데 왜냐하면 한 명제의 거짓은 전적으로 그 명제가 선호할 만한 인식적 상태를 지니는 일과 양립가능하기 때문임을 주의하도록 하자. 확실히 알스톤은 한 믿음이 거짓이라면 정당화될 수 없다는 불분명한 입장을 옹호하기를 원할 것이다. 그렇지만, 만일 한 믿음의 실질적 거짓이 그 믿음을 선호할 만한 인식적 상태를 갖지 못하도록 막지 않는다면, 확실히 단지 그 믿음의 거짓에 대한 사실적 가능성만으로는 (또는 그 믿음의 참에 대한 사실적 가능성의 결여만으로는) 이도저도 아니다. 의무론자들은 그러므로 (1)이 인식적 목적에 마주하여 선호할 만한 상태를 결여한다는 점에서 알스톤에게 동의할 아무런 이유도 보지 못할 것인데 왜냐하면 (1)은 사실적으로 가능적이지 않으며, 따라서 한 믿음은 오직 그 믿음이 적절한 근거에 기초되는 경우에만 정당화된다는 알스톤의 원칙을 거부할 것이기 때문이다.


Deontologically Justified Beliefs and Truth Conduciveness
의무론적으로 정당화된 믿음들과 진리 기여성

1) Let us return to Alston's objection that the deontological concept of epistemic justification is flawed because "it does not hook up in the right way with an adequate, truth-conducive ground." Given the way he explicates the notion of adequacy, Alston is saying, in effect, that a belief can be deontologically justified without being factually probable.<28> Deontologists, however, would reject the notion that for a belief to be justified - that is, for it to have a favorable status vis-a-vis the end of believing truly - it must be factually probable. Hence they would be happy to admit that deontologically justified beliefs may fail to be factually probable, for from the deontological point of view, there would be nothing wrong with that. On the other hand, as far as epistemic probability is concerned, deontologists would reject the claim that a belief can be deontologically justified without being epistemically probable. For if, as deontologists would say, it is one's epistemic duty to believe what is supported by one's evidence, then it is logically impossible to meet one's epistemic duty in believing a proposition that fails to be epistemically probable.
1) 인식적 정당성에 대한 의무론적 개념은 "옳은 방식으로 적절한, 진리-기여적인 근거와 결합시키지 않으므로" 결함이 있다는 알스톤의 반박으로 돌아가도록 하자. 그가 적절성에 대한 관념을 설명하는 방식을 고려하면, 알스톤은 사실상 한 믿음이 사실적 가능적임이 없이 의무론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28> 그렇지만 의무론자들은 한 믿음이 정당화되기 위해 - 즉, 그 믿음이 참되게 믿는다는 목적에 마주하여 선호할 만한 상태를 지니기 위해 - 반드시 사실적으로 가능적이어야만 한다는 관념을 거부할 것이다. 따라서 그들은 의무론적으로 정당화된 믿음들은 아마도 사실적 가능적이지 않을 수도 있는데, 왜냐하면 의무론적 관점으로부터는 그렇다는 게 아무런 문제도 없을 것이기 때문이라는 점을 시인하는 것으로 만족할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인식적 가능성에 관련되는 한에서, 의무론자들은 한 믿음이 인식적으로 가능적이지 않고 의무론적으로 정당화된다는 주장은 거부할 것이다. 왜냐하면 만일 의무론자들이 말할 것처럼 한 개인의 증거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믿는 것이 한 개인의 인식적 의무라면, 인식적으로 가능적이지 않은 한 명제를 믿음에 있어서 한 개인의 인식적 의무를 충족시키는 것은 논리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2) What, then, about Alston's criticism that deontological justification fails to be truth-conducive? Deontologists would reply that if the truth conduciveness of jsutification is to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probability of justified beliefs, we must distinguish between factual and epistemic truth conduciveness, for what is relevant to justification is not the former but the latter. Deontologically justified beliefs are neither factually truth-conducive nor do they need to be. They are, however, epistemically truth-conducive - likely to be true relative to our eivdence - and thus are the kinds of beliefs we favor vis-a-vis the end of believing truly.
2) 그렇다면 의무론적 정당성이 진리 기여적이지 않다는 알스톤의 비판은 어떠한가? 의무론자들은 만일 정당성의 진리기여성이 정당화된 믿음들의 가능성이란 말로 이해되는 것이라면, 우리는 반드시 사실적 진리 기여성과 인식적 진리 기여성을 구별해야만 하는데, 왜냐하면 정당성에 관려된 것은 전자가 아니라 후자이기 때문이라고 대답할 것이다. 의무론적으로 정당화된 믿음들은 사실적으로 진리기여적이지도 않고 진리기여적이어야 할 필요도 없다. 그 믿음들은 그렇지만 인식적으로 진리기여적이고 - 우리의 증거에 관련하여 참일 성싶고 - 따라서 참되게 믿는다는 목적에 마주하여 우리가 선호하는 그러한 종류의 믿음들이다.


Internalism and Externalism


1) In recent epistemology, it has become customary to distinguish between internalist and externalist accounts of justification.<29> Now is a good time to examine this distinction because the controversy we have been discussing in this chapter - that between deontologists on the one hand and Alston on the other - is an instructive example of the debate between internalists and externalists. What makes an account of justification internalist is that it imposes a certain condition on those factors that determine whether a belief is justified. Such factors - let's call them "J-factors" - can be beliefs, experiences, or epistemic standards. The condition in question requires J-factors to be internal to the subject's mind or, to put it differently, accessible on reflection. What makes an account of justification externalist, in contrast, is that no such condition is imposed. According to externalism, J-factors need not be internal to the subject's mind or accessible on reflection.
1) 최근 인식론에서는, 관례적으로 정당성에 대한 내재적 설명과 외재적 설명 사이에 구별을 짓는다.<29> 지금이 이러한 구별을 검토할 적기인데 왜냐하면 우리가 이 장에서 논의하고 있던 논란 - 한 편으로는 의무론자들과 다른 한편으로는 알스톤 사이에서의 - 은 내재주의자들과 외재주의자들 사이의 논쟁에 대한 유익한 일례이기 때문이다. 정당성에 대한 한 설명을 내재적으로 만드는 것은 한 믿음이 정당화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그러한 요소들에 특정 조건을 부과하는 그러한 것이다. 그러한 요소들 - 그 요소들을 "J-factors"라고 부르도록 하자 - 은 믿음들, 경험들, 또는 인식적 표준들일 수 있다. 문제가 되는 조건은 J-factors가 주체의 정신에 대해 내재적일 것을, 또는 달리 말하자면 숙고해여 허용가능할 것임을 요구한다. 정당성에 대한 설명을 외재적으로 만드는 것은 반대로 그러한 조건이 전혀 부과되지 않는 것이다. 외재주의에 따르자면 J-factors는 주체의 정신에 내재적이거나 또는 반성하여 허용 가능한 것일 필요가 없다.

2) The expression "accessible on reflection" may be taken as an elaboration on how the expression "internal to the mind" is to be understood: something is internal to the mind, in the relevant sense of "internal," if and only if it is accessible on reflection. For example, my beliefs are internal to my mind because if I reflect on my beliefs, I can tell what they are. My perceptual experiences are internal to my mind because when I direct my attention accordingly, I can tell what I'm perceptually experiencing. On the other hand, my brain waves are not in the relevant sense internal to my mind because there is very little with regard to my brain waves that I can tell on reflection.
2) "반성하여 허용가능"이라는 표현은 아마도 어떻게 "정신에 내재적"이라는 표현이 이해될 것인지에 대한 고안물로서 취해질 것이다. 어떤 것은 "내재적"이라는 관련된 의미에서 정신에 내재적이다. iff 그것은 반성하여 허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나의 믿음들은 나의 정신에 내재적인데 왜냐하면 내가 나의 믿음들을 반성한다면 그것들이 무엇인지 내가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의 지각적 경험들은 나의 정신에 내재적인데 왜냐하면 내가 나의 관심에 부응하여 향한다면, 나는 내가 지각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 나의 뇌파들은 적절한 의미에서 나의 정신에 내재적이지는 않은데 왜냐하면 나의 뇌파들에 관련하여 내가 반성하여 말할 수 있는 것은 거의 없기 때문이다.

3) Foundationalism and coherentism are the two prime examples of internal theories.<30> According to foundationalism, there are no other J-factors than these: self-evident epistemic principles, beliefs, and perceptual, introspective, and memorial experiences, all of which are accessible on reflection. And according to coherentism, J-factors are restricted to self-evident epistemic principles, beliefs, and coherence relations among beliefs. Again, all of these are accessible on reflection.
3) 토대론과 정합론은 두 가지 대표적인 내재적 이론들의 예시들이다.<30> 토대론에 따르자면, 다음과 같은 것들 이외에는 어떠한 J-factors도 없다. 즉 자명한 인식적 원칙들과 믿음들, 지각적, 내성적, 기억의 경험들. 그것들 모두 반성하여 허용 가능하다. 그리고 정합론에 따르자면, J-factors는 자명한 인식 원칙들, 믿음들, 믿음들 사이의 정합적 관계들에 제한된다. 다시금, 이 모든 것들은 반성하여 허용 가능하다.

4) The prime example of externalist theories is reliabilism. Reliabilism in its various forms counts the reliability of belief-producing processes as a J-factor. However, the reliability of such processes is not internal to the mind. Suppose you are observing a dog in a park, and the conditions of observation are these: it is getting dark but there is still some light left, the dog is thirty feet away and moving fast, you are nearsighted but wearing eyeglasses, the functioning of your perceptual faculties is somewhat impaired by the consumption of three martinis, and you are preoccupied by thoughts about the unbalanced condition of your checking account. Is the cognitive process that causes you to believe "There's a dog over there" reliable? in other words, would most beliefs caused by this cognitive process be true? Obviously, this isn't something you can tell just by reflecting on it. Rather, an extensive empirical investigation would be required.
4) 외재주의 이론들 중의 대표적인 사례는 신빙론이다. 신빙론은 그 다양한 형태들에 있어서 믿음-산출 과정들의 신빙성을 J-factor로 간주한다. 그렇지만, 그러한 과정들의 신빙성은 정신에 내재적이지 않다. 당신이 공원의 개 한 마리를 관찰하고 있고, 관찰 조건은 다음과 같다고 가정해 보자. 어두워지고 있지만 아직 빛이 좀 남아 있고, 그 개는 서른 걸음 정도 떨어져서 빠르게 움직이고 있으며, 당신은 근시이지만 안경을 쓰고 있고, 당신의 지각 능력들의 기능은 마티니 세 잔을 마심으로써 어느 정도 제 기능을 못하고, 당신은 당신의 당좌예금계좌의 미결산 상태에 대한 생각들에 사로잡혀 있다. 당신에게 "저기 개 한 마리가 있다"고 믿도록 유발시키는 인지과정은 신빙성이 있는가? 다른 말로, 이러한 인지과정에 의해 야기된 대부분의 믿음들이 참일 것인가? 분명히, 이것은 당신이 그에 대해 반성하는 것만으로 말할 수 있는 어떤 것은 아니다. 오히려, 광범위한 경험적 조사가 요구될 것이다.

5) From the deontological point of view, no account of justification can be correct unless it includes an internalist condition. The argument for this conclusion begins with a consideration of moral duty. What kind of information could at a particular point in time impose on me the duty to do x: information that is accessible to me at that time, or information I could acquire only at a later time? Deontologists would say that if I must act at that time, what my duty is cannot be determined by information I can acquire only later. Rather, my duty can only be determined by information accessible to me at the time I must act.
5) 의무론적 관점으로부터, 정당성에 대한 어떠한 설명도 그 설명이 내재주의적 조건을 포함하지 않는 한은 옳을 수 없다. 이러한 결론에 대한 논증은 도덕적 의무에 대한 고찰로 시작한다. 어떤 종류의 정보가 특정 시점에서 나에게 x를 행할 의무를 부과할 수 있는가? 그 당시 나에게 허용 가능한 정보인가, 아니면 오직 내가 이후 시점에서만 획득할 수 있을 정보인가? 의무론자들은 만일 내가 그 당시에 행동해야만 한다면, 나의 의무는 내가 오로지 나중에만 획득할 수 있는 정보에 의해서는 결정될 수 없다고 말할 것이다. 오히려, 나의 의무는 오직 내가 행동해야만 하는 그 당시에 나에게 허용 가능한 정보에 의해서 결정될 따름이다.

6) The same, so the argument would continue, can be said for epistemic duty. If the question is whether it is now my duty to believe p or to refrain from believing p, evidence I could acquire later through investigation is irrelevant. What determines my epistemic duty can only be evidence I now have. And evidence I now have is something that is accessible to me on reflection.<31> So if we think of epistemic justification in terms of duty fulfilment, things not accessible on reflection cannot be a J-factor. Deontological theories, therefore, are necessarily internalist.
6) 그 논증이 계속될 것과 같이 동일한 점이 인식적 의무에 대해서도 이야기될 수 있다. 만일 p를 믿는 것이 현재 나의 의무인지 p를 믿는 일을 삼가는 것이 현재 나의 의무인지가 문제라면, 내가 조사를 통해 나중에 획득할 수 있을 증거는 부적절하다. 나의 인식적 의무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는 것은 오로지 지금 내가 가진 증거뿐이다. 그리고 내가 지금 가진 증거는 반성하여 나에게 허용가능한 어떤 것이다.<31> 그래서 만일 우리가 인식적 정당성에 대해 의무 이행이란 말로 생각한다면, 반성하여 허용가능하지 않은 것들은 J-factor일 수 없다. 의무론적 이론들은 그러므로 필연적으로 내재주의적이다.

7) In insisting that justifying grounds be adequate, Alston sides with the externalist point of view. As we have seen, for Alston a ground is adequate just in case it is factually probable. But whether a ground is factually probable is not the sort of thing that can be ascertained on reflection. Consequently, Alston's adequacy condition is externalist in character, and his account of justification a version of externalism.<32> Hence when deontologists reject Alston's adequacy condition, what they are rejecting, in effect, is externalism: the introduction of a J-factor that is not internal to the mind or accessible on reflection.
7) 정당화시키는 근거들은 적합한 것이라고 주장함에 있어서, 알스톤은 외재주의적 관점 편에 선다. 우리가 보았듯, 알스톤에게 근거는 그것이 사실적으로 가능적인 경우에만 적절하다. 그러나 하나의 근거가 사실적으로 가능적인지 여부는 반성하여 확인될 수 있는 그러한 종류의 것이 아니다. 결론적으로, 알스톤의 적절성 조건은 그 성격상 외재적이며, 정당성에 대한 그의 설명은 외재주의의 한 형태이다.<32> 따라서 의무론자들이 알스톤의 적절성 조건을 거부할 때, 그들이 거부하고 있는 것은 사실상 외재주의이다. 즉 그들이 거부하는 것은 정신에 내재적이거나 반성하여 허용가능한 것이 아닌 J-factor의 도입이다.


<1> In his paper "Concepts of Epistemic Justification," Alston (1989), pp. 81-114, Alston undertakes the task of analyzing and evaluating various competing concepts of justification. See p. 81, where he explicitly distinguish between stating of justification and analyzing the meaning of the concept of justification.
<1> 그의 논문 "인식적 정당성에 대한 개념들," 알스톤 (1989), 81쪽-114쪽에서, 알스톤은 정당성의 다양한 경쟁 개념들을 분석 평가하는 작업을 떠맡는다. 81쪽에서 그는 정당성에 대해 진술하는 일과 정당성 개념의 의미를 분석하는 일을 구분해 낸다.

<5> Ibid., pp. 105f. Alston adds the qualifier "as S did" to indicate that what is evaluated as good is not the fact that S believes p, but rather the particular way in which S believes that p. See ibid., pp. 97f.
<5> 같은 책, 105쪽 이하. 알스톤은 "S가 행하였듯"이라는 수식어를, S가 p를 믿는다는 사실이 아니라 오히려 S가 p라고 믿는 그 특수한 방식이 좋은 것으로 평가되는 것임을 지시하기 위하여 추가한다. 같은 책 97쪽 이하 참조.

<10> Two questions we can't address here are these: Is it a rational, or perhaps moral, requirement to adopt the end of believing truly? Furthermore, do people have epistemic duties even when they do not adopt the end of believing truly?
<10> 우리가 여기에서 다루지 못하는 두 가지 문제들은 이러한 것들이다. 즉 참되게 믿는다는 목적을 취하는 것은 합리적 조건인가 혹은 어쩌면 도덕적 조건인가? 더 나아가서, 사람들은 그들이 참되게 믿는다는 목적을 취하지 않을 때마저 인식적 의무들을 지니는가?

<13> It is plausible to maintain that there are cases where I ought to believe a proposition. For example, when I consider p and determine that my evidence supports p, it might plausibly be argued that it is my epistemic duty to believe p.
<13> 내가 한 명제를 믿어야 하는 경우들이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그럴 성싶다. 예를 들어, 내가 p를 고찰하고 p를 뒷받침하는 나의 증거를 결정할 때, p를 믿는 것이 나의 인식적 의무라고 주장되는 것은 그럴 만하다.

<17> Of course there are justified perceptual beliefs: beliefs based on perception but defeated by further evidence. However, as fas as such beliefs are concerned, it's not at all clear that they are involuntary. For if the subject has defeating evidence, then, unless exceptional circumstances obtain, she can be held responsible for neglecting that evidence. We shall, therefore, stipulate that involuntary perceptual beliefs are justified. What makes them arguably involuntary is precisely the fact that they arise from undefeated, and thus irresistible, evidence.
<17> 물론 정당화된 지각적 믿음들이 있다. 즉 지각에 기초되지만 추가적 증거에 의해 상쇄되는 믿음들이 있다. 그렇지만, 그러한 믿음들에 관련되는 한에서, 그 믿음들이 비자발적인지는 전혀 분명치 않다. 왜냐하면 만일 그 주체가 상쇄 증거를 가진다면, 그래서, 예외적인 상황들이 취해지지 않는 한, 그녀에게 그 증거를 도외시할 책임이 지워질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비자발적인 지각적 믿음들이 정당화된다고 규정해야 할 것이다. 그 믿음들을 틀림없이 비자발적으로 만드는 것은 정확히는 그 믿음들이 상쇄되지 않는, 그래서 저항 불가능한 증거로부터 발생한다는 사실이다.

<19> Thus Alvin Plantinga wirtes: "Indeed the whole notion of epistemic justification has its origin and home in this deontological territory of duty and permission, and it is only by way of analogical extension that the term 'epistemic justification' is applied in other ways. Originally and at bottom, epistemic justification is deontological justification: deontological justification with respect to the regulation of belief." Plantinga (1993a), p. 14.
<19> 따라서 앨빈 플랜팅가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덧붙여 인식적 정당성의 전체 관념은 그 기원과 발상지를 의무와 허가의 이러한 의무론적 영역에 가지며, 그것은 오로지 '인식적 정당성'이란 용어가 다른 방식으로 적용되는 유추적 확장의 방식에 의해서만 그러하다. 본래 근본적으로 인식적 정당성은 의무론적 정당성이다. 즉 믿음의 규정에 대한 의무론적 정당성이다." 플랜팅가 (1993a), 14쪽.

<20> To provide further support for this view, deontologists could argue that soft involuntariness can also be attributed to actions that we ordinarily don't hesitate to evaluate deontologically. Consider a situation in which Jane, a woman of sound moral character, answers a question by telling the truth. Suppose that her act of telling the truth is as much compelled by the moral reason in support of it as our perceptual beliefs are compelled by our evidence for them. Wouldn't we, although her act of telling the truth is an example of psychological compulsion, view this act of truth telling as sufficiently voluntary to qualify as an instance of duty fulfillment? The act's voluntariness, so it could be argued, is due to the fact that her intellectual authority over her action is unimpeded. Were the situation different - were the moral reason for telling the truth less stringent - then she could refrain from telling the truth.
<20> 이러한 관점에 대한 추가적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의무론자들은 약한 비자발성이 또한 우리가 일상적으로 의무론적으로 평가하기를 주저하지 않는 행위들에 귀속되기도 한다고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건전한 도덕적 성격을 지닌 한 여인 제인이 진실을 말함으로써 질문에 답한다는 상황을 고찰해 보자. 진실을 말하는 그녀의 행위는 우리의 지각적 믿음들이 우리의 그 믿음들에 대한 증거에 의해 강제되는 만큼 그 행위를 지지함에 있어서의 도덕적 근거에 의해 강제된다고 가정하자. 우리는 비록 그녀의 진실을 말하는 행위가 심리적 강제의 일례라 할지라도 이러한 진실을 말하는 행위를 의무 이행의 사례가 될 만큼 충분히 자발적인 것이라 간주하지 않겠는가? 그 행위의 자발성은 그렇게 주장될 것처럼 그녀의 행위에 대한 지적 권위는 방해받지 않는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상황이 달랐다면 - 진실을 말할 도덕적 이유가 덜 엄중하였더라면 - 그녀는 진실을 말하는 일을 삼갈 수 있었을 것이다.

<26> Of course, since I know that there is such a thing as gravity, it is also epistemically probable for me that the pencil will fall down.
<26> 물론, 중력과 같은 그런 것이 있다는 것을 내가 알고 있으므로, 펜이 떨어지리란 것은 나에게 인식적으로도 가능적이기도 하다.

<27> However, as Alston pointed out to me in correspondence, the concept of probability he has in mind is not to be understood in terms of relative frequencies. See Alston (1989), p. 320, where he explains the function reliability plays in his theory. He writes: "I am not thinking of the reliability of a belief-producing mechanism as a function of its actual track record, but rather of its tendency to produce true beliefs…." This point does not, however, affect the issue of epistemic and factual probability. There can be no doubt, it seems to me, that the kind of probability Alston has in mind is factual in nature.
<27> 그렇지만, 알스톤이 나에게 서신으로 지적하였듯, 그가 심중에 지닌 가능성 개념은 상대 빈도라는 말로 이해되는 것이 아니다. 알스톤 (1989), 320쪽에서 그는 그의 이론에서 신빙성이 기능하는 역할을 설명한다. 그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나는 믿음-산출 구조(방법)의 신빙성을 그 구조의 실제 실적의 기능으로 생각하고 있지 않고, 오히려 그 구조의 참인 믿음들을 산출하는 경향의 기능으로 생각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지적은 인식적 가능성과 사실적 가능성의 문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내가 보기에 알스톤이 심중에 지닌 그런 종류의 가능성은 본성상 사실적이라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있을 수 없다.

<31> If I have an encyclopedia,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it could reasonably be said to be evidence I now have. But from the internalist point of view, such evidence is not a J-factor because, strictly speaking, the information my encyclopedia provides is only evidence that is easily available to me. In order to have that evidence, I must first retrieve and digest the information.
<31> 만일 내가 백과사전 한 권을 가지고 있다면, 그 백과사전 안에 포함된 정보가 합리적으로 내가 지금 가진 정보라고 이야기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내재주의 관점으로부터, 그러한 증거는 J-factor가 아닌데, 왜냐하면 엄격히 말해서 나의 백과사전이 제공하는 정보는 오로지 나에게 용이한 증거일 따름이기 때문이다. 그 증거를 갖기 위해, 나는 반드시 우선 그 정보를 회수하고 소화해 내야만 한다.

<32> Alston explicitly characterizes his theory as a form of externalism, and he identifies his adequacy requirement as the reason for its externalism. See Alston (1989), pp. 239ff. But he also imposes a (watered-down) internalist condition (see p. 233), and thus calls his theory an "internalist externalism."
<32> 알스톤은 명쾌하게 그의 이론을 외재주의의 한 형식으로 규정하고, 그의 적절성 조건을 그 이론의 외재주의에 대한 근거와 동일시한다. 알스톤 (1989), 239쪽 이하 참조. 그러나 그는 또한 (희석된) 내재주의적 조건을 부과하며 (233쪽 참조), 따라서 그의 이론은 "내재주의적 외재주의"라고 불린다.

-蟲-

P.S 아... 씨발, 나 외재주의인 듯. 알스톤 지못미.
Feldman's Solution
펠드만의 해결책

1) Richard Feldman has argued that in order to defend epistemic deontologism against objections from involuntariness, we must reject the voluntariness principle.<18> According to Feldman, it can be my epistemic duty to believe p, or to refrain from believing p, even if I believe p involuntarily. This claim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re are situations in which we have nonmoral duties although we are unable to meet them.
1) 리차드 펠드만은 비자발성으로부터의 반박들에 반대하여 인식적 의무론을 방어하기 위해, 우리가 반드시 비자발성 원칙을 거부해야만 한다고 주장했다.<18> 펠드만에 따르면, p를 믿는 것 또는 p를 믿는 일을 삼가는 것은 나의 인식적 의무일 수 있는데, 설령 내가 p를 비자발적으로 믿는다 할지라도 그러하다. 이러한 주장은 우리가 충족시킬 수 없을지라도 일상적 의무들을 지니는 그러한 상황들이 있다는 전제에 기초한다.

2) Here is a slightly modified version of one of Feldman's examples. Suppose a student in my logic class has a learning disability: exposure to symbolic notation makes him so nervous that, no matter how well he prepares for the exams, he cannot pass any of them, and thus can't meet the class requirements. Does this mean he is exempt from those requirements and entitled to get credit for the class without passing the required exams? Of course not. If he wishes to get credit for this class, he must pass the exams, just like everybody else. This case shows that a student can be subject to an educational obligation even if he is unable to satisfy it.
2) 여기 펠드만의 예시들 중 약간 수정된 형태의 한 가지 예시가 있다. 내 논리학 강의에서 한 학생이 학습 장애를 겪는다고 생각해 보자. 기호 표기법에 노출되면 그는 아무리 시험들을 잘 준비했든 상관없이 그 시험들 중 어떤 것도 통과할 수 없으리라고, 그래서 강의 이수조건들(?)을 채울 수 없을 것이라고 매우 불안해 하게 된다. 이것은 그가 그러한 조건들로부터 면제되고 요구되는 시험들을 통과하지 않고 수업을 인정받는다는 뜻인가? 물론 그렇지 않다. 만일 그가 이 수업을 인정받길 원한다면, 그는 반드시 그 시험들을 통과해야만 한다. 다른 모든 학생과 마찬가지로 말이다. 이러한 사례는 한 학생이 설령 그가 만족시킬 수 없는 것이라 할지라도 하나의 교육적 책임에 귀속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3) A second example that Feldman describes concerns mortgages. Having bought a house, I have a legal obligation to make my monthly mortgage payment. Suppose I have financially overextended myself and am unable to make this month's payment. I still have a legal obligation to fulfill the terms of my mortgage, despite the fact that I cannot do so.
3) 펠드만이 묘사하는 두 번째 예시는 융자금과 관련된다. 집 한 채를 사면서, 나는 나의 월납 융자금을 지불할 법적 책임을 진다. 내가 재정적으로 지나친 확장을 했고 이 월납금을 만들 수 없다고 가정해 보자. 나는 여전히 나의 융자 조항을 이행할 법적 책임을 진다. 내가 그렇게 할 수 없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4) According to Feldman, epistemic duties are just like educational requirements and legal obligations. The epistemic end of believing truly imposes on me the duty to believe in accord with the evidence, whether or not I am capable of doing so. Consider again our example of an unjustified involuntary belief: an Elvis Presley fan who can't help believing that Elvis is still alive. Feldman would say that the compulsory nature of this belief need not hinder us from saying that, vis-a-vis the goal of believing truly, it is the fan's duty to refrain from believing this. Thus Feldman is in a position to deny that this case is a counterexample to D1. Having rejected the voluntariness principle, he can insist that, in spite of the belief's involuntariness, the Elvis fan has a duty to refrain from believing that Elvis is still alive. Thus his belief turns out to be unjustified, which is the desired result.
4) 펠드만에 따르면, 인식적 의무들은 바로 교육적 이수조건들이나 법적 책임들과 마찬가지의 것들이다. 참되게 믿는다는 인식적 목적은 나에게 증거에 부합하여 믿을 의무를 부과한다. 내가 그렇게 할 능력이 있든 없든 말이다. 다시 정당화되지 않은 비자발적 믿음에 대한 우리의 사례를 고찰해 보자: 엘비스가 여전히 살아 있다고 믿지 않을 수 없는 엘비스 프레슬리 팬. 펠드만은 이 믿음의 강제적인 본성은 우리가 참되게 믿는다는 목적에 부합하여 이렇게 믿는 것으로부터 삼가는 것이 그 팬의 의무라고 말하는 것을 막을 필요가 없다고 말할 것이다. 따라서 펠드만은 이 사례가 D1에 대한 하나의 반례임을 부정하는 입장에 있다. 비자발성 원칙을 부정하였음으로 인해서, 그는 그 믿음의 비자발성에도 불구하고 그 엘비스 팬이 엘비스가 여전히 살아있다는 믿음을 삼갈 의무를 지닌다고 주장할 수 있다. 따라서 그의 믿음은 정당화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난다. 그것은 기대되었던 결과이다.

5) Feldman's reply is effective as well as a defense of the claim that we can have positive epistemic duties. If we accept the voluntariness principle, then introspective and perceptual beliefs raise a problem for this claim for such beliefs appear to be involuntary, and thus beyond the scope of duty. However, if we agree with Feldman in rejecting the voluntariness principle, then we can accept that introspective and perceptual beliefs are involuntary and nevertheless view them as being subject to epistemic duty.
5) 펠드만의 응답은 우리가 긍정적인 인식적 의무들을 지닐 수 있다는 주장의 옹호에도 마찬가지로 효과적이다. 만일 우리가 비자발성 원칙을 받아들인다면, 내성적 믿음들과 지각적 믿음들은 이러한 주장에 대해 문제를 야기하는데 왜냐하면 그러한 믿음들이 비자발적인 것으로 드러나고, 따라서 의무의 범위를 넘어서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만일 우리가 비자발성 원칙을 거부함에 있어서 펠드만에게 동의한다면, 우리는 내성적 믿음들과 지각적 믿음들이 비자발적이라는 것을 받아들일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믿음들을 인식적 의무에 귀속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An Alternative Solution
대안적 해결책

1) Feldman's solution will be unappealing to those who find the voluntariness principle intuitively plausible. Advocates of the deontological approach might, therefore, search for an alternative solution. Let's see what will be accomplished by making a belief's voluntariness a necessary condition of its justification.

D2    S is justified in believing p if and only if (i) S voluntarily believes p, and (ii) S does not have an epistemic duty to refrain from believing p.

The motivation for this maneuver arises from the fact that the concept of justification, as it is ordinarily used, undeniably has a deontological meaning.<19> To be justified in doing something is to have permission to do it. If I am justified in performing a certain act, then it is not the case that I have a duty to refrain from performing that act. Consequently, if the voluntariness principle is true, justified acts must be voluntary acts, and justified beliefs must be voluntary beliefs.
1) 펠드만의 해결책은 비자발성 원칙을 직관적으로 그럴 성싶다고 여기는 그러한 사람들에게 호소력이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의무론적 접근의 옹호자들은 아마도 대안적 해결책을 모색할 것이다. 믿음의 자발성을 그 믿음의 정당성에 대한 필요조건으로 삼음으로써 성최될 것이 무엇인지 살펴 보도록 하자.

D2    S는 p를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 iff (i) S는 자발적으로 p를 믿고, (ii) S는 p를 믿는 일을 삼갈 인식적 의무를 지지 않는다.

이러한 방책의 계기는 정당성 개념이 그 일상적 용례로 이론의 여지 없이 의무론적 의미를 지닌다는 사실로부터 야기된다.<19> 어떤 일을 함에 있어서 정당화된다는 것은 그 일을 할 승인을 얻는 것이다. 만일 내가 특정 행위를 수행함에 있어서 정당화된다면, 내가 그 행위를 수행하는 일을 삼갈 의무를 지닌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결론적으로, 만일 비자발성 원칙이 참이라면, 정당화된 행위들은 반드시 자발적 행위들이어야만 하며, 정당화된 믿음들은 반드시 자발적 믿음들이어야만 한다.

2) D2 is immune to the counterexample we considered above, which was a case of an involuntary unjustified belief. Because of the way we have changed condition (i), we now get the desired result. Since the Elvis fan's belief that Elvis is still alive is the result of psychological compulsion, his belief fails to meet condition (i), and thus is not justified. Indeed, condition (i) has the effect of turning, in one fell swoop, all involuntary beliefs into beliefs that fail to be justified.
2) D2는 우리가 위에서 고려하였던 반례, 비자발적 정당화되지 않은 믿음의 경우에 대해 면역을 지닌다. 우리가 조건 (i)을 변경하였던 방식으로 인해, 우리는 이제 기대된 결론을 얻는다. 엘비스가 여전히 살아있다는 엘비스 팬의 믿음은 심리적 강요의 결과이므로, 그의 믿음은 조건 (i)을 충족시키는 데에 실패하고, 그래서 정당화되지 않는다. 더욱이, 조건 (i)은 단번에 모든 비자발적 믿음들을 정당화되는 데에 실패한 믿음들로 전환시키는 효과를 지닌다.

3) But now the problem of the involuntariness of perceptual beliefs returns with a vengeance. D2 precludes the existence of involuntary justified beliefs. Perceptual beliefs, however, would appear to be just that: involuntary and justified. According to D2, such beliefs are not justified. Surely this is an unacceptable result. In reply to this challenge, deontologists could distinguish between soft and hard involuntariness. Compare the following two cases:

Case 1: Soft Involuntariness
Looking out my office window, I see people walking across campus. As long as my evidential situation remains the same, I can't help having this belief. However, nothing is impeding my intellectual faculties, and thus it is within my power to deliberate, to weigh the evidence. If I were to receive further information - if, for example, I were to find out that I'm under the influence of a drug that makes me hallucinate the presence of people outside - then I could refrain from believing that there are people walking across campus.

Case 2: Hard Involuntariness
A mad scientist slips a drug into my coffee. The drug induces in me the belief that there are people walking across campus. Its effects are such that, however my evidential situation were to change, I would be compelled to retain this belief. Thus, even if I didn't see anybody walking across campus, I would still continue believing this. Indeed, no matter how much countervailing evidence were presented to me, I could not refrain from believing that there are people walking across campu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ases is this: in the second, my belief is beyond my intellectual control. I cannot, therefore, be held accountable for it. Advocates of the voluntariness principle could palusibly argue that it can't be my duty to refrain from holding it. In the first case, however, nothing is impeding my intellectual faculties, which means that my belief is not beyond their reach. Were my evidential situation to change, I could refrain from believing that there are people walking across campus.
3) 그러나 이제 지작적 믿음의 비자발성 문제는 맹렬하게 돌변한다. D2는 비자발적 정당화된 믿음들의 현존을 차단한다. 그렇지만 지각적 믿음들은 바로 다음과 같은 것으로 드러날 것이다. 비자발적이면서 정당화된 것으로 말이다. D2에 따르자면, 그러한 믿음들은 정당화되지 않는다. 확실히 이것은 허용키 어려운 결론이다. 이러한 도전에 대한 응답으로, 의무론자들은 약한 비자발성과 강한 비자발성을 구별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두 사례들을 비교해 보자.

사례 1: 약한 비자발성
내 사무실 창문을 내다보면서, 나는 캠퍼스를 가로질러 걷고 있는 사람들을 본다. 나의 증거적 상황이 동일하게 남아있는 한, 나는 이러한 믿음을 갖지 않을 수 없다. 그렇지만 나의 지적 능력들을 방해하는 것은 아무것도 없고, 그래서 숙고, 증거의 경중을 따지는 일은 나의 능력에 속한다. 만일 내가 더 나아간 정보를 받아들이게 된다면 - 예를 들어 만일 내가 나로하여금 바깥에 사람들의 현전을 환각하도록 만드는 약의 영향 아래 있다는 것을 알아내게 된다면 - 나는 캠퍼스를 가로질러 걷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는 믿음을 삼갈 수 있을 것이다.

사례 2: 강한 비자발성
한 미친 과학자가 내 커피에 약을 탔다. 그 약은 내 안에서 캠퍼스를 가로질러 걷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는 믿음을 유발시킨다. 그 약의 영향들은 그러하며, 아무리 나의 증거적 상황은 바뀔지라도, 나는 이러한 믿음을 유지하도록 강제될 것이다. 따라서, 설령 내가 캠퍼스를 가로질러 걷고 있는 그 누구도 보지 못한다 할지라도, 나는 여전히 이것을 믿는 일을 계속할 것이다. 더욱이, 얼마나 많은 대응증거들이 내게 제시되든 상관없이, 나는 캠퍼스를 가로질러 걷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고 믿는 일을 삼갈 수 없을 것이다.

두 사례들 간의 차이는 이것이다. 즉 두 번째 사례에서, 나의 믿음은 나의 지적 통제를 넘어선다. 그러므로 나는 그 믿음에 대해 책임 지워질 수 없다. 자발성 원칙의 옹호자들은 그럴 성 싶게 그 믿음을 견지하는 일을 삼가는 것이 나의 의무일 수 없다고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첫 번째 사례에서는 아무것도 나의 지적 능력들을 방해하고 있지 않고, 그것은 곧 나의 믿음이 그 능력들이 범위를 넘어서지 않는다는 뜻이다. 나의 증거적 상황이 바뀐다면, 나는 캠퍼스를 가로질러 걷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는 믿음을 삼갈 수 있을 것이다.

4) Initially, both beliefs appear to be involuntary. However, if we take into account my ability to react to a change in my evidence, a different picture emerges. In the first case, I retain intellectual authority over what I believe, whereas in the second case, this authority is undermined vis-a-vis the belief in question. Thus what the two examples show is this: we must distinguish between involuntary beliefs that are under one's intellectual authority and involuntary beliefs that are not. The former are involuntary in the soft sense, the latter are involuntary in the hard sense.
4) 처음에, 두 믿음들은 모두 비자발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그렇지만, 만일 우리가 내 증거에 있어서의 변화에 반응하는 나의 능력을 고려한다면, 상이한 그림이 드러난다. 첫 번째 사례에서, 나는 내가 믿는 것에 대해 지적 권한을 유지하는 반면, 두 번째 사례에서는 이 권한이 문제가 되는 믿음에 맞하여 약화된다. 따라서 그 두 사례들이 보여주는 것은 이것이다. 즉 우리는 반드시 한 개인의 지적 권한하에 있는 비자발적 믿음들과 그렇지 않은 비자발적 믿음들을 구분하여야만 한다. 전자는 약한 의미에서 비자발적이고, 후자는 강한 의미에서 비자발적이다.

5) Let us return to the problem at hand. Deontologists could argue that a person's enjoying intellectual authority over a belief is sufficient to make that belief subject to epistemic duty. On this view, only hard involuntariness precludes a belief from being subject to epistemic duty; soft involuntariness does not, for a belief can be softly involuntary even when one's intellectual authority over that belief is maintained. The involuntariness of perceptual beliefs is of the soft kind, for such beliefs are, neglecting exceptions, under my intellectual authority. Under normal circumstances, they are accessible to an assessment of their epistemic credentials, which means that it is within my power to reject them if I see fit to do so. Consequently, deontologists could conclude that the soft involuntariness of perceptual and introspective beliefs need not prevent us from viewing them as being subject to epistemic duty.<20>
5) 당면한 문제로 돌아가도록 하자. 의무론자들은 한 사람의 하나의 믿음에 대한 지적 권한 향유가 그 믿음을 인식적 의미에 귀속하도록 만들기에 충분하다고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오로지 강한 비자발성만이 한 믿음이 인식적 의무에 귀속되는 것을 차단한다. 약한 비자발성은 그렇지 않은데, 왜냐하면 한 믿음은 한 사람의 그 믿음에 대한 지적 권한이 주장될 때조차 약하게 비자발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지각적 믿음들의 비자발성은 약한 종류에 속하는데, 왜냐하면 그러한 믿음들이 예외들을 차치하면 나의 지적 권한하에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 상황들 아래에서, 그 믿음들은 그 믿음들의 인식적 자격들에 대한 평가에 쉽게 영향받는데, 그것은 만일 내가 그렇게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면 그 믿음들을 거절하는 것은 내 능력 내에 속한다는 뜻이다. 결론적으로, 의무론자들은 지각적 믿음들과 내성적 믿음들의 약한 비자발성이 우리로 하여금 그러한 믿음들을 인식적 의무에 귀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지 못하도록 막을 필요가 없다고 결론내릴 수 있을 것이다.<20>


Epistemic Deontologism and Truth Conduciveness
인식적 의무론과 진리 기여성

1) A second objection to epistemic deontologism has to do with the epistemic end of believing truly. Epistemic justification, the kind of justification we seek when we aim at the end of believing truly, must be truth-conducive. In other words, epistemically jsutified beliefs must be likely to be true. According to William Alston, the most serious defect of the deontological concept of epistemic justification is "that it does not hook up in the right way with an adequate truth-conducive ground."<21> This objection rests on the premise that for a belief to be justified, it must be based on an adequate ground. Let us call this premise the "adequacy principle." We shall now discuss whether the adequacy principle is defensible from the deontological point of view.
1) 인식적 의무론에 대한 두 번째 반박은 참되게 믿는다는 인식적 목적에 관계된다. 참되게 믿는다는 목적을 겨냥할 때 우리가 모색하는 그러한 종류의 정당성인 인식적 정당성은 반드시 진리-기여적이어야만 한다. 다른 말로, 인식적으로 정당화된 믿음들은 반드시 참일 것 같은 그러한 것이어야만 한다. 윌리엄 알스톤에 따르자면, 인식적 정당성의 의무론적 개념에 대한 가장 심각한 결함은 "그 개념이 올바른 방식으로 적절한 진리-기여적 근거와 연결하지 않는다는 것이다."<21> 이러한 반박은 믿음이 정당화되기 위해서는 그것이 반드시 적절한 근거에 기초되어야만 한다는 전제에 의존한다. 이러한 전제를 "적절성 원칙"이라 부르도록 하자. 우리는 이제 적절성 원칙이 의무론적 관점으로부터 옹호가능한지 논의할 것이다.

2) Alston thinks that justified beliefs must be based on an adequate ground. A belief's ground, in his theory, consists of either other beliefs or suitable experiences.<22> But how are we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a ground's adequacy? Here is how Alston explicates this concept:

To get at the appropriate criterion of adequacy, let's note that a belief's being justified is a favorable status vis-a-vis the basic aim of believing … truly rather than falsely. For a ground to be favorable relative to this aim it must be "truth conducive"; it must be sufficiently indicative of the truth of the belief it grounds. In other terms, the ground must be such that the probability of the belief's being true, given the ground, is very high.<23>

According to this passage, adequate grounds must be truth-conducive: they must ensure that the beliefs they ground are the kind of beliefs we favor vis-a-vis the end of believing truly, which is to say they must ensure that the beliefs they ground are likely to be true, or probable. Thus Alston's criticism of the deontological concept of epistemic justification can be reformulated thus: It is possible for a belief to enjoy deontological justification without being based on a truth-conducive ground or on ground that makes it probable. In short, deontological justification fails to be truth-conducive, and thus is not the right kind of justification vis-a-vis the epistemic end.
2) 알스톤은 정당화된 믿음들이 반드시 적절한 근거에 기초되어야만 한다고 생각한다. 한 믿음의 근거는 그의 이론에서 보자면 다른 믿음들이나 적합한 경험들로 구성된다.<22> 그러나 어떻게 우리가 근거의 적절성이란 개념을 이해하게 될 것인가? 여기 알스톤이 이 개념에 대해 설명한 것이 있다:

적절성에 대한 적합한 기준을 이해하기 위해서, 한 믿음의 정당화됨은 거짓되게라기 보다는 오히려 참되게 … 믿는다는 기초적 목표에 마주하여 선호할 만한 상태라는 점을 주의하도록 하자. 하나의 근거가 이러한 목표에 유리하게 관계맺기 위해 그것은 반드시 "진리 기여적"이어야만 한다. 즉 그 근거는 반드시 그 근거가 근거짓는 그 믿음의 참에 대해 충분히 지시적이어야만 한다. 다른 말로, 그 근거는 반드시 그 근거를 고려하면 상당히 높은, 그러한 그 믿음의 참일 가능성과 같은 그러한 것이어야만 한다.<23>

이 구절에 따르자면, 적절한 근거들은 반드시 진리-기여적이어야만 한다. 즉 그 근거들은 반드시 그 근거들이 근거짓는 믿음들이 우리가 참되게 믿는다는 목적에 관해서 선호하는 그러한 종류의 믿음들임을 보장해야만 하며, 그것은 곧 그 근거들이 반드시 그 근거들이 근거짓는 믿음들이 참일 것 같은, 혹은 참일 가능성이 있는 것임을 보장해야만 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인식적 정당성의 의무론적 개념에 대한 알스톤의 비판은 다음과 같이 재정식될 수 있다. 그러니까 믿음이 진리 기여적 근거나 그 믿음을 가능토록 하는 근거에 기초됨이 없이 의무론적 정당성을 향유하는 일이 가능하다. 간단히 말해서, 의무론적 정당성은 진리-기여적이지 않고, 따라서 인식적 목적에 마주하여 옳은 종류의 정당성은 아니다.

3) Since there are two types of probability - factual and epistemic - in order to evaluate Alston's criticism, we must determine in which of these two senses he is using the concept of probability. First, however, let us briefly review the difference between factual and epistemic probability.<24>
3) 두 가지 형태의 가능성 - 사실적 가능성과 인식적 가능성 - 이 있으므로 알스톤의 비판을 평가하기 위해 우리는 반드시 이러한 두 가지 의미들 중 어떠한 의미로 그가 가능성의 개념을 사용하고 있는지 결정해야만 한다. 그렇지만 우선 간략하게 사실적 가능성과 인식적 가능성의 차이를 재검토해 보도록 하자.<24>


Two Types of Probability
가능성의 두 가지 형태

1) Factual probabilities are a function of what the physical world is like. In the factual sense of the term "probable," what is probable is that a thing of one kind is also a thing of another kind. Thus we can attach probabilities to the following items:

(i) that someone who smokes two packs of cigarettes a day lives to be eighty years old;
(ii) that a citizen of New York City will get mugged;
(iii) that a tossed coin will come up heads.

The probability of each of these items is determined by what we may call a relative frequency: the frequency of one type of occurrence relative to another type of occurrence. Thus the probabilities of the displayed statements depend on the frequency of: (i) those who eventually live to be eighty among people who smoke two packs of cigarettes a day; (ii) mugging victims among citizens of New York City; and (iii) tossed coins coming up heads. Obviously, these probabilities are determined by what the world is like. They are determined by, respectively: (i) the physiological effects of smoking; (ii) the various factors that are responsible for the level of crime in New York City; and (iii) the physical properties of tossed coins. Furthermore, these probabilities are independent of what we know about the world. The probability that a heavy smoker will live to be eighty is determined by the impact of smoking on a smoker's health, irrespective of how much we know about the physiological effects of smoking; muggings in New York City occur with the frequency they do no matter how much we know about crime in New York City; and the probability of a coin turning up heads depends on whether the coin toss is fair,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we know it is.
1) 사실적 가능성들은 물리적 세계가 어떠할 것인지와 상관관계에 있다. "가능적"이란 말의 사실적 의미에서, 가능한 것은 한 종류의 것이면서도 또 다른 종류의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우리는 가능성들을 다음 항목들에 결부시킬 수 있다.

(i) 하루 두 갑의 담배를 피는 사람은 80까지 산다;
(ii) 뉴욕시티의 시민은 노상강도를 당할 것이다;
(iii) 던져진 동전은 앞면이 나올 것이다.

이러한 항목들 각각의 가능성은 우리가 상대빈도라고 부를 수 있을 것에 의해 결정된다. 즉 한 유형의 발생 빈도는 또 다른 유형의 발생에 상관한다. 따라서 제시된 진술들의 가능성들은 (i) 하루에 담배 두 갑을 피우는 사람들 중에서 결국 여든까지 산 사람들; (ii) 뉴욕 시민들 중에서 노상강도 피해자들; 그리고 (iii) 던져져 앞이 나온 동전들의 빈도에 의존한다. 명백하게, 이러한 가능성들은 세계가 어떠할지에 의해 결정된다. 그 가능성들은 각기 (i) 흡연의 생리적 영향들; (ii) 뉴욕 시티에서 범죄지수에 원인이 되는 다양한 요소들; 그리고 (iii) 던져진 동전들의 물리적 속성들에 의해 결정된다. 더 나아가, 이러한 가능성들은 우리가 세계에 대해 아는 것과 독립적이다. 골초가 여든까지 살 가능성은 흡연자의 건강에 대한 흡연의 영향에 의해 결정되고, 우리가 흡연의 생리적 영향들에 대해 얼마나 많이 아는가와는 관련이 없다. 또 뉴욕시티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강도사건들은 우리가 뉴욕시티에서의 범죄에 대해 얼마나 많이 아는지를 문제 삼지 않는다. 그리고 앞면으로 나오는 동전의 확률은 그 동전 던지기가 공정한지에 의존하고, 우리가 그것을 아는지 모르는지와는 무관하다.

2) Epistemic probabilities, on the other hand, are degrees of justification that, relative to a given body of evidence, attach to beliefs or propositions. For example, relative to the evidence I have about the effects of smoking, the proposition "I will suffer a significant risk to my health if I smoke two packs of cigarettes a day" has a high degrees of epistemic probability for me.
2) 다른 한편 인식적 가능성들은 주어진 증거 전체에 관계하여 믿음들이나 명제들에 결부되는 정당성의 정도들이다. 예를 들어, 흡연의 영향들에 대해 내가 가지고 있는 증거들과 관련하여, "만일 내가 하루 두 갑의 담배를 핀다면 나는 나의 건강에 심각한 위험을 겪을 것이다"라는 명제는 나에 대해 높은 정도의 인식적 가능성을 지닌다.

3) Let us illustrate the difference between factual and epistemic probability with an example. Suppose I draw a ball from an urn that contains nine black balls and one white ball. The factual probability that the ball I'm going to draw will be black is .9. But if I have no information about the colors of the balls in the urn, the proposition "The ball I'm going to draw will be black" does not have a .9 epistemic probability relative to the evidence I possess. In fact, in relation to my evidence (or lack of evidence), it is probable that the ball will not be black (for as far as I know it could have any color). However, if the information about the distribution of colors among the balls in the urn is part of my evidence, then the proposition "The ball I'm going to draw will be black" enjoys both a .9 factual probability and, in relation to my evidence, a .9 epistemic probability.
3) 하나의 사례를 가지고 사실적 가능성과 인식적 가능성 사이의 차이를 묘사해 보도록 하자. 내가 아홉 개의 검은 공과 한 개의 흰 공을 담은 단지에서 공 하나를 꺼낸다고 가정하자. 내가 뽑을 공이 검은 공일 사실적 가능성은 9할이다. 그러나 만일 내가 그 단지 안에 든 공들의 색들에 대해 아무런 정보도 갖고 있지 않다면, "내가 뽑을 공은 검은 공일 것이다"라는 명제는 내가 지닌 증거와 관련하여 9할의 인식적 가능성을 가지지는 않는다. 사실, 나의 증거(또는 증거의 결여)와 관련하여, 그 공이 검을 수도 있다 (내가 그 공이 무슨 색이든 지닐 수 있으리란 것을 아는 한에서). 그렇지만, 만일 단지 속 공들 사이의 색들의 분배에 대한 정보가 내 증거의 일부라면, "내가 뽑을 공은 검은 공일 것이다"라는 명제는 9할의 사실적 가능성과 더불어, 나의 증거와의 관련 속에서, 9할의 인식적 가능성도 향유할 것이다.

4) When Alston asserts that justified beliefs must be adequate, and then explicates adequacy in terms of probability, what kind of probability does he have in mind? Although Alston does not address this question directly, he says at least this much:

Suffice it to say that I am thinking in terms of some kind of "tendency" conception of probability, where the lawful structure of the world is such that one state of affairs renders another more or less probable.<25>

According to this passage, whether a ground G make a belief P probable depends on whether the world has a lawful structure that makes P relative to G probable. Let's consider Newton's law of universal gravitation as an example of a probability - conferring "lawful structure." This law tells us that physical objects with sufficient mass fall down when released. If we apply this to my pencil, then we may say that, because of the law of universal gravitation, it is highly probable in the factual sense that if I release my pencil it will fall down.<26> Apparently, Alston thinks about the probability of beliefs for which grounds are adequate in the same fashion: what ground makes a belief probable is determined, not by the subject's evidence, but by the laws of nature. For example, in Alston's view, perceptual beliefs are (typically) based on adequate grounds, and thus are probable, because there is a law of nature such that a belief's being based on a perceptual ground makes that belief (more or less) probable. And beliefs based on wishful thinking are not based on adequate grounds because there is no lawlike structure in the world that makes such beliefs probable.
4) 알스톤이 정당화된 믿음들은 반드시 적절해야만 한다고 주장할 때, 그래서 적절성을 가능성으로 설명할 때, 그가 심중에 품었던 가능성은 어떤 종류의 것이었는가? 비록 알스톤이 이러한 물음을 직접 다루지 않는다 할지라도, 그는 최소한 이만큼의 이야기는 하고 있다:

세계의 합법적 구조가 사건들에 대한 하나의 진술이 또 다른 진술로 나타나는 것이 다소간 가능한 그러한 것이라는 점에서, 내가 일종의 "경향성"이라는 말로 가능성 개념을 이해하고 있다고 말하는 것으로 족할 것이다.<25>

이 구절에 따르자면, 하나의 근거 G가 한 믿음 P를 가능적으로 만드는가의 여부는 그 세계가 P를 G와 관련하여 가능적으로 만드는 합법적 구조를 지니는가 여부에 의존한다.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을 - "합법적 구조"를 참조하면서 - 가능성의 일례로 고찰해 보도록 하자. 이 법칙은 우리에게 충분한 질량을 지닌 물리적 대상들은 놓아졌을 때 떨어진다는 점을 말해준다. 만일 우리가 이 법칙을 나의 연필에 적용시킨다면, 우리는 아마도 만유인력 법칙으로 인해서 만일 내가 나의 연필을 놓는다면 그 연필은 떨어질 것임이 사실적 의미에서 가능성이 높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26> 분명히, 알스톤은 그에 대한 근거들이 적절한 그러한 믿음들의 가능성에 대해 같은 방식으로 생각한다. 즉 한 믿음을 가능적으로 만드는 어떤 근거는 그 증거의 주체에 의해서가 아니라 자연의 법칙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알스톤의 관점에서 지각적 믿음들은 (전형적으로) 적절한 근거들에 기초되는데, 왜냐하면 한 믿음의 지각적 근거들에 기초됨이 그 믿음을 (다소간) 가능적으로 만든다는 자연법칙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희망적 생각들에 기초된 믿음들은 적절한 근거들에 기초되지 않는데 왜냐하면 세계에는 그러한 믿음들을 가능적으로 만드는 그런 법칙적 구조가 전혀 없기 때문이다.

-蟲-
Chapter Four


The Concept of Epistemic Justification
인식적 정당성이라는 개념

Epistemic Justification and Two Kinds of Normativity
인식적 정당성과 두 종류의 규범성

1) In Chapter 2, we distinguished among (i) defining a simple concept, (ii) analyzing a complex concept, and (iii) stating criteria for the application of a concept, and we discussed the problems that arise when we try to state criteria of epistemic justification. In this chapter, we shall focus on defining the meaning of that concept.<1>
1) 2장에서, 우리는 (i) 단순한 개념을 정의하는 것, (ii) 복잡한 개념을 분석하는 것, 그리고 (iii) 개념의 적용을 위한 기준들을 진술하는 것을 구분하였고, 우리가 인식적 정당성의 기준들을 진술하고자 시도할 때 일어나는 문제들을 논의하였다. 이 장에서, 우리는 그 개념의 의미를 정의하는 데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1>

2) The concept of epistemic justification, most philosophers would agree, is a normative one.<2> When a belief is said to be justified, it is positively appraised, evaluated as the kind of belief we favor vis-a-vis the epistemic end: the end of seeking truth and avoiding error, which is ultimately the end of acquiring knowledge.<3> What, however, do we mean by saying that a belief is appropriate, or favorable, vis-a-vis the epistemic end?
2) 인식적 정당성의 개념은, 대부분의 철학자들이 동의할 터인데, 규범적인 개념이다.<2> 하나의 믿음이 정당화된다고 이야기될 때, 그 믿음은 긍정적으로 평가받고, 우리가 인식적 목적에 맞추어 선호하는 그런 종류의 믿음으로 평가된다. 그 목적은 진리를 추구하고 오류를 피하는 것, 궁극적으로 앎의 획득이라는 목적이다.<3> 그렇지만 우리가 한 믿음이 적절하다거나, 선호할 만하다거나, 인식적 목적에 부합한다고 말함으로써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3) Answers to this question fall into two basic categories: deontological and nondeontological. According to deontological views, the meaning of the concept of epistemic justification is to be defined in deontic terms, terms such as "duty," "obligation," "permission," and "freedom from blame." The deontological view we shall discuss in this chapter asserts that whether a particular belief is justified is a function of meeting epistemic duties, duties that arise from aiming at the end of seeking truth and avoiding falsehood.
3) 이 물음에 대한 대답은 두 가지 기본적인 범주들로 나뉜다. 그것들은 의무론적인 것과 비의무론적인 것이다. 의무론적 관점에 따르자면, 인식적 정당성이라는 개념의 의미는 의무적 용어들, "의무," "책임," "승인," "비난으로부터 자유로움"과 같은 용어들로 정의되는 것이다. 우리가 이 장에서 논의할 의무론적 관점은 한 특정한 밍므이 정당화되는지 여부는 인식적 의무들을 충족시키는 일과 상관관계이다. 그 의무들은 진리를 찾고 거짓을 피하는 목적을 지향함으로부터 발생하는 의무들이다.

4) According to nondeontological views, a belief's being justified is a normative status, but the normativity in question here is simply one of goodness, or appropriateness, without involving anything having to do with duty, blame, or responsibility. For example, when a particular pig wins first prize at a county fair in rural Iowa, it is being appraised as excelling in a number of relevant respects, such as fatness and rosy skin. Obviously, the pig's normative status as a prize pig has nothing to do with its fulfilling any duties. In like fashion, we regularly evaluate, in a nondeontological way, things such as cars, tennis rackets, and bicycles as good or bad, or appropriate or inappropriate, vis-a-vis a certain end. Advocates of the nondeontological approach would say that when beliefs are evaluated as epistemically justified or unjustified, they are simply being appraised as good or bad, or appropriate or inappropriate, vis-a-vis the end of having true beliefs and avoiding false beliefs. William Alston formulates the possibility of nondeontological epistemic evaluation as follows:

One can evaluate S's believing that p as a good, favorable, desirable, or appropriate thing without thinking of it as fulfilling or not violating an obligation … it could simply be a matter of the possession of certain good-making characteristics.<4>

Alston's own theory is an example of this nondeontological approach. Here is how he defines the concept of epistemic justification:

Alston's Nondeontological Concept of Justification
S is epistemically justified in believing p if and only if S's believing p, as S did, was a good thing from the epistemic point of view, in that S's belief p was based on adequate grounds and S lacked sufficient overriding reasons to the contrary.<5>

Later we shall discuss in detail what Alston means by "adequate grounds." For now, what matters is that his definition makes no use of the concept of epistemic duty or any other deontic concepts. Justified beliefs are nondeontologically defined as beliefs that, by virtue of having certain characteristics, are good beliefs vis-a-vis the epistemic end. Later in the chapter, we shall discuss some of Alston's objections to the deontological approach. First, however, we must consider the view according to which the meaning of epistemic justification must be understood in terms of duty.
4) 비의무론적 관점들에 따르자면, 한 믿음의 정당화됨은 규범적 상태이지만, 여기에서 문제가 되는 그 규범성은 단순히 좋음, 또는 적절함에 속하는 그러한 규범성이며, 의무, 비난, 또는 책임성과 관계되는 아무것도 포함하지 않는 규범성이다. 예를 들어, 특정한 돼지 한 마리가 아이오와 시골의 가축 품평회에서 1등을 했을 때, 그 상황은 관계된 여러 측면들에 있어서 탁월함으로서 평가받은 것이다. 살집과 장미빛 살가죽 같은 것들 말이다. 분명히, 상을 맏은 돼지로서 그 돼지의 규범적 상태는 어떠한 의무들을 이행하는 것과도 관련된 것이 전혀 없다. 같은 방식으로, 우리는 자주 차들, 테니스 라켓들, 자전거들 같은 것들을 좋거나 혹은 나쁘다고, 혹은 적절하거나 부적합하다고, 특정한 목적에 걸맞는다고 평가한다. 비의무론적 접근의 옹호자들은 믿음들이 인식적으로 정당화된다든지 혹은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평가될 때, 그 믿음들은 단순히 좋거나 나쁜 것, 혹은 적절하거나 부적절한 것, 참된 믿음들을 가지고 거짓 믿음들을 피하는 목적에 부합하는 것으로 평가받는 것이다. 윌리엄 알스톤은 비의무론적 인식적 평가의 가능성을 다음과 같이 정식화한다.

S의 p라는 믿음을, 그 믿음을 하나의 책임을 이행하거나 또는 위반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하지 않고 좋은 것, 선호할 만한 것, 바람직한 것, 또은 적절한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 그것은 단순히 특정한 좋게 만드는 특징들의 소유 문제일 수 있을 것이다.

알스톤 자신의 이론은 이러한 비의무론적 접근법의 일례이다. 그가 인식적 정당성 개념을 정의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알스톤의 비의무론적 정당성 개념
S는 p를 믿음에 있어서 인식적으로 정당화된다 iff S가 믿었듯이, S의 p라는 믿음이 인식적 관점에서, S의 p라는 믿음이 적절한 근거들에 기초되었고 반대되는 더 중요한 충분한 이유들을 결핍하였다는 점에서, 좋은 것이었다. <5>

이후에 우리는 알스톤이 "적절한 근거들"을 가지고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상세하게 논의할 것이다. 지금은, 그의 정의가 인식적 의무나 어떤 다른 의무론적 개념들도 전혀 이용하지 않는다는 것이 문제가 된다. 정당화된 특정한 특징들을 가지는 덕분으로 인식적 목적에 부합하는 좋은 믿음들인 그러한 믿음들로서 비의무론적으로 정의된다. 이 장 뒷부분에서, 우리는 의무론적 접근에 대한 알스톤의 반박들 중 일부를 논의할 것이다. 그렇지만 우선 우리는 그에 따르면 인식적 정당성의 의미가 반드시 의무라는 말로 이해되어야만 한다는 그러한 관점을 고찰해 보아야만 한다.


The Deontological Approach
의무론적 접근

1) The deontological concept of epistemic justification has its origin in the works of Descartes and Locke.<6> In the fourth of his Meditations, Descartes explains erroneous judgment as a misuse of intellectual freedom. He argues that it is up to us whether or not to believe a given proposition, and that we ought to believe it only when we perceive its truth clearly and distinctly. To believe a proposition in the absence of a clear and distinct perception of its truth is an intellectual failing, a failing for which we are fully responsible and may justly be blamed.
1) 인식적 정당성의 의무론적 개념은 데카르트와 로크의 작업들에 그 기원을 가진다.<6> 그의 『성찰』 4편에서 데카르트는 지성적 자유의 오용으로서의 잘못된 판단을 설명한다. 그는 주어진 명제를 믿을지 믿지 않을지는 우리에게 달려 있다고 주장하며, 우리는 오직 우리가 그 믿음의 참을 확실하고 뚜렷하게(명석판명-_-) 인지할 때에만 그 믿음을 믿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 믿음의 참에 대한 확실하고 뚜렷한 지각이 없이 하나의 명제를 믿는다는 것은 지적 실패, 그에 대한 책임이 완전히 우리에게 있고 또 그로 인해 비난받아 마땅한 그러한 실패이다.

2) In his 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Locke discusses the subject of intellectual responsibility in the same fashion. He writes:

He that believes, without having any reason for believing, may be in love with his own fancies; but neither seeks truth as he ought, nor pays the obedience due his maker, who would have him use those discerning faculties he has given him, to keep him out to mistake and error. He that does not this to the best of his power, however he sometimes lights on truth, is in the right but by chance; and I know not whether the luckiness of the accident will excuse the irregularity of his proceeding. This at least is certain, that he must be accountable for whatever mistakes he runs into: whereas he that makes use of the light and faculties God has given him, and seeks sincerely to discover truth, by those helps and abilities he has, may have this satisfaction in doing his duty as a rational creature, that though he should miss truth, he will not miss the reward of it. For he governs his assent right, and places it as he should, who in any case or matter whatsoever, believes or disbelieves, according as reason directs him.<7>

In this passage, the idea of epistemic duty is clearly formulated. To seek the truth as we ought is to meet one's duties as a rational creature. Our intellectual faculties enable us to meet these duties; therefore, we are to be held accountable - that is, subject to criticism and blame - for their violation.
2) 그의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에서 로크는 같은 방식으로 지적 책임을 주제로 논의한다. 그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믿기 위한 어떤 이유도 가지지 않고 믿는 사람은, 아마도 그 자신의 망상들과 사랑에 빠진 자일 것이다. 그러나 그는 그가 해야할 바대로 진리를 추구하지도 않고, 그분께서 그가 잘못과 오류에 빠지지 않도록 그에게 부여하신 분별의 능력들을 그로 하여금 사용하도록 하셨을 그의 창조주께 마땅한 순종도 바치지 않는다. 그의 능력이 닿는 데에까지 이렇게 하지 않는, 그렇지만 때때로 우연히 진리를 발견하는 자는 올바르지만 운이 좋은 것이다. 나는 그 우연한 행운이 그의 과정에 있어서의 부정을 용서할지 아닐지가 문제가 아님을 안다. 최소한 이것만은 확실하다. 그는 무엇이 되었든 그가 뛰어든 잘못들에 대해 책임져야만 한다는 것이다. 반면 신께서 그에게 주신 빛과 능력들을 활용하는 자, 그리고 비록 그가 진리를 놓칠지라도, 신실하게 진리의 발견을 추구하는 자는, 그가 받은 그러한 지원들과 능력들에 의하여, 이성적 창조물로서, 그의 의무를 이행함에 있어서 비록 진리를 놓친다 할지라도, 그 보상을 놓치지 않을 이같은 만족을 가질 것이다. 왜냐하면, 어떤 경우에서든 무슨 문제라 하더라도, 믿거나 거짓이라 믿거나, 이성이 그를 인도하는 바대로 따르면서, 그가 올바르게 동의하여 처신하고, 그가 해야 할 바대로 그 동의를 위치시키기 때문이다.

이 구절에서, 인식적 의무에 대한 생각은 명확하게 정식화된다. 우리가 마땅히 그래야 할 바대로 진리를 추구하는 것은 이성적 창조물로서의 의무들을 다하는 것이다. 우리의 지적 능력들은 우리들로 하여금 이러한 의무들을 다하도록 해준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러한 의무들의 위배에 대해 책임 지워질 것이다. - 즉, 비판과 비난을 겪게 될 것이다. -

3) In contemporary epistemology, Roderick Chisholm is the most prominent advocate of this approach.<8> In his book Theory of Knowledge, he writes this on the topic of intellectual responsibility:

We may assume that every person is subject to a purely intellectual requirement - that of trying his best to bring it about that, for every proposition h that he considers, he accepts h if and only if h is true. One might say that this is the person's responsibility or duty qua intellectual being.<9>

Locke speaks of duties we have as "rational creatures," Chisholm of a requirement we have as "intellectual beings." According to Locke, it is our duty to seek the truth to the best of our power; according to Chisholm, it is intellectually required of us to do our best to believe the propositions we consider if and only if they are true.
3) 현대 인식론에 있어서, 로더릭 치셜은 이러한 접근방식에 대한 가장 유명한 옹호자이다.<8> 그의 책 『앎의 이론』에서, 그는 지적 책임의 주제에 대해 이와 같이 적고 있다.

우리는 아마도 모든 사람이 순수한 지적 조건 아래에 있다고 생각할 것이다. - 그 조건은 그가 고려하는 모든 명제 h에 대해 그가 h를 허용하는 것은 만일 h가 참이라면 그리고 오로지 h가 참일 때만이라는 것에 대해 내놓고자 최선의 노력을 한다는 것이다.. 아마도 이것이 지적 존재자로서 그 개인의 책임 또는 의무라 말할 것이다.<9>


Epistemic Duty and The End of Believing Truly
인식적 의무와 참으로 믿음이라는 목표

1) Descartes, Locke, and Chisholm, then, would agree with one of the following: (i) As intellectual beings, we adopt what we may call the epistemic end; the end of believing what is true and not believing what is false; the end of believing truly, for short. (ii) The pursuit of this end imposes certain duties on us - epistemic duties. (iii) We may be held accountable for failing to meet these duties because we are endowed with intellectual faculties; we can, as Locke puts it, govern our assent as reason directs us. In this section, we shall discuss precisely which duty the end of believing truly imposes on us.
1) 그래서 데카르트와 로크, 그리고 치셜은 다음 중 한 가지는 동의할 것이다. (i) 지적 존재자들로서, 우리는 우리가 인식적 목표라 부를 그러한 어떤 것을 택하는 것이다. 그 목적은 참인 것을 믿고 거짓인 것을 믿지 않는 그러한 목적이다. 간단히 말해, 참되게 믿는다는 목적이다. (ii) 이러한 목표의 추구는 우리에게 특정한 의무들, 인식적 의무들을 부과한다. (iii) 우리는 이러한 의무들을 충족시키는 데에 실패함에 대한 책임이 지워질 것인데 왜냐하면 우리가 지적 능력들을 천부받기 때문이다. 즉 로크가 그렇게 말하듯, 우리는 우리의 동의를 이성이 우리를 정향하는 바대로 통제할 수 있다. 이 절에서, 우리는 그 참되게 믿음이라는 목적이 우리에게 부과한 의무가 정확히 어떤 것인지 논의할 것이다.

2) It is important to see that we shouldn't say our epistemic duty is to believe what is true and to disbelieve what is false, for in cases of misleading evidence, we ought to believe what's false and disbelieve what's true. For example, suppose my watch, which I know to be a reliable one, stopped working at precisely 1:00 P.M. At 1:02, I look at my watch and believe that it's 1:00 o'clock, although (as we have stipulated) it's 1:02. Since I don't yet have a reason for supposing that my watch broke (sooner or later I'll notice, of course), what I believe is what I ought to believe, even though it is in fact false.
2) 우리가 우리의 인식적 의무를 참인 것을 믿고 거짓인 것을 거짓이라 믿는 것이라 말하지 않아야 하는데, 왜냐하면 오해의 소지가 있는 증거의 경우들에서, 우리는 거짓인 것을 믿어야 하고 참인 것을 거짓이라 믿어야 하기 때문이라는 점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내가 믿을 만한 것으로 알고 있는 나의 시계가 1:02에 정확히 오후 1:00에서 작동을 멈췄고, 나는 비록 (우리가 규정한 것처럼) 1:02이라 할지라도 내 시계를 보고 1:00 정각이라 믿는다고 생각해 보자. 나는 아직 내 시계가 고장이라고 생각할 이유를 가지고 있지 못하므로(물론 조만간 내가 깨닫게 되겠지만), 내가 믿는 것이 내가 믿어야 할 것이다. 설령 사실은 그 믿음이 거짓이라 할지라도 말이다.

3) Believing what's true and not believing what's false should be viewed, therefore, not as our epistemic duty, but rather as the end from which our epistemic duties arise. How should we characterize this end? Let us consider as a proposal what Chisholm says about the requirement we have as intellectual beings: to try our best to believe a proposition we consider if and only if it is true.

E1    For every proposition p I consider, it is my goal to accept p if and only if p is true.

One problem with this proposal is that it applies only to propositions I consider. But we adopt the end of believing truly not only for beliefs that are the result of reflective consideration but also for beliefs that are formed spontaneously. For example, I now believe that it's sunny outside, but this belief is not the result of considering the proposition "It is sunny outside" and deliberating whether I should accept that proposition. This doesn't mean, however, that with regard to this belief I abandon the goal of believing truly. We must, therefore, modify E1 so as to make it applicable to belief formation in general:

E2    For every proposition p, it is my goal to believe p if and only if p is true.

According to E2, as an intellectual being, I aim at believing only what is true, and whatever is true. The "only" part of this biconditional is certainly plausible, but what about the "whatever" part? Is it really my intellectual goal to believe all the truths there are? Is it my intellectual goal to believe a proposition simply because it is true, no matter how irrelevant and boring this proposition may be? For example, is it an intellectual end of mine to believe all the truths contained in the telephone directory of Hong Kong?
3) 그러므로 참인 것을 믿는 일과 거짓인 것을 믿지 않는 일은 우리의 인식적 의무라기 보다는 오히려 그로부터 우리의 의무들이 발생하는 그러한 목적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어떻게 우리가 이러한 목적을 규정해야 할 것인가? 치셜이 지적 존재자들로서 우리가 지닌 조건에 대해 말한 것을 하나의 제안으로서 고찰해 보도록 하자. 즉 우리는 우리가 고려하는 명제를 믿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iff 그 명제는 참이다.

E1    내가 고찰하는 모든 명제 p에 대해서, p를 허용하는 것은 나의 목표이다 iff p가 참이다.

이러한 제안의 한 가지 문제점은 그 제안이 오로지 내가 고려하는 명제들에만 적용된다는 점이다. 그러나 우리는 참되게 믿음의 목적을 반성적 고찰들의 결론인 믿음들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또한 즉흥적으로 형성된 믿음들에 대해서도 채택한다. 예를 들어, 나는 지금 바깥이 맑다고 믿지만, 이러한 믿음은 그 믿음은 "밖이 맑다"라는 명제를 고찰한 결론이 아니고 내가 그 명제를 허용해야 하는지 숙고한 결론도 아니다. 그렇지만 이것이 이 믿음과 관련하여 내가 참되게 믿음의 목표를 폐기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우리는 E1이 그 목표를 일적인 믿음 형성에 적용가능하도록 만드는 것으로서 그렇게 수정해야만 한다.

E2    모든 명제 p에 대해서, p를 믿는 것은 나의 목표이다 iff p가 참이다.

E2에 따르면, 지적 존재자로서 나는 오로지 참인 것만을, 또한 참인 것은 무엇이든 그것을 믿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쌍조건문의 "오로지" 부분은 확실히 그럴 성싶지만, "무엇이든" 부분은 어떠한가? 있는 모든 참들을 믿는 것이 정말로 나의 지적 목표인가? 이 명제가 얼마나 상관없고 지루할지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고 단순히 그 명제가 참이기 때문에 그 명제를 믿는 것이 나의 지적 목표인가? 예를 들어, 홍콩 전화번호부에 담긴 모든 참들을 믿는 것은 나의 지적 목표인가?

4) It certainly seems quite odd to maintain it is our end as intellectual beings to believe every true proposition. Rather, which of all true propositions a person aims at believing would appear to be an individual matter, dependent on that person's particular interests. For someone who has neither friends nor business contacts in Hong Kong, that city's telephone directory is utterly irrelevant, however many truths it may contain. If, on the other hand, I do know someone in Hong Kong with whom I wish to get in touch, then the truth about that person's telephone number matters to me, and I wish to accept a proposition attributing a telephone number to that person if and only if that proposition is true. These considerations suggest that what we aim at as intellectual beings is not to believe all truths, but only those that matter to us. Let us reformulate E2 accordingly.

E3    For every proposition p that matters to me, it is my goal as an intellectual being to believe p if and only if p is true.

For the sake of simplicity, let us from now on refer to the epistemic end as defined by E3 as the end of believing truly.<10> Next, we shall consider the question of how we are to go about achieving this end.
4) 지적 존재자들로서 우리의 목표가 모든 참인 명제를 믿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확실히 꽤나 이상해 보인다. 오히려, 모든 참 명제들 중에서 어떤 것이 한 사람이 그것을 믿는 것을 목표로 하는 명제인지는 개인적 문제인 것으로, 그 개인의 특수한 관심사들에 의존하는 것으로 드러날 것이다. 홍콩에 친구도 사업관계도 가지지 않은 누군가에 대해서, 그 도시의 전화번호부는 완전히 무관한 것이지만, 그 전화번호부는 아마도 많은 참들을 포함할 것이다. 다른 한편 만일 내가 연락하고 싶어하는 홍콩의 누군가를 안다면, 그래서 그 사람의 전화번호에 대한 참이 내게 문제가 된다면, 나는 그 전화번호를 그 사람에게 귀속시키는 명제를 허용하고자 바랄 것이다 iff 그 명제가 참이다. 이러한 고찰들은 지적 존재자들로서 우리가 목표로 삼는 것이 모든 참들을 믿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우리에게 문제가 되는 참들만을 믿는 것임을 암시한다. 따라서 E2를 재정식화해 보도록 하자.

E3    나에게 문제가 되는 모든 명제 p에 대해서, 지적 존재자로서 내가 p를 믿는 것은 나의 목표이다 iff p는 참이다.

단순성을 위해, 이제부터 E3에 의해 정의된 것과 같은 인식적 목적을 참되게 믿는다는 목적이라 부르도록 하자.<10> 다음으로, 우리는 어떻게 우리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로 나아갈 것인지의 물음을 고찰할 것이다.


Epistemic Duty and Evidence
인식적 의무와 증거

1) According to Descartes, the duty that the pursuit of truth imposes on us is to believe only what we perceive clearly and distinctly. According to Locke, it is to "govern our assent as reason directs us." A more recent answer has been proposed by Richard Feldman, who says our epistemic duty is to "believe what is supported or justified by one's evidence and to avoid believing what is not supported by one's evidence."<11>
1) 데카르트에 따르면, 진리의 추구가 우리에게 부과하는 의무는 오로지 우리가 확실하고 뚜렷하게 인지한 것만을 믿는 것이다. 로크에 따르면, 그 의무는 "우리의 동의를 이성이 우리를 인도하는 바대로 통제"하는 것이다. 조금 더 최근의 답변은 리차드 펠드만에 의해 제안되었다. 그는 우리의 인식적 의무가 "한 개인의 증거에 의해 지지되거나 정당화되는 것을 믿고 누군가의 증거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것을 믿는 일을 피하는 것"이라고 말한다.<11>

2) One problem with these answers is that they don't seem to tell us very much. For unless we are told what it is that reason dictates or what our evidence supports, we still don't know how to go about achieving the epistemic end. To this objection, it can be replied that, as we saw at the end of Chapter 2, there may not be any general principles that tell us what reason dictates or what our evidence supports. Characterizing our epistemic duty as broadly as we did above might, therefore, be the best we can do. But this does not mean that these characterizations are worthless. As Feldman points out, if we know that it is our epistemic duty to believe in accord with our evidence, then we know the fact that believing p will make us feel good, or that believing p is in our self-interest, is not the kind of thing that epistemically justifies us in believing p.<12> Thus, if we answer the question

What should I do in order to believe truly?

by saying "believe in accord with the evidence," we do not offer a mere truism, but rather make a significant claim. The same can be said for Locke's answer. People who believe and disbelieve propositions as reason directs them do something significant: they form their beliefs without consulting crystal balls, reading tea leaves, or trusting supermarket tabloids.
2) 이러한 대답들의 한 가지 문제는 그 대답들이 우리에게 그렇게 많은 것을 말해주지는 않는 듯하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가 이성이 명령하거나 우리의 증거가 뒷받침하는 것이 무엇인지 우리가 이야기하게 되기 전까지, 우리는 여전히 어떻게 그 인식적 목적을 성취하는 데에로 나아갈지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반론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대답될 수 있다. 우리가 2장 말미에서 보았듯이, 우리에게 이성이 지시하는 것이나 우리의 증거가 뒷받침하는 것이 무엇인지 말해주는 어떠한 일반 원칙들도 없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의 인식적 의무를 우리가 위에서 규정하였던 만큼 넓게 규정하는 것은 아마도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일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이러한 규정들이 무가치함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펠드만이 지적하듯, 만일 우리가 우리의 증거에 부합하여 믿는 것이 우리의 인식적 의무임을 안다면, 우리는 p를 믿음이 우리를 기분좋게 만들 것이라거나, 또는 p를 믿음이 우리의 사적-이익에 속하고, p를 믿음에 있어서 우리를 인식적으로 정당화시키는 그러한 종류의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 것이다.<12> 따라서, 만일 우리가 다음과 같은 물음에 대해서

내가 참되게 믿기 위해 해야할 것은 무엇인가?

이 물음에 대해 "증거에 부합하여 믿는다"라고 말함으로써 답한다면, 우리는 단지 뻔한 소리를 내놓는 게 아니라, 오히려 중요한 주장을 형성하는 것이다. 동일한 점이 로크의 대답에 대해서도 이야기될 수 있다. 이성이 인도하는대로 명제들을 믿거나 거짓이라 믿는 사람들은 중요한 어떤 일을 한다. 즉 그들은 그들의 믿음들을 수정구들에 대고 묻거나, 찻잎점을 치거나, 또는 슈퍼마켓 타블로이드들을 믿는 일 없이 형성한다.

3) The deontological concept of epistemic justification, then, involves two key ideas. First, as intellectual beings, we are committed to the end of believing truly. Second, this imposes on us the epistemic duty, as Locke proposes, to believe as reason directs us, or, as Feldman suggests, to believe in accord with the evidence. Let us settle on Feldman's formulation. Let us say that one is epistemically justified in believing p if and only if in believing p, one meets one's epistemic duty to believe in accord with the evidence. However, there are two different ways in which I can meet that duty. First, believing in accord with the evidence might impose on me the duty to believe p; second, it might impose on me the duty to refrain from believing p.<13> To say that I am justified in believing p is not to say that it is my duty to believe p or that I ought to believe p. Rather, it is to say something weaker: that it is not my duty to refrain from believing p or that it is not the case that I ought not to believe p.<14> We shall, therefore, define the deontological concept of epistemic justification thus:

The Deontological Concept of Epistemic Justification
S is justified in believing p if and only if S believes p and it is not S's duty to refrain from believing p.

Next, we'll turn to a discussion of objections that may be raised against the deontological approach.
3) 인식적 정당성의 의무론적 개념은 그래서 두 가지 핵심 발상들을 포함한다. 첫째, 지적 존재자들로서 우리는 참되게 믿는다는 목적에 헌신하게 된다. 둘째, 이러한 목적은 우리에게 로크가 제안하듯 이성이 우리를 이끄는대로 믿는 것, 또는 펠드만이 시사하듯 증거에 부합하여 믿는 것으로서의 인식적 의무를 부과한다. 펠드만의 정식에 안착하도록 하자. 한 사람이 p를 믿음에 있어서 인식적으로 정당화된다 iff p를 믿음에 있어서, 그 사람이 증거에 부합하여 믿는다는 그 사람의 인식적 의무를 충족시킨다고 말하도록 하자. 그렇지만, 내가 그 의무를 충족시킬 수 있는 두 가지 상이한 방식들이 있다. 첫째로, 증거에 부합하여 믿는 것은 나에게 p를 믿는 의무를 부과할 수 있다. 둘째로, 그렇게 믿는 것은 나에게 p를 믿는 것을 삼가는 의무를 부과할 수도 있다.<13> 내가 p를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고 말하는 것은 p를 믿는 것이 나의 의무라거나 내가 p를 믿어야 한다는 것을 말하는 게 아니다. 오히려, 그것은 좀 더 약한 무언가를 말하는 것이다. 즉 그 말은 p를 믿는 것을 삼가는 것은 나의 의무가 아니라거나, 또는 내가 p를 믿지 않아야 하는 그런 것은 아님을 말하는 것이다.<14> 그러므로 우리는 인식적 정당성의 의무론적 개념을 다음과 같이 정의해야 할 것이다.

인식적 정당성의 의무론적 개념
S는 p를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 iff S가 p를 믿고 p를 믿는 일을 삼가는 것은 S의 의무가 아니다.


Epistemic Duty and Doxastic Involuntariness
인식적 의무와 사견적 비자발성

1) Let us distinguish between two kinds of projects: that of deontologically defining the meaning of the concept of epistemic justification, and that of anayzing issues of epistemic justification in terms of epistemic duty. The former project appeals only to the negative duty to refrain from believing p, whereas the latter project, which we shall refer to as epistemic deontologism, appeals to this duty and the positive duty to believe p. In this section, we shall discuss a serious obstacle that stands in the way of both projects.
1) 두 종류의 기획들을 구분하도록 하자. 의무론적으로 인식적 정당성의 개념을 정의하는 기획과 인식정 정당성의 문제들을 인식적 의무로 분석하는 기획. 전자의 기획은 오로지 p를 믿지 말아야 하는 부정적 의무에만 호소하는 반면, 우리가 인식적 의무론이라 불러야 할 후자의 기획은 이러한 의무와 p를 믿는 긍정적 의무에 호소한다. 이 절에서, 우리는 두 기획들 모두의 노선에 서있는 심각한 장애를 논의할 것이다.

2) This obstacle arises from the fact that a wide range of our beliefs are beliefs we can't help having, beliefs that are, so to speak, forced on us. Let us refer to this phenomenon as the apparent involuntariness of belief. Critics of epistemic deontologism have argued that because most (if not all) of our beliefs are involuntary, our beliefs can't be subject to epistemic duty.<15> That is, we can't have positive duties to believe, and we can't have negative duties to refrain from believing. If this argument is sound, then epistemic deontologism in general, and in particular the project of explicating the concept of epistemic justification in terms of duty, are misguided.
2) 이러한 장애는 우리의 믿음들의 넓은 범위가 우리가 가지지 않을 수 없는, 말하자면 우리에게 강제되는 믿음들이라는 사실로부터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믿음의 분명한 비자발성이라 부르도록 하자. 인식적 의무론의 비판자들은 우리의 믿음들 대부분(전부가 아니라면)이 비자발적이기 때문에, 우리의 믿음들은 인식적 의무에 귀속될 수 없다고 주장해 왔다.<15> 즉, 우리는 믿어야 한다는 긍정적 의무들을 가질 수 없고, 믿지 말아야 한다는 부정적 의무들도 가질 수 없다. 만일 이러한 논증이 건전하다면, 인식적 의무론 일반은, 그리고 특별히 인식적 정당성의 개념을 의무로 해석하는 기획은 잘못 판단된 것이다.

3) For the purpose of discussing this objection from doxastic involuntarism (the word "doxastic" means pertaining to belief), let us define involuntary belief thus:

Involuntary Belief
S believes p involuntarily if and only if S believes p and S cannot refrain from believing p.

Perceptual and introspective beliefs appear to be involuntary. When I believe myself to have a headache, I can't just decide to stop believing this. Rather, as long as I have the headache, I can't help believing that I have a headache. And when I look out my office window, I see trees, grass, buildings, and people walking across campus. These perceptions trigger beliefs that are forced on me; for example: There are trees outside, there are buildings over there, there are people passing by. These are beliefs that I could not manage to get rid of, no matter how hard I tried.
3) 사견적 비자발성 ("사견적"이란 말은 믿음에 관계함을 뜻한다) 으로부터의 이러한 반박을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비자발적 믿음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도록 하자:

비자발적 믿음
S는 p를 비자발적으로 믿는다 iff S가 p를 믿고 S는 p를 믿는 일을 삼갈 수 없다.

지각적 믿음들과 내성적 믿음들은 비자발적인 것으로 보인다. 내가 내 자신이 두통이 있다고 믿을 때, 나는 이것을 믿는 일을 멈추고자 결정할 수 없다. 오히려, 내가 두통을 지니는 한, 나는 내가 두통이 있다는 것을 믿지 않을 수 없다. 그리고 내가 내 사무실 창문을 내다볼 때, 나는 나무들, 유리, 건물들, 그리고 캠퍼스를 가로질러 걷고 있는 사람들을 본다. 이러한 지각들은 나에게 강제되는 믿음들을 촉발시킨다. 예를 들어 밖에 나무들이 있다거나, 저기 건물들이 있다거나, 지나가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거나. 이러한 것들은 내가 얼마나 힘들게 애쓰든 상관 없이 없애버리기 위해 다룰 수 없을 그러한 믿음들이다.

4) The apparent involuntariness of introspective and perceptual beliefs poses a problem to epistemic deontologism because,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concept of moral responsibility, having moral duties requires voluntariness. The following passage by Roderick Chisholm gives a succinct account of this traditional concept of responsibility:

Let us consider some deed, or misdedd, that may be attributed to a responsible agent: one man, say, shot another. If the man was responsible for what he did, then, I would urge, what was to happen at the time of the shooting was something that was entirely up to the man himself. There was a moment at which it was true, both that he could have fired the shot and also that he could have refrained from firing it. And if this is so, then, even though he did fire it, he could have done something else instead …. I think we can say, more generally, then, that if a man is responsible for a certain event or a certain state of affairs (in our example, the shooting of another man), then that event or state of affairs was brought about by some act of his, and the act was something that was in his power either to perform or not to perform.<16>

The same view of responsibility, it might plausibly be claimed, applies to epistemic duties. If I am epistemically responsible for a belief of mine, then it must be within my power either to hold or not to hold that belief. On this view, a belief can be subject to epistemic duty - that is, such that I either ought to have it or ought to refrain from having it - only if it is voluntary. Let us call the principle that epistemic duties are akin to moral duties in requiring voluntariness the voluntariness principle, and formulate this principle as follows:

The Voluntariness Principle
If my believing p is involuntary, then I can't have an epistemic duty to believe p nor an epistemic duty to refrain from believing p.

From the voluntariness principle, it follows that if introspective and perceptual beliefs are indeed involuntary, they cannot be subject to epistemic duty. It then follows that such beliefs can be neither beliefs we ought to have nor beliefs we ought to refrain from having. If this conclusion is true, then epistemic deontologism would have to be rejected.
4) 내성적 믿음들과 지각적 믿음들의 명백한 비자발성은 인식적 의무론에 문제를 제기하는데 왜냐하면 도덕적 책임의 전통적 개념에 따르자면 도덕적 의무를 가지는 것은 자발성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다음 구절은 로데릭 치셜에 의해 제시된 전통적인 책임 개념에 대한 간단명료한 설명이다.

책임질 행위자에게 귀속될 몇몇 행위와 악행을 고찰해 보도록 하자. 말하자면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쐈다고 하자. 만일 그 사람이 그가 한 일에 책임이 있다면, 내가 주장하기로, 그 발사의 순간 일어난 일은 전적으로 그 사람 자신의 몫인 어떤 것일 터이다. 그가 총을 쏠 수 있었다는 것과 또한 그가 총을 쏘는 일을 삼갈 수 있었다는 것이 모두 참인 그러한 순간이 있었다. 그리고 만일 이러하다면, 그래서, 그가 비록 총을 쐈다 할지라도, 그는 대신에 다른 어떤 일을 할 수 있었다…. 그래서 내 생각에 우리는 좀 더 일반적으로 만일 한 사람이 특정 사건이나 일의 특정 상태(우리의 예시에서, 다른 사람에게 총을 쏨)에 대해 책임이 있다면, 그 사건이나 일의 상태는 그의 일부 행위에 의해 초래되었고, 그 행위는 수행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그의 능력에 속하는 어떤 것이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16>

책임에 대한 동일한 관점은, 만일 그럴 성싶게 주장될 수 있다면, 인식적 의무들에도 적용된다. 만일 내가 나의 믿음에 인식적으로 책임이 있다면, 그 믿음을 취할지 아닐지는 나의 능력 내에 속해야만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하나의 믿음은 인식적 의무에 귀속될 수 있다 - 즉, 내가 그 믿음을 취해야 한다거나 그 믿음을 지니는 것을 삼가야 한다는 그러한 것 - 오직 그 믿음이 자발적일 때에만 말이다. 인식적 의무들이 자발성을 요청한다는 점에서 도덕적 의무들과 유사하다는 원칙을 자발성 원칙이라 부르도록 하자. 그리고 이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정식화하자.

자발성 원칙
만일 p라는 나의 믿음이 비자발적이라면, 나는 p를 믿거나 p를 믿는 일을 삼갈 인식적 의무를 가질 수 없다.

자발성 원칙으로부터, 만일 내성적 믿음들과 지각적 믿음들이 더욱이 비자발적이라면, 그 믿음들은 인식적 의무에 귀속될 수 없다는 점이 귀결된다. 그래서 그러한 믿음들은 우리가 가져야할 믿음들일 수도, 우리가 가지는 일을 삼가야 할 믿음들일 수도 없다는 점이 뒤따른다. 만일 이러한 결론이 참이라면, 인식적 의무론은 거부되어야 할 것이다.

5) The voluntariness principle threatens the deontological concept of epistemic jsutification as well. It is important, however, to be clear about what an objection to that concept would have to look like. What kind of case constitutes a potential counterexample to our definition of that concept? Contrary to initial appearance, involuntary introspective and perceptual beliefs do not. Recall our definition of the deontological concept:

D1    S is justified in believing p if and only if (i) S believes p, and (ii) S does not have an epistemic duty to refrain from believing p.

A potential counterexample to D1 is a case in which a subject believes a proposition p, does not have an epistemic duty to refrain from believing p, but is not justified in believing p. Involuntary introspective and perceptual beliefs do not fill the bill here, for such beliefs are (typically) justified.<17> What we need is a case of an unjustified involuntary belief. And it is not difficult to imagine such a case. Consider an Elvis Presley fan who can't help believing that Elvis is still alive and thus, given the voluntariness principle, cannot have a duty to refrain from believing that Elvis is still alive. Since there is no credible evidence in support of this belief, epistemic deontologists would have to admit taht it is unjustified. Thus we have what looks like a decisive counterexample: an unjustified belief that meets the conditions of justification D1 specifies.
5) 자발성 원칙은 인식적 정당성의 의무론적 개념 또한 위협한다. 그렇지만 그 개념에 대한 반박이 어떤 것이어야 할지에 대해서는 명백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어떤 종류의 사례가 그 개념에 대한 우리의 정의에 대해 잠재적 반례가 되는가? 처음 보기와는 반대로, 비자발적 내성적 지각적 믿음들은 아니다. 의무론적 개념에 대한 우리의 정의를 기억하자.

D1    S는 p를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 iff (i) S가 p를 믿고, (ii) S는 p를 믿음을 삼갈 인식적 의무를 지니지 않는다.

D1에 대한 잠재적 반례는 주체가 명제 p를 믿고, p를 믿음을 삼갈 인식적 의무를 지니지 않으며, 그러나 p를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지 않는 그러한 경우이다. 비자발적 내성적 지각적 믿음들은 여기에서 목적에 맞지 않는데, 왜냐하면 그러한 믿음들이 (전형적으로) 정당화되기 때문이다.<17> 우리가 필요로 하는 것은 정당화되지 않은 비자발적 믿음의 사례이다. 그리고 그러한 사례를 상상하기는 어렵지 않다. 엘비스가 여전히 살아있다고 믿지 않을 수 없고, 그래서 자발성 원칙을 고려하면 엘비스 프레슬리가 여전히 살아있다는 믿음을 삼갈 의무를 가질 수 없는 엘비스 프레슬리 팬을 고려해 보자. 이러한 믿음을 뒷받침함에 있어서 신뢰할 만한 어떠한 증거도 없으므로, 인식적 의무론자들은 그 믿음이 정당화되지 않음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결정적인 반례로 보이는 것을 갖는다. 즉 D1이 상술하는 정당성의 조건들을 충족시키는 정당화되지 않은 믿음이라는 반례를 가진다.

-蟲-
The Fregean Definition of Analyticity
프레게주의의 분석성에 대한 정의

1) Unlike Kant's definition of analyticity, Frege's, to which we turn next, is not restricted to propositions of the jubject-predicate form:<20>

A2    p is analytic if and only if either p is a truth of logic or p is reducible to a truth of logic by substituting synonyms for synonyms.

In order to apply A2,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concept of a logical truth. Here are two examples of logical truths:

L1    If it is raining, then it is raining.
L2    Either it is raining or it is not raining.

The logcial form of L1 is "If p, then p," and that of L2 is "Either p or not-p." Both of these forms are such that, whatever proposition we choose as a substitution for p, the result will be true. A logical truth, then, is a proposition whose logical form is such that all of its substitution instances are true.
1) 칸트의 분석성에 대한 정의와 달리, 우리가 다음으로 살펴 볼 프레게의 정의는 주-술 형식 명제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A2    p는 분석적이다 iff p는 논리적 참이거나 p는 동의어를 동의어로 교체함으로써 논리적 참으로 전환 가능하다.

A2를 적용하기 위해서, 논리적 참이라는 개념을 정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 논리적 참들의 두 가지 사례들이 있다.

L1    만일 비가 오고 있다면, 비가 오고 있다.
L2    비가 오고 있거나 비가 오지 않고 있다.

L1의 논리적 형식은 "만일 p라면, p이다"이고 L2의 논리적 형식은 "p이거나 not-p이다"이다. 이러한 형식들 모두 우리가 p에 대체물로 어떤 명제를 택하든지 그 결과는 참일 것이다. 그래서 논리적 참은 그 명제의 형식의 모든 대체 사례들이 참인 그러한 하나의 명제이다.

2) We are now ready to examine how A2 is to be applied. Consider again the proposition

(1) All bachelors are unmarried.

Since the concept of bachelor can be defined as "unmarried adult male," substituting synonyms for synonyms results in

(1*) All unmarried adult males are unmarried

which is an instance of the form

(4) All FGH are F.

Any instance of (4) is true. So, by substituting "unmarried adult male" for "bachelor," (1) is transformed into a logical truth, and thus is analytic according to A2. Furthermore, unlike A1, A2 allows empiricists to classify logical truths such as L1 and L2 as analytic. Thus it would appear that by proposing A2 as a definition of analyticity, empiricists succeed in achieving the objective of showing that all a priori propositions are analytic.
2) 우리는 이제 어떻게 A2가 적용되는지 검토할 준비가 되었다. 다시 다음 명제를 고찰해 보도록 하자.

(1) 모든 총각은 미혼이다.

총각이라는 개념이 "미혼 성인 남성"으로 정의될 수 있으므로, 동의어를 동의어로 대체함은 다음과 같은 결과를 낳는다.

(1*) 모든 미혼 성인 남성들은 미혼이다.

이 명제는 다음 형식의 일례이다.

(4) 모든 FGH는 F이다.

(4)의 어떤 사례이든 참이다. 그래서, "총각"을 "미혼 성인 남성"으로 대체함으로써 (1)은 논리적 참으로 변환되며, 그래서 A2에 따르자면 분석적이다. 더 나아가서, A1과 달리, A2는 경험주의자들이 L1 같은 그러한 명제를 논리적 참들로 분류하고 L2를 분석적인 것으로 분류하도록 허용한다. 그래서 분석성에 대한 정의로 A2를 제안함으로써 경험주의자들이 모든 선험 명제들이 분석적임을 보여주고자 하는 목표를 성취함에 있어서 성공한다.


Two Objections to The Fregean Definition
프레게주의 정의에 대한 두 가지 반박들

1) Rationalists, however, would reject A2 for two reasons. First, they would object that A2 does not meet the empiricist objective of making all a priori truths analytic. Consider again the proposition

(3) Whatever is red is colored.

According to A2, (3) is analytic if and only if substituting synonyms for synonyms turns (3) into a logical truth. Thus for A2 to give us the result that (3) is analytic, we need an appropriate synonym for "red." Replacing "red" with that synonym should turn (3) into an instance of the logical form "Whatever is FG is G" - that is, into a logical truth (since any instance of that logical form is true). However, since the concept of redness is simple (i.e., cannot be broken down or analyzed), no such synonym is available, which means that (3) cannot be turned into a logical truth. Hence A2 implies that (3) is synthetic.
1) 그렇지만 이성주의자들은 두 가지 이유들로 A2를 거부할 것이다. 첫째로, 그들은 A2가 모든 선험적 진리들을 분석적인 것으로 만드는 경험주의자들의 목표를 충족시키지 못한다고 반박할 것이다.

(3) 붉은 것은 무엇이든 유색이다.

A2에 따르면, (2)은 분석적이다 iff 동의어를 동의어로 대체함이 (3)을 논리적 참으로 만든다. 그래서 A2가 우리에게 (3)이 분석적이라는 결론을 주기 때문에, 우리는 "붉음"에 대한 적절한 동의어를 필요로 한다. "붉음"을 그 동의어와 교체하는 것은 (3)을 "FG인 무엇이든 G이다"라는 논리적 형식의 사례로 바꾸어야 할 것이다 - 즉, 논리적 참으로 말이다(그 논리적 형식의 어떠한 사례이든 참이므로). 그렇지만, 붉음이라는 개념은 단순하므로 (즉, 분해되거나 분석될 수 없으므로), 그러한 어떤 동의어도 가용하지 않다. 그 말은 (3)이 논리적 참으로 전화될 수 없다는 말이다. 따라서 A2는 (3)이 종합적임을 시사한다.

2) To this argument, empiricists might reply that (3) can legitimately be translated as

(3*) Whatever is colored red is colored.

Since (3*) is an instance of the form "All FG are F," and thus a logical truth, empiricists could argue that (3) is analytic after all.
2) 이러한 논증에 대해서, 경험주의자들은 아마도 (3)이 합당하게 다음과 같이 번역될 수 있다고 답할 것이다.

(3*) 붉은 색인 것은 무엇이든 유색이다.

(3*)가 "모든 FG는 F"라는 형식의 사례이므로, 따라서 논리적 참이므로, 경험주의자들은 (3)이 무엇보다도 분석적이라고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3) For this proposal to work, "colored red" must be synonymous with "red." In reply to the empiricist move, rationalists could deny that these two terms are synonymous. They could reason that for a first expression to be synonymous with a second, it must mean no more and no less than the second. "Colored red," however, means more than "red," for "colored red" is a conjunction of two distinct concepts - coloredness and redness. So, "colored red" is not strictly synonymous with "red." Hence the transition from (3) to (3*) cannot be achieved by substituting synonyms for snonyms, and thus cannot be achieved in the way A2 requires. Consequently, A2 implies that (3) is synthetic.
3) 이러한 제안이 작동하기 위해, "붉은 색임"은 반드시 "붉음"의 동의어여야만 한다. 그 경험주의적 조치에 대해 답함에 있어서, 이성주의자들은 이러한 두 가지 용어들이 동의어임을 부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들은 첫 번째 표현이 두 번째 표현과 동의어이기 위해, 첫 번째 표현은 두 번째 표현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어야만 한다고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붉은 색임"은 "붉음" 이상의 것을 의미하는데, 왜냐하면 "붉은 색임"은 상이한 두 가지 개념들의 결합이기 때문이다 - 유색과 붉음 말이다. 그래서 "붉은 색임"은 엄격히는 "붉음"과 동의어가 아니다. 따라서 (3)으로부터 (3*)로의 이행은 동의어를 동의어로 대체함으로써 성취될 수 없고, 그래서 A2가 요청하는 방식으로는 성취될 수 없다. 결론적으로, A2는 (3)이 종합적임을 시사한다.

4) Second, rationalists could deny that A2 provides us with an explanation of how apriority is possible. A2 defines analytic propositions as logical truths or propositions that can be turned into logical truths. What, however, is the status of logical truths themselves? According to the empiricist account of apriority, logical truths are knowable a priori because they are analytic. Unfortunately, if we apply the concept of analyticity as defined by A2 to the statement

Logical truths are knowable a priori because they are analytic

we get

Logical truths are knowable a priori because they are either logical truths or reducible to logical truths

which is not exactly an illuminating insight. So, if empiricists propose A2 as an analysis of analyticity, they succeed in explaining the a priori status of propositions that are reducible to logical truths, but they fail in explaininig the a priori status of logical truths themselves.<21>
4) 둘째, 이성주의자들은 A2가 우리에게 어떻게 선험성이 가능한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는 것을 부정할 수 있을 것이다. A2는 분석적 명제들을 논리적 참들이나 논리적 참들로 전환될 수 있는 명제들로 정의한다. 그렇지만 논리적 참들 그 자체들의 상태는 무엇인가? 선험성에 대한 경험주의 설명에 따르자면, 논리적 참들은 선험적으로 알 수 있는데 왜냐하면 그 참들이 분석적이기 때문이다. 불행히도, 만일 우리가 분석성의 개념을 A2에 의해 정의된 것처럼 다음 진술에 적용시킨다면

논리적 참들은 선험적으로 알 수 있는데 왜냐하면 그 참들이 분석적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것을 얻는다.

논리적 참들은 선험적으로 알 수 있는데 왜냐하면 그 참들이 논리적 참들이거나 논리적 참들로 전환가능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정확하게 이해시켜주는 통찰은 아니다. 그래서, 만일 경험주의자들이 A2를 분석성에 대한 분석으로 제안한다면, 그들은 논리적 참들로 전환 가능한 명제들의 선험적 상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성공하지만, 논리적 참들 자체의 선험적 상태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실패한다.<21>


A Linguistic Definition of Analyticity
분석성에 대한 언어적 정의

1) Thus far, the attempt to equate apriority with analyticity has turned out to be remarkably unsuccessful. It is no surprise, therefore, that empiricists have tried to exploit an altogether different gambit. In order to discuss it, we must distinguish between a sentence and the proposition the sentence expresses, for the following definition of analyticity is intended to define analyticity as a property of sentences:<22>

A4    p is analytic if and only if p is true solely by virtue of meaning.

It's important to see that if it were not for the word "solely," the definitions of A4 would not mark any significant difference at all. Consider the synthetic sentence

(7) Snow is white.

Obviously, if "snow" meant grass, or if "white" meant green, (7) would be false. So what's responsible for the truth of (7) is not only that snow is, as a matter of fact, white, but also that the words "snow" and "white" mean what they mean. Sentences such as (7) have, so to speak, two truth makers: meaning and fact. That is, synthetic sentences, if true, are true partally by virtue of meaning, and if false, are false partially by virtue of meaning. Hence, if it were not for the word "solely," the definiens of A4 would apply to any sentence whatever, be it synthetic or analytic, and thus would be utterly unsuitable as a definition of analyticity. However, given the presence of "solely," A4 makes the significant claim that analytic sentences, unlike synthetic ones, have one, and only one, truth maker: meaning. For example, empiricists who favor A4 would say that

(3) Whatever is red is colored

is analytic because it is true solely by vitue of the meaning of the words in (3). On the other hand, they would say that (7) is synthetic, for (7) is true not only by virtue of meaning but also by virtue of the fact that snow is white.
1) 여기까지, 선험성과 분석성을 동일시하려는 시도는 두드러지게 성공적이지 못한 것임이 밝혀졌다. 그러므로 경험주의자들이 전적으로 다른 선수를 이용하고자 애썼다는 것은 전혀 놀랄 일이 아니다. 그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우리는 반드시 문장과 문장이 표현하는 명제를 구분해야만 하는데, 왜냐하면 분석성에 대한 다음 정의가 분석성을 문장들의 속성으로 정의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22>

A4    p는 분석적이다 iff p는 오로지 의미로 인해서만 참이다.

만일 "오로지"라는 단어가 없었더라면, A4의 정의가 전혀 아무런 중요한 차이도 드러내지 않았으리란 점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 종합적 문장을 고찰해 보자.

(7) 눈은 희다.

명백하게, 만일 "눈"이 잔디를 의미하거나, 만일 "흼"이 녹색을 의미한다면, (7)은 거짓일 것이다. 그래서 (7)의 참에 대한 원인이 되는 것은 단지 사실문제로서 눈이 희다는 것만이 아니라 또한 "눈"과 "흼"이라는 단어들이 그들이 의미하는 바를 의미한다는 것이기도 하다. (7)과 같은 문장들은 말하자면 두 가지 참 형성자들을 가진다. 그것들은 의미와 사실이다. 즉, 종합적 문장들은 만일 그것들이 참이라면 부분적으로는 의미의 덕분으로 참이고, 만일 거짓이라면 부분적으로 의미로 인해 거짓이다. 따라서, 만일 "오로지"라는 말이 없었다면, A4의 정의항은 무엇이 되었든 어떠한 문장에라도 적용되었을 것이고, 그래서 분석성에 대한 정의로서는 완전히 부적절하였을 것이다. 그렇지만, "오로지"가 있음을 고려해 보면, A4는 분석 명제들이 종합 명제들과 달리 하나의 유일한 참 형성자를 가진다는 의미있는 주장을 형성한다. 그 참 형성자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A4를 선호하는 경험주의자들은 다음과 같이 말할 것이다.

(3) 붉은 것은 무엇이든 유색이다

라는 것은 분석적인데 왜냐하면 그것이 오로지 (3) 안의 단어들에 속하는 의미로 인해서만 참이기 때문이라고 말이다. 다른 한편으로 그들은 (7)이 종합적이라고 말할 것인데, 왜냐하면 (7)은 단지 의미로 인해서만이 아니라 또한 눈이 희다는 사실에 의해서도 참이기 때문이다.

2) What could rationalists say in reply to A4? They could reply that nothing is true solely by virtue of meaning, and that, consequently, A4 gives us the result that all a priori propositions are synthetic. What is it that makes (3), understood as a sentence, true? First of all, what makes (3) true is that the words in (3) mean what they mean. Second, however, what makes (3) true is the fact that the property of being red includes the property of being colored. Hence it is false that (3) is true solely by virtue of meaning.
2) A4에 대한 응답으로 이성주의자들은 무슨 이야기를 할 수 있을까? 그들은 오로지 의미로 인해서만으로는 아무것도 참이 아니라고 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A4는 우리에게 모든 선험 명제들이 종합적이라는 결론을 준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문장으로 생각하자면, (3)을 참으로 만드는 그것은 무엇인가? 무엇보다도, (3)을 참으로 만드는 것은 (3) 안의 단어들이 그것들이 의미하는 바를 의미한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다음으로 (3)을 참으로 만드는 것은 붉음에 속하는 속성이 유색임의 속성을 포함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3)은 오로지 의미로 인해서만 참이라는 것은 거짓이다.

3) Put differently, rationalists would argue thus: When empiricists claim that (3) is true solely by virtue of meaning, they are, in effect, saying that there is one, and only one, condition that must be satisfied for (3) to be true: that the words in (3) mean what they mean. There is, however, a second condition that must be satisfied:

(8) The property being red includes the property being colored.

If (8) were false, (3) would be false as well. So, the truth of (8)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the truth of (3), and thus (3) is not true solely by virtue of meaning. Hence, rationalists would conclude, A4 implies that (3) is synthetic, and thus fails to accomplish what it is supposed to accomplish.<23>
3) 달리 말하자면, 이성주의자들은 다음과 같이 주장할 것이다. 경험주의자들이 (3)은 오로지 의미로 인해서만 참이라고 주장할 때, 그들은 사실상 (3)이 참이기 위해 충족되어야만 하는 단 하나의 유일한 조건이 있다고 말하고 있다. 그것은 (3) 안의 단어들이 그것들이 의미하는 바를 의미한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충족되어야만 하는 두 번째 조건이 있다.

(8) 붉음 속성은 유색 속성을 포함한다.

만일 (8)이 거짓이라면, (3)도 마찬가지로 거짓일 것이다. 그래서, (8)의 참은 (3)의 참에 대해 필요조건이고, 따라서 (3)은 오로지 의미로 인해서만 참인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성주의자들은 A4가 (3)이 종합적임을 시사하며, 따라서 A4가 성취하리라 생각된 것을 성취하는 데에 실패한다고 결론내릴 것이다.

4) As we have seen, none of the definitions of analyticity we have examined can be used successfully to establish the doctrine that all a priori knowledge is analytic. So, with respect to these definitions, we may conclude that there is synthetic a priori knowledge. It would be a mistake, however, to assume that an examination of a limited number of attempts to define analyticity is sufficient to dismiss once and for all the empiricist attempt to show that there isn't any synthetic a priori knowledge. For empiricists, there will always be the option to redefine analyticity once again, and then to reiterate that all a priori knowledge is analytic. Of course, each time the debate is reignited with a new proposal, rationalists may then try to show that, as with previous proposals, there is still some a priori knowledge left that cannot be classified as analytic.
4) 우리가 보았듯, 우리가 검토하였던 분석성에 대한 정의들 중 아무것도 모든 선험적 앎은 분석적이라는 원칙을 확립시키기 위해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없다. 그래서, 이러한 정의들에 대한 측면들을 가지고, 우리는 종합적 선험적 앎이 있다고 결론내릴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분석성을 정의하려는 한정된 수의 시도들에 대한 검토로 어떠한 종합적 선험적 앎도 있지 않음을 보여주고자 하는 경험주의적 시도를 단박에 부정하기에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실수일 것이다. 경험주의자들로서는, 다시 한 번 분석성을 재정의할, 이어서 모든 선험적 앎은 분석적이라고 되풀이할 선택지가 언제나 있을 것이다.


Skepticism about Apriority and The Nature of Argumentation
선험성에 대한 회의주의와 논증의 본성

1) Thus far, we have discussed the nature of apriority, and in doing so, we have simply assumed that there is such a thing as a priori knowledge. In the remainder of this chapter, we shall discuss how this assumption can be defended against total skepticism about a priori knowledge - that is, against arguments to the effect that there is no a priori knowledge at all.
1) 여기까지, 우리는 선험성의 본성에 대해 논의하였고, 그렇게 하면서, 우리는 단순히 선험적 앎이라는 그러한 것이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 장의 나머지 부분에서, 우리는 어떻게 이러한 가정이 선험적 앎에 대해 총체적인 회의주의에 맞서 방어될 수 있는지 논의할 것이다. - 즉, 어떠한 선험적 앎도 전혀 없다는 취지의 논증들에 반대해서 말이다.

2) Suppose a skeptic were to advance an argument whose premises are supposed to imply the conclusion that a priori knowledge cannot exist. Advocates of apriority could reply that they need not concern themselves with the particular content of the argument's premises, but instead need only make a counterargumnet about the nature of argumentation in general.

An Argument for the Existence of A Priori Knowledge
(1) Sometimes we grasp an argument's validity.
(2) Grasping an argument's validity is a form of a priori knowledge.
Therefore
(3) Sometimes we have a priori knowledge.

Let us avaluate the first premise. To philosophize is to attempt, through argumentation, to establish the reasonableness of certain philosophically controversial beliefs and convictions. Thus those who believe that we don't ever successfully distinguish between valid and invalid arguments would have to view philosophy, and indeed any attempt at argumentation, as a pointless exercise. Philosophers, therefore, are hardly in a position to challenge the first premise.
2) 한 회의주의자가 그 논증의 전제들이 선험적 앎이 존재할 수 없다는 결론을 시사하는 그러한 논증을 제기하게 된다고 생각해 보자. 선험성에 대한 옹호자들은 그들이 그 논증의 전제들에 대한 특수한 내용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없고, 대신에 단지 일반적인 논증의 본성에 대한 대응논증을 구성할 필요만이 있다고 답할 수 있을 것이다.

선험적 앎의 현존에 대한 논증
(1) 때때로 우리는 논증의 유효성을 파악한다.
(2) 논증의 유효성을 파악함은 선험적 앎의 한 형식이다.
그러므로
(3) 때때로 우리는 선험적 앎을 가진다.

첫 번째 전제를 평가해 보도록 하자. 철학화하는 것은 논증을 통해 철학적으로 논란이 되는 특정한 믿음들과 견해들의 합리성을 확립시키고자 시도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결코 성공적으로 유효한 논증들과 무효한 논증들을 구별하지 못한다고 믿는 그런 사람들은 철학을, 그리고 더 나아가 논증의 어떠한 시도이든 무의미한 활동으로 간주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철학자들은 첫 번째 전제에 도전하는 입장에 서기가 어렵다.

3) The second premise is more controversial than the first. Is an a posteriori grasp of an argument's validity possible? Advocates of apriority would argue that it isn't. They would concede that you can come to know a posteriori that a certain argument is valid. For example, an expert logician could tell you that a certain argument is valid. If you had enough reason to trust his verdict, then you would come to know that that argument is valid. However, as long as your knowledge of the argument's validity depended on the expert logician's verdict, you would not come to grasp that argument's validity. For in order to grasp that the argument is valid, you would have to see and understand yourself that it is impossible for the premises to be true and the conclusion false. Thus, while it is possible to come to know an argument's validity on the basis of authority, it is impossible to grasp an argument's validity on that basis. Rather, to grasp an argument's validity is to recognize that its conclusion must be true if its premises are true. And how could such a recognition be anything but a priori?
3) 두 번째 전제는 첫 번째 전제보다 더욱 논란거리가 많다. 한 논증의 유효성에 대한 후험적 파악은 가능한가? 선험성에 대한 옹호자들은 그렇지 않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들은 당신이 특정한 논증이 유효함을 후험적으로 알게 될 수 있음을 인정할 것이다. 예를 들어 한 논리학 전문가가 당신에게 특정한 한 논증이 유효하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만일 당신이 그의 의견을 신뢰할 충분한 이유를 가진다면, 당신은 그 논증이 유효함을 알게 될 것이다. 그렇지만, 그 논증의 유효성에 대한 당신의 앎이 그 논리학 전문가의 의견에 의존하는 한, 당신은 그 논증의 유효성을 파악하게 될 수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 논증이 유효함을 파악하기 위해서, 당신은 당신 스스로 그 전제들이 참이면서 결론은 거짓임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알고 또 이해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 논증의 유효성을 권위에 기초해 알게 되는 것은 가능한 반면, 그러한 기초에서 한 논증의 유효성을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오히려, 논증의 유효성을 파악하는 것은 만일 그 논증의 전제들이 참이라면 그 논증의 결론은 반드시 참이어야만 한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이다. 그러면 어떻게 그러한 인지가 결코 선험적이지 않을 수 있을까?

4) Having made a case for the existence (and thus the possibility) of at least some a priori knowledge, advocates of apriority (apriorists, for short) could then go on to argue that total skepticism about the possibility of a priori knowledge is self-defeating. Consider a philosopher who claims that a priori knowledge is impossible. Either he intends to produce an argument whose conclusion follows from its premises or he does not. If he does not, his argument need not be taken seriously, for he is not really attempting to argue for anything. If he does intend to produce a valid argument, however, he is implicitly assuming that the validity of his argument is recognizable, and thus that a priori knowledge is possible. Consequently, either his argument need not be taken seriously or it is self-defeating.<24>
4) 최소한 일부 선험적 앎의 현존(그리고 따라서 그 가능성)에 대한 사례를 형성했을 때, 선험성에 대한 옹호자들(줄여서 선험주의자들)은 계속해서 선험적 앎의 가능성에 대한 총체적 회의주의가 자멸적이라고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선험적 앎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는 한 철학자를 고려해 보자. 그는 그 논증의 결론이 그 논증의 전제들로부터 귀결하는 하나의 논증을 산출하려고 하거나 혹은 그러지 않을 것이다. 만일 그가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그의 논증은 진지하게 고려될 필요가 없는데, 왜냐하면 그는 실제로 아무것도 주장하고자 시도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만일 그가 유효한 논증을 산출하고자 한다면, 그는 은연중에 그의 논증의 유효성이 인지가능적이라 추정하고 있을 것이고, 따라서 선험적 앎이 가능하다고 상정하고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그의 논증은 심각하게 고려될 필요가 없거나 자멸적이다.<24>

5) Producing an a priori argument against the possibility of a priori knowledge would be self-defeating in the most blatant way possible. Hilary Putnam, however, has suggested that an argument against the possibility of a priori knowledge, if based on empirical premises, is not self-defeating.<25> Apriorists could agree with Putnam that if the argument's premises are empirical, then it isn't self-defeating in the way it would be if they were a priori. But against Putnam, they could point out that even an empirical argument against the possibility of a priori knowledge is self-defeating in the sense explained above: it rests on the implicit presupposition that its validity is recognizable a priori.
5) 선험적 앎의 가능성에 반대하여 하나의 선험적 논증을 산출함은 가장 노골적인 방식으로 자멸적일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힐러리 퍼트남은 선험적 앎에 반대하는 하나의 논증이 만일 경험적 전제들에 기초된다면 자멸적이지 않다고 제안하였다.<25> 선험주의자들은 만일 논증의 전제들이 경험적이라면 그 논증은 그 논증의 전제들이 선험적이라면 그 논증이 자멸적이었을 그러한 방식에서 자멸적이지는 않다는 점에 동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퍼트남에 반대하여 그들은 선험적 앎의 가능성에 반대하는 경험적 논증조차도 위에서 설명된 의미에서 자멸적이라고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그 논증은 그 유효성이 선험적으로 인지가능하다는 암시적 상정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6) It might be objected that it is possible to formulate an empirical argument against the possibility of a priori knowledge and to recognize the argument's validity on empirical grounds. To this objection, the apriorist will reply that it is possible to acquire about such an argument an empirically justified belief that it is valid. But acquiring such a belief would not be the same as recognizing, or grasping, its validity. And there's the rub: the apriorist's point is that there is no such thing as an empirical recognition of an argument's validity. Consequently, one cannot argue against the possibility of apriority without undermining the possibility of grasping validity. Hence to formulate an argument against the possibility of apriority is self-defeating. For to do so is, in effect, to argue that it is not possible to recognize whether that argument itself is valid or not.
6) 그것은 선험적 앎의 가능성에 반대하는 경험적 논증을 정식화하고 그 논증의 유효성을 경험적 근거들에 기초하여 인지한다는 것이 가능하다고 반박될지도 모른다. 이러한 반박에 대해, 선험주의자들은 그러한 논증에 대해서 그것이 유효하다는 경험적으로 정당화된 믿음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대답할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믿음을 획득함은 그 논증의 유효성을 인지함 혹은 파악함과는 같은 것이 아닐 것이다. 그리고 문제가 있다. 선험주의자들의 요지는 논증의 유효성에 대한 경험적 인지와 같은 그러한 것은 전혀 없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유효성 파악의 가능성을 약화시킴 없이 선험성의 가능성에 반대해 주장할 수는 없다. 따라서 선험성의 가능성에 반대해 논증을 정식화하는 것은 자멸적이다. 왜냐하면 그렇게 하는 것이 사실은 그 논증 자체가 유효한지 아닌지 인지하는 일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7) There are, then, good reasons to assume that a general argument against the possibility of a priori knowledge can't even get off the ground. However, it should also be seen that a cogent argument in support of the possibility of a priori knowledge is equally difficult to produce, for producing such an argument would be question begging. It would rest on the implicit assumption that its validity is recognizable a priori, and thus would assume the existence of the very phenomenon whose existence it is supposed to prove. It seems reasonable to conclude, therefore, that the possibility of a priori knowledge must simply be presupposed by anyone who engages in the practice of argumentation.
7) 그래서 선험적 앎의 가능성에 반대하는 일반적 논증이 순조롭게 시작할 수조차 없다고 생각할 훌륭한 이유들이 있다. 그렇지만, 또한 선험적 앎의 가능성을 지지하는 설득력 있는 논증도 산출하기에 똑같이 어렵다는 점이 보여져야 할 것인데, 왜냐하면 그런 논증을 산출하는 것은 논점회피일 것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논증의 유효성이 선험적으로 인지가능하다는 암시적 가정에 의존할 것이고, 따라서 그 현존이 증명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는 바로 그 현상의 현존을 가정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선험적 앎의 가능성은 논증의 수행에 참여하는 누구라도 그에 의해서 단순히 상정되어야만 한다고 결론내리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보인다.


<3> A property F includes a property G if and only if, necessarily, whatever has F has G. For example, the property being triangular includes the property being three-sided. In contrast, the property being a mother does not includes the property having a son.
<3> 속성 F는 속성 G를 포함한다 iff 필연적으로, F를 가지는 무엇이든 G를 가진다. 예를 들어, 삼각형 속성은 세 변 속성을 포함한다. 반대로, 어머니 속성은 아들 하나를 가짐의 속성을 포함하지 않는다.

<5> See Kripke (1972), p. 35. Kripke maintains that if one comes to know a necessary truth using a computer (for example, that such and such a number is prime), then that knowledge would be a posteriori.
<5> 크립키 (1972) 35쪽을 보라. 크립키는 만일 컴퓨터를 사용하여 필연적 참을 알게 된다면 (예를 들어, 이러저러한 수가 소수임을 알게 된다든지), 그러한 앎은 후험적일 것이라고 주장한다.

<7> This is so because numbers have their mathematical properties necessarily. For instance, the number five is necessarily odd, which is to say it could not possibly be even. And the number five is necessarily prime, which is to say it couldn't possibly be divisible without a remainder (except by itself or by one). See Kripke (1972), pp. 36f.
<7> 이러한 까닭은 수들이 그 수들의 수학적 속성들을 필연적으로 지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수 5는 필연적으로 홀수이고, 그것은 5가 짝수임이 가능할 수 없을 것이라는 말이다. 그리고 수 5는 필연적으로 소수이며, 그 말은 5가 나누어 떨어지는 것이 (그 자신이나 1에 의해서가 아니라면) 가능할 수 없다는 말이다. 크립키 (1972), 36쪽 이하를 보라.

<9> Take a collection of grains of sand large enough to qualify as a clear-cut case of a heap. Create a second collection by removing exactly one grain. By virtue of (A), the second collection qualifies as a heap of sand. Now create a third collection by removing exactly one grain from the second, and continue creating further collections in the same way until you are left with one, and only one, grain of sand. By virtue of (A), heapness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llection, via the intermediate collections, all the way down to the final one-grain collection. Hence (A) implies that there are heaps of sand containing only one grain. See R. M. Sainsbury (1988), pp. 25ff.
<9> 모래알들의 집합이 명백한 더미의 사례가 될 만큼 충분히 크다고 치자. 정확히 모래 한 알만을 제거하여 두 번째 집합을 만들어 보자. (A)로 인하여, 그 두 번째 집합은 모래 더미가 된다. 이제 두 번째 집합에서 정확히 모래 한 알을 제거하여 세 번째 집합을 만들고 더 많은 집합들을 같은 방식으로 단 하나의 모래알만이 당신에게 남겨질 때까지 계속해서 만들어 보도록 하자. (A)로 인하여 더미임은 첫 번째 집합으로부터 중간 집합들을 통하여 마지막 모래 한 알 집합까지 내내 전해져 내려간다. 따라서 (A)는 단지 모래 한 알만을 담은 모래더미가 있음을 시사한다. R. M. 세인즈버리 (1988), 25쪽 이하를 보라.

<10> However, this is not to say that (A) ceases to feel intellectually compelling. It's quite difficult actually to believe that (A) is false - which is precisely why (A) presents us with a paradox.
<10> 그렇지만, 이것은 (A)가 지적 강제를 느끼는 것을 중단한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실제로 (A)가 거짓이라 믿는 것은 무척이나 어려운 일이다 - 그것은 정확히 왜 (A)가 우리에게 역설을 표현하는가 하는 것이다.

<11> A one-grain collection of sand couldn't possibly be a heap. So (A) implies a proposition that is false - that there are heaps of sand consisting of one grain only. But propositions that imply what's false are false themselves.
<11> 모래 한 알 집합은 더미일 수 없을 것이다. 그래서 (A)는 거짓인 한 명제 - 오직 모래 한 알로만 이루어진 모래 더미들이 있다는 명제 - 를 시사한다. 그러나 거짓인 것을 시사하는 명제들은 그 자체로 거짓이다.

<12> If a proof is long and complicated instead of short and simple, then deriving its conclusion involves the use of memory, in which case one doesn't know a priori that the conclusion follows from the premises. See chisholm (1989), p. 30.
<12> 만일 하나의 증명이 짧고 단순한 대신 길고 복잡하다면, 그 증명의 결론을 유도함은 기억의 사용을 수반하고, 그 경우 그 전제들로부터 뒤따르는 결론을 선험적으로 아는 것이 아니다. 치셜 (1989) 30쪽을 보라.

<13> In one sense of the word, there is a "proof" for every axiom. After all, a necessary truth is implied by any proposition whatever. However, a good proof proceeds from what's more ovbious to what's less obvious. If a proof's conclusion is at least as obvious as its premises, or if it is even more obvious than its premises, then the proof is pointless because it fails to be illuminating.
<13> 그 말의 한 뜻에서, 모든 각각의 공리에 대한 "증명"이 있다. 무엇보다도, 필연적 참은 무엇이 되었든 어떤 명제에 의해 시사된다. 그렇지만, 훌륭한 증명은 더욱 명백한 것으로부터 덜 명백한 것으로 진행한다. 만일 한 증명의 결론이 최소한 그 전제들만큼 명백하거나, 또는 만일 그 증명이 심지어 전제들보다 더 명백하기조차 하다면, 그 증명은 무의미할 것인데 왜냐하면 그 증명이 해명을 돕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15> Philosophical issues in general appear to pose this problem. If our beliefs about such things as the nature of the mind, personal identity, and freedom and determinism are justified, then presumably our justification is a priori. If so, however, then our justification is not a priori in the sense of D7, for our beliefs about such matters are almost never axiomatic.
<15> 일반적으로 철학적 문제들은 이러한 문제를 제기하는 것으로 드러난다. 만일 정신의 본성, 개인적 동일성, 자유와 결정론에 대한 우리의 믿음들이 정당화된다면, 짐작컨데 우리의 정당성은 선험적일 것이다. 그렇지만 만일 그렇다면 우리의 정당성은 D7의 의미에서는 선험적이지 않을 것인데, 왜냐하면 그러한 문제들에 대한 우리의 믿음들은 대부분 절대로 공리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18> Could "redness" be defined in terms of wavelength? It is true, of course, that light reflected from a red surface has a certain wavelength, which distinguishes it from light reflected from sufaces that have a different color. However, the connection between redness and its corresponding wavelength is contingent, and thus not suitable for a definition of redness. See Chapter 20.
<18> "붉음"이 파장으로 정의될 수 있는가? 물론 붉은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이 특정 파장을 갖는 것은 사실이다. 그 파장은 그 빛을 다른 색을 가진 표면들로부터 반사된 빛과 구별한다. 그렇지만, 붉음과 그에 상응하는 파장 사이의 관계는 우연적이고, 그래서 붉음에 대한 정의에 적합하지 않다. 20장을 보라.

<19> Thus it is sometimes said that the meaning of "redness" can be conveyed only ostensively: by pointing to a red object.
<19> 그래서 때때로 "붉음"의 의미가 오로지 지시적으로만 전해질 수 있다고 이야기된다. 즉 붉은 대상을 가리킴으로써 말이다.

-蟲-
A Fourth Way of Defining Apriority
선험성을 정의하는 네 번째 방법

1) We have examined three ways defining a priori justification, and none of them has proven satisfactory. Let us return, therefore, to the Kantian definition and see whether we can develop it further. According to the Kantian approach to apriority, a priori justification is justification that does not depend on perceptual, introspective, or memorial experience. One objection to this definition is that instead of telling us what a priori justification is, it merely tells us what it is not: it is not justification that depends on certain experiences. However, if we classify experiences accordingly, perhaps we can modify the Kantian approach in such a way that we can get a definition telling us what a priori justification is.
1) 우리는 선험적 정당성을 정의하는 세 가지 방식들을 검토하였고, 그 방식들 중 어떤 것도 만족스러운 것으로 증명하지 못했다. 그러므로 우리는 칸트주의적 정의로 되돌아가서 우리가 그 정의를 더욱 발전시킬 수 있는지 보도록 하자. 선험성에 대한 칸트주의적 접근방식에 따르자면, 선험적 정당성은 지각적, 내성적, 또는 기억의 경험에 의존하지 않는 정당성이다. 이러한 정의에 대한 한 가지 반론은 그것이 우리에게 선험적 정당성이 무엇인지 말해주는 대신 단지 우리에게 그 정당성이 아닌 것이 무엇인지만을 이야기해준다는 것이다. 즉 특정한 경험들에 의존하는 정당성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렇지만, 만일 우리가 그에 맞춰 경험들을 분류한다면, 아마도 우리는 우리에게 선험적 정당성이 무엇인지 말해주는 정의를 얻을 수 있는 그러한 방식으로 칸트주의 접근방식을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2) Recall that, according to Alvin Plantinga, there are such experiences as intellectual attraction and repulsion. When you consider the proposition "2 + 2 = 4" you have strong, even irresistible, experience of intellectual attraction, and when you consider the proposition "2 + 2 = 5," you have an irresistible experience of intellectual repulsion. Let us use Plantinga's proposal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between two kinds of experiences: purely intellectual ones and those that are not purely intellectual. Let us say that when you consider a proposition p and have the experience of being convinced of p's truth, and that experience does not involve perception, introspection, or memory, then you have a purely intellectual experience that p is true.
2) 앨빈 플랜팅가에 따라 지적 흡인력과 지적 반발 같은 그러한 경험들이 있다는 것을 상기하도록 하자. 당신이 "2 + 2 = 4"라는 명제를 고찰할 때 당신은 강력하고, 심지어 저항불가능한 지적 흡인력의 경험을 갖고, 당신이 "2 + 2 = 5"라는 명제를 고려할 때 당신은 저항할 수 없는 지적 반발의 경험을 갖는다. 두 종류의 경험들을 구분하고자 하는 플랜팅가의 제안을 사용해 보도록 하자. 그 두 가지 경험들은 순수하게 지적인 것들과 순수하게 지적이지는 않은 그러한 것들이다. 당신이 한 명제 p를 고려하고 p의 참에 대해 확신이 드는 경험을 가질 때, 그리고 그 경험이 지각, 내성, 또는 기억을 포함하지 않을 때, 당신은 p가 참이라는 순수하게 지적인 경험을 갖는다고 말하도록 하자.

3) A purely intellectual experience that p can be mediate or immediate. In the case of simple truths of arithmetic, simple conceptual truths, and axioms of logic, such experiences are immediate: understanding them is sufficient for generating such an experience. In the case of more complicated propositions, an informal line of reasoning, or a technical proof, may be necessary for generating an intellectual experience that p is true.
3) p라는 순수하게 지적인 경험은 매개적이거나 즉각적일 수 있다. 산술의 단순 진리들의 경우, 단순한 개념적 진리들의 경우, 그리고 논리학의 공리들의 경우에서 그러한 경험들은 즉각적이다. 즉 그것들을 이해함은 그러한 경험을 산출하기에 충분하다. 더욱 복잡한 명제들의 경우, 비형식적 추론과정, 또는 기술적 증명은 아마도 p가 참이라는 지적 경험을 산출하기 위해 필요할 것이다.

4) If you have a purely intellectual experience that p is true, but you have also evidence for believing that p is false, then your experience is defeated and you are not justified in believing that p. Suppose you are taking a logic class and you construct a proof that you take to demonstrate that a first formula, F1, entails a second formula, F2. Each step in the derivation strikes you as valid, and thus you are convinced that

(1) F1 entails F2

is true. However, as soon as your professor sees the proof, she tells you that it is invalid. In this case, your conviction that (1) is true fails to justify you in believing (1) because it is defeated by your professor's verdict.
4) 만일 당신이 p가 참이라는 순수하게 지적인 경험을 가지지만, p가 거짓이라고 믿을 증거 또한 가진다면, 당신의 경험은 상쇄되고 당신은 p를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지 않는다. 당신이 논리학 강의를 수강 중이고 첫 번째 식 F1이 두 번째 식 F2를 논리적으로 함축함을 증명하기 위해 취한 증명을 구성한다고 가정하자. 그 유도에 있어서 각 단계는 당신이 타당하다고 느끼도록 하고, 그래서 당신은 다음과 같이 확신하게 된다.

(1) F1은 F2를 논리적으로 함축한다

라는 것은 참이라고 말이다. 그렇지만, 당신의 교수가 그 증명을 보자마자, 당신에게 그 증명이 유효하지 않다고 말해준다. 이 경우, 당신의 (1)이 참이라는 확신은 (1)을 믿음에 있어서 당신을 정당화시키는 데에 실패하는데 왜냐하면 그 확신이 당신의 교수가 내린 의견에 의해 상쇄되기 때문이다.

5) Perhaps, then, we may define a priori justification using the concept of an undefeated purely intellectual experience that p is true:

D8    S is justified a priori in believing that p if and only if S has an undefeated purely intellectual experience that p is true.

Before moving on, let us consider an objection to D8 that might be raised. Suppose, so an objector might argue, that S is a bit carzy and thus has an undefeated purely intellectual experience that p is true when p is an obvious falsehood such as

(2) 1 + 1 = 3.

D8 implies that S is justified in believing (2). However, since (2) is an obvious falsehood, it is false that S is justified in believing (2).
5) 그래서 아마도 우리는 선험적 정당성을 p가 참이라는 상쇄되지 않는 순수한 지적 경험의 개념을 사용하여 정의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D8    S는 p를 믿음에 있어서 선험적으로 정당화된다 iff S는 p가 참이라는 상쇄되지 않는 순수한 지적 경험을 가진다.

다음으로 넘어가기에 앞서, D8에 대해 야기될 수 있는 하나의 반박을 고찰해 보도록 하자. 반박자가 그렇게 주장할 것과 같이, S가 약간 정상이 아니고 그래서 p가 명백히 거짓일 때 p가 참이라는 상쇄되지 않는 순수한 지적 경험을 가진다고 가정해 보자.

(2) 1 + 1 = 3.

D8은 S가 (2)를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렇지만, (2)는 명백한 거짓이므로, S가 (2)를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는 것은 거짓이다.

6) In reply to this objection, two things could be pointed out. First, it is not so clear that what we are asked to suppose is really possible. Could S's purely intellectual experience that p is true really be undefeated? Second, even if we grant the possibility of this, it is not clear that we would have to agree with the objector. We could argue that while it is obvious to us that (2) is false, it is not obvious to S. After all, we are imagining S to be a bit crazy, and crazy people are often strongly convinced of rather strange things. Given that S does indeed have an undefeated purely intellectual experience that (2) is true, we can insist that S is justified in believing (2). But of course S doesn't know (2) because (2) is false. So while S has indeed a priori justification for (2), he doesn't have a priori knowledge of (2).
6) 이러한 반론에 응답함에 있어서, 두 가지 것들이 지적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로, 우리가 가정하도록 요청받은 것이 실제로 가능한지 그렇게 분명하지 않다. p가 참이라는 S의 순수한 지적 경험이 정말로 상쇄되지 않을 수 있는가? 둘째로, 설령 우리가 이러한 가능성을 받아들인다 할지라도, 우리가 그러한 반박자에게 동의해야 할는지는 분명치가 않다. 우리는 (2)가 거짓임은 우리에게 분명한 반면, S에 대해서는 분명치 않다고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우리는 S가 약간 제정신이 아니라고 상상하고 있고, 비정상적인 사람들은 종종 꽤나 이상한 것들을 강력하게 확신한다. S가 더 나아가 (2)가 참이라는 상쇄되지 않는 순수한 지적 경험을 가진다고 생각해 본다면, 우리는 S가 (2)를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고 주장할 수 있다. 그러나 물론 S는 (2)를 모르는데 왜냐하면 (2)가 거짓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S가 더욱이 (2)에 대한 선험적 정당성을 가지는 반면, 그는 (2)에 대한 선험적 앎을 가지지는 못한다.


The Analytic-Synthetic Distinction
분석적-종합적 구분

1)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there are two traditions that differ in their attitudes toward a priori justification: empiricism and rationalism. Though empiricists and rationalists often agree on what propositions are knowable a priori, they disagree on how to interpret these propositions. Sometimes, however, empiricists advance arguments to the effect that there is no such things as a priori knowledge. Later in the text, we shall examine how a priori knowledge can be defended against such arguments. In the meantime, we will examine a more moderate empiricist claim: the doctrine that all a priori knowledge is analytic. In order to discuss this term, we must first turn to the analytic-synthetic distinction.
1) 철학사에 있어서, 선험적 정당성에 대한 그들의 태도들에 있어서 상이한 두 가지 전통들이 있다. 경험주의와 이성주의이다. 비록 경험주의자들과 이성주의자들이 종종 어떤 명제들이 선험적으로 알 수 있는 것들인지에 대해 동의할지라도, 그들은 이러한 명제들을 어떻게 번역하는지에 대해 의견이 갈린다. 그렇지만 때때로 경험주의자들은 선험적 앎과 같은 그러한 것들은 전혀 없다는 취지의 논증들을 제기한다. 이 글의 뒷부분에서, 우리는 어떻게 선험적 앎이 그러한 논증들에 반대해 정의될 수 있는지 검토할 것이다. 그 사이에 우리는 좀 더 온건한 경험주의 주장을 검토할 것이다. 그것은 모든 선험적 앎이 분석적이라는 원칙이다. 이러한 용어를 논의하기 위해, 우리는 우선 분석-종합 구별로 돌아서야만 한다.

2) Empiricists - at least those who don't deny the possibility of apriority altogether - would by and large agree with rationalists on which propositions are a priori. For example, empiricists would classify

(1) Whatever is red is colored

as a priori. However, rationalists and empiricists would disagree on what (1) is about. Empiricists tend to view (1) as trivial, as a mere tautology that is not really about the physical world but rather about our use of language. Rationalists, on the other hand, would insist that (1) does state a fact about the world of physical objects: any object that is an instance of "redness" is as well an instance of "coloredness." They would claim that, by virtue of what is sometimes called the "light of reason," we can apprehend that there are certain necessary facts about physical world, facts that are accessible a priori. Empiricists deny this. They maintain that a priori propositions express either linguistic or logical truths, and thus are empty of factual content. We can distinguish, then, between a rationalist and an empiricist account of apriority. According to the rationalist account, a priori propositions describe necessary properties and relations of the physical world: red objects must be colored, square objects must be rectangular, odd-numbered sets of objects cannot be divided by two, and so on. And these properties and relations, rationalists would say, are recognizable through reason. Hence rationalists would say that through thought alone, we can recognize, not only what the world is like, but indeed what it must be like. According to the empiricist account, however, thought alone can't reveal anything about the physical world. Without the aid of experience, we can only know conceptual and logical truths.
2) 경험주의자들 - 최소한 선험성의 가능성을 완전히 부정하지는 않는 그러한 사람들 - 그들은 대체로 이성주의자들과 어떤 명제들이 선험적인지에 대해 동의할 것이다. 예를 들어, 경험주의자들은 다음과 같은 명제를 선험적인 것으로 분류할 것이다.

(1) 붉은 것은 무엇이든 색이 있다.

그렇지만, 합리주의자들과 경험주의자들은 (1)이 무엇에 대한 것인지에 대해서 의견을 달리할 것이다. 경험주의자들은 (1)을 사소한 것으로, 실제로 물리적 세계에 대한 것은 아니고 오히려 우리의 언어 사용에 대한 것인 단순한 동어반복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 다른 한편 이성주의자들은 (1)이 물리적 대상들의 세계에 대한 사실을 진술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즉 "붉음"의 사례가 되는 어떤 대상이든 마찬가지로 "색 있음"의 사례라는 것을 진술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들은 때로 "이성의 빛"이라 불리는 것의 덕붙으로 우리가 물리적 세계에 대한 특정한 필연적 사실들, 가용한 선험적 사실들이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경험주의자들은 이 점을 부정한다. 그들은 선험적 명제들이 언어적 진리들 또는 논리적 진리들을 표현하며, 그래서 사실적 내용들에 대해서는 공허한 것이라 주장한다. 그래서 우리는 선험성에 대한 이성주의 설명과 경험주의 설명을 구분할 수 있다. 이성주의 설명에 따르자면 선험적 명제들은 물리적 세계의 필연적 속성들과 관계들을 기술한다. 붉은 대상은 틀림없이 색이 있으며, 정사각형 대상들은 반드시 직사각형이어야만 하고, 대상들의 일련의 홀수인 대상들은 2로 나뉘어 떨어질 수 없다는 따위의 것들 말이다. 그리고 이러한 속성들과 관계들을 이성주의자들은 이성을 통해 인지가능하다 말할 것이다. 따라서 이성주의자들은 사유만을 통해서 세계가 어떠한지 뿐만 아니라 세계가 어떠해야만 하는지까지도 인지할 수 있다고 말할 것이다. 그렇지만 경험주의 설명에 따르자면 사유만으로는 물리적 세계에 대한 어떤 것도 밝혀낼 수 없다. 경험의 보조 없이, 우리는 오로지 개념적이고 논리적인 진리들만을 알 수 있을 따름이다.

3) In order to express their disagreement with rationalists, empiricists distinguish between analytic and synthetic propositions. Analytic propositions are not about the physical world but merely state truths of language and logic, and thus are trivial. Synthetic propositions, on the other hand, are about the physical world, and thus enjoy empirical significance. Analytic and synthetic propositions are mutually exclusive, and there is no middle ground between them. If a proposition is not analytic, then it is synthetic(and vice versa), and there are no propositions that are neither analytic nor synthetic. According to empiricists, analytic propositions are knowable a priori, synthetic propositions are not.
3) 그들의 이성주의자들과의 의견불일치를 표현하기 위해, 경험주의자들은 분석적 명제들과 종합적 명제들을 구분한다. 분석적 명제들은 물리적 세계에 대한 것이 아니라 단순히 언어와 논리에 속하는 진리들을 진술할 따름이며, 그래서 사소한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종합 명제들은 물리적 세계에 대한 명제들이며, 그래서 경험적 중요성을 향유한다. 분석적 명제들과 종합적 명제들은 상호 배타적이며, 그 명제들 사이에 절충점은 전혀 없다. 만일 한 명제가 분석적이지 않다면, 그 명제는 종합적이고(그 역도 성립하며), 분석적이지도 종합적이지도 않은 그러한 명제들은 아무것도 없다. 경험주의자들에 따르면 분석적 명제들은 선험적으로 알 수 있고, 종합적 명제들은 그렇지 않다.

4) Empiricists employ the analytic-synthetic distinction with two objectives in mind. The first objective is to deflate apriority by establishing that all a priori propositions are analytic: not really about the physical world, but only about language and logic. The second is to replace what empiricists perceive as a mysterious account of apriority with one that is not. How, empiricists would ask, could it be possible to learn facts about physical objects without deriving information from experience? They criticize rationalists for assuming an ability somehow to "intuit," or to "see" in a nonperceptual way, truths about the physical world. Since we don't have any such mysterious ability, they would argue, it's impossible to know anything a priori about matters pertaining to the physical world. However, there is nothing mysterious about our ability to comprehend truths of logic and truths about the way we use words. So, from the empiricist point of view, what makes apriority digestible is the thesis that it is nothing but analyticity.
4) 경험주의자들은 분석-종합 구분을 심중의 두 가지 목적들을 가지고서 사용한다. 첫 번째 목표는 모든 선험적 명제들이 분석적임을, 실제로 물리적 세계에 대한 것이 아니라, 오직 언어와 논리에 대한 것일 따름임을 확립시킴으로써 선험성을 좌절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두 번째 목표는 경험주의자들이 난해한 것으로 여기는 선험성에 대한 설명을 난해하지 않은 설명으로 대체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경험주의자들은 어떻게 경험으로부터 정보를 도출해냄 없이 물리적 대상들에 대한 사실들을 습득하는 것이 가능할지 물을 것이다. 그들은 어떤 식으로든 물리적 세계에 대한 진리들을 "직관"하는, 혹은 비지각적 방식으로 "보는" 능력을 전제한다고 이성주의자들을 비판한다. 그들은 우리가 그런 어떠한 신비로운 능력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물리적 세계에 관련된 문제들에 대한 어떠한 선험적인 것도 아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렇지만, 논리학의 진리들과 우리가 말을 사용하는 방식에 대한 진리들을 파악하는 우리의 능력은 전혀 난해한 것이 없다. 경험주의자들의 관점으로 보면 그래서 선험성을 이해하기 쉽게 만드는 것은 선험성이 다른 아무것도 아니라 분석성이라는 명제이다.

5) Next, we shall examine some of the ways in which analyticity has been defined and investigate whether these definitions imply that all a priori propositions are analytic.
5) 다음으로 우리는 분석성이 정의된 방식들 중 일부와 이러한 정의들이 모든 선험 명제들이 분석적인지에 대한 탐구를 검토할 것이다.


Kant's Definition of Analyticity
칸트의 분석성에 대한 정의

1) let us begin with Immanuel Kant's definition of analyticity, which can be found in the introduction to the Critique of Pure Reason.

A1    p is analytic if and only if p is a proposition whose predicate is conceptually contained in its subject.

Many propositions adhere to what may be called the "subject-predicate form." For example, the proposition

(1) All bachelors are unmarried

attributes the predicate "unmarried" to the proposition's subject: bachelors. Now, the concept of a bachelor can be defined as "unmarried adult male." Thus the predicate (1) ascribes to its subject - unmarried - is conceptually contained in its subject - bachelor. So A1 implies, as it should, that (1) is analytic. Furthermore, A1 implies that the proposition "All cyclists are lean" is synthetic, since the predicate "lean" is not contained in the concept of a cyclist.
1) 『순수이성비판』 서론에서 발견될 수 있는 칸트의 분석성에 대한 분석을 가지고 시작하도록 하자.

A1    p는 분석명제이다 iff p는 그 명제의 술어가 개념적으로 그 명제의 주어에 포함되는 명제이다.

다수의 명제들이 "주-술 형식"이라 불릴 그러한 것에 결부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명제

(1) 모든 총각들은 미혼이다

이러한 명제는 그 술어 "미혼"이 그 명제의 주어에 귀결된다. 즉 총각에 귀결된다. 이제, 총각이라는 개념은 "미혼 성인 남성"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래서 (1)이 그 명제의 주어에 속하도록 하는 술어 - 미혼 - 는 개념적으로 그 명제의 주어 - 총각 - 에 포함된다. 그래서 A1은 기대되는 바대로 (1)이 분석적임을 시사한다. 더 나아가서, A1은 "모든 자전거 타는 사람들이 호리호리하다"라는 명제가 종합적인데, "호리호리함"이 자전거 타는 사람이란 개념 안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그러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2) A1 succumbs to the problem that not all a priori propositions are of the subject-predicate form. For example, empiricists would classify

(2) Either it's raining or it's not raining

as a priori. And since they hold that all a priori propositions are analytic, they would have to say that (2) is analytic. However, since (2) does not adhere to the subject-predicate form, it has no predicate that is contained in its subject, and thus A1 implies that (2) is synthetic. So, A1 doesn't yield the result that all a priori propositions are analytic, and hence is not a satisfactory definition of analyticity from the empiricist point of view.<16>
2) A1은 모든 선험적 명제들이 주-술 형식에 속하지는 않는다는 문제에 무너진다. 예를 들어 경험주의자들은 다음과 같은 명제를 선험적인 것으로 분류할 것이다.

(2) 비가 오거나 비가 오지 않는다

그리고 그들이 모든 선험 명제들이 분석적이라 주장하므로, 그들은 (2)가 분석적이라 말해야 할 것이다. 그렇지만, (2)는 주-술 형식에 결부되지 않으므로, 그것은 주어에 포함되는 어떠한 술어도 가지지 않으며, 그래서 A1은 (2)가 종합적임을 시사한다. 그래서, A1은 모든 선험 명제들이 분석적이라 결론 내리지 않고, 따라서 경험주의자들의 관점에서 보자면 분석성에 대한 만족스러운 정의는 아니다.<16>

3) A second problem with A1 is that it doesn't even work for all of those propositions that do adhere to the subject-predicate form. Consider

(3) Whatever is red is colored

which is a standard example of an a priori proposition. (3) is of the subject-predicate form. It ascribes the predicate "colored" to its subject, redness. However, is its predicate really conceptually contained in its subject?
3) A1이 지닌 두 번째 문제점은 그것이 주-술 형식에 결부되는 그러한 모든 명제들에 적용되지도 않는다는 것이다. 다음을 고찰해 보자.

(3) 붉은 것은 무엇이든 색이 있다

이 명제는 선험 명제의 표준 사례이다. (3)은 주-술 형식에 속한다. 그 명제는 술어 "유색(有色)"을 그 명제의 주어 "붉음"에 귀속시킨다. 그렇지만, 그 명제의 술어가 정말로 개념적으로 그 명제의 주어 안에 포함되는가?

4) A first concept is contained in a second if and only if the first concept is part of an analysis of the second. An analysis of a concept breaks that concept down into its constituent elements. For example,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concept of a bachelor are: unmarried, male, adult. Each of these predicates is contained in the concept of a bachelor.<17>
4) 첫 번째 개념은 두 번째 개념에 포함된다 iff 첫 번째 개념은 두 번째 개념의 분석에 대해 부분이다. 한 개념에 대한 분석은 그 개념을 그 개념의 구성 요소들로 분해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총각이란 개념의 구성 요소들은 미혼, 남성, 성인이다. 이러한 술어들의 각각은 총각이라는 개념 안에 포함된다.<17>

5) Is the concept of being colored contained in the concept of redness? To ask this question is to ask whether there is an analysis of the concept of redness that includes the concept of coloredness as a constituent part. Rationalists would say that since the concept of redness is simple, no such analysis exists.<18> Put differently, there is no way of verbally teaching anyone what the word "red" means. Rather, in order to know what it is for an object to be red, one must actually perceive a red object.<19> Other examples of qualities that can be perceived, but not analyzed, are sweetness, saltiness, tartness, sourness, roughness. Each of these is a simple, unanalyzable concept.
5) 유색의 개념은 붉은이라는 개념 안에 포함되는가? 이러한 물음을 던지는 것은 구성 부분으로서 유색이란 개념을 포함하는 붉음이란 개념의 분석이 있는지 묻는 것이다. 이성주의자들은 붉은이란 개념이 단순하므로 그러한 분석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할 것이다.<18> 달리 말하자면, 누군가에게 "붉"이란 말이 뜻하는 바를 말로 가르칠 아무런 방법도 없다. 오히려, 한 대상이 붉다는 것이 뭔지 알기 위해, 반드시 실제로 붉은 대상을 지각해야만 한다.<19> 지각될 수 있지만 분석될 수 없는 성질들의 다른 사례들은 달콤함, 짬, 시큼함, 심, 거칠음이다. 이러한 것들 각각은 단순하고, 분석불가한 개념이다.

6) It follows that there are many propositions of the subject-predicate form that are a priori but not, according to A1, analytic; for example: Whatever is sweet has a taste; whatever is rough has a surface; whatever is soft is extended. This outcome is unacceptable to empiricists. A1, then, fails to achieve the deflationary result empiricists wish to establish: that all a priori knowledge is analytic.
6) A1에 따르자면 선험적이지만 분석적이지 않은 주-술 형식에 속하는 다수 명제들이 있다는 것이 뒤따른다. 예를 들어 달콤한 것은 무엇이든 맛을 가진다(有味), 거친 것은 무엇이든 표면을 가진다, 부드러운 것은 무엇이든 연장된다. 이러한 결과는 경험주의자들에게 수용불가능한 것이다. 그래서 A1은 경험주의자들이 확립시키기를 바라는 모든 선험적 앎은 분석적이라고 수축시키는 결과를 성취하는 데에 실패한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