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6

Coherentism
정합론

Neurath's Metaphor
누라스의 비유

1) The supporting rationale of coherentism, the theoretical alternative to foundationalism, derives from rejecting the view that knowledge and justification rest on a foundation of basic beliefs. According to that view, justification can arise from neither an infinite regress nor a circular chain of justifying reasons. Foundationalists believe, therefore, that if there are justified beliefs at all, there must be basic beliefs. Coherentists, however, maintain that it is impossible for a belief to be basic on the ground that what justifies a belief must always be one or more other beliefs. Since they agree with foundationalists that an infinite regress of reasons can't justify, they must somehow make sense of the idea of circular justification: of beliefs justifying each other without there being any foundation or bedrock in which the process of justification can be grounded. Otto Neurath, one of the first philosophers to advocate coherentism, formulated the situation thus: "We are like sailors who must rebuild their ship upon the open sea."<1>
1) 토대론의 이론적 대안으로서 정합론의 근거를 뒷받침하는 것은 앎과 정당성이 기초적 믿음들의 토대에 의존한다는 관점을 거부함으로부터 비롯된다. 그 관점에 따르면, 정당성은 무한 소급으로부터도 정당화하는 추론들의 순환 연쇄로부터도 생겨날 수 없다. 그러므로 토대론자들은 만일 어쨌든 정당화된 믿음이 있다면, 반드시 기초적 믿음들이 있어야만 한다고 믿는다. 그렇지만 정합론자들은 한 믿음을 정당화하는 것은 반드시 언제나 하나 이상의 다른 믿음들이어야만 한다는 근거에서 한 믿음이 기초적이기는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그들이 추론의 무한 소급은 정당화할 수 없다는 점에서 토대론자들과 동의하므로, 그들은 반드시 어떤 식으로 순환적 정당성에 대한 생각을 해명해야만 한다. 즉 정당화의 과정이 근거지어질 수 있는 어떤 토대나 기반 없이 믿음들이 상호 정당화한다는 것을 설명해야만 한다. 정합론을 지지하는 손꼽히는 철학자들 중 한 사람인 오토 누라스 그 상황을 다음과 같이 정식화하였다. "우리는 바다 한 가운데에서 그들의 배를 재건해야만 하는 선원들과 같다."<1>

2) In order to make sense of Neurath's metaphor, we must recall that there are two different epistemological projects: one theoretical, the other practical. Epistemologists are interested in theoretical questions concerning the concepts of knowledge and justification, questions such as, What are the meanings of these concepts? What are the criteria for their application? and What is the range of their extension? But they are also interested in evaluating their own belief systems and revising them if necessary.<2> Neurath's metaphor is best interpreted as applying to this second project.
2) 누라스의 비유를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는 반드시 두 가지 상이한 인식론적 기획들이 있다는 점을 상기해야만 한다. 그 하나는 이론적인 것이고, 다른 하나는 실천적인 것이다. 인식론자들은 앎과 정당성이라는 개념들에 관련된 이론적 물음들에 관심을 갖는다. 그 물음들은 이러한 개념들의 의미들이 무엇인지, 그 개념들의 적용을 위한 기준들은 무엇인지, 그리고 그 개념들의 범위는 어떠한지와 같은 물음들이다. 그러나 그들은 또한 그들의 고유한 믿음 체계들을 평가하고 만일 필요하다면 그 체계들을 수정하는 일에도 관심을 가진다.<2> 누라스의 비유는 이 두 번째 기획에 적용함으로써 가장 잘 해석된다.

3) When we, as epistemologists, evaluate our beliefs in terms of what we take to be appropriate standards of justification, then we might find reasons to make changes in what we believe: to reject some of our beliefs and to adopt certain others. In terms of Neurath's metaphor, this means we might find out that our ship contains some rotten planks that need to be replaced with new and sound ones. If foundationalism were true, then we could simply remove our ship from the open sea, lay it up in a dock and inspect it from the outside, all the while resting firmly on solid ground. But since foundationalism is false, we can't do that. We can't leave the open sea, which is to say we can't go outside of the system of our beliefs. If we want to decide which beliefs - planks of our ship - we want to reject and which to retain, we can't assume an external point of view - enter a dock on firm ground - from which to inspect our entire belief system all at once. Rather, all we can do is inspect our belief system from within - remaining afloat on the open sea, as it were - with no choice but to evaluate particular beliefs that strike us as questionable in terms of what else we believe.
3) 인식론자들과 같이 우리가 우리의 믿음들을 우리가 정당성에 대한 적합한 표준들로 여기는 것으로 평가할 때, 우리는 아마도 우리가 믿는 것에 있어서 변화를 꾀해야 하는 이유들을 발견할지도 모른다. 즉 우리의 믿음들 중 일부는 거부하고 특정한 다른 믿음들은 채택하는 그러한 변화 말이다. 누라스의 비유로는, 이것은 우리가 우리의 배가 새롭고 튼튼한 목재들로 교체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일부 썩은 판자들을 포함하고 있음을 우리가 알아차리게 될 것이라는 뜻이다. 토대론이 옳다면, 우리는 간단히 망망대해로부터 우리의 배를 끌어내 수 있을 것이고, 그 배를 항구에 정박시키고 외부로부터 그 배를 점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는 내내 견고한 토대에 확실하게 의지하면서 말이다. 그러나 토대론은 거짓이므로, 우리는 그렇게 할 수 없다. 우리는 바다 한 가운데에서 떠날 수 없고, 그것은 곧 우리가 우리의 믿음들의 체계 밖으로 나갈 수 없다는 말이다. 만일 우리가 어떤 믿음들 - 우리 배의 판자들 - 이 우리가 거부하고자 하는 것이고 또 유지하려는 것인지 결정하고자 한다면, 우리는 우리의 전체 믿음 체계를 동시적으로 점검할 외재적 관점 - 확고한 토대에 정박하는 - 을 가정할 수 없을 것이다. 오히려,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은 우리의 믿음 체계를 내부로부터 - 말하자면 망망대해에 떠 있는 채로 남아서 - 우리에게 의문시되는 것으로 여겨지는 특정한 믿음들을 우리가 믿는 다른 어떤 믿음들로 평가하는 것 외에 다른 어떤 선택지도 없이 점검하는 것뿐이다.

4) The point of Neurath's metaphor can be summed up by saying that when we avaluate our beliefs and attempt to make appropriate changes, there is no exit from the circle of our beliefs. But this, so coherentists would argue, affects not only the practical project of making changes to our belief system but also the theoretical project of identifying what it is that makes justified beliefs justified. For if we are like sailors on the open sea of our beliefs, then a belief's justification can be derived from nothing but other beliefs. Hence coherentists hold that epistemic circularity - the idea of beliefs justifying each other - is not such a bad idea after all. As Laurence Bonjour aptly puts it: "Having rejected both foundationalism and the actual-infinite-regress position [according to which an actual infinite regress can generate justification], coherentists must hold … that the regress of empirical justification moves in a circle."<3>
4) 누라스 비유의 핵심은 우리가 우리의 믿음들을 평가하고 적절한 변경들을 행하고자 시도할 때, 우리의 믿음들의 원환으로부터 그 어떠한 탈출구도 없다고 말함으로써 요약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정합론자들이 그렇게 주장할 것과 같이, 우리의 믿음체계에 변화들을 꾀하는 실천적 사업만이 아니라 정당화된 믿음들을 정당화되도록 만드는 그것이 무엇인지 규정하려는 이론적 기획에도 또한 영향을 미친다. 왜냐하면 만일 우리가 우리의 믿음들이라는 망망대해 위의 선원들과 같다면, 한 믿음의 정당성은 다른 어떤 것도 아니라 다른 믿음들로부터만 도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합론자들은 인식적 순환성 - 상호 정당화하는 믿음들에 대한 발상 - 이 어쨌건 그렇게 나쁜 착상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로렌스 봉주르가 적절하게 말하였듯이, "토대론과 실제적-무한-소급 입장[그 입장에 따르면 실제적 무한 소급이 정당성을 산출할 수 있다]을 모두 거부하면, 정합론자들은 반드시 … 경험적 정당화의 소급이 순환적으로 이루어진다고 주장해야만 한다."<3>


Coherentism and Circularity
정합론과 순환성

1) It is sometimes said that, according to coherentism, circular justification is just fine provided the circle of justifying beliefs is sufficiently large.<4> But it is quite mysterious how a circle's size could have any effect on its justificatory capacity. If we agree that a small circle can't justify, why should we assume that a large one can?
1) 정합론에 따르면 때로 순환적 정당성은 충분히 큰 정당화하는 믿음들의 원환으로 훌륭하게 제공된다고 이야기되곤 한다.<4> 그러나 어떻게 원환의 크기가 그 정당화 능력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을는지에 대해서는 꽤나 이해하기 어렵다. 만일 우리가 작은 원환은 정당화할 수 없다는 데에 동의한다면, 어째서 우리가 큰 원환은 그럴 수 있다고 가정해야 하는가?

2) Before concerning ourselves with large-scale circularity, let's consider what reason there is in the first place for viewing the idea of circular justificaiton as objectionable. The argument against circularity rests on two premises. First, self-justification is impossible; a belief can't be its own justifier or contribute to its own justification.<5> Second, the relation "x is a justifier for y" is transitive: for any three beliefs, B1, B2, and B3, if B1 is a justifier for B2 and B2 is a justifier for B3, then B1 is a justifier for B3.<6> To see how the argument goes, consider three beliefs, B1, B2, and B3, and assume they form a small circular justificatory chain:

B1 justifies B2, B2 justifies B3, and B3 justifies B1.

If we now take into account the second premise asserting the transitivity of "x is a justifier for y," we get

B1 is a justifier for B1.<7>

But the first premise tells us that a belief can't contribute to its own justification. Thus it's impossible for B1 to be a justifier for itself. Hence either there is, in addition to B2 and B3, a further belief that justifies B1, or the justification of B1 remains mysterious.
2) 대규모 순환성에 관계하기에 앞서, 순환적 정당화라는 발상을 반박 가능한 것으로 간주하는 데에 우선 어떤 이유가 있는지 고찰해 보도록 하자. 순환성에 반대하는 논증은 두 가지 전제들에 의존한다. 첫째, 자기-정당화는 불가능하다. 즉 한 믿음은 그 자신의 정당화항이거나 그 자신의 정당성에 기여하는 것일 수 없다.<5> 둘째, "x는 y에 대한 정당화항이다"라는 관계는 이행적이다. 즉 어떠한 세 가지 믿음들, B1, B2, B3에 대해서든 만일 B1이 B2에 대해 정당화항이고 B2가 B3에 대해 정당화항이라면, B1은 B3의 정당화항이다.<6> 논증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보기 위해, 세 가지 믿음들 B1, B2, B3를 고찰하고 그 믿음들이 소규모 순환적 정당화 연쇄를 형성한다고 가정하자.

B1은 B2를 정당화하고, B2는 B3를 정당화하면, B3는 B1을 정당화한다.

만일 우리가 이제 "x는 y에 대해 정당화항이다"에 대한 이행성을 주장하는 두 번째 전제를 고려해 넣는다면, 우리는 다음과 같은 명제를 얻는다.

B1은 B1에 대해 정당화항이다.<7>

그러나 첫 번째 전제는 우리에게 한 믿음이 그 자신의 정당성에 기여할 수 없음을 말해준다. 따라서 B1이 그 자신에 대한 정당화항이 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B2와 B3에 덧붙여 B1을 정당화하는 추가적인 믿음이 있거나, 아니면 B1의 정당성은 이해할 수 없는 것으로 남는다.

3) This argument applies to any circle, however large it may be. We must conclude, therefore, that simply increasing the number of beliefs a justificatory circle contains does not avoid the main problem of circularity - that circular reasoning collapses into self-justification. Hence there can be no such thing as a belief that is justified through a circular chain of reasons.<8>
3) 이 논증은 어떠한 원환에든 적용되지만, 큰 원환에 대해서는 그럴지도 모른다. 우리는 그러므로 단순히 정당화하는 원환이 포함하는 믿음들의 수를 증대시키는 것만으로는 순환성의 주요 문제를 피할 수 없다고 결론내려야만 한다 - 즉 순환 추론은 자기-정당화로 붕괴되어 버린다는 것이다. 따라서 추론들의 순환 연쇄를 통해 정당화되는 그런 어떠한 믿음도 있을 수 없다.<8>

4) How can this result be reconciled with Bonjour's statement that coherentists are committed to circularity? As Bonjour points out, to give coherentism a fair hearing, we must replace the linear conceptual framework within which the regress problem arises with a holistic conception of justification. In reply to the argument we just considered, Bonjour writes:

The crucial, though tacit, assumption which underlies this seemingly devastating line of argument is the idea that inferential justification is essentially linear in character, that it involves a one-dimensional sequence of beliefs, ordered by the relation of epistemic priority, along which epistemic justification is passed from the earlier to the later beliefs in the sequence via connections of inference. It is just this linear conception of justification which generates the regress problem in the first place. [Hence coherentists must] repudiate the linear conception of justification in its entirety.<9>

What coherentists must put in the place of the linear conception is, in the words of Laurence Bonjour, the view that justification is

essentially systematic or holistic in character: beliefs are justified by being inferentially related to other beliefs in the overall context of a coherent system.<10>

As we pointed out in the previous chapter, if a particular belief's justification is viewed as a relation between it and the doxastic system of which it is a member, we need no longer search for a solution to the regress problem because this problem doesn't arise in the first place. Consider a particular belief B. Coherentists would say that whether it is justified depends on whether it enjoys membership in coherent belief system. Suppose B does not. In this case, no regress problem arises. Now suppose it does. In that case, it isn't particular beliefs - say, B*, B**, and so on - that are candidates for conferring justification on B, but rather the entire doxastic system of which B is a member, whose justification in turn is generated by coherence. So in that case, a regress problem doesn't arise either.<11>
4) 어떻게 이러한 결론이 정합론자들은 순환을 저지르게 된다는 봉주르의 진술과 조화될 수 있는가? 봉주르가 지적하듯, 정함론을 공평하게 대하기 위해서, 우리는 소급 문제가 발생하는 선형 개념적 틀을 전체론적 정당성 개념으로 대체해야만 한다. 우리가 방금 고찰한 논증에 답함에 있어서, 봉주르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비록 암묵적일지라도 외견상 파괴적인 이러한 논증 노선 기저에 자리하는 결정적 전제는 추론적 정당성이 본질적으로 그 성격에 있어서 선형적이라는 것이며, 그것이 믿음들의 1차원적 연속, 그에 따라 인식적 정당성이 더 앞선 믿음으로부터 더 뒤의 믿음들로 연속적으로 추론 결합들을 통하여 이행되는 그러한 인식적 우선성의 관계에 의해 질서지워진 연속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그것이 최초에 소급 문제를 산출하는 바로 이 선형적 정당성 개념이다. [따라서 정합론자들은 반드시] 선형적 정당성 개념을 그 전체에 있어서 거부하여야만 한다.<9>

정합론자들이 선형적 개념의 자리에 반드시 두어야만 하는 것은, 로렌스 봉주르의 말로 하자면, 다음과 같은 관점이다.

정당성은 본질적으로 체계적이거나 그 성격에 있어서 전체적이다. 즉 믿음들은 종합적인 정합적 체계의 문맥 안에서 다른 믿음들과 추론적으로 관계됨에 의해 정당화된다는 것이다.<10>

우리가 앞선 장에서 지적하였듯이, 만일 특정한 믿음의 정당성이 그 믿음과 그 믿음이 구성요소로 속하는 사견적 체계 사이의 관계로 간주된다면, 우리는 더 이상 소급 문제의 해결책을 모색할 필요가 없는데, 왜냐하면 이 문제는 처음부터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특정한 믿음 B를 고려해 보자. 정합론자들은 그 믿음이 정당화되는지 여부가 그 믿음이 정합적 믿음 체계에서 구성요소의 자격을 누리는지 여부에 의존한다고 말할 것이다. B가 그렇지 않다고 가정해 보자. 이 경우, 어떠한 소급 문제도 일어나지 않는다. 이제 그 믿음이 그렇다고 가정해 보자. 그 경우, 그 믿음은 특수한 믿음 - 말하자면 B*, B** 등 - B에 정당성을 부여할 후보들인 그러한 믿음들이 아니라, 오히려 B가 그 구성요소인 사견적인 전체 체계, 그 체계의 정당성이 정합성에 의해 산출되는 그러한 체계이다. 그래서 그 경우, 소급 문제는 또한 발생하지 않는다.<11>

5) Of course, if we explain a particular belief's justification by saying that it is a member of a coherent system of beliefs, we may wonder precisely which conditions a belief system must meet in order to enjoy coherence. This brings us to our next topic: What are the elements of coherence?
5) 물론, 만일 우리가 한 특정한 믿음의 정당성을 그 믿음이 정합적 믿음 체계의 구성요소라고 말함으로써 설명한다면, 우리는 아마도 정확히 어떤 조건들이 한 믿음 체계가 정합성을 누리기 위해 충족시켜야만 하는 조건들인지 궁금해할 것이다. 이것은 우리에게 우리의 다음 주제를 가져온다. 정합성의 요소들은 무엇인가?


Putative Elements of Coherence
추정되는 정합성의 요소들

1) In this section, we shall discuss three potential contributors to a belief system's coherence: (i) entailment relations, (ii) logical consistency, and (iii) explanatory relations.
1) 이 절에서, 우리는 한 믿음 체계의 정합성에 대한 세 가지 잠재적 기여자들을 논의할 것이다. (i) 논리적 함축 관계들, (ii) 논리적 일관성, 그리고 (iii) 설명적 관계들.

2) A belief B1 entails a belief B2 if and only if it is impossible that B1 is true and B2 false. Does a belief system's coherence increase to the extent its members entail one another? At first sight, an affirmative answer to this question seems plausible. After all, the more entailment relations obtain among my beliefs, the more tightly they would appear to be interwoven.<12> The following consideration, however, strongly suggests a negative answer. If entailment relations could generate coherence, then deductive logic could be used to generate coherence in any belief system whatever. Suppose you hold two beliefs:

(1) A
(2) B

Since it is a law of logic that Q entails If P then Q, deductive logic tells us that you are entitled to believe

(3) If A, then B.
(4) If B, then A.

If entailment relations can generate coherence, we are now looking at a small belief system that enjoys a high degree of coherence by virtue of the following entailments:

(i) (1) entails (4).
(ii) (2) entails (3).
(iii) (1) and (3) entail (2).
(iv) (2) and (4) entail (1).

Since such a maneuver can be repeated over and over again, you can add on to your initial stock of beliefs whatever further beliefs strike your fancy, thus creating a tightly interwoven doxastic system of whatever size and richness you desire. Deductive logic can thus be used to make any belief system coherent, no matter how absurd and therefore unjustifiable it is. This strongly suggests that a belief system's internal entailment relations don't contribute to its coherence.<13>
2) 한 믿음 B1이 믿음 B2를 논리적으로 함축한다 iff B1이 참이면서 B2가 거짓이기는 불가능하다. 하나의 믿음 체계의 정합성은 그 체계의 구성요소들이 논리적으로 상호함축하는 범위를 증대시키는가? 직관적으로, 이 물음에 대한 긍정적 답변이 그럴 성싶어 보인다. 무엇보다도, 나의 믿음들 사이에서 논리적 함축 관계들을 더욱 많이 획득할 수록, 그 믿음들이 더욱 더 긴밀하게 직조되는 것으로 보일 터이다.<12> 그렇지만 다음 고찰은 강력하게 부정적 답변을 제안한다. 만일 논리적 함축 관계들이 정합성을 산출할 수 있을 것이라면, 연역 논리는 무엇이 되었든 어떠한 믿음체계들에 있어서도 정합성을 산출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당신이 다음 두 가지 믿음들을 지닌다고 가정해 보자.

(1) A
(2) B

P이면 Q라면 Q
Since it is a law of logic that Q entails If P then Q, deductive logic tells us that you are entitled to believe
Q가 P이면 Q임을 논리적으로 함축한다는 것은 논리법칙이므로, 연역 논리는 우리에게 당신이 다음과 같이 믿을 자격이 있음을 말해준다.

(3) 만일 A이면, B이다.
(4) 만일 B이면, A이다.

만일 논리적 함축 관계들이 정합성을 산출할 수 있다면, 우리는 지금 다음 논리적 함축들 덕분에 고도의 정합성을 향유하는 소규모 믿음 체계를 보고 있다.

(i) (1)은 (4)를 논리적으로 함축한다.
(ii) (2)는 (3)을 논리적으로 함축한다.
(iii) (1)과 (3)은 (2)를 논리적으로 함축한다.
(iv) (2)과 (4)는 (1)을 논리적으로 함축한다.

이같은 전략은 거듭해서 반복될 수 있으므로, 당신은 당신의 믿음들의 첫 비축분에 무엇이든 당신 마음에 드는 추가적인 믿음들을 덧붙일 수 있고, 따라서 어떠한 크기로도 또 어떤 풍부함으로든 당신이 원하는대로 긴밀하게 직조된 사견적 체계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연역 논리는 따라서 어떠한 믿음 체계든 정합적으로 만들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그 체계가 얼마나 부조리하고 그에 따라 얼마나 정당화가 불가능한지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는 믿음 체계의 내재적인 논리적 함축 관계들이 그 체계의 정합성에 기여하지 않음을 강력하게 시사한다.<13>

3) Let us continue with consistency. A system of beliefs {B1, B2, …Bn} is consistent if and only if it is possible for all members of that system to be true. Our question is whether consistency contributes to coherence in the sense that it is necessary for coherence, and thus, according to coherentism, necessary for justification. That is, we are to ask whether a belief system lacking consistency is necessarily a belief system lacking justification. If it isn't, then coherentists would have to conclude that even an inconsistent belief system can enjoy coherence.
3) 일관성에 대해서 이어가 보자. 믿음들 {B1, B2, …Bn}의 한 체계는 일관적이다 iff 그 체계의 모든 구성요소가 참인 것이 가능하다. 우리의 물음은 일관성이 정합성에 대해 필연적이라는 의미에서, 따라서, 정합론에 따르면, 정당성에 대해 필연적이라는 의미에서 정합성에 기여하는지 여부이다. 즉, 우리는 일관성을 결여한 믿음 체계가 필연적으로 정당성을 결여한 믿음체계인지 묻게 될 것이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정합론자들은 비일관적 믿음 체계까지도 정합성을 향유할 수 있다고 결론내려야 할 것이다.

4) Now, it is not difficult to imagine a belief system that lacks consistency, yet is justified. Consider the following two propositions:

P1    If two collections of grains of sand differ in number by just one grain, then either both collections are heaps of sand or neither is.
P2    If a collection of grains of sand contains one grain only, then it is not a heap of sand.

P1 and P2 are inconsistent with each other. If P1 is true, then P2 is false.<14> However, we can imagine situations in which you would be justified in believing both P1 and P2, for the inconsistency in question is not immediately obvious; it takes some thinking and ingenuity to discover it. Someone who is unaware of it might very well be justified in believing both propositions.
4) 이제, 일관성을 결여했지만 정당화되는 믿음 체계를 상상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다음 두 가지 명제들을 고찰해 보자.

P1    만일 두 모래 더미들이 단지 모래 한 알로만 수에서 차이가 있다면, 두 더미들 모두 모래 더미이거나 아니면 둘 모두 그렇지 않다.
P2    만일 모래알들의 집합이 단 하나의 모래알만을 포함한다면, 그것은 모래 더미가 아니다.

P1과 P2는 상호 비일관적이다. 만일 P1이 참이라면, P2는 거짓이다.<14> 그렇지만, 우리는 당신이 P1과 P2 모두를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될 그러한 상황들을 상상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문제가 되는 비일관성이 즉각적으로 분명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그 점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생각과 기발함이 필요하다. 그에 대해 알아차리지 못하는 누군가는 두 명제들 모두를 믿음에 있어서 매우 잘 정당화될 수 있을 것이다.

5) A famous example of a set of inconsistent, yet justified, beliefs is that of Frege's basic laws of arithmetic. Frege proposed these laws as the result of a long and careful study. Nevertheless, he failed to see the inconsistency they involved until Bertrand Russell sent him a letter demonstrating that inconsistency. What matters about this example is this: We can't say that Frege's belief in the laws he proposed was unjustified simply because they were inconsistent with one another. Had Frege overlooked the inconsistency as a result of carelessness or hastiness, then we would have a reason for denying that he was justified in believing them. However, in the absence of such a reason, we must grant that Frege's belief in these laws was justified.<15> Hence we must conclude that if a belief's justification is a function of its coherence with other beliefs, consistency is not a necessary condition of coherence.<16>
5) 비일관적이지만 정당화되는 일련의 믿음들에 대한 유명한 사례는 프레게의 산술기본법칙들에 대한 사례이다. 프레게는 이러한 법칙들을 길고 신중한 연구의 결과로 제안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그러한 법칙들이 포함하고 있던 비일관성을 버트란드 러셀이 그에게 그 비일관성을 증명하는 한 통의 편지를 보내기 전까지 알아보지 못했다. 이 사례의 문제되는 것은 이것이다. 즉 우리는 프레게가 제안하였던 법칙들에 대한 그의 믿음이 단순히 그 법칙들이 상호 비일관적이라는 이유만으로 정당화되지 않았다고 말할 수 없다. 프레게가 부주의와 경솔함의 결과로 그 비일관성을 간과했다면, 우리는 그가 그 법칙들을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었다는 것을 부정할 이유를 가질 것이다. 그렇지만, 그러한 이유가 부재하는 와중에, 우리는 이러한 법칙들에 대한 프레게의 믿음이 정당화되었었다고 받아들여야만 한다.<15> 따라서 우리는 반드시 만일 한 믿음의 정당성이 그 믿음과 다른 믿음들과의 정합성에 대해 상관관계에 있다면, 일관성은 정합성의 필요조건이 아니라고 결론내려야만 한다.<16>

6) Finally, let us turn to the question of how a belief system is related to explanatory relations among its members.<17> Coherentists such as Keith Lehrer and Laurence Bonjour maintain that a belief system's members are the better justified the more the belief system exhibits what they call "explanatory coherence." A belief can enjoy explanatory coherence either by explaning other beliefs or by being explained by other beliefs. Consider the following three beliefs:

(5) He missed the nail and hit his thumb;
(6) He cursed and kicked a chair;
(7) He was durnk.

(5) explains (6): he cursed and kicked a chair because he missed the nail and hit his thumb. Furthermore, (5) is explained by (7): the reason he missed the nail and hit his thumb was that he was drunk.<18> Coherentists would say that the epistemic status of (5) is increased by the fact that it both explains and is explained by other beliefs.
6) 끝으로, 어떻게 믿음 체계가 그 체계의 구성요소들 사이의 설명적 관계들에 관계되는지에 대한 물음으로 돌아서 보도록 하자.<17> 케이스 레러와 로렌스 봉주르 같은 정합론자들은 믿음 체계의 구성요소들은 그 믿음 체계가 그들이 "설명적 정합성"이라 부르는 것을 더욱 많이 내보일 수록 더 잘 정당화된다고 주장한다. 하나의 믿음은 다른 믿음들을 설명함으로써, 혹은 다른 믿음들에 의해서 설명됨으로써 설명적 정합성을 향유할 수 있다. 다음 세 가지 믿음들을 고찰해 보자.

(5) 그는 못을 놓쳤고 그의 엄지손가락을 쳤다.
(6) 그는 욕지기를 뱉었고 의자를 걷어 찼다.
(7) 그는 취해 있었다.

(5)는 (6)을 설명한다. 그는 욕지기를 하고 의자를 걷어 찼는데 왜냐하면 그가 못을 놓치고 그의 엄지손가락을 쳤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서 (5)는 (7)에 의해 설명된다. 그가 못을 놓치고 그의 엄지손가락을 친 이유는 그가 취해있었다는 것이다.<18> 정합론자들은 (5)의 인식적 지위가 그 믿음이 다른 믿음들을 설명하고 또 다른 믿음들에 의해 설명되기도 한다는 사실에 의해 증대된다고 말할 것이다.

7) In order for a belief to be justified, must it bear explanatory relations to other beliefs? It would seem the answer is "no." For example, let us imagine a situation with the following features: First, you believe.

(8) I am nervous.

Second, you are justified in believing (8). Third, you believe nothing that explains, or is explained by, (8). About this situation, we are not assuming that there is no explanation of your nervousness. We are only imagining that you have no idea of what the explanation is. Unless coherentists can convince us that such a situation is impossible, we are to conclude that explanatory coherence is not a necessary condition of justification.
7) 한 믿음이 정당화되기 위해서, 그 믿음이 반드시 다른 믿음들과 설명적 관계들을 맺어야만 하는가? 그 대답은 "아니오"인 듯 싶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다음 특성들을 지닌 한 상황을 상상해 보자. 우선, 당신은 다음과 같이 믿는다.

(8) 나는 불안하다.

두 번째로, 당신은 (8)을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 셋째, 당신은 (8)을 설명하거나 혹은 (8)에 의해 설명되는 어떤 것도 믿고 있지 않다. 이 상황에 대해서, 우리는 당신의 불안에 대한 아무런 설명도 없다고 가정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오로지 당신이 설명인 그 어떤 것에 대해 아무 생각도 갖고 있지 않다고 상상하고 있을 따름이다. 정합론자들이 우리로 하여금 그러한 상황이 불가능하다고 설득할 수 없는 한, 우리는 설명적 정합성이 정당성의 필요조건은 아니라고 결론내리게 될 것이다.

8) On the other hand, even though explanatory coherence might not be necessary for coherence, it could nevertheless be claimed to be such that it adds to, or increases, a belief's justification. Though there is no obvious reason to reject this suggestion, a problem arises from the fact that there are good and bad explanations. How are we to distinguish between them? Compare the following beliefs:

(9) I believe my cat is meowing;
(10) My cat is meowing;
(11) An evil demon makes me believe that my cat is meowing.

(10) strikes us a better explanation of (9) than does (11), but why? On what grounds can we prefer (10) to (11)? Because of the absurdity of (11), the problem would not appear to be serious. After all, if we compare how (10) and (11) in turn can be explained, it would seem that preference should be given to a scientific explanation in terms of digestive processes over an explanation in terms of demonology.
8) 다른 한 편으로, 설령 설명적 정합성이 정합성에 대해 필연적이지 않을지 모른다 할지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것이 한 믿음의 정당성에 추가되거나 그 정당성을 증대시킨다고 주장될 수 있다. 이 제안을 거부할 어떠한 명백한 이유도 없다 할지라도, 좋은 설명과 나쁜 설명이 있다는 사실로부터 문제가 발생한다. 어떻게 우리가 그것들을 구분하게 될 것인가? 다음 믿음들을 비교해 보자.

(9) 나는 나의 고양이가 야옹거리고 있다고 믿는다.
(10) 나의 고양이가 야옹거리고 있다.
(11) 사악한 악마가 나로 하여금 내 고양이가 울고 있다고 믿도록 만든다.

(10)은 우리에게 (9)에 대해 (11)보다 더 나은 설명으로 여겨지지만, 왜 그러한가? 어떠한 근거들에서 우리는 (11)보다 (10)을 더 선호할 수 있는가? (11)의 부조리 때문에, 문제는 그리 심각한 것으로 보이지 않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만일 우리가 (10)과 (11)이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지 비교한다면, 악마론 설명보다 요약적 과정들을 통한 과학적 설명에 선호가 주어져야 할 것처럼 보일 것이다.

9) Yet the problem of distinguishing between good and bad explanations should not be underestimated, for alternative explanations need not be as far-fetched as (11). Thus Richard Fumerton writes: "If you want an example of an intuitively implausible system of beliefs with maximum explanatory power and simplicity, look at Berkeley's theory of perception."<19> Fumerton's point is this. Whereas our ordinary, commonsense view of the world as a collection of physical objects is justified (assuming a nonskeptical, science-oriented point of view), a Berkeleyan view of the world as a collection of immaterial ideas is not. Yet our scientific worldview fails to beat Berkeley's immaterialism as far as explanatory coherence is concerned.
9) 하지만 좋은 설명과 나쁜 설명의 구분 문제는 경시되지 않아야 할 것인데, 왜냐하면 대안적 설명들은 (11) 만큼 설득력 없을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리차드 퍼머톤은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만일 당신이 직관적으로 아니다 싶은, 최대치의 설명력과 단순성을 갖춘 믿음들의 체계에 대한 사례를 바란다면, 지각에 대한 버클리의 이론을 살펴 보라."<19> 퍼머톤의 요지는 이것이다. 물리적 대상들의 총체로서 우리의 일상적, 상식적 세계관이 정당화되는 반면에 (비회의적, 과학-지향적 관점을 전제하면), 비물질적 관념들의 총체로서 버클리주의 세계관은 정당화되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의 과학적 세계관은 설명적 정합성이 관련되는 한 버클리의 비물질주의를 패배시키는 데에 실패한다.

10) The force of this objection should not, however, be overstated. The objection makes it clear that it is not easy to explain what makes one explanation better than another. It also shows that there must be more to coherence than explanatory relations. It does not, however, provide us with a compelling reason to dismiss the idea that explanatory relations between beliefs can contribute to a belief system's coherence.
10) 그렇지만 이러한 반박의 힘은 과장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그 반박은 하나의 설명을 다른 설명보다 더 낫게 만드는 것을 설명하는 일이 쉽지 않다는 것을 분명하게 만든다. 그것은 또한 정합성에는 반드시 설명적 관계들보다 더 많은 것이 있어야만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렇지만 그것은 우리에게 믿음들 사이의 설명적 관계들이 믿음 체계의 정합성에 기여할 수 있다는 생각을 기각시킬 강제적 이유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11) Keith Lehrer and Laurence Bonjour both take explanatory relations to be an ingredient of coherence.<20> Alas, when they actually begin to spell out how a coherence theory of justification is supposed to work in detail, explanatory coherence drops out of the picture. Instead, they give an account of what coherence amounts to in terms of defeasibility and level ascent, or metajustification. Let us, then, proceed to examine what shape and form a belief system's coherence assumes in the theories of Lehrer and Bonjour.
11) 케이스 레러와 로렌스 봉주르는 모두 설명적 관계들을 정합성의 재료인 것으로 받아들인다.<20> 오호, 통재라, 그들이 실제로 어떻게 정당성에 대한 정합론이 구체적으로 작동한다고 생각되는지 설명하기 시작했을 때, 설명적 정합성은 그 그림에서 탈락되었다. 대신에, 그들은 정합성이 무엇에 해당되는지에 대한 설명으로 상쇄가능성과 수준 상승, 또는 초정당성과 같은 말들으르 제시하였다. 그래서 우리는 레러와 봉주르의 이론들에 있어서 믿음 체계의 정합성이 어떤 형태와 형식을 전제하는지 검토를 수행해 보도록 하자.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