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헨스키에 따르면 러셀을 위시한 실증주의는 철학을 명확히 규명되기 이전의 대상들 일반을 총체적으로 다루는 학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철학의 대상들이 규명되고 그로부터 많은 분과학문들이 독립되었음에도 여전히 철학의 문제들은 감소하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였다. 오히려 독립된 학문들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이 학문들에 대응하는 철학의 종류도 함께 늘어났다. <또 만일 독립되어 나온 학문들로 철학의 문제들을 모두 포괄하여 다루기에 충분하고, 그러므로 철학은 없다고 한다면 / 철학의 대상이 규명되기 이전의 대상이고 규정되지 않은 대상은 아무런 대상도 아니기에 따라서 철학 자체가 없다고 한다면> 그럼에도 '철학이 없다'라는 주장과 그에 따르는 논증은 다른 어떤 분과학문도 아닌 철학 내에서만 다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철학은 미규정된 대상들의 총체를 다루는 것만이 아닌 다른 일도 수행한다.

  또 다른 입장은 실존철학으로 대표되는 입장이다. 보헨스키에 따르면 이들의 견해로 철학은 이성과 합리를 넘어선 그 한계에 자리하는 문제를 다룬다. 그들은 문학이나 음악 등 예술의 형식을 차용하기도 한다. 곧 예술적 상상력, 창의력을 통해서만 이성과 합리, 지성의 인식을 넘어서 자리하는 문제들을 다룰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지성에 속하는 문제들은 이미 독립되어 나온 분과학문들에 의해 모두 다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실존주의에 대한 이러한 해석에 따르자면 앞서 실증주의에 대한 보헨스키의 해석에 기초한 철학에 대한 이해와 달리 철학은 축소되거나 해소되지 않고 언제까지나 남는다. 그러나 실존주의에 대한 반대자로서 비트겐슈타인은 인식의 한계를 넘어서는 것은 언급될 수 없다고 말한다. 또한 역사적으로 보아 철학이 설령 문학 및 예술의 방법론을 차용한 일이 있다 할지라도 그것은 수단이었고 본질적으로 실제 철학자들이 수행해온 일은 모두 이성적, 학문적 활동이었다고 보헨스키는 주장한다. 플라톤도, 아우구스티누스도, 사르트르 또한 문학적인 작품을 내놓았지만 그것은 모두 사상전달의 매개체였다.

  그렇다면 철학 고유의 본래적 영역은 무엇인가? 그는 인식, 가치, 인간, 언어의 네 가지 문제들을 열거한다. 이 외에도 철학의 중심문제가 무엇인지에 대해 다양한 견해들이 있음을 밝히면서, 보헨스키는 각 입장들 상호의 배타적이고 독단적인 태도를 부정적으로 평가한다. 다른 모든 것을 배제하고 오직 특정한 하나의 대상만이 철학 본래의 대상이라는 점이 입증된 일은 없다. 세계에는 모든 분야에 공통되면서도 아직까지 미결로 남은 숱한 문제들이 산재해 있다. 문제 자체가 특정 영역에 제한되지 않으므로 철학은 일종의 보편학문이다. 더불어 그 문제가 여러 영역들에 공통되므로 이러한 문제를 다루는 방법을 채택함에 있어서 철학에 제한은 없다. 이런 의미에서도 철학은 보편학이다. 또한 다른 모든 분과학문들은 전제를 가지지만 철학은 전제를 문제삼는다. 그런 의미에서 철학은 근원학, 기초학이다. 이에 더하여 보편학으로서의 철학은 여러 학문들과 중첩되는 부분이 있지만, 존재론과 가치론(윤리학, 도덕철학)에 있어서는 다른 학문들과 구분된다.

 → 그러나 문학 및 예술의 방법론이 철학에 있어서 본질적이지 않고, 철학의 본질적인 문제영역이 미결된 근거문제들, 한계문제들에 있다면 그것은 실증주의의 철학 이해와 어떤 점에서 구분되는가? 실증주의에서도 미결된 근거문제들이 철학의 문제들이라 여긴다. 그리고 근거가 정립되고 대상이 규정되면 이를 분석하는 독립된 학문이 발생한다. 근거문제로 소급해 나아갈 수는 있을지라도 이미 정립되고 규정된 대상을 다루는 일은 더 이상 철학이 떠맡지 않는다. 더구나 실증주의의 철학에 대한 이해에 따랐을 경우 정말로 철학은 축소되어 가는가? 반면에, 존재론과 가치론은 엄밀히 말하자면 그 구체적 대상이라 할 것이 없다고 할 수도 있다. '존재 일반', '가치 그 자체', 이러한 것이 과연 '규정된' 특정한 대상이라 할 수 있는가?

      그의 결론을 요약하자면 철학이란 '이성적으로 전제/근거를 소급해 나아가는 학문' 정도가 될 듯하다. 그러나 이 부분에서 여전히 실존주의의 입장이 유효한 부분이 있다. 인식의 한계, 혹은 그 너머 어떤 영역 혹은 대상에 대해 '이성적'으로, '합리적'으로 '인식'하려는 시도는 과연 정당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가? '역사적으로' 그렇게 해 왔다는 것은 답이 되지 않는다. 무엇을 어떻게 해왔는가? 그것은 여기에서 해명되지 않고 있다. 그래도 이렇든 저렇든 보편학, 근본학, 근원학으로서 철학을 바라보는 그러한 문화적 배경에 대한 부러움을 지울 수는 없구만. 씁.

-蟲-

Anderseits unterscheidet sich die Philosophie von den anderen Wissenschaften durch ihren Gesichtspunkt. Wenn sie nämlich einen Gegenstand in Betracht zieht, sieht sie ihn immer und ausschließlich sozusagen vom Standpunkt der Grenzen, der grundlegenden Aspekte. In dem Sinne ist die Philosophie eine Grundlagenwissenschaft. Dort, wo andere Wissenschaften stehenbleiben, wo sie, ohne weiter zu fragen, Voraussetzungen annehmen, fängt der Philosoph erst an zu fragen. Die Wissenschaften erkennen - er fragt, was ist das Erkennen; die andern stellen Gesetze auf - er stellt sich die Frage, was ein Gesetz sei. Der Alltagsmensch und der Politiker sprechen vom Sinn und von der Zweckmäßigkeit - der Philosoph aber fragt, was man unter Sinn und Zweck eigentlich verstehen soll. Somit ist auch die Philosophie eine radikale Wissenschaft - in dem Sinne, daß sie auf die Wurzeln geht, und tiefer als irgendeine andere; daß sie dort, wo die andern zufrieden sind, weiterfragt und weiterforschen will.
다른 한편 철학은 그 관점을 통해 다른 학문들과 구분된다. 철학이 말하자면 하나의 대상을 고려할 때, 철학은 언제나 오직(배타적으로) 말하자면 한계들, 근본전제의 측면이라는 입장에서만 그 대상을 바라본다. 그러한 의미에서 철학은 기초학문이다. 그 곳, 다른 분과학문들이 멈춰 서 있는 곳, 그 학문들이 계속해서 묻지 않고, 전제들을 받아들이는 곳에서, 철학자는 처음으로 물음을 던지기 시작한다. 학문들은 인식하고 - 철학자는 인식이 무엇인지를 묻는다; 다른 이들은 법칙을 세우고 - 철학자는 법칙이 무엇일지 자문한다. 일상인과 정치가는 의미와 실현가능성에 대해 말하지만 - 철학자는 의미와 목적 아래에서 본래적으로 무엇을 이해해야 하는지를 묻는다. 따라서 또한 철학은 - 철학이 원천들로 나아간다는 의미에서, 그리고 어떤 다른 학문들보다도 더욱 깊이 나아간다는 의미에서; 철학이 다른 학문들이 만족하는 곳에서 더 멀리까지 묻고 또 더 멀리 탐구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근원적(근본적/급진적)) 학문이다.

Wo die eigentliche Grenze zwischen einer Spezialwissenschaft und der Philosophie liegt, ist oft nicht leicht zu sagen. So ist zum Beispiel die im Laufe unseres Jahrhunderts sich so schön entwickelnde Grundlagenforschung in der Mathematik ganz sicher eine philosophische Forschung, aber gleichzeitig ist sie mit den mathematischen Untersuchungen eng verbunden. Es gibt jedoch einige Gebiete, in welchen die Grenze klar ist. Dies ist einerseits die Ontologie, die Disziplin, welche nicht von diesem oder jenem, sondern von den allgemeinsten Sachen, wie dem Ding, der Existenz, der Eigenschaft und ähnlichem, handelt. Anderseits gehört hierhin das Studium der Werte als solcher - nicht wie sie sich in der Entwicklung der Gesellschaft zeigen, sondern in sich selbst. In diesen beiden Gebieten grenzt die Philosophie einfach an nichts - es gibt überhaupt keine Wissenschaft außer ihr, die sich mit diesen Gegenständen befaßt oder befassen kann. Und die Ontologie wird dann in den Forschungen auf anderen Gebieten vorausgesetzt, womit schon ein Unterschied im Hinblick auf andere Wissenschaften, die von der Ontologie nichts wissen können, zustande kommt.
특수학문과 철학 사이의 본래적 경계가 어디에 자리하는지는 쉽사리 말할 것이 아니다. 그래서 예를 들어 우리의 세기(20세기)에는 수학에 있어서 그렇게나 훌륭히 전개되는 기초연구는 전적으로 확실히 철학적 연구이지만, 동시에 그 기초연구는 수학적 탐구들과 밀접하게 결부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안에서 한계가 분명한 몇몇 영역들이 있다. 이것은 한 편으로 존재론, 이러 저러한 것에 대해서가 아니라, 사물, 현존, 성질 등과 같은 보편 사태들에 대해에 대해 논하는 과목이다. 다른 한편 가치들에 대한 - 가치들이 사회의 전개 속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가 아니라, 그 자체에 있어서 어떠한지에 대한 - 학문연구가 그러한 것으로서 여기에 속한다. 이러한 양자의 영역들에 있어서 철학은 아무것에도 결코 인접해 있지 않다 - 일반적으로, 이러한 대상들에 종사하거나 관련을 맺을 수 있는 철학 외의 어떠한 학문도 있지 않다. 그리고 그리하여 존재론은 다른 영역들에 대한 연구들에 있어서 전제되고, 그로써 이미 존재론에 대해 아무것도 알 수 없는 다른 학문들을 고려함에 있어서 차이가 성립한다..

So wurde die Philosophie von den meisten großen Philosophen aller Zeiten gesehen. Eine Wissenschaft, also keine Dichtung, keine Musik, sondern ein ernstes, nüchternes Forschen. Eine Universalwissenschaft in dem Sinne, daß sie sich keinem Gebiete verschließt und jede Methode benützt, die zugänglich ist. Eine Wissenschaft der Grenz- und Grundlagenproblem - somit auch eine Radikalwissenschaft, die sich mit den Voraussetzungen der anderen Disziplinen nicht zufrieden erklärt, sondern weiter bis zu den Wurzeln forschen will.
그래서 철학은 모든 시대의 대다수의 위대한 철학자들로부터 그렇게 간주되었다. 철학은 학문이며, 그러므로 어떠한 문학도, 어떠한 음악도 아니고, 진지한, 객관적인 탐구이다. 철학은 그 어떠한 영역에도 무관심하지 않고 각각의 가용한 방법을 사용하다는 의미에서 보편학이다. 철학은 한계문제와 근본문제에 대한 학문 - 그러므로 또한, 다른 과목들의 전제들을 가지고 만족을 표하지 않고, 오히려 더 멀리 원천들에까지 탐구해 나아가고자 하는 근원(급진)학이다.

Man muß auch sagen, daß sie eine furchtbar schwierige Wissenschaft ist. Wo fast alles immer in Frage gestellt wird, wo keine überlieferten Voraussetzungen und Methoden gelten, wo man die sehr komplizierten Probleme der Ontologie immer vor Augen halten muß, kann die Arbeit nicht leicht sein. kein Wunder, daß die Meinungen in der Philosophie so sehr auseinandergehen. Ein großer Denker und kein Skeptiker - im Gegenteil, einer der größten Systematiker der Geschichte -, der heilige Thomas von Aquin, hat einmal gesagt, daß nur wenige Menschen und erst nach langer Zeit und nicht einmal ohne Zumischung von Irrtümern die Grundfragen der Philosophie lösen können.
또한 사람들은 철학이 무섭도록 어려운 학문이라고 말할 수밖에 없다. 모든 것이 언제나 의문시되는 곳, 그 어떠한 계승된 전제들과 방법들도 유효하지 않은 곳, 사람들이 언제나 존재론의 매우 복잡한 문제들을 직시해야만 하는 곳에서, 그 과업은 쉬울 수가 없다. 철학에 있어서 그렇게나 심하게 의견들이 갈린다는 것은 전혀 놀라울 것이 없다. 위대한 사상가이자 전혀 회의주의자가 아닌 - 반대로, 역사 속 가장 위대한 체계론자 중 한 사람인 - 성 토마스 아퀴나스(아퀸의 성 토마스)는 일찍이, 단지 소수의 인간들만이 또 우선 긴 시간 뒤에 오류의 뒤섞임이 하나도 없지는 않지만 철학의 근본물음들을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었다.

Aber der Mensch ist schon zum Philosophieren bestimmt, ob er es will oder nicht. Ich darf Ihnen aber abschließend noch eines sagen. Trotz der ungeheuren Schwierigkeiten, die es mit sich bringt, ist das Philosophieren eine der schönsten und edelsten Sachen, die es im menschlichen Leben geben kann. Wer auch nur einmal mit einem echten Philosophen in Berührung gekommen ist, wird sich immer von ihr angezogen fühlen.
그러나 인간은 바라든 그렇지 않든 이미 철학하도록 규정된다. 그러나 나는 당신들에게 여전히 확정적인 한 가지는 말하고자 한다. 그 필연적으로 따르는 엄청난 어려움들에도 불구하고, 철학함은 인간 삶에 있을 수 있는 가장 아름답고 고귀한 일들 중 하나이다. 단 한 번이라도 진정한 철학자와 교제하게 되는 사람은, 언제나 그에게 매혹됨을 느낄 것이다.

-蟲-
Ist es aber so, dann drängt sich wieder die Frage auf: Eine Wissenschaft von was? Die Körperwelt wird durch die Physik, die Welt des Lebens durch die Biologie, jene des Bewußtseins durch die Psychologie, die Gesellschaft durch die Soziologie erforscht. Was bleibt für Philosophie als Wissenschaft? Was ist ihr Gebiet?
그러나 그러한 경우, 그 물음이 다시금 떠오른다: 무엇에 대한 학문인가? 물질세계는 물리학을 통해서, 생명의 세계는 생물학을 통해서, 의식존재의 세계는 심리학을 통해서, 사회는 사회학을 통해서 탐구된다. 학문으로서 철학에 대해 무엇이 남는가? 철학의 영역은 무엇인가?

Darauf erhalten wir seitens verschiedener philosophischer Schulen sehr verschiedene Antworten. Ich werde einige der wichtigsten unter ihnen aufzählen.
그에 대해 우리는 상이한 철학적 학파들에게서 매우 다양한 답변들을 받는다. 나는 그 답변들 중 가장 중요한 몇 가지를 열거할 것이다.

Erste Antwort: Erkenntnislehre. Andere Wissenschaften erkennen: die Philosophie erforscht die Möglichkeit des Erkennes selbst - die Voraussetzungen und die Grenzen der möglichen Erkenntnis. So Immanuel Kant und viele unter seinen Nachfolgern.
첫 번째 응답: 인식론. 다른 분과학문들은 인식한다: 그러나 철학은 인식 자체의 가능성을 - 가능한 인식의 전제조건들과 한계들을 -  탐구한다. 임마누엘 칸트와 그의 여러 계승자들이 그러하다.

Zweite Antwort: die Werte. Jede andere Wissenschaft untersucht das, was ist; die Philosophie erforscht dagegen, was sein soll. Diese Antwort haben zum Beispiel die Anhänger der sogenannten Süddeutschen Schule und zahlreiche zeitgenössische französische Philosophen gegeben.
두 번째 응답: 가치. 각각의 다른 분과학문은 있는 것(존재하는 것, 존재자)을 연구한다; 철학은 그와 반대로, 있어야 할 것을 탐구한다. 이러한 응답은 예를 들어 소위 남부독일학파의 추종자들과 수 많은 현대 프랑스 철학자들이 제시해 왔다.

Dritte Antwort: der Mensch - und zwar als Voraussetzung und Grundlegung alles anderen. Nach den Verteretern dieser Meinung ist nämlich in der Wirklichkeit alles in irgendeiner Weise auf den Menschen bezogen. Diese Beziehung wird seitens der Naturwissenschaften und auch seitens der Geisteswissenschaften außer acht gelassen. Die Philosophie hat sie, und damit den Menschen selbst, unter diesem Gesichtspunkt zu eigenem Gegenstand. So lehren viele Existenzphilosophen.
세 번째 응답: 인간 - 보다 정확히는 다른 모든 것의 전제조건과 근본원리로서 인간. 이러한 견해의 대표자들에 따르면 말하자면 실제에 있어서 모든 것은 모종의 방식으로 인간들에 관련한다. 이러한 관계는 자연과학들과 또한 정신과학들에 있어서 고려되지 않는다. 그 철학은 이 관계를 가지고, 그로써 인간 자체를, 이러한 관점하에서 고유한 대상으로 가진다. 많은 실존철학자들이 그렇게 가르친다.

Vierte Antwort: Die Sprache: "Es gibt keine philosophischen Sätze, sondern nur Klarlegung von Sätzen", sagt Wittgenstein. Die Philosophie untersucht die Sprache der anderen Wissenschaften vom Standpunkt ihrer Struktur aus. Das ist Lehre Ludwig Wittgensteins und der meisten logischen Positivisten der Gegenwart.
네 번째 응답: 언어: "아무런 철학적 명제도 없고, 단지 명제들에 대한 해명만이 있다", 비트겐슈타인은 그렇게 말한다. 그 철학자는 다른 분과학문들의 언어를 그 학문들의 구조의 관점에서 연구한다. 그것은 비트겐슈타인과 현대의 대다수 논리 실증주의자들의 학설이다.

Dies sind nur einige unter noch mehreren Ansichten derselben Art. Jede von ihnen hat ihre Argumente und wird in ziemlich überzeugender Weise verteidigt. Jeder der Vertreter dieser Ansichten sagt von den Anhängern der anderen, sie seien überhaupt keine Philosophen. Man soll nur hören, mit welch tiefer Überzeugung solche Urteile gefällt werden. Die logischen Positivisten pflegen zum Beispiel alle Philosophen, die mit ihnen nicht einverstanden sind, als Metaphysiker zu brandmarken. Metaphysik ist aber nach ihnen Unsinn im strengsten Sinne des Wortes. Ein Metaphysiker produziert Laute, sagt aber gar nichts. Ebenso die Kantianer: für sie sind alle, die anderer Meinung sind als Kant, Metaphysiker; das bedeutet freilich bei ihnen nicht, daß sie Unsinn sagen, sondern daß sie überholt und unphilosophisch sind. Und über die souveräne Verachtung der Existenzphilosophen allen anderen gegenüber brauche ich gar nicht zu sprechen. Sie ist allgemein bekannt.
이것은 단지 같은 종류의 더 많은 견해들 중 일부일 뿐이다. 그 견해들의 각각은 그 견해의 논증들을 가지고 상당히 설득력 있는 방식으로 지지된다. 이러한 견해들의 옹호자들 각자는 다른 견해들의 추종자들에 대해 그들이 대개 아무런 철학자들도 아니리라고 말한다. 사람들은 다만, 얼마나 깊이 있는 논증을 가지고 그러한 판단들이 받아들여지는지를 들어야 할 따름이다. 예를 들어 논리 실증주의자들은, 그들에 동의하지 않는 모든 철학자들을 형이상학자로 낙인을 찍곤 한다. 그러나 형이상학은 그들에 따르면 가장 엄밀한 의미에서 무의미하다. 형이상학자는 목소리를 만들어내지만, 전혀 아무것도 말하지 않는다. 칸트주의자들도 똑같다: 그들에게 있어서 칸트와 다른 견해를 가진 모든 자들은 형이상학자들이다; 그것은 확실히 그들에게 있어서 형이상학자들이 무의미한 것을 말한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들이 시대에 뒤떨어지고 비철학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실존철학자들의 다른 모든 철학자들에 대한 독단적인 멸시에 대해서는 내가 굳이 말할 필요조차 없다. 그 멸시는 널리 잘 알려져 있다.

Nun, um Ihnen meine persönliche bescheidene Meinung zu formulieren, empfinde ich angesichts dieses festen Glaubens an die eine oder andere Auffassung der Philosophie ein gewisses Unbehagen. Es scheint mir sehr vernünftig zu sein, wenn man behauptet, der Philosoph solle sich mit der Erkenntnis, mit den Werten, mit dem Meschen und mit seiner Sprache beschäftigen. Aber warum nur damit? Hat irgendein Philosoph bewiesen, daß es keine anderen Gegenstände des Philosophierens gibt? Wer das behauptet, dem muß ich, wie Mephistopheles bei Goethe, zuerst Collegium Logicum raten, damit er einmal lerne, was ein Beweis eigentlich ist. Nichts solches wurde je bewiesen. Und sehen wir uns in der Welt um, dann scheint mir diese voll von ungelösten Fragen zu sein - von wichtigen Fragen, und zwar solchen, die zu allen genannten Gebieten gehören, aber von einer Spezialwissenschaft weder behandelt sind noch behandelt werden können. Beispiel einer solchen Frage ist das Problem des Gesetzes. Ein mathematisches Problem ist es sicher nicht; der Mathematiker kann seine Gesetze ruhig formulieren und erforschen, ohne sich je diese Frage zu stellen. Der Sprachwissenschaft gehört sie auch nicht; denn es handelt sich nicht um die Sprache, sondern um etwas in der Welt oder wenigstens im Gedanken. Das mathematische Gesetz ist aber andererseits auch kein Wert, es ist nicht etwas, was sein soll, sondern was ist, gehört also gar nicht in die Werttheorie. Will man die Philosophie auf irgendeine Spezialwissenschaft einschränken oder auf eine der Disziplinen, die ich aufgezählt habe, dann kann man dieses Problem überhaupt nicht erörtern, es findet keinen Platz. Und doch ist es ein echtes und wichtiges Problem.
이제, 당신들에게 나의 개인적인 겸손한 의견을 명표하기 위해, 나는 철학에 대한 이러저러한 견해들에 있어서 이러한 확고한 신념들에 마주하여 어떤 불편함을 느낀다. 나에게는, 사람들이 철학자는 인식, 가치들, 인간 그리고 그의 언어에 몰두해야 한다고 주장한다면, 그것이 매우 이성적으로 보인다. 그러나 왜 오직 그것에만(몰두해야 하는가)? 어떤 철학이, 철학함의 다른 어떠한 대상들도 없다는 것을 입증하였는가? 그것을 주장하는 자에게, 나는 괴테에게 있어서 메피스토펠레스와 같이, 일단 그가 증명이란 본래 무엇인지를 배우도록, 제일 먼저 논리학 강의를 권해야만 한다. 그러한 아무것도 지금까지 입증되지 않았다. 그리고 우리는 세상을 돌아보고, 그리고나서 나에게 이 세계가 미결의 물음들로 - 중대한 물음들로 - , 더욱이, 분야들로 불리는 모든 곳들에 속하는 그러한 물음들, 그러나 하나의 특수한 학문에서 다루어지지도 다루어질 수도 없는 물음들로 가득차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한 물음의 일례는 법칙의 문제이다. 그것은 확실히 수학적 문제가 아니다; 수학자는, 이러한 물음을 떠올리지 않고서 그 문제의 법칙을 침착하게 정식화하고 탐구할 수 있다. 그 물음은 언어철학에 속하지도 않는다; 왜냐하면 문제는 언어가 아니라 오히려 세계 내의, 아니면 적어도 사유 내의 어떤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학적 법칙은 다른 한편 아무런 가치도 아니고, 있어야(~이어야) 할 어떤 것도 아니며, 오히려 그러므로 전혀 가치론에 속하지 않는 것이다. 사람들은 철학을 내가 열거하였던 어떤 특수학문 또는 과목에 제한하고자 하는데, 그런 다음에는 사람들이 이러한 문제 일반을 논의할 수 없고, 그 문제는 아무런 자리도 찾지 못한다. 그리고 그럼에도 그것은 진정한 그리고 중대한 문제이다.

Es sieht also so aus, als ob man die Philosophie weder mit den Spezialwissenschaften gleichsetzen noch auf ein besonderes Gebiet einschränken sollte. Sie ist in gewissem Sinne eine Universalwissenschaft, ihr Gebiet ist nicht wie jenes anderer Disziplinen auf etwas Beschränktes, Bestimmtes eingeschränkt.
그러므로 사람들이 철학을 특수학문들과 동일시하거나 하나의 특수한 영역에 국한시키지 않아야 할 것처럼 보인다. 그것은 어떤 의미에서 보편학이고, 그 보편학의 영역은 다른 과목들의 저 영역처럼 어떤 제한된 것, 규정된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Ist es aber so, dann kann es vorkommen und kommt wirklich vor, daß die Philosophie sich mit denselben Gegenständen befaßt, mit welchen auch andere Wissenschaften zu tun haben. Worin unterscheidet sich dann Philosophie von dieser Wissenschaft? Die Antwort auf diese Frage lautet, daß sie sich ebensowohl durch ihre Methode wie auch durch den Gesichtspunkt unterscheidet. Durch ihre Methode - weil der Philosoph sich den Gebrauch keiner unter den vielen Methoden der Erkenntnis verbietet. Er ist zum Beispiel nicht wie ein Physiker verpflichtet, alles auf die sinnlich beobachtbaren Phänomene zurückzuführen, das heißt, sich auf die empirisch-reduktive Methode zu beschränken; er kann auch die Einsicht in das Gegebene gebrauchen und anderes mehr.
그러나 그렇다면, 철학이 다른 학문들도 관계한 그 동일한 대상들과 관련 맺는 일이 있을 수 있고 또 실제로 있다. 그러면 철학은 이러한 분과학문과 어떤 점에서 구분되는가? 이 물음에 대한 대답은, 철학이 그 방법을 통해서와 마찬가지로 관점을 통해서도 구분된다는 것이다. 철학의 방법을 통해서 구분된다는 것은 - 철학자는 인식의 여러 방법들 중 어떤 것의 사용도 포기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는 예를 들어 물리학자처럼 모든 것을 감각적으로 관찰가능한 현상들에 원인을 두도록 의무를 지지 않는데, 그것은 다시 말해, 경험-귀납적 방법에 제한될 의무를 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그는 소여에 대해서도 그 통찰을 사용할 수 있고 또 다른 많은 것에 사용할 수 있다.

-蟲-
  Es bleibt also dabei, daß man der ersten Meinung nur schwerlich rechtgeben kann. Die Philosophie muß etwas anderes sein als ein Sammelbecken für unreife Probleme. Sie hat sicher hie und da auch diese Funktion ausgeübt, aber sie ist noch etwas mehr als das.
  또한 여전히, 사람들은 그 첫 번째 견해에 대해서만이라도 거의 인정할 수 없다. 철학은 완결되지 못한 문제들에 대한 저수조와는 다른 어떤 것임에 틀림없다. 철학은 그럼에도 확실히 때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해 왔지만, 여전히 철학은 그 이상의 어떤 것이다.

  Die zweite Meinung behauptet dagegen, daß die Philosophie nie verschwinden wird, auch wenn sich alle möglichen Wissenschaften von ihr loslösen - denn sie ist nach dieser Meinung keine Wissenschaft. Sie erforscht, wie man sagt, das Überrationale - das Unbegreifbare, das über dem Verstand oder wenigstens an seiner Grenze Liegende. Sie hat also mit der Wissenschaft, mit dem Verstand nur wenig Gemeinsames. Ihr Gebiet liegt außerhalb des Rationalen. Philosophieren heißt demnach nicht mit der Vernunft nachforschen, sondern auf irgendeine andere Weise, mehr oder weniger "unvernünftig". Das ist eine heute weit verbreitete Meinung, besonders auf dem europäischen Kontinent - und sie wird unter anderen durch gewisse sogenannte Existenzphilosophen vertreten. Ein ganz extremer Vertreter dieser Richtung ist sicher Professor Jean Wahl, der führende Pariser Philosoph, für welchen es im Grunde keinen wesentlichen Unterschied zwischen Philosophie und Dichtung gibt. Aber auch der bekannte Existenzphiosoph Karl Jaspers dürfte in dieser Beziehung Jean Wahl nahestehen. In der Deutung von Jeanne Hersch, der Genfer Philosophin, ist Philosophie ein Denken an der Grenze zwischen Wissenschaft und Musik; Gabriel Marcel, ein anderer Existenzphilosoph, hat in einem philosophischen Buch direkt ein Stück eigener Musik abdrucken lassen - ohne von den Romanen zu sprechen, die einige heutige Philosophen zu schreiben pflegen.
  두 번째 견해는 그와 반대로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철학은, 설령 모든 가능한 분과학문들이 철학으로부터 분리된다 할지라도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 왜냐하면 철학은 이러한 견해에 따르면 그 어떠한 분과학문도 아니기 때문이다. 철학은, 사람들이 말하듯, 초합리적인 것 - 불가해한 것, 지성을 넘어서는 혹은 최소한 지성의 한계에 자리하는 것을 탐구한다. 그러므로 철학은 학문과, 지성과 단지 약간의 공통분모만을 가진다. 철학은 합리의 외부에 영역을 둔다. 소위 철학함이란 그에 따라 이성으로써가 아니라 오히려 어떤 다른 방식, 다소 "비이성적인" 어떤 방식으로 탐색한다. 그것은 오늘날 널리 퍼진 견해이다, 특히 유럽 대륙에 - 그리고 그 견해는 또 다른 곳에서 소위 실존철학자들을 통해 주장된다. 이러한 주의의 매우 극단적인 지지자의 한 사람은 확실히, 파리의 주요한 철학자인 장 발 교수인데, 그에게 있어서 근본적으로 철학과 문학 사이에는 그 어떠한 본질적인 구별점(차이)도 있지 않다. 그러나 또한 저명한 실존철학자 칼 야스퍼스는 이러한 점에서 장 발과 유사할 듯싶다. 제네바의 여성철학자 잔 허쉬의 설명에서, 철학은 학문과 음악 사이의 경계에서의 사유이다; 또 다른 실존철학자 가브리엘 마르켈은 한 철학적 저술에 자신의 음악의 일부를 직접 게재하였다 - 오늘날 몇몇의 철학자들이 쓰곤하는 소설들에 대해 말하지 않고.

  Auch diese Meinung ist eine respektable philosophische These. Zwar kann man zu ihren Gunsten verschiedenes anführen. Erstens, daß in den Grenzfragen - und das sind meistens philosophische Fragen - der Mensch sich aller seiner Kräfte bedienen muß, also auch des Gemütes, des Willens, der Phantasie - wie ein Dichter. Zweitens, daß die Grundgegebenheiten der Philosophie dem Verstand gar nicht zugänglich sind - man soll sie also mit anderen Mitteln zu erfassen versuchen, inwieweit es geht. Drittens, daß alles, was den Verstand betrifft, schon der einen oder der anderen Wissenschaft angehört. Also bleibt für die Philosophie nur dieses dichterische Denken an der Grenze oder gar ganz jenseits der Grenzen des Verstandes. Man könnte vielleicht noch weitere Gründe dieser Art anführen.
  그럼에도 이러한 견해는 주목할만한 철학적 명제이다. 더욱이 사람들은 그러한 견해에 유리하도록 여러가지 것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로, 한계물음들에 있어서 - 그리고 그것은 대개 철학적인 물음들이다 - 인간이 그의 능력들을 사용해야만 하고, 그러므로 또한 감정, 의지, 상상을 - 마치 작가와 같이 사용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둘째로, 철학의 근본소여들이 지성에 전혀 접근 가능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 사람들은 그 근본소여들을 그러므로, 되도록 매개물들을 가지고 포착하고자 시도해야 할 것이다. 셋째로, 지성에 관련하는 모든 것은 이미 이러저러한 분과학문에 속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철학에는 단지 그 한계에 있어서나 혹은 지성의 한계들을 완전히 넘어서는 이러한 작가적 사유만이 남는다. 사람들은 어쩌면 여전히 이러한 방식에 대한 그 이상의 근거들을 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Gegen diese Ansicht wehren sich aber zahlreiche Denker, unter anderen jene, welche dem Spruch von Ludwig Wittgenstein treu sind: "Wovon man nicht sprechen kann, darüber muß man schweigen." Mit "Sprechen" meint hier Wittgenstein das vernünftige Sprechen, also Denken. Kann man, sagen diese Gegner der dichterischen Philosophie, etwas mit normalen menschlichen Erkenntnismitteln nicht erfassen, das heißt mit dem Verstand, dann kann man es überhaupt nicht erfassen. Der Mensch kennt nur zwei mögliche Methoden, um etwas zu erkennen: entweder den Gegenstand in irgendeiner Weise direkt zu sehen - sinnlich oder geistig - oder aber zu erschließen. Beides ist aber eine Erkenntnisfunktion und im wesentlichen ein Akt des Verstandes. Daraus, daß man etwas liebt, haßt, daß man irgendeine Angst, einen Ekel oder ähnliches erlebt, folgt vielleicht, daß man sich unglücklich beziehungsweise glücklich fühlt - aber darüber hinaus gar nichts. So sagen jene Philosophen und, ich muß mit Bedauern feststellen, sie lachen den Vertretern der anderen Meinung ins Gesicht und sagen, sie seien Schwärmer, Dichter, unernste Menschen.
  그러나 이러한 견해에 반하여 다수의 사상가들은, 저들 중에서도 특히, 루트뷔히 뷔트겐슈타인의 언명에 충실한 사상가들이 저항한다: "사람들이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 그들은 그에 대해 침묵해야만 한다." 여기에서 비트겐슈타인은 "말"로 이성적 언명들, 그러니까 사유들을 의미한다. 작가적 철학의 이러한 반대자들이 말하기로, 사람들이 통상의 인간 인식수단들로써, 즉 소위 지성으로 어떤 것을 파악할 수 없다면, 사람들은 그것을 전혀 파악할 수 없다. 인간은, 어떤 것을 인식하기 위한 오직 두 가지 가능한 방식들만을 안다: 어떤 방식에서 대상을 - 감각적으로 또는 정신적으로 - 직접 보거나 아니면 추론하는 것이다. 그러나 양자 모두 인식기능이고 본질적으로 지성의 활동이다. 사람들이 어떤 것을 사랑하는 일, 증오하는 일, 사람들이 어떤 근심을, 혐오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경험하는 일로부터, 아마도, 사람들이 불행하게 내지는 요행으로 느끼는 것이 뒤따를 것이다 - 그러나 그 외에 이상의 아무것도 뒤따르지 않는다. 저 철학자들은 그렇게 말하며, 나는 유감스럽게도, 그들이 역사 속 또 다른 견해의 지지자들을 비웃고, 그들을 몽상가, 작가, 진실하지 못한 인간들이라고 말하는 것을 확인해야만 한다.

  Ich will mich hier in die Diskussion der Frage nicht einlassen - wir werden noch später dazu Gelegenheit haben. Eines möchte ich jedoch bemerken. Sehen wir uns die Geschichte der Philosophie an - vom alten Griechen Thales bis auf Merleau-Ponty und auf Jaspers, so finden wir immer und immer wieder, daß der Philosoph die Wirklichkeit zu erklären versucht hat. Erklären heißt aber, den zu erklärenden Gegenstand vernünftig - mit Hilfe des Verstandes - zu deuten. Auch jene, die sich am schroffsten gegen den Gebrauch des Verstandes in der Philosophie gewehrt haben - wie Bergson zum Beispiel -, haben es immer so getan. Der Philosoph, so scheint es wenigstens, ist einer, der vernünftig denkt, der versucht, Klarheit - das heißt Ordnung, und das heißt wiederum Verstand - in die Welt und in das Leben zu bringen. HIstorisch gesehen - das heißt in dem, was die Philosophen wirklich getan haben, nicht in dem, was sie über ihre Arbeit sagten -, war die Philosophie im großen und ganzen eine vernünftige, eine wissenschaftliche Tätigkeit, eine Lehre, nicht eine Dichtung. Hie und da waren Philosophen auch dichterisch begabt: so Platon, so der heilige Augustinus - und, wenn man mit den Großen einen zeitgenössischen Schriftsteller vergleichen darf, Jean-Paul Sartre, der ein paar gute Theaterstücke geschrieben hat. Das alles scheint aber bei ihnen eher ein Mittel der Mitteilung des Gedankens gewesen zu sein. In ihrem Wesen ist die Philosophie, wie gesagt, immer eine Lehre, eine Wissenschaft gewesen.
  나는 그 물음에 대한 논의에 개입하지 않길 바란다 - 그럼에도 우리는 이후에 그에 대한 기회를 가질 것이다. 그럼에도 나는 한 가지 것은 언급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철학의 역사를 고찰한다 - 고대 그리스인 탈레스로부터 메를로-퐁티와 야스퍼스에 대해서까지, 그래서 우리는 거듭 되풀이하여, 철학자는 진실을 밝혀내고자 시도해 왔다는 것을 깨닫는다. 그러나 해명이란 해명할 대상을 이성적으로 - 지성의 도움으로써 - 지시하는 것을 말한다. - 베르그송처럼 - 철학에 있어서 지성의 사용에 반대하여 가장 냉혹하게 반대해 온 저들 또한 언제나 그 일을 그렇게 해 왔다. 철학자는, 적어도 보이는 바로는, 이성적으로 사유하는 사람, 분명함을 - 소위 질서를, 또 다시 말하자면 지성을 - 세계와 삶 속으로 이끌고자 시도하는 사람이다. 역사적으로 - 그것을 말하자면, 그들이 그들의 일에 대해서 말한 것에 있어서가 아니라 철학자들이 실제로 행해온 일에 있어서 - 보자면, 철학은 모든 면에서 이성적, 학문적 활동이었고, 소설이 아니라 학설이었다. 때론 철학자들도 문학적으로 되었다: 플라톤이 그러하였고, 성 아우구스티누스 - 그리고, 사람들이 그 대가들과 동시대의 문인을 비교해야 한다면, 매우 훌륭한 희곡을 작성한 장-폴 사르트르가 그러하였다. 그러나 그 모든 것은 그들에게 있어서 더욱 먼저 사상의 전달 매개체인 것이었다. 그것들에 있어서 본질은 철학이었고, 이야기되는 것처럼, 언제나 학설이었으며, 하나의 학문이었다.

 -蟲-
  Die Philosophie ist eine Angelegenheit, die nicht nur den Fachmann angeht, denn so merkwürdig es auch aussehen könnte: es gibt wahrscheinlich keinen Menschen, der nicht philosophiert. Oder wenigstens hat jeder Mensch Augenblicke in seinem Leben, in welchen er zum Philosophen wird. Das ist vor allem von unsern Naturwissenschaftlern, von Historikern und von den Künstlern wahr. Sie alle pflegen früher oder später sich mit Philosophie zu beschäftigen. Ich sage freilich nicht, daß damit der Menschheit ein bedeutender Dienst geleistet ist; die Bücher der philosophierenden Laien - seien sie auch berühmte Physiker, Dichter oder Politiker - sind gewöhnlich schlecht, sie enthalten nur zu oft eine kindlich-naive und meistens falsche Philosophie. Das ist aber hier Nebensache. Das Wichtige ist, daß wir alle philosophieren und, wie es scheint, schon philosophieren müssen.
  아주 유별나게 보지 않는다면 철학이 오직 전문가에게만 관련이 있는 문제는 아니다. 즉 철학하지 않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아니면 적어도 각각의 인간은 그들의 삶 속에서 그가 철학자가 되는 순간들을 갖는다. 그 점은 무엇보다도 우리의 자연과학자들, 역사가들과 예술가들에 대해서 참이다. 그들은 모두 늦든 이르든 철학에 몰두하곤 한다. 물론 내가 그로써 인류에 대한 매우 중요한 일이 수행된다고 말하지는 않는다. 철학하는 일에 대해 문외한인 이들의, 그저 이따금 유치하고 대체로 그릇된 철학을 포함하는 책들은 - 그들이 설령 유명한 물리학자, 작가 또는 정치가일지라도 - 보통 수준에 못 미친다. 그러나 그건 여기에서 사소한 일이다. 중요한 것은 우리 모두가 철학한다는 것, 그리고 틀림없이 철학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Und deshalb ist auch für alle die Frage wichtig: Was ist eigentlich Philosophie? Leider ist dies eine der schwierigsten philosophischen Fragen. Ich kenne nur wenige Worte, die so viele Bedeutungen haben wie das Wort "Philosophie". Gerade vor einigen Wochen habe ich in Frankreich einem Kolloquium führender europäischer und amerikanischer Denker beigewohnt. Sie alle sprachen von Philosophie, verstanden aber darunter ganz und gar Verschiedenes. Wir wollen uns die verschiedenen Deutungen näher ansehen und dann versuchen, in diesem wahren Gewimmel von Definitionen und Ansichten einen Weg zum Verständnis zu finden.
  그러므로 또한 모든 이들에게 "본래적인 철학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이 중요하다. 안타깝게도 이 물음은 가장 까다로운 철학적 물음들 중 하나이다. 나는 "철학"이라는 말만큼 그렇게 많은 의미들을 지니는 그런 단어를 거의 알지 못한다. 바로 몇 주 전 나는 프랑스에서 주요한 유럽/미국 사상가들의 토론회에 참석했다. 그들 모두는 철학에 대해서 이야기하지만, 그 아래에서 전적으로 전혀 다른 것을 파악한다. 우리는 그 상이한 의미들을 더 상세히 살펴보고, 정의들과 견해들의 이 진정한 혼잡 속에서 이해를 향한 길을 발견하는 일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Es gibt nun zuerst eine Ansicht, nach welcher die Philosophie ein Sammelbegriff für alles wäre, was noch nicht wissenschaftlich behandelt werden kann. Dies ist zum Beispiel die Ansicht von Lord Bertrand Russell und von vielen positivistischen Philosophen. Sie machen uns darauf aufmerksam, daß bei Aristoteles Philsophie und Wissenschaft dasselbe bedeuteten und daß später die einzelnen Wissenschaften sich aus der Philosophie losgelöst haben: zuerst die Medizin, dann die Physik, später die Psychologie, zuletzt sogar die Formale Logik selbst, welche, wie bekannt, heute meistens an den mathematischen Fakultäten gelehrt wird. Oder, anders ausgedrückt, es gebe überhaupt keine Philosophie in dem Sinne, wie es zum Beispiel eine Mathematik gibt, mit ihrem besonderen Gegenstand. Einen solchen Gegenstand der Philosophie gebe es nicht. Man bezeichne damit lediglich gewisse Versuche, verschiedenartige, noch unreife Probleme zu klären.
  이제 처음으로 한 가지 견해가 있다, 그에 따르면 철학이 모든 것에 대한 총체개념일, 아직 분과학문적으로 다루어질 수 없는. 이것은 예를 들어 버트란드 러셀 경과 여러 실증주의 철학자들의 견해이다. 그들은 우리로 하여금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서 철학과 과학(학문)이 동일한 것을 의미하였다는 것과 그 이후 개별적인 (분)과학(문)들이, 즉 오늘날 대개 이과 대학들에서 교육되는 학문들인 의학, 그리고 자연학, 다음으로 심리학, 끝으로 형식 논리학 그 자체도, 철학으로부터 분리되었다는 점에 대해 주의를 환기시킨다. 혹은 달리 말하면 예를 들어 수학과 같은 그런 의미에서 그 특수한 대상을 가진 어떠한 철학도 없을 것이다. 철학의 그러한 대상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사람들은 그로써 다만 특정한 시도, 다양하지만 불완전한 문제들을 명확하게 하는 시도를 가리킨다.

  Dies ist ganz gewiss ein interessanter Standpunkt, und die angeführten Argumente sehen zuerst überzeugend aus. Sieht man sich aber die Sache etwas näher an, dann erheben sich ganz große Zweifel. Denn, erstens, wäre es so, wie jene Philosophen sagen, dann sollten wir heute weniger Philosophie haben als etwa vor tausend Jahren. Das ist aber sicher nicht der Fall. Philosophie gibt es heute nicht weniger, sondern eher mehr als je. Und ich meine nicht nur der Zahl der Denker nach - es werden deren heute etwa zehntausend sein -, sondern auch der Zahl der behandelten Probleme nach. Vergleicht man die Philosophie der alten Griechen mit der unseren, so sieht man, daß wir uns im zwanzigsten Jahrhundert nach Christus bedeutend mehr Fragen stellen als die Griechen gekannt haben.
  이것은 완전히 분명하게 하나의 흥미로운 입장이고, 그 언급된 논증들은 우선 설득력있어 보인다. 그러나 사람들은 그 사태를 어느 정도 더 가까이서 관찰하고, 그리고서 훨씬 커다란 의심을 품는다. 왜냐하면, 처음에, 그렇다면, 저 철학자들이 말하는 것과 같이, 그래서 우리는 오늘날 수 천 년 앞선 것보다 더 적은 철학들을 가져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정은 확실히 그렇지 않다. 오늘날 철학은 더 적지 않고, 오히려 훨씬 더 많다. 그리고 나는 단지 사상가들의 수에 따라서가 아니라 - 그 수는 거의 수만이 될 것이다 -, 오히려 다루어지는 문제들의 수에 따라 생각한다. 사람들이 고대 그리스의 철학을 우리의 철학과 비교하여, 그렇게 사람들은, 기원 후 20세기에 우리가 그리스 인들이 알고 있었던 것보다 훨씬 더 많은 물음들을 던지고 있음을 본다.

  Zweitens ist es schon wahr, daß verschiedene Disziplinen sich von der Philosophpie im Laufe der Zeit losgelöst haben. Das Auffallende ist aber dabei, daß dann, wenn eine solche spezielle Wissenschaft sich verselbständigte, fast gleichzeitig eine parallele philosophische Disziplin entstand. So zum Beispiel in den letzten Zeiten, als sich die formale Logik von der Philosophie trennte, entstand gleich eine weit verbreitete und heiß diskutierte Philosophie der Logik. Über sie wird heute zum Beispiel in den Vereinigten Staaten Nordamerikas vielleicht mehr geschrieben und diskutiert als über die rein logischen Fragen, obwohl dieses Land gerade in der Logik führend ist - oder gerade deswegen. Die Tatsachen zeigen, daß die Philosophie, anstatt durch die Entwicklung der Wissenschaften abzusterben, noch lebendiger und reicher wird.
  두 번째로, 상이한 분과학문들이 시대의 흐름 속에서 철학으로부터 떨어져 나왔다는 것은 확실히 참이다. 그러나 그 분리와 함께, 그러한 특수 학문이 독립한 이후, 거의 동시에 하나의 대응하는 철학적 분과가 발생했던 것이다. 그래서 예를 들어, 철학으로부터 형식 논리학이 갈라선 최근에, 동시에 널리 퍼지고 열렬히 논의된 논리학에 대한 철학(논리철학)이 발생하였다. 예를 들어 오늘날 미합중국에서는, 비록 이 국가가 특히 논리학에 있어서 선도적이라 할지라도 - 혹은 바로 그렇기 때문에, 그러한 철학에 대해 순수 논리적 물음들에 대한 것 보다도 훨씬 더 많은 것이 기술되고 논의된다. 그 사실들은, 철학이, 학문들의 전개를 통하여 소멸하는 대신에, 더욱 생생하고 풍요롭게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Und endlich eine boshafte Frage an jene, die meinen, es gäbe keine Philosophie: Im Namen welcher Disziplin, welcher Wissenschaft wird diese Behauptung aufgestellt? Schon Aristoteles hielt den Gegnern der Philosophie folgendes vor: entweder - sagte er - soll man philosophieren oder man soll nicht philosophieren; wenn man aber nicht philosophieren soll, dann nur im Namen einer Philosophie. Also auch wenn man nicht philosophieren soll, muß man doch philosophieren. Und dies ist noch heute wahr. Nichts ist amüsanter als die Sicht vermeinter Feinde der Philosophie, die großartige philosophische Argumente anführen, um zu zeigen, daß es keine Philosophie gibt.
  그리고 끝으로, 어떠한 철학도 있지 않으리라는 것이라 주장하는 이들에게 짓궂은 물음이 있다: 어떤 학과, 어떤 분과학문의 이름 안에서 이러한 주장이 제시되는가? 이미 아리스토텔레스는 다음과 같이 철학의 반대자들에 맞섰다. - 그가 말했던 것으로 - 사람들은 철학을 해야 하거나 철학을 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만약 사람들이 철학을 하지 않아야 한다면, 오직 철학이라는 이름 안에서 그러할 것이다. 그러므로 또한 사람들이 철학을 하지 않아야 한다면, 사람들은 철학을 해야만 한다. 그리고 이것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참이다. 그 어떠한 철학도 없음을 보여주기 위해 웅대한 철학적 논증을 언급하는 자들, 철학의 그 잘못된 적들의 전망보다 더 놀라운 것은 아무것도 없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