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pervenience: The Case for Nondoxastic Justification
수반: 비사견적 정당화의 사례

1) In Chapter 2, we studied what reasons there are for claiming that a belief's justification - a special kind of evaluative status - must supervene on a set of nonevaluative properties. Let's briefly restate the main two points. First, we argued that two beliefs that share their nonnormative properties must share their epistemic properties. This is the view that a belief's epistemic status weakly supervenes on the belief's descriptive nature. Second, we argued that if a belief has the nonnormative properties that make it justified in one possible world, then it is justified in all possible worlds in which it has these nonnormative properties. This is the thesis that a belief's epistemic status strongly supervenes on its descriptive nature.<19>
1) 2장에서, 우리는 믿음의 정당화 - 평가적 상태들 중의 한 특수한 종류 - 가 반드시 일련의 비평가적 속성들에 수반해야만 한다는 주장에 어떠한 근거들이 있는지 연구하였다. 간략하게 두 가지 주요한 점들을 재진술해 보도록 하자. 첫째, 우리는 비평가적 속성들을 공유하는 두 가지 믿음들은 반드시 인식적 속성들을 공유하여야만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것은 믿음의 인식적 상태가 믿음의 기술적 본성에 약하게 수반한다는 관점이다. 둘째로, 우리는 만일 한 믿음이 그 믿음을 하나의 가능세계에서 정당화되도록 만드는 비평가적 속성들을 지닌다면, 그 믿음은 그 믿음이 이러한 비평가적 속성들을 지니는 모든 가능 세계들에서 정당화된다고 주장하였다. 이것은 한 믿음의 인식적 상태가 강력하게 그 기술적 본성에 수반한다는 논지이다.<19>

2) Now, when coherentists make the doxastic move - when they claim that the source of justification is to be found, not in coherence itself, but in beliefs about coherence - then it becomes mysterious how coherentism can be reconciled with the supervenience of epistemic status on nonnormative properties. The reason is as follows.
2) 이제, 정합론자들이 사견적 조치를 만들 때 - 그들이 정당성의 원천은 정합성 자체가 아니라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에서 발견되는 것이라고 주장할 때 - 어떻게 정합론이 비평가적 속성들에 대한 인식적 상태의 수반과 조화될 수 있는지는 이해불가한 것이 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3) Suppose that, as the doxastic move asserts, the source from which a belief receives its justification lies in beliefs about coherence. Clearly, though, it cannot lie in unjustified beliefs about coherence. Rather, if a belief receives its justification from beliefs about coherence, then these further beliefs must be justified in turn. So what coherentism, if it incorporates the doxastic move, tells us, in effect, is that the source of a belief's justification always lies in further justified beliefs about coherence. Consider a particular belief B and assume B is justified. Now, if foundationalists ask a coherentist (who endorses the doxastic move) to say what it is that justifies B, the coherentist would have to answer: B derives its justification from at least one further justified belief about coherence that functions as B's justifying reason. But if the coherentist answers the foundationalists' question in this way, she is explaining one belief's justification in terms of another belief's justification - which is to say, she is failing to make the analytic step from the evaluative level of justification to the domain of those nonevaluative properties that generate justification.<20>
3) 사견적 조치가 주장하듯 믿음이 그 정당성을 받아오는 원천이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에 자리한다고 가정해 보자. 분명히, 그렇다 할지라도, 정당성은 정합성에 대한 정당화되지 않은 믿음들에 자리할 수는 없다. 오히려, 만일 한 믿음이 그 정당성을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로부터 받는다면, 이번에는 다시 이러한 추가적인 믿음들이 반드시 정당화되어야만 한다. 그래서 만일 정합론이 사견적 조치를 포함한다면 그러한 정합론이 우리에게 말해주는 것은 사실상 한 믿음의 정당성의 원천은 언제나 정합성에 대한 추가적인 정당화된 믿음들에 놓인다는 것이다. 특정한 믿음 B를 고려하고 B가 정당화된다고 가정해 보자. 이제, 만일 토대론자들이 한 정합론자에게 (그는 사견적 조치를 지지하는 자이다) 무엇이 B를 정당화하는 것인지 말하도록 요청한다면, 그 정합론자는 다음과 같이 대답해야 할 것이다: B는 그 정당성을 정합성에 대한 최소한 하나의 추가적인 정당화된 믿음, B의 정당화 근거로 기능하는 그러한 정당화된 믿음으로부터 이끌어낸다. 그러나 만일 그 정합론자가 이러한 방식으로 토대론자들의 물음에 대답한다면, 그녀는 한 믿음의 정당성을 다른 믿음의 정당성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 즉 그것은 그녀가 정당성의 평가적 수준으로부터 정당성을 산출하는 그러한 비평가적 속성들의 영역으로 향하는 분석적 단계를 구성하는 데에 실패하고 있다는 말이다.<20>

4) At this juncture, foundationalists will press their point. They will ask the coherentist: "Does epistemic justification ultimately arise from a nonnormative source, or does it not?" If the coherentist remains faithful to the doxastic move, she will say: "No, it does not." In light of our discussion of supervenience in Chapter 2, we must say that this would not be a plausible answer. If, however, the coherentist answers the foundationalists' question by saying "Yes, it does," then, in effect, she abandons the doxastic move and identifies coherence itself, understood as a nonepistemic relation between beliefs, as the ultimate source of justification. And in doing so, she admits in principle that there is such a thing as nondoxastic justification.<21>
4) 이러한 단계에서, 토대론자들은 그들의 관점을 밀어붙일 것이다. 그들은 그 정합론자에게 물을 것이다. "인식적 정당성은 궁극적으로 비평가적 원천으로부터 일어나는가, 아니면 그렇지 않은가?" 만일 그 정합론자가 사견적 조치에 대해 충실하게 남는다면, 그녀는 말할 것이다. "아니다, 그렇지 않다." 2장에서 수반에 대한 우리의 논의에 비추어 볼 때, 우리는 반드시 이것이 그럴 성싶은 대답은 아니리라고 말해야만 한다. 그렇지만 만일 그 정합론자가 토대론자들의 그 물음에 "맞다, 그렇다"라고 말하여 대답한다면, 사실상 그녀는 사견적 조치를 폐기하고 믿음들 사이의 비인식적 관계로 이해되는 정합성 자체를 저당성의 궁극적 원천으로 규정하는 것이다. 그렇게 함에 있어서, 그녀는 원칙적으로 비사견적 정당화와 같은 그런 어떤 것이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다.<21>

5) At the end of the section on Bonjour's argument against nondoxastic justification, we noted that our argument against the possibility of self-justification presupposes a principle that relies on the very intuition that drives Bonjour's argument, The principle is that if a belief doesn't already "have" justification, it can't "give" justification to itself. The underlying intuition, it appears, is that something can justify only if it has justification itself. However, if we accept that a belief's property of being justified supervenes on nonevaluative properties, then we must resist this intuition. And doing so poses no insurmountable obstacle, for we must distinguish between the following two principles:

(A) For any two beliefs B1 and B2, if B1 justifies B2, then B1 must be justified itself.
(B) For any two things x and y, if x is the source of y's justification, then x must be something that has justification itself.

(A), which is the principle we appealed to in our argument against the possibility of self-justification, does not imply principle (B). Principle (A) is about beliefs, which are capable of being justified or unjustified. And the intuition behind (A) is that whatever is capable of being justified must be justified itself in order to justify something else. Principle (B), in contrast, is about anything whatever; it is a principle that includes within its scope things that are incapable of being justified. Clearly, we may maintain that what is capable of being justified must be justified itself in order to justify without also having to maintain that what is incapable of being justified must be justified itself in order to justify. Indeed, if we accept the supervenience thesis about justification, we must view such things as a belief system's coherence and a belief's perceptual ground as sources of justification: as things that can justify but which are not themselves capable of being justified. Hence there is no inconsistency involved, in asserting (A) and rejecting (B).
5) 비사견적 정당성에 반대하는 봉주르의 논증에 대한 절의 마지막 부분에서, 우리는 자기-정당화의 가능성에 반대하여 봉주르의 논증을 이끌어낸 바로 그 직관에 의존하는 원칙, 만일 한 믿음이 이미 정당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그 믿음은 그 자신에게 정당성을 '줄' 수 없다는 원칙을 전제하였다. 그 근저에 놓인 직관은 어떤 것이 정당화를 할 수 있는 것은 오직 그것이 스스로 정당성을 지닐 때에만 가능하다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만일 우리가 한 믿음의 정당화됨이라는 속성이 비평가적 속성들에 수반한다는 점을 받아들인다면, 우리는 반드시 이 직관에 저항해야만 한다. 그리고 그렇게 하는 것은 극복할 수 없는 장애물을 부과하는 것이 아닌데, 왜냐하면 우리는 반드시 다음 두 가지 원칙들을 구분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A) 어떠한 두 가지 믿음 B1과 B2에 대해서도, 만일 B1이 B2를 정당화한다면, B1은 스스로 정당화되어야만 한다.
(B) 어떠한 두 가지 것들 x와 y에 대해서든, 만일 x가 y의 정당성에 대한 원천이라면, x는 반드시 그 자체로 정당성을 갖는 어떤 것이어야만 한다.

자기-정당화 가능성에 반대하는 우리의 논증에 있어서 우리가 호소하였던 원칙인 (A)는 원칙 (B)를 함축하지 않는다. 원칙 (A)는 정당화되거나 정당화되지 않을 수 있는 믿음들에 대한 것이고, (A) 이면의 직관은 정당화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무엇이 되었든지 반드시 다른 어떤 것을 정당화하기 위해서는 그 자체로 정당화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반면에 원칙 (B)는 무엇이 되었든 어떤 것에 대한 것이다. 그것은 그 범위 내에 정당화될 수 있는 능력이 없는 것들을 포함하는 원칙이다. 분명히, 우리는 아마도 정당화되는 능력이 없는 것이 정당화하기 위해 그 자체로 정당화되어야만 한다고 주장해야 할 것 없이도 정당화되는 능력이 있는 것이 정당화하기 위해서 그 자체로 정당화되어야만 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더욱이, 만일 우리가 정당화에 대한 수반 명제를 수용한다면, 우리는 반드시 믿음 체계의 정합성과 믿음의 지각적 근거와 같은 그러한 것들을 정당성의 원천들로 간주해야만 한다. 즉 정당화할 수 있지만 그 자체로 정당화되는 능력은 없는 그러한 것들을 말이다. 따라서 (A)와 (B)를 주장함에 있어서 포함되는 비일관성은 전혀 없다.

6) It would appear, then, that the foundationalist commitment to nondoxastic justification is in good shape after all. It should be seen, however, that the reasoning in support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does not, ipso facto, amount to an argument for foundationalism and against coherentism. For coherentists can admit that there is nondoxastic justification and still maintain that foundationalism and coherentism are mutually incompatible theories. If they were to do so, they would have to claim that there is one, and only one, nondoxastic source of justification: coherence relations among beliefs. In this view, justification is generated through certain nonevaluative relations beliefs bear to other beliefs, and never through relations beliefs bear to things other than beliefs. Now, while there is nothing obviously incoherent about this view, it is unclear what argument can be made in its support. For once it is granted in principle that nondoxastic justification is possible, and indeed necessary if there is justification at all, then it is difficult to see what reason there might be to exclude perceptual, introspective, and memorial states from the club of nondoxastic justifiers.
6) 그래서 비사견적 정당성에 대한 토대론적 전념은 무엇보다도 훌륭한 양태에 속하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 그렇지만 비사견적 정당성의 지지에 있어서의 추론이 결과적으로 토대론을 위하고 정합론에 반대하는 논증이 되지는 않는다는 점이 주시되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정합론자들은 비사견적 정당성이 있다는 점을 인정할 수 있으며 그리고 여전히 토대론과 정합론이 상호 양립불가능한 이론들임을 주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일 그들이 그렇게 한다면, 그들은 정당성에 대해서 하나의 유일한 비사견적 원천만이 있다고 주장해야 할 것이다. 그것은 바로 믿음들 사이의 정합적인 관계들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정당성은 다른 믿음들과 관계하는 믿음들의 특정한 비평가적 관계들을 통하여 산출되며, 결코 믿음들 이외의 다른 어떤 것들에 관계하는 믿음들의 관계들을 통해서는 산출되지 않는다. 이제, 이러한 관점에 대해 명백하게 비정합적인 어떤 것도 없는 반면, 그 관점의 지지에 있어서 어떤 논증이 구성될 수 있는지는 불분명하다. 왜냐하면 만일 정당성이란 게 좌우간 있다면 일단 원칙적으로 비사견적 정당화가 가능하고 더욱이 필요하다고 받아들이고 난 다음에는, 지각적, 내성적, 그리고 기억의 상태들을 비사견적 정당화항들의 집합으로부터 배제시킬 어떤 이유가 있을는지 알아보기란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7) Let us briefly sum up where the debate over foundationalism and coherentism has led us. The debate's starting point is Bonjour's dilemma argument against possibility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Nondoxastic justifiers are either states of awareness, and therefore need to be justified themselves; or they are not states of awareness, and thus, not being capable of being justified themselves, cannot justify anything. The foundationalist reply to this argument is that the second horn of the dilemma is false: nondoxastic states can justify even though they are not states of awareness and thus are not capable of being justified themselves. In support of this claim, foundationalists confront the coherentists with a dilemma objection of their own: Either coherentists admit coherence as a nondoxastic source of justification or they don't. If they do, then it remains mysterious on what grounds they can maintain that there are no sources of justification other than coherence relations among beliefs. If they don't, then they initiate an unacceptable level regress, and furthermore fail to identify the nonevaluative grounds on which justification supervenes.
7) 토대론과 정합론을 둘러싼 논쟁이 우리를 이끌은 곳을 간략하게 정리해 보도록 하자. 그 논쟁의 출발점은 비사견적 정당화 가능성에 반대하는 봉주르의 딜레마 논증이다. 즉 비사견적 정당화항들은 의식의 상태들이고, 그러므로 그 자체로 정당화될 필요가 있거나, 또는 그것들이 의식의 상태들이 아니며, 따라서 그 자체로 정당화될 수 있는 능력이 없고, 어떤 것도 정당화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 논증에 대한 토대론적 응답은 딜레마의 두 번째 항이 거짓이라는 것이다. 즉 비사견적 상태들은 설령 그것들이 의식의 상태가 아니고 따라서 그 자체로 정당화될 수 있는 능력이 없다고 하더라도 정당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을 지지함에 있어서 토대론자들은 그들 고유의 딜레마 반박으로 정합론자들에 맞선다. 즉 정합론자들은 정합성을 정당화의 비사견적 원천으로 인정하든가 그러지 않는다. 만일 그들이 그렇게 한다면, 어떠 근거들에서 그들이 믿음들 사이의 정합적 관계들 이외에 다른 정당성의 어떠한 원천들도 없다고 주장할 수 있는지는 불가해한 것으로 남는다. 만일 그들이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그들은 수용 불가능한 수준 소급에 착수하고 더 나아가 정당성이 그에 수반하는 비평가적 근거들을 규정하는 데에 실패한다.


Lehrer's Coherentism Reconsidered
재고찰된 레러의 정합론

1) In light of the regress problems Bonjour's version of coherentism generates, how does Lehrer's theory fare? As we saw in our examination of the theory in Chapter 5, Lehrer's notion of coherence involves two ingredients: (i) competitors must be beaten; (ii) the subject must take herself to be a trustworthy source of information under the relevant circumstances. Let's summarize Lehrer's coherentism as follows:

(JL) S's acceptance A is justified if and only if (i) in S's acceptance system, all of A's competitors are beaten; (ii) S accepts that she is a trustworthy source of information under the circumsatnces under which A was produced.

Does (JL) generate an infinite level regress? To find that out, we must focus on condition (ii). If condition (ii) is satisfied, then S's belief system contains the meta-acceptance

A*    I am a trustworthy source of information under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A was produced.

How is this meta-acceptance justified in turn? Here is Lehrer's answer to this question:

The claim that I am trustworthy in any particular matter under any special set of circumstances may be justified on the basis of the other things that I accept; I accept that I have had success in reaching the truth about similar matters in similar circumsatnces in the past and that the present circumstances do not differ in any relevant way from past circumstances when I was correct.<22>

This sounds plausible enough, but it does not address the issue that is crucial: in order for A* to be justified, must A* itself meet condition (ii) of (JL)? If it must, then we do get an infinite regress, for then A* must be accompanied by the meta-meta-acceptance

A**    I am a trustworthy source of information under the circumstance under which A* was produced.

which in turn must be accompanied by a meta-meta-meta-acceptance A***, and so forth.
1) 정합론에 대한 봉주르의 방식이 산출하는 소급 문제에 비추어, 레러의 이론은 어떻게 진행되는가? 우리가 5장에서 그 이론에 대한 우리의 검토에서 보았던 것처럼, 정합성에 대한 레러의 관념은 두 가지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i) 경쟁자들은 반드시 격파되어야만 한다; (ii) 주체는 반드시 그녀 자신을 적절한 상황들 아래에서 정보의 신뢰할 만한 원천으로 취해야만 한다. 레러의 정합론을 다음과 같이 요약해 보자:

(JL) S의 A를 수용함은 정당화된다 iff (i) S의 수용 체계에서 A의 모든 경쟁항들은 격파된다; (ii) S는 그녀가 A가 산출된 그러한 상황들 아래에서 정보의 신뢰할 만한 원천임을 수용한다.

(JL)은 무한 수준 소급을 산출하는가? 그것을 알아내기 위해, 우리는 반드시 조건 (ii)에 초점을 맞추어야만 한다. 만일 조건 (ii)가 만족된다면, S의 믿음 체계는 다음과 같은 메타-수용을 포함한다.

A*    나는 A가 산출되었던 그와 같은 상황들 아래에서 정보의 신뢰할 만한 원천이다.

이제 이러한 메타-수용은 어떻게 정당화되는가? 여기 이 물음에 대한 레러의 대답이 있다:

어떤 특수한 일련의 상황들 아래에서 어떤 특정한 문제에 있어서든 내가 신뢰할 만하다는 주장은 내가 수용하는 다른 것들에 기초하여 정당화될 것이다. 나는 과거에 유사한 상황들에서 유사한 문제들에 대해 진리에 도달하는 데에 성공하였었다는 것과 현재 상황들이 내가 옳았던 과거의 상황들과 어떠한 상관된 방식으로도 다르지 않다는 것을 수용한다.<22>

이것은 그럴 성싶게 들리지만 결정적인 문제를 처리하지 못한다. 즉 A*가 정당화되기 위해, A*는 반드시 (JL)의 조건 (ii)를 충족시켜야만 하는가? 만일 반드시 그래야만 한다면, 우리는 무한 소급을 얻게 되는데, 왜냐하면 A*는 반드시 다음과 같은 메타-메타-수용에 의해 동반되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A**    나는 A*가 산출된 그러한 상황들 아래에서 정보의 신뢰할 만한 원천이다.

그것이 이번에는 메타-메타-메타-수용 A***에 의해 반드시 동반되어야만 하고, 그렇게 계속된다.

2) Of course, the infinite regress thus generated is one of acceptances, not of beliefs. We might wonder, therefore, whether an infinite regress of acceptances, unlike one of beliefs, might not be innocuous. Now, according to Lehrer, "the mental state of acceptance is a functional state, one that plays a role in thought, inference, and action."<23> Consequently, if A* must be justified itself, then (JL) implies that every justified acceptance comes accompanied by an infinite series of mental states, each of which plays a role in thought, inference, and action. But it is doubtful, to say the least, that finite minds are capable of having an infinite regress of acceptances is just as pernicious as one of beliefs. Hence, if (JL) generates an infinite regress of meta-acceptances, then it must be viewed as a prescription for skepticism.
2) 물론, 그와 같이 산출된 무한 소급은 믿음들이 아니라 수용들 중의 하나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수용들의 무한소급이 믿음들의 무한소급과 달리 유해하지 않은지[본문 오타 추정] 궁금해할 것이다. 이제, 레러에 따르면 "수용의 정신적 상태는 기능적 상태, 사유, 추론, 행위에서 역할을 수행하는 그러한 기능적 상태이다."<23> 결론적으로, 만일 A*가 그 자체로 반드시 정당화되어야만 한다면, (JL)은 모든 정당화된 수용이, 그 각각이 사유, 추론, 행위에서 역할을 수행하는 정신적 상태들의 무한 연쇄들에 의해 동반되어 나온다는 점을 시사한다. 그러나 적어도 한정된 정신들이 믿음들의 무한 소급과 똑같이 치명적인 수용들의 무한 소급을 가질 능력이 있다는 것은 의심스럽다. 따라서, 만일 (JL)이 메타-수용들의 무한소급을 산출한다면, 그것은 반드시 회의주의에 대한 방안으로 간주되어야만 한다.

3) Lehrer, however, seems to be claiming that A* need not be justified by a meta-acceptance such as A**. Unfortunately, his reasoning behind this claim is not ideally clear. Right after the passage quoted above, he says this:

There is, however, more to the issue. I may accept that my faculties, perception, memory, reasoning, and so forth are trustworthy guides to truth in circumstances of the sort that I find myself in when I accept some claim of those faculties. I must accept, however, that I am trustworthy as well: that when I accept something, that is a good enough reason for thinking it to be true, so that it is at least more reasonable for me to accept it than to accept its denial.<25>

Now, if someone takes herself to be trustworthy in the way suggested in this passage, so Lehrer continues to argue, she accepts the following principle:

(T) Whatever I accept with the objective of accepting something just in case it is true, I accept in a trustworthy manner.<26>

Suppose, then, you take yourself to be a trustworthy source of information, and thus accept (T). How do we get from here to the result that A* need not be justified by a meta-acceptance such as A**? As mentioned above, Lehrer's exposition of this issue fails to make the desired connection ideally clear, but perhaps the following attempt at getting at the gist of his argument is a fair try.
3) 그렇지만 레러는 A*가 A**와 같은 그런 메타-수용에 의해 정당화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불행히도, 이러한 주장 이면의 그의 추론은 이상적으로 분명하진 않다. 위에서 인용된 구절 바로 다음에 그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그렇지만 그 문제에 대한 더 많은 것이 있다. 나는 아마도 나의 능력들, 지각, 기억, 추론 등이 나 자신이 그러한 능력들에 대한 어떤 주장을 수용하는 경우인 그런 종류의 상황들 내에서 진리에 대한 신뢰할 만한 길잡이들임을 수용할 것이다. 그렇지만 나는 반드시 나 자신도 신뢰할 만하다는 점을 수용해야만 한다. 즉 내가 어떤 것을 받아들일 때, 그것이 그 어떤 것을 참이라고 생각할 충분히 훌륭한 근거이기에 최소한 내가 그것을 받아들이는 것이 그것의 부정을 받아들이는 것보다는 더욱 합리적이라는 것을 수용해야만 한다.<25>

이제, 만일 누군가 그녀 자신을 이 구절에서 제시된 방식으로 신뢰할 만하다고 여긴다면, 레러가 그렇게 계속해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그녀는 다음 원칙을 수용한다:

(T) 내가 그것이 참인 바로 그 경우에 어떤 것을 받아들임의 대상을 가지고 수용하는 무엇이든, 나는 신뢰할 만한 방식으로 수용한다.<25>

다음으로 당신이 당신 자신을 정보의 신뢰할 만한 원천으로 여기고 따라서 (T)를 수용한다고 가정해 보자. 우리는 어떻게 이로부터 A*가 A**와 같은 메타-수용에 의해 정당화될 필요가 없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는가? 위에서 언급하였듯, 이 문제에 대한 레러의 설명은 기대된 결합을 이상적으로 분명하게 만드는 데에 실패하지만, 아마도 그의 논증에 대한 요지에 도달하려는 다음과 같은 시도는 정당한 시도일 것이다.

4) To begin with, let us refer to (T) as the global trustworthiness principle, for if you accept (T), then you take yourself to be a trustworthy source of information with respect to all of your cognitive faculties: perception, memory, introspection, and reasoning. The global trustworthiness principle must be distinguished from local trustworthiness claims of the form A*, which are demanded by condition (ii) of (JL). Our problem is to find out precisely how the global trustworthiness principle is supposed to exempt local trustworthiness claims of the form A* from having to meet condition (ii) - that is, from the need to be justified by meta-meta-acceptances of the form A**.
4) 우선, (T)를 전반적 신뢰성 원칙이라 부르기로 하는데, 왜냐하면 만일 당신이 (T)를 받아들인다면, 당신은 당신 자신을 당신의 인지 능력, 즉 지각, 기억, 내성, 추론 전반에 대하여 정보의 신뢰할 만한 원천으로 여길 것이기 때문이다. 전반적 신뢰성 원칙은 (JL)의 조건 (ii)에 의해 요구되는 A* 형식의 국소적 신뢰성 주장들과 반드시 구별되어야만 한다. 우리의 문제는 정확히 어떻게 전반적 신뢰성 원칙이 A* 형식의 국소적 신뢰성 주장들을 조건 (ii)를 충족시켜야 하는 일로부터 - 즉, A** 형식의 메타-메타-수용들에 의해 정당화될 필요로부터 - 면제시키는 것으로 생각되는지 알아내는 것이다.

5) Lehrer's proposal seems to be this: The desired connection is that if you accept the global trustworthiness principle, then whatever you accept is more reasonable than its denial. So if you accept the global trustworthiness principle, then all your local trustworthiness claims of the form A* are more reasonable than their denial. In this way, your local trustworthiness claims acquire a positive epistemic status without owing anything to higher-order acceptance of the form A**.
5) 레러의 제안은 이와 같은 것으로 보인다. 즉 기대되는 결합은 만일 당신이 전반적 신뢰성 원칙을 수용한다면, 당신이 수용하는 무엇이든 그 부정보다 더욱 합리적일 것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만일 당신이 전반적 신뢰성 원칙을 받아들인다면, A* 형식인 당신의 모든 국소적 신뢰성 주장들은 그것들의 부정보다 더욱 합리적이다. 이 방식으로, 당신의 국소적 신뢰성 주장들은 그 어떤 것도 A** 형식의 더 높은 단계의 수용으로부터 빌려오지 않고 긍정적인 인식적 상태를 획득한다.

6) How does this connection make local trustworthiness claims completely justified? After all, the epistemic status they receive from principle (T) is rather modest: (T) makes them merely more reasonable than their denial. Lehrer himself points out that this falls short of full-fledged justification.<27> Recall, however, what Lehrer says in the first passage we quoted above about how

A*    I am a trustworthy source of information under the circumstance under which A was produced

can be justified. According to Lehrer, it can be justified by acceptances such as these:

A1    In the past, I had success in reaching the truth about similar matter A is about under circumstances similar to those under which A was produced;
A2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I was right about these matters in the past don't differ in any relevant way from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A was produced.<28>

Now, the solution to our problem suggests itself. Acceptances such as A1 and A2 lift the epistemic status of A* from that of merely being more reasonable than its denial to that of full-fledged justificaiton. Moreover, the meta-meta-acceptance A** plays no part in how A* acquires this status. We can see, then, how Lehrer manages to produce the rabbit - full-fledged justification for A* - out of the top hat. First, principle (T) endows A* with the status of being more reasonable than its denial. Second, acceptances such as A1 and A2 elevate A*'s status of being more reasonable than its denial all the way up to complete justificaiton. Thus it would appear that Lehrer's theory accomplishes what Bonjour's does not: it makes metajustification a necessary condition of justification without, however, generating an infinite level regress.
6) 이러한 연결이 어떻게 국소적 신뢰성 주장들을 완전히 정당화되도록 만드는가? 무엇보다도, 그 주장들이 원칙 (T)로부터 받아오는 인식적 상태는 오히려 조촐하다: (T)는 그 주장들을 단지 그 부정들보다 더 합리적으로 만들 따름이다. 레러 자신은 이것이 완성된 정당성에는 부족하다고 지적한다.<27> 그렇지만 레러가 우리가 위에서 인용하였던 첫 구절에서 다음에 대해 말한 것을 기억해 보자.

A*    나는 A가 산출된 그러한 상황들 아래에서 정보의 신뢰할 만한 원천이다

이 수용이 어떻게 정당화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말이다. 레러에 따르면, 그것은 이와 같은 수용들에 의해 정당화될 수 있다.

A1    과거, 내가 A가 산출되었던 것과 유사한 상황들 아래에서 A와 유사한 문제들에 대해 진리에 도달함에 있어서 성공하였다;
A2    과거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내가 옳았던 그러한 상황들은 상관된 어떠한 방식에서든 A가 산출되었던 그러한 상황들과 다르지 않다.<28>

이제, 우리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떠오른다. A1과 A2와 같은 수용들은 A*의 인식적 상태를 단지 그 부정보다 더 합리적일 따름인 상태로부터 완성된 정당화의 상태로 끌어 올린다. 더욱이, 메타-메타-수용 A**는 A*가 이러한 상태를 획득하는 방식에 있어서 어떤 부분에서도 역할을 하지 않는다. 그래서 우리는 어떻게 레러가 그 토끼 - A*에 대한 완성된 정당화 - 를 잡을 묘안을 내는 일을 다루는지 볼 수 있다. 우선, 원칙 (T)는 A*에게 그 부정보다 더 합리적이라는 상태를 부여한다. 다음으로, A1과 A2와 같은 수용들이 A*의 그 부정보다 더 합리적이라는 상태를 완결된 정당성으로 완전히 끌어 올린다. 따라서 레러의 이론이 봉주르의 이론은 성취하지 못한 것을 성취하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 즉 그 이론은 메타정당화를 무한 수준 소급을 산출하지 않고 정당성의 필요조건으로 만드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

7) Reviewing this line of argument, we might wonder whether its result isn't too good to be true. Let's reconsider Lehrer's theory:

(JL) S's acceptance A is justified if and only if (i) in S's acceptance system, all of A's competitors are beaten; (ii) S accepts that she is a trustworthy source of information under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A was produced.

According to (JL), for an acceptance to be justified, it must meet condition (ii). As we have seen, if this is upheld for acceptances and meta-acceptances alike, then a pernicious infinite level regress is inevitable. Consequently, the upshot of Lehrer's stroy about principle (T) must be that the meta-acceptances condition (ii) generates can be justified without having to meet condition (ii). But this means that in order to avoid the regress problem, Lehrer's theory of justification splits into two separate accounts: one of first-order acceptances and another of meta-acceptances. Condition (i) is an ingredient of both theories: both acceptances and meta-acceptances are justified only if all of their competitors are beaten. Condition (ii), however, if a level regress is to be avoided, must not be imposed on the justification of meta-acceptances. But now we may wonder why it is that the standard of justification meta-acceptances of the form

A*    I am a trustworthy source of information under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A was produced

must meet is less stringent than the standard of justification first-order acceptances must meet. Why is it that an acceptance such as

(1) There is a book on the desk

must be accompanied by the meta-acceptance

(1*) I am a trustworthy source of information under the circumsatnces under which (1) was produced

whereas this meta-acceptance need not be accompanied by a meta-acceptance about my trustworthiness under the conditions under which it was produced? Why is it that (1) must, whereas (1*) need not, meet condition (ii) in (JL)? Surely we need to know what rationale there is for this difference in treatment of first-order and second-order acceptances.
7) 이 논증 노선을 재고하면서, 우리는 아마도 그 논증의 결론이 참이라기엔 지나치게 좋은 것 아닌가 궁금해할 것이다. 레러의 이론을 재고찰해 보도록 하자.

(JL)  S의 A 수용은 정당화된다 iff (i) S의 수용 체계에서 A의 모든 경쟁항들은 격파된다. (ii) S는 그녀가 A가 산출되었던 그러한 상황들 아래에서 정보의 신뢰할 만한 원천임을 수용한다.

(JL)에 따르면, 수용이 정당화되기 위해, 그 수용은 반드시 조건 (ii)를 충족시켜야만 한다. 우리가 보았듯이, 만일 이것이 수용들과 메타-수용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유지된다면, 치명적인 수준 소급이 불가피하다. 결론적으로, 원칙 (T)에 대한 레러의 이야기에서 결말은 반드시 조건 (ii)가 산출하는 메타-수용들이 조건 (ii)를 충족시켜야 하는 일 없이 정당화될 수 있다는 것이어야만 한다. 그러나 이것은 소급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정당화에 대한 레러의 이론이 두 가지 단절된 설명들로 분열된다는 것을 뜻한다. 첫-단계 수용들에 대한 설명과 메타-수용들에 대한 또 다른 설명으로 말이다. 조건 (i)은 그 두 이론들 모두에 대한 구성요소이다. 수용들과 메타-수용들 모두 오로지 그 수용들의 모든 경쟁수용들이 격파될 때에만 정당화된다. 그렇지만 조건 (ii)는 만일 수준 소급이 회피되어야 하는 것이라면 반드시 메타-수용들의 정당화에는 부과되지 않아야만 한다. 그러나 이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점에 대해 궁금해할 것이다.

A*    나는 A가 산출되었던 그러한 상황들 아래에서 정보의 신뢰할 만한 원천이다

이러한 형식의 메타 수용들이 충족시켜야만 하는 정당화의 표준이 어째서 첫-단계 수용들이 충족시켜야만 하는 정당화의 표준보다 덜 엄격한가 하는 것에 대해서 말이다. 다음과 같은 수용

(1) 책상 위에 책 한 권이 있다

그러한 수용은 반드시 다음과 같은 메타-수용

(1*) 나는 (1)이 산출되는 그러한 상황들 아래에서 정보의 신뢰할 만한 원천이다

이와 같은 메타-수용에 의해 동반되어야만 하는 반면 이 메타-수용은 그것이 산출되었던 그러한 조건들 아래에서 나의 신뢰성에 대한 메타-수용에 의해 동반될 필요가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어째서 (1)은 (JL)의 조건 (ii)를 반드시 충족시켜야만 하는 반면 (1*)는 그럴 필요가 없는 것인가? 확실히 우리는 첫-단계와 2차-단계 수용들의 관리에 있어서 이러한 차이에 대해 어떠한 근거가 있는지 알 필요가 있다.

8) It is in response to this challenge that Lehrer's principle of global trustworthiness is supposed to kick in. (T), making all of my acceptances such that they are more reasonable than their denials, so Lehrer's account would appear to go, exempts (1*) from having to meet condition (ii). But the following question immediately presents itself: Why is it that (T)'s benefits are restricted to meta-acceptances only? Why doesn't (T) exempt (1) as well from metajustification? According to Lehrer, (T) makes all acceptances of the acceptance system of which it is a member more reasonable than their denials. It stands to reason, therefore, that if (T) does have the epistemic effect Lehrer attributes to it, this effect should be the same for first-order and higher-order acceptances alike.
8) 이러한 도전에 응답함에 있어서 레러의 전반적 신뢰성 원칙이 효과를 나타내기 시작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나의 모든 수용들을 그 부정보다는 더욱 합리적인 그러한 것으로 만드는 (T)는 레러의 설명이 그렇게 진행되는 것으로 보일 것과 같이 (1*)로 하여금 조건 (ii)를 충족시켜야 하는 일로부터 면제시킨다. 그러나 다음 물음이 즉각적으로 나타난다. 어째서 (T)의 이점들은 오로지 메타-수용들에만 제한되는가? 어째서 (T)는 (1)도 마찬가지로 메타정당화로부터 면제시키지는 않는가? 레러에 따르면, (T)는 수용 체계의 구성원인 모든 수용들을 그 부정들보다 더욱 합리적으로 만든다. 그러므로 만일 (T)가 레러가 그에 귀속시킨 그러한 인식적 효과를 지닌다면, 이 효과는 높은-단계 수용들에서와 마찬가지로 첫-단계 수용들에 대해서도 동일하여야 할 것이라는 것은 당연하다.

9) Thus Lehrer's different treatment of first-order and second-order acceptances remains unjustified, which means that Lehrer's discrimination in favor of meta-acceptances - their exemption from having to meet condition (ii) - is arbitrary. Lehrer, then, faces an unfortunate dilemma. Either he exempts meta-acceptances from having to meet condition (ii) of (JL) or he does not. If he exempts them, then it becomes unclear why metajustification is necessary for first-order acceptances although it is not for higher-order acceptances. And if he does not exempt them, then a pernicious level regress is inevitable. Therefore it would seem that, in the final analysis, Lehrer's approach to level ascent is no more successful than Bonjour's.
9) 따라서 첫-단계 수용들과 2차-수용들에 대한 레러의 상이한 취급은 정당화되지 않은 채로 남고, 그것은 곧 메타-수용들에 대한 선호에 있어서의 차별 - 그 수용들의 조건 (ii)를 충족시켜야 하는 일로부터의 면책들 - 은 임의적이라는 뜻이다. 그래서 레러는 불운한 딜레마에 직면한다. 그는 메타-수용들을 (JL) 조건 (ii)를 충족시켜야 하는 일로부터 면제시키거나 그러지 않는다. 만일 그가 그것들을 면제시킨다면, 어째서 메타정당화가 높은-단계 수용들에 대해서는 필요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첫-단계 수용들에 대해서는 필요한지 여부는 불분명하게 된다. 그리고 만일 그가 그것들을 면제시키지 않는다면, 치명적 수준 소급이 불가피하다. 그러므로 결국 수준 상승에 대한 레러의 접근법은 봉주르의 것보다 조금도 더 성공적이지 않은 것으로 보일 것이다.


A Final Verdict
최종 평가

1) Coherentism, as a view about the structure of empirical justification, is essentially antifoundationalist. According to Bonjour, foundationalism is false because no belief can be justified without receiving its justification from other beliefs. According to Lehrer, foundationalism is false because no acceptance can be justified without receiving its justification from other acceptances.<29> In addition to its antifoundationalism, coherentism - at least as represented by Bonjour and Lehrer - involves a commitment to level ascent or metajustification. Both Bonjour and Lehrer insist that a belief cannot be justified without an accompanying metajustification: an epistemic evaluation of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belief was formed. Bonjour demands that this evaluation take the form of beliefs, Lehrer that it take the form of acceptances.
1) 경험적 정당화의 구조에 대한 관점으로서 정합론은 본질적으로 반-토대론적이다. 봉주르에 따르면 토대론은 거짓인데 왜냐하면 어떠한 믿음도 그 정당성을 다른 믿음들로부터 받아오지 않고서 정당화될 수 없기 때문이다. 레러에 따르면, 토대론은 거짓인데 왜냐하면 어떠한 수용도 그 정당성을 다른 수용들로부터 받아오지 않고서는 정당화될 수 없기 때문이다.<29> 그 반-토대론에 더하여, 정합론은 - 최소한 봉주르와 레러에 의해 표현되는 것으로서 - 수준 상승 또는 메타정당화에 대한 도입을 포함한다. 봉주르와 레러 모두 한 믿음은 메타정당화 동반 없이 정당화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즉 그 아래에서 그 믿음이 형성되는 그 조건들에 대한 인식적 평가 없이는 불가능하다. 봉주르는 이 평가가 믿음들의 형식을 취할 것을 요구하고, 레러는 수용들의 형식을 취할 것을 요구한다.

2) In this chapter, we have seen that these two ingredients of coherentism - antifoundationalism and the commitment to level ascent - are at variance with each other. Bonjour's and Lehrer's antifoundationalism manifests itself in, and is dependent upon, the conditions they impose on justification. Bonjour demands metabeliefs, Lehrer meta-acceptances, that evaluate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beliefs are formed. It is precisely this demand that makes coherentism antifoundationalist in nature, for if every belief's justification depends on another one that provides metajustification for it, then there can't be any basic beliefs. But these metabeliefs and meta-acceptances must themselves meet the condition Bonjour and Lehrer impose, which is what generates an infinite regress of doxastic levels. The chief problem coherentists face is how to avoid this type of regress.
2) 이 장에서, 우리는 이러한 정합론의 두 구성요소들 - 반-토대론과 수준 상승의 도입 - 이 상충함을 보았다. 봉주르의 반-토대론과 레러의 반-토대론은 그것들이 정당화에 부과하는 조건들로 드러나고 또 그에 의존한다. 그 아래에서 믿음들이 형성되는 상황들을 평가하는 것으로서 봉주르는 메타믿음들을, 레러는 메타-수용들을 요구한다. 그것은 정확히 정합론을 그 본성에 있어서 반-토대론으로 만드는 요구인데, 왜냐하면 만일 모든 믿음의 정당성이 그 믿음에 메타정당성을 제공하는 다른 믿음에 의존한다면, 어떠한 기초적 믿음도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메타믿음들과 메타-수용들은 반드시 그 자체로 봉주르와 레러가 부과한 조건, 사견적 수준들의 무한 소급을 산출하는 조건을 충족시켜야만 한다. 정합론자들이 직면하는 핵심 문제는 어떻게 이러한 유형의 소급을 피하는가 하는 것이다.

3) Since it is Lehrer's and Bonjour's antifoundationalism that is responsible for the regress problems to which their theories succumb, the question we must ask is obvious: Why not retain the second ingredient of coherentism - its commitment to level ascent - but discard the first - its antifoundationalism? Why not demand metajustification without demanding that it take the form of beliefs or acceptances? Indeed, given the seriousness of the regress problems Bonjour and Lehrer face, it would seem reasonable to combine the virtues of both coherentism and foundationalism into a single theory of justification.
3) 레러의 반-토대론과 봉주르의 반-토대론, 그 이론들이 굴복한 소급 문제들에 대해 책임이 있으므로, 우리가 반드시 물어야만 하는 물음은 명백하다. 어째서 정합론의 두 번째 구성요소 - 정합론의 수준 상승 도입 - 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첫 번째 것 - 정합론의 반-토대론 - 을 폐기하지는 않는가? 어째서 메타정당화를 믿음들이나 수용들의 형식을 취할 것을 요구함이 없이 요구하지 않는가? 덧붙여, 봉주르와 레러가 직면한 소급 문제들의 심각성을 고려한다면, 정합론과 토대론의 탁월성들을 정당화에 대한 하나의 단일 이론으로 결합하는 것은 합리적으로 보일 것이다.

4) How could a theory of justification handle the problem of demanding metajustification without generating a level regress? In Chapter 5, we outlined an evidentialist answer to this question. If we want to insist on the importance of metajustification without generating an infinite regress, then we ought to demand no more than this: that for a belief B to be justified, the subject have evidence for taking herself to be reliable under the conditions under which B was formed. But if our view of justification exhibits such modesty - if the demand for metajustification is construed as a demand, not for the formation of metabeliefs, but for the presence of evidence that would justify appropriate metabeliefs if they were formed - the door is opened for what we have called "nondoxastic justification." For then there are no grounds left for opposing the view that if an empirical belief is supported by appropriate perceptual, introspective, or memorial evidence, it can be justified without receiving its justification from any other beliefs or acceptances.
4) 정당화에 대한 하나의 이론이 어떻게 수준 소급을 산출함이 없이 메타정당화를 요구하는 문제를 다룰 수 있을 것인가? 5장에서, 우리는 이 물음에 대한 증거론적 대답을 개괄하였다. 만일 우리가 무한 소급을 산출함이 없이 메타정당화의 중요성을 주장하기를 원한다면, 우리가 요구해야 하는 것은 이 이상의 것이 아니다. 즉 믿음 B가 정당화되기 위해서, 주체는 그녀 자신을 B가 형성되었던 그러한 조건들 아래에서 신빙성있다고 여길 증거를 지닌다. 그러나 만일 우리의 정당화에 대한 관점이 그러한 겸손을 드러내 보인다면 - 만일 메타정당화에 대한 요구가 메타믿음들의 형성에 대한 요구가 아니라 만일 그러한 것들이 형성된다면 그러한 적절한 메타믿음들을 정당화할 그런 증거의 현전에 대한 요구로 해석된다면 - 우리가 "비사견적 정당성"이라 불렀던 것이 들어올 문이 열린다. 만일 경험적 믿음이 적절한 지각, 내성, 또는 기억의 증거에 의해 뒷받침된다면 그 믿음이 그 정당성을 다른 어떤 믿음들이나 수용들로부터도 받지 않고 정당화될 수 있다는 관점에 반대하도록 놓아둘 어떠한 근거들도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5) Our final verdict, then, is that foundationalists and coherentists can mutually benefit from the respective virtues their theories have to offer. Foundationalists, as we saw in Chapter 5, need to appeal to level ascent in order to explain how basic beliefs are justified. And coherentists, as we have seen in this chapter, need to come to terms with nondoxastic justification if they are to tame the regress spirits their antifoundationalism is bound to call up.
5) 그래서 우리의 최종 평가는 토대론자들과 정합론자들이 그들의 이론들이 제공해야 하는 각각의 탁월성들로부터 상호 증진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5장에서 보았던 것과 같은 토대론자들은 어떻게 기초적 믿음들이 정당화되는지 설명하기 위해 수준 상승에 호소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우리가 이 장에서 살펴본 것과 같은 정합론자들은 만일 그들이 그들의 반-토대론이 요청하게끔 묶여있는 그러한 소급적 태도들을 다스리고자 한다면 비사견적 정당성을 받아들이고자 애쓸 필요가 있다.

<4> This is not intended as a defense of consequentialism. Rather, the point is that a Davidson-type objection to consequentialism is not conclusive.
<4> 이것은 결과주의에 대한 옹호로 계획된 것이 아니다. 오히려, 핵심은 결과주의에 대한 데이비슨-유형 반박이 결정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6> In Bonjour (1989b), the argument is spelled out in terms of experiences that are states of awareness and those that are not; in Bonjour (1985), it is formulated in terms of judgmental or cognitive states versus nonjudgmental or noncognitive states.
<6> 봉주르 (1989b)에서, 그 논증은 의식의 상태들인 경험들과 그렇지 않은 경험들로 설명된다. 봉주르 (1985)에서, 그것은 판단적 혹은 인지적 상태 대(對) 비판단적 혹은 비인지적 상태들로 정식화된다.

<7> Bonjour (1985) p. 92. Cf. the following passage on p. 101: "According to a coherence theory of empirical justification, as so far characterized, the epistemic justification of an empirical belief derives entirely from its coherence with the believer's overall system of empirical beliefs…."
<7> 봉주르 (1985) 92쪽. 101쪽 다음 구절 참조. "경험적 정당성에 대한 정합성 이론에 따르면, 지금까지 규정된 바와 같이, 경험적 믿음의 인식적 정당성은 전적으로 그 믿음과 믿는 자의 경험적 믿음들에 대한 전체 체계의 정합성으로부터 유도된다…."

<8> This problem is made worse by the fact that Bonjour endorses foundationalism for beliefs that are justified a priori. See Bonjour (1985), app. A, pp. 191-211. The grounds of the justification for such beliefs must lie either in the nature of the propositions that are believed (their necessity or their axiomatic nature, for example) or in psychological states such as intuitive apprehension or grasp of necessity. What all of these grounds have in common is that they are nondoxastic sources of justification.
<8> 이 문제는 선험적으로 정당화되는 믿음들에 대해서 봉주르가 토대론을 지지한다는 사실에 의해 더욱 심각해진다. 봉주르 (1985), 부록 A 191-211쪽을 보라. 그러한 믿음들에 대한 정당성의 근거들은 반드시 믿어지는 명제들의 본성 (예를 들어 그러한 명제들의 필연성 또는 공리적 본성) 또는 직관적 포착 또는 필연성에 대한 파악과 같은 심리적 상태들에 놓여야만 한다. 이러한 근거들 모두가 공통으로 지니는 것은 그 근거들이 정당성의 비사견적 원천들이라는 점이다.

<10> Note that Bonjour's dilemma argument makes no such discrimination between possible and impossible types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Instead, its point is that nondoxastic justification as such is impossible because what can't be justified itself cannot confer justification.
<10> 봉주르의 딜레마 논증은 비사견적 정당성의 가능한 유형과 불가능한 유형 사이에 그런 어떠한 차별도 만들지 않는다는 점을 주의하라. 대신, 그 논증의 핵심은 엄밀한 의미의 비사견적 정당성이 불가능한데 왜냐하면 그 자체로 정당화될 수 없는 어떤 것은 정당성을 부여할 수도 없기 때문이란 점이다.

<21> One way in which the supervenience thesis is significant then, is that the argument for it is an argument for the existence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See Sosa (1991), pp. 149-164, and Van Cleve (1985).
<21> 수반성 논지가 중요한 그러한 한 가지 방식은 그래서, 수반성에 대한 논증이 비사견적 정당성의 현존에 대한 논증이라는 것이다. 소사 (1991) 149-164쪽, 그리고 반 클리브(1985).

<24> Is it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re could be an actual mental state that plays the functional role of a meta-acceptance at the 5873rd level?
<24> 오천 팔백 일흔 세 번째 단계에서 메타-수용의 기능적 역할을 수행하는 실제의 정신적 상태가 있을 수 있으리라 가정하는 것은 합리적인가?

<28> We might ask how A1 and A2 are justified themselves. The answer is that they are justified if they satisfy the two conditions of (JL): they must beat all of their competitors, and S must accept a meta-acceptance to the effect that she is trustworthy under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she is accepting A1 and A2.
<28> 우리는 아마도 어떻게 A1과 A2가 그 자체로 정당화되는지 물을 것이다. 그 대답은 그것들이 만일 (JL)의 두 조건들을 만족시킨다면 정당화된다는 것이다. 즉 그것들은 반드시 그것들의 모든 경쟁자들을 격파해야만 하고, S는 반드시 그녀가 A1과 A2를 수용하고 있는 그러한 상황들 아래에서 신뢰할 만하다는 취지의 메타-수용을 수용해야만 한다.

<29> However, as we saw in Chapter 6, this argument poses no threat to foundationalism as defined in Chapter 5. A basic belief is one that is justified without owing its justification to any other beliefs. Thus a belief can be basic even if it owes its justification to further acceptances - provided these acceptances are not in turn beliefs.
<29> 그렇지만, 우리가 6장에서 보았던 것처럼, 이 논증은 5장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토대론에 대해 아무런 위협도 제기하지 않는다. 기초적 믿음은 그 정당성을 다른 어떤 믿음들로부터도 빌려오지 않고 정당화되는 믿음이다. 따라서 한 믿음은 설령 그 믿음이 그 정당성을 추가적 수용들 - 제공되는 이러한 수용들이 다시 믿음들에 속하지 않는 - 에게서 빌려온다 할지라도 기초적일 수 있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