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Five


Foundationalism
토대론

Basic Beliefs
기초적 믿음들

1) Philosophers who advocate foundationalism in one form or another maintain that a person's justified belief system - the totality of her justified beliefs - is structured in the following way.<1> First, there are basic beliefs, which make up a belief system's foundation, as opposed to nonbasic beliefs, which make up a belief system's superstructure. Second, each belief that belongs to the superstructure owes its justification ultimately to one or several beliefs in the foundation. Although it is agreed that these two claims are essential to any version of foundationalism, there is much disagreement as to what kinds of beliefs are basic and how they are related to nonbasic beliefs. Thus while there is something like the foundationalist conception of the structure of epistemic justification - the conjunction of the two claims above - there isn't one particular theory that qualifies as an undisputed representative of foundationalism as such. Rather, there is a multitude of different "foundationalisms," each of which is claimed by its advocates to be superior to the others. Obviously, this raises a difficulty for us: in order to discuss the virtues and vices of foundationalism, which particular version of it should we consider?
1) 이러저러한 형식으로 토대론을 옹호하는 철학자들은 한 개인의 정당화된 믿음 체계 - 그녀의 정당화된 믿음의 총체 - 가 다음 방식으로 구축된다고 주장한다.<1> 우선, 기초적인 믿음들이 있는데, 그러한 믿음들은 믿음 체계의 토대를 형성한다. 반대로 비기초적 믿음들은, 그러한 믿음들이 믿음 체계의 상부구조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부구조에 속하는 각각의 믿음은 그 정당성을 궁극적으로 토대에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믿음들에 의존한다. 비록 이러한 두 가지 주장들이 본질적으로 토대론의 어떤 형태에든 동의된다 할지라도, 어떤 종류의 믿음들이 기초적인지 그리고 어떻게 그러한 믿음들이 비기초적 믿음들에 관계되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불일치가 있다. 따라서 인식적 정당성의 토대론적 개념과 같은 어떤 것이 있는 반면 - 위의 두 주장들의 결합 - 엄밀히 토대론의 반박할 수 없는 대표격이 되는 하나의 특수한 이론은 없다. 오히려, 다수의 상이한 "토대론들"이 있으며, 그 각각은 그 옹호자들에 의해 다른 것들보다 우월한 것으로 주장된다. 분명히, 이것은 우리에게 어려움을 불러일으킨다. 즉 토대론의 장점들과 단점들을 논의하기 위해, 어떤 특정한 형태의 토대론을 우리가 고려해야 하는가 하는 어려움이 있다.

2) When discussing what can be said for and against a certain theory, it would be unfair to consider a version loaded with unnecessary features that are easy targets for criticism. Rather, one should always consider the most plausible construal of the thoery in question. Later in the chapter, we shall consider, therefore, three different versions of foundationalism and, for the purpose of subsequent discussion, take as representative that version which asserts no more than what is logically dictated by committing oneself to the two claims mentioned above.
2) 한 특정한 이론에 대해 그리고 그에 반대하여 무엇이 이야기될 수 있는지 논의할 때, 비판의 표적들이 되기 쉬운 불필요한 특징들로 채워진 형태를 고려하는 것은 공정치 못할 것이다. 오히려, 언제나 문제가 되는 이론의 가장 그럴 성 싶은 고안물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 장 뒷부분에서, 우리는 그러므로 세 가지 다른 형태의 토대론들을 고찰할 것이고, 다음 논의를 위해서, 위에서 언급된 두 가지 주장들에 전념함으로써 논리적으로 지시되는 것 이외의 다른 아무것도 주장하지 않는 그러한 형태를 대표적인 형태로 취할 것이다.

3) We begin our discussion of foundationalism with an examination of the concept of a basic belief.<2> Basic beliefs have three charateristics. First, they are noninferential, which means they are not inferred from other beliefs. Compare, for example, the two beliefs

(1) He's soaked.

(2) It's raining outside.

Suppose you believe that it's raining outside because you see that a man coming in from outside is wet; you infer (2) from (1). (1), in contrast, is not inferred from any other belief. Rather, you simply see, or observe, that the man you're looking at is soaked. In this situation, (2) is an inferential and (1) a noninferential belief.<3>
3) 우리는 토대론에 대한 우리의 논의를 기초적 믿음이라는 개념에 대한 검토를 가지고 시작한다.<2> 기초적 믿음들은 세 가지 특징들을 지닌다. 첫째로, 그것들은 비추론적이다. 그 말은 그 믿음들이 다른 믿음들로부터 추론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다음 두 가지 믿음들을 비교해 보자.

(1) 그는 흠뻑 젖었다.

(2) 밖에 비가 오고 있다.

당신이 밖에 비가 온다고 믿는데 왜냐하면 당신이 밖에서 안으로 들어온 사람이 젖은 것을 보기 때문이라고 가정해 보자. 그러면 당신은 (1)로부터 (2)를 추론하는 것이다. (1)은 반대로 다른 어떤 믿음으로부터도 추론되지 않는다. 오히려 당신은 단순히 당신이 보고 있는 남자가 흠뻑 젖어 있다는 것을 보거나 관찰할 따름이다. 이 상황에서, (2)는 추론적 믿음이고 (1)은 비추론적 믿음이다.<3>

4) Here are two more examples of noninferential beliefs that serve as the basis for an inference. You see that your plant's leaves are sadly drooping; you infer you forgot to water it. You hear a certain characteristic sound in the hallway; you infer the mail was just delivered. In each of these cases, you infer one thing from another that is not, in turn, inferred from anything else.
4) 추론의 기초로 역할하는 비추론적 믿음들의 두 가지 예시들이 더 있다. 당신은 당신의 나뭇잎들이 애석하게도 지고 있는 것을 본다. 그리고 당신은 당신이 그 나무에 물 주는 것을 잊었다고 추론한다. 당신은 특정한 특징적인 소리를 복도에서 듣는다. 그래서 당신은 방금 우편물이 도착했다고 추론한다. 이러한 각 사례에서 당신은 다른 어떤 것으로부터도 추론되지 않은 것으로부터 또 다른 것을 추론한다.

5) Second, since basic beliefs play the role of justifiers for nonbasic beliefs, they must be justified themselves. Thus there can't be such a things as an unjustified basic belief. Obviously, this is not true for noninferential beliefs in general, which can be justified or unjustified. For example, suppose after many days of rain, wishful thinking induces you to form the noninferential belief

(3) The sun is shining.

You have neither been outside nor looked out the window, nor has anyone told you that the sun is shining. In short, you have no evidence for (3). Thus (3) is not only noninferential but also unjustified, and therefore cannot play the role of a justifier. To see why not, suppose you were to infer

(4) It's warm outside

from (3). Since you are not justified in believing (3) in the first place, you're not justified in believing (4) either. This is so because a belief that doesn't "have" justification can't "give" justification to another. (3), then, is not a basic belief. Unlike (3), basic beliefs must, to repeat the main point, be able to trasmit justification onto nonbasic beliefs, and thus must be justified themselves.
5) 두 번째, 기초적 믿음들은 비기초적 믿음들에 대해 정당화 역할을 수행하므로, 기초적 믿음들은 반드시 그 자체로 정당화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정당화되지 않은 비기초적 믿음 같은 것들은 있을 수 없다. 분명히, 이것은 정당화되거나 정당화되지 않을 수 있는 비추론적 믿음들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참이 아니다. 예를 들어, 여러 날 비가 내린 후 희망사항이 당신으로 하여금 다음과 같은 비추론적 믿음을 형성하도록 하였다고 가정해 보자.

(3) 해가 비춘다.

당신은 밖에 있지도 않았고 창밖을 바라보지도 않았으며, 해가 비추고 있다고 누구도 당신에게 말해주지 않았다. 간략히 말해서, 당신은 (3)에 대한 아무런 증거도 없다. 따라서 (3)은 비추론적일 뿐만 아니라 정당화되지도 않으며, 그러므로 정당화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 어째서 그럴 수 없는지 보기 위해, 당신이 (3)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추론한다고 가정해 보자.

(4) 밖은 따뜻하다.

당신이 애초에 (3)을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지 않으므로, 당신은 (4)를 믿음에 있어서도 정당화되지 않는다. 이것이 그러한 까닭은 정당성을 "지니지" 않는 믿음은 다른 믿음에 정당성을 "줄" 수 없기 때문이다. (3)은 그래서 기초적 믿음이 아니다. (3)과 달리, 핵심을 반복하자면, 기초적 믿음들은 반드시 정당성을 비기초적 믿음들에 전할 수 있어야만 하고, 따라서 그 자체로 정당화되어야만 한다.

6) The first two characteristics of basic beliefs are closely linked to a third. When beliefs are both noninferential and justified, from where do they receive their justification? Foundationalists would say that they receive their justification from a nondoxastic source - that is, not from other beliefs, but from somewhere else: perception or introspection, for example. The third characteristic of basic beliefs, then, is that they are justified nondoxastically - that is, without receiving their justification from other beliefs. Thus, when foundationalists claim that there are basic beliefs, they are implicitly saying that beliefs can receive justification in two altogether different ways: from other beliefs or from some nondoxastic source. When beliefs are justified in the former way, we shall speak of "doxastic" justification, and when they are jus
tified in the latter way,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6) 기초적 믿음들의 처음 두 가지 특징들은 세 번째 특징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믿음들이 비추론적이기도 하고 정당화되기도 한 때에, 그 믿음들은 그 정당성을 어디로부터 받는가?  토대론자들은 그 믿음들이 그 정당성을 비사견적 원천으로부터 받는다고 말할 것이다. - 즉, 다른 믿음들로부터가 아니라, 그와 다른 어딘가로부터, 예를 들어 지각이나 내성으로부터 말이다. 기초적 믿음들의 세 번째 특징은 그래서 그 믿음들이 비사견적으로 정당화된다는 것이다 - 즉, 그 믿음들의 정당성을 다른 믿음들로부터 받지 않고 정당화된다는 이야기이다. 따라서 토대론자들이 기초적 믿음들이 있다고 주장할 때, 그들은 명백하게 그 믿음들이 두 가지 완전히 다른 방식들로 정당성을 받을 수 있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까 다른 믿음들로부터 받거나 일부 비사견적 원천들로부터 받는다는 말이다. 믿음들이 전자의 방식으로 정당화될 때 우리는 "사견적" 정당화라고 말할 것이고, 그 믿음들이 후자의 방식으로 정당화될 때에는 "비사견적" 정당화라고 말할 것이다.

7) Although philosophers often assert that whenever a belief is justified it is justified doxastically, foundationalists insist that there is nondoxastic justification as well. They would say that the kind of justification we have for axiomatic a priori beliefs - which derives from logical or conceptual intuition - is nondoxastic. Furthermore, they would say that perception, introspection, and memory can provide us with nondoxastic justification for our beliefs. Let us consider two examples. Suppose you have formed the noninferential belief

(5) This book is red.

Foundationalists would say that what justifies you in believing (5) is the perception of redness, or, as it is often put, the experience of being appeared to redly.<4> This experience must not be indentified with a belief. Though perceptual experiences typically trigger beliefs, perceiving an object is not the same as having a belief about it. It is possible that the book appears redly to you without your believing anything about either it or its color. If you are presently not interested in whether or not there is a book in front of you, then you might not notice its color, even if it is plainly within your view.
7) 비록 철학자들이 종종 한 믿음이 정당화될 때는 그 언제이든 그 믿음은 사견적으로 정당화된다고 단언한다 하더라도, 토대론자들은 비사견적 정당화도 마찬가지로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들은 우리가 공리적 선험적 믿음들에 대해 지니는 그러한 종류의 정당성 - 논리적 혹은 개념적 직관으로부터 도출되는 - 은 비사견적이라고 말할 것이다. 더 나아가서, 그들은 지각, 내성, 기억이 우리에게 우리의 믿음들에 대한 비사견적 정당성을 제공할 수 있다고 말할 것이다. 두 가지 사례들을 고찰해 보자. 당신이 다음과 같은 비추론적 믿음을 형성하였다고 가정해 보자.

(5) 이 책은 붉다.

토대론자들은 (5)를 믿음에 있어서 당신을 정당화하는 것이 붉음에 대한 지각이라고, 혹은 종종 그렇게 이야기되듯, 붉게 보이는 경험이라고 말할 것이다.<4> 이러한 경험은 믿음과 동일시되지 않아야만 한다. 비록 지각적 경험들이 전형적으로 믿음들을 촉발시킨다 할지라도, 한 대상을 지각함은 그 대상에 대한 믿음을 지님과 같은 것이 아니다. 당신이 그 책에 대해서나 그 책의 색에 대해서나 아무것도 믿지 않고도 그 책이 당신에게 붉게 보이는 것은 가능하다. 만일 당신이 현재 당신 앞에 책 한 권이 있는지 없는지 관심 없다면, 당신은 그 책의 색을 알아차리지 못할 것이다. 설령 그 책이 당신의 시야 안에 분명히 있다고 할지라도 말이다.

8) Just as perceptual experiences can justify a belief nondoxastically, so can introspective experiences. For example, if you believe

(6) I have a craving for a piece of chocolate

then that belief is justified, not by any other belief, but by your experience of having a craving for a piece of chocolate. And since this experience is not a further belief, but rather a mental state that is distinct from the belief that you have that craving, (6) is justified without receiving its justification from another belief.<5>
8) 지각적 경험들이 믿음을 비사견적으로 정당화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내성적 경험들도 그럴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당신이 다음 명제를 믿는다면

(6) 나는 초코렛 한 조각을 간절히 바란다

그 믿음은 다른 어떤 믿음에 의해서도 아니라 당신의 초콜렛 한 조각에 대한 간절한 바람의 경험에 의해 정당화된다. 그리고 이러한 경험은 추가적인 믿음이 아니라, 오히려 당신이 그런 간절한 바람을 가진다는 믿음과 구별되는 정신적 상태이므로, (6)은 그 정당성을 다른 믿음으로부터 받지 않고 정당화된다.<5>

9) To summarize, basic beliefs are (i) noninferential, (ii) justified, and (iii) nondoxastically justified. Obviously, the third of these characteristics implies the second. Furthermore, if a justified belief is inferred from a second belief, then it receives its justification from this second belief. So, if a belief is justified without owing its justification to any other beliefs, it must be noninferential, which means that the third characteristic implies the first as well. Hence we may define basic beliefs simply by saying that they are justified without receiving their justification from any other beliefs.
9) 정리하자면, 기초적 믿음들은 (i) 비추론적이고, (ii) 정당화되며, (iii) 비사견적으로 정당화된다. 분명히, 이러한 특징들 중 세 번째 것은 두 번째 것을 시사한다. 더 나아가서, 만일 정당화된 믿음이 두 번째 믿음으로부터 추론된다면, 그 믿음은 그 정당성을 이러한 두 번째 믿음으로부터 받는다. 그래서, 만일 하나의 믿음이 그 정당성을 다른 어떤 믿음들에도 의존하지 않고 정당화된다면, 그 믿음은 틀림없이 비추론적이며, 그것은 세 번째 특징이 첫 번째 특징도 또한 시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기초적 믿음들을 단순하게 그 믿음들이 다른 어떤 믿음들로부터도 그 정당성을 받지 않고 정당화된다고 말함으로써 정의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Foundationalism Defined
정의된 토대론

1) Having the concept of a basic belief available to us, we can now proceed to define foundationalism as such, or the hard core that is common to all versions of foundationalism.

Foundationalism
(i) Many of our beliefs are basic;
(ii) Every justified inferential belief ultimately receives its justification from one or more basic beliefs.

Foundationalism, thus understood, is a theory about the structure of belief systems. It is not an analysis of epistemic justification. Recall what we said about the analysis of epistemic justification in Chapter 2: its objective is to specify what the property of being epistemically justified supervenes on. It should identify a nonevaluative property (or a set of properties) such that, necessarily, any belief instantiatingthis property (or set of properties) is justified. Obviously, our definition of foundationalism doesn't tell us anything about such a property. There are, however, analyses of epistemic justification that are foundationalist because they imply theses (i) and (ii). The general form of such a foudationalist theory of justification is this:

S is justified in believing that p if and only if either S's belief that p has property F or bears relation R to one or more of S's beliefs that has property F.

An analysis of this form turns into a substantive version of foundationalism if F is replaced with a property that is both necessary and sufficient for a belief's being basic. It would then tell us that there are two kinds of justified beleifs: basic beliefs, which are justified by virtue of having property F; and nonbasic beliefs, which are justified by virtue of bearing relation R to one or several basic beliefs. In order to see how such a foundationalist analysis works out in detail, let us consider one particular version.
1) 우리에게 가용한 기초적 믿음의 개념을 가지고, 우리는 이제 계속해서 토대론이라 할 만한 것을, 혹은 토대론의 모든 형태들에 공통된 핵심을 정의할 수 있다.

토대론
(i) 우리의 믿음들 다수는 기초적이다;
(ii) 모든 정당화된 추론적 믿음은 궁극적으로 그 정당성을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기초적 믿음들로부터 받는다.

이와 같이 이해된 토대론은 믿음 체계의 구조에 대한 이론이다. 그것은 인식적 정당성에 대한 분석이 아니다. 우리가 인식적 정당성에 대해 2장에서 말했던 것을 상기해 보자. 그 분석의 목적은 인식적으로 정당화됨의 속성이 그에 수반하는 것이 무엇인지 상술하는 것이다. 그것은 필연적으로 이러한 속성 (또는 일련의 속성들) 을 예시하는 어떠한 믿음이든 정당화되는 그러한 비평가적 속성 (혹은 일련의 속성들) 을 규정해야 할 것이다. 분명히, 우리의 토대론에 대한 정의는 우리에게 그러한 속성에 대해 어떤 것도 말해주지 않는다. 그렇지만 토대론적인 인식적 정당성의 분석들이 있는데 왜냐하면 그 분석들이 이러한 (i)과 (ii)를 시사하기 때문이다. 그러한 정당성에 대한 토대론적 이론의 일반적 형식은 이와 같다.

S는 p를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 iff S의 p라는 믿음이 속성 F를 가지거나 속성 F를 가지는 S의 믿음들 중 하나 이상과의 관계 R을 가진다.

이러한 형식의 분석은 만일 F가 한 믿음이 기초적이기 위한 필충조건인 속성과 대체된다면 토대론의 실질적인 형태가 된다. 그래서 그것은 우리에게 두 종류의 정당화된 믿음들이 있음을 말해줄 것이다. 기초적 믿음들, 그 믿음들은 속성 F를 가지는 덕분으로 정당화된다. 그리고 비기초적 믿음들, 그러한 믿음들은 하나 이상의 기초적 믿음들에 대한 관계 R를 가지는 덕분에 정당화된다. 어떻게 그러한 토대론적 분석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산출되는지 보기 위해, 하나의 특수한 형태를 고찰해 보도록 하자.


A Sample Foundationalist Analysis
토대론적 분석 견본

1) Let property F be the property of being indubitable, and relation R that of entailment. If a belief B1 entails a belief B2, then it is impossible that B1 is true and B2 is false. And if a belief is indubitable, so let us stipulate, there are no circumstances under which it would be reasonable for the subject who holds that belief to doubt its truth. My belief that my car is still in the parking lot where I parked it is not indubitable because there are possible circumstances under which it would be reasonable of me to doubt that belief. For example, if upon returning to the lot I don't find my car where I thought I left it, and I still don't find it after searching for it, then it would be reasonable of me to doubt it's still there.
1) 속성 F를 의심할 수 없는 속성이라고 하고, 관계 R을 논리적 함축에 속하는 속성이라 하자. 만일 한 믿음 B1이 믿음 B2를 논리적으로 함축한다면, B1이 참이면서 B2가 거짓이기는 불가능하다. 그리고 만일 한 믿음이 의심할 수 없는 것이라면, 우리가 그렇게 규정하기로 하였듯이, 그 아래에서 그 믿음을 보유한 주체가 그 믿음의 참을 의심하는 것이 합리적일 수 있을 그러한 상황은 전혀 없다. 나의 차가 아직 내가 그 차를 주차시켰던 주차장에 있다는 나의 믿음은 의심할 수 없지 않은데 왜냐하면 나에게 그 믿음을 의심하는 것이 합리적일 수 있을 그러한 가능한 상황들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만일 그 주차장에 돌아가서 내가 그 차를 놔뒀다고 생각했던 곳에서 나의 차를 찾지 못한다면, 그리고 내가 그 차를 찾아 봤는데도 여전히 그 차를 발견하지 못한다면, 그 차가 여전히 거기 있다는 것을 의심하는 것이 나에게 합리적일 수 있을 것이다.

2) Let us call our sample analysis "indubitability foundationalism." Indubitability foundationalism tells us the following:

S is justified in believing that p if and only if either S's belief that p is indubitable or entailed by one or more indubitable beliefs.

If this analysis were true, we would have succeeded in specifying the nonevaluative grounds on which the evaluative property of being justified supervenes. However, indubitability foundationalism is unacceptable. There are many justified beliefs that are not indubitable, and there are many justified beliefs that are not entailed by indubitable beliefs. For example, my belief that last night's rainfall hasn't flooded my basement is justified, but it is neither indubitable nor entailed by any indubitable beliefs. A plausible version of foundationalism, then, can't define basic beliefs in terms of indubitability and relation R in terms of entailment.
2) 만일 이러한 분석이 참이라면, 정당화된다는 평가적 속성이 그에 수반하는 비평가적 근거들을 상술함에 있어서 성공하였을 것이다. 그렇지만, 의심불가능성 토대론은 허용가능하지 않다. 의심불가능하지 않은 많은 정당화된 믿음들이 있고, 의심불가능한 믿음들에 의해 논리적으로 함축되지 않는 여러 정당화된 믿음들도 있다. 예를 들어, 지난 밤 폭우가 우리 집 지하를 침수시키지 않았다는 나의 믿음은 정당화되지만, 그것은 의심불가능하지도 않고 어떤 의심불가능한 믿음들에 의해서든 논리적으로 함축되지도 않는다. 그래서 토대론의 설득력 있는 형태는 기초적 믿음들을 의심불가능성으로, R을 논리적 함축으로 정의할 수 없다.


The Regress Argument
소급 논증

1) According to foundationalism, many of our beliefs are basic. On what grounds, however, do foundationalists maintain that there are beliefs that are justified without receiving their justification from other beliefs? The classical argument for the existence of basic beliefs is due to Aristotle (although he certainly cannot be called a "foundationalist" in the contemporary sense of the term). In Posterior Analytics, Aristotle formulated the following argument for the existence of what he called "nondemonstrative knowledge".<6>

Aristotle's Argument
Whenever you know something, your knowledge is demonstrative (derived from premises) or nondemonstrative (gained without being derived from premises). If what you know is derived from premises, you must know the premises themselves, for it is impossible to derive knowledge from unknown premises. But if your knowledge of these premises is demonstrative again, it must be derived from a further set of premises, which in turn you either known nondemonstratively or on the basis of yet another set of premises, and so forth. Hence whenever you know something, your knowledge is either derived from an infinite set of premises, or ultimately grounded in nondemonstrative knowledge. Knowledge, however, cannot be derived from an infinite set of premises. Hence if you know anything at all, some of your knowledge must be nondemonstrative.

This argument is a special case of what is commonly called a "regress argument." The point of a regress argument is to support a proposition by showing that we generate an infinite regress if we deny it, or to attack a proposition by showing that we generate an infinite regress if we assert it. In formulating such an argument, it is always presupposed that the infinite regress in question is intellectually unacceptable.<7>
1) 토대론에 따르면, 위의 믿음들 중 다수는 기초적이다. 그렇지만 무슨 근거로 토대론자들은 다른 믿음들로부터 그 정당성을 받음이 없이 정당화되는 믿음들이 있다고 주장하는가? 기초적 믿음들의 존재에 대한 고전적 논증은 아리스토텔레스에 기인한다 (비록 그가 확실히 그 용어의 현대적 의미에서 "토대론자"라고 불릴 수는 없더라도 말이다). 『분석론 후서』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그가 "비논증적 앎"이라 불렀던 것의 존재에 대한 다음과 같은 논증을 정식화하였다.<6>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증
당신이 무언가 아는 그 언제든, 당신의 앎은 논증적 (전제들로부터 도출되는) 이거나 비논증적 (전제들로부터 도출됨이 없이 획득되는) 이다. 만일 당신이 아는 것이 전제들로부터 도출된다면, 당신은 반드시 전제들 그 자체를 알아야만 하는데왜냐하면 모르는 전제들로부터 앎을 이끌어내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만일 이러한 전제들에 대한 당신의 앎이 다시금 논증적이라면, 그 앎은 반드시 추가적인 일련의 전제들로부터 도출되어야만 한다. 그 전제들이 이번에는 당신이 비논증적으로 알았거나 아직 또 다른 일련의 전제들에 기초하고, 그렇게 계속된다. 따라서 당신이 무언가를 아는 그 언제든지, 당신의 앎은 무한한 일련의 전제들로부터 도출되거나, 아니면 궁극적으로 비논증적 앎에 근거하게 된다. 그렇지만 앎은 무한한 일련의 전제들로부터 도출될 수 없다. 따라서 만일 당신이 좌우간 어떤 것이든 안다면, 당신의 앎의 일부는 반드시 비논증적이어야만 한다.

이 논증은 일반적으로 "소급 논증"이라 불리는 것의 특수한 경우이다. 소급 논증의 요지는 우리가 한 명제를 부정한다면 무한 소급을 산출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그 명제를 뒷받침하거나, 또는 한 명제를 인정한다면 우리가 무한 소급을 산출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그 명제를 공격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한 논증을 정식화함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무한 소급은 지적으로 허용불가능하다는 점이 언제나 가정된다.

2) Since knowledge is intimately related to belief and justification, there is a close connection between nondemonstrative knowledge and basic beliefs. If something is known nondemonstratively, the belief in question (i.e., the belief that amounts to an instance of nondemonstrative knowledge) cannot be justified by other beliefs, and thus must be basic. Hence Aristotle's argument can readily be turned into an argument for the existence of basic beliefs.

The Regress Argument for the Existence of Basic Beliefs
Suppose a belief B1 is justified. Either B1 is basic or nonbasic. If B1 is nonbasic, then there must be a belief B2 that justifies B1. But for B2 to justify B1, B2 must be justified itself. If B2 is nonbasic in turn, then there must be a belief B3 that justifies B2. And since B3 must be justified itself, B3 is either basic or there must be a belief B4 justifying B3. This regress either terminates in a basic belief or it continues ad infinitum. However, an infinite regress of justifying beliefs cannot justify anything. Thus, given our assumption that B1 is justified, the regress must terminate in a basic belief.

According to this argument, there cannot be any justified beleifs at all unless there are basic beliefs capable of terminating a regress of justifying reasons. Thus the argument assigns a precise function to basic beliefs: basic beliefs are regress terminators. It should be evident, therefore, why we have defined basic beliefs as beliefs that are justified without receiving their justification from any other beliefs: if a basic belief is to play the role of a regress terminator, it must be capable of conferring justification on other beliefs without receiving its own justification from yet another belief in the justificatory chain.
2) 앎은 근본적으로 믿음과 정당성에 관련되므로, 비논증적 앎과 기초적 믿음들 사이에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만일 어떤 것이 비논증적으로 알려진다면, 문제가 되는 믿음 (즉, 비논증적 앎의 사례가 되는 믿음) 은 다른 믿음들에 의해 정당화될 수 없고, 따라서 반드시 기초적이어야만 한다. 따라서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증은 순조롭게 기초적 믿음들의 존재에 대한 논증으로 전환될 수 있다.

기초적 믿음들의 존재에 대한 소급 논증
믿음 B1이 정당화된다고 가정하자. B1은 기초적이거나 비기초적이다. 만일 B1이 비기초적이라면, B1을 정당화하는 믿음 B2가 반드시 있어야만 한다. 그러나 B2가 B1을 정당화하기 위해서, B2는 그 자체 정당화되어야만 한다. 만일 이번에는 B2가 비기초적이라면, B2를 정당화하는 믿음 B3가 있어야만 한다. 그리고 B3는 반드시 그 자체 정당화되어야만 하므로, B3가 기초적이거나 B3를 정당화하는 믿음 B4가 반드시 있어야만 한다. 이러한 소급은 기초적 믿음에서 종결하거나 무한까지 지속해야 한다. 그렇지만, 믿음들을 정당화하는 무한 소급은 어떤 것도 정당화할 수 없다. 따라서, B1이 정당화된다는 우리의 전제를 고려하면, 그 소급은 기초적 믿음에서 종결해야만 한다.

이 논증에 따르면, 근거들을 정당화하는 소급을 종결시킬 수 있는 기초적 믿음들이 있지 않는 한 어떠한 정당화된 믿음들이든 전혀 있을 수 없다. 따라서 그 논증은 기초적 믿음들에 대해 정확한 기능을 부과한다. 즉 기초적 믿음들은 소급 종결자들이다. 그러므로 어째서 우리가 기초적 믿음들을 다른 어떠한 믿음들로부터도 그 정당성을 받지 않은 정당화된 믿음들로 정의했는지 분명할 것이다. 즉 만일 하나의 기초적 믿음이 소급 종결자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라면, 그 믿음은 반드시 정당화 연쇄 속에서 다른 믿음들로부터 그 고유한 정당성을 받지 않으면서도 다른 믿음들에 정당성을 부여할 수 있어야만 한다.

3) Before we proceed, we should clear up two possible misconceptions. First, foundationalism does not imply that every basic belief terminates a regress. After all, you may hold a basic belief without inferring anything from it. Rather, what foundationalism does imply is that whenever a belief derives its justification from a chain of supporting beliefs, there must be a basic belief that terminates this regress. Second, foundationalism does not imply that nonbasic beliefs are always supported by single-string regress. Rather, a nonbasic belief can lie at the head of a multiple-string regress. The following figure represents a possible foundational structure of justification:




B1






B2


B3





B4
B5
B6

B7

B8

The justificatory regress begins with two nodes connecting B1 with two further nonbasic beliefs, B2 and B3. It ends with the first node branching out into three and the second node branching out into two more beliefs. The epistemic foundation of B1, then, consists in beliefs B4 through B8, while beliefs B2 and B3 function as intermediate justifiers.<8>
3) 계속하기에 앞서, 우리는 두 가지 가능한 오해들을 정리해야 할 것이다. 첫째로, 토대론은 모든 기초적 믿음들이 소급을 종결시킨다고 시사하지 않는다. 어쨌든, 당신은 다른 아무것도 그로부터 추론하지 않고 하나의 기초적 믿음을 가질 수 있을지도 모른다. 오히려, 토대론이 시사하는 것은 한 믿음이 그 정당성을 믿음들을 뒷받침하는 연쇄로부터 이끌어 오는 언제라도, 거기에는 반드시 이 소급을 종결시키는 기초적 믿음이 있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둘째로, 토대론은 비기초적 믿음들이 언제나 단일-열(-列) 소급에 의해 뒷받침된다고 시사하지 않는다. 오히려, 비기초적 믿음은 다열(多-) 소급의 선두에 놓일 수 있다. 다음 도표는 정당성의 가능한 토대적 구조를 표현한다.




B1






B2


B3





B4
B5
B6

B7

B8

정당화 소급은 B1을 두 개의 추가적인 비기초적 믿음들 B2와 B3에 연결하는 두 가지 매듭들로 시작한다. 그 소급은 세 개의 추가적 믿음들로 가지를 뻗는 첫 번째 매듭과 두 개의 추가적 믿음들로 가지를 뻗는 두 번째 매듭으로 끝난다. B1의 인식적 토대는 따라서 B4에서 B8까지의 믿음들로 구성되는 반면, 믿음들 B2와 B3는 매개 정당화항으로서 기능한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