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herentism and The Regress of Levels
정합론과 수준들의 소급

1) According to the doxastic move, the source from which a justified belief receives its justification consists in beliefs about coherence. Coherentism, if it involves the doxastic move, can therefore be represented thus:

(J) For every belief B that S holds, B is justified if and only if S believes that B coheres with the other beliefs of S's belief system.

Coherentism, thus understood, implies that for every justified belief B, there must be a metabelief B* to the effect that B coheres with the other beliefs of the subject's belief system. So if B is a justified belief of mine and its justification is derived from beliefs about coherence, then I must hold at least one belief B* to the effect that B coheres with my belief system. What, however, about the justification of B* itself? According to (J), the justification of B* has its source in a belief B** to the effect that B* coheres with my belief system. The same is true, of course, of B**, B***, and so on. (J) generates, therefore, an infinite regress of the following kind:

B*    My belief B coheres with my other beliefs.
B**    Belief B* coheres with the rest of my beliefs.
B***    Belief B** coheres with the rest of my beliefs.

About this regress, it is important to notice that it isn't simply an ordinary regress of justifying beliefs; rather, it is a regress that traverses through an infinite series of doxastic levels. B* is a belief about a belief, and thus a metabelief; B** is a belief about a metabelief, and thus a meta-metabelief, and so forth. In this way, the doxastic move generates an infinite hierarchy of doxastic levels.<11>
1) 사견적 조치에 따르면, 정당화된 믿음이 그 정당성을 받아오는 원천은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정합론은 만일 그것이 사견적 조치를 포함한다면 다음과 같이 재진술될 수 있다.

(J) S가 지닌 모든 믿음 B에 대해서, B는 정당화된다 iff S는 B가 S의 믿음체계에 속하는 다른 믿음들과 정합적이라고 믿는다.

그와 같이 이해된 정합론은 모든 정당화된 믿음 B에 대하여, 반드시 B가 주체의 믿음 체계에 속하는 다른 믿음들과 정합적이라는 취지의 메타믿음 B*가 있어야만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래서 만일 B가 나의 믿음들 중 정당화된 믿음이고 그 정당성이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로부터 도출된다면, 나는 반드시 최소한 B가 나의 믿음 체계와 정합적이라는 취지의 믿음 B*를 하나는 가지고 있어야만 한다. 그렇지만 B* 그 자체의 정당성에 대해서는 어떠한가? (J)에 따르면, B*의 정당성은 그 원천을 B*가 나의 믿음 체계에 정합적이라는 취지의 믿음 B** 내에 둔다. 물론 B**, B*** 등에 대해서도 동일한 것이 참이다. 그러므로 (J)는 다음과 같은 종류의 무한 소급을 산출한다.

B*    나의 믿음 B는 나의 다른 믿음들과 정합적이다.
B**    믿음 B*는 나의 나머지 믿음들과 정합적이다.
B***    믿음 B**는 나의 나머지 믿음들과 정합적이다.

이 소급에 대해서, 그것이 단순히 정당화하는 믿음들의 일상적 소급은 아님을 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오히려, 이 소급은 사견적 수준들의 무한한 연쇄를 가로질러 나아간다.  B*는 믿음에 대한 믿음이고, 따라서 메타믿음이다. B**는 메타믿음에 대한 믿음이고, 따라서 메타-메타믿음이며 이렇게 계속해서 나아간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견적 조치는 사견적 수준들의 무한 체계를 산출한다.<11>

2) Such an infinite hierarchy is problematic for two reasons. First, quite early in the regress, such beliefs become too complicated to be comprehended. Just consider what B** amounts to when we let B stand for the belief that there is a book on the desk:

My belief that my belief "There is a book on the desk" coheres with my other beliefs coheres with my other beliefs.

Second, it is impossible for finite minds to hold an infinite series of such beliefs. The doxastic move must be considered, therefore, a prescription for skepticism. Let us see why.
2) 그러한 무한 체계는 두 가지 이유로 문제가 있다. 첫째로, 그 소급의 상당히 이른 지점부터, 그런 믿음들은 파악될 수 없을 만큼 지나치게 복잡해지기 시작한다. 우리가 B를 책상 위에 책 한 권이 있다는 믿음으로 대신하고자 할 때 B**가 무엇이 될지만 고려해 보자.

"책상 위에 책 한 권이 있다"라는 나의 믿음이 나의 다른 믿음들과 정합적이라는 나의 믿음은 나의 다른 믿음들과 정합적이다.

둘째, 유한한 정신들이 그러한 믿음들의 무한 연쇄를 지니는 것은 불가능하다. 사견적 조치는 그러므로 회의주의의 처방으로 간주되어야만 한다. 어째서 그러한지 살펴 보도록 하자.

3) According to the doxastic move, the source from which every justified belief receives its justification consists in beliefs about coherence. In other words, it is a necessary condition of justification that every justified belief B be accompanied by a belief B*, which attributes to B the property of being a member of a coherent system of beliefs. Since each belief attributing this property must itself be accompanied by a belief attributing this property, the doxastic move in effect implies that every justified belief be accompanied by an infinite series of metabeliefs. Since it is impossible for finite minds to form such an infinite series of metabeliefs, the doxastic move imposes a condition on justification finite minds cannot satisfy. Hence humans, falling short of having infinite minds, cannot have justified beliefs.
3) 사견적 조치에 따르면, 모든 정당화된 믿음들이 그 정당성을 받아오는 원천은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로 이루어진다. 달리 말해서, 모든 정당화된 믿음 B는 B에게 믿음들의 정합적 체계에 속하는 구성원이라는 속성원이라는 속성으로 기여하는 믿음 B*에 의해 동반된다는 것이 정당성의 필요조건이다. 이러한 속성에 기여하는 각 믿음은 반드시 그 자체로 이 속성에 기여하는 믿음에 의해 동반되어야만 하므로, 사견적 조치는 사실상 모든 정당화된 믿음이 메타믿음들의 무한 연쇄에 의해 동반됨을 시사한다. 유한한 정신들이 메타믿음들의 그러한 무한 연쇄를 형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사견적 조치는 유한한 정신들이 만족시킬 수 없는 조건을 정당화에 부과한다. 따라서 무한한 정신을 가지기에는 역부족인 인간들은 정당화된 믿음들을 가질 수 없다.

4) Could coherentists reply that the formation of a metabelief of the form "B coheres with my other beliefs" is not really a necessary condition? Of course they could do so, but not without implicitly admitting the possibility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For the point of the doxastic move is to maintain the coherentist position - according to which nondoxastic justification is impossible - without admitting coherence itself as a source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Hence the result the doxastic move is supposed to ensure is this: Every justified belief owes its justification, at least in part, to beliefs about coherence. But as we have seen, this result comes with the price tag of an infinite regress. It is true that this regress can be avoided by abandoning the idea that justification through beliefs about coherence is a necessary ingredient of all justification. However, as soon as that idea is abandoned, the door is opened to let nondoxastic justification in and let it play its proper part within a foundationalist theory.
4) 정합론자들은 "B가 나의 다른 믿음들과 정합적이다"라는 형식의 메타믿음 형성이 실제로는 필요조건이 아니라고 답할 수 있을 것인가? 물론 그들은 그렇게 답할 수 있을 것이지만, 함축적으로 비사견적 정당화의 가능성을 인정함이 없이는 그럴 수 없다. 왜냐하면 사견적 조치의 핵심이 정합론적 입장 - 그에 따르면 비사견적 정당화는 불가능하다 - 을 정합성 자체를 비사견적 정당화의 원천으로 인정함이 없이 견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견적 조치가 보장하는 것으로 가정되는 결과는 이와 같다. 모든 정당화된 믿음들은 그 정당성을 최소한 부분적으로나마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로부터 빌려온다. 그러나 우리가 보았듯이 이러한 결론은 무한 연쇄라는 가격표를 달고 온다. 이 연쇄가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을 통한 정당화가 모든 정당성의 필수 구성요소라는 발상을 폐기함으로써 회피될 수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그 발상이 폐기되자 마자, 비사견적 정당화를 들여 보내고 그 비사견적 정당화를 토대론적 이론 내에서의 그 적절한 부분에서 역할하도록 하는 문이 열린다.


The Bonjourean Level Regress
봉주르적 레벨 소급

1) It is worthwhile to examine precisely how Bonjour's conception of level ascent, which is based on what we have called the "doxastic move," generates an infinite regress. According to Bonjour, basic beliefs are impossible because every justified empirical belief owes its justification to at least two premises, as exhibited in the following schema:

(1) B has feature F.
(2) Beliefs having feature F are very likely to be true.
Therefore:
(3) B is very likely to be true.<12>

This schema is an account of how beliefs receive their justification: a belief is justified if and only if it is supported by premises (1) and (2). While the schema itself is silent as to whether premises (1) and (2) must simply be true or must take the form of actual beliefs, Bonjour is explicit about his view on this matter. He demands that (1) and (2) take the form of actual beliefs. What justifies our beliefs, according to Bonjour, isn't the fact of coherence, but rather our beliefs about coherence.<13>
1) 어떻게 우리가 "사견적 조치"라 불렀던 것에 기초한 봉주르의 수준 소급 개념이 무한 소급을 산출하는지는 검토할 가치가 있다. 봉주르에 따르면, 기초적 믿음들은 불가능한데 왜냐하면 모든 정당화된 경험적 믿음들은 그 정당성을 적어도 두 가지 전제들, 다음 도식에서 표현되는 것과 같은 전제들로부터 빌려온다.

(1) B는 특징 F를 지닌다.
(2) 특징 F를 지니는 믿음들은 매우 참일 성싶다.
그러므로:
(3) B는 매우 참일 성싶다.<12>

이 도식은 어떻게 믿음들이 그 정당성을 받는지에 대한 설명이다. 즉 믿음은 정당화된다 iff 그 믿음이 전제 (1)과 (2)에 의해 뒷받침된다. 그 도식 자체는 전제 (1)과 (2)가 반드시 단순하게 참이어야 하는지 혹은 반드시 실제 믿음들의 형식을 취해야 하는지에 대해 침묵하는 반면, 봉주르는 이 문제에 대한 그의 관점에 대해 분명하다. 그는 (1)과 (2)가 실제 믿음들의 형식을 취할 것을 요구한다. 우리의 믿음들을 정당화하는 것은 봉주르에 따르면 정합성에 대한 사실이 아니라 정합성에 대한 우리의 믿음들이다.<13>

2) Bonjour's schema does not impose as a necessary condition that each justified belief B must be accompanied by an explicit belief to the effect that B coheres with the subject's other beliefs. After all, a subject who does not have the concept of coherence and so could not ask herself whether her belief system enjoys coherence could still believe (1) and (2), and thus believe what in effect amounts to the requisite beliefs about coherence. Nevertheless, Bonjour's schema does generate a regress just as serious as the one we considered above. The point of the displayed schema is this: No belief can be justified unless it is accompanied by further beliefs that are reason for its truth, such as (1) and (2). And clearly these reasons themselves must be justified. Hence (1) and (2) in turn must satisfy Bonjour's schema - which is what generates a level regress.
2) 봉주르의 도식은 필요조건으로서 각각의 정당화된 믿음 B가 반드시 B가 주체의 다른 믿음들과 정합적이라는 취지의 명백한 믿음에 의해 동반되어야만 한다는 점을 부과하지 않는다. 무엇보다도, 정합성의 개념을 지니고 있지 않고 그래서 그녀 스스로 그녀의 믿음 체계가 정합성을 향유하는지 물을 수 없을 그러한 주체도 여전히 (1)과 (2)를 믿을 수 있을 것이며, 따라서 사실상 필요조건이 되는 것은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이라는 것을 믿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봉주르의 도식은 우리가 위에서 고찰하였던 것과 마찬가지로 심각한 소급을 산출한다. 제시된 도식의 핵심은 이것이다. 즉 어떠한 믿음도 (1)과 (2)와 같은 그 믿음의 참에 대해 근거가 되는 추가적 믿음들에 의해 동반되지 않고서는 정당화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명백히 이러한 근거들 자체도 반드시 정당화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1)과 (2)가 이번에는 봉주르의 도식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 그것은 곧 수준 소급을 산출하는 것이다.

3) To see how this goes, let's focus on (1). For the original belief, B, to be justified, (1) must be justified. Consequently, it is a necessary condition of B's justification that the subject form the metabelief

B*    (1) has feature F.

This metabelief, too, must satisfy Bonjour's schema. Thus we are led to a meta-metabelief:

B**    My belief "(1) has feature F" has feature F.

And since this belief as well must satisfy the schema, we get a meta-meta-metabelief B***:

B***    My belief "My belief (1) has feature F has feature F" has feature F.

Each further metabelief in the series must be justified in the same way, and thus an infinite regress of doxastic levels is generated, a regress that is just as pernicious as the one we considered above. Consider the complexity of the metabelief at the thir level, and let the belief to be justified be "There is a book on the table":

My belief that my belief that there is a book on the table has feature F has feature F has feature F.

To impose the formation of an infinite series of such metabeliefs as a necessary condition on justification is to make justification impossible. We are led to conclude, therefore, that Bonjour's doxasticism - his insistence that a belief's justifying grounds must consist in further beliefs - leads straight into the abyss of skepticism about the possibility of justified belief.
3) 이것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보기 위해, (1)에 초점을 맞추어 보자. 본래의 믿음 B가 정당화되기 위해 (1)은 반드시 정당화되어야만 한다. 결론적으로, 주체가 다음과 같은 메타믿음을 형성하는 것이 B의 정당성에 대한 필요조건이다.

B*    (1)은 특징 F를 지닌다.

이러한 메타믿음은 마찬가지로 봉주르의 도식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따라서 우리는 다음의 메타-메타믿음으로 인도된다.

B**    "(1)은 특징 F를 지닌다"라는 나의 믿음은 특징 F를 지닌다.

그리고 이러한 믿음도 또한 그 도식을 반드시 만족시켜야만 하므로, 우리는 메타-메타-메타 믿음 B***를 얻는다:

B***    "(1)이 특징 F를 지닌다는 나의 믿음이 특징 F를 지닌다"라는 나의 믿음은 특징 F를 지닌다.

이 연쇄에서 각각의 추가적인 메타믿음은 반드시 동일한 방식으로 정당화되어야만 하며, 따라서 우리가 위에서 고찰하였던 것과 마찬가지로 치명적인 사견적 수준들의 무한 소급이 산출된다. 정당화될 믿음을 "책상 위에 책 한 권이 있다"라고 치고 세 번째 수준에서 메타믿음의 복잡성을 고찰해 보자.

책상 위에 책 한 권이 있다는 나의 믿음이 특징 F를 지닌다는 나의 믿음이 특징 F를 지닌다는 나의 믿음이 특징 F를 지닌다.

그러한 메타믿음들의 무한 연쇄의 형성을 정당성에 필요조건으로 부과하는 것은 정당화를 불가능하게 만드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봉주르의 사견주의 - 한 믿음의 정당화 근거들은 반드시 추가적 믿음들로 구성되어야만 한다는 그의 주장 - 는 정당화된 믿음의 가능성에 대한 회의주의의 심연으로 곧장 인도한다는 결론을 내리는 쪽으로 이끌린다.

4) In response to this argument, Bonjour has argued that although a justified belief is always justified through further beliefs that are reasons for its truth, these further beliefs need not be metabeliefs.<14> This claim, however, is at odds with Bonjour's own general justificatory schema, which makes the formation of metabeliefs a necessary condition of justification. Now, Bonjour tries to get around this difficulty by conceding that the formation of actual beliefs in the form of premises (1) and (2) is a necessary condition of justification - but not for just any belief, merely for beliefs of a certain kind. Thus, in the following passage, he point out that his schema is intended to require metajustification only for "putatively foundational" beliefs:

It needs to be stressed, however, that the schema was formulated with putatively foundational beliefs, those for which no ordinary inferential justification is offered, in mind and was not necessarily intended to generalize to all cases in which one belief provides a reason for thinking another to be true.<15>

Bonjour proposes, then, that the schema in question is applicable only to those beliefs foundationalists would take to be basic: beliefs for which an "ordinary inferential justification" cannot be offered. Concerning those beliefs for which an ordinary inferential justification can be offered, the beliefs justifying them need not be metabeliefs. Rather, such beliefs can be justified by ordinary reasons that are located at the first level. Thus Bonjour writes:

But what is essential, on my view, is simply that the believer possess such a cogent reason, whatever form it may take…. It is not necessary that a reason for thinking that a belief is likely to be true take the form of a metabelief.<16>

Bonjour, then, distinguishes between two kinds of beliefs: (i) beliefs for which an ordinary inferential justification cannot be offered (the kind of beliefs that foundationalists take to be basic); and (ii) beliefs for which an ordinary inferential jutification can be offered. Let's refer to the former as noninferential and the latter as inferential beliefs. Bonjour maintains that both types of beliefs cannot be justified unless supported by justifying reasons in the form of further beliefs. For noninferential beliefs, these reasons must take the form of metabeliefs, because, as Bonjour concedes, such beliefs must satisfy the schema displayed above. For inferential beliefs, however, justifying reasons need not take the form of metabeliefs. And therefore, according to Bonjour, the problem of the infinite level regress is avoided.
4) 이러한 논증에 응답함에 있어서 봉주르는 비록 정당화된 믿음이 언제나 그 믿음의 참에 대한 근거들이 되는 추가적 믿음들을 통해서 정당화된다 할지라도, 이러한 추가적 믿음들은 메타믿음들일 필요가 없다고 주장해 왔다.<14> 그렇지만 이러한 주장은 메타 믿음들의 형성을 정당화의 필요조건으로 만드는 봉주르 자신의 일반적 정당화 도식과 충돌한다. 이제, 봉주르는 전제 (1)과 (2)의 형식에 있어서 실제적 믿음들의 형성이 정당화의 필요조건임을 인정함으로써 - 그러나 어떤 믿음에 대해서든이 아니라, 특정 종류의 믿음들에 대해서만 - 이와 같은 어려움을 우회하고자 시도한다. 따라서, 다음 구절에서, 그는 그의 도식이 "추정적 토대론적" 믿음들에 대해서만 메타정당성을 요청하는 경향이 있음을 지적한다.

그렇지만 그 도식이 그에 대해 어떠한 일상적인 추론적 정당화도 제공되지 않는 그러한 추정적 토대론적 믿음들을 가지고 정식화되었다는 점은 강조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그 도식이 필연적으로 한 믿음이 또 다른 믿음을 참인 것으로 생각할 이유를 제공하는 모든 경우들에 일반화되는 경향이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15>

그래서 봉주르는 문제가 되는 도식이 오로지 토대론자들이 기초적이라고 간주할 그러한 믿음들에 대해서만 적용가능하다고 제안한다. 즉 "일상적 추론적 정당화"가 그에 대해 제공될 수 없는 그러한 믿음들에 대해서만 말이다. 일상적 추론적 정당화가 그에 대해 제공될 수 없는 그러한 믿음들과 관련하여, 그 믿음들을 정당화하는 믿음들은 메타믿음들일 필요가 없다. 오히려, 그러한 믿음들은 첫 번째 수준에 정위되는 일상적 추론들에 의해 정당화될 수 있다. 따라서 봉주르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그러나 내 관점에서 본질적인 것은 단순히 믿는 사람이 어떤 행태가 되었든지 간에 설득력 있는 그러한 근거를 지닌다는 것이다…. 한 믿음이 참일 성싶다고 생각할 근거가 메타믿음의 형식을 취하는 것이 필연적이지는 않다.<16>

그래서 봉주르는 두 종류의 믿음들을 구분한다: (i) 그에 대해 일상적 추론적 정당화가 제공될 수 없는 그러한 믿음들(토대론자들이 기초적이라고 간주하는 그런 종류의 믿음들), 그리고 (ii) 그에 대해 일상적 추론적 정당화가 제공될 수 있는 그러한 믿음들. 전자를 비추론적 믿음들, 그리고 후자를 추론적 믿음들이라 부르도록 하자. 봉주르는 두 유형의 믿음들 모두 추가적 믿음들의 형식으로 정당화하는 근거들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 한 정당화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비추론적 믿음들에 대해서, 이러한 근거들은 반드시 메타믿음들의 형식을 취해야만 하는데, 왜냐하면 봉주르가 인정하는 바와 같이 그러한 믿음들은 반드시 위에서 제시된 도식을 만족시켜야만 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추론적 믿음들에 대해서 정당화하는 근거들은 메타믿음들의 형식을 취할 필요가 없다. 또한 그러므로 봉주르에 따르면 무한 수준 소급의 문제는 회피된다.

5) It is not difficult to see why this reply enjoys only limited success. Bonjour states explicitly that his schema was formulated with those beliefs in mind that foundationalists take to be basic: cognitively spontaneous beliefs for which an ordinary inferential justification is difficult to come by. His own example of such a belief is "There is a red book on the desk."<17> Now, our beliefs about our physical surroundings are to a very large extent beliefs of this type. If beliefs of this type must satisfy Bonjour's schema, then it follows, becasue of the infinite regress Bonjour's schema generates, that it is impossible for beliefs of this type to be justified. Thus Bonjour's theory leads to a strange consequence: whereas inferential beliefs can be justified, noninferential beliefs such as "There is a red book on the desk" cannot. This is a reversal of what epistemologists have typically thought: that the potential strength of an empirical belief's justification is a function of its proximity to perceptual experience. The closer a belief is connected to perceptual experience, the better its potential for justification, and the further inference removes a belief from justification, the worse its potential for justification. Be this as it may, the implication that cognitively spontaneous beliefs about ordinary physical objects can't be justified should be unacceptable to anyone opposed to skepticism about the possibility of justified belief.
5) 어째서 이러한 응답이 제한적으로만 성공하는지 알아보는 것은 어렵지 않다. 봉주르는 명백하게 그의 도식이 토대론자들이 기초적이라 여긴 그러한 믿음들을 염두에 두고 그와 관련하여 정식화되었다고 진술한다. 즉 그에 대해 일상적 추론적 정당화가 획득되기 어려운 그러한 인지적으로 자발적인 믿음들과 관련된다. 그러한 믿음에 대한 그의 고유한 예시는 "책상 위에 붉은 책 한 권이 있다"이다.<17> 이제, 우리를 둘러싼 물리적인 것들에 대한 우리의 믿음들은 이러한 종류에 속한 아주 대규모의 믿음들이다. 만일 이러한 유형의 믿음들이 반드시 봉주르의 도식을 만족시켜야만 한다면, 봉주르의 도식이 산출하는 무한소급으로 인하여, 이런 유형의 믿음들이 정당화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이 귀결된다. 따라서 봉주르의 이론은 이상한 결론으로 이끈다. 즉 추론적 믿음들은 정당화될 수 있는 반면, "책상 위에 붉은 책 한 권이 있다"와 같은 비추론적 믿음들은 그럴 수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인식론자들이 전형적으로 지니는 사유, 경험적 믿음의 정당화의 잠재적 힘은 그 정당성의 지각적 경험에 대한 근사치의 기능이라는 사유와 반대이다. 한 믿음이 지각적 경험과 더욱 밀접하게 관련될 수록, 그 믿음의 정당화에 대한 잠재적 가능성은 더욱 나아지고, 더 많은 추론이 정당화로부터 믿음을 제거할 수록, 그 믿음의 정당화에 대한 잠재적 가능성은 나빠진다. 그것은 그렇다 치고, 일상적인 물리적 대상들에 대한 인지적으로 자발적인 믿음들이 정당화될 수 없다는 함축은 정당화된 믿음의 가능성에 대한 회의주의에 반대하는 누구에게든 수용불가능한 것이어야 할 것이다.

6) Suppose Bonjour were to say that even as far as noninferential beliefs are concerned, the necessary justifying reasons need not be metabeliefs. In that case, we would have to ask what types of justifying reasons we could possibly find for such beliefs except for reasons such as premises (1) and (2) in Bonjour's schema. After all, Bonjour himself describes the beliefs in question - putatively foundational beliefs - as those for which no ordinary inferential justification can be offered. Hence if Bonjour were to abandon his justificatory schema even for noninferential beliefs, it would remain entirely mysterious how, according to his theory, such beliefs could be justified at all.<18>
6) 봉주르가 비추론적 믿음들이 관계되는 한에서조차, 필연적인 정당화 근거들이 메타믿음들일 필요는 없다고 말하게 된다고 가정해 보자. 그 경우, 우리는 봉주르의 도식에서 전제 (1)과 (2)와 같은 근거들 외에 그러한 믿음들에 대해 우리가 어떤 종류의 근거들을 발견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한지 물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봉주르 자신은 문제는 되는 믿음을  - 추정적 토대론적 믿음들 - 그에 대해 어떠한 일상적인 추론적 정당성도 제공될 수 없는 것으로 기술한다. 따라서 만일 봉주르가 비추론적 믿음들에 대해서조차 그의 정당화 도식을 폐기한다면, 그의 이론에 따라 어떻게 그러한 믿음들이 도대체 정당화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점은 전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것으로 남을 것이다.

7) Thus the objection that Bonjour's doxastic conception of coherentist justification generates an infinite level regress remains in full force at least as far as noninferential beliefs are concerned. The moral of this objection would seem to be this: Either coherentism turns into a version of skepticism with regard to noninferential beliefs, or it is construed as a theory that views coherence itself as a source of justification, and thus allows for nondoxastic justification in principle. This, of course, is a bitter pill for coherentists to swallow, for once the possibility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is conceded, it becomes unclear how they could justify their principled opposition to the foundationalist claim that there are basic beliefs.
7) 따라서 정합론적 정당성에 대한 봉주르의 사견주의적 개념이 무한 수준 소급을 산출한다는 반박은 최소한 비추론적 믿음들과 관계되는 한에서는 강력한 것으로 남는다. 이 반박의 탁월성은 이와 같은 것으로 보일 터이다. 즉 정합론이 비추론적 믿음들과 관련하여 회의주의의 한 형태로 드러나거나, 정합성 자체를 정당성의 원천으로 간주하는 이론으로, 따라서 원칙적으로 비사견적 정당화에 대해 허용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이것은 정합론자가 받아들이기에는 쓰디쓴 약인데, 왜냐하면 일단 비사견적 정당화의 가능성이 인정되고 나면, 어떻게 그들이 기초적 믿음들이 있다는 토대론적 주장에 대한 그들의 원칙적 반대를 정당화할 수 있을 것인지는 불분명해지기 때문이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