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Four


The Concept of Epistemic Justification
인식적 정당성이라는 개념

Epistemic Justification and Two Kinds of Normativity
인식적 정당성과 두 종류의 규범성

1) In Chapter 2, we distinguished among (i) defining a simple concept, (ii) analyzing a complex concept, and (iii) stating criteria for the application of a concept, and we discussed the problems that arise when we try to state criteria of epistemic justification. In this chapter, we shall focus on defining the meaning of that concept.<1>
1) 2장에서, 우리는 (i) 단순한 개념을 정의하는 것, (ii) 복잡한 개념을 분석하는 것, 그리고 (iii) 개념의 적용을 위한 기준들을 진술하는 것을 구분하였고, 우리가 인식적 정당성의 기준들을 진술하고자 시도할 때 일어나는 문제들을 논의하였다. 이 장에서, 우리는 그 개념의 의미를 정의하는 데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1>

2) The concept of epistemic justification, most philosophers would agree, is a normative one.<2> When a belief is said to be justified, it is positively appraised, evaluated as the kind of belief we favor vis-a-vis the epistemic end: the end of seeking truth and avoiding error, which is ultimately the end of acquiring knowledge.<3> What, however, do we mean by saying that a belief is appropriate, or favorable, vis-a-vis the epistemic end?
2) 인식적 정당성의 개념은, 대부분의 철학자들이 동의할 터인데, 규범적인 개념이다.<2> 하나의 믿음이 정당화된다고 이야기될 때, 그 믿음은 긍정적으로 평가받고, 우리가 인식적 목적에 맞추어 선호하는 그런 종류의 믿음으로 평가된다. 그 목적은 진리를 추구하고 오류를 피하는 것, 궁극적으로 앎의 획득이라는 목적이다.<3> 그렇지만 우리가 한 믿음이 적절하다거나, 선호할 만하다거나, 인식적 목적에 부합한다고 말함으로써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3) Answers to this question fall into two basic categories: deontological and nondeontological. According to deontological views, the meaning of the concept of epistemic justification is to be defined in deontic terms, terms such as "duty," "obligation," "permission," and "freedom from blame." The deontological view we shall discuss in this chapter asserts that whether a particular belief is justified is a function of meeting epistemic duties, duties that arise from aiming at the end of seeking truth and avoiding falsehood.
3) 이 물음에 대한 대답은 두 가지 기본적인 범주들로 나뉜다. 그것들은 의무론적인 것과 비의무론적인 것이다. 의무론적 관점에 따르자면, 인식적 정당성이라는 개념의 의미는 의무적 용어들, "의무," "책임," "승인," "비난으로부터 자유로움"과 같은 용어들로 정의되는 것이다. 우리가 이 장에서 논의할 의무론적 관점은 한 특정한 밍므이 정당화되는지 여부는 인식적 의무들을 충족시키는 일과 상관관계이다. 그 의무들은 진리를 찾고 거짓을 피하는 목적을 지향함으로부터 발생하는 의무들이다.

4) According to nondeontological views, a belief's being justified is a normative status, but the normativity in question here is simply one of goodness, or appropriateness, without involving anything having to do with duty, blame, or responsibility. For example, when a particular pig wins first prize at a county fair in rural Iowa, it is being appraised as excelling in a number of relevant respects, such as fatness and rosy skin. Obviously, the pig's normative status as a prize pig has nothing to do with its fulfilling any duties. In like fashion, we regularly evaluate, in a nondeontological way, things such as cars, tennis rackets, and bicycles as good or bad, or appropriate or inappropriate, vis-a-vis a certain end. Advocates of the nondeontological approach would say that when beliefs are evaluated as epistemically justified or unjustified, they are simply being appraised as good or bad, or appropriate or inappropriate, vis-a-vis the end of having true beliefs and avoiding false beliefs. William Alston formulates the possibility of nondeontological epistemic evaluation as follows:

One can evaluate S's believing that p as a good, favorable, desirable, or appropriate thing without thinking of it as fulfilling or not violating an obligation … it could simply be a matter of the possession of certain good-making characteristics.<4>

Alston's own theory is an example of this nondeontological approach. Here is how he defines the concept of epistemic justification:

Alston's Nondeontological Concept of Justification
S is epistemically justified in believing p if and only if S's believing p, as S did, was a good thing from the epistemic point of view, in that S's belief p was based on adequate grounds and S lacked sufficient overriding reasons to the contrary.<5>

Later we shall discuss in detail what Alston means by "adequate grounds." For now, what matters is that his definition makes no use of the concept of epistemic duty or any other deontic concepts. Justified beliefs are nondeontologically defined as beliefs that, by virtue of having certain characteristics, are good beliefs vis-a-vis the epistemic end. Later in the chapter, we shall discuss some of Alston's objections to the deontological approach. First, however, we must consider the view according to which the meaning of epistemic justification must be understood in terms of duty.
4) 비의무론적 관점들에 따르자면, 한 믿음의 정당화됨은 규범적 상태이지만, 여기에서 문제가 되는 그 규범성은 단순히 좋음, 또는 적절함에 속하는 그러한 규범성이며, 의무, 비난, 또는 책임성과 관계되는 아무것도 포함하지 않는 규범성이다. 예를 들어, 특정한 돼지 한 마리가 아이오와 시골의 가축 품평회에서 1등을 했을 때, 그 상황은 관계된 여러 측면들에 있어서 탁월함으로서 평가받은 것이다. 살집과 장미빛 살가죽 같은 것들 말이다. 분명히, 상을 맏은 돼지로서 그 돼지의 규범적 상태는 어떠한 의무들을 이행하는 것과도 관련된 것이 전혀 없다. 같은 방식으로, 우리는 자주 차들, 테니스 라켓들, 자전거들 같은 것들을 좋거나 혹은 나쁘다고, 혹은 적절하거나 부적합하다고, 특정한 목적에 걸맞는다고 평가한다. 비의무론적 접근의 옹호자들은 믿음들이 인식적으로 정당화된다든지 혹은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평가될 때, 그 믿음들은 단순히 좋거나 나쁜 것, 혹은 적절하거나 부적절한 것, 참된 믿음들을 가지고 거짓 믿음들을 피하는 목적에 부합하는 것으로 평가받는 것이다. 윌리엄 알스톤은 비의무론적 인식적 평가의 가능성을 다음과 같이 정식화한다.

S의 p라는 믿음을, 그 믿음을 하나의 책임을 이행하거나 또는 위반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하지 않고 좋은 것, 선호할 만한 것, 바람직한 것, 또은 적절한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 그것은 단순히 특정한 좋게 만드는 특징들의 소유 문제일 수 있을 것이다.

알스톤 자신의 이론은 이러한 비의무론적 접근법의 일례이다. 그가 인식적 정당성 개념을 정의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알스톤의 비의무론적 정당성 개념
S는 p를 믿음에 있어서 인식적으로 정당화된다 iff S가 믿었듯이, S의 p라는 믿음이 인식적 관점에서, S의 p라는 믿음이 적절한 근거들에 기초되었고 반대되는 더 중요한 충분한 이유들을 결핍하였다는 점에서, 좋은 것이었다. <5>

이후에 우리는 알스톤이 "적절한 근거들"을 가지고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상세하게 논의할 것이다. 지금은, 그의 정의가 인식적 의무나 어떤 다른 의무론적 개념들도 전혀 이용하지 않는다는 것이 문제가 된다. 정당화된 특정한 특징들을 가지는 덕분으로 인식적 목적에 부합하는 좋은 믿음들인 그러한 믿음들로서 비의무론적으로 정의된다. 이 장 뒷부분에서, 우리는 의무론적 접근에 대한 알스톤의 반박들 중 일부를 논의할 것이다. 그렇지만 우선 우리는 그에 따르면 인식적 정당성의 의미가 반드시 의무라는 말로 이해되어야만 한다는 그러한 관점을 고찰해 보아야만 한다.


The Deontological Approach
의무론적 접근

1) The deontological concept of epistemic justification has its origin in the works of Descartes and Locke.<6> In the fourth of his Meditations, Descartes explains erroneous judgment as a misuse of intellectual freedom. He argues that it is up to us whether or not to believe a given proposition, and that we ought to believe it only when we perceive its truth clearly and distinctly. To believe a proposition in the absence of a clear and distinct perception of its truth is an intellectual failing, a failing for which we are fully responsible and may justly be blamed.
1) 인식적 정당성의 의무론적 개념은 데카르트와 로크의 작업들에 그 기원을 가진다.<6> 그의 『성찰』 4편에서 데카르트는 지성적 자유의 오용으로서의 잘못된 판단을 설명한다. 그는 주어진 명제를 믿을지 믿지 않을지는 우리에게 달려 있다고 주장하며, 우리는 오직 우리가 그 믿음의 참을 확실하고 뚜렷하게(명석판명-_-) 인지할 때에만 그 믿음을 믿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 믿음의 참에 대한 확실하고 뚜렷한 지각이 없이 하나의 명제를 믿는다는 것은 지적 실패, 그에 대한 책임이 완전히 우리에게 있고 또 그로 인해 비난받아 마땅한 그러한 실패이다.

2) In his 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Locke discusses the subject of intellectual responsibility in the same fashion. He writes:

He that believes, without having any reason for believing, may be in love with his own fancies; but neither seeks truth as he ought, nor pays the obedience due his maker, who would have him use those discerning faculties he has given him, to keep him out to mistake and error. He that does not this to the best of his power, however he sometimes lights on truth, is in the right but by chance; and I know not whether the luckiness of the accident will excuse the irregularity of his proceeding. This at least is certain, that he must be accountable for whatever mistakes he runs into: whereas he that makes use of the light and faculties God has given him, and seeks sincerely to discover truth, by those helps and abilities he has, may have this satisfaction in doing his duty as a rational creature, that though he should miss truth, he will not miss the reward of it. For he governs his assent right, and places it as he should, who in any case or matter whatsoever, believes or disbelieves, according as reason directs him.<7>

In this passage, the idea of epistemic duty is clearly formulated. To seek the truth as we ought is to meet one's duties as a rational creature. Our intellectual faculties enable us to meet these duties; therefore, we are to be held accountable - that is, subject to criticism and blame - for their violation.
2) 그의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에서 로크는 같은 방식으로 지적 책임을 주제로 논의한다. 그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믿기 위한 어떤 이유도 가지지 않고 믿는 사람은, 아마도 그 자신의 망상들과 사랑에 빠진 자일 것이다. 그러나 그는 그가 해야할 바대로 진리를 추구하지도 않고, 그분께서 그가 잘못과 오류에 빠지지 않도록 그에게 부여하신 분별의 능력들을 그로 하여금 사용하도록 하셨을 그의 창조주께 마땅한 순종도 바치지 않는다. 그의 능력이 닿는 데에까지 이렇게 하지 않는, 그렇지만 때때로 우연히 진리를 발견하는 자는 올바르지만 운이 좋은 것이다. 나는 그 우연한 행운이 그의 과정에 있어서의 부정을 용서할지 아닐지가 문제가 아님을 안다. 최소한 이것만은 확실하다. 그는 무엇이 되었든 그가 뛰어든 잘못들에 대해 책임져야만 한다는 것이다. 반면 신께서 그에게 주신 빛과 능력들을 활용하는 자, 그리고 비록 그가 진리를 놓칠지라도, 신실하게 진리의 발견을 추구하는 자는, 그가 받은 그러한 지원들과 능력들에 의하여, 이성적 창조물로서, 그의 의무를 이행함에 있어서 비록 진리를 놓친다 할지라도, 그 보상을 놓치지 않을 이같은 만족을 가질 것이다. 왜냐하면, 어떤 경우에서든 무슨 문제라 하더라도, 믿거나 거짓이라 믿거나, 이성이 그를 인도하는 바대로 따르면서, 그가 올바르게 동의하여 처신하고, 그가 해야 할 바대로 그 동의를 위치시키기 때문이다.

이 구절에서, 인식적 의무에 대한 생각은 명확하게 정식화된다. 우리가 마땅히 그래야 할 바대로 진리를 추구하는 것은 이성적 창조물로서의 의무들을 다하는 것이다. 우리의 지적 능력들은 우리들로 하여금 이러한 의무들을 다하도록 해준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러한 의무들의 위배에 대해 책임 지워질 것이다. - 즉, 비판과 비난을 겪게 될 것이다. -

3) In contemporary epistemology, Roderick Chisholm is the most prominent advocate of this approach.<8> In his book Theory of Knowledge, he writes this on the topic of intellectual responsibility:

We may assume that every person is subject to a purely intellectual requirement - that of trying his best to bring it about that, for every proposition h that he considers, he accepts h if and only if h is true. One might say that this is the person's responsibility or duty qua intellectual being.<9>

Locke speaks of duties we have as "rational creatures," Chisholm of a requirement we have as "intellectual beings." According to Locke, it is our duty to seek the truth to the best of our power; according to Chisholm, it is intellectually required of us to do our best to believe the propositions we consider if and only if they are true.
3) 현대 인식론에 있어서, 로더릭 치셜은 이러한 접근방식에 대한 가장 유명한 옹호자이다.<8> 그의 책 『앎의 이론』에서, 그는 지적 책임의 주제에 대해 이와 같이 적고 있다.

우리는 아마도 모든 사람이 순수한 지적 조건 아래에 있다고 생각할 것이다. - 그 조건은 그가 고려하는 모든 명제 h에 대해 그가 h를 허용하는 것은 만일 h가 참이라면 그리고 오로지 h가 참일 때만이라는 것에 대해 내놓고자 최선의 노력을 한다는 것이다.. 아마도 이것이 지적 존재자로서 그 개인의 책임 또는 의무라 말할 것이다.<9>


Epistemic Duty and The End of Believing Truly
인식적 의무와 참으로 믿음이라는 목표

1) Descartes, Locke, and Chisholm, then, would agree with one of the following: (i) As intellectual beings, we adopt what we may call the epistemic end; the end of believing what is true and not believing what is false; the end of believing truly, for short. (ii) The pursuit of this end imposes certain duties on us - epistemic duties. (iii) We may be held accountable for failing to meet these duties because we are endowed with intellectual faculties; we can, as Locke puts it, govern our assent as reason directs us. In this section, we shall discuss precisely which duty the end of believing truly imposes on us.
1) 그래서 데카르트와 로크, 그리고 치셜은 다음 중 한 가지는 동의할 것이다. (i) 지적 존재자들로서, 우리는 우리가 인식적 목표라 부를 그러한 어떤 것을 택하는 것이다. 그 목적은 참인 것을 믿고 거짓인 것을 믿지 않는 그러한 목적이다. 간단히 말해, 참되게 믿는다는 목적이다. (ii) 이러한 목표의 추구는 우리에게 특정한 의무들, 인식적 의무들을 부과한다. (iii) 우리는 이러한 의무들을 충족시키는 데에 실패함에 대한 책임이 지워질 것인데 왜냐하면 우리가 지적 능력들을 천부받기 때문이다. 즉 로크가 그렇게 말하듯, 우리는 우리의 동의를 이성이 우리를 정향하는 바대로 통제할 수 있다. 이 절에서, 우리는 그 참되게 믿음이라는 목적이 우리에게 부과한 의무가 정확히 어떤 것인지 논의할 것이다.

2) It is important to see that we shouldn't say our epistemic duty is to believe what is true and to disbelieve what is false, for in cases of misleading evidence, we ought to believe what's false and disbelieve what's true. For example, suppose my watch, which I know to be a reliable one, stopped working at precisely 1:00 P.M. At 1:02, I look at my watch and believe that it's 1:00 o'clock, although (as we have stipulated) it's 1:02. Since I don't yet have a reason for supposing that my watch broke (sooner or later I'll notice, of course), what I believe is what I ought to believe, even though it is in fact false.
2) 우리가 우리의 인식적 의무를 참인 것을 믿고 거짓인 것을 거짓이라 믿는 것이라 말하지 않아야 하는데, 왜냐하면 오해의 소지가 있는 증거의 경우들에서, 우리는 거짓인 것을 믿어야 하고 참인 것을 거짓이라 믿어야 하기 때문이라는 점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내가 믿을 만한 것으로 알고 있는 나의 시계가 1:02에 정확히 오후 1:00에서 작동을 멈췄고, 나는 비록 (우리가 규정한 것처럼) 1:02이라 할지라도 내 시계를 보고 1:00 정각이라 믿는다고 생각해 보자. 나는 아직 내 시계가 고장이라고 생각할 이유를 가지고 있지 못하므로(물론 조만간 내가 깨닫게 되겠지만), 내가 믿는 것이 내가 믿어야 할 것이다. 설령 사실은 그 믿음이 거짓이라 할지라도 말이다.

3) Believing what's true and not believing what's false should be viewed, therefore, not as our epistemic duty, but rather as the end from which our epistemic duties arise. How should we characterize this end? Let us consider as a proposal what Chisholm says about the requirement we have as intellectual beings: to try our best to believe a proposition we consider if and only if it is true.

E1    For every proposition p I consider, it is my goal to accept p if and only if p is true.

One problem with this proposal is that it applies only to propositions I consider. But we adopt the end of believing truly not only for beliefs that are the result of reflective consideration but also for beliefs that are formed spontaneously. For example, I now believe that it's sunny outside, but this belief is not the result of considering the proposition "It is sunny outside" and deliberating whether I should accept that proposition. This doesn't mean, however, that with regard to this belief I abandon the goal of believing truly. We must, therefore, modify E1 so as to make it applicable to belief formation in general:

E2    For every proposition p, it is my goal to believe p if and only if p is true.

According to E2, as an intellectual being, I aim at believing only what is true, and whatever is true. The "only" part of this biconditional is certainly plausible, but what about the "whatever" part? Is it really my intellectual goal to believe all the truths there are? Is it my intellectual goal to believe a proposition simply because it is true, no matter how irrelevant and boring this proposition may be? For example, is it an intellectual end of mine to believe all the truths contained in the telephone directory of Hong Kong?
3) 그러므로 참인 것을 믿는 일과 거짓인 것을 믿지 않는 일은 우리의 인식적 의무라기 보다는 오히려 그로부터 우리의 의무들이 발생하는 그러한 목적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어떻게 우리가 이러한 목적을 규정해야 할 것인가? 치셜이 지적 존재자들로서 우리가 지닌 조건에 대해 말한 것을 하나의 제안으로서 고찰해 보도록 하자. 즉 우리는 우리가 고려하는 명제를 믿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iff 그 명제는 참이다.

E1    내가 고찰하는 모든 명제 p에 대해서, p를 허용하는 것은 나의 목표이다 iff p가 참이다.

이러한 제안의 한 가지 문제점은 그 제안이 오로지 내가 고려하는 명제들에만 적용된다는 점이다. 그러나 우리는 참되게 믿음의 목적을 반성적 고찰들의 결론인 믿음들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또한 즉흥적으로 형성된 믿음들에 대해서도 채택한다. 예를 들어, 나는 지금 바깥이 맑다고 믿지만, 이러한 믿음은 그 믿음은 "밖이 맑다"라는 명제를 고찰한 결론이 아니고 내가 그 명제를 허용해야 하는지 숙고한 결론도 아니다. 그렇지만 이것이 이 믿음과 관련하여 내가 참되게 믿음의 목표를 폐기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우리는 E1이 그 목표를 일적인 믿음 형성에 적용가능하도록 만드는 것으로서 그렇게 수정해야만 한다.

E2    모든 명제 p에 대해서, p를 믿는 것은 나의 목표이다 iff p가 참이다.

E2에 따르면, 지적 존재자로서 나는 오로지 참인 것만을, 또한 참인 것은 무엇이든 그것을 믿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쌍조건문의 "오로지" 부분은 확실히 그럴 성싶지만, "무엇이든" 부분은 어떠한가? 있는 모든 참들을 믿는 것이 정말로 나의 지적 목표인가? 이 명제가 얼마나 상관없고 지루할지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고 단순히 그 명제가 참이기 때문에 그 명제를 믿는 것이 나의 지적 목표인가? 예를 들어, 홍콩 전화번호부에 담긴 모든 참들을 믿는 것은 나의 지적 목표인가?

4) It certainly seems quite odd to maintain it is our end as intellectual beings to believe every true proposition. Rather, which of all true propositions a person aims at believing would appear to be an individual matter, dependent on that person's particular interests. For someone who has neither friends nor business contacts in Hong Kong, that city's telephone directory is utterly irrelevant, however many truths it may contain. If, on the other hand, I do know someone in Hong Kong with whom I wish to get in touch, then the truth about that person's telephone number matters to me, and I wish to accept a proposition attributing a telephone number to that person if and only if that proposition is true. These considerations suggest that what we aim at as intellectual beings is not to believe all truths, but only those that matter to us. Let us reformulate E2 accordingly.

E3    For every proposition p that matters to me, it is my goal as an intellectual being to believe p if and only if p is true.

For the sake of simplicity, let us from now on refer to the epistemic end as defined by E3 as the end of believing truly.<10> Next, we shall consider the question of how we are to go about achieving this end.
4) 지적 존재자들로서 우리의 목표가 모든 참인 명제를 믿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확실히 꽤나 이상해 보인다. 오히려, 모든 참 명제들 중에서 어떤 것이 한 사람이 그것을 믿는 것을 목표로 하는 명제인지는 개인적 문제인 것으로, 그 개인의 특수한 관심사들에 의존하는 것으로 드러날 것이다. 홍콩에 친구도 사업관계도 가지지 않은 누군가에 대해서, 그 도시의 전화번호부는 완전히 무관한 것이지만, 그 전화번호부는 아마도 많은 참들을 포함할 것이다. 다른 한편 만일 내가 연락하고 싶어하는 홍콩의 누군가를 안다면, 그래서 그 사람의 전화번호에 대한 참이 내게 문제가 된다면, 나는 그 전화번호를 그 사람에게 귀속시키는 명제를 허용하고자 바랄 것이다 iff 그 명제가 참이다. 이러한 고찰들은 지적 존재자들로서 우리가 목표로 삼는 것이 모든 참들을 믿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우리에게 문제가 되는 참들만을 믿는 것임을 암시한다. 따라서 E2를 재정식화해 보도록 하자.

E3    나에게 문제가 되는 모든 명제 p에 대해서, 지적 존재자로서 내가 p를 믿는 것은 나의 목표이다 iff p는 참이다.

단순성을 위해, 이제부터 E3에 의해 정의된 것과 같은 인식적 목적을 참되게 믿는다는 목적이라 부르도록 하자.<10> 다음으로, 우리는 어떻게 우리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로 나아갈 것인지의 물음을 고찰할 것이다.


Epistemic Duty and Evidence
인식적 의무와 증거

1) According to Descartes, the duty that the pursuit of truth imposes on us is to believe only what we perceive clearly and distinctly. According to Locke, it is to "govern our assent as reason directs us." A more recent answer has been proposed by Richard Feldman, who says our epistemic duty is to "believe what is supported or justified by one's evidence and to avoid believing what is not supported by one's evidence."<11>
1) 데카르트에 따르면, 진리의 추구가 우리에게 부과하는 의무는 오로지 우리가 확실하고 뚜렷하게 인지한 것만을 믿는 것이다. 로크에 따르면, 그 의무는 "우리의 동의를 이성이 우리를 인도하는 바대로 통제"하는 것이다. 조금 더 최근의 답변은 리차드 펠드만에 의해 제안되었다. 그는 우리의 인식적 의무가 "한 개인의 증거에 의해 지지되거나 정당화되는 것을 믿고 누군가의 증거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것을 믿는 일을 피하는 것"이라고 말한다.<11>

2) One problem with these answers is that they don't seem to tell us very much. For unless we are told what it is that reason dictates or what our evidence supports, we still don't know how to go about achieving the epistemic end. To this objection, it can be replied that, as we saw at the end of Chapter 2, there may not be any general principles that tell us what reason dictates or what our evidence supports. Characterizing our epistemic duty as broadly as we did above might, therefore, be the best we can do. But this does not mean that these characterizations are worthless. As Feldman points out, if we know that it is our epistemic duty to believe in accord with our evidence, then we know the fact that believing p will make us feel good, or that believing p is in our self-interest, is not the kind of thing that epistemically justifies us in believing p.<12> Thus, if we answer the question

What should I do in order to believe truly?

by saying "believe in accord with the evidence," we do not offer a mere truism, but rather make a significant claim. The same can be said for Locke's answer. People who believe and disbelieve propositions as reason directs them do something significant: they form their beliefs without consulting crystal balls, reading tea leaves, or trusting supermarket tabloids.
2) 이러한 대답들의 한 가지 문제는 그 대답들이 우리에게 그렇게 많은 것을 말해주지는 않는 듯하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가 이성이 명령하거나 우리의 증거가 뒷받침하는 것이 무엇인지 우리가 이야기하게 되기 전까지, 우리는 여전히 어떻게 그 인식적 목적을 성취하는 데에로 나아갈지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반론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대답될 수 있다. 우리가 2장 말미에서 보았듯이, 우리에게 이성이 지시하는 것이나 우리의 증거가 뒷받침하는 것이 무엇인지 말해주는 어떠한 일반 원칙들도 없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의 인식적 의무를 우리가 위에서 규정하였던 만큼 넓게 규정하는 것은 아마도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일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이러한 규정들이 무가치함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펠드만이 지적하듯, 만일 우리가 우리의 증거에 부합하여 믿는 것이 우리의 인식적 의무임을 안다면, 우리는 p를 믿음이 우리를 기분좋게 만들 것이라거나, 또는 p를 믿음이 우리의 사적-이익에 속하고, p를 믿음에 있어서 우리를 인식적으로 정당화시키는 그러한 종류의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 것이다.<12> 따라서, 만일 우리가 다음과 같은 물음에 대해서

내가 참되게 믿기 위해 해야할 것은 무엇인가?

이 물음에 대해 "증거에 부합하여 믿는다"라고 말함으로써 답한다면, 우리는 단지 뻔한 소리를 내놓는 게 아니라, 오히려 중요한 주장을 형성하는 것이다. 동일한 점이 로크의 대답에 대해서도 이야기될 수 있다. 이성이 인도하는대로 명제들을 믿거나 거짓이라 믿는 사람들은 중요한 어떤 일을 한다. 즉 그들은 그들의 믿음들을 수정구들에 대고 묻거나, 찻잎점을 치거나, 또는 슈퍼마켓 타블로이드들을 믿는 일 없이 형성한다.

3) The deontological concept of epistemic justification, then, involves two key ideas. First, as intellectual beings, we are committed to the end of believing truly. Second, this imposes on us the epistemic duty, as Locke proposes, to believe as reason directs us, or, as Feldman suggests, to believe in accord with the evidence. Let us settle on Feldman's formulation. Let us say that one is epistemically justified in believing p if and only if in believing p, one meets one's epistemic duty to believe in accord with the evidence. However, there are two different ways in which I can meet that duty. First, believing in accord with the evidence might impose on me the duty to believe p; second, it might impose on me the duty to refrain from believing p.<13> To say that I am justified in believing p is not to say that it is my duty to believe p or that I ought to believe p. Rather, it is to say something weaker: that it is not my duty to refrain from believing p or that it is not the case that I ought not to believe p.<14> We shall, therefore, define the deontological concept of epistemic justification thus:

The Deontological Concept of Epistemic Justification
S is justified in believing p if and only if S believes p and it is not S's duty to refrain from believing p.

Next, we'll turn to a discussion of objections that may be raised against the deontological approach.
3) 인식적 정당성의 의무론적 개념은 그래서 두 가지 핵심 발상들을 포함한다. 첫째, 지적 존재자들로서 우리는 참되게 믿는다는 목적에 헌신하게 된다. 둘째, 이러한 목적은 우리에게 로크가 제안하듯 이성이 우리를 이끄는대로 믿는 것, 또는 펠드만이 시사하듯 증거에 부합하여 믿는 것으로서의 인식적 의무를 부과한다. 펠드만의 정식에 안착하도록 하자. 한 사람이 p를 믿음에 있어서 인식적으로 정당화된다 iff p를 믿음에 있어서, 그 사람이 증거에 부합하여 믿는다는 그 사람의 인식적 의무를 충족시킨다고 말하도록 하자. 그렇지만, 내가 그 의무를 충족시킬 수 있는 두 가지 상이한 방식들이 있다. 첫째로, 증거에 부합하여 믿는 것은 나에게 p를 믿는 의무를 부과할 수 있다. 둘째로, 그렇게 믿는 것은 나에게 p를 믿는 것을 삼가는 의무를 부과할 수도 있다.<13> 내가 p를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고 말하는 것은 p를 믿는 것이 나의 의무라거나 내가 p를 믿어야 한다는 것을 말하는 게 아니다. 오히려, 그것은 좀 더 약한 무언가를 말하는 것이다. 즉 그 말은 p를 믿는 것을 삼가는 것은 나의 의무가 아니라거나, 또는 내가 p를 믿지 않아야 하는 그런 것은 아님을 말하는 것이다.<14> 그러므로 우리는 인식적 정당성의 의무론적 개념을 다음과 같이 정의해야 할 것이다.

인식적 정당성의 의무론적 개념
S는 p를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 iff S가 p를 믿고 p를 믿는 일을 삼가는 것은 S의 의무가 아니다.


Epistemic Duty and Doxastic Involuntariness
인식적 의무와 사견적 비자발성

1) Let us distinguish between two kinds of projects: that of deontologically defining the meaning of the concept of epistemic justification, and that of anayzing issues of epistemic justification in terms of epistemic duty. The former project appeals only to the negative duty to refrain from believing p, whereas the latter project, which we shall refer to as epistemic deontologism, appeals to this duty and the positive duty to believe p. In this section, we shall discuss a serious obstacle that stands in the way of both projects.
1) 두 종류의 기획들을 구분하도록 하자. 의무론적으로 인식적 정당성의 개념을 정의하는 기획과 인식정 정당성의 문제들을 인식적 의무로 분석하는 기획. 전자의 기획은 오로지 p를 믿지 말아야 하는 부정적 의무에만 호소하는 반면, 우리가 인식적 의무론이라 불러야 할 후자의 기획은 이러한 의무와 p를 믿는 긍정적 의무에 호소한다. 이 절에서, 우리는 두 기획들 모두의 노선에 서있는 심각한 장애를 논의할 것이다.

2) This obstacle arises from the fact that a wide range of our beliefs are beliefs we can't help having, beliefs that are, so to speak, forced on us. Let us refer to this phenomenon as the apparent involuntariness of belief. Critics of epistemic deontologism have argued that because most (if not all) of our beliefs are involuntary, our beliefs can't be subject to epistemic duty.<15> That is, we can't have positive duties to believe, and we can't have negative duties to refrain from believing. If this argument is sound, then epistemic deontologism in general, and in particular the project of explicating the concept of epistemic justification in terms of duty, are misguided.
2) 이러한 장애는 우리의 믿음들의 넓은 범위가 우리가 가지지 않을 수 없는, 말하자면 우리에게 강제되는 믿음들이라는 사실로부터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믿음의 분명한 비자발성이라 부르도록 하자. 인식적 의무론의 비판자들은 우리의 믿음들 대부분(전부가 아니라면)이 비자발적이기 때문에, 우리의 믿음들은 인식적 의무에 귀속될 수 없다고 주장해 왔다.<15> 즉, 우리는 믿어야 한다는 긍정적 의무들을 가질 수 없고, 믿지 말아야 한다는 부정적 의무들도 가질 수 없다. 만일 이러한 논증이 건전하다면, 인식적 의무론 일반은, 그리고 특별히 인식적 정당성의 개념을 의무로 해석하는 기획은 잘못 판단된 것이다.

3) For the purpose of discussing this objection from doxastic involuntarism (the word "doxastic" means pertaining to belief), let us define involuntary belief thus:

Involuntary Belief
S believes p involuntarily if and only if S believes p and S cannot refrain from believing p.

Perceptual and introspective beliefs appear to be involuntary. When I believe myself to have a headache, I can't just decide to stop believing this. Rather, as long as I have the headache, I can't help believing that I have a headache. And when I look out my office window, I see trees, grass, buildings, and people walking across campus. These perceptions trigger beliefs that are forced on me; for example: There are trees outside, there are buildings over there, there are people passing by. These are beliefs that I could not manage to get rid of, no matter how hard I tried.
3) 사견적 비자발성 ("사견적"이란 말은 믿음에 관계함을 뜻한다) 으로부터의 이러한 반박을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비자발적 믿음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도록 하자:

비자발적 믿음
S는 p를 비자발적으로 믿는다 iff S가 p를 믿고 S는 p를 믿는 일을 삼갈 수 없다.

지각적 믿음들과 내성적 믿음들은 비자발적인 것으로 보인다. 내가 내 자신이 두통이 있다고 믿을 때, 나는 이것을 믿는 일을 멈추고자 결정할 수 없다. 오히려, 내가 두통을 지니는 한, 나는 내가 두통이 있다는 것을 믿지 않을 수 없다. 그리고 내가 내 사무실 창문을 내다볼 때, 나는 나무들, 유리, 건물들, 그리고 캠퍼스를 가로질러 걷고 있는 사람들을 본다. 이러한 지각들은 나에게 강제되는 믿음들을 촉발시킨다. 예를 들어 밖에 나무들이 있다거나, 저기 건물들이 있다거나, 지나가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거나. 이러한 것들은 내가 얼마나 힘들게 애쓰든 상관 없이 없애버리기 위해 다룰 수 없을 그러한 믿음들이다.

4) The apparent involuntariness of introspective and perceptual beliefs poses a problem to epistemic deontologism because,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concept of moral responsibility, having moral duties requires voluntariness. The following passage by Roderick Chisholm gives a succinct account of this traditional concept of responsibility:

Let us consider some deed, or misdedd, that may be attributed to a responsible agent: one man, say, shot another. If the man was responsible for what he did, then, I would urge, what was to happen at the time of the shooting was something that was entirely up to the man himself. There was a moment at which it was true, both that he could have fired the shot and also that he could have refrained from firing it. And if this is so, then, even though he did fire it, he could have done something else instead …. I think we can say, more generally, then, that if a man is responsible for a certain event or a certain state of affairs (in our example, the shooting of another man), then that event or state of affairs was brought about by some act of his, and the act was something that was in his power either to perform or not to perform.<16>

The same view of responsibility, it might plausibly be claimed, applies to epistemic duties. If I am epistemically responsible for a belief of mine, then it must be within my power either to hold or not to hold that belief. On this view, a belief can be subject to epistemic duty - that is, such that I either ought to have it or ought to refrain from having it - only if it is voluntary. Let us call the principle that epistemic duties are akin to moral duties in requiring voluntariness the voluntariness principle, and formulate this principle as follows:

The Voluntariness Principle
If my believing p is involuntary, then I can't have an epistemic duty to believe p nor an epistemic duty to refrain from believing p.

From the voluntariness principle, it follows that if introspective and perceptual beliefs are indeed involuntary, they cannot be subject to epistemic duty. It then follows that such beliefs can be neither beliefs we ought to have nor beliefs we ought to refrain from having. If this conclusion is true, then epistemic deontologism would have to be rejected.
4) 내성적 믿음들과 지각적 믿음들의 명백한 비자발성은 인식적 의무론에 문제를 제기하는데 왜냐하면 도덕적 책임의 전통적 개념에 따르자면 도덕적 의무를 가지는 것은 자발성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다음 구절은 로데릭 치셜에 의해 제시된 전통적인 책임 개념에 대한 간단명료한 설명이다.

책임질 행위자에게 귀속될 몇몇 행위와 악행을 고찰해 보도록 하자. 말하자면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쐈다고 하자. 만일 그 사람이 그가 한 일에 책임이 있다면, 내가 주장하기로, 그 발사의 순간 일어난 일은 전적으로 그 사람 자신의 몫인 어떤 것일 터이다. 그가 총을 쏠 수 있었다는 것과 또한 그가 총을 쏘는 일을 삼갈 수 있었다는 것이 모두 참인 그러한 순간이 있었다. 그리고 만일 이러하다면, 그래서, 그가 비록 총을 쐈다 할지라도, 그는 대신에 다른 어떤 일을 할 수 있었다…. 그래서 내 생각에 우리는 좀 더 일반적으로 만일 한 사람이 특정 사건이나 일의 특정 상태(우리의 예시에서, 다른 사람에게 총을 쏨)에 대해 책임이 있다면, 그 사건이나 일의 상태는 그의 일부 행위에 의해 초래되었고, 그 행위는 수행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그의 능력에 속하는 어떤 것이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16>

책임에 대한 동일한 관점은, 만일 그럴 성싶게 주장될 수 있다면, 인식적 의무들에도 적용된다. 만일 내가 나의 믿음에 인식적으로 책임이 있다면, 그 믿음을 취할지 아닐지는 나의 능력 내에 속해야만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하나의 믿음은 인식적 의무에 귀속될 수 있다 - 즉, 내가 그 믿음을 취해야 한다거나 그 믿음을 지니는 것을 삼가야 한다는 그러한 것 - 오직 그 믿음이 자발적일 때에만 말이다. 인식적 의무들이 자발성을 요청한다는 점에서 도덕적 의무들과 유사하다는 원칙을 자발성 원칙이라 부르도록 하자. 그리고 이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정식화하자.

자발성 원칙
만일 p라는 나의 믿음이 비자발적이라면, 나는 p를 믿거나 p를 믿는 일을 삼갈 인식적 의무를 가질 수 없다.

자발성 원칙으로부터, 만일 내성적 믿음들과 지각적 믿음들이 더욱이 비자발적이라면, 그 믿음들은 인식적 의무에 귀속될 수 없다는 점이 귀결된다. 그래서 그러한 믿음들은 우리가 가져야할 믿음들일 수도, 우리가 가지는 일을 삼가야 할 믿음들일 수도 없다는 점이 뒤따른다. 만일 이러한 결론이 참이라면, 인식적 의무론은 거부되어야 할 것이다.

5) The voluntariness principle threatens the deontological concept of epistemic jsutification as well. It is important, however, to be clear about what an objection to that concept would have to look like. What kind of case constitutes a potential counterexample to our definition of that concept? Contrary to initial appearance, involuntary introspective and perceptual beliefs do not. Recall our definition of the deontological concept:

D1    S is justified in believing p if and only if (i) S believes p, and (ii) S does not have an epistemic duty to refrain from believing p.

A potential counterexample to D1 is a case in which a subject believes a proposition p, does not have an epistemic duty to refrain from believing p, but is not justified in believing p. Involuntary introspective and perceptual beliefs do not fill the bill here, for such beliefs are (typically) justified.<17> What we need is a case of an unjustified involuntary belief. And it is not difficult to imagine such a case. Consider an Elvis Presley fan who can't help believing that Elvis is still alive and thus, given the voluntariness principle, cannot have a duty to refrain from believing that Elvis is still alive. Since there is no credible evidence in support of this belief, epistemic deontologists would have to admit taht it is unjustified. Thus we have what looks like a decisive counterexample: an unjustified belief that meets the conditions of justification D1 specifies.
5) 자발성 원칙은 인식적 정당성의 의무론적 개념 또한 위협한다. 그렇지만 그 개념에 대한 반박이 어떤 것이어야 할지에 대해서는 명백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어떤 종류의 사례가 그 개념에 대한 우리의 정의에 대해 잠재적 반례가 되는가? 처음 보기와는 반대로, 비자발적 내성적 지각적 믿음들은 아니다. 의무론적 개념에 대한 우리의 정의를 기억하자.

D1    S는 p를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 iff (i) S가 p를 믿고, (ii) S는 p를 믿음을 삼갈 인식적 의무를 지니지 않는다.

D1에 대한 잠재적 반례는 주체가 명제 p를 믿고, p를 믿음을 삼갈 인식적 의무를 지니지 않으며, 그러나 p를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지 않는 그러한 경우이다. 비자발적 내성적 지각적 믿음들은 여기에서 목적에 맞지 않는데, 왜냐하면 그러한 믿음들이 (전형적으로) 정당화되기 때문이다.<17> 우리가 필요로 하는 것은 정당화되지 않은 비자발적 믿음의 사례이다. 그리고 그러한 사례를 상상하기는 어렵지 않다. 엘비스가 여전히 살아있다고 믿지 않을 수 없고, 그래서 자발성 원칙을 고려하면 엘비스 프레슬리가 여전히 살아있다는 믿음을 삼갈 의무를 가질 수 없는 엘비스 프레슬리 팬을 고려해 보자. 이러한 믿음을 뒷받침함에 있어서 신뢰할 만한 어떠한 증거도 없으므로, 인식적 의무론자들은 그 믿음이 정당화되지 않음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결정적인 반례로 보이는 것을 갖는다. 즉 D1이 상술하는 정당성의 조건들을 충족시키는 정당화되지 않은 믿음이라는 반례를 가진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