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ubitability, Infallibility, and Certainty
의심불가능성, 오류불가능성, 정합성

1) In this section, we shall examine why basic beliefs, if defined as beliefs that are nondoxastically justified, need be neither indubitable nor infallible nor certain. Let us begin with indubitability, and let us define indubitable beliefs as beliefs that it would, under any circumstances whatever, be unreasonable to doubt. Descartes's first Meditation provides us with the standard example of such a belief: I exist. Since the activity of doubting would always be evidence for one's existence, there cannot be any circumstances under which it would be reasonable to doubt that one exists.
1) 이 절에서, 우리는 어째서 기초적 믿음들이 만일 비사견적으로 정당화된 믿음들로 정의된다면 의심불가능하거나 오류불가능하거나 혹은 확실한 것일 필요가 없는지를 검토할 것이다. 우리는 의심불가능성을 가지고 시작하며, 의심불가능한 믿음들을 어떤 상황 하에서건 의심하는 것이 불합리할 그러한 믿음들로 정의하도록 하자. 데카르트의 제 1 성찰은 우리에게 그러한 믿음의 표준적인 사례를 제공한다. 즉 내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의심하는 활동은 언제나 누군가의 현존에 대한 증거일 것이므로, 그 아래에서 그러한 현존을 의심하는 것이 합리적일 어떠한 상황들도 있을 수 없다.

2) Now, what is constitutive of basic beliefs is this: they are justified without owing their justification to any other beliefs. Foundationalists would say that if, for example, the belief

(1) This object is red

is justified through a perceptual experience, without receiving any of its justification from other beliefs, then it is basic. But (1) is not an indubitable belief, for certainly there are situations in which it would be reasonable to doubt that (1) is true. For example, if I am wearing red sunglasses, then I might have reason to doubt that the object before me is really red. Thus, according to our definition of basic beliefs, a belief's being basic does not require indubitability.
2) 이제, 기초적 믿음들의 구성요소는 이와 같다. 그 믿음들은 그 정당성을 다른 어떤 믿음들로부터도 빌려오지 않고 정당화된다. 토대론자들은 다음과 같이 말할 것이다. 예를 들어 만일 다음과 같은 믿음

(1) 이 사물은 붉다

그러한 믿음은 지각적 경험을 통해 정당화되는데, 그 정당성의 어떤 것도 다른 믿음들로부터 받지 않고, 그래서 그 믿음은 기초적이다라고 말이다. 그러나 (1)은 의심불가능한 믿음이 아닌데, 왜냐하면 확실히 (1)이 참임을 의심하는 것이 합리적일 그러한 상황들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만일 내가 붉은 선글라스는 착용하고 있다면, 나는 내 앞의 대상이 실제로 붉다는 것을 의심할 이유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기초적 믿음들에 대한 우리의 정의에 따르자면, 한 믿음의 기초적임은 의심불가능성을 요구하지 않는다.

3) A parallel argument will show that basic beliefs need not be infallible. A belief is infallible if there are no circumstances under which the subject could form a belief of that type and be mistaken. The belief "I exist" may serve us again as an example. Since believing anything presuppose the believer's existence, one couldn't possibly believe oneself to exist and be mistaken in this belief.
3) 동일한 논증이 기초적 믿음들이 오류불가능할 필요가 없음을 보여줄 것이다. 하나의 믿음은 만일 그 아래에서 주어가 그러한 유형의 믿음을 형성하면서 실수할 수 있을 어떠한 상황도 없다면 오류불가능하다. "내가 존재한다"라는 믿음은 우리에게 아마도 다시금 하나의 예시 역할을 할 것이다. 어떤 것을 믿는 일이 믿는 자의 존재를 선제하므로, 누구도 그 자신의 존재를 믿으면서 이 믿음에 있어서 오판할 수 없을 것이다.

4) To see that a belief can be basic without being infallible, consider again belief (1), which we are assuming to be basic - that is, to be justified by a nondoxastic source. However, (1) is not an infallible belief. For example, if I am looking at a white object and unbeknownst to me it is illuminated by red light, then I might mistakenly believe the object to be red. Nondoxastic justification, therefore, does not require infallibility, which means that being infallible is not a condition basic beliefs must meet.
4) 한 믿음이 오류불가능함이 없이 기초적일 수 있음을 보기 위해, 다시 한 번 믿음 (1), 우리가 기초적이라고 가정하고 있는 - 즉, 비사견적 원천에 의해 정당화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는 그 믿음을 고찰해 보도록 하자. 그렇지만 (1)은 오류불가능한 믿음이 아니다. 예를 들어, 만일 내가 나도 모르는 사이에 붉은 빛에 의해 비춰지고 있는 흰 대상을 바라보고 있다면, 나는 그 대상이 붉은 것이라고 잘못 믿을 수 있다. 비사견적 정당성은 그러므로 오류불가능성을 요청하지 않는다. 그 말은 오류불가능함이 기초적 믿음들이 충족시켜야만 하는 조건이 아니라는 뜻이다.

5) Finally, let's turn to certainty. Let us say that a belief B is certain if and only if it enjoys the highest possible epistemic status. This means that if B is certain, there couldn't be another belief B* such that B* is justified to a higher degree than B.<20> Now consider again our example of a basic belief:

(1) This object is red.

This belief is not certain, even if it is justified by an undefeatable experience of being appeared to redly, for there are other beliefs - for example, the belief that two plus two equals four and the belief "I exist" - that are justified to a higher degree than (1). Hence certainty is not a necessary condition of basic beliefs.
5) 끝으로, 확실성에 대해 살펴 보자. 한 믿음 B가 확실하다 iff 그 믿음이 고도로 가능적인 인식적 상태를 향유한다, 라고 말하도록 하자. 이것은 만일 B가 확실하다면, B보다 더 높은 정도로 정당화되는 그런 또 다른 믿음 B*가 있을 수 없으리란 뜻이다.<20> 이제 다시 한 번 기초적 믿음에 대한 우리의 예시를 고찰하도록 하자.

(1) 이 대상은 붉다.

이 믿음은 확실하지 않은데, 설령 그 믿음이 붉게 보인다는 상쇄불가능한 경험에 의해 정당화된다 할지라도, 다른 믿음들 - 예를 들어, 2에 2를 더한 것은 4와 같다는 믿음과 "내가 현존한다"라는 믿음 - , (1) 보다 더 높은 정도로 정당화되는 믿음들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확실성은 기초적 믿음들의 필요조건이 아니다.

6) None of these arguments establishes that it really is possible for a belief to be basic in the sense in which we defined basic beliefs. They merely demonstrate that if we define basic beliefs in the way we have, then they need not be indubitable, nor infallible, nor certain. Having established that much, we shall next examine the question of how it is possible for beliefs to be basic.
6) 이러한 논증들 중 그 무엇 하나 우리가 기초적 믿음들을 정의한 그러한 의미에서 실제로 한 믿음이 기초적인 것이 가능함을 확립시키지 않는다. 그 논증들은 다만 만일 우리가 기초적 믿음들을 우리가 가진 방식으로 정의한다면, 그 믿음들이 의심불가능할 필요도, 오류불가능하거나 확실할 필요도 없다는 것을 증명할 뿐이다. 거기까지만 확립시켜 놓은 상태에서, 다음으로 우리는 어떻게 믿음들이 기초적인 것이 가능한지에 대한 물음을 검토할 것이다.


Basic Beliefs and Experience
기초적 믿음들과 경험

1) As members of complex belief systems, basic beliefs function as regress terminators. In order to perform this function, they must be justified without receiving their justification from other beliefs. One way in which beliefs can be thus justified is through perceptual experience. For example, my belief "There is a red object before me" is basic if it is justified by the experience of being appeared to redly. And my belief "There is a triangular object before me" is basic if it is justified by the experience of being appeared to triangularly. The general idea is that the experience of being appeared to F-ly can, without the help of any further beliefs, justify my belief "There is an F before me." However, we shall now see that it is not easy to turn this idea into an account of justification that is immune to objections.
1) 복잡한 믿음 체계의 구성요소들로서, 기초적 믿음들은 소급 종결자들로 기능한다. 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그 믿음들은 반드시 그 정당성을 다른 믿음들로부터 빌려옴이 없이 정당화되어야만 한다. 믿음들이 이와 같이 정당화될 수 있는 한 가지 방식은 지각적 경험을 통한 것이다. 예를 들어, "내 앞에 붉은 대상이 있다"라는 나의 믿음은 만일 그 믿음이 붉게 보이는 경험에 의해 정당화된다면 기초적이다. 그리고 "내 앞에 삼각형의 대상이 있다"라는 나의 믿음은 만일 그 믿음이 삼각형으로 보이는 경험에 의해 정당화된다면 기초적이다. 일반화된 생각은 F-이게(로) 보이는 경험이 어떤 추가적인 믿음들의 도움도 없이 "내 앞에 F가 있다"라는 나의 믿음을 정당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우리는 이제 이러한 생각을 반박들에 내성을 지닌 정당성에 대한 설명으로 만드는 일이 쉽지 않음을 볼 것이다.

2) To begin with, let us ask whether being appeared to F-ly is sufficient for being justified in believing that there is an F before one. Suppose I know that I am not reliable in discerning whether an object is an F or not: I know that most of the time when I try to decide whether what I am looking at is an F or not, I get things wrong. Under such conditions, I am not justified in believing an object before me to be an F even if it looks like an F to me. Hence, being appeared to F-ly is not sufficient for being justified in believing there is an F before me.
2) 우선, F로 보임이 누군가의 앞에 F가 있다고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기에 충분한지 묻도록 하자. 내가 한 대상이 F인지 아닌지 알아봄에 있어서 신빙성있지 않음을 내가 안다고 가정해 보자. 즉 나는 내가 바라보고 있는 것이 F인지 아닌지 결정하려고 시도할 때 거의 매번 잘못 판단한다는 것을 안다고 가정해 보자. 그러한 조건들 하에서, 나는 내 앞의 대상이 설령 나에게 F처럼 보인다 할지라도 F라고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F로 보임은 내 앞에 F가 있다고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기에 충분하지 않다.

3) Consider an example. I know that I am reliable in recognizing, without counting sides, triangles, but not dodecagons (polygons with twelve angles).<21> If I look at a triangle, I am appeared to triangularly, which justifies me in believing that the object before me has a triangular shape. In contrast, if I look at a dodecagon, then I am appeared to dodecagonally, but I am not justified in believing that the object before me is shaped dodecagonal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ases is that the experience of being appeared to triangularly is evidence for me to believe that the object before me is triangular, while the experience of being appeared to dodecagonally is not evidence for me to believe that the object before me is a dodecagon, simply because I lack the ability to recognize twelve angles without counting.<22> Consequently, the former experience can justify me in believing that there is a triangular-shaped object before me, but the latter experience cannot justify me in believing that there is a dodecagonal object before me. We must conclude, therefore, that it is possible to be appeared to F-ly without being justified in believing that there is an F before one, which is to say that being appeared to F-ly is not sufficient for being justified in believing that there is an F before me.
3) 한 사례를 고찰해 보자. 나는 내가 변들, 각들을 세어 보지 않고 재인함에 있어서 신뢰할 만 하지만 12변 12각형들 (열 두 각들을 지닌 다각형)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음을 알고 있다.<21> 만일 내가 삼각형을 본다면, 내게 삼각형으로 여겨질 것이고, 그것은 내 앞의 대상이 삼각형 형태를 지닌다는 믿음에 있어서 나를 정당화한다. 반면, 만일 내가 12각형을 바라본다면, 내게 12각형으로 보이겠지만, 내가 내 앞의 대상이 12각형으로 되어 있다고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지는 않는다. 두 사례의 차이점은 삼각형으로 보이는 경험이 내 앞의 대상이 삼각형이라고 내가 믿는 데에 대한 증거인 반면, 12각형으로 보이는 경험은 내 앞의 대상이 12각형이라고 내가 믿는 데에 대한 증거가 아니라는 점이며, 그것은 단순히 내가 12 각들을 세어 봄이 없이 재인할 능력을 결여한 까닭이다.<22> 결론적으로, 전자의 경험은 내 앞에 삼각형으로 된 대상이 있다는 믿음에 있어서 나를 정당화할 수 있지만, 후자의 경험은 내 앞에 12각형 대상이 있다는 믿음에 있어서 나를 정당화할 수 없다. 우리는 그러므로 한 사람 앞에 F가 있음을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지 않고 F로 보이는 것이 가능하다고 결론내려야만 하며, 그것은 곧 F로 보임이 내 앞에 F가 있다고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말이다.

4) We are now in a position to see clearly what problem foundationalists face when they try to explain how basic beliefs are justified. According to foundationalists, a belief such as "This is an F" can be basic. When such a belief is basic, they would claim, then it is justified by the experience of being appeared to F-ly. But as we just saw, it is possible for me to be appeared to F-ly without being justified in believing that there is an F before me. This means foundationalists can't explain how a basic belief such as "This is an F" is justified simply by saying that it is justified by the experience of being appeared to F-ly. Rather, in addition to the condition of being appeared to F-ly, some further condition must be satisfied in order for me to be justified in believing "There is an F before me." We shall now examine three candidates for the missing condition.
4) 이제 우리는 분명하게 토대론자들이 어떻게 기초적 믿음들이 정당화되는지 설명을 시도할 때 직면하는 문제가 무엇인지를 바라보는 위치에 있다. 토대론자들에 따르면, "이것은 F이다"와 같은 그런 믿음은 기초적일 수 있다. 그러한 믿음이 기초적일 때, 그 믿음은 F로 보이는 경험에 의해 정당화된다고 그들을 주장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방금 보았듯이, 나에게 F로 보임이 내 앞에 F가 있다는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됨 없이 가능하다. 이것은 토대론자들이 어떻게 "이것은 F이다"와 같은 그러한 기초적 믿음이 단순히 F로 보이는 경험에 의해서 정당화된다고 말하는 것만으로 정당화되는지 설명할 수 없다는 뜻이다. 오히려, F로 보임이라는 조건에 더하여, 내가 "내 앞에 F가 있다"라고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기 위해 어떤 추가적인 조건이 만족되어야만 한다. 우리는 이제 이 빠진 조건의 세 가지 후보들을 검토할 것이다.


Basic beliefs and Reliability
기초적 믿음들과 신빙성

1) One prominent approach to explaining how basic beliefs are justified appeals to the concept of reliability.<23> Let us consider, then, the idea that the needed condition is that S be reliable in discerning F-things. According to this proposal, my belief "This is an F" is basic if the following three conditions are satisfied: (i) I am appeared to F-ly; (ii) there are no other beliefs of mine justifying my belief "This is an F"; (iii) I am reliable in discerning F-things.
1) 어떻게 기초적 믿음들이 정당화되는지에 설명하는 한 가지 유명한 접근방식은 신빙성 개념에 호소하는 것이다.<23> 그러므로 S가 F-인 것들을 알아봄에 있어서 신빙성 있다는 조건을 필요로 하는 발상을 고찰해 보도록 하자. 이 제안에 따르면, "이것은 F이다"라는 나의 믿음은 만일 다음 세 가지 조건들이 만족되면 기초적이다. (i) 내게 F로 보인다; (ii) 나의 믿음들 중에서 "이것은 F이다"라는 믿음을 정당화하는 다른 어떠한 믿음들도 없다; (iii) 나는 F-인 것들을 알아봄에 있어서 신빙성있다.

2) This proposal is open to an objection we will discuss again in the chapter on reliabilism: the objection that in an evil-demon world one's beliefs are justified even though one's cognitive faculties are unreliable. Suppose the totality of your perceptual experiences is caused by an evil demon. You are an immaterial spirit deceived into believing that there is a world of physical objects when in fact there is none, but you don't have any reason to suppose that you are the victim of such a deception. Under such conditions, condition (ii) of our proposal is not satisfied, yet your beliefs about the actually nonexisting physical world are by and large justified, just as they are in the actual world.
2) 이러한 제안은 우리가 신빙론에 대한 장에서 다시 논의할 하나의 반박에 대해 열려 있다. 그 반박은 사악한 악마의 세계에서 한 사람의 믿음들이 설령 그의 인지 능력들이 신빙성있지 못할지라도 정당화된다는 반박이다. 당신의 지각 경험들의 총체가 사악한 악마에 의해 야기된다고 가정해 보자. 당신은 사실 아무것도 없을 때 물리적 대상들의 세계가 있다고 믿게끔 기만된 비물질적 정신이지만, 당신이 그러한 기만의 희생자라고 생각할 아무런 근거도 가지고 있지 못하다. 그러한 조건들 아래에서, 우리의 제안에서 조건 (ii)는 만족되지 않지만, 그런데도 당신의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물리적 세계에 대한 믿음들은 대체로 정당화된다. 마치 그 믿음들이 실제 세계 속에 있는 것처럼 말이다.

3) This verdict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if an experience E1 in a world W1, and a further experience E2 in a world W2, are phenomenally indistinguishable, then either both E1 and E2 are justifying experience or neither is. Suppose you are having an experience E1 in the actual world that justifies you in believing that there is a cat before you. Suppose further that in the evil-demon world we are considering you have an experience E2 that is, from your subjective point of view, indistinguishable in its qualities from E1. According to the objection, given that E1 justifies you in believing that there is a cat before you, E2 in the evil-demon world justifies you in believing that same. However, while in the actual world you are reliable at discerning cats, in the evil-demon world you are not. (If you were, then you would notice that there aren't any cats in that world.) It is possible, therefore, to be justified in believing that there is a cat in front of one even if one is not reliable at discerning cats.
3) 이러한 견해는 만일 한 세계 W1에서 한 경험 E1이, 그리고 세계 E2에서 추가적인 경험 E2가 현상적으로 구분불가하다면, E1과 E2 모두가 정당화하는 경험이거나 둘 다 그렇지 않다는 전제에 기초된다. 당신이 실제 세계에서 당신 앞에 고양이 한 마리가 있다는 믿음에 있어서 당신을 정당화하는 경험 E1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해 보자. 더 나아가서 우리가 고려하고 있는 사악한 악마의 세계에서 당신이 당신의 주관적 관점에서는 E1과 그 성질들에 있어서 구별할 수 없는 경험 E2를 지닌다고 가정해 보자. 그 반박에 따르면, E1이 당신 앞에 고양이 한 마리가 있다고 믿음에 있어서 당신을 정당화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사악한 악마의 세계에서 E2는 똑같은 것을 믿음에 있어서 당신을 정당화한다. 그렇지만, 실제 세계에서 당신은 고양이들을 알아봄에 있어서 신빙성있는 반면, 사악한 악마의 세계에서 당신은 그렇지 못하다. (만일 당신이 신빙성있다면, 당신은 그 세계에 아무런 고양이들도 없다는 것을 알아차릴 것이다.) 그러므로 한 사람의 앞에 고양이 한 마리가 있다는 것을 믿음에 있어서 설령 고양이들을 알아봄에 있어서 신빙성이 없다 할지라도 정당화되는 일이 가능하다.

4) Foundationalists who take this objection to be decisive must conclude that it is possible to be justified in believing "This is an F" without being reliable in discerning F-things, and thus that condition (i) must be abandoned.
4) 이러한 반박을 결정적인 것으로 받아들이는 토대론자들은 반드시 F인 것들을 알아봄에 있어서 신빙성있지 않고도 "F가 있다"라고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는 일이 가능하다고 결론내려야만 하며, 따라서 조건 (i)은 폐기되어야만 한다고 결론내려야 한다.

Basic Beliefs and Presumptive Reliability
기초적 믿음들과 추정적 신빙성

1) Yet it is difficult to brush away the idea that reliability is important. Neglecting bizarre scenarios such as being deceived by an evil demon, a lack of reliability does typically mean a lack of justification. If you are unreliable in discerning cats - that is, if you really can't successfully identify cats - then you cannot be justified in believing an animal to be a cat (unless someone else whom you can trust on this matter tells you so). Let us consider, therefore, a condition that demands, not that I am reliable in discerning F-things, but rather that I have good evidence for believing myself to be reliable in discerning F-things. According to this proposal, my belief "There is an F before me" is basic if the following three conditions are satisfied: (i) I am appeared to F-ly; (ii) there are no other beliefs of mine justifying my belief "There is an F before me"; (iii) I have good evidence for taking myself to be reliable in discerning F-things.
1) 아직 신빙성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떨쳐 버리기는 어렵다. 사악한 악마에게 기만당하는 것과 같은 기이한 이야기들을 무시하면, 신빙성의 결여는 전형적으로 정당성의 결여를 의미한다. 만일 당신이 고양이들을 알아봄에 있어서 신빙성이 없다면, 즉, 만일 당신이 정말로 고양이들을 성공적으로 규정할 수 없다면 - 당신은 한 동물이 고양이라고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될 수 없다 (당신이 믿을 수 있는 다른 누군가가 이 문제에 대해 당신에게 그렇다고 말해주지 않는 한 말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내가 F-인 것들을 알아봄에 있어서 신빙성있을 것이 아니라 내가 F-인 것들을 알아봄에 있어서 나 자신이 신빙성있다고 믿을 훌륭한 증거를 가지고 있을 것을 요구하는 조건을 고려해 보도록 하자. 이러한 제안에 따르면, "내 앞에 F가 있다"라는 나의 믿음은 만일 다음 세 가지 조건들이 만족된다면 기초적이다. (i) 내게 F-로 보인다; (ii) "내 앞에 F가 있다"라는 나의 믿음을 정당화하는 나의 믿음들 중 다른 어떠한 믿음도 없다; (iii) 나는 F-인 것들을 알아봄에 있어서 나 자신이 신빙성있다고 받아들일 훌륭한 증거를 가지고 있다.

2) Condition (iii) in this proposal may be regarded as an internalist reliability condition, as opposed to condition (iii) in the previous proposal, which is an externalist reliability condition.<24> According to the latter, justification requires de facto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former, justification requires only presumptive reliability: reliability one would, on the basis of good evidence, be justified in attributing to oneself. Let us, therefore, call condition (iii) in our second proposal the "presumptive reliability condition." Whether I am, as a matter of fact, reliable in discerning F-things is, in relation to my subjective point of view, an external affair in the sense that I might be unable to tell whether I am. In contrast, whether I have good evidence for taking myself to be reliable in discerning F-things is a question that is internal to my subjective perspective: as long as I am capable of evaluating the evidence, I can tell whether I have good evidence for taking myself to be reliable in discerning F-things.
2) 이 제안의 조건 (iii)은 아마도 내재적 신빙성 조건으로 간주될 것이고, 그것은 앞선 제안에서 외재적 신빙성 조건인 조건 (iii)에 반대되는 것다.<24> 후자에 따르면, 정당성은 사실에 대한 신빙성을 요구한다. 전자에 따르면, 정당성은 오로지 추정적 신빙성만을 요구한다. 즉 한 사람이 훌륭한 증거에 기초하여 그 자신에 기인하여 정당화될 신빙성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우리의 두 번째 제안에서 조건 (iii)을 "추정적 신빙성 조건"이라 부르도록 하자. 사실상 내가 F-인 것들을 알아봄에 있어서 신빙성이 있는지 여부는 나의 주관적 관점과 관련하여 내가 그러한지 말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는 의미에서 외재적 문제이다. 반대로, 내가 F-인 것들을 알아봄에 있어서 나 자신이 신빙성 있다고 여기기 위한 훌륭한 증거를 가지는지 여부는 내 주관적 관점에 대한 내재적인 문제이다. 즉 내가 그 증거를 평가할 수 있는 한, 나는 내가 F-인 것들을 알아봄에 있어서 나 자신을 신빙성 있다고 여길 훌륭한 증거를 가지고 있는지 말할 수 있다.

3) Condition (iii), then, requires that reliability be discernible on the basis of "internal" eivdence. What, however, does it take to satisfy this condition? Under which conditions do you have good evidence for believing yourself to be reliable in discerning a certain thing? Let's consider an example. Do you have good evidence for believing yourself to be reliable in discerning kiwi fruit? Well, if you know what a kiwi looks like, then your evidence would be a piece of self-knowledge: your knowing that you know what a kiwi looks like. You can picture a kiwi in your mind, and you know that if you were to go to the produce section of supermarket, you could pick out kiwis without any trouble. Here is another example. I can't tell a raven from a crow, and I know I can't. Hence I do not have good evidence for believing myself to be reliable in recognizing crows and ravens. To the contrary, I have good evidence for believing myself to be unreliable in recognizing crows and ravens. If I were to see a raven and thus be appeared to ravenlike, I would not (without further evidence) be justified in believing that I am seeing a raven. If, however, I were appeared to kiwi-like, then I would be justified in believing that there is a kiwi before me, for knowing myself to know what kiwis look like, I have good evidence for taking myself to be reliable in discerning kiwis.
3) 그래서 조건 (iii)은 신빙성이 "내재적" 증거에 기초하여 분별 가능적이기를 요구한다. 그렇지만 무엇이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가? 어떤 조건들 아래에서 당신이 특정한 것을 알아봄에 있어서 자기 자신을 신빙성 있다고 믿을 훌륭한 증거를 가지는가? 한 사례를 고찰해 보자. 당신은 키위 열매를 알아봄에 있어서 당신 자신을 신빙성있다고 믿을 훌륭한 증거를 지니는가? 자, 만일 당신이 키위가 어떻게 생겼는지 안다면, 당신의 증거는 자기-인식의 한 조각일 것이다. 즉 키위가 어떻게 생겼는지 당신이 안다는 당신의 앎일 것이다. 당신은 당신 마음 속에 키위를 묘사할 수 있고, 만일 당신이 슈퍼마켓 농산물 코너에 가게 된다면 당신이 아무런 어려움 없이 키위들을 집어낼 수 있을 것임을 안다. 여기 또 다른 사례가 있다. 나는 까마귀와 독수리를 구분할 수 없고, 내가 그럴 수 없다는 것을 안다. 따라서 나는 까마귀들과 독수리들을 재인함에 있어서 나 자신이 신빙성있다는 믿음에 대한 훌륭한 증거를 지니지 못한다. 반대로, 나는 까마귀들과 독수리들을 재인함에 있어서 나 자신이 신빙성 없다는 믿음에 대한 훌륭한 증거를 지닌다. 만일 내가 독수리 한 마리를 보게 되고 따라서 독수리 같은 것으로 내게 보인다면, 나는 (추가적 증거 없이) 내가 독수리 한 마리를 보고 있다고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지 않을 것이다. 그렇지만 만일 내게 키위 같이 보인다면, 나는 내 앞에 키위가 있다고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될 터인데, 왜냐하면 키위가 어떻게 보이는지 안다는 나 자신에 대한 앎 때문에, 내가 키위들을 알아봄에 있어서 나 자신이 신빙성있다고 여길 훌륭한 증거를 가지기 때문이다.

4) Is the second proposal superior to the first? The second proposal acknowledge the intuitive plausibility of a reliability condition but, unlike the first, avoides the problems of externalist reliabilism by internalizing it. The externalist reliability condition runs into the problem of an evil-demon world, as explained in the previous section. The presumed reliability condition, however, does not: though the victim of an evil demon's deception lacks, ex hypothesi, de facto reliability, she need not lack presumptive reliability. Hence the third proposal, unlike the second one, does not imply that the empirical beliefs of an evil-demon victim are unjustified.
4) 두 번째 제안은 첫 번째 제안보다 뛰어난가? 두 번째 제안은 신빙성 조건의 직관적 수긍가능성을 인정하지만, 첫 번째 조건과 달리, 그 조건을 내재화함으로써 외재적 신빙론의 문제를 회피한다. 외재적 신빙성 조건은 앞선 절에서 설명된 것처럼 사악한 악마 세계의 문제로 빠져든다. 추정된 신빙성 조건은 그렇지만 그런 문제에 빠져들지 않는다. 즉 사악한 악마의 기만에 희생자가 가설에 따라 사실에 대한 신빙성을 결여한다 할지라도 그녀는 추정적 신빙성을 결여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세 번째 제안은 두 번째 제안과 달리 사악한 악마의 희생자의 경험적 믿음들이 정당화되지 않음을 시사하지 않는다.

5) Next, let's see how the presumed reliability condition solves the problem foundationalists face when they attempt to explain how basic beliefs such as "The object before me is red" are justified. As explained at the beginning of this section, this problem arises when we consider the experience of being appeared to dodecagonally. Since this experience is no evidence at all for me to believe "The object before me is a dodecagon," being appeared to dodecagonally does not justify me in believing "This object is a dodecagon." How can foundationalists maintain that, on the other hand, the experience of being appeared to redly can justify me in believing "The object before me is red"? Precisely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second proposal, the difference is that I have evidence for taking myself to be reliable in discerning the color red, whereas I do not have evidence for taking myself to be reliable in discerning dodecagons.<25> Hence the experience of being appeared to redly can justify me in believing that there is a red object before me, whereas the experience of being appeared to dodecagonally cannot justify me in believing that there is a dodecagonal object before me.
5) 다음으로, 어떻게 추정된 신빙성 조건이 토대론자들이 어떻게 "내 앞의 대상은 붉다"와 같은 그런 기초적 믿음들이 정당화되는지 설명하고자 시도할 때 직면하는 문제를 해결하는지 보도록 하자. 이 절 시작부에서 설명되었듯, 이 문제는 우리가 12각형으로 보이는 경험을 고찰할 때 발생한다. 이러한 경험은 내가 "내 앞의 대상은 12각형이다"라고 믿기 위한 전혀 아무런 증거도 아니므로, 12각형으로 보임이 "이 대상은 12각형이다"라고 믿음에 있어서 나를 정당화하지 못한다. 어떻게 토대론자들은 다른 한편으로 붉게 보이는 경험이 "내 앞의 대상은 붉다"라고 믿음에 있어서 나를 정당화할 수 있다고 주장할 수 있는가? 정확히 그 두 경험들 사이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두 번째 제안에 따르면, 그 차이는 붉은 색을 알아봄에 있어서 나 자신이 신빙성있다고 받아들일 증거를 내가 가지고 있음에 반해, 나는 12각형들을 알아봄에 있어서 나 자신을 신빙성있다고 여길 증거를 지니고 있지 못하다는 것이다.<25> 따라서 붉게 보이는 경험은 내 앞에 붉은 대상이 있다고 믿음에 있어서 나를 정당화할 수 있는 반면, 12각형으로 보이는 경험은 내 앞에 12각형이 있다는 믿음에 있어서 나를 정당화할 수 없다.

6) According to our second proposal, then, the question of how basic beliefs are justified can be answered thus: Basic beliefs are justified by appropriate experiences of being appeared to in certain ways and, in addition, by the fact that the subject may presume the relevant experiences to be a reliable source of information.
6) 우리의 두 번째 제안에 따르자면, 그래서, 어떻게 기초적 믿음들이 정당화되는지에 대한 물음은 다음과 같이 답변될 수 있다. 즉 기초적 믿음들은 특정한 방식들에서 그렇게 보이기에 적절한 경험들에 의해 정당화되고, 덧붙여, 주체가 관련된 경험들을 신뢰할 만한 정보의 원천이라 추정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정당화된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