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gress Problem and Skepticism
소급 문제와 회의주의

1)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between the regress problem we encounter in the analysis of justification and particular regress arguments.<9> The regress problem arises from the threat of infinity in a regress of justifying reasons. Unless a belief B1 is basic, it can be justified only if it is based on a reason - that is, on a belief B2 that justifies B1. But for B2 to justify B1, it must be justified itself. Thus, unless B2 is basic, the necessity of a further reason, B3, arises. Since B3 must be justified in turn, unless B3 is basic, yet another reason is necessary, and so forth. In order to solve the regress problem, it must be shown that it is possible for a belief to be justified without depending for its justification on an infinite regress of reasons.
1) 우리가 정당성에 대한 분석에서 직면한 소급 문제와 특정한 소급 논증을 구별하는 일은 중요하다.<9> 소급 문제는 정당화 추론들의 소급에서 무한성의 위협으로부터 발생한다. 하나의 믿음 B1이 기초적이지 않는 한, 그 믿음은 오로지 하나의 추론에 근거되어서만 정당화될 수 있다 - 즉, B1을 정당화하는 믿음 B2에 기초하여. 그러나 B2가 B1을 정당화하기 위해서, B2는 반드시 그 자체 정당화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B2가 기초적이지 않는 한, 추가적인 추론, B3의 필요가 발생한다. B3가 이번에는 정당화되어야만 하므로, B3가 기초적이지 않는 한, 아직 또 다른 추론이 필요하며, 그렇게 계속된다. 그 소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 믿음이 추론들의 무한 소급에 그 정당성을 의존하지 않고 정당화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이 보여져야만 한다.

2) Particular regress arguments, in contrast, always represent a certain response to the regress problem. The regress argument for foundationalism, for example, concludes that there must be basic beliefs, for otherwise the justificatory regress could not be stopped. It would be a mistake, however, to believe that the only cogent response to the regress problem is an argument on behalf of foundationalism. In fact, the regress problem can also give rise to an argument in support of skepticism. Notice that the regress argument for the existence of basic beliefs begins with the supposition that B1 is justified. Skeptics about justification could deny this assumption. Since a basic belief is supposed to be a belief that is justified without owing its justification to any other beliefs, skeptics might ask from where its justification comes. Denying that experience by itself can justify, they could argue that either a belief owes its justification to other beliefs or it cannot be justified at all. They could continue the argument by agreeing with foundationalists that if basic beliefs can't exist, regress termination is impossible. And then, pointing out that an infinite regress cannot justify anything, they would conclude that there are no justified beliefs at all. So from the skeptics' point of view, the regress argument as employed by foundationalists shows at best no more than this: if there are justified beliefs, then there must be basic beliefs.
2) 특정한 소급 논증들은 반대로 언제나 소급 문제에 대한 특정한 응답을 표현한다. 예를 들어 토대론을 위한 소급 논증은 기초적 믿음은 틀림없이 있는데 왜냐하면 다른 방식으로는 정당화 소급이 중단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결론 내린다. 그렇지만 소급 문제에 대해 유일한 설득력 있는 응답이 토대론을 위한 논증이라고 믿는 것은 실수일 것이다. 사실상, 소급 문제는 또한 회의주의를 지지하는 논증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기초적 믿음들의 존재에 대한 소급 논증은 B1이 정당화된다는 추정을 가지고 시작한다는 점을 주의하자. 정당성에 대한 회의주의자들은 이러한 추정을 부정할 수 있을 것이다. 기초적 믿음은 그 정당성을 다른 어떤 믿음들에게도 빌리지 않고 정당화되는 믿음인 것으로 가정되므로, 회의주의자들은 그 믿음의 정당성이 어디로부터 오는지 물을 수 있을 것이다. 경험이 스스로 정당화할 수 있음을 부정하면서, 그들은 한 믿음은 그 정당성을 다른 믿음들에게서 빌려오거나 전혀 정당화될 수 없다고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들은 만일 기초적 믿음들이 존재할 수 없다면, 소급 종결은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토대론자들에게 동의함으로써 논증을 계속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래서, 무한 소급은 어떤 것도 정당화할 수 없음을 지적하면서, 그들은 그 어떠한 정당화된 믿음들도 전혀 없다고 결론내릴 것이다. 그래서 회의주의자들의 관점에서, 토대론자들에 의해 채택된 소급 논증은 아무리 해도 이 이상의 것을 보여주지 않는다. 즉 만일 정당화된 믿음들이 있다면, 반드시 기초적 믿음들이 있어야만 한다는 것 말이다.

3) However, from the foundationalist point of view, the skeptical employment of the regress argument also yields only a hypothetical result: if there are no basic beliefs, then there are no justified beliefs at all. And since foundationalists believe that our beliefs are by and large justified, they ultimately conclude that there must be basic beliefs. Nevertheless, the fact that skeptics can formulate a regress argument for their own purposes shows that if foundationalists wish to derive an advantage from employing a regress argument for the existence of basic beliefs, they must defend the nonskeptical premise that our beliefs are by and large justified.
3) 그렇지만, 토대론자의 관점에서, 소급 논증의 회의주의적 사용 역시 오로지 가설적 결론만을 주장한다. 즉 만일 기초적 믿음들이 없다면, 어떠한 정당화된 믿음들도 전혀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토대론자들은 우리의 믿음들이 대체로 정당화된다고 믿으므로, 그들은 궁극적으로 반드시 기초적 믿음들이 있어야만 한다고 결론내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회의주의자들의 고유한 의도를 위한 소급 논증을 정식화할 수 있다는 사실은, 만일 토대론자들이 기초적 믿음들의 존재에 대해 소급 논증을 채용함으로부터 이점을 이끌어 오길 바란다면, 그들이 반드시 우리의 믿음들이 대체로 정당화된다는 비회의적 전제를 옹호해내야만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 Regress Problem and Coherentism
소급 문제와 정합론

1) A further premise on which the regress argument rests is the assumption that, should basic beliefs be impossible, the regress of justifying reasons must continue ad infinitum. While foundationalists and skeptics both accept this premise, coherentists - who advocate that justification is solely generated through coherence - reject it. Coherentists deny that there is such a thing as nondoxastic justification, and thus deny that there are basic beliefs. On the other hand, taking our beliefs by and large to be justified, they side with foundationalists in rejecting skepticism. Hence in order to avoid skepticism, they must deny what both foundationalists and skeptics accept - to wit, that in the absence of basic beliefs, the regress of justifying reasons will continue forever.
1) 그 소급 논증이 의존하는 추가적인 전제는 기초적 믿음들이 불가능할 것이라면, 정당화하는 추론들의 소급은 반드시 무한까지 지속되어야만 한다는 추정이다. 토대론자들과 회의주의자들 모두가 이러한 전제를 받아들이는 반면, 정합론자들 - 정당성은 오로지 정합성을 통해서만 산출된다는 점을 지지하는 이들 - 은 그 전제를 거부한다. 정합론자들은 비사견적 정당성과 같은 그런 것이 있다는 것을 부정하며, 그래서 기초적 믿음들이 있음을 부정한다. 다른 한편으로, 우리의 믿음들이 대체로 정당화된다고 여기면서, 그들은 회의주의를 부정함에 있어서 토대론자들의 편에 선다. 따라서 회의주의를 피하기 위하여, 그들은 토대론자들과 회의주의자들 모두가 허용하는 것을 부정해내야만 한다. - 정확히 말해서, 기초적 믿음들의 부재 속에서 정당화하는 추론들의 소급은 영원히 계속될 것이라는 추정을 부정해야만 한다.

2) But if the idea of regress termination through basic beliefs is abandoned, how can it be shown that justification is nevertheless possible? For one thing, coherentists might claim that a regress can eventually circle back to its point of origin. Suppose again that B1 is a justified belief, owing its justification to B2, which in turn is justified by B3. Couldn't B3 receive its justification from B1? If it did, then the regress would have come full circle. Foundationalists believe that such circularity is just as unacceptable as skepticism. Thus they typically argue that if we are to avoid the two pitfalls of skepticism and circularity, we must conclude that there are basic beliefs.<10> Coherentists might reply, however, that circularity need not be such a bad thing. They might say that a circular regress can justify the beliefs involved in it if the circle is sufficiently large and rich in content.<11> In the next chapter, we shall return to this argument and examine it in some detail.
2) 그러나 만일 기초적 믿음들을 통한 소급 종결의 발상이 폐기된다면, 어떻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당성이 가능하다는 점이 보여질 수 있는가? 그 한 가지로, 정합론자들은 아마도 소급이 결국 그 시작점으로 원을 그리며 돌아올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다시 한 번, B3에 의해 정당화되는 B2에게서 그 정당성을 빌려오면서 B1이 정당화된다고 가정해 보자. B3는 그 정당성을 B1으로부터 빌려올 수 없는가? 만일 그러하다면, 소급은 완전한 원형이 될 것이다. 토대론자들은 그러한 순환성이 회의주의만큼이나 허용불가능하다고 믿는다. 따라서 그들은 전형적으로 만일 우리가 회의주의와 순환성의 두 가지 위험들을 피하게 되려면, 우리는 반드시 기초적 믿음들이 있다고 결론내려야만 한다고 주장한다.<10> 그렇지만 정합론자들은 그 순환성이 그런 결점이 필요치 않다고 답할 것이다. 그들은 아마도 순환 소급이 내용에 있어서 충분히 크고 풍부하다면 그 소급 내에 포함되는 믿음들을 정당화할 수 있다고 말할 것이다.<11> 다음 장에서, 우리는 이 논증으로 돌아와 어느 정도 구체적으로 그것을 검토할 것이다.

3) Furthermore, coherentists can challenge the linear conception of justification that the regress argument presupposes. A conception of justification is linear if it is assumed that whenever a belief B is justified, its justification can be traced back to one or more particular beliefs, and that these beliefs owe their justification in turn to still further particular beliefs. In contrast, according to a holistic conception of justification, beliefs are not justified by virtue of bearing such linear relations to other beliefs; rather, they owe their justification to the coherence the subject's belief system enjoys as a whole. Now if that is indeed how justification is generated, a justificatory regress doesn't get started in the first place. Suppose once again that B1 is a justified belief. Coherentists could say B1 is justified because it is a member of a system of beliefs that, as a whole, is coherent. Hence there is no need for a belief B2, which justifies B1 and must be justified in turn, thus creating the need for a belief B3. So, according to a holistic conception of justification, a belief's justification involves only a two-place relation - a relation between the belief itself and the subject's belief system as a whole - and thus does not depend on a regress of justifying beliefs.
3) 더 나아가서, 정합론자들은 소급 논증이 상정하는 선형적 정당성 개념에 도전할 수 있다. 만일 B가 정당화되는 어느 때이든 그 정당성이 하나 이상의 특정한 믿음들로 소급될 수 있다고, 그리고 이러한 믿음들이 그 정당성을 여전히 추가적인 특정한 믿음들에게서 빌려온다고 가정된다면 정당성 개념은 선형적이다. 반대로, 전체론적 정당성 개념에 따르자면 믿음들은 다른 믿음들에 대한 그러한 선형적 관계들에 관련하는 덕분으로 정당화되지 않는다. 오히려 그 믿음들은 그 정당성을 주체의 믿음체계가 전체로서 향유하는 정합성에게서 빌려온다. 이제 만일 실제로 정당성이 산출되는 방식이 그러하다면, 정당화 소급은 처음부터 시작되지 않는다. 다시 한 번 B1이 정당화된 믿음이라고 가정해 보자. 정합론자들은 B1이 정당화되는데 왜냐하면 그 믿음이 전체로서 정합적인 믿음들의 체계의 구성원이기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B1을 정당화시키고 이번에는 또 정당화되어야만 하는, 따라서 믿음 B3에 대한 필요를 만들어내는 그러한 믿음 B2는 전혀 필요치 않다. 그래서, 전체론적 정당성 개념에 따르자면, 한 믿음의 정당성은 오로지 복좌(復座) 관계 - 믿음 자체와 전체로서 주체의 믿음 체계 - 만을 포함하며 따라서 믿음들을 정당화하는 소급에 의존하지 않는다.


Is an Infinitive Regress Really Impossible?
무한 소급은 정말로 불가능한가?

1) A third assumption on which the regress argument rests is that if a belief depends for its justification on an infinite regress of beliefs, it couldn't possibly be justified. This assumption can be defended in two ways. First, it could be argued that an infinite regress cannot justify any beliefs because humans, having finite minds, are not capable of forming an infinite number of beliefs. Second, it could be defended on the ground that justification through an infinite regress of reasons is logically impossible. We must, then, examine the following two issues: First, is an infinite regress of beliefs psychologically possible? Second, is it logically possible for a belief to be justified by an infinite regress of reasons?
1) 소급 논증이 의존하는 세 번째 가정은 만일 한 믿음이 그 정당성을 믿음들의 무한 소급에 의존한다면, 그 믿음은 정당화될 수 없을 것이라는 것이다. 이 가정은 두 가지 방식으로 옹호될 수 있다. 첫째로, 무한 소급은 어떠한 믿음들도 정당화할 수 없는데 왜냐하면 한정된 정신을 가진 인간들은 무한수의 믿음들을 형성할 능력이 없기 때문이라고 주장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로, 그 가정은 추론들의 무한 소급을 통한 정당성이 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근거에서 옹호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반드시 다음 두 가지 문제들을 검토해야만 한다. 첫째로, 믿음들의 무한 소급은 심리적으로 불가능한가? 둘째로, 한 믿음이 추론들의 무한 소급에 의해 정당화되는 것은 논리적으로 불가능한가?

2) As to the first question, Ernest Sosa has argued that the possibility of an infinite regress should not be dismissed too easily.<12> Consider the following example.

B1    There is at least one even number.
B2    There are at least two even numbers.
B3    There are at least three even numbers.

Can you add beliefs on to this series ad infinitum? It might be argued that you do in fact hold an infinite number of beliefs, since for any n, you believe this:

Bn    There are at least n even numbers.

2) 첫 번째 물음에 대해, 어니스트 소사는 무한 소급의 가능성이 너무 쉽게 부정되어서는 안 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B1    최소한 하나의 짝수가 있다.
B2    최소한 두 개의 짝수들이 있다.
B3    최소한 세 개의 짝수들이 있다.

당신은 이 연쇄에 무한까지 믿음들을 추가할 수 있는가? 아마도 당신이 사실상 무한 수의 믿음들을 지니는데, 어떤 n에 대해서는 당신이 다음의 명제를 믿으므로 그러하다고 주장될 수 있을 것이다.

Bn    최소한 n 개의 짝수들이 있다.

3) However, we must distinguish between your readiness in principle to believe Bn for any n and your actual capacity to form such beliefs for very high numbers. Robert Audi has argued that, beyond a certain point, the requisite beliefs could not be formed by finite minds. According to Audi,

for a finite mind there will be some point or other at which the relevant proposition cannot be grasped. The required formulation (or entertaining of the proposition) would, at some point on the way "toward" infinity, become too lengthy to permit understanding it. Thus, even if we could read or entertain it part by part, when we got to the end we would be unable to remember enough of the first part to grasp and thereby believe what the formulation expresses.<13>

Audi's argument provides us with a strong reason against the psychological possibility of an infinite regress of reasons in the form of an actual infinite series of beliefs in a person's mind. Thus as far as the first question is concerned, our verdict should be a negative.
3) 그렇지만, 우리는 반드시 원칙적으로 어떤 n에 대해서든 당신이 믿을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과 굉장히 높은 수들에 대한 그러한 믿음들을 실제로 형성할 수 있는 당신의 능력을 구분해야만 한다. 로버트 아우디는 특정 지점을 넘어서서 필요한 믿음들이 한정된 정신에 의해서는 형성될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아우디에 따르면,

한정된 정신에 대해서 관련된 명제가 파악될 수 없는 어떤 지점이 있을 것이다. 요청되는 정식화 (혹은 그 명제의 수용) 는 무한성을 "향하는" 도상의 어떤 지점에서 그 명제를 이해하는 일을 허용할 수 없을 만큼 지나치게 길어질 것이다. 따라서, 설령 우리가 그 명제를 부분부분 차례로 읽거나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라 할지라도, 우리가 그 끄트머리에 닿았을 때 우리는 그 정식화가 표현하는 바를 파악하고 그럼으로써 믿을 만큼 충분히 그 처음 부분을 기억할 수는 없을 것이다.<13>

아우디의 논증은 우리에게 한 개인의 정신에서 믿음들의 실제적 무한 연쇄 형식에 있어서 추론들의 무한 소급에 대한 심리적 가능성을 반대하는 강력한 근거를 제공한다. 따라서 첫 번째 물음에 관한 한, 우리의 평가는 부정적이어야 할 것이다.

4) Let us now turn to the second question. For the sake of argument, let us grant the psychological possibility of an infinite regress of reasons - that is, let us suppose we can in fact form beliefs of the form Bn for any n. Could the belief at the head of the regress, B1, be justified by the infinity of the beliefs succeeding it? The argument to the effect that it could not runs as follows: B1 is justified only if B2 is justified. So B1 depends for its justification on B2. Likewise, B2 depends for its justification on B3, and so forth. To generalize: Each member of the series depends for its justification on the immediately succeeding member. But this means that B1 remains unjustified unless the regress terminates in a belief that does not depend for its justification on yet another belief in the series.
4) 이제 두 번째 물음으로 돌아서 보자. 논증을 위하여, 추론들의 무한 소급에 대한 심리적 가능성을 인정하도록 하자 - 즉, 우리가 사실상 어떤 n에 대해서든 Bn 형식의 믿음들을 형성할 수 있다고 가정해 보도록 하자. 소급의 선두 믿음 B1은 그에 계속하는 믿음들의 무한성에 의해 정당화될 수 있겠는가? 그 논증은 다음과 같이 진행될 수 없을 것이라는 의미이다. 즉 B1은 오로지 B2가 정당화될 때에만 정당화된다. 그래서 B1은 그 정당성은 B2에 의존한다. 마찬가지로, B2는 그 정당성을 B3에 의존하며 그렇게 계속된다. 일반화하자면 그 연쇄의 각 구성원은 그 정당성을 곧장 뒤따르는 구성원에 의존한다. 그러나 이것은 B1이 그 정당성을 연쇄 속 다른 믿음에 의존하지 않는 믿음에서 소급이 종결하지 않는 한 정당화되지 않은 채로 남는다는 뜻이다.

5) Consider an analogy. Suppose I wish to borrow five dollars from you and you tell me: "I don't have five dollars right now, but over there is Jack, who owes me five dollars. If I get five dollars from him, then I'll give them to you." Now when you ask Jack, he tells you what you told me: "I don't have five dollars right now, but over there is Jim, who owes me five dollars. If I get five dollars from him, then I'll give them to you." Clearly, if the search for someone to borrow five dollars from continues ad infinitum, I'll never get the five dollars I need. Someone in the chain of potential lenders actually has to have the five dollars without in turn depending on someone else from whom to get five dollars. Likewise, if the regress of beliefs of the form Bn continues ad infinitum, B1 will never get justified. At some point in the regress, a belief must be justified without depending for its justification on yet another belief, or else there will never be any justification generated that can be transmitted all the way up to B1.
5) 하나의 유추를 고찰해 보자. 내가 당신에게서 5달러를 빌리고자 하고 당신이 나에게 다음과 같이 말한다고 가정해 보자. "내가 지금은 5달러가 없지만 저기 나한테서 5달러를 빌린 잭이 있어. 만일 내가 걔한테서 5달러를 받는다면 그 돈을 너한테 줄게." 이제 당신이 잭에게 물을 때, 그가 당신에게 당신이 내게 했던 말을 한다. "내가 지금은 5달러가 없지만 저기 나한테서 5달러를 빌린 짐이 있어. 만일 내가 걔한테서 5달러를 받는다면 그 돈을 너한테 줄게." 분명히, 만일 5달러를 빌린 누군가를 찾는 일이 무한까지 계속된다면, 나는 결코 내가 필요한 5달러를 얻을 수 없을 것이다. 잠재적으로 빌려줄 사람들의 연쇄 속에서 누군가는 실제로 그에게서 5달러를 받아야 할 다른 누군가에 의존함이 없이 5달러를 가지고 있어야만 한다. 같은 식으로, 만일 Bn 형식 믿음들의 소급이 무한까지 계속된다면, B1은 절대로 정당화되지 않을 것이다. 그 소급의 어떤 지점에서, 한 믿음은 반드시 그 정당성을 다른 믿음에 의존함이 없이 정당화되어야만 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B1까지 내내 전이될 수 있도록 산출되는 어떠한 정당성도 절대로 없을 것이다.

6) It is safe to say, then, that at least one of the premises of the regress argument for basic beliefs is beyond reproach: for a regress of justifying reasons that doesn't terminate, it is impossible to justify the belief at its beginning. However, foundationalists must admit that the regress argument does not straightforwardly establish the existence of basic beliefs. It is an effective defense of foundationalism only if accompanied by further argumentation against coherentism and skepticism.
6) 그래서 최소한 기초적 믿음들에 대한 소급 논증의 전제들 중 하나는 다음과 같은 비난을 넘어서서 있다고 말하는 것이 안전하다. 즉 종결하지 않는 정당화 추론들의 소급에 대해, 처음부터 그 믿음을 정당화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비난 말이다. 그렇지만 토대론자들은 반드시 그 소급 논증이 직접 기초적 믿음들의 존재를 확립시키지는 않는다는 점을 인정해야만 한다. 그것은 오로지 정합론과 회의주의에 반대하는 추가적 논증에 의해 동반될 때에만 토대론에 대한 효과적인 방어이다.


Self-Justification
자기-정당화

1) We have defined basic beliefs as beliefs that are justified without owing thier justification to other beliefs. However, both advocates and critics of foundationalism have typically assumed that for a belief to be basic, it must enjoy what is called an "epistemic privilege." For a belief to be epistemically privileged, it must have a feature that the ordinary mass of beliefs lacks. Standard examples of an epistemically previleged status are that of being self-justified, certain, indubitable, or infallible. In this section, we shall examine whether for a belief to be basic, it must really enjoy any of these epistemic privileges.
1) 우리는 기초적 믿음들을 그 정당성을 다른 믿음들에게서 빌려오지 않고 정당화되는 믿음들로 정의하였다. 그렇지만, 토대론의 지지자들과 비판자들 모두가 전형적으로 한 믿음이 기초적이기 우해서는 그 믿음이 반드시 "인식적 면책특권"이라 불리는 어떤 것을 향유해야만 한다고 가정하였다. 한 믿음이 인식적으로 특권적이기 위해서, 그 믿음은 반드시 믿음들의 일상적 모임이 결여하는 특징을 지녀야만 한다. 인식적 특권 상태의 표준적 사례들은 자기-정당화됨, 확실함, 의심불가능, 또는 오류불가능이다. 이 절에서, 우리는 믿음이 기초적이기 위해 그 믿음이 정말로 반드시 이러한 인식적 특권들 중 어떤 것이든 향유해야만 하는지 검토할 것이다.

2) According to Keith Lehrer, a leading coherentist and critic of foundationalism, a belief cannot be basic unless it is self-justified. He writes that foundationalism can be characterized

by specifying the conditions that must be met for a belief to be basic. The first is that a basic belief must be self-justified rather than being justified entirely by relations to other beliefs.<14>

This claim raises two issues. First, is it possible for a belief to be self-justified? Second, is Lehrer right in claming that for a belief to be basic, it must be self-justified?
2) 정합론자들과 토대론 비판을 선도하는 케이트 레러에 따르면, 한 믿음은 그 믿음이 자기-정당화되지 않는 한 기초적일 수 없다. 그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토대론은 규정될 수 있는데

한 믿음이 기초적이기 위해 반드시 충족되어야만 하는 조건들을 상술함으로써 그러하다. 그 첫째 조건은 기초적 믿음은 전적으로 다른 믿음들과의 관계들에 의해 정당화되는 것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반드시 자기-정당화되어야만 한다.<14>

이러한 주장은 두 가지 문제들을 불러 일으킨다. 첫째로, 한 믿음이 자기-정당화되는 것이 가능한가? 둘째로, 레러는 한 믿음이 기초적이어야 하기 위해 그 믿음이 반드시 자기-정당화되어야만 한다고 주장함에 있어서 옳은가?

3) The first question must be answered negatively.<15> The relation "x justifies y" is irreflexive, which means that just as one can't be one's own father, a belief can't be its own justifier.<16> Compare self-justification with the idea that God created himself. When God created himself, either he existed already or he did not. If he did, then he existed in the first place, and thus could not have created himself. In the first case, self-creation could not have taken place because what exists already cannot be created again, just as a child that is already born cannot be born again, or a cup of coffee that is already brewed cannot be brewed again. In the second case, God could not have created himself, for in order for him to create anything, he must exist already. The idea of self-creation, then, is an idea of something that is impossible; nothing can create itself.<17>
3) 첫 번째 물음은 반드시 부정적으로 답해져야만 한다.<15> "x가 y를 정당화한다"라는 관계는 재귀적이지 않고, 그것은 곧 한 사람이 그 자신의 아버지일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한 믿음은 그 자신의 고유한 정당화항일 수 없다는 뜻이다.<16> 자기-정당성을 자신을 창조한 신이라는 생각과 비교해 보자. 신이 그 자신을 창조할 때, 그는 이미 존재하였거나 그렇지 않다. 만일 그가 이미 존재하였다면, 그는 처음부터 존재하였고, 그래서 그 자신을 창조했을 수 없을 것이다. 첫 번째 경우, 자기-창조는 일어날 수 없었을 것인데 왜냐하면 이미 존재하는 것은 다시금 창조될 수 없기 때문이며, 이는 바로 이미 태어난 아이가 다시 태어날 수 없는 것과, 혹은 이미 타진 커피 한 잔이 다시 타질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두 번째 경우, 신은 그 자신을 창조할 수 없을 것인데, 왜냐하면 그가 무엇이든 창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미 존재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자기-창조의 생각은 그래서 불가능한 어떤 것에 대한 생각이다. 그 어떤 것도 그 자신을 창조할 수 없다.<17>

4) A parallel argument applies to self-justification. Any allegedly self-justified belief is either justified in the first place or it is not. If it is, then it can't justify itself because it is already justified, just as one can't take a loaf of bread that is already baked, write a letter that is already written, or melt an ice cube that is already melted. And if the belief is not already justified, then it can't justify itself because a belief that doesn't have justification can't transmit justification on to any other beliefs or itself, just as somebody who doesn't have any money can't give money to anyone, including himself.<18> We are to conclude, therefore, that self-justification is impossible.
4) 동일한 논증이 자기-정당화에 적용된다. 자기-정당화된 믿음이라 알려진 어떤 믿음은 처음부터 정당화되거나 그렇지 않다. 만일 처음부터 정당화된다면, 그 믿음은 그 자신을 정당화할 수 없는데 왜냐하면 그 믿음은 이미 정당화되어 있기 때문이며, 그것은 한 사람이 이미 베어 먹은 빵 한 덩어리를 먹을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고, 이미 쓰인 편지를 쓸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거나, 이미 녹아 버린 얼음조각을 녹일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만일 그 믿음이 이미 정당화되어 있는 게 아니라면, 그 믿음은 그 자신을 정당화할 수 없는데 왜냐하면 정당성을 지니지 않은 믿음은 정당성을 다른 어떤 믿음들이나 그 자신에게도 전이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이는 마치 땡전 한 푼 없는 누군가가 그 자신을 포함한 누구에게도 돈을 줄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다.<18> 그럼르ㅗ 우리는 자기-정당성은 불가능하다고 결론내리게 될 것이다.

5) Let us now turn to the second issue Lehrer raises. Is he right in claiming that basic beliefs must be self-justified? Suppose he is. Since self-justification is impossible, in that case there couldn't be any basic beliefs, and foundationalism would certainly be a mistaken view. However, foundationalists need not agree with Lehrer that basic beliefs must be self-justified. In the passage cited above, it is clear that Lehrer makes this assumption: either a belief is justified by relations to other beliefs or it is self-justified. Form the foundationalist point of view, however, this is a false dichotomy, for Lehrer's assumption leaves out the possibility of justification arising from nondoxastic sources. Recall what it takes for a belief to be basic - that is, to play the role of a regress terminator: it must be justified without owing its justification to another belief. Surely this doesn't imply that it must receive its justification from itself. Rather, as pointed out above, foundationalists can maintain that basic beliefs are justified by perceptual, introspective, and memorial experiences. According to this view, basic beliefs, unlike self-justified beliefs, do have an external source of justification - a source, however, that does not include any beliefs. They are neither justified by others nor self-justified.
5) 이제 레러가 불러온 두 번째 문제로 가 보자. 그는 기초적 믿음들이 반드시 자기-정당화되어야만 한다고 주장함에 있어서 옳은가? 그가 옳다고 가정해 보자. 자기-정당성은 불가능하므로, 그 경우 어떠한 기초적 믿음들도 있을 수 없을 것이고, 토대론은 확실히 잘못된 관점일 것이다. 그렇지만, 토대론자들은 기초적 믿음들이 자기-정당화되어야만 한다는 점에서 레러에게 동의할 필요가 없다. 위에서 인용된 구절에서, 레러가 이러한 가정을 하고 있음은 분명하다. 즉 한 믿음은 다른 믿음들과의 관계들에 의해 정당화되거나 아니면 자기-정당화된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토대론자의 관점에서 이것은 그릇된 이분법인데, 왜냐하면 레러의 가정은 비사견적 원천들로부터 발생하는 정당화의 가능성을 남겨놓기 때문이다. 한 믿음이 기초적이기 위해 취하는 것을 상기해 보자 - 즉, 소급 종결자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취하는 것 말이다. 그것은 즉 그 믿음이 다른 믿음에게서 그 정당성을 빌려오지 않고 정당화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확실히 이것은 그 믿음이 그 정당성을 그 자신으로부터 받아야만 한다는 것을 시사하지 않는다. 오히려, 위에서 지적된 바대로, 토대론자들은 기초적 믿음들이 지각적, 내성적, 기억 경험들에 의해 정당화된다고 주장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 따르면 기초적 믿음들은 자기-정당화된 믿음들과 달리 정당성의 외재적 원천 - 그렇지만 어떠한 믿음들도 포함하지 않는 원천 - 을 가진다. 그 믿음들은 다른 믿음들에 의해서 정당화되지도 그렇다고 자기-정당화되지도 않는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