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ical Foundationalism
고전적 토대론

1) A foundationalist account of justification must, as we have seen, provide an answer to two questions: (i) What makes a belief basic? (ii) How is justification transmitted from basic to nonbasic beliefs? Different versions of foundationalism answer these questions differently. In this section of the chapter we shall study three such versions: classical, strong, and minimal foundationalism.
1) 정당성에 대한 토대론적 설명은 우리가 보았듯 반드시 다음 두 가지 물음에 대해 답변을 제공해야만 한다: (i) 무엇이 믿음을 기초적으로 만드는가? (ii) 어떻게 정당성은 기초적 믿음으로부터 비기초적 믿음으로 전이되는가? 상이한 형태의 토대론들은 이러한 물음들에 상이하게 답변한다. 이 절에서 우리는 그러한 세 가지 형태들을 연구할 것이다. 즉 고전적 토대론, 강한 토대론, 그리고 축소된 토대론이 그것들이다.

2) According to classical foundationalism, a belief cannot be justified unless what justifies it provides the subject with a guarantee of its truth. Now in order for us to get a guarantee of truth extending to both basic and nonbasic beliefs, two conditions would have to be met: basic beliefs would have to be infallible, and nonbasic beliefs would have to follow deductively from basic beliefs. According to classical foundationalism, then, basic beliefs cannot be false, and nonbasic beliefs receive their justification from basic beliefs via deduction. An example of classical foundationalism is Descartes's epistemology. In his Meditations on First Philosophy, Descartes attempted to prove the existence of an external world from such infallible certainties as "I exist" and "I am thinking."
2) 고전적 토대론에 따르면, 믿음은 그 믿음을 정당화하는 것이 주체에게 그 믿음의 참을 보장하지 않는 한 정당화될 수 없다. 이제 우리가 기초적 믿음들과 비기초적 믿음들 모두에 확장하는 참에 대한 보장을 얻기 위해서, 두 가지 조건들이 충족되어야 할 것이다. 그 두 가지 조건들은 기초적 믿음들이 오류불가능적이어야 하리라는 것과, 비기초적 믿음들이 기초적 믿음들로부터 연역적으로 귀결해야 하리라는 것이다. 그래서 고전적 토대론에 따르면 기초적 믿음들은 거짓일 수 없고, 비기초적 믿음들은 기초적 믿음들로부터 연역을 통하여 그 정당성을 받는다. 고전적 토대론의 일례는 데카르트의 인식론이다. 그의 『제일철학에 대한 성찰』에서 데카르트는 "내가 존재한다"와 "내가 생각하고 있다"와 같은 오류불가능한 확실성들로부터 외부 세계의 존재를 증명하고자 시도한다.

3) Among contemporary philosophers, it would be quite difficult to find advocates of classical foundationalism. In fact, today there is widespread agreement that classical foundationalism is a philosophical dead end. To appreciate the reasons for this verdict, we must distinguish between appearance beliefs (a subspecies of introspective beliefs) and physical object beliefs. Thus beliefs such as "I am appeared to redly" or "There appears to be a triangular object before me" are appearance beliefs. In contrast, physical object beliefs are about the physical world itself; examples are "This object is red" and "There is a triangular object before me." Now, what matters about physical object beliefs is that they are fallible. When we form beliefs about the world around us, there is always some risk of error involved.
3) 현대 철학자들 중에서, 고전적 토대론의 지지자들을 발견하기란 꽤나 어려울 것이다. 사실상, 오늘날에는 고전적 토대론이 철학적으로 막다른 길에 놓였다는 광범위한 동의가 있다. 이러한 평가의 근거들을 통찰하기 위해서, 우리는 반드시 외양적 믿음들 (내성적 믿음들의 아종) 과 물리적 객체 믿음들을 구분해야만 한다. 따라서 "내게 붉게 보인다" 혹은 "내 앞에 삼각형 물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와 같은 믿음들은 외양적 믿음들이다. 반대로, 물리적 객체 믿음들은 물리적 세계 자체에 대한 믿음들이다. 그 예시들은 "이 물체는 붉다"와 "내 앞에 삼각형 물체가 있다"이다. 이제, 물리적 객체 믿음들에 대한 문제는 그 믿음들이 오류가능적이라는 점이다. 우리가 우리 주변 세계에 대한 믿음들을 형성할 때, 언제나 어느 정도 오류의 위험이 포함된다.

4) What, then, is so objectionable about classical foundationalism? To begin with, since physical object beliefs are fallible, classical foundationalists must exclude them from the foundation. Rather, the foundation must consist of beliefs that, unlike physical object beliefs, are infallible. Appearance beliefs are supposed to fill the bill: according to foundationalists, they are infallible. But are they really infallible? Critics of foundationalism would say that the number of infallible beliefs is extremely limited, even among appearance beliefs.<26> If they are right, then classical foundationalism would imply that the number of basic beliefs is extremely small, restricted to beliefs such as "I exist" and "I am thinking right now." Certainly that would be a serious problem for classical foundationalism, for we may wonder how the entire range of our physical object beliefs could be justified by such a thin foundation.
4) 그러면 고전적 토대론에 대해서 무엇이 그렇게 반박할 만한 것인가? 우선, 물리적 객체 믿음들은 오류가능적이므로, 고전적 토대론은 반드시 그러한 믿음들을 토대로부터 배제시켜야만 한다. 오히려, 그 토대는 반드시 물리적 객체 믿음들과 달리 오류불가능한 믿음들로 구성되어야만 한다. 외양적 믿음들은 그러한 값을 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즉 토대론자들에 따르면, 외양적 믿음들은 오류불가능하다. 그러나 그 믿음들이 정말로 오류불가능한가? 토대론의 비판자들은 외양적 믿음들 중에서조차 오류불가능한 믿음들의 수가 극도로 제한된다고 말할 것이다.<26> 만일 그들이 옳다면, 고전적 토대론은 기초적 믿음들의 수가 극도로 적고, "내가 존재한다"와 "바로 지금 내가 생각하고 있다" 같은 믿음들에 제한된다는 것을 시사할 것이다. 확실히 그것은 고전적 토대론에게 심각한 문제일 것인데, 왜냐하면 우리는 아마도 어떻게 물리적 객체 믿음들의 전체 범위가 그러한 얄팍한 토대에 의해 정당화될 수 있을지 궁금해할 것이기 때문이다.

5) For the sake of argument, though, let us suppose that there are indeed many introspective beliefs about one's perceptual experiences that are infallible. We are assuming, then, that when you believe yourself to be appeared to in a certain way, you couldn't be mistaken about the way you are appeared to. Nevertheless, the number of justified nonbasic beliefs will remain unimpressive. In fact, it's hard to see how, if classical foundationalism were true, there could be any justified nonbasic beliefs, because physical object beliefs don't follow deductively from beliefs about perceptual experiences. There is a logical gap between propositions describing perceptual experiences and propositions describing external physical objects. A proposition of the latter kind can't follow deductively from a set of propositions of the former kind. Suppose I believe

B1    I'm appeared to redly

from which I infer the belief

B2    There is a red object before me.

According to classical foundationalism, if B2 is a justified nonbasic belief, then it must receive its justification from B1 via a deductive support relation. This means that B2 is justified only if the argument "B1, therefore B2" is deductively valid, which, of course, it is not. If, for example, I am under the influence of a drug that makes me hallucinate the presence of a red object when in fact there is nothing red before me, the argument's premise is true and its conclusion false. In general, since it is possible to be appeared to F-ly when there is no object that is an F in front of one, no argument of the form

I'm appeared to F-ly
Therefore:
There is an object before me that is F

Can be valid.<27> Thus it follows that appearance beliefs can't justify physical object beliefs via deductive support relations. Hence, if classical foundationalism were true, it would be a version of skepticism, for then our beliefs about the physical objects surrounding us would all be unjustified.
5) 그렇다 하더라도 논증을 위해서 우리는 한 개인의 오류불가능한 지각적 경험들에 대한 꽤나 많은 내성적 믿음들이 있다고 가정해 보도록 하자. 다음으로 우리는 당신이 당신 자신에게 일정한 방식으로 보인다고 믿을 때, 당신이 당신에게 그렇게 보이는 방식에 대해 잘못 판단할 수 없으리라고 가정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당화된 비기초적 믿음의 수는 대단찮게 남을 것이다. 사실상, 만일 고전적 토대론이 참이라면 어떻게 어떤 비기초적 믿음들이 있을 수 있을지 알아보기란 어려운데, 왜냐하면 물리적 객체 믿음들은 지각적 경험들에 대한 믿음들로부터 연역적으로 귀결하지 않기 때문이다. 지각적 경험들을 기술하는 명제들과 외부의 물리적 객체들을 기술하는 명제들 사이에는 논리적 간극이 있다. 후자에 속하는 종류의 명제는 전자에 속하는 종류의 일련의 명제들로부터 연역적으로 귀결할 수 없다. 내가 다음과 같은 믿음 B1을 믿는다고 가정하자.

B1    내게 붉게 보인다

나는 B1으로부터 다음 명제를 추론한다.

B2    내 앞에 붉은 물체가 있다.

고전적 토대론에 따르면, 만일 B2가 정당화된 비기초적 믿음이라면, 그 믿음은 반드시 그 정당성을 연역적 지지관계를 통하여 B1으로부터 받아야만 한다. 이는 B2가 정당화되는 것은 오직 "B1이므로 B2"라는 논증이 연역적으로 타당할 경우만이라는 뜻이며, 물론 그것은 연역적으로 타당하지 않다. 예를 들어, 내가 나로 하여금 사실 내 앞에 아무런 붉은 것도 없을 때 붉은 대상의 현전을 환각으로 겪게끔 만드는 마약의 영향 하에 있다면, 그 논증의 전제는 참이고 그 결론은 거짓이다. 일반적으로, 그 앞에 F인 객체가 전혀 없을 때 F로 보이는 것이 가능하므로, 다음과 같은 형식의 어떠한 논증도 타당할 수 없다.<27>

내게 F로 보인다
그러므로:
내 앞에 F인 객체가 있다.

따라서 외양적 믿음들은 물리적 객체 믿음들을 연역적 지지 관계들을 통하여 정당화할 수 없다는 점이 귀결된다. 따라서, 만일 고전적 토대론이 참이라면, 그것은 회의주의의 한 형태일 터인데, 왜냐하면 우리를 둘러싼 물리적 대상들에 대한 우리의 믿음들이 전부 정당화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Morden Foundationalism
근대적 토대론

1) Modern foundationalism is akin to classical foundationalism in demanding that basic beliefs enjoy an epistemic privilege, but differs from it in allowing for nondeductive transmission of justification from basic to nonbasic beliefs. Thus while modern foundationalism is not vulnerable to the objection that the evidential gap between the foundation and the superstructure cannot be bridged deductively, it is still vulnerable to the criticism that appearance beliefs are not capable of enjoying an epistemic privilege such as certainty, indubitability, or even infallibility. However, advocates of modern foundationalism need not agree with this criticism. Indeed, it is far from obvious that there couldn't be wide range of appearance beliefs about one's own perceptual experiences that are either certain, indubitable, or infallible.<28>
1) 근대적 토대론은 기초적 믿음들이 인식적 특권을 향유할 것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고전적 토대로과 유사하지만, 기초적 믿음으로부터 비기초적 믿음들로의 정당성의 비연역적 전이를 허용한다는 점에서는 고전적 토대론과 차이가 있다. 따라서 근대적 토대론은 토대와 상부구조 사이의 증거적 간극이 연역적으로 메꿔질 수 없다는 반박에는 취약하지 않은 반면, 여전히 외양적 믿음들이 확실성, 회의불가능성, 또는 오류불가능성까지, 그러한 인식적 특권을 향유할 능력이 없다는 비판에 취약하다. 그렇지만, 근대적 토대론의 지지자들은 이러한 비판에 동의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한 개인의 고유한, 확실하거나 회의불가능하거나 오류불가능한 지각적 경험들에 대한 외양적 믿음들의 넓은 영역이 있을 수 없으리란 점은 썩 분명치 않다.<28>

2) However, even if advocates of modern foundationalism could make a good case for the claim that, in typical cases, introspective beliefs about one's own perceptual states are infallible, there would still be a formidable problem, for normally we just don't form introspective beliefs about the ways in which we are appeared to. When you see a cat, you believe "There is a cat there," but you don't believe "I am appeared to cat like."<29> In fact, with the exception of those who have studied the epistemology of perception, most people would not even know how to form such beliefs. It takes training to distinguish between the actual cat that is being perceived and the corresponding cat-like visual experience (the state of being appeared to cat-like). Finally, it is only natural to ignore the phenomenology of one's perception and instead to focus directly on the objects one perceives. For example, if the cat is hungry and must be fed, what matters is not the cat-like visual experience, but the cat itself. And when you cross a street and a truck is approaching, it would be a big mistake to focus your attention on the quality of your present perceptual experiences instead of on the truck.
2) 그렇지만, 설령 근대적 토대론의 지지자들이 전형적으로 한 개인의 지각적 상태들에 대한 내성적 믿음들이 오류불가능하다고 주장하기 위한 훌륭한 사례를 만들어낼 수 있을지라도, 여전히 만만치 않은 문제가 있을 것인데,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우리는 바로 우리에게 그렇게 보이는 방식들에 대한 내성적 믿음들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이다. 당신이 고양이 한 마리를 볼 때, 당신은 "고양이 한 마리가 있다"라고 믿지만 "내게 고양이처럼 보인다"라고 믿지는 않는다. <29> 사실, 지각에 대한 인식론을 연구한 사람들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떻게 그러한 믿음들을 형성하는지조차 알지 못할 것이다. 그것은 지각되고 있는 실제 고양이와 상응하는 고양이 같은 시각적 경험 (고양이처럼 보임의 상태)를 구분하는 훈련을 요한다. 끝으로, 한 개인의 지각 현상을 무시하고 대신에 직접 그 개인이 지각하는 대상들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따름이다. 예를 들어, 만일 그 고양이가 굶주려 있고 먹이를 먹어야만 한다면, 문제는 고양이처럼 보이는 시각경험이 아니라, 고양이 그 자체이다. 그리고 당신이 길을 건너면서 트럭 한 대가 다가오고 있을 때, 트럭 대신에 당신의 현재적 지각 경험들의 성질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은 대단히 잘못된 판단일 것이다.

3) This is not to say that we never pay attention to the phenomenal quality of our experiences. We do, for example, when we suspect that our senses might be deceiving us. The point, however, is that such situations do not occur very often. Normally, we just don't form beliefs about how we are appeared to. Consequently, if basic beliefs must indeed be infallible, then under ordinary circumstances (i.e., those in which we don't form beliefs about the phenomenal qualities of our perceptual experiences), there simply wouldn't be any foundation for physical object beliefs to rest on.<30>
3) 이것은 우리가 절대로 우리의 경험들에 대한 현상적 성질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는 말이 아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우리가 우리의 감각들이 우리를 속이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의심이 들 때 그렇게 한다. 그렇지만 핵심은 그러한 상황들이 매우 자주 발생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보통, 우리는 단지 우리에게 어떻게 보이는지에 대한 믿음들은 형성하지 않을 따름이다. 결론적으로, 만일 기초적 믿음들이 더욱이 오류불가능적이어야만 한다면, 일상적 상황들 아래에서 (즉, 우리가 우리의 지각 경험들에 대한 현상적 성질들에 대한 믿음들을 형성하지 않는 상황들에 있어서), 물리적 객체 믿음들이 의존할 어떠한 토대도 단순히 없을 것이다.<30>

4) A parallel argument can be formulated for other kinds of epistemic privilege. The gist of any such argument is the same: Physical object beliefs don't enjoy any epistemic privilege, only appearance beliefs do. So if basic beliefs must enjoy an epistemic privilege, only appearance beliefs can be basic. However, typically we don't form any appearance beliefs. Thus the requirement that basic beliefs enjoy an epistemic privilege leads to the consequence that our physical object beliefs are not normally justified, and hence turns foundationalism into a version of skepticism.
4) 동일한 논증이 다른 종류의 인식적 특권들에 대해서도 정식화될 수 있다. 그런 어떤 논증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즉 물리적 객체 믿음들은 그 어떠한 인식적 특권도 누리지 않으며, 오로지 외양적 믿음들만이 그러한 특권을 누린다. 그래서 만일 기초적 믿음들이 반드시 인식적 특권을 누려야만 한다면, 오로지 외양적 믿음들만이 기초적일 수 있다. 그렇지만, 전형적으로 우리는 어떠한 외양적 믿음들도 형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초적 믿음들이 인식적 특권을 누려야만 한다는 요구는 우리의 물리적 객체 믿음들이 일상적으로 정당화되지 않는다는 결론으로 이끌고, 따라서 토대론을 회의주의의 한 유형으로 만든다.


Minimal Foundationalism
축소된 토대론

1) Minimal foundationalism marks a significant departure from the foundationalist tradition. Typically, foundationalists have held an elitist conception of basic beliefs: for beliefs to be eligible for membership in the foundational club, they had to have an epistemic privilege of one form or another. Thus the typical foundationalist picture of the structure of belief systems has been this: the superstructure comprises physical object beliefs, the foundation comprises introspective beliefs about one's own perceptual experiences. Minimal foundationalism revises this picture. Basic beliefs need not be epistemically privileged, so nothing bars them from being about physical objects. According to minimal foundationalism, then, the difference between beliefs in the superstructure and those in the foundation is not a function of belief content; rather, whether a belief belongs to the foundation or the superstructure is solely a function of how it received its justification. If it received its justification through an experience and not from any other beliefs, then it is foundational. If, however, it received its justification from one or more other beliefs, then it belongs to the superstructure.
1) 축소된 토대론은 토대론적 전통으로부터 중대한 이탈을 나타낸다. 전형적으로, 토대론자들은 기초적 믿음들에 대한 엘리트주의적 개념을 주장해 왔다. 즉 믿음들이 토대적 모임에 회원자격을 얻기 위해서, 그 믿음들은 어떤 형식이든 인식적 특권을 지녀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믿음 체계들의 구조에 대한 전형적 토대론적 묘사는 이와 같았다. 그 상부구조는 물리적 객체 믿음들로 이루어지고, 그 토대는 한 개인의 고유한 지각적 경험들에 대한 내성적 믿음들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축소된 토대론은 이 그림을 수정한다. 기초적 믿음들은 인식적으로 특권을 가질 필요가 없으며, 그래서 아무것도 그 믿음들을 물리적 대상들에 대한 것이지 못하도록 막지 않는다. 축소된 토대론에 따르면, 그래서, 상부구조 내의 믿음들과 토대의 믿음들 사이의 차이는 믿음 내용의 기능이 아니다. 오히려, 한 믿음이 토대에 속하는지 상부구조에 속하는지는 오로지 그 믿음이 어떻게 그 정당성을 받았는지에 대한 상관관계뿐이다. 만일 그 믿음이 정당성을 경험을 통해 받았고 다른 어떤 믿음들을 통해서도 받지 않았다면 그 믿음은 토대적이다. 그렇지만 만일 그 믿음이 정당성을 하나 이상의 다른 믿음들로부터 받았다면 그 믿음은 상부구조에 속한다.

2) Here is an example to illustrate how minimal foundationalism is supposed to work. Suppose that, coming home from work, I see my wife's coat in the closet, which surprises me, for normally she comes home after me. I also see a bag of groceries on the counter in the kitchen, I smell coffee, and I hear footsteps upstairs. I form these four beliefs:

Her coat in the closet. There's a bag of groceries in the kitchen. I smell coffee. I hear footsteps upstairs.

An advocate of minimal foundationalism would say that each of these beliefs is justified by a perceptual experience, without owing any of its justification to any other beliefs. Hence, each of these beliefs is basic - that is, a member of the foundation of my belief system at the time in question. From these beliefs, I infer about my wife:

She came home early. She went grocery shopping. She made coffee. She is upstairs.

Since these beliefs owe their justification to the beliefs in the first set, and to certain other beliefs of mine (e.g., that my wife normally comes home after me, that there is no one else living in my house who could have bought groceries and made coffee, etc.), they are nonbasic, and thus members of the superstructure. Now, what divides the two sets of beliefs is not that the members of the first set enjoy a certain epistemic privilege that the members of the second set do not. Rather, what divides the two sets is how their members are justified. The members of the first set are justified nondoxastically, the members of the second set doxastically - that is, by other beliefs. Notice that both sets contain beliefs about objects external to the world of my perceptual experiences. The first set contains beliefs about a coat and a bag of groceries, and the second set beliefs about my wife.
2) 축소된 토대론이 어떻게 되는지 설명하는 한 예시가 있다. 일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면서, 내가 벽장 속 아내의 코트를 보고, 그 코트가 나를 놀래켰는데, 왜냐하면 일상적으로 그녀가 나보다 늦게 집에 돌아오기 때문이라고 가정해 보자. 나는 또한 부엌 식탁위에 장바구니를 보고, 커피 냄새를 맡으며, 위층에서 발소리를 듣는다. 나는 이와 같은 네 가지 믿음들을 형성한다.

그녀의 코트가 벽장 안에 있다. 부엌에 장바구니가 있다. 나는 커피 냄새를 맡는다. 나는 위층에서 나는 발소리를 듣는다.

축소된 토대론의 옹호자는 이러한 믿음들 각각이 지각적 경험에 의해, 그 정당성 중 어떠한 것도 다른 어떠한 믿음들로부터도 빌려오지 않고 정당화된다고 말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믿음들 각각은 기초적이다 - 즉, 문제되는 그 시간에 나의 믿음체계의 토대에 속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믿음들로부터 나는 아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추론한다.

그녀는 일찍 집에 돌아왔다. 그녀는 시장을 보러 갔었다. 그녀는 커피를 내렸다. 그녀는 위층에 있다.

이러한 믿음들은 그 정당성을 첫 번째 믿음들의 집합으로부터, 그리고 나의 특정한 다른 믿음들로부터 (예를 들어 나의 아내가 보통 나보다 늦게 들어온다는 것, 시장을 보고 커피를 만들었을 수 있을, 우리집에 살고 있는 다른 누구도 없다는 것 등.) 빌려오므로, 그 믿음들은 비기초적이며, 따라서 상부구조에 속하는 구성요소들이다. 이제, 믿음들의 두 집단들을 나누는 것은 첫 집단의 구성요소들이 두 번째 집단의 구성요소들은 누리지 못하는 특정한 인식적 특권을 향유한다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 두 집단들을 나누는 것은 그 집단들의 구성요소들이 어떻게 정당화되는지 하는 것이다. 첫 집단의 구성요소들은 비사견적으로 정당화되고, 두 번째 집단의 구성요소들은 사견적으로 - 즉 다른 믿음들에 의해서 정당화된다. 두 집단들 모두 나의 지각적 경험들에 속하는 세계 외부의 객체들에 대한 믿음들을 포함한다는 점을 주의하자. 첫 번째 집합은 코트와 장바구니에 대한 믿음들을 포함하고, 두 번째 집합은 내 부인에 대한 믿음들을 포함한다.

3) Unlike its classical and modern counterparts, minimal foundationalism is not vulnerable to criticisms according to which the vast majority of our beliefs fall short of enjoying any epistemic privileges, for it doesn't make having any such privilege a necessary condition for basic beliefs. To the contrary, minimal foundationalism makes it quite easy for a belief to be basic: if it's justified by reason, perception, introspection, or memory, and does not receive any of its justification from other beliefs, then it is basic. On this view, basic beliefs are not a select few, but instead make up a rather large proportion of a person's doxastic system. Thus, in judging the viability of minimal foundationalism, the chief question we have to discuss is this: Is it really possible for a belief to be justified without receiving its justification from other beleifs? In Chapter 7, we shall examine, among other related issues, arguments for and against answering this qeustion with "yes."
3) 그 고전적, 근대적 대응물들과 달리 축소된 토대론은 우리의 믿음들 대다수가 인식적 특권들을 누리기에는 부족하다고 귀결하는 그러한 비판들에 취약하지 않은데, 왜냐하면 축소된 토대론이 그런 어떠한 특권을 갖는 일도 기초적 믿음들의 필요조건으로 만들지 않기 때문이다. 반대로, 축소된 토대론은 꽤나 쉽게 믿음을 기초적인 것으로 만든다. 즉 만일 그 믿음이 추론, 지각, 내성, 또는 기억에 의해 정당화되고 그 정당성의 어떤 것도 다른 믿음들로부터 받지 않는다면, 그 믿음은 기초적이라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기초적 믿음들은 엄선된 소수가 아니라, 대신에 한 개인의 사견적 체계에 대해서 꽤나 큰 부분을 이룬다. 따라서, 축소된 토대론의 생존력을 판단함에 있어서, 우리가 논의해야 할 가장 중요한 물음은 이것이다. 즉 한 믿음이 그 정당성을 다른 믿음들로부터 받지 않고 정당화되는 일이 정말로 가능한가 하는 것이다. 7장에서 우리는 다른 관련된 문제들 가운데에서 이 물음에 대해 "그렇다"고 답하는 데에 대한 찬반양론들을 검토할 것이다.


Foundationalism and Coherence
토대론과 정합론

1) Before we move on to examine coherentism and then discuss the pros and cons of foundationalism and coherentism, respectively, one last thing needs to be emphasized. Whereas coherentists assert that foundationalism is false because there can't be basic beliefs, foundationalists do not assert that coherentism is false becasue coherence is not a source of justification. To the contrary, foundationalists fully acknowledge that a belief system's coherence contributes to the justification of its members.
1) 정합론을 검토하고 토대론과 정합론에 대한 찬반양론을 각기 논의하는 데에로 옮겨가기에 앞서, 마지막 한 가지 강조될 필요가 있는 것이 있다. 정합론자들은 기초적 믿음들은 있을 수 없기 때문에 토대론이 거짓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토대론자들은 정합성이 정당성의 원천이 아니라는 이유로 정합론을 거짓이라 주장하지는 않는다. 반대로, 토대론자들은 한 믿음 체계의 정합성이 그 체계의 구성요소들의 정당성에 기여한다는 점을 전적으로 인정한다.

2) They do so in two ways. First, they make coherence a necessary condition for justification by viewing coherence as resulting from the absence of defeating background beliefs. Consider again the example from the previous section. Hold everything constant except for one change: as soon as I come home, my wife calls me on the phone and tells me that she will be late tonight. In that case, the evidence I have for believing that she's at home is defeated. Foundationalists hold, therefore, that a belief is justified only if it coheres with - in the sense that it is not defeated by - the subject's relevant background beliefs.<31>
2) 그들은 두 가지 방식으로 이렇듯 인정한다. 첫째로, 그들은 정합성을 상쇄하는 배경 믿음들의 부재로부터 귀결하는 것으로 간주함으로써 정합성을 정당성의 필요조건으로 만든다. 다시 앞선 절로부터의 예시를 고찰해 보자. 한 가지 변경만 제외하고 모든 것을 변함없이 유지하도록 하자. 즉 내가 집에 돌아오자 마자, 내 아내가 나에게 전화를 걸어 그녀가 오늘 밤 늦을 것이라고 말해준다는 것이다. 그 경우, 내가 그녀가 집에 있다고 믿는 데에 있어서 지닌 증거는 상쇄된다. 토대론자들은 그러므로 한 믿음은 오로지 그 믿음이 주체의 관련된 배경 믿음들과 일관성을 갖출 때에만 - 그에 의해 그 믿음이 상쇄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 정당화된다고 주장한다.<31>

3) Second, there is no reason foundationalists should not acknowledge that if a belief coheres with other beliefs, it is more justified than it would be if it did not. For an illustration of this point, the same example will serve us again. Suppose the only evidence I have for believing my wife to be already at home is the fact that her coat, which she usually wears when she goes to work, is in the closet. However, couldn't it be that today she decided to wear her leather jacket? Or couldn't it be that she came home, put her coat in the closet, and then left to go to the gym? Because of these possibilities, if the presence of my wife's coat in the closet were the only evidence of my wife's early arrival, then I would have some justification for assuming she's at home, but certainly not very much. However, if I also smell coffee, see new groceries on the kitchen counter, and hear footsteps upstairs, then my justification is much stronger, for then I am forming a group of beliefs that compose a coherent whole, and under these circumstances my belief that my wife is at home is supported very well. In this first situation, I not only have more evidence, I have evidence that is qualitatibely better than the evidence I have in the first situation. In that situation, I have just one bit of evidence that stands on its own; whereas in the second situation, I have several pieces of evidence that support one another.<32>
3) 둘째, 토대론자들이 만일 믿음이 다른 믿음들과 정합적이라면, 그 믿음은 그 믿음이 정합적이지 않을 경우 정당화될 것보다 더욱 정당화된다는 점을 인정하지 않아야 할 아무런 이유도 없다. 이 점에 대한 설명으로, 동일한 예시가 다시금 우리에게 제공된다. 내 아내가 이미 집에 있다고 믿는 데에 대한 내가 가진 유일한 증거가 그녀가 보통 일하러 갈 때 입는 코트가 벽장에 있다는 사실이라고 가정해 보자. 그렇지만, 그녀가 오늘 그녀의 가죽 자켓을 입기로 결정하였을 수도 있지 않나? 혹은 그녀가 집에 돌아와 그녀의 코트를 벽장 안에 놓고 운동하러 나갔을 수도 있지 않은가? 이러한 가능성들 때문에, 만일 벽장 속 내 아내의 코트의 현전이 내 아내의 이른 도착에 대한 유일한 증거라면, 나는 그녀가 집에 있다고 가정할 약간의 정당성을 가질 터이지만, 그다지 썩 확실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렇지만, 만일 내가 또한 커피 냄새를 맡고, 부엌 조리대 위 새로 장 봐온 것들을 보며, 위층의 발소리를 듣는다면, 나의 정당성은 훨씬 강해지는데, 왜냐하면 내가 정합적 전체를 구성하는 믿음들의 한 집단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들 하에서 아내가 집에 있다는 나의 믿음이 아주 잘 뒷받침되기 때문이다. 이 첫 번째 상황에서, 나는 더 많은 증거를 지닐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 내가 첫 번째 상황에서 지녔던 증거보다 더 나은 증거를 가진다. 그 상황에서, 나는 동떨어져 있는 한 조각 증거만을 가지는 반면, 두 번째 상황에서, 나는 상호 뒷받침하는 증거의 여러 조각들을 지닌다.<32>

4) It would be a mistake, then, to think that foundationalists must deny that the concept of coherence has an important role to play in the account of the structure of epistemic justification. In fact, recent advocates of foundationalism have explicitly acknowledged coherence as a source of justification.<33> They are not at all opposed to appreciating the epistemic virtues of coherence, only to the view that, in addition to coherence, there are no other sources of justification. Nevertheless, many philosophers think that the foundationalist approach to the analysis of epistemic justification is mistaken. In the next chapter, we will examine the views of two philosophers who reject foundationalism and defend coherentism instead.
4) 그래서 토대론자들이 정합성 개념이 인식적 정당성 구조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을 지닌다는 점을 부정해야만 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오판일 것이다. 사실, 최근의 토대론 지지자들은 분명하게 정합성을 정당성의 한 원천으로 인정한다.<33> 그들은 정합성에 대하여 다른 어떠한 정당성의 원천들도 없다는 관점만 아니라면 정합성의 인식적 탁월성들을 인정하는 일을 전혀 반대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수 철학자들은 인식적 정당성 분석에 대한 토대론적 접근이 잘못이라고 생각한다. 다음 장에서, 우리는 토대론을 거부하고 대신 정합론을 옹호하는 두 철학자들의 관점들을 검토할 것이다.


<2> In the relevant literature, we can't find a definition of basic beliefs that is universally agreed on, and consequently lends itself to a textbook exposition. Thus our discussion of basic beliefs will follow the same guiding principle as our discussion of foundationalism: we shall consider what seems to me the most plausible conception of basic beliefs.
<2> 관련 문헌에서, 우리는 보편적으로 동의되는 기초적 믿음들에 대한 한 정의를 발견할 수 없고, 결론적으로 그 정의 자체를 교제 해제에서 빌려온다. 따라서 기초적 믿음들에 대한 우리의 논의는 토대론에 대한 우리의 논의와 동일한 지도 원리에 따를 것이다. 즉 우리는 내게 가장 그럴 성 싶게 여겨지는 기초적 믿음들에 대한 개념을 고찰할 것이다.

<3> Of course, under different circumstances, (1) might be inferential and (2) noninferential. For example, you might infer that he's soaked from puddles on the floor, and know noninferentially that it's raining because you see that it's raining.
<3> 물론, 상이한 상황들 아래에서, (1)은 추론적일지 모르고 (2)는 비추론적일지도 모른다. 예를 들어, 당신은 방바닥 고인 물들로부터 그가 젖었음을 추론할지도 모르고, 당신이 비가 오고 있음을 보기 때문에 비추론적으로 비가 오고 있음을 알 수도 있다.

<4> If I am looking at a red object under ordinary circumstances, that object "looks red" to me. Thus when we are using the phrase "x looks red to S," we are assuming the existence of two things: the perceiving subject, S, and the perceived object, x. There are, however, situations in which one has an experience as though there were an object of a certain kind when in fact there is no such object. In order to have a way of describing experience that leaves open whether there actually is a perceived object, epistemologists use the phrase "being appeared to F-ly." Thus when we say that S is appeared to redly, we leave open the question whether there is an object that looks red to S. We merely assert that S has an experience as though there were a red-looking object in front of S. See Chisholm (1977), pp. 26ff.
<4> 만일 내가 일상적 상황들 하에서 붉은 대상을 보고 있다면, 그 대상은 나에게 "붉게 보인다." 따라서 우리가 "S에게 x가 붉게 보인다"라는 구를 사용하고 있을 때, 우리는 두 가지 것들의 현존을 가정하고 있다. 즉 지각하는 주체 S와 지각되는 대상 x가 그것들이다. 그렇지만 사실 아무런 대상도 없을 때 마치 특정한 종류의 대상이 있는 것과 같은 경험을 가지는 상황이 있다. 실제로 지각되는 대상이 있는지 여부를 열어놓는 경험을 묘사하는 방식을 갖기 위해, 인식론자들은 "F로 보임"이라는 구를 사용한다. 따라서 우리가 S에게 붉게 보인다고 말할 때, 우리는 S에게 붉게 보이는 대상이 있는지에 대한 물음을 열어둔다. 우리는 단순히 S가 마치 S의 앞에 붉게 보이는 대상이 있는 것과 같은 경험을 가진다고 주장할 따름이다. 치셜 (1977) 26쪽 이하 참조.

<5> It's difficult to imagine how one can have a craving for chocolate without believing oneself to crave chocolate, but that doesn't mean that the craving and the belief are one and the same.
<5> 어떻게 한 사람이 그 자신이 초콜렛을 간절히 바란다고 믿지 않고 초콜렛에 대한 갈망을 가질 수 있을지 상상하기란 어려운 일이지만, 그것은 그 갈망과 그 믿음이 하나이고 동일한 것이라는 뜻은 아니다.

<10> An example of such argumentation can be found in Chisholm (1977), p. 19. Once the regress is started, Chisholm writes, we "might try to continue ad infinitum…. Or we might be tempted to complete a vicious circle…. But if we are rational beings, we will do neither of these things. For we will find that our Socratic questions lead us to a proper stopping place."
<10> 그런 논증의 한 예는 치셜 (1977) 19쪽에서 발견될 수 있다. 일단 소급이 시작되면, 치셜이 적고 있기로는, 우리는 "무한까지 지속하고자 시도할지도 모른다…. 또는 우리는 악순환을 종결시키도록 유도될 수도 있다…. 그러나 만일 우리가 합리적 존재자들이라면, 우리는 이러한 일들 중 어느 것도 하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는 우리의 소크라테스적 물음들이 우리로 하여금 정지시키는 장소를 선호하도록 이끈다는 것을 알아차릴 것이기 때문이다."

<15> This should not come as a surprise. For when critics of foundationalism claim that basic beliefs must have a feature F, the very idea of attributing feature F to basic beliefs is to conclude that since it is impossible for beliefs to have feature F, there can't be any basic beliefs.
<15> 이것은 놀랄 만한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토대론의 비판자들이 기초적 믿음들은 반드시 특징 F를 지녀야만 한다고 주장할 적에, 특징 F를 기초적 믿음에 귀속시키는 바로 그 발상은 믿음들이 특징 F를 지니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어떠한 기초적 믿음들도 있을 수 없다고 결론내리는 것이기 때문이다.

<16> A reflexive relation is a relation such that, if there are two things x and y, and x bears that relation to y, then x bears that relation to itself. For example, "has the same weight as" and "has the same color as" are reflexive relations. In contrast, an irreflexive relation is a relation that nothing has to itself. For example, "is married to" and "is parent of" are irreflexive relations.
<16> 재귀적 관계는 다음과 같은 관계이다. 만일 두 가지 것들 x와 y가 있다면, 그리고 x가 y에 대한 관계를 포함한다면, x는 그 자신에 대한 관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과 같은 무게를 지닌다"와 "~과 같은 색을 지닌다"와 같은 것들은 재귀적 관계들이다. 반대로, 비재귀적 관계는 그 자체에 대해 아무것도 가지지 않는 관계이다. 예를 들어, "~와 결혼하다"와 "~의 아버지이다" 같은 것들은 비재귀적 관계들이다.

<17> The idea of self-creation must be distinguished from the idea of necessary existence. To deny that God created himself is not to deny that he exists necessarily.
<17> 자기-창조의 생각은 반드시 필연적 현존의 생각과 구별되어야만 한다. 신이 그 자신을 창조하였다는 것을 부정하는 일은 그가 필연적으로 현존한다는 것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다.

<18> This point can also be stated by pointing out that transmission is an event that involves three entities: x transmits y onto z. That is, for a transmission to take place, there must be a transmitter, something that is transmitted, and a recipient for the transmission. In the event that any of these three elements is missing, there can be no transmission. See Van Cleve (1985), p. 100; see also Plantinga (1993a), p. 76.
<18> 이 점은 또한 전이가 세 가지 실체들을 포함하는 사건이라는 점을 지적함으로써 진술될 수도 있다. 즉 x는 y를 z에게 전이시킨다. 즉, 전이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이자, 전이되는 어떤 것, 그리고 전이에 대한 수령자가 있어야만 한다. 이 세가지 요소들 중 어느 하나라도 빠져 있는 사건에서, 어떠한 전이도 있을 수 없다. 반 클레브 (1985), 100쪽 참조. 또한 플랜팅카 (1993a) 76쪽 참조.

<22> I lack this ability, presumably like most people. However, that doesn't mean there couldn't be people who can recognize a dodecagon without counting engles. Oliver Sacks (1987) reports a case of two twins who can, he suspects, "see" numbers. He relates the following episode: "A box of matches on their table fell, and discharged its contents on the floor: '111,' they both cried simultaneously." …I counted the matches - it took me some time - and there were 111. 'How could you count the matches so quickly?' I asked. 'We didn't count,' they said. 'We saw the 111'" (p.199).
<22> 짐작컨데 대부분의 사람들도 그러하겠지만, 나는 이러한 능력이 없다. 그렇지만, 그것은 12각형을 각들을 세어보지 않고 재인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 수 없다는 뜻은 아니다. 올리버 삭스 (1987) 는 그가 짐작하기로는 수들을 "볼" 수 있는 쌍둥이들의 경우를 보고하고 있다. 그는 다음 일화을 전해준다: "그들의 탁자 위 성냥 한 갑이 떨어졌고, 바닥에 내용물들을 쏟았다: '111,' 그 쌍둥이들 모두가 동시에 소리쳤다." …나는 그 성냥들을 세어 보았고 - 나에겐 꽤 시간이 걸리는 일이었다 - 거기에는 111개비가 있었다. '어떻게 너희는 그렇게 빨리 그 성냥들을 셀 수 있었니?' 내가 물었다. '우리는 세지 않았어요,' 녀석들이 말했다. '우리는 111을 봤어요.'"(199쪽).

<25> What is my evidence for taking myself to be reliable in discerning the color red? Well, there is something like a common framework of reference involving red objects - e.g., tomatoes, Coke cans, Ferraris. My own identifications of red objects cohere with this framework. What other people identify as red, I identify as red, and vice versa. This provides me with a good reason for taking myself to be a reliable discerner of redness.
<25> 붉은 색을 알아봄에 있어서 나 자신을 신뢰할 만하다고 여길 나의 증거는 무엇인가? 자, 붉은 대상들을 포함하는 언급의 공통 틀 같은 어떤 것이 있다 - 예를 들어 토마토들, 코카콜라 캔들, 페라리들. 붉은 대상들에 대한 나 자신의 규정들은 이러한 틀에 정합적이다. 다른 사람들이 붉다고 규정하는 것을 내가 붉다고 규정하며 그 역도 성립한다. 이것은 나에게 나 자신을 붉음을 알아볼 신뢰할 만한 사람으로 여길 훌륭한 근거를 제공한다.

<27> Deductive validity could be achieved by adding a further premise: If I'm appeared to F-ly, then there is an object before me that is F. However, any such argument would contain a false premise, which means that no such argument could be sound.
<27> 연역적 타당성은 추가적 전제를 덧붙임으로써 성취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만일 내게 F로 보인다면, 내 앞에 F인 대상이 있다. 그렇지만, 그런 어떠한 논증이라도 거짓 전제를 포함할 것이고, 그것은 곧 그러한 어떠한 논증도 건전할 수 없으리라는 뜻이 된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