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7

The Debate Over Foundationalism and Coherentism
토대론과 정합론을 둘러싼 논쟁

Davidson's "Circle of Belief" Argument
데이빗슨의 "믿음 원환" 논증

1) In his paper "The Coherence Theory of Truth and Knowledge," Donald Davidson has formulated an important objection to foundationalism. According to Davidson, advocates of coherentism maintain

that nothing can count as a reason for holding a belief except another belief. Its partisan rejects as unintelligible the request for a ground or source of justification of another ilk.<1>

This passage raises the issue that lies at the heart of the debate over foundationalism and coherentism. According to foundationalists, there is such a thing as nondoxastic justification: justification that has its ground or source in something other than beliefs. Coherentists assert, however, that the source of a belief's justification must always be one or more other beliefs. Davidson sides with the coherentists, on the basis on the following argument:

We have been trying to see it this way: a person has all his beliefs about the world - that is, all his beliefs. How can he tell if they are true, or apt to be true? Only, we have been assuming, by connecting his beliefs to the world, confronting certain of his beliefs with the deliverances of the senses one by one, or perhaps confronting the totality of his beliefs with the tribunal of experience. No such confrontation maeks sense, for of course we can't get outside our skins to find out what is causing the internal happening of which we are aware.<2>

Let us briefly review Davidson's line of argument. What he wants to establish is that a belief's justification must always have its source in other beliefs: the circle-of-belief thesis. This thesis implies, of course, that there is no such thing as nondoxastic justification. Davidson's reason for this thesis is that a confrontation of our beliefs with experience is impossible, for such a confrontation would amount to "getting outside our skins." Consequently, we cannot tell whether a given belief is true by confronting it with an experience, but only by confronting it with other beliefs.
1) 그의 논문 "진리와 앎에 대한 정합성 이론"에서, 도널드 데이빗슨은 토대론에 대한 중요한 반박을 정식화하였다. 데이빗슨에 따르면, 정합론 지지자들은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다른 믿음을 제외하고는 아무것도 한 믿음을 지니는 이유로 간주될 수 없다. 정합론의 지지자들은 또 다른 종류의 정당성의 토대나 원천에 대한 요청을 이해할 수 없는 것으로 거부한다.<1>

이 구절은 토대론과 정합론을 둘러싼 논쟁의 심장부에 놓인 문제를 불러 일으킨다. 토대론자들에 따르면, 비사견적 정당성과 같은 그러한 것이 있다. 즉 그 태도나 원천을 믿음들이 아닌 다른 어떤 것에 두는 정당성이 있다. 그렇지만 정합론자들은 한 믿음에 대한 정당성의 원천은 반드시 언제나 하나 이상의 다른 믿음들이어야만 한다고 단언한다. 데이빗슨은 다음과 같은 논증에 기초하여 정합론자들의 편에 선다.

우리는 그것을 이러한 방식으로 보고자 애써 왔다. 즉 한 사람은 세계에 대한 그의 모든 믿음들을 지닌다 - 즉, 그의 믿음들 모두를 말이다. 어떻게 그가 그 믿음들이 참인지, 혹은 참이기 쉬운지 말할 수 있는가? 우리는 그의 믿음들 중 특정한 믿음에 직면하여 감관들에 속하는 진술들로 하나씩, 혹은 어쩌면 그의 믿음들의 총체성에 직면하여 경험의 법정과 더불어, 오로지 그의 믿음들을 세계에 연결함으로써만, 그렇게 말할 수 있다고 가정해 오고 있다. 그러한 어떤 직면도 말이 되지 않는데, 왜냐하면 물론 우리는 살갗 밖으로 우리가 지각하는 어떤 것의 내적 발생을 야기하고 있는 것을 찾아 나설 수 없기 때문이다.<2>

데이빗슨의 논증노선을 간략히 재검토해 보도록 하자. 그가 확립시키고자 하는 것은 한 믿음의 정당성이 반드시 언제나 그 원천을 다른 믿음들에 두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그것 믿음 원환 논지이다. 이 논지는 물론 비사견적 정당성과 같은 그런 어떠한 것도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논지를 위한 데이빗슨의 근거는 경험을 가지고 우리의 믿음들에 마주함이 불가능한데, 왜냐하면 그러한 직면은 "우리의 피부 밖으로 나가는 일"이 될 터이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주어진 한 믿음이 참인지 여부를 경험을 가지고 그 믿음에 마주함으로써 말할 수는 없고, 오로지 다른 믿음들을 가지고 마주함으로써만 말할 수 있을 따름이다.

2) In reply to Davidson's argument, foundationalists could employ a distinction that was introduced above - that between a belief's property of being justified and a person's act of justifying a belief - and interpret Davidson's argument as being concerned, not with the former, but with the latter.<3> Note that Davidson's argument is about how we can tell whether a belief is true (or false). But if we want to tell whether a belief is true (or false), then we must engage in the activity of justification. For what is involved in telling a particular belief's truth value is asking oneself whether the belief in question is true, and then showing or arguing that it is true (or false).
2) 데이빗슨의 논증에 응답함에 있어서, 토대론자들은 위에서 도입되었던 하나의 구분을 채택할 수 있을 것이다 - 그 구분은 믿음의 정당화됨이라는 속성과 한 믿음을 정당화하는 개인의 행위 사이의 구분이다 - 그리고 데이빗슨의 논증을 전자가 아니라 후자와 관련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3> 데이빗슨의 논증이 우리가 어떻게 한 믿음이 참인지(혹은 거짓인지) 말할 수 있는가의 문제에 대한 것임을 주의하자. 그러나 만일 우리가 한 믿음이 참인지(혹은 거짓인지) 여부를 말하고자 한다면, 우리는 반드시 정당화 활동에 참여해야만 한다. 한 특수한 믿음의 진리치를 말함에 있어서 포함되는 것은 스스로 문제가 되는 믿음이 참인지 자문하여, 그 믿음이 참임을(혹은 거짓임을) 보여주거나 논증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3) Now as far as the activity of justifying one's beliefs is concerned Davidson is certainly right. When we engage in that activity, whatever we say in defense of something we believe would always have to be something else we believe. For example, if I tried to show that my belief "The book in front of me is red" is justified by saying "It looks red to me," then I would be stating just another belief of mine. And if I were to justify my belief that it looks red to me by saying that introspection into one's own perceptual states is a reliable source of information, I would again be stating just another belief. It must be conceded, therefore, that when we engage in argumentation to justify our beliefs and convictions, there is nothing other than our beliefs to go on. Foundationalists should admit, therefore, that as far as the act of justifying one's beliefs is concerned, the circle-of-belief thesis is true.
3) 이제 한 개인의 믿음들을 정당화하는 활동에 관련된 한에서 데이빗슨은 확실히 옳다. 우리가 그 활동에 참여할 때, 우리가 믿는 어떤 것에 대한 옹호로 말하는 그 무엇이 되었든 언제나 우리가 믿는 다른 어떤 것을 지녀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만일 내가 "내 앞의 책은 붉다"라는 믿음이 "그 책이 내게 붉게 보인다"라고 말함으로써 정당화된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노력한다면, 나는 바로 또 다른 나의 믿음을 말하고 있는 것이 될 터이다. 또 만일 내가 그 책이 내게 붉게 보인다는 나의 믿음을 한 개인의 고유한 지각적 상태들에 대한 내성이 정보의 신빙성있는 원천이라고 말함으로써 정당화하려고 한다면, 나는 다시금 전혀 다른 믿음을 진술하고 있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의 믿음들이 계속 나아가리란 것은 인정되어야만 한다. 그러므로 토대론자들은 한 개인의 믿음들을 정당화하는 행위에 관련되는 한에서, 믿음 원환 논지가 참임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4) When foundationalists claim that there is such a thing as nondoxastic justification, however, what they are concerned with is not the act of justifying, but rather the property of being justified and how beliefs acquire that property. Thus they would reply to Davidson's argument that premises that are true about the act of justifying a belief prove nothing regarding a belief's property of being justified. It is one thing for a belief to be justified through a perceptual experience and without the aid of any other beliefs, and quite another to tell whether, or to argue that, a particular belief is thus justified. If one were to do the latter, one would say that the belief in question is jutified through a perceptual experience. Alas, saying that is just stating another belief, and thus one would remain confined within the circle of beliefs. But that doesn't mean that the belief in question enjoys the property of being justified by virtue of that further belief rather than the perceptual experience itself.
4) 그렇지만 토대론자들이 비사견적 정당성과 같은 그런 어떤 것이 있다고 주장할 때 그들이 관심을 갖는 것은 정당화 행위가 아니라 오히려 정당화됨의 속성이고 어떻게 믿음들이 그 속성을 획득하는가 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들은 데이빗슨의 논증에 대해 믿음을 정당화하는 행위에 대해서 참인 전제들은 믿음의 정당화된 속성과 관련한 아무것도 입증하지 않는다고 응답할 것이다. 다른 어떤 믿음들의 도움도 없이 한 믿음이 지각 경험을 통하여 정당화되는 것과, 한 특수한 믿음이 그와 같이 정당화되는지 여부를 말하거나 그러하다고 주장하는 일은 전혀 별개이다. 만일 한 사람이 후자를 행하게 된다면, 그는 문제가 되는 그 믿음이 지각을 통해 정당화된다고 말할 것이다. 아쉽게도, 그렇게 말하는 것은 또 다른 믿음을 진술하는 것뿐이고, 따라서 그는 믿음들의 원환 안에 갇힌 채로 남겨질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그 문제시되는 믿음이 지각적 경험 그 자체보다도 추가적인 믿음에 의해 정당화됨의 속성을 향유한다는 뜻은 아니다.

5) Let us consider an analogy. In ethics, many philosophers endorse a view called "consequentialism": the view that an act's moral status (its property of being right or wrong) is determined by its consequences. Suppose somebody performs an act that is morally wrong because it has bad consequences. Consequentialists would say that the act is wrong whether or not the agent formed any beliefs about the consequences. They would insist that it is the consequences themselves that make the act wrong.
5) 하나의 유추를 고찰해 보도록 하자. 윤리학에 있어서, 다수의 철학자들은 "결과주의"라 불리는 관점을 지지한다: 한 행위의 도덕적 상태 (그 행위의 옳고 그름의 속성) 는 그 행위의 결과들에 의해 결정된다는 관점이다. 누군가 나쁜 결과들을 가져왔기 때문에 도덕적으로 그른 그러한 행위를 수행한다고 가정해 보자. 결과주의자들은 그 행위자가 그 결과들에 대해 어떠한 믿음들을 형성하였던지 간에 그 행위가 그릇되었다고 말할 것이다. 그들은 그 행위를 그른 것으로 만드는 것이 그 결과들 자체라고 주장할 것이다.

6) An objection to consequentialism tailored after Davidson's argument against foundationalism would go like this: When judging the moral status of an act in light of its consequences, we've got nothing to go on except our beliefs about consequences, for we can't "get out of our skins" and ascertain an act's consequences directly. Thus it's unintelligible that an act's moral status can be determined by its consequences, and hence consequentialism is false.
6) 데이빗슨의 토대론에 반대한 논증에 맞아 떨어지는 결과주의에 대한 반박은 이와 같이 진행할 것이다: 한 행위의 도덕적 상태를 그 행위의 결과들의 조명 속에서 판단할 때, 우리는 결과들에 대한 우리의 믿음들을 제외하면 아무것도 진행하지 못하는데, 왜냐하면 우리가 "우리의 피부 밖으로 나갈 수 없고" 한 행위의 결과들을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 행위의 도덕적 상태가 그 행위의 결과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은 이해할 수 없으며, 따라서 결과주의는 거짓이다.

7) Consequentialists would not be impressed by this argument. Their reply would be parallel to the foundationalist rebuttal to Davidson. They would say that we must distinguish between the act of evaluating an act's moral status and how an act acquires its moral status. When we wish to judge whether an act is right or wrong, they would say, we will indeed always be confined within our beliefs about the act's consequences. But this doesn't mean that it's our beliefs about the act's consequences that makes the act right or wrong. Rather, the act is right or wrong depending on its actual consequences, irrespective of what we believe about them.<4>
7) 결과주의자들은 이러한 논증에 의해 충격을 받지 않을 것이다. 그들의 대답은 데이빗슨에 대한 토대론적 반박과 유사할 것이다. 그들은 우리가 한 행위의 도덕적 상태를 판단하는 행위와 한 행위가 그 도덕적 상태를 획득하는 방법을 구분해야만 한다. 우리가 한 행위가 옳은지 혹은 그른지 판단하고자 할 때, 우리는 실로 언제나 그 행위의 결과들에 대한 우리의 믿음들 내부에 갇힐 것이라고 그들은 말할 터이다. 그러나 이것이 그 행위를 옳거나 그른 것으로 만드는 게 그 행위의 결과들에 대한 우리의 믿음들이란 뜻은 아니다. 오히려, 그 행위는 우리가 그 결과들에 대해 믿는 것과 무관하게 그 실제적 결과들에 의존하여 옳거나 그르다.<4>

8) The foundationalist reply to Davidson's argument runs parallel. Foundationalists claim that there is nondoxastic justification: that beliefs can be justified solely through experience. Now when we endeavor to show that a particular belief is justified by a particular experience, then of course whatever we say will represent not the experience itself but a belief about it. But this doesn't mean that it isn't the experience itself that makes the belief justified.
8) 토대론자는 데이비슨의 논증에 대해 유사하게 응답한다. 토대론자들은 비사견적 정당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곧 믿음들이 오로지 경험을 통해서만 정당화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제 우리가 특수한 믿음이 특정한 경험에 의해 정당화된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노력할 때, 물론 우리가 말하는 무엇이든 경험 자체가 아니라 그 경험에 대한 믿음을 표현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이 그 믿음을 정당화되도록 하는 것이 경험 그 자체가 아니라는 뜻은 아니다.

9) Before moving on, we should take note of the fact that the foundationalist reply to Davidson's argument should not be construed as an argument supposed to show that there is such a thing as nondoxastic justification. It does no such thing. Rather, its point is merely to show that Davidson's argument does not succeed in establishing that nondoxastic justification is impossible.
9) 다음으로 넘어가기 전에, 우리는 데이빗슨의 논증에 대한 토대론적 응답이 비사견적 정당성과 같은 그런 것이 있음을 보여주는 일을 뒷받침한 논증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라는 사실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그 응답은 전혀 그런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 응답의 핵심은 단지 데이빗슨의 논증이 비사견적 정당성은 불가능함을 확정짓는 데에 있어서 성공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뿐이다.


Bonjour's Argument Against Nondoxastic Justification
비사견적 정당성에 반대한 봉주르의 논증

1) Next we shall consider an argument of Laurence Bonjour's that, unlike Davidson's, is aimed directly at the viability of basic beliefs.<5> The conclusion of this argument is that a nondoxastic experiential state can't confer on a belief the property of being justified. Thus the maneuver that allows foundationalists to rebut Davidson's argument - that of distinguishing between the act of justifying a belief and the process by which a belief acquires the property of being justified - won't be applicable here. Bonjour's argument must be viewed, therefore, as a serious challenge to the foundationalist claim that there is such a thing as nondoxastic justification. How, then, does Bonjour arrive at the conclusion that there is no such thing?
1) 다음으로 우리는 로렌스 봉주르의 논증을 고찰할 것이다. 데이빗슨과 달리 그의 논증은 기초적 믿음들의 생존가능성을 직접적으로 겨냥한다.<5> 이 논증의 결론은 비사견적 경험적 상태는 믿음에 정당화됨의 속성을 부여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토대론자들에게 데이빗슨의 논증을 반박하도록 허용해주는 방책 - 믿음을 정당화하는 행위와 믿음이 정당화됨의 속성을 획득하는 과정의 구분에 대한 - 은 여기에는 적용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봉주르의 논증은 그러므로 반드시 비사견적 정당성과 같은 그런 것이 있다는 토대론적 주장에 대한 심각한 도전으로 간주되어야만 한다. 그러면 어떻게 봉주르는 그러한 것은 전혀 없다는 결론에 도달하는가?

2) According to Bonjour, the idea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 of justification that is conferred on a belief by an experiential state that is not a state of believing - involves the following dilemma:

The Dilemma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Nondoxastic experiences are either states of awarenes or they are not. If they are states of awareness, then they can justify only if they are justified themselves. If they are not state of awareness, then they can't be justified themselves and thus can't justify any beliefs.<6>

Suppose the first horn of the dilemma is true: nondoxastic experiences are states of awareness. If so, they can't confer justification on beliefs unless they are justified themselves. But this means that they themselves are in need of justification, and thus can't function as regress terminators. So if the first horn of the dilemma is true, beliefs justified through experiences are just as much in need of justification as beliefs justified by other beliefs, and thus cannot be basic.
2) 봉주르에 따르면, 비사견적 정당성의 발상은 - 믿음의 상태가 아닌 경험적 상태에 의해 믿음에 부여되는 정당성에 대한 생각 - 다음 딜레마를 포함한다:

비사견적 정당성의 딜레마
비사견적 경험들은 의식의 상태들이거나 그렇지 않다. 만일 그 경험들이 의식의 상태들이라면, 그 경험들은 오로지 그 경험들이 그 자체로 정당화되는 경우에만 정당화할 수 있다. 만일 그 상태들이 의식의 상태가 아니라면, 그 경험들은 스스로 정당화될 수 없고 따라서 어떤 믿음들도 정당화할 수 없다.<6>

딜레마의 첫 번째 항이 참이라고 가정해 보자: 비사견적 경험들이 의식의 상태들이라고 말이다. 만일 그렇다면, 그 경험들은 그 경험들이 스스로 정당화되지 않는 한 믿음들에 정당성을 부여할 수 없다. 그러나 이것은 그 경험들 자체가 정당성의 결여 상태임을 뜻하며, 따라서 소급 종결자들로서 기능할 수 없다. 그래서 만일 딜레마의 첫 항이 참이라면, 경험들을 통해 정당화된 믿음들은 바로 다른 믿음들에 의해 정당화된 믿음들만큼 정당성이 결여되며, 따라서 기초적일 수 없다.

3) Suppose the second horn of the dilemma is true: nondoxastic experiences are not states of awareness. In that case, they are not the kind of thing that can enjoy justification, just as tables and chairs are not the sort of thing that can. But if nondoxastic experiences can't "have" justification, then they can't "give" justification. Thus if the second horn of the dilemma is true, we get again the consequence that there can't be basic beliefs.
3) 딜레마의 두 번째 항이 참이라고 가정해 보자: 비사견적 경험들은 의식의 상태들이 아니다. 그 경우, 그 경험들은 정당성을 향유할 수 있는 그러한 종류의 것이 아니다. 바로 책상들과 의자들이 그러할 수 있는 그런 종류의 것이 아닌 것처럼 말이다. 그러나 만일 비사견적 경험들이 정당성을 "가질" 수 없다면, 그 경험들은 정당성을 "줄" 수도 없다. 따라서 만일 딜레마의 두 번째 항이 참이라면, 우리는 다시금 기초적 믿음들은 있을 수 없다는 결론을 얻게 된다.

4) In a nutshell, Bonjour's argument asserts this: The idea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poses the problem of having to choose between the two horns of the dilemma, for nondoxastic experiences indeed are either states of awareness or they are not. Second, it is also clear that foundationalists cannot choose the first alternative, for if they did, they could not maintain that basic beliefs can function as regress terminators. Hence, in order to rebut Bonjour's argument, foundationalists must show that the second alternative is acceptable: that nondoxastic states actually can confer on beliefs the property of being justified although they are not themselves the sort of thing that can have that property. In short, they must maintain that nondoxastic states can "give" justification although they can't "have" justification.
4) 분명히 말하자면, 봉주르의 논증은 이와 같이 단언한다: 비사견적 정당성에 대한 발상은 딜레마의 두 항들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는 문제를 제기하는데, 왜냐하면 비사견적 경험들은 참으로 의식의 상태들이거나 그렇지 않거나 둘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토대론자들이 첫 번째 대안을 선택할 수 없다는 점 또한 분명한데, 왜냐하면 만일 그들이 둘째 항을 선택한다면, 그들은 기초적 믿음들이 소급 종결자들로서 기능할 수 있다고 주장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봉주르의 논증을 반박하기 위해, 토대론자들은 반드시 두 번째 대안이 수용가능함을 보여야만 한다: 곧 비사견적 상태들이 비록 그 자체로 정당화됨의 속성을 가질 수 있는 그런 종류의 것은 아니라 할지라도 믿음들에는 그러한 속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어야만 한다. 간단히 말해서, 그들은 비사견적 상태들이 비록 정당성을 "가질" 수 없을지라도 그 정당성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해야만 한다.

5) This seems, at least initially, to be a hopeless task. Recall our earlier argument against the possibility of self-justification. We argued that a belief is either justified to begin with or it is not. If it is, it can't justify itself because it is already justified. And if it isn't, then it can't justify itself because a belief that doesn't "have" justification can't "give" justification to any other belief. Bonjour's verdict about the second horn of the dilemma seems to rest on the same intuition: if nondoxastic states are not capable of "having" justification, they are not capable of "giving" justification. Foundationalists, then, face the task of having to defend the view that a nondoxastic state can manage to justify a belief although it isn't the sort of thing that is capable of being justified itself. In the next section, we shall consider how foundationalists might go about accomplishing this feat.
5) 이것은 최소한 처음에는 희망없는 과업인 듯이 여겨진다. 자기-정당화 가능성에 반대하는 우리의 앞선 논증을 상기해 보자. 우리는 한 믿음은 처음부터 정당화되거나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만일 그 믿음이 정당화되어 있다면, 그 믿음은 그 스스로 정당화할 수 없는데 왜냐하면 그 믿음이 이미 정당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만일 정당화되어 있지 않다면, 그 믿음은 그 자신을 정당화할 수 없는데 왜냐하면 정당성을 "가지지" 않은 한 믿음은 다른 어떠한 믿음에도 정당성을 "줄" 수 없기 때문이다. 딜레마의 두 번째 항에 대한 봉주르의 의견은 동일한 직관에 의존하는 것으로 보인다: 즉 만일 비사견적 상태들이 정당성을 "가질" 능력이 없다면, 그 상태들은 정당성을 "부여할" 능력도 없다. 토대론자들은 그래서 비사견적 상태가 비록 그 자체로 정당화될 능력을 갖춘 그런 종류의 것이 아니라 할지라도 한 믿음을 정당화하는 일을 다룰 수 있다는 관점을 옹호해야 하는 과업에 직면한다. 다음 절에서, 우리는 어떻게 토대론자들이 이러한 위업을 성취하는 데에로 나아가는지 고찰할 것이다.


A Foundationalist Reply to Bonjour's Argument
봉주르의 논증에 대한 토대론적 응답

1) The issue Bonjour's dilemma argument raises is whether a belief's justification can have its source in something that is not itself capable of being justified. Bonjour claims that a belief's justification can't have its source in any such thing. Yet, and this is what foundationalists should say in reply to Bonjour's argument, his own coherentist position appears to presuppose that it can. The central thesis of coherentism, after all, is that beliefs are justified by coherence. As Bonjour puts it: "the justification of a particular empirical belief finally depends … on the overall system and its coherence."<7> A belief system's coherence, however, is not itself something capable of justification. A belief system's coherence can be neither justified nor unjustified; yet, according to Bonjour, it is the very source from which all justified beliefs receive their justification.
1) 봉주르의 딜레마 논증이 야기한 문제는 믿음의 정당성이 그 원천을 그 자체로 정당화될 능력이 없는 어떤 것에 둘 수 있는지 여부이다. 봉주르는 한 믿음의 정당성은 그 원천을 그런 어떤 것에도 둘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것은 봉주르의 논증에 대해 답함에 있어서 토대론자들이 말해야 할 것, 즉 그 자신의 정합론적 입장이 그것이 가능함을 가정하는 것으로 드러난다는 것이다. 정합론의 중심 논지는 무엇보다도 믿음들이 정합성에 의해 정당화된다는 것이다. 봉주르가 말하듯 그것은 "특수한 경험적 믿음의 정당성은 결국 … 전반적인 체계와 그 믿음의 정합성에 의존한다."<7> 그렇지만 한 믿음 체계의 정합성은 그 자체로는 정당화의 능력이 있는 어떤 것이 아니다. 믿음 체계의 정합성은 정당화될 수도 정당화되지 않을 수도 없다; 그런데도 봉주르에 따르면 그 정합성이 바로 모든 정당화된 믿음들이 그 정당성을 받는 원천이다.

2) Thus it would appear that coherentists themselves countenance a nondoxastic source of justification, to wit, coherence. But then they are in no position to reject foundationalism on the ground that nondoxastic justification through experiential states is impossible because there is no such thing a nondoxastic justification. Indeed, to deny the possibility of such justification with regard to basic beliefs, but to affirm it with regard to coherence, is arbitrary, if not wholly incoherent.<8>
2) 따라서 정합론자들 스스로 정당성의 비사견적 원천, 정확히 말하면 정합성을 지지하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 그러나 그래서 그들이 비사견적 정당성과 같은 그런 어떤 것도 없기 때문에 경험적 토대들을 통한 비사견적 정당성이 불가능하다는 근거에서 토대론을 반박하는 입장에 있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기초적 믿음들을 고려하면서 그러한 정당성의 가능성을 부정하지만 정합성과 관련하여서는 긍정하는 것은 만일 전적으로 비일관적이지 않다면 자의적인 것이다.<8>

3) Although Bonjour's dilemma argument seemed initially quite forceful, it must now be said that the foundationalist countermove is at least equally forceful. It derives its strength from pointing out that the coherentist attack on the possibility of nondoxastic justification runs the risk of undermining not only its intended target, foundationalism, but also the coherentist position itself. There is, however, one reply coherentists can resort to in order to recover from this setback. They could say that justified beliefs are justified, not by virtue of coherence relations themselves, but rather by virtue of the subject's beliefs about her belief system's coherence. And, in fact, Bonjour seems to conceive of coherentism in precisely that way, as borne out by his thorough doxasticism, which manifests itself in the way he conceives of the necessity of level ascent.<9>
3) 봉주르의 딜레마 논증이 처음에는 꽤 강력해 보일지라도, 이제는 토대론적 대응조치도 최소한 동등하게 강력하다는 점이 이야기되어야만 한다. 그 대응조치는 그 힘을 비사견적 정당성의 가능성에 대한 정합론적 공격이 표적으로 삼았던 토대론만이 아니라 또한 정합론적 입장 자체도 약화시키는 위험에 빠진다는 점을 지적함으로부터 끌어낸다. 그렇지만 정합론자들이 이러한 시련으로부터 되돌아 나오기 위해 의지할 수 있는 한 가지 대답이 있다. 그들은 정당화된 믿음들이 그 믿음들 자체의 정합적 관계들 덕분이 아니라 주체의 믿음 체계가 지닌 정합성에 대한 그 주체의 믿음들의 덕분으로 정당화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사실 봉주르는, 그 자체로 그가 수준 상승의 필연성에 대해 이해하는 방식에서 드러나는 그의 사견주의를 통하여 그에 의해 증명되는 것과 같이, 정합론에 대해 정확히 그 방식으로 이해하는 듯이 보인다.<9>

4) This coherentist rejoinder - let's call it the "doxastic move" - does not, however, achieve a complete recovery from the foundationalist counterattack, for it invites two rather serious objections. According to the first, a thoroughly doxastic conception of coherentism generates an infinite regress that makes justification impossible. According to the second, the doxastic move is at odds with a thesis that enjoys a high degree of plausibility: the thesis that an evaluative property such as a belief's status of being justified must supervene on, or be anchored in, a set of nonevaluative properties.
4) 이러한 정합론적 답변 - 그것을 "사견적 조치"라 부르도록 하자 - 은 그렇지만 토대론적 반격으로부터 완벽히 회복을 성취하지는 못하는데, 왜냐하면 그 조치는 두 가지 심각한 반박들을 자초하기 때문이다. 첫 번째 반박에 따르면, 철저히 사견적인 정합론의 개념은 정당화를 불가능하게 만드는 무한 소급을 산출한다. 두 번째 반박에 따르면, 사견적 조치는 고도의 개연성을 누리는 논지와 불화를 일으킨다. 그 논지는 믿음의 정당화된 상태와 같은 그런 평가적 속성이 반드시 일련의 비평가적 속성들에 수반하거나 그에 고정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5) Before moving on to discuss these two objections, let's summarize the foundationalist countermove to Bonjour's dilemma argument. Note that the point of this countermove is that coherentists face a dilemma themselves.

The Dilemma of Coherentism
According to coherentism, justification is conferred on beliefs either by coherence itself or by beliefs about coherence. If justification is conferred by coherence itself, nondoxastic justification is admitted in principle, for a belief system's coherence is nondoxastic in nature. If, on the other hand, justification is conferred by beliefs about coherence, then the resulting conception of justification suffers from two flaws: first, it generates an unpalatable infinite regress; and second, it is at odds with the thesis that the property of being justified, as an evaluative property, supervenes on nonevaluative properties.

However coherentists try to get around this dilemma, the problems they encounter are formidable. If they accept that coherence itself is a source of justification, then they are forced to admit in principle that there is such a thing as nondoxastic justification - which makes it rather tenuous to maintain that nondoxastic justification through coherence is possible, while nondoxastic justification through experience is not.<10> On the other hand, if coherentists make the doxastic move - if they argue that justification is generated not through coherence itself but only beliefs about coherence - then they face two problems that are just as serious as the one they encounter if they don't make the doxastic move. These problems will be the subject of the next three sections.
5) 이러한 두 가지 반박들을 논의하는 데에로 나아가기에 앞서, 봉주르의 딜레마 논증에 대한 토대론적 대응조치를 정리하도록 하자. 이 대응조치의 핵심은 정합론자들이 그들 스스로 딜레마에 직면한다는 것임을 주의하자.

정합론의 딜레마
정합론에 따르면, 정당성은 정합성 그 자체에 의해서나 아니면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에 의해서 믿음들에 부여된다. 만일 정당성이 정합성 그 자체에 의해 부여된다면, 비사견적 정당성이 원칙적으로 허용되는데, 왜냐하면 한 믿음 체계의 정합성은 본성에 있어서 비사견적이기 때문이다. 만일, 다른 한편으로, 정당성이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에 의해 부여된다면, 그렇게 결과하는 정당성의 개념은 두 가지 결함들을 겪는다: 첫째, 그 정당성은 받아들이기 어려운 무한 소급을 산출한다. 둘째, 그 정당성은 평가적 속성으로서 정당화됨의 속성이 비평가적 속성들에 수반한다는 논지와 갈등을 일으킨다.

정합론자들이 이러한 딜레마를 우회하고자 애쓰긴 하지만, 그들이 직면한 문제들은 가공할 만하다. 만일 그들이 정합성 자체가 정당성의 원천임을 받아들인다면, 그들은 원칙적으로 비사견적 정당성과 같은 것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도록 강제된다 - 그것은 정합성을 통한 비사견적 정당성은 가능한 반면, 경험을 통한 비사견적 정당성은 그렇지 않다고 주장하는 것을 무척이나 허약하게 만드는 것이다.<10> 다른 한편, 만일 정합론자들이 사견적 조치를 취한다면 - 만일 그들이 정당성은 정합성 자체가 아니라 오로지 정합성에 대한 믿음들에 의해서만 산출된다고 주장한다면 - 그들은 그들이 사견적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직면하는 문제와 똑같이 심각한 두 가지 문제들에 직면한다. 이러한 문제들은 다음 세 절들의 주제가 될 것이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