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Eight

Reliabilism
신빙론

Process Reliabilism
과정 신빙론

1) Among those who are proponents of reliabilism, Alvin Goldman may be considered the most influential contributor. Let us, therefore, focus on various versions of reliabilism Goldman has proposed in a series of important papers. We shall begin with the account he developed in his 1979 paper "What Is Justified Belief?" in which he introduces the concept of belief-producing or belief-causing processes. As examples of such processes, Goldman mentions the following:

confused reasoning, wishful thinking, reliance on emotional attachment, mere hunch or guesswork, and hasty generalization

which he compares with

perceptual processes, remembering, good reasoning, and introspection.<1>

These two sets of processes differ in the following respect: those in the first group produce beliefs that are mostly false, whereas those in the second group produce beliefs that are mostly true. In short, those in the second group are reliable, while those in the first are not. Goldman's proposal is that

the justification status of a belief is a function of the reliability of the process or processes that cause it, where (as a first approximation) reliability consists in the tendency of a process to produce beliefs that are true rather than false.<2>

In order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this proposal, let us formulate it in the form of a biconditional. Since the items that are supposed to be reliable are belief-producing processes, we shall refer to this particular version of reliabilism as process reliabilism. And for the sake of simplicity, we shall call belief-producing processes cognitive processes.

Process Reliabilism (Initial Version)
S's belief B is justified if and only if B is produced by a reliable cognitive process.<3>

As Goldman himself points out, reliabilism thus understood is vulnerable to objections from evidential defeat. Such objections describe beliefs that, although reliably produced, fail to be justified because the subject has evidence for taking them to be caused by an unreliable process.<4> Suppose Spencer suffers from an apparent memory loss and decides to consult a neurophysiologist about his problem. This neurophysiologist, and eminent authority in his field, tells Spencer that his childhood memories are extremely unreliable.<5> Suppose further that although Spencer's childhood memories are in fact very reliable, Spencer is fully justified in believing the neurophysiologist's assertion to the contrary. The neurophysiologist's verdict defeats the reliability of Spencer's memories as a source of justification, and thus, if Spencer were to retain his beliefs about what happened during his childhood, these beliefs would be unjustified. According to our initial version of process reliabilism, however, they would be justified because they are reliably produced.
1) 신빙론 지지자들 중에서, 아마도 앨빈 골드만이 가장 영향력 있는 기여자로 여겨질 것이다. 그러므로 일련의 중요한 논문들에서 골드만이 제안한 다양한 형태의 신빙론들에 초점을 맞춰 보도록 하자. 우리는 그가 그의 1979년 논문 "정당화된 믿음이란 무엇인가?"에서 전개한 설명을 가지고 시작해야 할 것이다. 그 논문에서 그는 믿음-산출 혹은 믿음-유발 과정들의 개념을 도입한다. 그러한 과정들의 예시들로서 골드만은 다음과 같은 것을 언급한다.

혼란스러운 추론, 희망 사항, 감정적 애착에의 의존, 단순한 예감 또는 짐작, 그리고 성급한 일반화

그러한 것들은 그는 다음의 것들과 비교한다.

지각 과정들, 기억, 훌륭한 추론, 내성.<1>

이러한 두 부류의 과정들은 다음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즉 첫 번째 집단에 속하는 것들은 대부분 거짓인 믿음들을 산출하는 반면, 두 번째 집단에 속하는 것들은 대부분 참인 그러한 믿음들을 산출한다. 간단히, 두 번째 집단에 속하는 것들은 신빙성이 있고, 반면에 첫 번째 집단에 속하는 것들은 그렇지 않다. 골드만의 제안은 다음과 같다.

한 믿음의 정당화상태는 그 믿음을 유발하는 과정 혹은 과정들의 신빙성의 기능이고, 그 과정에서 (일차적인 근사치로서[대략적으로]) 신빙성은 거짓 보다는 참인 믿음들을 산출하는 과정의 경향으로 이루어진다.<2>

이러한 제안의 함축들을 검토하기 위하여, 그 제안을 쌍조건문 형식으로 정식화하도록 하자. 신빙성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항목들은 믿음-산출 과정들이므로, 우리는 이 특수한 형태의 신빙론을 과정 신빙론이라 불러야 할 것이다. 그리고 단순성을 위하여, 우리는 믿음-산출 과정들을 인지 과정들로 불러야 할 것이다.

과정 신빙론 (초기 형태)
S의 B라는 믿음은 정당화된다 iff B는 신빙성 있는 인지 과정에 의해 산출된다.<3>

골드만 자신이 지적하듯, 그와 같이 이해된 신빙론은 증거적 상쇄로부터의 반박들에 취약하다. 그러한 반박들은 주체가 그 믿음들을 신빙성 없는 과정에 의해 야기된 것으로 여길 증거를 지니기 때문에 비록 신빙성있게 산출되었다 할지라도 정당화되지 않는 믿음들을 묘사한다.<4> 스펜서가 기억 상실처럼 여겨지는 것을 겪고 신경생리학자에게 그의 문제에 대한 조언을 듣기로 결심한다고 가정해 보자. 그의 분야에서 저명한 권위자인 이 신경생리학자는 스펜서에게 그의 유년기 기억들이 극도로 신빙성이 없다고 말해준다.<5> 더 나아가서 비록 스펜서의 유년기 기억들이 실은 매우 신빙성이 있다 할지라도, 스펜서가 그 신경생리학자의 반대되는 주장을 믿음에 있어서 충분히 정당화된다고 가정해 보자. 그 신경생리학자의 의견은 정당화의 원천으로서 스펜서의 기억에 대한 신빙성을 상쇄시키고, 따라서, 만일 스펜서가 그의 유년기 동안에 일어났던 일에 대한 그의 믿음들을 견지하게 된다면, 이러한 믿음들은 정당화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과정 신빙론에 대한 우리의 초기 형태에 따르면 그 믿음들은 정당화될 것인데 왜냐하면 그 믿음들이 신빙성있게 산출되기 때문이다.

2) To handle cases of this kind, Goldman introduces a further condition, which is motivated by the idea that "the justificational status of a belief is not only a function of the cognitive processes actually employed in producing it; it is also a function of processes that could and should be employed."<6> Let us amend our initial version of process reliabilism with this condition:

Process Reliabilism (Final Version)
S's belief B is justified if and only if (i) B is produced by a reliable cognitive process; (ii) there is no alternative reliable process available to S that, had it been used by S in addition to the process actually used, would have resulted in S's not forming B.<7>

Let's apply this improved version of process reliabilism to the case involving the neurophysiologist. Suppose Spencer, ignoring the neurophysiologist's verdict, retains his memory beliefs about his childhood. In so doing, he ignores evidence that undermines his beliefs about his childhood. We may say, therefore, that Spencer uses the evidence available to him improperly. As Goldman points out, "the proper use of evidence would be an instance of a reliable process."<8> This process was available to Spencer, but he did not use it, although he could and should have. And had Spencer used this process, he would not have retained his memory beliefs about his childhood. Thus condition (ii) is not satisfied, and we get the correct result: Spencer's memory beliefs about his childhood are unjustified.
2) 이런 종류의 사례들을 다루기 위해, 골드만은 추가적인 조건을 도입한다. 그 조건은 "한 믿음의 정당화적 상태는 단지 실제로 그 믿음을 산출하는 데에 사용된 인지 과정들의 기능만이 아니라 또한 사용될 수 있고 사용되어야 할 과정들의 기능이기도 하다"라는 발상에 의해 동기를 부여받는다.<6> 과정 신빙론에 대한 우리의 초기 형태를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가지고 수정하도록 하자.

과정 신빙론 (최종 형태)
S의 믿음 B는 정당화된다 iff (i) B는 신빙성 있는 인지 과정에 의해 산출된다 (ii) 실제로 사용된 과정에 덧붙여 S에 의해 사용되었더라면 S가 B를 형성하지 않는 결과를 낳았을, S에게 가용한 어떠한 대안적인 신빙성 있는 과정도 없다.<7>

이 개선된 형태의 과정 신빙론을 신경생리학자와 관련된 그 사례에 적용해 보도록 하자. 스펜서가 그 신경생리학자의 견해를 무시하고 그의 유년기에 대한 그의 기억 믿음들을 견지한다고 가정하자. 그렇게 함에 있어서, 그는 그의 유년기에 대한 그의 믿음들을 약화시키는 증거를 무시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아마도 스펜서가 그에게 가용한 증거를 부당하게 사용한다고 말할 것이다. 골드만이 지적하듯, "증거의 적절한 사용은 신빙성 있는 과정의 일례이다."<8> 이 과정은 스펜서에게 가용하였지만, 그는 그 과정을 사용하지 않았다. 비록 그가 사용할 수 있었고 사용해야 했을지라도 말이다. 또 스펜서가 이 과정을 사용했더라면, 그는 그의 유년기에 대한 그의 기억 믿음들을 견지하지 않았을 것이다. 따라서 조건 (ii)는 만족되지 않고, 우리는 정확한 결과를 얻는다. 즉 스펜서의 유년기에 대한 그 자신의 기억 믿음들은 정당화되지 않는다.

3) There are three main objections to process reliabilism. According to the first, there is the possibility of an evil-demon world in which perceptual beliefs are justified although they are unreliably produced. This objection raises the issue of whether reliability is necessary for justification. The second objection presents the challenge of a reliably clairvoyant subject who does not know that he is reliably clairvoyant; his beliefs are supposed to be unjustified even though they are reliably produced. This objection raises the issue of whether reliability is sufficient for justification. And according to the third objection, when we apply process reliabilism to particular cases, it is not possible to specify the relevant cognitive process in a way that is neither too broad nor too narrow. This objection raises what is commonly referred to as the "generality problem."
3) 과정 신빙론에 대한 세 가지 주요 반박들이 있다. 첫 번째 반박에 따르면, 지각적 믿음들이 신빙성 없이 산출된다 할지라도 정당화되는 그러한 사악한-악마의 세계라는 가능성이 있다. 이 반박은 신빙성이 정당성에 필요조건인지에 대한 문제를 야기한다. 두 번째 반박은 그가 신빙성 있는 천리안임을 알지 못하는 신빙성 있는 천리안 주체에 대한 시험을 제시한다. 그의 믿음들은 설령 그 믿음들이 신빙성 있게 산출된다 할지라도 정당화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반박은 신빙성이 정당화의 충분조건인지에 대한 문제를 불러 일으킨다. 세 번째 반박에 따르면, 우리가 특정 사례들에 과정 신빙론을 적용할 때, 너무 광범위하지도 너무 협소하지도 않은 방식으로 관련된 인지 과정을 상술하는 일이 불가능하다. 이 반박은 일반적으로 "일반성 문제"라고 불리우는 문제를 불러온다.


Reliabilism and Naturalistic Epistemology
신빙론과 자연주의 인식론

1) Ever since the work of W. V. Quine gained prominence, the program of naturalizing epistemology - of replacing old-fashioned a priori armchair philosophizing with a new, thoroughly scientific approach - has enjoyed increasing support. In the next chapter, we shall discuss the merits of this project. For our present purposes, what matters is that in proposing his 1979 version of process reliabilism, Goldman intended to advance naturalized epistemology. Process reliabilism is supposed to be a naturalistic theory, one that differs in significant respects from theories advanced within nonnaturalized, traditional theories.<9> What is typical of such theories is that they analyze the nature of justification by employing evidential considerations - that is, by using conditions that are formulated in epistemic terms. Hence Goldman attempts to analyze the concept of epistemic justification without engaging in evidentialist language - that is, without using any epistemic terms such as "reasonable," "certain," or "evident."<10>
1) W. V. 콰인의 작업이 명성을 얻은 이래로, 인식론을 자연화하는 기획 - 구식의 선험적인 탁상공론 철학화를 새로운 철저하게 과학적인 접근으로 대체하는 - 은 지지의 증가를 향유하여 왔다. 다음 장에서, 우리는 이 기획의 이점들을 논의할 것이다. 우리의 현재 의도들로는, 문제는 그의 과정 신빙론의 1979년 판을 제안하면서 골드만이 자연화된 인식론을 제기하고자 하였다는 점이다. 과정 신빙론은 자연주의 이론으로 간주되고, 그것은 비자연화된 전통적 이론들 내에서 개진된 이론들과 중요한 측면들에 있어서 상이한 것이다.<9> 그러한 이론들의 전형적인 점은 그 이론들이 정당화의 본성을 증거적 숙고들을 사용함으로써 분석한다는 점이다 - 즉, 인식적 용어들로 정식화된 조건들을 사용함으로써 말이다. 따라서 골드만은 인식적 정당성 개념을 증거론적 언어에 참여함이 없이 분석하고자 시도한다 - 즉, "합리적," "확실한," 혹은 "증거가 되는" 과 같은 어떠한 인식적 용어들도 사용하지 않고 분석하고자 시도한다.<10>

2) Process reliabilism also differs from traditional theories in being an externalist theory. Recall that according to externalist theories, factors that determine a belief's justificatory status need not be accessible on reflection.<11> From the naturalistic point of view, a theory of justification ought to be externalist, for whether a belief is justified is not, according to naturalized epistemology, a matter the subject can determine on reflection. Rather, it is a scientific matter that must be settled by cognitive scientists and neurophysiologists.
2) 과정 신빙론은 또한 외재주의적 이론이라는 점에서도 전통적 이론들과 차이가 있다. 외재주의 이론들에 따르면 믿음의 정당화 상태를 결정하는 요소들은 숙고에 의해 허용가능할 필요가 없다는 점을 상기해 보자.<11> 자연주의적 관점에서, 정당성에 대한 이론은 외재주의적이어야 하는데, 왜냐하면 한 믿음이 정당화되는지 정당화되지 않는지 여부는 자연주의화된 인식론에 따르면 주체가 숙고를 통해 결정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오히려, 그것은 반드시 인지 과학자들과 신경생리학자들에 의해 결론지어져야만 하는 과학적 문제이다.

3) Why is process reliabilism an externalist theory? It is an externalist theory because whether a given belief is produced by a reliable process is something that can - at least in principle - be found out, given enough time and scientific resources. But it certainly cannot be found out on reflection. Even if on reflection the subject could pin down the cognitive process that produced the belief in question - which is by no means something that should be taken for granted - she would then have to determine whether that process produces mostly true beliefs. This could not be done merely by reflecting on the matter. Rather, an extensive empirical study would be necessary.
3) 어째서 과정 신빙론은 외재주의적 이론인가? 그것이 외재주의적 이론인 까닭은 주어진 믿음이 신빙성 있는 과정에 의해 산출되는지 여부가 - 최소한 원칙적으로는 - 충분한 시간과 과학적 자원들이 주어진다면 밝혀질 수 있는 어떤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것은 확실히 숙고를 통해서는 밝혀질 수 없다. 설령 숙고를 통해 주체가 문제가 되는 믿음을 산출한 인지 과정을 확정지을 수 있다 할지라도 - 그것은 결코 당연스럽게 받아들여져야 할 어떤 것이 아니다 - 그녀는 그 과정이 대체로 참인 믿음들을 산출하는지 여부를 결정해야 할 것이다. 이 일은 단지 그 문제에 대해 숙고하는 것만으로 행해질 수 없을 것이다. 오히려, 대규모의 경험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4) By being a version of externalism, process reliabilism satisfies the demand for naturalization. It is less clear, however, that it satisfies this demand also by avoiding evidentialist language. Indeed, we have already seen that Goldman solves the problem of evidential defeat by appealing to cognitive processes such as properly and improperly using one's evidence. If this difference is not in turn analyzed in nonepistemic terms, it would appear that the intended departure from traditional epistemology was not entirely successful.
4) 외재주의 형태가 됨으로써, 과정 신빙론은 자연주의화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킨다. 그렇지만 그것이 이러한 요구를 또한 증거적 언어를 피함으로써도 만족시키는지는 덜 분명하다. 더욱이, 우리는 이미 골드만이 증거적 상쇄 문제를 한 개인의 적절한 증거사용과 부적절한 증거사용과 같은 인지적 과정들에 호소함으로써 해결하는 것을 보았다. 만일 이러한 차이가 이제 비인식적 용어로 분석되지 않는다면, 전통적 인식론으로부터의 의도된 분리는 전적으로 성공적이지는 못했던 것으로 드러날 것이다.


The Evil-Demon Problem
사악한-악마 문제

1) Perhaps the most formidable difficulty process reliabilism faces comes in the form of cases that challenge the claim that reliability is necessary for justification. The most prominent such case is that of an evil-demon world. Suppose you are the victim of an evil demon: all of your perceptual beliefs are false because the evil demon manipulates your perceptual experiences in such a way that the existence of a physical world appears obvious to you when in fact there is no such world. All that exists are nonphysical minds without bodies, and you are one of them. Your perceptual beliefs are false because the objects your beliefs are about don't exist. For example, when you believe that there is a dog in front of you, your belief is false since, under the circumstances we are imagining, there is no dog before you simply because there are no dogs to begin with.
1) 아마도 과정 신빙론이 직면하는 가장 가공할 만한 난관은 신빙성이 정당화의 필요조건이라는 주장에 도전하는 사례들의 형태로 다가올 것이다. 그러한 사례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사악한-악마 세계의 사례이다. 당신이 사악한 악마의 희생자라고 가정해 보자. 당신의 모든 지각적 믿음들은 거짓인데 왜냐하면 사악한 악마가 당신의 지각 경험들을 사실 어떠한 물리적 세계도 없지만 당신에게는 물리적 세계의 현전이 명백하게 보이는 그러한 방식으로 규정하기 때문이다. 현존하는 모든 것은 실체 없는 비물리적 정신들이고, 당신은 그러한 정신들 중 하나이다. 당신의 지각적 믿음들은 거짓인데 왜냐하면 당신의 믿음들이 그것들에 대한 것인 그 대상들은 현존하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당신이 당신 앞에 개 한 마리가 있다고 믿을 때, 우리가 상상하고 있는 그러한 상황들 아래에서 당신의 믿음은 거짓이므로, 단순히 어떠한 개들도 처음부터 없었기 때문에 당신 앞에도 개라고는 전혀 없다.

2) One crucial assumption we must make here is that the experiences the evil demon induces in you are phenomenally indistinguishable from the experiences you actually have. They are exactly the same type of experiences you would have if you were not deceived by an evil demon, but rather lived a normal life in an ordinary physical world. This assumption is crucial because it provides us with a strong reason for saying that your perceptual beliefs are justified. After all, we ordinarily take ourselves to live in a normal world in which perceptual beliefs are usually justified. Consequently, given that there is no phenomenally discernible difference between your actual perceptual experiences and those you have in the evil-demon scenario, we must take your beliefs in the evil-demon world to be justified as well.
2) 우리가 여기에서 취해야만 하는 한 가지 결정적인 전제는 사악한 악마가 당신에게 촉발시킨 경험들이 현상적으로 당신이 실제로 가지는 경험들과 구별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그 경험들은 만일 당신이 사악한 악마에 의해 기만당하지 않고 오히려 일상적인 물리적 세계 내에서 평범한 삶을 살았더라면 당신이 가졌을 경험들과 정확하게 동일한 유형의 경험들이다. 무엇보다도, 우리는 일상적으로 우리 자신이 지각적 믿음들이 보통 정당화되는 평범한 세계에 살고 있다고 여긴다. 결론적으로, 당신의 실제 지각 경험들과 당신이 사악한-악마의 각본 속에서 지니는 경험들 사이에 현상적으로 식별 가능한 어떠한 차이도 현상적으로 식별 가능한 어떠한 차이도 없다는 것을 고려하면, 우리는 반드시 사악한-악마 세계 속에서 당신의 믿음들이 마찬가지로 정당화되는 것이라 여겨야만 한다.

3) What turns the scenario we are imagining into a difficulty for reliabilism is this: Your perceptual beliefs in the evil-demon world are all false, and thus unreliably produced. Put differently, for an evil-demon victim, perception is not a reliable cognitive process. Thus the perceptual beliefs in the evil-demon world are not produced by a reliable cognitive process. Yet they are justified. The conclusion to be drawn, then, is that reliability is not a necessary ingredient of justification.<12>
3) 우리가 상상하고 있는 그 각본을 신빙론의 난관으로 만드는 것은 이것이다. 즉 사악한-악마 세계에서 당신의 지각적 믿음들은 모두 거짓이고, 따라서 신빙성 없이 산출된다. 달리 말하자면, 사악한-악마의 희생자에 대해서, 지각은 신빙성있는 인지 과정이 아니다. 따라서 사악한-악마 세계에서 지각적 믿음들은 신빙성 있는 인지 과정에 의해 산출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그것들은 정당화된다. 그래서 도출될 결론은 신빙성이 정당화의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라는 것이다.<12>

4) Could the premise that your perceptual beliefs in the actual world are justified be questioned? From a skeptical point of view, they could. However, Goldman explicitly states that process reliabilism is intended to be an account of our ordinary concept of justification.<13> The beliefs that are justified according to reliabilism are therefore expected to coincide roughly with those beliefs that turn out to be justified when we apply our ordinary concept of justification. But if we apply this concept to the evil-demon world, our verdict must be that the perceptual beliefs in this world are (by and large) as much justified as they are in the actual world. For according to our ordinary concept of justification, beliefs based on perceptual evidence are (by and large) justified.
4) 실제 세계에서 당신의 지각적 믿음들이 정당화된다는 전제는 반문될 수 있을 것인가? 회의주의적 관점에서 그럴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골드만은 분명하게 과정 신빙론은 정당화에 대한 우리의 일상 개념에 대한 설명이고자 한다고 진술한다.<13> 신빙론에 따라 정당화되는 믿음들은 그러므로 우리가 우리의 일상적 정당성 개념을 적용할 때 정당화될 것으로 드러나는 그러한 믿음들과 거칠게나마 일치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만일 우리가 이러한 사악한-악마 세계의 개념을 적용한다면, 우리의 평가는 이러한 세계에서의 지각적 믿음들이 (대체로) 실제 세계에서의 믿음들이 정당화되는 만큼 정당화된다는 것이어야만 한다. 왜냐하면 우리의 일상적 정당성 개념에 따르자면, 지각적 증거에 기초된 믿음들은 (대체로) 정당화되기 때문이다.


The Clairvoyance Problem
천리안 문제

1) Is reliable belief production sufficient for justification? The following case is intended to establish that it is not. Suppose Norman enjoys the power of perfectly reliable clairvoyance with respect to the whereabouts of the president.<14> At any given moment, he can tell where the president is located. Furthermore, his clairvoyance normally results in beliefs about the presidnet's whereabouts only if Norman deliberately uses this power. Suppose Norman doesn't know that he has this power, and thus never uses it. On a rare ocasion, he spontaneously comes to believe, on the basis of his clairvoyance, that the president is in New York. Let us suppose further that, according to a news report Norman heard on television, the president is supposed to be receiving senators in the White House that morning. (As a matter of fact, the meetings were canceled and the president is indeed in New York that morning.)
1) 신빙성 있는 믿음 산출은 정당화에 대해 충분조건인가? 다음 사례는 그렇지 않다는 점을 확정짓고자 한다. 노만이란 사람이 대통령의 소재와 관련하여 완벽하게 신빙성 있는 천리안의 능력을 누린다고 가정해 보자.<14> 주어진 어떤 순간에서든, 그는 태통령이 위치한 곳이 어디인지 말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그의 천리안은 통상 오로지 노만이 의식적으로 이 능력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대통령의 소재에 대한 믿음들을 야기한다. 노만이 그가 지닌 능력을 모르고, 따라서 단 한 번도 그 능력을 사용한 적이 없다고 가정해 보자. 우연한 기회로, 그가 자발적으로 그의 천리안에 기초하여 대통령이 뉴욕에 있다고 믿게 된다. 나아가 우리는 노만이 텔레비젼에서 들은 뉴스 보도에 따르면 대통령이 그 날 아침 백악관에서 상원위원들을 접견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고 가정하도록 하자. (사실, 그 회동은 취소되었고 대통령은 실제로 그 날 아침 뉴욕에 있다.)

2) Ex hypothesi, Norman's belief is reliably produced. But is it justified? The news reports provide Norman with evidence against believing that the president is in New York. And since Norman has no other evidence concerning the president's whereabouts, we would have to say that Norman's belief is unjustified even though it is reliably produced. Reliable belief production by itself is not, therefore, sufficient for justification. Process reliabilism as intended by Goldman, however, involves an antidefeat clause. If amended with such a clause, it can handle the case we just considered. When Norman forms the belief that the president is in New York, there is a process available to him that he could and should have used: taking into account contrary evidence. had he used that process, he would not have formed the belief that the president is in New York. Hence process reliabilism gives us the right result: Norman's belief is unjustified.
2) 가정으로부터, 노만의 믿음은 신빙성 있게 산출된다. 그러나 그 믿음은 정당화되는가? 뉴스 보도는 노만에게 대통령이 뉴욕에 있다고 믿는 데에 반대되는 증거를 제공한다. 그리고 노만은 대통령의 소재와 관련하는 다른 어떤 증거도 가지고 있지 못하므로, 우리는 노만의 믿음이 설령 신빙성있게 산출된다 할지라도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말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신빙성 있는 믿음 산출은 그 자체로는 정당화의 충분조건이 아니다. 그렇지만 골드만에 의해 의도된 과정 신빙론은 반상쇄 조항을 포함한다. 만일 그와 같은 항목으로 수정된다면, 그 과정 신빙론은 우리가 방금 고찰한 사례를 취급할 수 있다. 노만이 대통령이 뉴욕에 있다는 믿음을 형성할 때, 그에게 그가 사용할 수 있었고 또 사용했어야 할 가용한 과정이 있다. 그가 그 과정을 사용했었더라면, 그는 대통령이 뉴욕에 있다는 믿음을 형성하지 않았을 것이다. 따라서 과정 신빙론은 우리에게 옳은 결론을 내려준다. 즉 노만의 믿음은 정당화되지 않는다.

3) What is at stake in discussing process reliabilism, then, is not the claim that reliable belief production is sufficient for justification, but rather the claim that undefeated reliable belief production is sufficient for justification. In the example we considered, there is defeating evidence: the news reports according to which the president is receiving senators in the White House that morning. Thus in order for an objection from clairvoyance to produce a genuine challenge to process reliabilism, a different kind of example must be devised. First, the belief in question must be reliably produced. Second, it must be unjustified not because it is undermined by contrary evidence, but rather because the subject has no positive evidence in its support.
3) 그래서 과정 신빙론의 성패는 신빙성 있는 믿음 산출이 정당화의 필요조건이라는 주장이 아니라 오히려 상쇄되지 않는 신빙성 있는 믿음 산출이 정당화에 대한 필요조건이라는 주장에 달려 있다. 우리가 고려하였던 사례에는 상쇄 증거가 있다. 즉 그에 따르면 대통령이 그 날 아침 백악관에서 상원의원을 접견하고 있다는 뉴스 보도이다. 따라서 천리안으로부터의 반박이 과정 신빙론에 대한 진정한 도전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다른 종류의 사례가 반드시 고안되어야만 한다. 우선, 문제가 되는 믿음은 반드시 신빙성 있게 산출되어야만 한다. 둘째, 그 믿음은 반드시 그 믿음이 반대 증거에 의해 약화되기 때문이 아니라 오히려 주체가 그 믿음의 지지에 있어서 아무런 긍정적 증거도 지니지 못하기 때문에 정당화되지 않아야만 한다.

4) It's not so clear, however, that process reliabilism can't handle cases of that kind. For Goldman could say that when S believes something without supporting evidence, there is an available process S could and should have used: taking into account the absence of supporting evidence or, more generally, believing in accord with one's evidence. So Goldman's process reliabilism, if properly applied, implies what it should: that evidentially unsupported beliefs are unjustified.
4) 그렇지만 과정 신빙론이 그런 종류의 사례들을 취급할 수 없으리란 것은 그렇게 분명하진 않다. 왜냐하면 골드만은 S가 지지증거 없이 어떤 것을 믿을 때, S가 사용할 수 있었고 사용했어야 할 가용한 과정이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즉 지지 증거의 부재를 고려려하는 것, 좀 더 일반적으로 말해서 한 개인의 증거에 따라 믿는 것 말이다. 그래서 골드만의 과정 신빙론은 만일 적절하게 적용된다면 어떠해야 할지를 시사한다. 곧 증거적으로 뒷받침되지 않는 믿음들은 정당화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5) Nevertheless, the clairvoyance problem does illuminate a feature of process reliabilism that advocates of naturalistic epistemology must view as a weakness. Process reliabilism is supposed to be a naturalistic theory - a theory that allows us to evaluate beliefs without applying evidentialist considerations. However, when process reliabilism is applied to particular cases, evidentialist considerations make their entry through the backdoor. In order to handle cases in which a reliably produced belief is defeated by contrary evidence, process reliabilists must introduce a process such as taking into account contrary evidence. And in order to handle clairvoyance cases in which supporting evidence is missing, they must appeal to a process such as taking into account the absence of supporting evidence. It could therefore be argued that, to get the right results, process reliabilists must ultimately employ evidentialist considerations. It could be doubted, therefore, that process reliabilism is in fact a genuine alternative to traditional evidentialist theories.
5)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리안 문제는 자연주의 인식론의 지지자들이 반드시 약점으로 간주해야만 하는 과정 신빙론의 특징을 밝혀낸다. 과정 신빙론은 자연주의적 이론인 것으로 생각된다 - 우리에게 증거적 고찰들을 적용하지 않고 믿음들을 평가하도록 허용하는 이론인 것으로 말이다. 그렇지만, 과정 신빙론이 특정한 사례들에 적용될 때, 증거적 고찰들은 뒷문을 통해 그 사례들의 유입을 만든다. 신빙성있게 산출된 믿음이 반대 증거에 의해 상쇄되는 사례들을 다루기 위해, 과정 신빙론자들은 반드시 반대 증거를 고려하는 것과 같은 그러한 과정을 도입해야만 한다. 그리고 지지증거가 생략되어 있는 천리안 사례들을 다루기 위해, 그들은 반드시 지지증거 부재를 고려하는 것과 같은 과정에 호소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옳은 결론을 내리기 위해 과정 신빙론자들은 반드시 궁극적으로 증거적 고찰들을 채용해야만 한다고 주장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과정 신빙론이 사실상 전통적 증거주의적 이론들에 대한 진정한 대안이라는 것은 의심스러울 수 있다.


The Generality Problem
일반성 문제

1) To study the ins and outs of the generality problem, it is best to consider initially a simplified version of reliabilism (let's clal it "simple reliabilism") and to turn at a later point to the more complicated version we discussed above. According to simple reliabilism, a belief's justification is solely a function of the reliability of the process that produced it. But a cognitive process that produces a belief in a particular case exemplifies many different types of cognitive processes. For example, when I look out my office window and see a dog on campus, the cognitive process that produces the belief "There is a dog over there" can be described thus:

(i) perception;
(ii) Vision;
(iii) Vision during daylight;
(iv) Vision during daylight through a pair of correcting lenses;
(v) Visually perceiving a moving object during daylight and through a pair of correcting lenses at a distance of approximately forty feet.

We must, therefore, distinguish between the particular token of a cognitive process that produces a belief in a specific case and the various types of cognitive processes that that token exemplifies. This distinction is important because it is types, not tokens, of cognitive processes that can be said to be reliable or unreliable. In order for a process to be reliable, the tokens that instantiate that process must produce true beliefs most of the time. Hence the particular tokens of a cognitive process type do not themselves have the property of being reliable or unreliable, but rather determine whether that process type is reliable or not.<15>
1) 일반성 문제의 안팎을 상세히 연구하기 위해, 우선 신빙론의 단순화된 형태 (이를 "단순 신빙론"이라 부르도록 하자) 를 고찰하고 이후에 우리가 위에서 논의하였던 더욱 정교화된 형태에 대한 나중 지점으로 돌아서는 것이 최선이다. 단순 신빙론에 따르면, 믿음의 정당화은 오로지 그 믿음을 산출하는 과정의 신빙성의 기능이다. 그러나 특정한 상황에서 믿음을 산출하는 인지적 과정은 여러 상이한 유형의 인지적 과정들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내가 사무실 창을 내다 보다고 캠퍼스의 개 한 마리를 볼 때, "저기 개 한 마리가 있다"라는 믿음을 산출하는 인지적 과정은 다음과 같이 기술될 수 있다.

(i) 지각;
(ii) 시각;
(iii) 햇빛이 비추는 동안의 시각;
(iv) 햇빛이 비추는 동안의 보정렌즈를 통한 시각;
(v) 햇빛이 비추는 동안 보정렌즈를 통해 근사치로 40피트(12.192m) 거리에서 움직이는 물체에 대한 시각적 지각.

그러므로 우리는 반드시 특정 상황에서 믿음을 산출하는 인지 과정의 특수한 생기형(生起型)과 그 생기형이 예화하는 다양한 유형의 인지 과정들을 구별해야만 한다. 이러한 구별은 중요한데 왜냐하면 신빙성 있다거나 없다고 이야기될 수 있는 것은 인지 과정의 유형들이지 생기형들이 아니기 때문이다. 한 과정이 신빙성 있기 위해서, 그 과정을 예증하는 생기형들은 반드시 대부분의 경우 참인 믿음들을 산출해야만 한다. 따라서 인지 과정 유형의 특정 생기형들은 그 자체로는 신빙성 유무의 속성을 지니지 않고, 오히려 그 과정 유형의 신빙성 유무를 결정한다.<15>

2) Goldman himself points out that since process types can be described broadly or narrowly, a serious problem arises: that of how to describe process types in appropriate generality.<16> In order to examine the nature of this problem, let's introduce a belief that is both true and unjustified. Suppose my colleague Edith brought her dog on campus, and the dog ran away. Now she is looking for him, and spotting in the far distance a dog, she believes

(D) There is my dog over there.

Since she doesn't recognize that dog very clearly, her visual evidence doesn't justify her belief, which is in fact an instance of wishful thinking. Thus (D) is unjustified. However, the dog she has spotted is in fact hers. Hence (D) happens to be true. Let's apply to this example simple reliabilism, which asserts:

Simple Reliabilism
Belief B is justified if and only if the process token that produces B instantiates a reliable process type.

Edith's belief is a visual belief. Since vision is a reliable cognitive process, simple reliabilism implies that (D) is justified, when in fact it is not. Hence simple reliabilism doesn't give us the right result for the case we are considering.
2) 골드만 자신은 과정 유형들이 광범위하게나 협소하게 기술될 수 있으므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고 지적한다. 그 문제는 적절한 일반성 내에서 기술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16> 이 문제의 본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참이면서 또한 정당화되지 않은 믿음을 도입해 보도록 하자. 나의 동료 이디트가 학교에 그녀의 개를 데려 왔다가, 그 개가 달아났다고 가정해 보자. 지금 그녀는 그 개를 찾고 있고, 멀리 있는 개 한 마리를 발견하고서 다음과 같이 믿는다.

(D) 저기 내 개가 있다.

그녀는 그 개를 아주 분명하게 재인하지는 못하므로, 그녀의 시각적 증거는 그녀의 믿음을 정당화하지 못하고, 그것은 사실 희망사항의 일례이다. 따라서 (D)는 정당화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그녀가 발견한 그 개가 사실은 그녀의 개이다. 따라서 (D)는 우연히 참이다. 이 예시를 단순 신빙론에 적용해 보자. 단순 신빙론은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단순 신빙론
믿음 B는 정당화된다 iff B를 산출하는 과정 생기형이 신빙성 있는 과정 유형을 예증한다.

에디트의 믿음은 시각적 믿음이다. 시각은 신빙성 있는 인지 과정이므로, 단순 신빙론은 (D)가 사실은 참이 아닌 경우에도 정당화됨을 시사한다. 따라서 단순 신빙론은 우리에게 우리가 고려하고 있는 상황에 대한 옳은 결론을 내려주지 않는다.

3) A natural response to this problem is to demand specification. However, simple reliabilism suffers not only from too much generality but also from too much specificity. Consider the following process type, which makes reference to the identity of the perceiver (Edith N.), and the precise time and place at which the perceiver spots her dog: Edith N. visually perceiving a dog at 3:15 p.m. on June 25, 1994, in front of Office 123 in Brown Hall. This process type is instantiated by one, and only one, process token: namely, the one that leads my colleague to form belief (D). Let us call process types that are instantiated by one, and only one, process token "OTOPs" (one-token-only process types). What is remarkable about OTOPs is this: Whenever the unique token that instantiates an OTOP is true, that OTOP is an example of perfect reliability. For whenever an OTOP leads to a true belief, it isn't instantiated by a single token that leads to a false belief.
3) 이 문제에 대한 자연스러운 응답은 상술을 요구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단순 신빙론은 지나친 일반성으로부터만이 아니라 지나친 상세화로부터도 곤란을 겪는다. 지각자(에디트 N.)의 정체성에 대한 언급과 그 지각자가 그녀의 개를 발견한 정확한 시간과 장소를 만드는 다음과 같은 과정 유형을 고려해 보자. 1994년 6월 25일 오후 3시 15분 브라운 관 123호 사무실 앞에서 한 마리 개를 시각적으로 지각하는 에디트 N.. 이 과정 유형은 오직 단 하나의 과정 생기형에 의해 예증된다. 말하자면, 나의 동료가 (D) 믿음을 형성하도록 이끄는 생기형 말이다. 오직 단 하나의 생기형에 의해서 예증되는 과정 유형들을 "OTOP들" (하나의 생기형뿐인 과정 유형들) 이라고 부르도록 하자. OTOP들에 대해 주목할 점은 이것이다. OTOP를 예증하는 유일한 생기형이 참인 어느 경우에든, 그 OTOP는 완벽한 신빙성의 일례이다. 왜냐하면 OTOP가 참인 믿음으로 이끄는 어느 경우에든, 그 유형은 거짓 믿음으로 이끄는 단일 생기형에 의해 예증되지 않기 때문이다.

4) The problem, then, is to describe the relevant process types in such a way that they are neither too broad nor too specific. Our example of a belief resulting from wishful thinking illustrates that since perception is, in general, a reliable process, without a specification device, process reliabilism implies that all perceptual beliefs are justified.<17> And the threat of OTOPs shows that unless the extent of permissible specification is limited, process reliabilism implies as well that all true beliefs are justified.
4) 그래서 문제는 상관된 과정 유형들을 그것들이 지나치게 광범위하지도 너무 협소하지도 않은 그런 방식으로 기술하는 것이다. 희망사항으로부터 귀결한 믿음에 대한 우리의 사례는 일반적으로 지각이 상술 장치 없이 신빙성 있는 과정이므로, 과정 신빙론은 모든 지각적 믿음들이 정당화된다는 것을 시사한다는 점을 묘사한다.<17> 그리고 OTOP들에 대한 그 위협은 허용 가능한 상술화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 한, 과정 신빙론도 마찬가지로 모든 참인 믿음들은 정당화된다는 점을 시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5) Simple reliabilism also implies that all false beliefs are unjustified. To see why, let's modify our example. Edith perceives the dog clearly and distinctly. The dog, which is in fact someone else's, is an exact look-alike of hers. Since Edith has no reason to suspect this, she is justified in believing (D). Alas, (D) is false. Now, just as in the previous case (where (D) was true) there was an OTOP of perfect reliability, there is now an OTOP of perfect unreliability. The process type Edith N. visually perceiving a dog at 3:15 p.m. on June 25, 1994, in front of Office 123 in Brown Hall is instantiated by exactly one process token - the one that led my colleague to believe (D) - and that token leads to a false belief. This means that the process in question instantiates a perfectly unreliable process type. Hence simple reliabilism gives us the wrong result: Edith's belief is unjustified. Indeed, since every process token leading to a false belief instantiates some OTOP or other, simple reliabilism implies that a belief is unjustified whenever it is false.
5) 단순 신빙론은 또한 모든 거짓 믿음들이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시사한다. 왜 그러한지 보기 위해, 우리의 예시를 수정해 보자. 에디트는 그 개를 분명하고 뚜렷하게 지각한다. 사실 다른 누군가의 개인 그 개는 그녀의 개와 정확히 꼭 닮았다. 에디트는 이렇게 의심할 아무런 근거도 없으므로, 그녀는 (D)를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 안타깝게도, (D)는 거짓이다. 이제, 앞서의 사례 ((D)가 참이었던) 에서 완벽한 신빙성의 OTOP가 있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지금도 완벽하게 신빙성 없는 OTOP가 있다. 1994년 6월 25일 브라운 관 123호 사무실 앞에서 개 한 마리를 시각적으로 지각하는 에디트 N.의 과정 유형은 저확히 하나의 과정 생기형에 의해 예증된다 - 그 생기형은 나의 동료로 하여금 (D)를 믿도록 이끌었다 - . 그리고 그 생기형은 거짓 믿음으로 이끈다. 이것은 문제가 되는 과정이 완벽하게 신빙성 없는 과정 유형을 예증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단순 신빙론은 우리에게 그릇된 결론을 제공한다: 에디트의 믿음은 정당화되지 않는다. 더욱이, 거짓 믿음으로 이끄는 모든 과정 생기형은 그 일부가 OTOP를 예증하거나 혹은 다른 유형을 예증하므로, 단순 신빙론은 한 믿음이 거짓인 그 어느 때에라도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시사한다.

6) In discussing the generality problem, we have thus far only considered a simplified version of reliabilism. It is now time to discuss whether process reliabilism is still vulnerable to the generality problem once it is amended with an antidefeat caluse. (Let's refer to that version of reliabilism as "Goldman's process reliabilism.")

Goldman's Process Reliabilism (GPR)
S's belief B is justified if and only if (i) B is produced by a reliable cognitive process; (ii) there is no alternative reliable process available to S that, had it been used by S in addition to the process actually used, would have resulted in S's not forming B.<18>

GPR does not imply that a belief is justified whenever it is true. For sometimes when S forms a true belief, S ignores contrary evidence that undermines that belief. In such cases, condition (ii) will not be satisfied. However, GPR does imply that a belief is false whenever it is unjustified. As we saw above, for every such belief, there is a perfectly unreliable OTOP that produces it. Hence false beliefs can't satisfy condition (i), and thus are always, according to GPR, unjustified.<19>
6) 일반성 문제를 논의함에 있어서, 우리는 따라서 지극히 오직 단순화된 형태의 신빙론만을 고찰하였다. 이제 과정 신빙론이 반상쇄 조항으로 수정되고 나서도 여전히 일반성 문제에 취약한지 여부를 논의할 때이다. (그러한 형태의 신빙론을 "골드만 과정 신빙론"이라 부르도록 하자.)

골드만 과정 신빙론 (GPR)
S의 믿음 B는 정당화된다 iff (i) B는 신빙성 있는 인지 과정에 의해 산출된다; (ii) S에 의해 실제로 사용된 과정에 추가로 사용되었더라면 S의 B 형성을 귀결하지 않았을 그러한 S에게 가용한 신빙성 있는 어떠한 대안적 과정도 없다.<18>

GPR은 믿음이 참일 때에는 언제든지 정당화된다고 시사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때때로 S가 참인 믿음을 형성할 때, S가 그 믿음을 약화시키는 반대 증거를 무시하기 때문이다. 그런 경우들에 있어서, 조건 (ii)는 만족되지 않을 것이다. 그렇지만, GPR은 한 믿음이 거짓일 때에는 언제라도 정당화되지 않는다는 점을 시사한다. 우리가 위에서 보았던 것처럼, 그러한 모든 믿음들에 대해서, 그 믿음을 산출하는 완벽하게 신빙성 없는 OTOP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거짓 믿음들은 조건 (i)을 만족시킬 수 없고, 그에 따라 GPR에 따르면 언제나 정당화되지 않는다.<19>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