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le Reliabilism and The Evil-Demon Problem
규칙 신빙론과 사악한-악마 문제

1) In his 1996 Epistemology and Cognition, Goldman replaced process reliabilism with what we may call "rule reliabilism." Rule reliabilism makes a belief's justification a function of permission by a right system of epistemic rules - J-rules, in Goldman's terminology - and the rightness of a system of J-rules a function of reliability. Thus Goldman's 1986 proposal offers us a two-stage analysis of justified belief:

J1    S's belief B is justified if and only if (a) B is permitted by a right system of J-rules, and (b) this permission is not undermined by S's cognitive state.<20>
J2    A system of J-rules R is right if and only if R permits certain (basic) psychological process, and the instantiation of these processes results in a sufficiently high truth ratio.<21>

One main difference between the process and rule frameworks is this: According to process reliabilism, the justification of a subject's beliefs in a world W is a function of the reliability of the subject's cognitive processes in W. As a consequence, process reliabilism is vulnerable to the evil-demon problem. In an evil-demon world, the subject's perceptual processes are unreliable, yet justified. According to rule reliabilism, in contrast, the rightness of a J-rule system does not vary among different possible worlds, but is rigidly fixed in what Goldman calls normal worlds. A world W is normal, according to Goldman, if our general beliefs in the actual world are true in W. For example, one of our general beliefs is that perception is a reliable cognitive process. Consequently, any world in which perception is not a reliable cognitive process - as is the case in an evil-demon world - is not a normal world.
1) 그의 1996년 『인식론과 인지』에서, 골드만은 과정 신빙론을 우리가 "규칙 신빙론"이라 부를 것으로 대체하였다. 규칙 신빙론은 믿음의 정당성을 옳은 인식 규칙들 - 골드만의 용어로 J-규칙들 -  의 체계에 의한 허용 기능으로 만들고 J-규칙들의 체계에 대한 옳음을 신빙성의 기능으로 만든다. 따라서 골드만의 1986년 제안은 우리에게 정당화된 믿음에 대한 2-단계 분석을 제공한다.

J1    S의 믿음 B는 정당화된다 iff (a) B는 J-규칙들의 옳은 체계에 의해 허용되며, (b) 이 허용은 S의 인식 상태에 의해 약화되지 않는다.<20>
J2    J-규칙들의 체계 R은 옳다 iff R은 확실한 (기초적인) 심리적 과정을 허용하고, 이러한 과정들의 예화는 충분히 높은 정도의 진리비율로 귀결한다.<21>

과정 체계와 규칙 체계 사이의 한 가지 주요한 차이는 이것이다. 즉 과정 신빙론에 따르면 세계 W 내에서 주체의 믿음들에 대한 정당화는 W 내에서 주체의 인지 과정에 대한 신빙성의 기능이다. 그 결과로, 과정 신빙론은 사악한-악마 문제에 취약하다. 사악한-악마 세계에서 주체의 지각 과정들은 신빙성이 없지만, 그럼에도 정당화된다. 반면 규칙 신빙론에 따르면 J-규칙 체계의 옿음은 상이한 가능 세계들 가운데에서 다르지 않고 골드만이 통상 세계들이라 부르는 세계에 엄격하게 고정된다. 골드만에 따르면 세계 W는 만일 실제 세계에서의 우리의 일반적인 믿음들이 W 내에서 참이라면 통상적이다. 예를 들어, 우리의 일반적인 믿음들 중 하나는 지각이 신빙성 있ㄴ느 인지 과정이라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 사악한-악마 세계에서의 경우와 같이 - 지각이 신빙성 있는 인지 과정이 아닌 어떠한 세계도 통상 세계가 아니다.

2) This feature of rule reliabilism, which Goldman calls normal-world chauvinism, seems to allow for a neat solution to the evil-demon problem. Consider our J-rule system, which permits beliefs that are produced by undefeated perceptual processes. If we fix the rightness of this J-rule system for a world W by considering its output in W, it would not count as a right J-rule system in an evil-demon world, for in such a world it would permit beliefs that are mostly false. Thus we would get the result that perceptual beliefs in the evil-demon world are unjustified. However, Goldman's normal-world chauvinism demands that the rightness of our J-rule system be measured in normal worlds. And in normal worlds, the beliefs it permits are mostly true. Thus, when we apply our J-rule system to the evil-demon world, it rigidly remains a right J-rule system, which means our verdict must be that perceptual beliefs in that world are justified.
2) 골드만이 통상-세계의 극단적 배타성이라 부르는 규칙 신빙론의 이러한 특징은 사악한-악마 문제에 대해 간단명료한 해결책을 허용하는 듯이 보인다. 상쇄되지 않는 지각적 과정들에 의해 산출되는 믿음들을 허용하는 우리의 J-규칙 체계를 고려해 보자. 만일 우리가 이 J-규칙 체계의 옳음을 W 내에서 그 체계의 출력을 고려함으로써 세계 W에 고정시킨다면, 그것은 사악한-악마 세계에서 옳은 J-규칙 체계로 쳐지지 않을 것인데, 왜냐하면 그러한 세계에서는 그 체계가 주로 거짓인 그러한 믿음들을 허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지각적 믿음들이 사악한-악마 세계에서 정당화되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게 될 것이다. 그렇지만, 골드만의 통상-세계 극단적 배타성은 우리의 J-규칙 체계에 대한 옳음이 통상 세계들 내에서 측정될 것을 요구한다. 그리고 통상 세계들에서, 그 체계가 허용하는 믿음들은 주로 참이다. 따라서, 우리가 우리의 J-규칙 체계를 사악한-악마 세계에 적용할 때, 그 체계는 엄격하게 옳은 J-규칙 체계로 남고, 그것은 곧 우리의 평가가 반드시 그 세계 내에서의 지각적 믿음들은 정당화된다는 것이어야만 함을 의미한다.

3) As Goldman himself has pointed out, however, his normal-world chauvinism faces a serious problem.<22> Although as a matter of fact there are no justified beliefs that result from clairvoyance, it is plausible to say that such beliefs are possible. The problem with normal-world chauvinism is that it makes such beliefs impossible. Consider a possible world in which clairvoyance is a known reliable cognitive process. Since clairvoyance is unreliable in normal worlds, rule reliabilism implies that clairvoyance beliefs are unjustified in this world. Indeed, since the lack of justification for clairvoyance beliefs is rigidly fixed by the fact that in normal worlds clairvoyance is unreliable, there could not be a world in which clairvoyance results in justified beliefs. Thus it turns out that rule reliabilism, as defined in Epistemology and Cognition, has an implausible consequence.<23>
3) 그렇지만 골드만 자신이 지적하였듯 그의 통상-세계 극단적 배타성은 심각한 문제에 직면한다.<22> 비록 사실 문제로서 천리안으로부터 귀결하는 어떠한 정당화된 믿음들도 없다 할지라도, 그러한 믿음들이 가능하다고 말하는 것은 그럴 성싶다. 통상-세계 극단적 배타성과 관련된 문제는 그것이 그러한 믿음들을 불가능하게 만든다는 점이다. 천리안은 통상 세계들에서 신빙성이 없으므로, 규칙 시빙론은 천리안 믿음들이 이 세계에서 정당화되지 않음을 시사한다. 더욱이, 천리안 믿음들에 대한 정당성 결여는 통상 세계들 내에서 천리안이 신빙선 없다는 사실에 의해 엄격하게 고정되므로, 천리안이 정당화된 믿음들을 귀결하는 세계는 있을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인식론과 인지』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규칙 신빙론은 그럴 성싶지 않은 결론을 지닌다는 것이 드러난다.


Strong and Weak Justification
강한 정당화와 약한 정당화

1) In his 1988 paper "Strong and Weak Justification," Goldman proposes an alternative approach to the evil-demon problem. HIs new solution is based on a distinction between two ways in which beliefs can be justified: weakly and strongly. Weak justification results from not violating epistemic duties; strong justification, on the other hand, results from reliable processes and methods.<24> Beliefs produced by reliable processes or methods are strongly justified, whereas beliefs not thus produced are either not justified at all or weakly justified if they are held without violating epistemic duties.
1) 그의 1988년 논문 「강한 정당화와 약한 정당화」에서 골드만은 사악한-악마 문제에 대한 대안적 접근법을 제안한다. 그의 새로운 해결책은 믿음들이 정당화될 수 있는 두 가지 방식들 사이의 구분에 기초된다. 그것은 약한 방식과 강한 방식이다. 약한 정당화는 인식적 의무들을 위배하지 않음으로부터 귀결한다. 그리고 강한 정당화는 다른 한 편으로 신빙성 있는 과정과 방법들로부터 귀결한다.<24> 신빙성 있는 과정들 혹은 방법들에 의해 산출된 믿음들은 강하게 정당화되는 반면, 그와 같이 산출되지 않은 믿음들은 전혀 정당화되지 않거나 만일 그 믿음들이 인식적 의무들을 위배함이 없이 견지된다면 약하게 정당화된다.

2)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concept of weak justification, Goldman introduces the example of a culture in which people frequently base predictions on astrology, an instance of an unreliable method. The people of this culture cannot be blamed for believing these predictions, for they don't have the intellectual means to recognize that astrology is an unreliable method. As Goldman stipulates, "where outcomes reportedly go against the predictions [derived from using astrology], the community's astrology experts explain that the predictions had been based on misapplications of the method. The experts have techniques for 'protecting' their theory from easy falsification, and only sophisticated methodologies or astronomical theories would demonstrate the indefensibility of such tactics; but these are not available."<25> In this case, Goldman says, the beliefs in question are weakly justified, for the subjects cannot be blamed for trusting their astrology experts. But since the method the "experts" use is de facto unreliable, these beliefs do not enjoy strong justification.
2) 약한 정당화의 개념을 설명하려는 의도로, 골드만은 신빙성 없는 방법의 일례로 점성술에 사람들이 빈번하게 예측들을 의존하는 문화의 사례를 도입한다. 이러한 문화에 속한 사람들은 이러한 예견들을 믿는다는 이유로 비난받을 수 없는데, 왜냐하면 그들이 점성술이 신빙성 없는 방법이라는 점을 재인할 지적 수단을 지니고 있지 못한 까닭이다. 골드만이 규정하듯, "결과들이 전하는 바에 따라 그 예견들과 [점성술을 사용함으로부터 도출된] 반대되는 곳에서, 그 집단의 점성술 전문가들은 그 예견들이 방법의 잘못된 적용에 기초되었다고 설명한다. 그 전문가들은 그들의 이론을 쉬운 반증으로부터 '방어하는' 기술들을 지니고, 오로지 복잡한 방법론들 또는 점성술적 이론들만이 그러한 전략의 옹호불가능성을 증명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은 가용하지 않다."<25> 이 경우, 골드만이 말하기로는, 문제시되는 믿음들은 약하게 정당화되는데, 왜냐하면 그 주체들이 그들의 점성술 전문가들을 신뢰함으로 인해 비난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방법은 사실상 신빙성이 없으므로, 이러한 믿음들은 강한 정당성을 향유하지 못한다.

3) Weak justification, then, is justification deriving from epistemic blamelessness. A second feature of weak justification is that weakly justified beliefs are unreliably produced, for Goldman wants weak justification to be the opposite of strong justification. Applying the distinction between strong and weak justification to the evil-demon problem, Goldman's solution is that the perceptual beliefs of the deceived subjects are weakly justified without being strongly justified. Since their perceptual experiences are just like those of perceivers in normal worlds, they can't be blamed for believing in the existence of a physical world; that's why their perceptual beliefs are free of epistemic blame and thus weakly justified. On the other hand, their perceptual beliefs are unreliably produced (because in the evil-demon world perception is not a reliable cognitive process); that's why their perceptual beliefs fail to be strongly justified.
3) 그래서 약한 정당성은 인식적으로 비난받지 않음으로부터 유래하는 정당성이다. 약한 정당성의 두 번째 특징은 약하게 정당화된 믿음들이 신빙성 없이 산출된다는 것인데, 골드만이 약한 정당성을 강한 정당성에 반대항이기를 원하기 때문이다. 강한 정당성과 약한 정당성 사이의 구분을 사악한-악마 문제에 적용하면서, 골드만의 해결책은 기만당하는 주체들의 지각적 믿음들이 강하게 정당화되지 않고 약하게 정당화된다는 것이다. 그들의 지각적 경험들은 바로 통상 세계들 내에서 지각자들의 경험들과 똑같으므로, 그들은 물리적 세계의 현존을 믿는다는 이유로 비난받을 수 없다. 그것이 그들의 지각적 믿음들이 인식적 비난으로부터 자유롭고 따라서 약하게 정당화되는 이유이다. 다른 한편으로, 그들의 지각적 믿음들은 신빙성 없이 산출된다 (왜냐하면 사악한-악마 세계에서 지각은 신빙성 있는 인지 과정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것이 그들의 지각적 믿음들이 강하게 정당화되지 않는 이유이다.

4) In response to this maneuver, internalist critics of reliabilism would question the legitimacy of the distinction between weak and strong justification.<26> Advocates of a traditional, Cartesian-Lockean conception of epistemic duty could argue that there is nothing weak about the justification the deceived subjects in an evil-demon world enjoy. Their perceptual beliefs are supported by their evidence, and thus are justified fully and completely. From this internalist, traditional point of view, the unreliability of perceptual processes in the evil-demon world does not at all adversely affect the justification of perceptual beliefs. Internalist opponents of reliabilism would not, therefore, view Goldman's reconciliation offer - perceptual beliefs in the evil-demon world are weakly justified - as satisfactory. They would deny that just because these beliefs are unreliably produced, they are somehow deficient in justificatory status.
4) 이러한 책략에 대한 응답으로, 신빙론에 대한 내재주의적 비판자들은 약한 정당성과 강한 정당성 사이의 구분에 대한 적법성을 물을 것이다.<26> 전통적인 데카트르-로크적 인식 의무 개념의 지지자들은 사악한-악마 세계에서 기만당하는 주체들이 향유하는 정당성에 대한 약한 어떤 것도 전혀 없다고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들의 지각적 믿음들은 그들의 증거에 의해 지지되고, 따라서 충분히 완전하게 정당화된다. 이러한 내재주의적, 전통적 관점으로부터, 사악한-악마 세계 내에서 지각적 과정들의 신빙성 없음은 지각적 믿음들의 정당성에 전혀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신빙론에 대한 내재주의적 반대자들은 그러므로 골드만의 조정 제안 - 사악한-악마 세계 내에서 지각적 믿음들이 약하게 정당화된다고 하는 - 을 만족스러운 것으로 간주하지 않을 것이다. 그들은 단지 이러한 믿음들이 신빙성 없이 산출되었다는 이유만으로 그 믿음들이 정당화하는 상태에 있어서 어떻든 결핍이 있다는 것을 부정할 터이다.


Virtue Reliabilism
탁월성 신빙론

1) In his 1991 article "Epistemic Folkways and Scientific Epistemology," Goldman offers yet another solution to the evil-demon problem. In that paper, he distinguishes between two missions of epistemology. The first mission - descriptive in character - is to describe our commonsense epistemic concepts and norms, which Goldman calls "epistemic folkways." The second mission - normative in character - is to critically evaluate our folkways and, if necessary, to propose improvements.
1) 그의 1991년 논설 「인식적 관습과 과학적 인식론」에서, 골드만은 사악한-악마 문제에 대해 또 다른 해결책을 제시한다. 그 논문에서, 그는 인식론의 두 가지 사명들을 구분한다. 첫 번째 사명은 - 성격상 기술적인 - 우리의 공통감각(상식)적 인식 개념들과 표준들, 골드만이 "인식적 관습"이라 부른 것들을 기술하는 것이다. 두 번째 사명은 - 성격상 규범적인 - 우리의 관습들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필요하다면 개선들을 제안하는 것이다.

2) Godman's new approach to the analysis of justified belief, though still reliabilist, proceeds in terms of intellectual virtues and vices. Thus Goldman is now merging two different theoretical strands: reliabilism and virtue epistemology. According to the virtue approach to the analysis of justified belief, a belief is justified if it results from an intellectual virtue, and unjustified if it results from an intellectual vice.<27> What, however, are intellectual virtues and vices? According to Goldman, intellectual virtues are cognitive processes we deem reliable, and intellectual vices are cognitive processes we deem unreliable. The criterion for discriminating between intellectual virtues and vices, then, is that of reliability.<28>
2) 정당화된 믿음을 분석하는 데에 있어서 골드만의 새로운 접근법은 비록 여전히 신빙론적이라 할지라도 지적 탁월함과 결점들로 수행된다. 따라서 골드만은 지금 상이한 두 가지 이론적 기준들을 병합하고 있다. 그것은 신빙론과 탁월성 인식론이다. 정당화된 믿음을 분석하는 데에 있어서 탁월성 접근법에 따르면 믿음은 지적 탁월성으로부터 귀결하면 정당화되고, 지적 결함으로부터 귀결하면 정당화되지 않는다.<27> 그렇지만 지적 탁월성들과 결함들이란 무엇인가? 골드만에 따르면, 지적 탁월성들은 우리가 신빙성 있다고 여기는 인지적 과정들이고, 지적 결함들은 우리가 신빙성이 없다고 여기는 인지적 과정들이다. 그래서 지적 탁월성들과 결함들을 식별하기 위한 기준은 신빙성의 기준이다.<28>

3) Epistemic evaluators, so Goldman argues, inherit from their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lists of cognitive virtues and vices. When they evaluate beliefs, they identify the psychological process by which a belief was produced and match it against the items on their list. At this point, three different evaluations are possible:

(i) If the identified process matches virtues only, the belief is justified.
(ii) If the identified process matches either completely or partly vices, the belief is unjustified.
(iii) If the identified process is not on the list at all, the belief is categorized as nonjustified. (A nonjustified belief is neither justified nor unjustified.)<29>

Recall the two cases of Edith and her runaway dog. Consider her justified but false belief that the dog she sees is hers. Neither wishful thinking nor any other nonvirtuous process is involved in the causal genesis of her belief. The relevant process matches virtues only; thus Edith's belief qualifies as justified. Next, consider Edith's unjustified but true belief that the dog she sees is hers. In this case, it is not only perception but also wishful thinking that leads her to form belief. The relevant process, though it matches the virtue of perception, also matches the vice of wishful thinking. Thus her belief counts as unjustified. Finally, consider beliefs that have their genesis in telepathy. Since telepathy is not on our list of virtues, such beliefs turn out to be nonjustified.
3) 인식적 평가자들은 골드만이 주장하기로는 그들의 사회적 문화적 배경으로부터 인지적 탁월성들과 결함들의 목록들을 인계받는다. 그들이 믿음들을 평가할 때, 그들은 그에 의해 한 믿음이 산출되는 그 심리적 과정을 규정하고 그 과정을 그들의 목록에 항목들에 맞세워 일치시킨다. 이 지점에서, 세 가지 상이한 평가들이 가능하다.

(i) 만일 규정된 과정이 오로지 탁월성들과 일치한다면, 그 믿음은 정당화된다.
(ii) 만일 규정된 과정이 완전히 혹은 부분적으로 결함들과 일치한다면, 그 믿음은 정당화되지 않는다.
(iii) 만일 규정된 과정이 그 목록에 전혀 없다면, 그 믿음은 무정당화된 것으로 분류된다. (무정당화된 믿음은 정당화되지도 정당화되지 않지도 않는다.)<29>

에디트와 그녀의 도망간 개의 두 사례들을 상기해 보자. 그녀가 보는 개가 그녀의 개라는, 그녀의 정당화되었지만 거짓인 믿음을 고찰해 보자. 희망사항도 어떤 다른 비탁월성 과정도 그녀의 믿음에 대한 인과적 기원에 포함되지 않는다. 상관된 과정은 오로지 탁월성들에만 일치한다. 따라서 에디트의 믿음은 정당화될 자격을 얻는다. 다음으로, 그녀가 보는 개가 그녀의 개라는 에디트의 정당화되지 않지만 참인 믿음을 고찰해 보자. 이 경우, 그녀가 믿음을 형성하도록 이끈 것은 지각뿐만이 아니라 희망사항이기도 하다. 상관된 과정은 비록 지각의 탁월성에 일치한다 할지라도 또한 희망사항이라는 결함에도 일치한다. 따라서 그녀의 믿음은 정당화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끝으로, 그 기원을 텔레파시에 두는 믿음들을 고려해 보자. 텔레파시는 우리의 탁월성들에 대한 목록에 없으므로, 그러한 믿음들은 무정당화되는 것으로 드러난다.

4) What makes Goldman's virtue approach superior to the version of reliabilism he originally advocated, process reliabilism? To begin with, one might hope that virtue reliabilism is less susceptible to the generality problem than process reliabilism. This problem presents reliabilists with the challenge of describing cognitive processes in a way that is neither too broad nor too narrow. Now if some reliable processes count as virtues and others don't, then it will perhaps be possible to pin down the degree of generality appropriate to processes that produce justified beliefs. The future will show whether such an account of intellectual virtues can be successfully developed. Secondly, Goldman's virtue reliabilism permits straightforward solutions to the other two of our three standard problems: the evil-demon world and reliable clairvoyance. In the next section, we shall briefly discuss these solutions.
4) 골드만의 탁월성 접근법을 그가 본래 지지하던 신빙론의 형태인 과정 신빙론보다 우월하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우선, 누군가는 탁월성 신빙론이 과정 신빙론보다 일반성 문제에 덜 민감하다고 희망할지도 모른다. 이 문제는 신빙론자들에게 인지 과정을 너무 광범위하지도 너무 협소하지도 않은 방식으로 기술한다는 시련으로 표현된다. 이제 만일 일부 신빙성 있는 과정들이 탁월성들로 간주되고 다른 것들은 그렇지 않다면, 정당화된 믿음들을 산출하는 과정들에 적합한 일반성의 정도를 규명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미래에는 그러한 지적 탁월성들에 대한 설명이 성공적으로 전개될 수 있는지 여부가 보일 것이다. 다음으로, 골드만의 탁월성 신빙론은 우리의 세 가지 표준 문제들 중 다른 두 가지 문제들에 대해 직접적인 해결책들을 허용한다. 사악한-악마 세계와 신빙성 있는 예언의 문제들 말이다. 다음 절에서, 우리는 간략하게 이러한 해결책들을 논의할 것이다.


The Clairvoyance Problem and The Evil-Demon Problem Revisited
천리안 문제와 사악한-악마 문제의 재고

1) Here is how Goldman's virtue approach to reliabilism affords him with a solution to the clairvoyance problem, the problem posed by a subject who possesses the faculty of perfectly reliable clairvoyance. Goldman distinguishes between two kinds of clairvoyance problems: cases in which the subject ignores contrary evidence, and cases in which the subject has no evidence for or against the beliefs his clairvoyance produces. The verdict for the first kind of case is obvious. Since ignoring contrary evidence is on our list of intellectual vices, we are to say that beliefs resulting from perfectly reliable clairvoyance, if undermined by contrary evidence, are unjustified.
1) 여기 신빙론에 대한 골드만의 탁월성 접근법이 그에게 완벽하게 신빙성 있는 천리안 능력을 지닌 주체에 의해 제기되는 천리안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방식이 있다. 골드만은 두 종류의 천리안 문제들을 구별한다. 그 사례들은 주체가 반대 증거를 무시하는 사례들과 주체가 그의 천리안이 산출하는 믿음들을 지지하거나 반대하는 증거를 전혀 가지고 있지 않은 사례들이다. 첫 번째 종류의 사례에 대한 평가는 명백하다. 반대 증거를 무시하는 것은 지적 결함들에 대한 우리의 목록에 있으므로, 우리는 완벽하게 신빙성 있는 천리안으로부터 귀결하는 믿음들이 만일 반대 증거에 의해 약화된다면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말할 것이다.

2) The verdict for the second kind of case depends on whether or not we view clairvoyance as a vice. If we do, then we will say that the belief in question is unjustified. If we don't, then we must acknowledge that no intellectual vices are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the beliefs in question. So in that case there is no basis for saying that the beliefs in question are unjustified. However, provided we don't view clairvoyance as an intellectual virtue, we could say that they are nonjustified.<30>
2) 두 번째 종류의 사례에 대한 평가는 우리가 천리안을 결함으로 간주하는지 아닌지 여부에 달려 있다. 만일 우리가 그렇게 한다면, 우리는 문제가 되는 믿음이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말할 것이다. 만일 우리가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반드시 어떠한 지적 결함들도 문제가 되는 그 믿음의 형성에 포함되지 않음을 인정해야만 한다. 그래서 그 경우 문제가 되는 믿음들이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말할 어떠한 배경도 없다. 그렇지만, 우리가 천리안을 지적 탁월성으로 간주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우리는 그 믿음들이 무정당화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30>

3) Next, let us turn to the question of how Goldman's virtue approach allows him to handle the evil-demon problem. Recall that in an evil-demon world, perception is not a reliable process. But since the deceived subjects have no reason to believe that they are deceived, we judge perceptual beliefs in an evil-demon world to be justified. The point of the evil-demon objection, therefore, is that beliefs can be justified even when they are unreliably produced. Goldman now agrees with this verdict. He writes:

The account predicts that an epistemic evaluator will match the victim's vision-based processes to one (or more) of the items on his list of intellectual virtues, and therefore judge the victim's beliefs to be justified.<31>

But how does this solution to the evil-demon problem square with the fact that we are to discriminate between intellectual virtues and vices using reliability as a criterion? After all, in an evil-demon world, perception is unreliable. Are we not to judge, therefore, that in an evil-demon world, the deceived subject's perceptual beliefs are the result of exercising an intellectual vice?
3) 다음으로, 어떻게 골드만의 탁월성 접근법이 그에게 사악한-악마 문제를 취급하도록 허용하는지에 대한 물음으로 돌아가 보도록 하자. 사악한-악마 세계에서 지각은 신빙성 있는 과정이 아님을 상기하도록 하자. 그러나 기만된 주체들은 그들이 기만당한다고 믿을 아무런 근거도 없으므로, 우리는 사악한-악마 세계 내에서의 지각적 믿음들이 정당화되는 것이라고 판단한다. 그러므로 사악한-악마 반박의 핵심은 믿음들이 설령 신빙성 없이 산출될 때에라도 정당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골드만은 지금 이러한 평가에 동의한다. 그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그 설명은 인식적 평가자가 그 희생자의 시각-기반 과정들을 그의 지적 탁월성들에 대한 목록의 항목들 중 하나 (혹은 그 이상) 에 일치시키는 것, 그러므로 그 희생자의 믿음들이 정당화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예측한다.<31>

그러나 어떻게 사악한-악마 문제에 대한 이러한 해결책이 우리가 기준으로서 신빙성을 사용하는 지적 탁월성들과 결함들을 구별하리라는 사실과 동등하게 되는가? 무엇보다도, 사악한-악마 세계에서, 지각은 신빙성이 없다. 그러므로 우리는 사악한-악마 세계에서, 기만된 주체의 지각적 믿음들이 지적 결함의 행사에 대한 결과라고 판단하지 않을 것인가?

4) Here we must take into account that Goldman assigns a new role to reliability. In virtue reliabilism, it is not de facto reliability that determines whether a cognitive process is virtuous or not, but rather deemed reliability. Consider Goldman's answer to the question of what the basis is for classifying some processes as virtues and others as vices:

Belief-forming processes based on vision, hearing, memory, and ("good") reasoning are deemed virtuous because they (are deemed to) produce a high ratio of true beliefs. Processes like guessing, wishful thinking, and ignoring contrary evidence are deemed vicious, because they (are deemed to) produce a low ratio of true beliefs.<32>

4) 여기에서 우리가 반드시 고려해야만 하는 것은 골드만이 신빙성에 새로운 역할을 부과한다는 것이다. 탁월성 신빙론에 있어서, 한 인지 과정이 탁월한지 아닌지 결정하는 것은 사실에 대한 신빙성이 아니라 오히려 신빙성으로 간주되는 것이다. 일부 과정들을 탁월성들로 그리고 다른 과정들을 결함들로 분류하기 위한 배경이 무엇인지에 대한 물음에 대한 골드만의 답변을 고찰해 보자.

시각, 청각, 기억, 그리고 ("훌륭한") 추론에 기초된 믿음-형성 과정들은 탁월하다고 여겨지는데 왜냐하면 그것들이 참인 믿음들에 대한 높은 비율을 산출하기 (그렇게 여겨지기) 때문이다. 추측, 희망사항, 반대 증거의 무시와 같은 과정들은 결함으로 여겨지는데, 왜냐하면 그것들이 낮은 비율로 참인 믿음들을 산출하기 (그렇게 여겨지기) 때문이다.<32>

5) Given that it is deemed reliability that matters, Goldman's new account yields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which evaluators we consider. Evaluators in the evil-demon world don't know that they are deceived; they deem perceptual processes reliable. Hence they will judge perceptual beliefs in their own world justified. However, how should we judge perceptual beliefs in the evil-demon world? Of course, we deem perceptual processes in our world reliable, and thus consider perception an epistemic virtue. Yet, knowing that in the evil-demon world perception is unreliable, wouldn't we have to consider perception in the evil-demon world and epistemic vice? It would appear, then, that Goldman's theory gives us two responses to the problem of an evil-demon world: one for evaluators in the evil-demon world, and another one for evaluators in our world.
5) 저 문제들이 신빙성으로 여겨진다는 점을 고려하면, 골드만의 새로운 설명은 우리가 고찰하는 평가자들에 의존하는 상이한 결과들을 내놓는다. 사악한-악마 세계 내의 평가자들은 그들이 기만당하고 있음을 모른다; 그들은 지각적 과정들을 신빙성있다고 여긴다. 따라서 그들은 그들 자신들의 세계 내에서 지각적 믿음들을 정당화된다고 판단할 것이다. 그렇지만, 어떻게 우리가 사악한 악마 세계 내의 지각적 믿음들을 판단할 것인가? 물론, 우리는 우리 세계에서의 지각적 과정들을 신빙성있다고 여기며, 따라서 지각을 인식적 탁월성으로 간주한다. 그렇지만, 사악한-악마 세계에서 지각이 신빙성 없음을 알면서, 우리는

6) One crucial element of Goldman's solution to the evil-demon problem, then, is the transition from de facto to deemed reliability as a necessary condition for justification. Let's sum up Goldman's new theory as follows:

Goldman's Virtue Reliabilism
B is justified if and only if B is produced by a cognitive process P such that P is an intellectual virtue and P does not involve any intellectual vice. A cognitive process P is an intellectual virtue if we deem P reliable, and an intellectual vice if we deem it unreliable.


7) One feature of this account is that S's justification for B is dependent on, not what S deems reliable, but what we deem reliable. Hence we get one result if we adopt the point of view of evil-demon victims - for then we deem perception reliable, thus view perception a virtue, and hence judge perceptual beliefs in that world justified - and another one if we adopt our ordinary actual-world perspective - for then we deem perception in the evil-demon world unreliable, thus view perception in the evil-demon world a vice, and hence judge perceptual beliefs in that world unjustified. It is not so clear, therefore, that Goldman's virtue reliabilism offers a satisfactory solution to the problem of an evil-demon world.

8) Another feature of Goldman's new account is that it places no constraints on the reasons for which cognitive processes are deemed reliable or unreliable. What if we were to fail victim to an outbreak of collective madness and deemed the most crazy processes reliable, and thus considered them intellectual virtues? Assuming such a scenario, Goldman's theory would give us manifestly wrong results.<33>

9) In response to these difficulties, we could decide to make S's justification for B dependent on what S herself deems reliable on the basis of adequate evidence. This proposal can be formulated thus:

Evidentailist Virtue Reliabilism
S is justified in believing that p if and noly if S's belief that p is produced by a cognitive process C such that (i) C instantiates an intellectual virtue and (ii) does not instantiate any intellectual vice. A cognitive process C is an intellectual virtue if S has adequate evidence for deeming C reliable, and an intellectual vice if S has adequate evidence for deeming C unreliable.

Evidentialist virtue reliabilism allows for easy solutions to the two standard challenges. In the evil-demon world, the subjects have adequate evidence for deeming perception reliable, for they have no reason to assume that they are being deceived by an evil demon. Consequently, perceptual beliefs in an evil-demon world are justified (provided condition (ii) is met as well). Beliefs resulting from clairvoyance are unjustified if undermined by contrary evidence, for such beliefs don't satisfy condition (ii). But beliefs resulting from clairvoyance where clairvoyance is known to be reliable meet condition (i), and thus qualify as justified (again, provided condition (ii) is met). In general, any belief known to have been produced by a given process - be it clairvoyance, telepathy, or extra sensory perception - counts as justified provided the subject has adequate evidence for taking that process to be reliable.

10) It could be objected, however, that evidentialist virtue reliabilism employs a strange understanding of epistemic virtues. Consider a cognitive faculty that produces wrong results more often than not. Do we really wish to say that such a faculty is an epistemic virtue just because there is evidence for taking the faculty to be reliable when in fact it is not? Consider a related question: Would we say that a person who tries very hard but mostly fails - a person who mostly does the wrong thing but for the right reasons - is a person who has achieved virtue?

11) Furthermore, evidentialist virtue reliabilism has a flaw, that is likely to be unacceptable to reliabilists: the term "evidence" occurs in its analysans. Evidentialist virtue reliabilism fails to satisfy the naturalistic caveat that an analysis of epistemic justification be carried out without the use of epistemic terms. However, as mentioned earlier, it is not so clear that this must really be considered a weakness. Notice that Goldman's virtue reliabilism shares the following feature with his earlier process reliabilism: in order to handle potential counterexamples involving defeating evidence, it must helf itself to evidentialist considerations. According to virtue reliabilism, for a belief to be justified, there must not be any intellectual vices involved in the process that produced it. And among intellectual vices, we find a process such as ignoring contrary evidence. Unless this vice can be described in nonepistemic terms, virtue reliabilism is bound to be an evidentialist theory in any case. We may wonder, why it should be illegitimate to turn the covert appeal to the subject's evidence into an overt one.


<3> The phrase "a belief's being produced by a given process" is meant to include both its being formed and then sustained by that process.

<9> See Maffie (1990), p. 284. According to Maffie, the choice of reliability as a criterion for justification marks the difference between naturalistic and nonnaturalistic theories.

<17> It also implies that all memorial and introspective beliefs are justified, for memory and introspection are, in general, reliable processes.

<19> One strategy for solving the generality problem is to restrict the domain within which cognitive processes are permitted. For example, we could stipulate that only neurophysiological processes count as genuine cognitive processes. The problem with this proposal is that there is little reason to assume that there can't be genuinely neurophysiological OTOPs. Since this objection can be raised against all similar proposals, it doesn't seem that that strategy is a successful one. See Goldman's reply to an objection of Chisholm's (based on the generality problem) in Goldman (1988), p. 55, and Chisholm's rebuttal in Chisholm (1989), p. 79.


-작성중-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