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Fourth Way of Defining Apriority
선험성을 정의하는 네 번째 방법

1) We have examined three ways defining a priori justification, and none of them has proven satisfactory. Let us return, therefore, to the Kantian definition and see whether we can develop it further. According to the Kantian approach to apriority, a priori justification is justification that does not depend on perceptual, introspective, or memorial experience. One objection to this definition is that instead of telling us what a priori justification is, it merely tells us what it is not: it is not justification that depends on certain experiences. However, if we classify experiences accordingly, perhaps we can modify the Kantian approach in such a way that we can get a definition telling us what a priori justification is.
1) 우리는 선험적 정당성을 정의하는 세 가지 방식들을 검토하였고, 그 방식들 중 어떤 것도 만족스러운 것으로 증명하지 못했다. 그러므로 우리는 칸트주의적 정의로 되돌아가서 우리가 그 정의를 더욱 발전시킬 수 있는지 보도록 하자. 선험성에 대한 칸트주의적 접근방식에 따르자면, 선험적 정당성은 지각적, 내성적, 또는 기억의 경험에 의존하지 않는 정당성이다. 이러한 정의에 대한 한 가지 반론은 그것이 우리에게 선험적 정당성이 무엇인지 말해주는 대신 단지 우리에게 그 정당성이 아닌 것이 무엇인지만을 이야기해준다는 것이다. 즉 특정한 경험들에 의존하는 정당성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렇지만, 만일 우리가 그에 맞춰 경험들을 분류한다면, 아마도 우리는 우리에게 선험적 정당성이 무엇인지 말해주는 정의를 얻을 수 있는 그러한 방식으로 칸트주의 접근방식을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2) Recall that, according to Alvin Plantinga, there are such experiences as intellectual attraction and repulsion. When you consider the proposition "2 + 2 = 4" you have strong, even irresistible, experience of intellectual attraction, and when you consider the proposition "2 + 2 = 5," you have an irresistible experience of intellectual repulsion. Let us use Plantinga's proposal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between two kinds of experiences: purely intellectual ones and those that are not purely intellectual. Let us say that when you consider a proposition p and have the experience of being convinced of p's truth, and that experience does not involve perception, introspection, or memory, then you have a purely intellectual experience that p is true.
2) 앨빈 플랜팅가에 따라 지적 흡인력과 지적 반발 같은 그러한 경험들이 있다는 것을 상기하도록 하자. 당신이 "2 + 2 = 4"라는 명제를 고찰할 때 당신은 강력하고, 심지어 저항불가능한 지적 흡인력의 경험을 갖고, 당신이 "2 + 2 = 5"라는 명제를 고려할 때 당신은 저항할 수 없는 지적 반발의 경험을 갖는다. 두 종류의 경험들을 구분하고자 하는 플랜팅가의 제안을 사용해 보도록 하자. 그 두 가지 경험들은 순수하게 지적인 것들과 순수하게 지적이지는 않은 그러한 것들이다. 당신이 한 명제 p를 고려하고 p의 참에 대해 확신이 드는 경험을 가질 때, 그리고 그 경험이 지각, 내성, 또는 기억을 포함하지 않을 때, 당신은 p가 참이라는 순수하게 지적인 경험을 갖는다고 말하도록 하자.

3) A purely intellectual experience that p can be mediate or immediate. In the case of simple truths of arithmetic, simple conceptual truths, and axioms of logic, such experiences are immediate: understanding them is sufficient for generating such an experience. In the case of more complicated propositions, an informal line of reasoning, or a technical proof, may be necessary for generating an intellectual experience that p is true.
3) p라는 순수하게 지적인 경험은 매개적이거나 즉각적일 수 있다. 산술의 단순 진리들의 경우, 단순한 개념적 진리들의 경우, 그리고 논리학의 공리들의 경우에서 그러한 경험들은 즉각적이다. 즉 그것들을 이해함은 그러한 경험을 산출하기에 충분하다. 더욱 복잡한 명제들의 경우, 비형식적 추론과정, 또는 기술적 증명은 아마도 p가 참이라는 지적 경험을 산출하기 위해 필요할 것이다.

4) If you have a purely intellectual experience that p is true, but you have also evidence for believing that p is false, then your experience is defeated and you are not justified in believing that p. Suppose you are taking a logic class and you construct a proof that you take to demonstrate that a first formula, F1, entails a second formula, F2. Each step in the derivation strikes you as valid, and thus you are convinced that

(1) F1 entails F2

is true. However, as soon as your professor sees the proof, she tells you that it is invalid. In this case, your conviction that (1) is true fails to justify you in believing (1) because it is defeated by your professor's verdict.
4) 만일 당신이 p가 참이라는 순수하게 지적인 경험을 가지지만, p가 거짓이라고 믿을 증거 또한 가진다면, 당신의 경험은 상쇄되고 당신은 p를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지 않는다. 당신이 논리학 강의를 수강 중이고 첫 번째 식 F1이 두 번째 식 F2를 논리적으로 함축함을 증명하기 위해 취한 증명을 구성한다고 가정하자. 그 유도에 있어서 각 단계는 당신이 타당하다고 느끼도록 하고, 그래서 당신은 다음과 같이 확신하게 된다.

(1) F1은 F2를 논리적으로 함축한다

라는 것은 참이라고 말이다. 그렇지만, 당신의 교수가 그 증명을 보자마자, 당신에게 그 증명이 유효하지 않다고 말해준다. 이 경우, 당신의 (1)이 참이라는 확신은 (1)을 믿음에 있어서 당신을 정당화시키는 데에 실패하는데 왜냐하면 그 확신이 당신의 교수가 내린 의견에 의해 상쇄되기 때문이다.

5) Perhaps, then, we may define a priori justification using the concept of an undefeated purely intellectual experience that p is true:

D8    S is justified a priori in believing that p if and only if S has an undefeated purely intellectual experience that p is true.

Before moving on, let us consider an objection to D8 that might be raised. Suppose, so an objector might argue, that S is a bit carzy and thus has an undefeated purely intellectual experience that p is true when p is an obvious falsehood such as

(2) 1 + 1 = 3.

D8 implies that S is justified in believing (2). However, since (2) is an obvious falsehood, it is false that S is justified in believing (2).
5) 그래서 아마도 우리는 선험적 정당성을 p가 참이라는 상쇄되지 않는 순수한 지적 경험의 개념을 사용하여 정의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D8    S는 p를 믿음에 있어서 선험적으로 정당화된다 iff S는 p가 참이라는 상쇄되지 않는 순수한 지적 경험을 가진다.

다음으로 넘어가기에 앞서, D8에 대해 야기될 수 있는 하나의 반박을 고찰해 보도록 하자. 반박자가 그렇게 주장할 것과 같이, S가 약간 정상이 아니고 그래서 p가 명백히 거짓일 때 p가 참이라는 상쇄되지 않는 순수한 지적 경험을 가진다고 가정해 보자.

(2) 1 + 1 = 3.

D8은 S가 (2)를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렇지만, (2)는 명백한 거짓이므로, S가 (2)를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는 것은 거짓이다.

6) In reply to this objection, two things could be pointed out. First, it is not so clear that what we are asked to suppose is really possible. Could S's purely intellectual experience that p is true really be undefeated? Second, even if we grant the possibility of this, it is not clear that we would have to agree with the objector. We could argue that while it is obvious to us that (2) is false, it is not obvious to S. After all, we are imagining S to be a bit crazy, and crazy people are often strongly convinced of rather strange things. Given that S does indeed have an undefeated purely intellectual experience that (2) is true, we can insist that S is justified in believing (2). But of course S doesn't know (2) because (2) is false. So while S has indeed a priori justification for (2), he doesn't have a priori knowledge of (2).
6) 이러한 반론에 응답함에 있어서, 두 가지 것들이 지적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로, 우리가 가정하도록 요청받은 것이 실제로 가능한지 그렇게 분명하지 않다. p가 참이라는 S의 순수한 지적 경험이 정말로 상쇄되지 않을 수 있는가? 둘째로, 설령 우리가 이러한 가능성을 받아들인다 할지라도, 우리가 그러한 반박자에게 동의해야 할는지는 분명치가 않다. 우리는 (2)가 거짓임은 우리에게 분명한 반면, S에 대해서는 분명치 않다고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우리는 S가 약간 제정신이 아니라고 상상하고 있고, 비정상적인 사람들은 종종 꽤나 이상한 것들을 강력하게 확신한다. S가 더 나아가 (2)가 참이라는 상쇄되지 않는 순수한 지적 경험을 가진다고 생각해 본다면, 우리는 S가 (2)를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고 주장할 수 있다. 그러나 물론 S는 (2)를 모르는데 왜냐하면 (2)가 거짓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S가 더욱이 (2)에 대한 선험적 정당성을 가지는 반면, 그는 (2)에 대한 선험적 앎을 가지지는 못한다.


The Analytic-Synthetic Distinction
분석적-종합적 구분

1)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there are two traditions that differ in their attitudes toward a priori justification: empiricism and rationalism. Though empiricists and rationalists often agree on what propositions are knowable a priori, they disagree on how to interpret these propositions. Sometimes, however, empiricists advance arguments to the effect that there is no such things as a priori knowledge. Later in the text, we shall examine how a priori knowledge can be defended against such arguments. In the meantime, we will examine a more moderate empiricist claim: the doctrine that all a priori knowledge is analytic. In order to discuss this term, we must first turn to the analytic-synthetic distinction.
1) 철학사에 있어서, 선험적 정당성에 대한 그들의 태도들에 있어서 상이한 두 가지 전통들이 있다. 경험주의와 이성주의이다. 비록 경험주의자들과 이성주의자들이 종종 어떤 명제들이 선험적으로 알 수 있는 것들인지에 대해 동의할지라도, 그들은 이러한 명제들을 어떻게 번역하는지에 대해 의견이 갈린다. 그렇지만 때때로 경험주의자들은 선험적 앎과 같은 그러한 것들은 전혀 없다는 취지의 논증들을 제기한다. 이 글의 뒷부분에서, 우리는 어떻게 선험적 앎이 그러한 논증들에 반대해 정의될 수 있는지 검토할 것이다. 그 사이에 우리는 좀 더 온건한 경험주의 주장을 검토할 것이다. 그것은 모든 선험적 앎이 분석적이라는 원칙이다. 이러한 용어를 논의하기 위해, 우리는 우선 분석-종합 구별로 돌아서야만 한다.

2) Empiricists - at least those who don't deny the possibility of apriority altogether - would by and large agree with rationalists on which propositions are a priori. For example, empiricists would classify

(1) Whatever is red is colored

as a priori. However, rationalists and empiricists would disagree on what (1) is about. Empiricists tend to view (1) as trivial, as a mere tautology that is not really about the physical world but rather about our use of language. Rationalists, on the other hand, would insist that (1) does state a fact about the world of physical objects: any object that is an instance of "redness" is as well an instance of "coloredness." They would claim that, by virtue of what is sometimes called the "light of reason," we can apprehend that there are certain necessary facts about physical world, facts that are accessible a priori. Empiricists deny this. They maintain that a priori propositions express either linguistic or logical truths, and thus are empty of factual content. We can distinguish, then, between a rationalist and an empiricist account of apriority. According to the rationalist account, a priori propositions describe necessary properties and relations of the physical world: red objects must be colored, square objects must be rectangular, odd-numbered sets of objects cannot be divided by two, and so on. And these properties and relations, rationalists would say, are recognizable through reason. Hence rationalists would say that through thought alone, we can recognize, not only what the world is like, but indeed what it must be like. According to the empiricist account, however, thought alone can't reveal anything about the physical world. Without the aid of experience, we can only know conceptual and logical truths.
2) 경험주의자들 - 최소한 선험성의 가능성을 완전히 부정하지는 않는 그러한 사람들 - 그들은 대체로 이성주의자들과 어떤 명제들이 선험적인지에 대해 동의할 것이다. 예를 들어, 경험주의자들은 다음과 같은 명제를 선험적인 것으로 분류할 것이다.

(1) 붉은 것은 무엇이든 색이 있다.

그렇지만, 합리주의자들과 경험주의자들은 (1)이 무엇에 대한 것인지에 대해서 의견을 달리할 것이다. 경험주의자들은 (1)을 사소한 것으로, 실제로 물리적 세계에 대한 것은 아니고 오히려 우리의 언어 사용에 대한 것인 단순한 동어반복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 다른 한편 이성주의자들은 (1)이 물리적 대상들의 세계에 대한 사실을 진술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즉 "붉음"의 사례가 되는 어떤 대상이든 마찬가지로 "색 있음"의 사례라는 것을 진술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들은 때로 "이성의 빛"이라 불리는 것의 덕붙으로 우리가 물리적 세계에 대한 특정한 필연적 사실들, 가용한 선험적 사실들이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경험주의자들은 이 점을 부정한다. 그들은 선험적 명제들이 언어적 진리들 또는 논리적 진리들을 표현하며, 그래서 사실적 내용들에 대해서는 공허한 것이라 주장한다. 그래서 우리는 선험성에 대한 이성주의 설명과 경험주의 설명을 구분할 수 있다. 이성주의 설명에 따르자면 선험적 명제들은 물리적 세계의 필연적 속성들과 관계들을 기술한다. 붉은 대상은 틀림없이 색이 있으며, 정사각형 대상들은 반드시 직사각형이어야만 하고, 대상들의 일련의 홀수인 대상들은 2로 나뉘어 떨어질 수 없다는 따위의 것들 말이다. 그리고 이러한 속성들과 관계들을 이성주의자들은 이성을 통해 인지가능하다 말할 것이다. 따라서 이성주의자들은 사유만을 통해서 세계가 어떠한지 뿐만 아니라 세계가 어떠해야만 하는지까지도 인지할 수 있다고 말할 것이다. 그렇지만 경험주의 설명에 따르자면 사유만으로는 물리적 세계에 대한 어떤 것도 밝혀낼 수 없다. 경험의 보조 없이, 우리는 오로지 개념적이고 논리적인 진리들만을 알 수 있을 따름이다.

3) In order to express their disagreement with rationalists, empiricists distinguish between analytic and synthetic propositions. Analytic propositions are not about the physical world but merely state truths of language and logic, and thus are trivial. Synthetic propositions, on the other hand, are about the physical world, and thus enjoy empirical significance. Analytic and synthetic propositions are mutually exclusive, and there is no middle ground between them. If a proposition is not analytic, then it is synthetic(and vice versa), and there are no propositions that are neither analytic nor synthetic. According to empiricists, analytic propositions are knowable a priori, synthetic propositions are not.
3) 그들의 이성주의자들과의 의견불일치를 표현하기 위해, 경험주의자들은 분석적 명제들과 종합적 명제들을 구분한다. 분석적 명제들은 물리적 세계에 대한 것이 아니라 단순히 언어와 논리에 속하는 진리들을 진술할 따름이며, 그래서 사소한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종합 명제들은 물리적 세계에 대한 명제들이며, 그래서 경험적 중요성을 향유한다. 분석적 명제들과 종합적 명제들은 상호 배타적이며, 그 명제들 사이에 절충점은 전혀 없다. 만일 한 명제가 분석적이지 않다면, 그 명제는 종합적이고(그 역도 성립하며), 분석적이지도 종합적이지도 않은 그러한 명제들은 아무것도 없다. 경험주의자들에 따르면 분석적 명제들은 선험적으로 알 수 있고, 종합적 명제들은 그렇지 않다.

4) Empiricists employ the analytic-synthetic distinction with two objectives in mind. The first objective is to deflate apriority by establishing that all a priori propositions are analytic: not really about the physical world, but only about language and logic. The second is to replace what empiricists perceive as a mysterious account of apriority with one that is not. How, empiricists would ask, could it be possible to learn facts about physical objects without deriving information from experience? They criticize rationalists for assuming an ability somehow to "intuit," or to "see" in a nonperceptual way, truths about the physical world. Since we don't have any such mysterious ability, they would argue, it's impossible to know anything a priori about matters pertaining to the physical world. However, there is nothing mysterious about our ability to comprehend truths of logic and truths about the way we use words. So, from the empiricist point of view, what makes apriority digestible is the thesis that it is nothing but analyticity.
4) 경험주의자들은 분석-종합 구분을 심중의 두 가지 목적들을 가지고서 사용한다. 첫 번째 목표는 모든 선험적 명제들이 분석적임을, 실제로 물리적 세계에 대한 것이 아니라, 오직 언어와 논리에 대한 것일 따름임을 확립시킴으로써 선험성을 좌절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두 번째 목표는 경험주의자들이 난해한 것으로 여기는 선험성에 대한 설명을 난해하지 않은 설명으로 대체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경험주의자들은 어떻게 경험으로부터 정보를 도출해냄 없이 물리적 대상들에 대한 사실들을 습득하는 것이 가능할지 물을 것이다. 그들은 어떤 식으로든 물리적 세계에 대한 진리들을 "직관"하는, 혹은 비지각적 방식으로 "보는" 능력을 전제한다고 이성주의자들을 비판한다. 그들은 우리가 그런 어떠한 신비로운 능력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물리적 세계에 관련된 문제들에 대한 어떠한 선험적인 것도 아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렇지만, 논리학의 진리들과 우리가 말을 사용하는 방식에 대한 진리들을 파악하는 우리의 능력은 전혀 난해한 것이 없다. 경험주의자들의 관점으로 보면 그래서 선험성을 이해하기 쉽게 만드는 것은 선험성이 다른 아무것도 아니라 분석성이라는 명제이다.

5) Next, we shall examine some of the ways in which analyticity has been defined and investigate whether these definitions imply that all a priori propositions are analytic.
5) 다음으로 우리는 분석성이 정의된 방식들 중 일부와 이러한 정의들이 모든 선험 명제들이 분석적인지에 대한 탐구를 검토할 것이다.


Kant's Definition of Analyticity
칸트의 분석성에 대한 정의

1) let us begin with Immanuel Kant's definition of analyticity, which can be found in the introduction to the Critique of Pure Reason.

A1    p is analytic if and only if p is a proposition whose predicate is conceptually contained in its subject.

Many propositions adhere to what may be called the "subject-predicate form." For example, the proposition

(1) All bachelors are unmarried

attributes the predicate "unmarried" to the proposition's subject: bachelors. Now, the concept of a bachelor can be defined as "unmarried adult male." Thus the predicate (1) ascribes to its subject - unmarried - is conceptually contained in its subject - bachelor. So A1 implies, as it should, that (1) is analytic. Furthermore, A1 implies that the proposition "All cyclists are lean" is synthetic, since the predicate "lean" is not contained in the concept of a cyclist.
1) 『순수이성비판』 서론에서 발견될 수 있는 칸트의 분석성에 대한 분석을 가지고 시작하도록 하자.

A1    p는 분석명제이다 iff p는 그 명제의 술어가 개념적으로 그 명제의 주어에 포함되는 명제이다.

다수의 명제들이 "주-술 형식"이라 불릴 그러한 것에 결부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명제

(1) 모든 총각들은 미혼이다

이러한 명제는 그 술어 "미혼"이 그 명제의 주어에 귀결된다. 즉 총각에 귀결된다. 이제, 총각이라는 개념은 "미혼 성인 남성"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래서 (1)이 그 명제의 주어에 속하도록 하는 술어 - 미혼 - 는 개념적으로 그 명제의 주어 - 총각 - 에 포함된다. 그래서 A1은 기대되는 바대로 (1)이 분석적임을 시사한다. 더 나아가서, A1은 "모든 자전거 타는 사람들이 호리호리하다"라는 명제가 종합적인데, "호리호리함"이 자전거 타는 사람이란 개념 안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그러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2) A1 succumbs to the problem that not all a priori propositions are of the subject-predicate form. For example, empiricists would classify

(2) Either it's raining or it's not raining

as a priori. And since they hold that all a priori propositions are analytic, they would have to say that (2) is analytic. However, since (2) does not adhere to the subject-predicate form, it has no predicate that is contained in its subject, and thus A1 implies that (2) is synthetic. So, A1 doesn't yield the result that all a priori propositions are analytic, and hence is not a satisfactory definition of analyticity from the empiricist point of view.<16>
2) A1은 모든 선험적 명제들이 주-술 형식에 속하지는 않는다는 문제에 무너진다. 예를 들어 경험주의자들은 다음과 같은 명제를 선험적인 것으로 분류할 것이다.

(2) 비가 오거나 비가 오지 않는다

그리고 그들이 모든 선험 명제들이 분석적이라 주장하므로, 그들은 (2)가 분석적이라 말해야 할 것이다. 그렇지만, (2)는 주-술 형식에 결부되지 않으므로, 그것은 주어에 포함되는 어떠한 술어도 가지지 않으며, 그래서 A1은 (2)가 종합적임을 시사한다. 그래서, A1은 모든 선험 명제들이 분석적이라 결론 내리지 않고, 따라서 경험주의자들의 관점에서 보자면 분석성에 대한 만족스러운 정의는 아니다.<16>

3) A second problem with A1 is that it doesn't even work for all of those propositions that do adhere to the subject-predicate form. Consider

(3) Whatever is red is colored

which is a standard example of an a priori proposition. (3) is of the subject-predicate form. It ascribes the predicate "colored" to its subject, redness. However, is its predicate really conceptually contained in its subject?
3) A1이 지닌 두 번째 문제점은 그것이 주-술 형식에 결부되는 그러한 모든 명제들에 적용되지도 않는다는 것이다. 다음을 고찰해 보자.

(3) 붉은 것은 무엇이든 색이 있다

이 명제는 선험 명제의 표준 사례이다. (3)은 주-술 형식에 속한다. 그 명제는 술어 "유색(有色)"을 그 명제의 주어 "붉음"에 귀속시킨다. 그렇지만, 그 명제의 술어가 정말로 개념적으로 그 명제의 주어 안에 포함되는가?

4) A first concept is contained in a second if and only if the first concept is part of an analysis of the second. An analysis of a concept breaks that concept down into its constituent elements. For example,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concept of a bachelor are: unmarried, male, adult. Each of these predicates is contained in the concept of a bachelor.<17>
4) 첫 번째 개념은 두 번째 개념에 포함된다 iff 첫 번째 개념은 두 번째 개념의 분석에 대해 부분이다. 한 개념에 대한 분석은 그 개념을 그 개념의 구성 요소들로 분해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총각이란 개념의 구성 요소들은 미혼, 남성, 성인이다. 이러한 술어들의 각각은 총각이라는 개념 안에 포함된다.<17>

5) Is the concept of being colored contained in the concept of redness? To ask this question is to ask whether there is an analysis of the concept of redness that includes the concept of coloredness as a constituent part. Rationalists would say that since the concept of redness is simple, no such analysis exists.<18> Put differently, there is no way of verbally teaching anyone what the word "red" means. Rather, in order to know what it is for an object to be red, one must actually perceive a red object.<19> Other examples of qualities that can be perceived, but not analyzed, are sweetness, saltiness, tartness, sourness, roughness. Each of these is a simple, unanalyzable concept.
5) 유색의 개념은 붉은이라는 개념 안에 포함되는가? 이러한 물음을 던지는 것은 구성 부분으로서 유색이란 개념을 포함하는 붉음이란 개념의 분석이 있는지 묻는 것이다. 이성주의자들은 붉은이란 개념이 단순하므로 그러한 분석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할 것이다.<18> 달리 말하자면, 누군가에게 "붉"이란 말이 뜻하는 바를 말로 가르칠 아무런 방법도 없다. 오히려, 한 대상이 붉다는 것이 뭔지 알기 위해, 반드시 실제로 붉은 대상을 지각해야만 한다.<19> 지각될 수 있지만 분석될 수 없는 성질들의 다른 사례들은 달콤함, 짬, 시큼함, 심, 거칠음이다. 이러한 것들 각각은 단순하고, 분석불가한 개념이다.

6) It follows that there are many propositions of the subject-predicate form that are a priori but not, according to A1, analytic; for example: Whatever is sweet has a taste; whatever is rough has a surface; whatever is soft is extended. This outcome is unacceptable to empiricists. A1, then, fails to achieve the deflationary result empiricists wish to establish: that all a priori knowledge is analytic.
6) A1에 따르자면 선험적이지만 분석적이지 않은 주-술 형식에 속하는 다수 명제들이 있다는 것이 뒤따른다. 예를 들어 달콤한 것은 무엇이든 맛을 가진다(有味), 거친 것은 무엇이든 표면을 가진다, 부드러운 것은 무엇이든 연장된다. 이러한 결과는 경험주의자들에게 수용불가능한 것이다. 그래서 A1은 경험주의자들이 확립시키기를 바라는 모든 선험적 앎은 분석적이라고 수축시키는 결과를 성취하는 데에 실패한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