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hrer on Acceptance
레러 수용에 대하여
1) To develop an appreciation of Lehrer's theory, we must begin with his notion of acceptance. Unlike other epistemologists, Lehrer does not take as the object of his analysis the notion "S is justified in believing that p," but rather the notion "S is justified in accepting that p." Accroding to Lehrer, not all beliefs are acceptances, but all acceptances are beliefs. Lehrer, then, views acceptances as a subclass of beliefs.<21>
1) 레러의 이론에 대한 평가를 개진하기 위하여, 우리는 반드시 그의 수용에 대한 관념으로 시작하여야만 한다. 다른 인식론자들과는 달리 레러는 "S가 p를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라는 관념을 그의 분석 목표로 취하지 않고, 오히려 "S가 p를 수용함에 있어서 정당화된다"라는 관점을 목표로 취한다. 레러에 따르면, 모든 믿음들이 수용들은 아니지만, 모든 수용들은 믿음들이다. 그래서 레러는 수용들을 믿음들의 하위부류로 간주한다.<21>

2) What distinguishes acceptance from belief is this: Whereas acceptance is always formed in the "interest of obtaining a truth and avoiding an error in what one accepts," belief is not always formed in the interest of obtaining a truth and avoiding error.<22> The objective in believing a proposition might not be the attainment of truth, but rather usefulness, happiness, or the fulfillment of a moral duty. Whenever that is the case, a belief falls short of being an acceptance.
2) 수용을 믿음으로부터 구분하는 것은 이것이다. 즉 수용은 언제나 "한 개인이 수용하는 것에 있어서 참을 획득하고 오류를 피함에 대한 관심"에서 형성되는 반면, 믿음은 언제나 참을 획득하고 오류를 피함에 대한 관심에서 형성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22> 한 명제를 믿음에 있어서 목표는 참의 확보가 아니라, 오히려 유용성, 행복 또는 도덕적 의무의 완수일 수 있다. 그러한 어떤 경우에든, 한 믿음은 수용이기에 부족함이 있다.

3) Furthermore, Lehrer conceives of acceptances as functional states. He writes:

Acceptance is the sort of mental state that has a specific sort of role, a functional role, in thought, inference, and action. When a person accepts that p, he or she will draw certain inferences and perform certain actions assuming the truth of p. Thus, if a person accepts that p, then the person will be ready to affirm that p or to concede that p in the appropriate circumstances.<23>

In order to appreciate what Lehrer wants to convey in this passage, let us conceive of pain as a functional state. A functional state is defined in terms of its causal relation to input and output. For example, the input that causes you to be in pain might be a hammer blow to your thumb (you missed the nail you were aiming at), and the output of your being in pain might be cursing and kicking a chair. Someone who is a functionalist about pain would say that any state resulting from input such as physical damage or trauma and output consisting in what we consider pain behavior (screaming, cursing, wincing, etc.) is a state of being in pain.
3) 더 나아가서, 레러는 수용들에 대해 기능적 상태들로 간주한다. 그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수용은 사유, 추론, 행위에 있어서 구체적인 종류의 역할, 기능적 역할을 갖는 정신적 상태의 일종이다. 한 사람이 p라는 명제를 수용할 때, 그 또는 그녀는 p의 참을 가정하면서 특정한 추론을 이끌어낼 것이고 특정 행위들을 수행할 것이다. 따라서, 만일 한 사람이 p라는 명제를 수용한다면, 그 사람은 적합한 상황들 속에서 p라는 명제를 긍정하거나 p라는 명제를 인정할 준비가 되어 있을 것이다.<23>

레러가 이 구절에서 전하고자 하는 바를 평가하기 위해서, 우리는 고통에 대해서 기능적 상태라고 간주해 보도록 하자. 하나의 기능적 상태는 그 상태의 입력과 출력에 대한 인과관계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당신을 고통 속에 있도록 야기하는 입력은 아마도 당신의 엄지 손가락에 대한 망치로 가격함일 것이고 (당신은 당신이 목표로 삼고 있던 못을 놓쳤다), 당신의 고통 속에 있음에 대한 출력은 아마도 욕지기를 뱉고 있거나 의자를 걷어 차고 있다는 것일 터이다. 고통에 대한 기능주의자인 누군가는 그러한 물리적 외상이나 정신적 충격과 같은 입력으로부터, 그리고 우리가 고통에 따른 행동으로 간주하는 일로 이루어지는 출력 (소리지름, 욕지기를 뱉음, 움찔함 등) 으로부터 귀결하는 어떠한 상태이든 고통 속에 있음에 속하는 상태라고 말할 것이다.

4) Likewise, someone who is a functionalist about acceptances would say that any mental state resulting from a certain type of input and resulting in output manifesting itself in inferences and actions is a state of accepting something. Suppose you hear the doorbell ring. This auditory experience is the input into the resulting state of accepting that the doorbell is ringing. You then infer that someone is outside, and you go and open the door. This inference and this action are the output of your accepting that the doorbell is ringing.
4) 같은 식으로, 수용들에 대한 기능주의자인 누군가는 특정 유형의 입력으로부터 귀결하고 추론들과 행위들에 있어서 스스로 드러나는 출력을 야기하는 어떠한 정신적 상태이든 어떤 것을 수용하는 하나의 상태라고 말할 것이다. 당신이 초인종 소리를 듣는다고 가정해 보자. 이 청각적 경험은 초인종이 울리고 있다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귀결되는 상태에 대한 입력이다. 다음으로 당신은 밖에 누군가 있다고 추론하고, 가서 문을 연다. 이러한 추론과 이러한 행위는 초인종이 울리고 있다는 것에 대한 당신의 수용에 속하는 출력들이다.

5) Lehrer's functionalist analysis of acceptance faces the following problem: What is essential to the functionalist approach is that the content of an acceptance is solely a result of its relations to those things that function as its input and output. The problem is whether input and output relations completely determine the content of an acceptance.<24> Suppose you are buying apples at your local grocery store, and you are now putting them in a produce bag. The input here comes in the form of tactile and visual stimulations and background beliefs about apples, whereas the output consists in a certain type of behavior: walking over to the apples, ripping off a produce bag, filling it with apples, and putting the bag in your cart. The functional role of being (i) triggered by your present sensory experience and background beliefs and (ii) inducing the behavior just described. However, is this functional role sufficient for determining the specific content of what you accept?
5) 수용에 대한 레러의 기능주의적 분석은 다음과 같은 문제에 직면한다. 즉 기능주의적 접근에 본질적인 것은 수용의 내용이 오로지 그 수용의 입출력으로서의 기능과 같은 그러한 것들에 대한 관계들의 결과일 따름이라는 것이다. 문제는 입출력 관계들이 완전하게 수용의 내용을 결정하는지 여부이다.<24> 당신이 당신의 동네 식료품점에서 사과들을 사고 있고, 당신은 지금 그 사과들을 장바구니에 담고 있다고 가정해 보자. 여기에서 입력은 촉각과 시각 자극들과 사과들에 대한 배경 믿음들의 형태로 나타나는 반면, 출력은 특정 유형의 행동으로 이루어진다. 즉 사과들을 향해 걸어감, 장바구니를 뽑아 듦, 그 장바구니를 사과들로 채움, 장바구니를 당신 카트에 놓음 같은 행위들이다. (i)촉발됨의 기능적 역할은 당신의 현재 감각적 경험과 배경 믿음들이고 (ii)행위 유발의 기능적 역할은 단지 기술적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기능적 역할은 당신이 수용하는 것에 속하는 상세한 내용을 결정하기에 충분한가?

6) It would seem it is not. Rather, it would appear that the same functional role allows for a wide range of different acceptances: "These are green apples," "These are beautiful green apples," "These are beautiful, large apples," or perhaps "These are Granny Smith apples." Thus the problem Lehrer's functionalism raises is this: By making the content of an acceptance solely a function of its relations to other mental and nonmental things, his account of acceptance ignores the inner, qualitative or nonrelational character that determines its specific content.
6) 충분치는 않아 보일 것이다. 오히려, 동일한 기능적 역할이 상이한 수용들의 광범위한 영역을 허용하는 것으로 보일 터이다: "이것들은 청사과들이다," "이것들은 아름다운 청사과들이다," "이것들은 아름답고 커다란 청사과들이다" 혹은 어쩌면 "이것들은 그래니스미스 사과들이다." 따라서 레러의 기능주의가 야기하는 문제는 이것이다. 즉 수용의 내용을 오로지 그 수용의 다른 정신적 비정신적인 것들에 대한 관계들로 만듦으로써, 수용에 대한 그의 설명은 수용의 특정 내용을 결정하는 내적, 질적, 혹은 비관계적 성격을 도외시한다.

7) This objections calls into doubt what Lehrer said about the relation between acceptance and belief. According to Lehrer, acceptances are a subclass of beliefs. But if it is true that input and output relations underdetermine the content of an acceptance, then it follows that some acceptances are not beliefs. Consider the following two situations. In the first, you believe

(1) These are beautiful green apples.

but you do not believe

(2) These are beautiful large apples.

In the second situation, you believe (2) but not (1). Is it plausible to assume that in both situations the input and output conditions are identical? That is, can we imagine two situations that differ as indicated, but otherwise are such that the perceptual experiences you undergo, the inferences you draw, your background assumptions about apples, and your behavior are the same in both situations? There is at least no obvious reason for denying that there could be such a pair of situations.<25> The first of these situations would be such taht you accept but do not believe (2), and the second such that you accept but do not believe (1). In either situation, there would be an acceptance that is not a belief. Thus if we believe that such a pair of situations is possible, we must conclude that acceptances are not, as Lehrer has suggested, a subclass of beliefs. Later on we shall see that there is a further reason for concluding that not all acceptances are beliefs.
7) 이러한 반박드은 레러가 수용과 믿음의 관계에 대해 말했던 것을 의심케 한다. 레러에 따르면, 수용들은 믿음들의 하위분류이다. 그러나 만일 입출력 관계들이 수용의 내용을 충분히 결정하지 못한다는 것이 사실이라면, 일부 수용들은 믿음들이 아니라는 점이 귀결된다. 다음 두 가지 상황들을 고찰해 보자. 당신은 다음과 같이 믿는다.

(1) 이것들은 아름다운 청사과들이다.

그러나 당신은 다음은 믿지 않는다.

(2) 이것들은 아름다운 커다란 사과들이다.

두 번째 상황에서, 당신은 (2)는 믿지만 (1)을 믿지 않는다. 두 상황 모두에 있어서 입출력조건들이 동일하다고 가정하는 것은 그럴 성 싶은가? 즉, 우리는 제시됨으로서는 상이하지만, 당신이 겪는 지각적 경험들, 당신이 이끌어내는 추론들, 사과들에 대한 당신의 배경 전제들, 그리고 당신의 행위와 같은 다른 방식으로는 두 상황 모두에 있어서 동일한 두 상황을 상상할 수 있는가? 최소한 그와 같은 한 쌍의 상황들이 있을 수 있으리란 것을 부정할 어떠한 명백한 근거도 없다.<25> 이러한 상황들 중 첫째 것은 당신이 (2)를 수용은 하지만 믿지는 않는 그러한 것일 터이고, 두 번째 것은 당신이 (1)을 수용하지만 믿지는 않는 그러한 상황일 것이다. 어느 상황에서든, 믿음이 아닌 수용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만일 우리가 그러한 한 쌍의 상황들이 가능하다고 믿는다면, 우리는 반드시 수용이 레러가 제안하였던 것과 같이 믿음들의 하위부류인 것은 아니라고 결론내려야만 한다. 나중에 우리는 모든 수용들이 믿음들은 아니라고 결론내릴 추가적인 근거가 있음을 보게 될 것이다.


Coherence as The Beating of Competitors
경쟁자들에 대한 격파로서의 정합성

1) Having examined what Lehrer means by acceptance, we must next focus on how he construes the inner mechanics of coherence. According to Lehrer, a belief of mine is justified if and only if it coheres with what he would call my "acceptance system": the set of all the propositions I accept. In general terms, the acceptance system of a person S at a time t is the set of all true propositions of the form "S accepts that p at t."<26> Lehrer conceives of coherence, then, as a relation between a particular proposition and the relevant acceptance system.
1) 레러가 수용으로 의미한 바를 검토하고서, 우리는 반드시 다음으로 그가 정합성의 내적 작동방식들을 어떻게 이해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어야만 한다. 레러에 따르면, 나의 믿음들 중 하나의 믿음은 정당화된다 iff 그 믿음이 그가 나의 "수용 체계"라고 부를 것과 정합적이다. 즉 내가 수용하는 모든 명제들의 집합과 정합적이다. 일반적인 말로, 시점 t에 한 사람 S의 수용 체계는 "S는 t 시점에 p를 수용한다"라는 형식의 모든 참인 명제들의 집합이다.<26> 레러는 그래서 정합론에 대해 특정 명제와 관련된 수용 체계 사이의 관계로 이해한다.

2) Lehrer's analysis of this relation involves two key ingredients in the form of necessary conditions. According to the first, my acceptance of p coheres with my acceptance system only if p wins out over all the propositions that compete with it. According to the second, for my acceptance of p coheres with my acceptance system, I must accept that my acceptance of p is based on a trustworthy source. We shall consider the first condition in this section, and the second in the next.
2) 레러의 이러한 관계에 대한 분석은 두 가지 핵심 구성요소들을 필요조건들의 형태로 포함한다. 첫 번째 조건에 따르면, 나의 p에 대한 수용은 나의 수용 체계에 오로지 p가 p와 경쟁하는 모든 명제들을 제압해 버릴 경우에만 정합적이다. 두 번째 조건에 따르면, 나의 p에 대한 수용은 나의 수용 체계와 정합적이기 때문에, 나는 반드시 나의 p에 대한 수용이 믿을 만한 원천에 기초된다는 것을 수용해야만 한다. 우리는 첫 번째 조건을 이 절에서 고찰할 것이고, 두 번째는 다음 절에서 고찰할 것이다.

3) According to Lehrer, when a proposition wins the competition with its competitors, it beats its competitors. In which sense, however, can one proposition be said to "compete" with another one? When you deliberate on which proposition to accept, propositions present themselves to you as competing contenders for the status of being accepted. The question you must ask yourself is which of them are worthy of your acceptance and which are not. For example, suppose you have a cat, and having noticed her right in front of you, you ask yourself whether you should accept

(1) I see a cat before me

or instead

(2) I hallucinate that there is a cat before me.

(2) is a competitor for (1), and vice versa. (For if you do see a cat before you, you do not hallucinate that there is one before you; and if you hallucinate a cat before you, then you do not see one before you.) The question before you is whether it is more reasonable to accept (1) or to accept (2). The answer of this question, Lehrer would say, depends on your acceptance system. Suppose you also accept

(3) I have not ingested any hallucinogenic substances;
(4) There is no indication of hallucination in my present experience.<27>

Given that you accept (3) and (4), it is more reasonable of you to accept (1) than to accept (2). If, however, your acceptance system were to include

(5) I took LSD as hour ago;
(6) LSD induces in me a propensity to hallucinate the presence of cats;
(7) I am in my own living room, and I don't have any cats;

then it would be more reasonable of you to accept (2) than to accept (1). According to Lehrer, which of two competing propositions coheres with your acceptance system is determined by which of the two propositions it is more reasonable for you to accept vis-a-vis your acceptance system. Hence he would say that (1) coheres with your acceptance system if it includes (3) and (4), and (2) coheres with your acceptance system if it includes (5), (6), and (7). Let us call the acceptance system including (3) and (4) System A, and the one including (5) through (7) System B. Lehrer would say that vis-a-vis System A, (1) beats (2), whereas vis-a-vis System B, (2) beats (1).
3) 레러에 따르면, 한 명제가 그 경쟁 명제들과의 경쟁에서 승리할 때, 그 명제는 그 경쟁 명제들을 격파한다. 그렇지만 어떤 의미에서 한 명제가 또 다른 명제와 "경쟁한다"고 이야기될 수 있는가? 당신이 어떤 명제에 대해 수용을 숙고할 때, 명제들은 그것들 자체를 당신에게 수용될 상태를 위해 경쟁하는 도전자들로 표현한다. 당신이 당신 자신에게 물어야만 하는 물음은 그것들 중 어떤 명제들이 당신의 수용에 합당하고 어떤 것들이 그렇지 않은지 하는 물음이다. 예를 들어, 당신이 고양이 한 마리를 가지고 있고, 당신 바로 앞의 그 고양이를 주의하고서, 당신이 당신 자신에게 다음과 같은 것을 수용해야 할지 묻는다고 가정해 보자.

(1) 나는 내 앞의 고양이 한 마리를 보고 있다

혹은 대신에

(2) 나는 내 앞에 고양이 한 마리가 있다는 환각을 겪고 있다.

(2)는 (1)에 대해 경쟁 명제이고, 그 역도 성립한다. (왜냐하면 만일 당신이 당신 앞의 고양이 한 마리를 보고 있다면, 당신은 당신 앞에 고양이 한 마리가 있다는 환각을 겪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만일 당신이 당신 앞의 고양이 한 마리라는 환각을 겪고 있다면, 당신은 당신 앞의 고양이 한 마리를 보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당신 앞의 질문은 (1)을 수용하는 것이나 (2)를 수용하는 것 중 어느 쪽이 더 합리적인가 하는 것이다. 레러는 다음과 같이 말할 터인데, 이 물음에 대한 대답은 당신의 수용 체계에 달려 있다. 당신이 또한 다음의 명제들을 수용한다고 가정해 보자.

(3) 나는 어떠한 환각 물질들도 섭취하지 않았다;
(4) 내 현재 경험에 어떠한 환각의 징후도 없다.<27>

당신이 (3)과 (4)를 수용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2)를 수용하는 것보다 (1)을 수용하는 것이 당신에게 더욱 합리적이다. 만일 그렇지만 당신의 수용 체계가 다음과 같은 명제들을 포함하게 된다면

(5) 나는 한 시간 전에 LSD를 복용했다;
(6) LSD는 내게 있어서 고양이들의 현전을 환각케 하는 경향을 유발한다;
(7) 나는 내 자신의 거실에 있고, 어떤 고양이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렇다면 (1)을 수용하는 것보다 (2)를 수용하는 것이 당신에게 더욱 합리적일 것이다. 레러에 따르면, 경쟁하는 두 명제들 중 어느 쪽이 당신의 수용 체계에 정합적인지는 두 명제들 중 어느 쪽이 수용 체계에 비추어 당신이 수용하기에 더욱 합리적인지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그는 만일 당신의 수용 체계가 (3)과 (4)를 포함한다면 (1)이 당신의 수용 체계에 정합적이라고 말할 것이고, 만일 그 수용 체계가 (5), (6), (7)을 포함한다면 (2)가 당신의 수용 체계에 정합적이라 말할 것이다. (3)과 (4)를 포함하는 수용 체계를 체계 A라고, 그리고 (5)부터 (7)까지를 포함하는 쪽을 체계 B라고 부르도록 하자. 레러는 체계 A에 비추어 (1)이 (2)를 격파하는 반면, 체계 B에 비추어서는 (2)가 (1)을 격파한다고 말할 것이다.

4) Lehrer, then, views "beating the competitors" as an essential ingredient of coherence. In his account, for a proposition p to cohere with your acceptance system, it must beat every proposition you accept that competes with it.<28>
4) 그래서 레러는 "경쟁자들을 격파함"을 정합성의 본질적 구성요소로 간주한다. 그의 설명에서, 한 명제 p가 당신의 수용 체계에 정합적이기 위해서, 그 명제는 반드시 그 명제와 경쟁하는 당신이 수용하는 모든 각각의 명제를 격파해야만 한다.<28>


Trustworthiness
신뢰성

1) The second key ingredient of Lehrer's coherentism comes into play when we consider what it actually takes for a proposition to beat all its competitors. Consider again the proposition

(1) I see a cat before me

and its competitor

(2) I am hallucinating that there is a cat before me.

For (1) to beat (2), your acceptance system must include propositions such as

(3) I have not ingested any hallucinogenic substances;
(4) There is no indication of hallucination in my present experience.

Why, however, do (3) and (4) give (1) the epistemic strength to beat (2)? Why is it that, vis-a-vis (3) and (4), it is more reasonable of you to accept (1) than to accept (2)? Lehrer would say that when you accept (3) and (4), you are, in effect, accepting that under the present circumstances you can trust perception as a source of information. That is, there is a further relevant proposition in your acceptance system, to wit:

(5) Under the present circumstances I can trust my perceptions.

The value of having (3) and (4) as members of your belief system, then, is that under the present circumstances you can trust that acceptances based on perception are true, which you could not if (2) were true. Hence, in relation to your acceptance system, it is more reasonable for you to accept (1) than to accept (2).
1) 레러의 정합론에 있어서 두 번째 핵심 구성요소는 우리가 실제로 한 명제가 그 명제의 모든 경쟁자들을 격파하는 것으로 어떤 것을 받아들일 때 작동하기 시작한다. 다시 다음 명제를 고찰해 보자.

(1) 나는 내 앞의 고양이 한 마리를 보고 있다

그리고 그 명제의 경쟁 명제

(2) 나는 내 앞에 고양이 한 마리가 있다는 환각을 겪고 있다.

(1)이 (2)를 격파하기 위해, 당신의 수용 체계는 반드시 다음과 같은 명제들을 포함해야만 한다.

(3) 나는 어떠한 환각 물질도 섭취하지 않았다;
(4) 내 현재 경험에 환각의 어떤 징후도 없다.

그렇지만 어째서 (3)과 (4)가 (1)에게 (2)를 격파할 인식적 힘을 부여하는가? 어째서 (3)과 (4)에 비추어 (1)을 수용하는 것이 (2)를 수용하는 것보다 더욱 합리적인가? 레러는 당신이 (3)과 (4)를 수용할 때 사실상 당신은 현재 상황들 라애세ㅓ 당신이 정보의 원천으로서의 지각을 신뢰할 수 있다는 것을 수용하고 있다고 말할 것이다. 즉, 당신의 수용 체계에 추가적으로 관련된 명제가 있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5) 현재 상황들 아래에서 나는 나의 지각들을 신뢰할 수 있다.

(3)과 (4)를 당신의 믿음 체계 구성요소들로 지니는 가치는 그래서 현재 상황들 아래에서 당신이 지각에 기초된 수용들이 참임을 신뢰할 수 있다는 것이고, 그것은 (2)가 참이라면 그럴 수 없을 그러한 것이다. 따라서, 당신의 수용 체계와의 관련 속에서, (2)를 수용하는 것보다 (1)을 수용하는 것이 더욱 합리적이다.

2) According to Lehrer, assumptions about one's own trustworthiness are an essential ingredient of coherence. For me to be justified in accepting p under conditions C, my acceptance system must include propositions to the effect that under conditions C I can trust the source of information on which my acceptance of p is based. Such propositions are not about the objects of perception, introspection, or memory, but rather about the conditions under which I accept propositions on the basis of perception, introspection, and memory. In accepting such propositions, I am ascending, so to speak, to a higher level: a level from which I evaluate the trustworthiness of sources of information under certain conditions. We shall, therefore, call the second ingredient of Lehrer's coherentism the requirement of level ascent.
2) 레러에 따르면, 한 개인의 고유한 신뢰성에 대한 전제들은 정합성의 본질적인 구성요소이다. 내가 조건들 C 아래에서 p를 수용함에 있어서 정당화되기 위해서는, 나의 수용 체계가 반드시 조건들 C 아래에서 p에 대한 나의 수용이 기초하는 정보의 원천을 내가 신뢰할 수 있다는 취지의 명제들을 포함해야만 한다. 그러한 명제들은 지각, 내성, 혹은 기억의 대상들에 대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내가 지각, 내성, 기억에 기초하여 명제들을 수용하는 조건들에 대한 것이다. 그러한 명제들을 수용함에 있어서, 나는 말하자면 더 높은 수준으로 상승하고 있다. 즉 내가 특정한 조건들 아래에서 정보의 원천들에 대한 신뢰성을 평가하는 그러한 수준 말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레러의 정합론에 속하는 두 번째 구성요소를 수준 상승에 대한 요청이라 부를 것이다.

3) Lehrer's commitment to the requirement of level ascent is explicitly stated in his response to a certain objection to coherentism. According to this objection, it is impossible for perception alone to justify a belief. Put differently, in order for perception to justify a belief, so the objection goes, it isn't necessary that the proposition accepted receive support from the perceiver's acceptance system. In reply to this objection, Lehrer insists on the necessity of level ascent.

Any claim that we see, remember, or introspect that something is the case immediately confronts the … objection that the belief does not emanate from a trustworthy source but arises in some untrustworthy manner. To be … justified in accepting that one sees, remembers, or introspectis something, one must, therefore, accept that these are trustworthy sources of information.<29>

3) 레러의 수준 상승 요청에 대한 전념은 정합론에 대한 특정 반박에 맞선 그의 응답에서 명확하게 진술된다. 이 반박에 따르자면, 지각만으로 믿음을 정당화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달리 말해서, 지각이 믿음을 정당화하기 위해서, 그 반박이 그렇게 진행하듯, 수용된 명제가 지각자의 수용 체계로부터 지지를 받는 것이 필연적이지는 않다. 이 반박에 응답함에 있어서, 레러는 수준 상승의 필연성을 주장한다.

우리가 어떤 것이라고 보거나, 기억하거나, 내성한다는 어떠한 주장이든 그 경우는 즉각적으로 그 믿음이 신뢰성 있는 원천으로부터 나오지 않고 어떤 신뢰할 수 없는 방식에서 발생한다는 … 반박에 직면한다. 누군가 어떤 것을 보거나, 기억하거나, 또는 내성하는 것을 수용함에 있어서 정당화되기 위해, 그러므로 그는 반드시 이러한 것들이 정보의 신뢰할 만한 원천들이라는 점을 수용해야만 한다.<29>


4) According to Lehrer, then, you can't have justified beliefs that stem from sources such as perception, memory, and introspection unless your acceptance system includes higher-level propositions asserting that these sources are trustworthy.
4) 레러에 따르면 그래서 당신은 지각, 기억, 내성과 같은 원천들로부터 유래하는 믿음들을 당신의 수용 체계가 이러한 원천들이 신뢰할 만하다고 단언하는 고차원의 명제들을 포함하지 않는 한 정당화시킬 수 없다.

5) Let us summarize what, from Lehrer's point of view, it takes for an acceptance of yours to be justified. To begin with, Lehrer would say you are justified in accepting that p if and only if p coheres with your acceptance system. And in order for your acceptance of p to cohere with your acceptance system, p must beat all of its competitors. Finally, your acceptance system must include one or several propositions to the effect that, under the present circumstances, the source from which your acceptance arises is trustworthy.
5) 레러의 관점으로부터 당신의 수용들 중 한 수용이 정당화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정리하도록 하자. 우선, 레러는 당신이 p를 수용함에 있어서 정당화된다 iff p는 당신의 수용 체계에 정합적이다, 라고 말할 것이다. 그리고 당신의 p에 대한 수용이 당신의 수용 체계와 정합적이기 위해, p는 반드시 그 모든 경쟁 명제들을 제압해야만 한다. 끝으로, 당신의 수용 체계는 반드시 하나 혹은 여럿의 명제들, 현재 상황들 아래에서 당신의 수용이 발생하는 그 원천이 신뢰할 만하다는 취지의 명제들을 포함해야만 한다.


Level Ascent, Acceptance, and Belief
수준 상승, 수용, 그리고 믿음

1) In Chapter 5, we encountered a forceful objection to modern foundationalism: people typically don't form the kind of belief stron foundationalism would countenance as basic.<30> The point of this objection is that modern foundationalism must be considered a version of skepticism. A similar objection can be formulated against coherentism if level ascent is taken to be an essential ingredient of coherence. Level ascent is a sophisticated intellectual procedure, so it could be objected, a procedure familiar to philosophers, but alien to people who have never studied philosophy. Under ordinary circumstances, people instinctively presume the trustworthiness of their perceptions, without forming actual beliefs about this matter.<31> Consider the proposition

(1) I see a cat before me

and assume that nothing is evident to me that would undermine my justification for believing (1). According to Lehrer, (1) coheres with my acceptance system only if I accept some proposition to the effect that

(2) Under the present circumstances, my perceptions are trustworthy.

But what if, though I don't disbelieve (2), I don't actually believe it either? Perhaps I did not reflect on the question of whether my perceptions are trustworthy under the present circumstances, and thus didn't form any belief about that matter. If so, am I really unjustified in believing (1)? It seems reasonable to say that I would not be unjustified. It would appear, therefore, that Lehrer's theory amounts into a version of skepticism because it demands too much of justification. Under ordinary circumstances, empirical beliefs are simply not accompanied by beliefs such as (2). Hence, so the objection against coherentism concludes, the requirement of level ascent Lehrer imposes implies that ordinary empirical beliefs are not justified.
1) 5장에서, 우리는 근대적 토대론에 대한 강력한 반박에 직면했다. 즉 사람들은 전형적으로 강한 토대론이 기초적인 것으로 지지할 그런 종류의 믿음을 형성하지 않는다는 것이다.<30> 이 반박의 핵심은 근대적 ㅗ대론이 반드시 회의주의 한 형태로 간주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만일 수준 상승이 정합성의 본질적 구성요소인 것으로 취해진다면 동일한 반박이 정합론에 반대하여 정식화될 수 있다. 수준 상승은 정교한 지적 절차이고, 그래서 그것은 철학자들에게는 친숙한 절차이지만 철학을 전혀 연구해 본 일이 없는 사람들에게는 낯선 것으로 반박될 수 있을 것이다. 일상적 상황들 아래에서,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그들의 지각에 대한 신뢰성을 전제하며, 이러한 문제에 대한 실제적 믿음들을 형성함이 없이 그렇게 한다.<31> 다음 명제를 고찰해 보자.

(1) 나는 내 앞의 고양이 한 마리를 보고 있다.

그리고 나에게 (1)을 믿음에 있어서 나의 정당성을 약화시킬 어떠한 증거도 없다고 가정해 보자. 레러에 따르면, (1)은 오로지 내가 다음과 같은 추지의 일부 명제를 수용하는 한에서만 나의 수용 체계에 정합적이다.

(2) 현재 상황들 아래에서, 나의 지각들은 신뢰할 만하다.

그러나 설령 내가 (2)를 거짓이라 믿지 않는다 할지라도, 만약 내가 실제로 그것을 믿지도 않는다면 어찌 되는가? 아마도 나는 나의 지각들이 현재 상황들 아래에서 신뢰할 만한 것인지에 대한 물음에 대해 숙고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리고 따라서 그 문제에 대해 어떠한 믿음도 형성하지 않았을 것이다. 만일 그렇다면, 나는 정말로 (1)을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지 않는가? 나는 정당화되지 않지는 않으리라고 말하는 편이 합리적으로 보인다. 그럼르ㅗ 레러의 이론은 회의주의의 한 형태가 된다고 드러날 것인데 왜냐하면 그 이론은 정당성에 대해 지나치게 많은 것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일상적 상황들 아래에서 경험적 믿음들은 그저 (2)와 같은 믿음들에 의해 동반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합론에 대한 반박이 그렇게 결론내리듯, 레러가 부과하는 수준 상승의 요청은 일상적 경험적 미음들이 정당화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2) In reply to this objection, Lehrer could argue that, according to him, coherence does not require belief, but only acceptance about level ascent. And when we consider, he might say, how people typically form beliefs, draw inferences, and act upon their beliefs, quite clearly our verdict ought to be that people do accept, unless they have evidence to the contrary, that perception is a trustworthy source of information.
2) 이 반박에 답함에 있어서, 레러는 그에 따르면 정합성이 믿음을 요청하지 않고 단지 수준 상승에 대한 수용만을 요청한다고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아마도 그가 말할 것처럼 우리가 어떻게 사람들이 전형적으로 믿음들을 형성하고, 추론들을 도출하고, 그들의 믿음들에 따라 행위하는지 고려할 때, 꽤나 분명하게 우리의 평가는 사람들이 반대되는 증거를 가지지 않는 한 지각이 정보에 대한 신뢰할 만한 원천임을 수용한다는 것이어야 한다.

3) In fact, Lehrer makes a parallel move concerning competition. Recall that, according to Lehrer's coherentism, for me to be justified in believing

(1) I see a cat before me

(1) must beat any competitor - for example, the competitor

(3) I am hallucinating that there is a cat before me.

Suppose I haven't considered the matter of hallucination at all, and thus don't believe such things as

(4) I have not ingested any hallucinogenic substances;
(5) There is no indication of hallucination in my present experience.

Does this mean I am not justified in believing (1)? Lehrer handles this difficulty by saying the following:

It is not necessary that a person have reflected on the competitor for the competitor to be beaten, but it is necessary that the acceptance system of the person imply that it is more reasonable to accept the claim than the competitor. If the acceptance system of a person implies that it is more reasonable to accept that p than to accept that c, then the person must be in a state to think and reason as though this were true.<32>

Clearly, I can be in a state to think and reason as though (4) and (5) were true - that is, be in a state of accepting (4) and (5) - even if, because I have not reflected on the possibility of hallucination, I fail to believe (4) and (5).<33> Hence I can be justified in believing (1) even if (4) and (5) are not propositions I believe.
3) 사실상, 레러는 경쟁과 관련한 동일한 조치를 형성한다. 레러의 정합론에 따르면 내가 다음과 같은 것을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기 위해

(1) 나는 내 앞의 고양이 한 마리를 보고 있다

그를 위해 (1)은 반드시 어떠한 경쟁 명제든 격파해야만 한다는 점을 상기하자.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경쟁 명제

(3) 나는 내 앞에 고양이 한 마리가 있다는 환각을 겪고 있다.

내가 환각 문제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고, 따라서 다음과 같은 것들을 믿지 않는다고 가정해 보자.

(4) 나는 어떠한 환각 물질들도 섭취하지 않았다;
(5) 나의 현재 경험에 환각의 어떠한 징후도 없다.

이것은 내가 (1)을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지 않는다는 뜻인가? 레러는 이러한 난점을 다음과 같이 말함으로써 다루고 있다:

한 사람이 경쟁 명제에 대해서 그 경쟁 명제가 격파될 것인지 숙고하였을 필요는 없지만, 그 사람의 수용 체계가 그 주장을 수용하는 것이 경쟁 명제를 수용하는 것보다 더욱 합리적이라고 시사한다는 것은 필요하다. 만일 한 사람의 수용 체계가 c를 수용하는 것보다 p를 수용하는 것이 더욱 합리적임을 시사한다면, 그 사람은 반드시 이것이 참인 듯이 생각하고 추론하는 상태에 있어야만 한다.<32>

분명히, 나는 (4)와 (5)가 참일 것처럼 생각하고 추론하는 상태에 있을 수 있다 - 즉, (4)와 (5)를 수용하는 상태에 있을 수 있다 - 설령, 내가 환각 가능성에 대해 숙고하지 않았기 때문에, (4)와 (5)를 믿지 않는다 할지라도 말이다.<33> 따라서 나는 설령 (4)와 (5)가 내가 믿는 명제들이 아니라 할지라도 (1)을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될 수 있다.

4) The same reasoning can be applied to trustworthiness. I can be in a state to think and reason as though

(2) Under the present circumstances, my perceptions are trustworthy

were true - that is, be in a state of accepting (2) - even if I have no reflected on the trustworthiness of my perceptions, and thus have formed no belief about this matter. Hence Lehrer could reply to our objection that my being justified in believing (1) does not require that I actually believe (2). It only requires that I accept (2).
4) 동일한 추론이 신뢰성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나는 다음과 같다고 생각하고 추론하는 상태에 있을 수 있다.

(2) 현재 상황들 아래에서, 나의 지각들은 신뢰할 만하다

이 명제가 참인 것처럼 생각하고 추론하는 - 즉 (2)를 수용하는 - 상태 말이다. 설령 내가 나의 지각들에 대한 신뢰성에 대해 숙고하지 않았고, 따라서 이 문제에 대해 어떠한 믿음도 형성하지 않았을지라도 그러하다. 따라서 레러는 우리의 반박에 대해 (1)을 믿음에 있어서 나의 정당화됨은 내가 실제로 (2)를 믿는 것을 요청하지는 않는다고 응답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오로지 내가 (2)를 수용하는 것을 요청할 따름이다.

5) In the earlier section on acceptance, we discussed Lehrer's claim that acceptances are a subclass of beliefs and found reasons to suspect that this claim is false. This suspicion is now reinforced. For in order to defend his version of coherentism against the objection that ordinarily the required acceptances about competition and trustworthiness don't take the form of actual beliefs, Lehrer would have to say that these acceptances need not be beliefs.<34>
5) 수용에 대한 앞선 절에서, 우리는 수용들이 믿음들의 하위분류라는 레러의 주장을 논의하였고 이 주장이 거짓이라고 의심할 근거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혐의는 이제 강화된다. 그의 정합론 형태를 일상적으로 경쟁과 신뢰성에 대해 요청되는 수용들이 실제적 믿음들의 형태를 취하지 않는다는 반박에 맞서 옹호하기 위해서, 레러는 이러한 수용들이 믿음들일 필요가 없다고 말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34>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