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nn dieser Begriff erfordert durchaus, daß etwas A von der Art sei, daß ein anderes B daraus notwendig und nach einer schlechthin allgemeinen Regel folge. Erscheinungen geben gar wohl Fälle an die Hand, aus denen eine Regel möglich ist, nach der etwas gewöhnlicher maßen geschieht, aber niemals, daß der Erfolg notwendig sei: daher der Synthesis der Ursache und Wirkung auch eine Dignität anhängt, die man gar nicht empirisch ausdrücken kann, nämlich, daß die Wirkung nicht bloß zu der Ursache hinzu komme, sondern durch dieselbe gesetzt sei, und aus ihr erfolge. Die strenge Allgemeinheit der Regel ist auch gar keine Eigenschaft empirischer Regeln, die durch Induktion keine andere als komparative Allgemeinheit, d.i. ausgebreitete Brauchbarkeit bekommen können. Nun würde sich aber der Gebrauch der reinen Verstandesbegriffe gänzlich ändern, wenn man sie nur als empirische Produkte behandeln wollte.
→ 왜냐하면 이러한 개념은, 어떤 A가 그 방식으로 있을 것을, 또 다른 B가 그로부터 필연적으로 그리고 전적으로 보편적인 법칙에 따라 수반할 것을 전적으로 필요로하기 때문이다.→ 현상들은, 그들로부터 그에 따라 어떤 것이 일상적으로 일어나지만, 그러나 결코, 그 결과가 필연적이지는 않을 법칙이 가능한 더욱이 좋은 경우들을 내놓는다: 그런 이유에서 원인과 작용의 종합은 또한 사람들이 전혀 경험적으로 나타낼 수 없는, 즉, 그 작용이 순전히 원인에 덧붙여서 오는 것은 아니고, 오히려 동일한 것을 통해 정립될 것이고, 그로부터 귀결하리라는 위엄을 부가한다.→ 그 법칙의 강력한 보편성은 또한 귀납을 통하여 상대적 보편성, 다시 말해 광범위한 유용성 외에 다른 아무것도 획득할 수 없는 경험적 법칙들의 특성이 전혀 아니다.→ 그러나 이제, 만약 사람들이 그 개념들을 단지 경험적 산물로서만 운용하려 든다면 순수 지성개념들의 사용은 전적으로 달라질 것이다.

§ 14.
Übergang zur Transzendentalen Deduktion der Kategorien
범주들의 초월론적 연역으로의 이행

Es sind nur zwei Fälle möglich, unter denen synthetische Vorstellung und ihre Gegenstände zusammentreffen, sich auf einander notwendiger Weise beziehen, und gleichsam einander begegnen können.
→ 그 아래에서 종합적 표상과 그 표상의 대상들이 함께 마주치는, 서로에게 필연적 방식으로 관련되는, 그리고 동시에 상호간에 대응할 수 있는 오직 두 가지 경우만이 가능하다.


Denn dieser Begriff erfordert durchaus, daß etwas A von der Art sei, daß ein anderes B daraus notwendig und nach einer schlechthin allgemeinen Regel folge.
왜냐하면 이러한 개념은 전적으로 필요로하기 때문이다, 어떤 A가 그 방식으로 있을 것을, 또 다른 B가 그로부터 필연적으로 그리고 전적으로 보편적인 법칙에 따라 수반할 것을.
→ 왜냐하면 이러한 개념은, 어떤 A가 그 방식으로 있을 것을, 또 다른 B가 그로부터 필연적으로 그리고 전적으로 보편적인 법칙에 따라 수반할 것을 전적으로 필요로하기 때문이다.
Erscheinungen geben gar wohl Fälle an die Hand, aus denen eine Regel möglich ist, nach der etwas gewöhnlicher maßen geschieht, aber niemals, daß der Erfolg notwendig sei: daher der Synthesis der Ursache und Wirkung auch eine Dignität anhängt, die man gar nicht empirisch ausdrücken kann, nämlich, daß die Wirkung nicht bloß zu der Ursache hinzu komme, sondern durch dieselbe gesetzt sei, und aus ihr erfolge.
현상들은 더욱이 좋은 경우들을 내놓는다, 그 경우들로부터 법칙이 가능한, 그 법칙에 따라 어떤 것이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그러나 결코 아닌, 그 결과가 필연적일: 그런 이유에서 원인과 작용의 종합은 또한 위엄을 부가한다, 그 위엄을 사람들이 전혀 경험적으로 나타낼 수 없는, 즉, 그 작용이 순전히 원인에 덧붙여서 오는 것은 아니고, 오히려 동일한 것을 통해 정립될 것이고, 그로부터 귀결하리라는 것.
→ 현상들은, 그들로부터 그에 따라 어떤 것이 일상적으로 일어나지만, 그러나 결코, 그 결과가 필연적이지는 않을 법칙이 가능한 더욱이 좋은 경우들을 내놓는다: 그런 이유에서 원인과 작용의 종합은 또한 사람들이 전혀 경험적으로 나타낼 수 없는, 즉, 그 작용이 순전히 원인에 덧붙여서 오는 것은 아니고, 오히려 동일한 것을 통해 정립될 것이고, 그로부터 귀결하리라는 위엄을 부가한다.
Die strenge Allgemeinheit der Regel ist auch gar keine Eigenschaft empirischer Regeln, die durch Induktion keine andere als komparative Allgemeinheit, d.i. ausgebreitete Brauchbarkeit bekommen können.
그 법칙의 강력한 보편성은 또한 전혀 경험적 법칙들의 특성이 아니다, 그 법칙들이 귀납을 통하여 상대적 보편성, 다시 말해 광범위한 유용성 외에 다른 아무것도 획득할 수 없는.
→ 그 법칙의 강력한 보편성은 또한 귀납을 통하여 상대적 보편성, 다시 말해 광범위한 유용성 외에 다른 아무것도 획득할 수 없는 경험적 법칙들의 특성이 전혀 아니다.
Nun würde sich aber der Gebrauch der reinen Verstandesbegriffe gänzlich ändern, wenn man sie nur als empirische Produkte behandeln wollte.
그러나 이제 순수 지성개념들의 사용은 전적으로 달라질 것이다, 만약 사람들이 그 개념들을 단지 경험적 산물로서만 운용하려 든다면.
→ 그러나 이제, 만약 사람들이 그 개념들을 단지 경험적 산물로서만 운용하려 든다면 순수 지성개념들의 사용은 전적으로 달라질 것이다.

§ 14.
Übergang zur Transzendentalen Deduktion der Kategorien
범주들의 초월론적 연역으로의 이행

Es sind nur zwei Fälle möglich, unter denen synthetische Vorstellung und ihre Gegenstände zusammentreffen, sich auf einander notwendiger Weise beziehen, und gleichsam einander begegnen können.
오직 두 가지 경우만이 가능하다, 그 경우들 아래에서 종합적 표상과 그 표상의 대상들이 함께 마주치는, 서로에게 필연적 방식으로 관련되는, 그리고 동시에 상호간에 대응할 수 있는.
→ 그 아래에서 종합적 표상과 그 표상의 대상들이 함께 마주치는, 서로에게 필연적 방식으로 관련되는, 그리고 동시에 상호간에 대응할 수 있는 오직 두 가지 경우만이 가능하다.

-蟲-
Denn daß Gegenstände der sinnlichen Anschauung denen im Gemüt a priori liegenden formalen Bedingungen der Sinnlichkeit gemäß sein müssen, ist daraus klar, weil sie sonst nicht Gegenstände für uns sein würden; daß sie aber auch überdem den Bedingungen, deren der Verstand zur synthetischen Einheit des Denkens bedarf, gemäß sein müssen, davon ist die Schlußfolge nicht so leicht einzusehen. Denn es könnten wohl allenfalls Erscheinungen so beschaffen sein, daß der Verstand sie den Bedingungen seiner Einheit gar nicht gemäß fände, und alles so in Verwirrung läge, daß z.B. in der Reihenfolge der Erscheinungen sich nichts darböte, was eine Regel der Synthesis an die Hand gäbe, und also dem Begriffe der Ursache und Wirkung entspräche, so daß dieser Begriff also ganz leer, nichtig und ohne Bedeutung wäre. Erscheinungen würden nichts destoweniger unserer Anschauung Gegenstände darbieten, denn die Anschauung bedarf der Funktionen des Denkens auf keine Weise.
→ 그래서 감각적 직관의 대상들이 그 대상들의 내면에 선험적으로 자리하는 감성의 형식적 조건들에 따라야만 한다는 것은, 그로부터 분명하다. 왜냐하면 그 대상들이 본래부터 우리에게 대상들이 되지는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대상들이 또한 그 사이에, 지성이 사유의 종합적 통일을 위해 필요로하는 조건들에 따라야만 한다는 것에 관하여 추론을 통찰하기란 그다지 쉽지 않다.→ 그래서 어쩌면 현상들이 그러한 특성을 지닐는지 모른다. 그러니까 지성이 현상들을 지성의 통일의 조건들에 전혀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알아차릴 그러한 특성, 그리고 모든 것이 혼돈 속에 놓일 그러한 특성, 사물들의 질서 안에서 그 자체로 종합의 규칙을 주고 그러므로 인과의 개념에 상응하는 그러한 아무것도 내놓지 않을 그러한 특성, 그래서 이러한 개념이 그러므로 전적으로 공허하고 헛되며 무의미할 그러한 특성 말이다.→ 현상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들의 직관에 대상들을 제공할 것이다. 왜냐하면 그 직관은 어떤 방식으로도 사유의 기능들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이다.
Gedächte man sich von der Mühsamkeit dieser Untersuchungen dadurch loszuwickeln, daß man sagte: Die Erfahrung böte unablässig Beispiele einer solchen Regelmäßigkeit der Erscheinungen dar, die genugsam Anlaß geben, den Begriff der Ursache davon abzusondern, und dadurch zugleich die objektive Gültigkeit eines solchen Begriffs zu bewähren, so bemerkt man nicht, daß auf diese Weise der Begriff der Ursache gar nicht entspringen kann, sondern daß er entweder völlig a priori im Verstande müsse gegründet sein, oder als ein bloßes Hirngespinst gänzlich aufgegeben werden müsse.
→ 사람들은 이러한 시도들의 곤란에 대해 그를 통하여 해소하고자 생각할지도 모른다. 사람들이 다음과 같이 말함으로써 말이다: 경험은 원인의 개념을 그로부터 분리해낼, 그리고 그를 통하여 동시에 그러한 개념의 객관적 정당성을 보존할 충분한 계기를 주는, 현상들의 그러한 규칙성에 대한 끊임없는 예시들을 내놓는다고. 그래서 사람들은 이러한 방식으로는 원인의 개념이 결코 생길 수 없고, 오히려 그 개념은 지성 안에서 완전히 선험적으로 기초되든지, 혹은 순전한 망상으로서 주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한다.


Denn daß Gegenstände der sinnlichen Anschauung denen im Gemüt a priori liegenden formalen Bedingungen der Sinnlichkeit gemäß sein müssen, ist daraus klar, weil sie sonst nicht Gegenstände für uns sein würden; daß sie aber auch überdem den Bedingungen, deren der Verstand zur synthetischen Einheit des Denkens bedarf, gemäß sein müssen, davon ist die Schlußfolge nicht so leicht einzusehen.
그래서 감각적 직관의 대상들이 그 대상들의 내면에 선험적으로 자리하는 감성의 형식적 조건들에 따라야만 한다는 것은, 그로부터 분명하다, 왜냐하면 그 대상들이 본래부터 우리에게 대상들이 되지는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대상들이 또한 그 사이에 조건들에, 지성이 사유의 종합적 통일을 위해 필요로하는, 따라야만 한다는 것, 그것에 관해 추론이 통찰하기 그다지 쉽지 않다.
→ 그래서 감각적 직관의 대상들이 그 대상들의 내면에 선험적으로 자리하는 감성의 형식적 조건들에 따라야만 한다는 것은, 그로부터 분명하다. 왜냐하면 그 대상들이 본래부터 우리에게 대상들이 되지는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대상들이 또한 그 사이에, 지성이 사유의 종합적 통일을 위해 필요로하는 조건들에 따라야만 한다는 것에 관하여 추론을 통찰하기란 그다지 쉽지 않다.
Denn es könnten wohl allenfalls Erscheinungen so beschaffen sein, daß der Verstand sie den Bedingungen seiner Einheit gar nicht gemäß fände, und alles so in Verwirrung läge, daß z.B. in der Reihenfolge der Erscheinungen sich nichts darböte, was eine Regel der Synthesis an die Hand gäbe, und also dem Begriffe der Ursache und Wirkung entspräche, so daß dieser Begriff also ganz leer, nichtig und ohne Bedeutung wäre.
그래서 어쩌면 현상들이 그러한 특성을 지닐는지 모른다, 지성이 현상들을 지성의 통일의 조건들에 전혀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알아차릴, 그리고 모든 것은 혼돈 속에 놓일, 사물들의 질서 안에서 그 자체로 아무것도 내놓지 않을, 종합의 규칙을 손에 쥔, 그리고 그러므로 인과의 개념에 상응하는, 그래서 이러한 개념이 그러므로 전적으로 공허하고 헛되며 무의미할.
→ 그래서 어쩌면 현상들이 그러한 특성을 지닐는지 모른다. 그러니까 지성이 현상들을 지성의 통일의 조건들에 전혀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알아차릴 그러한 특성, 그리고 모든 것이 혼돈 속에 놓일 그러한 특성, 사물들의 질서 안에서 그 자체로 종합의 규칙을 주고 그러므로 인과의 개념에 상응하는 그러한 아무것도 내놓지 않을 그러한 특성, 그래서 이러한 개념이 그러므로 전적으로 공허하고 헛되며 무의미할 그러한 특성 말이다.
Erscheinungen würden nichts destoweniger unserer Anschauung Gegenstände darbieten, denn die Anschauung bedarf der Funktionen des Denkens auf keine Weise.
현상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들의 직관에 대상들을 제공할 것이다, 왜냐하면 그 직관은 어떤 방식으로도 사유의 기능들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이다.
→ 현상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들의 직관에 대상들을 제공할 것이다. 왜냐하면 그 직관은 어떤 방식으로도 사유의 기능들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이다.

Gedächte man sich von der Mühsamkeit dieser Untersuchungen dadurch loszuwickeln, daß man sagte: Die Erfahrung böte unablässig Beispiele einer solchen Regelmäßigkeit der Erscheinungen dar, die genugsam Anlaß geben, den Begriff der Ursache davon abzusondern, und dadurch zugleich die objektive Gültigkeit eines solchen Begriffs zu bewähren, so bemerkt man nicht, daß auf diese Weise der Begriff der Ursache gar nicht entspringen kann, sondern daß er entweder völlig a priori im Verstande müsse gegründet sein, oder als ein bloßes Hirngespinst gänzlich aufgegeben werden müsse.
사람들은 이러한 시도들의 곤란에 대해 그를 통하여 해소하고자 생각할지도 모른다, 사람들이 말함으로써: 경험은 현상들의 그러한 규칙성에 대한 끊임없는 예시들을 내놓는다고, 그 예시들이 충분한 계기를 주는, 원인의 개념을 그로부터 분리해낼, 그리고 그를 통하여 동시에 그러한 개념의 객관적 정당성을 보존할, 그래서 사람들은 알아차리지 못한다, 이러한 방식으로는 원인의 개념이 결코 생길 수 없고, 오히려 그 개념은 지성 안에서 완전히 선험적으로 기초되든지, 혹은 순전한 망상으로서 주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을.
→ 사람들은 이러한 시도들의 곤란에 대해 그를 통하여 해소하고자 생각할지도 모른다. 사람들이 다음과 같이 말함으로써 말이다: 경험은 원인의 개념을 그로부터 분리해낼, 그리고 그를 통하여 동시에 그러한 개념의 객관적 정당성을 보존할 충분한 계기를 주는, 현상들의 그러한 규칙성에 대한 끊임없는 예시들을 내놓는다고. 그래서 사람들은 이러한 방식으로는 원인의 개념이 결코 생길 수 없고, 오히려 그 개념은 지성 안에서 완전히 선험적으로 기초되든지, 혹은 순전한 망상으로서 주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한다.

-蟲-
Die Kategorien des Verstandes dagegen stellen uns gar nicht die Bedingungen vor, unter denen Gegenstände in der Anschauung gegeben werden, mithin können uns allerdings Gegenstände erscheinen, ohne daß sie sich notwendig auf Funktionen des Verstandes beziehen müssen, und dieser also die Bedingungen derselben a priori enthielte. Daher zeigt sich hier eine Schwierigkeit, die wir im Felde der Sinnlichkeit nicht antrafen, wie nämlich subjektive Bedingungen des Denkens sollten objektive Gültigkeit haben, d.i. Bedingungen der Möglichkeit aller Erkenntnis der Gegenstände abgeben: denn ohne Funktionen des Verstandes können allerdings Erscheinungen in der Anschauung gegeben werden. Ich nehme z.B. den Begriff der Ursache, welcher eine besondere Art der Synthesis bedeutet, da auf etwas A was ganz Verschiedenes B nach einer Regel gesetzt wird. Es ist a priori nicht klar, warum Erscheinungen etwas dergleichen enthalten sollten, (denn Erfahrungen kann man nicht zum Beweise anführen, weil die objektive Gültigkeit dieses Begriffs a priori muß dargetan werden können,) und es ist daher a priori zweifelhaft, ob ein solcher Begriff nicht etwa gar leer sei und überall unter den Erscheinungen keinen Gegenstand antreffe.
→ 반면에 지성의 범주들은 우리에게 그 아래에서 대상들이 직관에 주어지는 조건들을 전혀 표상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 대상들은 물론, 그 대상들이 지성 기능들에 필연적으로 적용되어야만 함이 없이, 그리고 그러므로 이러한 지성이 그 대상들의 조건들을 선험적으로 포함함이 없이, 우리에게 대상들로 현상할 수 있다.→ 그런 이유에서 여기에 우리가 감성의 영역에서 마주치지 않았던 곤란이 생긴다. 즉 어떻게 사유의 주관적 조건들이 객관적 타당성을 지닐 것인지, 다시 말해 대상들의 모든 인식의 가능성의 조건들을 내놓을 것인지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현상들은 물론 지성의 기능들 없이 직관 안에 주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나는 예를 들어 원인의 개념을 취한다. 그 개념은 종합의 특수한 종류를 의미하는데, 어떤 A에 대해 전적으로 상이한 B가 규칙에 따라 놓이기 때문이다.→ 어째서 현상들이 그와 같은 어떤 것들을 포함해야 하는지는 선험적으로 분명하지 않다. (왜냐하면 사람들은경험들을 논증할 수 없으니까. 왜냐하면 이러한 개념의 객관적 정당성은 선험적으로 입증될 수 있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것은 그런 이유에서 선험적으로 의심스럽다. 그러한 개념이 어떤 공허한 것은 아닐지, 그리고 현상들 아래에서 언제나 어떠한 대상도 마주치지 않는 것은 아닌지.


Die Kategorien des Verstandes dagegen stellen uns gar nicht die Bedingungen vor, unter denen Gegenstände in der Anschauung gegeben werden, mithin können uns allerdings Gegenstände erscheinen, ohne daß sie sich notwendig auf Funktionen des Verstandes beziehen müssen, und dieser also die Bedingungen derselben a priori enthielte.
지성의 범주들은 반면에 우리에게 전혀 조건들을 표상하지 않는다, 그 조건들 아래에서 대상들이 직관에 주어지는, 따라서 당연히 그 대상들이 우리에게 대상들로 현상할 수 있다, 그 대상들이 지성 기능들에 필연적으로 적용되어야만 함이 없이, 그리고 그러므로 이러한 지성이 그 대상들의 조건들을 선험적으로 포함함이 없이.
→ 반면에 지성의 범주들은 우리에게 그 아래에서 대상들이 직관에 주어지는 조건들을 전혀 표상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 대상들은 물론, 그 대상들이 지성 기능들에 필연적으로 적용되어야만 함이 없이, 그리고 그러므로 이러한 지성이 그 대상들의 조건들을 선험적으로 포함함이 없이, 우리에게 대상들로 현상할 수 있다.
Daher zeigt sich hier eine Schwierigkeit, die wir im Felde der Sinnlichkeit nicht antrafen, wie nämlich subjektive Bedingungen des Denkens sollten objektive Gültigkeit haben, d.i. Bedingungen der Möglichkeit aller Erkenntnis der Gegenstände abgeben: denn ohne Funktionen des Verstandes können allerdings Erscheinungen in der Anschauung gegeben werden.
그런 이유에서 여기에 곤란이 생긴다, 그 곤란을 우리가 감성의 영역에서 마주치지 않았던, 즉 어떻게 사유의 주 관적 조건들이 객관적 타당성을 지닐 것인지, 다시 말해 대상들의 모든 인식의 가능성의 조건들을 내놓을 것인지: 왜냐하면 지성의 기능들 없이 당연히 현상들은 직관 안에 주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 그런 이유에서 여기에 우리가 감성의 영역에서 마주치지 않았던 곤란이 생긴다. 즉 어떻게 사유의 주관적 조건들이 객관적 타당성을 지닐 것인지, 다시 말해 대상들의 모든 인식의 가능성의 조건들을 내놓을 것인지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현상들은 물론 지성의 기능들 없이 직관 안에 주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Ich nehme z.B. den Begriff der Ursache, welcher eine besondere Art der Synthesis bedeutet, da auf etwas A was ganz Verschiedenes B nach einer Regel gesetzt wird.
나는 예를 들어 원인의 개념을 취한다, 그 개념이 종합의 특수한 종류를 의미하는, 어떤 A에 대해 전적으로 상이한 B가 규칙에 따라 놓이므로.
→ 나는 예를 들어 원인의 개념을 취한다. 그 개념은 종합의 특수한 종류를 의미하는데, 어떤 A에 대해 전적으로 상이한 B가 규칙에 따라 놓이기 때문이다.
Es ist a priori nicht klar, warum Erscheinungen etwas dergleichen enthalten sollten, (denn Erfahrungen kann man nicht zum Beweise anführen, weil die objektive Gültigkeit dieses Begriffs a priori muß dargetan werden können,) und es ist daher a priori zweifelhaft, ob ein solcher Begriff nicht etwa gar leer sei und überall unter den Erscheinungen keinen Gegenstand antreffe.
그것은 선험적으로 분명하지 않다, 어째서 현상들이 그와 같은 어떤 것들을 포함해야 하는지, (왜냐하면 경험들을 사람들은 논증할 수 없으니까, 왜냐하면 이러한 개념의 객관적 정당성은 선험적으로 입증될 수 있어야만 하기 때문에,) 그리고 그것은 그런 이유에서 선험적으로 의심스럽다, 그러한 개념이 전혀 공허하지 않고 현상들 아래에서 언제나 어떠한 대상도 마주치지 않는지.
→ 어째서 현상들이 그와 같은 어떤 것들을 포함해야 하는지는 선험적으로 분명하지 않다. (왜냐하면 사람들은경험들을 논증할 수 없으니까. 왜냐하면 이러한 개념의 객관적 정당성은 선험적으로 입증될 수 있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것은 그런 이유에서 선험적으로 의심스럽다. 그러한 개념이 어떤 공허한 것은 아닐지, 그리고 현상들 아래에서 언제나 어떠한 대상도 마주치지 않는 것은 아닌지.

-蟲-
So muß denn der Leser von der unumgänglichen Notwendigkeit einer solchen transzendentalen Deduktion, ehe er einen einzigen Schritt im Felde der reinen Vernunft getan hat, überzeugt werden; weil er sonst blind verfährt, und, nachdem er mannigfaltig umher geirrt hat, doch wieder zu der Unwissenheit zurückkehren muß, von der er ausgegangen war. Er muß aber auch die unvermeidliche Schwierigkeit zum voraus deutlich einsehen, damit er nicht über Dunkelheit klage, wo die Sache selbst tief eingehüllt ist, oder über die Wegräumung der Hindernisse zu früh verdrossen werde, weil es darauf ankommt, entweder alle Ansprüche zu Einsichten der reinen Vernunft, als das beliebteste Feld, nämlich dasjenige über die Grenzen aller möglichen Erfahrung hinaus, völlig aufzugeben, oder diese kritische Untersuchung zur Vollkommenheit zu bringen.
→ 그래서 참으로 독자는 그러한 초월론적 연역의 불가피한 필연성에 대해 그가 순수 이성의 분야에 독보적인 걸음을 내딛기 전에 납득되어야만 한다; 왜냐하면 그는 이전에는 맹목적으로 행동했고, 그리고, 그 후 그는 여러모로 방황하였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 다시 그가 출발하였던 바로 그 무지로 되돌아가야만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는 또한 그 사태 자체가 깊숙히 감추어진 암담함에 탄식하지 않음으로써, 혹은 때 이르게 거슬리는 장애물의 제거에 대해 낙담하지 않음으로써, 우선 먼저 불가피한 난관을 분명하게 통찰해야만 한다. 왜냐하면, 가장 호평받는 분야로서, 즉 모든 가능한 경험의 한계를 넘어서서, 완전하게 내놓는 것으로서, 순수 이성의 통찰에 대한 모든 주장들이나, 아니면 이러한 비판적 연구를 완전하게 하는 것이 거기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Wir haben oben an den Begriffen des Raumes und der Zeit mit leichter Mühe begreiflich machen können, wie diese als Erkenntnisse a priori sich gleichwohl auf Gegenstände notwendig beziehen müssen, und eine synthetische Erkenntnis derselben, unabhängig von aller Erfahrung, möglich macheten. Denn da nur vermittelst solcher reinen Formen der Sinnlichkeit uns ein Gegenstand erscheinen, d.i. ein Objekt der empirischen Anschauung sein kann, so sind Raum und Zeit reine Anschauungen, welche die Bedingung der Möglichkeit der Gegenstände als Erscheinungen a priori enthalten, und die Synthesis in denselben hat objektive Gültigkeit.
→ 우리는 위에서 공간과 시간 개념들이 어떻게 해서 이러한 개념들이 선험적 인식으로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상들에 필연적으로 적용되어야만 하는지 작은 수고로 이해할 수 있게끔 만들 수 있었다. 그리고 종합적 인식을 모든 경험으로부터 독립적으로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왜냐하면 단지 감성의 그러한 순수 형식들에 따라서만 우리에게 대상이 현상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그에 따라서만 대상이 감각적 직관의 객체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공간과 시간은 현상들로서의 대상들의 가능성의 조건을 선험적으로 포함하는 순수 직관들이다. 그리고 종합은 그 직관들 안에서 객관적 정당성을 갖는다.



So muß denn der Leser von der unumgänglichen Notwendigkeit einer solchen transzendentalen Deduktion, ehe er einen einzigen Schritt im Felde der reinen Vernunft getan hat, überzeugt werden; weil er sonst blind verfährt, und, nachdem er mannigfaltig umher geirrt hat, doch wieder zu der Unwissenheit zurückkehren muß, von der er ausgegangen war.
그래서 참으로 독자는 그러한 초월론적 연역의 불가피한 필연성에 대해, 그가 순수 이성의 분야에 독보적인 걸음을 내딛기 전에, 납득되어야만 한다; 왜냐하면 그는 이전에는 맹목적으로 행동했고, 그리고, 그 후 그는 여러모로 방황하였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 다시 무지로 되돌아가야만 했기 때문에, 그 무지로부터 그가 출발하였던.
→ 그래서 참으로 독자는 그러한 초월론적 연역의 불가피한 필연성에 대해 그가 순수 이성의 분야에 독보적인 걸음을 내딛기 전에 납득되어야만 한다; 왜냐하면 그는 이전에는 맹목적으로 행동했고, 그리고, 그 후 그는 여러모로 방황하였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 다시 그가 출발하였던 바로 그 무지로 되돌아가야만 했기 때문이다.
Er muß aber auch die unvermeidliche Schwierigkeit zum voraus deutlich einsehen, damit er nicht über Dunkelheit klage, wo die Sache selbst tief eingehüllt ist, oder über die Wegräumung der Hindernisse zu früh verdrossen werde, weil es darauf ankommt, entweder alle Ansprüche zu Einsichten der reinen Vernunft, als das beliebteste Feld, nämlich dasjenige über die Grenzen aller möglichen Erfahrung hinaus, völlig aufzugeben, oder diese kritische Untersuchung zur Vollkommenheit zu bringen.
그러나 그는 또한 불가피한 난관을 앞서서 분명하게 통찰해야만 한다, 그가 암담함에 탄식하지 않음으로써, 거기에 그 사태 자체가 깊숙히 감추어진, 혹은 때 이르게 거슬리는 장애물의 제거에 대해, 왜냐하면 거기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순수 이성의 통찰에 대한 모든 주장들이거나, 가장 호평받는 분야로서, 즉 이것이 모든 가능한 경험의 한계를 넘어서서, 완전하게 내놓는 것으로서, 아니면 이러한 비판적 연구를 완전하게 하는 것이.
→ 그러나 그는 또한 그 사태 자체가 깊숙히 감추어진 암담함에 탄식하지 않음으로써, 혹은 때 이르게 거슬리는 장애물의 제거에 대해 낙담하지 않음으로써, 우선 먼저 불가피한 난관을 분명하게 통찰해야만 한다. 왜냐하면, 가장 호평받는 분야로서, 즉 모든 가능한 경험의 한계를 넘어서서, 완전하게 내놓는 것으로서, 순수 이성의 통찰에 대한 모든 주장들이나, 아니면 이러한 비판적 연구를 완전하게 하는 것이 거기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Wir haben oben an den Begriffen des Raumes und der Zeit mit leichter Mühe begreiflich machen können, wie diese als Erkenntnisse a priori sich gleichwohl auf Gegenstände notwendig beziehen müssen, und eine synthetische Erkenntnis derselben, unabhängig von aller Erfahrung, möglich macheten.
우리는 위에서 공간과 시간 개념들을 작은 수고로 이해할 수 있게끔 만들 수 있었다, 어떻게 해서 이러한 개념들이 선험적 인식으로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상들에 필연적으로 적용되어야만 하는지, 그리고 종합적 인식을, 모든 경험으로부터 독립적으로,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 우리는 위에서 공간과 시간 개념들이 어떻게 해서 이러한 개념들이 선험적 인식으로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상들에 필연적으로 적용되어야만 하는지 작은 수고로 이해할 수 있게끔 만들 수 있었다. 그리고 종합적 인식을 모든 경험으로부터 독립적으로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Denn da nur vermittelst solcher reinen Formen der Sinnlichkeit uns ein Gegenstand erscheinen, d.i. ein Objekt der empirischen Anschauung sein kann, so sind Raum und Zeit reine Anschauungen, welche die Bedingung der Möglichkeit der Gegenstände als Erscheinungen a priori enthalten, und die Synthesis in denselben hat objektive Gültigkeit.
왜냐하면 단지 감성의 그러한 순수 형식들에 따라서만 우리에게 대상이 현상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감각적 직관의 객체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공간과 시간은 순수 직관들이다, 현상들로서 대상들의 가능성의 조건을 선험적으로 포함하는, 그리고 종합은 그 직관들 안에서 객관적 정당성을 갖는다.
→ 왜냐하면 단지 감성의 그러한 순수 형식들에 따라서만 우리에게 대상이 현상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그에 따라서만 대상이 감각적 직관의 객체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공간과 시간은 현상들로서의 대상들의 가능성의 조건을 선험적으로 포함하는 순수 직관들이다. 그리고 종합은 그 직관들 안에서 객관적 정당성을 갖는다.

-蟲-
Gleichwohl geht die Geometrie ihren sichern Schritt durch lauter Erkenntnisse a priori, ohne daß sie sich, wegen der reinen und gesetzmäßigen Abkunft ihres Grundbegriffs vom Raume, von der Philosophie einen Beglaubigungsschein erbitten darf. Allein der Gebrauch des Begriffs geht in dieser Wissenschaft auch nur auf die äußere Sinnenwelt, von welcher der Raum die reine Form ihrer Anschauung ist, in welcher also alle geometrische Erkenntnis, weil sie sich auf Anschauung a priori gründet, unmittelbare Evidenz hat, und die Gegenstände durch die Erkenntnis selbst, a priori (der Form nach) in der Anschauung, gegeben werden. Dagegen fängt mit den reinen Verstandesbegriffen die unumgängliche Bedürfnis an, nicht allein von ihnen selbst, sondern auch vom Raum die transzendentale Deduktion zu suchen, weil, da sie von Gegenständen nicht durch Prädikate der Anschauung und der Sinnlichkeit, sondern des reinen Denkens a priori redet, sie sich auf Gegenstände ohne alle Bedingungen der Sinnlichkeit allgemein beziehen, und die, da sie nicht auf Erfahrung gegründet sind, auch in der Anschauung a priori kein Objekt vorzeigen können, worauf sie vor aller Erfahrung ihre Synthesis gründeten, und daher nicht allein wegen der objektiven Gültigkeit und Schranken ihres Gebrauchs Verdacht erregen, sondern auch jenen Begriff des Raumes zweideutig machen, dadurch, daß sie ihn über die Bedingungen der sinnlichen Anschauung zu gebrauchen geneigt sind, weshalb auch oben von ihm eine transzendentale Deduktion von nöten war.
→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하학은 기하학 스스로, 그 기하학의 공간에 대한 근본개념의 순수하고 정당한 출신으로 말미암아, 철학으로부터 증명서를 청구할 필요 없이 순수한 선험적 인식들을 통하여 그 학문의 안전한 길을 간다.→ 오로지  개념 사용만이 이러한 학문 안에서 또한 단지 그 외부 감각세계로 나아간다. 그러한 감각세계에 대해 공간이 그 감각세계의 직관의 순수한 형식이고, 그 감각세계 안에서 그러므로 모든 기하학적 인식이, 그 인식 자체가 선험적으로 직관에 근거하기 때문에, 직접적인 증거를 지니고, 대상들이 인식 자체를 통해 직관 안에서 선험적으로 (형식에 따라) 주어진다.→ 반면에 순수 지성개념들과 함께 오로지 그 개념들 자체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또한 공간에 대한 초월론적 연역도 시도해야 하는 불가피한 필요가 발생한다. 왜냐하면, 대상들에 대해 그 순수 지성개념들이 직관과 감성의 술어들을 통해서가 아니라, 오히려 순수 사유의 술어들을 통하여 선험적으로 진술하므로, 그 순수 지성개념들 자체가 대상들에 감성의 모든 조건들 없이 보편적으로 적용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개념들이 경험에 근거되지 않기 때문에 또한 직관 안에서 선험적으로, 그로부터 그 개념들이 모든 경험에 대해 그 개념들의 종합을 근거짓는 어떠한 객체도 제시할 수 없다. 그런 이유로 오로지 그 개념들의 객관적 정당성과 사용의 한계들에만 말미암아 의심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또한 그를 통하여 그 개념들이 공간에 감각적 직관의 조건들을 뛰어넘어 사용하는 경향을 보이며, 그 때문에 또한 위에서 공간에 대해 초월론적 연역이 필요했던 공간의 이러한 개념으로 말미암아 애매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Gleichwohl geht die Geometrie ihren sichern Schritt durch lauter Erkenntnisse a priori, ohne daß sie sich, wegen der reinen und gesetzmäßigen Abkunft ihres Grundbegriffs vom Raume, von der Philosophie einen Beglaubigungsschein erbitten darf.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하학은 그 안전한 길을 순수한 선험적 인식들을 통하여 간다, 기하학 스스로, 그 기하학의 공간에 대한 근본개념의 순수하고 정당한 출신으로 말미암아, 철학으로부터 증명서를 청구할 필요 없이.
→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하학은 기하학 스스로, 그 기하학의 공간에 대한 근본개념의 순수하고 정당한 출신으로 말미암아, 철학으로부터 증명서를 청구할 필요 없이 순수한 선험적 인식들을 통하여 그 학문의 안전한 길을 간다.
Allein der Gebrauch des Begriffs geht in dieser Wissenschaft auch nur auf die äußere Sinnenwelt, von welcher der Raum die reine Form ihrer Anschauung ist, in welcher also alle geometrische Erkenntnis, weil sie sich auf Anschauung a priori gründet, unmittelbare Evidenz hat, und die Gegenstände durch die Erkenntnis selbst, a priori (der Form nach) in der Anschauung, gegeben werden.
오로지 개념 사용만이 이러한 학문 안에서 또한 단지 그 외부 감각세계에 간다, 그러한 감각세계에 대해 공간이 그 감각세계의 직관의 순수한 형식이고, 그 감각세계 안에서 그러므로 모든 기하학적 인식이, 왜냐하면 그 인식 자체가 선험적으로 직관에 근거하기 때문에, 직접적인 증거를 지니고, 대상들이 인식 자체를 통해, 선험적으로 (형식에 따라) 직관 안에서, 주어진다.
→ 오로지  개념 사용만이 이러한 학문 안에서 또한 단지 그 외부 감각세계로 나아간다. 그러한 감각세계에 대해 공간이 그 감각세계의 직관의 순수한 형식이고, 그 감각세계 안에서 그러므로 모든 기하학적 인식이, 그 인식 자체가 선험적으로 직관에 근거하기 때문에, 직접적인 증거를 지니고, 대상들이 인식 자체를 통해 직관 안에서 선험적으로 (형식에 따라) 주어진다.
Dagegen fängt mit den reinen Verstandesbegriffen die unumgängliche Bedürfnis an, nicht allein von ihnen selbst, sondern auch vom Raum die transzendentale Deduktion zu suchen, weil, da sie von Gegenständen nicht durch Prädikate der Anschauung und der Sinnlichkeit, sondern des reinen Denkens a priori redet, sie sich auf Gegenstände ohne alle Bedingungen der Sinnlichkeit allgemein beziehen, und die, da sie nicht auf Erfahrung gegründet sind, auch in der Anschauung a priori kein Objekt vorzeigen können, worauf sie vor aller Erfahrung ihre Synthesis gründeten, und daher nicht allein wegen der objektiven Gültigkeit und Schranken ihres Gebrauchs Verdacht erregen, sondern auch jenen Begriff des Raumes zweideutig machen, dadurch, daß sie ihn über die Bedingungen der sinnlichen Anschauung zu gebrauchen geneigt sind, weshalb auch oben von ihm eine transzendentale Deduktion von Nöten war.
반면에 순수 지성개념들과 함께 불가피한 필요가 발생한다, 오로지 그 개념들 자체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또한 공간에 대한 초월론적 연역도 시도해야 하는, 왜냐하면, 대상들에 대해 그 순수 지성개념들이 직관과 감성의 술어들을 통해서가 아니라, 오히려 순수 사유의 술어들을 통하여 선험적으로 진술하므로, 그 순수 지성개념들 자체가 대상들에 감성의 모든 조건들 없이 보편적으로 적용되기 때문이고, 그 개념들이, 그 개념들이 경험에 근거되지 않기 때문에, 또한 직관 안에서 선험적으로 어떠한 객체도 제시할 수 없고, 그로부터 그 개념들이 모든 경험에 대해 그 개념들의 종합을 근거짓고, 그런 이유로 오로지 그것의 객관적 정당성과 사용의 한계들에만 말미암아 의심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또한 공간의 이러한 개념으로 말미암아 애매하게 만들고, 그를 통하여, 그 개념들이 공간에 감각적 직관의 조건들에 대해 사용하는 쪽으로 기울어지고, 그 때문에 또한 위에서 공간에 대해 초월론적 연역이 필요했다.
→ 반면에 순수 지성개념들과 함께 오로지 그 개념들 자체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또한 공간에 대한 초월론적 연역도 시도해야 하는 불가피한 필요가 발생한다. 왜냐하면, 대상들에 대해 그 순수 지성개념들이 직관과 감성의 술어들을 통해서가 아니라, 오히려 순수 사유의 술어들을 통하여 선험적으로 진술하므로, 그 순수 지성개념들 자체가 대상들에 감성의 모든 조건들 없이 보편적으로 적용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개념들이 경험에 근거되지 않기 때문에 또한 직관 안에서 선험적으로, 그로부터 그 개념들이 모든 경험에 대해 그 개념들의 종합을 근거짓는 어떠한 객체도 제시할 수 없다. 그런 이유로 오로지 그 개념들의 객관적 정당성과 사용의 한계들에만 말미암아 의심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또한 그를 통하여 그 개념들이 공간에 감각적 직관의 조건들을 뛰어넘어 사용하는 경향을 보이며, 그 때문에 또한 위에서 공간에 대해 초월론적 연역이 필요했던 공간의 이러한 개념으로 말미암아 애매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蟲-
Allein eine Deduktion der reinen Begriffe a priori kommt dadurch niemals zu Stande, denn sie liegt ganz und gar nicht auf diesem Wege, weil in Ansehung ihres künftigen Gebrauchs, der von der Erfahrung gänzlich unabhängig sein soll, sie einen ganz andern Geburtsbrief, als den der Abstammung von Erfahrungen, müssen aufzuzeigen haben. Diese versuchte physiologische Ableitung, die eigentlich gar nicht Deduktion heißen kann, weil sie eine quaestionem facti betrifft, will ich daher die Erklärung des Besitzes einer reinen Erkenntnis nennen. Es ist also klar, daß von diesen allein es eine transzendentale Deduktion und keinesweges eine empirische geben könne, und daß letztere, in Ansehung der reinen Begriffe a priori, nichts als eitele Versuche sind, womit sich nur derjenige beschäftigen kann, welcher die ganz eigentümliche Natur dieser Erkenntnisse nicht begriffen hat.
→ 오로지 선험적인 순수 개념들의 연역만이 그를 통하여 결코 성립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 연역은 전혀 이러한 방식으로 놓이지 않기 때문이다. 경험에 대해 전적으로 독립적이어야 하는 그 방식의 장래의 사용의 고려 속에서, 그 경험은 경험으로부터의 혈통의 출생증명서와는 전혀 다른 출생증명서를 제시해야 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도된 생리학적 추론, 그것은 원래 전혀 연역이라 부를 수 없는데, 왜냐하면 그 추론이 사실의 연구들에 관계되기 때문이고, 나는 그런 이유로 순수 인식의 점유의 해명이라 부르고자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인식에 대해서는 오직 초월론적 연역만이 있을 수 있고 어떤 식으로든 경험적 연역은 있을 수 없다는 것, 그리고 후자는, 순수한 선험적 개념들의 고려 속에서, 그로써 그저 이러한 인식들의 전적으로 독특한 본성을 파악할 수 없었던 이러한 사람만이 몰두할 수 있을 뿐인 공허한 시도 외에 다른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은 분명하다.

Ob nun aber gleich die einzige Art einer möglichen Deduktion der reinen Erkenntnis a priori, nämlich die auf dem transzendentalen Wege eingeräumet wird, so erhellet dadurch doch eben nicht, daß sie so unumgänglich notwendig sei. Wir haben oben die Begriffe des Raumes und der Zeit, vermittelst einer transzendentalen Deduktion zu ihren Quellen verfolgt, und ihre objektive Gültigkeit a priori erklärt und bestimmt.
→ 이제 그러나 비록 순수한 선험적 인식의 가능한 연역의 유일한 방식, 즉 초월론적 방법으로의 연역이 용인된다 할지라도, 그래서 그를 통하여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방식이 그래서 불가피하게 필연적이리라는 것이 규명되지는 않는다.→ 우리는 위에서 공간과 시간의 개념들을 가지고 있고, 초월론적 연역에 따라서 그 개념들의 기원을 추적하였고, 그 개념들의 객관적 정당성을 선험적으로 해명하고 규정하였다.


Allein eine Deduktion der reinen Begriffe a priori kommt dadurch niemals zu Stande, denn sie liegt ganz und gar nicht auf diesem Wege, weil in Ansehung ihres künftigen Gebrauchs, der von der Erfahrung gänzlich unabhängig sein soll, sie einen ganz andern Geburtsbrief, als den der Abstammung von Erfahrungen, müssen aufzuzeigen haben.
오로지 선험적인 순수 개념들의 연역만이 그를 통하여 결코 성립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 연역은 전혀 이러한 방식으로 놓이지 않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그 방식의 장래의 사용의 고려 속에서, 그 사용이 경험에 대해 전적으로 독립적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 경험이 전혀 다른 출생증명서를, 경험으로부터의 혈통의 출생증명서와, 제시해야 할 수밖에 없는.
→ 오로지 선험적인 순수 개념들의 연역만이 그를 통하여 결코 성립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 연역은 전혀 이러한 방식으로 놓이지 않기 때문이다. 경험에 대해 전적으로 독립적이어야 하는 그 방식의 장래의 사용의 고려 속에서, 그 경험은 경험으로부터의 혈통의 출생증명서와는 전혀 다른 출생증명서를 제시해야 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Diese versuchte physiologische Ableitung, die eigentlich gar nicht Deduktion heißen kann, weil sie eine quaestionem facti betrifft, will ich daher die Erklärung des Besitzes einer reinen Erkenntnis nennen.
이러한 시도된 생리학적 추론, 그것은 원래 전혀 연역이라 부를 수 없는데, 왜냐하면 그 추론이 사실의 연구들에 관계되기 때문이고, 나는 그런 이유로 순수 인식의 점유의 해명이라 부르고자 한다.
→ 이러한 시도된 생리학적 추론, 그것은 원래 전혀 연역이라 부를 수 없는데, 왜냐하면 그 추론이 사실의 연구들에 관계되기 때문이고, 나는 그런 이유로 순수 인식의 점유의 해명이라 부르고자 한다.
Es ist also klar, daß von diesen allein es eine transzendentale Deduktion und keinesweges eine empirische geben könne, und daß letztere, in Ansehung der reinen Begriffe a priori, nichts als eitele Versuche sind, womit sich nur derjenige beschäftigen kann, welcher die ganz eigentümliche Natur dieser Erkenntnisse nicht begriffen hat.
그러므로 분명하다, 이러한 인식에 대해서 오로지 초월론적 연역만이 있을 수 있고 어떤 식으로든 경험적 연역은 있을 수 없다는 것, 그리고 후자는, 순수한 선험적 개념들의 고려 속에서, 공허한 시도 외에 다른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 그로써 그저 이러한 사람만이 몰두할 수 있을 뿐인, 이러한 인식들의 전적으로 독특한 본성을 파악할 수 없었던.
→ 그러므로 이러한 인식에 대해서는 오직 초월론적 연역만이 있을 수 있고 어떤 식으로든 경험적 연역은 있을 수 없다는 것, 그리고 후자는, 순수한 선험적 개념들의 고려 속에서, 그로써 그저 이러한 인식들의 전적으로 독특한 본성을 파악할 수 없었던 이러한 사람만이 몰두할 수 있을 뿐인 공허한 시도 외에 다른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은 분명하다.

Ob nun aber gleich die einzige Art einer möglichen Deduktion der reinen Erkenntnis a priori, nämlich die auf dem transzendentalen Wege eingeräumet wird, so erhellet dadurch doch eben nicht, daß sie so unumgänglich notwendig sei.
이제 그러나 비록 순수한 선험적 인식의 가능한 연역의 유일한 방식, 즉 초월론적 방법으로의 연역이 용인된다 할지라도, 그래서 그를 통하여 그럼에도 불구하고 규명되지는 않는다, 그 방식이 그래서 불가피하게 필연적이리라는 것이.
→ 이제 그러나 비록 순수한 선험적 인식의 가능한 연역의 유일한 방식, 즉 초월론적 방법으로의 연역이 용인된다 할지라도, 그래서 그를 통하여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방식이 그래서 불가피하게 필연적이리라는 것이 규명되지는 않는다.
Wir haben oben die Begriffe des Raumes und der Zeit, vermittelst einer transzendentalen Deduktion zu ihren Quellen verfolgt, und ihre objektive Gültigkeit a priori erklärt und bestimmt.
우리는 위에서 공간과 시간의 개념들을 가지고 있고, 초월론적 연역에 따라서 그 개념들의 기원을 추적하였고, 그 개념들의 객관적 정당성을 선험적으로 해명하고 규정하였다.
→ 우리는 위에서 공간과 시간의 개념들을 가지고 있고, 초월론적 연역에 따라서 그 개념들의 기원을 추적하였고, 그 개념들의 객관적 정당성을 선험적으로 해명하고 규정하였다.

-蟲-
Wir haben jetzt schon zweierlei Begriffe von ganz verschiedener Art, die doch darin mit einander übereinkommen, daß sie beiderseits völlig a priori sich auf Gegenstände beziehen, nämlich, die Begriffe des Raumes und der Zeit, als Formen der Sinnlichkeit, und die Kategorien, als Begriffe des Verstandes. Von ihnen eine empirische Deduktion versuchen wollen, würde ganz vergebliche Arbeit sein; weil eben darin das Unterscheidende ihrer Natur liegt, daß sie sich auf ihre Gegenstände beziehen, ohne etwas zu deren Vorstellung aus der Erfahrung entlehnt zu haben. Wenn also eine Deduktion derselben nötig ist, so wird sie jederzeit transzendental sein müssen.
→ 우리는 이제 이미 전적으로 상이한 방식에 대한 두 가지 개념들을 가진다. 그 개념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개념들이 쌍방에 완전히 선험적으로 대상들에 적용된다는 점에서 상호간에 부합한다. 즉, 그 개념들은 감성의 형식으로서 공간과 시간의 개념들, 그리고 지성의 개념들로서 범주들이다.→ 그 개념들에 대해 경험적 연역을 시도하고자 하는 것은 전적으로 쓸데없는 일이 될 것이다; 왜냐하면 경험으로부터 그것들의 표상에 대한 어떤 것을 차용해 옴이 없이 그 개념들이 그것들의 대상들에 적용된다는 그 점에 그것의 특수한 본성이 자리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것의 연역이 필연적일 때, 그래서 그것은 언제나 초월론적이어야만 할 것이다.

Indessen kann man von diesen Begriffen, wie von allem Erkenntnis, wo nicht das Principium ihrer Möglichkeit, doch die Gelegenheitsursachen ihrer Erzeugung in der Erfahrung aufsuchen, wo alsdenn die Eindrücke der Sinne den ersten Anlaß geben, die ganze Erkenntniskraft in Ansehung ihrer zu eröffnen, und Erfahrung zu Stande zu bringen, die zwei sehr ungleichartige Elemente enthält, nämlich eine Materie zur Erkenntnis aus den Sinnen, und eine gewisse Form, sie zu ordnen, aus dem innern Quell des reinen Anschauens und Denkens, die, bei Gelegenheit der ersteren, zuerst in Ausübung gebracht werden, und Begriffe hervorbringen. Ein solches Nachspüren der ersten Bestrebungen unserer Erkenntniskraft, um von einzelnen Wahrnehmungen zu allgemeinen Begriffen zu steigen, hat ohne Zweifel seinen großen Nutzen, und man hat es dem berühmten Locke zu verdanken, daß er dazu zuerst den Weg eröffnet hat.
→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이러한 개념들에 대해서, 모든 인식에 대해서와 마찬가지로, 그것의 가능성의 원칙이 아니라 하더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개념들의 산출의 계기원인들을 경험에서 발견할 수 있다. 그 경험에서 그리하여 감각의 인상들은 전체 인식능력이 그와 함께 시작하는, 그리고 경험을 성립시키는 첫번째 기회를 부여한다. 그 경험은 두 가지 매우 다른 요소를 포함한다. 즉 감각으로부터 인식을 위한 질료를 포함하고, 순수 직관과 사유의 내적 원천으로부터 질서지우는 확실한 형식을 포함한다. 그 직관과 사유가 첫번째 계기와 함께 처음으로 실행에 사용되고 개념들을 산출해낸다.→ 개별적인 지각들로부터 보편적인 개념들로 올라가기 위한 우리의 인식능력의 첫번째 기획들의 그러한 탐색은 의심할 바 없이 그것의 커다란 이익을 지니고, 사람들은 처음으로 그 길을 열었다는 것을 저 유명한 로크에게 빚진다.


Wir haben jetzt schon zweierlei Begriffe von ganz verschiedener Art, die doch darin mit einander übereinkommen, daß sie beiderseits völlig a priori sich auf Gegenstände beziehen, nämlich, die Begriffe des Raumes und der Zeit, als Formen der Sinnlichkeit, und die Kategorien, als Begriffe des Verstandes.
우리는 이제 이미 전적으로 상이한 방식에 대한 두 가지 개념들을 가진다, 그 개념들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안에서 상호간에 부합하는, 그 개념들이 쌍방에 완전히 선험적으로 대상들에 적용되는, 즉, 그 공간과 시간의 개념들을, 감성의 형식으로서, 그리고 범주들을, 지성의 개념들로서.
→ 우리는 이제 이미 전적으로 상이한 방식에 대한 두 가지 개념들을 가진다. 그 개념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개념들이 쌍방에 완전히 선험적으로 대상들에 적용된다는 점에서 상호간에 부합한다. 즉, 그 개념들은 감성의 형식으로서 공간과 시간의 개념들, 그리고 지성의 개념들로서 범주들이다.
Von ihnen eine empirische Deduktion versuchen wollen, würde ganz vergebliche Arbeit sein; weil eben darin das Unterscheidende ihrer Natur liegt, daß sie sich auf ihre Gegenstände beziehen, ohne etwas zu deren Vorstellung aus der Erfahrung entlehnt zu haben.
그 개념들에 대해 경험적 연역을 시도하고자 하는 것은, 전적으로 쓸데없는 일이 될 것이다; 왜냐하면 다만 그 안에서 그것의 본성에 구별하는 것 , 그 개념들이 그것들의 대상들에 적용된다는, 경험으로부터 그것들의 표상에 대한 어떤 것을 차용해 옴이 없이.
→ 그 개념들에 대해 경험적 연역을 시도하고자 하는 것은 전적으로 쓸데없는 일이 될 것이다; 왜냐하면 경험으로부터 그것들의 표상에 대한 어떤 것을 차용해 옴이 없이 그 개념들이 그것들의 대상들에 적용된다는 그 점에 그것의 특수한 본성이 자리하기 때문이다.
Wenn also eine Deduktion derselben nötig ist, so wird sie jederzeit transzendental sein müssen.
그러므로 그것의 연역이 필연적일 때, 그래서 그것은 언제나 초월론적이어야만 할 것이다.
→ 그러므로 그것의 연역이 필연적일 때, 그래서 그것은 언제나 초월론적이어야만 할 것이다.

Indessen kann man von diesen Begriffen, wie von allem Erkenntnis, wo nicht das Principium ihrer Möglichkeit, doch die Gelegenheitsursachen ihrer Erzeugung in der Erfahrung aufsuchen, wo alsdenn die Eindrücke der Sinne den ersten Anlaß geben, die ganze Erkenntniskraft in Ansehung ihrer zu eröffnen, und Erfahrung zu Stande zu bringen, die zwei sehr ungleichartige Elemente enthält, nämlich eine Materie zur Erkenntnis aus den Sinnen, und eine gewisse Form, sie zu ordnen, aus dem innern Quell des reinen Anschauens und Denkens, die, bei Gelegenheit der ersteren, zuerst in Ausübung gebracht werden, und Begriffe hervorbringen.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이러한 개념들에 대해서, 모든 인식에 대해서와 마찬가지로, 그것의 가능성의 원칙이 아니라 하더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개념들의 산출의 계기원인들을 경험에서 발견할 수 있다, 거기에서 그리하여 감각의 인상들은 첫번째 기회를 부여한다, 전체 인식능력이 그와 함께 시작하는, 그리고 경험을 성립시키는, 그것은 두 가지 매우 다른 요소를 포함한다, 즉 감각으로부터 인식을 위한 질료를, 그리고 확실한 형식을, 그 형식이 질서지우는, 순수 직관과 사유의 내적 원천으로부터, 그것이, 전자의 계기에 있어서, 처음으로 실행에 사용되는, 그리고 개념들을 산출해내는.
→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이러한 개념들에 대해서, 모든 인식에 대해서와 마찬가지로, 그것의 가능성의 원칙이 아니라 하더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개념들의 산출의 계기원인들을 경험에서 발견할 수 있다. 그 경험에서 그리하여 감각의 인상들은 전체 인식능력이 그와 함께 시작하는, 그리고 경험을 성립시키는 첫번째 기회를 부여한다. 그 경험은 두 가지 매우 다른 요소를 포함한다. 즉 감각으로부터 인식을 위한 질료를 포함하고, 순수 직관과 사유의 내적 원천으로부터 질서지우는 확실한 형식을 포함한다. 그 직관과 사유가 첫번째 계기와 함께 처음으로 실행에 사용되고 개념들을 산출해낸다.
Ein solches Nachspüren der ersten Bestrebungen unserer Erkenntniskraft, um von einzelnen Wahrnehmungen zu allgemeinen Begriffen zu steigen, hat ohne Zweifel seinen großen Nutzen, und man hat es dem berühmten Locke zu verdanken, daß er dazu zuerst den Weg eröffnet hat.
우리의 인식능력의 첫번째 기획들의 그러한 탐색은, 개별적인 지각들로부터 보편적인 개념들로 올라가기 위하여, 그것의 커다란 이익을 의심 없이 지니고, 사람들은 그것을 저 유명한 로크에게 빚진다, 그가 그에 대해 처음으로 그 길을 열었던.
→ 개별적인 지각들로부터 보편적인 개념들로 올라가기 위한 우리의 인식능력의 첫번째 기획들의 그러한 탐색은 의심할 바 없이 그것의 커다란 이익을 지니고, 사람들은 처음으로 그 길을 열었다는 것을 저 유명한 로크에게 빚진다.

-蟲-
Es gibt indessen auch usurpierte Begriffe, wie etwa Glück, Schicksal, die zwar mit fast allgemeiner Nachsicht herumlaufen, aber doch bisweilen durch die Frage: quid juris, in Ansrpuch genommen werden, da man alsdenn wegen der Deduktion derselben in nicht geringe Verlegenheit gerät, indem man keinen deutlichen Rechtsgrund weder aus der Erfahrung, noch der Vernunft anführen kann, dadurch die Befugnis ihres Gebrauchs deutlich würde.
→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한, 어떤 운수, 운명과 같은 찬탈된 개념들이 있다. 그 개념들은 더욱이 거의 보편적인 검열을 피해 다닌다. 하지만 그럼에도 때때로 무엇이 정의인가 하는 물음을 통해 검열을 요구받고, 그리하여 사람들이 바로 그 개념들의 연역으로 말미암아 경미한 곤경에조차 빠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사람들이 어떠한 명백한 권리근거도 경험으로부터든 이성으로부터든 제시할 수 없기 때문이고, 그를 통하여 그 개념의 사용의 권한은 명백해질 것이다.
Unter den mancherlei Begriffen aber, die das sehr wermischte Gewebe der menschlichen Erkenntnis ausmachen, gibt es einige, die auch zum reinen Gebrauch a priori (völlig unabhängig von aller Erfahrung) bestimmt sind, und dieser ihre Befugnis bedarf jederzeit einer Deduktion; weil zu der Rechtmäßigkeit eines solchen Gebrauchs Beweise aus der Erfahrung nicht hinreichend sind, man aber doch wissen muß, wie diese Begriffe sich auf Objekte beziehen können, die sie doch aus keiner Erfahrung hernehmen. Ich nenne daher die Erklärung der Art, wie sich Begriffe a priori auf Gegenstände beziehen können, die transzendentale Deduktion derselben, und unterscheide sie von der empirischen Deduktion, welche die Art anzeigt, wie ein Begriff durch Erfahrung und Reflexion über dieselbe erworben worden, und daher nicht die Rechtmäßigkeit, sondern das Factum betrifft, wodurch der Besitz entsprungen.
→ 그러나 인간 인식의 매우 혼잡한 작업을 형성하는 여러가지 개념들 아래에서, 또한 그것들이 순수한 선험적 사용으로 (모든 경험들에 대해 완전히 독립적으로) 규정되는, 그리고 이러한 그 개념들의 권한이 언제나 연역을 필요로 하는 몇몇의 개념들이 있다; 왜냐하면 그러한 사용의 정당성에 대해 경험으로부터의 방식은 충분치 않고, 그러나 사람들은 그럼에도, 어떻게 어떠한 경험으로부터도 대상을 취하지 않는 이러한 개념들이 대상에 적용될 수 있는지 알아야만 하기 때문이다.→ 그런 이유에서 나는, 어떻게 선험적 개념 자체가 대상들에 적용될 수 있는지 그 방식의 해명을, 그 개념들의 초월론적 연역이라고 명명하며, 그 연역을, 어떻게 한 개념이 경험과 반성을 통해 이와 같은 대상들에 대해 취득되는지 그 방식을 가리키는, 그리고 그런 이유에서 정당성이 아니라, 오히려 그를 통하여 점유가 일어나는 행위에 관계하는 감각경험적 연역과 구분한다.


Es gibt indessen auch usurpierte Begriffe, wie etwa Glück, Schicksal, die zwar mit fast allgemeiner Nachsicht herumlaufen, aber doch bisweilen durch die Frage: quid juris, in Ansrpuch genommen werden, da man alsdenn wegen der Deduktion derselben in nicht geringe Verlegenheit gerät, indem man keinen deutlichen Rechtsgrund weder aus der Erfahrung, noch der Vernunft anführen kann, dadurch die Befugnis ihres Gebrauchs deutlich würde.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한 찬탈된 개념들이 있다, 어떤 운수, 운명과 같은, 그 개념들은 더욱이 거의 보편적인 검열을 피해 다닌다, 하지만 그럼에도 때때로 무엇이 정의인가 하는 물음을 통해 요구받는다, 그리하여 사람들이 바로 그 개념들의 연역으로 말미암아 경미한 곤경에조차 빠지지 않는다, 사람들이 어떠한 명백한 권리근거도 경험으로부터든 이성으로부터든 제시할 수 없기 때문에, 그를 통하여 그 개념의 사용의 권한은 명백해질 것이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한, 어떤 운수, 운명과 같은 찬탈된 개념들이 있다. 그 개념들은 더욱이 거의 보편적인 검열을 피해 다닌다. 하지만 그럼에도 때때로 무엇이 정의인가 하는 물음을 통해 검열을 요구받고, 그리하여 사람들이 바로 그 개념들의 연역으로 말미암아 경미한 곤경에조차 빠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사람들이 어떠한 명백한 권리근거도 경험으로부터든 이성으로부터든 제시할 수 없기 때문이고, 그를 통하여 그 개념의 사용의 권한은 명백해질 것이다.

Unter den mancherlei Begriffen aber, die das sehr vermischte Gewebe der menschlichen Erkenntnis ausmachen, gibt es einige, die auch zum reinen Gebrauch a priori (völlig unabhängig von aller Erfahrung) bestimmt sind, und dieser ihre Befugnis bedarf jederzeit einer Deduktion; weil zu der Rechtmäßigkeit eines solchen Gebrauchs Beweise aus der Erfahrung nicht hinreichend sind, man aber doch wissen muß, wie diese Begriffe sich auf Objekte beziehen können, die sie doch aus keiner Erfahrung hernehmen.
그러나 여러가지 개념들 아래에서, 그 개념들이 인간 인식의 매우 혼잡한 작업을 형성하는, 몇몇의 개념들이 있다, 또한 그것들이 순수한 선험적 사용으로 (모든 경험들에 대해 완전히 독립적인) 규정되는, 그리고 이러한 그 개념들의 권한이 언제나 연역을 필요로 하는; 왜냐하면 그러한 사용의 정당성에 대해 경험으로부터의 방식은 충분치 않고, 그러나 사람들은 그럼에도 알아야만 하기 때문이다, 어떻게 이러한 개념들이 대상에 적용될 수 있는지, 그 개념들이 대상을 어떠한 경험으로부터도 가져오지 않는.
→ 그러나 인간 인식의 매우 혼잡한 작업을 형성하는 여러가지 개념들 아래에서, 또한 그것들이 순수한 선험적 사용으로 (모든 경험들에 대해 완전히 독립적으로) 규정되는, 그리고 이러한 그 개념들의 권한이 언제나 연역을 필요로 하는 몇몇의 개념들이 있다; 왜냐하면 그러한 사용의 정당성에 대해 경험으로부터의 방식은 충분치 않고, 그러나 사람들은 그럼에도, 어떻게 어떠한 경험으로부터도 대상을 취하지 않는 이러한 개념들이 대상에 적용될 수 있는지 알아야만 하기 때문이다.
Ich nenne daher die Erklärung der Art, wie sich Begriffe a priori auf Gegenstände beziehen können, die transzendentale Deduktion derselben, und unterscheide sie von der empirischen Deduktion, welche die Art anzeigt, wie ein Begriff durch Erfahrung und Reflexion über dieselbe erworben worden, und daher nicht die Rechtmäßigkeit, sondern das Factum betrifft, wodurch der Besitz entsprungen.
그런 이유에서 나는 그 방식의 해명을, 어떻게 선험적 개념 자체가 대상들에 적용될 수 있는지, 그 개념들의 초월론적 연역이라고 명명하며, 그 연역을 감각경험적 연역과 구분한다, 그러한 연역이 그 방식을 가리키는, 어떻게 한 개념이 경험과 반성을 통해 이와 같은 것들에 대해 취득되는지, 그리고 그런 이유에서 정당성이 아니라, 오히려 행위에 관계하는, 그를 통하여 점유가 발생하는.
→ 그런 이유에서 나는, 어떻게 선험적 개념 자체가 대상들에 적용될 수 있는지 그 방식의 해명을, 그 개념들의 초월론적 연역이라고 명명하며, 그 연역을, 어떻게 한 개념이 경험과 반성을 통해 이와 같은 대상들에 대해 취득되는지 그 방식을 가리키는, 그리고 그런 이유에서 정당성이 아니라, 오히려 그를 통하여 점유가 일어나는 행위에 관계하는 감각경험적 연역과 구분한다.

-蟲-
Der Analytik der Begriffe
Zweites Hauptstück
개념의 분석
제 2 부문
Von der Deduktion der reinen Verstandesbegriffe
순수 지성개념들의 연역에 대하여
Erster Abschnitt
제 1장
§ 13. Von den Prinzipien einer transzendentalen Deduktion überhaupt
§ 13. 초월론적 연역 일반의 원칙들에 대하여

Die Rechtslehrer, wenn sie von Befugnissen und Anmaßungen reden, unterscheiden in einem Rechtshandel die Frage über das, was Rechtens ist, (quid juris) von der, die die Tatsache angeht, (quid facti) und indem sie von beiden Beweis fordern, so nennen sie den erstern, der die Befugnis, oder auch den Rechtsanspruch dartun soll, die Deduktion. Wir bedienen uns einer Menge empirischer Begriffe ohne jemandes Widerrede, und halten uns auch ohne Deduktion berechtigt, ihnen einen Sinn und eingebildete Bedeutung zuzueignen, weil wir jederzeit die Erfahrung bei der Hand haben, ihre objektive Realität zu beweisen.
→ 법학자들은, 그들이 권한들과 월권에 대해서 말할 때, 소송에 있어서 정당한 것(ius, iuris. 법에 속하는 것)에 대한 물음을 사실과 관계있는(사건에 속하는 것) 물음과 구별하고, 그들이 양자에 대해 증명을 요구함으로써, 그들은 권한을, 혹은 권리주장을 내놓아야 하는 전자를 연역이라고 명명한다.→ 우리는 상당수의 경험적 개념들을 누구의 이의도 없이 사용하고, 또한 그 개념들에 의미와 상상된 의의를 바치는 정당화된 연역 없이 견지한다. 왜냐하면 우리는 언제나 그 개념들의 객관적 실재성을 입증하는 경험을 손안에 지니기 때문이다.

Die Rechtslehrer, wenn sie von Befugnissen und Anmaßungen reden, unterscheiden in einem Rechtshandel die Frage über das, was Rechtens ist, (quid juris) von der, die die Tatsache angeht, (quid facti) und indem sie von beiden Beweis fordern, so nennen sie den erstern, der die Befugnis, oder auch den Rechtsanspruch dartun soll, die Deduktion.
법학자들은, 그들이 권한들과 월권에 대해서 말할 때, 소송에서의 그것에 대한 물음을 구별한다, 정당한 것, (ius, iuris. 법에 속하는 것) 그것과, 사실과 관계있는 물음, (사건에 속하는 것) 그리고 그들이 양자에 대해 증명을 요구함으로써, 그들은 전자를 이름한다, 그것이 권한을, 혹은 권리주장을 내놓아야 하는, 연역이라고.
→ 법학자들은, 그들이 권한들과 월권에 대해서 말할 때, 소송에 있어서 정당한 것(ius, iuris. 법에 속하는 것)에 대한 물음을 사실과 관계있는(사건에 속하는 것) 물음과 구별하고, 그들이 양자에 대해 증명을 요구함으로써, 그들은 권한을, 혹은 권리주장을 내놓아야 하는 전자를 연역이라고 명명한다.
Wir bedienen uns einer Menge empirischer Begriffe ohne jemandes Widerrede, und halten uns auch ohne Deduktion berechtigt, ihnen einen Sinn und eingebildete Bedeutung zuzueignen, weil wir jederzeit die Erfahrung bei der Hand haben, ihre objektive Realität zu beweisen.
우리는 상당수의 경험적 개념들을 누구의 이의도 없이 사용하고, 견지한다 또한 정당화된 연역 없이, 그 개념들에 의미와 상상된 의의를 바치는, 왜냐하면 우리는 언제나 경험을 손안에 지니기 때문이다, 그 개념들의 객관적 실재성을 입증하는.
→ 우리는 상당수의 경험적 개념들을 누구의 이의도 없이 사용하고, 또한 그 개념들에 의미와 상상된 의의를 바치는 정당화된 연역 없이 견지한다. 왜냐하면 우리는 언제나 그 개념들의 객관적 실재성을 입증하는 경험을 손안에 지니기 때문이다.

-蟲-

Wir werden also die reinen Begriffe bis zu ihren ersten Keimen und Anlagen im menschlichen Verstande verfolgen, in denen sie vorbereitet liegen, bis sie endlich bei Gelegenheit der Erfahrung entwickelt und durch eben denselben Verstand, von den ihnen anhängenden empirischen Bedingungen befreiet, in ihrer Lauterkeit dargestellt werden.

→ 그러므로 우리는 순수 개념들을 그 발단들 안에 준비되어 있는 개념들이 결국 경험을 계기로 전개되고 개념들에 부수하는 경험적 조건들을 제거한 바로 그와 같은 지성을 통하여 그 개념들의 순수성에서 묘사될 때까지 그 개념들의 최초 기원과 발단까지 인간 지성 안에서 추적할 것이다.

 

Der Analytik der Begriffe

개념의 분석학

Erstes Hauptstück

제 1 부문

Von den Leitfaden der Entdeckung aller reinen Verstandesbegriffe

모든 순수지성개념들을 발견할 실마리에 대하여

 

Wenn man ein Erkenntnisvermögen ins Spiel setzt, so tun sich, nach den mancherlei Anlässen, verschiedene Begriffe hervor, die dieses Vermögen kennbar machen und sich in einem mehr oder weniger ausführlichen Aufsatz sammeln lassen, nachdem die Beobachtung derselben längere Zeit, oder mit größerer Scharfsinnigkeit angestellt worden. Wo diese Untersuchung werde vollendet sein, läßt sich, nach diesem gleichsam mechanischen Verfahren, niemals mit Sicherheit bestimmen. Auch entdecken sich die Begriffe, die man nur so bei Gelegenheit auffindet, in keiner Ordnung und systematischen Einheit, sondern werden zuletzt nur nach Ähnlichkeiten gepaart und nach der Größe ihres Inhalts, von den einfachen an, zu den mehr zusammengesetzten, in Reihen gestellt, die nichts weniger als systematisch, obgleich auf gewisse Weise methodisch zu Stande gebracht werden.

→ 사람들이 인식능력을 여러가지 계기들에 따라 시도해 볼 때 상이한 개념들이 드러난다. 그 개념들을 이러한 능력이 오랜 시간, 혹은 대단한 예리함을 가지고 관찰이 시도된 뒤에 가지(可知)적으로 만들고 그 자체로 다소간 상세한 논고 안에서 모으도록 한다.→ 이러한 말하자면 기계적인 방식에 따라서 이러한 조사가 어디에서 완수될 것인가는 전혀 확실하게 정하도록 하지 않는다.→ 또한 사람들이 단지 그러한 기회에 발견한 개념들은 어떠한 질서나 체계적 통일에서도 드러나지 않고, 오히려 결국에는 단지 유사점들에 따라 결합되고 그 개념들의 내용의 크기에 따라, 단순한 것으로부터 더 복합적인 것에까지, 줄 세워진다. 비록 확실한 방식에서 방법적으로 성취된다 할지라도 그 줄은 전혀 체계적이지 않다.

 

 

Wir werden also die reinen Begriffe bis zu ihren ersten Keimen und Anlagen im menschlichen Verstande verfolgen, in denen sie vorbereitet liegen, bis sie endlich bei Gelegenheit der Erfahrung entwickelt und durch eben denselben Verstand, von den ihnen anhängenden empirischen Bedingungen befreiet, in ihrer Lauterkeit dargestellt werden.

그러므로 우리는 순수 개념들을 그 개념들의 최초 기원과 발단까지 인간 지성 안에서 추적할 것이다, 그 발단들 안에 개념들이 준비되어 있는, 그 개념들이 결국 경험을 계기로 전개되고 바로 그와 같은 지성을 통하여, 그 지성으로부터 개념들에 부수하는 경험적 조건들을 제거한, 그 개념들의 순수성에서 묘사될 때까지.

→ 그러므로 우리는 순수 개념들을 그 발단들 안에 준비되어 있는 개념들이 결국 경험을 계기로 전개되고 개념들에 부수하는 경험적 조건들을 제거한 바로 그와 같은 지성을 통하여 그 개념들의 순수성에서 묘사될 때까지 그 개념들의 최초 기원과 발단까지 인간 지성 안에서 추적할 것이다.

 

Der Analytik der Begriffe

개념들의 분석학

Erstes Hauptstück

제 1 부문

Von den Leitfaden der Entdeckung aller reinen Verstandesbegriffe

모든 순수 지성 개념들의 발견의 실마리에 대하여

 

Wenn man ein Erkenntnisvermögen ins Spiel setzt, so tun sich, nach den mancherlei Anlässen, verschiedene Begriffe hervor, die dieses Vermögen kennbar machen und sich in einem mehr oder weniger ausführlichen Aufsatz sammeln lassen, nachdem die Beobachtung derselben längere Zeit, oder mit größerer Scharfsinnigkeit angestellt worden.

사람들이 인식능력을 시도해 볼 때, 여러가지 계기들에 따라, 상이한 개념들이 드러난다, 그 개념들을 이러한 능력이 가지(可知)적으로 만들고 그 자체로 다소간 상세한 논고 안에서 모으도록 하는, 관찰이 그와 같은 것을 오랜 시간, 혹은 대단한 예리함을 가지고 시도된 뒤에.

→ 사람들이 인식능력을 여러가지 계기들에 따라 시도해 볼 때 상이한 개념들이 드러난다. 그 개념들을 이러한 능력이 오랜 시간, 혹은 대단한 예리함을 가지고 관찰이 시도된 뒤에 가지(可知)적으로 만들고 그 자체로 다소간 상세한 논고 안에서 모으도록 한다.

Wo diese Untersuchung werde vollendet sein, läßt sich, nach diesem gleichsam mechanischen Verfahren, niemals mit Sicherheit bestimmen.

이러한 조사가 어디에서 완수될 것인가, 이러한 말하자면 기계적인 방식에 따라서, 전혀 확실하게 정하도록 하지 않는다.

→ 이러한 말하자면 기계적인 방식에 따라서 이러한 조사가 어디에서 완수될 것인가는 전혀 확실하게 정하도록 하지 않는다.

Auch entdecken sich die Begriffe, die man nur so bei Gelegenheit auffindet, in keiner Ordnung und systematischen Einheit, sondern werden zuletzt nur nach Ähnlichkeiten gepaart und nach der Größe ihres Inhalts, von den einfachen an, zu den mehr zusammengesetzten, in Reihen gestellt, die nichts weniger als systematisch, obgleich auf gewisse Weise methodisch zu Stande gebracht werden.

또한 개념들은 드러난다, 그 개념들을 사람들이 단지 그러한 기회에 발견한, 어떠한 질서나 체계적 통일에서도 아니고, 오히려 결국에는 단지 유사점들에 따라 결합되고 그 개념들의 내용의 크기에 따라, 단순한 것으로부터, 더 복합적인 것에까지, 줄 세워진다, 그 줄은 전혀 체계적이지 않다, 비록 확실한 방식에서 방법적으로 성취된다 할지라도.

→ 또한 사람들이 단지 그러한 기회에 발견한 개념들은 어떠한 질서나 체계적 통일에서도 드러나지 않고, 오히려 결국에는 단지 유사점들에 따라 결합되고 그 개념들의 내용의 크기에 따라, 단순한 것으로부터 더 복합적인 것에까지, 줄 세워진다. 비록 확실한 방식에서 방법적으로 성취된다 할지라도 그 줄은 전혀 체계적이지 않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