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eichwohl geht die Geometrie ihren sichern Schritt durch lauter Erkenntnisse a priori, ohne daß sie sich, wegen der reinen und gesetzmäßigen Abkunft ihres Grundbegriffs vom Raume, von der Philosophie einen Beglaubigungsschein erbitten darf. Allein der Gebrauch des Begriffs geht in dieser Wissenschaft auch nur auf die äußere Sinnenwelt, von welcher der Raum die reine Form ihrer Anschauung ist, in welcher also alle geometrische Erkenntnis, weil sie sich auf Anschauung a priori gründet, unmittelbare Evidenz hat, und die Gegenstände durch die Erkenntnis selbst, a priori (der Form nach) in der Anschauung, gegeben werden. Dagegen fängt mit den reinen Verstandesbegriffen die unumgängliche Bedürfnis an, nicht allein von ihnen selbst, sondern auch vom Raum die transzendentale Deduktion zu suchen, weil, da sie von Gegenständen nicht durch Prädikate der Anschauung und der Sinnlichkeit, sondern des reinen Denkens a priori redet, sie sich auf Gegenstände ohne alle Bedingungen der Sinnlichkeit allgemein beziehen, und die, da sie nicht auf Erfahrung gegründet sind, auch in der Anschauung a priori kein Objekt vorzeigen können, worauf sie vor aller Erfahrung ihre Synthesis gründeten, und daher nicht allein wegen der objektiven Gültigkeit und Schranken ihres Gebrauchs Verdacht erregen, sondern auch jenen Begriff des Raumes zweideutig machen, dadurch, daß sie ihn über die Bedingungen der sinnlichen Anschauung zu gebrauchen geneigt sind, weshalb auch oben von ihm eine transzendentale Deduktion von nöten war.
→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하학은 기하학 스스로, 그 기하학의 공간에 대한 근본개념의 순수하고 정당한 출신으로 말미암아, 철학으로부터 증명서를 청구할 필요 없이 순수한 선험적 인식들을 통하여 그 학문의 안전한 길을 간다.→ 오로지  개념 사용만이 이러한 학문 안에서 또한 단지 그 외부 감각세계로 나아간다. 그러한 감각세계에 대해 공간이 그 감각세계의 직관의 순수한 형식이고, 그 감각세계 안에서 그러므로 모든 기하학적 인식이, 그 인식 자체가 선험적으로 직관에 근거하기 때문에, 직접적인 증거를 지니고, 대상들이 인식 자체를 통해 직관 안에서 선험적으로 (형식에 따라) 주어진다.→ 반면에 순수 지성개념들과 함께 오로지 그 개념들 자체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또한 공간에 대한 초월론적 연역도 시도해야 하는 불가피한 필요가 발생한다. 왜냐하면, 대상들에 대해 그 순수 지성개념들이 직관과 감성의 술어들을 통해서가 아니라, 오히려 순수 사유의 술어들을 통하여 선험적으로 진술하므로, 그 순수 지성개념들 자체가 대상들에 감성의 모든 조건들 없이 보편적으로 적용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개념들이 경험에 근거되지 않기 때문에 또한 직관 안에서 선험적으로, 그로부터 그 개념들이 모든 경험에 대해 그 개념들의 종합을 근거짓는 어떠한 객체도 제시할 수 없다. 그런 이유로 오로지 그 개념들의 객관적 정당성과 사용의 한계들에만 말미암아 의심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또한 그를 통하여 그 개념들이 공간에 감각적 직관의 조건들을 뛰어넘어 사용하는 경향을 보이며, 그 때문에 또한 위에서 공간에 대해 초월론적 연역이 필요했던 공간의 이러한 개념으로 말미암아 애매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Gleichwohl geht die Geometrie ihren sichern Schritt durch lauter Erkenntnisse a priori, ohne daß sie sich, wegen der reinen und gesetzmäßigen Abkunft ihres Grundbegriffs vom Raume, von der Philosophie einen Beglaubigungsschein erbitten darf.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하학은 그 안전한 길을 순수한 선험적 인식들을 통하여 간다, 기하학 스스로, 그 기하학의 공간에 대한 근본개념의 순수하고 정당한 출신으로 말미암아, 철학으로부터 증명서를 청구할 필요 없이.
→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하학은 기하학 스스로, 그 기하학의 공간에 대한 근본개념의 순수하고 정당한 출신으로 말미암아, 철학으로부터 증명서를 청구할 필요 없이 순수한 선험적 인식들을 통하여 그 학문의 안전한 길을 간다.
Allein der Gebrauch des Begriffs geht in dieser Wissenschaft auch nur auf die äußere Sinnenwelt, von welcher der Raum die reine Form ihrer Anschauung ist, in welcher also alle geometrische Erkenntnis, weil sie sich auf Anschauung a priori gründet, unmittelbare Evidenz hat, und die Gegenstände durch die Erkenntnis selbst, a priori (der Form nach) in der Anschauung, gegeben werden.
오로지 개념 사용만이 이러한 학문 안에서 또한 단지 그 외부 감각세계에 간다, 그러한 감각세계에 대해 공간이 그 감각세계의 직관의 순수한 형식이고, 그 감각세계 안에서 그러므로 모든 기하학적 인식이, 왜냐하면 그 인식 자체가 선험적으로 직관에 근거하기 때문에, 직접적인 증거를 지니고, 대상들이 인식 자체를 통해, 선험적으로 (형식에 따라) 직관 안에서, 주어진다.
→ 오로지  개념 사용만이 이러한 학문 안에서 또한 단지 그 외부 감각세계로 나아간다. 그러한 감각세계에 대해 공간이 그 감각세계의 직관의 순수한 형식이고, 그 감각세계 안에서 그러므로 모든 기하학적 인식이, 그 인식 자체가 선험적으로 직관에 근거하기 때문에, 직접적인 증거를 지니고, 대상들이 인식 자체를 통해 직관 안에서 선험적으로 (형식에 따라) 주어진다.
Dagegen fängt mit den reinen Verstandesbegriffen die unumgängliche Bedürfnis an, nicht allein von ihnen selbst, sondern auch vom Raum die transzendentale Deduktion zu suchen, weil, da sie von Gegenständen nicht durch Prädikate der Anschauung und der Sinnlichkeit, sondern des reinen Denkens a priori redet, sie sich auf Gegenstände ohne alle Bedingungen der Sinnlichkeit allgemein beziehen, und die, da sie nicht auf Erfahrung gegründet sind, auch in der Anschauung a priori kein Objekt vorzeigen können, worauf sie vor aller Erfahrung ihre Synthesis gründeten, und daher nicht allein wegen der objektiven Gültigkeit und Schranken ihres Gebrauchs Verdacht erregen, sondern auch jenen Begriff des Raumes zweideutig machen, dadurch, daß sie ihn über die Bedingungen der sinnlichen Anschauung zu gebrauchen geneigt sind, weshalb auch oben von ihm eine transzendentale Deduktion von Nöten war.
반면에 순수 지성개념들과 함께 불가피한 필요가 발생한다, 오로지 그 개념들 자체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또한 공간에 대한 초월론적 연역도 시도해야 하는, 왜냐하면, 대상들에 대해 그 순수 지성개념들이 직관과 감성의 술어들을 통해서가 아니라, 오히려 순수 사유의 술어들을 통하여 선험적으로 진술하므로, 그 순수 지성개념들 자체가 대상들에 감성의 모든 조건들 없이 보편적으로 적용되기 때문이고, 그 개념들이, 그 개념들이 경험에 근거되지 않기 때문에, 또한 직관 안에서 선험적으로 어떠한 객체도 제시할 수 없고, 그로부터 그 개념들이 모든 경험에 대해 그 개념들의 종합을 근거짓고, 그런 이유로 오로지 그것의 객관적 정당성과 사용의 한계들에만 말미암아 의심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또한 공간의 이러한 개념으로 말미암아 애매하게 만들고, 그를 통하여, 그 개념들이 공간에 감각적 직관의 조건들에 대해 사용하는 쪽으로 기울어지고, 그 때문에 또한 위에서 공간에 대해 초월론적 연역이 필요했다.
→ 반면에 순수 지성개념들과 함께 오로지 그 개념들 자체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또한 공간에 대한 초월론적 연역도 시도해야 하는 불가피한 필요가 발생한다. 왜냐하면, 대상들에 대해 그 순수 지성개념들이 직관과 감성의 술어들을 통해서가 아니라, 오히려 순수 사유의 술어들을 통하여 선험적으로 진술하므로, 그 순수 지성개념들 자체가 대상들에 감성의 모든 조건들 없이 보편적으로 적용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개념들이 경험에 근거되지 않기 때문에 또한 직관 안에서 선험적으로, 그로부터 그 개념들이 모든 경험에 대해 그 개념들의 종합을 근거짓는 어떠한 객체도 제시할 수 없다. 그런 이유로 오로지 그 개념들의 객관적 정당성과 사용의 한계들에만 말미암아 의심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또한 그를 통하여 그 개념들이 공간에 감각적 직관의 조건들을 뛰어넘어 사용하는 경향을 보이며, 그 때문에 또한 위에서 공간에 대해 초월론적 연역이 필요했던 공간의 이러한 개념으로 말미암아 애매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