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 wenn ich von der Vorstellung eines Körpers das, was der Verstand davon denkt, als Substanz, Kraft, Teilbarkeit etc. imgleichen, was davon zur Empfindung gehört, als Undurchdringlichkeit, Härte, Farbe etc. absondere, so bleibt mir aus dieser empirischen Anschauung noch etwas übrig, nämlich Ausdehnung und Gestalt. Diese gehören zur reinen Anschauung, die a priori, auch ohne einen wirklichen Gegenstand der Sinne oder Empfindung, als eine bloße Form der Sinnlichkeit im Gemüte stattfindet.

→ 그래서, 내가 물체의 표상으로부터 오성이 생각하는 실체, 힘, 가분성 등으로서 분류하는 것을, 그로부터 직관에 속하는 것을, 불가투입성, 견고성, 색채 등으로서 분류할 때, 그래서 나에게 이러한 감각적 직관으로부터 또한 어떤 것이, 즉 연장과 형태가 남아 있다. 이러한 것들은, 선험적인, 또한 감관이나 지각의 실질적 대상이 없이, 감성의 순전한 형식으로서 심정에 발생하는 순수한 직관에 속한다.

Eine Wissenschaft von allen Prinzipien der Sinnlichkeit a priori nenne ich die transzendentale Ästhetik 1).

→선험적 감성의 모든 원칙들에 대한 학문을 나는 초월적 감성학이라 이름한다.

1) Die Deutschen sind die einzigen, welche sich jetzt des Worts Ästhetik bedienen, um dadurch das zu bezeichnen, was andre Kritik des Geschmacks heißen. Es liegt hier eine verfehlte Hoffnung zum Grunde, die der vortreffliche Analyst Baumgarten faßte, die kritische Beurteilung des Schönen unter Vernunftprinzipien zu bringen, und die Regeln derselben zur Wissenschaft zu erheben. Allein diese Bemühung ist vergeblich. Denn gedachte Regeln, oder Kriterien, sind ihren vornehmsten Quellen nach bloß empirisch, und können also niemals zu bestimmten Gesetzen a priori dienen, wornach sich unser Geschmacksurteil richten müßte, vielmehr macht das letztere den eigentlichen Probierstein der Richtigkeit der ersteren aus.

→1) 오늘날 Ästhetik 이란 단어를, 또 다른 취미비판이라 불리는 것을 그를 통해 그려내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은 독일이 유일하다.→ 여기에, 우수한 분석가 바움가르텐이 품었던, 이성원칙 하에서 아름다움의 비판적 평가를 이끌어내고, 그 비판 자체의 규칙들을 학문으로 내세우려는, 빗나간 희망이 근저에 놓인다.→ 단지 이러한 노력만으로는 헛수고이다.→ 왜냐하면 고려된 규칙들, 혹은 판단의 표지들은, 그것들의 주요한 원천에 있어서 순전히 감각적인 것에 따르고, 그러므로, 우리의 취미판단이 그것을 표준으로 삼는 법칙들로, 더욱이 후자(감각적인 것)가 전자(고려된 원칙들, 판단의 표지들)의 정당성에 대한 유일무이한 시금석을 형성하는, 규정된 선험적 법칙들로는 전혀 사용할 수 없다.

 

 

So, wenn ich von der Vorstellung eines Körpers das, was der Verstand davon denkt, als Substanz, Kraft, Teilbarkeit etc. imgleichen, was davon zur Empfindung gehört, als Undurchdringlichkeit, Härte, Farbe etc. absondere, so bleibt mir aus dieser empirischen Anschauung noch etwas übrig, nämlich Ausdehnung und Gestalt.

그래서, 내가 물체의 표상으로부터 그것을, 오성이 그것을 생각하는 것을, 실체, 힘, 가분성 등으로서 분류하는, 그로부터 직관에 속하는 것을, 불가투입성, 견고성, 색채 등으로서 분류할 때, 그래서 나에게 이러한 감각적 직관으로부터 또한 어떤 것이 남아 있다, 즉 연장과 형태.

→ 그래서, 내가 물체의 표상으로부터 오성이 생각하는 실체, 힘, 가분성 등으로서 분류하는 것을, 그로부터 직관에 속하는 것을, 불가투입성, 견고성, 색채 등으로서 분류할 때, 그래서 나에게 이러한 감각적 직관으로부터 또한 어떤 것이, 즉 연장과 형태가 남아 있다.

Diese gehören zur reinen Anschauung, die a priori, auch ohne einen wirklichen Gegenstand der Sinne oder Empfindung, als eine bloße Form der Sinnlichkeit im Gemüte stattfindet.

이러한 것들은 순수한 직관에 속한다, 선험적인, 또한 감관이나 지각의 실질적 대상이 없이, 감성의 순전한 형식으로서 심정에 발생하는 직관.

→ 이러한 것들은, 선험적인, 또한 감관이나 지각의 실질적 대상이 없이, 감성의 순전한 형식으로서 심정에 발생하는 순수한 직관에 속한다.

 

Eine Wissenschaft von allen Prinzipien der Sinnlichkeit a priori nenne ich die transzendentale Ästhetik 1).

선험적 감성의 모든 원칙들에 대한 학문을 나는 초월적 감성학이라 이름한다.

→선험적 감성의 모든 원칙들에 대한 학문을 나는 초월적 감성학이라 이름한다.

 

1) Die Deutschen sind die einzigen, welche sich jetzt des Worts Ästhetik bedienen, um dadurch das zu bezeichnen, was andre Kritik des Geschmacks heißen.

1) 독일이 유일하다, 오늘날 Ästhetik 이란 단어를 사용하는, 그를 통해 그려내기 위해서, 또 다른 취향의 비판이라 불리는 것을.

→1) 오늘날 Ästhetik 이란 단어를, 또 다른 취미비판이라 불리는 것을 그를 통해 그려내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은 독일이 유일하다.

Es liegt hier eine verfehlte Hoffnung zum Grunde, die der vortreffliche Analyst Baumgarten faßte, die kritische Beurteilung des Schönen unter Vernunftprinzipien zu bringen, und die Regeln derselben zur Wissenschaft zu erheben.

여기에 빗나간 희망이 근저에 놓인다, 우수한 분석가 바움가르텐이 품었던, 이성원칙 하에서 아름다움의 비판적 평가를 이끌어내려는, 그 비판 자체의 규칙들을 학문으로 내세우려는.

→ 여기에, 우수한 분석가 바움가르텐이 품었던, 이성원칙 하에서 아름다움의 비판적 평가를 이끌어내고, 그 비판 자체의 규칙들을 학문으로 내세우려는, 빗나간 희망이 근저에 놓인다.

Allein diese Bemühung ist vergeblich.

단지 이러한 노력만으로는 헛수고이다.

→ 단지 이러한 노력만으로는 헛수고이다.

Denn gedachte Regeln, oder Kriterien, sind ihren vornehmsten Quellen nach bloß empirisch, und können also niemals zu bestimmten Gesetzen a priori dienen, wornach sich unser Geschmacksurteil richten müßte, vielmehr macht das letztere den eigentlichen Probierstein der Richtigkeit der ersteren aus.

왜냐하면 고려된 규칙들, 혹은 판단의 표지들은, 그것들의 주요한 원천에 있어서 순전히 감각적인 것에 따르고, 그러므로 규정된 선험적 법칙들로는 전혀 사용할 수 없다, 우리의 취미판단이 그것을 표준으로 삼는 법칙들로, 더욱이 후자는 전자의 정당성에 대한 유일무이한 시금석을 형성하는.

→ 왜냐하면 고려된 규칙들, 혹은 판단의 표지들은, 그것들의 주요한 원천에 있어서 순전히 감각적인 것에 따르고, 그러므로, 우리의 취미판단이 그것을 표준으로 삼는 법칙들로, 더욱이 후자(감각적인 것)가 전자(고려된 원칙들, 판단의 표지들)의 정당성에 대한 유일무이한 시금석을 형성하는, 규정된 선험적 법칙들로는 전혀 사용할 수 없다.

 

-蟲-

+ Recent posts